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섭지코지 1 총괄 3 Ⅰ. 지형 형성환경 9 Ⅱ. 퇴적물분석 33 Ⅲ. 식생 49 Ⅳ. 식물상 67 Ⅴ. 육상곤충 87 Ⅵ. 양서 파충류 99 Ⅶ. 조류 109 Ⅷ. 포유류 119 협재 131 총괄 133 Ⅰ. 지형 형성환경 139 Ⅱ. 퇴적물분석 161 Ⅲ.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목 차 섭지코지 1 총괄 3 Ⅰ. 지형 형성환경 9 Ⅱ. 퇴적물분석 33 Ⅲ. 식생 49 Ⅳ. 식물상 67 Ⅴ. 육상곤충 87 Ⅵ. 양서 파충류 99 Ⅶ. 조류 109 Ⅷ. 포유류 119 협재 131 총괄 133 Ⅰ. 지형 형성환경 139 Ⅱ. 퇴적물분석 161 Ⅲ."

Transcription

1

2 목 차 섭지코지 1 총괄 3 Ⅰ. 지형 형성환경 9 Ⅱ. 퇴적물분석 33 Ⅲ. 식생 49 Ⅳ. 식물상 67 Ⅴ. 육상곤충 87 Ⅵ. 양서 파충류 99 Ⅶ. 조류 109 Ⅷ. 포유류 119 협재 131 총괄 133 Ⅰ. 지형 형성환경 139 Ⅱ. 퇴적물분석 161 Ⅲ. 식생 i -

3 Ⅳ. 식물상 193 Ⅴ. 육상곤충 203 Ⅵ. 양서 파충류 217 Ⅶ. 조류 229 Ⅷ. 포유류 239 사계 253 총괄 255 Ⅰ. 지형 형성환경 261 Ⅱ. 퇴적물분석 283 Ⅲ. 식생 301 Ⅳ. 식물상 331 Ⅴ. 육상곤충 347 Ⅵ. 양서 파충류 359 Ⅶ. 조류 368 Ⅷ. 포유류 ii -

4 섭지코지 Ⅰ. 지형 형성환경 1

5 총 괄 이민효 오경희 김기경 염진화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1. 조사배경및목적 해안사구는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최근들어빈번한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대부분의사구들이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환경부는 2001년도서사구를제외한전국의사구조사결과를목록화시키고이들중 133개해안사구에서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해안사구및조사에포함되지않은도서지역의우수해안사구를중심으로조사하는것을원칙으로하되, 배후습지가있는경우배후습지도조사범위에포함하였다. 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우선으로조사하고주요해안사구의생태계에대한정밀자료를확보하여해안사구의기능 가치평가를통한국민인식제고와해안지역의효율적관리방안을제시하고주요해안사구에대한생태계보전지역또는습지보호지역지정근거를제공하는데있다. 2. 조사지및조사방법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는지역으로, 북위 ~ , 동경 ~ 사이에위치하고규모는해안을따라길이가약 1km 폭이 100~300m의열상으로발달해있다. 조사지역은최고고도가 29m로서동고서저, 남고북저형의비대칭지형이며, 섭지코지의동쪽에서동남쪽에이르는해안은파랑에의해침식이진행되는암석해안으로해식애가형성되어있어사면의경사또한비대칭적인특징을보이고북쪽해안에는사빈이발달하고서쪽으로는신양리 총괄 3

6 해수욕장이위치한다 ( 그림 1). 현지조사는 1:25,000 지형도와 1:5,000 지형도에각조사분 야별결과를표시하였으며, 조사분야는지형, 퇴적물, 식생, 식물상, 육상곤충, 양서 파 충류, 조류, 포유류로 8 개분야를조사하였다 ( 표 1). 그림 1. 제주도남제주군섭지코지사구 표 1. 조사자인적사항 분야조사자소속분야조사자소속조사이민효, 오경희국립환경연구원조영복한남대학교자연사박물관총괄김기경, 염진화생물다양성연구부육상김도성지형 곤충박경화서종철대구가톨릭대지리교육과전북대학교생물교육과형성환경구현아손명원퇴적물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양서ㆍ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장문기파충류오승철유영한국립환경연구원식생조류김창회국립환경연구원송민섭생물다양성연구부강종현생물다양성연구부이남숙식물상이화여자대학교생명과학과포유류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김진옥오승철 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7 3. 조사결과 가. 분야별조사결과요약 1) 지형 형성환경섭지코지사구는성산일출봉을연결하는육계사주에서부터육계사주의상부에형성된해안사구와그후면의이차사구지대, 그리고신양해수욕장을중심으로형성된세개의사구지대가결합된대규모해안사구지대이다. 신양사구의가장큰특징은전사구로부터이차사구에이르는구간의연속성이잘보존되어있다는점이다. 섭지코지에서성산일출봉을바라보는북쪽해안은육계사주부분의전사구가특징적으로발달해있으며, 섭지코지의중앙부는이차사구지대가넓게펼쳐져있다. 신양해수욕장부분은전사구의발달이미약하지만, 후면에는제주도의사구지대에서는찾아보기어려운사구습지가소규모로형성되어있다. 2) 퇴적물분석본조사지역은북쪽의성산일출봉으로부터이어지는해빈과신양리해수욕장에서이어지는해빈으로구성되는데, 해빈으로유입하는하천이없어사구퇴적물은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퇴적물은비교적비중이작은패사 (1.25~1.69φ, 0.31~0.42mm) 로구성되어평균입경이 0.6~2.2φ (0.22~0.67mm) 로굵은편에속하며, 분급은보통 (moderately sorted) 수준이다. 육계사주북쪽의사빈에서주로공급되기때문에해안에서내륙쪽으로가면서평균입경이작아지는경향을보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0.5~3.4% 이고양이온치환용량은 43.6~43.8cmol/kg의범위를나타내며유효인산은사구의중앙부에서높게나타난다. 3) 식생섭지코지의식생분포는곰솔군락이분포하는남서부와잔디군락이우점하는남동부, 밭경작지로활용되는북부와보리수나무군락이소규모로있는중앙부로크게나눌수있다. 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는목본성식물군락은곰솔군락이었고, 보리수나 총괄 5

8 무군락이그다음으로높았다. 특히사구서부의곰솔군락은해안보안림으로서해풍의영향을크게감소시키는것으로보이며, 그군락안하층에는까마귀쪽나무등의상록활엽수의어린나무가많아앞으로난대상록수림으로의천이가예상된다. 이러한곰솔군락은해안보안림으로서의가치가크므로이를살리고다른지역의해안림건설을위한모델로연구할가치가있다고판단된다. 초본식생은잔디군락이우점하는가운데 15개의초본식생과 3개의유형으로나타나매우다양한식생이확인되었다. 이러한식생은섭지코지의지형과말의방목에의한초식작용, 경작행위등의인위적인간섭, 바닷바람과사질토양등의다양한환경요인과이들간의상호작용에의하여형성된것으로판단된다. 또한이지역해안가의바위지대에는제주도와다른해안가에서는보기힘든고유한염생식물군락이분포하고있어보전대책이요망된다 4) 식물상섭지코지에분포하는식물상을조사하였으며, 그결과 60과 175속 250종의관속식물분포가조사되었다. 이중해변식물은 43종류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41 종류가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5) 육상곤충섭지코지의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결과 10목 35과 60종의육상곤충이조사되었으며이들중, 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3목 7과 11종이관찰되었다. 섭지코지해안사구의조간대지역에는파래등의조류가비교적풍부하여조간대성육상곤충의주요서식처가되고있으며해안사구성곤충들의개체군밀도가비교적높게나타났고, 사구의초지지역에는메뚜기류, 사마귀및집게벌레등이높은개체밀도를보여주고있었다. 6) 양서 파충류섭지코지일대의양서파충류의서식실태를조사한결과양서류는확인되지않았다. 파충류는섭지코지해안사구내에서는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1종이관찰되었으며, 인근마을주변농경지에서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와대륙유혈목 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 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가확인되었다. 섭지코지안쪽에는초지대가형성 되어있으나수계가형성되어있지않고, 인위적인영향을많이받고있어양서 파충 류의서식지로는적합하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7) 조류섭지코지일대에서관찰된종은 40종이었으며, 이지역에서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가마우지 (Phalacrocorax filamentosus) 와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이었다.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62개체, 참새 (Passer montanus) 24개체순으로조사되었다. 이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5종이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1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특정종은 4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8) 포유류섭지코지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이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은확인되지않았다. 나. 섭지코지에서확인된종수조사지역에서확인된종수는총 356종으로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로는물 수리 (Ⅱ 급 ; Pandion haliaetus) 가확인되었다. 4. 결론 신양해안의해빈과전사구는규모가크고연속성은물론자연성이매우높고육계사 주의지형형성과정과연계되어있어지형연구에있어서도중요한가치를지닌다. 조사지 역인후면은오래전부터말의방목이진행됨으로써해안사구의고유기능이퇴화되었으 총괄 7

10 며그로인하여식생의높이와피도의특성이독특하게변화되었다. 이들지역에서말의방목이변하면식생에서도새로운천이가일어날것으로판단된다. 북쪽의해안주변과남쪽의섬주변은조류서식지로비교적좋은환경이라고생각되나관광지로서이용가치가높아지고사람의출입이빈번해짐에따라주변환경에변화가발생할수있다. 그러므로사람의출입, 개발등을일부제한할필요가있다. 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 Ⅰ. 지형 형성환경 서종철 ( 대구가톨릭대학교지리교육과 ) 요 약 신양 ( 섭지코지 ) 지역은성산일출봉을연결하는육계사주에서부터섭지코지를연결하는육계사주의상부에형성된해안사구와그후면의이차사구지대, 그리고신양해수욕장을중심으로형성된세개의사구지대가결합된대규모해안사구지대이다. 섭지코지에서성산일출봉을바라보는북쪽해안은육계사주부분의전사구가특징적으로발달해있으며, 섭지코지의중앙부는이차사구지대가넓게펼쳐져있다. 신양해수욕장부분은전사구의발달이미약하지만, 후면에는제주도의사구지대에서는찾아보기어려운사구습지가소규모형성되어있다. 드라마세트장이설치되어있는동쪽부분은사구퇴적물이기반암을얇게피복하고있으며일부는밭으로이용되고있다. 사구지역은대부분초지로이루어져있고, 일부저지를중심으로소규모목본림이형성되어있다. 이지역은사유지로서말방목이행해지고있다. 신양사구의가장큰특징은전사구로부터이차사구에이르는구간의연속성이잘보존되어있으며, 대부분초지로되어있어자연경관이매우수려하다는데있다. 사구지형의다양성이나동식물의다양성이다소떨어지기는하지만나지에서목본림으로의사구식생천이과정이잘나타나고있어사구식생을연구하기에적합한지역이다. 개발에의해수려한자연경관이훼손되는것은금지되어야한다. 1. 서론 일반적으로서해안과동해안에비해제주도는해안사구의분포지로서주목을받고있 지못하다. 그러나환경부 (2001) 에따르면제주도에는총 12 개의해안사구가있으며, 행 Ⅰ. 지형 형성환경 9

12 정구역별로는제주시에 1개, 북제주군에 6개, 그리고남제주군 5개가분포하고있다 ( 그림 1). 규모로볼때는대체로소형이어서, 총 12개의사구중대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분포하는사구와북제주군구좌읍금명, 월정리에분포하는사구가있고, 중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에분포하는것이있으며, 그외의나머지 9개의사구들은모두소형의규모이다 ( 표 1). 조사지역인신양사구는환경부의보고서에는소형의사구로분류되어있으나, 사구사가비산되어형성된육지쪽의폭이과소평가되어있어본보고서에서는 대형 으로판정하였다. 제주도의해안은대부분이오래전부터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사계절일반인의발길이끊이지않는곳이다. 그러나대부분의해안은암석해안으로구성되어있고사질해안은규모와출현빈도가모두낮아전체해안의 7.1% 에해당하는 21.9km 에불과하다 (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의대표적인사빈인협재, 곽지, 함덕, 김녕, 하도, 표선, 중문, 대정해수욕장은그길이가대부분 500m 를넘지못한다. 또한도처에기반암이노출되어사빈의연계성도좋지않다. 대규모의사질해안이출현하기위해서는다량의토사를지속적으로공급하는하천의존재가필요하지만, 화산지형의특성상하천의발달이매우미약하기때문이다. 그림 1. 제주지역해안사구분포도 10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13 육지쪽에서모래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으므로사빈퇴적물중해저로부터공급된패사의함량이매우높다. 제주도의사빈에서석회질퇴적물이차지하는비율은약 67% 에이른다. 김녕지역에서는퇴적물중약 98% 가석회질로사빈이거의전부패각편으로구성되어있다. 반면에주변에파식에약한응회구가위치하여다량의암설을공급받는안덕면사계리, 화순리와성산읍신양리에는비교적규모가큰사빈이존재하며, 사빈퇴적물중패사가차지하는비율도높지않다 ( 한태흥, 1993). 표 1. 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위치와규모 지명 위치 상태크기 (m) 양호보통파괴대중소길이폭 이호 제주도제주시이호일동 곽지 제주도북제주군애월읍곽지리 협재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 하모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하모리 사계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 1,700 1,300 표선 제주도남제주군표선면표선리 섭지코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800 1,000 신양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2, 하도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하도리 평대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평대리 김녕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김녕, 월정리 3, 함덕 제주도북제주군조천읍함덕리 자료 : 환경부, 제주도의해안사구지역은그동안육지보다연구및조사가부족하지만, 최근들어해안지역의개발과관련하여해안사구의보전문제가대두되면서관심이증대되고있다. 제주도의해안사구에대한연구는한태흥 (1993) 에의해비교적빠른시기에시작되었으나실질적으로는 2000년이후전국적인해안사구의보전에대한인식이높아진후에시작되었다. 김녕사구와협재지역의사구를대상으로퇴적물의조성과화학적특성, 그리고일부지역의연대측정이이루어졌다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하지만이러한연구는아직기초적인수준에머물러있으며, 해안사구지형에대한체계적조사나해안사구의가치를결정하기에는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본조사에서는항공사진과지도를통해사구지역의범위와변화과정을파악하고이를현장에서확인하며, 사구지역에서출현하는지형과지형의활성도, 그리고지형적인측면에서의사구지 Ⅰ. 지형 형성환경 11

14 역의보전가치를제시하고자한다. 현지조사는세지역모두규모가작기때문에 1:5,000 지형도를이용하였으며, 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추이를알아보기위해 1979~1998 년간에촬영된항공사진을이용하여변화양상을파악하고, 지표피복변화를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각요소별기후자료는현지에서직접측량된것이없어조사지역에가장인접한기상대의최근 30년간자료 (1971~2000) 를이용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위치조사지역은제주도의동단에위치해있으며, 행정구역상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속한다. 조사지역북쪽에성산일출봉이있는데, 큰규모로볼때성산일출봉과섭지코지일대가돌출부를구성하고그안쪽이포켓형의해안을이루고있어사빈과사구가잘발달하고있다. 1. 그림 2. 조사지역개관도 12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15 나. 지형제주도의지형은한라산을중심으로동서사면은 3 ~5 의매우완만한경사이며, 남북사면은 5 정도로약간급한경사를이루고있다. 해발고도 200m 이하지역은제주도전체면적의 55.3% 로해안지대이며, 고도 m 의중산간지대는전체면적의 27.9% 로목초지나유휴지로되어있고, 고도 500 1,000m 지대는제주도전체면적의 12.3% 로삼림이나버섯재배로이용하고있으며, 고도 1,000m 이상의고산지대는전체면적의 4.5% 를차지하고있다 ( 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조사지역은최고고도가 29m로서동고서저, 남고북저형의비대칭지형이며, 섭지코지의동쪽에서동남쪽에이르는해안은파랑에의해침식이진행되는암석해안으로해식애가형성되어있어사면의경사또한비대칭적인특징을보인다. 이러한지형적특징은사구사의퇴적에의해이루어진것이아니라현재의등대가있는붉오름의형성과정과연관이높다. 즉오름의분화구가동쪽끝부분에위치해있어원래의형태는방사상의형태였으나동쪽부분은그후의침식에의해제거되어현재의해식애로남아있게된것이고, 파랑에의해침식이일어나지않는분화구서쪽은그대로남아있게되어완만한경사로유지되고있기때문이다. 현재지표를덮고있는모래층은북쪽의해빈에서북풍계열의바람에의해운반된사구사가이러한오름의표면을피복하고있는것이다. 다. 기후 신양지역에는사구지대자체에는관측장비가설치되어있지않지만, 5km 이내에있 는성산관측소의자료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1) 기온과강수량제주지역은사계절이비교적따뜻한난대성기후를보이며, 해양과접하고있어해양성기후의특성을반영하기도한다. 성산포지역의최근 30년간연평균기온은 15.2 이고, 최한월은 1월로 5.0 이며, 최난월은 8월로 26.3 로서연교차는 21.3 이다. 최난월의평균기온은육지의그것과크게다르지않으나최한월평균기온이식물의생장한계온도인 5 보다높게유지되고있어사계절식물의성장이가능하며, 일시적인기온의저하는나타나지만평균기온이영하인달은나타나지않는다. Ⅰ. 지형 형성환경 13

16 최근 30년동안의연평균강수량은 1,841mm로서다우지역에속한다. 강수량이가장적은달은겨울철인 12월로 55mm이고, 제일많은달은 8월로 290mm 이다. 해양성기후의영향으로겨울철에도비교적강수량이많은것이특징이며, 여름철에는고온다습한해양성기단인북태평양기단의영향으로 6월부터 9월까지매달 200mm 이상의비가내린다. 표 2. 성산포지역의월평균기온과강수량 ( 단위 :, mm) 구분 전년기온 강수량 ,841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강수량기온 기온 ( 도 ) 강수량 (mm) MONTH Month 0 그림 3. 성산포지역의기온과강수량 (1971~2000) 2) 풍향과풍속바람은사구형성에지대한영향을미치는인자이다. 지난 30년간관측된서귀포지역의풍속과풍향을살펴보면, 풍속은연평균 3.1m/s 이며월별최고풍속은 3.8m/s 로서겨울철인 2월에기록되었다. 내륙지역에비해연중풍속이강한편이나, 겨울철인 11월부터이듬해봄인 4월까지의풍속이비교적강하다. 풍향은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를제외하면연중북서풍과북북서풍이우세하게나 1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17 타난다. 이것은성산포와신양일대의해안사구성장방향과도대체로일치하는것으로판단된다. 하지만풍속자료는일반적으로사구의모래가이동하기위한유효풍속을 4.0m/s 이상으로보기때문에, 이자료를이용해서사구지역의지형형성과정을해석하기어렵다. 해안사구에서의지형과바람의상호관계를연구하기위해서는적어도일단위이하의자료가요구되기때문이다. 따라서해안사구에서의모래이동에영향을주는바람요소를구하기위해서는해당사구에관측장비를직접설치하여정밀한자료를구해야한다. 표 3. 성산포지역의풍향과풍속 ( 단위 : m/s) 구분 전년 풍속 풍향 NW NW NW NW NW ENE SSW CALM NNW NNW NNW NNW NW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3. 조사방법 가. 사구지역의지표피복변화해안사구의발달과정을파악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문헌자료는고지도와항공사진, 인공위성사진을포함한원격탐사자료등이다. 인공위성사진분석은최근에가장많이이용되는원격탐사방법의하나이지만, 사구지대의지형변화를탐지하기에는해상도가떨어지거나해상도가높은경우비용이많이드는단점이있어해안사구를대상으로정밀한분석이행해진예는거의없다. 항공사진분석은하천이나해안지형과같이역동적으로변화하는대상을연구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방법이다. 특히, 항공사진은식생의피복상태유무와토지이용패턴, 그리고인공지물등을육안으로직접확인할수있으며지상에서는관측할수없는지형의패턴이쉽게관측할수있기때문에해안사구연구에서널리사용되고있다 (van Zuidam et al., 1998). 그러나항공사진은지형도와는달리촬영당시의기울기가보정되어있지 Ⅰ. 지형 형성환경 15

18 않기때문에정확한결과를분석해내기위해서는우선적으로위치와기울기등의기하학적인정보를보정 (geometric correction) 하여야하며, 위치보정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정확도저하를해결하는것이문제로남아있다. 이조사에서는비교적획득과처리가쉽고비용이적게드는항공사진을이용하여조사지역해안사구의분포와지형변화등을관찰하고자하였다. 분석에이용된항공사진은 1979 년과 1995 년에촬영된 2세트로서 16년동안의지표피복변화를관측할수있었다. 나. 해안사구의지형분류사구지형은발달단계나식생피복의차이등에따라여러측면에서분류할수있다. 우선사구지형을발달단계에따라구분하면, 전체적으로해안선과평행한형성되어있는전사구 (foredune) 를포함한일차사구 (primary dune) 와전사구후면에서배후산지사이에발달되어있는이차사구 (secondary dune) 로나눌수있으며, 안정상태에따라서는모래의공급이꾸준히이루어지거나급격하게침식이일어나는지역에서볼수있는이동사구와식생으로덮여있어변화가일어나지않는고정사구로구분할수있고, 식생피복상태에따라식생이덮여있는식피사구와그렇지않은미식피사구로구분한다 ( 표 4). 이차사구는일차사구의배후에형성되어있으며, 조사대상지역의사구지대는모두이차사구에속한다. 이분류군에는스웨일 (swale) 또는슬랙 (slack) 으로불리는고도가낮고평탄하거나움푹패여있는사구저지, 모래의이동에의해형성된바르한형사구 (barchanoid dune) 나세이프사구 (seif dune), 종사구 (longitudinal dune), 그리고모래가침식되어형성된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 (blowout) 등이나타난다. 대부분의사구저지는식생으로피복되어있으며, 사구습지가형성되어있기도한다. 사구습지 (wet dune) 는지하수면이지표면과매우근접해있는곳에서나타나며, 일시적이거나영구적으로물에잠겨있는사구지대내의습윤슬랙과사구지대후면의사구배후호등이포함된다. 16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19 표 4. 해안사구지형분류와신양 ( 섭지코지 ) 사구지대의출현지형 대구분소구분지형규모 일차사구 전사구 (foredune) 대전사구열 (foredune ridge) 대 바르한 (barchan) 형사구 흔적 재퇴적사구 종사구대스웨일대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없음 침식사구또는 U자형사구 (U-shaped dune) 없음발달단계취식와지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없음이차사구 (Blowout) 머리핀형사구 (hairpin dune) 없음 스웨일 (swale) 건조슬랙 (dry slack) 대 또는슬랙 (slack) 스웨일또는습윤슬랙 (wet slack) 소 사구호 (dune lake) 또는사구배후호 (back dune lake) 없음 슬러프터 (slufter) 없음 취식평지 (deflation plain) 또는사구평지 (sand sheet) 대 안정단계 이동사구 (mobile dune) 소고정사구 (stable dune) 대 피복상태식피사구초지사구 (grassland dune) 대삼림사구 (forested dune) 중 미식피사구 노출사구또는미식피사구 (unvegetated dune) 소 4. 결과및고찰 가. 지표피복변화분석결과분석기간동안항공사진분석결과대상지역에서는인위적요인과자연적요인에의해변화가진행된것으로나타났다. 인위적인변화가운데가장큰변화는자연적인식생천이에의한식피밀도의변화와드라마촬영지로소개된이후섭지코지붉오름일대의관광지조성사업에따른주차장과세트장건립부지이다. 섭지코지의중앙부사구지대는방목지로이용되고있는데, 북서방향의이동성종사구가식생에의해고정되어있다. 이지역은 1970 년대사진에서모래가노출되어있는나지가많이관찰되어쓴데, 시간이경과하며점차초지, 관목림, 교목림의순으로피복되어가는것으로나타났다. 자연적인변화는식생의천이에따른것으로서이지역을피복하고있던산림이자체적인연령증가로인해피도가높아졌고, 대상지역내에산재해있던 Ⅰ. 지형 형성환경 17

20 경작지들이경작을포기함으로써자연적으로초지나관목림또는교목림으로천이되어가는상태에놓여있는것으로관측되었다. 또한조사지역내부에형성되어있던소로들도지금은거의이용되고있지않아흔적형태로관찰되고있다. 하지만일부경작지는아직도경작이나방목이행해지고있어피복도가크게변화되지않는곳도있다. 나. 현지조사결과신양사구지대는인근지역이오랫동안관광지로이용되어왔음에도불구하고자연성이매우높은지역이다. 그것은성산일출봉과섭지코지등의관광지가해안사구와는무관하여출입인원이적었고, 출입로또한해안사구가훼손되지않는방향으로개설되어일반인들의관심지역에서벗어나있기때문이었다. 하지만섭지코지를연결하는육계사주부분은도로와건물이들어서있어전사구열을제외한대부분이훼손되어있고, 섭지코지로연결되는도로로인해사구지대후면과해안은단절되어있는상태이다. 조사대상지역의현재상태는관광객의출입이빈번한해수욕장, 해빈후면에형성된전사구열과전사구지대, 도로후면에형성되어있는파랑상의이차사구지대, 그리고섭지코지관광지등으로크게구분할수있다. 이가운데방목지로활용되고있는이차사구지대가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는데, 이차사구지대는초지와삼림지로다시구분할수있다. 1) 전사구지역전사구지역은 1차사구에해당되는범 (berm), 전사구 (foredune), 전사구열 (foredune ridge) 등이나타날수있는데, 신양 ( 섭지코지 ) 사구지대는섭지코지북쪽해안에서부터성산포육계사주해안사구지대에이르는부분까지연속적으로발달해있는전사구열의일부구간에해당된다. 그만큼연속성이높다는의미이며, 조사지역외에서의개발행위나인위적변화에의해서도영향을받기쉬운지역이라는것을의미하기도한다. 신양지역전면의해빈층은조사지역가운데안정성이가장높다. 이것은이해안이성산일출봉과섭지코지사이에형성된일종의포켓비치에해당되어파랑의에너지가약하고세립물질의공급이원활하게이루어지고있어해빈층이두껍게퇴적되어있기때문이다. 육계사주에해당되는지역의전면부는기반암이노출되지않는다. 따라서모래의공 18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21 급이비교적안정적으로이루어지는것으로판단된다. 전사구열은해빈과협화적으로만나완만한경사를유지하는경우가대부분이지만일부지역에서는강한파랑에의해전사구가침식되어사구애가형성되어있으며순비기나무의뿌리가노출되어있기도하다. 높이는대체로 5미터내외이지만높은곳은 10m 이상인곳도있다. 약 3km에이르는해안지역에서매우높은연속성을나타낸다. 이러한연속성과자연성은육지의해안에서도쉽게찾아보기어렵다. 하지만전사구후면부는밭으로이용되고있는경우가많아자연성이아주높다고보기는어렵다. 2) 이차사구지역조사대상지역에서관찰되는사구는대부분이차사구로서, 전사구에서강한바람에의해날려들어와쌓이게된종사구와바르한형사구, 그리고바람에의해깎여만들어진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등의이동성사구였으나현재는식생에의해피복되어형태를알아보기도어렵다. 모래의이동이일어나는이동사구 (mobile dune) 또는미피복사구 (unvegetated dune) 는자연적인천이과정에의해대부분고정되어대상지역에는일부지역에만나타난다. 대상지역의중앙부에는초본으로덮여있는초지사구가넓게나타나고있는데, 이지역에서는고저의변화가매우큰사구의특성이잘관찰된다. 탁월풍의방향과일치하는종사구가널리관찰되며그기반에는사구평지가넓게자리잡고있다. 1979년항공사진에의하면이지역은모래의이동이매우활발하게일어나고있는미피복사구였으나지금은식생의자연천이에의해대부분피복되어있으며, 일부지역은이미목본림으로천이가이루어진곳도있다. 대상지역의사구지형은과거환경에서북쪽해안지역에서내륙으로이동중인이차사구또는사구열의일부로서오름으로이루어진기반암표면을피복하고있는사구평지, 이동성이크고고도가높은종사구 (ridge), 그리고그사이의사구저지 (swale) 였다. 이지역의모래는북북서쪽해빈으로터공급된것이고겨울철풍계역시북서풍이주를이루므로, 사구열의방향은북서방향을나타낼것으로예측할수있으나, 신양해수욕장부분의후면에형성되어있는사구와혼동될우려가있어그방향성을확신하기어렵다. 따라서이동방향에대한정확한정보를파악하기위해서는퇴적층에대한조사가필요하다. Ⅰ. 지형 형성환경 19

22 사구의규모는대개지표로부터 5m 내외였으나큰것은 10여미터이상인것도있었다. 지표비고 10m에달하는큰규모의사구는섭지코지반도의중앙부와중앙부에서남쪽해안에이르는부분에분포하고있었으며, 특히요트장후면에는굴곡이심한사구의모습이잘드러나있다. 이곳에는사구열과스웨일뿐만아니라고정되어쉽게알아보기어려우나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가분포한다. 이지역의식생은초종용과순비기나무등의일부를제외하면전형적인사구식물이거의없기때문에형태를보존하고있다는점을제외하면사구동식물의서식처로의사구기능은그리높지않은것으로판단된다. 다. 토의 1) 신양 ( 섭지코지 ) 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지금까지제시된해안사구의일반적인기능과지역적특수성에기인한협재사구의기능은아래와같다. 가 ) 에너지교환시스템에서의모래저장고해빈과해안사구사이에는, 보다넓게는해양과육지사이에는, 끊임없이모래를서로주고받는다. 육지에서하천에의해운반된퇴적물은해저에일시적으로저장되지만, 파랑이나조류에의해얕은부분에있는것들은다시해변으로운반되어해수의에너지에의해퇴적된다. 바닷물의에너지가크고해안선이돌출된곳에서는육지부분이침식되지만, 만입부에서는에너지의크기가감소함에따라거력 ( 巨礫 ), 자갈, 모래, 펄등의순서대로퇴적되어각각암석해안, 자갈해안, 모래해안및갯벌이형성된다. 해안사구는이러한퇴적해안가운데모래해안과밀접한관계를가지고있다. 서해안과같이조차가큰곳에서는모래해안의전면부가대부분모래갯벌로이루어져있다. 바다가잔잔한평시에는간조시에물이빠지면모래갯벌과모래해안에서바람에불려진모래는후면으로운반되어사구지대에쌓임으로서사구가성장하게되지만, 바다의힘이거세진폭풍우시에는사구의모래가침식되어해안이나해빈으로공급된다. 해안사구를비롯한해안퇴적지형에서일어나는이러한순환체계를통해해양과육지는상호작용하며유지된다. 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서해안과는달리해빈퇴적물의두께가매우얇고하천에의 20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23 해공급되는토사와해양으로부터공급되는모래의양이적기때문에, 현재환경에서는 해빈과모래의순환체계가매우약하게연결되어있는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육지지 역의해안사구에비해제주지역해안사구에서의이기능은미약한것으로판단된다. 나 ) 해안지역 ( 농경지와촌락 ) 의보호해안사구는갯벌과더불어폭풍이나해일로부터후면의해안지역을보호하는역할을한다. 갯벌과사구를이루는구성물질은미세한입자이기때문에약간의힘이주어져도쉽게침식되지만, 동시에침식과이동과정에서파괴적인에너지를소비시키며, 폭풍우가지나고바다가잔잔해지면다시해안지역으로운반되어파괴된곳을새롭게보충해주기때문에폭풍에의해생긴상처를자연스럽게치유한다. 더욱이해안사구의구성물질이가지는물리적성질뿐만아니라해안사구에정착해서사는식생또한이러한역할을더욱크게해준다. 일반적으로사구식생은염분에내성이강할뿐만아니라생존을위해지상부에비해긴뿌리체계를가지고있으며, 대부분지하경에의해번식하고있어서로간의연계성이매우높다. 따라서사구식생에의해모래가고정되어있는전사구와그렇지않은전사구는외부의충격을받았을때피해정도가차이가나며, 피해후복원되는속도또한크게차이가난다. 다 ) 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일반적으로사구지대는강한해풍과염분, 척박한영양분, 강한햇빛, 부족한수분등의악조건을제공하며, 끊임없이움직이는모래는다양하고특이한환경조건을제공한다. 이러한조건들은사구환경에적응한생물들에게는다른경쟁자들과의경쟁우위로작용한다. 또한여름철성수기를제외하면인간의간섭을거의받지않기때문에생물들의서식에유리하게된다. 라 ) 지하수의보호해안사구는육지와해양사이에형성되어있으며투수성이높은모래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 육지에서해양으로유출되는담수가해수로인해차단되어다량의지하수형태로보존되어있다. 사구를통해흘러들어간담수는지하수위를높여염수가바다쪽에서 Ⅰ. 지형 형성환경 21

24 밀려들어와지하수가오염되는것을막는다. 해안사구의지하수는사구후면에거주하는주민과사구내에서식하는생물의수자원으로이용되고있기때문에사구가없어지거나훼손되어사구의높이가낮아지면, 바다쪽의염수지하수가육지쪽으로침입하여지역주민들과생태계에치명적피해를미친다. 일반적으로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하부가대체로다공성의현무암으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이러한지하수저장고로서의역할은거의수행하지못하는것으로알려져있으나, 조사지역의신양해수욕장후면에는사구내지하수가노출되어소규모습지가형성되어있으며, 습지의물을농업용수나방목하는말의음용수로이용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마 ) 해안생태관광지세계어느지역에가보더라도바다와접해있는해빈과해안사구는관광지로잘알려져있는경우를볼수있다. 조사지역에서도잘알려진해안지형은성산일출봉이나섭지코지처럼대체로침식지형인것이많다. 하지만이일대에는육계사주와육계도, 해안사구가여러개분포하고있으며전술한바와같이다양한해안침식지형과화산지형이함께나타난다. 따라서해안사구의역동성과경관적특이성이이러한관광자원과결합된다면경관자원에의존한관광뿐만아니라생태자원을활용한관광지로서각광을받을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그리고이러한생명체들이생존을위해모래와특이하게상호작용하는모습을찾아볼수있기때문에, 자라나는어린이들에게보여줄중요한생태학습장이될수있다. 관광자원으로서해안사구의가치는무한하다. 다만이것을어떻게활용하느냐에성패가달려있다. 바 ) 용암동굴내석회생성물의공급원제주도에는현재까지 127개의용암동굴이분포하고있는데, 주로평탄한현무암의용암대지를이루고있는제주도의동측과서측의저지대에집중되어있다. 제주도해안가저지대에분포하는몇개의용암동굴에는방해석으로이루어진동굴생성물이많이발달하고있는데, 조사대상지역에있는협재굴, 쌍용굴, 소천굴, 황금굴, 송림굴등을비롯하여당처물굴이잘알려져있다. 이러한석회성분의광물은동굴위지표면을덮고있는 22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25 패사로구성된탄산염퇴적물즉해안사구퇴적물로부터공급된것이다. 이들은세계에서비교할만한것이없을정도로그경관이뛰어나고형태가다양할뿐만아니라아주특이한현상이기도하다. 이러한동굴생성물은천장, 벽면과바닥에종유관, 종유석, 유석, 동굴산화, 석화의형태로자란다. 이러한경관적특이성을가능하게하는것이바로해안사구의퇴적물이다. 바다로부터운반된패사성분의퇴적물은오랜시간빗물에의해용해되어현무암을틈새를따라지하로이동되어동굴내부에도달한후방해석의형태로침전되어각종생성물을만드는것이다. 따라서용암동굴내부의석회생성물이유지되려면해안사구의보존이필수적이다. 하지만신양지역에는동굴이형성되어있지않으므로이러한기능을기대하기는어렵다. 사 ) 학술적가치해안사구는매우역동성이큰지형이다. 따라서해안사구는해안퇴적지형시스템의변화에대한단서를풀수있는귀중한자원이다. 해안사구의형성은모래의공급량, 바람조건, 해수면변화등에대해매우민감하게반응하고때문에, 현재의퇴적환경에대한정보는물론, 사구의형성시기와형성환경을동시에연구한다면형성당시의해수면이나기후환경에대한정보를파악할수있다. 최근개발된 OSL 연대측정기법은이러한사구연구의신뢰성을높여주고있어사구연구가고환경연구분야에중요한분야로자리매김할전망이다. 2) 신양 ( 섭지코지 ) 사구의기능과지형적가치평가 < 표 5> 에는조사자가개인적인해안사구조사와연구를통해지형적인측면에서해안사구의가치와중요성을비교적객관적으로평가할수있다고판단한기준과평가결과가제시되어있다. 물론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가지형적인측면에만국한되어있는것은아니지만, 조사자의전공이지형분야이고또동식물분야와사회경제적인측면에서의문제는다른전문분야의의견이필요한시점이어서, 이보고서에서는해안사구의가치를지형적인측면에서만다루었다. < 표 5> 의결과에서알수있듯이, 신양해안의해빈과전사구는규모가크고연속성은 Ⅰ. 지형 형성환경 23

26 물론자연성이매우높은편에속한다. 육계사주의지형형성과정과연계되어있어지형연구에있어서도중요한가치를지닌다. 주변의다른지역과함께매우아름다운자연경관을보인다. 하지만해안사구가가지는일반적인기능들은신양지역에서크게기대하기어려울것으로보인다. 해빈과접한해안사구의전면도상기한바와같이그러려니와조사대상지역인후면은오래전부터방목이진행됨으로써해안사구의고유기능이퇴화되었기때문이다. 변화가일어나야하는사구지형은찾아보기도어렵다. 사구식물또한사철쑥, 초종용, 순비기나무나좀보리사초등으로비교적단순하다. 하지만환경부보호종인초종용군락이넓게관찰되는것은특이하다. 따라서신양해안사구지역의가치는해안사구의형성과정이그대로보전되어있는자연성과학술적가치, 그리고뛰어난경관에있다고할수있다. 2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27 표 5. 신양 ( 섭지코지 ) 해안사구의지형적가치판단기준 평가항목 기준 등급 상중하 판정결과 면적 해안사구의해안선길이와내륙으로침투한폭 해안선 3km 이상, 또는폭 300m 이상 해안선 1.5-3km, 또는폭 m 해안선 1.5km 이하, 또는폭 150m 이하 상 체적 사구지대내에퇴적되어있는해발고도 20m 이상존재사구사의양과규모또는 10m 이상 5개이상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5 개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 개미만 상 퇴적환경 해안사구의잠재적성장 / 안정 / 침식가능성 지속적인모래유입으로전사구성장이예상될때 모래가유입되지만전사구의성장보다는안정이예상될때 전사구의침식이예상될때 중 역동성 사구지대내에서일어나는지형변화정도 퇴적물의유출입과지역내순환이빠르게일어나지형의성장과파괴가일어나고, 사구지역내에서의식피상태가빠르게변화되고있는곳 (50% 미만 ) 식피상태가높고목본으로의피복지역이다소넓게나타나는곳 (50-90%) 전체적으로퇴적물의유출입이적고, 사구전체의피복상태가안정되어변화가예상되지않는곳 (90% 이상 ) 중 지형다양성 별표에제시된사구지형의분포수 10 개이상 5-10 개 5 개미만중 희귀성 자연성 별표에제시된희소성, 자연성, 규모등을고려하여국내에서찾아보기어려운지형의분포 인간에의해훼손된지역이차지하는정도 5 개이상 2-4 개 2 개미만하 전체지역의 80% 이상 40-80% 40% 이하상 민감성 자연적또는인위적환경변화에의해영향을받기쉬운정도 전사구가고조위선과접촉, 전사구미피복상태 전사구 - 고조위선이격이짧고 berm 의발달이미약, 전사구의피복상태가다소불량 berm 발달이양호, 전사구피복상태가양호 하 고유성 해당사구가그지역내에서가지는희소성 도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하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미만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상 하 학술적가치 학술적인연구대상지형으로서의가치를판단하는것으로서, 조사자의주관적인판단에맡김 높음보통낮음중 경관 주변지역과조화되어나타내는아름다움 높음보통낮음상 Ⅰ. 지형 형성환경 25

28 표 6. 지형다양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구분 1차사구 2차사구기타 해수기원 바람기원 지형 범 (berm) 해수범람층 (overwash deposit) 초기배사구 (embryo dune) 전사구 (foredune) 와전사구열 (foredune ridge) 이동사구재이동사구바르한 (barchan) 형사구 (relocated dune) 세이프사구 (sief dune)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사구평지 (sand sheet or sand plane) 취식와지 (Blowout) 해수침식 사구저지 사구습지 U자형사구 (U-shaped dune) 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머리핀형사구 (hairpine dune) 사구애 (dune cliff) 슬러프터 (slufter) 건조슬랙 (dry slack) 습윤슬랙 (wet slack) 사구내습지 (inter-dune wetland) 사구배후호 (back-dune lake) 고사구 (ancient, relic or paleo-dune) 바람무늬또는풍문 (wind ripple) 표 7. 지형희귀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1 고도 20m 이상의바르한 2 3 열이상의전사구열 ( 비치리지포함 ) 3 직경 50m 이상의취식와지 (U 자형, 낙하산형, 머리핀형포함 ) 4 고도 10m 이상의사구애 5 자연성이높은사구배후습지 6 사구지대내에분포하는영구적또는일시적사구습지 7 연속성이높은고사구 8 자연적으로형성된슬러프터 3) 제언신양사구의가장큰특징은전사구로부터이차사구에이르는구간의연속성이잘보존되어있으며, 대부분초지로되어있어자연경관이매우수려하다는데있다. 사구지형의다양성이나동식물의다양성이다소떨어지기는하지만나지에서목본림으로의사구 26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29 식생천이과정이잘나타나고있어사구식생을연구하기에적합한지역이다. 개발에의 해수려한자연경관이훼손되는것은금지되어야한다. 참고문헌 Houston, J.A., Edmondson S.E. and Rooney P.J.(eds), 2001, Coatal dune management - shared experience of European conservation practice, Liverpool University Press, Oxford. McLachlan, A., 1990,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dune and beach systems, In: Nordstorm, K.F., Psuty, N.P., and Carter, R.W.G. (Eds.),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Ltd., van Zuidam, R.A., Fariftch, J.E.M.A., and Tao, C., 1998, Developements in remote sensing, dynamic modelling and GIS applications for inter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4, 권혁재, 1981, 태안반도와안면도의해안지형, 사대논집, 제 6집, 고대사대논문집. 김남형 장성훈, 2001, 제주도사빈해수욕장의해양환경조건에관한기초조사, 한국해양공학회지, 4(3),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류완상, 2002, 해안사구의바람과비사에관한연구 -서해안신두리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류호상, 2001, 겨울철모래이동과전사구의지형변화 : 신두리해안사구지대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동원 유근배, 1979, 우리나라서해안의사구지형, 지리학논총, 6,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96p. 서종철, 2002a, 신두리두웅습지일대의해안사구지형, 태안반도신두리사구습지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Ⅰ. 지형 형성환경 27

30 서종철, 2002b,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이용한신두리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서종철, 2004, 해안사구에서의유효풍속과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서종철, 2005, 신두리고사구의 OSL 연대측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페이지미정. 서종철 박경, 2003, 원격탐사자료를활용한접경지역지형조사 -강원도고성군송현리일대를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손명원 서종철 전영권, 2002, 칠포연안의해안지형시스템의특성, 지리학연구, 제36 권 3호.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지옥미 우경식, 1998, 한반도동해안과제주도연안에서발견되는아라고나이트질연체동물각질의미량원소및탄소와산소동위원소함량의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3), 태안군, 2004, 신두사구보전및활용방안. 28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31 사진및설명 사진 1. 육계사주에형성된해안사구 사진 2. 신양해안사구의전사구 사진 3. 섭지코지해안사구의전사구후면 사진 4. 섭지코지사구초지 사진 5. 패치상의교목림 사진 6. 패치상의교목림 Ⅰ. 지형 형성환경 29

32 사진 7. 신양해수욕장후면부 사진 8. 섭지코지의전사구 사진 9. 신양해수욕장 사진 10. 이차사구지대의경관 사진 11. 교목림으로의천이과정 사진 12. 경작지 30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 섭지코지 )

33 사진 13. 사구습지와지하수의이용 사진 14. 관광지올인세트장 Ⅰ. 지형 형성환경 31

34 Ⅱ. 퇴적물분석 손명원 장문기 ( 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 ) 요 약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는폭 0.8km, 길이 1.0km의섭지코지언덕이다. 조사지역은북쪽의성산일출봉으로부터이어지는해빈과신양리해수욕장에서이어지는해빈으로구성되는데, 해빈으로유입하는하천이없어사구퇴적물은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본조사에서는신양리해수욕장이끝나는부분에서동남쪽으로약 50m 간격을두고 3개지점을선정하여, 해빈에서배후의사구정상부까지기복마다 4-7개의 site를정하고각 site마다표품을채취하여분석하였다. 퇴적물은비교적비중이작은패사 ( ) 로구성되어평균입경이 φ 로굵은편에속하며, 육계사주북쪽의사빈에서주로공급되기때문에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작아지는경향을보인다. 분급은 moderately sorted 수준이며, 첨도는 의범위를나타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 이고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의범위를나타낸다. 유효인산은사구의중앙부에서높게나타나며, 칼륨은 cmol/ kg, 칼슘은 cmol/ kg, 마그네슘은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1. 서론 본조사는환경부전국해안사구조사일환으로전국에목록화된 133 개사구중제주 도총 12 개지역에서비교적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협재, 신양 ( 섭지코지 ), 사계지 역을대상으로해안사구조사를실시하였다. Ⅱ. 퇴적물분석 33

35 조사대상지역인섭지코지지역은화산섬이육계사주에의해제주도와연결된육계도로대부분육지부에서모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고, 육계사주북쪽의사빈에서연안류를따라주로공급되는것으로사료된다. 현지조사는 1:25,000, 1:5,000지형도와 1:5,000수치지도를이용하였으며, 퇴적물의입도, 비중,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P 2 O 5 ) 함량, 치환성칼륨 (K 2 O) 함량등 3회에걸쳐조사를하였다. 제주도는대부분이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개발에따른효율적인관리방안및보전대책이시급히이루어져야할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는폭 0.8km, 길이 1.0km의섭지코지언덕이다 ( 그림 1). 성산일출봉과마찬가지로섭지코지도원래는화산섬이었으나육계사주에의하여제주도와연결된육계도이다. 섭지코지의육계사주를따라북쪽해안에는사빈이발달하고서쪽으로는신양리해수욕장이위치한다. 조사지역에는바다로흘러드는하천이없고, 조사지역에분포하는모래는대부분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어서, 사구를형성한모래는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탁월풍에의하여재분배된것으로보인다. 3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36 그림 1. 섭지코지사구의지형개관 본조사지역의사빈은북쪽의성산일출봉으로부터이어지는해빈과신양리해수욕장에서이어지는해빈으로구성된다. 조사지역의사구는육계사주에서섭지코지로연결되어화산지대를피복하고있다. 사구는대부분식생들로피복되어있으며말방목지와밭으로이용되고있다. 섭지코지중앙부의도로주변에노출된노두에서는사구퇴적층사이에현무암층이협재 ( 狹在 ) 하여나타난다. 이것은고사구가형성된이후기생화산이분화하여용암이고사구를피복하였고, 이후다시사구퇴적층이쌓인것으로추정된다. 최근에는드라마촬영지로알려져많은관광객들이찾고있어관광시설건축으로인한사구의파괴가우려되는곳이다. Ⅱ. 퇴적물분석 35

37 사진 1. 육계사주북쪽의사빈 사진 2. 섭지코지동쪽해안 사진 3. 섭지코지사구내방목지 사진 4. 신양리해수욕장의사빈 사진 5. 사구퇴적층내협재하는현무암층 사진 6. 섭지코지사구지형전경 3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38 3. 조사방법 가. 표품채취방법본조사지역의사빈은육계사주에서이어져섭지코지를피복하며사구군을형성하였다. 본조사에서는신양리해수욕장의동남단에서남동쪽으로약 50m 간격을두고 3 개지점 (A, B, C) 을선정하였다. 각지점에서는파랑의영향을받는해빈에서부터배후의사구군의기복을고려하여각횡단면마다 4-7개의 site를정하고, 해빈에서부터아라비아숫자를붙여표시하였다. 그리고각 site에서표품을 300~500g 정도채취하였다. 그림 2. 섭지코지사구의퇴적물표품채취지점 나. 입도분석퇴적물표품에서 100~300g을취하여 1000ml의비커에담았다. 퇴적물내의수분을제거하기위해오븐을이용하여 105 에서 8시간동안건조시킨후퇴적물의무게를측정하였으며, 유기물을제거하기위하여다시비커에담은후과산화수소 (H 2 O 2 ) 로거 Ⅱ. 퇴적물분석 37

39 품이나지않을때까지처리하였다. 유기물을제거한퇴적물은 dry oven 에서건조시킨후 5분간진탕하여 1φ 간격으로중량을측정하였다. 그리고각입도의중량비자료를가지고모멘트법에따라평균입경과분급도, 왜도, 첨도등의매개변수를계산하였다 (f는각입도의중량비, m은 φ -scale로측정한각입도의중앙값 ). 평균입경 M φ = fm 분급 σ φ = f(m-m φ ) 2 왜도 sk φ = f(m-m φ ) 3 /σ φ 3 첨도 kur φ = f(m-m φ ) 4 /σ φ 4 다. 비중 200ml비커의무게를측정한후, 비커에퇴적물 50cc를넣고전체무게를측정한다. 퇴적물의중량은전체무게에서비커의무게를뺀값으로측정한다. 그리고비중은다음식으로계산한다. 비중 = ( 퇴적물의중량 )/( 퇴적물의부피 ) 라. 유기물함량토양내의유기물은동 식물의잔해가미생물에의해분해된교질상의부식을말한다. 토양유기물은적은양이라도양이온치환용량의 50% 이상을차지하며토양의생물학적, 이화학적성질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이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다시 OM-2 시약 3.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 10분간반응시킨다. 10분후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유기물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유기물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시료 0.2g을칭량하여 40ml이상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ml을넣고가볍게흔들어준다. 다시 OM-2 시약 3ml을넣고가볍게흔든후 10분동안반응시킨다. 다시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충분히혼합한다음여과한용액을분석기에서분석한다. 3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40 마. 유효인산 (P 2 O 5 ) 함량유효인산이란토양속에서식물이바로이용할수있는형태의인산을말한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5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1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 P-1 시약 6방울을첨가하여흔들어준다. 그리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인산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유효인산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인산침출액 20ml을첨가하고 100rpm으로 10분간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0.5ml을시험관에넣고증류수 15ml을넣은후가볍게흔들어혼합한다. P-1 시약 6방울을첨가한후혼합하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바. 치환성칼륨 (K 2 O) 함량토양내의칼륨은용해성과가동성이매우다양하다. 칼륨의존재형태와유효성및함량은토양생성에관여하는모든인자들및토양생성조건과밀접히관련되어있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 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1.0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K-1 시약 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서혼합한후 K-2 시약 7방울을넣어혼합하고마지막으로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칼륨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륨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륨침출액 20ml를넣은후진탕기로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1ml를시험관에넣은후 K-1 시약 5ml를넣어혼합하고 K-2 시약 7방울을넣은후혼합한다. 그리고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로 10 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Ⅱ. 퇴적물분석 39

41 사. 치환성칼슘 (CaO) 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5ml를넣고혼합한다음 Ca-1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혼합하고, Ca-2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칼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슘 마그네슘침출액 20ml를첨가한후진탕기를이용하여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다음여과한다. 여과액 0.2ml를시험관에넣고증류수 5 ml를첨가하여혼합한다. Ca-1 시약 5ml를넣고혼합하며 Ca-2 시약 5ml를첨가하고시험관혼합기로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아. 치환성마그네슘 (MgO) 함량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마그네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마그네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칼슘을측정하고남은여과액 0.2 ml를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자. 양이온치환용량 (CEC) 양이온치환용량이란일정량의토양이가지는치환성음이온의총량이다. CEC는토양의전체적인특성을나타내는중요한지표로서, 이값이클수록양분보유능이커지고토양의완충능이커진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넣고분석기의 CEC 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 CEC를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플라스크에넣는다. CEC 포화액 20ml를첨가한다음 100rpm으로 10분동안진탕하고여과하여분석기로측정한다. 4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42 4. 결과및고찰 가. 입도분석퇴적물의평균입경은퇴적이진행된방향으로점차작아지는경향이있다. 본조사지역에서평균입경은 φ 정도로해안사구의모래로는비교적굵은편에속한다 ( 표 1). 이것은사구사대부분이비교적비중이작은패사 ( 貝砂 ) 이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본조사지역에서는 3개횡단면을따라각 4-7개지점을조사하였다. 그결과대체로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평균입경이작아지는경향을보인다 (A단면 : φ, B단면 : φ, C단면 : φ). 이것은사구사가하나의기원에서공급되고있음을나타내는데, 섭지코지사구의경우에는육계사주북쪽의사빈에서주로공급되는것으로사료된다 평균입경 A B C 측정지점 그림 3. 각횡단면별평균입경분포 Ⅱ. 퇴적물분석 41

43 표 1. 섭지코지사구퇴적물의분석결과 평균분급왜도첨도비중인산 CEC 칼륨유기물량칼슘마그입경네슘 A A A A A A A B B B B B B C C C C 분급도 (sorting) 는 로 moderately sorted 수준으로사구사의공급이그렇게안정되지못하다는사실을반영한다. 왜도 (skewness) 는 A, B, C의횡단면에서일정한경향이나타나지않는다. A와 B 단면에서는해안에서내륙으로증가하다가다시감소하며, C 단면에서는점차작아지는경향이있다. 첨도는 의범위를나타낸다. 분급 측정지점 A B C 그림 4. 각횡단면별분급도의분포 4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44 왜도 A B C 측정지점 그림 5. 각횡단면별왜도의분포 첨도 A B C 측정지점 그림 6. 각횡단면별첨도의분포 나. 비중퇴적물의비중은입자들의광물조성에따라결정된다. 본조사지역에분포하는퇴적물의비중은 의범위로써화강암질의평균비중에미치지못한다. 이것은사빈의퇴적물에가벼운패사들이많이함유되어있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Ⅱ. 퇴적물분석 43

45 비중 A B C 측정지점 그림 7. 각횡단면별퇴적물의비중 다. CEC와유기물량유기물은미생물의분해작용으로무기화되어식물의양분으로분해이용되고, 난분해성물질은부식으로변하여토양교질물을구성한다. 그래서토양유기물은토양의성질개량이나식물생육을돕는다. 조사지역의유기물함량은 % 를나타낸다. A 단면에서는중앙부분에서유기물함량이높게나타나는반면, B와 C의횡단면상에서는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한다. 또한조사지역내의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의범위를나타낸다. A 횡단면에서는중앙부분에서높고, B와 C의횡단면에서는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는데, 이것은유기물함량이높을수록 CEC의값이크다는것을반영한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그림 8. 각횡단면별유기물의함량비 4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46 CEC A B C 측정지점 그림 9. 각횡단면별 CEC 의분포 라. 유효인산, 치환성칼륨, 치환성칼슘, 치환성마그네슘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유효인산농도 ( mg / kg ) 의분포는대체로불규칙하게나타난다. A와 B의횡단면에서는중앙부분이높게나타나지만, C의횡단면에서는해안에서내륙으로약간높아지는경향이있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그림 10. 각횡단면별유효인산의분포 식물에서칼륨이영향을미치는주요기능은분열조직의생장이다. 칼륨은수분상태를조절하여세포의성장에매우중요하다. 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륨의농도는 cmol/ kg의범위를보인다. 칼슘과마그네슘은산성토양을개량하고미량원소를조절하며, 유해원소의독을해소하는기능을한다. 각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슘의농도는 cmol/ kg, 마그네슘의농도는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Ⅱ. 퇴적물분석 45

47 농도 측정지점 A B C 그림 11. 각횡단면별치환성칼륨의분포 농도 측정지점 A B C 그림 12. 각횡단면별치환성칼슘의분포 농도 측정지점 A B C 그림 13. 각횡단면별치환성마그네슘의분포 4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48 표 2. 신양리사구퇴적물의입경분포 -1φ 이상 -1~0φ 0~1φ 1~2φ 2~3φ 3~4φ 4φ 이하 총중량 A-1 (0.1052) (1.1800) ( ) ( ) ( ) (0.4074) (1.7695) (100.0) A (0.3743) (1.0240) ( ) ( ) ( ) (2.6761) (4.9900) (100.0) A-3 (0.0000) (1.4762) ( ) ( ) ( ) (3.9432) (5.7810) (100.0) A-4 (0.0875) (0.9169) ( ) ( ) ( ) (1.9607) (2.5241) (100.0) A (0.3147) (0.5307) (5.4298) ( ) ( ) (1.5541) ( ) (100.0) A-6 (0.0000) (1.5784) ( ) ( ) ( ) (1.8465) (2.3344) (100.0) A-7 (0.0155) (0.9454) ( ) ( ) ( ) (0.7193) (0.5732) (100.0) B (0.2483) (1.3452) ( ) ( ) ( ) (1.7111) (0.7503) (100.0) B-2 (0.3714) (3.7042) ( ) ( ) (6.3517) (0.3074) (0.2820) (100.0) B-3 (0.3550) (0.6184) (8.7012) ( ) ( ) (4.1270) (1.3122) (100.0) B (0.1626) (1.9335) ( ) ( ) ( ) (1.7008) (3.3384) (100.0) B-5 (0.0039) (0.3659) ( ) ( ) ( ) (0.6500) (3.5998) (100.0) B-6 (0.4763) (1.0279) (8.5890) ( ) ( ) (2.3795) (2.3228) (100.0) C ( ) (9.5339) ( ) ( ) (8.6473) (0.8513) (0.6030) (100.0) C-2 (0.0291) (0.4587) ( ) ( ) ( ) (1.0481) (1.8022) (100.0) C-3 (0.0000) (0.6105) (9.4266) ( ) ( ) (0.2095) (0.5349) (100.0) C (0.0936) (0.2713) (5.9923) ( ) ( ) (0.3905) (0.8906) (100.0) 참고문헌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박사학 위논문. Ⅱ. 퇴적물분석 47

49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해안사구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태흥, 1993, 제주도연안해빈과사구에관한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환경부, 2001,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한국해양연구원. 4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50 Ⅲ. 식생 유영한 송민섭국립환경연구원생태조사단 요 약 섭지코지의식생분포는곰솔군락이분포하는남서부와잔디군락이우점하는남동부, 밭경작지로활용되는북부와보리수나무군락이소규모로있는중앙부로크게나눌수있다. 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는목본성식물군락은곰솔군락이었고, 보리수나무군락이그다음으로높았다. 특히사구서부의곰솔군락은해안보안림으로서해풍의영향을크게감소시키는것으로보이며, 그군락안하층에는까마귀쪽나무등의상록활엽수의어린나무가많아앞으로난대상록수림으로의천이가예상된다. 이러한곰솔군락은해안보안림으로서의가치가크므로이를살리고다른지역의해안림건설을위한모델로연구할가치가있다고판단된다. 초본식생은잔디군락이우점하는가운데 15개의다양한초본식생과 3개의유형이출현하여매우다양한식생이출현하였다. 이러한다양한식생은섭지코지의지형과말의방목에의한초식작용, 경작행위등의인위적인간섭, 바닷바람과사질토양등의다양한환경요인과또한이들간의상호작용에의하여형성된것으로판단된다. 또한이지역해안가의바위지대에는제주도와다른해안가에서는보기힘든고유한염생식물군락이분포하고있어보전대책이요망된다. 1. 서론 해안사구는모암의풍화에의하여형성된모래에의해만들어지거나, 해류나하천의 흐름에의해모래가만조선근처로운반되고다시해풍에의해육지로이동하여퇴적 된곳이다. 해안사구의특성은다양한환경요인 - 모래의공급량, 모래입자의크기분 Ⅲ. 식생 49

