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ECB8AEC3E3BFACB1B83132C1FD28B9E8C0CEB1B3BCB1BBFDB4D4292E687770>

Similar documents
던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의유형을검토하였다. 그결과 1960년대까지사용된민요식노래의장단은일제강점기의신민요장단리듬형에서서구식의리듬형이제외된 3소박4박자형태의장단인굿거리와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을많이사용하였으나주체사상확립이후인 1970년대이후에는이러한전통장단이퇴조하면서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광주시향 최종22

120~151역사지도서3

<B0ED29C0BDBEC75FB1B3BBE7BFEB20B1B3B0FABCAD2E706466>


041~084 ¹®È�Çö»óÀбâ

272 國 樂 P폈융 文 集 第 1 1 輯 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군악대나 찬송가는 본질적으로 지역적 계층적 종교적으 로 한계가 분명한 음악 내지 음악문화인 것이다. 중요힌 것은 일제의 음악교육이다. 그들에 의해서 이식된 창가 가 한국음악에 어떤 영향을 미

5 291

- 2 -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

<BFACBCBCC0C7BBE7C7D E687770>

제 주 ) 강의주제 : 소프트웨어악기론 ) 강의목표 : 실제악기와소프트웨어악기의유사점및차이점을이해하고, DAW 내에서구동방법을이해할수있다. ) 강의세부내용 : - 실제악기와소프트웨어악기의유사점에대하여학습한다. - 실제악기와소프트웨어악기의장 / 단점을비교 / 분석한다.

삼도앉은반설장구가락보 Samdo AnJeunBan(Sitting) Seoljanggu Arranged by: Kent Hong Last Revised Apr Key = 채편 (ChaePyeon)

#7단원 1(252~269)교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untitled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141018_m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C8ADC0BDB1B8BCBA20B1E2BABBBFF8B8AE2E687770>


< 2018학년도 03월06일 ~06월16일 ( 수업기간 ) > 1. 강의개요학습고급화성학학점 3 교강사명강성우과목명강의시간 4 강의실 504호, 505호수강실용음악대상전공 2. 교과목학습목표 표 학습과정의수업계획서 교강사 전화번호 -

152*220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³À°È°µ¿Áö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02report hwp

선택학점으로인정한다. 2 기악전공의타전공인정과목은 별표 2 타전공인정과목표 와같다. 제 4 장 졸업이수요건 제 7 조 ( 졸업이수학점 ) 1 기악과의최저졸업이수학점은 130 학점이다. 제 8 조 ( 전공이수학점 ) 1 기악전공학생으로서단일전공자는전공교양 6 학점, 전공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RVC Robot Vaccum Cleaner


untitled

03±èÀçÈÖ¾ÈÁ¤ÅÂ

untitled

%±¹¹®AR

#Ȳ¿ë¼®

민속지_이건욱T 최종

2ÀåÀÛ¾÷

Quartet X < > < 2.0>, <B9>, < >, < >, < >. 300.,, (< >), (KBS < >, < >, < >, MBC < >, < >, <TV >, <, >, EBS <TV >). < >(2005 ) 2 < >(2007 ), (20

* pb61۲õðÀÚÀ̳ʸ

º´¹«Ã»Ã¥-»ç³ªÀÌ·Î

03-교통이야기

(연합뉴스) 마이더스

82-대한신경학020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197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2C1FD2DBABBB9AE E687770>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01정책백서목차(1~18)

_¸ñÂ÷(02¿ù)

= " (2014), `` ,'' .." " (2011), `` ,'' (.)"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 2 -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2

..1,2,3,

2017 년예술교과연구회운영보고서 ( 요약 ) 전북중등음악교과연구회

OCW_C언어 기초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¼øâÁö¿ª°úÇÐÀÚ¿ø

thesis_031.indd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¹é¹üȸº¸ 24È£ Ãâ·Â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글청봉3기 PDF용

09김정식.PDF

~

BO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도박중동예방프로그램개발.hwp

(130620)_Q&A(3차)_(최종).hwp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13장문현(541~556)ok

<BABBB9AE2E687770>

한국음악학과 Department of Korean Music 1. 학과소개 (1) 학과사무실가. 위치 : 302관 414호통합학과사무실나. 연락처 : 다. 가. 대학및학술분야에서전문적인한국음악연구를수

2. 학과내규 (1) 선수과목 학점 시간 교과목명 1 2 성악실습 1,2,3,4 중택1 1 2 타악실습 1,2,3,4 중택1 2 2 음악통론 2 2 전통음악개론 2 2 한국음악사 1 2 연희실습 1,2,3,4 중택1 2 2 세계음악사 2 2 전공시창 선수과목에관한자세한

한국음악학과 Department of Korean Music 1. 학과소개 (1) 학과사무실가. 위치 : 경기도안성시대덕면내리 72-1 국악대학 2층행정실나. 전화 : 031) (2) 학과소개본학과는한국음악학에대한폭넓은지식의습득과심도있는이해연구를통하여한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전도정책자료집-1

Transcription: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 1)2) 배인교 ** 차 례 1. 들어가며 2. 조선민족음악전집 에소개된민요식노래의장단 1) 2소박계통의장단과민요식노래 2) 3소박계통의장단과민요식노래 3) 혼소박장단과민요식노래 4) 새롭게만들어진장단과민요식노래 3. 북한민요식노래의장단리듬형과의미 4. 나가며 1. 들어가며 북한에서연행되고있는음악의형태를살펴보면, 그표현수단과방식에따라가요로통칭되는성악과기악으로구분하고있으며, 음악적인표현수단과방식의다양한탐구리용에따라가요음악은다시서정가요와서사가요, 행진곡과률무가요로구분 1) 된다. 한편, 해방후조선음 * 이논문은 2008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KRF-2008-411-J03302) ** 단국대학교한국문화기술연구소연구교수 / bigmuse@hanmail.net 1) 안희열 (1996), 주체적문예리론연구 22- 문학예술의종류와형태, 평양 : 문학예술종합출판사, pp.273-274.

