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문(김혜진).hwp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발표문(김혜진).hwp"

Transcription

1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인문한국(HK) 연구사업단 국내학술회의 [ ] 러시아 삶의 공간, 에쿠메네의 변화 : 권력, 이데올로기, 일상 공간 일시 _`` (목) 10:00~17:30 장소 _``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국제사회교육원 301호 주최 _``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인문한국(HK) 연구사업단 후원 _``한국연구재단

2 Institute of Russia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초대의 글 러시아에게 광활한 공간은 기회이자 부담이었습니다. 러시아 제국이 형성되기 시작하 는 근대 이후 러시아는 그 광활한 영토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물질적, 정신적 생활을 새 로운 이데올로기를 이용해 재구성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민족, 종 교, 그리고 문화로 이루어진 러시아 공간의 구성원들은 그동안 러시아화, 소비에트화, 탈소비에트화의 변화 과정을 겪어왔습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Humanities Korea) 프로젝트 해외지역연구에서 러시아 인문공 간의 한국적 재구성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가 주 최하는 본 학술회의에서는 바로 이 같은 변화 과정에서 권력, 이데올로기, 일상 공간이 어떻게 유기적 관계를 맺고 러시아 공간에 거주하는 구성원들의 삶에 영향을 미쳐왔는 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 지 러시아가 일상생활과 광활한 공간을 어떤 방법을 이용해 통합하려고 노력하였고 다 민족, 다종교, 다문화로 이루어진 러시아 삶의 공간은 어떻게 재구성 되었는가, 그리고 그 광활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구성원들은 어떠한 도전을 겪어왔는가에 대한 답 을 구하고자 합니다. 동학제현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홍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소장 - 1 -

3 행사 일정 10:00-10:30 등 록 10:30-10:35 개회사 홍완석 소장 10:35-10:40 축 사 이병화 대사 (경기도 국제관계 자문대사, 전 주 카자흐스탄 대사) 10:45-12:45 제1부 러시아 삶의 공간: 통일성과 변화 사 회 한정숙 (서울대) 발 표 황성우 (한국외대) - 달력개혁과 소비에트 일상생활의 변화 ( ) 신동혁 (국민대) - 러시아 정교회와 정치: 메드베데프 시기와 그 이후 송준서 (한국외대) - 전쟁의 기억과 상징: 탈소비에트 러시아 국가 통합의 도구 토 론 남영호 (서울시립대), 정세진(한양대), 기광서(조선대) 12:45-14:00 점 심 14:00-16:00 제2부 러시아 삶의 공간: 역동성과 다양성 사 발 토 회 이채문 (경북대) 표 김혜진 (한국외대) - 이주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장: 코미민족을 중심으로 최우익 (한국외대) - 러시아 석유 가스채굴지역 주민의 사회 경제적 변동 김민수 (한국외대) - 극동지역 소수민족의 풍습: 소위 자발적 죽음 에 대하여 론 민경현 (고려대), 김우승(배재대), 오원교(한양대) 16:15-17:00 제3부 러시아 삶의 공간: 기억과 운명 (라운드테이블) 사 토 회 황성우 (한국외대) 론 참가자 (사회자, 발표자, 토론자) 전원 17:00-17:30 폐회사 17:30- 만 찬 - 3 -

4

5 달력개혁과 일상생활의 변화( ) 황성우(한국외대) Ⅰ. 문제제기 달력은 시간의 파수꾼, 시간의 지도, 시간의 모자이크, 시간의 회계장부, 집단적 기 억의 보관자 이다. 달력은 인류가 삶을 영위하면서 시간에 질서를 부여하고자 고심했던 모 든 노력의 결과물이다. 시간에 질서를 세우기 위해 달력이 해야 하는 기본 역할은 시간을 측정하는 것과 시간에 리듬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간에 리듬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인간의 일상과 삶, 축제와 명절과 같은 의식에 하나의 틀을 제공하여 휴일과 非 휴일을 구분하는 전 통을 생산하는 것이다. 그 결과 인간이 생산한 달력은 당해시대의 수학적 과학적 지식, 종 교적 믿음, 정치적 결단에 따라 조각되는 총체적 산물이기에, 만들어진 달력을 통해 해당 사회에 내재하고 있는 권력, 종교, 과학, 이데올로기 등 동시대인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 인지 파악할 수 있다. 달력은 인간의 일상생활을 통제하기 위한 독특한 도구이다. 시간을 통제하기 위해 인간 이 만든 달력의 역사를 보면 이 사실은 보다 명확해진다. 로마의 경우, 1년을 10달, 1주일 을 8일로 정한다거나 통치자의 권력욕과 편의에 의해 10개월을 기본으로 304일부터 455일 까지 1년이라는 단위를 유동으로 만들었고, 그레고리력은 정확한 태양년을 맞추려는 지적 욕구보다 해마다 틀려지는 부활절의 날짜를 정확히 계산하려는 종교적 요구에 의해 만들어 졌으며, 하루를 규칙적으로 세분하고 균등화하는 데 이용됐던 시계는 정확한 기도 시간을 알리려 했던 교회와 일출과 일몰에 상관없이 노동을 강요하고자 했던 제조업자나 상인들 덕 분에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1) 더욱이 혁명이나 쿠데타 등 정치적 격변을 통해 권력 장악에 성공한 사람들은 낡고 부패 하고 치욕적인 과거를 청산하고 새로운 시대를 개창하기 위해 과거의 역법체계와 단절하길 원한다. 혹은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연호를 사용하며 과거와 시간적 공간적 구분을 시도한 다. 그 이유는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곧 인간을 지배하는 것이며,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라 는 고대적 관점에서 찾을 수 있다. 황제의 자리에 올라서는 날 암살당한 율리우스 시이저, 교황 그레고리 13세, 프랑스 혁명 주도세력, 20세기 러시아의 볼셰비키 등 헤게모니를 장악 하고자 했던 개인이나 집단에게 시간과 달력은 그들이 가질 수 있는 이념적 방패이자, 정치 권력을 위한 도구였으며, 또한 종교적 무기였다. 2) 풀레(Robert Poole)는 사회적 격변기나 혁명의 시기에 달력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주 목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 며 달력 연구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소위 혁명달력 이라는 1) 좀 더 자세한 시간과 달력에 관해서는 Stuart McCreedy 편, 시간의 발견, 남경태 옮 김 (서울: 휴머니스트, 2002) ; Grahame Clark, 공간과 시간의 역사, 정기문 옮김 (서 울: 푸른길, 1999) ; 永 田 久, 曆 과 占 의 과학, 沈 雨 晟 譯 (서울: 東 文 選, 1991) ; 이정 모, 달력과 권력 (서울: 부키, 2001) ; Jay Griffiths, 시계밖의 시간, 박은주 옮김 (서울: 당대, 2000) ; E. G. Richard, 시간의 지도: 달력 (서울: 까치, 2004) 참조. 2) Griffiths, op. cit., pp ) R. Poole, Time's Alternation: Calendar Reform in Early Modern England (London: UCL Press, 1998),p. 7. Irina Shilova, Building the Bolshevik calendar through - 1 -

6 새로운 역법체계를 고안한 프랑스 혁명세력이나 볼셰비키들은 새 술은 새 포대에 담아야 한다 고 하듯이, 새로운 사람에게는 새로운 시간을 이라는 선전구호를 통해 구체제와 단절 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에 적합한 그들만의 삶과 축제, 기념일의 틀을 제공하고 시간 측정의 체계를 합리적 사고로 재정의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구체제의 달력은 예속 과 무지의 기념물 4) 로서 당연히 폐기되어야 하고 시간의 탈종교화, 일상생활의 탈종교화 를 통해 자신들의 세상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새로운 달력을 만드는 것은 새 시 대에 맞는 공동체 생활을 합리화하려는 일종의 움직임이다. 시간과 달력에 나타난 의식과 의례를 지킴으로써 사회구성원으로서 소속감과 구성원간의 연대의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의식은 다양한 민족과 계층의 사람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을 수 있는 사상적 도 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혁명 이후 볼쉐비키들은 역법체계를 개혁하여 소비에트 달력을 고안하기 위해 다 양한 조치들을 발표했다. 가장 중요한 조치는 일요일을 없애고 주5일 시스템을 도입한 1929년 10월의 달력개혁인데, 부분적인 개혁조치까지 포함할 경우, 1940년 12월의 개혁조 치까지 포함시킨다. 학자에 따라 소비에트 달력변화의 시기를 다시 구분하여 혁명 후 1929 년까지, 이후 1940년까지를 소비에트 달력의 변화시기로 보기도 한다. 5) 이 글에서는 시간과 달력의 변화가 대중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러시아 혁 명 이후 볼셰비키와 스탈린에 의해 만들어진 소비에트 달력( )을 중심으로 고찰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러시아 혁명부터 1929년 10월 스탈린의 달력개혁 이 전까지 소비에트 달력체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1929년 10월 이후부터 1940년 12월 스탈린 시기 소비에트 달력개혁의 배경과 내용을 정리하고, 제4장에서는 달력 개혁이 일상생활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소비에트 달력의 변화과정( ) 러시아 혁명이 성공한 이후, 볼셰비키들은 새로운 역법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새로운 사 회를 건설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하여, 구체제가 사라지듯이, 과거의 역법체계는 폐기되어 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새로운 역법체계와 혁명의 성공을 기념하는 휴일과 기념일을 제정하기 전에 소비에트 정부는 시간의 측정도구로서 우선적으로 달력변화를 추진했다. 첫 조치는 1918년 1월 24일(프라브다 1월 25일자 게재) 율리우스력을 그레고리력으로 변경하 여 동년 2월 1일이 2월 14일이 된다는 포고문이었다. 인민위원회(Совет Народных Комисс Pravda and Izvestiia, Toronto Slavic Quarterly, No. 19 (Winter 2007), p. 1에서 재인 용. 4) Jacqueline de Bourgoing, 달력: 영원한 시간의 파수꾼, 정숙현 옮김 (서울: 시공사, 2009), p ) Shilova, op. cit., pp 쉴로바는 1917년 혁명 이후부터 1929년까지 소비에트 시기 달력의 변화를 크게 세 부분으로 세분하고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17년 2월 제정러시아 가 붕괴된 시점부터 1918년 12월까지이다. 두 번째 시기는 1919년부터 1925년 1월까지 이다. 세 번째 시기는 1925년 1월부터 1929년 9월까지이다. 또한 쉴로바는 러시아혁명 이후 1929년 9월까지 볼쉐비키들이 추진한 다양한 달력개혁을 볼쉐비키 달력 이라고 지 칭하고 1929년 10월에 시행된 주5일제를 근간으로 하는 달력체계를 스탈린 달력 이라고 정의하면서 양자를 구분했다

7 аров: Совнарком, СНК, 이하 소브나르콤)는 발달된 선진국가 가 사용하는 시간 측정방법을 러시아에 도입하기 위해 1918년 1월 31일 새로운 달력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고 발표했다. 레 닌은 달력개혁의 문제를 제기한 후, 전 세계 문명화된 사람들 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그레고리력을 채택한다고 선언했다. 6) 그레고리력이 채택된 16세기 1582년 10월과 다르게 러시아에 서는 13일이 달력에서 사라지게 된다. 즉 1918년 1월 31일 다음날이 2월 1일이 아니라, 2월 14일이 된 것이며, 이에 따라 1918년 2월 1일부터 2월 13일은 러시아 역사에서 존재하지 않은 시간이 됐다. 7) 레닌과 볼쉐비키들이 달력을 개혁한 이유는 약 1000년을 이어온 기독교적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러시아를 새로운 국가로 탄생시키기 위해, 기독교적 사고방식에 길들여진 러시아인을 사회주의 방식에 맞추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그들은 <그림 1: 1918년 1월24일 그레고리력 채택 포고령> 시간의 탈종교화 를 통해 러시아정교부터 러시아인을 구분해야 했으며, 기존 종교와 분리를 통해서만 새로운 이데올로기에 적 응할 수 있다고 레닌은 생각했다. 1918년 12월 2일 인민위원회는 주간 휴일과 기념일에 관한 규정 (Правила об еженеде льном отдыхе и праздничных днях)을 통해 소비에트 시대의 새로운 휴일들을 지정 도입했 다. 새로 지정된 6개의 볼셰비키 공휴일은 1월 1일 신년, 1월 22일(구력 1월 9일) 1905년 피의 일요일 기념일, 3월 12일(구력 2월 27일) 전제권력 타도의 날, 8) 3월 18일 파리 코뮨 의 날, 5월 1일 노동절, 11월 7일(구력 10월 25일) 프롤레타리아 혁명 기념일 등이며, 이 날은 모든 작업이 중단됐으며, 일반 국민과 노동자들에게는 국경일과 같은 휴일이 됐다. 공 식 기념일(휴일)은 아니지만 사회주의 혁명의 성공을 기념하는 기념일들은 이 시기에 많이 등장했는데, 프라브다와 이즈베스티야 신문에 게재된 기념일들을 예로 들면 3월 23일(2월 혁명 희생자를 위한 추모의 날), 4월 3일(레닌 귀국의 날), 4월 21일(마르크스 탄생 100주 6) КОДЕКС ЗАКОНОВ О ТРУДЕ(1918). Приложение из учебного пособия И.Я.Киселева Трудовое право России (Москва, 2001). 원문출처 Law/kodex_18.htm(검색일: ). 7) 레닌과 볼쉐비키들의 의도와 다르게 러시아 정교회는 율리우스력을 고수했는데, 그 결과 서양 달력에서 12월 25일에 오는 크리스마스가 현재 러시아 달력에서는 율리우스력에 따 라 1월 7일에 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1월 7일 크리스마스는 소비에트 시기에는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았고, 소연방 해체기인 1990년 말 복원되어 1991년부터 1월 7일부 터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는 2100년까지 1월 7 일을 크리스마스로 지정했으며,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의 차이로 22세기 러시아의 크리 스마스는 1월 8일이 된다. 구력 1월 1일 역시 신력으로 1월 14일이 되는데, 오늘날 러시 아인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음력설과 같이 1월 14일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8) 3월 12일은 2월혁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가 된 볼린스키 연대 및 기타 페트 로그라드 수비대들이 시위에 참여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1905년 3월 8일(구력 2월 23일) 여성의 날에 페트로그라드 여성노동자들의 시위로 촉발된 대중 시위가 확산되면서, 2월 26일 볼린스키 연대는 시위대에 참여했고, 영광의 5일 (2월 26일~3월 2일)의 마지 막 날 제정러시아의 로마노프 왕조는 붕괴됐다

8 년), 6월 3일(2차 두마 해산 10주년 기념일) 등이다. 9) 이러한 시도는 당연히 역사적 사건 을 기념일로 지정해 혁명의 정당성과 합리화를 추구하는 정책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소 비에트 전 시기를 통해 이러한 기념일은 시간적 추이에 따라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혹은 주중 요일로 지정됐다. 10) 1920년대 초반 볼셰비키들은 프랑스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의 시간 차이 혁명 달력을 따라 주10일 시스템을 정착 1세기 -2 12세기 7 시키고자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11) 성공 2세기 -1 13세기 7 을 거두지 못했고, 단지 당시를 배경으로 3세기 0 14세기 8 한 소설 속에서 단서만 찾을 수 있었다. 4세기 1 15세기 9 파스테르나크의 소설 닥터 지바고 의 내 5세기 1 16세기 10 용에 따르면, 주인공 유리 지바고는 빨치 6세기 2 17세기 10 산들에게 징발되어 몇 년을 지내다, 탈출 7세기 3 18세기 11 하여 라라의 집이 있는 우랄의 유라친 지 8세기 4 19세기 12 역으로 다시 돌아온다. 행색이 말이 아니 9세기 4 20세기 13 었던 지바고는 이발을 하고 싶어서 이발 10세기 5 21세기 13 소에 갔지만 그날 이발소 문은 닫혔고, 11세기 6 22세기 14 근처 양장점에 가서 가위를 빌리려 했다 <표1: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력의 시간 차이> 가 그곳에서 일하는 여주인에게 이발을 부탁한다. 아래의 내용은 여주인과 지바고가 나눈 대화의 일부 내용이다. 12) 머리는 좀 짧게 깎아 주시오. 그러죠, 일부러 그렇게 무식한 체 해도 당신이 인텔리라는 건 금방 알아낼 수 있어 요. 요즘은 날짜를 주 단위로 세지 않고 10일 단위로 센다는 걸 모르실 리 없을 텐 데. 오늘은 17일이죠? 제7일은 이발소 정기휴일로 되어 있어요. 그걸 모르셨군요. 1923년 1월 러시아정교회는 그레고리력을 율리우스력으로 환원시키고자 시도했지만, 소 비에트 정부의 반대에 부딪혀 실패했다. 이후 1923년 6월 全 러시아공의회에서 그레고리력 을 채택하기로 함으로써 1924년에는 모든 기독교 축일들이 그레고리력으로 편입됐고, 그 결과 거의 모든 종교축일이 노동일이 되어 종교행사를 치르기가 불가능해졌다. 13) 9) Shilova, op. cit., p ) 소비에트 시기 지정된 다양한 기념일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Т. Васильева, О. Руденко, Сколько праздников в году (Москва: Русский язык, 1989);А. И. Щербинин, ПОЛИТ ИЧЕСКОЕ ПРОСТРАНСТВО И ВРЕМЯ СОВРЕМЕННОЙ РОССИИ, Философия. Социол огия. Политология, No. 2 (2008), стр 참조. 11) Richard, op. cit., p 주10일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시도했던 이야기는 몇몇 문 헌에는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다. 찾아본 러시아어 문헌에서 조차 이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었다. 12) 보리스 빠스쩨르나크, 닥터 지바고, 오재국 옮김 (서울: 범우사, 1992), p 대화 속에서 제7일을 언급한 것은 일주일의 요일 명칭을 별도로 정하지 않고 숫자를 붙인 프 랑스 혁명의 달력체계를 모방한 것으로 보이나, 제7일이 본인의 지정 휴일인지, 혹은 제7 일을 공식 휴일로 지정한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프랑스 혁명 달력의 경우, 제5일의 오후 와 제10일이 휴일이었다. 따라서 10일동안 1.5일의 휴일을 갖는 것인데, 7일 동안 1일을 쉬는 기존의 달력보다 휴일시간이 수치상 조금 길었다

9 1925년에는 1월 레닌 서거 1주기를 맞이해 1월 21일이 국경일로 추가 지정됐다 년 7월 30일 소브나르콤 결정에 따라 5월 1일 노동절과 11월 7일 프롤레타리아 혁명 기념 일에 하루씩 추가로 공휴일을 지정해, 5월 2일과 11월 8일도 국경일로 지정됐다.14) 1929년 9월 24일에는 앞서 지정된 공휴일 중에서 3일이 제외됐다. 1월 1일 신년, 3월 12일 전제권력 타도의 날, 3월 18일 파리 코뮨의 날 등 3일이 국가공휴일에서 제외됐다. 레닌 추모일은 1월 22일로 조정됐고, 나머지 5일은 1951년까지 지속되어 유지됐으며, 피의 일요일 기념일은 레닌 추모일과 동일한 1월 22일로 유지됐다.15) 그 결과 국가 공휴일 5일 은 1월 22일 피의 일요일 기념일 및 레닌 추모일, 5월 1일, 2일 노동절, 11월 7일, 8일 10 월 혁명 기념일로 정해졌다. Ⅲ. 스탈린 달력개혁( ) 주5일 시스템 (пятидневка)은 1929년 10월 1일부터 1931년 여름 까지 지속된 소비에트 달력체계를 말 한다.16) 1달은 5주씩 30일 (непреры вка)로 구성되어 있고, 이 달력체계에 서 일 년은 72주로 구성됐으며, 날짜 에 계산되지 않은 5일이 포함되어 있 다. 1주를 구성하는 5일은 각각 색깔 또는 로마 숫자로 표시된다. 생산공 장 노동자들은 1/5씩 한 팀를 이루어 4일 근무, 1일 휴식 이라는 방식을 취한다. 개개인은 본인에게 할당되는 <그림 2 : 1930년 스탈린 달력> 색깔과 숫자가 적힌 휴일증명서 (спи сок выходников)를 받는다. 시차제 휴일은 모든 노동자들이 동일한 시간동안 작업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반대로 공장은 국가 공휴일 5일을 제외하고 연중 360일 가동해야 함을 뜻했다. 이론적으로는 이 체제 안에서 80%의 노동력은 항시 가동되며, 20%는 휴식을 취한 다. 국가 공휴일 5일을 제외하고 어느 날이건 공장은 100% 가동된다.17) 주5일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팀별 순환근무제와 토요일과 일요일 폐지이다. 13) Shilova, op. cit., p )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ЦИК, СНК РСФСР «Об изменении статей 111 и 112 Кодекса законов о труде РСФСР». 15) 각주 참조 16) 달력에서 일주일은 천체의 운행의 자연 순리와 다르게 자연의 규칙성에 따르지 않고 자의적이고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조작된 개념이다. 즉 지구의 자전주기, 공전주기, 달 의 공전주기 를 제외하고 1년, 1달, 1주일, 1일, 1년=12달 등은 모두 자연의 순리와 다르 게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생산된 시간 이다. 일주일이 7일이 된 역사에 대해 서는 Richard, op. cit., pp 참조. 17) Nicolas Werth,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p

10 1929년 5월 라닌(Юрий Ларин, 1882~1932)은 주5일 시스템 생산주일을 제안했으나, 아무도 이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1929년 6월 초에 가서야 라닌의 제안은 스탈린의 귀 에 들어가 결국 그의 허락을 받았고, 이후 모든 신문매체에서 라닌이 제안한 새로운 계획을 지지하는 기사들을 다루기 시작했다. 1929년 6월 8일 러시아 국가계획위원회는 2주 안에 새로운 생산주일에 맞는 계획안을 제출하라고 지시했고, 1929년 6월 중순 경 약 15%의 공 장에서 라닌이 제안한 생산주일에 맞춰 생산일정을 조정했다. 1929년 8월 26일 소브나르콤 은 경제목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성을 가진 생산주일 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모든 공장들이 이에 맞춰 일정을 조정해야 함을 주 장했다. 18) 1929년 9월 24일 제정된 포고령에 따라 1929년 10월 1일부터 주5일 생산주일 이 시행됐다. 19) 이와 관련하여 1929년 12월경에는 약 50여개에 달하는 생산주일 관련 의 견들이 제시됐고, 이 중에는 한 달이 30일이 아닌 37일(생산일 30일, 휴일 7일)인 경우도 있었다. 1929년말 무렵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1930년 4월 1일까지 약 43%의 공장들 이 새로운 주5일 시스템에 맞춰 생산일정을 조정될 예정이었고, 1930년 10월 1일까지 약 67%의 공장들이 이 체제로 전환하기로 예정됐다. 실제로 주5일 체제로 전환한 공장들은 1930년 4월 1일까지 전체의 약 63%였다. 1930년 6월에는 1931년까지 직물공장을 제외하 고 모든 공장들이 새로운 주5일 생산체제로 전환될 것이라고 발표됐으나, 실제 전환된 경우 는 1929년 10월 1일을 정점으로 약 72.9%의 공장들에 국한됐다. 20) 1930년 5월 초 몇몇 공장들은 주5일 생산체제에서 주6일 생산체제로 전환을 시도했다. 1931년 4월 30일 시작된 시도는 일주일의 마지막 6일째에 모든 노동자들이 휴일을 보내는 것이었다. 1931년 6월 23일 스탈린은 당시 시행된 주5일제를 비난하면서 주5일제의 문제 가 해결되기 전까지 임시방편으로 주6일제(шестидневка)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 1931년 8월동안 대부분의 공장들이 주6일제를 채택해 시행했고, 공식적으로 주6일제로 전환은 1931년 11월 23일 소브나르콤의 포고령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21) 이로 인해 1931년 12월 1일부터 주6일 체제가 시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1931년 여름부터 주6일 체 제를 시행한 공장들의 수가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존재한다. 1935년 7월 1일 시점 에 약 74.2%의 공장들이 주6일 시스템을 채택했으며, 약 25.8%의 공장들이 기존의 주5일 18) Clive Foss, Stalin's topsy-turvy work week, History Today, Vol. 54, Issue 9 (Sep. 2004), pp ; Gary Cross, Worktime and industrializatio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88), pp 주5일 생산주일에 맞춰 10월 1일 이전 에 공장을 운영했던 사례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주5일 시스템은 1929년 10월 1일에 시행됐다. 19) О РАБОЧЕМ ВРЕМЕНИ И ВРЕМЕНИ ОТДЫХА В ПРЕДПРИЯТИЯХ И УЧРЕЖДЕ НИЯХ, ПЕРЕХОДЯЩИХ НА НЕПРЕРЫВНУ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УЮ НЕДЕЛЮ. 출 처: (검색일: ) 20) R. W. Davies, The Soviet economy in turmoil, (Cambridge, Massachusetts: Cambridge Univ. Press, 1989), pp , , , 469, 년 10월 1일을 정범으로 주5일 시스템을 채택하는 공장들의 수는 감소했다. 또 한 72.9%의 수치도 과장됐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주5일 시스템을 채택했더라도 실제 로는 운영하지 않은 공장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Clive Foss, Stalin's topsy-turvy work week, History Today, Vol. 54, Issue 9 (Sep. 2004), pp ) «О прерывно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й неделе в учреждениях». История календаря в Росс ии и в СССР. 출처: (검색일: ) - 6 -

