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65FC1A4B5BFB0E65FC3D6C1BE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30365FC1A4B5BFB0E65F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1 硏 究 論 文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정동경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국어사 전공 angel1543@hanmail.net Ⅰ. 머리말 Ⅱ. 참( 站 ) 의 현대국어 사전 기술 Ⅲ. 시기별 참( 站 ) 의 의미 고찰 Ⅳ. 참( 站 ) 의 의미 확장 Ⅴ. 맺음말

2 Ⅰ. 머리말 참( 站 ) 은 몽골어 зам 에서 유래한 말로서 길( 道 ) 이라는 뜻이다. 몽골 의 원( 元 ) 왕조 때에는 말을 타고 공문서를 전달하는 제도가 존재했는데 일정한 거리마다 말을 갈아탈 수 있는 곳을 두었고 이를 역참 이라 일컬었다. 1) 기원적으로 몽골어에서 차용된 단어인 참 은 전기 중세국어 시기에 역참제도의 도입과 함께 국내로 유입되었으며 이후 후기 중세국 어, 근대국어, 개화기국어 시기 등 오랜 시기를 거치면서 그 의미나 용법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2) 국어 사전류에서 다의어 혹은 동음어로 기술되는 참 은 다음과 같은 예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국어에서 크게 세 가지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단어이다. (1) ㄱ. 기발의 경우 25리마다 참을 두어 파발이 교대하게 하였다. ㄴ. 모를 내는 사람들에게는 한 번의 식사와 두 번의 참이 제공되었다. ㄷ. 갈증을 느끼던 참에 탁자 위에서 생수를 발견하였다. 위의 예에서 (1ㄱ)의 참 은 관리가 여행을 가는 중에 쉬던 장소 를 뜻하는 것으로 공간적 의미를 갖는 명사로 쓰였으며, (1ㄴ)에서는 노동을 하다가 쉬면서 먹는 음식 을 뜻하여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명사로 쓰였다. 마지막으로 (1ㄷ)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 때나 동안 을 뜻하여 시간적 의미를 갖는 명사로 쓰였다. 물론 참 을 그 용례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면 더 다양하게 세분되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크게 공간, 식사, 시간이라는 세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현대국어 사전에서 참 의 기술을 살펴보면 위의 세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참 을 다의관계로 볼 것인지, 동음관계로 볼 것인지의 여부에서부터 세부적 의미 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 다. 이는 참 이 현대국어 이전 시기에 언어생활에서 쓰이기 시작하면서부 1) 최기호, 한참, 새참, 밤참, 월간 샘터 33(2002), 112쪽. 2) 근대국어나 개화기국어의 시점을 어느 때부터 어느 때까지로 보느냐에 대해서는 의견 이 분분하다. 이 글에서는 국립국어연구원 편(1997, 1999)에 따라 근대국어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부터 19세기 갑오경장 이전까지, 개화기국어 시기는 갑오경장 이후인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로 한다. 142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3 터 현대국어에 이르는 긴 시기 동안 겪어온 참 의 의미와 용법의 변화과정 에 대한 추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이전의 문헌에서 발견되는 참 의 용례를 관찰함으 로써 공간, 식사, 시간 영역의 의미를 갖고 있는 세 종류의 참 이 동음어가 아니라, 모두 본래 역참제도 아래에서 공무 차 역로를 따라 이동하던 관리가 쉬어 가기 위한 장소를 지칭하는 참 으로부터 의미 확장 과정을 거쳐 생겨난 다의어로 볼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먼저 현대국어 사전에서 참 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그 차이가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참 의 올바른 사전적 기술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밝힌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참 이 문헌에서 처음으로 등장하 는 때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는 동안 보이는 용례를 고찰함으로써 참 의 의미가 어떻게 확장되어가는지를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고찰한 참 의 의미 및 용법 변화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참 이 본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의미 확장을 이루게 된 데에는 어떤 이유가 존재하는지를 밝히기로 한다. Ⅴ장에서는 본론의 모든 논의를 정리하고 그를 통하여 현대국어의 사전에서 참 의 올바른 기술 방안을 제안하기로 한다. Ⅱ. 참( 站 ) 의 현대국어 사전 기술 다양한 의미 영역에 속하는 참 이 본래는 머리말에서 보인 (1ㄱ)과 같이 장소를 가리키는 명사로 쓰이다가 후에 새로이 식사나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명사로 확장되었을 것이라 짐작되는데 실제 현대국어 사전들에서 참 을 살펴보면 그 기술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서, 식사 영역,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이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차용어 참 으로부터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 이들을 다의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차용어 참 과 형태가 같을 뿐 의미적 관련성이 없는 동음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 기술이 다르다. 이를 정리하면 표1과 같다. 3) 3) 표1에서는 필자가 참고한 사전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으며 예문을 제외한 그 기술 내용은 그대로 옮겼으나 일부 문장 부호나 번호의 모양은 필자가 임의대로 정리하였음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43

4 표1-- 현대국어 사전의 참 의 기술 사전명 표제어 분류 기술 고려대 한국어 사전 금성 국어 대사전 연세 한국어 사전 자립 1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에 먹는 음식(원어 새참) 2 수 관형사 뒤에서 의존적 용법으로 쓰여, 일을 하다가 쉬는 횟수나 몇 번 쉬었다 가야 하는 거리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3 길을 가다가 쉬거나 밥을 먹을 수 있는 장소 4 [역사] 공무( 公 務 )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장소 참2 1 동사의 관형사형 어미 은, 던 의 뒤에 쓰여, 무엇을 하는 경우나 시기를 나타내는 말 2 동사의 관형사형 어미 는, 을 의 뒤에 쓰여 무엇을 할 생각이나 의존 예정을 나타내는 말 3 동사의 관형사형 어미 을 의 뒤에 쓰여, 어떤 행위 따위가 지속되는 동안을 나타내는 말 참3( 站 ) 명사 [역사] 조선시대, 관원이 공무로 다닐 때에 숙식을 제공하고 빈객( 賓 客 ) 을 접대하기 위하여 각 주( 州 )와 현( 縣 )에 둔 객사( 客 舍 ) 참2 명사 끼니때(경북 방언) 참4( 站 ) 자립 의존 참2( 站 ) 명사 참3( 站 ) 의존 우리말 큰사전 참4( 站 ) 조선말 대사전 명사 의존 참3 명사 1 [역]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곳. 역참( 驛 站 ) 2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 3 일을 하다가 쉬기로 정하여진 시간에 먹는 식사 4 길을 가다가 잠시 쉬거나 밥을 먹는 곳 ( ㄴ(은) 이외의 관형형 어미와 함께 쓰이어) 어떠한 경우 나 무엇을 할 예정 을 나타내는 말 1 ㄱ.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를 가다가 쉬던 곳 ㄴ.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에 먹는 것 2 (의존적으로 쓰이어) ㄱ. ( ( ㄹ) 참 의 꼴로 쓰이어) 어떤 상태나 행위가 지속되는 일정한 시 간이나 동안 ㄴ. 일을 하다가 쉬는 수나 몇 번 쉬었다 가야 하는 거리의 단위를 나타냄 1 ( 던/는 참이다 의 꼴로 쓰이어) 무엇을 하는 기회나 때 2 ( ㄹ/는 참이다 의 꼴로 쓰이어) 무엇을 할 모양이나 생각이나 예정 1 =역참 2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이나 동안 3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쉬는 번수나 몇 번 쉬었다 가야 하는 거리의 단위 4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에 먹는 것. 또는 그 번수의 단위 5 길을 가다가 쉬거나 묵거나 하는 곳 1 무엇을 하는 기회나 때 2 무엇을 할 생각 이나 예정 의 뜻 1 일을 하다가 쉬는 일정한 동안 2 이름수의 단위로도 쓰인다. 3 일을 하다가 쉬는 일정한 시간에 따로 차려먹는 식사 4 일을 시작하여 쉴 때까지의 일정한 동안 5 무엇을 하는 때 의 뜻 6 무엇을 할 예정, 셈 의 뜻 을 밝힌다. 이후의 기술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사전을 지칭할 때에 고려대 한국 어사전 은 [고], 금성국어대사전 은 [금], 연세한국어사전 은 [연], 우리말큰사전 은 [우], 조선말대사전 은 [조], 표준국어대사전 은 [표]로 나타내기로 한다. 144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5 표준 국어 대사전 명사 참3 의존 참6( 站 ) 명사 7 그 즉시로 8 ( 대다 와 함께 쓰이어) 길을 가다가 쉬면서 끼니를 먹는 곳 을 이르던 말 9 [낡] 역참 4) 95 站 1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 한자를 빌려 站 으로 적기도 한다. 2 일을 시작하여서 일정하게 쉬는 때까지의 사이 3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이나 끼니때가 되었을 때에 먹는 음식 4 길을 가다가 잠시 쉬어 묵거나 밥을 먹는 곳 1 (어미 은, 던 뒤에 쓰여) 무엇을 하는 경우나 때 2 (어미 는, 을 뒤에 쓰여) 무엇을 할 생각이나 의향 [역사]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며 외국 사신의 왕래, 벼 슬아치의 여행과 부임 때 마필( 馬 匹 )을 공급하던 곳. 주요 도로에 대개 25리마다 하나씩 두었다. 표1을 통하여 참 의 사전 기술에서 보이는 차이를 정리하면 크게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이 글에서 논의 대상으로 삼은 세 가지 영역에 속하는 참 의 의미를 하나의 표제어 아래 기술하고 있는 사전들, 다시 말해서 다의어로 처리한 사전과 둘 이상의 표제어를 두어 따로 기술하고 있는 사전들, 즉 동음어로 처리한 사전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금], [우], [조], 후자에는 [고], [연], [표]가 속한다. 전자에 속하는 사전 중에서 [금]은 끼니를 먹을 때 를 의미하는 방언형 참 을 따로 표제어로 두고 있기는 하지만, 그 외 표준어로서는 (1ㄱ ㄷ)의 모든 용법이 하나의 표제어 아래에서 설명되고 있어 앞서 공간, 식사, 식사라는 세 의미 영역에 속하는 참 을 다의어로 보고 있다. 반면, 후자에 속하는 사전들 중에서 [고]와 [표]는 (1ㄱ)과 같이 조선시대에 설치한 객사 를 가리키는 참( 站 ) 을 하나의 표제어로 두고, 한편으로는 장소, 식사, 시간의 영역의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을 또 다른 표제어 아래에서 기술하고 있어 장소 영역에 속하는 참 이 두 표제어 아래에서 중복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연]은 (1ㄱ, ㄴ)의 용법, 즉 공간과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참 을 하나의 표제어 아래에 설명하고 있으며, (1ㄷ)의 용법, 즉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참 은 그 의미를 더 세분하여 2개의 표제어 아래에 두어 기술하고 있다. 4) [조]에서는 지난날에 쓰이던 한자말이나 한문 투의 말에 대하여서는 오늘날 그것이 일반언어생활에서는 쓰이지 않는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뜻풀이난의 첫머리에 (낡) 표시 를 주어 그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라고 약어 (낡)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45

