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F6B1D7B7A1C7C820BCF6C1A4C6EDC1FD5FB9AEC8ADC0E7C3BB5FC3D6C1BEBAB8B0ED28B0ADC7FDBFF 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C1F6B1D7B7A1C7C820BCF6C1A4C6EDC1FD5FB9AEC8ADC0E7C3BB5FC3D6C1BEBAB8B0ED28B0ADC7FDBFF829303332362E687770>"

Transcription

1 발간등록번호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

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

3 제 출 문 문화재청장 귀하 이 보고서를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과제의 연구 결과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연구책임자: 김지명 ((사)한국문화유산교육연구원 원장) 연 구 원: 김 현 김현숙 김기덕 김지영 유희연 여은혜 Eugene Campbell 김바로 강혜원 서소리 김사현 신오영

4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 과제 수행 연구팀의 의견이며, 문화재청의 공식적인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5 연구 개요 문화재청은 2013년에 전국의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소재지에 위치한 문화재 해설 안내판 2,568개를 조사하였다 1). 본 연구는 이 전수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문화재 안내판 개선 사업의 추진 방향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1. 문화재 안내판 체계 분석, 2.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3.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도출 및 작성 지침(시안) 제정, 4.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 구상 등의 4가지 과업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과업인 문화재 안내판 체계 분석은 전국 문화유적지의 해설 안내판이 해당 문화유적지의 성격, 입지, 구성, 개별 문화재 분포 상황 등에 부합하는 형태로 설치되었는지를 살피고 그에 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재 해설 안내판에는 종합안내판,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의 3 종류가 있는데, 그것은 각각 면단위 문화재로서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면단위 문화재 안에서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를 통합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특별한 이야기가 있거나 권역 내에 포함되지 못한 문화재가 있는 경우 설치한다. 연구팀은 전수조사 결과 중 해설문을 포함하고 있는 종합안내판 270개, 권역안내판 121개, 개별안내판 2,048개 등 총 2,439개의 안내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안내판에서 해설하는 문화재, 그 문화재가 소재 하는 문화유적지 사이의 관계망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수의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문화유적지 146 곳을 도출하였다. 다수의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문화유적지는 대부분 문화유산으로서의 인지도가 높고 관람객의 방문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안내판 체계를 우선적으로 정비해야 할 대상이다. 향후 안내판 체계를 합리적 으로 개선하는 업무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문화유적지와 그 유적지에 자리하는 개별문화재 및 안내판 사이의 관계성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문화유적지 가운데 문화재 안내판 구성 체계의 특성을 보이는 유형별 사례 15건을 선 정하여 현재의 안내판 체계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과업인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은 문화재 안내판의 국문 및 영 문 해설문에 사용된 모든 어휘들을 분석 추출하여 문화재 해설문 용어로서 적합성 여부를 살필 수 있는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행 문화재 해설문 안에는 고등교육 이수자도 별도의 설명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문화재에 따라서는 그 해설을 위해 전문적인 용어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쉽고 어려움을 판단하는 일정한 기준을 1) 문화재청: 전국 문화재 안내판 현황 및 안내문안 전수조사 사업. 시행기간 2014년 4월 - 7월.

6 세우기 어렵다. 현재보다 한 걸음 더 발전한 문화재 해설문의 작성 기준을 세우기 위해서는 단순히 평이성 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실제 해설문에 쓰인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객관화하여, 그 가운에서 피해야 할 것, 그것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것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팀은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를 통해 조사된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텍스트 1,860편에 대해, 해설문 속의 용어를 정보요 소화 하여 기계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전자문서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전자 문서화 작업 결과 국문 해설문에서는 29,121건, 영문 해설문에서는 16,320건의 용어를 정보요소화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을 개선할 때 어휘 선택의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참고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세 번째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도출 및 작성 지침(시안) 제정은 안내판의 해설문이 내용과 서술 방법 면에서 어떠한 보완 과제를 안고 있는지 살펴 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과업이다. 문화재 해설문의 우수성에 대한 판단은 무엇에 기준을 두고, 어떠한 점을 중요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해설문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일반화시켜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많은 수의 내국인들이 최근에는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다양한 세계문화유산을 접하면서 문화재 해설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있다는 점,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크게 증대되어 우리의 문화 재를 외국인의 관점에서 보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일을 보다 중요시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점 등은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의 새로운 개선 방향을 시사하는 요 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팀은 문화유산의 해설에 관한 국제 적인 논의와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의 개선 과제와 방법을 도출 하고, 이를 현재의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해설문 집필 요강은 지침 형태로 정리하여 향후의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개선 사업에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네 번째 과업인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 기본 구상은 오프라인 안내판과 모바일 안내 시스템이 연동하는 미래의 문화재 안내 체계를 구상하고 그 실천 전략을 수립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유적지가 있는 현장에서 그 문화재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향후 이와 같은 성격의 문화재 안내 기능은 안내판에만 의존하기보다 디지털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문화재 안내 시스템은 오프라인 안내판과 디지털 기반의 유 무선 안내 체계가 효과적으로 상보적 관계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전망 하에, 디지털 문화재 정보 시스템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종합적 인 문화재 안내 시스템으로의 발전 전략을 강구하였다.

7 목 차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3 1. 문화재 안내 체계와 안내판 종류 3 1) 문화재 안내판의 종류 3 2) 전수조사 결과로 본 문화재 안내판 현황 4 2. 문화재 안내판 체계 개선을 위한 사례 분석 7 1) 다수의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 7 2) 하나의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 36 II.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문화재 해설문 분석 방법 국문 해설문 용어 분석 47 1) 문화재 명칭 및 지정사항 표기 분석 47 2) 국문 용어 분야별 용례 분석 51 3) 국문 용어 주제 분류 및 활용 방안 영문 해설문 용어 분석 84 1) 영문 해설문 오류 유형 분석 84 2) 영문 용어 분야별 용례 분석 102 3) 영문 어휘 난이도 조사 14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문화재 해설문에 관한 해외 사례 147 1)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에 관한 ICOMOS 헌장 147 2) 문화재 안내판 해외 사례 문화재 해설문안 지침 167 1) 안내판 및 해설문 구성 요소 167 2) 국문 해설문 작성 지침 170 3) 영문 해설문 작성 지침 174 4) 문화재 관련 영문 제작물 표기 지침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예시 200 1) 개선 지침 적용 범례 200 2) 문화재 해설문 개선안 예시 201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의 현황 및 발전 과제 243 1)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 현황 243 2)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제 디지털 기반의 문화재 안내 체계 구현을 위한 추진 전략 249 1) 사업 개요 249 2) 주요 추진 과제 252 3) 단계별 추진 계획 (2015~2019: 5개년) 261 Ⅴ. 결 론 269

8 표 목 차 표 1. 문화재 안내판의 종류와 설치기준 4 표 2. 전국의 문화재 해설 안내판 개수(문화재 안내판 전주조사 2013) 5 표 3. 다수의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문화재 6 표 4. 문화유적지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7 표 5. 문화유적지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8 표 6.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9 표 7.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10 표 8. 문화유적지 영주 소수서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11 표 9.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13 표 10.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14 표 11. 문화유적지 경복궁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15 표 12. 문화유적지 경복궁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16 표 13. 문화유적지 북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18 표 14. 문화유적지 북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19 표 15.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20 표 16.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21 표 17.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23 표 18.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24 표 19.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26 표 20.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27 표 21.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28 표 22.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개선 29 표 23. 문화유적지 남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31 표 24. 문화유적지 남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32 표 25. 문화유적지 영주 부석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33 표 26. 문화유적지 영주 부석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34 표 27. 문화유적지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36 표 28. 문화유적지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37 표 29. 문화유적지 담양 소쇄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38 표 30. 문화유적지 담양 소쇄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39

9 표 31. 문화유적지 경주 첨성대 안내판 제안 40 표 32. 안내판명칭과 문화재지정명칭 비교 47 표 33. 안내판 지정사항과 문화재 지정사항 비교 51 표 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매칭된 어휘의 주제 목록 69 표 35.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와 매칭된 어휘의 주제 목록 75 표 36. 설명이 부가된 개념 어휘 예시 83 표 37. 다양한 번역 용례와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비교 예시 89 표 38. 안내판별 오류 목록 예시 100 표 39. 일반 어휘(원형) 對 VOA Special English Words 분석 결과 불일치 어휘 예시 142 표 40. 안내판 구성 요소 168 표 41. 문화재 유형별 검토 대상 목록 및 검토 내용 200 표 42. 문화재 관련 지식 정보 사이트 243 표 43. 국가문화유산포털 메타데이터 245 표 44.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메타데이터 246 표 4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메타데이터 247 표 46.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구성 형태 258 표 47. 콘텐츠 제작 과업 261

10 그 림 목 차 그림 1. 영주 소수서원 안내판 체계 배치도 12 그림 2. 경복궁 안내판 체계 배치도 17 그림 3. 경주 불국사 안내판 체계 배치도 22 그림 4.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안내판 체계 배치도 25 그림 5. 김제 금산사 문화재안내판 체계 배치도 30 그림 6. 영주 부석사 문화재안내판 체계 배치도 35 그림 7. 문화재 안내 문안 영문 어휘 141 그림 8. 에딘버러 칼튼 언덕 안내판 152 그림 9. 워릭성 블랙타워 안내판 153 그림 10. 하드리안의 성벽 개별안내판 155 그림 11. 하드리안의 성벽 안내판 156 그림 12. 스톤헨지 안내판 159 그림 13. 아스카데라 안내판 160 그림 14. 카마쿠라 대불 안내판 162 그림 15. 마호애묘 안내판 163 그림 16. 공부( 孔 府 ) 안내판 165 그림 17. 더람성당과 성채 안내판 166 그림 18.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의 미래상 및 사명 250 그림 19. 문화재 안내 체계 사업 추진 환경 및 추진 방향 251 그림 20. 문화재 지식 정보 연결망 예시 254 그림 21. 멀티미디어 안내 기능 예시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255 그림 22. 문화재 지식 정보 네트워크 개념도 257 그림 23. 디지털 안내판 구성 형태 260

11 부 록 목 록 [부록 1] 종합안내판 설치 문화재 [부록 2] 문화유적지 리스트 [부록 3] 문화유적지와 그 하위 문화재 [부록 4] 나홀로 문화재 리스트 [부록 5] 국문어휘사용분석-문화유산 [부록 6] 국문어휘사용분석-인물 [부록 7] 국문어휘사용분석-개념 [부록 8] 국문어휘사용분석-사건 [부록 9] 국문어휘사용분석-문헌 [부록 10] 국문어휘사용분석-공간 [부록 11] 영문어휘분석- VOA Special English Words 와 일치하는 어휘 [부록 12] 영문어휘분석- VOA Special English Words 와 일치하지 않는 어휘 [부록 13] 영문어휘분석- Nolls' Top 3,000 American English Words 와 일치하는 어휘 [부록 14] 영문어휘분석- Nolls' Top 3,000 American English Words 와 일치하지 않는 어휘 [부록 15] 영문번역용례목록 [부록 16] 영문 안내판별 오류목록 [부록 17]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문화재 지정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부록 18]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과 다른 형태의 표기 [부록 19]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기관명 등이 공식 영문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부록 20]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철자 오기 또는 띄어쓰기 오류 [부록 21]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대소문자 표기 오류 [부록 22]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로마자 표기 오류 [부록 23]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원어 발음 표기상의 오류 [부록 24]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주소의 영문 표기 오류 [부록 25]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오역 및 부적절한 표현 [부록 26]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의미역 없이 음역만 표기된 경우 [부록 27]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문법상의 오류 [부록 28] 영문 유형별 오류목록-기타 오류 [부록 29] 안내판 국영문 태깅 원본

12

13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14

15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문화재 안내판은 대상 문화재를 설명하는 해설문을 담고 있는 해설 안내판과 관람 동선 상에서 길 안내를 하거나, 금지 주의 사항을 알리는 등의 기능성 안내판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해설 안내판은 그 설치 목적에 따라 종합안내판,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 등 세 종류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모든 문화재를 개별적으로만 보지 않고, 여러 개의 문화재 가 함께 구성하는 문화유적지 또는 그 하위의 일정 권역을 문화재 해설의 단위로 삼으려 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체계이다. (점 단위 해설을 지양하는 면 단위 해설 방식) 문화재 청의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문화유적지 의 문화재 안내판이 이와 같은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문화재 안내 체계와 안내판 종류 문화재청은 기존의 안내판 설치 및 해설문 작성 방법을 개선할 목적으로 2010년에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 및 개선사례집을 발간하였다. 이 지침에서는 문화재 안내에 관련되는 모든 매체는 하나의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통합되고 보완되어야 하는 것임을 강조하며, 기존의 1 문화재 1 안내판 체계를 개선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수의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사찰, 서원 등에서 체계적인 안내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체제를 확립한 것이다. 1) 문화재 안내판의 종류 해설 안내판 가운데 종합안내판은 면단위 문화재로서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에 설치하며, 권역안내판은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면단위 문화재 안에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를 통합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설치한다. 개별 안내판은 특별한 이야기가 있거나 권역 내에 포함되지 못한 문화재가 있는 경우 설치한다 2). 또한 해설 안내판은 반드시 1개 이상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 및 개선사례집, 문화재청, 2010, p.23 3

1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1. 문화재 안내판의 종류와 설치기준 분류 세분류 설치 기준 해설 안내판 기능성 안내판 종합안내판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 길찾기 금지 주의 공공 정보알림판 임시 면단위 문화재로서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가 분포 하고 있는 경우 설치 면단위 문화재에 다수의 건조물 또는 개별문화재를 통합 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설치 특별한 이야기가 있거나 권역 내에 포함되지 못한 문화재가 있는 경우 설치 동선을 유도하는 지점과 편의시설 안내, 눠역과 권역을 이 어주는 지점 등에 설치 출입이나 각종 행위를 제한, 또는 주의시키는 안내판 각종 공공 안내판(상징그림, 픽토그램 등 삽입) 각종 행사나 공지사항 등을 알리는 안내판 공사 중이나 특별행사 등을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안내판 이러한 안내판 설치 기준에 따르면 모든 문화유적지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안내판은 개별안내판이 아니라 종합안내판이다. 다수의 개별 문화재를 포함하는 사찰, 서원, 궁궐 등은 물론 현재로서는 하나의 대상만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곳도 종합안내판 설치 대상인데, 이것은 문화재를 고립된 실체가 아닌, 주변 환경과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을 도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권역안내판과 개별안내판은 주로 다수의 문화재가 포함된 문화유적지를 설명할 때 필요한 체계이다. 따라서 권역안내판과 개별안내판은 다수의 문화재가 문화유적지로 설정되고 그 하위 문화재를 설명할 때만 설치하게 된다. 권역안내판은 기존의 설치 기준을 따라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면단위 문화재의 공간 안에 다수의 문화재 또는 하나의 문화재가 주변공간과 함께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 설치한다. 개별안내판은 권역안내판에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어 있더라도 특별하거나 독립적인 설명이 필요할 때 설치한다. 2) 전수조사 결과로 본 문화재 안내판 현황 문화유적지의 문화재 안내판이 이와 같은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재청의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3년의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 는 국가지정 및 등록 문화재 3) 를 대상으로 문화재 안내판과 해설문안을 조사하였으며, 종합안내판은 387개, 권역안내판은 219개, 개별안내판 1962개 등 총 2568개의 해설 안내판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3) 국가지정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 제외) 및 등록문화재 4

17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표 2. 전국의 문화재 해설 안내판 개수(문화재 안내판 전주조사 2013) 구 분 안내판 현황 종합(건) 권역(건) 개별(건) 소계(건) 지정문화재 ,686 2,285 등록문화재 소 계 ,962 2,568 그러나 전수조사 내역을 살펴보면, 면단위 문화재 체계의 특성을 도외시 한 채 1문화재 1안내판의 관점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를 기준으로 어떤 종류의 안내판이 있으며, 해설문은 무엇이 쓰여있는지 만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화재 안내판의 설치 체계를 정밀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4) 따라서 연구팀은 전수 조사 결과 중 국문 해설문 및 영문해설문의 문안이 조사된 안내판 정보만을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로 제한하고, 이 범위 안에서 안내판의 종류와 체계를 다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된 종합안내판은 270개, 권역안내판은 121개, 개별안내판은 2048개이며, 이를 모두 더한 분석 대상 안내판의 개수는 총 2439개이다. 현재의 문화재 안내판 설치 현황을 보면 개별안내판이 종합안내판에 비해 월등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문화유적지 안에 여러 개의 개별 문화재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이유는 아직도 많은 수의 안내판이 가이드라인 제정 이전에 만들어진 상태로 남아서, 종합안내판이 있어야 할 곳에 개별안내판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문화재 안내판 설치는 문화유적지마다 종합안내판을 갖게 하고 필요시 권역안내 판과 개별안내판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 팀은 종합안내판 설치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문화재 안내판 설치 체계를 분석하였다. 검토 대상이 된 문화유적지의 종합안내판은 270개인데, 그 가운데에는 하나의 유적지에 두 개 이상의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사례도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 문화재 안내판 설치 체계 안에서 하나의 유적지가 두 개 이상의 종합안내판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와 같은 복수 종합안내판 설치 사례를 우선 분석하였다. 4) 또한 안내판 설치 유무 기록과 해설문의 불일치, 문화재명칭, 문화재지정번호를 국가지정문화재 목록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같은 문안의 안내판이 여러 개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서 전수조사 결과가 문화재 설치 체계의 실상을 그대로 반영 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5

1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3. 다수의 종합안내판이 설치된 문화재 지정종목 지정번호 문화재명칭 종합안내판 개수 보물 제141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 2 사적 제117호 경복궁 3 사적 제123호 창경궁 6 사적 제124호 덕수궁 3 사적 제125호 종묘 2 사적 제171호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2 사적 제195호 여주 영릉( 英 陵 )과 영릉( 寧 陵 ) 3 사적 제354호 서울 탑골공원 2 천기 제414호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2 유적지의 공간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종합 안내판을 여러 곳에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위의 보고에는 하나의 종합안내판을 복수로 기재하거나 종합안내판이 아닌 것까지 종합안내판으로 분류한 데 기인한 오류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인다. 경복궁, 창경궁, 종묘에는 동일한 해설문을 담은 복수의 종합안내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조사상의 오류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문묘,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서울 탑골공원 안내판 역시 실재로는 하나의 안내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주 영릉( 英 陵 )과 영릉( 寧 陵 ) 에는 3개의 종합안내판이 있는데, 하나는 세종 소헌왕후에 대한 해설문, 다른 하나는 효종 인선왕후에 대한 해설문, 나머지 하나는 세종대 왕와 치덕과 영릉의 이전 상황을 언급하고 있다. 이 3개의 안내판은 안내판 체계 가이 드라인에 따라 하나의 종합안내판 및 영릉( 英 陵 ) 권역과 영릉( 寧 陵 ) 권역에 설치하는 2개 의 권역안내판으로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의 종합 안내판에는 종합 해설문과, 관광안내도의 내용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는 별도의 종합안내판이 아니라 종합안내판의 부속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덕수궁은 종합 안내판이 3개인데 문안의 구성과 내용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다. 광역 문화유적지의 경우, 관람객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종합안내판을 두 군데 이상 설치할 수 있어도 이것은 통일된 문안을 갖는 하나의 종합안내판이 있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한다. 위치에 따라 설명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면 그것은 권역안내판으로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문화유적지 안내판은 하나의 종합안내판을 갖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시 권역안내판과 개별안내판을 부수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일반적인 기준으로 삼는 데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2013년 전수조사 결과에서 파악한, 종합안내판으로 분류되는 안내판이 설치된 곳은 모두 254 곳이다. 이곳의 목록은 본 보고서의 [부록 1]에 수록하였다. 아울러 향후 종합안내판으로서 기능을 강화 하기 위해 문안 개선 또는 신규 설치가 우선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문화유 적지(다수의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유적지) 146 곳의 목록 및 그곳에 있는 기설치 안내판, 그와 관련된 개별 문화재의 조견표를 [부록 2]에 수록하였다. 6

19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2. 문화재 안내판 체계 개선을 위한 사례 분석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문화재 안내판 개선 사업은 해설문의 개선에 앞서서 다종의 문화재 안내판이 유기적, 상보적 관계를 갖도록 하는 체계 개선 사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유적지 안에 존재하는 문화재 상호의 관계성을 잘 드러냄으로써 관람객이 그곳의 문화적, 역사적 장소감(Sense of Place)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화재 안내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문화유적지 중 몇 가지 대표적인 유형의 장소를 골라 그곳에 설치된 현행 안내판 체계를 분석한 후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1) 다수의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 가. 종합+개별 안내판 ⓵ 강릉대도호부 관아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강원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하고 있다. 강릉대도호부 관아 범위 내의 지정문화재로는 고려시대에 건립한 강릉 객사의 정문인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과 조선시대의 관청건물인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이 등이 있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은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에 각각 1개의 개별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표 4. 문화유적지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개별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개별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 다이어그램 7

2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 제안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그것에 속하는 개별 문화재에 대한 안내판(개별안내판)만 설치되어 있지만, 강릉대도호부 관아 전체의 문화적 의미를 전하는 안내판이 종합 안내판의 형태로 설치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하위 문화재인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에는 부수적으로 개별안내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표 5. 문화유적지 강릉대도호부 관아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강릉대도호부 관아 종합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 (문화유적지 강릉대도호부 관아) 개별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개별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 다이어그램 8

21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⓶ 고양 태고사 보물 제611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보물 제749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등 2개의 지정문화재를 포함하는 고양 태고사는 14세기 후반 원증국사 보우가 창건한 사찰로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에 위치한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은 보물 제611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를 설명하는 권역안내판 하나만 있다. 보물 제749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을 설명하는 안내판은 없다. 표 6.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권역 보물 제611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물 제749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다이어그램 b. 제안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에는 이 사찰과 함께 2개의 부속 문화재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안내판이 세워져야 한다. 보물 제611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는 현재 권역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보물 제749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에는 별도의 안내판이 없으나, 보물급 문화재의 중요도를 드러내는 의미에서 각각 개별안내판을 갖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탑과 탑비가 함께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하나의 권역 안내판을 유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 경우에는 두 개의 문화재에 대한 안내판임을 보내 분명하게 드러낼 필요가 있다. 9

2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7.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 - (문화유적지 고양 태고사) 고양 태고사 개별 보물 제611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개별 보물 제749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다이어그램 나. 종합+권역 안내판 ⓵ 영주 소수서원 사적 제55호 영주 소수서원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위치한 서원으로 16세기 중반에 주세붕이 건립했다. 사적 제55호 영주소수서원 범위에 있는 지정문화재는 보물 제1402호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와 보물 제1403호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이 있다. a. 현황 사적 제55호 영주 소수서원에는 종합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 하위문화재인 보물 제1402호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와 보물 제1403호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에는 각각 권역안내판이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 권역 안내판은 서원의 일반적인 공간 구성인 제향 공간과 강학 공간의 구분을 따른 것으로, 권역안내판 설치의 모범적인 사례라 고 볼 수 있다. 10

23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표 8. 문화유적지 영주 소수서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사적 제55호 영주 소수서원 (문화유적지 영주 소수서원) 권역 보물 제1402호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권역 보물 제1403호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다이어그램 b. 제안 3개의 국가지정 문화재로 이루어진 문화유적지 소수서원은 종합안내판과 권역 안내판이 서원의 특성에 맞게 잘 설치된 사례이다. 11

2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그림 1. 영주 소수서원 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12

25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⓶ 사지: 경주 감은사지 사적 제31호 경주 감은사지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위치한다. 감은사지의 범위에 있는 국가지정문화재로는 현재 보물 제112호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이 있으며 금당과 강당은 터만 남아있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은 사적 제31호 경주 감은사지에 해당하는 개별안내판이 1개가 설치 되어 있다. 표 9.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개별 사적 제31호 경주 감은사지 - 국보 제112호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다이어그램 b. 제안 경주 감은사지는 하위문화재로 2개의 문화재를 가지고 있으나, 경주 감은사지에 대응 될만한 종합안내판이 없다. 따라서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 안내판이 설치되어야 한다. 국보 제112호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은 2개의 석탑이 하나의 문화재로 지정 되어있다. 이 경우 각각의 석탑이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하지만, 하나의 문화재로 지정된 취지를 좇아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두 개의 탑을 묶어서 설명하는 1개의 권역안내판을 설치한다. 13

2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10.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종합 사적 제31호 권역 국보 제112호 경주 감은사지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경주 감은사지 (문화유적지 경주 감은사지)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다이어그램 다. 종합+권역+개별 안내판 ⓵ 경복궁 사적 제117호 경복궁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의 궁궐로서 많은 전각들을 포함하고 있다. 국가지정문화재는 사적 제117호 경복궁을 포함하여 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보물 제1759호 경복궁 사정전, 보물 제1760호 경복궁 수정전,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보물 제809호 경복궁 자경전, 국보 제224호 경복궁 경회루,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보물 제811호 경복궁 아미산 굴뚝,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보물 제847호 경복궁 풍기대 등 11개가 있다. a. 현황 사적 제117호로 지정된 경복궁 전체에 대해서는 종합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무의 시설인 근정전, 사정전, 경회루전, 향원정 등에는 건물과 함께 그 주변을 설명하는 권역 안내판이 있다. 개별안내판을 가진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은 권역 안내판을 가진 보물 809호 경복궁 자경전의 하위에 속하게 된다. 보물 제847호 경복궁 풍기대와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은 별도의 안내판을 가지고 있지 않다. 14

27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표 11. 문화유적지 경복궁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사적 제117호 경복궁 권역 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권역 국보 제224호 경복궁 경회루 권역 보물 제809호 경복궁 자경전 권역 보물 제1759호 경복궁 사정전 권역 보물 제1760호 경복궁 수정전 권역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개별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개별 보물 제811호 경복궁 아미산 굴뚝 -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보물 제847호 경복궁 풍기대 다이어그램 15

2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 제안 경복궁의 종합안내판과 권역안내판 체계는 많은 개선이 필요치 않은 모범적인 사례로 보인다. 단 근정전 권역안내판은 별도 안내판이 없는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에 대한 안내를 명시적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안내판이 없는 보물 제847호 경복궁 풍기대는 개별안내판의 설치가 필요하다.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경복궁 표 12. 문화유적지 경복궁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종합 - - 문화유적지 경복궁 (사적 제117호 경복궁) 권역 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근정전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권역 경회루 국보 제224호 경복궁 경회루 권역 자경전 보물 제809호 경복궁 자경전 개별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권역 사정전 보물 제1759호 경복궁 사정전 권역 수정전 보물 제1760호 경복궁 수정전 권역 향원정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개별 보물 제811호 경복궁 아미산 굴뚝 개별 보물 제847호 경복궁 풍기대 다이어그램 16

29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그림 2. 경복궁 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17

3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북한산성 사적 162호 북한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에 위치한다. 북한산성 내부에는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가 있다. a. 현황 두개의 문화재에 대한 안내판 설치 현황을 살펴보면 사적 162호 북한산성은 종합, 권역안내판이 각각 1개, 그리고 북한산성에 위치한 대동문에 대해 권역안내판, 개별 안내판이 각각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는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이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로서 안내판이 있다고 보이는 북한산성 대동문이 있다. 이것은 전수조사 상에서 사적162-1호 북한산성(대동문)으로 표기 되었는데, 사적 162-1는 공식적인 문화재지정번호가 아니다.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의 부속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안내판으로 이해한다. 표 13. 문화유적지 북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권역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권역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 개별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 개별 사적 제162-1호 북한산성(대동문) 권역 사적 제162-1호 북한산성(대동문) 다이어그램 18

31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b. 제안 북한산성은 하위문화재로 국가지정문화재 2개가 있다. 한편 사적 162호 북한산성의 권역안내판은 고양 상운사를 설명하고 있다. 고양 상운사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되지 않았지만 문화재로서 설명할 필요가 있기에 안내판이 설치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한산성의 안내판 체계는 지정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았지만 설명될 필요가 있는 부속시설 또한 포함해서 안내판이 설치되어야 한다. 종합안내판은 북한산성을 설명하기 위해 설치한다. 북한산성의 하위 문화재로서 일정한 공간 범위를 가지고 있는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에는 권역안내판,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지만 설명이 필요한 북한산성 대동문에는 개별안내판을 설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고양 상운사에 대해서도 권역안내판을 설치하여, 이 사찰의 경내에 있는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90호 고양상운사목조 아미타삼존불에 대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90호 고양상운사목조아미타삼존불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면 개별안내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표 14. 문화유적지 북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문화유적지 북한산성) 권역 사적 제479호 북한산성 행궁지 북한산성 권역 - - 고양 상운사 개별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90호 고양상운사목조아미타삼존불 개별 - - 북한산성 대동문 다이어그램 19

3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⓷ 경주 불국사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이다. 경주 불국사는 그 범위 안에 많은 전각과 탑 등의 하위 문화재를 가진다. 경주 불국사는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를 포함하여 국보 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국보 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 제22호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국보 제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보물 제61호 경주 불국사 사리탑, 보물 제1523호 경주 불국사 석조, 보물 제1744호 경주 불국사 대웅전, 보물 제1745호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보물 제1797호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등 10개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은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의 공간 범위에 대응하여 종합안내판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문화재들은 각각 개별안내판이 설치되었다. 한편 보물 제1745호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보물 제1797호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에 대해서는 안내판이 설치되지 않았다. 표 15.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합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 종별 사적 국보 국보 국보 국보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번호 제502호 제20호 제21호 제22호 제23호 제61호 제1523호 제1744호 제1745호 제1797호 문화재명칭 경주 불국사 경주 불국사 다보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불국사 석조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다이어그램 20

33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b. 제안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에는 몇 개의 안내판이 추가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보물 1744호 경주 불국사 대웅전 일대를 하나의 권역으로 설정하고, 그 하위 문화재로 국보 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국보 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을 포함시켜 권역안 내판을 설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문화재는 개별안내판을 설치하여 개별 문화재의 특별한 설명을 담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안내판이 설치되지 않은 보물 제1745호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보물 제1797호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등 2개 문화재에 대해서는 개별안내판을 설치하거나 가까운 권역 안내판에 명시적인 설명이 포함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표 16.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경주 불국사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종합 사적 제502호 권역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보물 국보 국보 국보 국보 보물 보물 보물 보물 제1744호 제20호 제21호 제22호 제23호 제61호 제1523호 제1745호 제1797호 다이어그램 21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경주 불국사 (문화유적지 경주 불국사)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다보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불국사 석조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3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그림 3. 경주 불국사 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디지털허브, 22

35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⓸ 서울 문묘 및 성균관 사적 제143호 서울 문묘와 성균관, 보물 제141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 천연기념물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는 서울 종로구 명륜3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문화재들은 함께 문묘 및 성균관 이라는 문화유적지 내의 문화재로 인식 할 수 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각각의 문화재가 설명되어야 한다. a. 현황 사적 143호 서울 문묘와 성균관은 종합안내판 2개, 개별안내판 2개를 가지고 있고, 보물 제141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에는 종합안내판 1개, 개별안내판 2개가 설치되었으며, 천연기념물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에 대해서는 종합안내판 1개, 개별안내판 1개가 설치되었다.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과 그 하위 문화재가 가지는 안내판은 조사상의 문제 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하나의 문화재에 대해 종합 및 개별안내판이 여러 개가 설치 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표 17.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보물 제141호 종합 보물 제141호 개별 보물 제141호 개별 보물 제141호 종합 사적 제143호 개별 사적 제143호 개별 사적 제143호 종합 천기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 개별 천기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 서울 문묘와 성균관 다이어그램 23

3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 제안 사적 143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범위를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 으로 이해 하여 종합안내판을 설치한다. 한편 보물 제141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ㆍ동무 ㆍ서무ㆍ삼문ㆍ명륜당]은 문묘와 성균관에 딸린 몇 개의 건물을 묶어서 하나의 문화재로 지정한 것인데,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으로 나누어 권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대성전, 동무, 서무는 제향목적으로 세워진 건조물이다. 이 구역은 제향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고, 여기에 권역안내판 1개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명륜당이 있는 곳은 강학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권역안내판 1개를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보물 제141호 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은 하나의 지정문화재에 대해 2개의 권역안내판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연기념물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에 대해서는 개별안내판 1개를 설치한다. 표 18.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서울 문묘 및 성균관 서울 문묘와 성균관 종합 사적 제143호 (문화유적지 서울 문묘 및 성균관) 권역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보물 제141호 강학공간 <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 권역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보물 제141호 제향공간 <대성전 동무 서무 삼문 명륜당> 개별 천기 제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 다이어그램 24

37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그림 4.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디지털허브, 25

3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⓹ 불영사 보물 제730호 울진 불영사 응진전, 보물 제1201호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은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에 위치한 사찰 불영사에 속한 국가지정문화재이다. a. 현황 보물 제730호 울진 불영사 응진전, 보물 제1201호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에는 종합 안내판이 각각 1개씩 설치되었다. 표 19.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보물 제730호 울진 불영사 응진전 종합 보물 제1201호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다이어그램 b. 제안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는 하위 문화재로 두 개의 문화재만 포함하지 않는다. 명승 제6호 울진 불영사 계곡일원,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35호 불영사삼층석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불영사 부도 등의 문화재도 울진 불영사라는 문화 유적지와의 관계 속에서 함께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응진전과 대웅보전에 각각 별개의 종합안내판을 설치하기보다 앞서 면단위 문화유적지인 울진 불영사 전체를 설명하는 최상위 종합안내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종합안내판은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를 설명하기 위해 설치한다. 대웅보전과 그 앞에 위치한 불영사 삼층석탑은 하나의 권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곳에 권역안 내판을 설치할 수 있다. 대웅보전 권역과 떨어져 존재하는 응진전과 불영사 사찰로 26

39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들어가는 입구에 위치한 부도는 각각 개별안내판 또는 권역안내판을 설치한다. 한편 명승으로 지정된 울진 불영사 계곡 일원에 대해서는 별도의 종합안내판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 와의 관계성을 중시하여 개념적으로 이 유적지에 속하는 하나의 큰 권역으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표 20.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종합 (문화유적지 울진 불영사) 보물 제1201호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35호 불영사삼층석탑 명승 제6호 울진 불영사 계곡일원 개별 보물 제730호 울진 불영사 응진전 개별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62호 불영사 부도 권역 대웅보전 울진 불영사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권역 불영사계곡 다이어그램 ⓺ 김제 금산사 김제 금산사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위치한 사찰이다. 김제 금산사는 많은 전각과 탑, 석조물 등의 하위 시설을 가지고 있는데, 국보 제62호 김제 금산사 미륵전, 보물 제22호 김제 금산사 노주, 보물 제23호 김제 금산사 석련대, 보물 제24호 김제 금산사 혜덕왕 사탑비, 보물 제25호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보물 제26호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보물 제27호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보물 제28호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보물 제29호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보물 제827호 김제 금산사 대장전, 보물 제828호 김제 금산사 석등 등 11개의 국가지정문화재가 있다. 27

4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a. 현황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전주조사는 국가지정문화재 11개 문화재에 대해 개별안내판 각각 1개씩 설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표 21.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개별 종별 국보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보물 번호 제62호 제22호 제23호 제24호 제25호 제26호 제27호 제28호 제29호 제827호 제828호 문화재명칭 김제 금산사 미륵전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석련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김제 금산사 대장전 김제 금산사 석등 다이어그램 b. 제안 김제 금산사와 하위 문화재는 개별안내판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김제 금산사와 그 하위문화재는 일정한 공간 범위 안에서 유기적 관련성을 가지고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안내판만으로는 이를 효과적으로 설명해 내기가 어렵다고 판단한다. 문화재안 내판 체계에 맞게 종합안내판과 권역안내판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28

41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우선 김제 금산사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종합안내판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김제 금산사는 미륵전과 대장전이 마주보는 가람배치를 가진다. 그리고 이 사이의 공간에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석등,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석련대가 위치하고 있어서, 이곳을 하나의 권역으로 보고 권역안내판 1개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물 제26호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과 그 앞에 위치한 보물 제26호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도 하나의 권역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곳에 권역안내판 1개를 설치한다. 권역설정은 하위 문화재들의 공간배치에 의한 것으로 목적을 달리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권역 내의 개별 문화재에 대해 따로 개별안내판을 두지 않는 것으로 제안하지만,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면 각각 개별안내판을 갖게 할 수 있다.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는 각각 1개의 개별안내판을 가진다. 표 22.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개선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 -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 국보 제62호 김제 금산사 미륵전 보물 제827호 김제 금산사 대장전 권역 보물 제23호 김제 금산사 석련대 미륵전 보물 제828호 김제 금산사 석등 보물 제27호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보물 제22호 김제 금산사 노주 권역 보물 제26호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금강계단 보물 제25호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개별 보물 제28호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개별 보물 제29호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개별 보물 제24호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다이어그램 29

4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그림 5. 김제 금산사 문화재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디지털허브, 30

43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⓻ 남한산성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에 위치한 남한산성은 사적 제57호 남한산성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안에 사적 제480호 남한산성 행궁이 2014년에 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a. 현황 사적 제57호 남한산성에 해당하는 종합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적 제480호 남한산성 행궁에는 안내판이 없다. 표 23. 문화유적지 남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사적 제57호 남한산성 - 사적 제480호 남한산성 행궁 다이어그램 b. 제안 문화유적지 남한산성 하위 문화재로 시도지정문화재까지 살펴보게 되면 더 많은 수의 하위 문화재가 포함될 수 있다. 경기도지정 문화재자료 제15호 장경사,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 숭렬전,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현절사, 경기도지정 시도기념물 제111호 망월사지 등이 있다. 이 하위 문화재들도 포함시켜서 안내판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사적 제57호 남한산성에 대응하는 종합안내판 외에 사적 제480호 남한산성 행궁에 대해서는 권역안내판을, 그리고 장경사, 숭렬전, 현절사, 망월사지에는 각각 개별안내판을 설치할 수 있다. 관점에 따라 사적 남한산성과 남한산성 행궁을 별개의 문화재로 볼 수 있겠으나, 31

4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여기에서는 남한산성 행궁이 유사시 왕의 피난처라는 점과 남한산성이 방어목적의 산성임을 감안하여 하나의 유관한 문화유적지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표 24. 문화유적지 남한산성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사적 제57호 남한산성 (문화유적지 김제 금산사) 권역 사적 제480호 남한산성 행궁 개별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 숭렬전 남한산성 개별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현절사 개별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15호 장경사 개별 경기도지정 시도유형문화재 제111호 망월사지 다이어그램 32

45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⓼ 영주 부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위치한 영주 부석사는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보물 제249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제255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등 6개의 국가지정문화재가 있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 결과에는 보면 부석사와 그 하위 문화재에 해당되는 안내판에 대해 조사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실재로는 각각의 문화재가 모두 개별안 내판에 해당하는 안내 시설을 가지고 있다. 표 25. 문화유적지 영주 부석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 보물 제249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 보물 제255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다이어그램 b. 제안 영주 부석사는 6개의 국가지정문화재 외에도 2개의 경상북도지정 문화재가 있다.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27호 부석사원융국사비,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30호 부석사삼층석탑도 부석사의 하위 문화재이고 안내판체계에 맞게 설명되어야 한다. 33

4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종합안내판은 8개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부석사 전체를 설명할 수 있게 설치되어야 한다. 권역안내판으로는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을 하나로 인식한 권역안내판,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를 하나로 인식한 권역안내판 1개 등 총 2개가 설치 될 수 있다. 그리고 보물 제249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제255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27호 부석사원융국사비, 경상북도지정 유형 문화재 제130호 부석사삼층석탑은 각각 개별 안내판을 가지게 된다. 표 26. 문화유적지 영주 부석사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영주 부석사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 - (문화유적지 영주 부석사) 권역 무량수전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권역 조사당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개별 보물 제249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개별 보물 제255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개별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27호 부석사원융국사비 개별 경상북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30호 부석사삼층석탑 다이어그램 개선 34

47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그림 6. 영주 부석사 문화재안내판 체계 배치도(문화유산디지털허브, 35

4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 하나의 문화재가 있는 유적지 가. 하나의 문화재에 다수의 부속물이 포함된 경우 ⓵ 부여 능산리 고분군 사적 제14호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백제시대 고분군으로 구분군의 범위 안에는 1호부터 7호까지 총 7기의 고분이 있다. a. 현황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안내판은 1개의 권역 안내판을 가지고 있다. 표 27. 문화유적지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권역 사적 제14호 부여 능산리 고분군 다이어그램 현황 b. 제안 사적 제14호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문화재 지정으로만 본다면 단독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문화재이다. 그러나 그 이름 아래에 7기의 고분이 있으므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다수의 하위 문화재를 갖는 문화유적지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 전체에 대응하는 종합안내판을 설치하고, 고분군 내의 7기 고분에 대해서는 각각 개별 안내판을 설치하여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일 수 있다. 36

49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표 28. 문화유적지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사적 제14호 부여 능산리 고분군 개별 - - 1호무덤 개별 - - 2호무덤 부여 능산리 고분군 개별 - - 3호무덤 개별 - - 4호무덤 개별 - - 5호무덤 개별 - - 6호무덤 개별 - - 7호무덤 다이어그램 개선 37

5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담양 소쇄원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은 조광조의 제자인 양산보가 지은 원림으로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에 위치한다. a. 현황 문화재 안내판은 종합안내판 1개, 개별안내판 1개가 있으나 이 내용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조사상의 오류로 보인다. 따라서 하나의 안내판만 설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표 29. 문화유적지 담양 소쇄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현황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명칭 종합 명승 제40호 소쇄원 개별 명승 제40호 소쇄원 다이어그램 현황 b. 제안 문화유적지 담양 소쇄원은 그 하위에 부속시설로서 제월당, 광풍각, 대봉대 등의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다. 부속시설을 포함하여 소쇄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의 안내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전체를 하나의 문화유적지로 보고 종합안내판을 설치한다. 부속 시설은 제월당, 광풍각, 대봉대는 그 각각이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설명이 필요한 문화재의 일부이므로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개별안내판을 설치를 고려할 수 있다. 38

51 I. 문화재 안내판 체계 표 30. 문화유적지 담양 소쇄원의 하위문화재 및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종합 명승 제40호 소쇄원 개별 - - 제월당 개별 - - 광풍각 개별 - - 대봉대 다이어그램 개선 나. 하나의 문화재가 독립적으로 있는 경우 ⓵ 경주 첨성대 국보 제31호 첨성대는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위치한다. a. 현황 국보 제31호 첨성대는 개별안내판 1개를 가지고 있다. b. 제안 첨성대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문화유적지로서 안내판 체계에 따라 개별안내판이 아닌 종합안내판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39

5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31. 문화유적지 경주 첨성대 안내판 제안 유적지명 안내판속성 종별 번호 문화재(문화유적지) 명칭 경주 첨성대 종합 국보 제31호 경주 첨성대 다이어그램 개선 이상에서 살펴 보았듯이, 다수의 문화재가 있거나 하나의 문화재가 여러 개의 부속물을 가지고 있는 문화유적지에는 개별 문화유산의 수, 그것들의 위치 및 개별 문화유산 사이에서 발견되는 의미적 연관성에 따라 종합안내판,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 등을 적정하게 조합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향후 안내판의 보수 증설시 유적지의 특성에 따라 안내판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업무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업무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146개의 문화유적지와 그 유적지에 자리하는 574개의 개별문화재 목록을 본 보고서의 [부록 3]에 첨부하였다. 40

5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54

5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II.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문화재 안내판의 해설문은 해당 문화재를 관람객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쉽고 평이한 언어 및 내용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해설문 내에는 고등교육 이수자도 별도의 설명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관심이 전제되지 않고는 흥미를 갖기 어려운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의 쉽고 어려움의 판단은 일정한 기준을 세우기 어려우며, 또 문화재에 따라서는 전문적인 용어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현재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문화재 해설문안의 작성 기준을 세우기 위해서는 단순히 평이성 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실제 해설문에 쓰인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객관화하여, 그 가운데에서 피해야 할 것, 그것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 부가적인 설명 이 필요한 것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팀은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전수조사를 통해 조사된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텍스트의 어휘를 모두 추출하여 유형별로 종합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문화재 해설문 작성을 위한 어휘 선택의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참고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1. 문화재 해설문 분석 방법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국문 및 영문)의 어휘 분석을 위하여 2013년 전수조사를 통해 취 합된 안내판의 국 영문 해설문 총 1,860 편에 대해, 해설문 속의 용어를 정보요소화 하여 기계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전자문서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국문 해설문에 대해서는, 텍스트에 포함된 용어(단어 및 어구)를 문화유산, 인물, 개념, 문헌, 사건, 공간 등 6개의 정보 요소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소를 식별해 내고, 개별 요소마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술 규칙에 따르는 요소 식별자를 부가하는 작업 - 태깅(Tagging)을 실시하였다. 영문 해설문에 대해서도 문화재 용어로서의 의미가 있는 모든 단어 및 어구를 정보 요소화 하였다. 단, 영문 해설문의 경우에는 용어의 유형을 구분하는 대신 각각의 영문 용어에 대응하는 국문 용어를 속성으로 부여하는 작업을 시행함으로써 데이터 통합시 국문 용어의 유형 분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해설문의 용어가 국문 용어의 적정한 대역어가 아닌 경우에는 이를 오류 로 표시하였고, 이를 통해 영문 해설문의 오류 유형과 사례를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XML 전자문서화 작업 결과 국문 해설문에서는 29,121건, 영문 해설문에서는 16,320건의 용어를 정보요소화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문 및 영문 해설문의 용어, 어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43

5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안내판 해설문 전자문서화를 위한 XML 문서 형식 정의: DTD (Document Type Definition) <?xml version="1.0" encoding="utf-8"?> <!ELEMENT 안내판(항목)+> <!ELEMENT 항목(문화재명칭 기본정보 확장정보 본문)*> <!ATTLIST 항목 id CDATA #REQUIRED 문화재속성(종합 권역 개별) #REQUIRED> <!ELEMENT 문화재명칭 (#PCDATA)> <!ELEMENT 기본정보(시도 시군구 종별 번호 안내판설치 개선사례집 동산_부동산)+> <!ELEMENT 시도(#PCDATA)> <!ELEMENT 시군구(#PCDATA)> <!ELEMENT 종별(#PCDATA)> <!ELEMENT 번호(#PCDATA)> <!ELEMENT 안내판설치(#PCDATA)> <!ELEMENT 개선사례집(#PCDATA)> <!ELEMENT 동산_부동산(#PCDATA)> <!ELEMENT 확장정보 (문화재분류 안내판명칭 안내판수량 지리정보)*> <!ELEMENT 문화재분류 (#PCDATA)> <!ELEMENT 안내판명칭 (#PCDATA)> <!ELEMENT 안내판수량 (#PCDATA)> <!ELEMENT 지리정보 (#PCDATA)> <!ELEMENT 본문 (국문 영문)+> <!ELEMENT 국문(#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공간(#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인물(#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사건(#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문화유산(#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문헌(#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개념(#PCDATA 공간 인물 사건 문화유산 문헌 개념)*> <!ELEMENT 영문 (#PCDATA Eng Eng_err)*> <!ELEMENT Eng (#PCDATA)*> <!ATTLIST id CDATA #IMPLIED note CDATA #IMPLIED> <!ELEMENT Eng_err (#PCDATA)*> <!ATTLIST id CDATA #IMPLIED note CDATA #IMPLIED> 44

5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안내판 국문 해설문 전자문서화 예시 <국문> <문화유산>강릉임영관삼문( 江 陵 臨 瀛 館 三 門 )</문화유산> <개념>국보</개념> 제51호 소재지: <공간>강원도 강릉시 용강동</공간> <개념>객사</개념>란 <개념>고려</개념>와 <개념>조선</개념> 시대에 각 고을에 두었던 관청 건물의 하나이며, <개념>객사문</개념>은 <개념>객사</개념>의 정문에 해당한다. <개념>조선 </개념>시대에는 <개념>객사</개념>의 건물중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자리한 <개념>정전( 正 殿 )</개념>에 국왕을 상징하는<개념>전패( 殿 牌 )</개념>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하여 절을 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가 오면 여기서 묵게 하였다. 이곳은 936년(<인물>태조</인물> 19) <공간>강릉부</공간> <개념>객사</개념>로 총93칸의 건물을 새로 짓고 <문화유산>임영관( 臨 瀛 館 )</문화유산>이라이름지었는데, 이 문은 <개념>객사 </개념>에 딸린 것으로 현존하는 건물은 <개념>고려</개념> 말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문에 걸린<개념>현판</개념>은1366년(<인물>공민왕</인물>15)에 왕이 <문화유산>낙산사( 洛 山 寺 )</ 문화유산>로 행차하는 도중 손수 썼다고 전한다. 1929년 이곳은 <인물>강릉공립보통학교</인물> 시설로 쓰여졌고, 이 학교가 헐리면서 현재 <개념>객사</개념>는 없고 문만 남아있다. 이 <개념>객사문</개념>은 <공간>강원도</공간> 내 건축물 중 유일하게 <개념>국보</개념>로 지정된 문화재로, 간결하고 소박한 <개념>주심포</개념> 계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개념>맞배 지붕</개념>의 <개념>삼문( 三 門 )</개념>이다. 기둥의 <개념>배흘림</개념>은 현재 남아있는 목조건축문화재 중 가장 크며, 기둥과 지붕이 만나는 곳에 사용된 <개념>공포</개념>의 세련 된 조각 솜씨는 <개념>고려</개념> 말, <개념>조선</개념> 초기 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국문> 안내판 영문 해설문 전자문서화 예시 <영문> <Eng_err id="낙산사">naksanss Temple</Eng_err> was founded in 671 by the great <Eng id="의상대사">buddhist Master Ven. Uisang (625~702)</Eng>, who implemented <Eng id="화엄종">hwaeom (Avatamsaka) doctrine</eng> in <Eng id="신라">silla</eng>. After seeing <Eng id="관음보살">avalokitesvara Bodhisttva</Eng>, <Eng id="의상대사">uisang</eng> built <Eng id="낙산사">naksansa</eng> on <Eng_err id="오봉산">mr. Obongsan</Eng_err>, a celebrated mountain facing the <Eng id="동해">east Sea</Eng>. Naksan is an abbreviation of Botanakgasan in Korean to refer to "<Eng id="보타낙가산">potalaka Mountain</Eng>", the place where the <Eng id="관음보살">avalokitesvara Bodhisattva</Eng> is believed to live. Thus, Naksan is also known as Korea's <Eng id="보타낙가산">potalaka Mountain</Eng>. Being a representative Avalokitesvara temple in Korea, Naksansa was recognized as a temple in which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remains intact. It was designed as <Eng id="사적">historic Site</Eng> No.495 in 2009 and as 45

5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Eng_err id="명승">place of Scenic Beauty</Eng_err> No.27 in 2007 for its beautiful coastal scenery around <Eng id="홍련암">hongnyeonam Hermitage</Eng> and <Eng id="의상대">uisangdae Pavilion</Eng>. The temple was destroyed by fire and war and reconstructed several times. The <Eng id="범일국사">national Master Ven. Beomil</Eng> rebuilt the temple in 858, during the <Eng id="통일신라">unified Silla period</eng>. The temple was later destroyed during the <Eng id="몽골군의 침입">Mongol invasions of Goryeo</Eng>, <Eng id="임진왜란">japanese invasions of Joseon</Eng>, <Eng id="병자호란">manchu invasion of Joseon</Eng>, and the <Eng id="한국전쟁">korean War</Eng>. On April 5, 2005, most of <Eng id="낙산사">naksansa</eng> was destroyed by a forest fire. The bronze bell, a <Eng id="보물">treasure</eng> dated to the 15th century, melted in the blaze, and <Eng_err id="원통보전">wontongbojeon hall</eng_err> was burned down. The temple was restored quickly after excavations from 2005 to The excavation confirmed that additions and reconstructions had been made six times to <Eng id="원통보전">wontongbojeon</eng> and its vicinity. The temple was restored as it was during the reign of <Eng id="조선 정조">King Jeongjo of Joseon</Eng> (1776~1800) as depicted in <Eng id="낙산사">naksansa</eng>, a painting by <Eng id="김홍도">kim Hong-do</Eng>. There are many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at the temple today including <Eng id="칠층석탑(보물 제499호)">Seven-Story Stone Pagoda(<Eng id="보물">treasure</eng> No.499)</Eng>, <Eng id="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2호)">Lacquer-applied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Eng id="보물">treasure</eng> No.1362)</Eng>, <Eng_err id="해수관음공중사리비탑 비">Midaired Sarira Stupa and Stele which enshrined Buddha's sarira and sarira caskets(treasure No.1723)</Eng_err>, <Eng id="홍예문(강원도 유형문 화재 제33호)">Hongyemun Gate (<Eng id="강원도 유형문화재">Gangwon-do Tangible Cultural Heritage</Eng> No.33)</Eng>, <Eng id="담장(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4호)">Wall (<Eng id=" 강원도 유형문화재">Gangwon-do Tangible Cultural Heritage</Eng> No. 34)</Eng>, <Eng id="의상대(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8호)">Uisangdae Pavilion (<Eng id="강원도 유형문화재 ">Gangwon-do Tangible Cultural Heritage</Eng> No. 48)</Eng>, and <Eng id="홍련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6호)">Hongnyeonam Hermitage (<Eng id="강원도 문화재자료 ">Gangwon-do Cultural <Eng_err id="heritage">hritage</eng_err> Material</Eng> No. 36)</Eng>. Other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are Asia'a largest <Eng id="해수관음상 ">Seafarers' Avalokitesvara statue</eng>, <Eng id="보타전">botajeon Hall</Eng> which enshrines all images of Avalokitesvara including seven forms of Avalokitesvara, and <Eng id="의상기념관">uisang Memorial Hall</Eng>. After the fire in 2005, private-public restoration was carried out promptly with the <Eng_err id="정념스님">abbot Ven. Jeongyeom</Eng_err>'s dedication. Thanks to the support from the Korean people and Buddhists everywhere, the temple is being born anew. </영문> 46

5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2. 국문 해설문 용어 분석 전자문서화한 국문 해설문으로부터 6개 유형의 문화재 용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재 국문 해설문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차적으로 모든 안내판 상에서 정확하게 쓰여져야 할 문화재 명칭의 표기 형태를 조사하여 과거의 지정사항이 그대로 유지되어 잘못된 정보를 전하는 안내판을 검출하였으며, 같은 뜻이면서도 안내 판마다 사용 어휘 및 표기 형식이 달라 이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사례들을 조사 하여 이에 해당하는 용어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문화재 용어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등에서 사용한 주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향후 분야별 전문가 그룹에 의한 문화재 용어 표준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1) 문화재 명칭 및 지정사항 표기 분석 문화재 지정명칭 및 지정사항 정보와 안내판에서 사용된 문화재 명칭 및 지정사항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문화재 명칭과 지정사항은 문화재를 식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서, 안내판에서 반드시 정확하게 기술되어야 하는 문화재 정보이다. 가. 문화재 지정명칭 및 지정사항 불일치 현황 1 문화재 지정명칭 문화재 지정명칭과 안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아래의 표와 같다. 안내판 ID 안내판 유형 표 32. 안내판명칭과 문화재지정명칭 비교 문화재 지정명칭 안내판에서 사용된 명칭 개별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영릉비 개별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 영산포 등대 개별 영월 정양산성 왕검성 개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 징효대사보인탑비 개별 영월 청령포 관음송 영월의 관음송 개별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영월의 은행나무 개별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영천리의 측백수림 개별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개별 옥천 용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옥천 용암사 쌍 3층석탑 개별 옥천성당 옥천 삼양리 옥천 천주교회 47