11 일 노 주 빨 보 초 월 랑 황 강 라 록 제1주 제2주 제3주 제4주 제5주 제6주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었다. 주5일, 주6일 시스템이 병행하다가 1940 년 6월 26일 포고령에 따라 6월 27일부터 과거의 주7일 시스템이 부활됐다. 22) 구체적인 달력내용을 살펴보면, 일주일은 5일 시스템으로 운영되 고 한 달이 6주로 구성되었다. 그 래서 30일로 이루어진 12개월이 1년이 되고 국가차원의 5일의 국 경일이 첨가되었다. 달력에 계산되 <표 2: 1930년 스탈린 달력(주5일-샘플)> 지 않는 국가지정 공휴일의 첫 번 째 휴일은 1월 30일 다음날인 레 닌 추모의 날이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휴일은 4월 30일 다음에 노동절을 기념하는 의미 로 오는 이틀 동안이었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휴일은 11월 7일 다음에 10월혁명 기념일 을 경축하는 의미로 이틀 동안이었다. 윤년의 경우에는 2월 30일 다음날로 하루를 계산했 다. 이 5일은 달력과 무관하게 계산되었다. 1931년 6월 스탈린은 주5일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주 6일 시스템을 유지할 것을 지시했다. 한 달의 6번째, 12번째, 18번째, 24번째, 30일째 날을 휴일로 정해 모든 노동자들이 동시에 쉴 수 있는 휴일을 지정한 것이다. 즉 주5일 6주 체제 가 주6일 5주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이 원칙은 1931년 11월에 제정되어 동년 12월 1일 시행됐다. 그러나 1935년 7월까지 약 26%의 노동자들만이 이와 같은 주 6일 시스템을 시 행했을 뿐, 주6일 시스템도 별다른 지지를 받지 못했다. 또한 <표>에 제시됐듯이, 1929년 달력과 1931년 달력 모두 그레고리력과는 차이가 있다. 23) 즉 당시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그레고리력과 차이를 항상 인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노출되어 있었다. 22) On the Transfer to the Eight-Hour Working Day, the Seven-day Work Week, and on the Prohibition of Unauthorized Departure by Laborers and Office Workers from Factories and Offices, <Decree of the Presidium of the Supreme Soviet>, 26 June 이 포고령에는 1940년 6월 26일에 제정되어 다음날인 6월 27일부터 시행한 다고 명시되어 있다. 내용은 <제7조>에 명시됨. 23) 아이러니하게도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소비에트 달력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소련공산당 기관지 프라브다 역시 발행인란에 날짜를 소비에트 달력 날짜가 아닌 기존의 그레고리력에 따라 사용했다. 프라브다는 1월, 3월 5월, 7월, 8월 10월, 12월 31일을 사 용했고, 2월 30일의 경우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았다. 역시 마찬가지로 토요일과 일요일의 명칭도 함께 사용했다

12 러시아달력 그레고리력 러시아달력 그레고리력 1월1일 1월1일 7월30일 8월1일 1월30일 1월30일 8월1일 8월2일 레닌 기념일 1월31일 8월30일 8월31일 2월1일 2월1일 9월1일 9월1일 2월30일 3월2일 9월30일 9월30일 3월1일 3월3일 10월1일 10월1일 3월30일 4월1일 10월30일 10월30일 4월1일 4월2일 11월1일 10월31일 4월30일 5월1일 11월7일 11월6일 노동절(2일) 5월2일, 5월3일 혁명 기념일(2일) 11월7일, 11월8일 5월1일 5월4일 11월8일 11월9일 5월30일 6월2일 11월30일 12월1일 6월1일 6월3일 12월1일 12월2일 6월30일 7월2일 12월30일 12월31일 7월1일 7월3일 <표 3: 스탈린 달력과 그레고리력 차이> 출처: E. Theodossiou, V. N. Manimanis and E. Danezis, The Russian Calendars after the Christianization of the Country, Astronomical and Astrophysical Transactions, Vol. 21 (2002), p 소비에트 정부가 무시했을 수도 있지만, 생산성을 높이고자 기획했던 주5일 시스템은 생 산성 향상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았다. 순환근무 체제하에서 노동자들은 한 가지 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에도 숙달된 기술을 터득해야 했다. 다양한 작업에도 숙달해야 하는 노동구 조 속에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았다. 또한 기계 자체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숙 련된 노동자들이 기계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 근무에 따라 기계를 작동했기 때문에, 하나의 기계에 익숙하거나 정통한 노동자를 찾기 힘들었고, 수선 유지하는 데도 어려움이 발생해 기계가 자주 고장나기도 했다. 이러한 총체적 부실 상황이 발생하면서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수행하는 작업에 별다른 책임감을 느끼지 않게 됐고, 그 결과 생산성 하락과 함께 새로운 주5일 시스템은 예상과 달리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24) 그렇다면 스탈린은 왜 이토록 복잡한 달력개혁을 했을까? 경제발전을 위한 순순한 경제 적 동기에 의해서인가? 사실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볼 때, 혁명에 성공한 사람들은 모든 것 을 바꾸고 싶어 한다. 그들이 혁명을 하기 전에 가졌던 이상을 펼치기 위해서는 과거 통치 자들의 유산을 청산해야만 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이 바꿔져야만 했 다. 특히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곧 인간과 세상을 지배한다는 것임을 고려해 볼 때, 일상생 활을 지배하는 달력도 새로운 세계관과 지배체제를 위해 뜯어고쳐져야 된다고 볼 수 있다. 스탈린의 달력개혁의 배경에는 크게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사회적 등 네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먼저, 정치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스탈린은 레닌 사후, 권력투쟁에서 승리하여 정 24) Clive Foss, Stalin's topsy-turvy work week, History Today. Vol. 54, No. 9 (September 2004), pp

13 권을 잡게 된다. 정치적으로 볼 때, 레닌 사후, 트로츠 키, 부하린 등과 같은 당시 실력자들과 권력투쟁 와중 에서 1927년 제15차 당대회를 통해 반대파를 축출한 스탈린은 과거와 다른 자신의 시대를 열고자 했으며, 어느 지도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통치시기를 과거와 다르게 특징짓고 싶어 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서유럽국가들을 따라잡아 그 들을 능가하자 는 구호아래 1928년부터 시작된 제1차 5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값비싼 기계 를 중단 없이 작동하고자 했던 생산증진의 목적도 분 명히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제적 목적에는 레닌이 통치하고 있던 시절인 1919년에 최초로 시행되었던 공산주의 식 토요노동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е Субботники) 25) 의 연장이라는 의도가 내포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레닌 은 공산주의식 토요노동이 역사적 의미를 갖는 이유 는 이 운동이 노동생산능률의 발전과, 새로운 노동규 <그림 3: 1939년 스탈린 달력> 율로 이행, 그리고 경제 및 일산생활에서 사회주의적 제 조건을 창출하는데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고 밝히면서 이 운동의 주 동자들이 주로 생활이 어려운 노동자임을 감안할 때, 이들이 자발적으로 운동에 참여함으로 써 자본주의 체제보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노동생산능률이 훨씬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즉 레닌이 추진한 공산주의식 토요노동을 스탈린은 자신의 방 식으로 새롭게 재창출했다고 볼 수 있으며, 달력개혁은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고 본 다. 또한 종교적으로도 거의 1000년동안 러시아에서 지속된 사회에 대한 러시아정교회의 영 향력을 감소시키는 데 새로운 달력은 절대적으로 필요했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종교행사 의 가장 중요한 요일인 일요일을 없애는 개혁을 단행함으로써, 부활절의 의미는 물론 주일 행사 자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겠다는 사전 포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7일 주기의 일주일 과 일요일의 순환구조에 익숙한 일반 국민들을 시간의 탈종교화, 일상생활의 탈종교화 를 통해 일상의 리듬을 변화시키고자 한 목적이 달력개혁에 내재돼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주 5일 시스템 은 휴일로서 일요일을 지키지 못할 수밖에 없는 생산환경을 조성해 공장을 매일 가동하고, 이를 통해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잔존해 있던 러시아 정교회와 종교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취해진 것이다. 사회적으로는 달력개혁 조치는 사회주의 혁명 기념일, 혁명의 정당화를 위한 기념일 제 25) 공산주의식 토요일 노동은 1919년 4월 12일 토요일 오전 7시30분에 모스크바에 있는 소르치로보차야역 광장에서 공산당원 13명과 이에 동조하는 2명의 노동자들이 백군에 맞서 싸우고 있는 적군(붉은군대)에게 보급물자를 제공할 기차를 수리하기 위해 모여 저 녁까지 무보수로 일하며 3량의 기차를 수리한 사건이다.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내전시 기동안 전국적인 대중운동으로 확산되었는데, 이 모임이 공산주의식 토요일 노동의 시초 가 되었다. 이후 최초의 대중운동은 1919년 5월 10일 모스크바-카잔 철도노선에 205명 의 노동자가 참여하면서 이루어졌다. William Chase, Voluntarism, Mobilisation and Coercion: Subbotniki , Soviet Studies (Jan 1989), p

14 정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공동체적 삶을 형성하고, 달력이 제공하는 공식 의례, 국가행사에 동참시켜 사회주의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은 물론 소비에트형 인간을 육성하는 데 유용한 지배도구가 될 수 있다. Ⅳ. 일상생활의 변화와 문제점 달력개혁 조치를 취한 정부의 공식 선전문구에는 새로운 계획을 실행함으로써 물질적, 문화적 혜택이 보장되고, 좀 더 많은 휴식시간을 갖을 수 있으며, 생산과 고용이 증가하여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극장, 클럽, 스포츠 등 문화적 활동이 주말에 국한되지 않아 여유롭게 여가활동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점들이 부각됐다. 그러나 생산공장을 100% 가동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통해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향상 시키려는 시도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순환근무 체계의 악순환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한다. 기계들은 오히려 더 빈번히 고장났다. 또한 엄격한 노동규율을 적용함으로써 전직( 轉 職 ), 이직( 移 職 ), 무단결근, 조퇴 등 최적의 작업환경을 방해하는 조건들이 발생했고, 그 결과 노 동 생산성이 떨어지며, 공장 및 개별 생산단위/공간에 대한 노동자의 애착심, 충성심이 약화 되고, 안정된 노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또 다른 사회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이 잦은 전직과 이직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불안이 가중되어, 예정된 생산계획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혹은 직접적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숙련된 노동자의 전직과 이직 은 미숙련 노동자의 충원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 기계의 수선, 보수를 위한 비용과 작업환 경에 적응하기 위한 필요시간의 증가 등 결국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노동 생산성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됐다. 26) 달력개혁 조치가 궁극적으로 일선 노동현장의 생산성 하락을 야기해 노동자들의 경제적 삶의 방향을 바꾸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달력개혁 조치가 시행되던 시기는 엄격한 노동 규율이 강제되던 시기였고, 도시 노동자뿐만 아니라, 농촌에서 도시로 유입된 노동자들은 낯선 도시적 삶과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노동현장의 작업조건에 적응하지 못해 더 큰 불만 이 있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궁극적인 삶의 변화는 가정과 직장, 사회생활의 공동체적 리듬이 해체되면서 발생 했다. 주5일 시스템은 결국 토요일과 일요일은 폐지한 것이다. 이것은 곧 공동의 삶을 향유 할 수 있는 공간에 시간적 제약이 가해졌음을 의미한다. 도시에 거주하는 노동자들은 본인의 휴일을 증명하는 카드를 받았다. 일주일의 제1일, 제2일, 제3일, 제4일, 제5일은 각각 노랑, 주황, 빨강, 보라, 초록색으로 상징된다. 자료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설명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색깔은 일정한 순서, 즉 노랑, 주 황/오렌지/분홍, 빨강, 보라, 초록색 순으로 정해져 있다. 이 순서로 1월 1일부터 요일이 시 작된다. 27) 색깔 카드는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휴일을 기억하기 쉽게 만드는 일종의 연상기억코드였 26) 노동규율과 이에따른 노동자들의 작업여건 변화에 대해서는 김남섭, 금속노동자-사회 주의 건설의 전위?: 소련 산업화 시기 레닌그라드 금속 노동자들의 노동규율, , 西 洋 史 論, 제84호, pp 참조. 27) Clive Foss, Stalin's topsy-turvy work week, History Today. Vol. 54, No. 9 (September 2004), pp 후에 1931년 12월 1일 제6일이 공식적으로 채택됐을 때, 제6일의 색깔은 파랑색이었다. 이 날은 모두의 휴일이었다

15 다. 달력에 색깔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본인이 할당받은 색깔카드에 따라 휴일을 기억할 수 있었다. 만남을 실행하기 위해 제1주의 제3일에 만나자는 편리한 약속을 정할 수 있었 다. 혹은 제2주의 초록색 날에 만나자는 잊기 어려운 약속을 쉽게 지킬 수 있었다. 언뜻 보 면 합리적인 대안일 수 있으나, 문제는 즉각 발생했다. 휴일이 서로 달랐을 경우이다. 남편 과 아내, 친척들과 친구들이 다른 숫자나 색깔을 받았을 경우, 그들이 모두 공동으로 함께 쉴 수 있는 휴일이 없었다. 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직장 동료나 친구들을 만나기 위 해서는 각자 가지고 있는 휴일 카드가 일치해야만 했다. 아내는 공장에 있고, 아이들은 학교에 있으며, 아무도 집으로 놀러 올 수 없는데, 집에 서 뭐하란 말인가! 28) 푸념 섞인 노동자의 말에는 주5일 시스템의 근본적인 한계가 노출되 어 있다. 처음에는 이러한 주5일 시스템에 따른 시차제 휴일이 가정생활과 공장 운영 차원 에서 심각한 위협이 되리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다. 불만이 고조되자, 1931년 12월에 주6일 시스템 제6일을 휴일로 두는 수정안이 채택된 것이다. 이렇듯 공식적으로 인정되지도 받아들여지지도 않았지만,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주5일 시 스템에 불만을 토로했다. 무엇보다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남편과 부인은 일주일에 동일한 휴 일을 받을 수 있다고 선전되었지만, 실제로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족의 스케줄을 조정하는 문제는 실제 상황에서 거의 불가능했고, 신청한다 해도 보통 무시되곤 했다. 그 결과 남편과 부인조차도 가정에서 출퇴근을 전후해 잠시 얼굴을 볼 수 있을 뿐이 었다. 사랑하는 사람과 휴일을 함께 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으며, 친구와 직장 동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 또한 기대하기 힘들었다.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자, 공장에 따라 주5일, 주6일을 시행하는 경우가 발생했으며, 극한 경우 노동자들이 자신의 휴일을 찾아 받 을 수 없는 상황도 나타났다. 29) 주5일, 주6일 시스템이 혼용되고, 도시와 농촌의 시간적 삶 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도 발생했다. 결국 러시아 정부에 의해 시행된 이 모든 달력개혁 조치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정교회는 과거의 율리우스력을 고수했으며, 농민들 역시 선조들 이 그랬던 것처럼, 주7일 달력을 사용했으며, 계절의 순환과, 주, 달에 의거하여 농사일을 계획했다. 30) Ⅴ. 결론 근대 서유럽에서 종교적 목적으로 고안된 그레고리력이 아직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통용 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동양이 아닌 서양이 국제무대에서 시간과 공간을 지배하며 자신 들의 사고를 합리화한다고도 볼 수 있다. 혁명의 주도세력들은 혁명의 정당화와 합리화를 위해 구시대 및 구 기득권세력과 단절을 원하고 자신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지배체제와 세 계관 및 가치관을 강요한다. 프랑스혁명에서 나타난 도량형 통일이나, 새로운 왕조가 탄생 하거나 주변지역을 정복하였을 때, 역법개혁과 책력 공포를 통해 새 시대의 출발을 알렸던 중국의 경우나, 가까이는 김일성 탄생년인 1912년을 주체원년으로 삼았던 북한의 주체달력 이나 그 모두 세상을 지배하기 위한 권력자들의 숨은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8) Richard, op. cit., p ) Clive Foss, Stalin's topsy-turvy work week, History Today, Vol. 54, Issue 9 (Sep. 2004), pp ) (검색일: )

16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시간이나 달력을 강요하는 것은 과거 제국주의적 식민화정책의 가 장 원초적인 전략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본적인 달력개혁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1987년 이후 대통령에 당선되면, 문 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라는 명칭을 부여하면서 시대와 영토라는 시간과 공간을 통 제하려는 사실이 나타난다. 소비에트의 달력개혁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다분히 다중적 전략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높이고, 러시아 정교회라는 종교 와 신생 국가를 분리하고, 사회주의 경제발전을 위해 5개년계획의 실현을 추진했던 스탈린 은 소비에트 달력개혁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를 열고, 모스 크바 시간을 정해 모스크바가 세계 공산주의 운동의 본거지임을 알림과 동시에 개별국가의 고유한 시간을 단일시간으로 희석시키는 한 차원 높은 전략을 구사했다고 볼 수 있다. 언제 나 그랬듯이 동시성 추구는 개인을 특정집단으로 포섭하기 위한 전체주의적 의도를 보여주 기 때문이다. 스탈린은 제1차 5개년계획( )의 성공을 자신하며, 나약하고 후진적인 러시아 가 서유럽과 같은 근대산업국가로 빠르게 탈바꿈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볼쉐비키가 공격할 수 없는 요새는 없다 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 국가를 하나의 거대한 작업장으로 만들고자 했던 그의 구상에는 단 한 순간도 시간을 헛되이 보내는 모습이 그려질 수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개별 생산공장에서는 시간을 보다 엄격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 한 그의 구상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시간의 탈종교화와 일상생활의 탈종교화를 외치며, 종교적 색채를 띤 토요일과 일요일을 폐지한 스탈린의 달력개혁은 실패했고, 약 10년간의 달력실험은 대중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했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시간적 리듬을 부여하고자 했던 새로운 달력이 결국 기존의 주7일에 익숙한 대중들의 길들여진 신체리듬과 생활리듬을 깨지 못했다

17

18 현대 러시아에서 정교회와 정치: 메드베데프 시기와 그 이후 신동혁(국민대) I. 들어가는 말 현대 러시아에서 2008년은 러시아 국내 정치와 대외관계에 있어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해였다. 우선 대통령과 총리의 자리바꿈이라는 역사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정치적 변화가 있었으며 그루지아와 전쟁이 있었다. 또한 러시아 정교회의 수장인 총대주교 알렉시이 2세가 서거한 해(12월 5일)였다. 총대주교 알렉시이 2세 서거 직후 2개월 만에 총대주교 대리가 된 키릴 1세는 신속하게 러시아 정교회(총대주교청)의 운영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전임자와는 많이 다른 것이었으며 그의 과거 행적을 고려할 때 변화된 교회-국가 관계를 짐작케 하였다. 일반적으로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정교회-국가 관계는 다음 4가지 사항으로 규정될 수 있 다. 첫째는 공립학교에서 정교관련 과목도입 문제, 둘째는 군( 軍 )사목 허용과 국가지원 문제, 셋째는 혁명 이전 교회 소유 재산 반환문제, 마지막으로 러시아인 땅(Russian soil)에서 타종 교의 선교 제한 문제였다. 이러한 핵심 사항들 중에서 2008년까지 단지 선교제한 문제만 실 현되었을 뿐 나머지 문제들은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 즉, 매스미디어에서 보이는 것과 달리 알렉시이 2세 시기 정교회-국가 관계는 정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거리가 먼 관계였다. 때문에 새롭게 선출될 총대주교가 직면한 과제는 위에 언급한 사항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 가였 다. 본 글에서는 2008년 이후 정교회-국가 관계 고찰을 통해 현대 러시아 정치에서 정치적 행 위자로서 정교회의 역할과 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총대주교 키릴과 메드베 데프 시기 교회-국가 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어서 2009년 이후 논란의 중심이 된 정교회 지도부가 발표한 루스끼 미르 개념(Концепция Русского мира)과 이와 관련된 실천적 행 위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최근 4년 동안의 교회-국가 관계는 물론 미래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II. 메드베데프 시기 국가-교회 관계 2009년 5월 <이즈베스찌야>와 인터뷰에서 총대주교 키릴은 최근 20년 동안 국가-교회 관계는 러시아 역사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심포니에 가장 근접하다 고 평가하였다 1). 놀 라운 사실은 키릴이 총대주교가 된 100일 기념 인터뷰에서 이렇게 평가한 점이다. 키릴의 평 가와 관련해서는 2007년 정교신학교육과정의 국가인정 과정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2007년 당시 메드베데프가 국가인정 획득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정황은 당시 메드베데 프의 부인인 스베틀라나 메드베데바가 정교회가 주관한 <러시아 청년들의 정신-도덕 문화 프 로그램> 자문단의 장을 맡고 있었던 사실과 무관치 않다. 2) 이는 100일 사이에 키릴과 메드베 1) А.С. Соколов.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год 2009: выход на новый этап разви тия. Государство, религия, церковь в России и за рубежом, 4, 2009, С.29. 2) Irina Papkova. Russian Orthodox concordat? Church and state under Medvedev. Nationalities Papers. Vol. 39, No. 5, 2011, p.671; Духовно-нравственная культура подраста - 1 -

