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 문물 리치 료학 회지 제1o권 제 3호 KA UTPT Vo l. 10 No. 3 2003 슬링 <sling) 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벼교 오재섭,박준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김선엽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권오윤 연세 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보건과학연구소 Abstract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 -Up on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Oh Jae-seop, B.H.Sc., P.T. Park Jun-sang, B.H.Sc., P.T. Dep t. of Rehabilitation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Kim Suhn-yeop, Ph.D., P.T.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Jth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Kwon Oh- yun, Ph.D., P.T. Dept. of PhysicaJ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Dept. of Ergo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 on a sus 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at the same level. Tests were performed on 15 male subjects. Electromyography using a surface EMG recorded the activity of the triceps, pector머 is major, and intemal and extemal oblique muscles during each push- up. EMG activity was recorded at 0, 45, and 90 degrees of elbow flexion in the push- up position on a suspension s Jing or a fixed support at the same height above the fl oor (30 cm). The testing order was selected random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maintain the push-up position with straight knees, hips, and trunk for 5 seconds at each elbow angle. The mean root mean square (RMS) of EMG activity was ca1culated. EMG activity was normalized using th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본 연구는 과학기술부, 한국과학재단 지정 연세대학교 의용계측 및 의 한 것엄 재활공학 연구 센터의 지원에 통 신 저 자 권오 윤 kwonoy@dragon.yonsei.ac.kr - 29 -
tl~신용 S 리 ' 1 효한피지 세 10권 셰3호 KAUTPT Vo 1. 10 No. 3 2003 contractιn e!icited using a manua! musc!e testing technique.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average RMS va!ue of EMG activity fùr each condition. The EMG activity for the peçtoralis major and internal and externa! oblique musc!es during a push-up on a sj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n a fixed support at a!l angles of elbow flexion (p<.ol ) There were signi fκant 이 ffere nces in the EMG activity of the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brachii musc!es at difference angles of elbow flexion (p<.05). The pectora!is major muscle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l 90 degrees of elbow flexion on both thc s!ing and fixed support. The trκeps brachii muscle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t 45 degrees of elbow flexion on both the sling and fix ed support. T hc intema! and extemal oblique muscjes had the highest EMG activity