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관논총_52집.hwp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국사관논총_52집.hwp"

Transcription

1 중국학계의 만주지역 고고학 연구동향 최 무 장 * Ⅰ. 시 작 말 2. 신석기시대 Ⅱ. 흑룡강성 3. 청동기시대 1. 구석기시대 4. 철기시대 2. 신석기시대 5. 고구려유적 3. 신석기시대말 Ⅳ. 요 녕 성 4. 청동기시대 1. 구석기시대 5. 철기시대 2. 신석기시대 6. 역사시기 3. 청동기시대 7. 발해문화 4. 고구려유적 Ⅲ. 길 림 성 Ⅴ. 맺 는 말 1. 구석기시대 Ⅰ. 시 작 말 만주지역은 현 중국정부가 지칭하는 東 北 三 省 이다. 그곳은 遼 寧 省, 吉 林 省 과 黑 龍 江 省 이다. 이 3 省 의 고고학 연구 동향을 舊 石 器 시대로부터 新 石 器 시대, 靑 銅 器 시대, 鐵 器 시대 및 高 句 麗, 渤 海 시기까지 각 省 별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먼저 흑룡강성의 구석기시대 문 화, 신석기시대 문화, 청동기시대 문화, 발해문화 등, 두번째로 길림성의 구석기시대 문화, 신석기시대 문화, 청동기시대 문화 그리고 고구려문화, 마지막으로 요녕성의 구석기시대 문화, 신석기시대 문화, 청동기시대 문화 그리고 고구려문화 연구동향을 살펴보겠다. Ⅱ. 흑 룡 강 성 서방의 근대고고학이 중국에 전입된 것은 대체적으로 1920년대의 일이다. 그것이 흑룡강 * 建 國 大 學 校 史 學 科 敎 授.

2 - 2 -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지구에 전해진 것은 대체적으로 同 時 代 의 일이다. 그것은 흑룡강 지구가 처한 특수한 역사적, 정치적, 자연적 조건에서 결정되었다. 금일의 흑룡강구 및 呼 倫 貝 爾 지구는 1860년대부터 러시아학자가 상당한 지점에 대하 여 간단히 고고학적 조사를 하였다. 20세기 초에 이르러서 日 人 학자들이 개별조사를 실 시하였다. 20세기 초에 하르빈에 식민색채의 學 術 團 體 가 생겼다. 예를 들면 아라사 皇 家 東 方 學 會 하르빈 分 會 (1908년), 東 省 文 物 硏 究 會 (1922년), 기독교청년회 자연과학과 지리학 구락부 (1924년), 플러왈스키( 布 爾 熱 瓦 爾 斯 基 )연구회(1929년), 그리고 일제시기의 大 陸 科 學 院 하 르빈 分 院 (1937년) 등이다. 상기한 단체와 기구의 인원들이 20세기 초부터 1949년 이전까 지 약 40년 동안 北 滿 과 呼 倫 貝 爾 지구에서 대량의 고고조사와 발굴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한 작업은 대부분 하르빈에 거주하던 러시아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진정한 계 획적이고 조직적인 고고작업은 대략 1922년에 세워진 東 省 文 物 硏 究 會 를 중심으로 이루 어졌다. 동성문물연구회 내에는 考 古 와 人 類 學 部 가 있었다. 연구원은 러시아인 B.Я. 托 爾 馬 喬 夫. B.B. 包 諾 索 夫, B.H. 阿 林 (아린), K.B. 革 洛 霍 夫 斯 基, П.K. 鳥 沙 特 등이다 년 사이에 하르빈시 주위지구와 中 東 철로의 濱 洲, 綏 濱, 하르빈에서 陶 賴 昭 沿 線 일대까 지 고고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주로 선사유적, 遼 金 古 城 유적과 고분 등이다. 예를 들면 金 上 京 故 城 유적, 根 河 口 古 城, 자라이놀( 札 賚 諾 爾 ) 및 하라이( 海 拉 爾 ) 등지의 선사유 적 등이다. 1923년 동성문물연구회에서는 부속박물관을 세웠다. 1927년 원 아라사동방학회하르빈 분원과 동성문물연구소가 합병하였다. 1928년 동성문물연구회는 폐쇄되었다. 1929년 기 독교청년회 자연과학과 지리학구락부, 플러왈스키연구회 등이 각각 성립되었다. 전자는 주로 역사와 고고학강의를 하였고 후자는 계속해서 제한적 고고발굴을 실시하였다. 1931년 東 省 特 區 文 物 研 究 所 가 성립되었다 년 사이에 제1차 종합조사단이 결성되었으며 그 중에는 고고분야에 B.B. 包 諾 索 夫 등이 참가하였다. 중국 지질학자 尹 贊 勛 이 그 종합조사단에 참가하여 부분적 고고작업에도 참가하였다. 주요 대상으로서 牧 丹 江 중류 兩 岸, 海 浪 河 하류일대 및 穆 稜 河 유역 등을 조사하였다. 당시 조사수확이 대단 히 풍부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東 京 城 古 城 ( 渤 海 ), 牛 場 古 城 (발해), 三 頭 江 屯 古 城 (발 해), 城 墙 砬 子 (발해 또는 말갈성지), 南 湖 頭 古 城 ( 金 代 ), 松 乙 溝 古 成 (발해), 爾 站 盆 地 古 城 (발해), 沙 爾 古 城 (금대), 穆 稜 河 유역의 상당수 성지 등이다. 그 외 목단강 북쪽의 소위 東 邊 墻 을 발견하였다. 牛 場, 三 靈 屯, 南 湖 頭, 松 乙 溝, 珍 珠 門 등지에서 선사시대 유적을 발견하였다. 東 京 城, 우장, 상명둔, 남호두 4개 지점에서 시굴이 실시되었다. 1931년 여름 하르빈 교외 頋 鄕 屯 선사시대 유적에 대하여 대규모 발굴이 실시되었으며 발굴에 참가 한 학자들은 B.B. 包 諾 索 夫, 殷 寶 興 박사, 尹 贊 勛, A.C. 廬 卡 什 金 (루카스진) 등이다. 그 외 에 또한 3.3. 阿 聶 爾 特, T.П. 高 爾 捷 夫, B.H. 熱 爾 納 科 夫 등이 참가하였다. 1934년 B.B.

3 - 3 - 包 諾 索 夫 등은 呼 倫 貝 爾 의 징기스칸( 成 吉 思 汗 ) 변담( 墻 ) (즉 금일 根 河 左 岸 遼 代 邊 墻 )과 根 河 古 城 (또한 명칭 杭 庫 拉 特 浩 特 즉, 弘 吉 拉 城 의 뜻이다 년 B.B. 包 諾 索 夫 등이 呼 蘭 의 石 人 城 金 代 古 城 을 조사함과 동시에 시굴을 단행하였다. 또한 康 金 井 부근에서 2 기의 金 代 고성을 발견하였다. 1936년 하르빈의 石 人 溝 에서 사람과 동물의 石 雕 를 발견하 였다. 賓 縣 에서 원래 白 城 서쪽교외에 세운 賓 嚴 大 師 塔 의 銘 誌 를 발견하였다. 그곳에서 亞 溝 刻 石 圖 像 이 조사되었다. 1937년 楊 古 屯 유적이 조사되었다. 먼저 莫 里 街 古 城 및 유적이 조사되었다. 하르빈시 동쪽교외의 黄 山 의 2기 古 城 이 시굴되었다. 최초로 황산 大 中 溝 선사유적이 조사되었다 년 동안에 布 爾 熱 瓦 爾 斯 基 연구회의 회원들은 고고활동을 계속하였다. 城 高 子 로부터 阿 城 사이의 철로연변 지대가 조사되었다. 그 결과 소수의 유적과 선사유물 산 포지가 발견되었다. 조사자들은 그것에 대하여 阿 什 河 金 石 併 用 文 化 라고 명명하였다.. 帽 几 山 부근에서 소수의 유적을 발견하였다. 당시에 帽 几 山 文 化 라고 불렀다. 그 조사는 동쪽으로 연장되어 亞 布 力 및 우수리강 일대까지 확대되었다. 1939년 Л.M. 雅 可 甫 列 夫, B.H. 阿 林 등이 阿 城 松 峰 山 동굴내의 曹 道 士 碑 와 그 부근의 고분을 조사하였다. 阿 城 永 源 에서 지상에 놓인 石 雕 像 의 金 代 귀족 무덤을 발굴하였다. B.C. 馬 卡 洛 夫 와 A.Г. 馬 良 夫 金 등은 濱 洲 철로선의 昂 昂 溪, 海 拉 爾 역전 일대에서 신석기시대 유적(대량의 압력에 의하여 제작된 석기가 특징)을 조사하였다. 회원들은 또한 하르빈 城 子 溝 부근의 金 代 유 적, 肇 東 八 里 城, 阿 城 莫 里 街 및 白 城 유적 부근의 小 城 址 등을 조사하였다. 그들은 賓 縣 老 山 頭 古 城 을 시굴해서 紅 陶 문화 라고 명명하였다. B.C. 斯 塔 里 科 夫 는 납림하 중류 일 대의 金 代 城 址 및 呼 蘭 부근의 고성을 조사하였다. 그들은 黃 山 北 城 을 시굴하여 骨 鏃 및 토제의 小 동물을 발견하였다. 상기한 지표조사 및 시굴의 책임자는 대부분 B.B. 包 諾 索 夫 였다. 주요 참가자들은 B.C. 斯 莫 拉, 斯 特 金, Л.M. 雅 可 甫 列 夫, B.H. 阿 林, B.C. 斯 塔 里 科 夫, A.Г. 馬 良 夫 金, B.C. 馬 卡 洛 夫 등이었다. 1937년에 일본의 大 陸 科 學 院 하르빈 分 院 이 세워졌으며 계속해서 야외조사를 실시하였 는데 당시 책임자는 B.B. 包 諾 索 夫 였다. 1937년 長 嶺 으로부터 납림하구 일대까지 조사를 하였으며 당시에 大 金 得 勝 陀 頌 碑 를 확인하였다. 面 城 子 를 발견 전후하여 石 雕 半 人 像 을 가져왔다. 같은 해에 납림하 중류를 조사하였으며 고향둔유적을 재차 발굴하였다 년 呼 蘭 團 山 子 金 代 古 城 址 를 발굴하였다. 1939년 B.B. 包 諾 索 夫, 劉 春 등이 鳥 爾 科 邊 墙 (즉, 成 吉 思 汗 징기스칸 南 邊 一 按 : 包 氏 가 金 代 東 北 路 경계 壕 邊 堡 北 段 이라고 稱 ) 조사 하였다. 당시에 최초로 중요유적에 대한 야외 고고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최초로 李 三 店 부근의 고성(즉, 界 壕 내측의 雅 魯 一 濟 泌 河 古 城 )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綽 爾 浩 特 (현 塔 子 城 )에 시굴을 하였다. 包 氏 는 그 유적은 金 代 에 속하지만 元 明 시기까지 사용되었다 고 보았다. 동시에 그 성과 관련된 塼 塔 이 조사되었다 년 B.B. 包 諾 索 夫, Л.M. 雅 可 甫 列 夫 등은 后 郭 爾 羅 斯 (현, 肇 源 縣 )를 3차례

4 - 4 -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나 조사하였다. 그 결과 王 海 屯 과 二 站 등을 선사시대유적으로 包 氏 가 보았다. 거기에는 홍도가 대표적이다. 포씨는 그것을 홍도문화 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조사단은 八 里 城, 二 站 부근의 土 城 子, 鳥 拉 爾 基 古 城 과 고분을 조사하였다. 1941년 鳥 爾 科 邊 墻 북부 끝부분을 조사하여 宜 卧 奇 邊 堡 를 발견하였다. 1937년에 이 미 조사된 그 南 段 을 다시 조사하였다. 그 결과 麒 麟 河 邊 堡 를 발견하였다. 1944년 K.A. 熱 列 玆 涅 科 夫 는 阿 什 河 하류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阿 什 河 右 岸 의 고분을 발굴하였다. 일본 및 기타 외국학자의 북만주에 대한 조사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10년 白 鳥 庫 吉 이 동경성을 조사하였으며 그후 三 上 次 男, 駒 井 和 愛, 水 野 淸 一 등이 각각 조사를 실시하였다. 1933년 德 永 重 康, 直 良 信 夫 등이 滿 蒙 第 一 次 科 學 考 察 團 의 명칭 하에 고향둔에서 대규 모 발굴을 실시하였다. 그 이후에 遠 藤 隆 次 가 참가하였다 년에 原 田 淑 人 등이 東 亞 考 古 學 會 의 명칭으로 동경성 발해 上 京 유적을 발 굴하였다. 1940년 일본의 대륙과학원하르빈분원에서 일하는 奥 田 直 榮 이 차례로 齊 齊 哈 爾 부근의 앙앙계 및 鏡 泊 湖 주위의 松 乙 溝, 南 湖 頭, 學 園, 金 明 水 등을 조사하거나 또는 시굴하였 다. 奥 氏 는 齊 齊 哈 爾 및 鏡 泊 湖 주위의 유적을 선사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북경에서 일하던 프랑스 고생물학자 TeⅠlhard( 德 日 進 )는 1930년대에 여러차례 齊 齊 哈 爾, 海 拉 爾, 자라이놀 등을 방문하였고 동시에 여러차례 고향둔 발굴에 참가하였다. 1930년대 초 하르빈에 머물던 폴란드인 K.B. 格 魯 霍 夫 斯 基 등은 波 蘭 東 方 學 小 組 를 만 들고 고고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학자가 근대 고고학 방법으로 흑룡강 지구에 작업을 시작한 것은 대개 1929년 東 方 易 幘 이후에 일이다. 대략 년에 중국의 유명한 지질학자 尹 贊 勛 이 종합고찰 대의 인류학 소조의 한 멤버로서 참가해서 北 滿 동부를 고찰하고 동시에 멀리 목릉하 유 역까지 갔다. 그는 1931년 여름에 또한 고향둔 유적의 고생물화석 발굴에 참가하였다. 지질학자인 윤찬훈은 흑룡강지구에 가서 구석기 인류 및 그와 동반된 동물군의 흔적을 찾는 것이 그의 주요 목적이었다. 1979년 여름, 흑룡강 문물고고연구소의 蘭 永 和, 德 豊 등에 의해서 淸 初 무덤군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확이 대단히 풍성하였다. 연구자들은 그 무덤들을 청초의 赫 哲 人 으로 추정하였으나 조금더 장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가장 중시할 가치가 있는 것은 근대의 확실한 발굴방법으로 저명한 고고학자 梁 思 永 이 齊 齊 哈 爾 부근의 앙앙계 선사유적에서 실시한 조사와 발굴결과로 보고 있다. 그 후 양사영은 그의 조사와 발굴결과를 昂 昂 溪 史 前 遺 誌 (1932)라는 명칭으로 발표하였다. 중국 고고학자들의 대규모 조직적 조사와 발굴이 흑룡강성과 호윤패이지구에 시작된 것은 1949년 이후에 이루어졌다. 1950년 4월 중국 고고학자 李 文 信 이 흑룡강 지구에 가서 依 蘭 縣 倭 肯 哈 達 洞 무덤을 발

5 - 5 - 굴하였다. 1950년대 초 嫩 江, 목단강, 송화강 유역에 전면적 고고조사 계획이 수립됨과 동 시에 상당수 유적과 무덤들이 정리 시굴되었다. 1960년대.초 신석기시대와 철기시대 초기 의 주거지가 중점적으로 발굴되었으며 동시에 발해와 金 代 의 고고학 작업이 확장되었다. 1970년대 초 고고학 발굴 조사작업이 규모가 커지면서 대규모적으로 실시되었다. 전후 해서 中 部 송눈평원, 동부 三 江 평원, 동남부 按 芬 河, 목단강 유역, 동부 흑룡강 연안, 서부 호윤패이초원 등에서 조사 발굴작업이 실시되었다. 조사된 瑚 布 圖 河, 흑룡강, 우수리강, 興 凱 湖, 額 爾 古 納 河 등 邊 遠 지구의 기초 위에서 상당수 전형적 유적, 무덤과 고성 등이 발굴되었다. 발견된 새로운 고고학자료는 중국 동북변경의 고고학적 공백을 메꾸었고 동 시에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실험실에서는 흑룡강지구 9개 유적출토 17의 표본을 C14 측정하여 고고문화의 절대연대를 제시하였다. 상기한 내용의 축적된 자료는 흑룡강 지구 각 시기 고고학문화에 대한 분포, 分 區, 연대, 문화 특징과 모종 고고학문화의 사회 성질과 族 屬 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여 주었다. 1980년대에 상당수 전형적 유적과 무덤 등을 대규모로 발굴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 자 료를 분석할 수 있는 비교적 계통적인 자료를 취득해서 흑룡강 지구 고고학문화의 기본 적 상항이 밝혀지게 되었다. 즉, 문화내용, 특징과 연대 등이 대체로 정확히 밝혀졌다. 다음은 1949년 이후 즉 新 중국 성립 후 40년 동안 흑룡강유역 고고학적 주요 성과는 다 음과 같다. 지난 40년 동안 흑룡강 구역 고고학적 성과는 선사시기의 고고발굴과 연구 및 발해금 대 고고학에 대한 괄목할 만한 성과의 결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흑룡강 지구 구석기 시대 문화의 고찰은 1931년 윤찬훈의 고향둔 고생물화석 발굴에서 시작(발단)되었다. 그후 년 사이의 일본인 중국침략 기 간에 상당수의 일인과 러시아인들의 고향둔을 재차조사 발굴해서 대량의 고생물화석, 석 제품, 골기 등을 발견하였다. 당시 발굴자들은 溫 泉 河 組 와 고향둔 組 의 한계선을 긋지 못 하였다. 층위내의 화석의 재퇴적과 새로운 화석의 혼합, 문화유물과 동물화석은 층위가 구분되게 퇴적되었는지 또는 共 生 된 것인지 뚜렷하지 않았고 그의 개념 자체도 모호하 였다. 그러한 상황 즉, 고향둔 문화퇴적의 성격과 시대에 대한 것 등이 약 반세기 동안 의문점으로 지속되었다. 이와 같이 역사적으로 남겨진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1964년, 년 사이에 지질, 고생물 등 관련학자들이 동원되어 현지를 재조사하였다. 고 향둔과 황산에서 각각 原 生 화석 층위를 찾았다. 그 결과 고향둔조는 원생층위로 확인되 고 동물화석은 고향둔조에 출토되었으며 시기는 후기 홍적세 층위로 판명되었다. 보도된 자료에 의하면 흑룡강 지구 구석기시대 고고학은 몇십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였으며 그 상태가 1970년대 이전까지 지속되었다 년, 중국과학원 古 脊 椎 動 物 與 古 人 類 硏 究 所 와 흑룡강성박물관 합동조사단은 呼 瑪 縣 (현 塔 河 縣 ) 十 八 站 에서 4곳의 구석기 시대 유적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몇십년동안 침체된 국면을 타파하였다 년, 齊 齊 哈 爾 市 앙앙계 동남방향의 大 興 屯 의 후기 홍적세층에서 상당수의

6 - 6 -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동물화석과 석물을 발견하였다 년 사이에 흑룡강시의 고고학자와 중국과학원 고척추 與 고인류연구소에서 합동으로 하르빈 서부 교외 閻 家 崗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을 발굴하여 인류화석, 골제품, 대량의 동물화석과 소량의 석물을 발견하였다. 1986년 五 常 縣 龍 風 山 學 田 村 의 후기 홍적세 층위내에서 인류화석, 동물화석, 骨 器 와 석물을 발견하여 흑룡강지구 구석기시대의 공백을 메꾸었다. 1. 구석기시대 1931년, 윤찬훈이 하르빈 교외 서쪽 고향둔 溫 泉 河 畔 의 고생물화석 발굴 년, 일본 중국 침략기간에 일인 德 永 重 康, 直 良 信 夫 와 러시아인 B.Я. 托 爾 馬 喬 夫 등이 고향둔 발굴 년, 德 永 重 康, 直 良 信 夫 등이 규보가 크게 2 차 발굴. 고향둔보다 다소 늦게 하르빈 동쪽 교외 황산 구석기 지점의 조사도 같은 경력을 가 졌다. 黄 山 은 荒 山 이라고도 부른다. 하르빈시 중심지로부터 약 15km 지점, 해발 197.4m, 地 貌 上 구성은 송화강 제 3 級 階 地 이다. 황산 지층내에는 동물과 식물화석 풍부. 1936년 부터 러시아인 B.B. 包 諾 索 夫 등이 조사 연구, 년 사이 고향둔 재조사, C14 측 정으로 4만년 정도 산출, 1969년 황산 서쪽 하르빈 제 1기 벽돌공장 지점의 단면 출 토 雲 杉 화석 의 C14 측정은 30, 000±700년으로 산출. 상기한 내용에 의하여 고향둔조는 原 生 地 層 으로 후기 홍적세 속함이 확인됨. 1975년 흑룡강성 북부 호마현 (현 塔 河 縣 ) 십팔참촌에서 서남쪽으로 흑룡강지류 호마 하 左 岸 의 15m 되는 제 2급계지상에서 4곳의 구석기시대 지점 발견. 십팔참 구석기 지 점은 중국 구석기 지점으로서 최북쪽에 있는 것의 1기이다(북위 52 25', 동경 '). 대량의 석기 출토 : 석핵 긁개 첨두기 단 양면기 등, 시기는 구석기시대 후기 속함. 동 물화석 없다. 1981년 앙앙계 동쪽의 대흥둔에서 상당수의 동물화석과 석물발견. 1982년 조사와 발굴 실시, 1986년 재조사, 2종의 동물화석 신발견. 대흥둔 지점은 제제합이시 앙앙계 동남쪽 으로 18km 지점의 눈강 左 岸 일급계지상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 (북위 47 2', 동경 '). 지층은 4층으로 구분. 동물화석, 석기, 재층, 불에 탄 뼈 등 128점 발견, 뼈제 품 1점, 동물화석 9종. 제 1층 화석의 C14는 11,800±150년 B.P.이다. 구석기시대 후기.

7 - 7 - 학전 구석기유적은 동경 27 33', 북위 44 47'. 해발 m, 학전촌에서 서쪽으로 배수구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지표에서 6m 아래 회록색 진흙층에서 대량의 포유동물 화석, 인류화석( 頂 骨 )과 좌측 脛 骨 화석이 발견되었다. 1986년 9 10월 사이에 이 유적이 정식발굴 되었다. 발굴결과 대량의 동물화석, 人 骨, 骨 器 와 석물이 출토되었다. C14에 의 해서 24,500±400년이 산출되었다. 지질시대는 홍적세후기, 구석기시대는 후기의 전 단계 이다. 염가강유적은 하르빈시 서남교외, 송화강 지류 庫 查 河 (속칭 運 粮 河 ) 北 岸 의 언덕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동서길이 600m, 남북너비 20m이다. 유적은 1982년에 발견되어 그 해부터 1985년까지 4년에 걸쳐 발굴되었다. 발굴면적 825m2. 발굴결과 포유동물 화석 31종, 인공이 가한 뼈편 500여 점과 석물 5점이 있다. 전체 유물수는 2, 500여 점. 포유 동물 화석의 C14는 22,370±300년이 나왔다. 지질시대는 홍적세후기, 구석기시대는 후기 의 중간단계이다. 1) 2. 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 고고영역은 1963년에 鶯 安 縣 鶯 歌 嶺 유적을 발굴하였다. 1971년에 饒 河 小 南 山 유적을 발굴하였다. 1972년 密 山 新 開 流 유적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신개류문화라고 명명하였다. 비록 현 재 발견된 同 類 의 유적은 많지 않지만 그 문화의 내용, 특징, 연대는 뚜렷하다. 1930년에 양사영이 앙앙계에서 과학적 발굴이후 50년 경과한 1980년에 앙앙계 동남쪽 의 滕 家 岗 유적을 발굴하여 그곳의 신석기시대 문화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첨가시켰다. 1984년 張 廣 才 嶺 의 낮은산 구릉지구에서 亞 布 力 北 砂 場 유적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山 地 농업 특징의 대형의 타제, 마제의 돌도끼, 돌호미, 돌삽, 갈돌, 돌공 등 외에 새로운 문 화인수( 因 索 ), 즉 옥제의 자귀, 옥제품, 聯 璧 式 장식품이 출토되었다. 후자(옥제품)는 遼 西 阜 新 胡 頭 溝 의 紅 山 문화 고분과 牛 河 梁 홍산문화 유적에서 출토된 것과 같다. 다만 그 형제가 약간 작을 뿐이다. 1988년 새로이 발견된 寧 安 石 灰 場 하층문화는 그 상대연대가 앵가령 하층문화보다 늦 고 앵가령 상층문화보다는 이른 일종의 신석기시대 후기 문화유적이다. 이 유적은 그곳 신석기시대 문화내용이 풍부함을 나타내어 준다. 비록 석회장 하층문화는 그 문화인수가 앵가령 하층문화와 개별적으로 접근되지만 상대연대를 논하면 석회장 하층문화의 발견 1) 譚 英 杰 等, 黑 龍 江 區 城 考 古 學 ( 中 國 社 會 科 學 出 版 社, 1991) pp

8 - 8 -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은 앵가령 하층문화로부터 상층문화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문화인수를 가졌다. 3. 신석기시대말 鶯 歌 嶺 유적은 흑룡강성 寧 安 縣 鏡 泊 湖 의 남단 東 岸 上 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學 園 屯 은 1.5 거리이며 남쪽으로 湖 頭 屯 은 2km 거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르빈에 거주하던 러시아 인 B.B. 包 諾 索 夫 는 1931년에 경박호의 珍 珠 門, 老 鸛 砬 子, 南 湖 頭 등을 조사한 바 있다 년에는 日 人 奥 田 直 榮 이 경박호지구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金 明 水, 腰 嶺 子, 南 湖 頭 등의 유 적을 소규모로 발굴하였다. 1960년 3, 4월에 경박호 지구 영가령유적 및 북쪽으로 동경성의 목단강 여러 유적을 중 점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유적이 호수물에 의해서 파괴가 심하자 1963년 6, 7월 사이 에 발굴이 실시되었다. 당시에 트랜치 5개, 크기는 2 6m 등 약 100m2를 발굴하여 주거지 4기, 저장공( 灰 坑 ) 1 기 등을 발굴하였다. 층위는 5층으로 나누고 그 중 2, 3 층은 상층문화, 4, 5층은 하층 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주거지 4기 (F1 F4) 중 2기 (Fl, 2)는 상층문화, F3, 4는 하층문 화에 속한다. 하층문화 출토 토기의 문양은 주로 거칠거나 세련된 人 ( ) 劃 文, 사평행선문과 빗살문 ( 箆 點 文 )으로 조성된 人 字 形 文, 빗살문( 箆 齒 文 ), W 자 문양 등이며 기형은 직구 또는 외 반구연, 평저의 단지, 완, 밥그릇( 盂 ) 등과 방추차 등이다. 석기는 타제 위주이며 마제는 드물다. 기형은 호미, 돌도끼, 어망추 등이다. 골각기로서 뼈바늘, 사슴뿔 호미가 각각 1 점씩 출토되었다. 상층문화는 토기, 석기, 골기와 이빨제 鏃 등이 있다. 토기의 기형은 단지, 작은 밥그 릇( 小 盂 ) 등과 토제의 조소품으로 돼지와 개가 있다. 석기는 마제 위주이다. 기형은 돌도 끼, 돌자귀, 돌촉, 돌창, 타제의 긁개, 밀개 등이 있다. 골기로서는 바늘, 송곳, 비녀, 칼, 끌 등이 있고 이빨과 조개제품으로 이빨제 화살촉, 이빨칼, 이빨제 송곳 등이 있다. 영가령유적은 목단강유역의 전형적 원시유적으로 보고 있다. 유적은 上, 下 두개의 문 화층으로 나누고 있다. 영가령 상층은 목단강 유역에 주로 분포되었다. 같은 문화유적으로 영안현의 牛 場, 大 牧 丹 등으로 보고 있다. 영가령 상층 F1 주거지 출토 목탄과 樺 樹 皮 의 C14 측정은 B.P. 3025±90년(나무나이테 교정으로 1240±155년)과 2985±120년(나무나이테 교정 1190±145 년)으로 나왔다. 신석기시대 말, 중국의 商 周 시대이다. 2) 4. 청동기시대 2) 黑 龍 江 文 物 考 古 工 作 隊, 黑 龍 江 寧 安 縣 鶯 歌 嶺 遺 址 ( 考 古 6, 1981) pp

9 - 9 - 청동기시대 고고유적의 조사와 발굴은 송눈평원 상에 집중되었다. 발굴된 전형적 유적 으로는 1974년부터 시작된 白 金 寶 유적에 대한 3차 발굴이다. 1984년에 卧 龍 유적이 발굴되었다. 발굴된 무덤으로는 1981년에 정리된 齊 齊 哈 爾 大 道 三 家 子 묘지이다 년에 東 八 里 묘지가 발굴되었다 년에 平 洋 묘지가 발굴되었다. 1985년에 二 克 淺 묘지가 발굴되었다. 이상으로 청동기시대로부터 철기시대 초기의 전형적 유적과 무덤이 발굴되었다. 최근 의 고고조사 자료에 따르면 송눈평원 청동기문화 유존은 몇 곳의 유적과 무덤에 국한되 지 않고 더욱 많은 여러가지 문화유형이 있으며 그것들은 각자의 발전과정 중 상호 문 화 교류에 의해서 사라지고 지속되면서 한폭의 찬란한 遠 古 문화를 창조하였다. 5. 철기시대 철기시대 문화유적은 1950년에 발굴되기 시작하였다. 발굴된 유적을 연대순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959년, 牛 場 유적 발굴 1960년, 大 牧 丹 유적 발굴 1964년, 東 康 유적 발굴 1972년, 東 寧 大 城 子 유적 발굴 1973년, 綏 濱 同 仁 유적 발굴 1974년, 綏 濱 蜿 蜒 河 유적 발굴 1977년, 東 寧 團 結 유적 발굴 1978년, 綏 濱 二 九 〇 農 場 四 十 連 유적 발굴 1983년, 曹 北 團 結 묘지 발굴 1984년, 雙 鴨 山 滾 兔 嶺 유적 발굴 이상의 전형적 유적과 무덤의 발굴이 있었으며 더 나아가 友 誼, 集 賢, 쌍압산, 寶 淸, 佳 木 斯, 勃 利, 樺 南, 土 台 河 등의 市 와 縣 에서는 滾 兔 嶺 유적의 조사를 실시하여 흑룡강 동부와 동남부 철기시대 초기 문화유적에 대한 유형구분, 시대설정, 주위문화와의 관계 등에 대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6. 역사시기

10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역사시기의 발해 고고작업은 발해 상경유적의 주변 발굴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49년 이후, 1960년대와 80년대에 발해 상경유적에 대한 두차례의 대규모의 발굴과 정리가 있 었다. 두번째의 발굴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외 발해무덤과 기타 발해유적의 조사 와 발굴이 있었다 년, 海 林 山 嘴 子 묘지발굴 1977년, 東 寧 大 城 子 墓 葬 발굴 년, 樺 林 石 場 溝 묘지 발굴 1983년, 海 林 北 站 과 二 道 河 子 묘장 조사와 시굴 1984년, 寧 安 西 安 村 과 海 林 哈 達 海 村 묘장 조사, 시굴 1980년, 寧 安 杏 山 발해 窯 址 발굴 상기한 조사에 의해서 발해상경의 구획, 배치, 건축결구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인식을 할 수 있었다. 발굴에서 출토된 대량의 토제 건축자료, 토기와 기타 유물들은 발해 기물 의 형제를 이해하는데 절대적 자료를 제공하여 주었다. 동시에 발굴 정리된 많은 곳의 발해시기의 묘장 등은 발해의 매장습속, 묘장형제 및 발해묘장의 시기를 분류하는데 대 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3) 상기한 내용 외에 1972년 여름, 흑룡강성박물관에서는 綏 芬 河 組 에 속하는 東 寧 大 城 子 에서 1기의 신석기시대 유적을 발견하였다. 처음에 4 10m의 트랜치 1개를 설정하여 (T1), 주거지 1기 (F1)를 확인하였고, 동년 가을에 다시 4 4m 트랜치 6개를 설정해서 모두 125m2를 발굴하였으며 또한 1기의 주거지(F2)를 확인하였다. 대성자유적은 동녕현성에서 동쪽으로 4km 지점에 위치한다. 타분하 南 岸 에서 2km 지점 이다. 동녕 三 岔 口 公 路 가 유적 남쪽을 통과하고 있다. 상기의 2기의 주거지 (F1, F2)에서 출토된 토기로는 옹기, 단지( 罐 ), 碗, 豆, 시루, 방추 차, 어망추 등이며 석기는 수량이 많지 않다. 석기는 돌도끼, 돌칼, 낫, 자귀, 갈돌, 어망 추 등이며 그외 骨 器 1점도 있다. 대성자유적의 문화특징과 내용물은 목단강 유역의 東 康 유적과 대단히 접근되고 있다 한다( 東 康 原 始 杜 會 遺 址 發 掘 報 告 考 古 3, 1975 참고). 따라서 대성자의 상대연대는 東 康 유적에 해당되며, 대성자 F2주거지 출토 木 炭 표본의 C14 측정은 지금부터 2,100±85 년이 산출되고 있다. 4) 그러나 상기한 C14의 측정결과에 의하면 대성자유적은 신석기시 대 유적이 아니다. 7. 발 해 문 화 3) 譚 英 杰 等, 黑 龍 江 區 城 考 古 學 ( 中 國 社 會 科 學 出 版 社, 1991) pp ) 黑 龍 江 省 博 物 館, 黑 龍 江 東 寧 大 城 子 新 石 器 時 代 居 住 址 ( 考 古 1, 1979) pp