19 데프 사이에 어떠한 소통(교감)이 있었는지를 알지 못하더라도 키릴의 확신에 대한 근거를 짐 작케 한다. 새로운 대통령 하에서, 새로운 총대주교 하에서 교회-국가 관계는 답보 상태에서 구체적인 이행의 시기로 변화를 맞이하였다.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주요 사항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먼저, 2009년 여름 메드베데프는 종교문화와 세속 윤리의 기초 라는 과목을 공립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4) 정교회는 푸틴시기에도 공립학 교에 정교과목 도입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일부 정부 관리들의 반대 5) 와 학계, 학 부모 등의 반대 여론으로 도입이 미루어지다가 2010년부터 4,5학년에 시범적으로 시행되었다. 메드베데프에 따르면, 2011년 말 기준 러시아 21개 지역 1만개 학교(Школа)에서 학생들이 종교문화의 기초 과목을 배우고 있다. 또한 그는 2012년부터는 러시아 전역에서 종교문화의 기초 과목을 배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6) 공립학교에서 정교회 관련 과목 도입은 70여 년간 의 무신론 국가에서 벗어난 러시아인들에게 요구된 전통적이면서도 새로운 신앙, 즉 정교신 앙 을 회복하기 위한 장기적이면서도 근본적인 필요조건이었다. 당신은 누구입니까 라는 물 음에 대해 나는 정교도입니다 라는 대답처럼 종교과목 도입은 러시아 정체성 회복과 관련된 근본적이 문제였다. 둘째, 2009년 7월 메드베데프는 군( 軍 )사목을 위한 제도적 준비에 동의하였다. 그 결과 군 내에 군종( 軍 宗 ) 제도를 신설하였으며, 군사목에 종사하는 군종신부들의 보수를 국가가 지급하 도록 하였다. 2010년 5월에는 군종신부에 대한 처우를 법으로 정하였다. 군종제도 도입은 공 교육에 종교과목 도입과 함께 국가의 전폭적인 도움 없이는 불가능한 일로 새로운 두 지도자 의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여준다. 정교회 입장에서는 선교와 신앙생활 유지, 국가 입장에서 는 전통적인 정신문화를 통한 병사들의 정신적 안정과 일치를 꾀할 수 있는 일이었다. 나아가 서 이는 국가와 정교회가 내세우는 정신안보(spiritual security)와 연결된 일이었기에 가능했 던 것으로 보인다. 군사목과 함께 언급해야 할 것은 정교회의 교정사목활동으로, 이것이 국가에 의해 제도적 지원을 받게 된 것이다. 교정사목은 군사목처럼 국가의 전적인 협력과 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영역이다. 키릴 총대주교에 따르면, 그동안 수형자를 위한 정교회의 교정사목활동은 1999년 관련 정부기관(러시아 연방 형 집행부,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ой исполнения наказаний (ФСИН))과 협약을 통해 수행되어 왔으며, 현재 약 1,100명의 정교사제들이 교도소를 방문하 여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총대주교는 2010년 현재 교도소 내 교도소 교회 471개, 기도소 466개, 정교도공동체 789개가 있으며, 이들 공동체에 수형자 73,117명이 소속되어 있다고 보 고했다. 뿐만 아니라 주일학교 265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그곳에서 수형자 11,000명이 교육 받고 있다고 교회의 교정사목활동을 높이 평가하였다. 7) ющего поколения России. [ dnkrus.ru/issue.shtml/download/272.html] ) Доклад Патриарха Московского и всея Руси Кирилла на Архиерейском Соборе Русск 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2 февраля 2011 года. [ html] ( ). 4) 메드베데프 이전 상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박태성. 러시아 학교에서의 정교교육. 슬라브 연구 Vol.25, No.1, 2009 참조. 5) Irina Papkova, Dmitry Gorenburg.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Russian Politics." Russian Politics and Law, Vol. 49, Number 1, 2011, p. 5. 6) Медведев: основы религии будут изучаться во всех школах [

20 셋째, 2010년 1917년 이전의 정교회 재산 반환이 법제화되었다. 재산 반환 요구는 소련 해체 이후 정교회의 지속적인 요구사항이었으며, 부분적으로 반환이 이루어져 왔다. 때문에 재산반환은 명확한 기준 없이 지도자와 관료들의 의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2010년 12월 <국가와 지방 소유로 되어 있는 종교 용도의 종교단체 재산의 반환에 관하여(Закон О пере даче религиозным организациям имущества религиоз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находя щегося 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или муниципальной собственности)>라는 법에 따라 정 교회는 건물은 물론 예속된 토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1997년 종교법 제정 이후에도 미 결상태로 남아 있던 교회-국가 간 가장 중요하면서도 민감한 사안인 교회재산 반환 문제가 해 결되었다. 최근까지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수도원을 비롯하여 솔로베츠크 군도의 109개 수도원 건물이 반환되었고, 2008년부터 최근까지 116개 부동산이 연방재산에서 교회재산으로 반환되 었다. 8) 주목해야 할 것은 반환된 대부분의 종교단체 재산은 러시아 정교회와 관련되었다. 소련 해체 이후 정교회가 정신적 영역 외에서 별 역할을 할 수 없었던 이유 중에는 물적 기반의 허약 때문이었으며, 이 문제는 정교회가 자주적이며 독립적인 사회적 역할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제약이 되었다. 국가 입장에서 많은 재정 부담을 떠안게 되는 재산 반환 문제 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었다는 것은 상징적 9) 의미에서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국가-교회 관계의 커다란 변화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초 종교의 자유 속에서 물질을 앞세워 서방의 종교들이 러시아에서 선교를 시작했을 때 러시아 정교회는 단지 지켜 볼 수밖에 없었음을 상기할 때 괄 목할 만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정교회의 경제적 기반 확충은 세계화와 다원주의 물결 속에서 러시아의 정신안보 를 지키기 위한 국가에 의한 물적 기반 마련으로도 볼 수 있다. 재산 반환에 관한 <법> 제정에 앞서 2010년 4월18일 제정된 <사회활동을 목적으로 한 비 영리 단체들에 관한 법(Закон о социально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некоммерческих орган изациях)>은 종교단체들이 비영리단체(НКО)로 분류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정교회 의 사회활동이 사회에서는 물론 국가로부터 지원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 지도부가 러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외에 근거를 두었거나 해외로부터 지원을 받는 러시아 내의 비영리 단체(НКО)를 외부 종교단체들과 함께 서방의 영향력 확대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 는 점에서, <법> 제정은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정교회 관련 비영리 단체의 자생력 강화는 물 론 외부와 연결된 비영리 단체들을 견제하기 위함으로 볼 수 있다. 즉 메드베데프는 정교회에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 영향으로부터 러시아 국민들의 정신안보 보루역 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1997년 제정된 <신종교법> 이후부터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내 타종교와 비교하여 이 <법>의 가장 큰 수혜자였다. 이 법은 현대 러시아에서 국가-교회 관계를 규정하는 기본법 으로 정교, 이슬람, 불교, 유대교를 제외한,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러시아 정교회를 제외한 타 종교단체들이 선교활동에 있어서 여러 제도적, 행정적 제한과 차별을 받게 되었다. 10) 당시는 물론 현재도 해외 선교단체들에게 비난받고 있는 <신종교법>은 러시아 정교회를 사실상 국가 7) Доклад Патриарха Московского и всея Руси Кирилла на Архиерейском Соборе Русско 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8) Там же. 9) 메드베데프 시기와 비교한다면, 특히 교회 입장에서 보면 옐친 시기와 푸틴 시기의 국가-교회 관계는 1997년 신종교법 제정, 면세 혜택, 담배 판매권, 행정적 지원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논의적, 상 징적, 프로파간다 수준에 머물렀던 측면이 있다. 10) 자세한 내용은 신동혁. 현대 러시아에서 제노포비아와 종교. 슬라브학보 제25권 4호, 2010 참 조

21 종교화 한 것이 사실이지만 교회입장에서 보면 2008년까지는 기대했던(종교과목 도입, 교회 재산 반환 등) 지원을 받지는 못했다. 그런데 2010년 정교회는 1990년 이전 정교회단체 종사 자들에 대한 노후대책을 위한 정부 협조를 얻어내는 등 <신종교법>에서 정한 전통종교 로서 의 권리를 누리고 있다. 2010년 이전에는 성직자들만이 의료 및 사회보장의 수혜대상이었다. 한편, 이러한 교회-국가 관계 변화에는 시간 과 환경 이라는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키릴 총대주교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키릴은 알렉시이 2세가 총대주교로 있던 시기부 터 총대주교 못지않게 지명도가 있었던 인물이었다. 그 이유 중에는 그가 맡았던 역할, 즉 오 랫동안 러시아 정교회의 대외관계를 조율하는 기관의 수장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언론 에 자주 노출되었는데 언론을 통해 알려진 그의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보수적일 것으로 인식되 던 정교회 수뇌부와 그를 구별시켜주었다. 일례로, 그가 소비에트 시기 교회일치운동 에 적극 적으로 참여한 일이나 1990년대 초 전례개혁을 지지한 일을 들 수 있다. 그는 합리적, 개혁적 인물로도 비춰졌다. 반대로, 이러한 그의 행적이 정교회 내 보수적 성향 성직자들의 비판을 불러온 측면도 있다. 11) 하지만 키릴은 2000년 정교회의 對 국가 및 사회관계를 규정한 <정교 회 기본 개념(Основы социальной концепции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12) 을 만드는데 깊이 관여하면서, 러시아 정교회 2인자로서의 자리를 계속 유지하였다. 2009년 러시아 정교회의 새로운 총대주교가 된 키릴은 전임자와 달리 13) 사목에 있어서나 국가-교회 관계있어서 아주 적극적이었다. 때문에 언론에서는 그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종종 비교하였다. 특히 그는 총대주교 권한의 수직화를 통해 對 정부 로비를 강화하였으며, 14) 對 사회 활동에서도 상당히 적극적이었다. 키릴의 그러한 행적은 2011년 2월 2일 러시아 정 교회 고위성직자회의 에서 발표한 그의 보고서에 잘 나타나 있다. 2010년 한 해 동안 57회의 방문(38회 정교회 관구 사목 방문, 9회는 반복)과 6차례의 해외 방문이 있었다. 이 외에도 포 럼 참석 8회, 대통령 메드베데프와 5회, 푸틴과 3회 만남이 있었다. 특히 2010년 한 해 동안 중앙과 지방 차원에서 수차례의 정교회-국가기관 간 협약이 체결되었다. 일례로, 러시아 연방 감사원, 우랄 연방 관구, 사하 공화국과의 협약체결이 있었다. 최근 몇 해 동안 교회-국가 관 계는 국가기관들과의 협약관계 로도 요약할 수 있다. 이는 국가 및 지방 권력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견고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II. 러시아 정교회의 루스끼 미르 개념 : 정교회-국가 관계의 새로운 방향? 루스끼 미르 개념 은 총대주교 키릴이 2009년 11월 3일 루스끼 미르 재단이 주최한 제3 회 루스끼 미르의 통일 회의에서 한 인사말에서 루스끼 미르 에 대한 정교회의 입장을 밝히 면서 사회적으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키릴은 세계화에 직면하여 문화-민족 정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러한 국제 환경 속에서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시와 몰다비아 가 루스끼 미르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키릴은 역사적인 루시의 공간에 있으며 11) Irina Papkova. Russian Orthodox concordat? Church and state under Medvedev. p ) <정교회 기본 개념> 출현 과정 및 자세한 내용은 신동혁. 포스트 소비에트 러시아의 국가-교회 관 계의 변화와 형성. 슬라브학보 제21권 1호, 2007, 쪽 참조. 13) 1990년 총대주교가 된 전임자 알렉시이 2세는 소련 해체 이후에도 교회와 국가 분리의 중요성을 강 조한 인물이었다. 특히 그는 기회가 될 때마다 언론을 통해 교회는 국가로부터는 분리되어야 하되 사회로부터는 분리되어서 안 된다 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그와 푸틴과의 관계에서도 잘 드러 난다. 알렉시이는 주로 자신의 관저에서 푸틴을 만났다. Irina Papkova. Russian Orthodox concordat? Church and state under Medvedev. p ) Irina Papkova. Russian Orthodox concordat? Church and state under Medvedev. p

22 문명적 동질성을 자각(인식)하고 있는 독립국가들은 계속해서 함께 루스끼 미르를 만들고 루 스끼 미르를 모두를 위한 초민족적 프로젝트로 여겨야 한다 고 주장하면서, 이는 구소련 공화 국들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과 주권의 상실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그 모델로 영국문 화원 을 제시하였다. 15) 총대주교의 루스끼 미르 개념은 이전부터 러시아 정교회가 꾸준히 주장해 온 종교법적 영 토개념(Концепция канонической территории) 과 2007년 국가의 적극적 협력 속에 이루 어진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 해외정교회 간의 통합 16) 사건을 연상케 함으로써 러시아 국내 보다는 국외에서 커다란 반향을 초래하였다. 특히 우크라이나 언론들은 키릴의 개념 을 우크 라이나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총대주교 키릴의 새로운 사상, 또는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 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루스끼 미르 에 초대하였다 고 비난하였다. 물론 이러한 비난의 시 작은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와 경쟁(적대)관계에 있는 끼예프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비판을 주도한 것으로 보이나, 17)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서남부의 우크라이나 그리스-가톨 릭교회의 반발을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 개념 을 둘러싼 논란은 2009년, 특히 2010년 동안 총대주교 키릴이 우크라이나를 세 차례나 방문하면서 우크라이나 사회에서 더욱 논란이 되었다. 전임자였던 총대주교 알렉시이 2세가 우크라이나의 복잡한 종교상황으로 인해 17년 동안 단 두 차례 방문했던 사실을 고려 한다면 이례적인 일이었다. 특히 모스크바에 우호적인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이 된(2010년 2월 25일) 이후 일어난 일이어서 키릴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다양한 추측과 함께 우크라이나 내에 서 적지 않은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18) 현실적으로 키릴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다양한 해석을 낳을 수밖에 없다. 그 배경을 아래<그림-1> 19) 와 같이 도식화 할 수 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바와 같이 현 상황이 유지되는 한은 누가 대통령이 되던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의 우크 라이나 방문은 논란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키릴의 방 문목적과 우크라이나 쪽의 반응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2009년 키릴의 우크라이나 방문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모스크바 총주교청 산 하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키릴의 방문과 관련 총대주교 키릴은 정치문제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음을 강조하며, 키릴의 방문은 성공적인 사목적, 계몽적, 선교적, 정신적(종교적)이었다고 평 하였다. 반면, 키릴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야누코비치가 총대주교 전 일정에 함께 한 것을 이 유로 그의 대통령 선거를 돕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는 비판도 있었다. 20) 15) Выступление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торжественном открытии III Ассамб леи Русского мира. 3 ноября 2009 г. [ ( ). 16) 자세한 내용은 황영삼. 러시아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구와 해외러시아정교회의 교회통합에 관한 연구. 슬라브학보 제25권 3호, 2010 참조. 17) Концепция Русского мира как шанс для Украины ноября 2009 г. [ net.ua/2000/forum/aktualno/48214] ; Москва сворачивает концепцию Русског о мира - УПЦ КП [ ) Патриарх Кирилл осваивает каноническую территорию Главу РПЦ ждут в Киеве уже с третьим визитом [ ) 한국우크라이나학회 저. 우크라이나의 이해 (써네스트, 2009), 쪽 참조. 20) Подводные камни визита Патриарха [ podvodnye-kamni-vizita-patriarxa.html]

23 현대 우크라이나의 종교 상황 모스크바 우크라이나 그리스-가톨릭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M-P UOC M-P 우크라이나 독립 정교회 UAOC 로마 우크라이나 정교회 K-P UOC K-P M-P(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K-P( 키예프 총대주교청 산하) UAOC 와 UOC K-P 모두 콘스탄티노플 에 승인 을 요청 중 콘스탄티노플 2010년 우크라이나 방문에 대한 평가 역시 극과 극이었다. 독립국가연합 연구소(Институ т стран СНГ) 끼예프 지부의 소장인 블라디미르 코르닐로프(Владимир Корнилов)는 키릴 의 방문은 우크라이나에서 다수[아래 표-1 참조]를 이루는 러시아 정교회의 평화와 단합에 중 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신도들과의 만남을 통해 - 총대주교 주변에 모여든 수많은 신도들이 그 당위성을 입증 - 우크라이나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코르닐로프는 일부 정치가들이 총대주교의 방문 목적에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컴컴한 방에서 검은 고양이를 찾는 것과 다름없다 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리보프 민족 대학 종교전문가인 안드레이 유라쉬(Андрей Юраш)는 1990년대 초에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획득한 독립성을 종교법적이 아닌 실제적으로 훼 손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된 방문이며,...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자신의 영향 하에 놓기를 원하며, 그 이유는 모든 동부슬라브 지역에서 그러한 결속을 통해 모스크바는 자신을 정교 에쿠메네(православная ойкумена)에서 특별한 지도자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종교정보와 종교 자유 센터 소장인 류드밀라 필리포비치(Людмила Филипович) 는 총대주교의 방문 목적 중에는 최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일고 있는 우크라이나 선호 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는 자신의 에쿠메네에 이렇게 강한 국가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있음을 정교회 세계에 과시하려는 것이며..., 둘째는 우크라이 나를 소련 해체로 나뉘어진 국가들과 합하여 새로운 일치를 이루어 과거 소비에트 국민 대 신에 정교 국민 을 도모하고 있다 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종교-정보부 소장인 타라스 안토 쉐프스키(Тарас Антошевский)는 방문 목적은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에서 모스크바 총대주 교청의 전반적인 중앙집중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총대주교의 루스끼 미르 프로그램에 포 함된 정치사상과 직접 관련이 있다 고 주장했다. 한편,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관계부 수장인 수좌대주교 일라리온 알페에프(Илларион Алфеев)는 총대주교 키릴의 방문과 관련 총대주교가 우크라이나에 온다는 것은 외국 손님 으로 오는 것이 아니다. 종종 말하기를 러시아에서 온 총대주교는 손님이다.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집처럼 느끼라고 한다...그가 우크라이나에 온다는 것은 곧 자신의 신도단에 오는 것 이며, 자신을 기다리는 국민들에게 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24 <표-1> 우크라이나에서의 주요 종교단체수 21) -국가에 등록된 종교공동체 기준( 년 1월 기준 총 57개의 종파별 공동체) 종파 연도 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8,953 9,423 9,952 10,310 10,566 10,763 10,972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 6,037 (키예프 2,760 3,010 3,186 3,352 3,484 3,685 3,824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독립 정교회 250 1,013 1,052 1,107 1,154 1,172 1,164 1,154 우크라이나 그리스-가톨릭교회 1,998 3,268 3,289 3,292 3,328 3,386 3,438 3,476 로마-가톨릭교회 세례파교회 1,137 2,033 2,113 2,153 2,311 2,394 2,436 2,462 오순절파교회 666 1,066 1,131 1,240 1,349 1,364 1,391 1,403 우크라이나 전체 10,810 23,400 24,919 26,271 27,579 28,481 29,262 29,913 앞서의 <그림-1>과 <표-1>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양측의 주장은 나름 충분한 이유 를 갖고 있다. 그런데 본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총대주교의 행동이 러시아 국 내, 특히 교회-국가 관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다. 2007년 러시아 정교회와 해외러시아정교 회의 통합은 양측 교회와 푸틴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결실이었다. 푸틴 시기에 일어난 이 사건 은 국가가 국가-교회 관계에 가장 의욕을 보인 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역사적 경험 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1943년 9월을 기점으로 스탈린의 종교정책 변화의 가장 큰 동기도 바로 냉전 초기 동유럽과 근동지역에서의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외교도구로서의 정교회 의 유용성 때문이었다. 즉, 총대주교의 루스끼 미르 개념을 통한 적극적인 대외 행보는 러시 아 정교회의 종교법적 영역에 대한 영향 유지 및 정교 에쿠메네에서의 러시아 정교회의 지도 적 위치 확보 외에도 정교회 지도부가 국가 외교의 일정 영역을 담당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 결과적으로 국내에서의 정교회의 정치적 영향력을 높이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협약 은 서로 에게 도움이 될 때 성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총대주교의 선택은 러시아 정교회의 국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10여 년 동안 정교회가 권력에 도움이 될 일은 그리 많지 않았다. 옐친 시기 때와 같은 박빙의 선거도 없었으며, 정교회의 도움이 필요할 정도로 권력의 위기나 사회적 불 안 또한 없었다. 반면에 러시아 사회에서 정교회가 가진 상징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허약한 경 제적 기반과 비영리단체(НКО) 운영 경험이 일천한 정교회가 정부가 만족할 정도의, 그리고 러시아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적 역할도 하기 어려웠다. 때문에 러시아 정교회의 대국민 영향 력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한계는 곧 국가-교회 관계가 답보상태인 중요한 원 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교회 지도부는 현실 정치에서 자신들의 가치를 구체화해 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었다고 얘기할 수 있으며, 루스끼 미르 개념 (우크라이나 언론에서는 루스끼 정교 미르 개념 으로 칭한다)은 러시아 정교회가 상황을 극복하면서 국가의 필요를 채 울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1) 한국우크라이나학회 저. 우크라이나의 이해, 쪽 참조

25 IV. (잠정적)나오는 말 지금까지 국내와 국외관계라는 두 측면에서 정교회-국가 관계의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 았다. 국내적 관점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교회-국가 관계는 여전히 동등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교회는 국가에 의존할 부분이 많은 반면에 국가권력이 교회로부터 얻을 것은 극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메드베데프 시기에 보다 구체화된, 그리고 실현된 교회-국가 관계는 거의 대부분 오랫동안 논의되던 사항이었으며, 대통령과 총리가 뒤 바뀐 점에서 어느 한 사람 이 전적으로 추진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그리고 사안에 따른 중앙과 지방 관리들의 반대의견 또한 분명히 존재했던 것이 교회-국가 관계의 강화를 지연시킨 부분적인 이유는 될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 정치 현실상 지도자의 구체적 의지가 정치에 반영될 여지가 많다는 점에서 메 드베데프 시기의 국가-교회 관계 강화 현상은 또 다시 대통령과 총리가 자리바꿈을 하게 된다 면 현재의 기조가 유지 및 강화될 가능성이 더 있다. 특히 총대주교 키릴이 들고 나온 루스끼 미르 개념 과 이를 매개로 한 국외에서의 정교회 영향력 확대와 루스끼 통합 역할은 국가도 원하는 바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일정 부분 정교회 -국가 관계의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럴 경우 과거 교회-국가 관계의 상징성 과 답보상태 가 점진적으로 역동적 관계 로 바뀔 여지가 있다고 본다. 아울러 2011년 11월 5일 지난 20년 동안의 러시아 정교회 부흥은 기적 이라 메드베데프의 평가가 지도자나 정치인의 이미지를 위한 한낱 인사말이 아닌 국가-교회 관계의 실질적 표현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본다. 22) 22) Медведев: возрождение православия за 20 лет - чудо [ newsland.ru/news/detail/id/816976/]