51 포, 탁월풍의풍속및풍향, 식생, 주위의지형, 기후및이들간의상호작용등-에의하여결정된다 (Grootjans et al. 1998, Short and Hesp 1982). 사구안에서도작은규모의다양한지형유형이나타나고, 각지형에미치는자연적인교란과인위적인간섭의종류와정도에따라다양한생물상과식생이분포한다. 이렇게형성된해안사구는육지와바다간의퇴적과침식을조절하여해안선을보호하고, 해안의동식물에게서식처를제공하고, 모래에의한정화능이높아물질순환에중요하고, 해안가의중요한식수원저장지이며, 독특하고아름다운경관지를만드는곳이다 ( 태안군 2004, Beck et al. 2003, Psuty 1988, Wilson and Gitay 1995). 특히해안사구에있는식생은바람과해일등의피해를막아주거나완화시켜인명, 마을과구조물을보호한다는점에서해안보전림으로서그중요성이날로부각되고있다. 최근우리나라의해안사구는대부분이해수욕장등으로이용되고있고, 일부남아있는사구도다양한목적으로개발되어원래의모습을잃어가고있다 ( 환경부 2001). 모래채취, 골재채취, 위락시설, 농경지로의이용, 해안도로건설, 제방공사, 관광시설물입주등은사구의자연성을심각하게훼손시켜복원조차힘든실정이다. 이러한해안사구의훼손은육상과해안의퇴적물교류를방해하고전이지대의고유한식생과생물종을사라지게하며, 해안경관의질을떨어뜨리고, 나아가해일과같은재해로부터인명과재산을보호할수없게된다. 본조사는해안사구내에생육하고있는식생현황을파악하여사구보존에대한기초자료를얻는데목적이있다. 특히사구지역의해안목본식생 ( 해안림 ) 은최근범세계적으로발생하고있는해안침식과해수범람에의한인명피해와재산피해를막을수있는있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섭지코지는행정구역으로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고성리에있다. 남부의일부가신 양해수욕장으로이용되고있으며, 본제주도와좁은길목으로연결된삼각형모양의 섬과같다. 섭지코지의인근마을인동동의북동쪽에는길게좁은띠의사구가분포하 5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52 고있다. 섭지코지의남쪽에는해안선을중심으로순비기나무등의사구식생이분포하고, 해안도로의안쪽에는제주윈드서핑훈련장이있으며, 그주변에곰솔군락이넓게분포하였다. 전지역이사구지역으로판단되나남부는모래가노출되어있으나북부와동부는절벽의해안으로이루어져사구의형태를파악하기어렵다. 섭지코지의동부에는건물공사와많은관광객의방문으로인하여, 중앙부에는횡단도로와공사장에드나드는차량으로인하여사구식생이심하게훼손되어있는상태이다. 해안선을따라포장도로 (1차선 ) 가동부를제외하고는나있고, 북부에는밭경작지가넓게분포하고, 남부와남동부에는말의방목이성행하고있다. 이곳식생의특이할말한점은고유한사구식물이해안도로의안쪽보다바닷가에접한바위해안에도많이분포하고있다는점이다. 해안선을따라나타나는사빈은남서부에국한되어있고, 섭지코지인근의 100주년기념탑의주변동쪽에분포되고있다. 그러나섭지코지의전지역이모래로되어있어다양한사구초본식생이출현하고있다. 섭지코지의식생은해안중동쪽과북쪽해안은바위로이루어져있고바위틈사이에일부식물군락이출현하였다. 또한선돌바위와섭지코지에는암벽이발달하여사초과의식생이우세하였다. 해안도로의안쪽의식생은오랫동안말의방목에의하여식생이심하게훼손되어있고, 말에의하여선택적으로살아남은보리수나무군락과청가시덩굴, 잔디군락이주차장주변에나타났고, 섬의북쪽은경작의행위로일년생초본군락이우점하였다. 또한봉수대주변에는건물공사를하여경관이대부분훼손되어있다. 3. 조사방법 식생조사는 2005년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총 10일간에걸쳐조사하였다. 전지역을답사하면서우점종에따라군락의경계를정하고, 이를 1/5,000 지형도에표기하였다. 그리고각군락에서비교적균일한식분을선정하고식생의구조를파악하였다. 해안선에서내륙으로부터의거리에따른사구식생분포의경향을보기위하여하조대에서부터내륙을향하여해안도로까지 (18m), 해안도로이후부터중앙부까지 (100m), Ⅲ. 식생 51

53 총 2개의대상방형구 (belt transect) 를설치하고 ( 그림 1,2), 1m 간격으로하여그안에서출현하는식물종류와각종의피도값을 Braun-branquet 척도 ( 김등 1978, 표 1) 로환산하여기록하였다. 소방형구내식물군락의이름은우점종의이름을따서정하였다. 목본식생중떨기나무인보리수나무군락은 5 x 5m, 아목층까지자란곰솔숲은 10 10m 방형구를사용하였다. 각방형구내에서각층별로구분하여전체피도와높이를목측으로정하고각층에서구성종의피도를기입하였다 해발고 (m)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1. 대상방형구를설치한해안선으로부터해안도로간의해발고의변화 해발고 (m)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2. 대상방형구를설치한해안도로부터중앙부간의해발고의변화 5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54 표 1. 피도계급 (Bran-Branquet, 김준민등 1978) 피도계급 피도 % 평균피도백분율 5 75 ~ ~ ~ ~ ~ 결과및고찰 가. 목본식생섭지코지의식생은목본식물이우점하는식생과초본식생이우점하는식생으로구분된다. 목본식물군락은북동부언덕부에분포하는보리수나무군락 ( 부록표 1) 과극히일부에출현하는쥐똥나무군락 ( 부록표 2), 남서부에폭넓게분포하는곰솔군락이었다 ( 부록표 3). 보리수나무군락 ( 부록표 1) 은이지역에서재생과성장, 고사가반복되어유지되는전형적인사구식생으로판단된다. 반면곰솔군락은조림에서기원된것으로판단되나현재각층위의발달이고루분포하고, 하층에서는후박나무나, 까마귀쪽나무등의상록활엽수어린식물이많이관찰되어상록활엽수림의천이가예상된다 ( 그림 3). 즉상층부는상록침엽수가우점하고하층부는상록활엽수가우점하는특이식생형을보여주고있다. 이러한독특한군락구조양상은온도대로볼때이지역이잠재적으로난대상록수림지역이나해풍에의하여곰솔군락이입지적으로유지되고있기때문으로판단된다. 하층상록활엽수림의어린나무가생장하면서활력도가강해져곰솔과같이아교목층까지자랄것으로예상된다. 이로인해곰솔군락은수관이더밀폐되고, 층위발달이이루어져바람을보다더잘막을수있을것이다. 따라서이지역의곰솔군락의군락구조와종조성을모방하여남부지방의해안림의조성및보전에적용할수있는중요한식생이라판단된다. Ⅲ. 식생 53

55 곰솔군락의흉고급분포 80 빈도 ( 갯수 /100m 2 ) 곰솔까마귀쪽나무후박나무참식나무 10 0 > 흉고직경급분포 (cm) 그림 3. 곰솔군락의상록활엽수로의천이예측. 나. 초본식생 1) 하조대에서해안도로간식생하조대에서해안도로까지의식물군락은 5개-순비기나무군락 (3개방형구), 갯까치수영군락 (1개방형구), 갯강활군락 (1개방형구), 참으아리군락 (1개방형구), 순비기나무-참으아리군락 (1개방형구 )-가출현하였다. 이들군락의우점종은전형적인염습지식물인동시에해안사구식물이다. 각식물군락의거리에따른특성을전체적으로보면다음과같다. 전체소방형구 9개중에서 2개는바위가노출되어있어식물이정착되어있지않았고, 식생이출현한곳은 7개방형구이었다. 그중피도는평균 30% 이었고, 바닷물의영향을직접적으로받는하조대가가장낮았고 ( 그림 4), 식생고는하조대에서가장높고점차낮아졌고 ( 그림 5), 종다양성값은 4-6종이었고, 내륙에서가장급격히증가하였다 ( 그림 6). 이지역에서출현하는대표적인사구식물 4종의피도변화를보면염생식물에속하는갯강활, 갯까치수영은하조대에서가까운 6m 까지높게나타났다가그후에감소하였고, 순비기나무는내륙에접근할수록증가하였고, 도깨비고비는일정하게나타났다 ( 그림 7-10). 5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56 피도 (%) y = x x x R 2 =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4.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식생피도의변화 y = x x x R 2 = 식생고 (cm)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5.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식생고의변화. 다양성값 ( 종수 ) y = x x x R 2 =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6.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다양성값의변화. Ⅲ. 식생 55

57 피도척도 3.5 갯강활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7. 갯강활의해안으로부터내륙에따른피도의변화 피도척도 순비기나무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8. 순비기나무의해안으로부터내륙에따른피도의변화 피도척도 갯까치수영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9. 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식생고의변화. 5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58 2.5 도깨비고비 2 피도척도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10. 도깨비고비의해안으로부터내륙에따른피도의변화 2) 해안도로에서중앙부간식생총 50개의방형구중잔디군락이 25개방형구에서, 띠군락이 7개방형구에서, 맥문동군락이 4개방형구에서, 무릇군락이 4개방형구에서, 순비기나무군락이 2개방형구에서, 개자리군락, 띠-잔디군락, 사철쑥군락, 순비기나무-맥문동군락, 순비기나무-띠군락, 억새군락이각각 1개방형구에서우점함으로써총 9개의식물군락이출현하였고, 잔디식생이우점하였다. 이러한식생의유형은사구지형과해안지형의특징에의하여결정되는물리적요인외에말의방목에의하여유지되는식생으로판단된다. 특히키가작은잔디군락이우점하는것은지속적인말의방목에의하여키가큰초본식생이섭식되고낮은식생만이선택적으로유지되기때문으로판단된다. 순비기나무군락의초고도키가 50cm이내로낮은것도방목에의하여답압의영향으로판단된다. 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를향한피도값은대부분이 100% 로일치하였다. 일부피도값이낮은곳은인위적교란으로인하여흙이쓸려져나간곳이다 ( 그림 11). 식생고는잔디군락이 5cm로가장낮았고, 쥐동나무-순비기나무군락이 50-70cm 로높았고, 내륙으로들어옴에따라다소높았으나통계적인유의성은없었다 ( 그림 12). 다양성값은거리에따라매우다양하게변화하였는데 ( 그림 13), 잔디군락에서 1종으로가장낮았고, 잔디와띠군락에서 10종으로가장높았다. 이지역에서출현하는대표적인사구식물 5종의피도변화를보면염생식물이며떨기나무층에속하는순비기나무가거의모든소방형구에서출현하였고 ( 그림 14), 키가 Ⅲ. 식생 57

59 작은잔디가전방형구에서매우높은피도로출현하였고 ( 그림 15), 작은키의띠 ( 그림 16) 와가시가있어말의섭식이어려운용가시덩굴 ( 그림 17) 도 70% 이상의높은출현율을나타냈다. 이와같이이러한식생의높이와피도의특성은이지역이말의방목에영향을받아서이루어진독특한식생으로판단된다. 이들지역에서말의방목이변하면이들식생도키가큰식생으로천이가일어날것으로판단된다 y = x R 2 = 피도 (%)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1. 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식생피도의변화. 식생고 (cm y = 0.213x R 2 =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2. 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식생고의변화. 5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60 12 10 y = x R 2 = 다양성값 ( 종수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3. 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다양성값의변화. 5 순비기나무 4 피도척도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4. 순비기나무의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피도의변화. 피도척도 잔디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5. 잔디의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피도의변화. Ⅲ. 식생 59

61 피도척도 4.5 띠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6. 띠의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피도의변화. 피도척도 용가시덩굴 해안도로로부터거리 (m) 그림 17. 용가시덩굴의해안도로로부터중앙부에따른피도의변화. 참고문헌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역 식생조사법. 일신사. 태안군 신두사구보전및활용방안. 환경부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Beck, M.W., K.L. Heck, K.W. Able, D.L. Childers, D.B. Eggleston, B.M. Gillanders, B.S. Halpern, C.G. Hays, K. Hoshino, T.J. Minello, R.J. Orth, P.F. Sheridan, 6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62 and M.P. Weinstein The role of nearshore ecosystems as fish and shellfish nurseries. Issues in Ecology 11:1-12. Grootjans, A.P, W.H.O Ernst and P.J. Studyfzand European dune slacks: strong interactions of biology, pedogenesis and hydrology. Tree 13(3): Psuty, N.P Sediment budget and dune/beach interaction. J. Coast. Res. Special Issue 3:1-4. Short, A.D. and P. Hesp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Wilson,J.B. and Gitay, H Community structure and assembly rules in a dune slack: Variance in richness, guild proportionality, biomass constancy and dominance/diversity relations, Vegetatio 116: Ⅲ. 식생 61

63 부록표 1. 섭지코지의보리수나무식물군락의식생구조 조사일시 : 2005 년 8 월 21 일 식생조사표 NO. 조사지 : 섭지코지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 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20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5m 5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아교목층 (2-8m) 관목층 (1-2m) 보리수나무 초본층 ( < 1m) 억새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관목층 초본층 보리수나무 4.4 억새 2.2 인동덩굴 1.1 청가시덩굴 1.1 찔레꽃 1.1 계요등 1.1 미나리아재비과 sp + 까마귀쪽나무 + 6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64 부록표 2. 섭지코지의쥐똥나무식물군락의식생구조 조사일시 : 2005 년 8 월 21 일 식생조사표 NO. 조사지 : 섭지코지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15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5m 5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아교목층 (2-8m) 관목층 (1-2m) 쥐똥나무 초본층 ( < 1m) 청가시덩굴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관목층 초본층 쥐똥나무 5.5 청가시덩굴 1.1 개머루 1.1 억새 + 실망초 + 무릇 + 으아리 + 보리수나무 + 모시풀 + 찔레꽃 + + * C 는피도, S 는군도 Ⅲ. 식생 63

65 부록표 3. 섭지코지의곰솔군락의식생구조 식생조사표 조사일시 : 2005 년 8 월 12 일 NO. 조사지 : 섭지코지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5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아교목층 (2-8m) 곰솔 6 80 관목층 (1-2m) 까마귀쪽나무 초본층 ( < 1m) 송악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4.4 까마귀쪽나무 3.3 송악 4.4 후박나무 + 그늘사초 1.2 쥐똥나무 + 새 1.2 보리수나무 + 까마귀쪽나무 1.1 댕댕이덩굴 주름조개풀 1.1 순비기나무 청가시덩굴 + 예덕나무 계요등 + 후박나무 + 용가시덩굴 + 사철나무 + 곰취 + * C 는피도, S 는군도 6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66 사진및설명 사진 1. 순비기나무군락 사진 2. 갯금불초군락 사진 3. 통보리사초 사진 4. 애기달맞이꽃 Ⅲ. 식생 65

67 Ⅳ. 식물상 이남숙 김진옥 ( 이화여자대학교생명과학과 ) 요 약 2004년 3월 26일부터동년 10월 2일까지섭지코지에분포하는관속식물상을조사하였으며, 그중해변식물의종류및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의분포여부등을파악하였다. 그결과 60과 175속 250종류의관속식물분포가조사되었으며, 이중해변식물은 43종류이었다. 한편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41종류가분포하였으며, 이들의평가점수는 178점이었다. 정밀생태조사가필요한 V등급과 IV 등급종중에서 V등급종은출현하지않았으며 IV등급은 7종류 ( 돌토끼고사리, 갯강활, 개머위, 제주진득찰, 갯금불초, 청피사초, 문주란 ) 가분포하였다. III 등급종은 10종류 ( 까마귀쪽나무, 제주아그배나무, 꽝꽝나무, 병풀, 아욱메풀, 덩굴박주가리, 갯지치, 털머위, 갯겨이삭, 갯보리사초 ) 가조사되었으며 II등급은출현하지않았고, I 등급종은쇠고비등 27종류가조사되었다. 1. 서론 사구는일반적으로바람에의하여이동된모래가퇴적하여형성된언덕이나둑모양의지형으로서모래의공급이충분하며강한바람이부는곳에형성된곳으로서, 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자연적인방파제역할을하며지하수의저장고로물의정화능력도탁월하여, 희귀동식물의서식지역할을하는중요한생태계이다. 그러나최근빈번하게나타나는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훼손되어사라질위험에놓여있다. 섭지코지도사구의일부가유채경작지또는목초지로개간되어있으며, 최근제주도동부권의인기관광지로더욱각광을받고있어서인간의간섭이심해지고있다. 본조사는제 1차전국해안사구조사사업에따라수행되는해안사구식물상에대한 Ⅳ. 식물상 67

68 정밀자료를확보하여, 추후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사구생태계의보존을위한근거와방안을수립하기위한기초자료를축적하고자하는데그목적이있다. 따라서본조사대상지인섭지사구에분포하는염생식물을포함한관속식물상을밝히고,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의분포여부를파악하고자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항 섭지코지는제주도의성산포와가까운남동부해안에위치하여행정구역상제주도 남제주군성산읍성산리에속하며, 북위 ~ , 동경 ~ 사이에위치하고규모는 0.8 Km 1.0 Km 이다. 그림 1. 섭지코지일대의개략도 6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69 3. 조사방법 가. 조사일정본조사는 2004년 3월 26일부터동년 10월 2일까지 7회 10일 (3월 26일, 4월 21일, 5 월 20-21일, 6월 18일, 7월 21-22일, 8월 29일, 10월 1, 2일 ) 에걸쳐섭지에분포하는관속식물을대상으로수행되었다 ( 그림 1. 섭지일대의개략도 ). 이때조사지는 GPS로위치와고도를바탕으로우점종및주요식물이분포하는지역을확인하였다. 나. 표본제작및동정 본조사에서채집된관속식물은석엽표본으로제작한후여러문헌 ( 이,1980; 이,1996; 오,1984; Lee,1993; 박,1995; 이,1997; Satake et al.,1981) 을참조하여동정하였다. 다. 식물상목록작성동정된표본을토대로소산식물목록을작성하였으며, 피자식물의경우계통적유연관계를고려하여쌍자엽식물다음에단자엽식물의순서로배열하였고, 과의배열은 Engler 의분류체계를따랐으나속이하의계층구조는알파벳순으로배열하였다. 섭지사구식물중염생식물을포함한해변식물은이 (1980) 와이 (1996) 의도감에해변, 해안가등에분포하는것으로기재된종류로판단하여목록에별표로표시하였다. 또한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Anonymous, 2001b) 은표로작성하여등급을표시하였다. 4. 결과및고찰 섭지코지에분포하는관속식물은총 60과 175속에속하는 250종류로조사되었으며, 이들중양치식물은 2과 3속 4종류, 나자식물은소나무과의 1과 1속 2종류, 피자식물은 244종류가분포하였다. 피자식물중쌍자엽식물은 50과 137속에속하는 194종류이었으며, 단자엽식물은 7과 34속 50종류이었다 ( 표 1, 3). 한편과 (family) 수준에서가장많은종류가출현한분류군의순서는갯쑥부쟁이등이포함된국화과 (Compositae) 식물 Ⅳ. 식물상 69

70 36종류, 갯쇠보리등이속하는벼과 (Gramineae) 식물 26종류, 갯완두등이속하는콩과 (Leguminosae) 식물 17종류, 천문동등이속하는백합과 (Liliaceae) 12종류순이었다. 그리고속 (genus) 수준에서가장많은종류의식물이출현한분류군은마디풀과 (Polygonaceae) 의개여뀌속 (Persicaria) 과콩과의나비나물속 (Vicia) 으로각각 6종류와 5종류가조사되었다. 조사된식물중염생식물을포함한해변식물은 43종류이었으며, 환경부가지정한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Anonymous, 2001b) 은 44종으로평가점수는 170점이었다 ( 표 2, 4). 표 1. 섭지사구에분포하는관속식물의분류군별종류수과 속 종류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쌍자엽식물 단자엽식물 합계 섭지코지의초입인주차장주변 (site I, N E ) 식물로는 U자해변을따라갯쇠보리, 갯쑥부쟁이, 순비기나무, 갯메꽃, 갯방동산이, 암대극, 갯방풍, 모래사초, 갯잔디, 수송나물, 갯질경이, 갯씀바귀등의해변식물들이자라고있었고, 특히순비기나무의군락이우점종으로관찰되었다. 아울러쥐꼬리망초, 돌가시나무, 개머루, 괭이밥, 박주가리, 띠, 개맥문동, 무릇, 나도개피, 억새, 강아지풀, 바랭이등이자라고있었다. 섭지의남쪽주차장에서서쪽방향길가부근의언덕 (site II, N E m) 에쇠고비, 별고사리, 멍석딸기, 깨풀, 이질풀, 순비기나무, 갯쥐똥나무, 인동덩굴, 수영, 갈퀴꼭두서니, 기름나물, 사상자, 큰꽃으아리, 왕모시풀, 감국, 조뱅이, 갯금불초, 갯쑥부쟁이, 쑥, 금강아지풀, 수크령, 청피사초, 무릇, 청가시덩굴등이관찰되었다. 섭지코지의남서쪽언덕 (site III, N E m) 을따라해송이군데군데군락을이루었고, 기부에순비기나무, 사철쑥, 억새, 무 7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71 릇바랭이, 개여뀌등이있으며특히, 도꼬마리, 도깨비바늘, 다닥냉이, 실망초, 망초등의귀화식물이분포하고있었다. 섭지의중앙의서쪽에서동남쪽으로향한소로입구 (site IV, N E m) 에해송, 방크스소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수나무, 까마귀쪽나무등이군락을지어섭지중가장많은목본식물이분포하였다. 그하층에는영도산박하, 꿩의밥, 사철쑥, 개망초뿐아니라순비기나무, 갯쑥부쟁이, 갯씀바귀, 황금 ( 보라색꽃, 흰색꽃 ) 등해안식물등이분포하고있으며, 특히황금군락속에는흰색꽃의개체들이섞여분포하였다. 섭지의서쪽해안에서동남쪽으로길을따라 (site V, N E m) 드물게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개구리발톱, 번행초, 까마귀밥여름나무, 돌가시나무, 인동덩굴, 산달래, 가는살갈퀴, 등갈퀴나물, 냉이, 꽃다지, 선개불알풀, 달맞이꽃이산재하여분포하고있었다. 이길의북동쪽소로와만나는지점부근 (site VI, N E m) 에해송이드물게 7-8 개체씩모여나며, 보리수나무군락이있으며찔레나무, 박주가리, 개머루, 까마귀머루, 왕머루, 댕댕이덩굴, 계요등, 솔새, 거지덩굴, 억새등이분포하였다. 섭지내에서가장높은언덕 (site VI, N E m) 에는억새가군락을이루었다. 아래로동쪽을따라낮은지역에는많은부위가유채경작지로이용되고있었다. 경작지를따라바랭이, 미나리아재비, 칡, 사철나무, 실망초, 닭의장풀, 환삼덩굴, 개여뀌, 소리쟁이, 쑥, 무릇, 쥐손이풀, 까마귀쪽나무, 종가시나무, 가막살나무, 꽝꽝나무등의식물들이밭주변에분포하고있었다. 밭에서서북쪽으로바닷가를향한길을따라 (site VII, N E m) 보리밥나무, 갯쥐똥나무, 둥근잎다정큼나무, 제주아그배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개싸리, 후박나무, 꾸지뽕나무등이분포하고있었으며, 북동쪽해안가에는말을방목하는목초지주변에드물게해송이자라고있다. 성산포와마주한섭지사구의동북해안가바위 (site VIII) 에갯까치수영, 갯금불초, 갯개미자리, 갯강활, 갯기름나물, 염주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갯완두, 갯무 ( 보라색꽃, 흰색꽃 ), 암대극, 갯메꽃, 모래지치, 갯지치, 갯쑥부쟁이, 갯질경이등이해변식물이분포하고있었다. Ⅳ. 식물상 71

72 성산포와마주한섭지의동북해안에서동쪽으로향하는도로변 (site XI) 에는털머위, 쇠고비, 도깨비고비, 민돌잔고사리, 해국등이관찰되었다. 동쪽에서남단을향한길가를따라개망초, 망초, 지칭개, 금떡쑥, 엉겅퀴, 감국, 갯쑥부쟁이, 민들레, 갯쇠보리, 억새, 금강아지풀, 수크렁, 갯꾸러미풀, 우산잔디, 닭의장풀, 번행초, 명아주여뀌, 술패랭이꽃과으아리등이자라고있다. 선돌바위와봉수대사이의절벽과해안가 (site X) 에는갯사초와털머위의군락이특이할만한하였고, 그외에감국, 해국, 수강아지풀, 갯강활, 갯방풍, 왕모시풀등이분포하고있었다. 봉수대남단과주차장부근의해안가 (site XI) 에도북단해변가에분포하는갯메꽃, 갯까치수영, 갯쑥부쟁이, 갯강활, 갯완두, 갯괴불주머니, 갯무, 암대극, 갯질경이등의해변식물이자라고있으나개체수가북단지역에비해적었다. 주차장및매점부근에문주란이재식되어있었다. 관광지로개발된이지역에는승마장과올인기념관이세워지고많은관광객으로인해쓰레기가곳곳에보여지는등자연훼손이심해지고있었다. 그림 2. 섭지코지 siteⅧ 의식생 7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73 표 2. 평가단위별등급별특정식물종수및평가 평가단위등급구분 Ⅳ 등급 Ⅲ 등급 Ⅰ 등급 종수 돌토끼고사리갯강활개머위제주진득찰갯금불초청피사초문주란 까마귀쪽나무제주아그배꽝꽝나무병풀아욱메풀덩굴박주가리갯지치털머위갯겨이삭청피사초 쇠고비별고사리종가시나무번행초큰점나도나물갯장구채큰꽃으아리개구리발톱후박나무암대극거지덩굴보리장나무보리밥나무갯방풍갯기름나물갯까치수영갯메꽃모래지치반디지치순비기나무개질경이해국갯씀바귀갯쇠보리천문동맥문아재비진황정 평가점수 ( 각종당 ) 출현종수평가점수비고 합계 Ⅳ. 식물상 73

74 참고문헌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오용자 한국산사초과식물제 2권.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상태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정영호, 최홍근 한강의수생식물구계와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1: Anonymous. 2001a.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 대형수생식물조사지침. 환경부. Anonymous. 2001b. 제 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을포함한식물상. 환경부. Kadono, Y Aquatic plant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Co., Ltd.. Tokyo. Lee, Y. N Manual of the Korean Grasses(Excluding Bambuseae). Ewha Womans Univ. Press. Seoul. Satake, Y., J. Ohwi, S. Kitamura, S. Watari, T. Tominari Wild flowers of Japan. Heibonsa Ltd., Tokyo. 7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75 사진및설명 사진 1. 개구리발톱 사진 2. 개자리 사진 3. 갯까치수영 사진 4. 까마귀밥여름나무 사진 5. 등갈퀴나물 사진 6. 암대극 Ⅳ. 식물상 75

76 부록. 섭지사구의소산식물목록 ( * : 해변식물 )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Family Pteridaceae 고사리과 Microlepia strigosa (Thunb.) Presl 민돌잔고사리 L.&L.&K Family Aspidaceae 면마과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별고사리 L.&Y.&L Cyrtominum fortunei J. Smith 쇠고비 L.&Y.&L C. falcatum (L.) Presl 도깨비고비 L.&L.&K Family Pinaceae 소나무과 Pinus banksiana Lambert 방크스소나무 L.&L.&C P. thunbergii Parl. 해송 L.&Y.&L Family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glauca Thunb. 종가시나무 Family Moraceae 뽕나무과 Cudrania tricuspidata (Call.) Bureau 꾸지뽕나무 L.&Y.&L Family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holosericea Blume 왕모시풀 L.&Y.&L Family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et Zucc. 환삼덩굴 L.&L.&C Family Santalaceae 단향과 Thesium chinensis Turcz. 제비꿀 L.&Y.&L Family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lapathifolia (L.) S. F. Gray 명아주여뀌 L.&Y.&L P. longiseta (De Bruyn) Kitag. 개여뀌 L.&Y.&L P. hydropiper (L.) Spach 여뀌 L.&L.&C P. perfoliata (L.) H. Gross 며느리배꼽 P. senticosa (Franch. et Savat.) H. Gross 며느리밑씻개 L.&Y.&L P. thunbergii (Sieb. et Zucc.) H. Gross 고만이 Rumex acetosa L. 수영 L.&Y.&L R. japonicus Houtt. 소리쟁이 L.&L.&K Family Aizoaceae 석류풀과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s) O. Kuntze 번행초 * L.&L.&K Family Portulacaceae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L.&Y.&L Family Caryophyllaceae 석죽과 Arenaria serpyllifolia L. 벼룩이자리 L.&Y.&L Cerastium glomeratum Thunb. 유럽점나도나물 L.&Y.&L.&K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77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Family Caryophyllaceae 석죽과 C. fischerianum Ser. 큰점나도나물 L.&L.&K Dianthus suo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 술패랭이꽃 L.&L.&K Melandryum oldhamianum Rohrbach var. roseum Nakai 갯장구채 * L.&L.&K Sagina japonica Ohwi 개미자리 L.&L.&K Spergularia marina Griseb. 갯개미자리 * L.&Y.&L Family Chenopodiaceae 명아주과 Atriplex gmelinii C. A. Meyer 가는갯능장이 * L.&Y.&L Chenopodium album L. var. centrorubrum 명아주 Makino L.&Y.&L C.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L.&Y.&L C. glaucum L. 취명아주 C. virgatum Thunb. 버들명아주 * L.&Y.&L Salsola komarovi Iljin 수송나물 * L.&Y.&L Family Amaranthaceae 비름과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L.&L.&C Family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patens Morren et Decaisne 큰꽃으아리 L.&Y.&L C. mandshurica Rupr. 으아리 L.&L.&C Ranunculus japonicus Thunb. 미나리아재비 L.&Y.&L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개구리발톱 L.&Y.&L.&K Family Menispermaceae 새모래덩굴과 Cocculus trilobus (Thunb.) DC. 댕댕이덩굴 Lee, N.S. & Kim, J.O Family Lauraceae 녹나무과 Litsea japonica (Thunb.) Jussieu 까마귀쪽나무 L.&Y.&L Machilus thunbergii Sieb. et Zucc. 후박나무 L.&Y.&L Family Theaceae 차나무과 Eurya emarginata (Thunb.) Makino 갯쥐똥나무 * L.&Y.&L.&K Family Papaveraceae 양귀비과 Corydalis heterocarpa var. japonica Ohwi 갯괴불주머니 * L.&Y.&L C. heterocarpa Sieb. et Zucc. 염주괴불주머니 * L.&Y.&L C. incisa (Thunb.) Pers. 자주괴불주머니 L.&Y.&L.&K Papaver rhoeas L. 개양귀비 L.&L.&K Family Cruciferae 십자화과 Arabis takesimana Nakai 섬장대 * L.&L.&K Ⅳ. 식물상 77

78 학명 7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Brassica campestris L. s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유채 L.&Y.&L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냉이 L.&Y.&L.&K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Draba nemorosa L. var. hebecarpa Ledeb. 꽃다지 L.&Y.&L.&K Descurainia sophia (L.) Webb. 재쑥 Family Cruciferae 십자화과 Lepidium apetalum Willdenow 다닥냉이 L.&Y.&L L.&Y.&L Raphanus sativus L. for. raphanistroides 무우아재비 ( 갯무 ) * ( 보라색 ) Makino L.&Y.&L ( 흰색 ) Family Crassulaceae 돌나물과 Sedum bulbiferum Makino 말똥비름 L.&L.&K S. oryzifolium Makino 땅채송화 * Lee, N.S., Yeau, S.H. & Lee, C.S Family Saxifragaceae 범의귀과 Ribes fasciculatum S. et Z. var. chinensis Max. 까마귀밥여름나무 L.&Y.&L.&K Family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L.&L.&C Geum aleppicum Jacq. 큰뱀무 L.&Y.&L Malus micromalus Makino 제주아그배나무 L.&Y.&L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L.&Y.&L P. chinensis Ser. var. concolor Franch. et Sav. 털딱지꽃 * L.&L.&C P. fragaroides L. 양지꽃 L.&Y.&L.&K Rhaphiolepis umbellata (Thunb.) Makino var. integerrima Rehder 둥근잎다정큼나무 L.&L.&C Rosa multiflora Thunb. 찔레나무 L.&L.&K R. wichuraiana Crepin 돌가시나무 L.&L.&C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L.&L.&C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L.&L.&K Family Leguminosae 콩과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여우팥 L.&L.&C Glycine soja Sieb et Zucc. 돌콩 L.&L.&C Kummerowia stipulacea (Max.) Makino 둥근매듭풀 L.&L.&C Lathyrus japonica Willd. 갯완두 * L.&Y.&L Lespedeza cuneata G. Don 비수리 L.&L.&C L. juncea (L. fil.) Pers. 넌출비수리 L.&Y.&L

79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L. tomentosa Sieb. 개싸리 L.&Y.&L Lotus corniculatus L. var. japonicus Regel 벌노랑이 L.&Y.&L Medicago hispida Gaertner 개자리 L.&Y.&L M. lupuina L. 잔개자리 L.&Y.&L M. sativa L. 자주개자리 L.&Y.&L Pueraria thunbergiana Benth 칡 L.&L.&C Vicia cracca L. 등갈퀴나물 L.&L.&K V. amoena Fisch. 갈퀴나물 L.&Y.&L V. angustipinnata Nakai 가는등갈퀴나물 L.&L.&K V. angustifolia L. var. minor (Bertol.) Ohwi 가는살갈퀴 L.&Y.&L.&K V. angustifolia L. var. segetilis (Thuill.) K. Koch. 살갈퀴 L.&Y.&L Family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이질풀 L.&L.&C G. sibiricum L. 쥐손이풀 L.&Y.&L Family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L.&L.&C Family Rutaceae 운향과 Evodia daniellii Hemsl. 쉬나무 L.&Y.&L Family Euphorbiaceae 대극과 Acalypha australis L. 깨풀 L.&L.&C Euphorbia helioscopia L. 등대풀 L.&Y.&L.&K E. jolkini Boiss. 암대극 * L.&L.&K Family Aquifoliaceae 감탕나무과 Illex crenata Thunb. 꽝꽝나무 L.&L.&C Family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L.&L.&C Family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 Traut. 개머루 L.&L.&C A.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Thunb.) Hara for. ciliata T. Lee 털개머루 L.&Y.&L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ain 거지덩굴 L.&Y.&L Parthenocissua tricuspidata (S. et Zc.)Planch. 담쟁이덩굴 Vitis flexuosa Thunb. var. choii (Hatsus.) T. Lee 털새머루 L.&Y.&L V. thunbergii Sieb. et Zucc. var. sinuata (Regel) Rehder 까마귀머루 L.&L.&C Family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Ⅳ. 식물상 79

80 학명 8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V. phalacrocarpa Maxim. 털제비꽃 L.&Y.&L.&K Family Cucurbitaceae 박과 Schizopepon bryoniaefolia Maxim. 산외 L.&Y.&L Family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L.&Y.&L E. glabra Thunb. var. oxyphylla Nakai 좁은잎보리장나무 * E. submacrophylla Serv. 큰보리장나무 * L.&Y.&L E.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L.&Y.&L.&K Family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laciniata Hill. 애기달맞이꽃 * L.&L.&C O. stricta Ledeb. 달맞이꽃 L.&Y.&L Family Umbelliferae 산형과 Angelica japonica A. Gray 갯강활 * L.&L.&K Anthriscus sylvestris Hoffm. 전호 L.&L.&K A. sylvestris Hoffm. var. hirtifructus Hara 털전호 L.&L.&K Centella asiatica (L.) Urbain 병풀 L.&L.&C Cnidium japonicum Miquel 갯사상자 * L.&Y.&L Family Umbelliferae 산형과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갯방풍 * Lee, N.S. & Kim, J.O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피막이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기름나물 P. japonicum Thunb. 갯기름나물 * Torilis japonica (Houtt.) DC. 사상자 L.&Y.&L T. scabra (Thunb.) DC. 개사상자 L.&Y.&L Family Primulaceae 앵초과 Lysimachia mauritiana Lam. 갯까치수영 * L.&L.&K Family Plumbaginaceae 갯질경이과 Limonium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갯질경이 * L.&Y.&L Family Oleaceae 물푸레나무과 Ligustrum ibita Sieb.et Zucc. 좀털쥐똥나무 L.&L.&C L. ibita S. et Z. for. microphyllum Nakai 좀쥐똥나무 L.&L.&K Family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squarrosa Ledeb. 구슬붕이 L.&L.&K Family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nipponicum Matsumura 덩굴박주가리 L.&L.&C C. nipponicum Matsumura var. glabrum 흑박주가리 (Nakai) Hara L.&L.&K

81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C. wilfordii (Max.) Hemsley 큰조롱 L.&L.&C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Family Rubiaceae 꼭두선이과 Galium spurium L. 갈퀴덩굴 L.&L.&K G. verum L. var. asiaticum Nakai 솔나물 L.&L.&C Paederia scandens (Lour.) Merr. 계요등 L.&L.&C P. scandens (Lour.) Merrill var. angustifolia 좁은잎계요등 T. Lee L.&L.&C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L.&Y.&L R. cordifolia var. pratensis Maxim. 갈퀴꼭두서니 L.&L.&C Family Convolvulaceae 메꽃과 Calystegia japonica (Thunb.) Chois. 메꽃 L.&Y.&L C. soldanella Roem. et Schult. 갯메꽃 * L.&L.&K Dichondra repens Forster 아욱메풀 * L.&L.&C Family Boraginaceae 지치과 Lithospermum zollingeri A. DC. 반디지치 * L.&L.&K Mertensia asiatica Macbr. 갯지치 * L.&Y.&L.&K Messerschmidia sibirica L. 모래지치 * L.&L.&K Family Verbenaceae 마편초과 Vitex rotundifolia L. fil. 순비기나무 * L.&L.&C Family Labiatae 꿀풀과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 Kuntze 배초향 L.&L.&C Clinopodium chinensis (Benth.) O. Kuntze var. parviflorum (Kudo) Hara 층층이꽃 L.&Y.&L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Leonurus sibiricus L. 익모초 L.&L.&C Lamium album L. var. barbatum (S. et Z.) Fra. et Sav. 광대수염 L.&L.&K L. amplexicaule L. 광대나물 L.&Y.&L.&K Mosla dianthera Max. 쥐깨풀 Prunella vulgaris L. var. asiatica (Nakai) Hara 꿀풀 L.&Y.&L Rabdosia inflexa (Thunb.) Kudo var. microphyllus (Kudo) T. Lee 영도산박하 L.&Y.&L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황금 L.&Y.&L ( 보라색 ) L.&Y.&L ( 흰색 ) Ⅳ. 식물상 81

82 학명 8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Family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lyratum Thunb. 배풍등 L.&L.&K Family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pumilus (Burm. fil.) Van Steenis 주름잎 L.&L.&K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L.&Y.&L.&K Lindernia procumbens Borb. 밭뚝외풀 L.&L.&C Family Acantha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L.&L.&C Family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L.&L.&K P. camtschatica Chamisso 개질경이 * L.&L.&K Family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L. var. asiatica Hara 파리풀 L.&L.&C Family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L.&L.&C Viburnum dilatatum Thunb. 가막살나무 Family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trifida L. 돼지풀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L.&L.&C A. keiskeana Miquel 맑은대쑥 L.&L.&K A. princeps Pampan. 쑥 L.&Y.&L Aster spathulifolius Max. 해국 *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B.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Family Compositae 국화과 Centipeda minima (L.) A. Braun et Ascerson 중대가리풀 Cephalonoplos segetum (Bunge) Kitam. 조뱅이 Chrysanthemum indicum L. 감국 L.&Y.&L Cirsium maackii Maxim. 엉겅퀴 L.&L.&K Echinops setifer Iljin 절굿대 L.&L.&C Eclipta prostrata L. 한련초 Erechi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L.&Y.&L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E. canadensis L. 망초 L.&Y.&L E. bonariensis L. 실망초 L.&L.&K Farfugium japonicum (L.) Kitamura 털머위 * L.&L.&K Gnaphalium hypoleucum DC. 금떡쑥 L.&L.&K Hemistepta lyrata Bunge 지칭개

83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Heteropappus hispidus Thunb. Less. ssp. arenarius (Kitam.) Kitam. 갯쑥부쟁이 * L.&Y.&L Inula britannica L. ssp. japonica Kitamura 금불초 L.&Y.&L I. britannica L. var. linariaefolia Regel 가는금불초 L.&L.&C I. salicina Linne var. asiatica Kitamura 버들금불초 L.&L.&C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선씀바귀 L.&Y.&L I. repens (L.) A. Gray 갯씀바귀 * L.&Y.&L Picris hieracioides L. ssp. japonica (Thunb.) Krylov 쇠서나물 L.&Y.&L Senecio integrifolius (L.) Clairuill ssp. fairiei 솜방망이 (Lev. et Vant.) Kitam. L.&L.&K S. vulgaris L. 개쑥갓 L.&Y.&L Siegesbeckia orientalis L. 제주진득찰 L.&Y.&L S. orientalis L. ssp. glabrescens (Makino) Kitam. 진득찰 L.&Y.&L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araxacum mongolicum H. Mazz. 민들레 L.&Y.&L.&K Wedelia prostrata (Hook. et Am.) Hemsl. 갯금불초 * L.&Y.&L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L.&Y.&L Family Amarylidaceae 수선화과 Crinum asiaticum L. var. japonicum Bak. 문주란 Family Liliaceae 백합과 Allium grayi Regel 산달래 L.&L.&K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천문동 * Lee, N.S. & Kim, J.O A.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L.&L.&K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맥문동 L.&L.&C L. spicata Lour. 개맥문동 Lee, N.S. & Kim, J.O Family Liliaceae 백합과 Ophiopogon japonicus (L. f.) Ker-Gawler 소엽맥문동 L.&Y.&L O. jaburan (Kunth) Lodd. 맥문아재비 L.&L.&C Polygonatum falcatum A. Gray 진황정 L.&L.&K Rohdea japonica Roth 만년청 L.&Y.&L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무릇 L.&L.&C Smilax riparia A. DC. var. ussuriensis Hara 밀나물 et T. Koyama L.&Y.&L S.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L.&Y.&L Ⅳ. 식물상 83

84 학명 8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Family Iridaceae 붓꽃과 Crocus sativus L. 샤프란 L.&Y.&L Family Juncaceae 골풀과 Luzula capitata (Miq.) Miq. 꿩의밥 Family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L.&L.&C Family Gramineae 화본과 Agropyron ciliare (Trin.) Fr. 속털개밀 A. tsukushiense (Honda) Ohwi var. transiensis (Hack.) Ohwi 개밀 L.&L.&K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조개풀 Cynodon dactylon (L.) Pers. 우산잔디 L.&L.&C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바랭이 L.&L.&C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돌피 L.&L.&C E. crusgalli (L.) Beauv. var. echinata Honda 물피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L.&Y.&L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나도개피 Glyceria acutiflora Torr. 육절보리풀 L.&Y.&L Imperata cylindrica (L.) Beauv. var. koenigii 띠 (Retz.) Durand et Schinz L.&Y.&L Ischaemum anthephoroides (Steud.) Miq. 갯쇠보리 * L.&Y.&L Lolium perenne L. 호밀풀 Miscanthus sinensis Anderss. 억새 Paspalum thunbergii Kunth 참새피 L.&Y.&L P. dilatatum Poir. in Lam. 큰참새피 L.&Y.&L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L.&Y.&L Puccinellia nipponica Ohwi 갯꾸러미풀 * L.&L.&K Setaria. birdis Beauv. var. gigantea 수강아지풀 Matsumura L.&Y.&L S. glauca (L.) Beauv. 금강아지풀 L.&L.&C S. viridis (L.) Beauv. 강아지풀 L.&L.&C S. viridis (L.) Beauv. var. pachystachys (Fr. et Sav.) Makino et Nemoto 갯강아지풀 * L.&Y.&L Sporobolus elongatus R. Brown 쥐꼬리새풀 L.&Y.&L Family Gramineae 화본과 Themeda triandra Forsk. var. japonica (Willd.) Makino 솔새 Zoysia japonica Steud. 잔디 Z. sinica Hance 갯잔디 * L.&Y.&L

85 학명 국명 표본정보 (Lee, N.S., Lee, C.S & Kim, J.O. : L.&L.&K. Lee, N.S., Yeau, S.H. & Lee, C.S. : L.&Y.&L. Lee, N.S., Lee, C.S. & Cha, M.K. : L.&L.&C. Lee, N.S., Yeau, S.H. & Lee, C.S. & Kyun, S.K: L.&Y.&L.&K. ) Family Cyperaceae 사초과 Carex pumila Thunb. 모래사초 ( 좀보리사초 ) * L.&L.&K C. bootiana Hook. et Arnott 갯사초 L.&L.&K C. macrandrolepis Lev. et Van. 청피사초 L.&Y.&L C. breviculmis R. Br. 청사초 L.&Y.&L.&K Cyperus microiria Steud. 금방동산이 L.&Y.&L C. polystachyos P. Beauv. 갯방동산이 * L.&Y.&L C. rotundus L. 향부자 * L.&Y.&L Kyllinga brevifolia Rottb. ssp. leiolepis 파대가리 (Franch. et Sav.) T. Koyama L.&Y.&L Ⅳ. 식물상 85

86 Ⅴ. 육상곤충 조영복 박경화 * 김도성 구현아 * 한남대자연사박물관 전북대생물교육과 * 요 약 2004년제주도남제주군신양리에위치한섭지코지의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결과 10목 35과 60종의육상곤충이조사되었으며이들중, 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3목 7과 11종이관찰되었다. 섭지코지해안사구의조간대지역에는파래등의조류가비교적풍부하여조간대성육상곤충의주요서식처가되고있으며조간대지역은조류 ( 파래류 ) 가많이있어해안사구성곤충들이개체가비교적풍부한편이었고, 초지지역에는메뚜기류, 사마귀, 및집게벌레등의매우풍부한개체밀도를보여주고있었다. 삼림지역에조성된무우밭이나유채밭이있어나비류도비교적풍부한실정이었다. 조간대와초지에서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들이주로관찰되었다. 본조사지역에서의해안사구성곤충은다음과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1. Oudemansia sp.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2. Entomobrya sp. 3. Sinella sp.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4.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5.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Ⅴ. 육상곤충 87

87 6. Scarites aterrimus Morawitz 조롱박먼지벌레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7.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8. Cafius vestitus (Sharp) 검둥바닷말반날개 9.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10.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11.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1. 서론 2004년제주도남제주군산양리의섭지코지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가실시되었다. 본조사지는 TV드라마 올인 의촬영지로도유명한곳으로많은방문객들의왕래가빈번한곳으로관광지로의개발이이루어지고있는곳이기도하다. 남쪽방향은주로바위들이조간대에형성되어있고북쪽사면에모래해변가가형성되어있다. 해빈지역에는섭지코지의 올인 촬영장까지갈수있는포장도로가건설되어있다. 그리고촬영장부근에는승마장코스가조성되어방문객들의관광코스로도자리를잡고있다. 일부삼림지역에는소규모의말들을방목하고있었다. 육상곤충조사는섭지코지의조간대, 초지, 및삼림지역으로구분하여실시하였으며봄과여름시기에집중조사가이루어졌다. 제주도해안사구성곤충에대한기록은 Kim (2003) 에의해 30종이기록되고있으나섭지코지에대한기록은본조사가처음으로실시된것이다. 본조사결과, 10목 35과 60종이확인되었다. 본조사에서환경부가지정한멸종위기야생동물은관찰되지않았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는 2004 年 4 월 1 일부터 10 월 31 일까지계절적으로장마이전과이후로구분 8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88 하여분류군에따라적기에연몇 2회실시하였다. 조사지점- 본조사지의행정구역은제주도남제주군신양리이며다음과같이 3개의조사환경을구별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ST. 1 - 조간대구역 ST. 2 - 초지구역 ST. 3 - 삼림구역조사지개황 - 남제주군신양리에위치한섭지코지는육계사주위에발달한해안사구로서 TV드라마 올인 의촬영장으로도유명한곳이다. 많은관광객들이이곳을방문하여관광지로서의차량이동의편리성을위해조간대와초지사이의해빈지역으로섭지코지를차량으로일주할수있는도로가나있었다. 도로상태는작년보다더확장되고잘포장되었다. 작년태풍으로올인세트장이훼손되어제거되어있었고, 일부지역에승마장을조성하여방문객들에게유료승마를실시하고있었다. 남쪽해안가는주로바위가형성되어있고북쪽방향으로모래해안가가형성되어있다. 조간대에는파래등이많이떠밀려와있어이곳에대해조간대의중점적인조사가실시되었고, 초지에는순비기나무나사초과식물들이형성되어있으며삼림지역 (forest land area) 에는밭이조성되어있고무우와유채가주요작물이었다. 일부지역은말을방목하고있었다. 3. 조사방법 조간대의해초류와모래를 sifter 를이용하여조간대곤충을조사하였고, 초지와삼림지역은쓸어잡기 (sweeping) 방법을사용하거나육안관찰을통해기록하였다. 4. 결과및고찰 본조사결과섭지코지해안사구의육상곤충류는 10 목 35 과 60 종이확인되었다. Ⅴ. 육상곤충 89

89 가. 곤충상 봄 (3-5 월 ):, 여름 (6-8 월 ):, 가을 (9-10 월 ): 분류군명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조사지유형 ST.1 ST.2 ST.3 계절출현 문헌 해안사구성곤충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Oudemansia sp.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Entomobrya sp. Sinella sp.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된장잠자리 Order Mantodea 사마귀목 Family Mantidae 사마귀과 Tenodera aridifolia 왕사마귀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Family Forficulidae 집게벌레과 Anechura quelparta Okamoto 제주집게벌레 Order Orthoptera 메뚜기목 Family Tettigoniidae 여치과 Phaneroptera falcata (Poda) 실베짱이 Hexacentrus unicolor Serville 베짱이 Conocephalus maculatus (Le Guillou) 점박이쌕새기 Family Oecanthidae 긴꼬리과 Oecanthus indicus Saussure 긴꼬리 Family Gryllidae 귀뚜라미과 9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0 Dianemobius nigrofasciatus (Matsumura) 알락방울벌레 Euscyrtus japonicus Shiraki 홀쭉귀뚜라미 Family Pyrgomorphidae 섬서구메뚜기과 Atractomorpha lata (Motschusky) 섬서구메뚜기 Family Acrididae 메뚜기과 Patanga japonica (Bolivar) 각시메뚜기 Acrida cinerea cinerea (Thunberg) 방아깨비 Gonista bicolor (de Haan) 딱다기 Locusta migratoria (Linné) 풀무치 Oedaleus ingernalis Saussure 팥중이 Order Heteroptera 노린재목 Family Pentatomidae 노린재과 Eurydema gebleri Kolenati 북쪽비단노린재 Eysarcoris guttiger (Thunberg) 점박이둥글노린재 Family Rhopalidae 잡초노린재과 Stictopleurus crassicornis (Linne) 흑다리잡초노린재 Family Lygaeidae 긴노린재과 Nysius plebejus Distant 애긴노린재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Carabus fiduciarius saishutoicus Csiki 제주왕딱정벌레 Scarites aterrimus Morawitz 조롱박먼지벌레 Perileptus sp. 먼지벌레류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Cafius vestitus (Sharp) 검둥바닷말반날개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Philonthus ohizumi Dvorak 소똥좀반날개 Family Scarabaeidae 소똥구리과 Onthophagus lenzii Harold 렌지소똥풍뎅이 Aphodius propraetor Balthasar 왕똥풍뎅이 Ⅴ. 육상곤충 91

91 Family Cetoniidae 꽃무지과 Cetonia pilifera (Motschulsky) 꽃무지 Gametis jucunda (Faldermann) 풀색꽃무지 Family Melolonthidae 검정풍뎅이과 Maladera orientalis (Motschulsky) 애우단풍뎅이 Family Cerambycidae 하늘소과 Phytoecia rufiventris Gautier 국화하늘소 Family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Coccinella septempunctata Linne 칠성무당벌레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Sitona japonicus (Roelofs) 일본바구미 Sympiezomias cribricollis Kono 가는밀감바구미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Order Hymenoptera 벌목 Family Scoliidae 배벌과 sp. 1 배벌 Family Formicidae 개미과 Tetramorium caespitum (Linné) 주름개미 Pristomyrmex pungens Mayr 그물등개미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Asilidae 파리매과 Promachus yesonicus Bigot 파리매 Trichomachimus scutellaris (Coquillett) 검정파리매 Family Syrphidae 꽃등에과 Allograpta balteata (de Geer) 호리꽃등에 Sphaerophoria menthasti (Linné) 꼬마꽃등에 Family Sepsidae 꼭지파리과 Sepsis indica Wiedemann 노랑꼭지파리 Family Calliphoridae 검정파리과 Aldrichina grahami (Aldrich) 털검정파리 Chrysomyia megacephala (Fabricius) 검정뺨금파리 9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2 Family Sarcophagidae 쉬파리과 Helicophagella melanura (Meigen) 검정볼기쉬파리 Order Lepidoptera 나비목 Family Papilionidae 호랑나비과 Papilio xuthus Linné 호랑나비 Family Lycaenidae 부전나비과 Everes argiades (Pallas) 암먹부전나비 Lycaena Phlaeas (Linnaeus) 작은주홍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Kollar) 남방부전나비 Family Pieridae 흰나비과 Artogeia melete (Menetries) 큰줄흰나비 Artogeia rapae (Linnaeus) 배추흰나비 Family Nymphalidae 네발나비과 Vanessa indica (Herbst) 큰멋쟁이나비 나. 해안사구성곤충목록섭지코지의해안사구성곤충은 3목 7과 11종이확인되었으며그종목록은다음과 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1. Oudemansia sp.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2. Entomobrya sp. 3. Sinella sp.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4.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5.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Ⅴ. 육상곤충 93

93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6. Scarites aterrimus Morawitz 조롱박먼지벌레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7.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8. Cafius vestitus (Sharp) 검둥바닷말반날개 9.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10.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11.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다. 고찰본조사지역은 TV드라마 올인 촬영장소로유명한곳으로많은관광객들이방문하는지역으로사람의왕래가매우빈번한곳이다. 해빈지역에차량도로가나있고일부지역은제방을쌓아조간대와초지 ( 해빈지역 ) 의단절을보이는곳이곳곳에눈에뛰었다. 그러나조간대지역에는파래등의조류가비교적풍부하여조간대성해안곤충의주요서식처가되고있으며해안사구성곤충들이개체가비교적풍부한편이었고, 초지지역에는메뚜기류, 사마귀, 및집게벌레등의매우풍부한개체밀도를보여주고있었다. 삼림지역에조성된무우밭이나유채밭이있어나비류도비교적풍부한실정이었다. 조간대와초지에서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들이주로관찰되었으며 3목 7과 11 종의해안사구성곤충들이확인되었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한국곤충연구소, 한국곤충생태도감, Vol I-V. 김진일, 한국산해안사구성곤충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1): 김창환, 한국동식물도감제11권동물편 ( 곤충류 III). 문교부 : pp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4 김창환 남상호 이승모, 한국동식물도감제26권동물편 ( 곤충류 VIII). 문교부 : pp 남상호, 원색도감한국곤충도감. 교학사 : pp 신유항, 원색한국곤충도감. I. 나비편, 아카데미서적 : pp. 264., 원색한국곤충도감. 아카데미서적 : pp 신유항 박규택 남상호, 한국동식물도감제27권동물편 ( 곤충류 IX). 문교부 : pp 안승락, 태안해안국립공원생태계연구, 곤충편. 국립중앙과학관학술총서, 10: 우한준, 서해안해안사구실태및보전방안. 자연보존, 115: 이승모, 한국엽지. Insecta Koreana: pp. 125., 한반도하늘소과갑충지. 국립과학관 : pp. 287., 한반도청령 ( 잠자리목 ) 목곤충. Bull. KACN, ser. 15: 이창언, 한국동식물도감제12권동물편 ( 곤충류 VI). 문교부 : XXXXXXX., 한국동식물도감제23권동물편 ( 곤충류 VII). 문교부 : pp 제주도학생과학관, 제주도의나비. pp.194. 조복성, 한국동식물도감제10권동물편 ( 곤충류 II). 문교부 : pp 조영복, 안기정, 반날개상과 (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 한국경제곤충 11, 167pp. 환경처, 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 : Hayashi, M.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V.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Kurosawa, Y.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Nakane. T. et al,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Insects of Japan. Coleoptera (Vol. 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Uéno, S.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Watanabe, Y Staphylinidae. In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S.-I. Ueno et al., editors) 2: Hoikusha, Osaka (In Japanese). Ⅴ. 육상곤충 95

95 사진및설명 사진 1. 섭지코지에서바라본성산봉 사진 2. 섭지코지주차장 사진 3. 올인 드라마촬영지 사진 4. 섭지코지 - 조간대지역 사진 5. 섭지코지 - 초지지역 사진 6. 섭지코지 - 삼림지역 9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6 사진 7. 섭지코지 - 조간대조사장면 사진 8. 섭지코지 - 삼림지조사장면 사진 9. 모래거저리 사진 10. 조롱박먼지벌레 사진 11. 해변반날개 사진 12. 표주박바구미 Ⅴ. 육상곤충 97

97 사진 13. 북쪽비단노린재 사진 14. 풀색꽃무지 9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98 Ⅵ. 양서 파충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의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양서류는서식이확인되지않았으며, 파충류는섭지코지해안사구내에서는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1종이관찰되었으나, 인근마을주변농경지에서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와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가서식이확인되었다. 섭지코지안쪽에는초지대가형성되어있으나수계가형성되어있지않고인위적인영향을많이받고있어양서 파충류의서식지로는적합하지않아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도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서식이확인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관찰되는평범한종들이었고, 환경부가지정한법적보호동물은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1. 서론 제주도산양서 파충류가처음으로학술적으로알려지기시작한것은森爲三 (1928) 이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에관하여 라는논문에서제주도룡뇽 (Hynobius leechii quelpartenisis), 청개구리 (Hyla arborea japonica),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Cacopides tornieri (Vogt)),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ana rugosa), 두꺼비 (Bufo bufo asiaticus) 등양서류 7종과줄장지뱀 (Takydromus Ⅵ. 양서 파충류 99