at 0 degrees of 리 bow f1exion, although the differencc with ang!c of flexω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 ts suggest that to improve proxi mal and trunk stability and muscle strength, push- ups are more useful when performed on a suspension s!ing than On a fixed support Key Words: Low back pain; Push-up; S1îng exercise; 5ta이 liz하띠 n l 서 론 해야 항 것이다 van Tuldcr 동 (1997)옹 요뽕 에 대한 치료앙엉의 효과용 연구한 농운올 안정화 (stabi!izationl 강 사항이 의식직 또능 우의식직으로 관켠에서의 큰 또는 이세한 용 직임융 초션양 수 있는 능력올 의이한다 (Magee, 1999) 안정화 운동의 옥석온 근육과 웅직잉 죠정 웅 띄 율 회복시키는 것으효 최근 에는 요뽕환자의 치료에 띨수적인 정은방엽 이 외었다 셰 간 근용 (tru nk musζlel 용 영상 생왕 중에서 다양한 자세흉 유지하는데 핑수 적이기 때운에? 씨간 근육의 적첼한 근력과 지구력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에간 근육용 요부흥 지지하는에 중요한 역할율 하며 요용 과 져l 간근 의 근력과는 서료 상관성이 있기 때운에 안성 Jl.흉환자에서 에간근의 근력 충 진용 요부 치료에 중요하다 ( H anda 둥 20001 요용의 예방파 치료에 대한 근거용 안융기 위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시작외었으며 지긍 도 껴1 옥되어지고 있다 현재 요종융 일으키는 원인용 단잉 요인이 아니라 다원씌인 요인윷 흐 인한 것이라는 사실용 이미 앙려져 있다 Oohansen 풍, 19951 그퍼므호 요용에 대한 치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후어져야 하며 환자틀외 쩍 성에 따라 그 접근 방영융 당리 중 셰계적 고창융 용해 81 개의 우작위 용제 실엉 논문 (randomized contr이 l ed cxperimental study)올융 분석하였다 그 경과, 급성 요홍의 경우 옹용치료는 효과적이지 옷하고, 안성 요용에 대한 치료엉으료는 도수교정 (ma ni pujationl파 올동치 료 (exerdse therapy) 요용교실이 효과적이라는 경용 g 내였다 최 근 활얼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용야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왼 요흉융 왼인적 요소흐 나 절과식인 요소와 상관없이 척추에 안정성 { stab i1i tyl을 양상시켜 주는 것이 치료와 새?? 방지에 더 효과적이라는 깃올 중영하는 않온 연구 경파동이 세시되어지고 었다 (Louto 융 19981 이러한 척추의 안정성윤 환자 스스로 명요한 근욕에 능동적인 웅동융 용해서안 얻어진다 Hidcs 퉁(l 9961온 요용환 자에 게 세간문 욕히 뭇갈래근 (multifidus) 의 약화는 절대로 자연적인 지유가 일어나지 않 는다고 하였다 이러한 의이에서 슐링 운동 (sli ng exercise) 은 체간과 근위 부 관젤 (proximal j 이 ntl 의 안 정성 웅 충진시키기 위해 재영지료에서 이용 - 30
한국전 문 물 미 치 료 학회지 제 10 권 제 3 호 KAUTPT Vo1. 10 No. 3 2003 표 1. 연구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 (N=15) 일반적 특정 나이(세) 키 (cm ) 체 중 ( kg) 평균±표준편차 22.6 土 3.1 174.7 :t5.8 67.5:t9.7 버 Q] 디 니 20-27 160.1-182.0 55.0-87.0 되어지고 있 다(김선엽 동, 200n 현재 우리가 행하고 있 는 물리치료 기법들의 대부분이 수 등직 (pa ss Ìve ) 접근법인 것에 비해 슬링 운동 치 고는 능통낀 ( acti v e) 운동법이라는 의미에 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Ki rkes o la 2001) 슬링 운동 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치료 적 효과로는 가동성 (mobility) 치료와 신장, 감각운동 훈 떤 그리고 근육의 안정화 운통, 근 력 강 화 운동, 근지구력 운동, 이완 운 동 등의 목 적 으 띄 적용할 수 있다(김선엽 퉁, 200 1) 이 중 척 추 의 안정화에 대한 최근의 연 구에서는 분 절 ( segment ) 의 안정화에 기여하 는 큰육 이 있다고 알려졌으며 이러한 근육을 국 소 근육 (} oc al mu s cle) 이 라 하고 관절 주 위에 있 며 지근 (tonic muscle) 이 대부분이 다 또한 대 근육 은 다분절성 근육이 라 할 수 있고, 몸에 가해지는 중력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퉁의 외적 부하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 는 데 작용하는 근육들이다 요부 안정 화에 관여하는 대근육으로는 안쪽빗근 (intemal oblique ) 과 바깥 넷근 ( extemal oblique) 이 있다 (Bergmark, 1989) 척 추의 안정성 을 증진시 키 기 위한 체간 근육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하여 슬 링 운동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 나 슬링 운동의 많은 입상적인 치료 효과에 도 불구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 이다 (Kirkesol a, 2000).