6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안내판 ID 안내판 유형 문화재 지정명칭 48 안내판에서 사용된 명칭 종합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욕지면의 모밀잣밤나무 숲 개별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욕지면의 모밀잣밤나무 숲 개별 용봉사영산회괘불탱 용봉사 영산회상 괘불탱화 개별 운흥사괘불탱및궤 운흥사 영산회괘불탱 및 궤 개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원공국사승묘탑 개별 원주 구 반곡역사 원주 반곡역사 개별 원주 흥업성당 대안리공소 원주 천주교 대안리공소 개별 창원 다호리 고분군 의창 다호리고분군 개별 인천 경서동 녹청자 요지 인천 경서동가마터 개별 정읍 전봉준 유적 전봉준선생 고택지 개별 정읍 관청리 근대 한옥 정읍 관청리 조재홍 가옥 개별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정읍 보화리 석불입상 개별 제주 고산리 유적 제주 고산리 선사유적 개별 제주 산천단 곰솔 군 제주시 곰솔 개별 완도 주도 상록수림 주도의 상록수림 개별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강화하점면 오층석탑 개별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경천사 십층석탑 종합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경천사 십층석탑 개별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거창 양평동 석조여래입상 개별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미륵곡석불좌상 개별 고희 초상 및 문중유물 고희영정 외 문중유물 개별 광주 충효동 요지 광주충효동도요지 개별 구 공주읍사무소 공주시읍사무소 개별 구 광양군청 구 광양읍사무소 개별 군지촌정사 군지정사 개별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귀신사 대적광전 및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개별 나주 구 남평역 나주 남평역 개별 나주 노안성당 나주 노안 천주교회 개별 나주 반남 고분군 나주 신촌리 고분군 개별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나주 북문 밖 삼층석탑 개별 나주 불회사 석장승 나주 불회사 석장생 개별 나주 운흥사 석장승 나주 운흥사 석장생 개별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나주 철천리 칠불석상 종합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약수암목조탱화 개별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관촉사 미륵보살상 개별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동화사입구 마애불 좌상

6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안내판 ID 안내판 유형 문화재 지정명칭 49 안내판에서 사용된 명칭 개별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매장해역 도리포 고려청자 매장해역 개별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무안 청천리의 팽나무와 개서어나무의 줄나무 개별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 부안의 미선나무 군락지 개별 부안 유천리 요지 부안 유천리 도요지 개별 부안 진서리 요지 부안 진서리 도요지 개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보광사대보광선사비 개별 부여 화지산 유적 부여 화지산 일원유적 개별 사직단 대문 사직단 정문 종합 사직단 대문 사직단 정문 종합 사직단 서울 사직단 개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남암수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개별 산청 특리 근대 한옥 산청 금서면 민재호가옥 개별 삼척 성내동성당 삼척 천주교 성내동 성당 개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마애삼존불상 개별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 종합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 개별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구서울구치소 개별 서울 문묘와 성균관 서울 문묘일원 종합 서울 문묘와 성균관 서울 문묘일원 개별 서울 석촌동 고분군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 개별 서울 석촌동 고분군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 개별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원효로성당 개별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원효로성당 권역 서울 풍납동 토성 광주 풍납리토성 개별 서울 풍납동 토성 광주 풍납리토성 개별 서울 한양도성 서울성곽 개별 서울 한양도성 서울성곽 개별 신안 해저유물 매장해역 송원대유물 매장해역 개별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개국 원종공신 녹권 개별 양산 법기리 요지 양산 법기리 도요지 개별 양산 신기리 산성 양산 신기동 산성 종합 예산 윤봉길 의사 유적 매헌 윤봉길의사 사적지 개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거돈사 원공국사승묘탑비 개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 개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거돈사지 원공국사승묘탑 개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비

6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안내판 ID 안내판 유형 문화재 지정명칭 안내판에서 사용된 명칭 개별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백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부복장유물 개별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도련 귤나무 개별 제주 방선문 방선문계곡 개별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문화동 우리예능원 개별 청주 신봉동 고분군 신봉동백제고분군 종합 하남 미사리 유적 미사리선사유적지 개별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반야사 원경왕사비 개별 해남 대흥사 대둔산 대흥사 일원 개별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 진도 관매리의 후박나무 개별 진안 강정리 근대 한옥 진안 강정리 전영표 가옥 개별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진주 단성석조여래좌상 개별 진주 평거동 고분군 진주평거동고려고분군 개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창성탑 개별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청주용화사석불상군 개별 자수 초충도 병풍 초충도 수병 개별 춘천 소양로성당 춘천 소양로 천주교회 개별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춘천문화원 개별 청주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 충청북도지사 관사 개별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태안사 광자대사비 개별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태안사 적인선사 조륜청정탑 개별 충무시 문화동 벅수 통영문화동 벅수 개별 대구파계사건칠관음보살좌상 파계사 목조 관음보살좌상 개별 구 포천성당 포천성당 개별 하동축지리문암송 하동 축지리 소나무 개별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한송사지 석불상 개별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해남 연동리의 비자나무숲 개별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헌종 가례도병 개별 장흥 기양리 일본식 가옥 장흥 기양리 48번지 가옥 개별 장흥 예양리 일본식 가옥 장흥 예양리 8번지 가옥 개별 홍성 고산사 대웅전 홍성 고산사 대광보전 개별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동문동 당간지주 개별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홍성 신경리 마애석불 개별 홍성 사운 고택 홍성 조응식 가옥 개별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홍천 물걸리 불대좌 개별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홍천 물걸리 불대좌 및 광배 50

6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2 문화재 지정사항 안내판 상에 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가 잘못 기재된 경우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33. 안내판 지정사항과 문화재 지정사항 비교 안내판 ID 문화재 명칭 안내판의 지정 번호 지정 번호 영월 정양산성 사적 제196호 사적 제446호 나주 반남 고분군 사적 제77호 사적 제513호 해남 대흥사 사적 및 명승 제9호 사적 제508호 옥천 용암사 동 서 삼층석탑 보물 제1388호 보물 제1338호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346호 천연기념물 제343호 나. 제안 이상에서 보인 문화재 지정명칭 및 지정사항의 불일치는 안내판 해설문 개선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해소되어야 한다. 문화재 지정명칭과 지정번호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재의 등급 조정이나 명칭 조정이 있을 때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러한 변경이 있을 때 어떠한 안내판이 그 영향을 받는지 알 수 있게 하는 정보 조회 장치가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정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안내판 해설문에서도 그것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도적인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국문 용어 분야별 용례 분석 안내판 해설문에는 문화재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안내판마다 각기 다른 표기 형식과 어휘들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사례를 찾아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안내판 해설문 상에서 문화유산, 인물, 개념, 사건, 문헌, 공간 등의 분야별로 문화재 용어를 식별해 내고 동의어들 묶음을 산출함으로써 용어의 표준화를 위한 분석 자료를 마련하였다. 가. 분야별 용례 분석 현황 1 문화유산 문화유산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특정 문화유산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쓰인 것들이다. 아래의 표에서 보듯이 동일한 문화재가 안내판에 따라 다른 형식으로 기술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51

6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문화유산명 용례건수 용례 원각사지 십층석탑 4 십층석탑(국보 제2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제2호), 원각사지 십층석탑( 圓 覺 寺 址 十 層 石 塔 ), 원각사지 십층 석탑( 圓 覺 寺 址 十 層 石 塔 ) 서산 용현리 서산 마애삼존불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3 마애여래삼존상 마애삼존불상 문묘 3 문묘, 문묘(대성전,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모신 사당), 문묘( 文 廟 )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경우 [명칭(지정사항)] 형식의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제2호), [명칭(한자)] 형식의 원각사지 십층석탑( 圓 覺 寺 址 十 層 石 塔 ), [약식명칭(지정사항)] 형식의 십층석탑(국보 제2호) 이 출현하였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경우 [정식명칭] 형식의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이칭] 형식의 서산 마애삼존불상 이 출현하였다. 문묘의 경우 [명칭] 형식의 문묘, [명칭(한자)] 형식의 문묘( 文 廟 ), [명칭(설명)] 형식의 문묘(대성전,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모신 사당) 가 출현하였다. 문화유산 용어는 정식명칭, 약식명칭, 이칭, 지정사항, 한자, 설명 과 같은 요소 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정식명칭+한자, 2)정식명칭+지정사항, 3)약식 명칭+지정사항, 4)명칭+설명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⓶ 인물 인물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사람의 이름에 해당되는 어휘들을 식별한 것이다. 왕, 왕족, 비빈, 승려, 일반인, 외국인 등 세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a. 왕 왕 은 왕 및 황제에 해당되는 인물들의 명칭이다. 총 126명의 왕에 대한 386건의 용 례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조선의 왕은 27명(용례 143건), 고려의 왕은 27명(용례 49건), 고대(고구려, 백제, 신라)의 왕은 66명(용례 186건), 중국의 왕은 6명(용례 8건) 이 조사되었다. 52

6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왕명 용례건수 용례 중종 6 중종, 중종( 中 宗 ), 조선 중종, 제11대 중종( 中 宗, 1488~1544, 재위1506~1544), 조선 제11대 중종( 中 宗 ),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 中 宗, 1488~1544, 재위 1506~1544 태조 5 고려 태조, 왕건( 王 建 ), 고려 태조 왕건, 태조 왕건( 王 建 ), 태조 왕건(918~ 943, 재위) 무열왕 9 김춘추( 金 春 秋 ), 무열왕, 태종 무열왕, 태종무열왕, 태종무열왕( 太 宗 武 烈 王 ), 태종무열왕(재위 651 ~ 661), 태종무열왕(재위 654 ~ 661), 태종 무열왕 (654~661, 재위), 신라 29대 태종( 太 宗 ) 무열왕(재위, 654~661, 김춘추) 조선 중종의 경우 [묘호] 형식의 중종, [묘호]+[묘호(한자)] 형식의 중종( 中 宗 ), [국 명]+[묘호] 형식의 조선 중종, [시대]+[대수]+[묘호(한자)] 형식의 조선 제11대 중종 ( 中 宗 ), [시대+[대수]+[묘호(한자, 생몰년, 재위기간)] 형식의 제11대 중종( 中 宗, 1488~1544, 재위1506~1544) 이 각각 출현하였다. 그리고 고려 태조의 경우에는 [시대]+ [묘호] 형식의 고려 태조, [본명(한자)] 형식의 왕건( 王 建 ), [시대]+[묘호]+[본명] 형식의 고려 태조 왕건, [묘호]+[본명(한자)] 형식의 태조 왕건( 王 建 ), [묘호]+[본명(재위 기간)] 형식의 태조 왕건(918~943, 재위) 이 출현하였다. 또한 신라 무열왕의 경우에는 [본명(한자)] 형식의 김춘추( 金 春 秋 ), [시호] 형식의 무열왕, [묘호]+[시호]형식의 태종무열왕, [묘호]+[시호](한자) 형식의 태종무열왕( 太 宗 武 烈 王 ), [묘호]+[시호](재 위기간) 형식의 태종무열왕(재위 654 ~ 661), [시대]+[대수]+[묘호(한자)]+[시호(재위 기간, 본명)] 형식의 신라 29대 태종( 太 宗 ) 무열왕(재위, 654~661, 김춘추) 이 출현 하였다. 왕 용어는 묘호, 시호, 한자, 시대, 생몰년, 재위기간, 대수, 본명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묘호, 2)묘호+한자, 3)시대+묘호, 4)시대+묘호+재위기간, 5)시대+대수+묘호, 6)시대+대수+묘호+재위기간+본명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b. 왕족 왕족 은 고대부터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왕과 친인척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인물들의 명칭으로, 총 43명의 왕족에 대한 81건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53

6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왕족명 용례건수 용례 사도세자 7 사도세자,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장조( 莊 祖 )로 추존), 장조( 莊 祖 ), 장조( 莊 祖,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장조의황제 莊 祖 懿 皇 帝, 장조 莊 祖 효장세자 6 진종, 진종( 眞 宗 ), 진종소황제( 眞 宗 昭 皇 帝 ), 진종소황제( 眞 宗 昭 皇 帝 : 1719~1728), 효장세자, 효장세자(진종) 영친왕 5 영왕, 의민황태자, 의민황태자 이은 공( ), 의민황태자 ( 懿 愍 皇 太 子 ) 영왕( 英 王 ) 이은( 李 垠 ), 의민황태자( 懿 愍 皇 太 子 ) 영왕( 英 王, 이은( 李 垠 )) 사도세자의 경우 [시호] 형식의 사도세자, [시호(한자)] 형식의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시호(한자, 묘호)] 형식의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장조( 莊 祖 )로 추존), [묘호(한자)] 형식의 장조( 莊 祖 ) 및 장조의황제 莊 祖 懿 皇 帝, [묘호(한자, 시호)] 형식의 장조( 莊 祖,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가 출현하였다. 그리고 효장세자의 경우 [묘호] 형식의 진종, [묘호(한자)] 형식의 진종( 眞 宗 ) 및 진종소황제( 眞 宗 昭 皇 帝 ), [묘호(한자, 생몰년)] 형식의 진종소황제( 眞 宗 昭 皇 帝 : 1719~1728), [시호] 형식의 효장세자, [시호(묘 호)] 형식의 효장세자(진종) 가 출현하였다. 또한 의민황태자의 경우 [봉호] 형식의 영왕, [시호] 형식의 의민황태자, [시호]+[본명](생몰년) 형식의 의민황태자 이은 공( ), [시호(한자)]+[봉호(한자)]+[본명(한자)] 형식의 의민황태자( 懿 愍 皇 太 子 ) 영왕( 英 王 ) 이은( 李 垠 ) 이 출현하였다. 왕족 용어는 묘호, 시호, 봉호, 본명, 한자, 생몰년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묘호, 2)묘호+한자, 3)시호, 4)시호+한자, 5)묘호+시호+ 한자, 6)묘호/시호+본명+생몰년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c. 비빈 비빈 은 국왕의 정실부인[ 妃 ]과 국왕의 후궁[ 賓, 貴 人 등]을 가리키는 인물들의 명칭으로 구성된다. 총 63명의 비빈에 대한 149건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비빈명 용례건수 용례 신정왕후 조씨 7 소혜왕후 한씨 6 신정왕후 조대비, 신정황후, 신정황후( 神 貞 皇 后 ) 조씨( 趙 氏, ), 조대비, 조대비(1808~1890)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 소혜왕후( 昭 惠 王 后, 추존) 한씨( 韓 氏 ), 인수 대비(성종의 어머니) 수빈 박씨 5 가순궁( 嘉 順 宮 ), 수빈 박씨( ), 수빈( 綏 嬪 ) 박씨( 朴 氏 ), 현목( 顯 穆 ) 54

6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신정왕후 조씨의 경우 [시호] 형식의 신정왕후, [성씨+작호] 형식의 조대비, [성씨+작호(생몰년)] 형식의 조대비(1808~1890), [시호]+[성씨+작호] 형식의 신정 왕후 조대비, [시호(한자)]+[성씨+작호(한자, 생몰년)] 형식의 신정황후( 神 貞 皇 后 ) 조씨( 趙 氏, ) 가 출현하였다. 소혜왕후 한씨의 경우 [시호] 형식의 소혜왕후, [시호]+[성씨] 형식의 소혜왕후 한씨, [시호(한자)]+성씨(한자) 형식의 소혜왕후( 昭 惠 王 后, 추존) 한씨( 韓 氏 ), [작호(부연설명)] 형식의 인수대비(성종의 어머니) 가 출현 하였다. 수빈 박씨의 경우 [궁호(한자)] 형식의 가순궁( 嘉 順 宮 ), [빈호]+[성씨](생몰년) 형식의 수빈 박씨( ), [빈호(한자)]+[성씨(한자)] 형식의 수빈( 綏 嬪 ) 박씨 ( 朴 氏 ), [시호(한자)] 형식의 현목( 顯 穆 ) 이 출현하였다. 비빈 용어는 시호, 빈호, 궁호, 작호, 성씨, 한자, 생몰년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시호, 2)시호+성씨, 3)시호+성씨+생몰년, 4)빈호+ 성씨+생몰년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d. 승려 승려 는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는 출가 수행자들에 해당되는 인물들의 명칭으로 구성된다. 총 148명의 승려에 대한 246건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승려명 용례건수 용례 보조선사 체징 6 보조(보조), 보조국사, 보조선사, 보조선사 체징( 體 澄, 804~880), 보조선사(보조선사), 보조선사( 普 照 禪 師 ) 체징( 體 澄 ) 선각왕사 나옹 5 나옹, 보제존자 나옹, 보제존자 나옹 ( 懒 翁 ), 보제존자 나옹( 懒 翁 ), 선각왕사 나옹(1320~1376) 보조국사 지눌 5 보조( 普 照 )스님, 보조국사 지눌, 보조국사 지눌( 知 訥, 1158~1210), 보조국사( 普 照 國 師 ), 지눌 보조선사 체징의 경우 [시호] 형식의 보조, [시호]+[법계] 형식의 보조국사, 보조선사, [시호]+[법계](한자)+[법호(한자)] 형식의 보조선사( 普 照 禪 師 ) 체징( 體 澄 ), [시호]+[법계]+[법호](한자, 생몰년) 형식의 보조선사 체징( 體 澄, 804~880) 이 출현 하였다. 선각왕사 나옹의 경우 [호] 형식의 나옹, [봉호]+[호] 형식의 보제존자 나옹, [봉호]+[호(한자)] 형식의 보제존자 나옹 ( 懒 翁 ), [시호]+[호](생몰년) 형식의 선각왕사 나옹(1320~1376) 이 출현하였다. 보조국사 지눌의 경우 [시호(한자)]+스님 형식의 보조( 普 照 )스님, [시호]+[법계](한자) 형식의 보조국사( 普 照 國 師 ), [법명] 형식의 지눌, [시호]+[법계]+[법명] 형식의 보조국사 지눌, [시호]+[법계]+[법명](한자, 생몰년) 형식의 보조국사 지눌( 知 訥, 1158~1210) 이 출현하였다. 55

6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승려 용어는 시호, 법호, 법명, 봉호, 호, 법계, 한자, 생몰년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시호, 2)시호+법계, 2)시호+법명, 3)시호+법명+ 한자+생몰년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e. 일반인 일반인 은 왕, 왕족, 비빈, 승려, 외국인을 제외한 안내판 해설문에서 나타나는 모든 개별 인물들의 어휘들을 가리킨다. 총 584명의 인물에 대한 817건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일반인명 용례건수 용례 이순신 15 이 충무공, 이순신, 이순신 장군, 이순신( 李 舜 臣 ), 이순신( 李 舜 臣 )장군, 이충무공, 충무공, 충무공 이순신, 忠 武 公 李 舜 臣, 충무공 이순신 장군, 忠 武 公 李 舜 臣 將 軍, 충무공 이순신( 李 舜 臣 ), 충무공 이순신( 李 舜 臣, 1545~1598), 충무공 이순신장군, 충무공이순신( 李 舜 臣 ) 장군 이색 8 목은, 목은 이색( ), 목은 이색( 李 穡 ), 목은( 牧 隱 ), 영숙( 潁 叔 ), 이색, 이색 ( 李 穑 ), 이색( 李 穡, ) 김구 5 김구 선생, 김구( 金 九 ) 선생, 백범, 백범 김구, 백범( 白 凡 ) 김구( 金 九 ) 이순신의 경우 [본명] 형식의 이순신, [본명(한자)] 형식의 이순신( 李 舜 臣 ), [성씨]+[시호] 형식의 이 충무공, [시호]+[본명] 형식의 충무공 이순신, [시호]+ [본명]+[장군] 형식의 충무공 이순신 장군, [시호]+[본명](한자, 생몰년) 형식의 충무공 이순신( 李 舜 臣, 1545~1598) 이 출현하였다. 이색의 경우 [본명] 형식의 이색, [본명(한자)] 형식의 이색( 李 穑 ), [호] 형식의 목은, [호(한자)] 형식의 목은 ( 牧 隱 ), [자(한자)] 형식의 영숙( 潁 叔 ), [본명(한자, 생몰년)] 형식의 이색( 李 穡, ), [호]+[본명](생몰년) 형식의 목은 이색( ), [호]+[본명(한자)] 형식의 목은 이색( 李 穡 ) 이 출현하였다. 김구의 경우 [본명]+선생 형식의 김구 선생, [본명(한자)]+선생 형식의 김구( 金 九 ) 선생, [호] 형식의 백범, [호]+[본명] 형식의 백범 김구, [호(한자)]+[본명(한자)] 형식의 백범( 白 凡 ) 김구( 金 九 ) 가 출현하였다. 일반인 용어는 본명, 호, 자, 시호, 성씨, 한자, 생몰년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본명, 2)호, 3)자, 4)호+본명, 5)호+본명+한자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56

6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f. 외국인 외국인 은 한국을 제외한 국가를 국적으로 하는 인물들로 명칭 표기에서 외국어가 사용되는 인물의 어휘들이 해당된다. 총 83명의 외국인에 대한 102건의 용례가 확인 되었다. 외국인명 용례건수 용례 관우 3 관우, 관우( 關 羽 ), 관우( 關 羽 : ) 나카무라요시헤이 1 나카무라 요시헤이( 中 村 與 資 郞 ) 코스트 3 유진벨 2 코스트(Coste), 코스트(Coste, 高 宜 善 ), 코스트(Coste,Eugene Jean Georges) 유진벨(Rev. Eugene Bell, 한국어 이름 :배유지) 유진벨(Rev.Eugene Bell, 1868~1925, 한국어 이름:배유지) 관우의 경우 [한국어독음] 형식의 관우, [한국어독음(한자)] 형식의 관우( 關 羽 ), [한국어독음(한자, 생몰년)] 형식의 관우( 關 羽 : ) 가 출현하였다. 나카무라요 시헤이의 경우 [일본어독음(한자)] 형식의 나카무라 요시헤이( 中 村 與 資 郞 ) 가 출현 하였다. 코스트의 경우 [한국어독음(영어약어)] 형식의 코스트(Coste), [한국어독음(영 어약어, 한자)] 형식의 코스트(Coste, 高 宜 善 ), [한국어독음(영어전체표기)] 형식의 코스트(Coste,Eugene Jean Georges) 가 출현하였다. 유진벨의 경우 [한국어독음(영어 전체표기, 한국어이름)] 형식의 유진벨(Rev. Eugene Bell, 한국어 이름 :배유지), [한 국어독음(영어전체표기, 생몰년, 한국어이름)] 형식의 유진벨(Rev.Eugene Bell, 1868~1925, 한국어 이름:배유지) 이 출현하였다. 외국어 용어는 한국어독음, 국가별표기(한자/영어), 한국어이름, 생몰년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한국어독음, 2)한국어독음+ 국가별표기, 3)한국어독음+국가별표기+한국어이름, 4)한국어독음+국가별표기+ 한국어이름+생몰년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3 개념 개념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문화재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어휘들을 식별한 것이다. 개념 용어는 총 3,822건과 그에 대한 용례 5,023건이 확인되었다. 57

7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개념명 용례건수 용례 탑신 25 굴식돌방무덤 14 귀부 14 몸돌, 몸돌(석탑의 탑신을 이루는 돌), 몸돌( 屋 身 ), 몸돌( 塔 身 ), 몸돌체, 몸체( 塔 身 ), 몸체돌, 옥신, 옥신부, 옥신석, 옥신석( 屋 身 石 ), 탑몸, 탑몸(탑신), 탑몸돌, 탑몸돌(탑신석), 탑신, 탑신( 塔 身 ), 탑신(탑의 몸돌), 탑신(탑의 몸체돌), 탑신부, 탑신부( 塔 身 部 : 탑의 몸체돌), 탑신부( 塔 身 部 ), 탑신석, 탑신석(몸체돌), 탑신석( 塔 身 石 ) 굴식 돌방무덤, 굴식 돌방무덤( 橫 穴 式 石 室 墳 ), 굴식돌방무덤, 굴식돌방 무덤( 橫 穴 式 石 室 墓, 굴식돌방무덤( 橫 穴 式 石 室 墳 ), 굴식돌방무덤 횡혈식 석실묘, 굴식돌방무덤 橫 穴 式 石 室 墳, 횡혈식 돌방 橫 穴 式 石 室, 횡혈식 석실, 횡혈식 석실분, 횡혈식석실묘, 횡혈식석실분, 횡혈식석실분(굴식 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橫 穴 式 石 室 墳 )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거북 받침돌, 거북모양의 받침( 龜 趺 ),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거북받침( 龜 趺 ), 거북받침대좌, 귀부, 귀부(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귀부(거북이 모양), 귀부(거북이 모양의 받침돌), 귀부( 龜 跌 ), 귀부( 龜 趺 ), 비석 받침돌, 비석받침( 龜 部 ) 탑신의 경우 [한글명칭] 형식의 몸돌, 몸돌체, 몸체돌, 탑몸, 탑몸돌, [한글명칭 (한자명칭)] 형식의 탑몸(탑신), 탑몸돌(탑신석), [한글명칭(한자)] 형식의 몸돌( 屋 身 ), 몸돌( 塔 身 ), 몸체( 塔 身 ), [한글명칭(설명)] 형식의 몸돌(석탑의 탑신을 이루는 돌), [한자명칭] 형식의 옥신, 탑신, 옥신부, 옥신석, 탑신부, 탑신석, [한자명칭 (한글명칭)] 형식의 탑신석(몸체돌), [한자명칭(한자)] 형식의 탑신( 塔 身 ), 탑신부( 塔 身 部 ), 탑신석( 塔 身 石 ), [한자명칭(설명)] 형식의 탑신(탑의 몸돌), 탑신(탑의 몸체돌), [한자명칭(한자, 설명)] 형식의 탑신부( 塔 身 部 : 탑의 몸체돌) 가 출현하였다. 굴식돌방무덤 의 경우 [한글명칭] 형식의 굴식돌방무덤, [한글명칭(한자명칭)] 형식의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묘), [한글명칭(한자)] 형식의 굴식돌방무덤( 橫 穴 式 石 室 墳 ), 굴식돌방무덤 ( 橫 穴 式 石 室 墓 ), [한자명칭] 형식의 횡혈식 석실, 횡혈식 석실분, 횡혈식석실묘, [한자명칭(한글명칭)] 형식의 횡혈식석실분(굴식 돌방무덤), [한자명칭(한자)] 형식의 횡혈식석실분( 橫 穴 式 石 室 墳 ), [한자명칭+한글명칭](한자) 형식의 횡혈식 돌방( 橫 穴 式 石 室 ) 이 출현하였다. 귀부의 경우 [한글명칭] 형식의 거북 받침돌, 비석 받침돌, 거북받침대좌, [한글명칭(한자)] 형식의 거북모양의 받침( 龜 趺 ), 거북받침( 龜 趺 ), 비석 받침( 龜 部 ), [한자명칭] 형식의 귀부, [한자명칭(한자)] 형식의 귀부( 龜 跌 ), 귀부( 龜 趺 ), [한자명칭(설명)] 형식의 귀부(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귀부(거북이 모양), 귀부(거북이 모양의 받침돌), [설명] 형식의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이 출현하였다. 개념 용어는 한글명칭, 한자명칭, 한자, 설명 과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한글명칭, 2)한글명칭+한자명칭, 3)한글명칭+한자, 4)한자명칭, 5)한자명칭+ 한자, 6)한자명칭+설명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58

7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4 사건 사건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문화재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식별한 것이다. 사건 용어는 총 80건과 그에 대한 용례 173건이 조사되었다. 사건명 용례건수 용례 6 25 전쟁 13 일제 강점기 운동 7 임진왜란 8 이괄의 난 , 1950년 한국전쟁, 6.25 사변, 6.25 전쟁, 6.25 한국전쟁, 6.25동란, 6.25사변, 6.25전란, 6.25전쟁, 6 25전쟁, 한국 전쟁, 한국전쟁, 06월 25일 일강점기, 일제, 일제 강점, 일제 강점기, 일제 말기(1945년 3월), 일제 치하,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日 帝 强 占 期 ), 일제강점기에, 일제시대 1919년 3월 1일 기미독립운동, 3.1 독립 만세운동, 3.1 독립운동, 3.1 운동, 3.1독립운동, 3 1 운동, 기미독립운동 임난, 임진란, 임진왜란, 壬 辰 倭 亂, 임진왜란(1592), 임진왜란(1592년), 임진왜란(선조 25년 1592), 임진왜란( 壬 辰 倭 亂 ) 이괄의 난, 이괄의 난(1624), 이괄의 난( 李 适 의 亂, 1642년), 이괄의 난1624, 이괄의 반란, 이괄의 반란 광복 해방, 8.15 해방, 8 15 해방, 광복, 해방 병자호란 년 병자호란, 병자란, 병자호란, 병자호란(1636), 병자호란 (1636년), 병자호란( 丙 子 胡 亂 ) 몽고의 침입 5 몽고병의 침입, 몽고의 침략, 몽고의 침입, 몽골군의 침입, 몽골의 침입 동학 농민 운동 5 동학농민봉기, 동학농민혁명, 동학운동( 東 學 運 動 ), 동학혁명, 제2차 동학농민운동 정유재란 3 정유재란, 정유재란(1597), 정유재란( 丁 酉 再 亂 ) 관동대지진 년 관동 대지진, 관동 대지진, 관동대지진( 關 東 大 地 震 ) 병인양요 3 병인양요, 병인양요 때(1866), 병인양요 때(1886) 단종복위운동 3 단종 복위사건, 단종복위 계책, 단종복위운동 제2차세계대전 3 2차 대전, 2차대전, 제2차 세계대전 대한제국 3 대한제국, 대한제국(1897~1910), 대한제국( ) 한일병합 3 한일병합, 한일합방, 한일합병 천주교 박해 2 천주교 박해, 천주교 탄압 갑신정변 2 갑신정변, 갑신정변( 甲 申 政 變 ) 59

7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임오군란 2 임오군란, 임오군란(1882) 백제부흥운동 2 백제 부흥운동, 백제부흥운동 조선 건국 2 조선 개국, 조선 건국 강진 4.4 운동 2 강진 4.4 운동, 독립운동(강진 4 4운동) 인조반정 2 인조반정, 인조반정( 仁 祖 反 正 ) 태평양전쟁 2 태평양 전쟁, 태평양전쟁 정묘병자호란 2 정묘(1627), 병자(1636)호란, 정묘 병자호란 금산전투 2 금산싸움, 금산전투 위화도회군 2 위화도 회군, 위화도회군( 威 化 島 回 軍 ) 중종반정 2 중종반정(1506), 중종반정( 中 宗 反 正 ) 을미사변 2 을미사변, 을미사변( 乙 未 事 變 ) 노량 해전 2 노량해전, 노량해전(1598) 을사조약/ 을사늑약 2 을사늑약, 을사박탈조약 삼국통일 2 삼국을 통일, 삼국통일 서원 철폐령 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서원 철폐령 한국전쟁의 경우 6.25 를 주된 표기로 하는 용례인 6.25, 6.25 사변, 6.25 전쟁, 6.25 동란, 6.25 전란 과 한국전쟁 을 주된 표기로 하는 한국전쟁, 1950년 한국전쟁, 6.25 와 한국전쟁 을 모두 표기하는 6.25 한국전쟁 등이 출현하였다. 이들은 [명칭], [날짜]+[명칭], [명칭1]+[명칭2]와 같은 형식에 의해 표기되고 있다. 한편 임진왜란의 경우 [명칭] 형식의 임난, 임진란, 임진왜란, [한자명칭] 형식의 壬 辰 倭 亂, [명칭 (한자)] 형식의 임진왜란( 壬 辰 倭 亂 ), [명칭(년도)] 형식의 임진왜란(1592), 임진왜란 (1592년), [명칭(왕조년도, 년도)] 형식의 임진왜란(선조 25년 1592) 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위화도회군의 경우 [명칭] 형식의 위화도 회군, [명칭(한자)] 형식의 위화도회군( 威 化 島 回 軍 ) 이 출현하였다. 사건 용어는 명칭, 한자, 날짜, 왕조년도 와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명칭, 2)명칭+한자, 3)명칭+한자+날짜, 4)날짜+명칭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60

7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5 문헌 문헌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다양한 기록물 및 문헌에 해당 되는 명칭을 식별한 것이다. 문헌 어휘 총 46건과 그에 대한 용례 93건이 확인되었다. 문헌명 용례건수 용례 신증동국여지승람 8 삼국유사 7 삼국사기 6 세종실록 4 세종실록지리지 5 여지도서 4 동국여지승람 4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柬 國 興 地 勝 覽,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중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삼국유사( 三 國 遺 事 ), 삼국유사, 三 國 遺 事, 삼국유사, 三 國 遺 事, 삼국유사, 삼국유사, 삼국유가,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삼국사기, 삼국사기,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세종실록, 세종실록, 세종실록(세종15년, 1433년), 세종실록 ( 世 宗 實 錄 ) 세종실록, 世 宗 實 錄 지리지( 地 理 志 ),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 世 宗 實 錄 地 理 志 ), 세종실록지리지 여지도서(1765),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 여지도서( 與 地 圖 書 ),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 동국여지승람( 東 國 與 地 勝 覽 ),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 東 國 與 地 勝 覽, 동국여지승람 금오신화 3 금오신화, 금오신화, 금오신화( 金 鰲 新 話 ) 고려사 3 고려사, 高 麗 史, 고려사, 고려사 문종실록 2 문종실록(1451), 문종실록 연촌유사 2 연촌유사( 烟 村 遺 事 ), 연촌유사 법화경 2 법화경, 법화경 일본서기 2 일본서기, 일본서기( 日 本 書 紀 ) 외암기 2 외암기( 巍 巖 記 ), 외암기( 巍 巖 記 ) 조선금석총람 2 조선금석총람, 조선금석총람 朝 鮮 金 石 總 覽 제왕운기 2 제왕운기( 帝 王 韻 紀 ), 제왕운기 삼국지 2 삼국지, 삼국지 조선왕조실록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탐라방영총람 2 탐라방영총람, 탐라방영총람 ( 耽 羅 防 營 總 攬 ) 지영록 2 지영록(1694년), 知 瀛 錄 (1694년) 61

7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삼국사기의 경우 [명칭] 형식의 삼국사기, 삼국사기, 삼국사기, [명칭 (한자)] 형식의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가 출현하였다. 세종실록의 경우 [명칭] 형식의 세종실록, 세종실록, [명칭(한자)] 형식의 세종실록( 世 宗 實 錄 ), [명칭(인용정보)] 형식의 세종실록(세종15년, 1433년) 이 출현하였다. 여지도서의 경우 [명칭(한자)] 형식의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 여지도서( 與 地 圖 書 ), [명칭(간행년도)] 형식의 여지도서(1765) 가 출현하였다. 또한 이들은 문헌을 표기할 때 사용되는 괄호의 여부에 따라 용례가 구분될 수 있다. 문헌 용어는 명칭, 한자, 간행년도, 인용정보, 괄호 와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명칭, 2)명칭+한자, 3)명칭+한자+간행년도, 4)명칭+한자+인용 정보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6 공간 공간 은 안내판 국문 해설문에 쓰인 문화재 용어 중 지리적인 위치 및 공간을 가리키는 어휘들을 식별한 것이다. 해설문 가운데 공간 어휘는 총 4,009건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다 시 '행정지명'과 '일반지명'으로 구분하였다. '행정지명'은 예컨대 "홍성군 결성면 무량리"와 같이 행정 구역에 의한 법제지명으로서 명확한 표기 근거가 존재하므로 분석에서 제외하였 다. '일반지명'은 '행정지명'을 제외한 공간 명칭으로, 1,244건의 지명에 대한 1,327건의 용례 가 조사되었다. 공간명 용례건수 용례 천지연 5 천지연, 天 地 淵, 천지연( 天 池 淵, 天 地 淵 ), 천지연 天 地 淵 한양 3 한양, 한양(서울), 한양( 漢 陽, 지금의 서울) 한강유역 3 한강 유역, 한강( 漢 江 ) 유역, 한강유역 낭산 3 경주 낭산, 낭산, 낭산( 狼 山 ) 중국 3 중국, 중국( 中 國 ), 중국과 성황산 3 성황산, 성황산(320m), 성황산(330.6m) 한산 2 한산, 한산( 韓 山 ) 적성 2 적성, 적성( 赤 城 ) 숲말 2 숲말, 숲말( 林 里 ) 갈도 2 갈도, 갈도( 曷 島 ) 충렬사 2 충렬사, 충렬사( 忠 烈 祠 ) 강화도정족산 2 강화도 정족산( 鼎 足 山 ), 강화도의 정족산 성산 2 성산, 성산( 城 山 ) 견승포 2 견승포, 견승포(안면도) 웅진 2 웅진, 웅진(공주) 62

7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경상좌도 2 경상좌도, 경상좌도( 慶 尙 左 度 ) 천지연폭포 2 천지연 폭포, 천지연폭포 경주남산 2 경주 남산, 경주 남산( 南 山 ) 하대웅전 2 하 대웅전( 下 大 雄 殿 ), 하대웅전( 下 大 雄 殿 ) 고부관아 2 고부 관아, 고부관아 화산 2 화산, 화산( 花 山 ) 고위산 2 고위산, 고위산( 高 位 山 ) 송산 2 송산, 송산( 宋 山 ) 구봉산 2 구봉산, 구봉산( 九 峰 山 ) 영산강유역 2 영산강 유역, 영산강유역 금천 2 금천, 금천( 錦 川 ) 익산평야 2 익산 평야, 익산평야 낙동강하구 2 낙동강 하구, 낙동강하구 조각당 2 조각당, 조각당( 組 閣 堂 ) 낙랑 2 낙랑, 낙랑 樂 浪 청해진 2 청해진, 청해진 ( 靑 海 鎭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 남강 2 남강, 남강( 南 江 ) 토함산 2 토함산, 토함산( 吐 含 山 ) 남도포 2 남도포, 남도포( 南 桃 浦 ) 하연지 2 하연지, 하연지( 下 蓮 池 ) 남부지방 2 남부 지방, 남부지방 한산주 2 한산주, 한산주( 漢 山 州 ) 남산 2 남산, 남산( 南 山 선도산 2 선도산, 선도산( 仙 桃 山 ) 남천 2 남천, 남천( 南 川 ) 소산 2 소산, 소산( 蘇 山 ) 다라국 2 다라국, 다라국( 多 羅 國 ) 순화방 2 순화방( 順 化 坊, 순화방( 順 化 坊 : 현재 서울 중구 순화동) 당 2 당, 당 唐 안국사 2 안국사, 안국사(현 흥천사) 대웅전 2 대웅전, 대웅전( 大 雄 殿 ) 왕흥사 2 왕흥사, 왕흥사( 王 興 寺 ) 돈덕전 2 돈덕전, 돈덕전( 惇 德 殿 ) 유당공원 2 유당공원, 유당공원(버들못) 말이산 2 말이산, 말이산( 末 伊 山 ) 63

7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장사현 2 장사현, 장사현( 長 沙 縣 ) 메인홀 2 메인 홀, 메인 홀(Main Hall) 정의현 2 정의현, 정의현( 旌 義 縣 ) 문섬 2 문섬, 문섬( 文 島 ) 천제연 2 천제연, 천제연( 天 帝 淵 ) 백두산 2 백두산, 백두산( 白 頭 山 ) 천축산 2 천축산, 천축산( 天 竺 山 ) 백마강 2 백마강, 백마강( 白 馬 江 ) 초안산 2 초안산, 초안산( 楚 安 山 ) 백산 2 백산, 백산( 白 山 ) 태백산 2 태백산, 태백산( 太 白 山 ) 백악 2 백악( 白 岳 ), 백악(북악산) 프라이홀 2 프라이 홀, 프라이 홀(Frey Hall) 범섬 2 범섬, 범섬( 虎 島 ) 하림 2 하림, 하림( 下 林 ) 보석사 2 보석사, 보석사( 寶 石 寺 ) 한국 2 한국, 한국(한국) 북천 2 북천, 북천( 北 川 ) 한산도 2 한산도, 한산도( 閑 山 島 ) 북한산 2 북한산, 북한산( 北 漢 山 ) 해목령 2 해목령, 해목령( 蟹 目 嶺 ) 사비수 2 사비수, 사비수( 泗 沘 水 ) 화지산 2 화지산, 화지산( 花 枝 山 : 해발 48m) 상림 2 상림, 상림( 上 林 ) 황석산 2 황석산, 황석산(1,190m) 한양의 경우 [명칭] 형식의 한양, [고명칭(현명칭)] 형식의 한양(서울), [고명칭 (한자, 현명칭)] 형식의 한양( 漢 陽, 지금의 서울) 이 출현하였다. 낭산의 경우 [명칭] 형식의 낭산, [명칭(한자)] 형식의 낭산( 狼 山 ), [소재행정구역명]+[명칭] 형식의 경주 낭산 이 출현하였다. 화지산의 경우 [명칭] 형식의 화지산, [명칭(한자,해발고도)] 형식의 화지산( 花 枝 山 : 해발 48m) 이 출현하였다. 유당공원의 경우 [명칭] 형식의 유당공원, [명칭(이칭)] 형식의 유당공원(버들못) 이 출현하였다. 공간 용어는 명칭, 고명칭, 소재행정구역명, 이칭, 한자, 해발고도 와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 결과 1)명칭, 2)명칭+고명칭, 3)명칭+고명칭+한자, 4)명칭+이칭+ 5)명칭+소재행정구역명 등과 같은 표기 유형이 나타났다. 64

7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나. 제안 문화재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들이 해설문의 모든 곳에서 획일적으로 일정한 표기 형식을 취할 필요는 없겠지만, 위의 사례에서 보듯이 안내판마다 다른 형태로 표기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문화재청 차원에서 안내판 상의 문화재 용어 표기 기준 규칙을 제정하여 해결해야 할 사항이지만, 여기서는 용어의 유형에 따라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몇 가지 표기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1 문화유산 기본 표기 형식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서울 圓 覺 寺 址 十 層 石 塔, 국보 제2호) 약식 표기 형식 원각사지 십층석탑 문화유산 의 이름에 해당하는 용어는 정식명칭+한자+지정사항 을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 하고, 동일 문화유산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약식명칭 을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 한다. 예를 들어서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경우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서울 圓 覺 寺 址 十 層 石 塔, 국보 제2호)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문화유산이 반복 출현할 경우 원각사지 십층석탑 을 허용하도록 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경우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 山 龍 賢 里 磨 崖 如 來 三 尊 像, 국보 제84호)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마애 여래삼존상 을 허용하도록 한다. 2 인물 a. 왕 기본 표기 형식 조선 중종( 中 宗 ) 약식 표기 형식 중종 왕의 이름은 시대+묘호/시호+한자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묘호/시호 를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만약 묘호나 시호가 없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왕명을 사용하도록 하며, 단 어떠한 경우에도 최초 출현 시에는 시대를 표기하여 인물들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조선 중종의 경우 시대+묘호+한자 의 조선 중종( 中 宗 ) 을 기본 원칙 으로 하되, 동일 인명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중종 을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신라 무열왕의 경우 신라 태종 무열왕( 太 宗 武 烈 王 ) 을 기본원칙으로 하되 반복 출현 하는 경우 태종 무열왕 을 허용하도록 한다. 65

7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 왕족 기본 표기 형식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약식 표기 형식 사도세자 왕족의 이름은 시호/묘호+한자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 하여 출현할 경우에 묘호/시호 를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사도세자의 경우 사도세자( 思 悼 世 子 ) 혹은 장조( 莊 祖 )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 여 표기하도록 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한자를 제외한 사도세자 혹은 장조 를 표기하도록 한다. c. 비빈 기본 표기 형식 약식 표기 형식 신정왕후 조씨( 神 貞 皇 后 趙 氏 ) 신정왕후 비빈의 이름은 비( 妃 )인 경우 시호+성씨+한자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시호 를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신정왕후 조씨의 경우 신정왕후 조씨( 神 貞 皇 后 趙 氏 ) 를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인명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신정왕후 를 허용하도록 한다. 빈( 嬪 ) 및 후궁의 경우 빈호+성씨+한자 를 기본 표기방법으로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수빈 박씨의 경우 수빈 박씨( 綏 嬪 朴 氏 ) 를 기본 원칙으로 한다. d. 승려 기본 표기 형식 보조선사 체징( 普 照 禪 師 體 澄 ) 약식 표기 형식 보조선사, 체징 승려의 이름은 인명이 최초 출현할 경우, 시호, 법호, 법명, 호, 봉호 와 같은 요소들을 두 개 이상 선택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승려의 호들이 중복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인물을 정확히 식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서 보조선사 체징의 경우 보조선사 체징( 普 照 禪 師 體 澄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동일 인명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 보조선사 혹은 체징 을 허용하도록 한다. 보조국사 지눌의 경우 보조국사 지눌( 普 照 國 師 知 訥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반복 출현할 경우 보조국사 혹은 지눌 을 허용하도록 한다. 66

7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e. 일반인 기본 표기 형식 충무공 이순신( 忠 武 公 李 舜 臣 ) 약식 표기 형식 이순신 일반인의 이름은 호/시호+본명+한자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본명 을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이순신의 경우 충무공 이순신( 忠 武 公 李 舜 臣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인명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이순신 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색의 경우 목은 이색( 牧 隱 李 穡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김구의 경우 백범 김구( 白 凡 金 九 ) 를 기본 원칙으로 한다. 호 및 시호를 표기하는 이유는 이와 같은 호칭이 문화재를 비롯한 한국 역사 전반에서 인물 정보를 식별하고 이해하는 데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f. 외국인 기본 표기 형식 코스트(Coste, Eugene Jean Georges) 약식 표기 형식 코스트 외국인의 이름은 한국어독음+국가별표기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인명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한국어독음 을 허용하는 표기 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관우의 경우 관우( 關 羽 ) 를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인명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관우 를 허용하도록 한다.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경우 나카무라 요시헤이( 中 村 與 資 郞 ) 를 기본 원칙으로 하고, 나카무라 요시헤이 를 허용하도록 한다. 코스트의 경우 코스트(Coste, Eugene Jean Georges) 를 기본 원칙으로 하고, 코스트 를 허용하며, 유진벨의 경우 유진벨(Rev. Eugene Bell) 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유진벨 을 허용하도록 한다. 한국어독음과 국가별표기 외에 한국어이름도 인물을 식별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이기는 하나 이는 문맥 속에서 기술되도록 함으로써 외국인 명칭이 지나치게 길게 표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3 개념 기본 표기 형식 몸돌[ 塔 身 ] 약식 표기 형식 몸돌 개념 용어는 한글명칭+한자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개념이 반복하여 67

8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출현할 경우에 한글명칭 을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탑신의 경우 몸돌[ 塔 身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개념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몸돌 을 허용하도 록 한다. 굴식돌방무덤의 경우 굴식돌방무덤[ 橫 穴 式 石 室 墳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굴식돌방무덤 을 허용한다. 귀부의 경우 거북받침돌[ 龜 趺 ] 을 기본 원칙으로 하며 거북받침돌 을 허용한다. 4 사건 기본 표기 형식 위화도회군( 威 化 島 回 軍, 1388년) 약식 표기 형식 위화도회군 사건 이름은 명칭+한자+날짜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사건명이 반복 하여 출현할 경우에 명칭 을 허용하는 표기 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위화도회군의 경우 위화도회군( 威 化 島 回 軍, 1388년)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사건이 반복 출현 하는 경우 위화도회군 을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임진왜란처럼 여러 기간에 걸쳐 일어 난 사건은 임진왜란( 壬 辰 倭 亂, 1592~1598) 과 같이 기간을 명시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5 문헌 기본 표기 형식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1765) 약식 표기 형식 여지도서, 문헌 이름은 명칭+한자+간행년도+괄호 를 기본 표기 방법으로 사용하고, 동일 문헌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에 괄호+명칭 을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여 지도서의 경우 명칭+한자+간행년도+괄호 의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1765) 를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문헌이 반복 출현하는 경우 여지도서 를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세종실록을 비롯한 조선왕조실록의 경우에는 간행년도를 생략하고 세종실록 ( 世 宗 實 錄 ) 으로 표기하도록 하며, 구체적인 인용정보를 표기하고자 하는 경우 문맥 속에 서 기술하도록 한다. 6 공간 기본 표기 형식 경주 낭산 약식 표기 형식 낭산 68

8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공간 이름은 소재행정구역명+명칭 을 기본 원칙으로 사용하고, 반복 출현하는 경우 명칭 을 허용하는 표기원칙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낭산의 경우 경주 낭산 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동일 지명이 출현하는 경우 낭산 을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고지명을 언급하게 되는 경우 고명칭( 지금의 +현재명칭) 형식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서 한양의 경우 한양(지금의 서울) 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3) 국문 용어 주제 분류 및 활용 방안 국문 개념 용례 5,023건을 대상으로 각각의 어휘들의 주제 및 분야의 내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편) 및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국사 편찬위원회 편) 표제어와 매칭하여 기분류된 주제 분류 및 유형분류 데이터를 반입하고 검토 확인하는 방법으로 5,023건의 어휘에 대한 주제를 분류하였다. 가. 문화재 용어 주제 분류 현황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주제 기준에 의한 분류 5,023건의 국문 개념 어휘를 주제 분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표제어 42,061건과 대조하였다. 그 결과 1,287건의 개념 어휘에 대한 주제 분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94개의 주제 분야에 매칭된 국문 개념어 분류 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매칭된 어휘의 주제 목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역사/조선시대사 114 사, 감영, 개국공신, 개국원종공신, 객사, 겸영장, 경연, 공사관, 공신, 공신녹권, 공포, 관군, 관사, 관찰사, 군수, 규장각, 균역법, 금위영, 기사장, 노론, 노비, 녹권, 대동법, 대비, 대사간, 대수, 대원군, 동헌, 두문동칠십이현, 만호, 목사, 무과, 문과, 백패, 병마절도사, 보, 부사, 부원군, 북벌정책, 북학, 붕당정치, 빈궁, 사고, 사관, 사대부, 사약, 삼세, 상궁, 상평통보, 생원, 서원, 서장관, 선전관, 세도, 세도정치, 소론, 수군통제사, 수령, 순변사, 순인, 순장, 시호, 신목, 실록, 양반, 어영청, 영의정, 예조, 옥새, 옹주, 우의정, 우후, 원종공신, 유생, 유지, 의병, 이조, 인정, 장교, 장서각, 재상, 정병, 정자, 조공, 존경각, 종루, 좌의정, 좌익공신, 좌찬성, 진사, 집현전, 천인, 청백리, 충민사, 탕평책, 태자, 통제사, 파루, 패, 포도대장, 하마비, 향약, 현감, 형조, 호패, 홍패, 화사, 후릉, 훈련도감 종교 철학/불교 106 계단, 계율, 공양, 관세음보살, 국사, 극락전, 금강경, 나한전, 노사나불, 다비, 당, 대선사, 대세지보살, 대승불교, 대웅전, 대장경, 69

8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대장도감, 대장전, 대적광전, 대한불교조계종, 도리천, 매향비, 목어, 문수보살, 미륵불, 미륵신앙, 미륵전, 번뇌, 법당, 법신불, 법회, 보살, 보시, 보현보살, 불경, 불교, 불교의식, 비로자나불, 사리, 사월초파일, 사천왕, 산신각, 삼존불, 석가모니불, 석장, 선, 선재동자, 선종, 성문, 수미단, 수미산, 수인, 승군, 승려, 승통, 신선사, 십육나한, 십이지신, 아라한, 아미타불, 약사여래, 약사전, 여래, 연등회, 연화좌, 열반, 영산재, 왕사, 운판, 원종, 원찰, 유가종, 윤회, 응진전, 일주문, 적멸보궁, 절, 제석천, 조계종, 지장보살, 총섭, 화엄경, 화엄종 예술 체육/건축 77 가구, 공포, 관아, 귀부, 기단, 남장포대, 능원, 다포, 다포계, 단청, 당간, 당간지주, 도성, 독립문, 명당, 모전탑, 목조건축, 목탑, 부도, 북한산성, 비각, 사대문, 사소문, 사적및명승, 산성, 삼층석탑, 상량문, 석등, 석빙고, 석탑, 성곽, 성균관, 세검정, 세병관, 숭정전, 오층석탑, 월대, 읍성, 이수, 이층기단, 익공, 전탑, 주심포, 주심포양식, 창경궁통명전, 창호, 초석, 타루비, 탑, 파사석탑, 홍예교 생활/주생활 70 역사/고대사 61 예술 체육/공예 51 종교 철학/불교 45 겹집, 곳간, 구들, 궁집, 난간, 너와집, 대청, 도리, 뒤주, 마루, 맞배지붕, 머름, 미닫이, 박공, 별당, 봉당, 부뚜막, 부엌, 사랑, 서까래, 서재, 소로, 아궁이, 안방, 외양간, 용마루, 우주, 우진각지붕, 이엉, 장여, 정원, 좌상, 창방, 처마, 추녀, 토광, 토방, 툇간, 툇마루, 팔작지붕, 행랑채, 화계, 화덕, 화창 가락국기, 가야고분, 경주, 고구려토기, 고려, 고분, 고주, 공조, 국사, 내성, 노주, 단갑, 대사, 돌방무덤, 백제부흥운동, 부사, 부왕, 사량부, 사모, 사신, 사인, 사자, 사직, 삼국시대, 삼국통일, 삼한, 상대등, 서기, 성주, 순수비, 용주, 웅진도독부, 이견대, 재전, 전문도기, 전방후원분, 전장, 정전, 조선, 집사, 채전, 추봉, 치성, 태수, 판관, 화주 가구, 가마, 고령토, 굴가마, 궤, 금관, 기와, 당초문, 도자기, 동종, 등요, 목공예, 문살무늬, 백자, 범종, 보상화문, 보탑, 봉황무늬, 부장품, 분원, 분청사기, 불꽃무늬, 사리장엄구, 상감, 수막새, 암막새, 연주문, 연화문, 영락, 와당, 요지, 운문, 융기문토기, 정병, 중요민속자료, 진사, 청자, 청화백자, 치미, 토용, 향로 간경도감, 공양, 관세음보살, 금강저, 당, 대세지보살, 대웅전, 대장도감, 대적광전, 명부전, 법신불, 보살, 불성, 비로자나불, 사굴산파, 사천왕, 삼장, 삼존불, 선사, 선재동자, 선종, 송주, 수륙재, 수미산, 수인, 승군, 십문화쟁론, 아미타불, 약사여래, 연화좌, 왕사, 응진전, 인과, 제석천, 합장, 호법신, 화엄경, 화엄십찰, 흥복사 70

8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역사/선사문화 43 생활/의생활 40 역사/조선시대사 37 역사/고려시대사 36 사회/가족 33 과학/과학기술 31 종교 철학/유학 30 예술 체육/회화 29 예술 체육/건축 26 역사/근대사 25 교육/교육 22 거푸집, 고인돌, 굽다리접시, 그물추, 널무덤, 덧널무덤, 덧무늬토기, 독무덤, 돌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 돌무지무덤, 돌칼, 동탁, 마구, 무문토기, 벽돌무덤, 빗살무늬토기, 뿔잔, 석기, 선사시대, 신석기시대, 야철지, 지석묘, 집터, 철기, 철기시대, 청동기, 청동기시대, 화덕자리, 환호 수, 가사, 고름, 곤룡포, 과대, 관복, 금관조복, 금단청, 깃, 능, 단령, 두건, 문신, 상투, 석, 설피, 양관, 옥대, 융복, 의상, 익선관, 장삼, 저고리, 적삼, 적의, 적초의, 제복, 조복, 청초의, 패옥, 항라, 홀, 흘 객사, 겸영장, 기로소, 대사성, 대원군, 도호부사, 동헌, 만호, 목사, 백패, 병마절도사, 부, 부부인, 사고, 사대부, 수복, 수호군, 숙의, 승과, 영은문, 원종공신, 유생, 의정부, 잠저, 적전, 전패, 정사공신, 조창, 좌명공신, 참봉, 참판, 토호, 통제사, 하마비, 호성공신, 혼전, 홍패 경, 진, 거란, 과거, 국공, 국자감, 별장, 병마사, 북진정책, 삼사, 소경, 수찬, 안무사, 어사, 여진, 왜구, 우부승지, 육부, 장고, 장생표, 절제사, 정광, 정삼품, 정이품, 종구품, 중문, 천개, 토성, 판서, 한림원, 향 가묘, 망주석, 묘제, 본관, 사당, 상석, 신주, 열녀, 위패, 장명등, 재실, 제각, 제기, 제례, 제례업무, 족보, 종가, 종손, 지석, 택호, 호, 호석, 호적, 혼유석, 홍살문 간의, 거북선, 결, 규형, 단기, 말, 물시계, 반려암, 불, 비격진천뢰, 사암, 소포, 수표, 승자총통, 영성, 일식, 전석, 주산, 중포, 지자총통, 천자총통, 철편, 치, 칸, 퇴적암, 해시계, 화성암, 화차 인, 가례, 대성전, 두, 만동묘, 명륜당, 묘호, 문묘, 사직단, 선농제, 성리학, 신도, 신문, 예, 예감, 예론, 유교, 전사청, 정문, 제사, 종묘, 종묘제례, 지, 직, 팔괘, 향사, 화랑도 괘불탱화, 국보, 나한도, 남종화, 동양화, 명승, 보물, 불화, 사신도, 사적, 수월관음도, 실경산수화, 어진, 영산회상도, 운룡도, 운룡문, 의궤도, 초충도, 탱화, 팔상도, 화랑, 화원 관아, 기단, 다포, 단청, 당간, 당간지주, 독립문, 비각, 산성, 상량문, 석탑, 수표교, 이수, 익공, 주심포, 초석, 탑 개항, 광무, 광복, 구포은행, 내각, 대왕대비, 대한제국, 본기, 역사, 일제강점기, 집강소, 총세무사, 탁지부, 한인애국단, 호위대, 홍문관 강당, 농촌계몽운동, 도기, 보통학교, 부도, 사액서원, 사우, 서당, 양현고, 여성교육, 유학, 이화학당, 초등학교, 학사, 향교 71