99 wolteri), 도마뱀 (Leiolopisma laterale), 유혈목이 (Natrix tigrina), 대륙유혈목이 (Natrix vibakari), 누룩뱀 (Elaphe dione), 실뱀 (Zamenis spinalis), 쇠살모사 (Agkistrodon blomhoffii brevicaudus) 등파충류 7종을발표한것에서비롯된다. 그이후지금까지 Shannon(1956), Webb(1962), 강과윤 (1968), Kawamura(1962), 양과유 (1978), 양등 (1982), 백등 (1985), 고 (1983) 등여러학자들에의하여연구되어져왔다. 한편, 파충류에대해서는강과윤 (1968), Golyd(1972), 백 (1982) 등에의해연구되어져왔으며, 백 (1982) 은 韓國産蛇類의系統分類學的硏究 란논문에서제주도산사류 ( 蛇類 ) 7종을기록하면서비바리뱀 (Sibynophis collaris) 을한국미기록종으로기재한바있다. 그러나비바리뱀의분류학적위치및분포상황에대해서는학자들간의견이많았고최근들어오 (2004) 에의해그의문이해결되었다. 그리고박 (1990) 은환경처의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지침에따라제주도에서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uroralsis) 을포함하여모두 4과 9종을보고하였으며, 그이후박 (1993), 백 (1993) 에의해분포상이보고된바있다. 최근들어 Chen 등 (2001) 에의한도마뱀류의분류학적고찰, Ota 등 (2002) 에의한줄장지뱀의생물지리학적고찰, Oh and Ota(2004) 에의한비바리뱀의분류학적검토가발표된이후제주도산파충류의생물지리학적중요성에대해학자들에게주목받기시작하여현재국제적인공동연구가활발히연구가진행되고있다. 제주도해안사구에분포하는양서 파충류상에관해서는지금까지조사연구된된바없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고있는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의양서 파충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10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00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조사지개황섭지코지는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고있으며신양해수욕장에서 2 km에걸쳐바다를향해길게뻗어있는곳이다. 뱃머리모양을하고있는바닷가쪽의고자웃코지와해수욕장가까이있는정지코지로이루어져있으며, 송이라는붉은화산재로형성된언덕위에는왜적이침입하면봉화불을피워마을의위급함을알렸던봉수대가있다. 해안은해수면의높이에따라물속에잠겼다나타났다하는기암괴석들로절경을이루고있고 TV드라마나영화촬영지로널리알려지면서관광지로자리잡아해안사구가많이훼손되고있다. 섭지코지사구에는군데군데초지대가형성되어있고작은곰솔 (Pinus thunbergii) 군락이산재하고있으나바람이강하게부는지역이라빈약한식생구조를나타내고있다. 조사는 2004년 3월부터 5월사이에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이외에별도로조사된자료도참고하여자료를보충하였다. 3. 조사방법 양서류는조사지역을도보로이동하면서수로, 농경지주변의그늘진곳에서종을 직접관찰하여기록하거나울음소리등으로종을식별하였다. 파충류는묵정밭과경작 지주변, 초지대, 도로변을배회하며관찰하였다.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하며,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한이래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 Ⅵ. 양서 파충류 101

101 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 Row와 Yuill(1997) 이채집 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양서 파충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에서좌표를기록하여수평적인종분포상황을지도상에 mapping 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 파충류는표 1에제시한바와같이파충류 3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주로사구와떨어진인근마을농경지일대에서확인되었고사구주변에서관찰된종은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1종뿐이었다. 관찰된종의분포를보면, 줄장지뱀은초지대와묘소주변에서서식이확인되었고 ( 사진 1, 2),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는초지가형성된돌무덤지역에서관찰되었고 ( 사진 3), 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는농경지주변의삼나무밑에서관찰되었다 ( 사진 4). 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는낮은것으로나타났으나줄장지뱀은사구주변초지대를중심으로어느정도개체군이유지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줄장지뱀은우리나라다른지방에서는희귀한편이나제주지역에서는초지가형성된곳에서는어디에서나관찰되는종으로우점종에속하는종이다. 양서류는바람이강하게불고수계가형성되어있는곳이없어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제주도는한국본토와오랫동안격리되었고또기후와지세가판이하게달라서생물지리분포학상남방한계가되는종인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Kaloula borealis),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가서식한다. 그리고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줄장지뱀은생물분포학상남한지 ( 南限地 ) 가되는종이며, 비바리뱀 (Sibynophis chinensis) 은우리나라에서는제주도에만분포하는종으로제주도가북한지 ( 北限地 ) 가되는특산종이다. 제주도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는대부분이한국본토와공통된종이많지만우리 10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02 나라에서최남단에위치할뿐만아니라한국본토와일본및중국사이에자리잡고있으므로대륙계의동물과남방계의동물이혼서한다. 서식환경을보면제주도에는초원과습원이있으며곳곳에양서 파충류가서식하기에적합한환경을갖추고있는곳이많고먹이도풍부하여뱀류는한국본토에비하여종수는적으나개체군밀도는큰편이다. 그러나해안사구지역에는습지가형성된곳이거의없으며, 농경지대이외의지역에는물이흐르는곳이없고심지어웅덩이조차찾아볼수없을정도로물이귀한편이다. 또한바람이강하게불어매우건조하여곰솔군락이형성된곳은있으나활엽수림이형성된곳이거의없으며, 해안도로가개설되었고관광편의시설이들어서는등인위적인영향으로양서 파충류가서식할수있는환경이사라지고있는실정이다. 이번에실시된조사는지금까지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의육상동물상에대한정보가없었던점에서그가치가크다고생각되어앞으로보전전략을강구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라판단된다. Ⅵ. 양서 파충류 103

103 표 1. 제주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의양서 파충류목록 No. 학 명 국 명 문헌조사현지조사 비고 Class 1. Amphibians 개구리 ( 兩棲 ) 綱 Order 1. Caudata 도롱뇽 ( 有尾 ) 目 Family 1. Hynobiidae 도롱뇽 ( 山椒魚 ) 科 1 Hynobius leechii quelpartensis Mori 제주도롱뇽 Order 2. Salientia 개구리 ( 有尾 ) 目 Family 2. Discoglossidae 무당개구리 (. 蛙 ) 科 2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무당개구리 Family 3. Hylidae 청개구리 ( 雨蛙 ) 科 3 Hyla japonica Günther 청개구리 Family 5. Engystomidae 맹꽁이 ( 隘口 ) 科 4 Kaloula borealis (Barbour) 맹꽁이 Family 4. Ranidae 개구리 ( 赤蛙 ) 科 5 Rana nigromaculata Hallowell 참개구리 6 Rana dybowskii Günther 북방산개구리 Class 2. Reptillia 뱀 ( 爬蟲 ) 綱 Order 1. Squamata 뱀 ( 有鱗 ) 目 Family 1. Scincidae 도마뱀 ( 蜥蜴 ) 科 7 Scincella vandenburghi (Schmidt, 1927) 제주도마뱀 Family 2. Lacertiidae 장지뱀 ( 金蛇 ) 科 8 Takydromus wolteri Fisher 줄장지뱀 9 Takydromus amurensis Peters 아무르장지뱀 Family 3. Colubridae 뱀 ( 蛇 ) 科 10 Elaphe dione (Pallas) 누룩뱀 11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Boie) 유혈목이 12 Coluber spinalis Peters 실뱀 Amphiesma vibakari ruthveni 13 (Van kenburgh) 대륙유혈목이 14 Sibynophis chinensis Gunther 비바리뱀 Family 4. Viperidae 살모사 ( 鎖蛇 ) 科 15 Agkistrodon ussuriensis (Emelianov) 쇠살모사 종 수 13종 3종 참고문헌 姜永善 尹一炳 濟州道의兩棲 爬蟲類. 漢拏山및紅島. 文公部. pp 姜永善 尹一炳 韓國動植物圖鑑. 17 券動物編 ( 兩棲爬蟲類 ). 文敎部. 10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04 김완병, 오홍식, 김원택 한라산국립공원내습지의동물상조사. 제주대학교생명과학연구, 4: 9~ 20. 박행신 자연생태계전국조사 -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상. pp 환경처.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白南極 韓國産兩棲爬蟲類의現況과그保護對策. 自然保存, 83: 백남극 제주도산미기록사류 1종에관한보고, 강릉대학교논문집, 16: 白南極 金 漢 沈在漢 漢拏山의兩棲 爬蟲類相. 漢拏山學術調査報告書. 濟州道. pp 송재영, 윤병수, 오홍식, 정규회 미토콘드리아 16S rdna 를이용한아무르산개구리 ( 양서강 : 개구리과 ) 의유전적다양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1): 45~51. 梁瑞榮, 金英眞, 孫洪鍾 도룡뇽의地理的變異에관한硏究. 仁荷大. 基礎科學硏究所 Q 文集, 3: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습지일대의육상척추동물상및생태연구. 환경부제1차전국내륙습지조사.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박강희 제주지역의양서 파충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교학사. 土去寬帳 海蛇ニ就テ. 總督. 中學校友誌, 4호 pp 森爲三 濟州島の兩棲類及爬蟲類ニ就テ. 朝鮮博物學會雜誌, 6: 47~52.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狀態を推 Q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 Q. 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今泉吉典 腹板と尾下板の變異にもとづくヤアカがシの分類. 自然科學と博物館, 35, pp Chen, S. L., T. Hikida, S. H. Han, J. H. Shim, H. S. Oh and H. Ota Ⅵ. 양서 파충류 105

105 Taxonomic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s of genus Scincella(Squamata: Scincidae). J. Herpetology, 35(1): 122~129. Gloyd, H. K The Korea snak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Proc. Biol. Soc. Wash., 85(49): Kawamura, T. and M. Nishioka Studies on hybrization in amphibians Ⅶ, Hybrids between Japanese and European brown frogs. J. Sci. Hiroshima Univ. Ser. B. Div. 1, Vol. 18, Art. 16.: 1-8. Kawamura, T. and M. Nishioka Nucleo-cytoplasmic hybrid Frog between Two species of Japanese brown frogs and their offspring. ibid., Vol. 21, Art. 6: Maki, M A Monograph of the Snakes of Japan. Tokyo, Dai-Ichi. p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argalef, R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2. pp.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Mori, T On a new Hynobius from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53 Mori, T On amphibians and reptiles of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Nakamura, K. and S. Ueno Japanese Reptiles and Amphibians in Colour. Osaka, Japan. Hoikusha. pp Oh, H. S., H. Ota Taxonomic status and biogeographical bearing of a population of the colubrid genus Sibynophis (Reptilia, Squamata) from Cheju Island, Korea. The 43rd Annual Meeting of Herpelotogical Society of Japan. Ota, H., M. Honda, S-L. Chen, T. Hikida, S. Panha, H. S. Oh and M. Matsui Phylogenetic relationships, taxonomy, character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the lacertid lizards of the genus Takydromus (Reptilia: 10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06 Squamata): a molecular perspective.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76: 493~509.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Pielou, E. 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Sannon, F. A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Korea. Herpetologica, Vol. 12: Seto, T. and K. Iizuka Karyotype of Hynobius leechii from Cheju Island, Korea, Japanese J. of Herpetology, 15(2): Shannon, C. E. and W. Weaver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17pp.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Steineger, L Herpetology of Japan and adjacent territory. Bull. U. S. Nat. Mus, No. 58, pp. xx + 577, 409 Figs, 35 pls. Toft, C. A Seasonal variation in populations of Panamanian litter frogs and their prey : A comparison of wetter and drier sites. Oecologia, 47: Van Denburgh, J Concerning certain species of reptiles and amphibians China, Japan, the Loo, Choo Islands and Formosa, Proc. Calif. Ac. Scil., (Ⅳ) 3. pp Webb, R. G., J. Jones, Jr, and G. W. Byers Some reptiles and amphibians from Korea Univ. Kansas Publ., Mus. Nat. Hist., Vol. 15, No. 2, pp Yang, S. Y., J. B. Kim, M. S. Min, J. H. Suh and H. Y. Suk Genetic and ph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forms of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Korean J. Biol. Sci., 1: Ⅵ. 양서 파충류 107

107 사진및설명 사진 1. 줄장지뱀 사진 2. 줄장지뱀 사진 3. 대륙유혈목이 사진 4. 쇠살모사 10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08 Ⅶ. 조류 김창회 강종현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요 약 이조사는제주도남제군에속해있는섭지코지를중심으로 5회에걸쳐조류조사가이루어졌다. 1차조사는 4월 19일, 2차조사는 7월 26~27일, 3차조사는 9월 14일, 4차조사는 10월 26~30 일, 5차조사는 12월 13일이었다. 섭지코지일대에서관찰된종은 40 종이었으며, 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가마우지 (Phalacrocorax filamentosus) 와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이었다.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재갈매기 (Larus argentatus(62 개체 )) 와참새 (Passer montanus(24개체 )) 이었다. 이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5종이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1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특정종은 4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1. 서론 우리나라의사구는태안반도일대에많이분포하고있으나, 자연상태그대로유지하고있는지역은그다지많지않다. 그리고사구에관련된조류조사도최근에이르러약간보고되었을뿐이다 ( 김 이 2002). 제주도남제주군에위치한섭지코지는드라마 올인 의촬영지로서많은사람이관광의목적으로찾아오고있다. 이지역의대부분은곰솔 (Pinus tunbergii) 과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군락이약간분포하며농경지도일부포함되어있다. 지금까지섭지코지일대에대한조류조사보고는아직없다. 이조사는단기적으로생태지도표기종 ( 김 2001) 의서식장소와번식가능성에대한자료를얻기위하여수행 Ⅶ. 조류 109

109 되었다. 그리고장기적으로는국내및국제적으로멸종위기종및희귀종에대한자료 를확보하고, 주요조류서식지에대한보전가치를등급화할수있는객관적인기초자 료를제공하기위한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이조사는제주도남제주군에속해있는섭지코지를중심으로 5 회에걸쳐조류조사가 이루어졌다 ( 그림 1). 1 차조사는 4 월 19 일, 2 차조사는 7 월 26~27 일, 3 차조사는 9 월 14 일, 4 차조사는 10 월 26~30 일, 5 차조사는 12 월 13 일이었다. N 조사지역 그림 1. 조사지역 11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0 3. 조사방법 조사대상종은한국에서관찰된전종 ( 아종을포함하여 402종 ; 이등 2000) 이며, 그중생태지도표기종 (148종: 멸종위기야생동물, 특정종 ) 이관찰된지점을지도상에표기하였다 ( 김 2001). 조사방법, 조류조사표기재방법, 지도상의특정종기재방법은김 (2001) 의제2차환경부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의조류분야지침서에따랐으며, 이내용을요약하면아래와같다. 조사방법 : 시속 2km정도로보행하면서기록하는방법과개시점및종료점에서정지하여관찰하고기록하는방법을병행하였고, 울음소리에의하여확증된개체도포함하였다. 조류조사표기재방법 : 번식하는것이관찰된종은 "A", 번식하는것은관찰하지못했지만번식가능성이비교적높은종은 "B", 번식에대한확실한근거는없지만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라고생각되는종은 "C", 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아니라고생각되는종은 "D", 번식에대하여전혀예측할수없는종은 "E", 비번식기에관찰되거나번식가능성이희박한종은 "F" 의란에 표를하였다. 지도상의생태지도표기종기재방법 :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지점은종의보호등급에따라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특정종은 로표기하였으며, 종명은각등급기호의우측에종코드번호로기재하였다. 그리고그밖의종들은조류조사표에만기재하였다. 4. 결과및고찰 가. 결과섭지코지일대에서관찰된종은 40종이었으며, 이지역에서매회관찰된종은가마우지 (Phalacrocorax filamentosus) 와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이었다 ( 표 1). 종수는 3차조사에서가장많았고 (30종), 5차조사에서가장적었다 (9종).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재갈매기 (Larus argentatus(62개체 )) 와참새 (Passer montanus(24개체 )) 이었다. Ⅶ. 조류 111

111 표 1. 섭지코지에서관찰된조류의개체수 코드개체수학명국명번호 1차조사 2차조사 3차조사 4차조사 5차조사 B017 Phalacrocorax filamentosus 가마우지 B029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2 1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2 1 B033 Egretta sacra 흑로 7 2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1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10 4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1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1 B114 Phasianus colchicus 꿩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2 3 B144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15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18 B146 Chlidris subminuta 종달도요 3 B150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8 B154 Crocethia alba 세가락도요 10 B164 Tringa ochropus 삑삑도요 11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8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B168 Xenus cinereus 뒷부리도요 2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2 62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B232 Apus pacificus 칼새 4 3 B236 Alcedo atthis 물총새 1 B251 Alauda arvensis 종다리 4 5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2 B259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1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3 B265 Anthus cervinus 붉은가슴밭종다리 1 B267 Anthus spinoletta 밭종다리 13 7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B329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2 ( 표 1에서계속 )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B352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12 2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3 15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8 Pica pica 까치 11 종수 ( 총 40종 ) 개체수 번식가능성 "A" 와 "B" 에해당하는종은 9 종, "C" 에해당하는종은 5 종, "E" 에해당하 는종은 4 종, "F" 에해당하는종은 13 종, "D" 에해당하는종은관찰되지않았다 ( 표 2). 표 2. 섭지코지에서관찰된조류의번식가능성 ( 생태지도표기종및번식가능성은본문참조 ) 코드생태지도번식가능성학명국명번호표기종 A B C D E F B017 Phalacrocorax filamentosus 가마우지 B029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B033 Egretta sacra 흑로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B114 Phasianus colchicus 꿩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B144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B146 Chlidris subminuta 종달도요 B150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B154 Crocethia alba 세가락도요 B164 Tringa ochropus 삑삑도요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B168 Xenus cinereus 뒷부리도요 Ⅶ. 조류 113

113 ( 표 2에서계속 )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B232 Apus pacificus 칼새 B236 Alcedo atthis 물총새 B251 Alauda arvensis 종다리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B259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B265 Anthus cervinus 붉은가슴밭종다리 B267 Anthus spinoletta 밭종다리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B329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B352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8 Pica pica 까치 소계 합계 총합계 40 섭지코지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5 종이었다 ( 표 3). 이들중환경부멸종위 기야생동물 Ⅱ 급은 1 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특정종은 4 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표 3. 섭지코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 구 분 국 명 합계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물수리 1 특정종 흑로, 황조롱이, 칼새, 물총새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4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위치는그림 2 와같다. N B033 B033 B085 B033 B033 B111 B236 B033 B232 B232 그림 2. 섭지코지일대에서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장소 나. 고찰섭지코지는육지부분이바다쪽으로돌출되어생긴반도형태이다. 이지역의대부분은노출되어있고훤하게트인지역이많다. 이지역은많은사람이관광의목적으로찾아오고있으며서쪽의도로에는차량이빈번하게통행하고있다. 이지역은전구간을일주할수있는길이있으며내측에는말들이방목되고있다. 그리고많은사람들이도보로관광을하는지역은남쪽이기때문에북쪽지역을제외하고는조류가서식하기에좋은환경이라고보기어렵다. 이지역에서관찰된종은해안을중심으로서식하는종이비교적많다. 가마우지가 Ⅶ. 조류 115

115 관찰되는지역은등대남쪽에위치한작은섬이지만이섬은낚시하는사람들이점령하고있는것이종종목격되었다. 도요류와재갈매기는주로북쪽의해변에서먹이를찾고있었으며, 사람이접근하면주변을맴돌다다시찾아와먹이를먹는것이관찰되었다. 이종들은대부분 1회관찰되었지만이시기에먹이를얻기위해이지역을찾아온것으로사료된다.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물수리도북쪽의해안주변을선회하는것이확인되었다. 그러나이종은 5회의조사에서 1회관찰되어이지역을일시적으로이용한것으로사료되지만, 관광객에의한방해도배제할수없다.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에의하면 ( 환경부 2004), 물수리는국내에매년 20여마리가호수, 해안, 하구등에도래하고있으며, 한지역에서관찰되는개체수는보통 1~3개체이었다. 이종은하천, 호소, 해변등지에서식하며살아있는물고기를잡는맹금류이다. 물수리는수십미터의상공에서물속에있는물고기를찾으며공중의한지점에서호버링하는일도있다. 물수리의눈은순막이라는얇은막이있어서이것이편광필터의역할과수면의난반사를방지하기때문에물고기를쉽게발견하는것같다. 물고기를발견하면날개를접고급강하하여수면가까이에접근하면양발을펼쳐큰발톱을열고양발로난폭하게물고기를잡아수면을날개로치면서날아오른다. 섭지코지일대에서조류서식지로써비교적좋은환경이라고생각되는지역은북쪽의해안주변을들수있으며, 가마우지가서식하는등대남쪽의섬주변도낚시하는사람들의출입을제한해야할것으로생각된다. 그리고이지역은관광지로이용가치가높아지고있지만섭지코지의내측 ( 중심부 ) 에는종다리 (Alauda arvensis) 의번식이예상되기때문에말의방목, 사람의출입, 개발등을제한할필요가있다. 참고문헌 김창회 조류조사지침. 제 2 차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 pp 환경부. 경기도. 김창회 이경규 형제도 ( 육상동물 ). [2001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 - 제주도 ]. p.33.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11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6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야외원색도감한국의새. LG 상록재단. 서울. 300p. 환경부 년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종합보고서.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620p. Ⅶ. 조류 117

117 사진및설명 사진 1. 가마우지휴식지 사진 2. 섭지코지북쪽해안 11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18 Ⅷ. 포유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포유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을위한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섭지코지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서식이확인되는평범한종들이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나보호동물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다. 1. 서론 제주도의포유류에관한학술적보고는 Thomas(1906) 가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와등줄쥐를기록한것에서비롯된다. Thomas(1908) 는제주도산족제비를본토산족제비로부터분리하여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로명명 발표하였다. 그이후森爲三 (1923, 1928), 岸田久吉, 森爲三 (1931) 에의해제주도산포유류의분포상이알려졌다. 한라산의동물상에대해서는박 (1982),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 제주도, 1985), 오와박 (1994) 에의한ꡐ한라산의동물ꡑ및제주도에서수행한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계획관리계획수립 ( 제주도, 2000),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한라산 5개지역의포유류상에관한보고 ( 오와김, 2003) 등이있다. Ⅷ. 포유류 119

119 최근들어분류학상문제점으로제기되어온제주도산포유류의생물지리학적고찰, 종의분포나서식상황, 종별번식상황및유전학적특징등생물학적정보가상세하게밝혀지고있으나 (Yoon et al., 1997; Oh and Mori, 1998a, b, c, d; Oh et al., 1998, 2003; Iwasa et al., 2001; Oh, 2001; Han et al., 2002; Yoon et al., 2004), 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포유류상에관한연구보고는전무한실정이다. 해안사구는희귀동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빈번하게나타나는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섭지코지해안사구일대의포유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위치하고있으며신양해수욕장에서 2km에걸쳐바다를향해길게뻗어있는곳이다. 뱃머리모양을하고있는바닷가쪽의고자웃코지와해수욕장가까이에있는정지코지로이루어져있으며, 송이라는붉은화산재로형성된언덕위에는왜적이침입하면봉화불을피워마을의위급함을알렸다는봉수대가있다. 해안은해수면의높이에따라물속에잠겼다나타났다하는기암괴석들로절경을이루고있고 TV드라마나영화촬영지로널리알려져인위적인영향으로해안사구가많이훼손되고있다. 섭지코지사구에는군데군데초지가형성되어있고작은곰솔 (Pinus thunbergii) 군락이산재하고있으나바람이강하게부는지역이라빈약한식생구조를나타내고있다 ( 사진 1, 2). 조사는 2004 년 4월부터 6월사이에 12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20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이외에별도로조사된자료도참고하여자료를보충하였다. 3. 조사방법 소형포유동물은생포트랩 (Sherman live traps, cm, Sherman Co. USA) 을설치하여 ( 사진 3, 4, 5), 포획한후종을직접동정하거나터널의입구나형태, 크기등을통해서종의서식을확인하였다. 중 대형동물은직접육안이나쌍안경으로확인하거나울음소리청취, 생태흔적 ( 발자국, 배설물, 식흔, 굴, 휴식흔적등 ) 으로서식하는종을확인하였다. 야간에는손전등을이용하여사방 100m 이내에출현하는종을조사하였다.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한다. 한편, 자연생태지도는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하여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 (Biotope mapping) 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버지니아대학의 Row와 Yuill(1997) 이채집및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포유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에서좌표를기록하여수평적종분포상황을지도상에 Mapping 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에서식하는동물은한국본토와공통인종들이많지만지리적 지형적조건으 Ⅷ. 포유류 121

121 로보아대륙계동물과일본및남방계의동물들이혼서한다. 또한기후가온난하고일부고산지대를제외하면동결기간도짧아서평지에는아열대성동물과난대성동물들이많이서식하고있고, 산정으로올라감에따라점차로한대성동물이나타나는특징을보인다. 또한한반도로부터분리된이후오랜기간에걸쳐기후나기류, 섬의면적및지형등의영향을받아섬고유의변화를거쳐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식생이고도에따라수직적으로다양하게분포하기때문에다른지역에비해곤충류가매우풍부하고, 육상척추동물도지리적격리나제주도가갖는여러가지생태학적, 지리적요인의작용으로인해단순한편이나섬고유의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지금까지제주도에서조사기록된육상포유류는표 1에제시한바와같이모두 5목 9과 21종이다 ( 오, 2003). 이중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와노루 (Carpreolus pygargus), 다람쥐 (Tamias sibiriricus barberi),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가우점인종으로보고된바있으며,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멧밭쥐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긴발뒤쥐 (Sorex caecutiens chejuensis), 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등은제주지역고유종이라할수있다. 조사결과, 제주섭지코지해안사구주변에서는제주등줄쥐 ( 사진 6), 제주족제비, 집쥐 (Rattus norvegicus) 등 3종의서식이확인되었고, 관찰된종들의서식밀도도매우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현지설문조사에의하면제주땃쥐, 집박쥐, 큰집박쥐, 생쥐, 제주멧밭쥐등이서식하였던것으로나타났으나농경지가사라지고관광편의시설들이들어서서식지환경이변화등인위적인영향으로자취를감춘것으로보인다. 122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22 표 1. 제주섭지코지주변의포유류목록 번호학명국명현지조사문헌조사비고 Class 1. Mammalia 포유 ( 哺乳 ) 綱 Order 1. Insectivora 식충 ( 食蟲 ) 目 Family 1. Soricidae 땃쥐科 1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땃쥐 지역고유종 2 Crocidura suaveolens coreae 땃쥐 ( 작은땃쥐 ) 3 Sorex shinto chenjuensis 제주긴발뒤쥐 지역고유종 Order 2. Chiroptera 박쥐 ( 翼手 ) 目 Family 2. Rhinolophidae 관박쥐科 4 Rhinolophus ferrumequinum 관박쥐 Family 3. Vespertilionidae 애기박쥐科 5 Myotis macrodactylus 큰발윗수염박쥐 6 Myotis formosus 붉은박쥐 절멸위기종 7 Myotis nattereri bombinus 흰배윗수염박쥐 8 Myotis daubentoni 물윗수염박쥐 9 Pipistrelus javanicus 집박쥐 10 Pipistrellus coreensis 큰집박쥐 11 Miniopterus fuscus 작은긴날개박쥐 12 Miniopterus schreibersi 긴날개박쥐 Order 3. Carnivora 식육目 Family 4. Mustelidae 족제비科 13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족제비 지역고유종 14 Meles meles melanogenys 오소리 Order 4. Artiodactyla 소目 Family 6. Cervidae 사슴科 15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노루 Order 5. Rodentia 쥐目 Family 7. Sciuridae 다람쥐科 16 Tamias sibiricus 다람쥐 Family 9. Muridae 쥐科 17 Rattus norvegicus 집쥐 ( 시궁쥐 ) 18 Rattus rattus 애굽쥐 ( 곰쥐 ) 19 Apodemus chejuensis 제주등줄쥐 지역고유종 20 Mus musculus mollosinus 생쥐 21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멧밭쥐 지역고유종 종수 (Number of species) 3종 9종 Ⅷ. 포유류 123

123 참고문헌 朴行信 濟州島産哺乳類槪觀, 漢拏山天然保護地區學術調査報告書, pp , 濟州道.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오장근, 신용만 한라산노루의분포특성. 한라산연구소조사보고서. pp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전국내륙습지자연환경조사보고서 ( 고등동물편 ). 환경부. pp 오홍식, 박행신 한라산의동물. 제주도. pp 오홍식, 한상훈, 윤명희, 김장근 생태환경시리즈. 한국의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김수철 한라산내 5개지역의포유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포유류편. 교학사. 元炳旿 韓國哺乳類目 N. 慶熙大學校韓國鳥類硏究所.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 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관리계획수립보고서 ( 육상척추동물 ). 환경부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서- 포유류편.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狀態を推 Q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 Q 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Bailey, J. A Principles of Wildlife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NY, 373pp. Begon, M., J. L. Harper and C. R. Townsend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Oxford. Caughley, G. and A. Gunn Conservation Biology in Theory and Practice. Blackwell Science, Cambridge, 459pp. 124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24 Corbet, G. B The mammals of the Palaearctic region: a taxonomic review. British Museum(Na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Corbet, G. B. and J. E. Hill A World List of Mammalian Species(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dwards, P. J., R. M. May and N. R. Webb Large-scal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Blackwell, London. Han, S. H., M. A. Iwasa, S. D. Ohdachi, H. S. Oh, H. Suzuki, K. Tsuchiya and H. Abe Molecular phylogeny of Crocidura shrews in northeastern Asia: A special reference to specimens on Cheju Island, South Korea. Acta Theriologica, 47: Imaizumi, Y Natural history of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羊羊書房. Iwasa, M. A., S. H. Han, S. Ohdachi, H. S. Oh, H. Abe and H. Suzuki Karyotype and RFLP of the nuclear rdna of Crocidura sp. on Cheju Island, South Korea. J. Mammalia, 65(4): 451~459. Japan Wildlife Research Center Manual of Wildlife Research Handbook. (in Japanese). Koyasu, K Track, trails and signs of the Japanese land mammals. Nikkei Science Inc. (in Japanese). Kuroda, N Korean Mammals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Marquis Yamashina. J. Mamm. Vol. 15(No. 3), Aug. pp Kuroda, N A List of the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Kuroda, N A Monograph of the Japanese Mammals. Sanseido, Tokyo, Japan. Mori, T On Two New Bats from Korea, J. Chosen Nat. Hist. Soc., 16: 4. Oh, H. S Taxonomic status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population of Cheju Island,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J. of Basic Science, Cheju Nat'l Univ., 14: 87~105. Oh, H. S. and T. Mori. 1998a.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in captive of Ⅷ. 포유류 125

125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 (Rodentia, Muridae). J. Fac. Agr., Kyushu Univ., 42: 397~408. Oh, H. S. and T. Mori. 1998b. Histological studies on reproductive organs of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us. Honyurui Kagaku (Mammalian Science), 37: 103~11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c. Reproduc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Honyurui Kagaku(Mammalian Science), 38: 23~3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d.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A. a. chejuensis: Evidence from crossbreeding experiments (Mammalia: Rodentia). J. Fac. Agr., Kyushu Univ., 43: Oh, H. S., Y. Yoshinaga and T. Mori Reproduction in the wild populatio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 Fac. Agr., Kyushu Univ., 42: 383~395. Oh, H. S., Y. Yoshinaga, Kaneko, Iida and T. Mori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comparing external and cranial morphological characters among four Asian Apodemus species. J. Fac. Agr., Kyushu Univ., 47(2):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Thomas, O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London., pp Thomas, O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126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26 Ⅱ.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London., 1906: Thomas, O List of mammals from the Tsu-shima Island. Proc. Zool. Soc. London., p. 54. Whang, C. H Studies on the Rats in Cheju Province and Their Ectoparasites. J. Applied Zool. Soc. Vol.1, No 1, pp Wilson, R. and I. Reeder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New York. 1207pp. Won, P. O. and H. C. Won Mammals of Quelpart Island, J. Applied Zool. Soc. Vol. 1, pp Yoon, M. H., I. Kim, H. S. Oh and C. J. Phillips Biography, genetic structure and speciation in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in southern Korea. Korean J. Genetics, 26: Yoon, M. H., S. J. Jung and H. S. Oh Population structure and reproductive patter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Kor. J. Biol. Sci., 1: Ⅷ. 포유류 127

127 사진및설명 사진 1. 섭지코지조사지전경 사진 2. 섭지코지조사지전경 사진 3. 포유류조사사진 사진 4. 서식흔적조사 사진 5. 생포트랩설치장면 사진 6. 제주등줄쥐 128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28 육계사주에형성된해안사구 섭지코지의전사구 이차사구지대의경관 사구퇴적층내협재하는현무암층 섭지코지사구지형전경 순비기나무군락 129

129 애기달맞이꽃 모래거저리 조롱박먼지벌레 줄장지뱀 쇠살모사 제주등줄쥐 130 전국해안사구조사 ( 섭지코지 )

130 협 재 Ⅰ. 지형 형성환경 131

131 총 괄 이민효 오경희 김기경 염진화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1. 조사배경및목적 해안사구는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최근들어빈번한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대부분의사구들이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환경부는 2001년도서사구를제외한전국의사구조사결과를목록화시키고이들중 133개해안사구에서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해안사구및조사에포함되지않은도서지역의우수해안사구를중심으로조사하는것을원칙으로하되, 배후습지가있는경우배후습지도조사범위에포함하였다. 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우선으로조사하고주요해안사구의생태계에대한정밀자료를확보하여해안사구의기능 가치평가를통한국민인식제고와해안지역의효율적관리방안을제시하고주요해안사구에대한생태계보전지역또는습지보호지역지정근거를제공하는데있다. 2. 조사지및조사방법 조사지역은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협재해수욕장의해안선지역과 (N33 23'16.7", E126 14'09.0") 월림리쪽으로뻗은도로변 (N33 23'05.6", E126 14'02.8") 의해안사구이다. 대부분이표고약 0~60m 로남동쪽의고도가높고북서쪽으로갈수록고도가점차낮아진다. 토지이용상태는초지와소나무밭등이대부분을이루고있으나, 일부지역은해수욕장, 관광시설, 밭작물이재배되는경작지나목장으로이용되고있다. 조사지역의북쪽해안에는협재와금릉해수욕장이있는데, 이곳으로부터다 총괄 133

132 량의패사가불려들어와대상지역에사구지대를형성하고있다 ( 그림 1). 현지조사는 1:25,000 지형도와 1:5,000 지형도에각조사분야별결과를표시하였으며, 조사분야는지형, 퇴적물, 식생, 식물상, 육상곤충, 양서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8개분야를조사하였다 ( 표 1). 그림 1. 제주도북제주군협재사구 표 1. 조사자인적사항 분야조사자소속분야조사자소속조사이민효, 오경희국립환경연구원조영복한남대학교자연사박물관총괄김기경, 염진화생물다양성연구부육상김도성지형 곤충박경화서종철대구가톨릭대지리교육과전북대학교생물교육과형성환경구현아손명원퇴적물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양서ㆍ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장문기파충류오승철유영한국립환경연구원식생조류김창회국립환경연구원송민섭생물다양성연구부강종현생물다양성연구부박수현식물상국립수목원포유류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류세아오승철 13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33 3. 조사결과 가. 분야별조사결과요약 1) 지형 형성환경협재지역의해안사구는해안선의길이에비해사구사의운송거리가커서최대도달거리가해안으로부터 10여킬로미터에이르는대규모사구지역이다. 이지역의대부분은관광지개발, 인공조림, 경작지등으로이용되어자연상태를유지하고있는지역이거의없다. 해빈과인접한전사구지역은원형이많이훼손되어있어지형이다양하지않다. 후면지역은오래전부터곰솔이식재됨으로써고정해안사구를형성하고있다. 2) 퇴적물분석본조사지역의사빈은협재해수욕장으로이용되며, 협재굴ㆍ쌍룡굴ㆍ황금굴등의용암굴에는많은종유석이형성되어있어특이한모습을띤다. 조사지역내에는해안으로흘러드는하천이없기때문에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해빈에서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퇴적물은비중이작은패사 ( φ, 0.33~0.59mm) 가많이함유되어있기때문에평균입경이 ( φ, 0.29~0.96mm) 정도로비교적굵은편이다. 퇴적물의평균입경은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게나타난다. 분급은보통 (moderately sorted) 혹은약한분급 (poorly sorted) 수준이며, 왜도는해안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 를나타내며, 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인다. 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의범위를나타내며, 유효인산은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불규칙하게분포한다. 3) 식생이지역의사구식생은해안선으로부터 50m 이내에분포하는초본식생과후사구의전지역을우점하는곰솔군락으로구성된목본식생으로크게구별할수있었다. 해안선과전사구쪽의초본식생은띠군락이우점하는가운데갯금불초군락, 띠-순비기나무군 총괄 135

134 락, 개자리-사철나무군락, 애기달맞이꽃-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잔디군락등총 9개의식물군락이우점하였다. 이들식생의피도값, 식생높이, 종다양도등의변화는해안선으로부터내륙으로진행함에따라중간지역까지는증가하는경향을보였으나, 초본식생이끝나는곳에서는현격히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이러한식생구조의특성은인위적인답압의영향으로판단된다. 따라서, 이지역의사구식생을보호하기위해서는사람이적게밝고지나가도록길을다른곳으로내든가, 혹은목도를만들어식생에미치는압력을줄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특히사구침식지역이내륙쪽으로침입하여그면적이점차넓어지고있으므로이지역을순비기나무등과같은토종사구식생을이용하여보전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곰솔군락은해안도로이후의전부분을점유하고있는데, 생육상태가매우양호하고, 그하층식생 ( 관목층, 초본층 ) 은상록활엽수가우점하고있어전형적인난대활엽수림으로의천이가진행되고있다. 이러한곰솔림은제주도나다른지역에서는볼수없는우수한해안보전림이므로곰솔군락의재생과정과난대림으로의천이에대한지속적인조사가필요하다. 4) 식물상출현된고등식물은 55과 155속 194종 23변종 5품종으로총 222분류군이확인되었다. 국화과 36분류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장미과 10분류군의순으로출현되었다. 국화과가장많이확인되었으며다음으로벼과가확인되었다. 이러한현상은이지역에해수욕장이넓게펼쳐지며도로변에관상수가많이심어져있는탓으로보인다. 이지역의우점종은순비기나무, 창질경이, 큰이삭풀, 냄새냉이, 갯메꽃등이균등하게분포하고있다. 5) 육상곤충협재리해안사구에대한곤충조사결과, 총 12목 46과 73종이확인되었고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2목 6과 9종이확인되었다. 본조사지역은해수욕장과한림공원및민가가밀집되어있으면서도비교적다양한곤충의서식을보여주고있다. 그러나해빈지역이차량주차장이나건물들이들어서있고인구가밀집된지역으로조간대지역, 초지, 및리기다소나무군락의삼림지역이서 13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35 로단절된모습을보여주고있다. 6) 양서 파충류조사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청개구리 1종, 파충류는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3종이확인되었다. 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는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주변환경은수계가형성되어있지않고인위적인영향을많이받고있어양서 파충류의서식지로는적합하지않은것으로본다. 7) 조류협재일대에서관찰된종은 44종이었으며, 이지역에서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깝작도요 (Tringa hypoleuco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이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6종이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2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흰목물떼새 ; Charadrius placidus), 특정종은 4종 ( 아비 ; Gavia stellata,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뻐꾸기 ; Cuculus canorus) 이었다. 8) 포유류조사결과, 협재사구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이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은확인되지않았다. 나. 협재사구지역에서확인된종수조사지역에서확인된종수는총 318종으로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로는물수 리 (Ⅱ 급 ; Pandion haliaetus), 흰목물떼새 (Ⅱ 급 ; Charadrius placidus) 가확인되었다. 총괄 137

136 4. 결론 협재사구지대는해안선과인접한전면은오랜기간해수욕장으로이용되었기때문에일부전사구부분을제외하고는자연상태그대로의모습을관찰하기는어렵다. 하지만한림공원을경계로그후면은산림상태로유지되어왔기때문에해안사구의원지형이많이보존되어있다. 이들지형은산림피복으로인해퇴적물의공급이중단된이후로안정상태로바뀌어감에따라이동사구는찾아볼수없었다. 그결과이지역에지형적특성상사구의역동성은없었으나그지역에형성된곰솔군락은현재공간적으로는산림성조류인직박구리, 박새, 제주휘파람새, 내륙성곤충류등이이용하고있고, 하층에서는아왜나무, 팔손이, 까마귀쪽나무등의상록활엽수어린식물이많이관찰되어상록활엽수림의천이가예상된다. 이러한독특한군락구조양상은온도대로볼때이지역이잠재적으로난대상록수림지역이지만해풍에의하여곰솔군락이입지적으로유지되고있기때문으로판단된다. 특히교목층의곰솔군락수관의밀폐율이낮아져결국이군락은안정한상록활엽수림으로의천이가진행될것으로판단된다. 이러한곰솔군락은그구조적특성과종조성및층위를모방하여제주도내의해안림의조성및보전에모델로적용시킬수있는중요한구조라판단되므로일정기간지속적인관찰이필요하다. 13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37 Ⅰ. 지형 형성환경 서종철대구가톨릭대학교지리교육과 요 약 협재지역의해안사구는해안선의길이에비해사구사의운송거리가커서최대도달거리가해안으로부터 10여킬로미터의범위에걸쳐형성되어있다. 이지역의대부분은관광지개발, 인공조림, 경작지등으로이용되고있어자연상태를유지하고있는지역이거의없다. 이지역은관광객의출입이빈번한해수욕장과전사구지역, 공원조성지, 경작지, 산불에의해곰솔림이제거되어노출된초지와관목지, 그리고곰솔이식재된산림지로구분할수있다. 이가운데산림지가가장넓은면적을차지한다. 해안선과인접한전면은전사구의일부만이자연상태를유지하고있다. 한림공원을경계로그후면은곰솔림이조성되어이차사구의원지형이많이보존되어있다. 하지만이들지형은산림피복으로인해퇴적물의공급이중단된이후로안정상태로바뀌어감에따라이동사구는찾아볼수없고, 심지어는완전히육화되어있어전문가라할지라도단면이노출되지않는한사구인지알아보기도어려울정도이다. 해빈과인접한전사구지역은원형이많이훼손되어있어지형이나사구식물이다양하지않다. 후면지역또한오래전부터곰솔이식재됨으로써지형의역동성이적고사구동식물을찾아보기어렵다. 즉해안사구의고유기능은퇴화되었다고평가할수있다. 따라서현상태에서협재지역의해안사구가지니는가장큰기능또는가치는용암동굴내부의생성물을형성할수있도록하는석회질의공급원으로서의역할이라고할수있다. 따라서용암동굴이있을것으로추정되는지역의상부에있는해안사구는보호되어야한다. 이는용암동굴을물리적인충격으로부터직접적으로보호하기위해서도필요한일이다. Ⅰ. 지형 형성환경 139

138 1. 서론 일반적으로서해안과동해안에비해제주도는해안사구의분포지로서주목을받고있지못하다. 그러나환경부 (2001) 에따르면제주도에는총 12개의해안사구가있으며, 행정구역별로는제주시에 1개, 북제주군에 6개, 그리고남제주군 5개가분포하고있다 ( 그림 1). 규모로볼때는대체로소형이어서, 총 12개의사구중대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분포하는사구와북제주군구좌읍금명, 월정리에분포하는사구가있고, 중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에분포하는것이있으며, 그외의나머지 9개의사구들은모두소형의규모이다 ( 표 1). 조사지역인협재사구는환경부의보고서에는소형의사구로분류되어있으나, 사구사가비산되어형성된육지쪽의폭이과소평가되어있어본보고서에서는 대형 으로판정하였다. 제주도의해안은대부분이오래전부터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사계절일반인의발길이끊이지않는곳이다. 그러나대부분의해안은암석해안으로구성되어있고사질해안은규모와출현빈도가모두낮아전체해안의 7.1% 에해당하는 21.9km 에불과하다 (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의대표적인사빈인협재, 곽지, 함덕, 김녕, 하도, 표선, 중문, 대정해수욕장은그길이가대부분 500m 를넘지못한다. 또한도처에기반암이노출되어사빈의연계성도좋지않다. 대규모의사질해안이출현하기위해서는다량의토사를지속적으로공급하는하천의존재가필요하지만, 화산지형의특성상하천의발달이매우미약하기때문이다. 그림 1. 제주지역해안사구분포도 14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39 육지쪽에서모래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으므로사빈퇴적물중해저로부터공급된패사의함량이매우높다. 제주도의사빈에서석회질퇴적물이차지하는비율은약 67% 에이른다. 김녕지역에서는퇴적물중약 98% 가석회질로사빈이거의전부패각편으로구성되어있다. 반면에주변에파식에약한응회구가위치하여다량의암설을공급받는안덕면사계리, 화순리와성산읍신양리에는비교적규모가큰사빈이존재하며, 사빈퇴적물중패사가차지하는비율도높지않다 ( 표 2). 표 1. 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위치와규모 지명 위치 상태크기 (m) 양호보통파괴대중소길이폭 이호 제주도제주시이호일동 곽지 제주도북제주군애월읍곽지리 협재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 하모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하모리 사계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 1,700 1,300 표선 제주도남제주군표선면표선리 섭지코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800 1,000 신양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2, 하도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하도리 평대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평대리 김녕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김녕, 월정리 3, 함덕 제주도북제주군조천읍함덕리 자료 : 환경부, 표 2. 해안사구의지역별석회질함량 ( 단위 : %) 순서 지역 해빈 사구 순서 지역 해빈 사구 1 김녕 중문 평대 사계 협재 성산 곽지 이호 함덕 신양 표선 삼양 자료 : 한태흥, 제주도의해안사구지역은그동안육지보다연구및조사가부족하지만, 최근들어해 안지역의개발과관련하여해안사구의보전문제가대두되면서관심이증대되고있다. Ⅰ. 지형 형성환경 141

140 제주도의해안사구에대한연구는한태흥 (1993) 에의해비교적빠른시기에시작되었으나실질적으로는 2000년이후전국적인해안사구의보전에대한인식이높아진후에시작되었다. 김녕사구와협재지역의사구를대상으로퇴적물의조성과화학적특성, 그리고일부지역의연대측정이이루어졌다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하지만이러한연구는아직기초적인수준에머물러있으며, 해안사구지형에대한체계적조사나해안사구의가치를결정하기에는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본조사에서는항공사진과지도를통해사구지역의범위와변화과정을파악하고이를현장에서확인하며, 사구지역에서출현하는지형과지형의활성도, 그리고지형적인측면에서의사구지역의보전가치를제시하고자한다. 현지조사는세지역모두규모가작기때문에 1:5,000 지형도를이용하였으며, 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추이를알아보기위해 1979~1995 년간에촬영된항공사진을이용하여변화양상을파악하고, 지표피복변화를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각요소별기후자료는현지에서직접측량된것이없어조사지역에가장인접한기상대의최근 30년간자료 (1971~2000) 를이용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위치조사지역의위치는행정구역상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에속하며, 지리적으로는동경 '17.15 ~ , 북위 ~ 에있다. 조상대상지역은장경이약 1.5km, 단경이약 1km인직사각형모양이다 ( 그림 2). 제주도사람들에게도협재사구는잘알려져있지않으나한림공원이나쌍용 협재굴, 또는한림해수욕장등의잘알려진관광명소들이조사지역내에위치해있다. 이곳은제주시를기준으로할때 12번국도를따라서쪽방향으로약 34km 지점에해당된다. 14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41 그림 2. 조사지역개관도 나. 지형제주도의지형은한라산을중심으로동서사면은 3 ~5 의매우완만한경사이며, 남북사면은 5 정도로약간급한경사를이루고있다. 해발고도 200m 이하지역은제주도전체면적의 55.3% 로해안지대이며, 고도 m 의중산간지대는전체면적의 27.9% 로목초지나유휴지로되어있고, 고도 500 1,000m 지대는제주도전체면적의 12.3% 로삼림이나버섯재배로이용하고있으며, 고도 1,000m 이상의고산지대는전체면적의 4.5% 를차지하고있다 ( 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조사지역의대부분은표고약 0~60m 로남동쪽의고도가높고북서쪽으로갈수록고도가점차낮아진다. 토지이용상태는초지와소나무밭등이대부분을이루고있으나, 일부지역은해수욕장, 관광시설, 밭작물이재배되는경작지나목장으로이용되고있다. 조사지역의북쪽해안에는협재와금릉해수욕장이있는데, 이곳으로부터다량의패사가불려들어와대상지역에사구지대를형성하고있다. 하지만사방사업의일환으로송림. Ⅰ. 지형 형성환경 143

142 이식재된후부터사구지대는활동성을잃고고정사구로변화되었다. 따라서조사대상 지역내에서는현재활동성을보이는사구는존재하지않는다. 다. 기후협재지역에는관측장비가설치되어있지않아가장가까운제주관측소의자료를이 용하여분석하였다. 1) 기온과강수량제주지역은사계절이비교적따뜻한난대성기후를보이며, 해양과접하고있어해양성기후의특성을반영하기도한다. 제주지역의최근 30년간연평균기온은 15.5 이고, 최한월은 1월로 5.6 이며, 최난월은 7월로 25.7 로서연교차는 20.1 이다. 최난월의평균기온은육지의그것과크게다르지않으나최한월평균기온이식물의생장한계온도인 5 보다높게유지되고있어사계절식물의성장이가능하며, 일시적인기온의저하는나타나지만평균기온이영하인달은나타나지않는다. 최난월이 7월에나타나는것이특징이다. 최근 30년동안의연평균강수량은 1,457mm로서다우지역에속한다. 강수량이가장적은달은겨울철인 12월로 45mm 이고, 제일많은달은 8월로 258mm이다. 내륙지역에비해겨울철강수량이많은것이특징이고, 내륙지역에비해하계집중도가떨어지기는하지만대부분의 6월에서 9월까지에집중되어있다 강수량기온 기온 ( 도 ) 강수량 (mm) MONTH Month 0 그림 3. 제주지역의기온과강수량 (1971~2000) 14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43 표 3. 제주지역의월평균기온과강수량 ( 단위 :, mm) 구분 전년기온 강수량 ,457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2) 풍향과풍속바람은사구형성에지대한영향을미치는인자이다. 지난 30년간관측된제주지역의풍속과풍향을살펴보면, 풍속은연평균 3.8m/s 이며월별최고풍속은 4.9m/s 로서겨울철인 1월에기록되었다. 해안지역의특성을반영하여육지에비해풍속이연중강하게나타나는것을알수있다. 풍향은 11월부터이듬해 3월까지는북북서풍과북서풍이우세하고, 4월부터 5월까지는서풍계열, 6월부터 10월까지는북동풍, 동북풍남남동풍등이혼재되어나타난다. 일반적으로사구의모래가이동하기위한유효풍속을 4.0m/s 이상으로보았을때, 월평균풍속이 4m/s 가넘는 11월부터 3월까지는일평균풍속이유효풍속을초과하는경우가자주나타날것으로기대된다. 이결과를볼때조사지역의풍향과풍속자료는해안사구의형성시기나이동방향과대체로일치하는것으로볼수있다. 하지만이와같은월평균풍속자료는해안사구의형성을이해하는데정확한도움이되지못한다. 더욱이현지도아닌수십킬로미터나이격되어있는장소에서얻어진자료이기때문에그러하다. 따라서해안사구에서의모래이동에영향을주는바람요소를구하기위해서는해당사구에관측장비를직접설치하여정밀한자료를구해야한다. 표 4. 제주지역의풍향과풍속 ( 단위 : m/s) 구분 전년 풍속 풍향 NNW NNW NW WNW W NE NE ENE ENE SSE NNW NW NW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3. 조사방법 가. 사구지역의지표피복변화해안사구의발달과정을파악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문헌자료는고지도와항공사진, Ⅰ. 지형 형성환경 145

144 인공위성사진을포함한원격탐사자료등이다. 인공위성사진분석은최근에가장많이이용되는원격탐사방법의하나이지만, 사구지대의지형변화를탐지하기에는해상도가떨어지거나해상도가높은경우비용이많이드는단점이있어해안사구를대상으로정밀한분석이행해진예는거의없다. 항공사진분석은하천이나해안지형과같이역동적으로변화하는대상을연구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방법이다. 특히, 항공사진은식생의피복상태유무와토지이용패턴, 그리고인공지물등을육안으로직접확인할수있으며지상에서는관측할수없는지형의패턴이쉽게관측할수있기때문에해안사구연구에서널리사용되고있다 (van Zuidam et al., 1998). 그러나항공사진은지형도와는달리촬영당시의기울기가보정되어있지않기때문에정확한결과를분석해내기위해서는우선적으로위치와기울기등의기하학적인정보를보정 (geometric correction) 하여야하며, 위치보정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정확도저하를해결하는것이문제로남아있다. 이조사에서는비교적획득과처리가쉽고비용이적게드는항공사진을이용하여조사지역해안사구의분포와지형변화등을관찰하고자하였다. 분석에이용된항공사진은 1979 년과 1995 년에촬영된 2세트로서 16 년동안의지표피복변화를관측할수있었다. 나. 해안사구의지형분류사구지형은발달단계나식생피복의차이등에따라여러측면에서분류할수있다. 우선사구지형을발달단계에따라구분하면, 전체적으로해안선과평행하게형성되어있는전사구 (foredune) 를포함한일차사구 (primary dune) 와전사구후면에서배후산지사이에발달되어있는이차사구 (secondary dune) 로나눌수있으며, 안정상태에따라서는모래의공급이꾸준히이루어지거나급격하게침식이일어나는지역에서볼수있는이동사구와식생으로덮여있어변화가일어나지않는고정사구로구분할수있고, 식생피복상태에따라식생이덮여있는식피사구와그렇지않은미식피사구로구분한다 ( 표 5). 이차사구는일차사구의배후에형성되어있으며, 조사대상지역의사구지대는모두이차사구에속한다. 이분류군에는스웨일 (swale) 또는슬랙 (slack) 으로불리는고도가낮고평탄하거나움푹패여있는사구저지, 모래의이동에의해형성된바르한형사구 (barchanoid dune) 나세이프사구 (seif dune), 종사구 (longitudinal dune), 그리고모래가침식되어형성된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 (blowout) 등이나타난다. 대부분의사구저지는 14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45 식생으로피복되어있으며, 사구습지가형성되어있기도한다. 사구습지 (wet dune) 는지 하수면이지표면과매우근접해있는곳에서나타나며, 일시적이거나영구적으로물에 잠겨있는사구지대내의습윤슬랙과사구지대후면의사구배후호등이포함된다. 표 5. 해안사구지형분류와협재사구지대의출현지형 대구분소구분지형규모 발달단계 안정단계 1 차사구 2 차사구 재퇴적사구 침식사구또는취식와지 (Blowout) 전사구 (foredune) 전사구열 (foredune ridge) 소소 바르한 (barchan) 형사구 없음 종사구 대 ( 고정 ) 스웨일 대 ( 고정 )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중 ( 고정 ) U자형사구 (U-shaped dune) 소 ( 고정 ) 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없음 머리핀형사구 (hairpin dune) 없음 스웨일 (swale) 건조슬랙 (dry slack) 대 ( 고정 ) 또는슬랙 (slack) 스웨일또는습윤슬랙 (wet slack) 없음 사구호 (dune lake) 또는사구배후호 (back dune lake) 없음 슬러프터 (slufter) 없음 취식평지 (deflation plain) 또는사구평지 (sand sheet) 없음 이동사구 (mobile dune) 고정사구 (stable dune) 없음대 피복상태식피사구초지사구 (grassland dune) 중삼림사구 (forested dune) 대미식피사구노출사구또는미식피사구 (unvegetated dune) 없음 4. 결과및고찰 가. 지표피복변화분석결과분석기간동안항공사진분석결과대상지역에서는인위적요인과자연적요인에의 Ⅰ. 지형 형성환경 147

146 해변화가진행된것으로나타났다. 인위적인변화가운데가장큰변화는조사대상지역을가로지르는 12번국도의건설과한림공원지역의확대였으며, 그다음으로는가스저장시설의건설이다. 인위적요인에의한또다른변화는한림공원일대의변화로서한림공원의부지가외연적으로크게확장된것을알수있다. 자연적인변화는식생의천이에따른것으로서이지역을피복하고있던산림이자체적인연령증가로인해피도가높아졌고, 대상지역내에산재해있던경작지들이경작을포기함으로써자연적으로초지나관목림또는교목림으로천이되어가는상태에놓여있는것으로관측되었다. 또한조사지역내부에형성되어있던소로들도지금은거의이용되고있지않아흔적형태로관찰되고있다. 하지만일부경작지는아직도경작이나방목이행해지고있어피복도가크게변화되지않는곳도있다. 항공사진분석과정에서아쉬운점은현장조사시에관찰되었던대상지역중앙부의대규모산화지가이사진에촬영되어있지않아그면적을실질적으로분석하기어려웠다는점이다. 이는추후당시의항공사진이나위성사진이입수된다면분석이가능할것으로사료된다. 나. 현지조사결과현지조사결과협재지역의해안사구는발달단계에따라서는대부분의지역이이차사구로분류되었으나활성도가미약한것으로나타났으며, 안정단계는고정사구로판정되었고, 피복상태에따르면곰솔이식재된삼림사구와띠가우점하는초지사구가함께나타나는식피사구로판정되었다. 협재사구지대는해안선과인접한전면은오랜기간해수욕장으로이용되었기때문에일부전사구부분을제외하고는자연상태그대로의모습을관찰하기는어렵다. 하지만한림공원을경계로그후면에는사방림조성으로인해산림상태로유지되어왔기때문에해안사구의원지형이많이보존되어있다. 하지만이들지형은산림피복으로인해퇴적물의공급이중단된이후로안정상태로바뀌어감에따라이동사구는찾아볼수없고, 심지어는완전히육화되어있어전문가라할지라도단면이노출되지않는한사구인지알아보기도어려울정도이다. 조사대상지역의현재상태는관광객의출입이빈번한해수욕장과인접한전사구지역과공원조성지, 사구표면이노출되어있는경작지와중생식물인띠와일부사구식물이 14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47 자라고있는초지, 산불로인해목본의밀도가현저히감소해있는중간지, 그리고곰솔 위주의군락이형성되어있는산림지로대분할수있다. 1) 전사구지역전사구지역은 1차사구에해당되는범 (berm), 전사구 (foredune), 전사구열 (foredune ridge) 등이나타날수있는데, 협재사구지대에서는해안지역인협재해수욕장에소규모의전사구와전사구열이형성되어있다. 전사구전면부에는미약하게나마해빈이발달해있으나현무암으로이루어진기반암이대부분노출되어있고해빈층의두께가깊지않은것으로보인다. 따라서해빈으로부터의모래공급량은크지않을것으로판단된다. 이지역의특징은일부전사구만이자연상태로존재하고있을뿐대부분이해수욕장시설과공원시설로훼손되어있다는점이다. 따라서해빈과맞닿은전사구지역만이라도자연상태로유지될수있도록조치가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된다. 2) 이차사구지역조사대상지역에서관찰되는사구는대부분이차사구로서, 전사구에서강한바람에의해날려들어와쌓이게된종사구와바르한형사구, 그리고바람에의해깎여만들어진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등의이동성사구였으나현재는식생에의해피복되어형태를알아보기도어렵다. 한림공원이조성된지역은사구의흔적을찾아보기도어렵게파괴되었다. 따라서모래의이동이일어나는이동사구 (mobile dune) 또는미피복사구 (unvegetated dune) 는사방림조성이후고정되어대상지역에는전혀나타나지않는다. 대상지역의중앙부에는초본으로덮여있는초지사구가넓게나타나고있는데, 이지역에서는고저의변화가매우큰사구의특성이잘관찰된다. 하지만일반적인사구초지가나지상태에서초본류가정착함에따라점차초지로변모해가는일차천이과정에의해형성된것에비해, 이지역의초지는안정상태의산림사구가산화 ( 山火 ) 로인해노출된후초지의침입이진행되는이차천이의형태를띠고있다. 산화로인해일시적으로형성된초지사구또한관목의침입이가속화되고있어조만간산림으로천이될것으로보인다. 대상지역의사구지형을종합하면, 조사된대부분의단위지형은과거환경에서해안지역에서내륙으로이동중인이차사구또는사구열의일부로서고도가높은사구 (ridge) Ⅰ. 지형 형성환경 149