6 둘째, 공간, 식사, 시간 영역에 속하는 참 을 한자어 참( 站 ) 으로 기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전자에는 [금], [연], [우]가 속하며, 후자에는 [고], [조], [표]가 속한다. 후자에 속하는 사전들 중에서 [고]와 [표]는 역사 분야의 전문용어로서 기술된 참 을 제외하고 공간, 식사, 시간의 영역에 속하는 참 을 모두 고유어로 처리하고 있으며, 특히 [표]에서는 일을 하다가 쉬는 일정한 동안 을 의미하는 참 만 한자 站 을 빌려 적기도 한다고 기술하여 한자어 참( 站 ) 과는 어원이 다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조]는 현대국어에서 나타나는 1 8의 의미를 갖는 참 은 모두 고유어로 기술하고 있으며, 현대의 언어생활에서는 쓰이지 않는 9의 참 만 한자어로 기술하고 있다. 셋째, 문법적인 측면에서 자립명사로서 쓰이는 참 과 의존명사로서 쓰이는 참 을 2개의 표제어로 처리한 것과 하나의 표제어 아래 처리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연]이 속하고, 후자에는 그 밖의 나머지 사전이 속한다. 그런데 [연]을 살펴보면 자립명사로서의 참 과 의존명사로 서의 참 은 모두 한자어 참( 站 ) 으로 기술되어 있어 겉으로 볼 때에는 하나의 단어를 문법 단위의 차이에 따라 둘로 나누어 처리한 것으로 보기 쉽다. 하지만 자립명사로서의 참2( 站 ) 를 들여다보면 이 안에서도 자립적으로 쓰이는 참과 의존적으로 쓰이는 참 을 다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의존적으로 쓰이고 있는 참 이라 하더라도 어떤 상태나 행위가 지속되는 일정한 시간이나 동안, 일을 하다가 쉬는 수나 쉬었다 가야 하는 거리의 단위 를 의미할 때와 무엇을 하는 기회나 때, 무엇을 할 모양이나 생각이나 예정 을 의미할 때를 서로 다른 표제어로 처리하고 있어 그 의미에 따라 앞의 두 의미로 쓰이는 참 과 뒤의 두 의미로 쓰이는 참 을 다의어가 아닌 동음관계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5) 5) [연]의 일러두기 에서도 명사의 경우: 한 낱말이 자립적으로도 쓰이고, 의존적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로마 숫자로 구별하였다. 이때 비자립적인 쓰임을 보이는 것을 기술 할 때, [의존적으로 쓰이어] 라는 정보를 주었다 고 밝히고 있어 표제어를 따로 처리한 것은 품사뿐만 아니라 그 의미관계에서도 다의관계가 아님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위의 네 가지 의미 기술에 대한 [연]의 용례를 옮기면 아래와 같다. ㄱ. ( 할 시간/동안) 차 한 잔 마실 참이 지났을까, 아이가 벌써 깨어 울기 시작했다. ㄴ. (쉬는 수/거리의 단위) 6층까지 계단으로 올라가려면 두어 참을 쉬어야 할 게다. ㄷ. (기회/때) 장사도 안 되고 해서 이제 막 들어가려고 하던 참이니 한 번만 봐 주시오. ㄹ. (생각/예정) 그렇지 않아도 그다음 얘기를 하려는 참이니 제발 다그치지 말게. 146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7 마지막으로 현대국어 사전들에서 참 의 세부적 의미를 기술하는 데에 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각 사전에서 기술한 참 의 의미는 적게는 다섯 가지부터 많게는 아홉 가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사전에서 기술한 참 의 모든 의미 및 각 의미를 기술한 사전을 보이면 아래와 같다. (2) ㄱ.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를 가다가 쉬던 장소: [고] [금] [연] [우] [표] ㄴ. 길을 가다가 쉬거나 묵거나 밥을 먹을 수 있는 장소: [고] [금] [우] [조] [표] ㄷ.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혹은 끼니때)에 먹는 음식: [고] [금] [연] [우] [조] [표] ㄹ. 일을 하다가 쉬는 일정한 동안: [금] [우] [조] [표] ㅁ. 일을 시작하여 쉴 때까지의 동안: [조] [표] ㅂ. 일을 하다가 쉬는 횟수나 쉬었다 가야 하는 거리의 단위: [고] [연] [우] [조] ㅅ. 무엇을 하는 경우나 시기: [고] [금] [연] [우] [조] [표] ㅇ. 무엇을 할 생각이나 예정: [고] [금] [연] [우] [조] [표] ㅈ. 어떤 행위 따위가 지속되는 동안: [고] [연] ㅊ. 그 즉시로: [조] (2)에 옮긴 참 의 사전 의미 기술을 살펴보면, (2ㄱ ㄷ)은 자립적으로 쓰이는 참 의 의미로 (2ㄱ, ㄴ)은 공간 영역, (2ㄷ)은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이다. 특히 (2ㄱ)은 역사적으로 특정한 목적(공무 수행 중의 휴식)을 가지고 특정한 지역(역로)에 설치된 것이라면 (2ㄴ)은 참 의 용도나 위치 가 일반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ㄹ ㅊ)은 의존적으로 쓰이는 참 의 의미들이다. 이 중 (2ㄹ ㅂ)은 일을 하는 행위 와 관련된 의미로서 (2ㄱ ㄷ)과 동일한 환경에서 의미를 갖는 것들이다. (2ㄹ, ㅁ)은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이고, (2ㅂ)은 공간이나 시간 영역을 수치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2ㅅ ㅊ)은 그에서 더 나아가 참 이 쓰이는 환경이 일 이라는 어느 특정한 영역에 한정되지 않게 된 것으로 이때에는 모두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로만 쓰인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에 참 의 바람직한 사전 기술을 위해서는 첫째, 세 의미 영역에 속하는 참 이 모두 차용어 참( 站 ) 과 어원을 같이하여 의미적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의미가 다의관계에 있는지, 동음관계에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사전 기술에서 의미의 개수( 個 數 )에서부터 순서 및 내용에 이르기까 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참 의 의미 기술을 통일하여 정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기별로 보이는 참 의 의미 및 용법의 변화 양상을 살핌으로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47

8 써 참 의 의미 기술 중 (2ㄱ ㅂ)에 해당하는 참 의 용례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Ⅲ. 시기별 참( 站 ) 의 의미 고찰 1.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참 고려사( 高 麗 史 ) 에서 13세기 원종 대( 代 )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는 站 이라는 단어는 한글 문헌에서는 16세기에 발견된다. 6) 후기 중세국 어 시기의 한글 문헌에서 나타나는 참( 站 ) 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3) ㄱ. 站 역참 俗 呼 水 站 馬 驛 曰 站 又 俗 謂 立 曰 站 亦 作 (훈몽 중5ㄱ) ㄴ. 擺 站 去 귀향 가다 (역어 상67ㄴ) (3)에서와 같이 후기 중세국어 시기에는 주로 훈몽자회( 訓 蒙 字 會 ) 나 역어유해( 譯 語 類 解 ) 와 같은 글자나 어휘를 학습하기 위한 문헌에서 발견되며 그 예가 많지 않다. 게다가 (3ㄴ)의 예에서는 중국어에는 站 이 쓰였지만 그에 대응하는 우리말에서는 참( 站 ) 이 나타나지 않아 실제로 이 시기의 참 의 용례는 매우 드물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ㄱ)에서 보듯이 참 은 (2ㄱ)과 동일한 의미로 역참 을 뜻했으며, 한편으로는 그 주석에서와 같이 현대국어의 자전( 字 典 )에서 보이는 우두커니 서다 라는 새김에 대응되는 立 을 뜻함을 알 수 있다. 2. 근대국어 시기의 참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문헌에서는 참 의 용례를 찾기가 매우 어려웠던 6) 이승수(2012: 283)에 따르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역참( 驛 站 )은 몽골 제국에서 내륙 교통을 통하여 군사 및 물류가 이동하는 경로 였다. 몽골 제국은 13세기 중반에 정복지 인 고려에 역참의 설치를 요구했다. 따라서 이 논의에서는 13세기 후반에는 압록강에 서 개경으로 이어지는 역참 외에도 고려 내의 역참과 연결되는 요동 지역의 역참이 마련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그 이전까지는 역참에 상응하는 제도는 있었을지 모르지만 현재 알려져 있는 역참제도는 시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48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9 것에 비해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에서는 비교적 많은 용례가 나타나며 이전 시기와는 달리 그 의미 또한 다양하다. 먼저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4) ㄱ. 使 臣 이 이 站 에 자디 아니 거시니 리 됴흔 을 가져오라 (박언 중7ㄴ) ㄴ. 宿 站 잘참 (몽유 상31ㄱ) 宿 頭 잘참 (광물 인도( 人 道 )7ㄱ) ㄷ. 참마다 예 리시기 어렵기 죠고마 고 (첩해 초 6:21ㄱ) ㄹ. 巡 使 道 營 을 셔 떠나 계시되 참식 오시고 站 站 의셔 支 應 을 매 여드레 만의 東 萊 府 에 드시 (인어 1:6ㄱ) ㄹ. 信 使 겨실 도 극진이 고 참참이 뭇 請 여 振 舞 도 양으로 엿 (첩해 초 6:18ㄱ) (4)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참 이 (2ㄱ)의 의미로 쓰이는 예가 17 19세기에 걸쳐 나타난다. 특히 (4ㄷ ㄹ )에서와 같이 각 참마다 의 뜻으로 해석되는 예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데 참 이나 참참 에 조사 마다, 의셔 가 통합된 명사구 외에도 참참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 가 결합하여 형성된 파생부사도 나타나기 시작 한다. 또한 이 시기의 문헌에서는 공간 영역에 속하는 참 의 용례로서 (2ㅂ)의 의미 중 뒷부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 참을 지나는 횟수 혹은 거리의 단위 로 해석되는 참 의 예를 찾을 수 있다. (5) ㄱ. 아홉 站 식 열 站 식 녜거늘 네 엇디 즐겨 읏듬 을 가져오디 아니 다 (박언 중 8ㄱ) ㄴ. 고을로셔 두 참이도록 多 人 中 의 격기 낟분 업고 이 밧긔 바다도 도 조브니 (첩해 초 7:4ㄱ) ㄷ. 거리 站 (한불 147) (5)는 참 이 수관형사를 선행하여 의존적으로 쓰인 예를 보여준다. (5ㄱ)의 밑줄 친 부분은 하루에 아홉 참이나 열 참씩 (길을) 가거늘 로, (5ㄴ)의 밑줄 친 부분은 고을로부터 두 참이 되도록 으로 해석되어 가야 하거나 지나온 거리의 단위 를 참 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참 의 용례는 19세기 문헌인 한불자전( 韓 佛 字 典 ) 에서 (5ㄷ)과 같이 站 을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49