8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생활/민속 인류 22 예술 체육/조각 18 종교 철학/민간신앙 18 사회/가족 18 경제 산업/산업 18 예술 체육/서예 17 역사/고대사 17 예술 체육/국악 16 과학/식물 13 예술 체육/공예 12 생활/의생활 12 경칩, 기린, 기우제, 기청제, 다리밟기, 단오, 동지, 동해용, 명절, 백호, 봉황, 선농단, 용, 윤달, 입하, 주작, 청룡, 태실, 한식, 현무, 화반 광배, 금동보살좌상, 금동여래입상, 나한상, 대좌, 돌짐승, 반가사유상, 보살상, 불상, 사천왕상, 인왕상, 철불좌상, 청동여래입상, 팔부신장상 계주, 고사, 내림굿, 당산제, 돌하르방, 동제, 무속, 무신도, 민간신앙, 부정, 살, 신목, 신장, 재수굿, 풍어제 가묘, 망주석, 분재기, 상석, 신주, 위패, 장명등, 재실, 제각, 제기, 제례, 지석, 허여문기, 호, 호석, 혼유석 가락바퀴, 광채, 논, 디딜방아, 망태기, 목도, 목장, 물방아, 방아, 방풍림, 벽골, 선잠단, 어부림, 제방, 주루막, 채독, 친경 금석문, 비, 사적비, 신도비, 유허비, 전각, 전서, 전적비, 초서, 탑비, 편액, 해서, 행서 건원, 고려, 병부, 사자, 상대등, 순수비, 임나일본부설, 전방후원분, 조선, 진골, 추봉, 태대각간, 판관, 호자 축, 공후, 교방, 나발, 농악, 비파, 석전대제, 악공, 영산회상, 제례악, 중요무형문화재, 청나라, 화성 동백나무, 백송, 보리, 시호, 연화, 원지, 은행나무, 천궁, 천연기념물, 향나무 당초문, 등요, 매병, 백자, 분청사기, 상감, 여의두문, 잔, 치미, 칠보, 행엽, 향로 공단, 공복, 대대, 방심곡령, 원유관, 청초의, 패옥, 폐슬, 혁대, 혜, 화관 문학/현대문학 11 고려청자, 근대주의, 돈, 산문, 서화, 성황당, 순교자, 적도, 현대시 지리/자연지리 10 경상분지, 경승지, 반도, 백두대간, 삼각주, 석호, 석회동굴, 조석, 진산, 하안단구 생활/식생활 9 다모, 단지, 대접, 시루, 유주, 주발, 진상, 토기, 합 종교 철학/유학 9 간지, 계성사, 대성전, 명륜당, 문묘, 삼재, 의, 전사청, 제문 예술 체육/회화 9 괘불탱화, 변상도, 불화, 사신도, 사적, 신중탱화, 운룡문, 의궤도, 팔상도 정치 법제/법제 행정 9 국무총리, 문화재보호법, 보석, 부통령, 우체국, 진성, 헌법, 훈장 예술 체육/조각 9 광배, 대좌, 반가사유상, 보살상, 복장, 불상 종교 철학/민간신앙 7 관성묘, 동제, 산신당, 신장, 지신, 천신, 풍어제 언어/언어 문자 7 범자, 보문, 상호, 어간, 이두, 중성 역사/선사문화 7 독무덤, 돌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 선사시대, 와질토기 사회/사회구조 6 근대화, 기생, 선비, 성, 지주, 청년운동 역사/고려시대사 6 삼공, 우사간, 음직, 중문, 직학사, 판서 72

8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교육/교육 6 강당, 독서당, 사액서원, 수학원, 재, 향교 사회/촌락 6 계, 동성마을, 이정, 입향조, 정려 경제 산업/산업 5 방풍림, 어부림, 친경, 친잠 과학/의약학 5 단, 비상, 심약, 약사, 침 과학/과학기술 5 간의, 규형, 주척, 화산, 화산암 언론 출판/출판 5 갑인자, 경자자, 교지, 목판본, 주자소 종교 철학/신종교 5 방주, 보천교 종교 철학/도교 4 관왕묘, 도교, 십장생, 풍수 언론 출판/언론 방송 4 서울, 시조, 신문, 신흥 경제 산업/경제 4 수표, 원, 임금, 환 역사/근대사 4 대왕대비, 동회, 상왕, 전우총국 종교 철학/천주교 4 공소, 선교, 성당, 수사 예술 체육/서예 4 비, 송덕비, 편액, 해서 예술 체육/국악 3 교방, 아악, 악공 언론 출판/출판 3 교지, 권자본, 주자소 문학/구비문학 3 기문, 전생설화 예술 체육/무용 3 간, 문무, 척 문학/고전시가 3 내당, 소지, 잡록 역사/선사문화 역사/고대사 3 쇠도끼, 쇠창 문학/한문학 3 대, 명나라, 발 과학/동물 3 박쥐, 불가사리, 학 지리/자연지리 3 석호, 안산, 진산 종교 철학/도교 2 도참사상, 신선사상 종교 철학/천도교 2 궁을기, 무극대도 생활/주생활 2 토방, 화창 문학/현대문학 2 순교자, 신작로 정치 법제/정치 2 신탁통치반대운동, 태극기 예술 체육/연극 2 창극, 태 과학/의약학 2 심약, 전의감 생활/식생활 2 다도, 합 종교 철학/천도교 2 동학, 조화 73

8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예술 체육/체육 2 사정, 수구 정치 법제/국방 2 육군, 전쟁 종교 철학/개신교 2 감리교, 선교사 문학/고전시가 1 사룡 생활/민속 인류 1 처서 종교 철학/원불교 1 원광 종교 철학/천주교 1 공소 경제 산업/교통 1 반야용선 언론 출판/언론 방송 1 춘추 문학/한문학 1 조칙 언어/언어 문자 1 범자 경제 산업/통신 1 봉수 사회/촌락 1 계 정치 법제/법제 행정 1 완문 역사/선사문화 역사/고대사 1 철촉 예술 체육/무용 1 처용무 경제 산업/경제 1 원 지리/인문지리 1 지방도 종교 철학/대종교 1 십삼천기 역사/고대사 역사/ 고려시대사 1 매지권 역사/현대사 1 한국 과학/식물 1 침향 2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주제에 의한 분류 5,023건의 국문 개념 어휘를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의 어휘 62,409건과 대조하였다.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표제어처럼 주제 분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이다. 대조 결과 1,695건의 개념 어휘를 128개 주제 분야에 배속시킬 수 있었다.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128개 주제 분야에 매칭된 국문 개념 어휘의 분류 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다. 74

8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표 35.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와 매칭된 어휘의 주제 목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문화 예술>미술 448 정치 행정 법제>인사 지신상, 가구, 가마, 갑발, 갑석, 건칠불, 겹처마, 계단, 고려청자, 고령토, 고주, 공포, 광배, 괘불, 구양순체, 굴가마, 굽다리접시, 귀면와, 금동보살좌상, 금천교, 금표비, 긋기단청, 기념비, 기단, 기단면석, 기단부, 기와, 나한도, 나한상, 남종화, 내림마루, 내삼문, 내원, 노반, 다포, 단청, 당초문, 대들보, 대청문, 대표적인마애불, 덧무늬토기, 도리, 돌짐승, 동자주, 동헌, 마애불, 망주석, 맞배지붕, 매병, 매향비, 면석, 모임지붕, 모전석탑, 모전탑, 목조건축, 목탑, 몸돌, 몸돌체, 몸체, 몸체돌, 무문토기, 무인석, 문인석, 미륵반가사유상, 민무늬토기, 민흘림기둥, 박공, 박공널, 반가사유상, 배흘림기둥, 백자, 백제계석탑, 범종, 변상도, 별궁, 보개, 보륜, 보살상, 보주, 복발, 부도, 부연, 분청사기, 분합문, 불꽃무늬, 불상, 불화, 비각, 비천상, 빗살무늬토기, 사고, 사리단지, 사리보관함, 사리장엄구, 사리장치, 사리함, 사신도, 사적비, 사천왕상, 삼존불, 상감, 상감청자, 상륜부, 상석, 상층기단, 서까래, 서화, 석등, 석비, 석탑, 세살문, 소로, 솟을대문, 송덕비, 수막새, 수월관음도, 순백자, 순청자, 신도비, 신문, 신중탱화, 십이지상, 십이지신상, 암각화, 암막새, 앙화, 어진, 여의두문, 연든천장, 연등천장, 연주문, 연화문, 영산회상도, 옥개받침, 옥개석, 옥신, 옥신부, 옥신석, 와당, 와질토기, 왕희지체, 외삼문, 용두, 용마루, 우주, 우진각지붕, 운룡도, 운룡문, 운문, 운주당, 유허비, 의궤도, 익공, 인왕상, 인화문, 잠저, 장경호, 장대석기단, 장락전, 장여, 전각, 전서체, 전탑, 정병, 주두, 주심포, 주자, 중문, 지대석, 진사백자, 진흥왕순수비, 찰주, 창방, 처마, 철불, 철불좌상, 철회백자, 첨차, 청자, 청화백자, 초서, 초석, 추녀, 추녀마루, 추사체, 치미, 탑, 탑몸, 탑몸돌, 탑비, 탑신, 탑신부, 탑신석, 탱주, 탱화, 토기, 토용, 퇴보, 판문, 팔작지붕, 편액, 평방, 하마비, 하앙식, 하층기단, 함춘원, 합, 해서, 향로, 향로석, 혼유석, 홑처마, 화계, 화반, 화창, 활주 경, 사, 개국공신, 개국원종공신, 공사관, 공신, 공신녹권, 공신록, 과거제도, 과방, 관찰사, 국공, 국무총리, 군수, 능원, 능참봉, 대사간, 대사성, 도호부사, 목사, 무과, 무관, 문과, 문무관, 백패, 병조판서, 부부인, 부사, 부원군, 부정, 부통령, 사관, 사신, 사약, 사옥, 사인, 사자, 삼공, 상궁, 상대등, 선전관, 성랑, 성주, 소과, 수릉관, 수복, 수찬, 숙의, 순변사, 순인, 승과, 시호, 심약, 안무사, 어사, 영의정, 예문관제학, 예조판서, 옹주, 요사, 우부승지, 우사간, 우의정, 원비, 원종공신, 이정, 75

8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이조참판, 이조판서, 재상, 전라감사, 전서, 정경, 정광, 정문, 정사공신, 종9품, 종신, 좌명공신, 좌상, 좌의정, 좌익공신, 좌찬성, 직학사, 집사, 참봉, 참판, 청백리, 총세무사, 추봉, 충청감사, 태대각간, 태수, 판관, 판서, 학사, 향리, 현감, 형조참판, 호성공신, 호조판서, 홍패, 화주 전통사상 종교>불교>불교 종파 용어 대제자, 16국사, 9산선문, 가사, 결가부좌, 계율, 고승, 공덕, 공양, 구산선문, 국사, 금강저, 길상좌, 나발, 당, 대선사, 대승불교, 대한불교조계종, 목어, 백호, 번뇌, 범천, 법문, 법의, 보리, 보시, 복장, 불사, 불성, 삼도, 상좌, 선교, 선사, 선종, 성불, 성주산문, 수인, 승려, 승장, 승통, 시무외인, 신라구산선문, 십대제자, 여원인, 열반, 영산재, 왕사, 우견편단, 운판, 육계, 장교, 장삼, 전장, 정토, 조계종, 조동종, 주지, 지권인, 총섭, 통견, 항마촉지인, 화엄종 사회 생활>풍속 의례>매장 84 고인돌, 곡장, 굄돌, 구덩이식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껴묻거리, 나무덧널, 널무덤, 널방, 덧널무덤, 덮개돌, 독무덤,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 돌무지무덤, 돌방, 돌방무덤, 무덤양식, 벽돌무덤, 벽화고분, 봉분, 앞트기식돌방무덤, 왕릉, 전방후원분, 평천장, 합장, 후릉 전통사상 종교>불교>불교 사상 신앙 사회 생활>일상생활>주생 활 나한, 관세음보살, 광목천왕, 극락정토, 나한, 다문천왕, 대세지보살, 대장경, 도리천, 문수보살, 미래불, 미륵불, 미륵신앙, 법신불, 보살, 보현보살, 부처, 불, 불교경전, 불교사상, 불사리, 비로자나불, 사리, 사천왕, 삼장, 석가모니불, 석가불, 수미산, 아미타불, 약사여래, 여래, 월광보살, 인과, 인왕, 일광보살, 제석천, 증장천왕, 지국천왕, 지장보살, 진신사리, 협시불, 호법신, 화신 개량한옥, 곳간, 궁성, 궁호, 너와집, 누각, 대청, 문루, 별당, 별서, 빈전, 사랑, 상량문, 아궁이, 안방, 월대, 저장구덩, 전문, 정전, 정침, 주거지, 집터, 토광, 토방, 툇간, 툇마루, 품계석, 행랑채, 홍예문 국방 군사>군사방어시설 48 진, 4대문, 4소문, 광성돈대, 남장포대, 내성, 도성, 돈대, 목책, 목책성, 보, 보루, 사대문, 산성, 성곽, 성문, 신라왕경, 암문, 오두돈대, 옹성, 읍성, 장대, 전라좌수영, 중성, 진영, 테뫼식산성, 토성, 포곡식산성, 해자, 현문, 환호 전통사상 종교>불교>불교 관련시설 45 가람배치, 강당, 괘불대, 극락전, 금당, 나한전, 당간, 당간지주, 대웅전, 대장경판당, 대적광전, 말사, 명부전, 미륵전, 불감, 불전, 사사, 사찰, 산신각, 석굴사원, 수미단, 승방, 신선사, 76

8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약사전, 원찰, 일주문, 적멸보궁, 천불전, 해탈문, 화엄십찰, 흥복사 사회 생활>일상생활>의생활 36 고름, 곤룡포, 공복, 과대, 관대, 관복, 금관, 깃, 단령, 대대, 대수, 방심곡령, 번청옥, 보석, 사모, 영락, 옥대, 원유관, 익선관, 저고리, 적삼, 적의, 적초의, 제복, 청초의, 패옥, 폐슬, 항라, 향사, 혁대, 혜, 화관 문화재 34 3층석탑, 관성묘, 궁집, 금관조복, 금동여래입상, 독립문, 돌하르방, 반월산성, 북한산성, 비격진천뢰, 삼층석탑, 삼층탑, 세검정, 수표, 수표교, 숭정전, 영녕전, 영은문, 오층석탑, 이견대, 종묘, 창경궁통명전, 처용무, 청동여래입상, 타루비, 파사석탑, 화도돈대, 화성 정치 행정 법제>행정>중앙 행정기구 33 간경도감, 경연, 교방, 규장각, 기로소, 내각, 대장도감, 병부, 분사대장도감, 삼사, 석빙고, 양관, 양현고, 역사, 예조, 육부, 의정부, 이조, 재전, 전사청, 주자소, 집현전, 한림원, 형조, 홍문관 사회 생활>신분 계급 32 계비, 관기, 능호, 다모, 대왕대비, 대원군, 빈궁, 사대부, 상호, 생원, 세자, 수령, 수사, 양반, 왕실, 정자, 제후, 진골, 진사, 추숭, 태자, 토호, 향공진사, 화랑, 후궁 전통사상 종교>유교> 유교관련시설 정치 행정 법제>행정> 행정제도 사회 생활>풍속 의례>국가 의례 가묘, 계성사, 관왕묘, 대성전, 동재, 만동묘, 문묘, 사당, 사우, 서재, 신위, 영당, 재궁, 정자각, 제각, 제기고, 충민사 공이, 관사, 교령, 교지, 대리청정, 대비, 대의, 사액, 연주, 옥새, 완문, 왕명, 유지, 조복, 조회, 진성, 청정, 추복 가례, 기우제, 기청제, 대사, 배향, 사직단, 석전대제, 선농단, 선농제, 선잠단, 성황제, 승하, 절, 제단, 제사, 종묘제례, 친경, 친잠, 태실, 혼전, 환구단 학술 과학기술>자연과학 22 국방 군사>군직 20 역사일반 19 인명 18 인, 24절기, 각루, 간의, 간지, 경루, 경칩, 규형, 동지, 물시계, 소간의, 영성, 입하, 적도환, 처서, 흑요석 겸영장, 기사장, 만호, 별장, 병마사, 병마우후, 병마절도사, 병마첨절제사, 사정, 사직, 순장, 우후, 절제사, 정2품, 통제사, 포도대장 건륭, 건원, 광무, 단기, 봉황, 여의, 연화, 영정, 영창, 원광, 정원, 주작, 천개, 후원 공소, 남정중, 백분화, 선비, 선왕, 선재동자, 성종, 성현, 원종, 원효, 유림, 제관, 조상, 조석, 천인 77

9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학술 과학기술>인문과학 17 전통사상 종교>무교 민간신앙 17 국방 군사>군수품>무기류 15 가락바퀴, 거푸집, 긁개, 돌날, 동탁, 본기, 삼국통일, 석기, 선사문화, 실록, 음양, 이두, 임나일본부설, 청동기, 팔괘 내림굿, 당제, 목멱대왕, 무신도, 산신당, 산신제, 성황당, 성황신앙, 신목, 신장, 십장생, 장승 고리자루칼, 돌칼, 소포, 쇠도끼, 쇠창, 승자총통, 중포, 지자총통, 천자총통, 철촉, 철편, 편전, 화살촉, 화차 역사일반>국가>고대국가 14 금관가야, 대가야, 보덕국, 삼국, 소가야, 신라, 아라가야, 후백제 역사일반>시기 시대 13 고생대, 상대, 선사시대, 신석기시대, 야요이시대, 역사시대, 중생대, 철기시대, 청동기시대 교육>전근대교육기관 13 국자감, 명륜당, 문도, 사액서원, 서당, 성균관, 존경각, 향교, 훈장 사회 생활>일상생활>생활용품 13 교의, 궤, 그물추, 단지, 뒤주, 등롱, 마구, 뿔잔, 잔, 행엽, 홀, 화덕, 흘 역사일반>국가>중국국가 10 남송, 당, 당나라, 명, 명나라, 북한, 송나라, 원, 청 서명 10 가락국기, 금강경, 법화경, 십문화쟁론, 천자문, 청실록, 춘추, 현대시, 화엄경 전통사상 종교>불교> 매향, 법회, 불교의식, 사월초파일, 성반의식, 송주, 수륙재, 9 불교관련사건 행사 연등회 전통사상 종교>유교> 유교학파 용어 8 성리학, 신주, 실학, 유생, 유학, 유학자 정치 행정 법제>정치사상 정책 8 궐패, 붕당정치, 세도, 세도정치, 수렴청정, 전패, 태극기, 패 지명 8 강도, 경주, 동해, 백두대간, 한양, 호남정맥, 황도 사회 생활>풍속 의례>풍속 8 고사, 단오, 동학, 명절, 복상, 정려, 택호, 한식 정치 행정 법제>행정> 행정구역 7 부, 사량부, 성, 소경, 중원경, 향 사회 생활>풍속 의례> 가정의례 7 묘제, 상투, 제례, 제례업무, 종가, 천신 문화 예술>음악 7 축, 내당, 농악, 비파, 아악, 영산회상, 제례악 전통사상 종교>풍수 도참 7 도참사상, 명당, 안산, 진산, 풍수지리, 풍수지리설 사회 생활>자연현상 재해> 자연 자연현상 6 기린, 일식, 청룡, 학, 현무 문화 예술>종합예술 6 돈, 문무, 순교자, 창극, 태 사회 생활>사회단체> 자치조직 단체 6 계, 도기, 동회, 화랑도 경제 산업>도량형 6 결, 작, 주척, 척, 치, 칸 78

9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정치 행정 법제>정치> 정치조직 단체 5 개화파, 노론, 두문동72현, 생육신, 소론 사회 생활>가족 친족>친족 관계 5 동종, 씨족, 입향조, 정실, 종중 문화 예술>유적 5 복합유적, 조개무지, 패총 사회 생활>풍속 의례> 향촌의례 5 동제, 풍어제 국방 군사>군사기구 5 군기소, 금위영, 어영청, 훈련도감, 훈련별대 문화 예술>문학 5 금석문, 명문, 서사시, 제문 역사일반>국가 5 대한제국, 왜, 일본 문화 예술>언론 출판 4 권자본, 목간, 목판본 외교 국제관계>외교기관 사절 4 객사, 서장관, 영사관 역사일반>종족 부족 4 거란, 몽고, 여진, 왜구 사회운동 독립운동>일본제 국주의>식민통치 및 정책 4 신사참배, 조선신궁, 창씨개명 재정 금융>재정>재정기구 단체 4 광채, 창고, 탁지부 사회 생활>가족 친족> 호구 호적 4 본관, 족보, 호적, 호패 사회 생활>마을 촌락 4 동성마을, 동성촌락, 동족마을, 민가 전통사상 종교>기타종교 4 보천교, 신도 경제 산업>농업>토지제도 3 매지권, 적전, 직전법 교통 통신>통신 우편 3 봉수, 봉수대 정치 행정 법제>법 법령 3 문화재보호법, 소학교령, 헌법 국방 군사>전쟁 전투 3 대몽항쟁, 백제부흥운동, 전쟁 교통 통신>교통로 3 경춘선, 동해남부선, 신작로 역사일반>국가>고려시대국가 3 고려 전통사상 종교>유교> 유교사상 신앙 역사일반>국가>조선시대 국가 정치 행정 법제>정치> 정치사건 3 사단, 삼재, 예 3 조선 3 서원철폐령, 신탁통치반대운동 역사일반>왕호 3 간, 묘호 사회 생활>직업 3 악공, 화원 79

9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국방 군사>국방사상 정책 3 대, 북진정책, 철기 교통 통신>교통시설 3 객관, 교량, 포구 사회 생활>가족 친족> 가족제도 3 분재기, 종회, 허여문기 학술 과학기술>사회과학 3 고대국가, 민족자본 경제 산업>농업>농기구 2 디딜방아, 주루막 경제 산업>농업>농업시설 2 벽골, 제방 국방 군사>군수품>군복 군장류 2 단갑, 융복 전통사상 종교>동학 (천도교)>동학종파 용어 2 궁을기, 접주 정치 행정 법제>사법>범죄 2 무인, 단 사회운동 독립운동>독립 운동>민족주의운동(독립) 2 광복, 한인애국단 재정 금융>재정>조세제도 2 대동법, 진상 학술 과학기술>공학 기술 2 갑인자, 경자자 국방 군사>군>중앙군 2 육군, 호위대 학술 과학기술>의학 약학 2 침향, 향약 외교 국제관계>일본>외교 국제관계(일본) 2 대마도주 전통사상 종교>불교>불교 관련시설>>전통사상 종교> 유교>유교관련시설>>전통 사상 종교>천주교(서학)> 천주교관련시설 2 감실 경제 산업>상업 유통 서비스업>운송 운수 2 조운선, 참선 경제 산업>축산업 2 목장 경제 산업>농업>농업일반 2 내전, 누에치기 교육>교육사상 정책 2 독서당, 민족교육 재정 금융>화폐 금융 2 상평통보, 환 교육>근대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2 민립대학, 이화학당 전통사상 종교>개신교> 개신교사상 신앙 2 개신교, 기독교 교통 통신>통신기관 단체 2 우체국, 전우총국 경제 산업>수공업 2 공조, 관장 사회 생활>일상생활> 식생활 2 대접, 주발 80

9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문화 예술>문화시설 2 장서각, 장충단공원 국방 군사>군 2 승병, 의병장 경제 산업>수산업>수산업 도구 시설 2 죽방렴 경제 산업>광공업>토목 건설업 2 박석 정치 행정 법제>사법> 사법제도 1 경장 사회 생활>보건 복지>의료 1 전의감 사회 생활>관광지 1 한려해상국립공원 국방 군사>군역 1 관군 전통사상 종교>동학 (천도교)>동학관련시설 1 집강소 국방 군사>군>지방군 1 법당 정치 행정 법제>정치>정권 1 제2공화국 국방 군사>군>특수군 1 공비 재정 금융>화폐 금융> 금융기관 단체 1 구포은행 외교 국제관계>외교사상 정책 1 조공 교육>근대교육기관>특수 교육기관 1 수학원 외교 국제관계>외교협상 협약>개항기 1 개항 역사일반>국가>현대국가 1 대한민국 경제 산업>상업 유통 서비스업>창고 보관 1 조창 문화 예술>문화정책 1 세계문화유산 외교 국제관계>일본>종교 문화(일본) 1 신사 재정 금융>재정>재정정책 법령 1 균역법 외교 국제관계>중국>국방 군사(중국) 1 웅진도독부 교육>근대교육기관> 초등교육기관 1 보통학교 전통사상 종교>천주교 (서학)>천주교관련시설 1 성당 정치 행정 법제>행정> 지방행정기구 1 감영 81

9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분류 주제 건수 국문 개념어(대표어) 전통사상 종교>천주교 (서학)>천주교사상 신앙 1 천주교 전통사상 종교>개신교> 개신교종파 용어 1 감리교 전통사상 종교>천주교 (서학)>천주교학파 용어>> 전통사상 종교>개신교> 1 선교사 개신교종파 용어 전통사상 종교>도교>도교 사상 신앙 1 신선사상 외교 국제관계>중국>정치 행정 법제(중국) 1 사마 전통사상 종교>동학 (천도교)>동학사상 신앙 1 무극대도 경제 산업>상업 유통 서비스업>상품 1 공단 국방 군사>군수품>함선 전투기 군사차량 1 거북선 인명>성격별>사회 신분>외 국 귀화인 1 박연 사회운동 독립운동>사회 운동>민족주의운동(사회) 1 농촌계몽운동 나. 제안 문화재 용어에 대한 주제 분류는 향후 각 주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해당 문화재 용어의 가용성, 즉 그 용어가 해당 문화재를 설명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용어인지,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인지를 검토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에서 이루어진 작업이다. 향후 문화재 해설문 개선 사업을 수행할 때 분야별 전문가들이 소관 분야 문화재 용어의 필요성 및 보다 평이한 용어로 바꿔 쓸 수 있는지, 용어를 사용할 때 그 의미를 설명 하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향후 오프라인 안내판과 온라인 디지털 안내 시스템이 연동하는 문화재 안내 체계상 에서는 오프라인 안내판 상에서 가장 평이한 문장과 쉬운 단어로 서술된 문화재 해설을 접하고,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는 독자들은 개인용 모바일 장비를 통해 온라인 안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렇게 주제 분류가 이루어진 각각의 용어들은 심도 있는 문화재 해설을 위한 온라인 용어사전 의 표제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82

9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현재의 문화재 해설문 상에서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어를 쓰면서 그 용어의 의미를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사례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앞으로는 이와 같은 형식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즉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어휘라면 해설문의 가독성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안하며, 전문성 있는 해설을 위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용어라면, 온라인 안내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그 용어의 의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표 36. 설명이 부가된 개념 어휘 예시 어휘 용례 출현 안내판 보주 노반 다포계 단층팔작집 보주( 寶 珠 )(부도의 상륜부에 놓인 둥근 모양의 구슬) 보주( 寶 珠 )(탑비의 상륜부에 놓인 둥근 모양의 구슬) 보주( 寶 珠 )(탑의 상륜부에 놓인 둥근 모양의 구슬) 보주(구술형태의 석재) 보주(구슬 모양) 보주(구슬형태의 석재) 보주( 寶 珠 : 연꽃 봉오리 모양의 장식) 노반( 露 盤 )(탑의 꼭대기 층에 있는 네모난 지붕 모양의 장식) 노반( 露 盤 )(탑의 꼭대기층에 있는 네모난 지붕 모양의 장식) 노반( 露 盤 )(탑의 제일 꼭대기에 있는 지붕돌) 노반( 露 盤 : 머리장식 받침) 다포계(기둥머리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사이 에도 공포를 배치한 형태)양식 다포식( 多 包 式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짜 올린 형식) 단층 팔작집(건물의 네 귀퉁이에 모두 추녀를 달아 만든 집) 강릉 굴산사지 승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 탑비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장흥 보림사 서 승탑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영광 불갑사 대웅전 영암 도갑사 해탈문 담양 식영정 일원 배틀먼트 배틀먼트(battlement: 최상부의 요철( 凹 凸 )부분)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온코이드 온코이드(주로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직경 약 1cm 정도의 둥근 입자)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유주 유주(호흡작용을 도와주는 돌기) 서울 문묘 은행나무 장태 장태(장태-닭의 둥지라는 뜻으로 대나무를 쪼개 원형으로 길게 만들어 총알을 피했던 무기) 장성 황룡 전적 83

9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3. 영문 해설문 용어 분석 전자문서화한 영문 해설문으로부터 16,320건의 영문 문화재 용어와 각각의 영문 용어 에 대한 국문 대역어를 추출하여 문화재 용어 영문 번역의 다양한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문화재 용어 영문 번역의 표준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차적으로 현재의 문화재 지정명칭과 다른 이름으로 쓰인 영문 명칭, 2014년 문화재청에서 고시한 문화재명 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과 다른 형태로 표기된 문화재 영문 명칭, 그리고 해설문상의 기관 이름 등이 해당 기관의 공식 영문 명칭과 상이한 경우 등을 조사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안내판 영문 해설 문안 가운데에는 하나의 국문 문화재 용어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번역되어 이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사례들이 발견되었다. 영문 문화재 용어 번역 용례를 인명, 국가 및 시대명, 사건 이름, 제도명, 건축용어, 불교용어 등 분야별로 분석 정리하여 그 현황을 보이고, 영문 문화재 용어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영문 해설문에 쓰인 모든 영어를 VOA(Voice of America) Special English Words 등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개별 단어의 난이도롤 조사하여, 향후 보다 평이한 영문 해설문안의 집필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1) 영문 해설문 오류 유형 분석 1,860 편의 종합 권역 개별안내판 영문 해설문을 전자문서화한 데이터로부터 수정, 보완,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영문 용어 표기 7,039건을 추출하였다. 5) 이 작업에서 조사 분석한 오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문화재 안내판 영문 문안 오류 유형 ⓵ 문화재 지정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⓶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과 다른 형태의 표기 ⓷ 기관명 등이 공식 영문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⓸ 문자 표기상의 오류 a. 철자 오기 또는 띄어쓰기 오류 b. 대소문자 표기 오류 c. 로마자 표기 오류 d. 원어 발음 표기상의 오류 e. 주소의 영문 표기 오류 ⓹ 번역상의 오류 a. 오역 및 부적절한 표현 b. 의미역 없이 음역만 표기된 경우 c. 문법상의 오류 ⓺ 기타 오류 5) 이 조사 작업은 문화재 용어의 영문 표기 상의 오류 및 불일치 사례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용어 데이터 분석의 방법으로 다룰 수 없는 내용상의 문제점이나 영문 문법상의 오류는 조사 분석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84

9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가. 유형별 오류 현황 ⓵ 문화재 지정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문화재의 공식 지정명칭과 안내판에 쓰인 명칭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한 영문 표기상의 오류는 총 144건이 발견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지정정보 구분 국문 영문 Ten-story Stone Pagoda of 안내판 사용 명칭 경천사 십층석탑 Gyeongcheonsa (Temple) 국보 Ten-story Stone Pagoda from 제86호 지정명칭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Gyeongcheonsa Temple Site, Gaeseong 등록문화재 제443호 등록문화재 제129호 사적 제395호 등록문화재 제148호 사적 제243호 사적 제11호 보물 제157호 안내판 사용 명칭 공주시읍사무소 Gongju Town Office 지정명칭 구 공주읍사무소 Former Gongju-eup Office 안내판 사용 명칭 영산포 등대 Lighthouse at Yeongsanpo (Yeongsanpo Deungdae) 지정명칭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 Water Gauge in Yeongsanpo, Naju Water with sunken of 안내판 사용 명칭 도리포 고려청자 매장해역 Goryeocheongja objects in Doripo, Muan 지정명칭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매장 Sea Area with Sunken Relics 해역 near Doripo Port, Muan 안내판 사용 명칭 산청 금서면 민재호가옥 House of Min Jae-ho in Geumseo-myeon, Sancheong 지정명칭 산청 특리 근대 한옥 Modern Korean-style House in Teuk-ri, Sancheong 안내판 사용 명칭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 Early Baekje Stone Mound Tomb in Seokchon-dong 지정명칭 서울 석촌동 고분군 Ancient Tombs in Seokchon-dong, Seoul 안내판 사용 명칭 광주 풍납리토성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ri, Gwangju 지정명칭 서울 풍납동 토성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Seoul 안내판 사용 명칭 창성탑 Changseong stone monument 지정명칭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Stupa of Master Bojo at Borimsa Temple, Jangheung 안내판에 쓰인 문화재의 명칭이 지정명칭과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재의 지정 또는 등록 이후에 명칭이 변경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등록문화재 제129호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는 2004년 영산포 등대라는 이름 으로 등록되었지만, 원래 등대보다는 수위측정소로 설계되었던 시설물이라는 사실이 85

9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밝혀져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사적 제243호 서울 석촌동 고분군도 최초 지정명 칭은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이었으나, 2011년 문화재청 지정명칭 변경 고시에 따라 시대명 대신 소재지 정보를 추가하고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수정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보물 제157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은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 이라는 이름으로 지정되었다가, 마찬가지로 2011년 지정명칭 변경 고시에 따라 시호만을 사용하기로 한 원칙을 적용하고 소재지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그 밖에 지정명칭 불일치에 따른 오류 목록은 [부록 17]에 수록하였다. ⓶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과 다른 형태의 표기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이하 기준규칙 ) (제정 문화재청 예규 제124호, 일부개정 문화재청 예규 제142호)은 우리나라 국가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명칭에 대한 통일된 영문 표기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크게 표기 원칙, 문화재 유형별 영문 표기 세부 기준, 문화재명칭 명명 요소 목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재의 유형 및 조어( 造 語 ) 상의 특징에 따른 다양한 번역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개별의 문화재의 성격에 부합하도록 하고 6) 유사한 성격을 지니는 문화재들이 일관된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행 문화재 안내판 영문 해설문 가운데 문화재의 이름이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에서 제시한 것과 다른 형태의 표기는 총 3,126건이 발견되었다. 이 모든 명칭이 기준 규칙에서 정한 방식으로 통일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그것이 특정 문화재를 지칭 하는 이름으로 쓰인 경우에는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 에 부합하는 이름으로 통일될 필요가 있다. 7)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방법과 일치하지 않는 번역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Gyeongbokgung (Palace) 4 Gyungbokgung 4 경복궁 Palace Greatly Blessed by Heaven 3 Gyeongbokgung Palace Gyeongbok palace 2 Gyungbok Palace 2 Mt. Namsan 10 남산 Namsan (Mt.) 5 Mount Namsan 3 Namsan Mountain Mt. Nam 1 Cheomseongdae ("star observation terrace") 2 첨성대 Chumsungade 2 Cheomseongdae Observatory astronomical observatory 1 6)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FAQ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p ) 해설문 상에서 문화재 명칭의 의미를 영문으로 설명하거나,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별명을 소개할 목적으로 제시하는 영문 문화재 이름까지 위의 기준 규칙을 따를 필요는 없다. 86

9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기준규칙 제7조(건조물, 유적 및 명승문화재)에 따르면, 용도나 종류 등을 나타내는 후부 요소가 포함된 자연 지물 또는 인공 축조물 등의 고유명사는 고유의 문화재명칭을 보존 하기 위하여 그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 요소의 의미역 표기를 함께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8) 따라서 경복궁은 Gyeongbokgung Palace, 남산은 Namsan Mountain, 첨성대는 Cheomseongdae Observatory가 맞는 표기이지만, 실제 해설문에서는 위와 같이 다양한 표기가 혼재하고 있다. Gyeongbokgung (Palace)와 Namsan (Mt.)처럼 후부 요소의 의미역에 해당하는 영문 어휘를 괄호 안에 덧붙이거나, Gyeongbok Palace와 Mt. Nam처럼 후부 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은 로마자 를 생략하고 그 의미역으로 대체하는 표기가 대체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또한, 경복궁의 Palace Greatly Blessed by Heaven과 첨성대의 star observation terrace처럼 국문 명칭의 의미를 충분히 살려 번역하려는 시도도 드물게 보이는데, 이는 문화재 이름으로서가 아니라 해설문 상에서 문화재 명칭의 의미를 설명하는 목적으로는 쓰일 수 있는 표현이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Bokcheondong Group of Tombs 1 복천동 고분군 강릉 초당동 유적 Bokcheondong tomb 1 Bokcheondong Tomb Group 1 Tumuli in Bokcheondong, Dongnae 1 Chodangdong Historic Site of Gangneung 1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Archaeological Site in Chodang-dong, Gangneung 기준규칙 제21조(상하 행정구역명이 있는 문화재)에 따르면, 국문 문화재명칭에 상하위 관계로 이어지는 두 행정구역명이 나란히 있는 경우는 문화재명+하위 행정구역명+상위 행정구역명 의 순으로 표기하도록 되어있다. 9) 위에 예시로 든 복천동 고분군의 지정명칭은 부산 복천동 고분군이므로, 이 조항에 따라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Busan으로 표기해야 한다. 부산에 설치된 개별안내판이므로 상위 행정구역명인 부산은 생략이 가능하다고 전제하면 복천동 고분군의 바른 표기는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이 된다. 하지만 실제 해설문에서 추출된 번역 용례를 보면 고분군을 나타내기 위해 tumuli라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복천동을 소재지 정보로 간주하지 않고 해당 고분군의 고유한 이름 으로 보아 하이픈 없이 Bokcheondong Tomb Group처럼 표기한 사례를 볼 수 있다. 강릉 초당동 유적도 유사한 사례이다. 기준규칙의 방식을 따르면 Archaeological Site in Chodang-dong, Gangneung로 표기해야 하지만, 실제 안내판에는 Chodangdong Historic Site of Gangneung으로 사용되고 있다. 8)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p )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p

10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조선왕조실록 Annals of the Joseon kingdom 2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2 기준규칙 제8조(서적 및 회화 문화재)에 따르면 서적, 회화 등 동산문화재의 명칭이 작품의 제목에 해당하는 고유한 이름인 경우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되 의미 전달을 위하여 괄호 안에 의미역 표기를 병행할 수 있고, 로마자 표기의 띄어쓰기는 지정 명칭 국문의 의미단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영문 표기 명칭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10) 이 조항에 따라 조선왕조실록은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으로 표기해야 하지만, 실제로 사용된 용례는 로마자 표기를 생략하거나 True Record라는 다른 번역을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후박나무 은행나무 Hubak tree 6 Hubak tree (Machilus thunbergii S. et Z.) 2 Hubak tree (Machilus thunbergii) 2 Machilus (Machilus thunbergii Sieboid et Zucc) Eunhaeng tree 2 Ginkgo Tree (Ginkgo bilobata Linnaeus) (Ginkgo biloba L.) Eunhaeng tree 1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Gangjin Seongdongri Ginkgo Tree 10 서울 문묘 은행나무 Gingko Tree at Seoul Munmyo 2 반계리 은행나무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장덕리 은행나무 함양 운곡리의 은행나무 Ginkgo tree (gingdo biloba l.) in Bangye-ri ULJU GURYANG-RI GINGKO TREE Ginkgo tree (gindo biloba l.) in Jangdeok-ri, Jumunjin Gingko (gingko biloba 1.) in Ungok-ri, Hamyang Ginkgo Tree of Seongdong-ri, Gangjin Ginkgo Tree of Munmyo Confucian Shrine, Seoul 1 Ginkgo Tree of Bangye-ri Ginkgo Tree of Guryang-ri, Ulju Ginkgo Tree of Jangdeok-ri Ginkgo Tree of Ungok-ri, Hamyang 기준규칙 제10조(동물 및 식물 문화재)에 따르면 동물과 식물의 명칭은 원칙적으로 영어명(English common name)을 표기하고 필요한 경우 학명을 괄호 안에 표기하도록 되어있다. 11) 즉, 수종 자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거나 학술적인 용도에서 동식물의 10)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p )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p

10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정확한 명칭을 표현하고자 한다면 국제 명명 규약에 따라 학명까지 표기해주는 것이 좋겠지만, 어느 지역의 특정 개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면 학명은 생략하고 영어명 으로만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기를 살펴보면 상당수가 학명의 표기를 병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박나무를 hubak tree로 쓴 것과 같이, 영어명을 쓰지 않고 식물의 이름을 로마자 로 표기한 경우도 다수 발견된다. 이렇게 학명이 과도하게 사용된 사례는 문화재명칭 외에 해설문에서도 다수 발견된다. 천연기념물 제171호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의 개별안내판에서는 이 지역의 동물분포상을 소개하면서...insects such aserebia wanga bremer butterfly, yaniris semiagus, lycaeides subsolana butterfly... 와 같이 곤충의 이름을 모두 학명으로 표기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32호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의 개별안내판 역시 이 지역 에서 서식하는 식물을 소개하면서 그 이름을 모두 학명으로 표기했다. ( Chibaldo is mainly covered by Carex boottiana grassland with some shrubs Commelina communis, Sedum oryzifolium, Lilium lancifolium, Scilla scilloides, Aster sphathulifolius,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scanthus sinensis, Chenopodium album, Arisaema heterophyllum, and some Tree Carpinus turczaninovii, Elaeagnus glabra, Euonymus japonicus, Rubus coreanus, Ficus carica, Camellia japonica. ) 이러한 학명의 표기는 안내 문안의 길이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표 37. 다양한 번역 용례와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비교 예시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기준규칙에 따른 표기 Vairocana 5 Birojana Buddha 3 Birojanabul 2 비로자나불 Birosana Buddha 2 Vairocana Buddha (Cosmic Buddha) 2 Vairocana Buddha Birojanabul Buddha 1 Vairocana, the dharma-kaya of truth 1 Sun Buddha 1 ceremonial pavilion 6 정자각 jeongjagak shrine 6 T-shaped pavilion 2 T-shaped Wooden Shrine T-shaped shrine 년 기준규칙과 함께 발간된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용례집 을 살펴보면, 비로 자나불은 기준규칙 제14조(불상 등 불교문화재)에 따라 산스크리트어인 Vairocana Buddha로 89

10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기하도록 되어있고 정자각에 대해서는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사용된 T-shaped Wooden Shrine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실제 안내판 에서 사용된 번역 용례를 모아보면 다수의 다양한 표기를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용례 중 일부는 로마자에 오류가 있거나 용례 자체가 어색한 경우도 있지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혹은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이칭과 별칭으로 사용할만한 표현도 포함하고 있다. 12) 일반적인 관광객들이 산스크리트어인 Vairocana Buddha보다는 Cosmic Buddha라는 영어 명칭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도 있고, 정자각의 형태보다는 그 기능에 더 주안점을 두고 설명하는 경우라면 ceremonial pavilion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과정에서 기준규칙과 다른 표기로 분류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양질의 용례를 선별하고, 그러한 것을 활용분야에 따른 이칭 및 별칭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⓷ 기관명 등이 공식 영문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기관명과 알려진 인명 등 해당 기관이 이미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거나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영문 명칭과 일치하지 않아 영문 표기 오류로 간주한 사례는 27건이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공식 영문 명칭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Central Museum 2 Seoul National Museum 1 Central National Museum 1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광주박물관 National Museum in Gwangju 1 Gwangju National Museum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장면 Ewha Women's University Museum 1 Jang Myeon 2 Unseok Jang Myeon (1899~1966) 2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Chang Myon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과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모두 인명의 로마자 표기는 그동안 써 오던 표기 방식을 존중해서 쓸 수 있고, 기관 단체 명칭은 해당 기관 단체에서 그동안 써 온 표기를 존중한다는 일반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실제 영문 문안에서는 공식 명칭의 확인 없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에 따라 일괄 표기 하거나 임의로 번역한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은 해설문에 12)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 제정의 기본 취지는 문화재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일관된 영문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기준규칙은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의 지정명칭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명명요소목록과 표기 기준이 정해졌기 때문에, 학술적인 분야나 관광 등 다양한 활용처에서 이 기준규칙이 절대적인 경직성을 가지고 적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재의 공식적인 영문 명칭에 대해서는 이 규칙을 따르되, 해설 문안 속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이용자 입장에서의 보다 평이한 번역도 가능할 것이다. 90

10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따라 National Central Museum, Seoul National Museum, Central National Museum 등으로 번역된 경우가 발견되는데, 이는 모두 공식 기관 명칭인 National Museum of Korea로 통일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 공식명칭 불일치에 따른 오류 목록은 [부록 19]에 수록 하였다. ⓸ 문자 표기상의 오류 a. 철자 오기 또는 띄어쓰기 오류 영어 철자 또는 띄어쓰기 상의 오류는 총 1,360건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오류들은 현재 설치된 안내판에 실제로 존재하는 오류인지 혹은 전수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텍스트 입력 오류인지 구분할 수 없지만, 정확한 확인을 위해 그 목록을 [부록 20]에 수록하였다. b. 대소문자 표기 오류 영어의 대소문자 표기 오류는 총 125건이 발견되었다. 인명, 지명, 국가명, 문화재명 등의 고유명사는 각 영어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하는데 이러한 규칙이 지켜지지 않은 사례도 많았다. 이 또한 안내판에 실제로 존재하는 오류인지 혹은 전수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인지 구분할 수 없지만, 정확한 확인을 위해 그 목록을 [부록 21]에 수록하였다. c. 로마자 표기 오류 로마자 표기 오류는 총 1,243건이 발견되었고, 그 중 매큔-라이샤워 표기가 사용된 경우는 총 91건이다. 매큔-라이샤워 표기의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문 매큔-라이샤워 표기 빈도수 수정안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 고려 Koryo 28 Goryeo 조선 Choson 10 Joseon 백제 Paekche 7 Baekje 고구려 Koguryo 5 Goguryeo 안채 anch ae 3 anchae 사랑채 sarangch ae 2 sarangchae 대구 Taegu 2 Daegu 대웅전 Taeungjon 2 Daeungjeon 91

10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매큔-라이샤워 표기는 미국인 학자 매큔(McCune, G.M.)과 라이샤워(Reischauer, E.O.)가 1939년에 공동으로 작성한 것으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이 고시되기 전까지 국 내에서도 널리 사용되던 로마자 표기법이다. 그러나 2000년 7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이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법으로 제정되었고, 문화재청에서도 문화재 명칭의 영문 표기에 이 방법을 채용하기로 하였으므로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 역시 이 표기법을 준용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번에 발견된 매큔-라이샤워 표기가 사용된 안내판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고시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d. 원어 발음 표기상의 오류 우리말 발음을 음역할 때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을 따르는 것과 같이, 중국어나 일본어도 해당 언어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기준이 있다. 중국이나 일본의 인명, 지명을 영문자로 표기할 때, 우리말 한자음을 따를 것인지, 해당국 원어의 발음을 따를 것인지에 대해서 사회적으로 합의된 공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화재 영문 안내판이 외국인을 위한 시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용어의 영문 표기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원어 발음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이번 조사 결과, 현재 문화재 해설문에 존재하는 원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 오류는 총 47건이 발견되었다. 대부분 중국과 일본의 고유명사를 음역할 때 중국어의 한어 병음이나 일본어의 헵번식 표기 등을 따르지 않고,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에 따라 쓴 경우이다. 원어 발음 표기상의 오류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문 현재 표기 빈도수 수정안 비고 구양순( 歐 陽 詢 ) Gu Yang-Sun 2 Guyangsun 1 Ouyang Xun 중국의 서예가 Dang dynasty of China 2 당( 唐 ) Dang Dynasty, China 1 Dang period of China 1 Tang dynasty 중국의 왕조 Dang Dynasty 1 원( 元 ) Won Dynasty 2 Won period of China 1 Yuan dynasty 중국의 왕조 호류사( 法 隆 寺 ) Beopryungsa Temple 1 Horyuji (Beopnyung temple) of Japan 1 Horyuji Temple 일본의 사찰 92

10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e. 주소의 영문 표기 오류 주소의 영문 표기상의 오류는 총 175건이 발견되었다. 영문의 주소 표기는 우리나라의 주소 표기와는 반대로 최하위 지명부터 최상위 지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하지만 현재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 중 우리나라 주소 표기 순서를 그대로 따르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었다. 국문 현재 표기 수정안 Gyeongsangnam-do, Wonpyeong-ri, Sudong-myeon,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Hamyang-gun, Sudong-myeon, Hamyang-gun, 원평리 Weonpyeong-ri Gyeongsangnam-do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Miryang-si Cheongdo-myeon Gobeop-ri, Cheongdo-myeon, Gobeop-ri Miryang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Jeollanam-do, Goheung-gun, Jeomam-myeon, Seonggi-ri Seonggi-ri, Jeomam-myeon, Goheung-gun, Jeollanam-do 전라남도 나주시 교동 32-3 Jeollanam-do, Naju-si, Gyodong 32-3 Gyo-dong, Naju, 32-3 Jeollanam-do 표기상의 오류에 해당하는 오류 목록은 [부록 20, 21, 22, 23, 24]에 유형별로 수록하였다. ⓹ 번역상의 오류 a. 오역 및 부적절한 표현 오역이나 부적절한 표현 등으로 인해 원래의 의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거나, 학계 및 공공 분야에서 관행적으로 쓰는 용례와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일부 조사되었다. 조사된 총 309건 중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수정안 보물 Treasury 27 National Treasure 9 Treasur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22 registered cultural asset 2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1 등록문화재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Registered National Cultural Heritage of Korea 1 Cultural Properties 1 93

10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국보 National Treasury 6 National Treasure Famous Site 5 Place of Scenic Beauty 2 명승 Scenic Area 1 Historic and Scenic Site 1 Scenic Site historic site 1 Monument 1 natural treasure 5 천연기념물 Protected Natural Species 4 Natural Heritage 2 Natural Monument National Monument 1 성 castle 24 fortress, walled town 등 이순신 General Yi 13 General Yi Sun-sin 3 Yi Sun-sin, Admiral Yi 등 천개 coffin lid 2 canopy 먼저, 문화재 지정종목의 영문 표기에서 다수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현재 문화재청 에서는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중요무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등록 문화재의 영문 표기를 각각 National Treasure, Treasure, Historic Site, Scenic Site, Natural Monument,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와 같이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 안내판에서는 이러한 표기를 따르지 않은 오류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영문 해설문에는 National Treasure 로 표기되는 등 실제 지정정보가 오역된 경우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성( 城 )을 castle로 번역한 것도 오역이다. castle은 왕이나 봉건 영주가 자신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사유지에 건설한 요새와 같은 개념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산성, 토성, 읍성 등과는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성들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fortress, walled town, 또는 fortification 등으로 번역할 필요가 있다. 이순신의 경우, General Yi Sunsin 또는 General Yi로 표기된 것이 16건으로 나타났다. 이순신은 수군을 지휘하는 장군이었기 때문에 General이 아니라 Admiral로 표기해야 한다. 천개( 天 蓋 )는 문맥의 의미를 따지지 않고, 사전상의 정의를 무조건 따라 번역한 오역 사례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천개는 1) 관( 棺 )의 뚜껑, 또는 2) 불교 불상을 덮는 일산( 日 傘 )이나 법당 불전( 佛 殿 )의 탁자를 덮는 닫집의 의미를 지닌다. 천개라는 용어가 사용된 해설문에서는 석불좌상의 머리 위에 팔각형의 천개가 94

10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올려져있다 고 했으므로 2)번의 의미로 번역해야 하나, 현재 영문 해설문은 1)번의 의미를 나타내는 coffin lid로 번역되어 있다. 천개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용어에 대해서는 추후 이 분야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하나, 현재 다른 해설문에서는 천개 혹은 닫집을 표현하는데 canop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단순한 용어상의 오류 외에 문장의 의미가 잘못 전달된 오역 사례도 다수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사적 제18호 경주 동궁과 월지의 종합안내판 중 경순왕( 敬 順 王 ) 5년 (931)에는 고려 태조 왕건( 王 建 )을 위하여 임해전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는 내용이 있는데, 영문에서는 A party was held in Imhaejeon for Taejo Wang Geon of Goryeo and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sun (931). 와 같이 번역되어 있어 "태조 왕건과 고려 건국자"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또, 사적 제357호 광명 영회원의 개별안내판에는 영회원은 조선 제16대 인조( 仁 祖 )의 맏아들인 소현세자( 昭 顯 世 子 )의 민회빈( 愍 懷 嬪 ) 강씨( 姜 氏 )의 묘소이다. 라는 문장이 Yeonghoewon is the burial place of Crown Prince Sohyeon, the first son of the 16th wife, Joseon King Injo, and his Crown Princess Gang. 라고 번역되어있다. 인조에 대한 설명이 the 16th king이어야 하는데 the 16th wife로 되어있어 문장 전체가 혼란스러운 오역이 되었다. 사적 제305호 산청 조식 유적의 개별안내판에서도 오역이 발견되었다. 덕천서원은 1576년에 후진을 가르치던 자리에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1609년에 조정에서 지원하는 사액서원( 賜 額 書 院 )이 되었다. 라는 국문 문안의 내용을 영문 문안에서는 The king later named the site Saaek Seowon... 와 같이 표현하였다. 사액서원이란 조선시대에 왕으로부터 서원명 현판과 노비, 서적 등을 받은 서원을 말하는데, 현재 영문 해설문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전혀 드러나지 않고, 사액서원 이라는 이름을 하사한 것처럼 번역되어 있다.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봤을 때 부적절한 사례들도 있다. 천연기념물 제421호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의 개별안내판 중 범섬 ( 虎 島 )은 섬 모습이 마치 범과 같아 범섬이라 하며... 라는 내용이 영문 문안에서는 Beomseom looks like a tiger, so it gets its name from that. 으로 번역되어 있다. 이 문장 으로는 범섬(Beomseom)의 범 이 호랑이, 즉 tiger라는 것을 외국인들이 인식할 수 없으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담기지 않은 무의미한 표현이다. 95