11 발해는 흑룡강과 동북 내지 동북아지구의 역사상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발 해지역은 중국 동북지구 외에 소련 遠 東 과 연해지구 및 조선반도의 부분지구에 분포되 어 있다. 그 유적은 궁전, 거주지, 寺 院, 무덤 및 대량의 각종 유물들이다. 발해 고고조사는 금세기 초부터 시작되었다. 1910년, 日 人 白 鳥 庫 吉 발해 상경 龍 泉 府 유적에서 寶 相 花 紋 塼 채집 1926년, 日 人 鳥 山 吉 ー 등과 하르빈시 특별행정구 박물관의 러시아인 B.B. 包 諾 索 夫 등이 각종 와당과 소불상들 채집 1936년 6월 1937년 7월, 일본 동경제국대학 原 田 淑 人 등이 東 亞 考 古 學 會 의 이름하에 그곳의 城 址, 궁전, 사원, 가옥 등 유적조사와 발굴실시, 東 京 城 發 掘 報 告 간행. 1949년, 敦 化 六 頂 山 古 墓 區 에서 10기( 一 說 9기) 발굴. 그중 유명한 貞 惠 公 主 墓 誌 발견, 명문에 의하면 기원 780년. 1957년 5 6월, 목단강 상류 발해시기 遺 址, 유적 조사. 1960년 재조사. 전후 2차조사 에 의해서 古 城 址 9기, 건물지 4곳, 무덤 1기 발견. 1958년 4월, 목단강 하류 고고조사, 발해 석실묘군 5곳( 頭 道 河 子 부근 5곳, 北 站 西 山 1 곳, 沙 河 子 1곳)에서 130여 기 무덤, 발해성지 4곳( 興 農 村, 五 道 河 子, 細 鱗 河 村, 鳥 斯 渾 舊 屯 각 1곳), 건물지 1곳, 烟 筒 子 부근. 1958년 7 8월사이, 二 十 四 塊 石 등 발해유적 조사, 유적은 敖 東 城 및 上 京 용천부의 古 官 道 근방, 그곳은 발해 國 王 死 後 조상묘에 還 葬 할 때 路 上 에서 제사지내는 제단의 초석으로 판명. 1960년, 목단강 중류 및 경박호지구 조사시 寧 安 大 朱 屯 에서 큰 면적의 발해 墓 群 을 발 견. 묘군은 동경성 부근 대주둔에서 북쪽으로 2km 지점에 위치, 모두 70여 기. 그 외 경 박호 東 岸 松 乙 溝 內 의 북쪽에서 길림돈화 二 十 四 塊 같은 유적 1곳 발견 년 사이, 동경성 부근의 발해유적 조사, 재조사와 발굴실시. 同 年 에 중국과 학 원 고고연구소 東 北 隊 에서 육정산 발해묘군 재차발굴. 1966년, 海 林 縣 山 嘴 子 발해묘군 1곳 조사, 모두 130여 기. 또한 산취자에서 海 浪 河 를 건너 맞은 편에 있는 哈 達 屯 부근에서 한 곳의 발해묘장 약 20 30기를 발견. 1966년과 1976년 두차례에 걸쳐 산취자에서 무덤 29기 발굴. 이 일차 대규모 발굴에 의해서 발해 적석묘의 형제, 전통, 시기와 유물에 대한 깊은 이해, 또한 발해 무덤 특징의 二 次 葬 문 제 제시. 1971년 9월, 和 龍 縣 城 에서 동북방향으로 25km 지점의 河 南 屯 古 城 內 에서 발해 귀족부부 합장묘 발굴. 묘 정상에 건축물이 있음을 확인, 백회벽면상에 채색벽화편 발견. 塚 上 作 屋 은 勿 吉 舊 俗 일 뿐만 아니라 발해도 그 전통 있음을 확인. 1972년, 東 寧 大 城 子 古 城 내에서 대량의 발해문물 출토. 원 조사자는 발해 率 賓 府 관할 의 某 州 로 판단. 1973년, 和 龍 北 大 地 발해묘장 발굴, 50여 기. 전부 석괴, 석판으로 축조, 묘실내 대부분

12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木 棺 있음. 墓 主 는 一 次 葬, 部 葬 은 二 次 葬 확인. 많은 것은 10구 있다. 1977년, 東 寧 縣 大 城 子 발해묘장 발굴, 묘장 모두 적석묘, 중 소 2종. 동녕대성자 古 城 조사 후 발해성지로 판명. 同 年 에 東 寧 團 結 에서 발해 촌락유적 발굴. 즉 발해 평민 宅 址 최초 발굴 년 사이, 龍 頭 山 古 墓 地 에서 발해 貞 孝 公 主 墓 발굴. 정효공주묘 몇십리 내에 서 많은 발해성지와 묘장이 산포됨. 예로 화룡현 西 古 城 (발해 中 京 縣 德 府 故 址 로 추정), 河 南 屯 古 城 과 묘장, 獐 頂 고성, 八 家 子 北 大 地 古 墓 群, 福 洞 古 墓 群 등. 동년 영안현 杏 山 公 社 벽돌공장의 발해 窯 址 발굴, 그곳에 요지 20여 기 확인. 4기 발굴됨 년 사이, 발해 上 京 유적 발굴 : 1, 2호 주거지와 2, 3, 4호 門 址 발굴. 1983년, 목단강 중류 蓮 花 댐 수몰지구, 海 林 北 站 발굴묘지, 海 林 二 道 河 子 발해묘지 시굴. 1984년, 海 林 哈 達 灣 발해 적석묘 발굴. 면적 2, 000m2, 적석묘 45기 발굴, 동년 영안현 西 安 村 묘장발굴 최초로 1기 대형 塼 築 墳 발굴 5) 보고서 黑 龍 江 文 物 工 作 隊 의 보고서, 渤 海 上 京 宮 城 第 一 宮 殿 東, 西 廊 無 遺 址 發 掘 遺 址 淸 理 簡 報 ( 文 物 11, 1985) pp 渤 海 上 京 宮 城 第 2, 3, 4 號 門 址 發 掘 簡 報 ( 文 物 11, 1985) pp 黑 龍 江 文 物 考 古 硏 究 所 의 보고서, 渤 海 瓦 窯 址 發 掘 報 告 ( 北 方 文 物 2, 1986) pp.34 38, 33. 黑 龍 江 海 林 站 樹 海 墓 試 掘 ( 北 方 文 物 1, 1987) pp.32 33, 112. 黑 龍 江 海 林 二 道 河 子 渤 海 墓 葬 ( 北 方 文 物 1, 1987) pp 渤 海 上 京 宮 城 內 房 址 發 掘 簡 報 ( 北 方 文 物 1, 1987) pp 기타논문 魏 存 成, 渤 海 王 室 貴 族 墓 葬 ( 中 國 考 古 學 會 第 三 次 年 會 論 文 集, 文 物 出 版 社, 1981) pp 劉 曉 東, 羅 葆 森, 陶 刚, 渤 海 國 渤 州 考 ( 北 方 文 物 1, 1987) pp 趙 虹 光, 渤 海 上 京 龍 泉 府 城 址 調 査 發 掘 工 作 的 回 頋 ( 北 方 文 物 2, 1988) pp 姜 華 昌, 渤 海 上 京 龍 泉 府 與 唐 長 安 城 建 築 布 局 的 比 較 ( 北 方 文 物 2, 1988) pp 李 殿 福, 渤 海 上 京 永 興 殿 考 ( 北 方 文 物 4, 1988) pp 王 承 禮, 記 唐 代 渤 海 國 咸 和 十 一 年 中 台 省 致 日 本 太 政 官 牒 ( 北 方 文 物 3, 1988) pp 劉 曉 東, 祖 延 笭, 南 城 子 古 城, 牧 丹 江 邊 墻 與 渤 海 的 黑 水 道 ( 北 方 文 物 3, 1988) pp 張 高, 渤 海 學 芻 議 ( 北 方 文 物 1, 1990) pp 劉 曉 東, 渤 海 上 京 城 附 郭 縣 再 考 ( 北 方 文 物 2, 1990) pp ) 譚 英 杰 等, 위의 책 pp

13 Ⅲ. 길 림 성 1. 구석기시대 길림지구 구석기시대 고고발견과 연구관계 내용은 姜 鹏 著 최무장 역, 中 國 東 北 舊 石 器 時 代 文 化 硏 究 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유적의 위치와 문화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 길림지구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문화유적은 7곳이다. 즉 楡 樹 周 家 油 坊, 楡 樹 大 橋 屯, 長 春 紅 咀 子, 前 郭 爾 羅 斯 靑 山 頭, 乾 安 學 字 井 屯, 安 圖 石 門 山 과 汪 淸 新 興 村 이다. 이 중 동굴 유적은 두곳, 나머지 다섯 곳은 야외유적이다. 유적은 楡 樹 縣 에서 서남방향으로 18km 지점의 周 家 油 坊 村 앞의 河 谷 계지상에 위치. 북 위 45, 동경 '. 1977년 발굴. 출토유물, 석물 21점, 동물화석 12종 등. 연대는 제 1지점의 C14측정이 B.P. 4 7만년 산출, 구석기시대 중기 해당. 대교둔은 유수현에서 서남방향으로 16km 지점에 위치, 남쪽으로는 주가유방까지 2km 거리, 북위 44 43' 33", 동경 ' 9". 1988년 석물 17점과 동물화석 16종 채집, 후 기구석기시대로 본다. 유적은 장춘에서 동남방향으로 9km 지점에 위치. 伊 通 河 1급테라스에서 석편과 맘모스 뼈 채집.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은 전곽이라사 몽고 자치현 穆 泉 鄕 查 乾 泡 北 岸 의 청산두에 위치, 북위 45 17' 13", 동경 ' 30". 인류화석과 동물화석 13종 발견. C14 측정은 B.P. 10, 940±170 년. 후기구석기시대 마지막시기. 유적은 건안현 大 布 蘇 泡 子 東 岸 제 2급테라스 앞 가장자리에 위치. 서쪽으로 所 學 鄕 學 字 井 屯 까지 거리는 약 1km이다. 북위 44 48' 3", 동경 ' 42". 1989년 발굴에서 상 당량의 석물과 14종 동물화석 발견. 연대는 B.P. 10, 000년 경.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이다.

14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동굴유적은 안도현 明 月 鎭 에서 동남방향으로 2.5km 지점의 석문산촌 포이합통하 2급계 지상에 위치. 북위 43 5' 17", 동경 ' 35"이다. 人 骨 ( 安 圖 人 ), 인공이 가한 뼈도구 와 19종 동물화석 발견. C14 측정으로 B.P. 26, 000±550년과 B.P. 35,400±1,800년 산출, 후기구석기시대 초기 또는 중기의 이른 시기이다. 유적은 왕청신홍촌에서 서북방향으로 26km 지점의 哈 馬 塘 鄕 신흥촌 동쪽 채석장에 위 치. 상당수 인공이 가한 뼈와 포유동물 화석 6종 발견. 특히 하이에나, 털코뿔소, 야생말, 말사슴, 꽃사슴과 야생소 등의 표본이 300여 점 발견됨. C14 측정 은 21,130±532년으로 후기구석기시대 중기초로 본다. 6) 2. 신석기시대 요정자유적은 장령현 북부 二 十 號 鄕 腰 井 子 村 으로부터 북쪽으로 하나의 서남동 방향으 로 뻗은 큰 모래언덕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지평면으로부터 10 15m의 높이이며 해발 m, 즉 동경 ', 북위 44 35'이다. 장령현 城 으로부터 동남방향으로 45km 지점이다. 1986년 발굴, 발굴장소를 동, 서 2 區 로 나누어 각구에 각각 8개의 5 5m 크기의 트랜치를 설정. 발굴면적은 550m2이다. 요정자유적은 北 高 南 低 의 낮은 언덕이다. 문화퇴적은 보통 m 정도이다. 지층 은 비교적 간단하여 2층 또는 소수가 3층이다. AT7 서벽의 예 : 제 1층 흑갈토층, 두께 62 75cm. 제 2층 황갈토층, 두께 50 75cm, 소량의 모래섞인 갈도 황갈도 등 문양있는 토기편과 소량의 소문과 문양있는 토기편, 대량의 물고기뼈, 조개껍질, 짐승뼈 출토. 제 3층 담황갈토층, 두께 l 42cm, 소량의 조개껍질 섞인 갈도편, 물고기, 조개껍질 등 출토, 주거지 1기 발견. 당시 발굴에서 주거지 7기, 회갱(저장공) 1기, 무덤 2기가 발견되었다. 주거지는 독특한 형태 같다. 각 주거지는 담벽이 없으며 거주면 가장자리에 너비 5 10cm, 높이 3 7cm의 낮은 물고기 척추형 凌 台 를 두었다. 거주면은 두께 2 5cm를 다 졌다. 황백색점토이다. 대부분 불로 굽지 않았다. 대단히 견고하다. 門 道 는 뚜렷하지 않 다. 대체적으로 2종 형태로 나누고 있다. 예 제 1종, 원각장방형 모두 4기. F3, 제 1층 아 래에 축조, 남쪽가장자리가 상하였다. 원각장방형에 가깝다. 동서길이 4.56m, 남 북너비 4.40m. 방향 195도, 거주면에는 3 4cm 두께의 황백색 점토를 평탄하게 깔았다. 거주면 주위에 점토로 너비 6 10cm, 높이 4 6cm의 원형 凸 稜 을 축조. 거주면 중앙의 편동에 하나의 원각장방형에 가까운 노지, 길이 85cm 너비 80cm 깊이 18cm가 있다. 노지 내에 6) 姜 鵬 著, 崔 茂 藏 譯, 中 國 東 北 舊 石 器 時 代 文 化 硏 究 ( 三 文, 1992) pp

15 흰색의 초목재가 있다. 주위벽과 주위는 불에 태 워 흑홍색이 되었다. 유물 206점. 그 중 91점은 채집유물이다. 석기, 골기가 가장 많다. 완정토기 드물다. 토 기 문양이 풍부하며 소량의 옥기 蚌 器 등이 있다. 석기가 101점, 그 중 채집 57점. 세석 기 68점, 그 중 채집 50점. 주요 기형은 촉, 창, 긁개, 첨두기, 긴석편, 석핵 등이다. 토기 모래섞인 것과 조개껍질이 섞인 것 등 2종이다. 전자는 수량이 많아 70% 차지, 후자는 30%가 못된다. 또한 극소수의 고운태토의 토기도 있다. 모래섞인 것은 갈색 위주이며 흑색, 흑갈색도 있다. 소량의 황갈색, 홍도도 있다. 조개껍질이 섞인 것은 소성도가 낮다. 도편상에 구멍뚫린 것이 많다. 모래섞인 것의 문양은 각획문, 착인, 압인 3종이다. 그 중 각획문이 복합 조성된 것이 가장 많다. 또한 유형으로 之 자문도 있다. 조개껍질이 섞인 토기는 압인문, 착인, 융기문( 附 加 堆 文 ), 각획문 등이다. 기형은 단지, 완, 대접( 盆 ), 쟁반 ( 盤 ), 방추차 등이다. 그 외 짐승뼈로서 말, 소, 개, 사향노루, 말사슴, 오소리, 이리, 여우, 토끼, 쥐토끼 등이 있다. 요정자유존의 연대는 좌가산 1기와 접근되고 있다. 그의 연대는 B.P. 6,500 7,000년 정도로서 신석기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요정자유적은 길림성 서북부 초원지구의 신석기 시대 이른시기의 문화면모를 가지고 있다. 그 유형의 문화가 제 2 송화강 중류의 서쪽, 즉 霍 林 河, 査 干 泡 이남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평원지대에 널리 분포되었다. 예로 通 楡, 건안, 長 嶺, 農 安, 덕혜 등 현이다. 7) 1982년 5 6월, 2곳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재조사된 외에 洮 幾 河 하류지역에서 2곳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洮 幾 河 유역은 송눈평원의 서쪽에 있으며 지역은 대안현 북부이다. 洮 幾 河 는 대안현 경내에서 중요한 하류의 하나이다. 22곳 신석기시대 유적 중 대표적인 몇곳을 살펴보자. 1 長 新 南 山 유적, 古 城 公 社 長 新 大 隊 에서 남쪽으로 1.5km 지점에 있는 남산 서쪽 언 덕상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의 면적은 동서길이 150m, 남북너비 70cm이다. 지표에서 대 량의 조개껍질, 물고기뼈, 세석기와 소량의 토기편을 채집. 세석기의 기형은 석핵, 긁개, 첨두기, 小 長 石 片 등이다. 토기편은 수제이며 소성도가 낮고 황갈색으로 조개껍질과 모 래섞인 홍갈색토기 등 3종이다. 문양은 압인의 菱 形 文 과 압인의 之 자문양이다. 大 架 山 유적, 舍 力 公 社 黎 明 大 隊 哈 哈 屯 에서 서북쪽으로 1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면적 동 서길이 200m, 남북너비 80m이다. 지표상에서 많은 세석기와 소량의 토기편이 채집되었 다. 세석기는 주로 石 鏃, 긁개, 첨두기, 소장석편 등이다. 2 劉 貴 墳 山 유적, 사력공사 民 主 대대에서 동남방향으로 1km의 모래 언덕상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 면적은 동서 길이 70m, 남북너비 50m이다. 대량의 석기, 소량의 토기편 그리 7) 吉 林 省 文 物 考 古 研 究 所 白 城 地 區 博 物 館 長 嶺 縣 文 化 局, 吉 林 長 嶺 縣 腰 井 子 新 石 器 時 代 遺 址 ( 考 古 8, 1992) pp

16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고 물고기뼈와 짐승뼈 등이 채집되었다. 석기는 주로 석촉, 긁개, 소장석편 등이다. 그외 后 商 家 유적, 馬 場 남산유적, 民 衆 유적, 仁 喜 山 유적 등에서 상기한 유적들과 마찬가 지로 다량의 세석기와 소량의 토기편 그리고 짐승뼈 등이 채집되었다. 당시 조사에서 24 곳 유적상에서 유물이 채집되었다. 그 중 토기상에 숭석문, 사선문, 기하형 빗살무늬( 箆 文 )의 모래섞인 갈색토기, 모래섞인 갈색단지, 역족, 청동장식 등이 채집되었다. 그것들은 청동기시대에 속한다고 보고있다. 상기한 24곳 유적내의 신석기시대 문화유존에도 모두 세석기가 포함되어 있다. 기형은 석핵, 석촉, 긁개, 첨두기, 조각기, 모루, 소장석편 등이다. 석질은 玉 髓, 수정, 수석, 담백 석, 유문암 등이다. 壓 製 된 세석기 위주이며 마제석기는 드물다. 다마 소형 돌도끼와 자 귀가 있다. 토기는 直 口 단지이며 태토는 고운태토로 색깔은 황갈색, 모래섞인 홍갈도, 모 래섞인 회갈도와 조개껍질이 섞인 회갈도 등 4종이다. 기표상에는 무문이 대부분이며 문 양은 압인의 능형문, 융기문, 錐 刺 된 凸 의 꼭지문, 각획문과 압인의 之 자형 무늬이다. 상 기한 문화면모는 앙앙계와 접근된다. 8) 科 爾 泌 右 中 旗 는 길림 哲 里 木 盟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扎 魯 特 旗 에 인접 하며 남쪽으로는 과이비좌중기와 연결되어 있다. 1965년 조사시 신석기시대유적 몇곳이 확인되었다. 1 貝 子 府 은 白 雲 胡 硕 ( 黑 達 廟 ) 鎭 에서 동남쪽으로 약 40km 지점에 있으며 高 力 板 鎭 으로 부터 서남쪽으로 약 2.5km 지점에 있다. 유적 분포 면적은 동서 약 50m, 남북 약 30m이 다. 채집유물은 석기와 토기편이다. 석기는 세석기와 타제석기 2종이다. 세석기 석재는 수석과 석영이다. 기형은 긴석편, 긁개, 석촉 등이며 타제석기는 도끼, 자귀, 坎 伐 器 (cleaver) 등이다. 토기편은 13편으로 태토가 거칠다. 어느 것은 고운모래이고 어느 것은 거칠은 모래이다. 소성도는 낮다. 색은 홍갈색, 갈색과 회색 3종이다. 홍갈도가 다수이다. 빗살문 토기 1편은 고운태토의 홍갈도이며, 두께는 0.6cm이다. 기하 印 文 陶 片 1점은 고운 모래가 섞인 홍갈색이며 두께는 0.6cm이다. 회색의 거칠은 돗자리 도기편 2점은 기벽이 두텁고 역 足 상단편으로 보고 있다. 2 界 拉 百 은 貝 子 府 서남쪽에 위치한다. 유적에서 남쪽으로 계납백은 약 200m이다. 패 자부로부터 동북쪽으로 약 400m이다. 문화유물 분포 면적은 약 100m정도이다. 유물은 석기와 토기편이다. 채집석기는 모두 세석기다. 석재는 수석과 석영이다. 유물은 석핵, 밀개, 원형 긁개, 직인 긁개 등 14점이며 토기는 7점으로 태토는 거칠고 고운모래 또는 거칠은 모래가 섞였다. 색깔은 홍색, 홍갈색과 갈색 3종이다. 3 合 爾 巴 達 은 科 爾 泌 右 中 旗 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고력판진으로부터 남쪽으로 60 8)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大 安 縣 洮 幾 河 下 游 右 岸 新 石 器 時 代 遺 址 調 査 ( 考 古 8, 1984) pp

17 km 지점이다. 석기와 토기가 채집되었다. 석핵, 긴석편, 긁개 등 6점이며 토기는 태토가 거칠고 두팁다. 소성도는 낮고 거칠고 고운모래가 섞였다. 두께는 0.5 lcm이다. 색깔을 홍색과 홍갈색, 갈색도 3종이다. 홍색이 가장 많다. 표면은 마연하고 문양은 돗자리 무늬 와 堆 文 이 있다. 제작방법은 수제 외에 윤제도 있다. 4 紅 旗 腦 色 은 패자부 등북으로 약 40km 지점에 있다. 유물 산포지는 남북 약 500m, 동서 약 400m이다. 채집유물은 석기로서 석핵, 직인 긁개, 원형 밀개, 쌍인 긁개 등이다. 패자부, 계랍백, 합이파달과 홍기 腦 色 유적은 비교적 가까운 지점에 있다. 채집유물은 비교적 공통점이 많다. 그리고 길림성과 흑룡강성 서부의 상당수 유적과 비교해도 공통 점이 많다. 예로 패자부유적 중 도기상에서 볼 수 있는 기하형 印 文 은 安 廣 縣 永 合 屯 유 적과 조원현 관지, 망해둔 등 유적에서도 모두 발견되었다. 패자부, 계랍백 등 유적의 시 대는 신석기시대 말 또는 금석병용기시대로 보고 있다. 9) 1974년에 이 지구에서 신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초기 조사가 있었으며 1975년에 재조 사되었다. 大 沁 他 拉 鎭 은 길림성 哲 里 木 盟 奈 曼 旗 革 委 會 소재지이다. 유적은 모래언덕 남 쪽변에 약 10km 정도의 면적이다. 그 중에 특히 西 湖 漁 場, 福 盛 泉, 鳥 根 包 冷 이북의 모래 언덕과 舍 塘, 南 嘠 什 土 서쪽의 모래언덕 등 5지점을 X, F, W, S, G로 번호를 부여하였 다. 固 定 沙 丘 의 지층(3층)은 상층 검은 모래층, 중간은 회갈색 모래층, 하층은 곱고 작은 백색 석영알갱이로 조성된 백색 모래층이다. 조근포냉(W)의 북쪽 모래언덕에 시굴을 실 시하였다. W3T1의 예, 트랜치 면적 2 2m2, 제 1층 흑색 모래층. 두께 10 60cm. 제 2층 회갈색 모래층 두께 70cm, 소량의 토기편과 석기 출토, 토기 모래섞인 홍갈도와 회갈도, 기형은 단지 대접이며 무문 외에 線 劃 文 연속 折 弧 線 빗살문, 석기는 갈돌편이다. 그 아래 는 순수한 백모래층으로 신석기시대 문화층이다. 소수의 시굴 출토품 외에 주로 채집유 물이다. 모두 555점. 그것들은 석기, 골기, 토기 등이다. 석기는 293점으로 세석기, 타제석기, 마제석기 3종류이다. 세석기 182점, 석재는 벽옥, 반투명석영, 다음은 담백석과 마노이다. 投 槍 頭 1점, 석촉 23점, 첨두기 22점, 돌송곳 1 점, 돌끌 1점, 切 割 器 (칼?) 4점, 긁개 85점, 石 葉 (양면가공기) 5점, 석핵 15점, 석편 22점 등이다. 타제석기 8점, 석재는 碟 石, 泥 板 岩 등이다. 딘면기 14점, 돌자귀 6점, 돌도끼 1 점, 돌칼 3점, 첨두기 2점 등이다. 마제석기 73점으로 돌삽 3점, 돌도끼 1점, 돌자귀 9점, 돌끌 5점, 반원형석기 2점, 소석도 1점, 숫돌 2점, 어망추 1점, 유공석기 2점, 돌마치 2점, 갈돌 9점, 돌공이( 磨 棒 ) 15점, 연마기 10점, 돌공이( 石 杆 ), 장식품 10점 등이다. 골기 12점은 골촉 3점, 뼈송곳 4점, 손잡이 4점 등이다. 그 외 장식품 4점이다. 토기는 236점이며 그 중 복원기형 47점, 태토에 의해서 모래섞인 회갈도 홍갈도, 고운 9) 蓋 山 林, 吉 林 科 右 中 旗 的 新 石 器 時 代 遺 存 ( 考 古 3, 1977) pp

18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태토의 홍도 회도 홍갈도 회갈도 등 6종이다. 모두 수제, 소성도가 높다. 문양은 획문, 빗 살문, 융기문, 손톱문, 木 莫 文 (융기된 파도형 竪 條 形 文 ), 기형은 주로 단지, 대접, 소수의 바리, 옹기 등이다. 대심타랍유적의 유물과 종류 그리고 형제는 赤 峰 紅 山, 錦 西 沙 锅 屯 유적 등과 많은 공 통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대심타랍 신석기시대 유존은 홍산문화 계통에 속한다. 홍산문 화는 동북지구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의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알려져 왔다. 다만 대심타 랍유적에서 발견된 紅 頂 鉢, 紅 頂 碗 등은 后 崗 유형 仰 韶 문화 중에 특징있는 器 物 이다. 따라서 대심타랍 홍산문화는 후강유형 앙소문화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있다. 다만 이 문 제는 장래 연구에 기대하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10) 3. 청동기시대 서단산은 길림시에서 서남쪽으로 2.5km 지점에 있다. 동쪽으로 송화강과 면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구릉과 연결되었다. 해발 236.2m이며 부근 평지로부터 40m 높이에 있다. 그 작은 구릉은 남북길이 300m, 동서너비 약 400m, 북동면은 비교적 가파르고 남서면은 완 만하다. 무덤은 서남쪽 언덕상에 분포되었다. 그곳은 墓 葬 區 이며 동시에 주거지도 있다. 동북고고발굴단은 1950년 9월 중앙문화부 문물국의 지도하에 유명한 고고학자 裵 文 中 을 단장으로 중국과학원 古 脊 椎 動 物 與 古 人 類 研 究 所 의 賈 蘭 坡, 요녕성박물관의 李 文 信, 길림사범대학의 王 承 禮 등이 참석하였다. 1948년 길림이 해방된 지 얼마되지 않아 길림사범대학 역사과에서 서단산을 발굴하였 다. 동북고고발굴단이 길림에 도착한 이후에 길림사범대학, 길림성박물관 소장의 서단산, 소달구 출토의 자료를 살펴보고 동시에 길림시 부근의 유적을 조사하면서 서단산에 전 면적 조사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소달구, 평정산, 요사하자, 동단산자, 타산자, 동합달만 북산, 후석산유적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각 유적의 지형조건, 문화내용 등을 이해하였 다. 조사내용에 근거하여 1 區 에 1, 2, 3, 4, 8, 9, 10, 11 등 8개의 트랜치를 설정, 또한 1구 의 동남부에 5, 6, 7등 3개의 트랜치를 설정, 석관 분포 정항을 확인한 다음에 발굴에 착 수하였다. 발굴된 석관묘는 19기이다. 장방형 석관은 Ⅳ, Ⅴ, Ⅵ, Ⅶ, Ⅹ, Ⅺ호 등 6기, Ⅳ 호는 석괴로 축조한 관으로 뚜껑의 방위는 35도, 관대의 방향은 30도, 뚜껑길이 2.3m, 너 비 1.46m, 두께 m이다. 1매의 대석과 2매의 소석괴로 축조하였고 관내 동서 두 벽은 석괴로 평탄하게 축조하였다. 관내길이 2m, 북부너비 0.64m, 남부너비 0.6m, 깊이 10) 朱 鳳 瀚, 吉 林 奈 曼 旗 大 沁 他 拉 新 石 器 時 代 遺 址 調 査 ( 考 古 3, 1979) pp

19 m이다. 관바깥 뚜껑 위에 두께 60cm의 흑회색토층 안에 돼지뼈와 긴구멍이 뚫린 토 제 어망추가 있다. 관벽 주위 및 그 아래는 황색의 원생토층이며, 관바깥 서남부의 네 곳에서 돼지 아래턱이 발견되었다. 1차 발굴의 19기와 이전에 길림사범대학 발굴의 15기, 길림사범대학 역사과 발굴 2기 등 모두 36기가 발굴되었다. 그것들의 거리는 가까운 것은 lm, 먼곳은 2m이다. 300m2 내 에 밀집되어 있다. 유적 면적은 4,000m2이다. 부장품은 1기묘에서 언제나 1점의 석도가 출토되었다. 석축과 토제 어망추는 몇점으로 부터 10여 점에 이르렀다. 방추차는 많아야 2점이며, 돌도끼는 언제나 2 3점이다. 석기 석재는 砂 岩 과 板 頁 岩 이다. 19기 석관묘 중 Ⅲ, Ⅺ호를 제외하고 그 나머지 17기에서 모 두 토기가 출토되었다. 기형은 완, 바리, 단지, 호, 삼족기 등이다. 토기는 진흙판( 泥 片 )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완은 보통 3개 이편으로 만들었고, 단지 호 등은 4 5개 니편으로 만 들었으며 목이 긴 호도 역시 6개 이편으로 만들었다. 이 방법은 먼저 중간을 두텁게 하 고 주위에 약간 얇고 등근 평저를 연결시키는데 바닥주위를 가볍게 위로 일부분 올리고 그위에 몇개에 이편을 연결하여 둥글게 만들면 하나의 그릇이 된다. 泥 片 이 접합된 부분 은 대부분 경사졌다. 길림지구의 토기 태토가 연질이라 단열된 곳은 언제나 접합부분이 다. 일반적으로 배, 어깨, 목, 구연 등을 따로 붙였다. 앙앙계유적, 소영자유적에서도 그 방법은 보이며 중국 신석기시대에 널리 사용된 방법의 하나이다. 서단산유적은 씨족취락지이며 또한 씨족공동 葬 地 이다. 석기는 扁 平 斜 돌도끼가 많다. 갈이 40cm 이상의 반월형 석도와 긴 잎상의 화살촉 등은 그 지역의 특징이다. 토기는 갈색, 무문의 모래질 태토로서 기형은 간단하다. 호 단지 등에 손잡이, 바리 완 상에 꼭지 가 있다. 이 점도 주위에서 볼 수 없다. 돼지뼈가 많다. 석촉과 더불어 1기묘에서 90개의 토제 어망추가 출토되었다. 서단산 인골 연구결과 北 亞 몽고인종의 퉁구스 족속에 속한 다. 이 문화범위는 동쪽으로 장춘으로부터 서쪽으로 화전에 이르고 남쪽은 회덕으로부 터, 북쪽의 덕혜까지 이른다. 그것은 눈강유역의 앙앙계, 송화강 중류의 倭 肯 哈 達, 두만 강 유역의 소영자, 노합하유역의 紅 山 后, 요동반도의 사평산 등의 무덤과 비교하면 문화 내용이 완전히 다르다. 고로 서단산문화 로 명명한다. 서단산문화와 주위유적의 연대와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소달구산정대관, 토성자보다 이 르다. 서단산의 석관묘 내에는 청동기가 발견되지 않고, 소달구산정대관에는 청동제 刀 와 청동제 도끼, 토성자에도 청동제 도와 구슬상의 청동제 장식이 출토되었다. 고로 길 림석관 묘의 연대순서는 서단산 석관묘군 소달구산정대관기 토성자석관묘기로 정한다. 그리고 서단산석관묘의 연대는 춘추 전국시대로 이미 청동기시대에 진입된 것으로 보 고있다. 11) 11) 東 北 考 古 發 掘 團, 吉 林 西 團 山 石 棺 墓 發 掘 報 告 ( 考 古 學 報 1, 1964) pp.29 49, 도판Ⅰ Ⅹ.

