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D6C1BEBAB8B0EDBCAD303128C1A6C3E2B9A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¼øâÁö¿ª°úÇÐÀÚ¿ø

¹ßÇ¥¿äÁö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T hwp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경영학회 내지 최종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2 -

성인지통계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01¸é¼öÁ¤

untitled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나하나로 5호

(연합뉴스) 마이더스

소식지수정본-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 2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00706ºÎµ¿»êÆ®·£µåc02ªš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untitled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11+12¿ùÈ£-ÃÖÁ¾

<4D F736F F F696E74202D20BCD2BEE7BEE0BBE720C0E7C1A4BAF1C3CBC1F8C1F6B1B820C1A4BAF1BBE7BEF7C7F6C8B22E >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 E687770>

°ÇÃà»ç¶û2¿ùÈ£-2»©´Ù

CONTENTS

목 차

~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³À°È°µ¿Áö

2006¹é¼Ł¹ß°£»ç1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03 ¸ñÂ÷

_report.hwp

....pdf..

더바이어102호 01~09

178È£pdf

³»Áö_10-6

감사회보 5월

01 02

04 Çмú_±â¼ú±â»ç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untitled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CC hwp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 )탐스런해설OK

방한외래관광객관광객

°¨Á¤Æò°¡

#7단원 1(252~269)교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 B3E2B1E2C1D85FC1D6B9CEB5EEB7CFC0CEB1B8C5EBB0E8BAB8B0EDBCAD2E687770>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½Ç°ú¸Ó¸®¸»¸ñÂ÷ÆDZÇ(1-5)¿Ï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C6C8B5B5C0E5C5CD20B8AEC7C3B7BF2E696E6464>

학부모신문225호최종

•••••1301(•••).pdf

2013지발-가을내지1004-4

02 03 M E GA P R OF I T M E GA P OLIS! 기업도시,! 충주메가폴리스 첨단산업단지 , 1,811 ( 1,232) 2,372 ( ) () 3() IT BT

GB AV2š

src.xls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ù.PDF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07

1. 경영대학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지도학발달06-7/8/9장

목차 개요 chapter 1 대전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사례 선정 개요 대전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사례_법령 05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제정(2011년 9월)됨에 따라 분석평가 대상이 사업, 법령, 그리고 계획에 대한 성 주류화정책의 기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3.. :. : : 2015 ~ : 5.. : (C10),,,, (C26), (C28). : (10720), (26221),. (26222), (26291), (26293), (26299), (28902) ( : ) ( m2 ) (%) 106,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제 6 회제주정월대보름들불축제평가보고서 축제개요 축제명제 6 회제주정월대보름들불축제 축제주최 / 주관 주최 : 북제주군 주관 : 축제일시 / 기간 2002년 2월23일 ~2월24 일 (2일간 ) 축 제 장 소 새별오름 -애월읍봉성리서부관광도로변 예 산 총 3억8천만원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È޴ϵåA4±â¼Û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Transcription:

1) Ⅱ. 연구결과 1. 전통건축분석 및 디지털 DB구축 2. 재료특성규명 및 흙마감 기술개발 3. 장기 개발계획 수립 및 실용화 4. 참고문헌

1. 제 2. 제 3. 실용화 3.1 앙 3.1.1 아 1) 단계

연구결과 Ⅱ 2) 단계별 연구개발내용 가. 전통 건축 - 전통고문헌분석 및 디지털DB구축 내용 단계 1단계 (2007-2009) 2단계 (2008-2011) 3단계 (2009-2012) 4단계 (2011-2016) 전통고문헌분석 전통건축재료 관련 고문헌 조사 - 의궤, 문집, 사서 등 문헌자료 현황 조사 및 수집 전통건축재료 조사카드 및 분류체계 작성 - 재료, 생산시설, 공법, 장인, 연장 등 관련 용어 및 용례 조사카드 작성 - DB구축을 위한 분류체계 작성 재료 및 시공법 조사 - 전통건축 장인 시공현장 및 면접조 사 - 발굴조사보고서 분석 및 발굴현장 참여조사 전통건축재료의 기술유형 분류 - 재료 / 구법 / 도구 전통건축재료의 이용현황 조사 - 문화재수리현장 및 현대한옥건축 적 용사례 연구 전통건축재료의 적용가능성 연구 - 내부 / 외부 / 공공공간 전통건축재료의 요소화 및 활용 가능 성 확대 현대건축에의 전통건축재료 요소기술 적용 전통건축재료분야 요소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건축 단위 공간 및 평면 공간 개발 및 실용화 기술 건축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 건축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선행 개발 기술 통합을 통한 친환경 건축 단지 개발에 참여 디지털DB구축 전통건축기술의 전통적 활용 사례 DB 구축 - 전통 건축 재료의 활용 사례 - 전통 건축물의 DB구축 전통건축 기술 정보 포탈 구축 전통건축인식의 대중적 확산을 위한 디 지털콘텐츠 개발 - 전통건축기술에 근거한 교육용 게임등 콘텐츠 개발 전통건축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유비쿼터 스 정보기술 요건 도출 전통건축환경에 적합한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 모델 수립 전통건축공간에서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의 적용성 연구 - 전통공간에 적합한 홈오토메이션 및 초 고속 홈네트워킹 적용성 연구 전통건축공간을 위한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 제품개발 연구 - 환경친화적 전통건축을 위한 홈 자동화 기술 연구 전통건축단지등 대규모 전통건축공간을 위한 실용 정보기술 적용 연구 전통건축 정보기술분야 요소기술을 적용 한 친환경 건축 공간을 위한 정보기술 실 용화 기술 연구 차세대 홈네트워크 및 홈 자동화를 위한 통합환경 연구 및 시스템 개발 친환경 유비쿼터스 건축 단지 개발에 참 여 203

최종보고서 나. 재료의 특성평가 - 재료의 특성규명 및 흙마감 기술개발 내용 단계 1단계 (2007-2009) 2단계 (2008-2011) 3단계 (2009-2012) 4단계 (2011-2016) 재료의 특성규명 - 음향기술 흙마감 기술개발 - 재료기술 전통건축재료의 음향적인 활용 흙마감기술 아이템발굴 및 흙미장기술 현대화 가능성에 대한 규명 흙다짐기술 특성연구 및 기술의 현대화 - 문헌자료 검색 건축벽체 재료기술 개발 및 구조체 기술개발 - 유사 외국 사례 검토 흙건축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건축기술 현대화 전통기술 유형, 디자인, 기법 분 방안 연구 류 및 특성 연구와 음향 성능 평 흙을 이용한 재료 (황토재료)의 배합설계 모델 가 등의 기초 연구 실시 및 요소 확립 기술 개발 재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합조건 및 양 전통건축의 음향측면 고려 생조건에 대한 실내 실험 - 사운드스케이프 자료 수집 황토 재료의 역학적 성질 정립 - 전통건축 사운드스케이프의 인 해외기관과의 상호 정보교류 및 협력프로그램 식에 관한 조사 구축 개발된 전통건축 음향기술의 적 절성과 경쟁력을 검증하기 위한 개발 요소기술의 적절성과 경쟁력 검증을 위한 성능 및 기술 평가 성능 및 기술평가 - 흡음성능 평가 개발요소기술 용도 확장 검토 및 현장적용 테 개발 요소기술 용도 확장 검토와 스트 현장 적용 테스트 다양한 전통재료기술 발굴 및 활용방안 모색 목재,한지 등 다양한 전통재료기 흙 기반 경량골재를 이용한 황토재료 개발 술로의 확장 황토재료의 인장균열저항 성능 향상을 위해 전통건축 공간의 음향 특성 연구 목질계 섬유가 혼입된 재료의 성능평가 및 통합정보 D/B 구축 개발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시스템 개발 흡음, 차음, 확산기술의 적용을 황토재료 구조부재 역학적 거동평가 통한 전통건축재료의 음향적 활용 - 보와 기둥의 압축, 휨 및 전단거동 평가 가능성 확대 - 접합부 거동 평가 현대건축에의 전통건축재료 요소 황토재료 중저층 구조시스템 개발 기술 적용 -경량스틸과의 혼용을 위한 건식구조시스템 개발 실내 음향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 황토재료 중저층구조용 프리캐스트부재개발 는 친환경(자연형)건축 시스템개발 -구조용 프리캐스트 황토판넬의 개발 개발 음향분야 요소기술을 적용 한 친환경 건축 단위 공간 및 평 개발요소기술을 적용한 보급형 건축단위공간 면 공간 개발 및 실용화 기술 및 평면공간개발 및 실용화 기술 실내 음향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 친환경건축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는 친환경 건축 시스템 개발 및 전통재료를 이용한 중, 저층 구조물 실용화 실용화 -구조용 프리캐스트 황토판넬 생산시스템 고착 선행 개발 기술 통합을 통한 친 구조설계기준 및 시방서 제시 환경 건축 단지 개발에 참여 204

연구결과 Ⅱ 단계 내용 1단계 (2007-2009) 2단계 (2008-2011) 3단계 (2009-2012) 4단계 (2011-2016) 재료의 특성규명 - 열환경 및 에너지성능 흙마감 기술개발 - 공법기술 흙 건축재료 제품,적용현황 및 활용가능성 검토 - 문헌자료, 국내외 현황 및 사례 검토 - 일반인 및 전문가 집단의 인식조사 열/공기 환경, 에너지성능 관련 흙 건축재료 자 체 물성 측정 - 흙 건축재료 유형분류 - 측정 대상 물성 설정 및 측정, 시험방법 도출 열환경, 에너지성능 관련 물성 : 열전도율, 비 중, 비열, 조습력, 탈취력, 원적외선방사율, 기타 공기환경관련 물성 : 포름알데히드 배출강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강도, 휘발성유기화합물 질(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배출 강도, 라돈 배출강도, 기타 - 시편제작 및 공인시험기관을 통한 물성 측정 - 무기질(시멘트벽돌, 시멘트모르타르, 콘크리트 등) 건축재료와 비교 분석 열/공기 환경, 에너지성능 관련 흙 건축재료 자체 물성 데이터베이스화 흙 건축재료, 무기질 건축재료 적용한 공법별 축소 시험체 제작 - 실험실 환경 하에서 입방형 축소실험체 제작 - 열, 공기환경, 에너지성능 측정 열환경(온도, 습도, 복사온도 등) 및 공기환경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등) 측면 에서의 상호 비교 분석 계절별 에너지성능 측정 및 전열해석 비교분석 벽체 공법별 친환경 구체 단열 재료 및 시스템 전통건축재료의 공법적 활용 가능성 에 대한 규명 - 문헌자료 검색 및 해외사례 검토 - 국내시공사례에 대한 조사 전통건축기술의 공법 유형, 구법, 가 설 특성연구와 품셈/일위대가 등의 기 준을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 건통건축의 구법 연구 - 벽체-기둥간의 구법 및 마감 - 바닥-벽체간의 구법 및 마감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건축 재료 및 공법의 적절성 연구 - 전단, 압축, 접착강도 특성 현대적으로 활용가능한 전통건축공 법에 대한 원가분석 및 경제성 평가 연구 개발요소기술의 용도 확장과 실험적 기술 개발 연구 Test - 조적공법 적용시의 벽체 단열 재료/시스템 - 다짐공법 적용시의 벽체 단열 재료/시스템 열, 공기환경 및 에너지성능 향상을 위한 공법 별 구체 부위별(벽체, 바닥, 기타) 적용재료 선정 접착, 압축, 전단 보강 기술의 적용 및 조합 을 통한 전통건축 재료공법의 건축적 활용가능성 확대 현대건축에의 전통건축재료공법의 요소기술 적용 공법별 구체 부위별 적용재료 조합별 성능평가 - 열쾌적, 에너지성능 해석 - 경제성 및 시공성 평가 공법별 바닥복사난방 효율 극대화를 통한 성능 최적화 바닥구조체 설계/시공기술 개발 공법별 성능 최적화 벽체 설계/시공기술 개발 타 세부과제 연구결과와의 통합화 방안 마련 및 각 요소기술 통합 적용한 테스트베드형 성능 실증 모델(목업모델 혹은 축소모델) 구축 - 통합성능 실측, 분석 및 미비점 수정 보완 - 통합성능 데이터베이스화 실용화 제품 및 시스템 개발 완료 - 공법별 부위별 구체 설계/시공기술 - 공법별 부위별 구체 단열 재료/시스템 기술 통합 기술보급도구 작성 - 도면, 시방서, 시험성적서, 성능 데이터베이스 실내 주거환경 향상을 위한 친환경 건축마감 기술 및 시스템 개발 재료공법분야 요소기술을 적용한 친 환경 건축 단위부재 및 설치 공법 실용 화 실내외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선행개발기술의 통합 및 관련 현대 기술의 융합화를 통한 실용기술 제시 실제로 개발기술의 타당성과 활용성 을 확인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 단지 개발에 참여 205

