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Transcription

1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내와 외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하였다. 1) 무라이 쇼스케[ 村 井 章 介 ]는 이 에 대해 전자는 선형 개념이고, 후자는 연결공간의 개념이라고 보았다. 2) 김보 한은 양자를 결합시켜 국가 간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의 주변공간을 경계영 역 이라고 규정하였다. 3) 특히 경계적 공간이란 개념은 중요하다. 이것이 근대 국민국가가 확립되면서 국경선으로 확정된다. 그럼으로써 이전에 있었던 경계 투고일: 2013년 6월 10일, 심사일: 2013년 8월 12일, 게재 확정일: 2013년 8월 30일 1) Bruce Batten, 2000, 日 本 の 境 界 前 近 代 の 國 家 民 族 文 化, 靑 木 書 店 2) 村 井 章 介, 2010, 境 界 と 地 域, 東 アジア 世 界 の 成 立, 吉 川 弘 文 館 3) 김보한, 2011, 중 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연구 39

2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근대 이전의 영토 개념에는 경계의 안과 밖이라는 兩 義 性 내지 兩 屬 性 이 있으며, 안과 밖을 연 결해주는 매개자의 존재가 중요하다. 그 가장 좋은 사례가 근세의 대마도다. 고대 일본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대마도에 郡 司 를 설치하였다고 하였다. 일본 학자들은 그것을 근거로 대마도를 고대부터 일본이 정치적으로 실효적 지배를 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대마도의 경우 일본의 다른 지역만큼 선명하지 않다. 한국 측 사료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 사서의 기록을 꼼꼼히 살 펴보면 대마도는 한국과 일본의 경계 영역에 있으며, 일본의 중앙정부로부터 반독립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무로마치막부[ 室 町 幕 府 ] 시대 의 일본은 국가적 통합력이 약했는데, 특히 서쪽 변경의 섬인 대마도는 반독립 적인 지위를 누렸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戰 國 時 代 를 거치며 강한 군사적 결집과 생산력의 확대를 실현했던 에도막부[ 江 戶 幕 府 ] 시기에는 국토와 국민 을 장악하는 힘이 무로마치막부와는 아주 달랐다. 이에 따라 경계지역과 경계 인의 활동 영역이 대폭 축소되었다. 대마도도 막부의 체제에 흡수되어 幕 藩 體 制 의 구조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도 대마도의 위상이 시기에 따라 변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를 중심으로 양국의 대마도 인식을 고찰하겠지만, 그 배경으로서 고대와 중세 의 대마도 인식과 개항기까지의 대마도 인식의 시간적 변화양상과 추이를 정 리해볼 것이다. 또 조선시대 대마도 인식에서 핵심적 주제인 屬 州 化 조치와 兩 屬 關 係 論 에 관해서도 양국의 연구자들의 이론을 집중적으로 검토해볼 예정 이다.

3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7 Ⅱ. 고 중세의 대마도 인식 1_ 고대의 대마도 인식 기록상으로 대마도가 나오는 최초의 史 書 는 3세기 초반 중국의 三 國 志 魏 志 東 夷 傳 倭 人 條 이다. 여기에는 狗 邪 韓 國 에서 一 海 를 건너 對 馬 國 에 이른 다 라고 기술되어 있다. 대마도는 이름이 對 馬 國 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가야 와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경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던 것 같다. 한국과 일본의 사서에서는 대마도를 어떻게 기술하였을까? 우선 그 명칭에 대해 三 國 史 記 에는 대마도 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일본 의 日 本 書 紀 에는 對 馬 國, 對 馬 島, 對 馬 洲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로 보아 한자의 음을 빌린 對 馬 란 이름이 중국의 三 國 志 이래로 널리 사용되 었던 것 같다. 古 事 記 에는 津 島 로 나와 있고, 일본서기 神 代 에는 韓 鄕 之 島 란 표현도 나온다. 이것은 이름의 뜻과 관련된 것으로서, 쓰시마[ 津 島 ] 는 한반도로 가는 배가 머무는 항구와 같은 섬 이고, 가라시마[ 韓 鄕 之 島 ] 는 한반 도로부터 사람과 문화가 건너올 때 거쳐온 섬, 혹은 한국섬 이라는 의미가 강 하다. 후자는 한반도와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표현된 것이지만 요컨대 대마도 가 한반도와 일본의 사이에 있으면서 교량적 역할을 한 섬이라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일본에서는 일본 최초의 쌀농사 재배유적지가 남아 있는 등 한반도와 규슈[ 九 州 ]의 교량적 역할을 한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 다. 이 시기 대마도에는 한반도 남부에서 만들어진 금속기, 玉 器, 토기 등이 다 수 출토되고 있어 가야를 비롯한 한반도 국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보 여준다. 이와 같이 대마도는 일본열도의 문화와 공통적인 요소도 있으면서도 한반도와의 활발한 인적 왕래와 이동을 배경으로 한반도의 영향을 받고 있 었다.

4 218 동북아역사논총 41호 1) 한국의 대마도 인식 고대 한반도와 대마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사료는 매우 적다. 三 國 史 記 신라본기 박혁거세 조에, 瓠 公 이란 사람은 그 族 姓 이 미상인 데 본래 왜인이다. 처음에 표주박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온 까닭으로 호공 이라고 하였다. 4) 라는 기사가 나온다. 또 같은 책 신라본기 실성왕 조에는 왕 은 왜인들이 대마도에 營 을 설치하고 병기와 군량을 저축하여 우리를 습격하 려고 한다는 말을 듣고 그들이 움직이기 전에 우리가 먼저 정병을 뽑아 격파하 자고 하였다. 5) 라는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신라와 대마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기록들이다. 이 기사에 대해 조선후기에 편찬된 增 補 東 國 文 獻 備 考 에서는 호공이 대마도인으로서 신라 에 벼슬하였으니, 당시 대마도가 우리 땅이었음을 알 수 있으나 어느 시기에 저들의 땅이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라고 논평하였다. 또 후자에 대해서는 만약 본래부터 대마도가 왜인의 땅에 속하였다면 그곳에 營 을 설치한 것을 신라의 역사에 기록하지 않았을 것 이라고 하여 사료분석적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다 소 막연하고 유보적이지만 대마도에 대한 영토적 연고권을 주장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일본의 대마도 인식 일본 고대의 사서인 古 事 記 와 日 本 書 紀 에는 대마도의 호족을 對 馬 縣 直 으로 임명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즉 대마도는 고대부터 왜와 일본의 지배가 미치는 지역으로 정치적으로 실효적 지배를 하였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6) 야마토 조정[ 大 和 朝 廷 ]에서는 663년 백촌강전투 이후 한반도와의 경계를 4) 三 國 史 記 권1, 新 羅 本 紀 赫 居 世 居 西 干 38년 5) 三 國 史 記 권3, 新 羅 本 紀 實 聖 尼 師 今 7년 6) 關 周 一, 2012, 對 馬 と 倭 寇, 高 志 書 院

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9 의식하는 개념이 강화되었던 것 같다. 이에 따라 665년 나당연합군의 침략에 대비해 筑 紫 에 大 野 城 을 쌓았고, 667년에는 대마도에 백제식 산성인 金 田 城 을 축조한 것이 그러한 사례다. 율령제하에서 대마도는 一 岐 島 陸 奧 出 羽 佐 渡 등과 함께 변방의 요 처[ 邊 要 ] 로 자리매김당하였다. 이에 따라 대마도는 國 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 으며, 7세기 중엽에 國 司 를 파견하였고, 서부지역의 국방과 외교를 담당하는 大 宰 府 의 관할하에 두었다. 한반도와 중국에 접한 국방상의 요충지이자 교류 의 최선단기지로서의 성격을 지녔다. 7) 이전부터의 대마도의 在 地 세력인 國 造 는 율령제하에서 郡 司 로 바뀌었다. 율령시대 후기에 國 司 제도가 변질됨에 따 라 토착세력과 연결된 在 廳 官 人 이 지방행정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헤이 안시대[ 平 安 時 代 ]의 재지세력은 卜 部 氏, 그 뒤에는 阿 比 留 氏 로 이어졌다. 8) 한국 측의 기록에 비해 일본 사서의 내용이 훨씬 구체적이고 자세함을 알 수 있다. 2_ 중세의 대마도 인식 1) 고려시대의 교류와 대마도 인식 8세기 말 통일신라와 일본의 국교가 단절된 이래 고려시대에 들어서도 양국의 관계는 정상화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양국 간의 공식적인 교류가 없었다. 그 러나 중앙정부 사이의 사절왕래는 없었지만 상인들의 교역과 표류민 송환과 같은 민간교류는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교류는 고려중기 문종대(1047~1082) 에 들어서 활발해졌는데, 특히 대마도의 표류민 송환과 토산물 진헌이 가장 많 7) 川 添 昭 二, 1981, 中 世 九 州 の 政 治 と 文 化, 文 獻 出 版 8) 關 周 一, 2011, アジアから 見 た 日 本 の 境 界, 古 代 中 世 の 境 界 意 識 と 文 化 交 流, 勉 誠 出 版

6 220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았다. 문종대 이래 대마도와 일본 서국지역의 호족들을 통한 교역이 12세기 후반 에 이르러 進 奉 船 貿 易 으로 정례화되었다. 1169~1266년까지 100여 년 동안 실시된 진봉선 무역은 進 奉 과 回 賜 로 이루어지는 조공무역으로서 進 奉 禮 制 로 표현되듯이 제도화되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일시적인 私 獻 貿 易 이 아니라 외교의례의 형식을 갖춘 공식적이고 정례적인 교역체제였다. 또 진봉 의 주체는 대마도이고 大 宰 府 가 그것을 관리 감독하고 막부는 묵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는 이 진봉선을 접대하기 위해 金 州 (김해)에 객관을 설치하였으 며, 외교문서의 수수관계는 고려의 금주방어사 대마도주, 경상도안찰사 大 宰 府 의 루트를 취하였다. 그런데 진봉선 무역은 고려후기로 오면서 약정된 무역선 외에 허가받지 않 은 사무역선이 무질서하게 내왕하고 또 일부는 해적행위도 함으로써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다가 元 의 침략 이후 고려가 원과 강화조약을 체결 하고 이어 여원연합군의 일본 침공이 시작되면서 진봉선 무역체제는 종말을 고하였다. 9) 이후 고려와의 교역통로를 상실한 대마도인은 왜구로 변하였다. 고려 말에 이르러 왜구 금압을 위해 고려 정부가 일본에 사신을 파견함에 따라 정부 간 통로가 열리기는 하였다. 그러나 막부의 왜구통제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 고려는 구주탐제( 九 州 探 題 )와 서국지역의 호족 및 대마도와 직접 교섭 하게 되었다. 고려사 공민왕 17년(1368)의 기사를 보면 對 馬 島 萬 戶 가 사자를 보내와 특산물을 진헌하였다. 윤7월 講 究 使 李 夏 生 을 대마도에 보냈다. 10) 라고 나와 있다. 또 같은 해 11월에는 대마도만호 다케노 소케이[ 崇 宗 經 ]가 사자를 보내어 조공하였다. 宗 經 에게 쌀 천 석을 하사하였다. 11) 라는 기사가 있다. 이로 보아 대마도주가 고려 정부로부터 萬 戶 라는 관직을 받았음을 알 수 9) 진봉선 무역체제가 종언을 고하는 1266년은 몽골로부터 일본의 入 朝 를 요구하는 詔 書 가 고려에 보내진 시점이다. 10) 고려사 세가 권41, 공민왕 17년(1368) 7월 기묘 11) 고려사 세가 권41, 공민왕 17년 11월 병오

7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21 있다. 이 시기에는 대마도주가 阿 比 留 氏 에서 宗 氏 로 바뀌었는데, 위 사료에 나오는 대마도만호 崇 宗 經 은 대마도주 宗 經 茂 를 가리킨다. 12) 고려 조정은 대 마도주에게 대마도만호란 직책은 물론 왜구 금압을 위해 대가로 경제적 보상 과 함께 주었을 것이다. 13) 만일 그렇다면 대마도주의 受 職 倭 人 化 가 고려시대 에 이미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그러면 고려시대의 대마도 인식은 어떠하였을까? 고려사 에 따르면 고려는 선종 2년(1085) 이래 대마도주를 對 馬 島 勾 當 官 으로 불렀다. 이 점은 상당히 흥미로운 시사를 준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제주도의 星 主 를 耽 羅 勾 當 使 로, 一 岐 島 主 를 一 岐 島 勾 當 官 이라고 명명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구당관은 고려시대 변방지역 내지 수상교통의 요충지를 관장하는 행정책임자들에게 붙인 관직명이다. 이것을 보면 탐라, 대마도, 일기 도의 지배자에게 고려가 구당사 혹은 구당관이란 명칭을 쓴 의미를 알 수 있 다. 즉 위 세 섬을 고려의 屬 領 으로 인식하였거나 아니면 고려 정부가 대마도 와 제주도를 고려 고유의 지배질서 속에서 같은 차원으로 취급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4) 이와 같은 인식은 중기 이래 진봉선 무역체제하에서 더욱 강화되었을 것이 다. 이 체제에서의 고려와 대마도는 조공관계였다. 이어 고려 말 공민왕대에는 대마도주가 만호라는 고려의 무관직을 받았다. 양국 간에 국교가 없었는데도 대마도가 진봉선 무역이라는 형태로 고려와 통교하였다는 사실, 그리고 도주 가 고려로부터 관직을 받았다는 것은 대마도의 반독립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12) 宗 氏 家 譜 등에 나와 있는 守 護 의 계승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역사적 사실과 일 치하지 않음은 알려진 바다. 宗 經 茂 는 宗 氏 家 系 譜 에는 5 代 로 나와 있지만 宗 氏 로서는 최초로 대마도의 守 護 代 가 된 인물이고, 그 시기는 14세기 중반이다( 中 村 榮 孝, 1949, ツシマの 歷 史 的 位 置, 日 本 歷 史 19). 13) 萬 戶 는 원간섭기 고려에 생긴 관직명이다. 한편 고려사 세가 공민왕 5년 10월조 와 반역전 崔 濡, 고려사절요 공민왕 12년 6월조 등에 나오는 倭 人 萬 戶 府 의 성격도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다. 14) 고려적 고유질서의 의미와 성격에 대해서는 奧 村 周 司, 1979, 高 麗 における 八 關 會 的 秩 序 と 國 際 環 境, 朝 鮮 史 硏 究 會 論 文 集 16 참조.

