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C1A632C2F729C1F7BEF7BAB4C1F8B4DCBBE7B7CAC1FD323030382DC3D6C1BE5B315D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XXXXXX XXXXXX

2013여름시론(3-5)

- I -

Jkafm093.hwp

(5)-(28~45)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2 -

³»Áö_10-6

Jksvs019(8-15).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003report hwp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DocHdl2OnPREPRESStmpTarget

암센터뉴스레터1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1 요약문 1. 과제명 : 2. 연구기간 : 3. 연구자 : 4. 연구목적및필요성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½Ç°ú¸Ó¸®¸»¸ñÂ÷ÆDZÇ(1-5)¿Ï

hwp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Kjtcs324( ).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4-Ç×°ø¿ìÁÖÀ̾߱â¨ç(30-39)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CC hwp

부록 531 1) 질관리평가서식 ( 폐암 )

레이아웃 1

º»ÀÛ¾÷-1

ePapyrus PDF Document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35-11A.hwp

0.筌≪럩??袁ⓓ?紐껋젾 筌


º´¹«Ã»Ã¥-»ç³ªÀÌ·Î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Jkbcs016(92-97).hwp

178È£pdf

보험보상의 모든것

나하나로 5호


* ** *** ****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CR hwp


<5B30345F DBBFDBBEAC0DAC3A5C0D3C0E7C8B0BFEB28BFA9C1D8C8A3292E687770>


CD 2117(12113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T hwp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규정집(2015ver11).hwp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내지(교사용) 4-6부

96 경첩들어올림 347 타입 A Ø 타입 B Ø 신속하고쉬운도어탈착 모든금속구조재질및마감처리강철, 아연도금또는스테인리스스틸

2012년 대한간학회 추계학술대회 4) Anti-HCV 검사 <인정기준> 가. HBsAg 음성인 급 만성 간질환 나. 급성 및 만성 C형 간염이 의심되는 경우 다. 혈액종양 환자와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 등 잦은 수혈로 인해 C형 간염 감염의 위 험이 있다


- 2 -

01¸é¼öÁ¤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세라뉴스-2011내지도큐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휴일.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년암발생자수는 년대비 명이증가하여 년의 년 대비암발생자수증가 명증가 와비교하여둔화되었다 모든암연도별연령표준화발생률추이 모든암의조발생률은 년 만명당 명으로 년 만 명당 명과비교하여 명증가하였다 남자의조발생률은 년과비교하여 만명당 명증가하였 으며 여자의조발생률은 년과비교하

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FGUYPYUYJJHU.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 2 -

KBO_보일러 사용기술 규격_에너지관리공단

Y Z X Y Z X () () 1. 3

<30322EBFC0BCF6BFB52E687770>

해피메이커 표지.indd

항암치료란.ppt [호환 모드]


(연합뉴스) 마이더스

Kaes025.hwp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NFPA 지수 물질명 1) 구리 (Copper) 2) 실리콘 금속 (Silicon Metal) 3) 망가니즈 (Manganese) 보건 2 화재 반응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화학물질명 1) 구리 (Copper) 2) 실리콘 금속

감사회보 5월

~11

Transcription:

머 리 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1992년 산업보건연구 원으로 개원한 이후, 업무상 질병(직업병)으로 산재 요양 신청된 사례 중 에서 직업병 인정기준이 없거나 있더라도 판단이 어려운 경우 또는 사업 장에 대한 역학조사가 필요한 사례를 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의 뢰받아 조사 및 심의를 거쳐 의견을 회신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의뢰받은 사례에 대 해서 문헌조사, 사업장 자료조사, 근로자 건강기록조사, 사업장에 대한 현장조사, 동료 근로자에 대한 건강실태조사, 암 등록자료 및 사망자료를 이용한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확한 직업병 판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조사된 사례는 역학조사전문위원회에 회부하여 심의과정을 거치고, 사 회적 논란이 되는 사례나 새로운 직업병에 대해서는 역학조사평가위원회 에 회부하여 심의하고 있습니다. 현장조사나 심의과정에는 관련 지역기 관의 전문가들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직업병은 단기간의 노력으로 예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산업화 사회 의 발전에 따라 미리 예견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직업병이 속출하고 있습 니다. 따라서 직업병 예방을 위해서는 어떠한 유해요인에 어떠한 질병이 발생하는 지에 대해 신속히 파악해야 할 것입니다. 2002년 처음으로 일 년 동안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심의한 사례를 질병 계통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직업병진단사례집(2000년도) 을 발간한 이후 2003년에는 직업병진단사례집(2001년도) 을 발간하였고, 2004년 전 반기에는 직업병진단사례집(2002년도) 을, 2004년 하반기에는 직업병진 단사례집(2003년도) 을 발간하였습니다. 2005년 하반기에는 2004년도에

의뢰된 사례 중 현장조사를 거친 30건 사례를 정리하여 직업병진단사례 집(2004년도) 을, 2006년 하반기에는 2005년도 직업병 심의 사례를 정리 하여 발간했고, 2008년 하반기에는 2006년도 직업병 심의 사례와 2007년 직업병 심의 사례를 함께 정리하여 발간하였습니다. 이번 2009년 하반기 에는 2008년 직업병 심의 사례를 정리하였습니다. 이 책자는 업무관련성 여부를 높음과 낮음으로 표시하고 근로자와 사 업장의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의학적 소견 등을 요약하고 그 사유를 기 록함으로써 직업병 예방에 관여하거나 직업병 요양 승인에 관여하는 전 문가 및 행정가 모두에게 참고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의 질병 중심 사례 정리 순서에 더해, 직종 및 업종 별 사례 정리 목차를 추가하 였습니다. 이로써 본 사례집이 보시는 사업장 실무 담당자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비록 직업병 판단에 대한 논리 전개에 미숙함이 있더라도 널리 양해해 주시고, 앞으로도 근로자들의 직업병 예방과 진단에 최선을 다할 수 있 도록 아낌없는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9. 12.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강 성 규