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슬링에서 팔굽혀펴기 (push-up) 운동과 고정 된 지지면에서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때 어 깨와 체간 근육의 근 활성도를 비교함으로서 슬링 운동이 체간의 안정화와 근위부 관설 주위 근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연구대상 H.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학생 가운데 연구 참여에 동의한, 건강한 성인 남 자 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골격계의 질환 이 있는 환자는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본 실혐의 목적에 충분히 동의하였 고, 실 험에 자 발 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대상 자들의 평균연령은 22.6 세였으며, 평균신장 은 174.7 cm, 평균채중은 67.5 kg 이었다(표 1) 2. 실험 기가 및 도구 가. 동 작분석 시스템 팔굽혀펴기 동작 시 팔굽관절 (elbow joint) 의 각도를 0 0, 45 0, 90 로 통제하기 위 하여 실 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인 CMS70PU 를 사용하였다. 모든 각도의 변화는 CMS70P를 통해 20 Hz 의 표본수집률 (sampling rate) 로 측 정 되 었다 윈도용 WinData 2.l9 프로그램 2 ) 을 이용하여 각 표식자의 정보를 삼차원상 좌표 로 전환하여 각 좌표간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1) Zeb끼 s Medizinteclmik, GmbH. Isny. Germany 2) Zebris M어lzintechnik, GmbH. Isny. Germany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호 지 제 10 권 저13호 KAUTPT VoL 10 No. 3 2003 표 2. 동작분석 시스템 능동 표식자들의 부착 위치 표식자 첫째 표식자 둘째 표식자 셋째 표식자 능동 표식자의 부착 위치 자뼈 붓돌기 (ulnar styloíd process) 팔굽관절의 중심 부위 kenter of knee joínt) 윗 팔뼈 머 리 (humeral head) 표 3. 근전도 시스템 전극의 부착 위치 그 육 1 전극의 부착 위치 큰가슴 근 겨 드 랑 이 (axílla) 쪽 빗 장 뼈 (clavícle) 끝 2 cm 밑 위팔세갈래근 위 팔 (humerus) 의 뒤 쪽 중앙의 근복 안쪽빗 근 바깥빗근 배꼽선과 위앞엉덩뼈가시 (ASIS) 의 배꼽에서 가쪽 15 cm 지점 중간 나 근전도 신호수집 및 분석 시스템 팔굽혀 펴 기 동작 시 중요하게 작용하는 큰 가슴근 (pector때 s major), 위 팔세 갈 래 근 (triceps brachii) 과 팔굽혀 펴 기 동작 시 체 간의 안정 화에 기여하 는 안쪽빗근, 바깥빗근의 근 활성 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근전도 MP150 Syste m 3 ) 이 사용되 었다. 전극은 DE-3.1 Double Differential Electrodes 4 ) 4 개를 사용하였다 신호의 표본수 집률은 1024 Hz로 설정하였으 며, 60 Hz notch filter를 이 용하였다 근전도 의 신호저장 과 신호처리를 위해서 Acq -knowedge 3.7.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3. 실험방 법 가 실험장치 슬링과 고정된 지면에서 팔굽혀펴기 동작 시 근 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슬링과 같은 3) Biopack system Inc. Santa Barbara, CA USA 4) Delsys Inc. Boston, MA USA 5) Biopack system Inc. Santa Barbara, CA USA 높이와 폭을 갖는 고정된 지면올 절로 만들 어진 의자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동작분석 기 의 측정 감지 기 (measuring sensor MA70) 를 의자의 시상면 (sagitta l plane) 으로부터 평 행하게 50 cm 떨어지게 위치시켰다. 측정 감 지기의 주 센서 부위의 각도는 지면과 직각 (90') 올 이루게 하였고, 지면으로부터 측정 감지기 중심부까지의 높이가 80 cm 가 되도록 각 대상자마다 통일하게 유지하였다. 팔굽혀 며기 동작 시 팔굽관절은 각 각도에서 5 초 동안 유지하기 위해 초시계가 사용되었다, 나 실험과정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의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팔굽혀펴기 동작 시 팔굽관절의 각도를 통제하기 위해 펼요한 3 개 능통 표식자들의 부착 부위를 피부 표면 에 유성펜으로 표시하였다(표 2) 동시에 4 개 의 근전도 신호수집을 위해 각 근육에 대한 위치플 유성펜으로 표시하였다 (Cram 등, 1 998)( 표 3). 표시 된 부위 를 참고하여 도수근 력측정 (manual muscle test: MMT) 의 최대 근수축 유도 시, 뚜렷이 보이는 근복 (muscle m ι