악 2) 에서는가요항목의하위범주로송가, 서정가요, 행진곡, 민요식의노래를설정하고, 각시대별로해당범주에서새롭게부각된작품들을설명하고있다. 이중에서 민요식의노래 는저서에따라 민요풍의가요 3) 등으로불리고있으며, 일제강점기의신민요와밀접한연관을맺고있다. 민요식노래 4) 란 민요의선률적특징을충분히살려종류와양상에서민요적성격을띠고있는오늘의가요를말한다. 민요풍의가요는민요의조식적바탕에기초한음조로되어있으며, 민족장단이뚜렷하고부드럽고우아한정서적색채를띠고있는것이특징 5) 적으로드러나는음악형태이다. 현재북한의민요식노래에대해서는이소영에의해연구가진행된바있다. 이소영은일제강점기신민요의혼종성에관한그의학위논문의연장선상에서최근일제강점기의신민요가해방이후북한에서어떻게자리매김되고있는지를살펴 6) 보았다. 그는이글에서일제강점기신민요의대체품으로북한에서민요식노래가등장하였으며, 양악작곡가에의해작곡되었기때문에민요적인어법을차용하면서도전통적인민요어법을고수하지않았음을확인하였다. 그는특히서양의화성을사용하고있는점에주목하였는데, 북한의민요식노래에서는서양의 3화음체계를그대로받아들이지않고, 전통적선법을수직적으로쌓은 4도 +2도화음을사용하는등민족적화성에대한고민을하고있음을밝혀내었다. 이를보면, 북한의 민요식노래 가되기위해서는선율적으로는전통적음악어법에기초하며, 민족장단을사용하고, 반주는배합관현악으로 2) 리히림 함덕윤 안종우 장흠일 리차윤 김득청 (1979), 해방후조선음악, 평양 : 문예출판사. 3) 남영일 (1991), 민족음악의계승발전, 평양 : 문예출판사, p.77. 4) 본논문에서는이후 민요식노래 로명칭을한정하여사용하도록하겠다. 5) 남영일 (1991), 전게서, p.77. 6) 이소영 (2009), 북한의창작민요 - 민요식노래, 단국대학교부설한국문화기술연구소제 14 회전국학술대회 - 남북한문화예술의문제적작가와작품자료집, 천안 : 단국대학교부설한국문화기술연구소, pp.97-134.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3 하되민족화성에대한고민이보이며, 가창은민성창법으로하는노래임을알수있다. 기존의남한학계의연구에서민요식노래의주요구성요인중민족장단에대한논의는부족하다. 이소영은민요식노래의장단은기존장단을사용하면서도이를기초로변형시킨새로운리듬꼴을추가시켜새로운리듬적형상을추구하였다고만언급할뿐이며, 실제민요식노래에적용된장단에대해서는자세히고찰하지못하였다. 그런데 조선장단연구 7) 를보면, 1970년대이후사용된민족장단은우선느리고긴리듬형을가진장단을거의사용하지않고많이사용하는장단도장단의원각형태보다주로반각형태를많이적용하고있으며, 이전시기에볼수없었던새로운형태의장단들이만들어져활용되었고, 서로다른두개장단을섞어서한개의장단으로이용하는섞음장단형태와교체장단형태등이적용되기도하였다는것이다. 이에실제음악에서 1970년대이전에민요식노래에서사용된장단형과 1970년대이후의노래에서사용된장단형을살펴봄으로써전후의차이를알아보고, 이러한변화가있게된원인에대해살펴볼필요가있다. 따라서본논문에서는북한의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의유형을검토해봄으로써, 전통장단과달리새롭게만들어진장단이무엇이며, 어떻게노래에적용되었는지살펴보도록하겠다. 더불어새로운장단형이갖는의미는무엇인지추론해보도록하겠다. 그러나 1945년부터현재까지창작된모든민요식노래를검토하기에는무리가있다. 따라서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8) 에수록된 479곡의악보중장단명을부기한곡들을주대상으로살펴보도록할것이다. 그리고논문에인용된북한의원전은모두북한출판물에사용된원문을그대로옮겨놓았으므로남한의맞춤법에는맞지않을수있으니양해를요한다. 더불어 7) 한영애 (1989), 조선장단연구, 평양 : 예술교육출판사, pp.137-145. 8) 예술교육출판사편 (2000), 조선민족음악전집 - 민요풍의노래편 1, 평양 : 예술교육출판사.

장단의분석에사용된용어들은이보형의장단이론을따랐음을밝힌다. 2. 조선민족음악전집 에소개된민요식노래의장단 전기한바와같이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된민요식노래는 1945년부터 1994년까지모두 479곡에달하며, 약 50여년에걸쳐북한에서작곡되고불렸던곡들로보기에도많은숫자임에는의심의여지가없다. 이노래들을북한의시기구분에의해시기별로나눠보면, 1945년부터 1950년 6월사이에는 < 꿍니리 > < 산업건국의노래 > < 씨뿌리는노래 > 등을 8곡을소개해놓았으며, 한국전쟁시기에해당하는 1950년부터 1953년사이에는 < 압록강2천리 > < 얼룩소야어서가자 > 등 18곡이보인다. 그리고 1954년부터 1960년까지수록된곡은 82 곡이며, 이시기의민요식노래로는 < 동해초병의노래 > < 분배받는날 > < 열두 3천리에풍년이오네 > 등이있다. 1961년부터 1970년사이에는 198곡이소개되어있으며, 민요식노래의황금기라할정도로급격한증가세를보인다. 이후 1971년부터 1994년까지수록된민요식노래의수는모두 174곡으로 1970년대이후부터는그수가감소하고있음을볼수있다. 한편, 조선민족음악전집 에수록되어있는많은민요식노래들중에서장단명이부기된곡은약 1/5 에해당하는 95곡이며, 나머지는박자표와함께악상표시를해놓고있는데, 후자의경우는다른저서와박자표에의해장단명을알수있는곡과장단명을확인할수없는곡으로나뉜다. 먼저장단명이부기된경우를보면, < 파종도전선일세 ( 라화일작곡, 1953)> 은 6/8박자, 흥겹게, 반굿거리장단 으로적어놓았고, 1959년에작곡된 < 바다의랑만 > 은 2/4 박자, 안땅장단, 흥취나게 로기록하였다.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5 그리고 < 세금없는우리나라 ( 김제선작곡, 1974)> 와같이 12/8 박자, 덩덕궁장단 만적어놓고악상표시를하지않은경우도있다. 다음으로 조선민족음악전집 에는장단명을적어놓지않았으나다른저서에서장단명을확인할수있는경우를살펴보면, 4/4 박자, 보통속도로명랑하게 연주하라는 < 버섯따는처녀 ( 김영도작곡, 1968)> 는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성 9) 에서빠른안땅장단의곡으로명시하고있어, 서양식의리듬체계와는다른형임을알수있다. 그리고악보에기록된박자표에의해서장단명을유추할수있는곡도있는데, 대체로장단의구성체계가특이한곡들이그러하다. 예를들어 9/8 박자로표기된곡은양산도장단이며, 5/8 박자의곡은엇모리장단, 그리고 18/8 박자로기록한곡은도도리장단의곡이다. 이제 조선민족음악전집 에수록된민요식노래중장단명을알수있는곡들을대상으로사용된장단에는어떤것들이있는지알아보도록하겠다. 1) 2 소박계통의장단과민요식노래 우리나라장단중에서 2박계통의장단으로는휘모리장단이있으며, 북한에서는안땅장단을만들어사용하고있다. 휘모리장단은둘째박자에서채편의 16분음표에강세를두어연주하며, 기백있고약동적인성격을갖는데속도가빠르다. 이에비해안땅장단은 1960년대부터쓰이기시작하였으며, 최근까지많이사용하는장단형이다. 2소박 4박자인안땅장단이휘모리장단보다느리며출렁거리는맛이있다. 먼저휘모리장단은 2/4 박자한소절을단위로하나노래의느낌에따라 2/2 박자두소절단위나 4/4 박자한소절을단위로기보하기도한 9) 함덕일 (1994),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성, 평양 : 문학예술종합출판사, p. 177.