10 거리 에 대응하여 기술하도록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예를 살펴보면 18세기 의 문헌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6) ㄱ. 打 店 地 方 낫참 / 中 火 中 火 다 우더러뮈 (몽유 상31ㄱ) ㄱ. 腰 站 中 火 站 打 點 地 方 (역어보 17ㄴ) ㄴ. 腰 站 졈심 [광물 인도( 人 道 )7ㄱ] ㄷ. 야 상 바드실 대뎐의셔 두면 챵의 빈은 양의 금슈복 견마기 란치마 초일 야 동됴상 이일 삼일 야 자뎐상 (뎡미가례시일긔 2ㄱ)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사 영역에 속하는 참 은 자립적으로 쓰인 예는 찾을 수 없고 선행 성분을 동반하여 복합어의 구성 성분으로만 나타난다. 먼저 (6ㄱ)의 낫참 의 의미를 (6ㄱ)의 中 火 와 (6ㄱ )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中 火 는 (6ㄱ)의 몽골어 우더러뮈 가 점심시간을 가지다, 점심 휴식 시간을 가지다 를 뜻하는 현대 몽골어 үдлэх[우들레 흐] 에 대응되는 것을 근거로 했을 때 점심 과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7) 또한 (6ㄱ )의 中 火 站 은 腰 站 과 打 點 地 方 에 대응되고, 이는 다시 (6ㄱ)의 낫참 에 대응되는 중국어인 打 店 地 方 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낮참 이 처음에는 점심식사를 하는 곳 을 뜻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6ㄱ)에서 참 은 문장에서 쓰인 용례를 확인할 수 없어 확언할 수는 없지만 각주 7)의 논의를 참고로 할 때에 (2ㄱ)보다는 (2ㄴ)에 가까운 의미로서 참 이 쓰이는 환경이 넓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사용 환경이 넓어진 것에서 더 나아가 (6ㄱ)에서는 장소를 뜻하던 중국어의 腰 站 이 (6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어의 졈심 에 대응되어 식사를 하는 곳 에서 식사 로 의미가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한국어에서도 참 이 공간 영역의 의미만 갖던 것에서 식사 영역으로 그 의미를 확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6ㄷ)에서 보듯이 19세기 중반의 문헌에서 야 이 등장한다. 야 은 궁중에서 밤참 을 이르던 말로 한문본의 夜 啖 에 대응하는 어휘로 나타난다. 한문본 7) 정연식(2001: 80)에 따르면 중화( 中 火 ) 는 일반적으로 길을 가는 도중에 먹는 밥 을 뜻하는데 점심 에 대응하여 쓰이는 이유는 4장에서 자세히 밝히기로 한다. 일동장유 가( 日 東 壯 遊 歌 ) 에 등장하는 즁화( 中 火 )에 대한 기록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예 고 ( 曉 ) 나 널 리( 板 橋 ) 듕화( 中 火 )하고 용인 읍 드러가니 150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11 에서는 보이지 않는 站 이 한글본에서는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차용어 참 이 고유어화되어 국어 어휘 체계 안에서 생산적으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시기의 문헌에서 그 의미가 시간 영역에 속하는 참 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7) ㄱ. 初 一 站 초 十 五 站 보롬 (몽유 상03ㄱ) ㄴ. 幾 日 어 날 或 몃날 多 站 (역어보 3ㄴ) ㄷ. 多 站 언 (몽유 하39ㄴ) ㄹ. 這 站 箇 이번 [ 註 : 或 云 여긔셔] 那 站 箇 그번 [ 註 : 或 云 거긔셔] (역어 下 52ㄴ) ㅁ. 일은 봄 뉘에은 두 참에 갈나 치은 거시 무방 니 (잠상 13ㄱ) (7ㄱ ㄷ)은 중국어에서 站 이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가 한국어의 시간어 에 대응되는 예이다. (7ㄱ ㄷ)은 站 이 ( 번째) 날 로 해석되어 시점( 時 點 ) 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정동경(2013: 199)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 元 )에서는 수도를 중심으로 각 속령에 이르는 교통로상에서 말로 달려 하루를 갈 수 있는 거리(약 100리)마다 참을 세웠기 때문에 참에서 다른 참까지의 거리를 시간으로 환산하였을 때 하루 로 생각한다면 (7ㄱ)에서처럼 중국어에서는 一 站, 十 五 站 과 같은 공간 표현이 초, 보름 과 같은 시간 표현으로 쓰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예들은 후에 한국어에서 참 이 시간어로 쓰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7ㄹ, ㅁ)은 참 이 시간 영역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예이다. (7ㄹ)에서는 (7ㄱ ㄷ)과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站 은 한국어에서는 나타나 지 않고 다른 시간이나 공간 표현에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의 문헌인 잠상집요 에서 (7ㅁ)과 같이 한국어에서도 참 이 시간 표현으로 쓰이는 예가 발견된다. (7ㅁ)은 이른 봄에 누에는 두 차례(혹은 두 때)에 갈라 치는 것이 무방하니 라고 해석되는데 이때의 참 은 수관형 사를 선행하여 차례 나 때 로 바꾸어 쓸 수 있는 시간 표현으로 사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8) 8) 홍윤표(2009: )에서도 이때의 참 이 시간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51

12 3. 개화기국어 시기의 참 개화기국어 시기에 이르면 참 이 본래의 뜻인 (2ㄱ)으로 쓰이는 예가 이전 시기에 비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근대적인 통신제도와 철도 교통이 대신 자리를 잡음에 따라 역참제도를 폐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예를 먼저 보이면 다음과 같다. (8) ㄱ. 압참 前 站 (국한 205) 전참 前 站 (국한 258) ㄴ. 차참 次 站 (국한 286) ㄷ. 선참 先 站 (국한 177) ㄷ. 예수 셔 오병이어 가지시고 츅샤 후 덩이를 선참 어 뎨 의게 돌나 주어 (연경좌담 56) (8ㄱ, ㄴ)은 참 이 역로 위에 설치되면서 하나의 참과 다른 참이 공간적 으로 전후 위치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생겨난 단어이다. (8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 은 (2ㄱ)의 의미로 쓰일 때 길을 가는 방향의 앞에 높인 참을 압참 혹은 전참 이라 하였는데 이는 다음번 참 을 의미하여 (8ㄴ)의 차참 과 동일한 뜻을 가진다. (8ㄷ)의 선참 은 먼저 길을 떠나는 것 을 의미하였는데 이에 함축된 차례 혹은 순서 의 의미로 인해 (8ㄷ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떠한 행동이나 일을 남보다 먼저 하는 것 을 뜻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개화기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9) ㄱ. 밤참 夜 點 心 a night meal, luncheon at night (한영) ㄱ. 밤참 夜 食 (국한 134) ㄴ. 궁 풍쇽이 져녁마다 서로 모화 웃고 리약이 며 담 먹고 밤참도 먹 지라 (경향보감 1: 381) ㄴ. 그날 밤에 그 도적들이 신 탈 고 십오리 가셔 셩감이라 쥬막 거리에셔 밤참 여 먹고 갓다더라 ( 경향신문, 1906년 12월 7일자) ㄴ. 초상집은 슬퍼 집이니 [ ] 밤 경야 다 고 혹 쟝긔와 바독 두며 혹 노름도 며 밤에는 밤참 먹고 ( 신학월보 5: 61) 152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13 (9)의 밤참 은 앞선 시기의 문헌에서 보인 야 의 유의어이다. (9ㄱ, ㄱ )의 밤참 은 한자어 夜 點 心 夜 食, 한영자전 의 a night meal 에 대응되는 것을 볼 때 밤중에 먹는 식사 를 뜻함을 알 수 있다. 이전 시기의 문헌에서 찾을 수 있는 야 은 궁중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쓰였는데 이와 달리 밤참 은 (9ㄴ)에서처럼 궁중에서 쓰이기도 하지만 (9ㄴ, ㄴ )의 예를 통해서 일상 영역에서도 쓰이는 어휘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화기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0) ㄱ. 한참 一 站 (국한 344) ㄱ. 참 一 站 A little; a short time; an interval. A season; a round; a turn (한영) ㄴ. 새알을 더온 다가 두거드면 ( 독립신문, 1897년 7월 6일자) ㄷ. 누구던지 네게 와셔 참 되 오리길에 동 자 쳥커든 (연경좌담 27) (10ㄱ, ㄱ )에서 보듯이 참( /한참) 은 한자어 一 站 에 대응되며 (10ㄱ )의 한영자전 을 통해 참 이 시간적 의미를 갖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10ㄴ)과 같이 시간 표현으로 쓰인 예가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 또한 참 은 (10ㄷ)에서처럼 상당한 정도의 거리 를 뜻하여 여전히 공간 표현으로도 쓰임을 알 수 있다. 앞서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보았던 중국어의 一 站 이 시점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24시간이 라는 시간적 길이를 나타냈던 것과는 달리 개화기 시기의 문헌에서 발견되는 한국어의 참 은 상당히 길지만 중국어의 一 站 보다는 짧은 시간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중국어에서의 참과 참 사이의 거리와 한국어의 참과 참 사이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9) 이러한 해석은 박일환(1994)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박일환(1994)에서는 한참 의 어원을 두 역참( 驛 站 )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던 데서 비롯한 것으로 역참과 역참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사이를 오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쓰던 말 이라고 밝히고 있으며, 이는 이 글의 9) 과천문화원 편(1993)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한 참 사이의 거리는 기발의 경우는 리(8 12km), 보발의 경우 30 50리(12 20km) 정도가 된다고 하였으며, 홍윤표(2009: 427)에서도 고려나 조선시대에 역참 사이의 거리는 20 30리가 된다고 하였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53

14 해석과도 일치한다. 반면, 홍윤표(2009: )에서는 이러한 입장과는 다르게 시간적 의미를 갖는 한참 이 一 과 站 의 결합으로부터 생겨난 어휘이기는 하지만 이때의 참 은 역참 의 의미를 갖고 있는 차용어로서의 站 이 아닌 오래 서다 의 의미로 쓰인 참 을 기원으로 한 것이라 보고 있다. 즉, 한참 의 시간적 의미는 참과 참 사이의 거리 라는 공간적 의미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참 이 갖고 있던 오래 서다 라는 뜻이 함축하고 있는 시간적 의미에서 연유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 근거는 역참을 뜻할 때의 一 站 은 거리 를 나타내는 개념이 아니며 한참 은 시간 의 개념일 뿐 거리 의 개념으로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 하였다. 10) 하지만 앞서 (5)에서 보았듯이 참 과 거리 가 동의어 내지 유의어로 대응되고 있어, 참 은 거리 라는 공간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0ㄴ)에서처럼 참 이 시간적 의미가 아닌 공간적 의미로 쓰인 예도 발견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타당하지 않아 보인다. 이전 시기의 문헌에서 중국어에서는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의 예가 발견되었으나 한국어에서는 그 예를 찾기 어려웠는데 시간 표현인 참 의 용례가 개화기 문헌에서 많이 발견될 뿐만 아니라, 고소설이나 신소설과 같은 자료에서 참 이 시간 표현으로 쓰이는 예가 더욱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1) ㄱ. 조셕 쉴 참 벽이면 동촌셔쵸 단이면셔 걸 야 근근 연명 니 (<심청 전> 김동욱 소장 90장본 24ㄴ) ㄴ. 그러면 일 일즉이 나면 져녁 의 드리다히랴 (<춘향전> 도남문고본 23ㄱ) ㄷ. 이웃집 노소부인 졋 잇난 람드리 셔로 닷톼 왓셔 참참이 졋을 쥬고 (<심청전> 김광순 소장 41장본 7ㄱ) ㄹ. 농쥬 어더먹고 쉬일 을 당 여 한 연니 나오먼서 으 도 훙을 보되 (<춘향전> 홍윤표 소장 154장본 94ㄴ) ㅁ. 경망 져 톡기가 단 의 고지 듯고 여희를 욕을 다 (<별쥬부젼> 권영철 10) 홍윤표(2009: 430)에서 站 이 오래 서다 의 뜻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를 재인용 하면 아래와 같다. 站 역참 俗 呼 水 站 馬 驛 曰 站 又 俗 謂 立 曰 站 亦 作 (훈몽 중5ㄱ) 站 참 참 驛 也 又 久 立 (자류주석 上 27ㄴ) 站 오 셜 참 久 立 역참 참 驛 也 (자류주석 上 44ㄱ) 154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15 소장) ㅂ. 이 옥단아 네가 무슨 일이 잇셔셔 식젼참에 드리와셔 우 냐 (<치악산> 上 71) ㅅ. 하로는 벽참에 두사 이 말곱비를 느직이잡고 산쳔도 유람을 며 (<비 행선> 11) (11ㄱ ㅁ)은 고소설에서 등장하는 참 의 용례이며, (11ㅂ, ㅅ)은 신소설 에 등장하는 참 의 용례이다. (11ㄱ, ㄹ)의 쉴 참, 쉬일 은 일을 하다가 쉬는 때 를 의미하고 (11ㄴ, ㅂ, ㅅ)의 져녁, 식젼참, 벽참 에 서는 참 이 시간 명사인 져녁, 식젼, 벽 과 결합하여 때 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11ㄷ)은 이웃집 노소부인(을 가리지 않고) 젖 있는 사람들이 서로 다투어 와서 시간이 날 때마다 젖을 주고 로 해석되어 앞서 각 참마다 와 같이 공간적 의미를 가지던 참참이 는 틈이 날 때마다, 시간이 날 때마다 와 같은 시간적 의미도 갖게 되었다. 이때의 참 또한 일을 하다가 쉬어 가는 장소 가 일을 하다가 쉬는 동안, 때 를 뜻하게 되어 동일한 맥락에서 공간 표현이 시간 표현으로 전이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현대국어 시기의 참( 站 ) 현대국어 시기의 참 의 용례들에서도 이전 시기의 문헌과 마찬가지로 공간, 식사, 시간 등 세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보이는 예가 모두 나타난다. 먼저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가진 참 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1) (12) ㄱ. 정조는 각 참의 중로에서 혜경궁의 가마를 잠시 쉬게 하고 ㄴ. 애오개 아래 주막 참에 이르자 벌써 새벽이 희뿜하니 밝아오면서 ㄷ. 무더위 속에 네 참이나 되는 산길을 올라갔다. (12)에서처럼 참 이 공간적 의미를 갖고 쓰이는 예는 많지 않다. 이는 시대와 제도가 변화함에 따라 역참제도는 현재는 활용되지 않는 이전 시대의 유물이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주로 역사적인 기록이나 역사적 11) 현대국어 시기에 보이는 참 의 용례들은 세종 말뭉치 2010년 배포판 을 통하여 검색 하거나 사전에 올라 있는 예들의 문장을 적당한 길이로 수정하였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55