10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마지막으로 our country, our ancestor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 사례들도 발견되었다. 이는 국문 해설문을 그대로 직역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보물 제322호 제주 관덕정의 종합안내판, 사적 제391호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의 종합안내판, 천연기념물 제317호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의 종합안내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로 든 이 세 해설문 에는 각각 It reflects our ancestors endeavors to live a righteous live by upholding both the physical and mental virtues., Dolmens offer not only valuable information about prehistoric burial customs but also the lifetype of our ancestors in prehistoric times., In our country, a pagoda tree was thought of as the one that bloomed in August and so notified the primary state examination taken in the fall. 와 같은 문장들 이 포함되어 있다. 문화재 안내 해설문에 주관적인 평가나 가치판단이 개입되어서는 안 되고, 특히 영어 해설문의 경우는 전 세계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추어볼 때 이와 같은 표현은 지양해야 할 사항이다. b. 의미역 없이 음역만 표기된 경우 국문 문안의 어휘가 의미역 없이 음역으로만 표기되어 의미전달이 어려운 경우는 302건이 발견되었으며,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강학영역 realm of Ganghak 2 Space Ganghak 2 Matbae-styled roof 2 맞배지붕 matbae roof 3 Matbae roofing 1 Tongil-Silla period 18 통일신라 Tongil-Silla 2 Tongil-Silla kingdom 1 강학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 해설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realm of Ganghak, Space Ganghak과 같은 표현은 그 의미를 전혀 전달하지 못한다. 다른 해설문에서는 lecture area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맞배지붕이란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을 말하는데, 위와 같은 표현으로는 그 형태나 특징을 짐작할 수 없다. 다른 96

10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해설문에서는 gable roof, gabled roof, triangle-shaped roof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통일신라의 영문 명칭은 현재 Unified Silla로 통용되고 있는데, 문화재 안내판 영문 해설문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가 Tongil-Silla라는 음역 표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이픈 의 사용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에 위배되며 한국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하는 외 국인에게는 Unified Silla와 Tongil-Silla가 각각 별개의 국가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음역 표기의 남용은 정보의 전달이라는 문화재 해설문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저 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한 문장 안에서 주요 개념어들이 음역으로만 표기되는 사례가 상당수 발견되어 현재 문화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보물 제1268호 내소사영산회괘불탱의 개별안내판에서는 이 괘불탱화는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우에 4구의 보살과 다보여래, 아미타여래 등을 그린 석가칠존도( 釋 迦 七 尊 圖 ) 형식의 영산회상도이다. 라는 국문을 This Gwaebultaenghwa is a Yeongsanhoesangdo in the form of Seokagchiljondo. 와 같이 번역하였다.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일지 몰라도, 괘불탱화, 영산회상도, 석가칠존도와 같이 적절한 의미역이 제공되어야 하는 개념어들이 로마자로만 표기되었기 때문에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공허한 문장이 되어버렸다. 가장 심각한 것은 국문 해설문에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힘든 비문( 碑 文 )이나 명 문( 銘 文 ) 전체를 음역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사적 제171호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의 종합안내판과 개별안내 판에서는 비석 앞면에 새겨진 대한제국 대황제 보령 망육순 어극사십년 칭경기념송 ( 大 韓 帝 國 大 皇 帝 寶 齡 望 六 旬 御 極 四 十 年 稱 慶 紀 念 頌 ) 이라는 비문을 그대로 로마자로 표기하여 On the front of the monument, which is erected on top of the stone turtle, the letters Daehan Jaekuk Dae Hwangje Boryeong Mangyuksun Eogeuk Sasimnyeon Chinggyeong Ginyeombi ( 大 韓 帝 國 大 皇 帝 寶 齡 望 六 旬 御 極 四 十 年 稱 慶 紀 念 頌 ) are carved. 와 같이 쓰고 있다. 유사한 사례로는 보물 제420호 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의 개별안내판을 들 수 있다. 이 향로에는 제작 시기를 알려주는 만력십이년갑신삼월 주성( 萬 曆 十 二 年 甲 申 三 月 鑄 成 ) 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 역시 영문해설문에서 The words Manreoyk 12 year Gapsin March juseong engraved on it indicate it was made in 로 표현되어 있다. 97

11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와 같이 비문이나 명문 전체를 음역하는 것은 그 내용이 무슨 의미인지 전혀 설명 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이지만, 과도하게 긴 로마자의 나열이 독자의 흥미를 잃게 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물론 경복궁, 아리랑, 조선왕조실록 과 같이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명칭을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음역이 우선되고 경우에 따라 의미역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그 외의 일반 개념용어들은 반드시 외국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영어 대역어가 필요 하다. c. 문법상의 오류 영어 문법상의 오류 또는 비문은 총 35건이다. 다른 오류 유형에 비해 그 수가 적은 편인데, 그 이유는 이번 연구가 어휘에 기초한 번역 용례의 분석에 집중되었기 때문 이다. 현재 발견된 35건의 문법 오류 및 비문은 어휘 분석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포착된 사항들이다. 오류 사례로는 콤마를 사용해야 하는 곳에 마침표를 사용하는 등과 같이 잘못된 기호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단어나 구절이 연속해서 반복되거나, 문장의 일부가 누락되어 문장 전체가 불완전한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보물 제OO호와 같이 지정정보를 표시 할 때, Treasures처럼 복수 형태를 쓴 사례도 지정종목별로 다수 발견되었다. 번역상의 오류에 해당하는 오류 목록은 [부록 25, 26, 27]에 유형별로 수록하였다. ⓺ 기타 오류 위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유형의 오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a. 정보의 오류 사적 제239호 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의 개별 안내판에는 고려 공민왕의 재위기간이 잘못 표기되어 있다. 해당 영문 해설문은 Mural paintings of the same period can be found only at the tomb of King Gongmin (1361~1374) in Gaeseong-si in North Korea... 인데, 공민왕의 재위 기간은 1351년~1374년이다. 또한, 이 표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재위 기간의 표시가 생존 기간의 표시로 오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영문에서는 재위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r )와 98

11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같은 표시를 사용한다. 공민왕 외에도 재위기간의 표시 형식 수정이 필요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왕명 영문 표기 사례 고려 문종 King Munjong (1046~1083) of the Goryeo dynasty 고려 원종 King Wonjong (1259~1274) 고려 충렬왕 King Chungyeolwang 1274~1308 고려 희종 King Huijong ( ) 백제 무왕 King Mu (600~641), King Mu ( ) in the Baekje Dynasty 신라 경명왕 King Gyeongmyeong (917~924, Bak Seung-yeong) 신라 문무왕 Munmu-wang (661~681) 신라 선덕여왕 Queen Seondeok ( ) of SiIIa 신라 아달라왕 King Adalla (154~184) 신라 원성왕 King Wonseongwang (785~798) 신라 일성왕 King Ilseng (134~154) 신라 정강왕 king Jeonggang ( ), King Jeonggang (886~887) of the Silla Kingdom 신라 헌강왕 King Heongang (875~886) b. 단위 표기 평, 척, 환 과 같은 우리나라 전통 도량형 단위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외국인 독자에게 그 길이나 넓이 등을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미터법과 같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단위로 환산하거나 그 규모에 대한 부연설명을 덧붙여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미 환산한 수치를 제공했다면 전통단위를 사용한 표기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수정이 필요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지정정보 문화재명칭 현재 표기 보물 제1283호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300-pyeong 사적 제88호 경주 성동동 전랑지 2000 pyeong 사적 제458호 순천 월평 유적 20,000 pyeong 200 pyeong 천연기념물 제365호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100 pyeong 등록문화재 제4호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253 pyong 등록문화재 제324호 구 한일은행 강경지점 500,000 hwan 등록문화재 제337호 강경 화교학교 교사와 사택 500,000 hwan 사적 제454호 김해 양동리 고분군 10.7million sq. feet (30,000 pyeong) 사적 제109호 아산 맹씨 행단 90.72m2 (27.5 pyeong) 99

11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나. 제안 위에서 분석한 6 가지 유형의 문화재 용어 영문 표기 오류는 문화재 안내판 개편 작업시 수정,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조사된 문화재 용어 영문 표기 오류를 안내판 별로 정리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한 목록을 본 보고서의 [부록 16]에 아래의 표와 같은 형식을 수록하였다. 안내판 국문 용어 기존 영문 번역 수정안 오류 유형 경주 불국사 표 38. 안내판별 오류 목록 예시 신라 경덕왕 King Gyeongeok King Gyeongdeok ⓸-c 석가탑과 다보탑 Seokgatap and Seokgatap and Dabotap Dobotap pagodas Pagodas ⓸-b, ⓸-c 연화교와 청운교 Yeonhwagyo and Yeonhwagyo and Cheongungyo Cheongungyo Bridges bridges ⓸-b 안양문 Anyangmun gate Anyangmun Gate ⓸-b 극락전 Geuknakjeon hall Geungnakjeon Hall ⓸-b, ⓸-c 경주 석굴암 석굴 경주 옥산서원 경주 용강동 원지 유적 석굴암 Seokguram grotto Seokguram Grotto ⓸-b 석굴암 Seokguram grotto Seokguram Grotto ⓸-b 보살 Bodhisattavas Bodhisattvas ⓸-a 나한 Arhant Arhat ⓸-a 삼국유사 Samgukyusa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⓶ Three Kingdoms) 세계문화유산 world cultural heritage World Heritage ⓷, ⓸-b 옥산서원 Oksan Seowon 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⓶ construc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⓸-a 무변루 Mubyeonnu Pavilion Mubyeollu Pavilion ⓸-c printing blocks printion blocks printing blocks ⓸-a bridge brige bridge ⓸-a 통일신라 united Silla(Tongil-Silla) Unified Silla ⓸-b, ⓹-a century centruy century ⓸-a 안압지 Anapzi Anapji Pond ⓶, ⓸-c 경주 포석정지 남산 Namsan Namsan Mountain ⓶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 Hwangnyong temple Hwangnyongsa Temple ⓶, ⓸-b 100

11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안내판 국문 용어 기존 영문 번역 수정안 오류 유형 월성 Wolseong Wolseong Palace Site ⓶ 월성 Wolseong fortress Wolseong Palace Site ⓶ 경주양동마을 경주고적발굴조사단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Gyeongju Historical Site Excavation Research Group ⓹-a daughter doughter daughter ⓸-a until Unitil until ⓸-a 설창산 Seolchangsan Seolchangsan Mountain ⓶ 오류 유형 범례 ⓵ 문화재 지정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⓶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과 다른 형태의 표기 ⓷ 기관명 등이 공식 영문명칭과 불일치하는 경우 ⓸ 문자 표기상의 오류 ⓸-a. 철자 오기 또는 띄어쓰기 오류 ⓸-b. 대소문자 표기 오류 ⓸-c. 로마자 표기 오류 ⓸-d. 원어 발음 표기상의 오류 ⓸-e. 주소의 영문 표기 오류 ⓹ 번역상의 오류 ⓹-a. 오역 및 부적절한 표현 ⓹-b. 의미역 없이 음역만 표기된 경우 ⓹-c. 문법상의 오류 ⓺ 기타 오류 101

11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 영문 용어 분야별 용례 분석 안내판 영문 해설 문안 가운데에는 하나의 국문 문화재 용어를 여러 가지 다른 형태 로 번역한 사례들이 발견된다.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거나 같은 의미라면 하나의 표준화 된 용어로 표현되는 것이 이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개선책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영문 문화재 용어의 다양한 번역 용례를 분석 정리하였다. 가. 분야별 용례 분석 현황 1,860개의 종합 권역 개별안내판 영문 해설문을 전자문서화 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영문 문화재 용어를 추출한 결과, 총 9,098건의 문화재 용어 영문 번역 용례를 찾을 수 있었 는데, 이는 1,583건에 국문 문화재 용어에 대한 영문 대역어들이다. 추출된 번역 용례 중 빈도수 상위 20건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Joseon 조선 Joseon Dynasty 576 Joseon Period Goryeo Dynasty 고려 Goryeo period 361 Goryeo Silla 신라 Silla Kingdom 273 Unified Silla Period 보물 Treasure 236 사적 Historic Site 175 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141 조선 세종 King Sejong 95 지붕돌 roof stone 90 백제 Baekje 87 등록문화재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83 칸 kan 78 조선 선조 King Seonjo 65 국보 national treasure 55 몸돌 body stone

11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번역 용례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문화재 안내판 영문 해설문상에서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영문 대역어 목록을 확보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번역 용례가 발견된 주요 용어는 유형별로 다음과 같다. ⓵ 인명 a. 왕, 비빈, 왕족 신라 태종무열왕 번역 용례 4개, 총 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Muyeol 2 신라 태종무열왕 2 King Taejong Muyeol 2 3 King Taejong (r ) of Silla 1 4 Silla King Taejong Muyeol (r. 654~661) 1 고려 태조 번역 용례 4개, 총 1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Taejo 7 고려 태조 2 King Taejo of the Goryeo 2 3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1 4 Taejo Wang Geon, the founder King of Goryeo 1 고려 공민왕 번역 용례 3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Gongmin 14 고려 공민왕 2 King Gongmin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1 3 Goryeo King Gongmin 1 고려 광종 번역 용례 7개, 총 1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Gwangjong 12 2 King Gwangjong of Goryeo 2 3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Dynasty 1 고려 광종 4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Kingdom 1 5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period 1 6 King Gwangjong, Goryeo Dynasty 1 7 Goryeo King Gwangjong 1 103

11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조선 태조 번역 용례 5개, 총 5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Taejo 46 2 King Taejo Yi Seong-gye 3 조선 태조 3 King Taejo ( ) 2 4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1 5 Joseon King Taejo 1 조선 세종 번역 용례 6개, 총 10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Sejong 95 2 King Sejong (r ) 2 조선 세종 3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2 4 King Sejong the Great 2 5 King Sejong of Joseon 1 6 king Sejong (1418~1450) of the Joseon dynasty 1 조선 광해군 번역 용례 5개, 총 1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Gwanghaegun 8 2 King Gwanghaegun ( ) 2 조선 광해군 3 Gwanghaegun (1608~1623) of the Joseon dynasty 1 4 King Gwanghae 1 5 King Gwanghaegun of the Joseon Dynasty 1 조선 고종 번역 용례 8개, 총 8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ing Gojong 48 2 Emperor Gojong 19 3 King Gojong ( ) 6 조선 고종 4 King Gojong (1863~1907) 3 5 Joseon's King Gojong 2 6 King Gojong (r ) 2 7 Joseon King Gojong 1 8 Joseon King Gojong (r. 1863~1907) 1 104

11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조선 신정왕후 번역 용례 4개, 총 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Queen Dowager Jo 2 2 Empress Sinjeong ( ) 2 신정왕후 3 Queen Sinjeong 2 4 Queen Mother Jo 1 사도세자 번역 용례 3개, 총 1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Crown Prince Sado 9 사도세자 2 Crown Prince Sado (also known by his posthumous title, King Jangjo, ) 2 3 Crown Prince Sado (posthumously titled Jangjo) 2 흥선대원군 번역 용례 6개, 총 2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Prince Regent 8 2 Heungseon Daewongun 7 흥선대원군 3 Daewongun 2 4 Daewongun, the father of King Gojong 2 5 Regent Heungseon 2 6 Regent Heungseon Daewongun 2 b. 승려 의상대사 번역 용례 7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Ven. Uisang 4 2 Great Master Uisang 1 3 monk Uisang 1 의상대사 4 Priest Uisang 1 5 Silla monk Uisang 1 6 Uisang 1 7 Buddhist Master Ven. Uisang (625~702) 1 105

11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도선국사 번역 용례 6개, 총 1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tate Preceptor Doseon 6 2 Rev. Doseon 2 도선국사 3 Buddhist Saint Doseon 1 4 Doseon 1 5 Master Doseon 1 6 National Preceptor Doseon 1 c. 일반 인명 김유신 번역 용례 6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eneral Kim Yu-sin 3 2 Gim Yu-sin 2 김유신 3 Kim Yusin 1 4 General Kim Yu-sin (595~673) 1 5 General Kim Yusin (AD ) 1 6 General Gim Yu-sin 1 김윤식 번역 용례 3개, 총 2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Yeongnang 25 김윤식 2 Yeongnang (his pen name), Kim Yun-sik ( ) 1 3 Kim Yun-sik ( ) 1 이순신 번역 용례 8개, 총 7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Admiral Yi Sun-sin 35 2 Chungmugong 13 3 Admiral Yi 8 이순신 4 Chungmugong Yi Sunsin (1545~1598) 5 5 Yi Chungmugong 3 6 Yi Sun-sin 3 7 Chungmugong Yi Sunsin 3 8 Chungmugong (Loyal Valor) Yi Sun-sin ( ) 2 106

11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호( 號 ) 번역 용례 6개, 총 3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pen name 22 2 penname 9 호( 號 ) 3 pen-name 3 4 pseudonym 1 5 alias 1 6 nom de plume 1 d. 단체 승병 번역 용례 4개, 총 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onk soldier 3 2 monk-soldier 1 승병 3 military force of monks 1 4 monk army 1 의병 번역 용례 6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loyal volunteers 6 2 righteous army 3 의병 3 volunteer army 2 4 loyal army 2 5 patriotic volunteers 2 6 anti-japanese Righteous Army 1 ⓶ 국가 및 시대명 가야 번역 용례 3개, 총 2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aya 22 가야 2 Gaya Period 4 3 Gaya kingdoms (1st-6th centuries A.D.) 1 107

12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삼국시대 번역 용례 6개, 총 3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Three Kingdoms Period 24 2 Era of the Three Kingdoms 4 삼국시대 3 Three Kingdoms era 1 4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1 5 Three Kingdoms period (57 B.C.-668) 1 6 Three Kingdoms Period (57B.C.E 668C.E.) 1 고구려 번역 용례 2개, 총 4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guryeo 38 고구려 2 Goguryeo Kingdom 2 백제 번역 용례 13개, 총 17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Baekje 87 2 Baekje Kingdom 39 3 Baekje period 28 4 Baekje Dynasty 6 5 Baekje Kingdom (18 B.C.-660) 4 6 Baekje kingdom (18 B.C.~660) 3 백제 7 Baekje Era 2 8 Baekje period (18 B.C.~660) 1 9 Baekje period B.C18-A.D Baekje Kingdom (B.C18-A.D660) 1 11 Baekje Kingdom 18B.C Baekje Kingdom Period 1 13 Baekje (B.C18-A.D660) period 1 108

12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신라 번역 용례 9개, 총 26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illa Silla Kingdom 58 3 Silla period 34 4 Silla dynasty 26 신라 5 Silla (57 B.C.~935 A.D.) 5 6 Silla dynasty (B.C.57~A.D.935) 3 7 Silla period (57 B.C. ~ A.D. 935) 3 8 Silla Kingdom (57B.C ~935) 1 9 Silla Kingdom (57B.C.~A.D.935) 1 통일신라 번역 용례 8개, 총 14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Unified Silla Period 86 2 Unified Silla 27 3 Unified Silla Kingdom 19 통일신라 4 Unified Silla Dynasty 6 5 Unified Silla period ( ) 3 6 Unified Silla Kingdom (668~935) 2 7 Unified Silla era 1 8 Unified Silla (668~918) 1 고려 번역 용례 10개, 총 37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ryeo Dynasty Goryeo period Goryeo 82 4 Goryeo Kingdom 6 고려 5 Goryeo period (918~1392) 3 6 Goryeo dynasty (918~1392) 3 7 Goryeo Kingdom period 2 8 Goryeo Kingdom period (918~1392) 1 9 Goryeo kingdom period ( ) 1 10 Goryeo Dynasty (918~1392 A.D) 1 109

12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조선 번역 용례 12개, 총 61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Joseon Joseon Dynasty Joseon Period Joseon dynasty (1392~1910) 8 5 Joseon period ( ) 7 조선 6 Joseon kingdom 5 7 Yi Dynasty 4 8 Joseon ( ) 2 9 Joseon Dynasty ( ) 2 10 Joseon Era 2 11 Joseon Kingdom ( ) 2 12 Kingdom of Joseon 1 대한제국 번역 용례 6개, 총 1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reat Han Empire 8 2 Great Han (Daehan) Empire 4 대한제국 3 Daehan Empire 2 4 Great Korean Empire (Daehanjeguk) 2 5 Great Han Empire ( ) 1 6 Great Korean Empire 1 110

12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일제강점기 번역 용례 18개, 총 7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Japanese colonial period 21 2 Japanese occupation 16 3 colonial period ( ) 7 4 Japanese colonial rule 6 5 Japanese colonial period ( ) 6 6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2 7 colonial period 2 8 colonial rule ( ) 1 일제강점기 9 Japanese colonial era 1 10 period of Japanese rule ( ) 1 11 Japanese colonial rule ( ) 1 12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1 13 Japanese colonial rule over Korea ( ) 1 14 Japanese imperialistic rule 1 15 Japanese Occupation ( ) 1 16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1 17 period of colonial rule ( ) 1 18 Japanese Colonial Period 1 ⓷ 사건 3.1운동 번역 용례 7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6 2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3 3 March First Movement 2 3.1운동 movement 2 5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1 6 March First Movement for independence 1 7 March 1st Movement 1 111

12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동학농민운동 번역 용례 6개, 총 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Donghak Revolution 3 2 Donghak Farmers' Revolution 1 동학농민운동 3 Donghak movement 1 4 Donghak Movemen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army) 1 5 Donghak Peasant Revolt 1 6 Donghak Peasant Revolution 1 임진왜란 번역 용례 31개, 총 12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Japanese invasion of Japanese Invasion 22 3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Japanese invasion of Japanese Invasions ( ) 5 6 Imjin War 4 7 Wae invasion 4 8 Japanese invasion of Korea ( ) 4 9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3 10 Japanese Invasion in Hideyoshi's Invasion of Hideyoshi's invasion of Joseon 1 13 Imjin Japanese Invasion 1 14 Imjin War with Japan ( ) 1 15 Imjinwaeran 1 임진왜란 16 imjinwaeran (1592), a war with Japan 1 17 Imjin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1 18 Imjinwaeran (the war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1592 to 1598) 1 19 invasion by the Wae 1 20 Japanese invaders in Japanese Invasion in the 16th century 1 22 Japanese Invasion (1592~1598) 1 23 Japanese invasion of Korea from 1592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occurred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mjin-waeran, in Japanese Invasions Japanese Invasion 1 28 Japanese invasions of 1592 and Japanese invasions of Joseon 1 30 Japanese Invasions of Korea, Wae (Japan) invasion 1 112

12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병자호란 번역 용례 16개, 총 2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nchu Invasion of Manchu Invasion of Manchu Invasion of Manchu invasion of Korea in Manchu Invasions ( ) 2 6 Manchu war (1636) 1 7 Manchu War of 병자호란 Manchu invasion of Korea 1 9 Byeongja Horan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1 10 Chinese invasion of Korea in Chinese Invasion of Korea, Byeongja-horan, in Ching Dynasty's Invasion of Korea in Manchu Invasion of 1636 (Byeongja Horan) 1 14 Manchu invasion of 1636 C.E Manchu Invasion of Manchu invasion of Joseon 1 한국전쟁 번역 용례 5개, 총 6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orean War 41 2 Korean War ( ) 23 한국전쟁 3 Korean Civil War 2 4 Korean Civil War ( ) 1 5 Korean War in ⓸ 개념용어 a. 제도, 관직명 과거 번역 용례 5개, 총 1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civil service examination 9 2 state exam 3 과거 3 state examination 3 4 gwageo (civil service examination) 2 5 civil examination 1 113

12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관찰사 번역 용례 2개, 총 1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vernor 8 관찰사 2 Provincial Governor 3 군수 번역 용례 6개, 총 1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gistrate 5 2 governor 2 군수 3 head magistrate 2 4 county chief 2 5 county magistrate 2 6 District Chief 1 목사 번역 용례 4개, 총 1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vernor 8 2 Magistrate 4 목사 3 magistrate (moksa) 1 4 sheriff 1 부사 번역 용례 2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gistrate 8 부사 2 governor 2 부윤 번역 용례 3개, 총 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yor 3 부윤 2 deputy mayor 2 3 magistrate 2 114

12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b. 석조각 기단 번역 용례 18개, 총 14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pedestal 30 2 foundation 29 3 base 20 4 stylobate 18 5 podium 18 6 foundation stone 7 7 stone base 4 8 base podium 3 기단 9 base stone 3 10 cornerstone 2 11 stylobate (base stone) 2 12 platform 2 13 foundation platform 2 14 ground stone 2 15 ground base 1 16 ground foundation 1 17 stone foundation 1 18 support 1 지붕돌 번역 용례 13개, 총 14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roof stone 90 2 roofstone 26 3 cap stone 6 4 capstone 5 5 roof-stone 4 6 lid stone 3 지붕돌 7 roof 2 8 stone roof 2 9 cover stone 2 10 covering stone 1 11 coverstone 1 12 eaves stone 1 13 top stone 1 115

12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귀부 번역 용례 14개, 총 3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tortoise-shaped pedestal 7 2 tortoise shaped pedestal 2 3 turtle base 4 4 turtle-shaped pedestal 4 5 turtle-shaped base 3 6 turtle-shaped foundation 3 귀부 7 tortoise-shaped stone base 3 8 tortoise base 2 9 tortoise pedestal 1 10 tortoise-shaped pedestal stone 1 11 tortoise-shaped stone pedestal 1 12 Turtle shaped pedestal 1 13 turtle shaped prop stone 1 14 turtle-shaped cornerstone 1 이수 번역 용례 10개, 총 2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capstone 11 2 head stone 5 3 roof coverstone 2 4 headstone 1 이수 5 ornamental top 1 6 dragon head-shaped stone 1 7 dragon shaped capstone 1 8 dragon-shaped head 1 9 dragon-shaped top 1 10 head of the monument 1 116

12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노반 번역 용례 4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finial base 2 노반 2 Noban (square roof-shaped finial on the top of the pagoda) 1 3 base of the finial 1 4 final base 1 상륜부 번역 용례 4개, 총 2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tupa finial 10 상륜부 2 finial 8 3 finial part 4 4 finial section 1 연화대좌 번역 용례 3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lotus pedestal 3 연화대좌 2 lotus flower foundation 1 3 lotus flower support 1 몸돌 번역 용례 8개, 총 7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body stone 54 2 main body 11 3 main portion 6 몸돌 4 main portion stone 1 5 main section 1 6 pagoda body 1 7 stone body 1 8 main body stone 1 117

13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육계 번역 용례 9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topknot 2 2 topknot (yukgye) 1 3 topknot-like bump 1 4 usnisa (a protuberance on top of the head symbolizing supreme wisdom) 1 육계 5 Usnisa (knot of hair) 1 6 Usnisa (protrusion on top of the head) Usnisas (a protuberant part like a bump symbolizing the spiritual awakening and wisdom) Yukgye (a small circular projection appearing on the forehead between the eyebrows) fleshy coif 1 병풍석 번역 용례 4개, 총 1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retaining stone 9 병풍석 2 stone screen 4 3 retaining stones 1 4 retaining stonewall 1 118

13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c. 건축 용어 칸 번역 용례 22개, 총 14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kan 78 2 bay 23 3 room 16 4 kan (a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space between two columns) 4 5 section 3 6 space 2 7 kan (a unit of area) 2 8 partition 2 9 kan (a kan is the interval between pillars) 2 10 kan (a kan is a space between two pillars) 1 11 kan (a traditional architectural measurement, meaning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1 칸 12 kan (a traditional architectural measurement, meaning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1 13 kan (a traditional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space between two columns) 1 14 distance between two beams 1 15 kan (a unit of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kan (kan is traditional unit of measure referring to the space between two columns) kan (measurement) 1 19 kan (one kan = about 1.82m) 1 20 kan (one kan, the interval between two columns, corresponds to approx. 3m) 1 21 kan (unit for the space enclosed by four pillars) 1 22 kan (unit of floor place) 1 119

13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안채 번역 용례 21개, 총 12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inner house 26 2 main building 17 3 women's quarters 15 4 inner quarters 15 5 anchae (inner quarters) 12 6 main house 10 7 inner building 9 8 anchae (the main building) 3 9 anchae (women's living quarters) 2 10 inner quarter 2 안채 11 wife's quarters 2 12 women's quarter 1 13 inner building (anchae) 1 14 anchae, a building for women 1 15 female quarters 1 16 Anchae (a main building) 1 17 anchae (female quarters) 1 18 anchae (inner building) 1 19 Anchae (the female quarters) 1 20 Anchae (the inner house, or the women's quarters) 1 21 inner section 1 안방 번역 용례 7개, 총 1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in room 6 2 house-wife's room 2 3 living room 2 안방 4 anbang (main bedroom) 1 5 main bedroom 1 6 main living room 1 7 master's room 1 120

13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사랑채 번역 용례 16개, 총 7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le quarters 22 2 master's quarters 10 3 outer quarters 10 4 men's quarters 6 5 sarangchae (outer quarters) 6 6 detached building 4 7 husband's quarters 2 사랑채 8 sarangchae (men's living quarters) 2 9 sarangchae (a detached building for men) 2 10 Sarangchae (a detached house) 1 11 sarangchae (male quarters) 1 12 outer quarter 1 13 Sarangchae (the male quarters) 1 14 sarangchae (the men's living quarters) 1 15 sarangchae, a building for men 1 16 guest room 1 사랑방 번역 용례 7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ster's room 2 2 guest room 2 3 house-master's room 1 사랑방 4 reception room 1 5 sarang room 1 6 sarangbang (guest room) 1 7 sarangbang (outer quarters) 1 121

13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행랑채 번역 용례 7개, 총 2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ervants' quarters 10 2 servants quarters 6 3 servant's quarters 3 행랑채 4 gate building 2 5 haengnangchae (gate building) 1 6 haengnangchae (servants's living quarters) 1 7 a building for servants 1 대문채 번역 용례 5개, 총 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atehouse 4 2 main gate compound 1 대문채 3 daemunchae (a building around the gate) 1 4 Daemunchae (a building with a gate) 1 5 gate building (daemun) 1 문간채 번역 용례 6개, 총 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ate house 3 2 gatehouse 1 문간채 3 munganchae (quarters near the gate) 1 4 munganchae (servants' quarters) 1 5 outer servant's quarters 1 6 building for servants 1 별당채 번역 용례 3개, 총 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annex quarters 3 별당채 2 detached house 3 3 Byeoldangchae (detached house) 2 122

13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대청 번역 용례 13개, 총 3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대청 1 vestibule 8 2 wooden-floored hall 5 3 wooden floor 4 4 wooden floored room 4 5 main floor 3 6 main floored room 2 7 floor 2 8 floored hall 2 9 hall 1 10 wooden hall-floor 1 11 wooden-floored central room 1 12 daecheong (central wooden-floored hall) 1 13 wood-floored center hall 1 온돌 번역 용례 10개, 총 1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heated floor 2 2 heated ondol floor 2 3 Ondol (a system of heating rooms by passing hot smoke through pipes under the floor) 1 4 ondol (Korean traditional under-the-floor heating system) 1 온돌 5 ondol (traditional Korean under-the-floor heating system) 1 6 ondol heating system 1 7 ondol heating system under the floor 1 8 partial floor heating (ondol) 1 9 room with a heated ondol floor 1 10 ondol (an underground heating system along the basement of the walls) 1 123

13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온돌방 번역 용례 13개, 총 1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온돌방 1 ondol room 4 2 floor-heated ondol room 2 3 heated-floor (ondol) room 2 4 ondol (heated-floor) room 2 5 ondol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room 1 6 ondol heated room 1 7 ondol (floor heated from underneath) room 1 8 ondol (heated floor) room 1 9 ondol (heated floored) room 1 10 Ondol room (a system of heating rooms by passing hot smoke through pipes under the floor) 1 11 Ondol' room (a system of heating rooms by passing hot smoke through pipes under the floor) 1 12 ondol rooms (heated floor rooms) 1 13 ondolbang (hot-floored room) 1 맞배지붕 번역 용례 5개, 총 3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abled roof 19 2 gable roof 11 맞배지붕 3 triangle-shaped roof 1 4 gabled-roof 1 5 Matbaejibung (a roof with sharply-cut sides) 1 팔작지붕 번역 용례 11개, 총 2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hipped and gabled roof 4 2 half-hipped roof 3 3 hipped-and-gabled roof 3 4 hip-and-gable roof 3 5 八 '-shaped roof 2 팔작지붕 6 八 -shaped roof 2 7 triangular-shaped side roof 1 8 hip and gable roof 1 9 hip and gable shaped roof 1 10 hipped-and-gabied roof 1 11 八 -shaped roof 1 124

13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편액 번역 용례 8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hanging board 5 2 tablet 5 3 title board 1 편액 4 wooden board 1 5 plaque 1 6 sign board 1 7 signboard 1 8 board 1 ㄱ자형 번역 용례 9개, 총 3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ㄱ-shaped 12 2 ㄱ shape 9 3 L-shape 6 4 'ㄱ' shaped 4 ㄱ자형 5 L-shaped 3 6 ㄱ-style 2 7 inverted 'L' letter-shaped 1 8 inverted 'L'-shaped 1 9 L shape 1 ㄷ자형 번역 용례 8개, 총 1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U-shaped 4 2 open-ended square 2 3 'ㄷ' shaped 2 ㄷ자형 4 'ㄷ'-shaped 2 5 in the shape of 'ㄷ' 2 6 in the shape of an open-ended square 1 7 shaped like the letter "U" 1 8 ㄷ shaped 1 125

13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ㅁ자형 번역 용례 8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ㅁ shape 2 2 'ㅁ' - style 1 3 'ㅁ' layout 1 ㅁ자형 4 'ㅁ' shaped 1 5 ㅁ-type 1 6 rectangular-shaped 1 7 shape of letter 'ㅁ' 1 8 square shape 1 ㅡ자형 번역 용례 9개, 총 1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ㅡ' shape 3 2 ' 一 '-shaped 3 3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1 4 linear 1 ㅡ자형 5 shape of ' 一 ' 1 6 straight 1 7 straight line 1 8 straight-lined 1 9 shaped 1 d. 무덤 독무덤 번역 용례 4개, 총 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jar coffin tomb 4 독무덤 2 jar tomb 1 3 mud made tomb 1 4 pottery tomb 1 126

13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무덤방 번역 용례 3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burial chamber 8 무덤방 2 chamber 1 3 main chamber 1 e. 민속 십이지신 번역 용례 4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twelve oriental zodiac animals 3 2 twelve Oriental zodiacal animals 2 십이지신 3 12 oriental zodiac animals 2 4 Oriental zodiacal animal 2 당산나무 번역 용례 4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uardian tree 2 2 holy tree 1 당산나무 3 shrine tree 1 4 tutelary tree 1 풍수지리설 번역 용례 14개, 총 2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feng shui 3 2 feng shui theory 2 3 rules of Feng Shui 2 4 theories of Feng Shui 2 5 theory of Feng Shui 2 풍수지리설 6 Fengshui 1 7 geomancy 1 8 geomantic principles 1 9 principles of geomancy 1 10 pungsu (or feng shui in Chinese) principles 1 11 pungsu principle 1 12 Pungsujiri (Chinese geomantic principles) 1 13 theory of geomancy 1 14 theory of ground configuration 1 127

14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f. 제례 위패 번역 용례 5개, 총 6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emorial tablet 17 2 tablet 17 위패 3 spirit tablet 12 4 ancestral tablet 9 5 mortuary tablet 7 제관 번역 용례 4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officiant 4 2 ritual presider 4 제관 3 officiator 1 4 ritual officer 1 축문 번역 용례 3개, 총 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invocation paper 3 축문 2 ritual paper 2 3 written prayer 2 ⓹ 건조물 a. 건물 대웅전 번역 용례 13개, 총 22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in hall 5 2 Daeungjeon Hall 3 3 Great Hall 2 4 Main Buddha Hall 2 5 Daeungjeon (Main Hall) 2 6 main hall Daeungjeon 1 대웅전 7 Main Sanctuary 1 8 main sanctum 1 9 main service hall 1 10 Great Hero Hall 1 11 mail hall 1 12 Dharma hall 1 13 Daeungjeon (Main Buddha Hall) 1 128

14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금당 번역 용례 4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lden hall 3 2 main hall 3 금당 3 golden house 2 4 Geumdang (Golden Hall) 2 서원 번역 용례 7개, 총 18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Confucian academy 12 2 Seowon (Confucian academy) 1 3 seowon, or Confucian academy and shrine 1 서원 4 private academy 1 5 private Confucian academies (Seowon) 1 6 private Confucian academy 1 7 private school 1 정전 번역 용례 4개, 총 2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in hall 17 2 throne hall 5 정전 3 main palace hall 2 4 main throne hall 1 편전 번역 용례 2개, 총 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audience hall 4 편전 2 royal residence 2 침전 번역 용례 6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leeping quarters 7 2 bed chamber 3 침전 3 royal sleeping quarters 2 4 sleeping hall 2 5 residential quarters 1 6 sleeping quarters of the king 1 129

14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월대 번역 용례 6개, 총 1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elevated stone yard 6 2 stone platform 4 월대 3 stone terrace 2 4 stone yard 1 5 wide elevated stone terrace 1 6 woldae courtyard 1 b. 군사시설 옹성 번역 용례 5개, 총 7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ate guard wall 2 2 reinforced defense position 2 옹성 3 Ongseong (a wall for protection of gate) 1 4 Ongseong (the outer wall to protect the fortress gate) 1 5 pot-shaped wall 1 치성 번역 용례 4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bastion 2 2 chiseong (another battlement) 1 치성 Chiseong (small protrudent facility on the wall to 3 shoot enemies creeping up) 1 4 pheasant towers (Chiseong) 1 테뫼식산성 번역 용례 3개, 총 10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Temoe-styled fortress 8 테뫼식산성 2 hoop-typed fortress 1 3 long oval-shaped fortress 1 130

14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⓺ 문헌 고려사 번역 용례 4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2 고려사 2 Goryeosa (the Goryeo History) 1 3 History of Goryeo Dynasty 1 4 Goryeo History 1 신증동국여지승람 번역 용례 3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2 신증동국여지승람 2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2 3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if the Geography of Korea 1 ⓻ 불교용어 a. 부처 보살 존명 석가모니불 번역 용례 9개, 총 5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akyamuni 27 2 Sakyamuni Buddha 6 3 Shakyamuni 5 4 Buddha Shakyamuni 4 석가모니불 5 shakyamuni 4 6 Sakyamuni Tathagata 3 7 Gautama Buddha 2 8 Shakyamuni Buddha 2 9 Sakyamuni Buddha, "Man of Great Enlightenment 1 131

14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관음보살 번역 용례 11개, 총 2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Goddess of Mercy 6 2 Avalokitesvara 4 3 Avalokitesvara Bodhisattva 2 4 Bodhisattva Avalokitesvara 2 5 Bodhisattva of Mercy 1 6 Buddha of Mercy (Guanin) 1 관음보살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Bodhisattva of 7 Boundless Mercy 1 8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Bodhisattva of Boundless Mercy) 1 9 Avalokitevara 1 10 Avalokitesvara (Buddhist Goddess of Compassion) 1 11 Merciful Goddess 1 약사불 번역 용례 8개, 총 1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Bhaisajyaguru 4 2 Bhaisajyaguru Buddha 3 3 Medicine Buddha 3 4 Bhaisajyaguru Buddha (the Medicine Buddha) 1 약사불 5 medicine giving Buddha 1 6 Bhaisajya-guru-vaidurya 1 7 bhaisya-guru-vaidurya 1 8 Buddha of Medicine 1 사천왕 번역 용례 6개, 총 2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four Devas 14 2 Four Guardian Kings 3 사천왕 3 guardians of the four directions 3 4 four guardian deities 2 5 Four Deva Kings 1 6 Four Heavenly Kings 1 132

14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b. 불교 개념 용어 국사 번역 용례 5개, 총 1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High Priest 4 2 National Preceptor 4 국사 3 National Preceptor (guksa) 1 4 Guksa (the leader of nation) 1 5 Guksa (the Most Reverend Priest) 1 왕사 번역 용례 6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Royal Preceptor 4 2 Royal Preceptor (wangsa) 1 왕사 3 Wangsa (Master of the king) 1 4 Wangsa (the teacher of the king) 1 5 King Saint 1 6 royal monk 1 광배 번역 용례 5개, 총 5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halo 30 2 nimbus 17 광배 3 back halo 2 4 Buddha's halo 1 5 mandorla (Buddhist halo of light) 1 극락 번역 용례 6개, 총 16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Pure Land of the West 7 2 Land of Happiness 3 극락 3 Pure Land 2 4 Buddhist Elysium 2 5 Buddhist Elysium (The Western Paradise) 1 6 Land of Pure Bliss 1 133

14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본존불 번역 용례 4개, 총 9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main Buddha 5 2 principal Buddha 2 본존불 3 major Buddha 1 4 middle Buddha 1 사리 번역 용례 10개, 총 63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sarira 54 2 sarira (cremated remains) 1 3 sarira (small bead-shaped objects found in the cremated ashes of Buddhist masters) 1 4 sariras 1 사리 5 ashes of Buddha 1 6 Buddha's remains 1 7 Buddhist relics 1 8 original relics (Sharira) of the Buddha 1 9 Relics of Buddha 1 10 sacred crystal 1 사리함 번역 용례 5개, 총 5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reliquary 1 2 sarira (cremated remains) case 1 사리함 3 sarira case 1 4 sarira casket 1 5 sarira container 1 여의주 번역 용례 6개, 총 11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cintamani 3 2 magic stone 3 여의주 3 cintamanies 2 4 large marble 1 5 magic bead 1 6 Cintamani (Wish-fulfilling Jewel) 1 134

147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비천 번역 용례 4개, 총 4건 국문 번역 용례 빈도수 1 apsaras, or heavenly maidens 1 2 divine figures 1 비천 3 flying deities 1 4 heavenly maids 1 나. 제안 위의 사례 조사에서 보듯이 현행 문화재 영문 해설문은 하나의 국문 문화재 용어에 대한 영문 번역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쓰여져 있다. 해설문의 품위를 높이는 수사적인 방법으로 동일한 대상을 다른 말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문화재 용어에 대한 합의된 표준 대역어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번역자마다 편의적으로 대역어를 찾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책은 분야별로 중요한 문화재 용어에 대해 표준적인 대역어를 선정하여 제시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앞에서 살펴 본 영문 표기 오류 의 문제와는 달리, 다양한 영문 표현 중에서 가장 적 정한 대역어를 찾는 것은 본 연구진의 검토와 협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니며, 주제 영역 또는 학문 분야별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보다 전문적인 수준에서 해법을 찾아야 할 사안이다. 그와 같은 전문적인 수준의 2차 연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 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발굴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과업의 목표로 하였다. ⓵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의 활용 다양한 문화재 용어 중에서 문화재청이 제정 고시한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에서 표준 대역어 선정의 준거를 찾을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를 적극 원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은 수년간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여러 차례의 협의를 거쳐 마련한 것이며, 이미 국가지정 문화재 영문 명칭의 명명에 활용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 본 여러 가지 번역 사례 중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 의 적용을 통해 표준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a. 왕명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이하 기준규칙 ) 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조, ~종 으로 표기되는 왕명은 각각 King ~jo, King ~jong 으로 표기하고 ~왕 으로 표기되는 왕명은 King ~ (~wang 생략)으로 표기하고 있다. 135

14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지정종목 지정 번호 국보 3 문화재 지정명칭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국보 155 무령왕비 금제관식 영문 표기 Monument on Bukhansan Mountain Commemorating the Border Inspection by King Jinheung of Silla, Seoul Gold Diadem Ornaments of the Queen Consort of King Muryeong 국보 317 조선태조어진 Portrait of King Taejo of Joseon 보물 744 정조필 국화도 Gukhwado (Chrysanthemum) by King Jeongjo 사적 73 김해 수로왕릉 Tomb of King Suro, Gimhae 중요민속 Heungseon Daewongun's Rank Badge with 65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문화재 Girin Design 국보 제3호와 제317호와 같이 시대가 함께 명시된 경우라면 King ~ of 시대명 으로 표기하지만 그 밖의 경우는 시대명을 병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준규칙에 준하여 해설문에서도 일반인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시호 또는 묘호를 기준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대와 관련한 정보는 부가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왕명의 경우 재위기간을 괄호 안에 병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별도의 표시 없이 괄호 안에 연도만 제시하면 생몰기간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King Sejong (r )과 같이 재위기간임을 표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b. 승려 국사, 대사, 왕사 와 같이 승려를 지칭하는 호칭에 Rev.(reverend)와 Ven.(vernerable) 과 같은 표현을 쓰는 것은 다른 종교의 성직자를 지칭하는 의미로 오해될 소지가 있 으므로 Buddhist monk 또는 Buddhist priest와 같이 명확한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 다. 2014년 발간된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용례집(이하 용례집 ) 에 따르면 이러한 호칭 들은 각각 State Preceptor, Royal Preceptor, Buddhist Monk 로 표기하고 있다. 지정종목 지정 번호 문화재 지정명칭 영문 표기 국보 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물 128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보물 388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Stele for Royal Preceptor Wongyeong from Banyasa Temple Site, Hapcheon Stupa of Buddhist Monk Muhak at Hoeamsa Temple Site, Yangju 136

149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c. 일반 인명 기준규칙 제5조 일반 원칙에 따르면 인명 표기는 원칙적으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을 따르도록 되어있다. 성명이 표기된 경우는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붙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기준 규칙 제 23조에서는 특정인의 호, 시호, 성명 중에서 문화재의 국문 명칭에 명시적으로 표기되는 것을 선택하되, 대상 인물의 고유한 이름의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국문 명칭에 사용된 호나 시호 대신 성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 규칙에 준하면 김유신과 이순신의 경우는 각각 Kim Yu-sin, Yi Sun-sin 으로 표기해야 하며, 안내 문안의 문맥에 따라 General이나 Admiral과 같은 부가 설명의 사용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 지정명칭의 영문 표기에서 인명이 사용된 사례는 아래와 같다. 지정종목 지정 번호 문화재 지정명칭 보물 522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영문 표기 Dosanseowondo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by Kang Se-hwang 사적 21 경주 김유신묘 Tomb of Kim Yu-sin, Gyeongju 사적 11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Historic Site Related to Yi Sun-sin on Hansando Island, Tongyeong d. 단체 기준규칙 제5조 일반 원칙에서는 기관 단체의 명칭은 해당 기관 단체에서 그동안 써 온 표기를 존중하되, 별도의 표기 관행이 없으면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는 것을 제안 하고 있다. 따라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문 표기가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용례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기관 단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권장 표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예로 든 의병의 경우, 용례집에서는 Righteous Army라는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문화재 지정명칭의 영문 표기에서 기관 단체명이 사용된 사례는 아래와 같다. 지정종목 지정 번호 문화재 지정명칭 보물 747 최문병 의병장 안장 영문 표기 Horse Saddle of Choe Mun-byeong, Righteous Army Commander 등록문화재 512 대조선독립협회회보 Magazine Published by the Independence Club 등록문화재 395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Taegeukgi of the Provisional Korean National Council 137

15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e. 건물 기준규칙 제6조와 제7조에 따르면 건조물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에는 보통명사는 의미역으로 표기하고 고유명사는 단어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표기와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용도나 종류 등을 나타내는 후부요소가 포함된 고유명사는 고유의 문화재 명칭을 보존하기 위하여 그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요소의 의미역 표기를 함께 사용하고, 후부요소는 실질적인 사용용도 를 기준으로 의 미역하고 표기의 간결성을 위하여 괄호 없이 덧붙인다. 기준규칙에서는 이러한 일반명사의 적정한 의미역을 제안하기 위해, 다양한 용례를 수집하고 그 중 우리 문화재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표현을 선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위에서 예로 든 대웅전과 서원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과정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대웅전의 경우, 기관별로 사용하고 있는 용례를 살펴보면 2008년 발간된 한국 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표기기준,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번역 지침,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대전 번역 지침에서는 대웅전 을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법당 이라는 의미의 일반명사로 보고, Hall of Sakyamuni 로 표기하고 있었다.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역사용어 영문시소러스에서는 Great Hero Hall (출처: 남북 역사용어 및 영문표기 기초조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Main Hall (출처: A History of Science in Korea, Jimoondang, 1998), Temple s Main Sanctuary (출처: A Guide to Korean Cultural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2003), Hall of Sakyamuni (출처: 남북 역사용어 및 영문표기 기초조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등 여러 가지 용례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Hall of Sakyamuni 를 대웅전 에 해당하는 영문용어 표제어로 선정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 관광전자지도 표준화지 침에서는 번역어의 길이를 고려하여, 대웅전의 성격을 나타낼 수 있는 Main Hall 로 표기한다. 이기백의 저서(Edward W. Wagner 번역,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와 2009년 문화재청 문화재명 및 문화재용어 번역기준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Main Hall 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하지만, 2010년 개정된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가이드라인에서는 Hall of Sakyamuni 대신, Daeungjeon Hall 으로 표기한다. 관광지를 나타내는데 불교용어가 들 어가면 너무 학술적으로 들릴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쉽게 표기하는 방 향으로 수정한 것이다. Daeungjeon Hall 로 번역하면 불전 외의 다른 전각이름을 표기 하는 방법과도 일치하기 때문에 통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사찰마다 있는 대웅 전 이라는 건물이 고유명사화된다는 문제가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고, 이름만으로는 불교건물이라는 점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 용례집 가이드라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명칭은 Daeungjeon Hall 로 138

151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하되, 해설문에서는 본존불을 모신 전각 이라는 점을 살려 Hall of Sakyamuni 등의 의 미역을 추가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향교나 서원의 경우에도 다양한 용례가 나타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 사전 번역 지침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대전 번역 지침에서는 향교, 서원, 서당 에 해당하는 국문은 로마자로 표기하지 않고, 각각 County School 과 Confucian Academy 또는 Private Academy 로 표기한다. 따라서 전주향교 는 Jeonju County School 로, 도산서원 은 Dosan Confucian Academy 또는 Dosan Private Academy 로 표기한다. 2008년 발간된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표기기준에서는 향교 와 서원 의 의미역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Confucian School 로 표기했다. 다른 교육기관을 같은 설명어로 표기하다보니, 원래의 명칭을 살리기 위해 향교 와 서원 까지 모두 로마자로 표기 하고 설명어를 붙인다. 이 지침에 따르면 전주향교 는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로, 도산서원 은 Dosanseowon Confucian School 로 표기한다. 하지만, 동일한 Confucian School 이라는 설명어를 쓰면 각 교육기관의 성격이나 차이가 드러나지 않고, 다른 기관 의 표기방법과 차이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2010년 개정된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가이드라인에서는 관광지 명칭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명칭 전체 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지침은 그대로 유지하고, 각각의 설명어를 향교 는 Confucian School 로, 서원 은 Confucian Academy 로 수정했다. 서원 의 설명어인 Confucian Academy는 한우근의 The History of Korea (이경식 번역, 을유문화사, 1970)와 같은 한국학 도서에서도 사용하고 있고 2009년 문화재청 문화재명 및 문화재용어 번역기 준에서도 동일하게 표기한다. 여전히 차이가 있는 것은 향교 의 표기이다. 향교 의 경우, 2009년 문화재청 문화재명 및 문화재용어 번역기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 문화대백과사전 번역 지침 등 다른 기관에서는 모두 County School 로 표기하고 있고, 이기백의 저서 A New History of Korea (Edward W. Wagner 번역,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에서도 County School 이라는 표현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 관광안내표기용례집 가이드라인에서는, County School 이라는 표기로는 유학교육기 관이라는 성격과 의미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County 대신 Confucian 을 넣어 표기한다. 2009년 문화재청 문화재명 및 문화재용어 번역기준에는 위에 언급한 표현 이외에도 local Confucian school (hyanggyo), county Confucian school, local public school, country public school 등의 표기가 수록되어 있다. 위의 사례들 중 용례집에서 실제 사용 용례를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은 법당, 대웅전, 서원, 정전 등이며 각각 Main Buddha Hall, Daeungjeon Hall, ~seowon Confucian Academy, Main Hall로 표기하고 있다. 문화재 지정명칭에서 일반건조물의 영문 표기가 사용된 사례는 아래와 같다. 139

15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지정종목 지정 번호 문화재 지정명칭 영문 표기 국보 227 종묘 정전 Main Hall of Jongmyo Shrine 보물 161 강화 정수사 법당 Main Buddha Hall of Jeongsusa Temple, Ganghwa 보물 299 구례 화엄사 대웅전 Daeu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사적 170 안동 도산서원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Andong 사적 379 전주향교 Jeon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f. 부처 보살 존명 기준규칙 제14조에 따르면 부처와 보살의 영문 명칭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스크 리트어가 있을 경우 이를 사용하며, 특별 기호는 생략하고 로마자로 가까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 규칙에 준하면 위에 예로 든 석가모니불, 관음보살, 약사불은 각각 Sakyamuni Buddha, Avalokitesvara Bodhisattva, Bhaisajyaguru Buddha로 표기해야 한다. 문화재 지정명칭의 영문 표기에서 부처 및 보살의 존명이 사용된 사례는 아래와 같다. 지정종목 지정 번호 국보 127 보물 958 문화재 지정명칭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영문 표기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Samyang-dong, Seoul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of Girimsa Temple, Gyeongju 보물 1287 지장보살삼존도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보물 1367 보물 1607 송광사응진당석가모니후불 탱.십육나한탱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Hanging Scroll Behind the Sakyamuni Buddha and Paintings of Sixteen Arhats in Eungjindang Hall of Songgwangsa Temple Excavated Documents from the Wooden Seated Bhaisajyaguru Buddha of Donghwasa Temple, Daegu ⓶ 분야별 후속 연구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 에서도 해법을 찾기 어려운 용어들에 대해서는 다시 분야별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본 연구에서 발굴한 다양한 용례들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작업으로 표준 대역어 선정 작업을 시행 할 경우, 어떠한 표현이 문화재 용어의 영문 대역어로서 가장 적합한지를 검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그 용어가 우리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외국인들에게 우리 문화재를 제대로 소개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개념인지를 먼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해 두고자 한다. 후속 연구에서의 활용을 위해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한 문화재 용어 국문-영문 대조 목록을 [부록 15]에 제시하였다. 140

153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3) 영문 어휘 난이도 조사 문화재 용어의 번역 용례 분석과 별도로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에 쓰인 에 쓰인 각각의 영어 단어의 난이도가 일반 독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이는 향후 보다 평이한 영문 해설문의 집필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2013년 전수조사를 통해 취합된 문화재 안내판 영문 해설문의 어휘들을 모 두 기계적으로 추출했다. 추출된 어휘는 총 18,161건이며, 이 중 단 1회씩만 사용된 8,748건의 어 휘를 제외한 나머지 9,413건의 어휘를 대상으로 분석 작업을 수행했다. 9,413건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우리말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에 따라 음역한 것이 313건, 철자의 오기가 427건(영어 단어 철자의 오류 및 로마자 표기 상의 오류), 13) 그리고 지명 인명과 같은 고유명사와 동식물의 학명 등이 2,186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형의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어휘 6,487건에 대해 동사의 시제변화와 명사의 단 복수와 같은 변이형을 원형으로 수정하는 작업을 거쳐 일반 어휘 원형 4,845건을 분석 대상 어휘로 선정하였다. 그림 7. 문화재 안내 문안 영문 어휘 총 4,845건의 영어 단어 일반 어휘(원형)를 VOA Special English Words 14) 및 Nolls Top 3,000 American English Words 15) 와 비교함으로써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이 13) 철자 오기의 경우 이러한 오류가 문화재 안내판에서 온 것인지, 전수조사 데이터 작성 과정에서 발생한 것인지는 확인 하지 못했다. 14) VOA Special English Words: VOA(Voice of America)에서 사용되는 1,500 여개의 핵심어휘를 지칭. VOA는 미국 연방정부가 운영하는 국제방송으로 비영어권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좀 더 명확하고 단순하며 이해하기 쉬운 핵심 어휘(core vocabulary)를 위주로 전세계 뉴스를 제공. 15) Nolls Top 3,000 American English Words: 미국의 Paul Noll과 Bernice Noll 부부가 정리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3,000개의 미국 영어 어휘 를 지칭. Noll 부부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40 여개의 신문과 잡지에서 어휘들을 추출하고 출현 빈도수가 높은 3천여 개의 어휘 목록을 작성함. 141

