jumbongsanR3.hwp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jumbongsanR3.hwp"

Transcription

1

2

3 국립공원연구원연구보고 Nature, Our Future! 설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점봉산

4 국립공원탐방서비스헌장 우리공단임직원은국립공원이우리나라의자연생태계와자연및문화경관등을대표하는지역으로후손에물려주어야할소중한유산임을인식하고국민의여가생활과정서함양을위하여다음과같은자세로공원관리에임할것을약속합니다. 1. 다양한생태계, 유구한문화유산, 수려한자연경관이공존하는 국립공원으로보전하겠습니다. 1. 쾌적하고안전한국립공원탐방환경을유지하겠습니다. 1. 국민의삶의질을향상시킬수있는탐방프로그램을운영하겠습니다. 1. 국립공원관련자료와다양한탐방정보를국민이편리하게이용 할수있는환경을조성하겠습니다. 1. 고객의불편이최소화될수있도록항상고객의입장에서생각 하고행동하겠습니다. 우리공단임직원모두는국립공원탐방서비스헌장을이행함으로써 국민모두가유익한탐방을할수있도록정성을다하겠습니다.

5 설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점봉산

6

7 과업수행자 본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는다음과같은연구진을중심으로수행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연구진 구분성명소속보조원 과업총괄권혁균국립공원연구원 총괄조사위원 남승문채희영 국립공원연구원 총괄진행 조용성 국립공원연구원 박은영 지형경관 지질 김창환 강원대학교 이태희 최도현 식물상 박기현 국립공원연구원 송세규 박진웅 식생 박선주 영남대학교 최경수 손오경 포유류 박영철 강원대학교 김지영 윤광배 조류 유정칠 경희대학교 최진환 황재웅 자연환경 양서 파충류라남용강원대학교이헌주 김자경 어류송호복한국민물고기연구소강동원 장창렬 육상곤충 ( 주간 ) 박진영경북대학교장선진 최익제 육상곤충 ( 야간 ) 변봉규 한남대학교 노승진 신영민 진정거미류 김주필 거미연구소 김태옥 박연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박정호 강원대학교 변진수 이연호 담수조류 최재신 경북대학교 채현식 박정원 고등균류 이종규 강원대학교 김남규 이진흥 인문환경 훼손지조사 이상희 충북대학교 주정덕 이정균

8

9 식물상 개병풍 기생꽃 가시오갈피 복주머니란 나도개감채 왜솜다리 한계령풀 연령초

10 포유류 담비 _ 나무긁은흔적 멧돼지 _ 배설물 하늘다람쥐 _ 배설물 족제비 _ 배설물 다람쥐 _ 목견 삵배설물 멧토끼 _ 목견 멧돼지 _ 진흙목욕흔적

11 조류 곤줄박이 쇠딱다구리 동고비 노랑할미새 큰유리새 ( 수컷 ) 큰유리새 ( 암컷 ) 노랑할미새 큰부리까마귀

12 양서 파충류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알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아무르장지뱀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유혈목이

13 어류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둑중개 (Cottus koreanus)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14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조사지역격자

15 목 차 Ⅰ. 과업개요 1. 과업개요 1 Ⅱ. 분야별자원조사 1. 지형경관및지질 7 2. 식물상 식생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육상곤충 ( 주간 ) 육상곤충 ( 야간 ) 진정거미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담수조류 고등균류 훼손지조사 265 Ⅲ. 요약및관리방안 289 Ⅳ.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원현황 311

16

17 Ⅰ 과업 개요

18

1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 과업개요 점봉산은설악산과연결된높은고도를유지한산지지형의특성을가지고있으며, 우리나라최대의신갈나무군락과우리나라최대의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한게령풀자생지등이형성되어있는등원시림의특성을잘나타내고있어보전가치가매우높은지역이다. 점봉산의편입지역은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산 71번지로 8,089,595m2의면적이다. 점봉산은해발 1,424m로백두대간과연결된태백산맥의분수령을이루고있으며, 지형은대부분이화강암으로구성되어있다. 또한점봉산의식생은해발 400m 이상의넓은지점에서신갈나무군락이분포하고있으며, 남한에서가장식생이좋은곳으로평가되는곳이다. 이곳은멸종위기야생동 식물 13종을포함한 800여종의다양한야생동 식물이서식하고있으며, 설악산과함께 UNESCO가지정한생물권보전지역이자한반도생태축의중심축인백두대간에위치하고있어지리적으로매우중요한지역이다. 이러한다양한야생동 식물의서식처로써생물종다양성보전을위한설악산국립공원과생태적 지리적으로연결된하나의생태축으로서매우중요한이곳에대한정확한자료를확보하고자 2012년자연자원조사를실시하였다. 가. 과업목적 국립공원내자원을주기적으로조사하여상세자원현황과목록을작성 국립공원자원의체계적 과학적인보전과관리에필요한자료획득및활용 나. 조사기간및지역 1) 조사기간 2012 년 2 월 ~ 12 월 2) 조사지역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를대상으로 2km 2km 격자를설정하여포함되는 6개지역을조사대상으로하였다. 조사에이용한국가기본도인국립지리원지형도 ( 표 1) 와조사격자현황은다음과같다 ( 그림 1). 국립공원연구원 3

20 I. 과업개요 표 1. 조사대상지역해당도엽 해당도엽 (1/25,000) 설악 NJ (388144) 그림 1. 점봉산조사격자현황 다. 조사분야 자연환경분야의지형경관, 지질, 식물상, 식생,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육상곤충 ( 주간 ), 육상곤충 ( 야간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진정거미류, 고등균류, 담수조류분야와인문환경분야의훼손지조사등을조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4

21 Ⅱ 분야별 자연조사

22

23 지형경관및지질 1 조사위원 김창환 ( 강원대학교 ) 보조원 이태희 최도현

24

2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본조사는국립공원자원의체계적 과학적인보전과관리에필요한자료획득및활용을목적으로수행되었다. 본조사의대상은특성이우수하거나보존가치가높은지형경관 지질자원이되며, 조사지역은자연경관이우수한것으로평가된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일대이다. 본조사지역은단목령 (843.1m), 점봉산 (1435.6m), 작은점봉산 (1,293m), 곰배령 (1,146m), 을중심으로한지역으로행정구역상으로강원도인제군기린면과인제읍일부, 양양군서면일대에해당된다. 인제군기린면은면적이 km2로동쪽으로양양군서면, 북쪽으로인제군인제읍, 서쪽으로인제군남면 상남면, 남쪽으로홍천군내면에접한다. 행정리는 15개리다. 2007년도현재인구는 5,120명으로인제군전체인구의약 15.8% 를차지하고있다. 동쪽은양양군서면, 서쪽은남면과홍천군내촌면, 남쪽은홍천군내면과인접해있다. 북쪽면계에는설악산 (1,288m) 이접해있고내린천의지류인방태천이발원하여면의서남부에서내린천에합류한다. 면의서부에서북서류하는내린천과면의동부에서서류하는방태천이만나는현리일대에는연안에비교적넓은평지가펼쳐져농경지로이용된다. 평지를제외한나머지지역은골짜기를따라밭농사중심의농업이이루어지며, 그밖에약초재배와양봉이성하다. 인제읍과의경계를이루는곰배령 (1,164m) 은생태보존이뛰어난곳으로비교적넓고평탄한초원지대와, 산나물과약초등의자생지가나타난다. 방동리의적가리골은자연경관이수려할뿐만아니라마당바위 ( 마당처럼평평하고넓은바위 ) 와 2단폭포등이절경을이루고있어자연휴양림으로이용되고있다. 이일대의마을들은고로쇠와산나물축제로유명한지역이다. 인제군인제읍은인제군의중심부에위치하며동서로인제군을관통한다. 면적이 315,24km2이고, 북쪽으로인제군북면, 서쪽으로양양군서면, 남쪽으로인제군기린면, 서쪽으로인제군남면과양구군남면과접하고있다. 소양강과내린천이읍을관류하며읍의중앙부에서각하천이합류하여소양호로유입된다. 전반적으로산지는북쪽에서부터산의흐름이남동쪽으로이어져본조사지역인점봉산일대까지이어진다. 행정리는 20개리이며, 2010년도현재인구는 9,656명으로군청이위치하고있으며인제군에서인구가가장많은면으로인제군전체인구의약 30% 를차지한다. 농경지는대부분계곡을따라형성되어있으며, 하안에서벼농사가이루어지고대부분의지역은옥수수 감자등의생산을많이한다. 내린천과그지류들의하곡은곡구 ( 谷口 ) 는협소하지만안쪽이넓게트여서인제군의농업지역으로중요하며, 여름철에피서객이많이찾는다. 내린천의유수를이용하여래프팅 펜션등의레저관광업이이루어지고있다 번국도가남서-북동방향으로읍을관통하여인제군남면과북면을이어 국립공원연구원 9

26 1. 지형경관및지질 주고있으며, 31번국도는북서-남동방향으로지나가인제군기린면과양구군을이어주고있다. 양양군서면은양양군의서부를차지하며, 동쪽으로는양양군의전읍면과접하고있다. 남쪽으로는홍천군내면, 서쪽으로인제군인제읍, 북쪽으로인제군북면과접하고있으며, 면적은양양군전체면적의약 42.6% 에해당하는 268.1km2으로가장넓은면 ( 面 ) 이지만인구 (2010년) 는 3,382명으로홍천군전체인구의약 11.9% 정도로면적에비해인구수가적다. 면의태백산맥의서사면에위치하고있으며산맥에서뻗어나온작은산줄기들이면의동쪽으로흐른다. 설악산의중심인대청봉과한계령부근에서발원하여서류하는오색천과구룡령인근에서발원하여북류하는후천이면의공수전리에서합류하여양양남대천으로유입되고, 특히후천상류에는 2006년에준공된양양양수발전소가위치해있어양양군과주변지역일대에전력을공급한다. 나. 조사지역및방법 1) 조사지역가 ) 위치 본조사지역은행정구역상으로강원도인제군기린면과인제읍일부, 양양군서면일대에걸쳐있으며, 점봉산 (1435.6m), 작은점봉산 (1,293m), 곰배령 (1,146m), 단목령 (843.1m) 을중심으로한지역이다. 수리적위치는북위 , 동경 사이에위치한다. 인제군기린면과인제읍양양군서면의경계에있는지역으로단목령-점봉산구간이북쪽의경계를이루고점봉산-작은점봉산- 곰배령구간이북쪽의경계를이루고있다. 서쪽부터곰배령, 작은점봉산, 점봉산, 단목령, 북암령등이말발굽형태로둘러싸고있는조사지역은 31번일반국도와 418번지방도를통해서접근할수있으며점봉산생태관리센터가위치한설피마을지역을제외하고는차량접근이불가능하다. 주로하안이나곡구주변부를따라서취락이발달하였으며그분포또한불규칙적인산촌의촌락구조를갖고있으며조사지역내에는강선마을이라고불리는 10여가구가거주하고있는작은마을이있다. 주민대부분이농업에종사하며, 곰배령을방문하는관광객들을대상으로간이음식점등을겸업하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10

2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나 ) 지형및지질본조사지역은최고봉인점봉산 (1,426m) 을중심으로남쪽의작은점봉산 (1,293m) 과곰배령 (1,146m), 북쪽의해발 800~1,400m의능선과단목령 (843.1m) 이높은산지를이루고있다. 북쪽과서쪽에능선이자리잡고있으며크게강선마을이위치하고있는 강선리골 과그북쪽에위치한 가는골 로계곡이나누어진다. 이계곡은방태천이발원을하는최상류지역으로, 이유역에서는계곡을따라작은하천들이발달하였으며대개남동류하여계곡을빠져나간다. 대부분이기존에국유림으로보호를받는지역일뿐만아니라계곡이협소하여, 조사지역내에서농업이이루어지지는않는다. 그림 1-1. 점봉산일대조사지역의위치및고도 국립공원연구원 11

28 1. 지형경관및지질 본조사지역의지질은크게경기편마암복합체, 고원생대화강암류, 대보화강암류로이루어져있다. 조사지역의경기편마암복합체는대부분고원생대의편마암류로흑운모편마암으로주로구성되어있다. 전반적으로미약한호상구조를보이고있다. 또한곰배령북측능선에서흑운모편마암을관입한엽리상반상흑운모화강암이소규모관입암체로산출되어실제로암괴들이산재되어있다. 조사지역내의고원생대의화강암류는점봉산화강암으로, 2010년한국지질자원연구원실시하는지질조사에서처음정의된암체이다. 점봉산화강암은알칼리장석반정을고르게함유하는조립질화강섬록암으로전반적으로압쇄엽리구조가발달하였지만그방향성이명료하지는않다. 점봉산에서단목령까지이르는능선에는중생대쥐라기대보화강암류인오색화강암이분포하고있다. 오색화강암은함석류석화강암으로서반정을포함하지않고포획물의함유율이낮은등립질의암상을보이며점봉산인근에는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단목령일대에는함석류석흑운모화강암이분포한다. 그림 1-2. 점봉산일대조사지역의지질 국립공원연구원 12

2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다 ) 토양일반적으로토양형성에관여하는주요인자로모재 ( 기반암 ) 식생 기후 시간 풍력이나수력등이있으며, 이중에서도성대성토양형성에는기후가, 간대성토양형성에는모재와지형그리고시간이상대적으로중요하다. 이러한관점에서조사지역의토양을고려해보면조사지역은동일한기후지대여서성대성토양측면보다는간대성토양측면에서접근하는것이합리적이다. 본조사지역의토양은그발달정도가낮은인셉티솔 (Inceptisols) 목의토양에수분이고르게분포하여축축한상태인우드엡트 ( 습윤반숙토, Udepts) 토양이나타난다. 대부분의지역에서는입자지름 2 mm 이하의가늘고고운흙중에점토가 25~37.5 % 함유된토양인양토가나타나며, 점봉산-단목령구간의능선에서는입자가세밀한점토, 중간입자인실트, 그리고이들보다약간많은모래로구성된사양토가드물게나타난다. 계곡부로는 MuD( 돌이있는양토, 15~30% 의경사 ), OdE,( 바위가있는양토, 30~60% 의경사 ) 의토양이주로분포하며, 능선부에는 SmF2( 바위가있는사양토, 침식이있는60~100% 의경사 ) 이분포한다. 강선마을-곰배령구간의초입에는 SgD2( 사양토, 침식이있는 15~30% 의경사 ) 의토양이나타난다. 라 ) 수문및하계망본조사지역의하천은내린천의지류인방태천 ( 방동천 ) 이주를이루며, 발원지역이기도하다. 점봉산을중심으로작은점봉산 곰배령으로이어지는능선은인제군기린면과인제읍으로분기되는지류들의분수계가되며, 점봉산의동쪽능선인점봉산-단목령구간은서해로유입하는하천과동해로유입하는하천의경계로그유역이확연하게다르다. 방태천은내린천과합류하고, 내린천은소양강과합류하여북한강의일부가된다. 점봉산-단목령구간의북쪽은오색천으로이는후천과합류하여양양남대천을통해동해와연결된다. 방태천의가장큰수문적특징은굴곡이심한하천유로로인해하상에다양한하천경관이존재한다는사실이며최근에는풍부한유량과자연하천을이용한래프팅등이이구간에서시행되고있다. 내린천은소양강의지류중의하나로홍천군내면의오대산과계방산계곡에서발원하여인제군상남면개인산을지나고기린면현리에이르러가칠봉, 방태산계곡에서발원된진동계곡, 방태천 ( 방동천 ) 이합류하여기린면을지나인제읍합강리에서인북천과합하면서소양강을이루게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3

30 1. 지형경관및지질 마 ) 기후환경본조사지역의기후는직접적으로측정되고있지않다. 다만이에인접한인제군의기후자료를통해조사지역의기후환경을대략적으로유추하는것은가능하다. 인제군은내륙산간지역이므로여름 겨울의기온교차뿐만아니라낮과밤의일교차도심한대륙성기후를나타내며, 강수량은여름에집중적으로많고겨울의강설량도많다. 연평균기온 10.0, 1월평균기온 -5.0, 8월평균기온 23.2 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193mm이다. 그림 1-3. 점봉산일대의연평균기온 그림 1-4. 점봉산일대의연평균강수량 국립공원연구원 14

3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시기 설악산국립공원의신규편입지구인점봉산일대의지형경관 지질특성이우수한지역을발굴하여공원자원보전 관리의기초자료로활용하기목적으로 6월 13일부터 6 월 17일까지점봉산일대 ( 곰배령 ~ 점봉산 ~ 단목령구간 ) 의지형경관 지질을조사하였다. 계절적인영향으로현지조사와자원관찰이제한적인춘계초기에문헌조사를수행하고, 이후부터현지조사를수행중에있다. 자세한조사일정은표 1-1과같다. 표 1-1. 점봉산일대지형경관 지질조사일정 조사격자 ( 지역 ) 조사기간조사일수 계 7 박 9 일 105, 111~113, 117, 121( 인제군, 양양군 ) ~ 일 105, 111~113, 117, 121( 인제군, 양양군 ) ~ 일 3) 조사방법 실내조사단계는전국자연환경조사, 전국자연경관조사등기존에조사된내용을바탕으로진행되었다. 고문헌을통해옛지명이나설화를해석하거나신문기사및통계자료를이용하여특정지형경관이발달한지역을유추하는과정을거쳤다. 전체를 2 km x 2km크기의 14개의격자로조사지역을구분하였으며, 고봉들을중심으로하여일대에서발원하는지류들의계곡및능선부를따라조사경로를설정하였다. 현지답사는계곡과능선에놓인등산로를중심으로진행되었으며, 현지답사에서지형경관과지질을관찰 촬영하고 GPS수신기와지형도를이용하여그위치를기록하였으며, 현지답사를수행한결과를바탕으로 GIS분석및정리가이루어졌다. 지형조사는환경부의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지형분야 ) 의지형분류기준지침을적용하여수행되었다 ( 표 1-2). 국립공원연구원 15

32 1. 지형경관및지질 그림 1-5. 설악산국립공원조사지역의격자 표 1-2. 지형조사분류표대구분중구분지형단위급애 (cliff) 암석돔 (dome) 판상절리지형 (sheeting joint landform) 수직절리지형 (vertical joint landform) 토르 (tor) 악지 (badland) 고위평탄면산지지형고립구릉 (isolated dome) 침식및 (Mountain 풍화지형권곡 (kar or cirque) Landform) 설식와지 (nivation hollow) 풍화동굴 (cave) 그루브 (groove) 나마 (gnamma) 산지타포니 (tafoni) 구조 ( 선 ) 곡 ( 단층 ( 선 ) 곡 )(tecto-lineament(fault-line) valley) 산각말단면 (truncated spur) 국립공원연구원 16

3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하천지형 (Stream Landform) 퇴적지형기타침식지형퇴적지형기타 구조토 (patterned ground) 암괴류 (block stream) 암괴원 (block field) 애추 (talus or talus cone) 산지습지 (montane wetland) 침식분지폭포 (water fall) 폭호 (plunge pool) 포트홀 (pothole) 소 (pool) 감입곡류구간 (incised meander) 미앤더코어 (meander core) 협곡 (canyon or gorge) 하식애 (stream cliff) 하식동 (stream cave) 삼각주 (delta or delta fan) 선상지 (alluvial fan) 곡저평야포인트바 (point bar) 자연제방 (natural levee) 하중도 (mid-channel island) 사력퇴적지 (bar) 구하도 (old channel) yazoo 하도 (yazoo stream) 우각호 (ox-bow lake) 천정천 (ceiling river) 망류하도구간 (braided stream) 하천습지 (riverine wetland) 배후습지 (back marsh) 구분류습지 (interrupted tributary wetland) 하안단구 (river terrace) 호소성습지 (lacustrine wetland) 용천 (spring) 기반암하상 (rock riverbed) 풍극 (wind gap) 범람원 (flood plain) 국립공원연구원 17

34 1. 지형경관및지질 해안지형 (Coastal Landform) 카르트스지형 (Karst Landform) 침식및풍화지형퇴적지형기타 하천충적평야인공호수 해식애 (sea cliff) 해식동 (sea cave) 파식대 (wavecut platform) 시스택 (sea stack) 시아치 (sea arch) 노치 (notch) 마린포트홀 (marine pothole) 해안타포니 (tafoni or honeycomb T) 간석지 (tidal flat) 염습지 (salt marsh) 거력해안 (boulder beach) 자갈해안 (pebble or shingle beach) 모래해안 (sand beach) 패사해안 (organic sand beach) 사취 (spit) 사주 (sand bar) 사주섬 (barrier island) 육계사주 (tombolo) 육계도 (land-tied island) 범 (berm) 비치리지 (beach ridge) 석호 (lagoon) 해안사구 (coastal dune) 사구습지 (coastal dune wetland) 해안평야 (coastal plain) 해안단구 (coastal terrace) 간척지 (reclaimed land) 돌리네 (doline) 우발라 (uvala) 자연교 (natural bridge) 카렌또는라피에 (karren or lappie) 석회동굴 (limestone cave) 카르스트건곡 (blind valley or sinking creek) 카르스트용천 (karst spring) 국립공원연구원 18

3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화산지형 (Volcanic Landform) 용암원정구 (lava dome) 분석구 (cinder cone) 응회구 (tuff cone) 응회환 (tuff ring) 마르 (maar) 용암동굴화구 (crater) 중앙화구구화구호 (crater lake) 칼데라 (caldera) 칼데라호 (caldera lake) 피트분화구 (pit crater) 용암대지 (lava plateau) 스텝토 (step-toe) 베개용암 (pillow lava) 밧줄구조 (ropy structure) 주상절리지형 (columnar joint landform) 튜물러스 (tumulus) 곶자왈 (gotzawal) 다. 조사결과및고찰 국립공원지형경관 지질조사의주요목적은전반적인지형경관 지질분포현황을파악하여보전가치가있는자원을발굴하고국립공원의효율적관리와정책결정을위해지형경관 지질의일반적인특징을체계적으로조사하는데있다. 또한조사된지형경관은보전가치가높은지형경관자원을선정하여자연환경정책의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연환경보전과관련된국민의식을제고할수있도록하는데의의가있다. 본조사는설악산국립공원신규편입지구인점봉산일대의지형경관 지질자원을대상으로진행되었다. 점봉산은강원도인제군인제읍과기린면, 양양군서면의경계에위치한산으로고원생대의암석들로이루어진토산 ( 土山 ) 이다. 토산의경우인근에있는설악산과같은암산과는달리지형 지질경관이뚜렷하게나타나지않으며, 식생의발달이우수하여육안으로경관을관찰하기가어려운점이있다. 조사결과는다음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19

36 1. 지형경관및지질 첫째, 조사구역인점봉산을중심으로작은점봉산, 곰배령, 단목령일대는전형적인토산지세를띠고있어, 그주변의다른산지에비해능선이매우완만하며, 계곡부또한그러하다. 점봉산지역은주로고원생대의편마암과곰배령화강암이화학적풍화작용인가수분해를받아형성되며, 점토 실트등빗물에잘씻기지않는풍화산물이잔존하여부드럽고완만한산세를이루게된다. 둘째, 조사지역은계곡부에는암괴퇴적지형이, 능선부에서는고위평탄면등의산지지형이나타난다. 암석의노출이적은토산의특성상지형 지질경관의발달은미약하나계곡부를중심으로암괴퇴적지형인암괴류와암괴원등이발달하고있으며, 이들은식생으로덮여있어그기원이나규모의확인이힘들다. 셋째, 일부계곡부의소하천들을중심으로하천지형이발달하여있다. 하지만이역시발달이미약하여, 계곡부를중심으로일부하상에노출된암석을위로흐르는소규모의폭포나그로인한소가발달하였을뿐이외의하천지형역시관찰은어려운편이다. 점봉산은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민간인의출입이일부제한되기때문에산림이나하천의수질이매우양호한편이다. 국립공원연구원 20

3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 산지지형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풍화동굴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2 m 폭 : 6 m 상기지형은강선마을에서곰배령으로가는등산로좌측에나타나는풍화동굴로고원생대의곰배령화강암과편마암복합체의경계구간이다. 위풍화동굴이위치한암괴는오랜시간에거쳐풍화작용이활발하게일어났으며, 특히암석의내외부에가해지는압력으로인해암석이작은입자로붕괴되는기계적풍화작용이활발하게진행되었던것으로관찰된다. 암괴가비교적방향성이탁월하지않은절리를따라풍화가일어났으며, 풍화동굴은절리가 X자모양으로교차하는지점에나타난다. 풍화동굴자체는비고 30cm, 폭 40cm 정도의크기를갖는다. 국립공원연구원 21

38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암괴원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m 폭 : m 곰배령 1.3km이전지점에위치한암괴원으로정상부근처까지오목한형태의사면을덮어서연속된경관을형성한다. 암괴원은기반암에서분리된각진암석들이완만한사면을넓게덮어이루는사면을말하며, 암괴류와마찬가지로빙기에주빙하기후의영향을받아암괴류와비슷한과정의형성과정을거치게된다. 암괴는주로 1.5m~2m 장폭을이루나장축의방향이일정하지않고분급또한불량하며, 식생의발달로인한접근제한으로상세관찰이어려워자세한규모측정은어렵다. 등산로주변을따라지속적으로관찰되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22

3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암괴류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m 폭 : m 상기지형은암괴류 (block stream) 로추정되는지형으로, 주계곡방향으로수직으로합류하여사면을흘러내리는형태를이루고있다. 암괴류는우리나라의산지사면에서가장흔히볼수있는지형들중의하나로, 설형 ( 舌形 ) 의평면형을가진것이일반적이다. 암괴류는일반적으로빙기에동결파쇄작용으로생산된암설이풍화된세립물질들의젤리플럭션 (gelifluction) 에의해사면하단으로이동하고, 그후에세립물질이유수등으로인해제거되어비교적큰암괴들이남은지형이다. 상기암괴류의암괴크기는 1.5m~2m, 1m미만등혼재하며전체적인분급은불량한편이다. 암괴류는주로주빙하적기후환경에서형성된것으로화석지형이라고할수있으며그것은상기지형의암괴에각종이끼류가서식하는것에서확인할수있다. 국립공원연구원 23

40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고위평탄면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 인제읍귀둔리경계 ( 곰배령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해발 1,146 m 폭 : 200 m 곰배령은인제군기린면의강선골지역과인제군인제읍의귀둔리를연결하는고개로평탄면은주변의활엽수림과는다르게초지를이루고있으며, 각종야생화들이서식하고있다. 곰배령의높이는표고 1,146m로이러한곳에비교적넓은평탄면을이루고있다는것은매우특징적인현상이다.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고위평탄면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 인제읍귀둔리경계 ( 작은점봉산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해발 1,293 m 폭 : 140 m 국립공원연구원 24

4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곰배령으로이러지는북측능선에는작은점봉산 (1,293m) 이위치하며작은점봉산의산정부에는곰배령과마찬가지로매우평탄한지형이나타난다. 이러한지형을고위평탄면이라부르며, 이는과거경동성요곡운동의결과형성된것이다. 고위평탄면은오랜침식작용으로인해형성된평탄한원지형이융기하여높은고도에위치하게된지형으로, 우리나라의경우신생대제 3기에태백산맥을중심으로활발하게융기운동이일어났다. 곰배령은태백산맥줄기의일부로이지형은고위평탄면으로해석할수있다. 곰배령평탄면의장축은약 200m, 단축은약 120m 정도이며, 작은점봉산산정부평탄면의장축은약 140m, 단축은 30m로곰배령의평탄면에비해규모가작고길쭉한형태를띠고있다.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기타 ( 산정부 )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 인제읍귀둔리 / 양양군서면오색리경계 ( 점봉산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해발 1,426 m 폭 : m 점봉산은해발 1,426m의고지대로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과인제읍귀둔리, 양양군서면오색리를나누는행정구역의경계이다. 점봉산의산정부는삿갓모양을하고있는대칭형이지만산지의지세를전체적으로살펴보면동사면에비해서사면의경사도가탁월하게높다. 조사구역이전반적으로주변지역에비해경사가완만하면서도해발고도가높은것은전형적인경동성요곡운동의영향이며, 고위평탄면과도관련이깊다. 점봉산의산정부는기반암이일부노출되어있지만그비중이높지않으며, 대부분이편마암에서기원하는두꺼운토양층으로이루고있어식생이탁월하다. 국립공원연구원 25

42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토어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 인제읍귀둔리경계 ( 점봉산인근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3 m 폭 : 2 m 점봉산의산정부는편마암에서기원하는두꺼운토양층을이루고있지만드물게기반암이노출되어있는모습을관찰할수있다. 이지역의기반암은경기편마암복합체에속하는고원생대의편마암류로흑운모편마암으로주로구성되어있다. 전반적으로미약한호상구조를보이고있다. 상기지형 ( 좌측사진 ) 은우리나라의산정부에서흔히관찰되는토어 (tor) 지형으로차별적인풍화로인해기반암과연결되어지표에노출된독립성이강한암괴미지형이다. 2) 하천지형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계곡 ( 폭포, 소 )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15 m 폭 : 5 m 국립공원연구원 26

4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본조사지역내의계곡부에서가장흔하게볼수있는지형경관으로소규모의폭포와소가연속적으로발달하여있다. 폭포들은수십 cm 정도의낙폭을갖고있다. 계곡하상에낙석에의해형성된자연적인낙수현상때문이라고할수있다. 이는일반적으로폭포가기반암의침식에대한저항정도가급격하게변화하는지점인경사급변점 (knickpoint) 에서나타나는반면, 조사지역내의방태천최상류지역은, 고원생대의화강암인곰배령화강암이분포하는지역으로, 암석의시기가오래되어일반적인화강암기반지역의급격한낙폭을지닌폭포보다, 상대적으로완만한경사의폭포가나타난다.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상단 2.5m, 하단 3.5m 폭 : 상단 3m, 하단 5m 등산로우측 15m 지점의계곡상에위치한폭포로, 등산로구간중폭포의발달이비교적탁월한지형이다. 총 2단으로구성되어있으며, 상단은두개의물줄기로나뉘어낙하하며, 하단은크게 3개의물줄기가비스듬히덮어흐르는형태로낙하한다. 특히하단으로다른계곡에서유입되는폭포가합류하는것이특징적이며, 이폭포는소규모이며, 암반을덮어면으로흐른다. 전반적으로폭포를횡단하는수평의절리가우세하나전체적인방향성은미약하며, 폭포의낙폭과폭포하단의소의크기의비율이평균적인것으로관찰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7

44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소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0 m 폭 : 5 m 상기지형은강선마을-곰배령구간의계곡에나타나는소 (pool) 로고원생대의곰배령화강암과편마암복합체의경계구간에해당된다. 일반적으로소 (pool) 는하천의공격면과접하고있는수심이깊은곳을말하여, 하천의유로를따라수심이가장싶은곳을연결한최심하상선의일부이다. 때문에, 감입곡류하천의공격사면에발달하며, 암벽을끼고있는것이보통이다. 그러나상기지형은약 1m 정도의낙폭이있는폭포의하단에발달하였으며, 상대적으로풍화정도가덜한암석들이 보 의역할을하여상단의소와하단의소로나누어지는이중구조를가고있다. 강선마을-곰배령구간의계곡에나타나는소 (pool) 로는비교적규모가큰편에속한다. 국립공원연구원 28

4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상단 3m, 하단 3m 폭 : 상단 5m, 하단 7m 위지형은 2단폭포로전반적으로절리밀도가낮으며, 괴상의기반암을덮어흐르는형태로관찰된다. 다른계곡부에서소하천이유입하여하단폭포의폭호로합류하는것이특징적이며, 폭포의물줄기를따라하천이운반하는암설에의해암반이연마되는침식작용인마식 ( 磨蝕 ) 의흔적이일부관찰된다. 폭포의낙폭에비해폭호의발달이미약한편이며, 상부폭포의낙하면좌측하단에높이 2m, 폭 1m의하식노치가발달한다. 국립공원연구원 29

46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 - 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 위치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강선리골 ) 경위도 :E / N 규모비고 : 6 m 폭 : 2 m 곰배령 500m 이전지점에위치하는폭포로급사면의기반암노출지를따라서형성되었다. 노출된기반암은전반적으로수평에서좌측으로기울어진절리들이발달하고있으며, 이절리를따라기반암에폭포가나타난다. 이절리면은수개의단을형성하고있으며, 그위로폭포가흘러수개의단을이루며낙하한다. 강선마을-곰배령구간의계곡을흐르는소하천의최상류지역으로하천의물줄기가육안으로관찰되기시작하는지점이이폭포상류인근에형성된다. 낙폭이크고, 유량이비교적충분하지만, 낙폭에비해폭호의발달이매우미약하다. 물줄기가절리의영향으로폭포의유로가날카롭게꺾이는모습이특징적으로관찰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0

4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3.5 m 폭 : 5 m 단목령과북암령으로들어가는삼거리에서점봉산방향 ( 가는골 ) 500m 부근에위치한폭포이다. 하상에드러난기반암의천이점을따라형성된폭포로폭포의상부약 7m 구간은기반암이노출되어있으며그위를하천이덮어흐른다. 노출된기반암은수평방향의절리가우세하지만점봉산구역의다른폭포들이천이점부근에만기반암이노출된것과는달리이폭포를비롯하여가는골의폭포는비교적기반암의노출빈도가높다. 폭포는천이점에이르러기반암의중앙부를경계로두갈래로나누어져낙수한다. 우측의폭포는 1단으로직하하며, 좌측의폭포는 2단폭포로소폭낙하한다. 폭호의규모는매우작다. 국립공원연구원 31

48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3.5 m 폭 : 3 m 상기폭포역시기반암이노출된하상을따라발달한폭포로, 하상및양안의기반암을끼고 S자형으로곡류하는모습을보인다. 하상과양안의기반암은유수의방향과수직으로교차하여흐르며, 이는폭포의천이점으로작용한다. 상기폭포는 3단의폭포로폭포하부에는작은규모의소가각각관찰된다.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3.5 m 폭 : 5 m 하천을수평으로횡단하는기반암노출지상에형성된폭포. 기반암내절리구조는하천을가로지르는수직의방향성을지니며이로인하여절리면을따라 10여개의소 국립공원연구원 32

4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규모단을구성하며낙하하는현재와같은형태의폭포가발달한형태를갖는다. 명확하게관찰되는폭포의단은 2개이며, 하상의기반암에는미약하게마식의흔적들이나타난다. 상단의폭포는두갈래로낙수하며상단의폭호에서합수하여하단의폭호로연결된다.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소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10 m 폭 : 5 m 상기지형은가는골구간에서비교적규모가큰소에해당된다. 가는골구간다수의폭포와소가기반암상에형성되는것과는달리해당소는기반암노출지의말단에위치하며수심이깊어지고하폭이비교적넓어지는경관을형성하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33

50 1. 지형경관및지질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 기반암하상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1.5 m 폭 : 20 m 절리발달이거의없는괴상의암체가하천면을횡단하면서형성된폭포사면을비스듬히덮어흐르다말단에서약 50cm 규모로낙수하는형태를띠고있다. 암괴상에위치한폭포를구성하는기반암의전면에는마식의흔적이관찰되어지며이는강우시의유량을반영하는것으로사료된다. 폭포상부의수m 구간에서는기반암하상을형성하고있는것이특징이다. 국립공원연구원 34

5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폭포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2리 ( 가는골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10 m 폭 : 15 m 다수노출된괴상의기반암들위로수개의폭포가분류하여낙수하는형태를지닌폭포이다. 다수의기반암과암괴들이하상과그주변에불규칙하게널려있으며폭포는크게두줄기로나누어진다. 각줄기마다 2~3개의폭포가발달하여있으며, 폭포상단의기반암에서는미약하지만마식의흔적이나타난다. 상기폭포를시간으로하상에노출된암괴의규모가하단의그것들보다커지며강선마을-곰배령구간의하천경관에서유추해보면가는골구간의상기지점부터암괴류발달의가능성을보인다. 국립공원연구원 35

52 1. 지형경관및지질 2) 기타지형 격자번호-분류번호 지형명칭 : 기타 ( 핵석 )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 양양군서면오색리경계 ( 점봉산-단목령능선 ) 위치경위도 :E / N 규모비고 : 0.8 m 폭 : 0.6 m 암석이지하에서지하수와접하게되면화학적인풍화작용이절리면을따라이루어지고이때절리면이교차하는지점이강력한풍화작용으로인해암석이둥글둥글해지고주변부는새프롤라이트화되거나입상붕괴되어토양으로변한다. 이렇게형성된둥글동글한암괴를핵석이라고하며, 주로화강암류에서잘관찰된다. 위지형은점봉산-단목령능선에서관찰된핵석으로대보화강암류의오색화강암-흑운모화강암이다. 절리의발달이미약하나, 표면에는절리의틈을따라풍화가진행되고있으며, 절리면에서는입자들이입상붕괴하면서박리현상이진행되는것을관찰할수있다. 국립공원연구원 36

5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권혁재, 지형학, 법문사, 권혁재, 한국지리지방편, 법문사, 기상청홈페이지, 김창환외, 지리와인간생활, 강원대출판부, 김창환외, 한강유역사연구, 산책출판사, 김창환외, 환경과생활, 신라출판사, 김창환 유호상, 1997,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 인제-양양 (1-10) 권역지형 경관분야인제군, 통계연보, 자연지리학사전편찬위원회편, 자연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정창희, 지질학개론, 박영사, 인제군, 통계연보, 국립공원연구원 37

54

55 식물상 2 조사위원 박기현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송세규 박진웅

56

5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점봉산은설악산국립공원에포함되어있는지역으로원래는점봉산의서쪽망대암산지역일부만이설악산국립공원에포함되어있었으나 2011년에점봉산의모든지역이국립공원으로지정되어설악산국립공원에편입되었다. 점봉산은강원도인제군과양양군에걸쳐있으며설악산국립공원에포함되어있으나대청봉을주봉으로한설악동지역과는달리남설악으로구분하고있는지역이다. 예전부터점봉산지역은원시림지역으로유명하여식물상의보고, 천상의화원이라는이름으로유명하였으며한반도중부에위치한탓으로각종식물들의남북방한계선이나타나고있으며특히인근의설악산과함께북방계식물들의남방한계선으로유명하여다양한식물상이나타난다. 점봉산의식물자원에관한연구로는점봉산이주로산림청에의해관리되었기때문에대부분의연구는산림군락및식생의식물사회학적연구가대부분이며식물상의경우에는한국자연보존협회 (1984), 전 (1997) 과손등 (2011) 에의해이루어졌으나이것역시점봉산의전체부분이속해있지않거나산림유전자보호구역에국한되어이루어진것으로점봉산에국한된전체적인식물상은이번연구가최초라해도무방하다고판단되며향후에는국립공원관리공단측의자연자원조사와모니터링등의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지리라생각된다. 본조사는 2012년제3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의일환으로실시된점봉산 / 계방산편입지역자연자원조사중점봉산의식물상조사로써점봉산의식물자원과식물상을밝히고식물상변화추이를파악하여앞으로점봉산내분포하는식물종다양성보존을위한자료및탐방자료로활용하며, 나아가점봉산내공원관리의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그의의를둔다. 나.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 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은행정구역상으로강원도인제군인제읍, 기린면, 양양군서면에포함되어있으며주봉의높이는 1,424m이며설악산과한계령으로이어져있으며남쪽으로는가칠봉, 서쪽으로는가리봉과한석산, 동쪽으로는전동계곡과단목령을마주하고있다.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포함 ) 은빼어난자연경관과생물상으로보전가치가매우크며 1982년에유네스코에서생물권보전지역으로지정된지역으로한국의 국립공원연구원 41

58 2. 식물상 100대명산으로유명한지역으로 2011년에점봉산의전체지역이설악산국립공원으로신규편입되었다. 그림 2-1. 조사지역및식물상조사경로 ( 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2) 조사범위및조사방법 점봉산전지역을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였으며공원전체범위를 6개의격자 (2km 2km) 로나누어식물상조사를실시하였다. 식물상파악은각격자내에출현하는모든종류를조사하였으며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한국특산종, 희귀식물및외래식물의목록표를작성하였으며, 특정및외래식물조사표는동일지역내에 2개체이상이출현하는종류만을대상으로하였다. 또한공원경계내에식재된식물은식재표기를따로하여식물목록에포함시켰으나인위적으로심은식물이기에멸종위기종및특산식물목록, 희귀식물목록, 귀화식물목록, 구계학적특정식물에서모두배제하였다. 식물의동정은이 (1996), 이 (1997), 이 (2003) 를참고하였고박 (2001) 의한국귀화식물원색, 김 (2008) 의한국의야생화와자원식물등을참고하였으며분류체계는해부학적 국립공원연구원 42

5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특색을취한 Engler의방법에따라정리하였다. 또한조사중발견된관속식물중한국특산식물은가장최근에한국특산식물을정리한산림청 ( 의통계에따랐으며희귀식물은국립수목원 (2009) 에의거하였으며멸종위기야생동식물의경우, 환경부야생동식물보호법에의거하여 2012년 5월 31일부로입법개정된신규멸종위기야생생물목록과 2005 년지정된멸종위기야생생물을참고하여작성하였다. 점봉산의전체조사지역및조사경로는그림 2-1과같다. 3) 조사기간 본식물상조사는 2012년 5월 10일부터 2012년 10월 12일까지 4회 8일간조사를실시하였으며조사일정은표 2-1과같다. 표 2-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구분 조사기간 조사지역 격자번호 1차 5.8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117, 121, 단목령일대 113 2차 6.12 오색초등학교일대 단목령 - 곰배령 - 작은점봉산 - 박달령 113, 121, 117, 111, 112 3차 9.24 단목령일대 113 4차 곰배령일대 117, 121 다. 결과및고찰 1) 일반식물상 2012년도신규편입지역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자연자원조사식물상조사에서조사된관속식물은 44목, 108과, 404속, 676종, 1아종, 100변종, 13품종으로총 790분류군이조사되었다 ( 표 2-2). 이러한수치는우리나라관속식물 4,071분류군 ( 이, 1996) 의 19.40% 이며이러한수치는타공원에비하여높은수치라고말할수있다. 2011년북부지방산림청용역사업으로시행된 점봉산의산림유전자원용역조사 에서나타난 652분류군에비하여 80여분류군이더많이나타났으며최근점봉산이국립공원에편입되면서국립공원관리공단의주축하에이루어진종합적인조사는이번이 국립공원연구원 43

60 2. 식물상 처음이기에 790분류군이라는숫자는매우특별하다고판단된다. 790분류군외에도 Raunkiaer(1934) 가제시한산출공식인양치식물계수는 (Pte-Q=25 B/A, A : 현화식물종수, B : 양치식물종수 ) 는 0.69라는수치가나왔다. 이것은설악산국립공원의 0.93, 지리산국립공원의 0.69와비교하였을때, 협소한면적에서는비교적높게나온수치로판단된다. 표 년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식물상조사에서발견된관속식물의종조성표 Class of tracheophyta Order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Lycopodineae Equisetineae Filcineae Gymnospermae Angiospermae Dicotyledoneae Archichlamydeae Metachlamydeae Monocotyledoneae Total 표 2-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지역의연구목록 연도 제 목 출현종수 2011 점봉산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식물상과식생구조 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 현장조사 ) 790 2) 생활형별분류 이번에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서조사된 790분류군을생활형에따라분류하면가장많은식물은 H( 지중식물, 휴면아지표 ) 이며 205분류군으로약 23.54% 의비율로나타났고 G( 지중식물, 휴면아땅속 ) 가 186분류군, 23.54%, Th( 일년생식물 ) 가 121분류군, 15.32%, 그리고 N( 저목, 소지상식물 ) 이 79분류군, 10.00%%, MM( 교목, 대형지상식 국립공원연구원 44

6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물 ) 이 71분류군, 8.99%%,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 61분류군, 7.72%, HH( 수생식물 ) 가 29분류군, 3.67%, Ch( 반지중식물 ) 가 30분류군, 3.79%, 마지막으로 E( 기생식물 ) 가 8분류군으로 1.01% 의점유율을나타내었다 ( 그림 2-2). Th : Therophytes 1 년생식물 G : Geophyte 지중식물 ( 휴면아땅속에있는다년초 ) H : Hemicryptothytes 반지중식물 ( 휴면아가지표바로위에있는다년초 ) Ch : Chamaephytes 반지표식물 ( 휴면아가지표면에서 0-0.3m 이내의다년초 ) N : Nanophanerophytes 소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0.3-2m 사이 ) M : Microphanerophytes 소형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2-8.m 사이 ) MM : Megaphanerophytes 대형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8-30m 사이 ) HH : Hydatophytes 수생식물 E : Epiphyten 기생식물 그림 2-2.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관속식물의생활형별분류 특기할만한것은일반적인산림에비하여 MM( 교목, 대형지상식물 ) 이 N( 저목, 소지상식물 ), 그리고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큰격차없이높게나타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경향은대부분극상에다다른지역에서많이나타나는모습으로다양한생활형을가진식물들이많이생육하고있음을뜻하는것으로, 이것은점봉산지역의식생과식물상이산불및인위적간섭에우수하게관리되어왔다는것을말해주는것으로극상의단계에들어섰다고판단된다. 또한그동안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써의관리, 탐방객통제등관리가잘되어온것도큰이유중의하나라판단된다. 3) 한국특산식물 식물체는시간이경과함에있어생육하고있는특정환경에적응하면서다른지역에서는볼수없는독특한특징을지니며종분화가일어나진화하게되는데이러한식물을특산식물 ( 特産植物 ) 또는고유식물 ( 固有植物, Endemic plant) 이라고한다. 이러한특산식물은그지역의해당식물의기원과종분화, 진화과정을밝히는중요한요소가되고그지역의특수성을설명할수있는가장좋은자료가된다. 또한우리만이가진생물종이기에종의확보와관심에노력을기울여야하는식물이다. 점봉산지역내서식하는특산식물의판단기준은산림청에제시한목록을참고하였 국립공원연구원 45

62 2. 식물상 으며조사된 734분류군중특산식물은특산종이 45종, 특산변종이 5종, 특산품종이 1종으로총 51분류군의특산식물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2-4, 그림 2-3). 표 2-4.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자생하는한국특산식물목록 번호 학명 국명 1 Salix hallaisanensis Level 떡버들 2 Salix hulteni Floderus 호랑버들 3 Alnus fruticosa var. mandshurica Call. 덤불오리나무 4 Betula ermani Cham. 사스래나무 5 Asarum maculatum Nakai 개족도리풀 6 Silene jenisseensis Willd. 가는다리장구채 7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8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9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10 Thalictrum rochebrunianum Fr. et Sav. 금꿩의다리 11 Berberis koreana Palibin 매자나무 12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13 Deutzia coreana Lev. 매화말발도리 14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참바위취 15 Crataegus komarovii Sarg. 이노리나무 16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터리풀 17 Prunus japonica var. nakaii (Lèv.) Rehder 이스라지 18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 19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 광릉갈퀴 20 Vicia venosissima Nakai 노랑갈퀴 21 Tilia meyaphylla Nakai 염주나무 22 Viola diamantica Nakai 금강제비꽃 23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24 Acanthopanax chiisanensis Nakai 지리산오갈피 25 Oplipanax elatus Nakai 땃두릅나무 26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27 Pimpinella koreana Nakai 가는참나물 28 Vaccinium koreanum Nakai 산앵도나무 29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30 Forsythia ovata Nakai 만리화 국립공원연구원 46

6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31 Salvia chanr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32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33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34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병꽃나무 35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36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도라지모시대 37 Hanabusaya asiatica Nakai 금강초롱꽃 38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39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Kitamura 바위구절초 40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구절초 41 Cirsium chanroenicum Nakai 정영엉겅퀴 42 Cirsium setidens Nakai 고려엉겅퀴 43 Saussurea grandifolia Max. 서덜취 44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45 Saussurea tanakae Fr. et Sav. 당분취 46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Kitamura 산비장이 47 Carex glabrescens Ohwi 곱슬사초 48 Aletris fauriei Lev. 여우꼬리풀 49 Polygonatum robustum Nakai 왕둥굴레 50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51 Iris odaesanensis Y.N. Lee 노랑무늬붓꽃 금강제비꽃 만리화 국립공원연구원 47

64 2. 식물상 터리풀 바위구절초 그림 2-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서자생하는한국특산식물 4) 희귀식물및멸종위기식물가 ) 멸종위기종 환경부는자연환경보전법을토대로멸종위기야생동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나누어관리하고있으며식물은 Ⅰ급이 9분류군, Ⅱ급이 68분류군으로총 77분류군이이멸종위기야생생물대상에속한다. 이번점봉산지역에서는멸종위기식물 Ⅰ급은발견이되지않았으며멸종위기식물 Ⅱ급은 5분류군이발견되었다 ( 표 2-5, 그림 2-4). 이외에도정밀조사를실시한다면털복주머니란, 날개하늘나리, 산작약등의멸종위기종이더발견될것으로판단된다. 표 2-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자생하는멸종위기야생식물목록 (Ⅱ 급 ) 번호 학명 국명 1 Aconitum koreanum R. Raymond 백부자 2 Rodgersia tabularis Kom. 개병풍 3 Trientalis europaea L. 기생꽃 4 Cypripedium macranthum Sw. 복주머니란 5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m.) Harms 가시오갈피 국립공원연구원 48