다. 휘모리장단은바람이휘몰아오듯이빠르고약동적이며기백있는것이특징이며, 1970년대이후휘모리장단에기초한가요선율이새롭고다양하게탐구리용되었다 10) 고평가하고있다. 함덕일 (1994),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징,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74쪽 < 장단악보 1> 휘모리장단 2/2 박자에기초한가요로는 < 만풍년의우리조국온세상에자랑하세 ( 엄하진작곡, 1977)> 이있으며, 4/4 박자의곡으로는 < 명태실이 ( 유정철작곡, 1954)> 와 < 만경대찾아가네 ( 엄하진작곡, 1977)> 등을들수있다. 다음으로안땅장단을살펴보면, 한소절이 4/4 박자로이루어져있으며, 널리대중화된장단으로노래, 기악곡, 무용음악에서가장많이사용되고있는장단이라고한다. 안땅장단은 민족음악장단기본 에서는장단명칭만언급되었을뿐그실효성에대해서는설명하지않았던장단이다. 뿐만아니라안기옥은세간에서옹헤야장단을안땅장단이라고부르는것은옳지않다고주장하였다. 그러나이후안기옥이안땅장단과다르다고제시한옹헤야장단이안땅장단으로바뀌어사용되고있음을볼수있다. 함덕일이제시한안땅장단의설명은이전시기의설명들을종합하고있다. 안당장단의이름이라고부를수도있는 < 안땅 > 이라는말은원래 < 안땅 >( 집안, 방안 ) 이라는실내적성격을띤무곡가요에안받침되였던장단에붙여졌던이름이다. 안땅장단을일명 < 옹헤야장단 > 이라고부르는것은민요 < 옹헤야 > 10) 함덕일 (1994), 전게서, p.173.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7 ( 보리타작 ) 가안땅장단에기초하고있으며, 민요 < 옹헤야 > 가널리불리워진유명한명곡인것과관련되여불리워진이름이다. 11) 위의인용문을보면, 안땅장단의명칭내력을설명하고, 안기옥이옹헤야장단을안땅장단이라고부르는것은맞지않다고했음에도불구하고최영남은옹헤야장단이라는명칭을빼고안땅장단을제시하였으며, 함덕일에와서는옹헤야장단과안땅장단은동일하다고명시하고있다. 최영남 (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1), 조선예술 1977년 5월호, 58쪽 < 장단악보 2> 안땅장단 위에제시된 < 장단악보 2> 에서보듯이이렇게변화된북한의안땅장단리듬형은남한의동살풀이장단에부합함을알수있다. 안땅장단으로반주되는노래로는 < 바다의랑만 ( 리차윤작곡, 1959)>, < 벌목부의노래 ( 강수산작곡, 1961)>, 그리고 < 우리장단이좋아 ( 박정식작곡, 1994)> 등이있다. 2) 3 소박계통의장단과민요식노래 먼저민요식노래에가장많이사용된장단은굿거리장단이다. 굿거리장단에관한북한의설명은다음과같다. 12/8 박자를한소절단위로하거나 6/8 박자를두소절단위로하여이루어지는 3박계통의장단이며, 12/8박자, 6/8( 2) 박자, 3/4( 4) 박자로표기하기도한다. 속도는좀느 11) 함덕일 (1994), 전게서, p.176.

린편이나정서는흥겹고우아하며멋들어진것이특징이며, 둘째박과넷째박에서떨채 12) 를쓰는점역시특징적이다. 그리고굿거리장단은연주속도에따라늦은굿거리장단과잦은굿거리장단으로나뉘며, 연주형태에따라굿거리장단과반굿거리장단으로나뉜다 13). 최영남,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한영애 (1989), 조선장단연구, 138쪽 조선예술 1977년 6월호, 57쪽 < 장단악보 3> 굿거리장단과반굿거리장단 그런데, 1960년대까지는굿거리장단이압도적으로많았으나, 1970년대부터많이사용된굿거리장단은반굿거리장단이라고한다. 함덕일에의하면, 반굿거리장단은 6/8 박자를단위로하여굿거리장단의 1/2 을한장단으로구성하고있으며, 굿거리장단보다더흥겹고경쾌하며률동적인성격이강한것이특징이라고하였다. 즉, 굿거리한장단이원각이라고한다면, 한장단을반으로나누어앞부분만을차용한것으로굿거리장단의반각에해당한다. 함덕일은굿거리장단의대표곡으로는 < 오직한마음 (1968)> 을, 그리고반굿거리장단의곡으로는 < 경치도좋지만살기도좋네 (1969)> 를꼽고있다. 12) 떨채는채편의힘을뺀상태에서굴리는주법으로남한과북한이동일하다. 13) 함덕일 (1994), 전게서, pp.182-183.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9 조선민족음악전집, 288 쪽 조선민족음악전집, 324 쪽

그런데최영남은 < 경치도좋지만살기도좋네 > 를반굿거리가아닌 막굿거리 로보고있어특이하다. 굿거리장단에는막굿거리라고부르는독특한형태의억양을가진변장단도있다. 이막굿거리는일반적으로굿거리장단에비하여더욱흥취있고기분을돋구어준다. 실례로혁명가극 금강산의노래 에나오는노래 경치도좋지만살기도좋네 를들수있다. 14) 이러한최영남의설명에덧붙여명시된장단형을보면, 막굿거리의앞 3소박2박은반굿거리와동일하며, 막굿거리의뒤 3소박2박은반굿거리장단의맺음형임을알수있다. 또한함덕일의글에서는막굿거리에대한설명은없이반굿거리에대해서만언급해놓은것으로보아막굿거리와반굿거리가같은장단형인것으로보인다. 위에제시된노래악보를보면, 굿거리장단과반굿거리장단모두 2소소박 ( ) 이들어있는것을볼수있는반면, 굿거리장단을빠르게치는것과유사하다는만장단 15) 의리듬꼴에는 2소소박이들어있지않음을볼수있다. 장단명이명기된노래중에서굿거리장단의노래는전체 97 곡중약 50% 정도에해당하는 46곡이며, 이중늦은굿거리 1곡, 자진굿거리 2곡, 반굿거리 4곡, 그리고굿거리는 39곡이다. 다음으로중모리와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으로이루어진노래들을살펴보도록하겠다. 중모리장단의곡은 4곡이보이며, 중중모리장단의곡은 3곡, 그리고자진모리장단의곡은 10곡이보인다. 이세장단형은거의대부분 12/8 박자로기보되어있으며, 중중모리장단의 < 물방아타령 ( 김진명작곡, 1952)> 만 6/8 박자이다. 그러나아래에제시된 < 물방아타령 > 의악보를보면중중모리장단보다는굿거리장단에더잘맞는듯하며, 14) 최영남 b(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조선예술 1977 년 6 월호, p.58. 15) 한시형 (1954), 조선장단에대하여, 음악유산계승의제문제, 평양 :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pp.49-50.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11 악상표시역시 흥겹게 라고적어놓아서중중모리장단의반주라고보기는어렵다. 중모리장단에관한북한의설명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중모리장단은 12/8 박자로기본속도는좀느리며, 중모리억양에서중요한것은전반적으로사색적인감정을가지고무게있고폭넓게연주하면서셋째박자의셋째박 8분음표의정서를잘살리는것이다. 중모리장단은원칙적으로 12/8 박자한소절을단위로하고있으나때로는 6/8 박자로기보하여이용하기도하며, 이런경우에는두소절을단위로한다. 또한억양 16) 도달라지는데, 6/8 박자로된경우에그둘째소절의첫박자억양이중모리장단의셋째박자에서처럼강조되지않고좀부드럽다. 중모리는속도에따라늦은중모리, 중모리, 중중모리등으로구분하며, 중중모리는속도가빠르기때문에박력있는억양을가지면서솟아오르는듯한기분을자아내게한다. 17) 최영남 (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조선예술 1977년 6월호, 56-57쪽 < 장단악보 4> 중모리장단과중중모리장단 16) 장단의억양이란장단의바탕에깔려있는감정과그흐름속에서나타나고있는강약관계를말하는데, 연주할때의기분과장단의내재적성격등이복합된의미로보인다 ( 최영남 a(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1), 조선예술 1977 년 5 월호, p.58). 17) 최영남 b(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조선예술 1977 년 6 월호, pp.56-57.