16 배경하에 쓰인 맥락에서만 주로 등장할 뿐이다. 또한 (12ㄴ)과 같이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에 결합하여 쓰이는 예도 드물게 나타난다. 이때 주막 은 이전 시기에 음식을 팔고 여행 중인 사람들에게 잠자리도 제공하 던 장소이기 때문에, 길을 가다가 쉬어 가면서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소 와 결합한 참 또한 (2ㄴ)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12ㄷ)은 수관형사 뒤에서 참 이 쓰인 예이다. 이때에 네 참 이 가리키는 거리가 얼마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이전 시기의 문헌에서와는 달리 이처럼 수관형 사 뒤에 쓰여 거리를 나타내는 용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음은 참 이 식사 혹은 음식 을 뜻하는 예들이다. (13) ㄱ. 길가에서 참을 먹고 있는 가난한 농사꾼도 모르는 행인을 굳이 붙들고 모자라는 밥을 나누어 먹인다. ㄴ. 그래서 점심시간과 참시간이면 휴식을 취할 겸 쉬는 시간이 있었다. ㄷ. 일꾼들은 새참을 먹느라 잠시 일손을 놓았다. 이전 시기까지는 참 이 식사 의 뜻으로 쓰일 때에는 즁화( 中 火 ) 나 밤 과 같은 단어에 결합하여 에 먹는 식사 를 가리켜 아침 이나 저녁 에 먹는 기본 끼니 외의 시간에 먹는 식사를 의미했지만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대국어에서는 참 이 선행하는 성분 없이 단독으로 쓰여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때에 참 은 주로 기본 식사 외에 일을 하다가 쉬는 때에 먹는 식사 를 가리킨다. 물론 참 이 이와 같은 의미를 가질 때에는 새참 으로 쓰이는 예가 훨씬 많이 나타난다. 이는 한 때로부터 다른 때까지의 동안 을 뜻하는 사이 의 준말인 새 에 참 이 결합한 것이다. 12) 이때에 사이 혹은 새 는 구체적으로 일을 하다가 쉬기 시작한 때로부터 다시 일을 시작할 때까지의 동안 을 가리킨 다고 볼 수 있어 새참 은 식사 영역에서 쓰이는 참 의 의미를 더 분명하게 하여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국어에서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는 참 의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2) 새참 은 현대국어 이전의 문헌에서는 예를 찾을 수 없다. 현대국어 사전에서는 새참 을 사이참 의 준말로 기술하고 있으나 새참 이 과연 사이참 이 줄어 만들어진 단어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제 용례에서도 새참 의 용례는 많이 나타나지만 사이참 이 쓰인 예는 사전에서조차 찾기 힘들다. 156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17 (14) ㄱ. 요번 참에 못 오면 나중에라도 오너라. ㄴ. 이 아래 심 선생님이 아까 참에 내려오신 모양이던데 ㄷ. 일터에 꿀단지 가져다 놓고 휴식 참마다 돌아앉아 한 숟가락씩 퍼 먹었다. ㄹ. 아마 담배 한 대 참은 기다린 듯하다. ㅁ. 이 씨는 구두를 만들 때면 항상 서너 참을 쉬었다가 다시 일을 하곤 했다. ㅂ. 남북이 직접 교역을 하기로 완전 합의를 본 참이었다. ㅅ. 한참을 갑판 위에 서 있는 참에 누군가 말을 붙여 온다. ㅇ. 그녀는 마침 갈증을 느끼던 참이었다. ㅈ. 그렇지 않아도 그만둘 참이었어요. (14)에서와 같이 현대국어에서는 이전 시기보다 시간적 의미로 쓰이는 예가 훨씬 많아지고 선행하는 성분의 유형 또한 다양해진다. (14ㄱ, ㄴ)과 같이 시간 명사나 시간 부사를 선행한 경우에는 참 을 생략해도 문장의 의미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시간적 의미를 갖지 않은 명사를 선행하는 경우에도 선행 명사가 공간적 의미를 갖고 있지 않은 이상 (14ㄷ, ㄹ)에서처럼 휴식을 취할 때, 담배 한 대를 태울 동안 과 같이 할 때 혹은 할 동안 을 뜻한다. (14ㅁ)은 수관형사를 선행하여 공간상의 거리 를 나타냈던 (12ㄷ)과는 달리 시간상의 거리, 즉 시간적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때에도 참 이 가리키는 시간의 길이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분명하지 않다. (14ㅂ ㅅ)은 참 이 관형사절을 선행하는 경우이다. 이때 관형사형 어미는 (으)ㄴ, 는, 던, (으)ㄹ 이 가능하며 이때의 참 은 때, 동안, 중( 中 ), 김 등의 의미를 갖는데, 보통 어떠한 일이나 상황이 진행 중인 사이에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여 이전에 진행 중이던 상황이나 일이 중지되거나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때에 쓰인다. 참 이 갖고 있는 다양한 의미는 참 이 결합하여 형성된 합성어에서도 포착된다. 현대국어에서 X참 의 형태로 나타나는 합성어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5) ㄱ. [역] 숙소참( 宿 所 站 ), 숙참( 宿 站 ), 초참( 初 站 ), 역발참( 驛 撥 站 ), 역참( 驛 站 ), 칠참( 七 站 ), 잘참 ㄴ. 앞참( 站 ), 전참( 前 站 ) (16) ㄱ. [방] 곁참, 새끼참, 술참, 제참 13), 정참 14) 13) 곁참, 새끼참, 술참, 제참 은 모두 새참 의 유의어인 곁두리 의 방언형이다[곁참, 제참(이상 경기), 새끼참(경상), 술참(전남)]. 14) 점심때 의 방언(전남).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57

18 ㄴ. [북] 길참 15), 자리참 16) ㄷ. 밤참, 야참 (17) 선참, 후참, 이참, 단참 (18) ㄱ. (공간/식사) 중화참 ㄴ. (공간/시간) 한참 ㄷ. (식사/시간) 낮참, 막참, 사이참(새참), 아침참, 점심참, 저녁참, 중참 ㄷ. (식사/시간) [북] 새벽참 17), 일참 18) 위에서 (15)는 공간, (16)은 식사, (17)은 시간 영역에 속하는 X참 의 용례들이며 (18)은 이 중 두 영역 속하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는 X참 의 용례이다. 먼저 공간 영역에 속하는 X참 형태의 단어들을 살펴보면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 현대국어에서는 용례를 거의 찾기 어려운 것들이다. X참 이 (16)에서와 같이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로 쓰일 때에는 방언형이든 북한어이든 모두 기본 식사 시간이 아닌 때에 먹는 음식이나 음식을 먹는 것을 가리키며, 특히 이러한 음식을 먹는 시간은 대부분 일을 하거나 길을 가다가 쉬는 중에 속한다. X참 이 (17)에서처럼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에는 할 기회에, 하는 김에 정도를 뜻하고 단참( 單 站 ) 은 단숨에, 곧장 을 뜻해 참 에서 쉬어 가지 않고 한 번에 길을 가는 것과 같은 의미로부터 파생되었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X참 이 두 영역에 걸친 의미를 갖는 경우에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보다 식사와 시간 영역에 속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훨씬 많아 현대국어로 내려오면서 공간적 의미를 갖는 참 의 쓰임은 줄어들고 식사나 시간 영역에 속하는 참 의 쓰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Ⅳ. 참( 站 ) 의 의미 확장 이상과 같이 참 이 한글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시기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는 동안 그 용법과 의미의 변천을 살펴보았을 때 현대국어에서 15) 길 다니는 사람들이 도중에 먹는 참. 16) 자릿조반 의 북한어. 17) 새벽녘, 새벽밥 의 북한어. 18) 일을 하다가 쉬는 참, 일을 하다가 쉬는 참에 먹는 음식. 158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19 공간, 식사, 시간 영역에 속하는 참 이 서로 무관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이 절에서는 이렇게 공간적 의미만 갖고 있던 참 이 식사 영역으로, 나아가 시간 영역으로 그 의미를 확장해나가게 된 계기를 추론하여보기로 한다. 1. [공간(장소)] [공간(거리)] 참 의 의미 확장은 일차적으로 공간적 의미 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래 후기 중세국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공무( 公 務 )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장소 를 뜻하던 참 은 근대국어 시기에 이르러 한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게 되었다. 참 의 의미가 거리로 확장되는 예를 다시 옮기면 다음과 같다. (19) ㄱ. 아홉 站 식 열 站 식 녜거늘 네 엇디 즐겨 읏듬 을 가져오디 아니 다 (박언 중8ㄱ) ㄴ. 고을로셔 두 참이도록 多 人 中 의 격기 낟분 업고 이 밧긔 바다도 도 조브니 (첩해 초 7:4ㄱ) ㄷ. 거리 站 (한불 147) 어떤 특정한 장소 혹은 지점을 의미하던 참 은 한 참과 한 참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단위가 되어 (19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 을 거치면서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역로 를 배경으로 하여 거리를 나타내던 참 은 (19ㄴ)에서처럼 역로 가 아닌 공간에서도 어느 한 지점에 서 다른 지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쓰임의 영역을 확장했고 그로 인해 (19ㄷ)에서처럼 거리 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 의 의미가 장소 에서 거리 로 확장되는 과정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표2-- 참( 站 ) 의 의미 확장 과정(장소 거리) A a1 a2 a3 A a1 a2 a3 B b1 b2 b3 A: 驛 路 A: 驛 路 B: 길 a1, a2, a3: 참(장소) a1 a2, a1 a3, :n참(거리) (n=1, 2, ) b1 b2, b1 b3, :n참(거리) (n=1, 2, )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59

