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승무(僧舞)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승무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승무(僧舞)"

Transcription

1 힌국의중요무형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제 27 호 人 口 万 丁僧舞 1998 국립문화재연구소

3 일러두기 - 1. 이책은국립문화재연구소예능민속연구실의중요무형문화재기록화사업으로써영상기록인영화와함께기획된문자기록이다. 2. 이책에수록된사진은영화제작과정중에찍은것이다. 3. 이책에수록된용어는중요무형문화재제 2 7 호승무예능보유자가현재사용하고있는것을따랐다.

4 I. 승무의유래와전승 승무의유래 승무의전승... 2 ^_^J...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승무명인들의계보 보유자의삶... in. 승무의구성양식 줌의구성... o 비 고으아... 乙. 丁 급 ᄀ... o ᄆ 보이 ᄆ 그 ᄋ. 丁 -! ;ᄎ 丁丁....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1. 춤사위용어비교 동작소 ( 動作素 ) 비교 춤사위특징비교... y 승무의 미학 1. 구성의미 줌사위의미 북가락의이... Y t. 맺음말

5 이책은한국전통문화의보존과연구를위한국립문화재연구소의중요무형문화재기록화사업의하나로중요무형문화재제27호승무의보유자로인정받은이매방과이애주의춤을중심으로승무에대해종합적으로정리하여엮은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제27호승무 는민속춤으로는가장잘다듬어져있는한국의대표적인춤사위를집대성하고있는춤이다. 승무는신체를이용하는동작이외에도장삼을움직여공간에형성되는모든형상이다른줌에서는잦아볼수없는독특한점이있다. 또한민속춤이대체로즉흥적이며무릎의굴신에따라상하가가볍게우쭐되는데비해승무는전체적으로무겁고느린정중동의움직임을가지고있다. 춤사위가매우세련되어있을뿐만아니라남도민속춤이갖는어르고맺고푸는동작의섬세한표현과한삼 ( 汗杉 ) 사위의묘함이조화를이루고있다. 어깨춤이긴장삼끝까지파장을이루고그파장이허리와다리를타고버선코까지표출되어나타나며, 치맛자락밑으로보일듯말듯한발의움직임은비정비팔 ( 比丁比八 ) 의걸음과까치걸음이주가되어정중동의맛을느끼게한다. 현재전승되고있는승무는이매방류승무와한영숙류승무로대표되고있다. 이매방승무는이대조로부터권번에서배운기방예술로써의성격이많이나타나며, 남도예술의미

6 가더욱돋보이는춤이라면, 한영숙승무는경기라는지역적특성과기방춤을재구성하여체계적인창작작품으로서무대화시킨한성준의승무를더욱빛내어한국춤의정통적기교와격조를보여주는줌이라하겠다. 승무는땅과하늘의자연스런합일의형태를이룬우리춤 의대표적 춤이며, 우리민족사상과결부시켜땅으로돌아가 려는인간본연의심성이승무라는작품에내포돼있음을알 수있다. 승무는한국인의얼과정서를담아한국인이창출 해낸춤가운데최고의걸작품이라할수있다. 이책이전통문화유산의보존과중요무형문화재의연구및전수교육자료로이용되고, 국민의전통문화에대한의식함양과문화국민으로서의자긍심을높이는데기본자료로활용될수있기를바란다 년 6 월

7

8 I. 승무의유래와전승 I. 승무의유래와전승 1. 승무의유래 승무는한국춤의정수라고일컬을만큼춤사위의멋과춤가락의흥을고루갖춘춤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승무의기원이나유래에대하여아직까지도입증자료나변천과정을제시하지못한실정이다. 승무의유래에대하여는불교의교리적인입장에서본불교설과민속춤의입장에서본황진이의무용설, 파계승의번뇌에서기원하였다는설, 그리고가면극의노장과장에서유래하였다는설등그기원설이구구하나어느것이확실하다고는단정할수가없다. 갖가지형태로발생되어지는것이민속예술의특질이기때문에어느것으로부터기원되었으며, 그최초의형태는무엇이었으며또어떻게변모되어왔는가를단정짓기는매우어려운일이다.

9 I. 승무의유래와전승 우선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와 무형문화재총람 등에 열거한몇가지유래설을살펴보고보다설득력있는기원과 변천과정을밝혀보기로한다. 1) 지족선사를파계시킨황진이무용설 조선조때의명기 ( 名妓 ) 황진이가수도승지족선사를파계시킬목적으로세모시장삼에한모시고깔을쓰고다홍장삼의승복차림으로교태로운춤을춰끝내지족선사를파계시켰다고한다. 이때황진이가추었던춤이승무의기원이라고전해져오고있는데, 이는아무런근거가없는속설에불과하다. 승무는 1900년경원각사에서시작하여광무대, 단성사, 기타가설극장을거쳐 20여년동안연행되었지만, 장삼을벗는

10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일이없었고춤의모양도누구를유혹하려는움직임이나연민하는고민을잊으려고하는모습이전혀없다. 그리고당시한량무라고하는춤은중과색시와한량과의삼각관계로빚어지는과정을그린춤인데도중은절대로승복을벗는일이없었다. 이와같은사실은춤추다가승복을벗어던져지족선사를유혹했다는황진이의경우와는거리가멀다. 2) 동자무설 상좌중이스승이없을때평소스승이하는기거범절과독 경설법의모습을흉내내는동작에서승무가유래했다는설이 있다. 9

11 I. 승무의유래와전승 3) 김만중의소설구운몽설 육관대사의제자성진이길가던도중에 8선녀가노니는광경을보고사내의괴로운욕정을광대무량한불법에귀의하므로법열과해탈의경지에다다를수있다는내용을춤으로표현하였다는설이있다.1) 4) 파계승의번뇌설 어느파계승이백팔번뇌를잊으려고북을두드리며추기 시작한춤이승무의기원이되었다는것이다. 역시하나의 구전에불과하다. 1) 佛俗者如生眞舞出於朝鮮小說九雲夢蓋所謂蓮花峯之六觀 ᄎ 師弟子性眞於石橋上 調戲南岳衛 ᄉ 婦 ᄉ 之 i ( 花使八仙女而隨凡了债之因綠也 ( 李能和, r 朝鮮佛敎通史 J). 10

12 I. 승무의유래와전승 5) 탈놀음의노장춤설 탈놀음에있는노장춤이승무의기원이라고하는설이있으나이는불교의전성기인고려의팔관회, 연등회등에서연행되었던잡기의하나로전통적인의식무와는그계통을달리하고있다. 6) 불교의식무용설 불교의경전중의하나인법화경에의하면세존께서영취 산에서법화경을설할때천사색 ( 天死色 ) 의채화 ( 線花 ) 를내 리니가섭 ( 迦葉 ) 이이뜻을알고입가에미소를지으며춤을

13 I. 승무의유래와전승 추었다고하여후세승려들이이를모방하여춤추기시작하였다고한다. 이는성문 ( 聲聞 ) 을빌려전교하는방법외에부처님의공덕을몸의움직임으로찬양하는신업공양 ( 身業供養 ) 으로전교하는또하나의방편이다. 이신업공양은합장, 순회, 전진, 후퇴등의움직임으로표시하며그율동이발전하여의식무용이된것이라고할수있다. 불교신앙은교 ( 敎 ) 와선 ( 禪 ), 그리고도량 ( 道量 ) 의장엄이나음성의미묘등에의해서그포교의방편을이루고있다. 도량의장엄, 음성의미묘를통한포교는조선왕조중엽이후지식계f 에포교가금지되자극락과지옥의설만을믿는필부우부 ( 匹夫愚婦 ) 의신앙으로전락됨에따라자연승려들의포교방법에변화가생기고도장의장엄, 염불의유행, 범패의발전을가져왔다. 특히서산대사는염불이견성성불 ( 見性成佛 ) 의한길이라고보고만일회 ( 萬日會 ), 염불계 ( 念佛契 ) 등을만들어이를권장하였다. 따라서염불은조선조 12

14 I. 승무의유래와전승 중엽부터번성하였고이는또한범패 ( 梵眼 ) 의성행을촉진시켰다. 이와같이염불범패등의음률이성행하자여기에맞추어승려의춤이또한유행하였다는것이다. 송주, 독경, 염불, 범패, 무용등은조선조후기에들어와서승려의필수과목으로중요시되어왔고, 이른바 중질 이란말은이때부터생긴말이라고한다. 중질이란염불, 범패, 무용등으로의식을행하는일을말하며이른바 바깥차비 라고하는재의식 ( 齋儀式 ) 과더불어상당히발전하여왔다. 13

15

16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이상의내용을종합정리해보면법화경의염화미소 ( 枯花微笑 ) 와불교의악신 ( 樂神 ) 건달패에의하여승무의교리적뒷받침이마련되어, 이후불교문화권에각양의승무가있었을것으로추측되며, 우리나라에서는조선조중기이후불교신자의저질화에결부되어시각과청각을통한포교의편법으로서의승무가발전되어내려왔다고볼수있다. 그러나초창기의승무가종교적위엄을갖춘, 이른바법무 ( 法舞 ) 로서의권위를지니고있었으나, 조선조에들어와서불교의타락은사원경제의방편으로서의기복불교 ( 祈福佛敎 ) 로격하되었다. 이같은연유로불교의의식은대중의시선을사로잡는흥미위주로변질되었고, 또한의식무용은의식의참뜻을떠나

17 I. 승무의유래와전승 감상의대상으로바뀌어법무는차차속화되었고, 더욱이신 도들의사례를받고행하는재의식은본래의뜻을떠나흥행 화되어, 운수승 ( 雲水僧 ) 들의탁발 ( 托鉢 ) 수단으로이용되어 결국이는종교의뜻을저버릴우려가있다고하여 1912 년 본래사법 ( 本來寺法 ) 의제정에의하여금지된후점차민속춤 으로변모되어왔다. 이상에서의 민속춤유래설 들은승무의기원을밝혀줄 만한설득력을지니지못한구구한편견에불과하다. 이에비해 불교의식무기원설 이보다신빙성을지니고있는데우선불교적인복색춤과불교적명칭, 불교의식의법고가락이승무의북가락과의유사성등이그렇다. 이러한사실은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 ( 朝鮮佛敎通史 )j 에도승무가불교의법고춤에서유래한것임을말해주고있다.2) 2 ) 僧舞者妓載曲冠被長衫而作舞來以雙手打此乃做近世僧家舞者也 ' 16

18 I. 승무의유래와전승 그러나여기서불교의식무가어떻게불교의식과무관한예능무용으로되었는가? 또춤꾼이어떻게승려에서예능인으로바뀌게되었는가? 승무에서빼놓을수없는법고치는과장은어떻게지속되었는가, 춤판이법당에서어떤경로로민간으로넘어왔는가와같은것등이문제이다. 그렇다면이같은문제들의변천과정만규명된다면이유래설을인정할수있는설득력을가질것이라보여진다. 법고는절안에서부처님을공양하고예불하며법회를하는불사에서어장승 ( 魚長僧 ) 에의해연행되는것이다. 그러나조선시대말기에는절밖에서탁발이나걸림을하기위한탁발승의가무가항간을돌며연행되었다. 이러한사실은이승우의 불교통사 ( 佛敎通史 ) J에보면탁발승의화청 법고춤 바라춤 작법을금지한사실을볼수있으며, 또혜원 ( 患 17

19 I. 승무의유래와전승 園 ) 의풍속화에서도탁발승이항간에서동냥하며법고춤을 추는장면을볼수있다. 이탁발승의법고는어장승이치는 법고가락으로미루어보아자진모리와휘모리 가락이었을 가능성이많다. 그리고이탁발승의가무법고는절안에서절밖, 즉항간으로나오게되는전이과정을보이고있으나승려신분에서는벗어나지않았다. 그후사당과거사라는놀이패가나타나판염불을부르며시주를걷는일을하였다. 특히사당은줌을주고, 거사는소고를치는것이주요역할이었으나사당이법고춤또는줄놀음등다른놀이를하던것을볼수있다. 이사당들은반승반속 ( 半僧半俗 ) 의예인이므로그들의법고는탁발승의법고와유사했을것이나이들이항간의놀이패이기때문에법고가락이한층민속적인음악성이가미되었을것으로보인다. 18

20 I. 승무의유래와전승 또한이들사당패북놀음은산대놀이애사당북춤에서그흔적을볼수있다. 그후로사당패들은유랑예인으로불교와는관계가점차멀어졌고불교적인법고와춤은한낱걸립을목적으로하는예능종목으로남게되면서무동 ( 舞童 ) 들이그춤과복색의맥을잇게된다. 이러한무동춤은김홍도의 무동 그림에서도엿볼수있다. 아직도경기농악의무동이나답교놀이무동에서오늘날 승무복색을한상좌무동이 윗무동놀이로이어져오고있으 며, 산대놀이의어린상좌춤놀이가오늘날의승무와승무복색. 승무가락과유사한춤을추고있다. 다만이들무동들은어려서법고를치지않았으나성인이되어다시법고를곁들인전문적인예능인즉창우 ( 倡優 ) 가되었다. 그리하여어장, 탁발승, 사당등에의해이어온불교무용을순수예술무용으 19

21 I. 승무의유래와전승 20

22 I. 승무의유래와전승 로발전시키는기틀을마련하였다. 이들창우들이지켜온승무와비슷한여러가지중춤중에서다듬어지고뛰어난춤이권번 ( 卷番 ) 으로유입되어기녀들에의해기방춤으로추어지며남무에서여무로전이되었다. 이와같은전이과정을뒷받침해주는것은각지역의교방이나권번또는각종교습소에서승무는주요한과목이었고오늘날의승무예능보유자들의스승들이모두남자예능인들이었다는사실이이를입증해준다. 결국창우들이 불교의식과는 관 계없는오늘날과같은승무를만드는결정적역할을하게된것이다. 권번무용이 되면 서부터춤판은다시뜰에서대청이나방안으로들어오게되었고오늘날무대예술무용으로쉽게전이되는교량역할을하게되었다. 21

23 I. 승무의유래와전승 무복은불당에서의법의 ( 法衣 ) 로써회색장삼에고깔을쓰고가사를걸쳤던것이, 마당놀이로변천되었을때는불교적의식보다춤의예능성이고조되어회색장삼에거추장스런가사대신이미오늘날승무복과같은띠를비껴걸치게되었다. 또한마당에서대청으로춤판이바뀌면서실내분위기에따라오늘날과같은흰색또는검정색장삼으로변화되었고바람을타지않는옥내에서는장삼뿌림새의멋을연상시키기위해장삼가락의길이가한층길어졌으며흰고깔과붉은띠를비껴두른 승무복이 정착되었 다. 다만남무에서 바지를입던것이 여무에서는 붉은 띠와대비되어 가 장잘어울리는남색치마를입게된것이다. 결국승무의무복은불가의승복에서기방예인들의미감으로재창조된것이다. 22

24 I. 승무의유래와전승

25 I. 승무의유래와전승 춤꾼의숫자는풍속화에서는마당춤일때도 1 인무로나타 나있긴하지만넓은마당에서는혹시 2 인이상군무형식이 있었을지도모른다. 그러나좁은공간의 방안춤으로들어오 면서부터는독무형식으로굳어진것이확실하다. 춤사위기법은불교의식의장삼춤과나비춤이민속화하는과정에서무무 ( 巫舞 ) 의살풀이춤과궁중무와지방무의한삼춤의영향으로가장승화되고세련된승무춤사위로다듬어진것이다. 또한배역에따른춤의기법도입에있어서는다른민속연희의 중춤 류영향도배제할수없다고보는데, 특히탈춤에서의노장춤 상좌춤 법고춤과같은중춤 한량무에서의중춤 농악에서의조리중춤등이다. 24

26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이처럼춤이있는민속연희의장르마다중춤이있다는사실은당시가장전문적예능인들인창우들의작품목록에도중춤이빠질수없었음을시사하여이러한민속적인중춤을토대로민간연행에서판놀음을벌이던창우들가운데뛰어난춤꾼들이판놀음의중춤으로다듬어발전시킨것으로보여진다. 그리고그들의직업적예능성은이기방인들에게계승되었고전문적인예술성은오늘날까지무용예술인들에게그춤의맥을이어오게한것이다. 현존하는승무를검토하여보면, 지난시대의승무전수자가특수한경우를제외하고는거의광대나기녀들에의해그춤이이어져왔고, 또한주된춤사 25

27 I. 승무의유래와전승 위 ( 기법 ) 가기녀들의춤인살풀이춤과동질성을가지고있 다. 또한춤의 형태가의식성이나종교성, 생산성, 극성 ( 劇 性 ), 놀이성이전혀담겨 있지않고완벽한홀춤 [ 獨舞 ] 이라 는것을감안할때, 승무는조선후기에광대등과교방예 술인들이 이미그이전에 행하여졌던사잘에서의 승려줌과 남도살풀이춤또는탈춤의한삼춤에영향을받아교방예술 로창조한것이라 보아진다. 그러나한말에 교방청이폐지되자이들창우와 기녀들은 기방생활을하게되었고양반들의 잔치에불려가 사랑채에 서추다가오늘의 승무로발전시킨것이라할수있다. 따라 26

28 I. 승무의유래와전승 서승무는살풀이춤과같이당초에는교방청에서시작되었으나, 춤이예술적형식을갖추게된것은기방 ( 妓房 ) 이라할수있다. 승무의명칭에대하여는승복을입고춤추므로승무라하였겠지만, 문제는왜기방예인들이승복을선택하게되었는가하는것으로, 초기형태의승무를밑받침해줄근거가될것이다. 조선조중엽부터불교는유교에밀려지식계층 27