26

27 전쟁의 기억과 상징: 탈소비에트 러시아 국가 통합의 도구* 송준서 (한국외대) I. 서 론 국가 통합, 즉 국민을 단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국가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각 국의 정부가 사용하는 도구는 역사적으로 볼 때 다양하다. 그러한 도구로서 상징, 문장, 국 기와 같은 시각적이고 유형적인 것들이 있는가 하면, 전쟁이나 반식민주의 투쟁과 같은 특 정 역사적 경험이나 나치즘이나 파시즘 또는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와 같은 무형적인 것이 있 을 수 있다. 러시아의 경우 소련 붕괴이후 오늘날까지 신러시아 정부가 국가 통합을 위해 사용해온 중요한 도구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아마도 전쟁 그 중에서도 특히 대조국전쟁과 관련된 기억과 상징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전쟁의 기억 및 상징을 국가 정체성 수립에 사용함으로써 국가 통합의 기제로 사용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 지도자들이 사용해 온 고전적 방법이다. 러시아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면 니콜라이 1세( )는 형 알렉산드르 1세 ( )가 1812년 나폴레옹 군대를 모스크바에서 퇴각시킨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34 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궁전 앞 광장에 높이가 무려 47미터나 되는 알렉산드르의 기둥 (Александровская колонна)를 세웠다. 1) 1834년 8월 30일 이 원주의 제막식 행사는 무 려 12만 명의 러시아 병사들이 겨울궁전 광장에 집결한 가운데 니콜라이 1세의 군대 사열 과 함께 행해졌다. 2) 당시 이 행사를 참관한 사람의 목격담에 의하면, 기둥을 덮었던 천이 땅으로 떨어지면서 500대의 대포가 축포를 쏘기 시작하고 12만 명의 병사가 천둥과 같은 목소리로 우라!(Ура!) 를 외치는 광경을 보고 광장의 시민들은 러시아와 러시아 군대의 승 리에 대한 무한한 자부심을 느낌과 동시에, 차르와도 강한 일체감을 느꼈다고 한다. 3) 이러 한 에피소드는 18세기 말 알렉산드르의 부친인 파벨 1세( )가 군주의 위엄을 과 시할 목적으로 군사퍼레이드를 처음 시행한 이후 4) 군주들이 신민들에게 군주(곧 국가)의 영 예를 과시하고 드높일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전쟁의 기억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관행은 소비에트 시기에도 지속되었는데, 특히 1960년대 중반 이후 브레즈네프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5) 년 동 * 본고는 아직 완성된 것이 아니므로 인용을 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Александровская колонна. Российский гуманитарны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검색일 ). 2) Richard S. Wortman, Scenarios of Power: Myth and Ceremony in Russian Monarchy. From Peter the Great to the Death of Nicholas I. Volume 1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p ) Wortman, Scenarios of Power, p ) Wortman, Scenarios of Power, p ) 전쟁 직후 스탈린은 전쟁의 승리의 영예를 한 몸에 받았고 그것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지만 그렇 게 하지 않았다. 오히려 대조국전쟁 관련한 기억을 국민들로부터 없애려고 노력하였다. 그 이유는 전쟁 초기 그의 실책과 방심으로 소련 군대와 국민들이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스탈린은 그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되어 비난받게 될 가능성에 대해 극도로 민감해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휴일이었던 5월 9일 전승기념일을 1947년 부터는 평일로 전환하였고 군 지휘관들이 전쟁 관련 자서전을 출판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등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는 것을 극도로 제한하였다. 송준서, 대중잡지 불꽃(Огонёк) 에 나타난 소비에트 병사 이미지의 정 치적 함의, 노어노문학, 제21권 3호 ( ), pp 이 같은 관행은 스탈린 사후 흐루시초프 시기에도 한동안 계속되었다. 이로 인해 1956년까지는 퇴역군인들이 동호회 같은 조직을 결성하는 것도 금지 - 1 -

28 안 소련이 경험한 제2차 세계대전(소련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 전쟁을 대조국전쟁 6) 으로 칭 하였음)은 엄청난 희생과 고난을 소비에트 정권과 국민 모두에게 요구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승리하였다. 따라서 소련 정부입장에서 볼 때 극도로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승리를 얻어낸 대조국전쟁은 국민을 단합시키고 소비에트 체제를 정당화시키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도 구였던 것이다. 7) 최소한 1980년대 중반까지는 그랬다. 하지만 이후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의 분위기 속에서 그동안 비밀문서로 분 류되었던 대조국전쟁 직전 상황의 문서들이 공개되면서 상황은 반전되었다. 대조국전쟁은 인종차별 이데올로기라는 비도덕적 나치즘에 대한 소비에트 사회주의이데올로기의 도덕적 승리로 선전되었던 것과는 상반되게 소비에트 지도부가 비도덕적 정권으로 규정했던 나치 정부와 1939년 불가침조약을 맺었고, 그 결과로 발트해 국가와 동부 폴란드 일부를 합병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8) 뿐만 아니라 당시까지 나치 독일의 소행으로 규정하고 있 었던 카틴(Катын)숲 학살사건 이 사실은 1939년 소련이 폴란드를 점령한 이후 소련 비밀 경찰이 자행한 것임이 밝혀졌다. 9) 결국 소련이 승리했던 전쟁에서 승자의 도덕성은 큰 타 격을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대조국전쟁을 직접 경험한 윗세대와는 달리 젊은 세대들은 대 조국전쟁의 승리에 대한 어떠한 신성함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당시 기성세대들은 대조국 전쟁을 말 그대로 위대한 애국전쟁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반면 젊은 세대들은 대조국전쟁은 소련 외교사의 가장 커다란 재앙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쟁 경험 세대가 대조국전쟁 을 나치즘으로부터 유럽을 구한 전쟁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반면 젊은 세대들은 유럽을 구한 전쟁이 아니라 전후에 오히려 새로운 파시즘을 동유럽에 이식한 전쟁 으로 보았다. 또한 독일이 총 만 명의 희생자를 낸 반면 소련은 총 2,000-3,000만 명의 희생을 치르고 이루어낸 승리를 진정한 승리라고 볼 수 있는가라는 반문도 제기하였다. 10) 소련 정 권 말기 대조국전쟁의 신화는 특히 그 전쟁을 경험하지 못하였던 젊은 세대 사이에서 무너 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소비에트 정부가 더 이상 대조국전쟁을 국민을 통합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1) 그러나 이후 옐친 대통령이 들어서면서 소비에트의 때를 벗기고 국민을 하나로 묶 을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찾으려 할 때 새 정부는 다시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슬그머니 사 용하기 시작하였다. 12) 물론 소비에트 시절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쟁의 기억을 되살린 것은 되었다. Geoffrey Hosking, Rulers and Victims: The Russians in the Soviet Un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p ) 러시아 역사가들은 나폴레옹과 러시아와의 전쟁 ( )은 조국전쟁 으로 부른다. 7) 소비에트 시기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한 예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있다. 대표 적인 연구로 Nina Tumarkin, The Living & The Dead: The Rise & Fall of the Cult of World War II in Russia (New York: Basic Books, 1994); Lisa A. Kirschenbaum, The Legacy of the Siege of Leningrad, : Myth, Memories, and Monumen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참조. 8) 1989년 소련 지도부는 1939년 나치 독일과의 조약을 체결하였음을 공식 시인하였다. Nina Tumarkin, The Living and the Dead, p ) 1990년 4월 13일에는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1940년 스몰렌스크 인근의 카틴(Катын) 숲과 그 부근에서 스탈 린의 승인 하에 소련 비밀경찰(НКВД)이 총 22,000명의 폴란드 민족주의자, 지식인, 경찰 등을 집단 처형했 다고 시인했다. Tumarkin, The Living and the Dead, p ) Tumarkin, The Living and The Dead, p 이러한 젊은 세대의 반응은 1989년 여름 미국의 사학자 투 마르킨은 소련 학술원 산하 민속학 연구소 소속 원로학자들과 20대 중후반 학생들과 함께 대조국전쟁에 대한 주제로 토론에 참가했을 때 접한 것이다. 11) Tumarkin, The Living and the Dead, p ) Benjamin Forest and Juliet Johnson, "Unraveling the Threads of History: Soviet-Era Monuments and - 2 -

29 아니었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옐친 이후, 푸틴 및 메드베데프 정부도 옐친과 마찬가지로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국가 통합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과연 이들 탈소비에트 정부는 전 쟁의 기억을 어떤 방법으로 국가 통합의 기제로 사용하고 있는가? 각 정부가 사용하였던 방 법들은 소비에트 시기의 관행과는 어떤 점에서 유사성 또는 차별성을 지니는가?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소비에트 시기 국가 정체성 확립과 국가 통합의 중요한 기제로 사용되었던 대조국전쟁의 기억과 신화를 탈소비에트 정치지도자들이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대조국전쟁의 기억과 신화의 정치적 활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이유는 소비에트 체제의 마지막 20년 동안 가장 중요한 국가 통합 기제 중의 하나였 던 전쟁의 기억이 체제 변화이후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활용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러시 아 정부와 엘리트들이 국가 통합을 이루어 나가는 방법을 파악함은 물론, 소련 붕괴 이후 탄생한 러시아의 국가 정체성이 어느 정도로 소비에트 시기와 단절 내지 연속적 측면을 지 니고 있나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 같은 고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오늘날 러시아의 국가 통합 과정, 국가 정체성 수립과정을 더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학자들은 탈소비에트 국가 통합, 국가 정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 지고 연구해오고 있다. 70여년의 소비에트 사회주의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의 이행은 역사 상 전례 없는 사건이자 상당한 정체성(국가, 국민, 그리고 개인 모두)의 변화 및 혼란을 가 져 온 사건으로서 다양한 각도에서의 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고의 대주제인 탈소 비에트 러시아의 국가 통합, 국가 정체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축적되어있으나, 13) 전쟁의 기억을 이용한 국가 통합 노력, 과정, 배경에 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14) 더구 나 옐친 이후 푸틴과 메드베데프 시기에 대해서는 더욱이 연구가 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II. 옐친 시기 전쟁 기억의 활용: 소비에트 전통과의 타협과 재정의 1. 군사퍼레이드의 부활 소련 지도부와 소련을 이어받은 러시아 지도자에게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어떻게 활 용하는가는 무척이나 중요한 문제였다. 그 전쟁은 소련 국민에게 엄청난 희생과 고난을 가 져다 준 전쟁이었고 그런 고난을 무릅쓰고 승리한 전쟁이었기에 소련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 기에 충분한 힘을 갖고 있는 몇 안 되는 소재였다. 이 같은 사실은 옐친 정부에게도 마찬가 지였다. 그럼 옐친 정부가 어떻게 전쟁의 기억을 이용하여 국민을 단합시키려고 노력했는가 에 대해 살펴보겠다. 소련 붕괴이후 첫 전승기념일은 바로 몇 년 전 소비에트 시기 전승 기념일 행사와 Post-Soviet National Identity in Moscow,"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92, no 3 (2002), p ) 예를 들어, Benjamin Forest and Juliet Johnson, "Unraveling the Threads of History," pp ; Kathleen E.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olitics and Memory during the Yeltsin Era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황동하, 국가 상징과 현대 러시아의 국가정체성, 러시아연구, 제16권 2호 (2006), pp ; 김상현,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문 화 상지의 함의: 푸틴 시대의 국가 정체성 재고를 위한 시론, 국제지역연구, 제12권 4호 ( ), pp 참조. 14) 예외로는 위에서 언급한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p ; Forest and Johnson, "Unraveling the Threads of History," pp 참조

30 는 판이하게 달랐다. 1990년 45주년 전승기념일 행사에는 거창한 군사퍼레이드가 붉은광장 에서 행해지고 소련 지도부들은 레닌 묘위에서 군대를 사열하고 각종 무기가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았다. 하지만 1992년 5월 9일 옐친은 크레믈린 광장의 레닌 묘위에서 군대를 사열하 고 퍼레이드를 관람하는 것 대신 소비에트 시기와는 다른 방법으로 전쟁의 기억을 추모하였 다. 그는 크레믈린 옆에 위치한 무명용사의 묘 에 헌화하고, 그 후 전통적으로 퇴역용사들 이 모여 시간을 보내는 고리키 공원 으로 갔다. 15) 이는 곧 소비에트 시기 일반 민중과는 격리된 상태에서 군사퍼레이드를 지켜보는 것과는 달리 국가지도자가 권위주의적 색채를 벗 고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편안한 방식으로 평범한 참전용사들에 직접 다가가 어울린다는 것 을 보여주려는 제스처였다. 이러한 제스처는 대조국전쟁에 대한 재평가가 한창 일던 당시의 분위기 속에서 가 장 적절하게 전쟁의 기억을 활용하기 위해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론에서 보았듯이 1989년 이후 자유주의 세력은 대조국전쟁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내놓기 시작하면서 대조국 전쟁에 대한 재평가가 시작되었다. 자유주의자들은 소비에트 시기 대조국전쟁 승전기념일의 거창한 군사퍼레이드 같은 것은 전쟁에서 실제로 공훈을 쌓은 일반 병사들을 위한 행사가 아니라 바로 스탈린, 브레즈네프와 같은 소련 지도자를 위한 행사로 간주했다. 16) 그런 의미 에서 소비에트 정부가 주관한 그러한 거창한 행사는 바로 진정한 전쟁영웅인 민중으로부터 지도부가 대조국전쟁의 승리를 훔친 것 으로 보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 같은 이유로 1992년 옐친 대통령은 고리키 공원으로 가서 평범한 퇴역군인들을 만났던 것이다. 또한 옐 친 정부의 고위 관리들은 외국기업 대표, 나치 수용소 생존자 등과 함께 소위 평화 행진 이 라고 불리우는 행사에 참가하였다. 옐친 대통령과 정부 관리들의 이 같은 승리의 날 일정은 바로 소련시기 승전기념일에 주로 군사적 성격이 강한 행사를 행한 전통과 차별성을 부각하 기위한 것이었다. 17) 하지만 옐친 정부는 당시 옐친의 대표적 반대 세력이었고 일반 민중들로부터도 상 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던 공산주의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공산주의자들은 정부 관리들 의 행동은 대조국전쟁의 퇴역군인들의 사기를 저버리는 행동이라고 비난했고 전승기념일 행 사의 전체 분위기도 너무 격식이 없다고 한탄했다. 18) 아울러 이들은 옐친 정부로 대표되는 소위 민주주의 세력들이 대조국전쟁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킴으로써 국가적 승리였 던 대조국전쟁의 승리를 비웃고, 심지어는 애국심을 말살시키기까지 하였다고 주장하였 다. 19) 이후 옐친은 공산주의자들 그리고 옐친의 급진적 시장자본주의 경제개혁에 반대하는 세력과 여러 가지 안건에서 충돌하였고 옐친은 급기야 1993년 10월 반대세력이 포진해있 는 최고회의 건물에 탱크를 동원 포격을 가함으로써 분위기는 내전의 일촉즉발 상황까지 이 르게 되었다. 1995년 옐친이 승전기념 50주년을 맞아 군사퍼레이드를 허락한 것은 국론 분열을 극복하고 국가통합을 위해 반대파의 견해를 어느 정도 수용하려했던 타협의 제스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1995년 승전기념 군사 퍼레이드를 결정한 것은 1993년 5월 13일 최고 회의의 결정이었다. 20) 당시 옐친과 계속 마찰을 빚고 있었던 최고회의의 결정이었지만 옐친 15)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 )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 )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 )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 ) Smith, Mythmaking in the New Russia, p ) Парад с перебоями.. Коммерсанть Власть. No.19 (923)

31 은 그 안을 수용하였던 것이다. 혹자는 1995년 승전기념 군사퍼레이드 중에서 무기들의 열 병식은 붉은 광장에서 기념식에서 분리하여 전승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장한 승리 공 원(Парк победы) 인근 도로에서 행해진 사실을 놓고 옐친 정부가 기존의 소비에트 군사 퍼레이드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볼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무기 의 행진을 붉은 광장 군사퍼레이드에서 분리시킨 것은 당시 미국 클린턴 대통령을 비롯한 연합국의 정상 등이 기념식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임기응변이었다. 옐친 대통 령은 승전기념일 약 두 달 전인 1995년 3월 연합국 정상들이 러시아가 1994년부터 시작한 체첸전쟁에 대한 반대의사로 러시아 군의 무력시위를 관람하기를 꺼려한다는 것을 알고 있 으며, 따라서 그들의 기념식 참석을 유인하기 위해 군사퍼레이드 일정을 수정하여 붉은 광 장에서는 오로지 퇴역군인들의 행진만 기획할 것이고 군사장비의 행진은 없을 것이라고 밝 혔다. 21) 정치, 외교적 이유로 무기 행진을 분리시킨 것이지 탈소비에트적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조치는 아니었다. 전승기념일의 군사퍼레이드와 관련하여 더욱 중요한 것은 군사퍼레이드가 1995년 재개된 이후 옐친 대통령이 1999년 물러날 때까지 해마다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50주년 전 승기념 행사가 끝난 10일 후인 1995년 5월 19일 옐친 대통령은 대조국전쟁에서 소련 인 민의 승리를 강화하는 것에 대하여 의 법령을 공표하였다. 이 법령은 승전기념일을 전 국민 이 즐길 수 있도록 공휴일로 지정하고 매년 군사퍼레이드 벌이고 예포를 발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2) 옐친이 공표한 승전기념일의 군사퍼레이드는 한편으로는 소비에트 시기 전통을 부활시킨 것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전혀 새로운 전통을 만든 것이었다. 사실 소 련시절 지도부가 대조국전쟁 전승기념일에 군사퍼레이드를 행한 것은 오로지 다섯 차례 밖 에 되지 않는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45년 6월 24일 첫 군사퍼레이드가 행해졌고, 그 후 두 번째로 행해진 것은 전승 20주년인 1965년 5월 9일이다. 이후 30주년인 1975년, 40주 년인 1985년, 그리고 45주년인 1990년 전승기념일에만 군사퍼레이드가 행해졌다. 23) 반면 오늘날 러시아 정부가 매년 5월 9일마다 붉은 광장에서 꼬박꼬박 병사들의 열병식을 갖고 탱크, 미사일 등 무기들의 행진을 하는 것은 바로 옐친이 1995년 5월 19일에 사인한 법령 에 의한 것이었다. 소비에트시기에는 10월 사회주의 혁명 기념일에 사회주의 정권의 굳건함을 과시하 는 목적으로 군사퍼레이드를 행했지만 탈소비에트, 탈사회주의 시기에 접어들어 옐친은 매 해 전승기념일에 군사퍼레이드를 시행함으로써 새로운 정부가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토대로 새로운 국가 정체성확립하고, 국민 단합을 꾀하려 하는 의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치적 의도는 1999년 전승기념일 연설에서 [대조국전쟁] 승리의 날은 어떤 설득이나 왜곡 없이 모든 러시아인들을 단결시킨다. 예나 지금이나 러시아의 힘은 국민 화합과 단합에 놓여있는 것이다 24) 라고 옐친이 말한 부분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 것이다. (검색일 ). 21) Yeltsin to Alter Parade on V-E Day to Draw Clinton," New York Times, ; Andrew Felkay, Yeltsin's Russia and the West, p ) Об увековечении победы советского народа в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е годо в. Федеральныйзакон от N 80-ФЗ. (검 색일 ). 23) Парад с перебоями.. Коммерсанть Власть. No.19 (923) (검색일 ). 24) Forest and Johnson, Unraveling the Threads of History, p. 532에서 재인용

32 2. 제1초소 의 부활 옐친 정부가 대조국전쟁의 기억을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이용 했다는 증거는 무명용사의 무덤 에 제1초소'(Пост No.1)를 설치한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 다. 제1초소는 바로 레닌 묘에 설치된 초소를 일컫는 것이었다. 레닌이 사망한 5일 후인 1924년 1월 26일 볼셰비키 정부는 크레믈린 앞 붉은 광장에 거대한 레닌 묘를 만들었다. 이후 소련 정부는 레닌 묘 앞에 두 명의 위병을 배치하고 위병들의 초소를 설치했다. 이것 이 바로 제1초소'인 것이다. 이후 소련 지도부는 매시간 마다 절도 있는 동작으로 위병 교 대식을 하게 하였다. 국부( 國 父 )에 대해 경의를 표하기 위한 상징적인 제스처인 것이다. 붉 은 광장을 방문한 소련 시민들은 이 위병 교대식을 보면서 국부로서의 레닌의 존재를 다시 금 각인하였다. 소련이 해체된 1991년 12월 이후에도 레닌 묘 앞에서 두 명의 위병이 보초 를 서고 있었고 교대식은 엄숙하고 절도 있는 위병 교대식은 한동안 계속되었다. 하지만 옐친 대통령은 1993년 10월 6일 오후 4시를 기해 레닌 묘를 지키는 위병 들을 없애버리고 제1초소 초소도 없애버렸다. 25) 대신 2명의 경찰을 배치하여 레닌 묘 입구 에 편한 자세로 서서 입장객들을 맞이하게 하였다. 26) 실로 69년 만에 레닌 묘는 위병 없이 홀로 남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 옐친 대통령이 레닌 묘의 위병을 전격적으로 없애버린 것은 당시 급박하게 돌아갔던 정치 분위기 때문이었다. 1993년 가을 당시 옐친의 지지 세력들은 1993년 10월 4일 옐친 대통령이 무력으로 최고회의에 집결해 있던 반대 세력들을 탱크를 동원해 포격을 가해 무력으로 진압한 사건이 일어난 직후, 옐친 정부에 공산주의 세력을 척 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예로서 42명의 저명한 작가들은 이즈베스티야 지에 성명을 내고 대통령 명으로 모든 공산주의 조직들은 해산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27) 옐친 대통령은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0월 6일 전격적으로 공산주의 세력이 가장 신성시 여겨왔던 상징인 레닌 묘의 신성함과 상징성에 타격을 가하고자하는 의도로 위병과 제1초소를 없애버린 것 이었다. 하지만 4년 만인 1997년 12월 12일, 위병과 제1초소가 부활되었다. 중요한 점은 위병이 보초를 서는 곳은 더 이상 레닌 묘 옆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신 크레믈린 옆 알렉산 드로프 공원에 위치한 무명용사의 비 옆인 것이다. 1997년 12월 8일 옐친 대통령은 모스 크바 무명용사의 묘의 영원한 불꽃 옆에 위병소를 세우는 것에 대한 법령 을 발표하고 매 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대통령 부대 소속 병사들이 한 시간 마다 보초 교대식을 갖도록 규정했다. 28) 무명용사의 묘 에 제1초소를 설치하고 매시간 위병 교대식을 거행하는 것은 국가가 대조국전쟁 기간 동안 희생당한 군인들에 대해 예우를 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결정은 또한 옐친 정부가 국가 통합의 구심점으로 레닌이 아닌, 즉 공산주의 이데올로기가 아닌 전쟁의 기억 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25) 수난 겪는 소비에트 혁명의 메카 레닌 묘, 연합뉴스 (검색일 ); 26) Struggle in Russia; Yeltsin Cancels Guards at Lenin's Tomb," The New York Times, (검색일 ). 27) Писатели требуют от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ешительных действий. Известия ( ). 28) Об установелении постоянного поста почетного караула в г. Москве у Вечного огня на могиле Неизвестного солдата. ( ).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검색일 ); История П оста 1. ПРЕЗИДЕНТСКИЙ ПОЛК. (검색일 ) - 6 -

33 1980년대 말 소련 정부가 스탈린과 나치독일 간 독소불가침조약 체결의 인정, 카 틴 숲 학살 사건의 책임을 시인함으로써 대조국전쟁은 비록 흠집 있는 전쟁이었음이 밝혀 졌지만 대조국전쟁의 승리의 신화와 기억은 신생 러시아정부가 보기에 사회주의체제 붕괴이 후 시장자본주의로의 혹독한 이행과정에서 당황해하고 자존감을 잃어버린 러시아 국민들에 게 과거 소련시절 초강대국의 시민으로 지녔던 자긍심을 불러일으켜 줄 수 있고 국민을 하 나로 묶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집단의 기억 이었던 것이다. 3. 군사명예의 날 제정 군사퍼레이드를 부활시키고 제1초소를 무명용사의 비 에 세운 것 이외에도 옐친 정부는 국민들에게 전쟁 기억을 강화하는 다양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그 예로 이미 1993년 1월 14일 옐친 대통령은 조국 수호를 위해 죽은 자들에 대한 추모를 강화하는 것에 대하 여 라는 법령을 공표하였고 29) 1995년 1월에는 퇴역군인들에 대한 물적 지원, 사회보장 제 도 등을 규정한 법령을 발표하였으며 30) 3월에는 러시아 군사명예의 날(День Воинской славы)에 대하여 의 법령을 31) 그리고 5월에는 대조국전쟁에서 소련 인민들의 승리의 의 미를 기리는 것 에 대한 법령을 공표하였다. 32) 이러한 법령 제정들의 시기와 내용을 살펴보 면 옐친 정부가 1990년대 초반 대조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의의와 전쟁 기억을 기리는 방법 을 놓고 국론이 분열된 것을 극복하기 위해 옐친의 반대파들의 견해를 일정정도 수용하고 국론 통합을 위해 타협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1995년 12월 국가 두마 총선과 1996년 6 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었던 옐친에게는 반대파를 끌어안아야하는 상황에서 전쟁의 기 억을 활용하는 것을 그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하였음도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법령 중에서 전쟁 기억과 관련하여 특히 관심을 가져야할 법령은 바 로 1995년 3월 옐친 정부가 발표한 군사명예의 날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 경험에서 보듯이 새로운 기념일의 제정은 늘 새 정권이 들어서면서 있는 일이다. 10월 혁명 기념일이 폐지된 예에서도 살펴보았지만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된 러시아 및 동유럽 각국 정부는 1990년대 이래 과거의 소비에트 체제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새로운 국경일을 제정하였다. 33) 군사명예의 날 도 1990년대 옐친 정부가 전쟁의 기억을 이 용하여 새로운 국가 정체성 확립하려고 했던 것을 보여준다. 아래의 군사명예의 날 관련 법령에 명시된 제정 취지를 살펴보면 이 같은 의도가 잘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러시아의 역사는 기억할 만한 사건이 많이 있다. 러시아 군대의 영웅적 행동과 용 29) Закон от 14 января 1993 г. Об увековечении памяти погибших при защите отечества. (검색일 ). 30) О ветеранах. Федеральныйзакон. от ФЗ. (принят ГД ФС РФ ). (검색일 ) 31) О днях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и памятных датах России.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13 мар та 1995 г. (검색일 ). 32) Об увесковечении победы советского народа в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е годо в.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N 80-ФЗ. (검색 일 ). 33)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 새로운 국경일을 만드는 데 가장 적극적인 국가 중의 하나인 우크라이나의 예를 살 펴보려면 홍석우, 우크라이나: 코자크와 오렌지혁명의 나라 (서울: 한국외국어대 출판부, 2008), pp 참조