최종보고서 다. 활용가능성 - 장기개발계획 및 실용화 단계 내용 장기개발계획 및 실용화 1단계 (2007-2009) 전통건축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도시 경관 연구 - 건축물의 용도별 기능별 친환경 전통건축재료의 적용 방법 - 전통기술 유형,디자인,기법 분류 및 특성 연구 - 단지규모에서의 친환경 전통건축재료의 적용 방법 - 도시차원에서의 친환경 전통건축재로의 적용 방법 단지 구축을 통한 실제 적용 - 요소기술 통합 설계기법과 실험적 검증 및 현장적용성 - 시범지역 적용과 평가 친환경적 의의 및 문화적 가치 - 선진 연구소와 협력연구 - 캐나다 - 서양전통건축과 비교학적 연구 2단계 (2008-2011) 3단계 (2009-2012) 4단계 (2011-2016) 개발요소기술의 용도확장 검토 및 현장적용 테스트 - 전통건축재료의 용도기능별 친환경 성능 및 적용 - 도시/단지규모에서의 개발 요소기술 용도확장 및 현장적용 테스트 전통건축단지 구축을 통한 활용방안 - 다양한 전통재료기술의 적용 및 활용 - 전통건축 재료의 복합적 활용성 분석 및 평가 친환경적 의의 및 문화적 가치 - 선진 연구소와 협력연구 확대 개발요소기술을 적용한 보급형 건축 단위공간 및 평면 공간 적용 - 개발요소기술을 적용한 보급형 건축 단위공간 모델 적용 - 개발요소기술을 적용한 평면 공간모델 적용 - 단지/도시 규모에서의 경관 및 조경기법 구축 현대건축 및 도시단지의 적용 - 전통건축 및 도시단지의 현대적 적용 - 전통건축 및 도시단지 적용 사후분석 및 평가 한국의 친환경적 도시/ 단지 설계기법의 적용 - 한국의 전통건축과 친환경적 설계기법의 적용 - 도시/단지 설계기법 적용의 사후분석 및 평가 개발요소기술을 적용한 보급형 건축단위공간 및 평면공간의 실용화 - 실용화 제품 및 기준을 적용한 전통건축공간의 실용화 기술 - 선행 개발기술 통합을 통한 친환경 건축단지 개발 - 단지/도시 규모에서의 경관 및 조경기법의 실용화 전통건축 통합기술의 실용화 및 기술보급 - 국내 전통건축 통합기술의 실용화 - 국내 전통건축 통합기술, 실용화제품 및 시스템 보급 및 보급 - 해외 전통건축 기술 보급 및 실용화 206

연구결과 Ⅱ 3.1.2 2008 전통건축 친환경 건축기술 연구계획 분류 연구개발 내용 전통 건축 전통고문헌분석 디지털 DB구축 재료의 특성평가 재료의 특성규명 흙마감 기술개발 활용가능성 장기개발계획수립 및 실용화 기 타 전통 건 축 기 술 환 경 을 위 한 유 비 쿼 터 스 정 보 기 술 개 발 - 2007년 성과인 전통 건축 재료 문헌자료 확보 및 디지털 D/B 구축을 토 대로 하여, - 전통 건축 기술 정보의 체계적 수집 및 재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 축 - 전통 건축 기술을 위한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모델 수립 전통건 축기 술 의 요 소 추출 - 전통건축기술의 재료 / 구법 / 도구에 대한 연구 계속 - 흙 건축재료 적용에 따른 열, 공기환경 평가 - 흙 건축물 부위별 에너지성능 평가 1 차 년 성 과 실 용화 를 위 한 개 발 - 1차년 성과인 실내조절용 보드 공장 시제품 생산 및 성능 테스트 - 대량 생상을 위한 시스템 검토 전통 흙건 축 구법 을 응용한 현 대 적 흙벽 기 술 개 발 - 현대건축에 적용가능한 PC형 흙벽체(외부 패널) 개발 - 벽체 디자인 변화에 따른 소음 차단 재료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벽체 개발 전통건 축재 료 를 이 용한 제 품 개 발 - 도시하천, 해양등 활용될 수 있는 구조물 (인공어초, tetra-pod)개발 흙건 축 설 계기 법 연 구 - 국외 흙건축 사례 분석 및 설계 방향 연구 전통건 축재 료 현 대 화 기 술 실 용화 - 협력기업을 통한 구조용 흙 건축재료의 제조공정 확립 및 대량생산 시스 템 구축 - 비구조용 재료(미장재)의 바이오 기술 접목을 통한 미비점 보완 및 대량 생산 시스템 구축 - 흙 건축재료에 의한 흙 건축물 실증 실험 (pilot test) - 해외(미국/ 유럽/호주) 시장 진출 전통건 축 기 술 을 활 용한 친 환 경 도 시 경 관 연 구 - 건축물의 용도별 기능별 친환경 전통건축재료의 적용 방법 - 전통기술 유형,디자인,기법 분류 및 특성 연구 - 단지규모에서의 친환경 전통건축재료의 적용 방법 - 도시차원에서의 친환경 전통건축재로의 적용 방법 단지 구축을 통한 실 제 적 용 - 요소기술 통합 설계기법과 실험적 검증 및 현장적용성 - 시범지역 적용과 평가 친 환 경 적 의 의 및 문화 적 가 치 - 선진 연구소와 협력연구 - 캐나다 - 서양전통건축과 비교학적 연구 협 력 체 계 구축 - 해외 연구소와 교류 프로그램 착수 : 연구원파견 - 국내기업과 해외 기업간 교류 프로그램 진행 - 전라남도와 21c 새로운 한옥 개발 교류 진행 - 국제 심포지엄 및 전국단위 워크샵 상시화 체제 구축 207

최종보고서 3.2 흙기반 단지도시 적용 3.2.1 연구개요 1) 연구목표 및 방향 가. 연구목표 전통과학기술과 지역전통문화의 발굴 및 개발을 통한 활용 나. 연구방향 - 전통과학기술 실용화를 위한 일단계 작업으로 전남지역의 전통기술 의 발굴 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진행 - 전남지역에서 적용 가능한 개발계획 예정지를 Test bed로 하여 지역의 전 통기술과 자연자원, 역사, 문화 등을 활용한 장기 개발계획 구상안 제시 - 일반 용역사업과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접근, 즉 전통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 굴과 계승을 최우선으로 반영하는 미래지향적 지속가능한 개발계획안 수립 을 주목적으로 연구 추진 1) 연구대상지 및 방법 - 본 연구의 Test Bed는 전남 영암군 월출산 주변지역으로 선정 - 개발계획안의 구상은 선정된 대상권역으로 하되, 도입테마 및 장소의 적정 성에 대한 검토는 전라남도 및 영암군 전역에 걸쳐 포괄적으로 실시하고 개 발 구상안을 제시토록 함 영암읍 전라남도 영암군 대상권역 국도13호선 계획대상권역 군도 7호선 월출산국립공원 인공암벽등반경기장 208

연구결과 Ⅱ 2) 연구진행 전라남도 영암군의 일반현황 조사 Test Bed 주변지역에 대한 개발여건 분석 전남, 영암군, 대상권역에 대한 기존계획안 검토 1 단 계 연 구 완 료 도입 가능한 계획테마에 관한 사례조사 지역자원 및 전통기술과의 관련성 및 도입테마의 활용가능성 분석 대상권역의 공간구성 및 계획이미지 검토 월출산 주변 개발계획 기본구상안 제시 2 단 계 연 구 개발계획 테마별 기본계획 및 도입프로그램 제안 기본 및 실시설계 209

최종보고서 3.2.2 일반현황 및 여건분석 1) 입지 및 접근체계 가. 입지여건 - 영암군은 서울에서 413km, 부산에서 322km 떨어져 위치하며, 한반도 서남 단, 전남 서해안 중앙에 동서로 길게 자리(동서 45.8km, 남북 32.4km) - 동측은 장흥군, 남측은 해남 강진군, 북측은 나주시, 서측은 목포시와 접 하는 등 서부와 남부해안과 북동부 내륙을 연결하는 위치에 자리 - 대상지는 목포에서 약 29km, 광주에 서 42km 지점 내륙지역에 입지 - 수도권과는 떨어져있으나 인접 시군이 많아 주변과의 지역적인 교류 및 연계성은 양호한 위치임 - 동서로 긴 형태의 영암군은 남동쪽 경계지역에 월출산, 북서부에는 영산 강이 자리하고 있어 자연적인 입지조건에 따라 지역별로 분할, 차단된 공간 구성이 나타남. 나. 접근체계 - 영암까지 직접 연결되는 철도, 항공 등의 접근수단이 없음 - 광주, 목포공항까지 항공편을 이용하거나 목포, 나주, 송정리역까지의 철도 이용 후, 버스환승으로 접근 - 버스로의 접근은 호남, 남해, 서해안 고속도로를 이용한 후 13번이나 2번국 도로 연결하는 방식이 일반적인 접근경로임 - 현재로는 직접 영암으로 연결되는 교통체계는 수립되어 있지 못해 신속하고 쾌적한 접근은 어려운 실정임. - 단 광주-완도간 및 목포-광양간 고속도로 완공시 접근성 향상이 기대됨 - 도로망 이용시 예상소요시간은 서울에서 5시간, 대전에서 3시간(261km), 부 산에서 4시간 등이며 목포에서 약 30분(47km)이 소요됨 - 국도 2호선이 동서간(목포-장흥), 국도 13호선은 남북간(광주 나주-강진 해 남)의 지역연계를 담당하고 있음. - 본 대상지역은 영암읍과 인접지역으로 영암군 내에서의 접근은 국도 13 호선과의 연계를 통한 접근체계를 구축하여 양호한 상태임. - 단 타시군 등 외부에서의 접근성은 매우 취약한 실정임. 즉 철도, 항공, 고속도로를 통해 영암군으로 직접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기용 및 군 내버스 등을 이용한 국도, 지방도로로의 접근이 유일한 수단임. 210

연구결과 Ⅱ 2) 자연환경 분석 가. 기후 및 기상 - 영암군 일기일수는 관광활동이 가능한 맑은날과 흐린날의 일수가 138일로 연중 약 38%를 차지. - 연중 맑은 날보다 흐린 날이 더 많으며, 강수일 비중이 연 33%를 보임. - 월별 일기일수를 살펴보면, 3-6월, 9-11월까지는 맑거나 흐린 날이 많으며, 7-8월에는 강수가, 12-2월까지는 비나 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영암군의 일기일수 (단위 : 일) 구분 맑음 흐림 강수 서리 안개 눈 뇌전 폭풍 2001 74 100 131 48 23 30 13 12 2002 67 93 127 36 34 21 16 14 2003 71 121 143 30 21 21 17 16 2004 82 92 125 30 19 25 12 32 2005 54 84 132 11 10 47 14 10 1월 - 2 15 6-17 - 1 2월 3 8 14 6 2 10-2 3월 9 5 12-2 5-4 4월 10 5 9-1 - 2-5월 6 5 6 - - - 1-6월 4 8 8-5 - 3-7월 1 14 19 - - - 2-8월 1 11 18 - - - 4-9월 1 13 7 - - - 1-10월 11 6 5 - - - - - 11월 8 4 4 2 - - 1-12월 - 3 15 5-15 - 3 - 연평균 기온은 13.5, 일조시간은 2133.5시간(2005년 기준) - 2005년 강수량은 1002.7mm, 태풍의 영향으로 강수량의 변화가 많음 - 야외활동에 적합한 봄과 가을에 기상조건이 양호. 평균기온은 10.3, 동 절기 최저기온은 -3 정도로 연중 야외활동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 - 12-2월까지의 동절기에 눈과 서리가 많으며(40% 내외), 하절기인 7-8월 에는 강수일수가 높음(65% 내외) - 월별 기후변화가 매우 뚜렷하며 다양한 일기현상이 있는 지역임(월출산 과 영산강을 끼고 있는 지역으로) 나. 지형 및 지세 - 남동쪽에 월출산이 천황봉(809m)을 최고봉으로 구정봉, 사자봉 등 많은 봉 211

최종보고서 우리를 일으키면서 기암절벽을 이루는 외에 국사봉(613m) 흑석산(650m) 주지 산(491m) 등이 있 음 - 월출산의 줄기에 밤 재 감재 도갑재 등이 있어 장흥 강진 해남 으로 연결되고 있 음. - 군의 북서부에 영산강 하구가 해안과 접하고, 삼포강 영암천 도갑천 송계천 등 작은 하천들이 영산강으로 흘러들어 좁은 평야를 형성하고 있음. - 해안선은 복잡하며 나불도, 외도 등 섬들이 있으나 지금은 영산강 하구둑 건설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음. - 영암군 북측과 서측은 비옥한 평야지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남쪽과 동쪽 으로는 월출산을 맥으로 하는 산악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남고북저형 지대를 이루고 있음 다. 수목현황 및 생태환경 - 영암군의 수목은 침엽수가 56%(805,765m2), 활엽수가 15%(214,437m2), 온 효림이 28.9%(415,846m2)로 나타남 - 영암읍 또한 침엽수가 110,640m2로 전체의 55%를 차지. - 침엽수가 많은 영암군은 겨울철 푸르름 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녹지관련 관광활동 및 시설 조성에 유리함을 보유. - 월출산 국립공원지역에는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이 분포. 영암군권역은 생 태자연도 3등급의 양호한 생태환경조건임. 3) 인문 사회환경 분석 가. 영암군의 연혁 선사시대 - 영암에는 선사시대, 즉 청동기시대 때부터 집단으로 거주. - 특히 장천리 선사주거지와 900여기에 달하는 고인돌 세형동검과 (전)구림출 토 청동기 용범(국보) 등의 유물에서 당시 고도의 문화집단이 거주하였던 지 역임을 알 수 있음. 삼한시대 - 마한 중심나라 목지국의 최후 중심권이 이곳으로 54국 중 월지국으로 추정 됨. 기원후 1-5세기까지 대형옹관고분문화라는 독특한 영산강 유역문화를 창조하였고, 옹관제조기술은 옹기 제조기술의 바탕이 되었음. 212