29 I. 승무의유래와전승 에는외면된채필부나부녀들만의종교로전락하고, 승려들 은염불을유행시키고작법을내세움으로써, 오히려불교의 식춤이성행하였다. 그러므로당대의 예술가들은이에적지 않은영향을받았을것이고, 또한그당시의사회적질서가 혼란하여관과양반들의횡포가심하였으므로서민들간에는 이러한상황을비판하고희롱하는풍자적인내용이민속연 희에담겨지게 되었으리라믿어진다. 그러므로초기의승무 는탈춤처럼상류사회에대한풍자적이며비평적인관심에 서비롯된가능성도있는것이다. 28

30 과정I. 승무의유래와전승 아래도표 승무의변천과정 I 은사잘에서어장승들에의해거행하는불교의식무 ( 나비춤과법고춤 ) 가점차세속화의과정을거치면서탁발법고춤, 사당법고춤, 무동장삼춤, 창우중춤, 기방승무로전이와변천을보여주는도표이다.>무승의변천29 I _

31 I. 승무의유래와전승 2. 승무의전승 현재까지맥락을이어온대표적인것은경기승무와호남승무두종류가있다. 경기승무로전해져내려오는것은한성준에의해빛을보게되었다. 한성준은개화이래일제시대를관통한한국문화사를통해과도기적인역할을한인물로양세대에걸쳐춤으로만생활을한이색적인춤꾼이다. 한성준의손녀이자제자인한영숙은승무의기원에대해이렇게덧붙였다. 승무는한성준할아버지가창작한무용이지 3) 라고말하며또한 1912년불교종단에서본말사법을금 지하기까지절간에서 법고무 란의식이있었는데 할아버지 한성준선생추모제 3 ) r 전통무용 j, 전통무용사, , P

32 I. 승무의유래와전승 께서는그의식을따라승무를지으신거라 는것이다. 한영숙의주장을본다면 한성준의승무는불교의식과연관을맺고있음을알수있다 물론이것은승무가전적으로불교의식무용에서비롯된것이라는것은아니고오늘날까지전해지는한성준의승무가놀이판을토대로전해지는승무와불교의식춤과합하여새로이창작된춤이라는것이다. 한성준의승무가창작된작품으로서가아니라한국춤의중요한한줄기로 무형문화재 로남아있을수있었던것은이춤이그때까지불교의식춤이나무속장단속에남아있던춤과음악의기본을집대성한춤이었기때문이었다. 게다가한성준의승무가조금도손색이없이오늘날까지이어져내려올 한성준선생추모춤판 31

33 I. 승무의유래와전승 수있는것은할아버지와손녀라는특수한관계에서기인한 다고볼수있다. 전라도지역을중심으로한이대조의계통을이은호남형 의승무가있다. 호남형의승무는 1935 년경 이매방이조부 이대조에게서학습하여반세기의긴연륜을고수보존하여 각고연마하여극치의아름다운예술로창조해놓은작품이다.4) 4) 韓國國樂協會. r 韓國國樂全史 j, 교육개발공사, 1988, p

34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이춤의유래는이매방의구술에의하면남도소리도하는전라도의신방초 ( 申芳草 ) 에게서이대조와이매방에게로전승되어전해진것으로호남형승무의원형은이매방이간직하고있으며, 이매방의북가락은박영구에게서배웠다고한다. 현재경기승무와호남승무는양대산맥을이루고있다고말할수있다. 33

35 I. 승무의유래와전승 아래의도표 승무의변천과정 n 는승무로전이되면서 공연되었던장소를중심으로도식화한것이다 - 승무의변천과정 D > 의식춤 [ 身業供養 ] 民俗舞 假面劇 老長舞 打鉢舞 儀式舞 儀式舞 僧舞 원각사 I 光武台 I 朝鮮聲樂硏究會 I 假說劇場 I 朝鮮音樂舞踊硏究會 I 府民館 I 現僧舞 34

36 I. 승무의유래와전승 3. 승무음악의유래 승무반주음악을살펴보면첫째장단은염불로시작된다. r선가귀감 에의하면염불은선 ( 禪 ) 과동일시되어야하고, 불교와관련되어있음을기록하고있다는것은불교음악의특징을부각시켜나간것이라하겠다. 그리고김정연의 한국무용도감 j 에서는승무유래에대해 지금부터약 2500년전석가세존께서는몸소득도하신후에중생에게전하기위해설법포교하실때에영산회상 ( 靈山會相 ) 을지으시고많은제자를제도하신후피로를달래고친목을위하여노래와춤을추었다는데에서유래하였다고한다 고하였다. 원래영산회상은악학궤범에전하는바와같이 5 ) 金 * 沫. 승무의춤사위에관한연구 4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37

38

39 I. 승무의유래와전승 영산회상불보살의일곱자로된가사를붙여노래하던불교음 악이던것이차츰세속화 기악화되었으며, 현존하는영산회 상에서는현승무의반주음악과별개의것으로되어있다. 승무의유래에대한뚜렷한학설이나서지않고있는이시점에서승무의반주음악이첫장단에염불로시작되는사실만으로는불교의식무설을입증할수만은없다. 나비춤이나바라춤등불교의식당작법 ( 食堂作法 ) 에는긴염불장단과 관계가없다고생각되며승무음악의 유래에는많은단점을 갖고있다고할수있다. 또남은의문은불교의식의법고가탁과승무법고가락은어떤맥락을같이하고있는가? 법고가승무의춤과정속에서왜남아있게되었는가? 하는것을살펴보기로한다. 사찰에서법고가쓰이는것은다음몇가지를들수있다. 38

40 I. 승무의유래와전승 첫째, 법고의본디용도대로절에서주지가상당 ( 上堂 ), 소 참 ( 小參 ), 보설 ( 普說 ), 입실 ( 人室 ) 과같은여러 법요의식에 따라치는것이다. 둘째, 지금큰사찰에서보는바와같이 아침저녁에예불할때치고, 또큰법회를행할때에친다. 첫째와둘째는법당에 달아맨법고를치는것으로양손에 북채를갈라쥐고흔히휘모리장단으로몰아친다. 셋째, 공양의식과불사를할때그의식가운데서친다. 넷째는의식의절차에따라법고치는고법이여러가지있으니화청북, 축원화청북, 진언북, 관음정진북, 아미타불행진북, 천수바라북, 홍구북, 관세욕북, 인로왕북, 염불북, 장엄염불북, 오발북등이다. 이것을법고12차라이르기도하는데이러한불교의식에서는어장스님이노래와독경그리고춤을추게된다.

41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이들법고가락을보면휘모리한배로된것이홍구북 진 언북이며, 세마치한배로된것이축원화청북이며, 절음거리 는박자로된것이화청북이고, 나머지는모두자진모리 한 배로장단을치게된다. 승무의법고는북을대에달거나얹어놓고양손에북채를갈라쥐고자진모리장단이나휘모리장단을친다는점에서어장의법고가락과유사하다. 그러나승무의법고는탁발승나아가서는사당의법고를한층고도의예술로발전시킨것으로가락을풀어내는기법차이가생겨난것으로보인다. 즉, 절에서치는가락들은붙임새치는가락이없이엇가락형태에머무르고있다. 이는법열의경지에도달하는데는외가락의반복일때가훨씬효과적이기때문이기도하다. 그러나내드림으로달고가다굴리는이붙임새는자진모리장단 40

42 41 I. 승무의유래와전승

43 I. 승무의유래와전승 과같이빠른가락에서구사할수있는것으로고도의기교 화된승무가락은바로이런기법을잘살린것이다. 춤의가락은느린염불장단으로부터반염불 ( 도드리 ) 장단, 굿거리장단과자진굿거리장단의 춤으로이어졌다. 법고놀이 를한후에다시굿거리춤으로마무리짓는다. 결국불교의식춤인범패의나비춤, 바라춤, 법고등의불교의식가락에서점차민속가락화한것으로보여지나, 염불장단과같은느린가락은역시그명칭과함께불교의식에서의느린가락이그대로민속화된장단이쓰여졌다고본다. 끝으로승무의구성에서춤부분과법고부분이분리되지않고결합되어왔는가하는점은몇가지가설로써고찰하고자한다. 첫째, 법고는인간의번뇌를해탈하는관념적인기능을지니고있기때문에승무에서표출되는한 ( 恨 ) 의극복과승화

44 I. 승무의유래와전승 과정에서빼놓을수없는과정이다. 불교의식에서사물악기 ( 四物樂器 ) 는범종 ( 梵鐘 ), 법고 ( 法鼓 ), 목어 ( 木魚 ), 운판 ( 雲板 ) 이있다. 운판은허공계의모든중생을제도화하는뜻이담겨있고, 범종은지옥중생을제도하는뜻이담겨져있으며, 목어는물속의중생을제도하는뜻이담긴데비해, 법고는세간의중생을제도하는뜻이담겨져있다. 세속화과정에서나머지삼물 ( 三物 ) 은그대로절에남고법고만이인간세상의번뇌를제도하기위해속세에내려와법고를울려주고탁발시주를하였다. 그리고승무는인간의번뇌와재난에서해탈과소멸을위한일종의기원의과정으로법고를끝까지지켜온관념적바탕을지니고있다고본다. 둘째, 불교의식의작법은나비춤, 바라춤, 법고등세가지과정이결합되어있는바, 춤과법고의결합인식이자연스럽게승무로전이되었기때문이다. 특히작법의세가지춤이 43

45 I. 승무의유래와전승 민속화하는과정에서하나의춤으로단일화하는과정에서처음부터끝까지북채를들고추는관계로바라를바꿔들수없어바라춤은분리되어나가고장. 삼춤과법고과정만이승무를구성하게되었다. 셋째, 승무변천과정에무동이나창우의중춤에서는춤과법고를꼭함께하지않는경우도있었다. 이것이기방예술로정착되는과정에서재결합된이유는장단가락의빠른변화에법고를필요로하게된것이다. 일반적으로민속춤이나무당춤에서염불장단에서도드리로잇는굿거리에서허튼타령으로넘어가는춤에서빠른당악장단, 그리고더빠른자진모리, 휘모리로가락이빠르게변화되는것이상례인데빠른장단의춤에서장삼은거추장스러워지게된다. 이때를억지춤으로잇지않고전환시켜춤가락대신북가락을쓰게된것인데, 이것이다른민속춤에서볼수없는독특한양상을지닌춤의장르로창조된배경이기도하다. 44

46 I. 승무의유래와전승 넷째, 장삼뿌림새가주된춤사위의멋으로부각되면서장삼이점차길어졌다 ( 특히마당춤에서대청춤으로들어오면서 ), 그길어진장삼의뿌림새를강하게하고팔의길이를연장시키는데는양북채가가장적절한소도구로쓰였다. 특히남무에서여무로전환되는과정에서일반적으로체구가남자보다여자는작고힘도약하기때문에북채는팔의길이를길게해주고장삼뿌림의강도를높여주는구실을하였기때문에춤판에서흔히구할수있고또곁들여장삼소매사이로손만빼내면북도칠수있기때문에법고치기가재결합할수있었다. 이점은무동과창우에서는법고를치 지 않았던것이여무로발전되면서법고과정이재생된것 에뒷받침이되기도한다. 결국춤과법고는변천과정에서뗄수없는화합요인을지니고전승되었으며설령분리되는예가있었다하더라도필연적인재결합으로이어져온것이다. 45

47 I. 승무의유래와전승 이상에서고찰한바와같이승무는불교의식인법고에서 유래되어민속화되고창우들의판놀음으로발전하여 민간연 향 ( 民間宴享 ) 에두루연행되었다. 그리고조선말기에는신갑두 ( 申甲斗 ), 백설채 ( 白雪採 ), 한성준 ( 韓成俊 ) 과같은승무의명인들이나왔다. 1900년대에는협률사 ( 協律社 ), 광무대, 원각사와같은극장무대에서승무가공연되었고특히한성준의승무가무대공연에활약이컸다. 1908년극장에서는처음으로원각사에서한성준이승무를단원들에게까지지도하기까지했다. 그후원각사가문을닫게되자이단원들은흥행단체로전락하여완홍사 ( 垸興社 ), 장안사 ( 長安社 ) 등가설극장무대를거쳐 1934년한성준이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개소하고무용지도를본격화하게되면서부터승무가정립단계에들어갔다. 1936년부민관 ( 府民館 ) ^ 에서제 1 회무용발표회를계기로최고도로발전하여예술춤 으로승화되었다. 그리고손녀한영숙에의해대를이었고 1969 년중요무형문화재제 27 호로지정되었다. 46

48 D.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D. 人 o 丁 명인들의계보와특징 1. 승무명인들의계보 승무는변천과정을거쳐오는동안일정한춤의격식이없이즉흥성이짙은민속춤으로전승되었기때문에여러춤꾼들의법통대로또는자기류의승무를추어왔다. 따라서승무는지역적특성과계보적특징을지닌명인들도많다. 승무명인들의계보와춤의특징을살피기로한다. 47

49 U.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1) 조모안 ( 曹模安 ) 1909년전남담양에서태어나 11세부터목포권번에서소리를배웠고 13세에전북흥덕사람김금옥에게춤을배웠다. 그의춤은조심스럽고얌전하면서흥취가있다. 또박또박정확하면서도무겁지않다. 사방에대고한번씩합장하는동작으로시작되며장삼놀음을천천히다지듯놀리다가뿌리는사위이고, 그중에서도뒷머리에차례로얹었다가조심스러운듯뿌리는사위가특색이다. 또이마에두손모으듯앞으로모아들었다얌전히펼치는사위도특색이다. 끝없이파도치듯이어지는무릎굴신이춤의바탕과중심이된다. 2) 한진옥 ( 韓鎭玉 ) 1911년전북순창에서태어나 17세부터남원권번에서춤을배운기방무이다. 그의스승은옥과 ( 玉果 ) 출신이장선과순천태생인이창조이다. 이장선에게서검무, 화관무, 범패무, 바라춤, 승려무와학춤, 살풀이등을배웠다. 이창조에게서는줄타기하면서추는줄승무와개성기생황진이가만덕을유 혹하던황진무라는승무의한유형을배웠다. 그의 승무는 장삼놀음에서두팔을뒷머리에얹었다가팩뿌려펼치는사 위와세장단으로팔위에괄을얹었다가다시한번밑자락 소매를위로올리는겹사위가특색이다. 48

50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3) 김정연 ( 金正淵 ) 1913년평양태생으로평양, 개성, 서울에서전통예능각부분의교육을받았고해방전부터서울에서활동해왔다. 이승창 ( 李承昌 ) 에게가곡을, 김대성 ( 金 * 星 ) 에게서도소리를배워중요무형문화재제29호서도소리예능보유자로인정받았다. 춤은이장선 ( 李長仙 ) 에게서배워 14세에개성극장에서의첫무대를시작하여 60년대줌판을걷어치우고소리판만을작고할때까지계속해왔다. 그의승무는궁중의진연 ( 進宴 ) 기생들을가르치던이장선에게서배운후한취홍 ( 韓翠紅 ) 에게서다시배운춤이다. 그녀의춤은출생시평양의활달하고시원스런춤사위와개성에서향제 ( 鄕制 ) 로배운춤가락이있고, 서울의경조 ( 京調 ) 가어우러진춤이다. 검은장삼, 흰고깔, 붉은가사에회색바지저고리를받쳐입고주는그녀의승무는성진무의순서를택하여엎드려잠들었다가깨어나는데서시작염불, 도드리, 타령, 볶는타령, 굿거리, 북치기, 살풀이가락으로이어져두손모아합장하는것으로끝나는데어떤춤전공예인못지않은법도가있고지켜내려온고아한멋과자랑이있다. 49

51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4) 한영숙 ( 韓英淑 ) 1920년충남천안태생으로조부한성준 ( 韓成俊, , 고수 무용가 ) 의승무를이어 1969년중요무형문화재제27호승무기능보유자로인정받았다. 보통민속춤이라면한사람의창작이라기보다전승되면서이루어진춤으로보는것이상례인데, 한영숙승무는한성준이라는전문예인의창작정신이스며들어만들어진하나의결정판이다. 1937년부민관에서열린한성준무용발표회가그녀의첫무대로승무, 학춤, 살풀이등이갈채를받았다. 그후 1942 년한영숙고전무용학원을개설하여후진들에게전수하고많은교단과대학강단 ( 수도여사대교수역임 ) 에서후학들을길렀다. 한영숙승무는우선선의아름다움에특징이있다. 한발을사뿐히들어올리고허리를반쯤굽힌자세로두팔을들어긴장삼을뿌릴때장삼끝에일어나는변화무쌍한선을창조하며다소곳하게그어지는선을단정하고화사하게하여육체의신비한선을보여준다. 허리띠를맨간추려진치맛자락의선이나그밑으로나붓이고개를내밀어단정하게짚어가는버선발의모양이상큼하고디딤새가시원하다. 또한그녀의춤은깨끗하다. 차갑고청결한맛이있고단정하고절도가있다. 이처럼그녀의춤은내면의세계를표출하는내연기적 ( 內演技的 ) 기법과정중동 ( 靜中動 ) 의비법에서비롯된것이다. 50