34 기, 러시아 무기의 위력과 명예는 러시아의 위대함의 고유한 부분이다. 전쟁의 승 리에 더하여 인민의 기억 속에 영원히 남아있어야 할 가치가 있는 사건들이 있는 것이다. 이에 러시아 연방은 러시아 역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러시아 군대의 영광스러운 승리를 기억하면서 러시아 무기의 승리의 날, 즉 러시아 군사명예의 날 (승리의 날)과 국가와 사회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과 관련된 조국의 역사 속 의 기념일을 제정한다. 34) 다만 위에서 살펴본 전쟁퍼레이드와 제1초소의 부활 및 이동의 경우 대조국전쟁의 기억에 한정된 것이지만 군사명예의 날 의 경우는 대조국전쟁을 포함 러시아가 역사상 외적과 싸 웠던 중요한 전투에서의 승리의 기억을 추모하는 것으로 총 16개의 날이 선정되었다. 35) 이 법령은 전쟁 승리와 관련한 새로운 기념일을 공표한 것 이외에 기념일과 관련하 여 정부가 할 일 그리고 전쟁 기억의 보존(увековечение)에 대한 구체적 방법 그리고 기 념일 행사 진행 내용 등을 규정하고 있다. 36) 마치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브레즈네프 시 기 정부가 적극적으로 전쟁관련 기념비, 박물관 등을 건설하였던 것처럼 신 러시아 정부도 소비에트 시기의 관례를 부활시켰음을 의미한다. 구체적 법조항을 보면 제2장에서 군사명예 의 날과 관련하여 러시아 군사의 기억을 영속화하는 방안으로 기념박물관의 건립, 기념비, 오벨리스크 등 설립 및 정비, 러시아 군대가 싸워서 승리를 이끌어 낸 지역의 정비, 군사명 예의 날과 연관된 자료 출판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군사명예의 날 에 러시아 정부는 그 날에 대한 홍보 및 선전을 적극적으로 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제4장에서 는 대조국전쟁 전승기념일 인 5월 9일과 조국수호의 날 인 2월 23일에는 러시아 국방부의 결정에 따라 축하 예포를 쏘게끔 규정하고 있다. 37) 이러한 점에서 1995년 발표된 이 법안은 소비에트 체제 붕괴이후 새롭게 탄생한 탈소비에트 정부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전쟁 기억을 활용한 포괄적 방안을 공표한 법안이 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 외에도 옐친 정부는 비록 소비에트 정권이 전쟁의 기억을 활용했던 방법을 계승했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 전쟁 기억의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 은 주목할 만하다. 아마도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대조국전쟁이 도덕성에 흠집 이 있는 전 쟁임이 논란이 되어 그 전쟁의 기억만 가지고 국가 정체성을 수립하고 국가 통합을 이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고, 그 외에도 새로운 기념일을 추가함으로써 이전 정권과의 차 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한 측면도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1993년 10월 옐친의 급진적 시장자 본주의 경제개혁을 반대하는 세력과의 충돌로 헌정위기와 국론 분열의 상황을 맞이한 옐친 정부는 반대세력에 대한 유혈 진압 직후인 1993년 12월 제정 러시아 시기 국가 문장, 음 악, 국기 등을 신러시아 상징으로 부활시키면서 탈소비에트 개혁에 가속화를 조치를 취했 다. 38) 이런 점에서 군사명예의 날 제정에서 소비에트와 탈소비에트적 측면 모두를 찾아 34) О днях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и памятных датах России. 35) О днях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и памятных датах России.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13 мар та 1995 г. (검색일 ). 36) О днях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и памятных датах России 37) О днях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и памятных датах России 38) 예를 들어 1993년 11월 30일 옐친 대통령은 제정러시아 시기 쌍두 독수리 문양을 러시아연방 국가 문장으 로 사용하는 법령에 서명하였고, 12월 11일에는 과거 제정러시아 시기의 백-적-청 국기를 러시아연방 국기로 채택하는 것에 대한 옐친 대통령의 법령이 제출되었다. 1993년 말에는 옐친 정부는 19세기 중반 러시아의 음 악가 미하일 글린카(Михаил Глинка)의 애국의 노래 를 새로운 러시아 연방의 국가로 채택하는 법령을 발 표하였다. 황동하, 국가 상징과 현대 러시아의 국가 정체성, 러시아연구, ( ), p

35 볼 수 있는 것이다. 표-1. 군사명예의 날 39) 날짜 기념일 공식명칭 및 유래 년도 1 1월27일 레닌그라드 봉쇄가 걷힌 날 (1944) 2 2월2일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의 날 (1943) 3 2월23일 조국 수호자의 날 [국가 공휴일] 4 4월18일 알렉산드르 네프스키(Александр Невский)의 러시아 군대가 추도(Чудо) 호수 위에서 독일기사단을 물리친 날(얼음위의 전투) (1242) 5 5월9일 대조국전쟁( )에서 소비에트 군대 승리의 날 (1945) 6 7월10일 표트르 대제(Пётр Первый)의 지휘 하에 러시아 군대가 폴타바(Потава) 전투에서 스웨덴을 물리친 날 (1709) 7 8월9일 8 8월23일 9 9월8일 10 9월11일 11 9월21일 12 11월4일 13 11월7일 14 12월1일 15 12월5일 16 12월24일 간구트(Гангут)해전 승리의 날. 러시아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 함대가 승리한 날로 표트르 대제가 지휘하는 함대가 스웨덴 함대를 격파함. (1714) 쿠르스크(Курск) 전투에서 소비에트 군대가 독일 파시스트 군대를 격파 한 날(1943) 쿠투조프(Кутузов) 사령관의 지휘 하에 러시아 군대가 프랑스 군대와 보 로지노 전투에서 싸운 날 (1812) 텐드르(Тендр) 부근에서 Ф.Ф. Ушаков 우샤코프 사령관이 지휘하는 러 시아 기병대가 터키 기병대에 승리를 거둔 날 (1790) 쿨리코보(Кульково) 전투에서 드미트리 돈스코이(Дмитри Донской 대공 이 이끄는 러시아 군대가 몽골-타타르 군대에 승리를 거둔 날 (1380) 국민 화합의 날 (폴란드 침략자로부터 모스크바 해방의 날, 1612)[국가 공휴일]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10월 사회주의대혁명 24주년 기념 군사퍼레이 드를 행한 날 (1941) П.С. 나히모프(Нахимов)사령관이 이끄는 러시아 기병대가 시노프(Сино в)부근에서 터키 기병대에 승리를 거둔 날 (1853) 모스크바 근교에서 독일 군대에 대항에 소비에트 군대가 반격을 시작한 날(1941) А.В. 수보로프(Суворов) 사령관이 이끄는 러시아 군대가 터키의 이즈마 일(Измаил) 요새를 점령한 날 (1790) III. 푸틴과 메드베데프의 전쟁 기억 활용: 러시아 공간 통합 푸틴 시기에도 전쟁의 기억을 정치적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관행은 계속되었다. 하 지만 그 성격과 지향점은 옐친 시기와는 차이점을 갖는다. 탈소비에트 첫 10년을 통치한 옐 친이 당면했던 과제는 무엇보다도 소비에트 시기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국가 이데올로기와 정체성을 확립하고 탈소비에트 이행기 과정이 시작되면서 분열된 국론을 수렴시키고, 국민 39) 신력(그레고리력)으로 전환한 1918년 1월 이전에 벌어진 전투 날짜에 대해서는 구력과 신력과의 차인 13일 을 더한 날짜로 계산되어 법령에 발표되었다. 그러나 구력과 신력의 차가 13일이 나게 되는 것은 20세기 들 어서 이고 그 전에는 시기에 따라 조금이 따르다. 예를 들어 17세기에 양 달력간의 차는 10일이었음. 따라서 역사학에서는 전투 날짜를 법령과는 다른 당시 실제로 일어났던 날짜를 사용한다. Дни воинской славы Р оссии

36 통합을 이루는 것이었다. 40) 따라서 옐친은 전쟁의 기억을 국민 통합과 화합의 기제로 사용 하였다. 하지만 2000년 5월 푸틴이 대통령직에 정식으로 취임하였을 때 그 앞에 놓인 시급 한 문제는 지방 분권주의를 누르고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국내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강한 정부, 강한 국가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그가 대통령에 취임한 바로 그 달에 지방에 대한 중 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을 7개 연방관구로 나누고 각각의 관구에 대통령으로 부터 직접 지시받고 집행하는 전권대표를 파견하였다. 41) 이와 아울러 푸틴 집권 2기 초인 2004년 9월 북카프카스 지역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 이후에는 대통령 이 직접 주지사를 임명하게 하면서 지방분권주의를 억누르고 지방 행정에 통일성을 기하는 노력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푸틴 정부가 2006년 5월 9일 전승기념일에 처음으로 소개한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는 지방에 대한 통제와 국가 통합이라는 목표를 전쟁의 기억을 이용해 이루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메드베데프 정부의 정책에 대해 서는 아직 평가를 내리기가 좀 이른 감이 있지만 중앙-지방 관계와 국내 안보 문제에 대해 서는 푸틴의 관행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 2006년 5월 9일 푸틴 대통령은 군사명예의 도시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칭 호 수여라는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는 법령을 공표하였다. 42) 이 법령은 군사명예의 도시 명 칭은 러시아 연방 내의 도시 중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이나 그 인근 지역에서 조국 수호자들이...용기와 인내 그리고 대중의 영웅적 투쟁을 보여준 도시에 수여 된다 고 밝히고 있다. 43) 이 명칭을 수여 받은 도시에는 도시 문장과 이 명칭에 대한 현판이 부착된 기념탑이 세워지고, 도시 행정부는 매년 군사명예의 날 중의 하나인 2월 23일 조국 수호 자의 날(День защитника Отечества) 과 5월 9일 조국전쟁 승리의 날 (День Победы) 에 공식 추모행사를 거행하도록 규정되어있다. 44)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는 소비에트 시기 영웅 도시(Город-Герой) 를 수여 받은 도시 (만약 러시아 연방 내에 위치한다면)도 받을 수 있도록 규정되어있다. 45) 그 이유는 영웅 도시 는 대조국전쟁 시기의 영웅적 공훈으로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한 점에 대해 수여를 한 것이지만 군사명예의 도시 선정 기 40) 옐친 대통령은 1996년 정부 신문인 로시스카야 가제타(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에 상금 2,000달러를 걸고 전 국민을 통합된 단일체로 묶을 수 있는 국가 이데올로기를 공모한다는 광고를 낼 정도로 국민 통합은 그에게 골칫거리이자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김상현,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문화 상징의 함 의, p ) 정한구, 러시아 국가와 사회, p )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 ) 43)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44)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45)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영웅 도시 칭호 수여 제도는 1965년 브레즈네프 시절에 제정되어 1988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칭호를 수여 받은 도시는 총 13개로 키예프, 세바스토폴, 오데사,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모스크바, 브레스트, 케르치, 노보 로시스크, 민스크, 툴라, 무르만스크, 스몰렌스크 등이다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С СССР от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оложения о высшей степени отличия звании Город герой. (검색일 );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Города герои. ya/html/goroda-geroi.html (검색일 )

37 준은 해당 도시의 대조국전쟁 기간 동안의 경험뿐만 아니라 전 역사에 걸쳐 경험한 전쟁에 서의 공훈을 대상으로 선정하기 때문에 중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이 프로젝트는 소련 시절 영웅 도시 칭호 수여 제도와 무척 유 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주의 깊게 양 제도를 비교해보면 명백한 차이점을 알 수 있 다. 우선 소비에트 시절의 영웅 도시 프로젝트는 1965년부터 1988년까지 23년 동안 13 개의 도시를 선정하고 끝났지만, 군사명예의 도시 는 2007년부터 시행되어 2012년 3월 현 재 약 5년간 이미 37개 도시가 선정되었다. 도시의 전 역사에 걸쳐 다양한 전쟁에서의 공 훈을 선정 기준으로 삼으로써 영웅 도시 대상보다는 훨씬 많은 도시들이 선정되었고 부정 기적(때에 따라 1-2년 또는 8-9년에 한 번씩 선정 발표함)으로 도시를 선정하였던 영웅 도시 의 경우와는 달리 일 년에 1-2번 정도로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는 새로 제정된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가 일회성이거나 근시안적으로 고안된 제도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 명칭을 수여받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먼저 희망 도시들은 자신의 도시가 전쟁 기간 동안 조국수호를 위해 얼마나 큰 기여를 했는가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신청서와 함께 지방 자치 기구에 제출한다. 신청서를 접수한 지방 자치기구는 그 신청서를 상급 기관인 연방주체 정부(주나 자치 공화국 등)에 넘기게 되며 이후 신청서는 대통령이 의장을 맡고 있고 있는 자문 기관인 승리 위원회 (комитет Победа)에 제출된 다. 46) 그러면 관련 기관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칭호 수여 결정을 내리게 된 다. 47) 이 칭호의 수여는 법이 제정된 이듬해인 2007년부터 시작되었는데, 러시아 연방 정 부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평균 3-4개의 도시를 선정해왔다. 그 결과 2012년 3월 현재 총 37개 도시가 이 명칭을 획득하는 영광을 차지하였다. 48) 군사명예 도시 칭호를 수여 받은 도시에는 러시아 연방 정부와 칭호를 수여 받게 된 지방 정부가 마련한 재원으로 기념탑을 짓게 된다. 이 기념탑은 서론에서 언급한 알렉 산드르 기둥 과 무척 흡사하게 생겼다. 단지 규모가 작을 뿐이다. 군사명예의 도시 에 세워 지는 기념탑의 높이는 10m로 알렉산드르 기둥(25m)의 절반이 채 안 된다. 원주 위에는 러 시아 국가 상징인 황금색 쌍두독수리 문양이 세워져 있고 원주의 받침돌에는 대통령의 군 사명예 도시 명칭 수여 포고령이 새겨진 현판과 해당 도시 문양이 부착되어있다. 이 외에도 원주를 중심으로 네 개의 낮은 돌기둥이 세워져있는데 돌기둥에는 대조국전쟁 당시 해당 도 시 시민들의 활약상 및 주변의 지도 등이 묘사되어있는 현판이 부착되어있어 그곳을 찾는 방문객들이 한 눈에 해당 도시가 전쟁 시 세운 공훈을 알 수 있도록 만들게 했다. 49) 46) 승리 위원회는 대통령 산하 자문기관으로서 푸틴이 대통령으로 당선 된 직후인 2000년 8월 5일 대통령령으 로 조직되었다. 당시 위원회의 주요 업무는 옐친 대통령 시기 제정된 전쟁 기억 추모관련 법안들을 효율적으 로 수행을 돕는 것이었다. 따라서 대통령을 포함하여 총 45명으로 구성된 이 위원회의 구성원 중에는 군관련 고위 인사, 퇴역군인 모임 대표, 정부행정 고위직 인사 등이 많이 포함되어있다. Положение о Российском организационном комитете Победа. (검색일 ). 이후 2006년 3월 23일 대통령 포고령은 승리 위원회가 군사명예의 도시 심의의 업 무를 맡도록 규정하였고 이와 함께 러시아 시민들의 애국 교육과 정부 정책을 하나로 융합시키는 업무도 담 당하게 하였다. Положение о Российском организационном комитете Победа. (검색일 ). 47) 승리위원회는 2006년 3월 23일 연방 법령에 따라 군사명예의 도시 선정 업무를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Фе 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48) 이 칭호를 수여 받기 위한 경쟁률은 정확히 알 수 없다. 매년 총 몇 개의 도시가 지원하는지 알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2007년 처음으로 선정 대상을 공모하였을 때 13개의 도시가 지원서를 제출하였고 그중 49) 2010년 7월 필자가 레닌그라드 주에 위치한 루가 도시에서 본 것을 묘사한 것으로 다른 도시에 세워지는

38 2.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의 정치적 함의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는 다중적인 정치적 목적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물론 푸틴 정부가 과연 어느 정도로 이러한 목표까지 미리 내다보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는지는 자료 의 한계 등으로 현재로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군사명예 도시에 선정된 도시에 대 한 분석, 그리고 선정 과정에 얽힌 연방 정부, 지방 정부 및 엘리트들의 담론 등을 분석해 보면 이 프로젝트 수행에 내재된 옐친 및 메드베데프 정부의 정치적 의도를 읽을 수 있다. 1) 중앙-지방의 연결과 러시아 공간 통합 옐친 시기 중앙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많이 상실한 상태였다. 하지만 당시는 탈 소비에트 이행기 과정에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수립하고 분열된 국민을 하나로 단결시키 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였다. 하지만 푸틴이 대통령직을 시작하면서 2000년대 초반 지방의 분권화 경향을 대통령전권대사 파견 등의 특단의 조치로 어느 정도 잠재운 후에 필요한 조 치는 그동안 제각각 색깔을 강조하면서 지방색을 부각시켜온 지방에 어떻게 하나의 통일된 가치를 이식시켜 중앙과 지방을 연결하고 중앙을 중심으로 한 통일성을 증대시키는 가였다.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를 면밀히 살펴보면 푸틴 및 메드베데프 행정부가 이 제도를 통 해 중앙과 지방을 긴밀히 연결시키고자하는 의도를 읽을 수 있다. 푸틴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중 제정된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를 계속 이어 받아 시행하고 있는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 시에게 군사명예 도시 칭호 수여식에서 한 연설 은 러시아 정부의 그런 의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무척 크고 아주 다양한 지역을 가지고 있다. 여기 이 자리에 모인 도 시들도 매우 다르다. 도시의 역사나 건축물 양식 그리고 인구수 또는 산업 잠재력 도 아주 다르다. 심지어 오늘 참석한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와 로모노소프 시와의 거리는 7,000km에 달한다...우리가 지금 행하고 있는 군사명예의 도시 수 여식은 러시아라고 불리는 거대한 땅덩어리에 살고 있는 통합된 국민들의 자기 정체화와 연관된 것이다. 50)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연설은 러시아 공간의 광대함을 강조하면서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 를 광활한 러시아 공간에 일종의 단일한 정체성을 불어넣는 작업으로 보고 있음을 암시해준 다. 실제로 소비에트 시기 유사하게 실행되었던 영웅 도시 프로젝트의 수상자는 주로 대도시였던 반면 군사명예의 도시'에 선정된 절반은 지방에 위치한 인구 10만 미만의 소 도시이다. 이 프로젝트가 공표된 직후인 2006년 6월 트베르스카야 주(Тверская область) 주지사 드미트리 젤레닌(Дмитрий Зеленин)은 지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군사명예의 기념비도 동일한 모양이다. 50) Грамоты о присвоении звания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вручены преставителям Коврова, Ломоно сова, Таганрога и Петропавловска-Камчатского.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и рф/ (검색일 )

39 도시' 법령은 대조국전쟁에서 적을 물리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소도시의 지위를 공식 적으로 인정하는 것 이라고 지적했다. 51) 틀린 말이 아니다. 이들 지방의 소도시가 군사명 예의 도시 칭호를 수여받음으로써 전쟁기간 중 대도시의 희생에 가려서 이들 도시들의 희 생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조명 받지 못했던 상황이 비로소 바뀌게 된 것이다. 52) 더구나 이 프로젝트는 도시의 크고 작음, 그리고 경제력에 따라 차별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지방의 도 시들도 도시의 전쟁 기억을 설득력 있게 구성하여 중앙 정부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되는 것 으로 지방의 중소도시들이 보기 드물게 평등한 기회를 부여받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는 중앙과 지방이 모두 상호이득을 얻는, 즉 윈-윈 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지방의 소도시들에게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를 수여함으로써 중앙 정부는 지방 도시로부터 중앙이 지방을 잊어버리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회가 되며 또한 국가 가 소외된 지역의 가치를 인정하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앙 정부는 지방으로부터의 지지 기반을 다지는 기회도 될 수 있는 것이다. 반 면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지방 도시들도 상당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 예로 첫째, 해당 도 시의 명예가 올라간다는 심리적 보상감이 있을 수 있다. 이 칭호를 받게 되면 모스크바 크 레믈린에 지방 도시 시장, 도지사 등 지방 정부 수장, 지방의 퇴역군인 대표, 학생 대표 등 이 초대되어 수여식에 참가하게 되며,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상장을 받게 된다. 이 행사는 매년 TV와 전국 언론에 보도됨으로써 해당 도시의 지방 정부, 시민들에게는 상당한 영예가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실 홈페이지에도 뉴스 란과 동영상 란 등에 수여식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이 게재되어 해당 도시민들은 자기 도시 대표가 대통령으로부터 군사명예 도시 칭호 증서를 수여 받는 엄숙하고 장중한 예식을 보면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다. 53) 특 히 지방 정부의 경우 중앙으로부터의 관심을 받게 되는 흔치않은 계기가 되는 것이다. 51) Зеленин предлагает присвоить Ржеву звание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РИА Новости (검색일 ). 젤레닌 주지사와 트베르스 카야 주 출신 두마 의원들은 이 법안을 수용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인물들이다. Ibid. 52) 대조국전쟁에서 이들 도시의 역할은 인근 대도시나 군사 시설 등을 지키기 위해 최대한 적의 진격을 막아서 시간을 버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프스코프 주의 루가(Луга) 시의 경우 군사명예의 도시 선정 당시 인구가 5 만 명 미만인 소도시로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조국전쟁과 관련한 그럴 듯한 기념비도 박물관도 없는 상태였다. 레닌그라드에서 남쪽으로 약 130km 떨어져 있어 레닌그라드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이 도시의 공 훈은 레닌그라드로 물밀듯이 몰려오는 독일군에 맞서 이 지역의 민병대와 정규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여 약 한 달간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는 것이다. Alan Clark, Barbarossa: The Russian - German Conflict (London: Cassell, 2005), p 이 덕분에 레닌그라드의 봉쇄가 한 달간 늦어짐으로 해서 많 은 도시민들이 피난을 가고 봉쇄에 대비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독일군과의 전투 이후 루가 시는 점령당해 1941년 8월 24일부터 1944년 2월 12일까지 독일점령지역으로 남아있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2010년에 군사명예의 도시 로 선정된 카프카즈 지역의 잉구세티야 공화국 소재 말고벡(Ма лгобек) 인구 4만의 도시로 루가 시와 비슷한 규모의 소도시이다. 리아 노보스티 기사는 말고벡은 유전 지역 으로 대조국전쟁 당시 유전을 노린 독일군의 공격에 맞서 말고벡 주민들은 맨손으로 대전차 참호를 파면서 항전하여 부근의 소련 군대가 진지를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었다고 말고벡 주민들의 영웅적 행위를 소개하고 있다. 이 전투에서 도시민들은 1942년 9월 17일 하루 동안 20대 이상의 탱크를 파괴하고 2개 중대 를 섬멸한 후 결국 점령당해 이듬해 1943년 1월까지 나치 독일군 지배하에 있었다. Зязиков предлагает п рисвоить Малгобеку звание города вониской славы. РИА Новости (검색일 ). 53) 예를 들어 2011년 6월 22일 행해진 아나파, 스타르이 오스콜, 콜피노 시들에 대한 수여식 장면은 다음의 대 통령실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Вступительное слово на церемонии вручения грамот о присвоении з вания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Предизент России. (검색일 ). 동일한 수여식을 보도한 대통령실 사이트 기사는 Вручены грамоты о присвоении звания «Город в оинской славы». Предизент России. 참조. (검색일 )