차 례 차 례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 종양성 질환 / 1 (1) 호흡기 암 1.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후두암 3 2. 타이어 검수 및 적재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5 3. 용접공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암 7 4. 도금 작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9 5.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11 6. 암석채굴 근로자에서 발생한 원발성 흉막 혈관육종 14 7. 밸브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16 8. 보일러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18 9. 목재 가공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20 10. 무연탄 광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흉막의 악성 중피종 22 11. 철도궤도운수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24 12. 건설 용접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26 13. 밸브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28 14. 저유소 기계보수 정비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흉막의 악성 중피종 30 15. 선박 의장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32 16.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악성중피종 34 i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 조혈림프계 암 17. 석유화학단지 배관공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36 18. 합성수지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38 19. 전자제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40 20.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42 21.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44 22.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46 23.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48 24. 축전지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50 25.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52 26. 플라스틱가공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만성골수성백혈병 54 27.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악성 림프종 56 28. 목재품 도매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호지킨림프종 58 (3) 기타암 29.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60 30.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식도암 62 31.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악성 뇌종양 64 32.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인두강암 66 33.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뇌수막종 및 뇌경색 68 2. 비 종양성 질환 / 71 (1) 호흡기 질환 34.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변이성 협심증과 천식 73 35.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간질성 폐질환 75 36. 금속가공 작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 77 ii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차 례 (2) 근골격계 질환 37.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경추 제5-6번간 추간판탈출증 79 38.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양측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81 39.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좌측 슬관절부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83 40.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좌측 삼두건 석회화 건염과 좌측 삼두건 원위부 손상 85 41.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흉곽출구증후군 87 42.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제4-5요추간 추간판탈출증 89 43. 전자제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양측 승모근의 근막동통증후군, 만성경부염좌 91 44.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경추 제3-4번 및 제5-6번간 추간판탈출증 93 45. 자동차 부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경추 제5-6-7번간 추간판탈출증, 경부염좌 95 46.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좌측견관절부 회전건개와 관절낭 파열 및 이두장건 부분파열, 좌측 견관절부 충돌증후군 97 47. 건설 용접 근로자에서 발생한 추간판탈출증(5-6번 경추), 추간판탈출증 및 추간공협착증(6-7번 경추) 99 48. 제철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경추간판탈출증 101 49. 전동차 모듈 생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우측 견관절 회전근개 파열 103 50.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경추 제3-4, 4-5, 5-6, 6-7번간 추간판탈출증 105 (3) 피부 질환 51. 오수처리장 근로자에서 발생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107 iii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52. 휴대폰 도장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은피증 109 53. 폐기물 처리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지방종 111 54. 중계기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피부 질환 113 (4) 심혈관 질환 55.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심근경색의증 115 56. 작물생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관상동맥질환 117 57.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증 119 (5) 신경계 질환 58.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파킨슨 병 121 59.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파킨슨병 123 60. 고무벨트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소뇌실조증 및 MSA 의증 125 61. 육상화물취급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독성뇌병증 127 (6) 기타 질환 62. 자동차 정비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말기 신부전 129 63.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십이지장 궤양, 역류성 식도염, 변이성 협심증 131 64. 화공약품 도소매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격성 간염 133 65.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돌발성 특발성 난청 135 66. 가죽가공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양안안구건조증 137 부 록 / 139 직업 및 업종 별 색인 141 iv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종양성 질환 호흡기 암 / 3 조혈림프계 암 / 36 기타 암 / 60 1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01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후두암 성별 남 나이 45세 직종 타이어 제조업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망) 김 은 1991년 8월 12일 타이어(주)에 입사하여 성형공으 로 근무해오던 중 2005년 4월 후두암 및 췌장에 전이된 암을 발견하였다. 이 후 발견된 간전이로 항암치료를 받았고, 병의 진행으로 2005년 11월 6일 사망 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망)김 은 1991년 8월 12일 (주) 타이어에 입사하여 2005년 5 월 6일 휴직시점까지 13년 9개월 동안 성형공정에서 일해왔다. 근무형태는 4 조 3교대이며, 5일간 일하고 2일 쉬게 된다. 평균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으로 식사시간과 휴식시간을 제외하면 약 7시간 정도 근무하게 된다고 한다. 망인 이 근무하였던 성형공정은 타이어에 사용되는 모든 구성 재료(카카스, 사이드 월, 비드, 이너 라이너, 트레드, 벨트)를 성형기 드럼에서 순차적으로 붙여 원 통형의 그린타이어를 만드는 공정이다. 성형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유 기용제로서 재료가 붙었을때 분리할 경우에 사용하는데, 병에 꽂아져 있는 스 포이드를 이용해 뿌리며 하루에 2-3번 정도 사용한다고 한다. 성형공정 앞쪽 에는 비드와 제단 공정이고 뒤쪽은 가류공정이 있다. 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망)김 은 흡연은 진술이 엇갈리나 최소 6 갑년이며 음주력은 소 주 1/2병 2병/주 가량이었다고 하였다. 후두암 발생 이전에는 특별히 건강에 문제가 없었으며, 2003-2004년 일반건강 검진결과 흡연, 음주 개선 판정을 받 았다. 작은 아버지가 간암으로 사망한 것 이외에는 암에 대한 질병력이 없었 다. 2005년 3월말경에 목소리가 쉬고 경부에 종물이 촉지되어, 조직검사결과 후두암 판정을 받고 절제술 시행하였다. 2005.4.15 시행한 PET검사상 췌장암 이 의심되어 2005.5.4 췌장절제술, 2005.9.8 간전이가 발견되어 조직검사 시행 한 결과 소세포 신경내분비암이 발견되었고 이는 후두에서 전이된 것으로 판 단되었고, 췌장부위의 암도 후두에서 전이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전이가 증명된 후 항암치료 시작하였으나, 2005.11.6 병의 진행으로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김 은 1약 13년간 8개월간 타이어 성형공정에서 근무하던 중 후두암이 발생하였는데, 2 일반적인 고형암의 잠복기인 10년을 고려했을 때 근무 기간 중 발암 병리 가 개시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3 과거 90년대의 작업환경은 2007년 역학조사의 작업환경노출평가 결과보 다 PAH, 고무흄 등이 높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4 근로자 (망)김 의 후두암의 경우, 드물게 발생하는 소세포 신경내분비 암으로서, 폐에서 발생하는 소세포암과 병리적으로 같은 조직형으로 알려진 바, 발암병리의 개시 및 진행에 폐암의 위험요인을 공유하므로 이 증례 의 업무관련성 평가는 고무제조공정에 발생한 폐암의 발암 위험에 준하여 고려함이 필요하고, 5 문헌에서 보고되는 고무제조공정에서의 발암 위험의 개연성을 고려할 때, 근로자 (망)김 에서 발생한 후두암(소세포신경내분비암)은 작업중 유해 물질 노출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02 타이어 검수 및 적재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53세 직종 타이어 적재 및 검수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망)고 은 1999년 타이어 생산 하청업체에 입사하여, 타이어 검수 및 적재에 주로 종사하다가, 2006년 9월 6일 병원에서 소세포 폐암의 진 단을 받고 치료하던 중 2007년 5월 29일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고 은 44세 때인 1999년 11월 9일 타이어(주) 협력업체 (주) 에 입사하여 2006년 8월까지 타이어 생산 공정의 검사공정(품질관리팀 검 사부)에서 4조 3교대로 근무하였는데, 업무는 검사공정에서 버핑을 마친 타이 어를 적재하는 일이었다. 검사공정은 가류와 버핑 작업장 근처에 위치하며 콘 베어로 이송되는 타이어의 외관을 검사하며 타이어를 잡고 동일규격 적재 렉 카에 적재, 이동하는 작업을 하였다. 타이어 적재량은 약 10~15분 동안 레카 차에 6~7개 정도 적재하며, 그 일을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그 외에 생산된 타 이어를 외관 검사하고 마킹이 잘못 찍힌 부분을 검사하기 위해 솔벤트를 통에 담아 칫솔 등으로 타이어 날인부위를 닦아낸 후 날인하는 일이다. 작업량에 대해서는 정확히 측정된 바가 없다. 작업량은 일부 유가족의 진술과 사업주, 동료근로자의 진술을 들었을 때, 작업량은 많지 않았다 고 하며 일부는 하루 10개 남짓 으로 파악되었다. 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망)고 의 흡연은 유족과 회사 관계자들 사이에 차이는 있으나 2006년 9월 병원에서 작성된 입원기록지에 30갑년으로 기록이 되어 있다. 가족 중 암에 걸린 사람은 없었으며 다른 내과적 만성 질환도 없었다. 2002년 부터 2003년까지 일반건강진단에서는 흉부방사선 검사소견이 정상이었고, 2004 년 흉부방사선 검사상 늑막비후(좌하) 비활동성으로 판정되었다. 2006년 8월경부 터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고, 기침이 심해져 2006년 9월 3일 병원에서 검 사를 받은 결과 폐종양이 발견되었다. 같은 해 9월 6일 병원에 입원하여 소 세포 폐암의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았으며, 이후 입 퇴원을 반복하며 치료하였 다. 증세가 심해져 5월 20일 다시 입원하여 치료하던 중 5월 29일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고 은 1 입사한 이후 6년 10개월만에 소세포 폐암이 발생하였는데, 2 폐암을 포함한 고형암이 통상 10년 이상의 잠복기를 지니는데, 근로자 (망) 고 의 노출기간 10년 이하로, 업무상 노출되는 유해요인에 의해 폐암이 발생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3 작업장에서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무흄, 고무분진, PAH 의 노출 수준은 2007년의 노출평가시 낮았고, 이러한 작업환경은 과거와 크게 차 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4 근로자 (망) 고 에게는 의무기록 검토를 통한 흡연력 등 비 직업성 발 암요인이 있으므로, 근로자 (망)고 의 폐암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03 용접공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암 성별 남 나이 48세 직종 용접공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박 은 1999년 7월 27일 (주) 에 입사, 근무 중 2007년 9월 10일 뇌의 악성신생물로 진단받고, 2007년 9월 20일 원발성 폐암의 뇌전이로 최종 진단되었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는 1999년 7월 27일부터 (주) 에 근무하며 항온, 항습기의 용접 및 연마작업을 하였다. 용접 모재는 원자재가 철판인 경우가 약 90%이고, 크롬 등을 포함한 스텐판이 약 10%이었다. 작업은 용접이 대부분이고 용접 후 사 이사이에 10-20분(최고 30분) 연마작업을 한다. 정규작업시간은 오전 8시-오후 5시이고, 30분간 저녁식사 후 주 1회는 2시간 더, 주 4회는 4시간 더 작업하 고 토요일은 오전 8시-오후 5시 작업한다. 즉, 식사시간을 제외한 작업시간만 주당 66시간이며 일요일은 휴일이고 교대근무는 없다. 근로자는 7년 동안 개 인용 호흡보호구 없이 작업하였다. 방진마스크를 공급한 것은 1달쯤 되었다고 모든 현장 근로자들이 일관되게 진술하였다. 용접공정의 작업환경측정 결과 모두 노출기준 이하이었고 6가크롬은 0.0005 mg/m3로 노출기준 0.05 mg/m3의 1% 수준이었다. 다만 근로자는 (주) 에 입사 전 약 10년 동안 건업이라는 사업장에서 알루미늄 및 철재류를 조립, 용접하는 업무를 하였다고 한다. 당시 6가크롬이 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다량 함유된 스테인레스강 용접을 하였다면 업무상질병의 가능성이 현재보다 는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사업장이 폐쇄되어 당시 작업 내용이나 노출 물질을 증명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3 의학적 소견 2007년 7월부터 뒷목 뻣뻣함,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있어 2007년 9월 10일 병원에서 뇌의 악성신생물(전이)로 진단받았다. 2007년 9월 14일 병원 입원 후 CT, 조직검사 등을 실시하여 9월 20일 원발성 폐암(선암, T1N3M1) 및 뇌전이로 진단받고 치료중이다. 근로자는 폐암 발생 이전까지는 건강하였 고, 폐암을 의심할만한 증상이나 질병력도 없었다. 건강진단은 2005년과 2006 년에는 일반건강진단, 2007년(6월 15일)에는 용접흄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병원에서 받았는데 3개년 모두 흉부방사선 소견 정상이었다. 흡연력은 에 입사한 후 7년 동안은 1일 1갑씩 피웠다고 하며 20년 전부터 흡연과 금연을 반복하며 조금씩 피웠고, 최근에 많이 피웠다고 하였다. 술은 일주일에 2-3회 마셨다(1회 음주량은 2홉짜리 소주 한병정도). 부모님은 모두 생존해 계시며 암발생 등 가족력은 없다. 4 결 론 근로자 박 은 1 원발성 폐암 및 뇌전이로 진단받았는데, 2 근로자가 (주) 에서 용접 및 연마작업을 하며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 6가크롬에 노출된 것은 인정되나, 노출량이 적고, 노출기간도 7년으로 짧으며, 3 폐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흡연력이 최소 7갑년에서 최대 20갑년이 있어, 근로자 박 의 원발성 폐암 및 뇌전이는 업무상질병의 가능성이 낮은 것 으로 판단되었다. 