52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5) 김애정 ( 金愛貞 ) 1923 년경남마산에서태어나 13 세부터춤과소리를배우 기시작했다. 춤은진주의심고주에게배웠으며맺고끊는 듯한간추려진 멋을기본으로한다. 들어올리는듯하다가 다시지려밟는발디딤새며다소곳이머리숙인자세로장삼 을한장단한장단맞춰가며뒷머리에얹었다가뿌리는장 삼놀음이모두군더더기 없이단단함을보여준다. 흩뿌리는 장삼끝이나북가락에서보여주는힘이여성의승무로는드 물게힘을지니고있는것이그녀의승무특징이다. 51

53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2. 보유자의삶 1) 이매방 ( 李梅芳 ) 본명은규태 ( 圭泰 ) 이며, 1927 년전남목표에서태어났다. 어릴적그의 옆집에살고있는목포권번에소속한함국향이 라는기생이이매방의춤을보고재능이있다고판단하여 이매방이차마시는모습 52

54

55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다. 춤은주로승무와한량무를많이추었다. 23세때군산에서무용학원을개설하여 3 년간운영하다가그만두고서울로올라와창신동에다시무용학원을차렸다. 당시학원에서지도하던춤종목은승무 살풀이춤 검무 한 량무 장검무 태평무등이었다. 그후다시 광주로내려가 광주국악원사범으로춤을지도하면서광주극장에서전통춤발표회를갖고여성창극단등에서활동하기도했다. 다시부산으로이주하여 5 년간무용학원을운영하였다. 현재부산에서중견무용가로활동하는이들은거의대부분이매방문하를거쳤다. 1970년대말서울의여러극장무대에서승무와살풀이춤을자주무대에올리면서명무자로이름을떨치기시작했다. 그때이후국내공연은물론이요수십차례의해외공연을통해우리춤을세계에알리는데에도많은기여를했다. 이매방은자신의춤제를따르고자몰려드는제자들에게자신의장기인승무 살풀이춤을비롯해서검무 입춤 태평무 산조춤 장검무. 장고무 홍춤 ( 즉흥무 ) 등을제자들에게가르친다. 몇년에한번씩대형무대를꾸며일반인들에게도자신의춤재능을선보이고있다. 이매방은 40세에무용가와결혼하여슬하에딸하나를두고있는데딸역시춤꾼의길 ( 현대무용전공 ) 을가고있다. 이매방은 1987년중요무형문화재제27호승무기능보유자로인정받았고, 이어 1990년의중요무형문화재제97호살풀이춤의기능보유자로인정받아전무후무한탁월한춤꾼으로평가받고있다. 54

56 55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57

58 II.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승무전수장면 승무전수장면 57

59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 7:30 3 /? 1 8 호암아트홀후원 I 화 r i 선 I 보 3 B 시아나항공금호재 ^ 이매방공연포스터 제자들과의방담 58

60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손수춤옷을만드는이매방그의승무는한영숙의경향류에대비해서호남류로치며장삼놀음, 북놀음, 발디딤새에서배운근본이뚜렷하고춤의기법이특출하다. 또한힘과신명이뛰어난춤가락을보이면서굽히고돌리는연풍대와힘차고호화로운장삼놀음, 춤의경건함을밟아가는듯매서운발디딤새, 가슴을울리고영혼마저뒤엎어버릴듯세차고풍요하게멋들어진북놀음, 모두가슴두근거리는감격을맛볼수있는예의경지를보여준다. 59

61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60

62 61 D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63 D.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2) 이애주 ( 李愛珠 ) 이애주는 1947년 10월 17일생으로한영숙의수제자로서현재서울대학교에재직중이다. 서울운니동에서태어나 4 5 세때부터춤을잘추어귀여움을많이받았다. 무용을시작한것은어머니의영향이컸으며아버지도든든한후원자였다. 교동초등학교시절어머니는동네무용연구소에보내춤을배우도록하였으며, 정식으로시작한것은초등학교 2 학년때비원앞에위치한김보남선생한테사사받으면서였다. 이때춤의기본, 양산도, 노들강변, 아리랑, 천안삼거리. 검무, 춘앵전, 승무등을고등학교 1학년까지계속배웠다. 62

64

65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이때어머니의열성이대단하여입학한지 2 년뒤어린이무용반을만들게하여동생애경이까지도교육시키게하였다. 국악원에서는월례감상회가있었는데, 이애주는의례이곳에서승무를하는것으로되어있었다. 이행사에는피리김태선, 가야금김윤덕, 장고김보남, 대금김성진반주로춤을추었다. 김보남선생은궁에서무용을했으나궁밖에서민속춤을배운적도있다고하였다. 이애주는창덕여중에서도무용반장을하면서이화여대콩클에나가 3년간우승을하기도했다. 그후서울대사대체육교육과에입학하여그곳에서도무용반장을하면서무용 64

66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발표회를부활시켜 3 학년때명동극장에서서울대학교무용발표회를가졌는데서울대에서도무용을하냐고놀라워했다고한다. 이어서 4 학년때문공부주최제7 회신인예술제에서대상을수상하였다. 대학원에입학한 1969년여름에한영숙선생의승무강습회에참석하였을때김보남선생의승무가그대로되살아나는느낌을받았다. 두선생의승무는전체적으로같은흐름을가지고있지만한영숙승무가훨씬기교가있었다. 이때한영숙선생은이애주가승무를잘소화해내자자신의춤을전수해주고싶다고얘기해주었다. 그리하여 1970년겨울부터한영숙선생께전수받기시작했다. 매일밤퇴계로에있는한선생학원에서아이들을가르치고난시간에한선생으로부터승무를배웠다. 1974년에는개인발표회를열었는데이때한선생이살풀이를추고이애주가승무를추었다. 1976년이씨는정재만씨와함께중요문화재 27호로지정된한영숙선생님의승무이수자 의자격을받았으며, 1978 년 31 세때미국으로갔다. 그곳에 서는연구소를경영하면서승무를가르쳤으며, 아시아음악제, 카네기리사이틀홀, 뉴욕한국문화원에서승무 살풀이춤 일무 탈춤등을공연하였다. 1982년봄에귀국하여그해 7 월에서울대학교의전임강사가되었고, 11월에문화회관대강당에서무형문화재이수점 검공연을가졌다 년 84 년한영숙류이애주전통춤 을 공간사랑에서가졌다. 그해부터삼성동전수관에포함된대 학학회전통예술관에서전수강습을하였다 년봄한국 65

67 n. 승무명인들의계보와특징 의집에서무용발표회를가졌는데, 공연이틀전에스승한영숙선생이지병으로입원하여못내아쉬움을남기고그후별세하였다. 지금은 1997년한영숙선생을대를이어승무기능보유자로인정되어후진양성과전승에전념하고있다. 66

68 m. 승무의구성양식 ID. 승무의구성양식 1. 춤의구성 승무는현재이대조계 ( 李 ᄎ 神系 ) 의이매방이중심이되는호남승무와한영숙이중심이되는경기승무의두유파로구분되고있다. 부분적으로는두유파사이에차이점이나타나지만구성상통일성을가지고있다. 승무의춤가락은장단에영향을받아염불, 타령, 굿거리, 당악등장단에변화를주면서추어진다. 반주악기는피리, 젓대, 해금, 장고, 북등삼현육각으로구성되며가락이다양하며변화가많다. 승무의연행시간은 20 30분정도인데요즘은상황에따라더일찍끝나는경우가많다. 67

69 ID. 승무의구성양식 승무는모두 10개의과장으로이루어져있는데그장단과장단수는승무공연당시사용되는시간에의해약간의변화가있다. 20분을추는경우, 25분을추는경우,30 분을추는경우마다어느과장이생략도되고줄어들기도하며늘어나는경우도있다. 이매방과한영숙과의차이점도있고각각의과장마다의장단수도그때그때조절하는식이나전체흐름은변하지않는다. 각과장의진행순서에도차이점은있으나공통적으로흐르는맥은같다고볼수있다. 각과장의공통특징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68

70 I. 승무의구성양식 1) 염불과장 염불과장은느리고무거우며끈기를가지고있으면서부드러운곡선의미와질량의광대가크며활발하고탄력성있는춤사위가주를이루고있다. 즉, 장중하고무게있는무태 ( 舞態 ) 로써내면의깊은세계를표출하고있으며멋이짙게깔려있는승무의대표적인부분이라고할수있다. 춤판뒤편에있는북을향하여엎드려있다가서서히일어나합장하고앞으로나오고뒤로물러서면서장삼을뿌리고젖히고휘돌리는등여러동작의춤으로무릎을많이굽히는것이특징이며특히긴장삼소매가공간에뿌려지는모습은초인적인형상을나타내는것이다. 69

71 fl. 승무의구성양식 2) 염불도드리과장 빠른염불과장은염불과장에서타령과장으로넘어가는교량적역할을하는부분으로넘어가는장단에맞추어장삼소맷자락으로북을몇번치다가타령으로넘어간다. 이것은도드리염불과장의끝을알리는신호이기도하다. 3) 타령과장 염불도드리과장에서북을치고끝맺음을한다음뒷걸음으로나와정면을향해앉으면타령가락이시작된다. 앞의염불과장은장중하고무거운무태로서인간의감정을내면적으로나타내었다, 그러나타령은경쾌한리듬감으로활달하고직선적인춤사위를통해통쾌한멋을불러일으키며, 도약과비약의춤사위를이루고있다. 70

72 in. 승무의구성양식 4) 잦은타령과장 잦은타령과장은굿거리과장의연결역할을하는과장으로장삼가락으로북을잠시어르다가굿거리로들어간다. 장삼을뿌리며앉은동작과북을치는동작이조화되어속도가점점빨라지며끝을맺는다. 71

73 ID. 승무의구성양식 5) 굿거리과장 잦은타령에서북을친다음춤판정면으로나와어깨춤으로부터시작되어본격적인굿거리과장으로들어간다. 굿거리과장은기교와묘미가춤의멋을한층더돋보이게하는섬세함을보여주는데타령과비슷하지만리듬이조금다르다. 즉타령이직선적이며박 ( 拍 ) 이또박또박끊어져서역동적이면서의도적인성격을띠는데비해굿거리는모가나지않고끊어지지않으며계속이어지는부드러움과즉흥적인성격을가지고있다. 72

74 m. 승무의구성양식 6) 잦은굿거리과장 잦은굿거리과장은느린굿거리로넘어가는교량역할을 하는부분으로북을어르면서북앞에서춤을춘다. 7 ) 느린굿거리과장 느린굿거리과장은장삼소매에서손을빼내어북채를어 르면서북채의부딪히는소리와무자 ( 舞者 ) 의흥이어우러져 흥이무르익어간다. 73

75 m. 승무의구성양식 8) 북치는과장 이렇게굿거리춤이무르익었을때자진모리로넘어가면서북채를꺼내북을두드리게된다. 앞과장에서느리고무겁고끈기있게서서히발전한감정의기복을끌어올려법고를침으로써풀어내는흥분 희열 환희로무아의경지에이르게되며춤의절정을이루게된다. 이법고놀이는인간의욕망과집념, 현실과이상, 도덕과관능사이에엇갈려번뇌하는인간의내면심리가타고하는돌파구를얻어쌓여진울분을분출한다는설명이어울릴만큼강약, 완급, 길이,

76 m. 승무의구성양식 9 ) 당악과장 당악과장은가장빠르고경쾌한과장으로발의움직임이섬세하고민첩하며팔의움직임도날렵하다. 북을당악장단으로치기도하며북채를어르면서부딪치기도하여흥을돋우면서북을치며격렬한춤을춘다. 당악과장에서는장삼소매를뒤로모아등뒤의끈에묶고추기때문에의복면에서도독특한미를발견할수있다. 10) 느린굿거리과장 북소리가몇으면서느린굿거리장단에맞추어감정을가라앉히고연풍대를돌때원을그려가면서장삼소매가허공에날리며그어지는선과무릎을들어 180 돌리면서그어지는모습은종교적의미를내포하고있는듯하다. 75

77 ra. 승무의구성양식 이상으로승무의각과장의공통특징을살펴보았고, 한영숙승무와이매방승무의장단및각과장의장단수를비교한차이점은 표 1 과같다. 한영숙승무는굿거리과장이변화가다양하며법고후당악과장이화려함을알수있고이매방승무는당악과장이따로없으며법고과장에속해있으며당악춤이따로없다. 표 1> 각과장의장단및장단수비교 구분경기 ( 한영숙 ) 승무호남 ( 이매방 ) 승무비고 본영산과장염불과장타령과장굿거리과장자진모리과장북 ( 자진모리 ) 당악과장느린굿거리과장굿거리과장 느린염불장단 32 장단빠른염불장단 8 장단 느린타령장단 33 장단빠른타령장단 8 장단 느린굿거리 52 장단빠른굿거리 6 장단느린굿거리 15 장단빠른굿거리 4 장단 4 장단 56 장단 11 장단 본영산과장 8 장단 염불장단 18장단도드리장단 6장단 타령 30장단자진타령 8장단 굿거리장단 40 장단 자진굿거리당악 30 장단 76

78 ffl. 승무의구성양식 2. 반주음악 승무에사용되는음악은춤반주음악으로대표되는 염불 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 당악장단으로이루어지며, 이반주에쓰이는악기로는피리 (2 ), 젓대 (1 ), 해금 (1 ), 장고 (1 ), 북 (1) 등의삼현육각으로이루어진다. 경기승무에는경기제삼현육각, 호남승무는호남제삼현육각이각각있었으나, 현재호남제음악을연주하는이가없어경기삼현육각에맞추어추고있는실정이다. 이에이매방은 지금의승무는경기도삼현염불로추고있기때문에완전한나의승무맛을못내고있다 고전제하면서호남제삼현염불에맞추어야승무의맛이난다하며아쉬워한다. 장고 - 장덕화, 피리 - 최경만 황광엽, 대금 - 김방현. 북 - 김창수 77

79 I. 승무의구성양식 1) 경기삼현육각의장단 (1) 염불장단염불장단은긴염불장단이라고도하며 3분박 6 박자 (8 분의 18박자 ) 이며,6> 반장단치는법은 6박자이며완장단은 12박으로친다. (2) 긴염불긴염불장단이라고부르며매우느린 6 박이다. 긴염불은매우유장하며지금도경기남부도당굿과승무, 검무등의반주로종종연주되고있다. (3) 도드리장단 도드리장단은 3 분박, 좀빠른 6 박자이다.7) 피리 - 최경만 황광엽, 대금 - 김방현 6 ) 이보형, r 삼현육각 j (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4 ), 문화재연구소, 1984, p.16. 7) 이보형, 앞글, p

80 m. 승무의구성양식 (4) 삼현도드리삼현도드리는본디대풍류의한곡이며춤반주음악으로많이쓰는데, 경기삼현육각에서는흔히그냥도드리라고도한다. 삼현도드리는 6 박도드리장단이며돌장으로시작하여 7 장까지연주하고다시연주할때는 7장을돌장으로한다. (5) 타령 타령장단은길타령, 삼현타령, 별곡에쓰이는장단으로 3 분 박느린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 (6) 허튼타령허튼타령은춤반주로만쓰이는것이며대풍류에는없다. 4 박자타령장단으로되어있으나삼현타령장단보다는좀빠르다. 삼현타령은고정선율로되어있으나, 허튼타령은허튼가락으로되어있어서장수가없다. 다만삼현타령과같은선율형만을따를따름이다. 삼현타령보다선율의붙임새가훨씬다양하다. 허튼타령은속도에따라서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으로구분하기도한다. 경기삼현육각허튼타령은지금도도당굿, 승무, 검무의반주음악으로종종연주한다. (7) 굿거리 1. 굿거리는 3 분박, 좀느린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8) 8 ) 이보형. 앞글, P

81 in. 승무의구성양식 (8) 굿거리2 굿거리는흔히춤반주로사용된다. 4 박굿거리장단으로되어있고장수에구분은없고 7 마루로나누며반마루라하여 4 마루세장단째부터시작한다. 지금도도당굿, 승무, 검무의반주음악으로흔히연주되고있다. 장고 - 장덕화, 피리 - 최경만 황광엽, 대금 - 김방현, 북 - 김창수 80

82 ID. 승무의구성양식 (9) 당악장단 당악장단은일명휘모리장단이라고부르며 3 분박, 좀빠 른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 2) 호남삼현육각의장단 (1) 염불 염불장단은 3 분박느린 6 박자 (8 분의 18 박자 ) 이다. (2) 타령 타령장단은 3 분박, 좀느린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9) 징 - 김무길, 장고 - 김청만, 피리 - 박경현 한세현, 대금 - 박동현, 해금 - 김무경, 아쟁 - 김영길 9 ) 이보형, 앞글, p

83 10. 승무의구성양식 (3) 자진타령 자진타령은 3 분박, 보통빠른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 (4) 굿거리 굿거리장단 3 분박, 좀느린 4 박자 (8 분의 12 박자 ) 이다 - 이상과같이구분하여볼수있다. 호남의음악에있어염불을최병호는삼현다음에염불이있고, 6 박으로되어있으며 5 장으로되어있다한다. 이것이염불타령을말하는것인지염불도드리를말하는지알길이없으나염불도드리인것같다. 또김대준은이에대해염불이 6 박 3 장으로되었다하는데김대준이말하는염불타령은긴염불일것이다. 타령에있어서도최병호는 4 박장단으로되어있고 2 장으로구분된다고하였는데, 농삼현하는김대준은타령이 3 장으로되어있고자진타령이 1장으로되어있다고말하고있다.10) 승무의반주음악은염불, 타령, 굿거리, 북가락등으로구별되어형식감을주며가락의다양성과전체적인춤의흐름이잘조화되어있는것을알수있다.⑴ 이러한장단의다양성은작품전체흐름의구성을알맞게꾸며나갈수있도록되어있는것이다. 그러면한영숙류의승무반주음악의구조를살펴보기로하겠다. 승무에있어서반주는 음악과장단도 11번이나변화되어우리나라의대표적인장단을모두사용하고있다 : ⑵ 10) 이보형, 앞글,P ) 성경린, r 한국전통무용 j, 一志社,1984,p ) 김옥진, r 한국무용춤사위 j, 이공도서출판사, 1981, p