6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개병풍 기생꽃 가시오갈피 복주머니란 그림 2-4.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서자생하는멸종위기식물 (Ⅱ 급 ) 나 ) 희귀식물희귀식물이란분포역이지리적으로제한된지역에만생육하여흔히볼수없는식물을말하며일반적으로보호되어야하는야생의식물, 특히개체군의크기가작거나감소하여보전이필요한식물을지칭하는용어로써산림청에는 217종의희귀식물을지정하여보전, 관리하고있다. 점봉산지역에서는희귀식물에해당하는식물이 66분류군 (4변종) 이이번조사에서확인되었다 ( 표 2-6, 그림 2-5). 이 66분류군은산림청이지정한 217종의희귀식물중약 30% 에달하는수치로써희귀식물의국지적분포 ( 도서지역, 해안상록활엽수등 ) 를고려하였을때육상공원에서나올수있는최고치의수치라고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49

66 2. 식물상 표 2-6.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자생하는산림청지정희귀식물목록 번호 학명 국명 1 Lycopodium annotinum L. 개석송 2 Torreya cuspidata S. et Z. 주목 3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4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5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6 Asarum maculatum Nakai 개족도리풀 7 Silene jenisseensis Willd. 가는다리장구채 8 Silene koreana Kom. 끈끈이장구채 9 Aconitum koreanum R. Raymond 백부자 10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11 Anemone narcissiflora L. 바람꽃 12 Clematis koreana Kom. 세잎종덩굴 13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14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15 Paeonia japonica Miyabe et Takeda 백작약 16 Ranunculus ternatus Thunb. 개구리갓 17 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한계령풀 18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19 Rodgersia tabularis Kom. 개병풍 20 Crataegus komarovii Sarg. 이노리나무 21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22 Viola albida Palibin 태백제비꽃 23 Viola diamantica Nakai 금강제비꽃 24 Acanthopanax chiisanensis Nakai 지리산오갈피 25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m.) Harms 가시오갈피 26 Oplipanax elatus Nakai 땃두릅나무 27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28 Cnidium tachiroei (Fr. et Sav.) Makino 개회향 29 Monotropastrum globosum H. Andres 수정난풀 30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만병초 31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32 Trientalis europaea L. 기생꽃 국립공원연구원 50

6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2-6. 계속 33 Forsythia ovata Nakai 만리화 34 Syringa velutina var. kamibayashii (Nak.) T. Lee 정향나무 35 Syringa wolfi Schneid. 꽃개회나무 36 Gentiana triflora Pall. 과남풀 37 Trigonotis icumae (Max.) Makino 덩굴꽃마리 38 Lithospermum erythrorhizon S. et Z. 지치 39 Salvia chanr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40 Scopolia japonica Max. 미치광이풀 41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42 Lonicera coerulea var. edulis Regel 댕댕이나무 43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44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도라지모시대 45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만삼 46 Hanabusaya asiatica Nakai 금강초롱꽃 47 Cacalia adenostyloides (Fr. et Sav.) Matsumura 게박쥐나물 48 Cacalia auriculata DC. var. kamtschatica (Maxim.) Matsumura 귀박쥐나물 49 Leontopodium japonicum Miq. 왜솜다리 50 Arisaema heterophyllum Bl. 두루미천남성 51 Aletris fauriei Lev. 여우꼬리풀 52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산마늘 53 Clintonia udensis Trautv. et Meyer 나도옥잠화 54 Disporum ovale Ohwi 금강애기나리 55 Lilium cernum Kom. 솔나리 56 Lilium distichum Nakai 말나리 57 Lloydia triflora Bak. 나도개감채 58 Polygonatum robustum Nakai 왕둥굴레 59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60 Trillium kamtschaticum Pall. 연령초 61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62 Iris odaesanensis Y.N. Lee 노랑무늬붓꽃 63 Cypripedium macranthum Sw. 복주머니란 64 Gastrodia elata Bl. 천마 65 Goodyera repens (L.) R. Br. 애기사철란 66 Microstylis monophyllos (L.) Lindl. 이삭단엽란 국립공원연구원 51

68 2. 식물상 눈측백 연령초 한계령풀 도깨비부채 왜솜다리 나도개감채 그림 2-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에서자생하는산림청지정희귀식물 5) 식물구계학적특정종 국내에자생하는여러식물은여러가지경로를통해분화하고형성되었는데첫째, 고립혹은불연속적으로분포하거나둘째, 남방혹은북방한계의위치에있거나셋째, 국립공원연구원 52

6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국내전지역에고루분포하거나넷째, 의식적혹은무의식적으로유입된형태로서그들의분포양상이각각다르다 ( 김, 2000). 그리하여식물구계학적인분석을통하여환경평가및영향평가에도움이있다고판단되는식물종을한반도의식물아구 ( 중부아구, 남부아구, 남해안아구, 제주아구 ) 에따라 5개의등급으로나눈것을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이라한다. Ⅴ등급식물군 : 고립혹은불연속적으로분포하는분류군 Ⅳ등급식물군 : 4개의식물아구중 1개의아구에만분포하는식물군 Ⅲ등급식물군 : 4개의아구중 2개의아구에분포하는식물군 Ⅱ등급식물군 : 백두대간을중심으로 1,000m이상되는지역에분포하는식물군 Ⅰ등급식물군 : 4개의아구중 3개의아구에분포하는식물군 이렇게조사된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목록은조사지역의식물상을정성적, 정량적파악이가능하며조사지역의상대적우수성을판단하는잣대로도사용할수있는장점이있다. 점봉산지역에서조사된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176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Ⅴ등급식물군의경우눈측백 (Thuja koraiensis Nakai),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등 21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점유율은 11.93% 로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특정종 Ⅳ등급식물군은나도양지꽃 (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등 20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11.36% 로나타났고 Ⅲ등급식물군은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Maxim.), 산오이풀 (Sanguisorba hakusanensis) 등을비롯한 45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25.57% 로나타났다. Ⅱ등급식물군은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Christ.), 난장이바위솔 (Orostachys sikokianus Ohwi), 네귀쓴풀 (Swertia tetrapetala Pall.) 등 39분류군으로조사되었고점유율은 21.02% 로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Ⅰ등급식물군은속새 (Equisetum hyemale), 개구리갓 (Ranunculus ternatus), 촛대승마 (Cimicifuga simplex) 등을포함한 51분류군이나타났으며점유율은 28.98% 로조사되었다 ( 표 2-7, 그림 2-6). 국립공원연구원 53

70 2. 식물상 그림 2-6.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식물구계학적특정종출현종수및출현율 표 2-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구계학적특정식물목록 번호 학 명 국명 등급 1 Polypodium virginianum L. 좀미역고사리 2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3 Silene jenisseensis Willd. 가는다리장구채 4 Aconitum koreanum R. Raymond 백부자 5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승마 6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7 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한계령풀 8 Rodgersia tabularis Kom. 개병풍 Ⅴ 9 Crataegus komarovii Sarg. 이노리나무 10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11 Oplipanax elatus Nakai 땃두릅나무 12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13 Trientalis europaea L. 기생꽃 14 Forsythia ovata Nakai 만리화 국립공원연구원 54

7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2-7. 계속 15 Hanabusaya asiatica Nakai 금강초롱꽃 16 Aletris fauriei Lev. 여우꼬리풀 17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산마늘 18 Lilium cernum Kom. 솔나리 19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20 Iris odaesanensis Y.N. Lee 노랑무늬붓꽃 21 Gastrodia elata Bl. 천마 22 Lycopodium annotinum L. 개석송 23 Populus maximowiczii Henry 황철나무 24 Alnus fruticosa var. mandshurica Call. 덤불오리나무 25 Alnus maximowiczii Call. 두메오리나무 26 Silene koreana Kom. 끈끈이장구채 27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28 Anemone narcissiflora L. 바람꽃 29 Anemone reflexa Steph. et Willd. 회리바람꽃 30 Corydalis maculata B. Oh et Y. Kim 점현호색 31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32 Saxifraga punctata L. 톱바위취 33 Sorbus amurensis Koehne 당마가목 34 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나도양지꽃 35 Lathyrus komarovi Ohwi 선연리초 36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37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38 Syringa wolfi Schneid. 꽃개회나무 39 Leontopodium japonicum Miq. 왜솜다리 40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애기앉은부채 41 Trillium kamtschaticum Pall. 연령초 42 Abies nephrolepis (Trautv.) Max. 분비나무 43 Betula chinensis Max. 개박달나무 44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Ⅴ Ⅳ Ⅲ 국립공원연구원 55

72 2. 식물상 표 2-7. 계속 45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46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47 Salsola collina Pall. 솔장다리 48 Aconitum langecassidatum Nakai 흰진범 49 Clematis fusca Turcz. 검종덩굴 50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51 Berberis koreana Palibin 매자나무 52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53 Potentilla centigrana Maxim. 좀딸기 54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개살구 55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산오이풀 56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57 Spiraea fritschiana Schneid. 참조팝나무 58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59 Vicia venosissima Nakai 노랑갈퀴 60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61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62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Kom. 시닥나무 63 Viola diamantica Nakai 금강제비꽃 64 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 65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만병초 66 Vaccinium koreanum Nakai 산앵도나무 67 Syringa reticulata var. mand shurica (Max.) Hara 개회나무 68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 당개지치 69 Salvia chanr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70 Scopolia japonica Max. 미치광이풀 71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72 Phacellanthus tubiflorus S. et Z. 가지더부살이 73 Asperula odorata L. 선갈퀴 74 Lonicera coerulea var. edulis Regel 댕댕이나무 Ⅲ 국립공원연구원 56

7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2-7. 계속 75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76 Viburnum koreanum Nakai 배암나무 77 Adoxa moschatellina (Tourn.) L. 연복초 78 Scabiosa mansenensis Nakai 솔체꽃 79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만삼 80 Cacalia adenostyloides (Fr. et Sav.) Matsumura 게박쥐나물 81 Cirsium setidens Nakai 고려엉겅퀴 82 Asparagus oligoclonos Max. 방울비짜루 83 Hosta clausa var. normalis F. Maekawa 주걱비비추 84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Nichols. 중나리 85 Lloydia triflora Bak. 나도개감채 86 Microstylis monophyllos (L.) Lindl. 이삭단엽란 87 Lycopodium chinense Christ. 다람쥐꼬리 88 Torreya cuspidata S. et Z. 주목 89 Ulmus laciniata (Trautv.) Mayr 난티나무 90 Lychnis cognata Maxim. 동자꽃 91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et Meyer)Kitamura 매발톱꽃 92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urcz. 동의나물 93 Paeonia japonica Miyabe et Takeda 백작약 94 Berberis amurensis Rupr. 매발톱나무 95 Orostachys sikokianus Ohwi 난장이바위솔 96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참바위취 97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눈개승마 98 Potentilla dickinsii Fr. et Sav. 돌양지꽃 99 Geranium davuricum DC. 산쥐손이 100 Oxalis obtriangulata Max. 큰괭이밥 101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102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103 Viola orientalis W. Becher 노랑제비꽃 104 Circaea alpina L. 쥐털이슬 Ⅲ Ⅱ 국립공원연구원 57

74 2. 식물상 표 2-7. 계속 105 Angelica tenuissima Nakai 고본 106 Bupleurum longiradiatum Turcz. 개시호 107 Cnidium tachiroei (Fr. et Sav.) Makino 개회향 108 Primula jesoana Miq. 큰앵초 109 Swertia tetrapetala Pall. 네귀쓴풀 110 Melampyrum setaceum (Max.) Nakai 애기며느리밥풀 111 Lonicera sachalinensis Nakai 홍괴불나무 112 Weigela florida (Bunge) A. Dc. 붉은병꽃나무 113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114 Achillea sibirica Ledeb. 톱풀 115 Cacalia auriculata var. DC. 귀박쥐나물 116 Cacalia auriculata var. kamtschatica Matsumura 나래박쥐나물 117 Cirsium chanroenicum Nakai 정영엉겅퀴 118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곰취 119 Clintonia udensis Trautv. et Meyer 나도옥잠화 120 Heloniopsis orientalis (Thunb.) C. Tanaka 처녀치마 121 Lilium distichum Nakai 말나리 122 Majanthemum bifolium (L.) F.W. Schm. 두루미꽃 123 Veratrum patulum Loes. f. 박새 124 Goodyera repens (L.) R. Br. 애기사철란 125 Oberonia cyclochila Maxim. 나도제비난 126 Equisetum hyemale L. 속새 127 Camptosorus sibiricus Rupr. 거미고사리 128 Pinus koraiensis S. et Z. 잣나무 129 Chloranthus japonicus Sieb. 홀아비꽃대 130 Populus davidiana Dode 사시나무 131 Juglans mandshurica Max. 가래나무 132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133 Quercus variabilis Bl. 굴참나무 134 Urtica angustifolia Fisch. 가는잎쐐기풀 Ⅱ Ⅰ 국립공원연구원 58

7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2-7. 계속 135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136 Bistorta manshuriensis Kom. 범꼬리 137 Pseudostellaria davidii (Fr.) Pax 덩굴개별꽃 138 Aconitum japuense Kom. 투구꽃 139 Anemone raddeana Regel 꿩의바람꽃 140 Cimicifuga simplex Wormsk. 촛대승마 141 Clematis patens Morr. et Decne. 큰꽃으아리 142 Ranunculus ternatus Thunb. 개구리갓 143 Thalictrum rochebrunianum Fr. et Sav. 금꿩의다리 144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꿩의다리아재비 145 Hylomecon vernale Maxim. 피나물 146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147 Cardamine komarovi Nakai 는쟁이냉이 148 Chrysosplenium flaelliferum Fr. Schm. 애기괭이눈 149 Ribes mandshuricum Kom. 까치밥나무 150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151 Pyrus ussuriensis Max. 산돌배 152 Sanguisorba tenuifolia var. parviflora Maxim 가는오이풀 153 Spiraea pubescens Turcz. 아구장나무 154 Euonymus macroptera Rupr. 나래회나무 155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화 156 Schizopepon bryoniaefolius Maxim. 산외 157 Circaea cordata Royle 쇠털이슬 158 Angelica anomala Lallemant 개구릿대 159 Monotropastrum globosum H. Andres 수정난풀 160 Primula sieboldi E. Morr. 앵초 161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162 Trigonotis icumae (Max.) Makino 덩굴꽃마리 163 Ajuga multiflora Bunge 조개나물 164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Ⅰ 국립공원연구원 59

76 2. 식물상 표 2-7. 계속 165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냉초 166 Lonicera praeflorens Batal. 올괴불나무 167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168 Lobelia sessilifolia Lamb. 숫잔대 169 Rhapontica uniflora DC. 뻐꾹채 170 Glyceria leptolepis Ohwi 왕미꾸리광이 171 Arisaema heterophyllum Bl. 두루미천남성 172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173 Gagea lutea Ker-Gawl. 중의무릇 174 Polygonatum inflatum Kom. 퉁둥굴레 175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176 Platanthera metabifolia F. Maekawa 제비난 Ⅰ 6) 외래식물및귀화식물 외래종 (exotic species) 은외국혹은국내의다른지역에서들어온모든종을말하고, 이중에서귀화종 (naturalized sp.) 은 " 우리나라비토착종으로서인위적또는자연적인방법으로우리나라에들어와야생상태에서스스로번식하여생존할수있는종 " 을말한다. 외래종의도입은 ' 인위적인경로 ' 와 ' 자연적인경로 ' 로구분할수있으며인위적인경로는다시 ' 의도적인경로 ' 와 ' 비의도적인경로 ' 로나뉜다. 의도적인경로는인간이약용이나염료용등어떤목적을가지고도입하는경우를말하며비의도적인경로는외국으로부터인간의왕래와화물의수출입등의경로를통해들어오는경우이다. 자연적인경로는바람, 해류, 철새등에의하여도입되는경우를말한다.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지역 ) 에서발견된귀화식물은총 32분류군이조사되었다 ( 표 2-8).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Ratio = 조사지내귀화식물출현수 / 전국귀화식물목록 100%) 은 10.73% 로나타났다. 이수치는최근에국립공원연구원에서조사한설악산국립공원 (11.87%), 북한산국립공원 (18.47%), 지리산국립공원 (24.47%), 속리산국립공원 (12.93%) 보다낮은수치로점봉산지역이타공원에비해귀화식물에의한식물상교란을덜받은것으로판단된다 ( 그림 2-7). 또한귀화식물의귀화율 (Naturalized Plant Ratio = 조사지내귀화식물출현수 / 조사지내총출현관속식물 100%) 역시 4.05% 로낮은귀화율을나타내었다. 이수치는 국립공원연구원 60

7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우리나라평균귀화율이 10.3%( 고등, 1995) 이고대부분의산악형공원이 5~6% 내외의수치를보이는것을감안할때상당히낮은수치이며점봉산과인근하고있는강원도춘천남서부지역의귀화율인 5.0%( 이등, 2008) 보다더낮은수치이다. 이같은수치는점봉산이다른국립공원에비해접근성이매우떨어지고다른산들로둘러싸여있는지리적구조가가장큰이유라판단된다. 평균수치보다낮은도시화지수와귀화율이조사된점봉산지역은아직까지는도시화나개발의속도가매우느리고, 탐방예약제등각종규제를통하여보호하고는있으나점봉산을찾는탐방객의숫자가해마다늘어나고점봉산주요탐방로초입에는이미귀화식물이증가하고있고예전문헌에없었던귀화식물들이발견되는등점차증가하는추세라고판단된다. 그러므로지속적이고점진적인귀화식물관리방안수립이요구된다. 그림 2-7. 주요산악형국립공원의귀화식물도시화지수 표 2-8.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지역의귀화식물목록 번호 학 명 국명 1 Bilderdykia dumetora (L.) Dum. 닭의덩굴 2 Persicaria cochinchinensis Kitagawa 털여뀌 3 Rumex acetocella L. 애기수영 국립공원연구원 61

78 2. 식물상 4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5 Chenopodium ambrosioides L. 양명아주 6 Amaranthus patulus Bertoloni 가는털비름 7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8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9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10 Thlaspi arvense L. 말냉이 11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12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13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14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5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왕달맞이꽃 16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17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escourtils 돼지풀 18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19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20 Eclipta annuus (L.) Pers. 개망초 21 Eclipta canadensis L. 망초 22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23 Erigeron sumatrensis Retz. 큰망초 24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25 Matricaria matricarioides Porter 족제비쑥 26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27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28 Avena fatua L. 메귀리 29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30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31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32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국립공원연구원 62

7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국립수목원 한국의희귀식물목록집. 김철환 자연환경평가 (1. 식물군의선정 ). 한국환경생물학회지.18(1): 김태정 한국의야생화와자원식물. 서울대학교출판부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산림청. 한국특산식물. 손호준, 안치호, 최조룡, 박경수, 한재오, 전종철, 박진호, 홍원희, 박완근 점봉산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식물상과식생구조. 한국임학회. 산림과학공동학술발표논문집 KFS-P96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이우철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이혜정 춘천남서부지역의식물상과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4): 임양재, 전의식 한반도의귀화식물분포. 식물학회지. 23:69-83 전정일 點鳳山의植物相. 서울대학교수목원연구보고. pp 한국자연보존협회 江原道點鳳山一帶綜合學術調査報告書. Melchior,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Raunkiaer, C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682pp. 국립공원연구원 63

80

81 식생 3 조사위원 박선주 ( 영남대학교 ) 보조원 최경수 손오경

82

8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설악산국립공원은동경 , 북위 에위치하고있으며, 설악산국립공원안에속해있는점봉산의경우동경 , 북위 에속해있다. 1982년 UNESCO의인간과생물권계획 (Man and Biosphere Projet) 에의하여생물권보전지역 (Biophere Reserve) 으로지정되어, 1987년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면적 2,049ha가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점봉산은강원도양양군서면오색리, 인제군기린면진동리등에위치하고있다. 본조사지역은설악산국립공원의남부지역으로서전형적인산악지역을이루고있다. 본조사지역을흐르는하천은소양양의지류인한계천과내린천그리고내린천의지천은방태천이다 ( 이와김, 1998). 점봉산이속해있는설악산은한반도의축을이루는백두대간의중앙부에위치하고있어북으로는금강산을거쳐북한의고원지대로연결되고, 남으로는오대산, 태백산을거쳐차령산맥, 소백산맥으로이어지는곳으로지리적으로중요한지역이다. 점봉산은아고산지역을포함하는주능선이며, 북남방계식물이공존하는경계지역으로식물종다양성이풍부한지역이다. 또한인위적인교란이비교적적은곳으로써임상은자연림에가깝고, 주요우점수종은신갈나무, 까치박달, 피나무, 물푸레나무등이며, 국부적으로전나무, 주목등이산재하고있다. 본연구는설악산국립공원남부지역에위치하고있는점봉산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군락을분류하고현존식생을작성함으로써, 향후생태계의복원및체계적인관리기반구축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수행하였다. 나. 조사범위및방법 1). 조사기간및구간본조사는점봉산의식생을파악하고자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4차례에걸쳐조사하였다. 조사구간은총 25개조사구를선정하여현지조사를수행하였다 ( 표 3-1, 그림 3-1). 국립공원연구원 67

84 3. 식생 표 3-1. 조사기간및구간 구분조사기간조사구간 년 4월 20-21일 121, 년 6월 1-03일 117, 년 10월 9-11일 년 10월2 6-29일 112,113 그림 3-1. 점봉산일대의조사구지점 국립공원연구원 68

8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방법식생조사식물사회학적방법 (Braun-Blanquet, 1964) 은일정한조사구내에출현하는식물들의우점도 (Dominance, 표 3-2) 와군도 (Sociability, 표 3-3) 를조사한후, 종조성표를작성하여 Muller-Dombois and Ellenberg(1974), 김준민등 (1987) 의식생자료정리방법에따라군락을분류하였다. 표 3-2. 식물사회학적방법중우점도의계급및분석기준 계급분석기준 5 우점도가조사면적의 3/4 이상을점하고있는경우 4 우점도가조사면적의 1/2~3/4 을점하고있는경우 3 우점도가조사면적의 1/4~1/2 을점하고있는경우개체수가상당히많거나, 우점도가조사면적의 1/10~1/4을점하고있는 2 경우 1 개체수가많지만피도는낮고, 산재하지만피도는높은경우 + 개체수가적고, 피도도적은경우 r 극히드물고최저피도를보이는경우 표 3-3. 식물사회학적방법중군도의계급및분석기준계급분석기준 5 조사면적내에전체적으로퍼져있어카펫처럼말려있는형태조사면적내에조사하고있는한종이가득차있는형태가아니며, 드문 4 드문비어있는형태로마치카펫에구멍이난것처럼보이는형태조사면적내에한종이몇군데에서나타나며, 그면적이군도 4보다적 3 으나, 피도 30~40% 정도는차있는형태 2 조사면적내에드문드문나타나며, 전체피도가군도 3보다는작은형태 1 우연히출현하거나, 조사면적내에서고립하여존재하는형태 현존식생도의작성 계방산전지역의식생상관에의한현존식생을 1/25,000 축적을기반으로구축된환경부의현존식생도및임상도를바탕으로 1/25,000 축적의수치지도를활용하여현장조사를통해보완파악하고있으며, 현존식생은대상지에출현하는교목층식생상관을기본으로분포현황도를작성하고있으며 Auto CAD 2008을이용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69

86 3. 식생 다. 결과및고찰 현재까지의조사결과점봉산내의식생군락은침엽수림으로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잣나무군락 (Pinus koraiensis community) 이나타났으며, 낙엽활엽수림으로가래나무군락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까치박달나무군락 (carpinus cordata community) 으로나타났다 ( 그림 3-2, 표 3-4, 5). 1) 식물군락의분류및구조적특징 가 ) 침엽수림군락 (Needle-leaved forest community) A: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본군락은 2개조사구로교목층의평균식피율은 60%, 평균수고는 13m, 평균흉고직경은 19cm, 평균출연종수는 3.5종이었다. 주요수반종으로소나무, 난티나무, 철쭉등의교목및아교목성식물과광대수염, 긴그늘사초등의초본성식물이출연하였다. 아교목층은평균식피율은 30%, 평균수고는 8m, 평균흉고직경은 9cm, 평균출연종수는 2.5종이였다. 또한관목층의평균식피율은 40%, 평균출연종수는 4.5종이였으며, 지피층의평균식피율은 60%, 평균출연종수는 68종으로확인되었다. B: 잣나무군락 (Pinus koraiensis community) 본군락은 3개조사구로교목층의평균식피율은 76%, 평균수고 16m, 평균흉고직경은 23.3cm, 평균출연종수는 2.3종이었다. 주요수반종으로잣나무와낙엽활엽수림에주로분포하는쪽동백나무, 서어나무등의교목및아교목성식물과관중, 벌깨덩굴, 구릿대등의초본성식물이출연하였다. 아교목층은평균식피율은 30%, 평균수고는 9m, 평균흉고직경은 9.7cm, 평균출연종수는 3.3종이였다. 또한관목층의평균식피율은 33.3%, 평균출연종수는 5종이였으며지피층의평균식피율은 60%, 평균출연종수는 9.6종으로확인되었다. C: 주목군락 (Taxus cuspidata community) 국립공원연구원 70

8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본군락은 1개의조사구로교목층의식피율은 40%, 평균수고는 20m, 평균흉고직경은 35cm, 출연종수는 2종이였으며아교목층은왕벚나무가식피율 40%, 평균수고 6m, 평균흉고직경 12cm 외에 4종이출현하였다. 관목층으로는미역줄나무식피율이 20% 로우점하고있었으며, 초본층의경우관중이우점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나 ) 낙엽활엽수림군락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A: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본군락은 16개의조사구로교목층의식피율은 65.4%, 평균수고는 13.3m, 평균흉고직경은 22cm, 출연종수는 2.6종이출현하였다. 주요수반종으로단풍나무, 까치박달, 신갈나무, 고추나무, 시닥나무, 피나무, 철쭉등의아교목및관목식물과오리방풀, 숲개별꽃, 질경이, 산딸기, 짚신나물, 박새등의초본성식물이출현하였다. 아교목층의평균식피율은 55%, 평균수고는 8m, 평균흉고직경 9.3cm, 출현종수는 3.5 종으로확인되었다. 관목층의평균식피율은 40%, 평균출현종수는 4.8종이였으며, 지피층의평균식피율은 44.3%, 평균출현종수는 8.5종으로확인되었다. B; 가래나무군락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본군락은모두 2개조사구로교목층의평균식피율은 80%, 평균수고 12.5m, 평균흉고직경은 19cm, 평균출연종수는 3종이었다. 주요수반종으로가래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물참대등의교목및아교목성식물과광대수염, 벌깨덩굴등의초본성식물이출연하였다. 아교목층은평균식피율은 40%, 평균수고 7.5m, 평균흉고직경은 10.5cm, 평균출연종수는 3.5종이였다. 또한관목층의평균식피율은 60%, 평균출연종수는 6.5종이였으며지피층의평균식피율은 80%, 평균출연종수는 11종으로확인되었다. C; 까치박달나무군락 (carpinus cordata community) 본군락은 1개의조사구에서관찰되었으며교목층은까치박달이식피율 60% 를이루고있었으며평균수고는 11m 평균흉고직경은 19cm 출연한종수는 4종이였다. 아교목층은까치박달이 20% 의식피율, 평균수고 8m, 평균흉고직경 7cm, 출연종수는 3종이였다. 또한관목층은까치박달이 40% 의식피율에 9종이서식하였으며지피층의경우관중이 60% 의식피율, 출현종수는12종이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71

88 3. 식생국립공원연구원 72 표 3-4. 점봉산침엽수림군락의층위별조사구개황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3 소나무 소나무 난티나무 20 3 광대수염 소나무 소나무 철쭉 60 6 긴그늘사초 40 6 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잣나무군락 (Pinus koraiensis community) 5 잣나무 쪽동백나무 시닥나무 60 5 관중 잣나무 잣나무 고로쇠 20 5 벌깨덩굴 잣나무 서어나무 복자기나무 20 5 구릿대 10 6

8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국립공원연구원 73 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7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시닥나무 60 6 관중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잣나무 10 1 단풍취 신갈나무 까치박달 당단풍나무 40 4 박새 신갈나무 신갈나무 40 5 박새 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주목군락 (Taxus cuspidata community) 19 주목 신갈나무 철쭉 60 4 오리방풀 40 8 표 3-5. 점봉산의낙엽수림군락의층위별조사구개황

90 3. 식생 당신고오단갈추리 풍 나나방나무무풀무 40 8 신 신 국 짚 갈갈수신 나나나나 40 6 무 무 무 물 신 신 짚 갈갈철 나나쭉 60 3 신나 40 5 무 무 물 신단조갈풍철 나나쭉 40 3 릿대무무 40 6 신 오 갈철 나쭉 40 4 리방 무 풀 신 질 갈철 나쭉 60 5 경 40 6 이무 신 산 갈철 나쭉 60 4 딸 40 5 기무 신 단 갈철 나쭉 60 5 풍 40 6 취무 신 신 단 오 갈갈풍리 나나나방 40 8 무 무 무 풀 신단숲전갈풍개 나 40 6 나나별무무무꽃 40 5 신단복오 갈 풍 장 40 5 리 40 6 국립공원연구원 74

9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국립공원연구원 75 나무나무나무방풀 25 신갈나무 층층나무 단풍나무 40 5 조릿대 60 6 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가래나무군락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1 가래나무 가래나무 물푸레나무 60 7 광대수염 가래나무 고로쇠나무 물참대 60 5 벌개덩굴 조사구번호교목층아교목층관목층지피층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평균높이평균흉고직경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우점종식피율종수까치박달나무군락까치박달나무군락 (carpinus cordata community) 2 까치박달 까치박달 까치박달 40 9 관중 60 12

92 3. 식생 그림 3-2. 점봉산일대의현존식생도 국립공원연구원 76

9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3-3. 점봉산전경 국립공원연구원 77

94 3. 식생 참고문헌 박봉규, 이인숙, 이은복 강원도계방산일대의산림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2: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이규송, 김성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인제양양 (1-6) 의자연환경 ). 환경부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ionskunde. Springer -Verlag, vien, New York Takhtajan, A.,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ersity California Press. pp 국립공원연구원 78

95 포유류 4 조사위원 박영철 ( 강원대학교 ) 보조원 김지영 윤광배

96

9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자연환경의오염및개발로인한야생야생포유류의서식지의단편화 (fragmentation) 와파괴, 무분별한포획등으로우리나라에서서식하는야생포유류는멸종되거나멸종위기에처해있다 ( 환경부, 2001). 급속히진행되는개발과환경오염, 기후변화로인해서식지의생태계변화및야생포유류의생활사에도많은영향을미친다. 이런환경속에서효율적인관리체계를확립하는데많은어려움이있다. 국내야생야생포유류에대한종확인및서식분포, 개체군동태에관한기초연구가미미하여관리체계및정책수립을위한확립되지못하는실정이다. 자연자원조사를통하여신규편입지역에대한포유류모니터링을실시하여서식현황을파악하고다양한환경변화에대응하는포유류의보전방안과개발가능한보전전략을수립하는데기여하며법적보호종에해당되는멸종위기종및천연기념물에대한서식확인은그들에대한복원, 보전방안및지역경제에활용될수있는기초자료데이터를제공할수있다. 본조사는 2012년도신규편입된점봉산지역 ( 설악산국립공원 ) 야생야생포유류의자연자원조사를통해국립공원내의야생포유류분포정보를구축하고자생생물자원의주권확립및관리방안을강구하는시스템구축을위한기초정보자료를제공하기위해조사를수행하였다. 나. 조사지역및방법 1) 조사지역및조사기간 본조사대상인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권역은지리적조건과조사방법등을고려하여산림유전자보호구역내에위치한강선마을지역, 단목령지역, 곰배령지역, 점봉산지역으로총 4 지역을설정하여진행하였다.( 그림 4-6, 그림 4-7) 국립공원연구원 81

98 4. 포유류 그림 4-1. 점봉산지역격자지도 그림 4-2. 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포유류상조사권역 국립공원연구원 82

9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4-2. 점봉산지역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조사지역격자번호 강선마을지역 112, 단목령지역 105, 113, 곰배령지역 117, 점봉산지역 111 2) 조사방법 가 ) 흔적조사 포유동물조사를위해적용한육안관찰조사방법은 흔적조사 와 선조사법 (Line transect census) 이었다 (Plumptre, 2000). 선조사방법으로는조사구역별로등산로, 산림소로, 임도, 능선부등보행이용이한지역을대상으로조사로를설정한후그조사로를따라시속 2km의속도로보행하며좌 우 25m 이내에출현하는야생포유동물을육안관찰하면서, 종및개체수를파악한후조사야장에기록하였다. 흔적조사방법 (field-sign) 에서는영역표시흔적 ( 뿔질흔적 ), 이동로, 배설물, 발자국, 털, 식흔 ( 먹이를먹은흔적 ) 등다양한포유동물이야기한야외흔적 (field signs) 을확인하고분석하였다.( 그림 4-3~그림 4-6) 국립공원연구원 83

100 4. 포유류 그림 4-3. 흔적조사 그림 4-4. 족제비배설물 그림 4-5. 청설모식흔 그림 4-6. 고라니배설물 나 ) 포획조사 직접관찰과흔적조사가어려운소형야생동물의서식을확인하기위해조사구역내소형설치류의식흔혹은배설물흔적이발견된지역에가로세로대략 10mX10m 간격으로설치류포획틀 (Sherman's trap, Sherman Co. US) 을설치하였다. 일몰전 4시경설치류포획틀을설치하여다음날오전일출후 9시경설치한트랩을수거하였다. 포획한설치류의종동정및설치류의서식밀도를추정하였다. 포획을위한유인먹이로는땅콩버터를사용하였으며, 종확인후방사하였다. 익수목에해당하는박쥐는야간중산림내부및외곽, 계곡수면을중심으로먹이활동을하기때문에먹이활동지역을중심으로야간에진행하였다. 야간중박쥐의이동이예상되는지역 ( 단목령지역 ) 에 Mist-net (Avinet, USA) 총 5set를설치하여포획했고종동정후방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84

10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4-7. 소형설치류포획틀 그림 4-8. 등줄쥐포획 그림 4-9. 익수목포획에이용된 Mist-net 설치 그림 초음파기기를이용한익수목서식확인 다. 결과및고찰 1) 강선마을 강선마을조사지역은총 5목 6과 10종의포유류상이확인이되었다. 강선마을인근은계곡과낮은산림지역으로이루어져있으며점봉산생태관리센터주변계곡지역에는멸종위기종 I급에해당하는수달의서식이다수발견하였으며멸종위기종 II급인담비는발톱흔적을통해확인할수있었으나배설물흔적은확인할수없었다. 이는담비의행동권이광범위하기때문에다른지역에비해낮은산으로이루어진강선마을지역에서다른지역의개체가먹이활동및이동등으로개체의배설물흔적등을확인할수없는것으로생각된다. 이밖에오소리, 고라니및노루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국립공원연구원 85

102 4. 포유류 표 4-3 강선마을지역야생동물서식현황 목명과명종명 조사지역 강선마을 식충목두더지과두더지 Mogera robusta 오소리 Meles meles 식육목 족제비과 담비 Martes flavigula 수달 Lutra lutra 설치목 다람쥐과 청설모 Sciurus vulgar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우제목 사슴과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노루 Capreolus pygargus 멧돼지과멧돼지 Sus scrofa 토끼목토끼과멧토끼 Lepus coreanus 종수 5 목 6 과 10 종 2) 단목령 단목령지역에서는익수목과설치류의포획조사와흔적조사를진행하였다. 익수목서식확인을위해 Mist-net 5set를설치하였다, 포획그물 (Mist-net) 설치후임신상태의암컷관박쥐를포획하여개체확인후방사하였다. 익수목에서관박쥐외에다른종은확인할수없었으며포획된관박쥐개체는야간에인근지역에서먹이활동을위해단목령지역으로유입되었을것으로추측된다. 그외포획조사를통해소형야생포유류인다람쥐, 흰넓적다리붉은쥐와등줄쥐등의서식을확인하였다. 이밖에단목령지역에서는멸종위기종 II급의하늘다람쥐외에오소리, 멧돼지등총 5목 6과 8 국립공원연구원 86

10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종의포유류의서식이확인하였다 ( 표 4-5). 표 4-4. 단목령지역야생동물서식현황 목명과명종명 조사지역 단목령 식충목두더지과두더지 Mogera robusta 익수목관박쥐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식육목족제비과오소리 Meles meles 설치목 다람쥐과 쥐과 다람쥐 Tamias sibiricus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우제목멧돼지과멧돼지 Sus scrofa 종수 5 목 6 과 8 종 3) 곰배령 곰배령지역에서는총 3목 5과 6종의야생동물이서식하고있는것을흔적을통해확인하였다. 멸종위기종 II급인담비와삵외에청설모와다람쥐, 멧토끼는목견을통하여서식을확인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87

104 4. 포유류 표 4-5. 곰배령지역야생동물서식현황 목명과명종명 조사지역 곰배령 식육목 족제비과 족제비 Mustela sibirica 담비 Martes flavigula 고양이과삵 Prionaliurus bengalensis 우제목 사슴과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멧돼지과멧돼지 Sus scrofa 토끼목토끼과멧토끼 Lepus coreanus 종수 3 목 5 과 6 종 4) 점봉산 점봉산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포유류상은총 5목 5과 7종으로멸종위기종 II급인삵과담비를포함하고있다 ( 표 4-7). 삵의경우사람이다니는길목에배설물흔적을통해서식을확인할수있었으며, 담비의경우발톱흔적을통해서서식을파악하였다. 큰바위가다수위치하고있고경사가가파른지형이라멸종위기종 1급인산양의서식가능성을추측하였지만흔적을발견할수없었다. 이는점봉산지역이산양의주서식지인설악산보다식생과은식처의선호도가떨어지기때문이라고된다. 문헌조사에서는인근주민이산양을목격했다는기록등이있지만이것은먹이가부족한겨울철이나서식지경쟁에서미뤄진개체들의점봉산지역으로이동한것으로추측된다. 국립공원연구원 88

10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4-6. 점봉산지역야생동물서식현황 목명과명종명 조사지역 점봉산 식육목 족제비과 오소리 Meles meles 담비 Martes flavigula 고양이과삵 Prionaliurus bengalensis 설치목다람쥐과청설모 Sciurus vulgaris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우제목 사슴과 노루 Capreolus pygargus 토끼목토끼과멧토끼 Lepus coreanus 종수 5 목 5 과 7 종 5) 조사권역별종다양도의비교분석 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권역은강선마을지역, 단목령지역, 곰배령지역, 점봉산지역등총 4지역으로나누어 2012년 5월, 6월에걸쳐조사하였다. 흔적조사결과로는식충목두더지, 익수목관박쥐, 식육목족제비과의오소리, 족제비, 담비, 수달, 고양이과의삵, 설치목다람쥐과의청설모, 다람쥐, 쥐과의흰넓적다리붉은쥐, 등줄쥐, 우제목의사슴과의고라니, 노루, 멧돼지, 멧토끼등으로총 6목 9과 16종이확인되었다. 점봉산권역에서강선마을지역이 10종으로다른지역에비해가장많은야생포유동물흔적을발견하였고, 이어단목령지역 8종, 점봉산지역 7종, 곰배령지역 6종순으로흔적을발견하였다. 멸종위기종 I급인수달은강선마을에서서식이확인되었으며, 멸종위기종 II급담비는단목령지역을제외한나머지 3지역에, 하늘다람쥐는단목령지역에서만서식하고있는것을확인하였다.( 표 4-8) 국립공원연구원 89

106 4. 포유류 표 년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포유류서식현황 조사지역 목명과명종명 강선 단목 곰배 점봉 마을 령 령 산 식충목두더지과두더지 Mogera robusta 익수목관박쥐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오소리 Meles meles 식육목 족제비과 족제비 mustela sibirica 담비 Martes flavigula 수달 Lutra lutra 고양이과삵 Prionaliurus bengalensis 청설모 Sciurus vulgaris 다람쥐과 다람쥐 Tamias sibiricus 설치목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쥐과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우제목 사슴과 멧돼지과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노루 Capreolus pygargus 멧돼지 Sus scrofa 토끼목 종수 토끼과 멧토끼 Lepus coreanus 5목 5목 3목 5목 6목 9과 16종 6과 6과 5과 5과 10종 8종 6종 7종 6) 지역별종풍부도 목수준에서 4지역의분포를비교했을때비슷한했지만과및종수의다양성을조사지역별로비교하였을때강선마을지역이다른지역에비해다양한종수가분포하고있었으며, 이어단목령지역, 점봉산지역, 곰배령지역순이었다.( 그림 4-11) 국립공원연구원 90

10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4-11 점봉산조사지역내야생포유류과및종수비교 점봉산권역 3지역을통합해가장풍부하게발견한흔적은멧돼지흔적이었으며 (12 회 ), 이어멧토끼, 고라니, 담비, 삵등의순서였다. 멸종위기종 I급인수달은단 1회만관찰하였다. 멸종위기 II급인담비는 7회, 삵은 7회, 하늘다람쥐는 4회에걸쳐흔적을발견하였다.( 그림 4-12) 그림 점봉산권역 4 지역의야생동물흔적풍부도 국립공원연구원 91

108 4. 포유류 야생동물종별각조사지역에서의풍부한정도를분석했을경우 ( 그림 4-13), 멸종위기 I급인수달은강선마을만흔적을통해발견하였으며, 멸종위기 II급인담비는강선마을지역에서 3차례, 곰배령지역에서 1차례, 점봉산지역에서 3차례흔적이발견되었지만단목령지역에서는흔적을발견하지못했다. 멸종위기 II급인삵은곰배령지역에서 6차례, 점봉산지역에서 1차례흔적을발견하였지만강선마을지역과곰배령지역에서는흔적을발견하지못했다. 멸종위기 II급인하늘다람쥐의경우단목령지역에서만 4차례관찰하였다. 가장높은빈도 (12회) 를보이는멧돼지는강선마을지역 (5 회 ), 단목령지역 (5회), 점봉산지역 (2회) 에서서식흔적을발견하였다.( 그림 4-13) 그림 야생동물별각조사지역에서의풍부도 점봉산권역 4지역을통합해가장풍부하게발견한흔적은배설물흔적이었으며 (45 회 ), 이어기타 (11회), 식흔 (7회), 관찰 (6회), 굴 (4회), 포획 (4회), 족적 (2회) 등의순서였다. 기타에는뿔질, 땅을파헤친흔적, 비빔목, 진흙목욕등을포함하고있다. 배설물은다른흔적에비해발견하기쉽기때문에높은빈도를나타나는것으로추측된다 ( 그림 4-14). 국립공원연구원 92

10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조사지역의야생동물흔적분포 야생동물종별흔적을각조사지역에서풍부한정도를분석했을경우 ( 그림 4-15), 배설물이가장높은빈도를보였다. 이어식흔, 관찰, 굴, 포획, 족적순이었다. 강선마을, 단목령, 곰배령, 점봉산지역에서공동으로관찰된흔적은관찰, 배설물, 식흔, 기타였다. 일부지역에서만나타나는흔적은족적, 굴등으로관찰하였다. 그림 조사지역별야생동물흔적분포 국립공원연구원 93

110 4. 포유류 2012년도에설악산국립공원으로편입된점봉산권역에서가장풍부하게발견한흔적은전체 77회중 12회로 15.6% 의멧돼지흔적이었으며, 이어멧토끼 (11.7%), 고라니 (10.4%), 담비 (9.1%), 삵 (9.1%), 오소리 (7.8%), 청설모 (7.8%), 두더지 (6.5%), 족제비 (5.2%), 하늘다람쥐 (5.2%), 노루 (3.9%), 다람쥐 (2.6%), 관박쥐, 수달, 흰넓적다리붉은쥐, 등줄쥐각각 1.3% 로흔적을통해서식을확인하였다. 흔적분포에서는총 72회중 33회가관찰된배설물 (45.8%) 이가장높이발견하였고, 식흔 (16.7%), 기타 (15.3%), 족적 (8.3%), 굴 (8.3%), 관찰 (5.6%) 의순서로관찰하였다. 점봉산권역의지역별흔적분포를조사하였을때강선마을지역이다른지역에비해다양한종류의흔적을발견하였다. 조사지역별종풍부도와흔적다양성을조사하였을때강선마을지역이다른세지역에비해높은빈도를나타냈다. 지역경제발전을위한개발및개간등발생하기쉬운문제들때문에야생포유류의서식지보전과서식지단편화방지를위한이동통로설치, 보호지역지정, 감시단및정기적인모니터링이필요하다고사료된다.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1997년환경부에서실시한전국자연환경조사점봉산지역의문헌자료기초로종목록을작성하였다. 1997년조사결과총 5목 9과 17종의서식을확인되었고, 그중고슴도치, 너구리, 개, 곰, 비단털들쥐, 사향노루, 산양, 염소등의종이서식한다고알려졌지만 2012년도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이는 1997년조사에청문조사내용도포함하고있기때문에과거문헌자료에대한신뢰도가떨어지며조사된종에대한실체와흔적이발견되지않는것으로판단해볼때극소수의개체만이서식하거나절멸된것으로판단된다. 공통적으로조사된멸종위기종 I급인수달과멸종위기종 II급인담비, 하늘다람쥐등이확인되었는데 2012년설악산국립공원으로새로편입된점봉산지역의멸종위기종과취약종에대한서식확인과더불어보호구역선정, 보호단파견및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해귀중한자국의유전자원및자연자원의효과적인관리체계의구축이필요할것이라생각된다. 국립공원연구원 94

11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4-8. 점봉산지역선행연구결과와비교목록조사지역목명과명종명점봉산점봉산 (1997) 두더지 Mogera robusta 식충목두더지과고슴도치 Erinaceus amurensis 익수목관박쥐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오소리 Meles meles 족제비과 족제비 mustela sibirica 담비 Martes flavigula 식육목 수달 Lutra lutra 고양이과삵 Prionaliurus bengalensis 개과 너구리 Nyctereutes rocyonoides 개 Canis lupus 곰과곰 청설모 Sciurus vulgaris 설치목 다람쥐과 쥐과 사슴과 다람쥐 Tamias sibiricus 하늘다람쥐 Pteromy svolans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비단털쥐 Myodes regulus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노루 Capreoluspy gargus 우제목 사향노루과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산양 Nemorhaedus caudatus 소과염소 멧돼지과멧돼지 Sus scrofa 토끼목토끼과멧토끼 Lepus coreanus 종수 6목 9과 16종 5목 9과 17종 국립공원연구원 95

112 4. 포유류 참고문헌 고흥선 한국산설치류의계통분류학적연구Ⅲ. 제주도산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ounes and Johnson) 의형태적및염색체. 연구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생태계변화관찰보고서. 윤명희, 한창욱 등줄쥐 (Apodemus agrarius) 의일중휴면에관한연구. Journal of Life Science. 16(4): 윤명희, 한상훈, 오홍식, 김장근 한국의포유동물. p274. 최태영, 최현명 야생포유류흔적도감. p303.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점봉산-. 환경부 야생포유류밀렵 밀거래방지및수렵제도개선에관한연구. Plumptre, A.J Monitoring mammal populations with line transect techniques in African forests.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 국립공원연구원 96

