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기술과 첨단기술 융합 산업화 전략

Similar documents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ㅇ ㅇ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hwp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1정책백서목차(1~18)

<2835C8A32920B0FAC7D0B1E2BCFAC0BB20C5EBC7D120C7D1B1B9C0FCC5EBB9AEC8AD20C7C1B8AEB9CCBEF620C3A2C3E220C0FCB7AB28BEC8292E687770>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2016 년도국토교통기술 연구개발사업시행계획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정책브리프 정책브리프 2016년 05월 11일 vol.6 발행인_강현직 발행처_전북연구원 주소_전북 전주시 완산구 콩쥐팥쥐로 1696 TEL : 063) FAX : 063) 전북연구원 정책브리프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진의 견해로서 전라북도의

- 2 -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부서 : 탄소산업과정책 : 신성장산업기반구축단위 : 탄소산업육성지원 01 출연금 50,000 50,000 0 제크월드한국관운영 50,000 기타지역특성화산업육성 ( 탄소융복합제품수요확대지원 ) 지 30,000 시 30,000 60,000 70,000 10,

( 1 ) ( 2 )

hwp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198~243)교과서한지7ok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02 03 M E GA P R OF I T M E GA P OLIS! 기업도시,! 충주메가폴리스 첨단산업단지 , 1,811 ( 1,232) 2,372 ( ) () 3() IT BT


hwp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Ⅰ Ⅱ Ⅲ Ⅳ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¹»ê»ç¾÷Æò°¡(±âŸ)-¼öÁ¤.hwp

07

일러두기 고령자의삶 은통계청및각통계작성기관에서만든통계자료를재분류 가공하여작성하였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은전북지역의고령자현황을파악하여향후 정책수립에활용하고자 전북지역고령자의삶 을작성하 였습니다 이용시유의사항 인구관련통계는통계청 장래인구 가구 추계시도편 자료를 시군별고령인구비


1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i4uNETWORKS_CompanyBrief_ key

메디시티대구 실현촉진을위한 이벤트 ( 축제 ) 기획방안

,. 2 차세대태양전지민 관합동간담회

13È£³»Áö-1

직무분야별 담당예정업무(공고문 별첨).hwp_um76wXUEDjTxsPeq4vzx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MRIO (25..,..).hwp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

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PDF_Compass_32호-v3.pdf

_report.hwp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국정2기 문화융성 계획과 전라북도의 대응


에너지절약_수정

별지서식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장애인건강관리사업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untitled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차례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03report250-9.hwp

1 2 자료조사 및 디자인 개인별 주제에 대한 발표 소재 선정 자료조사 및 디자인 조사한 자료에 대한 발표 작업지시서 작성 3 4 작업지시서 작성 작업지시서에 따른 일정 확인 작업지시서에 따른 공정 방법 확인 갑피 패턴 작성 복사본, 기본본, 작업본 만들기 5 재단 소

2018 학년도수시 1 차모집정원내입시결과 모집단위 입학정원 수업년한 면접및실기고사점수는반영안됨 지원율 최저 수시 1 차 일반전형특별전형 ( 일반고교졸업자 ) 특별전형 ( 특성화고교졸업자 ) 내신등급 내신등급 내신등급 최초 최종 지지원최초최종원 최초 최종 최 최 최 율

Europe 2020 Strategy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 ,

빅데이터로 본 민선7기 지방선거의 의미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로플랫]표준상품소개서_(1.042)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이슈브리핑133.indd

A Basic Study on Promoting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Daegu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3LGÈ�ÇÐÁ¦2±â/2001±â³»Áö-8-30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untitled

130930(00)(1~3).indd

1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Transcription:

2 0 1 6 2 0 1 6 I s s u e Briefing 전북연구원이슈브리핑 Issue 전통문화와 20160712 vol.152 첨단기술융합 Briefing 산업화전략 김동영 _ 미래전략연구부부연구위원

2 0 1 6 I s s u e Briefing 전북연구원이슈브리핑 Issue Briefing 이슈브리핑 2016 년 07 월 12 일 vol.152 발행인 _ 강현직발행처 _ 전북연구원주소 _ 전북전주시완산구콩쥐팥쥐로 1696 TEL : 063)280-7100 FAX : 063)286-9206 이슈브리핑에수록된내용은연구진의견해로서전라북도의정책과는다를수도있습니다. 지난호이슈브리핑을홈페이지 (www.jthink.kr) 에서도볼수있습니다. C O N T E N T S 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전략 Ⅰ. 문제제기. 05 Ⅱ.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개요.. 05 1. 전통문화산업화전략추진과정. 05 2. 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주요내용.. 06 3. 시사점. 08 Ⅲ. 전라북도대응전략. 09 1. 전라북도방향설정 : 장소기반문화산업. 09 2. 전라북도대응전략.. 10 1) 전북문화제조업 5대분야육성. 10 2) 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13 3) 국립전통문화기술원설립. 14 4) 선도프로젝트적극대응. 15 Ⅳ. 제언.... 16