15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쉽고 평이한 어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VOA Special English Words 는 미국 연방정부가 비영어권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방송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하 도록 권장하는 핵심 어휘이므로 표준으로 삼을만하다. 분석 결과, 4,845건의 어휘 중 VOA Special English Words 와 일치하는 것은 총 1,145건으로 23.6%에 불과했다. 좀 더 많은 어휘를 포함하고 있는 Nolls' Top 3,000 American English Words 와 비교했을 때에도 일치하는 어휘는 총 1,429건(29.5%)으로 비 율상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39. 일반 어휘(원형) 對 VOA Special English Words 분석 결과 불일치 어휘 예시 원형 빈도수 circumference 106 inscribe 92 eave 75 sarira 75 comprise 51 facade 50 relatively 47 compound 44 tumulus 44 folklore 42 totem 41 reinforce 40 numerous 39 monarch 37 respectively 37 podium 36 epitaph 35 deciduous 33 stylobate 32 resemble 31 magnificent 30 conduct 28 composition 27 demolish 27 flank 27 portray 27 intact 26 canopy 25 disciple

155 Ⅱ. 문화재 해설문 국 영문 어휘 분석 원형 빈도수 relocate 24 cornice 23 sanctum 23 distinguish 22 precinct 22 prominent 22 bracket 20 commemorate 20 symmetrical 20 bestow 19 elaborate 19 sedimentary 19 shrub 18 fragment 17 majestic 17 mudra 17 nirvana 17 posthumous 17 render 17 sediment 17 truss 17 tutelary 17 celestial 16 deposit 16 initially 16 ventilation 16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어휘의 75% 이상이 비영어권의 일반인 사용자가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어휘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물론 위의 두 영문 어휘 목록과 불일치하는 어휘 중에는 우리나라 문화재를 설명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들도 포함된다. 이러한 어휘들이 반드시 필요한지 또는 좀 더 용이한 표현으로 수정이 가능한지 등 번역 용례의 적절성과 일관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VOA 및 Nolls 리스트와 비교한 일치 불일치 어휘 목록은 [부록 11, 12, 13, 14]에 제시 하였다. 143

156

15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158

15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문화재 안내판의 체계와 해설문안 속의 용어 사용 실태를 분석한 데 이어 이 장에서는 안내판의 해설문이 내용과 서술 방법 면에서 어떠한 보완 과제를 안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화재 안내판의 해설문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해당 문화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얻게 하는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문화재청은 2010년의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 및 개선 사례집 에서 문화재 해설문에 담아야 할 내용과 서술의 주안점에 대해 안내한 바 있다. 2013년 전수조사를 통해 조사된 2,500여 개의 문화재 안내판 가운데, 986개 안내판 (종합안내판 180개, 권역안내판 152개, 개별안내판 654개)의 디자인 및 안내문이 문화 재청의 가이드라인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화재 해설문안의 우수성에 대한 판단은 무엇에 기준을 두고, 어떠한 점을 중요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안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일반화시켜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문화유산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해마다 크게 증대되고 있다는 점, 많은 수의 내국인들이 최근에는 국내에서뿐 해외에서도 다양한 세계문화유산을 접하면서 문화재 해설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있다는 점,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크게 증대되어 우리의 문화재를 외국인의 관점에서 보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일을 보다 중요시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점 등은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안의 새로운 개선 방향을 시사하는 요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진은 문화유산의 해설에 관한 국제적인 논의와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안의 개선 과제와 방법를 도출하고, 이를 현재의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해설문안 집필 요강은 지침 형태로 정리하여 향후의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안 개선 사업에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1. 문화재 해설문에 관한 해외 사례 1)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에 관한 ICOMOS 헌장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는 세계문화유산을 연구, 기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국제기로서 1965년에 설립 되었다. ICOMOS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자국의 문화유산을 해설하고 전달함에 있어 어떠한 정신과 방법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 숙의하였고, 회원국의 승인을 거쳐 2008년 10월 4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제16회 ICOMOS 총회에서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에 관한 ICOMOS 헌장 을 제정하였다. 147

16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 헌장의 목표는 문화유산 보존의 필수요건인 해설과 전달 의 기본적인 원칙을 정의함으 로써 세계의 사람들이 문화유산을 보다 더 잘 감상하고 이해하게 하는 데 있다. ICOMOS 헌장은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에 관한 아래의 물음에 합리적 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a.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 에 대해 이미 합의되었거나 앞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목표는 무엇인가? b. 어떤 구체적인 문화적 또는 전통의 맥락에서 어떤 원칙에 의해 적절한 기술적 수단과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가? c. 다양한 형태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떤 윤리적 및 전문적 기준에 따라 해설과 전달 의 방향성을 설정할 것인가?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에 관한 ICOMOS 헌장(요약) 가. 정의 ⓵ 해설(Interpretation 16) : 콘텐츠 기획과 연구 17) )은 문화유적지에 대해 공공의 인식과 이해를 증대시키는 모든 콘텐츠의 기획과 연구 활동을 말함. 여기에는 출판 (온라인 오프라인), 강연, 현장 또는 다른 곳에 관련 시설의 설치, 교육프로그램, 지역주민활동, 해설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 교육훈련 및 평가가 포함됨. ⓶ 전달(Presentation: 연출과 제작 18) )은 문화유적지에서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해설의 대상정보, 물리적 접근성, 해설기반시설을 적절히 배치하여 해설된 콘텐츠를 소통 하는 것을 말함.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적 접근방식이 있으며, 정보패널(안내판), 박물관식 전시물, 체계화된 워킹투어, 강연, 해설사 인솔 관람, 멀티미디어 소프트 웨어 및 각종 웹사이트가 포함됨. ⓷ 해설기반시설(Interpretive infrastructure)은 기존 또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유 적지의 해설과 전달 에 활용될 수 있는 물리적 설치물, 각종 시설, 유적지 및 유적과 연관된 장소를 말함. ⓸ 유적지 해설사(Site interpreters)는 문화유적지에서 단기 장기간에 걸쳐 유적의 가치 및 의미를 공공과 소통하는 직원 및 자원봉사자를 말함. 16) Interpretation: 해석 으로 번역할 수도 있으나 세계적으로 문화유산, 자연유산에 대해 설명, 교육, 해설하는 행위를 포괄적 으로 Interpretation 으로 쓰고 있고 국내에서는 해설 로 통용됨. 17) 본 헌장에서 해설이 의미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요약, 첨부하여 이해를 도움. 18) Presentation: 적합한 번역어가 없어서 흔히 프레젠테이션 으로 쓰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공공소통을 위한 연출, 제작, 전시 등을 뜻하므로 전달 로 번역하고 그 내용을 요약, 첨부함. 148

16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⓹ 문화유적지(Cultural Heritage Site)는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곳으로 인정되고 많은 경우 법적 보호를 받는 장소, 지역, 자연환경, 정주지구, 건물군, 발굴현장, 건조물 등을 말함. 나. 목표 원칙 1 접근성과 이해(Access and Understanding) 원칙 2 정보의 출처(Information Sources) 원칙 3 배경과 맥락의 고려(Attention to Setting and Context) 원칙 4 진정성의 유지(Preservation of Authenticity) 원칙 5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계획(Planning for Sustainability) 원칙 6 관계당사자 모두 참여하도록 노력(Concern for Inclusiveness) 원칙 7 연구, 교육훈련, 평가의 중요성(Importance of Research, Training, and Evaluation) 이 7가지 원칙에 따른 헌장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⓵ 문화유적지를 공공이 보다 더 잘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함. ⓶ 문화유적지의 의미를 다양한 청중과 소통함. ⓷ 문화유적지의 유형, 무형 가치를 자연 문화 사회적 맥락을 유지하며 보호함. ⓸ 문화유적지의 진정성을 존중하여 부정확하고 부적절한 해설, 방문객으로 인한 피해, 이해에 방해가 되는 시설물 등을 방지. ⓹ 문화유적지의 지속가능한 보존에 기여. ⓺ 문화유적지의 해설에 모든 관계당사자가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 ⓻ 문화유산의 해설과 전달에 대한 기술적, 전문가적 지침을 작성. 내용에는 기술, 연구, 교육훈련 등을 기술. 다. 원칙 ⓵ 원칙 1 접근성과 이해(Access and Understanding): 해설과 전달 프로그램은 문화 유적지에 대한 공공의 물리적 지적 접근성을 촉진해야 함. 개인적 경험, 공공의 존중과 이해를 증대. 개인과 지역사회가 문화유산과 유대감을 형성. 청중을 인구구성 및 배경문화에 따라 파악해야 함. 방문객의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고려해야 함. 공공이 물리적으로 각종 해설과 전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함. 안전 등의 이유로 현장 방문이 어렵다면 다른 곳에서 유산을 향유할 수 있어야 함. 149

16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원칙 2 정보의 출처(Information Sources): 해설과 전달 은 보편적인 과학적, 학술적 방법론 및 현재 살아있는 문화전통에 의해 집결된 자료에 기반해 있어야 함. 해설 자료는 기록으로 남겨 방문객이 볼 수 있어야 함. 해설은 여러 전문분야의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참조해야 함. 구전 또는 증언이 중요한 현장에서는 이를 적극 활용. 미술, 건축모델, 컴퓨터모델을 활용할 시 자연환경, 고고학, 건축학, 역사학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서 그 결과를 이용해야 하며 여러 결과가 있을 때는 비교할 수 있도록 함께 제시해야 함. 해설과 전달 자료는 미래에 분석하고 참고로 할 수 있도록 기록으로 남겨야 함. ⓷ 원칙 3 배경과 맥락의 고려(Attention to Setting and Context): 문화유적지의 해설과 전달 은 관련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자연적 배경과 맥락을 고려하여야 함. 유산의 해설은 역사적, 정치적, 영적, 예술적 맥락 등 다방면으로 그 의미를 파악해야 함. 유적의 발전단계에 따른 의미의 변화를 구분하고 연도를 제시해야 함. 유적의 해설은 현장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에 기여한 모든 집단을 기록해야 함. 유적의 주변 자연환경은 그 유적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의 한 부분으로 반드시 고려해야 함. 문화적, 영적 전통, 구술이야기, 음악, 춤, 풍습 등 무형적 전통도 포함하여야 함. 유적에 대한 다양한 관점 및 해설을 고려해야 함. ⓸ 원칙 4 진정성의 유지(Preservation of Authenticity): 문화유적지의 해설과 전달 은 1994년 진정성에 대한 나라 문서(Nara Document)의 기본원칙을 따라야 함. 유적 관련 프로그램은 현장의 사회적 기능과 인근 주민들의 문화와 생활습관을 존중하여야 함. 해설과 전달 을 통해 유적의 의미를 전달하되 회복불가능하게 현장을 파괴 해서는 안 됨. 시설물 등은 현장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현장에서 열리는 공연 등도 현장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⓹ 원칙 5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계획(Planning for Sustainability): 문화유적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때는 주변 자연/문화적 환경의 사회적, 재정적,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중심목표의 일부로 설정하여야 함. 150

16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해설과 전달 활동은 현장의 운영, 예산안 작성 등 종합계획의 일부라야 함. 유적영향평가를 통해 기반시설과 방문객수 등이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함. 해설과 전달 평가는 보존, 교육, 문화 등 여러 평가기준으로 봐야 하며 방문객 수나 관람수입 등 편협한 평가로만 봐서는 안 됨. 해설과 전달 은 공공이 유적보존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함. 현장에 장기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은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설치 전 고려해야 함. 현장 프로그램은 교육, 교육훈련, 고용기회를 모든 관련 집단 구성원에게 주어야 함. ⓺ 원칙 6 관계당사자 모두 참여하도록 노력(Concern for Inclusiveness): 문화유적지의 해설과 전달 은 문화유산전문가집단, 해당지역 및 관련지역 주민집단, 기타 관련자 사이의 의미 있는 협력활동의 결과물이어야 함. 해설과 전달 프로그램 구성에는 다양한 분야의 학자, 지역주민, 보존 전문가, 정부 관계자, 현장 운영자 및 해설사, 여행사 관련자 등이 참여하여야 함. 현장 주변 토지소유주 및 지역사회의 과거부터 내려온 권리, 의무, 이해관계를 존중해야 함. 해설과 전달 프로그램의 수정 또는 확대 시 공공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아야함. 멀티미디어 자료, 인쇄물 등의 지적재산권이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계획 단계에서 이를 논의해야 함. ⓻ 원칙 7 연구, 교육훈련, 평가의 중요성(Importance of Research, Training, and Evaluation): 지속적인 연구, 교육훈련, 평가는 문화유적지의 해설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임. 문화유산의 해설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 유적 프로그램 및 시설은 내용의 수정과 확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함. 각종 프로그램이 물리적으로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방문객 및 지역주민, 문화유산전문가 들의 의견을 평가과정에 반영해야 함. 각종 프로그램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여야 함. 콘텐츠 제작 및 관리, 기술, 안내, 교육 등 문화유산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임. 현장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문분야의 최근동향을 유적관련 담당직원에게 전달하여야 함.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는데 국제협력이 매우 중요함. 따라서 직원에게 국제회의, 워크샵 등 지식교환활동을 장려해야 함. 151

16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 문화재 안내판 해외 사례 문화유산 해설을 통해 대해 자국 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이해, 긍지를 촉진하고, 또 해외로부터의 방문객에게 자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기회로 활용하려는 노력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 여러 나라에서 볼 수 있다. 아래의 예시는 외국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재 안내의 해외 사례들이다. 가. 에딘버러 칼튼 언덕 (영국) 그림 8. 에딘버러 칼튼 언덕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Calton Hill Edinburgh's First Public Park The rocks beneath your feet started life 340 million years ago, a time before dinosaurs roamed the Earth. As the arctic conditions of the Ice Age gripped Edinburgh at intervals over the last two and a half million years, the landscape was sculpted under massive ice sheets to reveal the distinctive hills you see today. Arthur's Seat, in front of you, together with Castle Rock, to your right, were both formed by volcanic activity 340 million years ago. Lava and ash produced by the vents of the Arthur's Seat volcano formed the Calton Hill. Many millions of years later, glaciers carved cut and revealed many of the features you see before you. Standing here today you can gaze at the remains of this ancient volcano, one of the best examples of its kind in the world. 152

16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해설문 번역 칼튼언덕 에든버러의 첫 공립 공원 여러분 발밑에 있는 돌은 공룡이 있기도 이전, 3억4천만 년 전에 생성된 것이다. 빙하시대의 추운 기후가 지난 250만 년간 에든버러에 여러 번 영향을 주면서 이 땅은 엄청난 규모의 빙하에 눌려 오늘날 여러분이 볼 수 있는 특이한 모양의 언덕으로 자리 잡았다. 여러분 앞에 있는 아서 시트는 오른편의 캐슬록과 더불어 3억4천만 년 전 화산활동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아서 시트 화산에서 나온 용암과 화산재가 칼튼언덕을 만들었다. 몇 백 만년 후 빙하가 이 지형을 다시 다듬어 지금 여러분이 보고 있는 특색 있는 지형으로 완성했다. 오늘날 이곳에 서서 여러분은 고대 화산의 잔재를 볼 수 있는데 이곳은 세계에서도 가장 좋은 사례에 속한다. ⓷ 참고사항 유네스코 세계유산 엠블렘이 좌측 하단에 포함됨. 스코트랜드 수도인 에딘버러 시내 중심에 있음. 이 언덕에서 보이는 전망은 종종 에든버러 그림엽서와 사진의 소재가 되는 명소임. 칼튼언덕 남쪽의 가파른 경사면에 있는 세인트 앤드루스 하우스에는 스코틀랜드 행정부가 놓여있다. 주요 건물로는 언덕 기슭에 있는 홀리루드궁전이 있음. 유적에 대한 입체적 해설의 사례 3억4천만년 된 지질학적 역사를 설명하면서 불과 얼음의 땅 이라는 주제어를 붙임. 당신은 지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화 산의 유적을 본다. 고 설명하여 강한 인상을 남김. 나. 워릭성 블랙타워 (영국) 그림 9. 워릭성 블랙타워 안내판 153

16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⓵ 해설문 원문 The Black Tower (개요/왼편) This Tower was once linked to the Keep by a massive wall, the remains of which can still be seen. The Tower dates from the 13th century, and two dark chambers at the bottom once served as a prison. In these cells religious martyrs were imprisoned before meeting a grisly death. (그림/중앙) Gilbert de Clare was a powerful 13th century ruler who built the Black Tower as part of his improved defences at Cardiff Castle. (그림/우측) The Protestant martyr Rawlins White was imprisoned in the Tower before being burned at the stake in Two Roman Catholic martyrs were also held here before their deaths in ⓶ 해설문 번역 블랙 타워 (개요/왼편) 이 타워는 원래 내부성채와 거대한 성벽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오늘날은 그 흔적만 볼 수 있다. 타워는 13세기 건설되었으며, 하단부 2개의 어두운 공간은 감옥으로 이용되었다. 순교자들은 잔인한 방법으로 살해되기 전 이곳에 투옥되었다. (그림/중앙) 길버트 드 클레어는 카디프 성의 방어를 위해 블랙타워를 지은 13세기 권력자였다. (그림/우측) 개신교 순교자 롤린 화이트는 1555년 십자가에서 화형되기 전 타워에 투옥되었다. 1679년 카톨릭 순교자 2명 또한 사형되기 전 이곳에 갇혀있었다. ⓷ 참고사항 영국 중부 중세도시 워릭(Warwick)에 11세기에 세운 성채. 종교탄압으로 화형에 처해진 순교자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해설함. 154

16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다. 하드리안의 성벽 (영국) - 1 그림 10. 하드리안의 성벽 개별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Hadrian's Wall Heddon-on-the-Wall Hadrian's Wall was built by the order of the Emperor Hadrian, following his visit to Britain in AD 122. It was planned as a continuous wall with a milecastle every Roman mile (1.48 kilometers) and two turrets equally spaced between each milecastle. The Wall, with its defensive ditches and large forts, stretched from coast to coast, a distance of 80 Roman miles (approximately 120 kilometres or 75 miles). It formed the northernmost frontier of the Roman Empire. Hadrian's Wall is a World Heritage Site, designated by UNESCO. Hadrian's Wall was not all built to the planned 3 metre width, perhaps to save time and resources. However, here at Heddon you can see the 'broad' Wall built as originally intended. This is the longest surviving section of 'broad' Wall, over 100 metres long. Some of the massive foundation stones weigh over a tonne each. At the west end a medieval circular kiln has been built into the Wall. 155

16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해설문 번역 하드리안의 성벽 헤돈 온더월 하드리안의 성벽은 하드리안 황제가 서기 122년 영국을 방문한 후 내린 칙령에 따라 건설되었다. 성벽은 1로마마일 (1.48km)마다 마일캐슬(작은 요새)를 두고 마일캐슬 사이에는 작은 방어탑을 등간격으로 두 개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80 로마마일에 달하는 (대략 120km 또는 75 마일) 하드리안 성벽은 영국의 동해안과 서해안을 연결 하였으며 중간 여러 곳에 대형 성채와 해자가 건설되었다. 그리고 이 성곽을 따라 로마제국의 최북단 경계가 설정되었다. 하드리안의 성벽은 UNESCO 지정 세계유산이다. 하드리안 성벽은 계획에 따라 전체가 3m 폭으로 건설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시간과 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곳 헤돈에서는 원 계획대로 폭이 넓은 성벽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은 100m 이상 폭이 넓은 성벽이 남아있는 구간 이다. 성벽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큰 돌은 하나에 1톤이 넘는 것도 여럿 있다. 서쪽 끝에는 벽 내부로 원형의 중세 가마를 만들어 놓은 것도 볼 수 있다. ⓷ 참고사항 유네스코 세계유산 엠블렘이 안내판 가운데에 포함됨. 로마령이었던 당시 스코틀랜드 부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136년에 완공함. 2천년이 지났지만 성벽의 대부분이 잘 보존되어 있어 영국에서 가장 볼만한 로마유적임. 관광에 적합한 지점에 개별 안내판을 두고 있음. 라. 하드리안의 성벽 (영국) - 2 그림 11. 하드리안의 성벽 안내판 156

16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⓵ 해설문 원문 Hadrian's Wall Country (개요: 왼편 진한색 상자) Welcome to Hadrian's Wall Country Hadrian's Wall was the most strongly defended frontier in the Roman Empire. Stand beside the Wall or walk around a fort and it's easy to imagine what life was like for the patrolling soldiers. Today, Hadrian's Wall is a World Heritage Site stretching from the east coast of Northumbria to the west coast Cumbria with many Roman forts, museums, and archaeological sites to explore. There's much more than Roman remains. The countryside is stunning, from sandy beaches to wide open fells. Walkers and cyclists have a huge range of routes to explore. Discover castles and gardens, lively market towns and picturesque villages and the two cities of newcastle and Carlisle. Experience ancient and modern attractions right at the edge of the Roman Empire. Welcome to Heddon on the Wall (세부정보: 두 번째 컬럼 상단 상자) As the name suggests, the village of Heddon on the Wall stands on the route of the Roman Wall. Today you can see a good stretch of the remains of 10 ft wide 'broad wall' at Heddon. The wall started off this wide at Newcastle but further west narrowed to 8 feet side. One theory was that this was done to reduce the cost and increase the speed of construction. Other remains found in the village date back to prehistoric times. Some flint tools made in the Mesolithic period have been found in nearby fields. St. Andrew's church lies in the centre of the village. Built in about 650 AD, much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came from the Roman Wall. Today you can see a fine norman chancel and late Saxon stonework incorporated into the nave. Visit the heritage Centre in the church to see information and displays of history of the area. Explore the village further with its two pubs, a tearoom and shops; or walk part of the Hadrian's Wall Path National Trail, which passes through the village. ⓶ 해설문 번역 하드리안 성벽 지역 하드리안 성벽 지역에 오신 것을 환영함. 하드리안 성벽은 로마제국 전체에서 가장 철저하게 방어했던 국경지대이다. 성채 옆에 서 보거나 요새 주변을 걸어보면 과거 이곳을 지켰던 군인들의 삶이 어떠했었는지 157

17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쉽게 상상할 수 있다. 오늘날 하드리안 성벽은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동해의 노스 엄브리아 해안에서 서해의 컴브리아 해안까지 수많은 로마요새, 박물관, 기타 고고학 발굴 현장을 둘러볼 수 있다. 그리고 로마유적을 둘러보는 것 외에도 해변 모래사장과 펠 언덕지형 등 경관이 매우 뛰어나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려는 방문객은 수많은 길을 둘러볼 수 있다. 고성과 정원 여러 곳, 활기 넘치는 시장이 있는 동네와 그림 같은 마을들, 그리고 뉴캐슬과 칼라일 두 대도시를 찾아보기를 권한다. 로마제국 끝자락에 위치한 고대와 현대의 관광지를 경험해 보기 바란다. 헤돈 온더월에 오신 것을 환영함. 이름에서 볼 수 있듯 헤돈 온더월 마을은 로마 성벽이 위치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여러분은 헤돈에서 10피트 넓이의 넓은 성벽 구간을 상당 부분 볼 수 있다. 성벽은 뉴캐슬에서 이만한 폭으로 시작되었으나 서쪽으로 가면 8 피트로 폭이 줄어 든다. 이는 비용을 줄이고 공사기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마을에서 발견된 다른 유물은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석기 시대에 만든 석기도구 몇 개도 인근 밭에서 발견된 바 있다. 세인트 앤드류 교회가 마을 중심부에 있다. 650년 정도 건립된 이 교회 건설자재의 상당부분은 로마시대 성벽에서 가져온 것이다. 오늘날 여러분은 정통 노르만족 성단소와 후기 색슨족의 돌 다루는 기술이 교회중앙부 신도석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교회 내 유산 센터에서 이 지역의 역사에 대한 정보와 전시물을 볼 수 있다. 이외에 펍 2개, 찻집과 가게 등이 있는 마을을 좀 더 둘러볼 수도 있고, 마을을 관통하는 하드리안의 성벽 국가 사적 길을 걸어볼 수도 있다. ⓷ 참고사항 유네스코 세계유산 엠블렘이 하단에 포함됨. 영국판 만리장성이라 불리는 118-km의 '하드리안 성벽'의 일부. 관광하기에 적합한 지점 곳곳에 전체 성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성벽지도 안내판이 있음. 158

17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마. 스톤헨지 (영국) 그림 12. 스톤헨지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Stonehenge The great and ancient stone circle of Stonehenge is unique; an exceptional survival from a prehistoric culture now lost to us. The monument evolved between 3,000 BC and 1,600 BC, and is aligned with the rising and setting of the sun at the solstices, but its exact purpose remains a mystery. To this day Stonehenge endures as a source of inspiration and fascination and for many, a place of worship and celebration. ⓶ 해설문 번역 스톤헨지 이 위대한 고대 석물은 선사시대 문화가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우리에게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서기전 3,000년 - 1,600 년 사이에 만들어진 스톤헨지는 춘분시 일출과 일몰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어떤 목적으로 지었는지는 지금도 미스테리 이다. 오늘날에도 스톤헨지는 많은 사람을 매료시키며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곳은 숭배와 축제의 장소이기도 하다. ⓷ 참고사항 유네스코 세계유산 엠블렘을 넣지 않음. 영국 윌트셔주에 있는 세계적인 유적임. 159

17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고고학적으로 독특한 가치를 설명하고, 목적을 모르는 신비한 구조라는 점을 언급함. 오늘날도 영감을 주며 숭배와 축하의 장소이다 라고 현재와 연결함. 바. 아스카데라 (일본) 그림 13. 아스카데라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일본어) 飛 鳥 寺 (あすかでら) 日 本 書 紀 によれば 祟 峻 天 皇 元 年 (588)に 蘇 我 馬 子 は 法 興 寺 を 建 立 することを 計 画 同 5 年 に 仏 堂 ( 金 堂 ) 歩 廊 ( 回 廊 )が 完 成 推 古 天 皇 元 年 (593)には 塔 を 起 工 し 同 4 年 には 一 応 の 建 物 が 完 成 した 同 13 年 には 丈 六 仏 像 を 造 り 翌 14 年 に 安 置 したとあ る 日 本 最 古 の 本 格 的 な 寺 院 で その 造 営 に 際 して 多 くの 博 士 工 人 が 朝 鮮 半 島 から 渡 来 してあたったことが 記 されている 大 化 改 新 や 天 皇 の 病 気 平 癒 など 飛 鳥 時 代 を 通 じて 飛 鳥 における 中 心 的 な 役 割 を 果 たし たが 建 久 7 年 (1196)に 消 失 し 現 在 に 至 る 法 興 寺 元 興 寺 とも 称 され 現 在 は 止 利 仏 師 の 作 と 伝 える 重 要 文 化 財 の 金 銅 丈 六 仏 が 残 る 昭 和 31 年 から 継 続 的 な 発 掘 調 査 の 結 果 塔 を 中 心 に 三 方 に 金 堂 を 置 き 北 側 に 講 堂 南 側 に 中 門 南 門 の 跡 があることが 判 明 した 寺 域 は 南 北 290m 東 西 200~250m の 規 模 をもち 飛 鳥 では 大 官 大 寺 とともに 最 大 規 模 の 寺 院 であった (영어) Asukadera Temple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Japan (Nihon shoki), Soga no Umako planned to build Hokoji Temple in 588, and in 592 completed the golden hall and cloisters. In 593 he 160

17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erected the stupa, and in 596 completed the overall project. In 605 he had a 4.8m(16-foot) high Buddhist image created, and in 606 it was enshrined in the temple. This is the oldest authentic Buddhist temple in Japan, and it is recorded that many architects and carpenters were brought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its construction. The temple played a central role throughout the Asuka period during the Taika Reform such as in the conducting of prayers for the health of the emperor, but was lost to fire in 1196 and never rebuilt. Of the relics of Hokoji Temple, also known as Gangoji Temple, the 4.8m high gilt bronze Buddhist statue is still preserved,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said to be the work of the sculptor Tori Busshi. Ongoing excavations at the site began in 1956, and the remains of three golden halls centered around the stupa were found, along with a lecture hall in the north, and the middle and southern gates in the south. The temple complex was 290m north to south and m east to west. Along with Daikandaiji Temple, it was the largest temple in Asuka. ⓶ 해설문 번역 아스카데라 일본서기 에 따르면 스슌천황 원년(588)에 소가노 우마코는 법흥사를 건립할 것을 계획, 스 슌천황 5년에는 불당(금당), 보랑(회랑)이 완성. 스이코천황 원년(593)에는 탑을 기공하 고, 4년에는 어느 정도의 건물이 완성되었다. 13년에는 죠로쿠불상을 만들어, 14년에 안치 했다고 한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본격적인 사원으로, 많은 박사와 공인들이 한반도에서 도래해 사원을 만들었다고 한다. 타이카노 카이신과 천황의 병 치유 등 아스카시대를 통틀어 아스카에서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나, 켄큐 7년(1196)에 소실되어, 현재에 이른다. 법흥사, 원흥사라고도 불리며, 현재는 止 利 불사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일본의 중요문화재인 금동장육불이 남아 있다. 1956년부터 계속적인 발굴조사 결과, 탑을 중심으로 삼방으로 금당을 두고, 북쪽에는 강당, 남쪽으로는 중문과 남문의 흔적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사역은 남북 290미터, 동서 200~250미터의 규모가 되며, 아스카에서는 대관대사와 함께 최대규모의 사원이었다. ⓷ 참고사항 6세기말 일본 최초로 법당과 불탑, 승방, 남문, 회랑 등을 두루 갖춘 나라현에 있는 절 건물. 그 역사적 유래와 역사상의 중요 역할 설명. 한국에서 많은 건축가와 목수들이 건너가 지었다는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음. 아스카촌 ( 明 日 香 村 ) 이름으로 해설문 작성 주체를 밝히고 있다. 161

17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사. 카마쿠라 대불 (일본) 그림 14. 카마쿠라 대불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일본어) 胎 内 の 説 明 鎌 倉 大 仏 は 鎌 倉 時 代 の 中 頃 に 造 られました 今 から750 年 も 前 のことです 胎 内 に 入 ると 驚 くべき 高 度 の 技 術 を 駆 使 した 造 像 技 法 が 分 かります 像 が 大 きいので 30 回 以 上 に 分 けて 鋳 造 しているのですが 内 壁 の 大 きな 格 子 模 様 は そのために 鋳 型 を 多 数 並 べ 重 ねたことを 示 しています そして 分 けて 鋳 造 した 個 所 を 強 固 に 鋳 継 ぐために 鋳 繰 り という 他 に 見 られない 工 夫 を 凝 らした 技 法 が 使 われています 鋳 繰 り は 大 きく 分 けて3 種 類 あります( 図 参 照 ) 1960 年 ( 昭 和 35) 文 化 財 保 存 の 見 地 から 昭 和 の 大 修 理 が 行 われ 頭 部 を 補 強 する ために 頸 部 に 強 化 プラスチックERPが 塗 布 され 地 震 に 対 する 対 策 として 本 体 と 台 座 の 間 にステンレス 製 の 板 が 敷 かれています (영어) Construction Techniques Observable in the Inner Hollow of the Kamakura Daibutsu The Kamakura Daibutsu (Great Buddha of Kamakura)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Kamakura period, seven and a half centuries ago. Upon entering the inner hollow of the statue, one can observe the surprisingly sophisticated techniques that were used to create this statue. Due to its immense size, this statue was cast in thirty separate stages. The lattice pattern of the interior walls indicates that a large number of molds we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in layers. In order to securely connect together the separately cast pieces, a completely unique and ingenious method was employed connecting the pieces 162

17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from the base to the top of the statue. Known as Ikarakuri, this metho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see figure). In 1960 a program was established by Kotoku-in temple to conduct major repairs of cultural assets. Fortified plastic ERP was applied to the neck in order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statue, and a stainless steal plate was inserted between the statue and the pedestal on which Buddha sits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statue against earthquakes. ⓶ 해설문 번역 태내의 설명 가마쿠라대불은 가마쿠라시대 중엽에 만들어졌습니다. 지금으로부터 750년이나 옛날의 일입니다. 태내에 들어가면 놀랄 만큼 고도의 기술을 구사한 조상기법을 알 수 있습니다. 상이 크므로 30번 이상으로 나누어 주조를 했는데, 내벽의 큰 격자무늬는 그 때문에 주형을 많이 늘어놓고 겹쳐서 만들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나누어 주조한 곳을 굳건하게 잇기 위해 '이카라쿠리'라는 아이디어 넘치는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이카라쿠리'는 크게 나누어 3종류가 있습니다.(그림 참조) 1960년에 문화재 보존이라는 차원에서 '쇼와의 대수리'가 이루어져, 두부를 보강하기 위해 경부에 강화플라스틱 ERP가 도포되었고, 지진 대책으로는 본체와 대좌 사이에 스텐레스판이 깔려 있습니다. ⓷ 참고사항 가마쿠라시( 鎌 倉 市 )의 절 고토쿠인( 高 德 院 )에 있는 대불은 일본의 국보임. 이 초대형 불상은 높이가 11.3m, 무게가 121톤이나 되는데 뛰어난 제작기법으로 이 동불상을 제작하는 30단계를 그림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함. 아. 마호애묘( 麻 浩 崖 墓 ) (중국) 그림 15. 마호애묘 안내판 163

17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⓵ 해설문 원문 (중국어) 麻 浩 崖 墓 东 汉 时 期 在 四 川 境 内 流 行 的 一 种 墓 葬 习 俗, 因 依 山 掘 穴 而 成, 故 称 崖 墓 麻 浩 ( 地 名 ) 崖 墓 群 分 布 于 凌 云 山 和 乌 龙 山 之 间 的 崖 壁 上 约 0.1 平 方 公 里 的 范 围 内 即 有 500 余 座, 墓 门 毗 连, 密 如 蜂 房 崖 墓 内 雕 饰 精 美, 石 刻 画 像 技 法 简 洁 奔 放, 具 有 很 高 的 历 史 和 艺 术 价 值 全 国 重 点 文 物 保 护 单 位, 世 界 文 化 和 自 然 遗 产 乐 山 大 佛 的 重 要 组 成 部 分 (영어) During the East Han Dynasty, a special burial custom came into fashion in Sichuan province. The graves were dug into the hills thus came the name Tomb Caves. The Mahao (place name) Tomb Caves are located at the cliff between Wuyou and Lingyun hills. Within the 0.1 sq. kilometers there are about 500 tombs, look like honeycomb. The decorative engravings and the stone inscription in the tomb are of great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It is a key part of Leshan Grand Buddha Scenery Area, the national key cultural relic and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⓶ 해설문 번역 마호애묘( 麻 浩 崖 墓 ) 동한시대 사천성 지역에서 유행하던 묘장 풍속의 일종으로, 산을 따라 굴을 파서 만드는 형식이며 애묘라고 부른다. 마호(지명) 애묘는 링윈산( 凌 雲 山 )과 우롱산( 烏 龍 山 ) 사이의 절벽에 분포하고 있으며, 약 0.1 km 2 내에 오백여기가 벌집처럼 붙어있다. 무덤 내부의 조각 장식은 정교하며, 석각화상( 石 刻 畵 像 )의 기법은 간결하고 호방하여 그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전국 중요 문화재 보호 대상이며 세계자연유산인 러산대불 ( 樂 山 大 佛 )의 중요 구성 부분이다 ⓷ 참고사항 러산대불( 樂 山 大 佛 )은 UNESCO 세계자연유산임. 마호애묘가 만들어질 당시의 장묘풍습을 설명하여 당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함. 형태와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사항과 핵심적인 가치를 간결하게 설명함. 164

17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자. 공부( 孔 府 ) (중국) 그림 16. 공부( 孔 府 )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Confucian Temple, Confucian mansion, Kong Lin listed in the cultural heritage register of the world in 1994, the position that you were in now was Confucian mansion. The Mansion is also called "Mansion of Duke YanSheng," it was the office building and residence of the direct descendant of Confucius with a title of "Duke YanSheng." Confucius Mansion was also a typical building of "complex of residence and office building." Covering 16 hectares, it has 467 halls, buildings, chambers, and rooms. With three parts and nine courtyards, Confucius Mansion was named "the First Family under the Heaven." ⓶ 해설문 번역 공묘, 공부, 공림은 19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여러분이 서 있는 이곳은 공부(공자의 고택) 자리입니다. 이 자택은 연성공 자택 이라고도 불리는데 공자의 직계 후손들이 부여받은 연성공 직위를 가지고 자택 겸 직무를 보는 공간으로 이용 하였습니다. 공부는 주거와 사무공간이 혼합되어 있는 대규모 단지이며 그 면적이 16 헥타르에 이르고 467개의 복도, 건물, 방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크게 3개 지구와 9개의 안뜰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하제일가 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165

17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⓷ 참고사항 유네스코 세계유산 엠블렘이 하단에 포함됨. 중국 산동성 곡부에 있는 공자 유적지인 공묘 (공자사당), 공부 (공자의 고택), 공림(공자의 묘) 중 공부에 대한 종합 그림안내판임. 관련 유적지 지도, 현대의 공연물 사진 포함됨. 영문 해설문의 명칭 등 일관성 부족하고 영문 문법상의 오류가 발견됨. 차. 더람성당과 성채 (영국) 그림 17. 더람성당과 성채 안내판 ⓵ 해설문 원문 (둘레) Durham Cathedral and Castle / World Heritage Site (본문) In accord with the principle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Durham Cathedral and Castle have been designated a World Heritage Site. One of a number of protected areas of outstanding natural and cultural significance in our common heritage. ⓶ 참고사항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때 만든 표지석으로, 엠블램 자체를 예술성도 있고 건축물과 어울리게 만듬. 1093년-1133년 사이에 지은 성당으로 유럽에 남아있는 로마시대 종교 건축물 로서는 가장 규모가 크고 건축술이 뛰어남. 166

17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2. 문화재 해설문안 지침 문화재 해설문은 기본적으로 (1) 문화재의 핵심 가치를 알리고 (2) 객관적 사실을 서술하되 (3) 관련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흥미를 유발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전달한다. 1) 안내판 및 해설문 구성 요소 가. 안내판 구성 요소 ⓵ (구성요소) 안내판은 제목 및 표와 해설문으로 구성한다. 단,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조감도 및 계보 등 다양한 시각 그래픽을 첨가할 수 있다. 활자폰트, 색상, 지도 제작의 기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디자인의 표준과 관행을 따른다. ⓶ (표) 표에는 문화재의 관리와 행정적인 목적을 위한 정보 즉 문화재 지정번호, 제작 년도(이동 및 파손, 증축 연도 포함), 제작 주체, 소재지, 문화재의 형태나 크기 및 규 모 등을 기술한다. 표는 안내판의 아래, 옆면 또는 적절한 위치에 넣는다. ⓷ (도면 및 그래픽) 궁궐문화재처럼 여러 문화재가 한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유적 지 전체의 조감도나 지도, 관람순서 그래픽 등을 첨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⓸ (계보도) 필요한 경우 문화재 관련 인물들의 관계나 간단한 계보도를 넣어 이해를 도 모할 수 있다. 또 관련 인물의 초상화, 식물의 그림 등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흥미 로운 안내문이 되게 한다. ⓹ (추가 정보) 안내판의 간결한 안내문에서 다룰 수 없는 상세한 설명은 안내 유인물 (브로셔)로 제작하여 매표소 또는 입구에서 배포하거나, 모바일, 온라인 상에서 찾아 볼 수 있도록 한다. 167

18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40. 안내판 구성 요소 구성 요소 표기위치 세부 내용 제목 (국문, 영문) 안내판상단 국문 명칭, 국문 명칭의 한자 표기, 영문 명칭 문화재 관리정보 (국문, 영문) 표 문화재 지정종목, 지정번호, 제작 연도(이동 및 파손, 증축 연도 포함), 제작 주체, 소재지. 문화재의 형태나 크기 및 규모. 첫 문장 핵심가치의 요약 해설문 국문 본문 역사적, 문화재적 가치. 보유하고 있는 주요 문화재. 주요 관람 포인트 권역 안내판의 경우 권역의 특징 인간적 관심사항 (human interest story), 흥미로운 관련 사실, 인물, 사건 등 스토리텔링 요소 국문 해설문 작성 지침 참조 기타 문안작성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추가정보 (브로셔, 온라인 정보원) 설화, 전설, 민담. 관련 인물, 관련 사건 유래와 연혁 해설문 영문 첫 문장 본문 추가정보 국문 해설문의 서술의 원칙과 같음. 단, 외국인 대상임을 고려, 정보를 생략 또는 보완한다. 동아시아, 세계 전체를 염두에 둔 객관적 서술. 필요시 공간적, 시간적 비교 개념을 도입하여 해설. 영문 해설문 작성 지침 참조 나. 해설문 내용 요소 ⓵ 무엇인가? 문화재명칭에 대한 설명: 문화재 이름 대부분이 한자인 만큼 이름이 뜻하는 바를 설명한다. 168

18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예시 하늘이 내린 큰 복 이라는 뜻으로 경복궁( 景 福 宮 )이라 이름 지었다. <경복궁 종합안내판 사례> 용도에 대한 설명: 특히 문화재가 건축물일 경우 그 안에서 당시 사람들이 어떤 행위를 했는지 상상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인 사례를 이용해 설명한다. 예시 활쏘기도 하고, 시도 쓰며 뱃놀이를 하였고 손님을 위해 연회를 베풀기도 했다. <경회루 권역 안내판 사례> 재료에 대한 설명 : 재료가 문화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때 당시 재료 선택이 갖는 의미,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다. ⓶ 어떤 유래와 이야기가 있는가? 제작 경위와 관련된 기록이나 설화 혹은 전설, 이야기 관련 사건과 관련된 이야기, 설화 혹은 전설 관련 인물과 관련된 설화, 전설, 이야기 ⓷ 어떤 가치와 우수성이 있는가? 과학적 우수성, 예술적 우수성을 설명. 학문적(역사 자료로서의) 가치와 희소성의 가치를 설명. 특히 국내외의 유사한 시대, 인물과 비교하면 가치와 우수성이 더욱 드러난다. 국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인류기록유산 지정 정보는 우수성의 객관적 인정이므로 표시한다. ⓸ 감상법에 대한 설명 그림, 조각, 탑 등 세부의 중요한 요소를 설명함으로서 감상법을 안내한다. ⓹ 관리를 위한 정보는 따로 기록한다. 문화유적을 방문하고 감상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 관리를 위한 정보는 별도로 표시한다. 169

18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문화재의 제작, 이동, 파손, 복원 등과 관련된 시대 혹은 연도 정보 문화재 지정 번호 등 행정적 관리정보 문화재의 제작, 이동, 보존 등 관련된 지역 혹은 장소 정보 2) 국문 해설문 작성 지침 가. 국문 해설문 작성 원칙 문화재의 해설문을 작성할 때 관람객이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지 않는다. 한정된 글자 수 내에서 안내판을 간결하게 작성해야 하는 만큼 중요도와 흥미가 높은 내용을 앞부분에 둔다. 문화재가 갖는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먼저 기술하여 관람객의 관심을 유발하도록 한다. ⓵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해설문 안내판은 학자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화재를 설명할 때 관람객이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지 않는다. 일부 전문가나 학자를 제외하고 대부분 현대의 한국인에게 현재 안내판에 적혀있는 해설문이 이해하기 어렵다. 한문으로 된 어휘들과 생소해진 전통 문화에 대한 서술 내용은 외국어와 다를 바 없다. 왜냐하면 우리 전통사회의 문화와 전통은 망국과 일제강점기, 한국동란을 거치면서 거의 단절되었고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인은 의식과 가치관은 물론, 생로병사의 의례와 생활 관습이 전통사회와 확연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심지어 현재 고향의 종가에서 전통을 지키며 살고 있는 종손들조차 선조가 남긴 기록물을 잘 읽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젊은 세대는 시각적 정보 중심의 콘텐츠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다. 특히 해외 동포들에게는 용어 대부분이 해독하기 어려운 암호와도 같다고 한다.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기술의 내용과 소통의 채널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서 누구나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새로운 차원의 접근을 해야 할 상황이다 따라서 문화유산의 해설의 수준을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그 대상을 초등학생으로 설정한다. 안내판의 문안은 간결하고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문장으로 작성 한다. 다만 현장의 안내판의 간명한 내용에서도 꼭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 용어를 사용 하고 간단히 설명을 제공한다. 170

18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예시 왕비의 침전 뒤쪽에 단을 쌓아 계단식 정원 아미산(*)을 만들고, 가운데 단에 육각형 굴뚝4개를 나란히 세웠다. * 아미산은 중국 쓰촨성에 있는 산. 도교와 불교의 성지로 유명함. <아미산굴뚝 개별안내판 사례> 안내판의 제약을 보완하여 브로셔나 디지털 매체 등 컨텐츠의 양이 제한을 받지 않는 매체를 최대한 활용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매체에서는 문화재에 대한 기본정보와 심층정보를 최대한 친절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⓶ 맥락있는 기술 문화재에 대한 해설문은 개별적인 사실의 나열 보다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맥락을 반드시 언급한다. 관련된 사건과 인물, 당시의 사회, 문화적 상황 등을 유기적으로 서술함으로서 생생하고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 측우기를 설명할 때 단순히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등을 만든 사실만 서술하지 않고 왜 궁궐에 기상관측 기구를 두었을까? 왜 세종대왕 시대에 이런 기구가 활발하게 만들어졌나? 또 만든 측우기 등은 어떻게 활용 되었나? 를 설명하여 그 의미를 이해시킨다. 해시계와 측우기 등은 시간의 기준을 임금이 정하고 기후를 왕이 관장한다는 왕권의 상징이었다. 많이 만들어 전국의 각 고을에 비치하고 수량을 측정함으로써 홍수나 가뭄에 대해 예측할 수 있게 했다. ⓷ 유기적 설명 문화재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서술하기 보다는 상호 연관되는 문화재를 묶어 함께 이해할 있도록 폭넓게 설명한다. 문화재를 서로 비교 연결시켜서 넓은 시야에서 문화재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종묘(기념물)와 종묘제례악(무형문화재)을 함께 해설함 서울성곽(기념물)과 숭례문(국보)을 함께 해설함. 서울의 궁궐은 개별 서술보다는 상호 비교하여 해설함. 171

18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종묘와 사직단을 연결하여 해설함. 예시 현 숭례문 안내판에는 숭례문이 서울의 성문으로서 서울성곽의 부속 시설임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개별 문화재로 설명되어 있다. 연관된 문화재를 함께 설명하여 그 기능과 의미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은 성곽으로 둘러 싸여 있고 남쪽 숭례문, 동쪽 흥인지문, 서쪽 돈의문, 북쪽 숙정문을 통해서 출입할 수 있었다. 그 중 숭례문은 남쪽에 위치해 서울의 대문 구실을 한 중심적인 문이어서 다른 문보다 더 크고 아름답게 지어졌다. ⓸ 현재에도 의미 있는 문화재 문화재는 과거에 만들어 진 것이지만 오늘의 우리 생활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역사적 사건과 인물이 오늘날 우리의 삶과 전혀 관계가 없다면 관람자가 관심을 갖기 어렵다. 기록으로 남거나 문화재 같은 유물로 전해지는 것만이 역사가 아니다. 현재 살아 있는 사람들, 그 생명 속에도 역사는 이어지고 있다. 즉 체격, 얼굴 생김, 마음씨, 성격, 능력, 재능, 풍속, 신앙 등 사람들 몸과 정신 속에 역사는 새겨져서 계속 이어져 가는 것이다. 문화재의 탐구는 어제의 역사가 오늘의 우리와 어떻게 연결 되는지를 알아 보는 계기가 된다. ⓹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 관람객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기 위해 문화재에 얽힌 전설이나 설화를 적극 활용 한다. 단,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와 역사적 배경은 공인된 것을 위주로 한다. 중고등 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언급된 전설이나 설화를 참고한다. ⓺ 형태 묘사 지양 관람객이 현장에서 직접 보고 알 수 있는 문화재의 형태, 크기, 위치 등 단순한 정보는 최소화한다. 단 문화재의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 즉 특정 양식이 상징 하거나 의미하는 바가 크다면 그것을 설명한다. ⓻ 학계에서 공인된 사실에 근거 문화재 자체에 대한 설명은 공인된 객관적 사실을 중심으로 작성한다. 문화재청 홈페 이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찬)을 참조 한다. 172

18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예시 숭례문이라는 글씨는 다른 문과 달리 세로로 써 있다. 예를 숭상하는 문 이란 뜻에서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고 서울의 남쪽에 있는 관악산의 나쁜 기운을 누르기 위한 것 이라는 전설도 있다. 나. 국문 해설문 세부 기준 ⓵ 지침 1 쉬운 용어, 쉬운 문장 대상을 초등학생으로 하는 원칙에 맞게 전문 용어를 피하고 쉽게 쓴다. 전문적 용어와 한자어 사용을 최소화한다. 꼭 필요한 어려운 용어는 주석을 단다. 한자어를 대체할 우리말 검색은 국립국어원의 우리말 순화 사이트를 참조한다. 어려운 전문 용어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쓰되 각주를 달아 이해를 돕는다. 특히 과잉 정보제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예시 중창 ( ) 다시 지어 ( ) ⓶ 지침 2 첫 부분에 핵심가치와 특징 문화재의 핵심적 가치와 특징을 첫 문장에 두어 관심을 유발한다. 크고 중요한 사실을 먼저 기술 한 후 세부적인 설명을 붙인다. ⓷ 지침 3 짧은 글, 단락 있는 문장 문장은 20~30자 내의 단문으로 간략하게 쓴다. 길이는 대략 300자 이내로 제한할 것을 권고한다. 긴 문장은 적절히 문단을 나누어 읽기 쉽게 한다. ⓸ 지침 4 바른 어법, 힘 있는 문장 어법에 맞는 아름답고 힘 있는 우리말을 쓴다. 외국어 번역투인 피동형 보다는 능동형 문장을 사용한다. 173

18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예시 정약용은 천재라고 불리운다 ( ) 정약용은 천재라고 불린다. ( ) 보여진다 ( ) 보여진다 는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틀린 어법이다. 능동형은 (내가) 보다 피동형은 (무엇이 나에게) 보이다. 보여지다 는 2중 피동형으로 오류임. ⓹ 지침 5 공식 기준에 맞는 표기 문화재명칭은 문화재청의 명칭 기준을 따른다. 문화재 관련 용어는 국립국 어연구원이 2003년 발간한 국어순화자료집 합본 중 문화재용어 를 참고한 다. 예시 정월보름 대보름 귀걸이 귀고리 사건과 개념 명칭은 편수 지침사용 역사적 사건과 개념에 관련된 용어는 교육부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집필 편수 지침을 따른다. 역사적인 해석과 평가도 원칙적으로 교육부의 국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따른다. 한자나 로마자 표기 지침. 한글 외의 문자를 함께 써야하는 경우 한글을 적은 뒤 한글 오른쪽 위에 한글보다 작게 괄호 안에 집어넣는다. 3) 영문 해설문 작성 지침 가. 영문 해설문 작성 원칙 ⓵ 대부분의 외국인은 한국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다. 영문 해설문의 독자는 대부분 한국인과 달리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다. 또 관심사도 매우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기본적인 정보를 매우 친절하게 제공해 주어야만 해설문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174

18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을 번역해서 영문 해설문이 되지 않는다. 외국인이 한국의 역사에 대해 갖는 관심사는 한국인의 관심사와 매우 다르다. 따라서 국문 해설문을 그대로 영어로 번역해서는 외국인에게 적합한 영문 해설문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지식과 정보량이 다르고 관심의 초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역사속의 정치적 사건이나 복잡한 상황, 복잡하게 얽힌 인물들 간의 관계 등에 대부분 외국인은 관심이 없다. 지나치게 상세한 역사적 사실의 기술은 한국인들도 제대로 이해하거나 흥미를 느끼기 어렵다. ⓷ 추상적이고 거대한 주장과 설명을 하지 않는다. 명분을 중시하는 동아시아 3국의 서술 방식이 실용주의적인 서구인에게는 흔히 매우 추상적인 거대 담론으로 보인다고 한다. 사실에 근거한 구체적인 내용을 차분히 서술 할 필요가 있다. 주관적인 평가, 일방적인 주장, 허황하고 근거 없는 자랑처럼 들리는 서술은 설득력이 없다. 감동은 읽은 사람이 받는 것이지 이야기 하는 사람이 강요하여 되는 것이 아니다. ⓸ 국내외 관련 요소와 연계하여 맥락 있는 해설을 한다. 공간적, 시간적으로 국내의 역사적 사실과 문화재와 연계하여 유기적으로 설명한다. 영문 해설문에서는 아시아의 역사, 세계사와 연계시키면 외국인들이 이미 갖고 있는 지식 때문에 쉽게 이해하고 관심을 갖는다. 또 외부에서 우리 역사와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유념하면서 객관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해설문을 구성해야 한다. ⓹ 안내판은 매우 다양한 사람들이 읽는다. 영어 해설문을 읽는 방문객 모두가 영미권의 교육받은 원어민이 아니므로 다양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다. 매우 평이하면서도 명쾌한 영문으로 작성한다. ⓺ 쉬운 언어 사용이 세계적 추세이다. 문화재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도 현재 세계적으로 확산 중 인 누구나 이해할 수 있 도록 문장을 쉽게 쓰기 정책에 맞추어 작성한다. 영어는 인터넷 시대의 세계 공통어이다. 특히 많은 이주민이 다른 나라에서 함께 사는 다문화 가족 이 전 세계적 현상이다. 전문가들이 쓰는 어려운 용어와 긴 문장은 일 반 국민을 위한 것이 아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편안한 언어 사용이 국민을 위한 필수적 서비스의 요건이 되고 있다. 175

18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미국 정부는 2010년 공문서, 안내문, 홈페이지 내용 등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공식적 언어는 누구나 한번 읽고서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평이하고 명쾌한 문장이 어야 한다 는 법령을 공포했다. 유럽연합도 2012년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식 언어는 반드시 쉽고 분명한 언 어를 써야만 하도록 정했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 하는 것이 국민의 기본 권리를 존중해 주는 문화적 복지정책이 되고 있다. 나. 영문 해설문 세부 기준 ⓵ 지침 1 쉬운 용어, 쉬운 문장 평이한 용어, 명확한 영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외국인들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한다. 어려운 전문용어를 영어로 설명을 해 놓아도 문화적 차이로 인해서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외국인의 경우 특히 한국 역사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으므로 정보를 적절히 보완하여 제공하며 친절히 설명한다. 과잉정보제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⓶ 지침 2 첫 부분에 핵심가치와 특징 영문 해설문은 국문과 다른 방식으로 서술한다. 즉 큰 맥락에서 기본적 사실부터 이 해 할 수 있도록 핵심가치와 특징을 먼저 설명한다. 가능하면 해당 문화재의 역사적 위상과 의미를 보여 준다. ⓷ 지침 3 짧은 글, 단락 있는 문장 짧고 뜻이 분명한 문장을 쓴다. 적절한 길이로 문단을 끊어서 이해하기 쉽게 한다. ⓸ 지침 4 영어답고 간결한 문장 영어로 작성했다고 해서 외국인이 잘 이해할 수 있는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국문 명칭이나 용어를 그대로 로마자화 한 음역 명사가 많으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문을 직역하면 어색한 영문이 되어 내용이 전달되지 않는다. 불필요하게 상세하고 장황한 설명, 과잉 정보는 흥미를 죽이는 요소이다. ⓹ 지침 5 공식기준에 맞는 표기 문화재의 분류, 명칭, 영문명칭 표기, 국어 로마자 표기법 등 국내의 공식적인 표기 기준들을 따른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의 경우, 온라인상에서 제공하는 영문에서는 176

