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학년반번 1 < 보기 > 를참고했을때, 동화의종류가다른하나는? 자음동화는자음과자음이만나서로영향을주고받아한쪽이나양쪽모두비슷한소리로바뀌는 2 ᄀ ~ ᄆ의중의성을해소하기위한방안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ᄀ귀여운철수의여동생을만났다. 현상이다. 동화의방향에따라 심리 [ 심니 ], 신라 ᄂ그는지금넥타이를매고있다. [ 실라 ] 처럼앞이나뒤어느하나의자음만변하는 ᄃ어머니의그림은언제나인기가많다. 경우가있고, 백로 [ 뱅노 ] 처럼앞뒤자음이모두변 ᄅ그공원에학생들이다오지않았다. 화하는경우가있다. ᄆ철수는나보다컴퓨터게임을더좋아한다. 1 오늘도종로거리는사람들로꽉차있다. 2 자연의섭리를거부하지말고따라야한다. 3 국물이얼큰하니식욕을매우자극하는구나. 4 저칼날은제법예리하니모두조심해야한다. 5 앞날이창창한젊은이들은항상마음가짐을바르게해야한다. 1 ᄀ은수식관계를명확히하기위해 귀여운 다음에쉼표 (,) 를넣는다. 2 ᄂ은진행상인지완료상인지를명확히드러내기위해 그는 다음에쉼표 (,) 를넣는다. 3 ᄃ은관형어인 어머니의 를 어머니께서그린 으로바꾼다. 4 ᄅ은부정의범위를명확히하기위해 다 를 아무 도 로바꾼다. 5 ᄆ은비교대상을정확하게제시하기위해 나보다 를 나를더좋아하는것보다 로교체한다. - 1 -
수능에문법더하기 3 < 보기 > 의자료를바탕으로 부사어 에대해서탐구해보았다.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3점] 4 < 보기 > 는 받다 의의미학습을위해활용한사전의일부분이다. 탐구결과로적절하지않은것은? ᄀ제발비가그쳤으면좋겠다. 받다01 ( 받아, 받으니 ) ᄂ뜰에핀꽃이여간탐스럽지않다. 동사 ᄃ그남자는너를정말오래사랑했다. 1 다른사람이주거나보내오는물건따위를가지 ᄅ남은사진이라고는겨우서너장뿐이었다. 다. ᄆ할아버지는내친구를손자처럼여기셨다. 2 다른사람이바치거나내는돈이나물건을책 1 ᄀ과ᄅ을볼때, 부사어가문장에서용언만수식하 임아래맡아두다. 는것은아니군. 2 ᄂ과ᄆ을볼때, 부사어는특별한말과호응관계를이루는군. 3 ᄃ을볼때, 부사어는여러번겹쳐사용할수있군. 4 ᄃ과ᄅ을볼때, 부사어는수식하는부분을강조하는경우가있군. 5 ᄆ을볼때어떤서술어는필수적으로부사어를필 받다02 ( 받아, 받으니 ) 동사 을 1 머리나뿔따위로세차게부딪치다. 2 ( 속되게 ) 부당한일을한다고생각되는사람에게맞서서대들다. 요로하는경우가있군. 1 받다 01 과받다 02 는모두목적어를필요로하는군. 2 받다 01 과받다 02 는별개의표제어로기술된것을 보니동음이의어관계이군. 3 받다 01 1 과 2 는모두 에서 / 에게서 나 으 로부터 와쓰이게되는군. 4 받다 02 의 1 은속담 받는소는소리치지않는다 의 받는 과의미가유사하군. 5 받다 02 의 2 는 차가다리난간을받고부서졌다 를 그용례로제시할수있군. - 2 -
제 5 12 수능에 문법 더하기 6 (가)를 바탕으로 (나)의 학습지를 만들었다고 할 때 ~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를 바탕으로 중세 국어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 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보기 나 랏 말 미 中듕國 귁 에 달 아 文문字 (가) 處 容 歌 [해독] 처용가 이런 젼 로 東京 夜入伊遊行如可 밤 드리 노니다가 도 내 제 들 시 러 펴 디 몯 入良沙寢矣見昆 드러 미 하 니 라 내 이 脚烏伊四是良羅 가로리 네히러라 너 겨 새 로 스 믈여 듧 字 二肹隱吾下於叱古 두 른 내해엇고 사 마 다 수 二肹隱誰支下焉古 두 른 누기핸고 便뻔安한 킈 고 져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아 자 라라 디 아 니 東京明期月良 本矣吾下是如馬於隱 본 기 와 로 서르 어 린 百 姓 셩 이 니르 고 져 배 이 셔 보곤 내해다마 - 김완진,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펼 수 없는 사람 이 많다. 