113 조류 5 조사위원 유정칠 ( 경희대학교 ) 보조원 최진환 황재웅

114

11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높이 1,424m의점봉산은강원도인제군의인제읍, 기린면과양양군서면에걸쳐위치하고있으며, 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보고있다. 설악산국립공원중남설악의중심이되는산으로, 설악산의최고봉인대청봉을오르는시발점이기도하며, 북동쪽에대청봉 (1,708m) 이있고, 북서쪽에가리봉 (1,519m), 남서쪽에가칠봉 (1,165m) 등이솟아있다. 산의동쪽비탈면을흘러내리는물은주전골을이루어오색약수를지나백암천에합류한뒤양양의남대천으로흘러든다. 점봉산일대에펼쳐진원시림에는전나무가울창하고, 모데미풀, 얼레지, 바람꽃, 한계령풀등갖가지식물을비롯하여참나물 곰취 곤드레 고비 참취등다양한산나물이자생한다. 특히한반도자생식물의남 북방한계선이맞닿는곳으로서한반도자생종의 20% 에해당하는 854종의식물이자라고있어 1993년유네스코에서생물권보전지역으로지정하기도하였으며, 국가에서도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지정하였다. 원주지방환경청에서지난 2002년부터 2010년까지발간한생태계변화관찰보고서의조사지역중점봉산이포함되어있었으나, 조사범위에현재국립공원구역외구역 ( 쇠나드리 설피밭 ) 이포함되어있고, 국립공원내지역은단목령으로부터점봉산에이르는구간만포함되었을뿐전지역을포괄하지못하였다. 또한조류의경우에는조사가 1년중하루동안만이루어졌다. 또한국립공원연구원에서는 1991년부터자연자원조사를수행하여왔고, 또한 2002년부터각분류군별로일부지역에대하여자원모니터링이매년실시되어왔지만, 점봉산의자연자원에대한조사는이루어지지않았다. 자연공원법제36조에의하면공원관리청은자연공원안의자연자원을대통령령이정하는바에따라정기적으로조사하여야하며, 이에그동안조사가이루어지지않았던점봉산, 계방산, 팔영산, 한라산이 2012년에새로이편입되어자연자원조사가이루어지고있다. 이러한조사결과는추후에생물종및서식지보전, 멸종위기종복원사업, 훼손지복구및탐방객관리에활용될수있다. 조류는먹이사슬에서가장높은지위를차지하는자연생태계내최상위포식자로서, 먹이사슬하위단계의생물들을조절하며, 또한그지역환경의특성을대변해주는지표로서이용될수있다. 본조사는 2012년점봉산자연자원조사의일환으로실시한조사로서, 점봉산일대 6개격자에대하여조류서식현황과분포를파악함으로써종및서식지의보전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하여수행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99

116 5. 조류 나. 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 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각계절별로 1회이상씩포함되도록실시하였다. 이에봄철 (4월), 여름철 (6 8월), 가을철 (9 10월) 에각각현지조사를수행하였다. 2) 조사방법 현지조사는가능한한공원구역전체가포함되도록실시하였다. 등산로를따라길조사법 (road census) 을기본으로하여관찰하였으며상황에따라정점기록법 (point census) 도병행하면서출현하는조류를관찰하거나울음소리로종및개체수를확인하였다. 다. 결과및고찰 1) 종합 점봉산조류조사결과총 44종 520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가관찰되었다 ( 표 5-1). 최우점종은산솔새 (68개체, 13.1%) 이었으며, 다음으로는검은머리방울새 (60개체, 11.5%), 솔새및박새 ( 이상 44개체, 8.4%), 곤줄박이 (40개체, 7.6%) 의순이었다 ( 그림 5-1). 그림 5-1. 점봉산에서관찰된주요우점종 국립공원연구원 100

11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5-1. 점봉산조류조사결과 ( 종합 ) 순번 학명국명 4월 6 8월 9 10월최대우점도 (%) 1 Aix galericulata 원앙 Butastur indicus 왕새매 Buteo buteo 말똥가리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Cuculus fugax 매사촌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Caprimulgus indicus 쏙독새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Lanius bucephalus 때까치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Luscinia cyane 쇠유리새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Phoenicurus auroreus 딱새 Turdus chrysolaus 붉은배지빠귀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Phylloscopus proregulus 노랑허리솔새 Phylloscopus borealis xanthodryas 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Muscicapa sibirica 솔딱새 Ficedula mugimaki 노랑딱새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rustica 쑥새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Eophona personata 큰부리밀화부리 Garrulus glandarius 어치 Cyanopica cyana 물까치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01

118 5. 조류 2) 시기별조사결과 조사시기별결과를살펴보면, 4월조사에서는총 28종 237개체가관찰되었고최우점종은곤줄박이 (40개체, 16.9%) 이었으며, 다음으로는동고비 (29개체, 12.2%), 산솔새 (25개체, 10.5%), 박새 (24개체, 10.1%), 쇠박새 (19개체, 8.0%) 의순이었다. 주로박새과조류와같은텃새가우점하는가운데왕새매, 유리딱새, 붉은배지빠귀, 큰부리밀화부리등의통과철새가관찰되었으며, 산솔새, 노랑할미새, 쇠유리새, 흰배지빠귀등의여름철새역시관찰되기시작하였다. 6월및 8월조사에서는총 25종 296개체가관찰되었고최우점종은산솔새 (68개체, 23.0%) 이었으며, 다음으로는박새및솔새 ( 이상 44개체, 14.9%), 곤줄박이 (17개체, 5.7%), 큰유리새 (13개체, 4.4%) 의순이었다. 이시기에는산솔새와솔새의개체수가 4 월에비하여두드러지게증가하였으며, 대표적인여름철새인뻐꾸기과조류 ( 매사촌, 벙어리뻐꾸기 ) 및큰유리새가출현하였다. 9월및 10월조사에서는총 24종 230개체가관찰되었고최우점종은검은머리방울새 (60개체, 26.1%) 이었으며, 다음으로는동고비 (32개체, 13.9%), 노랑턱멧새 (31개체, 13.5%), 박새 (18개체, 7.8%), 오목눈이 (17개체, 7.4%) 의순이었다. 검은머리방울새는큰집단을이루어곰배령능선을통과하는것이관찰되었는데, 이지역을경유하여월동지로이동하는개체들일것으로생각되며, 그외에는주로텃새가우점하는양상을보였다. 한편제비딱새, 솔딱새, 노랑딱새등의통과철새들도관찰되었다. 한편딱다구리류및딱새, 직박구리, 물까마귀, 굴뚝새, 어치, 큰부리까마귀등의텃새들은연중관찰되었다. 또한조류의취식길드를구분하여조사결과를살펴보았을때, 점봉산에서는수관층을이용하는박새류, 솔새류및뻐꾸기류, 초지및지면을이용하는지빠귀류, 수동을이용하는딱다구리류, 관목을이용하는굴뚝새, 쇠유리새및멧새류, 수변을이용하는노랑할미새와물까마귀, 맹금류인왕새매, 말똥가리및황조롱이, 수금류인원앙등다양한취식길드의조류들이관찰되었으며, 이는점봉산이다양한서식지요소들을모두갖추고있음을의미한다. 그러나그중에서도박새류와솔새류가주요우점종이라는것은, 교목으로이루어진산림이라는점봉산의주된서식지특성을반영하는결과라볼수있다. 국립공원연구원 102

11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5-2. 점봉산의조사시기별조류종수및개체수비교 3) 지역 ( 격자 ) 별조사결과 가 ) 105번격자 105번격자는오색약수터인근의민박단지에서부터남서쪽으로점봉산으로이어지는지역으로서, 총 20종 86개체가관찰되었다 ( 표 5-2). 최우점종은노랑턱멧새 (16개체, 18.6%) 이었으며, 다음으로는산솔새 (12개체, 14.0%), 동고비 (7개체, 8.1%), 직박구리, 박새및곤줄박이 ( 이상 6개체, 7.0%) 의순이었다. 조사시기별로살펴보면 4월에 14종 46개체, 6 8월에 10종 38개체, 9 10월에 10종 46개체가관찰되어, 4월에가장많은종수가기록되었다. 특히 4월에는번식지로이동중인것으로추측되는큰부리밀화부리 5개체가관찰되었다. 나 ) 112번격자 112번격자에서는총 14종 41개체가관찰되었다 ( 표 5-3). 최우점종은산솔새 (7개체, 17.1%) 이었으며, 다음으로는솔새및노랑턱멧새 (5개체, 12.2%), 동고비 (4개체, 9.8%), 박새 (3개체, 7.3%) 의순이었다. 조사시기별로살펴보면 4월에 6종 11개체, 6 8월에 6종 18개체, 9 10월에 7종 20개체가관찰되어 9 10월에가장많은종수및개체수가출현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03

120 5. 조류 표 5-2. 점봉산 105번격자조사결과 순학명국명 4월 6 8월 9 10월최대우점도번 (%) 1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Phoenicurus auroreus 딱새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Phylloscopus borealis xanthodryas 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Eophona personata 큰부리밀화부리 Garrulus glandarius 어치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04

12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5-3. 점봉산 112 번격자조사결과 순번 학명국명 4월 6 8월 9 10월최대우점도 (%) 1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Luscinia cyane 쇠유리새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Phylloscopus borealis xanthodryas 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05

122 5. 조류 다 ) 113번격자 113번격자는점봉산생태관리센터로부터시작되는곰배령등산로를포함하는지역으로서, 총 30종 227개체가관찰되었다 ( 표 5-4). 최우점종은산솔새 (42개체, 18.5%) 이었으며, 다음으로는솔새 (28개체, 12.3%), 동고비 (20개체, 8.8%), 곤줄박이 (18개체, 7.9%), 노랑턱멧새 (13개체, 5.7%) 의순이었다. 조사시기별로살펴보면 4월에 21종 89 개체, 6 8월에 22종 158개체, 9 10월에 12종 66개체가관찰되어 6 8월에가장많은종수및개체수가관찰되었는데, 특히 6 8월의많은개체수는각각이지역의최우점종과차우점종인산솔새및솔새개체수의영향이큰것으로판단된다. 등산로를따라있는계곡에서는천연기념물제327호인원앙 1쌍이확인되었으며, 이지역에서번식할가능성이있는것으로판단된다. 또한드문통과철새인붉은배지빠귀 1개체가지면을걸어다니며먹이를찾는모습이 4월에이지역에서관찰되었다. 라 ) 117번격자 117번격자는인제군인제읍귀둔리로부터곰배령방향으로이어지는숲길을포함하고있는지역으로서, 총 24종 174개체가관찰되었다 ( 표 5-5). 최우점종은박새 (28개체, 16.1%) 이었으며, 다음으로는오목눈이및동고비 ( 이상 17개체, 9.8%), 산솔새및곤줄박이 ( 이상 16개체, 9.2%) 의순이었다. 조사시기별로살펴보면 4월에 13종 91개체, 6 8월에 14종 82개체, 9 10월에 10종 56개체가관찰되어 6 8월에가장많은종수, 4월에가장많은개체수가출현하였다. 마 ) 121번격자 121번격자에서는총 10종 84개체가관찰되었다 ( 표 5-6). 최우점종은검은머리방울새 (60개체, 71.4%) 이었으며, 다음으로는동고비및밀화부리 ( 이상 6개체, 7.1%), 박새 (4개체, 4.8%) 의순이었다. 검은머리방울새와밀화부리는 10월에무리를지어곰배령능선부를넘어이동하는모습이관찰되었으며, 월동지로이동하는개체들인것으로생각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06

12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5-4. 점봉산 113번격자조사결과 순번학명국명 4월 6 8월 9 10월최대우점도 (%) 1 Aix galericulata 원앙 Butastur indicus 왕새매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Cuculus fugax 매사촌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Lanius bucephalus 때까치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Luscinia cyane 쇠유리새 Phoenicurus auroreus 딱새 Turdus chrysolaus 붉은배지빠귀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Phylloscopus proregulus 노랑허리솔새 Phylloscopus borealis xanthodryas 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rustica 쑥새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Garrulus glandarius 어치 Cyanopica cyana 물까치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07

124 5. 조류 표 5-5. 점봉산 117번격자조사결과 순번학명국명 4월 6 8월 9 10월최대우점도 (%) 1 Cuculus fugax 매사촌 Dendrocoposkizuki 쇠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Luscinia cyane 쇠유리새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Phylloscopus borealis xanthodryas 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Phylloscopuscoronatus 산솔새 Muscicapa sibirica 솔딱새 Ficedula mugimaki 노랑딱새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08

12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5-6. 점봉산 121 번격자조사결과 순번학명국명 9 10 월최대 우점도 (%) 1 Caprimulgusindicus 쏙독새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Phoenicurus auroreus 딱새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major 박새 Sitta europaea 동고비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Eophona migratoria 밀화부리 Garrulus glandarius 어치 종수 개체수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109

126

127 양서 파충류 6 조사위원 라남용 ( 강원대학교 ) 보조원 이헌주 김자경

128

12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현재전세계적으로다양한요인들에의해생물종의다양성은감소하고있으며, 생태학자들은멸종에위기에놓인종들이점차증가할것으로예상하고있다 (Vié et al. 2009). 멸종위험이높은종들은주로작은개체군을이루고있고, 좁은범위에서서식하며, 인간활동에의하여많은교란을받는특징을가지고있다 (Manne et al. 1999, Hawkins et al. 2000). 그러므로인간활동이생태계에미치는영향, 그영향의속도와정도를평가하기위하여특정지역을장기적으로모니터링하는것은중요하다 (Stebbins and Cohen 1995). 점봉산 (1,424m) 은북위 동경 에위치하며, 행정구역상설악산남쪽의인제군인제읍과기린면그리고양양군의서면으로이어지는지역에있다. 북쪽으로설악산국립공원과마주하고있으며, 남쪽으로는태백산맥의능선으로이어진다. 점봉산의수계는인제군의내린천과양양의남대천으로각각연결되고있다. 점봉산은높은생물보전가치를인정받아 1982년에남한에서는유일하게 UNESCO 에서 인간과생물권계획 (Man and Bioshere project) 에의한 생물권보전지역 (Bioshere Reserve) 으로지정되었고 ( 이와조 2000), 곰배령 ( 인제군기리면 ) 은 1987년에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지정되어관리되고있다. 양서류는투과성피부를가지고있으므로, 건조한환경과추위에매우약하며, 오염물질이나병원균에노출되기쉽고, 호흡기관과소화기관을포함한몸전체의구조가매우극적으로변하는변태시기를겪기때문에환경변화에매우취약하다 (Stebbins and Cohen 1995). 또한습도가높은서식지에서주로서식하면서생리적으로이동하는능력이약하므로적은서식지의변화에도큰위협을받을수있다 (Pough et al. 2004). 한편으로양서류는수중과육상생태계를이동하며서식하기때문에에너지전달자의역할을한다. 이러한특성들때문에, 양서류는건강한생태계의유지를위하여중요한역할을하며, 환경변화를감지하는지표종으로서유용한분류군이다 (Heyer et al. 1994, Wake 2007). 파충류역시산악지역과초지, 경작지등의서식지를이동하여서식하기때문에서식지의연결역할을하는분류군이다. 따라서파충류의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하여산과, 평지를포함하는서식지의건강성을평가할수있는지표로서의역할을하며, 환경변화에따른동물상의변화를감지할수있는중요한역할을하는분류군이다 (Greene 1997). 이러한양서류와파충류의생태학적중요성으로인하여국내에서는 1987년이후지속적으로국내분포현황을비롯한다양한모니터링을실시하고있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도 2001년부터국립공원지역을대상으로하는양서 파충류의모니터링정보를수집하고있다 ( 송 2010). 국립공원연구원 113

130 6. 양서 파충류 본조사는설악산국립공원으로의지정을준비하기위하여점봉산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종, 서식지, 분포에대한현황을파악하고, 국립공원의생물자원보존및보호방안을제시하고자수행되었다. 나. 조사시기및방법 1. 조사시기 본조사는월 1회이상의조사로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매월 1회씩총 7회에걸쳐수행되었다. 2. 조사지점 점봉산자연자원조사대상지역은총 6개격자이다 ( 각격자크기 2km 2km, 총면적 8.09km 2 ; 그림 6-1). 이중양서 파충류의출현가능성과조사의접근성을고려하여 3 개격자 (105, 113, 121) 를선택한뒤, 세부조사지점을선정하였다 ( 표 6-1). 표 6-1. 점봉산양서 파충류세부조사지점및위치정보 격자 No 조사지구 세부조사지점 좌표 N E 양서 오색천계곡 양서 연결지구 파충 파충 안터민박단지 양서 연결지구 파충 산림유전자원 양서 보호구역 파충 강선마을 양서 파충 곰배령 양서 국립공원연구원 114

13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6-1. 점봉산의양서ㆍ파충류조사지점. 양서류의조사를위하여 3개의격자에서 6개의세부조사지점을선정하였다 ( 표 6-1, 그림 6-2). 점봉산의경우산이매우험하고등산로가발달되어있지않으며, 대부분이국립공원에서지정한휴식년제지역이거나산림청에서관리하는통제구역혹은자연자원보존구역으로출입이제한된지역이많다. 또한격자내에민가와경작지는존재하지않았으며, 가파르고급한소형계곡이발달해있는것이특징적이다. 따라서양서류의조사를위하여점봉산의서식환경에서서식할확률이높을것으로예상되는꼬리치레도롱뇽이나계곡산개구리등의종을중심으로조사지역을선정하였다. 105격자에는점봉산에서발원하여설악산국립공원의오색천으로유입되는소형계곡과오색리안터민박단지로유입되는계곡의상류지역계곡을대상으로양서류의서식을조사하였다. 113격자의경우, 산림청의자연자원보호구역내소형계곡과주변의습지및웅덩이를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였으며, 121격자는곰배령내에위치하고있는계곡과강선마을에형성된연못그리고곰배령정상주변의계곡을중심으로조사를실시하였다. 파충류의조사를위하여 3개격자에서 5개의세부조사지점을지정하였다 ( 표 6-1, 그림 6-2). 105격자내초지지역과계곡주변부를중심으로조사를실시하였으며, 113격자주변의농경지와민가주변그리고계곡주변의초지를대상으로하였다. 또한 121격자내위치하고있는강선마을의민가주변과초지를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였다. 이와같이점봉산내에서양서류와파충류의서식확률이높은곳을선정하 국립공원연구원 115

132 6. 양서 파충류 였으며매월 1 회이상의조사를실시하였다. 오색천계곡연결지구양서류조사지점 안터민박단지연결지구양서류조사지점 오색천계곡연결지구파충류조사지점 오색천계곡연결지구파충류조사지점 산림유전자원보호지구양서류조사지점 산림유전자원보호지구파충류조사지점 강선마을지구파충류조사지점 곰배령양서류조사지점 그림 6-2. 점봉산의양서ㆍ파충류세부조사지점. 국립공원연구원 116

13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3. 조사방법 1) 공통사항 양서류와파충류의출현은조사시점, 조사당시의날씨등의물리적인환경에매우영향을많이받는다. 따라서각조사시기는양서류와파충류의관찰이가장유리한상황을고려하여선정되었으며, 매조사에서대기온도와습도를기록하였다. 종의동정을위하여포획하였고, 사진촬영과암수구별을한후, 포획된장소에다시풀어주었다. 양서 파충류의종동정및학명의사용은한국의양서류 ( 양등 2001), 한국산파충류의현황과분포 ( 송 2007), 한국양서 파충류생태도감 ( 이등 2012) 등을참고하였다. 2) 양서류양서류의출현을확인하기위하여계곡의가장자리와물웅덩이등을직접방문하여각종의개체수와그들의알의수를기록하였다. 유생의경우와알을낱개로낳는무당개구리의알의수는 개미만, 100-1,000개미만, 1,000 이상의등급으로기록하였다. 양서류는은밀한생활사를가지고있기때문에개체군의크기를추정하는데에는번식시기동안암컷이낳는알덩어리의수를계수하는것이가장효율적인방법으로알려져있으므로 (Heyer et al. 1994), 본조사에서도알덩어리의수를중점적으로확인하였다. 3) 파충류파충류의조사는일정시간동안정해진구역을관찰하여대상을찾는방법으로진행되었다. 정해진조사지역내에서주로밭내부의돌무더기와산과밭의연접부위를세밀하게관찰하면서파충류의존재를확인하였다. 4. 정량적분석 모집단과군집을기술하는주요측정값으로는우점도 (Dominance), 상대밀도 (Relative density), 종다양도 (Biodiversity), 종균등도 (Evenness), 종풍부도 (Richness) 가있다. 따라서조사기간동안확인된모든종과개체수를종합하여정량적분석을실시하였으며, 양서류의경우, 성체의개체수와알의수를합산한자료를이용하였고, 파충류의경우, 성체와사체등확인된모든유형을합산한자료를이용하였다. 예외 국립공원연구원 117

134 6. 양서 파충류 적으로무당개구리의경우, 낱개형태인알을제외한성체의개체수만이용되었다. 1) 우점도 (Dominance Index : DI) 군집내의우점종이군집에서가지는상대적인비를산출하여환경의변화에대한지표로서이용될수있다는관점에서도출된지수이다 (McNaughton 1967). DI = ni/n (DI : 우점도지수, N : 총개체수, ni : 제 i 번째종의개체수 ) 2) 상대밀도 (Relative Density: RD, %) 우점종에대한특정종의상대적인비율을나타내는지표이다. RD = ( 특정종의개체수 ) / ( 우점종의개체수 ) * 100 3) 종다양도 (Biodiversity Index : BI) 동물군집의종풍부도와개체수의상대적균형성을뜻하는것으로군집의복잡성을나타낸다. Margalef(1958) 의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에의하여유도된 Shannon & Weaver function(pielou, 1966) 을사용하여산출한다. H' = - (ni/n) Ln(ni/N), (ni: 각종의개체수, N: 총개체수, Ln: 자연로그 ) 4) 종균등도 (Evenness Index: J') 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제치의비로표현된다. 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내는것으로 Pielou(1975) 의식을이용하여산출한다. J' = H'/Ln(S) (S: 관찰된전체종수, H': 종다양도, Ln: 자연로그 ) 5) 종풍부도 (Richness Index: eh') 지수값이클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여, 총개체수와총종수만으로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이다. 종풍부도지수는 Margalef(1958) 의지수를사용하여산출한다. 국립공원연구원 118

13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eh' = (S-1)/Ln(N) (eh': 종풍부도, S: 전체종수, N: 총개체수 ) 다. 결과및고찰 가. 양서류 1) 양서류종목록및개체수 점봉산지역에서양서류는모두 2목 3과 4속 5종으로확인되었다 ( 표 6-2, 그림 6-3). 이중, 우점종은도롱뇽이었고, 아우점종은무당개구리이었다. 점봉산내에서멸종위기야생동물이나생태계교란야생동물은확인되지않았다. 표 6-2. 점봉산에서확인된양서류종목록및개체수 목 Order 과 Family 속 Genus 종명 확인된유형 학명국명성체유생알 계 Caudat a Hynobiidae Hynobius Hynobius leechii Onychodactyl Onychodactylu s us fischeri 도롱뇽 13 ** 꼬리치레 도롱뇽 2 * 0 2 Bombintorid ae Bombina Bombina orientalis 무당개구리 36 ** * 36 Anura Ranidae Rana Rana dybowskii Rana huanrenensis 북방산개구리계곡산개구리 25 ** *** 유생의경우, *:100 마리미만, **:100-1,000 마리미만, ***:1,000 마리이상 무당개구리알의경우, 유생과같은방식으로표시함 국립공원연구원 119

136 6. 양서 파충류 꼬리치레도롱뇽성체 꼬리치레도롱뇽유생 도롱뇽성체 도롱뇽알 북방산개구리성체 계곡산개구리성체 무당개구리성체 무당개구리알 그림 6-3. 점봉산에서식하는양서류 국립공원연구원 120

13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과거에점봉산지역을포함하는강원도인제군과양양군을중심으로 1997년, 2004년, 2008년에전국자연환경조사가진행된바있다. 표 6-3에과거기록과본조사의결과를제시하였고, 과거기록에서청문조사를제외한직접조사결과만을표시하였다. 표 6-3. 연도별출현종목록비교 목 종명 정과권 (1997) 참고문헌 이와황 (2004) 이와황 (2008) 2012년조사 유미목 도롱뇽 꼬리치레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 청개구리 무미목 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청문조사는제외되었고, 직접조사를통한결과만표시함. 과거의조사에서모두 11종의양서류가확인되었다. 본조사구역은산림과계곡이발달하고, 민가와경작지가없는점봉산만을대상으로조사를진행하였지만, 과거의 국립공원연구원 121

138 6. 양서 파충류 조사는모두점봉산을포함하여주변의주요지역을전반적으로조사지점으로조사를진행하였다. 과거조사에서서식이확인된참개구리와청개구리그리고두꺼비와같은종들은점봉산의산림지대에서서식하기보다는주변의민가와경작지를중심으로서식할것으로판단되며, 옴개구리의경우적은개체수이지만점봉산내의계곡에서서식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2) 조사지점별양서류출현현황양서류의서식을확인한세부조사지점에대한출현종과개체수는표 6-4와같다. 가장많은종이확인된구역은 113격자의양서4 지역으로, 꼬리치레도롱뇽을제외한총 4종 109개체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 표 6-4). 이곳은계곡이발달하지않은반면에매우넓은습지가형성되어있으며, 출입통제구역이라일반인의출입이통제되는곳이다. 습지를중심으로다수의도롱뇽과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그리고무당개구리의번식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성체의확인은어려웠지만대부분의조사지역에서꼬리치레도롱뇽유생의모습을확인할수있었다. 점봉산은기후적인특성과지형적인이유로봄철의기온이낮고짧으며, 기온이오르기시작하면얼어있던계곡이짧은순간에녹으면서계곡으로의접근이매우어려워지는특징이있다. 본조사를진행하면서점봉산주변의조사지역이외에서는다수의양서류번식을확인하는것이용이하였으나, 같은기간에조사지역으로의출입은불어난계곡물로인하여접근이매우어려웠으며, 이로인하여짧은기간에번식을하고사라지는도롱뇽과계곡산개구리그리고북방산개구리등의번식을확인하기가어려웠다. 따라서앞으로지속적인조사를실시한다면더욱다양하고높은밀도의개체군을이루고있는양서류를확인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곰배령지역의경우, 강선마을주변을제외하고정상에가까워질수록양서류의출현을확인하기가어려웠으나, 곰배령정상아래의작은계곡에서꼬리치레도롱뇽유생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국립공원연구원 122

13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6-4. 점봉산세부조사지역별양서류출현현황 조사지점 격자 지점 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무당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계 양서 1 (9) 양서 2 2 (66) 양서 3 (4) 양서 양서 양서 6 (6) 6 계 모든개체수는성체와알의수를합산한것임. 단, 무당개구리는성체의수만표시함. 꼬리치레도롱뇽은주로유생단계에서발견되므로, ( ) 안에유생의출현현황을표시함. 3) 양서류군집정량분석양서류군집의정량분석을실시하기위하여분석의대상은성체와알의수를이용하였으며, 무당개구리의경우성체만을대상으로분석을실시하였다. 정량분석결과, 점봉산의양서류우점종은도롱뇽 (52.49%), 아우점종은무당개구리 (19.89%) 로확인되었다 ( 표 6-5). 국립공원연구원 123

140 6. 양서 파충류 표 6-5. 점봉산양서류군집의분석결과 종명개체수우점도상대밀도종다양도종균등도종풍부도 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무당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개체수는성체와알덩어리의수를합산한것임. 단, 무당개구리는성체만제시. 점봉산은소형계곡이매우발달하여있고, 유속이빠른서식지특징을가지고있다. 따라서점봉산에서서식하는북방산개구리와계곡산개구리는안정적인개체군을이루며서식하고있다고판단되며, 다수의성체서식확인은어려웠지만, 매우넓은범위에서높은밀도로꼬리치레도롱뇽의유생이서식하고있는것으로확인됨으로써꼬리치레도롱뇽역시안정적인개체군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꼬리치레도롱뇽의경우곰배령과자연자원보호구역이있는진동계곡주변보다설악산국립공원의오색천과인접하고있는계곡에서더욱높은밀도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우점종으로확인된도롱뇽의경우, 매우한정적인공간에서집단이번식하고있는모습으로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이 113격자에형성된습지에서번식하고있었다. 주변에차갑고유속이매우빠른계곡대신에산란하고번식할장소로서습지의형태를갖춘서식지가한정적이었기때문에다수의도롱뇽번식지로확인된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점봉산의경우, 설악산국립공원과인접한지역은꼬리치레도롱뇽이높은밀도로서식하고있었으며, 반대로진동계곡이있는곰배령지역은주로도롱뇽과북방산개구리그리고무당개구리가주로서식하고있는모습이확인되었다. 하지만점봉산의조사시에범람하는계곡으로인하여북방산개구리와계곡산개구리의번식시기에접근이어려웠던점을감안하면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하여더욱다양하고많은개체수의양서류의서식을확인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1997년과 2004년의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확인된양서류의군집분석결과와본조사 국립공원연구원 124

14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의군집분석결과를비교하였을때, 종다양도와종균등도는 1997년의조사에서가장높은것으로확인되었고, 종풍부도의경우 2012년의조사가가장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6-4). 하지만과거의조사는점봉산과그일대를포함하는넓은지역을조사한자료이기때문에, 이번조사결과와단순히비교하기는어렵다. 그러므로앞으로확정된지점을중심으로모니터링을지속하여종의증감을판단하는것이필요하다. 이와함께주요출현종인도롱뇽, 무당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의번식시기에집중적으로성체와알의수를파악하기위한노력이필요하며, 꼬리치레도롱뇽이출현한계곡주변에서성체를조사하는것이필요하다. 그림 6-4. 과거조사와의양서류군집정량분석비교. 국립공원연구원 125

142 6. 양서 파충류 나. 파충류 1) 파충류종목록및개체수 본조사를통하여점봉산지역에서총 1목 3과 5속 6종의파충류가관찰되었다 ( 표 6-6, 그림 6-5). 전체적으로장지뱀과 1종, 뱀과 3종, 살모사과 2종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멸종위기야생동물과생태계교란야생동물은확인되지않았다. 표 6-6. 점봉산에서확인된파충류종목록과개체수 목 Order 과 Family 속 Genus 종명 확인된유형 학명국명성체허물사체 계 Lacertilidae Takydromus Takydromus amurensis 아무르장지뱀 1 1 Rhabdophis Rhabdophis tigrinus 유혈목이 Squamat e Colubridae Elaphe Elaphe dione 누룩뱀 2 2 Dinodon Dinodon rufozonatus 능구렁이 2 2 Viperidae Gloydius Gloydius saxayilis 까치살모사 1 1 Gloydius ussuriensis 쇠살모사 점봉산에서가장많이확인된종은유혈목이로나타났으며, 대부분의파충류개체수는많지않았다. 이는점봉산의조사지역은산과계곡으로이루어진곳으로서, 파충류의경우대부분이러한산의중심에서서식하기보다는산과이어지는초지나경작지등에서주로서식및활동을하며, 동면을하기위하여산림지역을이용하기때문에낮은개체수가확인된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26

14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아무르장지뱀 쇠살모사 누룩뱀 까치살모사 능구렁이 유혈목이 그림 6-5. 점봉산에서서식하는파충류 과거의조사에서는각각 1997년과 2004년그리고 2008년에점봉산과그일대를중심으로서식하는파충류상에대하여조사가실시된사례가있다 ( 표 6-7). 과거조사와의비교는실제확인된종만을대상으로비교하였으며, 청문조사는제외하였다 년에 7종, 2004년에 8종, 그리고 2008년에는 6종의파충류가출현한것으로보고되었다. 올해조사에서총 6종의파충류가발견되었고, 모두기존에서식이확인된종들이었다. 기존에출현하였으나올해출현하지않은종은 4종 ( 도마뱀, 무자치, 구렁이, 살 국립공원연구원 127

144 6. 양서 파충류 모사 ) 이었으며, 이중도마뱀과살모사는점봉산에서지속적으로서식할것으로예상되었다. 비록조사지역에해당되지는않았지만, 점봉산과인접한오색분소방향의도로에서구렁이 (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 성체가로드킬되어발견되었다. 구렁이성체의연간행동권이약 22-80ha인것을고려하면 ( 이 2011), 점봉산과설악산에서구렁이가서식할가능성이크다. 그러나무자치는주로저지대의논이나습지에서서식하므로, 점봉산내부보다는하부의저수지나하천주변에서식할것으로예상된다. 표 6-7. 연도별출현종목록비교 목 종명 정과권 (1997) 참고문헌 이와황 (2004) 이와황 (2008) 2012년조사 도마뱀 아무르장지뱀 유혈목이 누룩뱀 뱀목 무자치 구렁이 능구렁이 까치살모사 살모사 쇠살모사 청문조사는제외되었고, 직접조사를통한결과만표시함. 2) 조사지점별파충류출현현황파충류의서식을확인한세부조사지점에대한출현종과개체수는표 6-8과같다. 오색천계곡연결지구의경우설악산국립공원과이어지고있으며계곡을중심으로초지가형성되어있고초지주변으로바위들이위치하고있기때문에파충류들이서식하기에알맞은서식지조선을제공하고있었다. 따라서산림이발달하여일광욕등 국립공원연구원 128

14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의활동으로체온을조절함과동시에포식자로부터은신처를제공해줄수있는공간이기때문에파충류의서식을확인하기에용이하였다. 안터민박단지연결지구의경우, 산에작은텃밭과양봉장주변에서까치살모사의서식을확인하였으며, 진입로부근도로에서능구렁이의사체를확인할수있었다. 또한조사지역외의설악산인접도로에서구렁이성체를포함한다수의파충류가로드킬되어발견되었다. 표 6-8. 점봉산세부조사지점별파충류출현현황 조사지점 격자 지점 아무르장지뱀 유혈목이누룩뱀능구렁이까치살모사쇠살모사계 파충 파충 파충 파충 파충 계 개체수는성체와사체의수를합산한것임. 진동계곡을중심으로곰배령주변의서식지의경우, 격자와인접한민가와경작지를중심으로다수의파충류를확인할수있었지만, 점봉산조사지역격자내부에서는많은수의파충류서식을확인하기가어려웠다. 점봉산의경우, 북쪽에위치하고있기때문에연평균기온이낮고, 특히숲이우거진지역의경우빛의통과가용이하지않기때문에변온동물인파충류는일광욕이용이한지역인점봉산외곽의지역을선호 국립공원연구원 129

146 6. 양서 파충류 하는것으로판단된다. 곰배령의강선마을주민에게청문조사한결과, 이곳에서사람에의한파충류의포획이지속되고있다고하므로, 개체군의감소가예상된다. 또한곰배령의경우, 높은고도와낮은기온등의요인으로인하여파충류의서식지로는적합하지않은것으로판단되며, 파충류가출현하지않았다. 3) 파충류군집정량분석정량분석결과, 점봉산내파충류의우점종은유혈목이 (27.27%), 아우점종은각각누룩뱀과능구렁이그리고쇠살모사 (18.18%) 로확인되었다 ( 표 6-9). 점봉산의경우, 산악지역의특성상높은밀도의개체수와다양한종의서식을확인하기에는다소어려움이있었다. 대부분의지역이산림과계곡으로이루어져있는서식지의특성상파충류가서식할수있는공간이한정되기때문에, 대부분의파충류들은점봉산을하나의완전한서식지가아닌동면지로이용하고, 대부분의활동은점봉산의주변초지지역이나경작지를중심으로활동할것으로판단된다. 유혈목이의경우초지에서주로확인되지만산림지역에서도역시다수가확인이가능하며, 본조사에서성체부터어린개체까지다양한연령의개체들을확인할수있었다. 표 6-9. 점봉산파충류군집의분석결과 종명개체수우점도상대밀도종다양도종균등도종풍부도 까치살모사 누룩뱀 능구렁이 쇠살모사 아무르장지뱀 유혈목이 개체수는성체와사체의수를합산한것임. 국립공원연구원 130

14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997년과 2004년의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확인된파충류의군집분석결과와본조사의군집분석결과를비교하였을때, 종다양도와종균등도는 2012년의조사에서가장높은것으로확인되었고, 종풍부도의경우 1997년의조사가가장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6-6). 하지만기존의조사에서는점봉산과점봉산주변의도로, 마을, 경작지를포함하는포괄적인지역에대하여조사를실시하였기때문에단순한수치상의비교는어려울것으로판단된다. 앞으로모니터링을위하여조사지점과방법을일관되게적용하여출현종의증감을확인할필요가있다. 그림 6-6. 과거조사와의파충류군집정량분석비교 참고문헌 송재영 한국산파충류의현황과분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2): 송재영 백두대간내국립공원의양서 파충류상. 국립공원연구지 1(3): 원주지방환경청 생태계관찰보고서 pp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 한국의양서류. 아카데미서적. 국립공원연구원 131

148 6. 양서 파충류 이규송, 조도순 점봉산생물권보전지역내온대낙엽수림에서미소환경요인과식생요인의공간분포와상관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3): 이상철, 황연화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이상철, 황연화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이정현 한국산구렁이 (Elaphe shrenckii) 의분류학적위치, 서식지이용및적합성모형개발. 강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정현, 장환진, 서재화 한국양서 파충류생태도감. 국립환경과학원정규희, 권순환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Greene HW The evolution of mystery in n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y. pp Hawkins JP, CM Roberts, V Clark The threatened status of restricted-range coral reef fish species. Animal Conservation 3: Heyer WR, Donnelly MA, McDiarmid RW, Hayek LAC. Foster MS Measuring and monitoring biological diversity: Standard methods for amphibians. Smithsonian Institute Press. Manne LL, TM Brooks, SL Pimm Relative risk of extinction of passerine birds on continents and islands. Nature 399: Margalef D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McNaughton S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61: Pielou EC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The American Naturalist 100(914): Pielou E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ough FH, Andrew RM, Cadle JE, Crump ML, Savitzky AH, Wells KD Herpetology 3rd Ed. pp 4-8. Stebbins RC, Cohen NW A Natural History of Amphibians. Princeton Univ Press., NY. Vié J-C, Hilton-Taylor C, Stuart SN (eds) Wildlife in a changing world - An analysis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Gland, Switzerland: IUCN. 180 pp. Wake DB Climate change implicated in amphibian and lizard declines. PNAS 104: 국립공원연구원 132

149 어류 7 조사위원 송호복 ( 사단법인한국민물고기연구소 ) 보조원 강동원 장창렬

150

15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점봉산 ( 해발 1,424.2m) 은태백산맥의중북부지점에위치해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강원도인제군인제읍과기린면등에걸쳐있고, 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하고있다. 점봉산이위치한백두대간은한반도의수계를고황하수계 ( 영서지방 ) 와고아무르수계 ( 영동북부지방 ) 로나누는매우중요한지사학적위치를차지하고있다. 점봉산일대는고황하수계의어류가서식하고있는지역이며, 특히이일대의하천은한강수계의최상류에해당하는전형적인산간계류의특징을나타내며자연생태계가잘보존되어있는지역이다 ( 최, 1973; 전, 1980; 김, 1997; 조등, 1991). 우리나라에서식하고있는약 215종의담수어류는한반도의지사학적변화와함께다양한서식환경에적응하여살아왔으며, 이들중 63종이한국고유종으로약 29% 의매우높은고유화율을나타내고있다 ( 최등, 1990; 김, 1997, 김과박, 2002, 손과송, 2006). 본조사는점봉산일대조사지역내의하천을중심으로, 하천환경과함께어류의서식종및서식현황등을조사, 분석, 평가함으로서, 점봉산내의하천관리와어류의보호및보전방안그리고어류상과개체군의변화추이등을파악하고, 효율적인공원관리에필요한자료를제공하고자하였다. 나. 조사내용및방법 1. 조사시기및지점 점봉산의어류자원조사를위하여총 6개의격자중점봉산일대의 6개지점을조사지점으로선정하였으며, 2012년 5월과 8월, 9월중에총 12일간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각지역별격자번호와조사지점및조사시기는표 7-1 및그림 7-1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135

152 7. 어류 표 년점봉산일대조사일정및지점 격자번호 조사지점 조사일정조사지점비고 ~ 5.2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단목령등산로 ~ 5.2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가는골 ~ 5.2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곰배령하방 ~ 5.2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강선마을 ~ 5.2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진흑동 ~ 5.27 강원도인제군인제읍귀둔리, 곰배골 ~ 8.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단목령등산로 ~ 8.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가는골 ~ 8.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곰배령하방 ~ 8.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강선마을 ~ 8.7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진흑동 ~ 8.7 강원도인제군인제읍귀둔리, 곰배골 ~ 9.16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단목령등산로 ~ 9.16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가는골 ~ 9.16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곰배령하방 ~ 9.16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강선마을 ~ 9.16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 진흑동 ~ 9.16 강원도인제군인제읍귀둔리, 곰배골 그림 년점봉산일대의어류조사지점. 국립공원연구원 136

15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방법 (1) 수환경조사각조사지점의설정은지정된격자내에서유량과유속수심, 하상구조, 지류의위치, 생태적중요성등을감안하여적절하게선정하였다. 조사지점의좌표는 GPS(SONY, GPS-CS3) 를통해측정하였고, 하폭, 유폭, 하상구조, 식생, 주변환경등의서식지환경은거리측정기, 줄자, 목측과관찰등을통해기술하였으며, 조사지점의사진을첨부하였다. 하천형은可兒 (1944, Aa: 상류형, Aa-Bb: 중상류형, Bb: 중류형, Bb-C: 중하류, C: 하류 ) 의방법에의하였으며, 수온, DO, 전기전도도는 YSI 측정기 (YSI oxygen, conductivity, salinityy & temperature meter) 를사용하였으며 ph 는야외용 ph meter를이용하였다. (2) 어류조사어류의채집은투망 ( 망목, 6 6 mm) 과족대 (5 5 mm) 를사용하였으며, 투망은지점당 10회투척, 족대는 50분작업을기준으로하였고, 조사방법상정량조사가어려운점이있으므로하천의규모에따라조사시간을적절히안배하였다. 각조사정점을중심으로상, 하 m 정도를이동하면서여울과소를포함시켜어류를채집하였으며, 수심이깊거나채집이어려운지역은육안으로개체수를확인하기도하였다. 채집한어류는가능한현장에서동정, 분류하고종과개체수를확인한후방류하였으며, 동정이어렵거나표본이필요할경우 10% 포르말린에고정한후실험실에서동정을실시하였다. (3) 군집분석어류의군집분석은각조사지점에서채집한어류의종수및개체수를확인한후우점도,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등의분석을실시하였으며각지수의산출은다음의방법을이용하였다.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각조사지점에서개체수현존량에의하여 2종씩을선정하였으며, 지수의산출은 McNaughton's dominance index(di) 에의하였다 (McNaughton, 1967). DI = ( n1 + n2 ) / N DI: 우점도지수, N: 총개체수, n1, n2: 제 1, 2 우점종의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37

154 7. 어류 다양도지수 (Diversity index) Margalef(1956, 1958) 의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에의하여유도된 Shannon-Wiever function(pielou, 1969) 을사용하여산출하였다. 이는군집의종풍부정도와개체수의상대적균형성을의미하며군집의복잡성을나타낸다. H' = S - Σ Pi i=1 (ln Pi) H': 다양도, S: 전체종수 Pi: i 번째에속하는개체수의비율을말하며 ni/n 으로계산 (N: 군집내의전개체수, ni: 각종의개체수 )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종풍부도지수는총개체수와총종수만을가지고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로서지수값이높을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고있으며, Margalef(1958) 의지수를사용하여산출하였다. RI = ( S - 1 ) / ln(n) RI: 풍부도, S: 전체종수, N: 총개체수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균등도지수는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지치의비로서표현된다. 이때각다양도지수는군집내모든종의개체수가동일할때최대가되므로, 결국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낸다. Pielou(1975) 를사용하여산출하였다. EI = H' / ln(s) EI: 균등도, H : 다양도, S: 전체종수 국립공원연구원 138

15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다. 결과및고찰 1. 수환경 점봉산일대하천및계곡은모두 Aa형의하천이었으며하상구조역시암반, 큰돌, 자갈등이대부분을차지하였고, 잔자갈과모래의비율은매우낮았으며, 유속이빠른전형적인계류및상류하천의특징을나타내었다. 곰배령등산로가조성되어있는지점 3과 4를제외하면사람의출입이제한되어있어환경교란요인이거의없는것으로나타났다. 등산객의출입이비교적많은지점 3 과 4 또한일일탐방객의수를제한하고있고, 점봉산생태관리센터와강선마을에서환경및자원보호에관심을기울이고있어교란되지않고양호한상태를유지하고있었다. 전지점이계곡의최상류지역에위치한만큼유량은풍부하지않았으나물은매우맑았으며, 수환경도우수하였다. 모든조사하천이계곡수인관계로비교적수온이낮았고, 용존산소도전지점이해당수온에대해대부분포화상태를나타내고있었으며, 수소이온농도역시 ph 7을중심으로나타났다. 전기전도도역시매우낮은수치를나타내었다 ( 사진 7-1, 표 7-2, 3). 국립공원연구원 139

156 7. 어류 사진 7-1. 점봉산조사지점의전경 지점 1. 단목령등산로 지점 2. 가는골 지점 3. 곰배령하방 지점 4. 강선마을 지점 5. 진흑동 지점 6. 곰배골 국립공원연구원 140

15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7-2. 점봉산일대각조사지점의수환경 지점하천형유폭 (m) 유속 (cm) 수심 (m) 탁도 * 하상구조교란원 1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 자갈 없음 2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자갈 없음 3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자갈 등산객, 민가 4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자갈 등산객 5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자갈 없음 6 Aa 매우맑음 암반, 큰돌, 돌, 자갈 없음 표 7-3. 점봉산일대의수온, DO, ph 및전기전도도 지점수온 ( ) DO(mg/l) ph 전기전도도 ( μm s/cm) 국립공원연구원 141

158 7. 어류 2. 어류서식현황 (1) 전체어류상 점봉산일대의조사지역에서 2012년 5월과 8월, 그리고 9월에춘계, 하계및추계에걸쳐모두 3회의어류조사를실시한결과총 126개체 4과 4종이채집되었다. 과별로는잉어과가 1종 82개체 (65.08%) 로개체수가가장많았고, 연어과가 1종 36개체 (28.57%) 였으며, 둑중개과 1종 7개체 (5.56%), 메기과 1종 1개체 (0.79%) 등으로나타났다 ( 표 7-4, 그림 7-2, 3). 모든조사지점이계곡의최상류지역에해당하여, 유량이적고수온또한비교적낮은관계로냉수성어종만이서식하고있어출현어류의종수및개체수가매우적게나타났다. 특히지점 1과 3은하류쪽에낙차가큰폭포가위치하고있어어류의소상이불가능한관계로물고기가서식하고있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7-4, 5). (2) 우점종및우세종우점종은금강모치 (82개체, 상대풍부도 : 65.08%), 아우점종은열목어 (36개체, 28.57%) 였다. 그밖에둑중개가 5.56% 의풍부도를보이며서식하고있었다. 본지역에서상대풍부도 1% 이하의희소종으로는미유기였으나, 서식지특성및채집방법에따른출현빈도로서큰의미는없는것으로사료된다. (3) 보호종및고유종본지역에서조사된어류중법적보호종은열목어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1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금강모치와미유기, 둑중개등 3종으로전체어종의 75.0% 를차지하였다. 국내에서는비교적개체수가적고, 희귀하거나급격히개체군의크기가감소하는추세에있어보호할만한가치가있는어류는냉수성어종인열목어와둑중개였다. (4) 군집분석종풍부도지수는총개체수와총종수만을가지고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로서지수값이높을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고있다. 하지만점봉산일대의조사지점은해발고도가매우높거나계곡의최상류지역에해당하는관계로종수나개체수가너무적어종풍부도지수값이낮게나타났다. 다양도는군집의종풍부정도와개체수의상대적균형성을의미하며군집의복잡성을나타낸다. 하지만이역시지점별로 1~2종, 혹은아예서식하고있지않 국립공원연구원 142

15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은것으로확인되어매우낮게나타났다. 균등도는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지치의비로서표현된다. 이때각다양도지수는군집내모든종의개체수가동일할때최대가되므로결국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내는것으로, 서식하는 2종사이의개체수차이가비교적적은지점 4와 6에서높은편으로나타났다. 우점도지수는해당지역에서거의 1~2종만이서식하는관계로비교적높게나타났다. 점봉산지역의경우대체적으로모든지수값이낮고, 우점도지수는상대적으로높게나타나는결과를보였는데, 이는본조사지점이대부분하천의최상류에위치하고있는관계로, 서식어종수나개체수가많지않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 표 7-4). 표 7-4. 점봉산의각조사지점에서채집된종수및개체수 어종명 잉어과 (Cyprinidae) 1 (113) 2 (105) 3 (111) 4 (112) 5 (121) 6 (117) 계 RA(%) * 비고 **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일, 고 메기과 (Siluridae)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일, 고 연어과 (Salmonidae)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육, 멸 Ⅱ 둑중개과 (Cottidae) 둑중개, Cottus koreanus 육, 고 종수 개체수 우점도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 *RA(%): relative abundance( 상대풍부도 ), ** 비고 : 일 : 일차담수어, 육 : 육봉형, 고 : 한국고유종, 멸Ⅱ: 멸종위기야생동 식물Ⅱ급 표 7-5. 점봉산일대의법적보호종및출현지점 ( 사진 7-3 참조 ) 구분국명출현지점격자번호 멸종위기 Ⅱ 급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St. 2, St , 112 국립공원연구원 143