8 222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고려는 대마도를 속령 내지 속주로 인식하였을 가 능성이 충분하다. 한편 고려중기 이후의 고려와 대마도 관계를 보면 조선초기의 그것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진봉선은 조선초기 대마도주에게 허락한 歲 遣 船 과 같은 성격이며 진봉선의 접대를 위해 금주에 설치한 객관도 조선초기의 倭 館 과 마 찬가지다. 이로써 보면 조선초기 대마도 관계의 원형이 이미 성립된 것으로 여 겨진다. 인식 면에서도 후술하는바 조선초기의 對 馬 故 土 意 識 과 屬 州 意 識 이 고려시대의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 것이며, 그 원형은 고려시대에 형성된 것 이 아닌가 한다. 2) 일본의 대마도 인식 대마도 실권자의 변천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에는 國 造 家 였 던 卜 部 氏 가 신화시대부터 율령시대까지 지배족을 형성하였고, 平 安 時 代 에 들어와서는 아비루씨[ 阿 比 留 氏 ]가 신흥세력으로 성장하였다. 1019년 여진족 의 침입( 刀 伊 의 亂 ) 때 아비루씨의 조상이 來 島 해 공을 세우고 정착하였는데, 이후 在 廳 官 人 ( 椽 官 )으로서 세력을 확장해 12세기에는 도내의 실권을 장악하 였다. 그런데 13세기에 접어들어 대마도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아비루씨가 점차 大 宰 府 의 통제에 불복하였다. 이에 1245년 12월 28일 대재부가 고레무네 [ 惟 宗 ]의 아들 시게나오[ 重 尙 ]에게 아비루를 정벌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江 戶 時 代 에 편찬된 宗 氏 家 譜 등에 따르면 1246년 1월 1일 宗 氏 는 아비루씨를 토 벌하고 全 島 를 장악하였다 한다. 15) 그 직후 고레무네는 대재부의 실력자인 少 15) 이들 기록에 따르면 宗 氏 의 선조는 安 德 天 皇 의 후예라는 설과 平 知 盛 의 후예라는 설이 있다. 그런데 長 節 子 씨는 양자 다 후대의 날조라고 보고 있다. 또 그는 1246년 宗 氏 의 아비루씨 정복설은 후대에 조작된 허구라고 하였다( 長 節 子, 2002, 中 世 國 境 海 域 の 倭 と 朝 鮮, 吉 川 弘 文 館 ). 그는 宗 氏 는 平 安 時 代 이래 大 宰 府 官 人 으 로서 九 州 에 퍼져 있었던 惟 宗 氏 의 계통이다. 라고 하였다. 그는 또 14세기 초반에 이르러 惟 宗 씨가 대마도에 진출해 점진적으로 아비루씨를 제치고 재청관인의 선 두에 섰다고 보았다. 그 가운데서 宗 氏 는 大 宰 府 재청관인 惟 宗 氏 의 한 지류인

9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23 二 氏 ( 武 藤 氏 )로부터 對 馬 地 頭 代 로 임명되었다. 16) 17) 이 시기부터 대마도의 실권자로 阿 比 留 氏 대신 宗 氏 가 인정받게 되었다. 宗 氏 는 대마 在 廳 官 人 인 惟 宗 氏 가 무사화하였다고 전해진다. 18) 그들은 對 馬 守 護 쇼니씨[ 少 二 氏 ]의 地 頭 代 로 승격함으로써 아비루씨를 대신해 도내의 실 권자가 되었다. 고레무네의 아들인 地 頭 代 소 스케구니[ 宗 資 國 ]가 宗 氏 로 자 칭한 최초의 인물로서 1274년 여원연합군의 침공 때 저항하다 아들과 함께 죽 음으로써 정치적 권위를 획득하였다. 南 北 朝 時 代 에 宗 氏 는 쇼니씨를 추종하면서 九 州 의 각지를 전전하다 筑 前 州 등에 영지를 얻었다. 무로마치막부는 쇼니씨를 대신해 宗 氏 를 對 馬 守 護 로 임명하였다. 13세기 전반에 왜구가 발생한 이후 1350년부터 대규모로 바뀌고 매우 빈번 해지는데 일본 역사에서는 이를 전기왜구 라고 한다. 전기왜구는 약탈자(해적) 의 측면과 교역자[ 海 商 ]의 요소를 겸비하고 있었는데, 대마도는 전기왜구의 주 요세력이었다. 고려와 조선의 사서에 빈번히 등장하는 이른바 三 島 倭 는 對 馬 島, 一 岐 島, 松 浦 (혹은 博 多 ) 지방의 왜구를 가리킨다. 1366년(공민왕 15) 고 려 조정이 왜구 금압을 위해 사신을 파견한 이래 막부와 교섭하였는데 이것이 對 馬 의 在 廳 官 人 維 宗 氏 가 武 士 化 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長 節 子, 1987, 中 世 日 朝 關 係 と 對 馬, 吉 川 弘 文 館 ). 16) 본래 對 馬 守 護 는 少 二 氏 가 겸직했던 것인데 이때부터 惟 宗 을 對 馬 地 頭 代 로 삼아 分 治 하였다. 그 후 惟 宗 은 일곱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동생에게 대마도의 8 郡 을 나 누어 다스리게 하였다. 惟 宗 의 장자인 重 尙 은 對 馬 地 頭 代 로 임명받아 대마도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성도 惟 宗 에서 宗 氏 로 바꾸었다. 이로써 宗 氏 가 아비루씨에 이어 도내의 전역을 장악하였고, 지배씨족이 되었다. 17) 아비루씨는 본래 백제계 渡 來 人 인 蘇 我 氏 의 후예라고 한다. 그들은 고려와 무역함 으로써 부를 축적하였는데, 鎭 西 府 무인들의 질시를 받아 반역죄라는 모함을 쓰고 몰락하였다. 아비루씨는 817년부터 在 廳 官 人 인 椽 官 이 된 후 1246년까지 42대로 이어졌다. 그런데 13세기 후반 宗 氏 에게 타도된 후로는 神 事 를 담당하였다. 18) 宗 氏 는 본래 大 宰 府 官 人 으로 九 州 지역에 번성했던 惟 宗 氏 계통이다. 惟 宗 은 大 宰 大 監 으로 九 州 의 3 州 2 島 를 관장하였다 한다. 宗 氏 家 譜 에 따르면 종씨의 시조 인 判 官 知 宗 이 惟 宗 을 자기 가문의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宗 氏 家 譜 에는 종씨 의 시조가 知 宗 으로 되어 있지만 대마도에서는 重 尙 을 제1대 도주로 간주한다.

10 224 동북아역사논총 41호 武 家 外 交 의 시작이다. 고려는 막부뿐 아니라 大 內 氏, 今 川 氏, 九 州 探 題 등 지 역권력과도 교섭하였다. 대마도에서는 1368년(공민왕 17) 소 사다시게[ 宗 經 茂, 고려사에는 崇 宗 慶 으로 나옴]가 고려에 사절을 파견하였고, 대마도만호 등의 관직을 하사받았으며 교역을 허락받았다. 이 시기 일본의 대마도 인식은 어떠하였을까? 일본의 사서에는 대부분 중 세에도 대마도에 대한 일본의 실효적 지배가 이어진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런 데 일본 측의 사서 가운데 대마도와 한반도의 관련성을 기록한 내용이 있어 주 목된다. 대마도의 역사를 기록한 對 州 編 年 略 19) 의 범례에, 山 家 要 略 記 에 말하기 를 대마도는 고려국의 牧 이다. (옛날에는) 신라 사람들이 살았는데, 開 化 天 皇 대에 이 섬(대마도)에서 (일본 본주로) 습래해왔다. 仲 哀 天 皇 이 豊 浦 宮 에서 대 마도를 거쳐 신라를 정벌함으로써 마침내 이 섬을 얻었다. 고 하였다. 20) 라고 한 기사가 나온다. 고대부터 대마도에 신라 사람들이 살았다는 사실을 보여주 고 있다. 또 가마쿠라[ 鎌 倉 ] 시대에 편찬된 塵 袋 21) 권2에는 무릇 대마도는 옛날 에는 신라국과 같은 곳이었다. 사람의 모습도 그곳에서 나는 토산물도 있는 것 은 모두 신라와 다름이 없다 라고 하였다. 대마도가 옛날에는 신라와 같은 곳 으로서 인종적으로나 문화적인 면에서 동질적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19) 대마도인 藤 定 房 이 1723년 편찬한 史 書 로서 3권으로 되어 있다. 저자인 藤 定 房 의 가계는 嚴 原 八 幡 宮 의 祠 官 을 세습적으로 담당하였으며 대마도에 國 學 을 개척한 학자 집안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神 代 로부터 집필 당시까지의 대마도사가 편년체 로 서술되어 있는데 대마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서다. 20) 山 家 要 略 記 는 12세기 말 일본의 천태종 승려인 顯 眞 이 편찬한 것이다. 21) 鎌 倉 시대 중기(13세기 말)에 만들어진 11권의 辭 書 로서 저자는 미상이다.

11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25 Ⅲ. 조선전기의 대마도 인식 1_ 조선초기의 대마도 관계 조선초기 대일정책의 기본은 남쪽 변경의 평화를 확보하는 것으로서 바로 왜 구대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왜구를 평화적 통교자 로 전환시키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조선 정부는 외교적 교섭, 군사적 대응과 회유책을 병행하였다. 그럼에도 왜구의 침략이 근절되지 않자 1419년(세종 1) 왜구의 근거지였던 대마도에 대한 정벌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5세 기 중엽에 확립된 대일통교체제는 막부와는 대등한 형식의 교린과 대마도 등 여타세력에 대해서는 羈 縻 交 隣 이라는 다원적이고 중층적인 형태를 취하게 되 었다. 특히 대마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교역상의 특권을 주면서 일본의 각종 통교자들을 통제하도록 하는 대신 조선 중심의 국제질서체계 안으로 들어오게 하였다. 이 시기 조선 정부가 대마도에 대해 시행한 受 職 倭 人 制, 受 圖 書 人 制, 歲 遣 船 정약, 歲 賜 米 豆 의 하사 등은 전형적인 外 夷 羈 縻 策 이었다. 한편 이 시기 대마도의 사정은 어떠했을까? 조선 조정의 적극적인 왜구대책으로 인해 대부분의 왜구는 통교자로 전환 되었다. 대마도의 왜구수령이었던 소다 사에몬타로[ 早 田 左 衛 門 太 郞 ]도 조선 왕조에 귀속해 수도서인이 되고 교역자로 바뀌었다. 무로마치시대 초기 대마 도 내에 기반을 확립한 인물은 쓰네시게[ 經 茂 ]의 손자인 소 사다시게[ 宗 貞 茂 ] 와 아들 소 사다모리[ 宗 貞 盛 ]다. 사다시게[ 貞 茂 ; 재위 1402~1418]는 라이벌인 仁 位 宗 氏 세력을 타도하고 정식으로 對 馬 守 護 가 되었다. 그런데 당시만 하더 라도 宗 氏 의 본거지는 여전히 筑 前 州 宗 像 郡 에 있었다. 그들은 九 州 에 20만 석의 영지를 소유하였으며, 3년에 한 번씩 대마도에 가 정무를 관장하였다. 그 러다가 15세기 초반 7대 도주 사다시게 때부터 대마도에 정착하였으며 8대 도 주 사다모리[ 貞 盛 ; 재위 1418~1452] 대에 이르러 肥 前 州 의 家 臣 들도 대마도 로 완전히 이주하였다. 사다시게는 조선 조정의 왜구 금압에 적극적으로 협조

12 22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함으로써 82회에 걸쳐 조선과 통교할 수 있었다. 그는 조선왕조와의 관계를 이 용하여 가신과 도민을 통제하고 지배체제를 강화하였다. 아들 사다모리는 1436년(세종 18) 조선과 文 引 制 度 를 정약하고, 1441년에 고초도조어금약을 체 결하였으며, 1443년에는 癸 亥 約 條 를 체결함으로써 대조선 통교체제를 확립하 였다. 이와 같이 宗 氏 는 도항증명서인 문인의 발행권을 비롯한 조선과의 통교 권을 장악함으로써 도내의 지배기반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사다모리 대에 對 馬 國 이라는 宗 氏 領 國 體 制 를 확립하였다. 22) 1467년에는 도내의 守 護 所 도 佐 賀 에서 府 中 ( 嚴 原 )으로 옮겼다. 府 中 이 정치적 중심이라면 佐 賀 는 경 제적 중심이었다. 2_ 대마도 정벌과 속주화 문제 1) 대마도 정벌 조선초기의 적극적인 왜구대책으로 왜구가 격감하였지만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왜구의 본거지로 대마도를 가장 주시하였다. 그리 하여 고려 말 朴 葳 의 토벌 이래 태조대에도 대마도 정벌을 기획한 적이 있었 다. 23) 잔존한 왜구들에 대한 최후의 군사적 대응이 1419년(세종 1)의 대마도 정 벌이었다. 조선에서는 己 亥 東 征 이라 하고 일본에서는 應 永 의 外 寇 라고 부 르는 이 전투는 조선초기 조일관계의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1419년 6월 19일 조선 조정은 三 軍 都 體 察 使 李 從 茂 이하 병력 17,000여 명을 병선 227척에 싣고 거제도를 출발해 대마도를 향하였다. 이들은 20일 대 마도의 淺 茅 灣 을 공격하여 적선 130여 척을 나포하는 등 대승을 거두고 豆 知 22) 1440년경 문서에 對 馬 島 에서 對 馬 國 으로 바뀌고 있다. 이것은 宗 氏 가 율령제의 遺 制 인 對 馬 島 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領 國 을 國 으로 인식하였음을 보여준다( 荒 木 和 憲, 2007, 中 世 對 馬 宗 氏 領 國 と 朝 鮮, 山 川 出 版 社 ). 23) 태조실록 5년 12월 3일 및 春 官 志 권3 往 征