20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후석산유적은 길림시 북쪽교외 大 屯 鄕 家 子 村 에서 북쪽으로 1.5km 거리에 위치하고 있 다. 그곳은 동경 126 5', 북위 43 5', 해발 287m이다. 서 쪽으로는 송화강이 있으며 남 쪽에는 牝 牛 河 가 있다. 유적은 두 강이 합류되는 동북안 산지에 있다. 1975년 9월 후석산 발굴에서 주거지 3기, 고분이 3기 발견되었다. 1979년 5월에서 8월 1980년 5월에서 10월에 제 2차 발굴이 실시되어 제 Ⅰ, Ⅱ, Ⅲ 구역을 발굴하였다. Ⅰ구역 : 씨족 공동묘지, 트랜치 12개, 면적 850m2, 121기 무덤 발견. 동쪽묘지, 트랜치 16개, 면적 210m2, 20기 고분발견. 남쪽묘지, 트랜치 6개, 면적 90m2, 14기 고분 발견. Ⅱ구역 : 주거지, 트랜치 11개 설치, 면적 300m2, 4기 주거지 발견. Ⅲ구역 : 주거지와 무덤, Ⅱ구역 남쪽끝으로 400m 지점, 트랜치 15개, 면적 650m2, 주거지 10기, 灰 坑 5기, 무덤 2기, 보호석담 2줄 발견. 상기한 Ⅲ구역에서 모두 긴트랜치 34개 설치, 방형트랜치 26개 설치, 발굴면적 2,100m2, 주거지 14기, 무덤 157기, 회갱 5기, 보호담벽 2줄 발 견. 지층은 4층으로 구분한다. 제 1 층 경작토, 두께 14 24cm. 제 2 층 회갈토, 두께 44 62cm. 소성도가 낮은 모래섞인 갈도 홍갈도 출토. 제 3 층 흑갈토, 두께 14 16cm. 회갱 1기(H2) 발견, 갱내는 五 花 色 土 가 있다. 그 안 에 소성도가 낮은 모래섞인 갈도 홍갈도와 소성도가 비교적 높고 표면 마연 광택나는 소 량의 흑도 흑갈도 두 종류의 토기출토. 기형은 2층과 같다. 제 4 층 황갈토, 두께 4 16cm. 地 穴 式 주거지 1기(80F3). 상층 회갱(H2)에 의해서 파 괴당함. 주거지 내에서 소성도가 높은 무연에 마연 광택나는 고운 모래의 흑도 흑갈도 또는 갈도 토기편 출토. 기형에는 鼎, 壶, 단지, 잔, 방추차, 어망추 등이다. 무덤은 모두 157기 발견. 그 중 동쪽묘지에서 20기, 남쪽묘지에서 14기 발견. 1979년 주거지(F5)상에서 2기 발견. 1980년 서쪽묘지 제 6호 트랜치에서 발견된 석관묘 8기의 매장방법은 먼저 장방형 흙구덩이를 판다. 윗쪽 입구를 약간 넓게 하는데 보통 깊이 m이다. 흙구덩이 바닥으로부터 불규칙한 석괴를 쌓아 석관을 만들었다. 사자와 부장품은 관내에 넣고 수개의 대판석으로 관을 덮고 흙을 다져 넣었다. 무덤 형제를 3 型 8 式 으로 나누고 있다. 제 1 형식 관머리와 관끝에 1매의 판석을 세우고 양벽을 불규칙한 석괴로 쌓고 수매 의 불규칙한 판석으로 뚜껑을 덮는다. 이 형식을 5식으로 나누고 있다. 제 2 형식 부관을 만든 석관묘. 서쪽묘지에서 3기 발견. 수축방법은 제 1형 1식과 같 다. 다만 관끝에 일매의 판석을 세웠다. 그것은 석관과 격리되는 副 棺 으로 부장품을 놓 는 곳이다. 제 3 형식 간단한 석관묘, 2기 발견, 그것은 2식으로 나누고 있다. 1 식의 예를 보면 석관은 사다리꼴형이다. 지표로부터 1.15m 깊이이다. 관깊이 2.01m, 너비 m, 깊 이 m이다. 7매의 판석으로 뚜껑을 덮었다. 관머리, 관끝 부분에 각각 1매 판석 을 세우고 토광 양벽에는 돌을 쌓거나 세우지 않았다. 또한 바닥처리도 하지 않았다. 사 람 두개골과 아래턱이 남아있다. 仰 身 直 肢 葬 이다. 부장품은 석기 5점 (돌도끼, 돌끌, 石

21 球, 숫돌 등)이다. 후석산유적 제 2차 발굴은 길림 고고작업 중 규모가 제일 큰 것이었다. 문화퇴적 중 후 기의 회갱은 초기 주거지의 층위를 파괴시켰다. 1950년 동북고고발굴단이 그 문화를 서단산문화 로 명명한 이래 윗층위가 중첩되어 밑에 문화층을 파괴한 것은 처음있는 일 이었다. 이 유적 상 하층의 유적, 유물이 표시한 바에 의하면 그들사이에는 많은 공통인수가 갖추어져 있다. 예를 들면 반수혈식 거주지, 토기는 수제, 무문에 모래섞이고 기형은 삼 족기 시루 호 완 鉢 (바리) 등이다. 그러나 그들사이에 차이는 있다. 초기와 후기를 비교하 면 초기 주거지는 모두 地 穴 式, 평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 주거지내에 隔 間 이 드물다. 후 기의 것은 半 지혈식 건축, 평면은 대부분 장방형, 문은 동쪽에 편중, 주거지내에 격간 외 에 불씨를 두는 火 膛 노지 등을 나누어 설치하였다. 또한 토기에 있어서도 초기는 대부 분 흑도, 흑갈도 위주이며 갈도는 드물다. 모두 고운모래, 소성도가 높으며, 표면을 마연 하였다. 후기는 흑도, 흑갈도가 없으며 모래섞인 갈색도 위주이며 소성도가 낮다. 초기 기형은 정 호 등이며 후기는 호 등이다. 초기에는 청동기가 거의 없으며 후기에는 많이 증가하였다. 대부분 소형유물로서 刀, 斧 (도끼), 矛 (창), 劍, 鏡, 구슬장식, 단추( 泡, 扣 ) 등이다. 최초로 서단산문화의 銅 鏡 이 출 토되었다. 모두 7점으로 모두 무문이며 얇고, 거울면이 가볍게 凹 이며 등면에는 가는 꼭 지( 紐 )가 있다. 연대는 후석산문화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있다. 상층(후기)의 80F5(주거지) 출 토 목탄의 C14 측정은 B.P. 2595±75년, 2655±120년은 춘추시대 중후기에 해당, 하층(초 기)은 商 周 시기에 진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12) 북령은 덕혜현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의 縣 城 으로부터 40km 지점이며 북쪽에 飲 馬 河 가 있다. 약 0.5km거리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송화강 지류로부터 3.5km 지점이다. 1984년 7월 발굴이 진행되었다. 지층은 3층으로 나누고 있다. 제 1 층 경작토층, 두께 15 30cm. 제 2 층 갈색토층, 두께 0 150cm, 유물은 드물게 출토. 제 3 층 담황색 고운 모래층, 고분은 이 층의 윗쪽에 있다. 발굴된 2기 고분은 84DCBM1, 84DCBM2로 번호가 부여되었다. 전자는 지표하 20cm 의 경작토층 아래의 담황색 고운 모래층에 있었다. 방향 335도, 토광수혈묘이다. 평면은 長 方 形, 묘광길이 2m, 너비 lm, 깊이 0.47m이다. 인골출토. 葬 式 은 單 人 一 次 葬, 두개골 보존상태 양호, 死 者 는 40세 전후의 남자, 부장품은 모두 토기이며 豆 2점, 단지( 罐 ) 1점 12) 吉 林 省 文 物 考 古 硏 究 所 吉 林 市 博 物 館, 吉 林 市 猴 石 山 遺 址 第 三 次 發 掘 ( 考 古 學 報 3, 1993) pp

22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이다. 후자 묘방향 310도, 평면 장방형의 토광수혈묘, 葬 具 흔적 없다. 남북길이 140cm, 동서 너비 84cm, 깊이 10cm이다. 死 者 는 單 人 二 次 葬 이며 부장품은 토기 3점으로 두 2 점과 단지 1점이다. 토기는 모두 모래질, 수제, 소성도는 중간정도이다. 기표는 마연해서 광택, 색깔은 갈 색 또는 흑갈색, 대부분 무문 또는 한줄의 凹 현문 처리, 器 物 상에 손잡이( 耳 )가 발달하였 다. 王 家 垞 子 묘지에서 채집된 토기는 기형, 소성도, 문양 등이 북령무덤 출토의 것과 기 본적으로 같다. 그 매장습속도 북령과 같다. 그래서 그것들은 同 一 문화 유형이다. 현재의 자료에 의하면 동북고고문화 중 발견된 鏤 孔 豆 는 많지 않다. 이 문화 遺 存 (유적과 유물)은 그 남쪽과 동남쪽의 서단산문화와 같이 분포되었다. 이 문화유존 중의 淺 盤 式 鏤 孔 豆 와 罐 式 누공두는 누공 이외에 오히려 그 동북쪽의 흑룡강성 東 年 團 結 문화내의 소위 草 帽 式 豆 와 罐 式 豆 등의 造 型 上 유사하다. 연대는 춘추전국시대 로 보고있다. 13) 학고동산유적은 1973년에 발견되어 그해 10월과 1975년 9월에 시굴되었다. 학고동산 유적은 길림성 영길현 鳥 拉 街 公 社 에서 동북방향에 놓여있는 吉 舒 철로와 公 路 (도로)가 만 나는 낮은 언덕상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현 河 面 에서 약 30m 높이, 해발은 170m이 다. 유적의 문화퇴적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쪽에 트랜치 1개, 동쪽에 트랜치 5개를 설정 하였다. 학고동산 하층에서 거주지 1기, 漢 代 회갱 1곳을 발견하였다. 시굴 총면적은 134.4m2이다. 유물은 모두 156점(채집 10점 포함)으로 석기 38점, 토기 94점, 철기 13점 등이다. 지층은 3층으로 제 1층 표토층, 두께 50cm 정도, 제 2층 흑회색 토층, 토기는 고운태 토와 모래질 태토 2종이며 석기와 철기 출토. 이 층 漢 代 문화층 층위의 두께 기록없다. 제 3층 황갈토층, 석기와 모래질 토기출토, 두께 기록없다. 1975년 시굴시 거주지(F1) 발굴, T1 남단 동측. 장방형 반수혈 주거지, 거주면은 지표 하에의 80cm에 있다. 동서너비 3.6m, 남쪽벽은 한대 회갱(H1)에 의해서 파괴당하여, 현 잔존 벽높이 30 35cm이다. 거주지 서남측에 하나의 窯 穴 이 있다. 남쪽 구연부와 가장 자리는 漢 代 의 회갱에 의해서 파괴당하였다. 窯 바닥 내에서 돌도끼 2점이 출토되었다. 출토유물은 석기 ( 版 岩 制, 마제)로서 돌도끼, 돌칼, 돌낫, 환상석기, 숫돌 등이며 토기로 서는 태토가 모래질과 고운모래 등 2종으로 나누고 있다. 고운모래는 갈색과 홍색이며 기벽은 상당히 얇다. 거칠은 모래는 홍색이 많다. 기형은 완, 단지( 罐 ), 바리( 鉢 ), 호, 대 접( 盤 ), 배형기( 舟 形 器 ), 토제 어망추, 陶 鼎 등이다. 한대 회갱 (H1, H2)에서는 토기와 철기가 출토되었다. 학고동산유적 문화층 및 H1(회 갱)이 주거지(F1)를 파괴시킨 것에 따르면 초기, 후기 두시기로 나누어진다. 초기(하층) 13) 吉 林 省 文 物 考 古 硏 究 所, 吉 林 德 惠 縣 北 嶺 墓 地 調 査 與 發 掘 ( 考 古 7, 1993) pp

23 는 서단산문화에 해당되며 그 상층은 西 漢 시기에 해당된다. 학고동산 하층 유물 중 석 기, 토기는 길림시 교외 서단산문화 유물과 같다. 다른 점도 있는데 석도에 兩 孔 과 單 孔 이 있으며 구멍은 허리 중간에 있지 않으며 또한 石 斧 는 대부분 斜 刃 이다. 또한 돌낫도 대단히 발달되었다. 토기는 대부분 거칠은 모래가 섞인 것이며 정, 역도 있으며 드물게 豆 와 杯, 舟 形 器 등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器 物 은 황하유역 청동기문화 영향을 받은 것 으로 보고있다. 14) 고고촌 석관묘군은 요원시 교외 고고촌 동쪽의 德 慶 과 后 山 上 에 위치하고 있다 년 7월 석관 7기가 발굴되었다. 유물은 청동기 석기 토기와 골기 등 100여 점이다. 7기 무덤은 동 서 縱 列 로 놓여있었다. 서열에 5기(M1, M2, M4 M6)는 대체 한 줄로 놓여 있고 東 列 에는 2기 (M3, M7)가 있다. 7기 중 M1, M2, M3은 산정상에, 그 나머지 4기는 남쪽 언덕에 있었다. 석관은 모두 가공된 석재로 축조되었다. 그 형상은 偏 方 塊 石 과 넓 은 판석 2 種 이다. 석재는 청회색 화강암, 개별적 석회암이다. 7기는 기본적으로 장방형 석관묘이며 대석판으로 뚜껑을 덮었다. 묘실결구는 석괴로 쌓은 석관묘와 판석으로 둘러 쌓은 석광묘 그리고 墓 道 있는 석관묘 3종으로 나누고 있다. 석괴로 쌓은 석관묘는 모두 4기(M1, 4, 6, 2)이며, 가공된 석괴로 4벽을 쌓고 틈새도 막았으며 내면은 평탄하고 바닥 도 돌을 깔았다. 크기는 일치하지 않다. 예로 비교적 큰 M1호는 길이 2.2m, 너비 1.05m, 깊이 1.8m이다. 비교적 작은 M4는 길이 1.9m, 너비 0.85m, 깊이 1.36m이다. 7기 중 單 人 葬 男 女 合 人 葬 一 次 葬 二 次 葬 火 葬 등 다종이다. 단인장은 3기(M4, M6, M7)로 그 중 M7은 이차장, 人 頭 는 동쪽에 있다. 多 人 合 葬 墓 는 3기이다. M5는 화장묘이 며 부장품은 없다. 부장품은 청동기 11점(청동칼, 청동제 팔찌 環, 청동제 반지 耳 環 등)이며, 석기는 156점 (장식품 포함), 石 球 숫돌 枕 石 석재장식( 石 墜 飾 ) 管 形 飾 (관옥식) 球 形 飾 등이다. 토 기는 다만 M2호에서 壶 1점이 출토되었는데 모래섞인 갈색, 마연되어 광택이 있으며 가 볍게 외반구연, 短 頸, 배가 무르며, 평저, 구경 9.8cm. 저경 7cm, 높이 22.2cm, 무문이다. 火 葬 의 葬 法 은 旅 順 后 牧 城 驛, 亮 甲 山 등지의 청동단검묘와 遼 南 지구의 석관묘 내에서 발견된 바 있다. 다만 單 人 의 이차장과 多 人 의 이차합장은 드문 예이다. 북쪽의 M1, M2호는 남쪽의 M5, M6보다 이른 시기이다. M2호 출토 호 1점은 색깔 및 풍격이 遼 源, 東 豊 일대의 戰 國 시기 청동기문화의 것과 동류이다. 고로 그 2기의 연대 는 전국 중기 전후에 속한다. 연대가 약간 늦은 M5, M6호 등은 그 형제, 장법에 의하면 樺 甸 橫 道 河 子 의 무덤보다 늦지 않다. 15) 14) 吉 林 省 博 物 館, 吉 林 永 吉 縣 學 古 東 山 遺 址 試 掘 簡 報 ( 考 古 6, 1981) pp , ) 吉 林 省 文 物 考 古 硏 究 所 遼 源 市 文 管 會 辨 公 室, 吉 林 省 遼 源 市 高 古 村 石 棺 墓 發 掘 簡 報 ( 考 古 6, 1993) pp

24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1982년 6월 포자연전산의 古 代 거주지와 무덤이 심하게 파괴당하여 20여 일간의 작업 끝에 주거지 4기, 석관묘 11기, 옹관 2 座 등을 발견하고 유물은 석기, 토기, 玉 器 와 칭동 기 등 125점을 획득하였다. 포자연전산은 길림시 江 北 龍 譚 區 승리다리 동쪽의 合 肥 路 와 勞 動 路 사이의 협각지대 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1km 지점에 송화강이 흐르고 있다. 주거지 상면의 지층과 문화층은 2개층으로 나눈다. 제 1층, 표토층, 두께 30 40cm, 흑갈색. 제 2층은 上 문화층(상층)과 下 문화층(하층)으로 나누고 있다. 상층은 두께 70 80cm, 灰 墨 色 층, 거주지의 坑 穴 즉, 이 층의 아래변, 이 층에 서단산문화유물 함유, 또한 서단문 유물보다 조금 늦은 것도 소량 포함, 따라서 이 층의 문화유물은 서단산 문화 거 주지 보다 조금 늦다. 하층은 거주면으로부터 20 30cm 윗쪽, 황갈색토층, 이 층에 서단 산문화 유물이 포함되어 시간상 거주지와 동일시기로 보고있다. 4기 거주지 모두 階 地 上 에 가로로 놓여있다. F1과 F2는 6m 거리에 있으며 F3은 F4로 부터 5m 거리에 있다. 모두 半 地 穴 式 건축이다. 축조방법은 후석산, 장타산과 같다. 형제 는 圓 角 長 方 形 과 타원형 2종이다. 일반길이 6 8m, 너비 5 5.5m, 깊이 m이다. 居 住 面 중간에 타원형 火 膛 (불씨 저장하는 곳), 길이 38 40cm, 너비 13 23cm, 깊이 4 7cm이다. 그곳은 불씨저장 또는 겨울용 난방시설이다. 4기 주거지의 각각에서 유물출토, 하층은 서단산문화에 속하며 상층은 서단산문화 외 에 또한 늦은 시기의 문화유물도 있다. 출토유물은 118점(토기, 석기, 골기와 철기 등)이 다. 하층(서단산문화 유물) : 토기 16점, 수제, 素 文 회갈색, 기형은 정 호 방추차 어망추 등 석기 33점. 돌도끼, 자귀, 칼( 刀 ), 석촉, 어망추, 타제석기로 마치, 硏 磨 器, 갈돌, 骨 器 1 점과 기타유물(짐승뼈) 등이다. 상층(서단산문화 유물과 늦은 시기의 것) : 토기 44점, 3종 분류 : 1) 手 製, 素 文 회갈 색 사질, 2) 수제, 소문 홍갈색 거칠은 모래, 3) 輪 製, 숭문, 회색의 고운태토 등이다. 기 형은 호, 단지, 완, 두, 방추차, 어망추, 둥근 손잡이, 기둥형 손잡이 등이다. 석기는 23점 으로 도끼, 자귀, 끌, 칼, 석촉, 어망추, 마치, 갈돌, 숫돌 등이다. 무덤은 泡 子 沿 前 山 의 서남쪽, 동북쪽 산언덕에서 10기 석관묘를 발굴하였고 서북쪽 산 머리에서 1기의 석관묘를 발굴하였다. 墓 區 제 3 墓 산머리에서 그리고 F4의 주거지 내 에서 옹관 2기를 발굴하였다. 석관은 모두 토광석관묘이다. 토광은 길이 2.5 3m, 너비 1 1.5m, 깊이 m이 며 가로 단면은 사다리꼴이다. 11기 석관묘 중 5기가 심하게 파괴되었다. 석관결구는 판 석으로 세운 M10(아동묘) 외에 나머지는 모두 석괴로 판축하였다. 예로서 M3호의 방향 은 355도, 서쪽 제 3기 산머리의 동쪽 언덕아래에 위치, 석관은 길이 3m, 너비 1.5m, 깊

25 이 m의 토관내에 놓았다. 결구는 화강암 석괴로 쌓았다. 관길이 2.4m, 너비 1.2m이다. 옹관장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부장품 석기로 돌도끼, 돌자귀, 白 石 管 (관옥 일종)이 있으며 토기는 옹관에 사용된 호이다. 이 호는 수제, 무문, 기표마연, 갈색, 기벽 얇고, 소성도가 높다. 형제는 折 肩, 曲 腹, 평저이며 가로 손잡이가 어깨에서 약간 아래 있다. 어깨 내외로 구멍이 4개 있다. 포자연전산 주거지는 인공으로 만든 계단식 구릉상에 위치하며 무덤은 산언덕 사이에 있다. 4기 주거지는 건축결구가 반수혈식이며, 11기 무덤 중 어린이용 석관(M10)은 석관 을 세우고 축조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석괴로 축조하였다. 거주지 내와 석관상에서 출토 된 토기는 수제이며 무문의 갈색이고 모래가 섞였다. 석기는 모두 마제, 토기는 호와 정 이다. 석기 중 판상의 긴 돌도끼와 兩 孔 의 반월형 석도 및 유적과 유물 등은 전형적 서 단산문화 의 유존이다. 16) 양반산유적은 길림시 동쪽교외, 紅 旗 屯 의 남쪽으로 약 2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물 이 없는 작은 강을 중심으로 하나의 산이 동, 서로 나누어져서 양반산이라고 부른다. 유 적은 동, 서 두개의 반산 북쪽 언덕에 있다. 길림시 교외에 이 유적과 자연조건이 같은 小 阿 什, 전마산, 장타산, 후석산, 소달구, 서단산과 이도영자 유적 등이 있다. 1953년 양반산에서 석기, 토기와 무덤이 발견되었으며 1954년 발굴이 실시되어 그 결 과 吉 林 兩 半 山 發 現 新 石 器 文 化 遺 址 로 발표되었다. 그 후 1962년 6월 다시 발굴이 시 작되어 5개의 트랜치를 설정해서 발굴한 결과 1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트랜치 5개 (T1 5) 중 T2의 문화퇴적 : 제 1층은 경작토로 두께 m, 제 2층 은 황색토이며 지표로부터 m, 두께 m이다. 모래질 홍갈도편과 1점의 석축이 출토되었다. 제 3층은 회흑색, 두께 m, 출토 유물은 역 足, 역구연부, 정 바닥, 정족, 호편 등. 모래질 갈색토기이다. 석기로는 矛 (창), 촉, 석도와 垂 飾 등이다. 이 외 양쪽을 대려낸 어망추가 있다. 제 3층과 2층은 비록 흑갈색로 구분되지만 출토유물 성질은 같아 동일시기에 속한다. 양반산에서 석관묘(M1) 1기 발굴, 무덤은 산허리에 위치한다. 그 남쪽은 단애이며 묘 는 산정상을 향하였다. 방향 260도, 석관은 장방형이며 화강암 석괴로 축조하였다. 남북 양측벽은 3개 대판석으로 축조, 내벽은 평탄하며 틈사이는 작은 석괴로 메꾸었다. 양 끝 ( 端 )에는 1매 대석을 놓았다. 3매의 대석괴 뚜껑을 덮었다. 석관의 머리부분이 약간 넓 다. 관내 길이 1.36m, 서쪽끝 너비 30cm, 동쪽너비 25cm, 높이 37 40cm이다. 동쪽 끝이 서쪽 끝보다 낮다. 관내에 앙신으로 추정되는 인골이 있다. 부장품은 사자의 좌측에 방 추차와 석도를 각각 1점씩 놓고 관끝에 완, 단지와 호가 있다. 양반산유적의 지층과 출토된 문화유물은 바교적 단순하다. 무덤내의 부장품은 실용기 16) 吉 林 市 博 物 館, 吉 林 市 泡 子 沿 前 山 遺 址 和 墓 葬 ( 考 古 6, 1985) pp

26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이다. 양반산의 토기는 기본적으로 모래가 섞인 홍갈도이며 기형도 많지 않다. 모두 수 제로 만들었다. 석기도 촉, 어망추, 창 등이며 주로 어뢰(고기잡이, 사냥)에 사용되 었다. 지금까지 (1964년도)의 연구에 의하면 길림시 교외의 원시유적은 기본적으로 3종 유형 이 있다. 다수의 유적이 양반산과 같은 문화유존으로서 그것들은 官 山, 馮 家 屯, 旁 八 家, 豊 滿 屯, 馬 鞍 山, 阿 什 哈 達, 全 磨 山, 小 阿 什, 馬 家 屯, 小 團 山, 四 方 山, 小 白 山, 西 團, 騷 達 溝, 巴 虎 屯, 田 子 溝, 狼 頭 山, 泡 子 沿 小 團 山, 泡 子 沿 西 山, 北 山, 蓮 花 泡 二 道 嶺 子, 東 團 山, 龍 澤 山, 泡 子 沿 前 山, 長 蛇 山, 猴 石 山 과 安 達 山 등이다. 양반산 문화유존과 같은 문화유적은 길림시 교외의 송화호와 송화강 및 그 지류 양안을 제외하고 盤 石, 樺 甸, 교하, 서란, 덕 혜, 장춘과 회덕 등에서도 모두 발견된다. 그로 인해서 양반산 유적의 문화는 하가점 상 층문화 의 계통에 속하자 않고 다른 문화계통에 속하는데 그 점은 장래 연구에 맡긴다고 서술하고 있다. 17) 음마하는 길림성 盤 石 縣 呼 蘭 嶺 에서 시작하여 雙 陽, 永 吉, 九 台, 덕혜 등 현을 경유해 서 농안현 靠 山 屯 에 이르러 제 2 송화강으로 유입된다.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음마하의 덕혜, 구대, 쌍양 등에 대한 상세한 고고조사를 실시해서 신석기시대부터 遼 金 시대의 고 문화 유존을 많이 발견하였다. 대표적인 7곳을 소개한다. 1 상류지구 오가자유적은 쌍양현 산하향 오가자촌에 속한다. 고대유존이 비교적 밀집 분포, 가장 풍부한 곳, 북산 千 家 子 孤 仙 堂 서산 4곳. 그곳에 주거지 무덤이 있으며 문화 면모도 비교적 일치한다. 각 유존 분포면적은 약 4 5만m2, 문화층 두께 40 70cm. 유적 중 발견 토기는 모두 모래섞인 홍갈도, 소성도 불일치, 무문, 토기 제작법 이편 연결, 기 형은 정, 역, 뚜, 관, 호 등. 석기는 도끼, 자귀, 끌, 석도, 방추차, 어망추, 석촉 등. 무덤은 서산과수원에서 5기를 발견하였고, 심히 파괴, 5기 고분 모두 대판석을 세워 축조하였다. 바닥에도 판석을 깔거나 또는 깔지 않은 것도 있다. 뚜껑은 모두 4, 5매 판 석으로 덮었다. 무덤 출토의 토기는 주거지 출토와 같다. 南 山 墓 群 은 음마하 상류에 속 해있다. 그곳은 쌍양현 산하향 만보촌이다. 남산 동쪽 언덕에서 장방형 석관묘 10여 기 를 발견하였는데 분포면적은 6만여m2이다. 그 중 2기(M1, M2)는 발굴, 묘는 장방형 토 광석 관묘, 동남향, 양측벽에 판석을 세워서 축조, 서북단(끝)은 석괴로 쌓았다. 동남단은 삽 형의 대판석으로 봉쇄하였다. 묘길이 1.95m, 너비 0.8m, 묘바닥 깊이 2.04m, 너비 0.85m, 관내 깊이 0.7m. 관저는 황모래, 석관상에 3매 대판석으로 덮었다. 부장품은 호 완 각 2점, 단지, 돌도끼, 청동제 도 1점, 1점토호 내에 돼지 이빨 4점이 있다. 토기 모두 모래섞인 흑갈도이며 완은 권상법으로 제작하였다. 호는 이편 접합, 기벽이 얇고 무문, 마연 광택이 난다. 2 중류지구. 동산두유적은 쌍양현 사가자향 雜 木 溝 동산에 위치한다. 산의 정상부와 17) 張 忠 培, 吉 林 兩 半 山 遺 址 發 掘 報 告 ( 考 古 1, 1964) pp.6 12.