40 둘째, 지방 정부 입장에서는 외부로 부터의 관심을 받게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 도의 관광 상품 개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년 승전 기념일 몇 주 전 군사명예 도시 로 스토프-나-다누(Ростов-на-Дону)에서는 1945년 당시 군인들을 싣고 전선으로부터 돌아 오는 열차를 본 딴 "승리(Победа) 열차가 노보로시스크(Новороссийск)로 떠난다. 2010년 의 경우 4월 22일부터 8일 간에 걸쳐서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어있는 이 열차는 로스토프 지역의 퇴역군인을 싣고 노보로시스크로 향하면서 중간에 위치한 군사명예 도시 를 방문하 면서 해당 도시의 퇴역군인들과 만나는 기회를 갖게 된다. 54) 이 열차의 중간 기착지는 군사 명예 도시인 투아프세(Туапсе)를 포함 총 9개 도시인데 이 도시에 정차할 때 마다 역에는 1945년 당시 풍경으로 세팅을 해놓고 퇴역군인들을 맞이하게 되는 행사를 갖도록 기획이 되어있다. 55) 유사하게 모스크바 시는 2011년 6월 추모의 열차 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모 스크바의 퇴역군인들이 5개의 군사명예 도시 (툴라, 오룔, 쿠르스크, 브랸스크, 스몰렌스크) 를 방문하고 돌아오게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군사명예의 도시 들은 외지인들을 끌어들이고 도시 선전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관광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 게 된다. 56) 상호이득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중앙이 얻을 수 있는 이득 이 좀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첫째,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지방과의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지방을 더욱 중앙의 통제 하에 둘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통제 란 푸 틴시기 중앙-지방관계를 논의할 때 많이 사용되는 수직적 권력 (вертикальная власть)의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지방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이 자발적으로 중앙 정부의 정책에 호응하고 참여하게끔 만든다는 것이다. 즉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군사명예의 도시 에 선정 될 경우의 이득 때문에 지방 도시 정부는 자신의 도시를 군사명예 도시 후보에 올리기를 원하며, 이 경우 해야 하는 사전준비 과정에서 더욱 중앙의 눈치를 보게 되고 중앙의 정책 에 호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첫 군사명예 도시가 발표된 직후 푸틴 대통령 보좌관 빅토르 이바노프(Виктор Иванов)는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의 긍정적 효과를 군사명예 도시 칭호 에 응모하는 준비과정에서 찾고 있다. 군사명예 도시 칭호를 받기 원하는 도시는 신청서를 작성해서 승리위원회 에 제출해야 하는데 그 도시가 어떤 점에서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역사적으로 어떤 점에서 국가수호에 기여했는지에 대한 신청서 준비 과정은 해당 도시의 지역 사회, 학자, 젊은이 등이 도시 역사에 대해 열심히 연구하게 만들 것 이라고 이바노프는 내다보았다. 57) 둘째, 해당 도시 정부 및 지역공동체에 자극을 주어 자발적 도시 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 군사명예 도시 선정 심사과정 마지막단계에서 승리위원회 소속원들은 신청서를 낸 도시를 방문해서 전쟁 관련 유적지, 기념탑 등의 상태를 실사하고 해당 도시의 박물관 등이 54) Ретро-поезд Победа отправился из Ростова по городам боевой славы. РИА Новости news/ / html (검색일 ). 55) Ретро-поезд Победа отправился из Ростова по городам боевой славы. РИА Новости news/ / html (검색일 ). 56) Ветераны Москвы на Поезде памяти посетят 5 городов воинской славы РФ. РИА Новости (검색일 ). 군사명예의 도시 아르 한겔스크 시의 경우도 2010년 4월말-5월 초에 이와 유사한 군사명예의 열차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였다. Поез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проедет по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РИА Новости. (검색일 ). 57) Белгороду, Орлу и Курску присвоены звания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РИА Новости (검색일 )

41 얼마나 잘 전쟁관련 역사, 자료 등을 보존하고 있는지 살피게 된다. 58) 후보에 오른 도시들 은 실사단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도시 정비에 많은 힘을 쏟게 될 것이다. 중앙 정부는 도시가 군사명예 도시 로 선정된 이후에도 모범적인 도시로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 년 2월 크레믈린에서 행해진 군사명예의 도시 수여식에서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선정된 도 시의 시정부와 주민들 모두 거주 지역이 [명예 도시라는] 이름에 걸맞아야 함을 알고 있어 야 한다 고 강조하면서 도시가 아름다워야하고, 잘 정비되어있어야 하며, 깨끗하고, 거기에 사는 사람들이나 출장으로 방문한 사람 또는 여행객들에게도 아주 따뜻한 느낌을 불러일으 키는 곳이 되야 한다 고 강조했다. 59) 결국 중앙 정부는 군사명예 도시의 지위를 수여받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에 응당한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도시 발전에 자발적인 역할 및 참여가 필수적임을 각인시켜 주고 있다. 셋째, 중앙 정부는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러시아 공간에 가 시적(또는 물리적)이자 정신적인 통일성을 불어넣고 있다. 이 칭호를 수여받은 도시에는 앞 서 언급했듯이 약간의 변형은 있지만 거의 같은 모양의 기념탑이 세워진다. 바로 이렇게 똑 같이 생긴 모양의 기념탑이 30여 개의 도시에 세워졌고, 앞으로도 세워질 것이다. 이는 곧 이 기념탑이 지방 주민들에게 하나의 통일되고 공통된 구심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 는 점이다. 왜냐하면 이 기념탑에 부착된 대통령령의 군사명예 도시 수여 현판과 기념비 꼭대기의 러시아 국가의 상징 쌍두독수리는 지방 도시민들에게 국가의 존재에 대해 각인시 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통합을 목적으로 한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의 활용의 구체 적인 예로서는 2007년 푸틴 정부가 북카프카스 지역의 블라디카프카스, 말고벡를 군사명예 의 도시로 선정한 사실을 들 수 있다. 사실 2000년 초반까지 카프카스지역의 분리주의자들 과 지리한 전쟁을 벌여왔던 푸틴 대통령의 정책을 고려하면 그동안 부정적인 측면으로만 러 시아 국민과 언론에 비춰졌던 카프카스 지역에 위치한 이들 도시가 군사명예 도시에 선정되 었다는 사실은 의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 결정을 카프카스 지역에 대한 푸틴 정부의 화해 전략으로의 전환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체첸을 비롯 분리주의자들에게 무력을 사용하여 강력하게 대응해왔지만 러시아가 이들 세력을 어느 정도 평정한 2000년 대 초 중반 이후 전략을 수정하였다는 것이다. 그 첫 일환으로 이 지역 도시에 군사명예 도 시 칭호를 수여하여 그동안 반모스크바적이고 반애국적인 이미지로 비쳐왔던 이 지역이 애 국적인 전쟁의 기억 60) 을 발굴하고, 개발하도록 하여 국가 통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 도록 한다는 것이다.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는 지방의 여러 도시에 동일한 모양의 기념탑을 세우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거기에서 더 나아가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2010년 5월 8일 대조국전쟁 승리 65주년에 맞춰 모스크바 크레믈린 옆 알렉산드로프 공원에 당시까지 수여 58) 예를 들어 군사명예 도시 신청서를 제출한 블라디카프카스(Владикавказ)에 대한 승리위원회 실사단의 방 문( ) 활동에 대한 시 홈페이지에 실린 기사 및 사진 참조. АМС г. Владикавказа. id=11141 (검색일 ). 59) Грамоты о присвоении звания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вручены преставителям Говрова, Дом оносова, Таганрога и Петропавловска-Камчатского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и. нт.рф. (검색일 ). 60) 블라디카프카스 전투의 경우 1942년 카프카스 지역에서의 독일군에 대해 첫 승리를 거둔 전투로 향후 스탈 린그라드에서의 승리를 예견할 수 있게 한 전투로 평가받고 있다. 같은 해 있었던 말고벡 전투의 경우 독일군 의 작전을 좌절케 하여 스탈린그라드로 병력을 이송하지 못하게 했던 점에서 대조국전쟁에서의 기여점을 평 가 받고 있다. Нескольким российским городам присвоенно почетное звание. РИА Новости. 2007, (검색일 )

42 된 27개 군사명예의 도시 의 이름을 새긴 붉은 대리석 기념비 준공식을 가졌다. 61) 모스크 바 크레믈린 옆에 세워진 군사명예의 도시 이름을 새긴 기념비는 보는 이로 하여금 이들 도 시에 전쟁의 기억 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부여하면서 이들 도시들을 하나로 묶음과 동시에 이들 도시를 하나로 묶은 주체는 모스크바 즉 중앙 이라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바로 러 시아 공간을 통합하면서 통합의 중심은 중앙이라는 것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2) 국경지방 안보의식 강화 군사명예 도시 프로젝트에 최근 선정된 도시를 보면 푸틴과 메드베데프 정부는 전 쟁의 기억 을 이용하여 중앙과 지방의 심리적 간극을 줄이고, 지방을 중앙의 이데올로기(즉, 애국심)로 자발적 으로 끌어들여 러시아 공간을 통합하는 데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 의 적으로부터 국가 안보의 수호 그리고 국경지역의 안보의식 강화를 위해서도 활용하고 있 음을 보여준다. 러시아 지도부의 그 같은 의도는 2010년과 2011년에 선정된 도시들에 나타나있 다. 먼저 양 해에 선정된 도시들의 특성을 살펴보자. 이 시기 선정된 도시들의 특징 중의 하나는 이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처음으로 극동의 도시가 선정되었다는 점이다. 소비에트 시기의 영웅 도시 프로젝트에서는 물론이고 군사명예의 도시 선정에도 대부분의 도시는 유럽 러시아 지역에 위치한 도시들이었다. 하지만 2011년의 경우는 달랐다. 그 해 선정된 도시 중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Петропавловск-Камчатский) 시의 경우 타도 시에 비해 대조국전쟁뿐만 아니라 여타 전쟁에서의 역할은 무척 미비한 편이었다. 유럽 지 역 국경지대에 위치한 도시들은 조국전쟁( ), 대조국전쟁 또는 그 이전의 전쟁에 서 주요 전장( 戰 場 )이 되었고, 많은 경우 적군에게 수년간 점령당하는 고초를 겪었다. 하지 만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의 경우 격전지가 되거나 또는 엄청난 희생자가 생기고, 점령된 적은 없었다. 한 예로서 대조국전쟁 시의 경험을 살펴본다면, 이 도시는 1945년 8 월 초 소련이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한 직후 이 도시에 주둔하던 소련 군대가 쿠릴열도에 상 륙해 일본군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내고 열도를 소련 영토로 만들었다는 것이 이 도시의 전시 경험 전부이다. 62) 이 상황에서 일본군과의 치열한 전투도 없었고, 사상자도 거의 없었다. 그렇다면 메드베데프 정부가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키를 선정한 배경은 무엇 인가? 페트로바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가 선정되기 전의 외교안보 상황을 살펴보면 그 배경 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 3월 일본 정부는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에서 남쿠릴열 도가 4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본 고유의 영토인데 러시아가 불법 점거하고 있는 상태 라고 기술을 하였다. 63) 이에 블라디미르 포포프킨 러시아 국방차관은 최근 일본의 영 토 요구가 러시아에게 위협이 된다 고 우려를 표명했다. 64)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 정부는 9월 2일을 제2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로 공식 선포하고 모스크바 승리 공원 에서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65) 하지만 일본측 입장은 일본이 비록 1945년 9월 2일 무조건 항 61) Медведев считает важным присутствие Януковича и Лукашенко в Москве. РИА Новости news/ / html. (검색일 ). 62) История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ода Петропавловска-Камчатского. Администрации Петропавловск-Камч атского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 (검색일 ) 63) 러시아 신형 군함 구임, 日 경고 위한 것, 아시아투데이. or.kr (검색일 ), 64) 러시아 신형 군함 구임, 日 경고 위한 것, 아시아투데이

43 복 문서에 서명을 했지만, 실제로 일본이 종전을 인정한 것은 8월 15일이기 때문에 종전일 을 8월 15일로 본다. 따라서 일본은 종전을 한 8월 15일 이후에도 소련이 극동에서 전투를 계속하여 남사할린과 쿠릴열도를 점령한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66) 이런 상황에서 메드베데 프 대통령은 2010년 11월 1일 소련 시기이래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쿠릴 열도 중 일본 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최남단 섬 쿠나시르(Кунашир)를 전격 방문하였다. 67) 이 섬을 방 문한 것은 소련 시기를 포함해 러시아 국가 원수로서는 최초의 전격 방문이었다. 메드베데 프 대통령의 방문 직후 일본 정부는 주일 러시아대사를 불러 항의하는 등 무척 민감한 반응 을 보였다. 68) 러시아-일본 사이에 쿠릴열도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웠던 이듬해인 2011년 11월 4일,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를 군사명예의 도시 로 선 정한 것은 일본과 쿠릴 열도를 둘러싼 영유권 문제와 결코 무관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위 에서 설명했듯이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는 바로 1945년 8월 당시 일본이 점령하 고 있던 쿠릴 열도를 소련 영토로 접수하였던 소련 상륙부대의 기지가 있었던 곳이기 때문 이다. 메드베데프 정부는 이 도시를 군사명예 도시 로 선정함으로써 정치적, 외교적 목적 을 달성하려 고 있었을 것이다. 러시아 정부가 비록 모스크바로부터 수천 km 떨어져 있지 만 이 지역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고 중요한 지역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러시아 국민들, 극동지역 주민들에게 각인시키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심지어는 일본에게도 경고하는 효 과를 얻고자 하였을 것이다. 중앙 정부의 이런 의도를 지방 정부는 적절히 수행하였다. 페 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 시는 시행정부 지도자들은 2012년 2월 23일 모스크바 크레 믈린에서 열린 군사명예도시 칭호 수여 기념식에서 돌아온 직후 군사명예 도시 칭호를 받은 것에 대해 주민들의 정신 교육 을 개시하였다. 시 정부는 메드베데프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군사명예 도시 증서를 몇 일간 지역 학교와 대학교에 전시하여 학생들이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였다. 69) 이 외에도 지역의 중등학교 두 군데 (школа No.30 & 36) 그 리고 캄차트카 국립대학교와 종합기술교육 대학에 칭호 수여에 대한 명예장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70) 더구나 캄차트카 주지사 블라디미르 일류힌(Владимир Илюхин)은 캄차트카 주 의 수도인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가 군사명예의 도시 로 선정된 것을 기념하는 의 미에서 올 3월부터 매일 정오 특별히 제작된 대포에서 공포탄을 쏘는 것을 새로운 전통으 로 만들 수 도 있다고 밝혔다. 71) 메드베데프 정부는 군사명예 도시 칭호 수여를 통해 국경 65) В День окончания Второй мировой войны на Поклонной горе в Москве появился партизанс кий лагерь ИТАР-ТАСС. (검색일 ). 66) "China, Russia team up on territorial claims," Daily Yomiuri Online. 요/national/T htm (검색일 ). 67) 메드베데프, 쿠릴열도 남방 섬(일본명 북방영토) 전격 방문 日 러 '영토 갈등'도 재점화, 조선일보, (검색일 ). 68) 메드베데프, 쿠릴열도 남방 섬(일본명 북방영토) 전격 방문 日 러 '영토 갈등'도 재점화, 조선일보, ) 캄차트 주 정부 사이트에 게시된 뉴스 보도. На Камчатке торжественно встретили грамоту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검 색일 ). 모스크바에서 7,000-8,000 km 떨어진 이곳의 학생들에게 며칠 전 메드베데프 대통령으 로부터 직접 받은 증서를 볼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새로운 경험일 것이고, 지역 주민으로서 자랑스러운 일이 며, 나아가 조국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70) На Камчатке торжественно встретили грамоту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71) На Камчатке торжественно встретили грамоту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44 지역 도시에 분명 경각심, 애국심 고취 기회를 만들었다. 중앙의 전쟁의 기억을 이용한 정 책이 수 천km 떨어진 변방 의 주민에게 애국심, 국가 정체성을 새롭게 이식하면서 러시아 공간을 하나로 묶는 효과를 얻은 셈이다. 이와 비슷한 예를 러시아 남쪽 국경 북카프카스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메드베 데프 정부는 2010년 3월 조지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의 수 도 날칙(Нальчик)에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를 수여하였다. 사실 날칙의 역사를 살펴보면 최 근의 조지아와의 무력 충돌로 인한 국경 지역의 안보 의식 강화 목적이외에 왜 이 도시가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를 수여 받아야 하는지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여타 도시와는 달리 비 교적 늦은 18세기 중반에 생겨난 도시인 날칙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외부의 적과 전쟁을 벌일 기회가 거의 없었다. 날칙 시의 공식 홈페이지의 도시 역사 소개에 설명된 대조국전쟁 이 이 도시가 외국의 적과 싸우게 된 첫 번째의 전쟁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기간 동안의 전 투 경험 및 전쟁 승리 기여도도 여타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를 받은 도시들에 비해 상당히 약한 편이다. 72) 그리고 날칙 시의 홈페이지에 군사명예의 도시 관한 섹션은 별도로 마련 되어있지 않고,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홈페이지도 마찬가지이다. 73)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때 여타 군사명예 도시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관련 정보와 뉴스 등과 비교해볼 때 이 도시 의 군사명예 도시 칭호 수여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지극히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실 2010년 5월 4일 크레믈린에서 거행된 군사명예 도시 수여식 연설에서도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소개한 날칙 시의 전쟁 기억 에 대한 소개도 무척 간결하고 추상적이다. 그날 볼 로콜람스크, 브랸스크, 브이보르그, 카랄치-나-도누 시의 대조국전쟁 시 공훈과 적과의 투 쟁에 대해서는 제법 상세한 설명을 곁들였지만 날칙 시에 대해서는 단지 카프카스 전선의 우리 군대가 석유산업 시설과 흑해 항구를 점령하려는 적의 기도를 분쇄했다 라고만 설명하 고 있다. 74) 그렇다면 왜 메드베데프 정부는 별로 인상적이지 않은 전쟁 기억 을 가지고 있 는 날칙 시에 명예의 칭호를 수여하였을까? 우리는 그 배경을 캄차트카 반도에 위치한 페트 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 시의 경우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대신 날칙의 경우 일본 이 아니라 조지아(구 그루지아)였다. 주지하듯 2008년 8월 조지아-러시아 간에 남오세티아 분리 독립 문제로 전쟁이 발발하였고, 75) 종전 이후에 러시아는 조지아의 자치공화국이었던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의 독립을 승인하고 이 지역에 치안 유지 명목으로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이 지역에서 긴장은 계속되고 있었다. 76) 이런 상황에서 2010년 메드베데프 정부는 조지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 72) История Нальчика. Нальчик - столца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ии. (검색일 ). 날칙 시의 홈페이지 73) 날칙 시 홈페이지 공화국 홈페이지 74) Вручены грамоты о присвоении звания 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 и. (검색일 ). 75) 러시아 부국방장관 니콜라이 판코프 장군은 2009년 2월 2l일 에호 모스크브이 라디오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2008년 8월 8일부터 8월 24일까지 계속된 러시아-조지아 전쟁에서 러시아 벙사 64명이 사망하고 283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반명 조지아 측은 민간인 228명, 군인 169명이 사망하였다. 한편 전장이 되었던 남오 세티아 지역에서는 남오세티아인 2,000명이 사망하였다. Russia Lost 64 Troops In Georgia War, 283 Wounded," Dalje.com. (검색일 ). 76) A Year After Russia-Georgia War -- A New Reality, But Old Relations, , Radio Free Europe Radio Liberty. A_New_Reality_But_Old_Relations/ html; 조지아 방송국 폭탄 2개 발견 "러시아 소행," 조선일보

45 는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의 수도 날칙을 군사명예의 도시 로 선정한 것은 이 지역 주 민들에게 외국의 적에 대한 경계심을 일깨워 주려는 의도로부터 나온 결정이라고 볼 수 있 다. 표-2 <군사명예의 도시> (2012년 3월 현재) 도시 (주/공화국) 인 구 ( 명 ) (2002년) 수여년도 1 쿠르스크 Круск (쿠르스크 주) 412, 벨고로드 Белгород (벨고로드 주) 337,030 3 오룔 Орёл (오룔 주) 333,310 4 블라디카프카스 Владикавказ (북오세티아 공화국) 315, 말고벡 Малгобек (잉구세티아공화국) 41,876 6 르졔프 Ржев (트베르 주) 63,729 7 옐냐 Е льня (스몰렌스크 주) 10,798 8 옐례츠 Елецъ (리페츠크 주) 116,726 9 보로네쥬 Воронеж (보로네쥬 주) 848, 루가 Луѓа (레닌그라드 주) 40, 폴랴른니 Поля рный (무르만스크 주) 18, 로스토프-나-도누 Ростов-на-Дону (로스토프 주) 1,068, 투아프세 Туапсе (크라스노다르 변강) 64, 벨리키 루키 Велиќие Луќи (프스코프 주) 104, 벨리키 노브고로드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노브고로드 주) 216, 드미트로프 Дми тров (모스크바 주) 62, 뱌지마 Вязьма (스몰렌스크 주) 57, 크론슈타트 Кроншта дт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43, 나로-포민스크 Наро-Фоминск (모스크바 주) 70, 프스코프 (프스코프 주) 202, 코젤스크 Козе льск (칼루가 주) 19, 아르한겔스크 Архангельск (아르한겔스크 주) 356, 볼로코람스크 Волокола мск (모스크바 주) 16, 브랸스크 Брянск (브랸스크 주) 431, 날칙 Нальчик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274, 비보르그 Выборг (레닌그라드 주) 79, 칼라치-나-도누 Кала ч-на-дону (볼고그라드 주) 26, 블라디보스톡 Владивосток (프리모르스카야 변강) 594, 티흐빈 Тихвин (레닌그라드 주) 63, 트베르 Тверь (트베르 주) 408, 아나파 Ана па (크라스노다르 변강) 53, 콜피노 Ко лпино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136, 스타르이 오스콜 Ста рый Оско л (벨고로드 주) 215, 코브로프 Ковро в (블라디미르 주) 155, 로모노소프 Ломоно сов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37, 타간로그 Таганрог (로스토프 주) 281,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트스키 Петропавловск-Камчатский (캄차트카 주) 198,028 (검색일 )