84 ffl. 승무의구성양식 토남삼현육각연주장면 83

85 II. 승무의구성양식 1 느린 염불 장단 : 2 빠른 염불장단 : 3 느린 타령 장단 : 4 빠른타령 장단 : 5 느린 굿거리장단 6 느린 굿거리장단 7 느린 굿거리장단 8 빠른굿거리장단 9 잦은모리 장단 : 32 장단 8 장단 33 장단 8 장단 :52 장단 : 6 장단 : 15장단 :4 장단 4 장단 10 당악 :56 장단 느린굿거리장단 : 11 장단 호남삼현육각연주장면 84

86 ID. 승무의구성양식 이상과같이박자에서빠르게변화시켜춤의호흡과클라이맥스부분에서절정에이르게하였다가결말부분에서는승무의정적인미로마무리할수있도록구성하였던것이다. 그러면한국반주음악의박자의표기를보면다음과같다. 한국음악의장단표기는서양음악과다르기때문에아래와같은표기법을사용하여왔다. 때문에연구자역시이표기법에이질감을느꼈으나, 오히려간단하여실제음악사용에서는판별하기가쉬웠다고도할수있겠다. 승무춤사위의장단 타령 : I I 잦은타령 그그그 : 굿거리 r ^ r I 1 ᅵ.... I 잦은굿거리 I (D I 잦은모리당악 I. i I I I I I 그디 I i r z r 그 : 85

87 fl. 승무의구성양식 3. 무복및무구 승무의무복은불교의영향을받은것은사실이지만그렇다고승려들의승복은아니다. 지금까지전국각지에서승무의표의를장삼이라하며,⑶ 이장삼이란명칭은조선시대부터사용되었으며종류도다양하다. 우리나라무용복에대한최초의기록은고분벽화에나타난무용총동벽무용도 ( 東劈舞踊圖 ) 에서볼수있다. 이는고구려무복을극장기수라한것과일치한다14) 고한것으로보아그때부터무복의소매가길었음을알수있다. 따라서승무의무복은긴소매의무용복과승복의영향하에서예인들이미적감각을살려창조한것이다. 이러한승무의무복은승려의승복과구조에서차이가나타남을알수있다. 13) 고복남, 한국복식용어의변천사적연구 j, r 한국민속학 j 14, 1981, p.1 ~ ) 이경자, r 한국복식사론 _ 志社, 1983, p

88 1. 승무의구성양식 승무의무복은장삼, 고깔, 가사로이루어지는데옷감은갑사로만들고속옷은무명으로만들며버선은옥양목으로만들어신는다. 남자는바지 저고리, 여자는치마 저고리에긴소매가달린장삼을입고머리에는흰고깔을쓰고어깨에사선으로홍가사를맨다. 그리고양손에는북채를든다. 무복은보통두가지유형이있는데, 그것은백색장삼, 백색고깔, 홍가사로이루어진무복과흑색장삼을한무복이다. 백색장삼과고깔은밝고맑음을, 홍가사는사랑과정열을나타내고흑색의장삼은어두움과힘을나타내면서이것들은통일된일체성을이룬표현체가되어독창적인개성을지니고있다. 승무에있어무복의아름다움이란고깔의가장자리에뾰족한선과버선코에나타난뾰족한선, 말하자면야물고맵시 87

89 ID. 승무의구성양식 있는모양새, 고깔에가려져있는얼굴의표정미라할수있으며, 또한치마속에가려져있는버선에서느껴진고움과성적매력등이다. 한편, 장삼의모양새나고깔과같은것은일종의가림의풍속에서나왔겠지만춤에서볼수있는장삼의기능은지숫거리거나지석거리고, 크게어르고, 슬프게어 르고, 신명나게 어르거나엇박으로어르는등인간본연의 심성을장삼의움직임으로표출해보고자한것으로추측할 수있다. 따라서승무에있어서장삼의움직임은감정표현을무한대로확대해보고자한데서창조된, 기방예인들에의해만들어진독창적인무복미의극치라할수있다. 기방예인들에의해만들어진승무의무복은그독특한아름다움으로인해춤동작하나하나에미적요소를부가시키고있다. 88

90 DI. 승무의구성양식 승무에사용되는무구에는북틀, 북, 북채가있다. 북틀은목재나철물로만들며색은적색이며높이는 140cm 정도이고폭은 61cm 정도이다. 북은목재와피혁으로만들어지며높이는 23cm, 직경은 38cm 이다. 북채는나무로만들어지는데길이는 27cm 정도이고직경은 2cm 정도이다. 현행무대에서공연할때나구전으로내려오는것으로는경기승무와호남승무에있어서무복이나무구가차이가있으나문헌상으로는한가지로되어있고크기는기준으로정해진것이아니라춤추는사람의체격에따라차이가생기기때문에절대적이라할수없다. 89

91 fl. 승무의구성양식 4. 춤사위 1) 승무의춤사위구조 승무의명무자인한영숙과이매방의춤사위를분석해보면 예비적동작, 주동작의보조수단인연결동작, 주동작, 후동작 으로나눌수있다 ; 5) 이러한춤사위를분석해보고자한다. (1) 예비적인춤사위 1 엎드림 ( 仗舞 ) 장삼을몸앞으로펴고엎드려있는자세로장삼소맷자락을교차하여모은상태에서왼발을안으로오른발은밖으로놓고엎드린다. 15) 정병호, 1 춤 j, p

92 ra. 승무의구성양식 2 모음정신을한곳으로모으는정적인동작으로그형태는합장하는형, 몸을앞으로숙이고장삼을밖에서몸앞으로조용히모으는형, 상체만약간앞으로숙인채조용히움직이는형등이있다. 3 몸통비틀기엎드린자세에서오른쪽어깨를오른쪽으로올려팔을사선으로펴고서서히가슴을폈다가힘을빼면서오른쪽어깨를내려원위치로돌아온다. 4 여밈왼손은밑으로오른손은위로하여장삼소매를교차시켜여미는동작으로서서하거나앉아서한다. 5 감기한손은앞에다른손은뒤로감는동작 91

93 IB. 승무의구성양식 (2) 연결동작 1 팔올리기한팔또는두팔을몸앞으로하거나옆으로올리는동작 2 팔일자펴기팔을올리거나팔내리기에서연결되는동작으로신체운동의균형을유지하는것과 뿌림사위 로이어주는요소로써한팔또는양팔을어깨높이로놓은상태이다. 3 팔비스듬히펴기한팔또는두팔을비스듬히펴는동작으로위로비스듬히펴는것과밑으로펴는두경우가있다. 92

94 ra. 승무의구성양식 4 걸치기 장삼소매 팔걸치기 와 어깨걸치기 로나눌수있다. 걸치기는형태에따라 왼팔 걸치기, 오른팔걸치기, 우 수어깨걸치기, 좌수어깨걸치기 등이있다. 어깨걸치기는한쪽어깨나양쪽어깨에걸치기도하는데동작을무겁게밑에서부터힘을주어짊어지는형태로행하는것을 짊어지는사위 또는 매는사위 라한다. 5 퍼넘기기 퍼넘기기 는 팔올리기 나 팔일자펴기 에서연결받 는경우가많다. 장삼소매를아래에서부터모아가슴을스 쳐머리위로끈기있게올린뒤가슴을뒤로젖히며뿌려넘 기는동작으로앉거나서서할수있다. 93

95 in. 승무의구성양식 6 활개펴기 팔펴기 와 팔내리기 의복합된춤사위로써이러한동작은어떠한동작으로연결되는성질을가지고있다. 매우활달하고힘이있는동작으로제자리에서하거나뛰거나자리를이동해가면서한다. 활개펴기에는좌우치기와앞뒤치기가있다. 7휘젖기 : 엎드린채좌우로양팔을휘젓는동작

96 ID. 승무의구성양식 (3) 주동작 1 꼬아서뿌림이동작은보통회전하면서방향을바꾸거나발딛음을할때연결되는동작으로몸을오른쪽이나왼쪽으로꼬면서장삼을뿌린다. 느리게한번씩뿌리거나빨리여러번뿌리는동작을말한다. 2 돌려서뿌림 장삼을돌리는모양과손, 그리고횟수에따라서 대삼돌 이, 소삼돌이, 우수돌리기, 좌수돌리기, 양수돌리기, 겹돌이, 자주돌이 로나눌수있다. 3 옆뿌림팔을옆으로펴서뿌리는동작으로보통앉아서한다. 이동작은 휘젓기 나 걸치기 와같은동작으로연결되는것이특징이다. 95

97 I. 승무의구성양식 4 앞뿌림장삼을머리위에서앞으로내리면서뿌린다. 이사위는제자리춤이나한발믿음, 비정비팔과관련있는춤사위이다. 5 위로뿌림주로제자리에서추는데장삼소매를머리위로뿌리는동작으로항상어깨에걸치는동작으로끝난다. 6 뒤로뿌림한발을뒤로내고이어서한손을어깨높이로올려일직선으로탄력성있게튀겨후면으로뿌리는동작으로주로북놀이를하기전에북을향해춤으로북과의유기적인표현방식이라하겠다. 7 뛰어서뿌림발을약간가볍게뛰어착지하고그반동에의해장삼이약간앞으로튀겨지는동작이다. 96

98 m. 승무의구성양식 8 번갈아뿌림 휘젓기 와비슷한동작으로써어쩌면그동작을광대한 것이라할수있다. 감고풀어뿌리기 라고도할수있는데 머리위에서한손은엎고한손은제치는동작을계속연결하여뿌린다. 9 감아서뿌림몸앞에서양팔로장삼을똘똘말아서그것을위로뿌리는동작이다. 10 던져서뿌림장삼소매를가슴높이에서던지듯이뿌린다. 특히북놀이하기전에북을향하여탄력있게일직선으로뿌리는것이특징이다. 97

99 m. 승무의구성양식 (4) 후속동작 1 팔내리기한팔또는두팔을서서히내리는동작이다. 이러한동작은모든사위를연결시키는역할을하며특히뿌림사위의후속동작에흔히쓰인다. 2 멈추기 ( 無動作 ) 뚜렷한동작없이제자리에서정지된상태의사위이다. 이러한사위는보통동작과동작사이에서흔히나타나는현상이다. 시각적으로는다소움직이는경우도있으나의미동작이아니라감정을가라앉히는역할을한다. 98

100 in. 승무의구성양식 3 꼬리치기어떠한동작이끝나고정지된상태에서손목만살짝튀겨서부드럽고가벼운선을그리는움직임을한다. 어떠한동작을하고나갈때그사이에서연결기능을하며새로운동작의예비적인역할과끝난후속사위로써의기능을갖는다. 4 꼬리펴기장삼싶뒷자락을양손가락으로서서히펴면서마치학이날개를펴듯이움직여마지막박자에장삼소매를제치는사 위이다. 꼬리펴기, 훗사위, 꼬리펴기, 합사위 가있 다.

101 ID. 승무의구성양식 (5) 대표적인춤사위 1 학체 ( 鶴體 ) 승무의대표적인춤사위중의하나로학의모양을본떠서춤추는동작을말한다. 두손을옆뒤로벌리어학이날개를펴는것처럼보이게하면서한발을약간뒤로올리며고개를약간든다. 2 궁체승무의대표적인춤사위중의하나로활모양으로굽은형태의동작을말한다. 우수궁체 ( 우수가좌수보다높을경우 ), 좌수궁체 ( 좌수가우수보다높을경우 ), 궁체펴기 ( 활모양의동작으로시작하여힘이있고무겁게펴면서마지막에장삼소매를뿌리는사위 ) 가있다. 3 필체승무의대표적인춤사위중의하나로마치붓글씨를쓰듯춤추는동작으로 점찍는사위, 획긋는사위 가있다. 이상으로팔사위에대해살펴보았고다음은발사위에대 해살펴보겠다. 100

102 m. 승무의구성양식 (6) 발사위 1 딛음비디딤이라고도하는딛음사위는발을들어내믿는동작을말하며걷기와는약간다른형태로발을들었다가땅을딛는순간에땅을차듯이또는사쁜사쁜내려딛는형태이다. 제자리에서한발을내딛어계속하면 디딤방아사위 이고한 발씩내딛어걷는경우 훗디딤사위, 한발을두겹씩겹으로 딛을경우 겹디딤사위 라한다. 이 겹디딤 은 2 박 3 보로 걷는다. 101

103 IE. 승무의구성양식 2 비정비팔 ( 比丁比八 ) 4 박한동작의느린걸음으로걷는보법이다. 1박에오른발을앞으로힘차게딛고왼발은발끝으로딛어오른발옆으로붙여바깥을향하여 2 박에제자리에서무릎을굽히고 3 박에위로폈다. 4 박에무릎을살짝굽힌다. 즉, 괄 ( 八 ) 자와정 ( 丁 ) 자로발을완진하고힘차게원박에믿는승무의기본보법으로써한발한발을옮길때무겁게발바닥을믿는박진감 넘치는보법이다. 따라서원박에충실하여매듭이 나타난다. 2 박동작으로속도가빨라질수도있다. 확실하게 102

104 ni. 승무의구성양식 3 까치걸음딛음중에서가장섬세하고자진걸음걸이로써주로정지된사위와뿌림사위에만연결되는보법으로학처럼걸어간다하여 학걸음 이라고도한다. 이러한동작은학체사위또는걸치기사위, 팔일자펴기사위, 비스듬히펴기사위등과유기적인관계를가진보법이다. 4 연풍대원을그려가며 1박에오른발을회전하는방향으로딛으며오른발을뿌려 2 박에원안쪽을향하여앉는다. 두괄을가슴에서교차시켜어깨에뿌려얹고 3박에가슴을뒤로제치며왼팔을머리위에서밖으로뿌리고왼발을들어서 180 돌린다. 4박에오른팔을위로뿌려어깨에걸치며왼발을가는방향으로딛어다음동작을할수있도록준비한다. 이동작은춤판을크게이동할때쓰이는보법으로뿌림사위를하면서원을그려회전하듯부드럽고안정감을준다. 103

105 ID. 승무의구성양식 5 잉어걸음까치걸음처럼빠른걸음으로추는보법으로발믿음의각도가 3자형, 즉지그재그형으로걸어가는보법이다. 오른발과왼발을비켜앞으로 2박에 3 박걸음을하면서사선으로걸어간다. 1박에오른발을왼발앞으로겹쳐왼쪽으로딛고이어서왼쪽발끝으로왼쪽으로믿음과동시에, 2 박에다시오른발을왼발앞으로겹쳐왼쪽으로딛는다. 3 박에는반대방향으로왼발을오른발앞으로겹쳐오른쪽으로딛고이어서오른발발끝으로오른쪽으로믿는다. 동시에 4박에는다시왼발을오른발앞으로겹쳐오른쪽으로믿음으로써결국지그재그형으로걷게된다. 6 완자걸이두발앞으로걷고다음 2박에는앞을본채옆걸음으로 3 박걷기를한다. 까치걸음 처럼빠른걸음으로걸어가는보법인데, 이춤은완자무늬처럼기자형 ( 己字型 ) 으로걸어가는것이특징이다. 1박에오른발을앞으로딛고 2박에는왼발을앞으로믿는다. 3박에는오른발을왼쪽옆으로꼬아왼발앞으로교차하여딛고이어서왼쪽발끝을왼쪽옆으로딛는다. 4 박에는다시오른발을교차하여왼쪽옆으로딛는다. 이러한동작을반대로반복한다. 7 안가랑한발을뒤로꺾어차올리는동작으로무릎이약간굽혀지는동작이다. 104

106 in. 승무의구성양식 8 지숫기짓은걸음이라하여제자리에서앞뒤로짓는동작으로맺거나푸는동작을할때그것을조절하는기능을가진다. 9 발들기한발을가볍게들고정지한동작, 이러한동작은무동작으로걸어갈때하는것이상례로되어있다. 10 비디딤 1박에오른발을앞으로덛고엇박에는왼발발끝으로믿음과동시에 2 박에오른발을앞으로딛는연결동작이다. 105

107 m. 승무의구성양식 106

108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1. 춤사위용어비교 1) 한영숙승무의춤사위 용어 (1 ) 학체 1 꼬리펴기합사위. 2 꼬리치기합사위, 꼬리펴기훗사위 꼬리치기훗사위 3 활개치기 4 활개치기겹사위, 중전치기, 세전치 좌우치기, 앞뒤차기, 장전치기, 107