160 7. 어류 그림 7-2. 점봉산에서채집된어류의과별종수. 그림 7-3. 점봉산에서채집된어류의과별개체수비 (%). 그림 7-4. 점봉산일대에서채집된어류의종별상대풍부도. 그림 7-5. 점봉산의각조사지점에서채집된종수및개채수 국립공원연구원 144

16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3. 점봉산에서조사된주요어종 사진 7-2. 점봉산에서채집된주요어종의사진.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둑중개 (Cottus koreanus)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사진 7-3. 점봉산에서조사된멸종위기종인열목어.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국립공원연구원 145

162 7. 어류 참고문헌 김익수,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동물편 ( 담수어류 ). 교육부, 국정교과서 ( 주 ), 연기. pp. 257~266. 김익수, 박종영, 한국의민물고기, 아카데미서적, 서울손영목, 송호복, 금강의민물고기, 지성사, 서울전상린, 한국산담수어의분포에관하여. 중앙대학교박사학위청구논문, 91 pp. 정문기,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조규송, 변화근, 김영건 북한강원류수역의생태학적연구 - (1) 어류군집특성. 강원대학교논문집, 과학기술연구. 30: 최기철, 휴전선이남에서의담수어의지리적분포에관하여. 육수지, 6: 29~36.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서울, pp. 89~94. 환경부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 현리, 방동 ). 可兒藤吉, 溪流性昆蟲の生態. 古川晴男編 ( 昆蟲 ), 上, 硏究社, 東京. 內田惠太郞, 朝鮮魚類誌, 弟 1 冊.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pp. 228~322.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Pielou, E. C.,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국립공원연구원 146

163 육상곤충 ( 주간 ) 8 조사위원 박진영 ( 경북대학교 ) 보조원 장선진 최익제

164

16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한가위부터내리기시작한눈이이듬해단오절이되어야녹는다. 하여 눈에덮여있는산 으로잘알려진설악산은한반도등줄기인백두대간에위치한명산으로 1970 년 3월 24일우리나라다섯번째로지정된국립공원이며세계적으로희귀한자연자원의분포지역으로서그가치를인정받아 1965년 11월 5일에천연기념문제171호인 천연보호구역 과 1982년유네스코에서우리나라최초의 생물권보전지역 으로지정하였으며, 2005년에는 IUCN에서국제적인수준의국립공원으로공인한자연생태계의보고라할수있다. 총면적은 km2으로행정구역상강원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고성군등 4개시 군에걸쳐있으며대청봉을중심으로기후및지형적특성에따라외설악, 내설악, 남설악으로구분된다. 최근국립공원편입지역으로점봉산이설정되었으며, 점봉산은남설악의중심이되는산으로, 높이 1,424m이고, 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보며점붕산이라고도하며, 설악산의최고봉인대청봉을오르는시발점이기도하다. 북동쪽에대청봉 (1,708m) 이있고, 북서쪽에가리봉 (1,519m), 남서쪽에가칠봉 (1,165m) 등이솟아있다. 산의동쪽비탈면을흘러내리는물은주전골을이루어오색약수를지나백암천에합류한뒤양양의남대천으로흘러든다. 산일대에펼쳐진원시림에는전나무가울창하고, 모데미풀, 얼레지, 바람꽃, 한계령풀등갖가지다양한식물을비롯하여참나물 곰취 곤드레 고비 참취등다양한산나물이자생한다. 일명천상의화원으로불리기도한다. 특히한반도자생식물의남북방한계선이맞닿는곳으로서한반도자생종의 20% 에해당하는 8백 54종의식물이자라고있어유네스코에서생물권보존구역으로지정하기도하였다. 주전골성국사터에보물제497호인양양오색리삼층석탑이남아있다. 산자락에 12담계곡 큰고래골 오색약수터 망월사 성국사터등명소가많으며, 오색약수를거쳐오르는주전골은단풍명소로서흰암반위를흐르는계곡물과단풍이어우러져매우아름다운풍경을빚어낸다. 등산로는약수터와온천이있는오색에서시작하고정상에오르면대청봉 가리봉등설악산의영봉과푸른동해가한눈에들어오는곳이다. 설악산국립공원에새로편입된지역인점봉산일대는점봉산을비롯하여작은점봉산, 곰배령, 단목령, 남설악과가장접해있는사시골이해당되는지역이다. 본연구는새로편입된점봉산일대를현지조사를통하여곤충의자연자원을파악하고설악산국립공원의일부가될점봉산의보전대책및관리에대한기초정보를제공하고자한다. 국립공원연구원 149

166 8. 육상곤충 ( 주간 ) 나. 조사방법 1) 조사지선정가 ) 곤충류조사지역 새로편입된점봉산의격자는총 6개격자 (105, 111, 112, 113, 117, 121, 그림 8-1) 로조사의접근성과용이성을판단하여총 3지점으로나누어 2012년 4월부터 8월까지현지조사를실시하였다 ( 표 8-1). 그림 8-1. 새로편입된점봉산일대 표 8-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조사지역조사격자 ~ ~ ~ ~ ~ 전조사구역사전조사 St. 1: 곰배령일대 St. 2: 단목령일대 St. 1: 곰배령일대 St. 3: 사시골일대 St. 1: 곰배령일대 St. 3: 사시골일대 St. 1: 곰배령일대 St. 3: 사시골일대 105, 111, 112, 113, 117, 121 St. 1: 111, 112, 117, 121 St. 2: 113 St. 1: 111, 112, 117, 121 St. 3: 105 St. 1: 111, 112, 117, 121 St. 3: 105 St. 1: 111, 112, 117, 121 St. 3: 105 국립공원연구원 150

16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방법가 ) 현지조사방법 조사방법은직접조사법과함정트랩 (Pit-fall Trap), 말레이즈트랩 (Malaise Trap) 을이용한조사법을사용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직접조사법은포충망을이용한쓸어잡기 (Sweeping) 및털어잡기 (Beating), 채어잡기, 미소서식처검색법 (Searching), 사진촬영등을중심으로해당지역의종의유무를확인하고자하였다. 함정트랩 (Pit-fall Trap) 을이용한조사법은지표성곤충의조사를위해실시하였으며, 환경에민감하고뒷날개가퇴화되어지표성곤충으로세계적으로보고되고있는딱정벌레과곤충을특히조사하기위해실시하였으며사용된트랩은플라스틱컵 ( 높이 : 100mm, 직경 : 70mm) 을사용하였으며 bait로는당밀 ( 포화흑설탕70%, 알코올20%, 초산10%) 을사용하였다. 트랩수는조사환경를판단하면서결정하였으며평균격자당 50개약 300개가량을사용하였다 ( 그림 8-2a). 본조사기간은계방산과함께소요해야함으로짧은시간에환경의패턴과대부분국립공원조사에서세밀히조사되지않은딱정벌레과곤충을조사하는것이시간대비결과를나타내기좋은부분이라많은시간이소요되어도함정트랩법을선호하였다. 말레이즈트랩 (Malaise Trap) 은비행성곤충의조사를위해설치하였으며, 가장적절한곳에 1개를설치하였으며 ( 경도 위도 , 고도 878m), 유인제는부동액을이용하였다 ( 그림 8-2b). 필요에따라야간등화채집 (Light trap) 는 3회실시하였다. 나 ) 종의동정및군집분석본조사는새롭게편입된지역의자연자원조사가최우선목적으로따로군집분석은실시하지않았으며, 새로편입된지역의곤충의개괄적인현황을살펴보기위해시행하고자하였다. 채집된시료는실험실내로이동하여분류및동정을시행하였다. 분류군의동정을위해서는문교부도감곤충시리즈, 한국경제곤충시리즈, 한국곤충생태도감시리즈등과세부분류군의논문들을활용하였으며, 이들을통해동정이힘든경우는국내의해당분류군전문가에게동정을의뢰하여목록을작성하였다. 단지동정에아주많은시간이소요되고검토해야하는분류군은본목록에서제외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51

168 8. 육상곤충 ( 주간 ) a. 트랩 (Pit-fall Trap) b. 말레이즈트랩 (Malaise Trap) 그림 8-2. 조사방법 다. 결과및고찰 1) 전체곤충상 본현지조사를통하여새롭게편입된점봉산일대의곤충은총 12목 75과 296종, 1,608개체가조사되었다. 현지조사결과나타난분류군별출현한종현황은딱정벌레목이 178종 (60.1%), 노린재목 43종 (5.1%), 파리목 33종 (11.1%), 나비목 15종 (5.1%), 매미목 14종 (4.7%), 잠자리목 3종 (1.0%), 밑들이목, 집게벌레목, 벌목, 사마귀목각 2종 (0.7%), 날도래목, 풀잠자리목각 1종 (0.3%) 의점유율을나타내었다. 개체수역시트랩조사와말레이트랩조사의결과로딱정벌레목과파리목의개체수비율이높았다. 확인된 12목중딱정벌레목과노린재목, 파리목이전체곤충의 85.7% 를차지하는주요분류군으로나타났다 ( 표 8-2, 그림 8-3, 4). 본연구결과에서동정에시일이소요되는미소분류군과벌목의분류군의동정결과가누락되어있어비교적주요곤충분류군에해당되는딱정벌레목, 노린재목, 파리목위주의결과가나타났다. 과거점봉산일대만조사한문헌은보고된바가없으며설악산국립공원조사데이터는비교하기무리라고판단되며본조사지역은새롭게편입된지역의취지에맞게본현지조사결과만을분석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52

16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8-2. 점봉산일대에서확인된곤충상현황 Orders 목명종수종수비율개체수개체수비율 Trichoptera 날도래목 1 0.3% 1 0.1% Coleoptera 딱정벌레목 % % Mecoptera 밑들이목 2 0.7% 4 0.2% Lepidoptera 나비목 % % Hemiptera 노린재목 % % Homoptera 매미목 % % Mantodea 사마귀목 2 0.7% 3 0.2% Hymenoptera 벌목 2 0.7% 4 0.2% Dermaptera 집게벌레목 2 0.7% 3 0.2% Neuroptera 풀잠자리목 1 0.3% 6 0.4% Odonata 잠자리목 3 1.0% 5 0.3% Diptera 파리목 % % Total % 1, % 2) 조사지역별곤충상 지역별결과는새롭게편입된지역의격자를대상으로조사의접근성과용이성으로세지점으로구분하여출현현황을확인하였다. St. 1는점봉산과곰배령일대로격자 111, 112, 117, 121 해당된다. St. 2는단목령일대로격자 113에해당되며, St. 3은사시골일대로격자 105에해당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53

170 8. 육상곤충 ( 주간 ) 그림 8-3. 현지조사출현한분류군별종수비율 그림 8-4. 현지조사출현한분류군별개체수비율 St. 1는점봉산과곰배령일대는총 10목 57과 193종 1,181개체가조사되었고, St. 2 는단목령일대는 1목 5과 10종 65개체수가조사되었으며, St. 3은사시골일대는 11 목 53과 141종 362개체가조사되었다 ( 표 8-3). St. 1에서는딱정벌레목이 132종 1016개체, 파리목 28종 53개체, 노린재목 14종 68 개체, 나비목 9종 23개체, 매미목 5종 12개체날도래목, 밑들이목, 집게벌레목, 풀잠자리목, 잠자리목은각 1종이조사되었으며, St. 2는딱정벌레목만이 10종 65개체조사되었다. St. 3은딱정벌레목 75종 216개체, 노린재목 33종 86개체, 매미목 10종 19개체, 파리목, 나비목 6종, 밑들이목, 사마귀목, 벌목, 집게벌레목, 잠자리목이각 2종출현하였으며풀잠자리목이 1종출현하였다 ( 표 8-4, 그림 8-5, 6)). 본조사에서 St. 2의결과가매우낮았는데이는단목령일대가접근이용이하지않고트랩결과많은결과물이나오지않아계방산과함께조사해야하는문제와짧은조사기간을효율적으로이용하기위해다른두지점에집중하고본조사지역은 1회조사만실시한결과라고할수있겠다. 표 8-3. 전체지점별종수및개체수현황 지점 목 과 종수 개체수 개체수비율 St % St % St % Total % 국립공원연구원 154

17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8-4. 조사지점별출현한분류군별종수및개체수현황 Orders 목명 St. 1 St. 2 St. 3 Total 종수개체수종수개체수종수개체수종수개체수 Trichoptera 날도래목 Coleoptera 딱정벌레목 Mecoptera 밑들이목 Lepidoptera 나비목 Hemiptera 노린재목 Homoptera 매미목 Mantodea 사마귀목 Hymenopter a 벌목 Dermaptera 집게벌레목 Neuroptera 풀잠자리목 Odonata 잠자리목 Diptera 파리목 국립공원연구원 155

172 8. 육상곤충 ( 주간 ) 그림 8-5. 지점별출현분류군종수비율 그림 8-6. 지점별출현분류군개체수비율 3) 조사지역별딱정벌레과곤충상 본조사는계방산과함께동시에조사가실시되어짧은시간에좋은결과나환경판단을위해시간적소모가많으나가장효율적인방법이라판단한함정트랩법및여러조사방법을이용해조사된분류군중포식성이면비교적뒷날개가퇴화된분류군이딱정벌레과곤충을대상으로분석을실시하였다. 본현지조사결과를종합하면딱정벌레과만총 48종 554개체가조사되었다. 각지점별출현한딱정벌레과는 St. 1는점봉산과곰배령일대는 45종 455개체가조사되었고, St. 2는단목령일대는 6종 57 개체, St. 3은사시골일대는 9종 42개체가조사되었다. 가장많은종수와개체수가조사된 St. 1에서는다른지점에서출현하지않은종들이많이출현하였으며특히현재신아종후보이면서멸종위기종의아종인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을비롯하여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가조사되었으며, 또한신아종후보인애기맵시딱정벌레 ssp.1(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이조사되었다. 이들은모두대부분높은고도를선호하는종들로지리적격리현상으로세계적으로많은아종을가지고있는분류군이다. 과거설악산국립공원에서도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constricticollis constricticollis Kraatz) 가 2010년보고되어있으나원아종이라기보다재검토해야할것으로판단되며, 일본학자 Imura and Kezuka(1992) 이과거우리나라에서딱정벌레류를채집하여보고한문헌에윤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constricticollis yooni) 가기록되어있다. 조롱박딱정벌레류는 10종이보고되어있으나우리나라에는 2종 ( 태백산, 설악산, 지리산 ) 만서식하고나머지는북한에서식하는것으로보고되었으며, 멋조롱박딱정벌레의경우도 7종이보고된가운데우리나라에서는 4종 ( 태백산, 덕유산, 소백산, 오대산, 지리산, 일월산 ) 이분포하고있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또한애기맵시 국립공원연구원 156

17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딱정벌레 ssp.1(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도 8종이보고되어있으나우리나라에는 2종 ( 오대산, 태백산 ) 만보고되어있다 ( 박, 2004). 이들종들은대부분북방계열이고백두대간라인에분포한다그러나설악산국립공원종목록및 Imura and Kezuka(1992) 의보고에서도멋조롱박딱정벌레류에대한보고는없다. 본현지조사에처음으로점봉산에서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3개체와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1개체, 애기맵시딱정벌레 ssp.1(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24개체가조사되었다. 이는앞으로점봉산곰배령일대에이들의서식처보호및관리방안에대한연구를실시해야할것이다.. 또한안정된산림생태계에서지표곤충으로세계적으로보고되고있는 (Riley and Browne, 2011; Molnar et al., 2001; Langor and Spence, 2006; Oates et al.,2005; Pearce and Venier, 2006; Pearsall, 2007) 길쭉먼지벌레속 (Pterostichus) 종들도본지점에서만 6 종 46개체가조사되었다. 2010년설악산국립공원조사에서도이속은목록에있지않으며본종들은함정트랩법과야간에후레쉬를들고다니면서서식지조사를해야함으로채집의시간적소요와특히동정에어려움이있어대부분의조사에서많은누락되어있는속이다. 수도길쭉먼지벌레과이사길쭉먼지벌레는일반적으로관찰할수있으나가슴길쭉먼지벌레나드물며청암길쭉먼지벌레도이사길쭉먼지벌레나수도길쭉먼지벌레에비해많은개체수가조사되지않는종이다. 특히이속의 1종은신종후보로후보위의종들과함께세밀히검토해야하는종이다. 이외에도세지점모두에서국외반출승인종으로등록된강원우리딱정벌레가, St. 1, 2에서는중두꺼비딱정벌레가, St. 1에서는청진민줄딱정벌레가조사되었다. 전체출현한종으로각지점별유사도를분석하였을때조사횟수가적은 St. 2가다르게나타났으나 ( 그림 8-7) 비교적함정트랩에의한방법으로대부분의종이조사된딱정벌레과만을분석하였을때는많은종들이출현한 St. 1이 St. 2, 3과달리단독으로나타났으며이는출현한종을분석하여도 St. 1 지점이점봉산, 곰배령으로천상의화원, 원시림이라는애칭에걸맞게안정된산림생태계에비율이높아지는종들로구성된것으로확인할수있다 ( 그림 8-8). 국립공원연구원 157

174 8. 육상곤충 ( 주간 ) St. 1 St. 2 St. 3 St St St 그림 8-7. 전체출현한종에대한지점별유사도 St. 1 St. 2 St. 3 St St St 그림 8-8. 전체출현한딱정벌레과에대한지점별유사도 국립공원연구원 158

17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4) 법정보호종및특이곤충가 ) 멸종위기종 본조사기간동안확인된법정보호종은환경부지정멸종위기 II급동물에해당하는종은확인되지않았다. 단지멸종위종 II급에등록된멋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 가있으나이는멋조롱딱정벌레모든아종이포함되어야하는것이적합한것으로판단되나등록된종으로만판단하면해당종은없으나본현지조사결과조사된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그림 8-9) 은매우중요한의의를가진다고할수있겠다. 그림 8-9. 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및서식처 나 ) 고유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특정곤충환경부에서 2005년출간한한국고유생물종도감에의한고유종은집게벌레목북방집게벌레, 고마로브집게벌레, 딱정벌레목한국반날개 3종이조사되었으며, 표본또는생체가해외로반출될시승인을득해야하는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환경부고시제 호 ) 은나비목에왕오색나비, 딱정벌레목에보라금풍뎅이, 사슴벌레, 강원우리 국립공원연구원 159

176 8. 육상곤충 ( 주간 ) 딱정벌레, 중두꺼비딱정벌레, 청진민줄딱정벌레, 눈큰산병대벌레 7종이조사되었다. 변 (2011) 에의해기후변화취약산림곤충선발을위한자료분석및모니터링전략수립에서남방계 284종, 북방계 463종이기후변화취약산림곤충으로선발되었다. 이중본조사에서북방계기후변화취약산림곤충 463종중에서나비목중국황세줄, 딱정벌레목강원우리딱정벌레, 압록가슴먼지벌레, 중두꺼비딱정벌레, 청암길쭉딱정벌레, 노랑테병대벌레, 긴알락꽃하늘소, 깨다시수염하늘소, 원통하늘소, 톱하늘소파리목에참꽃등에 11종이조사되었다.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본연구는설악산국립공원에새롭게편입된지역인점봉산일대를조사하는것으로과거점봉산만을대상으로조사된곤충상의보고는없다. 설악산국립공원의내용을선행연구결과라하긴부적합하여본현지조사결과만을작성하였다. 이후지속적인자연자원조사나모니터링사업의본내용이선행연구결과가될것이다. 참고문헌 Hayashi, M., K. Morimoto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4. Hoikusha Pub. 438pp. Imura, Y., H. Kezuka, Carabid Beetles of Southern Park of the Korean Peninsula. MUSHI-SHA Pub. 49pp. Kurosawa, Y., S. Hisamatsu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3. Hoikusha Pub. 500pp. Langor, D., J. Spence, Arthropods as ecological indicaters of sustanability in Canadian forests. The forestry chronicle. 82(3): Molnar, T., T. Magura, B. Tothmeresz, Z. Elek, Ground beetles (Carabidae) and edge effect in oak-hornbeam forest and grassland transects. Eur. J. Soil. Biol. 37: Oates, R.K., D.M. Pavuk, F.F.Purrington, K.A.With, M.L.Bergolc, K.H.Bechstein, L.H. Williams Carabi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divisity in Firest Fragments of Northwestern Ohio. American Entomologist. 51(4): Pearsall, A., Carabid Beetles as Ecological Indicators.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Biological conservation" conference, 2-4 November. p 국립공원연구원 160

17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Pearce, J.L., L. Venier, The us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nd spiders (Araneae) as bioindicators of sustanable forest mangement: A REVIEW. Ecological Indicators. 6: Riley, K.N., R.A. Browne, Changes in ground beetles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age structured forests (Coleoptera, Carabidae). ZooKeys. 147: 권용정, 서상재, 금정애, 한국경제곤충 18. 노린재목 (Hemiptera). 농업과학기술원. 512pp. 권용정, 허은엽, 한국경제곤충 19. 매미목 (Hemiptera). 농업과학기술원. 460pp. 김성수, Evgeny A. Beljaev, 한국경제곤충 8. 자나방과, 가지나방아과- 나비目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34pp. 김진일,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지리산국립공원- 내무부. 1993: 81-85, 김진일, 한국경제곤충 4. 풍뎅이상과 ( 上 )-딱정벌레목(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49pp. 김진일, 한국경제곤충 10. 딱정벌레目 ( 풍뎅이상과 ( 하 )). 농업과학기술원. 197pp. 박종균, 백종철, 한국경제곤충 12. 딱정벌레과,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69pp. 박종균, 한국의딱정벌레아과. 농업과학기술원, 한국경제곤충 pp. 변봉규, 기후변화취약산림곤충선발을위한자료분석및모니터링전략수립. 국립수목원. 204pp. 우건석, 신현경, 한국경제곤충 5. 관총채벌레과총채벌레목 (Thysan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06pp. 이종욱, 류성만, 전영태, 정종철, 한국경제곤충 2. 잎벌과-벌목 (Hymen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22pp. 이종은, 안승락, 잎벌레과, 딱정벌目 (Coleoptera), 한국경제곤충 14. 농업과학기술원. 229pp. 조영복, 안기정, 반날개상과 (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 한국경제곤충 11, 167 pp. 조영복, 안기정, 한국경제곤충 11.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67pp.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서울, 1994: 744pp. 한호연, 최득수, 한국경제곤충 15. 꽃등에과, 파리목 (Diptera). 농업과학기술원. 223pp. 홍기정, 박상욱, 우건석, 한국경제곤충 13. 바구미상과 ( 소바구미과, 주둥이거위벌레과, 거위벌레과, 침봉바구미과, 창주둥이바구미과, 왕바구미과 ),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80pp. 국립공원연구원 161

178

179 육상곤충 ( 야간 ) 9 조사위원 변봉규 ( 한남대학교 ) 보조원 노승진 신영민

180

18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금번조사지역은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중최근에국립공원으로편입된지역이었으며이들에대한세부적인사항은다음과같다. 점봉산 (1,424m) 은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보며설악산국립공원중남쪽지역의중심이되는곳이다. 북동쪽에대청봉 (1,708m) 이있고, 북서쪽에가리봉 (1,519m), 남서쪽에가칠봉 (1,165m) 등이솟아있다. 점봉산일대에펼쳐진원시림에는갖가지다양한식물을비롯하여여러종류의산나물이자생한다. 점봉산식생의주를이루는수종은신갈나무를비롯하여당단풍, 까치박달, 피나무및고로쇠나무가주종을이루고있었으며, 이지역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 854종으로비교적풍부한식생을보이고금강초롱등 35종의우리나라특산식물이분포하는것으로보고된바있다 ( 이등, 1991). 특히한반도자생식물의남 북방한계선이맞닿는곳으로서한반도자생종중 800여종의식물이자라고있다. 금번조사지역의인근에서의곤충에대한보고는 점봉산일대의하계나비목곤충상 ( 신, 1983) 과인근 가칠봉의하계곤충상조사 ( 김등, 1981) 가있었고이후박과변 (1993) 이 1992년 6월과 8월에본조사지역일대에서곤충류를채집조사한결과로 27과 246종의나비목곤충을보고한바있다. 박과변 (1993) 에의한이지역의곤충조사보고중에서야간곤충류에해당되는나방류의경우 21과 239종이포함되어있다. 다만, 이중 2종의오기재된종을제외하면실질적으로 21과 237종으로확인되었다. 금번조사에서문헌조사목록중에는인근지역의조사결과인신 (1982) 과김등 (1981) 의목록은포함시키지않았다. 다만박과변 (1993) 의조사는주로점봉산의남쪽면인진동계곡과귀둔리일대의조사결과로서이번조사지역과대부분일치하여문헌조사목록에포함하였다. 본조사는국립공원연구원의 2012년점봉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중야간곤충을대상으로수행되었으며과거의연구를종합하여목록을작성하고현지조사를통하여곤충의변화를비교하여점봉산의보전대책및관리에대한기초정보를제공하고자한다. 나. 재료및방법 가 ) 문헌조사 문헌조사는국내에출판된학술지등을우선적으로검색하였으며, 점봉산곤충상에 국립공원연구원 165

182 9. 육상곤충 ( 야간 ) 관한연구를진행하는기관의보고서를검색하였다. 나 ) 현지조사금번점봉산자연자원조사기간은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로문헌조사와현지채집조사그리고분류동정및종합분석을하였다. 현지사전조사및채집조사는 4월부터 8 월동안에 5회에걸쳐계절별로진행되었다. 상세조사지점및기간은표 9-1과같다. 현지채집조사는설악산국립공원신규편입지인점봉산의곰배령일대와사시골일대를중심으로조사하였다. 조사지역 ( 격자 ) 은곰배령일대의경우조사격자 111, 112, 113, 121 등을중심으로유아등을이용한채집조사를실시하였다. 또한사시골일대의경우야간곤충상을잘반영할수있는조사지점 ( 격자 ) 을 1개소 (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의 105지점 ) 선정하여야간채집조사를실시하였다. 충실한조사결과를위해야간채집장비인유아등이외에도포충망을이용한보고잡기법도병행실시하였다. 본조사는지점간차이또는개체의현존량을분석하기위해시행하지않았으며, 설악산국립공원의점봉산지역곤충의개괄적인현황을살펴보기위해시행하고자하였다. 채집된시료는실험실내로이동하여분류및동정을시행하였다. 분류군의동정을위해서는문교부도감 ( 곤충분야 ), 한국경제곤충지 ( 농촌진흥청 ), 한국곤충대도감 (2012) 등과세부분류군별로그동안연구보고된논문들을활용하였다. 또한분류동정이까다로운종들의경우관련분류군의전문가에게동정자문을받았다. 분류동정된종목록은국립공원연구원에서제공한목록을기준으로작성하였다. 표 년도점봉산일대의야간곤충상조사일정 조사기간조사지역조사격자비고 곰배령일대 111, 112, 113, 121 사전조사 곰배령일대 112 유아등채집조사 사시골일대 사시골일대 사시골일대 105 국립공원연구원 166

18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9-1. 점봉산지역조사장면 : A, 진동계곡 ; B, 버킷식유아등에채집된나방 ; C, 버킷식유아등조사장면 ; D, 채집된표본의정리. 그림 9-2.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조사격자 국립공원연구원 167

184 9. 육상곤충 ( 야간 ) 다. 결과및고찰 가 ) 전체곤충상 금번조사기간은총 4월에서 8월에이루어졌으며총 5회에걸쳐 11일간야행성곤충을대상으로집중적인채집조사를실시하였다. 본조사는문헌조사와현지채집을통해곤충상을파악한결과총 369종 ( 문헌 + 채집 ) 이조사되었다. 이중문헌조사에서는 237종이조사되었으며 ( 박과변, 1993), 금번의채집조사에서는총 187종 888개체가채집조사되었다. 각각채집일정별로는 5월곰배령일대에서는 58종 171개체가조사되었고, 6월과 7 월에는각각 42종 106개체와 59종 207개체가채집되었으며 8월조사에서는 77종 404 개체가채집조사되었다. 표 년점봉산에서채집조사된야간곤충류의월별종및개체수 조사일정 문헌 5월 6월 7월 8월 계 종수 개체수 표 9-3. 점봉산일대에서채집조사된야간곤충현황 조사항목 문헌조사 금번조사 (2012년) 분류군 종수 종수 개체수 가는잎말이나방과 1 갈고리나방과 2 27 굴벌레나방과 2 누에나방과 독나방과 명나방과 박각시과 반달누에나방과 1 2 밤나방과 불나방과 뾰족날개나방과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 심식나방과 1 쐐기나방과 알락나방과 얼룩나방과 1 왕물결나방과 국립공원연구원 168

18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왕갈고리나방과 잎말이나방과 자나방과 재주나방과 집나방과 2 계 그림 9-3. 현지조사된곤충의과별출현종수 금번에채집조사된야간곤충을분류군별로정리한결과밤나방과가 51종 420개체로가장많이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자나방과와명나방과가각각 48종 206개체와 20종 94개체로많은종및개체수가출현하였다. 이어서재주나방과 (13종 21개체 ), 박각시과 (12종 23개체 ), 불나방과 (10종 39개체 )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이외에독나방과, 쐐기나방과, 잎말이나방과등이소수채집되었다. 나 ) 지역별곤충상 지역별결과는설악산국립공원신규편입지에해당하는점봉산지역에서점봉산일대와사시골일대로구분하여출현현황을확인하였다. 지역별종수와개체수현황비교결과곰배령일대에서는 12과 58종 171개체가, 사시골일대에서는 17과 145종 717 국립공원연구원 169

186 9. 육상곤충 ( 야간 ) 개체로각각채집조사되었다. 사시골조사에서는곰배령일대에서관찰되지않은산누에나방과와솔나방과등이채집조사되어보다다양한분류군을확인할수있었다. 곰배령일대에서는자나방과와밤나방과가주로채집되었으며이외에다른분류군은소수채집되었다. 또한사시골일대는밤나방과가가장많이채집조사되었으며자나방과와명나방과및불나방과와박각시과등의순으로나타났다. 표 9-4. 점봉산일대에서채집조사된조사지역별야간곤충현황 분류군 조사지역 곰배령 사시골 종수개체수종수개체수 갈고리나방과 누에나방과 독나방과 명나방과 박각시과 반달누에나방과 1 2 밤나방과 불나방과 뾰족날개나방과 산누에나방과 2 4 솔나방과 5 9 쐐기나방과 5 6 알락나방과 2 2 왕갈고리나방과 왕물결나방과 1 2 잎말이나방과 4 7 자나방과 재주나방과 계 국립공원연구원 170

18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9-4. 현지조사된곤충의지역별분류군출현현황비교 다 ) 법정보호종및특이곤충 (1) 멸종위기종본조사기간동안확인된야간곤충류중멸종위기종에해당되는종은확인되지않았으며과거문헌에기록된자료에서도멸종위기곤충은보고된바없는것으로나타났다. (2) 고유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금번조사에서우리나라고유종 ( 환경부, 2005) 으로확인것은노랑띠들명나방 1종으로문헌조사와 6월채집조사에서 8개체가확인되었다. 또한금번조사지역에서확인된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환경부고시제 호 ) 은총 12종으로누에나방과 (2종), 명나방과 (3종), 반달누에나방과 (1종), 밤나방과 (1종), 산누에나방과 (3종), 자나방과 (1종), 왕물결나방과 (1종) 가확인되었다 ( 표 9-5). 국립공원연구원 171

188 9. 육상곤충 ( 야간 ) 표 9-5. 점봉산지역의한국고유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현황 과명종명개체수비고 Bombycidae 누에나방과 Bombyx shini Park&Sohn 3(Jun.)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물결멧누에나방 Oberthueria caeca Oberthür 1(May)*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흰눈물명나방 Nymphula bifurcalis Wileman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Pyralidae 명나방과 노랑띠들명나방 Piletocera luteosignata Park 8(May)* 고유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흰날개큰집명나방 Teliphasa albifusa (Hampson) 1(Jul.) 국외반출승인대상종 Endomidae 반달누에나방과 반달누에나방 Mirina christophi Staudinger 2(May) 국외반출승인대상종 Noctuidae 밤나방과 노랑날개버짐나방 Xanthomantis cornelia (Staudinger) 1(May) 국외반출승인대상종 긴꼬리산누에나방 Actias artemis (Butler et Grey) 1(Jul.) 국외반출승인대상종 Saturniidae 산누에나방과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Actias gnoma (Butler)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참나무산누에나방 Antheraea yamamai (Guérin-Méneville) 1(Jul.), 2(Aug.) 국외반출승인대상종 Brahmaeidae 왕물결나방과 산왕물결나방 Brahmaea tancrei (Austaut)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Geometridae 자나방과 빗살무늬푸른자나방 Iotaphora admirabilis (Oberthür) 1(Aug.) 국외반출승인대상종 계 12 종 도표내의개체수중 * 는문헌기록임 국립공원연구원 172

18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년점봉산에서조사된주요야간곤충류 : A. Catocala dula Bremer 우점종 ; B. Duliophyle agitata (Butler) 우점종 ; C. Hydrillodes morosa (Buter) 우점종 ; D. Nordstromia japonica (Moore) 우점종 ; E. Antheraea yamamai (Guérin-Méneville) 국외반출승인종 ; F. Bombyx shini Park & Sohn 국외반출승인종 ; G. Mirina christophi Staudinger 국외반출승인종 ; H. Oberthueria caeca Oberthür 국외반출승인종 ; I. Piletocera luteosignata Park 국외반출승인종 ; J. Xanthomantis cornelia (Staudinger) 국외반출승인종 국립공원연구원 173

190 9. 육상곤충 ( 야간 )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기존에점봉산지역에서조사된야간곤충의경우박과변 (1993) 이당해지역의곤충상조사를통해야간곤충인나방류를 21과 237종으로보고한바있다. 이와같은기존의연구된문헌조사결과와금번에실시한현지조사결과를종합하여비교한것은표 9-6과같다. 표 9-6.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곤충상의선행연구결과와의비교 분류군 구분 문헌곰배령사시골미확인추가전체 종수개체수종수개체수종수종수개체수종수 가는잎말이나방과 갈고리나방과 굴벌레나방과 누에나방과 독나방과 명나방과 박각시과 반달누에나방과 밤나방과 불나방과 뾰족날개나방과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 심식나방과 쐐기나방과 알락나방과 얼룩나방과 왕갈고리나방과 왕물결나방과 잎말이나방과 자나방과 재주나방과 집나방과 계 국립공원연구원 174

19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본연구에서는기존문헌기록의오타, 오기재, 학명오류, 동종이명, 중복기재등의종목록이이중적으로기록되는요인들을최대한정리하여종합적인문헌목록을작성하였고, 당해년도현지조사결과를추가하여최종목록을작성하였다. 그결과본조사이전까지확인된문헌조사결과는총 21과 237종으로나타났다. 이목록에서본조사기간동안확인되지않은종은 182종이었으며, 문헌목록외에금번채집조사에서 132종이새롭게추가되었다. 이모든결과를종합하여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의야간곤충은총 23과 369종으로정리되었다. 문헌조사를통해확인된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에서기록되어있는종중에서금번조사기간동안확인하지못한종은표 9-7과같다. 표 9-7. 문헌에기록된종중에서금번에미확인된종현황 일련번호 학명 국명 1 Eupoecilia ambiguella (Hübner) 버찌가는잎말이나방 2 Cossus vicarius Walker 굴벌레나방 3 Zeuzera multistrigata Moore 알락굴벌레나방 4 Bombyx mandarina (Moore) 멧누에나방 5 Calliterata sp. 6 Euproatis sp. 7 Lymantria dispar (Linnaeus) 매미나방 8 Acrobasis pseudodichromella (Yamanaka) 반원알락명나방 9 Analthes maculalis (Leech) 제비날개들명나방 10 Anartula sp. 11 Assara sp. 12 Calamotropha nigripunctella (Leech) 쌍무늬포충나방 13 Calguia defiguralis Walker 통마디알락명나방 14 Cataprosopus monstrosus Butler 갈매기부채명나방 15 Ceroprepes ophthalmicella (Christoph) 뱀줄알락명나방 16 Ceroprepes sp. Close to nigrolineatella Shibuya 17 Chilo suppressalis (Walker) 이화명나방 18 Chrysoteuchia atrosignata (Zeller) 얼룩포충나방 19 Crambus sp. 20 Datanoides fasciata Butler 왕빗수염줄명나방 21 Datanoides sp. 22 Diasemiopsis sp. 23 Endotricha sp. 24 Eurrhypara lancealis (Denis et Schiffermüller) 제주노랑들명나방 25 Evergestis junctalis (Warren) 금무늬들명나방 26 Flavocrambus striatellus (Leech) 검은줄포충나방 27 Glyphodes quadrimaculalis (Bremer et Grey) 큰각시들명나방 28 Goniorhynchus clausalis (Christoph) 깃노랑들명나방 29 Herpetogramma moderatalis (Christoph) 줄얼룩들명나방 국립공원연구원 175

192 9. 육상곤충 ( 야간 ) 30 Herpetogramma sp. 31 Mabra charonialis (Walker) 세점노랑들명나방 32 Maruca vitrata (Fabricius) 콩명나방 33 Neopediasia mixtalis (Walker) 깨다시포충나방 34 Nephopterix bicolorella Leech 줄노랑알락명나방 35 Nymphula bifurcalis Wileman 흰눈물명나방 36 Nymphula sp. 37 Oncocera semirubella (Scopoli) 앞붉은명나방 38 Ostrinia furnacalis (Guenée) 조명나방 39 Pareromene sp. 40 Phycitodes sp. Close to subcretacellus (Ragonot) 41 Platytes ornatella (Leech) 흰무늬포충나방 42 Pleuroptya harutai (Inoue) 장미색들명나방 43 Pleuroptya quadrimaculalis (Kollar) 네눈들명나방 44 Pleuroptya ruralis (Scopoli) 콩잎말이명나방 45 Pleuroptya sp.1 46 Pleuroptya sp.2 47 Selagia argyrella (Denis et Schiffermüller) 뒷노랑알락명나방 48 Sitochroa verticalis (Linnaeus) 사탕무우들명나방 49 Termioptycha inimica (Butler) 검스레집명나방 50 Termioptycha nigrescens (Warren) 흰무늬집명나방붙이 51 Trebania flavifrontalis (Leech) 붉은머리비단명나방 52 Acosmeryx sp. 53 Ambulyx sericeipennis tobii (Inoue) 아시아갈고리박각시 54 Sphinx morio arestus (Jordan) 솔박각시 55 Acontia bicolora Leech 노랑무늬꼬마밤나방 56 Agrotis ipsilon (Hüfnagel) 검거세미밤나방 57 Anacronicta caliginea (Butler) 버짐나방 58 Anadevidia hebetata (Butler) 분홍금무늬나방 59 Belciades niveola (Motschulsky) 푸른저녁나방 60 Bertula spacoalis (Walker) 흰띠쌍수염나방 61 Blasticorhinus ussuriensis (Bremer) 우수리밤나방 62 Calyptra thalictri (Borkhausen) 갈고리밤나방 63 Catocala praegnax Walker 들노랑뒷날개나방 64 Chrysorithrum amatum (Bremer et Grey) 사랑밤나방 65 Cucullia fraudatrix Eversmann 먹줄곱추밤나방 66 Cymatophoropsis trimaculata (Bremer) 세무늬저녁나방 67 Earias sp. 68 Edessena sp. 69 Erythroplusia rutilifrons (Walker) 꼬마은무늬밤나방 70 Evonima mandschuriana (Oberthür) 사과혹나방 71 Heliothis sp. 72 Herminia sp. 73 Herminia sp.1 74 Hyperstrotia flavipuncta (Leech) 검은두줄꼬마밤나방 75 Leucapamea askoldis (Oberthür) 흰무늬박이밤나방 76 Lygephila maxima (Bremer) 큰목검은밤나방 77 Lygephila recta (Bremer) 목검은밤나방 78 Maliattha bella (Staudinger) 양끝무늬꼬마밤나방 국립공원연구원 176

19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79 Mamestra brassicae (Linnaeus) 도둑나방 80 Melanchra sp. 81 Mythimna divergens Butler 긴쌍띠밤나방 82 Nacna malachitis (Oberthür) 각시푸른저녁나방 83 Naranga aenescens Moore 벼애나방 84 Nolathripa lactaria (Graeser) 흰껍질밤나방 85 Ochropleura plecta (Linnaeus) 앞노랑뒷흰밤나방 86 Pangrapta lunulata (Sterz) 별박이짤름나방 87 Pangrapta sp. 88 Pseudeustrotia candidula (Denis & Schiffermüller) 여뀌꼬마밤나방 89 Rivula sp. 90 Spodoptera sp. 91 Zanclognatha tarsipennalis (Treitschke) 꼬마혹수염나방 92 Herminia arenosa Butler 세줄무늬수염나방 93 Aglaeomorpha histrio (Walker) 흰무늬왕불나방 94 Agylla collitoides (Butler) 앞노랑검은불나방 95 Agylla gigantea (Oberthür) 앞선두리불나방 96 Bizone alba Moore 어리홍줄불나방 97 Chionarctia nivea (Ménétriès) 흰제비불나방 98 Eilema griseola (Hübner) 노랑테불나방 99 Eilema sp. 100 Lithosia quadra (Linnaeus) 넉점박이불나방 101 Miltochrista pulchera Butler 알락주홍불나방 102 Spilarctia luteum (Hüfnagel) 외줄점불나방 103 Spilosoma lubricipeda (Linnaeus) 배점무늬불나방 104 Stigmatophora flava (Bremer et Grey) 알락노랑불나방 105 Habrosyne pyritoides (Hüfnagel) 흰뾰족날개나방 106 Habrosyne sp. 107 Parapsestis argenteopicta (Oberthür) 점박이뾰족날개나방 108 Tethea consimilis (Warren) 홍백띠뾰족날개나방 109 Actias gnoma (Butler)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110 Cyclophragma undans (Walker) 섭나방 111 Dendrolimus superans (Butler) 솔송나방 112 Euthrix albomaculata (Bremer) 대나방 113 Euthrix laeta (Walker) 별나방 114 Meridarchis excisa (Walsingham) 어깨무늬심식나방 115 Monema flavescens Walker 노랑쐐기나방 116 Pidorus euchromioides (Walker) 꼬마흰띠알락나방 117 Yponomeuta evonymellus (Linnaeus) 벚나무집나방 118 Yponomeuta malinellus Zeller 사과집나방 119 Sarbanissa venusta (Leech) 기생얼룩나방 120 Brahmaea tancrei (Austaut) 산왕물결나방 121 Acleris enitescens (Meyrick) 멍석딸기잎말이나방 122 Acleris takeuchii Razowski et Yasuda 세모무늬잎말이나방 123 Ancylis mandarinana Walsingham 싸리애기잎말이나방 124 Ancylis partitana (Christoph) 신갈애기잎말이나방 125 Archips nigricaudanus (Walsingham) 흰꼬리잎말이나방 126 Archips oporanus (Linnaeus) 솔잎말이나방 127 Clepsis rurinana (Linnaeus) 반백잎말이나방 국립공원연구원 177

194 9. 육상곤충 ( 야간 ) 128 Epiblema foenella (Linnaeus) 흰갈퀴애기잎말이나방 129 Epinotia bicolor (Walsingham) 노랑줄애기잎말이나방 130 Eucosma metzneriana (Treitschke) 쑥애기잎말이나방 131 Eulia ministrana (Linnaeus) 민무늬잎말이나방 132 Lobesia reliquana (Hübner) 은빛날개애기잎말이나방 133 Notocelia rosaecolana (Doubleday) 찔레애기잎말이나방 134 Olethreutes captiosana (Falkovitsh) 왕무늬애기잎말이나방 135 Pandemis corylana (Fabricius) 치악잎말이나방 136 Pandemis dumetana (Treitschke) 자두갈색잎말이나방 137 Pandemis heparana (Denis et Schiffermüller) 갈색잎말이나방 138 Phaecasiophora fernaldana Walsingham 흰다리애기잎말이나방 139 Ptycholoma imitartor (Walsingham) 그물눈잎말이나방 140 Ptycholoma lechneana Linnaeus 감나무잎말이나방 141 Tosirips perpulchranus (Kennel) 뒷날개검정잎말이나방 142 Abraxas niphonibia Wehrli 각시얼룩가지나방 143 Abraxas sp. 144 Abraxas sp Amraica superans (Butler) 노박덩굴가지나방 146 Brabira artemidora (Oberthür) 잔날개물결자나방 147 Carige sp. 148 Comibaena amoenaria (Oberthür) 네점푸른자나방 149 Cusiala stipitaria (Oberthür) 배얼룩가지나방 150 Devenilia corearia (Leech) 흑갈색가지나방 151 Epholca arenosa (Butler) 흰점고운가지나방 152 Erebomorpha fulguraria Walker 흰그물왕가지나방 153 Euchristophia cumulata (Christoph) 날개가지나방 154 Garaeus specularis Moore 점흰노랑가지나방 155 Geometra papilionaria (Linnaeus) 왕흰띠푸른자나방 156 Heterolocha aristonaria (Walker) 뒷분홍가지나방 157 Hypomecis punctinalis (Scopoli) 네눈가지나방 158 Idaea impexa (Butler) 노랑띠애기자나방 159 Laciniodes unistirpis (Butler) 토막무늬물결자나방 160 Leptostegna tenerata Christoph 푸른물결자나방 161 Melanthia procellata (Denis et Schiffermüller) 흰무늬물결자나방 162 Obeidia tigrata (Guenée) 노랑날개무늬가지나방 163 Pareulype taczanowskiaria (Oberthür) 발검은물결자나방 164 Photoscotosia atrostrigata (Bremer) 먹줄물결자나방 165 Phthonandria emaria (Bremer) 토끼눈가지나방 166 Rheumaptera hecate (Butler) 까치물결자나방 167 Scionomia anomala (Butler) 끝노랑흰줄가지나방 168 Scopula superior (Butler) 줄노랑흰애기자나방 169 Semiothisa sp. 170 Taeniophora unio (Oberthür) 세줄흰가지나방 171 Thalera lacerataria Graeser 톱날개푸른자나방 172 Xanthorhoe hortensiaria (Graeser) 두줄물결자나방 173 Ellida branickii (Oberthür) 먹점재주나방 174 Ellida viridimixta (Bremer) 흰무늬재주나방 175 Harpyia umbrosa (Staudinger) 은재주나방 176 Nerica davidi Oberthür 멋장이재주나방 국립공원연구원 178

19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77 Notodonta torva (Hübner) 솔개재주나방 178 Peridea aliena (Staudinger) 옹이재주나방 179 Pheosiopsis cinerea (Butler) 비녀재주나방 180 Ptilodon capucina kuwayamae (Matsumura) 애기린재주나방 181 Ptilodon ladislai (Oberthür) 푸른무늬재주나방 182 Shaka atrovittatus (Bremer) 긴띠재주나방 참고문헌 Park, K. T. & B. K. Byun, Newly Recorded Species of Tortricidae (Lepidoptera) from Korea(III), -Eight Species of the Subfamily Tortricinae-. Korean J. Ent. 19(4) : Park, K. T. & B. K. Byun, Newly Recorded Species of Tortricidae(Lepidoptera) from Korea (IV), -Seven Species of the Subfamily Totricinae-. Korean J. Appl. Ent, 29(2) : Park, K. T. & B. K. Byun Korean Speices of Thyrididae(Lepidoptera). Ins. Koreana, 7: 김성수, Evgeny A. Beljaev, 한국경제곤충 8. 자나방과, 가지나방아과-나비目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34pp. 김창환 남상호, 계방산, 소계방산및가칠봉일대의하계곤충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0: 문교부, 한국동식물도감, 27, 곤충편 (IX). 문교부. 1053pp. 박규택, 민통선북방지역의곤충상조사, 휴전선일대의자연연구 : , 강원대학교. 박규택, 발왕산의곤충상, 한국자연보존협회학술조사보고서. 박규택, 한국경제곤충 1. 불나방과, 독나방과, 솔나방과, 박각시과-나비목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76pp. 박규택, 권영대, 한국경제곤충 7. 누에나방상과, 재주나방과 - 나비목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66pp. 박규택, 권용정, 박종균, 배양섭, 배연재, 변봉규, 이봉우, 이승환, 이종욱, 이종은, 한경덕, 한호연, 2012, 한국곤충대도감. 지오북, 서울. 600pp. 박규택, 주수용 삼악산의곤충상, 강원대학교과학기술연구논문집, 29: 379 국립공원연구원 179