46 IV. 결 론 지난 탈소비에트 20여 년간 옐친과 푸틴, 메드베데프 모두 국가 통합을 이루고 새 로운 국가 정체성을 세워나가는데 전쟁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옐 친 시기는 보통 소비에트적 가치와 단절을 꾀한 시기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가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여느 지도자가 그렇듯이 과거와의 완전한 단절을 이룰 수는 없었다. 특히 대 조국전쟁에 대한 전쟁의 기억은 소련의 역사적 경험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더욱 특이한 것이다. 그 이유는 그 어느 국가 보다 희생이 컸지만 그 희생을 딛고 궁극적으로 승리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옐친은 새로운 상징과 가치를 내세워 국가 정 체성을 만들고 국가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지만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 과정에서 옐친 정부 는 과거 소비에트 시기의 가치, 기억 중에서 대조국전쟁에 대한 기억이 국민들 사이에 가장 부정적인 가치가 적게 내재되어있고 그러므로 그 문제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합의에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당시 급진적인 시장자본주의로의 이행과정에 적응하지 못하는 시민들을 포 섭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이데올로기 는 바로 대조국전쟁의 기억 임을 옐친 정부는 잘 알 고 있었다. 그 때문에 그는 반대세력을 포용하는데 있어 군사퍼레이드와 같은 소비에트식 형태의 전쟁의 기억을 활용함과 동시에 레닌 묘의 위병과 같은 사회주의 상징과 경쟁하는데 전쟁의 기억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전쟁 기억의 범위를 대조국전쟁에서 러시아가 겪은 모든 전쟁으로 확대함으로서 소비에트 체제와 전쟁의 기억을 확대 재정의하 고 이전 시기와 차별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옐친을 계승한 푸틴 시기 전쟁 기억 활용 배경 및 목적은 옐친 시기와는 달랐다. 옐친 시기는 소련 붕괴 후 첫 10년의 이행기로 신구 국가 정체성의 공존 및 혼란으로 특성 지울 수 있는 반면, 푸틴 시기는 강력한 국가와 애국주의라는 국가 정체성의 방향은 정해졌 지만 옐친 시기 지방 분권화 경향의 심화에 따른 지방 세력의 통합이 우선 과제였다. 푸틴 정부는 전쟁의 기억을 주로 분권화된 지방에 통일성, 통합된 가치를 부여하는 데 사용하고 자 하였다. 이런 의도에 의해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가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전 쟁의 기억을 이용해 지방의 도시들을 국가 이데올로기를 자발적으로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앙은 러시아 공간을 물리적으로 정신적으로 통 합하는 목표를 이루어 나가고 있다. 푸틴 및 메드베데프 정부는 한편으로는 이 프로젝트를 외부의 적에 대항해 국가 통합을 이루는 도구로도 사용하고 있다

47

48 이주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장: 코미민족을 중심으로 김 혜 진 (한국외대 HK 연구교수) Ⅰ. 서론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전역에서 일어난 이주현상은 많은 사회적 이슈를 낳았으며, 다양 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를 주목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러시아 영토에서 이루어진 이주는 오래 전부터 존재해 왔다. 단적인 예로, 현재 러시아인이 러시아 내 대부분의 민족 공화국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러시아인이 그들의 전통적인 거주지를 떠나 러시아 구석구석으로 이주해 갔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러시아인 외에도, 러시아에 존재 하는 수많은 민족들의 경우를 따져본다면, 이들이 고유의 민족영토를 떠나 러시아 전역 혹 은 러시아 너머로 이주한 예는 수없이 많다고 할 수 있겠다. 러시아에서 일어나는 이주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소련 붕괴 후 발생한 이주의 흐름과 특 징, 그로 인해 발생한 여러 문제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국내에서도 러 시아에서 일어나는 이주현상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들이 행해져 왔으나, 러시아에 거주하는 민족별로 그 이주사를 다룬 연구들은 사실상 많지 않다. 2) 개별 민족들의 러시아 내 이주를 연구하는 것은 러시아라는 국가의 구성원이 된 그 민족 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는 동시에 현재 러시아의 다양한 민족 간 형성된 복합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바탕이 된다. 이 글은 러시아 내 수많은 민족들의 이주역사를 연구하려는 기획의 한 부분으로, 러시아 북서부에 거주하고 있는 코미민족의 예를 들고자 한다. 러시아에서 거주하는 코미인들의 대부분이 자민족 영토, 즉 코미공화국에 거주하고는 있지만, 역시 많은 수가 인근 우랄지역이나 시베리아 지역을 비롯하여 모스크바, 상트 페테 르부르크 등 러시아 중심지까지 분포하고 있다. 이 글은 코미인들이 민족영토를 떠나 자신 의 생활공간을 확장해 가는 과정을 추적하여, 현재 존재하는 러시아 영토 내 코미 디아스포 라의 형성 역사를 되짚고자 한다. 이때 역사적인 시기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원정이 시작된 16세기부터 집단화 정책이 시행되었던 1930년대까지로 잡았다. 스탈린의 집단화 정책으로 1) 몇 가지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Попков В.Д. Феномен этнических диаспор. М., 2003; Рязанцев С. В. Трудовая миграция в странах СНГ И Балтии. М., 2007; Савва М. Армяне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края в контексте современной миграционной ситуации // 21-й век No. 2. С ; Grahan Smith & Andrew Wilson, "Rethinking Russia's Post-Soviet Diaspora: The Potential for Political Mobilization in Eastern Ukraine and North-East Estonia," Europe-Asia Studies, Vol. 49, No. 5, 1997, pp 등. 2) 김재기, 이봄철,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러시아 볼고그라드 재이주현상, 한국동북아논총 제40권 (2006), 쪽; 김태연, 현대 러시아에서의 이주와 루스끼 민족주의: 구소련 공화국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제47권 4호 (2007), 쪽; 김혜진, 러시아 내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의 형성과 특 징, 슬라브학보 제25권 2호 (2010), 1-27 쪽; 최우익, 러시아내 국제이주민 유입양상의 변화와 전망에 대한 고찰, 슬라브학보 제24권 4호 (2009), 쪽 등

49 집단농장을 벗어난 이주는 사실상 금지되었고, 소비에트시기 내내 주목을 끌만한 이주현상 이 없었기 때문이다. 소련이 붕괴된 후 이루어진 코미인들의 이주는 분산된 형태로 더 다양 한 지역으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특정지역은 형성되지 못하였 다. 현재 코미공화국 너머 거주하는 코미인들, 다시 말하자면 러시아 내 코미 디아스포라는 북우랄과 튜멘주, 콜라반도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미 16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발생한 이주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코미인들이 이주한 지역이 수시로 오가는 장소가 아닌, 새로운 삶의 공간으 로 확장되고 정착하는 과정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코미인들이 민족영토를 떠나 게 된 배경과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정착한 지역의 특징과 그 곳에서의 적응과정에 대 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경제적인 정착뿐만 아니라, 주변 민족과의 교류와 관계형성을 통한 사회문화적인 적응과정도 함께 보도록 한다. Ⅱ. 코미인들의 이주 배경과 원인 2.1. 코미영토의 상황 많은 역사가들은 코미 민족이 11세기 무렵 코미영토의 남쪽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고 본다. 고대 코미인들은 주요 강들, 스이솔라 강(р. Сысола), 브이체그다 강(р. Вычегда), 브이미 강 (р. Вымь) 등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이루었다. 현재 코미공화국의 영토는 남북으 로 긴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경 지 부족으로 남쪽의 코미인들이 북쪽지역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코미땅은 12세기경부터 노브고로드 공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모스크바 공국이 러시아 를 통합함에 따라 14세기 중반부터 자연스럽게 모스크바 공국으로 편입되었다. 16세기 이 반 4세의 명에 따라 우랄 산맥 너머 시베리아 원정이 시작되었는데, 이 시기 코미인들은 러 시아어를 익히고 이미 정교로의 개종을 마쳤을 만큼 러시아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다. 게다 가 코미 사냥꾼들이나 모피를 교역하던 장사꾼들은 오래 전부터 우랄 산맥 너머로의 길과 그곳에 사는 민족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시베리아와 러시아, 양쪽 민족과 문 화에 익숙한 코미인들은 시베리아 원정에서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하였다. 코미인들은 원정 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 편입된 영토 내 도시 및 요새 건축에도 동원되었다. 3) 이 시 기 시베리아 지역에 새롭게 생긴 많은 도시들, 예를 들면 튜멘, 토볼스크 등에 정착하게 되 었다.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코미 지역에서 시베리아로 떠난 사람들은 약 2,000~2,50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4) 이주민들은 관리, 군인부터 시작하여 상인, 수공업자, 사냥꾼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었다. 시베리아로 떠난 코미인들은 원래 가지고 있던 성 보다 이들의 출신지 이름에서 딴 별명으로 자주 불렸다. 예를 들면 브이체그다(Вычегда)에 서 온 코미인은 브이체그자닌(Вычегжанин), 브이미 강(Вымь) 출신은 브이미틴(Вымитин), 3) Морозов В.М., Пархимович С.Г. Миграции древних коми в Нижнее Приобье // Известия Ураль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97, 7, С ) Жеребцов И.Л., Жеребцов Л.Н. На восток, в просторы "Сибирской украйны" // Родники пармы. Сыктывкар С

50 페초라 강(Печора)에서 온 사람들은 페초라라고 불렸으며, 이들의 이름을 딴 마을들도 생겨 났다. 5) 이 시기 러시아 정부의 시베리아 원정이 계속됨에 따라 17세기 말에는 코미인들의 거주지도 이르쿠츠크까지 확장되어, 자바이칼 지역에는 코미인을 일컫는 즈이랸 에서 기원 한 즈이랸스카야(Зырянская) 라는 마을이 생겨났다. 6) 17세기 러시아의 중앙집권화로 야렌스크 현(현재 코미공화국의 수도인 Сыктывкар 부근) 에 짜르가 임명한 군사령관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러시아의 지배가 시작되었고, 이와 함께 러시아인들(관리, 전문사냥꾼 등)의 이주가 증가하였다. 러시아인들의 이주까지 더해지자, 코미 남쪽의 인구는 점점 많아졌고, 이 시기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북쪽지역으로의 이주 가 증가하였다. 코미 북부로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코미땅은 남부와 북부 간의 문화적 차이 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자연환경과 그에 따른 경제활동에 의한 것인데, 툰드라와 가 까운 북부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웃민족인 네네츠인들에게서 순록사육업을 전수받아 생업으로 삼게 되었다. 이들을 코미-이제메츠(коми-ижемцы)라고 부르는데, 7) 이들은 순록 유목을 위해 네네츠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의 우랄 동쪽 지역까지 오가게 되었다. 뿐만 아 니라, 많은 이제메츠인들은 곳곳을 돌아다니며 교역활동을 전개하였다. 19세기 중반부터는 코미인들에게 있어 새로운 이주가 시작되었다. 인구증가로 인한 거주 지와 경제활동 공간의 부족은 코미 땅 밖으로의 이주를 야기시켰다. 이 시기 이루어진 이주 는 출신지와 이주방향에 따라 그 특징을 달리 하고 있다. 북부의 이제메츠인들은 우랄 동쪽 으로 이주하였던 반면, 남부지역에 주로 거주했던 코미인들은 서시베리아의 남쪽으로 이주 하였다 이주 원인과 배경 인구경제학적 원인 코미인들의 이주를 낳게 한 가장 주요한 배경으로는 인구학적 요인과 경제학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인구증가로 인해, 마을은 이미 포화상태가 되었고, 이들의 전통생업이었던 사냥과 어업, 그리고 농업에 필요한 영지가 부족해졌다. 코미인들은 숲을 태우거나 나무를 잘라 농 지로 개간하거나 집을 건축하여 새로운 마을을 구성하려 했지만, 당시의 원시적인 기구로는 한계가 있었으며, 나무를 베어 숲을 없애는 일은 여전히 사냥을 생업으로 하는 많은 코미인 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했다. 농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는 경작과 가축 부양을 위한 더 많은 영지가, 순록을 사육하는 사람들에게는 순록을 방목할 넓은 땅이 필요하였다. 즉, 경제생활 을 영유하기 위해 환경이 유사한 지역으로 이주하게 된 것이다. 또한 교역에 종사했던 사람 5) Жеребцов И.Л., Участие коми в освоении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 конце XVI - XVIII вв. (검색일: ) 6) 즈이랸 은 코미인의 민족명칭이자 당시 이웃 민족들이 이들을 지칭했던 명칭이다. 이 지역 외에도 코미인들이 이주해 간 지역에는 즈이랸 이라는 이름을 딴 마을, 거리 등이 존재하였다. 7) 코미민족은 크게 주( 主 )민족인 코미-즈이랸인(коми-зырян)과 코미 북부에 형성된 코미-이제메츠인(коми-ижемцы), 그리고 현재 페름 주에 거주하는 코미-페르먁인(коми-пермяки)으로 나눠볼 수 있다. 코미 라는 하나의 민족뿌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각각의 하부그룹은 언어, 문화, 정체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51 들의 경우, 우랄과 시베리아 지역과의 교역관계를 좀 더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정치적 원인 앞서 언급했듯이, 코미인들이 코미 땅 너머로 이주하게 된 원인 중 하나는 지배세력의 정 치적 결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 공국은 코미 땅을 자신의 영토로 편입시키는 것 외에도, 코미 영토를 좀 더 동쪽으로의 영토 확장을 위한 하나의 기점으로 삼았다. 이들은 오비강 하류 지역을 개척하는데 있어 코미인들을 적극 활용하였다. 코미 땅 이 공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자발적으로 공국의 세력이 덜 미친 우랄 산맥 동쪽으로 이주한 코미인들도 있었으며, 공국이 정복한 새로운 영토에서 도시와 요새를 건축하는데 동원된 코 미인들도 있었다. 이 시기는 코미-이제메츠인들이 형성되기 전이므로, 공국에 의해 이주된 코미인들은 주로 브이체그다와 브이미 강 유역, 다시 말하자면 코미영토의 남쪽에 거주하였 던 코미인들이었다. 국가 정책에 동원된 코미인들은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이르쿠츠크, 야 쿠티야, 추코트카 등의 원정에 참여하였다. 자연재해적 원인 코미인들이 우랄 동쪽으로 이주하게 된 것은 시베리아 원정이라는 정책적인 의도뿐만 아니라, 17세기 초반 몇 년 간 지속되었던 흉년에 의한 것이기도 하였다. 19세기 후반에는 당시 할메르-유(р. Хальмер-ю)와 나로다 강(р. Народа) 상류 지역에서 방목하던 순록들이 전염병에 걸리게 되었다. 8) 순록의 무리는 크게는 마리, 작게는 마리의 순록으로 구성되는게 일반적이었으나, 당시 많은 순록들이 병으로 인해 죽어 버렸고, 순록사육업자들은 중요한 교통수단이자 음식 공급원, 그리고 중요한 상품이었던 순록을 잃게 됨으로써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이들은 전염병을 피해 야순트 마을(п. Ясунт) 등 만시족들이 살던 지역으로 온 것이 이주해 왔다. 9) 자연재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기후의 변화도 이주의 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소빙하기 가 계속되었던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에 비하면, 19세기 초반부터는 기후가 좋아지 면서 좀처럼 진출하기 힘들었던 북동지역 등지의 이주를 가능하게 하였다. 10) Ⅲ. 주요 이주지역 1. 북우랄 지역 코미인들이 가장 먼저 이동한 곳은 지리적으로 근접하면서 자연환경이 유사하여 그들의 8) 할메르-유 지역은 코미공화국의 최동북단인 보르쿠타 부근이며, 나로다 강은 코미와 면하고 있는 한티-만시 자치구의 북서부에 위치해 있다. 9) 10) Жеребцов И.Л. Тысячелетие народа коми: время, климат, человек // Природа (0720) - 4 -

52 경제활동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우랄 산맥의 동쪽이었다. 순록방목과 교역활동을 위해 이 지역을 자주 넘나들었기 때문에 이곳은 이미 코미인들에게 낯익은 장소였다. 정착을 목적으 로 이 지역으로 이동한 코미인들의 수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그 수가 많아짐에 따라 자연스 럽게 코미인들의 집거지가 형성되었다. 19세기 북동 지역에 형성된 마을로는 베료좁스키 지 역(Берёзовский район)의 사란파울(Саранпауль), 살레하르드(Салехард, 이주 당시 이름은 오브도르스크 Обдорск)과 무지(Мужи)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살레하르드와 무지는 야말- 네네츠 자치구에 속해있으며, 사란파울은 한티-만시 자치구에 위치해 있다. 사란파울 무지 살레하르드 그림 1 우랄 북동쪽의 코미 이주지 코미 민족 중에서도 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코미-이제메츠인들이 주로 이 지역으로 이주 하였다. 첫 번째 이주가족은 1842년에 등장한 것으로 기록에 나와 있다 11). 이들은 랴핀 강 (р. Ляпин) 유역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매년 이젬쯔인들이 합류하기 시작하였 다. 이 지역에 정착한 코미인들은 이 지역을 랴핀 이라고 불렀지만,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 에 살고 있던 만시족들은 사란파울(Саранпауль) 이라고 불렀다. 사란파울 은 만시어로 즈 이랸 마을 이라는 뜻이다. 순록업과 교역활동을 주업으로 삼았던 코미-이제메츠인 덕분에 이곳은 곧 교역도시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소비에트 정권 이후에는 순록사육 국영농장으로 유명한 곳이 되었다. 12) 뒤이어 코미인들은 좀 더 북쪽의 다른 지역에도 정착하기 시작하였는데, 1853년에는 오 브도르스크에 첫 번째 코미 가족이 정착한 이후, 조금씩 가구수가 늘어갔다. 1863년부터 1899년까지는 거의 매년 1가구에서 5가구가 이주해 왔다. 그 결과 년 이 지역 에는 코미인들의 총 22가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오브도르스크에 코미인들이 늘 어나는 시점, 베료조보 시(г. Берёзово)와 무지 마을(село. Мужи) 등 우랄 동쪽의 다른 지 11) 12) 1961년에는 사란파울 순록사육 국영농장에는 14개의 순록사육 작업팀(브리가다)이 일하고 있었고, 총 2만 마리의 순록들을 사육하였다. Жеребцов И.Л. Переселение за Урал и на Коль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검색일: ) 13) 위의 글

53 역에서도 코미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렇듯 우랄산맥의 북동 지역에 거주하는 코미인 들의 수는 점차 늘어, 20세기 초 오브도르스크에는 총 101 가구, 무지에는 88 가구가 거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베료조보 시의 경우, 1913년 기준 약 500명의 코미인들이 거주하였 다가, 1924년에는 959명으로 그 수가 증가하였다. 14) 2. 북서지역 러시아 북서지역으로의 이주 역시 순록사육업자들, 즉 코미-이제메츠인들에 의해 시작되 었다. 19세기 후반 이제메츠인들은 방목지 부족과 순록들의 대규모 전염병으로 인해 일부 그룹들이 자신들의 주거지인 페초라 지역을 떠나 우랄 산맥을 넘어 동쪽으로 갔으며, 다른 일부는 북서쪽으로 이주하였다. 북서 지역으로 이주한 계기와 이주과정에 대해서는 두 개의 설이 존재한다. 하나는 콜라반도에 주인 없는 방목지가 많다는 소문도 돌기 시작하면서, 이 주를 결심한 사람들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물론 반도까지는 꽤 먼 거리였기 때문에 그곳까 지 이동하는 동안 순록을 잃을 위험이 컸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이주자들은 이런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부유한 사람들이었다. 가장 먼저 콜라반도로 이주하기로 결심한 사람은 폴 리카르프 로췌프(Polikarp Rotshev)와 이반 테렌체프(Ivan Terentjev)였다. 이들이 가족을 데리고 콜라반도로 떠난 것을 시작으로 다른 순록업자들이 이 그룹에 합류하였다. 15) 두 번 째 설은 이제메츠인들이 기본 재산과 수 천 마리의 순록들, 그리고 자신들이 고용한 네네츠 인들을 데리고 새로운 방목지를 찾아 아르한겔스크 현을 거쳐 북빙양, 백해 등지를 돌아다 녔다. 정착지를 찾아 헤매던 이들은 1887년 겨울 콜라 반도까지 건너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16) 다시 말하자면 처음부터 콜라반도를 목적지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방랑 끝에 다다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러 설이 있는 가운데 콜라반도로 떠난 초기 이주민들은 총 65명이었으 며, 콜라 반도에 오는 동안 많은 수의 순록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은 여러 문헌에서 일치하고 있다. 17) 반도로 이주한 코미인들은 로보제로(Ловозеро) 라는 마을에 거주하였다. 이주 초반 원래 존재했던 로보제로 마을에 코미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했다면,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코미 이 주민들이 직접 마을을 구성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1921년에는 크라노셀예마을(Краснощель е), 1923년에 카네프카(Каневка) 마을을 만들었다. 18) 이 마을들은 모두 콜라 반도의 동쪽 지역, 특히 시골 지역에 위치해 있다. 1915년에는 콜라 반도에 거주하는 코미인들의 수는 493명이었으며, 1926년에는 715명으로 나타났다. 19) 14) 위의 글. 15) 위의 글. 16) Helena Ruotsala, The Komi of the Kola Peninsula, in Handbook of research on Indigenous entrepreneurship in eds. Leo Paul Dana, Robert Brent Anderson. Edward Elgar Pub. p ) 처음 같이 이동했던 순록들의 수는 구천 마리였으며 이 중 삼천 마리가 목숨을 잃었다. 위의 글. 18) 위의 글. p ) Жеребцов И.Л. Переселение за Урал и на Коль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54 그림 2 콜라반도의 위치(좌), 콜라반도 내 코미인들의 주요 이주지(우) 3. 남부 시베리아 앞서 본 두 지역으로의 이주는 코미영토의 북부, 즉 주로 이제메츠인들이 주도하였다면, 코미 남부 사람들은 우랄 남동쪽으로 향하였다. 이들은 현재 옴스크 지역을 거쳐 알타이 지 역까지 떠났다. 이주 초기만 하더라도 농지 부족은 남부 시베리아까지 오지 않더라도, 넓은 우랄 인근 지역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그러나 이들의 정착을 반대하는 지역주민 들의 요구에 따라, 그리고 이주민들의 수도 점점 늘어나게 되면서 좀 더 남쪽으로의 이주가 진행되었다. 1870년에 코미의 스이솔라 강 중류 부근의 키브라(Кибра) 마을에서 이주한 코 미인들은 현재 옴스크 지역의 남쪽에 키베르-스파스크(д. Кибер-Спасск)라는 마을을 지었 다. 옴스크 지역으로 이주하는 코미인들의 수는 점점 증가하였으며, 1896년에는 브이체그다 상류, 예를 들면 바드옐스크(Бадъельск), 포모즈딘(Помоздин) 등에서 이주해 온 코미인들 을 이르트이쉬(Иртыш) 강 지류인 쉬쉬(Шиш) 강가에 임쉐갈(Имшегал)이라는 마을을 지 었다. 20) 코미인들은 옴스크에서 멈추지 않고 더 남동쪽으로 건너갔다. 한 사료에 의하면 19세기 전반 알타이 마을로 이동한 코미인들의 수는 약 650명에 이르며, 21) 다른 사료에 의하면 19 세기 무렵 이 지역으로 이주한 코미 농민들의 수는 약 100명이었다. 22) 당시 정확하고 체계 적인 인구조사 시스템이 부재하였기 때문에 코미 이주민의 수는 사료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 지만, 알타이 지역까지 이주했던 사실은 확실해 보인다. 1803년 코미인들이 정착한 만든 마 을의 이름은 즈이랴노프카(Зыряновка)였으며, 이어 생긴 마을은 노보즈이랴노프카(Новозыр яновка)였다. 23) 이 두 마을은 현재 알타이 주의 자린스크 지역에 위치해 있다. 20) 위의 글. 21) Повод Н.А. Особенности освоения территории нижнего притоболья коми переселенцами в XIX в. // Вестник археолог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 ) Территория и население Коми края в XIX - н. XX в. (검색일: ) 23) Повод Н.А. Особенности освоения территории нижнего притоболья коми переселенцами в XIX в. // Вестник археолог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