13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27 浦 에 정박하였다. 이어 이종무는 대마도주 사다모리에게 諭 書 를 보냈으나 회 답이 없자 26일 병력을 좌우 양군으로 나누어 각지를 토벌하였다. 그런데 이 전투에서는 壹 岐 島 와 上 松 의 원병과 함께 매복한 대마도군에게 朴 實 이 이끈 좌군이 패배하여 백수십 인이 전사하였다. 이후 이종무가 장기전 태세에 들어 가려고 하자 대마도주가 서계를 올려 군사의 철수와 修 好 를 간청하였다. 이에 이종무는 태풍에 대한 우려도 감안해 제재를 중단하고 7월 3일 거제도로 귀환 하였다. 己 亥 東 征 은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쌍방 간에 3,800여 명의 사망자를 낸 격렬한 전투였다. 조선은 왜구의 섬멸이라는 당초목표를 완전 달성하지는 못 하였지만 왜구의 본거지에 큰 타격을 가하였다. 대마도 정벌의 의의로는 왜구의 근절과 함께 통교체제 확립의 계기가 되었 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사건 이후로 기해동정이후 왜구가 복속하였다 라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24) 이와 동시에 대마도가 조선의 요구에 순응해옴으로써 세종대의 각종 통교제한정책의 실시가 가능해졌고, 조선이 외교적 주도권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마도 정벌 이후 대마도는 왜구로부터 완전히 이탈 하였으며, 조선과 일본 사이에 兩 屬 關 係 로서 일종의 중립화정책을 취하였다. 그 결과 대마도는 조일교역의 중계보급기지로서 무역 이익을 취하면서 양국외 교의 안전판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2) 대마도 속주화 문제 대마도 속주화 조치의 전말에 관해 사료를 검토해보자. 사료 1 대마는 섬으로서 본래 우리나라의 땅이다. 다만 궁벽하게 막혀 있고 또 좁고 누추하므로 왜놈이 거류하게 두었더니 개같이 도적질하고 쥐 24) 세종실록 12년 4월 12일

14 228 동북아역사논총 41호 같이 훔치는 버릇을 가지고 경인년부터 뛰놀기 시작하였다. 25) 사료 2 대마는 섬으로서 경상도의 鷄 林 에 예속되었던바 본시 우리나라 땅이 라는 것이 文 籍 에 실려 있어 확실하게 상고할 수 있다. 만약 빨리 깨닫고 다 휩쓸어와 항복하면 도주에게는 좋은 벼슬과 두터운 몫을 나 누어줄 것이요, 나머지 代 官 들은 平 道 全 의 예와 같이 할 것이며, 그 나 머지 무리들도 옷과 양식을 넉넉히 주어서 비옥한 땅에 살게 할 것이 다. 이 계책에 따르지 않는다면 차라리 무리를 다 휩쓸어서 이끌 고 본국으로 돌아가는 것도 가하다. 만일 본국에 돌아가지도 않고 우리 나라에 항복하지도 않으면서 도적질할 마음으로 품고 섬에 머물러 있 으면 마땅히 병선을 갖추어 다시 섬을 에워싸 정벌할 것이다. 26) 사료 3 밖에서 귀국을 호위하며 우리 섬으로 하여금 귀국 영토 안의 州 郡 의 예에 따라 주의 명칭을 정하여 주고 印 信 을 주신다면 마땅히 신 하의 도리를 지켜 시키는대로 따르겠습니다. 27) 사료 4 대마도는 경상도에 예속되었으니 모든 보고나 문의할 일이 있으면 반 드시 본도의 관찰사에게 보고를 하여, 그를 통해 보고토록 하고 직접 본조에 올리지 말도록 할 것이요, 겸하여 요청한 인장과 하사하는 물품 을 돌아가는 사신에게 부쳐 보낸다. 28) 사료 1은 출정 전인 6월 9일 태종이 반포한 敎 書 다. 이에 대해 세키 슈이 치[ 關 周 一 ]는 조선왕조가 대마가 이전에 조선령이었다고 하는 인식을 최초로 보여준 것으로 대마 정벌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창출된 것이 아닐까 라고 해석 25) 세종실록 원년 6월 6일 26) 세종실록 원년 7월 17일 27) 세종실록 2년 윤정월 10일 28) 세종실록 2년 윤정월 23일

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29 하였다. 29) 대마도가 조선령이라는 이 주장이 현존하는 문서상으로는 최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402년(태종 2)에 제작된 < 混 一 疆 理 歷 代 國 都 之 圖 >에도 대마도가 조선령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로 보아 태조대 박위의 대마도 정벌 이 후에 이미 이런 인식이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30) 사료 2는 대마도 정벌 후 7월 17일 병조판서 趙 末 生 의 명의로 대마도주에 게 보낸 諭 書 다. 再 征 의 논의가 수그러지면서 조선 조정은 이 유서를 보내 항 복( 捲 土 來 降 )을 하든지 아니면 일본 본주로 돌아가든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 라는 강경한 입장을 전달하였다. 31) 이에 대해 도주는 9월 25일 항복을 청함과 동시에 印 信 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는 대마도를 완전히 비우라는 조선 정부 의 요구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사료 3은 조선 조정의 유서에 대한 대마도주 사다모리의 답서로서 조선의 藩 屛 을 자임하면서 屬 州 化 를 요청하였다. 즉 대마도주는 이듬해인 1420년 윤 정월 10일 사자 時 應 界 都 ( 辛 戒 道 )를 조선에 보내 대마도민을 거제도에 이주시 키고, 조선 국내 州 郡 의 예에 따라 對 馬 州 라는 이름을 정하고, 조선에서 印 信 을 하사해달라는 등의 청원을 하였다. 사료 4는 예조판서가 대마도주에게 보낸 서계로 대마도 속주화 조치와 도 주에 印 信 을 하사하는 내용이다. 1420년 윤정월 23일 조정에서는 대마도주의 29) 關 周 一, 2011, 앞의 논문 30) 태조 이성계는 조선왕조 개창 후 1396년 원정군을 대마도에 보낸다. 이 원정군이 대마도에 상륙해 전투를 했는지에 관해서는 미상이지만 원정군 파견 직후 왜구의 우두머리들이 조선에 항복하고 입조해서 조선의 관작을 하사받고 새 이름을 받았 다. 대마도주가 조선의 신하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태조실록 5년 12월 21일 및 7년 2월 17일). 태조의 대마도 정벌 이후 대마도주나 호족들이 조선의 수직인이 되 자 조선에서는 대마도를 臣 屬 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는 인식이 자리잡았던 것 같 다. 이런 인식이 1402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대마도를 조선의 부속도서처럼 그려 넣은 근거가 되었던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이에 관해서는 정다함, 2008, 조 선초기 야인과 대마도에 대한 번리 번병의식의 형성과 경차관의 파견, 동방학 지 141 참조. 31) 中 村 榮 孝, 1965, 朝 鮮 世 宗 己 亥 の 對 馬 征 伐, 日 鮮 關 係 史 の 硏 究 上 卷, 吉 川 弘 文 館

16 230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요청에 따라 대마도를 경상도에 속하는 屬 州 로 하고 宗 氏 都 都 熊 瓦 ( 丸 ) 32) 라는 印 信 ( 圖 書 )을 사다모리에게 주었다. 또 이후에 대마도주는 직접 예조에 서계 를 보내지 말고 경상도관찰사를 통해 전달하도록 명하였다. 또 도주 이외의 사 절의 경우 반드시 도주의 인신이 찍힌 것만 사절로 접대하겠다고 하였다. 대마도 정벌 이후 반년에 걸친 교섭결과 이듬해 정월 1 대마도는 조선의 屬 州 로서 경상도의 관할하에 두며 경상관찰사를 통해 서계를 올릴 것, 2 요청 한 印 信 을 하사하되, 3 앞으로 대마도로부터 오는 사절은 반드시 도주의 서계 를 지참할 것 등으로 결말지어졌다. 33) 이로써 대마도는 경상도의 속주로 편입 되고 도주는 조선의 受 圖 書 人 이 되었다. 그런데 대마도의 경상도 속주화 문제는 조일 간에 외교문제로 비화되었으 며 조선 정부와 무로마치막부[ 室 町 幕 府 ] 간에 일시적인 긴장상태가 조성되었 다. 대마도 정벌의 소식이 전해지자 막부에서는 조선과 明 이 연합하여 일본을 침공한다는 流 言 이 나도는 등 긴장하였고, 조선의 진정한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의심하였다. 대마도와의 사이에 전후처리 교섭이 진행되던 1419년 11월 4대 將 軍 아시카가 요시모치[ 足 利 義 持 ]가 보낸 使 僧 梁 倪 와 九 州 探 提 의 사절 이 조정에 도착하였다. 표면적으로는 大 藏 經 을 求 請 하는 것이었지만 대마도 정 벌의 진상과 조선의 정세를 탐지하려는 목적에서 파견된 사절이었다. 이에 세 종은 막부가 요청한 대장경을 回 賜 함과 동시에 宋 希 璟 을 回 禮 使 로 보내었다. 회례사 송희경이 대마도를 방문했을 때 소다 사에몬타로[ 早 田 左 衛 門 太 郞 ] 가 대마도는 少 二 殿 의 조상이 대대로 이어온 땅이며, 만일 속주로 한다면 백 전백사하더라도 싸우지 않을 수 없다 고 하면서 속주화 결정에 항의하였다. 이 에 송희경이 그것은 그대들의 요청에 응한 것일 뿐 조선이 영토적 야심이 있어 서 예속시킨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조정에 그 뜻을 알리겠다고 대답하였다. 34) 송희경은 또 막부장군에게도 대마도 정벌이 왜구 금압을 위한 것이었을 뿐 일 32) 都 都 熊 丸 은 宗 貞 盛 의 兒 名 이다. 33) 세종실록 2년 윤정월 23 34) 老 松 堂 日 本 行 錄 2월 28일 卽 事

17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31 본 本 州 를 침략할 의도가 아니었음을 밝혔다. 조선과 막부의 절충을 지켜보며 지연작전을 썼던 대마도주는 이에 고무되 어 1421년 사자 仇 里 安 을 통해 서계를 보내 속주화 조치를 부정하는 내용을 전 하였다. 예조와의 문답에서 仇 里 安 은 대마가 경상도에 속한다는 것은 나로서 는 아는 바가 없다. 時 應 界 都 ( 辛 戒 道 )가 어찌 혼자 알았단 말인가. 이것은 망 언이다. 대마도는 일본의 변경으로서 대마도를 공격하는 것은 일본을 공 격하는 것이다. 35) 라고 하여 대마도의 경상도 속주화를 비판하였다. 36) 사에키 고지는 이에 대해 대마도의 경상도 귀속이 時 應 界 都 가 지어낸 말로 판명되었 다. 라고 단정적으로 해석하였다. 37) 그는 이 서계 내용만 중시해 대마도주가 인신을 받았을 뿐 속주화는 결정되지 않았고, 捲 土 來 降 도 관철되지 않아서 대 마도의 內 國 化 도 실현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해석이다. 대마도의 속주화 문제는 도주의 사신이 몇 차례에 걸쳐 와 요청한 사실이 조 선왕조실록 에 명백하게 나와 있다. 무엇보다 도의 사활이 걸린 문제를 도주가 몰랐다고 하는 것은 난센스다. 조선국왕의 명령에 따라 대마도주가 자발적으 로 요청하였고, 조선 조정에서는 그것을 수용해 허락함으로써 속주화가 이루어 진 것이다. 세종실록 의 기사를 보면 대마도 속주화는 명백하게 실현되었다. 또 세키 슈이치는 속주화 조치를 전후해서 무로마치막부는 간여하지 않았 다고 하면서 속주화의 의미를 축소해석하였다. 이것 또한 사실과 다소 다르다. 대마도 정벌 시에는 무로마치막부가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았지만 사후에 사 절을 파견해 조선 조정의 의지를 정탐하였다. 조선 조정은 무로마치막부의 견제와 대마도주 및 호족들의 저항 등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마도를 영토적으로 복속시키는 대신 도주 가 신하가 되어 변경을 지킨다는 명분과 정치적 종속관계에 만족하였다. 대마 도의 속주화는 이제까지 일본의 경계영역에 속하던 대마도가 조선의 경계영역 35) 세종실록 3년 4월 6일 36) 조선 조정에서는 서계의 내용을 문제삼아 사절을 예법대로 접대하지 않고 돌려보 냈다. 37) 佐 伯 弘 次, 2010, 조선전기 한일관계와 博 多 對 馬, 경인문화사, 177~178쪽

18 232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으로 바뀌는 중대한 결정이었다. 그러나 그 후 조선 조정에서는 대마도에 대한 속주화나 내국화 조치를 더 이상 추구하지는 않았다. 원래 조선의 대마도 정벌 의 목적은 왜구의 진압이었고 대마도에 대한 영토적 지배에 있었던 것이 아니 었다. 조선 정부로서는 이것으로써 대마도가 조선의 藩 屛 으로 속령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3) 대마도 양속관계론 조선초기 정부에서는 대마도에 대해 이념적 王 領 38) 의 일부로 간주하였지만 영토적 소유권이나 실효적 지배를 도모하지는 않았다. 1419년 대마도 정벌을 전후해 일시적으로 그러한 시도를 하였지만, 세종은 더 이상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대마도주를 남쪽 변경의 평화를 지키는 藩 屛 으로 삼았다. 대마도주 宗 氏 는 일본으로서는 對 馬 守 護 로서 대마국이라는 토지의 영유 가 인정되었다. 조선에게는 수도서인으로서 조선의 外 臣 이며, 대마도와 경상 도 남방에 이르는 해역의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조선에서는 정 부의 대행자로서 통교자의 자격을 심사하는 문인발행권을 도주에게 부여하였 다. 대마도주는 형식상의 수직인에 머무르지 않고, 조선 국가기구의 말단에 위 치해 임무를 수행하였다. 조선의 대마도 정책은 기미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39) 대마도주에게 도서를 주고, 동시에 조선의 직책을 주어 변방의 평화적 관리를 맡기는 방식이다. 대 38) 케네스 로빈슨은 조선시대의 영토의식에 관해 王 領 朝 鮮 과 管 轄 朝 鮮 으로 구분해 인식하였다고 보았다, 왕령조선은 이념적으로 조선국왕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것으 로 조선왕조의 이상이 투영된 관념이고, 관할조선은 조선국왕의 실질적 지배가 미 친다고 주장하는 범위다. 전자는 정치적 복속 의 개념으로 대마도와 함경도 북동부 에 있는 여진족 코뮤니티가 이에 해당한다. 기미정책으로 다스려온 지역으로 영토 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이에 관해서는 Kenneth Robinson, 1999, 朝 鮮 王 朝 受 職 女 眞 人 の 關 係 と 朝 鮮, 歷 史 評 論 592 참조. 39) 변경지역에 거주하는 이민족에 대해 그들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관직을 주는 등 통 제하는 정책을 기미정책이라고 한다. 수직제도, 수도서제도, 경차관 파견 등은 대 마도에 대한 조선 조정의 기미정책의 일환이다.