중모리의곡으로는 < 매봉산의노래 ( 유정철작곡, 1953)> 과 < 내고향강화도 ( 안성현작곡, 1957) 등이있으며, 중중모리곡으로는 < 물방아타령 > 과 < 해당화 ( 안성현작곡, 1954)>, < 버들꽃필때 ( 림지성작곡, 1965)> 등이있다. < 중모리장단 > 조선민족음악전집, 42 쪽 < 중중모리장단 > 조선민족음악전집, 30 쪽 그런데북한에서는중모리와중중모리, 그리고굿거리장단을혼용하는듯하다. 위에제시된악보에서도보듯이중모리장단으로된노래와중중모리장단으로된노래의리듬형이별반다르지않을뿐만아니라앞서살펴본굿거리장단의리듬형과도유사한점을발견할수있다. 또한경기민요 < 창부타령 > 의선율에가사만바꿔서만든 < 모란봉 ( 김관보 김진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13 명편곡, 1957)> 의장고형은원곡처럼굿거리장단임에도불구하고안기옥은중모리장단의연습곡으로제시 18) 하고있으며, 일부다른저서에서는굿거리장단과중중모리장단을혼용하여쓰기도하는것으로보아, 중모리와중중모리장단보다는화려하고밝은굿거리장단을선택하였음을짐작할수있다. 따라서중모리와중중모리장단이같은구음을쓰고, 두장단모두제9 박에강세를두되, 중모리보다속도를빨리하는것이중중모리라는점은남과북이동일하다. 그러나남한에서는중모리를 12/4 박으로기보하고, 중중모리를 12/8 박으로기보하여북한과차이가있다. 이런차이가생기는이유는두장단의구조가다르다고보기때문이다. 이보형의장단론 19) 에의하면, 중모리는 2소박 3박 4대박의형태인데비해, 중중모리는 3소박 4박형태이며중모리의보통박이중중모리에서는소박으로, 중모리의대박이중중모리에서는보통박으로바뀌기때문이다. 그러므로장단의구음은같으나실제장단형은다른셈이다. 자진모리장단은북한에서잦은모리장단으로표기하며, 장단형은남한과동일하다. 자진모리장단으로반주하는민요식노래로는 < 금강산의노래 ( 장재천작곡, 1952)> 를비롯하여 < 어뢰정나간다 ( 최관형작곡, 1958)>, < 조사공의영예 ( 리근영작곡, 1964)> 등이있다. 그런데최영남은자진모리장단에대하여다음과같은설명을달아놓았다. 잦은모리장단은 12/8 박자한소절을단위로하여이루어지며속도는좀빠른편이다. 이장단은신바람이절로나는듯한흥취를가지고연주해야한다. 활달하고낙천적인성격으로인해만풍년의기쁨을노래한사회주의농촌주제의작품들을비롯하여희열과낭만에넘친근로자들의창조적이고보람찬생활을반영한작품들에많이쓰여지고있다. 20) 18) 안기옥 (1959), 민족음악장단기본, 평양 : 조선음악출판사, p.26. 19) 이보형 (1996), 장단의여느리듬형에나타난한국음악의박자구조연구, 국악원논문집, 국립국악원참조.

최영남 (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3), 조선예술 1977 년 6 월호, 54 쪽 < 장단악보 5> 자진모리장단 한편,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노래편 1 에는 만장단 이라는장단명도등장하는데, 만장단에대한설명이한시형과안기옥의것이다르다. 한시형은만장단을 불교에서나온말로점불산이라고도하며굿거리를빨리친장단 21) 으로보는반면, 안기옥은 무용에서자진모리장단을만장단으로부르고있다 22) 고하였다. 두저서에소개된장단의악보는아래 < 장단악보 6> 과같다. 한시형의만장단 안기옥의자진모리장단 < 장단악보 6> 한시형의만장단과안기옥의자진모리장단비교악보 위의장단악보를보면, 한시형은만장단은굿거리기본장단의떨채부분을 2소박으로나누고전각과후각이동일한형태로가고있음을볼수있는데비해, 안기옥의만장단은전각과후각이동일한형태인점과장단의기본속도는같으나두번째와네번째박의채편을두번치지않고한번만친후에소박하나를쉬고있는형태로같지않다. 20) 최영남 c(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3), 조선예술 1977 년 7 월호, p.54. 21) 한시형 (1954), 전게서, pp.49-50. 22) 안기옥 (1959), 전게서, p.38.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15 만장단으로작곡된실제노래를살펴보면,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소개된노래중에서만장단인것은 < 유격근거지도리깨타령 ( 유정용작곡, 1963)> 과 < 동해의보물을듬뿍이퍼내세 ( 김광조작곡, 1964)>, 그리고 < 군민은친형제혁명의동지 ( 유정철작곡, 1964)> 세곡뿐이며, 앞의두곡은 12/8 박자로기보하고, < 군민은 > 은 4/4 박자로표기하였다. 이노래들의가사붙임새를정간보로옮겨보면다음과같다. ( 한정간 = ) < 유격근거지 > 중 또 한 마 당 털 어 보 자 우 리 농 민 붉 은 마 음 밀 영 에 보 내 잔 다 < 동해의 > 중 에헤야데헤야나는야기슭의미역을딴 다네 < 군민은 > 중 인 민 은 정 성 으 로 군 대 를 돕 고 군 대 는 목 숨 으 로 인 민 을 지 키 네 이세곡모두만장단의곡임에도불구하고 < 군민은 > 은 4/4 박자인점으로보아 2소박 4박자의휘모리장단임을짐작할수있으나노래의느낌을빨리몰지않고흥겹게연주한다는의미로 만장단으로흥겹게 라는악상을부기해놓은것으로보인다. 그리고 < 유격근거지도리깨타령 > 은가사붙임새로보아자진모리장단의곡임을알수있으나, < 동해의보물을듬뿍이퍼내세 > 는장단을확증하기어렵다. 만장단의곡은이후찾아볼수없으며, 장단론설명에도보이지않다가, 한영애의 조선장단연구 에만장단과자진굿거리, 자진모리장단의

관계를다음과같이설명하고있다. 잦은굿거리장단을빠르게연주하면잦은모리장단으로넘어가게된다. 그러므로농악이나무용음악에서는이두장단을가리켜만장단이라고도한다. 원래만장단이란말은잦은모리장단보다속도가좀느리다는의미에서잦은굿거리장단을념두에두고붙인말이였으나이두장단은서로같은계렬의장단이므로후에는다같이만장단이란말로통용하게되었다. 그러나기악독주곡을비롯한일부노래들에서는잦은굿거리장단보다잦은모리장단이위주로사용되므로일반적으로만장단이란말은쓰지않는다. 23) 이를보면, 한시형의만장단기본형은굿거리를빨리친형태인잦은굿거리이며, 잦은굿거리와잦은모리모두만장단이라고하였으나잦은모리장단이일반화되면서만장단이사라졌음을알수있다. 다음으로타령장단의곡으로는 < 오늘도만선일세 ( 김제선작곡, 1959)> 와 < 증산으로지원하세 ( 림헌익작곡, 1965)> 가있다. 앞의곡은타령장단으로기록되어있고, 뒤의것은잦은타령장단이라고하였다. 타령장단의노래는다른 3소박 4박자의노래에비해네번째박이비어서가는경우가있어구별이된다. 북한의민요식노래에사용되는 3소박계통의장단중에서남한에서는세마치장단으로불리는장단이바로양산도장단이다. 민요양산도에서사용하고있는장단인양산도장단은 9/8 박자로구성되어있으며, 연주속도는빠르게는할수있으나느리게하면장단이가지는고유한성격과특징을제대로살려내지못하기때문에양산도장단의곡들은흥겹고낙천적이며발랄하고율동적인성격을갖는다. 24) 양산도장단은 1956년에창작된 < 그네뛰는처녀 > 를시작으로노래에적용되기시작하다가 1970년대에많은민요식노래에채택되어사용된 23) 한영애 (1989), 전게서, pp.251-252. 24) 함덕일 (1994), 전게서, p.179.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17 것으로보인다. 양산도장단의노래는그박자표가특이하여장단명이부기되지않아도쉽게양산도장단의곡임을알수있다. 양산도장단의민요식노래로는 < 그네뛰는처녀 ( 김준도작곡, 1957)>, < 내고향은살기도좋네 ( 차승진작곡, 1964)>, < 노래하세대흥단 ( 설명순작곡, 1975)> 등이있다. 3소박계통의장단이면서특이하게민요식노래에사용하고있는장단이바로 3소박6박자의도드리장단이다. 북한에서는 도도리장단 이라고쓰며, 18/8 박자로표시한다. 전통적으로도드리장단은정악이나정가풍의경기 12잡가에주로사용하는장단이지만대중음악에는거의사용하지않는장단이다. 이러한도드리장단을북한에서민요식노래에적용하고있는데, 함덕일의설명에의하면 장단의정서적색채는부드럽고우아한서정적인성격과가볍게설레는률동적인흥취가내심적으로표현되는것이특징 25) 이라고지적하고있다.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되어있는도드리장단의곡은 < 저하늘의선녀들도팔담에내렸네 ( 성동춘작곡, 1976) 등모두 3곡이다. 3) 혼소박장단과민요식노래 전통장단가운데혼소박장단의대표적인장단은바로엇모리장단이다. 엇모리장단은장단의이질성으로인해판소리에서신비로운인물을대변하는장면에서자주등장하는장단이며, 대중음악에서는거의사용하지않는장단이라고할수있다. 북한에서는이러한엇모리장단을 1960년대후반이후민요식노래에적용하여여러가지노래들을만들어냈다. 엇모리장단은 3소박과 2소박의규칙적인박절흐름의교체로써나타나는것이특징이며, 연주에서 2소박과 3소박이구성되는경우도있다. 엇모리장단은대체로 5/8 박자로표기되며, 경우에따라 10/8 박자한소절로표시하기도한다. 엇모리장단은흥겹고율동적이면서도박력이있는 25) 함덕일 (1994), 전게서, p.188.