196 9. 육상곤충 ( 야간 ) 398. 박규택, 최하용, 안승락, 소금강일대의곤충상, 소금강학술조사보고서 : , 명주군. 배양섭, 한국경제곤충 9. 명나방상과나비목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51pp. 배양섭, 변봉규, 백문기, 한국산명나방상과도해도감. 국립수목원. 426pp. 석주명, 韓國産蛾類硏究 ( 第 1 報 ); 京博敎誌, 1: 석주명, 韓國産蝶類分布圖. 寶晋齊. 517pp. 신유항, 점봉산일대의하계나비목곤충상에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122: 신유항, 김성수, 원색한국나방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551pp. 井上寬외, 일본산아류도감, I IV, 請談社. 朱弘夏외, 중국아류도감 I, II, III, IV, 과학출판사, 북경.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서울, 1994: 744pp. 국립공원연구원 180

197 진정거미류 10 조사위원 김주필 ( 거미연구소 ) 보조원 김태옥 박연주

198

19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강원도인제군기린면과양양군서면에걸쳐있는산으로높이는 1,424m이다. 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보며점붕산이라고도한다. 설악산국립공원중남설악의중심이되는산으로, 설악산의최고봉인대청봉을오르는시발점이기도하다. 북동쪽에대청봉 (1,708m) 이있고, 북서쪽에가리봉 (1,519m), 남서쪽에가칠봉 (1,165m) 등이솟아있다. 산의동쪽비탈면을흘러내리는물은주전골을이루어오색약수를지나백암천에합류한뒤양양의남대천으로흘러든다. 산자락에 12담계곡 큰고래골 오색약수터 망월사 성국사터등명소가많으며, 오색약수를거쳐오르는주전골은단풍명소로서흰암반위를흐르는계곡물과단풍이어우러져매우아름다운풍경을빚어낸다. 등산로는약수터와온천이있는오색에서시작하고정상에오르면대청봉 가리봉등설악산의영봉과푸른동해가한눈에들어온다. 산일대에펼쳐진원시림에는젓나무가울창하고, 모데미풀등갖가지희귀식물을비롯하여참나물 곰취 곤드레 고비 참취등 10여가지산나물이자생한다. 특히한반도자생식물의남북방한계선이맞닿는곳으로서한반도자생종의 20% 에해당하는 8백 54종의식물이자라고있어유네스코에서생물권보존구역으로지정하기도하였다. 화강암으로구성된북측과서측의산사면은경사도급하고험준한데비해편마암지대인남측사면이다소완만한지형적특징을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0.7 이고연평균강수량은 1,169.7mm이다. 지질은주로편마암류와화강암류로되어있고, 이에소규모의산성암맥들이관입되어있다. 편마암류는본지역의남측을그리고화강암류는북측과서측의일부를차지하고있다. 산성암맥은주로유문암과암영반암등이며, 점봉산과망대암산사이에그리고단목령북측에발달되어있다. 백악기에관입된것으로보이는산성암맥은그폭이보통수m에이르나점봉산북측샘터에서폭이 10 여m로측정되는것이존재하기도한다. 이들의방향은북동방향이우세하다. 설악산 ~ 점봉산권역은빼어난자연경관으로보전가치가커서 1982년에유네스코의인간과생물권계획 (Man and Bioshere Project) 에의하여남한에서처음으로생물권보전지역으로지정된지역이다. 점봉산은 2003~2005년까지자연휴식년제로출입이금지되었고, 2006년부터는비법정등산로로출입이금지되어있다. 2002년도에는산림청이선정한한국의 100대명산으로지정되었다. 한국산거미의지역에대한거미상연구는 1972년남궁준, 백문하, 윤주경의지리산의거미에서 21과 135종 ( 종명미상 6종포함 ) 을발표하면서이중 16종이한국미기록종이었다. 그후 1973년남궁준, 백남극은춘천지방의거미에서 23과 76속 129종을발표하면서곰꼬마거미 1종 (Crustulina sp.), 골목왕거미 (Araneus sclopetarius), 삼각무늬 국립공원연구원 183

200 10. 진정거미류 왕거미 (Araneus selniiunaris), 머리왕거미 (Chorizopes nipponicus), 주황염라거미 (Zelotes rusticus) 의 5종의미기록종을기재하였다. 1980년남궁준은조령일대의거미상에서 31과 120속 232종을수록하였고이중 6 종은한국미기록종이었다. 1982년남궁준, 백남극은울진부근지역의거미상에서 23과 78속 135종을보고하며민꽃게거미를한국미기록종으로발표하였다. 1999년이영보, 김주필은경기도여주지역거미군집구조에관한연구뿐만아니라월동기경기지역논거미의군집생태에관한연구, 양평지역거미군집구조에관한연구, 2011년김주필, 장근찬이군산지역의거미상에서 10종 18속 27종을, 2012년김주필, 노광래, 김남윤, 박도현, 윤태영, 정병민, 최장헌, 허중원, 채준호는지리산의거미상에서 17과 36속 53종을연구발표하였다. 본점봉산의거미상연구는민간인이접근할수없는태고의자연이살아있는원시림으로국립공원의거미상조사에중요한자료가될것이다. 나. 조사지역및채집방법 이도의동부지역은우리나라등마루산줄기인태백산맥이영동지역과영서지역을가르면서남북으로뻗어내리고, 서쪽에는북동 남서방향으로아호비령산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이뻗으면서점차낮아지고있다. 여기에는금강산 ( 金剛山, 1,638m) 을비롯하여까치봉 (1,042m) 황룡산 (1,268m) 오성산 ( 五聖山, 1,062m) 명의덕산 (1,585m) 등이솟아있고, 온정령 (857m) 철령 ( 鐵嶺, 685m) 마식령 ( 馬息嶺, 788m) 아호비령 ( 阿虎飛嶺, 641m) 추가령 ( 楸哥嶺, 509m) 등의고개들이놓여있다. 태백산맥의동쪽사면은급하고단층애면이놓여있고, 동해연안저지대에는안변평야와고성 통천평야가펼쳐져있다. 영서북부고원지대는분지와계곡및감입사행곡지들에의하여복잡한지형을이루고있다. 마식령산맥과광주산맥사이에는길이약 200km의추가령지구대가놓여있고, 남쪽에는넓고평탄한평강 철원고원을이루고있다. 하천은태백산맥을분수령으로동해쪽으로는전탄강 ( 箭灘江 ) 안변남대천 광교천 ( 廣橋川 ) 남강등이있고, 대체로하천길이가짧고유량이적으며유속이빠르다. 서해쪽으로는임진강 북한강과그지류인금강천 한탄강 고미탄천 ( 古味呑川 ) 등이흐르고있으며, 하천길이가길고유속이빠르다. 조사지역은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부근과곰배령일대의점봉산부근으로북위 동경 부근으로계곡을따라활엽수가발달해있고산채등특용작물의재배가활발한지역이다. 국립공원연구원 184

20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Inje-gun] [Jindong-ri] 채집방법은주로육안 (Looking up and looking down), 낙엽층 (Litter laver) 그리고돌무더기 (Pile the stones), Sweeping, Pit fall trap등을이용하였다. 다. 결과및고찰 채집되어동정된거미들은과 (Family) 명의진화분류순서로배열하였고각종 (Species) 의분류학적위치와학명은한국거미目 (Kim & Kim 2010) 을따랐으며 N.I Platnick(2012) 에의한최근의동종이명 (Synonymy) 처리결과에의해부분적으로수정하였다. 조사표본은주필거미박물관에소장되어있다. Systemic Accounts Family Pholcidae C. L. Koch, 1851 유령거미과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유령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185

202 10. 진정거미류 Pholcus crassus Paik 1978 부채유령거미 Genus Spermophora Hentz, 1841 육눈이유령거미속 Spermophora spp. Family Liocranidae Simon, 1897 밭고랑거미과 Genus Agroeca Westring, 1861 밭고랑거미속 Agroeca coreana Namkung, 1989 밭고랑거미 Family Gnaphosidae Pocock, 1898 수리거미과 Genus Gnaphosa Latreille, 1804 넓적니거미속 Gnaphosa kompirensis Bösenberg & Strand, 1906 넓적니거미 Genus Zelotes Gistel, 1848 염라거미속 Zelotes asiaticus Bosenberg & Strand, 1906 아시아염라거미 Family Clubionidae Wagner, 1887 염낭거미과 Genus Clubiona Latreille, 1804 염낭거미속 Clubiona japonicola Bösenberg et Strand 1706, 노랑염낭거미 Clubiona pseudogermanica Schenkel, 1936 강동염낭거미 Family Thomisidae Sundevall, 1833 게거미과 Genus Diaea Thorell, 1870 각시꽃게거미속 Diaea subdola O. P. -Cambridge, 1885 각시꽃게거미 Genus Ebrechtella Dahl, 1907 꽃게거미속 Ebrechtella tricuspidatus (Fabricius 1775) 꽃게거미 국립공원연구원 186

20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Genus Oxytate L. Loch, 1878 연두게거미속 Oxytate parallela (Simon 1880) 중국연두게거미 Oxytate striatipes L. Koch 1878 줄연두게거미 Genus Thomisus Walcknaer, 1805 살받이게거미속 Thomisus onustus Walckenaer, 1805 흰살받이게거미 Genus Xysticus C. L. Koch, 1835 참게거미속 Xysticus croceus Fox, 1937 풀게거미 Xysticus ephippiatus Simon 1880 대륙게거미 Xysticus hedini Schenkel, 1936 쌍창게거미 Xysticus kurilensis Strand, 1907 북방게거미 Xysticus saganus Bösenberg et Strand 1906 멍게거미 Family Philodromidae Thorell, 1870 새우게거미과 Genus Philodromus Walchnaer, 1826 새우게거미속 Philodromus cespitum (Walckenaer 1802) 흰새우게거미 Genus Thanatus C. L. Koch, 1837 창게거미속 Thanatus coreanus Paik 1979 한국창게거미 Thanatus miniaceus Simon 1880 중국창게거미 Thanatus nipponicus Yaginuma 1969 일본창게거미 Family Ctenidae Keyserling, 1877 너구리거미과 Genus Anahita Karsch, 1879 너구리거미속 Anihita fauna Karsch, 1879 너구리거미 amily Pisauridae Simon, 1890 닷거미과 국립공원연구원 187

204 10. 진정거미류 Genus Dolomedes Latreille, 1804 닷거미속 Dolomedes sulfureus L. Koch, 1877 황닷거미 Dolomedes raptor Bösenberg et Strand, 1906 먹닷거미 Genus Pisaura Simon, 1885 서성거미속 Pisaura ancora Paik, 1969 닷표늪서성거미 Pisaura lama Bösenberg et Strand, 1906 아기늪서성거미 Family Lycosidae Sundevall, 1833 늑대거미과 Genus Pardosa C. L. Koch, 1847 긴마디늑대거미속 Pardosa astrigera L. Koch, 1878 별늑대거미 Pardosa hedini Schenkel, 1936 중국늑대거미 Pardosa herbosa Jo & Paik, 1984 풀늑대거미 Pardosa laura Karsch, 1879 가시늑대거미 Genus Trochosa C. L. Koch, 1847 곤봉표늑대거미속 Trochosa ruricola (De Geer 1778) 촌티늑대거미 Family Oxyopidae Thorell, 1870 스라소니거미과 Genus Oxyopes Latreille, 1804 스라소니거미속 Oxyopes licenti Schenkel, 1953 아기스라소니거미 Family Sparassidae Bertkau, 1872 농발거미과 Genus Sinopoda Jäger, 1999 거북이등거미속 Sinopoda stellatatops Jäger et Ono, 2002 별거북이등거미 Family Agelenidae C. L. Koch, 1937 가게거미과 국립공원연구원 188

20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Genus Agelena Walckenaer, 1805 풀거미속 Agelena choi Paik, 1965 복풀거미 Agelena byrinthica Clerck, 1757 대륙풀거미 Genus Allagelena Zhang, Zhu & Song, 2006 타래풀거미속 Allagelena opulenta L. Koch 1878 애풀거미 Genus Coelotes Blackwall, 1841 어리가게거미속 Coelotes samaksanensis (Namkung, 2002) 삼악가게거미 Genus Pireneitega L. Koch, 1878 깔대기거미속 Pireneitega spinivulvus (Simon, 1880) 한국깔대기거미 Family Cybaeidae Banks, 1892 굴뚝거미과 Genus Cybaeus L. Koch, 1868 굴뚝거미속 Cybaeus longus Paik, 1966 왕굴뚝거미 Family Araneidae Dahl, 1912 왕거미과 Genus Areneus Clerck, 1757 왕거미속 Araneus ishisawai Kishida, 1928 부석왕거미 Araneus tsuno Yaginuma, 1972 뿔왕거미 Araneus uyemurai Yaginuma, 1960 탐라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L. Koch, 1878) 산왕거미 Genus Larinioides Caporiacco, 1934 기생왕거미속 Larinioides cornutus (Clerck 1757) 기생왕거미 Larinioides sclopetarius (Clerck 1757) 골목왕거미 국립공원연구원 189

206 10. 진정거미류 Genus Neoscona Simon, 1864 어리왕거미속 Neoscona multiplicans (Chamberlin 1924) 아기지이어리왕거미 Neoscona scylla (Karsch 1879) 지이어리왕거미 Family Linyphiidae, Blackwall, 1859 접시거미과 Genus Neriene Blackwall, 접시거미속 Neriene emphana (Walckenaer 1841) 대륙접시거미 Family Theridiidae Sundevall, 1833 꼬마거미과 Genus Achaearanea Strand, 1929 말꼬마거미속 Achaearanea tepidariorum (C. L. Koch 1841) 말꼬마거미 Genus Ariamnes Thorell, 1869 꼬리거미속 Ariamnes cylindrogaster (Simon 1888) 꼬리거미 Genus Moneta O. P. -Cambridge, 1870 긴마름모거미속 Moneta caudifer (Donitz et Strand 1906) 긴마름모거미 Genus Theridon Walckenaer, 1805 꼬마거미속 Theridion pinastri L. Koch, 1872 등줄꼬마거미 Family Tetragnathidae Menge, 1866 갈거미과 Genus Leucauge White, 1841 백금거미속 Leucauge blanda (L. Koch 1878) 중백금거미 Leucauge celebesiana (Walckenaer 1841) 꼬마백금거미 Leucauge magnifica Yaginuma, 1954 왕백금거미 Genus Meta C. L. Koch, 1836 시내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190

20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Meta manchurica Marusik et Koponen, 1992 만주굴시내거미 Genus Metleucauge Levi, 1980 무늬시내거미속 Metleucauge yunohamensis (Bosenberg et Strand 1906) 안경무늬시내거미 Genus Tetragnatha Latreille, 1804 갈거미속 Tetragnatha extensa (Linnaeus 1758) 큰배갈거미 Tetragnatha maxillosa Thorell, 1895 민갈거미 Tetragnatha pinicola L. Koch, 1870 백금갈거미 Tetragnatha praedonia L. Koch, 1878 장수갈거미 Tetragnatha squamata Karsch, 1879 비늘갈거미 Tetragnatha vermiformis Emerton, 1884 논갈거미 Tetragnatha yesoensis Saito, 1934 북방갈거미 Family Genus Species 라. 결론 종동정이이루어진개체들을대상으로수를비교하여우점종을조사한결과갈거미과가 18.7% 로가장많고이어게거미과 (15.6%), 왕거미과 (12.5%), 늑대거미과, 가게거미과 (7.8%) 순으로많이나타났는데이는다른곳의거미상과확연한차이를보인다. 이번거미상조사는점봉산일대에서처음실시된것으로지속적인연구를통하여한반도거미상자료를마련함에동시에국립공원내의자원조사에중요한자료가될것으로보인다.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191

208 10. 진정거미류 김주필, 유정선, 김병우 : 원색한국거미도감 (2002, 아카데미 ) 남궁준 : 한국의거미 (2001, 교학사 ) 1972, 남궁준, 백운하, 윤주경 : 지리산의거미. 고려대. 곤충연구소 1973, 남궁준, 백남극 : 춘천지방의거미. 고려대. 곤충연구소 1975, 남궁준, 윤일 : 감악산의거미. 고려대. 곤충연구소 1976, 남궁준, 윤경일 : 치악산의거미상. 한국응용곤충학회 1980, 남궁준 : 조령일대의거미상. 고려대. 곤충연구소 1981, 남궁준, 윤경일 : 설악산의거미상.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남궁준, 백남극 : 울진부근지역의거미상. 고려대. 곤충연구소 1985, 김주필 : 운길산의거미상. Korean Arachnol. 1986, 김주필, 유재홍 : " 속리산의거미상. Korean Arachnol. 1996, 김주필 : " 예봉산의거미상. 한국토양동물학회지. 1(2) 1998, 김주필, 정종우 : 서울남산의지표층의거미상. Korean Arachnology. 14(2): , 이영보, 김주필 : 경기도여주지역거미군집구조에관한연구 -스위핑조사법을중심으로-. Korean Arachnol. 15(2): , 김주필 : 월동기경기지역논거미의군집생태에관한연구. Korean Arachnol. 15(2) : , 김주필 : 경기양평지역의거미군집구조에관한연구 -유기농법지중심으로- Korean Arachnol. 15(2): , 이영보, 김주필 : 경기도여주지역거미군집구조에관한연구Ⅱ -벼포기예취법을중심으로-. Korean Arachnol. 15(2): , 김주필, 장근찬 : 군산의거미상. Korean Arachnol. 27(2): 211~ , 김주필, 노광래, 김남윤, 박도현, 윤태영, 정병민, 최장헌, 허중원, 채준호 : 지리산의거미상. Korean Arachnol. 28(1) 국립공원연구원 192

209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1 조사위원 박정호 ( 강원대학교 ) 보조원 변진수 이연호

210

21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일반적으로담수생태계란하천과소규모산간계류등과같은유수생태계와호수나연못과같이일부정체된정수생태계의통합적인하천생태계의미를지니고있다 (Allan, 1995; Hynes, 1970). 이러한하천생태계는외부대기환경과단절된상태의특수한성격을가지고있으며이러한다양한주변수환경의영향을계내에서연속적, 지속적으로수용하고있어매우복잡한생태계이다. 또한하천생태계는유로를따라수환경요인이시간의추이에따라연속적으로변하는특성을지니고있으며이러한장소에따라각기다른형태의적응을가지고있는생물의종류및그행동특성은매우다양하다 (Allan, 1995; Cummins, 1962; Vannote et al., 1980). 특히이러한먹이사슬을구성하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많은분류군가운데특히수서곤충류는하천생물중에서가장다양하고많은개체수를가지고있는개체군이며또한수생태계내에서대부분저차단계의소비자로서하천및계류의먹이사슬에매우중요한역할을하기도한다 (Hynes, 1970; Ward, 1992). 이러한수서곤충류는일반적으로생활사의전부또는그일부를수중에서생활하는곤충류를총칭하여말하는것이며, 곤충강의모든종들가운데약3% 정도가수중생활사를거치는것으로알려져있다 (Daly, 1984; Kawai, T. 1985). 이들수서곤충은원래일반적인육상곤충과같이육상생활을하던곤충류가 2차적으로다시수중생활을하게된것으로생활방법이변화된환경에알맞게적응된것들이대부분이며 (McCafferty, 1981; Merritt, 1984), 해양에서생활하는몇종을제외하고는모두하천이나호수등담수역에서생활한다 ( 윤, 1988). 근래에와서국내에서도김등 (1974) 에의한분류및생태적연구를시작으로, 수서곤충의분류군및군집구조그리고기능적인연구가많이시행되고있으나장기적이고종합적인조사는이루어지지않고있는실정이다. 특히수서곤충의다양한생활적응과같은생태형은거의군집수준에서이루어지고있으며 ( 윤, 1979; 윤등, 1992), 수서곤충의생활사또는여러환경요인에대한종특이성과같은기초적자료는거의이루어지지않고있는상태이다. 본연구는 2012년점봉 계방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의일환으로점봉산내전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대한지역별기초자료및시기별변화양상을파악하여계류생태계특성을밝히고이러한국립공원내에서의종다양성증진과보호를위한합리적이고적극적인대책을세우는데그목적을두었다. 국립공원연구원 195

212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나. 조사방법 1) 조사시기 조사시기는겨울인결빙기를제외하고각계절별로수행하였다. 구체적인각계절별조사시기는다음과같다. 봄조사 : 2012년 4월 23일 ~ 4월 27일여름조사 : 2012년 7월 23일 ~ 7월 31일가을조사 : 2012년 10월 13일 ~ 10월 17일 2) 조사지점 조사지점은강원도인제군기린면에위치하며격자별 2개지점이있는경우는격자 중수계가없는지점의특성을최대한반영할수있는지점을인접격자에서선정하 였기때문으로조사지점은다음과같다 ( 그림 11-1). 지점 1 - 격자 112( 강원도인제군기린면 ) 지점 2 - 격자 112( 강원도인제군기린면 ) 지점 3 - 격자 113( 강원도인제군기린면 ) 지점 4 - 격자 121( 강원도인제군기린면 ) 지점 5 - 격자 121( 강원도인제군기린면 ) 3) 정량및정성조사 저서생물의채집은지점별로 Modified D-frame deep net(mesh size: 500μm), Surber net(30 30cm, mesh size:500μm) 등을사용하여채취한후지름 100μ체를이용하여정량시료를얻었고, Hand-net, Hard bottom scraper, Aquatic Zo-net 등을사용하여얻어진시료들을정성시료로삼았다. 그리고채집된재료중동정하기가어려운미소개체등은채집직후바로 Kahle s 용액으로고정한뒤, 실험실로이동후한국동식물도감수서곤충편 ( 윤, 1988), 동물편-새우류, 동물편-연체동물 ( 권, 1990), 권등 (1993), 수서곤충검색도설 ( 윤, 1995), Kawai(1985, 2004), Merritt and Cummins(1984, 1996) 등에준하여해부현미경 40, 80 또는광학현미경하에서분류한후 80% Alcohol 혹은 Glycerol-acetone에영구액침표본하여보관하였으며, 기타육안확인된종들은다시서식처에방사하였다 ( 그림 11-2). 국립공원연구원 196

21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조사지점. 그림 산간계류에서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조사모습. 국립공원연구원 197

214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 군집분석 우점종은동일지역에서출현한개체수의비율을고려하여선정하였으며, 우점도지수는 Naughton's dominance index(di) 의방법에의하여산출하였다 (McNaughton, et al. 1970). 종다양도는 Shannon - Wiener Function(H') (Shannon & Wiener, 1949) 을따랐고균등도는 Pielou(1966), 종풍부도는 Margaref(1958) 의계산에따랐다 (Ludwig et al. 1988). 1 종목록작성및서식처분석 (Inventory and habitat analysis) 본조사지역에서채집및확인된주요종들의목록을작성하고천연기념물, 법적보호종, 희소종등이출현한지점을분석하여서식처의특이성을조사하고, 서식처와조사대상지와의상호관계를분석한다. 2 생물다양도분석 (Biodiversity analysis) 종다양성은종의이질성 (Species heterogeneity) 이라고도하며, 높은종다양도는같거나거의같은종들이매우풍부하게있을경우를말한다. 한편종다양도는군집의안정도에대한척도가되기도하며, 군집의성숙도를나타낸다. 여러가지종이다양하게나타나는것은종간의상호작용이다양하기때문이며, 그결과 Energy의이동, 먹이얼개 (Food web), 포식관계 (Relationship of predator), 경쟁 (Competition), 생태적지위분배 (Ecological niche) 등을포함한개체군의상호작용이이론적으로복잡하게나타남을의미한다. 그래서종의목록과서식지의상호관계를규명한후개체수준에서정량적인분석을생태측정으로하여여타의분류군과의상호관계를규명하게된다. 생물학적표본추출법에의한생태측정 (Ecological measurement) 모집단과군집을기술하는중요측정값으로는밀도 (Density), 우점도 (Dominance), 상대밀도 (Relative density), 종다양도 (Biodiversity) 등이있으며, 이들측정값으로다른중요한생태측정을하게된다. 우점도 (Dominance Index : D. I) 환경의변화가악화될수록특정종의우세가나타나므로, 어떤우점종이군집에서가지는상대적인비를산출한다면환경의변화에대한명료한지표로서이용될수있다는관점에서도출된지수이다. 각조사지점별로개체수현존량에의하여우점도를산출한다 (McNaughton, 1970). DI = ni/n DI : 우점도지수, N : 총개체수, ni : 제 i 번째종의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198

21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다양도 (Biodiversity Index : H') Margalef(1968) 의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에의하여유도된 Shannon-Weaver function(pielou, 1966) 을사용하여산출한다. 이는동물군집의종풍부도와개체수의상대적균형성을뜻하는것으로군집의복잡성을나타낸다. H'= - Pi (Ln/Pi) H' : 다양도, S : 전체종수 Pi : i 번째에속하는개체수의비율 (ni/n) 으로계산 (N : 군집내의전체개체수, ni : 각종의개체수 ) 균등도 (Evenness Index : E') 균등도는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제치의비로서표현된다. 각다양도지수는군집내모든종의개체수가동일할때최대가되므로결국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내는것으로 Pielou(1975) 의식을사용하여산출한다. E' = H'/ LN(S) E' : 균등도, H' : 다양도, S : 전체종수 풍부도 (Richness Index : R') 종풍부도지수는총개체수와총종수만을가지고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로서, 지수값이높을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고있다. 본조사에서는대표적인지수인 Margalef(1958) 의지수를사용하여산출한다. R'= (S-1)/LN(N) R' : 풍부도, S : 전체종수, N : 총개체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ESB) 각조사수역의환경질의평가와생태환경관리기준의판정을위하여 ESB를이용분석하였다. ESB = (Si Qi) Kong(1997)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 Qi: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 ) Si: Species frequency to I environmental quality(i 환경질에대한출현종합 ) 환경질및오수생물계열에대한 ESB의환경질및평가는표 11-1을기초로한다. 개별종의환경질등급 ( 환경질 score 4 : very clean, 환경질 score 3 : clean, 환경질 국립공원연구원 199

216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score 2 : polluted, 환경질 score 1 : very polluted) 표 환경질및오수생물계열평가표 환경질의평가 오수생물계열의평가 ESB 환경상태지역구분수질등급 ESB 오수생물계열 81 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양호 우선보호수역 다소양호 보호수역 다소불량 개선수역 I 51 이상빈부수성 II β - 중부수성 불량우선개선수역 III 9-20 α - 중부수성 12 이하매우불량최우선개선수역 IV-V 8 이하강부수성 한국생물오수지수 (KSI) 환경부수생태건강성평가에서제시된바있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생물평가기법인한국오수생물지수 (KSI) 를이용하여각지점의수서생태계건강성을알아보았다. KSI= n Si Ai Gi i =1 n Ai Gi i =1 KSI i n s i A i G i 한국오수생물지수 (korean saprobic index) 지정된지표생물군의일련번호 (number assigned to the taxon) 출현한지표생물군의총수 (number of taxa) i 지표생물군의오탁계급치 (saprobic value of the ith taxon) i 지표생물군의출현개체수 (abundance index of the ith taxon) i 지표생물군의지표가중치 (welghting factor of the ith taxon) 국립공원연구원 200

21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생물등급의판정 생물등급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환경상태 표현색 A 0.0~ 1.0 최적 파랑 B 1.0~ 2.4 양호 초록 C 2.4~ 3.6 보통 노랑 D 3.6~ 5.0 악화 빨강 다. 결과및고찰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본 2012년조사에서점봉산일대 5개지점을대상으로조사한결과총 4문 5강 13 목 37과 95종 9,767개체의서식분포가확인되었다 ( 표 11-1 및부록참조 ). 각분류군별로살펴보면편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2종, 유선형동물문이 1강 1목 1 과 1종, 환형동물문이 1강 2목 2과 2종그리고절지동물문이 2강 9목 33과 90종으로나타났으며, 환경부에서지정한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및 II급에해당되는보호종은확인되지않았다. 반면한국고유종은 7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6종이확인되었다. 각조사시기별로알아보면, 봄조사에서는총 79종 4,296개체가확인되었으며, 여름조사에서는총 52종 3,711개체로우화및강우로인한영향으로인해봄시기에비하여종수및개체수가감소하였다. 가을조사에서는총 28종 1,759개체가확인되어종수및개체수가회복되는경향을보여주지는못하였다. 이는여름시기의장마직전까지최대의종분포를위한저서생물전략특성이지속적으로나타나고있는결과로판단된다. 또한금년가을시기의잦은태풍에의한급격한수환경변화로인하여종수의회복이미처이루어지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표 11-1 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목록 종명 / 국명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japonica Ichikawz and Kawakatsu 플라나리아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산골플라나리아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비고 청수역지표종 국립공원연구원 201

218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Gordius aquaticus Linnaeus 연가시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Hemiclepsis sp. 곤봉넙적거머리 sp. Order Arhynchobdellida 턱거머리목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 Erpobdella sp. 돌거머리 sp.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obaegensis (Uéno) 보통옆새우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Ameletus costalis (Matsumura) 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montanus (Imanishi) 멧피라미하루살이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Baetis silvat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Baetis sp. 꼬마하루살이 sp.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민하루살이 Drunella aculea (Allen) 뿔하루살이 Drunella cryptomeria (Imanishi) 알통하루살이 Drunella lepnevae (Tshernova) 쌍혹하루살이 Ephemerella dentata Bajkova 알락하루살이 Ephemerella kozhovi Bajkova 흰등하루살이 Serratella setigera (Bajkova) 범꼬리하루살이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봄처녀하루살이 Ecdyonurus dracon (Kluge) 참납작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sp. 납작하루살이 sp.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Brodsky) 부채하루살이 Epeorus sp. 부채하루살이 sp. Heptagenia kihada (Matsumura) 햇님하루살이 Iron aesculus (Imanishi) 중부채하루살이 청수역지표종 청수역지표종 국립공원연구원 202

21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Iron maculatus (Tshernova) 긴부채하루살이 Rhithrogena na (Imanishi) 산납작하루살이 na Family Isonychiidae 빗자루하루살이과 Isonychia japonica (Ulmer) 빗자루하루살이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Davidius lunatus (Bartenef) 쇠측범잠자리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과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Family Nemouridae Newman 민강도래과 Nemoura tau Zwick 토우민강도래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Nemoura sp. 민강도래 sp.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Amphinemura sp. 총채민강도래 sp. Protonemura sp. 삼새민강도래 sp. Family Capniidae Klapalek 흰배민강도래과 Capnia KUa 흰배민강도래 KUa Family Leuctridae Klapalek 꼬마강도래과 Rhopalopsole mahunkai Zwick 꼬마강도래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뭉퉁강도래 Yoraperla uchidai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Family Perlodidae Klapalek 그물강도래과 Megarcys ochracea Klapalek 그물강도래 Perlodes sp. 점등그물강도래 sp. Stavsolus Kua 그물강도래붙이 KUa Isoperla KUa 줄강도래 KUa Family Perlidae Latreill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진강도래 Kiotina decorata (Zwick) 무늬강도래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Sweltsa nikkoensis (Okamoto) 녹색강도래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Gerris (Gerriselloides) gracilicornis (Horvás) 등빨간소금쟁이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Sialidae 좀뱀잠자리과 Sialis KUa 좀뱀잠자리 KUa 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 국립공원연구원 203

220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Platambus ussuriensis (Nilsson) 산수콩알물방개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Helochares (Hydrobaticus) striatus Sharp 좀물땡땡이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Elmidae sp. 여울벌레 sp.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Tipula KUb 각다귀 KUb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Hexatoma KUc 검정날개각다귀 KUc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imulium) japonicum Matsumura 줄무늬먹파리 Simulium sp.1 먹파리 sp.1 Simulium sp.2 먹파리 sp.2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1 Chironomidae sp.2 깔다구 sp.2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Philorus KUa 멧모기 KUa Bibiocephala KUa 물멧모기 KUa Bibiocephala sp. 물멧모기 sp.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Wormaldia KUa 입술날도래 Kua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Rhyacophila articulata Morton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a Rhyacophila KUb 물날도래 KUb Rhyacophila clemens Tsuda 클레멘스물날도래 Rhyacophila shikotsuensis Iwata 민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검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kuramana Tsuda 계곡물날도래 Rhyacophila narvae Navas 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sp. 물날도래 sp.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 국립공원연구원 204

22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Goera japonica Banks 일본가시날도래 Neophylax ussuriensis Martynov 가시우묵날도래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띠무늬우묵날도래 Hydatophylax sp. 띠무늬우묵날도래 sp.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Goerodes sp.1 네모집날도래 sp.1 Goerodes sp.2 네모집날도래 sp.2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수염치레날도래총 4문 5강 13목 37과 95종 9,767개체 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청수역지표종 2012년조사시확인된각종수에따른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구성비를살펴본결과, 절지동물문이전체의약 94.7% 로서가장큰우위를차지하고있어점봉산국립공원의전반적인수서생태계모습이건강한계류생태계의모습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11-1). 그림 점봉산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종수구성비. 국립공원연구원 205

222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특히절지동물문에서가장다양하게서식분포하는수서곤충류는총 8목 32과 89종으로그중하루살이목 7과 26종, 잠자리목 1과 1종, 강도래목 8과 21종, 노린재목 1 과 1종, 뱀잠자리목 1과 1종, 딱정벌레목 3과 3종, 파리목 4과 13종, 그리고날도래목 7과 23종으로확인되어전수서곤충가운데하루살이류와날도래류가가장많은종수를보여주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 그림 11-2). 그림 년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수서곤충종수. 또한 2012년본조사기간동안점봉산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대상으로개체수에따른구성비를살펴본결과, 절지동물문이약 99.0% 를차지하고있어본수역의전반적인모습이일반적인국내청정한계류생태계의분류군조성과거의비슷하며이러한양상을지속적으로잘유지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 그림 11-3). 국립공원연구원 206

22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개체수구성비. 특히절지동물문가운데가장많은종수및개체수를가지고있는곤충강을살펴보면하루살이목 3,933개체, 잠자리목 11개체, 강도래목 1,185개체, 노린재목 26개체, 뱀잠자리목 4개체, 딱정벌레목 22개체, 파리목 1,178개체그리고날도래목 3,111개체로확인되어종수와마찬가지로전수서곤충가운데하루살이류와날도래류가가장많은개체수를차지하여매우중요한영양단계에위치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 그림 11-4). 국립공원연구원 207

224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그림 년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수서곤충개체수. 2) 군집특성가 ) 종수변화 2012년의계절별출현종수의현존량변화를살펴보면봄시기에는총 79종, 여름에는 52종그리고가을에 28종으로확인되어봄시기에많은종이출현하는전형적인청정한국내계류에서의저서생물패턴과유사하게나타났다.( 그림 11-5). 나 ) 개체수변화 2012년의본조사에서각계절별개체수현존량을살펴보면봄시기에는총 4,296 개체, 여름에는 3,711개체그리고가을시기에 1,759개체로확인되어봄시기에가장많은개체수를보이는일반적인청정한국내계류에서의저서생물패턴과유사한모습을나타내고있었다 ( 그림 11-6). 국립공원연구원 208

22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종수변화.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개체수변화. 국립공원연구원 209

226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다 ) 우점종 2012년전조사수역에서확인된우점종은전반적으로절지동물문곤충강하루살이목의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종이우세를나타내고있었다 ( 표 11-2, 3, 4, 5). 이는대부분청수역선호종들로서계곡생태계에서의이러한우점상황은잘보전된청수역생태계의대표적인모습이며조사수계가건강한수생태계구조를잘유지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표 각조사지점의우점종및우점도지수 ( 봄시기 ) 지점우점종아우점종우점도 1 Psilotreta kisoensis Iwata 수염치레날도래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Simulium sp.1 먹파리 sp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띠무늬우묵날도래 0.54 국립공원연구원 210

22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각조사지점의우점종및우점도지수 ( 여름시기 ) 지점우점종아우점종우점도 1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Nemoura sp. 민강도래 sp.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0.42 표 각조사지점의우점종및우점도지수 ( 가을시기 ) 국립공원연구원 211

228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점우점종아우점종우점도 1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0.52 표 조사수역내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주요우점종생태특성주요우점종생태특성절지동물문하루살이목납작하루살이과 Ecdyonurus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체장 5~6mm 내외로서납작한형태의체형을가지며나뭇잎모양과실모양의기관아가미가있다. 두부앞쪽에흰반점이 2개있어두점하루살이로불리운다. 절지동물문하루살이목납작하루살이과 Epeorus curvatulus 흰부채하루살이 체장 10~14mm 내외로서납작한형태의체형을가지며흰색판모양의기관아가미가달린전체형태가부채모양을띤다. 유속이비교적빠른산간계류나소규모하천에서식하며그보다하류에서식하는부채하루살이와공서하기도한다. 국립공원연구원 212

22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라 ) 한국고유종및국외반출승인대상종 2012년점봉산자원모니터링조사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I급및 II급에해당되는종은확인되지않았으나, 한국고유종은 7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6종이확인되었다 ( 그림 11-9). 각지점별로 3회조사결과를누적하여지점별출현개체수를비교분석하였다 ( 그림 11-7, 8). 1 한국고유종 1. Drunella aculea (Allen) 뿔하루살이 2.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3.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4.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뭉퉁강도래 5.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6.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7.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수염치레날도래 그림 지점별한국고유종누적출현개체수. 2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2.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3.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국립공원연구원 213

230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 5.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뭉퉁강도래 6.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그림 지점별국외반출승인대상종누적출현개체수. 뿔하루살이가는무늬하루살이깜장하루살이 민날개강도래뭉퉁강도래한국강도래 총채민강도래네모집날도래 KUa 수염치레날도래 국립공원연구원 214

23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한국고유종및국외반출승인대상종. 3 특별보호대책필요종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 그림 11-10) 민날개강도래는서식처범위가협소하고특이한서식처를요구하는희소종으로서서식처가인위적인활동에의하여영향을받지않도록보전방안을수립하는것이좋을것으로판단된다. 특히 2012년개정된멸종위기종 II급리스트에후보종으로기재되어있었으나최종결정에서는제외되었다. 그러나멸종위기종에준하는특별보호의필요성이있을것으로판단된다. 민날개강도래는몸길이 25mm 내외로서제10 배마디에는총채모양의아가미술이있으며위협을느꼈을경우아가미술이내부로말려들어간다. 특히유충및성충은해발 500m 이상의높은산에서수온이낮고용존산소가풍부한수역의낙엽과돌무더기가있는소지류에서서식하는등오염되지않은청정성을대변한다. 더불어수량은매우적으나하절기가뭄시에도물이마르지않는곳에서이끼가많은돌의하부에서식하며성충이되어서도날개가없어타지점으로의분산이거의불가능하며서식처의보전이매우필요한종이다. 민날개강도래는오대산에서처음보고되었으며현재까지오대산일대에서만서식하는것으로알려져있었으나금번점봉산자연자원조사에서추가서식처가발견되었다. 국지적분포때문에점봉산에서출현한민날개강도래의경우오대산에서출현한종과다른종일가능성이있으므로그에대한연구는추후면밀히진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 민날개강도래유충 서식처 그림 민날개강도래유충및서식처. 국립공원연구원 215

232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마 ) 군집분석일반적으로다양도및풍부도지수는비슷한경향을나타내며높은값일수록종이풍부하고생태계가다양함을나타내준다. 또한균등도지수는 1에가까울수록종이고르게분포하며군집이다양함을나타내준다. 2012년전조사기간동안점봉산전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동물군집을대상으로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등과같은각종생물학적지수를알아본결과전반적으로대부분의조사지점에서계절에관계없이비교적높은값을지니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1-6, 그림 11-11, 12, 13). 특히다양도지수는일부지점을제외하고대부분 2.0 이상을넘는결과를보여주어본수역에서의저서생물다양성이매우안정적으로유지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균등도지수는 1에가까울수록종이고르게분포하며군집이안정적으로유지되는것을의미하는건강한수서생태계의생물학적다양함을나타내주는것으로서대부분의지점이본 2012년조사시 0.7 이상의높은값을보여주고있었다. 표 각조사지점의군집분석 지점 봄조사여름조사가을조사 다양도균등도풍부도다양도균등도풍부도다양도균등도풍부도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다양도. 국립공원연구원 216

23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균등도.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풍부도. 바 ) EPT 분석 국립공원연구원 217

234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점봉산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중곤충강을대상으로각조사지점별로 EPT그룹의종수및개체수를누적하여비교분석한결과대부분의지점에서전체종수의 75% 이상을차지하였으며전체개체수의 80% 이상을차지하였다. 이는일반적인산간계류보다비교적높은비율을보여주어점봉산수계의건강성이상대적으로양호함을보여주었다 ( 표 11-7, 8, 그림 11-14, 15). 표 지점별 EPT그룹종수 구분 st.1 st.2 st.3 st.4 st.5 합계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기타 표 지점별 EPT 그룹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218

23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구분 st.1 st.2 st.3 st.4 st.5 합계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기타 그림 지점별 EPT 그룹종수구성비. 그림 지점별 EPT 그룹개체수구성비. 사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및한국오수생물지수 국립공원연구원 219

236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점봉산조사수역에서확인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대상으로각조사지점별로 ESB 생태점수를비교한결과봄조사및여름조사시일부조사지점을제외하곤전반적으로 80 이상의높은값을보여주었다 ( 표 11-9, 10, 그림 11-16). 그러나가을조사시그값이상대적으로낮게조사되었다 ( 표 11-11, 그림 11-16). 또한최근환경부수생태건강성평가에서활용되고있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모델지수인 KSI 지수값을적용한결과, 본수역은대부분수환경상태가최적등급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11-12). 표 전체조사지역의생태점수및평가 ( 봄조사 ) 지점 생태점수 환경질평가 오수생물계열의평가 번호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범위 오수생물계열 1 61 양호 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4 98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표 전체조사지역의생태점수및평가 ( 여름조사 ) 지점 생태점수 환경질평가 오수생물계열의평가 번호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범위 오수생물계열 1 75 양호 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2 86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3 95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4 96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5 63 양호 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표 전체조사지역의생태점수및평가 ( 가을조사 ) 국립공원연구원 220

23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지점 생태점수 환경질평가 오수생물계열의평가 번호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범위 오수생물계열 1 47 다소양호 보호수역 II β - 중부수성 2 62 양호 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3 63 양호 우선보호수역 I 51 이상 빈부수성 4 49 다소양호 보호수역 II β - 중부수성 5 46 다소양호 보호수역 II β - 중부수성 그림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계절별생태점수. 표 전체조사지역의계절별한국오수지수및평가 국립공원연구원 221

238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점 봄조사여름조사가을조사 KSI 환경상태 KSI 환경상태 KSI 환경상태 최적 0.12 최적 0.13 최적 최적 0.18 최적 0.15 최적 최적 0.08 최적 0.13 최적 최적 0.10 최적 0.20 최적 최적 0.19 최적 0.17 최적 참고문헌 Allan, J. D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Cummins K.W.,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 Daly, H. V., General classification and key to the orders of aquatic and semiaquatic insects, pp.76~81 in R. W. Merritt and K.W. Cummins (eds.),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Kendall/Hunt, Dubuque, Iowa. Hynes, H. B. N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Liverpool Univ. Press, Liverpool, U. K. Kawai, T. 1985,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 東海大學出版會. Ludwig, J. A., Ludwig, James F. Reynolds,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obuhiko Mizuno & Kyuemon Gose, 1993, 河川の生態學. 築地書館 McCafferty, W. P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Boston. pp McNaughton, S. J. & L. L. Wolf Dominance and the niche in ecological 국립공원연구원 222

23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systems. Science. 167: Merritt, R. W. & K. W. Cummins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2nd. Ed. Kendall/Hunt Publ. Co., Dubuque, Iowa. Merritt, R. W. & K. W. Cummins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Publ. Co. Pielou, E. C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 collections. J. Theor. Biol. 13: Pielou, E. 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Vannote, R. L., G. W. Minshall, K. W. Cummins, J. R. Sedell, and C. E. Cushing "The river continumn concept." Can. J. Fish. Aquat. Sci. 37: Ward, J. V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권오길 한국동식물도감제32권동물편 ( 연체동물Ⅰ). 문교부. 446pp. 김재원, 광릉계류의수서곤충현존량. 한국육수학회지, 1: 박정호, 조규송, 강원도방태천수서곤충군집의생태학적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8: 윤일병, 한강수계의수서곤충군집에관한연구. 고대대학원논문, pp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d.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의한생물학적수질평가 (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e.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의한생물학적수질평가 (II).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0: 윤일병, 배연재, 이현철, 이상조 서울근교왕숙천의유역환경변화에다른수서곤충군집의장기변동. 환경생물학회지. 11(2): 윤일병, 원두희, 이성진 오대산국립공원서북사면일대수계의수서곤충군집. 한국자연보전협회조사연구보고서 38: 윤일병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 수서곤충류 ). 문교부. 윤일병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부록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 봄시기 ) (Indiv./ m2 ) 국립공원연구원 223

240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명 / 국명 st.1 st.2 st.3 st.4 st.5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japonica Ichikawz and Kawakatsu 플라나리아 3.7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산골플라나리아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Gordius aquaticus Linnaeus 연가시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Hemiclepsis sp. 곤봉넙적거머리 sp. 3.7 Order Arhynchobdellida 턱거머리목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 Erpobdella sp. 돌거머리 sp. 3.7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obaegensis (Uéno) 보통옆새우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Ameletus costalis (Matsumura) 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montanus (Imanishi) 멧피라미하루살이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Baetis silvat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Baetis sp. 꼬마하루살이 sp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민하루살이 Drunella aculea (Allen) 뿔하루살이 Drunella lepnevae (Tshernova) 쌍혹하루살이 Ephemerella kozhovi Bajkova 흰등하루살이 14.8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봄처녀하루살이 Ecdyonurus dracon (Kluge) 참납작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sp. 납작하루살이 sp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sp. 부채하루살이 sp Heptagenia kihada (Matsumura) 햇님하루살이 14.8 Iron aesculus (Imanishi) 중부채하루살이 22.2 Iron maculatus (Tshernova) 긴부채하루살이 국립공원연구원 224

24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Rhithrogena na (Imanishi) 산납작하루살이 na 7.4 Family Isonychiidae 빗자루하루살이과 Isonychia japonica (Ulmer) 빗자루하루살이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Davidius lunatus (Bartenef) 쇠측범잠자리 3.7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과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Family Nemouridae Newman 민강도래과 Nemoura tau Zwick 토우민강도래 40.7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14.8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11.1 Nemoura sp. 민강도래 sp. 3.7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25.9 Amphinemura sp. 총채민강도래 sp Protonemura sp. 삼새민강도래 sp Family Capniidae Klapalek 흰배민강도래과 Capnia KUa 흰배민강도래 KUa 3.7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뭉퉁강도래 7.4 Family Perlodidae Klapalek 그물강도래과 Megarcys ochracea Klapalek 그물강도래 Perlodes sp. 점등그물강도래 sp. 7.4 Stavsolus Kua 그물강도래붙이 KUa 3.7 Isoperla KUa 줄강도래 KUa Family Perlidae Latreill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Kiotina decorata (Zwick) 무늬강도래 3.7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Sweltsa nikkoensis (Okamoto) 녹색강도래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Gerris (Gerriselloides) gracilicornis (Horváth) 등빨간소금쟁이 18.5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Sialidae 좀뱀잠자리과 Sialis KUa 좀뱀잠자리 KUa 3.7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Platambus ussuriensis (Nilsson) 산수콩알물방개 3.7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Helochares (Hydrobaticus) striatus Sharp 좀물땡땡이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Elmidae sp. 여울벌레 sp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Tipula KUb 각다귀 KUb 3.7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국립공원연구원 225

242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3.7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imulium) japonicum Matsumura 줄무늬먹파리 Simulium sp.1 먹파리 sp Simulium sp.2 먹파리 sp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Chironomidae sp.2 깔다구 sp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Philorus KUa 멧모기 KUa Bibiocephala KUa 물멧모기 KUa 3.7 Bibiocephala sp. 물멧모기 sp. 7.4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18.5 Rhyacophila articulata Morton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a 18.5 Rhyacophila KUb 물날도래 KUb 25.9 Rhyacophila kuramana Tsuda 계곡물날도래 7.4 Rhyacophila sp. 물날도래 sp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7.4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Neophylax ussuriensis Martynov 가시우묵날도래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띠무늬우묵날도래 Hydatophylax sp. 띠무늬우묵날도래 sp. 3.7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7.4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Goerodes sp.1 네모집날도래 sp Goerodes sp.2 네모집날도래 sp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수염치레날도래 출현종수 개체수 부록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 여름시기 ) (Indiv./ m2 ) 종명 / 국명 st.1 st.2 st.3 st.4 st.5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산골플라나리아 3.7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obaegensis (Uéno) 보통옆새우 국립공원연구원 226