S U M M A R Y 요약 미래창조과학부와문화체육관광부등 10개부처는공동으로 6월 27일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을마련하고국가과학기술심의회운영위원회심의를거쳐확정했음 본계획은전통문화의가치를국민일상생활에서향유하고산업화하기위해전통문화에창의적아이디어와신기술을접목하여현대적으로재창조하고기술적한계를극복하여전통문화산업의새로운산업적수요와시장창출을목표로하고있음 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전략 정부는이를통해전통문화기반신시장 1.4조원창출, K-Product 신제품 20개, 신규고용창출 2,700명을목표로 4대전략과 12대과제를추진할계획 < 표 -1> 4 대전략및 12 대과제 전략 1. 전통문화산업고도화지원 2. 전통문화원리기반신시장창출 3. 전통문화산업 R&D 활성화기반구축 4. 과학기술융합제품 기술의대중화촉진 추진과제 1 ( 공예 ) 전통공예소재 공정혁신 2 ( 의류 ) 천연의류가격 기술경쟁력강화 3 ( 식품 ) 전통식품기능성 부가가치제고 4 ( 건축 ) 전통건축자재 시공첨단화 5 ( 예술 ) 전통음악및디자인의대중화촉진 1 전통기법 소재원리규명및산업적활용촉진 2 전통문화자원활용고부가가치신시장창출 1 전통문화산 학 연기술협력촉진 2 전통문화산업 R&D 역량강화지원 1 전통기술프론티어제품발굴및유통 마케팅지원 2 전통기술체험확대및신제품의소비자접근성강화 3 창조경제혁신센터연계사업화지원 전통문화자원이풍부하고이를활용한첨단산업화를꾸준히추진하고있는전라북도는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의핵심전진기지로서의역할을수행할수있도록발빠른대응전략필요 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전략을지역문화산업으로성공적으로추진하기위해서는특정장소에서는그가치가배가되지만그장소를떠나면가치가감소하는 장소기반문화산업 으로육성필요 장소기반산업은크게패션, 수공예품, 건축, 요리등문화적가치를가진물리적상품을생산하는문화제조업, 특정한장소에서만운용가능한디지털콘텐츠로서장소기반콘텐츠산업, 이용객들이직접찾아가서즐기고체험할수있는관광장치산업으로구분가능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이 R&D를통한전통문화산업고도화를목표로하기때문에전라북도는전통문화자원을기반으로다양한혁신적상품화에서성과를내고있는문화제조업분야에집중필요 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를성공적으로추진하기위해서는전북문화제조업육성 5대분야선정, 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전통문화기술은행설립, 미래부의선도프로젝트선제적대응필요 첫째, 전라북도의풍부한전통문화자원과다양한 R&D성공사례를기반으로시장확장성이큰분야를중심으로한지산업, 목공예산업, 음식산업, 보석산업, 엔터테인먼트형 6차산업등전북문화제조업육성 5대분야선정 03 Jeonbuk Institute

S U M M A R Y 요약 < 표-2> 전라북도문화제조업육성 5대분야 분야 사업내용 지역 한지산업 한지섬유 ( 한지사 ), 한지사진인화, 한지건축자재 전주, 익산, 완주, 임실, 남원 04 목공예산업 한옥, 목공예 ( 짜맞춤가구 ), 옻칠공예 전주, 남원, 고창 음식산업 테이크아웃상품, 소스산업화, 장류상품화 전주, 익산, 순창 보석산업 보석디자인, 보석 3D프린터 ( 소재 ), 장인적생산 익산 엔터테인먼트형 6차산업 스토리텔링, 테마파크 완주, 임실, 고창 둘째, 한지섬유, 짜맞춤가구, 옻칠자동차, 테이크아웃비빔밥, 우리밀청국장쿠키등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의융합을통해산업화가활발히추진되고있는전북의지역을연결하여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 그림 -1> 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 안 ) 셋째, 전통적생산방식아카이브센터, 전통문화기술 R&D, 전통문화기술사업화지원을담당할수있는정부차원의국립전통문화기술원설립을통해전북을전통문화와첨단기술의융합을통한끊임없는혁신과창업의중심지로육성 넷째, 미래부가올해 7월부터추진할예정인 3대선도프로젝트에적극적으로대응하기위해전라북도는전통제철기반고급칼사업은남원, 청국장발효균프로바이오틱스개발사업은순창, 3D프린팅용전통천연소재개발사업은전주와익산시를매칭하여선제적으로대응 전라북도내발적발전의 3대분야인삼락농정, 토탈관광, 탄소산업에첨단문화제조업을추가하여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이 25조이상의전통문화산업시장을전라북도가선도할수있는계기로활용 Issue Briefing 2016 vol.152