19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 마도주는 受 圖 書 人 이면서 受 職 倭 人 인 셈이다. 세조대에 대마도주 소 시게 모토[ 宗 成 職 ]에게 崇 政 大 夫 判 中 樞 院 事 對 馬 州 兵 馬 節 度 使 라는 관직을 수여 하였다. 41) 대마도에 파견한 사절의 명칭을 敬 差 官 으로 명명했다는 것은 대마 도를 조선의 관할이 미치는 장소로 인식하였으며, 異 國 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 점에서 대마도주는 무로마치막부와 조선왕조의 양쪽 에 종속되어 있었다. 이른바 兩 屬 關 係 다. 42) 양속관계론에 대해 일본 학자의 견해를 살펴보자. 대마도의 처지에 대해 구로다 사토시[ 黑 田 智 ]는 대마도는 일본과 조선에 양속해 있으면서, 때에 따 라 접근하고 이반하면서 두 나라 사이를 떠돌고 있었다. 라고 하면서 양속관계 를 인정하였다. 43) 대마도주로서는 무로마치막부와 조선 조정 양쪽의 관계를 밀접하게 하는 것이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며, 양국 정부의 권 위가 도내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였다. 한편 세키 슈이치는 양속관계라 하더라도 등질적인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對 馬 守 護 로서 무로마치막부와의 관계가 기본이고, 그 전제 위에 조선의 수도 서인으로서 정치적 복속을 하면서 왜구의 진압, 경상도 남해안과 대한해협의 안전 확보, 일본 측 통교사절의 통제 등의 임무를 위임받아 행하였다고 주장하 였다. 44) 그러나 실제 일본의 역사를 보면 이러한 해석이 사실과 동떨어지는 주장일 가능성이 있다. 몽골의 대마도 침입 때 일본의 조정과 가마쿠라[ 鎌 倉 ]막부는 40) 수직왜인은 조선 조정으로부터 임명장인 告 身 을 받고 관직에 해당하는 冠 服 을 받 는다. 그들은 이것을 착용하고 매년 한번 서울로 가서 국왕에게 肅 拜 禮 를 행하고 토산물을 진헌하고 回 賜 物 을 받아오는 조공의례를 하여야 했다. 41) 세조실록 7년 8월 28일 42) 조선 전기의 경우 대마도주가 서계에서 막부장군을 扶 桑 殿 下 라고 하고, 귀국의 東 藩 이라고 표현하여 일본과 조선에 양속해 있음을 밝히기도 하였다( 성종실록 23년 3월 11일). 43) 黑 田 智, 2009, なぜ 對 馬 は 円 く 描 かれたのか 國 境 と 聖 域 の 日 本 史, 朝 日 新 聞 社 44) 關 周 一, 2011, 앞의 논문, 123쪽

20 234 동북아역사논총 41호 대응하지 않았으며, 博 多 방어에 집중하였다. 이것은 대마도를 경계영역으로 인식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당시 일본의 內 는 西 國, 東 國, 九 州 만 포함되 었으며, 대마도를 비롯한 一 岐 島, 松 浦 등지의 섬은 外 ( 異 國 )의 중간지대로 서 경계영역으로 인식하였다. 45) 고려시대 대마도, 일기도 등의 경계영역에 거 주하던 영주들이 고려와의 교역을 주도하였다. 진봉선 무역의 경우에도 당시 일본이 고려와 정식 국교가 없었던 상황이었지만 대마도는 독자적으로 고려와 정기적인 무역을 행하였다. 이 점에서도 대마도의 반독립성이 드러난다. 무로 마치막부 시대에도 대마도는 반독립적인 입장에 있었다. 이 시기 대마도는 막 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았다. 조선과의 무역에서도 막부와는 별도의 채널로 하였으며, 조선에서 막부로 파견한 사절을 護 行 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대마도는 조선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았으며 대일외교의 창구 역할을 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도 대마도를 본주와 구별하는 시각이 많았는데 임진왜란 시 도 요토미 히데요시[ 豊 臣 秀 吉 ]의 부하가 그린 < 八 道 總 圖 >라는 지도에 대마도가 조선 영토로 표기되어 있는 점도 일본인의 대마도인식의 일단을 보여주는 사 례다. 흔히 양속관계라고 하지만 조선전기의 경우 대마도는 무로마치막부보다 는 조선 정부와 더 밀접한 교류를 하였다. 3_ 조선전기의 대마도 인식과 특성 1) 한국의 대마도 인식 대마도 정벌과 속주화 조치 이후로 대마도를 조선의 속주로 간주하는 대마속 주의식은 조선전기에 면면히 계승되었다. 대마도 정벌 이듬해 일본에 회례사 로 다녀온 송희경은 대마도를 附 庸 國 내지 屬 國 으로 인식하였다. 대마도에 도 착한 후 그는 조선과 일본은 한 집안 이라고 하였고, 대마도만호 사에몬타로를 45) 김보한, 2011, 앞의 논문, 83~84쪽

21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35 만나서는 같은 왕의 신하 라고 하였다. 46) 이는 당시 경상도 속주화 조치가 취 해진 상황하에서 대마속국관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대마도 정벌 후 조정에서 일반화되었다. 임진왜란 직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되었던 金 誠 一 은 대마도주에게 보낸 글에서 貴 島 는 두 나라 사이에 끼어 있으며, 족하는 동으로 貴 國 을 섬기고 북 으로는 우리 조정에 순종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사대의 공경함이 지극하였 다. 47) 라고 하였다. 즉 대마도가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양국을 다 섬겨온 사실 을 말하면서 양속관계임을 분명히 밝혔다. 1486년(성종 17) 왕명으로 편찬된 조선전기의 지리서인 東 國 輿 地 勝 覽 에 는 대마도는 일본의 대마주다. 옛날에 우리 계림에 예속되었는데 언제부터 왜 인이 살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48) 라고 하였다. 여기서 주목되는 점은 대마도 가 일본국의 대마주라고 밝혔지만 이어 옛날 우리의 고토였다고 하고 동래부 의 부속도서로 취급하고 있는 점이다. 현실적인 관할조선 과 이념적인 왕령조 선 을 절충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 의 이 내용은 조선시대 대마인식의 기본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이후 지리지와 외교자료집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49) 또 명종대 濟 用 監 에서 제작한 < 朝 鮮 方 域 之 圖 >에는 만주와 대 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시하고 있어 이 시기의 영토의식 내지 대외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1471년 신숙주가 편찬한 海 東 諸 國 記 에서는 日 本 國 紀 안의 한 항목 으로 대마도 를 기술하였다. 또 대마도지도에서도 日 本 國 對 馬 島 之 圖 라고 표 기하여 대마도가 일본국 소속임을 명기하였다. 영토적 소속이 일본 임을 명시 함으로써 대마속주의식에서 번병의식으로 바뀌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객관 46) 노송당일본행록 2월 21일 到 泊 對 馬 島 東 面 船 餘 串 47) 위의 책 권4, 擬 答 對 馬 島 主 書 48) 동국여지승람 권23, 동래현 산천조 49) 신증동국여지승람 (1503)에는 대마도를 경상도 동래현 산천조에 기술하였다. 내 용에서는 대마도가 현재 일본국에 속해 있다는 현실 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같이 수록한 < 東 覽 圖 >, < 八 道 總 圖 >에서는 대마도를 조선의 부속도서처럼 그려 왕령조 선 을 표현하였다.

22 23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적이고 현실적인 대마도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전기의 대마도 인식의 유형을 정리해보면, 1 대마도가 옛날 우리나라 땅이었다는 對 馬 故 土 意 識, 2 대마도가 우리나라의 동쪽 울타리라고 하는 對 馬 藩 屛 意 識, 3 대마도가 일본 본주와는 다르다고 하는 대마구분의식으로 나 눌 수 있다. 첫째, 대마고토의식은 태종과 세종의 교서 이래로 일반화되었다. 그런데 그 근거가 문적에 분명하다고 하였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약간 불확실하다. 대 마도 정벌 후 대마도가 일시 경상도의 속주로 편입되기도 하였고, 대마도 정벌 을 감행한 태종이나 중종대 삼포왜란을 진압한 黃 衡 과 같이 대마도가 우리나 라의 땅이었으므로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 존재하였다. 그러나 전체적 으로 보아 그 후 대마도가 일본의 영토가 되어 있는 현실에 대해 부정하는 것 은 아니었다. 해동제국기 나 동국여지승람 의 기사도 대마도가 현실적으로 일본땅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서술된 것이었다. 따라서 대마고토의식은 세종대 중기 이후로는 관념적인 형태로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마번병의식이다. 대마고토의식이 다소 관념적인 데 비해 대마번병 의식은 현실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조선시대 대부분의 한국인이 가졌던 대마 도관이었다. 대마도 정벌 후 대마도에 대한 영토적 지배 대신 정치적 속령화정 책으로 바꾸게 됨으로써 대마도는 일본의 소속으로 되돌아갔지만 정치적으로 조선에 종속되었다. 대마도주는 수도서인이 되어 조공무역을 하였으며 歲 賜 米 豆 를 하사받았고, 도내의 호족들은 수직왜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조선 정부는 대마도에게 경제적 특혜를 주는 대신 조선의 울타리로서 왜구를 진압하고 통 교자를 통제하는 역할을 맡김으로써 남변의 평화를 보장받고자 한 것이다. 이 는 전형적인 외이통제책으로서 조선에서는 대마도를 조선의 東 藩 으로 인식하 였던 것이다. 50) 이에 따라 대마도의 교역선에 대해 모두 조공적 의례를 갖추도 50) 대마도 정벌 후 조선과 대마도의 주종관계가 공식화되자 대마도를 조선의 신하 혹 은 제후국을 의미하는 藩 屛 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1433년(세종 15) 야 인 정벌 후 중외에 포고한 교서에서 島 夷 와 山 戎 을 모두 통솔하였다. ( 세종실록 15년 5월 15일)라고 한 것은 대마도와 여진이 조선의 번병이라는 인식을 공식적으

23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37 록 하였다. 또 대마도에 파견한 사신의 명칭도 敬 差 官 體 察 使 招 撫 官 등 국 내의 지방관의 직명을 사용하였던 점도 대마도를 속주로 간주하고 있었기 때 문이었다. 51) 이와 같이 대마도가 영토적으로는 일본에 속하였지만 정치적으로 는 조선의 국가질서 속에 의제적으로 편입되어 신하의 예를 갖추었기 때문에 이를 양속관계라고 한다. 셋째, 대마구분의식이다. 이것은 양속관계론과 관련되는 것이지만 조선시 대인들은 대마도를 일본 본주와 구별되는 반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였다. 이 러한 사례는 많이 있다. 예컨대 대마도 정벌 시 조선 정부는 해적단의 본거지 를 토벌하는 것으로서 일본 막부로부터 환영받을 것으로 생각하였던 듯하다. 그래서 그것이 본주에 대한 침략이 아님을 九 州 探 題 에게 미리 통보하였다. 1444년(세종 26) 一 岐 島 招 撫 官 姜 勸 善 의 보고에서도 대마도에 대해 일본국 왕의 명령이 미치지 못하는 곳 이라고 하여 일본 본주와 다른 지역으로 파악하 였다. 해동제국기 에도 대마도를 일본의 8도 66주와는 별도로 기술하였다. 2) 일본의 대마도 인식 조선의 대마번병의식에 대해 대마도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을까? 조선왕조실록 에 따르면 그들이 스스로 조선의 藩 籬 혹은 藩 屛 으로 자칭 하는 기사와 서계를 확인할 수 있다. 대마도주가 보낸 서계에서 스스로 조선의 번리나 번병으로 자칭하면서 외방의 신하[ 外 臣 ]로서 충성을 바치겠다고 하는 사례는 흔하다. 1464년(세조 10) 소 시게모토[ 宗 成 職 ]가 보낸 서계에서 저는 朝 鮮 이라는 大 國 에 대해 藩 籬 입니다. 52), 1474년(성종 5) 소 사다쿠니[ 宗 貞 國 ]가 보낸 서계에서 대마주는 귀국의 신하입니다. 라고 하였고, 또 1487년 로 내외에 밝힌 것이다. 1457년(세조 3)에는 세조가 야인과 왜인은 모두 우리의 藩 籬 이며 모두 臣 民 이다. ( 세조실록 3년 7월 29일)라고 하였다. 또 성종은 대마 도주 宗 貞 國 에 대해 우리나라의 南 藩 ( 성종실록 5년 2월 29일)이라고 하였다. 51) 한문종, 1992, 조선전기의 對 馬 島 敬 差 官, 전북사학 15 52) 세조실록 10년 6월 14일