20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로( 驛 路 =A)에서 각각의 지점을 가리키던 참( 站 =a1, a2, a3) 은 a1 과 a2, a1 과 a3 과 같이 각 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 쓰이게 되고, 거기서 더 나아가 역로 라는 특정한 환경이 아닌 길(=B) 위에서 어느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게 되었다. 2. [공간] [식사] 19) 앞서 2장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에서부터 참 의 의미가 식사 영역으로 확장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앞서 보았던 근대국어와 개화기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참 이 식사어로 나타나는 예를 다시 옮기면 다음과 같다. (20) ㄱ. 打 店 地 方 낫참 / 中 火 中 火 다 (몽유 上 31ㄱ) ㄱ. 腰 站 中 火 站 打 點 地 方 (역어보 17ㄴ) ㄴ. 宿 站 잘참 (몽유 上 31ㄱ) (21) 밤참 夜 點 心 a night meal, luncheon at night (한영) 앞서 말한 것처럼 참 은 공무를 행하는 관리가 쉬어 가며 잠을 자기도 하고 끼니를 해결하기도 했던 장소이다. 따라서 쉬거나 음식을 먹든지 잠을 자거나 하는 참 의 용도에 따라, 혹은 참 을 이용하는 시간에 따라 세분화된 단어를 만들어냈다. (20ㄱ)의 낫참 은 길을 가다가 낮에 쉬어 가면서 낮 시간의 끼니를 해결하는 곳이었음을 보여주며, (20ㄴ)의 잘참 19) 익명의 심사위원께서 와 니 의 예를 들어 의미가 변화할 때에 공간 에서 시간 으 로의 전이는 자연스러우나 공간 에서 식사 로의 전이는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으며 시간 이라는 의미에서 그 시간대에 먹는 음식이라는 의미로 전이된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 이라 조언해주셨다. 물론 와 니 외에도 역사적으로 살펴보았을 때에 아침, 저녁 과 같은 시간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들이 그 시간대에 먹는 음식을 뜻하는 의미로 전이되어서 쓰이는 예도 발견된다. 그런데 참 의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제 문헌에 나타나는 용례를 관찰하였을 때에 어느 특정한 장소를 가리키는 공간적 의미를 가지던 것에서 그곳에서 먹는 음식으로 의미가 전이된 예만 먼저 발견되고 이 사이에 시간적 의미가 파생된 예를 찾을 수 없으며, 자료에서 발견되 는 참 의 예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 밖의 다른 추론을 하기는 어렵다. 다만, 참 이 식사어로서의 용법을 갖게 된 것은 낫 이나 밤 혹은 야( 夜 ) 와 같은 시간어와 결합한 환경에서 처음으로 생겨났기 때문에 시간 개념과 아주 무관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 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공간적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이 시간어로 전이되었다가 식사어 로 다시 전이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참 이 공간적 용법에서 식사적 용법으로 의미가 전이되는 과정에서 시간 개념이 관여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160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21 은 잠을 자기 위한 장소를 일컫기 위해 생겨난 어휘이다. 이렇게 식사를 하기 위한 장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이던 참 이 식사 자체를 의미하게 되어 (21)과 같이 개화기국어 시기에는 장소보다는 식사를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어떤 특정한 행위를 하는 장소를 가리키던 단어가 그 행위 자체를 가리키게 되는 것은 환유 라는 기제를 통하여 설명할 수 있을 듯하다. 임지룡(2002: 20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유가 하나의 개념 영역에 있는 어떤 양상이나 요소가 인접성 관계에 있는 다른 양상이나 요소를 대신하여 지칭하는 것 이라고 할 때에 참 이라는 하나의 장소 안에서 이루어지는 휴식, 식사, 취침과 같은 행위들 중 식사 를 지칭하기 위하여 참 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즉, 임지룡 김동환 역(2008: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X(=매체)는 Y(=목표)를 대표한다 라는 공식으로 참 이 식사 를 뜻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 보자면 참은 식사를 대표한다 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근대국어 시기에 참 이 식사를 가리키는 뜻을 가지게 된 것은 졈심( 點 心 ) 의 의미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연식(2001: 78 80)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기본적 식사는 하루에 두 차례, 아침과 저녁에 이루어졌으며 하루에 식사를 세 차례 하는 경우는 여름철과 같이 낮 시간이 길거나 혹은 여행 중이거나 노동을 하는 등의 활동량이 많을 때였다. 졈심 은 현대국어에서와는 달리 기본 식사를 하는 시간 사이에 허기가 질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약간의 음식을 먹어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을 뜻했다. 20) 그래서 후기 중세국어 시기에만 하더라도 뎜심( 點 心 ) 이 어느 특정한 시간에 하는 식사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침, 낮, 저녁 등을 가리키는 시간 어휘와 결합하여 朝 點 心, 午 點 心, 晝 點 心, 夕 點 心, 暮 點 心 과 같이 쓰일 수 있었다. 21) 그런데 뎜심 의 20) 정연식(2001: 70)에 의하면 본래 점심( 點 心 ) 이란 단어는 중국의 당대( 唐 代 )에 처음으 로 등장하였으며 속이 출출하여 침잠된 마음에 먹을 것으로 점화( 點 火 )하여 활기를 회복함 을 뜻했다. 이러한 의미는 점심 이 식사를 하는 때와는 관계가 없고 식사량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정연식(2001)에 따르면 조선시대의 점심 도 이처럼 초기에는 단순히 소식( 小 食 )을 의미했다고 한다. 21) 이 시기의 문헌에서 나타나는 點 心 의 예를 정연식(2001: 71)에서 재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ㄱ. 새벽점심: 일찍 일어나 빨리 출발하기 위해 들판에서 밥을 지어먹으니 可 化 집의 사람이 즉시 먹을 것을 차려주어 點 心 을 먹고 갔다. 몇 리를 가니 비로소 해가 떴다. ( 묵재일기 1558년 8월 12일)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61

22 이러한 의미는 16세기 말을 지나면서 낮점심( 午 點 心 ) 과 점심 을 구분해 쓰는 경향이 생기면서 변화하기 시작하였고 22),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현대국어에서와 같이 중식( 中 食 ), 곧 하루 세 끼니 중 낮에 먹는 식사를 의미하게 되었다. 23) 낮에 식사를 하는 경우는 길을 가거나 노동을 하는 등의 특정한 환경에서만 이루어졌는데 사회의 변화 속에서 점차 하루에 세 끼를 먹는 식습관이 자리 잡게 됨에 따라 졈심 이 하루 세 차례 행해지는 식사 중 낮에 하는 식사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러한 졈심 의 의미 변화가 유사한 환경에서 쓰이고 있던 참 의 의미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즉, 졈심 이 기본 식사 용어로 편입하게 됨에 따라 기본 식사 외에 노동을 하는 등의 경우에 따로 더 음식을 먹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가 새로이 필요해졌으며, 공무를 위해 길을 가는 중에 쉬어 가거나 음식을 먹는 장소로 이와 유사한 경우에 공간적 의미를 갖고 쓰이던 참 이 공무 보다 노동 이라는 더 일반화된 환경에서 하는 식사 자체를 가리키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3과 같다. ㄴ. 아침점심: 저녁에 괴산 사람 實 伊 가 와서 고하기를 늙은 계집종 禿 德 이 아프지도 않았는데 朝 點 心 을 먹고 머리를 감고 말리고 나서 죽어서 구할 수가 없었으니 ( 묵재일기 1561년 8월 6일) ㄷ. 낮점심: 黃 獻 之 氏 가 아침에 찾아와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 ] 함께 朝 飯 을 먹고 머물러 이야기하다 또 함께 午 點 心 을 먹었다. 묵재일기 1552년 6월 5일 ㄹ. 저녁점심: 吳 子 强 이 찾아와 장기를 두었다. 呂 孺 도 와서 함께 夕 點 心 을 먹고 날이 저물어갔다. ( 묵재일기 1561년 8월 5일) ㅁ. 밤점심: 날이 저물어 고을 館 에 들어가 쉬었다. [ ] 欽 仲 이 이때까지도 도착하지 않았다니 괴이하다. 밤이 깊어서 와서 만나니 매우 기쁘다. 술을 조금 마시고 곧 點 心 을 먹었다. ( 묵재일기 1555년 8월 11일) 22) 정연식(2001: 72)에 의하면 임진왜란 시기에 기록된 이정암의 서정일록( 西 征 日 錄 ) 에 서는 낮점심은 반드시 午 點 心 이라 쓰고 아침점심은 그냥 點 心 이라 쓰고 있어 16세기 말에는 낮에 먹는 점심과 그 외 시간에 먹는 식사를 구분했음을 알 수 있다. 23) 정연식(2001: 72 73)에 따르면 그 근거로 이익의 성호사설( 星 湖 僿 說 ) 과 황윤석의 이재난고( 頤 齋 亂 藁 ) 등을 예로 들었다. 성호사설 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오찬( 午 饌 )을 점심이라 하므로 오찬을 잔뜩 먹고서도 점심이라 부른다 라는 기록이 나오며, 이재난고 에서도 낮밥은 午 飯 또는 점심으로 쓰고 있는데 점심은 항상 낮에 먹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순신 난중일기( 亂 中 日 記 ) 에서는 점심 이라 기록되어 있던 부분이 이충무공전서( 李 忠 武 公 全 書 ) (1795)를 편찬할 때에는 모두 오반 으로 수정되 었고, 18세기 말의 재물보( 才 物 譜 ) 에서도 점심 을 오반( 午 飯 ) 으로 해설하였다. 중국 에서는 아직도 점심 을 간식 이나 요깃거리 의 의미로 쓰는데 고소설류에서 점심 이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ㄱ. 져놈을 구 야도 엇디 못 더니 이제 구티 아녀셔 스 로 니 러시니 금야의 됴히 졈심을 돈독히 먹을 거시니 을 먹지 아니 리라 (전등 태허 5:21) ㄴ. 잉잉이 례 일이 업셔 졈심을 쵸와 보 시더이다 (평요 2:71) 162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23 표3-- 참( 站 ) 의 의미 확장 과정(공간 식사) A a1 a2 a3 B b1 b2 b3 C c1 c2 c3 A: 驛 路 B: 역로 혹은 길 C: 일하는 시간 혹은 낮 (일출 일몰) a1, a2, a3: 참(장소) b1, b2, b3: X참(b1 b3 에서 먹는 식사) (X=시간어) c1, c2, c3: 참(쉬는 때에 먹는 식사)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는 공무( 公 務 )를 위해 지나가는 역로( 驛 路 )이 기 때문에 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선적 공간에 특정한 위치를 차지하는 참이 세워져 있었으며 이로 인해 a1, a2, a3은 지점( 地 點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거리도 나타낼 수 있었다. 이렇게 길을 따라가며 참을 지나게 되면 공간적 위치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시간 또한 흐르게 되며 이는 반복되는 낮과 밤의 교차로 이어져 특히 이동이 가능한 낮의 어느 시점에 참 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B와 같이 식사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게 되었을 때에는 처음에는 선적 공간인 길 위에 위치한 참 에서 먹는 식사를 가리키다가 시간어와 결합하지 않고도 참 이 식사를 가리킬 수 있게 됨에 따라 C와 같이 참 은 선적 시간 영역 위에서 하루 중 어느 때에 먹는 식사를 가리키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공간] [시간] 다음으로 참 이 시간 영역으로 그 의미가 확장된 과정을 살펴보자. 공간어에서 시간어로 전이되는 참 은 한편으로는 시점 을 가리키는 시간 어로, 다른 한편으로는 시역 을 가리키는 시간어로 그 의미가 변화한다. 1) 시점( 時 點 ): [장소] [지점] [시점] 특정한 용도로 설치된 장소를 가리키던 참 은 그 장소가 위치한 지점을 가리키게 되면서 은유적 기제에 의해 시간적인 위치, 즉 시점 을 가리킬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참 이 시간적 위치, 즉 시점을 가리키는 예를 다시 옮겨 오면 다음과 같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63