27 남쪽언덕의 제 1, 2층의 梯 田 내에서 고대 토기와 석기가 발견되었다. 이 유존의 면모는 단순하다. 토기는 모두 모래섞인 홍갈도, 소성도가 높지 않다. 문양은 압인문 각획문 2종 이다. 기형은 호, 관(단지) 등이며 석기는 돌도끼와 돌칼 등이다. 그외 편검성유적, 대청 취유적 등이 조사되었다. 3 하류지구. 왕가타자고분군은 덕혜현 채원자향에 속하며 그곳은 음마하와 제 2 송화 강이 합류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72년 당지 주민들에 의해서 50구 이상의 인골이 발견되고 인골옆에는 토기가 부장되어 있었다. 채집된 토기는 단지, 바리( 鉢 ), 굽높은 투 창의 豆 가 1점 있었다. 그외 북령고분군은 왕가타자에서 서북방향으로 7.5km 지점에 있 다. 당지 주민들에 의해서 인골과 부장품이 채집되었다. 1기 고분 내에서 5점의 완전한 토기가 발견되었다. 태토에는 모래가 섞이고 흑 갈색 두 종류, 기형은 단지, 두는 2점이 며 투창이 있고 무문이다. 상기한 유적, 고분은 대체로 4종 문화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제 1종은 대청취유적, 동 산두와 편검성유적이 대표적이고 그것들은 주로 중류지구에 분포되었다. 대표적 토기는 捺 壓 文 과 之 자 문양 등이다. 기형은 단지 등이다. 그러한 토기는 길림시 교외 이도령자, 호두립자 등에서 발견되었다. 일종의 심양 신락하층 유존과 접근된 신석기시대 유존으로 보고있다. 왕가타자와 북령 두곳 묘지는 다른 일종에 속하는 유존으로 보며 길림에서 발 견된 신종의 문화유형으로 보고있다. 오가자 주거지 및 무덤과 남산묘지군은 제 3종 문 화유형으로 보고있다. 그러한 유존은 음마하 연안에 보편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 문화 유형은 서단산문화와 같지만 또한 뚜렷한 지방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 4종 문화유형은 드물다. 다만 대청취유적 중 몇편의 토기에서 보인다. 이 문화유형은 음마하 4종 고대 문화유형 중 최후 1기로 보고 있다. 길림성 쌍양, 구대, 덕혜 등 3현의 음마하 고문화 유적 일람표를 제시하고 있다. 모두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유적 등 25곳을 나열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장래 연구에 맡긴 다고 하고 있다. 18) 1989년 8, 9월 사이에 길림성 연변지구 汪 淸 縣 에서 연길시 도로 건설 과정 중 주거지 와 무덤이 노출되어 구제발굴을 실시하였다. 발굴지역을 3개 小 區 로 나누어 1구 6개, 2 구 4개, 3구 8개의 트랜치를 5 5m2 크기로 설정하였다. 전체 유적의 발굴면적은 500m2이 다. 신광유적 지층퇴적은 비교적 간단하다. 제 1층 표토층 두께 20 25cm, 제 2층 황갈 토 두께 20 30cm, 모래층으로 강자갈이 섞였다. 제 3층 황사토층 즉 생토층, 지층내에 서 유물 드물다. 발굴시 2기 주거지의 부분 房 角 을 발견. Fl, F2로 번호 부여. Ⅰ, Ⅱ지구 내에서 위치. 정식 발굴한 2기 주거지 F3, F4 등으로 번호 부여. Fl, F2의 층위 관계는 F3, F4와 같다. F3은 원각장방형 반수혈주거지, 문도방향 330도 18) 長 春 市 文 物 管 理 委 員 會, 吉 林 省 飮 馬 河 沿 岸 古 文 化 遺 存 調 査 簡 報 ( 考 古 9, 1986) pp

28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벽깊이 0.6m, 斜 直 壁, 서벽 길이 4.2m, 동벽 길이 4.3m, 남벽 길이 12.1m, 북벽 길이 12m. 주거지 면적 52m2. 주거지 남벽, 서벽 보존 완정. 북벽 동반, 동벽의 파괴가 심하다. 벽과 주거지면 모두 노란 진흙 바르고 불에 태우다. 노지 실내 동부의 중앙에 위치. 장 경 0.9m, 단경 0.8m, 전체 주거지내 3개 기둥구멍 발견, 기둥구멍 원형, 수직, 낮은 갱. F4주거지 생략, 유물, 토기는 모래섞이고 기벽 두텁다. 대형 기물 있다. 홍갈색이 대종 이루다. 소성도가 일치하지 않다. 모두 무문, 다만 기표 마연, 광택, 모두 수제, 기형은 옹기, 단지, 두, 분, 완 뚜껑 등이다. 석기는 마제 위주, 소량 타제 있다. 타제는 흑요석기, 마제석기는 석촉, 석창, 돌낫, 돌칼, 돌도끼, 돌마치, 석구, 갈돌, 공이 등이다. 타제석기, 석도 1점, 긁개 1점과 흑요석기 3점, 직인 긁개 1점과 석편 2점 등이다. 연변지구, 두만강 南 岸 의 조선경내의 신석기시대에 대량으로 흑요석 석기가 사용되었 으며 청동기시대가 되면 흑요석기가 뚜렷이 감소되고 철기시대에 이르면 흑요석기는 보 이지 않는다. 신광유적 출토 3점 흑요석기가 출토되었다. 신광유적은 청동기시대 유적이 다. F3 거주면 출토 목탄의 C14 측정이 B.P. 2390년±80년 (B.C. 440±80), 나무나이테교 정이 B.P. 2415±90년(B.C. 465)이다. 시대는 춘추전국시대이다. 문화면가, 연변지구의 柳 庭 洞 유적, 新 安 閭 유적 하층, 金 谷 墓 地, 金 城 墓 地 출토의 유물과 비교적 접근된다. 19) 1982년 5월, 남기소단산, 홍기동량강에서 12기의 석관묘를 발굴하였다. 남기소단산은 영길현 口 前 公 社 남기대대 제 7생산대 서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의 평면은 타원의 小 山 이라 소단산(해발 283m)이라고 부른다. 소단산유적(주거지)과 묘지의 총 면적은 약 3,000m2 이다. 남기소단산에서는 5기의 토광석관묘를 발굴하였다. 산발치의 M1은 화강암 판석을 세워서 축조하고 나머지 4기는 화강암 석괴를 쌓아 만들었다. 토광 은 파괴가 심하여 길이, 너비가 확실하지 않다. 석괴로 쌓은 묘는 일반적으로 2 4매로 뚜껑을 덮고 양측벽은 2 4층을 쌓고 관머리와 끝에 각각 1매를 놓고 어느 것은 바닥돌 을 깔았고 어느 것은 없다. 모두 副 棺 ( 槨 )은 없다. 부장품은 묘실내에 석기, 토기를 허리 사이 또는 다리뼈 부분에 놓았다. 모두 단인 일차장이다. 묘방향은 M1이 북판서 외에 기타는 모두 동서향이다. 머리는 산정 방향이고 다리는 산아래 방향이다. 예로서 M1은 방향 325도, 소단산 남쪽 산언덕 발치에 위치, 개석은 2매 판석, 등서벽 각각 2매를 세워 서 축조하였다. 관머리, 끝부분도 각각 1매씩 세웠다. 관내 길이 1.65m, 너비 0.42m, 깊 이 0.51m이다. 인골 보존상태는 양호하며 장식은 仰 身 直 肢 ( 屈 臂 ), 사자는 중년 남성, 부 장품은 도끼 2점, 돌칼 1점, 토기로는 호 1점, 바리 1점이 있다. 홍기동량강(해발 295m)은 영길현 구전공사 홍기대대 제 4생산대에서 동쪽으로 0.5km 의 언덕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에 석관묘가 많이 분포하나 다만 7기를 발굴하였다. 그 중 3기(M1, 2, 3)는 모래 채토 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4기는 자연적으로 유실된 것이었 19) 吉 林 汪 延 公 路 考 古 隊, 吉 林 省 延 吉 市 新 公 遺 址 發 掘 簡 報 ( 考 古 7, 1992) pp

29 다. 묘장구 면적은 5,000m2이다. 홍기동량강의 묘장은 모두 화강암 판석을 세워서 축조하 였으며 대 부분 副 棺 (곽)이 있다. 모두 단인 일차장이다. 예로서 M1호는 방향 330도, 홍 기동량강의 서남쪽언덕에 위치, 2매로 뚜껑을 덮었다. 동서벽은 각각 2매로 처리하였으 며 머리와 끝 부분에 1매를 세우고 바닥도 2매로 깔았다. 뚜껑과 지표거리는 30cm, 묘실 길이 1.64m, 너비 0.4m, 깊이 0.45m이다. 인골 보존상태는 양호하며 葬 式 은 앙신직지, 사 자는 중년남성, 부장품은 목부분에 목제장식 1점, 허리부분에 석도 1점, 돌도끼 2점, 석 촉 3점, 청동제 도끼 1점이 있다. 동량강과 소단산 석관묘는 주거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분포되었다. 전자는 자연구릉에 있으며 후자는 인공이 가한 階 梯 狀 台 地 에 있다. 葬 具 는 판석을 세우거나 석괴를 쌓아 만 들었다. 모두 단인장, 대부분 앙신직지장이다. 석기로는 마제의 도끼, 자귀, 끌, 칼( 刀 ), 촉 등이다. 그 중 雙 孔 반월형 석도가 가장 많다. 토기는 수제이며 모래섞인 갈색으로 호, 단지, 바리, 완, 방추차 등이다. 그 중 교량형 손잡이가 특징이다. 이것들은 서단산문화에 속한다. 20) 주산유적은 길림성 서란현 法 特 公 社 黃 魚 大 隊 村 에서 서쪽에 있는 주산 上 에 있다. 유적 은 1960년 문물 조사시 발견되었다. 유적 범위는 동서길이 300m, 남북길이 500m이다. 1980년과 81년 발굴에서 주거지 9기, 회갱 3기, 무덤 2기가 발굴되었으며 출토물은 토기, 석기, 골기, 금속기 등 200여 점이다. 1980년 작업은 남쪽언덕에 집중되었으며 그곳에 크기 5 5m2의 트랜치 4개를 설정하였 다(T1 T4). 南 區 지층 : 제 1층 표토, 흑색, 두께 25 28cm. 제 2층 심갈색토, 두께 15 30cm, 각종 문양의 모래섞인 토기, 수제 그리고 수제 후 돌림판으로 처리한 것 등, 태토가 얇은 흑 회색 고운 태토의 무문토기, 그외 은제팔찌와 蚌 刀 출토. 제 3층 황갈토, T4의 동남각 범위, 주로 홍갈색 고운태토 또는 모래섞인 토기편, 소량의 원추형 鼎 足, 다리형 손잡이 등. 제 4 층 황토, 두께 50 70cm, 유물 드물다. 소량의 수제 모래섞인 토기편, 제 5층 암홍색 풍화암 모래 생토, 남구에서 회갱 1기, 주거지 4기 (F4 미정리) 발견. 동구는 설 명 생략하겠음. 그외 요금시대 유존, 말갈 발해초기 유존 등이 발견되었다. 석관묘는 유일하게 1기이며 비교적 시기가 이른 것을 발굴하였다(번호 M1). M1은 東 區 트랜치 9(T9) 2층 아래에 있었다. 관길이 2.2m, 너비 1m, 높이 0.25m이다. 4벽 모두 자연쇄석을 쌓아 축조하였고 관바닥에도 쇄석을 깔았다. 棺 上 에는 뚜껑돌이 없고, 관내 에 인골은 없으며 葬 式 은 불명하다. 서남모서리에 1조의 소형토기가 있다. 부장된 토기 는 모두 12점인데 모두 수제의 모래섞인 무문토기이며 1점의 흑갈색 외에 그 나머지는 황갈색이다. 태토는 거칠고 소성도는 낮다. 보통 손으로 직접 만들었다. 어느 것은 가볍 20) 吉 林 市 博 物 館, 吉 林 市 口 前 藍 旗 小 團 山, 紅 旗 東 梁 崗 石 棺 墓 淸 理 簡 報 ( 文 物 9, 1983) pp

30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게 수정하고 마연한 것도 있다. 모두 明 器 이다. 종류는 두, 호, 단지, 杯 등이다. 서단산문화 유존은 주산유적 중 가장 많다. 가장 중요한 유존은 남구, 동구의 3, 4층과 전체 주거지 유물 등이다. 석기는 마제 위주로 정교한 석기, 토기, 골기 등이 있다. 석제는 板 礫 岩, 응회암, 변질 사암 등이고 기형은 도끼, 刀, 자귀, 끌 등이다. 주산유적의 2차 발굴에서 길림 장춘지구의 말갈 발해문화와 서단산문화의 면모를 연 구하는데 새로운 자료를 발견하였다. 장래 서단산문화 유형의 구분, 편년설정, 시기분류 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1) 소달구 석관묘지는 1941년 佟 柱 臣 이 조사하고 동시에 2기를 발굴하였다. 1948년 3월 길림시가 해방되었으며 9월 동북사범대학에서 서단산묘를 발굴함과 동시에 소달구의 大 砬 子 에서 1기 무덤을 발굴하였다. 1949년 7월 소달구의 대립자, 이립자, 山 咀 子, 西 南 溝 와 平 頂 東 山 上 에서 20기의 석관묘를 발굴하였다. 1950년 배문중 등이 소달구의 산저자에 서 1기의 석관묘를 발굴, 1953년 소달구의 이립자에서 4기의 석관묘 발굴하였다. 1941년 부터 1953년까지 5차에 걸쳐 대립자, 二 砬 子, 서남구, 산저자와 평정산 등에서 모두 28기 를 발굴하였다. 다만 상기한 내용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지 않았으며 王 亞 洲 가 1964년 보고서를 쓰는 과정에서 1966년 病 故 되었다. 이로 인해서 1983년 길림성박물관의 李 蓮 등이 소달구와 평정산 등 유적을 다시 조사하여 1949년부터 1953년까지 발굴한 23개의 석관묘에 대한 것을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 있다. 소달구는 길림시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시로부터 약 10km 거리이다. 소달구는 남 북너비 l 2km, 동서길이 약 20km의 溝 谷 평지이다. 큰개천( 溝 )의 북쪽에 동서로 10여 km 연결된 평정산(해발고도 307m)이 있다. 산세가 비교적 높지만 정상부가 평탄하다. 산정 대관은 바로 이 산정상부이다. 평정산의 남쪽언덕은 두개의 石 砬 子 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동쪽에 대립자(표고 257.3m)라고 칭하는 곳이 있다. 립자의 동남쪽 언덕이 채석으로 인하여 단애가 형성되어 언덕이 상당히 가파르며 오르기가 어렵다. 서북언덕이 비교적 완만하여 석관묘가 집중되었다. 1949년 그곳에서 17기의 석관묘가 발굴되었다. 1949년과 1953년 2차 발굴된 23기의 석관묘를 49JSM1-M19와 53JSM1-4로 번호를 부 여하였다. 전자 19기 묘 중 M1, M2, M7, M9, M11, M12 6기는 발굴자가 기억할 뿐이고 그 외는 자료가 없다. 나머지 13기는 자료가 제시되고 있다. 그 중 M3호는 관뚜껑, 벽석 과 부관 3부분으로 조성되었다. 뚜껑은 4매의 靑 石 으로 덮었다. 전자 217cm, 최대관두 125cm, 최대두께 14cm이다. 관벽도 청석으로 쌓았다. 남북 양끝은 2매의 큰 청석으로 세웠다. 동서 양벽을 석괴로 쌓았다. 관내는 전체길이 208cm, 남북너비는 불일치하다. 북 단너비 56.6cm, 중간너비 52cm, 남단너비 51cm이다. 부관은 주관의 남단에 있다. 너비와 21)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舒 蘭 黃 魚 權 珠 山 遺 址 淸 理 簡 報 ( 考 古 4, 1985) pp

31 높이는 주관과 같다. 길이 51cm, 정방형, 5괴 청석으로 축조, 葬 式 은 側 首 仰 身 屈 肢 의 單 人 葬, 死 者 는 55세 이상의 남성, 부장품은 석기로서 도끼 칼 끌 석촉 석구 1점, 토기는 단 지 1점 등 모두 8점이다. 1953년 발굴한 석관묘는 모두 4기( 例 53JSM1)이며, 그 묘는 이립자산 언덕상의 개천 변에 위치한다. 장방형, 남북향머리방향 산허리, 파괴 심하다. 뚜껑은 개천으로 옮겨졌다. 관벽은 이미 붕괴되었고 잔존 동벽은 석괴로 쌓았다(높이 150cm 정도). 관바닥은 보존상 태 양호하며, 4매로 깔았다. 전체길이 2.4m, 너비 m, 남단의 제 4 塊 低 石 은 약간 작은데 부관의 바닥석으로 추정된다. 관의 남단에 사람의 하지골 잔존, 葬 式 불명, 부장품 은 석도 손잡이 1점, 도제 방추차 2점 등 모두 주관내에서 출토되었다. 당시 발굴한 석관묘는 1949년 발굴한 19기와 상기한 1953년 발굴한 토기를 포함하여 모두 23기이다. 그 중 6기는 파괴가 심하며 부장품도 발견되지 않았고 형제도 자세하지 않다. 나머지 17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무덤들은 소달구 부근의 평정산, 대립자, 이 립자, 서남구와 산저둔 등 5곳에 분포되었다. 소달구 석관묘의 방위는 모두 산세를 따랐 다. 그 현상은 서단산과 星 星 哨 등 석관묘의 방위와 일치한다. 발굴자 왕아주에 의하면 그의 초고에 49M8 호의 석관상에는 圓 丘 封 土 가 있었다 한다. 청동기는 17기 무덤 중 다 만 49M4 와 M8에서 출토되었는데 전자는 9점으로 모두 連 珠 狀 장식이있으며, 후자는 1 점으로 청동제 팔찌이다. 소달구 석관묘의 연대문제는 많은 글속에서 모두 길림 서단산 보다는 늦고 길림 江 北 토성자보다 이르다고 보고있다. 대체적으로 전국전후로 보고있 다. 22) 길림시 소달구산정대관에서는 1949년 9월에 왕아주가 석관묘 1기를 발굴하였다 년 5월에 다시 그곳을 재조사하였다. 산정 대관 은 소달구 북쪽에 위치하며 평정동산의 산정상은 소달구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오랫동안 사용된 소달구산정대관 명칭 을 사용하고 있다. 산정대관은 글자 그대로 산의 정상에 수축한 석관묘이다. 그 규모가 커서 길림시에서 드문 예이다. 석관의 구조는 산정상 암반을 장방형으로 굴착하였다. 깊이는 1.5m 정도, 동서너비 1.5m, 남북길이 2.5m이다. 방향은 북편동 8도이다. 이 암광에 석관을 구축하였 다. 석관은 뚜껑, 4벽과 관바닥 돌 등 세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석재는 거대한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남북양벽에 한장의 거대한 판석을 세우고 양끝에 직각이 되도록 가공된 바 닥석을 그 사이에 끼우고 마지막으로 관바닥 상에는 동서 양측에 각 1매 벽석을 세웠다. 즉 남북 양벽+바닥석+동서 양측 각 1매 벽석을 세웠다. 동벽석의 남북길이 2.35m, 너비 (즉 높이) 1.05m, 두께 0.43m, 남벽석 남북길이 1.10m, 너비(높이) 1.05m, 두께 0.38m, 북 벽석 동서길이 1.20m, 너비(높이) 1.05m, 두께 0.12m이다. 뚜껑은 원래 타원형 1매의 화 22) 段 一 平, 李 蓮 徐 光 輝, 吉 林 市 騷 達 溝 石 棺 墓 整 理 報 告 ( 考 古 10, 1985) pp

32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강암 대석을 덮었다. 뚜껑의 남북 최대 길이 2.70m, 최대너비 2.33m, 최고두께 0.45m이 다. 그러나 뚜껑의 중간이 후대에 4편으로 깨졌다. 바닥돌은 1매로 처리하였고 남북길이 2.10m이다. 그것은 北 寬 南 窄 의 大 頭 小 尾 狀 이다. 葬 式 은 頭 北 脚 南 의 앙신직지장이다. 부 장품은 대단히 풍부하다. 모두 71점으로 그 중에 有 孔 석도, 청동제 도끼, 청동제 칼, 청 동제 단추, 토기 호, 옥제품, 마노제의 장식품 등이다. 이 무덤을 서단산 석관묘와 비교 하면 규모가 크고 정교하며 청동기가 부장되어 있어서 연대는 늦다. 즉 전국후기로 보고 있다. 23) 1982년 9월에 건안현대포소포 동안에서 고고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조사에서 청동기문 화 유존 3곳이 조사되었다. 문화특징은 2종이다. 1종은 갈색, 모래섞인 무문토기 위주이 며, 청동기문화 유존은 學 字 井 屯 西, 中 入 字 井 屯 西 北 이다. 다른 1종은 황갈색 고운태토에 문양이 있는 청동기문화 유존 등이다. 그곳은 后 입자정둔서북이다. 泡 岸 에 가까운 학자정둔은 狼 牙 峰 북부의 屯 落 이다. 이 일대에 고문화 유존이 풍부하 고 면적이 넓다. 이 곳에서 세석기 외에 토기, 청동기와 장식품 그리고 마제석기가 채집 되었다. 세석기는 석핵, 밀개, 切 割 器 (필자 : 긁개), 첨두기와 송곳( 尖 狀 器 ), 석촉 등이다. 토기는 대부분 모래섞인 것으로 소성도가 높지 않은 갈색이다. 어느 것은 흑색을 띠고 어느 것은 회흑색 반점을 띤 것도 있다. 소량의 토기편에 고운모래와 운모가 섞인 황갈 색이 있다. 모래섞인 토기는 대부분 素 文 이며 어느 것은 융기문이 있다. 다만 착점문 토 기 1점과 융기문 토기 몇점이 있다. 기형은 호, 바리, 단지 등이다. 청동기는 단추( 泡 飾 ) 11점이 채집되었다. 무문, 표면은 弧 圓, 背 面 內 凹, 어느 것은 교량식 꼭지가 있으며 꼭지 사이에 合 范 痕 이 있다. 중입자정둔서북 청동기문화 유존은 낭아봉의 남부에 있다. 북쪽으로 학자정둔은 3km의 거리이다. 그곳에서 수제 모래섞인 갈도편, 인골 및 청동제 장식품이 발견되었다. 면적은 50m2이다. 토기편은 모래가 섞인 거칠은 것으로 부분편은 표면을 抹 光 또는 壓 光 하였다. 대부분 갈색외에 상당수 흑색반점이 있다. 모두 무문, 기형은 호 단지 杯 완 등이다. 모두 평저, 어느 것은 假 圈 足, 삼족기는 없다. 손잡이는 다리상 또는 기둥상이다. 채집유물은 토기, 청동기로서 泡 飾 (단추장식), 칼 등이다. 그의 骨 鏃 과 세석기도 있다. 후입자정둔서북 청동기 유존은 북쪽으로 학자정둔과 남쪽으로 중입자정둔이 각각 1.5 km 거리에 있다. 후입자정둔에서 서북쪽으로 1km 지점이 낭아봉 변연상인데 그곳에서 古 墓 유적이 발견되었다. 그 면적은 50m2이다. 다만 빗물이 그곳을 휩쓸고 지나가서 10여 기의 고분이 심하게 파괴되었다. 그곳에서 토기, 골기, 청동기와 돌장식품이 다수 채집되 었다. 23) 吉 林 省 博 物 館 吉 林 大 學 考 古 事 業, 吉 林 市 騷 達 溝 山 頂 大 棺 整 理 報 告 ( 考 古 10, 1985) pp

33 토기는 모래섞인 거칠은 것과 고운태토 兩 種 으로 모두 수제이다. 모래섞인 토기는 다 수가 무문이며 색깔은 상기한 두 곳과 같다. 기형은 단지 호 등이다. 고운태토 토기는 대 포소포동 안에서 다만 1곳 발견되었다. 토기는 고운 모래가 섞이고 기벽이 얇으며 소성 도가 높고 황갈색이다. 문양은 창인의 圓 點 文 과 압인 비점문 등의 기하도안이다. 이 紅 衣 陶 는 굽기 전에 기벽의 表, 里 에 陶 衣 (slⅠp)하였다. 송무무늬( 指 甲 印 文 )도 1점 있다. 골기는 鏃 62점이다. 청동기는 다수이다. 52점 채집된 단추 5식으로 나누고 있다. 그외 청동칼, 단검형 장식 1점, 관형장식, 팔찌 등이며 그외 석제장식, 골제장식( 骨 管 )도 있다. 상기한 3곳 청동기문화 유존 중 신석기시대 토기(편)는 발견되지 않았다. 세석기도 드물 었으며 그것은 학자정둔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종합하면 대포소포동안에는 2종의 청동기문화가 존재한다. 1종은 소형 청동기와 수제 무문의 모래섞인 토기가 특징인 문화이다. 다른 1종은 소형 청동기와 수제, 황갈색, 고운 태토의 문양있는 토기가 특징인 문화이다. 이 兩 種 문화는 인근인 白 金 寶 문화, 서단산문 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4) 유적은 조인하 北 岸 에서 2km, 조안현성에서 동쪽으로 15km 지점의 쌍탑둔변의 固 定 모 래언덕 상에 위치하고 있다. 모래언덕의 전체길이는 2km, 높이 5 7m, 대부분 경작지로 개간되었다. 그곳에서 토기와 석기가 채집되었다. 토기는 130여 점이 채집되었다. 그것들 은 고운태토의 회황도 회갈도 홍갈도 등이며 모래섞인 갈 황갈도 등이다. 석기는 160여 점이 채집되었다. 그것들은 마제석기 타제석기와 세석기 등이다. 여기에서 채집된 토기와 세석기 등은 송눈평원 상의 많은 원시유적에서 발견될 뿐만 아니라 제제합이앙앙계, 鎭 寶 縣 坦 途, 대안현 傲 包 山, 永 合 屯, 東 山 頭, 漢 書, 肇 源 縣 白 金 寶, 望 海 屯 등 주거지 또는 무덤 출토의 유물과 같다. 시대는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 시대 등 여러시기에 속한다. 石 犁 는 납작한 반월형 공이로 농업생산 공구이다. 그것들은 송눈평원에서 발견된 예가 없고 석리는 1956년 건안현 松 傳 村 부근에서 채집된 1점 외에 기타 부근에서 발견된 바 없다. 科 左 中 旗 團 結 유적에서 발견된 석리형제는 쌍탑유적에서 발견된 것과 기본적으로 같다. 之 자 문양 토기는 과거에 송눈평원 상에서 발견된 바 없다. 다만 쌍탑유적에서 1 片 만 채집되었다. 그러나 哲 盟 지구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많이 출토되었다 한다. 25) 4. 철기시대 24)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乾 安 縣 大 布 蘇 泡 東 岸 遺 址 調 査 簡 報 ( 考 古 5, 1984) pp )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洮 安 縣 雙 塔 屯 原 始 文 化 遺 址 調 査 ( 考 古 12) pp , 1121.

34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전가타자유적은 제 2 송화강 남안 제 2 대지상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동서 약 500m, 남북 약 200m가 된다. 1958년 이 유적의 조사에 대하여 보고되었으며, 1974년 4 월에 1 5m의 탐색트랜치(T1)를 넣어 발굴하였다. T1의 북단에서 F1(주거지)를 발견한 후 계속 발굴하여 F1의 범위를 확인하였다. 시굴면적은 50m2이다. 지층은 모두 4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층 농경토, 두께 m. 제 2층 두께 m, 灰 土 에 고운 모래 삽입, 많은 토기 출토, 기형은 고운태토의 홍갈도의 단지 옹기 호, 채색 고운태토 홍갈도 Ⅰ 式 호. Ⅲ식 단지와 碗 등이다. 제 3층 두께 m, 모래섞인 갈색층, 두 鼎 足 단지 Ⅲ식 완, 채색 고운태토 갈색 완 Ⅱ식 호 등이다. 제 4층 황색 고운 모래층, 유물 없다. 원 생토. 주거지(F1) 1기, 북편동 17도 원각장방형 半 地 穴 式 주거지, 동서길이 6.1m, 남북너바 5.3m, 면적 32.3m2이다. 거주면에는 진흙을 바르고 구워서 홍갈색이다(두께 m) 거주면 동쪽 가운데에 타원형의 불구덩이가 있고 바닥은 솔형이다(깊이 0.3m). 유물은 토기와 석기가 출토되었다. 토기는 모래섞인 홍갈도, 고운태토의 홍갈도와 채색의 홍갈 도 등 세 종류로 나누고 있다. 토기는 무문이 많으며 소수에 문양, 둣자리무늬, 선문, 손 톱 문, 빗살과 채색이 있다. 채색은 완, 단지, 호, 옹기 등에 보인다. 석기는 드물고 다만 돌도끼 2점과 연마석 1점이 있다. 청동기는 촉 2점이 발견되었다. 전가타자유적의 특징은 吉 林 農 安 田 家 坨 子 遺 址 的 發 現 與 初 步 調 査 에서 발표되었다. 전가타자 유적 특징은 원각방형 반지혈식 주거지이며 토기는 고운태토의 홍갈색, 채색의 홍갈도와 모래섞인 홍갈색의 정 단지 호 옹기 완(발) 두 등, 方 唇, 이중구연 등의 특징을 가졌으며 또한 드물게 꼭지형 손잡이, 가로의 교량식 손잡이가 있으며 대부분 무문이다. 소량의 선문, 돗자리무늬, 손톱무늬, 채색과 빗살무늬 등 기하문이 있다. 모두 수제로 윤 적법을 썼다. 석기는 드물다. 상기한 吉 林 農 安 田 家 坨 子 遺 址 的 發 現 與 初 步 調 査 중에 전 가타자 유존은 夫 餘 族 에 속한다고 되어있는데 지금도 그 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26) 북장강자유적은 제 2 송화강의 지류 小 魚 亮 子 河 南 岸 에 위치하고 있다. 新 立 屯 으로부 터 동쪽으로 200m 지점이다. 유적의 면적은 등서길이 200m, 남북 70m이다. 이 유적은 1958년에 발견되어 1960년에 省 級 보호단위로 지정되고 1974년 길림대학 고고전업반에 의해서 시굴되었다. 2개의 트랜치(T1, T2), 크기 l 10m2를 설정하였다, T1의 지층은 1층 경작토, 2층 회갈색 모래층, 3층 담회색 모래층, 4층 생토층이다. 2, 3층은 漢 書 2 期 의 문화유물이 포함된다. 2층과 언덕사면이 같은 높이인데 그곳에서 요대 회갱(H1) 1기와 26) 吉 林 大 學 歷 史 系 考 古 事 業, 吉 林 農 安 田 家 坨 子 遺 址 的 發 現 與 初 歩 謂 査 ( 考 古 2, 1979) pp

35 요대 무덤 (M1)1기가 발견되었다. T2의 경작토층 아래에는 흙색에 의해 3층으로 나누어 지나 출토유물은 같다. 모두 한서 2기 유물이다. 탐색구덩이 내에서 회갱(H2) 1기, 아궁 이 1기 (Y1, 1)와 一 段 路 土 가 발견, 그것들 모두 漢 書 2기 문화에 속한다. 유물을 보면 T2에서는 고운태토의 홍갈도 수량이 많다. 기형은 역 단지 바리 완 위주 이다. 그리고 호, 배는 다음이다. 채색의 고운태토 홍갈도로서 기형은 호 바리 완 잔( 杯 ), 대접은 드물다. 문양은 돗자리 압인문 위주, 그 다음이 홍색의 채색이며 錘 刺 文 도 소량 있다. 수제로서 윤적법을 사용, 소성도는 높지 않다. 석기는 돌도끼편, 蚌 器 등이 있고 기타로서는 돼지, 말, 닭(?) 등의 토제동물이 있다. 또한 돼지, 말, 개이빨과 대량의 물고 기뼈가 출토되었다. 상기한 내용에 의하여 북장강자유적은 漢 書 2기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있다. 27) 5. 고구려유적 고구려무덤의 조사 발굴작업은 요녕 환인과 길림 집안 두 곳에 집중되었다. 집안경내의 고구려 무덤은 老 嶺 山 의 嶺 前 과 嶺 後 에 분포되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령전에 더욱 집중되었다. 1962년 이래 령전의 무덤이 가장 집중된 洞 溝 지구에 조사가 진 행되었다. 그 결과 下 解 放, 禹 山 下, 山 城 下, 萬 寶 汀, 七 星 山 과 麻 線 溝 등 6개 墓 區 로 구분 되었다. 등록된 무덤수는 11,300여 기이다. 그 중에 마선구 1 호묘, 우산하 41호 68호묘, 오회분 4 호, 만보정 78호와 1,368호, 칠성산 96호묘, 산성하 332호와 983호 등이 발굴되 었다. 동시에 과거에 발견된 상당수 중요한 봉토석실벽화묘에 대한 보호조치를 취하였 다. 그 중에 오회분 5호묘와 동구 12호 등을 다시 발굴, 실측하였다. 三 室 塚 제 1실묘 바 닥 청소시에 소량의 인골편과 토기편이 발견되었다. 동시에 楡 林 河 유역과 압록강 서안의 大 高 力 子 墓 子, 小 고력자묘자, 朱 仙 溝, 長 川 등 무덤군을 조사 발굴하였다. 그 이후에 장천묘군에서 1호와 2호의 2개의 봉토석실벽화묘를 발굴하였다. 그외 령후 의 고구려묘군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종 유형의 묘장 160여 기를 발견하였다. 28) 길림성 집안 통구평원 중앙, 현 집안역 북쪽에 5기의 거대한 무덤이 있었다. 묘형태가 투구( 盔 冑 )와 같아서 당지 사람들이 오회분이라고 불렀다. 번호는 西 로부터 동쪽으로 부 여되었다. 4호는 이전에 소위 通 溝 未 偏 號 墓 였으며 5호는 이전에 소위 제 17호 묘, 또는 四 葉 塚 이라고 불렀다. 그 중 4호는 1950년 발견, 5호는 항일전쟁 중 발굴당하였다 년 4, 5호묘가 발굴되었다. 4호묘는 截 頭 方 錐 形 봉토묘, 봉토 잔고 8m, 주위길이 160m, 墓 向 160도, 묘는 墓 道, 南 27) 吉 林 大 學 歷 史 系 考 古 事 業, 吉 林 夫 餘 長 岗 子 遺 址 試 掘 簡 報 ( 考 舌 2, 1979) pp , ) 楊 泓, 四 高 句 麗 和 鮮 卑 族 的 考 古 新 發 現 ( 新 中 國 的 考 古 發 現 和 硏 究, 文 物 出 版 社, 1984) pp