109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⑵ 필체 1 점찍는사위 2 획긋는사위 ⑶ 궁체 1 우수궁체홋사위, 우수궁체합사위 2 좌수궁체홋사위, 좌수궁체합사위 (4) 합장 (5) 먹음사위 (6) 꺾음사위 (7) 겨드랑사위 (8) 몸비틀기 (9) 뿌림사위 (10 장삼소매감기 (11 장삼소매걸치기 (12 장삼소매돌리기 (13 장삼소매짊기 (14 디딤사위 ( 성큼내디딤사위 ) (15 맴처H 발멤체, 멤멤체 ) 사위 (16 좌옆걸음 (17 우옆걸음 (18 학걸음 ( 까치걸음 ) (19 연풍대 16) 정재만, r 한국전통무용의용어및춤사위연구 j, 한국무용연구회, 1983, p

110 N.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2 ) 이매방승무의춤사위용어 (1) 대삼 ( ᄎ 衫 ) (2) 소삼 ( 小衫 ) ⑶ 감기 (4) 뿌림 (5) 걸치기 (6) 학춤 (7) 모으기 (8) 꼬기 (9) 활개펴기 (10 자진까치걸음 (11 비믿음 (12 완자걸음 (13 잉어걸음 (14 지숫기 (15 딛음 (16 안가랑 (17 좌우걸이 (18 比丁比八 (19 연풍대 17) 1 호남승무 j (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 1980, p ) 1 호남승무 j (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 1980, p

111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앞에서살펴보듯같은동작도그쓰이는용어가다르며춤 사위도다름을알수있다. 이러한이유는지역적인사투리 나구전되어지는과정에서의차이로이해된다. 110

112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2. 동작소 ( 動作素 ) 비교 승무는장삼자락의어름새, 뿌림새, 여멈새, 걸침새등에의해다양하고무수한춤사위가창출되나대체로춤사위와춤사위가계속이어지는 ' 무단소 ( 無端素 ) 구조를이루고있어춤사위구분이명확치않다. 탈춤류와같은 유단소 구조의춤사위는동작매듭과구조가확실하여춤사위명칭이많이생성되어전해지고있다. 그러나승무는무단소구조로이어져춤사위간의구별이확실치않아춤사위명칭이세분되어전하는바가거의없다. 편의상춤에의미를붙여학체 필체 궁체 검체등으로분류하였다. 학체는활개 ( 날개 ) 치기 꼬리치기 좌우치기 앞뒤치기 외사위 겹사위 합사위등학의몸짓을비유했다. 필체는그리기, 당기기, 흩뿌리기, 점찍기등의붓글씨를쓰는동작을형상화하였다. 궁체는휘감기, 휘돌리기, 엎고제치기등의활쏘는모습에비유하여춤사위를변별하기도하며, 그밖에도편의상검체등으로구분하기도한다. 지금까지승무의춤사위연구는미약한수준에있으며무형문화재보고서에도한영숙류와이매방류의춤사위를순서에의해동작해설로만나열해놓았을뿐구체적인춤사위유형고찰은없다. 춤사위명칭의필요성은춤동작의개념적파악을용이하게하고구조적분석에도도움을주는장점을지니고있기때문에, 춤사위의명칭을고찰하고산발적으로쓰여지는명칭을통일하여표준화하는작업이이뤄져야하겠다. 111

113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112

114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이제승무의춤사위명칭을고찰하고동작소를분석한정병호의 1 한국춤 과 승무의동작소에관한연구 를토대로승무의춤사위모형을제시하고한영숙류와이매방류의동작소를비교해보기로한다. 공통적인춤사위에서볼때뿌림사위들은양자모두무거우면세重 ], 움직임을크게 [ 動 ], 뿌린다 [ 擴 ] 는점이공통적으로높은수치를나타내고있다. 동작소질감으로볼때한영숙승무는정적인데비해이매방승무는동적이란점이특색이다. 개별춤의경우이매방류는무거운춤 [ 重 ] 이, 한영숙류에서는동적인춤이약간돋보이나역시뿌림사위 [ 擴 ] 가주종을이루고있다. 걸음걸이는느린걸음걸이를제외한특수한엇박걸음들이기때문에가볍고 [ 輕 ] 계속이어지는 [ 連 ] 동작소를나타내고있다. 고조곡선의상승세를보면한영숙승무는이매방승무보다장단의변화가많고그만큼다음과정으로넘어갈때자진장단의넘김채도많다. 즉, 막바로넘어가지않고미리북을쳐서마음에동요를일으키듯하다가다음장단으로넘어가는춤가락의변환이많은만큼상승세도가세된다. 이에비해이매방류의춤가락은완만하여변화가적으면서완만한상승세를타나북가락의강도는높기때문에편차가크고급경사의고조를보인다. 113

115 ff.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1) 한영숙류승무 114

116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2) 이매방류승무 115

117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3) 승무춤사위의구조 유형 작소 輕重青? 動平斜擧屈合擴圓波連回跳 한영숙승무 이매방승무 합계 平 : 팔을평행으로유지하는동작. 斜 : 두팔을사선으로펴올리는동작. 擧 : 두팔이나한팔을위로올리는동작. 屈팔과발을굽히는동작. 合 : 움직임이한곳으로모아지는동작. 擴 : 동작을사방으로뿌려확산시키는동작. 圓 : 팔을휘돌려동그란원을만드는동작. 波 : 물결치듯이팔을휘젓는동작. 連 : 장단과장단사이에서동작을이어주는걸음걸이. 回 : 발을기점으로몸을회전시키는동작. 跳 : 경쾌하게또는무겁게뛰는동작. 116

118 W.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3. 춤사위의특징비교 1) 차이점 이매방의춤사위는대체로대삼, 소삼에의해춤사위가연결되며, 위로한괄뿌리는사위와뿌린후걸치는동작이주를이룬다. 위로옆으로앞으로뿌리는동작으로뿌림사위의다양함이있다. 팔을내젓는사위나느린회전동작의연풍대사위는, 이매방승무에서특히볼수있는춤사위로같은동작을두번이상되풀이하는겹사위가특징이다. 한손을겨드랑밑에끼는사위또한독특한춤사위이다. 완자걸이와자진까치걸음의수가많다. 뿌리는사위가매우기교적이고자유분방하며살풀이동작이그대로전용되어있으며뿌림사위로인한동작선이많다. 117

119

120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그리고겹사위가많고춤가락이절실하다. 따라서경기승무가흩꽃이라면호남승무는겹꽃이라할수있다. 이매방춤사위는힘이있고무거우며남성적이다. 또한연풍대를엎어서하지않고제쳐서한다. 따라서동작이힘이있고시원하다. 전라도삼현염불을연주할삼현육각이없어서경기도음악에맞추어한다. 그리고북앞에서어르는기교가다양하며속도감이있다. 춤사위뿐아니라북놀이가특징이다. 이매방북놀이를통해북놀이의특징을살펴보면북놀이는즉흥적인요소가있다고하나무작정마음대로하는것이아니라일정한궤도라할까맥이랄까하는것이있다. 말하자면첫째, 궁편과각을리드미컬하게안배해서친다. 둘째, 북채를가지고각을돌려치거나아니면북채를치되, 실꾸리감듯이친다. 셋째, 말뛰어가듯이겹가락으로치는이른바보리배치기를한다. 넷 119

121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120

122 N.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째, 손을교차하면서치기와북채돌리기를하는과배기가있으며, 다섯째, 엇가락으로치는엇붙임과, 여섯째, 장단사이에노는가락치기 잉어걸이, 일곱째, 북의강약을조절하여치는대삼, 소삼이있다. 이러한이매방의북가락의기교는무아경에이르는신비스런율동으로써갖가지가락을만들어내어북놀이의정수를느끼게한다. 한영숙승무춤사위는학체, 필체, 궁체가대표적춤사위라할수있으며장삼소매의다양한사위를볼수있다. 특히 팔꿈치를꺾어 얹는사위와팔로머리위에서원을그리는 사위는한영숙승무에서볼수있으며제자리서뛰거나달음질하는동작과제자리서빨리도는사위, 빠른회전의연풍대동작과먹음사위가특징이며완자걸이나잉어걸이수가적다. 이러한한영숙승무의특징은다음과같이요약할수있다. 첫째, 춤사위가우아하고섬세하며 여성적이다. 둘째, 장삼 121

123 IV. 한영숙류와이매방류승무의비교 의뿌리는선이크고뿌린후의동작은호흡으로처리한다. 셋째, 연풍대동작을엎어서한다. 넷째, 경기제삼현육각에맞춰춘다. 다섯째, 살풀이동작을그대로답습하지않고승무나름대로의가락의기법을살려세련된모습으로현대승무에가까운동작으로구성되었다. 여섯째, 춤사위중 몸통비틀기 나 여밈, 팔돌리기 사위가많은것이특징이다. 2) 공통점 승무의춤사위는경기 ( 한영숙 ), 호남 ( 이매방 ) 모두장삼놀음의사위이므로공통적인춤사위가많고, 가장많은춤사위는무복과장단의영향을받아여러가지뿌리는사위와걸치기사위이다. 그외합장이나연풍대, 까치걸음사위, 딛음, 완자걸이, 안가람, 잉어 가많다. 걸이, 한발들기등의공통된춤사위 122

124 V. 승무의미학 V. 승무의미학 승무의미적구조는외면적으로드러나는형식적미와내면의세계를나타내는상징미가조화를이루고있다. 승무에있어서팔놀음은상사위, 하사위, 머리사위를통하여감정을조절하고양우선사위로감정을은은하게표출하고있으며, 발림으로감정표현을보충하기도한다.19) 발놀음의기본은비정비팔의디딤으로서비스듬히내딛는법이걷는듯자연스럽다가뛰는듯하고미끄러지듯내믿다가날듯한세련미는거추장스럽게긴장삼을가볍게만들어준다. 특히춤사위모습을그굳건한능선속에서믿음과포용을함께느끼게하며다시긴장삼을엉키성키하며공간으로길게뿌리는모양은인간고뇌의실마리가확풀리는듯하고다시풀리는듯엉키는것같다. 이것은이춤만의특징이라하겠다. 승무는호흡의변화있는사용으로심오한깊이와끈기를가진내면적멋을불러일으키고다소곳이고깔로얼굴을가리운채상 하 좌 우로조심스럽게움직여주는고개짓은정 중 동의미를자아내게한다. 또한감았다뿌리듯허공에그어지는화려한장삼놀음의선은인간의자유의지를상천으로승화시키고있다. 그리고상큼하고단아하면서도굳건하게땅을딛고무게있게내믿는발디딤의조화에서신비감을느낄수있다. 또한우리나라의민속춤뿐만아니라문화전반에는그밑바탕에한이내재되어있다. 승무또한예외없이한이바탕된예술이라고할수있는데그한을외부 19) 정병호, 춤 j, p

125 V. 승무의미학 이애주승무시작장면 124

126 V. 승무의미학 로표출하지않고내면속에서경화하여한차원높은미로승화시키고있다. 한은무엇인가가마음에맺혀있고사무쳐있는맺힘의구조로파악될수있을것이다. 한이란이겨레민족들이자기에게부딪혀온엄청난설움을객관적으로투사함으로써그것을형상화한예술적승화장치라고할수있다.20) 한국적문화현상에서예술이나미의성격을지칭하는언어로서한의의미는그외정적개념인원한이나한탄, 회한뿐만아니라한국의전통적정서를표징하는내면적의미를함축하고있다.21) 인간의희비를높은차원에서극복하고분망 20 ) 천이두, ( 한의미학적윤리적위상 ), 한국문학 j, 1984, p ) 조항, r 무속에나타난 한 ' 과 신명 그양상에관한연구 j, 1987, p

127 lii,無;.l^v. 승무의미학 i^ii126s

128 127 V. 승무의미학

129 V. 승무의미학 스러운인간의자유의지를우주공간에승화시킨이지적인춤인승무는무자의심성에서나온정신미를잘표현한춤이다. 승무의아름다움은정면을등지고서양팔을서서히무겁게올릴때생기는유연한능선및긴장감을얼기설기하여공간으로팩뿌려치는춤사위 [ 舞態 ], 하늘을향하여길게솟구치는장삼자락그리고미끄러지듯비스듬히내믿는걸음걸이 [ 步法 ], 주술적인힘을발하여관객을몰아지경으로이끄는 자진모리와휘모리장단의북가락, 다시 긴장감을허공에뿌 리며연풍대로돌아합장으로회귀하는한 ( 恨 ) 이어린인간삶을표현하는데있다. 이제막연한감상미학에그칠것이아니라승무를구조적인분해와양식적분석으로각요소들이지닌아름다움을구체화하기로한다. 128

130 129 V. 승무의미학

131 V. 승무의미학 1. 구성의미 승무는단순한춤의연속이아닌어떤의미의진행과정을지니고결정을향해춤을추어간다. 희곡이나시나리오같으면구체작인내용이스토리전개나구성이있겠지만, 승무는무언 ( 無言 ) 의상징적춤언어로다양한변화 ( 장단가락 ) 를보이면서전개되어간다. 따라서전개되어지는과정은관객에따라이야기와의미를부여할수도있다. 또한이해하는각도가각기다르듯이구성의단계도여러가지로해석할수있는데대체로장단변화에따라구성의단계를나눠볼수있다. 그리하여 도입 ( 導入 ) - 중추 ( 中棍 ) - 정결 ( 頂結 ) 의 3 단구성, 기- 승- 전- 결 의 4 단구성, 발단- 전개- 위기- 절정 - 결말 의 5 단구성, 또는외형적으로 ' 볼거리 ( 춤 ) - 들을거리 ( 법고 ) - 볼거리 ( 춤 ) 의 3 부형식, 파계승의파계과정 ( 심정변화 ) 과 같은스토리와연결시켜감정의흐름을따라 평온 - 유혹 - 쾌 탁-회의 로도파악할수있다. 분위기와감각과결부시킴으로서 진중함- 힘참- 활발함- 흥겨움- 진중함 의변화로도구성의아름다움을느낄수있다. 또한강준혁은 대상 (ob ject) 으로의접근 이란방식을대입하여춤꾼과법고와의만남과헤어짐이라는구조로승무의구성미를파악하기도했다. 즉, 파악에대한무한한관심과동경 ( 염불, 도드리 ), 대상으로의실제적인접근시도 ( 타령, 굿거리 ) 대상과의만남과어울림 ( 북가락 ), 해어짐 ( 굿거리 ) 으로승무의미를이해하는또다른각도의기법을제시해주기도했다. 130

132 131 V. 승무의미학

133 V. 승무의미학 이상과같은승무의전개과정에나타나는감정과감각의변화는대체로장단의변화에서그미를찾아내게되는데정재만의 r춤장단에따른변화구조j 를중심으로필자의 5단구성법에의거하여구조미를살펴보기로한다. 132

134 V. 승무의미학 첫째, 처음발단부는염불장단과장으로삼현육각의느린 6 박자염불장단은진중한무게를느끼며시간상으로도염불과장은큰비중을지니고있다. 춤또한느리고무게있게추어야하고오랫동안한발로중심을잡아긴호흡을토해내야하는인내와절제의장이라할수있겠다. 때문에줌사위의질량확대가가장크며공간구성미가우아하고장엄하며엄숙하기까지하여염불과장을춤의백미라한다. 또한스토리전개로봐서도무언가굉장한일이일어 133

135 V. 승무의미학 날것같은장중한발단같기도하고, 한을품고나타난것같기도하고, 득도에들기위한고뇌의몸부림이나절제하는수도의수련장같은프롤로그의미를보여주는과장이다. 염불장단에서춤가락은타령장단으로넘어가둘째전개부로들어가게된다. 이것도곧바로장단변화를주는것이아니라넘김채역할로사이에염불도드리장단춤이있어자연스런가락변화의예고와속도변화의완충적역할로물흐르는듯한유수미 ( 流水美 ), 선율미 ( 線律美 ), 자연미감 ( 自然美感 ) 을느끼게한다. 이러한넘김채는타령장단에서굿거리과장으로넘어갈때도자진타령이있고, 굿거리과장에서북치는과장으로넘어갈때도역시자진굿거리가넘긴채역할을한다. 결국승무는모든진행과정과전개과장이유연하고부드러운변화와단절되지않는끈끈한연결로관객을서서히줌속으로빨려들어가게하는마력을지니게된다. 134

136 135 V. 승무의미학

137 V. 승무의미학 136

138 137 V. 승무의미학

139 V. 승무의미학 138

140 139 V. 승무의미학

141 V. 승무의미학 뿐만아니라다음가락으로넘어갈때마다막바로춤을추지않고북을가볍게쳐서마음의동요를일으키듯하다가이내다음과정으로접어들게되는위기의식을한층높이고, 호기심을불러일으키는발전적단계를지니고있어더욱마음을사로잡게된다. 이러한표현방식은곧한국인의심성표출의한단면, 즉외향적이거나직선적이거나절도있는자기표현이아닌내성적이며정감적이고다소곳한수줍음의표현미감이다. 타령장단은전개부로춤의상승작용을한다. 염불춤사위는느리고끈끈하며내연기적표출인데비해, 타령춤사위는다소동적이며활달하여멋과흥을불러일으킨다. 그러면서도춤사위나마음의자세가도를넘으면천해보이고못미치면어색해보이므로적절한자유자재와능수능란한즉흥성을살려야타령춤의아름다움을맛볼수있다. 140