18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가능하면 국제 표준에도 맞는지 검토한다. 문화재 안내판의 해설문은 국내 기준에 맞춘다. 4) 문화재 관련 영문 제작물 표기 지침 영어권의 문자생활에서는 영문의 사용과 관련된 온갖 규범과 관행이 매우 상세히 잘 발달되어 있다. 영어의 활자체, 편집 방식, 내용에 따른 문서작성의 체제, 관련 용어의 사용법 등 국제적인 규범과 관행에 맞아야 비로소 품격 있는 영문 제작물로 인식된다. 문화재에 관한 영문 해설문을 안내판에 게시하거나 유인물 또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배포하는 경우, 그 내용이 아무리 훌륭해도 외형적인 모양이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규 범과 관행에 맞이 않으면 그것은 잘 쓰여진 해설문안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될 것이다. 문화재관련 영문제작물 표기지침(English Stylebook for Cultural Heritage) 라는 이름으로 제안하는 아래의 지침은 문화재와 관련하여 영문 안내판 및 관련된 모든 인쇄물, 간행 물, 안내 게시물 등에서 영어를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데 목적 을 둔 것이다. 이 지침은 UNESCO를 포함한 여러 문화 관련 국제기구의 영문 지침, 학계의 보편적 표기 기준인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Chicago Manual of Style 2013) 등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원칙과 관행을 기본으로 한다. 단, 이 지침은 영문표기의 모든 원칙을 다 포함하지는 않으며, 문화재 해설문에 쓰일 수 있는 것 위주로 작성되었다. 한국어의 로마자표기는 국립국어원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을 따르고, 문화재명칭은 2014년 문화재청에서 공표한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기준 규칙 을 준용한다. 177

19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문화재관련 영문제작물 표기지침 English Stylebook fo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목 차 가.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나. 문화재에 관한 영문정보 표기 ⓵ 왕조이름과 연대정보 ⓶ 국명, 인명 정보 ⓷ 왕의 재위기간 정보 다. 영어의 사용과 편집 ⓵ 약어 ⓶ 정관사(the) ⓷ 대문자와 이름표기 a. 인명 b. 지명 ⓸ 숫자 ⓹ 시기 표기 a. 날짜 b. 연대 c. 세기 ⓺ 문장부호와 단어의 분할 a. 이음표(-, 하이픈) b. 줄표 (대시: -- 엔대시와 --- 엠대시) c. 단어의 분할 ⓻ 영어 이외의 외국어 a. 외국어 인용문 b. 외국어의 악센트 부호 라. 발간물과 전시물 ⓵ 발간물 a. 도록의 제목 b. 저작권 페이지 c. 머리말 d. 감사의 말 e. 논고 f. 캡션 g. 인용문, 주( 註 ), 참고문헌(Bibliography) - 인용문과 판권주 - 주( 註, Note)와 참고문헌(Bibliography) 178

19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 참고문헌 유형별 실례 ⓶ 전시물 a. 안내판과 패널 b. 레이블 - 제목과 설명 - 작가 - 연도 표기 - 재질 - 사진, 일러스트 크레딧 표기 가.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국문의 영문표기는 2000년 국립국어원의 로마자표기법(Revised Romanization)을 따른다. 국문을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로마자표기는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맥킨라이샤워 (McCune-Reischaur 또는 MR) 방식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2000년 국립국어원이 수정 로마자표기법을 정부의 공식 표기방식으로 공표하였다. 국내외 학계에서는 현재 두 방식을 함께 쓰고 있으나, 정부표기법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북한은 MR표기법을 변형하여 북한의 공식표기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인명, 지명 등의 표기는 북한의 공식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되어 온 MR 표기법으로 표기한다. 다만 국제적 관행에 따라 é, è, î, ŭ등의 부호는 생략한다. 예시 한글 (조선글)은 Joseon-geul이 아니라 Chosongul 청진은 Cheongjin이 아니라 Chongjin 평양은 Pyeongyang이 아니라 Pyongyang 국제적으로 이미 널리 통용되고 있는 인명과 지명은 정부표기법과 다르더라도 알려진 방법으로 표기한다. 예시 김치: Gimchi 가 아니라 Kimchi 이승만: Lee Seung-man이 아니라 Syngman Rhee 태권도: Taegwondo이 아니라 Taekwondo 삼성: Samseong이 아니라 Samsung 179

19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나. 문화재에 관한 영문정보 표기 우리 역사와 전통에 대한 정보를 보완하여 외국인과 해외 동포의 이해를 돕는다. ⓵ 왕조 이름과 연대정보 왕조 이름이 처음에 나올 때 연도 정보를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다. 조선시대는 통 상적으로 대한제국을 포함하여 1910년까지로 표기한다. 예시 삼국시대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고구려 Goguryeo (37 BCE-668 CE) 백제 Baekje (18 BCE-660 CE) 가야 Gaya (42-562) 통일신라 Unified Silla ( ) 고려 Goryeo Dynasty ( ) 조선 Joseon Dynasty ( ) 대한제국 Korean Empire (Daehan Jeguk) ( ) ⓶ 국명, 인명 정보 대한제국은 당시 발행한 여권, 외교문서 등에서 Korean Empire로 썼고 외국간의 국제조약 등에서 다른 나라들도 Korean Empire로 썼다. 아시아와 국제정세 등, 국제 관계에 관한 내용에서는 Korean Empire로, 국내 상황에 관한 내용에서는 Daehan Jeguk, 또는 Daehan Empire 로 쓸 수 있다. The Great Han Empire로도 썼지만 한자를 직역한 이 표현은 널리 통용되지 않는다. 사람이름이 자, 호, 필명, 시호 등을 함께 나오면 외국인들은 혼란스러워 한다. 원칙적 으로 이름만 쓰되 필요하면 처음에 한번 이름 옆에 호를 병기한다. 예시 서애 유성룡 Ryu Seong-yong (pseudonym: Seoae) 180

19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참고 자( 字 ) courtesy name, style name 호( 號 ) pseudonym 필명( 筆 名 ) pen name 시호( 諡 號 ) posthumous name ⓷ 왕의 재위기간 정보 왕의 재위기간 언급이 꼭 필요 한 경우 이외에는 연도로만 표시한다. 재위기간을 표할 경우에도 연도 정보를 병기한다. 예시 In 1415, the second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e second year of King Sejong's reign (1415) 다. 영어의 사용과 편집 ⓵ 약어 전시물 패널, 레이블, 주( 註, note) 또는 괄호 안에서는 약어를 쓸 수 있다. 브로셔나 책의 본문에서는 되도록 약어를 쓰지 않는다. 어떤 형태를 선택하든 일관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세기의 표기는 eighteenth century, twenty-first century로 풀어서 쓰 되, 18th century, 21st century 와 같이 숫자로 표기해도 된다. 통치연도(r.) 약(c.) 출생(b.)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쓴다. 장소 이름은 약어로 쓰지 않는다. 예시 Mt. Halla 보다는 Mount Hallasan Mt. Jirisan보다는 Mount Jirisan 또는 Jirisan Mountains Mt. Naejangsan보다는 Mount Naejangsan 또는 Naejangsan Mountains 지리산, 내장산처럼 정상의 산 봉우리가 여러 개 모여 있거나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산은 반드시 Mountains로 복수로 써야 함. 단수 복수 구별이 없는 우리말의 산 을 직역하여 Gwanaksan Mountain 로 단수로 쓰면 정확하지도 않고 어색함. 생몰 연도를 괄호 안에서 표기할 때 약자를 쓸 수 있다. 181

19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참고 출생 born는 b. : (b.1930) (1930 ) 사망 died는 d. : (d.1538) 약 about는 c. 또는 ca. : (ca.1489 d.1538) 전성기 flourished는 fl. : (fl ) (fl. 1530s) (fl. 16th century) 추정 날짜(날짜는 알지만 검증 안 된 경우)? : (1489? d.1538) 활동기 active는 act. : (act. 16th century) 또는 (active ) 앞에서 인용한 문헌을 다시 인용할 경우, 반복을 피하여 저자명과 연도를 표시한 뒤에, 바로 위의 것은 ibid. 로, 바로 위가 아닌 앞에서 인용한 것은 op.cit. 로 표시 한다. 그림과 도판: 본문에서는 그림(figure)과 도판(plate)으로 쓰고 주 또는 레이블에서는 약어 (fig.)와 (pl.)를 쓴다. ⓶ 정관사(the) 기관의 공식 명칭에서 대문자 The 를 쓰는 경우에도 문장에서는 소문자로 쓴다. 기 관 이름, 대학 이름, 장소 이름, 행사 이름에서도 the는 소문자로 쓴다. 예시 A similar photo of Seoul in the 1930s is displayed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eoul. 책 제목은 the를 포함하여 전체를 이탤릭체로 쓴다. 예시 The Rites of Zhou The Chicago Manual of Style. 주와 참고문헌, 참고자료에서 나오는 학술지, 신문명, 잡지명에는 the를 생략한다. 예시 Korea Times, Jan. 20, Art Bulletin 52, no

19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제호에 The 가 있더라도 관사는 생략한다. 다만 The Times 와 The Economist 는 예 외이다. ⓷ 대문자와 이름표기 a. 인명 역사적 시대나 종교적 지위, 관직 등 사람 이름 앞에 붙은 직함명은 대문자로 하되 보통명사로 쓰인 경우에는 소문자로 한다. 예시: 대문자 the Korean Empire, the Werstern Zhou Dynasty, President Park Geun-hye, Gyeongbokgung Palace, Pope John Paul II 예시: 소문자 the empire, the Chinese dynasty, the president (현직 또는 전직), the main palace of Joseon, the pope s entourage. 교수와 같은 전문적 지위는 이름과 함께 쓸 때 항상 대문자로 한다. 보통명사로 쓴 경우에는 소문자로 쓴다. 예시 Prof. Kim Keuck-chun, Professor Emeritu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Vice Chairman Kim Ki-wan of LG Electronics 또는 Kim Ki-wan, vice chairman of LG Electronics 이름에 포함된 van, di, of는 소문자로 쓴다. Van Gogh 로 쓸 때도 있으나 전체적으 로 일관성 있게 써야 한다. 대체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을 존중한다. 예시 Vincent van Gogh, van Gogh 한국인명의 표준 표기는 성을 먼저, 이름은 두 글자 사이에 하이픈을 넣는다. 중국, 일본 등 동양인명은 성-이름의 순으로 적는다. 영어 이름을 쓰는 경우에는 영미식으로 성을 뒤에 쓴다. 참고 한국인 표준방식: 박근혜 Park Geun-hye, 사공 일 Sagong Il 아시아 표준방식: Guo Xiaoling, 영미식: Seon-hwa Rha, Francis Fukuyama 183

19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 지명 해당 국가의 영문 표기를 따른다. 예시 Beijing, Daejeon, Dar es Salaam, Djibouti, Frankfurt am Main, Jakarta 그러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영문명이 있을 때에는 국제관행을 따른다. 예시 Taipei, Beijing, Brussels, Geneva, Milan, Prague, Rome, The Hague, Zurich 국명이 아니더라도 분명한 정체성을 가진 지역의 명칭은 대문자를 쓴다. 예시 the Middle East, the West (문화적, 지리적 단위) the East Coast (동부해안지역) 그 외에는 소문자: northern Italy, southern France 참고 미국은 America로 쓸 경우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the United States로 쓴다. 영국은 UK, GB 와 England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the United Kingdom = Great Britain+ Northern Ireland Great Britain = England + Scotland + Wales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국 명칭의 로마자표기 방식이 1979년 웨이드-자일 (Wade-Giles) 방식에서 한어병음자모(pinyin) 방식으로 바뀌어 두 가지 영문표기를 볼 수 있다. 이미 널리 알려진 毛 澤 東 (Mao Tse-tung), 蔣 介 石 (Chiang Kai-shek) 등은 기존의 표기를 그대로 쓴다. 예시 Wade-Giles pinyin 周 Chou Zhou 宋 Sung Song 唐 T ang Tang 淸 Ch ing Qing 184

19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숫자 본문 중에 나오는 숫자 표기는 1-100까지 또 600, 2,000과 같이 짧게 떨어지는 숫 자는 단어로 풀어 쓴다. 101 이상의 숫자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로 쓴다. 예시 The Imjin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King Youngjo s portrait at the age of seventy-one Among the 980 visitors there were about two hundred boys. 대략의 수치는 항상 단어로 쓴다. 예시 The collection contained about five thousand works on paper. 문장 첫 머리에 오는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단어로 쓴다. 퍼센트, 소수, 비율, 날짜, 계량의 단위, 거리, 책의 부분 등은 숫자로 표한다. 예시 Thirty three leaders (33이 아님) sign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2 percent (12%가 아님), 3.2 million, 22 ounces, 128 kilometers, chapter 6 시리즈, 권, 부, 장, 절 번호는 원칙적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쓴다. 인용한 출처에서는 로마숫자(예: I, V, XI )로 되어 있더라도 아라비아 숫자(예: 1, 5, 11)를 쓴다. 소문자 로마숫자 (예: i, v, xi )는 책의 맨 앞부분의 쪽수 표시, 일러스트와 도판에서만 사용한다. 참고 국문의 숫자 표기: 가능한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만, 억, 조 단위로 구분해서 쓴다. 숫자와 cm, km 등 단위는 띄어 쓴다. 예시 9월 28일, 오후 2시, 25명, 50세, 5가지, 1994년, 2개월, 30 cm, 7,000 km, 1만 4,118대, 100만원, 3억, 6조 1,000억 원, 5,000만 명 등 185

19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⓹ 시기 표기 a. 날짜 컴퓨터와 통신기기의 시간표시는 국제표준 ISO 8601에 의해서 YYYY-MM-DD (년-월-일) 형식으로 통일되어 있다. 즉 현재 아시아 각국에 통상적으로 쓰는 䶞 형식이 국제표준이다. 0 --> 영미권의 독자를 위하여 영문 간행물에서는 월-일-년의 형식에 따라 January 31, 2014와 같이 표기한다. 어느 방식이든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게 써야 한다. 본문에서는 달 이름 전체를 쓰고 주와 참고문헌에서는 약자로 쓸 수 있다. 참고 (미국) 월-일-년: January 31, 2014 (아시아) 년-월-일: (영국 등) 일-월-년: 31 January 2014 (미국,영국) 월-일 January 2014 b. 연대 예시 1950s, 1840s, 1850s (마침표 없음) in the 1950s and 1960s 또는 in the fifties and sixties. 기원전 후의 연대 표시는 종교적으로 중립적인 공통시대 전(BCE)과 공통시대 (CE) 방법으로 한다. 연도의 숫자는 기존의 BC/AD 체제의 숫자와 같다. 예시 BCE/CE (before the common era 와 the common era) BP (before the present) c. 세기 During으로 여러 세기에 걸쳐 있으면 복수로, from ~ to 로 시작과 끝의 각각의 세기를 지칭하면 단수로 한다. 예시 The style was revived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 movement lasted from the fifth through the eleventh century. The movement lasted from the fifth to the tenth century. 186

19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⓺ 문장부호와 단어의 분할 a. 이음표(-, 하이픈) 엄격한 원칙이 있는 것은 아니고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접두어(prefex) 뒤에 모음으로 시작할 때 사용한다. 예시 pre-eminent, extra-uterine 행정구역 구, 동, 리 : -gu, -dong, -ri 는 하이픈으로 표기한다. 예시 서대문구 정동 동대문구 창신동 Jeong-dong (개화기 정동은 고유명사로 간주하여 Jeongdong) Dongdaemun-gu Changsin-dong 접두어 non-, ex-, self-로 복합명사에 사용한다. 예시 비영리 박물관 non-commercial museum 당연직 이사 ex-officio member of the council 초기, 후기 등의 early, late 는 하이픈을 쓰지 않는다. 예시 20세기 초 도자기 early twentieth-century porcelain 19세기 후기 양식 late nineteenth-century style 이메일, 이북 , e-book 에는 하이픈 사용한다. b. 줄표 (대시: - 엔대시와 엠대시) 국문에서는 엔대시와 엠대시를 구분하지 않고 엔대시(-)를 줄표 또는 대시로 사용한다. 영문에서는 영문 n 자 길이의 엔대시와 그 보다 긴 m 자 길이의 엠대시의 용도 가 다르다. 187

20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엔대시는 두 숫자를 연결하여 경기의 점수를 나타내거나 범위를 나타낼 때 쓰고 엠대시는 문장 중에서 삽입, 보충, 강조, 생략 등을 표시하는데 쓴다. 엔대시와 엠대시의 앞, 뒤에 공간을 두지 않는다. 예시 기간 쪽수 제물포-목포선 Jemulpo-Mokpo line 한국동란 이후 post Korean War period c. 단어의 분할 가능하면 문장 끝에서 단어가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발음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며, 접미사(-ing, -est, -ment, -tion)는 앞에서 끊고, 접두사(pre-, sub-, inter-, extra-)는 뒤에서 나눈다. 이중모음 사이에서 분할한다.(예: obses-sion) 그러나 두 자음이 합쳐서 단일 음이 날 때는 띄지 않는다.(예: fas-hion) ⓻ 영어 이외의 외국어 a. 외국어 인용문 외국어 인용문은 영어 인용문과 같이 취급한다. 본문에 넣기 보다는 미주나 각주에 넣는다. 영어 번역문을 함께 넣을 때에는 외국어 본문의 앞 또는 뒤에 넣는다. 원문 저자가 번역문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번역자의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외국어 인용문에는 이탤릭체나 밑줄을 사용하지 않는다. b. 외국어의 악센트 부호 많이 쓰이는 악센트 부호는 é (acute), è (grave), ü (Umlaut), î (circumflex)와 ç (cedilla)이다. 편집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입력이 되지 않으면 원고에 표시하여 특수기호가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외국어의 악센트 사용법을 정확히 따른다. 대문자에도 악센트 표시를 하되 불어의 첫머리 대문자에는 표하지 않는다. Etude (Étude 가 아님) Edouard (Édouard가 아님). œ와 같은 모음 연자는 쓰지 않는다. 188

20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라. 발간물과 전시물 ⓵ 발간물 a. 도록의 제목 문화재의 전시물과 발간물의 제목은 원칙적으로 이탤릭체로 쓴다. 그러나 제목 활자체의 선택은 디자인 성격이 강하므로 발행기관의 결정에 따라 이러한 원 칙을 지키지 않는 경우도 많다. 예시 한국조각보전시회 Korean Costumes & Wrapping Cloths of the Chosun Dynasty Profusion of Color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and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1995 예시 Seoul Museum of History Places and Memories MORI ART MUSEUM: LE COURBUSIER: Art and Architecture A Life of Creativity b. 저작권 페이지 도서와 도록의 맨 앞 저작권 페이지(Colophon)에 저작권에 관한 정보를 싣는다. 주최기관, 기획기관, 후원기관, 협찬사, 협력기관, 저작권자 등을 싣는다. 전시회, 전시물, 도서와 도록 등의 제작에 참여한 담당자 정보를 싣는다. 전시물의 성격과 기관의 출간정책에 따라 수록되는 정보의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일러두기(Notes)는 같은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에 넣는다. 예시 전시회 기획총괄 전시기획 전시디자인 사진 유물출납 Exhibition Director 또는 Directed by: Planning 또는 Planned by: Designer 또는 Designed by: Photography 또는 Photographed by: Artifacts manager 또는 Artifacts managed by: 도록 Catalogue 189

20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논고 Essay(s) 편집 Editor 또는 Edited by: 번역 Translator(s) 또는 Translated by: 감수 Editor(s) 또는 Edited by: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 또는 Illustrated by: 교정 Proofreading 행정지원 Administration 편집디자인 Graphic design 인쇄 Printing 기획 주최 주관 후원: 실제 상황과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쓰임. 기획 Planned by: 주최 Hosted by: 주관 Organized by: 협찬 (기업) Sponsored by: 또는 Corporate Sponsors: 협력기관 Cooperative Institution(s), Partner Institutions 후원 Supported by: 또는 Under the Auspices of: (중앙정부, 국제기구, 협회, 언론사 등의 비재정적 후원) 일러두기 Notes c. 머리말 Foreword - 제3자(초빙된 필자)가 독자들에게 책과 저자를 소개하는 글이다. 왜 그 책을 읽어야 할지 설명해 주는 부분으로서 저자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는 중 요한 부분이다. 저자 자신이 Foreword를 직접 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책의 내용을 깊이 다루기보다는 저자와 책 전체를 소개한다. 저자는 Preface나 Introduction을 통해서 책을 소개할 수 있다. Preface - 발간 기관의 책임자 또는 저자가 책이 발간된 목적과 경위를 설명하는 글이다. 신뢰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Foreword와 비슷하지만 발간의 주체인 저자 자신이 쓴다는 점이 다르다. 왜 책을 쓰게 되었는지, 어떻게 쓴 것인지를 설명 함으로써 책의 가치를 보여 주는 글이다. Introduction - 책에서 다룬 내용을 소개한다. 저자는 독자가 책에서 어떤 주제를 읽게 되는지 설명한다. 저자가 독자를 사로잡아 책을 꼭 읽고 싶도록 만들 수 있는 부분이다. 짧은 Introduction에서 저자는 책을 계속 읽으면 어떤 내용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190

20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d. 감사의 말 협조해 준 후원기관, 협찬사, 협력기관, 소장가, 기타 개인과 기관에 감사 (Acknowledgment)를 표한다. 공동주최기관과 자료 제공처도 언급한다. e. 논고 도서와 도록에 실리는 논문은 대체로 전시 주제에 관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논문(Essay)이다. 참고 논문의 종류 - Essay는 한 개 논제에 관한 간단하고 포괄적인 일반적인 논문이다. - Review는 특정한 주제나 전문 분야와 관련된 최근의 논문이나 저서를 소개하 고 비평하는 글이다. - Article은 신문이나 잡지, 또는 학술논문집에 실리는 비교적 간단한 논문으로 흔히 시사성이 있는 주제를 다룬다. - Thesis/ dissertation 대학과 대학원의 졸업 논문, 학위 논문이다. - Monograph는 특정 문제나 한 가지 사항에 관한 전공논문이다. 전문적이고 제 한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f. 캡션 발간물에서 유물이나 사진의 캡션은 비교적 자세히 기록할 수 있다. 명칭은 한글과 영문을 병기한다. 시대는 확실한 정보를 넣되, 가능한 자세하게 표기한다. 발간물에서 필요에 따라 유물이나 사진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크기의 표시에는 소문자 로 by 를 대신할 수 있다. 의 양쪽에 공백을 두며, 단위는 기본적 으로 센티미터(cm)를 쓴다. 단위는 크기 표시의 맨 뒤에 한번 쓴다. 예시 깊이 D 또는 D. / d 또는 d. 직경 Diam 또는 Diam. / diam 또는 diam. 추정직경 Est. diam. 최대직경 Max. diam. 191

20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높이 H 또는 H. / h 또는 h. 길이 L 또는 L. / l 또는 l. 두께 T 또는 T. / t 또는 t. 폭 W 또는 W. / w 또는 w. 인치 / 피트 in. / ft. 밀리미터 / 센티미터 mm / cm (마침표 찍지 않음) 세로 가로 높이 cm ( in.) 세로 가로 cm 세로 가로 높이 cm 재질은 바탕재와 색채를 표시한다. 작가의 이름을 모를 때는 작가 모름( 作 家 未 詳 )으로 표기한다. 관내 자료는 소장처를 표시하지 않고, 외부 자료는 소장처를 명시한다. 유물과 사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쓸 수 있다. 예시 어해도 Eohaedo ( 魚 蟹 圖 Fish and crabs painting) 작가 모름( 作 家 未 詳 ) Painter unknown 종이에 채색 Light color on paper cm 17세기 17 th Century 보물 호 Treasure No. 홍길동 기증 Donated by Hong Gil-dong 국립중앙박물관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g. 인용문, 주( 註 ), 참고문헌(Bibliography) - 인용문과 판권주 번역된 인용문이 저자나 원고에서 직접 인용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출처를 밝혀야 하고 통상적으로 주에서 밝힌다. 인용문이 긴 경우(대략 50단어 이상 또는 10줄 이상)에는 별도로 본문과 구별 되게 들여쓰기 하여 따로 발췌문으로 넣는다. 짧은 인용문은 따옴표에 넣어 쓰고 본문에 포함시킨다. 192

20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저작권법에서는 출판된 저작물을 500자 이상 인용하면 공정이용(fair use)을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 인용문에 대한 원저자의 허가(판권주: Copyright Permission Note)를 받고 허가서 복사본 첨부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 Note. From (논문제목), by W. Jones and R. Smith, 2007, ----(학술지명), Vol. 21, 122. Copyright 2007 by Copyright Holder. Reprinted with permission. - 주( 註, Note)와 참고문헌(Bibliography) 20세기 초 시카고대학(Chicago University) 출판부가 저서와 논문을 출판하는 과정에서 체제와 형식을 체계화하기 위해 작성한 한 장 분량의 기준이 모태가 되어 주(notes)와 참고문헌(bibliography)이 발전되어 왔다. 최근판인 제16판 시카고 스타일매뉴얼(The Chicago Manual of Style, 16th ed. 2013)을 참고하였다. 주의 표기 방식 - 주는 다는 방법에는 기본적으로 각주방식과 미주방식이 있다. - 각주는 페이지 하단에 본문에 대한 주를 붙이는데 주로 인용한 정보의 근거,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 논술에 대한 정당함을 밝히는 내용이다. - 미주는 각주와 내용은 같으나 페이지마다 주를 달지 않고 한 장의 끝에 또는 논문의 끝에 한꺼번에 붙인다. 참고문헌의 나열원칙 - 동일 저자의 2개 이상의 저작일 경우 연대순, 자료명 순. - 동일한 저자의 문헌은 단일 저작, 공저서 순. - 서명의 알파벳순은 관사(A, An, The)를 제외한 단어의 순. - 동일저자의 동일 연도의 자료는 연도에 이탤릭체 a, b, c로 표기하여 구분한다. - 외국인 저자가 동명이인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다만 성이 같은 저자의 경우 이름 첫 글자를 괄호에 넣어 (T) Friedman, (M) Friedman 쓰거나 이름 전체를 써서 구분한다. - 국문의 경우 동일저자의 동일연도 자료 구분이나 동명이인의 구분에 a, b, c를 붙이기도 한다. 참고문헌의 기호사용 - 한국어 중국어 일어로 된 논문명 편명은, 로 묶고, 책명 정기간행물 명은, 로 묶는다. - 영문을 포함한 기타 외국어로 된 논문명 편명은 로 묶고, 책명 정기간행 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국문 책제목을 영문으로 쓸 때는 발음그대로 알파벳으로 표기한 후 [ ]에 영문번역을 쓴다. 193

20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참고문헌 유형별 실례 예시: 단행본 저자명, 표제: 부표제, 역 및 편저자, 판차, 권차,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인용면수. - 박지향,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2, 책세상, 2006, 1권 90쪽. - Park Ji-hang, Haebang jeonhusa-ui jaeinsik [Re-understanding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fter Liberation] 2 vols. (Seoul, Chaeksesang, 2006) 1: Edward Conze, Buddhist Thought in India (1962; repr.,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7), Neves C., Concern at the Core: Managing Smithsonian Collections,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April Available on the internet: 예시: 저널논문 저자명, 표제, 자료명 판차, 권차, 발행처, 발행년월: 인용면수. - 하세봉, 냉전시기 타이완에서 박물관의 전시와 정치, 현대중국연구 13-1, 현대중국학회, Ha Se-bong, Exhibition of Taiwanese Museums and Politics in Cold War Period, the Journal of Modern China Studies, Vol. 13-1, Korea Association for Contemporary Chinese Studies (2011). - Joshua I. Weinstein, The Market in Plato s Republic, Classical Philology 104 (2009): 440. 예시: 사전 저자명, 편저자명, 자료명, 판차,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인용면수. - 이홍식, 편, 국사대사전 (서울: 백만사, 1973). - Lee Hong-sik, ed., Encyclopaedia of Korean History, (Seoul: Baikmansa, 1973). - "Sasanians," in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7 (Leiden: E. J. Brill, 1934), Smith, John, Encyclopaedia Britannica, 8th ed., s.v. "Internet." (Chicago: Encyclopaedia Britannica, 2009). 194

20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예시: 신문기사 저자명, 표제: 부표제, 신문제호, 발행일, 인용면수. - 김기철, 국사, 국사학과 독점 안 된다, 조선일보, 2013년 7월 31일, A30면. - Kim Ki-cheol, Korean History Should not be Monopolized by the History Department of College, Chosun-Ilbo, July 31, 2013, A30. - William Robbins, Big Wheels: The Rotary Club at 75, New York Times, February 17, 1980, sec. 3. 예시: 번역서 저자명, 표제: 부표제, 역 및 편저자, 판차, 권차,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 Welch, Jack, 이재규 옮김, 미래경영, 서울: 청림, Welch, Jack, Mirae Gyeongyeong [Future Management], Translated by Lee Jae-gyu, (Seoul: Cheonglim, 2002). - Wereszycki, Henryk, Koniec sojuszu trzech cesarzy [The End of the Three Emperors League], Warsaw: PWN, 예시: 학술대회자료집 저자명. 표제. 학술대회명. (발행처: 개최기관, 발행년.) - 강홍빈 지금 여기 를 박물관에 담다: 서울역사박물관의 경험, 대한민 국역사박물관 국제심포지엄 자료집-현대사와 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 관, Kang Hong-bin, Embodying Here and Now in the Museum: the Experiences of Seoul Museum of History,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Contemporary History and Museums",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2012). 예시: 전자출처 전자 형태의 출판이 증가하고 있고 전통적 종이책으로는 출판되지 않는 것도 많다. 저자가 준비한(접속한 날짜) 텍스트에 나와 있는 그대로 인용한다. - Canada, Freedom from Fear: Canada s Foreign Policy for Human Security, Ottawa,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Trade, (Accessed 22 August 2001)

20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UNICEF,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MICS2), MICS2/Gj99306k.htm (Accessed 31 June 2003). 예시: 웹사이트 - Smithsonian Institution. "Exhibitions at the Smithsonian." Last modified January 11, ⓶ 전시물 a. 안내판과 패널 문화재에 대한 브로셔, 도록의 설명과 안내판 해설문의 내용에서 명칭과 용어는 문화재청의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기준규칙 (2014년) 을 따른다. 중요한 것은 용어, 표기방식이 일관되어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본문과 사진 캡션 또는 안내판의 문안의 영문 번역자가 다를 경우 용어와 표기에 혼란이 없도록 주의한다. 영문 내용은 일반 외국인이 읽고 이해 할 수 있도록 고유한 한문 명칭과 국문명칭을 최소화하고 전체를 최대한 영문화한다. b. 레이블 전시물 레이블에는 제목, 작가, 시기, 재질, 소장처 등이 들어가며 공간이 허용하는 한 외국어 정보를 병기하도록 한다. - 제목과 설명 레이블의 영문 부분을 보고 외국인이 유물의 내용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독자를 고려하며 작성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외국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보완한 영문레이블이다. 예시 중간노걸대언해 重 刊 老 乞 大 諺 解 Republished Korean Translation of Lao Qita (Nogeoldae) 사역원( 司 譯 院 외국어 교육 및 통 번역 관부 官 府 )에서 간행한 중국어 교습용 책이다. 196

20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A textbook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by the Office of Translators (Sayeokwon) - 작가 작가를 모를 경우에는 작가 모름, 作 家 未 詳 으로 표기하며 영문으로는Artist unknown 으로 한다. 전칭작일 경우에는 작가 앞에 傳 을 붙인다. 영문으로는 Attributed to - 로 한다. 예시 傳 정선 Attributed to Jeongseon - 연도 표기 작품 또는 사건의 연도를 슬래시(/)로 표시했을 때는 두 해 중에 어느 해에 해당한다는 뜻이다. 즉 58/61 은 1458 또는 1461이라는 뜻이다. 지속된 기간을 말 할 때에는 대시로 표시한다. 예시 : 작품을 1458년에 시작, 1461년에 끝냈다는 뜻. - ca : 1458년과 1461년 사이 어느 때인가 작품을 만들었음. - n.d. (no date): 시기를 잘 모름. 추측으로 표기치 않음 : 2013년 시작하여 진행 중임. - 재질 재질 표시는 보통 바탕재와 색채로 구성된다. 예시 견본담채(Light color on silk), 견본채색(Color on silk), 지본담채(Light color on paper), 지본채색(Color on paper), 지본수묵(Ink on paper) 상호명이나 특허물질명이 재질명으로 통용되는 경우 TM 표시와 함께 대문 자로 쓰되, 가능하면 보통명사로 대체한다. 예시 데이크론(합성섬유) 유리섬유 Dacron (TM; polyester) fiberglass 197

21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재목(밤나무) 회양목재 피나무목재 먹(막대모양) 목판 목판화 beech boxwood limewood tusche woodblock woodcut - 사진, 일러스트 크레딧 표기 일반적으로 원작을 복제했을 경우에는 원작의 소장 박물관 또는 소장자를 밝힐 필요가 없으나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크레딧을 밝힌다. 예시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소장자 이름] (photo: Board of Trustees, National Gallery of Art). 사진의 소유자가 아닌 사진 아카이브나 에이전시 또는 기관이 제공했거나 사진작가의 이름을 밝혀야 할 경우 크레딧을 밝힌다. 예시 Musée du Louvre, Paris [소유자 이름] (photo: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Private collection (photo: courtesy of Christie s, New York) San Giovanni dei Fiorentini, Rome (photo: Davis Lees, Rome) (photo: University of Durham; photographer: T. Middlemass) 사진 크레딧에 대한 설명문의 예는 아래와 같다. 예시 - 사진 대부분은 소유자들이 사진을 제공함. 그 이외의 사진 목록은 아래와 같다. "Most of the photographs of works of art have been provided by the owners. The following list acknowledges photographs from other sources." - 사진을 제공해 주신 아래의 개인과 기관에 대해 저자와 발행인이 감사를 표합니다. "The author and publisher wish to express their appreciation to the following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who kindly provided photographs." 198

21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일러스트가 책에서 복사한 것이면 책의 출판정보와 쪽수, 도판의 번호 등 정보를 밝혀야 한다. 예시 From Spiro Kostof, A History of Architec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195, fig 드로잉, 도표, 원작의 컴퓨터 재생 등의 경우에는 사진 크레딧에 작가의 이름을 밝혀야 하다. 예시 (drawing: Liz Lauter). 199

21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3.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예시 1) 개선 지침 적용 범례 앞에서 제시한 문화재 해설문 작성 지침의 기준에 따라 현재의 문화재 안내판 국 영문 해설문(10개 분야 19개 문화재의 국 영문 해설문 38편)을 검토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행 해설문안이 보완 과제와 개선 방법을 도출하였다. 표 41. 문화재 유형별 검토 대상 목록 및 검토 내용 유형 문화재 오류검토/ 개선권고 개선된 문안 비고 경복궁 국문 영문 국문 영문 궁궐 종묘 국문 영문 영문 종묘정전 국문 영문 해인사 국문 영문 영문 해인사/가야산 분리 사찰 석굴암 국문 영문 국문 영문 청용사괘탱불 국문 영문 원각사비 국문 영문 왕릉/고분 서오릉 국문 영문 역사인물/생 장성황룡전적 국문 영문 국문 영문 제주목관사 국문 영문 국문 활유적 세종유계화가옥 국문 영문 서원/향교 소수서원 국문 영문 산성/성곽 북한산성(대동문) 국문 영문 민속마을 양동마을 국문 영문 국문 독락당 국문 영문 국문 천연기념물 문묘 은행나무 국문 영문 명승 양양 하조대 국문 영문 고인돌 고창고인돌 국문 영문 고산리 고인돌 국문 영문 국문 영문 해설문안 속에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어떠한 지침에 따른 개선이 이루어져 하는지를 표시하였으며, 이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지침 번호를 사용하였다. 개선안 예시에 적용한 지침의 번호와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200

21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지침번호 국문 해설 문안 영문 해설 문안 지침 1 쉬운 용어, 쉬운 설명 쉬운 용어, 쉬운 설명 지침 2 첫 부분에 핵심가치와 특징 첫 부분에 핵심가치와 특징 지침 3 짧은 글, 단락 있는 문장 짧은 글, 단락 있는 문장 지침 4 바른 어법, 힘 있는 문장 영어답고 간결한 문장 지침 5 공식기준에 맞는 표기 공식기준에 맞는 표기 2) 문화재 해설문 개선안 예시 가. 궁궐 경복궁 (사적 제117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조선왕조 개국 4년째인 1395년에 처음으로 세운 으뜸 궁궐이다. 하늘이 내린 큰 복 이 라는 뜻으로 경복궁( 景 福 宮 )이라 이름 지었다. 1) 북악산을 주산으로, 목멱산(지금의 남산)을 안산으로 삼아 풍수지리적인 터 잡기에서도 한양의 중심을 차지했다. 정문인 광화문 남쪽으로 관청가인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를 조성하고, 그 연장선 위에 근정전, 사정전, 강녕전 등 주요한 궁궐건물들을 일렬로 놓아, 왕조국가인 조선의 상징 축으로 삼았다. 임진왜란으로 완전히 불타 없어진 후, 제2의 궁궐인 창덕궁을 재건하여 정궁 으로 삼았지만, 경복궁은 재건을 미루어 250년 이상을 폐허로 남게 되었다. 1867년 에야 비로소 흥선대원군이 2) 허약해진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경복궁을 재건했다. 3) 고대 중국의 예법을 조선 왕실의 전통이나 현실과 조화시켜, 전체적으로는 규칙 적 배치를 따르면서 부분적인 변화와 파격을 가미했다. 재건 경복궁은 691,921m2의 광활한 대지에 약 500여동의 건물을 지어 하나의 작은 도시를 이루었다. 중심부에 정무공간을 두고, 좌우 뒤편으로 왕족의 생활공간, 그리고 곳곳에 정원시설들을 배열했다. 일제강점기에 대부분의 건물들이 철거되어 중심부의 일부 건물들만 남았고, 광화문을 비롯한 외전 일부를 헐어내고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어 궁궐의 정면을 막기도 했다. 1990년부터 복원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총독부 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원래의 흥례문과 행각을 복원했고, 왕과 왕비의 침전 및 왕세자가 기거한 동궁을 비롯하여 궁궐의 정문인 광화문도 다시 복원하여 원래의 모습을 회복 중이다. 4) 연표 1395 경복궁 창건 1592 임진왜란으로 불타 폐허로 남겨짐 1867 경복궁 재건 1873 (5) 건청궁 일곽 창건 1915 (6) 물산공진회 개최를 위해 동쪽 건물들 철거 1926 (7) 조선총독부 청사 건설로 남쪽 구역 크게 훼손 1990 경복궁 복원사업 시작 1997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2010 광화문 원형 복원 2010 경복궁 복원사업 1차 완료 (원형의 25% 복원) 201

21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전문용어 - 안산, 주산 등 풍수 개념 문장 2) 과잉정보 - 공식적인 해석 아님. 삭제 권고함. 문장 3) 과잉정보 - 고대 중국의 예법을 조선 왕실의 전통이나 현실에 조화 시킨 이유는? 당시 동양의 왕궁 건축의 원칙을 따르던 보편 현상으로 설명할 것을 권고함. 문장 4) 연표의 수정 또는 삭제를 권고함. 연표에 나온 내용은 조선의 법궁으로서 궁궐의 연표가 아니라 궁궐 건축물의 연표임. 문장이 길고 문단 나눔이 없음. ⓷ 국문 해설문 개선안 태조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세우고 고려의 수도인 개경으로부터 한양(지금의 서울)으로 천도한 후 1395년에 세운 중심 궁궐이다. 하늘이 내린 큰 복 이라는 뜻으로 경복궁( 景 福 宮 )이라 이름 지었다. 따라서 궁궐터는 북악산을 주산으로, 목멱산(지금의 남산)을 안산으로 삼았고 한양의 중심에 터를 잡았다. 현재 서울에는 이곳 경복궁을 비롯해서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등 다섯 개의 조선 궁궐이 남아 있다. 경복궁에는 정무를 보는 사무실은 중앙부분에, 왕족이 생활하는 건물들은 뒤편에 있고 여러 곳에 정원이 있었다. 현재의 세종로 길에는 6개 정부 부처가 있다고 하여 육조거리라 불렸다. 근정전, 사정전, 강녕전 등 궁궐 건물에서 임금의 즉위식과 외국 사신들의 영접과 연회 등 역사적인 행사가 열렸다. 16세기말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의 모든 건물은 완전히 불타 없어졌다. 왕실은 창덕궁 으로 옮겼고 경복궁은 250년 이상 폐허로 남아 있다가 1867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약 500동의 건물이 재건되었다. 1895년 이곳의 건청궁에서 명성황후가 비극적으로 암살되었다.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던 강점기 동안에 조선총독부는 광화문을 비롯하여 궁궐 건물 대부분을 철거하고 정면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었다. 이렇게 훼손된 경복궁의 복원사업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다. 202

21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현재 영문 해설문 (1) It was in 1395, three years after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by Yi Seong-gy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royal palace was completed. The palace was named Gyeongbokgung, the Palace Greatly Blessed by Heaven. With Mount Bugaksan to its rear and Mount Namsan in the foreground, the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was at the heart of Seoul and, indeed, deemed auspiciou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actice of geomancy. In front of Gwanghwamun Gate, the main entrance to the palace, ran Yukjo-geori (Street of Six Ministries, today's Sejongno), home to major government offices. Along the central axis upon which Gwanghwamun Gate stood was the nucleus of the palace, including the throne hall, reception hall and king's residence. The government ministry district and main buildings of Gyeongbokgung Palace formed the heart of the capital city of Seoul and represented the sovereignty of the Joseon Dynasty. 2) After all the palaces in the capital were raz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98, Changdeokgung, a secondary palace, was rebuilt and served as the main palace. Gyeongbokgung Palace was left derelict for the next 250 years. It was finally reconstructed in 1867 by the order of the Prince Regent. 3) The palace the Prince Regent created wa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me 500 buildings were built on a site of over 691,921m2 and constituted a small city.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of ancient China were harmoniously incorporated into both the tradi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Joseon royal court. 4) Gyeongbokgung Palace was largely torn dow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lmost all of the restored buildings were dismantled, Gwanghwamun Gate was removed, and an enormous building hous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was constructed in front of the main sector of the palace. An effort to fully restore Gyeongbokgung Palace to its former glory has been ongoing since The colonial Government-General building was removed, and Heungnyemun Gate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Gwanghwamun Gate as well as residences of king, queen and the crown prince was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Gyeongbokgung 5) Palace founded 1592 Gyeongbokgung Palace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1867 Gyeongbokgung Palace reconstructed 1873 Geoncheonggung compound constructed 1915 Buildings in the east of the palace grounds removed on the pretext of holding an exhibition 1926 Palace area severely damaged due to construction of colonial Government-General building 1990 Restoration of palace begins 1997 Colonial Government-General building removed 2010 Gwanghwamun Gate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2010 First phase of Gyeongbokgung restoration project completed (25% of all original structures restored) 203

21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⓹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역사적인 의미 부각되지 않음. 문장 (4)이하 전체 내용이 궁궐 건물의 훼손과 복원에 대한 설명. 경복궁의 가치를 드러내지 못함. 연표 문장 5) palace founded (궁궐을 창건했다) 수정 권고. 문단 나눔 없음.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내용이 길게 서술되어 있음 문장 1)을 Gyeongbokgung, the Palace of Great Blessing, was completed in 1395, three years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처럼 압축가능. 문장 3)은 불필요한 문장. 궁궐면적 some 70,000m2 가 적합. 691,921m2 이상 이라 함은 지나치게 정밀한 수치로서 설명의 수 준에 부적합한 표현. 문장 2) 역사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실의 기술. 예: 임진왜란때 불이 난 이유 단정적 표현을 피해야 한다. (문화 재청의 문화유산정보 참조) ⓺ 영문 해설문 개선안 Gyeongbokgung Palace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primary royal residence and seat of the dynastic government during the first two centuries and the last decades of the Joseon Dynasty ( ). King Taejo, the founding monarch of the dynasty, commissioned the palace as he proclaimed the new kingdom. The first fourteen kings of Joseon, their families and ruling officials lived and worked at the palace compound covering some 70,000 square meters (seven hectares) at the heart of present-day Seoul. Known as the Palace Greatly Blessed by Heaven, Gyeongbokgung was built on the spot carefully chosen according to the geomantic principles as the most auspicious site for the new kingdom. Bugaksan Mountain sits at the rear of the palace to the north, Namsan Mountain in front to the south. Gwanghwamun Gate, the main entrance to the palace, opens to the south, facing Yukjo-geori Boulevard (now Sejongno) that runs along the south-north axis of the capital. Yukjo means six government ministries whose offices lined the boulevard on both sides. 204

21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Inside the walled palace compound there were some 300 buildings: ceremonial and administrative courts and halls, king s residential quarters, living quarters for queens and concubines, residences of crown princesses, and royal gardens. Geunjeongjeon, the Hall of Serene Governance, is the most imposing structure where kings held official court for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met foreign dignitaries and officiated important ceremonial functions such as coronations. The ravage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laid the palace in ruins so the government and royal household moved to Changdeokgung, the secondary palace to the east. Gyeongbokgung was eventually rebuilt in the late 19th century. King Gojong declared himself emperor of the Korean Empire in 1897, but could not save the waning dynasty. Empress Myeongseong was murdered at the palace by the Japanese assassins. King Gojong had to abandon Gyeongbokgung as the royal residence. His son Sunjong was the last king of Joseon when Korea lost its sovereignty to Japan in Japanese occupiers destroyed many buildings at Gyeongbokgung and desecrated Joseon s primary palace site. In 1926 Japan built a massive Western-style colonial headquarters building in front of the palace.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ccupied the prime site of Joseon Dynasty sovereignty. In 1997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s building, which had been used as the central administrative offices of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was finally demolished. Major structures of Gyeongbokgung Palace are being rebuilt. Gwanghwamun Gate, which had been mov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headquarters,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ite. Residential quarters of kings, queens and crown princesses have been remade according to the original plans. Palace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underway since 나. 궁궐 종묘 (사적 제125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1)조선의 태조가 한양을 새 나라의 도읍으로 정하고 나서 바로 짓기 시작하여 1395년에 경복궁보다 먼저 완공했다. 궁궐의 왼쪽인 동쪽에 종묘를, 오른쪽인 서 쪽에 사직단을 두어야 한다 는 고대 중국가 도성 계획 원칙을 따라 경복궁의 왼 쪽인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그 후 왕조가 이어져 봉안해야 할 신위가 늘어남에 따라 몇 차례 건물의 규모가 커져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후에 그 신주를 종묘에 옮겨 모신다. 정전에는 공적이 뛰어난 205

21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임금들을 모셨고, 영녕전에는 태조의 4대조나 죽은 뒤에 왕으로 추존되었거나 정전에서 신주를 옮겨온 임금들을 모셨다. 정전의 신실 19칸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위 49위를, 영녕전의 신실 16칸에는 신위 34위를 모셔 두었다. 왕위에서 쫓겨난 연산군과 광해군의 신위는 종묘에 모시지 않았다. 종묘제례는 국가의 가장 큰 제사로서 정전에서 1년에 5번, 영녕전에서는 1년에 2번 열렸으며, 왕이 친히 주관했다. 종묘제례에는 왕세자와 문무백관이 참여하였으며, 음악[ 樂 ], 노래[ 歌 ], 춤[ 舞 ]이 일체화한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진행했다. 현재 종묘제례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행하고 있다. 제사 외에도 종묘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일을 알리거나 기원하는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 종묘의 모든 건물은 장식과 기교를 배제하여 단순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2) 단순함 속에서 삶과 죽음의 깊은 의미를, 엄숙함 속에서 왕조의 신성한 권위를 읽을 수 있다. 중국이나 베트남과 달리, 한국의 종묘는 건축물과 더불어 (3)제례와 제례악의 본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여 실현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다. 종묘는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으로,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은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으로 등재되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과잉정보. 문장 3) 전문적 내용. 과잉정보. 본 모습 이 언제 누가 정한 모습인가? 전문용어 설명필요 - 신위: 죽은 사람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은 작은 나무 판 각주 추가 - 정전: 중앙의 중심 건물 수정 - 봉안 : 모셔야 - 신실: 신위를 모신 방 수정 - 영녕전의 한자 풀이를 추가할 것을 권고함. 지침 1 - 신주, 추존, 문무백관 전문용어. - 일체화 : 어우러진으로 수정 보충설명 필요부분 - 왕실 사당인 종묘가 필요한 이유: 예) 유교적 세계관에서 조상 숭배의 중요성 - 종묘제례: 용어 설명 필요. 예) 왕세자와 조정의 관리들이 참여하여 왕실의 조상 왕들에게 제 사를 지내는 것 - 종묘제례악: 용어 설명 필요. 예) 제례를 진행할 때 사용했던 음악, 노래, 춤을 뜻한다.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문장 1) 맥락 있는 기술필요. 예) 경복궁보다 먼저 완공한 의도를 충과 효를 중시하는 유교 국 가 건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이라고 설명을 해 주면 맥락 있는 기술이 됨 문단이 너무 길다. 총 722자로 지나치게 긴 안내판임. 206

21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Jongmyo Shrine is the supreme shrine of 1) the state where 2) the tablets of royal ancestors are enshrined and memorial services are performed for deceased kings and queens. King Taejo,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started construction of Jongmyo Shrine as soon as he designated Hanyang (today`s Seoul) as capital of the newly founded dynasty. 3) The construction of Jongmyo was completed in 1395, before that of Gyeongbokgung, the main palace. According to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oncepts of 4) geomancy, Jongmyo, the national shrine, was built on the east side of the royal palace, to its left, and Sajik Shrine, where ritual services for the gods of earth and crops were performed, was built on the west side of the royal palace, to its right. As more and more kings and queens were enshrin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facilities were necessarily expanded to what we see today. When a king or a queen died, mourning at the palace would continue for three years after the death. After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was over, memorial tablets of the deceased were moved to Jongmyo and enshrined. 5) Kings credited with outstanding, virtuous deeds are enshrined in Jeongjeon, the main hall. In Yeongnyeongjeon are the tablets of King Taejo`s ancestors of the preceding four generations and those who were posthumously crowned as king. There are also tablets that were moved from Jeongjeon. At present, Jeongjeon has 19 6) sprit chambers and houses a total of 49 tablets. At Yeongnyeongjeon, there are 16 spirit chambers and 34 tablets. The tablets of two kings, Yeonsangun and Gwanghaegun, who were deposed from the throne, are not kept in Jongmyo. 7) Jongmyo Jerye, the Royal Ancestral Rite, 8) was the most important state ritual. It was conducted five times annually at Jeongjeon and twice annually at Yeongnyeongjeon. 9) The king performed the ritual himself. The crown prince and all high-ranking civilian and military government officials attended Jongmyo Jerye. Royal ancestral ritual music involved instrumental music, singing, and dancing. At present, Jongmyo Jerye is performed once a year, on the first Sunday of May. Other ceremonies to report important state affairs or to pray for the state are also performed at Jongmyo. None of Jongmyo`s facilities are lavishly adorned; they emphasize only solemnity, piety, and sublimity. In its extreme simplicity, we can feel the deep meaning of life and death, and in its stately serenity, we feel the sacred authority of the Joseon Dynasty. Of all Confucian states in Asia where counterparts to Jongmyo Shrine were established, Korea is the only one that has preserved its royal shrine and continues to conduct royal ancestral rites, 10) known in Korea as Jongmyo Jerye and Jongmyo Jeryeak.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Jongmyo Shrine wa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1995 and Jonmyo Jerye and Jongmyo Jeryeak were inscribed on the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22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조선시대 로 번역하지 않고 국가 로만 되어 있음 문장 2) tablets spirit tablets 문장 3) 경복궁보다 먼저 종묘를 지었다고 했는데 그 이유 설명이 없어서 의미없는 내용이 되었음 문장 4) 외국인에게 널리 알려진 풍수(Feng shui)를 언급해야 이해가 빠름. 문장 5) 업적과 덕망이 큰 왕만 정전에 모신다 로 되어 큰 공적이 없는 왕들은 어디에 모셔지는지 의문 생김. 설명필요. 문장 9) 동양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따르던 규칙, 즉 종묘의 위치에 대한 설명 필요함. 서두 부분과 문장 8) 어떤 의미에서 종묘제례가 가장 중요한 국가 의례였는지 철학적 정신적인 의미 설명 없음 긴 문단 나눌 것을 권고함. 문장 6) spirit 오자 문장 10) 한국에서 종묘제례, 종묘제례악으로 알려졌다 는 어폐 있는 번역. ⓹ 영문 해설문 개선안 Jongmyo Shrine Jongmyo is the state shrine of the Joseon Dynasty ( ) for the departed members of its royal family. Elaborate ancestral veneration rites are performed every year, continuing a Confucian tradition dating to the 14 th century when Joseon was founded Jongmyo enshrines the spirit tablets of 83 kings, queens and royal family members in two major spirit halls. When the new dynasty Joseon moved the nation s capital to Hanseong (now Seoul) in 1395, King Taejo made sure that Jongmyo was completed before Gyeongbokgung Palace so that his ancestors were settled at the shrine before the living king and his family moved into the palace. Joseon followed the Confucian rules of royal architectural layout. Thus, Jongmyo was located such that Gyeongbokgung Palace lay to its right (west) and Sajikdan Altar for the Gods of Earth and Grains next further to the west. Jeongjeon, the Main Hall, houses 49 spirit tablets in 19 chambers, and Yeongnyeongjeon, the secondary building, houses 34 spirit tablets in 16 chambers. The Main Hall was reserved for the more meritorious kings. 208

22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Jongmyo Jerye,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is held on the first Sunday of May each year. It follows the traditional ancestral worship rites which kings and crown princesses attended, and combines the rituals of ancestral worship, dance and royal instrumental music. It stands as the most authentic and complete surviving Confucius rituals of their kind preserved in the world. As can be seen from the sky, Jongmyo is Seoul s most thickly wooded area. The compound covers 186,000 square meters (18.6 hectares) in low rolling hills at city center. People can enjoy serenity and tranquility amid the bustle of city life. Jongmyo Shrine is a registered World Heritage Site. UNESCO describes it as today s oldest and most authentic Confucian shrine. 다. 궁궐 종묘 정전 (국보 제227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종묘의 중심부분으로 길게 지은 정전의 앞에는 넓은 월대를 두었고 사방으로 담장을 둘렀다. 남쪽 2) 신문으로 혼령이, 동문으로 임금을 비롯한 제관들이, 서문으로 제례 악을 연주하는 악공과 춤을 추는 3) 일무원들이 출입했다. 1395년에 신실 7칸의 규모로 4)창건했고 여러 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는 19칸에 이르러 매우 긴 목조 건물이 되었다. 몸체인 신실의 양쪽에는 창고와 부속실들을 마련했다. 거친 월대 바닥과 그 위로 육중한 지붕이 떠 있는 모습은 숭고하고 고전적인 건축미의 극치 를 이룬다. 남쪽 담장 안에는 5) 공신당( 功 臣 堂 )과 칠사당( 七 祀 堂 )을 각각 동쪽과 서쪽에 세웠으며, 서문 밖에 제례악을 준비하는 악공청( 樂 工 廳 )을 두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혼령이 출입한다고 믿었다 로 문장 수정 필요 문장 4) 창건 : 건축하였고 로 수정 필요 문장 5) 공신당, 칠사당 설명은 굳이 따로 할 필요 없이 본문에 (예: 공이 많은 신하를 모시는 사당)으로 추가. 이들을 설치한 이유를 간략하게 설명해주어야 함 월대 : 용어 설명 요함. 예) 주요 건물 앞의 넓은 테라스. 일무원: 제례 때 춤 일무 (줄서서 추는 춤)를 추는 사람을 지칭 전문용어 (보충설명 필요부분) - 신문 : 혼령이 드나드는 문. 209