36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道 와 묘실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묘실 4벽 및 조정사이에 벽화, 용도 양벽과 시상대에 도 벽화가 있다. 벽화는 화강암상에 직접그린 것이다. 5호묘는 대체적으로 4호와 같다. 봉토는 4호보다 높고 크다. 5호 역시 묘실 용도 묘도 세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벽화는 전체 묘실의 4벽, 조정, 시상대 및 용도 좌 우 양벽에 있 다. 시대는 6세기말로 보고있다. 29) 輯 安 洞 溝 제 12호 벽화묘는 또한 馬 曹 塚, 馬 槽 塚 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마굿간의 벽화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 묘는 1937년 6월 日 人 黑 田 源 次 가 도굴하였다. 1949년 이 후 폐문하며 보존하고 있다. 1962년 봄, 정리(발굴) 실측하였다. 무덤은 동구평야 중심의 우산 남쪽 언덕의 완만한 경사면에 있다. 남쪽으로 철도를 건너 약 460m에 상기한 오회 분 4호와 5호묘가 있다. 그리고 부근에는 많은 고구려시대의 봉토묘 또는 방단 적석묘가 있다. 제 12호묘 봉토는 황색점토, 현 높이 4.6m, 주위길이 90여 m, 원래 절두방추형이 다. 봉토 아래에 한줄의 석괴가 놓여있는데 모두 9매이다. 크기는 모두 1 1 2m3 정도이 다. 예로 장군총, 태왕릉 주위의 호석이다. 묘는 남 북 두실로 구성, 각각 묘문과 용도가 있다. 용도는 평행으로 방향 240도이며 묘실은 모두 方 形 으로 남실의 규모가 약간 크다. 墓 頂 은 궁륭식이다. 용도 남북 양측에 각각 龕 室 이 있는데 북실은 비교적 작다. 頂 部 는 四 阿 式 이다. 남실의 후벽길이 3.48m, 좌벽길이 3.52m, 오른쪽벽길이 3.54m, 전벽 전체길 이 3.47m이다. 북실 후벽길이 2.97m, 좌우 양벽 길이 2.94m, 전벽 전체길이 2.66m이다. 벽화는 감실 및 용도벽 상에 모두 있다. 벽화는 朱, 紫, 黃, 白, 黑, 녹색 등으로 처리 하였다. 벽화 내용은 부부대좌, 전투장면, 사냥장면, 무악, 마굿간, 마차행렬 등이다. 12호묘 雙 室 결구는 각각 묘문이 있다. 남 북 2실에 각각 부부대좌도 있다. 2 人 묘주인 을 동시에 1개 봉토내에 매장하였다. 묘주인은 고구려 귀족이다. 12호묘 결구와 벽화 내 용은 무용묘, 각저묘, 삼실묘와 기본적으로 같다. 시기는 무용묘, 각저묘 보다 늦고 삼실 묘 보다 이르다. 연대는 약 5세기로 보고있다. 30) 집안현은 길림성의 남쪽 끝에 있다. 서북쪽에는 혼강이 있으며 동쪽에는 압록강이 있 다. 장백산의 支 系 老 斧 嶺 산맥은 동북으로부터 서남쪽으로 일직선으로 뻗어서 縣 境 에 이 르러 (동)남, (서)북 두개 부분으로 나누어 진다. 그 남쪽을 嶺 前 이라 부르고 북쪽을 嶺 後 라고 칭한다. 현재 嶺 前 縣 城 으로부터 령후로 가려면 혼강 연안을 따라서 가는데 오직 두 통로가 있다. 하나는 마선구(혹은 楡 樹 林 子 )를 경유하여 板 盆 嶺 을 넘어서 新 開 河 계 곡을 따라서 내려가는 南 道 가 있다. 다른 하나는 노부령을 지나서 葦 沙 河 ( 大 靑 河 )의 구 불구불한 길을 따라 이르는 길을 北 道 라고 칭한다. 북도는 비교적 넓고 평탄하며 오늘날 29) 吉 林 省 博 物 館, 吉 林 輯 安 五 盔 墳 四 號 和 五 號 墓 淸 理 略 記 ( 考 古 2, 1964) pp ) 王 承 禮 韓 淑 華, 吉 林 輯 安 通 溝 十 二 號 高 句 麗 壁 畵 墓 ( 考 古 2, 1964) pp

37 輯 ( 安 ) 通 ( 化 )도로가 통하고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다. 남도는 길이 험준해서 행인이 드물 다. 1962년 남도, 북도를 답사해서 남도상의 覇 王 朝 山 城, 望 波 嶺 관애와 북도 상의 關 馬 墻 산성이 조사되었다. 그후 패왕조산성 조사의 내용과 관마장산성의 부분적 내용이 보고되 었다. 1963년 5월 망파령관애와 관마장산성이 다시 조사되었다. 관마장산성은 현성으로 부터 동남방향으로 65km 지점에 있다. 산성은 溝 谷 의 남북길이 600m, 동서너비 m를 차지하고 있다. 산성의 北 墻 은 頭 道 관마장이라 칭하고 南 墻 은 二 道 관마장, 東 墻 은 二 道 關 馬 者 라고 俗 稱 되어 왔다. 이 성이 차지한 것은 대단히 적은 면적이지만 그 형 세가 대단히 험준하여 하나의 군사 방어상의 성보이다. 망파령은 쌍분공사에서 서북방향으로 10km 지점에 있다. 북쪽 언덕이 가파르며 동시에 험준하고 좁은 계곡이 연결되어 있다. 높이는 약 60m 정도이다. 山 嶺 은 동남-서북 방향 이다. 서북쪽 산끝이 융기되어 남북방향으로 높은 고개를 만들었으며 그것은 높은 병풍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망파령관애는 한줄의 돌로 쌓은 석벽이다. 그것은 계속 연속되어 龍 頭 嶺 산 정상에 이 르고 있다. 현재 도괴되었다. 전체길이 260m, 기단너비 40m, 잔고 1.5 2m이다. 방향은 350도이다. 석벽 북쪽 끝은 신개하에 닿고 담벽 발치는 강변을 따라서 돌로 쌓은 제방이 다. 높이 m이다. 용두령 남쪽이 망파령과 연결된 곳은 凹 의 공터이다. 도로가 이 곳을 지나고 있다. 관애(검문소)의 門 址 는 발견할 수 없는데 도로가 파괴시킨 것이다. 고구려산성에는 토성도 있으며 석성도 있다. 패왕조산성, 망파령관애(검문소)와 관마장 산성은 모두 돌로 쌓은 석성이다. 그것들은 남도와 북도상에 철통같이 설치하여 험준한 자연지세를 이용해서 통로를 통제하였다. 31) 1972년에서 1974년까지 집안 만보정과 우산하에서 각각 1기의 고구려묘를 발굴하였다. 1972년 가을 만보정 78호묘 분롱 등남모서리의 적석 下 에서 상당량의 금동유물 발견, 1974년 가을 전면 발굴하였다. 만보정은 현성 북쪽 산계곡 중 하나의 남북으로 길게 뻗 은 충적평야에 있다. 그곳에는 많은 고구려 묘가 분포되었다. 통구 고분 중 가장 집중된 곳의 한곳이다. 78호는 1기 평면 방형의 石 墓 로서 각변 길이 17m, 방향 22도이다. 주위 묘 기단은 거대하고 잘 가공된 석괴로 方 壇 이 축조되었다. 네모서리에는 각각 하나의 거 석(높이 1.8m)이 있다. 발굴 결과 분롱 중앙에 잔존한 간단한 묘광이 있으며 동남모서리 에 묘도가 있었다. 출토유물로는 黄 釉 도편이 있고 기형으로는 아궁이, 대접( 盆 ), 단지와 호 등이 있다. 그외 금동제 유물로서 馬 具 가 출토되었는데 말안장 4점, 등자 4점, 재갈 2 점, 桃 形 片 8점(말방울 장식), 혁대고리 15점, 단추장식( 泡 飾 ) 34점 등이다. 우산하 41호묘는 통구분지 중앙, 태왕공사 우산하대대 제 1생산대의 촌락내에 위치하 31) 吉 林 省 博 物 館 輯 安 考 古 隊 輯 安 縣 文 物 管 理 所, 吉 林 輯 安 高 句 麗 南 道 和 北 道 上 的 關 隘 和 城 堡 ( 考 古 2, 1964) pp

38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고 있다. 이 묘에서 동쪽으로 약 1 里 정도 지점에 유명한 태왕릉이 있다. 41호묘의 현 분롱높이 2.15m, 이 묘 주위 기단 상에 원래 계단이 만들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묘 실은 거대한 석판으로 축조하였고, 원래 기단 중앙에 있었다. 평면 장방형, 방향은 245도 이며 기단은 평행으로 동서길이 3.15m, 남북너비 2m, 높이 2.3m이다. 묘실내에는 벽화, 천정부, 관대 및 묘도 저부의 대석재 내측에는 모두 백회가 발라져 있었다. 두께는 0.5cm 정도이다. 출토유물은 인골 외에 마구, 금동제 유물, 황유토기, 직물편, 漆 皮 편 등 이 있다. 78호묘 출토 금동제 유물은 대단히 정교하다. 또한 출토된 마구도 많다. 황유도 편 등은 마선구 1호 및 장천 2 호분의 것과 같다. 우산하 41호 출토유물은 철기, 금은세 공, 직물, 유약토기 등 새로운 중요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32) 1975년과 1976년에 우산묘구의 68호묘와 칠성산묘구의 96호묘 등 적석묘 2기를 빌굴 하였다. 칠성산묘구는 집안현성의 서쪽 교외로 약 1km 지점에 있다. 그곳은 통구고분군 중에서 묘잠분포가 가장 밀집된 장소이다. 96호는 칠성산묘구 동쪽에 있다. 96호는 하나의 방단 계단 적석묘이다. 묘의 잔장은 22m, 너비 17.6m, 높이 1.8m이다. 바닥은 길이 cm, 너비 25 60cm, 두께 20 30cm로 일정하지 않으며 강자갈로 깔았다. 출토유물은 청동기 3점, 금동제 유물 57점, 철기 12점과 상당수의 토기 등이다. 우산 68호 적석묘가 있는 우산묘구는 집안 통구묘군 북부로서 비교적 집중된 곳이다. 이 묘는 일찍이 파괴되었다. 1975년 8월 발굴되었다. 68호는 방향 336도이다. 묘의 잔장 은 길이 23m, 너비 17.2m, 높이 1m이다. 묘바닥에는 황토층을 다졌고 그 위에 대석으로 방단을 축조하였다. 발굴시 묘의 남쪽 가장자리에서 동쪽으로 9m지점에서 정, 시루, 솥 ( 釜 ), 대야( 洗 ) 각 1점 등 청동기 4점을 발견하였다. 68호에는 황유토기가 없으나 청동기 의 풍격으로 보아 96호와 완전 일치한다. 즉, 동시기의 產 品 이다. 96호묘의 연대는 4세기 중엽으로 보며 그 상한은 4세기 초로 올라간다고 보고있다. 33) 이에 대해서는 方 起 東 이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34) 동대파묘지는 통구고분군 산성하묘구의 일부분이다. 산성하묘구는 집안시에서 서북방 향으로 2.5km 거리의 산계곡 속에 있다. 1976년 9월에서 11월초까지 95기 무덤을 발굴하 였다. 그 중 54기는 파괴가 심하고 41기는 비교적 파괴정도가 가볍다. 41기 중 2기는 적 석묘이고 39기는 봉토묘이다. 출토유물은 172점이다. 상기한 적석묘 2기는 축조 방법이 안에서 외부로 2층계단을 먼저 축조하고 계단외면에 또한 세줄의 階 墻 (담벽)을 축조하였 32) 吉 林 省 博 物 館 文 物 工 作 隊, 吉 林 輯 安 的 兩 座 高 句 麗 墓 ( 考 古 2, 1977) pp ) 吉 林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現 兩 座 高 句 麗 積 石 墓 的 淸 理 ( 考 古 1, 1979) pp.27 32, ) 方 起 東, 集 安 高 句 慶 墓 壁 畵 中 的 舞 樂 ( 文 物 7, 1980) pp

39 다. 그리고 그 주위에 대석괴로 低 部 의 방단을 만들었다. 方 形 을 기초로한 적석묘는 집 안, 회인, 혼강유역 등 고구려시기 적석묘의 주요 특징의 하나이다. 출토 유물인 單 耳 杯 의 거칠은 모래섞인 태토, 수제 기형이 불규정 된 것은 연대가 이른 것으로 적어도 1 3 세기의 무덤으로 보고있다. 봉토묘의 연대는 대개 5 7세기 사이로 보고있다. 35) 1975년 8월 통구묘 중의 벽화묘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삼실묘 제 1실 묘실 바닥에 천정이 붕괴됨을 확인하고 바닥을 정리하기 시작하였다. 삼실묘는 집안 통구평원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大 禹 山 남쪽언덕이다. 그 묘는 봉토 석실 벽화묘이다. 묘도는 남 향, 크기가 거의 같은 3개의 묘실로 구성되었다. 3실 중 제 1실에서 바리( 鉢 ) 5점, 耳 杯 1점, 네손잡이호 1점, 아궁이 1점 등 8점의 유약토기가 발견되었다. 그 외 상당수 철정과 짐승뼈도 발견되었다. 이 묘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는 공예의 발전수준과 고구려 벽화 묘의 연대를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자료로 보고있다. 토기 중 이배, 바리는 최초의 출토이다. 그 중 네손잡이 陶 壶 와 아궁이는 마선구 1호묘의 출토의 것과 같다. 삼실묘에 대하여 일인학자들의 기술이 있다. 36) 집안 東 台 子 고구려 건축유적의 성질과 연대에 관하여 방기동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나 타내고 있다. 1958년 길림성박물관에서 동대자에서 1기 건축물을 발굴하였다. 건물은 4 기로서 廻 廊 으로 통하는 屋 宇 이다. 동, 서 나란히 배열된 2기 正 屋 (Ⅰ실과 Ⅱ실)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서북코너와 동남코너에 2기 건물(Ⅲ실과 Ⅳ실)은 파괴가 심하다. 이러 한 건물은 왕궁, 官 府 (관청) 또는 제사 또는 예배지내는 종교적 건물인가? 방기동은 집 안 동대자 고구려 건물유적은 바로 故 國 壤 王 9년(392) 春 3월에 건립된 왕실사직과 종교 건물로 보고있다. 37) 장천은 압록강 중상류 우안의 충적분지이다. 그곳은 집안 縣 城 으로부터 동북방향으로 45 里 되는 곳에 있다. 장천 1호는 2급계지 중앙에 있는데 장천 무덤 중 가장 크고 높은 2기 중의 1기이다. 다른 1기는 봉토묘로서 장천 2호이다. 이 두 기의 거리는 173m이다. 1970년 6월 장천 1호묘 봉토가 유실되어 묘문이 바깥으로 노출되면서 진흙탕물이 묘실 로 들어갔다. 同 年 8월 이 묘에 대한 발굴이 실시되었다. 장천 1호묘는 1기 封 土 石 築 雙 室 墓 이다. 분롱은 절두방추형이다. 높이 약 6m, 주위길이 m이다. 무덤은 묘도, 전 실, 용도(사이길), 후실( 主 室, 玄 室 )로 구성되었고, 가공된 대장석편으로 구축하여 표면에 백회를 발랐다. 장천 1호 벽화묘는 중요한 고구려 무덤이며 축조 연대는 5세기말보다 이 35) 張 雪 岩, 吉 林 集 安 東 大 坡 高 句 麗 墓 葬 發 掘 簡 報 ( 考 古 1, 1991) pp )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集 安 洞 溝 三 室 墓 淸 理 記 ( 考 古 與 文 物 3, 1981) pp ) 方 起 東, 集 安 東 台 子 高 句 麗 建 築 遺 址 的 性 質 和 年 代 ( 東 北 考 古 與 歴 史 1, 1982) pp

40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 38) 1979년 10 11월 사이에 31기의 고구려 무덤을 발굴하였다. 이 무덤들은 현성으로부터 북쪽으로 1.5km 거리에 있는 우산 서쪽 끝의 轉 山 子 정상과 동쪽의 언덕상에 있다. 무 덤들의 파괴가 심하여 유물은 거의 없다. 무덤 번호는 洞 溝 고분군 과 통일시켜 부여하였 다. 31기 고분 중 28기는 적석묘이며 3기는 봉토 洞 室 墓 이다. 적석묘는 대부분 전산의 제 3대지와 제 2대지에 축조하였으며, 봉토동실묘는 제 2대지와 제 1대지에 분포되었다. 28기 적석묘는 2 式 으로 나누고 있다. Ⅰ식 18기는 모두 석괴로 축조, 정방형에 근접하 다. 길이 너비 9 10m 정도, 잔고는 m이다. 흙구덩이는 없으며 유물은 드물다. Ⅱ식 10기의 형제는 Ⅰ식과 기본적으로 같다. 주된 구별은 階 墻 이 없다. 봉토동실묘 3기 묘실바닥이 지표로부터 60 80cm 거리이다. 室 壁 은 모두 석괴로 쌓았고 상면은 모두 대 판석으로 덮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황토로 封 頂 하여 구릉형태를 만들었다. 부장품은 대부분 Ⅱ식 적석묘에서 출토되며 토기 銅 鐵 금동제품 철기 玉 器 등이다. 적석묘 Ⅰ식은 강자갈 또는 자연석괴로 축조, 일반적으로 Ⅱ식보다 낮다. 가장 높은 것은 1.5m 정도이다. 이 유형은 고구려 초기의 일종 묘장제도이다. Ⅱ식 묘에는 계장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당히 높으며 가장 높은 것은 3m 정도이다. 계장의 작용은 적석을 쌓 기 위한 것이다. Ⅰ식보다 시기가 늦다. 방단적석묘와 方 壇 階 梯 석실묘 발전과정 중의 과 도기형이다. 고구려 토기는 초기는 홍갈도 또는 회백도, 점차 발전해서 회도 또는 황도 및 황유도로 대치된다. 태토는 거칠은 무문에서 점차 도벽이 견고한 것으로 발전하였고, 문양은 보편적이다. 토기의 입장에서 보면 고구려 전기 무덤에 속한다. 39) 1966년 상반기 집안 통구고묘군의 봉토석실묘 중 벽화묘 3기(JSM332, JSM983, JWM1368)를 발굴하였다. 산성하묘구 332호 봉토석실벽화묘(ISM332호)는 통구고분군 산성하묘구의 남쪽, 우산 하 서쪽언덕, 洞 溝 河 로부터 서쪽으로 10m 거리에 있다. 우산 서쪽의 봉토석실묘 중 비교 적 큰 것 중의 1기이다. 묘실 결구는 절두방추형의 봉토석실묘로서 황색점토에 소량의 석괴가 혼합된 土 石 混 封 墓 이다. 봉토현고 높이 4m 정도, 바닥 직경 10m 정도, 묘정은 유실되고 뚜껑은 도굴범에 의해서 절반이 파괴되었다. 묘는 묘도, 용도, 두개 측실( 耳 室 ) 과 주실로 구성, 방향 150도이다. 벽화는 묘실 4벽, 조정 및 용도 양벽에 모두 그려졌다. 묘실 네벽에 예서의 王 자가 가득 그려졌다. 부장품으로 토기는 四 耳 (손잡이) 壶, 철기는 문고리 꺽쇠 철정 철촉, 청동기는 손잡이 혁대장식 고리(청동제 鼻 ) 등이다. 산성하묘구 983호 봉토석실묘의 위치는 산성하묘구의 북부에 있다. 통구하로부터 70m 38)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長 川 一 號 壁 畵 墓 ( 東 北 考 古 與 歴 史 1, 1982) pp )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高 句 麗 墓 葬 發 掘 簡 報 ( 考 古 4, 1983) pp

41 정도이다. 묘 주위에 소형 적석묘가 많다. 좌우에 각각 하나의 소형 봉토석실과 연결되 어 있다. 묘의 결구는 절두방추형 봉토석실묘이다. 각변 길이 약 10m, 봉토는 황색점토 에 모레가 섞였다. 지상으로부터 4m 정도 높이, 묘는 묘도 용도 2측실 묘실로 구성되었 으며 방향은 280도이다. 부장품은 토제 아궁이 호 철정 등이다. 묘실 4벽과 조정에만 벽 화가 보존되었다. 만보정묘구 1,368호 봉토석실벽화묘의 위치는 만보정묘구의 서쪽, 칠성산 동쪽 언덕 중턱에 위치하며 봉토 잔고는 4m가 못된다. 묘의 결구는 묘도 용도와 묘실로 구성되었 으며 방향은 194도이다. 벽화는 묘벽 및 조정상에 처리하였고 유물은 모두 도굴되었다. M332호는 동구 12호와 유사하다. 연대는 4세기 말이며 M983호는 M332호 보다 늦고 통구 삼실묘와 같은 시기이다. M1, 368호는 M332호 보다 이른 시기로서 대략 3세기 중 엽에서 4세기 중엽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40) 장천은 집안현성으로부터 동북쪽으로 45 里 의 지점에 있는 동서로 좁고 긴 강계곡 분 지이다. 장천 2호묘는 분지 동쪽의 언덕위에 있다. 그 곳은 干 溝 河 로부터 대략 250m 지 점이다. 1972년 4 5월 사이에 발굴되었다. 장천 2호묘는 1기 石 築 單 室 봉토묘이다. 외관 상 절두방추형으로 저변 34 41m, 주위길이 143m, 현고 9m이다. 무덤은 묘도, 남, 북측 실, 용도와 묘실로 구성되었으며 묘도방향은 254도이다. 벽화는 묘실, 남북측실 및 石 門 상에 그려져있다. 남북측실에 王 자가 도안 처리되었다. 유물은 철기, 금동제, 황유도, 목 기 및 직물편 등이다. 장천 2호와 통구 12호는 대단히 접근된다. 연대는 5세기 중엽 또는 조금 늦은 시기로 보고있다. 41) 고대 고구려에서 墓 上 立 碑 는 守 墓 제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묘비의 출현은 수 묘인에 대한 기록이다. 이 특수현상은 기원 414년에 건립된 광개토왕비에서 나타나 있 다. 산성하 1,411호 무덤이 있는 산성하묘구는 집안현성으로부터 약 6 里 정도이다. 통구고 분군 중 고구려 무덤이 비교전 집중되고 보존상태가 좋은 곳의 한 곳이다. 1,411호 무덤 은 1기 봉토석실의 쌍실묘이다. 봉토는 절두방추형이며 각변 길이 13.69m, 높이 약 4m 이다. 분롱 동쪽 북부 봉토기단부 가까이에 하나의 석비가 세워져 있다. 비신은 약간 한 쪽으로 기울어졌다. 정상부는 8각체 직경 0.48m, 높이 0.14m, 비신 저부 직경 0.85m, 전 체 높이 1.16m이다. 비신에도 刻 字 한 흔적은 없다. 연대는 5세기 중 후기로 보고 있다. 우산하 1,080호 무덤의 위치는 집안현성 동쪽의 태왕공사 우산대대 제 1 생산대 촌락 40) 李 殿 福, 集 安 洞 溝 三 座 壁 畵 墓 ( 考 古 4, 1983) pp ) 吉 林 省 文 物 工 作 隊, 吉 林 長 川 二 號 封 土 墓 發 掘 紀 要 ( 文 物 1, 1983) pp

42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중에 있다. 이 무덤은 하나의 대형 봉토석실묘이다. 분롱은 절두방추형이며 주위 길이 약 100m, 높이 10m이다. 1976년 발굴시에 도굴갱에서 거꾸로 박힌 하나의 석비를 발견 하였다. 전체 높이 1.6m, 바닥 평면 장방형, 정면너비 97cm, 측면너비 73cm, 높이 27cm 이다. 연대는 6세기 중, 후기로 본다. 1,411 호묘와 1,080 호묘 위의 석비는 비록 연대적 으로 고구려왕릉 上 立 碑 한 4세기 말 및 5세기 초보다 늦지만 그것은 고구려묘비이다. 즉 고구려 특유의 묘상입비 의 제도를 계승한 것이다. 42) 1960년경부터 1980년경까지 약 20여 년 동안 조사, 발굴된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혼강유역과 압록강 중류일대는 고대 고구려족의 고향으로 보고 있다. 집안 고구려 성지 중 部 城 으로서 國 內 城 과 丸 都 山 城 은 가장 중요하다. 국내성은 현 집 안현성이다. 그곳은 압록강 중류 우안, 통구하구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환도산성은 국내성으로부터 서북쪽으로 2.5km 지점의 高 山 上 에 위치하고 있다. 성내에 는 저수지, 전망대와 궁전 등 건축유적이 있다. 집안현성 부근에 고구려 유적이 대단히 많다. 1959년에 현성 동쪽 교외의 동대자 고구 려 건축유적을 발굴하였다. 무덤은 1949년 이후 집안현 경내에서 고분군 71곳으로 12,358기를 확인하였다. 고구려 무덤은 크게 석분과 토분으로 나누고 토분은 집안에서 늦은 시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고구려 벽화무덤은 고구려 문화유산의 보배로 여기고 있다. 집안에서 20기의 벽화 묘가 발견되었다. 그 중에서 무용총과 각저총은 인근에 위치하며 같은 고분 구조를 가진 것 외에 기타 다른 묘는 무덤결구가 상호 중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해방 후 (1949) 발견된 것은 하해방 31호, 만보정 1,368호, 산성하 332호 983호, 마선구 1호, 우산 하 41호, 장천 1호 2호, 오회분 4호 등 9기이다. 시기는 5세기 전기에서 6세가 후기로 보 고있다. 고구려 금속공예품 중에 귀고리 ( 耳 墜, 金 璫 ), 반지, 비녀( 釵 ), 비녀( 簪 ), 팔찌 등이 있 는데 그 중에서 귀고리와 반지의 수량이 가장 많다.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에서 銀 이 산 출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청동기는 솔( 鼎 ), 솔( 釜 ), 鐎 斗, 대야( 洗 ), 쟁반( 盤 ), 시루 등이 다. 철기는 쟁기( 犁 ), 팽이( 钁 ), 삽( 臿 ), 삽( 鏟, 작은삽), 낫, 도끼, 자귀, 망치, 쇠스랑 ( 三 瓜 器 ) 등이다. 토기는 전기에 호, 단지, 잔( 杯 ) 등이며 중기에는 호, 단지, 瓶, 바리( 鉢 ), 뚜 껑있는 완( 蓋 碗 ), 저장용독( 倉 ), 옹기, 대접 ( 盆 ), 손잡이 달린 잔( 耳 杯 ), 시루, 아궁이 등 이며 황색과 암록색의 유약 바른 토기가 만들어졌다. 후기에는 호, 단지, 쟁반, 바리, 대 접 ( 盆 ), 베게( 枕 ), 虎 子 와 벼루 등이 있다. 기와( 瓦 )와 벽돌도 만들어 졌다. 그외 장천 1 호묘에서 黑 漆 한 棺 木 片 이 출토되었으며 마선구 1호와 우산하 41호묘 등에서 직물도 출 토되었다. 또한 집안에서 백옥제의 손잡이 달린 잔( 耳 杯 )도 출토되어 고구려의 공예수준 42) 方 起 東 林 至 德, 集 安 洞 溝 兩 座 樹 立 石 碑 的 高 句 麗 古 墓 ( 考 古 與 文 物 2, 1983) pp

43 을 나타내어 줄 뿐만 아니라, 고구려 경제 문화 수준이 어느정도인가 하는 것도 표명하 여 주고 있다. 43) 국내성지는 고구려 왕조 건립후 두번째의 수도( 都 城 ) 유적이다. 지금까지 보존된 가장 중요한 고구려 平 原 城 址 이다. 국내성은 지금의 길림성 집안현 현성으로 길림성 남쪽 끝 압록강 중류 우안, 통구분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의 동쪽으로 약 6km지점에 龍 山, 성 북쪽으로 약 1km 되는 곳에 禹 山, 성 서쪽으로 통구하를 건너 약 1.5km 되는 지점에 칠성산이 있다. 국내성은 하나의 견고한 石 城 이다. 1980년 봄, 현문물보관소에서 국내성지를 실측하였 다. 성은 방형이며 방향은 155도, 길이는 동쪽 담(벽)이 554.7m, 서쪽벽 664.6m, 남쪽벽 715.5m, 북벽 715.2m이다. 성 주위 전체길이는 2,686m 이다. 성 문도 6곳이 있다. 1975년 5월부터 1977년 5월까지 국내성 유적을 시굴하였다. 10개의 트랜치를 설정하였는데 남쪽 성벽에 5개(T1 T5), 동쪽 성벽 1개(T6), 북벽에 2개 (T7, T8), 서벽에 2개 (T9, T10)의 트랜치를 설정, 전체면적 960m2이다. 발굴결과 국내성의 규모와 석기(돌도끼, 돌칼, 환상 석기) 등을 발견하였다. 국내성은 기원 3년부터 427년까지 고구려 수도였다. 기간은 425 년간이다. 44) 고구려 토기의 기형은 호, 단지( 罐 ), 잔( 杯 ), 바리( 鉢 ), 쟁반( 盤 ), 瓶, 뚜껑있는 碗 ( 蓋 碗 ), 손잡이 달린 잔( 耳 杯 ), 솥( 釜 ), 솥( 鼎 ), 아궁이, 곡식 저장용기( 倉 ), 옹기, 베게, 虎 子, 벼루 이다. 상기한 기형에 대한 형식분류, 제작수법, 연대 등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토기를 크게 3 組 로 분류하고 있다. 전기에는 호 단지 잔, 중기에는 파 단지 병 바리 뚜 껑있는 완 곡식 저장용기 옹기 대접( 盆 ) 손잡이 달린 잔 솥( 釜 ) 아궁이이다. 후기에는 호 단지 쟁반 바리 대접 아궁이 베게 虎 子 벼루( 硯 ) 등이다. 45) 상활룡촌 고구려무덤은 집안현성으로부터 서남쪽으로 8km 지점에 있다. 모두 14기이 다. 발굴된 14기 무덤은 적석묘 3기 (M1, M2, M3), 계단적석묘 5기 (M3, M5, M10, M11, M12) 그리고 봉토동실묘 6기(M13, M14, M4, M6, M8, M9) 등이다. 하활룡촌은 집안현성에서 서남쪽으로 16km 거리에 있다. 북쪽으로 8km 지점이 상활룡 촌이다. 하활룡촌 고구려무덤은 34기이다. 모두 적석묘로 Ⅰ식 29기, 표식 5기로 나누고 있다. 43) 吉 林 省 考 古 硏 究 室 集 安 縣 博 物 館, 集 安 高 句 麗 考 古 的 新 收 穫 ( 文 物 1, 1984) pp )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高 句 麗 國 內 城 址 的 調 查 與 試 掘 ( 文 物 1, 1984) pp ) 耿 鐵 華 林 至 德, 集 安 高 句 麗 陶 器 的 初 步 硏 究 ( 文 物 1, 1984) pp

44 國 史 館 論 叢 第 52 輯 출토유물은 상활룡촌에서는 토기, 하활룡촌에서는 철기 청동기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전자의 시기는 남북조시기, 다만 출토유물이 적어서 연대판정이 어렵고 대략 8세기로 추 정된다. 하활룡촌 무덤 중 대단히 작은 적석묘가 있는데 그것은 이차장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 다. 시기는 東 漢 시기로서 하한도 漢 魏 보다 늦지 않다고 보고 있다. 46) 노호초는 길림성 집안현성으로부터 서남방향으로 약 50km 지점에 있다. 1981년 10월, 수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문물발굴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노호초에는 17기의 고구려무덤 이 있고 그 중 5기가 심히 파괴되었다. 발굴은 전자를 제외한 12기에 실시되었다. 무덤은 2종류로 하나는 석실묘이고 다른 하나는 동실묘이다. 봉토석실묘 2기 (M1, M2), 洞 室 墓 10기이다. 봉토석실묘는 묘실 4벽을 불규칙적인 석괴로 쌓았다. 높이는 1 1.5m이며, 상부는 간단한 말각쌓음이다. 묘천정에는 1매 내지 2매의 대석으로 덮었다. 묘 도는 묘실의 앞(중앙)에 있으며 묘도 입구에는 迎 門 石 이 있다. 천정을 대판석으로 덮은 후 분롱을 언덕상으로 씌웠다. 동실묘의 축조방법은 석실묘와 대체적으로 같다. 다만 묘 실 상부에 말각을 쌓지 않고 오직 1매에서 수매의 긴 판석으로 평탄하게 천정을 덮은 것이다. 묘실과 묘도가 낮아 높이는 70 90cm이다. 출토유물은 전체 25점이며, 주로 석 기와 토기 그리고 소량의 철기와 銀 器 가 있다. 상기한 두 종류의 무덤은 고구려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47) 집안현 통구고분군은 國 家 重 點 文 物 保 護 單 位 이다. 1976년 4월 초부터 7월 중순까지 188 기의 무덤을 발굴하였다. 그것들은 4기의 묘구에 포함된다. 우산묘구 56기, 산성하묘구 37기, 칠성산묘구 26기, 마선구묘구 69기이다. 188기 무덤 중 92기가 심히 파괴되어 손대 지 않았고 실제로 96기만 발굴하였다. 96기는 적석묘와 봉토묘 2종이다. 적석묘 3기는 모두 방단적석묘이다. M879호를 예로 들어보자. 장방형의 방단적석묘는 현 잔존길이 24m, 너비 18m, 槨 室 은 함몰되었다. 곽실은 장방형이며 길이 2.30m, 잔존너비 1.50m, 현 잔고 0.4m이며, 요녕 환인현 고력묘자촌 제 8호와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봉토묘 즉, 봉토석실묘는 모두 93기를 정리하였다. 내부결구는 단실 쌍실과 3실의 3종 형제이다. 단실묘 73기는 5종으로 형식분류, 쌍실묘 18기는 모두 同 墳 異 穴 이며 6종으로 형식분류하였다. 3실묘 2기는 묘실 봉토가 비교적 높다. 동일 봉토안에 서로 독립된 3개 묘실, 결구 2식 분류. 출토유물은 모두 132점이며 그 중 철기 127점, 금동장식 2점, 그리 고 토기 1점이다. 3기 적석묘의 결구는 하부는 방단, 상부는 적석이며, 묘실은 묘의 정상 중앙에 있다. 46)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縣 上 下 活 龍 村 高 句 麗 墓 淸 理 簡 報 ( 文 物 1, 1984) pp ) 集 安 縣 文 物 保 管 所, 集 安 縣 老 虎 哨 古 墓 ( 文 物 1, 1984) pp