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04 도금 작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47세 직종 금속도금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김 는 29세인 1990년 4월부터 2007년 10월 1일까지 총 17년 5개 월간 크롬도금 업무에 종사하였고, 2007년 10월 18일 폐좌하엽의 악성 폐종양 (비소세포성 폐암)과, 전이성 뇌종양을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김 는 17년 5개월간 (1990년 4월-2007년 10월 1일) 크롬 도금업무 를 하였다. 이 작업은 철강 합본재에 고체형태의 크롬산을 물에 녹여 철강제 품과 함께 가열하여 금속을 부착시키는 작업이다. 도금작업 전에 월 1-2차례 30분정도 염화수소를 이용한 불량 처리 작업을 실시한다. 이는 90%의 염산을 20%의 염산으로 희석시켜 사용한다. 도금작업시 사용되는 크롬산은 외주에서 들어온 것으로 이를 물에 녹여 도금액을 만들고 도금 조에 철강제품을 넣어 전기 도금을 한다. 무수크롬산은 월 350kg 사용하였다. 도금이 된 철강 제품 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도금액에서 제거하며, 이를 바닥에 내려놓고 식힌 후 연마작업을 실시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한다. 평균적인 작업은 아침 8시 30분 에 작업을 시작하여 22시경에 작업을 종료하였는데, 점심시간 1시간, 오후 3시 경에 20분 내외에 휴식시간이 있는 등 주중 평균 12시간 근무하였고, 토요일 은 아침 8시 30분부터 오후 6시 경까지 근무하였고, 일요일은 휴무하였다. 작 업 중에는 면장갑과 면 마스크를 사용하였으며 휴게 공간은 작업장에서 독립 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되어 있지 않고 작업장 내에 칸막이를 막아 사용하였다. 연마 공정과 도금 공 정은 작업장 내 동일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김 는 29세 때인 1990년 4월부터 금속(12년 6개월), 공업 사(4년 9개월), 금속(1개월 15일)에서 총 17년 5개월간 크롬 도금에 종사하 였다. 특수건강진단 결과 특이 소견은 없었다. 2007년 9월 15일 경부터 두통, 어지럼증, 계산 불능증, 졸음증 등이 있어 2007년 10월 1일 병원에 입원하 여 흉부 및 뇌 CT 검사 결과에서 기관지 악성 종양(4기), 전이성 뇌 두정엽 종양으로 진단받았다. 이후 2007년 10월 8일 병원으로 전원하여 2007년 10월 10일 기관지 내시경 조직 검사상 비소세포성 폐암 및 2007년 10월 15일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검사 결과에서 전이성 뇌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이에 대한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김 는 1 2007년 10월 10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되었고, 2 폐암으로 진단되기 17년 5개월 전부터 폐암 발암물질로 잘 알려진 6가 크롬에 노출되었으며, 안 등(2005)의 연구에서 밝힌 평균적인 도금작 업의 6가 크롬 노출 수준(1.11-2.76 μg/m3)보다 높은 수준에 노출되었고, 하루 12시간 이상 도금작업에 종사하였고, 또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의 누적 노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3 우리나라에서 폐암이 호발하는 연령보다 젊은 47세에 뇌에 전이된 상태 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근로자 김 의 크롬 노출에 의한 비소세포성 폐암은 업무와 관련 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1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05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49세 직종 강선 건조 또는 수리업 업무관련성 판단불가 1 개 요 사망근로자 권 은 1984년 2월부터 21년 9개월간 (주) 중공업에서 가우 징 및 용접 작업을 하였으며, 흉통이 심해져 개인병원을 경유 2007년 2월 2. 12일 병원에서 폐암으로 확진을 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망)권 은 1984년 2월 중공업 조선 사업부에 입사하여, 1년 5 개월 정도 가우징 작업을 하였고, 1985년 7월 21일 이후 약 21년 9개월간 용 접작업을 하였다. 본인 진술로는 1986년까지는 회사에 살다시피 연장 근무를 하였고, 이후 통상적으로 오전 8시부터 오후 7-8시까지 연장근무를 하였다고 한다. 20년 전부터는 CO2용접을 주로 이용하였고, 용접봉은 주로 연강판용을 사용하나 5년 전부터 도입된 LPG선의 경우 특수 용접봉을 쓰는데 흄 발생이 훨씬 많다고 하였다. 권 의 경우 엔진룸 작업을 주로 수행한 것으로 주장 하고 있는데 밀폐 공간인 탱크 안에서의 작업이 많고 팬을 장착하고 들어가서 하지 않으면 거의 일을 하지 못한다는 진술 및 과거는 요즘보다 환기가 훨씬 불량했다는 진술을 고려할 때 상당한 분진 및 용접흄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 정되었다. 용접이 채 마치지 않은 상황에서 보온재 마감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용접 작업자가 직접 보온재를 뜯어내야 하는 상황이 있다는 점을 주 1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장하였다. 작업환경평가 결과 용접흄의 경우 일부에서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흄 중 중금속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한 결과 망 간에서 노출기준 초과한 시료 2건이 확인되었다. 니켈 및 6가크롬은 낮은 농 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CO2용접이나 아크용접에 비해 가우징 작업은 더 많은 용접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망)권 은 흉통이 심해져 2007년 2월 5일 개인병원을 경유 2007년 2월 12일 병원에서 폐암으로 확진을 받았다. 기관지경 검사를 하였고 조 직검사 결과 비소세포암, 선암으로 진단받았다. 흉부 CT로 병기가 T2N3M1인 폐내 전이를 동반한 원발성 폐암으로 추정되고, 폐조직의 특수 염색(CK7, TTF-1)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병원 의무기록 상에는 과거 흡연, 5갑년 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권 본인 및 동료근로자들은 권 이 흡연을 일절 하지 않았다고 진술하고 있다. 음주는 주 1-2회, 소주 반병에서 1병 정도를 한 것으로 진술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권 의 폐암이 업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 원발성 폐암(선암)으로 확진되었는데, 2 폐암의 가장 흔한 원인인 흡연력이 5갑년 이하로 매우 낮으며 3 1년 5개월의 가우징 작업에서 크롬 등의 중금속 흄에 노출되었을 가능성 이 크다. 4 80년대 후반에도 조선업 타 사업장에는 석면이 널리 사용되는 등 석면에 대한 위험성 인식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회사측 주장만을 그대로 받아 들일 수 없는 측면이 있고 1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5 본 연구원의 타 조선업종 종사자 업무상질병 심의 사례를 볼 때 85년 이 후에도 석면포 및 용접불꽃받이용 석면포가 여전히 사용됨이 확인되고 6 실제 동료근로자 진술 상 용접불꽃받이용 석면포가 85년 이후에도 일부 관리되지 않고 사업장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근로자 (망)권 의 폐암이 업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에 대한 객관 적 입증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1 조선업에서 21년 9개월간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연강 용접자만으로 폐암 위험도가 높다고 보기 힘들다. 2 중공업(주)에서는 85-86년 이후부터는 엔진룸 보온재에 석면이 활용 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사실판단이 어렵다. 3 석면을 취급한 적이 있다는 사실은 진술로만 제시될 뿐으로, 회사의 위 주장을 부인할 만한 객관적 근거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 의 조사로는 석면의 존재 유무에 대한 쌍방간의 자기주장만 있을 뿐 객 관적인 입증 근거를 확보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근로자 (망)권 의 폐암에 대한 업무 기인성은 현재까지의 정 보로는 판단이 불가능하다 사료되었다. 그러나 석면 노출 가능성에 대한 새로 운 증거가 나타날 경우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1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06 암석채굴 근로자에서 발생한 원발성 흉막 혈관육종 성별 남 나이 49세 직종 암석채굴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이 은 1998년 폐업하기까지 대리석에서 석재 채취관련작업을 약 15년간 수행하였다. 2007년 10월 18일에 악성중피종으로 진단받았다가 2008년 혈관육종으로 재진단되었다. 뇌 전이가 진행되어 2008년 8월 26일 사 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이 은 1983년 대리석(주) 석산에 입사하여 채석, 운반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회사가 폐업하는 1998년까지 약 15년간 근무를 하 였다. 업체는 1998년 폐업하여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업주 및 동료근로자의 소재를 추적하였지만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역시 호 흡기 장애로 이야기가 어려워 해당 정보를 입수할 수 없었다. 이에 보호자의 직 업력 진술 및 폐업 처리된 석산 채굴현장을 확인하고 석면노출량에 대한 정 량분석은 병원에서 시행한 조직검사 샘플을 입수하여 본 연구원 화학물질연 구센터의 석면 정량분석을 통해 확인코자 하였다. 회사에서 특별히 호흡기 보호 구를 제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근로자 이 의 폐 조직 검사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5 μm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EDX 분석 상 투각섬석으 로 나타났다. 건조 폐 조직 1 g 당 0.29 106 개 ( 5 μm, 각섬석 섬유)로 Helsinki criteria에서 업무에 따른 석면노출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1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기준인 0.1 106 개를 초과하였다. 하지만 석면흡입으로 인한 폐암 발생의 위험 비가 2배가 되는 기준인 2 106 개 ( 5 μm, 각섬석 섬유)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3 의학적 소견 피재근로자 이 은 1983년 대리석(주) 석산 입사 전까지 석면에 노출될 만한 직업력은 없던 것으로 보인다. 보호자 진술에 따르면 과거 병력 상 특별한 질환을 진단받은 적은 없다. 일반건강검진 상 이상 소견은 없었으 며 평소 술은 거의 마시지 않으며, 담배는 2년간 하루에 1-2개비 피웠고, 10년 전 끊었다고 한다. 취미는 등산과 배드민턴을 즐겼다고 한다. 근로자 이 은 2006년 가을 무렵부터 좌측 흉복부 통증 발생하여 여러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2007년 10월 18일에 우측 폐절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악성중피 종으로 진단받았다. 7차의 항암치료를 종료한 2008년 4월 16일에 임상 경과의 호전이 없었고 면역화학표지자 검사를 수행한 결과 혈관육종으로 재진단되었 다. 항암제를 변경하여 치료를 하였으나 호전이 없었으며 뇌 전이가 진행되어 2008년 8월 26일 오전 9시경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이 은 1 원발성 흉막 혈관육종 으로 최종 진단되었는데, 2 체내 석면 분석 결과 및 해당지역에 대한 석면광맥에 대한 보고를 고려 할 때 업무와 관련되어 석면에 노출됨이 인정되고, 3 10년 이상의 잠복기를 만족한다고 볼 수 있지만, 4 해당 질환이 석면에 의해 발생한다는 역학적 근거를 찾을 수 없어, 결론적으로 근로자 이 의 원발성 흉막 혈관육종 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 생하였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07 밸브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50세 직종 밸브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망인은 1980년 12월 23일 금속공업(주) (현, 밸브(주))에 입사하여 청 동밸브가공작업 등을 하였다. 2007년 9월 19일 폐암으로 진단받았고 2008년 3 월 6일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현재 밸브(주)에 있는 작업공정은 드릴과 자리파기이며, 청동가공과 볼 밸브가공작업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공(80~86.8)에서 가공기계는 밀폐되어 있었기 때문에 금속가공유가 밖으로 튀지 않았으나 금속가공유 특유의 냄새는 많이 났었다고 한다. 볼밸브 가공(86.9~92.말)에서 세척작업은 신나를 사용하였 고, 조립에 사용된 가스켓은 석면이 함유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동료 근로자 는 용접작업은 하루 중 극히 적은 정도로 행해졌다고 하였다. 밸브가공(93년~ )에서 망인은 처음 1년간 드릴작업만 하였으며, 94년 이후는 자리파기 작업만 하였다고 한다. 2005년과 2006년에 측정한 자료에서 MIG용접에서 발생한 융 접흄의 시간가중 평균 각각 1.1618/1.4285로 노출기준의 1/4 정도에 해당하나 전체적으로 노출기준을 넘지는 않았다. 현장조사시 드릴작업을 하는 동료 근 로자에게서 1.548mg/m3, 2.393mg/m3의 금속가공유가 측정되었고 용접작업을 하 는 동료 근로자에게서 1.219mg/m3의 용접흄이 측정되었으며, 자리파기 작업에 서 동료 근로자의 오일미스트 농도는 1.847mg/m3이다. 그 외 폐암 관련 물질에 대해서는 허용기준 미만이거나 불검출되었다. PAHs 측정 결과 드릴작업에서 는 naphthalene, acenaphthene, anthracene, fluoanthene이 흔적 으로 측정되었으 1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며, phenanthrene, naphthalene, acenaphthene, phenanthrene는 기준치 미만으로 측 정되었다. 그러나 자리파기 작업에서는 PAHs가 검출되지 않았다. 3 의학적 소견 망인은 1998년 결핵을 치료하여 완치한 적이 있었으며, 그 외 특별한 질병 력은 없었다. 2006년 정기검진의 흉부 X-선 검사에서 우측 폐하 국소적 폐렴 의증을 받았으나 2차검진에서 정상으로 판정을 받았고, 2007년 흉부 X-선 검 사에서 폐내결절음영으로 폐암이 의심된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그 외 다른 이 상소견은 없었다. 폐암과 관련된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망인의 진 술에 따라 결혼당시(1986년)부터 1997년 금연까지 하루 한 갑을 흡연했다고 가정한다면 11갑년이라고 할 수 있으나, 정확한 흡연량은 추정할 수 없다. 망 인은 감기증상이 있어 의원에서 약을 복용해오다 2007년 9월 19일 병원에 서 실시한 흉부CT 검사와 조직검사결과 폐암(선암)으로 진단받았다. 이후 폐 암으로 인한 폐부종으로 2008년 3월 6일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 임 은 1 폐암으로 확진되었으며, 2 입사이후 수행한 청동가공, 밸브가공에서 사용된 금속가공유에 다핵방향 족탄화수소(PAHs)가 포함되었으나 노출수준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3 볼밸브가공에서는 가공작업을 하지 않아 PAHs에 노출되지 않았을 가능 성이 높으며, 4 석면가스켓의 사용으로 인한 석면 노출가능성은 있으나 그 농도가 미미하고, 5 MIG용접시 발생하는 용접흄의 농도 또한 미미하다. 따라서, 망인은 발암물질에 대해 노출가능성은 있으나, 노출의 정도가 낮을 것으로 생각되어 망인의 폐암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했을 가능성이 낮은 것 보일러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소세포폐암으로 판단되었다. 1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08 보일러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성별 남 나이 68세 직종 보일러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곽 은 1989년부터 보일러 제조업체에서 소음통 조립과 보온재 부 착 작업을 하였고 2008년 1월부터 기침, 객담 지속되다가 2008년 1월31일 조 직검사 결과 원발성 폐암(비소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곽 은 1989년부터 1998년까지 보일러에서, 1998년부터 2008년 1월까지 하청업체인 산업에서 소음통 조립과 보온재 부착작업을 한 것으 로 파악된다. 소음통에 사용된 섬유는 암면이었고, 보일러 통을 감싸는 보온재 는 유리섬유로 확인되었다. 작업환경 측정결과 유리섬유 분진, 톨루엔, 자일렌 등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이 이루어졌고, 유리 섬유 분진은 노출기준의 1/10을 초과하지 않았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곽 은 1962년(22세)부터 2007년까지 2-3일에 한갑 정도로 흡연하 였다(약 25갑년). 산업에 재직하던 당시인 2006년에 실시한 건강진단에서 소음성 난청(비소음성, 전음성)과 고혈압소견 보였고 흉부 방사선 검사소견 정 1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상 판정 받았고, 2007년 건강검진에서 소음성 난청(일반질환)으로 판정되었다. 2008년 1월부터 기침, 가래, 혈담, 호흡곤란 지속되어 동네 의원에서 치료 중 증상의 호전 없어 시행한 흉부방사선사진상 좌하엽의 이상소견으로 타병원에 흉부컴퓨터단층촬영에서 좌하엽의 폐암으로 의심되어 2008년 1월 31일 병 원에 내원하여 조직검사 시행하였다. 시행한 조직검사상 비소세포성폐암(선암) 진단되어 좌하엽절제술 시행받았다(T2N0M0). 4 결 론 근로자 곽 은 1 원발성 폐암(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되었고, 2 최근 19년간 보일러 통 조립 작업을 하였는데,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에 노출되지 않았고(작업중 노출된 물질은 석면이 아니라 유리섬유 및 암면으로 확인되었는데 유리섬유와 암면은 현재로서는 폐암을 일으키 는 발암물질이라고 보기 어렵다), 3 대략 25갑년의 흡연력으로 미루어 봤을 때, 근로자 곽 의 원발성 폐암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1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09 목재 가공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49세 직종 목재 가공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김 는 1976년부터 목재 가공업에 종사하다 1996년 9월 1일 산업(주)에 입사하여 2008년 2월 29일까지 후레쉬 도어 및 창문 문 입구 제작 과 설치 작업을 하였으며, 퇴사 직후인 2008년 3월 폐암을 발견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김 는 1976년부터 4년간 가구점에서 수작업으로 목재가공 및 칠 작업을 하였으며, 1981년부터 1995년까지 목공소에서, 1996년 9월 1일부터 2008년 2월 29일까지 산업(주)에서 후레쉬 도어 및 창문 제작과 설치 작 업을 하였다. 