148 와사구저지 (swale) 였다. 이지역의모래는북북서쪽해안에있는금릉해수욕장과협재해수욕장의해빈으로터공급된것이고겨울철풍계역시북서풍이주를이루므로, 사구열의방향은북서방향을나타낼것으로예측할수있으나, 현지조사에서는무성하게피복된식생으로인하여확인하기어려웠다. 사구의규모는대개지표로부터 5m 내외였으나큰것은 10여미터이상인것도있었다. 지표비고 10m에달하는큰규모의사구는대체로대상지역중앙부의목장을경계로동쪽과남쪽에분포하고있었으며, 특히목장부지서쪽의사구지대에는산화로인해초지로이루어져있어굴곡이심한사구의모습이잘드러나있다. 이곳에는사구열과스웨일뿐만아니라고정되어쉽게알아보기어려우나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가분포한다. 이지역은겉보기에는초지로이루어져있어쉽게접근할수있는것처럼보이지만빽빽이자라고있는초본류사이로가시가많은덩굴성식물과관목이자라고있어접근이용이하지않다. 이지역의식생은순비기나무를제외하면전형적인사구식물이거의없기때문에형태를보존하고있다는점을제외하면사구동식물의서식처로의사구기능을거의수행하지못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다. 토의 1) 협재지역의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지금까지제시된해안사구의일반적인기능과지역적특수성에기인한협재사구의기능은아래와같다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5). 가 ) 에너지교환시스템에서의모래저장고해빈과해안사구사이에는, 보다넓게는해양과육지사이에는, 끊임없이모래를서로주고받는다. 육지에서하천에의해운반된퇴적물은해저에일시적으로저장되지만, 파랑이나조류에의해얕은부분에있는것들은다시해변으로운반되어해수의에너지에의해퇴적된다. 바닷물의에너지가크고해안선이돌출된곳에서는육지부분이침식되지만, 만입부에서는에너지의크기가감소함에따라거력 ( 巨礫 ), 자갈, 모래, 펄등의순서대로퇴적되어각각암석해안, 자갈해안, 모래해안및갯벌이형성된다. 해안사구는이러한퇴적해안가운데모래해안과밀접한관계를가지고있다. 서해안과같이조차가큰곳에서는모래해안의전면부가대부분모래갯벌로이루어져있다. 바다 15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49 가잔잔한평시에는간조시에물이빠지면모래갯벌과모래해안에서바람에불려진모래는후면으로운반되어사구지대에쌓임으로서사구가성장하게되지만, 바다의힘이거세진폭풍우시에는사구의모래가침식되어해안이나해빈으로공급된다. 해안사구를비롯한해안퇴적지형에서일어나는이러한순환체계를통해해양과육지는상호작용하며유지된다. 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서해안과는달리해빈퇴적물의두께가매우얇고하천에의해공급되는토사와해양으로부터공급되는모래의양이적기때문에, 현재환경에서는해빈과모래의순환체계가매우약하게연결되어있는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육지지역의해안사구에비해제주지역해안사구에서의이기능은미약한것으로판단된다. 나 ) 해안지역 ( 농경지와촌락 ) 의보호해안사구는갯벌과더불어폭풍이나해일로부터후면의해안지역을보호하는역할을한다. 갯벌과사구를이루는구성물질은미세한입자이기때문에약간의힘이주어져도쉽게침식되지만, 동시에침식과이동과정에서파괴적인에너지를소비시키며, 폭풍우가지나고바다가잔잔해지면다시해안지역으로운반되어파괴된곳을새롭게보충해주기때문에폭풍에의해생긴상처를자연스럽게치유한다. 더욱이해안사구의구성물질이가지는물리적성질뿐만아니라해안사구에정착해서사는식생또한이러한역할을더욱크게해준다. 일반적으로사구식생은염분에내성이강할뿐만아니라생존을위해지상부에비해긴뿌리체계를가지고있으며, 대부분지하경에의해번식하고있어서로간의연계성이매우높다. 따라서사구식생에의해모래가고정되어있는전사구와그렇지않은전사구는외부의충격을받았을때피해정도가차이가나며, 피해후복원되는속도또한크게차이가난다. 다 ) 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일반적으로사구지대는강한해풍과염분, 척박한영양분, 강한햇빛, 부족한수분등의악조건을제공하며, 끊임없이움직이는모래는다양하고특이한환경조건을제공한다. 이러한조건들은사구환경에적응한생물들에게는다른경쟁자들과의경쟁우위로작용한다. 또한여름철성수기를제외하면인간의간섭을거의받지않기때문에생물들의서식에유리하게된다. Ⅰ. 지형 형성환경 151

150 제주도는온화한기후적특성으로인해육지와는다른생물의서식조건을갖추고있다. 이는대륙의사구지대가가지는일반적인생물의서식조건이다소다르다는것을의미하므로이에적응하는생물도다르게나타난다. 물론사구에서식하는고유동 식물은모래가없는일반육상에서는자라지못한다. 갯금불초와애기달맞이꽃등이제주도에만분포하는대표적인해안사구식물이며, 순비기나무와갯방풍, 초종용등도제주도에서잘자랄수있는사구식물로꼽힌다. 체계적인조사가이루어질경우이러한목록은추가될가능성이높으며, 동물분야에서도사구에의존하는것들이밝혀질것으로판단된다. 라 ) 지하수의보호해안사구는육지와해양사이에형성되어있으며투수성이높은모래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 육지에서해양으로유출되는담수가해수로인해차단되어다량의지하수형태로보존되어있다. 사구를통해흘러들어간담수는지하수위를높여염수가바다쪽에서밀려들어와지하수가오염되는것을막는다. 해안사구의지하수는사구후면에거주하는주민과사구내에서식하는생물의수자원으로이용되고있기때문에사구가없어지거나훼손되어사구의높이가낮아지면, 바다쪽의염수지하수가육지쪽으로침입하여지역주민들과생태계에치명적피해를미친다. 하지만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하부가대체로다공성의현무암으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일부사구지역을제외하고는이러한지하수저장고로서의역할은거의수행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마 ) 해안생태관광지세계어느지역에가보더라도바다와접해있는해빈과해안사구는관광지로잘알려져있는경우를볼수있다. 제주도에서도잘알려진해안지형은용두암이나대포동주상절리처럼대체로침식지형인것이많다. 하지만제주도에는십여개가넘는해빈과해안사구가분포하고있으며주변에는다양한해안침식지형과화산지형이함께나타난다. 따라서해안사구의역동성과경관적특이성이이러한관광자원과결합된다면경관자원에의존한관광뿐만아니라생태자원을활용한관광지로서각광을받을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그리고이러한생명체들이생존을위해모래와특이하게상호작용하는모습을찾아볼수있기때문에, 자라나는어린이들에게보여줄중요한생태학습장이될수있다. 관광자원으로서해안사구의가치는무한하다. 다만이것을어떻게활용하느냐에성 15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51 패가달려있다. 바 ) 용암동굴내석회생성물의공급원제주도에는현재까지 127개의용암동굴이분포하고있는데, 주로평탄한현무암의용암대지를이루고있는제주도의동측과서측의저지대에집중되어있다. 제주도해안가저지대에분포하는몇개의용암동굴에는방해석으로이루어진동굴생성물이많이발달하고있는데, 조사대상지역에있는협재굴, 쌍용굴, 소천굴, 황금굴, 송림굴등을비롯하여당처물굴이잘알려져있다. 이러한석회성분의광물은동굴위지표면을덮고있는패사로구성된탄산염퇴적물즉해안사구퇴적물로부터공급된것이다. 이들은세계에서비교할만한것이없을정도로그경관이뛰어나고형태가다양할뿐만아니라아주특이한현상이기도하다. 이러한동굴생성물은천장, 벽면과바닥에종유관, 종유석, 유석, 동굴산화, 석화의형태로자란다. 이러한경관적특이성을가능하게하는것이바로해안사구의퇴적물이다. 바다로부터운반된패사성분의퇴적물은오랜시간빗물에의해용해되어현무암을틈새를따라지하로이동되어동굴내부에도달한후방해석의형태로침전되어각종생성물을만드는것이다. 따라서용암동굴내부의석회생성물이유지되려면해안사구의보존이필수적이다. 사 ) 학술적가치해안사구는매우역동성이큰지형이다. 따라서해안사구는해안퇴적지형시스템의변화에대한단서를풀수있는귀중한자원이다. 해안사구의형성은모래의공급량, 바람조건, 해수면변화등에대해매우민감하게반응하고때문에, 현재의퇴적환경에대한정보는물론, 사구의형성시기와형성환경을동시에연구한다면형성당시의해수면이나기후환경에대한정보를파악할수있다. 최근개발된 OSL 연대측정기법은이러한사구연구의신뢰성을높여주고있어사구연구가고환경연구분야에중요한분야로자리매김할전망이다. 2) 협재사구의기능과지형적가치평가 < 표 6> 에는조사자가개인적인해안사구조사와연구를통해지형적인측면에서해안 사구의가치와중요성을비교적객관적으로평가할수있다고판단한기준과평가결과 Ⅰ. 지형 형성환경 153

152 가제시되어있다. 물론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가지형적인측면에만국한되어있는것은아니지만, 조사자의전공이지형분야이고또동식물분야와사회경제적인측면에서의문제는다른전문분야의의견이필요한시점이어서, 이보고서에서는해안사구의가치를지형적인측면에서만다루었다. < 표 6> 의결과에서알수있듯이, 협재해안의해빈은해수욕을즐기기에는규모나질면에서높은평가를받기는어렵다. 한림공원을찾은관광객들이잠시들렀다가는정도의장소로평가하는것이바람직할정도이다. 해빈과인접해발달해있는전사구또한규모가작고원형이많이훼손되어있어지형이나사구식물이다양하지않다. 물론해안도로가바다까지인접해있는지역에비해훨씬아름다운자연경관을보이는것은당연하다. 하지만해안사구가가지는일반적인기능들은협재지역에서크게기대하기어려울것으로보인다. 해빈과접한해안사구의전면도상기한바와같이그러려니와조사대상지역인후면은오래전부터곰솔이식재됨으로써해안사구의고유기능이퇴화되었기때문이다. 변화가일어나야하는사구지형은찾아보기도어렵고, 사구를뒤덮어야할사구의고유식물은순비기나무나좀보리사초등의몇몇종을제외하고는찾아보기도어렵다. 그마저도아주제한된지역에서식하고있을뿐이다. 따라서현상태에서협재지역의해안사구가지니는가장큰기능또는가치는용암동굴내부의생성물을형성할수있도록하는석회질의공급원으로서의역할이라고할수있다. 따라서용암동굴이있을것으로추정되는지역의상부에있는해안사구는보호되어야한다. 이는용암동굴을물리적인충격으로부터직접적으로보호하기위해서도필요한일이다. 15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53 표 6. 협재해안사구의지형적가치판단기준 평가항목 기준 등급 상중하 판정결과 면적 해안사구의해안선길이와내륙으로침투한폭 해안선 3km 이상, 또는폭 300m 이상 해안선 1.5-3km, 또는폭 m 해안선 1.5km 이하, 또는폭 150m 이하 상 체적 사구지대내에퇴적되어있는해발고도 20m 이상존재사구사의양과규모또는 10m 이상 5개이상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5 개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 개미만 중 퇴적환경 해안사구의잠재적성장 / 안정 / 침식가능성 지속적인모래유입으로전사구성장이예상될때 모래가유입되지만전사구의성장보다는안정이예상될때 전사구의침식이예상될때 하 역동성 사구지대내에서일어나는지형변화정도 퇴적물의유출입과지역내순환이빠르게일어나지형의성장과파괴가일어나고, 사구지역내에서의식피상태가빠르게변화되고있는곳 (50% 미만 ) 식피상태가높고목본으로의피복지역이다소넓게나타나는곳 (50-90%) 전체적으로퇴적물의유출입이적고, 사구전체의피복상태가안정되어변화가예상되지않는곳 (90% 이상 ) 하 지형다양성 희귀성 자연성 별표에제시된사구지형의분포수 별표에제시된희소성, 자연성, 규모등을고려하여국내에서찾아보기어려운지형의분포 인간에의해훼손된지역이차지하는정도 10 개이상 5-10 개 5 개미만하 5 개이상 2-4 개 2 개미만하 전체지역의 80% 이상 40-80% 40% 이하중 민감성 자연적또는인위적환경변화에의해영향을받기쉬운정도 전사구가고조위선과접촉, 전사구미피복상태 전사구 - 고조위선이격이짧고 berm 의발달이미약, 전사구의피복상태가다소불량 berm 발달이양호, 전사구피복상태가양호 중 고유성 해당사구가그지역내에서가지는희소성 도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하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미만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상 하 학술적가치 학술적인연구대상지형으로서의가치를판단하는것으로서, 조사자의주관적인판단에맡김 높음보통낮음중 기타 용암동굴내석회생성물공급원 높음보통낮음상 Ⅰ. 지형 형성환경 155

154 표 7. 지형다양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구분 1차사구 2차사구기타 지형 해수기원범 (berm) 해수범람층 (overwash deposit) 초기배사구 (embryo dune) 바람기원전사구 (foredune) 와전사구열 (foredune ridge) 이동사구재이동사구바르한 (barchan) 형사구 (relocated 세이프사구 (sief dune) dune)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사구평지 (sand sheet or sand plane) U자형사구 (U-shaped dune) 취식와지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Blowout) 머리핀형사구 (hairpine dune) 사구애 (dune cliff) 해수침식슬러프터 (slufter) 건조슬랙 (dry slack) 사구저지습윤슬랙 (wet slack) 사구내습지 (inter-dune wetland) 사구습지사구배후호 (back-dune lake) 고사구 (ancient, relic or paleo-dune) 바람무늬또는풍문 (wind ripple) 표 8. 지형희귀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1 고도 20m 이상의바르한, 23 열이상의전사구열 ( 비치리지포함 ), 3 직경 50m 이상의취식와지 (U 자형, 낙하산형, 머리핀형포함 ), 4 고도 10m 이상의사구애, 5 자연성이높은사구배후습지, 6 사구지대내에분포하는영구적또는일시적사구습지, 7 연속성이높은고사구, 8 자연적으로형성된슬러프터 참고문헌 Houston, J.A., Edmondson S.E. and Rooney P.J.(eds), 2001, Coatal dune management - shared experience of European conservation practice, Liverpool University Press, Oxford. McLachlan, A., 1990,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dune and beach systems, 15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55 In: Nordstorm, K.F., Psuty, N.P., and Carter, R.W.G. (Eds.),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Ltd., van Zuidam, R.A., Fariftch, J.E.M.A., and Tao, C., 1998, Developements in remote sensing, dynamic modelling and GIS applications for inter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4, 권혁재, 1981, 태안반도와안면도의해안지형, 사대논집, 제 6집, 고대사대논문집. 김남형 장성훈, 2001, 제주도사빈해수욕장의해양환경조건에관한기초조사, 한국해양공학회지, 4(3),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류완상, 2002, 해안사구의바람과비사에관한연구 -서해안신두리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류호상, 2001, 겨울철모래이동과전사구의지형변화 : 신두리해안사구지대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동원 유근배, 1979, 우리나라서해안의사구지형, 지리학논총, 6,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96p. 서종철, 2002a, 신두리두웅습지일대의해안사구지형, 태안반도신두리사구습지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서종철, 2002b,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이용한신두리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서종철, 2004, 해안사구에서의유효풍속과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서종철, 2005, 신두리고사구의 OSL 연대측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페이지미정. 서종철 박경, 2003, 원격탐사자료를활용한접경지역지형조사 -강원도고성군송현리일대를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손명원 서종철 전영권, 2002, 칠포연안의해안지형시스템의특성, 지리학연구, 제36 권 3호.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 Ⅰ. 지형 형성환경 157

156 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지옥미 우경식, 1998, 한반도동해안과제주도연안에서발견되는아라고나이트질연체동물각질의미량원소및탄소와산소동위원소함량의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3), 태안군, 2004, 신두사구보전및활용방안.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제주국가유공자휴양시설부지토질조사보고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강원대학교, 2004, 해안사구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대구가톨릭대학교, 2005, 협재지역해안사구분포및보전가치조사보고서. 한태흥, 1993, 제주도연안해빈과사구에관한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환경부, 2001,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한국해양연구원, 263p. 15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57 사진및설명 사진 1. 조사지역중앙부에펼쳐진이차사구지대 ( 관목림으로천이가진행되어있음 ) 사진 2. 산화지대에노출된이차사구 사진 3. 협재해수욕장의해빈과전사구 사진 4. 곰솔이식재된사구지대 사진 5. 밭으로이용되는지역 사진 6. 도로개설로사구가파괴된지역 Ⅰ. 지형 형성환경 159

158 사진 7. 협재해수욕장의해빈과전면 사진 8. 전사구상부의교란된모습 사진 9. 조사지역중앙부의목장 사진 10. 전사구부분에축조된제방 사진 11. 조사지역하부의용암동굴 ( 쌍용굴 ) 사진 12. 모래채취로인해훼손된사구 16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59 Ⅱ. 퇴적물분석 손명원 장문기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 요 약 본조사지역은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에위치하는폭 0.7km, 길이 0.3km의모래해안이다. 조사지역의사빈은협재해수욕장으로이용되며, 협재굴 쌍룡굴 황금굴등의용암굴에는많은종유석이형성되어있어특이한모습을띤다. 조사지역내에는해안으로흘러드는하천이없기때문에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해빈에서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본조사에서는협재해수욕장남서단에서북동쪽으로약 20m 간격을두고 6개지점을선정한후해빈과전사구의정상부, 전사구의후면등 3개의 site에서표품을채취하여분석하였다. 퇴적물은비중이작은패사 ( ) 가많이함유되어있기때문에평균입경이 φ 정도로비교적굵은편이다. 퇴적물의평균입경은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게나타난다. 분급은 moderately sorted, poorly sorted 수준이며, 왜도는해안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낸다. 그리고첨도는 의범위를나타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 를나타내며, 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인다. 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의범위를나타내며, 유효인산은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불규칙하게분포한다. 칼륨은 cmol/ kg의범위를보이며, 칼슘은 cmol/ kg, 마그네슘은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1. 서론 본조사는환경부전국해안사구조사일환으로전국에목록화된 133 개사구중제주 Ⅱ. 퇴적물분석 161

160 도총 12개지역에서비교적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협재, 신양 ( 섭지코지 ), 사계지역을대상으로해안사구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인협재지역은대부분육지부에서모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고, 기반암노출이심하여사빈과의연결이좋지못하며협재리에서금릉리에이르는해빈의폭은좁은반면, 전사구와배후사구군은넓게분포한다. 현지조사는 1:25,000, 1:5,000지형도와 1:5,000수치지도를이용하였으며, 퇴적물의입도, 비중,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P 2 O 5 ) 함량, 치환성칼륨 (K 2 O) 함량등 3회에걸쳐조사를하였다. 제주도는대부분이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개발에따른효율적인관리방안및보전대책이시급히이루어져야할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에위치하는폭 0.7km, 길이 0.3km의모래해안이다 ( 그림 1). 조사지역의사빈은협재해수욕장으로이용되며, 앞바다에는화산섬인비양도 ( 飛揚島 ) 가있어관광지로각광받고있다. 조사지역내의한림공원에는협재굴 쌍룡굴 황금굴등의용암굴이많이분포한다. 이들동굴에는지표를피복한패사 ( 貝砂 ) 의용해물질이동굴내에서재결정됨으로써많은종유석이형성되어있는점이특이하다. 조사지역의해안으로흘러드는하천이없기때문에사빈을이루는모래는육상에서공급된것으로보기어렵다. 조사지역에분포하는모래는대부분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해안으로밀려온것이다. 따라서조사지역의사구사 ( 砂丘砂 ) 를구성하는패사 ( 貝砂 ) 는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해빈에서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16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61 그림 1. 협재사구의지형개관 본조사지역의사빈은북동단의협재리에서남서단의금릉리에이르는폭이좁은해빈이다. 해빈에는기반암의노출이심하여사빈의연결이좋지못하며전사구의폭이높은편이다. 해빈에서남동쪽으로는북서풍계의풍향을따라내륙으로 6km까지지표의기복을피복하는수준의배후사구군이넓게분포한다. Ⅱ. 퇴적물분석 163

162 사진 1. 협재해수욕장사빈 ( 남쪽에서 ) 사진 2. 협재해수욕장사빈 ( 북쪽에서 ) 사진 3. 협재배후사구군 사진 4. 목장뒤편의사구지대 3. 조사방법 가. 표품채취방법본조사에서는협재해수욕장남서단에서북동쪽으로약 20m 간격을두고 6개지점 (A, B, C, D, E) 을선정하였다. 각지점에서는파랑의영향을받는해빈과전사구의정상부, 전사구의후면등 3개의 site를정하고, 해빈에서부터아라비아숫자를붙여표시하였다. 그리고각 site에서표품을 300~500g 정도채취하였다. 나. 입도분석퇴적물표품에서 100~300g을취하여 1000ml의비커에담았다. 퇴적물내의수분을 제거하기위해오븐을이용하여 105 에서 8 시간동안건조시킨후퇴적물의무게를 16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63 측정하였으며, 유기물을제거하기위하여다시비커에담은후과산화수소 (H 2 O 2 ) 로거품이나지않을때까지처리하였다. 유기물을제거한퇴적물은 dry oven 에서건조시킨후 5분간진탕하여 1φ 간격으로중량을측정하였다. 그리고각입도의중량비자료를가지고모멘트법에따라평균입경과분급도, 왜도, 첨도등의매개변수를계산하였다 (f는각입도의중량비, m은 φ -scale로측정한각입도의중앙값 ). 평균입경 M φ = fm 분급 σ φ = f(m-m φ ) 2 왜도 sk φ = f(m-m φ ) 3 /σ φ 3 첨도 kur φ = f(m-m φ ) 4 /σ φ 4 그림 2. 협재사구의퇴적물표품채취지점 Ⅱ. 퇴적물분석 165

164 다. 비중 200ml비커의무게를측정한후, 비커에퇴적물 50cc를넣고전체무게를측정한다. 퇴적물의중량은전체무게에서비커의무게를뺀값으로측정한다. 그리고비중은다음식으로계산한다. 비중 = ( 퇴적물의중량 )/( 퇴적물의부피 ) 라. 유기물함량토양내의유기물은동 식물의잔해가미생물에의해분해된교질상의부식을말한다. 토양유기물은적은양이라도양이온치환용량의 50% 이상을차지하며토양의생물학적, 이화학적성질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이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다시 OM-2 시약 3.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 10분간반응시킨다. 10분후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유기물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유기물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시료 0.2g을칭량하여 40ml이상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ml을넣고가볍게흔들어준다. 다시 OM-2 시약 3ml을넣고가볍게흔든후 10분동안반응시킨다. 다시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충분히혼합한다음여과한용액을분석기에서분석한다. 마. 유효인산 (P 2 O 5 ) 함량유효인산이란토양속에서식물이바로이용할수있는형태의인산을말한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5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1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 P-1 시약 6방울을첨가하여흔들어준다. 그리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인산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16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65 표품의유효인산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인산침출액 20ml을첨가하고 100rpm으로 10분간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0.5ml을시험관에넣고증류수 15ml을넣은후가볍게흔들어혼합한다. P-1 시약 6방울을첨가한후혼합하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바. 치환성칼륨 (K 2 O) 함량토양내의칼륨은용해성과가동성이매우다양하다. 칼륨의존재형태와유효성및함량은토양생성에관여하는모든인자들및토양생성조건과밀접히관련되어있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 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1.0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K-1 시약 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서혼합한후 K-2 시약 7방울을넣어혼합하고마지막으로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칼륨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륨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륨침출액 20ml를넣은후진탕기로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1ml를시험관에넣은후 K-1 시약 5ml를넣어혼합하고 K-2 시약 7방울을넣은후혼합한다. 그리고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로 10 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사. 치환성칼슘 (CaO) 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5ml를넣고혼합한다음 Ca-1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혼합하고, Ca-2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칼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슘 마그네슘침출액 20ml를첨가한후진탕기를이용하여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다음여과한다. 여과액 0.2ml를시험관에넣고증류수 5 Ⅱ. 퇴적물분석 167

166 ml를첨가하여혼합한다. Ca-1 시약 5 ml를넣고혼합하며 Ca-2 시약 5 ml를첨가하고 시험관혼합기로 10 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아. 치환성마그네슘 (MgO) 함량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마그네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마그네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칼슘을측정하고남은여과액 0.2 ml를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자. 양이온치환용량 (CEC) 양이온치환용량이란일정량의토양이가지는치환성음이온의총량이다. CEC는토양의전체적인특성을나타내는중요한지표로서, 이값이클수록양분보유능이커지고토양의완충능이커진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넣고분석기의 CEC 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 CEC를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플라스크에넣는다. CEC 포화액 20ml를첨가한다음 100rpm으로 10분동안진탕하고여과하여분석기로측정한다. 4. 결과및고찰 가. 입도분석퇴적물의평균입경은퇴적이진행된방향으로점차작아지는경향이있다. 본조사지역에서평균입경은 φ 정도로해안사구의모래로는비교적굵은편에속한다 ( 표 1). 이것은해빈에조립질의패각이많고사구사대부분이비교적비중이작은패사 ( 貝砂 ) 이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본조사지역에서는 6개횡단면을따라각 3개 16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67 지점을조사하였다. 분석결과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평균입경이감소하는경향이뚜렷하게나타난다 (A단면 : φ, B단면 : φ, C단면 : φ, D단면 : φ, E단면 : φ, F단면 : φ). 이것은해빈의모래공급이안정되어있음을나타낸다. 표 1. 협재사구퇴적물의분석결과 평균분급왜도첨도비중인산 CEC 칼륨유기입경물량칼슘마그네슘 A A A B B B C C C D D D E E E F F F 평균입경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3. 각횡단면별평균입경분포 Ⅱ. 퇴적물분석 169

168 분급도 (sorting) 는 로 moderately sorted, poorly sorted 수준으로여러가지기원의퇴적물이혼합된사실을반영한다. 왜도 (skewness) 는해안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내어일반적인사구의특징을보인다. 해빈으로부터가까운지점에는조립물질이많고내륙으로멀어질수록세립물질이증가하기때문이다. 그리고첨도 (kurtosis) 는 의범위를나타낸다. 분급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4. 각횡단면별분급도의분포 왜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5. 각횡단면별왜도의분포 17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69 첨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6. 각횡단면별첨도의분포 나. 비중퇴적물의비중은입자들의광물조성에따라결정된다. 본조사지역에분포하는퇴적물의비중은 의범위로써화강암질의평균비중에훨씬미치지못한다. 이것은사빈의퇴적물에가벼운패사들이많이함유되어있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제주도해빈의패각함유율은 67% 이다. 각횡단면에서보면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퇴적물의비중이작게나타난다. 비중이적은가벼운입자가내륙으로멀리이동했음을나타낸다. 비중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7. 협재사구퇴적물의비중분포 다. CEC와유기물량유기물은미생물의분해작용으로무기화되어식물의양분으로분해이용되고, 난분 Ⅱ. 퇴적물분석 171

170 해성물질은부식으로변하여토양교질물을구성한다. 그래서토양유기물은토양의성질개량이나식물생육을돕는다. 조사지역의유기물함량은 % 를나타낸다. C 와 D의횡단면상에서는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나, F 횡단면상에서는전사구의정상부분에서가장높고, A와 B의횡단면상에서는전사구의정상부분에서가장낮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8. 사구퇴적물의유기물함량분포 또한조사지역내의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 의범위를나타낸다. CEC 는 각횡단면에서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가면서별다른변화가없으며, B 의횡단면에서 는오히려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CEC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9. 협재사구퇴적물의 CEC 분포 17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71 라. 유효인산, 치환성칼륨, 치환성칼슘, 치환성마그네슘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유효인산의농도 ( mg / kg ) 는 F의횡단면에서는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나, 기타다른횡단면에서는별변화가없거나전사구의정상부분에서높게나타난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10. 각횡단면별유효인산의분포 식물에서칼륨이영향을미치는주요기능은분열조직의생장이다. 칼륨은수분상태를조절하여세포의성장에매우중요하다. 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륨의농도는 cmol/ kg의범위를보인다. 칼륨은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점증하는경향을보인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11. 각횡단면별칼륨의분포 Ⅱ. 퇴적물분석 173

172 칼슘과마그네슘은산성토양을개량하고미량원소를조절하며, 유해원소의독을해소하는기능을한다. 각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슘의농도는 cmol/ kg, 마그네슘의농도는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칼슘과마그네슘은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점차감소하는경향을보인다.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12. 협재사구퇴적물의칼슘분포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F 그림 13. 협재사구퇴적물의마그네슘분포 17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73 표 2. 협재사구퇴적물의입경분포 -1φ 이상 -1~0φ 0~1φ 1~2φ 2~3φ 3~4φ 4φ 이하 총중량 A-1 (0.0950) (2.0477) ( ) ( ) ( ) (0.0397) (0.6221) (100.0) A-2 (0.3339) (4.7177) ( ) ( ) ( ) (0.1205) (0.2976) (100.0) A-3 (0.0230) (0.4306) (7.5554) ( ) ( ) (0.0774) (0.3925) (100.0) B-1 (1.1021) (4.4668) ( ) ( ) ( ) (0.3412) (1.8908) (100.0) B-2 (2.2345) (3.9346) ( ) ( ) ( ) (0.1192) (5.5587) (100.0) B-3 (0.5919) (1.9018) ( ) ( ) ( ) (0.2730) (3.1972) (100.0) C (1.2913) (3.9166) ( ) ( ) ( ) (0.2037) (2.6948) (100.0) C-2 (0.2469) (4.2072) ( ) ( ) ( ) (0.0834) (0.6166) (100.0) C-3 (6.0681) (7.2531) ( ) ( ) ( ) (0.0879) (0.4463) (100.0) D-1 (0.1708) (2.3658) ( ) ( ) ( ) (0.0605) (0.2222) (100.0) D-2 (0.3916) (1.0432) ( ) ( ) ( ) (0.2144) (0.5847) (100.0) D-3 (0.2618) (2.9351) ( ) ( ) ( ) (0.0523) (0.5378) (100.0) E-1 (0.0264) (0.9781) ( ) ( ) ( ) (0.1883) (0.6869) (100.0) E-2 (0.2906) (4.2767) ( ) ( ) ( ) (0.2099) (1.1209) (100.0) E-3 (0.0440) (3.6757) ( ) ( ) ( ) (0.1685) (1.0894) (100.0) F-1 (0.0096) (0.7956) (9.2530) ( ) ( ) (0.0551) (0.7114) (100.0) F-2 (0.0787) ( ) (2.4223) ( ) ( ) (0.0646) (0.1849) (100.0) F-3 (0.0845) (0.9052) ( ) ( ) ( ) (0.0670) (0.2503) (100.0) 참고문헌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해안사구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Ⅱ. 퇴적물분석 175

174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한태흥, 1993, 제주도연안해빈과사구에관한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환경부, 2001,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한국해양연구원. 17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75 Ⅲ. 식생 유영한 송민섭국립환경연구원생태조사단 요 약 제주도협재사구의식생에관한정보를얻기위하여, 2004년에초본식생은대상방형구 (belt transect) 를, 목본식생은 10m x 10m를각각설치하고식물사회학적인방법으로식물군락을조사하여군락구조를분석하고, 식생도를작성하였다. 이지역의사구식생은해안선으로부터 50m 이내에분포하는초본식생과후사구의전지역을우점하는곰솔군락으로구성된목본식생으로크게구별할수있었다. 해안선과전사구쪽의초본식생은띠군락이우점하는가운데갯금불초군락, 띠-순비기나무군락, 개자리-사철나무군락, 애기달맞이꽃-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잔디군락등총 9개의식물군락이우점하였다. 이들식생의피도값, 식생높이, 종다양도등의변화는해안선으로부터내륙으로진행함에따라중간지역까지는증가하는경향을보였으나, 초본식생이끝나는곳에서는현격히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이러한식생구조의특성은인위적인답압의영향으로판단된다. 따라서, 이지역의사구식생을보호하기위해서는사람이적게밝고지나가도록길을다른곳으로내든가, 혹은목도를만들어식생에미치는압력을줄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특히사구침식지역이내륙쪽으로침입하여그면적이점차넓어지고있으므로이지역을순비기나무등과같은토종사구식생을이용하여보전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곰솔군락은해안도로이후의전부분을점유하고있는데, 생육상태가매우양호하고, 그하층식생 ( 관목층, 초본층 ) 은상록활엽수가우점하고있어전형적인난대활엽수림으로의천이가진행되고있다. 이러한곰솔림은제주도나다른지역에서는볼수없는우수한해안보전림이므로곰솔군락의재생과정과난대림으로의천이에대한지속적인조사가필요하다. Ⅲ. 식생 177

176 1. 서론 해안사구는모암의풍화에의하여형성된모래에의해만들어지거나, 해류나하천의흐름에의해모래가만조선근처로운반되고다시해풍에의해육지로이동하여퇴적된곳이다. 해안사구의특성은다양한환경요인-모래의공급량, 모래입자의크기분포, 탁월풍의풍속및풍향, 식생, 주위의지형, 기후및이들간의상호작용등-에의하여결정된다 (Grootjans et al. 1998, Short and Hesp 1982). 사구안에서도작은규모의다양한지형유형이나타나고, 각지형에미치는자연적인교란과인위적인간섭의종류와정도에따라다양한생물상과식생이분포한다. 이렇게형성된해안사구는육지와바다간의퇴적과침식을조절하여해안선을보호하고, 해안의동식물에게서식처를제공하고, 모래에의한정화능이높아물질순환에중요하고, 해안가의중요한식수원저장지이며, 독특하고아름다운경관지를만드는곳이다 ( 태안군 2004, Beck et al. 2003, Psuty 1988, Wilson and Gitay 1995). 특히해안사구에있는식생은바람과해일등의피해를막아주거나완화시켜인명, 마을과구조물을보호한다는점에서해안보전림으로서그중요성이날로부각되고있다. 최근우리나라의해안사구는대부분이해수욕장등으로이용되고있고, 일부남아있는사구도다양한목적으로개발되어원래의모습을잃어가고있다 ( 환경부 2001). 모래채취, 골재채취, 위락시설, 농경지로의이용, 해안도로건설, 제방공사, 관광시설물입주등은사구의자연성을심각하게훼손시켜복원조차힘든실정이다. 이러한해안사구의훼손은육상과해안의퇴적물교류를방해하고전이지대의고유한식생과생물종을사라지게하며, 해안경관의질을떨어뜨리고, 나아가해일과같은재해로부터인명과재산을보호할수없게된다. 본조사는해안사구내에생육하고있는식생현황을파악하여사구보존에대한기초자료를얻는데목적이있다. 특히사구지역의해안목본식생 ( 해안림 ) 은최근범세계적으로발생하고있는해안침식과해수범람에의한인명피해와재산피해를막을수있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17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77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협재사구는행정구역으로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에있다. 전사구의모든곳이해수욕장으로이용되고있으며, 후사구에는한림공원이있어방문객이항상많이찾는곳이다. 해안선의전사구에는순비기나무군락이남아있고, 해안침식이지속적으로일어나내륙쪽으로해안선이계속침입하고있으며, 일부해수욕장주변에서는인공적으로잔디를입히고있다. 해안선주변에는바위해안으로되어있고, 작은물웅덩이에는해홍나물이집중반을이루고서식하고있다. 협재사구의전사구는해안선으로부터약 50m 까지의지역으로초본식생이분포하고, 그뒤쪽 50m폭으로아교목층과관목층이빈약한조림한곰솔군락이분포한다. 이곰솔군락은현재야영지로이용되고있다. 한림공원앞을통과하는제주도해안도로뒤에는자연성이높은곰솔군락이폭넓게분포하고있다. 조사지내에서는모두고운모래가발견됨으로써이들지역은과거에모두사구지대로판단되었다. 사구식생중목본식물군락은곰솔이우점하였고, 해안선주변에서일부순비기나무가나타났다. 초본식생은해안선주변 50m에서주로출현하였는데띠가우점하는가운데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군락등의사구고유식생이출현하였다. 3. 조사방법 식생조사는 2004년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총 10일간에걸쳐조사하였다. 전지역을답사하면서우점종에따라군락의경계를정하고, 이를 1/5,000 지형도에표기하였다. 식생은각군락에서비교적균일한식분을선정하고그구조를파악하였다. 해안선에서내륙으로부터의거리에따른초본사구식생분포의경향을보기위하여해안선에서부터내륙을향하여 1개의 50m 대상방형구 (belt transect) 를설치하고 ( 그림 1), 1m 간격으로하여그안에서출현하는종류와각종의피도값을 Braun-branquet 척도 ( 김준민등 1987, 표 1) 로환산하여기록하였다. 식물군락의이름은우점종의이름을따서정하였다. 교목층까지자란곰솔숲은 10 10m 방형구를사용하였다. Ⅲ. 식생 179

178 각방형구내에서각층별로구분하여전체피도와높이를목측으로정하고각층에 서구성종의피도를기입하였다. 300 상조대로부터의높이 (cm)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1. 대상방형구를설치한곳의해발고도 (cm) 표 1. 피도계급. 피도계급 피도 % 평균피도백분율 5 75 ~ ~ ~ ~ ~ 결과및고찰 가. 목본식생협재의목본식생은곰솔군락이우점하고있다. 다만해안가에서떨기나무층의사철나무와순비기나무군락이일부나타나지만그크기는소형방형구 2개 (4m 2 ) 에불과할정도로좁았다. 곰솔군락은해안선에서 50m 이후부터전지역에광범위하게출현하고 18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79 있다. 곰솔군락은교목층의수고는 14-17m, 식피율은 20-50%, 아교목층은수고 3-5m, 식피율은 10-40%, 관목층은수고 m, 식피율 50-70%, 초본층은 m, 식피율 % 이었고종다양성은 22-26종으로높았다 ( 부록 ). 반면곰솔군락은조림에서기원된것으로판단되나현재각층위의발달이고루분포하고, 하층에서는아왜나무, 팔손이, 까마귀쪽나무등의상록활엽수어린식물이많이관찰되어상록활엽수림의천이가예상된다 ( 그림 2, 부록종조성표 1-5참조 ). 즉상층부는곰솔이우점하고하층부는상록활엽수가우점하는특이식생형을보여주고있다. 이러한독특한군락구조양상은온도대로볼때이지역이잠재적으로난대상록수림지역이지만해풍에의하여곰솔군락이입지적으로유지되고있기때문으로판단된다. 하층상록활엽수림의어린나무가생장하면서활력도와경쟁력이점차높아져서곰솔과같은층위인교목층까지자랄것으로예상된다. 특히교목층의곰솔군락의수관의밀폐율이낮아져결국에는이군락은안정한상록활엽수림으로의천이가진행될것으로판단된다. 이러한곰솔군락은그구조적특성과종조성및층위를모방하여제주도내의해안림의조성및보전에모델로적용시킬수있는중요한식생이라판단된다. 곰솔군락의흉고급분포 80 빈도 ( 갯수 /100m 2 ) 곰솔까마귀쪽나무아왜나무팔손이 > 흉고직경급분포 (c m ) 그림 2. 곰솔군락의상록활엽수로의천이예측. 작은나무들이곰솔보다많이분포한다. 나. 초본식생해안선에서거리에따라나타나는식물군락은바닷물의포말의직접적으로영향을 Ⅲ. 식생 181

180 받는곳에서는좀보리사초군락과갯금불초군락이나타나고, 그이후부터는띠군락이주로나타났다. 총 50개의방형구중띠군락이 10개로가장우점하였고, 좀보리사초군락이 4개로나타났고, 갯금불초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개자리-사철나무군락, 애기달맞이꽃-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띠-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잔디군락이각각 1개등총 9개의식물군락이동정되었다. 해안선으로부터중앙부에이르는대상방형구의소방형구피도값은 0.1%( 좀보리사초군락 )-100%( 띠군락, 순비기나무군락 ) 로변화폭이컸는데, 대체로 20-30m 부근에서높고, 시작하는해안선이나끝부분에서는낮았다 ( 그림 3). 이와같이해안선에서식생의식피율이낮은것은바람과염분산의영향으로보이고, 방형구의끝부근에서낮은것은길에의한답압의결과로판단된다. 식생고는 30-36m 부근의띠군락과순비기나무군락에서 30-40cm 로높았고, 좀보리사초군락, 띠군락, 애기달맞이꽃-좀보리사초군락에서 2-3cm로낮았다 ( 그림 4). 식생고의변화는식피율의변화유형과같이해안선에서높고, 길이인접한 belt transect 의끝자락에서낮았다. 종다양성값도식피율이나식생고의변화유형과같이포물선형태로해안선과만나는시작부분과길과만나는끝부분의방형구가낮은유형을보였다 ( 그림 5). 띠군락, 띠-순비기나무군락에서 8종으로가장높았고, 좀보리사초군락에서 2종으로가장낮게나타났다. 피도 (%) y = x x x R 2 =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 그림 3.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식생피도의변화. 18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81 50 40 y = x x x R 2 = 식생높이 (cm)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4.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식생고의변화. 종다양성지수 ( 종수 ) y = -4E-05x x x R 2 =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5.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다양성값의변화. 이지역에서출현하는대표적인사구식물 5종의피도변화를보면염생식물이며땅속줄기로번식하는좀보리사초가거의모든소방형구에서피도척도 사이로출현하였고 ( 그림 6), 사철쑥은해안선에서대상방형구의중앙부까지피도척도 1로거의일정하게출현하였다 ( 그림 7). 띠는대상방형구 6m부터 21m까지출현하였는데처음에는높은피도값이었다가중반이후부터피도척도 1로낮은값이었다 ( 그림 8). 순비기나무는해안선으로부터 8m-18m사이에서출현하였는데, 피도척도 로매우변화폭이컸고 ( 그림 9), 갯메꽃은해안선으로부터 8m-16m 까지분포하였는데대부분의방형구에 Ⅲ. 식생 183

182 서피도척도 0.1 이하의낮은값이었다 ( 그림 10). 피도척도 좀보리사초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6.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좀보리사초의피도의변화. 1.5 사철쑥 피도척도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7.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사철쑥의피도의변화 6 띠 피도척도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8.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띠의피도의변화 18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83 6 순비기나무 피도척도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9. 해안선으로부터내륙에따른순비기나무의피도의변화 6 갯메꽃 피도척도 해안선으로부터거리 (m) 그림 10. 해안으로부터내륙에따른갯메꽃의피도의변화 참고문헌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역 식생조사법. 일신사. 태안군 신두사구보전및활용방안. 환경부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Beck, M.W., K.L. Heck, K.W. Able, D.L. Childers, D.B. Eggleston, B.M. Gillanders, B.S. Halpern, C.G. Hays, K. Hoshino, T.J. Minello, R.J. Orth, P.F. Sheridan, and M.P. Weinstein The role of nearshore ecosystems as fish and shellfish nurseries. Issues in Ecology 11:1-12. Grootjans, A.P, W.H.O Ernst and P.J. Studyfzand European dune slacks: Ⅲ. 식생 185

184 strong interactions of biology, pedogenesis and hydrology. Tree 13(3): Psuty, N.P Sediment budget and dune/beach interaction. J. Coast. Res. Special Issue 3:1-4. Short, A.D. and P. Hesp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Wilson,J.B. and Gitay, H Community structure and assembly rules in a dune slack: Variance in richness, guild proportionality, biomass constancy and dominance/diversity relations, Vegetatio 11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85 부록 : 협재곰솔군락의식생구조 조사일시 : 2004 년 7 월 21 일 식생조사표 NO. 조사지 : 협재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10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곰솔 아교목층 (2-8m) 팔손이 5 1 관목층 (1-2m) 곰솔 초본층 ( < 1m) 띠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3.3 팔손이 1.1 곰솔 2.2 띠 3.3 송악 1.1 팔손이 1.1 까마귀쪽나무 1.1 사철나무 1.1 무릇 1.1 까마귀쪽나무 1.1 돼지풀 1.1 팽나무 1.1 갈퀴꼭두서니 1.1 쥐똥나무 + 멍석딸기 1.1 청미래덩굴 + 제비꽃 + 천선과나무 + 세잎양지꽃 + 아왜나무 + 박주가리 + 괭이밥 + 까마귀베개 + 댕댕이덩굴 1.1 보리장나무 1.1 쑥 + Ⅲ. 식생 187

186 식생조사표 조사일시 : 2004 년 7 월 12 일 NO. 조사지 : 협재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5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곰솔 아교목층 (2-8m) 아왜나무 3 40 관목층 (1-2m) 까마귀쪽나무 2 70 초본층 ( < 1m) 송악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3.3 아왜나무 3.3 까마귀쪽나무 3.3 송악 3.3 송악 + 까마귀쪽나무 2.2 아왜나무 2.2 담쟁이덩굴 1.1 담쟁이덩굴 + 보리수나무 1.1 곰솔 1.1 비수리 1.1 보리장나무 1.1 팔손이나무 1.1+ 까마귀쪽나무 1.1 돈나무 1.1 피라칸타 + 띠 1.1 예덕나무 + 인동덩굴 + 양지꽃 + 거지덩굴 + 마 + 쥐똥나무 1.1 두릅나무 + 팽나무 1.1 딱지꽃 + 두릅나무 1.1 억새 + 천선과나무 + 털이슬 + 까마귀머루 + 흰이질풀 1.1 무릇 + 담쟁이덩굴 + * C 는피도, S 는군도 18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87 조사일시 : 2004 년 7 월 12 일 식생조사표 NO. 조사지 : 협재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20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곰솔 아교목층 (2-8m) 보리장나무 3 1 관목층 (1-2m) 보리수나무 초본층 ( < 1m) 그늘사초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3.3 예덕나무 + 보리수나무 2.2 그늘사초 2.2 송악 + 보리장나무 + 예덕나무 2.2 송악 2.2 보리수나무 + 까마귀쪽나무 1.1 띠 1.1 상수리나무 + 곰솔 1.1 청가시덩굴 + 쥐똥나무 1.1 댕댕이덩굴 + 담팔수 + 까마귀머루 + 팔손이 + 무릇 1.1 용가시덩굴 + 곰솔 + 거지덩굴 + 고비류 + * C 는피도, S 는군도 Ⅲ. 식생 189

188 식생조사표 조사일시 : 2004 년 7 월 12 일 NO. 조사지 : 협재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20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곰솔 아교목층 (2-8m) 보리밥나무 3 30 관목층 (1-2m) 곰솔 2 80 초본층 ( < 1m) 그늘사초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3.3 보리장나무 3.3 곰솔 2.2 띠 2.2 송악 1.1 팽나무 + 보리장나무 2.2 억새 1.1 보리수나무 1.1 꼭두서니 1.1 팔손이 1.1 무릇 1.1 예덕나무 1.1 인동덩굴 1.1 사철나무 + 그늘사초 3.3 팽나무 + 용가시덩굴 1.1 까마귀머루 1.1 멍석딸기 1.1 개머루 1.1 송악 2.2 거지덩굴 1.1 사철쑥 1.1 괭이밥 1.1 엉겅퀴 + 산박하 + * C 는피도, S 는군도 19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89 조사일시 : 2004 년 7 월 12 일 식생조사표 NO. 조사지 : 협재 조사자 : 유영한, 송민섭 ( 지형 ) 산정, 능선, 산복, 산록, 평지, 기타 ( 사구 ) ( 표고 ) 20 m ( 방위 ) ( 경사 ) ( 조사구면적 ) 10m 10m 계층 기준 (m) 우점종 높이 (m) 식피율 (%) 교목층 ( > 8m) 곰솔 아교목층 (2-8m) 관목층 (1-2m) 까마귀쪽나무 초본층 ( < 1m) 띠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종 명 C S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곰솔 2.2 천선과나무 1.1 띠 3 송악 + 까마귀쪽나무 1.1 개머루 1.1 팔손이 + 인동덩굴 1.1 보리밥나무 1.1 갈퀴꼭두서니 + 아왜나무 + 댕댕이덩굴 1.1 찔레꽃 + 거지덩굴 + 쥐똥나무 1.1 왕고들빼기 + 산뽕나무 1.1 순비기나무 + 청가시덩굴 + 돈나무 + 보리수나무 1.1 산벚나무 + 팽나무 1.1 산국 1.1 사철나무 + 참골무꽃 + * C 는피도, S 는군도 Ⅲ. 식생 191

190 사진및설명 사진 1. 참골무꽃 사진 2. 곰솔군락 사진 3. 곰솔 - 보리수나무군락 사진 4. 순비기나무군락 19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91 Ⅳ. 식물상 박수현 류세아국립수목원 요 약 출현된고등식물은 55과 155속, 194종, 23변종, 5품종으로총 222분류군이확인되었다. 국화과 36분류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장미과 10분류군의순으로출현되었다. 사계지역에비하여국화과가제일많고다음으로벼과가된것은이지역이해수욕장이넓게펼쳐지며도로변에는관상수가많이심어져있는탓으로보인다. 이지역의우점종으로는순비기나무, 창질경이, 큰이삭풀, 냄새냉이, 갯메꽃등이균등하게분포하고있었다. 1. 서론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해안사구지역을조사하였다. 직사광선에항시노출되며강한해풍과염류가포함된포말에노출되고근계의수분부족또한매년몇차례씩통과하는태풍해일그리고해수욕장과한림공원의관광객들의답압등의어려운식물생활조건을갖는다. 이런조건속에서끈질기게살아가는식물자원을조사함으로서앞으로사구지역의보호, 사구생태계의생산자그리고연속된소비자의파악과관리대책연구, 그리고협재자연동굴과한림공원의관광지유지, 사구에펼쳐진해수욕장의운영등의기초가될것을기대하면서식물상을조사하게되었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협재해수욕장의해안선지역과 (N33 23'16.7" Ⅳ. 식물상 193

192 E126 14'09.0") 월림리쪽으로뻗은도로변 (N33 23'05.6" E126 14'02.8") 의해안사구이다. 해안선에는 2개소의해수욕장이개장되어운영되며제주도관광코스의하나인한림공원이위치한다. 협재리전체가해안사구에속하며한림공원내부역시한림공원이다. 해안선에서월림리쪽으로뻗은도로변도일부포함시켰다. 3. 조사방법 해안도로양쪽갓길과바다쪽의해수욕장주위를그리고월림리를향하는도로변은양쪽도로변을 450m정도답사하면서개화또는열매가있는식물을모두기록하였다. 빠짐없는조사를하기위하여 4차에걸쳐계절별조사를하면서동일한답사경로를반복하였다. 1차 : 5월 7일 - 5월 8일 2차 : 7월 8일 - 7월 9일 3차 : 8월 27일 - 8월 28일 4차 : 9월 17일 - 9월 18일 4. 결과및고찰 출현된고등식물은 55과 155속, 194종, 23변종, 5품종으로총 222분류군이확인되었다. 국화과 36분류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장미과 10분류군의순으로출현되었다. 사계지역에비하여국화과가제일많고다음으로벼과가된것은이지역이해수욕장이넓게펼쳐지며도로변에는관상수가많이심어져있는탓으로보인다. 이지역의우점종으로는순비기나무, 창질경이, 큰이삭풀, 냄새냉이, 갯메꽃등이균등하게분포된다. 귀화식물로는방울새풀, 큰이삭풀, 긴까락빕새귀리, 오리새, 큰김의털호밀풀, 뿔이삭풀, 큰참새피, 왕포아풀, 몬트부레치아, 흰꽃나도사프란, 등심붓꽃, 애기수영, 소리쟁이, 19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93 흰명아주, 양명아주, 좀명아주, 가시비름, 청비름,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양장구채, 냄새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갯무, 민유럽장대, 잔개자리, 좀개자리, 개자리, 전동싸리, 각시갈퀴나물, 미국쥐손이, 자주괭이밥, 애기땅빈대, 수박풀, 공단풀, 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솔잎미나리, 별나팔꽃, 노란꽃땅꽈리, 우단담배풀, 선개불알풀, 큰개불알풀, 창질경이, 돼지풀, 큰비짜루국화, 실망초, 망초, 애기망초, 큰망초, 개망초, 선풀솜나물, 자주풀솜나물, 서양금혼초, 개쑥갓, 미국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큰도꼬마리의 64분류군이확인되었다. 임과전 (1980) 이제창한도시화율을보면 64/271 x 100=23.6% 로사계지역에비하여약간높아이지역이해수욕장이며또한한림공원의관광객이많아자연생태계의훼손이더심한것으로보인다. 참고문헌 朴壽現 韓國歸化植物原色圖鑑. 一潮閣. 서울. Pp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 보유편 ). 일조각. 서울. Pp 李永魯 原色韓國植物圖鑑. 敎學社. 서울. Pp 李愚喆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李昌福 大韓植物圖鑑. 鄕文社. 서울. Pp 임양재, 전의식 한반도귀화식물분포한국식물학회지 23: Ⅳ. 식물상 195

194 부록 1. 협재지역의소산식물목록 학명 국명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Botrychium multifidum (S.G.Gmel.) Rupr. var. robustum (Rupr.) 산고사리삼 C.Chr. Schizaeaceae 실고사리과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 Pteridoideae 고사리과 Hypolepis punctata (Thunb.) Mett. ex Kuhn 점고사리 Pteridoideae Pteris cretica L. 큰봉의꼬리 Pteris multifida Poir. 봉의꼬리 Onocleoideae 면마과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ex H.Ito 별고사리 Cyrtomium falcatum (L.f.) C.Presl 도깨비쇠고비 Asplenioideae 꼬리고사리과 Onychium japonicum (Thunb.) Kunze 선바위고사리 Gramineae 벼과 Agropyron tsukushiense (Honda) Ohwi var. transiens (Hack.) Ohwi 개밀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Briza minor L. 방울새풀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Bromus pauciflorus (Thunb.) Hack. 꼬리새 Bromus rigidus Roth 긴까락빕새귀리 Cynodon dactylon (L.) Pers. 우산잔디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그령 Eragrostis minor Host 좀새그령 Eragrostis multicaulis Steud. 비노리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Festuca parvigluma Steud. 김의털아재비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띠 Lolium perenne L. 호밀풀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참억새 Parapholis incurva (L.) C.E.Hubb. 뿔이삭풀 Paspalum dilatatum Poir. 큰참새피 Poa annua L. 새포아풀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Poa sphondylodes Trin. 포아풀 19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95 학명 국명 Polypogon fugax Nees ex Steud. 쇠돌피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Setaria glauca (L.) P.Beauv. 금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Setaria pycnocoma (Steud.) Hernard ex Nakai 수강아지풀 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기름새 Sporobolus fertilis (Steud.) Clayton var. purpureosuffusus (Ohwi) Ohwi 쥐꼬리새풀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솔새 Zoysia japonica Steud 잔디 Palmae 야자수과 Phoenix roebelenii O'Brien 피닉스야자 Washingtonia filifera (L.Linden) H.Wendl. 와싱토니아 Cyperaceae 사초과 Cyperus nipponicus Franch. et Sav. 나도방동사니 Cyperus rotundus L. 향부자 Commer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Liliaceae 백합과 Crinum japonicum (Baker) Hannibal 문주란 Hemerocallis fulva (L.) L. for. kwanso (Regel) Kitam. 왕원추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땅나리 Liriope spicata (Thunb.) Lour. 개맥문동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무릇 Amaryllidaceae 수선화과 Tritonia crocosmaeflora Lemoine 몬트부레치아 Zephyranthes candida (Lindl.) Herb. 흰꽃나도사프란 Iridaceae 붓꽃과 Sisyrinchium atlanticum Bicknell 등심붓꽃 Moraceae 뽕나무과 Ficus erecta Thunb. 천선과나무 Ficus ereca var. sieboldii King 좁은잎천선과나무 Cannaboid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longispica Steud. 왜모시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섬모시풀 Boehmeria pannosa Nakai & Satake 왕모시풀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며느리밑씻개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Ⅳ. 식물상 197

196 학명 Rumex acetosa L. Rumex acetosella L. Rumex crispus L.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Chenopodium ambrosioides L.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Salsola komarovii Iljin Amaranthaceae Achyranthes fauriei H.Lv. & Vaniot Amaranthus hybridus L. Amaranthus spinosus L. Amaranthus viridis L. Nyctaginaceae Mirabilis jalapa L.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Aizoaceae Aptenia car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Portulacaceae Portulaca oleracea L. Caryophyllaceae Arenaria serpyllifolia L. Cerastium glomeratum Thuill. Sagina japonica (Sw.) Ohwi Sagina maxima A.Gray Silene gallica L. Ranunculaceae Clematis apiifolia DC.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Menispermaceae Cocculus trilobus (Thunb.) DC.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Fumarideae Corydalis incisa (Thunb.) Pers. Cruciferae Brassica napus L.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Coronopus didymus (L.) Smith. Lepidium apetalum Willd. 국명수영애기수영소리쟁이명아주과흰명아주양명아주좀명아주수송나물비름과털쇠무릎가시비름청비름분꽃과분꽃자리공과미국자리공석류풀과번행초쇠비름과쇠비름석죽과벼룩이자리유럽점나도나물개미자리큰개미자리양장구채미나리아재비과사위질빵으아리개구리발톱방기과댕댕이덩굴함박이현호색과자주괴불주머니십자화과유채냉이냄새냉이다닥냉이 19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97 학명 국명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raphanistroides Makino 갯무 Sisymbrium officinale (L.) Scop. var. leiocarpum DC. 민유럽장대 Crassulaceae 돌나물과 Sedum bulbiferum Makino 말똥비름 Sedum oryzifolium Makino 땅채송화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Geum aleppicum Jacq. 큰뱀무 Geum japonicum Thunb. 뱀무 Potentilla anemonifolia Lehm. 가락지나물 Potentilla chinensis Ser. var. chinensis 딱지꽃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찔레꽃 Rosa wichuraiana Crep. 돌가시나무 Rubus parvifolius L. for. parvifolius 멍석딸기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Leguminosae 콩과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Cassia tora L. 긴강남차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여우팥 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둥근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ex Murray) Schindl. 매듭풀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Lespedeza tomentosa (Thunb.) Siebold ex Maxim. 개싸리 Lespedeza virgaa (Thunb.) DC. 좀싸리 Medicago lupulina L. 잔개자리 Medicago minima Bartal 좀개자리 Medicago polymorpha L. 개자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전동싸리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Rhynchosia volubilis Lour. 여우콩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고삼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ls (Thuill) K.Koch. 살갈퀴 Vicia dasycarpa Tenore 각시갈퀴나물 Vicia tetrasperma (L.) Schreb. 얼치기완두 Vigna vexillata (L.) A.Rich. var. tsusimensis Matsum. 돌동부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carolinianum L. 미국쥐손이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이질풀 Geranium wilfordii Maxim. 세잎쥐손이 Oxalidaceae 괭이밥과 Ⅳ. 식물상 199