Ⅰ. 문제제기 미래창조과학부와문화체육관광부등 10 개부처 1) 는 6 월 27 일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을공동으로발표 - 2016 년대통령업무보고중창조경제 문화융성을통한성장동력창출의후속조치로서전통문화의재발견과새로운가치창출전략의일환 - 6 월 27 일제 22 회국가과학기술심의회운영위원회심의를거쳐확정 1)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문화재청, 특허청, 중소기업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이번발표는그동안영화, 게임, 드라마등콘텐츠산업중심의실질적수도권주도정책에서전통문화산업을중심으로한지역주도정책으로의가능성을제시했다는점에서지역문화산업정책에대한시사점이큼 - 정부는 1999 년문화산업진흥법제정이후지역문화산업지원센터를중심으로문화산업클러스터를지정하고문화산업인력, 자본, 업체의수도권집중해소와지역에맞는문화산업육성을위해지역문화산업정책추진중 - 콘텐츠산업은수도권의매출이 80% 를차지할정도로사실상수도권중심의문화산업전략 특히, 전통문화자원이풍부하고이를활용한첨단산업화를꾸준히추진하고있는전라북도는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의핵심전진기지로서의역할을수행할수있도록발빠른대응전략필요 - 전라북도는한스타일산업화를위해전주시에한국전통문화전당건립 운영, 국립무형유산원유치, 전통문화산업화를위한시제품제작소와디자인센터건립,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의주요전략으로탄소, 농생명과더불어문화산업을추진중 장기적으로금번정부의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발표를토대로전라북도지역문화산업정책을콘텐츠중심에서전통문화중심으로전환하는계기로설정하고이에따른대응전략필요 - 지역문화진흥법이제정되어명실공히지역주도의문화진흥을위한제도적장치가마련되어있지만, 지역문화산업정책이배제되어있어향후지역문화산업육성을위한관련법제정은물론방향설정이필요한상황 본연구는전라북도의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를위한기초적연구로대략적방향설정과추진과제를제시하고자함 - 본연구는향후전라북도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화를위한본격적연구를위한기초자료로서의역할수행으로써의미가있을것임 Ⅱ.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개요 1. 전통문화산업화전략추진과정 1999 년 2 월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정을통해문화산업단지, 문화산업진흥지구및진흥시설등에대한법적토대를기반으로 2005 년지역문화산업클러스터육성추진 문화부는 2000~2002 년까지지역문화산업업무를지원하고주관하기위해지역문화산업지원센터 10 개소설립운영 - 대전, 청주, 부천, 부산, 대구, 광주, 춘천, 전주, 목포 전통문화산업진흥법 ( 안 ) 이 2010 년, 2011 년발의됐지만제정불발 - 전통문화산업창업지원, 전통문화상품표준화, 전통문화촌지정, 전통문화산업전문인력양성, 한국전통문화산업진흥위원회설치등 2013 년국정과제로 문화융성을통한국민행복시대 를선정하고 6 대주요추진과제선정 - 전통문화산업과관련된사업은상상콘텐츠기금조성, 콘텐츠코리아랩설립, 정신문화진흥및문화유산보존등이포함 05 Jeonbuk Institute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2020 을통해 지역가치의재발견및재창조 전략의일환으로지역문화자산을활용한지역문화발전사업전개 - 지역스토리를입힌지역문화상품개발, 지역문화관련문화예술기업육성, 지역문화유산및지역문화원형등다양한유형의지역문화콘텐츠발굴등 2015 년 5 월전통문화산업의한분야인공예를보존의대상에서산업으로육성하기위한공예문화산업진흥법제정 06 문화체육관광부는 2016 년문화융성전략 4 대전략중하나로 문화경쟁력, K- 프리미엄창출 을선정하고 한국적가치의세계화 과제제시 6 월 27 일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10 개부처공동발표 2. 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주요내용 2) 추진배경및정책목표 2) 미래창조과학부등 10 개부처공동발 표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요약 국내전통문화산업규모는전통의류 5 조 1187 억원, 전통식품 9 조 6390 억원, 전통공예 2 조 6881 억원, 전통건축 7 조 6618 억원총 25 조 1077 억원으로전체산업대비약 10%( 유동환, 2011), 문화산업의약 30% 차지 하지만전통문화산업은시장이고가와저가로양극화되어있고현대적라이프스타일로접목되지못해가격경쟁력과실용성등에서시장확장성이제한적 또한, 산업계는영세성 노동집약적구조로부가가치창출이제한적이고기술력을축적한선도기업의성장도미흡한상황 - 1 인당매출 : ( 전통문화 ) 0.88 억원 (2010), ( 뿌리산업 ) 2.16 억원 (2013), ( 日공예 ) 6.5 억원 (2001) - 기업 80% 이상이 1980 년대이후설립, 일본은 200 년이상장수기업 3,000 여개보유 이에따라, 정부는전통문화자원의산업화 고부가가치화를통한 코리아프리미엄 창출과 문화융성 을촉진하기위해전통문화자원과첨단과학기술의융합을본격적으로추진하기위해 2025 년전통문화기반신시장창출 1.4 조원, K-Product 신제품 20 개, 신규고용창출 2,700 명을목표로 4 대전략 12 대과제제시 ( 공예 ) 전통공예소재공정혁신 ( 의류 ) 천연의류가격기술경쟁력강화 ( 식품 ) 전통식품기능성부가가치제고 ( 건축 ) 전통건축자재시공첨단화 ( 예술 ) 전통음악및디자인의대중화촉진 전통기법소재원리규명및산업적활용촉진 전통문화자원활용고부가가치신시장창출 전통문화산학연기술협력촉진 전통문화산업 R&D 역량강화지원 전통기술프론티어제품발굴및유통마케팅지원 전통기술체험확대및신제품의소비자접근성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연계사업지원 < 그림 -2> 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의비전및정책목표 Issue Briefing 2016 vol.152