24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Baetis silvat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Drunella cryptomeria (Imanishi) 알통하루살이 29.6 Ephemerella dentata Bajkova 알락하루살이 7.4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3.7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봄처녀하루살이 33.3 Ecdyonurus dracon (Kluge) 참납작하루살이 18.5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Brodsky) 부채하루살이 14.8 Rhithrogena na (Imanishi) 산납작하루살이 na 3.7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18.5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과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Family Nemouridae Newman 민강도래과 Nemoura tau Zwick 토우민강도래 40.7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Nemoura sp. 민강도래 sp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 7.4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3.7 Family Capniidae Klapalek 흰배민강도래과 Capnia KUa 흰배민강도래 KUa 7.4 Family Leuctridae Klapalek 꼬마강도래과 Rhopalopsole mahunkai Zwick 꼬마강도래 3.7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uchidai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Family Perlodidae Klapalek 그물강도래과 Megarcys ochracea Klapalek 그물강도래 7.4 Perlodes sp. 점등그물강도래 sp. 3.7 Isoperla KUa 줄강도래 KUa 3.7 Family Perlidae Latreill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진강도래 7.4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Sweltsa nikkoensis (Okamoto) 녹색강도래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7.4 Hexatoma KUc 검정날개각다귀 KUc 7.4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국립공원연구원 227

244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Simulium sp.1 먹파리 sp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Wormaldia coreana Kumanski 입술날도래 3.7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3.7 Rhyacophila articulata Morton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clemens Tsuda 클레멘스물날도래 7.4 Rhyacophila shikotsuensis Iwata 민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검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sp. 물날도래 sp Rhyacophila sp. 물날도래 sp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Goera japonica Banks 일본가시날도래 3.7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띠무늬우묵날도래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14.8 Goerodes sp. 네모집날도래 sp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수염치레날도래 출현종수 개체수 부록 점봉산조사수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 가을시기 ) (Indiv./ m2 ) 종명 / 국명 st.1 st.2 st.3 st.4 st.5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산골플라나리아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Gordius aquaticus Linnaeus 연가시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obaegensis (Uéno) 보통옆새우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국립공원연구원 228

24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Baetis silvat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Drunella lepnevae (Tshernova) 쌍혹하루살이 Ephemerella dentata Bajkova 알락하루살이 3.7 Ephemerella kozhovi Bajkova 흰등하루살이 11.1 Serratella setigera (Bajkova) 범꼬리하루살이 11.1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Brodsky) 부채하루살이 7.4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Davidius lunatus (Bartenef) 쇠측범잠자리 7.4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과 Scopura laminata Uchida 민날개강도래 Family Nemouridae Newman 민강도래과 Nemoura tau Zwick 토우민강도래 7.4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뭉퉁강도래 3.7 Family Perlidae Latreill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진강도래 3.7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Gerris (Gerriselloides) gracilicornis (Horváth) 등빨간소금쟁이 7.4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다구 sp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Philorus KUa 멧모기 KUa 3.7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Wormaldia coreana Kumanski 입술날도래 3.7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곰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Botosaneanu 수염치레날도래 출현종수 개체수 국립공원연구원 229

246 담수조류 12 조사위원 최재신 ( 경북대학교 ) 보조원 채현식 박정원

247

248 12. 담수조류 가. 서론 담수조류는수계에서광합성을하는 1차생산자로서, 그리고동물플랑크톤이나어류의치어, 저서성어류, 다슬기등의먹이로서수계생태계에서최하위계급을차지하고있다. 따라서수계생태계에서이들의중요성에대해아무리강조해도지나치지않는다. 일부조류는타생물과공생관계를이루고있다. 육상생물중지의류는균류와조류가공생관계를이루며생활하는생물체로서육상생태계의초기천이과정에서매우중요한역할을담당하고있다. 대개지의류가서식하는장소는거치른환경 ( 암벽, 건조한지역 ) 으로, 이들의의해나오는유기물질은다른생물체에매우중요한영양원으로제공된다. 그리고남조류중 Calothrix, Cylindrospernum 등은공기중의질소를고정하는생물질소고정체로서역할도하고있다 (Huchinson 1967). 담수조류중일부는수중의물리화학적인서식환경의변화에따라반응을나타내고넓은생태적적응범위를가지기때문에하천이나호수등의수질의상태를파악하기위해환경지표종으로이용되고있다. 특히부착규조류는외부유입물질에따라빠른반응을나타내기때문에생물학적수질평가의중요한생물로활용되고있다. 생물학적수질평가에서부착규조는천이가짧고, 산처리하여도피각이남아있다는점, 수질의상태에따라분류군을나눌수있다는점등의장점으로인해영국, 일본등지에서생물학적수질평가에이용하고있다. 본조사는점봉산원내수환경에서식하는생물종을파악하여수환경의건강을파악하고, 점봉산자원의효율적인관리체계구축하고자담수조류를조사하였다. 나. 조사방법 1) 조사지선정 점봉산지역의담수조류채집은각지구별로장소를선정하였고, 선정된장소와조사시기는다음과같다 ( 표 12-1). 표 점봉산지역의담수조류의채집일자및장소 채집일자 채집장소 단목령, 용수골, 곰배골 작은원진계곡, 큰원진계곡 용수골 단목령, 용수골, 곰배골, 곰배령 국립공원연구원 232

24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방법가 ) 플랑크톤채집및분석 조사지역은습지, 늪, 같이식물플랑크톤이서식하기에충분한조건이없이식물플랑크톤은조사하지못하였고, 부착규조류조사를집중하였다. 나 ) 부착조류의시료채집과종동점및계수시료는주로수심 10~30cm에있는돌중에서그정점을가장보편적인상태를지니고있는것으로추정되는지름 10~20cm 정도의돌을수개채집하여솔로수면과평행한윗면을긁어서부착조류를채집한후원시료를잘혼합하여사용하였다. 동정과사진촬영을위한시료는 Permanganate method (Hendey, 1974) 에의하여세정한후 Pleurax 로봉입하여영구표본을제작하였으며, Simonsen (1979) 체계에따라분류하였다. 부착규조군집의상대빈도등을구하기위하여임의로선정된현미경하의시야에서 300개이상의피각을계수하였다. 규조류동정은 Krammer와 Lange-Bertalot (1986, 1988, 1991a, 1991b) 의도감을참고하였다. 다 ) 생태군분류및생물학적수질평가부착규조류의생태군분류는 Watanabe (2005) 가제시한방법에따라, 각출현종을동정하여청수성종, 오탁성종및광적응성종으로분류하였고, 각생태종마다 300개이상의피각을계수하여각생태군을상대빈도로나타났다. 호청수성종은깨끗한수역에서출현하는종류이고, 호오탁성종은유기물질의유입이많은곳을선호하는생태군이다. 광적응성종은맑은수역에서오염된수역까지서식하는종류이나, 일반적으로수역이유기물질의오염도가높을수록광적응성종의상대빈도가증가하는경향이있다. 생물학적수질평가는분류된생태군을근거하여 DAIpo(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water pollution) 방법 (Watanabe, 2005) 에따라분석하였다 ( 표 12-2). DAIpo=50+½(A-B) A: 조사지점에서출현한호청수성종의상대빈도의합 B: 조사지점에서출현한호오탁성종의상대빈도의합 그리고 DAIpo, BOD 및오탁계급의상관관계의값은표 12-2 와같다 국립공원연구원 233

250 12. 담수조류 표 DAIpo, BOD 및오탁계급의상관관계 DAIpo BOD 오탁계급 극빈부수성수역 (xenosaprobic) β빈부수성수역 (β-oligosaprobic) α빈부수성수역 (α-oligosaprobic) β중부수성수역 (β-mesosaprobic) α중부수성수역 (α-mesosaprobic) 15-0 >10 강부수성수역 (polysaprobic) 다. 결과및고찰 점봉산지역에서조사된부착규조류는모두 48종류가동정되었으며 Achnanthes 속이 8종류, Navicula 속이 7종류, 그리고 Gomphonema 속이 6종류가출현하였고그외속들은 1 ~ 3 종류씩출현하였다. 1) 출현종수 곰배령지점에서출현한종수는 22종류, 곰배골은 8 ~ 9종류, 용수골은 12 ~ 17종류, 담목령지점은 5 ~ 21종류가출현하였다 ( 표 12-3). 표 각조사지점에서부착규조의목록과상대빈도 (%) 곰배령 곰배골 용수골 단목령 목록 / 장소 Achnanthes atomus Achnanthes clevei 0.2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laterostrata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sp Achnanthes subhudsonis 국립공원연구원 234

25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Amphora pediculus 0.68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silesiaca Cymbella tumida 0.4 Diatoma mesodon Diatoma vulgaris Eunotia minor 0.53 Fragilaria capucina Frustulia vulgaris 0.68 Gomphonema angustum Gomphonema clevei Gomphonema minutum Gomphonema parvulum Gomphonema pumilum Gomphonema truncatum Hannaeaarcus Meridion circulare var.constrictum 0.19 Navicula cincta Navicula cryptocephala 0.34 Navicula decussis Navicula gregaria 0.34 Navicula minima 0.68 Navicula pupula Nitzschia fonticola Reimeria sinuata Rhoicosphenia abbreviata 0.34 Synedra acus 0.24 Synedra ulna 0.4 국립공원연구원 235

252 12. 담수조류 큰원진계곡과작은원진계곡은각각 11 종류, 10 종류가출현하였다 ( 표 12-4). 표 각조사지점에서부착규조류의목록과상대빈도 (%) 큰원진계곡 작은원지계곡 Achnanthes convergens 4.26 Achnanthes lanceolata 6.48 Achnanthes laterostrata Achnanthes sp Achnanthes subhudsoni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silesiaca 0.24 Diatoma mesodon 1.24 Diatoma vulgaris 0.24 Eunotia minor 0.26 Gomphonema clevei 6.24 Gomphonema minutum 3.28 Gomphonema pumilum Hannaea arcus Reimeria sinuata ) 우점종곰배령의우점종은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 상대빈도 33.45%) 이고, 곰배령은 6월이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 상대빈도 76.35%), 11월은 Achnanthes convergens ( 상대빈도 67.7%), 용수골은 6월과 7월이 Achnanthes convergens ( 상대빈도각각 38.01%, 40.24%), 11월은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 상대빈도 39.61%) 였다 ( 표 12-5). 단목령은 6월이 Achnanthes convergens ( 상대빈도 84.47%0, 11월은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 상대빈도 2.4%) 가우점하였고, 큰원진계곡과작은원진계곡은 Achnanthes sp. ( 상대빈도 66.48%, 71.44%) 가우점종으로출현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236

25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각조사지점에서부착규조류의우점종과상대빈도 장소월우점종상대빈도 곰배령 11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곰배골 6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convergens 용수골 7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단목령 6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22.4 큰원진계곡 Achnanthes sp 작은원지계곡 Achnanthes sp ) 생태군분류곰배령에서맑은수역에서식하는호청수성분류군의비율은 62.1%, 곰배골은 ~ 98.93%, 용수골은 ~ 89.36%, 단목령은 94.8 ~ 98.16%, 큰원진계곡은 99.76%, 작은원진계곡은 % 였다 ( 표 12-6). 표 각조사지점에서호청수성종의상대비율 장소곰배령곰배골용수골단목령큰원진월 계곡 작은원진계곡 호청수성분류군 국립공원연구원 237

254 12. 담수조류 4) DAIpo 지수와수질등급곰배령지점의 DAIpo 지수는 81.05였고수질등급은 매우좋음 ~ 좋음, 곰배골은 DAIpo 지수가 ~ 99.47, 수질등급은 6월과 11월모두매우좋음이었다 ( 표 12-7). 용수골은 DAIpo지수가 ~ 94.77, 수질등급은모두매우좋음이었으며, 단목령의 DAIpo지수는 97.4 ~ 99.08, 수질등급은매우좋음, 큰원진계곡의 DAIpo지수는 99.88, 작은원진계곡은 98.23이었고원진계곡은수질등급이모두매우좋음이었다. 표 각조사지점에서 DAIpo 지수와수질등급 장소곰배령곰배골용수골단목령 월 큰원진계곡 작은원진계곡 DAIpo 지수 수질 매우좋음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매우 등급 ~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참고문헌 Hendey, N.I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 Microscopy. 32: Komarek J. and B. Fott, Das Phytoplankton des Sßwassers Systematik und Biologie. Teil., 7. Chlorophyceae (Grunalgen Ordung: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19/1.Cyanoprokaryota 1. Teil: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1. Teil: Naviculaceae(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국립공원연구원 238

25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2. Bacillariophyceae 2. Teil: Bac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a.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3. Bacillariophyceae 3. Teil: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b.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4. Bacillariophyceae 4. Teil: Achnanthaceae. Kritische Ergänzungen zu Navicula (Lineolatae) und Gomphonema(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Simonsen, R The diatom system: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2: Watanabe T. Picture Books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 Rokakuho, Tokyo. 부록 점봉산에서출현한담수조류의총목록종목록 Achnanthes atomus Achnanthes clevei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laterostrata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sp. Achnanthes subhudsonis Amphora pediculus Cocconeis placentula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silesiaca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atoma mesodon Diatoma mexima 국립공원연구원 239

256 12. 담수조류 Diatomavulgaris Eunotia binulnaris Eunotia minor Fragilariac apucina Frustulia vulgaris Gomphonema angustum Gomphonema clevei Gomphonema minutum Gomphonema parvulum Gomphonema pumilum Gomphonema truncatum Hannaea arcus Meridion circulare var. constrictum Navicula cincta Navicula cryptocephala Navicula cryptotenella Navicula decussis Navicula gregaria Navicula minima Navicula pupula Neidion ampliatum Nitzschia dissipata Nitzschia fonticola Ntizschia dissipata Reimeria sinuata Rhoicosphenia abbreviata Stauroneis anceps Synedra acus Synedra inaequalis Synedra ulna Tabellaria flocculosa 국립공원연구원 240

257

258 고등균류 13 조사위원 이종규 ( 강원대학교 ) 보조원 김남규 이진흥

259

260 13. 고등균류 가. 서론 점봉산은정상높이 1,424m이며, 등병산 등붕산 ( 登朋山 ) 이라고도한다. 한계령을중심으로북쪽은설악산이고, 남쪽이점봉산으로설악산국립공원의일부를이루고있다. 주위에는망대암산 ( 望對巖山 :1,236m) 가칠봉 ( 加漆峰 :1,165m) 등이있다. 동쪽사면에서발원하는물이 12담구곡으로불리는주전골을이루며양양남대천으로흘러들고, 서쪽사면에서발원하는물은내린천으로흘러들어소양강을이룬다. 주전골은좌우로갖가지모양의기암괴봉, 울창한수림, 맑은계곡물등이조화를이룬다. 또한 12폭포와입구에오색약수터가있고, 성국사지 ( 城國寺址 ) 양양오색리 3층석탑 ( 보물제497호 ) 등이있다. 한계령에서만물상의모습과주전골입구에서오색약수터에이르는일대의경관이장관이다. 정상부근에주목군락이있고, 곰취군락과얼레지 ( 백합과식물 ) 가많아고산다운면모를보인다. 토종꿀 송이버섯 도토리묵 산나물등이유명하다. 고등균류는대부분담자균류와자낭균류에서발생하며, 그종류및서식환경또한다양하다. 특히산림에서병원균으로살아있는수목에피해를주는기생균의역할을하는종류도있지만대부분의균류는낙엽이나목재등식물체의분해자로물질순환에중요한역할을하고또한고등식물과공생관계를유지하며수목의생장에필요한각종영양물질을공급함으로써산림생태계순환에필수적인공생균도있다. 본조사는신규로국립공원에편입된점봉산지역내고등균류의생물지리적분포와분류학적특징을규명하고종다양성및시기별변화를알아봄으로써계방산국립공원의고등균류자원현황에대한기초자료를확보하고체계적인공원관리보전대책과효율적인관리체계구축에기여하고자한다. 또한기존의연구자료와비교 검토함으로써우리나라의균류상연구와국내고유종발굴에기여하고자한다. 나. 조사방법 국립공원으로신규편입된점봉산지역내고등균류자원의현황을파악하기위하여 2012년 05월부터 10월까지총 6회에거쳐표 13-1 과같이조사를실시하였다. 표 13-1에서보는바와같이중점조사지역은산림청탐방지원센터부터강선마을, 곰배령정상을지나점봉산정상에도달하는계곡주변의탐방로중심으로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기간중관찰된균류는현장에서각조사구내에서버섯명 ( 한국명, 학명 ), 서식 국립공원연구원 244

26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장소 ( 발생림의침, 활, 혼효림또는공란에초지, 퇴비, 기주수종등과토양, 낙엽, 가지, 목부등을구분하여기재 ), 표본처리와추후검토 ( 사진촬영, 표본수집, 접종여부를 O표로표시하고, 추후확인결과를 O, X로표시 ) 를조사하여기재하였다. 개체수는단생, 산생, 군생, 총생, 층생으로구분하였고, 사진촬영은촬영당시의견취도, 갓의특징 ( 크기, 모양, 색깔등 ), 주름 ( 밀도, 붙음, 색, 폭, 형태등 ), 줄기 ( 크기, 모양, 고리, 표면, 육질, 냄새등 ) 를필요시상세히기록하였다. 현장에서채집한표본들은현장조사와기록을마친후채집봉투에담아가능한빠른시간내에표본실로옮겨미열건조기에서건조시켰다. 건조과정에서문헌과도감을조사하여일차동정을하며건조표본은표본봉투에담아표기를한후, 강원대학교산림환경과학대학균류표본실에영구보관하였다. 보관된표본은해부현미경으로외형을관찰한뒤광학현미경으로미세구조를관찰하고문헌조사를통하여최종동정을하는데사용하였다. 또한균류의다양성측면에서발생현황을조사하였고식용, 약용, 독버섯, 부후균, 균근균등으로구분하였다. 채집된표본의전반적인동정을위하여 Breitenbach와 Kränzlin ( ), 今關六也 大谷吉雄 本鄕次雄 (1988), 本鄕次雄 (1994) 의문헌들을주로참조하였다. 또한국내문헌으로는이지열 홍순우 (1985), 박완희 이호득 (1991), 박완희, 이지헌 (2011) 의도감을이용하였다. 최종동정과분류를위하여현재전세계적으로널리인정받고있는자연분류체계를사용하고균류의종류에따라최근의관련문헌들을인용하였다. 자낭균류는 Dennis (1981), 목이류는 McNabb (1973), 복균류는 Dring (1973), 민주름버섯목은 Donk (1964), 그리고주름버섯목은 Singer(1986) 의체계를사용하였으며, 민주름버섯목의고약버섯류는 Eriksson & Ryvarden( ), Eriksson 등 ( ), Hjorstam 등 (1988) 의분류, 구멍장이버섯류는 Gilbertson & Ryvarden( , ) 의분류를자주인용하였다. 또한국내버섯류의분포및균류상기록을참고하기위하여정학성 (1993, 1994), Lim & Jung(1999), Lee 등 (2002), Lee 등 (2004) 을주로이용하였고종명명자이름과분류체계는 CABI의 Index Fungorum ( 을참고하였으며, 이를토대로점봉산의고등균류분포상에대한자연자원조사의종합적인결론을내렸다. 국립공원연구원 245

262 13. 고등균류 표 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조사일수조사지역비고 전지역예비조사 탐방지원센터 점봉산정상탐방로 고등균류조사 탐방지원센터 점봉산정상탐방로 고등균류조사 탐방지원센터 점봉산정상탐방로 고등균류조사 탐방지원센터 점봉산정상탐방로 고등균류조사 탐방지원센터 점봉산정상탐방로 고등균류조사 계 13 다. 결과및고찰 1) 균류의다양성 점봉산의고등균류자원현황을조사하기위하여 2012년 05월부터 10월까지예비조사를포함하여총 11일간 6차에걸쳐조사를실시하였다. 고등균류자원을조사한결과, 292점을조사하고표본으로채집하였다. 이들을동정한결과, 최종적으로 152종이동정되었다. 이들을최근의분류체계를따라정리한결과, 이지역의균류는 2문 4 강 12목 38과 75속의분포를나타냈으며 ( 표 13-2), 담자균문 (Basidiomycota) 은담자균강 ( 주름버섯강, Agaricomycetes) 에서만 8목이관찰되었다. 주름버섯목 (Agaricales) 에는 17과 34속 87종이조사되었으며, 목이목 (Auriculariales) 에서는 1과 1속 1종, 그물버섯목 (Boletales) 에서는 4과 8속 14종, 꾀꼬리버섯목 (Cantharellales) 에서는 2과 2속 2종, 나팔버섯목 (Gomphales) 에서도 1과 1속 1종, 소나무비늘버섯목 (Hymenochaetales) 에서는 1과 3속 4종, 구멍장이버섯목 (Polyporales) 에서는 4과 13속 14종그리고무당버섯목 (Russulales) 에서는 2과 3속 18종이조사되었다. 또한자낭균문 (Ascomycota) 은 3강 국립공원연구원 246

26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4목이관찰되었으며, 두건버섯강 (Leotiomycetes) 의고무버섯목 (Helotiales) 에서는 1과 2속 2종, 주발버섯강 (Pezizales) 의주발버섯목 (Pezizomycetes) 에서는 3과 4속 4종, 동충하초강 (Sordariomycetes) 의동충하초목 (Hypocreales) 에서는 1과 1속 1종그리고콩꼬투리버섯목 (Xylariales) 에서는 1과 3속 4종이조사되었다 ( 표 13-2). 표 점봉산에서관찰된고등균류의분류군별수 분류군 ( 문, 목, 강 ) 과 속 종 Basidiomycota 담자균문 Agaricomycetes 담자균강 (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Auriculariales 목이목 Boletales 그물버섯목 Cantharellales 꾀꼬리버섯목 Gomphales 나팔버섯목 Hymenochaetales 소나무비늘버섯목 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목 Russulales 무당버섯목 Ascomycota 자낭균문 Leotiomycetes 두건버섯강 Helotiales 고무버섯목 Pezizomycetes 주발버섯강 Pezizales 주발버섯목 Sordariomycetes 동충하초강 Hypocreales 동충하초목 Xylariales 콩꼬투리버섯목 국립공원연구원 247

264 13. 고등균류 가 ) 분류체계별종목록 Ascomycota Caval.-Sm. 자낭균문 Leotiomycetes O.E. Erikss. & Winka 두건버섯강 Helotiales Nannf. 고무버섯목 Incertae sedis 1. Ascocoryne cylichnium (Tul.) Korf. 짧은대꽃잎버섯 2. Bisporella citrina (Batsch) Korf & S.E. Carp. 황색고무버섯 Pezizomycetes O.E. Erikss. & Winka 주발버섯강 Pezizales J. Schröt. 주발버섯목 Helvellaceae Fr. 안장버섯과 3. Helvella macropus (Pers.) P. Karst. 주발안장버섯 Pyronemataceae Corda. 털접시버섯과 4. Scutellinia scutellata (L.) Lamb. 접시버섯 Sarcoscyphaceae Le Gal ex Eckblad 술잔버섯과 5. Microstoma floccosum var. floccosum 털작은입술잔버섯 6. Sarcoscypha coccinea (Jacq.) Boud. 술잔버섯 Sordariomycetes O.E. Erikss. & Winka 동충하초강 Hypocreales Lindau. 동충하초목 Cordycipitaceae Kreisel. 동충하초과 7. Cordyceps nutans Pat. 노린재동충하초 Xylariales Nannf. 콩꼬투리버섯목 Xylariaceae Tul. & C. Tul. 콩꼬투리버섯과 8. Daldinia concentrica (Bolt.) Ces. & de Not. 콩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48

26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9. Entonaema splendens (Berk. & M.A. Curtis) Lloyd 광택뺨버섯 10. Xylaria carpophila (Pers.) Fr. 젓가락콩꼬투리버섯 11. Xylaria Polymorpha (Pers.) Grev. 다형콩꼬투리버섯 Basidiomycota R.T. Moore 담자균문 Agaricomycetes Doweld 담자균강 ( 주름버섯강 ) Agaricales Underw. 주름버섯목 Agaricaceae Chevall. 주름버섯과 12. Agaricus arvensis Schaeff. 흰주름버섯 13. Agaricus purpurellus (F.H. Møller) F.H. Møller 광양주름버섯 14. Agaricus silvaticus Schaeff. 숲주름버섯 15. Lepiota cristata (Bolt.) P. Kumm. 갈색고리갓버섯 16. Lepiota fusciceps Hongo 암갈색갓버섯, 검은갓버섯 17. Lepiota micropholis (Berk. & Br.) Sacc 애기여우갓버섯 18. Leucoagaricus rubrotinctus (Peck) Sing. 여우갓버섯 19. Lycoperdon perlatum Pers. 말불버섯 20. Lycoperdon pyriforme Schaeff. 좀말불버섯 21. Lycoperdon spadiceum Pers. 긴대말불버섯, 긴목말불버섯 22. Nidula niveotomentosa (Henn.) Lloyd 새둥지버섯 Amanitaceae R. Heim ex Pouzar 광대버섯과 23. Amanita abrupta Peck 비탈광대버섯 24. Amanita farinosa Schw. 애우산광대버섯 25. Amanita flavipes S. Imai 노란대광대버섯 26. Amanita fulva Fr. 고동색우산버섯 27. Amanita hemibapha subsp. hemibapha (Berk. &Br.) Sacc. 달걀버섯 28. Amanita longistriata S. Imai 긴골광대버섯아재비 29. Amanita pantherina (DC.) Krombh. 마귀광대버섯 30. Amanita porphyria Alb. & Schwein. 암회색광대버섯 31. Amanita pseudoporphyria Hongo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국립공원연구원 249

266 13. 고등균류 32. Amanita subjunquillea S. Imai 개나리광대버섯, 알광대버섯아재비 33. Amanita vaginata var. fulva (Schaeff.) 고동색우산버섯 34. Amanita virosa (Fr.) Bertillon 독우산광대버섯 Bolbitiaceae Singer 소똥버섯과 35. Conocybe fragilis (Peck) Sing. 도토리종버섯 Cortinariaceae R. Heim 끈적버섯과 36. Cortinarius cinnamomeus (L.) Fr. 전나무끈적버섯, 적자규버섯 37. Cortinarius obtusus (Fr.) Fr. 적갈색포자끈적버섯 38. Cortinarius pseudosalor J.E. Lange 가지색끈적버섯 39. Cortinarius purpurascens Fr. 풍선끈적버섯 40. Cortinarius tenuipes (Hongo) Hongo 노랑끈적버섯 41. Cortinarius traganus (Fr.) Fr 연자색끈적버섯 Entolomataceae Kotl. & Pouzar 외대버섯과 42. Entoloma murrayi (Berk. & M.A. Curtis) Sacc. 노란꼭지외대버섯 43. Entoloma rhodopolium (Fr.) P. Kumm. 삿갓외대버섯 44. Entoloma sinuatum (Bull.) P. Kumm 외대버섯 45. Rhodophyllus cyanoniger (Hongo) Hongo 가지외대버섯 46. Rhodophyllus murrai f. albus 흰꼭지버섯, 흰꼭지외대버섯 47. Rhodophyllus mycenoides Hongo 젖꼭지외대버섯 Hydnangiaceae Gäum. & C.W. Dodge 자색돌버섯과 48. Laccaria amethystea (Bull.) Murr. 자주졸각버섯 49. Laccaria bicolor (Maire) P.D. Orton 큰졸각버섯 50. Laccaria laccata (Scop.) Cooke 졸각버섯 51. Laccaria vinaceoavellanea Hongo 색시졸각버섯 Hygrophoraceae Lotsy 꽃버섯과 국립공원연구원 250

26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52. Hygrocybe coccinea (Schaeff.) P. Kumm. 화병꽃무명버섯 53. Hygrocybe coccineocrenata (P.D. Orton) Moser 꽃버섯 Inocybaceae Jülich 땀버섯과 54. Inocybe asterospora Quel. 삿갓땀버섯 55. Inocybe calamistrata (Fr.) Gill. 큰비늘땀버섯 56. Inocybe calospora Quel. 바늘땀버섯 57. Inocybe cincinnata var. cincinnata (Fr.) Quél. 곱슬머리땀버섯 Marasmiaceae Roze ex Kühner 낙엽버섯과 58. Gymnopus acervatus (Fr.) Murr 단풍밀버섯, 단풍애기버섯 59. Gymnopus confluens (Pers.) Ant., Hall. & Noord. 밀애기버섯, 밀버섯 60. Gymnopus dryophilus (Bull.) Murr. 애기버섯 61. Marasmiellus candidus (Bolt.) Sing. 하얀선녀버섯, 하얀마른가지버섯 62. Marasmiellus ramealis (Bull.) Sing 마른가지선녀버섯 63. Marasmius crinis-equi F. Muell ex Karlchbr. 말총낙엽버섯 64. Marasmius oreades (Bolt.) Fr. 선녀낙엽버섯 65. Marasmius pulcherripes Peck 앵두낙엽버섯, 종이꽃낙엽버섯 66. Megacollybia platyphylla (Pers.) Kotl. & Pouz. 넓은솔버섯 Mycenaceae Roze 애주름버섯과 67. Mycena acicula (Schaeff.) P. Kumm. 빨간애주름버섯 68. Mycena adonis var. adonis (Bull.) Gray 분홍애주름버섯 69. Mycena galericulata (Scop.) Gray 애주름버섯, 콩나물애주름버섯 70. Mycena haematopus (Pers.) P. Kumm. 적갈색애주름버섯 71. Mycena pelianthina (Fr.) Quel. 졸각애주름버섯 72. Mycena pura (Pers.) P. Kumm. 맑은애주름버섯 73. Mycena rorida (Fr.) Quel. 점질대애주름버섯, 젤리애주름버섯 74. Mycena stylobates (Pers.) P. Kumm. 빨판애주름버섯, 수레바퀴애주름버섯 75. Panellus stipticus (Bull.) P. Karst. 부채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51

268 13. 고등균류 Physalacriaceae Corner 방울버섯과 76. Armillaria mellea (Vahl) P. Kumm. 뽕나무버섯 77. Oudemansiella brunneomarginata Lj.N. Vassiljeva 갈색날긴뿌리버섯 78. Oudemansiella mucida (Schrad.) Hohn 끈적긴뿌리버섯 Pleurotaceae Kühner 느타리과 79. Pleurotus elongatipes Peck 만가닥느타리, 느티만가닥버섯 80. Pleurotus pulmonarius (Fr.) Quél. 산느타리 Pluteaceae Kotl. & Pouzar 난버섯과 81. Pluteus nanus (Pers.) P. Kumm. 애기난버섯 82. Pluteus petasatus (Fr.) Gillet. 갈색비늘난버섯, 털보난버섯 Psathyrellaceae Locq. 눈물버섯과 83. Coprinellus disseminatus (Pers.) J.E. Lange 고깔먹물버섯 84. Coprinopsis friesii (Quel.) P. Karst. 꼬마흙물버섯, 꼬마먹물버섯 85. Psathyrella candolleana (Fr.) Maire 족제비눈물버섯 86. Psathyrella multissima (S. Imai) Hongo 갈색눈물버섯 87. Psathyrella obtusata (Pers.) A.H. Sm. var. obtusata 애기눈물버섯 Schizophyllaceae 치마버섯과 88. Schizophyllum commune Fr. 치마버섯 Strophariaceae 독청버섯과 89. Gymnopilus liquiritiae (Pers.) P. Karst. 미치광이버섯, 솔미치광이버섯 90. Hypholoma sublateritium (Schaeff.) Quél. 개암다발버섯, 개암버섯 91. Pholiota adiposa (Batsch) P. Kumm. 검은비늘버섯 92. Pholiota lubrica (Pers.) Sing. 꽈리비늘버섯 93. Pholiota squarrosoides (Peck) Sacc. 침비늘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52

26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94. Stropharia rugosoannulata f. lutea Hongo 녹색독청버섯아재비 Tricholomataceae 송이과 95. Clitocybe nebularis (Batsch) P. Kumm. 회색깔때기버섯 96. Clitocybe odora (Bull.) Kumm. 하늘색깔대기버섯 97. Phyllotopsis nidulans (Pers.) Sing. 노란귀느타리 98. Tricholomopsis rutilans (Schaeff.) Sing. 솔버섯 Auriculariales 목이목 Auriculariaceae 목이과 99.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털목이 Boletales 그물버섯목 Boletaceae 그물버섯과 100. Boletus auripes Peck 수원그물버섯 101. Boletus chrysenteron Bull. 마른산그물버섯 102. Boletus fraternus Peck 붉은그물버섯 103. Boletus subtomentosus L. 산그물버섯 104. Leccinum scabrum (Bull.) Gray 거친껄껄이그물버섯 105. Pulveroboletus ravenelii (Berk. & M.A. Curt.) Murr. 노란분말그물버섯 106. Tylopilus castaneiceps Hongo 끈적쓴맛그물버섯 107. Tylopilus felleus (Bull.) P. Karst. 쓴맛그물버섯 108. Tylopilus virens (W.F. Chiu) Hongo 녹색쓴맛그물버섯 109. Xerocomus nigromaculatus Hongo 검은산그물버섯 Calostomataceae E. Fisch. 연지버섯과 110. Calostoma japonicum Henn. 연지버섯 Sclerodermataceae Corda 어리알버섯과 111. Scleroderma areolatum 점박이어리알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53

270 13. 고등균류 112. Scleroderma verrucosum (Bull.) Pers. 어리알버섯 Suillaceae Besl & Bresinsky 비단그물버섯과 113. Suillus pictus (Peck) A.H. Smith & Thiers 붉은비단그물버섯 Cantharellales Gäum. 꾀꼬리버섯목 Clavulinaceae Donk 볏싸리과 114. Clavulina coralloides (L.) J. Schroet. 볏싸리버섯 Hydnaceae Chevall. 턱수염버섯과 115. Hydnum repandum L. 턱수염버섯 Gomphales Jülich 나팔버섯목 Gomphaceae Donk 나팔버섯과 116. Ramaria botrytis (Pers.) Ricken 싸리버섯 Hymenochaetales Oberw. 소나무비늘버섯목 Hymenochaetaceae Donk 소나무비늘버섯과 117. Coltricia cinnamomea (Jacp.) Murr. 톱니겨우살이버섯 118. Inonotus mikadoi (Lloyd) Gilb. & Ryvarden 황갈색시루뻔버섯 119. Inonotus radiatus (Sow.) P. Karst. 갈색시루뻔버섯 120. Phellinus baumi Pilát 장수진흙버섯 Polyporales Gäum. 구멍장이버섯목 Fomitopsidaceae Jülich 잔나비버섯과 121. Fomitopsis pinicola (Swartz.) P. Karst. 잔나비버섯 122. Laetiporus miniatus (Jungh.) Overeem 붉은덕다리버섯 Ganodermataceae Donk 불로초과 국립공원연구원 254

27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23. Ganoderma applanatum (Pers.) Pat. 잔나비불로초 Meruliaceae P. Karst. 아교버섯과 124. Bjerkandera adusta (Willd.) P. Karst. 줄버섯 125. Merulius tremellosus Schrad. 아교버섯 126. Radulodon copelandii (Pat.) N. Maek 긴송곳버섯, 긴이빨송곳버섯 Polyporaceae Fr. ex Corda 구멍장이버섯과 127. Abundisporus fuscopurpureus (Pers.) Ryvarden 자색구멍버섯 128. Fomes fomentarius (L.) Kickx f 말굽버섯 129. Microporus vernicipes (Berk.) Kuntze 메꽃버섯붙이, 메꽃버섯부치 130. Perenniporia medulla-panis (Jacq.) Donk 흰구멍버섯 131. Polyporus brumalis (Pers.) Fr. 겨울구멍장이버섯 132. Trametes pubescens (Schumach.) Pilát 흰융털송편버섯, 흰융털구름버섯 133. Trametes versicolor (L.) Llyod 구름송편버섯, 구름버섯 134. Tyromyces chioneus (Fr.) P. Karst 개떡버섯 Russulales Kreisel ex P.M. Kirk, P.F. Cannon & J.C. David 무당버섯목 Russulaceae Lotsy 무당버섯과 135. Lactarius chrysorrheus Fr. 노란젖버섯 136. Lactarius hatsudake Nobuj. Tanaka 젓버섯아재비 137. Lactarius hygrophoroides Berk. & M.A. Curtis. 넓은갓젓버섯 138. Lactarius lacticolorus (S. Imai) Imazeki ex Hongo. 붉은젖버섯 139. Lactarius piperatus (L.) Pers. 젖버섯 140. Lactarius subzonarius Hongo. 당귀젓버섯 141. Russula compacta Frost 담갈색무당버섯 142. Russula cyanoxantha (Shaeff.) Fr. 청버섯 143. Russula emetica (Schaeff.) Pers. 냄새무당버섯, 무당버섯 144. Russula foetens Pers. 깔때기무당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55

272 13. 고등균류 145. Russula japonica Hongo 흰무당버섯아재비 146. Russula nigricans Fr. 절구버섯 147. Russula omiensis Hongo 보라무당버섯 148. Russula rosea Pers. 장미무당버섯 149. Russula virescens (Schaeff.) Fr. 기와버섯 Stereaceae Pilát 꽃구름버섯과 150. Stereum gausapatum (Fr.) Fr. 흰테꽃구름버섯 151. Stereum hirsutum (Willd.) Pers. 꽃구름버섯 152. Stereum subtomentosum Pouzar 갈색털꽃구름버섯 나 ) 주요조사지역별균류분포현황 (1) 탐방지원센터 강선마을탐방지원센터에서강선마을에까지도달하는탐방로의고등균류를조사한결과, 1문 1강 4목 14과 19속 28종이조사되었다. 이구간에서는주로애주름버섯속과같이낙엽이나낙지를분해하는고등균류들이주로관찰되었으며, 광대버섯속이나무당버섯속과같은공생성균류는드물게조사되었다. 이구간의임상은대부분활엽수로이뤄져있으며, 임내에암석이많은지형적특성을보였다. 공생성균류보다는부생성균류의발생에적합한임상과지형이기때문에이번조사에서위와같이부생성균류속들이우점속으로조사되었다. (2) 강선마을 계곡지역강선마을부터계곡지역이끝나는구간에서고등균류를조사한결과, 2문 3강 11목 33과 59속 104종이조사되었다. 이구간에서는노린재동충하초 (Cordyceps nutans Pat.),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Pers.), 긴골광대버섯아재비 (Amanita longistriata S. Imai), 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Scop.) Gray), 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Pers.) P. Kumm.), 잔나비걸상버섯 (Ganoderma applanatum (Pers.) Pat.), 구름송편버섯 (Trametes versicolor (L.) Llyod) 등이우점종으로조사되었다. 또한광대버섯속, 끈적버섯속, 애주름버섯속, 무당버섯속등이우점속으로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56

27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되었는데, 이구간은앞의탐방지원센터에서강선마을까지의구간과는다르게임내에암석이거의존재하지않았으며, 임내습도도높게유지되어부생성균류보다는공생성균류들이우점속으로조사된것으로사료된다. (3) 계곡지역 곰배령정상계곡지역이끝나는지점부터곰배령정상까지의구간에고등균류를조사한결과, 2 문 4강 8목 31과 46속 86종이조사되었다. 이구간에서는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Pers.) P. Kumm.), 구름송편버섯 (Trametes versicolor (L.) Llyod),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Pers.) 이우점종으로조사되었으며, 애주름버섯속과송편버섯속이우점속으로조사되었다. 표 계룡산주요조사구별, 분류단위별분포현황 조사지역 분류단위 문강목과속종 전체조사지역 탐방지원센터 - 강선마을강선마을 - 계곡지역계곡지역 - 곰배령정상 다 ) 우점출현균류현황본조사에서관찰된버섯들중에는수종의민주름버섯류를포함한목재부후균들은참나무와같은활엽수와소나무의낙지나쓰러진고목에서계절과상관없이손쉽게관찰할수있었으며, 주름버섯류는 7월에서 9월사이의습도와온도가높은우기에주로관찰되었다. 본조사에서 10회이상관찰된종들이포함된과 ( 科 ) 에는애주름버섯과 (Mycenaceae), 무당버섯과 (Russulaceae), 주름버섯과 (Agaricaceae), 광대버섯과 (Amanitaceae),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그물버섯과 (Boletaceae), 낙엽버섯과 (Marasmiaceae), Psathyrellaceae ( 눈물버섯과 ), 독청버섯과 (Strophariaceae), 끈적버섯과 (Cortinariaceae) 등 10개과가있으며, 또한 8회이상관찰되었던속은애주름버 국립공원연구원 257

274 13. 고등균류 섯속 (Mycena), 광대버섯속 (Amanita), 무당버섯속 (Russula), 젖버섯속 (Lactarius), 말불버섯속 (Lycoperdon), 끈적버섯속 (Cortinarius), 송편버섯속 (Tricholoma), 눈물버섯속 (Psathyrella), 비늘버섯속 (Pholiota), 동충하초속 (Cordyceps) 등 10속이며, 조사기간동안 5회이상조사되었던종은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Pers.) P. Kumm.),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Pers), 노린재동충하초 (Cordyceps nutans Pat.), 구름버섯송편 (Trametes versicolor (L.) Llyod), 잔나비불로초 (Ganoderma applanatum (Pers.) Pat.), 긴골광대버섯아재비 (Amanita longistriata S. Imai), 적갈색애주름버섯 (Mycena haematopus (Pers.) P. Kumm.), 콩나물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Scop.) Gray), 빨판애주름버섯 (Mycena stylobates (Pers.) P. Kumm.),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Fr.) Maire) 등 13종이다. 표 점봉산주요출현버섯 우점과 (10 과 ) 우점속 (10 속 ) 우점종 (13 종 ) 애주름버섯과무당버섯과주름버섯과광대버섯과구멍장이버섯과그물버섯과낙엽버섯과눈물버섯과독청버섯과끈적버섯과 애주름버섯속광대버섯속무당버섯속젖버섯속말불버섯속끈적버섯속송편버섯속눈물버섯속비늘버섯속동충하초속 맑은애주름버섯말불버섯노린재동충하초구름송편버섯잔나비불로초긴골광대버섯아재비적갈색애주름버섯애주름버섯빨판애주름버섯족제비눈물버섯 국립공원연구원 258

27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점봉산에서관찰된주요고등균류. A. 맑은애주름버섯 ; B. 솔버섯 ; C. 개암버섯 ; D. 말불버섯 ; E. 노란귀느타리 ; F. 뽕나무버섯 ; G. 긴골광대버섯아재비 ; H. 노린재동충하초 ; I. 적갈색애주름버섯 ; J. 구름송편버섯 ; K. 앵두낙엽버섯 ; L. 족재비눈물버섯. 라 ) 생태역할별시기별균류의분포현황생태역할별분포를살펴보면공생성균류가 33.90%, 부생성균류가 44.86%, 낙엽분해성균류가 17.12%, 기생성균류가 4.11% 비율로조사되었다. 활엽수의고사목및낙지등에는주로구름버섯, 구멍장이버섯, 갈색털꽃구름버섯, 개암버섯, 잔나비불로초등이주로발생하며, 침엽수의고사목에서는솔미치광이버섯, 구름버섯, 솔버섯등이주로발생한다. 또한부엽토나낙엽을분해하는낙엽부후종으로는맑은애주름버섯, 애주름버섯, 버터애기버섯, 앵두낙엽버섯, 큰낙엽버섯등이조사되었다. 기생성균류는동충하초류와뽕나무버섯등이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59

276 13. 고등균류 그림 생태역할별분포비율 조사시기별균류분포현황은표 13-5와같이 2012년 08월에가장많은종이조사되었으며, 6월과 10월에가장적은종이조사되었다. 6월에는주로낙엽을분해하는애주름버섯종류가조사되었다. 8월에는광대버섯및끈적버섯과같은공생성균류와부생성균류가비슷한수준으로조사되었다. 9월에는공생성균류들이많이조사되었다. 지속적으로조사되던낙엽분해성균류는조사빈도가조금낮게나타났다. 10월에는공생성균류와부생성균류가모두조사되었는데, 공생성균류의경우대부분자실체의상태가온전하지못한상태로조사되었다. 표 점봉산고등균류의조사시기별, 분류단위별분포현황 분류단위 조사시기 문 강 목 과 속 종 전체 국립공원연구원 260

27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균류의자원 균류자원을조사하기위하여 Xiaolan(2000) 을주로참조하였고, 박완희 이호득 (1991, 1999), 今關六也등 (1988). 本鄕次雄 (1994). Breitenbach & Kränzlin( ) 를이용하였다. 식용버섯은털목이, 깔대기버섯, 색시졸각버섯등이조사되었으며, 독버섯은긴골광대버섯아재비, 개나리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냄새무당버섯, 절구버섯등이조사되었다. 약용버섯은아까시흰구멍버섯 ( 아까시재목버섯 ), 구름송편버섯 (= 구름버섯 ), 치마버섯, 꽃구름버섯, 갈색털꽃구름버섯, 흰구름송편버섯 (= 흰구름버섯 ), 송편버섯등이조사되었다.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이번조사는점봉산이국립공원으로지정되고최초로실시한자연자원조사이므로계방산국립공원의기조사된고등균류종목록이존재하지않기때문에점봉산과경계를접하고있는설악산국립공원의현재까지진행된자연자원조사와모니터링조사를통하여작성된고등균류종목록과비교하였다. 그결과, 자색구멍버섯 (Abundisporus fuscopurpureus (Pers.) Ryvarden), 광양주름버섯 (Agaricus purpurellus (F.H. Møller) F.H. Møller),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Schw.),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Tul.) Korf.), 연자색끈적버섯 (Cortinarius traganus (Fr.) Fr), 광택뺨버섯 (Entonaema splendens (Berk. & M.A. Curtis) Lloyd), 화병벚꽃버섯 (Hygrocybe coccinea (Schaeff.) P. Kumm.), 암갈색갓버섯 (Lepiota fusciceps Hongo) 암갈색갓버섯, 털작은입술잔버섯 (Microstoma floccosum var. floccosum), 졸각애주름버섯 (Mycena pelianthina (Fr.) Quel.), 갈색날긴뿌리버섯 (Oudemansiella brunneomarginata Lj.N. Vassiljeva), 부채버섯 (Panellus stipticus (Bull.) P. Karst.), 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edulla-panis (Jacq.) Donk), 장수진흙버섯 (Phellinus baumi Pilát), 갈색눈물버섯 (Psathyrella multissima (S. Imai) Hongo), 흰꼭지버섯 (Rhodophyllus murrai f. albus), 보라무당버섯 (Russula omiensis Hongo), 녹색독청버섯아재비 (Stropharia rugosoannulata f. lutea Hongo) 등이기조사된설악산국립공원고등균류종목록에없는신규종으로추가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61

278 13. 고등균류 그림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근접 ) 고등균류목록에신규로추가된종. A. 자색구멍버섯 ; B. 광양주름버섯 C. 애우산광대버섯 ; D. 짧은대꽃잎버섯 ; E. 연자색끈적버섯 ; F. 광택뺨버섯 ; G. 황병벚꽃버섯 ; H. 털작은입술잔버섯, I. 졸각애주름버섯 ; J. 갈색날긴뿌리버섯 ; K. 부채버섯 ; L. 흰구멍버섯 ; M. 장수진흙버섯 ; N. 갈색눈물버섯 ; O. 흰꼭지버섯 ; P. 보라무당버섯. 참고문헌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한국의버섯, 교학사, 서울 pp.454 박완희, 이호득, 한국의버섯. 교학사, 서울. 박완희, 이호득,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 교학사, 서울. 박종성, 신관철 계룡산지역의균류상에관한연구 (1). 한국균학회지 10: 오윤희, 김성환, 김혜영, 심성미, 이경림, 임경환, 정덕채, 이민웅, 이우윤, 이태수 충청남도계룡산의균류상조사연구. 인천대학교기초과학논문집 15: 이지열, 홍순우, 한국동식물도감제 28권고등균류편 ( 버섯류 ). 문교부, 서울. 이태수, 이지열 한국기록종버섯재정리목록. 임업연구원. pp. 87. 정학성, 한국산목재부후균류의분포상에대한연구 (I) - 자낭균류와목이류의분포에대하여. 한국균학회지 21 (1): 국립공원연구원 262