198 학명 Oxalis corniculata L. Oxalis corymbosa DC. Oxalis stricta L. Euphorbiaceae Acalypha australis L. Euphorbia esula L. Euphorbia helioscopia L.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Euphorbia supina Raf. Ricinus communis L. Aquifoliaceae Ilex cornuta Lindl. & Paxton Vitaceae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Vitis ficifolia Bunge var. sinuata (Regel) H.Hara Malvaceae Hibiscus trionum L. Sida spinosa L. Sterculiaceae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Violaceae Viola mandshurica W.Becker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Oenothera laciniata Hill Oenothera stricta Ledeb. Umbelliferae Apium leptophyllum F.Muell ex Benth.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Torilis scabra (Thunb.) DC Apocynaceae Nerium indicum Mill. Asclepiadaceae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Convolvulaceae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Dichondra repens Forster Ipomoea triloba L. Boraginaceae Lithospermum zollingeri A.DC.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Verbenaceae 국명괭이밥자주괭이밥선괭이밥대극과깨풀흰대극등대풀땅빈대애기땅빈대피마자감탕나무과호랑가시나무포도나무과개머루까마귀머루아욱과수박풀공단풀벽오동과수까치깨제비꽃과제비꽃바늘꽃과달맞이꽃애기달맞이꽃긴잎달맞이꽃산형과솔잎미나리갯방풍개사상자협죽도과협죽도박주가리과박주가리메꽃과갯메꽃아욱메풀별나팔꽃지치과반디지치꽃마리마편초과 20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199 학명 Verbena officinalis L. Vitex rotundifolia L.f. Labiatae Amethystea caerulea L. Isodon inflexus (Thunb.) Kud? Lamium amplexicaule L. Leonurus japonicus Houtt.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Salvia plebeia R.Br.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Solanaceae Physalis wrightii Gray Scrophulariaceae Mazus pumilus (Burm.f.) Steenis Verbascum thapsus L. Veronica arvensis L.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for. linariifolia Veronica persica Poir. Acanthaceae Justicia procumbens L. Phrymaceae Phryma leptostachya L. var. asiatica H.Hara Plantaginaceae Plantago asiatica L. Plantago lanceolata L. Rubiaceae 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Galium verum L. var. asiaticum Nakai Paederia scandens (Lour.) Merr. Rubia akane Nakai Rubia cordifolia L. var. pratensis Maxim. Caprifoliaceae Lonicera japonica Thunb. Lonicera maackii (Rupr.) Maxim. Cucurbitaceae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Compositae Ambrosia artemisiifolia L. Artemisia capillaris Thunb. Artemisia japonica Thunb. Artemisia princeps Pamp. Aster magnus Y.N.Lee et Ckim 국명마편초순비기나무꿀풀과개차즈기산박하광대나물익모초들깨배암차즈기참골무꽃가지과노란꽃땅꽈리현삼과주름잎우단담배풀선개불알풀꼬리풀큰개불알풀쥐꼬리망초과쥐꼬리망초파리풀과파리풀질경이과질경이창질경이꼭두서니과갈퀴덩굴솔나물계요등꼭두선이갈퀴꼭두선이인동과인동덩굴괴불나무박과거지덩굴국화과돼지풀사철쑥제비쑥쑥왕갯쑥부쟁이 Ⅳ. 식물상 201

200 학명 Aster subulatus Michx. var. sandwicensis A.G.Jones Bidens bipinnata L. Bidens biternata (Lour.) Merr. & Sherff ex Sherff Carpesium divaricatum Siebold & Zucc.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maackii (Maxim.) Matsum. Conyza bonariensis (L.) Cronq. Conyza canadensis (L.) Cronq. Conyza parva (Nutt.) Cronq. Conyza sumatrensis E.Walker Erigeron annuus (L.) Pers. Eupatorium makinoi Kawahara & Yahara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 Yahara Galium verum L. var. asiaticum Nakai Gnaphalium affine D.Don Gnaphalium calviceps Fernald Gnaphalium purpureum L. Heteropappus hispidus (Thunb.) Less. Heteropappus meyendorfii (Regel & Maack) Kom. & Klob.-Alisova Hypochaeris radicata L. Ixeris chinensis (Thunb.) Kitag. Ixeris repens (L.) A.Gray Ixeris strigosa (Lev. et Vnt.) Ohwi Lactuca indica L. for. indivisa (Makino) Hara Lactuca indica L. var. laciniata (Kuntze) H.Hara Senecio vulgaris L. Sigesbeckia orientalis L. Solidago serotina Aiton Sonchus asper (L.) Hill Sonchus oleraceus L. Tagetes minuta L. Taraxacum officinale Weber Wedelia prostrata Hemsl. Xanthium canadense Mill. 국명큰비짜루국화도깨비바늘털도깨비바늘긴담배풀엉겅퀴실망초망초애기망초큰망초개망초벌등골나물솔나물떡쑥선풀솜나물자주풀솜나물갯쑥부쟁이개쑥부쟁이서양금혼초노랑선씀바귀갯씀바귀선씀바귀가는잎왕고들빼기왕고들빼기개쑥갓제주진득찰미국미역취큰방가지똥방가지똥만수국아재비서양민들레갯금불초큰도꼬마리 20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01 Ⅴ. 육상곤충 조영복 박경화 * 김도성 구현아 * 한남대자연사박물관 전북대생물교육과 * 요 약 2004년제주도북제주군협재리해안사구에대한곤충조사결과, 총 12목 46과 73 종이확인되었고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2목 6과 9종이확인되었다. 본조사지역은해수욕장과한림공원및민가가밀집되어있으면서도비교적다양한곤충의서식을보여주고있다. 그러나해빈지역이차량주차장이나건물들이들어서있고인구가밀집된지역으로조간대지역, 초지, 및리기다소나무군락의삼림지역이서로단절된모습을보여주고있다. 본조사지역에서의해안사구곤충들은다음과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1. Oudemansia sp. Family Isotomidae 마디톡토기과 2. Axelsonia sp.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ydrophilidae 물땅땅이과 3. Cercyon sp. ( 물땡땡이류 )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4.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5.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6.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7.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8.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Ⅴ. 육상곤충 203

202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9.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1. 서론 2004년제주도북제주군협재리해안사구에대한곤충조사가실시되었다. 본조사지역은해수욕장과한림공원및민가가밀집되어있으면서도비교적다양한곤충의서식을보이기도하였다. 대규모배후사구발달된곳으로협제해수욕장과금능해수욕장이위치하고있으며또한유명한한림공원이배후해안사구에위치하고있다. 해안가는검은색바위가산재하고해안가에는해초류들이매우많이밀려나와있다. 해수욕장을비롯한대부분의지역에는해안가와사구사이에둑제방이설치되어있으며넓은공간을주차장으로활용하고있다. 해빈사구지역 (grass land area) 은작은관목과초본이서식하고있으며협재해수욕장에는야자수를식재하고산책로를만들어놓았다. 삼림해안사구 (forest land area) 는주로리기다소나무군락지로일부지역은돌담을쌓아마늘재배경작지로사용하고있었다. 본지역에대한해안사구성곤충조사는본조사가처음으로실시되었다. 협제해안사구에대한곤충조사결과, 총 12목 46과 73종이확인되었고전형적인해안사구곤충은 2목 5과 8종이확인되었다. 본조사에서환경부가지정한멸종위기야생동물은관찰되지않았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는 2004 年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계절적으로장마이전과이후로구분하여분류군에따라적기에연몇 2회실시하였다. 조사지점- 본조사지의행정구역은제주도북제주군협재리이며다음과같이 3개의조사환경을구별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20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03 ST. 1 - 조간대구역 ST. 2 - 초지구역 ST. 3 - 삼림구역조사지대상지개황 - 제주도북제주군협재리는대규모배후사구발달된곳으로협제해수욕장과금능해수욕장이위치하고있으며또한유명한한림공원이배후해안사구에위치하고있다. 해안가는검은색바위가산재하고해안가에는해초류들이매우많이밀려나와있다. 해수욕장을비롯한대부분의지역에는해안가와사구사이에둑제방이설치되어있으며넓은공간을주차장으로활용하고있다. 해빈사구지역 (grass land area) 은작은관목과초본이서식하고있으며협재해수욕장에는야자수를식재하고산책로를만들어놓았다. 삼림해안사구 (forest land area) 는주로리기다소나무군락지로일부지역은돌담을쌓아마늘재배경작지로사용하고있었다. 3. 조사방법 조간대의해초류와모래를 sifter 를이용하여조간대곤충을조사하였고, 초지와삼 림지역은쓸어잡기 (sweeping) 방법을사용하거나육안관찰을통해기록하였다. 4. 조사결과및고찰 협제해안사구에대한곤충조사결과, 총 12 목 46 과 73 종이확인되었다. 가. 곤충상 봄 (3-5 월 ):, 여름 (6-8 월 ):, 가을 (9-10 월 ): 분류군명 조사지유형 ST.1 ST.2 ST.3 계절출현 문헌 해안사구성곤충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Ⅴ. 육상곤충 205

204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Oudemansia sp. Family Isotomidae 마디톡토기과 Axelsonia sp. Order Microcoryphia 돌좀목 Family Machilidae 돌좀과 sp.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된장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Uhler) 밀잠자리 Order Mantodea 사마귀목 Family Mantidae 사마귀과 Tenodera aridifolia 왕사마귀 Order Orthoptera 메뚜기목 Family Tettigoniidae 여치과 Holochlora longifissa Matsumura et Siraki 날베짱이 Phaneroptera falcata (Poda) 실베짱이 Hexacentrus unicolor Serville 베짱이 Conocephalus maculatus (Le Guillou) 점박이쌕새기 Family Oecanthidae 긴꼬리과 Oecanthus indicus Saussure 긴꼬리 Family Gryllidae 귀뚜라미과 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sumura) 왕귀뚜라미 Dianemobius nigrofasciatus (Matsumura) 알락방울벌레 Euscyrtus japonicus Shiraki 홀쭉귀뚜라미 Family Pyrgomorphidae 섬서구메뚜기과 Atractomorpha lata (Motschusky) 섬서구메뚜기 Family Acrididae 메뚜기과 20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05 Patanga japonica (Bolivar) 각시메뚜기 Shirakiacris shirakii (Bolivar) 등검은메뚜기 Acrida cinerea cinerea (Thunberg) 방아깨비 Gonista bicolor (de Haan) 딱다기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Cydnidae 땅노린재과 Macroscytus japonensis Scott 땅노린재 Family Coreidae 허리노린재과 Cletus trigonus (Thunberg) 벼가시허리노린재 Hygia lativentris (Motschulsky) 떼허리노린재 Family Rhopalidae 잡초노린재과 Stictopleurus crassicornis (Linne) 흑다리잡초노린재 Family Lygaeidae 긴노린재과 Paromius exiguus (Distant) 흑다리긴노린재 Panaorus japonicus (Stal) 굴뚝긴노린재 Nysius plebejus Distant 애긴노린재 Family Acanthosomatidae 뿔노린재과 Dichobothrium nubilum (Dallas) 남방뿔노린재 Family Pentatomidae 노린재과 Eurydema pulchra (Westwood) 각시비단노린재 Order Homoptera 매미목 Family Aphrophoridae 거품벌레과 Philaenus spumarius (Linné) 가라지거품벌레 Family Cicadellidae 매미충과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끝검은말매미충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ydrophilidae 물땅땅이과 Cercyon sp. ( 물땅땅이류 ) Family Silphidae 송장벌레과 Eusilpha jakowlewi (Semenov) 큰넓적송장벌레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Ⅴ. 육상곤충 207

206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Cerambycidae 하늘소과 Agapanthia villosoviridescens (de Geer) 남색초원하늘소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과 Chrysolina aurichalcea (Mannerheim) 쑥잎벌레 Family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Coccinella septempunctata Linne 칠성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Thunberg) 꼬마남생이무당벌레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Order Neuroptera 풀잠자리목 Family Myrmeleontidae 명주잠자리과 Hagenomyia micans (MacLachlan) 명주잠자리 ( 유충 ) Hagenomyia micans (MacLachlan) 명주잠자리 ( 성충 ) Order Hymenoptera 벌목 Family Scoliidae 배벌과 Campsomeris prismatica Smith 금테줄배벌 Family Formicidae 개미과 Tetramorium caespitum (Linné) 주름개미 Lasius niger (Linné) 고동털개미 Polyrhachis lamellidens Smith 가시개미 Family Pompilidae 대모벌과 Cyphononyx dorsalis (Lepeletier) 대모벌 Family Apidae 꿀벌과 Megachile japonica Alfkan 노란줄가위벌 Apis mellifera Linné 양봉꿀벌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ulicidae 모기목 20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07 Aedes sp. 숲모기 Family Stratiomyidae 동애등애과 Ptecticus tenebrifer (Walker) 동애등애 Family Syrphidae 꽃등에과 Allograpta balteata (de Geer) 호리꽃등에 Sphaerophoria menthasti (Linné) 꼬마꽃등에 Eristalis cerealis Fabricius 배짧은꽃등에 Family Sepsidae 꼭지파리과 Sepsis monostigma Thomson 꼭지파리 Family Scathophagidae 똥파리과 Scathophaga stercoraria (Linné) 똥파리 Family Calliphoridae 검정파리과 Aldrichina grahami (Aldrich) 털검정파리 Chrysomyia megacephala (Fabricius) 검정뺨금파리 Family Sarcophagidae 쉬파리과 Helicophagella melanura (Meigen) 검정볼기쉬파리 Family Tachinidae 기생파리과 sp. 1 기생파리 Order Lepidoptera 나비목 Family Zygaenidae 알락나방과 Balataea actomaculata (Bremer) 여덟무늬알락나방 Family Geometridae 자나방과 Lomaspilis marginata (Linné) 고운애기가지나방 Family Lycaenidae 부전나비과 Lycaena Phlaeas (Linnaeus) 작은주홍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Kollar) 남방부전나비 Family Pieridae 흰나비과 Eurema hecabe (Linnaeus) 남방노랑나비 Artogeia melete (Ménétriès) 큰줄흰나비 Artogeia rapae (Linné) 배추흰나비 Colias erate (Esper) 노랑나비 Family Hesperiidae 팔랑나비과 Daimio tethys (Menetries) 왕자팔랑나비 Family Nymphalidae 네발나비과 Ⅴ. 육상곤충 209

208 Hestina assimilis (Linnaeus) 홍점알락나비 Family Satyridae 뱀눈나비과 Melanargia halimede (Ménétriès) 흰뱀눈나비 나. 해안성곤충류목록협재해안사구에서관찰된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2목 6과 9종이확인되었다. 그목록은다음과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Neanuridae 혹무늬톡토기과 1. Oudemansia sp. Family Isotomidae 마디톡토기과 2. Axelsonia sp.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ydrophilidae 물땅땅이과 3. Cercyon sp. ( 물땅땅이류 )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4. Phucobius simulator Sharp 해변반날개 5. Cafius rufescens Sharp 빨강바닷말반날개 6.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7.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8.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9. Scepticus uniformis Kono 표주박바구미 다. 고찰본조사지역은해수욕장과한림공원및민가가밀집되어있으면서도비교적다양한 곤충의서식을보여주고있다. 그러나해빈지역이차량주차장이나건물들이들어서있 21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09 어조간대지역, 초지, 및리기다소나무군락의삼림지역이단절된모습을보여주고있 다. 또한많은관광객들의왕래가심한곳이고자연환경이비교적많이변형된곳이기 도하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한국곤충연구소, 한국곤충생태도감, Vol I-V. 김진일, 한국산해안사구성곤충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1): 김창환, 한국동식물도감제11권동물편 ( 곤충류 III). 문교부 : pp 김창환 남상호 이승모, 한국동식물도감제26권동물편 ( 곤충류 VIII). 문교부 : pp 남상호, 원색도감한국곤충도감. 교학사 : pp 신유항, 원색한국곤충도감. I. 나비편, 아카데미서적 : pp. 264., 원색한국곤충도감. 아카데미서적 : pp 신유항 박규택 남상호, 한국동식물도감제27권동물편 ( 곤충류 IX). 문교부 : pp 안승락, 태안해안국립공원생태계연구, 곤충편. 국립중앙과학관학술총서, 10: 우한준, 서해안해안사구실태및보전방안. 자연보존, 115: 이승모, 한국엽지. Insecta Koreana: pp. 125., 한반도하늘소과갑충지. 국립과학관 : pp. 287., 한반도청령 ( 잠자리목 ) 목곤충. Bull. KACN, ser. 15: 이창언, 한국동식물도감제12권동물편 ( 곤충류 VI). 문교부 : XXXXXXXX., 한국동식물도감제23권동물편 ( 곤충류 VII). 문교부 : pp 제주도학생과학관, 제주도의나비. pp.194. 조복성, 한국동식물도감제10권동물편 ( 곤충류 II). 문교부 : pp 조영복, 안기정, 반날개상과 (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 한국경제곤충 11, 167 pp. Ⅴ. 육상곤충 211

210 환경처, 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 : Hayashi, M.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V.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Kurosawa, Y.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Nakane. T. et al,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Insects of Japan. Coleoptera (Vol. 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Uéno, S.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Watanabe, Y Staphylinidae. In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S.-I. Ueno et al., editors) 2: Hoikusha, Osaka (In Japanese). 21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11 사진및설명 사진 1. 협재해수욕장 사진 2. 조간대 사진 3. 협재해수욕장에건설중인건물 사진 4. 야자수나무가조성된산책로 사진 5. 리기다소나무군락 ( 삼림지역 ) 사진 6. 소나무군락에조성된마늘밭 Ⅴ. 육상곤충 213

212 사진 7. 야영장 사진 8. 한림공원근처의소나무군락 사진 9. 초지조사장면 사진 10. 조간대조사장면 사진 11. 삼림지역의조사장면 사진 12. 각시메뚜기 21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13 사진 13. 끝검은말매미충 사진 14. 작은주홍부전나비 사진 15. 남색초원하늘소 사진 16. 해변반날개 그림 17. 표주박바구미 사진 18. 톡톡이류 Ⅴ. 육상곤충 215

214 Ⅵ. 양서 파충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해안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의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청개구리 1종, 파충류는누룩뱀 (Elaphe dione), 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3종에불과하였다. 또한인위적인영향을많이받고있고양서파충류가서식하기에는적합하지않은지역이라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도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서식이확인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관찰되는평범한종들이었고, 환경부가지정한법적보호동물은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1. 서론 제주도산양서 파충류가처음으로학술적으로알려지기시작한것은森爲三 (1928) 이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에관하여 라는논문에서제주도룡뇽 (Hynobius leechii quelpartenisis), 청개구리 (Hyla arborea japonica),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Cacopides tornieri (Vogt)),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ana rugosa), 두꺼비 (Bufo bufo asiaticus) 등양서류 7종과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도마뱀 (Leiolopisma laterale), 유혈목이 (Natrix tigrina), 대륙유혈목이 (Natrix vibakari), 누룩뱀 (Elaphe dione), 실뱀 (Zamenis spinalis), 쇠살모사 (Agkistrodon blomhoffii brevicaudus) 등파충류 7종을발표한것에서비롯된다. 그이후지금까지 Shannon(1956), Webb(1962), 강과윤 (1968), Kawamura(1962), 양과유 Ⅵ. 양서 파충류 217

215 (1978), 양등 (1982), 백등 (1985), 고 (1983) 등여러학자들에의하여연구되어져왔다. 한편, 파충류에대해서는강과윤 (1968), Golyd(1972), 백 (1982) 등에의해연구되어져왔으며, 백 (1982) 은 韓國産蛇類의系統分類學的硏究 란논문에서제주도산사류 ( 蛇類 ) 7종을기록하면서비바리뱀 (Sibynophis collaris) 을한국미기록종으로기재한바있다. 그러나비바리뱀의분류학적위치및분포상황에대해서는학자들간의견이많았고최근들어오 (2004) 에의해그의문이해결되었다. 그리고박 (1990) 은환경처의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지침에따라제주도에서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uroralsis) 을포함하여모두 4과 9종을보고하였으며, 그이후박 (1993), 백 (1993) 에의해분포상이보고된바있다. 최근들어 Chen 등 (2001) 에의한도마뱀류의분류학적고찰, Ota 등 (2002) 에의한줄장지뱀의생물지리학적고찰, Oh and Ota(2004) 에의한비바리뱀의분류학적검토가발표된이후제주도산파충류의생물지리학적중요성에대해학자들에게주목받기시작하여현재국제적인공동연구가활발히연구가진행되고있다. 제주도해안사구에분포하는양서 파충류상에관해서는지금까지조사연구된된바없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해안사구일대의양서 파충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사구는오래전부터해수욕장으로유명한곳으로사구북쪽앞바다에는기생화산으로형성된비양도가자리잡고있다. 또한협재리일대는비양도 ( 飛揚島 ) 분출때생겼다는백설같은패사층으로덮여있고, 협재굴을비롯하여, 쌍룡굴, 황금굴 ( 黃金窟 ), 재암천굴, 초깃굴, 소천굴 ( 昭天窟 ) 등 21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16 용암동굴이무리를이룬다 ( 천연기념물 236). 협재리사구에는곰솔 (Pinus thunbergii) 군락이군데군데형성되어있으나대부분노출된지역이라양서 파충류가서식하기에는적합하지않은곳이다. 조사는 2004년 3월부터 4월까지 3회에걸쳐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이외에별도로조사된자료도참고하여자료를보충하였다. 3. 조사방법 양서류는조사지역을도보로이동하면서수로, 농경지주변의그늘진곳에서종을직접관찰하여기록하거나울음소리등으로종을식별하였다. 파충류는묵정밭과경작지주변, 초지대, 도로변을배회하면서관찰하였다.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하며,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한이래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 Row와 Yuill(1997) 이채집 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양서 파충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를기록하여수평적인종의분포상황을지도상에표시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한림읍협재리해안사구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 파충류는표 1 에제 Ⅵ. 양서 파충류 219

217 시한바와같이양서류 1종, 파충류 3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주로사구와떨어진농경지와곰솔군락, 잡목림일대에서관찰되었고해안과가까운지역에서는관찰되지않았다. 관찰된종을살펴보면, 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는농경지주변잡목림에서관찰되었고 ( 사진 1, 2), 누룩뱀 (Elaphe dione) 은한림공원뒤편농경지에서 ( 사진 3),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은농경지주변초지에서서식이확인되었다 ( 사진 4). 관찰된뱀들의개체군밀도는낮은것으로나타났다. 양서류중에서는청개구리 (Hyla japonica) 1종이주변농경지에서서식이확인되었다 ( 사진 5, 6). 관찰된종들중에서줄장지뱀은우리나라다른지방에서는희귀한편이나제주지역에서는초지가형성된곳에서는어디에서나관찰되는종으로우점종에속하는종이다. 과거협재리사구주변에는과거에전분공장이있었던곳을중심으로맹꽁이 (Kaloula borealis) 가분포하였던것으로알려져왔으나서식환경의변화로본조사에서는관찰되지않았다. 제주도룡뇽과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도제주도다른지역에서는우점인종이나수계가형성되어있지않아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뱀류중에서는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가서식할가능성이있으나현지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조사된자료에의하면, 한라산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 5과 8종, 파충류는 4과 9종이었다 ( 오, 2002). 보고서에의하면양서류 6종과파충류 9종의서식이확인되었는데, 서식이확인된종들중에서제주도룡뇽 (Hynobius quelpartensis), 제주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실뱀 (Coluber spinalis) 과우리나라에서는제주도에만분포하는비바리뱀 (Sibynophis chinensis) 은환경부에서지정한상위보전등급에속하는종들이다. 또한제주도는한국본토와오랫동안격리되었고또기후와지세가판이하게달라서생물지리분포학상남방한계가되는종인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Kaloula borealis),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가서식한다. 그리고누룩뱀, 쇠살모사, 줄장지뱀은생물분포학상남한지 ( 南限地 ) 가되는종이며, 비바리뱀은우리나라에서는제주도에만분포하는종으로제주도가북한지 ( 北限地 ) 가되는특산종이다. 제주도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는대부분이한국본토와공통된종이많지만우리나라에서최남단에위치할뿐만아니라한국본토와일본및중국사이에자리잡고 22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18 있으므로대륙계의동물과남방계의동물이혼서한다. 서식환경을보면제주도에는초원과습원이있으며곳곳에양서 파충류가서식하기에적합한환경을갖추고있는곳이많고먹이도풍부하여뱀류는한국본토에비하여종수는적으나개체군밀도는큰편이다. 그러나해안사구지역에는습지가형성된곳이거의없으며, 농경지대이외의지역에는물이흐르는곳이없고심지어웅덩이조차찾아볼수없을정도로물이귀한편이다. 또한바람이강하게불어매우건조하여곰솔군락이외에활엽수림이형성된곳이거의없으며, 해안도로가개설되었고관광편의시설이들어서는등인위적인영향으로양서 파충류가서식할수있는환경이사라지고있는실정이다. 이번에실시된조사는지금까지협재리해안사구일대의육상동물상에대한정보가없었던점에서그가치가크다고생각되며앞으로사구의보전전략을강구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라판단된다. Ⅵ. 양서 파충류 221

219 표 1. 제주협재리해안사구지역의양서 파충류목록 No. 학명국명 문헌조사 현지조사 비고 Class 1. Amphibians 개구리 ( 兩棲 ) 綱 Order 1. Caudata 도롱뇽 ( 有尾 ) 目 Family 1. Hynobiidae 도롱뇽 ( 山椒魚 ) 科 1 Hynobius leechii quelpartensis Mori 제주도롱뇽 Order 2. Salientia 개구리 ( 有尾 ) 目 Family 2. Discoglossidae 무당개구리 (. 蛙 ) 科 2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무당개구리 Family 3. Hylidae 청개구리 ( 雨蛙 ) 科 3 Hyla japonica Günther 청개구리 Family 5. Engystomidae 맹꽁이 ( 隘口 ) 科 4 Kaloula borealis (Barbour) 맹꽁이 Family 4. Ranidae 개구리 ( 赤蛙 ) 科 5 Rana nigromaculata Hallowell 참개구리 6 Rana dybowskii Günther 북방산개구리 Class 2. Reptillia 뱀 ( 爬蟲 ) 綱 Order 1. Squamata 뱀 ( 有鱗 ) 目 Family 1. Scincidae 도마뱀 ( 蜥蜴 ) 科 7 Scincella vandenburghi (Schmidt, 1927) 제주도마뱀 Family 2. Lacertiidae 장지뱀 ( 金蛇 ) 科 8 Takydromus wolteri Fisher 줄장지뱀 9 Takydromus amurensis Peters 아무르장지뱀 Family 3. Colubridae 뱀 ( 蛇 ) 科 10 Elaphe dione (Pallas) 누룩뱀 11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Boie) 유혈목이 12 Coluber spinalis Peters 실뱀 13 Amphiesma vibakari ruthveni (Van kenburgh) 대륙유혈목이 14 Sibynophis chinensis Gunther 비바리뱀 Family 4. Viperidae 살모사 ( 鎖蛇 ) 科 15 Agkistrodon ussuriensis (Emelianov) 쇠살모사 종 수 13종 4종 22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20 참고문헌 姜永善 尹一炳 濟州道의兩棲 爬蟲類. 漢拏山및紅島. 文公部. pp 姜永善 尹一炳 韓國動植物圖鑑. 17 券動物編 ( 兩棲爬蟲類 ). 文敎部. 김완병, 오홍식, 김원택 한라산국립공원내습지의동물상조사. 제주대학교생명과학연구, 4: 9~ 20. 박행신 자연생태계전국조사 -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상. pp 환경처.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白南極 韓國産兩棲爬蟲類의現況과그保護對策. 自然保存, 83: 백남극 제주도산미기록사류 1종에관한보고, 강릉대학교논문집, 16: 白南極 金昌漢 沈在漢 漢拏山의兩棲 爬蟲類相. 漢拏山學術調査報告書. 濟州道. pp 송재영, 윤병수, 오홍식, 정규회 미토콘드리아 16S rdna 를이용한아무르산개구리 ( 양서강 : 개구리과 ) 의유전적다양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1): 45~ 51. 梁瑞榮, 金英眞, 孫洪鍾 도룡뇽의地理的變異에관한硏究. 仁荷大. 基礎科學硏究所論文集, 3: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습지일대의육상척추동물상및생태연구. 환경부제1차전국내륙습지조사.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박강희 제주지역의양서 파충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교학사. 土去寬帳 海蛇ニ就テ. 總督. 中學校友誌, 4호 pp 森爲三 濟州島の兩棲類及爬蟲類ニ就テ. 朝鮮博物學會雜誌, 6: 47~52.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 Ⅵ. 양서 파충류 223

221 狀態を推論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論. 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今泉吉典 腹板と尾下板の變異にもとづくヤアカがシの分類. 自然科學と博物館, 35, pp Chen, S. L., T. Hikida, S. H. Han, J. H. Shim, H. S. Oh and H. Ota Taxonomic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s of genus Scincella(Squamata: Scincidae). J. Herpetology, 35(1): 122~129. Gloyd, H. K The Korea snak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Proc. Biol. Soc. Wash., 85(49): Kawamura, T. and M. Nishioka Studies on hybrization in amphibians Ⅶ, Hybrids between Japanese and European brown frogs. J. Sci. Hiroshima Univ. Ser. B. Div. 1, Vol. 18, Art. 16.: 1-8. Kawamura, T. and M. Nishioka Nucleo-cytoplasmic hybrid Frog between Two species of Japanese brown frogs and their offspring. ibid., Vol. 21, Art. 6: Maki, M A Monograph of the Snakes of Japan. Tokyo, Dai-Ichi. p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argalef, R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2. pp.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Mori, T On a new Hynobius from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53 Mori, T On amphibians and reptiles of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Nakamura, K. and S. Ueno Japanese Reptiles and Amphibians in Colour. Osaka, Japan. Hoikusha. pp Oh, H. S., H. Ota Taxonomic status and biogeographical bearing of a 22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22 population of the colubrid genus Sibynophis (Reptilia, Squamata) from Cheju Island, Korea. The 43rd Annual Meeting of Herpelotogical Society of Japan. Ota, H., M. Honda, S-L. Chen, T. Hikida, S. Panha, H. S. Oh and M. Matsui Phylogenetic relationships, taxonomy, character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the lacertid lizards of the genus Takydromus (Reptilia: Squamata): a molecular perspective.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76: 493~509.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Pielou, E. 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Sannon, F. A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Korea. Herpetologica, Vol. 12: Seto, T. and K. Iizuka Karyotype of Hynobius leechii from Cheju Island, Korea, Japanese J. of Herpetology, 15(2): Shannon, C. E. and W. Weaver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17pp.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Steineger, L Herpetology of Japan and adjacent territory. Bull. U. S. Nat. Mus, No. 58, pp. xx + 577, 409 Figs, 35 pls. Toft, C. A Seasonal variation in populations of Panamanian litter frogs and their prey : A comparison of wetter and drier sites. Oecologia, 47: Van Denburgh, J Concerning certain species of reptiles and amphibians China, Japan, the Loo, Choo Islands and Formosa, Proc. Calif. Ac. Scil., (Ⅳ) 3. pp Webb, R. G., J. Jones, Jr, and G. W. Byers Some reptiles and amphibians Ⅵ. 양서 파충류 225

223 from Korea Univ. Kansas Publ., Mus. Nat. Hist., Vol. 15, No. 2, pp Yang, S. Y., J. B. Kim, M. S. Min, J. H. Suh and H. Y. Suk Genetic and ph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forms of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Korean J. Biol. Sci., 1: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24 사진및설명 사진 1. 쇠살모사 사진 2. 누룩뱀 사진 3. 줄장지뱀 사진 4. 청개구리 Ⅵ. 양서 파충류 227

225 Ⅶ. 조류 김창회 강종현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요 약 협재일대에서관찰된종은 44종이었으며, 이지역에서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깝작도요 (Tringa hypoleuco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종수는 4 차조사에서가장많았고 (22종 ), 5차조사에서가장적었다 (13종 ).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제비 (Hirundo rustica(287 개체 )) 와참새 (147개체) 이었다. 이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6종이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은 2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흰목물떼새 ; Charadrius placidus), 특정종은 4종 ( 아비 ; Gavia stellata,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뻐꾸기 ; Cuculus canorus) 이었다. 1. 서론 우리나라의사구는태안반도일대에많이분포하고있으나, 자연상태그대로유지하고있는지역은그다지많지않다. 그리고사구에관련된조류조사도최근에이르러약간보고되었을뿐 ( 김 이 2002) 많지는않다. 제주도북제주군에위치한협재해수욕장과금릉해수욕장에는여름철이되면많은사람이찾아와해수욕을즐기고있다. 그리고인접한한림공원에도많이관광객이찾아오고있다. 지금까지협재일대에대한조류조사보고도아직없다. 이조사는단기적으로생태지도표기종 ( 김 2001) 의서식장소와번식가능성에대한자료를얻기위하여수행되었다. 그리고장기적으로는국내및국제적으로멸종위기종및희귀종에대한자료를확 Ⅶ. 조류 229

226 보하고, 주요조류서식지에대한보전가치를등급화할수있는객관적인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한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이조사는제주도북제주군에속해있는협재해수욕장과금릉해수욕장, 한림공원및그주변을중심으로이루어졌다 ( 그림 1). 이조사지역에대해서 5회의조류조사가실시되었다. 1차조사는 4월 22~23일, 2차조사는 7월 30~31일, 3차조사는 9월 17~18일, 4차조사는 11월 24~26일, 5차조사는 12월 16일이었다. N 조사지역 그림 1. 조사지역 23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27 3. 조사방법 조사대상종은한국에서관찰된전종 ( 아종을포함하여 435종 ; 이등 2000) 이며, 그중생태지도표기종 (148종, 멸종위기야생동물, 특정종 ) 이관찰된지점을지도상에표기하였다 ( 김 2001). 조사방법, 조류조사표기재방법, 지도상의특정종기재방법, 개체수산정방법은김 (2001) 의제2차환경부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의조류분야지침서에따랐으며, 이내용을요약하면아래와같다. 조사방법 : 시속 2km정도로보행하면서기록하는방법과개시점및종료점에서정지하여관찰하고기록하는방법을병행하였고, 울음소리에의하여확증된개체도포함하였다. 조류조사표기재방법 : 번식하는것이관찰된종은 "A", 번식하는것은관찰하지못했지만번식가능성이비교적높은종은 "B", 번식에대한확실한근거는없지만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라고생각되는종은 "C", 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아니라고생각되는종은 "D", 번식에대하여전혀예측할수없는종은 "E", 비번식기에관찰되거나번식가능성이희박한종은 "F" 의란에 표를하였다. 지도상의생태지도표기종기재방법 :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지점은종의보호등급에따라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특정종은 로표기하였으며, 종명은각등급기호의우측에종코드번호로기재하였다. 그리고그밖의종들은조류조사표에만기재하였다. 4. 결과및고찰 가. 결과협재일대에서관찰된종은 44종이었으며, 이지역에서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깝작도요 (Tringa hypoleuco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 표 1). 종수는 4 차조사에서가장많았고 (22종 ), 5차조사에서가장적었다 (13종 ).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제비 (Hirundo rustica(287개체 )) 와참새 (147개체) 이었다. Ⅶ. 조류 231

228 표 1. 협재에서관찰된조류의개체수 코드개체수학명국명번호 1차조사 2차조사 3차조사 4차조사 5차조사 B001 Gavia stellata 아비 1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4 2 B033 Egretta sacra 흑로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30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1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2 B134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6 B135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5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B137 Charadrius mongolus 왕눈물떼새 2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3 B160 Tringa totanus 붉은발도요 4 B162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2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2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B168 Xenus cinereus 뒷부리도요 2 B171 Numenius arquata 마도요 1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6 3 B192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9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B216 Cuculus canorus 뻐꾸기 2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1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2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B284 Erithacus cyane 쇠유리새 1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4 12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B297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3 B298 Turdus obscurus 흰눈썹붉은배지빠귀 2 B300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13 - Cettia diphone cantans 제주휘파람새 2 2 B320 Phylloscopus occipitalis 산솔새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29 ( 표 1에서계속 ) B329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2 B334 Parus palustris 쇠박새 3 B338 Parus major 박새 B342 Zosterops japonica 동박새 16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3 1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1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2 B388 Pica pica 까치 종수 ( 총 44종 ) 개체수 번식가능성 "A" 에해당하는종은 7 종, "B" 에해당하는종은 4 종, "C" 에해당하는종 은 12 종, "D" 에해당하는종은 1 종, "E" 에해당하는종은 12 종, "F" 에해당하는종은 8 종이었다 ( 표 2). 표 2. 협재에서관찰된조류의번식가능성 ( 생태지도표기종및번식가능성은본문참조 ) 코드생태지도번식가능성학명국명번호표기종 A B C D E F B001 Gavia stellata 아비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B033 Egretta sacra 흑로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B134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B135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B137 Charadrius mongolus 왕눈물떼새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B160 Tringa totanus 붉은발도요 B162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Ⅶ. 조류 233

230 ( 표 2에서계속 ) B168 Xenus cinereus 뒷부리도요 B171 Numenius arquata 마도요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B192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B216 Cuculus canorus 뻐꾸기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B284 Erithacus cyane 쇠유리새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B297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B298 Turdus obscurus 흰눈썹붉은배지빠귀 B300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B304 Cettia diphone cantans 제주휘파람새 B320 Phylloscopus occipitalis 산솔새 B329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B334 Parus palustris 쇠박새 B338 Parus major 박새 1 B342 Zosterops japonica 동박새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1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B388 Pica pica 까치 소계 합계 총합계 44 협재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6 종이었다 ( 표 3). 이들중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 급은 2 종 ( 물수리 Pandion haliaet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특정종은 4 종 ( 아비 Gavia stellata, 흑로 Egretta sacra,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뻐꾸기 Cuculus canorus) 이었다. 23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31 표 3. 협재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 구 분 국 명 합계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물수리, 흰목물떼새 2 특정종 아비, 흑로, 황조롱이, 뻐꾸기 4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위치는그림 2 와같다. N B033 B001 B033 B085 B033 B033 B033 B135 B111 B216 B111 B216 그림 2. 협재일대에서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장소 Ⅶ. 조류 235

232 나. 고찰협재일대에는여름철에많은사람이해수욕을즐기기위해모여들고있으며, 협재해수욕장과금릉해수욕장사이에위치한곰솔 (Pinus tunbergii) 이있는곳은텐트장이된다. 그리고한림공원주변에도곰솔군락이분포하며, 주변에는숙박업소나음식점들이해변을따라분포한다. 조류가주로관찰된곳은해안과한림공원주변이지만해안을따라서식하는종이비교적많다. 도요새류및물떼새류들은대부분북쪽의해안 ( 해수욕장주변 ) 에서관찰되었고, 사람들이접근하면주변을맴돌다다시찾아와먹이를찾는것이관찰되었다. 이종들은대부분 1회관찰되었지만이시기에먹이를얻기위해이지역을찾아온것으로사료된다.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물수리는협재해수욕장주변을선회하는것이확인되었고, 흰목물떼새는금릉해수욕장에서먹이를찾는것이확인되었다. 이종은 5회의조사에서 1회씩관찰되어이지역을일시적으로이용한것으로사료되지만, 관광객에의한방해도배제할수없다. 물수리는국내에매년 20여마리가호수, 해안, 하구등에도래하고있으며, 한지역에서관찰되는개체수는보통 1~3개체이었다 ( 환경부 2004). 이종은하천, 호소, 해변등지에서식하며살아있는물고기를잡는맹금류이다. 물수리는수십미터의상공에서물속에있는물고기를찾으며공중의한지점에서호버링하는일도있다. 흰목물떼새는봄과가을에한국을통과하는드문나그네새또는중부이남에서흔하지않게월동하는겨울철새로알려져있다 ( 원 1993). 그러나종종 4~7월에하천가의모래에서둥지가관찰되고있다. 한배란수는 2~4개이며, 채식장소는하천가, 습지, 논이며, 주로수서곤충, 지렁이등의작은동물을먹는다. 이종은하천제방공사로인한서식파괴및교란으로개체수가감소되고있다 ( 桑原 1996). 이지역에서조류서식지로써비교적좋은환경이라고생각되는지역은북쪽에있는협재해수욕장과금릉해수욕장의해안을들수있다. 그리고양해수욕장사이의곰솔군락이있는텐트장과한림공원주변의곰솔군락도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박새 (Parus major), 제주휘파람새 (Cettia diphone cantans) 등의산림성조류가이용하고있어보존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23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33 참고문헌 김창회 조류조사지침. 제2차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 pp 환경부. 경기도. 김창회 이경규 형제도 ( 육상동물 ). p.33. [2001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제주도 ].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원병오 한국의조류. 교학사. 447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야외원색도감한국의새. LG상록재단. 서울. 300p. 환경부 년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종합보고서.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620p. 桑原和之 イカルチドリ. p.87. [ 日本動物大百科 - 鳥類 I]. 平凡社. Ⅶ. 조류 237

234 사진및설명 사진 1. 협재사구전경사진 2. 한림공원주변의직박구리 ( 유조 ) 23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35 Ⅷ. 포유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북제주군한립읍협재리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포유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의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지금까지제주도에서기록된육상포유류는모두 5목 9과 21종인데이중협재리해안사구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서식이확인되는평범한종들이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다. 1. 서론 제주도는그기원이화산활동에의한것으로빙하해수면변동과지각운동에따른지형의변화에따라생성된섬이다. 이로인해한반도와제주도및일본열도의동물상은기후나기류, 섬의면적및지형, 천적관계등의영향을받아각각다른방향으로진화하여동물지리학상매우흥미로운문제를갖고있다. 제주도는한반도의최남단에위치하고있는섬이라는이유때문에동일한종이라도지리적격리로인한아종들이많다. 이러한현상은제주도가한반도와오랜시기에걸쳐격리되었기때문에생기는특이한환경에기인한것으로그것은모든동물이적응현상과종분화를유도하는중요한요인이된다. 또한제주도는한국및일본의동물상에대한생물지리학적, 진화적 Ⅷ. 포유류 239

236 연구를하는데있어매우중요한위치에있다. 그러나한라산의동물상에관한조사나연구는곤충류의경우는척추동물에비하여비교적많이이루어진편이나척추동물상에대해서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 제주도, 1985) 와 한라산의동물 ( 제주도, 1994) 및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년 ) 의단편적인보고서가있을뿐이고조류의군집생태에관해서는어느정도연구가이루어져왔으나포유류와양서 파충류에관한연구는거의이루어져있지않은실정이다. 제주도의포유류에관한학술적보고는 Thomas(1906) 가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와등줄쥐를기록한것에서비롯된다. Thomas(1908) 는제주도산족제비를본토산족제비로부터분리하여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로명명 발표하였다. 그이후森爲三 (1923) 은제주도와대마도의동물분포상을고찰하여한국양륙의분리시대와그시대의상태를추론하였는데그중포유류에있어서는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와삵 (Felis beegalensis manchurica) 을기록하였다. 그리고森爲三 (1928) 은제주도의육산 ( 陸産 )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를추론하였는데그중포유류에있어서는큰수염박쥐 (Myotis mystacinus gracil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오소리 (Meles meles melanogenys), 몇종의쥐류, 멧돼지 (Sus scrofa coreanus), 노루 (Carpreolus carpreolus bedfordi), 사슴 (Cerus nippon manchuricus) 등을기록하였다. 岸田久吉 森爲三 (1931) 은 朝鮮産陸棲哺乳動物の分布に就て 에서제주도산포유류로서 11종, 즉사슴 (Cerus nippon manchuricus), 큰노루 (Capreolus pygargus), 노루 (Carpreolus carpreolus bedfordi), 삵 (Felis beegalensis manchurica),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등줄쥐 (Apodemus agrarius), 곰쥐 (Rattus rattus rufescens), 애급쥐 (Rattus rattus alexandrianus), 집쥐 (Rattus norvegicus), 생쥐 (Mus musculus), 큰수염박쥐 (Myotis mystacinus gracilis) 를기록하였고멧돼지 (Sus scrofa coreanus) 와오소리 (Meles meles melanogenys) 의서식에대해서는의문점으로남겨두었다. 森爲三 (1933) 은김녕사굴에서채집한제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quelpartis) 를기재하였으며, 黑田長禮 (1934) 는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24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37 애급쥐 (Rattus rattusalexandrianus), 집쥐 (Rattus norvegicus), 생쥐 (Mus musculus) 외에제주땃쥐 (Crocidura russula quelpartis) 를기재하였다. Johnson & Jones Jr.(1955) 은제주도에서채집된쥐류중비단털쥐 (Cricetulus tritonnestor), 제주멧밭쥐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를기재하였다. 그후단편적으로원 (1958), 원 (1967) 과같은보고가있었고, 박쥐류에대해서는손 (1981, 1982) 에의해많은정보가제공되었다. 한라산의동물상에대해서는박 (1982),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 제주도, 1985), 오와박 (1994) 에의한ꡐ한라산의동물ꡑ및제주도에서수행한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계획관리계획수립 ( 제주도, 2000),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한라산 5개지역의포유류상에관한보고 ( 오와김, 2003) 등이있다. 또한학술적연구로는 1997년도이후제주도산포유류에대해서종의분포나서식상황, 종별번식상황및유전학적특징등생물학적정보가상세하게밝혀지고있다 (Yoon et al., 1997; Oh and Mori, 1998a, b, c, d; Oh et al., 1998, 2003; Iwasa et al., 2001; Oh, 2001; Han et al., 2002; Yoon et al., 2004). 한편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포유류상에관한연구나보고는전무한실정이다. 해안사구는희귀동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빈번하게나타나는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협재해안사구일대의포유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Ⅷ. 포유류 241

238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사구는오래전부터해수욕장으로유명한곳으로사구북쪽앞바다에는기생화산으로형성된비양도가자리잡고있다. 또한협재리일대는비양도 ( 飛揚島 ) 분출때생겼다는백설같은패사층으로덮여있고, 협재굴을비롯하여, 쌍룡굴, 황금굴 ( 黃金窟 ), 재암천굴, 초깃굴, 소천굴 ( 昭天窟 ) 등용암동굴이무리를이룬다 ( 천연기념물 236). 협재리사구에는곰솔 (Pinus thunbergii) 군락이군데군데형성되어있으나대부분노출된지역이라일부설치류이외의다른포유류가서식하기에는적합하지않은곳이다. 조사는 2004년 4월부터 6월까지 3회에걸쳐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이외에별도로조사된자료도참고하여자료를보충하였다. 3. 조사방법 소형포유동물은생포트랩 (Sherman live traps, cm, Sherman Co. USA) 을설치하여 ( 사진 1, 2), 포획한후종을직접동정하거나터널의입구나형태, 크기등을통해서종의서식을확인하였다. 중 대형동물은직접육안이나쌍안경으로확인하거나울음소리청취, 생태흔적 ( 발자국, 배설물, 식흔, 굴, 휴식흔적등 ) 으로서식하는종을확인하였다. 야간에는손전등을이용하여사방 100m 이내에출현하는종을조사하였다 ( 라이트센서스 ).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한다. 한편, 자연생태지도는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하여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 (Biotope mapping) 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 24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39 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버지니아대학의 Row와 Yuill(1997) 이채집및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포유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에서좌표를기록하여수평적종분포상황을지도상에 Mapping 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에서식하는동물은한국본토와공통인종들이많지만지리적 지형적조건으로보아대륙계동물과일본및남방계의동물들이혼서한다. 또한기후가온난하고일부고산지대를제외하면동결기간도짧아서평지에는아열대성동물과난대성동물들이많이서식하고있고, 산정으로올라감에따라점차로한대성동물이나타나는특징을보인다. 또한한반도로부터분리된이후오랜기간에걸쳐기후나기류, 섬의면적및지형등의영향을받아섬고유의변화를거쳐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식생이고도에따라수직적으로다양하게분포하기때문에다른지역에비해곤충류가매우풍부하고, 육상척추동물도지리적격리나제주도가갖는여러가지생태학적, 지리적요인의작용으로인해단순한편이나섬고유의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지금까지제주도에서조사기록된육상포유류는표 1에제시한바와같이모두 5목 9과 21종이다 ( 오, 2003). 이중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와노루 (Carpreolus pygargus), 다람쥐 (Tamias sibiriricus barberi),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가우점인종으로보고된바있으며,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멧밭쥐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긴발뒤쥐 (Sorex caecutiens chejuensis), 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등은제주지역고유종이라할수있다. 조사결과, 제주협재리사구주변에서는제주등줄쥐 ( 사진 3과 4), 제주족제비 ( 사진 Ⅷ. 포유류 243

240 5), 집쥐등 3종의서식이확인되었고, 관찰된종들의서식밀도도매우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문헌조사에서나타난바와같이사구외곽지주변농경지에서는서식지의특성상제주땃쥐, 제주멧밭쥐, 생쥐, 집박쥐등이서식할것으로보이나현지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이렇게빈약한포유동물상을보이는것은본래부터섬이기때문에섬고유의독자적인포유류상을보이는점도있지만그중에서도제주도에서식하는일부설치류나식충류및박쥐류등은과거에관찰되었던종들도있었다. 그러나최근들어다른지방의해안사구와달리제주도내해안지역은대부분해안도로가개설되어서식지가줄어들었고해수욕장이나편의시설이들어서있어인위적인영향으로중산간일대로서식지를옮긴것으로판단된다. 244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41 표 1. 제주협재리해안사구주변의포유류목록 번호학명국명현지조사문헌조사비고 Class 1. Mammalia 포유 ( 哺乳 ) 綱 Order 1. Insectivora 식충 ( 食蟲 ) 目 Family 1. Soricidae 땃쥐科 1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땃쥐 지역고유종 2 Crocidura suaveolens coreae 땃쥐 ( 작은땃쥐 ) 3 Sorex shinto chenjuensis 제주긴발뒤쥐 지역고유종 Order 2. Chiroptera 박쥐 ( 翼手 ) 目 Family 2. Rhinolophidae 관박쥐科 4 Rhinolophus ferrumequinum 관박쥐 Family 3. Vespertilionidae 애기박쥐科 5 Myotis macrodactylus 큰발윗수염박쥐 6 Myotis formosus 붉은박쥐 멸종위기종 7 Myotis nattereri bombinus 흰배윗수염박쥐 8 Myotis daubentoni 물윗수염박쥐 9 Pipistrelus javanicus 집박쥐 10 Pipistrellus coreensis 큰집박쥐 11 Miniopterus fuscus 작은긴날개박쥐 12 Miniopterus schreibersi 긴날개박쥐 Order 3. Carnivora 식육目 Family 4. Mustelidae 족제비科 13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족제비 지역고유종 14 Meles meles melanogenys 오소리 Order 4. Artiodactyla 소目 Family 6. Cervidae 사슴科 15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노루 Order 5. Rodentia 쥐目 Family 7. Sciuridae 다람쥐科 16 Tamias sibiricus 다람쥐 Family 9. Muridae 쥐科 17 Rattus norvegicus 집쥐 ( 시궁쥐 ) 18 Rattus rattus 애굽쥐 ( 곰쥐 ) 19 Apodemus chejuensis 제주등줄쥐 지역고유종 20 Mus musculus mollosinus 생쥐 21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멧밭쥐 지역고유종 종수 (Number of species) 3종 9종 Ⅷ. 포유류 245

242 참고문헌 朴行信 濟州島産哺乳類槪觀, 漢拏山天然保護地區學術調査報告書, pp , 濟州道.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오장근, 신용만 한라산노루의분포특성. 한라산연구소조사보고서. pp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전국내륙습지자연환경조사보고서 ( 고등동물편 ). 환경부. pp 오홍식, 박행신 한라산의동물. 제주도. pp 오홍식, 한상훈, 윤명희, 김장근 생태환경시리즈. 한국의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김수철 한라산내 5개지역의포유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포유류편. 교학사. 元炳旿 韓國哺乳類目 N. 慶熙大學校韓國鳥類硏究所.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 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관리계획수립보고서 ( 육상척추동물 ). 환경부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서- 포유류편.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狀態を推論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論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Bailey, J. A Principles of Wildlife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NY, 373pp. Begon, M., J. L. Harper and C. R. Townsend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Oxford. Caughley, G. and A. Gunn Conservation Biology in Theory and Practice. Blackwell Science, Cambridge, 459pp. 246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43 Corbet, G. B The mammals of the Palaearctic region: a taxonomic review. British Museum(Na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Corbet, G. B. and J. E. Hill A World List of Mammalian Species(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dwards, P. J., R. M. May and N. R. Webb Large-scal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Blackwell, London. Han, S. H., M. A. Iwasa, S. D. Ohdachi, H. S. Oh, H. Suzuki, K. Tsuchiya and H. Abe Molecular phylogeny of Crocidura shrews in northeastern Asia: A special reference to specimens on Cheju Island, South Korea. Acta Theriologica, 47: Imaizumi, Y Natural history of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羊羊書房. Iwasa, M. A., S. H. Han, S. Ohdachi, H. S. Oh, H. Abe and H. Suzuki Karyotype and RFLP of the nuclear rdna of Crocidura sp. on Cheju Island, South Korea. J. Mammalia, 65(4): 451~459. Japan Wildlife Research Center Manual of Wildlife Research Handbook. (in Japanese). Koyasu, K Track, trails and signs of the Japanese land mammals. Nikkei Science Inc. (in Japanese). Kuroda, N Korean Mammals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Marquis Yamashina. J. Mamm. Vol. 15(No. 3), Aug. pp Kuroda, N A List of the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Kuroda, N A Monograph of the Japanese Mammals. Sanseido, Tokyo, Japan. Mori, T On Two New Bats from Korea, J. Chosen Nat. Hist. Soc., 16: 4. Oh, H. S Taxonomic status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population of Cheju Island,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J. of Basic Science, Cheju Nat'l Univ., 14: 87~105. Oh, H. S. and T. Mori. 1998a.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in captive of Ⅷ. 포유류 247

244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 (Rodentia, Muridae). J. Fac. Agr., Kyushu Univ., 42: 397~408. Oh, H. S. and T. Mori. 1998b. Histological studies on reproductive organs of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us. Honyurui Kagaku (Mammalian Science), 37: 103~11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c. Reproduc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Honyurui Kagaku (Mammalian Science), 38: 23~3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d.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A. a. chejuensis: Evidence from crossbreeding experiments (Mammalia: Rodentia). J. Fac. Agr., Kyushu Univ., 43: Oh, H. S., Y. Yoshinaga and T. Mori Reproduction in the wild populatio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 Fac. Agr., Kyushu Univ., 42: 383~395. Oh, H. S., Y. Yoshinaga, Kaneko, Iida and T. Mori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comparing external and cranial morphological characters among four Asian Apodemus species. J. Fac. Agr., Kyushu Univ., 47(2):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Thomas, O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London., pp Thomas, O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Ⅱ.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248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45 London., 1906: Thomas, O List of mammals from the Tsu-shima Island. Proc. Zool. Soc. London., p. 54. Whang, C. H Studies on the Rats in Cheju Province and Their Ectoparasites. J. Applied Zool. Soc. Vol.1, No 1, pp Wilson, R. and I. Reeder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New York. 1207pp. Won, P. O. and H. C. Won Mammals of Quelpart Island, J. Applied Zool. Soc. Vol. 1, pp Yoon, M. H., I. Kim, H. S. Oh and C. J. Phillips Biography, genetic structure and speciation in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in southern Korea. Korean J. Genetics, 26: Yoon, M. H., S. J. Jung and H. S. Oh Population structure and reproductive patter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Kor. J. Biol. Sci., 1: Ⅷ. 포유류 249

246 사진및설명 사진 1. 생포트랩설치장면 사진 2. 포유류조사장면 사진 3. 제주등줄쥐 사진 4. 생포트랩에포획된제주등줄쥐 사진 5. 차에치어죽은제주족제비 250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47 조사지역중앙부에펼쳐진이차사구지대 ( 관목림으로천이가진행되어있음 ) 협재해수욕장의해빈과전면 협재해수욕장사빈 ( 남쪽에서 ) 협재해수욕장사빈 ( 북쪽에서 ) 곰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251

248 각시메뚜기 해변반날개 쇠살모사 청개구리 한림공원주변의직박구리 ( 유조 ) 제주등줄쥐 252 전국해안사구조사 ( 협재 )

249 사 계 Ⅰ. 지형 형성환경 253

250 총 괄 이민효 오경희 김기경 염진화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1. 조사배경및목적 해안사구는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최근들어빈번한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대부분의사구들이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환경부는 2001년도서사구를제외한전국의사구조사결과를목록화시키고이들중 133개해안사구에서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해안사구및조사에포함되지않은도서지역의우수해안사구를중심으로조사하는것을원칙으로하되, 배후습지가있는경우배후습지도조사범위에포함하였다. 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우선으로조사하고주요해안사구의생태계에대한정밀자료를확보하여해안사구의기능 가치평가를통한국민인식제고와해안지역의효율적관리방안을제시하고주요해안사구에대한생태계보전지역또는습지보호지역지정근거를제공하는데있다. 2. 조사지및조사방법 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서상모리까지의해안지역으로, 제주도의남서쪽에위치해있으며, 인근지역의중심지인모슬포에서동쪽으로 4km 정도떨어져있다. 조사대상지역은해안을따라길이가 3km 폭이 100~300m의규모의열상으로발달해있다 ( 그림 1). 현지조사는 1:25,000 지형도와 1:5,000 지형도에각조사분야별결과를표시하였으며, 조사분야는지형, 퇴적물, 식생, 식물상, 육상곤충, 양서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8개분야를조사하였다 ( 표 1). 총괄 255

251 그림 1. 제주도남제주군사계사구 표 1. 조사자인적사항 분야조사자소속분야조사자소속조사이민효, 오경희국립환경연구원조영복한남대학교자연사박물관총괄김기경, 염진화생물다양성연구부육상김도성지형 곤충박경화서종철대구가톨릭대지리교육과전북대학교생물교육과형성환경구현아손명원퇴적물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양서ㆍ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장문기파충류오승철김인택식생창원대학교생물학과조류김창회국립환경연구원박기현강종현생물다양성연구부박수현식물상국립수목원포유류오홍식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류세아오승철 3. 조사결과 가. 분야별조사결과요약 1) 지형 형성환경 사계지역은해안을따라 3km, 폭 100~300m 에걸쳐형성된대규모사구지대로서, 25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52 조사대상지역은모래해안과암석해안으로이루어진해빈지역, 초본과관목성사구식생으로피복된전사구지대, 곰솔림이식재된이차사구지대와이차사구지대후면의경작지와주거지로크게구분된다. 전사구와전면의해빈은제주도의해안사구가운데자연상태가가장잘유지되어있으며전사구후면에는사구평지와이차사구도잘발달되어있다. 2) 퇴적물분석본조사지역퇴적물의평균입경은 φ (0.27~0.47mm) 정도로비교적굵은편에속하며, 전사구 (foredune) 의정상부분에서사구사의입경이비교적작은것으로나타났다. 분급은 moderately sorted 수준이며, 왜도는해안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 이고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로서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한다. 유효인산의농도 ( mg / kg ) 는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나, 전사구에서높게나타나는경향이있다. 칼륨은 cmol/ kg의범위를보이며칼슘은 cmol/ kg, 마그네슘은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3) 식생조사지의해안일대는대체적으로내륙으로부터곰솔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 통보리사초군락과갯금불초군락 - 모래해안 - 암반지대 ( 수면 ) 로이행대가형성되어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곰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금불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띠군락등 7개군락으로분류되었으며곰솔군락과띠군락을제외하면전해안지역이비교적양호한해안사구식생이잔존하여식생평가등급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사계사구해안변에는주거지역과관광시설이인접하고항만시설과매립, 도로등으로다소해안사구와그식생이훼손되었으며이로인해다양한귀화종이광범위하게분포하나아직대부분의지역에서해안사구와그식생이비교적양호하게보존되고있으며, 본조사지의전해안에걸친순비기나무군락의분포는특기할만하다. 총괄 257