전략 1. 전통문화산업고도화지원 시장잠재력은높으나낮은실용성과품질, 높은가격등산업화한계에직면한전통문화제품에첨단기술을접목하여, 기존장점을유지하면서기술적한계극복을통해전통문화제품의실생활용품화촉진, 산업계성장잠재력확충지원 - 주요전통공예제품 ( 유기, 도자, 뚝배기, 옻칠등 ) 의소재 공정혁신기술을개발하여, 현대생활환경에적합한실용성 품질확보및대체재 수입산위협극복 - 천연염료경제성 활용성 ( 색조화장품등 ) 확보및인조섬유수준의기능성 내구성을가진천연섬유구현 - 건강기능식품 ( 인삼, 기능성식용색소등 ), 전통발효제품 ( 민속주류등 ) 의고부가가치상품화 - 전통건축주자재 ( 목재, 기와등 ) 품질 생산성제고, 차세대온돌및대공간新한옥모델구현 - 전통음악실용성 대중성제고 ( 가치규명, 국악기등 ) 및전통문양의산업적활용 ( 산업디자인요소발굴 패턴화 ) 촉진 전략 2. 전통문화원리기반신시장창출 전통기법 소재원리규명과첨단기술융합으로생활 건강, 친환경건축, 첨단소재분야에서인간 환경 생활친화형신시장 제품을창출 - 전통자원의인체친화 유익성을기반으로섬유 패션, 건강기능식품, 의공학분야등에서생활밀접형신제품 (Livingware) 개발 - 고유천연물 ( 명유, 고령토, 해초류등 ) 활용고기능성 ( 내구성, 발수, 방충등 ) 친환경건축신소재 ( 도료 접착제, 3D 프린팅용소재등 ) 개발 - 우수전통소재 기법 ( 다층구조금속, 옹기다공성, 누빔기법등 ) 응용으로, 기존기술적한계를극복 ( 강도, 내구성등 ) 한첨단소재 부품개발 - 학습콘텐츠, 안무저작, 첨단공연, 증강현실놀이등전통문화기반융 복합콘텐츠기획 제작 유통기술개발 - 가상체험서비스, 전시 공예상품모델링, 조명시스템등가상현실 실감형오감체험제공차세대관광 전시시스템개발 - 방대한역사문화에대한스토리창작지원기술개발 전략 3. 전통문화산업 R&D 활성화기반구축 전통문화산 학 연기술협력네트워크와 R&D 지원인프라를구축하여, 개방형기술혁신과체계적 R&D 추진을위한기반을조성 - 산 학 연전문가로구성된 ( 가칭 ) 전통르네상스지원단 을신설 운영하여기술협력을촉진하는허브역할수행 - 전문인력 인프라 기술정보를제공하는포털시스템구축, 전통건축 한식 공예, 전통색등에대한표준화추진 - 산업계의기술애로해소와아이디어구현, 지식재산권확보, 문화 - 기술융합인재양성등 R&D 역량강화지원 - 첨단분석, 공정 품질관리등현장에서필요한산업계재교육, 전문교육기관 ( 전통문화대학등 ) 과연계한신규인력양성 07 Jeonbuk Institute