142 V. 승무의미학 굿거리과장은특히한영숙승무에서는굿거리와자진굿거리가또다시반복되는관계로왜또같은가락이나올까하는의구심을품게되는셋째위기부이며, 감정변화의곡선이굴곡이많아지고상승세가고조되기시작하여절정단계를예고한다. 또한굿거리과장은맛과기교의장이다. 타령에서다소흥겹고들뜬마음의동요가평온을찾게되어착가라앉은분위기속에춤사위는마디마디의쩍음새와디딤새, 그리고고개짓이더한층춤의맛을내어준다. 즉정 중 동의배합이적절히범벅되어춤의때깔과빛깔과맛깔스러움을도도하게, 그리고면면히표출하는춤의클라이맥스를이룬다. 물론북가락과장이전체적인흐름의최고조라할수있겠지만춤자체로서는이굿거리과장이무태미의극치를보여준다. 議議戀 達龜 W 4

143 V. 승무의미학 142

144 143 V. 승무의미학

145 V. 승무의미학 북치는과장은굿거리과장의춤의극치를그대로이어상승무드를타고정상을정복하는넷째절정부이다. 또한지금까지볼거리의춤가락을들을거리의북가락으로급전하여감정변화의경사각은더욱가파라져관객이숨을죽이는흥분과희열의몰아지경에빠지게한다. 그동안넘김채마다북을칠듯하다마는목마름으로애간장을태우던북가락이일순간에자진모리와휘모리 ( 당악 ) 가락이쏟아짐으로써, 흡사기나긴가뭄끝에소나기처럼축축이옷에젖어드는후련감과개운함을주며지금까지의고뇌의몸부림을실컷북에호소해버리는카타르시스가된다. 그러나이러한북가락의미감은적절한북울음 ( 소리 ) 이어야전체의구성이조화롭게된다. 자칫사가의북처럼북의 144

146 V. 승무의미학 비중이크면앞뒤춤마당이흐트러지며또사정없이북과결탁하게되고, 이대목에서쏟아지는관객의박수갈채에결탁해버리면춤꾼은자아를잊고오락적유희에빠지기쉬우므로적당히절제한다는역경을또한번넘겨야마무리과장을유유히맞이하게된다. 다섯째, 결말부의굿거리춤은북치던손을다시장삼소매에넣고마지막환희의춤을굿거리연풍대로몰아서합장으로회구하는끝맺음의춤이다. 이끝맺음은짧은듯한느낌을주는데환희의극치는이처럼길지않음속에서충분함이 있으며, 우리네 삶속에서도환희란기나긴어려운역경을 딛고서는과정보다늘짧고섭섭함과아쉬움을남기는여운의미가있는것이다. 아래도표에서고조곡선의상승세를보면한영숙승무는이매방승무보다장단의변화가많고다음과정으로넘길때자진장단의넘김채도많다. 즉막바로넘어가지않고미리북을쳐서마음의동요를일으키듯하다가다음장단으로넘어가는춤가락의변환이많은만큼상승세도완만히가세된 다. 이에비해 이매방승무의춤가락은완만하여변화가적 게상승하다가북가락에서급히절정으로올라가편차가크 게나타난다. 145

147 V. 승무의미학 한영숙승무와이매방승무의구성곡선 한영숙승무 ( 바깥산 ) 이매방승무 ( 안쪽산 ) 자장단변화 이매방승무장단변화 승무타한영숙 염불 32 염불 18 도드리 33 도드리 18 타령 33 타령 32 醒 굿거리 15 해굿거 ^116 리 15 f i? 굿거리 37 자진모리우당익 S6 북치기 자진모리 4 휘모리 166 북치기 굿거리 1 굿거리 2 3 단구성 도입 중추결말 4 단구성 5 단구성 발단 전개 위기 146

148 V. 승무의미학 2. 춤사위의미 승무는한국춤의춤사위중에서가장미학적으로다듬어진기법을각기다른장단가락에실어장삼가락으로분출하는아름다움을지니고있다. 승무의동작구조는뿌림사위가핵심이되는가운데상징적인예비동작과연결동작, 그리고후속동작등이보조해줌으로써조화있는춤사위군이형성되어구성미를가지고있다. 또한팔동작은기본적으로맺고얼렀다푸는요소로되어있기때문에동작적질감은정 중 동의조화미를갖춘춤이라할수있고, 장삼을뿌림으로생긴공간미적인곳은원내지는나선도식적곡선미를갖고있다. 발디딤동작경우상 147

149 V. 승무의미학 당수가제자리춤과박진형 ( 迫進型, 比丁比八 ) 이두드러지게나타나고있다. 이는감정을맺는것을의미하는것이며장단과장단사이에노는이른바엇박보법 ( 까치걸음, 잉어걸음, 완자걸음 ) 들은감정은어르거나풀음으로써생기는현상이라할수있다. 이러한발믿음에서강렬하게느끼는것은새걸음을모방한것이다. 148

150 V. 승무의미학 1) 장삼춤사위의미 한국춤은팔동작을기본적으로맺고 [ 結 ], 어르고 [ 搖 ], 푸는 [ 解 ] 요소를지니고있기때문에동작적질감은정. 중 동 ( 靜 中 動 ), 운동량은약 중 강 ( 弱 中 强 ) 을나타내거나정신적으로는반대현상을지닌다. 승무도이같은미감을 지니나다만장삼춤이기 때문에푸는사위 [ 解 ] 를뿌림사위 [ 散 ] 로봄이바람직하다. 그밖에도무수한춤사위를통하여인간의기본자태인중 ( 重 ) 과경 ( 輕 ), 전 ( 轉 ) 과회 ( 回 ), 직 ( 直 ) 과곡 ( 曲 ). 평 ( 平 ) 과사 ( 斜 ), 확 ( 擴 ) 과파 ( 波 ) 의몸짓이유기적으로연결되어무태미를창조한다. 149

151 V. 승무의미학 ⑴ 맺는사위 [ 靜 結 ] 모음중의 손여미기 는장단의끝박이나유단소춤사위의끝마무리로, 양손을몸통앞뒤로붙여여미거나앞으로내려포개어여미는손동작으로옷깃을여미듯흐트러진몸과마음을바로잡아주고다소곳이몸을사리는정돈미를준다. 멈추기 [ 無動作 ] 는정지형춤사위로시각적으로는움직임의연속성으로느껴지기도하고일단감정을가라앉히는침잠미를가진다. 어깨에 걸치기 와팔에 얹기 는다음에이어질뿌림사위와디딤새와유기적관계를가지면서걸치는주체 150

152 V. 승무의미학 ( 팔 ) 가가지는의존성과걸치는객처 H 어깨 ) 에서느껴지는포 용성의조화미를가지며, 늘어뜨린장삼자락에서잠시의정 지와무게를느끼려하는정적춤이다. 필체 ( 筆體 ) 는붓글 씨를쓰듯점을찍고그리고당기고흘리는필법의의미성을부여한춤사위로서예의자세와서도의경지를느끼며, 글자를하나하나완성해가듯집중과결실의 엎드림 [ 伏舞 ] 과 손모음 [ 合掌 ] 은정적요소로승무내용인한과기원의내재적심성기태 ( 心性機態 ) 를가지며그감성은불교적인기업으로상징. 표출된다. 151

153 V. 승무의미학 (2) 어르는사위 [ 中. 搖 ] 몸통비틀기 와 휘젓기 는어둡고고뇌에찬몸부림의감정을잘나타낸심성의춤사위다. 한손이나두손을앞이나옆으로드는 팔올리기 ( 들사위 ) 는감정을한곳으로모으는폐쇄성과서서히감정을북돋우는상승성을지닌다. 팔일자펴기 ( 평사위 ) 와 비스듬히펴기 ( 빗사위 ) 는팔들고내리는연결을수반하며, 신체운동의균형미를주며정지동작으로뚜렷한정선미를준다. 그러나평사위는예리하고 152

154 V. 승무의미학 의젓한안정감을주는반면, 빗사위는부드러우면서투박스런 ^사면을느끼게한다. 활개펴기 는감정을비교적풍부하게표출하는자신감의발로에서비롯되며원대함을느끼게한다. 퍼넘기기 는가슴을펴고고개를들어장삼자락을뒤로튀김으로써고깔속에담겨져있는얼굴의표정을볼수있어서한층밝고후련한분위기를느끼게한다. 153

155 V. 승무의미학 (3) 뿌림사위 [ 動. 散 ] 승무의주동작소는장삼자락의 뿌림사위 이다. 뿌림사위 가주는미감은확대미, 개방미, 발산미, 이상향으로비상미를느끼게한다. 또한장삼이허공을향해그리는완만한곡선은웅숭깊은여유와심오한멋, 그리고너그러운운치를보여준다. 하늘에뿌리는동작에는맺힌감정을풀어주는해한의기능도있다. 또손목을허공에젖혀뿌렸을때손동작은이미끝났지만계속해서장삼자락은곡선을그리고긴여운을남겨준다. 돌려뿌림 은원선 ( 圓線 ) 이나나선을그리며무한대로연속되는곡선미를준다. 154

156 V. 승무의미학 꼬아뿌림 은회전하면서방향바꿔뿌리는춤으로마치잡귀를몸에서퇴치하는검법같은예리함을주는춤사위이다. 옆뿌림 은팔을옆으로펴서뿌리는춤으로마치싫은대상을물리치듯거부감을나타내며상대와의거리감을유지시키는춤사위이다. 위로뿌림 은마치기방인 ( 妓房人 ) 들이한과슬픔과기쁨을하늘로실컷날려보내듯시원스럽고의기양양함을이루는춤사위이다. 뛰어뿌림 은발을약간가볍게뛰어내딛으며그반동으로장삼이앞으로튀겨나가는형상으로진취적인인상과학의착지같은움직임이연상된다. 155

157 V. 승무의미학 뒤로뿌림 은북놀이를하기위한준비동작으로북과의유기적인표현방식으로강한반작용을예감케한다. 번갈아뿌림 도북놀이하기전에북치기위한활발한활개짓으로마치학이비상을위한날개짓같은적극적이고힘이샘솟는강렬함이나타난다. 앞으로뿌림 은제자리춤이나한발딛음과관련있는춤으로뿌림사위중가장부드럽고우아한춤사위로선녀가천국으로통하는길 [ 極樂道 ] 을펴놓은듯한느낌을준다. 던져뿌림 은북을향해탄력성있게일직선으로뿌리는것으로뿌림사위중가장강렬하고거칠어전투성이강하게풍긴다. 감아뿌림 은슬픔과고통을한곳에모아 ( 감아 ) 상공에뿌려없애고새로운생명력을얻고자하는인간적욕구가잘나타난춤사위이다. 156

158 V. 승무의미학 꼬리치기 는어떤동작이끝나고정지된상태에서손목만살짝튀겨장삼의부드럽고가벼운선을그리는춤사위로승무에가장아기자기하고섬세한느낌을준다. 학체 는학의모방동작으로날개를펴듯양팔을옆뒤로벌리고한발을드는우아한자태의춤사위이다. 궁체 는휘감기, 휘돌리기, 엎고제치기등의활시위를당기는정신집중과쏘는듯한강렬함을함께보여주는장삼놀음춤이다. 연풍대 는부드럽고안정감을주며또한회전할때고깔너머로보이는얼굴의표정을볼수있다는것은움직임에아름다움을한층보태주는것이라할수있겠다. 157

159 V. 승무의미학 158

160 2 ) 걸음걸이의미 ' 비정비팔 ( 比丁比八 ) 은직선과사선을피하여 4박이나 2 박의느린걸음으로발을빗겨믿는딛음새와오금새와돋음새의유연한연결흐름으로중심이동을하는걸음걸이의기본동작이다. 연풍대는줌을크게원으로돌아갈때자전하면서공전하는천체순환원리를따라부드럽고안정감을주는걸음걸이로뿌림사위를동반한다.

161 V. 승무의미학 까치걸음 은발믿음중에서섬세한자진걸음으로한발딛음과동시에뒷발이따라붙고똑같이반복하여나가다발바꿔나가는걸음걸이로새의걸음을모방한아기자기한맛을느끼는중심이동이다. 잉어걸이 는장단사이로걸어가는갈지자 ( 之 ) 형, 엇박종종걸음이다. 완자걸이 는잉어걸이처럼걷되기자형 ( 己字型 ) 으로걸어가는엇박종종걸음이다. 비디듬 은한발내믿는동시에뒷발따라딛고둘에다시앞발내믿는 2박 3걸음으로장단사이로발을딛는변화있고가벼운움직임을주는걸음걸이다. 160

162 V. 승무의미학 3. 북가락의미 승무는결코춤꾼혼자만이추는외로운춤이아니다. 무대에덩그러니법고가놓여있어처음부터춤꾼의의식속에법고가자리잡혀있으며움직임과그범위도이로부터연관지어어떤제한을받는다. 또한감상자역시호기심과기대속에법고는존재하게마련이다. 북놀이는죽과구레 ( 각과궁편 ) 로대삼소사 ( 크고적게 ) 의조화를이루는가운데다양한가락을창출해내면서관객을이끌고자신도함께몰아지경에이르게되는승무의클라이맥스이다. 이북가락은그자체가마치하나의다른세계작 161

163 V. 승무의미학 품인양지금까지의볼거리에서들을거리로전환하여별도의 구성력으로온갖흥겨움을다자아내는데. 마치 기악산조의 경우처럼갈수록빨라지고격렬해지며때로는끊일듯이여려지다가다시새로운장단으로들어서기도하는등많은가락변화를유도해간다. 춤꾼과법고와의만남은북놀이과장에서만이아니라그전부터춤가락장단변화가있을때마다만났다가는헤어지는과정을거듭한다. 그러므로써법고가단순히필요시사용하기위한소도구가아니라, 춤의전개에서중요한몫을맡으며관객에게는계속해서긴장감을유지시켜나가다결국북놀이과장에애타게기다리던줌꾼과의해후를하고둘의어울림이북놀이의본체를이룬다. 162

164 V. 승무의미학 승무의북가락은어느유파든지자진모리와휘모리장단 ( 서울지역은당악이라함 ) 으로구성되어있지만가락을짜나가는법은약간씩다르다. 북가락의맺고푸는악절길이를보면서도쪽이약간짧고호남쪽이약간길며, 경기 충청은중간이라할수있다. 맺는가락과다는가락은서도쪽이선명하지않고호남쪽이분명하다. 내드룸의리듬형이나굴리는가락은서도쪽이단순하고호남쪽이다양하며경기충청은그중간이다. 따라서호남쪽의북가락이내고, 달고, 굴리고, 맺고, 푸는리듬의변화가다양한맛을느끼게한다. 그래서이매방북 가락은내드름과굴리는가락이 다양하고, 한영숙북가락은 맺고푸는가락이간명하고이동안의북가락은채의잔가락 이다양한멋을지니고있다. 163

165 V. 승무의미학 164

166 V. 승무의미학 4. 춤옷의미 승무의무복은불가의승복에서영향을받은것이사실이나그렇다고승복은아니다. 말하자면승복을본받아무복화하여기방예술인들의미적감각에의해다듬어진춤옷이다. 무복의기본은장삼과고깔홍가사 ( 붉은띠 ) 등의두가지색조화라할수있다. 옷감은갑사로만들고속옷은무명으로만들며버선은옥양목으로만들어신는다. 그러나보편적으로두가지유형이있다. 165

167

168

169 V. 승무의미학 168

170 V. 승무의미학 즉하나는백색장삼에백색고깔, 홍가사로된 2색조화와또하나는흑색장삼으로된 3색조화의무복이다. 그러나여성인경우는남색치마를입게되어 4색조화로색채대비가더욱강렬해진다. 무복의색조미중흑색장삼은어두운암울감과함께힘을상징하고, 백색장삼은밝고깨끗한선명미를지니고있다. 백색고깔과백색버선은맑고순결한정조 ( 情調, 여성은貞操 ) 를표상하고있으며, 이미가사의양식에탈피된홍띠는사랑과정열을나타내어단조로운무복에강렬한액센트 ( 또는액세서리역할 ) 를준다. 169

171 Iiy< #- 議», - * % y *% - * y y w 채, 入 v W W 嘗, : 德 : : : > > 汝 ^ # v# v # «< v # v wvvvv w.vv상 ^ 향 h

172

173 V. 승무의미학 172

174 V. 승무의미학 옷맵시의아름다움을고깔의가장자리에나타난뾰족한선과버선코에나타난오뚝한선은야무진매무새, 고깔속에가려져있다가언뜻언뜻보이는다소곳한표정미는우아함과가냘픔과순결함을나타내며, 남색치마사이로고개를내미는하얀버선코는고움과더불어성적매력을느끼게한다.