253 4) 식물상본조사지역에서확인된고등식물은 52과, 157속, 201종, 1아종, 29변종, 5품종으로총 236분류군이확인되었으며, 벼과 45분류군, 국화과 35분류군, 콩과 12분류군, 사초과 10분류군, 마디풀과명아주과석죽과가각각 9분류군, 십자화과산형과가각각 8분류군으로확인되었다. 특기할만한식물은외대쇠치기아재비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 바닷가바위와모래가있는곳에출현한낚시돌풀 (Hedyotis biflora (L.) Lam.) 그리고물골풀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L. Krecz. et Gontsch.) 이다. 5) 육상곤충사계리의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결과총 13목 77과 66종이확인되었으며이들중, 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3목 7과 12종이었다. 본조사지는사구배후습지가발달한우수한지역으로넓은조간대및초지 (grassland area) 와소나무군락을이루는삼림지역 (forest land area) 를형성하고있으며해빈지역과소나무삼림지역사이로도로가나있다. 본지역에대한해안사구성곤충은 Kim (2003) 에의해 9종이기록되어있다. 6) 양서 파충류조사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청개구리 (Hyla japonica) 1종, 파충류는누룩뱀 (Elaphe dione) 과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2종이다. 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또한낮게나타났으며, 환경부가지정한멸종위기야생동물은확인되지않았다. 7) 조류사계일대에서관찰된종은 52종이었으며, 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와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종수는 1차조사시기에가장많았고 (33종) 5차조사시기에가장적었다 (11종).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166개체 )) 와참새 (163개체 ) 이었다. 사계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7종이었다.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은 3종 25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54 ( 노랑부리백로 ; Egretta europhotes,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솔개 ; Milvus migrans), 특정종은 4 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8) 포유류사계리해안사구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으로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은확인되지않았다. 나. 사계사구지역에서확인된종수조사지역에서확인된종수는총 325종으로확인되었으며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로는노랑부리백로 (Ⅰ급; Egretta europhotes), 물수리 (Ⅱ급; Pandion haliaetus), 솔개 (Ⅱ급; Milvus migrans) 가확인되었다. 4. 결론 사계해안의해빈과해안사구지대는지형의다양성은높지않으나규모, 퇴적환경, 역동성, 자연성등의측면에서비교적높은가치가인정된다. 특히전사구지역의높은자연성은제주도의다른사구지대에비해두드러지게높지만, 사구주변에주거지역과관광시설이인접하고항만시설과매립, 도로등으로다소해안사구와그식생이훼손되었으며이로인해다양한귀화종이광범위하게분포하나아직대부분의지역에서순비기나무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좀보리사초군락등의비교적양호한해안사구식생이잔존하여식생평가등급 Ⅴ등급정도로평가된다. 그러므로조사지주변의식생이비교적양호하게보존되고있어앞으로본지역에대한보전대책이필요하다. 총괄 259

255 Ⅰ. 지형 형성환경 서종철대구가톨릭대학교지리교육과 요 약 사계지역은해안을따라 3km, 폭 100~300m에걸쳐형성된대규모사구지대로서, 조사대상지역은모래해안과암석해안으로이루어진해빈지역, 초본과관목성사구식생으로피복된전사구지대, 곰솔림이식재된이차사구지대와이차사구지대후면의경작지와주거지로크게구분된다. 전사구와전면의해빈은제주도의해안사구가운데자연상태가가장잘유지되어있으며전사구후면에는사구평지와이차사구도잘발달되어있다. 또한전사구의초지에는갯금불초와애기달맞이꽃과같은제주도고유의사구식물을비롯하여다양한사구식물이넓은면적에걸쳐서식하고있어그가치가매우높다. 자연경관또한매우수려하다. 아쉬운것은사구지대의중앙부인이차사구의전면부에이차선포장도로가개설되어있어전후가단절되어있다는점이다. 사계지역에는해안사구지형외에도하모리층으로이루어진암석해안에포트홀과같은차별침식지형이발달해있으며사람발자국화석과새발자국화석등다양한화석도나타난다. 또한해안단구퇴적물이해안사구내에협재되어있어해수면변화와관련된학술적연구가치가매우높으며, 인근지역의산방산과용머리해안, 사계해안사구와사람발자국화석지대, 그리고송악산으로연계되는생태관광자원으로활용될수있는가능성이큰지역이다. 다만이를위해서는기존의도로외에는추가적인훼손이이루어져서는안되며, 가급적이면기존도로또한사구배후지역으로이전하는방안이검토되어야한다. 1. 서론 일반적으로서해안과동해안에비해제주도는해안사구의분포지로서주목을받고있 Ⅰ. 지형 형성환경 261

256 지못하다. 그러나환경부 (2001) 에따르면제주도에는총 12개의해안사구가있으며, 행정구역별로는제주시에 1개, 북제주군에 6개, 그리고남제주군 5개가분포하고있다 ( 그림 1). 규모로볼때는대체로소형이어서, 총 12개의사구중대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에분포하는사구와북제주군구좌읍금명, 월정리에분포하는사구가있고, 중형에속하는것은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에분포하는것이있으며, 그외의나머지 9개의사구들은모두소형의규모이다 ( 표 1). 조사지역인사계사구는환경부의보고서에는중형의사구로분류되어있다. 제주도의해안은대부분이오래전부터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사계절일반인의발길이끊이지않는곳이다. 그러나대부분의해안은암석해안으로구성되어있고사질해안은규모와출현빈도가모두낮아전체해안의 7.1% 에해당하는 21.9km 에불과하다 (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의대표적인사빈인협재, 곽지, 함덕, 김녕, 하도, 표선, 중문, 대정해수욕장은그길이가대부분 500m 를넘지못한다. 또한도처에기반암이노출되어사빈의연계성도좋지않다. 대규모의사질해안이출현하기위해서는다량의토사를지속적으로공급하는하천의존재가필요하지만, 화산지형의특성상하천의발달이매우미약하기때문이다. 그림 1. 제주지역해안사구분포도 26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57 육지쪽에서모래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으므로사빈퇴적물중해저로부터공급된패사의함량이매우높다. 제주도의사빈에서석회질퇴적물이차지하는비율은약 67% 에이른다. 김녕지역에서는퇴적물중약 98% 가석회질로사빈이거의전부패각편으로구성되어있다. 반면에주변에파식에약한응회구가위치하여다량의암설을공급받는안덕면사계리, 화순리와성산읍신양리에는비교적규모가큰사빈이존재하며, 사빈퇴적물중패사가차지하는비율도높지않다 ( 한태흥, 1993). 표 1. 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위치와규모 지명 위치 상태크기 (m) 양호보통파괴대중소길이폭 이호 제주도제주시이호일동 곽지 제주도북제주군애월읍곽지리 협재 제주도북제주군한림읍협재리 하모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하모리 사계 제주도남제주군대정읍사계리 1,700 1,300 표선 제주도남제주군표선면표선리 섭지코지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800 1,000 신양 제주도남제주군성산읍신양리 2, 하도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하도리 평대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평대리 김녕 제주도북제주군구좌읍김녕, 월정리 3, 함덕 제주도북제주군조천읍함덕리 자료 : 환경부, 제주도의해안사구지역은그동안육지보다연구및조사가부족하지만, 최근들어해안지역의개발과관련하여해안사구의보전문제가대두되면서관심이증대되고있다. 제주도의해안사구에대한연구는한태흥 (1993) 에의해비교적빠른시기에시작되었으나실질적으로는 2000년이후전국적인해안사구의보전에대한인식이높아진후에시작되었다. 김녕사구와협재지역의사구를대상으로퇴적물의조성과화학적특성, 그리고일부지역의연대측정이이루어졌다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하지만이러한연구는아직기초적인수준에머물러있으며, 해안사구지형에대한체계적조사나해안사구의가치를결정하기에는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본조사에서는항공사진과지도를통해사구지역의범위와변화과정을파악하고이를현장에서확인하며, 사구지역에서출현하는지형과지형의활성도, 그리고지형적인측면에서의사구지 Ⅰ. 지형 형성환경 263

258 역의보전가치를제시하고자한다. 현지조사는세지역모두규모가작기때문에 1:5,000 지형도를이용하였으며, 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추이를알아보기위해 1979~1995 년간에촬영된항공사진을이용하여변화양상을파악하고, 지표피복변화를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각요소별기후자료는현지에서직접측량된것이없어조사지역에가장인접한기상대의최근 30년간자료 (1971~2000) 를이용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위치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서상모리에이르는해안지역으로, 화산관광지로잘알려진산방산과송악산사이의해안지역이다. 제주도의남서쪽에위치해있으며, 인근지역의중심지인모슬포에서동쪽으로 4km 정도떨어져있다. 조사대상지역은해안을따라길이가 3km 폭이 100~300m의규모로열상으로발달해있다. 그림 2. 조사지역개관도 26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59 나. 지형제주도의지형은한라산을중심으로동서사면은 3 ~5 의매우완만한경사이며, 남북사면은 5 정도로약간급한경사를이루고있다. 해발고도 200m 이하지역은제주도전체면적의 55.3% 로해안지대이며, 고도 m 의중산간지대는전체면적의 27.9% 로목초지나유휴지로되어있고, 고도 500 1,000m 지대는제주도전체면적의 12.3% 로삼림이나버섯재배로이용하고있으며, 고도 1,000m 이상의고산지대는전체면적의 4.5% 를차지하고있다 ( 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조사지역의대부분은표고약 0~10m 의매우평탄한지형으로북쪽의고도가높고남쪽과남서쪽으로갈수록고도가점차낮아진다. 해안에서폭 100~300m에이르는지역은해빈과해안사구로이루어져있으나, 그후면은경작지와주거지로이용되고있다. 조사지역의해안은돌출부에해당되는북쪽의용머리해안과남쪽의송악산일대를중심으로암석해안이나타나고만입부에해당되는부분은모래해안이주를이루고있으나부분적으로는기반암이노출되어있는암석해안이나타나기도한다. 조사지역북동쪽의산방산은종상화산체로잘알려져있으며, 산방산전면부의용머리해안은응회암으로이루어진퇴적층이해식애를이루고있어절경을이룬다. 또한용머리해안의동쪽의화순해수욕장은해빈과해안사구가잘발달되어있다. 다. 기후 사계인근지역에는관측장비가설치되어있지않아가장가까운서귀포관측소의자 료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1) 기온과강수량서귀포지역은사계절이비교적따뜻한난대성기후를보이며, 해양과접하고있어해양성기후의특성을반영하기도한다. 제주지역의최근 30년간연평균기온은 16.2 로제주나성산지역보다 1 가깝게높고, 최한월은 1월로 6.6 이며, 최난월은 8월로 로서연교차는 20 이다. 최난월의평균기온은육지의그것과크게다르지않으나최한월평균기온이식물의생장한계온도인 5 보다높게유지되고있어사계절식물의성장이가능하며, 일시적인기온의저하는나타나지만평균기온이영하인달은나타나지 Ⅰ. 지형 형성환경 265

260 않는다. 최근 30년동안의연평균강수량은 1,851mm로서우리나라에서가장비가많이오는지역에속한다. 이것은습윤한해양성기단과한라산의지형적효과에기인한것이다. 강수량이가장적은달은겨울철인 12월로 43mm이고, 제일많은달은 7월로 306mm이다. 내륙지역에비해겨울철강수량이많은것이특징이고, 내륙지역에비해하계집중도가떨어지기는하지만대부분의 5월에서 9월까지에집중되어일종의우기를이룬다. 표 2. 서귀포지역의월평균기온과강수량 ( 단위 :, mm) 구분 전년기온 강수량 ,851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강수량기온 기온 ( 도 ) 강수량 (mm) Month MONTH 0 그림 3. 서귀포지역의기온과강수량 (1971~2000) 2) 풍향과풍속 바람은사구형성에지대한영향을미치는인자이다. 지난 30 년간관측된서귀포지역 의풍속과풍향을살펴보면, 풍속은연평균 3.1m/s 이며월별최고풍속은 3.4m/s 로서봄철 26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61 인 3월에기록되었다. 이것은우리나라의일반적인바람특성을반영하는풍속자료와는다른것으로, 서귀포의위치가한라산에의해겨울철탁월풍인북서풍을차단하고있기때문이며, 연평균풍속이유사한것은해안지역의특성상연중바람이강한특성을보여주는것이라할수있다. 풍향은연중북동풍이우세하나 11월부터이듬해 1월까지는북서풍이우세하고, 한여름인 7월에는서남서풍이우세한것으로나타난다. 일반적으로사구의모래가이동하기위한유효풍속을 4.0m/s 이상으로보았을때, 월평균풍속자료에서는이를만족시키는자료가나타나지않는다. 따라서서귀포지역의자료는사계해안사구의형성을이해하는데도움이되지않는다고볼수있다. 이것은서귀포와사계지역의지형적조건이상이하고, 바람의강도와풍향에민감한해안사구를연구하기위해서는적어도일단위의자료가요구되기때문이다. 따라서해안사구에서의모래이동에영향을주는바람요소를구하기위해서는해당사구에관측장비를직접설치하여정밀한자료를구해야한다. 표 3. 서귀포지역의풍향과풍속 ( 단위 : m/s) 구분 전년 풍속 풍향 NNW NNW NE NE NE NE WSW NE NE NNE NNW NNW NE 자료 : 기상청, 한국의기후표 (1971~2000) 3. 조사방법 가. 사구지역의지표피복변화해안사구의발달과정을파악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문헌자료는고지도와항공사진, 인공위성사진을포함한원격탐사자료등이다. 인공위성사진분석은최근에가장많이이용되는원격탐사방법의하나이지만, 사구지대의지형변화를탐지하기에는해상도가떨어지거나해상도가높은경우비용이많이드는단점이있어해안사구를대상으로정밀한분석이행해진예는거의없다. Ⅰ. 지형 형성환경 267

262 항공사진분석은하천이나해안지형과같이역동적으로변화하는대상을연구하기위해널리사용되는방법이다. 특히, 항공사진은식생의피복상태유무와토지이용패턴, 그리고인공지물등을육안으로직접확인할수있으며지상에서는관측할수없는지형의패턴이쉽게관측할수있기때문에해안사구연구에서널리사용되고있다 (van Zuidam et al., 1998). 그러나항공사진은지형도와는달리촬영당시의기울기가보정되어있지않기때문에정확한결과를분석해내기위해서는우선적으로위치와기울기등의기하학적인정보를보정 (geometric correction) 하여야하며, 위치보정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정확도저하를해결하는것이문제로남아있다. 이조사에서는비교적획득과처리가쉽고비용이적게드는항공사진을이용하여조사지역해안사구의분포와지형변화등을관찰하고자하였다. 분석에이용된항공사진은 1979 년과 1995 년에촬영된 2세트로서 16년동안의지표피복변화를관측할수있었다. 나. 해안사구의지형분류사구지형은발달단계나식생피복의차이등에따라여러측면에서분류할수있다. 우선사구지형을발달단계에따라구분하면, 전체적으로해안선과평행한형성되어있는전사구 (foredune) 를포함한일차사구 (primary dune) 와전사구후면에서배후산지사이에발달되어있는이차사구 (secondary dune) 로나눌수있으며, 안정상태에따라서는모래의공급이꾸준히이루어지거나급격하게침식이일어나는지역에서볼수있는이동사구와식생으로덮여있어변화가일어나지않는고정사구로구분할수있고, 식생피복상태에따라식생이덮여있는식피사구와그렇지않은미식피사구로구분한다 ( 표 4). 이차사구는일차사구의배후에형성되어있으며, 조사대상지역의사구지대는모두이차사구에속한다. 이분류군에는스웨일 (swale) 또는슬랙 (slack) 으로불리는고도가낮고평탄하거나움푹패여있는사구저지, 모래의이동에의해형성된바르한형사구 (barchanoid dune) 나세이프사구 (seif dune), 종사구 (longitudinal dune), 그리고모래가침식되어형성된다양한형태의취식와지 (blowout) 등이나타난다. 대부분의사구저지는식생으로피복되어있으며, 사구습지가형성되어있기도한다. 사구습지 (wet dune) 는지하수면이지표면과매우근접해있는곳에서나타나며, 일시적이거나영구적으로물에잠겨있는사구지대내의습윤슬랙과사구지대후면의사구배후호등이포함된다. 26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63 표 4. 해안사구지형분류와사계사구지대의출현지형 대구분소구분지형규모 일차사구 전사구 (foredune) 대전사구열 (foredune ridge) 대 횡사구 대 바르한 (barchan) 형사구 없음 재퇴적사구 종사구 없음 스웨일 없음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없음 발달단계 침식사구또는 U자형사구 (U-shaped dune) 없음 이차사구 취식와지 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없음 (Blowout) 머리핀형사구 (hairpin dune) 없음 스웨일 (swale) 건조슬랙 (dry slack) 없음 또는슬랙 (slack) 스웨일또는습윤슬랙 (wet slack) 없음 사구호 (dune lake) 또는사구배후호 (back dune lake) 소 ( 변형 ) 슬러프터 (slufter) 소 ( 변형 ) 취식평지 (deflation plain) 또는사구평지 (sand sheet) 중 안정단계 이동사구 (mobile dune) 극소고정사구 (stable dune) 대 피복상태식피사구초지사구 (grassland dune) 대삼림사구 (forested dune) 대 미식피사구 노출사구또는미식피사구 (unvegetated dune) 중 4. 결과및고찰 가. 지표피복변화분석결과분석기간동안항공사진분석결과대상지역에서는인위적요인과자연적요인에의해변화가진행된것으로나타났다. 인위적인변화가운데가장큰변화는조사대상지역을가로지르는해안도로의건설로인한것인데, 전사구와이차사구의중앙부를관통하며지나기때문에, 사구지역의자연적연속성에큰영향을주었다. 하지만도로와인접한지역에상가와같은인위적인시설물이많이들어서있지않아도로가개설된것에비하면자연상태가크게훼손된것은아니고복원의여지가많이남아있다고판단된다. 인위적요인에의한또다른변화는현재의사람발자국화석산출지일대로서운동장과일부시설물이설치되어있는곳이다. 하지만, 항공사진에나타나지않는것으로보아 1995 년이 Ⅰ. 지형 형성환경 269

264 후에추진된것으로판단된다. 자연적인변화는식생의천이에따른것으로서이지역을피복하고있던산림이자체적인연령증가로인해피도가높아진것으로보인다. 우선이차사구지대의송림이연령적으로나피도상으로천이가진행되어과거에보였던통행로나사구내침식흔적들이모두사라지고, 면적상으로도더넓어진것으로나타났다. 이차사구지대는송림의면적확대가두드러지게나타난반면, 도로를중심으로전면부에서는초지의면적변화가관측되었는데, 1995 년의초지면적이 1979 년에비해줄어들었고, 이차사구와의연속성이단절됨으로써패치상즉단편적인형태가나타났다. 나. 현지조사결과현지조사결과사계지역의해안사구는발달단계에따라서는대부분의지역이전사구를중심으로구성된일차사구로분류되었으며활성도는보통인것으로나타났으며, 비교적넓은규모의사구평지와연속성이높은횡사구가이차사구지대에잘나타났다. 안정단계에서는극히일부지역을제외하면고정사구가대부분인것으로판정되었고, 피복상태에따르면이차사구의대부분은곰솔이식재된삼림사구로이루어져있고, 일차사구지대에는띠와사구식물이우점하는초지사구가넓게나타나는식피사구로판정되었다. 사계사구지대는인접지역이오래전부터관광지로이용되어왔음에도불구하고, 해빈이뚜렷하게발달되어있지않아해수욕장으로이용되기어려웠기때문에비교적자연상태로잘보전되어있다. 하지만산방산과송악산을잇는도로가사구지역을횡단하여설립되어사구지역의자연성을크게훼손하였다. 하지만이러한훼손에도불구하고, 제주도에분포하고있는다른사구지역에비한다면사계사구의자연성은매우높은것으로판단할수있다. 조사대상지역의현재상태를지표피복상태와사구지형적측면에서분류한다면, 관광객의출입이비교적빈번한해수욕장즉해빈지역과, 해빈지역후면의전사구지역과사구평지, 그리고도로후면에형성되어있는이차사구지역으로대분될수있으며, 해안지형시스템의차원에서보면이차사구후면의경작지와주거지로대상지역에포함된다고할수있다. 27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65 1) 전사구지역전사구지역은일차사구에해당되는범 (berm), 전사구 (foredune), 전사구열 (foredune ridge) 등이나타날수있는데, 조사지역에는제주도의다른지역에비해전사구와전사구열의발달이탁월하다. 더욱이전면의해빈층이안정상태를유지하고있어해안사구의발달에긍정적인측면을가지고있다. 사계지역의해빈은폭이 100m 미만이지만비교적두꺼운모래층으로이루어져있고, 하부의기반암이다른지역과는달리풍화에매우약한하모리층이기때문에, 여타해안사구에비해모래가공급될수있는공급원이안정적으로확보되어있는셈이다. 실제로사계해안사구의모래는다른지역에비해무기질함량이월등히높게나타난다. 전사구열은해빈과협화적으로만나완만한경사를유지하는경우가대부분이지만일부지역에서는강한파랑에의해전사구가침식되어사구애가형성되어있으며순비기나무의뿌리가노출되어있기도하다. 높이는대체로 5미터미만에불과하지만인공시설물에의해훼손된일부구간을제외하면약 3km에이르는해안지역에서매우높은연속성을나타낸다. 이러한연속성과자연성은육지의해안에서도쉽게찾아보기어렵다. 전사구와연속된정상부 (crest) 의후면에는이차사구나일차사구로는단순히분류하기어렵지만크게보아서전사구지대에포함된다고판단할수있는사구체, 즉사구평지가넓게나타난다. 이부분은약간의기복변화가나타나며대부분다양한종류의사구식물로피복되어있다. 제주도해안사구가운데지형적인측면이나사구식생의측면에서가장자연성이높고연구가치가높은것으로판단되는지역이다. 경관또한매우아름답다. 다만일부지역에시설물이설치되는과정에서훼손되어있고, 도로개설로인해자연스럽게이차사구지대로전이되지못한것이아쉽다. 2) 이차사구지역새롭게개설된도로후면지역을이차사구지대로정의하였을때, 조사대상지역의이차사구지대는매우단순하다. 일반적으로제주도지역의이차사구지대가해안지역으로부터깊숙한지점까지형성되어있는것에비해, 사계지역은 500m 지역이내에국한되어있다는것도특징이다. 이차사구후면은대부분경작지로이용되고있어사구지대와는완전히단절되어있다. Ⅰ. 지형 형성환경 271

266 사구의규모는대개지표로부터 5m 내외로큰것은 10m를넘지않는다. 종사구나바르한과같은특이지형은전혀나타나지않고, 해안과평행한횡사구의형태로잔존해있다. 현재는곰솔림이식재된후안정상태를유지하고있다. 이지역의식생은곰솔과순비기나무를제외하면전형적인사구식물이거의없고후면부가경작지로서배후산지와는단절되어있기때문에형태를보존하고있다는점을제외하면사구동식물의서식처로의사구기능을거의수행하지못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다. 토의 1) 사계지역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지금까지제시된해안사구의일반적인기능과지역적특수성에기인한사계사구의기능은아래와같다. 가 ) 에너지교환시스템에서의모래저장고해빈과해안사구사이에는, 보다넓게는해양과육지사이에는, 끊임없이모래를서로주고받는다. 육지에서하천에의해운반된퇴적물은해저에일시적으로저장되지만, 파랑이나조류에의해얕은부분에있는것들은다시해변으로운반되어해수의에너지에의해퇴적된다. 바닷물의에너지가크고해안선이돌출된곳에서는육지부분이침식되지만, 만입부에서는에너지의크기가감소함에따라거력 ( 巨礫 ), 자갈, 모래, 펄등의순서대로퇴적되어각각암석해안, 자갈해안, 모래해안및갯벌이형성된다. 해안사구는이러한퇴적해안가운데모래해안과밀접한관계를가지고있다. 서해안과같이조차가큰곳에서는모래해안의전면부가대부분모래갯벌로이루어져있다. 바다가잔잔한평시에는간조시에물이빠지면모래갯벌과모래해안에서바람에불려진모래는후면으로운반되어사구지대에쌓임으로서사구가성장하게되지만, 바다의힘이거세진폭풍우시에는사구의모래가침식되어해안이나해빈으로공급된다. 해안사구를비롯한해안퇴적지형에서일어나는이러한순환체계를통해해양과육지는상호작용하며유지된다. 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서해안과는달리해빈퇴적물의두께가매우얇고하천에의해공급되는토사와해양으로부터공급되는모래의양이적기때문에, 현재환경에서는 27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67 해빈과모래의순환체계가매우약하게연결되어있는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육지지 역의해안사구에비해제주지역해안사구에서의이기능은미약한것으로판단된다. 나 ) 해안지역 ( 농경지와촌락 ) 의보호해안사구는갯벌과더불어폭풍이나해일로부터후면의해안지역을보호하는역할을한다. 갯벌과사구를이루는구성물질은미세한입자이기때문에약간의힘이주어져도쉽게침식되지만, 동시에침식과이동과정에서파괴적인에너지를소비시키며, 폭풍우가지나고바다가잔잔해지면다시해안지역으로운반되어파괴된곳을새롭게보충해주기때문에폭풍에의해생긴상처를자연스럽게치유한다. 더욱이해안사구의구성물질이가지는물리적성질뿐만아니라해안사구에정착해서사는식생또한이러한역할을더욱크게해준다. 일반적으로사구식생은염분에내성이강할뿐만아니라생존을위해지상부에비해긴뿌리체계를가지고있으며, 대부분지하경에의해번식하고있어서로간의연계성이매우높다. 따라서사구식생에의해모래가고정되어있는전사구와그렇지않은전사구는외부의충격을받았을때피해정도가차이가나며, 피해후복원되는속도또한크게차이가난다. 다 ) 희귀동 식물의서식처일반적으로사구지대는강한해풍과염분, 척박한영양분, 강한햇빛, 부족한수분등의악조건을제공하며, 끊임없이움직이는모래는다양하고특이한환경조건을제공한다. 이러한조건들은사구환경에적응한생물들에게는다른경쟁자들과의경쟁우위로작용한다. 또한여름철성수기를제외하면인간의간섭을거의받지않기때문에생물들의서식에유리하게된다. 제주도는온화한기후적특성으로인해육지와는다른생물의서식조건을갖추고있다. 이는대륙의사구지대가가지는일반적인생물의서식조건이다소다르다는것을의미하므로이에적응하는생물도다르게나타난다. 물론사구에서식하는고유동 식물은모래가없는일반육상에서는자라지못한다. 갯금불초와애기달맞이꽃등이제주도에만분포하는대표적인해안사구식물이며, 순비기나무와갯방풍, 초종용등도제주도에서잘자랄수있는사구식물로꼽힌다. 체계적인조사가이루어질경우이러한목록은추가될가 Ⅰ. 지형 형성환경 273

268 능성이높으며, 동물분야에서도사구에의존하는것들이밝혀질것으로판단된다. 라 ) 지하수의보호해안사구는육지와해양사이에형성되어있으며투수성이높은모래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 육지에서해양으로유출되는담수가해수로인해차단되어다량의지하수형태로보존되어있다. 사구를통해흘러들어간담수는지하수위를높여염수가바다쪽에서밀려들어와지하수가오염되는것을막는다. 해안사구의지하수는사구후면에거주하는주민과사구내에서식하는생물의수자원으로이용되고있기때문에사구가없어지거나훼손되어사구의높이가낮아지면, 바다쪽의염수지하수가육지쪽으로침입하여지역주민들과생태계에치명적피해를미친다. 하지만제주도지역의해안사구는하부가대체로다공성의현무암으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일부사구지역을제외하고는이러한지하수저장고로서의역할은거의수행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마 ) 해안생태관광지세계어느지역에가보더라도바다와접해있는해빈과해안사구는관광지로잘알려져있는경우를볼수있다. 제주도에서도잘알려진해안지형은용두암이나대포동주상절리처럼대체로침식지형인것이많다. 하지만제주도에는십여개가넘는해빈과해안사구가분포하고있으며주변에는다양한해안침식지형과화산지형이함께나타난다. 따라서해안사구의역동성과경관적특이성이이러한관광자원과결합된다면경관자원에의존한관광뿐만아니라생태자원을활용한관광지로서각광을받을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그리고이러한생명체들이생존을위해모래와특이하게상호작용하는모습을찾아볼수있기때문에, 자라나는어린이들에게보여줄중요한생태학습장이될수있다. 관광자원으로서해안사구의가치는무한하다. 다만이것을어떻게활용하느냐에성패가달려있다. 바 ) 용암동굴내석회생성물의공급원 제주도에는현재까지 127 개의용암동굴이분포하고있는데, 주로평탄한현무암의용 암대지를이루고있는제주도의동측과서측의저지대에집중되어있다. 제주도해안가 27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69 저지대에분포하는몇개의용암동굴에는방해석으로이루어진동굴생성물이많이발달하고있는데, 조사대상지역에있는협재굴, 쌍용굴, 소천굴, 황금굴, 송림굴등을비롯하여당처물굴이잘알려져있다. 이러한석회성분의광물은동굴위지표면을덮고있는패사로구성된탄산염퇴적물즉해안사구퇴적물로부터공급된것이다. 이들은세계에서비교할만한것이없을정도로그경관이뛰어나고형태가다양할뿐만아니라아주특이한현상이기도하다. 이러한동굴생성물은천장, 벽면과바닥에종유관, 종유석, 유석, 동굴산화, 석화의형태로자란다. 이러한경관적특이성을가능하게하는것이바로해안사구의퇴적물이다. 바다로부터운반된패사성분의퇴적물은오랜시간빗물에의해용해되어현무암을틈새를따라지하로이동되어동굴내부에도달한후방해석의형태로침전되어각종생성물을만드는것이다. 따라서용암동굴내부의석회생성물이유지되려면해안사구의보존이필수적이다. 사 ) 학술적가치해안사구는매우역동성이큰지형이다. 따라서해안사구는해안퇴적지형시스템의변화에대한단서를풀수있는귀중한자원이다. 해안사구의형성은모래의공급량, 바람조건, 해수면변화등에대해매우민감하게반응하고때문에, 현재의퇴적환경에대한정보는물론, 사구의형성시기와형성환경을동시에연구한다면형성당시의해수면이나기후환경에대한정보를파악할수있다. 최근개발된 OSL 연대측정기법은이러한사구연구의신뢰성을높여주고있어사구연구가고환경연구분야에중요한분야로자리매김할전망이다. 2) 사계사구의기능과지형적가치평가 < 표 5> 에는조사자가개인적인해안사구조사와연구를통해지형적인측면에서해안사구의가치와중요성을비교적객관적으로평가할수있다고판단한기준과평가결과가제시되어있다. 물론해안사구의기능과가치가지형적인측면에만국한되어있는것은아니지만, 조사자의전공이지형분야이고또동식물분야와사회경제적인측면에서의문제는다른전문분야의의견이필요한시점이어서, 이보고서에서는해안사구의가치를지형적인측면에서만다루었다. Ⅰ. 지형 형성환경 275

270 < 표 5> 의결과에서알수있듯이, 사계해안의해빈과해안사구지대는지형의다양성은다소높지않으나규모, 퇴적환경, 역동성, 자연성등의측면에서비교적높은가치가인정된다. 특히전술한바와같이전사구지역의높은자연성은제주도의다른사구지대에비해두드러진다. 하지만해안사구가가지는일반적인기능들은사계지역에서크게기대하기어려울것으로보인다. 다른지역에비해두꺼운모래층을가지고있으나하부에기반암이노출되어있는곳이많고, 전사구지대의규모또한육지에비해서는아주큰편은아니며, 조사대상지역후면은오래전부터곰솔이식재됨으로써해안사구의고유기능이퇴화되었기때문이다. 따라서현상태에서사계지역의해안사구가지니는가장큰기능또는가치는전사구를중심으로한사구지형의자연성과사구식물의다양성이며, 사구지대자체에사람발자국화석분포지및다양한지형자원을포함하고있으며송악산과산방산과같은관광지와인접해있어생태관광자원으로의잠재성이높다는점도중요하게평가될수있다. / 27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71 표 5. 사계해안사구의지형적가치판단기준 평가항목 기준 등급 상중하 판정결과 면적 해안사구의해안선길이와내륙으로침투한폭 해안선 3km 이상, 또는폭 300m 이상 해안선 1.5-3km, 또는폭 m 해안선 1.5km 이하, 또는폭 150m 이하 상 체적 사구지대내에퇴적되어있는해발고도 20m 이상존재사구사의양과규모또는 10m 이상 5개이상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5 개 해발고도 10m 이상인사구가 2 개미만 중 퇴적환경 해안사구의잠재적성장 / 안정 / 침식가능성 지속적인모래유입으로전사구성장이예상될때 모래가유입되지만전사구의성장보다는안정이예상될때 전사구의침식이예상될때 중 역동성 사구지대내에서일어나는지형변화정도 퇴적물의유출입과지역내순환이빠르게일어나지형의성장과파괴가일어나고, 사구지역내에서의식피상태가빠르게변화되고있는곳 (50% 미만 ) 식피상태가높고목본으로의피복지역이다소넓게나타나는곳 (50-90%) 전체적으로퇴적물의유출입이적고, 사구전체의피복상태가안정되어변화가예상되지않는곳 (90% 이상 ) 중 지형다양성 별표에제시된사구지형의분포수 10 개이상 5-10 개 5 개미만하 희귀성 별표에제시된희소성, 자연성, 규모등을고려하여국내에서찾아보기어려운지형의분포 5 개이상 2-4 개 2 개미만상 자연성 인간에의해훼손된지역이차지하는정도 전체지역의 80% 이상 40-80% 40% 이하상 민감성 자연적또는인위적환경변화에의해영향을받기쉬운정도 전사구가고조위선과접촉, 전사구미피복상태 전사구 - 고조위선이격이짧고 berm 의발달이미약, 전사구의피복상태가다소불량 berm 발달이양호, 전사구피복상태가양호 중 고유성 해당사구가그지역내에서가지는희소성 도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하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미만 시군구단위행정구역내에 3 개이상 하 학술적가치 학술적인연구대상지형으로서의가치를판단하는것으로서, 조사자의주관적인판단에맡김 높음보통낮음상 기타 학술적으로중요한지역을포함또는인접 높음보통낮음상 Ⅰ. 지형 형성환경 277

272 표 6. 지형다양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구분 1차사구 2차사구기타 지형해수기원범 (berm) 해수범람층 (overwash deposit) 초기배사구 (embryo dune) 바람기원전사구 (foredune) 와전사구열 (foredune ridge) 이동사구재이동사구바르한 (barchan) 형사구 (relocated 세이프사구 (sief dune) dune) 석류상사구 (sand hummock) 사구평지 (sand sheet or sand plane) U자형사구 (U-shaped dune) 취식와지낙하산형사구 (parabolic dune) (Blowout) 머리핀형사구 (hairpine dune) 사구애 (dune cliff) 해수침식슬러프터 (slufter) 건조슬랙 (dry slack) 사구저지습윤슬랙 (wet slack) 사구내습지 (inter-dune wetland) 사구습지사구배후호 (back-dune lake) 고사구 (ancient, relic or paleo-dune) 바람무늬또는풍문 (wind ripple) 표 7. 지형희귀성의판단기준에포함되는지형의종류 1 고도 20m 이상의바르한, 23 열이상의전사구열 ( 비치리지포함 ), 3 직경 50m 이상의취식와지 (U 자형, 낙하산형, 머리핀형포함 ), 4 고도 10m 이상의사구애, 5 자연성이높은사구배후습지, 6 사구지대내에분포하는영구적또는일시적사구습지, 7 연속성이높은고사구, 8 자연적으로형성된슬러프터 다. 제언사계지역의해안사구는제주도에서가장자연성이높은해안사구로서사구지형적인측면뿐만아니라사구식생이라는측면에서도보전가치가매우높다. 더욱이해안사구지형외에도하모리층으로이루어진암석해안에포트홀과같은차별침식지형이발달해있으며사람발자국화석과새발자국화석등다양한화석도나타난다. 또한해안단구퇴적물이해안사구내에협재되어있어해수면변화와관련된학술적연구가치가매우높으 27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73 며, 인근지역의산방산과용머리해안, 사계해안사구와사람발자국화석지대, 그리고송악산으로연계되는생태관광자원으로활용될수있는가능성이큰지역이다. 따라서이를위해서는기존의도로외에는추가적인훼손이이루어져서는안되며, 가급적이면기존도로또한사구배후지역으로이전하는방안도검토되어야한다. 참고문헌 Houston, J.A., Edmondson S.E. and Rooney P.J.(eds), 2001, Coatal dune management - shared experience of European conservation practice, Liverpool University Press, Oxford. McLachlan, A., 1990,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dune and beach systems, In: Nordstorm, K.F., Psuty, N.P., and Carter, R.W.G. (Eds.),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Ltd., van Zuidam, R.A., Fariftch, J.E.M.A., and Tao, C., 1998, Developements in remote sensing, dynamic modelling and GIS applications for inter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4, 권혁재, 1981, 태안반도와안면도의해안지형, 사대논집, 제 6집, 고대사대논문집. 김남형 장성훈, 2001, 제주도사빈해수욕장의해양환경조건에관한기초조사, 한국해양공학회지, 4(3),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류완상, 2002, 해안사구의바람과비사에관한연구 -서해안신두리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류호상, 2001, 겨울철모래이동과전사구의지형변화 : 신두리해안사구지대를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동원 유근배, 1979, 우리나라서해안의사구지형, 지리학논총, 6,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96p. Ⅰ. 지형 형성환경 279

274 서종철, 2002a, 신두리두웅습지일대의해안사구지형, 태안반도신두리사구습지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서종철, 2002b,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이용한신두리해안사구지대의지형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서종철, 2004, 해안사구에서의유효풍속과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서종철, 2005, 신두리고사구의 OSL 연대측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페이지미정. 서종철 박경, 2003, 원격탐사자료를활용한접경지역지형조사 -강원도고성군송현리일대를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손명원 서종철 전영권, 2002, 칠포연안의해안지형시스템의특성, 지리학연구, 제36 권 3호.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지옥미 우경식, 1998, 한반도동해안과제주도연안에서발견되는아라고나이트질연체동물각질의미량원소및탄소와산소동위원소함량의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3), 태안군, 2004, 신두사구보전및활용방안. 28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75 사진및설명 사진 1. 사계해안의해빈 사진 2. 전사구하부에노출된하모리층 사진 3. 전형적인전사구지역 사진 4. 범과유사한전사구상부 사진 5. 이차사구전면의사구평지 사진 6. 도로개설로드러난해안단구층 Ⅰ. 지형 형성환경 281

276 사진 7. 2 차사구와전면의도로 사진 8. 하모리층으로이루어진암석해안 사진 9. 곰솔림으로조성된 2 차사구지역 사진 10. 하모리층의풍화지형 사진 11. 사구지대후면의주거지역 사진 12. 사구지역후면의농경지 28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77 Ⅱ. 퇴적물분석 손명원 장문기대구대학교지리교육전공 요 약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위치하는폭 0.3km, 길이 1.7km의모래해안이다. 조사지역의남쪽가장자리에는바다로흘러드는소하천이있으나강우가있을때에만물이흐르는건천 ( 乾川 ) 이며, 조사지역의모래는대부분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 ( 패사의비중은 ) 이해안으로밀려와탁월풍에의하여재배치된것으로보인다. 본조사에서는사계리방파제에서남쪽으로약 50m 간격을두고 5개지점을선정하여, 해빈에서배후의사구정상부까지기복마다 6-7개의 site를정하고각 site 마다표품을채취하여분석하였다. 퇴적물의평균입경은 φ 정도로비교적굵은편에속하며, 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뚜렷한경향성은보이지않지만전사구 (foredune) 의정상부분에서사구사의입경이비교적작은것으로나타났다. 분급은 moderately sorted 수준이며, 왜도는해안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낸다. 퇴적물의유기물함량은 % 이고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로서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한다. 유효인산의농도 ( mg / kg ) 는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나, 전사구에서높게나타나는경향이있다. 칼륨은 cmol/ kg의범위를보이며칼슘은 cmol/ kg, 마그네슘은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1. 서론 본조사는환경부전국해안사구조사일환으로전국에목록화된 133 개사구중제주 Ⅱ. 퇴적물분석 283

278 도총 12개지역에서비교적규모와보전상태가양호한협재, 신양 ( 섭지코지 ), 사계지역을대상으로해안사구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인사계지역은대부분육지부에서모래공급이원활히이루어지지않고, 해저로부터공급된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해안으로밀려와형성된것으로패사의함량이매우높게나타난다. 현지조사는 1:25,000, 1:5,000지형도와 1:5,000수치지도를이용하였으며, 퇴적물의입도, 비중,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P 2 O 5 ) 함량, 치환성칼륨 (K 2 O) 함량등 3회에걸쳐조사를하였다. 제주도는대부분이관광지로이용되고있어개발에따른효율적인관리방안및보전대책이시급히이루어져야할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위치하는폭 0.3km, 길이 1.7km의모래해안이다 ( 그림 1). 조사지역의북쪽가장자리와남쪽가장자리에는단산 ( 簞山, 158m) 의남쪽에서발원한소하천이해빈을뚫고바다로흘러든다. 그러나이들소하천은강우가있을때에만물이흐르는건천 ( 乾川 ) 이어서사구를형성할만큼충분한양의모래를공급할수없다. 조사지역에분포하는모래는대부분조개껍질과산호초가부서진잔해들이해안으로밀려온것이다. 따라서조사지역의사구사 ( 砂丘砂, 貝砂 ) 는연안류를따라공급된이후탁월풍에의하여재공급된것으로보인다. 28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79 그림 1. 사계사구의지형개관 본조사지역의사빈은북쪽에산방산 ( 山房山, 395m) 으로부터구릉으로이어지는용머리해안이돌출하여화순해수욕장과분리되고, 남쪽에송악산 ( 松岳山, 104m) 으로가로막혀있다. 조사지역의남쪽끝부분에는사람발자국화석이발견되어준보존지역으로지정되었으며일반인들의출입이통제되어있다. 사빈은신생대제3기의하모리층을경계로사구와분리되었으며, 사빈의경사는비교적급한편이다. 남쪽가장자리로흘러드는소하천의사구뒤편에는자연적인습지가있었으나최근에인위적으로석축을쌓아연못을조성하였다. 조사지역의남쪽가장자리에서는하모리층위에약 3m의해안단구역층의노두가발견되었다. Ⅱ. 퇴적물분석 285

280 사진 1. 사계전사구 사진 2. 사계해빈하모리층 사진 3. 사계해빈 사진 4. 사계사구의식생 사진 5. 사계전사구의식생 사진 6. 사계사구내해안단구역층 3. 조사방법 가. 표품채취방법 본조사지역의사빈은하모리층을덮으며배후의사구로이어진다. 본조사에서는 28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81 사계리방파제에서남쪽으로약 50m 간격을두고 5개지점 (A, B, C, D, E) 을선정하였다. 각지점에서는파랑의영향을받는해빈에서부터배후의사구정상부까지기복마다 6-7개의 site를정하고, 해빈에서부터아라비아숫자를붙여표시하였다. 그리고각 site에서표품을 300~500g 정도채취하였다. 그림 2. 사계사구의퇴적물표품채취지점 나. 입도분석퇴적물표품에서 100~300g을취하여 1000ml의비커에담았다. 퇴적물내의수분을제거하기위해오븐을이용하여 105 에서 8시간동안건조시킨후퇴적물의무게를측정하였으며, 유기물을제거하기위하여다시비커에담은후과산화수소 (H 2 O 2 ) 로거품이나지않을때까지처리하였다. Ⅱ. 퇴적물분석 287

282 유기물을제거한퇴적물은 dry oven 에서건조시킨후 5분간진탕하여 1φ 간격으로중량을측정하였다. 그리고각입도의중량비자료를가지고모멘트법에따라평균입경과분급도, 왜도, 첨도등의매개변수를계산하였다 (f는각입도의중량비, m은 φ -scale로측정한각입도의중앙값 ). 평균입경 M φ = fm 분급 σ φ = f(m-m φ ) 2 왜도 sk φ = f(m-m φ ) 3 /σ φ 3 첨도 kur φ = f(m-m φ ) 4 /σ φ 4 다. 비중 200ml비커의무게를측정한후, 비커에퇴적물 50cc를넣고전체무게를측정한다. 퇴적물의중량은전체무게에서비커의무게를뺀값으로측정한다. 그리고비중은다음식으로계산한다. 비중 = ( 퇴적물의중량 )/( 퇴적물의부피 ) 라. 유기물함량토양내의유기물은동 식물의잔해가미생물에의해분해된교질상의부식을말한다. 토양유기물은적은양이라도양이온치환용량의 50% 이상을차지하며토양의생물학적, 이화학적성질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이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다시 OM-2 시약 3.0ml를넣고가볍게흔들어 10분간반응시킨다. 10분후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유기물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유기물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시료 0.2g을칭량하여 40ml이상의시험관에넣는다. OM-1 시약 2ml을넣고가볍게흔들어준다. 다시 OM-2 시약 3ml을넣고가볍게흔든후 10분동안반응시킨다. 다시증류수 2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충분히혼합한다음여과한용액을분석기에서분석한다. 28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83 마. 유효인산 (P 2 O 5 ) 함량유효인산이란토양속에서식물이바로이용할수있는형태의인산을말한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5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1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혼합한후 P-1 시약 6방울을첨가하여흔들어준다. 그리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인산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유효인산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인산침출액 20ml을첨가하고 100rpm으로 10분간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0.5ml을시험관에넣고증류수 15ml을넣은후가볍게흔들어혼합한다. P-1 시약 6방울을첨가한후혼합하고, P-2 시약한스푼을넣은후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5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바. 치환성칼륨 (K 2 O) 함량토양내의칼륨은용해성과가동성이매우다양하다. 칼륨의존재형태와유효성및함량은토양생성에관여하는모든인자들및토양생성조건과밀접히관련되어있다. 본조사에서사용한분석기는 ( 주 ) 핸손테크놀로지의 UV/Visible Spectrophotometer 이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1.0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K-1 시약 5ml를넣고가볍게흔들어서혼합한후 K-2 시약 7방울을넣어혼합하고마지막으로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 그리고분석기의칼륨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륨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륨침출액 20ml를넣은후진탕기로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후여과한다. 여과액 1ml를시험관에넣은후 K-1 시약 5ml를넣어혼합하고 K-2 시약 7방울을넣은후혼합한다. 그리고 K-3 시약한스푼을넣고시험관혼합기로 10 분동안완전히용해시킨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Ⅱ. 퇴적물분석 289

284 사. 치환성칼슘 (CaO) 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증류수 5ml를넣고혼합한다음 Ca-1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로혼합하고, Ca-2 시약 5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칼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칼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2g을칭량하여 100ml삼각플라스크에넣는다. 칼슘 마그네슘침출액 20ml를첨가한후진탕기를이용하여 100rpm에서 10분동안진탕한다음여과한다. 여과액 0.2ml를시험관에넣고증류수 5 ml를첨가하여혼합한다. Ca-1 시약 5ml를넣고혼합하며 Ca-2 시약 5ml를첨가하고시험관혼합기로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아. 치환성마그네슘 (MgO) 함량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 0.2ml씩취하여 2개의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 그리고분석기의마그네슘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치환성마그네슘함량을측정하기위하여, 칼슘을측정하고남은여과액 0.2 ml를시험관에넣는다. Mg-1 시약 10ml를넣고시험관혼합기를이용하여 10분동안완전히혼합한다음분석기로측정한다. 자. 양이온치환용량 (CEC) 양이온치환용량이란일정량의토양이가지는치환성음이온의총량이다. CEC는토양의전체적인특성을나타내는중요한지표로서, 이값이클수록양분보유능이커지고토양의완충능이커진다. 먼저표준곡선을작성하기위하여, 회사에서제공한표준용액을넣고분석기의 CEC 버튼을누른후차례대로측정하여표준곡선을얻는다. 표품의 CEC를측정하기위하여, 풍건토양 5g을칭량하여 100ml플라스크에넣는다. CEC 포화액 20ml를첨가한다음 100rpm으로 10분동안진탕하고여과하여분석기로측정한다. 29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85 4. 결과및고찰 가. 입도분석퇴적물의평균입경은퇴적이진행된방향으로점차작아지는경향이있다. 본조사지역에서평균입경은 φ 정도로해안사구의모래로는비교적굵은편에속한다 ( 표 1). 이것은사구사대부분이비교적비중이작은패사 ( 貝砂 ) 이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본조사지역에서는 5개횡단면을따라각 5-9개지점을조사하였다. 그결과해안에서내륙으로가면서평균입경에뚜렷한경향성은보이지않지만전사구 (foredune) 의정상부분에서사구사의입경이비교적적은것으로나타났다 (A단면: φ, B단면 : φ, C단면 : φ, D단면 : φ, E단면 : φ). 이것은해빈의중앙에노출된하모리층의풍화산물과소하천으로운반된세립물질및패사의혼합비율차이, 기복을따라표품을채취한방법론상의오류등에따른것으로보인다. Ⅱ. 퇴적물분석 291

286 표 1. 사계리사구퇴적물의분석결과 평균유기마그분급왜도첨도비중인산 CEC 칼륨칼슘입경물량네슘 A A A A A A A B B B B B B B B C C C C C C C C C D D D D D D E E E E E 분급도 (sorting) 는 로 moderately sorted 수준으로여러가지기원의퇴적물 이혼합된사실을반영한다. 왜도 (skewness) 의경우 B, C, D, E 의횡단면에서는해안 29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87 에서음의값을보이고내륙으로가면서양의값을나타내어일반적인사구의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A 의횡단면에서는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점증하는양의값을나 타낸다. 첨도 (kurtosis) 는 의범위를나타낸다. 평균입경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3. 각횡단면별평균입경의분포 10 분급 사계분급도 A B C D E 측정지점 그림 4. 각횡단면별분급의분포 Ⅱ. 퇴적물분석 293

288 왜도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5. 각횡단면별왜도의분포 첨도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6. 각횡단면별첨도의분포 나. 비중퇴적물의비중은입자들의광물조성에따라결정된다. 본조사지역에분포하는퇴적물의비중은 의범위로화강암질의평균비중에미치지못한다. 이것은사빈의퇴적물에가벼운패사들이많이함유되어있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29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89 비중 A B C D E 측정지점 그림 7. 각횡단면별퇴적물의비중 다. CEC와유기물량유기물은미생물의분해작용으로무기화되어식물의양분으로분해이용되고, 난분해성물질은부식으로변하여토양교질물을구성한다. 그래서토양유기물은토양의성질개량이나식물생육을돕는다. 조사지역의유기물함량은 % 를나타낸다. 각횡단면상에서는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한다. 또한조사지역내의양이온치환용량은 cmol/kg 의범위를나타낸다. CEC는각횡단면에서해안으로부터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는데, 이것은유기물함량이높을수록 CEC의값이크다는것을반영한다. CEC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8. 각횡단면별 CEC 분포 Ⅱ. 퇴적물분석 295

290 5.0 농도 A B C D E 측정지점 그림 9. 각횡단면별유기물함량의분포 라. 유효인산, 치환성칼륨, 치환성칼슘, 치환성마그네슘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유효인산의농도 ( mg / kg ) 는 B와 C 단면에서는해안에서내륙으로갈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이나, D와 E 단면에서는전사구에서높게나타나고 A 단면에서는매우불규칙한분포를보인다. 인산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10. 각횡단면별유효인산의분포 식물에서칼륨이영향을미치는주요기능은분열조직의생장이다. 칼륨은수분상태를조절하여세포의성장에매우중요하다. 각횡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륨의농도은 cmol/ kg의범위를보인다. 칼슘과마그네슘은산성토양을개량하고미량원소를조절하며, 유해원소의독을해소하는기능을한다. 각단면상에서나타나는칼슘의농도는 cmol/ kg, 마그네슘의농도는 cmol/ kg의범위를나타낸다. 29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91 0.50 농도 A B C D E 측정지점 그림 11. 각횡단면별치환성칼륨의분포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12. 각횡단면별치환성칼슘의분포 농도 측정지점 A B C D E 그림 13. 각횡단면별치환성마그네슘의분포 Ⅱ. 퇴적물분석 297

292 표 2. 사계리사구퇴적물의입경분포 -1φ 이상 -1~0φ 0~1φ 1~2φ 2~3φ 3~4φ 4φ 이하 총중량 A-1 (0.0950) (2.0477) ( ) ( ) ( ) (0.0397) (0.6221) (100.0) A-2 (0.3339) (4.7177) ( ) ( ) ( ) (0.1205) (0.2976) (100.0) A-3 (0.0230) (0.4306) (7.5554) ( ) ( ) (0.0774) (0.3925) (100.0) A-4 (1.1021) (4.4668) ( ) ( ) ( ) (0.3412) (1.8908) (100.0) A-5 (2.2345) (3.9346) ( ) ( ) ( ) (0.1192) (5.5587) (100.0) A-6 (0.5919) (1.9018) ( ) ( ) ( ) (0.2730) (3.1972) (100.0) A-7 (1.2913) (3.9166) ( ) ( ) ( ) (0.2037) (2.6948) (100.0) B (0.2469) (4.2072) ( ) ( ) ( ) (0.0834) (0.6166) (100.0) B-2 (6.0681) (7.2531) ( ) ( ) ( ) (0.0879) (0.4463) (100.0) B-3 (0.1708) (2.3658) ( ) ( ) ( ) (0.0605) (0.2222) (100.0) B-4 (0.3916) (1.0432) ( ) ( ) ( ) (0.2144) (0.5847) (100.0) B-5 (0.2618) (2.9351) ( ) ( ) ( ) (0.0523) (0.5378) (100.0) B-6 (0.0264) (0.9781) ( ) ( ) ( ) (0.1883) (0.6869) (100.0) B-7 (0.2906) (4.2767) ( ) ( ) ( ) (0.2099) (1.1209) (100.0) B-8 (0.0440) (3.6757) ( ) ( ) ( ) (0.1685) (1.0894) (100.0) C-1 (0.0096) (0.7956) (9.2530) ( ) ( ) (0.0551) (0.7114) (100.0) C-2 (0.0787) ( ) (2.4223) ( ) ( ) (0.0646) (0.1849) (100.0) C-3 (0.0845) (0.9052) ( ) ( ) ( ) (0.0670) (0.2503) (100.0) C-4 (0.0843) (0.6340) ( ) ( ) ( ) (0.1866) (0.4731) (100.0) C-5 (0.3602) (1.4098) ( ) ( ) ( ) (0.1247) (1.4907) (100.0) C-6 (0.2972) (0.8415) ( ) ( ) ( ) (0.0509) (1.4082) (100.0) C-7 (9.6540) (1.6962) ( ) ( ) ( ) (0.4421) (1.4882) (100.0) C-8 (0.8795) (8.5911) ( ) ( ) ( ) (0.3278) (5.0241) (100.0) 29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93 ( 표 2 계속 ) -1φ 이상 -1~0φ 0~1φ 1~2φ 2~3φ 3~4φ 4φ 이하 총중량 C-9 (1.1921) (7.6282) ( ) ( ) ( ) (0.1058) (3.3313) (100.0) D-1 (0.2263) (1.3200) ( ) ( ) (8.0722) (0.0345) (0.5357) (100.0) D-2 (0.3545) (0.7826) ( ) ( ) ( ) (0.1262) (0.8999) (100.0) D-3 (0.1631) (0.3572) (3.8459) ( ) ( ) (0.3450) (0.9478) (100.0) D-4 (0.0360) (0.3095) ( ) ( ) ( ) (0.2547) (1.5355) (100.0) D-5 (0.0674) (0.5138) ( ) ( ) ( ) (0.2070) (1.9026) (100.0) D-6 (0.2341) (1.7902) ( ) ( ) ( ) (0.1301) (2.4553) (100.0) E-1 ( ) ( ) ( ) ( ) (4.1062) (0.0657) (0.3009) (100.0) E-2 (0.4547) (1.8548) ( ) ( ) (7.5808) (0.0392) (1.4708) (100.0) E-3 (0.0680) (1.0460) ( ) ( ) (9.4292) (0.2717) (3.4576) (100.0) E-4 (0.0085) (0.4409) (6.0579) ( ) ( ) (0.2665) (3.3330) (100.0) E-5 (0.4074) (1.4710) ( ) ( ) ( ) (0.2843) (2.4015) (100.0) 참고문헌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2004, 해안사구종합학술조사보고서. 김태호 박성훈, 1997, 제주도해안의지형경관,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종철, 2001, 서해안신두리해안사구의지형변화와퇴적물수지,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윤정수 고기원, 1994, 제주도연안해빈퇴적물의계절적변화에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1), 윤정수 김성복 고기원, 1989, 제주도서남해역의해저퇴적물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4(3), Ⅱ. 퇴적물분석 299

294 지옥미 우경식, 1995, 제주도해빈퇴적물의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30(5), 한태흥, 1993, 제주도연안해빈과사구에관한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환경부, 2001,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한국해양연구원. 30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95 Ⅲ. 식생 김인택 박기현창원대학교생물학과 요 약 본조사는 2004년 2월부터 10월까지 9개월동안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일대해안사구에대한식생을조사한것이다. 사계사구는행정적으로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속하며지리적으로북위 , 동경 ~ 북위 , 동경 에위치하고해안선길이는약 3.3km 에이른다. 사계사구인근에삼방산, 삼방굴, 삼방사등의사찰과용머리등이관광지로널리알려져있으며해안선의중간지점에주거지가형성되어있고사구를따라해안도로가개설되어있을뿐아니라해양체육공원, 사계항등이조성되어사구의훼손이상당부분진행된곳이긴하나아직도비교적양호한사구식생이잔존하고있으므로보존을위한적극적인관심이요구되는지역이다. 본사계리해안일대는대체적으로내륙으로부터곰솔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 통보리사초군락과갯금불초군락 - 모래해안 - 암반지대 ( 수면 ) 로이행대가형성되어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곰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금불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띠군락등 7개군락으로분류되었으며곰솔군락과띠군락을제외하면전해안지역이비교적양호한해안사구식생이잔존하여식생평가등급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해안사구지역은식물이자랄수있는조건이충분히갖추어지지않은척박한환경변화이기때문에일단훼손되면원래의상태로회복되는데많은시간이걸리며다양한식물의종구성이파괴된다. 따라서다양한사구식물의분포지나양호한해안식생은잘보존되어져야한다. 사계사구해안변에는주거지역과관광시설이인접하고항만시설과매립, 도로등으로다소해안사구와그식생이훼손되었으며이로인해다양한귀화종이광범위하게분 Ⅲ. 식생 301