목공소에서의 작업과 산업(주)에서의 작업은 매우 유사하 였으나 김 의 진술에 따르면 산업(주)에서의 업무량이 목공소에서의 업무량에 비해 3배가량 많았으며, 목분진 노출도 그에 따라 3배가량 많았다. 2008년 10월 1일 작업환경 측정 결과 목분진은 1.105 mg/m3이었으나 겨울철 작 업 시에는 작업량 증가 및 작업장 밀폐 등으로 더 많은 분진에 노출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현장 방문 시 국소배기설비가 있어야 가동할 수 있는 기계 2대에 설치된 국소배기설비 이외에 가동되는 국소배기설비는 없었다. 김 에 의하 면 작업장에 목분진은 항상 1cm 두께로 쌓여 있었다 하였으나, 현장 방문 당 시에는 방문 전에 청소가 되어 있어서 바닥에 쌓여있는 목분진을 볼 수 없었 다. 개인보호구(귀마개, 방진마스크) 착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였다. 2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김 의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폐암과 관련된 사항은 없었다. 하루 반 갑씩 10여 년간 흡연하다 2002년 금연하였으며, 음주는 주 3회씩 소주 1병 씩 하였다. 2008년 3월 2일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 후 가래에 피가 섞여 나 와 3월 3일 흉부 전산화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폐암(7.3 4.3cm 크기의 종괴) 의심되어 3월 4일 병원으로 전원, 조직검사 상 선암이 진단되었고, 최종적 으로 폐암 1기(T2N0M0)으로 판정되었다. 3월 14일 폐 우하엽 절제술 시행하 였다. 추적검사 상 시행한 흉부 전산화단층 촬영 상 우중엽에 결절이 관찰되 어 폐 우중엽 쐐기절제술 시행 후 조직검사 상 이 결절은 암이 아닌 폐 내부 림프 결절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7월 5일 퇴원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김 는 1 1976년부터 지속적으로 목분진 노출 작업을 해 오던 중, 1996년 산업(주) 에 입사하여 약 12년 동안 목재 가공작업을 하다가 폐암에 이환되었는데, 2 발견 당시의 암의 크기 및 폐암의 잠복기를 감안하면 흡연 이후보다는 그보다 20여 년 전에 시작된 목분진 노출 이후에 발암 과정이 시작되었 을 가능성이 있고, 3 작업환경 측정 상 작업 중 노출되는 목분진의 양이 상당한 수준일 것으 로 예상되나, 4 흡입된 목분진 중 상기도 뿐만 아니라 하기도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 공 기역동 지름이 5 μm보다 작은 미세 분진의 분획이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고, 5 작업 중 노출되는 목분진의 크기가 상기도에 국한하여 머물 정도의 크기 로 인해 기존의 역학연구결과에서도 목분진과 폐암과의 관련성에서 일치 된 결과를 보이지 않아, 근로자 김 에서 발생한 폐암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0 무연탄 광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흉막의 악성 중피종 성별 남 나이 52세 직종 무연단 광업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박 은 1974년 6월부터 무연탄 광산에서 약 16년간 일하다가 1990년 부터 약 1년간 건물 철거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였고, 그 후 2006년 12월까지 철근공 일용직으로 근무하였다. 2007년 10월 흉막의 중피종 악성 신생물, 가 슴막 삼출액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박 은 1974년 6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탄좌, 1981년 1월부터 1985년 1월까지 광업소, 1985년 2월부터 1990년 2월까지 산업(주) 광업소(모두 현재 폐광)에서 굴진, 채탄, 운반 등의 작업을 하였다. 탄좌 와 광업소에서는 작업시 보호구는 전혀 없었고, 분진이 매우 심하게 발생 할 경우에만 수건으로 코와 입 부위를 가리는 정도였다. 산업(주) 광 업소는에서는 무연탄 운반 작업을 하였는데 개인 호흡 보호구를 착용하였다 1990년 3월 이후 1년 정도는 소규모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혼합과 타설 작 업, 건축물 해체와 철거 등의 일을 하였다. 그 후에는 철근 가공 조립일만을 2006년 12월까지 하였다. 2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이직 근로자 박 은 음주는 20세 초반부터 주 1회, 소주 약 2병씩 10년간 하였고, 그 후 금주하였다. 흡연력은 22 갑년이고 2007년 5월 이후 금연 중이 다. 2007년 3월에 시작된 호흡 곤란으로 개인병원에서 촬영한 단순 흉부 촬영 에서 흉막 삼출이 관찰되었고, 결핵 치료를 1개월 시행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 어 좀 더 큰 병원에서 진료를 권유받았다. 2007년 4월에 병원에 방문하여 CT등의 검사를 권유받았으나 검사 거부하고 한의원 등에서 치료를 받다가 추 가적으로 흉통이 발생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다시 2007년 10월 23일에 병 원을 방문하여 CT 및 조직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는 조직 불충분으로 진단 및 석면 소체를 확인하지 못하였고, 주치의의 임상적 소견으로 가슴막의 악성 중피종의 임상적 진단을 받고 현재 통증 조절 등 대증적 치료를 하면서 경과관찰 하고 있다. 4 결 론 근로자 박 은 1 흉막의 악성 중피종으로 임상적 진단을 받았으며, 2 악성 중피종의 80%이상은 석면에 노출된 후 발생하고, 3 소량의 석면 노출에서도 악성 중피종이 발생할 수 있는데, 4 33년 전부터 약 17년(탄광부로 16년, 건축업 1년 미만)간 석면에 노출되 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로자 박 의 흉막에 발생한 악성중피종은 과거 약 33년 전부터 약 17년간 탄좌, 광업소, 산업(주) 광업소 및 소규모의 건축 폐기업에서 수 행한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2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1 철도궤도운수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43세 직종 철도궤도운수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망 김 은 1993년 8월부터 철도청에서 부기관사, 32세 때인 1997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지하철기관사로 종사하였다. 2006년 7월 10일 병원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골전이 된 상태를 진단받은 후 2008년 3월 23일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망 김 은 1993년 8월부터 철도청에서 부기관사로 근무하였고 1997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지하철 기관사로 종사하였다. 기관사는 하루 약 4-6시간(4시간*18일, 6시간*4일, 2달에 1회 야간 운행 3시간+오전 운 행 3시간) 운전을 실시하며 열차 앞 운전실에 탑승해 열차를 운전하는데 열차 가 터널에 진입하면 공기압이 높아져 열차 앞부분의 운전실 내부로 터널 공기 가 유입된다. 열차의 속력이 가속될수록 공기압이 커져서 운전실 창과 문틈으 로 터널 안 분진의 유입량이 많아지는데 보통은 문을 닫고 운전을 실시하지만 역사가 구부러진 경우는 승객이 모두 탑승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열차가 역 내에 도착한 후 문을 열고 열차 내 앞 뒤를 확인한다(1회 편도 운전 당 3 회 이상). 2달에 1번 가량 주박(야간 운행이 모두 끝난 상태의 차를 첫차 운행 전까지 지하에 주차하는 것)을 하게 되는 데, 이 때 역과 터널 안 주박지 사 이의 터널 내부를 걸어가야 하므로 고농도 유해분진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2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있다. 특히 첫 차를 운행할 때에는 새벽까지 이루어진 각종 보수작업으로 인 해 금속분진, 디젤연소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2005년~2007년의 작업환 경측정 결과와 2008년 역학조사 중 작업환경측정결과에서 라돈은 스웨덴 권고 기준 2pCi/L을 초과하는 곳은 없었으며 석면은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망 김 은 음주는 맥주 1캔 정도 1개월에 약 2회 정도였으며, 흡연 력은 7.5갑년이나 2001년 폐 좌상엽 기낭 진단을 받은 후로는 금연하였다고 한 다. 가족력상 특이 질병 또는 종양의 과거력은 없었다. 2006년 3월경부터 간헐 적으로 우측 흉추부위 통증이 있었으며, 동년 6월부터 객담에 피가 묻어 나와 2006년 7월 10일 병원에서 비소세포성 폐암(선암, 4기, T1N0M1), 골전이 상태로 진단을 받고 투병생활을 하던 중, 2008년 3월 23일 선행사인 폐암, 중 간선행사인 장기전이, 직접사인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 김 은 1 2006년 7월 10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되었고, 2 우리나라에서 폐암이 호발하는 연령보다 젊은 41세에 뇌에 전이된 상태 로 진단되었고, 3 폐암으로 진단되기 8년 4개월 전부터 폐암 발암물질로 잘 알려진 라돈 및 그 자핵종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4 라돈의 노출량이 폐암을 유발할 정도의 높은 노출량이 아니고, 석면 등 의 노출 또한 미미하였을 것으로 보여, 근로자 김 의 비소세포성 폐암에 대하여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 능성은 낮다고 판단되었다. 2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2 건설 용접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52세 직종 건설 용접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전 은 1983년부터 각종 신축현장에서 약 25년간 용접공으로 근무 하였다. 2008년 2월 원발성 폐암(선암)을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전 은 약 25년간 건설업 신축현장에서 용접공으로 근무하며 주로 아크용접으로 백관(아연도금 강관) 용접 작업을 하였으며, 2004년 기공에 입사하여서는 아크용접으로 강관 및 스텐레스강 용접 작업을 하였다. 주로 오 전 7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점심시간 1시간을 제외하고 현장에서 근무하 며, 호흡기 보호구는 초기 2-3년에는 사용한 바 없고 그 이후에는 면마스크를 사용하였다. 분진이 많아 면마스크는 거의 매일 교체해야 했고 1990년대에 들 어와서 방진마스크가 지급되었다. 근로자 전 및 동료 근로자의 진술서에 의하면 용접 작업시 인화물질의 화재 방지를 위해 지급받은 석면포를 사용하 였다고 한다. 현재는 버미그라스라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용접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사용한 것은 5년 정도 된 것 같다고 진술하였다. 기공에서 사용했다고 진술한 용접봉에 대해 제출한 물질안전보건자료에 의하면 크롬, 니켈,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다. 2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전 은 부모님은 노환으로 사망하였고, 암의 가족력은 없었다. 흡 연 및 음주는 하지 않았고 특별한 과거력은 없었다. 특수건강진단 결과 특이 소견은 없었다. 1983년부터 약 25년 간 용접공으로 주로 신축건설현장에서 백 관, 강관, 스테인레스강 용접을 하였는데 그 동안 건강진단에서 특별한 이상은 없었다고 한다. 2007년 12월 27일 병원에서 실시한 건강 검진에서 단순흉 부방사선 사진상 우폐문종대 소견이 보여 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선암)을 진단받았다. 2008년 2월 4일 우폐 하엽 및 중엽 절제술을 시행하고 현재 통원 치료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전 은 1 2008년 2월 비소세포성 폐암(선암)으로 확진되었고, 2 폐암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알려진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3 약 25년간 용접작업을 하면서 폐암 발암물질로 알려진 6가 크롬, 석면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4 용접 작업과 석면포 설치 작업에서 폐암 유발 물질인 석면에 함께 노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따라서 근로자 전 에게 발생한 비소세포성 폐암은 용접 작업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2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3 밸브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53세 직종 밸브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박 은 1980년 3월 24일 금속(주) (현, 밸브(주))에 입사하 여 주물모형 제작 등을 하였다. 2008년 5월 흉부 방사선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2008년 7월 22일 우하엽 절제술 시행받고 조직 검사상 폐암을 진단받았으며 현재 항암치료 중이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박 은 1980년 3월 24일 산업용 밸브 제조 회사 금속(주) (현, 밸브(주)) 주조팀 모형반에 입사하여 주물을 붓기 위한 모형의 신규제작, 수리, 수정작업을 약 28년간 계속해왔다. 모형 공장은 주물공장과는 별로도 지 어진 건물이다. 모형제작에서는 목재를 절단 후, 사포로 표면을 매끈하게 한 후에 못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다. 일부 기계에는 집진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홈이 난 곳에 포리빠데(poly putty)를 칠하여 메우거나 가스켓을 부착 후에 사포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작업을 하며 이 과정에서 가스켓 분진과 포리빠데분진이 날렸다고 한다. 작업자들은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로 작업을 하고 있었으며 청소는 작업을 마치고 저녁에 1회 수행하였는데 최소 5-10년 전까지는 빗자루를 이용하여 바닥을 쓸었으며, 현재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다. 이전 가스켓에 석면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현재는 석면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목분진 측정 결과는 2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노출기준 미만이었고 피재근로자의 작업 기간 (1980.3~2008.6, 28년)을 적용하 여 석면 누적노출량을 추정해 보면 석면 시트 가위질 작업 시에는 0.14-0.224 (개 년/cc), 작업당시 측정값에서 누적노출량은 1.26-3.64(개 년/cc), 가스켓 표면 다듬기 작업은 0.644-0.84(개 년/cc) 등으로 누적노출량이 많지는 않다. 접착제 에는 IARC, OSHA, NTP에서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 지 않다. 3 의학적 소견 박 은 폐암과 관련된 가족력은 없으며 젊었을 때부터 흡연과 음주를 하 지 않았다고 한다. 2008년 5월 15일 회사에서 실시한 건강검진 흉부 X-선 검 사에서 우하엽의 결절성 음영이 발견되어, 2008년 6월 병원에 방문하여 흉부 컴퓨터단층 촬영을 시행한 결과 폐암이 의심되었다. 2008년 7월 22일 병원에서 우하엽 절제술을 시행받고 조직 검사상 폐암(선암)으로 진단받았다. 이후 입원치료 후 퇴원하였으며, 현재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 4 결 론 근로자 박 은 1 폐암으로 확진되었으며, 2 폐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흡연을 하지 않았고, 폐암의 가족력이 없으 므로 폐암의 개인적인 요인은 존재하지 않지만, 3 석면 가스켓을 취급하면서 석면에 대한 노출은 있었지만 그 노출량이 적고, 4 목분진의 경우도 노출량이 기준 미만이며, 최근에는 폐암과 연관되어 있 다는 연구들이 과거에 비해 많지만 확정할 수 없는 상태로서 아직까지는 폐암발생의 연관성을 인정할 수는 없으므로, 박 의 폐암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했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4 저유소 기계보수 정비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흉막의 악성 중피종 성별 남 나이 53세 직종 기계보수 정비업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박 은 1980년 2월 1일 오일(당시 석유주식회사)에 입사하 여 기계보수 정비업종 및 저유소 건설업무를 담당하였다. 2008년 5월 2일 흉 막의 악성중피종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석유주식회사( 現 오일)는 조유계통의 제품 생산 공장으로 1997년 공장을 철거하고, 저유소를 건설하여 현재 오일(주) 저유소로 생산된 제품을 저장하는 물류시설로 운영 중에 있다. 근로자 박 은 1980년 2월 석유주식회사 공장에 입사하여 계기보수 및 교정작업을 하였다. 파이프 관이나 계기에 감겨있는 석면테이프를 떼었다가 교정작업이 끝나면 다시 붙 이는 작업을 하였으며 오일(주) 저유소가 건설된 이후에도 저유소의 계기보수 및 교정작업을 수행하였다. 작업시 방진마스크 등의 보호장구는 지 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현장 채취 시료 분석결과 벌크시료는 백석면이 주성분 으로 소량의 접착제 등 일부 다른 물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채취한 3개의 시료 모두 현미경 시야상의 조밀성에 따른 석면의 함유량은 90%이상이다. 3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박 은 30년 동안 매일 1갑을 흡연하였으며, 술은 16년 전부터 거 의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 특별한 가족력이나 과거질병력은 없으며, 악성중피 종의 위험인자라고 생각되는 방사선치료의 과거력 또한 없다. 해군 통신병으 로 근무하였고, 주로 육지에서 근무하였으며, 군함을 타지는 않았다고 한다. 과거 거주기록 상 석면이 노출될 수 있는 광산이나 석면공장의 소재지와 비슷 한 지역에 거주한 기록은 없었다. 2008년 4월경 기침과 오른쪽 가슴 불편감이 있어서 1차 의료기관을 방문하였고, 흉부방사선소견상 이상소견이 있어서 병원 방문하였다. 