연구결과 Ⅱ - 대형옹관고분 100여기가 분포. 시종 내동리 쌍무덤은 3세기의 것으로 일본 의 전방후원분 형성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음. 삼국시대 - 백제국의 월나군이라 칭해진 것으로 전해옴. - 왕인박사가 AD 405년 일본 응신천황의 초청으로 일본에 건너가 아스카문화 의 비조가 되었음. 중국과 일본 등의 국제 교역항으로 상대포가 있었으며 왕인이 일본으로 건너갈 때, 신라말 최치원, 최승우, 김가기 등이 당나라로 갈 때도 이곳을 이용하였음. 영암-흑산도 앞바다-산동반도로 가는 해로가 오래전부터 이용되고 있었던 문헌 기록이 있음. 통일신라시대 -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년) 영암군으로 개칭. - 구림토기요지는 시유도기문화의 발상지이며, 해남의 녹자, 강진 청자 제조기 술의 원동력이 되었음. 월출산 천황봉 소사터에서는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 는 천신제를 지내왔다고 전해 내려옴. - 선승 도선국사(826-898년)의 풍수지리설은 고려 건국이념의 기초가 됨. 후삼국시대 - 후백제 견훤왕과 고려 태조 왕건이 해상권 장악을 위한 최대의 격전지로서, 칼을 갈기 위해 숫돌을 파내어 생긴 여석산 천지 등을 볼 수 있음. 고려시대 - 성종 14년(995년)에 안남도호부의 하나인 낭주로 되었다가 현종 9년(1018 년) 다시 영암으로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음. - 별박사 최지몽 (907-987)이 유학과 천문학으로 고려건국과 왕조의 안정에 기여하였음. 우리나라 최대의 마애불 월출산 마애여래좌상(국보)과 1009년 에 건립된 성풍사지 5층 석탑,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등에서 영암의 불교문 화가 융성하였음을 알 수 있음. 우리나라 3대 해신당의 하나인 남해신사에 서는 고려 현종때부터 국조오례의에 의하여 해신제를 지내왔음. 조선시대 - 행정구역은 완도의 청해진, 남으로 보길도, 추자도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관할하였으며 1409년 진도가 진도군으로 분할되고 삼산면, 옥천면, 화원면 일대가 해남으로 편입되었으며, 1896년 보길도, 추자도가 완도군으로 북평 면, 송지면 등이 해남군으로 이속되고, 나주에 속한 시종ㆍ신북면 일부와 금 정면이 영암군으로 편입됨. - 인구는 1423년에 1,229명(세종실록지리지), 1789년에 29,288명(여지도서) 으로 기록되어 있음. 향약을 기초로 한 구림대동계는 1565년에 창립되어 향 약적 지방의 질서를 확립. 문학으로 오한 박성건의 금성별곡, 삼당시인 고죽 최경창, 연촌 최덕지 선생과 학성군 김완장군 등 수많은 명인을 배출. 영암 인 악성 김창조 선생은 민족정서를 승화시킨 불후의 명장 가야금산조를 창 시하고 한성기, 김죽파, 김병호 명인을 배출한 산조음악의 본향. 대한민국 - 1979년 영암면이, 2003년 삼호면이 읍으로 승격 2읍 9면으로 오늘에 이르 213

최종보고서 고 있음. 우리 영암은 1965년 141,489명이 거주하였으나 이농현상과 학군 등으로 1995년에는 62,400명까지 줄어들었으며, 현재 인구수는 65,699명으 로 증가 추세임. 1988년 월출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됨. 나. 인구 및 행정구역 - 영암군 인구는 63,019명, 세 대수는 25,069 가구 구성 - 외국인 인구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 내국인 인구는 점차 감 소 - 65세 이상 고령자는 지속적 증가, 세대당 인구수는 점차 감소 - 성별구성비는 비교적 고른 분 포로, 20대 미만의 비율은 23.1%로 가장 높으며 20대 청년층의 비율은 12.9%로 다소 낮게 나타남. - 행정구역상 2개 읍과 9개 면, 361 개의 행정리와 12 개의 법정리, 705 개의 반으로 구성. 면적은 565.819k m2 - 계획대상지역인 영암읍은 면적 59.53km2, 38리(행 영암군 행정구역별 면적 정리, 법정리 16개), 114반으로 구성 다. 토지이용 및 산업 - 토지이용은 농업용지 40.53%(229.4km2), 임야 41.93%(237.2km2), 도시용지 9.03%(51.1km2), 기타 8.47%(47.9km2) 등으로 구성(2005년 통계) - 군 전체의 토지면적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임야는 소폭 감소, 택지 및 공공용지 등 도시용지는 증가. - 녹지면적은 1.064km2, 1인당 녹지면적은 16.9(m2/인)으로, 타시군보다 월등 하게 높음 - 산업은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911개소)이 가장 많으며, 숙박 및 음 식점업(667개소)과 기타공공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593개소)의 순으로 나타 남. - 종사자수는 제조업(12,222명)이 가장 많으며, 교육 서비스업(1,985명), 도 214

연구결과 Ⅱ 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 (1,801명)등의 순으로 나타남. 라. 공원 및 문화재 공원 - 공원은 41개소로 총면적은 약 43km2이며, 자연공원인 월출산 국립공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92%로 대부분을 차지 영암군의 토지이용 면적 - 2003년 이후 도시공원인 어린이공원과 근린공원의 수와 면적이 증가 - 월출산 국립공원 1개소(39.72km2, 영암군 면적)과 도시공원 42개소가 존재. 도시공원에는 도시자연공원 4개소(1.857km2), 근린공원 18개소(1.937km2), 어 린이공원 20개소(0.059km2) 문화재 - 영암군에는 국가지정문화재 26개, 지방지정문화재 38개, 문화재자료 15개 등 총 79개의 문화자원이 존재 영암군 소재 국가 및 지방지정문화재 지정 현황 총계 국가지정문화재 지방지정문화재 계 유형 수 계 유형 수 국보 2 유형문화재 9 보물 9 무형문화재 1 79 26 사적 1 38 천연기념물 1 민속자료 8 중요민속자료 13 기념물 21 문화재자료 15 분류 명칭 사진 소재지 군서면 도갑리 8. 사찰건축 도갑사 월출산에 있는 절로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었 도갑사 해탈문 다고 하며 고려후기에 크게 번성했던 사찰. 도선국사 (국보 제 50호) 가 지은 것으로 해탈문과 도갑사의 정문을 알리는 현 국보 판이 걸려있다. (2)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국보 제 144호) 영암군 국가지정문화재 현황 영암읍 회문리 산 26-3. 마애불(부동산) 월출산 구정봉 서북쪽 암벽을 깊게 파서 자리를 만들 고 높이 8.6m로 만든 불상. 오른쪽에 86cm의 동자상 이 조각되어 있음.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초기의 작 품으로 추정 보물 (9)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보물 89호) 군서면 도갑리 8 도갑사. 석불(부동산) 도갑사 미륵전에 모셔있는 석조불상. 몸체와 광배( 光 背 )가 하나의 돌로 조각되어 있어 마치 바위에 직접 불상을 새긴 마애불과 유사하다. 고려중기의 작품 215

최종보고서 중요 민속 자료 (13) 최덕지 영정 및 유지초본 (보물 594호) 성풍사지오층석탑 (보물 1118호) 도갑사 소장동자상 (보물 1134호) 월출산 용암사지 3층석탑 (보물 1283호) 김완영정 (보물 1305호) 엄길리 암각매향명 (보물 1309호) 도갑사 도선수미비 (보물 1395호) 도갑사 오층석탑 (보물 1433호) 최성호 가옥 (중요민속자료 164호) 김함의 묘 출토의복 (209호) 누비직령포 (209-1호) 덕진면 영보리 297-1. 초상화 조선전기 문신이자 학자인 최덕지의 초상화 원본과 초 본. 비단바탕에 채색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53cm, 세로 74 cm. 조선시대 초상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당시의 표현방식 및 기법, 복색 등을 알 수 있다 영암읍 용흥리 533-1. 석탑. 성풍사터에 서있는 탑으로 기단을 2단 두고 5층의 탑 신을 쌓아 올려 만든 것으로 고려 목종 12년(1009)에 세워짐. 군서면 도갑리 8 도갑사. 목불 신라말 도선이 창건한 도갑사 해탈문 안에 있는 목조 동자상임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있는 두 동자상은 높이 1.8m가 량이고, 앉은높이가 1.1m 안팎으로 크기와 조각기법이 유사함 영암읍 회문리 산 26-8. 석탑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 있는 용암사 중심 건물터 남동 쪽에 있는 탑으로 일명 탑봉 이라 불리는 바위 위에 세워져 있다. 2단의 기단 위로 3층의 탑신을 쌓아 올 린 형태이다. 서호면 화송리 159. 초상화 김완장군의 영정그림으로, 높이가 낮고 뽈이 넓으며 둥근 오사모에 단령의 정장관복본을 입고 공수자세를 취한 채 앉아있는 전신교의좌상임. 조선 인조 서호면 엄길리 85. 석비 철암산의 자연암반에 새겨진 암각매향명. 주변 서호면 청용리, 장천리 일대의 지석묘 발굴조사 당시 확인되 었으며, 21행 118자가 음각되어 있다. 조성시기는 1344 년으로 국내 현존매향비 중 가장 연대가 오래됨. 군서면 도갑리 8. 석비 도선국사와 수미대사를 추모하는 비석으로, 석비는 거 북받침돌과 비몸, 머릿돌을 갖춘 일반적인 모습임. 조 선 인조(1636)부터 효종(1653)까지 17년이나 공을 들여 세운 비로, 비몸 표면에는 약 1,500자의 글자를 새겨져 있다. 군서면 도갑리 8. 석탑 도갑사 대웅보전 앞에 있음. 고려시대 석탑의 형식을 잘 나타내고 있는 예로서 균제되고 정교한 기법은 사 라졌으나 전체적인 규모에서 매우 안정감이 있다. 조 성연대는 고려초기로 주정됨 덕진면 영보리 294-1. 가옥 조선후기 전형적인 남도 부농의 집으로 19세기 말에 지어짐.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헛간채가 사방에 배치 되어 작은 규모이지만 짜임새 있는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학산면 학계리 산 2. 복식 조선시대 무신인 김함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이 유물 은 당시 장례풍속을 연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임진 왜란 당시의 의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 학산면 학계리 산2 복식 검은빛을 띤 푸른색의 겉감에 흰색무명의 안감으로 됨. 흰색무명의 겉감에 검은빛의 푸른색 안감인 것이 있음. 동정과 고름이 있고 흰색 넓은 끝동이 달려있다. 216

연구결과 Ⅱ 직령포 (209-2호) 저고리 (209-3호) 중요 민속 자료 (13) 모자 (209-4호) 내친고 (209-6호) 부들신 (209-8호) 속곳 (209-5호) 누비버선 (209-7호) 이불 (209-9호) 천연 기념 물 (1) 사적 (1) 주 (209-10호) 서면의 느티나무 (천연기념물 283호) 구림리 토기요지 (사적 338호) 제웅 (209-11호) 군서면 월곡리 747-2 외 7필. 노거수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1m, 둘레 7m이다. 마을사람들의 단합과 문화생활의 중심 적 역할을 해왔을 뿐만 아니라, 오래된 나무로 서 생물학적 보존가치도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군서면 서구림리 320 외. 도요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옮겨가는 전환기 의 가마터로, 위치한 왕인박사유적지 입구에서 남송정 마을로 들어가는 구릉에 있다. 반지하식 으로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됨. 구분 지정번호 명칭 소재지 지방 유형문화재 (9) 지방민속자료 (8) 지방기념물 (21) 영암군 지방지정문화재 및 문화재 자료 현황 제 66호 학계리 석불입상 학산면 학계리 368 제 149호 월곡리 마애여래좌상 군서면 월곡리 제 150호 도갑사석조 군서면 도갑리 8 제 152호 도갑사 수미왕사비 군서면 도갑리 8 제 176호 도갑사 도선국사진영 군서면 도갑리 8 제 177호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군서면 도갑리 8 제 183호 녹동서원 목판 및 고문서 영암읍 교동리 356 제 259호 망월사 석불좌상 신북면 이천리 159-1 제 284호 영암 부춘정 영암읍 망호리 206 제 3호 월곡리 전씨고택 군서면 월곡리 554-2 제 14호 현종식 가옥 학산면 학계리 117-3 제 16호 집영제 학산면 은곡리 142-1 제 17호 쌍계사지 석장생 금정면 남송리 산 18-2 제 18호 죽정리 국장생 군서면 도갑리 144-4 제 19호 소전머리 황장생 군서면 동구림리 제 20호 메밀방죽옆 장생 군서면 동구림리 산 58-1 제 35호 조종수가옥 군서면 서구림 산 332 제 3호 월출산 영암,강진일원 제 20호 왕인박사 유적지 군서면 동구림 산 18 제 40호 김완 장군묘소 및 신도비 시종면 만수리 205-4 제 49호 구고사 및 김완장군 부조묘 서호면 화송리 162 217