27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정학성, 한국산목재부후균류의분포상에대한연구 (II) - 담자균류민주름버섯목의분포에대하여. 한국균학회지 22 (1): 조덕현 버섯. 지성사. pp 今關六也 大谷吉雄 本鄕次雄, 日本のきのこ. 山と溪谷社, 東京. 本鄕次雄, きのこ. 山と溪谷社, 東京. Breitenbach, J. and Kränzlin, F Fungi of Switzerland, Vols Verlag Mykologia, Lucerne. Dennis, R. W. G British Ascomycetes. J. Cramer, Vaduz. Donk MA A conspectus of the families of Aphyllophorales. Persoonia 3: Dring, D. M., Gastermycetes. In Ainsworth, G. C., F. K. Sparrow and A. S. Sussman (eds.), The fungi, Vol. 4B. Academic Press, New York. Eriksson J, Ryvarden L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s. 2, 3, 4. Fungiflora, Oslo. Eriksson J, Hjortstam K, Ryvarden L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s. 5, 6, 7. Fungiflora, Oslo. Gilbertson RL, Ryvarden L North American polypores, Vols. 1, 2. Fungiflora, Oslo. Gilbertson RL, Ryvarden L., European polypores, Vols. 1, 2. Fungiflora, Oslo. Hjortstam K, Larsson KH, Ryvarden L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 8. Fungiflora, Oslo. Imazeki R, Hongo T Colored illustrations of fungi of Japan,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Osaka. Imazeki R, Hongo T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Osaka. Imazeki R, Otani Y, Hongo T Fungi of Japan. Yamakei Publishers, Tokyo, Japan. Jung HS Wood-rotting Aphyllophorales of the southern Appalachian spruce-fir forest. Bibliotheca Mycologica Band 119, J. Cramer, Berlin Stuttgart. Jung HS Floral studies on Korean wood-rotting fungi (II) - on the flora of the Aphyllophorales (Basidiomycotina). Kor. J. Mycol. 22(1): Jung HS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 - on some 국립공원연구원 263

280 13. 고등균류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Kor. J. Mycol. 23(3): Jung HS. 1996a.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 - on some unrecorded species. Kor. J. Mycol. 24(3): Jung HS. 1996b.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I) - on some unrecorded corticioid fungi. Kor. J. Mycol. 24(4): Lee JS, Jung HS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5)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Mycobiology 34: Lee JS, Kim C, Park JY, Ryoo KH, Kim KM, Yoon YG, Jung HS Unrecorded Higher Fungi of the Songnisan National Park. Mycobiology 32: Lee JS, Kim KM, Jung HS The Aphyllophorales of the Kyeryoungsan National Park. Mycobiology. 30: Lim YW. Jung HS, Taxonomic study on Korean Stereum. Kor. J. Mycol. 27(5): McNabb RFR, Phragmobasidiomycetidae: Tremellales, Auriculariales, Septobasidiales. In Ainsworth, G. C., F. K. Sparrow, and A. S. Sussman (eds.), The fungi, Vol. 4B. Academic Press, New York. Singer R,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fourth ed. Koeltz Scientific Books, Königstein, Germany. Wu SH, Studies on Schizopora flavipora s.l., with special emphasis on specimens from Taiwan. Mycotaxon 76: Xiaolan M., The Macrofungi in China, Hanam Sci. Tech. Pub., Hanam, China. 국립공원연구원 264

281

282 훼손지조사 14 조사위원 이상희 ( 충북대학교 ) 보조원 주정덕 이정균

283

284 14. 훼손지조사 가. 서론 국립공원은기본적으로지형경관이수려하고자연생태계를그대로보존하도록관리함으로서그설정의의의를유지한다. 그러나최근선진각국은국립공원들에대하여자연그대로의보존을위하여다양한형태의자연유산보호를위한관리와함께관광자원으로서의활용을위한노력이부가됨으로서그자연유산으로서자산가치의배가를위한정책을세워나가고있다. 국내에서도상기한관점에서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에서기설정된국립공원들을대상으로주기적으로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를실시하고있다. 국립공원내자연자원을조사하는목적은국립공원의자연자원을조사하여 1) 국립공원내자연자원을파악하고, 2) 분포특성과생성특성을분석하고, 3) 자연자원의보존과활용을위한자료를취득하며, 4) 이들결과를토대로지속적이고효율적인보존과활용을위한관리체계를구축하는데있다. 탐방로는인간이자연과가장근접하는시설로서숲과같은자연생태계공간의내부를연결하는인체의혈관과같은기반시설이다. 그러므로탐방로상에서발생하는각종부정적인영향은곧바로주변생태공간으로전달되면서산림생태계및환경자원의훼손및악화로이어질수있다. 우리나라의탐방로는험준한산악지형에서정상으로향하는야생동물이동로나골짜기, 능선부의토양사면을인간의지속적인답압에의하여최단거리로생성된것이대부분이다. 따라서탐방로에서발생하는각종훼손은자연훼손을고려하지않은노선체계에서강우를비롯한국지적기상과토질등의환경적인취약성과이용객의무리한이용형태가가세하여발생하고있으며, 정비및관리의미흡으로인해더욱심화되고있다. 탐방로와탐방로주변의훼손과정은탐방로노면의토양침식으로부터시작되며, 단계별진행과정을살펴보면 1단계로탐방객의지속적인답압에의한나지화가확장되고지표유하수에의한노면침식이발생한다. 2단계는 1단계의방치에따른훼손의가속화로뿌리노출, 암반노출, 노면세굴등바닥침식을초래한다. 3단계는통행자의보행불편에따른새로운보행공간의개척으로탐방로가분기되고노폭이확장되면서주변지역으로훼손이확산되는단계이다. 본조사는상기목적에의하여진행된 2012년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자연자원조사 중탐방로, 산사태발생지등을대상으로진행되었다. 따라서점봉산내탐방로, 산사태발생지등을중심으로현장조사를통하여훼손지위치, 규모, 주변환경등훼손지일반현황과훼손유형및원인분석등을통하여공원관리를위한기초자료로 국립공원연구원 268

28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활용코자실시하였다. 나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탐방로훼손지현장조사는 3차에걸쳐수행되었으며 1차조사에서국립공원내노선의예비답사를통하여노선별조사계획을수립하였으며, 2차~3차조사를통하여총 4개노선및지선에대한탐방로훼손지조사가수행되었다. 4차에걸친조사일및조사지역은다음과같다. 표 훼손지조사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 조사지역 ~ 29 국립공원내노선예비답사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곰배령 ~ 점봉산 ~ 9 귀둔 ( 곰배골 ) ~ 곰배령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 28 설피마을 ~ 단목령추가조사 2) 조사방법 탐방로는법정탐방로를중심으로구간 ( 탐방로 ) 별로일정한간격 ( m 간격 ) 으로조사하는신속조사법을이용하여측점을선정하고측점별주변인자를조사하여각탐방로의물리적특성및훼손유형을분석하고, 또한구간내훼손이발생한지점에대해서는전체조사법을통하여각탐방로의훼손정도및훼손유형, 발생지점의특성등을분석하였다. 산사태발생지는최근몇년간공원구역내에서발생한경우에한해서산사태발생지를대상으로발생위치, 발생원인, 발생규모, 복구필요성등을조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269

286 14. 훼손지조사 다. 결과및고찰 1) 조사대상지현황 점봉산은설악산국립공원의남쪽끝부분에강원도인제군인제읍귀둔리와인제군기린면진동리의경계선에위치하는해발 1,424m( 점봉산 ) 을주봉으로북쪽으로망대암산 (1,236m), 한계령으로이어지고, 남으로는작은점봉산 (1,293.6m), 곰배령, 기칠봉 (1,164.7m) 로, 동으로는단목령, 북암령등백두대간과이어져있다. 점봉산은당초 2010년 8월환경부의국립공원구역확대조정으로국립공원으로편입될계획이었으나산림청산하중앙산지관리위원회의반대로무산되는듯했다. 수차례의조정회의를거쳐 12월 2일 7차조정회의에서산림청의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관리에차질이없도록제도개선한다는전제하에합의에이르렀다. 즉자연공원법시행령을산림청의산림유전자원보호림관리를신고없이통보만으로도가능하도록개정키로합의하여 2010년연말까지국립공원편입절차를끝냈다. 이번에편입된점봉산의면적은총 21.95km2로써, 설악산전체면적의 7% 에해당한다. 그림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지구 ) 안내도 국립공원연구원 270

28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점봉산 (1,424m) 은우리나라유일의원시림형태의신갈나무군락이형성돼있는 생태계의보고 로꼽힌다. 또멸종위기 Ⅱ급한계령풀이최대규모 (15,220m2) 로자생하는안정된식생을자랑한다. 이뿐만아니라가시오가피나무 솔나리등멸종위기식물 4개종, 하늘다람쥐 수달 담비 삵등멸종위기동물 7개종이살고있어, 설악산과함께유네스코가지정한생물권보전지역으로보전가치가매우높은지역이다. 산림청에서는 1987년과 2006년점봉산지역의활엽수원시림을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지정하여관리하고있으며, 그위치는점봉산의남서쪽진동리일원을핵심지역으로그주변부지역을완충지역으로관리하고있다. 가 ) 고도별분포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는점봉산 (1,424m) 남쪽으로작은점봉산 (1,297m), 곰배령 (1,100m), 북쪽으로는망대암산 (1,231m) 가동쪽으로는단목령 (767m) 으로연결되어있다. 한계령에서망대암산, 점봉산, 단목령, 조침령으로이어지는백두대간의 53구간에포함되어있는지역이다. 강원도내고산지역에위치하고있는관계로최저표고가 750m이고최고표고는점봉산으로 1,424m이며, 평균해발고가 994m로상당히높은지역에위치하고있다. 고도분포별면적을살펴보면 800m 이하지역의분포면적이 0.14km2로전체면적의 1.67% 를차지하고있으며, 800 ~ 900m 지역이 1.98km2에 24.18% 를차지하고있고, 900 ~ 1,000m 지역이 2.53km2에 30.89% 로가장많은면적을차지하고있으며, 1,000 ~ 1,100m 지역이 1.82km2에 22.21% 를차지하고있고, 1,100 ~ 1,200m 지역이 1.13km2에 13.75% 를차지하고있고, 1,200 ~ 1,300m 지역이 0.51km2에 6.18% 를차지하고있고, 1,300 ~ 1,400m 지역이 0.08km2에 1.03% 를차지하고있고, 1,400m 이상지역의분포면적이 0.01km2에 0.09% 를차지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계방산지구는 1,000m 이상지역의분포면적이전체면적의 43.26% 를차지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71

288 14. 훼손지조사 표 고도별면적분포 구 분 면 적 ( km2 ) 비 율 (%) 비 고 800m 이하 ~ 900m ~ 1,000m ,000 ~ 1,100m ,100 ~ 1,200m ,200 ~ 1,300m ,300 ~ 1,400m ,400m 이상 점봉산 (1,424m) 계 그림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고도분포 나 ) 경사도별분포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경사분포를살펴보면최저 0, 최고 64.8, 평균 21.4 로분석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72

28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경사도 15 미만의완경사지분포면적은 1.69km2에 20.61%, 15 ~ 20 의경사지분포면적은 1.67km2에 20.37%, 20 ~ 25 의급경사지분포면적은 2.03km2에 24.76%, 25 ~ 30 의험준지분포면적은 1.73km2에 21.10%, 30 이상의경사지분포면적은 1.08km2에 13.16% 로분포하고있으며, 급경사지이상의분포면적이전체면적의 59.02% 를차지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현재경사도가가장완만한지역은점봉산 ~ 단목령으로이어지는능선부남쪽사면과골짜기주변으로조사되었으며, 능선부를제외한대부분의사면부가경사도가높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곰배주변골짜기와사면이비교적경사가완만한것으로분석되었다. 표 경사별면적분포 구 분 면 적 ( km2 ) 비 율 (%) 비 고 완경사지 (15 미만 ) 최저 0 경사지 (15 ~ 20 ) 급경사지 (20 ~ 25 ) 험준지 (25 ~ 30 ) 절험지 (30 이상 ) 최고 64.8 계 그림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경사분포 국립공원연구원 273

290 14. 훼손지조사 2) 탐방로현황 현재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는관리주체가산림청, 국립공원으로이원화되어있는상태이며, 현재이용가능한점봉산지구내의탐방로는산림청에서관리 운영하고있는생태관리센터 ~ 곰배령구간의탐방로가유일하다. 국립공원에서관리하고있는법정탐방로는전무한것으로조사되었다. 산림청에서는점봉산지역을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1987년, 2006년 ) 으로지정하여입산을통제하고있으며, 유일하게설피마을의산림관리센터에서곰배령구간을제한적으로개방하고있다. 전봉산지구내에국립공원에서관리를위하여설치한시설물은귀둔 ~ 곰배령노선의입구에위치한곰배골공원지킴터와단목령에설치된단목령지킴터등의 2개소의초소시설물만이확인되었으며, 현재탐방로내의국립공원시설물은모두철거된상태로조사되었으며, 이는점봉산지구대부분의지역에대해서한계령풀 ( 멸종위기종 ) 등야생식물군락지보호를위하여 2007년 ~ 2026년까지국립공원특별보호구구간으로지정관리하고있기때문으로확인되었다. 그림 산림청산림유전자원보호림 그림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지정 탐방로확인을위하여문헌및도면조사를기초로점봉산으로연결되는다수의탐방로를확인하였으나, 설피마을에위치한산림관리센터 ~ 곰배령구간이외의모든구간이폐쇠되어상당한기간이지나현지에서노폭및노선의형태를확인가능한노선에대하여조사를수행하였다. 이번조사를통하여점봉산지구내에확인가능한탐방로는 4개노선 18.37km로조사되었으며, 경사거리는 18.90km로확인되었다. 조사에서확인된 4개의탐방로는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2 곰배령 국립공원연구원 274

29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 작은점봉산 ~ 점봉산, 3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4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구간으로조사되었으며탐방로의분포는다음그림 14-4와같다. 그림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탐방로현황 표 오대산국립공원계방산지구탐방로현황 탐방로명 수평거리 (km) 경사거리 (km) 비 고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국립공원외 2.34km 2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 국립공원외 0.73km 국립공원외 0.51km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275

292 14. 훼손지조사 현재제한적으로이용가능한탐방로는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으로산림청에서통제하고있고, 나머지구간에대해서는입산이전면통제되고있다. 점봉산지구의탐방로는노선의일부분이국립공원구역의바깥쪽에위치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국립공원구역의바깥쪽으로연결되어있는탐방로는 3개노선으로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은 2.34km, 3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은 0.73km, 4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구간은 0.51km가국립공원구역바깥쪽에위치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3) 탐방로물리적특성 현재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탐방로별물리적특성을조사하기위해 4개노선총 18.37km에대하여 GPS를이용하여이동거리약 200m 구간마다측점을선정하고각종인자를조사하여분석하였다. 표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탐방로코스별현황 탐방로명 수평거리경사거리측점수 (km) (km) 표고차 (m) 평균경사 ( ) 노폭 (m) 나지폭 (m) 1 생태관리센터 712~1,200 ~ 강선마을 ~ 곰배령 (379) 2 곰배령 1,100~1,424 ~ 작은점봉산 ~ 점봉산 (324) 3 설피마을 716~1,424 ~ 단목령 ~ 점봉산 (708)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 ~1,100 (541)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276

29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은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 200m 간격을단위로 23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4.99km, 경사거리는 5.06km이며, 최저표고는 712m( 생태관리센터 ), 최고표고는 1,100m( 곰배령 ), 표고차는 379m로구간의평균경사는 4.3 로곰배령까지완만한경사의분포를보이는구간이다. 구간의평균노폭은 1.79m, 평균나지폭은 0.18m로조사되었으며, 현재강선마을까지는마을주민들의차량과산림청관리차량이진입할수있으며, 일반차량의출입은통제되고있다. 강선마을까지차량진입이가능한관계로노폭이 2.5m로넓게유지되고있으며, 강선마을에서곰배령까지의구간도 1 ~ 1.5m로노폭이비교적넓게산림청에서관리및탐방객의이용을목적으로인위적으로노폭을조정한구간이다. 강선마을상부쪽으로산림청에서관리하는강선입산통제소가위치하고있으며, 생태관리센터에서는인터넷접수로 200명과진동리마을에서접수된 200명, 총 400명을최대인원으로매일통제하고있으며, 등반시안내원이곰배령까지안내하고다른지역으로이탈을방지하는역할을수행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곰배령정상부에는데크를설치하여탐방객의주변이탈과훼손을막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노선경사분포 국립공원연구원 277

294 14. 훼손지조사 2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구간은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 200m 간격을단위로 14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2.99km, 경사거리는 3.12km이며, 최저표고는 1,100m( 곰배령 ), 최고표고는 1,424m( 점봉산정상 ), 표고차는 324m로구간의평균경사는 6.2 로전체적으로완만한경사분포를보이고있으나, 작은점봉산, 점봉산정상주변부의구간은 15 ~ 26 의급경사구간도일부분포하고있는노선이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53m, 평균나지폭은 0.04m로조사되었으며, 산림청과국립공원측에서입산을전면통제하고있는구간으로산철쭉과초본류의침입으로자연적인복원이진행되고있어서노폭과나지폭이구분이어려울정도로좁게변화하고있는구간이다. 현재점봉산정산부에산림청에서설치한안내판외에는구간전체에걸쳐서안내판, 안전시설물, 현위치표시봉등의시설물이전혀설치되어있지않은구간이다. 그림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노선경사분포 3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은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 200m 간격을단위로 34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278

29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구간의수평거리는 6.81km, 경사거리는 7.02km이며, 최저표고는 716m( 설피마을 ), 최고표고는 1,424m( 점봉산정상 ), 표고차는 708m로구간의평균경사는 5.90 로전체적으로는완만한경사분포를보이고있으나, 능선을따라점봉산정상까지연결되는백두대간노선으로 15 ~ 30 의급경사구간도다수분포하고있는노선이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86m, 평균나지폭은 0.25m로조사되었으며, 산림청과국립공원측에서입산을전면통제하고있는구간이며자연적인복원이진행되고있으나일부구간은능선부의석력지를통과하는관계로훼손이쉽게복원되지않고있는것으로확인된구간이다. 현재구간전체에걸쳐서안내판, 현위치표시봉, 목계단, 안전시설물등이설치되어있으나, 산림청 ( 국유림관리소 ) 에서설치한시설물들로조사되었으며, 국립공원측에서설치한시설물로는단목령에위치한단목령지킴터와국립공원특별보호구안내판이전부이며나머지시설물은국립공원측에서모두철거하여회수한것으로이번조사에서확인되었다. 그림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노선경사분포 4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구간은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 200m 간격을단위로 15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3.58km, 경사거리는 3.70km이며, 최저표고는 559m( 곰배골공원 국립공원연구원 279

296 14. 훼손지조사 지킴터 ), 최고표고는 1,100m( 곰배령 ), 표고차는 541m로구간의평균경사는 8.6 로전체적으로완만한경사분포를보이고있으나, 골짜기를따라곰배령까지연결되는관계로종단경사보다는횡단경사가급한것으로조사되었으며, 그에따라노면이일부유실된분포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96m, 평균나지폭은 0.20m로조사되었으며, 산림청과국립공원측에서입산을전면통제하고있는구간으로입구에곰배골공원지킴터에서입산을차단하고있다. 현재전혀이용되지않는탐방로중의하나로노면이유실되고수목이도복되는피해들이다수조사되었으며, 골짜기에서곰배령으로올라서는사면인접부부터는노선을전혀찾을수없을정도로회복된지역도분포하고있다. 현재구간전체에걸쳐서산림청이나국립공원측에서설치한안내판이나안전시설물은없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 곰배골 ( 귀둔 )~ 곰배령노선경사분포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 4개탐방로 18.37km( 경사거리 18.90km) 구간을대상으로 86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여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조사한결과평균경사는 6.25, 평균노폭은 0.96m, 평균나지폭은 0.20m로조사되었다. 이는한국환경생태학회에서 1988 ~ 1999년까지 9개의산악형국립공원 11개지구의탐방로훼손실태를조사한결과국립공원탐방로의평균노폭 2.64m, 평균나지폭 2.06m로보고하였으며, 2006년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는평균노폭 1.45m, 평균나지폭 1.11m로보고되었으며, 2006년치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는평 국립공원연구원 280

29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균노폭 1.76m, 평균나지폭 1.23m 등에비하여점봉산지구탐방로는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이외에는탐방객의이용을전면차단하고있는관계로탐방객이용영향에의한훼손정도가심하지않은것으로조사되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2006). 현재일일 400명이이용하고있는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을제외하고입산이전면차단된나머지 3개노선에대한평균노폭은 0.68m, 평균나지폭은 0.21m로탐방객에의한영향보다는지형조건에의한자연재해피해가더많은것으로판단된다. 4) 탐방로훼손유형 탐방로훼손유형은훼손진행단계 ( 과정 ) 를판단하는지표로서중요한자료가된다. 훼손유형은자연상태의탐방로상에서물리적훼손의발생및진행과정을기준으로분류한노면침식, 뿌리노출, 암석노출, 노폭확대, 비탈붕괴, 분기등으로구분하여조사하고이들의훼손유형이나타나지않는지점은건전지점으로분류하였다. 각구간별측점지점에서조사한훼손유형을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표 탐방로구간별훼손유형 탐방로명 거리 (km) 측점수 건전뿌리노출 훼손유형 암석 노폭 노출 확대 노면침식 비탈붕괴 분기 구간내분기수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곰배골 ( 귀둔 )~ 곰배령 계 국립공원연구원 281

298 14. 훼손지조사 1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그림 생태관리센터 ~ 곰배령구간훼손유형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은 23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6개의훼손유형이 45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노면침식이 18개소로 78.3% 의출현빈도를나타내었고다음으로암석노출이 17개소에 73.9%, 건전, 뿌리노출, 노폭확대가각각 3개소 13.0%, 비탈붕괴가 1개소로 4.3%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7-11). 훼손유형 : 노면침식 훼손유형 : 암석노출 ( 뿌리노출 ) 원 인 : 답압과강수에의한표층 원 인 : 얕은토양층이답압으로토 침식및유수에의한노면유실등의복합적인작용으로노면침식진행 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하여유실되어암석노출 ( 뿌리노출 ) 현상진행 사진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282

29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그림 곰배령 ~ 점봉산구간훼손유형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구간은 14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4개의훼손유형이 16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건전이 10개소로 71.4% 의출현빈도를나타내었고다음으로암석노출이 3개소에 21.4%, 노면침식이 2개소에 14.3%, 노폭확대가 1개소로 7.1% 로조사되었다 ( 그림 14-12). 훼손유형 : 건전지역 훼손유형 : 암석노출 ( 뿌리노출 ) 원인 : 노면으로초본류가침입하 원인 : 얕은토양층과식생이답압여식생이회복되고있는상태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하여유실되어암석노출현상진행사진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283

300 14. 훼손지조사 3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그림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훼손유형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은 34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6개의훼손유형이 50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건전이 18개소로 52.9% 의출현빈도를나타내었고다음으로뿌리노출이 12개소에 35.3%, 노면침식이 8 개소에 23.5%, 노폭확대가 6개소로 17.6%, 암석노출이 5개소에 14.7%, 분기 1개소에 2.9%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4-13). 훼손유형 : 뿌리노출 훼손유형 : 분기 원 인 : 답압과강수유입에따른토 원 인 : 보행불편에따른새로운탐 양층의유실로수목뿌리노출현상진행 방로 ( 분기 ) 가형성되어노면침식, 뿌리노출등의훼손이복합적으로진행 사진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284

30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4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 그림 곰배골 ( 귀둔 )~ 곰배령구간훼손유형 곰배골 ( 귀둔 ) ~ 곰배령구간은 15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4개의훼손유형이 17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11개소로 73.3% 의출현빈도를나타내었고다음으로건전이 4개소에 26.7%, 노면침식과노폭확대가각각 1개소에 6.7%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4-14). 훼손유형 : 노면침식 ( 세굴 ) 훼손유형 : 노폭확대 원인 : 답압과강수에의한표토의 원인 : 답압과강수유입과유하에유실로암석노출현상이진행되고그따른지속적인노면침식현상으로노에따른보행불편으로노폭이확장되면세굴현상으로발전는현상사진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285

302 14. 훼손지조사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 4개노선 18.37km 구간에대하여 86개의측점을조사하여훼손유형을분석한결과 7개의훼손유형으로나타났다. 측점수에대한각훼손유형의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 36개소에 41.9% 로가장많은출현빈도를보였고, 다음으로건전 35개소에 40.7%, 노면침식 29개소에 33.7%, 뿌리노출이 15 개소에 17.4%, 노폭확대 11개소에 12.8%, 비탈붕괴와분기가각각 1개소에 1.2% 순으로조사되었다. 점봉산지구탐방로의전체적인훼손정도는심하지않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훼손유형중암석노출과노면침식의출현빈도가높은것은대부분의탐방로가계곡부와능선부에위치하여쉽게암석이노출되는현상이나타나고있으며, 현재 1개의탐방로를제외한 3개소의탐방로가출입이금지되어있어자연적인복원이이루어지고있으나, 호우에의한계곡부의노면침식에따른암석노출이증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5) 탐방로훼손정도 각탐방로별전체구간내에서발생한훼손지를국립공원관리공단의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 ( 표 14-7) 을참고하여탐방로별로훼손정도및훼손특성을분석하였다. 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에의해조사한훼손정도를 4가지 강, 중, 약, 건전 으로구분하였다. 표 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 훼손등급강중약건전 훼손상태 훼손정도가심하여암반노출, 수목뿌리노출, 노면침식및확대, 주변부식생파괴등훼손확산구간 훼손확산심화로즉시복구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이상, 1 3년내정비필요구간 부분적으로나지화가진행되는구간으로측면붕괴, 노면배수불량에따른수로화등훼손진행구간 훼손진행및확산우려로단기간내복구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이상, 4 7년내정비필요구간 국소적인훼손발생으로노면배수및동선유도등필요구간 배수로등일부노면정비및일반적시설물유지보수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내 외 평균노폭이 1.2m이하로적정하고노면에낙엽등지피물이남아있거나, 주변식생으로노폭이유지되고있는구간 산림환경피해도 5 6등급 3 5등급 2 3등급 0 1등급 국립공원연구원 286

30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표 탐방로훼손정도및훼손비율 탐방로명 거리 (km) 건전 (km) 훼손정도 강 (km) 중 (km) 약 (km) 훼손비율 (%)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곰배골 ( 귀둔 )~ 곰배령 계 전체조사법을통하여훼손이발생한지점의훼손정도를조사한결과, 곰배골 ( 귀둔 )~ 곰배령 3.58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1.03km, 강 구간과 중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약 구간이 2.55km로훼손비율은 56.1% 로조사되었다.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 2.99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2.39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07km, 약 구간이 0.53km로훼손비율은 20.1% 로조사되었다.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6.81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4.28km, 강 구간은 0.21km, 중 구간이 0.37km, 약 구간이 1.95km로훼손비율은 37.2% 로조사되었다. 생태관리센터 ~ 강선리 ~ 곰배령 4.99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2.19km, 강 구간과 중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약 구간이 2.80km로훼손비율은 71.2% 로조사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 4개노선 18.37km 구간에대해탐방로훼손정도를조사한결과, 건전 구간이 9.89km(53.9%), 강 구간은 0.21km(1.1%), 중 구간이 0.44km(2.4%), 약 구간이 7.83km(42.6%) 로전체구간에대한훼손비율은 46.2% 로조사되었다. 훼손정도 강 구간이 0.21km로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에서나타났으며그외의구간에서는조사되지않았다. 훼손정도 중 구간은 0.44km로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구간에서 0.07km와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구간에서 0.37km 가조사되었으며, 훼손정도 약 구간은전체탐방로에걸쳐 0.53km~2.80km의분포 국립공원연구원 287

304 14. 훼손지조사 를보이며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구간이 2.80km로가장높게조사되었다. 전체훼손비율이가장높게나타난구간은곰배골 ( 귀둔 )~ 곰배령구간으로 71.2% 로조사되었으며,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 설피마을 ~ 단목령 ~ 점봉산, 곰배령 ~ 작은점봉산 ~ 점봉산구간의순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의국립공원탐방로훼손등급실태조사자료에의하면전체국립공원탐방로 1,087.2km 구간에대한훼손정도는 강 구간이 10.7%, 중 구간이 22.8%, 약 구간이 51.3% 로훼손비율은 33.5% 로보고되었으며, 치악산국립공원과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006) 에서조사된훼손비율은 13.1% 와 11.9% 로보고되어본조사결과와차이를보이고있는데, 이는훼손정도평가기준이조사자의주관적판단에의한것이기때문에조사자에따라상당한차이가발생하는것으로판단된다. 전체적으로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의훼손정도는 건전 과 약 이각각 53.9%, 42.6% 로대부분을차지하고있으며, 곰배골 ( 귀둔 )~ 곰배령구간을제외하고는일상적인관리를통하여유지보수가가능하다고판단된다. 최근태풍, 돌풍의피해로훼손거리를산정할수없는훼손들수목도목 35회, 고사목도복 10회등대형수목의도복으로탐방로를막고있어탐방객에의한우회도로가생성되고있으며, 분기및노폭확대를막기위하여도복수목의신속한정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폐쇠된노선들은탐방객에의한훼손보다는자연재해에의한훼손발생이더클것으로판단되며, 현지조사에서도탐방객에의한훼손보다는자연상태에서발생한훼손이대부분인것으로조사되었다. 특히, 생태관리센터 ~ 강선마을 ~ 곰배령을제외한 3개노선모두폐쇠되어출입이불가능한관계로자연복원및자연재해에의한훼손정도를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하여관찰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판단된다. 6) 산사태발생지및기타훼손지현황 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구에대한산사태발생지및기타훼손지현황파악을위하여관리소의견, 항공사진, 현지조사등을병행하였으나조사구역내에는최근발생한산사태는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88

30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탐방로훼손 세굴유형분석과복원대책에관한연구. 161 pp.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581 pp.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505 pp.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탐방로정비매뉴얼. 161 pp. 산림청 등산로훼손유형별생태적정비요령. 188 pp. 산림청 산림의보전적활용증진을위한숲길의조성 관리기본계획. 85 pp. ( 사 ) 생명의숲국민운동본부 생활권숲길현황조사매뉴얼. 260 pp. 국립공원연구원 289

306 Ⅲ 요약 및관리방안

307

308 III. 요약및관리방안 요약및관리방안 1. 지형경관및지질 1-1. 요약본조사지역인점봉산은한계령을기준으로설악산국립공원의남쪽에위치하였다. 점봉산은전형적인토산의형태로곰배령-작은점봉산-점봉산-단목령으로이어지는능선과이능선을분수계로하는조사지역의유역은다른지역에비해서고도가높으나, 그기복이비교적완만하다. 특히곰배령, 작은점봉산지역은지형학적으로고위평탄면에해당하며, 한반도가동고서저 ( 東高西低 ) 의지형을한반도가평탄하였다는증거로써지형학적으로갖는의미가크다. 또한조사지역내의주요고개인곰배령과단목령은태백산맥을이어주는주요고개로써큰의의를지닌다. 따라서조사지역내의고위평탄면이갖고있는지형학적의미를설명해줄수있는안내판뿐만아니라주요고개와인간생활과의관계를설명해줄필요성이있다고생각한다. 또한점봉산일대는오색천을경계로설악산과마주보고있다. 점봉산은토산이며, 설악산은암산인것을생각해보았을때, 이는암석의차이에서비롯하는지형의발달을잘설명할수있는중요한교육의장이될수있다 관리방안조사지역인점봉산일대에는산지지형 ( 암괴지형 ) 과하천지형이발달하였지만그정도는미약하다. 암괴지형인암괴류와암괴원이사면들따라발달하였으나, 식생의발달로지형이온전히드러나있지않아관찰이불가하다. 하천지형의경우, 폭포가다수발달하였으나그크기가매우평범한것이다. 그러나조사지역내의지형 지질경관은많지않아이러한지형들에안내해설문을제작하여등반객들에게소개를한다면좋을것이다. 2. 식물상 2-1. 요약 점봉산전지역을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였으며공원전체범위를 6 개의격자 국립공원연구원 292

30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2km 2km) 로나누어식물상조사를실시하였으며식물상조사에서조사된관속식물은 44목, 108과, 404속, 676종, 1아종, 100변종, 13품종으로총 790분류군이조사되었다. 그중가장많은식물은 H( 지중식물, 휴면아지표 ) 이며 205분류군으로약 23.54% 의비율로나타났고 G( 지중식물, 휴면아땅속 ) 가 186분류군, 23.54%, Th( 일년생식물 ) 가 121분류군, 15.32%, 그리고 N( 저목, 소지상식물 ) 이 79분류군, 10.00%%, MM( 교목, 대형지상식물 ) 이 71분류군, 8.99%%,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 61분류군, 7.72%, HH ( 수생식물 ) 가 29분류군, 3.67%, Ch( 반지중식물 ) 가 30분류군, 3.79%, 마지막으로 E( 기생식물 ) 가 8분류군으로 1.01% 의점유율을나타내었다. 특산식물은특산종이 45종, 특산변종이 5종, 특산품종이 1종으로총 51분류군의특산식물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멸종위기식물 Ⅰ급은발견이되지않았으며멸종위기식물Ⅱ급은백부자 (Aconitum koreanum R. Raymond), 개병풍 (Rodgersia tabularis Kom.), 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L.),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Sw.), 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m.) Harms) 등 5분류군이발견되었고희귀식물에해당하는식물은 66분류군 (4변종) 이이번조사에서확인되었다. 점봉산지역에서조사된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176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Ⅴ등급식물군의경우눈측백 (Thuja koraiensis Nakai),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등 21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점유율은 11.93% 로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특정종 Ⅳ등급식물군은나도양지꽃 (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등 20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11.36% 로나타났고 Ⅲ등급식물군은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Maxim.), 산오이풀 (Sanguisorba hakusanensis) 등을비롯한 45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25.57% 로나타났다. Ⅱ등급식물군은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Christ.), 난장이바위솔 (Orostachys sikokianus Ohwi), 네귀쓴풀 (Swertia tetrapetala Pall.) 등 39분류군으로조사되었고점유율은 21.02% 로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Ⅰ등급식물군은속새 (Equisetum hyemale), 개구리갓 (Ranunculus ternatus), 촛대승마 (Cimicifuga simplex) 등을포함한 51분류군이나타났으며점유율은 28.98% 로조사되었다귀화식물은총 32분류군이조사되었고도시화지수 (Urbanization Ratio = 조사지내귀화식물출현수 / 전국귀화식물목록 100%) 는 10.73% 로나타났다 관리방안 국립공원연구원 293

310 III. 요약및관리방안 1) 새로운관리방안수립 점봉산지역이설악산국립공원으로새롭게편입이되었지만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산림청과같이관리하고있는상황이다. 하지만현장조사를다니면서느낀점은아직까지는국립공원관리공단관할의지역이아니라산림청관할지역이라는느낌이많이들었다. 관리가일원화되어있지않고이원화되어있다는것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산림유전자보호구역을관리하기위해서라도중장기적으로국립공원에편입된점봉산을위한관리방안도출이매우시급하다. 2) 점봉산사무소신설 설악산국립공원의면적은 km2로육상국립공원중에서는지리산 ( km2) 다음으로넓은공원이다. 하지만설악산국립공원에는사무소하나에분소가네개밖에없는실정이다. 설악산국립공원보다면적이좁은내장산 (80,708km2), 북한산 (76,922km2), 소백산 (322,011km2) 도두개의사무소가있으며최대규모인지리산국립공원은세개의사무소가관리하고있는실정이다. 점봉산지역은설악산국립공원지역중남설악오색지구에일부속해져있는구간이었으나완전히국립공원에편입되면서그상징성이나생태적가치가더욱부각되었다. 그렇기에분소를신설하거나탐방지원센터등으로관리하기보다는지리산국립공원처럼남부와북부로권역을나누어관리하는것이관리의효율성차원에서더욱좋을듯하다. 특히점봉산이국내에서가지는생태적가치를고려하였을경우에는새로운사무소신설이더욱타당하다고판단된다. 3. 식생 3-1. 요약점봉산내의식생군락은침엽수림으로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잣나무군락 (Pinus koraiensis community) 이나타났으며, 낙엽활엽수림으로가래나무군락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까치박달나무군락 (carpinus cordata community) 으로나타났다 4. 포유류 국립공원연구원 294

31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4-1. 요약 년에설악산국립공원의새로편입된점봉산지역으로강선마을, 단목령, 곰배령, 점봉산등의 4지역으로나누어흔적조사와포획조사를진행하였다. 2. 본조사를통해점봉산 ( 설악산국립공원 ) 권역은식충목두더지, 익수목관박쥐, 식육목족제비과의오소리, 족제비, 담비, 수달, 고양이과의삵, 설치목다람쥐과의청설모, 다람쥐, 쥐과의흰넓적다리붉은쥐, 등줄쥐, 우제목의사슴과의고라니, 노루, 멧돼지, 멧토끼등으로총 6목 9과 16종이확인되었다 년환경부에서실시한전국자연환경조사점봉산지역의문헌자료기초로종목록을작성하였다. 1997년조사결과총 5목 9과 17종의서식을확인되었고, 그중고슴도치, 너구리, 개, 곰, 비단털들쥐, 사향노루, 산양, 염소등의종이서식한다고알려졌지만 2012년도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4. 점봉산권역에서가장풍부하게발견한흔적은전체 77회중 12회로 15.6% 의멧돼지흔적이었으며, 이어멧토끼 (11.7%), 고라니 (10.4%), 담비 (9.1%), 삵 (9.1%), 오소리 (7.8%), 청설모 (7.8%), 두더지 (6.5%), 족제비 (5.2%), 하늘다람쥐 (5.2%), 노루 (3.9%), 다람쥐 (2.6%), 관박쥐, 수달, 흰넓적다리붉은쥐, 등줄쥐각각 1.3% 로흔적을통해서식을확인하였다. 흔적분포에서는총 72회중 33회가관찰된배설물 (45.8%) 이가장높이발견하였고, 식흔 (16.7%), 기타 (15.3%), 족적 (8.3%), 굴 (8.3%), 관찰 (5.6%) 의순서로관찰하였다. 점봉산권역의지역별흔적분포를조사하였을때강선마을지역이다른지역에비해다양한종류의흔적을발견하였다 관리방안본조사대상인점봉산권역은 2012년도에새로국립공원에편입된지역으로특히점봉산권역중강선마을지역은본조사과정에서멸종위기1급인수달이서식하고있는것을확인한지역이므로지속적인모니터링및관리가필요하다. 5. 조류 5-1. 요약높이 1,424m의점봉산은강원도인제군기린면과양양군서면에걸쳐위치하고있으며, 한계령을사이에두고설악산대청봉과마주보고있다. 설악산국립공원중남설악의중심이되는산으로, 설악산의최고봉인대청봉을오르는시발점이기도하며, 북 국립공원연구원 295

312 III. 요약및관리방안 동쪽에대청봉 (1,708m) 이있고, 북서쪽에가리봉 (1,519m), 남서쪽에가칠봉 (1,165m) 등이솟아있다. 산의동쪽비탈면을흘러내리는물은주전골을이루어오색약수를지나백암천에합류한뒤양양의남대천으로흘러든다. 점봉산일대에펼쳐진원시림에는전나무가울창하고, 갖가지식물을비롯하여참나물 곰취 곤드레 고비 참취등다양한산나물이자생한다. 특히한반도자생식물의남 북방한계선이맞닿는곳으로서한반도자생종의 20% 에해당하는 854종의식물이자라고있어 1993년유네스코에서생물권보전지역으로지정하기도하였으며, 국가에서도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지정하였다. 점봉산조류분야조사는 2012년 4월, 6 8월, 9 10월에실시하여각계절별로 1회이상씩조사가이루어지도록하였다. 등산로를따라길조사법 (road census) 을기본으로하여관찰하였으며상황에따라정점기록법 (point census) 도병행하면서출현하는조류를관찰하거나울음소리로종및개체수를확인하였다. 조사결과총 44종 520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가관찰되었다. 최우점종은산솔새 (68개체, 13.1%) 이었으며, 다음으로는검은머리방울새 (60개체, 11.5%), 솔새및박새 ( 이상 44개체, 8.4%), 곤줄박이 (40개체, 7.6%) 의순이었다. 시기별조사결과를살펴보면, 4월조사에서는총 28종 237개체가관찰되었고, 주로박새과조류와같은텃새가우점하는가운데왕새매, 유리딱새, 붉은배지빠귀, 큰부리밀화부리등의통과철새가관찰되었으며, 노랑할미새와쇠유리새, 흰배지빠귀등의여름철새역시관찰되기시작하였다. 6 8월조사에서는총 25종 296개체가관찰되었고, 산솔새와솔새의개체수가 4월에비하여두드러지게증가하였으며, 대표적인여름철새인뻐꾸기과조류및큰유리새가관찰되었다. 9 10월조사에서는총 24종 230개체가관찰되었고, 검은머리방울새가최우점하는가운데그외에는동고비, 노랑턱멧새, 박새등의텃새들이우점하였다. 검은머리방울새는큰집단을이루어곰배령능선을통과하는것이관찰되었으며, 이지역을경유하여월동지로이동하는개체들일것으로판단된다. 한편지역 ( 격자 ) 별조사결과를살펴보면, 105번격자에서는 20종 86개체, 112번격자에서는 14종 41개체, 113번격자에서는 30종 227개체, 117번격자에서는 24종 174개체, 121번격자에서는 10종 84개체가각각관찰되었다 관리방안 1) 점봉산은국립공원중곰배령지역은입산희망시미리예약을하도록하여일일 국립공원연구원 296

31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입장객수를제한하는등의관리를시행하고있고, 인제군인제읍귀둔리로부터곰배령방향으로나있는숲길역시입산을철저하게금지하는등등산객관리가전체적으로원활하게이루어지고있는것으로생각된다. 2) 먹이가부족한겨울철에조류들에게먹이를인공적으로제공하는급이대를설치할경우더나은서식환경을제공할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그림 5-1. 조류를위한인공급이대의예 ( 사진출처 : 6. 양서 파충류 6-1. 요약점봉산 (8.09km 2 ) 6개격자의조사지역을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총 7회의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양서류 5개지구 6개세부조사지점과파충류 4개지구 5개세부조사지점을지정하였다. 점봉산에서서식하는양서류는모두 2목 3과 4 속 5종으로확인되었으며, 파충류는 1목 2과 5속 6종이발견되었다본조사에서의양서류우점종은도롱뇽으로, 아우점종은무당개구리로확인되었으며, 파충류우점종은유혈목이로, 아우점종은쇠살모사, 누룩뱀그리고능구렁이로확인되었다. 군집분석결과, 양서류의종다양도 1.24, 종균등도 0.77 그리고종풍부도 0.77로확인되었고, 파충류의경우, 종다양도 1.72, 종균등도 2.09 그리고종풍부 0.98로확인되었다. 점봉산의 105격자는설악산국립공원과연결되고있으며, 진동계곡과달리큰계곡이발달하여있다. 이러한서식지를중심으로꼬리치레도롱뇽유생의높은서식비율을확인할수있었다. 이와는달리진동계곡과곰배령주변의 113, 121격자의경우작고유속이매우빠른계곡이발달하여있기때문에꼬리치레도롱뇽의개체수는 105격 국립공원연구원 297

314 III. 요약및관리방안 자지역보다낮았다. 반면계곡을중심으로습지가발달하여있기때문에다수의도롱뇽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으며이와함께북방산개구리와계곡산개구리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파충류의경우점봉산에서서식하기보다는주로봄과여름철점봉산주변의민가와경작지, 하천의제방을중심으로대부분의파충류들이서식및활동을하는것으로판단되며, 기온이낮아짐에따라동면을위하여점봉산을이용할것으로추측된다. 점봉산주변에조성된민박단지와펜션단지로진입하기위한도로가설치되어있으므로, 이곳에서다수의파충류가로드킬된상태로발견되었다. 따라서로드킬현황을파악하여중점구간을선정하고, 생태이동통로설치나차량의속도를제한하는등의보호대책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관리방안설악산국립공원으로의편입을준비하고있는점봉산의경우설악산국립공원오색분소로연결되는오색천계곡연결지구양서1, 양서2 지점은대형계곡과수계가발달하여다수의꼬리치레도롱뇽을비롯한다양한양서류의번식활동및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점봉산조사지역내에서멸종위기야생동물이나생태계교란야생동물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지만, 조사지역과연결되는설악산국립공원오색분소입구의도로에서멸종위기야생동물II급구렁이의사체를확인할수있었다. 과거연구된구렁이의행동권과비교하면설악산국립공원의오색분소와이와연결되는점봉산의 105번격자오색천계곡연결지구 ( 파충1, 파충2) 와안터민박단지연결지구 ( 파충3) 의경우구렁이의활동이나동면지로서의장소로이용될가능성이있다고판단된다. 점봉산의 113격자 ( 양서4, 파충4) 와 121격자 ( 양서5, 양서6, 파충5) 가위치하고있는진동계곡을중심으로계곡을벗어난주변지역에다수의펜션단지가위치하고있으며, 청문조사등으로미루어볼때다양한양서류와파충류가점봉산과주변의민가및경작지를이동하며이용하는것으로추측되었다. 또한설악산국립공원오색분소를출입하는관광객들과차량으로인하여유혈목이등의파충류로드킬이확인되고있었다. 곰배령과강선마을주변의조사지역 ( 파충5) 역시펜션단지와관광객, 등산객들의왕래가잦기때문에지속적인관리와감시가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특히점봉산은출입제한구역및유전자원보호구역등으로보호및관리가잘되어있기때문에다수의양서류와파충류가서식하기에알맞은서식지를제공하고있는것으로판단이되지만, 점봉산으로연결되는인접지역과의연결성이확보되고안전한이동이보장되지않는다면점봉산에서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안정적인개체군유지는보장받기어려 국립공원연구원 298

315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울것으로판단된다. 또한점봉산에서이례적으로보호구역가운데에형성되어있는마을인강선마을의경우높은개체밀도의파충류서식이예상되었지만, 실제조사결과기대보다낮은개체수및종의서식을확인할수있었다. 이지역에대한청문조사결과, 마을주민들이지속적으로뱀을포획하는사례가오래전부터빈번하게진행되어왔음을알수있었다. 점봉산의경우, 울창한산림으로인하여일조량을확보할수있는공간이한정되어있으며, 따라서파충류와같은동물들은강선마을을주로이용하기위해모일것으로판단되기때문에앞으로이지역의주민에대한파충류의홍보및교육활동이수반되어적극적인보호활동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점봉산의대부분지역은휴식년제와보호관리지역등으로출입이제한되어보호받고있었으며, 습지와웅덩이가발달하여도롱뇽을비롯한양서류의훌륭한번식지로이용되고있었다. 따라서지속적인조사와보호그리고등산객들의제한구역으로의출입제한감시강화등의활동을통하여점봉산의양서류와파충류서식지를보호해야할것으로생각된다. 또한조사지역일부는일반등산객의출입이제한되거나휴식년제가실시되고있는지역이었음에도불구하고최근에버려진것으로보이는쓰레기등의흔적이발견됨으로써최근까지등산객의이용이있었음을추측할수있었다. 따라서이지역에대한지속적인단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7. 어류 7-1. 요약점봉산조사지역에서 2012년 5월과 8월및 9월까지 3회에걸쳐수환경및어류에대해춘, 하, 추계조사를실시한결과는다음과같다. 조사하천및계곡은모두 Aa형의하천으로수환경은양호하였다. 점봉산일대의조사지점에서는총 126개체 4과 4종이채집되었으며, 잉어과가 1종 82개체 (65.08%), 연어과가 1종 36개체 (28.57%) 였으며, 둑중개과 1종 7개체 (5.56%), 메기과 1종 1개체 (0.79%) 등이었다. 우점종은금강모치 (82개체, 상대풍부도 : 65.08%) 였고, 아우점종은열목어 (36개체, 28.57%) 로나타났다. 법정보호종은열목어 (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 ) 1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금강모치, 미유기, 둑중개등총 3종으로전체어종의 75.0% 를차지하였다. 군집분석결과대부분의지수값이낮고, 우점도지수는상대적으로높게나타나는전형적인상류하천의특징을보였다. 국립공원연구원 299