2008년 4월 22일 흉막삼출 소견이 있어서 흉막 조직검사 와 흉부방사선단층촬영, PET검사를 실시하였다. CT소견상 흉막종괴가 보이고, PET상에서 흉막과 대장에 대사량증가 소견 보여 2008년 5월 2일 오른쪽부위 에 흉강경을 통한 흉막생검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오른쪽 흉막에 생긴 악 성 중피종이라고 진단받았다. 현재 병원에서 항암치료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박 은 1 1980년 2월부터 28년 2개월 동안 석유주식회사와 오일(주) 저 유소에서 공장내 배관의 계기 유지 및 보수작업을 하면서 석면팩킹, 석 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석면에 노출되었으며, 2 사업장에서 현재 사용 중인 석면테이프를 분석 결과 백석면 함유량이 90% 이상이었고, 3 1997년 (구) 공장의 철거작업 인근에서 저유소시설의 건설업무를 담당 하여 철거작업 할 때 관리, 감독을 하여 석면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4 과거력과 가족력상 관련질환이 없으며 거주력과 군대경력 상 석면 노출 가능성이 적고, 5 석면 최초 노출 시기로부터 악성중피종 이환까지의 기간이 최소잠복기의 3배가 되므로, 근로자 박 의 흉막의 악성 중피종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 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3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5 선박 의장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성별 남 나이 63세 직종 선박 의장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망 하 는 2000년 1월 5일 기업에 입사하여 선실 벽 및 천정 부위에 판넬을 붙이고 문고리, 손잡이 취부 등 선실 의장업무를 하였다. 2006년 10월 조직검사 결과 폐암3기로 진단받았고 2008년 6월 28일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망 하 가 근무한 기업사는 조선의 하청업체로 창틀과 벽채, 욕 조, 문고리 등 선실 내 인테리어 조립을 수행한다. 완제품인 창과 판넬을 서로 크기를 맞추어 피스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별도의 접착제는 쓰이지 않았다. 벽채에 쓰이는 판넬과 찬넬, 문도 각각 완제품으로 제작하여 납품되고 있다. 완제품 조립 외의 업무는 용접 업무와 덕트 의 보온재 처리 작업이다. 용접 작업 전단계에서 마킹을 하는 작업이 있다. 현장에서 확인한 용접봉은 연강용 접봉을 사용하였다. 회당 10-20초 정도로 소요되며 하루에 몰아서 할 때에는 1시간-2시간 정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업환경 측정결과 용접흄 및 중금 속 노출 수준은 모두 허용 기준 미만이었고 기타 분진의 노출 수준도 허용기 준 미만이었다. 덕트 작업 및 판넬 속 단열재의 섬유상 물질에 대해 분석을 의뢰한 결과, 덕트에 직접 감는 물질은 유리섬유(95%이상), 판넬 속 단열재는 미네랄 울(95%이상)이었고 각각 석면은 발견되지 않았다. 3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망 하 는 기업 입사 이전에는 농업과 양계업에 종사하였다. 유족의 진술상 하 는 하루 한갑 정도의 흡연 경험자였으나 2000년부터 금연하였고 주량은 소주 1병 정도였다. 현재 확보한 의무기록에는 과거 누적 흡연력이 기 록되어 있지 않다. 폐암 등 악성 질환에 대한 가족력은 없었고, 약물 복용력도 없었다. 과거 농업을 지속적으로 하였고 다루는 화학물질로는 농약 등이 예상 되나 사용해온 상품명 등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기업사에 입사 전에는 용접이나 유사한 의장 업무를 수행한 적이 없었다. 2005년 상반기 검진에서 흉부 엑스선상 고립성 폐결절이 발견되었으나, 재검 후 별다른 조치 없이 지내 었다. 2006년 검진결과 고립성 폐결절의 변화를 발견하고 병원에서 2006년 10월 조직검사 결과 폐암을 진단받았다. 진단받았을 때 3기로 판정받았다. 폐 암 진단 후 2006년 10월 19일자로 퇴사하였으나 2006년 12월 기업사에 일 용직으로 복직하여 근무하였다. 2008년 5월 14일 건강 이상으로 병원에 입원 하였고 6월 28일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하 는 1 2000년부터 약 6년간 조선업의 목의장 작업에 종사하였고, 2 폐암이 진단되기 1년 전인 2005년 동일한 위치에 폐내 고립성 종괴가 발 견되어 실질적으로 폐암이 발견된 시기는 2005년으로 보아도 무방한데, 3 입사 후 폐암 종괴가 발견되기까지 기간이 5-6년으로 일반적인 고형암의 잠복기 10년에 못미치며, 4 작업 내용 분석 결과, 발암성 화학물질의 노출수준이 낮고 간헐적인 작 업형태로써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근로자 하 에서 발생했던 폐암은 업무관련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3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6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악성중피종 성별 남 나이 57세 직종 자동차 제조업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이 은 자동차(주) 공장에 1976년에 사무직으로 입사하여 단조 금형설계 및 생산기술 업무를 담당하였고, 2002년 이사 승진 후 퇴직하 였는데, 2007년 4월 5일 병원에서 악성 중피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측 주장에 의하면 이 은 1976년 1월 1일 자동차(주) 공장 에 대졸신입 사원으로 입사하여 엔진 부품을 제작하는 엔진 주단조부에서 단 조 및 주조공장 건설과 단조용 가열로, 열처리 및 주조용 용해 고온로의 설치 지도와 시운전의 업무 지도 등에 종사하였다. 이 은 사원에서 과장 재직 때까지 단조 1, 2공장에 하루 평균 4시간가량 체류하며 대리 시절까지 약 5년 간은 측정 검사 업무를 하면서 석면장갑을 착용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과장 재직 시절까지 노( 爐 )의 설치 및 보수에 기술지원을 위해 현장에 있었는 데 노에 사용되는 단열재 혹은 방열재 목적으로 석면이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업주 측은 측정 검사 업무가 간헐적으로 있었을 것이며 빈도나 시간을 입증할 객관적 근거가 없고, 과장은 결재권자로 기술지 원을 하지, 현장에 방문할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당시 단조공 장 환경이 열악한 것은 사실이나 열처리로의 소재 및 열처리 방법 상 석면사 용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이 근무한 자동차(주) 공장 내 단조 1,2 공장은 현재 폐쇄된 상태로 실제 방문조사가 불가하였다. 3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1) 호흡기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이 은 2007년 3월경 등산 도중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곤란을 호 소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원인불병의 늑막삼출을 진단받았으며, 2007년 4월 5일 병원에서 악성중피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좌측 횡격막 및 좌폐 하엽 내측흉막부위와 심낭일부로 진행하였고 폐실질을 침범한 상태로 악성중 피종 4기로 판단하고 근치적 폐절제술을 실시하였고 해부병리 소견에서 유상 피성 악성중피종으로 나타났다. 면역조직염색 검사에서도 악성중피종에 타당 하게 나타났다. 이후, 항암치료를 마치고 현재는 자택에서 재활훈련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이 은 1 악성중피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는데, 2 업무와 관련되어 석면사용에 대한 물적 증거를 확보할 수 없었으나, 3 최초노출 후 발병시점까지 약 30년으로 잠복기를 만족하고, 4 단조 공정은 고열 작업으로, 70-80년대 방열보호구로 석면제품이 흔하게 사용된 점을 고려할 때 당해 회사에서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 정되며, 5 사무직으로 간헐적으로 노출되었다고는 하나 일반 환경에 노출되는 정도 보다는 노출량이 많았을 것으로 보이며, 6 악성중피종은 비교적 소량의 분진 노출에도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근로자 이 의 악성중피종은 업무 관련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3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7 석유화학단지 배관공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성별 남 나이 44세 직종 철물 공사 업무관련성 높음 1 개 요 근로자 문 는 1986년부터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조공으로 일했다. 1998년부터 2004년 9월 까지 택시 운전기사로 근무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공의 업무를 하던 중, 2007년 8월 급성골수성백혈 병(AML M1)을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문 는 1986년에 제대하여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조공으로 근 무를 시작하였다. 1998년경부터는 일감이 없어 2004.9월까지 택시 운전을 하 였다고 하며, 2004.10월부터 다시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조공으로 작업을 하였다. 2005년 5월 석유화학단지내 유지보수 전문업체 (주) 에 입사하 여 배관공으로 일을 하였다. 주요 작업은 배관용접, 밸브교체, 필터교환 등이 있었다. 또한 화학과 도급계약을 하여, 맨홀 개폐, 발판제작 등의 공무 작 업도 같이 하였다. 작업은 화학플랜트의 신증설, 셧다운(대보수) 작업, 정기보 수, 돌발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신증설 작업은 공장을 새로 짓거나 증설하는 현장에서 배관을 용접하는 작업이었다. 셧다운 작업은 보통 1년에 2-3개월 정 도 한 것으로 기억하였다. 정기보수작업은 누출 배관교체 및 용접하는 작업이 해당되며, 작업 일정 때문에 관내에 남아있는 유해물질을 충분한 퍼지(purge) 없이 하는 경우가 많았었다고 한다. 동료 근로자 조 은 방진마스크를 착용 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정도인 것으로 기억했으며, 방독마스크(카드 3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리지가 달린 형태의)를 사용한 것은 5-6년 정도부터였다고 한다. 셧다운 기간 에는 배관공이 직접 보온재를 해체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석면 테이프를 직접 잘라내어 해체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가스켓 해체시에는 플렌지에 오래된 가스켓이 눌러 붙어 있어 끌 같은 것으로 분리하여 제거 했다고 하는데, 가스 켓의 재질로는 석면함유 제품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문 는 건장한 체구였으며, 음주량은 1병, 담배 하루 0.5갑이었다. 흡연은 군대 갔을 무렵부터 했다하며, 중간 중간 끊은 기간이 있었다고 한다. 가족은 양친모두 생존해 계시고, 형제는 4형제로 모두 특별한 병은 없다고 한다. 근로자 문 의 특수건강진단 기록은 없었고 2005년 시행한 일반건강검진에서는 특이소견 보이지 않았다. 어지러운 증상이 있어 병원에 들러 백혈병이 의심 되어 병원으로 의뢰되었다. 7년 전 교통사고로 복막염으로 수술받은 경력이 있었다. 2007.8.28 급성골수성백혈병 (M1)으로 진단을 받았다 4 결 론 근로자 문 는 1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확진 받았는데, 2약 15년간 석유화학단지에서 배관직무의 유지보수 작업을 하였고, 3 여러 사업장에서 벤젠, 1,3-부타디엔, 에틸렌옥사이드 등 백혈병 유발 발암 물질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4 유지보수작업 시에는 고농도의 발암 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므로, 근로자 문 의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작업 중 노출된 발암물질과 과거의 작 업환경에 의해 발생하였거나 악화된 업무상 질병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 단되었다. 3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8 합성수지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성별 남 나이 57세 직종 합성수지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정 은 1995년 11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기업에서 PVC제조 업무에 종사하였고 2006년 11월부터는 운수업에 종사하였다. 2007년 12월 급 성 골수성 백혈병(M6a)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기업은 VCM과 PVC관련 화학물질들을 배합, 열가공하여 악세사리 제작 용 소재를 제작하고 있다. 근로자 정 은 원료배합을 담당하였는데 평균 하 루에 3회 실시하였고 배합시간은 1회 배합시 총 1시간이 소요되었다. 혼합기 에서 PVC 원재료와 가소제, 안정제를 혼합가열(100도)하여 배합한다. 배합시 물질들 중 특별히 백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물질은 확인할 수 없었다. 안 정제 용액을 분석한 결과 벤젠 함유는 확인할 수 없었다. 기타분진과 Cd, Pb 와 소음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결과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정 은 1980년대 1년 미만으로 인쇄업에 종사하였고, 1980년대부 터 1995년까지 장사, 운수업 등에 종사하였다. 1995년 11월 기업에 입사하 3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여 원료배합에 종사하다가 2006년 9월 퇴사하였고, 2006년 1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용달차 운수업에 종사하였다. 가족과 친지 중에 백혈병 과거력은 없 었으며 흡연력은 없다. 기업 재직당시 2006년 9월5일에 실시한 특수검진 에서 정상 판정 받았다. 2007년 12월 17일에 기침, 가래, 오심, 인후통, 창백함 을 주소로 지역의원 방문후에 혈액검사상 범혈구감소증 보여 병원에 입원 하여 골수 검사상 급성 골수성 백혈병(M6) 진단 받고 1차 관해 항암요법 시 행 중 패혈증성 쇼크 발생하여 2008년 1월9일부터 중환자실에서 치료 시작하 였고 다장기부전 증후군으로 진행하여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등의 치료를 받 았다. 현재 다발성 두개내 출혈 및 원인불명의 백질뇌증이 진행된 상태이다. 4 결 론 근로자 정 은 1 급성 골수성 백혈병(M6a)로 확진되었고, 2최근 10년 넘게 기업에서 원료배합 작업등에서는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에 노출되지 않았고, 3 과거 인쇄업에 1년 미만 종사하였을 때 벤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 으나 잠복기를 고려해 볼 때 원인으로 추정하기는 어렵다. 근로자 정 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3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19 전자제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골수성백혈병 성별 여 나이 42세 직종 전자제품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손 는 1998년 1월 18일 전자(주)에 입사하여 2008년 3월 14일 병원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되었고, 2008년 3월 22일 병원에서 일차항암요법을 실시하였으나 골수부전이 진행되어 2008년 4월 10일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망 손 는 입사하여 사망 때까지 총 10년 동안 Harness 수동조립 (전선의 탈피 및 압착)라인에서 근무하였다. 입사 때에는 수동조립작업자로, 2004년부터는 반장으로 근무하여 평소 수동조립의 부서의 관리, 직원 관리를 하며, 하루 1~2시간 수동조립을 직접 실시하였다. 작업환경측정자료를 통해 근로자 손 가 직접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은 납, 주석, 은, 구리 등이었으 며, 그 양은 적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간접노출될 수 있는 물질은 본딩 작업에서 사용되었던 본드를 들 수 있으나 노출의 양은 매우 적을 것으로 판 단되며, 작업환경측정의 분석에서도 벤젠은 검출되지 않아 포함되었을 가능성 이 높지 않다. 또한 수동조립공정에서의 전자파의 노출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 된다. 1~2월의 물량증가로 전체 작업시간이 크게 증가하였음이 확인되고, 반장 이라는 직책으로 인하여 업무 스트레스가 매우 컸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3 의학적 소견 2002년부터 고혈압소견이 관찰되며, 치료는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병원 입원 당시 검사결과상 만성 B형 간염 보균자로 진단되기 전까지는 본인이 모르고 있었으며, 특별한 증세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부친은 노환으 로 사망하였고, 모친은 현재 치매 증세 외에는 건강하다고 하였다. 다른 형제 자매들은 다 건강하고, 자녀는 3남으로 모두 건강하다. 평소에 직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다른 취미는 없다고 한다. 흡연은 하지 않고 술은 직장 회식으 로 월 1~2회 마시는 것 외에는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 근로자 망 손 는 평 소 건강하게 지내다가 2008년 2월 29일경부터 상기도 감염증상, 상부위장관 증상이 있었고 3월 12일 경부터 다리가 붓고, 현기증이 있어서 내과에 들 러서 빈혈약과 이뇨제 복용하다가 현기증이 계속되어 병원에 입원, 급성 골수성백혈병(M4)으로 진단되었고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병원으로 전원 하였다. 2008년 3월 22일 항암요법을 일주일간 시행하였으나 이미 골수부전이 진행되어 패혈증 경과 보이다가 2008년 4월 10일 사망하였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건강검진 자료에서는 고혈압 소견 및 비만 외의 특이소견 관찰 되지 않았다. 4 결 론 근로자 망 손 는 1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확진되었는데, 2 수동조립공정에 약 10년 동안 근무하였으나 해당 공정에서 백혈병을 유 발하는 유해물질은 관찰할 수 없었고, 3 스트레스 등이 백혈병의 발생에 일부 기여하였거나, 질병의 자연경과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문헌을 찾아볼 수 없어, 작업 중 노출된 유해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 었다. 4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0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성별 여 나이 21세 직종 반도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박 은 2004년 12월 27일 전자(주) 반도체 사업부 공장에 입사하 여 검사과에서 근무하였다. 