175 V. 승무의미학 한편장삼의모양새나고깔같은것은비록차단 ( 遮斷 ) 의풍속에서나왔지만, 승무에서볼수있는긴장삼의기능은지숫거나지석거리고크게어르고, 슬프게어르고, 신명나게어르거나엇박으로어르는인간심성의동요를표출해보고자한것이라할수있다. 허공에뿌려지는장삼자락은맺힌한과고뇌를발산하고, 이상향이나동경하는바를무한대로확대해보고자한데서창조된무복미의극치라할수있다. 174

176 yi. 맺음말 YI. 맺음말 승무는불교무용에뿌리를두고있으나창우와교방무용으로전이된춤으로, 그발전과변천은매우복잡하며한국공연예술의모든기법을응축시켜지고의예술춤으로승화된춤이다. 175

177 YI. 맺음말 176

178 VI. 맺음말 승무의역사적유래를고찰하려할때그생성기나배경등을입증할만한확실한문헌들이거의없다. 몇가지의학설은있으나뒷받침할만큼명확한자료가없어앞으로많은연구가진행되어야하겠다. 현존하는승무의형식과춤사위구조를검토한결과승무는불교의식무용유래설과민속무용유래설로전해져내려오나, 그당시행해지고있던여러춤들에서영향을받아직업적인무용가의창작품으로그시발점을두었다. 177

179 VI. 맺음말 178

180 179 VI. 맺음말

181 VI. 맺음말 180

182 181 새. 맺음말

183 IVI. 맺음말 줌가락이염불타령, 굿거리. 북치는가락등으로구분되어있어형식적이고, 가락과장단의변화가다양한속도감이나타나며정적인춤동작으로부터동적인춤동작에이르기까지끊임없이부드러우며전체적인조화를이루고있으며, 춤사 위가맺고어르고푸는리듬의 오묘함이있다. 섬세함과장삼의뿌림사위의 y - I182 * 圖

184 183 VI. 맺음말

185 VI. 맺음말 승무의춤사위나법고가락은명인들이구사하는데따라약간의즉흥성과개인차가있으나, 오늘날에는점차고정화되고있다. 승무는한국줌의줌사위를집대성하여독무로써잘정돈된우리춤의대표적인것이다. 우리나라의민속춤은내용이나형식에있어서의식성이나종교성, 생산성, 연희성, 놀이성등이통합되어이루어지지만승무는단지춤이돋보이는특성을지니고있다. 승무는장중하고무게있는무태로서내면의깊은세계를표출하는 184

186 VI. 맺음말 정신적, 반육체적인측면이기초를이루고있는점으로보아한국춤의특성을가장잘나타내고있다고볼수있다. 따라서무자는신체동작의기공뿐만아니라정신활동의훈련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187 힌. 맺음말 186

188 I. 맺음말 승무는춤가락이염불, 타령, 굿거리, 북치는가락등으로구분되어있어형식적이고또한가락과장단의변화가다양하다, 그러나그흐름이끊김없이부드러우며전체적으로조화를이루고있다. 또한승무는아주느린염불에서부터아주빠른당악에이르기까지다양한속도감으로부터동적인줌동작에이르기까지줌동작에서요구되는운동량이다양하게나타난다. 187

189

190

191

192 191 VI. 맺음말

193 W. 맺음말 음악과장단이 1 1 번이나변화되어우리나라의대표적인장단을모두사용하고있다. 승무에는다른민속춤에는잘나타나지않는뒤로제치는춤동작이많고뿌림사위로인한관절이나손목, 팔, 다리, 등, 가슴, 허리, 목, 발목에이르기까지운동부위가다양하다. 승무는신체를이용하는동작이외에도장삼을움직여공간에형성되는모든형상이다른춤에서는잦아볼수없는독특한점이있다. 또한민속춤이대체로즉흥적이며무릎의굴신에따라상하가가볍게우쭐되는데비해, 승무는전체적으로무겁고느리며정 중 동의움직임을가지고있다. 춤사위가매우세련되어있을뿐만아니라남도민속춤이갖는어르고맺고푸는리듬의섬세한표현과중춤이갖는한삼사위의묘함이조화를이루고있다. 192

194 193

195

196

197 VI. 맺음말 196

198 VI. 맺음말 어깨춤이긴장삼끝까지파장을이루고그파장이허리와다리를타고버선코까지표출되어나타나며, 치맛자락밑으로보일듯말듯한발의움직임은비정비팔 ( 比丁比八 ) 의걸음과까치걸음이주가되어정 중 동, 동 중 정의맛을느끼게한다. 장삼은승무를추는데있어전통적인의상으로미적, 사적가치에도커다란영향을미친다.22) 2 2 ) 차명희 1984, p

199 VI. 맺음말 승무의춤사위중핵심적인춤사위는뿌림사위이다. 이사위는감정을풀어주는기능을가지며, 맺은감정을풀기위한잉어거리나, 완자거리, 까치걸음과같은보법의춤사위가있는것이특징이다. 이러한작품이현재이매방류승무와한영숙류승무로대표되고있다. 이두승무를비교해보면경기의한영숙승무나호남의이매방승무가모두장삼놀음의춤으로써무복과음악이같다. 그리고무복과장단의영향으로뿌림사위가많음이공통점으로, 두승무가갖는양식이나특징의차이점보다는현재까지의발달과정상에있어서의차이로인한공간구성상의차이점이더욱보여진다. 198

200 Ml. 맺음말 따라서이매방승무는이대조로부터권번에서배운기방예술로서의성격이많이나타나며, 남도예술의미가더욱돋보이는춤이라할수있다. 한영숙승무는경기라는지역적특성과기방무용을재구성하여체계적인창작작품으로서무대화시킨한성준의승무를더욱빛내어한국춤의정통적기교와격조를보여주는줌이라하겠다. 199

201 VI. 맺음말 대체로승무는무인 ( 舞人 ) 의행동반경이좁다. 그러나춤사위의변화는너무나다양하다. 또단조로운무대에선바위처럼우뚝선북과의만남과정은매우많은감정변화가뒤따른다.

202 VI. 맺음말 따라서승무는맺는줌이아니라푸는춤이다. 맺힘에는 서러움, 괴로움, 외로움, 아픔, 억울함의감정이되지만, 그것 이풀리고나면저절로흥이나고정이 돋아나고신명이샘 솟는춤이다. 그리고춤사위속에는인간의모든기본자태, 즉정 ( 靜 ) 과동 ( 動 ), 동 ( 重 ) 과경 ( 輕 ), 평 ( 平 ) 과사 ( 斜 ), 확 ( 擴 ) 과파 ( 波 ), 그리고전 회 - 굴 ( 轉 回 屈 ) 등의몸짓이유 201

203 o, 秦秦鲁參參争 < V戰I: 驗通 i. 圍 Ik \ :. 리 ' ᅳ 그,

204

205 W. 맺음말 기적으로연결되어조화를이루고있으며자연과인간의순 환법에그대로순응하는윤회사상이담긴춤이다. 또한승무에는외면적으로드러나는형식미와내면의세계 를나타내는상징미가있다. 승무는땅과하늘의 자연스런 합일의형태를이룬우리춤의대표적춤이다. 또한동양의 종교개념과결부시켜 땅으로돌아가려는인간본연의심성 과, 하늘을우러러빌고바랬던종교적심성이승무라는작품에내포돼있음을알수있다. 승무는땅과하늘을지향하며직선보다는곡선적인원을그려우주적차원의원리를나타내고있는것이다. 204

206 VI. 맺음말 이처럼승무는한국인의얼과정서를담아한국인이창출해낸최고의걸작품임을감안하여각분야에서걸친다각적인연구로이론적객관성을살리고승무의진가를파악하는노력을기울여야할것이다. 아울러한편에서는승무의재창조에도눈을돌려현대적인창작예술의경지로전통의맥을잇는작업도놓쳐서는안될일이다. 이애주승무끝장면 205

207 W. 맺음말 SUNG MU(No.27, MONK'S DANCE) Sung Mu has its root in the Buddhist rituals but has developed into a dance performed by kisaeng(a professinal entertainer). It has gone through a complex course of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and is now a highly elevated from of a art in which elements of diverse genres of performing arts are condenseed. In regard to the historical or igination of Sung Mu, there is a scarcity of concrete document. Only a few theories, that lack in sure evidence, exist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extensively. Based on analyses of the structures of form and movements of SUng Mu, two hypotheses exist: one, that Sung Mu originated from Buddhist rituals; two, that it began as an ethnic dance, to which diverse dances have exercised in fluences, and has been renovated by professional dancers along its transformative course. The rhythmic sequence is formally divided into yombul tahryong, kutgori,and drum beat. The trams formation of rhythms results in a temporam variety of dance movements that ceaselessly flow from those of serenity to vivacity. The whole is in harmony. The motions of Sung Mu and the accompanying drum beat vary among artists and according to their improvisation. However, they are becoming more fixed in recent times. Sung Mu is a solo dance which represents the Korean dance genre as its synthesis. Although the rhythmic sequence of Sung Mu is formal and variegated in its division into yombul, tahryong,kutgori and drum beat. There is no breach in its harmonious flow. In addition, Sung Mu movements range from those of tranquility to energetic vivacity as the rhythm changes from the very slow yombul to the rapid Tangᅵak. Sung Mu is also unique for the spatial formations created by the dancer s jangsam. The dance is different for its heavy, slow movements 206

208 VI. 맺음말 in contrast to the light and spontaneous up-and-down undulation found in most other Koera dances. Its sophisticated gestures, the delicate rhythmic sequenc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dances of the southern provinces, and the mobile lines created by hansam(long extension of sleeves which covers the hands) compose a mysterious harmony. The motions from the shoulder to the ends of jangsam form a wave, and that wave is transmitted down the waist and the legs to the front tip of the buson(thq traditional Korean sock). The feet slightly visible under the skirt moves in bijung-bipal(oblique and asymmetric in the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丁 and 八 ) steps and kkachi(magpie) steps emitting a sense of serenity in movements and movements in serenity. Jangsam is the traditional costume for Sung Mu and is aesthetically important in the dance. The two most well-known types of Sung Mu is the Lee Maebang line of Sung Mu and that of the Hahn Young-sook line. The comparison of these two lines of Sung Mu shows more similarity of style than differences: both HaBn s Sung Mu of Kyonggi province and Lee s of Honam region are centered on the same costumes and music, and due to this similarity most often use the ppurim sawi. The difference lies in the use o f space, a conseq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two. Finally, Sung Mu has the surface beauty o f form ality and symbolic beauty of the human inner world. Sung Mu represents the harmonious unity of land and heaven. The fundamental nature of humans to wish a return to land and their religious tendency to prey to the heavens is what this dance is about. It is in pursuit of the land and the heaven and seeks to express the cosmic order through cyclical and curved lines rather than the straight lines. Sung Mu is, in sum, the highest achievement in Korean art created with the Korean spirit. 207

209 기획 박상국 ( 예능민속연구실장 ) 조사정리 사진 이병옥 ( 용인대학교무용학과교수 ) 서승우 H I 능민속연구실 ) 서헌강 ( 사진작가 )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 승무 ( 僧舞 ) 1998 년 6 월초판인쇄 1998 년 6 월초판발행 행정간행물등록번호 발행 : 국립문화재연구소편집 : 예능민속연구실 인쇄 : 신부사 ( 02)267ᅳ5600 * 본내용의무단게재를금합니다.ᅳ < 비매품 >

210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Series Im p o rta n t In ta n g ib le C u ltu ra l P ro p e rtie s N O. 2 7 MONKS5DANCE (SUNG MU) N a tio n a l R e s e a rc h In s titu te o f C u ltu ra l P ro p e rtie s o f K o re a

Gwangju Jungang Girls High School 이상야릇하게 지어져 이승이 아닌 타승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모텔에 여장을 풀고 먹 기 위해 태어났다는 이념 아래 게걸스럽게 식사를 했다. 피곤하니 빨리 자라는 선생님의 말 씀은 뒷전에 미룬 채 불을 끄고 밤늦게까지 속닥거리며 놀았다. 몇 시간 눈을 붙이는 둥 마 는 둥 다음날 이른 아침에

More information

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Evaluation 헤렌휘트니스파크한경진 ATC Contents 1. Shoulder 2. Elbow 3. Knee 4. Ankle 1 Shoulder Neer Hawkin s Empty can Speed O brien Shoulder anatomy 2 Neer Test Hawkin s test 3 Empty can test Speed Test 4 O Brien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광진구 상징물 1. 광진구 마크 녹음이 가득한 아차산과 한강에 비친 아차산의 음영을 나타내는 두 삼각형, 광진 나루를 보여주는 돛단배로 이루어져 있다. 광진구의 유구한 역사와 미래를 나타내 는 백색과 한강의 깨끗한 환경을 상징하는 청색을 바탕으로 광진구의 힘찬 도약과 화합을 상징한다. 2. 새 - 까치 3. 나무 - 느티나무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모양이

More informa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연합뉴스) 마이더스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2012. 04 Vol. 98 Cover Story April 2012 _ Vol. 98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www.yonhapmidas.co.kr Contents... 14 16 20 24 28 32 Hot News 36 Cover Story 46 50 54 56 60

More information

쌍백합23호3

쌍백합23호3 4 5 6 7 여행 스테인드글라스 을 노래했던 하느님의 영원한 충만성을 상징하는 불꽃이다. 작품 마르코 수사(떼제공동체) 사진 유백영 가브리엘(가톨릭 사진가회) 빛은 하나의 불꽃으로 형상화하였다. 천사들과 뽑힌 이들이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하며 세 겹의 거룩하심 가 있을 것이다. 빛이 생겨라. 유리화라는 조그만 공간에 표현된 우주적 사건인 셈이다.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10월추천dvd

10월추천dvd 2011 10 DVD CHOICE dvd dvd?!!!! [1] [2] DVD NO. 1898 [3] Days of Being Wild 지금도 장국영을 추억하는 이는 많다. 그는 홍콩 영화의 중심에 선 배우였고,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거짓말 같던 그의 죽음은 장국 영을 더욱 애잔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만들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 이 장국영을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More information

178È£pdf

178È£pdf 스승님이 스승님이 스승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알라는 위대하다! 위대하다! 알라는 알라는 위대하다! 특집 특집 기사 특집 기사 세계 세계 평화와 행복한 새해 경축 세계 평화와 평화와 행복한 행복한 새해 새해 경축 경축 특별 보도 특별 특별 보도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도가니! 스승님과의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ÆÞ¹÷-Æîħ¸é.PDF

ÆÞ¹÷-Æîħ¸é.PDF H.E.L.P. Vol. SUMMER Vol. WINTER 2015. vol 53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4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5 Pearl S. Buck Foundation Korea 프로그램 세계문화유산 걷기대회 Walk Together 탐방길곳곳에서기다리고있는조별미션활동! 남한산성 탐방길에는

More information

- 2 -

- 2 - 작품번호 37 Solar material 로쓰일수있는검정색물질의재발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화학 2009. 5. 13 시 군 학교 ( 소속 ) 학년 ( 직위 ) 성 명 성남시풍생중학교 2 김호기, 이희원 지도교사풍생중학교교사김경원 - 1 - - 2 - - 3 - - 4 - - 5 - - 6 - - 7 - 석탄은주로탄소로구성되어있고, 수소와산소가들어있다. 이밖에질소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3 Contents 8p 10p 14p 20p 34p 36p 40p 46P 48p 50p 54p 58p 생명다양성재단 영물이라는 타이틀에 정 없어 보이는 고양이, 날카롭게 느껴지시나요? 얼음이 따뜻함에 녹듯이, 사람에게 경계심 많은 길고양이도 곁을 내어주면 얼음 녹듯이 당신을 바라봅니다. 길 위에 사는 생명체라 하여 함부로 대하지 말아주세요. 싫으면 외면해주세요.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77

77 76 77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78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79 80 II 81 82 II 83 84 II 85 86 II 87 s t r e t c h i n g 88 II 89 90 II 91 d a n c e s p o r t s 92 II 93 ;4#; 94 II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2010 3 5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7 우리가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 인간의 존업성과 여성인권의 수호 - 성 산업의 구조적 사슬 단절 31 - 성매매 피해여성 적극 보호 - 성매매방지법이 시행됩니다. 32 - 인식부터 바뀌어야 합니다. - 성매매에 대한 처벌

More information

글청봉3기 PDF용

글청봉3기 PDF용 + 32009. CONTENTS 014 016 018 021 026 048 062 080 100 102 105 108 110 120 122 125 CHINA Neimenggu CHINA Sichuan INDIA Chennai 02 014 015 016 017 018 019 020 > 022 023 wh a t makes YOU HAPPY?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ISSN 2288-5854 Print ISSN 2289-0009 online DIGITAL POST KOREA POST MAGAZINE 2016. APRIL VOL. 687 04 DIGITAL POST 2016. 4 AprilVOL. 687 04 08 04 08 10 13 13 14 16 16 28 34 46 22 28 34 38 42 46 50 54 56

More information

071115-2

071115-2 Copyright eyesurfer. All rights reserved.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매일경제신문] 04면 종합 -9- 2007년 11월 14일 수요일 [내일신문] 17면 산업/무역 - 11 -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매일경제신문] 37면 인물 - 16 -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동아일보]

More information

4-Ç×°ø¿ìÁÖÀ̾߱â¨ç(30-39)

4-Ç×°ø¿ìÁÖÀ̾߱â¨ç(30-39) 항공우주 이야기 항공기에 숨어 있는 과학 및 비밀장치 항공기에는 비행 중에 발생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과 학이 스며들어 있다. 특별히 관심을 갖고 관찰하지 않으면 쉽게 발견할 수 없지만, 유심히 살펴보면 객실 창문에 아주 작은 구멍이 있고, 주 날 개를 보면 뒷전(trailing edge) 부분이 꺾어져 있다. 또 비행기 전체 형 상을 보면 수직꼬리날개가

More information

2015년9월도서관웹용

2015년9월도서관웹용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후회의 문장들 사라져 버릴 마음의 잔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해에도 배추농사에서 큰돈을 남은 평생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그 말을 다시 떠올려보 만졌다 하더라도 지난 여름 어느 날 갑자기 들기 시작한 았다. 맺지 못한 채 끝나버린 에이드리언의 문장도 함께. 그 생각만은 변함없을 것 같았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 그래서

More information

광주시향 최종22

광주시향 최종22 광주시향 최종22 2015.8.26 4:22 PM 페이지1 VOL.7 2015. 09 9월 4일(금) Masterwork Series Vl 프랑스 기행 9월 22일(화) 가족음악회 팝스콘서트 광주시향 최종22 2015.8.26 4:23 PM 페이지23 20세기 이전의 유명한 작곡가가 쓴 비올라 곡은