08 < 그림 -3> 전통문화산업기술협력네트워크구축방안 전략 4. 과학기술융합제품기술의대중화촉진 전통문화 첨단기술융합으로전통문화대중화 산업화에기여할수있는 전통기술프론티어 제품 기술을선정하고유통 마케팅지원 - 선정된우수제품 기술은 우수문화상품 ( 문체부, 문화산업진흥기본법 ) 등정부인증과의연계지원 - 공영홈쇼핑 정책매장, 인터넷, 대기업유통망, 전시 홍보등을통해중소 벤처우수제품의유통채널다양화지원 - 지하철, 과학관, 민속촌, 박물관등문화 생활공간에서전통기술체험확대와신제품체험 판매를위한리빙랩을구축등소비자의접근성강화 3. 시사점 지금까지정부의지역문화산업전략은콘텐츠산업분야를지역문화자원의특성에맞게분배하여지역마다하나이상의콘텐츠산업분야에집중할수있도록지원 콘텐츠리소스는지역이풍부하지만이를활용할기술, 인력, 자본이수도권이집중되어있으면서종사자와매출등수도권중심으로성과가집중 - 2013 년기준콘텐츠산업매출액은수도권이 87.9%, 지방 12.1%, 전북 0.6%, 콘텐츠산업종사자또한수도권 41 만명, 지방 14 만명, 전북 8 천명으로철저히수도권집중현상을보이고있음 < 그림 -4> 콘텐츠산업매출액및종사자현황 (2014) Issue Briefing 2016 vol.152

이야기, 문화유산, 민속예술등콘텐츠원천이되는문화자원을얼마나가지고있느냐보다이를가공하여재창조할수있는프로덕션을누가가지고있는가가콘텐츠산업의성과를좌우 < 그림 -5> 콘텐츠원천자원의이동경로 금번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은지역의기술, 지역의인력, 지역의자본이투자가능한범위에서새로운지역문화산업의모델을제시할수있는가능성을제시했다는점에서의미가있음 하지만,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에서제시하는한국전통문화라는콘텐츠원천도콘텐츠산업의리소스처럼혁신역량과자본및인력을가진기업중심으로추진한다면또다시수도권집중화는불보듯뻔한결과 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이지역문화산업으로서성공하기위해서는철저하게장소기반문화산업으로성장할수있도록육성필요 Ⅲ. 전라북도대응전략 1. 전라북도방향설정 : 장소기반문화산업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은전통적생산방식에첨단기술을접목하여전통적생산방식의애로기술해소와현대적라이프스타일을반영한문화상품을개발하여새로운쓰임새창출이주요방향 - 이를통한신시장개척과온리원상품과장인적정서가담긴문화상품의대량생산체계확립으로전통문화산업시장을확대하고자하는사업으로재정의할수있음 이를위해서는지역의장소성에기반하면서도시장확장성이가능한전통문화산업분야를발굴하되우선그지역에서생산과소비가확대될수있도록하고향후전국적, 전세계적시장으로확대하는 장소기반문화산업 으로육성하는것이바람직 < 그림 -6> 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의개념도 09 Jeonbuk Institute

장소기반콘텐츠 장소기반문화산업이란 장소에기반한인력, 장소에기반한기술, 장소에기반한자본이있는곳에서는그가치가배가되지만이를떠나서는그가치가떨어지는문화상품 이라고정의가능 - 한지의경우또한전주, 안동, 원주등전통적한지생산지역을떠난지역에서생산된상품에대해서는진정성과신뢰도가약함 문화제조업10 R&D 장소기반기술 장소기반인력 장소기반자본 전통적생산방식 +CT & IT Start-up 관광장치산업< 그림 -7> 장소기반문화산업육성전략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은철저하게지역의전통문화자원을기반으로하기때문에이를지역문화산업육성으로연계하기위해장소기반산업으로육성할필요가있음 지역문화산업으로의성공가능성을높이기위해서는문화원천자원의장소이동성을낮춰야하며, 장소기반기술, 장소기반인력, 장소기반자본이충분히활용될수있도록지역에기반한 R&D 와창업지원필요 - 장소기반산업은크게패션, 수공예품, 건축, 요리등문화적가치를가진물리적상품을생산하는문화제조업, 특정한장소에서만운용가능한디지털콘텐츠로서장소기반콘텐츠산업, 이용객들이직접찾아가서즐기고체험할수있는관광장치산업으로구분가능 2. 전라북도대응전략 1) 전북문화제조업 5 대분야육성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이 R&D 를통한전통문화산업고도화를목표로하기때문에특히전라북도는전통문화자원을기반으로다양한혁신적상품화가가능한문화제조업분야에집중필요 Issue Briefing 2016 vol.152