2007년 9월 12일 병원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 으로 진단을 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박 은 반도체 품질 불량 유무를 검사하는 검사과에서 근무하였다. X-ray를 이용하여 제품 내부를 검사했는데 X-ray 보호 장비는 착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Solder ability 검사 시 하얀 연기와 역한 냄새가 났다고 하였다. 세척액이 장갑에 스며드는 경우가 많았고 물로 씻어도 남아있었다고 하였다. 조립상태에 대한 육안 검사를 할 때 제품에서 냄새가 많이 났었다고 한다. 회사측은 박 이 X-ray 검사를 수행한 회수는 주 1회, 하루 3시간 정도였다고 하였다. 기계사 용기록에 따르면 X-ray 사용 공정에서 약 30개월 동안 176일(월평균 5.8일) 근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는 X-ray 검사작업을 하루 10-12회, 1주일에 2-3일 정 도 수행했다고 하였다. 동료는 Solder ability의 평균 검사건수는 3-5회/shift, 시간 은 30-40분 정도라고 하였고 회사가 제출한 자료에는 평균 7.5회/shift, 노출 32.6 분이었다. 근무일지에 의하면 근무일수는 202일, 총 검사건수는 1290회로 월평균 7.2일 근무, 일평균 6.39회의 검사를 진행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근로자는 4조 3교 대 근무를 하였는데 연장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 서서 일했다고 하 였다. X-ray실의 회사 자체 측정결과 방사선량값은 0.19-0.33 μsv/h로 나타났다. 4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방사선 노출 수준에 대한 외부 전문가 의견에 의하면 방사선에 의한 장해 우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3년간 측정에서 Solder bar 및 세척액 성분의 노출 량은 모두 노출기준치 이하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작업환경측정결과 Benzene, Cellosolve, Ethylene glycol은 검출되지 않았다. 외부 전문기관의 평가결과 실제 암 발생의 인과확률 99백분위수가 1.82%로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는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음주는 가끔 회식자리에서 마시는 정도였 다. 특별한 질병력이나 복용 중인 약물도 없었고 가족 중 유전질환, 혈액질환, 암환자는 없다고 하였다. 2007년 5월 특수건강검진 상 경도의 백혈구 감소 소 견이 있었다. 2007년 8월경부터 호흡곤란, 오심, 구토, 어지럼증 등을 느꼈고 9월 12일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받았다. 2008년 4월 29일 골수이식을 시 행받고 퇴원했으나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 치료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박 은 1 백혈병을 일으킬 수준으로 벤젠과 전리방사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고, 2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한 방사선 노출 가능성이 있다하더라도 노출수준이 낮을 것이며, 그 정도의 사고성 노출이라면 다른 임상적 증상이 나타났어야 하고, 3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발암물질이 근로자에게 노출되어 백혈 병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낮으며, 4 전체 반도체 업종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반도체 근로자의 백혈병 발생이 높다는 증거가 충분치 않았고, 5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반도체 업종과 백혈병의 원인적 연관성이 밝혀진 바 없으므로, 근로자 박 의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업무관련성이 낮다고 생각되었다. 4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1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성별 여 나이 39세 직종 반도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김 는 1991년 1월 14일 전자(주) 반도체 사업부에 입사하여 1996년 1월 31일 퇴사할 때까지 근무를 하였다. 2005년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 병으로 진단을 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는 1991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주로 TRIM/FORM 공정을 수행하 였다. 주 작업형태는 프레임 도금 작업시 생성되는 찌꺼기(유기용제 포함)를 에어로 청소하고 TCE 용액으로 닦아내는 것이었다고 한다. 장기간의 교대근 무과 일상적인 연장근무,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었다고 하였다. 현장조사 당시 주된 작업내용은 자재를 투입, 설비 가동 후 완료된 제품을 빼서 옮기는 작업, 일부 샘플 육안검사, 에어건을 이용한 금형 청소였다. 근로자가 제기한 TCE 세척 작업은 공정이 개선되면서 최근에는 작업 하고 있지 않고 TCE 또한 95 년 이후 HCFC-141b 로 교체되어 당시와 같은 유기용제 사용은 확인할 수가 없었다. 회사 측에 의하면 당시 근로자들이 거의 퇴사한 상태이고 10년 이상 지난 기록들이 보관되어 있지 않아 근로자가 근무하던 당시를 그대로 파악하 기에 어렵다고 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근로자 김 가 근무하였던 공정에 해당 하는 TRIM/FORM 공정에서 백혈병 및 혈액학적 영향과 관련된 물질 Benzene, Cellosolve, Ethylene glycol, Arsine을 측정한 결과 불검출과 흔적검출로 나타났다. 4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그러나 측정이 현재의 작업장에서 이루어 졌으므로 10년 이상 지난 과거의 작 업환경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는 1997년과 2001년에 제왕절개 수술을 했을 당시 시행한 검사에서 특 별한 이상이 없었으며 과거력과 가족력에서 특이사항은 없었다. 근로자는 2003 년부터 멍이 잘 들고 피부색이 누렇게 변했으며 피로를 심하게 느꼈다고 한다. 감기 증상으로 내과에 방문했을 때 백혈구 수치가 낮다는 설명을 들었고 2003 년과 2004년 12월에 급성신우신염으로 치료받았을 때도 같은 소견을 보였다. 2005년 1월 30일 고열과 인후통으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혈액검사 결 과에서 범혈구감소증 소견이 보여 세 번에 걸친 골수검사를 받은 후 급성 전골 수구성 백혈병(t15:17)으로 진단받았다. 이후 2005년 3월 7일 병원에서 항암 치료를 시작하였고 같은 해 8월 항암치료를 마친 후 경구약물 치료를 받았다. 4 결 론 근로자 김 는 1 백혈병을 일으킬 수준으로 벤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고, 2 전리방사선에 노출 증거가 없으며, 3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발암물질이 근로자에게 노출되어 백혈 병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낮으며, 4 전체 반도체 업종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반도체 근로자의 백혈병 발생이 높다는 증거가 충분치 않았고, 5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반도체 업종과 백혈병의 원인적 연관성이 밝혀진 바 없으므로, 근로자 김 의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업무관련성이 낮다고 생각되었다. 4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2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성별 남 나이 31세 직종 반도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망 근로자 황 은 1997년 11월 전자 공장에 입사하여 2004년 10월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진단을 받을 때까지 7년간 엔지니어로 일하였고 2005년 7월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황 은 1997.11-2002.08까지는 5라인 CMP 설비 보수, 유지 업무를 하였는 데 연마제(slurry)는 실리카, 암모니아수를 포함하며 세척용으로 IPA, 아세톤 등을 취급하였다. 2002.08-2005.0까지는 1라인 back-lap 설비보수, 유지 업무를 하였고 역시 slurry를 취급하였다. 유가족 제출 자료에 의하면 설비 운용 편리 성 내지는 많은 물량 때문에 인터락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가 굉장히 많았고, 방사선 차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설비와 라인의 노후화로 화학물질 누출이 많았고, 교대근무에 연장근무로 근로자가 힘들어했다고 하였 다. 회사 측에서는 인터락이 해제되면 기계가 멈추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진 술하였고 방사선 사고나 그 외의 사고에 대한 기록은 없다고 하였다. 회사 제 출 자료에 의하면 방사선 노출은 자연방사선량율 수준이었고 피폭 방사선량은 3라인 작업자 7명에 대한 판독결과 0.11mSv/분기가 최대값이었다. 황 이 근 무하였던 5라인 CMP공정과 1라인 Back-Lap 공정(현재 없어짐)을 대치하여 2 라인 Back-Lap 공정에 대해 백혈병과 연관성이 있는 벤젠과 셀로솔브, 혈액학 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르신에 대해 본 연구원이 작업환경측정결과 불검출 또는 Trace 였다. 1라인의 Back-lap 공정은 이미 없어졌고 라인의 재배치가 된 4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상태로 근무 당시 방사선 발생장치의 유무, 거리 등을 확인할 수 없었고 5라 인 CMP 공정은 해당 작업공간에 방사선 발생장치가 없어 측정하지 않았다. 3 의학적 소견 평소 건강한 편으로 유가족에 의하면 흡연은 거의 하지 않았으며 술은 소주 1-2잔 정도 마시는 수준이었다. 특별한 가족력은 없다. 특별한 취미나 여가 활 동도 없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건강진단 (일반/특수/종합) 결과에서 경도의 고혈압, 과체중, 중성지방치 상승 외에 특별한 소견은 없었다. 감기몸 살 증상, 침 뱉을 때 피가 나오는 증상, 코피 등의 증상을 3주 정도 경험 한 후 2004년 10월 병원에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pre-b cell type)으로 진 단받았다. 이후 관해 유도 항암 요법 시행하여 완전관해 되었으나 2005년 2월 재발 되었고 재관해유도 항암요법 2회 시행 후 완전관해 되었다가 재발하여 수차례의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2005년 7월 23일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 황 은 1 백혈병을 일으킬 수준으로 벤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고, 2 전리방사선에 노출 증거가 없으며, 3 산과 알칼리 등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으나 백혈병 유발물질은 아니고 4 그 외 백혈병 유발물질에 대한 노출근거가 없고,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발암물질이 근로자에게 노출되어 백혈병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 성은 낮으며, 5 전체 반도체 업종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반도체 근로자의 백혈병 발생이 높다는 증거가 충분치 않았고, 6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반도체 업종과 백혈병의 원인적 연관성이 밝혀진 바 없으므로, 근로자 망 황 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업무관련성이 낮다고 생각되었다. 4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3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성별 여 나이 30세 직종 반도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망 근로자 이 은 1995년 1월 전자 공장에 입사하여 2006년 7월 급성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을 때까지 11년간 생산직 사원으로 일하였고 2006년 8월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망 이 은 3라인에서 Sputter, CVD, wet etch, diffusion 공정 등에서 근무를 하였다. 주 작업은 웨이퍼가 들어있는 캐리어를 장비나 화학물질 배스 에 넣고 빼는 작업이었는데 화학물질들은 중앙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다. 회사 제출 자료에 의하면 방사선 노출은 자연방사선량율 수준이었고 피폭 방사선량 은 IMP 공정 작업자에 대한 판독 결과 0.11mSv/분기가 최대값이었는데, 유가 족 제출 자료에 의하면 방사능 차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며, 방사 선 노출 수준에 대한 외부 전문가 의견은 자연환경 이상 준위로 방사선피폭이 발생될 우려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가족 제출 자료에 의하면 물량 처리를 위해 환경, 안전에 관련된 인터락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였으며, 라인 노후화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1~2달에 한 번은 있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원의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화학물질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발암성물질로 알려진 벤젠은 검출되지 않았다. 외부 전문기관에서 수행한 방사선 노출 평가 결과 2007년 측정 5개 지점 중 4개 지점은 자연방사선 미만, 1개 지점은 2.4 usv/hr(환산하면 연간 4.8mSv/yr)이 감지되었다. 이는 원자력법에 제시된 방사선 4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종사자의 선량한도는 초과하지 않지만 일반인의 선량한도 1mSv/yr는 초과하는 수준이다. 2008년 측정 4개 지점은 모두 자연방사선량 수준이었다. 공간선량률 측정 결과, 가속이온주입기의 영향으로 판단되는 공간선량이 감지되지 않았다. 3 의학적 소견 흡연은 하지 않았고 술은 소주 3-4잔 정도였다. 2000년 유산한 적이 있다. 임신 및 출산 과정에서 받았던 검사상 이상이 없었으며 부모 모두 생존하여 있고 특별한 가족 병력은 없다. 2003년-2005년까지의 건강진단 결과 경도의 혈색소 감소 외에 특이 소견 없었다. 전자 근무 중 각종 피부질환과 호흡 기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기록이 있다. 평소 건강했고 출산 후 잇몸 출혈이 심 해 치과를 경유하여 병원에서 2006. 7. 13 급성골수성백혈병(M3)으로 진단 받았다. 관해유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2006. 8. 17 사망하였다. 4 결 론 근로자 망 이 은 1 백혈병을 일으킬 수준으로 벤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고, 2 전리방사선에 노출 증거가 없으며, 3 산과 알칼리 등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으나 백혈병 유발물질은 아니고 4 그 외 백혈병 유발물질에 대한 노출근거가 없고,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발암물질이 근로자에게 노출되어 백혈병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 성은 낮으며, 5 전체 반도체 업종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반도체 근로자의 백혈병 발생이 높다는 증거가 충분치 않았고, 6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반도체 업종과 백혈병의 원인적 연관성이 밝혀진 바 없으므로, 근로자 망 이 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업무관련성이 낮다고 생각되었다. 4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4 축전지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성별 남 나이 45세 직종 축전지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백 은 1987년 12월 22일 (주) 전지에 입사, 차량 전지부에서 근무하였다. 2007년 11월 지혈이 되지 않아 병원 내원, 급성 전골수성 백 혈병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백 은 1987년 12월 22일 자동차용 축전지 및 일차전지 제조업체 인 (주) 전지에 입사하여 차량 전지부 극관과에서 소위 화성업무를 하였는 데 1차 조립이 완료된 반제품에 묽은 황산 용액을 주입한 후 직류전류를 연결 하여 기판에 전기적 극성을 부여하는 공정이다. 과거에는 수동 공정으로 극판 을 충전하기 위해서 납땜을 하였다고 하며 근로자는 이 때 납에 많이 노출되 었다고 주장했고 노조는 업무 중 약 1/10 정도 납땜을 하였다고 증언하였다. 2001년 10월부터 발병 전인 2007년 11월까지는 차량 파트에서 근무하였는데 작업내용은 2차 조립으로 충전이 완료된 반제품에 황산 용약 주입, 커버 부착 등의 단계로 조립하는 공정이다. 황산 용약은 기계가 자동으로 유입하며, 레바 로 전액 비중 조절과 마무리 작업 등을 하며, 근로자는 기계 작동과 관련된 조작 및 모니터링을 담당하였다. 2004년~2007년 작업환경측정 결과 보고서에 의하면 황산은 불검출~0.054 mg/m3, 납은 0.001-0.0078 mg/m3이었다. 2008년 9월 5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충전 2차조립공정에 대해 작업환경측정 결과 황산은 노출기준의 40%, 납은 10% 미만이었고, 백혈병 원인물질인 벤젠, 비소, 1,3-부타디엔은 검출되지 않았 고, 방사선은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근로자가 납 등에 많이 노출되 었다고 주장하는 화성공정은 현재는 자동화되어 없어져서 측정하지 못하였다. 3 의학적 소견 고혈압 이외 기타 특이한 질병력은 없었다. 음주는 소량하며 흡연은 하지 않는다. 