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75~380 기타 2- 우타가와 2.ps 2012.12.26 17:4 페이지 375 우타가와히로시게 ( 歌川重廣 ) 의우키요에풍경화 ( 浮世繪風景畵 ) 에나타난일본전통교량의특징과표현기법 우타가와히로시게 ( 歌川重廣 ) 의우키요에풍경화 ( 浮世繪風景畵 ) 에나타난일본전통교량의특징과표현기법 (A) Study of Japanese Traditional Bridges Focusing on Characteristics and Visuals in Utagawa Hiroshige's Ukiyo-e Landscapes Utagawa Hiroshige(1797 - October 12, 1858) was a Japanese Ukiyo-e artist, one of the last great artists in that tradition. He was also known as Ando Hiroshige and, in his artwork, as Ichiyusai Hiroshige. This study analyzes the Japanese traditional bridges' characteristics and visual s in Utagawa Hiroshige's Ukiyo-e works. It is organized into five sections: characteristics of bridge names in the titles of Ukiyo-e works; types and materials of bridges; shape, proportion, detail, and color of bridges; share, location, and direction of brid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idges, nature, and man. If you compare this study with "A Study on the Bridges of the Joseon Dynasty as Cultural Landscape: Connection, Communion, Symbol" (2012, Sieyoung Moon) and "Characteristics of Bridges in Paintings from the Joseon Dynasty" (2010, Sieyoung Moon), you will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traditional bridges of the Edo Period and Korean traditional bridges during the Joseon Dynasty. 문지영 1) 1 작품명에거론된교량명의특징 2 교량의형식및재료 3 교량의조형성 ( 형태, 비례, 디테일, 색채 ) 4 화면에서교량의존재감 ( 교량의화면점유율, 위치, 방향 ) 5 교량과자연, 인간과의관계 1) 구조부문과장 공학박사 (moonsiey@empal.com) www.yooshin.co.kr _ 375
27-375~380 기타 2- 우타가와 2.ps 2012.12.26 17:4 페이지 376 유신기술회보 _ 기타 우타가와히로시게 ( 歌川重廣, 1797~October 12, 1858) 1) 는일본에도시대후기의대표적인회화장르인우키요에 ( 浮世繪 ) 의화가이다. 그는우타가와도요히로 ( 歌川豊廣 ) 에게입문하여, 1831년경 도토메이쇼( 東都名所 ) 를시작으로, 도카이도고 쥬산쓰기 ( 東海道五十三次 ), 메이쇼에도핫케이 ( 名所江戶百景 ) 등을발표하여인기를누렸다. 그는교토와나라를잇는도로를따라여행하면서무수한걸작을연작 ( 連作 ) 으로발표하여우키요에풍경화의대표적인화가로지목되었으며, 각지의명소풍경을정감넘치게표현하여우키요에의풍경화를확립한인물로도알려져있다 ( 小林忠監作, 1998; 202). 뿐만아니라그의그림은유럽의인상파화가모네 (Claude Monet) 와반고흐 (Vincent Willem van Gogh) 에게도큰영향을주었다. 우타가와히로시게에대한선행연구는상당부분진행되었다. 2) 이들연구는그의화풍전반에대한성향, 표현방법, 사상, 조경학 조형학적입장에서의분석에초점을맞추고있다. 본연구에서는우타가와히로시게의풍경화 ( 風景畵 ) 32점 3) 에표현된 일본전통교량의특징과표현기법 을살펴본다. 