그래서 내가 이를 딱하게 여기고 새로 스 서 자리 보니 다리가 넷이러라. 물여덟 글자를 만들었는데,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둘은 내 것인데 둘은 뉘 것인고. 본래 내 것 쉽게 익혀 나날이 쓰기에 편토록 하고자 할 따름인 이건만 빼앗거늘 어찌할꼬. 것이다. (나) 한자의 뜻과 소리 중 활용한 부분을 O로 표시 ① 두음 법칙이 현대와 다르군. 하기 ① 미니 라 로 통하지 않으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은 이르고자 동경 밝은 달에 밤들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소리 니 겨 날 로 메 우리나라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는 서 현대어 풀이 뜻 노 니 <현대어 풀이> 처용랑 망해사 에서 향가 해독법 연구 에서 표기 爲 윙 야 어엿 비 - 훈민정음 (언해본)에서, 세조 5년(1459) 엇디 릿고 - 삼국유사 권 2 노 ② 구개음화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군. 明 期 月 기약할 달 밝을 명 기 ② 월 ③ 夜 入 伊 밤 들 저 야 ③ 의미가 현대와 다른 어휘가 쓰이고 있군. ④ 고유어와 한자어의 방점 표기 방식이 다르군. ⑤ 주어가 1인칭일 때 선어말 어미 -오- 가 쓰이고 있 입 이 ④ 군. ⑤ -3-
정답과해설 정답 3 부사어에대한이해 [ 답 ] 2 1 2 2 2 3 2 4 5 5 4 6 4 ᄂ의 여간 처럼부정어와반드시호응관계를갖는부사어 1 자음동화의이해하기 [ 답 ] 2 섭리 의경우 [ 섬니 ] 로발음된다는점에서앞뒤자음이모두서로영향을주고받아변화하는상호동화에해당된다. 1 종로 는 [ 종노 ] 로발음된다. 3 국물 은 [ 궁물 ] 로발음된다. 4 칼날 은 [ 칼랄 ] 로발음된다. 5 앞날 은 [ 암날 ] 로발음된다. 2 중의성해소방안 [ 답 ] 2 ᄂ의 그는지금넥타이를매고있다. 는그가현재넥타이를매고있는진행상인지, 완전히완료하고맨상태를유지하고있는지명확하지않은동작상의시제문제에의한중의성을가진문장으로, 구체적인수식어를통해서만중의성을해소할수있다. 예를들어, 넥타이를매고있는동작을하고있는상태를드러내려면 그는지금넥타이를매듭지어목에매고있는상황이다. 로보다구체적으로진술해야한다. 1 귀여운철수의여동생을만났다. 는수식어와피수식어의관계가명확하지않은중의문이다. 그러므로쉼표를넣으면 귀여운 이수식하는것은 여동생 이라는점에서중의성이해소된다. 3 어머니의그림은언제나인기가많다. 는관형어 어머니의 가다의적으로해석되기때문에생긴중의문이다. 어머니가그린, 혹은 어머니가소장하신, 어머니를소재로한 그림이라는것을구체적으로수식하면중의성이해소된다. 4 그공원에학생들이다오지않았다. 는 다 가부정하는범위가 일부 인지 전체 인지가모호해서생긴중의문이다. 그러므로부정하는범위를명확하게해주면중의성이해소된다. 도있지만ᄆ의 손자처럼 은체언에조사가붙어 부사어 의구실을하는경우로특별한말과호응관계를갖지않는다. 1 ᄀ의부사어 제발 은문장전체를수식하고있고, ᄅ의 겨우 는관형어 서너 를수식하고있다는점에서반드시부사어가용언을수식하는것은아니라는것을알수있다. 3 ᄃ의 정말, 오래 는겹쳐사용되고있다는점에서적절하다. 4 ᄃ의 정말 은 사랑했다 를강조하고, ᄅ은겨우는 서너장 을강조하고있다. 5 ᄆ의 손자처럼 은서술어 여기셨다 에서필수적으로필요한문장성분이라는점에서생략해서는안된다. 4 단어의쓰임에대한이해 [ 답 ] 5 5에서받다02 ᄂ은 머리나뿔따위로세차게부딪치다. 