납과 황산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받았는데 혈중 납농도는 2004 년~2007년 기준 이하, 혈색소농도가 2004년~2006년 정상이었고, 2007년 감소 하였다. 2007년 11월 치핵 수술 후 지혈이 되지 않아 동년 11월 30일 병 원 내원하여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M3)으로 진단받았고, 2008년 1월 15일 시 행한 염색체검사에서 염색체 이상은 없었다. 4 결 론 근로자 백 은 1 약 20년 동안 납전지 생산업에 근무하면서 화성공정과 2차조립 공정에서 납 및 황산에 노출된 것은 인정되나(과거 작업환경과 보호구 착용실태를 고려 시 노출농도도 현재보다 높았을 것임), 2 납과 황산 이외에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벤젠, 비소, 1,3-부타디엔 및 전리방사선 등에는 노출되지 않았고, 3 납과 황산은 백혈병을 일으키는 유해인자로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근로자 백 의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은 작업 중 노출된 유해물질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5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5 선박 건조 근로자에서 발생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성별 남 나이 29세 직종 선박 건조 및 수리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김 는 2003년 5월 9일 조선(주)에 입사하여 선행도장팀에서 근무하다 2004년 2월 9일 병원에서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으로 진단받았 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김 는 입사 전 2003년 조선교육원 도장부에서 2개월, 조 선에서 9개월로 총 11개월 동안 주로 블록 내부에서 도장작업을 하였다고 한 다. 조선에서 주된 작업은 페인트 도료 혼합 작업과 블록 내부에 들어가 서 붓으로 터치업작업, 페인트 스프레이 작업, 도장 완료 후 블록 내부 청소, 작업이 끝난 후 시너로 도장기계 내부 세척 작업이었고, 주로 비좁고 제한된 공간인 블록 내부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작업시간의 50%이상). 개인보호구로는 작업할 때에 피스복은 항상 입었고, 방독마스크는 여름철에는 불편하여 착용안하고 할 때도 많았다고 한다. 근무시간은 8시간에 연장근무 2 시간이었고 주말특근도 종종 하였다. 1997년 이전 과거 작업환경 측정자료에 서 도장부서에서 평균농도 0.08-1.04 ppm으로 벤젠이 소량 검출된 적이 있으 나, 1997년부터는 검출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5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3 의학적 소견 김 는 약 5년 동안 매일 1/4갑씩 흡연하였으며, 술은 주 1회에 맥주 2병 정도였으며, 과거 다른 병력은 없었다고 한다. 현재 양친 및 다른 가족들 모두 건강한 상태라고 한다. 도장 작업시 두통, 현기증, 구역, 흉부압박감, 흥분상태, 섬망 등의 증상이 나타나 병원에서 2004년 2월 9일 급성림프모구성 백혈 병으로 진단을 받고 일련의 항암화학요법 및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시행하였고, 2004년 2월 9일부터 업무 외 상병휴직 중 호전이 없어 2004년 12월 9일부로 당연퇴직한 후, 현재 병원 외래에서 정기적인 경과관찰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김 는 1 1997년 이전 조선업 유기용제 실태조사에서 사용된 도료 및 신너에 벤젠 이 일부 포함되었다고 하더라도, 1997년 이후에는 벤젠 함유 가능성에 대해 불확실하고 김 의 근무기간 동안 작업환경 측정상 벤젠이 분석 되지 않았다는 점과, 2 김 의 총 작업일수(11개월 중 10개월)가 혈액암을 일으키는 독성물질 에 의한 잠복기보다 짧기 때문에, 근로자 김 의 급성림프모구성 백혈병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 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53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6 플라스틱가공품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만성골수성백혈병 성별 남 나이 31세 직종 플라스틱가공품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나 는 엔지니어링에 2004. 3. 2. 입사하여 외부에서 의뢰된 설 계도면을 바탕으로 3D프로그램 작업, 캠작업 및 기계 가공작업을 통해 금형 샘플을 만드는 일을 담당하던 중 2008년 8월 말 ~ 9월 초경에 만성골수성백 혈병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엔지니어링은 플라스틱가공 모형제품 제조업체로 3/D MOCK-UP, 모델 링 & 기구설계, 진공주형, 간이금형을 만든다. 나 는 연구소에서 의뢰된 설 계도면을 가지고 컴퓨터로 3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캠작업(머시닝센터)후 기계 에 의하여 샘플을 만드는 일을 담당하였는데 기계가 샘플을 만들 때 기계 값 을 입력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그 외에도 제품 확인, 샌딩, 사상, 후가공, 조 립과정에서 클로로포름, 순간접착제 등을 미량 취급하고 있었다. 작업의 80% 는 사무실의 컴퓨터 앞에 앉아서 근무하였고, 20%는 현장에서 작업하였다. 주 중 근무시간은 08:30~17:30으로 되어 있으나 주로 20:00~22:00쯤 퇴근하였다고 하고 토요일은 12:30분 퇴근, 일요일과 공휴일은 근무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현장에서 사용 중인 화학물질의 벌크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결과 벤젠은 검출 되지 않았으며 현장 방문조사에서 엔지니어링에 전리방사선을 발생시키는 기기를 취급하는 것은 확인할 수 없었다. 5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나 는 고등학교 때까지는 시골에서 살았고, 99년 11월 군 제대 후부터 입사 전까지 컴퓨터게임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흡연은 2007년까지는 1주일에 1~2갑 피웠고, 2007년 말부터 2008년 아프기 전까지는 하루에 1갑~1 갑반정도 피웠다. 음주는 96 97년도에는 1주일에 1회 정도 마셨는데 1회에 2홉들이 2 3병마셨으며, 군 제대 후에는 1달에 1회 정도 마셨는데 1회에 2홉 들이 2 3병 마셨다고 했다. 2001년 이후에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했다. 현 직장에서 근무하기 전에는 화학약품을 취급한 적이 없고 가족은 모두 건강하 다고 하였다. 과거 방사선치료를 받거나 방사선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한 적이 없으며 골수이식은 받지 않았다. 나 는 2008년 8월 말에서 9월초에 일하다 갑자기 배가 너무 아파서 인근 병원의 소화기 내과에서 피검사, CT촬영한 후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처음 알게 되었다고 진술 하였다. 현재 병원에서 항암치료 중이다. 4 결 론 근로자 나 는 1 백혈병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벤젠 및 전리방사선에 노출되었다는 사실 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2 작업경력이 4년 5개월로 백혈병 발생의 잠재기가 짧으므로, 현재의 결과만을 가지고 작업관련성을 판단할 때, 작업 중 노출된 유해인자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55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7 반도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악성 림프종 성별 남 나이 38세 직종 반도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송 는 1993년 5월 24일 전자(주) 반도체 사업부 공장에 입사하여 도금공정에서 엔지니어로 1998년 12월 31일 퇴직시까지 5년 7개월 간 근무하였다. 2008년 9월경 목에 이물감이 있어 방문한 병원에서 림프 종 진단을 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송 는 1993년 5월 24일 전자(주) 반도체사업부 사업장에 입사하 여 1998년 12월 퇴사 시까지 리드프레임의 부식을 막고 특성을 양호하게 하 기 위하여 리드프레임에 주석납(SnPb)을 도금하는 도금공정에 종사하였다. 구 체적으로는 납 등 도금에 사용되는 각종 유해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도금약품을 도금탱크에 붓는 작업, 일정시간 도금작업 후 오염된 도금약품을 도금탱크에 서 비우는 작업, 빈 도금탱크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깨끗한 물로 청소하는 작 업, 다시 도금약품으로 도금탱크를 채우는 작업으로 이루어진 도금약품 교체 작업(전체 근무시간의 약 50%), 도금약품을 끓이는 작업(전체 근무시간의 약 30%), 사무실 근무(전체 근무시간의 약 20%)였다고 한다. 같은 공간 내에 있 던 마킹작업 및 Trim/Form 작업에서 TCE가 사용되었는데 회사 측에서 제출한 1995년 환경친화기업 신청서 에 의하면 95년 4월 39일자로 TCE를 전량 폐기 한다는 언급이 있다. 주 6일, 1일 8시간씩 3조 3교대 근무를 하였으며 주 4-5일 5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은 연장근무로 하루 근무시간이 12시간에 달했다. 월평균 약 3회 정도 휴일 특 근을 하였다. 현재 작업환경의 상태는 근무당시 상황보다 훨씬 개선된 상태라고 하였다. 송 가 근무하던 당시의 작업환경측정결과는 없으나 2003년~2008년의 측정결과에 따르면 납, 주석, 비스무스, 유기화합물의 노출량은 모두 노출기준 치 이하 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원에서 2009년 3월 27일 사업장을 방문 하여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한 결과 TCE와 벤젠, 에틸렌옥사이드, 중금속(비스 무스, 납, 주석)은 모두 불검출되었다.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송 는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음주는 월 2회 정도 반병 정도였다. 특별한 질병력이나 복용 중인 약물은 없었으며, 가족 중 혈액질환이나 암환자 는 없다고 하였다. 2008년 9월경에 왼쪽 목에 혹이 만져지고 편도선이 많이 부어서 병원에 내원, 조직검사 후 암세포가 발견되어 10월경 병원에서 정밀조직검사를 시행하고 림프종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으로 진단받 았다. 이후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등 현재까지 통원치료 중에 있다. 4 결 론 근로자 송 는 1 악성림프종 으로 최종 진단되었는데, 2 업무와 관련되어 납 및 도금 약품 등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3 취급 및 노출물질 중 림프종과 연관성이 뚜렷이 밝혀진 발암물질이 없고, 4 연관성이 일부 인정되는 트리클로로에틸렌에의 노출은 그 양과 기간이 암을 발생시키기에 부족할 것으로 보이며, 5 2008년 전체 반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남성근 로자와 림프종의 연관성을 뒷받침하지 못하여, 근로자 송 의 악성림프종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57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8 목재품 도매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비호지킨림프종 성별 남 나이 53세 직종 목재품 도매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박 는 2005년 (주) 우드에 입사하여 지게차 보조운전을 하였다. 2008년 6월 14일 비호지킨림프종으로 진단받고 항암치료 중 2008년 9월 16일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주) 우드는 원목 및 건축자재관련 목제품 도매업체로 제조, 건설 등의 공정은 없고 작업은 구매한 목재를 창고로 운반, 적재해 두었다가 판매하는 것이다. (망)근로자 박 는 2005년 5월 1일 (주) 우드에 입사하여 3개월간 수습 근무 후 지게차 운전 보조 작업을 수행하다가 2006년 7월 5일자로 퇴직 후 2007년 4월 10일 재입사하여 지게차 보조운전을 하였다. 재입사 전까지 약 9개월간은 구청에서 공공근로업무를 하였다. 지게차 보조업무는 목자재가 트럭으로 들어오면 지게차 기사가 지게차를 운전하여 목재를 창고나 야적장으 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적재를 돕는 등 보조업무를 하는 것이다. 또 거래업체 에서 자재 구입의뢰가 오면 구입처별로 자재를 트럭에 적재할 수 있도록 묶는 작업을 하는 일과 창고 주변 정리 및 청소작업 등을 하였다. 목재방부제는 과 거에 사용한 것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ACQ(Alkaline Copper Quaternary 구리, 알킬암모니움 화합물) 목재방부제와 CQAZ(구리, 아졸화합물계) 목재방부제를 취급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최근에 사용한 것은 비소 등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 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작업환경측정결과 중금속, 포름알데히드, 혼합유기 용제, 흡입성 분진이 모두 노출기준 이하였다. 58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2) 조혈림프계 암 3 의학적 소견 (망)근로자는 (주) 우드 입사 전 유해인자에 노출될만한 직업력이 없었다. 2007년 12월 코막힘 및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건강하였다고 하며 비호지킨림프종 등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진 간염 등의 질병력은 없다 고 한다. 일주에 2-3회 음주를 하였으나 발병 3개월 전 금주하였고, 담배도 3 일에 1갑 정도 피웠으나 3개월 전부터 금연하였다고 되어 있다. (망)박 의 진단명은 병원의 기록에 의하면 우측 비강의 종양(비호지킨림프종, extranodal NK/Tcell lymphoma)이다. 진료기록에 정확한 진단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은데 (환자가 두통, 열 등으로 응급실 방문하였다가 자의 퇴원하였다가 약 1-2주 후 입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음) 2008년 6월 14일 첫 입원하였다. 이후 6차례 입원치료 받다가 2008년 9월 16일 사망하였다. 4 결 론 (망)근로자 박 의 1 근로자가 최대 3년 동안 비호지킨림프종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직종 인 목재취급 업무에 종사한 것은 인정되나, 2 목재취급자에서 비호지킨림프종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목재분진이나 목재연소물질 등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노출되었다고 하 여도 농도가 낮고 기간이 암을 일으키기에는 매우 짧은 것으로 판단되며, 3 망인의 암을 비강 등에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포름알데히드와의 관련성을 판 단하여도 노출량과 노출기간이 역시 암을 일으키기에는 짧으며, 비강에 생겼 다고 하여도 비호지킨림프종이라 비강암으로 취급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망)근로자 박 의 비호지킨림프종은 작업 중 노출된 유해물질에 의해 발 생하였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다. 59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29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갑상선암 성별 남 나이 31세 직종 타이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이 은 2002년 3월 14일 타이어(주) 협력업체인 (주)에 입사 하여 가류공정(약 8개월), 사상공정(약 7개월), 검사공정(약 3년 4개월)에서 근무 하였다. 2007년 10월 22일 병원으로 의뢰되어 갑상선암으로 진단받았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근로자 이 은 25세인 2002년 3월 14일 타이어(주) 공장 내 협력 업체 (주)에 입사하여 약 8개월간 가류공정에서 그린타이어를 가류기 앞까 지 운반하는 작업을 하였고, 2003년 11월 6일부터 약 7개월간 사상공정에서 버핑작업 후 타이어의 백테 부분에 오염방지제(블루페인트)를 도포하는 작업 을 하였으며, 2004년 6월 16일부터 약 3년 4개월간 검사공정에서 컨베이어로 이송된 타이어를 렉카에 규격별로 적재하는 작업을 하였다. 작업시간은 4조 3 교대(주5일 근무)로 40~50분 작업 후 10~20분간의 휴식시간이 있었다. 가류 공정에서는 고열 작업과 함께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되었고, 타이어 적재 업 무와 작업장을 공유한 검사 공정 근로자들이 유기용제를 사용해 마킹 수정 등 업무를 했다고 하였다. 사상 및 가류 공정에서 유기용제 노출 수준은 기준치 미만이거나 불검출 되었고, 검사 공정에서도 노출기준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가류 공정의 포름알데히드 수준은 노출 기준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고무흄 노 출 수준 검토 결과 영국의 고무흄 노출기준인 0.6 mg/m3을 초과하는 노출 수 준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공기중에서 검출된 PAH는 정량한계 미만이었다. 6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Ⅰ. 종양성 질환 (3) 기타 암 3 의학적 소견 근로자 이 은 방사선 조사 과거력, 식이, 가족력에서 특이사항이 없었다. 암 발생 전 병력으로는 가끔 감기로 인해 결근하는 일과 척추분리증 외에 특 별한 건강상의 이상은 없었다. 총 흡연력은 2.5갑-8갑년으로 있었으며 음주력 은 주당 1-2회 소주 1병 정도를 마신 것으로 평가되었다. 2007년 10월 8일 감 기증상과 목의 덩어리를 주소로 병원에 방문하였고, 2007년 10월 22일 병원에서 갑상선암으로 진단받은 후 병원에서 2007년 11월 26일 갑상선 전절제술 등을 시행받았다. 수술에서 적출된 갑상선 조직에 대한 병리검사 결 과 우측엽에 유두암과 좌측엽에 유두상 미세암종이 확인되었으며, 국소 림프절 전이나 주변조직에 대한 침윤소견은 없었다(T2N0). 갑상선 암의 잠복기는 명시 된 바가 없으나 통상적인 고형암의 잠복기가 10년인 것을 고려할 때 5년 7개 월인 이 의 근무기간은 다소 짧은 편이었다. 특히 전리방사선으로 인한 갑 상선암의 잠복기는 대개 10~25년, 혹은 그 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었다. 4 결 론 근로자 이 은 1 2002년 3월부터 타이어(주) 공장의 가류공정에서 그린타이어 운 반(8개월), 사상작업(7개월), 검사공정에서 완제품 타이어 적재(3년 4개월) 업무를 하다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었는데, 2 갑상선암의 유해요인은 전리방사선이 잘 알려져 있고 직업적 노출과의 관련은 명확하지 않으며, 3 그 외에 발암성이 가능하다고 고려된 다른 유해 화학물질(PAH, 고무흄, 고무분진)에 노출 가능성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근로자 이 의 갑상선암의 발암은 업무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61