최종보고서 문화재자료 (15) 제 71호 전씨충효문 서호면 장천리 554 제 82호 엄길리 지석묘 서호면 엄길리 375-1 제 83호 내동리 쌍무덤 시종면 내동리 579-1 제 84호 장동방 대형고분 시종면 옥야리 159-2 제 97호 남해당지 시종면 옥야리 930 제 98호 장천리 선사주거지 서호면 장천리 378 제 103호 장암정 영암읍 장암리 496 제 104호 영보정 덕진면 영보리 296 제 105호 영팔정 신북면 모산리 403 제 108호 삼충각 신북면 갈곡리 583 제 109호 장동사 서호면 엄길리 472 제 144호 금계리 고분군 학산면 금계리 1290 제 182호 양장리 곰솔 군서면 양장리 485 제 190호 봉호리 자라봉 고분 시종면 태간리 747 제 191호 금강리 금산 고분 덕진면 금강리 864-8 제 197호 영암 사자사 목탑지 영암읍 개신리 산 89-1외 제 229호 학계리 지석묘 학산면 학계리 368외 2 제 79호 도갑사 군서면 도갑리 8 제 126호 영암향교 영암읍 교동리 352-2 제 139호 시종 신연리 고분군 시종면 신연리 251-3 제 140호 시종 옥야리 고분군 시종면 옥야리 597-1 제 145호 시서영정 덕진면 금강리 500 제 149호 문창집가옥 영암읍 장암리 612 제 160호 열무정 및 사포계문서 영암읍 동무리 62 제 181호 정원명석비 군서면 동구림 458-1 제 189호 채지리 선덕매향비 미암면 채지리 산 203 제 198호 구림대동계 문서 군서면 서구림 329 제 210호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삼호읍 용당리 1841-1 제 226호 금지리 본촌고분 시종면 금지리 890-7 제 227호 남산리 마봉고분 미암면 남산리 산 5-39 제 236호 고반재 및 소장 고문서 일괄 서호면 청용리 717 제 247호 영암 이우당 덕진면 노송리 302-1 3.2.3 지역자원 및 관련사례조사 1) 영암군의 지역문화 및 관광자원 가. 유형별 지역문화 및 관광자원 산. 사찰 월출산 - 월출산은 달뜨는 산( 月 出 ) 이라는 이름을 가진 한반도 최남단의 산악형 국립공원으로.천황봉(809m)을 중심 으로 산 전체가 수석의 전시장이라 할 만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 물 약 700종, 동물 약 800종이 서식 하고 있으며, 오랜 세월 암석지형에 적응해 온 생태적인 독특성과 난대림과 온대림이 혼생하고 있어 호남의 소 금강이라 불림. 218

연구결과 Ⅱ 은적산 - 월출산의 노출된 기암과는 대조적으로 작은 산들이 완만한 능선으로 연결되 어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형세의 산이다. 국사봉 - 국사봉은 영암에서 아기자기한 아름 다움을 지니고 있는 산이다. 전형적 인 육산으로, 정상에는 억세 군 락이 있고 바위지대는 전망대 구 실을 하는 조망이 뛰어난 장소이 다. 도갑사 - 월출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월출산 지역에 서 가장 규모가 큰 절이다. 원래 이곳은 도선 국사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문수사라는 절이 있던 터로 이곳에 신라 말에 도갑사를 지었다 고 하며, 고려후기에 크게 번성했다고 전해진 다. 천황사 - 월출산 동쪽 사면에 위치한 사찰로 북동쪽으로는 사자봉(408m)이 올려다 보이며 절 주변 가파른 산사면 중에서도 다소 평탄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영암읍의 평야지대가 내려다보이며 주위는 월출산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 박물관, 전시관 도기문화센터 - 시설규모 : 4,857평(부지), 770.28평(전시관) - 한국도기의 역사성을 보여주는 전시실 과 영암의 붉은 황토를 이용하여 손으로 빚어 만드는 영암도기 생산공방이 있음. 특히 전통 고가마 영암요와 전통공방이 있어 한국 전통도기의 중심이 되고 있음. 그 외 영암도기 판매장 뮤지엄샵, 강의 실, 야외공연장 등이 구림전통마을과 함께 어우러져 있음. 주거변천사 야외전시장 - 우리나라의 주거문화 변천사를 단장 해 놓은 곳으로, 동굴집과 움집에서 삼국시대의 토담집, 조선시대의 초가 집에 이르기까지 영암지방의 주거문 화 변천과정이 전시. 영산호 농업박물관 219

최종보고서 - 규모 : 9,000평(부지), 1,250평(연건평) - 영산호 국민관광지 개발과 더불어 세워 진 농업 관련 전문박물관. 전라남도 의 전통농경문화 유산을 수집 보 존 전시하는 곳으로, 영산강 개발 실, 생활문화실, 농경문화실, 농업 기계실 등 상설전시실과 야외전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적지, 고분군, 전통마을 왕인박사 유적지 - 문필봉 기슭에 백제 학자인 왕인박 사의 자취를 복원해 놓은 곳으로, 집 터인 성기동과 성천, 유허비가 남아 있다. 1987년 준공. - 주요 문화재로 왕인묘, 유허비, 왕 인석상, 책굴, 문산재, 양사재 등이 있으며, 특히 일본인들의 방문이 많 다. 벚꽃이 만 개하는 매년 4 월에 왕인문화 축제 가 개최되 고 있다. 장천리 선사주거지 성천(우물) 책굴(박사 공부장소) - 청동기시대의 집자리 유적으 로, 장천리 괴음마을 앞 도 로변에 자리에서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지름이 4 5m 크 기의 원형 움집을 짓고 살았 다. 움집은 땅을 30 50m정도 파고 내부바닥은 진흙으로 다졌으며 벽을 따 라 기둥을 세우고 풀이나 갈대로 지붕을 만들었다. 집의 면적은 약 12 20 m2로 4명에서 5명 정도의 가족이 모여 생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원형 내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중앙에 얕은 구덩이가 있고, 바닥면 가장 자리에 기둥구멍이 마련되어 있는데, 화로터나 출입구가 없는 것이 특색이 다. 출토된 유물로는 항아리형 사발형의 무늬없는 토기, 화살촉 가락바퀴 삼 각형 돌칼 등 석기류가 있다. 현재 이곳에는 원형 움집 1채와 사각형의 움 집 1채를 복원해 놓았다. 원형은 원래 이곳에 있던 형태의 것이고 사각형은 중부나 북부지방에서 발견되는 움집을 비교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 유적 지 옆에는 발굴유물을 전시하는 전시관이 있는데 집안의 생활모습, 돌칼, 돌 화살촉 복제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고인돌이나 토기 만드는 방법이 그림으로 소개되어 있어.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문화권의 유적이다. 220

연구결과 Ⅱ 내동리 쌍무덤 - 영암은 31개군 102기에 달하는 옹관묘가 집중분포된 지역이다. 그 가운데에 서도 시종이 그 중심지로 23개군 88기가 군집되어 있는 가운데 특히 내동리, 신연리, 옥야리가 그 중심 에 속한다. 내동리쌍무덤은 시종면 내동리에 있는 매우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는 쌍무덤이다. 무덤에 대한 성격과 구조는 정식 학술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근처에 있는 초분골( 草 墳 谷 ) 고분 발굴 조사 결과 봉토내에 독무덤이 묻혀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마한시대의 지배계급 무덤으로 생각되며 이 쌍무덤도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신연리 고분군 - 시종면 신연리의 뒷 모실 마을 뒤쪽에 남북으로 활처럼 휘 어져 뻗어 내린 구 릉 정상부에 위치한 무덤들이다. 모두 15기의 무덤이 분포하고 있는데, 9호 무덤의 봉분 형태가 피라미드형으로 봉분 자락에 도랑을 둘렀다. 봉분 안에는 널무덤(토광묘) 3 기와 독무덤(옹관묘) 4기가 확인되었는데, 독무덤은 이음식, 합개식, 단옹식 이 사용되고 있다. 유물은 토기류, 철조각, 옥종류가 수습되었고, 봉분 바닥 에서는 무덤이 만들어지기 전에 지어진,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4기가 확인되 었다. 유물과 무덤 축조방법으로 보아, 이 무덤은 4세기 전반에서 후반사이 에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신연리 무덤들은 동일한 장소에서 시기가 다른 취락과 무덤이 겹쳐 조사됨으로써, 무덤축조에 따른 축조집단의 사상적 배 경을 생각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옥야리 고분군 - 옥야리 상촌마 을에 있는 구 릉에 있는 무 덤들로, 남해 포로 가는 옛 도로 양쪽에 분포한다. 모두 28기인데 4기의 독무덤(옹관묘) 과 후대의 무덤 2기, 그리고 1개의 구덩이가 발견되었다. 봉분의 형태는 긴 타원형이고, 영산강 유역 독무덤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봉분 자락에 도랑이 둘러져 있다. 14호 무덤은 흙을 파고 하나의 독무덤을 안치한 후, 봉토를 쌓은 단독장으로 소형 무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암 옥야리 무덤 들은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후반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림마을 - 삼한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역사를 지닌 구림마 을은 436년 전통의 대동계가 현존하며, 고려 청자와 조선백자의 시원이 되는 황토자기의 발상지이며 선사시대부터 이 고장에서 제작되 기 시작한 황토자기가 전국에 보급되었으며 221

최종보고서 해상을 통한 중국, 일본과의 교류를 시작한 여러 흔적들이 남아 있다. 또한 마을 곳곳에서 대규모의 가마터와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 마을내에는 유형 문화자원인 회사정, 국암사, 담숙제 등 12개의 누정과 전통가옥, 돌담, 고목 나무 등이 즐비하게 옛 그대로 남아 있다.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을 위해 매 년 올리는 당산제와 구림 대동계 등 민속문화자원이 전승되고 있다. 구림마 을의 '영암 도기문화센터'에서는 한국에서 가장 좋은 황토를 재료로 하여 12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구림도기를 한국적인 정서가 깃든 영암도기 로 재현하고 있다. 전시실, 체험실, 판매장 등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전국에 서 많은 관람객들이 모여들고 있다. 마한문화공원 - 영산강 유역에 산재한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마한문화공원은 안내센터, 고분 탐사관, 전망대, 휴게소, 남해당 등이 있음. 규모는 189,087m2 공원, 조망지 영암공원 - 군청 뒤편에 위치한 해발 48.5m 정도 의 평지 구릉에 약200여 구릉의 해송 군락지. - 영암공원은 풍수지리설로 여의주에 해 당하는 자리로서 어느 시대부터인가 단을 만들어 가뭄이나 전염병 또는 군 내에 어려운 일이 발생하였을 때에 군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유서 깊은 곳인데 일제 강정기에 단을 허물고 신사를 세워 참배를 강요하였 으며, 8.15광복이후 신사를 허물고 충혼탑을 세워 호국영령을 모시는 뜻 깊 은 곳으로 현재는 체육시설물 등을 설치 군민 휴식공간으로 널리 활용됨. 월출산 조각공원 - 천황사 지구에 국내유명 작가 20여명의 작품으로 꾸며져 있 다. 월출산을 배경으로 조성된 조각공원은 월출산의 산책로를 따라 5,000여m2의 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월출산과 영암의 정서를 담은 조각품이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 루고 있다. 영암조망지점 - 영암읍에서 금정면 여운재 (지방도819호)에 있는 쉼 터지점. 이곳에서 바라보 는 월출산의 경관과 영암 읍 시가지, 영보들녘 멀리 영산강 줄기에 비치는 서 해의 해넘이 광경은 지친 육체와 정신적 피로를 씻어내는데 좋은 곳으로 인 근의 활성산(498m)에 조성된 이백 여만평의 고산목장인 서광목장은 정상까 222

연구결과 Ⅱ 지 차량통행이 가능함. 유원지, 온천, 휴양시설 영산호 - 영산호는 농경지 4000ha와 용수로의 길이가 164km로 모터보트와 수상스키 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1981년 길이 4,350m 높이 20m 배수갑문 8개의 하구언이 완성되어 목포와 영암을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오로라 테마리조트 - 테마리조트(구 형진초원랜드)는 고속도 로와 전남도청에 인접한 서남권 중앙에 있는 종합 휴양지로, 휴양, 편의, 놀이, 숙박시설 및 음식점과 등산산책로 등이 있다. 월출산 관광호텔(온천욕) - 월출산온천은 600m지하 월출산 맥반석 암반대에서 분출하는 순수 천연 온 천수이다. 전객실에 24시간 나트륨과 게르마늄이 함유된 약알칼리성 온천수 를 공급하며, 남녀 약 1,500명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대온천탕은 매그넘탕, 히노끼탕, 유수기류탕, 약탕, 노천탕 등을 갖추어 쾌적하고 즐거운 온천욕의 진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레저 스포츠 아크로컨트리클럽 - 국내 최장거리 7.510yard 규 모의 골프장. 코스의 가장 큰 특징은 해발 330m에 위치해 골퍼들의 운동효과를 만족시 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라는 점과 지역의 평균 안개형성높이 280m 높이 보다 더 높아 안개없는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방조제 갈치낚시터 - 영암 삼호와 해남 산이를 연결하는 영암호방조제(2.2km)는 제방에 앉아 낚을 수 있는 전국 유일의 갈치낚시터이다. 동양최대 인공암벽등반 경기장(인공암장) - 월출산 천황사 지구에 있는 동양최대 규모의 인공암벽 등반경기장. 실내암 장높이 16m, 암벽길이 50m이상 170평. - 암벽 등반가를 비롯한 스포츠클라이밍을 배우려는 동호인들의 훈련장소로 제공되고 있어 산악인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산악계의 명소로 떠오른 곳이 다. 인공암벽등반은 자연암벽보다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난이도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어 흥미롭고 안전하다. 223