45 桓仁高力子村 적석묘와 일치하며 연대 고구려 초기이다. 봉토묘의 연대는 兩晋南北朝시 대로 보고 있다.48) 구석기시대 문화관계 논문 遼寧省博物館, 本溪市博物館, 廟后山 (文物出版社, 1986). 黑龍江省文物管理委員會 等, 閻家岗 (文物出版社, 1987). 姜鹏, 吉林楡樹大橋屯發現的舊石器 ( 人類學學報 1, 1990) pp 黄蘊平, 小孤山骨金寸的制作和使用硏究 ( 考古 3, 1993) pp 張森水, 中國舊石器文化 (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87). 姜鹏 著, 崔茂蔵 譯, 中國吉林後期洪績世哺乳動物群 (三文, 1993). 청동기시대 張忠培, 吉林市郊古代遺址的文化類型 ( 中國北方考古文集, 文物出版社, 1986) pp 董學增, 西團山文化居住硏究 ( 考古 5, 1992) pp , 試論西團山文化的装飾品 ( 考古 9, 1991) pp , 試論吉林地區西團山文化 ( 考古學報 4, 1983) pp 朱永刚, 試論我國北方地區銎柄式柱脊短劍 ( 文物 12, 1992) pp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刀靑銅短劍的文化遺存 下( 考古學報 1, 1983) pp 上은 호, 필자없음. 撫順市博物館考古隊, 撫順地區早晚兩類靑銅文化遺存 ( 文物 2, 1983) pp 遲 雷, 關於曲刀靑銅短劍的若干問題 ( 考古 1, 1982) pp 沈陽市文物工作隊, 沈陽地區出土的青銅短劍資料 ( 考古 1, 1964) pp 武家昌, 遼北地區發現的靑銅短劍柄端加重器 ( 考古 12, 1990) pp 靳楓毅, 夏家店上層文化及其族屬問題 ( 考古學報 2, 1987) pp 고구려 耿鐵華 孫仁杰, 高句麗硏究文集 (延邊大學出版社, 1993). 발해 王建群, 渤海貞惠公主墓碑考 ( 文物集刊 2, 文物出版社, 1980) pp 崔茂藏 譯, 高句麗 渤海文化 (集文堂, 1985). 崔茂蔵 編譯, 渤海의 起源과 文化 (藝文出版社, 1988). * 동북지구에 대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그리고 발해와 遼代에까지 걸 친 종합 발표 논문 中國考古學會 編著, 中國考古學會第六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社, 1987). * 흑룡강 고고학에 대한 전반적 내용 譚英杰 等, 黑龍江區域考古學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1). 48) 吉林省文物工作隊, 1976 年集安洞溝高句麗墓淸理 ( 考古 1, 1984) pp

46 國史館論叢 第52輯 Ⅳ. 요 녕 성 1.구석기시대 1974년 金牛山채석장에서 몇개의 동굴과 균열된 곳(裂隙)에서 포유동물의 화석이 발견 되었다. 금우산은 요녕營口縣에서 동남방향으로 6 되는 西團屯村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고립된 산으로 灰岩과 白雲岩으로 구성되었다. 많은 동굴과 균열된 곳 중 3곳에서 포유 동물화석이 발견되었다. 발굴시 산서쪽 동굴 균열된 곳(7401C로 번호 부여, 간칭(C點). 1975년 10월 11월사이 발굴단을 조직하여 C점을 발굴, 1976년까지 계속하였다. 구석기 시대 후기층은 上文化層이라 稱하고 하부(4 6층)의 종홍색 각력암층은 下文化層으로 명 명하였다. C점 하문화층에서 석기 16점 출토, 동물화석 20여 종이 발견되었고 연대 B.P. 20여 만년으로 추정된다.49) 1978년 廟后山 동굴유적 발견. 묘후산유적(동경 124 7'50", 북위 40 14'49")은 遼寧省 本. 溪縣山城子鄕山城子村에서 동쪽에 있는 묘후산 남쪽언덕의 동굴이다. 해발 325m. 지 층은 8층으로 구분되며 上洞 2층, 下洞 6층이다. 아래로부터 1 3의 이질연대는 73만년, 4층은 33만년 정도, 5층은 30 24만년, 6층은 22 14만년, 7층은 C14 측정으로 2만 8천 2만 4천 정도이다. 석물 76점이 출토되었으며 4 5층 9점, 7층 5점, 기타 6점이다. 척 추동물 화석은 76종(8目, 23科, 45屬, 72종)이 발견되어 4 6층에서 삼문마, 메르키코뿔소 등이 출토되었다. 연대측정은 古地磁측정, 우라니움/토리움측정법, C14 측정법을 사용하 였다. 1 3층은 전자측정으로 73만년, 4 6층 중간측정법으로 40 14만년, 7 8층은 우라 니움/토리움측정법과 C14측정으로 10만년 1.7만년을 산출하였다. 1 3층은 중기홍적세 말기, 4 6층은 중기홍적세 중기 또는 후기, 7 8층은 지질 시대 후기홍적세이다.50) 합자동유적은 遼西의 大凌河河畔에 위치하며 하나의 岩廈結構의 동굴유적이다 년, 1975년에 발굴되었다. 출토유물은 인류화석, 石物, 재층, 불에 탄뼈와 숯 등 포유동물 화석, 석물은 모두 300여 점이다. 석재는 석영암, 수석, 火成岩과 石灰岩 등이다. 기형은 石核, 石片과 석기 등이다. 석기는 긁개, 첨두기와 단, 양면기 등인데 긁개위주이다. 포유 동물화석은 최후하이에나, 털코뿔소, 박쥐 등이다. 모두 맘모스 털코뿔소동물군에 속한 다. 합자동유적은 묘후산遺址 6층의 정황과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묘후산유적은 우라 49) 張森水, 中國舊石器文化 (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87) pp ) 遼寧省博物館 本溪市博物館, 廟后山 (文物出版社, 1986)pp.1 102와 영문요약 1 8 그리고 도판 1 20.

47 니움/토리움측정으로 14.2± , 9.6±0.8만년이 산출되고 있다. 연대는 지질학적으로는 후기홍적세 초기, 중기구석기시대 문화로 보고 있다.51) 小孤山유적은 遼寧海城小孤山에 위치하고 있는 동굴유적이다. 1981년 시굴되고 1983년 에 정식 발굴되었다. 층위는 5층으로 나누고 있다. 5층은 全新世에 속하며 4층에서 1층 까지는 홍적세에 속한다. 5m 두께의 퇴적층에서 재층(灰層), 뼈가 탄 흔적 및 인류화석 5점, 어린이 정갱이(股 骨)편 1段, 석제물 1만점, 骨角器 6점, 짐승이빨 장식품 7점, 물고기 척추뼈, 자라배뼈, 조 개껍질, 三門馬, 털코뿔소, 普氏영양, 오르도스큰뿔사슴과 들소 등이 발견되었다. 길림 長安左家山에서 두 점의 뼈제 고기작살이 출토되었다. 그 중 1점의 길이 12.6cm, 1측에 거꾸로 된 작살(鉤)이 있으며 뿌리부분 약간위에 대칭적 凸의 마디가 있다. 중국 신석기시대의 전기 중기 후기에 모두 뼈작살이 있으며 시대가 비교적 이른 것으로 萬年 仙人洞의 뼈작살이 지금부터 8,000년 된다. 그러나 소고산유적은 지금부터 40,000 35,000년이다. 두 곳의 연대차이가 크지만 구석기시대의 뼈작살이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발견되는 과정에서 공백기간이 생겼다고 본다.52) 대량의 동물화석, 1만여 점의 석물과 인류화석 그리고 骨, 角제품의 장식품 등이 출토 되었다. 동물화석은 7目 14科 28屬 38種이다. 동물종속은 털코뿔소 맘모스 동물군에 속 할 뿐만 아니라 華北 중기홍적세 표준화석인 三門馬 등이 있다. 이러한 정황은 합자동보 다 오히려 묘후산유적의 산성자동물군과 더욱 접근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C14 측정 결 과 그 上限(제 4층)의 절대 연대는 13,000년보다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53) 2. 신석기시대 大岗유적은 요녕성 동구현 馬家店鄕雙山西村興台屯에서 서북방향으로 2里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대강의 서북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 면적은 10,000 정도이다. 대강유적에서 동북방향으로 15里의 지점에 后窪유적이 있으며 그곳에서 동북 방향으로 5里에 雙山頂部가 있고 서남방향으로 7里 지점의 徐坨子柞木山 상에 신석기시 대 후기 유적이 있다. 1984년 가을 요녕성박물관에서 시굴하였다. 시굴위치는 대강유적 51) 張鎭洪, 東北地區幾個舊石器文化遺址年代的探討 ( 中國考古學會第六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 社, 1987) pp ) 安家瑗, 小孤山發現的骨魚鏢一兼論與新石器時代骨魚鏢的關係 ( 人類學學報 10卷 1期, 1991) pp ) 張鎭洪, 앞의 논문.

48 國史館論叢 第52輯 의 북부이다. 모두 두 개의 트랜치를 설정, 각 트랜치는 길이 4m, 너비 2m이다. 발굴면 적은 16 이다. 층위, 2층 : 1층. 경작토, 20 30cm. 2층. 황토, 두께 40 60cm, 문화층. T1(Tranch1 호)의 동남모서리에서 灰坑발견, 반원형, 南東방향, 길이 1.60m, 너비 0.8m, 깊이 0.16m, T2 남쪽에 주거지 1기, 서북모서리에 아직 동북 서남향의 길이 1m 정도의 弧형 생토벽 1단이 남아있다. 잔고 0.1m 주거지 내는 불에 탄 면이 있는데 그것 은 노지유적이다. 유물 중 토기는 태토가 두텁고 모래가 섞이고 활석분도 있다. 모래섞인 홍갈도, 모래 섞인 흑갈도 위주이다. 手製이며 歷印文이 많으며 刻劃文은 드물다. 기형은 단지, 호, 완, 잔, 국자, 배형기(舟形器) 등이다. 그 중 단지가 가장 많다. 석기는 타제석기로 단면기 1점, 石珠 2점, 갈돌, 돌공이, 홈석기(溝磨石), 석제어망추, 돌끌, 돌촉 등이다. 대강출토의 토기는 모래섞인 활석분의 홍갈도와 흑갈도 위주이며, 기형은 단지 호 완 국자 잔 등과 압인문자리(席文) 문양과 之 자 문양이 많은 것은 후와 하층문화와 일치한 다. 따라서 그것은 동일문화에 속하며 연대는 6,000년 정도이다. 대강유적 출토 토기의 압인문 돗자리 무늬의 특수성은 돗자리 무늬를 시문한 각사선 이 균일하게 눌러서 그었는데 한끝은 평탄하고 한 끝은 눌러서 약간 들어가게 만들어 마치 성냥개비 같다 한다. 이와 같이 일단이 凹窩된 사선의 압인 席文은 요동반도 황해 연안 신석기시대 초기 유적 중 특유한 일종 문양으로 보고있다. 대강유적과 부근의 후와유적은 모두 평지와 비교적 낮은 대지상에 있다. 대강유적으로 부터 동북으로 5里 거리에 있는 쌍산정부와 서남 7리의 서타자작목산상에는 신석기시대 후기 유적, 약 4,000년 정도가 있다. 그것은 요동반도 황해연안 신석기시대 초기 주민은 평지에 살다가 신석기시대 후기에는 산정으로 올라가서 생활한 것을 설명하여 준다.54) 후와유적은 요동반도 황해연안 북쪽의 濱海 평원상에 위치하고 있다. 부근에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분포되어 있다. 그곳에서 동남방향으로 4 지점에 雙子山子유적이 있으며 서남방향으로 7 지점에 興台大崗유적, 서남방향으로 8 지점에 柞木山유적, 서쪽으로 5 지점에 石佛山유적, 서북방향으로 6 지점에 朱山유적과 鷄架山유적이 있으며 동쪽 으로 6 지점에 嚴家山유적이 있다. 후와유적은 1983년에서 1984년까지 모두 4차 발굴하였다. 면적은 이다. 그곳에 서 주거지 43기, 회갱(저장공) 20기, 토기편 114,427편(복원 393점), 석기 1,668점, 예술품 90점과 기타 17점이 발견되었다. 54) 遼寧省博物館, 遼寧東溝大崗新石器時代遺址 ( 考古 4, 1986) pp

49 후와유적 지층, 4층 : 제 1 층. 경작토, 두께 20cm. 제 2 층. 흑색토층, 두께 80cm. 刻劃文의 모래섞인 홍갈도와 흑갈도편, 기형 단지 호 돌어망추와 石球. 제 3 층. 흑갈도층, 두께 80cm, 유물 2층과 같다. 제 4 층. 황회색 토층, 두께 cm, 활석분이 섞인 모래섞인 홍갈도와 흑갈도편, 압인 승석문과 之자문 토기편, 기형 단지 호 완 등. 주거지는 31기로 그 중 方形 대형 주거지 5기, 원형 소형 주거지 26기이다. 주거지는 모두 반수혈식이며, 높이는 보통 10 20cm이다. 14기 주거지 내에서 돌로 쌓아만든 방형 또는 장방형, 원형 노지가 발견되었다. 예로 F24호 주거지를 보면 평면 圓角方形으로 반 수혈식이며 주거지 남북길이는 8.3m, 동서 너비 7.3m, 벽잔고 m, 주위 벽에 7 개 기둥구멍이 있다. 생활용구 대부분은 토기이며, 석기는 대부분 농구로 타제와 마제 2 종이 있다. 후와 상층유적에는 주거지가 12기로 유물은 토기(단지, 호, 완 등), 석기는 농구 103점 이며, 마제 위주이다. 타제는 타제 호미, 석도, 陶刀, 돌공이, 돌갈돌, 석제 어망추 628점 등이다. 후와 하층의 문화내용은 遼南地區小珠山 하층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활석 분이 섞인 筒形단지 상의 압인 승석문과 之자문 등은 소주산의 것과 같다. 후와 하층은 소주산 하층보다 유물이 풍부하다. 예로 배부른 단지, 호, 완, 잔, 국자 등과 활석제 조각 품 등이다. 후와 하층 유형의 연대는 소주산 하층에 해당된다. C14 측정은 B.P. 5410±150년, 나무나이테교정으로 6055±96년이 나왔다. 후와 하층은 6,000년에 해당된다. 후와 상층은 모래섞인 홍갈도와 흑갈도 위주이다. 기형은 단지, 호, 완 등이다. 석기는 어망추가 가장 많고 돌공이, 갈돌 등이 있다. 예술품으로 팔찌, 管玉, 구슬(珠), 토제의 人頭像 등이 있다. 후와 상층 연대는 C14 측정으로 B.P. 4465±90년, 나무나이테교정으로 4980±159년이 산출, 후와 상층은 지금부터 5000년 정도이다. 후와 상층문화는 일정한 범위가 있다. 그 문화는 寬甸縣永甸鄕臭梨威子유적, 牛毛 (土+島)張家砬子유적 등이며 본계현 水洞과 北甸子鄕北威子유적과 海城縣小孤山仙人洞유 적도 포함된다.55) 1949년 신중국이 성립된 이후에서부터 1959년까지 약 10년동안 연구조사된 내용이 沈 56) 文 에 의해서 잘 정리되었다. 1949년 沈陽小西邊門遼代李進石棺墓 발굴, 해방후의 최초발굴. 1950년 3월, 阜新村契丹蕭氏墓, 北票蓮花村遼墓 발굴. 55) 許玉林 傅仁義 王傳普, 遼寧東溝縣后建遺址槪要 ( 文物 12, 1989) pp ) 沈文, 遼寧省博物館十年來的考古工作簡介 ( 考古 3, 1959) pp , 131.

50 國史館論叢 第52輯 5월, 縣淸河門遼代貴族墓 5기 발굴, 출토품 245점. 1951년 8월, 旅順牧羊城漢城址, 營城子東漢壁畵墓, 大和尙山高句麗城址와 唐王殿 等 유 적조사. 1953년 鞍山沙河東地, 陶官屯, 靈山 등지 및 窯廠에서 흙을 채취할 때 漢魏시대의 고 분군이 발견. 동시에 海城縣大屯, 遼陽三道壕 등지에서 같은 유형의 古墓葬이 노출. 그 결과 6 개월 동안 발굴을 실시 모두 303기와 1기의 遼代窯址를 발굴. 유물 10,000여 점. 1954년 鞍山沙河東地에서 漢魏墓 86기 발굴. 鞍山陶官屯金代 農村유적 발굴. 1954년 5월, 遼陽唐戶屯河의 제방공사 과정에서 漢代石槨墓와 옹관묘 등 192기 발굴. 그리고 明代 河上군사감시소 1곳 발굴. 10월, 三道壕窯廠工地에서 漢墓 103기 발굴. 11월, 鵝房에서 20기 西漢 초기 이래의 고분과 2기 遼代窯址 발굴. 1955년 삼도호 서한농촌 유적의 대규모 발굴 그리고 어린이 옹관묘 386기 발굴. 그외 당해연도에 아방, 大林子, 徐往子, 袁家堡, 삼도호, 亮甲山, 北園 등에서 신석기 시대부터 명, 청대까지의 대 소유적 18기, 무덤 55기를 발굴. 그 중에는 양갑산 金石併用期의 2기 토광묘, 魏晋시대의 2기 벽화묘, 太康二年銘 와당 출토의 晋 墓, 대림자遼王翦, 妻石棺骨灰墓, 金元시대의 宗敎徒坐葬墓 등이 포함된다. 1956년 57년 2년동안 4개댐 수몰지역 조사, 발굴. 그중 撫順大伙房댐 수몰지구는 1956년 1월부터 1957년 봄까지 모두 3차의 조사와 발굴. 그 결과 신석기시대로 부터 고구려시대까지의 유적 8곳, 무덤 46기 발굴, 유물 6,500여 점. 1956년 4 5월까지 桓仁, 寬甸 등 두 縣에서 환인댐과 沙尖子댐 수몰지역 조사에 의해 서 50곳의 신석기시대 유적과 1,676기의 고구려고분 중 9기만 시굴. 유물 2,000 여 점. 法庫尙屯댐 수몰지역에서 11곳의 신석기시대 유적 발견. 1956년은 신석 기시대 유적이 가장 많이 발견된 해이다. 凌源, 朝陽과 建平, 海城, 新民과 西 豊 등에서 그것들을 발견. 그 중 9개월간 발굴된 능원 小轉山子유적이 가장 중 요하다. 新民縣偏堡沙丘에서 출토된 완정된 토기는 드문 예이며 동시에 細石器 도 동반 하였다. 당해년에 특별히 중대한 발견은 능원소전산자 西周銅器의 출토와 西豊縣西岔 溝의 匈奴 고분군의 발굴이다. 그리고 그 다음은 건평현 구석기시대 인류 股骨 의 발견이며 錦西縣 靑銅短劍의 출토, 그리고 北票房申晋의 鮮卑人墓의 발굴이 다. 계속해서 건평현張家營子, 朱碌科와 신민현 巴圖營子 등 3곳에서 遼墓의 조사와 발굴을 하였다. 1957년 台安, 綏中, 義縣, 興城 등 4현에서 漢魏遼金 이래의 城址 10기, 墓地 수곳을 발견. 요양시에는 漢魏벽화묘 1기 발굴. 심양현 고성자둔에서는 東漢전축묘 6기 발 굴. 또한 요양현에서 南雪梅大型漢墓 2기, 金廠遼代畵象石墓 1기, 隆昌州요대

51 - 51 초기석묘 2기 등을 발굴. 白家堡子, 南西莊子, 郭家堡子 등지 조사. 한 또는 고 구려의 고분 123기, 遼墓 12기 발견. 1958년 환인댐 수몰지구 고구려고분 발굴. 대형 적석묘 5기, 중소형石墓 19기 또한 2 기 주거지 유적 정리. 심양시 大西邊門에서 戰國棺槨墓 발견. 조양현 十二臺營 子鄕水渠(제방) 쌓는 작업 중 청동단검묘 발견. 묘는 돌로 쌓여졌으며 2人을 묻었다. 출토품은 청동기 위주인데 출토유물이 많았다. 그러한 청동검은 과거 에 旅大, 해성, 요양, 錦西 등지에서 영세하게 발견되었다. 요양 上王家村에서 晋代벽화묘 발견. 요양현 八里堡에서 唐墓, 中山營子에서 大唐墓 발견. 그의 新全縣, 復縣, 蓋平 縣 등의 大石棚 (지석묘) 분포를 조사. 1959년 1월, 北票白石碴子 댐과 본계현 觀音閣댐 조사. 신석기시대 유적 5곳, 고구려고 분군 3곳 약 100여 기 발견. 1949년부터 1959년 1월까지 전체조사된 유적 115 곳, 그 중 24곳 발굴. 전체 조사된 고분 2,020기, 그 중 1,334기 발굴. 전체 유 물은 석기, 청동기, 각종무기, 철제도구, 도자기, 예술품, 금은기와 장식품 등 85,300 점이다.57) 3. 청동기시대 구권구유적은 환인현八里甸子鄕에서 동북방향으로 1.5 지점의 구권구촌에 위치하고 있다. 1976년 6월 팔리전자촌의 주민이 인삼을 재배할 때 지표下에서 대량의 토기와 석기 가 발견되어 당시 문화관리부에서 수습하였다. 토기는 豆, 손잡이편, 방추차 등이며 석기 는 마제석기로서 돌도끼, 돌자귀, 돌칼, 돌검(4점, 전체 마연됨. 슴베가 있으며 검신에는 능 脊 이 있고 횡단면은 능형이다. 석재는 灰岩, 잔장 10.4cm, 슴베길이 3.2cm, 너비 4.6cm 등이다), 돌촉, 환상석기, 석제 방추차 등이다. 타제석기는 양면기, 긁개, 도끼, 원 형석기, 돌마치 등이다. 발견된 석검은 요녕 淸原縣灣甸子 석관묘의 것과 같다. 그리고 帶鋌돌촉은 본계현 水 泥廠后山洞 묘지 M2 출토의 석촉과 같다. 수니창후산동 묘지의 C14 측정은 3065±60,1980±60, 3585±65, 3485±65년이 산출되었다. 그것은 기원전 1115, 1030, 1635, 1535년 등이다. 구권구유적의 연대는 신석기말 또는 청동기시대 초기이다. 58) 57) 沈文, 위의 책. 58) 本溪市博物館 桓仁縣文管所, 遼寧桓仁縣狗圈溝遺址 ( 考古 6, 1992) pp

52 國史館論叢 第52輯 1973년 봄 요녕성 喀喇泌左翼蒙古族自治縣 北洞村南孤山의 서쪽 산언덕 筆架山 정상 에서 두 곳의 청동기가 매장된 구덩이(窑藏銅器坑가 발견되었다. 1호 구덩이에서는 6점 의 殷代 청동기가 발견되고 2호에서는 殷周代의 6점이 발견되었다. 2호 구덩이는 1호의 동북방향으로 약 3.5m 지점에 있다. 2호 구덩이 출토 6점의 청동기는 方鼎 1점, 圓鼎 2 점, 罍, 簋와 주둥이 달린 바리(帶嘴鉢) 등 각각 1점이다. 동기상에는 명문이 있으며 토 기 (옹기, 단지, 시루) 등을 동반하였다. 시기는 北方燕地에 분포된 夏家店 상층문화, 西周에서 戰國시기로 보고 있다. 중국학 자들은 北洞 두 곳의 窯藏청동기군의 발견은 문헌에 기록된 商周시 燕豪之地가 요녕지 구를 포함시키고 있다는 내용을 증명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59) 3) 遼陽二道河子 석관묘 이도하자촌은 요양에서 동남방향으로 40 지점의 河欗公社의 湯河西岸에 위치하고 있 다. 그곳에서 1955년 마제석기와 청동검이 출토되는 토장묘를 발굴한 바 있다. 당시에 탕하의 東岸에서 가까운 許岔溝 산언덕에서 또한 석관묘군이 있는 한 곳을 발견하였다. 동서 너비 약 20m, 남북길이 약 100m의 묘지내에 석관이 약 20기 노출되어 있었다. 그 중에 2 기를 1975년 12월 요양시 문물관리소에서 발굴하였다. 1호 석관묘는 石墨층 언덕을 파고 내려가서 墓壙을 만들고 광내의 내벽을 돌(石塊)로 쌓았다. 前寬後窄, 길이 2.4m, 너비 m, 높이 0.64m이다. 양측벽은 석괴로 평행하 게 다섯줄 쌓고 관머리와 끝부분에는 판석을 세워서 막았다. 뚜껑은 몇개의 판석으로 덮 었다. 관바닥에는 아무시설이 없다. 유물은 모두 7점으로 청동점 1점, 청동끌 1점, 청동 제 도끼 1점과 토기 3점 그리고 石范 1점이다. 청동검은 길이 28.8cm, 날길이 25.2cm, 가장 넓은 곳은 6. 2cm이다. 세칭 요녕식 동검이다. 석범은 梯形으로 길이 10.5cm, 너비 cm, 2장으로 되어 있는데 1장의 두께 cm, 다른 1장은 cm이다. 틀내에는 도끼와 화살촉의 형태가 들어있다. 2호 석관묘는 축조방법이 1호와 기본적으로 같고 석관의 길이는 190cm, 너비 50cm, 높이 44cm이다. 관내에 사람뼈 2개체가 있다. 출토유물은 호 1점, 단지(罐) 1점 등이다. 이 문화는 청동기의 입장에서 요녕지구에 흔한 유형으로 보며 심양鄭家窪子 청동기시 대 무덤, 여순白牧城驛戰國墓, 錦西鳥金塘, 조양십이대영자의 단검묘 및 탕하부근 西岸에 서 과거에 발견된 단검묘(요녕식동검묘) 등과 대단히 많은 공통점을 가졌다고 보고 있 다.60) 요북지구 원시문화 유적은 華北 中原의 신석기시대 말기를 지칭하지만 실제로 청동기 59) 喀左縣文化館 朝陽地區博物館 遼寧省博物館 等, 遼寧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 考古 6, 1974) pp ) 遼陽市文物管理所, 遼陽二道河子石棺墓 ( 考古 5, 1977) pp

53 시대와 철기시대가 포함되고 있다. 근래 요북 鐵嶺地區에서 고고조사와 발굴이 실시되었다. 이 조사에는 요녕성 문화국 辛占山, 요녕대학 역사과, 철령지구 문물조가 참가하였다. 조사지점은 康平縣의 順山屯, 刀蘭套海, 文華村, 東風村, 馬蓮屯, 哈拉戶碩, 孔家窩堡, 八家子, 前進大隊, 瓦房村과 柳樹屯, 등이다. 西風縣의 西大崗子, 溫家街, 福壽材, 肇興村, 成府大隊, 永安村, 月牙山과 甕山 등이다. 開原縣은 大高力屯, 謝家溝, 肖家 (山/威)子, 前馬村, 威元堡, 牧羊政, 八道崗子 등이다. 昌圖縣은 許家, 七家子 등이다. 法庫縣은 葉茂 台, 登什堡, 半拉山 등이다. 鐵嶺縣은 下俗, 熊官屯, 樹芽屯과 三家子 등이다. 강평현鎭郊, 법고현엽무대, 서풍현조흥촌, 개원현이가대와 철명현수아둔 등 5곳 유적과 무덤을 조사 시굴하였다. 강평현성은 요하 중류 평원 서요하와 동요하가 합류되는 右岸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 에는 상당수의 신석기시대 후기 유적과 무덤이 있다. 그 중 順山屯, 문화촌, 마달둔, 도 란투해와 합납호석 등에는 석기와 토기가 출토되고.있다. 1977년 가을 순산둔 유적을 시 굴하였다. 현 방역소 건립 중 2기 무덤을 발굴하였는데 모두 單人토광묘이다. 출토된 토 기는 모래섞인 갈색토기로서 기형은 역, 솥(鼎), 호, 단지, 碗, 바리(鉢), 시루, 잔, 국자 (勺), 방추차 등이다. 대부분 무문에 모래섞인 홍도와 갈색이며 회색은 그 다음이고 흑도 는 드물다. 강평진 각 지점에서 40여 점의 석기가 채집되었다. 석도는 모두 반월형 2孔 또는 3孔이다. 그외 승리공사 범위내에서 돌자귀, 돌끌, 돌방추차, 갈돌 등이 채집되었다. 법고현 엽무대유적은 1974년 이래 요대무덤을 발굴정리하였다. 그의 그곳에서 채집된 석기는 대부분 짧고 두텁다. 가로 단면은 타원형이다. 석도는 반월형 2孔式이다. 서풍현 조흥촌유적은 요북 평원의 동부, 淸河 상류 南岸의 산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의 유적의 면적은 약 2,000여 이다. 1974년 6월, 1978년 6월 2차에 걸친 조사에서 상당수 유물을 채집하였는데 그 특징은 길림 서단산문화와 기본적으로 같다. 조흥촌유적 에서 채집된 토기는 모래섞인 회도, 흑갈도 등이며 모두 윤적법으로 만들어졌다. 기형은 제기(豆), 盆, 단지와 어망추 등이다. 대부분 圈足器(굽다리), 평저 드물고, 삼족기 없다. 석기는 돌도끼, 숫돌 등이다. 기타 석기들은 길림 汪淸百草溝 등에서 출토된 것과 같다. 이 문화의 下限은 戰國 또는 漢初로 보고 있다. 개원현 이가대유적은 1975년 5월 조사에서 한 곳의 유적과 2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이가대촌은 개원현성에서 동남방향으로 60 거리의 淸河 南岸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강수면에서 10여 m 높이에 있다. 이가대와 초홍촌은 25 거리이다. 모두 길림성과 인접 해 있다. 문화면모는 역시 길림 서단산유형이다. 발굴된 2기 무덤 (M1, M2)은 장방형 석관묘로서 각각 20괴 정도의 판석으로 축조되었다. 판석길이 60cm, 너비 40cm, 두께 6cm이다. 석관 길이 약 1.8m, 너비, 깊이 모두 0.4m 정도이다. 불규칙한 판석을 세워사 축조, 관바닥 시설이 없으며 뚜껑은 한쪽에 도괴되어 있다. 2기는 나란히 동북 서남 방 향으로 놓여있다. M1호에서는 모래섞인 두개손잡이의 흑색단지 1점, 활석제范 1조, M2

54 國史館論叢 第52輯 에서는 동형의 단지 1점과 어망추 1점이 출토되었다. 이가대무덤은 서단산 석관묘를 대 표하는 문화로 인정되었다. 철령현 수아둔유적은 철령현성 남쪽방향으로 30里의 汎河 北岸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 은 촌의 동쪽으로 약 l 지점의 황토 언덕상에 있다. 1973년에 철령으로부터 무순에 이 르는 도로(公路)수축시 유물을 채집하고 무덤을 발굴하였다. 무덤은 장방형 석관묘로서 개원 이가대의 것과 같다. 부장된 14점 토기는 모두 모래섞인 紅陶이며 회도는 드물다. 윤적법으로 만들어 졌으며 외면을 마연하였다. 토기 내부에 윤적법(泥條痕)이 보인다. 기 형은 豆, 단지, 호 등이다. 상기한 지역의 원시문화는 길림, 장춘(吉長)지구의 것과 근접되거나 같다. 다만 서쪽의 강평현 여러유적의 연대는 비교적 이르고 즉 商代 후기에 해당되며 동쪽의 서풍, 개원 등지는 연대가 비교적 늦어 하한은 戰國 내지 漢初에 이른다. 요북지구의 많은 원시 문 화는 그 상대연대가 청동기시대 또는 철기시대에 속하며 대체적으로 중원의 신석기시대 말가문화의 정황으로 보고있다.61) 건평현은 요녕성 조양지구의 서북부에 있으며 老哈河와 大凌河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西, 北, 東 삼면은 昭島達盟寧城縣, 喀喇泌旗, 赤峰과 敖漢旗 등과 인접되어 있으며 南面 은 凌源縣과 접하여 있다. 그 일대는 夏家店 상층문화 계통의 曲刃靑銅劍(세칭 요녕식동 검) 문화유적을 포함하고 있다. 유적은 대단히 많다. 燒锅營子大荒 1호묘는 건평현 소과영자대대 社員들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1기의 장방 형 토광 수혈묘이다. 대황 1호묘로 명명되었다. 묘는 완전 파괴되었다. 부장품은 38점이 다. 直刃匕首式 청동검 1점, 청동제 끌 1점, 청동제 단추(銅扣) 19점, 꽃聯珠장식 1점, 청 동管片 1점, 瑪瑙珠 3점, 白石珠(白石管珠) 10매, 뼈방추차 2매 등이다. 水泉城子 7,701묘는 그곳의 문화층이 대단히 두터워 4 5m나 된다. 총면적은 약 20,000 이다. 퇴적층은 3층으로 나누어진다. 상층은 戰國층, 중간층은 하가점 상층문화 층, 하층은 하가점 하층문화층이다. 성자7,701 호묘는 磷灰土 채굴시 우연히 발굴된 묘이 다. 이 묘는 상기한 중간층의 하가점 상층문화층에 해당된다. 장방형 토광수혈묘(토광묘) 이다. 길이 1.93m, 너비 0.8m, 깊이 0.83m이다. 사람뼈 1具, 單人仰身直肢葬, 頭東足西, 남성뼈이다. 부장품은 청동제 무기, 도구, 장식품, 석기와 골기 등 모두 64점이다. 무기로 는 청동검(曲刀銎柄式靑銅短劍) 청동촉 청동제 칼, 도구로서 청동제 도끼 청동끌 청동제 송곳 동경 청동제 단추 뼈제 화살촉 뼈칼 돌도끼(石城) 등이다. 수천성자 7,801 호묘는 1977년 水泉村社員城子유적 동쪽에서 흙채취 시 우연히 발견되 었다. 묘는 이미 완전히 파괴되었다. 묘내에서 曲刃銎柄式靑銅短劍 1점, 청동칼 1점과 동 경 1점 등 3점의 청동유물이 채집되었다. 61) 遼寧鐵嶺地區文物組, 遼北地區原始文化調査 ( 考古 2, 1981) pp , 127.