것이특징이다. 엇모리장단은 1960년대말이후가요에이용되기시작하였으며, < 직동령의승리방아 ( 박왈빈작곡, 1969)> 와 < 명승의묘향산 ( 리경작곡, 1981) 이대표적이다. 26)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는모두 5곡의엇모리장단노래가실려있다. 4) 새롭게만들어진장단과민요식노래 앞서살펴보았던 2소박계통의장단과 3소박계통의전통장단외에북한의민요식노래에서는이전에보이지않던새로운장단들이노래에적용되어사용되고있음을볼수있다. 새롭게만들어진장단으로는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과같이새로운장단형으로만들어진것과안땅장단과휘모리장단의혼합장단, 반굿거리장단과반살풀이장단의혼합장단과같이두가지이상의장단이서로혼합하여새로운리듬형을만든경우로나누어살펴볼필요가있다. 먼저서정장단을살펴보도록하겠다. 서정장단은함덕일의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징 에장단명으로등장하며, 그이전의저서에서는보이지않는다. 그리고한영애의 조선장단연구 에서는 서정장단 이라고명시하지는안았으나, 본래무용곡이나기악곡에서주로사용하던살풀이장단의반각인반살풀이장단을서정적인가요에적용하면서만들어진장단 27) 이라는설명으로보아함덕일의서정장단과일치함을볼수있다. 즉, 서정장단이란살풀이장단을반으로나눈것으로, 3/4 박자, 혹은 6/4 박자를한소절단위로삼아노래들이만들어진셈이다. 서정장단은그느낌이 유순하고부드러우며우아하고률동적인것이특징 28) 이라고한다. 26) 함덕일 (1994), 전게서, p.185. 27) 한영애 (1989), 전게서, p.109. 28) 함덕일 (1995), ( 강좌 ) 대전성기가요예술에구현된서정장단, 조선예술, 평양 : 문학예술출판사, 1995 년 8 월호.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19 그러나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서는서정장단을명시하고있는곡은없고함덕일이서정장단이라고명시한노래들의악상에 서정적으로 라는말이붙어있다. 이를보면, 반살풀이장단형이기악곡이나무용곡에서독립하여가요부문에새롭게부각되기는하였으나서정장단이라는장단명을확고하게부여받지는못한것으로보인다. 3 박자서정장단 6 박자서정장단 함덕일 (1994),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성, 165쪽, 168쪽 < 장단악보 10> 서정장단 3/4 박자서정장단을바탕으로만들어진가요로는 < 수차야돌아라 ( 한시준작곡, 1975)>, 그리고 6/4 박자로구성된서정장단에기초한곡으로는 <4월의봄 ( 리경작곡, 1978) 이실려있으나이외에 < 새봄 (1973)>, < 령넘어오고가는정 (1975)>, < 직포공의마음 (1976)>, < 사랑의길우에노을이불타네 (1977)> 등이더유명한서정장단의곡들로평가받고있다. 다음으로덩덕궁장단을살펴보도록하겠다. 덩덕궁장단은 덩더꿍장단 으로부르기도하는데, 최영남은덩덕궁장단이과거에주로농악에서사용된장단이라고보았고, 속도는보통속도해당한다 29) 고하였다. 최영남의덩덕궁장단과는달리함덕일이설명하는덩덕궁장단은속도에따라늦은덩덕궁장단과잦은덩덕궁장단으로나누고있다. 늦은덩덕궁장단은최영남의덩덕궁장단과같으며, 잦은덩덕궁장단은빨리치기때문에채편을갈라치지않고 < 덩 덩 / 덩 덩 / 덩 덩 / 덩 덩 > 으로친다. 이에비해 조선장단연구 를집필한한영애는김일성의아버지인김형직이느 29) 최영남 b(197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조선예술 1977 년 6 월호, p.58.

리게연주하던덩덕궁장단을빠르게창조함으로써 4/4 박자, 혹은 12/8 박자를한소절단위로하는새로운형태의덩덕궁장단이생겨났다 30) 고보고있다. 덩덕궁장단 잦은덩덕궁장단 한영애 (1989), 조선장단연구, 142쪽함덕일 (1994), 171쪽 < 장단악보 11> 덩덕궁장단 덩덕궁장단이민요식노래에적용된첫번째사례는바로 <10대정강의노래 ( 한시형작곡, 1968) 이며, < 분수식밭관개좋아라 ( 차승진작곡, 1972)>, < 이많은분배를어디에다쓸까 ( 설명순작곡, 1975)>, < 얼씨구절씨구만풍년일세 ( 리석작곡, 1976)> 등이대표작으로꼽힌다. 특히 < 이많은분배를어디에다쓸까 > 에사용된덩덕궁장단을한영애는 분배장단 이라고부르기도하였으나, 리듬형은동일하다. 다음으로, 두가지이상의장단형이섞여서노래에적용된사례들이발견되는데, 바로안땅 + 휘모리혼합장단, 반굿거리 + 반살풀이혼합장단등이그러하다. 안땅 휘모리혼합장단의곡으로는 < 신환갑타령 ( 한시준작곡, 1960)> 이있으며,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의곡은 < 농촌기술혁명에헤라좋다 ( 김기명작곡, 1971)> 이있다. 안땅 휘모리혼합장단은모두 2소박계통의장단이며,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은 3소박계통의장단이묶였음을알수있다. 조선장단연구 에는혼합장단 ( 섞음장단 ) 의여러유형에관해자세히설 30) 한영애 (1989), 전게서, p.142.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21 명해놓고있다. 섞음장단은서로다른두개의장단이혼합되는형태에따라종적섞음장단과횡적섞음장단으로구분되는데, 종적섞음장단은주장단의매박이부장단의리듬투로변화하는장단이며, 횡적섞음장단은서로다른두개의장단이연결되어진행되는것이라고한다. 횡적섞음장단은혼합되는양상에따라두가지로구분되는데, 한장단안에서서로다른두장단의반각들이혼합되는형태와두개의장단이직접연결되어하나의장단으로혼합된형태라고한다. 31) 이를보면, 조선민족음악전집 에소개된민요식노래의혼합장단은횡적섞음장단에속한것을볼수있다. 즉,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은한장단안에서서로다른두장단의반각들이혼합되는형태이며, 안땅 휘모리혼합장단은박자계열이서로같은두개의장단이연결된예에해당되는것이다.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 안땅 휘모리혼합장단 한영애 (1989), 215 쪽 한영애 (1989), 217 쪽 조선민족음악전집, 356쪽 조선민족음악전집, 143쪽 < 장단악보 12> 혼합장단 31) 한영애 (1989), 전게서, pp.212-216.