316 III. 요약및관리방안 점봉산조사지점은대부분일반인들의출입이어렵거나제한되어있는관계로어류서식상황에영향을줄만한특별한교란요인은없었다 관리방안 점봉산일대전지역의수환경은매우양호하였으나, 일부지역특히인제군기린면진동리의강선마을일대는민가와숙박단지등이위치해있으므로, 수환경보호를위해서체계적인하수관리가필요할것으로본다. 점봉산일대의방태천은열목어의이동이많기때문에하천관리상의목적이나치수또는용수확보등의뚜렷한목적이없거나용도가폐기된보는국립공원의자연성보존이나, 하천의연속성과상, 하류생태계의원활한연결을위해서제거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사료되며, 부득이한경우어류가자유로이이동할수있도록어도등의이동로를확보해야한다.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열목어는일부지역 ( 지점 2, 4) 에서만출현하고있으므로, 서식지의교란을방지하는등지속적인관심과보호가필요하다. 금강모치, 열목어등은 1급수서식어종이므로간접적인생태지수로활용할수있으며, 개체수가비교적풍부하여, 하천에서직접적인육안관찰이가능하므로, 탐방객이나자연관찰프로그램에적극적으로활용할수있을것이다. 점봉산일대에서식하고있는냉수성어종으로는국내에서는서식개체수가많지않은열목어가있으며, 금강모치와둑중개가서식하고있다. 이들종은지구온난화추세에따라장기간에걸쳐점진적으로개체수가감소할것으로예상된다. 현재계방산일대의희귀어종인열목어의서식상태는양호한것으로판단되었으며, 계속적인희귀자원의보존과보호를위해서는, 연중열목어의이동경로, 주된서식지및월동지, 그리고산란장등의조사와같은생태적조사를실시하는방안이좋을것이다. 특히열목어의계절에따른원활한이동을위해하천에설치되어있는보나, 주변의지류관리등도병행해야할것으로사료된다. 또한얼마전멸종위기종에서해제되었지만둑중개역시대표적인냉수성어종으로현재서식지가제한적인것이사실이다. 때문에열목어와마찬가지로둑중개역시보존을위해관심을기울여야하며, 특히서식지훼손방지에신경을써야할것으로생각된다. 비교적냉수를선호하는금강모치는하천상류에서우점하고있는어종이므로당장특별한보호책이필요하지는않겠지만, 최상류하천의경우인위적인미소한수환경변화에도수생태계에미치는영향이크게작용하므로하천의자연성훼손에주의해야한다. 국립공원연구원 300

317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8. 육상곤충 ( 주간 ) 8-1. 요약 본조사는 2012년 4월부터 9월에걸쳐조사를실시하였으며, 6개격자를세지점으로나누어말레이즈트랩, 함정트랩, 야간등화및직접조사를수행하였다. 현지조사를통하여확인된점봉산일대의곤충은총 12목 75과 296종, 1,608개체확인되었다. St. 1는점봉산과곰배령일대로격자 111, 112, 117, 121 해당되며, 총 10목 57과 193종 1,181개체, St. 2는단목령일대로격자 113에해당되며, 총 1목 5과 10종 65 개체수가조사되었으며, St. 3은사시골일대로격자 105에해당되며, 총 11목 53 과 141종 362개체가조사되었다. 딱정벌레과만총 48종 554개체가조사되었다. St. 1는점봉산과곰배령일대는 45 종 455개체가조사되었고, St. 2는단목령일대는 6종 57 개체, St. 3은사시골일대는 9종 42개체가조사되었다. St. 1에서는현재신아종후보이면서멸종위기종의아종인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을비롯하여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가조사되었으며, 또한신아종후보인애기맵시딱정벌레 ssp.1(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이조사되었으며이들이시사하는바가크다. 본조사기간동안확인된멸종위종 II급에등록된멋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 가있으나이는멋조롱딱정벌레모든아종이포함되어야하는것이적합하다고판단되나등록된종으로만판단하면해당종은없으나본현지조사결과조사된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조사되었다. 본조사는처음편입된점봉산일대를중심으로현지조사를실시한결과이며, 본조사결과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을비롯하여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가조사되었으며, 또한신아종후보인애기맵시딱정벌레 ssp.1(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종의검토및이들서식처에대한보호가필요하다 관리방안 국립공원연구원 301

318 III. 요약및관리방안 가 ) 멸종위기종서식처보존 (1) 멋조롱박딱정벌레서식처보존및모니터링본현지조사결과확인된신아종후보인멋조롱박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는설악산국립공원종목록및한국산표본을대상으로딱정벌레를정리했던 Imura and Kezuka(1992) 의보고에서도멋조롱박딱정벌레류에대한보고는없다. 본현지조사에처음으로점봉산에서멋조롱박 ssp.1(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1) 3개체가조사되었다. 멋조롱박딱정벌레는백두대간을따라위치한국립공원에서종종확인되고있지만개체군이작고서식처의범위가넓지않아항상멸종의위험성을지니고있다. 따라서기존확인서식처에서지속적인모니터링을반드시실시하여야하며이들의생태적특징및군집에대한연구가시행되어야할것이다. 다만, 본조사시사용한컵트랩은살아있는개체를확보하기도하지만대부분개체를죽이게되는방법이므로조사에의해개체군이감소할수있는위험성이존재한다. 따라서이를개선하여살아있는상태에서개체를확인할수있는트랩을고안하거나잡았다재방사하는방법으로개체군을조사하는등본종을조사하는방법을개선할필요가있다. 그러나움직임이빠르고낮에이들을관찰하기힘들기때문에멋조롱박딱정벌레의모니터링은유인물질을사용하는것이생포하는것에있어더욱효과적이라여겨진다. 다만, 이경우트랩을빨리수거해야하는데반면최소 3일이상을설치해두지않으면이들의채집이어렵다. 이는본현지조사를하면서확인한것으로본종으로모니터링하기위해서는반드시 3일간시간을두고 3일째반드시트랩을확인하여야하며, 유인물질은강력한유인효과를위해부육물 ( 썩은고기류 ) 을사용할수있으나이는다른짐승 ( 멧돼지등의포유류 ) 을유인하는효과또한크므로당밀을이용한다. 당밀은본현지조사시사용한방법대로제조하거나이들종을더유인하기위해개인적으로확인하여제조한당밀을이용하는것이좋을것으로판단된다. 또한유인물질의양은개체가익사하지않을정도로적은양을사용하도록권장한다. 멋조롱박딱정벌레는금속광택이나는매우아름다운곤충으로일본뿐아니라국내수집가들에게매우인기가좋은종중하나이다. 특히이들을채집하기위해컵트랩을설치하면외부에서는확인이어렵기때문에단속이매우어렵다는것을이용하여일부에서는실질적으로불법채집하는경우가자주있다. 그러므로허가받지않고불법채집되는것을철저히단속할필요가있다. (2) 조롱박딱정벌레서식처보존및모니터링 국립공원연구원 302

319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멋조롱박딱정벌레와함께조사된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역시수집가들의타겟종이며, 설악산국립공원에서도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constricticollis constricticollis Kraatz) 로 2010년보고되어있고, 일본학자 Imura and Kezuka(1992) 이과거우리나라에서딱정벌레류를채집하여보고한문헌에윤조롱박딱정벌레 (Acoptolabrus constricticollis yooni) 가기록되어있다. 조롱박딱정벌레류는 10 종이보고되어있으나, 우리나라에는 2종 ( 태백산, 설악산, 지리산 ) 만서식하고나머지는북한에서식하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본현지조사에서 1개체가조사되었으며이는 2010년설악산에서조사된표본과비교대조해야하며재검토가필요하다. 조롱박딱정벌레역시멋조롱박딱정벌레와비슷한상황에처해있기때문에멋조롱박딱정벌레모니터링및서식처조사방법을동일하게해서조사해야할것이다. 나 ) 모니터링대상지점봉산일대의곤충상에대한연구는산발적으로언급하거나곤충수집가들이올려둔채집장소를제외하고공식적으로조사된보고서가없다. 현재국립수목원에서올해점봉산일부지역을대상으로기후변화와관련하여고도별조사를실시하였고본현지조사가편입된이후처음조사한것이다. 계방산과함께짧은시간동안많은종수를파악하지못하고일부동정이어려운분류군의미동정으로부족함이있다. 그러나점봉산에서설악산국립공원에서도보고된바가없는멋조롱박딱정벌레 ssp.1(acoptolabrus leechi ssp.1) 나애기맵시딱정벌레 ssp.1 (Leptinocarabus wulffiusi ssp.1) 가조사되었고, 또한안정된산림생태계에서지표곤충으로세계적으로보고되고있는 (Riley and Browne, 2011; Molnar et al., 2001; Langor and Spence, 2006; Oates et al.,2005; Pearce and Venier, 2006; Pearsall, 2007) 길쭉먼지벌레속 (Pterostichus) 종들이보고되었다. 산림지표성곤충으로이러한종들을많이조사하고있고지표종으로선발하고있으나외국자료는국내에서식하지않는종들이많으므로우리나라도앞으로지속적인모니터링이나서식처조사로인해특히국립공원연구원에서는산림지표종을선발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그러므로 2012년조사된세지점중가장종수와개체수가높고딱정벌레과의출현이많았던 St. 1인점봉산과곰배령일대로격자 111, 112, 117, 121 해당되는지역으로이곳의지속적인모니터링이요구되는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03

320 III. 요약및관리방안 9. 육상곤충 ( 야간 ) 9-1. 요약 본조사는 2012년 3월부터 10월에걸쳐조사를실시하였으며, 크게두개의조사지역 ( 점봉산곰배령및사시골 ) 을선정하여유아등및버킷트랩을이용한야간곤충의채집조사를수행하였다. 현지조사를통하여확인된설악산국립공원점봉산지역의곤충은총 18 과 187 종의 서식이확인되었으며문헌조사에서는 21 과 237 종으로조사되어설악산국립공원점 봉산지역의야간곤충류는총 23 과 369 종으로나타났다. 조사지역별로는곰배령일대에서는 12 과 58 종이, 사시골일대에서는 17 과 145 종이 각각확인되었다. 본조사기간동안법정보호종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다. 환경부지정한국고유종 (2005) 는 1 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환경부고시제 호 ) 은 12 종이확인되었다. 선행연구를종합한문헌기록은총 21 과 237 종으로나타났으며이목록에서 182 종 이확인되지않았고, 132 종이새롭게추가되었다. 이모든결과를종합하여설악산 국립공원점봉산지역에서식하는야간곤충은총 23 과 369 종으로정리되었다 관리방안본조사기간동안점봉산지역에서는특이적인중요곤충의분포가확인되지는않았다. 다만, 본조사지역은현재까지알려진지역중가장양호한원시림을유지하고있으며진동계곡일대에는서어나무군락이형성되어있어중요곤충종의서식에있어의미있는지역으로판단된다. 따라서향후에도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해중요종의출현여부에관심을가지는것이중요할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04

321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10. 진정거미류 요약강원도양양군과인제군사이의군계를이루는점봉산일대를한국거미연구회회원들이채집조사한결과 16과 38 속 64종이조사되었다 관리방안이번거미상조사는점봉산일대에서처음실시된것으로지속적인연구를통하여한반도거미상자료를마련함에동시에국립공원내의자원조사에중요한자료가될것으로보인다. 1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요약본 2012년조사에서점봉산일대 5개지점을대상으로조사한결과총 4문 5강 13 목 37과 95종 9,767개체의서식분포가확인되었다. 각분류군별로살펴보면편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2종, 유선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1종, 환형동물문이 1강 2목 2과 2종그리고절지동물문이 2강 9목 33과 90종으로나타났으며, 환경부에서지정한멸종위기야생생물 I급및 II급에해당되는보호종은확인되지않았다. 반면한국고유종은 7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6종이확인되었다. 절지동물문에서가장다양하게서식분포하는수서곤충류는총 8목 32과 89종으로그중하루살이목 7과 26종, 잠자리목 1과 1종, 강도래목 8과 21종, 노린재목 1과 1종, 뱀잠자리목 1과 1종, 딱정벌레목 3과 3종, 파리목 4과 13종, 그리고날도래목 7과 23 종으로확인되어전수서곤충가운데하루살이류와날도래류가가장많은종수를보여주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우점종은전반적으로절지동물문곤충강하루살이목의두점하루살이, 흰부채하루살이종이우세를나타내고있었다다양도지수는일부지점을제외하고대부분 2.0 이상을넘는결과를보여주어본수역에서의저서생물다양성이매우안정적으로유지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균등도지수는 0.7 이상의높은값을보여주고있었다. EPT그룹을비교분석한결과대부분의지점에서전체종수의 75% 이상을차지하였 국립공원연구원 305

322 III. 요약및관리방안 으며전체개체수의 80% 이상을차지하였다. 이는일반적인산간계류보다비교적높은비율을보여주어점봉산수계의건강성이상대적으로양호함을보여주었다. ESB 생태점수를비교한결과봄조사및여름조사시일부조사지점을제외하곤전반적으로 80 이상의높은값을보여주었다. 그러나가을조사시그값이상대적으로낮게조사되었다. 또한최근환경부수생태건강성평가에서활용되고있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모델지수인 KSI 지수값을적용한결과, 본수역은대부분수환경상태가최적등급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관리방안점봉산조사권역은국립공원편입지역으로국립공원의무료개방에따라현재의하천수환경을적극적으로보전하며, 각종개발압력에의한수환경교란및행락객들에의한하천오염을보다적극적으로방지하는것이매우중요하다. 금번 2012년조사에서확인된국외반출승인대상종인깜장하루살이, 가는무늬하루살이, 민날개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뭉퉁강도래, 한국강도래등법적보호종의분포및서식처에대한보다정밀한모니터링이지속적으로유지되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 특히본과제에서특별보호대책필요종으로선정한민날개강도래는서식처범위가협소하고특이한서식처를요구하는희소종으로서서식처가인위적인활동에의하여영향을받지않도록보전방안을수립하는것이좋을것으로판단된다. 또한최근지구온난화에따른각종기상이변과함께우리나라도생태계전반에대한변화가예상되고있는실정으로서추후본지역의각수계에대한수온및부유물질등과같은이화학적인변동을매우면밀히분석하여각수서생물군과의연관관계를지속적으로모니터링할필요가있다. 한예로서인공서식처등의투여실험은특정기간동안부착서식이확인되는저서생물종의특성변화를조사함으로서인한하천생태계의훼손없이정기적으로수생태계변화를안정적으로확인할수있다는장점을지니고있다 ( 그림 11-1). 그리고산간 1차하천수역을선호하는청수역지표종들의변화를집중적으로모니터링하기위해서는정밀한시간단위의수온변화를정기적으로측정할필요가있다 ( 그림 11-2). 더불어용존산소, 전기전도도, ph 등각종이화학적변화와더불어유량변동등에대한장기적인측정또한요구된다. 한편조사지점주변의수목에서확인되는낙엽을채워넣은 Litter bag을투여하여물속에서의낙엽분해량변동을알아보는것도추후기후변동에따른수계생태계의특성을파악하는데매우중요한자료로이용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06

323 설악산국립공원 ( 점봉산 ) 자연자원조사 인공서식처 (ASB) 인공서식처 (Hester) 그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인공서식처. 누적수온계 그림 11-2 수중생태계투여누적수온계. 결국이러한수환경변화및수생물상변화의장기적이며정밀한조사의누적은예측가능한수생태계변화의기준모델이되며추후기후변화과정중에발생가능한여러가지생물군의변화에대한대책마련등그활용가치가매우높을것으로판단하기때문이다. 국립공원연구원 307

박선주.fm

박선주.fm 자연보존 173 : 22-33 ; 2016 년 5 월 운문산생태 경관보전지역의특정식물및귀화식물연구 1) 박선주 송임근 2) 영남대학교생명과학과 서론 운문산은가지산 (1,240 m), 천황산 (1,189 m), 재약산 (1,108 m) 등과더불어해발 1,000 m 이상의고봉에둘러싸여있고, 영남의 7산중의하나이며, 경상남 북도의경계를이루는성현산맥 ( 省峴山脈 )

More information

13-ºÎ·Ï¸ðÀ½-0312

13-ºÎ·Ï¸ðÀ½-0312 Pinus thunbergii Parlatore Abies holophylla Maximowicz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Juniperus chinesis Linnaeu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Ginkgo biloba

More information

R hwp

R hwp 목적기초연구 1 * Anticomplement Activities of Korean Indigeneous Plants No. Plant name Srientific name Family Activity(IC50) 98112 해변싸리 Lespedeza martrima 콩과 12.2 96019 지리산오갈피 Acanthopamax chiisanensis

More information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KOREA NATIONAL PARK SERVICE For the nature as it 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el : 02-3279-2700, 02-3279-2701 Fax: 02-3278-2785~6 E-mail: webmaster@knps.or.kr www.knps.or.kr About This Reports Contents

More information

도감본문(수정)~10p

도감본문(수정)~10p 두번째이야기 덩굴나무 두번째이야기덩굴나무 6 0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4 5 6 6 5 4 7 8 9 P. densiflora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P. densiflora for. erecta 0 6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8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덩굴나무차례 9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사가일대의식물 사가 (356121) 일대의식물 - 방문산 - 손현덕 선은미 * 목포자연사박물관 전남대학교 * 요약 1 조사지역내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총 80과 179속 187종 4아종 42변종 7품종의총 240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이지역내에서식하는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으로는 Ⅳ등급종백양꽃 1분류군, 광릉골무꽃을비롯한 III 등급종 4분류군, II 등급종층꽃나무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덕곡일대의식물 덕곡 (358014) 일대의식물 - 문수봉 - 김휘 곽지훈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덕곡면문수봉조사지역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 66 과 155 속 192 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덕곡면문수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은확인할수없었다. 특정식물종 5 급은확인되지않았다. 식물구계학적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4급으로는선포아풀이있었고 3등급으로는물박달나무다수개체가확인되었다.

More information

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조경식물학 - 상록활엽수외 - 1. 녹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중용수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성상 : 상록활엽교목 수형 : 타원형 분포 : 난온대지역 이식 : 어려움 번식 : 실생 / 삽목 대기정화능력우수, 환경정화수 기조, 녹음, 가로수, 방풍, 방화식재 2. 생달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음수 생달나무 Cinnamomum

More information

BTXHINECYMSR.hwp

BTXHINECYMSR.hwp 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 무갑산 양자산 천덕봉 국수봉 - 양금철 신진호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1. 서론 식생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 자원을찾는데그목적이있다.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이라함은희귀 성, 대표성, 전형성을포함하는것으로서자연식생, 극지의입지에남아있는유존식생, 식 생발달에오랜시간이걸리는식생유형을말한다.

More information

지속가능한산림자원관리지침 < 전문 > [ 별표 1] 간벌후입목본수기준 ( 단위 : 본 /ha) 수 종 가슴높이지름 ( cm )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잣나무 1,500 1,200 1,000 880 760 670 600 530 480 440 400 낙엽송 1,500

More information

안테나/한지해(001~025)

안테나/한지해(001~025) 01 1 01-1 2 3 01-2 0 250 m 02 1 02-1 2 3 02-2 03 1 03-1 2 03-2 3 04 1 2 3 04-1 04-2 05 1 2 3 05-1 05-2 06 1 06-1 2 06-2 3 07 1 2 3 07-1 07-2 08 1 2 3 08-1 08-2 09 1 09-1 2 3 09-2 10 1 2 10-1 10-2 3 11

More information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계열 (2) - 1. 서부해당화 음양성 : 양수 서부해당화 Malus prunifolia 성상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 구형 번식 : 실생 / 접목 적색의꽃, 적색열매가아름다움 기조, 강조식재 2. 마가목 음양성 : 음수 마가목 Sorbus commixta 수형 : 타원형 이식 : 어려움 전정 : 보통 번식 : 실생 / 접목 / 취목 흰색꽃과적색열매가아름다움

More information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2018.5. - 2018.12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경이변화되는과정을추적하고해석하여광주광역시의각자연환경인자별자연환경지표 ( 기준 ) 를미래지향적으로설정하며,

More information

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

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 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This survey

More information

목 과 속 종 뼈점수 % 뼈점수마리수 % 마리수 우제목 사슴 큰꽃사슴 큰꽃사슴 63 22.5% 사슴 누렁이 1 0.4% 큰뿔사슴 넓적큰뿔사슴 13 4.6% 상원큰뿔사슴 2 0.7% 소 소 첫소 3 1.1% 물소 물소 8 2.9% 돼지 돼지 멧돼지 23 8.2% 기제목 말 말 상원말 15 5.4% 코뿔이 쌍코뿔이 큰쌍코뿔이 127 45.4% 식육목 개 이리 이리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김휘 ( 목포대학교 ), 길희영, 박수경, 장진성 * ( 서울대학교 ) 환경부고유종목록과산림청수목원조성및진흥에관한법률의특산식물비교검토 특산식물 ( 고유식물 ) 의정의 Kruckeberg and Rabinowitz (1985) 고유종은독특한생태적지리적장소 ( 섬, 국가혹은정의된생육지 ) 에자 라는경우 Endemism vs cosmopolitan distribution

More information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1. 변경요지 () 2. 변경의목적및사유 - -, - 1) ) 59.2% 3 - -, ) 환경정책 (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보전의메카에서복지의메카까지 ) 2) 201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1. 변경요지 () 2. 변경의목적및사유 - -, - 1) ) 59.2% 3 - -, ) 환경정책 (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보전의메카에서복지의메카까지 ) 2) 201 기자설명회보조자료 2015.4.29( 수 ) 10:30 국립공원삭도시범사업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강원도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1. 변경요지 () 2. 변경의목적및사유 - -, - 1) - 2013 2) 59.2% 3 - -, - 2018 1) 환경정책 (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보전의메카에서복지의메카까지

More information

<BACF3FC1DF20C1A2B0E6C1F6BFAA20B0B3B9DFC7F6C8B220B9D720C8AFB0E6BBF3C5C220C1B6BBE72833C2F72928B0ADC5C3B1B8292E687770>

<BACF3FC1DF20C1A2B0E6C1F6BFAA20B0B3B9DFC7F6C8B220B9D720C8AFB0E6BBF3C5C220C1B6BBE72833C2F72928B0ADC5C3B1B8292E687770> 사업보고서 2013-07-02 북 중 접경지역 개발현황 및 환경상태 조사(3차) 강택구 외 편 연구진 연구책임자 참여연구진 강택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노태호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추장민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오일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이호림 (중국 연변대학교 농학과 교수) 박인철 (중국 연변대학교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1-1400119-000205-01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93520 9 788997 450602 ISBN 978-89-97450-60-2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20149 031-540-2000 415 aplan Tomorrow FOUR SEASONS

More information

Korean J. Plant Res. 29(2): (2016) Print ISSN Online ISSN Original Research Art

Korean J. Plant Res. 29(2): (2016)   Print ISSN Online ISSN Original Research Art Korean J. Plant Res. 29(2):241-263(2016) http://dx.doi.org/10.7732/kjpr.2016.29.2.241 P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석회암지대석병산일대의관속식물상 송재모 1, 손호준 2, 김영설 3, 김세창 3, 이다현

More information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was surveyed from August 2016 to October 2016. The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뉴질랜드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 ( 주 ) 제이앤드에이 Ÿ Ÿ Ÿ Ÿ Ÿ Ÿ Ÿ Ÿ Ÿ 2.3)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토양특성 [표 2-7]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부지 토양 특성 유효

More information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설계 2 - 조경식물 ( 목본 )- 1. 자작나무 음양성 : 양수 건습성 : 건조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번식 : 실생, 삽목 성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원추형 백색의수피, 황색단풍 강조, 유도, 차폐, 녹음식재 2. 서어나무 음양성 : 음수 생장속도 : 중간 건습성 : 건조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진상일대의식물 진상 (357154) 일대의식물상 - 억불봉 - 김휘 박유철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진상면 (357154) 지역의억불봉 (1,008m) 일대에대한식물상조사에서총 100과 137 속 332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진상면억불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II급인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Nakai) 를확인할수있었다.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More information

UM00003782.PDF

UM00003782.PDF 1 북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강 호 상 (서울대 객원연구원) 목 차 요약문 3 1. 서 론 5 2. 북한의 자연자원 8 3. 북한의 산림자원 16 4. 북한의 산림황폐화 원인 및 현황 18 5. 훼손된 북한 산림생태계의 복원 25 6. 장기생태연구지 설정 및 연구 31 7. 동북아시아 국가간 산림 network 조성 및 교류 협력

More information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4(5) : 549~556(2011) Chen, 2002; Walther et al., 2002; Lee et al., 2009). 기후변화에따른생물계절변화연구는장기간의모니터링을통해이루어지며, 계절변화연구는최근기후변화와기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4(5) : 549~556(2011) Chen, 2002; Walther et al., 2002; Lee et al., 2009). 기후변화에따른생물계절변화연구는장기간의모니터링을통해이루어지며, 계절변화연구는최근기후변화와기 연구논문韓資植誌 24(5) : 549~556(2011) Korean J. Plant Res. 한반도아고산지대내기후변화취약식물종의식물계절성변화연구 - 덕유산정상지역을중심으로 - 김혁진, 홍정기, 김상철, 오승환 1, 김주환 * 경원대학교생명과학과, 1 국립수목원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More information

담양군 도래수마을의 식물상 조사 분석

담양군 도래수마을의 식물상 조사 분석 담양군도래수마을의식물상조사분석 박미정 1, 최진아 1* 2 1, 이상화, 김은자, 전보배, 유준완 1 1 1. 국립농업과학원 2. 녹색마당 Vegetation Survey and Analysis in Damyang-gun Doraesoo Village Park Meejeong 1, Choi Jin-a 1*, Lee Sanghwa 2, Kim Eunja 1,

More information

〈표7

〈표7 1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김일훈 김빛나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생물학과 요약 본조사는 제3차전국자연환경 " 조사의일환으로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포항시에위치한대보도엽 (359153)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상를대상으로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3목 6과 11종의양서 파충류서식이확인되었다.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More information

차례

차례 작품번호 1819 울산태화강의겨울철철새 모니터링자료와서식환경간의 비교연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환경 212. 7. 9. 구분성명 출품학생 지도교사 정유정 정선명 조은아 김동호 차례 - 1 - Fig 1. 태화강조류조사 site - 2 - - 3 - - 4 - - 5 - - 6 - Table 1. 모니터링실시날짜 년 21 211 212 1.9 1.16 1.8

More information

ZRQWOSTHTGNE.hwp

ZRQWOSTHTGNE.hwp 1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 가산 팔공산 - 안경환 윤상혁 국립환경과학원 계명대학교 1. 서 론 본조사권역은경상북도군위군, 영천시, 칠곡군, 경산시및대구시일대에위치하고 있으며, 해당도엽(1:25,000) 은군위(368151), 다부(368153), 대율(368154), 신령(368163), 칠곡(358031), 동촌(358032),

More information

93261.hwp

93261.hwp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 봉두산, 수리봉 - 조영호 김진석 ( 경북대생물학과 ) 요 약 기존의임상도와녹지자연도, 현지의상관및식물사회학적조사를토대로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의식생보전지역이설정되고, 식생보전대상지역의현존식생도가작성되었다. 한편상관에의한현존식생도상의식물군락은소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More information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 조달청 2014 계약가격 ] No G2B 식별번호품명규격단위 2014 계약가격 1 22210739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01, 다년초, 가래, 초장 5~10cm, 2~3 분얼본 520 2 22210740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02, 다년초, 각시둥굴레, 초장 5~20cm, 10.2cm 포트본 600 3 22210741

More information

〈표7

〈표7 1 경주일대의양서 파충류 경주일대의양서 파충류 김일훈 김빛나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생물학과 요약 본조사는 제3차전국자연환경 " 조사의일환으로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경주시에위치한경주도엽 (359014)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상를대상으로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3목 6과 12종의양서 파충류서식이확인되었다.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More information

<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화순 곡성 지역의 지형경관 윤 순 옥 박 충 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요 약 본 조사지역은 형제봉, 차일봉, 백아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험한 산체가 중앙부에 위 치해 있어 깊은 계곡과 기암괴석의 암봉과 같은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으며, 섬 진강과 보성강과 같은 대하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높고 험준한 산지가 많 아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평지는

More information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8(4) : 511~525(2015) 소, 기암 10개소, 계곡 4개소, 해변 1개소등 26개소의경관자원이있으며, 공원깃대종은소나무와원앙이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경주국립공원의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8(4) : 511~525(2015) 소, 기암 10개소, 계곡 4개소, 해변 1개소등 26개소의경관자원이있으며, 공원깃대종은소나무와원앙이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경주국립공원의 Korean J. Plant Res. 28(4):511-525(2015) http://dx.doi.org/10.7732/kjpr.2015.28.4.511 P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경주국립공원구미산지구에분포하는관속식물상 유주한 1 *, 권순영 2 1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조경학과,

More information

93251.hwp

93251.hwp 제천 단양지역의식생 - 동산, 부산 - 강상준 한동열 ( 충북대학교과학교육학부, 충북대학교강사 ) 서 론 식물군락에대한연구는군락의구조를밝히려는연구와그것의동태를규명하려는연구의두가지측면에서진행되어왔다. 구조적인측면의연구는일정한지역에서어느한순간의식생조성과그것의환경과의관계를밝히는것을목적으로한다. 구조적측면의연구는식생을기술하는것으로시작된 19C초이후많은연구자들에의해연구되어왔는데군락의개념에대한인식의차이에따라군락을단위체로인식하려는접근법과연속체로인식하려는접근법으로연구방향이대별되어왔다

More information

2_11_24 김준수.hwp

2_11_24 김준수.hwp 농업생명과학연구 45(3) pp.9-18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pp.9-18 비룡산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 김준수 1 홍진기 1 김경수 1 조용찬 2 배관호 3* 1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2 국립수목원, 3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접수일(2011년 03월 04일), 수정일(2011년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BFACB1B8C0DAB7E C8A328C8F1B1CDC0AFC0FCC0DABFF8292DB3BBC1F6C6ED2E687770>

<BFACB1B8C0DAB7E C8A328C8F1B1CDC0AFC0FCC0DABFF8292DB3BBC1F6C6ED2E68777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발간사 산림은물, 공기, 휴양등으로인류에간접적인크나큰혜택을주고있으며, 산업사회가발전할수록기후변화와더불어산림자원의존재가치와중요성이더욱더높아지고있습니다. 그중에서도고급용재수, 약용수등의산림유전자원은직접적인활용가치가높은생물자원입니다. 아울러생물산업발달과더불어산림유전자원은다양성이요구되는미래사회의중요한생명자원으로서그역할은이루말할수없을것입니다.

More information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 2 3 4 5 006 009 020 024 028 032 036 040 044 050 056 064 070 086 090 188 192 195 199 202 205 209 212 214 219 102 110 224 6 7 6 008 9 8 9 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18 19 파주 20 1)

More information

DMZ 의식물 155 마일

DMZ 의식물 155 마일 DMZ의식물 155마일 을엮은우리의노력이식물을앞세워현실의휴전선을지워나가는길이되었으면합니다. 남과북의경계없이피고지는비무장지대의식물처럼말입니다. DMZ 의식물 155 마일 DMZ의식물 155마일 을엮은우리의노력이식물을앞세워현실의휴전선을지워나가는길이되었으면합니다. 남과북의경계없이피고지는비무장지대의식물처럼말입니다. 발행일 2016년 10월 15일발행처 국립수목원발행자

More information

2012-82 The Study on the Alternative Pla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in Palgong-Mountain , i ii iii iv v ? vi vii 제 절연구배경및목적 연구배경과필요성 연구목적 제 절연구범위 연구내용및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제 절선행연구고찰 주요개념 관련연구

More information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84~299)206지도서2-3 2012.9.17 21:21 페이지284 mac01 T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1 단원의 개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물자와 사람들의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자연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교 통과 통신이

More information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nggi-do.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consist of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임실 장수소권역일대의식생 임실 장수소권역일대의식생 - 내동산 - 성낙필 이윤택 하늘나무생태연구소 요약 1 본조사권역은관촌 (357061), 평장 (357062), 임실 (357063), 신창 (357064), 반암 (357073) 도엽의내동산 (887m) 평가단위로구성되며출현식물군락의유형은신갈나무군락 (Qm), 졸참나무군락 (Qs), 굴참나무군락 (Qv),

More information

Programs The 201 EABCN symposium will be held on 13 October and two-day field trips will be arranged at October. A side event is also planned to

Programs The 201 EABCN symposium will be held on 13 October and two-day field trips will be arranged at October. A side event is also planned to THE 201 EABCN SYMPOSIUM Program Book 9-1 October 201 Republic of Korea East Asia Biodiversity Conservation Network Publishe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Programs The 201 EABCN symposium will be held on

More information

102.fm

102.fm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 6, No. 1 31-81, 2013 http://dx.doi.org/10.7229/jkn.2013.6.1.031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Chang Hyeon Lee 1, Hyun Tak Shin

More information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7, Vol. 8, No. 3, pp DOI: 지리산국립공원세석지역의아고산관속식물상 노일 * 정재민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7, Vol. 8, No. 3, pp DOI:   지리산국립공원세석지역의아고산관속식물상 노일 * 정재민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7, Vol. 8, No. 3, pp. 201 211 DOI: http://dx.doi.org/10.15531/ksccr.2017.8.3.201 지리산국립공원세석지역의아고산관속식물상 노일 * 정재민 ** 조민기 *** 김태운 **** 문현식 **** * 국립공원관리공단내장산사무소, ** 국립수목원산림자원보존과,

More information

<30312D3039C1F6C7FCB0E6B0FC2E687770>

<30312D3039C1F6C7FCB0E6B0FC2E687770> 춘천 홍천지역의지형경관 이의한 신영근 ( 강원대학교지리교육과 ) 요 약 검봉지역은자연이본래의모습그대로잘보전되어있다. 인상적인지형경관이많이있고, 특히북한강 홍천강과어우러진자연경관은매우아름답다. 앞으로도이지역의자연경관은잘보전되어야할것이다 (Ⅴ등급). 금확산지역은인간에의한개발이이루어져자연본래의모습이상당부분훼손되었다. 그러나홍천강변을따라학술적으로가치있는지형경관들이많이나타나고,

More information

<30352D3035C1F6C7FCB0E6B0FC2E687770>

<30352D3035C1F6C7FCB0E6B0FC2E687770> 용인 화성지역의지형경관 박수진 신영호 ( 서울대학교지리학과 ) 요 약 조사지역은주로변성암계열의기반암으로구성되어있으며, 낮은융기량과오랜기간의삭박작용의결과완만한구릉지성저산지지형을형성하고있다. 이지역의산지에서는기암괴석과같은지형경관을관찰하기는어렵다. 하천은주로남북방향으로흐르며, 그주변지역으로넓은배후평야가형성되어있다. 황구지천과진위천의하변에형성된하변습지는경관이수려할뿐만아니라다양한식생의서식이관찰되어향후보전할가치가높다고판단된다.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09엄정섭(143~152)ok

09엄정섭(143~152)ok Effectiveness of Landform Teaching using Google Earth Mash-up Contour Map Jin Ho Choi* Min Ho Baek** Yong Gwan Beom*** Jung-Sup Um**** Abstract : Contour lines are widely adopted as representation of terrain

More information

401.fm

401.fm Journal of Korean Nature Vol. 3, No. 4 199-211, 2010 Classification Type of Vascular Plants in Yeohangsan, Muhaksan and Palyongsan, Masan Hyun-Kyung Oh 1 *, Hyun-Mi Kang 2 and Song-Hyun Choi 2 1 Department

More information

[00]_목차.hwp

[00]_목차.hwp Korean J. lant Res. 27(4):293-308(2014) http://dx.doi.org/10.7732/kjpr.2014.27.4.293 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국립 DZ 자생식물원조성부지의관속식물상 신현탁 1, 이명훈 2, 이창현 2, 성정원 2,

More information

<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영천 경주 지역의 지형경관 황 상 일 박 경 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요 약 본 조사지역은 도덕산, 인내산, 구미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낙동강 수계와 형산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금호강과 형산강 하안에는 비교적 넓은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나 이외의 하천은 대부분 소하천으로, 이들 소하천들은 퇴적암 지 대에서는 짧은 유로를 직류하며

More information

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다 (Kim et al., 2012). 여러가지생물종이어우러져구성된생물군집은종간상호작용이다양할것이므로종다양성이높은군집은구조적으로복잡할것이다

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다 (Kim et al., 2012). 여러가지생물종이어우러져구성된생물군집은종간상호작용이다양할것이므로종다양성이높은군집은구조적으로복잡할것이다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 16 권제 1 호 (2014) (pissn 1229-5671, eissn 2288-185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2014), pp. 11~21 DOI: 10.5532/KJAFM.2014.16.1.11 c Author(s) 2014.

More information

T...........hwp

T...........hwp 성인 미성년자 25.0% 20.0% 15.0% 10.0% 5.0% 0.0% 21.6% 22.4% 18.2% 17.5% 10.5% 6.3% 3.5% 백분율 어린이 청소년 회원 일반시민 환경지도자 초중등교사 기타 50.0% 40.0% 30.0% 20.0% 10.0% 0.0% 23.8% 45.2% 11.9% 7.2%

More information

_report.hwp

_report.hwp 해외출장복명서 ( 일본기타큐슈, 교토, 오사카 ) 2009. 9 녹색국토 도시연구본부이승욱 - 차례 - 1. 해외출장개요 1 2. 주요내용및시사점 2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2 2. 교토카모강 14 3. 오사카요도강 16 3. 방문기관및안내자 1. 목적 2. 출장일정및출장지 - 1 -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 무라사키강전경 > - 2 - < 무라사키강하류에입지한산업단지전경

More information

Method Country Vegetation type Reference AA Japan Quercus-mixed Kirita(1971) Japan Quercus-mixed Nakane(1975) CC China glassland Jia et al.(2006) Japan deciduous forest Hirano e tal.(2003) USA hardwood

More information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5, Vol. 6, No. 4, pp DOI: * ** *** *** * ***, *, **,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5, Vol. 6, No. 4, pp DOI:   * ** *** *** * ***, *, **,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5, Vol. 6, No. 4, pp. 379 388 DOI: http://dx.doi.org/10.15531/ksccr.2015.6.4.379 * ** *** *** * ***, *, **, *** ( )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

More information

<BDC4BBFD32302DBCF8C3B5B1B8B7CA5FC1F8BFB5B1D42DC6EDC1FD2E687770>

<BDC4BBFD32302DBCF8C3B5B1B8B7CA5FC1F8BFB5B1D42DC6EDC1FD2E687770> 순천 구례일대의식생 순천 구례일대의식생 - 천왕봉 봉두산 아미산 희아산 용계산 - 진영규 김세훈 창원대학교생물학과 1. 서론 본조사지역은남부권역에속하며순천, 구례지역을소권역으로하고있다. 행정구역상전라남도순천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에속하며, 순천시는황전면, 월등면. 광양시는봉강면, 광양읍. 곡성군은목사동면, 고달면. 구례군은구례읍에걸쳐있다. 본조사지역에해당하는도엽

More information

최종용역보고서

최종용역보고서 최종용역보고서 - 7 - - 1 - - 2 - - 3 - 그림 1. 사업대상지위치및접근경로 - 4 - 그림 2. 사업대상지위치및면적 - 5 - 그림 3. 말레이시아지도 - 6 - 그림 4. 사라왁지도 - 7 - - 8 - 그림 5. 말레이시아일반강우량분포도 그림 6. 사라왁고도분포현황 - 9 - - 10 - 그림 7. 사라왁항공노선 그림 8. Trans-Borneo

More information

<B1B9BEEE412E687770>

<B1B9BEEE412E687770> 21 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및정답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hwp

hwp 원주 제천의지형경관 ( 강원대학교지리교육과 ) 서 론 본조사은백운산을중심으로한이다. 이들은행정구역상으로강원도원주시단구동일대와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일부와제천시백운면일대에해당된다. 원주시는북쪽으로강원도횡성군, 서쪽으로경기도양평군 여주군, 남쪽으로충청북도제천시, 동쪽으로강원도평창군 영월군과접해있다. 원주시의면적은 867.76km 2 이고수리적위치는북위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2(2): 87~9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

2(2): 87~9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 2(2): 87~97, 2016. 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u, Ju-Han ABSTRACT 국문초록 Corresponding author: You,

More information

<31302D3231C1F6C7FCB0E6B0FC2E687770>

<31302D3231C1F6C7FCB0E6B0FC2E687770> 경주 울산지역의지형경관 전영권 ( 대구가톨릭대학교지리교육과 ) 요 약 조사지역인 10-21 경주 울산 소권역은울산광역시북구 중구 울주군 범서읍 언양읍, 경북경주시외동읍 내남면일부가포함되는지역이다. 이곳의지형경관은태화강의하천습지와태화강으로유입하는대곡천일대가대표적인경관을나타낸다. 특히감입곡류하는대곡천일대에는수려한지형경관과더불어다양한지형들이발달한다. 특히언양읍천전리와대곡리에일대대곡천변의선사시대암각화는대곡천의수려한지형경관과더불어문화역사적으로나생태적으로나매우보존가치가크다.

More information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iv v vi vii viii ix x 1 2 3 4 5 6 경제적 요구 생산성 경쟁력 고객만족 수익성제고 경제성장 고용증대 외부여건의 변화: 범지구적 환경문제의 심화 국내외 환경규제의 강화 소비자의 의식 변화 환경비용의 증대 환경단체의 압력 환경이미지의 중요성 증대 환경적 요구 자원절약 오염예방 폐기물저감 환경복구 삶의 질 향상 생태계 보전 전통적 경영 경제성과

More information

경영학회 내지 최종

경영학회 내지 최종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2012 년도재정사업자율평가결과 ( 정보화 ) 2013. 7. 산림청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 목차 ==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산림과학기술정보화 1. 산림자원정보화 ( 직접수행, 평가결과 : 보통 ) 계획 100.00 관리 86.67 성과 50.00 종합 71.00 (50) (5060) (60~80)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최송현 ( 밀양대학교조경학과교수 ) 목차 1. 머리말 2. 천성산환경영향평가서검토 (1) 1994년환경영향평가서내용검토 (2) 2003년자연변화정밀조사보고서검토 3. 천성산지역의군집구조조사및분석 (1) 현존식생및녹지자연도분석 (2) 연륜및생장분석 4. 연구결과의비교 5.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1. 머리말 천성산 ( 千聖山

More information

src.xls

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제출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허브산업기반활용뷰티산업소재 제품개발및특화산업육성기획 과제의 보고서로제출합니다 년 5 월 16 일 주관연구기관명 :( 주 ) 하이솔 주관연구책임자 : 김광상 세부연구책임자 : 김광상 연 구 원 : 박이경 연 구 원 : 최

제출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허브산업기반활용뷰티산업소재 제품개발및특화산업육성기획 과제의 보고서로제출합니다 년 5 월 16 일 주관연구기관명 :( 주 ) 하이솔 주관연구책임자 : 김광상 세부연구책임자 : 김광상 연 구 원 : 박이경 연 구 원 : 최 제출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허브산업기반활용뷰티산업소재 제품개발및특화산업육성기획 과제의 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7 년 5 월 16 일 주관연구기관명 :( 주 ) 하이솔 주관연구책임자 : 김광상 세부연구책임자 : 김광상 연 구 원 : 박이경 연 구 원 : 최담선 연 구 원 : 김민숙 연 구 원 : 김민지 협동연구기관명 : ( 재 )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1palyeongsanR5_1_157.hwp

1palyeongsanR5_1_157.hwp 국립공원연구원연구보고 2 0 12-16 Nature, Our Future!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팔영산 - 2012. 12. 국립공원탐방서비스헌장 우리공단임직원은국립공원이우리나라의자연생태계와자연및문화경관등을대표하는지역으로후손에물려주어야할소중한유산임을인식하고국민의여가생활과정서함양을위하여다음과같은자세로공원관리에임할것을약속합니다. 1. 다양한생태계,

More information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11-148523-132-1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12 목차 Ⅰ Ⅱ Ⅲ ⅰ 목차 Ⅳ ⅰ 목차 iii 목차 ⅳ Abstract ⅴ Ⅰ. 서론 1 Ⅱ. 연구내용및방법 < 그림 1> 대청호유역추소리조사지점도 2 Ⅱ. 연구내용및방법 3 Ⅱ. 연구내용및방법

More information

101.fm

101.fm Journal of Korean Nature Vol. 3, No. 1 1-10, 2010 Dispersion of Vascular Plant in Mt. Huiyangsan, Korea Hyun-Tak Shin 1, Sung-Tae Yoo 2, Byung-Do Kim 2, and Myung-Hoon YI 3 * 1 Gyeongsangnam-do Forest

More information

16절 백지

16절 백지 Vol.13. No.2 2014. 10. pp.165~176 165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 1) 조광진 ** 박인환 *** 김명현 **** 김혜영 *****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Ecological Forest Site at Mt. Misung in

More informa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연합뉴스) 마이더스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2012. 04 Vol. 98 Cover Story April 2012 _ Vol. 98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www.yonhapmidas.co.kr Contents... 14 16 20 24 28 32 Hot News 36 Cover Story 46 50 54 56 60

More information

3(1): 21~33,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Vascular Plants around Tongdosa(Temple) in Gajisan Provincial Pa

3(1): 21~33,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Vascular Plants around Tongdosa(Temple) in Gajisan Provincial Pa 3(1): 21~33, 2017. 6.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Vascular Plants around Tongdosa(Temple) in Gajisan Provincial Park Oh, Hyun-Kyung* Choi, Yoon-Ho** You, Ju-Han*** ABSTRACT

More information

<303531372DBFACB1B8BAB8B0EDBCAD28BBFDC5C2C1F6B5B529312E687770>

<303531372DBFACB1B8BAB8B0EDBCAD28BBFDC5C2C1F6B5B529312E68777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Forest Eco-Map of Korea 권태성 임종환 양희문 천정화 박찬열 이임균 가강현 이승우 박병배 최명섭 조재형 신준환 김영걸 김철민 김성호 박영석 김병우 박대식 윤충원 김성수 장민호 이우신 발 간 사 산림에는 그 바탕이 되는 암석과 토양이 여러 형상으로 놓여있고 그 사이로 물이 모여 계류를 만들어 생명의 젖줄을 이루고 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 표지설명 > 한라산에자생하는왕벚나무와이나무의염색체.

< 표지설명 > 한라산에자생하는왕벚나무와이나무의염색체. 연구보고 발 간 등 록 번 연구보고 호 11-01 11-1400377-000436-01 11 01 제주지역 산림유전자원의 수집 및 보존연구 제주지역 산림유전자원의 수집 및 보존연구 김찬수 김수영 변광옥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KOREA FOREST RESERCH INSTITUTE < 표지설명 > 한라산에자생하는왕벚나무와이나무의염색체. 제주지역산림유전자원의

More information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More information

098-103감사인사

098-103감사인사 감사인 소식 ❶ 감 사 원 2016년 고위감사공무원 등 임명장 수여 승 김주성, 한상준, 고현정, 김창우, 이태훈, 신영은, 진 2015. 11. 1. 한민주, 이덕영, 김호준, 이철재, 함유진, 정진화, 부감사관 김현태, 한승목, 윤일기, 정용현 유희연, 이은정 2016. 1. 18.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IT감사단장 이남구 방송통신주사 이유리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NIER-SP2013-115 11-1480523-001522-01 발간등록번호 GHS 전면시행에따른산업체교육및기술지원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고려대학교 주 티오이십일 국립환경과학원 - i - ž ž - ii - - iii - ž ž 표목차 ž 그림목차 - 2 -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 3 -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 식산 국사봉 수인산 - 박문수 이광명 순천대학교산림자원학과 요약 조사대상지내 2영급이상의현존식생은산지낙엽활엽수림은신갈나무군락등 24개군락, 산지침엽수림은소나무군락등 11개군락, 산지습성림은서어나무-굴참나무군락등 2개군락, 식재림은리기다소나무 -소나무식재림등 2개식재림으로나타나본소권역에서수치지도에기재된식물군락은총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05(김창석)p fm

05(김창석)p fm Weed Turf. Sci. 3(4):284~291 http://dx.doi.org/10.5660/wts.2014.3.4.284 Print ISSN 2287-7924, Online ISSN 2288-3312 Research Article Weed & Turfgrass Science Weed & Turfgrass Science was renamed from both

More information

<C7A5C1F62DB8F1C2F72E687770>

<C7A5C1F62DB8F1C2F72E687770> 당해 당해 사업이 사업이 대기질 대기질 및 악취에 악취에 영향을 영향을 주는 주는 사업일 사업일 경우 경우 기초자료 기초자료 확보 확보 지형지질 지형지질 특성자료 특성자료 검토 검토 특이한 특이한 지형지질이 지형지질이 분포하는가? 분포하는가? Yes 영향이 영향이 예상되는가? 예상되는가? Yes 보호대책 보호대책 수립 수립 No No 절토사면고가 절토사면고가

More information

<342EB1E8BCBAB9CE2D2E666D>

<342EB1E8BCBAB9CE2D2E666D> 韓藥作誌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4) : 268 275 (203) ISSN(Print) 225-9306 ISSN(Online) 2288-086 http://www.medicinalcrop.org http://dx.doi.org/0.7783/kjmcs.203.2.4.268 봉화군청옥산에분포하는대한민국약전수재약용식물의분포특성

More information

MUQNBKAYUVJY.hwp

MUQNBKAYUVJY.hwp 1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 새별오름 거문오름 노로오름 - 유영한 정헌모 공주대학교생물학과 1. 서 론 조사지역인제주도는우리나라의저위도지역에위치하고있으며, 동서방향의장축 (74km) 과남북방향의단축(32km) 을갖는타원형의모양을하고있다. 총면적은 1,824.9 km2로서행정구역단위중도로서는제일작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제주도 2006).

More information

fm

fm Floristic study of Jogyesan Mt. 339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Jogyesan Mt. Lycopodiaceae 석송과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뱀톱 P 150635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