< 그림 -8> 전라북도문화제조업육성 5 대분야 전라북도의풍부한전통문화자원과다양한 R&D 성공사례를기반으로시장확장성이큰분야를중심으로전라북도가육성해야할문화제조업분야를선정하면한지산업, 목공예산업, 음식산업, 보석산업, 엔터테인먼트형 6 차산업등 5 대분야로압축가능 < 표-3> 전라북도문화제조업육성 5대분야 분야 사업내용 지역 한지산업 한지섬유 ( 한지사 ), 한지사진인화, 한지건축자재 전주, 익산, 완주, 임실, 남원 목공예산업 한옥, 목공예 ( 짜맞춤가구 ), 옻칠공예 전주, 남원, 고창 음식산업 테이크아웃상품, 소스산업화, 장류상품화 전주, 익산, 순창 보석산업 보석디자인, 보석 3D프린터 ( 소재 ), 장인적생산 익산 엔터테인먼트형 6차산업 스토리텔링, 테마파크, 장소기반디지털콘텐츠 완주, 임실, 고창 한지산업은한지섬유, 한지인화지, 한지건축자재개발분야로확장 - 익산시에소재한니트산업연구원 ( 현에코융합섬유연구원 ) 은 쌍영방적 과더불어 2006 년닥나무로만든한지섬유인덕섬유의원천소재인 한지사 를개발하였으나한지사의천연염색및전통한지의질감이있는한지사개발등다양한 R&D 가필요한상황 - 전주한옥마을에소재한한지사진인화업체 지숨 은 2013 년 3 년간의연구끝에화학처리없이전통한지에사진을인화하는독자적기술개발에성공 - 전주한지사업협동조합은새집증후군이없고아토피환자에유용한한지벽지, 한지바닥재등다양한한지건축자재개발중 11 Jeonbuk Institute

12 한지섬유 한지 사진인화 한지마루 목공예산업은 한옥, 짜맞춤 가구, 옻칠목공예 상품 등으로 확장 - 전북대학교 한옥건축기술종합센터는 2011년부터 국토부의 한옥설계 전문인력양성사업 을 통해 한옥인력을 양성 중 - 천년전주명품사업단은 2008년부터 전통 짜맞춤 기술의 연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3D시뮬레이션 구현, 짜맞춤기술 활용 가구디자인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으나 후속연구가 부족해 산업화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남원시 옻칠공예사업단은 2012년부터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정제색상옻칠을 개발하여 튜브화하고 옻칠도마, 옻칠조개식도, 자동차 옻칠실내장식 등을 개발 중 한옥 짜맞춤 가구 옻칠공예 음식산업은 테이크아웃식품개발, 소스산업화, 장류상품화 등으로 확장 - 전주생물소재연구원과 (사)비빔밥세계화사업단은 2012년 테이크아웃 비빔밥 15종을 개발하여 시장에서 판매중으로 지속적 연구개발과 마케팅이 필요한 상황 - 익산시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소스산업화센터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2017년 건립예정이며 장류를 비롯 전통 발효식품을 소재로 한국적 글로벌 소스제품 개발 예정 - 장류연구소가 있는 순창은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전통문화 프리미엄 창출 전략 선도프젝트인 청국장 발효균 프로바이오틱스사업의 최적지 테이크아웃 비빔밥 소스산업화센터 장류 상품화 보석산업은 디자인혁신, 3D프린팅, 장인적 생산 등으로 확장 - 70년대 보석도시로 불렸던 익산시는 산업부의 귀금속디자인기술지원센터 건립을 통해 5조원 주얼리 시장을 향한 익산 보석도시 르네상스 추진 중 Issue Briefing 2016 vol.152