55 그림 3 옴스크 주의 주요 정착지(좌)와 알타이 주의 주요 정착지(우) IV. 이주지에서의 정착과 적응 4.1. 경제활동 앞서 보았듯이, 새로운 정착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전통적인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있 는지의 문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의 경제활동도 주변 민족들의 영향을 받으며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일어난 변화는 전에는 없 었던 새로운 경제영역이 도입되었다기보다는 기존 경제영역의 중요도가 바뀌었다는 데 있 다. 예를 들면, 남부 시베리아로 건너간 코미인들은 본래 사냥과 농업을 주업으로 삼았는데, 이주 후 이들의 경제에서 사냥이 차지하는 중요도는 점점 낮아지게 된 대신, 축산업이 발전 하게 되었다. 이는 다른 자연환경과 현지인들의 경제활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농업에 종사했던 그룹은 이주지역 내 현지인들의 영향을 받았다면, 순록업자들의 경우는 오히려 토착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콜라반도의 경우, 자연환경이 코미 북부와는 다름에 도 불구하고, 코미인들의 순록사육업은 규모가 더 커졌다. 이는 코미 순록사육자들이 자급 자족용으로 순록을 이용했던 다른 순록사육자들과 달리, 순록의 모든 것을 교역대상으로 보 았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이는 높은 수익을 보장했으며, 이들의 특산물인 순록가죽을 좀 더 부드럽게 가공한 섀미가죽은 더 높은 이득을 남겼다. 이들은 정착을 위해 건축한 주거시 설에 섀미가죽을 만드는 시설까지 만들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물건뿐만 아니라, 삼 인이나 다른 민족에게서 구매한 고기, 모피, 가죽 등을 핀란드와 페테르부르크에까지 판매 하였다. 24) 이 덕분에 이들은 토착민족들보다 부를 더 빨리 쌓을 수 있게 되었고, 이들의 경 제적인 힘 때문에 현지 사회 내 위상이 높아졌으며, 이들의 순록사육형태는 서서히 토착민 족들에게도 확장되었다. 덕분에 타민족들은 코미인들을 근면성실하고, 진취적이며, 굳세고 인내력이 강하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교활하다고 특정 지었다. 코미인들, 특히 순록사육을 업으로 삼았던 코미-이제메츠인이 북부의 유태인 이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 것은 우연이 아 24) 위의 글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중등용1)1~27

(중등용1)1~27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제헌헌법의제정과정 1945년 8월 15일: 해방 1948년 5월 10일: UN 감시 하에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 제헌 국회의원 198명 선출 1948년 6월 3일: 헌법 기초 위원 선출 1948년 5월 31일: 제헌 국회 소집. 헌법 기 초위원 30명과 전문위원 10명

More information

178È£pdf

178È£pdf 스승님이 스승님이 스승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알라는 위대하다! 위대하다! 알라는 알라는 위대하다! 특집 특집 기사 특집 기사 세계 세계 평화와 행복한 새해 경축 세계 평화와 평화와 행복한 행복한 새해 새해 경축 경축 특별 보도 특별 특별 보도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도가니! 스승님과의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04 Çмú_±â¼ú±â»ç

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4 7 7 9 3 3 4 4 Ô 57 5 3 6 4 7 Ô 5 8 9 Ô 0 3 4 Ô 5 6 7 8 3 4 9 Ô 56 Ô 5 3 6 4 7 0 Ô 8 9 0 Ô 3 4 5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 선거의 의미와 필요성 ① 선거의 의미`: 우리들을 대표하여 일할 사람을 뽑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선거의 필요성`: 모든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일을 의논하고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www.hcc.or.kr news@hcc.or.kr Hallelujah News PHOTO NEWS 새벽 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이 주께 나오는도다. 제437호 2007년 10월 7일 (주일) 화요청년찬양부흥회 날짜: 10월 16일, 11월 6일, 11월 20일 12월 4일, 12월 18일 (매달 1 3주 화요일) 장소: 할렐루야교회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

041~084 ¹®È�Çö»óÀбâ

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프로그램 선택은 다단계적인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본 연 구는 TV시청을 일상 여가행위의 연장선상에 놓고, 여러 다양한 여가행위의 대안으로서 TV시청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과, TV를 시청하기로 결정할 경우 프로그램 선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 밝히고자 했다. 27) 연구 결과, TV시청

More information

allinpdf.com

allinpdf.com 이책은북한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통일교육원에서발간한교재입니다. 각급교육기관등에서널리활용하여주시기바랍니다. 차례 Ⅰ. 북한이해의관점 Ⅱ. 북한의정치 차례 Ⅲ. 북한의대외관계 Ⅳ. 북한의경제 Ⅴ. 북한의군사 Ⅵ. 북한의교육 차례 Ⅶ. 북한의문화 예술 Ⅷ. 북한의사회 Ⅸ. 북한주민의생활 차례 Ⅹ. 북한의변화전망 제 1 절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More information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15-27호 2015.08.05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 국민의 절반 동참시 1조 3,100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 기대 Executive Summary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개 요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침체된 국민의 사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오는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에 최근

More information

º»ÀÛ¾÷-1

º»ÀÛ¾÷-1 Contents 10 http://www.homeplus.co.kr 11 http://www.homeplus.co.kr 12 http://www.homeplus.co.kr 13 http://www.homeplus.co.kr Interview 14 http://www.homeplus.co.kr Interview 15 http://www.homeplus.co.kr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5권심층-양화1리-1~172

5권심층-양화1리-1~172 526 527 528 529 530 531 532 332 333 332 사갑 제례 음식준비 334 335 333 진설 334 사갑제례 335 음복 8시부터 8시 30분 사이에 제사에 참여했던 가족들이 각자 집으로 돌아갔다. 고인의 부인은 제사에 참여한 이 들에게 제사 음식과 반찬거리(깻잎 등)를 골고루 싸 주었고 마을에 거주하는, 제사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초등용1)1~29

(초등용1)1~29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20 21 22 23 24 03 25 26 27 28 29 01 33 34 35 36 37 38 39 02 40 41 42 43 44 45 03 46 47 48 49 04 50 51 52 53 54 05 55 56 57 58 59 60 61 01 63 64 65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82-대한신경학0201

82-대한신경학0201 www.neuro.or.kr 2010 1 Vol. 82 www.neuro.or.kr 01 5 January 2010 2007 Newsletter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10 NO.82 2010.JANUARY C o n t e n t s 04 05 06 10 13 17 18 20 22 25 28 32 33 36

More information

µ¶¸³Á¤½Å45È£

µ¶¸³Á¤½Å45È£ 사독 진립 으정 로신 보 는 이 시 우 사 진 작 가 모스크바 크레믈린 1922년 한국독립운동의 분수령이 된 극동민족대회의 현장은 현대식건물로 바뀌어 건물 안을 들여다 볼 수도, 밖을 비추어 볼 수도 있었습니다. 안과 밖이 유리면에서 하나가 되듯, 나와 세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망막을 얻을 때 새로운 진실을 볼 수 있습니다. 2009 5*6 06 04 06

More information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Global Market Report 13-045 2013.6.07 CIS 대형유통망현황및진출방안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C IS 대형유통망현황및진출방안 요 약 - 1 - Global Market Report 13-045 - 2 - C IS 대형유통망현황및진출방안

More information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하나님의 사람을 위한 생활 문화 매거진 235 Cover Story ISSN 2005-2820!!2 3! 3 201002 002 !!4 5! 201002 !!6 44 7! 201002 !!8 February 2010 VOLUME 35 Publisher Editor-in-Chief Editor Planning & Advertising Advertising Design

More information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소비자문제연구 제41호 2012년 4월 해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용약관의 약관규제법에 의한19)내용통제 가능성* : Facebook 게시물이용약관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이병준 업 요약 업 규 규 논 업 쟁 때 셜 네트워 F b k 물 규 았 7 계 건 됨 규 규 업 객 계 규 므 받 객 드 객 규 7 말 계 률 업 두 않 트 접속 록 트 른징 볼 규 업 내

More information

한국전쟁소고내지(090518)

한국전쟁소고내지(090518) 2010년 남침60주년 증보판 우리 민족사 최대 비극, 6. 2 5 바로 알기!! 글 김순욱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발 행 처 : 영락교회 선교부 주 소 : 100-032서울특별시 중구 저동 2가 69번지/전 화 : (02) 2280-0114 협 찬 : 6.25한국전쟁 진실알리기운동본부 국방부 보안성 검토필: 2005. 07.14(국방부훈령

More information

ad-200400012.hwp

ad-200400012.hwp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연구요약 표 주제 및 연도별 여성유권자 연구 현황 표 출마한 여성후보 인지시기 투표후보여성

More information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책을펴내며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요약 i ii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요약 iii iv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요약 v vi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요약 vii viii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요약 ix x NCS 기반일학습병행대학표준모델개발 제 1 장서론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A000-008목차

A000-008목차 1 농어촌 지역과 중소도시 및 대도시 낙후지역에 150개의 기숙형공립 고교를 설립하여 학생의 80% 정도가 기숙사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준비하겠습니다. 농어촌 지역과 중소도시 등 낙후지역에 150개의 기숙형공립고교를 설립 학생의 80% 정도가 기숙사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준비하고, 기숙사비는 학생의 가정형편을 반영한 맞춤형 장학금으로 지원하여 더 이상

More information

10월추천dvd

10월추천dvd 2011 10 DVD CHOICE dvd dvd?!!!! [1] [2] DVD NO. 1898 [3] Days of Being Wild 지금도 장국영을 추억하는 이는 많다. 그는 홍콩 영화의 중심에 선 배우였고,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거짓말 같던 그의 죽음은 장국 영을 더욱 애잔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만들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 이 장국영을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More information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 산업중분류, 조직형태 및 동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단위 : 개, 명 금정구 서1동 서2동 서3동 Geumjeong-gu Seo 1(il)-dong Seo 2(i)-dong Seo 3(sam)-dong TT전 산 업 17 763 74 873 537 1 493 859 2 482 495 1 506 15 519 35 740 520 978 815 1 666 462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ITFGc03ÖÁ¾š

ITFGc03ÖÁ¾š Focus Group 2006 AUTUMN Volume. 02 Focus Group 2006 AUTUMN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두 길 모두를 가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 곳에 서서 한쪽 길이 덤불 속으로 감돌아간 끝까지 한참을 그렇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는 다른 쪽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이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êÇÐ-150È£

»êÇÐ-150È£ Korea Sanhak Foundation News VOL. 150 * 2011. 12. 30 논단 이슈별 CSR 활동이 기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별 및 산업별 비교분석 최 지 호 전남대 경영학부 교수 Ⅰ. 서론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및 가설 개발 2. 1. 호혜성의 원리에 기초한 기업의 사회적 투자에 대한 소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5B3134303432325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5B3134303432325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2 3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 4 5 어떻게 하면 나의 교실이 학생들의 니즈를 어떻게 하면 우리는 학교에서 21세기형 학습경험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재구성될 수 있을까? 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뉴욕에서 2학년을 가르치고 있는 마이클(Michael Schurr)은 자신이 한번도 아이들에게 무엇이 그들을 교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2. 4. 1. 업무에 활용 가능한 플러그인 QGIS의 큰 들을 찾 아서 특징 설치 마 폰 은 스 트 그 8 하 이 업무에 필요한 기능 메뉴 TM f K 플러그인 호출 와 TM f K < 림 > TM f K 종항 그 중에서 그 설치 듯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 림 > 다. 에서 어플을 다운받아 S or 8, 9 의 S or OREA

More information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 309 - - 310 - - 311 - - 312 - - 313 - - 314 - 외부적 탐색단계 새로운 정보에 자극받는 외부적 탐 색단계 새로운 광고 메시지에 의하여 소비자가 제품 및 브랜드 평가를 하는 대안의 평가 단계까지의 일련 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림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소비자의 구매태도형성 어느 단계에서도 상품 광고가 미치는 영향력이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ÀÚ¿øºÀ»ç-2010°¡À»°Ü¿ï-3

ÀÚ¿øºÀ»ç-2010°¡À»°Ü¿ï-3 2010 희망캠페인 쪽방의 겨울은 유난히 빨리 찾아옵니다. 하늘 높은지 모르고 오르는 기름 값은 먼 나라 이야기 마냥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내 몸 하 나 간신히 누일 전기장판만으로 냉기 가득한 방에서 겨울을 보내야 합니다. 한 달에 열흘정도 겨우 나가는 일용직도 겨울이 되면 일거리가 없어, 한 달 방값을 마련하 기 어렵고, 일을 나가지 못하면 밖으로 쫓겨 날

More information

더바이어102호 01~09

더바이어102호 01~09 www.withbuyer.com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www..kr Tel. 031)220-8685 2 Contents 01 02 08 17 18 TEL. 064720-1380~87 04 06 08 10 12 14 17 18 www.withbuyer.com 3 20 23 24 26 24 26 28 29 30 32 33

More information

쌍백합23호3

쌍백합23호3 4 5 6 7 여행 스테인드글라스 을 노래했던 하느님의 영원한 충만성을 상징하는 불꽃이다. 작품 마르코 수사(떼제공동체) 사진 유백영 가브리엘(가톨릭 사진가회) 빛은 하나의 불꽃으로 형상화하였다. 천사들과 뽑힌 이들이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하며 세 겹의 거룩하심 가 있을 것이다. 빛이 생겨라. 유리화라는 조그만 공간에 표현된 우주적 사건인 셈이다.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5월전체 2005.6.9 5: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개 지역지식재산센터 를 통해 발명가와 중소기업들에게 기술개발에서 선진국은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vol.126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 vol.126 www.fsb.or.kr 20163 + 4 Contents 20163 + 4 vol.126 www.fsb.or.kr 26 02 08 30 SB Theme Talk 002 004 006 SB Issue 008 012 014

More information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여 48.6% 남 51.4% 40대 10.7% 50대 이 상 6.0% 10대 0.9% 20대 34.5% 30대 47.9% 초등졸 이하 대학원생 이 0.6% 중졸 이하 상 0.7% 2.7% 고졸 이하 34.2% 대졸 이하 61.9% 직장 1.9% e-mail 주소 2.8% 핸드폰 번호 8.2% 전화번호 4.5% 학교 0.9% 주소 2.0% 기타 0.4% 이름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Çѹ̿ìÈ£-197È£

Çѹ̿ìÈ£-197È£ 2014 Journal of the Korea America Friendship Society (KAFS) Journal of the Korea America Friendship Society (KAFS) LASTING FRIENDS Journal of the Korea America Friendship Society (KAFS) LASTING FRIENDS

More information

청년, 사회초년 계층의 희망주거 두번째 이야기 2014 09.18 THU 13:30-17:30 한양대학교(서울) 신소재공학관 세미나실 6층 주최 주관 청년, 사회초년계층의 희망주거 Contents 주제발표 주제 1 : 청년주거실태와 협동형 주거모델 5 - 민달팽이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권지용 (민달팽이유니온 대표) 주제 2 : 혼자이지만 함께 사는 집 23

More information

....5-.......hwp

....5-.......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방송 콘텐츠는 TV라는 대중매체가 지닌 즉각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수익 창출이라는 부분에서 영화에 비해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이 사실 이다. 그러나, 최근 드라마 이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해 내 면서 방송 콘텐츠의 수익 구조에도 큰 변화가 오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드라마 은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Issue Report Vol. 2015- 지역이슈 -07 (2015. 6. 24)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6255-5711) yhjo@koreaexim.go.kr : (6255-5759) ykj@koreaexim.go.kr 1) 러시아경제성장률은 2010 년 4.5% 이후지속적으로하락하여 2011 년 4.3%, 2012

More information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1.10.27 7:34 PM 페이지429 100 2400DPI 175LPI C M Y K 제 31 거룩한 여인 32 다시 태어났습니까? 33 교회에 관한 교리 목 저자 면수 가격 James W. Knox 60 1000 H.E.M. 32 1000 James W. Knox 432 15000 가격이 1000원인 도서는 사육판 사이즈이며 무료로

More information

°¨Á¤Æò°¡0708 04-49

°¨Á¤Æò°¡0708 04-49 Issue Focus3 우리나라 복합개발사업 발전방향에 관하여 Ⅰ. 서 론 하루가 다르게 달라지는 도시집중화로 인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통 등 여러 측면에서 도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지금처럼 무계획적이고 성장일변도의 도시화는 미래에 돌이킬 수 없는 커다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는 지난세월 우리가 무분별하게 추구해 왔던 수익성 위주의

More information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3 4 5 6 7 8 9 10 11 Chapter 1 13 14 1 2 15 1 2 1 2 3 16 1 2 3 17 1 2 3 4 18 2 3 1 19 20 1 2 21 크리에이터 인터뷰 놀이 투어 놀이 투어 민혜영(1기, 직장인)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가치가 있는 일을 해 보고 싶 어 다니던 직장을 나왔다. 사회적인 문제를 좀 더 깊숙이 고민하고, 해결책도

More information

연구노트

연구노트 #2. 종이 질 - 일단은 OK. 하지만 만년필은 조금 비침. 종이질은 일단 합격점. 앞으로 종이질은 선택옵션으로 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종이가 너무 두꺼우면, 뒤에 비치지 는 않지만,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두꺼우면 고의적 망실의 위험도 적고 적당한 심리적 부담도 줄 것이 다. 이점은 호불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은 괜찮아 보인다. 필자의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CC......-.........hwp

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의 폭력행위는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서 묘사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만화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해 각 인 물의 반사회적 행위 및 친사회적 행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맥락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조사하였다. 맥락요인은 반사회적 행위 뿐 아니라 친사회적

More information

¾ç¼ºÄÀ-2

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

..............16..

..............16.. 제 2 차 발 간 등 록 번 호 11-1490100-000057-14 고 령 자 고 용 촉 진 기 본 계 획 2 0 1 2 제2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2012-2016) M i n i s t r y o f E m p l o y m e n t a n d L a b o r 2012-2016 제2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 Basic Plan for Promoting

More information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안 경 광 학 과 세부내용 - 남을 도와 준 경험과 보람에 대해 말해 보세요. - 공부 외에 다른 일을 정성을 다해 꾸준하게 해본 경험이 있다면 말해 주세요. - 남과 다른 자신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말해 주세요. - 지금까지 가장 고민스러웠던 또는 어려웠던 일과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 자신의 멘토(조언자) 또는 좌우명이 있다면 소개해 주시길 바랍니다.

More information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운영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로 정책을 함께 만들 수 있었고 그 결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정책 개선안을 도출하며 정책의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각 기관별 정부3.0 과제에 적용하여 국민 관점의 서비스 설계, 정책고객 확대 등 공직사회에 큰 반향을 유도하여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49),, 2009/08/04;,, 2009/08/16;,, 2009/10/05. - 9 - - 10 - - 11 - 56),, 2009/10/10. - 12 - - 13 - - 14 - 58) 통일부발간 2010 북한권력기구도 의조선로동당조직도를수정하여필자가작성한것임 -

More information

한류 목차2_수정 1211

한류 목차2_수정 1211 Ⅰ-Ⅰ 아시아대양주 Ⅰ-Ⅱ 아메리카 지구촌 Ⅱ-Ⅰ유럽 Ⅱ-Ⅱ 아프리카 중동 지구촌 한류현황 개요 464 377 228 233 234 213 142 36 76 2012 2012 2013 2013 2012 2012 2013 2013 2012 2012 2013 2013 2012 2012 2013 2013 지구촌 지역별 한류 동호회 현황 Ⅰ 지구촌 한류현황Ⅱ Ⅰ.

More information

튦 NO. 2155 Since 1969 2016. 06. 15 www.catholicfound.org www.cmc.or.kr blog.naver.com/cmc_health twitter.com/cmcmedicalnews www.facebook.com/cmcmedicalnews 02 CATHOLIC MEDICAL TIMES Vol.2155 2016.06.15 03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¾Æµ¿ÇÐ´ë º»¹®.hwp

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

60

60 광복60년기념전 시련과 전진 주 최 : 광복6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주 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중앙일보 후 원 : SK Telecom, (주)부영, 다음 일 정 : 2005.8.14(일) ~ 8.23(일) 장 소 : 대한민국 국회 1.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인용, 발췌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저자와 출처를 밝혀 주셔야 합니다. 2. 본 자료는 http://www.kdemocracy.or.kr/kdfoms/에서

More information

20061011022_1.hwp

20061011022_1.hwp 조사 보고서 주40시간 근무제 도입 성과와 과제 실태조사 2006. 9 내 용 목 차 Ⅰ.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1 2. 조사의 기본설계 1 Ⅱ. 조사결과 1. 주40시간제 도입 이후의 경영성과 3 1-1.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았던 이유 4 1-2.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지 않았던 이유 4 2. 주40시간제 도입 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wtu05_ÃÖÁ¾

wtu05_ÃÖÁ¾ 한 눈에 보는 이달의 주요 글로벌 IT 트렌드 IDG World Tech Update May C o n t e n t s Cover Story 아이패드, 태블릿 컴퓨팅 시대를 열다 Monthly News Brief 이달의 주요 글로벌 IT 뉴스 IDG Insight 개발자 관점에서 본 윈도우 폰 7 vs. 아이폰 클라우드 컴퓨팅, 불만 검증 단계 돌입 기업의

More information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진 의학 지식과 매칭이 되어, 인류의 의학지식의 수준을 높 여가는 것이다. 하지만 딥러닝은 블랙박스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단지 결과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의학지 식의 확장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실제로 의학에서는 인공지능을 사용하게 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이해

More information

가해하는 것은 좋지 않은 행동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불쌍해서이다 가해하고 나면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 같아서이다 보복이 두려워서이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화가 나고 나쁜 아이라고 본다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생각이나 느낌이 없다 따돌리는 친구들을 경계해야겠다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More information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24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sibility Study) 등을 수행하여 인니전력 이다. 공사(PLN)를 비롯한 인니

More information

ÆÞ¹÷-Æîħ¸é.PDF

ÆÞ¹÷-Æîħ¸é.PDF H.E.L.P. Vol. SUMMER Vol. WINTER 2015. vol 53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4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5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프로그램 세계문화유산 걷기대회 Walk Together 탐방길곳곳에서기다리고있는조별미션활동! 남한산성 탐방길에는

More information

광복60 년 종합학술대회 ( 제6 차) 올바른 과거청산을 위한 전국순회 심포지엄 종합자료집 청산하지 못한 역사, 어떻게 할 것인가? 주최 주관 : : 올바른과거청산을위한범국민위원회 올바른과거청산을위한범국민위원회 소속 지역단체 후원 : 광복6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1.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인용, 발췌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저자와 출처를 밝혀 주셔야 합니다.

More information

*12월영상 내지<265턁

*12월영상 내지<265턁 영상물등급위원회는 등급분류에 관한 문의 대표전화 : 02-2272-8560 ( ) 안은 내선번호 월간 KOREA MEDIA RATING BOARD MAGAZINE 은 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특 집 B 시상식 및 송년회 영상 칼럼 B제한상영가에 대한 소견 이 달에 만난 사람 BPC게임물

More information

11+12¿ùÈ£-ÃÖÁ¾

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

More information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세계적 차원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일어날 가능성 높아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물에 관한 리스크가 감소되지 않고 있지만 이해는 증진 세계적 차원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일어날 가능성 높아 제4편 불확실성과 리스크에서 물관리(Managing Water under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