위에제시된장단악보는한영애의 조선장단연구 에실려있는것이다. 우선,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의박자표를다르게적어놓았으나, 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의곡인 < 농촌기술혁명에헤라좋다 > 의박자표는 6/8 박자로되어있어차이가있다. 반굿거리는 3소박4박자의굿거리장단의반이므로 6/8 박자가맞으나한영애가제시한반살풀이는살풀이장단 32) 의반인 3/4 박자로채보되어있기때문에, 이두반장단씩이합쳐지면 2박과 3박이됨에도불구하고혼합장단이노래악보에는 2박계통의 6/8 박자로기보하고있어혼란스럽다. 이는아마도살풀이장단이 2소박으로모아지거나 3소박으로모아지더라도전체 12소박의틀은유지하고있기때문에 6/8 박자로기보한것으로보이며, 굿거리나살풀이장단이모두무용에서사용하는장단이기에흥겨운분위기의장단을만들기위한의도로생각된다. 다음으로안땅 휘모리혼합장단을보면, 앞의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과달리안땅장단과휘모리장단한장단씩을연결해놓은형태임을알수있다. 그런데안땅은좀흥청거리며연주하는장단임에비해휘모리장단은빨리몰아서연주하는장단으로속도의차이가있게되는데, 주장단을안땅장단에놓고부장단을휘모리장단으로하여혼합장단의속도를안땅장단에맞춰연주하는듯하다. 이상으로북한의민요식노래에적용된다양한장단에대해검토해보았다. 해방이후신민요의전통을이어받은북한의민요식노래에는 2소박계통의휘모리장단과안땅장단, 그리고 3소박계통의굿거리장단, 반굿거리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타령장단, 양산도장단, 도도리장단이사용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새롭게형성된장단으로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이부각되었으며, 두개의장단이 32) 살풀이장단의보통박을 4 박으로볼것인지, 6 박으로볼것인지에대해서는이견과혼란이있는듯하다. 김청만 김광섭공저 (2002), 한국의장단, 민속원 을보더라도 p.112 와 p.113 에소개된남도살풀이와경기도살풀이를 4 박으로채보한반면, 경기무속장단의도살풀이는 6 박으로채보해놓았기때문이다.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23 결합하여만들어낸혼합장단들도민요식노래에적용되었음을알수있다. 그리고민요식노래에사용된북한장단의리듬형은대체로남한의것과같음을확인할수있었다. 그러나현재사용하고있는안땅장단은남한에서동살풀이장단이라고도하는데, 안땅장단의기원을보리타작노래인 < 옹헤야 > 의리듬형으로보고옹헤야장단이라고부르는것에대해안기옥은반대했음에도불구하고후대에안땅장단과옹헤야장단을같은것으로인식한후안땅장단이라는명칭으로굳어졌음을보았다. 또한장단의온각을나누어반각만으로리듬형을새롭게만들어사용한것으로는반굿거리장단과서정장단이라고도하는반살풀이장단이있었다. 즉, 온각의장단형을반으로나누어짧게만들어하나의장단으로사용하고있는점은특이한현상이라고할수있다. 이에더하여장단의반씩을서로연결시켜혼합장단으로만들어북한의대중음악이라고할수있는민요식노래에사용하고있는점역시남한의신민요나국악가요와는다른양상이라고하겠다. 3. 북한민요식노래의장단리듬형과의미 북한의민요식노래는선행연구에서보듯이일제강점기신민요의연장선상에있다. 그렇다면민요식노래의리듬형역시신민요의연장선상에있다고볼수있는지궁금하다. 신민요의리듬및장단에대한선행연구 33) 를살펴보면, 신민요의리듬및장단은신민요특유의리듬형으로자리잡은 2소박3박자계열인왈츠형, 세마치장단형, 3소박 4박자의굿거리형과자진모리형, 그리고 2 33) 이소영 (2007), 일제강점기신민요의혼종성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pp.171-172.

소박4 박자의동살풀이계열과트로트계열로나뉜다. 그러나트로트리듬으로이루어진신민요는요나누끼단음계 34) 로이루어진곡들이대부분이어서신민요의음악적특징은가지지않는다. 즉, 일제강점기초기에만들어진신민요가전통민요중경서토리의음악에집중됨으로써그음악에대한장단이나리듬역시경서도지역에서많이사용하는굿거리장단에집중되어있었다가, 이후일본식음악과서양의재즈음악이들어오면서리듬에서도전통적인요소와외래의리듬이섞이는현상이나타난다고할수있다. 그러나해방이후북한에서신민요를적극수용하면서만들어낸민요식노래에자신들이배척하는서양의퇴폐적인음악문화를수용할수는없었을것이다. 주지하다시피북한은해방직후체제를정비하면서부터일제청산과민족문화발전을주장 35) 해왔다. 또한북한은 1950년대에종파투쟁들을거치면서소련등외세로부터의자주성확보를시도하고주체확립문제를제기한 1950년대중반부터주체사상이전면적으로등장하는 1960년대중반까지높은강도로민족전통과민족문화를강조한바있다. 그러나북한에서민족전통과문화에대한강조는김일성유일사상체계가확립되기시작한 1967년이후수령을위시한개인숭배가강조되 34) 요나누끼단음계는라시도레미파솔의단음계에서네번째음인레와일곱번째음인솔이빠진음계를말하며, 미야코부시음계와동일하게사용되기도한다. 35) 이러한주장들은 김일성저작집 의 1945 년부터 1949 년사이에발표된글에서다수발견된다. 예를들어, 문화인들은문화전선의투사로되어야한다 - 북조선각도인민위원회, 정당, 사회단체선전원, 문화인, 예술인대회에서한연설 (1946 년 5 월 24 일 ) 이나 음악예술인들은새민주조선건설에적극이바지하여야한다 - 중앙교향악단창립공연을보고예술인들앞에서한연설 (1946 년 8 월 8 일 ); 문학예술을발전시키며군중문화사업을활발히전개할데대하여 - 북조선로동당중앙위원회상무위원회에서한결론 (1947 년 9 월 16 일 ) ; 우리인민의정서와요구에맞게민족무용을발전시키자 - 무용연구소교원, 학생들에게한훈시 (1948 년 2 월 8 일 ) ; 모든힘을민주기지의강화와조국의통일독립을위하여 - 북조선로동당제 2 차대회에서한결론 (1948 년 3 월 29 일 ) ; 홍명희와한담화 (1948 년 5 월 6 일 ) ; 민족문화유산을잘보존하여야한다 - 묘향산박물관및휴양소일군들고한담화 (1949 년 10 월 15 일 ) 등이다.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25 면서민족문화에대한강조가둔화되었다. 그러다가북한이민족전통과문화를다시크게강조되기시작한것은 1986년 7월에김정일이 조선민족제일주의 를제창하면서부터이며, 이후북한은민족문화의우수성과민족에대한자긍심을부쩍강조해온것으로알려져 36) 있다. 이러한정치적사항을민요식노래에적용시켜보면,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된노래중 1950년부터 1969년사이의 20년간작곡된민요식노래의수는 282곡으로 1년평균 14곡씩이작곡된셈이며, 1970년부터 1986년사이의 17년간만들어진민요식노래의수는 144곡으로연평균 8.5곡이만들어졌다. 그리고조선민족제일주의가제창된이후인 1987년부터 1994년까지작곡된민요식노래의수는 45곡으로연평균 5.6 곡이작곡되었다. 이를보면, 해방이후북한에서의민요식노래의수는주체사상이전면에부각된시점부터그수가점차줄어갔다고볼수있으며, 조선민족제일주의가주창된이후라할지라도민요식노래분야에서전성기에필적하지는못한것을알수있다. 그렇다면리듬과장단에서는어떠한가?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된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리듬형을정리해보면아래의 < 표 1> 과같다. < 표 1> 조선민족음악전집 - 민요풍의노래편 1 수록민요식노래의장단리듬형 1945-1969 (25 년 ) 1970-1994 (25 년 ) 2 소박 4 박자계열 2/2박자 0 2/2박자 2 2/4박자 11 73 25.2 2소박 4박자계열 2/4 박자 1 4/4 박자 62 4/4박자 81 84 44.4 3 소박 3 박자 9/8 박자 12 12 4.1 3 소박 3 박자 9/8 박자 18 18 9.5 36) 이종석 (1995), 현대북한의이해, 역사비평사, pp.118-122.