- 익산시는호남권 3D 프린팅제조혁신지원센터를유치하여주얼리는물론기계, 디자인분야의 3D 프린팅기술기반산업육성계획중 - 익산시제 3 산업단지내주얼리집적산업센터에는아파트형소규모공장 37 실이있어장인적생산방식을유지하면서보석생산 보석디자인보석 3D 프린터장인적생산 6 차산업은농촌의자원을활용한엔터테인먼트콘텐츠개발로추진 - 영국 Horton Park Children s Farm 은 2012 년가족과어린이를위한어드벤처체험농장개장 - 고창군상하면에매일유업과고창군이공동으로상하지구농어촌테마공원조성 ( 상하농원 ) - 완주군물고기마을, 임실치즈테마파크등과같은 6 차산업화콘텐츠개발필요 고창군상하농원완주군물고기마을임실군치즈테마파크 2) 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을성공적으로추진하기위해서는전통문화와첨단기술이결합되어새로운전통문화상품을활발히제작하고있는지역을선정하여 첨단문화제조업벨트 로조성할필요가있음 첨단문화제조업벨트 는전통적생산방식이나기술혁신의유형을기반으로 공예산업형, 전통소재산업형, 라이프스타일산업형, 엔터테인먼트 6 차산업형 등으로구분가능 < 표 -4> 유형별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 분야사업내용지역 공예산업형목공예, 옻칠공예등공예품제작과정의공정혁신전주, 남원, 순창, 진안 전통소재산업형한지등전통소재활용신상품및 3D 프린터용소재개발전주, 익산, 남원 라이프스타일산업형지역고유의라이프스타일을산업에융합전주, 익산, 정읍 엔터테인먼트 6 차산업형스토리텔링을결합한장소기반콘텐츠창출완주, 임실, 고창 공예산업형은전주 ( 한지 ), 남원 ( 목공예 ), 순창 ( 자수 ), 진안 ( 옹기 ), 라이프스타일산업형은전주 ( 음식 ), 익산 ( 보석 ), 정읍 ( 죽력고 ), 전통소재산업형은전주 ( 한지 ), 익산 ( 보석 ), 남원 ( 옻칠 ), 엔터테인먼트 6 차산업형은완주 ( 물고기마을 ), 임실 ( 치즈 ), 고창 ( 상하농원 ) 으로설정 - 한지산업체가집적돼있고폐산업단지문화재생사업이추진되는전주시제 1 산업단지를전통문화제조업단지로조성하여전라북도첨단문화제조업벨트의허브기능부여 13 Jeonbuk Institute

14 < 그림 -9> 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 ( 안 ) 3) 국립전통문화기술원설립 정부는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 을위해지역지식센터와전통르네상스지원단을통해전통문화산업계의지식재산권확보와활용을지원할계획 - 전국에 30 개소가있는지역지식재산센터는특허정보서비스제공, 지식재산권종합민원상담, 지식재산권설명회, 발명유관기관과의협력을통한지역별특성화된사업지원등을수행중 산업부는기업과공공연구기관이보유한잠재적인시장가치가있는기술을사업화로연계되도록지원하는기존의온라인기술사업화종합정보망을확대 개편하여 2014 년부터기술은행을운영중 - 기업은자신들이보유한기술평가결과를토대로자원을지원받고기술은행은기술평가결과를공유 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은이미전통문화를토대로산업화를추진하고있는기업의기술애로해소와지식재산권확보를목표로하고있어전통문화산업의토대가되는전통적생산방식에대한자료수집과아카이브구축등이중요함에도배제되어있음 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을위해서는국가적차원의전통적생산방식을면밀히조사해기록하여향후활용할수있는아카이브센터가반드시필요 - 전통적생산방식은단순히전통적기술이나공정을기록하는문제가아닌과학적표준화공정을통해향후누구나활용가능하도록데이터베이스화가필요 구축된전통적생산방식데이터베이스를토대로새로운산업화가능성을지속적으로연구하고그성과를기업들과공유할수있는전통문화기술연구기능을국립전통문화기술원에부여 - 국립전통문화기술원의 R&D 부서에서창출한새로운기술및특허를민간기업이활용할경우전통문화기술사용료를징수하여미래전통문화기술사업화기금으로활용 전통문화기술원 < 그림 -10> 전통문화기술원의기능과역할 Issue Briefing 2016 vol.152