296 포하나아직대부분의지역에서해안사구와그식생이비교적양호하게보존되고있 어앞으로의본지역에대한보전대책이절실하다. 본조사지의전해안에걸친순비기나무군락의분포는특기할만하다. 1. 서론 해안사구는육지와해양사이의퇴적물량을조절하여해안을보호하고, 해안고유식물의서식지형성할뿐만아니라아름다운해안경관을조성하는등다양한기능을갖고있다. 또한해안사구지역은식물이자랄수있는조건이충분히갖추어지지않았기때문에환경변화에대한반응이커서일단훼손되면원래의상태로회복되는데많은시간이걸린다. 이러한측면에서볼때해안사구는생태적으로매우중요한지역이다. 근래들어우리나라의해안사구는골재채취, 위락시설, 해안도로, 제방, 관광시설등다양한목적으로개발됨에따라원래의모습을잃어가고있으며심각하게훼손시켜복원하기어려운실정에놓여있다. 이와같은해안사구의훼손은육상과해안으로이어지는전이지대의고유한식물종을사라지게하며, 해안경관의질을저하시키고있다. 그러나우리나라해안사구에대한연구는최근에이르러시작되었으며본조사지에대한식생관련조사보고는없다. 본조사는해안사구내에생육하고있는식물종과사구식물로구성된식생현황을파악하는데목적이있다. 특히, 전형적인사구식물의분포및식생을파악하여해안사구보존에대한기초자료를얻는데본조사의의미가있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사계사구는행정적으로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에속하며지리적으로북위 , 동경 ~ 북위 , 동경 에위치하고해안선길이는 약 3.3km 에이른다. 사계사구인근에삼방선, 삼방굴, 삼방사등의사찰과용머리등이 30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97 관광지로널리알려져있으며해안선의중간지점에주거지가형성되어있고사구를따라해안도로가개설되어있을뿐아니라해양체육공원, 사계항등이조성되어사구의훼손이상당부분진행된곳이긴하나아직도비교적양호한사구식생이잔존하고있으므로보존을위한적극적인관심이요구되는지역이다. 그림 1. 사계사구중점조사지점 1. 용해동지역 3. 송죽동지역 2. 사계항지역 4. 해양체육공원이남지역 3. 조사방법 사계사구를 4 개조사지점 (1. 용해동지역, 2. 사계항지역, 3. 송죽동지역, 4. 해양체육 Ⅲ. 식생 303

298 공원이남지역 ) 으로구분하여조사하였으며 [ 그림 1], 현지답사시채집및관찰된식물은환경부의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2001) 과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방법에따라정리하였다. 조사된식물은이 (1996) 의식물명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과이 (1980) 의대한식물도감과이 (2003) 의원색대한식물도감, 박 (1995) 의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 (2003) 의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 보유편 ), 이 (1997) 의한국식물도감, 환경처 (1994) 의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등을참고하여분류동정하였으며분류체계는 Fuller 와 Tippo의분류체계에따랐다. 식생조사는 Z-M학파 (Zurich-Montpellier school) 의식물사회학적조사방법에따라조사지점을무작위로선정하여교목과관목은 10m 10m, 5m 5m 방형구를설치하여수목의피도, 흉고직경, 군도등을조사하고, 초본은 2m 2m 방형구를설치하여피도와빈도를조사하여우점종을결정한다. Braun-Blanquet(1951) 의피도와군도에의한전추정법 (Total estimation method) 을이용하여조사지에출현하는유관속식물들을층위별로기록하여군락을분류하고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이들분류단위와상관적인우점군락을기준하여현존식생도를작성하였다. 식물군락분포는현지답사와임상도, 지형도, 환경부 (2001) 등을참고로하였으며우점종의생활형을기준으로한상관 (physiognomy) 에의한방법을사용하여구획법 (Zonal approach) 으로정리하였다. 4. 결과및고찰 가. 경로별식생 1) 용해동지역용머리에서용해동으로이어지는해안선사구능선정상부와후사면에는아교목상곰솔군락이순림형태를이룬가운데관목제1층에는까마귀쪽나무, 돈나무등상록활엽수종이분포하나식피율은미미하고초본층에는보리장나무, 용가시나무, 까마귀쪽나무등이생육하나생육상태는빈약하다. 해안쪽동사면사구정상부에는곰솔이우점하나바다쪽에서불어오는지속적인항풍의영향으로내륙방향으로누운상태로관목제1층을이루고순비기나무가흔히혼생한다. 30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299 곰솔군락앞쪽에는순비기나무군락이형성되어있으나곳곳에갯금불초의소형군락이산재하며애기달맞이꽃의빈도가높다. 2) 사계항지역사계항지역에는주거지역이인접하고방파제등이축조또는신축공사가진행되어식생은없으나주변지역에서선인장의자생과번행초, 갯금불초, 갯잔디, 갯쑥부쟁이등의생육이관찰되었다. 또한개발의영향에의해서양민들레, 창명아주, 애기땅빈대, 미국가막사리, 망초등다양한귀화식물의번식을볼수있다. 해안에인접한해안도로주변의사구가일부유실되어순비기나무군락이파괴된지역도관찰된다. 3) 송죽동지역해안을따라도로가인접하여개설되어있으며도로변사구를따라순비기나무군락이길게대상을이루며해안쪽으로통보리사초군락이형성되어있으며곳곳에갯금불초소형군락이산재한다. 주변부에서도꼬마리, 돼지풀, 거지덩굴, 익모초, 예덕나무, 긴잎고들빼기, 갯강아지풀, 갯쇠보리, 좀보리사초등이관찰되었다. 4) 해양체육공원이남지역사계사구의중간지점은매립하여해양체육공원 ( 운동장 ) 으로조성되어있다. 해양체육공원이남도로변구릉지대는띠군락이형성되어있으며이사이의도로변해안에는가는갯능쟁이와좀보리사초가빈약한식생이나마군락을형성하고있다. 띠군락이형성된이남지역의사구에는도로변을따라순비기나무군락이형성되어있으며해안쪽에는빈약한좀보리사초군락이분포한다. 주변부에서는우산잔디, 수송나물, 갯잔디, 갯방풍, 갯기름나물, 갯메꽃, 번행초, 갯장구채, 갯쇠보리등비교적다양한해안염생식물이관찰되었다. 나. 군락의분류본조사지역에서는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곰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금불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띠군락등 7개군락으로분류되었으며곰솔군락과띠군락을제외하면전해안지역이비교적양호한해안사구 Ⅲ. 식생 305

300 식생이잔존하여식생평가등급 Ⅴ 정도로높게평가된다. 1) 곰솔군락 (Pinus thunbergii Community) 곰솔군락 ( 표 1, 그림 2) 은용해동과송죽동의구릉지지대에사구를따라대상으로형성되어있으며대체적으로아교목상이나용해동해안사구의동쪽정상부에서는항풍의영향으로누운형태로서관목제1층을이루며흔히순비기나무가혼생한다. 용해동사구능선후사면의곰솔군락은아교목상 ( 수고 4m, 흉고직경 6 ~ 7m) 으로순림형태이고밀생되어있으며간혹사철나무가혼생한다. 관목제1층은식피율 20% 이하로매우빈약하며계요등, 멍석딸기, 까마귀쪽나무, 미국가막사리, 용가시나무, 왕머루등이분포한다. 사구정상부동사면에는관목제1층에곰솔이우점하나순비기나무가흔히자생하며식피율은 100% 내외이다. 초본층에는순비기나무가우점하나식피율은 20% 내외로낮은편이고억새, 띠, 갯금불초, 곰솔, 계요등, 용가시나무, 암대극, 애기달맞이꽃등이분포한다. 식생평가등급은 Ⅲ정도이다. 표 1. 곰솔군락 (Pinus thunbergii Community) 의식생표 Running No. 2 Height of tree-2 layer(m) 아교목층 Releve No. 2 Coverage of tree-2 layer(%) Altitude (m) 10 Height of shrub-1 layer(m) 관목1층 1.5~2 Slope aspect E103 Coverage of shurb-1 layer(%) 100 Slope degree( ) 5 Height of shrub-2 layer(m) 관목2층 Releve size (m m) 4 Coverage of shurb-2 layer(%) Height of tree-1 layer(m) 교목층 Height of herb layer(m) 초본층 0.2 Coverage of tree-1 layer(%) Coverage of herb layer(%) 20 Occurrence species 8 Pinus thunbergii 5.4 곰솔 Wedelia prostrata + 갯금불초 Vitex rotundifolia 1.1 순비기나무 Paederia scandens + 계요등 Miscanthus sinensis + 억새 Rosa maximowicziana + 용가시나무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 띠 Euphorbia jolkini + 암대극 30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01 그림 2. 곰솔군락 (Pinus thunbergii Community) 의식생단면도 1. 곰솔 (Pinus thunbergii) 4.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2.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5. 암대극 (Euphorbia jolkini) 3.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6. 용가시나무 (Rosa maximowicziana) 2) 순비기나무군락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순비기나무군락 ( 표 2, 그림 3) 은사계사구전지역에서해안도로를따라대상으로광범위하게분포하는본조사지의대표적우점사구식생이다. 곳에따라다소의차이는있으나순비기나무의식피율은 95% 이상이고수고는 0.3m내외이며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곳에따라갯금불초, 띠, 좀보리사초등이흔히혼생하며계요등, 고들빼기, 망초, 나도개피, 애기달맞이꽃,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갯잔디, 인동, 쑥, 사철쑥, 갯쇠보리등이혼생한다. 식생평가등급은해안사구식생으로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표 2. 순비기나무군락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의식생표 Running No. 3 Height of tree-2 layer(m) 아교목층 Releve No. 3 Coverage of tree-2 layer(%) Altitude (m) 10 Height of shrub-1 layer(m) 관목1층 1.1 Slope aspect E110 Coverage of shurb-1 layer(%) 95 Slope degree( ) 0 Height of shrub-2 layer(m) 관목2층 Releve size (m m) 4 Coverage of shurb-2 layer(%) Height of tree-1 layer(m) 교목층 Height of herb layer(m) 초본층 0.3 Coverage of tree-1 layer(%) Coverage of herb layer(%) 30 Occurrence species 9 Vitex rotundifolia 5.4 순비기나무 Eriochloa villosa + 나도개피 Wedelia prostrata 1.1 갯금불초 Dichondra repens + 아욱메풀 Paederia scandens + 계요등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쑥 Youngia sonchifolia + 고들빼기 Oenothera laciniata + 애기달맞이꽃 Erigeron canadensis + 망초 Ⅲ. 식생 307

302 그림 3. 순비기나무군락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의식생단면도 1.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3.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2. 망초 (Erigeron canadensis) 4.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 3) 갯금불초군락 (Wedelia prostrata Community) 갯금불초군락 ( 표 3, 그림 4) 은용해동과송죽동지역의순비기나무군락의해안쪽으로앞쪽에식생이없는사구와사이에서소형군락으로나타난다. 초장 10cm내외로사구에밀착된형태이고식피율은 95% 내외이다. 갯금불초가우점한가운데순비기나무, 갯잔디, 쑥, 나도개피, 통보리사초, 갯강아지풀, 애기달맞이꽃, 갯쇠보리, 갯메꽃등이흔히혼생한다. 식생평가등급은해안사구식생으로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표 3. 갯금불초군락 (Wedelia prostrata Community) 의식생표 Running No. 4 Height of tree-2 layer(m) 아교목층 Releve No. 4 Coverage of tree-2 layer(%) Altitude (m) 10 Height of shrub-1 layer(m) 관목1층 Slope aspect E160 Coverage of shurb-1 layer(%) Slope degree( ) 0 Height of shrub-2 layer(m) 관목2층 Releve size (m m) 4 Coverage of shurb-2 layer(%) Height of tree-1 layer(m) 교목층 Height of herb layer(m) 초본층 0.2 Coverage of tree-1 layer(%) Coverage of herb layer(%) 60 Occurrence species 8 Wedelia prostrata 5.4 갯금불초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 + 갯강아지풀 Vitex rotundifolia + 순비기나무 Carex kobomugi + 통보리사초 Oenothera laciniata + 애기달맞이꽃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쑥 Eriochloa villosa + 나도개피 Zoysia sinica + 갯잔디 30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03 그림 4. 갯금불초군락 (Wedelia prostrata Community) 의식생단면도 1.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4.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 2. 갯잔디 (Zoysia sinica) 5. 갯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 3.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6.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4) 통보리사초군락 (Carex kobomugi Community) 통보리사초군락 ( 표 4, 그림 5) 은송죽동앞해안사구에서순비기나무군락앞쪽에대상군락을이룬다. 통보리사초의초장은 0.1 ~ 0.2m내외이고식피율은 70 ~ 90% 내외로통보리사초가우점한가운데갯메꽃이흔히나타나며좀보리사초, 갯쇠보리, 갯금불초, 갯쑥부쟁이, 갯잔디등의다양한염생식물이혼생한다. 식생평가등급은해안사구식생으로식생평가등급은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표 4. 통보리사초군락 (Carex kobomugi Community) 의식생표 Running No. 6 Height of tree-2 layer(m) 아교목층 Releve No. 6 Coverage of tree-2 layer(%) Altitude (m) 2 Height of shrub-1 layer(m) 관목1층 Slope aspect E85 Coverage of shurb-1 layer(%) Slope degree( ) 0 Height of shrub-2 layer(m) 관목2층 Releve size (m m) 4 Coverage of shurb-2 layer(%) Height of tree-1 layer(m) 교목층 Height of herb layer(m) 초본층 0.2 Coverage of tree-1 layer(%) Coverage of herb layer(%) 60 Occurrence species 8 Carex kobomugi 3.3 통보리사초 Aster ciliosus + 갯쑥부쟁이 Calystegia soldanella 1.1 갯메꽃 Wedelia prostrata + 갯금불초 Carex pumila + 좀보리사초 Zoysia sinica + 갯잔디 Ischaemum anthephoroides + 갯쇠보리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 띠 Ⅲ. 식생 309

304 그림 5. 통보리사초군락 (Carex kobomugi Community) 의식생단면도 1.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5.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2. 갯잔디 (Zoysia sinica) 6.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3.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7. 갯쑥부쟁이 (Aster ciliosus) 4. 갯쇠보리 (Ischaemum anthephoroides) 8.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5) 좀보리사초군락 (Carex pumila Community) 좀보리사초군락은사계사구의중앙부해양체육공원 ( 운동장 ) 이남에서순비기나무군락의앞쪽에대상으로소형군락을이룬다. 좀보리사초의초장은 0.2m내외이며식피율은 90% 내외이고좀보리사초가우점한가운데갯능쟁이, 순비기나무, 수송나물, 우산잔디등이혼생한다. 식생평가등급은해안사구식생으로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6) 가는갯능쟁이군락 (Atriplex gmelini Community) 가는갯능장이군락은해양체육공원남쪽도로변에인근하여소규모로형성되어있다. 가는갯능쟁이의초장은 0.2 ~ 0.3m정도이고식피율은 40% 정도이고수송나물, 우산잔디, 순비기나무, 좀보리사초등이흔히혼생한다. 식생평가등급은해안사구식생으로 Ⅳ 정도로평가된다. 7) 띠군락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띠군락 ( 표 5, 그림 6) 은해양체육공원남쪽해안도로변구릉지대에형성되어있으며초장 0.5m, 식피율은 100% 정도이다. 수고 1m내외의곰솔이산재한가운데돼지풀의빈도가높고망초, 순비기나무, 억새, 괭이밥, 사철쑥, 갯잔디등이분포한다. 식생평가등급은 Ⅱ정도이다. 31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05 표 5. 띠군락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의식생표 Running No. 7 Height of tree-2 layer(m) 아교목층 Releve No. 7 Coverage of tree-2 layer(%) Altitude (m) 5 Height of shrub-1 layer(m) 관목1층 Slope aspect SE120 Coverage of shurb-1 layer(%) Slope degree( ) 0 Height of shrub-2 layer(m) 관목2층 Releve size (m m) 4 Coverage of shurb-2 layer(%) Height of tree-1 layer(m) 교목층 Height of herb layer(m) 초본층 0.5 Coverage of tree-1 layer(%) Coverage of herb layer(%) 100 Occurrence species 9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5.4 띠 Miscanthus sinensis + 억새 Erigeron canadensis + 망초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돼지풀 Pinus thunbergii + 곰솔 Oxalis corniculata + 괭이밥 Vitex rotundifolia + 순비기나무 Artemisia capillaris + 사철쑥 Zoysia sinica + 갯잔디 그림 6. 띠군락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의식생단면도 1.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5.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2. 억새 (Miscanthus sinensis) 6. 곰솔 (Pinus thunbergii) 3. 갯잔디 (Zoysia sinica) 7. 망초 (Erigeron canadensis) 4.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Ⅲ. 식생 311

306 다. 현존식생본사계리해안일대의현존식생 [ 그림 7] 은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대체적으로내륙으로부터곰솔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 통보리사초군락과갯금불초군락 - 모래해안 - 암반지대 ( 수면 ) 로이행대가형성되어있다. 그림 7. 남제주군용머리지역의현존식생도 Bu : 주거지역 (Build-area) Cp :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R : 바위 (Rock) Ag : 가는갯능쟁이 (Atriplex gmelini) Wp :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Ck :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Ic :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t : 곰솔 (Pinus thunbergii) Vr :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31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07 라. 고찰본조사는 2004년 2월부터 10월까지 9개월동안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일대해안사구에대한식생을조사한것이다. 본사계리해안일대는대체적으로내륙으로부터곰솔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 통보리사초군락과갯금불초군락 - 모래해안 - 암반지대 ( 수면 ) 로이행대가형성되어있다. 본조사지역에서는순비기나무가우점한가운데곰솔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금불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띠군락등 7개군락으로분류되었으며곰솔군락과띠군락을제외하면전해안지역이비교적양호한해안사구식생이잔존하여식생평가등급 Ⅴ정도로높게평가된다. 해안사구지역은식물이자랄수있는조건이충분히갖추어지지않은척박한환경변화이기때문에일단훼손되면원래의상태로회복되는데많은시간이걸리며다양한식물의종구성이파괴된다. 따라서다양한사구식물의분포지나양호한해안식생은잘보존되어져야한다. 사계사구해안변에는주거지역과관광시설이인접하고항만시설과매립, 도로등으로다소해안사구와그식생이훼손되었으며이로인해다양한귀화종이광범위하게분포하나아직대부분의지역에서해안사구와그식생이비교적양호하게보존되고있어앞으로의본지역에대한보전대책이절실하다. 본조사지의전해안에걸친순비기나무군락의분포는특기할만하다. Ⅲ. 식생 313

308 5. 식생조사표 2004 년 7 월 17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1 조사지역 : 사계리용머리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 지, 기타 (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66 식생형 : 상록침엽수림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 호, 보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곰솔 관목제1층 (S1) 까마귀쪽나무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0.3 미국가막사리 이끼층 (M) 군락명 : 곰솔군락 인접군락 : 곰솔군락 출현종수 : 11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6, 7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까마귀쪽나무 + (H) 미국가막사리 + 사철나무 + 멍석딸기 + 돈나무 + 까마귀쪽나무 + 쥐똥나무 + 계요등 + 청가시덩굴 + 용가시덩굴 + 왕머루 + (T2) 곰솔 5.5 (S2) 사철나무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09 2004 년 7 월 18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2 조사지역 : 사계리용머리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03 식생형 : 상록침엽수림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통, 불량, 매우불 량 경사 : 5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1.5 ~ 곰솔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순비기나무 이끼층 (M) 군락명 : 곰솔군락 인접군락 : 곰솔군락 출현종수 : 8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6, 7, 5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곰솔 5.4 (H) 순비기나무 1.1 순비기나무 1.1 억새 + 띠 + 갯금불초 + 곰솔 + 계요등 + 용가시나무 + 암대극 + (T2) (S2) Ⅲ. 식생 315

310 2004 년 7 월 18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3 조사지역 : 사계리용머리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0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 호, 보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순비기나무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갯금불초 이끼층 (M) 군락명 : 순비기나무군락 인접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출현종수 : 9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6, 7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순비기나무 5.4 (H) 갯금불초 1.1 계요등 + 고들빼기 + 망초 + 나도개피 + 아욱메풀 + 쑥 + 애기달맞이꽃 + (T2) (S2) 31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11 2004 년 7 월 19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4 조사지역 : 사계리용머리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6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갯금불초 이끼층 (M) 군락명 : 갯금불초군락 인접군락 : 갯금불초군락 출현종수 : 8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갯금불초 5.4 순비기나무 + 갯잔디 + 쑥 + 나도개피 + 통보리사초 + 갯강아지풀 + 애기달맞이꽃 + (T2) (S2) Ⅲ. 식생 317

312 2004 년 8 월 15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5 조사지역 : 사계항주변도로변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3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SE12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15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쓰레기폐기 소각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0.3 ~ 순비기나무 이끼층 (M) 군락명 : 순비기나무군락 인접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출현종수 : 13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순비기나무 5.4 띠 2.1 억새 + 선인장 + 갯잔디 + 인동덩굴 + 쑥 + 고들빼기 + 망초 + 사철나무 + 통보리사초 + (T2) (S2) 용가시나무 + 좀보리사초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13 2004 년 8 월 16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6 조사지역 : 사계리송죽동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2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85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0.1 ~ 통보리사초 이끼층 (M) 군락명 : 통보리사초군락 인접군락 : 통보리사초군락 출현종수 : 8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통보리사초 3.3 갯메꽃 1.1 좀보리사초 + 갯쇠보리 + 갯쑥부쟁이 + 갯금불초 + 갯잔디 + 띠 + (T2) (S2) Ⅲ. 식생 319

314 2004 년 8 월 16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7 조사지역 : 해양체육공원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5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SE12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띠 이끼층 (M) 군락명 : 띠군락 인접군락 : 띠군락 출현종수 : 9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띠 5.4 돼지풀 + 망초 + 순비기나무 + 곰솔 + 억새 + 괭이밥 + 사철쑥 + 갯잔디 + (T2) (S2) 32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15 2004 년 8 월 17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8 조사지역 : 해양체육공원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6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좀보리사초 이끼층 (M) 군락명 : 좀보리사초군락 인접군락 : 좀보리사초군락 출현종수 : 5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좀보리사초 4.4 갯능쟁이 + 순비기나무 + 수송나물 + 우산잔디 + (T2) (S2) Ⅲ. 식생 321

316 2004 년 9 월 5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9 조사지역 : 해양체육공원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3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6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0.1 ~ 가는갯능쟁이 이끼층 (M) 군락명 : 가는갯능쟁이군락 인접군락 : 가는갯능쟁이군락 출현종수 : 5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가는갯능쟁이 5.4 수송나물 + 우산잔디 + 순비기나무 + 좀보리사초 + (T2) (S2) 32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17 2004 년 9 월 5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10 조사지역 : 해양체육공원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10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E16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통보리사초 이끼층 (M) 군락명 : 통보리사초군락 인접군락 : 통보리사초군락 출현종수 : 4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통보리사초 3.3 갯금불초 1.1 갯메꽃 + 좀보리사초 + (T2) (S2) Ⅲ. 식생 323

318 2004 년 9 월 6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11 조사지역 : 해양체육공원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2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S6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갯방풍 이끼층 (M) 군락명 : 갯방풍군락 인접군락 : 갯방풍군락 출현종수 : 10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갯방풍 3.2 갯기름나물 + 좀보리사초 + 사철쑥 + 망초 + 갯쇠보리 + 갯장구채 + 가는갯능쟁이 + 갯명아주 + 번행초 + (T2) (S2) 32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19 2004 년 9 월 7 일식생조사표창원대학교생태학실험실 No. 12 조사지역 : 사계리송죽동지역 조사자 : 김인택, 김형호, 박기현 지형 : 산정, 산지능선부, 사면 ( 상, 중, 하, 凹, 凸 ), 계곡부, 평지, 기타 ( 해안사구 ) 해발 : 3 m 토양 : 모래 모암 : 방위 : N20 식생형 : 하구식생 낙엽부식층 : 매우양호, 양호, 보 통, 불량, 매우불량 경사 : 0 계층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 면적 : 2 2 m² 교목층 (T1) 비고 : 아교목층 (T2) 관목제1층 (S1) 관목제2층 (S2) 초본층 (H) 순비기나무 이끼층 (M) 군락명 : 순비기나무군락 인접군락 : 순비기나무군락 출현종수 : 10 도폭명 ( 축척, 도엽번호 ) : NI 모슬포 식생평가등급 : Ⅰ Ⅱ Ⅲ Ⅳ Ⅴ DBH( cm ) : SPP. D.S SPP. D.S SPP. D.S SPP. D.S (T1) (S1) (H) 순비기나무 3.3 좀보리사초 2.2 돼지풀 + 괭이밥 + 갯잔디 + 망초 + 갯쇠보리 + 갯장구채 + 수송나물 + 갯기름나물 + (T2) (S2) Ⅲ. 식생 325

320 참고문헌 국립환경연구원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민병이 한국서해안의해안식생에대하여. 해양연구 20(2): 박수현,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371pp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 보유편 )178pp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914pp, 하 910pp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624pp. 이우철, 한국식물명고 (Ⅰ, Ⅱ). 아카데미서적. 2383pp. 이우철, 전상근, 김준민 한국해안식물의생태학적연구 - 동해안의사구식물군락의종조성과현존량에관하여. 강원대학교논문집. pp 이우철, 전상근 한국해안식물의생태학적연구. -서해안의사구식물군락의종조성과현존량. 한생태지 6: 이우철 임양재, 한반도관속식물의분포에관한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33.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pp. 임양재 전의식, 한반도의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임병선, 이점숙, 김하송, 김종욱, 이승호. 1999c. 부산연안의사구염생식물분포와현존량에관한연구. 연안생물연구. 16:23~30. 최홍근, 무학산의식물상. 경남대학논문집, 12;387~413. 정용규, 김종원 경북의해안사구식생. 한생태지 21: 정태현, 한국식물도감상 하 (1025, 507pp). 환경처, 특정보호야생동 식물화보집. 210pp. 환경부 제 2차전국자연환경조사, 경기도해안지역의자연환경. 환경부 제 2차전국자연환경조사, 경기도해안의자연환경. 환경부 우리나라사구실태파악과보전 관리방안에대한연구. 환경부, 자연생태계전국조사지침. 32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21 환경처, 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 210pp. 환경부 태안반도신두리사구습지 ( 두웅습지 ) 자연생태계조사. 환경부 제5차전국해안사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한국의희귀및위기동식물도감. 165pp. 牧野 太郞, 日本植物圖鑑. 1080pp.. 木兵二 伊藤秀三 豊原源太郞, 식생조사법 ( 식물사회학적연구법 ). 공립출판주식회사, 동경. 190pp. Branu-Blanquet, J., Grundfragen und Aufgaben der Pflanzensoziologie. Vistas in Botany, Miyawaki, A. 1983a. Vegetation of Japan 4. Choukoku, Shibundo Co. Ltd. Publishers, Tokyo. 641pp. Miyawaki, A., S. Okuda and R. Mochizuki. 1983b.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Co. Ltd. Publishers, Tokyo. 872pp.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547pp. Raunkiaer, C.,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682pp. Ⅲ. 식생 327

322 사진및설명 사진 1. 용머리해안순비기나무군락 사진 2. 용머리에서송악산에이르는해안전경 사진 3. 사계항지역순비기나무군락 사진 4. 용머리지역곰솔, 순비기나무군락 사진 5. 사계항인근지역도로변순비기나무군락 사진 6. 사계항인근지역도로변해안유실 32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23 사진 7. 사계항인근지역도로변해안유실 사진 8. 송죽동지역일대순비기나무군락 사진 9. 갯금불초 사진 10. 순비기나무 사진 11. 해양체육공원일대 사진 12. 해양체육공원인근띠군락 Ⅲ. 식생 329

324 Ⅳ. 식물상 박수현 류세아국립수목원 요 약 조사지역은제주도남제주군대정면상모리산이수동 (N33 12'48.3" E126 17'36.4") 해안에서부터안덕면사계리의용머리 (N33 13'50.3" E126 18'34.1) 에이르는해안사구이다. 이지역은산이수동으로부터사계리까지는해안도로가있고자동차통행이많고펜션마을이있는지역이며사계리에서용머리까지는해안도로가없고해안사구만펼쳐진지역이다. 출현된고등식물은 52과, 157속, 201종, 1아종, 29변종, 5품종으로총 236분류군이확인되었으며, 벼과 45분류군, 국화과 35분류군, 콩과 12분류군, 사초과 10분류군, 마디풀과, 명아주과, 석죽과가각각 9분류군, 십자화과산형과가각각 8분류군의수로출현하였다 ( 부록 1). 특기할만한식물은상모리파도소리민박앞 (N33 12'46.1" E126 17'33.1") 잔디밭에잔디와경쟁하며자라고있는외대쇠치기아재비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 의출현이었으며, 같은지역의바닷가바위와모래가있는곳에출현한낚시돌풀 (Hedyotis biflora (L.) Lam.) 그리고물골풀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L. Krecz. et Gontsch.) 이었다. 낚시돌풀은국내에서제주도에드물게출현하는식물이고물골풀은인천지역에서관찰된식물로개체수가적은희귀식믈이다. 1. 서론 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와대정면상모리지역에위치하는해안사구이다. 직 사광선에항시노출되며강한해풍과염류가포함된포말에노출되고근계의수분부 Ⅳ. 식물상 331

325 족또한매년몇차례씩통과하는태풍해일등의어려운식물생활조건을갖는다. 이런조건속에서끈질기게살아가는식물자원을조사함으로서앞으로사구지역의보호, 사구생태계의생산자그리고연속된소비자의파악과관리대책연구등의기초가될것을기대하면서식물상을조사하게되었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조사지제주도남제주군대정면상모리산이수동 (N33 12'48.3" E126 17'36.4") 해안에서부터안덕면사계리의용머리 (N33 13'50.3" E126 18'34.1) 에이르는해안사구이다. 이지역은산이수동으로부터사계리까지는해안도로가있고자동차통행이많고펜션마을이있는지역이며사계리에서용머리까지는해안도로가없고해안사구만펼쳐진지역이다. 3. 조사방법 해안도로양쪽갓길과바다쪽의사구를답사하면서개화또는열매가있는식물을모두기록하였다. 빠짐없는조사를하기위하여 4차에걸쳐계절별조사를하면서동일한답사경로를반복하였다. 1차 : 5월 4일 - 5월 6일 2차 : 7월 5일 - 7월 7일 3차 : 8월 24일 - 8월 26일 4차 : 9월 14일 - 9월 16일 4. 결과및고찰 출현된고등식물은 52 과, 157 속, 201 종, 1 아종, 29 변종, 5 품종으로총 236 분류군이확 33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26 인되었다. 벼과 45분류군, 국화과 35분류군, 콩과 12분류군, 사초과 10분류군, 마디풀과명아주과석죽과가각각 9분류군, 십자화과산형과가각각 8분류군의수로출현하였다 ( 부록 1). 해안사구는직사광선에노출되는건조한곳이어서벼과식물의종류가가장많이출현한것으로사료된다. 특기할만한식물은상모리파도소리민박앞 (N33 12'46.1" E126 17'33.1") 잔디밭에잔디와경쟁하며자라고있는외대쇠치기아재비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 의출현이며이지역에서부터사계리쪽으로점점이군락을형성하며나타난다. 같은지역의바닷가바위와모래가있는곳에출현한낚시돌풀 (Hedyotis biflora (L.) Lam.) 그리고물골풀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L. Krecz. et Gontsch.) 로낚시돌풀은국내에서제주도에드물게출현하는식물이고물골풀은인천지역에서관찰된식물로개체수가적은희귀식믈이다. 1차조사시 (5월4일-6일 ) 58종으로봄식물이관찰되었고 2차조사시 (7월5일 -7일) 175 종으로여름식물, 3차조사시 (8월24일 -26일 ) 105 종으로가을식물, 4차조사시 (9월14일 -16 일 ) 13종의가을식물을확인하여주로여름철에많은식물이개화하여결실을하는것으로보인다. 이지역의우점종으로는순비기나무, 갯금불초, 통보리사초로서지피면적이크고출현빈도도높다. 귀화식물로는방울새풀, 큰이삭풀, 큰김의털, 좀보리풀, 쥐보리, 호밀풀, 뿔이삭풀, 큰참새피, 물참새피, 시리아수수새, 무망시리아수수새, 들묵새, 붉은달개비, 소리쟁이, 흰명아주, 양명아주, 좀명아주, 가는털비름, 청비름,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양장구채, 바늘양귀비, 갓, 냄새냉이, 콩다닥냉이, 유럽장대, 말냉이, 잔개자리, 좀개자리, 개자리, 애기노랑토끼풀, 토끼풀, 자주괭이밥, 애기땅빈대, 어저귀, 난쟁이아욱, 애기아욱, 둥근잎아욱, 공단풀, 애기달맞이꽃, 솔잎미나리, 미국실새삼, 땅꽈리, 선개불알풀, 큰개불알풀, 돼지풀, 미구가막사리, 울산도깨비바늘, 실망초, 망초, 큰망초, 주홍서나물, 선풀솜나물, 서양금혼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서양민들레, 큰도꼬마리의 60분류군이확인되었다. 임과전 (1980) 이제창한도시화율을보면 60/271 x 100 =22.1% 로인간의간섭을많이받은것으로나타난다. Ⅳ. 식물상 333

327 참고문헌 朴壽現 韓國歸化植物原色圖鑑. 一潮閣. 서울. Pp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 보유편 ). 일조각. 서울. Pp 李永魯 原色韓國植物圖鑑. 敎學社. 서울. Pp 李愚喆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李昌福 大韓植物圖鑑. 鄕文社. 서울. Pp 임양재, 전의식 한반도귀화식물분포한국식물학회지 23: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28 사진및설명 사진 1. 사계리해안전경 사진 2. 순비기나무와갯금불초군락 사진 3. 갯금불초 사진 4. 갯쇠보리 사진 5. 갯메꽃 사진 6. 냄새냉이 Ⅳ. 식물상 335

329 사진 7. 뚜껑별꽃 사진 8. 번행초 사진 9. 붉은달개비 사진 10. 애기달맞이꽃 사진 11. 통보리사초 사진 12. 외대쇠치기아재비 33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30 부록 1. 사계지역의소산식물목록 학 명 국 명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ramosissimum Desf. 개속새 Onocleoideae 면마과 Cyrtomium falcatum (L.f.) C. Presl 도깨비쇠고비 Cycadaceae 소철과 Cycas revoluta Thunb. 소철 Pinaceae 소나무과 Pinus thunbergii Parl. 곰솔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Honda) Ohwi var. transiens (Hack.) Ohwi 개밀 Avena fatua L. 메귀리 Avena sativa L. 귀리 Beckmannia syzigachne (Steud.) Fernald 개피 Briza minor L. 방울새풀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Bromus japonicus Thunb. ex Murray 참새귀리 Bromus pauciflorus (Thunb.) Hack. 꼬리새 Cymbopogon tortilis (J.Presl) Hitch. var. goeringii (Steud.) Hand.-Mazz. 개솔새 Cynodon dactylon (L.) Pers. 우산잔디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L.) Beauv. 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Vasinger) Ohwi 물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Ohwi 좀돌피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 외대쇠치기아재비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나도개피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ordeum pusillum Nutt. 좀보리풀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보리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띠 Ⅳ. 식물상 337

331 학명국명 Ischaemum anthephoroides (Steud.) Miq. Ischaemum crassipes (Steud.) Thell. Lolium multiflorum Lamarck Lolium perenne L.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Parapholis incurva (L.) C.E.Hubb. Paspalum dilatatum Poir. Paspalum disticum L. Phalaris arundinacea L. Poa annua L. Polypogon fugax Nees ex Steud. Setaria faberii Herrm. Setaria glauca (L.) P.Beauv. Setaria italica (L.) P.Beauv. Setaria viridis (L.) P.Beauv. var. viridis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Setaria Pycnocoma (Steud.) Hernard ex Nakai Sorghum halepense (L.) Pers. Sorghum halepense (L.) Pers. for. muticum Hubb.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Vulpia myuros (L.) C.C.Gmel. Zoysia japonica Steud. Zoysia sinica Hance Cyperaceae Carex boottiana Hook. & Arn. Carex breviculmis R.Br. Carex breviculmis var. fibrillosa K?k. Carex kobomugi Ohwi Carex pumila Thunb. Cyperus iria L. Cyperus rotundus L. Cyperus serotinus Rottb. 갯쇠보리쇠보리쥐보리호밀풀민바랭이새뿔이삭풀큰참새피물참새피갈풀새포아풀쇠돌피가을강아지풀금강아지풀조강아지풀갯강아지풀수강아지풀시리아수수새무망시리아수수새솔새들묵새잔디갯잔디 사초과밀사초청사초갯청사초통보리사초좀보리사초참방동사니향부자너도방동사니 33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32 학명국명 Fimbristylis ferruginea (L.) Vahl var. sieboldii (Miq.) Ohwi Kyllinga brevifolia Rottb. subsp. brevifolia Lemnaceae Lemna paucicostata (L.) Hegelm. Commelinaceae Commelina communis L. Tradescantia purpurea Hort. Juncaceae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I.Krecz. & Gontsch. Luzula capitata (Miq.) Miq. Liliaceae Allium macrostemon Bunge Lilium lancifolium Thunb. Amaryllidaceae Crinum japonicum (Baker) Hannibal Cannaceae Canna generalis Bailey Cannaboideae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Urticaceae Boehmeria longispica Steud. Boehmeria nivea (L.) Gaudich. Polygonaceae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salicifolia Miyabe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Persicaria modosa Opiz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Persicaria vulgaris Webb & Moq. Polygonum aviculare L. Rumex acetosa L. Rumex crispus L. Rumex japonicus Houtt. Chenopodiaceae 갯하늘지기가시파대가리 개구리밥과좀개구리밥닭의장풀과닭의장풀붉은달개비골풀과물골풀꿩의밥백합과산달래참나리수선화과문주란홍초과칸나삼과환삼덩굴쐐기풀과왜모시풀모시풀마디풀과솜흰여뀌개여뀌큰개여뀌며느리밑씻개봄여뀌마디풀수영소리쟁이참소리쟁이명아주과 Ⅳ. 식물상 339

333 학명국명 Atriplex gmelinii C.A.Mey. Chenopodium acuminatum Willd. Chenopodium album L. var. album Chenopodium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가는갯능쟁이버들명아주흰명아주명아주 Chenopodium ambrosioides L. 양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Salsola komarovii Iljin 수송나물 Spinacia oleracea L. 시금치 Suaeda glauca (Bunge) Bunge 나문재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Nyctaginaceae 분꽃과 Mirabilis jalapa L. 분꽃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Aizoaceae 석류풀과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번행초 Portulacaceae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Caryophyllaceae 석죽과 Arenaria serpyllifolia L. 벼룩이자리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Sagina japonica (Sw.) Ohwi 개미자리 Sagina maxima A.Gray 큰개미자리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var. oldhamiana 갯장구채 (Miq.) C.Y.Wu Silene gallica L. 양장구채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Stellaria neglecta Weihe 청별꽃 ( 가칭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Pulsatilla cernua ( Thunb.) Spreng. 가는할미꽃 34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34 학 명 국 명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으아리 Papaveraceae 양귀비과 Papaver dubium L. 좀양귀비 Papaver hybridum L. 바늘양귀비 Fumarideae 현호색과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갯괴불주머니 Cruciferae 십자화과 Brassica juncea (L.) Czern. 갓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냉이 Coronopus didymus (L.) Smith. 냄새냉이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raphanistroides Makino 갯무 Rorippa palustris (Leyss.) Besser 속속이풀 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유럽장대 Thlaspi arvense L. 말냉이 Crassulaceae 돌나물과 Sedum bulbiferum Makino 말똥비름 Sedum oryzifolium Makino 땅채송화 Rosaceae 장미과 Potentilla anemonifolia Lehm. 가락지나물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Rosa maximowicziana Regel 용가시나무 Rosa wichuraniana Crep. 돌가시나무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L. var. taquetii T.B.Lee 사슨딸기 Leguminosae 콩과 Glycine max (L.) Merr. 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Lathyrus japonicus Willd. 갯완두 Lespedeza virgata ( Thunb.) DC. Lotus corniculatus L. var. japonica Regel 좀싸리 벌노랑이 Ⅳ. 식물상 341

335 학명국명 Medicago lupulina L. Medicago minima Barta Medicago polymorpha L. Trifolium dubium Sibthorp Trifolium repens L.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ls (Thuill) K.Koch. Vicia hirsuta (L.) Gray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Oxalis corymbosa DC. Oxalis stricta L. Euphorbiaceae Acalypha australis L. Aleurites cordata (Thunb.) R.Br. ex Steud. Euphorbia esula L. Euphorbia helioscopia L. Euphorbia jolkini Boiss. Euphorbia supina Raf. Celastraceae Euonymus japonicus Thunb. Vitaceae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Medicus Malva neglecta Wallr. Malva parviflora L. Malva pusilla Smith Sida spinosa L. Violaceae Viola mandshurica W.Becker Cactaceae Opuntia ficus-indica Mill. Onagraceae Oenothera laciniata Hill 잔개자리좀개자리개자리애기노랑토끼풀토끼풀살갈퀴새완두괭이밥과괭이밥자주괭이밥선괭이밥대극과깨풀유동흰대극등대풀암대극애기땅빈대노박덩굴과사철나무포도과개머루아욱과어저귀난쟁이아욱애기아욱둥근잎아욱공단풀제비꽃과제비꽃선인장과선인장바늘꽃과애기달맞이꽃 34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36 학명국명 Umbelliferae Angelica japonica A.Gray Apium leptophyllum F.Muell ex Benth. Centella asiatica (L.) Urb. Cnidium japonicum Miq.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Peucedanum japonicum Thunb. Torilis japonica (Houtt.) DC. Torilis scabra (Thunb.) DC Primulaceae Anagallis arvensis L. Lysimachia mauritiana Lam Oleaceae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Convolvulaceae Calystegia hederacea Wall.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Cuscuta pentagona Engelm Dichondra repens Forster Boraginaceae Bothriospermum tenellum (Hornem.) Fisch. & C.A.Mey Mosserschmidia sibirica L. Verbenaceae Vitex rotundifolia L.f. Labiatae Ajuga decumbens Thunb Lamium amplexicaule L. Leonurus japonicus Houtt.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Solanaceae Lycium chinense Mill. Physalis angulata L. Solanum nigrum L. Scrophulariaceae 산형과갯강활솔잎미나리병풀갯사상자갯방풍갯기름나물사상자개사상자앵초과뚜껑별꽃갯까치수염물푸레나무과쥐똥나무메꽃과애기메꽃갯메꽃미국실새삼아욱메풀지치과꽃받이모래지치마편초과순비기나무꿀풀과금창초광대나물익모초참골무꽃가지과구기자나무땅꽈리까마중현삼과 Ⅳ. 식물상 343

337 학명국명 Veronica arvensis L. Veronica didyma Tenore var. lilacina (H.Hara) T.Yamaz. Veronica persica Poir Acanthaceae Justicia procumbens L Plantaginaceae Plantago asiatica L.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Plantago depressa Willd. Rubiaceae 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Hedyotis biflora (L.) Lam Paederia scandens (Lour.) Merr. Rubia akane Nakai Rubia cordifolia L. var. pratensis Maxim. Sageretia theezans (L.) Brongn. Caprifoliaceae Lonicera japonica Thunb. Cucurbitaceae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Compositae Ambrosia artemisiifolia L. Artemisia capillaris Thunb. Artemisia princeps Pamp. Bidens bipinnata L. Bidens frondosa L. Bidens pilosa L. Breea segeta (Willd.) Kitam. Chrysanthemum coronarium L.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maackii (Maxim.) Matsum Conyza bonariensis (L.) Cronq. Conyza canadensis (L.) Cronq. 선개불알풀개불알풀큰개불알풀 쥐꼬리망초과쥐꼬리망초질경이과 질경이개질경이털질경이 꼭두서니과 갈퀴덩굴낚시돌풀계요등꼭두선이갈퀴꼭두선이상동나무 인동과 인동덩굴 박과 거지덩굴참외 국화과 돼지풀사철쑥쑥도깨비바늘미국가막사리울산도깨비바늘조뱅이쑥갓엉겅퀴실망초망초 34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38 학명국명 Conyza sumatrensis E.Walker,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 S.Moore Eclipta prostrata (L.) L. Gnaphalium affine D.Don, Gnaphalium calviceps Fernald Heteropappus hispidus (Thunb.) Less Hypochaeris radicata L.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Ixeris debilis (Thunb.) A.Gray Ixeris repens (L.) A.Gray Ixeris strigosa (H.L?v. & Vaniot) J.H.Pak & Kawan Lactuca indica L. for. indivisa (Makino) Hara Lactuca indica L. var. laciniata (Kuntze) H.Hara Senecio vulgaris L. Sigesbeckia orientalis L. Sigesbeckia pubescens Makino Sonchus asper (L.) Hill Sonchus brachyotus DC. Sonchus oleraceus L. Taraxacum officinale Weber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Wedelia prostrata Hemsl. Xanthium canadense Mill. Youngia japonica (L.) DC. 큰망초주홍서나물한련초떡쑥선풀솜나물갯쑥부쟁이서양금혼초금불초벋음씀바귀갯씀바귀선씀바귀가는잎왕고들빼기왕고들빼기개쑥갓제주진득찰털진득찰큰방가지똥사데풀방가지똥서양민들레민들레갯금불초큰도꼬마리뽀리뱅이 Ⅳ. 식물상 345

339 Ⅴ. 육상곤충 조영복 박경화 * 김도성 구현아 * 한남대자연사박물관 전북대생물교육과 * 요 약 2004년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의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결과총 13 목 77과 66종이확인되었으며이들중, 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 3목 7과 12종이었다. 본조사지는사구배후습지발달우수한지역으로넓은조간대및초지 (grassland area) 와소나무군락을이루는삼림지역 (forest land area) 를형성하고있으며해빈지역과소나무삼림지역사이로도로가나있다. 과거에는본지역의넓은지역에사람의왕래가자유로운편이었으나최근화석발자국이발견되어보전지역으로지정되어사람의출입이금지된지역이있고해조류공동어장지역이있어또한사람의출입을제한하고있으며일부지역은사계체육공원으로활용되고있어일부구간을제외하고는해안사구성곤충의조사가용이하지않았다. 본지역에대한해안사구성곤충은 Kim (2003) 에의해 9종이기록되고있다. 본지역에서의해안사구성곤충은다음과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1. Entomobrya sp.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2.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3.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Order Coel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Ⅴ. 육상곤충 347

340 4. Amara sp. ( 먼지벌레류 ) Family Hydrophilidae 물땅띵이과 5. Cercyon sp.( 물땅땅이류 ) 6. Cercyon aptus Sharp 모래톱물땡땡이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7. Cafius algarum (Sharp) 쇠바닷말반날개 8.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9.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10. Caedius marinus Marseul 모래붙이거저리 11.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12. Heterotarsus carinula Marseul 강변거저리 1. 서론 2004년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의해안사구지역의육상곤충에대한조사가실시되었다. 본조사지역은해안선을따라사계리해안도로가송악산까지이르는 4Km지점까지펼쳐져있고, 사계리의해안도로초입부근에는산방산이위치하고있다. 사계리의해안가에는사계리해수욕장, 화석발자국보전지역, 사계체육공원, 및해초류공동어시장등이위치하고있다. 또한마라도와가파도를왕래하는부두가송악산근처인모슬포근방에위치하고있어관광객의왕래가매우빈번한곳이기도하다. 과거에는넓은지역에사람의왕래가자유로운편이었으나최근화석발자국이발견되어보전지역으로지정되어사람의출입이금지된지역이있고해조류공동어장지역이있어또한사람의출입을제한하고있으며일부지역은사계체육공원으로활용되고있어일부구간을제외하고는해안사구성곤충의조사가용이하지않았다. 본지역에대한해안사구성곤충은 Kim (2003) 에의해 9종이기록되고있다. 본조사에서환경부가지정한멸종위기야생동물은관찰되지않았다. 34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41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본조사는 2004 年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계절적으로장마이전과이후로구분하여분류군에따라적기에연몇 2회실시하였다. 조사지점- 본조사지의행정구역은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이며다음과같이 3개의조사환경을구별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ST. 1 - 조간대구역 ST. 2 - 초지구역 ST. 3 - 삼림구역조사지개황- 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는사구배후습지발달우수한지역으로넓은조간대및초지 (grassland area) 와소나무군락을이루는삼림지역 (forest land area) 를형성하고있으며해빈지역과소나무삼림지역사이로도로가나있다. 과거에는넓은지역에사람의왕래가자유로운편이었으나최근화석발자국이발견되어보전지역으로지정되어사람의출입이금지된지역이있고해조류공동어장지역이있어또한사람의출입을제한하고있으며일부지역은사계체육공원으로활용되고있어해안사구곤충의조사가용이하지않았다. 3. 조사방법 조간대의해초류와모래를 sifter 를이용하여조간대곤충을조사하였고초지와삼림 지역은쓸어잡기 (sweeping) 방법을사용하거나육안관찰을통해기록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의해안사구지역에대한육상곤충조사결과, 총 13 목 37 과 66 종이확인되었다. Ⅴ. 육상곤충 349

342 가. 곤충상 봄 (3-5 월 ):, 여름 (6-8 월 ):, 가을 (9-10 월 ): 분류군명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Entomobrya sp. ST.1 조사지유형 ST.2 ST.3 계절출현문헌 해안사구성곤충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된장잠자리 Order Mantodea 사마귀목 Family Mantidae 사마귀과 Tenodera aridifolia 왕사마귀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Order Orthoptera 메뚜기목 Family Tettigoniidae 여치과 Holochlora longifissa Matsumura et Siraki 날베짱이 Phaneroptera falcata (Poda) 실베짱이 Hexacentrus unicolor Serville 베짱이 Conocephalus maculatus (Le Guillou) 점박이쌕새기 Family Oecanthidae 긴꼬리과 Oecanthus indicus Saussure 긴꼬리 Family Gryllidae 귀뚜라미과 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sumura) 35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43 왕귀뚜라미 Dianemobius nigrofasciatus (Matsumura) 알락방울벌레 Euscyrtus japonicus Shiraki 홀쭉귀뚜라미 Family Pyrgomorphidae 섬서구메뚜기과 Atractomorpha lata (Motschusky) 섬서구메뚜기 Family Acrididae 메뚜기과 Acrida cinerea cinerea (Thunberg) 방아깨비 Gonista bicolor (de Haan) 딱다기 Locusta migratoria (Linné) 풀무치 Oedaleus ingernalis Saussure 팥중이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Acanthosomatidae 뿔노린재과 Dichobothrium nubilum (Dallas) 남방뿔노린재 Family Pentatomidae 노린재과 Dolycoris baccarum (Linné) 알락수염노린재 Nezara antennata Scott 풀색노린재 Order Homoptera 매미목 Family Aphrophoridae 거품벌레과 Philaenus spumarius (Linné) 가라지거품벌레 Family Cicadellidae 매미충과 Cicadella viridis (Linné) 말매미충 Family Cicadidae 매미과 Cryptotympana dubia (Haupt) 말매미 Platypleura kaempferi (Fabricius) 털매미 Order Neuroptera 풀잠자리목 Family Chrysopidae 풀잠자리과 Chrysopa septempunctata Wesmael 넉점박이풀잠자리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Ⅴ. 육상곤충 351

344 Amara sp. ( 먼지벌레류 ) Family Hydrophilidae 물땅땅이과 Cercyon sp.( 물땅땅이류 ) Cercyon aptus Sharp 모래톱물땡땡이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Cafius algarum (Sharp) 쇠바닷말반날개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과 Colasposoma dauricum Mannerheim 고구마잎벌레 Family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Coccinella septempunctata Linné 칠성무당벌레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Caedius marinus Marseul 모래붙이거저리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Heterotarsus carinula Marseul 강변거저리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과 Sitona japonicus (Roelofs) 일본바구미 Hylobitelus haroldi (Faust) 솔곰보바구미 Order Hymenoptera 벌목 Family Scoliidae 배벌과 sp. 1 배벌 Family Vespidae 말벌과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Polistes chinensis antennalis Perez두눈박이쌍살벌 Family Formicidae 개미과 Tetramorium caespitum (Linné) 주름개미 Ectomomyrmex astutus (Smith) 스미드개미 Family Pompilidae 대모벌과 Cyphononyx dorsalis (Lepeletier) 대모벌 Family Apidae 꿀벌과 Sphecodes scarbricollis Wesmael 구주꼬마꽃벌 Apis mellifera Linné 양봉꿀벌 35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45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Asilidae 파리매과 Promachus yesonicus Bigot 파리매 Trichomachimus scutellaris (Coquillett) 검정파리매 Family Syrphidae 꽃등에과 sp. 1 Allograpta balteata (de Geer) 호리꽃등에 Sphaerophoria menthasti (Linné) 꼬마꽃등에 Eristalis tenax (Linné) 꽃등에 Helophilus virgatus Coquillett 수중다리꽃등에 Family Sepsidae 꼭지파리과 Sepsis indica Wiedemann 노랑꼭지파리 Sepsis monostigma Thomson 꼭지파리 Family Calliphoridae 검정파리과 Aldrichina grahami (Aldrich) 털검정파리 Chrysomyia megacephala (Fabricius) 검정뺨금파리 sp. 1 Family Sarcophagidae 쉬파리과 Helicophagella melanura (Meigen) 검정볼기쉬파리 Order Mecoptera 밑들이목 Family Panorpidae 밑들이과 Panorpa coreana Okamoto 참밑드리 Order Lepidoptera 나비목 Family Lycaenidae 부전나비과 Lycaena Phlaeas (Linnaeus) 작은주홍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Kollar) 남방부전나비 Family Pieridae 흰나비과 Eurema hecabe (Linnaeus) 남방노랑나비 Artogeia melete (Ménétriès) 큰줄흰나비 Family Nymphalidae 네발나비과 Cyntia cardui (Linné) 작은멋쟁이나비 Ⅴ. 육상곤충 353

346 나. 해안사구성곤충류목록사계리의해안사구지역의전형적인해안사구성곤충은총 3목 7과 12종이확인되었으며그목록은다음과같다. Order Collembola 톡토기목 Family Entomobryidae 털보톡토기과 1. Entomobrya sp.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목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2. Anisolabis maritima (Bonelli) 민집게벌레 Family Labiduridae 큰집게벌레과 3. Labidura riparia japonica (de Haan) 큰집게벌레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과 4. Amara sp. ( 먼지벌레류 ) Family Hydrophilidae 물땅땅이과 5. Cercyon sp.( 물땅땅이류 ) 6. Cercyon aptus Sharp 모래톱물땡땡이 Family Staphylinidae 반날개과 7. Cafius algarum (Sharp) 쇠바닷말반날개 8. Cafius histrio (Sharp) 바닷말반날개 9. Aleochara fucicola Sharp 해변바수염반날개 Family Tenebrionidae 거저리과 10. Caedius marinus Marseul 모래붙이거저리 11. Gonocephalum pubens Marseul 모래거저리 12. Heterotarsus carinula Marseul 강변거저리 35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47 참고문헌 고려대학교한국곤충연구소, 한국곤충생태도감, Vol I-V. 김진일, 한국산해안사구성곤충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1): 김창환, 한국동식물도감제11권동물편 ( 곤충류 III). 문교부 : pp 김창환 남상호 이승모, 한국동식물도감제26권동물편 ( 곤충류 VIII). 문교부 : 919pp. 남상호, 원색도감한국곤충도감. 교학사 : pp 신유항, 원색한국곤충도감. I. 나비편, 아카데미서적 : pp. 264., 원색한국곤충도감. 아카데미서적 : pp 신유항 박규택 남상호, 한국동식물도감제27권동물편 ( 곤충류 IX). 문교부 : pp 안승락, 태안해안국립공원생태계연구, 곤충편. 국립중앙과학관학술총서, 10: 우한준, 서해안해안사구실태및보전방안. 자연보존, 115: 이승모, 한국엽지. Insecta Koreana: pp. 125., 한반도하늘소과갑충지. 국립과학관 : pp. 287., 한반도청령 ( 잠자리목 ) 목곤충. Bull. KACN, ser. 15: 이창언, 한국동식물도감제12권동물편 ( 곤충류 VI). 문교부 : XXXXXXX., 한국동식물도감제23권동물편 ( 곤충류 VII). 문교부 : pp 제주도학생과학관, 제주도의나비. pp.194. 조복성, 한국동식물도감제10권동물편 ( 곤충류 II). 문교부 : pp 조영복, 안기정, 반날개상과 (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 한국경제곤충 11, 167 pp. 환경처, 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 : Hayashi, M.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V.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Kurosawa, Y.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Ⅴ. 육상곤충 355

348 Nakane. T. et al,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Insects of Japan. Coleoptera (Vol. 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Uéno, S. et al,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pp Watanabe, Y Staphylinidae. In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S.-I. Ueno et al., editors) 2: Hoikusha, Osaka (In Japanese). 35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49 사진및설명 사진 1. 사계해안가에서본산방산 사진 2. 해안가모습 사진 3. 초지전경사진 4. 소나무군락 ( 삼림지역 ) 사진 5. 화석보전지역사무소 사진 6. 새발자국화석설명판 Ⅴ. 육상곤충 357

350 사진 7. 사람발자국화석설명판 사진 8. 해초류공동어시장보호구역 사진 9. 사계사회체육공원 사진 10. 초지조사장면 사진 11. 큰집게벌레 사진 12. 모래거저리 35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51 Ⅵ. 양서 파충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해안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의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청개구리 (Hyla japonica) 1종, 파충류는누룩뱀 (Elaphe dione) 과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2종에불과하였으며관찰된종들의개체군밀도도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서식이확인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관찰되는평범한종들이었고, 환경부가지정한법적보호동물은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1. 서론 제주도산양서 파충류가처음으로학술적으로알려지기시작한것은森爲三 (1928) 이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에관하여 라는논문에서제주도룡뇽 (Hynobius leechii quelpartenisis), 청개구리 (Hyla arborea japonica),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Cacopides tornieri (Vogt)),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ana rugosa), 두꺼비 (Bufo bufo asiaticus) 등양서류 7종과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도마뱀 (Leiolopisma laterale), 유혈목이 (Natrix tigrina), 대륙유혈목이 (Natrix vibakari), 누룩뱀 (Elaphe dione), 실뱀 (Zamenis spinalis), 쇠살모사 (Agkistrodon blomhoffii brevicaudus) 등파충류 7종을발표한것에서비롯된다. 그이후지금까지 Shannon(1956), Webb(1962), 강과윤 (1968), Kawamura(1962), 양과유 (1978), Ⅵ. 양서 파충류 359

352 양등 (1982), 백등 (1985), 고 (1983) 등여러학자들에의하여연구되어져왔다. 한편, 파충류에대해서는강과윤 (1968), Golyd(1972), 백 (1982) 등에의해연구되어져왔으며, 백 (1982) 은 韓國産蛇類의系統分類學的硏究 란논문에서제주도산사류 ( 蛇類 ) 7 종을기록하면서비바리뱀 (Sibynophis collaris) 을한국미기록종으로기재한바있다. 그러나비바리뱀의분류학적위치및분포상황에대해서는학자들간의견이많았고최근들어오 (2004) 에의해그의문이해결되었다. 그리고박 (1990) 은환경처의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지침에따라제주도에서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uroralsis) 을포함하여모두 4과 9종을보고하였으며, 그이후박 (1993), 백 (1993) 에의해분포상이보고된바있다. 최근들어 Chen 등 (2001) 에의한도마뱀의분류학적고찰, Ota 등 (2002) 에의한줄장지뱀의생물지리학적고찰, Oh and Ota(2004) 에의한비바리뱀의분류학적검토가발표된이후제주도산파충류의생물지리학적중요성에대해학자들에게주목받기시작하여현재국제적인공동연구가활발히연구가진행되고있다. 제주도해안사구에분포하는양서 파충류상에관해서는지금까지조사연구된된바없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해안사구일대의양서 파충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해안사구는동쪽으로산방산, 북쪽으로단산, 남쪽으로형제섬과송악산, 가파도가있고, 서쪽으로는대정읍상모리 ( 산이수동 ) 와경계를이루고있는지역으로용머리, 산방산및형제섬등이위치하고있다. 명사벽계 ( 明沙碧 36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53 溪 ) 라불릴정도로천혜의관광자원을갖춘곳이라연중관광객들의발길이끊이지않은곳이다. 사구뒤쪽산방산아래부분을제외하면노출된곳이많아양서 파충류가서식하기에는적합하지않은곳이다. 조사는 2004년 3월부터 4월까지 3회에걸쳐실시하였다. 3. 조사방법 양서류는조사지역을도보로이동하면서물이고인웅덩이, 수로, 농경지주변의그늘진곳에서종을직접관찰하여기록하거나울음소리등으로종을식별하였다. 파충류는묵정밭과경작지주변, 야산임연부일대, 도로변을배회하며관찰하였다.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하며,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한이래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 Row와 Yuill(1997) 이채집 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양서 파충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에서좌표를기록하여수평적인종분포상황을지도상에 mapping 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사계리해안사구지역에서관찰이확인된양서파충류는표 1 에제시한바와 Ⅵ. 양서 파충류 361