More information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진 의학 지식과 매칭이 되어, 인류의 의학지식의 수준을 높 여가는 것이다. 하지만 딥러닝은 블랙박스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단지 결과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의학지 식의 확장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실제로 의학에서는 인공지능을 사용하게 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이해

More information

3¿ù.PDF

3¿ù.PDF 창의와 열정으로 고객의 행복을 창조하는 선진일류 공기업 3 제35호 2010년 3월 고객을 위한 한결같은 마음의 공기업 중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오세요. 소중한 한분 한분에게 행복한 웃음과 건강을 드리고자 유익한 소식과 프로그램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발행처 : 중랑구시설관리공단 편집 : 창의경영추진반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도당길 175번지 전화 : 02-3422-4831~4

More information

RVC Robot Vaccum Cleaner

RVC Robot Vaccum Cleaner RVC Robot Vacuum 200810048 정재근 200811445 이성현 200811414 김연준 200812423 김준식 Statement of purpose Robot Vacuum (RVC) - An RVC automatically cleans and mops household surface. - It goes straight forward while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www.withbuyer.com 2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3 4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5

More information

07

07 5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1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100년을 그린 10년의 발자취

More information

服飾

服飾 아시아전통복식의조형적특성과미적가치비교연구 서봉하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Asian Traditional Costumes - Emphasis on Buddhist, Hindu and Islamic Costumes - Bong-Ha Seo Associate Professor,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741034.hwp

741034.hwp iv v vi vii viii ix x xi 61 62 63 64 에 피 소 드 2 시도 임금은 곧 신하들을 불러모아 나라 일을 맡기고 이집트로 갔습니다. 하 산을 만난 임금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말했어요. 원하시는 대로 일곱 번째 다이아몬드 아가씨를

More information

<312E20C0AFC0CFC4B3B5E55F5352444320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312E20C0AFC0CFC4B3B5E55F5352444320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페이지 2 / 6 첨부 1. 공급품 목록 및 납기일정 번호 품명 모델명/사양 Vendor 단위 수량 납기 비고 1 (샘플기판) 6Layer, FR-4, 1.6T, 1온스, 2 (샘플기판) 3 (샘플기판) 4 (샘플기판) 5 (샘플기판) FRONT PANEL BOARD 3종 1. 샘플기판은 Board 별 성능시험용 2. 샘플 기판 후 Board 별 육안점검 및

More information

**2004-08¿ùÈ£

**2004-08¿ùÈ£ 2004 8 2004 하계캠프 생명 평화 그리고 연대 2004 대구참여연대 하계캠프를 다녀와서 지난 7월31일~8월1일 1박2일간 의성안계농촌체험학교에서 2004 대구참여연대 회원가족 하계캠프 를 성황리에 마쳤다. 120여명의 회원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하계캠프는 "생명 평화 그리고 연대"라는 주제에 걸맞게 홍근수 목사님의 평화강연,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이산수학 () 관계와그특성 (Relations and Its Properties) 2011년봄학기 강원대학교컴퓨터과학전공문양세 Binary Relations ( 이진관계 ) Let A, B be any two sets. A binary relation R from A to B, written R:A B, is a subset of A B. (A 에서 B 로의이진관계

More information

강의 개요

강의 개요 정규화와 SELECT (II) 웹데이터베이스 학과 학생 과목 학과 지도교수 학과학번성명 수강과목 담당교수 A 김수정 A 0001 고길동 성질이론 김수정 B 허영만 A 0002 둘리 한식의멋 허영만 C 강풀 B 0003 희동이 심리학의이해 강풀 과목 _ 성적 학번 수강과목 성적 0001 성질이론 A 0001 한식의멋 C 0002 성질이론 A 0002 한식의멋

More information

2010.05 내지 뒷

2010.05 내지 뒷 VISION 2015 R D Global Leader 2 0 1 0 5 163 vol_ 163 KAERI MAGAZINE 2 0 1 0 M A Y C O N T E N T S 2010 +05 KAERI MAGAZINE 04 18 28 42 02 04 06 08 10 11 12 14 16 18 20 22 24 26 28 32 34 36 37 38 40 44 46

More information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5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7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9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More information

001-015_¸ñÂ÷(02¿ù)

001-015_¸ñÂ÷(02¿ù) JAPAN Global 한국 팝음악, 즉 K-POP이 일본 내 한류 열풍의 선봉에 나섰다. 인기 걸그룹 카라가 도쿄 아카사카의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데뷔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_ 이태문 통신원 또다시 열도 뒤흔드는 한류 이번엔 K-POP 인베이전 아이돌 그룹 대활약 일본인의 일상에 뿌리내린 실세 한류 일 본에서 한류 열풍이 다시 뜨겁게

More information

2015-05

2015-05 2015 Vol.159 www bible ac kr 총장의 편지 소망의 성적표 강우정 총장 매년 1학년과 4학년 상대로 대학생핵심역량진단 (K-CESA)을 실시한지 5년이 지났습니다. 이 진 단은 우리 학우들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직업인으로서 핵심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었나를 알아보는 진단입니다. 지난번 4학년 진단 결과는 주관처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More information

82-대한신경학0201

82-대한신경학0201 www.neuro.or.kr 2010 1 Vol. 82 www.neuro.or.kr 01 5 January 2010 2007 Newsletter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10 NO.82 2010.JANUARY C o n t e n t s 04 05 06 10 13 17 18 20 22 25 28 32 33 36

More information

098-103감사인사

098-103감사인사 감사인 소식 ❶ 감 사 원 2016년 고위감사공무원 등 임명장 수여 승 김주성, 한상준, 고현정, 김창우, 이태훈, 신영은, 진 2015. 11. 1. 한민주, 이덕영, 김호준, 이철재, 함유진, 정진화, 부감사관 김현태, 한승목, 윤일기, 정용현 유희연, 이은정 2016. 1. 18.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IT감사단장 이남구 방송통신주사 이유리 일반직고위감사공무원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03-교통이야기

03-교통이야기 Traffic talk03 01 Traffic story 02 101 02 103 03 105 107 109 04 111 113 115 05 117 119 121 묵묵히 100년을 달려온 철길 위의 기관차 증기기관차 _1899년 서울~인천 간을 최초로 달린 미국 브룩스사의 모걸형 탱크기관차를 시작으로 양적인 증가를 계속하여 1945. 8. 15 해방 당시 166량,

More information

1220½É¹Ì¾Èâ27È£º»¹®

1220½É¹Ì¾Èâ27È£º»¹® CONTENTS 1220심미안창27호본문 1904.1.29 4:51 페이지3 CTP175아트지 3인3색 문화이야기 광주브랜드 브랜드: 이것은 주문呪文이 아니다 이향준_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연구원, 재단 운영위원 도시 브랜드 는 시민생활의 총체적 이미지에서 힘을 얻는다 도시의 트랜드 -옛길의 향기와 문화, 예술 조덕진_ 무등일보 아트플러스 편집장, 재단

More information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Android 용 Brother Image Viewer 설명서 버전 0 KOR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표입니다. Android는

More information

1

1 1 2 3 4 5 6 b b t P A S M T U s 7 m P P 8 t P A S M T U s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Chapter 1 29 1 2 3 4 18 17 16 15 5 6 7 8 9 14 13 12 11 10 1 2 3 4 5 9 10 11 12 13 14 15

More information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www.hcc.or.kr news@hcc.or.kr Hallelujah News PHOTO NEWS 새벽 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이 주께 나오는도다. 제437호 2007년 10월 7일 (주일) 화요청년찬양부흥회 날짜: 10월 16일, 11월 6일, 11월 20일 12월 4일, 12월 18일 (매달 1 3주 화요일) 장소: 할렐루야교회

More information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0.筌≪럩??袁ⓓ?紐껋젾001-011-3筌 3 4 5 6 7 8 9 10 11 Chapter 1 13 14 1 2 15 1 2 1 2 3 16 1 2 3 17 1 2 3 4 18 2 3 1 19 20 1 2 21 크리에이터 인터뷰 놀이 투어 놀이 투어 민혜영(1기, 직장인)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가치가 있는 일을 해 보고 싶 어 다니던 직장을 나왔다. 사회적인 문제를 좀 더 깊숙이 고민하고, 해결책도

More information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content 유리창청소부의추락사를막아라 03 04 유리창청소부의추락사를막아라! 09 젖지않고스스로깨끗해지는 17 얼마나작아야하는걸까? 27 마법의유리창만들기 은나노를활용한의류디자인하기 은나노를활용한의류디자인하기 44 43 패션에도새로운바람이분다 48 은은은색일까? 56 우리만의나노의류만들기 66 나노기술과함께더불어사는삶 81 82 나노기술과함께더불어사는삶

More information

ePapyrus PDF Document

ePapyrus PDF Document 66 _ 국악기연구보고서 Ⅱ. 국악기 연주자 신체 불편도 조사 연구 1) 이아름(연구원) 1. 연구개요 과거에 비해 직업으로 인한 건강 장해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화 되고 있는 직업병 발생률이 점차 늘고 있다. 직업병은 소위 근골격계질환이라 말할 수 있는데, 자연적인 질환 이라기 보다는 특정 반복 작업과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More information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1-1998-0031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이자료를연구및저작에이용, 참고및인용할경우에는 KOSSDA의자료인용표준서식에준하여자료의출처를반드시명시하여야합니다. 자료출처는자료명이최초로언급되는부분이나참고문헌목록에명시할수있습니다. 자료를이용, 참고, 인용할경우표준서식김상욱. 2005. 한국종합사회조사,

More information

기업분석(Update)

기업분석(Update) 1.. Quantitative Analyst 이창환 91-73 ch.lee@ibks.com Sector Monitor: 업종별수익률 : Cyclical 업종이 Defensive 업종대비아웃퍼폼 이익모멘텀 : 1개월전대비 EPS 전망치변화율은업종전반적으로 (+) 를기록. ERR 역시전반적으로 (+) 를기록한가운데 와, 업종이두드러짐. 개월선행 EPS 전망치는,,

More information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 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ii 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 v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ii vi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x x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 x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ii x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제 1 장서론

More information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srckgss@skku.edu http://src.skku.edu http://kgss.skku.edu 인사말씀 안녕하십니까 저희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에서는지난 년이래해마다한국종합사회조사 를시행하고있습니다 이조사는한국사회를종합적으로파악하고세계의주요국가들과비교연구하는데필요한자료를만들어내는목적이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Photo S tory 사진으로 보는 서울의 사회복지 1950년대 아동복지시설 연합 체육대회 (창경원) 3 1950년 삼성농아원 초창기 구화교육 (이진주 선생) 1928년 용정부녀자합동급식소 (명진보육원 전신) 1920년대 초기 태화유치원 교육 1930년대 무산아동운동장 (태화여자관 전경) 1936년 경성양로원 (1927년 설립, 1954년 현재의 청운양로원으로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인터페이스적용 오리객체설계하기 ) 청둥오리, 물오리를설계하세요. 1 단계 : 필요한객체설계 class 청둥오리 { class 물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mallardduck.fly(); mallardduck.quack(); redheadduck.swim();

More information

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사용설명서 의료용 진동기 사용설명서는 언제나 볼 수 있는 장소에 보관하세요. 사용전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을 반드시 읽고 사용하세요. 사용설명서에 제품보증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제품은 가정용 의료용 진동기이므로 상업용 또는 산업용 등으로는 사용을 금합니다. BM-1000HB www.lge.co.kr V V V V 3 4 V V C 5 6 주의 설 치

More information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1) 초고를읽고소중한조언을주신여러분들게감사드린다. 소중한조언들에도불구하고이글이포함하는오류는전적으로저자개인의것임을밝혀둔다. 2) 대표적인학자가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90 을저술한 MIT 의 A. Amsden 교수이다. - 1 - - 2 - 3) 계량방법론은회귀분석 (regression)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발 간 사 국악학 기초연구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국악원논문집 은 1989년 제1집을 시작으로 2004년 제16집까지 연1회 발간하였고, 잠시 중단되었던 학술지는 2008년 제17집부터 발간횟수를 연간 2회로 늘려 재발간하고 있습니다. 국악원논문집 은 공모를 통해 원고를 모집하고 편집회의를 통한 1차 심사,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의 2차 심사를

More information

110-121¿¹¼ú°¡À̾߱â

110-121¿¹¼ú°¡À̾߱â 9 6 9 2 40 4 9 1 15 2 13 3 1 1 22 113 1960 2 12 40 1987 1960 1 114 3 4 5 2 6 1. 1962년 작 집 2. 1938년 작 언덕 위의 파밭 3. 2000년 작 연못 4. 1992년 작 연못 5. 2000년 작 설경색 6. 1972년 작 산 문화예술 이천삼년 사월호 115 1921 5 17 4 10 6

More information

¹é¹üȸº¸ 24È£ Ãâ·Â

¹é¹üȸº¸ 24È£ Ãâ·Â 2009.가을 24호 2_ . 02 03 04 08 10 14 16 20 24 28 32 38 44 46 47 48 49 50 51 _3 4_ _5 6_ _7 8_ _9 10_ _11 12_ _13 14_ _15 16_ _17 18_ 한국광복군 성립전례식에서 개식사를 하는 김구(1940.9.17) 將士書) 를 낭독하였는데, 한국광복군이 중국군과 함께 전장에

More information

041~084 ¹®È�Çö»óÀбâ

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제 3 강역함수의미분과로피탈의정리 역함수의미분 : 두실수 a b 와폐구갂 [ ab, ] 에서 -이고연속인함수 f 가 ( a, b) 미분가능하다고가정하자. 만일 f '( ) 0 이면역함수 f 은실수 f( ) 에서미분가능하고 ( f )'( f ( )) 이다. f '( ) 에서 증명 : 폐구갂 [ ab, ] 에서 -이고연속인함수 f 는증가함수이거나감소함수이다 (

More information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1 학년 2 학년 3 학년 합계 6 5 11 5 5 16 문학과예술 핵 심 교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3 3 3 양 3 3 3 3 3 3 선택 4 4 1 1 3 3 6 11 교양학점계 12 12 24 5 1 6 3 3 6 36 ㆍ제 2 외국어이수규정 이수규정 또는 영역에서 과목 학점 이수하고 수량적석과추론 과학적사고와실험 에서 과목 학점 이수해도됨 외국어및고전어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 4 - - 5 - - 6 - 주행방향 900 Φ100 재귀반사체 지주 주행방향 1100 120 40 200 740 900 120 45 원형재귀반사체 Φ100 검정색바탕도색 흰색합성수지지주 - 7 - 옹벽 900mm 900mm 노면 옹벽 900mm 900mm 노면 - 8 - - 9 - - 10 - - 11 - - 12 - 0.9

More information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학부모신문203호@@

학부모신문203호@@ 02 05 06 08 11 12 2 203 2008.07.05 2008.07.05 203 3 4 203 2008.07.05 2008.07.05 203 5 6 203 2008.07.05 2008.07.05 203 7 8 지부 지회 이렇게 했어요 203호 2008.07.05 미친소 미친교육 촛불은 여전히 건재하다! 우리 학부모들은 근 2달여를 촛불 들고 거리로

More information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1.10.27 7:34 PM 페이지429 100 2400DPI 175LPI C M Y K 제 31 거룩한 여인 32 다시 태어났습니까? 33 교회에 관한 교리 목 저자 면수 가격 James W. Knox 60 1000 H.E.M. 32 1000 James W. Knox 432 15000 가격이 1000원인 도서는 사육판 사이즈이며 무료로

More information

%±¹¹®AR

%±¹¹®AR 2004 CONTENTS 03 04 06 14 21 27 34 40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Auf den Spuren der Ostbarbaren Czech-Korean Dictionary 18 19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More information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25 강. 수열의극한참거짓 2 두수열 { }, {b n } 의극한에대한 < 보기 > 의설명중옳은것을모두고르면? Ⅰ. < b n 이고 lim = 이면 lim b n =이다. Ⅱ. 두수열 { }, {b n } 이수렴할때 < b n 이면 lim < lim b n 이다. Ⅲ. lim b n =0이면 lim =0또는 lim b n =0이다. Ⅰ 2Ⅱ 3Ⅲ 4Ⅰ,Ⅱ 5Ⅰ,Ⅲ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ranslation Song 1 Finger Family 한글 해석 p.3 아빠 손가락, 아빠 손가락. p.4 p.5 엄마 손가락, 엄마 손가락. p.6 p.7 오빠 손가락, 오빠 손가락. p.8 p.9 언니 손가락, 언니 손가락. p.10 p.11 아기 손가락, 아기 손가락. p.12 p.13 p.14-15 재미있게 부르기 (Sing and Play Time)

More information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More information

..1,2,3,4-........

..1,2,3,4-........ 2011 Spring Vol.09 Contents 2011 Spring Vol.09 Issue 04 06 09 12 15 16 Story Cafe 18 Special Theme Theme 01 Theme 02 Theme 03 24 26 28 32 36 38 40 41 42 44 48 49 50 Issue 04 05 2011 SPRING NEWS Issue

More information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Sunlin College Life Long Education Center 선린대학교평생교육원 Sunlin College Life Long Education Center 일반 교양과정 문예창작 성공하는 여성의 삶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문예창작에 대한 기초적인 창작이론 및 실제를 통하여 창작 력을 배양하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도록 하여 창작활동과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