22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⓷ 현재 영문 해설문 Jeongjeon, the main hall, 1)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Jongmyo Shrine. In front of this main hall stretches a massive elevated 2) stone yard called a woldae, surrounded by walls on all sides. Spirits were believed to enter through the south gate in front of this sign, the king and ritual officers entered through the east gate on the right, and musicians, dancers, and other performers playing music and dancing entered through the west gate to the left. Jeongjeon was founded with seven spirit chambers in Additions and alterations were made in the coming years until there were 19 spirit rooms, making Jeongjeon a very long wooden building. On either end of the main section of spirit rooms were storage rooms and other auxiliary rooms. 3) The scenery of the rough, expansive stone yard and imposing, magnificent roof floating over it has the ultimate beauty of sublimity found in classical architecture. Inside the southern walls were Gongsindang (Hall of Meritorious Officials) to the east and Chilsadang Shrine to the west. Outside the west wall was Akgongcheong, the office of those responsible for ritual music.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건축물의 가치를 제시하지 않고 중요하다고만 설명. 보충설명 필요부분 건물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설명이 없음 긴 문장. 문단 나눔 없음. 문장 2) stone yard called woldae 사방벽으로 둘러..., 돌바닥의 마당, 월대라고 불리는 등 적절치 않은 문장. 문장 3) 화려하고 거창한 단어들이 많이 나열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정보나 특별한 내용이 없음. 라. 사찰 가야산 해인사 일원 (명승 제62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1) 가야산은 소백산맥의 지맥( 支 脈 )에 위치한 해발 1430m 산으로 2) 법보종찰( 法 寶 宗 刹 )인 해인사의 주산( 主 山 )이며, 조선팔경( 朝 鮮 八 景 )의 하나로 꼽히기도 했던 명산이다. 특히 농산정( 籠 山 亭 )이 있는 홍류동( 紅 流 洞 )의 십리 계곡은 수석( 水 石 )과 홍송( 紅 松 )이 어우러진 수려한 경관을 간직하고 있다. 3) 해인사는 통일신라기에 건립된 고찰( 古 刹 )로 1398년(태조7) 이래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사찰로 유명하며, 주변에는 원당암( 願 堂 菴 )을 비롯한 여러 부속 암자들이 있다. 고려 고종대에 제작된 4) 팔만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 중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한 것으로 세계 최고의 것이다. 이 곳에는 팔만대장경 외에도 해인사 장경판고( 藏 經 板 庫 ), 210

22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반야사( 般 若 寺 ) 원경왕사비( 元 景 王 師 碑 ), 월광사지( 月 光 寺 址 ) 삼층석탑( 三 層 石 塔 ), 청량사( 淸 凉 寺 ) 석조석가여래좌상( 石 造 釋 迦 如 來 坐 像 )과 삼층석탑( 三 層 石 塔 ) 등의 국보와 보물이 전해지고 있으며, 5) 광해군 내외 및 상궁 옷이 중요민속자료로 보관 되어 전해지고 있는 등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하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5) 광해군, 상궁 옷이 왜 거기 있는지 설명 필요 전문용어 설명필요 - 지맥: 소백산맥 자락에 - 주산: 으뜸 산 - 법보종찰 - 조선팔경: 조선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 - 수석: 자갈 - 홍송: 소나무 - 고찰: 옛 절 문장 2) 법보종찰이 갖는 의미 설명 요함. 삼보사찰(불, 법, 승)의 하나로 그 대표성과 중요성을 설명 필요 문장 4) 대장경 제작의 역사적 배경 설명필요. 현재 불교 경전 텍스트로서 대장경이 갖는 세계적인 가치 설명 필요 가야산과 해인사의 각각의 가치가 드러나지 않음. 다른 문단 또는 다른 문화재 항목으로 나누어야 함. 긴 문장. 문단 나눔 없음. ⓷ 현재 영문 해설문 Gayasan Haeinsa (1) Ilwon Historic and (2) Scenic Site No.5 (3)Mt. Gayasan is 1,430m in height, and Haeinsa Temple is located on it. It is famous for its beautiful scenery such that it was named as one of the eight most beautiful places in the Yi Dynasty. Especially, the valley of Hongryu-dong is spectacular scenery of streams, rocks and pine trees. Haeinsa Temple, which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the Goryeo Dynasty, is famous as a Buddhist temple which keeps the eighty thousand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Tripitaka Koreana is the most extensive and accurate among the extant Tripitakas in the world. On Mt. Gayasan, there are many other relics which are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or a Treasure, such as the monument of Wongyeongwangsa in Banyasa Temple, the three-storied stone tower in the site of Wolgwangsa Temple, the stone Buddha statue and the three-storied stone tower in Cheongryangsa Temple. 4) The clothes of King Gwanghaegun, his wife and attendants 5) are also kept on Mt. Gayasan. 211

22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과다정보 제공 문장 4) 광해군 옷 이야기가 중요 관심 사항이 아님. 또는 왜 중요 한지 설명 추가할 것을 권고함. 첫 문장 부분. 해인사 종합해설문이 없으므로 해인사와 명승지인 가야산의 각각의 가치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음. 가야산과 해인사에 대한 종합해설문의 별도 게시를 권고함. 해인사의 위상과 대장경의 세계적 가치에 대한 설명 필요 제목 (1): 국문의 직역임. 국문에서는 해인사 일원 이 제목이지만 영어로 Ilwon 은 의미가 없음. 문장 5) 영문 번역 오류. 옷이 가야산에 보관 되어 있다 로 됨. 제목 (2) 명승 제62호 인데 영문은 No. 5 임. 확인 권고함. 문장 3) 영문표기법에 맞지 않음. Gayasan Mountain ⓹ 영문 해설문 개선안 Haeinsa Temple and Gayasan Mountain Haeinsa Temple is the home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world s most complete and most accura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 in Chinese characters. Nestled for over two millennia in the bosom of rugged Gayasan Mountain, Haeinsa is the largest temple in Korea. It is the seat of the Flower Garland school of Buddhism. Goryeo s ruling Buddhist elites commissioned the engraving of the entire collection of extant Buddhist scriptures, a form of prayer for the Buddha s divine protection of the country. Thus the Tripitaka Koreana was painstakingly engraved on some 80,000 wood blocks in the 13 th century. Goryeo did survive another century-and-a-half. Gayasan Mountain peaks at 1,430 meters. The valleys command spectacular views with crystal clear meandering streams, rocks of strange and majestic shapes, and evergreen pines. The mountain s rugged and secluded terrain attracted Buddhist monks, and many Buddhist historic sites are set among the hidden valleys. Haeinsa Temple Haeinsa Temple was founded in the 9 th century by the followers of Uisang, a seventh century Korean monk and renowned Flower Garland scholar. Haeinsa is one of the Dharma Jewel Temples, representing one of the three Buddhist jewels Dharma (Teaching), Buddha (Awakened One) and Sangha (Community). It serves as an important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in Buddhism. 212

22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Owing to its sequestered location guarded by rough terrain, Haeinsa fortunately escaped the rampant arson by Japanese troops during the Imjin War in , which devastated much of the country. But fire erupted at Haeinsa seven times over two centuries from 1695 to 1871, burning down most of the buildings that had existed since the 15 th century renovation. The buildings have been reconstructed over the years and the temple maintains much of its ancient magnificence. The Tripitaka Koreana, known as the 80,000 Great Sutras, was engraved on 81,258 wood blocks, between 1237 and 1248 when the Kingdom of Goryeo was fighting Mongolian marauders. Goryeo s ruling Buddhist elites commissioned the engraving of the entire collection of extant Buddhist scriptures, a form of prayer for the Buddha s divine protection of the country. Each wood block measures 24 cm 68 or 78 cm, and contains 52,382,960 Chinese characters meticulously engraved in reverse for printing - virtually without any mistakes. The wood blocks were carved on Ganghwado Island on Korea s west coast, but were moved to Haeinsa in the late 14 th century to protect the sacred objects from Japanese pirates frequently attacking Korean shores. The blocks are housed in four connected buildings called Janggyeong-panjeon. In 1992 a group of monks began computerizing the vast content of the Tripitaka Koreana. This timely initiative to combine one of the humanity s oldest spiritual assets with the latest technology drew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Haeinsa Temple, the Tripitaka Koreana, and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are a World Heritage Site designated by UNESCO. 마. 사찰 경주 석굴암 (국보 제24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이 석굴암은 1)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던 김대성이 처음 건립하였는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재위 742 ~ 765)때에는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황룡사대종 등 많은 문화재들이 만들어져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룬다. 석굴의 평면 구조는 앞쪽이 네모났고 뒤쪽은 둥글다. 석굴에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2) 둘레에 천부상 보살상 나한상 거사상 사천왕상 인왕상 팔부신증상 등이 조각되어 있다. 3) 인도나 중국의 석굴 사원과는 달리 화강암을 인공으로 다듬어 조립한 이 석굴은 불교 세계의 이상과 과학기술 그리고 세련된 조각 솜씨가 어우러진 걸작이다. 석굴암 석굴의 구조는 입구인 직사각형의 진실과 원형의 주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둥근형태의 주실 천장을 교묘하게 축조한 것이다. 4) 이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드문 뛰어난 213

22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기술이다. 삼국유사 에 김대성이 전세의 부모를 위하여 건립했다고 전하는 석굴 암은 신라 예술의 극치이자 동양 불교미술의 대표적 작품으로 평가되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록되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과 정보가 들어 있음. 천부상 보살상 나한상 거사상 사천왕상 인왕상 팔부신증상 등의 이름 은 큰 의미가 없다. 문장 3) 석굴암의 핵심 가치를 서술한 분장이 중간에 있어서 주목 받지 못함. 문장 4) 석굴암이 신라시대나 현재에서 갖는 의미나 위상이 효과적 으로 서술되지 못하고 있음. 문장 1) 연호 표기 생략 권고함. 서기 연도로 표기. ⓷ 국문 해설문 개선안 석굴암은 통일신라시대 토함산에 세운 한국의 대표적인 석굴사찰이다. 신라인들의 신앙과 염원, 아름다운 건축미, 뛰어난 조각기법 등을 보여 주는 동양 불교미술의 대표작품으로 평가되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록되었다. 석굴 암에서는 지금도 매일 스님이 예불을 드리는 절이다. 석굴암은 자연 상태의 화강암을 다듬어 조립한 석굴사찰이라는 점에서 인도나 중국의 자연석굴사찰과 다르다. 앞쪽의 네모난 방은 부처님께 예배와 공양을 드리는 곳으로 인왕상과 사천왕상을 조각하여 넣었다. 그 안쪽의 둥근 방은 부드러운 자태와 인자한 표정의 본존 부처님이 가운데 앉아 계시는 곳이다. 그 주변에는 세련된 조각 기술을 보여주는 제자들과 보살상들이 새겨져 있다. 석굴암의 천장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드문 뛰어난 기술로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돔형의 둥근 천장을 지어 놓았다. 석굴암은 신라인들의 신앙과 호국정신의 요람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삼국 유사 에 따르면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세우는 한편, 전생의 부모를 위해 751년 석굴암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석굴암 본존불의 눈이 바라보는 방향이 삼국통일을 이룬 문무대왕의 무덤인 대왕암을 향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호국 사찰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⓸ 현재 영문 해설문 1) Seokguram grotto was first constructed by Prime Minister Gim Dae-seong in 751, the 10th year of Silla King Gyeongdeok. Originally, it was called Seokbulsa. The layout of the grotto shows a rectangular antechamber and a round main hall. In the rotunda hall sits a majestic Buddha carved in granite. There are various figures 214

22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surrounding the Buddha. Two Devas, two Bodhisattavas, ten standing Arhants, an eleven-headed Avalokitesvara Bodhisattva(the Bodhisattva of Boundless Mercy), Eight Guardian Gods. Vajrapani and Four Guardian Kings were sculptured on the wall behind the main Buddha. According to 2) the Samgukyusa, Gim Dae-seong founded Seokguram for the parents of his previous life. Seokguram represents not only the supremacy of Silla arts, but also is regarded as the best oriental Buddhist work. Thus along with Bulguksa, this grotto was designated in 1995 as the world cultural heritage by the UNESCO. ⓹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핵심 가치를 알리는 문장으로 시작하지 않고 언제 누가 지 었다는 평이한 서술로 맥없는 해설문이 됨. 삼국유사의 음역 만으로 의미전달 안됨. Samgukyusa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전체적으로 영문표기법을 지키지 않음. 문장 1) 문장 2) Gim Kim ⓺ 영문 해설문 개선안 Seokguram Grotto Built in the latter half of the 8 th century, the stone cave temple of Seokguram exhibits the mastery of Silla Kingdom s architecture and the depth of Buddhist faith of the Korean people at the time. Seokguram is a man-made granite grotto enshrining a Buddha statue and Bodhisattvas in rotunda. The domed ceiling of the rotunda and the entrance corridor employed an innovative construction technique that involved the use of more than 360 stone slabs. A rectangular ante-chamber opens to the east. Sakyamuni Buddha sitting in the middle of round cave was originally designed to glow as the sun rises over the horizon of the East Sea. Buddha s third eye reflects and amplifies the first rays of the day toward the people. Various Buddhist figures such as Bodhisattvas and Arhats are carved in low and high profile over the granite wall surrounding the rotunda.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Mercy, carved with small faces of Buddha and ten Bodhisattvas on the head, is behind Buddha s statute in the middle of the rotunda. 215

22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Silla Prime Minister Kim Dae-seong commissioned and financed Seokguram for his parents in previous life, as well as Bulguksa Temple down the foot of Tohamsan Mountain for his parents in his current life. He also commissioned and financed the construction of Bulguksa Temple down the foot of Tohamsan Mountain for his parents in this life. Seokguram Grotto is a World Heritage site designated by UNESCO. 바. 사찰 청룡사영산회괘불탱 (보물 제1257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 1) 괘불탱이란 야외에서 불교의식을 봉행할 때 높이 걸어 놓아 멀리서도 볼 수 있도록 만든 커다란 의식용 불화를 일컫는 말이다. 이 괘불은 가로 6.56m 세로 9m 의 화폭에 부처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했을 때의 모임인 영산회를 2) 명옥등의 화원이 그린 것이다. 짙은 녹색과 적색이 주로 채색되어 전체적 으로 무거운 감이 있으나 상단의 화려한 천상세계와 하단의 상서로운 구름과 꽃 문양이 복잡한 구도를 여유 있게 보이게 한다. 이 괘불은 전형적인 영산회상도로서 조선 시대 불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지침 1에 부합함. 해설문이 어려운 용어를 잘 설명하여 이 해하기 쉽게 구성됨. 전문용어 (보충설명 필요부분) - 영취산 - 영산회상 그림이 불교사에서 왜 중요한지 설명 필요 문장 2) 그림의 시대 정보 없음. 화원 명옥 이 어느 시대 사람인지 설명 필요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Cheongryongsa Temple Triad Buddhist painting: 1) The Korean term Goebultaeng refers to a Buddhist painting of a large scale which is hung during occasions of various outdoor Buddhistic rituals and ceremonies. This painting depicts Yeongsanhoe, a meeting for a Buddhist sermon where Buddha delivered the Lotus Sutra at 2) Mt. Yeungchwi 216

22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괘불탱은 보통명사. hanging painting 문장 2) 번역 오류. 표기법오류. 영취산 Vulture Mountain 문장 1) 불교 용어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용어 사용함. 국문 명칭이 특별한 의미가 없는데 음역하여 소개함은 의미 없음. 생략 권고함. 사. 사찰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보물 제3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대원각사비( 大 圓 覺 寺 碑 ) 시 대 : (1) 1471년(성종 2) 대원각사비는 1471년(성종 2)에 세조( 世 祖 )가 원각사를 창건한 경위를 적어 세운 비석이다. 불심이 돈독했던 세조는 양주 회암사에서 분신( 分 身 )한 사리를 보고 감동 하여 1465년(세조 11) (2)흥복사( 興 福 寺 ) 터에다 원각사를 지었다. 이어 1467년(세조 13)에 13층 석탑이 완성되자 연등회를 열고 낙성식을 거행하였으며 그 전후사정을 적은 비석을 조성하게 하였다. 거북이 모양의 받침돌을 만들고 그 등 위에 연잎을 새겨 비석 몸돌을 세울 자리를 만들었다. (3) 몸돌은 머릿돌인 이수( 螭 首 )와 한 돌로 만들었다. 비석의 전체 높이는 494cm이며 거북은 화강암으로, 몸돌과 머릿돌은 대리석으로 만들었다. 당대 문장 과 글씨로 이름난 사람들이 비문을 맡았다. 김수온( 金 守 溫 )이 앞면의 글을 짓고, 성임( 成 任 )이 그 글을 썼으며, 서거정( 徐 居 正 )이 뒷면의 글을 짓고, 정난종( 鄭 蘭 宗 ) 이 그 글을 썼다. 연산군 대 (4) 궁궐에 인접한 민가를 철거하면서 원각사는 빈 절이 되었다. 근대에 들어 공원으로 변모한 이곳에는 십층석탑(국보 제2호)과 이 비석만 남아 원각사의 옛 흔적을 보여 주고 있다. 217

23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홍복사터에다 지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홍복사를 꼭 언급해야할만한 이유가 있다면 간단히 설명할 필요. 문장 3) 과잉정보 문장 4) 민가철거와 절이 빈 것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해하기 어 려움.머릿돌인 이수( 螭 首 ): 머릿돌이라고만 하면 충분. 전문용어 설명필요 - 분신사리 보충설명 권고. - 성종과 세조의 관계 - 세조가 비석을 조성한 것인지, 성종이 한 것인지 불분명함 - 분신한 사리를 보고 감동하였다는데 감동하게 된 이유 설명 필요. - 김수온, 서거정, 정난종 등 인물이 학자인지 관리인지 간단한 소개 필요. 제목 1) 표기법 따를 것. 재위연도 생략권고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Monument of Wongaksa Temple Period : 1471 (1) (2nd year of King Seongjong s reign) Monument of Wongaksa (Temple) was erected in 1471 (2) (2nd year of King Seongjong s reign) to record the particulars of the foundation of Wongaksa on this monument. King Sejo, who was 3) a devout believer of Buddhism, built Wongaksa at the site of Heungboksa (Temple) in 1465 (4) (11th year of King Sejo s reign), 5) after being amazed by the incarnated sarira at Hoeamsa in Yangju. When a thirteen-story stone pagoda was completed in 1467 (6) (13th year of King Sejo s reign), King Sejo held a dedication ceremony together with 7) Yeondeunghoe (Lantern Festival) and directed subjects to erect a stone monument recording the circumstances. A turtle shaped stone prop was made, and lotus leaves were carved on the back of the turtle to create a space for the body stone of the monument. The body stone and the 8) head stone isu were made with a single stone. The height of the monument is 494 cm. The turtle was made of granite, and the body stone and head stone were made of marble. Master writers and calligraphers at the time were in charge of the inscription. 9)Kim Suon composed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and Seong Im wrote it in a calligraphic style. 10) Seo Geojeong composed the inscription on the back and 11) Jeong Nanjong wrote it in a calligraphic style. 12) Wonggaksa became an empty temple as private houses near the royal palace were pulled down during the period of King Yeonsangun. In modern times, the area was turned into a park. Only a Ten-story Stone Pagoda (National Treasure No. 2) and this monument remain today, showing traces of Wongaksa. 218

23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2) 민가철거와 절이 빈 것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내용 수정 권고함. 문장 3) a devout believer of Buddhism a devout Buddhist 간 결하게 변경가능. 문장 5) 어색한 표현. after being amazed by the incarnated saria 문장 9), 문장 11) 어색한 표현 영문표기기준에 따라 문장 (1) (2) (4): 재위년도 생략할 것을 권고함. 문장 8) 머릿돌이 한국어로 isu 라는 음역어를 뺄 것을 권고함. 음역어 영문에서 의미 없음. 문장 9), 문장 10), 문장 11) 표기 오류. - Kim Suon Kim Su-on - Seo Geojeong Seo Geo-jeong - Jeong Nanjong Jeong Nan-jong 아. 왕릉/고분 고양 서오릉(경릉) (사적 제198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경릉은 덕종( 德 宗, 추존)과 왕비 소혜왕후( 昭 惠 王 后, 추존) 한씨( 韓 氏 )의 능이다. 덕종은 조선 제7대 임금인 세조( 世 祖 )의 맏아들로 태어나, 세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세자가 되었으나, 1) 20세의 나이로 돌아가셨고(1457) 뒤에 그의 아들 성종( 成 宗 )이 왕위에 오르면서 덕종으로 추존하였다. 소혜왕후 한씨는 2) 서원부원군( 西 原 府 院 君 ) 한확 ( 韓 確 )의 딸로 세조 즉위년(1455)에 세자빈이 되어 월산대군( 月 山 大 君 )과 성종( 成 宗 ) 형제를 낳았으며, 성종이 왕위에 오른 뒤 왕비로 추존하면서 소혜왕후라 부르게 되었다. 연산군( 燕 山 君 ) 10년(1504)에 68세로 3) 돌아가셨다. 4) 특히 불경에 조예 가 깊었으며, 부녀자의 예의범절에 관하여 쓴 내훈( 內 訓 )이라는 저술을 남겼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과잉정보 제공 소혜왕후가 누구의 딸인지 언제 세자빈이 되었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음 문장 4) 보충설명 필요부분 여성의 내훈 집필이 유교국가에서 왜 중요한지 서술할 필요가 있음 전문용어 설명필요 - 추존: 사망 후 그들의 공덕을 추모하여 붙인 이름 서오릉이 경릉 하나인지, 서오릉이 5개의 능인지 설명 필요.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권고. 덕종과 소혜왕후의 에피소드를 추가로 발굴하여 넣을 것을 권고함. 문장 1) 문장 3) 높임말 사용 주의 예). 돌아가셨고 사망하였고 219

23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⓷ 현재 영문 해설문 1) Seo-oneung (Gyeongneung) Royal Tombs Gyeongneung is the tomb of Deokjong and Queen Sohye. Deokjong was the eldest son of King Sejo, the 7th monarch of Joseon. When Sejo became king, Deokjeong became Crown Prince, but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19 in When his son, Seongjong, ascended the throne, he gave his father the posthumous title of Deokjong. Queen Sohye was the daughter of Seowon Buwongun. She became the Crown Princess in 1455 and gave birth to Prince Wolsan and Seongjong. After Seongjong ascended the throne, he gave his mother the posthumous title of queen, and she was called Queen Sohye. She passed away in 1504 at the age of 67. She was particularly well-vers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wrote 2)a book on etiquette for women entitled Naehun.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서오릉이 경릉 하나인지, 서오릉이 5개의 능인지 설명 필요. 문화 재 명칭으로는 정확한 설명 안됨. 문장 2) 책 제목인 내훈 이 여성의 예절에 대한 가르침이라는 의 미가 전달되지 않음. 자. 역사인물/생활유적 장성 황룡 전적 (사적 제406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1) 고종 31년(1894) 4월 전라도 고부에서 일어난 2) 동학농민혁명은 제국주의에 반대 하고 봉건주의에 반대하였던 변혁운동이다. 1894년 4월 23일 전봉준의 주력부대는 이학승이 이끄는 관군을 3) 장태(장태-닭의 둥지라는 뜻으로 대나무를 쪼개 원형으로 길게 만들어 총알을 피했던 무기)등을 이용해 크게 물리쳤다. 황룡 싸움의 승리는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동학농민군은 승리의 기세를 몰아 정읍, 원평을 거쳐 전주로 향하여 28일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황룡전적지는 동학농민혁명의 최대 격전지인 황토현전적지 (사적 제295호), 우금치전적지(사적 제387호)와 함께 역사적 의의가 큰 유적지이다. 220

23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동학농민혁명과 같은 역사적 개념 용어는 명칭 논란이 많은 용어임. 교육부 교과서 편수 용어를 따를 것을 권고함. 문장 2) 제국주의와 봉건주의라는 개념은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임 문장 3) 장태 설명문을 통해 장태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움. 과잉정보 - 이학승, 황토현전적지, 우금치전적지. 문장 1) 연호를 생략할 것을 권고함. ⓷ 국문 해설문 개선안 1894년 전라도 고부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은 지배층의 수탈과 일본의 침략에 반대하여 일어난 농민들의 변혁운동이다.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은 까치능선 이라 불리던 이곳 황룡촌에서 1894년 4월 23일 정부 정예군과 싸워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농민군이 전주성을 함락하고 전주화약을 맺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황룡전투에서 농민군은 장태 라는 신무기를 개발하여 잘 활용하여 싸움을 승리로 이 끌 수 있었다. 장태란 닭장 이라는 뜻으로 대나무 원통 수십 개를 만들어 산의 정상 으로부터 굴리며 사격을 함으로서 정부군을 혼란에 빠트릴 수 있었다. ⓸ 현재 영문 해설문 Donghak Farmers' Revolution occurred against imperialism and feudalism in Gobu, Jella Province in April The main force, led by Jeon Bong-jun, defeated the government army led by Lee Hak-seung 1) using Jangtae which is made of bamboo as weapons. The farmers expanded their power greatly by the victory. This site has a great historical meaning along with the Hwangtoh-yeon Battle Site (Historic Site No. 295) and the Wugeumchi Battle Site (Historic Site No. 387). ⓹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지침 3에 부합. 문장이 짧고 간결하다. 문장 1) 장태의 음역만으로는 의미 없으므로 생략하거나 간략한 설 명을 추가 할 것을 권고함. 221

23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⓺ 영문 해설문 개선안 Hwangnyong Battlefield, Jangseong Donghak Revolution forces scored a monumental victory over the government army here on April 23, Farmers faithful to the emerging religion of Donghak had begun an organized protest against a corrupt government official in the neighboring county of Gobu earlier in the year. By April the protest snowballed into a full-forced rebellion against the Joseon government. Jeon Bong-jun and other Donghak leaders were instrumental in organizing and coordinating the fights against the government. Donghak ( Eastern Learning ) was an intellectual and religious movement countering the encroachment into Korea by Christianity and Western powers. Donghak forces were advancing toward Jeonju, the seat of Jeolla-do provincial government, and needed a decisive victory before the rebel forces entered Jeonju. Outpowered by well-armed government soldiers, Donghak fighters armed with bamboo spears invented huge bamboo drums to shield them from bullets. These spears were made of split bamboo, packed with straw, and rolled toward the firing government soldiers as the Donghak advanced. Donghak forces took Jeonju five days after the victory here, then marched north toward Seoul. They were eventually defeated by the combined forces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Japanese forces. Their final battle at Ugeumchi, Gongju, about 84 kilometers (130 miles) north of Jeonju ended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차. 역사인물/생활유적 제주목 관아 (사적 제380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목사집무실 제주목사[제주목을 다스리는 최고 책임자]가 집무를 보던 곳으로, 목사의 근무 복 식과 문서 작성에 필요한 도구, 각종 서류 보관함, 생활도구 등이 진열되어 있으 며, 제주목사가 영( 令 )을 내리고 형( 刑 )을 주관하던 장면을 연출하였다. 무기보관고 무기보관고는 원래 영주협당( 瀛 洲 協 當 ) 부근에 있었으며, 여기에는 방어에 필요한 무기류 등이 전시되어 있다. 222

23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전문용어 설명필요 예: 영, 형, 집무 건축의 특징과 가치가 드러나지 않음. 제주목과 제주목사의 특징이 전혀 드러나지 않은 서술임. 무기보관고를 제주목에서 굳이 강조하는 이유가 나타나 있지 않음. ⓷ 국문 해설문 개선안 목사집무실 조선시대에는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밑에 읍의 규모와 중요도에 따라 부( 府 ), 목( 牧 ), 현( 縣 ) 등을 설치하고 관리를 파견하였는데, 전국에 총 20개의 목이 있었 다. 이곳은 제주도의 최고 책임자인 제주목사가 행정 업무를 보던 사무실이다. 목 사는 치안, 왜구의 방어, 재판 및 세금을 거두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지금 여기에 는 제주목사가 명령을 내리고 재판하는 장면을 관객들에게 시연하고 있다. 또 목 사의 근무 복장과 문서 작성에 필요한 도구, 각종 서류 보관함, 생활도구 등도 진 열되어 있다. 무기보관고 제주도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군사상 요충지이다. 조선시대 제주도는 왜구의 침입이나 서양인들이 표류에 대비하여 국방에 힘을 기울였고, 제주목사도 군사 업무에 힘을 쏟았다. 무기보관고는 방어에 필요한 각종 무기들을 만들고 관 리, 보관한 곳이다. 무기고는 원래 영주협당( 瀛 洲 協 當 ) 부근에 있었다. 이곳에는 방어에 필요한 무기류 등이 전시되어 있다. ⓸ 현재 영문 해설문 (1) The Moksa office This room was where Jeju Moksas, the governor of Jeju-Mok, used as their offices. Moksa's costumes, stationary items, document boxes and living items are exhibited, Also displays the scene of a Jeju-Moksa issuing commands and supervising corporal punishment. The armory The armory was near Yong-ju-hyeop-dang. Some weapons are exhibited. 223

23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⓹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제목 (1) 목사 를 음역하면 영문에서는 의미없음. Jeju Magistrate s Office 전체적으로 국문의 직역. 문법 오류. 어색한 표현. 카. 역사인물/생활유적 세종 유계화 가옥 (중요민속문화재 제138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부강리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정남향으로 자리잡은 이 집은 조선 1) 고종 ( 高 宗 ) 3년(1866)에 지은 전통 한옥으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양반 주택 이다. 2) 건물의 배치는 ㅁ자 모양으로써 사랑채는 한단 낮게, 안채는 한단 높게 각각 ㄷ자 모양의 건물이 맞물려 있는 고전적인 방식을 따랐다. 안채의 평면 구성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방식이 가미된 형태로서, 안방을 동쪽에 두어 안마당에 만나고, 건넌방은 서쪽에 배치하여 뜰을 향하여 안 부엌이 이들과 一 자로 놓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앙에 사랑방을 두고, 서쪽에 조그만 대청을 두었는데 이는 외부 손님의 접대보다는 이 집에 사는 사람의 주거공간으 로 활용하기 위한 공간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집은 전체적으로 조선시대의 중부지방 사대부 집의 주택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보존상태도 비교적 양호하여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현장에서는 한눈에 알 수 있는 불필요한 설명임. 기존의 조선시대 가옥에 대한 설명문과 비슷한 형태임. 즉 천편일 률적인 설명문임. 또한, 가옥의 구조나 배치 등의 설명은 별 흥미를 자아내지 못하는 내용임. 따라서 이 가옥만의 고유한 특징을 서술 하고, 가옥에 살았던 사람들의 구체적인 스토리를 찾아내어 기술할 것을 권고함. 문장이 길고 문단이 나뉘어 있지 않음. 문장 1) 재위연도를 생략하고 서기 연도표기를 권고함. 224

23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Located at a place overlooking the village of Bugang-ri facing due south, this is a traditional yangban house, typical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t was built 1) in the 3rd year of king Gojong's reign(1866). 2)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s a square shape; the inner house on a little elevated ground and the male quarters on a lower ground, each "U"-shaped, are in Keeping with the classical pattern. 3) The layout of the inner house contains the architectural pattern of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a living room is located in the east facing the courtyard, an opposite room in the west facing the garden and a kitchen in line with these. In the center of the male quarters are the master's room and a small hall in the west, which indicates that the male quarters were more for the male members of the family than for visitors. Generally, this house exemplifies the typical structure of literati's hous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tate of preservation is relatively good, still Keeping the original shape.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문장 3) 문화재로서의 핵심가치나 특징적인 사실이 아님. 현장에서는 바로 알 수 있는 건물의 구조와 배치 상태를 장황하게 설명한 내용임. 가옥의 역사와 그 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구체적인 이야기를 찾아 내어 서술할 것을 권고함. 문장 1) 영문표기법에 따라 재위연도는 생략할 것을 권고함. 문화재 영문명칭 표기오류. SEJONG YU GYEHWA GAOK Yu Gye-hwa s House, Sejong 타. 서원/향교 영주 소수서원 (사적 제55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1)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자 최초의 사액서원이다. 조선 중종 37년 (1542) 2) 풍기군수 주세붕이 이 지역 출신 고려시대 유학자인 회헌 안향의 위패 를 모신 사묘를 세우고, 2) 이듬해 백운동서원을 세웠다. 후에 3) 풍기군수로 부임 한 퇴계 이황이 명종임금께 건의하여 서적, 토지, 노비 등과 함께 소수서원 이라 는 친필 현판을 하사 받았다. 4) 소수서원은 신라시대 때 창건된 숙수사 라는 절 터에 세워졌다. 5) 이에 대해서는 불교에서 유교로 넘어와 선비정신을 이어가는 유불 문화의 융합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나 숭유억불 사상의 영향이라는 견해 225

23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도 있다. 서원 입구에서 6)학자수라 불리는 의젓한 적송군락을 따라가면 맑은 죽 계수를 만난다. 시냇가에는 시원한 물빛에 취해 시와 풍류를 즐긴다는 취한대와 경자바위가 있다. 경렴정과 지도문을 지나 만나는 서원 경내는 학문을 연구하는 강학공간과 제사를 지내는 제향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7) 보통은 전당후묘, 즉 앞에는 공부하는 공간, 뒤에는 제사를 지내는 공간 배치가 일반적인데, 소수서원 은 동쪽이 강학공간, 서쪽이 제향공간이다. 서쪽을 중시하는 우리 전통사상을 따 른 것이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백운동서원이 소수서원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는데, 양자가 다른 서원인 것처럼 읽을 수 있음. 문장 4) 과잉정보 문장 5) 문장 7) 유불 문화와 서원의 건축양식설명은 전문지식. 문장 5) 현장에서 읽는 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은 부적합한 표현. 현장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구체적 설명 필요. 전문용어 - 사액서원 : 임금이 이름을 지어 준 서원 - 위패: 죽은 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새긴 나무 판 - 사묘: 사당 - 적송군락: 붉은 소나무 군락지 - 죽계수: 대나무 골짜기 - 경렴정, 지도문 문장 1) 서원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왜 뜻있는 유적지 인지 설명 필요. 소수서원의 한자 뜻 설명 필요. 조선시대 소수서원이 영남 유림들에게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기술해야 맥락 이해가능. 문장 3) 이황이 단순히 풍기군수가 아니고 조선 성리학의 대가임을 설명해야 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Sosu-seowon was the first Confucian Academy as well as the first 1) royally-sponsored academy in Korea. Punggi County Magistrate Jusebung established it in 1542 as a memorial shrine to the Goryeo Danasty Confucian philosopher An Hyang, and in the following year he established the Baegundong-Seowon. Later, King Myeongjong, upon the adivice of another Punggi Magistrate, 2) the illustrious Lee Hwang, donated books, land, and servants to the academy and did the calligraphy 'Sosu-Seowon' 3)himself for the panel. Sosu-Seowon is located on the site of the unified Shilla Kingdom temple named Suksusa. At the entrance to the academy is a famous grove of pine trees and the pass leads to 4)Jukgyeasu, renowned for its clear 226

23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waters. Along the banks are the chwihandae and Gyeongja Rock. The compond itself is composed of two sections: the Lecture area for academic studies and research, and the Memorial Service area.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전문용어 사액서원의 뜻 설명 필요 조선시대 서원의 기능, 의미 설명 필요 긴 문장, 문단 분리 필요. 문장 3) 철자오류 hamself himself 문장 4) 음역 Jukgyeasu 오류. Jukgyeasu Jukgyesu 굳이 한국어 명칭을 음역하지 말 것을 권고함. 문장 2) 이황의 이름 영문표기 오류. Lee Hwang Yi Hwang 파. 산성/성곽 북한산성(대동문) (사적 제162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북한산성(대동문) 시대:1711년(숙종37) 이 산성은 1711년(숙종37)에 북한산에 쌓은 것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 유사시에 대비해 한양 외각에 성을 쌓자는 논의가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산성 이다. 당시 완성한 성곽의 1)길이는 7,620보( 步 ), 즉 21리 60보이며, 지형에 따라 적절하게 축성방식을 달리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곽시설로 군사 지휘소인 장대( 將 臺 )를 세 곳(동장대 남장대 북장대)에 만들었고 성문 6개소(북문 대동문 보국문 대성문 대남문 대 서문), 2) 암문( 暗 門 ) 6개소, 수문 1개소를 두었다. 성을 쌓는 것을 반대하던 사람 들이 문제로 삼았던 식수문제는 99개소의 우물을 파서 해결했다. 저수지도 26개소 나 만들고, 8개소의 창고를 두었다. 성 안에는 승군( 僧 軍 )을 주둔시키기 위한 사찰 을 여러곳에 두었는데 승군 총섭이 머물던 중흥사의 3) 규모가 136칸에 달했다. 1712년(숙종38)에는 상원봉 아래에 130칸 규모의 행궁과 140칸에 이르는 군창( 軍 倉 )을 지었다. 근래 훼손되었던 대서문 대남문을 보수하였고, 대성문 대동문 보국문 동장 대 등은 다시 지었으며, 성곽과 여장 등도 보수 정비하였다. 227

24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길이의 단위를 m, km 로 바꿀 것. 문장 3) 중흥사 규모 136칸 전혀 짐작이 가지 않는 단위임. 전문용어 - 승군( 僧 軍 ): 승려들의 군대 지침 1 - 군창: 군대의 창고 - 여장: 성벽위의 낮은 담 - 행궁: 서울 외곽에서 왕이 체류하는 궁. - 암문: 숨겨진 성벽의 출입문 시설의 역사적 의미 설명필요. - 조선시대 서울의 방어체계에서 산성의 중요성 기술해야 함. - 왜 특별히 승군을 위한 시설인지 승군 총섭: 총섭이 누구인지, 지침 2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도 기술해야 함. - 행궁이 무엇인지, 왜 거기에 두었는지 설명필요 - 서울시 성곽의 일부라는 사실. 지침 3 지침 4 지침 5 명칭의 시대에서 연호는 삭제할 것. ⓷ 현재 영문 해설문 Daedongmun Gate on Bukhansanseong Fortress Period : 1711 (the 37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The fortress on 1) Bukhansan (Mt.) was built in )(the 37th year of KingSukjong's reign) It was establish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rom 1592 to 1598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in order to prepare Hanyang for such future emergencies The fortress was 3) 7,620 bo(roughly 8.4km) when it was ompleted and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were employed to accommodate the topography of the region, The fortress is equipped with three command posts (Dongjangdae, Namjangdae and Bukjangdae), six gates (Bungmun, Daedongmun, Bogungmun, Daeseongmun, Daenammun and Daeseomun), six ammun(literally dark gate and also a postern)and one floodgate, The problem of securing drinking water, which provoked opposi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s solved by having 99 wells dug, In addition to the wells, 26 reservoirs and eight warehouses were constructed, Several Buddhist temples were built inside the fortress for use by thebuddhist monk army, Among these, Jungheungsa(Temple), where the commander of the Buddhist monk army stayed, 4) was as large as 130kan In ) (the 38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a 130kan temporary palace and a 140kan military warehouse were completed at the foot of Sangwonbong(Peak), Daeseomun and Daenammun have been repaired and Daeseongmun, Daedongmun, Bogungmun and Dongjangdae have recently been rebuilt. The fortress wall and parapets have also been refurbished and repaired. 228

24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3) Km 로 환산했으므로 bo 단위는 불필요. 삭제 권고함. 문장 4) 영어로 kan 은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단어. 영어 bay 로 바꿀 것 권고함. 제목표기 영문표기지침에 맞지 않음. 연도와 재위연도 생략 권고. 문장 1) 영문표기지침에 맞지 않음. Bukhansan (Mt.) Bukhansan Mountain 문장 2) 영문표기지침에 따라 재위연도 생략 권고함. 문장 5) 재위연도 생략 권고함. 하. 민속마을 경주 독락당 (보물 제413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이 건물은 옥산서원 뒤편에 있으며 회재 이언적(1491 ~ 1553)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지은 사랑채이다. 조선 중종 11 년(1516)에 세웠으며, 일명 옥산정사라고도 한다. 낮은 단 위에 세워진 정면 4 칸, 측면 2 칸의 이 건물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대청은 3 칸 2 칸이고 나머지는 칸을 막아 1 칸 2 칸 온돌방으로 하였다. 건물은 둥근 기둥을 세우고 대청 천장은 뼈대가 모두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이 건물 옆쪽 담장에는 좁은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창을 달아서 대청에서 살창을 통해 앞 계곡의 냇물을 바라보게 하였다. 이는 아주 특별한 공간구성이며, 뒤쪽의 계정 또한 자연에 융화시키고자 한 의도를 잘 드러내 주고 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전문용어 설명필요 팔작지붕, 연등천장 건물 구조 설명에 치우쳐 건물의 역사나 의미를 설명할 것을 권고함. 지침 3 지침 4 지침 5 229

24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⓷ 국문 해설문 개선안 독락당은 조선의 유학자 회재 이언적(1491 ~ 1553)이 젊은 나이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1516년에 지은 사랑채이다. 어진 선비도 세속의 일을 잊고 자신의 도를 즐긴다 는 뜻의 이름을 가진 독락당에서 그는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길렀다. 이언적 사후에 그를 배향하는 옥산서원을 독락당 앞에 지었다. 독락당은 무엇보다도 한옥과 자연의 만남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건물 옆쪽 담장에는 좁은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살창을 달아서 대청에서 계곡의 냇물을 바라보게 하였다. 이언적은 주자를 숭상하였으나 주자의 견해나 사서육경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해석 하여 조선의 대표적 유학자로 꼽힌다. ⓸ 현재 영문 해설문 This house was built in 1516 by (1) I Eon-jeok (1941~1553), whose pen name is Hojae, when he retired from his government office. (2) The house is a sarangchae (the men's living quarters), and also called Okangjeongsa. 3)The house was constructed on the low ground foundation. It has 4kan at the front and 2kan on the side with a triangular-shaped side roof. A window 4) with lattice pieces fitted vertically at even intervals across the frame was furnished on the wall be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window, one can look at the stream from the wooden floor. ⓹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문장 2) 문장 3) 문장 4) 직역과 어색한 영문으로 의미 전달 안 됨. 문장 1) 영문표기법 오류. - I Yi 지침 5 - Hojae Heoje - pen name pseudonym 거. 민속마을 경주 양동마을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이 마을은 경주 손씨와 여주 이씨를 중심으로 형성된 씨족마을로, 500여 년이 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양민공 손소(1433~1484)가 혼인하여 처가가 있는 이곳에 들어온 것을 계기로 경주 손씨가 양동마을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여주 이씨는 찬성공 이번(1463~1500)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 이 마을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이처럼 혼인한 신랑이 처가를 따라가서 사는 일이 많았다. 그동안 두 집안에서는 우재 손중돈(1463~1529)과 회재 이언적(1491~1553)등 많은 인물을 배 230

243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출하였다. 마을 앞으로는 안강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산줄기에 마을이 들어 선 모양새가 독특하고 아름답다. 설창산에서 뻗어내린 네 줄기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150여 채의 옛집들이 굽이굽이 들어서 있는데, (1) 이 중에는 임진왜란(선조 25년 1592) 이전에 지어진 기와집이 네 채나 남아 있어 눈여겨 볼 만하다. 집들은 대개 'ㅁ'자 모양인데, 이는 조선 중기 영남 지방의 일반적인 가옥 형태이다. 기와집 주변의 초가집들은 옛날 기와집에 살았던 양반들이 거느린 노비들이나 소작농이 살았던 집이다. 1984년에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보충설명 필요부분 조선시대 씨족 마을이 흔했다는 사실 설명필요. 문장 (1) 임진왜란으로 많은 건물이 불타서 우리나라 에서는 그 16 세기 이전의 고건축물이 흔치 않은데 눈여겨 볼 만하다 고 가볍 게 언급하여 마을의 핵심가치를 부각하는데 부족함. 문단 나누지 않음. ⓷ 현재 영문 해설문 Yangdong is a traditional clan village of 1) the Wolseong Son clan from Gyeongju and Yeogang Yi clan from Yeoju. The first member of the Wolseong Son clan to live in Yangdong Village was Son So.( ) Yangdong Village was his wife's maiden hometown, and he settled here with his wife's family after marriage. The Yeogang Yi clan established a presence in Yangdong Village when Yi Beon( ) married a doughter of Son So. 2) Unitil the early Joseon period,( ) it was common for a newly married husband to move to the wife's hometown. Both clans have produced many outstanding figures since settling here. Yangdong boasts beautiful and unique natural surroundings. Some 150 houses sit in dales between ridges of Seolchangsan to the northwest of the village. Noteworthy are four tile-roofed houses that predate the Japanese invasion of Most of the houses are in a 'ㅁ' layout with a central courtyard. This was the typical layout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during the mid-joseon period. 231

24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성씨에 대한 설명 내용이 국문 설명보다 오히려 더 상세함. 월성, 여강 등 본적을 영문으로 표시하여 매우 복잡한 내용이 되었음. 삭제 권고함. 과잉정보제공. 문장 2) Unitil 오자 Until Joseon period,( ) 콤마 위치 오류. 너. 천연기념물 서울 문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59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서울 문묘( 文 廟 ) 은행( 銀 杏 )나무 (1)학명 : Ginkgo biloba L. (영) Maidenhair tree (일) イチヨウ (중) 銀 杏 樹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59호 수 령 : 약 500년 이 나무들은 1519년(중종 14)에 2) 대사성( 大 司 成 )을 지낸 윤탁( 尹 倬 )이 심은 두 그루의 은행나무다. 이 가운데 서쪽에 있는 나무는 높이 21m, 줄기의 가슴높이 둘레가 7.3m다. 동쪽에 있는 나무는 3) 전쟁의 피해로 가지가 일곱으로 갈라졌지만 각각의 가지가 본래의 줄기 크기만큼 크게 자랐다. 대개 은행나무는 암나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지만 이 나무는 수나무다. 나무의 가슴높이 부분에 60cm 정도 되는 세 개의 유주(호흡작용을 도와주는 돌기)가 있는데 이것은 나무가 나이를 많이 먹었을 때 생긴다. 4) 예로부터 은행나무는 절이나 향교, 문묘, 사단, 경승지 등에 널리 심었다. 은행 나무는 지정 보호수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개체 수가 많다. 5) 은행나무는 은행나무과에 하나만 있는 식물로 군락을 이루지 않고 홀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겉씨식물의 일종으로 암수가 딴 그루로 따로 떨어져 있고, 잎은 대개 부채꼴 모양인데 중간 부분이 세로로 갈라져 있다. 나무의 품종에 따라 잎모양이 조금씩 다른데 대개 가지 끝에 3~5개의 잎이 모여 있다. 가을이 되어 색이 변한 은행나무 잎은 매우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징코민이라는 성분이 있어 심장에 좋은 약효를 지니고 있다. 은행나무 열매는 진해 거담 등의 질환에 효험이 있다. 은행나무는 병 충해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아 생명력이 긴 탓에 정자나무나 가로수로 많이 쓰인다. 232

245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2) 대사성 앞에 성균관 을 넣어 주면 보다 의미가 분명해 지지만 여전히 대사성이 어떤 자리인지 이해하기 어려움 문장 3) 어느 전쟁의 피해인지 정보 보완을 권고함. 문장 5) 과잉정보 제공 문화재 설명인데 식물로서 은행나무의 특성과 약효를 설명함이 부적절함. 전문용어 설명필요 문장 4): 예로부터 은행나무를 절이나 향교 등지에 심었다고 하는데, 은행나무가 동양문화권, 혹은 조선시대 어떤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 기술할 것을 권고함. 제목 1)학명에서 일본어, 중국어 삭제 권고함. 지정번호 수령, 소재지 표시는 표기지침을 따를 것. ⓷ 현재 영문 해설문 Gingko Tree at Seoul Munmyo (1) Scientific Name : Ginkgo biloba L. (영) Maidenhair tree (일) イチヨウ (중) 銀 杏 樹 Designation : Natural Monument No.59 (2) Tree Age : ~ 500 years These Ginkgo trees were planted by Yun Tak, who served as the Chief of Seonggyungwan, (3) Korea s highest educational institution, in 1519 (4) (14th year of King Jungjong s reign). The tree on the west side of the shrine is 21 meters tall and 7.3 meters in circumference at chest height. The tree on the east side diverges into seven branches due to the damage it endured during the war, with each branch having grown as big as the main trunk. Typically, female Ginkgo trees are registered as natural monument in Korea, but this tree is a male Ginkgo. There are three 60-centimeter-wide bumps at chest height which help with respiration of the trees at that level. These bumps appear as a Ginkgo gets older. Ginkgo trees have been widely planted around temples, Confucian and ancestral shrines, and scenic areas in Korea. Among the country s registered natural monument, Ginkgos are the most abundant tree after Zelkova trees. Ginkgo biloba is classified as its own species and is characterized by its solitary growth. (5) It is gymnospermous and dioecious, i.e, with separate sexes. The leaves are fan-shaped and bifurcated in the middle. The shape of the leaves varies for different kinds of Ginkgo, and they are assembled into groups of 3~5 leaves at the end of the branch tips. The leaves turn a beautiful yellow in autumn, and extract from Ginkgo leaves is used for enhancing circulatory health. Ginkgo nuts have also 233

24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been widely used for treating phlegm. Ginkgos adapt well to urban environments, tolerate pollution, and rarely suffer from diseases and insect infestations. For these reasons, they are widely planted as street landscaping and for shade.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지침 1 문장 5) 너무 어려운 용어. 지침 2 나무를 심은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내용이 없음. 지침 3 문장이 길고 문단도 너무 김. 지침 4 문장 3) Korea 조선 시대 지침 5 제목 (1) 학명에서 일본어, 중국어 삭제. 제목 (2) 문화재의 지정번호, 수령, 소재지 등 표기 지침을 따를 것을 권고함. 전체적으로 매우 어색한 직역임. 문장 4) 문화재명칭 표기 지침에 맞지 않음. 재위연도 생략 권고함. 더. 명승 양양 하조대 (명승 제68호) ⓵ 현재 국문 해설문 조선의 개국공신인 하륜( 河 崙 )과 조준( 趙 浚 )이 이곳에서 잠시 은거하였다 하여 두 사람의 성을 따서 하조대( 河 趙 臺 ) 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1) 조선 정종 때 정 자를 건립하였으나 퇴락하여 철폐되었으며, 수 차례의 중수를 거듭하여 1940년에 8각정을 건립하였으나, 2) 한국전쟁 때 불에 탄 것을 1955년과 1968년에 각각 재 건되었다. 하조대는 동해바다의 절경을 볼 수 있는 돌출 된 만( 灣 )의 정상부에 위치하여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고 있는 곳이다. 현재의 건물은 1998년 해체 복원한 건물로 3) 초익공굴도리 양식의 육모정으로 지붕에 절병통을 얹어 소나무와 함께 주위의 자연경관과 잘 어울리고 있으며, 정자각 앞에는 조선 숙종 때 참판 벼슬을 지낸 이세근( 李 世 瑾 )이 쓴 하조대 3자가 암각( 岩 刻 )된 바위가 있다. 이곳은 인접한 하조대 해수욕장과 함께 양양을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양양의 관광명소중의 하나이다. 234

247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한자어를 많이 씀. 문장이 김. 전문용어 설명필요 - 은거 - 퇴락 - 철폐 - 중수 문장 3) 전문용어 - 초익공굴도리 양식 - 절병통 문장 1) 주어 술어 불일치. (사람이) 정자를 건립하였으나...(정자가) 철폐되었으며 문장 2) 주어 술어 불일치. 불에 탄 것을... 재건 되었다. ⓷ 현재 영문 해설문 (1)Hajodae was named from Haryun and Jojun(Ha and Jo are their surnames), who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2)the Joseon Dynasty. The were exiled to Yangyang in late Goryeo Dynasty. This pavilion was first built at the time of (3)King Jeongjong(1399~1400, the seco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4)(, but it was seriously damaged and destoryed. It was rebuilt several tim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gain in an octagonal shape in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a new pavilion was built in 1955 and the present pavilion was constructed in The present building was (5)remodeled completely with a six-sided pavilion, (6) round beam pillars and a traditional style roof in Hajodae is very famous for its gorgeous scenery, because it is located on the top of a hill near the sea. This building is harmoniz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eautiful pine trees, the blue East Sea and the white, bright sands. There is a rock carved with the three characters of HA JO DAE in the front of this building, which war written by (7)Lee, Segeun who had been a governor at the time of (8)King Sukjong(1674~1720), the nineteen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Many people visit this pavilion and Hajodae beach year round, the pavilion is one of the most famous tourist attractions in Yangyang-gun. 235

24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이 길고 문단 나눔 없음. 문장 5) 문장 6) 어색한 표현. Joseon Dynasty 의 무의미한 반복, 왕에 대한 정보 (제 몇 대 임금) 등 장황하고 어색한 영문임. 문장 1) 문장 5) 기본적 문법 오류. 전체 원어민 감수 받을 것을 권고함. 문장 4) 표기법 오류. 괄호와 콤마. 문장 3) 재위년도 표기법 오류. 1399~1400 앞에 r. 삽입권고. 문장 7) 영문표기법 오류 Lee, Segeun Yi Se-geun 러. 고인돌 고창 고인돌 유적 ⓵ 현재 국문 해설문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1 코스 1) 이 지역 고인돌의 형식은 매우 다양하다. 이곳에는 능선을 따라 탁자식 1기, 바둑판식 12기, 개석식 28기, 기타 12기 등 53기의 고인돌이 있다. 고인돌의 모양도 매우 다양하여 고인돌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2 코스 이 지역의 고인돌은 동서로 약 276m에 걸쳐 41기가 줄지어 있는데 바둑판식 16기, 개석식 11기, 기타 14기 등 41기가 있다. 특히, 1기의 지상석곽형과 3기의 거대한 고인돌은 (2) 보 는 이에게 경외감을 주는 동시에 고인돌 축조 과정에 대해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3 코스 이 지역은 고창 고인돌 유적의 중심에 있으며, 바둑판식 37기, 개석식 50기, 기타 41기 등 128기가 밀집해 있다. 이곳에는 무덤방이 지상에 드러난 지상석곽식 고인돌이 많은데 이 형식은 고창 고인돌의 특징이기도 하다. 236

249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보충설명 필요부분 고인돌이 무엇인지 간단한 설명 필요 문장 1) 은 고창 고인돌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이 세계적으로 특이하게 고인돌 유산이 많은 지역임을 설명할 것을 권고함. 문장 (2) 객관적인 표현 필요함. 의문을 불러 일으킨다 는 부정적 함의의 표현 보다는 궁굼증을 갖게 한다. 가 적합함. ⓷ 현재 영문 해설문 The 1st course of Gochang Dolmen Sites Dolmen found in the place are widely varied in shape. Along a mountain ridge, 53 dolmens are positioned including 1 Table, 12 Go-table (Chessboard) and 28 Capstone (No support stones) type etc. Diversified dolmens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ir structure well. The 2nd course of Gochang Dolmen Sites 41 dolmens, including 16 Go-table (Chessboard) and 11 Capstone (No support stones) type etc, stand in rows of around a 276m range from east to west. 1) Vistors should marvel at prehistoric culture when staring at one aboveground stone-lined type and three megalithic dolmens. Megalithic dolmens bring up questions of their construction methods at the same time. The 3rd course of Gochang Dolmen Sites The center of the Gochang Dolmen Sites; 128 dolmens, including 37 Go-table (Chessboard) and 50 Capstone (No support stones) type etc, are highly concentrated here. Lots of dolmens called "Aboveground stone-lined type"are exposed with their stone coffin on the ground, which is a "Feature of Gochang Dolmen,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매우 생경한 표현의 영문 문장이 다수임. 문장 1)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서술임. 237

25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머. 고인돌 도산리 고인돌 ⓵ 현재 국문 해설문 도산리 고인돌은 탁자식으로, 마을 사람들이 1) '망군대( 望 君 臺 )', '망북단( 望 北 壇 )', '괴 인바위'라고 부르고 있다. 이 고인돌은 장사가 들어서 옮겼다는 축조에 관한 이야기가 전 하고 있으며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이곳 출신 송기상이 2) 청( 淸 )과 화의가 되 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곳에서 일생 동안 망북통배( 望 北 痛 拜 )하였다고 한다. 이 고인돌은 약 200년 전부터 장독대와 함께 있어 장독대 고인돌로 널리 알려져 있다. ⓶ 국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국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전문용어 설명필요 망군대, 망북통배. 문장 2) 보충설명 필요부분 청과 화의가 왜 슬픈 사실인지 역사적 배경을 설명할 것을 권고. 예: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⓷ 현재 영문 해설문 A Table type of 1) dolmen placed in Dosan-ri is called "Manggundae", "Mangbukdan" or "Goeinbawi" among the inhabitants. 2) A legend of the dolmens,construction, transmitted orally, is that a strong man lifted up the dolmen to build it. "Mangbukdan"originated from the story of Song Gi sang, Who raised a righteous army to defend the country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He lamented with grief and bitterness toward the north where the King was, because the King ended the war by signing a humiliating peace treaty with Manchu 3) (Ch'ing Dynasty). The dolmen is also known as the 'Jang-dok-dae' dolmen since the dolmen was used for "Jang-dok-dae". (Reference: Jang-dok-dae means where Ong-gi are placed, dark brown pottery which contained soybean paste, soy sauce and chili pepper paste.) 238