24 (22) ㄱ. 일은 봄 뉘에은 두 참에 갈나 치은 거시 무방 니 (잠상 13ㄱ) ㄴ. 조셕 쉴 참 벽이면 (<심청전> 김동욱 소장 90장본 24ㄴ) ㄷ. 그러면 일 일즉이 나면 져녁 의 드리다히랴 (<춘향전> 도남문고본 23ㄱ)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세기 후반의 문헌에서 참 이 처음으로 시간 표현으로 쓰이는 예가 발견된다. (22ㄱ)에서와 같이 수관형사를 선행하여 때, 차례 정도를 의미하던 것이 (22ㄴ, ㄷ)과 같이 시간어를 선행하여 때 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렇게 본래는 공무를 위해 가던 길 이라는 선적 공간 영역을 나누어 그 지점을 가리키던 참 은 그 쓰임의 배경이 선적 공간인 길 에서 하루 라는 선적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었고, 특히 시간 영역 중에서 일을 하거나 이동이 가능한 해가 떠 있는 낮을 주된 배경으로 하여, 낮 중에서 특정한 지점을 가리키게 되면서 시간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4와 같다.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 B라는 선적 공간 영역에서 특정한 위치를 차지하는 참 은 일을 하거나 길을 가는 시간이 주로 낮 시간임에 착안하여 일을 하는 시간이나 낮시간 을 나타내는 C라는 선적 시간 영역 안에서 c1 c3과 같이 위치함으로써 일하는 시간(혹은 낮)에 쉬거나 식사를 하는 어느 시점( 時 點 )을 가리킬 수 있게 되었다. 공간 영역은 본래 3차원적이지 만 참 은 1차원적인 선적 공간 안에서 그 의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1차원적인 선적 특성을 갖는 시간 영역으로 그 의미를 확장하는 것이 수월하게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표4-- 참( 站 ) 의 의미 확장 과정(공간 지점 시점) A a1 a2 a3 B b1 b2 b3 C c1 c2 c3 A: 驛 路 B: 驛 路 또는 길 C: 시간(낮 혹은 일하는 시간) a1, a2, a3: 참(장소) b1, b2, b3, : X참(지 점) (X=주로 공간명사) c1, c2, c3, : Y참(시 점) (Y=주로 시간명사) 164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25 2) 시역( 時 域 ): [장소] [거리] [시역] 24) 특정한 용도로 설치된 장소를 가리키던 참 은 일차적으로 시점 을 가리키는 용법 외에도 그 의미를 거리 로 확장한 후에 다시 공간적 의미에서 시간적 의미로 전이되었다. (23) ㄱ. 새알을 더온 다가 두거드면 ( 독립신문, 1897년 7월 6일자) ㄴ. 이씨는 구두를 만들 때면 항상 서너 참을 쉬었다가 다시 일을 하곤 했다. ㄷ.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한 바퀴 돌 참이 지났을까, 비가 한두 방울씩 떨어지기 시작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참 이 시간적 의미로 쓰인 용례로 가장 먼저 발견되는 것은 참 이다. 한 참과 다른 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던 것이 한 참에서 다른 참까지 이동하는 시간적 길이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표5와 같다.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소를 나타내던 공간 명사 참 은 그 의미를 거리 로 확장한 후 한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를 시점과 시점 사이의 거리, 즉 시역 으로 전이되었다. 이렇게 참 이 공간적 의미를 갖던 것에서 시간적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은 시간은 공간이다 라는 은유적 기제에 의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공간에서의 위치 이동이 시간의 흐름으로 대응되며 그 안에서 이동한 거리가 시간이 흘러간 정도로 대응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간적 위치를 가리키던 용법이 시간적 위치를 표5-- 참( 站 ) 의 의미 확장 과정(장소 거리 시역) A a1 a2 a3 B b1 b2 b3 C c1 c2 c3 A: 驛 路 B: 길 C: 시간 a1, a2, a3: 참(장소) b1 b2, b1 b3, : n 참(거리) (n=1, 2, ) c1 c2, c1 c3, : n 참(동안) (n=1, 2, ) 24) 익명의 심사위원께서 참( 站 ) 의 시간의 의미 확장은 거리 의 의미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일차적으로 참 이 거리 로 해석되는 예가 참( 站 ) 의 의미 확장의 첫 단계로 판단된다고 조언해주셨다. 실제로 문헌상으로도 장소명사 참 이 거리 로 그 의미를 확장하는 예가 가장 먼저 발견되며 이를 통하여 공간어이던 참 이 시간적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을 조금 더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자리를 빌려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65

26 가리키는 용법으로 전이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적 의미는 참 이 관형사절을 선행함에 따라 더욱 추상화된 다. 참 이 관형사절을 선행한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24) ㄱ. 아버지가 말했다. 어머니가 내 준 철거 계고장을 막 읽고 난 참이었다. ㄱ. 나는 밥하기 싫은 참에 압력밥솥 회사에 항의 전화를 걸었다. ㄴ. 새해가 시작된 지 10여 일이나 지나고 있는 참이었다. ㄴ. 한참을 갑판 위에 붙박여 있는 참에 누군가 말을 붙여 온다. ㄷ. 그러잖아도 지금 병원에 가려던 참이다. ㄷ. 방에 들어서려던 참에 김씨의 말이 들려왔다. ㄹ. 누군가 문을 열어 줄 때까지 기다리고 있을 참이었다. ㄹ. 향 한 대 피울 참이 못 되어서 그가 한터로 들어서는 것이 보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참 에 선행하는 관형사형 어미로는 (으)ㄴ/는/ 던/(으)ㄹ 이 있다. 이때의 참 을 다른 말로 바꾸어보면 (24ㄱ)은 때, (24ㄱ )은 김(기회), (24ㄴ)은 중( 中 ), (24ㄴ )은 때(동안), (24ㄷ)은 중 ( 中 ), (24ㄷ )은 때, (24ㄹ)은 생각(예정), (24ㄹ )은 동안 으로 해석되어 선행하는 관형사형 어미나 후행하는 조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시간적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5) Ⅴ. 맺음말 지금까지 공간, 식사, 시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의 올바른 기술을 위하여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문헌으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자료에서 나타나는 참( 站 ) 의 용례를 바탕으로 하여 위의 세 영역의 의미를 갖고 있는 참 이 다의관계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동음관계에 있는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25) 현대국어 사전들에서도 이와 같은 참 의 의미를 기술하고 있으나 앞서 본 바와 같이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그 또한 참 의 용법 및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렇게 관형사절을 선행하는 참 의 의미를 좀 더 자세히 고찰해야만 (2ㄱ)의 참( 站 ) 과 다의관계에 있는지 동음관계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듯하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166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27 첫째, 본래 공무( 公 務 )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장소 를 뜻하는 참 은 고려시대에 처음 생겨난 어휘로서 근대국어 시기에 이르러 참과 참 사이 혹은 어느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 를 뜻하는 의미도 갖게 되었다. 둘째, 공간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고 있던 참 은 식사 영역으로 의미를 확장하게 되었음이 문헌의 용례를 통해 확인되었다. 참 은 일을 하다가 쉬는 중에, 여가 시간에 먹는 음식 을 뜻하여 공간적 의미의 참 이 갖고 있던 공무 중(=일을 하다가), 쉬어 가는(=쉬는 중) 과 같은 핵심 의미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참 이 휴식 공간으로서뿐만 아니라 식사 공간으로서 쓰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환유적 기제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이러한 참 의 의미 확장은 후기 중세국어 시기에 비슷한 의미를 지녔던 뎜심 의 의미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참 은 시간 영역으로도 그 의미를 확장했다. [수관형사 + 참], 참, 단참, 참참이 와 같은 단어에서 시간 영역으로의 의미 확장을 먼저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여러 시간 명사와 결합하거나 명사구나 관형사절을 선행하여 시간적 의미로 쓰이게 된다. 이러한 의미 확장은 참 이 선적 공간 위에서 어느 한 지점( 地 點 )이나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뜻했기 때문에 은유적 기제에 의하여 1차원적인 추상적 공간을 차지하는 선적 시간 위에서의 어느 한 시점( 時 點 )이나 두 시점 사이의 거리, 즉 시역( 時 域 )을 가리키는 것이 가능해졌으리라 본다. 따라서 공간, 식사, 시간 영역에 분포하여 있는 (2ㄱ ㅂ)의 참 은 모두 공간적 의미를 갖는 참 으로부터 그 의미를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길, 일, 휴식 과 같은 본래 참 이 갖고 있던 핵심 의미를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그 의미가 식사, 시간 의 영역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다의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참 의 세 가지 의미는 하나의 표제어 아래에서 기술되어야 하며, 차용어인 참 으로부터 온 것임을 한자어 站 을 명시함으로써 밝혀주어야 한다. 다음과 같이 참 의 기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논의를 맺기로 한다. (25) 참 의 기술 방안 참( 站 ) [명] Ⅰ. <자립적으로 쓰이어>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67

28 1 (역사) 공무( 公 務 )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곳 2 길을 가다가 쉬거나 자거나 식사를 할 수 있는 곳 3 일을 하다가 쉬는 시간에 먹는 음식 Ⅱ. <의존적으로 쓰이어> 1 가야 하는 거리나 일을 하다가 쉬는 횟수의 단위 2 무엇을 하는(주로 쉬는) 때 3 무엇을 하는(주로 쉬는) 동안 168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3호

29 참고문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과천문화원 편, 과천향토사 상 하. 과천문화사, 국립국어연구원 편,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근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7.,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개화기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김민수 등 편, (금성판)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민현식, 공간감각어의 의미특성. 배달말 9, 배달말학회, 1984, 쪽., 시간어와 공간어의 상관성(1). 국어학 20집, 국어학회, 1990, 47 71쪽., 시간어와 공간어의 상관성(2).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태학사, 1991., 시간 의 개념화 양상. 어문학 제77집, 2002, 쪽. 박일환 편, 우리말 유래사전. 우리교육,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편, 조선말대사전 상 하. 사회과학출판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유창돈, 어휘사연구. 선명문화사, 윤평현,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이승수, 燕 行 路 중의 東 八 站 考. 한국언어문화 제48집, 2012, 쪽. 임지룡, 國 語 에 있어서의 時 間 과 空 間 槪 念. 국어교육연구 12, 경북대학교 사범대 국어교육연구회, 1980, 쪽. 정동경, 국어 시간 명사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연식, 조선시대의 끼니. 한국사연구 112, 2001, 63 95쪽. 최기호, 한참, 새참, 밤참. 월간 샘터 33, 2002, 쪽.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홍윤표,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어떻게 다르고 언제부터 생긴 말일까. 태학사, Evans, V. and M. Green,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Th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임지룡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8). 참( 站 ) 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169

30 국문요약 이 글에서는 본래 하나의 의미를 갖고 있던 참( 站 ) 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확장함으로써 현대국어와 같이 공간, 식사, 시간의 세 영역에 속하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원적으로 몽골어 зам 에서 차용된 것으로 알려진 참 은 고려시대에 역참제도의 도입과 함께 국내로 유입되었으며 공무( 公 務 )로 여행하는 사람이 역로( 驛 路 )를 가다가 쉬던 장소 를 뜻하였다. 특정한 장소를 가리키 던 참 은 근대국어 시기에 참과 참, 혹은 어느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 를 뜻하게 되었고 식사 영역으로까지 의미를 확장하였다. 이때의 참 은 일을 하다가 쉬는 중에, 여가 시간에 먹는 음식 을 뜻하여 참 이 본래 갖고 있던 공무(=일을 하다가), 쉬던(=쉬는 중) 와 같은 핵심 의미를 그대로 이어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참 이 휴식뿐 아니라 식사를 위한 장소로도 쓰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참 은 시간 영역으로까지 그 의미를 확장하였으며 이때의 참 은 무엇을 하는(주로 쉬는) 때 혹은 동안 을 뜻한다. 이는 참 이 1차원적인 선적 공간 위에서 어느 한 지점( 地 點 )이나 또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냈기 때문에 1차원적인 선적 시간 위에서 어느 한 시점( 時 點 )이나 또는 두 시점 사이의 거리(=시역)와 같이 그 의미가 전이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식사, 시간 영역에 분포하여 있는 참 은 모두 공간적 의미를 갖는 참 으로부터 의미 확장을 통하여 생겨난 것이므로 하나의 표제어 아래에서 기술해야 하며, 표제어에 한자어 站 을 명시함으로써 차용어인 참 으로부터 온 것임을 밝혀 주어야 한다. 투고일 심사일 게재 확정일 주제어(keyword) 참( 站, cham), 의미의 확장(extension of meaning), 공간적 의미(spatial meaning), 식사 의미 영역(semantic field of meal), 시간적 의미(temporal meaning), 다의적 의미관계(polysemous semantic relations)