한국선문물리치료학 회지 저 110 권 제 3호 KAUTPT Vo l. 10 No. 3 2003 be lj y ) 에 근 전 도 전극 부착 부위 를 최종적으 100% 최 대 등척 성 수축(1 00% MVC) 으로 사 로 표 시 하였다 용하였다. 측정 전에 대상자에게 팔굽혀펴기 동작의 기본 동 작을 교육하기 위해 팔굽관절을 완전 히 신전하고 무 릎 관절 (knee joint), 엉덩관절 4. 분석방법 팔굽혀펴기 동 작 시 팔굽관절 의 각도에 따 (hip join tl, 제간 을 똑바로 편 상태애서 연습 라 3 회 반복측정한 각 근육들의 근 활성 도는 동 작 3 회를 반복시켰다. 팔굽혀펴기 자세에서 근전도 신호의 적절한 측정 상태를 확인하였 다 l 춘비 라는 예령 후 가능한 빨리 주관절의 각 도 가 O 45 0, 90 가 된 상태를 삼차원 통작 분석 시스 템으로 측정하여 각 각도에서 5초 간 유지하며 3 회씩 반복측정하였다, 이때의 운 동형 상학 적 자료들과 근전 도 자료값들을 각각의 시스템 운영 컴퓨터에 저장시켰다 슬 링과 고정된 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 동작의 순서는 임의로 선택되었다. 최 대 둥척성 수축 시 근전도 신호량으로 정 규화하였다. 각각의 상태에서 RMS (root mean square) 의 평균값을 비교히기 위하여 반복측정 된 이 요인 분산분석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 A) 으로 분석 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룹 위해 윈도용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j sciences) versio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m. 결과 다 최대 등척 성 수축 시 근전도 신호량 같츠 정 3 차원 동 작분 석 시스템의 표식자를 제거 한 후 큰가슴근, 위 팔세갈래근, 안쪽빗근, 바깥빗 근 의 활동 전위를 정규화하기 위해 맨손근력 검사 자세에서 최대 둥척성 수축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시 근전도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5초 동안의 자 1.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 큰가슴근 의 근 활성도 비교 큰가슴근의 근 활성도는 슬링에서의 팔굽 혀펴기 운동이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 펴기 운동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ou( 표 4)( 표 5). 또한 큰가슴끈은 슬링과 고정된 지 지면 모두에서 팔굽관절의 각도가 90 일 때 근 활성 도가 가장 높았다(그립 1) 료값을 선형필터한 후 초기와 마지막 l 초를 제외한 3초 동안의 평균 근전도 신호량을 표 4. 쇼링과 고 정된 지지변에서 큰가슴근의 근 활성도(RMS) 비교 (N=15) 운동종류 각도 평균±표준편차 범위 고정된 지지면 0.1281.029.006~.189 45 3701.044.275~.465 90 5881.037 509~.668 걷E: E L1 0 4461.046.348~.543 45 5941 058.469~.718 90 7051.051.595~.815-33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 10 권 제 3 호 KA UTPT Vol. 10 No. 3 2003. 표 5. 요인에 따른 큰가슴근의 근 활성도 (RMS) 분석 픔 요인 이 초 류 니 주관절의 각도 자유도 14 14 평방합 1.084 1.942 평방평균 1.084 1.942 F 28.470 74.000 l ] -o-m 0 m 0.75 큰가슴근 * * c:::그고정된 지지면 l톨슬링 버 0.50 <0 ip[ru nj 0.25 0.00 o 도 45 도 팔굽관절의 각도 90 도 그렴 1. 팔굽관절 각도에 따른 큰가슴근의 근 활성도 비교 2.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 위팔세갈 래근의 근 활성도 비교 위팔세갈래근의 근 활성 도는 슬링에서의 팔굽혀펴기 운동 이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 굽혀펴기 운동보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05)( 표 7). 또한 위팔세갈래근은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 모두에서 주관절의 각도가 45 일 때 근 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그 림 2). 표 6.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 위팔세갈래근의 근 활성도 (RMS) 비교 (N= 15) 운동종 류 각도 평균 ±표준편 차 범위 고정된 지지연 0.271 :t.060 a.142-.399 45 59l:t 061.459-.723 90.554:t.066.411-.696 ιâ 그 i?$ 0.352 :t.064.215-.490 45.668 :t.055.550-.787 90.619 :t.053.505-.733-34 -