최종보고서 향교, 정자, 서원 영보정 - 연촌 최덕지(1384 1455) 선생이 관 직을 떠난 후 학문연구에 몰두하면 서 사위 신후경과 함께 지은 정 자이다. 현판은 한석봉이 쓴 것 이라고 전한다. 영보정은 일제 인공 암벽등반 경기장 시대 때 청소년들에게 항일구국 정신을 교육한 장소로 역사적 의미가 크며, 해마다 5월 5일에 풍향찰( 豊 鄕 察 )이라는 마을 축제가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영팔정 - 하정 유관(1346 1433)이 주위 경치 에 감탄하여 아들 맹문에게 시켜 1406년 지은 정자이다. 양팔정은 배 움의 장소로 오랜 세월동안 많은 인물 들을 배출하였으며, 마을 사람들이 모 임을 갖던 건물로 그 역사적 가치가 크다. 장암정 - 장암정은 장암 대동계에서 현종 9년(1668) 에 동약의 모임 장소로 지은 정자이다. 마을 유생들이 모여 향약을 읽으며 잔치를 하던 향음주례, 백일장, 회갑연 등과 나라의 행사 가 있을 때 쓰이던 곳이라고 한다. 장암정은 건축적으로 큰 특징은 없으나, 동약의 집회소로 남아있는 건물이 드물고, 조 선 후기 호남의 시골 생활사를 반영하는 기록들을 보관하고 있어 역사 자료 로 가치가 크다. 회사정 - 호남의 대표적인 웅장한 정자로 1646 년 박성오, 조행립, 현건 등이 구림대동 계의 집회장소로서 건립하였다. 그 후 강학, 여러 고을에서 찾아온 손님맞이, 경축일 때 행사 등의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 구림대동계는 1565년 창설되어 현재까지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는 호남의 대표적인 동계( 洞 契 )이고 회사정은 그 상징물이다. 그동안 대동계 자료는 강 수당( 講 修 堂 )에 잘 보관되어 있고 1609년부터 1747년까지의 동헌의 규약이 잘 보존되어 있다. 조선후기 호남지방 향촌사회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귀 중한 자료들이다. '회사정시'와 회사정 10경' 건물 왼쪽 한켠에는 말을 내리 고 매어두었던 하마석이 있고 회사정 정면 바로 앞에는 마을의 풍기를 문란 케하고 불효하는 등 마을의 규약에 벗어나는 사람을 훈계하며 매를 때릴 때 사람을 묶어놓았던 돌이 서있다. 구고사 224

연구결과 Ⅱ - 김완(1577 1635)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구고사는 장군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 진 집이며, 불에 타 1979년에 복원하였 다. 영암 향교 -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 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조선 세종 2년(1420)에 처음 지었으며, 임진왜 란과 1918년 화재로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세웠지만 한국전쟁으로 또 한 번 모두 불에 타서 없어지는 수난을 겪었다. 1951년 대성전, 1963년 학생들 의 기숙사인 동재 서재, 1969년 명륜당을 다시 세웠고, 나머지 건물들은 이 후에 차례로 지은 것이다. 교육공간과 제사공간을 동서로 나란히 배치한 특 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 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기능은 없어지고 제사기능만 남아 있 다. 녹동 서원 - 인조 8년(1630)년에 존양사( 存 養 祠 ) 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어,녹동이란 사 액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많은 고문서류와 목판 등이 보관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원생들의 명단을 적은 서원청금안 25책, 서 원서재유안 2책, 심원록 5책, 합경재보노안 3책 등을 비롯하여 통문, 완의, 노비기증문서 등의 낱장 문서가 있다. 이 유물들은 녹동서원 의 연혁, 조직과 운영, 경제기반, 유 생들의 명단 등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죽정 서원 - 1681년 박성건을 모시기 위해 세웠으며 그 후 박권, 박규정, 이만성, 박승원 등 이 봉안되어 현재는 모두 5위를 제향하고 있다. 1868년 폐쇄되었다가 1961년 중수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3칸짜리 맞배지 붕을 한 사당과 강당, 조양재영당, 화수정 등이 있다. 간죽정 - 죽정서원 바로 왼쪽에 있다. 장 수현감을 지낸 박성건이 구림에 터를 잡아 은거하면서 1479년 건립하여 학문수양처, 후학양성 처, 집회소등으로 이용하였다. 팔작지붕형태의 건물로 정자 안에는 박성건의 [금성별곡] 6장이 편액으로 걸려있으며 [간죽정기], [간죽정중수기] 등이 걸려있다. 정자에 오르면 멀리 225

최종보고서 월출산의 모습이 보이고 바로 앞에 개울이 흘러 시상이 절로 떠오르는 곳이 다. 영암군 문화 관광자원 분포 나. 주요 관광지 - 월출산 국립공원, 영산호 국민관광지, 성기동 국민관광지, 월출산온천 국민 관광지, 마한문화공원 국민관광지 등 총 5개 관광지가 있음. - 영암군 군서면에 위치한 성기동 관광지는 왕인박사유적지를 주요자원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1992년부터 매년 4월경 왕인문화축제를 개최하며 많은 방 문객을 유치하고 있음. 구분 관광지명 위치 지정일자 면적(km2) 주요자원 국립공원 월출산 영암 강진일부 88.06.11 56.100 월출산 국민 관광지 영산호 영암군 삼호면 83.10.10 0.543 영산호, 농업박물관 성기동 영암군 군서면 86.06.23 0.220 왕인박사유적지 월출산 온천 영암군 군서면 97.10.13 0.478 온천 마한문화공 원 영암군 시종면 03.07.28 0250 고분군, 남해신사 다. 관광코스 및 프로그램 - 영암군 관광코스로 개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관광여정에 따라 당일, 1박 2일, 2박 3일의 세 가지 코스가 있음 - 주요 관광코스는, 영암읍-천왕사지-월출산 도갑사-왕인박사 유적지-도기문 화센터-영산호-영산호농업박물관-월출산 온천 226

연구결과 Ⅱ - 방문시간에 따라, 월출산 국립공원 및 영암호 갈치낚시터에서의 정체와 영 보정, 영팔정 등 정자 그리고 가옥, 유적지, 선사주거지, 무덤 등을 주요 관 광코스로 선택 1일 관광코스 1박 2일 관광코스 2박 3일 관광코스 영암군 내의 관광코스(개발자원) 위치도 관광코스 라. 지역축제 무화과 축제 - 우리나라 무화과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영암군 삼호읍에서 무화 과가 생산되는 매년 9월 삼호읍민의 날 행사와 함께 무화과축제를 개최. 왕인박사 문화축제 -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문화축제. - 벚꽃이 만개한 4월, 월출산 왕인박사 유적지에서 韓 日 왕인의 후예들이 모 여 왕인박사 춘향대제를 시작으로 왕인박사 도일행렬과 도포제줄다리기, 정 동정호제, 장부질노래, 여석산쌍패농악등의 전통민속 놀이와 도전!천자문 250계단, 배움의 등달기, 학업성취 부적만들기, 학생왕인선발대회, 전국퀴즈 왕인 선발대회읍면 명가음식전 등 향토성 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됨 영보풍향제 227

최종보고서 - 산 좋고 물 맑아 옛부터 이어온 영보(미풍양속은 남도에서는 널리 알려진 곳 열두 동네를 하나로 묶어 영보라 함) 일찍이 학문을 숭상하고 불의에 굽 힐 줄 몰라 많은 문인 현사와 의병 열사가 배출한 곳. - 1931년 5월에는 이 고장 항일투쟁의 상징인 형제봉 만세운동의 발상지임. 매년 5월 5일을 영보의 날로 정하고 풍향제라 칭하고, 1979년부터 매년 개 최. 전국 100대 문화축제로 선정된바 있으며, 한국 최대백과사전에 수록되 어 있는 등 지역향토축제로 자리 매김하고 있음. - 영암군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는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 현재 270만 명을 넘어섰으며, 외국인 관광객수는 약 1만 3천명임. - 월별 관광객은 왕인문화축제가 열리는 4월에 내 외국인 광광객수가 연중 방 문객수 약 44%로 집중되어 있음. - 내국인의 경우 월출산 단풍시기인 10-12월에 많은 방문이 이루어지고 있으 며, 외국인의 경우 여름 휴가철인 8월중 높은 방문율이 나타남. - 관광객을 유인하는 영암군의 주요 관광자원은 월출산 국립공원과 4월중에 열리는 왕인문화축제이며, 방문은 대부분 당일관광의 형태임. 마. 영암군의 상징물 심볼 마크 마스 코트 슬로건 마 크 군목 전체적인 형상은 월출산과 비옥한 황토, 영산호를 모티브로 삼아 중앙의 선은 안정과 상하의 동적의미가 부여된 형태로 안정 속에 변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형상임. 적색의 해는 영암의 밝은 미래와 도약하는 힘을, 황색은 군민의 따뜻한 정과 청정한 황토를, 청색은 영산호의 풍부한 물로 생명의 근원과 정통성을 표현, 녹색은 높은 이상과 명상으로서 수려한 경관을 뽐내는 월출산 형상으로 푸른 생명의 의지를 담고 있음 마스코트는 군화인 매화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얼굴은 달의 형상으로 온화하고 평화로운 이미지와 둥근 형태에서 군민의 화합과 언제나 친절하고, 의연한 모습이 표현되었으며 동시에 친근감을 강조하였다. NEW + 영암 : 새로움을 더하는 영암 N(New. 새로운 영암), E(Energy. 힘찬 영암), W(Wonderful, 경이로운 영암) + Plus (잘사는 영암) 느티나무 - 군민의 질기고 강인한 의지를 상징 군화 매화 - 군민의 또렷한 의지와 강직한 인내성을 상징 군s조 산비둘기 - 군민의 평화와 단결 무궁한 발전을 상징 228

연구결과 Ⅱ 바. 기( 氣 )의 고장 영암 - 호남의 5대 명산 중 하나인 월출산은 대략 1억 6천년전 분출된 마그마가 굳 은 홍색화강암으로 구성된 바위산으로, 예로부터 도사 들에게 신묘하고 영 험하기로 유명한 산임. - 영암군 氣 는 정기, 신기, 생기, 활기가 담긴 지역이라는 의미임 - - 왕인박사, 도선 국사 등을 배출한 유서 깊은 역사와 전통의 정기 - - 월출산 등 자연환경에서 느끼는 신기 - - 시유도기와 가야금산조 등을 태동시킨 문화의 창조적 역량을 생기 - - 대불 자유무역지역 등 동북아 물류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활기 2) 도입테마관련 사례조사 가. 사례조사의 방향설정 - 본 계획대상지에 구상 및 도입예정인 테마를 조사하여, 이에 관련된 개발계 획의 주요테마를 중심으로 사례조사와 분석을 실시 - 월출산주변 개발 및 사업추진 계획에 의하면, 천황사 지구 영암읍 개신리와 회문리 일원에 1영암 전통남도한옥체험관 신축(50,000m2), 2주거박람회 개최, 3바둑테마파크 조성(504,944m2, 용역 중), 4명촌 한옥마을단지 조성 (1개 단지 당 30,000m2) 등을 구상중임. 그 외 영암읍 인접지역에 5작 은골 유원지 조성사업, 6영암군 청소년수련관 신축 7가야금 테마공원조성 8기 문화센터 건립, 9기 웰빙도로개설 등은 발주 및 공사 진행 중이며, 10 스포츠테마파크 조성사업 등을 계획하고 있음. - 구상중인 계획안의 한옥, 전통마을, 기( 氣 ), 주민문화생활 등 주거 및 거주생 활이라는 주제와 바둑 및 월출산을 상징하는 돌, 암석을 주요 키워드로 선 정하여 이에 관련된 사례조사를 폭넓게 실시. 월출산주변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도입계획시설의 주요 테마 한옥 및 주거관련 사례 바둑, 돌, 수석관련 사례 한옥체험관 주거박람회 주거문화 박물관 수석 돌 공원 수석박물관 및 전시관 바둑공원 229

최종보고서 나. 한옥 및 주거관련 사례 한옥체험관 김해 한옥체험관 - 위치 : 경남 김해시 봉황동 425-13번지 - 규모 : 4133m2의 부지위에 조성 - 시설 : 거안당( 居 安 堂, 안채), 담경헌( 談 經 軒, 사랑채), 탐미당( 耽 美 堂, 별채) 감지방( 甘 旨 房, 전통 궁중 한식당), 전향실( 篆 香 室, 전통다원) 거안당( 居 安 堂 ) 담경헌( 談 經 軒 ) 탐미당( 耽 美 堂 ) 감지방( 甘 旨 房 ) 감지방( 甘 旨 房 ) 전향실( 篆 香 室 ) - 운영프로그램 : 전통문화체험, 체험캠프, 예절학당, 문화행사, 연찬프로그램, 민속공예품 전시와 기념품 판매, 전통의상체험 -출처: http://www.ghhanok.co.kr/(김해 한옥체험관) 아름지기 함양한옥(비지정 문화유산) - 위치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179번지 - 시설물 : 안채, 사랑채, 광채, 부속채 및 우사, 식당채, 목욕채, 관리동 전경 사랑채 안채 식당채 안채 식당채 230