251 Ⅲ. 문화재 해설문 개선 방향 및 작성 지침 ⓸ 영문 해설문의 개선을 위한 지침 번호 및 권고 사항 지침번호 지침 1 지침 2 지침 3 지침 4 지침 5 현재 영문 해설문의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권고 사항 문장 1) 부자연한 영문. 밑에 설명이 있지만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영문 표현임. 문장 2) 콤마등 표기 오류 문장 3) Ch ing Qing 239

252

253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254

255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문화재 안내판 은 문화유적지가 있는 현장에서 그 문화재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 공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향후 이와 같은 성격의 문화재 안내 기능은 안 내판에만 의존하기보다 디지털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문화유적지를 방문하는 국민들의 상당수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 바일 기기를 휴대하고 있고, 실제로 현장에서 문화유산과 그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는 목적으로 그러한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문화재 안내 시스템은 오프라인 안내판과 디지털 기반의 유 무선 안내 체계 가 효과적으로 상보적 관계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전망 하에, 이 장에서 는 현재의 디지털 문화재 정보 시스템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종합적인 문화재 안내 시스템으로의 발전 전략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1.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의 현황 및 발전 과제 1)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 현황 문화재청을 비롯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산하의 공공 기관 및 민간 영역에서 국민들 에게 서비스하고 있는 문화재 관련 정보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42. 문화재 관련 지식 정보 사이트 운영기관 사이트명 주제 정보제공 형태(출력물) 문화재청 문화재 검색 지정문화재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문화재청 (국립문화 재연구소) 국가문화유산포털 포털 서비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PDF 문화유산디지털허브 포털 서비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PDF 국가기록유산 기록유산 텍스트, 이미지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 문화재지도 지도, 텍스트, 이미지 일제강점기자료관 일제 강점기 조선고적도보 이미지, PDF 북한문화재자료관 북한문화재 이미지, 텍스트 243

25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금석문종합정보관 금석문 이미지, 텍스트 국외소재한국문화재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이미지, 텍스트 미륵사지디지털콘텐츠 미륵사지 관련 문화재 이미지, 텍스트, PDF 경주석탑보수정비 석탑 이미지, 보고서 문화유적총람 지정문화재 이미지, 텍스트 몽골알타이유적정보 몽골에 있는 문화재 이미지, 텍스트, PDF 한국학중 앙연구원 한국콘텐 츠진흥원 기초 자치단체 민간 포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화재관련정보 텍스트, 이미지 향토문화전자대전 기초 자치단체 소재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문화재 오디오, 전자지도, VR 문화콘텐츠닷컴 역사, 문학, 국악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민속 등 전통문화 오디오, 3D, VR 등 홈페이지 및 기초 자치단체 소재 문화관광사이트 문화재 텍스트, 이미지 다음 문화유산 문화재정보 지도서비스 텍스트, 이미지, 지도 가. 국가문화유산포털( 국가문화유산포털은 기존의 국가문화유산, 사이버문화재탐방, 국가기록유산, 문화재청 누리집 등으로 분산 제공하던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하나로 통합하고, 문화재청과 관계기관 등에서 보유한 디지털 콘텐츠 180만여 건을 추가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이다. 문화유산 설명자료, 사진, 동영상, 도면, 조사연구자료, 출토유물자료 등의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한다. 검색 창에 키워드를 넣고 검색을 하게 되면 문화유산, 사진, 동영상, 도면 3D, 조사연 구자료 항목으로 검색 결과가 나오게 되며, 각 항목은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 GIS 정보, PDF문서 등의 디지털 문화재 자원을 검색결과로 보여준다. 독립적으로 구축된 다종의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 나, 종합 서비스 시스템 구축 시에 필수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메타데이터가 문화재의 내용보다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보 위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특화된 주제(문화재)의 포털에 기대하는 정보 검색의 전문성을 담보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244

257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표 43. 국가문화유산포털 메타데이터 문화유산 사진 동영상 도면 3D 조사연구자료 종목 파일포맷 공개여부 시대 출처 자료구분 위치 파일크기 출처 분류 해상도 생산기관 위치정보 재생시간 발행기관 간략한 설명 저작권자 발행연도 촬영일자 조사년도 지역상세 분류명 국가 시대 소장기관 국가문화유산포털의 각 메타데이터 항목을 살펴보면 관리정보가 절대 다수를 차지 하고 있다. 이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인물, 역사적 사건, 문화개념, 장소 등의 키워드로 정보를 찾고자 할 때 각 디지털자원과 연결되는 메타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은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운영하는 문화재 지식 정보 포털이다. 이 포털에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의 결과물을 유형, 시 대, 지역, 지정별 디렉터리 서비스로 제공하며 각종 보고서와 도면, 저널을 PDF문서 또 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디지털 자원으로 제공한다. 또한 고고학사전, 금석문종합정보관, 국외소재한국문화재 등의 지식정보 사이트들과 연계되어 각각의 자체 사이트에서 서비 스 되도록 하고 있다. 245

25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표 44.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메타데이터 보고 학술조사자료, 국외소재 문화재 한국문화재 고문헌 금석문 도서명 명칭 유물명칭 유물/유적명 명칭 발행연도 종별분류 분류 출판사항 시대 형태사항 소재지 수량 저자사항 연대 초록 시대분류 시대 출판사항 유형/재질 주기사항 조사년도 소장처 형태사항 문화재지정 국가분류 유물번호 요약설명 크기 부서명 상세설명 출토지 사업분류 보고서 수록명칭 소재지 지정사항 보고서 도판번호 서체 사업설명 찬자/서자/각자 간단한 설명 참고문헌 관련금석문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의 디지털 자원 각각의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자원의 원 대상 (Object)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관리 정보 위주의 메타데이터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용에 기반을 둔 심도 있는 검색과 유관 자원의 연계 활용에는 불편함이 있다. 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문화에 대한 종합백과사전이지만, 국가 지정 문화재 및 광역시와 도 지정 문화재를 항목에 포함하고 있어서 문화재 정보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1991년 12월 31일 초간본이 발행된 이후 4년 뒤인 1995년에 CD-ROM형태의 디지털 백과사전으로 편찬되었으며 2001년 1월에 온라인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7년에 기존 내용의 개정 및 오류 들을 수정할 목적으 로 개정증보가 이루어졌으며 이 작업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온라인서비스를 제공 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기본 메타데이터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기본 메타데 이터는 한글항목명, 한자항목명, 이칭별칭, 키워드, 분야, 유형, 시대, 개별웹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246

259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기본 메타데이터에 외에도 실제 서비스되는 기사를 통해 메타데이터 정보를 더 찾아 낼 수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기사는 크게 간략정보, 정의, 개설, 내용, 특징, 의의와 평가, 참고문헌, 관련시청각, 콘텐츠이력 순으로 구성된다. 간략정보는 세부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자, 분야, 유형, 시대, 성격, 건립시기/연도, 규모(면적), 소재지,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지정번호, 문화재 지정일, 집필자이다. 간략정보와 정의 내용 참고문헌 관련시청각 콘텐츠 이력은 필수요소이고 내용 특징 의의와 평가는 기사 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게 된다. 표 4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메타데이터 기사구성 한글항목명 한자 분야 유형 시대 간략 정보 성격 건립시기/연도 규모(면적) 소재지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지정번호 문화재 지정일 집필자 내용 정의 개설 내용 특징 의의와 평가 관련시청각 콘텐츠이력 내용구성 지명 기관 인명 서명 기사내용은 지명, 기관, 인명, 서명 등의 정보로 기사 본문 텍스트를 특정 정보로 인 식하게끔 하였다. 경복궁 기사를 예시로 자세히 알아보면,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는 장소로, 신도궁궐조성도감( 新 都 宮 闕 造 成 都 監 ) 는 기관으로, 이성계 는 인물로, 시경 주아( 周 雅 ) 는 서명으로 구분하여 문맥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2) 온라인 문화재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제 현재의 문화재 관련 온라인 지식 정보 시스템은 처음부터 이용자를 위한 안내 시스 템으로 디자인된 것이라기보다, 문화재의 관리 및 조사 연구의 목적으로 생산 축적된 데이터를 국민들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이용자를 위한 특화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한 사례가 있으나 그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 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처럼 이용자들을 위해 새로 편찬된 저작물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오프라인 도서의 원고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온라인 미디어에 옮겨 놓은 것으로 서, 디지털 정보 시스템의 요건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문화재청과 각 부처 산하의 공공기관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정보 시스템이 고객 맞춤 형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국민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특정 주제의 문화유산 안 내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 서비스를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 247

26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다. 특히 스마트폰의 이용률의 급속한 중대에 발맞추어 기관마다 문화유산 관련 모바 일 앱을 개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상호 연계도 없이 기관별, 대상 별로 만들어져 사이버 공간에 뿌려지는 문화유산 앱 은 실제로 그 이용 효과가 높다 고 보기 어려우며 대다수의 국민들은 그러한 정보 상품이 있다고 하는 사실조차 알기 어렵다. 디지털 문화유산 정보 시스템이 국민들에게 우리 문화재에 대한 관심과 바른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 시스템 상호간의 유기적인 연계 장치를 마련하여 정보 가치 를 증대시키는 노력과 함께 국민 들이 그 가치 있는 정보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접근성 제고 의 노력이 필요 하다. 문화유적지 현장에 물리적 시설물로서의 안내판 만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안내판 에서 미처 설명하지 못한 중요한 정보를 모바일 기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게 하고, 이 를 통해 촉발된 이용자의 호기심을 보다 전문적인 내용을 담은 주제별 문화재 정보 시 스템의 정보 시스템으로 이어주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디지털 시대의 기술 환경 및 지식 정보 소비 형태에 부합하는 문화재 안내 시스템의 개발 과제일 것이다. 이미 양적으로 적지 않은 문화유산 지식 정보의 정보 가치와 함께 이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가문화유산포털, 박물관 소장 유물 DB과 같은 직접적인 문화재 정보와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은 문화재 관련 지식 정 보, 그리고 관광공사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관광 안내 시스템, 그리고 오프라 인 문화재 안내판 사이에 관련 있는 정보를 이어서 볼 수 있는 연계 장치 를 마련하 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문화재 지식 정보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야기들 을 미리 설계된 문화유산 온톨로지(Ontology) 19) 에 의거하여 유형화 한 후, 각각의 정 보가 일정한 메타데이터를 갖게 하고, 데이터 상호간의 의미적 연관 관계를 기술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갈 수 있다. 모바일 장비를 통한 디지털 안내 시스템이 이용자의 흥 미를 유발하면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공간의 정보를 문화유적지 현장의 실물에 바로 이어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20) 기술 등 다양 한 시각화 방법과 정보 서비스 기술이 강구되어야 한다. 19) 온톨로지(Ontology): 특정 분야의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 특정한 영역(domain)에 존재하는 사 물이나 지식이 정보의 단위로 취급될 수 있도록 객체화 하고, 객체 사이의 의미적 연관 관계를 관계를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그 대상 세계에 대한 지능적인 검색과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온톨로지는 지식개념을 의미적 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도구로서 시맨틱 웹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20)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지털 정보나 그래픽 형상을 실제 환경에 투시하여 현실 세계의 사물과 가상 세계의 정보가 하나로 융합되어 활용되도록 하는 기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의 한 분야. 248

261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2. 디지털 기반의 문화재 안내 체계 구현을 위한 추진 전략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나날이 가깝게 다가가고 있는 디지털 환경은 문화재 안내 서비 스라는 관점에서 볼 때 더 이 이상 보조적인 장치 아니라 일차적인 소통의 매개자 역 할을 담당해 가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의 Ⅰ장~Ⅲ장에서 분석한 문화재 안 내판의 문제점 개선 및 발전 과제는 물리적인 오프라인 안내판의 보수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문화재 안내 패러다임 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야 한다. Ⅵ-1에서 살펴 본 문화재 정보의 온라인 서비스의 발전 과제도 그러한 기반 위에서만 올바른 해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가칭) 디지털 문화재 안 내 체계 의 구현을 위한 추진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사업 개요 가. 사업명 및 추진 기간 사업의 명칭: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 구현 추진 기간: 2015년 ~ 2019년 (5년) 추정 소요 예산: 총 60억 (5년) 나. 추진 목적 ⓵ (정부 3.0) 국민의 대다수가 모바일 통신장비를 보유하는 시대. (2014, 스마트폰 이 용자 4천만 명 돌파) 디지털 시대의 기술 환경과 국민 수요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 심의 맞춤형 문화재 안내 서비스의 제공 ⓶ (한류 3.0)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은 대중문화를 넘어서서 한국의 전통문 화, 생활문화에 다가가고 있는 추세. 우리 문화재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고품격 외국어 콘텐츠의 제공. ⓷ (문화재 안내 데이터 통합) 문화재청 및 유관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문화재 안내 데이터 를 통합, 연계하고 공동 활용토록 함으로써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중복 사업 방지. ⓸ (행정기초자료 확보) 문화재 안내판 개선 및 종합 정비 계획 수립 행정기초자료 확보 ⓹ (창조경제) 심도 있는 문화재 데이터의 공유 환경을 조성하여 2차적 문화콘텐츠 생 산을 촉진. 일자리 창출과 창조 경제 지원. 249

26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다.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의 미래상(Vision) 및 사명(Mission) 그림 18.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의 미래상 및 사명 250

263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라. 사업 추진 환경 및 추진 방향 그림 19. 문화재 안내 체계 사업 추진 환경 및 추진 방향 251

264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 주요 추진 과제 가. 개방형 문화재 해설문 포털 개발 및 운영 ⓵ 개방형 문화재 해설문 포털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 구현의 첫 단계는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재 설명 콘텐츠의 제작. 이를 위해 국민들 스스로 현행 문화재 안내판의 해설문 속의 잘못 된 부분을 수정하고, 대안 및 (이용자 관점에서) 보다 흥미로운 문화재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사용자가 기 구축된 문화재 정보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해 피드백 (오류 신고, 개선 제안 등) 및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용자 참여 시스템 개발. 이용자가 콘텐츠의 수정, 증보에 참여할 수 있는 위키(Wiki) 프레임워크의 도입. 가칭 문화재 위키 ⓶ '문화재 위키' 구현 전략 본 연구(문화재 안내판 분석 연구) 결과물로 산출된 문화재 안내판 국영문 XML 데 이터 활용하여 이를 기본 데이터로 제공하고, 이것을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첨삭할 수 있도록 함. 문화재 해설문 기본 텍스트 외에도 본 연구(문화재 안내판 분석 연구)를 통해 조사 된 다양한 문화재 용어를 항목으로 제시하여 이용자들이 문화재용어사전 콘텐츠를 만들어 가도록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재 해설문과 용어사전에 수록된 관련 지식이 하이퍼링크(Hyperlink)를 맺을 수 있도록 함. 이용자가 현장에서 촬영한 문화유적 사진, 동영상 및 이에 대한 캡션 등도 기고할 수 있 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심도 있는 문화재 안내 콘텐츠를 국민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함. 국민들의 참여를 통하여 국문 영문뿐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 페인어, 동남아 제국 언어로 쓰인 해설문의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공 재 원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우리 문화유산 정보의 세계화 콘텐츠 증보. ⓷ 이용자 생산 콘텐츠 품질 제고 방안 본 연구(문화재 안내판 분석 연구)에서 도출한 문화재 해설문 작성 및 표기 지침을 문화재 위키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이용자 생산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의 표준화 및 고품질화를 유도. 252

265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이용자 피드백 및 이용자 참여로 생산된 정보를 전문가가 검토 인증하여 정보의 공 신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마련 우수한 해설문 기고자 및 오류 발견, 개선안 제시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모범 이용자에게 사이버 문화재 해설사 의 타이틀을 부여하는 등 자발적 기고 (contribution)를 장려하는 환류 시스템 운영(표창, 시상 등). 우수한 해설문안(국문 및 영문)은 공식 문화재 해설문 콘텐츠에 반영. 중요 문화재에 대한 영문 해설문은 영문 위키피디아(Wikipedia)에 바로 수록하게 함 으로써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세계인의 이해 증진 도모 나. 유적지별 디지털 문화재 안내 콘텐츠 편찬 ⓵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를 위한 해설문 콘텐츠 제작 본 연구(문화재 안내판 분석 연구)를 통해 조사된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개선 과제 및 개방형 문화재 해설문 포털(가칭 문화재 위키 )의 운영을 통해 수집된 이용자 제안 사항을 반영한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콘텐츠의 제작.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은 단순히 문화재 해설 문안을 디지털 데이터로 제공하 는 장치에 머무는 것이 아님. 문화재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설명을 그 출발점으로 하되, 해당 문화재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지식 정보를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부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하고, 이용자의 관심도에 따라 기존의 문화재 지 식 정보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문적인 정보로까지 지식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종합적인 문화재 지식 정보 네트워크 의 구현을 목표로 함. ⓶ 오프라인 안내판과 연동하는 확장된 안내 정보 제공 문화유적지 현장에 설치된 오프라인 안내판은 해당 문화재의 핵심 가치를 위주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설명만을 제공. 이 경우, 안내판 해설문에서 생략될 수밖에 없는 부수적인 지식 정보를 디지털 안내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가 선택적으 로 획득할 수 있게 함. 부수적인 지식 정보는 인물, 사건, 장소, 문헌, 개념 용어, 관련 문화유산 등 유형별로 정리하여 사전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안내 시스템 상에서 실시간으로 참조될 수 있도록 함. 용어사전 구축 필요 항목 수(현행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인명 및 기관명 1,500건 / 지명 1,300건 / 사건 100건 / 문헌 100 건 / 개념 용어 4,000 건 등 총 8,000 항목 253

266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또한 인물, 사건, 장소 등의 개별 지식 요소는 상호간의 의미적 연결 고리를 갖게 함으로써 해당 문화재를 중심으로 하는 지식 정보의 연결망이 형성되도록 함. 그림 20. 문화재 지식 정보 연결망 예시 다. 다매체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⓵ 증강현실 문화재 안내 서비스 문화유적지 현장을 방문한 이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대상 문화재를 투시하면서 그 문화재의 이해에 필요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안 내 시스템을 구현 예시: 건물이나 석조 조형물의 형상을 보면서 특정 부분을 클릭하면 그 양식을 설명하는 용어와 해설을 볼 수 있게 하고, 건물에 걸린 편액이나 금석문을 보면 서 그 글귀의 해석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것 스마트폰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 및 자이로(Gyro) 시스템의 방향 탐지 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바라보는 대상 문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적인 시스템의 개발 254

267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3D 파노라마, 3D 모델링 데이터를 활용한 가상현실 시각화를 통해 현장 밖에서도 문화재 관람과 관련 지식의 탐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 ⓶ 유비쿼터스 디지털 문화재 안내 서비스 유비쿼터스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 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 기 구축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을 통하여 문화유적지에서 확장된 문화유산 정 보를 획득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폰 앱 개발 기 구축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을 통하여 실내에서 PC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 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문화 유적지의 현장감을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그림 21. 멀티미디어 안내 기능 예시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라. 문화재 지식정보 네트워크 구현 ⓵ 문화재 해설문의 중앙 집중 관리 문화재 해설문은 오프라인 안내판뿐 아니라 디지털 안내 시스템 상에서도 모든 안내 기능의 출발점이 되는 정보이며, 디지털 안내 시스템의 활용 효과를 좌우하는 토대. 255

268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따라서 디지털 문화재 안내 체계의 도입과 함께 향후 전국의 문화재 안내판 해설문 은 문화재청에서 집중적으로 통합 관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 전국의 지정 및 등록 문화재에 대한 국문 및 영문 해설문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 고, 문안 개선 및 오류 수정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칭) 문화재 해설문 통합 관리 시스템 의 개발 운영. 현재 문화재청 및 유관기관에 기 구축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3D 데이터 등 의 문화재 관련 데이터의 연계 활용성 조사 및 조사 결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PC, 스마트폰, 문화유적지 현장에 설치한 디지털 안내판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활용 가능한 안내 서비스 시스템 개발. ⓶ 문화재 유관 정보 연계를 틍한 문화재 지식 정보 네트워크 구현 문화재 해설문 정보를 중심으로, 현재 문화재청 및 문화재연구소 내에서도 독립적 으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문화재 관련 정보, 지방자치단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국관광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국토지리원, 국립중앙도서관, 민간 포털 등이 보유하 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문화재 관련 정보가 상호 연계하여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 는 정책의 시행. 현재의 국가문화유산포털 에서 시행하는 통합 검색 (Federated Search) 21) 방식에 머 물지 않고, 문화재명, 인물, 장소, 시간, 사건, 개념용어 등 문화재 해설문 상의 키워 드(문맥요소: Contextual Elements)가 그와 유관한 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 맨틱 웹 (semantic web) 22) 방식의 연계 시스템 구현을 추구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온톨로지 기반의 문화재 관련 인물, 장소, 시간, 사건, 개념용어 사전 을 구축하고, 각각의 표제어에 대해서는 표준화된 식별자(identifier)를 부여해야 하 며, 이를 모든 유관 기관 및 민간이 공유 활용하도록 장려해야 함. ( 문화재청의 문화재 정보 콘텐츠 제작 및 보완, 개선 사업에서부터 우선 적용) ⓷ 정부 3.0의 취지에 부합하는 유관 데이터 융합 서비스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은 문화재청의 국가문화유산포털은 물론 지방자치단체, 지역 민간단체, 한국관광공사, 한국학중앙연구원, 민간 레저 정보 포털 등의 문화재 유관 관광 안내 데이터와 연계하여, 이용자들의 지식 수요뿐 아니라 관광 레저 수 요에 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문화재 안내 정보가 관광객을 위한 편의 시설, 지역 특산물에 대한 정보로까지 확 21) 통합검색(Federated Search): 하나의 질의에 대해 여러 개의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동시에 검색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나로 묶어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방식. 22) 시맨틱 웹(Semantic Web): 인터넷 상에서 자원과 자원 사이의 관계를 미리 설계된 온톨로지(Ontology)에 따라 표현함으로 써 컴퓨터가 이를 해석하여 웹 자원 상호간의 의미론적 연계와 추론이 가능하도록 하는 월드 와이드 웹 프레임워크. 256

269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대되게 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효과 기대. 문화재의 경제적 부가 가치를 증대시키는 이러한 융합 서비스는 중앙 정부(문화재 청)에서 직접 개발 운영하기보다,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 관심과 투자로 이루어지 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문화재청은 이를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함. 정부 3.0의 취지 부합하는, 문화재 관련 데이터의 공유 활용 환경 조성 필요: 문화재 청에서 편찬 또는 조사한 문화재 해설문(국문 및 외국어) 데이터를 비롯하여 지도, 도면, 사진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 문화재연구소의 문화재 조사보고서, 문화재 보수 를 위한 3D 데이터 등 문화재 관련 데이터의 대국민 공유 시스템 구축(SNS 공유, 원본데이터 직접 다운로드 및 OpenAPI 등 가용한 모든 방법 동시 제공) 그림 22. 문화재 지식 정보 네트워크 개념도 마. 디지털 기반의 문화유적지 안내판 개선 사업 ⓵ 디지털 안내판 주요 문화유적지 현장에 디지털 기반의 문화재 안내 시스템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내국인 및 외국인 방문자들의 수요에 부응하는 문화재 지식 정보를 제공 문화재 안내판 은 문화유적지가 있는 현장에서 그 문화재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그러나 일정 규격의 사각판 형태로 제작된 현행 문화 재 안내판은 매우 제한된 정보만 제공할 수 있으며, 내용 또는 표기상의 문제가 발 견되었을 때에도 이를 수정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음. 세계화, 한류 확산으로 외국인의 한국 방문 및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증 257

270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대하였으나 현행 문화재 안내판 체계에서는 외국어 안내 기능의 개선에 많은 제약 이 있음. 위에서 제시한 문화재 안내 정보 콘텐츠 및 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구현되면, 이는 인터넷 및 모바일 상에서의 활용뿐 아니라 문화유적지 현장에서 기존의 오프 라인 안내판을 대체하는 새로운 안내 설비를 운용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음. ⓶ 디지털 문화유적 안내 시스템의 구성 형태 디지털 기반의 문화유적 안내 시스템의 구성 형태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방안을 구상 할 수 있음. a. 현행 안내판을 대체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비 설치 운영 b. 현행 안내판 체계를 유지하면서, 보조적인 안내 장치로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비를 설치 운영 c. 현행 안내판 체계를 유지하면서, 방문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가 안내판과 연동하여 문화유적인 안내 기능을 수행 표 46.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구성 형태 구성 형태 구성 내용 장점 단점 a. 디지털 디스플 레이 안내판 설치 현행 안내판을 디지털 디스 플레이 기반의 새로운 안내 시설로 대체 문화재 해설문의 중앙 집중 관리 가능. 신속 한 정보 갱신 및 오류 수정 가능 기본 안내판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하므로 인터렉 티브 기능은 제약. b. 현행 안내판 + 디지털 현장 설비 현행 안내판의 주위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보조적인 안 내 설비 운영 다수의 방문자가 동시 에 보는 현행 안내판 의 장점 유지 물리적 안내판의 내용 갱신 문제 잔존. QR, NFC, ibeacon 등의 c. 현행 안내판 + 스마트폰 연동 기술로 안내판과 이용자의 스마트폰이 상호 연동. 스 마트폰이 안내 보조 역할을 하드웨어 도입 비용의 최소화 물리적 안내판의 내용 갱신 문제 잔존 하게 함. 258

271 Ⅳ. 디지털 문화재 안내 시스템 기본 구상 디지털 문화유적 안내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위의 세 가지 구성 형태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획일적으로 적용할 필요는 없으며, 내외국인 방문자의 수, 제공해야 할 정보량, 물리적인 설치 조건 등 유적지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음. 주요 유적지에 대해서는 복합적으로 a+b+c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 대형 디스플레 이 안내판을 중심으로 주변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소형 안내 키오스크를 두고, 스 마트폰 연동 서비스를 시행 구성 구성 형태 도시 a. LCD 안내판 b. 기존 안내판 + 인터렉티브 키오스크 259

272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 방안 연구 c. 기존 안내판 + 스마트폰 a + c. LCD 안내판 + 스마트폰 a + b + c. LCD 안내판 + 인터렉티브 키오스크 + 스마트폰 그림 23. 디지털 안내판 구성 형태 260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2011 년 3/4 분기지역별고용조사잠정결과 2011 년 3/4 분기지역별고용조사결과 ( 요약 ) . 시지역및군지역의고용특성 . 고용특성별시군현황 . 지역별고용현황 1. 경기도 80.0 (%) 고용률실업률 (%) 10.0 70.0 60.0 50.0 40.0 30.0 20.0 56.0 56.6 53.6 54.6 53.8 55.9 55.7 53.0

More information

¹ßÇ¥¿äÁö229-286

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10 11 12 13 14 부여는 그 도장에 예왕지인( 濊 王 之 印 : 예왕의 인장)이라고 새겨져 있다. 그 나라에는 오래된 성이 있는데, 이름을 예성( 濊 城 )이라 고 한다. 본래 예맥의 지역인데, 부여가 그 가운데 왕으로 있었다. 1 15 16 17 18 19 20 1 2 21 2 22 1 2 23 24 1 2 25 26

More information

연번지역유형지정번호문화재명 9 경남보물 377 거창양평리석조여래입상 10 충북보물 괴산각연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비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 11 경북보물 465 영천신월리삼층석탑 12 경북 보물 13 강원 보물 14 경남 보물 15 경기

연번지역유형지정번호문화재명 9 경남보물 377 거창양평리석조여래입상 10 충북보물 괴산각연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비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 11 경북보물 465 영천신월리삼층석탑 12 경북 보물 13 강원 보물 14 경남 보물 15 경기 공 고 문화재청공고제 2017-350 호 문화재보호법 제 13 조의규정에따라국보제 233-1 호 산청석남암사지석조비 로자나불좌상 등 19 건의건축행위등에관한허용기준을조정하고자 토지이용 규제기본법 제 8 조에의하여다음과같이예고합니다. 2017.11.. 문화재청장 1. 공고명 : 국가지정문화재 < 국보 보물 > 주변건축행위등허용기준조정예고 ( 산청석남암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등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src.xls

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목 차 1. 농업기계보유현황조사개요 2. 조사대상및범위 3. 연도별주요농업기계보유현황 4. 2011 년말주요농업기계보유현황 5. 2011 년말폐농기계보유현황 6. 2011 년말시 도별농업기계보유현황 가. 조사목적 나. 조사근거 다. 조사기준및방법 라. 조사대상 마. 조사내용 < 기종별구분조사대상 > 3. 연도별주요농업기계보유현황 기종별 년도별 농용원동기경운정지기농용양수기

More information

OD..Network....( ).hwp

OD..Network....( ).hwp 예비타당성조사에활용되는 O-D 및 NETWORK 의분석지침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00 죤번호 죤명 인구수 죤번호 죤명 인구수 죤번호 죤명 인구수 1 종로구 190619 42 중구 99971 83 동안구 ( 안양 ) 334582 2 중구 125050 43 동구 342951 84 소사구 ( 부천 ) 204502 3 용산구 246613 44

More information

- 2 -

- 2 - 공공도서관정책제안자료집 2010. 7 02-529-7310, Fax: 02-6442-7310, E-mail : cultureandlibrary@ gmail.com - 2 - 1. 강원도 [ 표 1] 2008 년말기준전국공공도서관 1 관당지표 도서관수 ( 관 ) 연면적 ( m2 ) 장서수 ( 권 ) 직원수 ( 명 ) 사서수 ( 명 ) 예산 ( 천원 ) 자료구입비

More information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28303431323037292E687770>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28303431323037292E687770> The Study of Rearing Traditional Accomodations: The Study of Rearing Traditional Accomodations: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관련 정책 및 현황의 검토 제3장 국내외 사례 조사 분석 제4장 전통고택 및 사찰 템플스테이 활성화 방안 제5장 사업 추진방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More information

어업소득 어업수입 수산물가격 어업생산함수 자가노동력 요소가격 벡터 요소수요 벡터 거시단위 각거시단위의미시단위 총관측치수 i f i f i f i f 종속변인 독립변인노동변인 경영주변인 자본변인 기타변인 변인 SALES 어업수입 (11 구간의각평균값 ) HH HH_SQ FISHER EDUF LABOR GENDER AGE AGE_SQ CARR CARR_SQ

More information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전통산사 문화재 선 8 경기도 강원도 5 7 9 인천 1 서울 4 6 11 13 충청남도 15 14 12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10 25 경상북도 16 20 17 전라북도 121 18 광주 2 전라남도 19 23 21 24 26 경상남도 대구 29 28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지역별가이드 2017년에첫선을보인고품격산사문화재활용프로그램으로전통산사에서계승되는인문학적정신유산과보유문화재의특별한문화적가치를담은

More information

200706ºÎµ¿»êÆ®·£µåc02ªš

200706ºÎµ¿»êÆ®·£µåc02ªš 06 2007 SUMMARY PartⅠ 아파트 시장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3. 분양실적 및 계획 PartⅡ 토지 시장동향 1. 권역별 지가동향 2.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동향 3. 토지거래동향 주요 News Real Estate Trend June 2007 Vol.11 KOREA APPRAISAL BOARD 2 3 4 5 Real Estate

More information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역사 속 행정이야기 :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역사 속 행정이야기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와 명칭에는 조선의 건국 주체세력들의 국왕 정치 및 행정 체계에 대한 이상향이 담겨 있는 것이었다. 들어가는 말 서울은 한국의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17 년해양수산부국고보조금총괄현황 40 2015~2018 () ( ) 1,000 - - 70% 20% 10% (044-200-5444) 73 (%) : 3%( 16) ㅇ,,, 2014~2018 () ( ) 3,540 - - 50%, 20% 30% (044-200-5441) ㅇ (%) - ('14) 6.4% ('15) 20%

More information

#(198~243)교과서한지7ok

#(198~243)교과서한지7ok VII 200 208 214 220 224 230 236 Q 200 201 1 1. 1 202 2 3 2. 1 2 3. 3 1 2 203 204 1 2 3 1. 1 2. 2 3. 3 205 206 1 2 1. 1 2 207 Q 208 209 210 211 212 1 2 3 1. 1 2. 2 3 213 Q 214 215 1 2 1. 1 2 2. 216 217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지도학발달06-7/8/9장

지도학발달06-7/8/9장 3 1 7 17 95101G 421d 221 2 3 4 1971 34 12 1804 1866 1972 31866 4 1 5 33 1866 3 6 31866 3 1803 1877 1804 1866 2 02333 318 4 51 633 3 6 2022 222 31866 1955 1931 3 916 7 1925 1925 10 9 1862 65 8 7 2 1931

More information

?쒓뎅??臾몄젣吏€(珥덇툒)

?쒓뎅??臾몄젣吏€(珥덇툒) 1 3. 1. 2. 4.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로 옳은 것은? 7. ~(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한성을 함락하고 지도와 같이 한강 남쪽을 차지한 고구려 왕이 한 일 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고구려 동 해 황 해 신라 백제 가야 도읍을 평양으로 옮겼습니다. 수나라의 침입을 막아냈습니다. (나) (다) 평양성을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빠른 빠른 시작: 시작: 라이선스, 라이선스, 서비스 서비스 및 주문 주문 이력 이력 보기 보기 고객 가이드 Microsoft 비즈니스 센터의 라이선스, 서비스 및 혜택 섹션을 통해 라이선스, 온라인 서비스, 구매 기록 (주문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작하려면, 비즈니스 센터에 로그인하여 상단 메뉴에서 재고를 선택한 후 내 재고 관리를 선택하십시오. 목차

More information

ad-200200004.hwp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

- 2 -

- 2 - 어린이통학차량관리시스템관리자용입력매뉴얼 - 1 - - 2 - - 3 - - 4 - - 5 - - 6 - 어린이통학차량현황조사표 - 7 - 교육청 ID 목록 시도 지역청 유치원 학교 학원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edsu011 edsu012 edsu013 서울 동부교육지원청 edsu021 edsu022 edsu023 서울 서부교육지원청 edsu031 edsu032

More information

2013지발-가을내지1004-4

2013지발-가을내지1004-4 F E S T I V A L 어깨가 들썩들썩 신명 나는 놀이, 그윽한 추억의 향기, 고소한 맛 찾아 삼만리, 재밌는 체험까지 올가을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줄 가을 축제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 0 1 3 가을호 Vol. 13 가을축제속으로! Vol. 13 가을호 2013 Regions & Development 김제지평선축제 기간: 10월 1일~10월

More information

<B5B9BFA1BBF5B1E4BDC5B6F3C0CEC0C720BFB9BCFAC8A520B1B3C0E72E687770>

<B5B9BFA1BBF5B1E4BDC5B6F3C0CEC0C720BFB9BCFAC8A520B1B3C0E72E687770> 돌에 새긴 신라인의 예술혼을 찾아서 2 돌 에 새 긴 신 라 인 의 예 술 혼 찾 아 서 2. 괘릉 4. 불국사 12. 무열왕릉 15. 경주남산 - 배리석불입상 19. 부 록 - 문화재 세부명칭도 돌에 새긴 신라인의 예술 혼을 찾아서 3 괘릉 릉 이라 부르는 무덤은 왕이나 왕비의 무덤으로 이 름(혹은 시호) 뒤에 릉 자를 붙인다. 그러나 괘릉은 신라 38대

More information

11+12¿ùÈ£-ÃÖÁ¾

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

More information

Ⅰ. 지방의회기본현황 1 Ⅱ. 지방의회상임위원회현황 5 1. 총괄내역 8 가. 상임위설치의회수 8 나. 위원수별상임위원회수 10 2. 의회별내역 12 Ⅲ. 지방의회정당별등현황 37 1. 정당별및성별현황 41 2. 의원 1인당인구수 55 3. 직업별현황 69 Ⅳ. 지방의회의장협의회현황 83 1.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일반현황 85 2.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More information

04 특집

04 특집 특집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시작하는 말 18 특집 :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란? 19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20 특집 :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모하다 21 도서관문화 Vol.51 NO.5(2010.5) 소셜 네트워크와 도서관을 결합시키다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

.... 발간등록번호 11-1250054-000004-10 발간등록번호 11-1250054-000004-10 007 011 016 025 025 029 030 033 035 041 046 046 047 050 057 059 059 061 063 063 071 076 080 084 087 095 095 096 099 099 101 105 108 108 110 114

More information

더바이어102호 01~09

더바이어102호 01~09 www.withbuyer.com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www..kr Tel. 031)220-8685 2 Contents 01 02 08 17 18 TEL. 064720-1380~87 04 06 08 10 12 14 17 18 www.withbuyer.com 3 20 23 24 26 24 26 28 29 30 32 33

More information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GM작물실용화사업단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GM작물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김욱 박사 1. 조사목적 GM 작물 관련 인식조사는 사회과학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GM 작물 관련 인식 추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조사설계 2.1.

More information

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시군별 성별 총인구 및 성비 (2012-2013) (단위 : 명, %) 구분 2012 2013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전국 50,948,272 25,444,212 25,504,060 100.2 51,141,463 25,553,127 25,588,336 100.1 경상북도 2,698,353

More information

8. 세부추진일정 세부사업 주요추진내용 추진시기 종묘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을 탐방 천축사 석굴, 만원보전, 나한전, 종각, 요사 등을 탐방 암사동 선사유적지 신석기 시대 유물 탐방 2002.3 용문사 신라 진덕여왕 3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역사 적 의미를 고찰 경

8. 세부추진일정 세부사업 주요추진내용 추진시기 종묘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을 탐방 천축사 석굴, 만원보전, 나한전, 종각, 요사 등을 탐방 암사동 선사유적지 신석기 시대 유물 탐방 2002.3 용문사 신라 진덕여왕 3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역사 적 의미를 고찰 경 시각장애인 역사 문화탐방 프로그램 사업개요 1. 목 적 시각장애인들에게는 보행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청각과 촉각에 의존하는 시각 장애인들에게는 듣기만 했던 여러 문화사적이나 건축물, 유물들을 직접 만져 보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역사적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서울의 명소를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민족적 자긍심과 서울 문화에 대한 올바른 지각을 갖게 함으로써

More information

경영평가결과평가등급내역 구분가나다라마 총계 (343 개 ) 34 개 (9.9%) 103 개 (30.0%) 153 개 (44.6%) 41 개 (12.0%) 12 개 (3.5%) 행자부 (154 개 ) 18 개 (11.7%) 45 개 (29.2%) 75 개 (48.7%)

경영평가결과평가등급내역 구분가나다라마 총계 (343 개 ) 34 개 (9.9%) 103 개 (30.0%) 153 개 (44.6%) 41 개 (12.0%) 12 개 (3.5%) 행자부 (154 개 ) 18 개 (11.7%) 45 개 (29.2%) 75 개 (48.7%) 지난한해지방공기업들운영성적표나왔다 - 2017 년도지방공기업경영평가 (2016 년도실적 ) 결과공개 - * 특정공사 공단 : 도시철도 도시개발공사를제외한농수산물공사 관광공사등기타공사, 기초자치단체에서설립한도시개발형공사, 경륜을주된사업으로하는공단 - 1 - 경영평가결과평가등급내역 구분가나다라마 총계 (343 개 ) 34 개 (9.9%) 103 개 (30.0%)

More information

«⁄µÂ∫œ≥ª¡ˆπ–±‚¿¸

«⁄µÂ∫œ≥ª¡ˆπ–±‚¿¸ 자체-보건의료-2012-2 의료자원 통계 핸드북 의료자원 통계 핸드북 자체-보건의료-2012-2 의료자원 통계 핸드북 Contents 전국편 1. 의료기관종별 기관수, 병상수 2 2. 5년간 의료기관종별 기관수 변화 3 3. 5년간 의료기관종별 병상수 변화 4 4. 의료기관종별 병상규모별 기관수 5 5. 의료기관종별 병상규모별 병상수 6 6. 의료기관종별

More information

회의일시 : 2015. 4. 17.( 금 ), 14:00~19:00 장 소 : 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센터세미나실 출석위원 : 심정보, 박강철, 최성락, 최성자, 박광춘, 강현숙, 김권구 ( 이상 7 명 ) 심의내용및의결사항 : 이하자료와같음 안건번호매장 2015-04-01 1. 서울김포공항대중골프장및주민체육시설조성사업부지문화재지표조사 인서울27골프클럽주식회사가추진하는서울특별시강서구오곡동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05 ƯÁý

05 ƯÁý Special Issue 04 / 46 VOL. 46 NO. 4 2013. 4 47 Special Issue 04 / 48 VOL. 46 NO. 4 2013. 4 49 S pecial Issue 04 / IHP 7단계 연구사업 구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연최대 강우량 침수면적 인명피해 재산피해 그림 4. 시군구별 연 최대 강우량과

More information

학부모신문225호최종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2 04 10 11 06 15 2 225 2010.06.05 Q Q Q Q Q Q Q Q Q Q Q 2010.06.05 225 3 Q Q Q Q 4 225 2010.06.05 2010.06.05 225 5 6 225 2010.06.05 2010.06.05 225 7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More information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9 년예산개요 Ⅱ 경상북도예산규모 1. 예산총계규모 2. 세입예산규모 3. 세출예산규모 2019 예산개요 7 8 2019 년도예산개요 근거 : 지방자치법제 133 조 ( 예산편성후행정안전부보고 ) 예산편성심의의결후행정안전부보고, 예산에대한이해의도모와 단체간비교가용이토록정리 예산규모 총계규모 : 24조 478억원 ( 일반 20조 9,774억원, 특별 3조

More information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 2012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2012. 5. 12( ) 2012 1. 1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2012. 7. 4( ) ~ 7. 6( ) 3 등록시간 : 09:00 ~ 18:00. : 2 ( 1 ). 1 3 (A4 1매, 워드작성 붙임서식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freesem.kedi.re.kr CONTENTS 01 연속기획① : 협업기관에 가다! 예술 체육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국민체육진흥공단 에 가다! 02 협업기관을 찾아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폴리텍대학 03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자료집 소개 04 알림 교육부 자유학기제지원센터, 협업기관 소식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자유학기제 Newsletter 알림

More information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간호8급 창원시 16 223 13.9 160 71.7% 18 81.00 간호8급 진주시 2 49 24.5 39 79.6% 2 77.00 간호8급 통영시 7 68 9.7 52 76.5% 7 71.50 간호8급 사천시 6 101 16.8 82 81.2% 7 80.00

More information

최근 년 년 장마경향 지역별장마시종일변화 지역 평년값 ( 년 ) 최근5년 ( ) 평균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전국 (+3.1%) 중부

최근 년 년 장마경향 지역별장마시종일변화 지역 평년값 ( 년 ) 최근5년 ( ) 평균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시작일종료일장마기간 ( 일 ) 전국 (+3.1%) 중부 2016. 5. 30.( 월 ) 10:00 ( 총 21 매 ) 즉시 기상서비스진흥국국가기후데이터센터 센터장이재원 02-2181-0895 기후데이터로보는장마의모든것! - 기상청, 기상 기후데이터를활용한 장마 분석및통계발표 장마란 월하순부터 월하순까지계속해서많이내리는비로 기상학적으로는장마전선의영향을받는경우를의미한다 장마전선은북쪽의찬고기압과남쪽의따뜻하고습한고기압사이에형성되는정체전선으로

More information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국립국어원 2007-01-42 사회적의사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출문 국립국어원장귀하 국립국어원의국고보조금지원으로수행한 사회적의사 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 연구 의결과보고서를작성하여제출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백영주, 양애경, 강혜란, 윤정주 목 차 연구개요 선행연구의고찰

More information

ITFGc03ÖÁ¾š

ITFGc03ÖÁ¾š Focus Group 2006 AUTUMN Volume. 02 Focus Group 2006 AUTUMN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두 길 모두를 가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 곳에 서서 한쪽 길이 덤불 속으로 감돌아간 끝까지 한참을 그렇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는 다른 쪽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이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B3EBC6AE322E687770>

<B3EBC6AE322E687770> 특허등록건수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180000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특허출원건수 내 국 인 에 의 한 특 허 등 록 건 수 내 국 인 에 의 한 특 허 출 원 4000

More information

SIGIL 완벽입문

SIGIL 완벽입문 누구나 만드는 전자책 SIGIL 을 이용해 전자책을 만들기 EPUB 전자책이 가지는 단점 EPUB이라는 포맷과 제일 많이 비교되는 포맷은 PDF라는 포맷 입니다. EPUB이 나오기 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던 전자책 포맷이고, 아직도 많이 사 용되기 때문이기도 한며, 또한 PDF는 종이책 출력을 위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종이책 VS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60000-000017-10 낙뢰연보 ANNUAL LIGHTNING REPORT. 2 0 1 4 일러두기 1. 이연보는전국에설치된 7 대의 IMPACT ESP 센서로관측된대지방전자료중에서, 3 개 이상의센서에서동시에관측된낙뢰자료만분석하였다. 2. 대지방전중전류의세기가 10 ka 이하인정극성낙뢰는구름내방전으로간주하여분석에 서제외하였다.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

%±¹¹®AR

%±¹¹®AR 2004 CONTENTS 03 04 06 14 21 27 34 40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Auf den Spuren der Ostbarbaren Czech-Korean Dictionary 18 19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More information

- 89 -

- 89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있다 장정임 ( 2009). Toylor 와 Betz(1983) 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와 및 등이 개발 (career 와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 은 미래계획수립 문제해결과 같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USC HIPAA AUTHORIZATION FOR

USC HIPAA AUTHORIZATION FOR 연구 목적의 건강정보 사용을 위한 USC HIPAA 승인 1. 본 양식의 목적: 건강보험 이전과 책임에 관한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이라고 알려진 연방법은 귀하의 건강정보가 이용되는 방법을 보호합니다. HIPAA 는 일반적으로 귀하의 서면 동의 없이 연구를 목적으로 귀하의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1998~2008 1998~2008723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728 729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730 731 60-Year

More information

bm-200200004.hwp

bm-200200004.hwp 구분 지원단체 지원품목 수량 금 액 지원경로 2000 북한동포돕기제주도민운동본부 감귤 3,000톤 237 독자창구 강 원 도 농업용 비닐 27,000롤(415톤) 55 한적 북한동포돕기제주도민운동본부 당근 2,000톤 58 독자창구 강 원 도 연어치어55만미방류자재1식(21종)등 13 솔잎혹파리 공동방제 관련 약제 23 한적 남북강원도협력협회 농업용비닐 195톤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NJ52-14-8-062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산외면신정리일원 NJ52-14-8-093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속리산면중판리일원 NJ52-14-8-094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More information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O 매입처 : 유한회사유니스한국자산관리대부 / 연락처 : 02-6010-0084 일련번호생년월일성별고객명대출과목주소1 주소2 1 790208 남 강 * 태 일반자금대출 경기 시흥시 2 900321 여 강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서대문구 3 780830 여 강 * 경 일반자금대출 경기 양주시 4 670509 여 강 * 란 일반자금대출 경기 수원시 5 760411

More information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대 법 원 제 1 부 판 결 사 건 2012두6605 사업시행계획무효확인등 원고, 상고인 원고 1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이인재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외 1인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외 3인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12. 2. 2. 선고 2011누16133 판결 판 결 선 고 2015. 4.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한서대주변개발예정용지 한서대학교 국도38호선 (2~4차로) 국도29호선 (4차로) 국도 38 호선 대산읍 군도 12 호선 가로림만 국도29호선 (4차로) 지곡면군도호선지방도634호선 ( 왕복2차로 ) 서산지방산업단지 성연면 인천 성연농공단지 지방도 634 호선 국지원 70 호선 지방도 649 호선 태안 팔봉면 국도 32 호선 음암면서산 IC 서해안고속도로국도32호선

More information

연구노트

연구노트 #2. 종이 질 - 일단은 OK. 하지만 만년필은 조금 비침. 종이질은 일단 합격점. 앞으로 종이질은 선택옵션으로 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종이가 너무 두꺼우면, 뒤에 비치지 는 않지만,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두꺼우면 고의적 망실의 위험도 적고 적당한 심리적 부담도 줄 것이 다. 이점은 호불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은 괜찮아 보인다. 필자의

More information

<2836C2F7BCF6C1A429C1A631C0E57EC1A632C0E52832B5B5292E687770>

<2836C2F7BCF6C1A429C1A631C0E57EC1A632C0E52832B5B5292E687770> r a T 국가승인(협의)통계 승인(협의)번호 제 13202 호 2015 교통사고통계 2014년 통계 K O R E A N N A T I O N A L P O L I C E A G E N C Y f f i c A c c i d e n t C h a r t 2 0 1 5 2015 2014년 통계 교통사고통계 Contents 01 교통여건의 변화 01. 남녀별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2014 조석표 ( 한국연안 ) 항행통보 : 2014 년 7 호 87 항 정정 2014 년도조석표자료를별지의자료로교체 - 3. 개정수및비조화상수 (p.293 p.299) - 4. 기본수준점표성과 (p.300 p.317) 비고 측량 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제 8 조제 3 항의규정에의거설치한기본수준점의 성과가신설 변경되어별지와같이추보표를발행하오니, 사용하고있는 2014

More information

Çʸ§-¾÷¹«Æí¶÷.hwp.hwp

Çʸ§-¾÷¹«Æí¶÷.hwp.hwp 비위면직자 취업제한 업무편람 2004 부 패 방 지 위 원 회 편람이용안내 비위면직자 취업제한 제도 - 1 - 1. 제도개요 가. 제도의의 나. 법적근거 - 3 - 2. 적용대상공직자 및 부패행위의 정의 가. 공공기관(부패방지법 제2조제1호) - 4 - 나. 공직자(부패방지법 제2조제2호) - 5 - - 6 - 다. 부패행위(부패방지법 제2조제3호)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KOREA NATIONAL PARK SERVICE For the nature as it 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el : 02-3279-2700, 02-3279-2701 Fax: 02-3278-2785~6 E-mail: webmaster@knps.or.kr www.knps.or.kr About This Reports Contents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49),, 2009/08/04;,, 2009/08/16;,, 2009/10/05. - 9 - - 10 - - 11 - 56),, 2009/10/10. - 12 - - 13 - - 14 - 58) 통일부발간 2010 북한권력기구도 의조선로동당조직도를수정하여필자가작성한것임 -

More information

South Korea Seoul Yongsan-gu 퇴계로 206 동대입구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동호로 189 약수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다산로 369 금호 South Korea Seoul Yongsan-gu

South Korea Seoul Yongsan-gu 퇴계로 206 동대입구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동호로 189 약수 South Korea Seoul Yongsan-gu 다산로 369 금호 South Korea Seoul Yongsan-gu 3 지하철시간표 & 노선지도 3 호선웹사이트모드로보기 3 지하철노선 (3 호선 ) 은 ( 는 ) 19 경로가있습니다. 주중운영시간은다음과같습니다 : (1) 구파발 경찰병원 : 오전 5:30 - 오후 11:44 (2) 구파발 일원 : 오전 12:02 - 오후 11:17 (3) 대화 경찰병원 : 오전 5:16 - 오후 10:55 (4) 대화 동대입구 : 오전 12:03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6-17-1 낙뢰연보 ANNUAL LIGHTNING REPORT 2 1 3 기상청낙뢰관측망 (IMPACT ESP) 차 례 제 1 장개요 1 1. 최근 1 년간낙뢰발생횟수 1 2. 전국월별낙뢰발생횟수 1 제 2 장낙뢰발생통계분석 2 1. 광역시 도별낙뢰발생횟수 2 2. 시 군 구별낙뢰발생횟수 7 3. 전국낙뢰발생횟수분포 92 제 3 장낙뢰사례분석

More information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내유적문화재시굴조사약보고서 2015. 10.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126-31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2015-1085 호 (2015.10.06) 조사면적 : 총 125 m2

More information

문화유산헌장 문화유산은우리겨레의삶의예지와숨결이깃들어있는소중한보배이자인류문화의자산이다. 유형의문화재와함께무형의문화재는모두민족문화의정수이며그기반이다. 더욱이우리의문화유산은오랜역사속에서많은재난을견디어오늘에이르고있다. 그러므로문화유산을알고찾고가꾸는일은곧나라사랑의근본이되며겨레사

문화유산헌장 문화유산은우리겨레의삶의예지와숨결이깃들어있는소중한보배이자인류문화의자산이다. 유형의문화재와함께무형의문화재는모두민족문화의정수이며그기반이다. 더욱이우리의문화유산은오랜역사속에서많은재난을견디어오늘에이르고있다. 그러므로문화유산을알고찾고가꾸는일은곧나라사랑의근본이되며겨레사 주요업무통계자료집 문화유산헌장 문화유산은우리겨레의삶의예지와숨결이깃들어있는소중한보배이자인류문화의자산이다. 유형의문화재와함께무형의문화재는모두민족문화의정수이며그기반이다. 더욱이우리의문화유산은오랜역사속에서많은재난을견디어오늘에이르고있다. 그러므로문화유산을알고찾고가꾸는일은곧나라사랑의근본이되며겨레사랑의바탕이된다. 따라서온국민은유적과그주위환경이파괴 훼손되지않도록노력하여야한다.

More information

°ÇÃà»ç¶û2¿ùÈ£-2»©´Ù

°ÇÃà»ç¶û2¿ùÈ£-2»©´Ù 2 I I 3 4 I I 5 6 I TURTLE HOUSE I 7 8 I I 9 10 I I 11 12 I I 13 14 I I 15 16 I 전 면 광 고 2011년 2월 10일(목) 건축문화 건축물의 가치향상, 외장마감의 아름다움 표현 초석건설산업(주)이 최고의 품질과 우수한 시공기술로 실현하겠습니다. 저희 초석건설산업(주)은 차별화된 디자인과 창의성을

More information

200507-0-1.hwp

200507-0-1.hwp 추곡 쌀 옥수수 감자 5) 기타 6) 소계 하곡 밀 보리 감자 소계 583 495 89 60 1,227 70 32 100 201 2.64 3.49 2.90 1.99-2.37 2.04 2.56-1,541 1,727 258 119 3,645 166 64 255 485 583 496 89 54 1,222 63 39 109 211 3.48 4.00 3.25 1.76-2.50

More information

일시 : 2014. 6. 20.( 금 ), 14:00~18:10 장소 : 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센터세미나실 출석위원 : 심정보, 박강철, 이현혜, 최성락, 강현숙, 김권구 ( 이상 6명 ) 심의내용및의결사항 : 이하자료와같음 안건번호매장 2014-06-01 1. 제주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조성사업부지내지표조사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가추진하는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소재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

More information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2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터빈 진동저감 및 IP 1 단 HVOF Coating 등을 설계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More information

한국학 온라인 디지털 자원 소개

한국학 온라인 디지털 자원 소개 XSL 의이해 김현한국학중앙연구원인문정보학교실 hyeon@aks.ac.kr 이저작물 (PPT) 의인용표시방법 : 김현, XSL 의이해, 전자문서와하이퍼텍스트 수업자료 (2018) 1. XSL 이란? 2. XSL Elements 3. XSL 에의한문서표현 1. XSL이란? XSL 관련개념 XSL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문서의스타일을정의하기위한언어

More information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DOI http:ddoi org 10 14380 AHF 2015 41 113 新 興 寺 佛 殿 莊 嚴 壁 畵 考 I. 머리말 朴 銀 卿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규슈대학 문학박사 불교회화사 15 3 3 1 1 * 2013 NRF 2013S1A5A2A03045496 ** : 26 2014; 高 麗 佛 畵 : 本 地 畵 幅 奉 安 問 題 美 術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