한국전운물리치료학회지 저110 권 제 3호 KAUTPT VoL 10 No. 3 2003 표 7. 요인에 따 른 위팔세갈래근의 근 활성도 (RMS) 분석 요인 자유도 평방합 평방평란 F p 운동의 종류 14.126 126 2.393.144 주판절의 각도 14 1.132 1.132 44.131.000 뭐팔세갈래근 버 잉 椰 m 0.75 nu nu m 영 E그고정된 지지먼 -숱렇 0.00 o 도 45 도 90 도 괄굽관절의 각도 그림 2. 팔굽관절의 각도에 따른 위팔세갈래근의 근 활성도 비교 3.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 안쪽 벗근, 바깥빗근의 근 활성도 비교 안쪽빗근과 바깥빗근의 근 활성도는 슬링 에서의 팔굽혀펴기 운동이 고정된 지지면에 서의 팔굽혀펴기 운동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 다 (p<.on 그러나 안쪽빗근과 바깥빗근은 팔 굽관절의 각도에 따른 근 활성도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표 9)( 표 11)( 그림 3)( 그림 4) 표 8.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 안쪽빗근의 근 활성도 (RMS) 비교 (N=15l 운동종류 각도 평균±표준편차 범위 고정된 지지면 0 276 土.051.166-.386 45.317 :1:.062.183 -.450 90.291 土.052.180-.402 ιea~ 1 1 0.538 :1:.059 411-.664 45 421 土.072.268-.575 90.389 土.059.264-.515 X ω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저110 권 제 3 호 KAUTPT Vol. 10 No. 3 2003 표 9. 요인에 따른 안쪽빗근의 근 활성도 ( RMS) } 동 υ } 요인 이 종 류 주관절의 각도 자유도 14 14 평방평균 740 066 분석 평방합.740.066 F-m M p-m mm 바깥빗근 버 쟁 때 미 0.75 nu nu m 검 * * * E그고정된 지지면.톨슬링 0.00 D 도 45 도 90 도 팔굽관절의 각도 그림 3. 팔굽관절의 각도에 따른 바깥빗근의 근 활성도 비교 표 10. 슬링과 고정된 지지변에서 바깥빗근의 근 활성도(RMS) 비교 (N=15) 운동종류 각도 평균 土 표준편차 범위 고정된 지지면 0.409:t.082.230-.588 45.4 73 土 072.316-.630 90.494 :t.070 342-.647 걷~"ð 0.561 土 073 402-.719 45.5 15 土 066.371-.659 90. 545 :t.0없.362-.728 표 11. 요인에 따른 바깥빗근의 근 활성도(RMS) 분석 요인 운동의 종류 주관절의 각도 자유도 12 12 평방평균 729 015 평방합 729.015 F 10.571.563 p -뼈 쩨 $
인국 선 운상 '1 λi Jl ~! j l 지 세 10 권 셰3효 KA UTPT \1 01. JO No.3 2003 안쪽 빗 근 버 m@ m 亡 二 1 고정돈 지지면 - 을링 o 도 45 도 90 또 필굽관설의 각도 그 링 4 양긍판정의 각도에 따흔 안쪽빗근의 근 앙성도 비교 W 고창 안 갱화 운동 의 옥적온 근육 파 용직임 죠 ;d 능 이을 ' 1 씌시키는 깃이며 현재 는 요용환자 의 지It에 찍 수석인 섭근방엉이 되었다 요부 의 안 정 화퓨 위 해 근육율 강화하려는 운동으 흐 는 애 곤유 (a bdomina l muscle) 을 강화하는 윗낀 인으키기 k ur l up) 용용이 있다 얘큰육 강 화는 요추의 긍옹 (buckling)용 에 앙하고 기 능융 증 진시키 요추 의 충운한 안정성융 세 공 하 는 데 증 B 한 역 항을 힌다 (Cholewicki 와 Mcgill, 1996) 그리냐 윗쉰일으키기 옹용용 정 적 (scat i c) 이 고 복직 근 (rectus abdominalis) 에 안 초 선옹 맞추어 실질적인 요부 안정화에 는 기여하지 옷한다 (Vera - Go rcia 퉁, 2(00) 윗깎 인 1 1 기 옹동의 이러한 당정 때용에 안정 화윤 위 한 여러 용용 프로그갱이 개얀외 고 있다 그 종 승링을 1 용한 용흥은 흥적 (dynaffiι)이고 안갱화에 기여하는 여러 근육 등융 강화시켜주는 이정이 있 다 슬링 웅 동은 재앙치료에 서 께간과 근위부 관갱의 안정성 증진을 위해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새 유힘융 중싱으로 알전한 술영 치 료는 그 잉상직 효파가 인정되어 미국 잊 아 시아 지역에서 않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인 증거는 아직 부측한 성정이다 (KirkesoJa. 2α)()) 그러므로 온 연구의 욕적 용 슬링과 고정왼 지지연에서 싼잡혀펴기 운 용 시 어깨와 재간의 근 원성 도 잠 비교 힘으 흐서 슬링 운동이 세간의 안정화와 c 위무 관셜 주위 금육의 융 ;는시 알아보기 위합이었다 근력 증진에 어에한 영양 실험온 슐령과 같용 놓이와 너비의 E 정펀 지지연융 인들어 15영의 대상자울에게 필 -(.'" 