24 238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성종 18) 보낸 서계에서도 영원토록 귀국의 번병의 신하로 칭하며 충절을 다 할 것입니다. 53) 라고 하여 東 藩 이라고 자임하였다. 경차관의 파견도 대마도가 조선의 번병이라는 인식하에 실시된 것이다. 경 차관의 파견은 대마번병의식을 실제 대외정책에서 실현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는 치밀하게 계산된 조선 중심의 명분론적 대외인식이 깔려 있다. 대마도에서도 조선 대마도의 수직적 위계질서를 상징하는 경차관의 의미를 충분히 알고 있었으며 수용하였다. 54) 한편 일본 측의 사료에서도 그러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歲 遣 을 약속한 것은 실로 업신여기며 주는 음식을 받아먹는 것과 같 은 것으로 일시적인 구급책에 불과합니다. 그리하여 잘못된 선례 가 생기게 되어 조선에 대해 藩 臣 의 예를 취하여 수백 년 동안 그 나라 로부터 굴욕을 받았으니 분함이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55) 明 治 維 新 이후 외교개혁 과정에서 대마도 측이 메이지 정부에 올린 奉 答 書 의 한 부분이다. 여기서 대마도는 대조선 관계가 번신의 예로서 굴욕이었다 고 하였다. 이어 1868년 메이지 정부로부터 국서 전달을 지시받았을 때에는 지금의 서계부터는 조선이 주조해준 도서 대신에 일본 조정이 만들어주는 새 로운 도장을 사용하여 그들(조선)이 번신으로 우리를 대해온 오류를 바로잡아, 옛부터의 國 辱 을 씻고 오로지 國 體 와 國 威 를 세우고자 한다. 56) 라고 하면서 각오를 밝혔다. 이로써 대마도는 조선시대 조선 정부가 대마도에 취한 세견선 과 수도서제가 조공의례에 바탕을 둔 것이며, 또 대마도가 조선의 번속국이었 음을 자인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3) 성종실록 18년 2월 7일 54) 정다함, 2008, 앞의 논문, 257~8쪽 55) 朝 鮮 外 交 事 務 書 권1, 1971, 성진문화사 56) 宗 重 正 履 歷 集 권3, 明 治 원년 10월 8일

2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39 Ⅳ. 조선후기의 대마도 인식 1_ 통교관계의 변화 무로마치막부 시기 반독립적인 지위를 누리며 조선과의 독자적인 통교를 하였 던 대마도는 戰 國 時 代 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예속화의 길로 들 어선다. 이어 도쿠가와[ 德 川 ]막부시대에도 초기에는 조선 외교를 전담하면서 독자적 위치를 유지하였으나 17세기 초반 幕 藩 體 制 에 편입되어 도주 소 요시 토시[ 宗 義 智 ]는 막부로부터 從 四 位 下 侍 從 對 馬 守 로 임명받았다. 물론 이 시 기에도 대마도가 조선 외교를 특수임무[ 家 役 ]로 맡아 전담한 것은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다. 대마도주는 여전히 조선의 수도서인으로 세견선, 세사미두의 지 원과 왜관무역을 통한 이익으로 재정을 유지하였다. 형태적인 면에서 볼 때 조 일 양국 사이에서 양속관계라는 큰 테두리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내용상으로 보면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우선 조선후기의 조일통 교체제는 전기와 같은 다원적 형태가 청산되고 막부 대마도로 일원화되었 다. 전기와 같이 여타 호족세력들의 통교가 없어짐으로써 대마도의 조선 외 교 독점성은 상대적으로 강화되었지만 막부의 감독을 받음으로써 독자성은 줄어들었다. 즉 1635년 임진왜란 이후 국교재개과정에 대마도가 자행한 國 書 改 作 事 件 이 폭로됨에 以 酊 庵 輪 番 制 가 실시되었다. 막부에서 파견된 이정암 윤번승은 조선 외교에 관한 외교문서를 감찰하였으며 통신사 호행 시에도 참 여하였다. 이와 같이 17세기 중반 이후로는 대마도의 조선 외교가 기본적으 로 막부의 감독하에 진행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1609년 체결된 己 酉 約 條 가 이전보다 더 엄격히 통제된 것이었기 때문에 대마도는 그 부족분을 막부로부터의 지원에 의지하였다. 특히 왜관무역이 쇠퇴하는 18세기 중반부 터는 막부의 재정지원이 일상화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조선전기에 비해 대 마도의 일본 예속화가 진전되었고, 그만큼 양속관계는 약화되어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변화로 인해 대마도가 형태적으로 조선과 일

26 240 동북아역사논총 41호 본 사이에서 양속관계를 유지하였지만 실제에서는 막부 쪽으로 기우는 것이 었다. 2_ 조선후기의 대마도 인식과 특성 1) 통신사행원과 실학자의 대마도 인식 조선후기 대마도 인식의 전개양상을 통신사행원과 실학자를 중심으로 살펴보 도록 하자. 통신사행원들은 일본에 사행하면서 대마도에 대해 직접적인 체험을 가지 고 있었고 또 귀국 후 대부분 정부의 대일정책 결정에 참가하였던 일종의 대일 전문가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사료 1 이 섬은 조선의 한 고을에 지나지 않는다. 태수가 圖 章 을 받았고 조정 의 녹을 먹으며 크고 작은 일에 명을 청해 받으니 우리나라에 대해 藩 臣 의 의리가 있다. 57) 사료 2 대개 이 대마도는 본래 조선의 소속이었는데 어느 나라 어느 때에 일 본으로 들어갔는지 알 수 없다. 이미 조선의 옛 땅에 살면서 대대 로 조선의 도서를 받으며, 또한 公 米 와 公 木 으로 생활하니 곧 조선의 外 服 地 다. 58) 사료 1은 1719년 기해통신사행의 제술관 申 維 翰 이 대마도주와 의례논쟁 을 하면서 말한 내용인데 대마속주의식과 藩 國 觀 이 강조되어져 있다. 사료 2 57) 海 游 錄 상권, 기해년 6월 30일 58) 海 槎 日 記 계미년 10월 28일 신해

27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41 는 1763년 계미통신사행의 정사 趙 曮 이 피력한 내용인데, 기본적으로 대마고 토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대마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첫째 조 선의 故 土 에 살고, 둘째 도주가 조선의 圖 書 를 받으며, 셋째 조선의 경제적 지 원으로 생활하므로 조선의 외복지라고 하여 번병의식을 나타내었다. 통신사행원들의 대마도 인식은 조선전기의 그것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오 히려 더 엄격해지는 느낌이다. 그들은 사행 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대마도에 대 해 비판적이었고, 그 역할에 대해서도 기존의 藩 屛 論 을 더 강조하였다. 그러 나 위의 사료를 통해서 보면 조선후기 대마번병의식의 핵심은 경제적 지원임 을 알 수 있다. 또 그것은 양속관계를 전제로 성립하는 것으로서 대마도가 영 토적으로 일본에 소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었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華 夷 觀 에서 벗어나 日 本 夷 狄 觀 을 부정하는 입장을 취 하였던 실학자들의 대마도관은 어떠하였을까? 여기서는 대마속국론을 둘러싼 李 瀷 과 安 鼎 福 의 논쟁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사료 1 대마도는 부용전으로 넣었습니다. 대개 대마도는 신라와 고려 이래로 국초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가 속국으로 대해왔으며 여지승람에는 옛 날 계림에 예속되었다 고 하였고, 태종이 기해년에 대마도를 정벌할 때 교서에도 대마도는 본래 우리나라의 땅이었다 고 하였으니 가히 증거 되는 바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정벌한 일은 마땅히 속국을 꾸짖는 방책 이었습니다. 59) 사료 2 내가 상고해보니 대마도는 고금이 다 본래 신라에 소속되었다 고들 말하나 三 國 史 에 그런 말이 반드시 보이지는 않는다. 60) 사료 1은 안정복이 東 史 外 傳 을 지으면서 대마도에 대해 日 本 傳 과는 59) 순암선생문집 권10, 東 史 問 答 60) 성호사설 권19, 經 史 門 征 對 馬 島

28 242 동북아역사논총 41호 별도로 附 庸 傳 으로 편찬하였음을 이익에게 알린 것이다. 여기서 그는 세 가 지 이유를 들어 대마속국론을 주장하였다. 사료 2는 이익이 안정복이 주장한 대마속국론의 증거에 대해 확인하는 내용이다. 이어 보낸 답장에서 그는 대마 속국론에 대해 다시 상세히 검토해보라 고 함으로써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 였다. 61) 이에 대해 안정복은 다시 대마도가 우리 영토인 것은 문적에도 나오는 바 확실한 사실이라고 하면서 삼국사기 와 중국의 三 國 志, 北 史 에 나오 는 대마도 관련 기사를 검토하면서 대마도와 조선 관계의 밀접성과 유구성을 고증하였다. 62) 안정복은 東 史 綱 目 을 저술하면서 스승인 이익의 견해를 대 부분 수용하였으나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양보하지 않고 격렬한 논쟁을 벌 였다. 이들의 후배인 정약용은 備 禦 考 권4 馬 島 事 案 에서 대마도가 지금은 일본 땅이지만 본래는 우리 영토였다는 점, 대마도의 언어 복식 등 문화가 우 리나라와 유사하다는 점, 일본의 본주인과 구별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역대 사서에 나오는 관계기사를 인용 분석하였다. 대마속국론을 둘러싼 이익과 안정복 간의 이 논쟁은 실로 흥미로운 바 있 다. 대일강경론자와 유화론자, 명분론자와 대세수용론자 간의 대립이라고 해 도 좋을 듯하다. 정약용은 직접 논쟁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대체로 안정복의 설 을 수용하였던 것 같다. 2) 지도와 지리서에 나타난 대마도 인식 조선후기의 지리서에는 조선전기의 대마도 인식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는 측면 이 있는 한편으로 일본의 영향권 아래로 들어가는 현실을 인정하는 추세로 나 61) 성호선생문집 권26, 答 安 百 順 別 紙 丁 丑. 이익은 대일유화론자로서 대마도정 벌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으며 경제적 지원을 통한 대일화평정책을 옹호하였으며, 대마속국론을 부정하는 입장이었다. 이익과 안정복의 일본 인식에 대해서는 하우 봉, 1989, 조선후기 실학자의 일본관 연구 제2장(일지사) 참조. 62) 순암선생문집 권10, 東 史 問 答 戊 寅

29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43 누어진다. 전자의 사례로서 17세기 尹 斗 緖 의 < 東 國 輿 地 地 圖 >와 < 八 道 總 圖 >에는 대 마도를 조선의 영역에 그려넣어 조선전기의 유형을 계승하고 있다. 또 1765년 (영조 36)에 제작된 輿 地 圖 書 와 1822년(순조 22) 편찬된 경상도읍지 도 마 찬가지이다. 이들 지리서에는 대마도를 동래부 도서조에 수록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대개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그것을 보완한 것이다. 또 많은 지도에서 대마도를 조선의 영토로 표기하고 있다. 19세기 중엽에 제작된 < 海 左 全 圖 >에 는 대마도를 조선의 영역에 가깝게 그려 양속관계에 입각해 묘사하며 대마도 를 일본과 분리해보려는 경향도 있다. 후자에 해당하는 지도도 적지 않다. 1740년 鄭 尙 驥 의 < 東 國 地 圖 >에는 대 마도에 日 本 界 라고 표기하여 일본의 영역에 속하고 있음을 밝혔다. 현실에 기초한 대마도 인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로 이러한 경향이 일반화된다. 1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 輿 地 圖 >에서 대마도를 日 本 界 라고 표기하였다 년에 제작한 < 八 道 地 圖 >에서는 대마도에 日 本 地 라고 표기하였다. 3 19세기 초반에 제작된 < 輿 地 圖 >에서는 대마도가 경상도에 그려져 있지만 일본계 라고 표시하였다. 63) 한편 조선후기에는 통신사행원을 통해 일본지도가 전해지면서 매우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지도가 복사되거나 모사되었다. 이에 따라 대마도에 대한 인식도 보다 정확해진다. 64) 조선후기에서 근대로 갈수록 지도에서 대마도를 일본계 라고 표시하는 것 이 일반화되어갔으며, 대마도를 일본과의 경계로 보았다. 개화기에는 지도의 정확성이 높아졌고, 대마도가 일본 소속이며, 일본영토라는 사실이 확실하게 표시된다. 예컨대 1899년에 제작된 < 大 韓 全 圖 >와 1908년의 < 大 韓 帝 國 地 圖 > 가 그러한 예다. 65) 63) 엄찬호, 2011, 고지도를 통해 본 한 중 일의 경계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연 구 39 64) 오상학, 2009,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대마도인식의 변천, 국토지리학회지 ) 오상학, 2009, 위의 논문, 217~218쪽

30 244 동북아역사논총 41호 한편 일본의 경우 일본지도가 중세에는 매우 빈약했으나 17세기부터 발전 하였다. 그들의 대마도에 대한 영유의식은 독도나 북방지역과 달리 고대 이래 로 고정적이었다. 예컨대 1785년 하야시 시헤이[ 林 子 平 ]가 제작한 < 三 國 接 壤 之 圖 >에서는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소유 라고 명기하였지만 대마도는 일본 과 같은 색으로 표시하여 일본땅임을 밝히고 있다. 3) 조선후기 대마도 인식의 특성 첫째, 조일관계와 대마도의 지위가 내용적으로 바뀌어감에도 불구하고 대마고 토의식과 동번의식은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다. 통신사행원들과 안정복, 지리 지 등이 그러한 예다. 어떤 면에서 보면 현실과는 반대로 더 관념화되면서 심 화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둘째, 대마구분의식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일본의 본주와 대마도를 구분하 는 의식은 조선전기부터 있어왔지만 그것을 深 處 倭 와 對 馬 倭 의 용어로 구분 한 것은 임진왜란시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온 姜 沆 의 看 羊 錄 이 처음이었다. 그것은 대마구분의식이 전기보다 명확해진 것을 의미한다. 이후 안정복이 동 사외전 에서 대마도를 부용전 으로 별도로 설정한 것도 이러한 의식의 표현 이다. 1763년(영조 39) 계미통신사행의 서기 元 重 擧 는 대마도는 내국인과는 전혀 다르다. 내국인들이 항상 대마도를 오랑캐라고 부르며 사람 축에 같이 끼 워주지 않는다. 66) 라고 하였다. 또 그는 대마도가 양국 사이에서 농간을 부리 며 이득을 취하는 행태에 대해 조선과 일본 양국의 적 이라고까지 하였다. 이 는 대마도와 본주를 기본적으로 구별해서 본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양속관계 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마번병의식과 대마구분 의식의 심화는 대마도의 달라진 위상과 태도에 대해 기존의 관념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나온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양속관계의 약화에 따른 대마번병의식의 쇠퇴현상이다. 일본에 대한 66) 和 國 志 天 卷, 風 俗