연구결과 Ⅱ 목욕채 목욕채 -출처 : http://www.arumjigihamyang.org/ (아름지기 함양 한옥) 전주 한옥생활체험관 - 위치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33-4 - 규모 : 대지 409평, 건평 110평 (사랑채, 안채, 행랑채, 마당 등) - 시설 : 사랑채에는 다경루( 多 慶 樓 )라 하여 대청이 있으며 총 10개의 방이 있 음. 10개의 방 가운데 사랑채의 사랑방과 안채의 안방은 각각 선비방과 규 수방이라 하여 특실로 특화시킴. 사랑채 안채 대청 전주한옥마을 - 위치 :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 1길1(서노송동 568-1) - 규모 : 팔달로 변의 풍남문에서 동편으로 200m가 안되는 곳에 한옥 650여 채가 몰려 있음. - 시설 : 전통문화센터, 한옥생활 체험관, 동락원, 한지원, 전통찻집 다향, 한 방문화센터, 공예품전시관, 술 전시관 센터 앞마당 정문 안채(단영원) 장독대 술 박물관 술 박물관 내부 동락원 공예품 전시관 한지원 -출처 : http://hanok.jeonju.go.kr/ (전주한옥 마을) 231

최종보고서 남산골 한옥마을 - 위치 : 서울 특별시 중구 필동2가 84-1일대 - 규모 : 7,934m2(2,400평) 대지 위에 서울의 팔대가( 八 大 家 ) 중 하나였던 박 영효 가옥으로부터 일반평민의 집에 이르기까지 전통한옥( 傳 統 韓 屋 ) 다섯 채 를 옮겨놓았다. - 시설물 :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 해풍 부원군 윤택영댁 재실, 부마도위 박영 효 가옥, 오위장 김춘영 가옥, 도편수 이승업 가옥, 전통공예관, 서울천년 타임캡슐, 남산골 전통공원이 있음 -출처: http://www.hanokmaeul.org/(남산골 한옥마을) 전경 순정효황후윤씨 친가 오위장 김춘영 가옥 도편수 이승업 가옥 남산골 전통공원 남산골 전통공원 서울천년 타임 캡슐 전통 공예관 북촌 한옥마을 - 위치 : 북촌마을은 경복궁과 창덕궁사이에 위치(종로구 가회동, 삼청동, 원 서동, 재동 등 일대) - 규모 : 645,000m2 (약 195,000평) - 시설물 : 공공주차장, 동림 매듭박물관, 락 고재, 안국 게스트하우스, 한옥생활체험관 (우리집), 한옥문화원, 가희 박물관, 동림 매듭박물관, -출처: http://www.visitseoul.net (서울 문화 관광) 경주 양동마을 - 위치 :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 규모 : 약 150채의 한옥이 있음 - 시설물 : 무첨당(보물 411호), 향단(보물 412호), 관가정(보물 제 422호) 무첨당 향단 향단 관가정 - 출처 : http://www.comj.com/doc/lee/cs-08.htm(경주양동마을) 232

연구결과 Ⅱ 메나리 한옥마을 - 위치 : 강원도 속초시 도문동 상도문 1리 농촌전통테마마을 - 규모 : 약 126가구(호) - 시설물 : 마을회관, 전통체험관, 마을산책공원, 설악들기름 가공장, 팔각정 판매장, 게이트볼장, 학무정 -출처 : http://www.sangdomun.com/(상도문 1리 마을) 주거박람회 (국내사례) 동아 리모델링, 전원주택 박람회 - 동아전람이 주최하는 '제 2회 동아 리모델링ㆍ전원주택박람회'. 박람회에서 는 가구, 라이프스타일, 전원주택, 리모델링 등 주거환경의 모든 것을 만날 수 있음. 리모델링 부문에서 건축내외장재 및 리모델링자재, 리모델링시공 상담, 냉난방공조기기, 인테리어, 가구 및 가전, 욕실시설, 가정자동화 관련 제품과, 전원주택부문에서는 전원주택자재, 전원주택 시공 및 설계, 분양정 보, 조경, 전원주택정보 업체 등 200여 업체가 참가. 로하스 주거문화 보여주는 홈덱스 - 잘 먹고, 잘 살자 는 웰빙(Well-being) 열풍 으로 웰빙관련 상품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웰빙 을 대체하는 소비 트 랜드로 로하스 가 떠오르고 있음. - 현재 미국과 유럽지역은 건강과 환경을 생각 하는 새로운 소비패턴인 로하스(LOHA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는 강력한 구매력을 가지는 새로운 마케팅 트랜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로하스 주거문화를 보여주는 건축박람회가 삼성동 코엑스에 서 개최됨. 2007 친환경 미래 주거문화 홈덱스 -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하우징 컨버전스 를 주제 로 인간, 자연, 첨단기술이 융합된 미래의 주거문화 233

최종보고서 를 전시. 특히 생태조경 특별관 에서는 친환경을 넘어 생태환경까지 고려하 는 아파트 조경의 새로운 모델이 제시되고 있음. 트랜드 포럼관(올해 출시 되는 신제품 건축자재들을 전시), 홈 DIY 특별관(내손으로 만드는 명품이라 는 주제로, 부모가 자녀와 직접 체험) 등. 주거박람회 (국외사례) 중국 항주 제 6회 최가인거 환경전람회 (주거환경박람회) - 주택문화에 대한 세미나나 주거환경의 역사와 발전에 관한 전시코너와 부동 산 개발상에게 프로젝트를 전시 소개하고 상담, 판매하는 부스로 구성. 이름을 달리한 부동산 박람회라 할 수 있음. 일본 주거박람회 2003 IN 오사카돔 - 일본 스미토모 임업에서 개최한 주거박람회 2003 IN 오사카돔. - 주거박람회는 나무나 집을 직접 보고 닿을 수 있는 체험형의 이벤트로 스 미토모 임업의 집 에 사용하고 있는 각종 부재나 설비, 구조 등을 전시. 실 물 크기의 2층 건물 들보, 기둥, 도리, 바닥, 벽, 계단 등을 전시하는 외에 내진이나 단열 등의 구조모형이나 최신의 부재, 방법 등을 보여줌. 주거문화 박물관 (국내사례) 주택도시 박물관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75 대한주택공사 사옥 별관2층 - 규모 : 1,025.21m2(310평) - 내용 : 주거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조명함과 동시에 미래주거방향을 제시하 고 또한 우리 고유의 주거양식과 전통주거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을 제공하 고자 주거문화관을 설치,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음. - ㆍ전통문화, 선사시대주거, 동물들의 집짓기, 전통 주거생활의 모습, 주거사 연표, 한국건축의 특색, 세계건축, 세계전통주택, 아이들의 상상주택, 작가들 의 미래 주거생활 예측 등으로 구성 - 출처 : www.jugong.co.kr/comp/pr/museum(주택도시 박물관) 구림 주거생활 전시관 234

연구결과 Ⅱ - 위치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동구암리 - 사적 : 전라남도 지방기념물 제20호 - 구림마을의 특징 : 마을 곳곳에서 대규모의 가마터와 유물이 발굴되었으며 누정과 전통가옥, 돌담, 고목나무 등이 다수 존재. - 주거변천사 야외전시장 : 동굴집, 움집, 죽담집, 덕진면 최성호 가옥(중요민 속자료 제164호) 재현, 기와집 동굴집 내부 강천리 선사주거지 재현 기와집 - 출 처 : http://tour.yeongam.go.kr/ 주거문화 박물관 (국외사례) 미국의 Lower East Side Tenement Museum 일본 오사카 시립 주거박물관 - 작은 미니어처부터 실제 크기로 만들어 놓은 사람들의 모습을 만들어 놓은 장소. 조명이 매우 잘 되어 있으며 마치 아침부터 밤까지의 하루를 보여주 는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당시의 사는 모습, 어린이들의 장난감 그리 고 강아지까지도 섬세히 묘사되어 있음. 남 이태리의 주거박물관 - 위치 : 왕궁 Paalazzo Reale - 내용 : 7세기 스페인 왕을 맞이하기 위해 건축가 도메니코 폰타나에 의해 세워졌으나 그 왕을 맞이하지 않은 채 1753년에 루이지 반비텔리에 의해 부르봉가의 왕궁으로 개축하여 확장공사가 행해졌다. 카세르타의 왕궁에 흡 사하다. 정면의 프레비시토 광장에 면하여 노르만의 로자 왕에서 빅토리아 엠마누엘 2세까지의 立 像 이 놓여있다. 현재 내부는 주거박물관으로 18세기 의 호화스러운 실내장식을 볼 수 있다. 마카오의 타이파 주거박물관 - 타이파 주거박물관에서는 20세기 초엽 마카오에 살던 포르투갈인들의 생활 상을 엿볼 수 있다. 콜로안 섬을 바라보고 있는 박물관 주변에는 400년 전 포르투갈인이 가져와 심었다는 가( 假 )보리수가 가로수처럼 늘어서 있다. 박 물관 안에는 초기 포르투갈 정착민과 토생포인( 土 生 葡 人 마카오에서 태어난 포르투갈인) 등의 주거생활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다. 다. 바둑, 돌, 수석관련 사례 수석 돌 공원 235

최종보고서 제주 돌 문화공원 - 위 치: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산119 - 규 모: 3,269,731m2 (100만평) - 주요시설 : 돌 박물관, 돌 문화전시관, 야외전 시관 제주돌 박물관 - 향후 계획 : 자연휴양림 조성, 특별전시관, 오 백장군군상 설치, 제주초가 중산간 마을 13가구 재현, 설문대할망 전시관 - 출 처: 제주돌문화공원 http://www.jejustonepark.com/ 한림공원 - 위 치 : 제주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2487 - 관리자 : 한림공원 관리사무소 - 규 모 : 10만 여평 - 주요시설 : 협재 쌍용동굴, 아열대 식물원, 제주 석, 분재원, 재암 민속마을, 재암수석관, 새가 있 는 정원, 야자수길, 연못정원 등 - 출 처: 제주 한림공원 http://www.hallimpark.co.kr/ 인천 대공원 내 수석공원 - 위 치: 인천 남동구 장수동 산 190번지 - 관리자: 동부공원사업소 - 규 모: 89만평 - 시설: 식물원, 어린이동물원, 장미원, 썰매장, 자생식물, 자연생태원, 수석공원 인천 대공원 내 수석 공원 - 출 처: 한국 관광 공사 http://www.knto.or.kr/index.jsp 평창 바위공원 - 위 치: 평창군 평창읍 중리 노람뜰 일대 -관리자: 평창군 - 규 모: 5300여평 - 개 요: 국내 가장 큰 규모의 바위 공원으로, 수석( 壽 石 ), 대형 자연석을 옮 겨 놓은 곳. 주민들을 중심으로 추진위원회를 구성. 화강암과 석회암이 주 류, 가치가 높은 편마암 계열의 바위도 13점을 전시. - 출 처: 네이트 통 http://tong.nate.com/my7942tv/28182757 소돌 아들바위공원 - 위 치: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진리 236

연구결과 Ⅱ - 관리자: 주문진읍사무소 - 규 모: 소돌 해수욕장 내 길이 500m, 규모 3만5천m2 - 소돌바위, 코끼리바위 등 기괴 한 바위 다재. 득남한다는 전설 이 있어 신혼부부가 즐겨 찾음 소돌 아들바위공원 - 출 처: 강릉시청 http://www.gntour.go.kr 청해진 수석공원 - 위 치: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 규 모: 4,500여 평 - 개 요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지구 에 속하는 관광지. 완도군의 201개 섬에 서 채집된 기기묘묘한 수석 200여점 전 시. 청해진수석공원 - 출 처: 완도 관광 http://tour.wando.go.kr/ 박물관 및 전시관 세중 옛돌박물관 - 위 치: 경기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303-11번지 -설립자: 천신일 - 개관일: 2000년 7월 1일 - 개 요: 6천여 점의 다양한 전통 석물들을 체계적으로 연구, 보존하기 위하 여 개관. 국내 최초로 수려한 자연 경관 속에 위치한 박물관 - 출 처: 세중 옛돌 박물관 www.stsmuseum.co.kr 부천 수석박물관 - 위 치: 경기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8번지 (종합운동장 내) - 규 모: 608m2 - 개 요 : 전국에서 탐석( 探 石 )된 수반석과 좌대석을 비롯해서 중국, 인도 네시아, 러시아,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수집된 수석들과 국내외 해석 전 시. -출 처: www.bcmuseum.or.kr 수컷 돌거북이 수석박물관 - 주 소: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20-3 - 규 모: 1,500 여 평, 주차시설 300 평. - 주요 시설 : 휴게실, 시인의 집/시비공원, 산책 수컷돌거북이 수석박물관 237