완성으l 각도가 0", 45", 90 가 되게 상사원 동 작분식 사스엠으호 용제하고 요연단신 도 로 큰가숨근 위휠세강해근 안쪽빗 근, '1강잇 근 의 공 횡성도용 비교하였다 그 경과 큰가슴 근 인쪽빗 근, 아깡 벗 근에서 융링 시 E 한성 도가 고정된 지시연에서 근 항성 도보다 앞게 나타났다 Vossen 등 (2000) 용 웅적 인 싱 항에 서의 안굽혀펴기 운동이 정적이고 지숫식인 팔긍혀띠기 운용보다 근력강화에 더 이 큰 이 득 있다고 하였다 이에 용 연구도 동 적인 상 황에서의 웅직임융 유알시키는 슬링에서의 운풍이 팔긍혀펴기 운동 시 사용되는 c 역 일휘에 더 효융적이라는 경과~ 영었다 또한 셰간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육인 안 쪽빗근과 바낌빗근의 경우 숭렁에서의 웅똥 이 고갱왼 지시면에서의 운동요다 유의하게 - 37 -
힌국신운올리 *j 1t익외지 에!o원 제3호 KAUTPT Vol. 10 No.3 2003 높온 근 활성도훌 호었다 Knudson (200 1)온 윗옴일으키기 웅동의 타당도홍 알아온 연구 에시 윗쯤일으키기 운동이 배 근유의 륙정 우위인윷 강화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숱 링에서의 올용온 고정원 지지연의 용홍보다 안정성에 판여하는 여러 근육흘용 동시에 강 화시키는 웅홍이라 양 수 있용 것이다 요흥 에 관한 않은 연구에서 척추의 안정성용 앵 상시켜 주는 것이 치료와 재양 방지에 더 효 파적이라고 하고 있다 (Louto 둥 1998) 이러 한 안경성용 환자 자신이 스스호 영요한 근 육에 근허용 양상시키기 위한 놓동적인 훈동 용 용빼야안 획득외어질 수 있다 Snock 퉁 ( 1994 ) 용 요용용 가지고 있는 191 영의 근로자 융 이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승으로 올건율 드는 작엉융 수앵하능 근로자율얘셔 요용 앨 doitúnisl 이 요우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힌다 (깅선영 둥. 2003) 그러나 이러한 은육올옹 싱우에 위치한 근육으로 표연은전도호 근 훨 성도홍 욱정하기가 어혐다 그러으로 온 연구 능 푼헌용 강고히}여 표연근전도로 근 양성도 훌 측정양 수 있는 안쪽빗근파 'f강엣근안율 측갱하였 다 또한 실영의 절과에서 슬링 용옹 시 죠건융 않아 션정하여 각 근육간의 상판 판계흩 보기에는 우리가 있었다 그러므로 향 후 연구에서는 슬링 운동 시 웃강혜근과 배 가호근의 근 훨성도흥 알아보고 슐링 옹용시 각 근육간의 작용융 비교해 보는 것이 뭘요 하다고 사료왼다 V 결촌 생윤이 약 3 배 이상 높았다고 하연서 용건 융 본 연구는 슬링 운동과 고갱왼 '1 지연에서 적절하게 드는 앙업에 대한 교육이 요흉 양 생에 크게 영향융 주지 옷하였다고 하였다 그러으토 슬링과 같온 용석인 옹동으로 안정 성에 관여하는 근육혼의 적절한 강화 운용 이 요홍의 예앙에 중요하게 작용항 것이다 더욱이 온 연구에서 슬링과 고정왼 지지언 에서 완공혀펴기 웅동 시 팡긍판정의 각도에 따흔 근 한성도는 팡긍혀여기 운동 시 용직 잉을 안틀 어 내 는 큰가슴근과 위활세강래근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정성에 관여 하는 안쪽빗근파 바강빗근온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경파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혹온 어떠한 용직잉에서도 항상 수축하여 셰간의 안정성융 세공한다는 것융 알 수 있었다 또 한 주판정의 각도에 따 흔 큰가슴큰파 위완세 갈애근의 근 활성도가 차이냐는 것온 향후 슬링 훈용의 석용 시 효과적인 근력강화흥 의 알긍혀여기 운웅 시 작용하는 근육의 근 활성도용 비교하여 운석하였다 연구는 건강 한 성인 냥성 15 영 융 대상으로 하였고 실영 온 승령과 고정원 지지연에서 팡긍관씬의 각 도가 0 0, 45 0, 90 의 3가지 조진에서 실시하였 다 본 연구훌 용하여 연구 욕직과 관련원 다 용의 경과훌 얻었다 l 큰가승근 안쪽빗근, 바강빗근에서 슬링 시 땅긍혀펴기 운동이 고정원 지지언에 서의 왈긍혀펴기 용용보다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슬링 운용 시 왈긍판정의 각도에 따라 큰가숭근과 위왕세강래근에 서 는 고정되 지지연에 비하역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냐 안쪽빗근과 바깡빗근에서는 유의한 위 'H 창고안 자료가 필 것이라묘 사료왼다 차이가 없었다 최근 셰간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국 소 근욕으호 웃갈래근 (mu! tifidus) 이 논의외 이러한 경과료 슬링 훈용이 고정왼 치지연 고 있다 (Mos이ey와 Hodges, 2002) 이와 함 에서의 운용보다 셰간과 근위부 판정 주위 께 다온 E 유으호는 배가로근 ( transverse ab 근육의 안정성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융 38