세부분석의내용은 1 작품명에거론된교량명의특징, 2 교량의형식및재료, 3 교량의조형성 ( 형태, 비례, 디테일, 색채 ), 4 화면에서교량의존재감 ( 교량의화면점유율, 위치, 방향 ), 5 교량과자연, 인간과의관계 이다. [ 그림 1] 우타가와히로시게초상화 1 작품명에거론된교량명의특징 교량명이언급된히로시게의풍경화작품명에는 오하시 ( 大橋 ) 아타케의소나기, 스이도바시 ( 水道 1) 정식이름은안도히로시게 ( 安藤廣重 ) 이며, 본명은안도도쿠타로 ( 安德太郞 ) 이다. 2) 우타가와히로시게 ( 歌川重廣, 1797~1858) 에대한권위있는연구자로는고지마도리미즈 ( 小島鳥水 ), 우치다미노루 ( 內田實 ), 스즈키쥬조 ( 鈴木重三 ), 오쿠보준이치 ( 大久保純一 ) 등이있다. 3) 후타가와강하치만의만개 (1857; 名所江戶百景 ), 다마가와강뚝의벚꽃 (1857; 名所江戶百景 ), 아즈마숲의늘어선가래나무 (1856, 名所江戶百景 ), 요쓰기도오리용수로에서끄는배 (1857, 名所江戶百景 ), 오하시아타케의소나기 (1867, 名所江戶百景 ), 쓰치야마의봄비 (?; 東海道五十三次 ), 고우메뚝방 (1857; 名所江戶百景 ), 스이도바시스루가다이 (1857; 名所江戶百景 ), 시나가와스사키 (?; 名所江戶百景 ), 마마의단풍과테코나신사의구름다리 (1857, 名所江戶百景 ), 미야노고시 (?; 木曾街道六十九次 ), 누마즈의어스름밤 (?; 東海道五十三次 ), 아따라시바시의대풍 (1859, 江戶名所道化盡 ), 쿄바시의대나무뱃터 (1857; 名所江戶百景 ), 아타고시타의야부소로 (1857, 名所江戶百景 ), 욧카이치미에가와강 (?; 東海道五十三次 ), 메구로홍예다리일몰의언덕 (1857; 名所江戶百景 ), 후쿠가와강의목재저장소 (1856, 名所江戶百景 ), 눈그친가메야마 (?; 東海道五十三次 ), 기소가도의산과강 (?;?), 료고쿠교에서의하나비 (1847~48;?), 료고쿠교에서에도를지나본후지 (19 세기 ;?), 카메이도텐진경내후지 (?; 名所江戶百景 ), 벤자이텐사당 (1850 년대중반 ; 12 雪景連作 ), 료고쿠하나비 (1858, 名所江戶百景 ), 니혼바시日本橋 (1833, 東海道五十三次 ), 제목미상의작품 6 점 376_ 제 19 호
27-375~380기타2-우타가와2.ps 2012.12.26 17:4 페이지377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 重廣)의 우키요에 풍경화(浮世繪 風景畵)에 나타난 일본전통교량의 특징과 표현기법 橋) 스루가다이(駿河台), 마마(眞間)의 단풍과 테코 ② 교량의 형식 및 재료 나(手古那) 신사의 구름다리, 아따라시바시(新し 교량의 대부분은 교량 상판의 중앙이 상부로 볼록 橋)의 대풍, 쿄바시(京橋)의 대나무 뱃터, 메구로(目 하게 올라간 반교(反橋, 虹橋, 무지개다리) 형식에 黑) 홍예다리 일몰의 언덕, 료고쿠교(兩國橋)에서 목재로 축조한 목교(木橋)였다. 히로시게의 풍경화 의 하나비, 료고쿠교에서 에도를 지나 본 후지 가있 에 표현된 교량은 상상 속 교량이 아닌, 당 시대의 장 다. 즉 교량의 이름(新し橋, 京橋, 兩國橋), 크기 소 특징을 그대로 표현한 교량이었다는 점에서 에도 (大橋), 용도(水道橋), 형식(구름다리, 홍예다리)의 시대에 반교(反橋)와 목교(木橋)를 즐겨 사용하였다 정보가 작품명에 직접적으로 거론되었다. 이는 조선 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조선시대의 교량에서 시대의 산수화 가운데 교량이 그려진 작품의 작품명 는 형교(桁橋, 판교, 널다리, 보다리) 형식의 교량이 이 대부분 풍경(風景) 을 중심으로 지어졌다는 사실 주로 나타났다(문지영, 2012; p.276~293). 히로시 과 대비된다(문지영, 2010; p.112). 게의 작품에서 반교(反橋) 이외에 표현된 형식으로 [그림 2] 오하시(大橋) 아타케의 소나기 [그림 3] 쿄바시(京橋)의 대나무 뱃터 www yooshin co kr _ 377
27-375~380 기타 2- 우타가와 2.ps 2012.12.26 17:4 페이지 378 유신기술회보 _ 기타 는형교 ( 桁橋 ), 절판교 ( 絶版橋 ), 누교 ( 樓橋 ), 주교 ( 舟橋 ) 가있었으며, 재료에따른구분으로는목교 ( 木橋 ) 이외에토교 ( 土橋 ) 와석교 ( 石橋 ) 가그려졌다. 반원형 ( 半圓形 ) 에가까운홍예 ( 虹霓 ) 의반교 ( 反橋, 虹橋, 무지개다리 ) 는석재 ( 石材 ) 로축조하였으며, 토교 ( 土橋, 흙다리 ) 의상판은뗏장을깔아보행의편의를도모하였다. 3 교량의조형성 ( 형태, 비례, 디테일, 색채 ) 교량은정형의형태와비례, 세부적인마감이특징적이었다. 특히교량의중심을기준으로좌우의 형태가동일한데칼코마니형태가우세했는데, 조선시대의산수화에표현된다수의교량형태가부정형의비대칭교량이었다는점과차이를보인다 ( 문지영, 2010; p.114). 히로시게의작품속반교 ( 反橋, 虹橋, 무지개다리 ) 의경우에는교량의하부로배들이통과할수있도록교각고를충분히높인경우가많았다. 교량의디테일은현실감있게표현되었는데, 특히중경 ( 中景 ) 및근경 ( 近景 ) 의교량은난간의세부형상까지도세심하게그려졌다. 