최종보고서 로, 솟대군, 장승군, 돌탑군, 연못, 폭포 등 - 개 요: 소장품은 1만여점 현재 500여점 전시. 천의 얼굴 수석박물관 - 위 치: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949번지 - 규 모:전체 면적 1,000여평, 박물관 500여 평. - 주요 시설: 1층 인물석, 2층 에로석방, 기독 교방, 해석방, 야외전시관. - 개 요 : 인물석이 2000 점, 에로석 십자가를 포함한 기독교 관련 수석, 해석 천여 점을 소 장, 일월석, 경석, 문양석, 화석 등 전시 천의 얼굴 수석박물관 - 출처: 네이버 블로그 송재나석중 글방.http://blog.naver.com/stonecenter 소금강 광물, 수석박물관 - 위 치: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퇴곡리 - 관리자: 임 성 동 - 규 모: 약200 여평약 1만 천여점 - 개 요 : 자연해석(국내 동.서해안)과 토종석, 미석, 난초석, 필리핀에서 채 취한 바다오석과 자연해석, 종유석, 문양석, 미석, 자수정, 기석[ 奇 石 ] - 춭처: 다음 블로그 정원 조경 http://blog.daum.net/flowerstone 영양 분재수석 야생화전시관 - 위 치: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선바위관광지내 - 규 모:부지 2,721m2, 건물 1,715m2(전시관 1,152m2) - 전시목록 : 분재 130점, 수석 51점, 야생화 5000본 분재수석야생화전시관 - 출 처: http://www.ytree.org/ 제주 돌마을공원 수석박물관 - 위 치: 제주특별자치도 한림읍 금능리 제주돌마을 - 주요전시목록: 수석 자연석 화산석 등 5000점. - 시 설 물: 수석 전시관 - 개 요 : 관람코스 5-600m, 지압효과와 제주돌의 질감을 체감케 하기위 해 짚신 착용케 함, 코너별 테마는 동물 형상석, 제주도 생성 비밀을 간직한 화산탄, 경석, 두상석 등. - 출 처: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index.jsp 백양사 학봉수석관 238

연구결과 Ⅱ - 위 치: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번지 -관리자: 백양사 - 규 모: 100여 평 - 개 요 : 달마와 나한상 을 테마. 지선 스님이 30여 년간 수집. 형상석 무 늬석이 주류를 이루며, 천여 점이 넘는 수석. - 출 처: 고불총림백양사 http://www.baekyangsa.org/ 고성 수석전시관 - 주 소: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산9, 14 - 관리자: 관광지관리사업소 당항포관리담당 - 시설 : 정원석 공원, 수석전시관, 12지 광장, 거북이동산, 야외전시실 - 개 요 : 산수경석, 산형석, 폭포석 등 273점 전시. 고성수석전시관 - 출 처 :wooricy http://www.wooricy.com/wooricy/ 청풍명원 전시관 - 위 치: 충북 제천 청풍관광마을 - 주요 시설: 판매장, 수석전시관 - 프로그램: 수석 / 분경ㆍ석부작 제작체험 - 개 요: 좌대석, 분경, 각종화석률, 희귀석, 종화 석 및 좌대석판매, 좌대석 300점 수석 약 100점 을 전시 청풍명월 전시관 - 출처: 정보화마을 충북제천 청풍명원마을 http://cheongpung.invil.org/ 대구 수목원내 수석원 - 위 치: 대구 달서구 대곡동 284번지 - 규 모: 대구 수목원 (74,000여평) - 개 요 : 쓰레기매립지에 수목원을 조성하여 생 태를 복원하고 침엽수원, 활엽수원, 화목원, 야생 초화원, 약용식물원, 염료원 등 21개소의 다양한 원을 구성, 300여점의 수석전시, 어린이자연학 교, 조경교육지도자교육 등 다양한 교육행사가 개최 대구 수목원 수석원 - 출처: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index.jsp 충주시 문화회관내 수석전시관 - 위 치: 충북 충주시 성내동 215번지 - 규 모: 지하1층/지상2층 - 대지(6,239m2), 건축면적(4,583m2) - 주요 시설: 공연장 923석, 전시실, 수석전시관 239

최종보고서 - 출 처: 충주시관광포털사이트 http://tour.cj100.net/ 조성천 수석전시관 - 위 치: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 서울대공원 내 동식물 표본전시관 3층 조성천 수석전시관 - 개 요: 수석 1,500여 점 외 기념담배, 페이 퍼 아트, 기념 공중전화 카드, 풍경 사진 등 전시 조성천 수석전시관 - 출 처: (주)투어 익스프레스 http://board.tourxpress.com/korea 우양 수석 전시관 - 위 치: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북촌리 382번지 - 규 모: 103평 규모 - 출 처: 다려도 휴양펜션 www.pentapension.com 바둑공원 해의 길 유원지 - 위 치: 전북 부안군 줄포면 우포리 바닷가 - 규 모: 부지 23,500평, 기념관 2400 평(연건평) - 주요시설: 바둑 대국장, 조남철 기념 관, 컨벤션센터, 공원 해의 길 유원지 - 개요 : 한국바둑의 대부인 조남철 국수를 비롯한 많은 프로기사를 배출한 고장으로 한국 바둑문화의 메카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계획. 2006년 8월 당선작을 확정, 2008년 완공 계획 - 출 처: 지방행정혁신 INNO246 바둑테마공원 조성사업(계획추진 중) - 위 치: 영암군 엉암읍 개신리 일원 - 규 모: 15만평(바둑공원, 플라워랜드, 민속촌등) - 주요 시설: 바둑 박물관, 명예의 전당, 바둑 경기장, 바둑 연수원, 바둑나무 숲, 잔디바둑판, 바둑판 및 바둑알 공장 - 출 처: 영암군청 문화관광과 http://www.yeongam.go.kr 난방장성 바둑 이벤트 - 바둑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열리는 세계최대의 바둑이벤트로 300평의 초대형 바둑판에서 소림사 수도승이 인간 바둑알이 되어 국수끼리의 맞대결을 하는 이벤트. 240

연구결과 Ⅱ - 2005년 이창호 9단과 중국의 창하오 9단이 대전을 열었음 - 초대형 바둑판의 크기는 31.7m로 원 바둑판의 만 배 크기로 제작. 헬기로 인간바둑판에서의 경기현황을 중계하여 이목을 집중시킴 3) 활용가능성 및 개발방향 설정 가. 도입테마의 정합성 분석 - 영암은 선사시대부터 고도의 문화집단이 거주했던 지역이며(장천리 선사유 적지), 영산강 유역에 옹관고문문화라는 독특한 생활문화가 발달해온 지역 임. - 구림토기요지는 시유도기문화의 발상지이며 해남 녹자, 부안 백자, 강진 청 자 기술의 원동력이 됨. 또한 월출산 천황봉 소사터에서 국가의 안녕을 기 원하는 천신제를 지내는 등 사람들의 일상생활문화와 역사흔적 등이 남아있 음 - 삼한시대로부터의 오랜 역사를 지닌 구림마을은 마을의 안녕을 위해 매년 올리는 당산제와 436년 전통의 대동계 등 민속문화자원이 전승, 현존하는 곳으로, 백제 왕인박사, 신라말 도선국사, 고려 최지몽 선생을 배출한 장소 임 - 영암은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의 시원이 되는 황토자기의 발상지이며, 선사시 대부터 이 고장에서 제작되기 시작한 황토자기가 전국에 보급되었으며, 해 상을 통한 중국, 일본과의 교류가 시작된 흔적들이 남아있음(대규모 가마터 와 유물 발굴) - 영암은 유형문화자원인 회사정, 국암사, 담숙제 등 12개의 주정과 전통가옥, 돌담, 고목 등 주거관련 민속문화자원이 전승되어 오고 있는 지역임 국가 및 시도 지정문화재( 시군별 총괄) 구 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기타 합계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152 3 3 1 2 0 2 9 8 13 27 6 18 53 10 0 0 307 보물 481 21 32 21 8 2 5 119 55 70 87 85 140 267 106 3 3 1505 사적 69 4 7 18 2 1 4 63 13 18 47 33 40 99 51 6 0 475 사적 및 명승 1 0 0 0 0 0 0 0 0 1 1 0 3 3 1 0 0 10 명승 0 2 0 1 0 0 0 1 2 1 1 2 4 5 3 0 0 22 천연기념물 12 7 2 10 1 0 3 16 32 22 14 27 52 59 38 40 43 378 중요무형문화재 29 3 0 4 1 0 0 9 1 3 3 2 14 7 9 4 24 113 중요민속자료 50 0 4 0 3 0 1 8 11 22 19 13 35 65 11 8 0 250 합 계 794 40 48 55 17 3 15 225 122 150 199 168 306 558 229 61 70 3060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221 70 52 55 27 33 16 162 137 232 148 193 202 343 411 21 0 2323 시도무형문화재 36 13 15 16 15 14 3 41 19 15 34 27 30 29 29 16 0 352 시도기념물 26 46 16 53 26 40 44 183 79 112 154 108 191 138 240 51 0 1507 시도민속자료 29 4 5 2 7 2 0 11 4 15 19 34 36 124 20 7 0 319 문화재자료 39 38 41 21 26 48 17 129 120 54 302 150 223 495 415 5 0 2123 합 계 351 171 129 147 101 137 80 526 359 428 657 512 682 1129 1115 100 0 6624 총 계 1145 211 177 202 118 140 95 751 481 578 856 680 988 1687 1344 161 70 9684 241

최종보고서 구 분 - 전국 시군별로 문화자원의 보유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남지역의 국가 및 시 도 지정문화재는 서울, 경남, 경북지역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자원을 보유. - 영암군에서 도입 가능한 테마 발굴을 위해 보유자원을 다각도에서 분석 - 타 지역보다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순천, 영암, 나주, 해남 순임 목 포 여 수 순 천 나 주 광 양 담 양 지정문화재 총괄 현황 곡 성 구 례 고 흥 보 성 화 순 장 흥 강 진 해 남 영 암 무 안 함 평 영 광 장 성 완 도 진 도 신 안 기 타 합계 (국가지정문화재) 국 보 0 1 3 0 0 0 0 6 0 0 1 2 1 2 2 0 0 0 0 0 0 0 0 18 보 물 0 9 36 10 1 5 8 15 3 4 6 9 9 21 9 0 1 7 16 0 1 0 0 170 사 적 1 2 3 7 1 2 0 2 0 0 3 0 3 4 1 1 0 0 4 3 2 1 0 40 사적 및 명승 0 0 1 0 0 0 0 1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3 명 승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1 0 0 4 천연기념물 0 1 2 0 1 3 0 2 2 2 2 3 5 4 1 2 2 2 3 7 5 3 0 52 중요무형문화재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5 15 중요민속자료 0 1 10 4 0 0 1 1 0 7 2 1 1 2 13 1 0 1 0 0 0 1 0 46 합 계 1 15 55 21 3 10 9 27 5 13 14 15 19 34 26 4 3 11 23 11 9 5 15 348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3 4 26 12 4 12 8 10 10 9 17 25 10 10 9 2 5 7 13 0 5 1 0 202 시도무형문화재 1 2 3 1 1 3 1 0 2 0 1 0 2 2 0 1 1 0 0 1 6 2 0 30 시도기념물 3 4 10 16 5 14 3 3 23 1 16 8 10 13 21 4 8 10 7 2 6 6 0 193 시도민속자료 0 0 3 4 0 3 1 0 0 2 1 5 2 1 8 4 0 2 0 0 0 0 0 36 문화재자료 3 11 18 18 3 17 14 9 12 6 18 11 3 10 15 7 7 8 17 6 5 5 0 223 합 계 10 21 60 51 13 49 27 22 47 18 53 49 27 36 53 18 21 27 37 9 22 14 0 684 총 계 11 36 115 72 16 59 36 49 52 31 67 64 46 70 79 22 24 38 60 20 31 19 15 1032 - 과거의 생활 및 주거문화는 현재와 같은 기능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음. - 따라서 주거란 개념에는 의식주 모두를 포함하는 내용이 포괄적으로 담겨있 다고 판단하여, 각 시군별 지정문화자원 중 의식주와 관련된 자원을 선별 하여 정리하고 지역별 보유특성을 분석(의식주 관련 시군별 문화자원수 비 교표 참조) 유형구분 목 포 여 수 의식주에 관련된 전남 시군별 지정문화재(자원수 비교) 순 천 나 주 광 양 담 양 곡 성 구 례 고 흥 보 성 화 순 장 흥 의 1 1 12 14 식 1 2 1 1 1 4 6 7 1 1 2 1 1 29 주 1 2 17 24 1 16 1 6 11 10 9 10 5 14 28 5 12 6 7 2 2 5 1 188 합계 2 2 19 26 1 16 2 7 12 10 9 14 11 21 41 6 12 6 9 2 2 6 2 231 강 진 해 남 영 암 무 안 함 평 영 광 장 성 완 도 진 도 신 안 기 타 합계 - 주민들의 일상과 밀접한 의생활(의복, 이부자리 등), 식생활(토기요지, 가마 터 등), 주생활(주거지, 무덤, 고분, 가옥, 정자, 향교 등)에 관련된 문화재 모두가 지역의 주요유적 및 자원으로 지정되어 구체적인 형태로 남아있는 시군은, 나주시와 영암군 단 두 곳인 것으로 나타남 - 그 중 영암군의 지정문화재 수가 4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주에 242