직업병진단사례집(2008년도) 30 타이어 제조업 근로자에서 발생한 식도암 성별 남 나이 48세 직종 타이어 제조업 업무관련성 낮음 1 개 요 근로자 (망)허 은 1995년 3월 27일 타이어(주)에 입사하여 성형 작업 에 근무하였다. 2006년 12월 8일 목의 통증으로 정밀검사를 받아 식도암 진단 을 받았다. 2007년 6월 12일 사직하였고 2007년 9월 7일부터 병원에서 입 원 치료 받다가 2007년 9월 29일 침습성 암으로 인한 출혈로 사망하였다. 2 작업내용 및 환경 (망)허 은 1995년 3월 27일 타이어(주)에 입사하여 2006년 12월 17일 휴직 시까지 11년 9개월 동안 성형원으로 근무하였다 성형공정은 타이어에 사 용되는 모든 구성 재료를 성형기 드럼에서 순차적으로 붙여 원통형의 그린타 이어를 만드는 공정이다. 작업은 24시간, 4조3교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식도암 을 진단받은 2006년도에 업무량이 과도하였거나 업무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업무 외에 특별한 개인적 스트레스 요인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무분진과 고무흄, 유기용제 측정 결과는 모두 허용 기준 미만이었고 과거의 유기용제 측정 결과도 허용 기준 미만이었다. 소음수준은 노출기준 미만이었다. 성형공 정에서 고온 노출 여부를 알기 위해 측정한 결과 WBGT 19 로 평가되었다 62 산업안전보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