55 大拉罕溝 751호묘는 1975년 孤山子公社大拉罕溝大隊 사원들이 댐을 수축하는 과정에 서 발견되었다. 묘가 심히 파괴되어 묘의 결구 등은 알 수 없다 한다. 무덤이 위치한 층 위에 따라서 수천성자 하가점 상층문화와 동일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출토품은 청동기 7점이다. 曲刃短莖式靑銷劍 1점 (B형), 청동제 도끼 1점, 청동제 끌 1점, 방울 (鈴) 12점, 曲刃銎柄式短劍 1점, 청동제 촉 8점, 청동제 투구(銅盔) 1점, 牛首刀(칼) 1점 그리고 三角 形骨鏃 20점 등이다. 근래 건평현 경내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다음과 같이 그 유형 형식을 분류하고 있다. 曲刃銎柄式靑銅劍(A형) 3점, 曲刃短莖式劍(B형) 4점, 건평현문화관 수집품의 동검 (B형 Ⅳ, Ⅴ, Ⅵ식) 4점 그리고 1978년 3월 孤山子公社 房身大隊 大 (土+覇)南山坡에 채집된 1점 등 모두 3점의 T자형 銅劍柄 그리고 청동제 칼 11점 (獸首型 3점, 環首型 4점, 帶齒 型 1점. 鉤首型 1점, 柄端窄孔型 2점 ), 청동도끼 6점 등이다. 연대는 상기한 소과영자대황호묘는 西周 早期, 수천성자 7,701 호묘의 연대는 전형적 西周시기, 大拉罕溝 751호묘는 서주후기에서 춘추초기, 老南船石砬山 741호 석곽묘의 연 대는 서주후기에서 춘추초기, 그리고 상기한 공병식청동검, 曲刃청동검, T자형청동병, 청 동칼(刀), 청동제 도끼 등은 모두 하가점 상층문화로 보고 있다.62) 요동반도 고인돌에 대한 1차 종합조사 보고서가 1981년에 보고되었는데 당시에 고인 돌 39기가 소개되었다. 근래에 요녕전성에 대한 문물조사시에 岫岩縣, 海城縣, 莊河縣, 開原縣, 蓋縣 등에서 새롭게 58기가 발견되었다. 수암현 고인돌 23기, 해성현 2기, 장하 현 4기, 개원현 3기, 개현 26기 등이다. 상기한 요동반도의 새로이 발견된 58기의 고인돌의 길이 너비 두깨 등은 도표 Ⅰ 에 자세히 기록되었다. 요동반도 고인돌에 대한 과거의 조사는 수량이 적고 또한 遼南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번 새로이 발견된 58기는 많은 새로운 지점을 알려주었을 뿐만 아니라 또 한 요동반도 고인돌의 분포가 북쪽으로 개원지대까지 이른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새 로 발견된 고인돌 대부분이 규모가 작은 소형 고인돌이다. 벽석과 뚜껑돌은 모두 자연 그대로 또는 가법게 가공된 화강암제이다. 그러나 개현 石棚山 고인돌, 해성 析木城 고 인돌 등은 규모가 크며 벽석과 뚜껑돌이 모두 정교하게 가공된 암석을 사용하였다고 한 다. 이로 인하여 요동반도 고인돌을 대 소 두 종류로 나누고 있다. 새로이 발견된 고인 돌은 대부분 군을 이루고 있으며 예를 들면 수암현 白家堡子 고인돌은 11기, 蓋縣河 고 인돌은 8기 등이 모여 있었다. 수암현 백가보자 1호 고인돌에서는 兩孔의 돌칼이 출현 되고 백가보자 4호 고인돌에서는 모래섞인 홍도片이 출토되었으며 요동반도 고인돌은 62) 建平縣文化館 朝陽地區博物館, 遼寧建平縣的靑銅時代墓葬及相關遺物 ( 考古 8, 1983) pp , 713.

56 國史館論叢 第52輯 당연히 一種이 墓葬形制이며 고인돌군은 또한 고인돌 무덤군이라고 보고 있다.63) 묘후산은 太子河의 支流인 湯河畔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현으로부터 동남방향으로 15 지점이다. 그곳은 또한 長白山 餘脈으로 해발 높이 500m이다. 1978년에서부터 1982년까지 묘후산에서 땔감의 燒石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3곳의 동 굴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순서로 A洞, B洞, C洞으로 명명하였다. A동은 구석기시대 퇴 적이다. B동의 고분 발굴은 1979년 8월 4일 시작하여 월말에 끝냈다. 묘후산 동굴묘지를 이해 하기 위하여 1982년 6월 C동 및 西側山上의 그 동굴문화의 성질과 같은 古유적을 시굴 하였다. B동은 3개 동굴 중 가장 크다. 洞口 방향은 남쪽이며 반월형이고 동서길이 7.5m, 높 이 2 3m이다. 동굴내 평면은 허리가 휘인 표주박형으로 동서길이 19m, 남북너비 9m이 다. 면적은 171 이다. 서술편리를 위하여 동굴을 이등분해서 동쪽은 東洞, 서쪽은 西洞 으로 부르고 있다. 동동 남북너비 9m, 동서 길이 10m, 면적 90여 이다. 고분은 동동 중심부 두 개 동굴의 경계지점에 있다. 동굴내에 古廟가 존재해서 묘후산이라 명명했다. B동의 토층단면은 6층으로 나누고 있다. 1층은 표토층, m, 제 2층은 흑회색 토층, 두께 m, 유물은 토기, 석기, 불에 탄 흙, 짐승뼈 등, 제 3층은 황회색 토 층, m, 토기편은 2층보다 적고 돼지 사슴의 아래턱이 발견되었다. 제 4층은 황토 층, 두께 m, 유물은 없다. 제 5층은 점질의 홍색토층, 1.3 3m, 아래는 암반이다. 고분은 B동에서 모두 11기가 발굴, 일련번호 BM1 ll이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은 BM4, 5, 6, 7, 8 등 5기이다. 葬式은 仰身葬 火葬. 二次葬 등 3종이다. 2차장 범위는 적어 서 길이가 lm정도이다. B동 고분의 특징은 무덤구덩이(墓坑)도 없으며 木質의 葬具도 없 다. 화장묘 뼈재(骨灰)상에는 엷은 판석을 덮었다. BM4, 5, 8기의 머리방향은 頭北脚南이 며 BM6, 7 2기는 동서방향이다. 출토유물은 모두 184점으로 석기로는 돌도끼, 돌자귀, 돌삽, 돌끌, 돌칼, 곤봉대가리, 환상석기, 톱니형기(齒形器), 돌방아, 돌촉, 방추차 등이다. 토기는 159점이 완정품이고 기타 토기편은 254점이다. 대부분 생활용기 외에 부장을 위한 소형 뼈도 있다. 실용기는 대부분 모래섞인 紅褐陶 등으로 태토는 거칠며 기벽은 두텁다. 기형 역시 규칙적이 아니 다. 기형은 碗, 바리(鉢), 대접(盆) 등으로 구연은 가볍게 외반되었다. C동은 묘후산 서측 남쪽 산허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A동으로부터 서쪽으로 25m 지점 에 있고 동쪽으로 B동까지는 95m 지점에 있다. 고분과 문화유물이 동굴입구로부터 안으 로 9m 범위에 있다. 지층퇴적은 전기와 후기 두 개의 서로 다른 시기의 층위로 구성되 63) 遼寧省博物館, 遼東半島石棚的新發現 ( 考古 2, 1985) pp.l08 112, 154.

57 었다. 상층 후기 遺存(유구, 유물포함)은 청동기시대의 무덤으로 그 성격은 B동 무덤과 같다. 발굴은 C동 상층 부분에만 치중하였다. 청동기시대의 퇴적을 4층으로 나누고 있 다. 제 1층은 돌과 흙층, 두께 m, 제 2층은 흑회 토층, 두께 m, 사람뼈와 석기 출토, 제 3층은 황회색토, 두께 10 20cm, 다량의 무문토기편과 인골편 출토, 제 4 층은 가벼운 황토층, 두께 m, 가볍게 石化된 사슴아래턱 등 동물화석이 발견되 었다. 고분은 C동의 13.5 내에 12기 발굴, 번호 CM1 12호이다. 무덤은 밀집되어 분포되 어 있으며 또한 서로 겹쳐져 있다. 12기 무덤이 2, 3, 4층에 분포하며, CM1, 2, 3, 8, 9, 10호 등 6기는 2층에, CM4, 5, 11호는 3층에 CM6, 7, 12호는 4층에 있다. 그 중 M4, 6 호는 화장 묘이다. 도표 Ⅰ 요동반도 고인돌의 바닥돌 뚜껑돌 벽석의 크기 (단위 m) 벽석 동 서 남 북 기타 長 寬 厚 長 寬 厚 長 寬 厚 長 寬 厚 長 寬 厚 長 寬 厚 長 寬 厚 岫岩奕家爐 岫岩河北一 號 岫岩河北二 號 岫岩官地 岫岩山頭南 岫岩山頭北 岫岩吳西 岫岩小黃旗 岫岩高家堡 子 岫岩白家堡 子一號 岫岩白家堡 子二號 岫岩白家堡 子三號 岫岩白家堡 子四號 岫岩白家堡 子六號 岫岩白家堡 항목 숫자 지명 바닥돌 뚜껑돌

58 國史館論叢 第52輯 子八號 岫岩白家堡 子九號 岫岩白家堡 子十號 岫岩白家堡 子十一號 海城東牌樓 大 海城東牌樓 小 莊河朱屯 莊河王家溝 莊河老粉房 南 莊河老粉房 北 開原刁皮屯 一號 開原刁皮屯 二號 長原節塘溝 蓋縣河北一 號 蓋縣河北二 號 蓋縣河北三 號 蓋縣河北四 號 蓋縣河北七 號 蓋縣河北八 號 蓋縣連云寨 西 蓋縣連云寨 東 蓋縣二百壠 地 蓋縣長脖崗 一號

59 - 59 蓋縣長脖崗 三號 蓋縣沙泥梁 一號 蓋縣沙泥梁 二號 蓋縣侯大砬 子 蓋縣果圓 부장품은 10기 무덤에서 29점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석기로는 돌도끼, 돌자귀, 돌끌, 톱니형석기, 환상석기, 방추차 그리고 맷돼지 이빨장식, 뼈장식 등이 있다. 토기는 10기 묘에서 27점이 출토되었고 기형은 壺, 단지, 바리, 碗 등이다. 주거지는 C동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C동으로부터 50m 지점의 언덕상에 있다. 地 勢는 양변이 높고 중간이 낮은 말안장 형태이다. 남북길이 66m, 동서너비 55m, 면적 3,060 이다. 그곳은 河床으로부터의 86m 높이다. 묘후산 문화유형 전모파악을 위하여 10 2m의 남북탐색 Tranch를 넣었다. 번호 T1, 지층퇴적은 4층이다. 제 1층은 표토층, 두께 15 20cm, 제 2층은 흑회색토층, 두께 45 50cm, 직경 8cm정도의 반원형 기둥구멍, 불에 탄 흙덩어리는 일반적으로 붉은색, 제 3층 은 杏黃色 모래층, 두께 15 20cm, 유물이 드물고, 주거지 흔적은 없다. 제 4층은 성토층 이다. 유물은 석기 41점, 채집 34점, 기형은 돌칼 돌도끼 타제석기 (단면기, 긁개, 석편, 석기 등) 뼈송곳 이빨장식 등이다. 토기는 T1에서 2,611편 출토, 그 중 1층에서 2,282편 출토, 2층출토는 319편이며 3층에서는 10편 등이다. 기형은 호, 시루, 완, 바리, 단지 등이다. 종합하면 본계묘후산 B, C 등 2개 동굴묘지의 발굴은 태자하 유역에 보편적으로 존재 하는 청동기문화의 초보인식을 제공받고 있다. 이 문화의 喪葬제도는 死者를 동굴에 묻 는 특징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시체옆에 부장품으로 돼지, 사슴아래턱을 두고 있다. 동 일한 동굴에 3종의 다른 葬式이 있다. 화장 앙신장 이차장(또는 亂骨葬이라고 稱)이 있 다. 동굴묘지는 대부분 單人葬이다. 어린이를 제외하고 남녀모두 부장품을 가지고 있다. 많은 것은 10여 점, 적게는 1 2점이다. 문화유형은 토기에 假圈足과 圈足(굽다리)를 가졌다. 그리고 손잡이 (耳)도 있다. 토기 제작 기술은 바닥, 손잡이, 목, 복부 등을 따로 만들어 손으로 붙였다. 기형은 호, 단지, 바리, 완, 잔(杯) 등이다. 三足器는 없다. 토기유형에 의하면 요동지구 내지 길림성 동부 석관묘 문화의 토기와 많은 공통인수를 가지고 있다. 다만 주거지와 무덤내에서 청동기 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CM2출토의 흑회색, 둥근배, 그리고 4개의 반원형 손잡이의

60 國史館論叢 第52輯 호는 요양이도하자와 新舍雙房 석관묘 출토와 접근되고 있다. 다만 석기 중의 톱니석기 와 환상석기는 그 문화의 하한이 이미 청동기시대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그의 상한은 신석기시대의 말기로 보고 있다.64) 그러나 필자의 생각에는 이 문화는 이미 청동기시기 단계에 들어 왔다고 본다. 城子山유적은 능원현 凌北鄕三官甸子大隊河下村의 서쪽 산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성자산은 지금 河床으로부터 150m에 위치하고, 산정은 남 북 서 삼면에 2m 높이의 석담 (돌담)으로 둘러쌓여 있어서 마치 1기의 원형 古城堡 같다. 전체유적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경사진 언덕이다. 남북길이 104m, 동서너비 76m, 면적은 7,904 이다. 이 유적은 1979년 6월 발견되었으며 동년 10월에 시굴이 시작되었다. 발굴은 2개반 진 행되었다. 당시 시굴 구덩이는 5 5m 크기를 8개, 번호 Tl 8까지 설정하였다. 발굴면적은 200 이다. 그 결과 紅山文化 고분 3기, 번호 M1 3, 주거지 1기(F1), 하가점 하층문화의 주거 지 1기(F2), 灰坑 3기(Hl 3호)가 발견되었다. 지층. T5 북벽 단면 : 제 1 층. 경작토층, 15 20cm 두께. 제 2 층. 황갈토층, 60 90cm 두께, 홍산문화의 홍도 채도편과 之字문양의 토기편 출토. 제 3 층. 노란모래층, 10 20cm 두께, 無低筒形器의 채도편 출토. 주거지 F1 은 남북향, 반수혈식 圓角方形주거지, 北偏東 20도, 동서너비 27m, 남북 잔 존너비 m, 담 기단부 너비 m이다. 석괴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쌓아서 담의 너비는 일치하지 않다. 홍산문화 고분 3기 발굴, M1은 T1의 동북모서리에 위치, M2는 T4의 서남부에 위치, M3은 T3 북부의 부근에 있었다. M1은 1기 토광석관묘이며 방향 280도, 頭南西北 脚向東南, 묘바닥 묘벽의 파괴가 심하 다. 잔장 1.25m, 너비 0.7m, 묘바닥에 석판을 깔았다. 사람뼈(궁둥이뼈와 다리뼈)출토, 1 기 성년남성묘, 葬式은 仰身直肢이다. 부장품은 옥제 돼지머리장식과 돌끌 1점, 압인의 之자형 토기편과 채도편이다. 그 외 고분 M2와 M3의 구조는 M1과 거의 같다. 고분 3기 의 부장품은 옥제석기, 옥제팔찌, 말발굽형 옥제통(철사로 감은 통), 옥제도끼(玉鉞), 대 나무마디상 옥제장식, 옥제새(鳥), 소옥제 팔찌, 옥제 돼지머리, 석제끌, 돌도끼 등이다. 성자산 2층 출토 토기는 4개 범위이다. 고운태토의 홍도, 고운태토의 회도, 모래섞인 64) 遼寧省博物館 本溪市博物館 本溪縣文化館, 遼寧本溪縣廟后山洞穴墓地發掘簡報 ( 考古 6, 1985) pp , 507.

61 갈도와 모래섞인 홍도 등이다. 문양은 압인之자문, 현문, 둥근涡文, 손톱문(甲紋) 등이다. 토기는 수제위주이며 기형은 折沿(휘인)구연의 無底 筒形器, 바리, 호, 甁, 盤(대접) 등이 다. 하가점 하층문화의 1기 주거지와 3기 회갱이 확인되었다. 주거지 F2는 T8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반수혈식 원형 주거지이다. 직경 2.1m, 깊이 0.5m이다. 지면은 평탄하고 중간 에 하나의 입구가 크고 바닥이 작은 원형기둥 구멍이 있다. 기둥머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구멍의 주위와 바닥에 토기 부스러기를 놓았다. 구경과 깊이 각각 30cm이다. 주거지 내에서 승문토기편, 토기바닥, 구연부편과 불에 탄 흙덩이와 짐승뼈가 출토되었 으며 또한 돌도끼, 돌칼, 토제역 등 편이 있었다. 회갱 3곳 중 H1은 T1의 동남모서리에, H2는 T6의 서쪽에, H3은 T7의 서남모서리의 가까이에 있었다. H2는 보존이 양호, 훤형자루형, 갱벽은 경사졌다. 출토유물은 원형석 기, 역다리, 토기 구연부편과 짐승뼈 등이다. 성자산유적의 시굴을 통해서 3기의 홍산문화 무덤이 발견되었다. 특히 M2는 지층관계 가 확실할 뿐만 아니라 석관 결구가 완전무결하고 부장된 9점의 玉器가 원위치에 그대 로 있었다. 그것은 홍산문화의 매장제도, 喪葬習俗에 대한 연구에 믿을만한 자료를 제공 하고 있다. 홍산문화와 성격이 같은 고분이 阜新湖頭溝, 건평현牛河梁 등에서 발견되었 다. 성자산고분 출토의 옥기들은 중국 북방지구의 청동기문화 도래 이전의 문화로 보고 있다.65) 조공가유적은 요녕성 심양시 鐵西區 조공가에 위치하며 정가와자유적은 심양시 於洪 區 정가와자촌에 위치한다. 두 유적의 거리는 1,500m이다. 1958년 조공가에서 청동단검 등 27점이 발견되었으며, 1962년 그곳에서 남쪽으로 500m 되는 곳에서 청동검 손잡이 한개를 발견하였다. 1963년 조공가와 정가와자 등이 조사되었으며 1965년 5월에서 6월사이에 소규모 발굴이 실시되었다. 1965년 8월 정가와 자유적에서 14기 청동기시대의 무덤이 발굴되었으며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다. 1958년 조 공가유적에서 5 5m의 트랜치 16개가 발굴되었다. 발굴면적은 73 이다. 문화층은 제 1 층 경작토, 두께 m, 제 2층 황갈토, 두께 m, 출토유물은 거칠은 모래섞 인 토기, 기형은 단지 시루 鼎足 역足 등이다. 제 3층 황갈색 모래층, 두께 m, 유물은 고운 모래섞인 토기, 문양은 篦文과 가는 융기문(細條形堆文), 기형은 대접과 호 등이다. 정가와자유적에서도 5 5m 크기의 트랜치 12개 설정, 발굴면적 241, 거기에서 2기 토광묘와 1기 옹관장이 발굴, 가을에 심양시에서 14기 무덤이 발굴되었다. 층위는 3층으 65) 李恭篤, 遼寧陵源縣三官甸子城子山遺址試掘報告 ( 考古 6, 1986) pp

62 國史館論叢 第52輯 로 제 1층은 경작토, 두께 m, 제 2층은 흑색모래층, 두께 m, 遼金시대 의 유물 출토, 제 3층은 A,B 두 층으로 구분된다. 3A층은 회황토, 두께 m, 무문 의 단지 호 豆片이 출토되었다. 3B층은 황색모래층, 소량의 무문토기편이 출토되었다. 下 문화층은 3A, 3B층이 대표적이다. 토광묘(M1, M2)가 파괴되었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시 기 즉 청동시대에 속한다. 조공가유적의 상, 하 2층은 1기와 2기로 구별된다. 1기는 홍갈색 태토 중에 고운모래 가 섞이고 篦文계통의 劃文과 가는선 융기문이 있으며 그것들은 2기에는 보이지 않았다. 1기는 盆 호가 있으며 거기에는 2기에 출토되는 鼎 역 시루 등은 없었다. 1기와 같은 요녕 신민현偏堡沙崗과 高台山 상층이 있는데 후자는 C14 측정 결과 기원전 1420±90년 (나무나이테교정 1670±135년)이 산출되었다. 조공가 1기는신석기시대 후기에 해당된다. 조공가 2기는 토기특징이 정가와자 1기와 같다. 거기에서는 27점의 청동단검이 발견되어 청동기에 속함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정가와자유적은 지층에 의해서 3기로 나누어진다. 정가와 1기는 하문화층과 2기 토광묘(M1, M2)가 포함되는데 토기와 청동기가 조공가 2 기와 일치한다. 정가와 2기는 옹관묘가 대표적이다. 토기의 특징은 西漢초기에 해당된다. 종합하면 정가와 1기, 조공가 2기와 新樂 2기의 청동기시대 유적은 대체로 하가점 상 층문화의 시대에 해당되며 그 연대 하한은 전국시대보다 이르지 않다고 보고 있다.66) 4. 고구려유적 고구려무덤의 조사 발굴작업은 요녕 환인과 吉林 集安 두 곳에 집중되었다. 환인 경내 渾江兩岸 고구려무덤군의 조사작업이 년 사이에 진행되어 모두 750여 기를 발견하였다. 환인지구는 고구려가 도성을 丸都로 이전하기 이전의 정치 중심지였으며 그곳에서 발 견된 고구려무덤은 모두 적석묘였다. 절대다수가 가공되지 않은 석괴로 쌓아 축조되었 다. 혼강 東岸의 高力墓子村의 부근에 있는 무덤군은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곳의 하나 이다. 남북의 연속길이가 1,000 여 m나 된다. 무덤은 대 중 소 3형식으로 나누어지며 모 두 지상에 자연석괴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대형 적석묘는 15호가 대표적이다. 이 묘는 두 개의 묘실을 가졌으며 기단 남북길이가 약 13m, 동서너비 약 10m, 높이 약 1.2m이 다. 먼저 南半部를 쌓고 그 이후에 북반부를 쌓았다. 墓壇上에 다시 높이 약 0.6m의 묘 실을 축조하였는데 역시 먼저 南室을 쌓고 후에 北室을 쌓아 연결시켰다. 기단주위에 너 비 약 1.6m 의 보호담을 쌓았다. 산언덕이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기 때문에 기단이 붕괴 되지 않도록 한 보호조치이다. 北面 주위의 담 이외에 또한 너비 약 1.6m의 보호담을 추 6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所東北工作隊, 沈陽肇工街和鄭家窪子遺址的發掘 ( 考古 10, 1989) pp

63 가하였다. 시체와 부장품을 묘실바닥에 놓은 후 석괴로 뚜껑을 덮었다. 중형의 적석묘에 는 기단부 주위담과 보호담이 없이 석괴와 석판으로 장방위의 묘실을 축조하였다. 보통 길이 약 2m, 너비 약lm, 전면에는 南道(사잇길)가 있다. 單室 외에 쌍실과 3실도 있다. 묘정상에는 일반적으로 석괴로 봉하였다. 어느 묘실 주위에는 비교적 큰 석괴를 놓아 보 호를 하였다(1호묘). 소수의 중형 적석묘 정상에 封石하는 외에 또한 한 층의 봉토를 하 였다.(8호묘). 그것은 봉토석실묘의 전신이다. 소형의 적석묘 결구는 간단하다. 석괴 또는 석판으로 축조되었는데 길이가 2m가 못되며 너비는 약 lm, 높이는 0.5m의 장방형 묘실 로서 용도는 없다. 묘정은 石으로 봉하였다. 단지 小石板으로 네벽을 세우고 천정에 1매 의 판석을 올려 놓은 것도 있다. 발굴된 중 소형 적석묘에서는 부장품이 없었으며 다만 대형의 적석묘에서 소량의 철제 무기와 마구 칼 창 촉 재갈과 혁대고리 등이 있었다. 또 한 약간의 토기로서 단지 호와 금동장식품 은팔찌와 청동제 팔찌가 있었다. 이 3종 유형의 적석묘는 뚜렷하게 3개 등급으로 형성되었다. 그것은 死者의 신분의 차 이라고 보고 있다. 그것들은 墓區내의 분포 정항에서도 그 문제를 설명하여 주고 있다. 고력묘자묘군은 남쪽 변두리의 산정상으로부터 산지형의 상, 하를 따라서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배열되었다. 상기한 15호 대형 적석묘는 이 무덤군 중 가장 큰 1기이다. 그것 은 남쪽 산언덕 정상에 있으며 그 북쪽에 2기의 대형 적석묘가 나란히 배열되었다. 모두 남쪽 1묘의 북벽을 연결하여 축조되었다. 그로 인하여 그것들이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는 남벽은 없다. 그것은 또한 그것들의 축조된 시간도 남쪽의 것보다 부근에 있는 것이 늦 은 시기의 무덤이다. 따라서 북향과 동, 서향 측으로 확장 발전되었다. 그것들의 건조 시 기는 내려갈수록 늦다. 대형 적석묘가 있는 북쪽으로부터 점차 낮은 곳으로 내려가면서 중형, 소형 적석묘가 축조되었다. 산언덕 정상의 대형적석묘는 당시 왕실, 귀족의 분묘로 보고 있다. 아래언덕의 중형 적석묘는 신분이 낮은 계층의 분묘이다. 분산되어 있는 소 형 적석묘는 보통 고구려인의 분묘로 보고 있다.67) 1976년 新賓縣紅廟子鄕에서 黑溝山城이 발견되었다. 흑구산성은 일명 山城嶺 또는 高 麗城子라고 불리웠다. 흑구산성은 요녕성 동부 변경의 신빈현 홍묘자향四道溝村에 위치 하고 있다. 그곳은 요녕, 길림 두성의 경계지역이며 무순 관할의 신빈현과 본계시 관할 의 환인현과 교차되는 곳에 있다. 산성 남쪽 언덕 아래에 흑구촌이 있으며 신빈현성으로 부터 서북쪽으로 30 지점이며 환인현성으로부터 남쪽으로 35 지점이다. 동쪽으로 3 지점에 혼강 지류인 富爾江이 있으며 남쪽으로 2 지점에 聚流河가 있다. 흑구산성 은 해발 700m에 있다. 성내 지세는 평탄하다. 남쪽은 약간 높고 북쪽은 낮으며 중심부는 습지이다. 면적은 50,000 이다. 성벽(城墻)을 보면 峭壁墻은 보통높이 40 80m이다. 東담길이는 571m, 포함 4단 초벽 67) 楊泓, 앞의 논문 P.555.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

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2002 年 2 月 昌 原 大 學 校 大 學 院 音 樂 科 安 明 基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Sonata for B-flat

More information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24 2004. 12 2004. 11 25 26 2004. 12 % 50 40 30 20 10 0 華 東 華 北 中 南 西 南 東 北 西 北 전 체 중 대 형 차 중 형 차 소 형 차 경 차 2004. 11 27 帕 28 2004. 12 2004. 11 29 30 2004. 12 2004. 11 31 32 2004. 12 2004. 11 33 34 2004.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碘 岛 监 结 30km 20km 10km 碘 达 碘 测 时 提 高 后 的 上 限 [250,000 微 西 弗 / 年 ] [10,000 微 西 弗 / 年 ] 巴 西 瓜 拉 帕 里 的 辐 射 (1 年 来 自 地 面 等 ) > 辐 射 量 ( 微 西 弗 ) 250,000 100,000 50,000 10,000 注 : 本 资 料

More information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棄 権 DNS: 欠 場 )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tory Story 2013. 1. 30. Story 2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3 STORY STORY 12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3 Korean Wave Story 2013 (2012년 1/4분기) 12 12 2012. 4. 9. 2 3 4 5 6 乱 世 佳 人 花 絮 合 集 梦 回 唐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Story Story 2012. 9. 13. Story 1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2 STORY STORY 12 호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2 Korean Wave Story 2012 (2012년 1/4분기) 12 호 12 호 2012. 4. 9. 2 3 4 5 轩 辕 剑 之 天 之 痕 我 的

More information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기원 전후 樂 浪 郡 의 支 配 勢 力 에 관한 일연구 吳 永 贊 * Ⅰ. 머 리 말 Ⅴ. 기원 1세기 전반 王 調 亂 과 Ⅱ. 樂 浪 古 墳 의 被 葬 者 에 대한 諸 論 議 支 配 勢 力 의 추이 Ⅲ. 기원전 1세기대 木 槨 墓 와 支 配 勢 力 1. 土 人 의 성장과 王 調 亂 Ⅳ. 기원전 1세기 중후반 墓 制 의 변천 2. 지배세력의 추이 1. 귀틀묘의

More information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59) 포석계 기암곡 가) 계곡현황 이 계곡은 鮑 石 溪 의 지류로 삼릉계 정상에서 시작하여 서북쪽으로 약 1.3km 흘러내려와 鮑 石 亭 부근에서 본류로 합쳐지는 계곡이다. 黃 臺 와 부엉더미를 형성하여 바위산이 험준하게 계곡의 동면을 막고 솟아 있으므로 절묘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이루는 계곡으로 정상부에 바둑바위가 있어 碁 巖 谷 이라 불리워진다. 東 京

More information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제 정 1973. 2. 28 개 정 2010. 3. 19 定 款 삼성전기주식회사 http://www.sem.samsung.com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抗 日 蜂 起 와 殲 滅 作 戰 의 史 實 探 究 - 韓 國 中 央 山 岳 地 帶 를 中 心 으로- 이노우에 가츠오( 井 上 勝 生 ) 1) 머리말 지난 해(2015년) 10월과 11월, 日 本 軍 東 學 黨 討 伐 隊 의 進 軍 路 를 한국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後 備 第 19 大 隊 (당시 東 學 黨 討 伐 隊 라고 불리었다) 第 1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뉴질랜드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 ( 주 ) 제이앤드에이 Ÿ Ÿ Ÿ Ÿ Ÿ Ÿ Ÿ Ÿ Ÿ 2.3)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토양특성 [표 2-7]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부지 토양 특성 유효

More information

토픽 31호(2016.3.7).hwp

토픽 31호(2016.3.7).hwp 절실히 묻고 가까이 실천하는 선진 산림과학 3.0 시대를 열겠습니다! 01 03 05 05 06 07 08 08 10 10 11 임업인에게는 희망을, 국민에게는 행복을 带 NIFoS 1 중국 닝샤회족자치구() 중국 무슬림 인구 주요 분포도 중국 닝샤의 회족 자치구 3 중국 무슬림 인구 Top 11 지역 순위 지역( 省 ) 인구(만)

More information

<C4A5B0EE20B3ABBBEAB8AE20353839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C4A5B0EE20B3ABBBEAB8AE20353839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칠곡 낙산리 589번지 근생시설부지내 매장문화재 국비지원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지표조사 결과보고서를 공개하는 데에 동의함 2015년 10월 (재)대동문화재연구원 목 차 삽도목차 ⅱ 도면목차 ⅱ 사진목차 ⅱ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대상지의 입지와 환경 1 1. 입지 1 2. 고고 역사적 환경 2 Ⅲ. 조사내용 6 1. 조사대상지

More information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12.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직 책 성 명 소 속 직 위 조 사 단 장 성 태 현 경 남 발 전 연 구 원 원 장 책임연구원 이 범 홍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센 터 장 조 사 원 연구보조원 이 영 주

More information

<3429BFC0C1F8BCAE2E687770>

<3429BFC0C1F8BCAE2E687770> 한국경제학보 제18권 제1호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s Vol. 18, No. 1(Spring 2011) 일제말 電 力 國 家 管 理 體 制 의 수립* 1) 吳 鎭 錫 ** 요 약 본고는 1940년대 전반 전력국가관리의 수립을 대상으로 정책 결정의 주체 에 주목하여 정책의 원안이 등장하여 최종안에 이르는 변천과정을 면밀하 게 분석한

More information

<323031352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323031352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지표조사보고서를 공개하는 데에 동의함. [별지 제3호서식] 사업 내용 지표 조사 조사 결과 사 업 명

More information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제23호(2015.7) 115~149쪽 북송 여요의 성립과 그 의의 이희관* 목차 Ⅰ. 문제의 소재( 所 在 ) Ⅱ. 여요 성립의 계기 定 州 白 磁 器 有 芒, 不 堪 用 의 재검토 Ⅲ. 여요의 성립시기 Ⅳ. 여요의 성립과 어용자기 조달방식의 변화 Ⅴ. 여요의 성립과 휘종 Ⅵ. 나머지말 여요의 전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 前 호림박물관 이 논문은 2014년

More information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第 85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1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6年 6月 3 日 ( 月 ) 午 前 10時 場 所 議 事 日 程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의件 審 査 된案 件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More information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중국기본고적고 사용설명서 1 로그인( 進 入 ) 1.1시작을 클릭하신후 왼쪽 프로그램에서 AncientBook 을 찾으신후, AncientBookClient 를 클릭하세 요. 1.2 服 務 器 (ip), 用 戶 名 (id), 密 碼 (pw)를 입력 후 진입( 進 入 ) 클릭하세요. 1-3. 아이콘 설명 : 메인페이지 : 최소화 : 화면 닫기 2. 검색( 檢

More information

POWERSHELL CONTROLLER + BATTERY Setup Guide English............................... 4 繁 體 中 文.............................. 12 한국어............................... 20 www.logitech.com/support................