31 Abstracts A Diachronic Study on the Meaning of Cham( 站 ) Jung, Dong--kyong The word, cham( 站 ) was derived from Mongolian language зам, originally means the place where a government official who travels on official business can have a rest. The meaning of cham has changed and extended since it came into Goryeo dynasty in early middle Korean. Cham has meanings which belong to three fields, such as [space](we can call it cham 1 ), [meal](we can call it cham 2 ), [time](we can call it cham 3 ). By the way,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s about three meanings of cham in present day Korean dictionaries. S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semantic relation among this three meanings of cham. The discussion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patial meaning of cham( 站 ), that is cham 1, is originally the place where a government official who travels on official business can have a rest. In modern Korean, cham 1 gained the meaning newly,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one cham and the other. Second, the meaning of cham( 站 ) was extended from meaning area related to space to meaning area related to meal in modern Korean. That is cham 2. cham 2 means some food to eat between meals while people take a rest during working hours or on the road. We can see that cham 2 was derived from cham 1, judging from the phrase take a rest, working and on the road. So we can come to a conclusion that cham 2 has polysemous semantic relations with cham 1. At last, the meaning of cham( 站 ) was extended from meaning area related to space to meaning area related to time. That is cham 3. cham 3 means when one takes a rest during working hours or while one does something. It was possible that the meaning of cham was shifted from space to time which has a linear area because cham 1 is situated on the road, that is a linear spatial area. So we can come to a conclusion that cham 3 has polysemous semantic relations with cham 1, too. Therefore, we have to specify that cham 2 and cham 3 are derived from cham 1( 站 ) by describing that cham 1, cham 2 and cham 3 have semantic relations in Korean dictionaries. Abstracts 171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Gwangju Jungang Girls High School 이상야릇하게 지어져 이승이 아닌 타승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모텔에 여장을 풀고 먹 기 위해 태어났다는 이념 아래 게걸스럽게 식사를 했다. 피곤하니 빨리 자라는 선생님의 말 씀은 뒷전에 미룬 채 불을 끄고 밤늦게까지 속닥거리며 놀았다. 몇 시간 눈을 붙이는 둥 마 는 둥 다음날 이른 아침에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구 분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격식체 비격식체 해라하게하오하십시오해해요 - 다 - 네, - ㅁ세 - 구나 - 구먼 - 구려 - 냐, - 니 - 는가, - 나 - 어라 - 게 - 자 - 세 - 오 - ㅂ니다 - 어, - 지 - 어요, - 지요 - 어, - 지, - 군 - 어요, - 지요, - 군요 - 오 - ㅂ니까 - 어, - 지 - 어요, - 지요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

1수준

1수준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ㄱ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2 3 4 5 6 7 8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ㄱ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10 11 12 13 14 15 16 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More information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캥거루는 껑충껑충 뛰지를 못하고, 여우는 신경질이 많아졌어요. 동물 친구들이 모두 모두 이상해졌어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멧돼지네 가게와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요? 염소 의사 선생님은 상수리나무 숲으로 가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했답니다. 상수리나무 숲에는 어떤 비법이 숨겨져 있는 지 우리 함께 숲으로 가볼까요? 이 동화책은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More information

178È£pdf

178È£pdf 스승님이 스승님이 스승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알라는 위대하다! 위대하다! 알라는 알라는 위대하다! 특집 특집 기사 특집 기사 세계 세계 평화와 행복한 새해 경축 세계 평화와 평화와 행복한 행복한 새해 새해 경축 경축 특별 보도 특별 특별 보도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도가니! 스승님과의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More information

741034.hwp

741034.hwp iv v vi vii viii ix x xi 61 62 63 64 에 피 소 드 2 시도 임금은 곧 신하들을 불러모아 나라 일을 맡기고 이집트로 갔습니다. 하 산을 만난 임금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말했어요. 원하시는 대로 일곱 번째 다이아몬드 아가씨를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2015년9월도서관웹용

2015년9월도서관웹용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후회의 문장들 사라져 버릴 마음의 잔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해에도 배추농사에서 큰돈을 남은 평생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그 말을 다시 떠올려보 만졌다 하더라도 지난 여름 어느 날 갑자기 들기 시작한 았다. 맺지 못한 채 끝나버린 에이드리언의 문장도 함께. 그 생각만은 변함없을 것 같았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 그래서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Page 1 of 5 Learn Korean Ep. 4: To be and To exist Of course to be and to exist are different verbs, but they re often confused by beginning students when learning Korean. In English we sometimes use the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

차례

차례 143 합이 아니며, 담화 상황에서 관용적으로 쓰이고, 종결형식 이외에는 굳 어진 표현이라는 점으로 본다. 그리고 이 기준에 부합하는 산 관련 관용 표현을 추출 및 분석하여 관용 표현에서 산의 의미는 중심 의미를 기준 으로 물리적 공간과 크기에 관련된 의미들이 중심 의미와 1차적 관계를 맺고, 상징이나 인지적 도식에 의한 의미들이 2차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tory Story 2013. 1. 30. Story 2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3 STORY STORY 12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3 Korean Wave Story 2013 (2012년 1/4분기) 12 12 2012. 4. 9. 2 3 4 5 6 乱 世 佳 人 花 絮 合 集 梦 回 唐

More information

연구노트

연구노트 #2. 종이 질 - 일단은 OK. 하지만 만년필은 조금 비침. 종이질은 일단 합격점. 앞으로 종이질은 선택옵션으로 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종이가 너무 두꺼우면, 뒤에 비치지 는 않지만,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두꺼우면 고의적 망실의 위험도 적고 적당한 심리적 부담도 줄 것이 다. 이점은 호불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은 괜찮아 보인다. 필자의

More information

04 Çмú_±â¼ú±â»ç

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

ITFGc03ÖÁ¾š

ITFGc03ÖÁ¾š Focus Group 2006 AUTUMN Volume. 02 Focus Group 2006 AUTUMN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두 길 모두를 가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 곳에 서서 한쪽 길이 덤불 속으로 감돌아간 끝까지 한참을 그렇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는 다른 쪽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이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인천개항장역사기행

인천개항장역사기행 History Road Map 2 14 28 32 34 36 38 40 43 44 47 51 55 56 58 64 66 67 69 70 72 79 86 88 89 92 93 96 99 100 103 104 105 107 108 110 114 115 117 119 124 126 127 129 131 131 133 135 136 137 140 141 143

More information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www.hcc.or.kr news@hcc.or.kr Hallelujah News PHOTO NEWS 새벽 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이 주께 나오는도다. 제437호 2007년 10월 7일 (주일) 화요청년찬양부흥회 날짜: 10월 16일, 11월 6일, 11월 20일 12월 4일, 12월 18일 (매달 1 3주 화요일) 장소: 할렐루야교회

More information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1 of 6 Learn Korean Ep. 13: Whether (or not) and If Let s go over how to say Whether and If. An example in English would be I don t know whether he ll be there, or I don t know if he ll be there.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vol.126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 vol.126 www.fsb.or.kr 20163 + 4 Contents 20163 + 4 vol.126 www.fsb.or.kr 26 02 08 30 SB Theme Talk 002 004 006 SB Issue 008 012 014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소비자문제연구 제41호 2012년 4월 해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용약관의 약관규제법에 의한19)내용통제 가능성* : Facebook 게시물이용약관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이병준 업 요약 업 규 규 논 업 쟁 때 셜 네트워 F b k 물 규 았 7 계 건 됨 규 규 업 객 계 규 므 받 객 드 객 규 7 말 계 률 업 두 않 트 접속 록 트 른징 볼 규 업 내

More information

¿©¼ºÀαÇ24È£

¿©¼ºÀαÇ24È£ Contents ㅣ반딧불이ㅣ뒤엉켜 버린 삶, 세월이 흘러도 풀 수 없는.. 실타래 벌써 3년째 시간은 흘러가고 있네요. 저는 서울에서 엄마의 갑작스런 죽음 때문에 가족들과 제주로 내려오게 되었답 니다. 몸과 마음이 지쳐있었고 우울증에 시달리며, 엄마의 죽음을 잊으려고 하였습 니다. 그러다 여기서 고향 분들을 만나게 되었고 그 분들의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03 04 06 08 10 12 13 14 16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도 지나가고 어느덧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소현이가 이 곳 태화해뜨는샘에 다닌 지도 벌써 1년이 지났네요. 해샘에 처음 다닐 때는 대중교통 이용하는 것도 남을 의식해 힘들어하고, 사무실내에서 사람들과 지내는 것도 신경 쓰여 어려워했었습니다. 그러던 우리 소현이가 하루, 이틀 시간이 지나면서

More information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3 4 5 6 7 8 9 10 11 Chapter 1 13 14 1 2 15 1 2 1 2 3 16 1 2 3 17 1 2 3 4 18 2 3 1 19 20 1 2 21 크리에이터 인터뷰 놀이 투어 놀이 투어 민혜영(1기, 직장인)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가치가 있는 일을 해 보고 싶 어 다니던 직장을 나왔다. 사회적인 문제를 좀 더 깊숙이 고민하고, 해결책도

More information

Ä¡¿ì_44p °¡À» 89È£

Ä¡¿ì_44p °¡À» 89È£ 2012 vol.89 www.tda.or.kr 2 04 06 8 18 20 22 25 26 Contents 28 30 31 38 40 04 08 35 3 photo essay 4 Photograph by 5 6 DENTAL CARE 7 Journey to Italy 8 9 10 journey to Italy 11 journey to Italy 12 13 Shanghai

More information

7 8 10 17 18 46 62 90 110 128 129 8 9 10 11 12 13 14 15 16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한눈에 알아보는 공공언어 바로 쓰기 표현 ❹매 1년마다 1년마다/매년/해마다 각각 을 뜻하는 매

More information

이보고서는 2010 년한국언론진흥재단의언론진흥기금을지원받아수행한것입니다. 보고서의내용은한국언론진흥재단의공식견해가아닌연구자의연구결과임을밝힙니다. 목 차 요약문 ⅳ Ⅰ. 서론 1 5 6 7 7 11 13 14 14 16 18 21 29 40-1 - 47 47 48 66 68 69 70 70 71 72 72 73 74-2 - < 표 > 목차 표 1 대한매일신보보급부수

More information

0001³»Áö

0001³»Áö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9 80 81

More information

2015-05

2015-05 2015 Vol.159 www bible ac kr 총장의 편지 소망의 성적표 강우정 총장 매년 1학년과 4학년 상대로 대학생핵심역량진단 (K-CESA)을 실시한지 5년이 지났습니다. 이 진 단은 우리 학우들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직업인으로서 핵심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었나를 알아보는 진단입니다. 지난번 4학년 진단 결과는 주관처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5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7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9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More information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 An Analysis of Spatial-Temporal Changes in the Longevity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ng-live Community in Seoul Jae Hun Sim* Seung Cheol Noh** Hee Yeon Lee*** 7)8)9) 요약 주제어 This paper aims to