연구결과 Ⅱ 관한 문화자원(왕궁의 터가 아닌 양반 및 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주거관련 자원)이 타시군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 의( 衣 ) 김함의 묘 출토의복 : 누비 직령포, 직령포, 저고리, 모자, 속곳, 내친고, 버선, 부들신, 이불, 주( 珠 ). 제웅 식( 食 ) 구림리 토기요지 주( 住 ) 왕인박사 유적지, 김완장군 묘소, 전씨 충효문, 남해 당지, 최성호 가옥, 부춘정, 엄길리 지석묘군,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방대형 고분, 장천리 선사 주거지, 장암정, 영보정, 영팔정, 영암 향교, 영암 이우당, 금계리 고분군, 태간리 자라봉고분, 금강리 금산고분군, 학계리 지석, 월곡리 전씨 고택, 현종식 가옥, 집영제, 조종수 가옥, 신연리 고분군, 옥야리 고분군, 문창집 가옥, 금지리 본촌 고분군, 남산리 마봉 고분 영암군의 지역자원 분석을 통한 도입테마의 정합성 분석 선사시대부터 거주 대동계, 당산제 등 무형문화자원 현존 영산강과 비옥한 토지 영암군 황토자기의 발상지 가옥, 고분, 주정 등 유형민속자원 보유 비교우위의 의식주 관련 지정문화자원 의식주를 포괄하는 주거생활을 테마로 하는 프로그램 및 시설도입은 영암군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 및 역사문화자원과 지역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소재로, 객관성과 근거가 있는 개발테마라 판단됨 243

최종보고서 나. 개발대상지의 적지분석 - 영암군의 지역문화자원 및 관광자원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역자원들의 위 치가 군 경계지역에 인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영산강 지류 주변지역의 수변문화권, 그리고 월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 악문화권으로 나누어져 분포하는 등 지역별로 특색있는 자원들이 존재하는 분포성향이 영암군의 특징으로 나타남 - 관광코스 및 프로그램 분석에서는, 영암군 전체를 순환하는 형태의 코스 및 프로그램개발이 아닌 단순한 선적 이동형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남. - 군의 특정지역에서 관광체험을 한 후 타시군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두드러 짐. 즉 군내의 이동보다는 타시군의 관광지로 접근이 더 용이함 - 이러한 성향은 영암군의 산과 강에 의해 구획되어진 자연지형의 특성에 의 한 것으로, 군 전체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거점지역 즉 중심지역의 선정과 연계코스개발이 검토되어야 할 것임 군경계 영산강 월출산 영암군의 문화관광자원 및 관광코스 위치( ) - 의식주에 관련된 지정문화재 위치를 살펴보면, 북부와 서남부 그리고 동부 지역 3개소에 분산되어 있음. - 주거문화(의식주)를 테마로 하는 개발계획을 추진하는 경우, 세 지역을 연계 하기 위한 거점지역 설정이 필요 244

연구결과 Ⅱ 영산강 영암읍 월출산 영암군 내 의식주 관련 지정문화재 위치( ) - 거점지역은 다른 지역에서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영암읍 인접지역이 적합 - 기( 氣 )의 고장인 영암의 상징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풍수지리학의 입지조건 에 맞추어 배산임수, 즉 월출산을 뒤로 하고 앞에 영산강을 바라다볼 수 있 는 위치를 선정 영암군의 지역자원분포를 통해 살펴본 개발대상지의 적지분석 주거관련 문화관광자원 주거관련 문화관광자원 영암읍 영산강 계획예정지 주거관련 문화관광자원 월출산 주거생활을 테마로 하는 개발 대상지는 접근용이성, 의식주 관련자원 의 관광상품화와의 연계성, 월출산과 영산강 등 자연지형과의 상호관 련성 그리고 풍수지리학적 배산임수의 위치성 등을 고려하여 천황사 지구와 영암읍을 연결하는 월출산 주변지역이 최적지로 분석됨 245

최종보고서 3.2.4 기본구상 1) 도입테마 및 공간배치 가. 도입테마 영암은, 영산강을 끼고 펼쳐지는 넓고 비옥한 토지를 기반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생활해 왔던 유서깊은 고장 옛 주거지와 고분 등 사람들이 거주했던 흔적이라 할 수 있는 유형의 역사문화자원이 영암군 전역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다수 존재 과거 서민들의 생활모습이자 문화자취인 당산재와 대동계 등 무형의 문화자원이 현재까지도 실존하는 고장임 황토자기의 발상지로 토기요지와 대규모 가마터가 발굴되는 등 영암황토를 이용한 식생활의 도구인 자기생산은 정착된 거주양식을 상징 전남에서 과거 주거생활의 구체적 형태인 의식주( 衣 食 住 )에 관한 문화자원이 모두 남아있는 지역으로, 특히 주( 住 )에 관한 지정문화재 수가 가장 많음 의식주를 포괄하는 거주생활문화를 테마로 선정 전라남도의 한옥마을조성, 한옥보존, 행복마을 가꾸기 등 주거관련 시책의 적극적 반영 영암군의 자연환경, 문화자원, 역사, 인물 등 상징성 부각. 기( 氣 ), 암석, 바둑, 가야금 전통건축의 현대화 기술개발. 친환경 주거문화의 적용 주거문화의 관광자원화 246

연구결과 Ⅱ 나. 공간배치 - 영암군 월출산주변 개발사업 기본구상의 계획대상권역 중 이미 계획안이 수 립되어 진행되고 있거나 발주예정인 사업의 성격을 검토하여 대상권역 전체 에 대한 권역구분을 실시 - 대상권역의 공간구상 및 배치는 기존안을 적극적으로 방영하되 위치조정 등 일부 수정보완과 새로운 계획안을 제안한다는 원칙하에 공간배치 계획을 수 립 - 대상권역은 월출산과 영산강을 끼고 있는 우수한 경관지역으로, 자연환경 및 지형지세, 백두대간의 기맥( 氣 脈 ) 등 풍수지리학의 배산임수( 背 山 臨 水 ), 전저후고( 前 低 後 高 )의 원칙을 적용하여 공간의 배치계획을 수립 - 영암읍을 중심으로 하는 시설위주의 기존계획안이 진행되는 지역(국도 13번 과 7번 군도 주변)을 중심으로 하여, 천황사 지구 개신리 일원과 망호리 일 원의 두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부합되는 성격을 부여 - 거주생활문화라는 포괄적인 테마를 활용한다는 원칙하에, 주거 와 스 포츠 를 테마로 하는 특성화지구를 구상 스포츠 영암읍 주거 월출산 영암읍 13번 국도 월출산 천황사지구 월출산 주변 개발사업 대상예정지 전경(천황사 지구) 247

최종보고서 대상지 주변의 전경 대상지 주변의 전경(조감, 부감경) 다. 월출산 주변 개발사업 추진계획도(기존 계획안+도입 구상안) 영암 5 13번 국도 6 3 1 2 7번 군 천황사 4 월출산 대상권역 추진계획안:기존안 1. 작은골 유원지 조성사업 2. 기 웰빙도로 개설 3. 기 문화센터 건립 4. 바둑테마파크 조성 5. 청소년수련관 신축 6. 가야금 테마공원 조성 대상권역 도입 구상안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테마파크 조성지구 (천황사 지구 개신리 일원) 웰빙생활을 위한 스포츠테마파크 조성지구 (영암읍 서측 망호리 일원) 248

연구결과 Ⅱ 2) 지구별 공간구성 및 계획이미지 - 영암읍을 중심으로, 천황사 지구 개신리 일원(A지역)과 망호리 일원(B지역) 의 두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부합되는 성격을 부여 - 거주생활문화라는 포괄적인 테마를 활용한다는 원칙하에, 주거 와 스 포츠 를 테마로 하는 특성화지구를 구상 - A지역에는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 테마파크 조성지구, B지역에는 웰빙 생활을 위한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지구 를 배치 B. 웰빙생활을 위한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지구 망호리 영암읍 개신리 A.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 테마파크 조성지구 249

최종보고서 가.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 테마파크 조성지구 - 천황사 지구 개신리 일원 - - 계획예정부지의 주변은 월출산 국립공원과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완만한 경사지는 밭, 평지의 대부분은 논으로 구성되어 경작지가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음 -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이므로 박람회 등 대규모 시설 도입시에는 체계적인 동선계획 수립을 통한 접근동선의 확보 및 보완이 필요 -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 테마파크 조성지구의 공간배치는 주 진입부에 거점 공간의 성격을 갖는 공원을 조성하고 이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성격의 공 간으로 상호연결.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 테마파크 조성지구의 공간배치 전통건축 현대화 Test Bed 친환경 에코 빌리지 한옥 마을 주거박람회 단지(세계) 마한 백제촌 테마파크 주거박람회 단지(한국 아시 아) 공원 (거점공원) 주진입 한옥 호텔 (전통숙박단지) Main Conference Hall - 영암읍 개신리 일원에 도입되는 시설의 위치와 시설내용은 다음과 같음 250

연구결과 영암읍 9 8 9 4 5 6 7 3 2 개신리 1. 한옥 마을 2. 주거박람회 단지(한국 아시아) 1 3. 한옥 호텔(전통 숙박시설) 1 4. Main Conference Hall 5. 중앙공원(거점공원) 1 6. 친환경 Eco Village 7. 전통건축 현대화 Test Bed 8. 주거박람회 단지(국제) 9. 마한 백제촌 테마파크 { 주거를 테마로 한 주거박람회 및 전통주거테마파크 조성하며, 전 라남도 주요시책인 한옥 가꾸기 사업과 연계시켜 공간배치를 구상 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구상 - 역사문화자원의 전시체험 및 연출 공간 - 한국과 아시아 및 세계 주거박람회 개최단지 - 쾌적한 주거환경의 형성 및 각 공간을 연계시켜주는 중앙공원 - 지역주민 거주를 위한 한옥마을 - 지역별 유형별 한옥형태를 이용한 체험 및 숙박시설 - 체험위주의 주거박물관 - 친환경 주거문화를 구현하는 에코 빌리지(Eco Village) - 전통건축기술의 현대화를 위한 Test Bed 등 계획대상지 전경. 251 Ⅱ

최종보고서 - 공간규모는, 주거박람회 단지는 약 10만평 규모로 계획(2번과 8번), 한옥마 을은 한 개단지의 규모는 경관수림대를 포함하여 1만평 규모로 계획하되 4 개소를 설치(주민거주 2개 단지, 방문자 숙박 1개 단지, 박물관 형태로 1개 단지를 계획), 마한백제촌은 하천을 끼고 좌우로 배치하며 3만평 정도로 구 상 계획대상지의 동선계획 영암읍 광주방면 13번 국도 7번 군도 개신리 바둑 테마공원 (기존안) 주 진입 (Symbol Load) 부 진입 (내부 동선) - 주진입은 접근용이성을 고려하여 국도 13호선(광주연결로)와 연결 - 주접근로의 노폭은 100m를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주변지역과 조화 될 수 있는 녹도로 조성. - 지역자원인 황토나 암석 등을 이용하여 광폭의 진입공간이 다양한 소재와 패턴을 갖는 Paving 전시장의 이미지로 디자인 - 부진입(내부동선)은 기존 소로 및 농로를 활용하여 농지패턴을 유지하는 형 태로 계획 공간의 계획이미지(주 진입동선, 광장, 공원 등) 252

연구결과 Ⅱ 253

최종보고서 나. 웰빙생활을 위한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지구 - 영암읍 망호리 일원 - - 계획예정지인 망호리는 구릉지 사이로 흐르는 영산강을 따라 펼쳐져 있는 평야지대로 영암읍 서쪽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이용 및 접근성이 양호한 장 소이나 특정한 자원이 없어 스쳐지나가는 통과지역으로의 성격이 강한 곳 임. 따라서 양호한 환경을 이용하여 시민들이 머무르고 찾아올 수 있는 공 간으로 계획할 필요성이 있음. - 웰빙생활을 위한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지구의 공간배치는, 영암읍에서 연결 되는 군도 3호선(기 웰빙도로) 인접지역에 중앙광장의 성격을 띠는 대규모 스포츠 테마파크를 배치하고 하천흐름을 따라 선적으로 연결되도록 계획. - 기존 농경지의 녹지연결통로를 유지하는 형태로 스포츠 관련 시설 및 운동 공원을 연계시켜 배치하되, 스포츠 관련 다양한 이벤트 및 행사유치가 가능 하도록 다양한 시설을 계획 - 영암읍 주변의 기존계획안 중 스포츠 관련시설과의 접목을 고려한 프로그램 제안(청소년 수련관 및 기 문화센터와 연계) 소공원 소공원 마라톤 공원 소공원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지구의 공간배치 모식도 청소년 수련관 기( 氣 ) 문화센터 스포츠 테마파크 진입광장 - 대상권역 또는 인접지역에서 현재 추진 중인 스포츠 관련시설은 동선확보를 통해 각 시설들이 연계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연결동선을 확보. 254

연구결과 3 4 3 3 망호리 영암읍 1 6 2 1. 스포츠 테마파크 2. Memorial Park 5 3. 소공원 운동공원 4. 마라톤 공원 5, 문화센터((추진 중) 6. 청소년 수련관(추진 중) { 공간의 계획이미지 255 Ⅱ

최종보고서 - 기존 넓은 농경지를 이용하여 영암군을 상징화 할 수 있는 경관연출을 시 도. 영암의 암석, 황토, 농경지를 지역기반요소로 활용. 3) 월출산주변 개발계획 기본구상 영암군 월출산주변 개발계획 기본구상도 참조 256

연구결과 Ⅱ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