More information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003. 11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Ⅰ. 調 査 槪 要 1. 調 査 目 的 고성군에서 추진중인 율대 농공단지 확장예정지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제74-2와 동법 시행령 제43-2

More information

名門家 명문가 기록관리의 변천 2011년 부천 족보전문 도서관 變遷 序 文 나이 스물을 조금 넘겨 군대 생활을 할 때 우연찮게 족보를 보기 시작하게 되었다. 그 즈음에는 문맹률도 높았고 그래서, 당히 각 가정에서 책을 구경하기란 아마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얘기 같지만 국민학교 교과서 정도가 전부이지 동화나 소설이나 잡지는 구경할 수도 없었다. 혹여 나름대로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39-44, 2008년 6월 Yonsei J Med Hist 11(1): 39-44, 2008 일반논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 신창희( 申 昌 熙 )의 생애와 활동 박 형 우(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 홍 정 완(연세대 의사학과)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김해 한림면 용덕리 산1-5번지 외 7필지 국비지원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 2016.03 CONTENTS 목 차 Ⅰ. 조사개요 01 Ⅱ. 조사지역과 주변 환경 02 1. 자연 지리적 환경 02 2. 고고ㆍ역사자료로 본 김해의 역사 10 Ⅲ. 조사내용 18 1. 고고분야 19 2. 조사구역 내 유적 현황 22 3. 민속분야 24 4. 지명분야 25 Ⅳ. 종합고찰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한류 가 대만의 한국어 학습에 미친 영향 곽추문( 郭 秋 雯 ) 대만국립정치대학교 한국어학과 1. 서론 2000 년 7 월 빠따 방송국( 八 大 電 視 台 )에서 드라마 불꽃 을 방영하면서부터 한국 드라마는 대만 시청자들의 관심과 열띤 토론을 이끌어 내기 시작했다. 이에 이어서 2001 년 2 월에 팔대방송국은 또 가을 동화 를 방영, 대만 유선방송 드라마

More information

속표지(도큐)

속표지(도큐) 인묘(유 소아묘)와 성인묘 양자가 뚜렷이 구분되어지는 객관적 기준(점)이 설정된다면, 이러한 기 준을 이용하여 인골이 출토되지 않는 다른 유적에 적용 가능하지 않을까한다. 먼저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되어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고분의 성격 을 가장 잘 파악 할 수 있는 예안리고분군 목곽 석곽 유 소아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More information

¹ßÇ¥¿äÁö229-286

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現 存 거문고 끓의 年 代 考 現 存 거문고 諸 의 年 代 考 李 惠 求... .... 1. 現 存 거운고 語 40 篇 ll. 第 1 群 의 거운고 語 ill. 第 2 群 의 거문고 諸 IV. 第 3 群 의 거운고 諸 V nu nl ^τ::--i'!. 1. 現 存 거문고짧 40 篇 - 現 存 거운고 樂 諸 는 國 立 國 樂 院 發 行

More information

AB000032-01.hwp

AB000032-01.hwp 1 다호리 48호분(계층3/ 馬 刀 모선 形 ) 2 다호리 32호분(계층4/ 刀 모선 形 ) 3 다호리 18호분(계층4/ 刀 모 形 ) 4 다호리 37호분(계층4/ 唯 刀 形 ) 5 다호리 47호분(계층5/모선 形 ) 6 다호리 67호분(계층6/ 唯 선 形 ) 그림1. 다호리 고분군의 계층성 1 다호리 25호분(계층5/ 唯 모 形 ) 2 임당 A-Ⅰ-145호분(계층3/

More information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美 術 史 論 壇 第 34 號 2012 6 高 麗 佛 畵 本 地 畵 幅 奉 安 問 題 I. 머리말 朴 銀 卿 東 亞 大 學 校 人 文 科 學 大 學 考 古 美 術 史 學 科 敎 授 九 州 大 學 文 學 博 士 佛 敎 繪 畵 史 1 * 3 : 2010 10 28 Preliminary Study of the Silk Weave Loom Width and Enshrinement

More information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2009. 3. 12. (제09-8호) Ⅰ.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거시팀 李 萌 연구원) Ⅱ. 중국 영화산업의 성장 (전략팀 鐘 星 수석연구원) Ⅲ. 主 要 經 濟 統 計 - 1 -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 2009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More information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고조선의 천문과 북두칠성 13 고조선의 천문과 북두칠성 이 용 복 서울교육대학교 / 소남천문학사연구소 I. 서론 고조선에 대한 것은 고대사를 전공하고 있는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역사에 대하 여 평소에 별로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이라도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 조선에 대한 연구는 학자들 간 많은 이견이 있고 학문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고조 선( 古

More information

sme_beta[1](류상윤).hwp

sme_beta[1](류상윤).hwp 1930년대 중소 직물업의 발흥과 그 배경 류상윤(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제학부 박사과정 수료) 1. 머리말 1960 년대 이후 한국은 고도성장을 경험하였다. 고도성장의 원인 또는 배경이 무엇이었는 지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 중에는 해방 후의 경제성장을 식민지기 조선이 경험했던 것들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들도 있다. 이들은 각각 자본주의

More information

<BFACB1B82D30352DBFC0C7F6BCF62DC8B8B3B2C0DA20B1E2C0E720A1AEB0A5BCAEA1AFB0FA20A1AEBFE4BCF6A1AFB8A62D31C2F7BCF6C1A42E687770>

<BFACB1B82D30352DBFC0C7F6BCF62DC8B8B3B2C0DA20B1E2C0E720A1AEB0A5BCAEA1AFB0FA20A1AEBFE4BCF6A1AFB8A62D31C2F7BCF6C1A42E687770> 硏 究 論 文 회남자 기재 갈석 과 요수 를 통해 본 전기 고조선의 중심지 오현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통합과정 수료, 한국고대사 전공 98kid2000@hanmail.net I. 머리말 II. 갈석 과 요수 조문의 사료 맥락 검토 III. 갈석 과 요수 의 위치 고증 IV. 연장 진개 침입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 V. 맺음말 I. 머리말 근대사학 도입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지표조사보고 15-99 [국비지원 지표조사]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 목 차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 및 그 주변의 환경 2 1. 청주시의

More information

<5B323031345DB4EBC7D0BFE4B6F7283037332D30383229B1E2B1B82E687770>

<5B323031345DB4EBC7D0BFE4B6F7283037332D30383229B1E2B1B82E687770> 2. 주요 보직자 명단 (2014년 4월 1일 현재) (1) 교무위원 총장 부총장(인사캠) 부총장(자과캠) 부총장(의무) 일반대학원장 학부대학장 유학대학장 문과대학장 법과대학장 사회과학대학장 경제대학장 경영대학장 자연과학대학장 정보통신대학장 공과대학장 약학대학장 사범대학장 생명공학대학장 스포츠과학대학장 의과대학장 예술대학장 기획조정처장 교무처장 학생처장 산학협력단장

More information

역사 51 창화현이라고도 한다. 현종 9년(1018) 양주에 예속시 키고 후에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조선) 태조 6년 (1397)에 양주에서 치소를 이곳 견주로 옮겼다가 뒤 에 지금의 치소로 옮겼다. 지금의 古 州 內 이다. 라고 하여 두 기사간에 다소의 차이점이 있

역사 51 창화현이라고도 한다. 현종 9년(1018) 양주에 예속시 키고 후에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조선) 태조 6년 (1397)에 양주에서 치소를 이곳 견주로 옮겼다가 뒤 에 지금의 치소로 옮겼다. 지금의 古 州 內 이다. 라고 하여 두 기사간에 다소의 차이점이 있 50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6. 조선시대 태조 2년(1393) 조선이라는 새로운 국호가 정해 지고 신왕조의 기틀이 잡혀지자 국도의 천도가 제기 되었다. 천도론은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지덕이 쇠한 개경에 머무를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 제기되었지만, 실질적 으로는 고려의 전통적인 세력기반을 떠나서 조선왕조 의 새로운 정치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태조는

More information

目 次 第 1 篇 1995 年 度 水 産 業 動 向 1 第 1 章 世 界 水 産 業 動 向 3 第 1 節 水 産 物 生 産 3 第 2 節 水 産 物 交 易 5 第 2 章 우리나라 水 産 業 動 向 7 第 1 節 漁 業 構 造 7 第 2 節 漁 家 經 濟 22 第 3 節 水 産 物 生 産 30 第 4 節 水 産 物 輸 出 入 40 第 5 節 水 産 物 需 給

More information

20001031jc0inb001a.HWP

20001031jc0inb001a.HWP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1 2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3 4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5 6 (2000

More information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2009. 12. 25. (제09-46호) Ⅰ. 중국 고급 냉장고 시장의 성장 (산업팀 許 李 彦 연구원) Ⅱ. 중국의 반독점법 과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M&A (전략팀 張 沈 偉 연구원) Ⅲ. 主 要 經 濟 統 計 - 1 -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 2009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More information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최정희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 활동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니가타현립대학교 야마다요시코 1 머리말 1931 년 삼천리사에 입사한 최정희는 기자로서 활동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37 년에 흉가 로 등단했다. 그 동안 습작기에 일본어 소설 1 편을 포함해 소설 15 편을 발표했다. 일본어 소설 그늘 은 역시 습작기에 쓴 가버린 美

More information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 財 ) 東 亞 文 化 硏 究 院 地 表 調 査 報 告 第 14 輯 진영읍 신용리 아름다운아파트 신축공사 구간내 文 化 遺 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 0 0 4. 10 目 次 Ⅰ 7. 조사개요 Ⅱ. 역사 ㆍ 고고분야의 조사 8 1. 김해시의 자연환경 1. 8 2. 김해의 역사적 환경 2. 10 3. 조사대상지역 개관 3. 28 Ⅲ 29. 현지조사 및

More information

신안해저인양 고대선(新安海底引揚 古代船)의 학술적 고찰(學術的 考察)

신안해저인양 고대선(新安海底引揚 古代船)의 학술적 고찰(學術的 考察) 職 員 教 育 教 材 88ᅳ5 集 新 安 海 底 引 揚 古 代 船 의 學 術 的 考 察 崔 光 南 1988. 11. 문화재청 자료실 WM»II» 圖 1111 痛 騰 고 - ᅮ ᅳᅳ 了 - : 文 化 財 管 理 局 職 員 教 育 教 材 88-5 集 新 安 海 底 引 揚 古 代 船 의 學 術 的 考 察 崔 光 南 1988. 11. 1998.1! 2 4 料 文 化

More information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20세기 전반 彦 陽 의 小 農 社 會 이 영 훈 Working Paper 2015-03 Arp, 2015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31gil 5, Bongcheon-ro, Kwanak-ku, Seoul,

More information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맼彰 化 뾤縣 和 과美십鎮 和 仁 냪國 ꗁ民ꑰ小 뻇學 101 年ꯗ度 낪高 年 꿅級롴聖뷏誕론節굞英뭹語싴闖쏶關륃遊삸戲 ꑀ一ꅂ ꗘ目ꪺ的ꅇ 겡活냊動군計땥畫 ꕈ以 륃遊삸戲 之形ꚡ式 냶培빩養뻇學떣童맯對 於 뻇學닟習굞英뭹語 之 뾳興뷬趣 ꅁ 뙩進 ꛓ而 뒣提 升 뻇學떣童굞英뭹語꿠能 ꑏ力ꅁ 並 促 뙩進뻇學떣童냪國믚際왛觀 ꅃ ꑇ二ꅂ 맪實걉施굮要쉉點 ꅇ 1. 맪實걉施맯對뙈象 ꅇ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전체.indb

전체.indb 동북아역사논총 51호 2016. 3 차 례 논문 김규운 일본 기나이지역 초기 횡혈식석실의 출현과 도래인 문제 7 정순일 9세기 초 일본의 변경과 통역 쓰시마에 배치된 신라역어를 중심으로 55 김득중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군사점령 논리와 냉전 에른스트 프랑켈의 국제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93 조윤수 한일회담과 문화재 반환 교섭 일본 정부의 반환 문화재 목록

More information

199-224 서강건치.hwp

199-224 서강건치.hwp 국 학 연 구 론 총 제 1 집 택민국학연구원.2008.6.30. 日 本 에 있어서의 韓 國 文 學 의 傳 來 樣 相 江 戸 時 代 때부터1945 年 까지 西 岡 健 治 * 1) 序 言 Ⅰ. 江 戸 時 代 에 읽혀진 作 品 들 Ⅱ. 1868( 明 治 元 ) 年 에서 1918 年 ( 大 正 中 期 )까지 읽혀지고 翻 訳 된 作 品 들 Ⅲ. 三 一 獨

More information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제28차 워크숍 2016-04-08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가와이 에이지로의 제국일본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철(한림대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식민지 인식과 정당화논리 2.1 이상주의적 자유주의와 국민적 자유론 2.2 식민지 정당화의 논리 3. 전쟁 인식과 정당화논리 3.1 이상주의적

More information

<BCBCC1BE20C0E5B1BAB8E920B4EBB1B3B8AE203531302D34B9F8C1F620C0CFBFF8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BCBCC1BE20C0E5B1BAB8E920B4EBB1B3B8AE203531302D34B9F8C1F620C0CFBFF8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지표조사 보고서 16-04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보고서 2016. 03. 누 리 고 고 학 연 구 소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보고서 2016. 03. 누 리 고 고 학 연 구 소 일 러 두 기 1. 本 報 告 書 는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에 대한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More information

박광현발표.hwp

박광현발표.hwp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제 5회 전문가초청간담회 경성제국대학 과 재조 일본인 지식 사회 박 광 현 (동국대학교) 연구 동기 - 문학사에 등장하는 일본인은 누구인가? 조동일 문학통사의 유행, 小 倉, 高 橋 - 경성제대 출신의 조선인? 조윤제(경성대학 출신으로 은폐), 김태준(사회주의자) - 문학연구과에서 연구할 수 있는 테마로서의 한계 - 인물에 관한 연구(일본인

More information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논문집 별호 45 2002.4 훌규 羅 王 京 의 훌쉴 圍 와 區 城 에 대한 地 理 tjtj1i퓨갖릎 李 훌료 職 서 울대 학교 국토문제 연구소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More information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 국회의원 명단 당적표시는 당선당시(총선결과, 재 보궐당선, 의석승계) 소속정당을 나타냄. 제9 10대 국회의원의 당적중 국민회의 표시부분은 통일주체국민회의 에서 선출한 국회의원임. 제헌국회 (당적은 당선당시의 당적임)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姜 己 文 산 청 無 所 屬 金 若 水 동 래 朝 鮮 共 和 黨

More information

見 積 書

見 積 書 2 한국일본문화학회 회 장 인 사 한국일본문화학회 회원 여러분께 한국일본문화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기승을 부리던 더위도 물러가고 아침 저녁으로 불어오는 선선한 바람과 높고 파란 하늘이 성 큼 다가와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끼게 합니다. 한 여름이 지나고 찾아온 10월은 너무도 아름답습 니다. 파아란 하늘, 빠알간 단풍잎, 노오란 은행잎을 맘껏 즐기고

More information

목 과 속 종 뼈점수 % 뼈점수마리수 % 마리수 우제목 사슴 큰꽃사슴 큰꽃사슴 63 22.5% 사슴 누렁이 1 0.4% 큰뿔사슴 넓적큰뿔사슴 13 4.6% 상원큰뿔사슴 2 0.7% 소 소 첫소 3 1.1% 물소 물소 8 2.9% 돼지 돼지 멧돼지 23 8.2% 기제목 말 말 상원말 15 5.4% 코뿔이 쌍코뿔이 큰쌍코뿔이 127 45.4% 식육목 개 이리 이리

More information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식민지의 목소리 - 朝 鮮 思 想 通 信 社 刊, 朝 鮮 及 朝 鮮 民 族 (1927)을 중심으로 鄭 鍾 賢 ( 成 均 館 大 ) 1. 伊 藤 韓 堂 과 朝 鮮 思 想 通 信 伊 藤 韓 堂 이 발간한 朝 鮮 思 想 通 信 은 1925 년에 발행을 시작하여 1943 년 그가 죽은 직후에 폐간될 때까지 대략 18 년 동안 간행된 조선문을 번역한 일본어 신문이다.

More information

지 않은 상태이고, 그러한 시도도 찾아 보기 힘 든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 론 最 近 에 들어 國 內 國 녔3 學 界 나 i1îi 會 經 濟 史 學 界 에서 당시의 政 治 社 會 經 濟 文 化 의 諸 現 象 에 對 한 昭 究 가 활펠허 이루어지고

지 않은 상태이고, 그러한 시도도 찾아 보기 힘 든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 론 最 近 에 들어 國 內 國 녔3 學 界 나 i1îi 會 經 濟 史 學 界 에서 당시의 政 治 社 會 經 濟 文 化 의 諸 現 象 에 對 한 昭 究 가 활펠허 이루어지고 t 也 理 學 옮움 醫 第 6 號, 1979 年 12 月 pp.116rv150 日 帝 의 對 韓 初 期 植 民 地 政 策 이 韓 半 島 의 士 地 와 人 口 의 地 城 的 變 化 에 ul 천 영 향 : 19101919 李 樹 成 1. 序 (1) 昭 究 目 的 (2) 짧 究 方 法 (3) 짧 究 資 料 및 範 圍 텀 갖 4. 日 帝 의 韓 半 島 統 治 構 造

More information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짧활 康 t합샤훌 示 範 띔 健 所 運 營 응 위한 技 術 支 援 웹 JE - 示 範 保 健 所 模 型 開 發 을 中 心 으로l' 鍾 和 李 順 英 鄭 基 뽑 編 著 韓 國 띔 健 社 會 댐 究 院 머 리 말 美 國 이나 日 本 등 先 進 國 의 경우 이미 1970년대 부터 人 口 의 高 敵 化 와 生 活 樣 式 의 變 化 에 기인한 成 人 病 증가와 이에

More information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1930년대 초 천도교신파의 정세인식과 조직강화* Social Awareness and the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 by the New faction of Chundogyo in the Early 1930s 1)정 용 서(Jeong, Yong Seo)** Ⅰ. 머리말 Ⅱ. 신간회 해소에 대한 인식 Ⅲ. 반종교운동에 대한 대응

More information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低 所 得 偏 父 母 家 族 의 生 活 實 態 와 政 策 課 題 金 美 淑 朴 敏 妌 李 尙 憲 洪 碩 杓 趙 炳 恩 元 永 憙 韓 國 保 健 社 會 硏 究 院 머 리 말 배우자의 사별, 별거, 이혼 등으로 초래되는 偏 父 母 家 族 은 産 業 化 의 진전에 따른 개인주의 팽배로 이혼이 증가하였고 經 濟 危 機 로 인한 가 족해체가 확산되어 최근 증가 추세에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GMJOVBDSVHIL

Microsoft Word - GMJOVBDSVHIL 연행록을 통해 본 조선 문사의 반산 유람 신익철 1. 머리말 계주( 薊 州 ) 서북쪽에 위치한 반산( 盤 山 )은 반룡산( 盤 龍 山 )이라고도 불리는데, 북경에 도읍을 정한 명청 시대의 황제들이 경동제일산( 京 東 第 一 山 ) 이라 하며 즐겨 찾았다. 특히 건륭( 乾 隆 ) 황제 때에는 반산에 행궁( 行 宮 )이 건립되었으며, 청나라의 역대 황제는 특히

More information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전반, 타격, 투수, 수비 진기록 전반 시즌 최고 승률 0.706 85 삼성 (110 경기 77승 32패 1 무) 기별 최고 승률 0.741 85 삼성 ( 전기 55경기 40승 14패 1 무) 시즌 최저 승률 0.188 82 삼미 (80 경기 15승 65 패) 기별 최저 승률 0.125 82 삼미 ( 후기 40경기 5승 35 패) 시즌 최다 승리 91 00

More information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2005년 4월 1일(금) 제141호 Monthly Newsletter from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발행인:대한민국학술원 회장 / 우 137-044 서울 서초구 반포4동 산94-4 / http://www.nas.go.kr / XXXXX / F XXXXX / 편집:학술진흥과 第 76 次

More information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2009 年 12 月 頁 15~36 高 雄 師 範 大 學 經 學 研 究 所 15 韓 國 漢 文 學 硏 究 之 最 近 傾 向 김동협 金 東 協 教 授 / Professor Kim Donghyub 摘 要 我 想 對 於 韓 國 漢 文 學 最 初 之 專 門 著 書 是 金 台 俊 之 >. 此 冊 刊 行 於

More information

<322DB3EDB9AE2E687770>

<322DB3EDB9AE2E687770> 어도 설계 실무 (Design of Fishway) 1. 머리말 2. 어도 설계의 기본 이론 3. 어류이동의 생태학적 특성 4. 어도 설계의 수리학적 기법 5. 어도의 설계 및 설치사례 참 고 문 헌 헌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2 자연형 어도의 예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3 어도 내부에 돌을 설치한 모습 그림 2.4 어도 바닥에 돌을 설치한

More information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

101-03.hwp

101-03.hwp 人 文 科 學 제101집 2014년 8월 漢 字 문자 그 이상의 상징 체계 Ⅰ. 서론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한자의 본격적인 개혁운동은 5.4 白 話 運 動 이 후 지식인들에 의한 표음문자화를 지향하는 漢 字 革 命 論 이다. 근대 알파 벳 문자를 이상적 원형으로 사유하는 서구학계의 깊은 인식론의 영향으로 1954년 中 國 文 字 改 革 委 員 會 성립 이후

More information

#39-0 머리말외.indd

#39-0 머리말외.indd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39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이승일 김대호 정병욱 문영주 정태헌 허영란 김민영 지음 발간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동북아 세 나라는 오랜 옛날부터 독자의 문화를 꽃피움과 동시에 여러 면에서 문화를 공유해왔습니다. 한자라는

More information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第 81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4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5年 10月 27 日 ( 金 ) 午 前 10時 場 所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議 事 日 程 1.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請 願 2. 地 下 鐵 勞 使 問 題 解 決 促 求 請 願 3. 地 下 鐵

More information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2007. 6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2007. 6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14세기 高 麗 末, 朝 鮮 初 농업기술 발달의 추이* - 水 稻 耕 作 法 을 중심으로- 염 정 섭** < 국문초록 > 15세기 초반 태종대에 만들어진 농서로 현재 農 書 輯 要 가 남아 있다. 이 농서는 元 代 의 農 書 인 農 桑 輯 要 를 抄 錄 하고 吏 讀 를 붙여 간행한 것이었다. 간행연대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15세기 초반 태종대로 추정된다. 고려말

More information

¾Æµ¿ÇÐ´ë º»¹®.hwp

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The 4th East Asian Economic Historical Symposium 28 EHCJ 117 논문 5 朝鮮總督府의 臨時資金調整法 운용과 資金統制 박현 연세대학교 1. 머리말 1937 년 7 월에 시작된 中日戰爭은 전쟁 당사국인 일본뿐만 아니라 그 식민지인 조선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전쟁을 계기로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이 강화되고 전시 경제통제가

More information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1883.01.24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1883.06.22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1883.01.24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1883.06.22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근현대 한일간 조약 일람* 22) 1. 조선 대한제국이 일본국과 맺은 조약 주) 1. 아래 목록은 國 會 圖 書 館 立 法 調 査 局, 1964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上 ; 1965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中 ; 外 務 省 條 約 局, 1934 舊 條 約 彙 纂 第 三 巻 ( 朝 鮮 及 琉 球 之 部

More information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韓 國 市 場 經 濟 의 특질 - 地 經 學 的 조건과 社 會 文 化 의 토대에서- 이 영 훈 Working Paper 2014-07 Nov, 2014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31gil 5, Bongcheon-ro,

More information

<C7D5BABB2E687770>

<C7D5BABB2E687770>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AAH 2015년도 매장문화재조사 전문교육 형식학적 연구의 이해 2015. 9. 2 ~ 9.4 협회 설립목적 01 / 문화재의 조사연구와 보존 보호를 통해 문화재의 역사 문화 학술적 가치 창출 02 / 회원기관 및 조사연구원의 연구활동 지원으로 공공성 공익성 및 학술성 제고

More information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 2012 000081 1 000 95% 95% 60 5 B 507 070 4651 3730~4

More information

04-2 제60회 공개강좌 자료집 내지.hwp

04-2  제60회 공개강좌 자료집 내지.hwp 2014년 고고학 연구 공개강좌 제60회 뗀석기, 갱신세층과 구석기유적 찾기 이기길 2014.10.25 뗀석기, 갱신세층과 구석기유적 찾기 차 례 1.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란? 2. 구석기가 발견되는 갱신세층의 이해 3. 구석기유적은 어디에서 발견되나? 이기길(조선대 교수 겸 박물관장)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란? 진짜 석기의 판별 요소 뗀석기의 돌감(석재) 자갈면,

More information

그 리 고 꼭 같은 내 용 의 녹 권 이 변 사 펠 사한 깃과 꽉활자로 인 출 한 갓이 있 디. 편 사 - 한 갓도 fj-. i

More information

<B1B9BFAAC3D1BCAD2DC6EDC1FD2839292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B1B9BFAAC3D1BCAD2DC6EDC1FD2839292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인 명 497 색 인 인 명 (ㄱ) 강경중 姜 敬 重 182, 193 강덕상 姜 德 相 137 강만철 姜 萬 哲 149, 159 강만희 姜 萬 熙 135 강무형 姜 懋 馨 134 강문선 姜 門 善 88 강병학 姜 丙 學 390 강봉상 姜 奉 相 137 강봉진 姜 奉 辰 150 강석희 姜 奭 熙 133, 139, 158, 225 강선보 姜 善 甫 128, 129,

More information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審 辯 性 與 創 意 性 思 考 냉철하고 창의적인 생각 CCT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More information

미온적인 태도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나진항 개발관련 논의 또한 2005 년부터 추진되어 온 것으로 북한은 중국을 상대로는 도로(권하-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러시아를 상대로는 철도(하산-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나진항 3, 4 호 부두운영권 및 개발권을 넘긴다는 이중적

미온적인 태도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나진항 개발관련 논의 또한 2005 년부터 추진되어 온 것으로 북한은 중국을 상대로는 도로(권하-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러시아를 상대로는 철도(하산-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나진항 3, 4 호 부두운영권 및 개발권을 넘긴다는 이중적 중국의 대북한 인프라 협력, 의존과 개방의 딜레마 원동욱(동아대 국제학부 중국학전공) Ⅰ. 들어가는 말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1874 호 등)에도 불구하고, 북중 수교 60 주년 및 북중 우호의 해(2009)에 따른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10. 4~6)으로 북중간 경제협력은 지속되고 있고,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는

More information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東 洋 學 第 60 輯 (2015 年 7 月 ) 檀 國 大 學 校 東 洋 學 硏 究 院 程 學 전통에서의 格 物 致 知 窮 理 * 二 程 4대 初 傳 弟 子 들의 해석과 주자 재해석의 의의 43)이 정 환** 국문초록 본 논문은 程 明 道 와 程 伊 川 의 4대 初 傳 弟 子 로 불리우는 呂 大 臨 楊 時 謝 良 佐 游 酢 의 格 物 致 知 窮 理 에 대한

More information

중국의 “주변외교” 전략과 “일대일로

중국의 “주변외교” 전략과 “일대일로 189 중국의 주변외교 전략과 일대일로( 帶 路 ) 구상* : 구상의 제기배경, 추진현황, 함의 고찰을 중심으로 김애경(명지전문대학) Ⅰ. 문제제기 시진핑( 習 近 平 ) 지도부가 등장한 이후 중국은 대외적으로 매우 적극적인 정책을 제시하고 추 진하고 있다.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을 이루는 중국의 꿈( 中 國 夢 ), 신형대국관계( 新 型 大 國 關 係 )

More information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주 830516 입주자격소득초과 2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연 711202 입주자격소득초과 3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이 * 훈 740309 입주자격소득초과 4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이 * 희 780604 입주자격소득초과 5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안 * 현

More information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저작권 동향 2016년 제7호 2016. 5. 17 [중국] 북경시 법원, 2015년도 지식재산권 10대 주요 판례와 10대 신 판례를 발표 백지연 * 북경시 법원에서 발표한 지식재산권 10대 주요 판례 중 저작권 관련 판례는 4 건, 10대 신 판례 중 저작권 관련 판례는 2건 이였음. 10대 중요 판례 중 저작권 관련 판례로는 1. 위정과 치옹야오 저작권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JCAK 09

JCAK 09 JCAK 12-2(통산65호) Homepage http://www.bunka.or.kr 발행일 2012년 4월 5일 발행인 : 박희남 발행처 : 300-716 대전광역시 동구 대학로 62번지 대전대학교 일어일문과 박희남교수 연구실 042-280-2256, 010-8485-5119 사무 국 : 300-150 대전광역시 동 구 정동 31-1 신영빌딩 201호 E-mail

More information

ePapyrus PDF Document

ePapyrus PDF Document 제 호 發行人 : 秋秉直 編輯人 : 申京湜 아름다운 국토 제주 우도 ( 양언모 회원作) 본회 내방 인사 회원 동정 국토교통부 인사 건설진흥회 자원봉사단 구성 추진 회비납부내역 동호회 소식 회원 경조사 특별기고문 日本을 압시다( 其Ⅰ) 회원기고문 MayFl ower ( 五月花)! 社團 法 135701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711( 건설회관 4층) 전화 :( 代)025426960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