354 같이양서류는양서류 1종, 파충류 2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사구상부에있는산방산아래쪽에서관찰된것이라실제해안사구에는서식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관찰된종을살펴보면, 청개구리 (Hyla japonica) 는조사지외곽에서서식이확인되었으나관찰빈도는낮았고 ( 사진 1), 뱀류중에서는누룩뱀 (Elaphe dione( 사진 2)) 과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의서식이확인되었으나 ( 사진 3) 개체군밀도는매우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줄장지뱀은우리나라다른지방에서는희귀한편이나제주지역에서는초지가형성된곳에서는어디에서나관찰되는종으로우점종에속하는종이라할수있다. 최근조사된자료에의하면, 한라산에서서식이확인된양서류는 5과 8종, 파충류는 4과 9종이었다 ( 오, 2002). 이중본조사지역에서는양서류 6종과파충류 9종의서식이확인되었는데, 서식이확인된종들중에서제주도룡뇽 (Hynobius quelpartensis), 제주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실뱀 (Coluber spinalis) 과우리나라에서는제주도에만분포하는비바리뱀 (Sibynophis chinensis) 은환경부에서지정한상위보전등급에속하는종들이다. 또한제주도는한국본토와오랫동안격리되었고또기후와지세가판이하게달라서생물지리분포학상남방한계가되는종인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맹꽁이 (Kaloula borealis),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가서식한다. 그리고누룩뱀, 쇠살모사, 줄장지뱀은생물분포학상남한지 ( 南限地 ) 가되는종이며, 비바리뱀은우리나라에서는제주도에만분포하는종으로제주도가북한지 ( 北限地 ) 고되고있는특산종이다. 제주도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는대부분이한국본토와공통된종이많지만우리나라에서최남단에위치할뿐만아니라한국본토와일본및중국사이에자리잡고있으므로대륙계의동물과남방계의동물이혼서하고있다. 서식환경을보면제주도에는초원과습원이있으며곳곳에양서 파충류가서식하기에적합한환경을갖추고있는곳이많고먹이도풍부하여뱀류는한국본토에비하여종수는적으나개체군밀도는큰편이다. 그러나해안사구지역에는습지가형성된곳이거의없으며, 농경지대이외의지역에는물이흐르는곳이없고심지어웅덩이조차찾아볼수없을정도로물이귀한편이다. 또한바람이강하게불어매우건조하여곰솔군락이외에활 36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55 엽수림이형성된곳이없으며, 해안도로가개설되고관광편의시설이들어서는등인위적인영향으로양서 파충류가서식할수있는환경이사라지고있는실정이다. 이번에실시된조사는지금까지사계리해안사구일대의육상동물상에대한정보가없었던점에서그의의가있다고생각되며, 앞으로사계리해안사구의보전전략을세우는데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라판단된다. 표 1. 제주사계리해안사구지역의양서 파충류목록 No. 학 명 국 명 문헌조사현지조사 비고 Class 1. Amphibians 개구리 ( 兩棲 ) 綱 Order 1. Caudata 도롱뇽 ( 有尾 ) 目 Family 1. Hynobiidae 도롱뇽 ( 山椒魚 ) 科 1 Hynobius leechii quelpartensis Mori 제주도롱뇽 Order 2. Salientia 개구리 ( 有尾 ) 目 Family 2. Discoglossidae 무당개구리 (. 蛙 ) 科 2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무당개구리 Family 3. Hylidae 청개구리 ( 雨蛙 ) 科 3 Hyla japonica Günther 청개구리 Family 5. Engystomidae 맹꽁이 ( 隘口 ) 科 4 Kaloula borealis (Barbour) 맹꽁이 Family 4. Ranidae 개구리 ( 赤蛙 ) 科 5 Rana nigromaculata Hallowell 참개구리 6 Rana dybowskii Günther 북방산개구리 Class 2. Reptillia 뱀 ( 爬蟲 ) 綱 Order 1. Squamata 뱀 ( 有鱗 ) 目 Family 1. Scincidae 도마뱀 ( 蜥蜴 ) 科 7 Scincella vandenburghi (Schmidt, 1927) 제주도마뱀 Family 2. Lacertiidae 장지뱀 ( 金蛇 ) 科 8 Takydromus wolteri Fisher 줄장지뱀 9 Takydromus amurensis Peters 아무르장지뱀 Family 3. Colubridae 뱀 ( 蛇 ) 科 10 Elaphe dione (Pallas) 누룩뱀 11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Boie) 유혈목이 12 Coluber spinalis Peters 실뱀 Amphiesma vibakari ruthveni 13 대륙유혈목이 (Van kenburgh) 14 Sibynophis chinensis Gunther 비바리뱀 Family 4. Viperidae 살모사 ( 鎖蛇 ) 科 15 Agkistrodon ussuriensis (Emelianov) 쇠살모사 종 수 13종 3종 Ⅵ. 양서 파충류 363

356 참고문헌 姜永善 尹一炳 濟州道의兩棲 爬蟲類. 漢拏山및紅島. 文公部. pp 姜永善 尹一炳 韓國動植物圖鑑. 17 券動物編 ( 兩棲爬蟲類 ). 文敎部. 김완병, 오홍식, 김원택 한라산국립공원내습지의동물상조사. 제주대학교생명과학연구, 4: 9~ 20. 박행신 자연생태계전국조사 - 제주도의양서 파충류상. pp 환경처.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白南極 韓國産兩棲爬蟲類의現況과그保護對策. 自然保存, 83: 백남극 제주도산미기록사류 1종에관한보고, 강릉대학교논문집, 16: 白南極 金昌漢 沈在漢 漢拏山의兩棲 爬蟲類相. 漢拏山學術調査報告書. 濟州道. pp 송재영, 윤병수, 오홍식, 정규회 미토콘드리아 16S rdna 를이용한아무르산개구리 ( 양서강 : 개구리과 ) 의유전적다양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1): 45~ 51. 梁瑞榮, 金英眞, 孫洪鍾 도룡뇽의地理的變異에관한硏究. 仁荷大. 基礎科學硏究所論文集, 3: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습지일대의육상척추동물상및생태연구. 환경부제1차전국내륙습지조사.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박강희 제주지역의양서 파충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교학사. 土去寬帳 海蛇ニ就テ. 總督. 中學校友誌, 4호 pp 森爲三 濟州島の兩棲類及爬蟲類ニ就テ. 朝鮮博物學會雜誌, 6: 47~52.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 36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57 狀態を推論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論. 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今泉吉典 腹板と尾下板の變異にもとづくヤアカがシの分類. 自然科學と博物館, 35, pp Chen, S. L., T. Hikida, S. H. Han, J. H. Shim, H. S. Oh and H. Ota Taxonomic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s of genus Scincella(Squamata: Scincidae). J. Herpetology, 35(1): 122~129. Gloyd, H. K The Korea snak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Proc. Biol. Soc. Wash., 85(49): Kawamura, T. and M. Nishioka Studies on hybrization in amphibians Ⅶ, Hybrids between Japanese and European brown frogs. J. Sci. Hiroshima Univ. Ser. B. Div. 1, Vol. 18, Art. 16.: 1-8. Kawamura, T. and M. Nishioka Nucleo-cytoplasmic hybrid Frog between Two species of Japanese brown frogs and their offspring. ibid., Vol. 21, Art. 6: Maki, M A Monograph of the Snakes of Japan. Tokyo, Dai-Ichi. p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argalef, R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2. pp.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Mori, T On a new Hynobius from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53 Mori, T On amphibians and reptiles of Quelpart Is. J. Chosen Nat. Hist. Soc, 6: Nakamura, K. and S. Ueno Japanese Reptiles and Amphibians in Colour. Osaka, Japan. Hoikusha. pp Oh, H. S., H. Ota Taxonomic status and biogeographical bearing of a Ⅵ. 양서 파충류 365

358 population of the colubrid genus Sibynophis (Reptilia, Squamata) from Cheju Island, Korea. The 43rd Annual Meeting of Herpelotogical Society of Japan. Ota, H., M. Honda, S-L. Chen, T. Hikida, S. Panha, H. S. Oh and M. Matsui Phylogenetic relationships, taxonomy, character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the lacertid lizards of the genus Takydromus (Reptilia: Squamata): a molecular perspective.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76: 493~509.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Pielou, E. 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Sannon, F. A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Korea. Herpetologica, Vol. 12: Seto, T. and K. Iizuka Karyotype of Hynobius leechii from Cheju Island, Korea, Japanese J. of Herpetology, 15(2): Shannon, C. E. and W. Weaver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17pp.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Steineger, L Herpetology of Japan and adjacent territory. Bull. U. S. Nat. Mus, No. 58, pp. xx + 577, 409 Figs, 35 pls. Toft, C. A Seasonal variation in populations of Panamanian litter frogs and their prey : A comparison of wetter and drier sites. Oecologia, 47: Van Denburgh, J Concerning certain species of reptiles and amphibians China, Japan, the Loo, Choo Islands and Formosa, Proc. Calif. Ac. Scil., (Ⅳ) 3. pp Webb, R. G., J. Jones, Jr, and G. W. Byers Some reptiles and amphibians from Korea Univ. Kansas Publ., Mus. Nat. Hist., Vol. 15, No. 2, pp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59 Yang, S. Y., J. B. Kim, M. S. Min, J. H. Suh and H. Y. Suk Genetic and ph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forms of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Korean J. Biol. Sci., 1: Ⅵ. 양서 파충류 367

360 사진및설명 사진 1. 청개구리 사진 2. 누룩뱀서식흔적 사진 3. 줄장지뱀 36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61 Ⅶ. 조류 김창회 강종현국립환경연구원생물다양성연구부 요 약 이조사는제주도남제주군에속해있는사계일대를중심으로이루어졌다. 이지역에대한조류조사는 5회에걸쳐실시되었다. 이지역에서관찰된종은 52종이었으며, 조사기간중매회관찰된종은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와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종수는 1차조사시기에가장많았고 (33종) 5차조사시기에가장적었다 (11종).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166 개체 )) 와참새 (163개체) 이었다. 사계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7종이었다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은 1종 ( 노랑부리백로 ; Egretta europhotes),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2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솔개 ; Milvus migrans), 특정종은 4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1. 서론 우리나라의해안지역에는해안사구가비교적잘발달될수있는조건을갖추고있는지역이많으나자연상태를그대로유지하고있는지역은그다지많지않다. 내륙의태안반도에위치한신두리사구의일부지역은천연기념물로지정되었고, 그배후에위치한두웅습지는환경부생태계보전지역으로지정된바있다. 제주도사계일대의사구에는해안에인접하여도로가개설되어있어배후의사구는그다지발달되어있지않다. 해안의북쪽지역은모래사장이지만남쪽지역은바위가분포한다. 그리고동물의화석이발견된지역은사람의출입이제한되고있다. 사계일대의조류조사에관한보고는아직없지만, 김 이 (2002) 는이조사지역의남 Ⅶ. 조류 369

362 쪽에위치한형제도에관찰된조류를보고한바있다. 이조사의단기적인목적은생태지도표기종 ( 김 2001) 의서식장소와번식가능성에대한자료를얻기위하여수행되었다. 그리고장기적으로는국내및국제적으로멸종위기종및희귀종에대한자료를확보하고, 주요조류서식지에대한보전가치를등급화할수있는객관적인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한것이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이조사는제주도남제주군에속해있는사계일대를중심으로이루어졌다 ( 그림 1). 이지역에대한조류조사는 5회에걸쳐실시되었다. 1차조사는 4월 20~21일, 2차조사는 7월 28~29 일, 3차조사는 9월 15~16일, 4차조사는 11월 22~23일, 5차조사는 12월 14~15일이었다. N 조사지역 그림 1. 조사지역 37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63 3. 조사방법 조사대상종은한국에서관찰된전종 ( 아종을포함하여 435종 ; 이등 2000) 이며, 그중생태지도표기종 (148종 ; 멸종위기야생동물, 특정종 ) 이관찰된지점을지도상에표기하였다 ( 김 2001). 조사방법, 조류조사표기재방법, 지도상의특정종기재방법은김 (2001) 의제2차환경부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의조류분야지침서에따랐으며, 이내용을요약하면아래와같다. 조사방법 : 시속 2km정도로보행하면서기록하는방법과개시점및종료점에서정지하여기록하는방법을병행하였고, 울음소리에의하여확증된개체도포함하였다. 조류조사표기재방법 : 번식하는것이관찰된종은 "A", 번식하는것은관찰하지못했지만번식가능성이비교적높은종은 "B", 번식에대한확실한근거는없지만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라고생각되는종은 "C", 그종이둥지를틀수있는환경이아니라고생각되는종은 "D", 번식에대하여전혀예측할수없는종은 "E", 비번식기에관찰되거나번식가능성이희박한종은 "F" 의란에 표를하였다. 지도상의생태지도표기종기재방법 :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지점은종의보호등급에따라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특정종은 로표기하였으며, 종명은각등급기호의우측에종코드번호로기재하였다. 그리고그밖의종들은조류조사표에만기재하였다. 4. 결과및고찰 가. 결과이지역에서관찰된종은 52종이었으며, 매회관찰된종은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와참새 (Passer montanus) 이었다 ( 표 1). 종수는 1차조사시기에가장많았고 (33종) 5차조사시기에가장적었다 (11종). 단일관찰에서개체수가많이관찰된종은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166개체 )) 와참새 (163개체) 이었다. Ⅶ. 조류 371

364 표 1. 사계에서관찰된조류의개체수 코드개체수학명국명번호 1차조사 2차조사 3차조사 4차조사 5차조사 B007 Podiceps nigricollis 검은목논병아리 12 B017 Phalacrocorax filamentosus 가마우지 B028 Bubulcus ibis 황로 B029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11 B030 Egretta intermedia 중백로 15 1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19 B032 Egretta europhotes 노랑부리백로 5 B033 Egretta sacra 흑로 4 1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11 1 B057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2 85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B065 Anas penelope 홍머리오리 15 B081 Mergus albellus 흰비오리 2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1 B087 Milvus migrans 솔개 1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1 3 B114 Phasianus colchicus 꿩 2 B134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4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4 4 B137 Charadrius mongolus 왕눈물떼새 1 B141 Pluvialis squatarola 개꿩 4 B144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2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11 B162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3 3 B164 Tringa ochropus 삑삑도요 2 10 B165 Tringa glareola 알락도요 25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3 6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B173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7 B176 Gallinago gallinago 꺅도요 5 B183 Recurvirostra avocetta 뒷부리장다리물떼새 1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1 B201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2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5 7 B232 Apus pacificus 칼새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65 ( 표 1에서계속 ) B236 Alcedo atthis 물총새 2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1 B259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2 2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4 2 B263 Anthus hodgsoni 힝둥새 2 B267 Anthus spinoletta 밭종다리 4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2 B286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1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13 3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B352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5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8 Pica pica 까치 종수 ( 총 52종 ) 개체수 번식가능성 "A" 에해당하는종은 6 종, "B" 에해당하는종은 12 종, "C" 에해당하는 종은 10 종, "D" 에해당하는종은 1 종, "E" 에해당하는종은 15 종, "F" 에해당하는종은 8 종이었다 ( 표 2). 표 2. 사계에서관찰된조류의번식가능성 ( 생태지도표기종및번식가능성은본문참조 ) 코드생태지도번식가능성학명국명번호표기종 A B C D E F B007 Podiceps nigricollis 검은목논병아리 B017 Phalacrocorax filamentosus 가마우지 B028 Bubulcus ibis 황로 B029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B030 Egretta intermedia 중백로 B031 Egretta garzetta 쇠백로 B032 Egretta europhotes 노랑부리백로 B033 Egretta sacra 흑로 Ⅶ. 조류 373

366 ( 표 2 계속 ) B034 Ardea cinerea 왜가리 B057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B058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B065 Anas penelope 홍머리오리 B081 Mergus albellus 흰비오리 B085 Pandion haliaetus 물수리 B087 Milvus migrans 솔개 B111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B114 Phasianus colchicus 꿩 B134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B136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B137 Charadrius mongolus 왕눈물떼새 B141 Pluvialis squatarola 개꿩 B144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B145 Calidris ruficollis 좀도요 B162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B164 Tringa ochropus 삑삑도요 B165 Tringa glareola 알락도요 B166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B167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B173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B176 Gallinago gallinago 꺅도요 B183 Recurvirostra avocetta 뒷부리장다리물떼새 B188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B201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B212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B232 Apus pacificus 칼새 B236 Alcedo atthis 물총새 B253 Hirundo rustica 제비 B258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B259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B259-2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B263 Anthus hodgsoni 힝둥새 B267 Anthus spinoletta 밭종다리 B269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B271 Lanius bucephalus 때까치 B286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37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67 ( 표 2에서계속 ) B287 Phoenicurus auroreus 딱새 B290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B345 Emberiza cioides 멧새 B352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B363 Carduelis sinica 방울새 B377 Passer montanus 참새 B388 Pica pica 까치 소계 합계 총합계 52 사계일대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은 7종이었다 ( 표 3). 이들중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은 1종 ( 노랑부리백로 ; Egretta europhotes),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2종 ( 물수리 ; Pandion haliaetus, 솔개 ; Milvus migrans), 특정종은 4종 ( 흑로 ; Egretta sacra, 황조롱이 ; Falco tinnunculus, 칼새 ; Apus pacificus, 물총새 ; Alcedo atthis) 이었다. 표 3. 사계에서관찰된생태지도표기종 구 분 국 명 합계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 노랑부리백로 1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물수리, 솔개 2 특정종 흑로, 황조롱이, 칼새, 물총새 4 Ⅶ. 조류 375

368 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위치는그림 2 와같다. N B087 B111 B033 B111 B236 B032 B033 B032 B111 B085 B111 B232 그림 2. 사계일대에서생태지도표기종이관찰된장소 나. 고찰사계의해안지역의배후에는산으로둘러싸인지역도있지만, 대부분은건물 ( 마을 ) 과농경지가많이분포한다. 도로주변에는새로운건물이들어서고있으며, 해안에는낚시를하는사람들에의해새의휴식이방해되는장소도있다. 이지역에서관찰된조류종은해안을중심으로서식하는종이비교적많았다. 동물의발자국화석이있는지역 ( 철조망으로둘러싸임 ) 은사람의출입이제한된지역이기때문에오리류는주로이지역을이용하고있었으며사람이철조망부근으로접근하면바다쪽으로이동하였다. 흰물떼새는주로해안의모래사장에서먹이를찾는것이확인되었고, 도요류는대부분북쪽마을뒤편에있는습지 ( 산방동 ) 에서관찰되었다. 이습지에는말이방목 37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69 되고있었고주변에서는백로류가먹이를찾고있었다.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인노랑부리백로는해안에머물고있었고,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물수리와솔개는해안을선회하고있는것이확인되었다. 그러나이종들은 5 회의조사에서 1회씩관찰되어이지역을일시적으로이용한것으로사료된다. 이지역에서관찰된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에대하여서식지및생태적특성을간략히서술하면아래와같다. 노랑부리백로는한반도와중국에서번식하며, 필리핀과인도네시아등의동남아시아에서월동한다. 남한에서는경기도의신도, 우도, 유도와전라남도의칠산도에서번식한기록이있으며, 현재경기도옹진군에속한소수의무인도에번식하고있다. 북한에서는평안북도서해안의랍도, 소감도, 덕도에서번식하며, 중국에서는청도해안에서번식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봄부터가을까지강화도선두리와여차리갯벌에서채식하는것이빈번하게관찰된다. 일반적인서식지는갯벌, 하구, 호수, 양어장, 논등이며, 번식지는무인도나해안가이며, 정어리의치어, 망둑류, 새우류, 게류이다. 1987년신도에는수백마리가번식하고있었으나사람들의빈번한출입으로인하여현재는번식개체들이사라지고있다. 이종의생존을위협하는요인은무인도에인위적으로염소나토끼를방사하는것과주채식지인갯벌의감소및낚시하는사람의빈번한출입등으로생각된다. 물수리는하천, 호소, 해변등지에서식하며살아있는물고기를잡는맹금류이다. 이종은수십미터의상공에서물속에있는물고기를찾으며공중의한지점에서호버링하는일도있다. 솔개는유럽과아프리카에서일본, 한국까지넓게분포하고수리류 ( 수리과 ) 중에서흔히관찰되는종이다. 이종은구봉산북쪽에서관찰되었으며겨울철에는국내에서총 10~30개체가관찰되고있다 ( 환경부 2004). 남한에서는나그네새또는겨울철새로알려져있으나북한에서는여름철새이다. 이종의감소원인은지역에따라환경파괴, 수렵, 살충제등에의해큰영향을받는것으로알려져있다. 학명의종명 (migrans) 에서나타난것처럼, 이동하는새로알려져있으나, 가을부터겨울에어디를거쳐한국으로이동해오는지아직밝혀지지않았다. 솔개는산간부, 평야에서해안까지여러가지환경에서서식하고있으며, 특히배후 ( 背後 ) 에산림이접하는항구 ( 港口 ) 에서많은 Ⅶ. 조류 377

370 개체수가관찰된다. 항구에서는수면에떠오르는죽은물고기, 그물을끌어올리는도중에뛰는물고기, 양식장에던져지는살아있는물고기, 버려지는모든동물질의쓰레기등을먹이로하고있기때문에바다의청소부로알려져있다. 그러나솔개는살아있는동물과죽어있는여러가지동물질을먹이로하며, 그장소에가장손에넣기쉬운것을먹이로한다. 그이외에메뚜기, 나비, 매미, 소형조류를잡으려고쫓아다니는것도있다. 또수면위에서헤엄치는물고기를잡는것도있다. 둥지를떠난직후의소형산림성조류나수조류의새끼들도먹이의대상이된다. 풀이나바위위에서햇빛을쬐는뱀이나도마뱀과쥐도잡아먹는다. 그러나역시그다지노력을하지않고얻을수있는동물의시체가중요한먹이가된다. 이지역에서조류서식지로써비교적좋은환경이라고생각되는지역은북쪽에있는습지 ( 산방동 ), 해안의모래사장, 동물발자국의화석이있는지역등을들수있다. 참고문헌 김창회 조류조사지침. 제2차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 pp 환경부. 경기도. 김창회 이경규 형제도 ( 육상동물 ). p.33. [2001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 -제주도 ].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야외원색도감한국의새. LG상록재단. 서울. 300p. 환경부 년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종합보고서.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620p. 37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71 사진및설명 사진 1. 산방동습지전경 사진 2. 사구의초지 사진 3. 해안전경 사진 4 파도에의해떠밀려온쓰레기 Ⅶ. 조류 379

372 Ⅷ. 포유류 오홍식 오승철제주대학교과학교육과 요 약 본조사는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해안사구일대를중심으로이곳에서식하는포유류의서식실태를파악하고, 절멸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상중요한종들에대하여생물다양성의측면에서보전의기초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사계리해안사구주변에서서식이확인된종은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집쥐 (Rattus norvegicus) 3종에불과하였다. 관찰된종들은제주지역어디에서나서식이확인되는평범한종들이었으며, 환경부지정멸종위기나보호동물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다. 1. 서론 제주도의포유류에관한학술적보고는 Thomas(1906) 가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와등줄쥐를기록한것에서비롯된다. Thomas(1908) 는제주도산족제비를본토산족제비로부터분리하여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로명명 발표하였다. 그이후森爲三 (1923, 1928), 岸田久吉, 森爲三 (1931) 에의해제주도산포유류의분포상이알려졌다. 한라산의동물상에대해서는박 (1982),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 제주도, 1985), 오와박 (1994) 에의한ꡐ한라산의동물ꡑ및제주도에서수행한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계획관리계획수립 ( 제주도, 2000),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한라산 5개지역의포유류상에관한보고 ( 오와김, 2003) 등이있다. Ⅷ. 포유류 381

373 최근들어분류학상문제점으로제기되어온제주도산포유류의생물지리학적고찰, 종의분포나서식상황, 종별번식상황및유전학적특징등생물학적정보가상세하게밝혀지고있으나 (Yoon et al., 1997; Oh and Mori, 1998a, b, c, d; Oh et al., 1998, 2003; Iwasa et al., 2001; Oh, 2001; Han et al., 2002; Yoon et al., 2004), 제주도에분포하는해안사구의포유류상에관한연구보고는전무한실정이다. 해안사구는희귀동물의서식처이며태풍이나해일로부터육상을보호하는중요한생태계이나빈번하게나타나는해안지역개발과정에서훼손되어사라질위기에처해있다. 본조사는자연경관이뛰어나고생태적으로우수한해안사구를조사하여각종개발압력으로부터보전할수있는논리와근거를마련하고, 이를토대로자연생태계에대한효율적인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환경부와국립환경연구원에서실시하는제 2004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의일환으로, 제주도남제주군사계리해안사구일대의포유류분포와생식상황을파악하여, 보호관리를위한정보구축과환경진단이나교육에기여할수있는자료를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제공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조사시에는종별분포현황및서식실태를파악하였으며, 생물지리학상중요한제주지역특산동물의분포와적색목록에포함된동물의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2. 조사지점및조사지개황 가. 조사지개황제주도남제주군안덕면사계리해안사구는동쪽으로산방산, 북쪽으로단산, 남쪽으로형제섬과송악산, 가파도가있고, 서쪽으로는대정읍상모리 ( 산이수동 ) 와경계를이루고있는지역으로용머리, 산방산및형제섬등이위치하고있다 ( 사진 1). 명사벽계 ( 明沙碧溪 ) 라불릴정도로천혜의관광자원을갖춘곳이라연중관광객들의발길이끊이지않은곳이다. 사구뒤쪽산방산아래부분을제외하면거의노출된곳이많아일부설치류이외의다른포유류가서식하기에는적합하지않은곳이다. 조사는 2004 년 4월부터 6월까지 3회에걸쳐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외에별도로조사된자료도참고하여자료를보충하였다. 382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74 3. 조사방법 소형포유동물은생포트랩 (Sherman live traps, cm, Sherman Co. USA) 을설치하여 ( 사진 2), 포획한후종을직접동정하거나터널의입구나형태, 크기등을통해서종의서식을확인하였다. 중 대형동물은직접육안이나쌍안경으로확인하거나울음소리청취, 생태흔적 ( 발자국, 배설물, 식흔, 굴, 휴식흔적등 ) 으로서식하는종을확인하였다. 야간에는손전등을이용하여사방 100m 이내에출현하는종을조사하였다 ( 라이트센서스 ). 가. 분포도작성자연생태지도는일정한지역에대하여자연경관및생물상의희귀성, 고유성, 풍부성및지역대표성을고려하여각각의생태계 ( 산림, 하천, 농지, 도시, 호소, 해양 ) 에대한가치를등급화한지도를말한다. 한편, 자연생태지도는 1968년네덜란드에서제작된생태및환경지도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map) 로서 25Km 2 의국가격자체계 (National grid system) 에식물상과조류상을표기하기시작하여일부유럽국가들에서도생태지도또는생물서식소공간지도 (Biotope mapping) 가일반화되었다. 자연생태지도는자연생태계에관한제반정보와지식을체계적으로통합하여파악하고, 보존 관리하는데유용한공간적정보은행으로활용될수있도록개발되었다. 한편, 양서 파충류를대상으로경관생태학적인수준에서모델링한경우는버지니아대학의 Row와 Yuill(1997) 이채집및확인하거나출현가능한예측분포도를작성하여해당지역을평가한경우가있다. 본조사에서포유류의수평적분포도는매회관찰되거나채집되는종의위치에서좌표를기록하여수평적종분포상황을지도상에 Mapping 하였다. 4. 결과및고찰 제주도에서식하는동물은한국본토와공통인종들이많지만지리적 지형적조건으 로보아대륙계동물과일본및남방계의동물들이혼서한다. 또한기후가온난하고 Ⅷ. 포유류 383

375 일부고산지대를제외하면동결기간도짧아서평지에는아열대성동물과난대성동물들이많이서식하고있고, 산정으로올라감에따라점차로한대성동물이나타나는특징을보인다. 또한한반도로부터분리된이후오랜기간에걸쳐기후나기류, 섬의면적및지형등의영향을받아섬고유의변화를거쳐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식생이고도에따라수직적으로다양하게분포하기때문에다른지역에비해곤충류가매우풍부하고, 육상척추동물도지리적격리나제주도가갖는여러가지생태학적, 지리적요인의작용으로인해단순한편이나섬고유의독자적인동물상을보여주고있다. 지금까지제주도에서조사기록된육상포유류는표 1에제시한바와같이모두 5목 9과 21종이다 ( 오, 2003). 이중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와노루 (Carpreolus pygargus), 다람쥐 (Tamias sibiriricus barberi),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가우점인종으로보고된바있으며, 제주족제비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멧밭쥐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긴발뒤쥐 (Sorex caecutiens chejuensis), 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등은제주지역고유종이라할수있다. 조사결과, 제주사계리사구주변에서는제주등줄쥐 ( 사진 3과 4), 제주족제비 ( 사진 5), 집쥐 (Rattus norvegicus( 사진 6)) 등 3종의서식이확인되었고, 관찰된종들의서식밀도도매우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문헌조사에서나타난바와같이사구주변농경지에는제주땃쥐가서식할것으로보이나현지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이렇게빈약한포유동물상을보이는것은본래부터섬이기때문에섬고유의독자적인포유류상을보이는데에서기인하는점도있지만해안지역에서과거에관찰되었던종들 ( 집박쥐, 생쥐, 제주멧밭쥐등 ) 이서식지의환경변화로인해서식지를옮기거나개체군이감소하여자취를감춘것으로판단된다. 384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76 표 1. 제주도사계리해안사구주변의포유류목록 번호학명국명현지조사문헌조사비고 Class 1. Mammalia 포유 ( 哺乳 ) 綱 Order 1. Insectivora 식충 ( 食蟲 ) 目 Family 1. Soricidae 땃쥐科 1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제주땃쥐 지역고유종 2 Crocidura suaveolens coreae 땃쥐 ( 작은땃쥐 ) 3 Sorex shinto chenjuensis 제주긴발뒤쥐 지역고유종 Order 2. Chiroptera 박쥐 ( 翼手 ) 目 Family 2. Rhinolophidae 관박쥐科 4 Rhinolophus ferrumequinum 관박쥐 Family 3. Vespertilionidae 애기박쥐科 5 Myotis macrodactylus 큰발윗수염박쥐 6 Myotis formosus 붉은박쥐 멸종위기종 7 Myotis nattereri bombinus 흰배윗수염박쥐 8 Myotis daubentoni 물윗수염박쥐 9 Pipistrelus javanicus 집박쥐 10 Pipistrellus coreensis 큰집박쥐 11 Miniopterus fuscus 작은긴날개박쥐 12 Miniopterus schreibersi 긴날개박쥐 Order 3. Carnivora 식육目 Family 4. Mustelidae 족제비科 13 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족제비 지역고유종 14 Meles meles melanogenys 오소리 Order 4. Artiodactyla 소目 Family 6. Cervidae 사슴科 15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노루 Order 5. Rodentia 쥐目 Family 7. Sciuridae 다람쥐科 16 Tamias sibiricus 다람쥐 Family 9. Muridae 쥐科 17 Rattus norvegicus 집쥐 ( 시궁쥐 ) 18 Rattus rattus 애굽쥐 ( 곰쥐 ) 19 Apodemus chejuensis 제주등줄쥐 지역고유종 20 Mus musculus mollosinus 생쥐 21 Micromys minutus hertigi 제주멧밭쥐 지역고유종 종수 (Number of species) 3종 9종 Ⅷ. 포유류 385

377 참고문헌 朴行信 濟州島産哺乳類槪觀, 漢拏山天然保護地區學術調査報告書, pp , 濟州道. 朴行信 濟州道誌 - 脊椎動物. pp 濟州道. 오장근, 신용만 한라산노루의분포특성. 한라산연구소조사보고서. pp 오홍식, 김병수 제주도물장오리전국내륙습지자연환경조사보고서 ( 고등동물편 ). 환경부. pp 오홍식, 박행신 한라산의동물. 제주도. pp 오홍식, 한상훈, 윤명희, 김장근 생태환경시리즈. 한국의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오홍식 한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편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홍식, 김수철 한라산내 5개지역의포유류상.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우한정 한국의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 식물 포유류편. 교학사. 元炳旿 韓國哺乳類目 N. 慶熙大學校韓國鳥類硏究所.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 한라산기초조사및보호관리계획수립보고서 ( 육상척추동물 ). 환경부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서- 포유류편. 森爲三 濟州島及對馬の動物分布の狀を考察して內鮮兩陸分離時代と其の時代の狀態を推論す. 朝鮮 ( 雜誌 ) 一月號. pp 森爲三 濟州島の陸産動物槪論文敎の朝鮮 ( 雜誌 ) 十月號. pp Bailey, J. A Principles of Wildlife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NY, 373pp. Begon, M., J. L. Harper and C. R. Townsend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Oxford. Caughley, G. and A. Gunn Conservation Biology in Theory and Practice. Blackwell Science, Cambridge, 459pp. 386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78 Corbet, G. B The mammals of the Palaearctic region: a taxonomic review. British Museum(Na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Corbet, G. B. and J. E. Hill A World List of Mammalian Species(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dwards, P. J., R. M. May and N. R. Webb Large-scal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Blackwell, London. Han, S. H., M. A. Iwasa, S. D. Ohdachi, H. S. Oh, H. Suzuki, K. Tsuchiya and H. Abe Molecular phylogeny of Crocidura shrews in northeastern Asia: A special reference to specimens on Cheju Island, South Korea. Acta Theriologica, 47: Imaizumi, Y Natural history of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羊羊書房. Iwasa, M. A., S. H. Han, S. Ohdachi, H. S. Oh, H. Abe and H. Suzuki Karyotype and RFLP of the nuclear rdna of Crocidura sp. on Cheju Island, South Korea. J. Mammalia, 65(4): 451~459. Japan Wildlife Research Center Manual of Wildlife Research Handbook. (in Japanese). Koyasu, K Track, trails and signs of the Japanese land mammals. Nikkei Science Inc. (in Japanese). Kuroda, N Korean Mammals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Marquis Yamashina. J. Mamm. Vol. 15(No. 3), Aug. pp Kuroda, N A List of the Japanese Mammals. Tokyo, Japan. Kuroda, N A Monograph of the Japanese Mammals. Sanseido, Tokyo, Japan. Mori, T On Two New Bats from Korea, J. Chosen Nat. Hist. Soc., 16: 4. Oh, H. S Taxonomic status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population of Cheju Island,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J. of Basic Science, Cheju Nat'l Univ., 14: 87~105. Oh, H. S. and T. Mori. 1998a.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in captive of Ⅷ. 포유류 387

379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 (Rodentia, Muridae). J. Fac. Agr., Kyushu Univ., 42: 397~408. Oh, H. S. and T. Mori. 1998b. Histological studies on reproductive organs of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us. Honyurui Kagaku (Mammalian Science), 37: 103~11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c. Reproduc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Honyurui Kagaku(Mammalian Science), 38: 23~3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Oh, H. S. and T. Mori. 1998d.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A. a. chejuensis: Evidence from crossbreeding experiments (Mammalia: Rodentia). J. Fac. Agr., Kyushu Univ., 43: Oh, H. S., Y. Yoshinaga and T. Mori Reproduction in the wild populatio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 Fac. Agr., Kyushu Univ., 42: 383~395. Oh, H. S., Y. Yoshinaga, Kaneko, Iida and T. Mori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comparing external and cranial morphological characters among four Asian Apodemus species. J. Fac. Agr., Kyushu Univ., 47(2): Patton, D. R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 in forested ecosystem. Timer Press Inc. pp Rowe, J. M. and C. B. Yuill Landscape-Level Habitat Modeling for Amphibians and Reptiles in West Virginia.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V 26506(Internet data). Thomas, O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London., pp Thomas, O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388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380 Ⅱ.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 Zool. Soc. London., 1906: Thomas, O List of mammals from the Tsu-shima Island. Proc. Zool. Soc. London., p. 54. Whang, C. H Studies on the Rats in Cheju Province and Their Ectoparasites. J. Applied Zool. Soc. Vol.1, No 1, pp Wilson, R. and I. Reeder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New York. 1207pp. Won, P. O. and H. C. Won Mammals of Quelpart Island, J. Applied Zool. Soc. Vol. 1, pp Yoon, M. H., I. Kim, H. S. Oh and C. J. Phillips Biography, genetic structure and speciation in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in southern Korea. Korean J. Genetics, 26: Yoon, M. H., S. J. Jung and H. S. Oh Population structure and reproductive pattern of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Kor. J. Biol. Sci., 1: Ⅷ. 포유류 389

381 사진및설명 사진 1. 사계리해안전경 사진 2. 생포트랩설치장면 사진 3. 제주등줄쥐 사진 4. 제주등줄쥐 사진 5. 제주족제비사진 6. 시궁쥐 ( 사체 ) 390 전국해안사구조사 ( 사계 )

안테나/한지해(001~025)

안테나/한지해(001~025) 01 1 01-1 2 3 01-2 0 250 m 02 1 02-1 2 3 02-2 03 1 03-1 2 03-2 3 04 1 2 3 04-1 04-2 05 1 2 3 05-1 05-2 06 1 06-1 2 06-2 3 07 1 2 3 07-1 07-2 08 1 2 3 08-1 08-2 09 1 09-1 2 3 09-2 10 1 2 10-1 10-2 3 11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조경식물학 - 상록활엽수외 - 1. 녹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중용수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성상 : 상록활엽교목 수형 : 타원형 분포 : 난온대지역 이식 : 어려움 번식 : 실생 / 삽목 대기정화능력우수, 환경정화수 기조, 녹음, 가로수, 방풍, 방화식재 2. 생달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음수 생달나무 Cinnamomum

More information

- 1 -

- 1 - - 1 - - 2 - - 3 - - 4 - - 5 - - 1 - - 2 - - 3 - - 4 - σ σ σ σ σ σ σ - 5 - - 6 - - 7 - - 8 - log - 9 - - 10 - - 11 - - 12 - m ax m ax - 13 - - 14 - - 15 - - 16 - - 17 - tan - 18 - - 19 - tan tan - 20 -

More information

MUQNBKAYUVJY.hwp

MUQNBKAYUVJY.hwp 1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 새별오름 거문오름 노로오름 - 유영한 정헌모 공주대학교생물학과 1. 서 론 조사지역인제주도는우리나라의저위도지역에위치하고있으며, 동서방향의장축 (74km) 과남북방향의단축(32km) 을갖는타원형의모양을하고있다. 총면적은 1,824.9 km2로서행정구역단위중도로서는제일작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제주도 2006).

More information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84~299)206지도서2-3 2012.9.17 21:21 페이지284 mac01 T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1 단원의 개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물자와 사람들의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자연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교 통과 통신이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뉴질랜드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 ( 주 ) 제이앤드에이 Ÿ Ÿ Ÿ Ÿ Ÿ Ÿ Ÿ Ÿ Ÿ 2.3)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토양특성 [표 2-7]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부지 토양 특성 유효

More information

지속가능한산림자원관리지침 < 전문 > [ 별표 1] 간벌후입목본수기준 ( 단위 : 본 /ha) 수 종 가슴높이지름 ( cm )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잣나무 1,500 1,200 1,000 880 760 670 600 530 480 440 400 낙엽송 1,500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보 도 자 료 10. 21 (금) 배포 일시 총 2011. 10매(본문 2, 붙임 8) 과 장 김옥수, 사무관 임채호, 주무관 이호정 국립해양조사원 담당 해양관측과ㆍ 담 당 자 실 장 이은일, 연구사 권석재 부서 해양과학조사연구실 (032)880-0460 hojeong@korea.kr 보 도 일 시 2011년 10월 24일(월)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More information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689 216,000 100.0 100.0 100.0-5,679,338 5,462,689 216,649 100.0 100.0 100.0 - 증 )649 5,222,334 5,006,334 216,000 92.0 91.6 100.0 100.0 5,222,983 5,006,334 216,649 92.0 91.6 100.0 100.0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사가일대의식물 사가 (356121) 일대의식물 - 방문산 - 손현덕 선은미 * 목포자연사박물관 전남대학교 * 요약 1 조사지역내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총 80과 179속 187종 4아종 42변종 7품종의총 240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이지역내에서식하는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으로는 Ⅳ등급종백양꽃 1분류군, 광릉골무꽃을비롯한 III 등급종 4분류군, II 등급종층꽃나무

More information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2016-32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지구 청암동 ( 구계 ) ~ 401 20,069 (8,673) 1,675 (730) 12 건고제

More information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KOREA NATIONAL PARK SERVICE For the nature as it 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el : 02-3279-2700, 02-3279-2701 Fax: 02-3278-2785~6 E-mail: webmaster@knps.or.kr www.knps.or.kr About This Reports Contents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ZRQWOSTHTGNE.hwp

ZRQWOSTHTGNE.hwp 1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 가산 팔공산 - 안경환 윤상혁 국립환경과학원 계명대학교 1. 서 론 본조사권역은경상북도군위군, 영천시, 칠곡군, 경산시및대구시일대에위치하고 있으며, 해당도엽(1:25,000) 은군위(368151), 다부(368153), 대율(368154), 신령(368163), 칠곡(358031), 동촌(358032),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NIER-SP2013-115 11-1480523-001522-01 발간등록번호 GHS 전면시행에따른산업체교육및기술지원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고려대학교 주 티오이십일 국립환경과학원 - i - ž ž - ii - - iii - ž ž 표목차 ž 그림목차 - 2 -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ž - 3 -

More information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덕곡일대의식물 덕곡 (358014) 일대의식물 - 문수봉 - 김휘 곽지훈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덕곡면문수봉조사지역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 66 과 155 속 192 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덕곡면문수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은확인할수없었다. 특정식물종 5 급은확인되지않았다. 식물구계학적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4급으로는선포아풀이있었고 3등급으로는물박달나무다수개체가확인되었다.

More information

- 2 -

- 2 - 작품번호 37 Solar material 로쓰일수있는검정색물질의재발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화학 2009. 5. 13 시 군 학교 ( 소속 ) 학년 ( 직위 ) 성 명 성남시풍생중학교 2 김호기, 이희원 지도교사풍생중학교교사김경원 - 1 - - 2 - - 3 - - 4 - - 5 - - 6 - - 7 - 석탄은주로탄소로구성되어있고, 수소와산소가들어있다. 이밖에질소

More information

도감본문(수정)~10p

도감본문(수정)~10p 두번째이야기 덩굴나무 두번째이야기덩굴나무 6 0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4 5 6 6 5 4 7 8 9 P. densiflora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P. densiflora for. erecta 0 6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8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덩굴나무차례 9

More information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More information

........01~11

........01~11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www.withbuyer.com 2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3 4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Highquality news for professionals 5

More information

ad-200200004.hwp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 조달청 2014 계약가격 ] No G2B 식별번호품명규격단위 2014 계약가격 1 22210739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01, 다년초, 가래, 초장 5~10cm, 2~3 분얼본 520 2 22210740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02, 다년초, 각시둥굴레, 초장 5~20cm, 10.2cm 포트본 600 3 22210741

More information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계열 (2) - 1. 서부해당화 음양성 : 양수 서부해당화 Malus prunifolia 성상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 구형 번식 : 실생 / 접목 적색의꽃, 적색열매가아름다움 기조, 강조식재 2. 마가목 음양성 : 음수 마가목 Sorbus commixta 수형 : 타원형 이식 : 어려움 전정 : 보통 번식 : 실생 / 접목 / 취목 흰색꽃과적색열매가아름다움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05 ƯÁý

05 ƯÁý Special Issue 04 / 46 VOL. 46 NO. 4 2013. 4 47 Special Issue 04 / 48 VOL. 46 NO. 4 2013. 4 49 S pecial Issue 04 / IHP 7단계 연구사업 구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연최대 강우량 침수면적 인명피해 재산피해 그림 4. 시군구별 연 최대 강우량과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 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ii 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 v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ii vi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x x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 x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ii x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제 1 장서론

More information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4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SO2, 아황산가스)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SO2)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의

More information

T...........hwp

T...........hwp 성인 미성년자 25.0% 20.0% 15.0% 10.0% 5.0% 0.0% 21.6% 22.4% 18.2% 17.5% 10.5% 6.3% 3.5% 백분율 어린이 청소년 회원 일반시민 환경지도자 초중등교사 기타 50.0% 40.0% 30.0% 20.0% 10.0% 0.0% 23.8% 45.2% 11.9% 7.2%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진상일대의식물 진상 (357154) 일대의식물상 - 억불봉 - 김휘 박유철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진상면 (357154) 지역의억불봉 (1,008m) 일대에대한식물상조사에서총 100과 137 속 332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진상면억불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II급인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Nakai) 를확인할수있었다.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More information

MRIO (25..,..).hwp

MRIO (25..,..).hwp 공공투자사업의지역경제파급효과추정을위한 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구축및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제 Ⅰ 장문제의제기 1 제Ⅱ장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분석의추이및문제점 7 제Ⅲ장 MRIO 모형구축을위한방법론검토 17 제Ⅳ장 KDI MRIO 모형의구조및특성 37 제Ⅴ장 KDI MRIO 모형의세부구축방법 60 제Ⅵ장 KDI MRIO 모형의추정및결과 120 제Ⅶ장

More information

rr_ _대한민국녹색섬울릉도.독도프로젝트(수정).hwp

rr_ _대한민국녹색섬울릉도.독도프로젝트(수정).hwp 2010-07 대한민국녹색섬울릉도 독도프로젝트 - 에너지 환경부문 -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8.. 2009,... ( 단위 : km2, 명, CO 2 톤, %) (2010) 1,848.4 (2,552) 382.1 (528) 367.9 (509) 303.3 (419) 303.1 (419) 98.4 (136) 72.3 (100) (2008) 562,663

More information

경영학회 내지 최종

경영학회 내지 최종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iv v vi vii viii ix x 1 2 3 4 5 6 경제적 요구 생산성 경쟁력 고객만족 수익성제고 경제성장 고용증대 외부여건의 변화: 범지구적 환경문제의 심화 국내외 환경규제의 강화 소비자의 의식 변화 환경비용의 증대 환경단체의 압력 환경이미지의 중요성 증대 환경적 요구 자원절약 오염예방 폐기물저감 환경복구 삶의 질 향상 생태계 보전 전통적 경영 경제성과

More information

Ⅰ. 석면 1 1)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Glossary of geology, 2008, http://glossary.agiweb.org 2) US OSHA standard 29CFR1910.1001(b) 2 석면분석전문가양성교육교재 : 편광현미경을이용한고형시료중석면분석 1) Cornelis Klein, The Manual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서 2009-05 일반화선형모형 (GLM) 을이용한 자동차보험요율상대도산출방법연구 Ⅰ. 요율상대도산출시일반화선형모형활용방법 1. 일반화선형모형 2 연구보고서 2009-05 2. 일반화선형모형의자동차보험요율산출에적용방법 요약 3 4 연구보고서 2009-05 Ⅱ. 일반화선형모형을이용한실증분석 1. 모형적용기준 < > = 요약 5 2. 통계자료및통계모형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More information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2010. 09. 28.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목 차 Ⅰ. 탐구주제 02 Ⅱ. 탐구하게된동기 02 Ⅲ. 배경이론 02 1. 유글레나의특징가. ph 나. 온도 Ⅳ. 선행연구고찰 03 1. 산소결핍과인체에미치는영향

More information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그린홈이용실태및 만족도설문조사 - 2009. 11.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정순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 설문조사 2009. 11. 책임연구원 정순희 (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

More information

차례

차례 작품번호 1819 울산태화강의겨울철철새 모니터링자료와서식환경간의 비교연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환경 212. 7. 9. 구분성명 출품학생 지도교사 정유정 정선명 조은아 김동호 차례 - 1 - Fig 1. 태화강조류조사 site - 2 - - 3 - - 4 - - 5 - - 6 - Table 1. 모니터링실시날짜 년 21 211 212 1.9 1.16 1.8

More information

목 차 국문요약 ⅰ ABSTRACT ⅲ 그림목차 ⅴ 표목차 ⅵ 1 1 3 4 4 5 6 9 11 11 13 16 32 32 3.1.1 초고층건축물의정의 32 3.1.2 대상모델개요 32 3.1.3 대상모델의모델링 35 3.1.4 CFD 해석의경계조건 38 3.1.5 CFD 시뮬레이션 42 53 3.2.1 적용프로그램 54 3.2.2 풍압의적용 54 3.2.3

More information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1 진도소권역일대의식생 진도소권역일대의식생 - 지력산, 첨찰산, 여귀산 - 양금철 한미경 ¹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¹ 생물학과 요약 본조사에서는전체총 10개도엽 38개격자에서수정, 추가되어 21개의군락이조사되었다. 전평가단위에서식생보전등급 Ⅱ등급은첨찰산평가단위에서는첨찰산일대, 쌍계사부근의상록활엽수림 ( 천연기념물제107호 ) 및덕신산남사면에분포하는졸참나무-소사나무군락,

More information

3 Contents 8p 10p 14p 20p 34p 36p 40p 46P 48p 50p 54p 58p 생명다양성재단 영물이라는 타이틀에 정 없어 보이는 고양이, 날카롭게 느껴지시나요? 얼음이 따뜻함에 녹듯이, 사람에게 경계심 많은 길고양이도 곁을 내어주면 얼음 녹듯이 당신을 바라봅니다. 길 위에 사는 생명체라 하여 함부로 대하지 말아주세요. 싫으면 외면해주세요.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2012-82 The Study on the Alternative Pla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in Palgong-Mountain , i ii iii iv v ? vi vii 제 절연구배경및목적 연구배경과필요성 연구목적 제 절연구범위 연구내용및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제 절선행연구고찰 주요개념 관련연구

More information

기업분석(Update)

기업분석(Update) 1.. Quantitative Analyst 이창환 91-73 ch.lee@ibks.com Sector Monitor: 업종별수익률 : Cyclical 업종이 Defensive 업종대비아웃퍼폼 이익모멘텀 : 1개월전대비 EPS 전망치변화율은업종전반적으로 (+) 를기록. ERR 역시전반적으로 (+) 를기록한가운데 와, 업종이두드러짐. 개월선행 EPS 전망치는,,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2012. 9 목 차 추진배경 1 주요성과와반성 3 정책과여건 11 추진체계 16 세부추진과제 21 1. 어린이기호식품안전판매환경조성 23 1-1.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지정및관리강화 26 1-2. 어린이기호식품판매환경개선 30 2. 어린이식생활안심확보를위한안전공급체계구축 39 2-1. 어린이단체급식의안전관리및품질개선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생태정보관리시스템을활용한생물다양성의 가치평가 손민수, Brian H.S. Kim 환경부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공동연구자연세대학교허준연세대학교박준홍연세대학교오경주 2 연구목표및추진체계 연구의필요성 각생물체별다양성측정방법들은다양하게존재하나, 대상생태지역에대한총체적생물다양성을측정 / 산정하는표준화된방법이없음. 생태환경관리에필요한동물, 식물,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005. 12. i iii iv v vi vii viii ABSTRACT A Study on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ix x XXXXXXXXXXXXX xi xii xiii xiv x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More information

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

BTXHINECYMSR.hwp

BTXHINECYMSR.hwp 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 무갑산 양자산 천덕봉 국수봉 - 양금철 신진호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1. 서론 식생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 자원을찾는데그목적이있다.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이라함은희귀 성, 대표성, 전형성을포함하는것으로서자연식생, 극지의입지에남아있는유존식생, 식 생발달에오랜시간이걸리는식생유형을말한다.

More information

03Ȳ»óÀÏ

03Ȳ»óÀÏ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astal Terraces at Jigyeong-Ri, the Areal Boundary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Sang-Ill Hwang*, Soon-Ock Yoon**, and Han-San Park***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eco-academy(....).hwp

eco-academy(....).hwp Ⅰ. 환경과 더불어 사는 인간 Ⅱ. 깨끗한 공기로의 회복 Ⅲ. 맑고 풍부한 물 Ⅳ. 흙을 살리는 길 Ⅴ. 자원으로서의 폐기물 Ⅵ. 지구적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 Ⅶ. 여성과 환경 - 에코페미니즘 Ⅰ. 환경과 건강 그리고 질병 Ⅱ. 환경 호르몬 Ⅲ. 약물 오 남용 및 중독의 이해 Ⅳ. 생명과 환경을 살리는 먹거리 Ⅴ. 친환경적 농업 Ⅵ. 건전한 소비 - 효율적인

More information

04(오영주)p fm

04(오영주)p fm Weed Turf. Sci. 3(4):276~283 http://dx.doi.org/10.5660/wts.2014.3.4.276 Print ISSN 2287-7924, Online ISSN 2288-3312 Research Article Weed & Turfgrass Science Weed & Turfgrass Science was renamed from both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성장을선도하는폐기물처리시설조성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간부회의 - 주간실적및계획 - 주요업무실적및계획 2012. 08. 13 국립수산과학원 운영지원과 1. 서무 ᆞ 시설관리 2. 용도 회계 3. 선박관리 1. 서무 ᆞ 시설관리 2. 용도 회계 - 1 - 조직인사과 1. 조직혁신 2. 인사성과 3. 청렴관리 1. 조직혁신 2. 인사성과 3. 청렴관리 - 2 - 연구기획부 1. 연구관리 지원 2. 홍보및대외협력

More informa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연합뉴스) 마이더스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2012. 04 Vol. 98 Cover Story April 2012 _ Vol. 98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www.yonhapmidas.co.kr Contents... 14 16 20 24 28 32 Hot News 36 Cover Story 46 50 54 56 60

More information

1. 경영대학

1. 경영대학 [ 별표 1] 1. 교육과정의영역구성및이수점표 경 영 농 업 생 명 과 동물생명과 과 ( 부 ) 명 경영 회부 ( 경영전공 ) 교 최소전공필수선택 심화점 7 12 1 18 38 18 27 45 0 45 47 단일전공 27 72 20 경영 회부 0 45 47 7 12 1 18 38 21 24 45 ( 회전공 ) 단일전공 27 72 20 경제 무역부 0 45 47

More information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1(5): 68~77, 2013. 10. http://dx.doi.org/10.9715/kila.2013.41.5.068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More information

<C7A5C1F62DB8F1C2F72E687770>

<C7A5C1F62DB8F1C2F72E687770> 당해 당해 사업이 사업이 대기질 대기질 및 악취에 악취에 영향을 영향을 주는 주는 사업일 사업일 경우 경우 기초자료 기초자료 확보 확보 지형지질 지형지질 특성자료 특성자료 검토 검토 특이한 특이한 지형지질이 지형지질이 분포하는가? 분포하는가? Yes 영향이 영향이 예상되는가? 예상되는가? Yes 보호대책 보호대책 수립 수립 No No 절토사면고가 절토사면고가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G01F 23/02 (2006.01) G01F 2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96769 (22) 출원일자 2007년09월21일 심사청구일자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지하수위 관측장치 2007년09월21일 (11) 공개번호 10-2009-0031004

More information

- i - - ii - - i - - ii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More information

CONTENTS.HWP

CONTENTS.HWP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More information

INDUS-8.HWP

INDUS-8.HWP 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More information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actus standard nutrient solution for hydroponic culture in potted succulents, Echeveria derenbergii, Sedeveria Letizia and Cotyledon

More information

BMYIHXZUOVDO.xls

BMYIHXZUOVDO.xls 1 좌사일대의식물 좌사일대의식물 - 154.5고지 - 도재화 국립환경과학원 김용현 경원대학교 요약 1 조사지역내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 34목 63 과, 142 속, 139 종, 24 변종, 1 품종, 1잡 종의총 168 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IV등급종은비진도콩 1 분류군, III등급종까마귀쪽나무등 6 분류군, II등급종층꽃나무등 1 분류군,

More information

_report.hwp

_report.hwp 해외출장복명서 ( 일본기타큐슈, 교토, 오사카 ) 2009. 9 녹색국토 도시연구본부이승욱 - 차례 - 1. 해외출장개요 1 2. 주요내용및시사점 2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2 2. 교토카모강 14 3. 오사카요도강 16 3. 방문기관및안내자 1. 목적 2. 출장일정및출장지 - 1 -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 무라사키강전경 > - 2 - < 무라사키강하류에입지한산업단지전경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 4 - - 5 - - 6 - 주행방향 900 Φ100 재귀반사체 지주 주행방향 1100 120 40 200 740 900 120 45 원형재귀반사체 Φ100 검정색바탕도색 흰색합성수지지주 - 7 - 옹벽 900mm 900mm 노면 옹벽 900mm 900mm 노면 - 8 - - 9 - - 10 - - 11 - - 12 - 0.9

More information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82830363031323129B1E8B1A4C0D32E687770>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82830363031323129B1E8B1A4C0D32E687770> KEI 2005 RE-04 연구보고서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 방안 - 심미적 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김광임 박용하 최재용 박재근 박소현 KEI 2005 RE-04 연구보고서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 방안 - 심미적 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김광임 박용하 최재용 박재근 박소현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More information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 식산 국사봉 수인산 - 박문수 이광명 순천대학교산림자원학과 요약 조사대상지내 2영급이상의현존식생은산지낙엽활엽수림은신갈나무군락등 24개군락, 산지침엽수림은소나무군락등 11개군락, 산지습성림은서어나무-굴참나무군락등 2개군락, 식재림은리기다소나무 -소나무식재림등 2개식재림으로나타나본소권역에서수치지도에기재된식물군락은총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1. 지구단위계획구역결정 ( 변경 ) 조서 가. 총괄 ( 변경없음 ) 도면표시번호 구역명위치 기정 면 적 ( m2 ) 변경후 변경 계 1단계 2단계 비고 - 수원시영통구매탄동, 이의동, 광교지구원천동, 하동, 팔달구우만동, 제1종지구단위계장안구연무동일원획구역용인시수지구상현동,

More information

<B1B9BEEE412E687770>

<B1B9BEEE412E687770> 21 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및정답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2018.5. - 2018.12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경이변화되는과정을추적하고해석하여광주광역시의각자연환경인자별자연환경지표 ( 기준 ) 를미래지향적으로설정하며,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연번주요지적사항처분요구조치현황 감사결과처분요구및조치현황 No. 1 m () ( : ) 3 [(1),, ], 2. 3 2013 6~12 11( 2.7), 399KW. - 2 - m (-6933, `12.5.2) (2014-56),,,,.,.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More information

01 02

01 02 아라뱃길 아라뱃길의 수향4경으로 대포분수, 아라뱃길 이야기마당 등 시민을 위한 친수 공간과 야생초화류가 만발하는 야생화 테라스 가든을 조성할 예정인 이곳은? (4p 참조) 1 귤현워터프론트 2 시천워터프론트 3 환경교 4 마리나리조트 2011년 8월호 뱃 아라 길 응모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당첨되신 분께는 소정의 상품을 보내드립니다.(문의 : 042-629-2230)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0714-01 http://rri.ekr.or.kr Reforms of Code Structure fo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sign Standards (Ⅰ)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