색채는자연의재료색을최대한살렸다. 단, 누교 ( 樓橋 ) 에서는붉은색으로마감을한사례가관찰되었다. [ 그림 4] 후타가와강하치만의만개 (11%) 4 화면에서교량의존재감 ( 교량의화면점유율, 위치, 방향 ) 교량의화면점유율 ( 畵面占有率 ) 을분석하기위해, 하나의작품을 10 10=100(100%) 으로분할하여, 교량이차지하는비율을알아보았다. 한화면 (100%) 에서교량이차지하는평균비율은 18.15% 로나타났는데, 대략적으로화면의 1/5 정도이다. 이는조선시대의산수화에표현된교량이전체화면의약 8.4% 로, 화면의 1/10 정도에표현되었다는사실과차이가있다 ( 문지영, 2010; p.114). 히로시게의작품에표현된교량은화면의시점 ( 소실점, 消失點 ) 중심부혹은중경 ( 中景 ) 과근경 ( 近景 ) 에그려졌으며, 과감한구도와방향, 강조된형태와크기를적용하였다. 그의작품에서근경및중경에표현된대상체는명소 ( 名所 ) 의특징을전달해주는역할을한다 ( 이진형, 2009; 64). 그의작품가운데교량은대부분근경과중경에그려졌으며, 과감한구도와방향, 강조된형태와크기를적용하였다. 이를통해명소를대표하는요소로서교량의역할이컸음을알수있 378_ 제 19 호
27-375~380기타2-우타가와2.ps 2012.12.26 17:4 페이지379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 重廣)의 우키요에 풍경화(浮世繪 風景畵)에 나타난 일본전통교량의 특징과 표현기법 회적으로 안정되었으며 경제적 문화적으로 성장을 이룩하였다. 이 시기에는 교통망 정비를 통해 나들 이 행락(行樂)과 원거리 여행의 관심이 높아졌고, 이 가운데 각지의 메이쇼즈에(名所圖繪)가 성행하였으 며, 도주키(道中記), 료꼬붕게이(旅行文藝) 등이 간 행되었다(神谷誥, 1998; p.124). 특히 에도시대 중 기부터는 서민들 사이에서 명소(名所), 유적(遺跡)을 돌아보는 관광여행이 성행하였다. 히로시게의 작품 속 교량은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인 조화를 중개하기 보다는 하나의 물질적인 대상체 로 그려졌다. 즉 그의 작품에서 교량은 사상적, 의미적인 개체라기보 다는 서민들의 다양한 일상생활이 표현된 생활의 장소, 축제(하나비=불꽃놀이)의 장소 였다. 그리고 시각적으로는 자연의 재료를 통해 인공의 정갈한 멋 을 가미한 교량을 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 重廣) [그림 5] 아따라시바시(新し橋)의 대풍 의 우키요에 풍경화(浮世繪 風景畵)에 나타난 일 본전통교량의 특징과 표현기법 연구를 조선시대 었다. 회화에 나타난 교량의 특징(문지영, 2010) 과 조 선시대 교량의 문화경관 해석: 연결, 교감, 상징(문 ⑤ 교량과 자연, 인간과의 관계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8년)는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가 정권을 잡은 시대로, 정치적 사 지영, 2012) 의 내용과 비교하여 보면, 조선과 에 도의 전통교량 특징에 대한 차이점을 일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내용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행의 <KICT ZINE> 봄호(2012년 4월)에 게재된 원고를 바탕으로 내용이 보강되었습니다. 분석 에 쓰인 작품 32점과, 교량 46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자료를 원하실 경우에는 대한토목학회지 2012년 8월호를 참조하십시오. www yooshin co kr _ 379
27-375~380 기타 2- 우타가와 2.ps 2012.12.26 17:4 페이지 380 유신기술회보 _ 기타 참고문헌 小林忠監作 (1998). 浮世繪の歷史. 東京 : 美術出版社. 아키야마테투카즈 (1992). 이성미옮김. 일본회화사. 서울 : 예경 문지영 (2010). 조선시대회화에나타난교량의특징. 대한토목학회대한토목학회지 2010년 11월호. 문지영 (2012). 조선시대교량의문화경관해석 : 연결, 교감, 상징. 서울대학교대학원협동과정조경학전공박사학위논문. 이진형 (2009). 우타가와히로시게의우키요에풍경화연구. 성균관대학교교육대학원교육학과역사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 380_ 제 19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