31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45 재인식을 주창하였던 이익이 대마속국론에 대해 부정한 것도 변화하는 국제관 계의 현실과 대마도의 위상을 수용하자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조엄이 대마 도를 조선의 외복지 라고 한 것도 이전보다는 영유의식이 약화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Ⅴ. 맺음말 본론에서 조선시대 한국인의 대마도 인식을 대마고토의식, 대마번병의식, 대 마구분의식으로 나누어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조선시대에 와서 체계화되지만 고대로부터의 역사적인 유래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특히 조선전기의 대마도 인식은 고려시대 중기 진봉선무역체제 하에서의 조공적 관계와 고려 말 대마도주의 수직왜인화 등을 통해 생긴 것으로 추정하 였다. 여기에 대마도 정벌 후 일시적이나마 대마도가 경상도의 속주로 들어왔 다는 사실, 또 대일통교체제상 대마도가 조선의 국제질서 속에서 藩 臣 으로 의 제되면서 편입되었던 사실 등을 통해 이러한 대마도 인식은 체계화되었다. 조 선 정부는 대마도에게 대일외교의 창구를 맡기는 대신 수도서제와 수직왜인제 를 실시하였고, 세견선과 세사미두를 지원해주었다. 이러한 방식은 전형적인 외이기미책의 형태다. 이에 따라 조선은 대마도가 비록 영토적으로 일본에 소 속되기는 하였지만 정치적으로는 조선의 번속국으로 간주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의 이러한 대마도 인식은 明 治 維 新 이후 일본의 왕정복고와 외교 일원화 조치에 따라 대마도가 사실상 해체당함으로써 일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마번병의식은 현실적 의미를 잃어갔다. 근대에 들어와 특히 일본의 국내정세의 변화에 따라 조선과 대마도의 관계 는 일변하였다. 1854년 미일수호조약 이후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도쿠가 와막부는 종래 대마도에서 대행하고 있던 조선 외교와 무역을 직접 관장하려

32 24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고 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혼란 속에 이 조치는 결행되지 못하고 메이지 정부 의 과제로 넘어가게 되었다. 1868년 明 治 維 新 후 성립된 신정부는 당연히 외 교권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1869년 版 籍 奉 還 이 이루어져 對 馬 藩 은 嚴 原 藩 으로 개칭되었다. 동시에 대마도주의 조선 외교권은 신정부에 강제적으로 접수당하였고, 이해 9월 외무성 관리가 대마도에 파견되었다. 이 어 1871년 廢 藩 置 縣 에 따라 대마도는 나가사키현[ 長 崎 縣 ] 부속의 일개 지방행 정단위로 편성되었다. 또 메이지정부의 외교일원화 조치에 따라 대마도의 특 수임무[ 家 役 ]인 조선 외교에 관한 제 업무도 1872년 모두 외무성으로 옮겨졌 다. 이어 부산왜관이 접수되었으며 수도서제와 세견선이 폐지되었다. 67) 이러 한 일련의 조치에 따라 조선시대 조일 간의 전통적인 교린체제는 완전히 붕괴 되었으며 조선 정부는 대마도와 어떠한 관계를 맺을 여지가 없었다. 이에 따라 조선의 대마번병의식은 현실감을 잃게 되었다. 이 시기에 와서 는 대마도와 일본 본주를 구분할 수가 없었고, 대마도와의 별다른 관계 설정도 없었다. 당연히 대마번병의식을 나타내는 기록도 급격히 사라져갔다. 1908년 (순종 2)에 편찬된 증보동국문헌비고 를 보면, 대마도에 대해 지금 비록 일 본 땅이 되었으나 본래 우리나라 지방에 속했던 까닭에 우리나라의 故 事 가 많 으므로 아울러 기록한다. 라고 하였다. 68) 여기에는 대마도 영유에 대한 문제에 서 차분하고 공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대마고토의식, 조선과의 문화동질 성, 일본 내 대마도의 이질성, 경상도 속주화 문제 등이 고루 표현되어 있으며, 대마도를 여전히 동래부의 부속도서로 취급하고 있어 대마번병의식을 계승하 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와서 대마번병의식은 현실적인 의미를 거의 상실하 였으며 잔영과 같이 의식의 바닥에 침전되어갔을 뿐이다. 67) 이 과정과 의미에 대해서는 荒 野 泰 典, 1987, 明 治 維 新 期 の 日 朝 外 交 體 制 一 元 化 問 題 ( 日 本 前 近 代 の 國 家 と 對 外 關 係, 吉 川 弘 文 館 )와 玄 明 哲, 1995, 幕 末 明 治 初 對 馬 藩 처리에 대한 고찰 ( 일본역사연구 2) 참조. 68) 증보동국문헌비고 권32, 輿 地 考 關 防 海 防 條 南 海 東 萊 府

33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47 참고문헌 高 麗 史 高 麗 史 節 要 交 隣 志 老 松 堂 日 本 行 錄 東 國 輿 地 勝 覽 東 槎 錄 三 國 史 記 三 國 志 星 湖 僿 說 星 湖 先 生 文 集 順 庵 先 生 文 集 輿 地 圖 書 朝 鮮 王 朝 實 錄 增 補 東 國 文 獻 備 考 通 文 館 志 退 溪 全 書 海 東 諸 國 記 海 游 錄 海 槎 錄 海 槎 日 記 和 國 志 古 事 記 對 州 編 年 略 日 本 書 紀 宗 氏 家 譜 山 家 要 略 記 宗 重 正 履 歷 集 塵 袋 나종우, 1996, 한국 중세 대일교섭사 연구, 원광대학교출판부 李 領, 1995, 東 シナ 海 における 麗 日 關 係 史 の 硏 究, 東 京 大 學 博 士 學 位 論 文 하우봉, 1989, 조선후기 실학자의 일본관 연구, 일지사 한일관계사연구회, 1996, 독도와 대마도, 지성의 샘 關 周 一, 2012, 對 馬 と 倭 寇, 高 志 書 院 長 節 子, 1987, 中 世 日 朝 關 係 と 對 馬, 吉 川 弘 文 館 長 節 子, 2002, 中 世 國 境 海 域 の 倭 と 朝 鮮, 吉 川 弘 文 館 佐 伯 弘 次, 2010, 조선전기 한일관계와 博 多 對 馬, 경인문화사 川 添 昭 二, 1981, 中 世 九 州 の 政 治 と 文 化, 文 獻 出 版 荒 木 和 憲, 2007, 中 世 對 馬 宗 氏 領 國 と 朝 鮮, 山 川 出 版 社 黑 田 智, 2009, なぜ 對 馬 は 円 く 描 かれたのか 國 境 と 聖 域 の 日 本 史, 朝 日 新 聞 社 Batten, Bruce, 2000, 日 本 の 境 界 前 近 代 の 國 家 民 族 文 化, 靑 木 書 店 김보한, 2011, 중 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연구 39 엄찬호, 2011, 고지도를 통해 본 한 중 일의 경계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연구 39 오상학, 2009,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대마도인식의 변천, 국토지리학회지 43 2 정다함, 2008, 조선초기 야인과 대마도에 대한 번리 번병의식의 형성과 경차관의 파 견, 동방학지 141 한문종, 1992, 조선전기의 對 馬 島 敬 差 官, 전북사학 15 현명철, 1995, 幕 末 明 治 初 對 馬 藩 처리에 대한 고찰, 일본역사연구 2 關 周 一, 2011, アジアから 見 た 日 本 の 境 界, 古 代 中 世 の 境 界 意 識 と 文 化 交 流,

34 248 동북아역사논총 41호 勉 誠 出 版 奧 村 周 司, 1979, 高 麗 における 八 關 會 的 秩 序 と 國 際 環 境, 朝 鮮 史 硏 究 會 論 文 集 16 中 村 榮 孝, 1949, ツシマの 歷 史 的 位 置, 日 本 歷 史 19 中 村 榮 孝, 1965, 朝 鮮 世 宗 己 亥 の 對 馬 征 伐, 日 鮮 關 係 史 の 硏 究 上 卷, 吉 川 弘 文 館 村 井 章 介, 2010, 境 界 と 地 域, 東 アジア 世 界 の 成 立, 吉 川 弘 文 館 荒 野 泰 典, 1987, 明 治 維 新 期 の 日 朝 外 交 體 制 一 元 化 問 題, 日 本 前 近 代 の 國 家 と 對 外 關 係, 吉 川 弘 文 館 Robinson, Kenneth, 1999, 朝 鮮 王 朝 受 職 女 眞 人 の 關 係 と 朝 鮮, 歷 史 評 論 592

3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49 [ABSTRACT] Changing Views on Tsushima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Pre modern Period Ha Woobong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s of boundary and border between Japan and Korea in the pre modern period. The pre modern views on Tsushima between Joseon and Japan should differ from a modern concept of territory in a nation state because the nation state is a modern phenomenon. The concept of territory in the pre modern period was not clearly established, thus the boundary of territory demanded an intermediary that connected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territory. Tsushima was exemplary in terms of the intermediary role. Tsushima was located in a borderland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held a quasi independent status from the Japanese central authority. However, Tsushima s status went through changes. Whereas Tsushima held a quasi independent status in the Muromachi period, its status of independence diminished in the Tokugawa period. In other words, Tsushima also became part of the system of the bakufu (shogunate) and domains (J. bakuhanseido) in the Tokugawa period.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Tsushima in Japan changed, and, accordingly, the view of the Joseon court toward Tsushima also changed. In this paper, as I examine perceptions of Tsushima between Joseon and Japan, I systematically categorize the development of perception on

36 250 동북아역사논총 41호 Tsushima from time to time in the historical context. Also,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cholars in the field of Korean Japanese relations in both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I investigate the main causes of the shifting views on Tsushima, that is, a policy of vassalage and a policy of making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Joseon and Japan. For a better understanding, I deconstruct the perceptions of Koreans toward Tsushima in the Joseon period into three patterns: the perception of Tsushima as a homeland; the perception of defending Tsushima domain; and the perception of distinguishing Tsushima as a separate entity from Japan. Also I attempt to prove that although three different perceptions of Tsushima were systemized in the Joseon period, those perceptions derived from ancient history and the island s relations with Korea. In particular, Joseon s perception of Tsushima was systemized based upon two important facts: that Tsushima became a vassal of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subjugation of Tsushima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at Tsushima became Joseon s vassal for friendly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context of the Chinese world order. As a result, the Joseon court considered Tsushima as Japan s territory, but as a vassal of Joseon. Keywords Views on Tsushima (대마도인식), Subjugation of Tsushima (대마도정벌), Policy of vassalage (속주화조치), Intermediary role between two parties (양속관계), Perception of Tsushima as a homeland (대마고토의식), Perception of defending Tsushima domain (대마번병의식), Perception of distinguishing Tsushima as an entity separate from Japan (대마구분의식)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근대기 조선 지리지에 보이는 일본의 울릉도 독도 인식 호칭의 혼란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이 글은 근대기 일본인 편찬 조선 지리지에 나타난 울릉도 독도 관련 인식을 호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고찰한 것이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부국강병을 기도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에 의존하여 지리지를 펴냈고, 이를 제국주의 확장에 원용하였다. 특히 일본이 제국주의 확장을

More informatio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延 世 醫 史 學 제12권 제2호: 29-40, 2009년 12월 Yonsei J Med Hist 12(2): 29-40, 2009 특집논문 3 한국사회의 낙태에 대한 인식변화 이 현 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들어가며 1998년 내가 나이 마흔에 예기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을 때, 내 주변 사람들은 모두 들 너무나도 쉽게 나에게 임신중절을 권하였다.