More information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프로그램 선택은 다단계적인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본 연 구는 TV시청을 일상 여가행위의 연장선상에 놓고, 여러 다양한 여가행위의 대안으로서 TV시청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과, TV를 시청하기로 결정할 경우 프로그램 선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 밝히고자 했다. 27) 연구 결과, TV시청

More information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84 85 86 87 88 89 1 12 1 1 2 + + + 11=60 9 19 21 + + + 19 17 13 11=60 + 5 7 + 5 + 10 + 8 + 4+ 6 + 3=48 1 2 90 1 13 1 91 2 3 14 1 2 92 4 1 2 15 2 3 4 93 1 5 2 6 1 2 1 16 6 5 94 1 1 22 33 55 1 2 3 4 5 6

More information

디지털 인문학 입문

디지털 인문학 입문 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연 구, 교육 활동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이다. 인문정보학은 디지털 인문학을 위한 기술적 방법론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 다. 1) I-1. 디지털 인문학과 인문정보학 인문정보학은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에 쓰일 수 있는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ranslation Song 1 Finger Family 한글 해석 p.3 아빠 손가락, 아빠 손가락. p.4 p.5 엄마 손가락, 엄마 손가락. p.6 p.7 오빠 손가락, 오빠 손가락. p.8 p.9 언니 손가락, 언니 손가락. p.10 p.11 아기 손가락, 아기 손가락. p.12 p.13 p.14-15 재미있게 부르기 (Sing and Play Time)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

와플-4년-2호-본문-15.ps

와플-4년-2호-본문-15.ps 1 2 1+2 + = = 1 1 1 +2 =(1+2)+& + *=+ = + 8 2 + = = =1 6 6 6 6 6 2 2 1 1 1 + =(1+)+& + *=+ =+1 = 2 6 1 21 1 + = + = = 1 1 1 + 1-1 1 1 + 6 6 0 1 + 1 + = = + 7 7 2 1 2 1 + =(+ )+& + *= + = 2-1 2 +2 9 9 2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글내용의전개방식에대하여 14) 이성영 * < 次例 > Ⅰ. Ⅱ. Ⅲ. Ⅳ. Ⅰ. 들어가며..,..,.,., * 200 국어교육연구제 31 집,. ( ), ( ), ( ).,... 1).,,.,. Ⅱ. 전개방식의개념과성격 1. 전개방식의개념 1) 개념의혼란양상 1),. 글내용의전개방식에대하여 201.. 2007 < > < >. < > - (2) - ( ) -

More information

내지(교사용) 4-6부

내지(교사용) 4-6부 Chapter5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01 02 03 04 05 06 07 08 149 활 / 동 / 지 2 01 즐겨 찾는 사이트와 찾는 이유는? 사이트: 이유: 02 아래는 어느 외국계 사이트의 회원가입 화면이다. 국내의 일반적인 회원가입보다 절차가 간소하거나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다면 무엇인지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광진구 상징물 1. 광진구 마크 녹음이 가득한 아차산과 한강에 비친 아차산의 음영을 나타내는 두 삼각형, 광진 나루를 보여주는 돛단배로 이루어져 있다. 광진구의 유구한 역사와 미래를 나타내 는 백색과 한강의 깨끗한 환경을 상징하는 청색을 바탕으로 광진구의 힘찬 도약과 화합을 상징한다. 2. 새 - 까치 3. 나무 - 느티나무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모양이

More information

서론 34 2

서론 34 2 34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ume 34, Number 2, 2009, pp. 165 176 165 진은희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More information

11+12¿ùÈ£-ÃÖÁ¾

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al Eam 5//(토) :-5: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4 ( ) (a) ( )4 8 8 (b) d이 성립한다. d C C log log (c) 이다. 양변에 적분을 취하면 log C (d) 라 하자. 그러면 d 4이다. 9 9 4 / si (e) cos si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BOX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1 02 01 02 03 04 01 02 03 04 03 04 05 06 07 08 09

BOX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1 02 01 02 03 04 01 02 03 04 03 04 05 06 07 08 09 정답 및 풀이 1. 경제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02`쪽 2.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11`쪽 3. 지역 사회의 발전 20`쪽 1. 경제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28`쪽 2.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35쪽 3. 지역 사회의 발전 42쪽 BOX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1 02 01

More information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3134292D3132303232312E687770>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3134292D3132303232312E687770> 한국어 문법론(제1차 시) 한국어 문법론 개 요 * 주제 제1장 한국어 문법의 개요 제2장 문장의 구조 제3장 문장 성분(주어, 목적어) * 학습 내용 1. 강의 개요, 강의 목표 2. 한국어 문법의 개요 3. 문장의 구조 : 어순, 기본 문형 4. 문장 성분 1 주어, 2 목적어 * 학습 목표 1. 한국어의 특징과 문법, 문장 구조를 안다. 2. 한국어 문장

More information

SIGIL 완벽입문

SIGIL 완벽입문 누구나 만드는 전자책 SIGIL 을 이용해 전자책을 만들기 EPUB 전자책이 가지는 단점 EPUB이라는 포맷과 제일 많이 비교되는 포맷은 PDF라는 포맷 입니다. EPUB이 나오기 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던 전자책 포맷이고, 아직도 많이 사 용되기 때문이기도 한며, 또한 PDF는 종이책 출력을 위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종이책 VS

More information

CT083001C

CT083001C 발행인 : 송재룡 / 편집장 : 박혜영 / 편집부장 : 송영은 경희대학교 대학원보사 1986년 2월 3일 창간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전화(02)961-0139 팩스(02)966-0902 2016. 09. 01(목요일) vol. 216 www.khugnews.co.kr The Graduate School News 인터뷰 안창모 경기대학교

More information

204 205

204 205 -Road Traffic Crime and Emergency Evacuation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Abstract Road Traffic Crime

More information

IKC43_06.hwp

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통계내지-수정.indd

통계내지-수정.indd 안전한 나날을 그리다 안전한 나날을 그리다 01 16 22 28 32 36 40 44 50 54 58 02 62 68 90 94 72 98 76 80 102 84 03 04 106 142 110 114 118 122 126 130 134 148 154 160 166 170 174 138 05 178 182 186 190 194 200 204 208 212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Rabbi ( 김기덕) 학력 ) 한양대학교사범대학졸업 - 국어교육, 교육학전공 조교 1 재림 약력 ) 오르비클래스국어과강사 대치, 교대오르비학원출강 미금, 영통명인학원출강 저서 ) 국어영역마스터키 ( 지공신공) 훈련도감비문학, 문학 ( 쏠티북스) 학력 ) 서울대학교약력 ) 서울대학교특이사항

More information

03 ¸ñÂ÷

03 ¸ñÂ÷ 양 희은 강 석우의 커버스토리 인기코너 남자는 왜 여자는 왜 를 이끌어 가고 있는 김용석, 오숙희 씨. 2007 06 I 여성시대가 흐르는 곳 I 04 >>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의 소순임 씨를 찾아서 I 창 가 스 튜 디 오 I 08 >> 여성시대의 남자 김용석, 여성시대의 여자 오숙희 I 편 지 I 14 >> 아이들의 용돈 외 I 여성시대 가족을

More information

가해하는 것은 좋지 않은 행동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불쌍해서이다 가해하고 나면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 같아서이다 보복이 두려워서이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화가 나고 나쁜 아이라고 본다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생각이나 느낌이 없다 따돌리는 친구들을 경계해야겠다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정지용의 시어 조찰한 의 의미 변화 연구 배호남 *1) 차례 Ⅰ. 머리말 Ⅱ. 종교적 순수성의 정신세계 : 勝 利 者 金 안드레아 의 경우 Ⅲ. 차가운 겨울밤의 정신세계 : 溫 井 과 長 壽 山 1 의 경우 Ⅳ. 명징한 여름 낮의 정신세계 : 白 鹿 潭 의 경우 Ⅴ.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지용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개별 작품에서 보다 더 미시적으로

More information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안 경 광 학 과 세부내용 - 남을 도와 준 경험과 보람에 대해 말해 보세요. - 공부 외에 다른 일을 정성을 다해 꾸준하게 해본 경험이 있다면 말해 주세요. - 남과 다른 자신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말해 주세요. - 지금까지 가장 고민스러웠던 또는 어려웠던 일과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 자신의 멘토(조언자) 또는 좌우명이 있다면 소개해 주시길 바랍니다.

More information

750 1,500 35

750 1,500 35 data@opensurvey.co.kr 750 1,500 35 Contents Part 1. Part 2. 1. 2. 3. , 1.,, 2. skip 1 ( ) : 2 ( ) : 10~40 (, PC, ) 1 : 70 2 : 560 1 : 2015. 8. 25~26 2 : 2015. 9. 1 4 10~40 (, PC, ) 500 50.0 50.0 14.3 28.6

More information

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

041~084 ¹®È�Çö»óÀбâ

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 www.kdnetwork.com 특징 찾아보기 열쇠 없이 문을 열 수 있어요! 비밀번호 및 RF카드로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인에게 알려질 위험에 대비, 통제번호까지 입력해 둘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및 RF카드를 가질 수 있어요! 다수의 가능할 삭제할 건전지 사용자를 위한 개별 비밀번호 및 RF카드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이름 학년반번 < 보기 > 에서선생님의질문에대한답변으로적절하지않은 < 보기 > 의설명에맞는용례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2 것은? [3점] 보기 보기 가 -뱅이: 버릇이나성질이지나친사람을낮잡아부선생님 : 고유어의경우사잇소리현상이일어나름의의미를더함. 는것을표시하기위해합성어의앞말이모음으나 -둥이: 귀여움, 어린이의의미를더함. 로끝났을때는 ㅅ 받침을적습니다. 하지만합다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의 폭력행위는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서 묘사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만화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해 각 인 물의 반사회적 행위 및 친사회적 행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맥락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조사하였다. 맥락요인은 반사회적 행위 뿐 아니라 친사회적

More information

hwp

hwp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인 인 인 - i - - ii - - iii - - iv - - v - Ⅰ. 서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항목 건강하지못하다 주관적구강상태 보통이다

More information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www.koroad.or.kr E-book 03 2016. Vol. 427 54 C o n t e n t s 40 50 24 46 04 20 46? 06,! 24 50 3, 08! BMW,? 28 54 12,! KoROAD 2 30 58 16, 34 60 18? 38 62? 40 64 KoROAD (IBA) 4!,, 2016 CEO!. 427 2016 3 2

More information

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초등학교 학년 별책부록 호 www.nobelsangi.com 듣기와 말하기 first [f ;Rst 퍼-스트] 첫째 third [^ ;Rd 써-드] 셋째 second [s k nd 세컨드] 둘째 fourth [f ;R^ 포-쓰] 넷째 fifth [fif^ 피프쓰] 다섯째 seventh [s vân^ 세븐쓰] 일곱째 sixth [siks^ 식스쓰] 여섯째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¾ç¼ºÄÀ-2

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

그 리 고 꼭 같은 내 용 의 녹 권 이 변 사 펠 사한 깃과 꽉활자로 인 출 한 갓이 있 디. 편 사 - 한 갓도 fj-. i

More information

1_2•• pdf(••••).pdf

1_2•• pdf(••••).pdf 65% 41% 97% 48% 51% 88% 42% 45% 50% 31% 74% 46% I have been working for Samsung Engineering for almost six years now since I graduated from university. So, although I was acquainted with the

More information

TutorialOnHowToUseTheKoreanRomanizationAndWordDivision(BasicGuide)_

TutorialOnHowToUseTheKoreanRomanizationAndWordDivision(BasicGuide)_ Korean Studies Cheng Yu Tung East Asian Library Tutorial on How to Use The Korean Romanization and Word Division (Basic Guide) Hana Kim Korea Studies Librarian hn.kim@utoronto.ca Created in March 2012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