1945-1969 (25 년 ) 1970-1994 (25 년 ) 3/4 박자 20 3/4 박자 8 3 소박 4 박자계열 6/4 박자 1 3소박 6/4박자 14 202 69.7 6/8 박자 97 4박자계열 6/8박자 40 12/8박자 84 12/8 박자 19 81 42.9 3소박 6박자 18/8박자 0 0 3소박 6박자 18/8 박자 3 3 1.6 혼소박자 5/8박자 3 혼소 5/8박자 2 3 1 10/8박자 0 박자 10/8 박자 1 3 1.6 합계 290 100% 합계 189 100% 북한에서주체사상이확립된후 대전성기 라불리는 1970-80년대를기점으로전후를구분해보았다. 위의표에서보듯이 2소박4 박자계열의곡과 3소박 3박자의곡이전시기에비해두배정도많이사용되었고, 도드리장단인 3소박 6박자의곡이 1970년대이후에등장한것을확인할수있다. 그런데특기할만한것은전통장단형인 3소박4박자에해당하는굿거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의곡수가급격히감소한점과, 2소박 4박자계통의안땅장단은트롯음악에서많이보이는폭스트로트나느린트로트의리듬형과비슷하다 37) 는점이다. 뿐만아니라안땅장단의민요식노래로알려져있는 < 만풍년싣고달리는기쁨 ( 량영철작곡, 1979)> 를실제들어 38) 보면, 7음음계를사용하고있으며, 편곡의양상이 뽕짝 이라고불리는남한의트롯음악과곡의느낌이비슷하다. 이를보면,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만들어진민요식노래의대부분이굿거리장단의곡이거나이와비슷하게인식했던중모리, 중중모리 37) 이소영 (2007), 전게서, p.167 참조. 3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립평양예술단일본공연기념판 : 녀성민요독창 ( 평양 : 조선레코드사, 1980).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27 장단의곡이대부분이었던것은서구자본주의퇴폐문화를받아들이지않고전통적인문화를계승하겠다는의지가강하게반영된것으로볼수있다. 다음으로 2박자의곡중에트로트리듬과비슷한안땅장단의사용은 1959년무렵부터가요에적용되면서점점그수가확대되어, 1970년대이후에급격한증가세를보인다. 이는안땅장단에나타난다는정서때문으로보이는데, 안땅장단은경쾌하고생기발랄하며흥겹고락천적이며, 장단의전반적리듬을력도적으로강하게살려주면박력있는전투적인기백이넘쳐나는정서 39) 로나타나므로, 주체사상확립이후새로운시대를건설하려는의지와그안에사는인민들의낙천성을안땅장단이대변해주는것으로여겼기때문으로보인다. 그러나이러한의지에도불구하고안땅장단에기초한노래의선율이궁조식이거나 7음음계로만들어진곡이라면, 선율적느낌과리듬의패턴, 그리고화성반주와콧소리가섞인민성창법이결합되면서그노래는 뽕끼 가다분한트로트음악이될수밖에없다. 그리고 1970년대이후새롭게부상한장단형으로는양산도와덩덕궁장단, 서정장단, 그리고도드리장단이있다. 양산도장단의정서는 흥겹고락천적이며발랄하고률동적 40) 이라고하며, 이는안땅장단의정서와비슷하다. 그리고덩덕궁장단은 그울림의색채적효과가멋들어지며흥겹고락천적 41) 이라고하며서정장단은 유순하고부드러우며우아하고률동적인 42) 정서를가지며, 도드리장단은 부드럽고우아한서정적인성격과가볍게설레는률동적흥취가내심적으로표현 43) 장단이라고설명하고있다. 장단에대한설명을종합해보면, 대체로흥겹고락 39) 함덕일 (1994), 전게서, p.176. 40) 함덕일 (1994), 상게서, p.179. 41) 함덕일 (1994), 상게서, p.170. 42) 함덕일 (1994), 상게서, p.165. 43) 함덕일 (1994), 상게서, p.188.

천적이고유순하고부드러우며우아하고율동적인느낌을갖는다는것인데, 이러한해설은대체로주체사상확립과후계구도가정착되고김정일이문학예술전반을장악한후에나타나는일반적인설명들이다. 가볍고, 섬세하며, 우아하고, 부드러운정서를민요식노래의장단에서뿐만아니라문학예술전반의기준으로삼고현재까지도이러한정서를주장하고있는것이다. 더욱이군대가모든것을선도한다는시대인 2000년대이후의선군시대에서조차민요식노래를 우리인민의민족적인정서를우아하고부드럽게, 경쾌하고락천적 44) 이라고포장하고있는것을보면, 독재체제속에서수령의기호를인민의기호로받아들이고있는것을알수있다. 다시말해서, 1970년대이후주체사상이확립과더불어 1인독재체제와후계체제가완비되면서새로운시대에대한낙관과이전과는다른, 즉 1967년주체사상의확립이후새로운체제형성과새로운문화를형성하려는움직임이있었음을파악할수있다. 따라서음악을주체시대에맞게새롭게만들어야한다는강박으로인해 1960년대까지별로쓰이지않던 2박자계통의곡이새롭게부각되고새로운장단인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이부각되었으며, 통치자의개인적인기호에맞추기위해기존에잘쓰지않던양산도장단과도드리장단등이흥겹고낙천적이고유순하고부드러우며우아하고율동적이라는김정일의개인적인취향과맞물려많이적용되었다고볼수있다. 그러나 1960년대이후민요식노래의수는점점감소세를보이고있다. 또한 1986년이후조선민족제일주의를주장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민요식의노래보다는보천보전자악단에서만들어낸 휘파람 과같은새로운음악들이인민들의정서를반영하는노래로환영받고있다. 44) 박영미 (2007), 선군시대민요풍가요의형상적특성, 조선예술 2007 년 3 월호, p.49.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29 4. 나가며 이상으로북한의민요식노래에적용된장단리듬형에대하여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된 479 곡을대상으로살펴보았다. 남한에서북한의민요식노래에대한연구가주로선율형과조식, 화성에집중되어있었던반면, 민요식노래에적용된장단리듬형에대한연구가없어본고에서살펴보고자하였다. 먼저북한의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의유형을검토해본결과 2 소박계통의장단, 3소박계통의장단, 혼소박계통의장단으로분류할수있었다. 2소박계통의장단리듬형은휘모리장단과안땅장단이며, 두장단모두 1970년대이후새롭게부각되어많이사용된장단이었다. 3소박계통의장단은양산도장단 ( 세마치장단 ) 과굿거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타령장단이민요식노래에사용되었고, 도드리장단도 1970년대이후민요식노래에사용되었음을보았다. 혼소박장단인엇모리은남한에서는잘사용하지않는장단이나북한에서는민요식노래에꾸준히적용되어왔음을보았다. 다음으로북한에서새롭게만들어서사용하는장단형으로는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 그리고두개의장단을붙여서새롭게만들어낸혼합장단형이있었다. 서정장단은 1970년대이전에는한곡밖에없었으나 1970년대이후사용량이급증하여 20여곡에이른다. 그리고덩덕궁장단역시기악곡에사용되었던장단이었으나김형직이새롭게만들어노래에적용하면서민요식노래에적용되었다. 그리고혼합장단은안땅 휘모리혼합장단과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이민요식노래에사용되었음을보았다. 따라서북한의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은전통적으로성악에많이적용되었던장단인굿거리와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외에휘모