More information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星州 漢文學의 歷史的 展開樣相 황 위 주* Ⅰ. 머리말 Ⅱ. 高麗末 以前의 狀況 Ⅲ. 朝鮮前期 官人과 士林 Ⅳ. 朝鮮後期 道學派의 活動 Ⅴ. 19世紀 以後의 狀況 Ⅵ. 마무리 국문초록 본고는 성주라는 특정 지역의 한문학을 집중적 검토 대상으로 삼아 이 곳에서 수행된 창작 활동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고 자 하였다. 성주지역 한문학은 신라 말부터

More information

歯1.PDF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More information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ISSN 1738-365X DOI:10.16958/drsr.2015.13.2.105 분쟁해결연구 2015; 13(2)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2015, Vol.13, No.2:105~135 이라크 추가파병(2003~2004년) 결정과정의 분석: 대통령과 국회, 시민사회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4)장 훈** 국내에서 여러

More information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로컬리티 인문학 2, 2009. 10, 257~285쪽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양 인 실* 50) 국문초록 세계화 로컬리티는 특정장소나 경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시대에 따 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영화는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특이할 만한 사실은 미국과 일본의 영화계에서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설화에 나타난 사회구조와 그 의미 23) 박유미 * 차례 Ⅰ. 문제제기 Ⅱ. 서사 내부의 사회구조 Ⅲ. 사회문제의 해결방식과 그 의미 Ⅳ. 설화와 후대전승과의 상관관계 Ⅴ. 결론 국문초록 삼국유사 의 조에는 왕거인 이야기와 거타지 이야기가 하나의 설화에 묶여 전하고 있는데, 두 이야기는 해결구조에서 차이를

More information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 : 97년부터 26년까지의 텔레비전 광고 내용분석* 2) 정기현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가족주의적 가치관을 사회통합의 핵심 중의 핵심으로 올려놓았던 전통이 현대사회에서 아직 영향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에서의 가족변동은 사회전반의 변동으로 직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97년부터 26년까지 텔레비전에서

More information

38--18--최우석.hwp

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

E1-정답및풀이(1~24)ok

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More information

0429bodo.hwp

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

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

6±Ç¸ñÂ÷

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

cls46-06(심우영).hwp

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

177

177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2) 양주조씨 사마방목에는 서천의 양주조씨가 1789년부터 1891년까지 5명이 합격하였다. 한산에서도 1777년부터 1864년까지 5명이 등재되었고, 비인에서도 1735년부터 1801년까지 4명이 올라있다. 서천지역 일대에 넓게 세거지를 마련하고 있었 던 것으로

More information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여는말 풀꽃, 제주어 제주어는 제주인의 향기입니다. 제주인의 삶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삶의 향기이고, 꿈의 내음입니다. 그분들이 어루만졌던 삶이 거칠었던 까닭에 더욱 향기롭고, 그 꿈이 애틋했기에 더욱 은은합니다. 제주어는 제주가 피워낸 풀잎입니다. 제주의 거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비바람 맞고 자랐기에 더욱 질박합니다. 사철 싱그러운 들풀과 들꽃향기가

More information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정보나눔 섭이와 함께하는 여행 임강섭 복지과 과장 여름이다. 휴가철이다. 다 들 어디론가 떠날 준비에 마음 이 들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여행 매니아까지는 아니 지만, 나름 여행을 즐기는 사 람으로서 가족들과 신나는 휴 가를 보낼 계획에 살짝 들떠 있는 나에게 혼자만 신나지 말 고 같이 좀 신났으면 좋겠다며 가족들과 같이 가면 좋은 여행 눈이 시리도록

More information

01Report_210-4.hwp

01Report_210-4.hwp 연구보고서 210-4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 론 Ⅱ 국회 및 지방의회에서의 여성참여 Ⅲ 정당조직내 여성참여 및 정당의 여성정책 Ⅳ 여성유권자의 투표율 및 투표행태 Ⅴ 여성단체의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운동 Ⅵ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More information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총선 이후 우리 교육의 방향 당 체제에서 우리 교육의 전망과 교육행정가들의 역할 박 호 근 서울시의회 의원 교육위원회 위원 서론 년 월 일 제 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는 바로 민의 의 반영이기 때문에 총선결과를 살펴보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가를 분석해 본 후 년 월 일을 기점으로 제 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 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교육이 어떻게

More information

목 차 營 下 面 5 前 所 面 71 後 所 面 153 三 木 面 263 龍 流 面 285 都 已 上 條 367 同 治 六 年 (1867) 正 月 日 永 宗 防 營 今 丁 卯 式 帳 籍 범례 1. 훼손 등의 이유로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로 표기함. 단, 비정 이 가능한 경우는 ( ) 안에 표기함. 2. 원본에서 누락된 글자는 [ ] 안에 표기함. 단, 누락된

More information

639..-1

639..-1 제639호 [주간] 2014년 12월 15일(월요일) http://gurotoday.com http://cafe.daum.net/gorotoday 문의 02-830-0905 대입 준비에 지친 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 신도림테크노마트서 수험생과 학부모 600명 대상 대입설명회 구로아트밸리서는 수험생 1,000명 초대 해피 콘서트 열려 구로구가 대입 준비로 지친

More information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2 와 같습니다. 3.

More information

시험지 출제 양식

시험지 출제 양식 2013학년도 제2학기 제1차 세계사 지필평가 계 부장 교감 교장 2013년 8월 30일 2, 3교시 제 3학년 인문 (2, 3, 4, 5)반 출제교사 : 백종원 이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풍암고등학교에 있습니다. 저 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전재와 복제는 금지 되며, 이를 어길 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전근대 시기 (가)~(라)

More information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통합 우리나라 ⑵ 조상님들이 살던 집에 대 해 아는 어린이 있나요? 저요. 온돌로 난방과 취사를 같이 했어요! 네, 맞아요. 그리고 조상님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에서 살았어요. 주무르거나 말아서 만들 수 있는 전통 그릇도 우리의 전통문화예요. 그리고 우리 옷인 한복은 참 아름 답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바지와 조끼를 입어요. 명절에 한복을 입고 절을

More information

상품 전단지

상품 전단지 2013 2013 추석맞이 추석맞이 지역우수상품 안내 안내 지역우수상품 지역 우수상품을 안내하여 드리오니 명절 및 행사용 선물로 많이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임직원 일동 -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More information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시 민 문서번호 어르신복지과-1198 주무관 재가복지팀장 어르신복지과장 복지정책관 복지건강실장 결재일자 2013.1.18. 공개여부 방침번호 대시민공개 협 조 2013년 재가노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계획 2013. 01. 복지건강실 (어르신복지과)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More information

2

2 1 2 3 4 5 6 또한 같은 탈북자가 소유하고 있던 이라고 할수 있는 또 한장의 사진도 테루꼬양이라고 보고있다. 二宮喜一 (니노미야 요시가즈). 1938 년 1 월 15 일생. 신장 156~7 센치. 체중 52 키로. 몸은 여윈형이고 얼굴은 긴형. 1962 년 9 월경 도꾜도 시나가와구에서 실종. 당시 24 세. 직업 회사원. 밤에는 전문학교에

More information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年 花 下 理 芳 盟 段 流 無 限 情 惜 別 沈 頭 兒 膝 夜 深 雲 約 三 십년을 꽃 아래서 아름다운 맹세 지키니 한 가닥 풍류는 끝없는 정이어라. 그대의 무릎에 누워 애틋하게 이별하니 밤은 깊어 구름과 빗속에서 삼생을 기약하네. * 들어가는 글 파르라니 머리를 깎은 아이가 시린 손을 호호 불며 불 옆에 앉아 있다. 얼음장 같은 날씨에 허연 입김이 연기처럼

More information

ÆòÈ�´©¸® 94È£ ³»Áö_ÃÖÁ¾

ÆòÈ�´©¸® 94È£ ³»Áö_ÃÖÁ¾ 사람 안간힘을 다해 행복해지고 싶었던 사람, 허세욱을 그리다 - 허세욱 평전 작가 송기역 - 서울 평통사 노동분회원 허세욱. 효순이 미선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 해 미국은 사죄하라는 투쟁의 현장에 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평택 대추리 의 넓은 들판을 두 소녀의 목숨을 앗 아간 미군들에게 또 빼앗길 순 없다며 만들어 온 현수막을 대추초교에 같이 걸었다. 2007년

More information

歯1##01.PDF

歯1##01.PDF 1.? 1.?,..,.,. 19 1.,,..,. 20 1.?.,.,,...,.,..,. 21 1,.,.,. ( ),. 10 1? 2.5%. 1 40. 22 1.? 40 1 (40 2.5% 1 ). 10 40 4., 4..,... 1997 ( ) 12. 4.6% (26.6%), (19.8%), (11.8%) 23 1. (?).. < >..,..!!! 24 2.

More information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3편 정 치 제3편 정치 제1장 의회 제1절 의회 기구 제2절 의회기구 및 직원 현황 자치행정전문위원회 자치행정전문위원 산업건설위원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제1장 의회 321 제3절 의회 현황 1. 제1대 고창군의회 제1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성 명 생년월일 주 소 비 고 322 제3편 정치 2. 제2대 고창군의회 제2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More information

120229(00)(1~3).indd

120229(00)(1~3).indd 법 률 국회에서 의결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을 이에 공포한다. 대 통 령 이 명 박 2012년 2월 29일 국 무 총 리 김 황 식 국 무 위 원 행정안전부 맹 형 규 장 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법률 제11374호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 공직선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구국회의원

More information

<C7F6B4EBBACFC7D1BFACB1B828323031335F3136B1C72032C8A3292E687770>

<C7F6B4EBBACFC7D1BFACB1B828323031335F3136B1C72032C8A3292E687770> 현대북한연구, 16권 2호(2013), C 2013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pp.251~280. 북한 연구의 미시적 접근과 남북 접촉지대 연구*38) 마음체계 통합 연구를 위한 시론 윤철기(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문수(북한대학원대학교) 남북한은 두 체제로 나뉘어 독자적으로 존재해왔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상호작용해왔다. 남북한의 상호작용은 사회구조에서 일상의

More information

<32303131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32303131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통일문제연구 2011년 하반기(통권 제56호) 전쟁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국가 만들기* - 역사/다큐멘터리/기억 - 1)이 명 자** Ⅰ. 들어가는 말 Ⅱ. 과 제작배경 Ⅲ. 과 비교 Ⅳ. 역사/다큐멘터리/기억 현대 남북한 체제 형성에서 주요한 전환점인 한국전 쟁은 해방 후 시작된 좌우대립과 정치적,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개화기 다언어(多言語) 학습서와 근대 한일 양국어* 李康民 ** i kangmin@hanmail.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to analyze the 13 types of multi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time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45) * 김경남 차 례 Ⅰ. 서론 Ⅱ. 근대 계몽기 이순신 서사와 뺷유년필독뺸 Ⅲ. 일제 강점기 실기(實記)와 뺷문예독본뺸의 이순신 Ⅳ. 광복 이후의 이순신 서사 Ⅴ.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근대이후 교재에 나타난 이순신상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More information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 의사학 제24권 제1호(통권 제49호) 2015년 4월 Korean J Med Hist 24 ː1-34 Apr 2015 c대한의사학회 http://dx.doi.org/10.13081/kjmh.2015.24.1 pissn 1225-505X, eissn 2093-5609 간호부 이정숙의 독립운동 김숙영* 1. 서론 2. 본론 1) 출생에서 정신여학교 수학시절까지

More information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權 近 의 五 經 인식 - 經 學 과 經 世 論 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 文 植 * 1. 머리말 2. 經 學 과 經 世 論 연결의 이론적 기반 3. 五 經 淺 見 錄 의 經 典 해석과 經 世 論 4. 맺음말 요약문 권근( 權 近 )은 체용론( 體 用 論 )에 입각하여 오경( 五 經 ) 간의 관계 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 用 )

More information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김관원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Ⅰ. 머리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 현안으로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등이 일본에서 희생자 보상청구 소송을 제 기한 1991년부터다. 이때 일본 정부는 일본군이 위안부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냉전적 이산과 탈냉전적 공존의 전망: 교토( 京 都 ) 재일코리안의 구술을 중심으로*1) 김귀옥 국문요약 이 글은 1년 가까운 기간 교토를 현지답사하고 교토 재일코리안의 다양한 사회 적 관계나 삶을 관찰한 후 10명의 구술생애사를 조사한 자료를 통해 작성되었다. 주로 교토 재일코리안 2세대(1명의 1세대와 1명의 3세대 포함)들의 재현적 기억과 생활 속에서

More information

도큐-표지

도큐-표지 Study on the use of Animal Bones in Ancient China Bo Fengxian, Xu Chengwei, Liu Wen, Sun Shuping (Northwest A&F University) 我国古代对动物骨头的再利用 卜风贤 许成委 刘雯 孙署萍 西北农林科技大学 Abstract Based on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More information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醫 史 學 제18권 제2호(통권 제35호) 2009년 12월 Korean J Med Hist 18ː57 72 18ː173-188 Dec. Dec. 2009 2009 C 大 韓 醫 史 學 會 ISSN ISSN 1225 505X 1225-505X 지방병 연구와 식민지배 : 1927년 영흥 및 해남지역 에메틴 중독사건을 중심으로 신 규 환* 1. 머리말 2. 일제의

More information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2012. 12 : pp.231~251 생활지향형 요소의 근린주거공간 분포특성 연구: 경기도 시 군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Life-Oriented Features in the Neighborhood: Focused on Municipalities of Gyeonggi Province

More information

<30322DBDC5B8EDC1F72E687770>

<30322DBDC5B8EDC1F72E687770> 37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 영화 피와 뼈 디어 평양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를 중심으로 1) 신 명 직* - 목 차 - Ⅰ. 머리말 Ⅲ. 다국가 시민의 권리와 책무 : Ⅱ. 국민 에서 다국가 시민 으로 깊이와 범위 1. 귀환 을 통한 영토와 주권 모 1. 다국가 시민권의 깊이 순의 해결 2. 다국가 시민권의 범위 2. 영토와 주권의 모순과 다국가

More information

274 한국문화 73

274 한국문화 73 - 273 - 274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5 276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7 278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79 280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81 282 한국문화 73 17~18 세기통제영의방어체제와병력운영 283 284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1)2) 주창윤 **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중반 불어 닥친 댄스 열풍과 관련된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대중은 댄스를 자유, 민주주의, 현대, 문화(교양) 의 표현으로 정당화했다. 댄스 열풍으로 적지 않은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자 지배 담론은

More information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72 통일과 평화(창간호 2009) 한반도 통일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전재성(서울대 외교학과) 국문요약 본 논문은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한반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여, 21세기 한반도 통일 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21세기 하나의 주권을 가진 하나 의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 통일론은 결국 한반도 거버넌스의 문제이다. 한반도에서 사는 전통적

More information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1884년부터 1940년 까 지를 구분하여 정착 부흥기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오용록의 작품세계 윤 혜 진 1) * 이 논문은 생전( 生 前 )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 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 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More information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수시과제 2015-13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연구책임자 : 최 윤 선 (본원선임연구위원) : 남 승 연 (본원연구위원) 연 구 지 원 : 이 상 아 (본원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2015. 9 ~12 2015 발 간 사 여성 일자리는 사회 내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를 좁히고 개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중요 한 부분입니다. 이에 정부는