인욱선 운용려치효악에시 깨 10 경 셰 3';: KAUTPT Vol. 10 No. 3 2003 성녕양 수 있었나 또한 땅긍판설의 각도에 J<j rkesola G. A concept for exercise and 띠 ; 특갱 근 육의 근력 증진 훈동에 효융직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인 운 ι 땅냉 윤 석용하는 기준용 셰시해쓸 주 disorders. S-E-T article. 2αm 있을 것이다 J<jrkesola G. Advanced musculo- s l<eletal 인용운현 김선영 J 액인협 욕~근 강화 운동이 세간 신 선 융곡 시 척추 운절 운동에 미지는 영 향 한국선훈을리치료학회지 2003;j이1) 63~76 김선염, 권 재한 승링 (sling) 시스엠윷 이용안 요우 안정화 옹흥 대한정영흘리치료학 회 지 200l:7I2n ~ 15 Bergmark A. 5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m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sup이 emenlum. 1989:23(6l2C 24 Cholewicl<i 1. McGi lj SM. Mechanical stabilily of the in vivo \umbar spine Implications for injury and ch ronic low back pain. Clin Biomech. 1996:11.1-15 Cram JR, K;; ~ man GS, H이 tz J. Inπ duction to surface eleclromyography. MaryJand, As야 " 1998:360-374 Handa N. Tani T, Kawakami '1', et al.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s in pa tients over 40 years of age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Orthop Sci 2000.5(3).210-216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L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 tomatlc after resolution of acute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1996;212763 2769 Johansen F, Renvig L, Kryger P, el al Exercises for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triaj.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52-59 course. The 5-E-T concept using the therapimaster system. Norway, Course b 1<, 2 l Knudson D. '1 he validity of recent curl-up tests in young adults. J Strength Cond Res. 2001:15(1):81-85 Louto S, Aalto H, Taimela 5 et aj One-footed and externally disturbed two - f, 이:ed posture control in pal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m and healthy contro! subjects. A contr이 Icd study with fo l!ow-up. Spine. 1998: 23119)'2081 ~2089 Magce DJ. Instability and stabilizatìon Theory and treatment. Workbook. 1999 2nd. Seminar Moseley GL, Hodges Sc. Deep and superficial fibers of the lumbar multifidus musc1e are differentially active du ri ng volunta ry arm movements. Spine. 2ω2 27 i2l' 29~36 Snock S, Campanelli IlA. Hart JW. Injury and proprioception in the lower back. J Orthop Sports Ph ys Ther. 1994:5 282~295 Van Tulder MW, Koes BW, Bouter LM Conservativ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non 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î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most common interventions. Spine. 1997:22( 18 ) 2128~2156 Vera Garcia FJ, Grenier SG, McGill SM Abdominal muscle response during cur! -ups on both stable and labile ~ 39 ~
언긋선 ~ß- 히치il.'O{회지 세iO영 씨 3-" KAUTPT Vol. 10 No. 3 2003 surfaces. Phys Ther. 2(00;80(6):564 569 Vossen JE. Kramer JE. Burke DG, et al Comparison of dynamic push-up train ing and plyometric push-up training on upper- body power and streng th. J Strength Cond Hes. 2 이)();14m24 ~. 25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