또한, 지역지식재산센터나기술은행과는별도로공공기관이나민간차원에서전통생산방식의혁신을통한새로운기술을개발할경우문화기술을담보로창업또는사업화자금을지원하는전통문화창조산업화기술신용은행이필요 - 전통문화산업화가가장활발한전라북도에국립전통문화기술은행을유치 4) 선도프로젝트적극대응 미래부는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의후속조치로전통문화기반신시장창출을위한선도프로젝트를선정하고금년 7 월부터추진할예정 선도프로젝트는전통제철기반고급칼, 청국장발효균프로바이오틱스, 3D 프린팅용전통천연소재개발등 3 대사업 < 표-5> 미래부선도사업전북대응전략 분야 대응전략 지역 전통제철기반고급칼 전통칼명산지인남원시의전통기술과첨단기술결합 남원시 청국장발효균프로바이오틱스 순창장류연구소를통한발효균연구대응 순창군 3D프린팅용전통천연소재개발 한지, 보석, 옻칠관련신소재개발 전주, 익산, 남원 칠지도, 환두대도등최고수준의기술력을선보이며일본에전수했던전통제철기술에현대제련 압연공정, 합금기술을접목하여고강도 고인성다층구조금속소재와명품칼을생산하고 10 조원이넘는중국주방용칼시장등세계시장에진출 - 남원전통칼은 1922 년일제강점기때 조선부업공진대회 에남원한영진선생이남원칼로금상을받으면서부터전국적명성을얻기시작 - 남원전통공예품을판매하는상가에서현재가장많이팔리는상품은남원칼이며, 전통적생산방식을고수하는식도제작업체가 7 개나있을정도로남원시는전국을대표하는명품칼생산을위한선도프로젝트의최적지 2 조원시장을형성중인세계적건강기능식품인일본의 낫또 와비교해서장건강측면에서우수한청국장발효균 ( 고초균 ) 에첨단바이오기술을접목하여기존동물성요쿠르트를대체하는식물성프로바이오틱스신제품개발 - 순창장류연구소는장류에해로운미생물을억제하는발효미생물균주 (SCK121057) 확보및집집마다다른균주연구등의연구성과와순창고추장영농조합법인의우리밀청국장쿠키를개발하여농식품부로부터우리농산물웰빙간식 5 선에선정되는등순창은장에대한 R&D 와산업화가활발히추진되고있는지역 - 순창군은청국장발효균프로바이오틱스신제품개발에적극대응필요 전통한옥소재 ( 고령토, 소나무등 ) 와옻접착제를기반으로기존 3D 프린팅소재의한계 ( 인체유해성, 낮은내구성등 ) 를극복한 3D 프린팅용기능성천연소재와중 대형프린팅공정을개발하여, 자유형상의미래맞춤형친환경건축물구현 - 전통한지의고장이자 K-ICT 3D 프린팅전주센터가있는전주시는향후 3D 프린팅용한지상품개발을위한한지소재개발의최적지 - 보석의도시익산시는호남권 3D 프린팅제조혁신지원센터와연계하여보석 3D 프린팅용소재개발에적극대응필요 - 향균, 방습, 방충등의효능과고강도, 고내열성, 절연성, 방수성등높은내구성을가진남원옻칠은타산업과융합을통한첨단제품생산을시도하여알레르기유발저감음료및화장품개발, 옻칠건축자재등다양한상품을위한옻칠의과학화시범지역으로타당 15 Jeonbuk Institute

Ⅳ. 제언 전통문화산업시장이 25 조에달하지만아직까지전통문화산업을육성하기위한종합적대책은마련되어있지않는상황에서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은전통문화자원이풍부한전라북도에게는기회 16 전라북도가가장경쟁력있는자원을토대로가장잘할수있는분야에집중해 R&D 성과를바탕으로지역발전전략을마련하는내발적발전전략을추진하고있으며전통문화는삼락농정, 탄소산업과더불어내발적발전의한축을담당하고있음 전라북도는최근발표된 (2016. 6. 28) 지역문화지수에서전주시가가장높게나타났고지역문화지수종합순위시 군 구별상위 10 개지역에익산시, 무주군, 완주군, 순창군등이포함되어있어명실공히문화수도로서명성이입증됨 이러한풍부한문화자원을바탕으로전라북도는한국전통문화전당, 국립무형유산원, 익산에코융합섬유연구원, 한지산업진흥원등의분야별 R&D 및사업화기관과 K-ICT 3D 프린팅전주센터, 익산호남권 3D 프린팅제조혁신지원센터, 시제품제작소등첨단기술지원기관이풍부해 과학기술을통한한국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전략 의최적지 전통문화프리미엄창출을위해전북문화제조업 5 대분야육성, 국립전통문화기술원설립, 전북첨단문화제조업벨트조성등의기반시설의필요성을적극적으로설득하여유치하고, 올해 7 월부터추진될정부시범프로젝트를선도적으로준비할필요가있음 장기적으로이번사업을계기로전라북도를전통문화와첨단기술융합산업의대한민국중심지로육성하고, 지역문화산업의패러다임을콘텐츠중심에서전통문화산업중심으로전환하는계기마련 Issue Briefing 2016 vol.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