More information

op_2015_07

op_2015_07 2015-07호 세대로 본 19대 대선구도 예측 요인 : 균형인가? 쏠림인가?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5년 7월 1일 Center for Public Opinion Research EAI Opinion Review 세대로 본 19대 대선구도 예측 요인 : 균형인가? 쏠림인가? 386세대(40대 후반-50대 초반)의 세대 표심변화가 관건 연령효과 대 코호트

More information

본문01

본문01 Ⅱ 논술 지도의 방법과 실제 2. 읽기에서 논술까지 의 개발 배경 읽기에서 논술까지 자료집 개발의 본래 목적은 초 중 고교 학교 평가에서 서술형 평가 비중이 2005 학년도 30%, 2006학년도 40%, 2007학년도 50%로 확대 되고, 2008학년도부터 대학 입시에서 논술 비중이 커지면서 논술 교육은 학교가 책임진다. 는 풍토 조성으로 공교육의 신뢰성과

More information

30이지은.hwp

30이지은.hwp VR의 가상광고에 나타난 그래픽영상 연구 -TV 스포츠 방송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graphic image that is presented in Virtual Advertising of VR(Virtual Reality) - Focused on TV Sports broadcasts - 이지은(Lee, ji eun) 조일산업(주) 디자인 실장

More information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303220BAAFB1A4BCAE2E687770>

<303220BAAFB1A4BCAE2E687770> 한국민족문화 33, 2009. 3, 39~73쪽 임진왜란 직후 기장지역의 상황과 被 虜 人 沙 器 匠 1)변 광 석* 1. 머리말 2. 16세기 전후 기장현의 상황 3. 기장의 陶 瓷 와 沙 器 匠 4. 被 虜 人 사기장과 기장지역 1) 경상도 일원 주민의 납치 2) 주요 피로인 사기장들의 출신지역 문제 3) 回 答 兼 刷 還 使 의 피로인 송환시도와 현지의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정지용의 시어 조찰한 의 의미 변화 연구 배호남 *1) 차례 Ⅰ. 머리말 Ⅱ. 종교적 순수성의 정신세계 : 勝 利 者 金 안드레아 의 경우 Ⅲ. 차가운 겨울밤의 정신세계 : 溫 井 과 長 壽 山 1 의 경우 Ⅳ. 명징한 여름 낮의 정신세계 : 白 鹿 潭 의 경우 Ⅴ.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지용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개별 작품에서 보다 더 미시적으로

More information

296 동북아역사논총 34호 명 여진의 관계와 조선 여진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는 중국 의 주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중국의 주장은 조선, 여진, 명 3세력 사이에 놓 인 변경지대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용됨으로써 사실과 다른 왜곡된 변경이론을 만들어 내고

296 동북아역사논총 34호 명 여진의 관계와 조선 여진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는 중국 의 주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중국의 주장은 조선, 여진, 명 3세력 사이에 놓 인 변경지대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용됨으로써 사실과 다른 왜곡된 변경이론을 만들어 내고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295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 남의현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중국은 근세사 역사서술에서 명대의 女 眞 은 명나라의 屬 衛 로, 朝 鮮 은 명나라 의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

歯M991101.PDF

歯M991101.PDF 2 0 0 0 2000 12 2 0 0 0 2000 12 ( ) ( ) ( ) < >. 1 1. 1 2. 5. 6 1. 7 1.1. 7 1.2. 9 1.3. 10 2. 17 3. 25 3.1. 25 3.2. 29 3.3. 29. 31 1. 31 1.1. ( ) 32 1.2. ( ) 38 1.3. ( ) 40 1.4. ( ) 42 2. 43 3. 69 4. 74.

More information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한국의 북한 핵개발에 대한 인식과 대응 3 한국의북한핵개발에대한인식과대응: 3 차 핵실험 이후* 1)박영호 ( 통일연구원) 국문요약 2013년 2월 12일 북한의 3 차 핵실험은 국내외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북한의 핵능 력이 진전되고 북한은 경제건설과 함께 핵 무력건설을 김정은 시대의 발전전략으로 채택 했다. 북핵문제의 패러다임이 변화했다. 한국 사회에서의

More information

<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58 59 북로남왜 16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흔든 계기는 북로남 왜였다. 북로는 북쪽 몽골의 타타르와 오이라트, 남왜는 남쪽의 왜구를 말한다. 나가시노 전투 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임진전쟁 전) (1) 명 1 북로남왜( 北 虜 南 倭 ) : 16세기 북방 몽골족(만리장성 구축)과 남쪽 왜구의 침입 2 장거정의 개혁 : 토지 장량(토지 조사)와

More information

<BABBB9AE2E687770>

<BABBB9AE2E687770> 253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 49) 이진원* Ⅰ. 머리말 Ⅱ. 기존 연구성과 검토 Ⅲ.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검토 Ⅳ.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의 의의 Ⅴ. 맺음말 Ⅰ. 머릿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취관악기(縱吹管樂器)에는 무황악기(無簧樂器)인 퉁소 단소가 있 고, 유황악기(有簧樂器)로 피리와 쇄납 등이

More information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303132392E687770>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303132392E687770> 버스 외부 광고의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매체 접촉률과 인지적 반응을 중심으로 1) 고한준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조교수 노봉조 벅스컴애드 대표 이사 최근 몇 년 사이 옥외 광고나 인터넷 광고 등 BTL(Below the Line) 매체가 광고 시장에서 차지하 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버스 외부 광고는 2004년 7월 서울시 교통체계개편 이후 이용자

More information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檀 國 大 學 校 第 二 十 八 回 학 술 발 표 第 二 十 九 回 특 별 전 경기도 파주 出 土 성주이씨( 星 州 李 氏 ) 형보( 衡 輔 )의 부인 해평윤씨( 海 平 尹 氏 1660~1701) 服 飾 학술발표:2010. 11. 5(금) 13:00 ~ 17:30 단국대학교 인문관 소극장(210호) 특 별 전:2010. 11. 5(금) ~ 2010. 11.

More information

11민락초신문4호

11민락초신문4호 꿈을 키우는 민락 어린이 제2011-2호 민락초등학교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1 펴낸곳 : 민락초등학교 펴낸이 : 교 장 심상학 교 감 강옥성 교 감 김두환 교 사 김혜영 성실 근면 정직 4 8 0-8 6 1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59번길 26 Tel. 031) 851-3813 Fax. 031) 851-3815 http://www.minrak.es.kr

More information

정진명 남재원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 앱서비스를 이용하여 배달음식점을 찾고 음식 을 주문하며, 대금을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서비 스를 말한다. 배달앱서비스는 간편한 음식 주문 과 바로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 연령층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반면,

정진명 남재원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 앱서비스를 이용하여 배달음식점을 찾고 음식 을 주문하며, 대금을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서비 스를 말한다. 배달앱서비스는 간편한 음식 주문 과 바로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 연령층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반면, 소비자문제연구 제46권 제2호 2015년 8월 http://dx.doi.org/10.15723/jcps.46.2.201508.207 배달앱서비스 이용자보호 방안 정진명 남재원 요 약 최근 음식배달 전문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음식배달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배달앱서비스가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거래유형으로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앱서비스를

More information

이용자를 위하여 1. 본 보고서의 각종 지표는 강원도, 정부 각부처, 기타 국내 주요 기관에서 생산 한 통계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각 통계표마다 그 출처를 주기하였음. 2. 일부 자료수치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이 합계와 일 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3. 통계표 및 도표의 내용 중에서 전년도판 수치와 일치되지 않는 것은 최근판에서

More information

05-08 087ÀÌÁÖÈñ.hwp

05-08 087ÀÌÁÖÈñ.hwp 산별교섭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이주희) ꌙ 87 노 동 정 책 연 구 2005. 제5권 제2호 pp. 87118 c 한 국 노 동 연 구 원 산별교섭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보건의료노조의 사례 이주희 * 2004,,,.. 1990. : 2005 4 7, :4 7, :6 10 * (jlee@ewha.ac.kr) 88 ꌙ 노동정책연구

More information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제2장 사천교육의 발자취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1. 근대 이전의 교육 가. 고대의 교육 인류( 人 類 )가 이 지구상에 살면서부터 역사와 함께 교육( 敎 育 )은 어떠한 형태로든 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이곳에서 삶을 꾸려왔는지는 여 러 가지 유적과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당시 우리조상들의 생활을 미루어

More information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001 002 003 004 005 006 008 009 010 011 2010 013 I II III 014 IV V 2010 015 016 017 018 I. 019 020 0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III. 041 042 III. 043

More information

11¹ÚÇý·É

11¹ÚÇý·É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6, No. 5, pp.125~135(2002)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Park, Hea-Ryung* and

More information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하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제2차 시기 : 건물 4면 중앙에 각각 1개소씩 존재 - 남, 서, 북면의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지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전면과 측면의 중앙칸에 위치 - 동서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 유인 계단우석( 階 段 隅 石 ) 받침지대석이 발견 - 계단너비는 동측면에서 발견된 계단우석 지대석의 크기와 위치를 근거로 약 2.06m - 면석과

More information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지역의 합리적인 행정구역 결정방안 이 양 재 원광대학교 교수 Ⅰ. 시작하면서 행정경계의 획정 원칙은 국민 누가 보아도 공감할 수 있는 기준으로 결정 되어야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모 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신생매립지의 관할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군, 전라남도 순천시와 전라남도 광양시

More information

??

?? 한국공항공사와 어린이재단이 함께하는 제2회 다문화가정 생활수기 공모전 수기집 대한민국 다문화가정의 행복과 사랑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Contents 02 04 06 07 08 10 14 16 20 22 25 28 29 30 31 4 5 6 7 8 9 10 11 12 13 15 14 17 16 19 18 21 20 23 22 24 25 26 27 29 28

More information

652

652 축 사 2003년 11월 5일 수요일 제 652 호 대구대신문 창간 39주년을 축하합니다! 알차고 당찬 대구대신문으로 지로자(指걟者)의 역할 우리 대학교의 대표적 언론매체인 대구대 신문이 오늘로 창간 서른 아홉 돌을 맞았습 니다. 정론직필을 사시로 삼고 꾸준히 언로 의 개척을 위해 땀흘려온 그 동안의 노고에 전 비호가족을 대표하여 축하의 뜻을 전하 는 바입니다.

More information

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6. 29 () 11:00 ( ) 20 0 1. 6. 29 11( ).(397-1941) 1. 2. 3. 4. 5. 1. 28, 60() (,, ) 30 619(, 6. 29) () 6 (,,,,, ),,, - 1 - < > (, ), () < > - 2 - 2.,,, 620,, - 3 - 3. ( ) 1,614,, 864 ( ) 1,6 14 864 () 734

More information

인니 내지-00-5

인니 내지-00-5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3 mac2 I. I N D N E S I A 12 Part I 13 I N D N E S I A 14 Part I 15 I N D N E S I A 16 Part I 17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19 mac2 II. 정치 1. 국가이념및정치정세개관

More information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제 1 부 제1소위원회 (2) 충남지역(1) 부역혐의 민간인 희생 -당진군ㆍ홍성군ㆍ서산군(2)ㆍ예산군- 결정사안 1950. 9ㆍ28수복 후~1951. 1ㆍ4후퇴경 충청남도 당진 홍성 서산(2) 예산군에서 군 경에 의해 발생한 불법적인 민간인 희생으로 진실규명대상자 33명과 조사과정에서 인지된 자 151명이 희생된 사실을 또는 추정하여 진실규명으로 결정한 사례.

More information

<C1DFB1DE2842C7FC292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무 단 전 재 금 함 2011년 3월 5일 시행 형별 제한 시간 다음 문제를 읽고 알맞은 답을 골라 답안카드의 답란 (1, 2, 3, 4)에 표기하시오. 수험번호 성 명 17. 信 : 1 面 ❷ 武 3 革 4 授 18. 下 : ❶ 三 2 羊 3 東 4 婦 19. 米 : 1 改 2 林 ❸ 貝 4 結 20. 料 : 1 銀 2 火 3 上 ❹ 見 [1 5] 다음 한자(

More information

106 통권 제12 호 (2012) 제에 의하여 라는 외부적인 포스트- 식민화의 문제점을 노정하는지, 그리고 4 3이나 5 18과 비교 할 때 근대 국민 국가 성립 전의 조선과 대한민국을 포괄하여 일본군위안부가 어떻게 법적 언어로 구성되고 있는지는 국가주의, 민족주의,

106 통권 제12 호 (2012) 제에 의하여 라는 외부적인 포스트- 식민화의 문제점을 노정하는지, 그리고 4 3이나 5 18과 비교 할 때 근대 국민 국가 성립 전의 조선과 대한민국을 포괄하여 일본군위안부가 어떻게 법적 언어로 구성되고 있는지는 국가주의, 민족주의, 일본군위안부 지원 법령과 법적 주체 생산 : 포스트-식민법 이론에 서서 65강 민 구 * 연구 목적과 글의 구성 연구 목적 글의 구성 왜 포스트 식민법인가 서브알턴 주체 생산 기제로서의 법 서브알턴 주체 생산에 대한 구성적 시각 법적 차원의 상징적 주체 생산 포스트 식민법 제 세계 현실과 법의 접점 찾기 법적 주체 생산 비교법적 검토 분석대상 일본군위안부 관련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청와대 정책고객서비스 운영현황 정책고객서비스는 국민중심의 정부혁신 정책고객서비스(Policy CRM)는 국가정책의 수립 집행 평가과정과 주요 국정 운영방향에 대해 전문가에게 정확하고 풍부한 정책정보를 제공하고 의견을 구 하는 알림과 참여 를 위해 2003년 8월부터 시작되었다. 국민의 동의를 얻어서 정책을 수행해야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시대에서 정책고 객서비스는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 ) * - ( ) - 1 : 2 (1) ( ) () (2) ( ) ( ) 3 (1) ( ) ( ) (2) ( ) ( ) 4 : 1 : (1984) 80 ( ) ( ), ( ), ( 1916-1991) () ( ), 23 1, (1980-1988) ( ) ( ) ( ) 1, 1997 600 ( )5 ( ) ( ) ( ), 2001 ), ( :, 1985);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