로서ᄀ에용례에해당한다. 현재 5의ᄂ은 고참이하도괴롭히기에기를봐서그를한번받았더니그뒤부터는대우가달라지더라. 정도의용례를제시할수있다. < 단어의의미 ( 意味 )> 우리가사용하는언어는말소리와의미로이루어져있다. 말소리는언어의형식이되고, 의미는언어의내용이된다. 단어의 의미 가무엇인가에대해서는의미를 지시물 혹은 지시관계 라고보는지시설 ( 指示說 ), 의미삼각형 으로의미를정의하고의미를개념이라고보는개념설 ( 槪念說 ), 의미를행동의한양상으로파악하여화자가언어를말하는상황인 자극 과그언어형식이청자에게불러일으키는 반응 으로규정하는자극-반응설 ( 刺戟 - 反應說 ), 낱말이나문장자체가가지고있는개념적의미는인정하지않고구체적인맥락에서사용될때나타나는맥락적의미가모인것을의미라고생각하는용법설 ( 用法說 ) 등여러가지이론이있다. - 1 -
정답과해설 5 고대의국어생활에대한이해 [ 답 ] 4 처용가 의원문에서 入伊 를해독본에서는 드리 ( 들이 ) 라했으므로 入 의뜻 들 을활용한것으로볼수있다. 1, 2 원문에서 明期 를해독본에서는 기 라했으므로 明 은뜻 밝을 을, 期 는소리 기 를활용한것으로볼수있다. 3 원문에서 月良 을해독본에서는 라라 라했으므로 月 의뜻 달 을활용한것으로볼수있다. 5 원문에서 入伊 를해독본에서는 드리 ( 들이 ) 라했으므로 伊 의소리 이 를활용한것으로볼수있다. < 차자법 ( 借字法 ) 의발달 > 한글이창제되기전, 우리조상들은한자를빌려우리말을표기하였다. 그러나말과글이일치하지않아국어생활이불편하므로원활한소통이어려웠다. 차자법의구체적인방법은다음과같다. 한문수용 : 한문을그대로수용하는방법으로역사서, 개인문집등에쓰였으며조선시대말까지지속적으로사용된방법이다. 고유명사의표기 : 인명 ( 人名 ), 지명 ( 地名 ), 관명 ( 官名 ) 등의고유명사를표기하기위하여한자의뜻 訓 과소리 音 를이용하는방법이사용되었다. 서기체 ( 誓記體 ) 표기 : 한문을국어어순에맞게변형하여사용하는방식으로신라의 임신서기석 ( 壬申誓記石 ) 에쓰인글이대표적인예이다. 향찰 ( 鄕札 ), 이두 ( 吏讀 ), 구결 ( 口訣 ) 표기 : 신라에서고려중기까지향가에사용된향찰, 공문서나개인문서에사용되어조선말까지이어진이두, 경서 ( 經書 ) 의한문중간중간에토를달아읽도록만들어진구결방식이있다. 6 중세의국어생활에대한이해 [ 답 ] 4 고유어와한자어모두방점을사용하여음절의높낮이를나타내는성조를표시하고있으나, 고유어와한자어에쓰인방점의표기방식이다르지않다. 1 니르 고 져 가어두의 ㄴ 이탈락되어현대어풀이에서 이르고자 로나타난것에서짐작할수있다. 2 현대어풀이에서 펴지 가구개음화이전표기인 펴 디 로쓰인것을통해짐작할수있다. 3 어 린 은현대어풀이에서 어리석은 으로, : 어엿 비 는 딱하게 로풀이된것을통해알수있다. 5 노 니 의주어가 내 곧 1인칭이고, 노 니 에서선어말어미 -오- 가쓰이고있음을통해짐작할수있다. < 중세국어의특징 - 문법 > 주격조사는 이 하나만쓰였고 가 는근대국어에본격적으로나타난다. 체언이조사와결합할때형태가바뀌는경우가있었다 ( 나모 + 이 남기 ). 단어가단독으로쓰일때는ㅎ이없이쓰이다가모음으로시작하는조사가결합하면ㅎ이나타나는ㅎ종성체언이있었다. 예 ) 돌 + 이 돌히, 돌 + 을 돌흘 주어가 1인칭일때에선어말어미 -오- 가나타난다. 예 ) 내 스믈여듧노니 높임법에는현대국어처럼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 상대높임법이있었다. 주체높임법은주어를높일때선어말어미 -시- 나 -샤- 가쓰인다 ( 미드시니, 미드샷다 ). 객체높임법은목적어, 부사어자리에존귀한사람이나내용이올때이를높이는선어말어미 - / / - 이쓰였다 ( 敎化닙고, 世 尊ㅅ말듣고, 어마긔오더니 ). 상대높임법은상대자에 따라종결법이변화하는것으로중세에는라체, 야쎠체, 쇼셔체, 반말체가쓰였다.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