리, 안땅, 세마치와엇모리, 도드리장단이부각되었고, 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등이새롭게만들어져사용되었음을알수있다. 이러한장단들은시기에따라부침이있었는데,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일제잔재청산과함께미국을위시한자본주의국가들의퇴폐적인음악을배척하면서민족문화를계승발전시키고자하는의지가반영된시기라고한다면, 주체사상이확립되고 1인독재체제와후계구도가완성된 1970년대이후에는기존의민족문화계승보다는북한식으로새롭게만들어내는민족문화와그속에투영된수령혹은지도자의기호가반영되었다고본다. 즉, 1960년대까지사용된민요식노래의장단은일제강점기의신민요장단리듬형에서서구식의리듬형이제외된 3소박 4박자형태의장단인굿거리와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을많이사용했던반면, 1970 년대이후에는이러한전통장단이퇴조하면서신민요에서많이사용된리듬인왈츠와같은느낌의서정장단이나트로트리듬과비슷한안땅장단이대거수용되었으며, 이전에는잘사용하지않던양산도, 엇모리, 도드리장단과혼합장단들이김정일이좋아하는 가볍고, 섬세하며, 우아하고, 부드러우며, 율동적 인정서를대표하면서민요식노래에적용되었다고할수있다. 그러나민요식노래는 1970년대를기점으로하여점차그수가감소하고있으며, 조선민족제일주의가주창된 1986년이후에도민요식노래는전성기에서멀어져만갔다. 그간인민과노동자의정서를대변해왔던민요식노래는 1985년이후창설된왕재산경음악단과보천보전자악단등에서만들어내는새로운유형의생활가요, 혹은대중가요로대치되었으며, 민요식노래는 1960년대까지의전성기를끝으로점차쇠퇴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45) * 논문투고일자 :2010. 6. 30. / 심사일자 :7. 12. / 심사완료일자 :7. 24.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31 참고문헌 < 북한단행본및논저 > 남영일 (1991), 민족음악의계승발전, 문예출판사. 리히림 함덕윤 안종우 장흠일 리차윤 김득청공저 (1979), 해방후조선음악, 문예출판사. 박영미 (2007), 선군시대민요풍가요의형상적특성, 조선예술 2007 년 3월, 문학예술출판사. 안기옥 (1959), 민족음악장단기본, 조선음악출판사. 안희열 (1996), 주체적문예리론연구 22 -문학예술의종류와형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예술교육출판사편 (2000),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노래편 1, 예술교육출판사. 최영남 a(199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1), 조선예술 1977 년 5월, 문학예술출판사. 최영남 b(199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2), 조선예술 1977 년 6월, 문학예술출판사. 최영남 c(1997), 우리나라장단에대하여 (3), 조선예술 1977년 7월, 문학예술출판사. 한시형 (1954), 조선장단에대하여, 음악유산계승의제문제 ( 조선작곡가동맹중앙위원회 ). 한영애 (1989), 조선장단연구, 예술교육출판사. 함덕일 (1994), 대전성기가요의사상예술적특성, 문학예술종합출판사. 함덕일 (1995), 대전성기가요예술에구현된서정장단, 조선예술 1995 년 8월, 문학예술출판사. < 북한음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립평양예술단일본공연기념판 : 녀성민요독창, 조선레코드사, 1980 < 남한논저 > 김청만 김광섭 (2002), 한국의장단, 민속원. 이보형 (1996), 장단의여느리듬형에나타난한국음악의박자구조연구, 국악원논문집 8집. 이소영 (2007), 일제강점기신민요의혼종성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이소영 (2009), 북한의창작민요 -민요식노래, 단국대학교부설한국문화기술연구소제14 회전국학술대회-남북한문화예술의문제적작가와작품자료집, 단국대학교부설한국문화기술연구소. 이종석 (1995), 현대북한의이해, 역사비평사.

국문초록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배인교 본논문은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노래편 1 에수록된 479 곡을대상으로북한의민요식노래에적용된장단리듬형에대하여검토한글이다. 북한의민요식노래에사용된장단의유형을검토해본결과 2소박계통의장단리듬형은휘모리장단과안땅장단이며, 두장단모두 1970 년대이후새롭게부각되어많이사용되었다. 3소박계통의장단리듬형은양산도장단 ( 세마치장단 ) 과굿거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타령장단이민요식노래에사용되었고, 도드리장단, 혼소박장단인엇모리장단이남한과는달리북한에서는민요식노래에꾸준히적용되어왔음을보았다. 다음으로북한에서새롭게만들어서사용하는장단형으로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 그리고두개의장단을붙여서새롭게만들어낸혼합장단형인안땅 휘모리혼합장단과반굿거리 반살풀이혼합장단이민요식노래에사용되었음을보았다. 따라서전통적으로성악에많이적용되었던장단인굿거리와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외에휘모리, 안땅, 세마치와엇모리, 도드리장단이부각되었고, 서정장단과덩덕궁장단등이새롭게만들어져사용되었음을알수있다. 1960 년대까지사용된민요식노래의장단은일제강점기의신민요장단리듬형에서서구식의리듬형이제외된 3소박4박자형태의장단인굿거리와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을많이사용하였다. 그러나주체사상확립이후인 1970 년대이후에는이러한전통장단이퇴조하면서신민요에서많이사용된리듬인왈츠와같은느낌의서정장단이나트로트리듬과비슷한안땅장단이대거수용되었으며, 이전에는잘사용하지않던양산도, 엇모리, 도드리장단과혼합장단들이김정일이좋아하는 가볍고, 섬세하며, 우아하고, 부드러우며, 율동적 인정서를대표하면서민요식노래에적용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주제어 : 민요식노래, 안땅장단, 서정장단, 혼합장단, 신민요

북한의민요식노래와민족장단 33 Abstract Study on the Folk Song Styled Songs and the National Rhythmic Patterns In North Korea 46)Bae, Ihn-Gyo*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view of the rhythmic patterns applied to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especially about 479 songs from The complete series of Choseon national music-folk song styled songs chapter 1. After reviewing the national rhythmic patterns used in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I found that the Two Sobak series rhythmic patterns are Whimori rhythmic patterns and Andang rhythmic patterns, both of which emerged after 1970s and became popular in North Korea area. Through this study I was confirmed that such characteristic folk styled rhythmic patterns as Yangsando rhythm(semachi rhythm),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Taryeong rhythm, Dodri rhythm and Eonmori rhythm which is the mixed Sobak rhythmic pattern have been steadily applied to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unlike in South Korea. Next, I realized also that those newly created rhythmic patterns in North Korea of Seojeong rhythm, Deongdukkung rhythm, and two mixed rhythm named Andang-Whimori and Bangudgeori-Bansalpuri which were created with the Seojeong rhythm and Deongdukkung rhythm have been used in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These facts show that Whimori, Andong, Semachi, Eonmori and Dodri rhythmic patterns as well as those rhythmic patterns of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which were traditionally used in vocal music were newly magnified and we can see that Seojeong rhythm and Deongdukkung rhythm were created and used of the music newly. * Dankook University, Korea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Research Professor / bigmuse@hanmail.net

By the time of 1960s, most of the rhythmic patterns used for national folk styled songs were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rhythm, western rhythmic patterns being excluded from New national rhythmic pattern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d era. In contrast, after 1970s when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those traditional rhythm patterns declined, but Seojung rhythm, which has waltz-flavored and was used frequently in Sinminyo, and Andang rhythm, which is similar to trot rhythm, were very popular. Also, this study checked that Yangsando, Eonmori, Dodri rhythm, which were formerly used rarely, and mixed rhythms were applied to minyosic norae, representing light, delicate, elegant, soft and rhythmic emotions Kim Jeong-il favour. keyword:minyosic norae(song of folk song style), Andang rhythm, Seojeong rhythm, mixed rhythm, sinminyo(korean new-folk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