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C O N T E N T S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C O N T E N T S 006 010 010 010 011 011 013 014 017 022 022 024 "

Transcription

1

2 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C O N T E N T S

3 요약자료집 Ⅰ 머릿말 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한 중 철 기 자 료 집 Ⅵ 4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

4 Ⅰ. 머릿말 인류 문명을 공고하게 하는데 근간을 이루었던 철 문화는 중국과 한반도지역에서도 찬란한 꽃을 피웠 다. 특히 중국 동북지역을 포함한 한반도는 이 문화를 바탕으로 고조선을 비롯하여 고구려, 백제, 신라 등과 같은 고대국가가 발생, 발전하게 되는 기원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철기유물이 처음 도입, 사용된 것이 대략 기원전 300년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때부터 기원전후한 때를 우리는 보통 (초기)철기시대 라고 한다. 한반도에 언제, 어떻게 철기가 유입되고 사용 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과 연구성과가 있어 왔는데, 대체로 한반도의 철기문화는 현재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연구진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은 중국지역과 한반도 철기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당지역인 한반도 지역과 중국지역의 초기철기가 출토된 유적들과 철기유물들에 대한 자료를 집성하 기 위한 한 중 고대철기문화 비교연구 를 실시하게 되었고, 그 산물로 한 중 철기자료집 Ⅰ~Ⅴ까지 한반도와 중국지역간 비교연구를 할 수 있는 자료를 발간하였다. 한 중 철기자료집 이 발간되기까지 연구에 참여한 주요 연구진과 자문위원은 다음과 같다. 연구진(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책임연구원 최맹식(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2013, 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이상준(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3) 임승경(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2013, 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박윤정(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3) - 연구원 소재윤(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 - 자문위원 지병목(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2011~2012, 현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김무중(전 중부고고학연구소) 이남규(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정대영(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 현 동양대학교 문화재발굴보존학과)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그밖에 자료의 번역 및 통역 등을 위해 김홍수, 이영수, 유해연, 신이슬(이상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 구실), 이광명(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현 영남대학교 박사과정) 등의 도움이 있었다. 이렇게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추진된 한 중 고대 철기문화 비교연구 사업을 통해 발간된 자료집 은 총 6권으로 기본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 중 철기자료집 Ⅰ- 중국 동북지역 출토 철기 : 능원 안장자고성지 등 82개 유적(2011년) 한 중 철기자료집 Ⅱ- 하북성 지역 연국( 燕 國 )철기 : 연하도유적 등 15개 유적(2012년) 한 중 철기자료집 Ⅲ- 한반도 북부지역의 초기철기 : 회령 오동유적 등 41개 유적(2012년) 한 중 철기자료집 Ⅳ- 한반도 남부지역의 초기철기 : 가평 대성리유적 등 28개 유적(2013년) 한 중 철기자료집 Ⅴ- 중국 하남성 산동성지역의 초기철기 : 하남성 삼문협시 괵국묘지 등 47 개 유적(2013년) 한 중 철기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 Ⅰ~Ⅴ권 주요 내용 요약(2013년) 본권인 한 중 철기자료집 Ⅵ은 각 지역별로 발간된 Ⅰ~Ⅴ권의 주요내용 요약되어 있으며, 그 외에 연구진행 과정, 지역별 지리 고고 역사학적 개요, 유적 및 철기유물에 대한 출토경향에 대하여 정리 하였다. 정태은(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2013) 류위남(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 현 서울시청) 김새봄(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2) 김보람(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3) 6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7

5 요약자료집 Ⅱ 연구 목적 및 경과 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한 중 철 기 자 료 집 Ⅵ 8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9

6 Ⅱ. 연구 목적 및 경과 나. 시간적 범위 초기철기시대 는 청동기시대에 이어 새로이 유입된 철기문화를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2) 그러나 초 기철기시대 는 한국고고학 시대구분에서만 사용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중국과의 비교연구에는 그리 적 1. 목적 및 범위 가.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고고학에서 초기철기시대 를 대체로 기원전 300년 무렵부터 기원전 100년경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 에는 연( 燕 )나라의 영향으로 주조철기가 보급되면서 철기문화가 시작되지만 아직은 철 소재와 철기의 대량 생산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단계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1) 한민족 고대국가의 발생 조건 가운데 하나로서 철기의 사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바, 한반도에 철기문화가 언제,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지금도 계속된다고 볼 수 있다. 2011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한민족 역사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는 한민족 철기문화와 인접지역(중국 동북지역, 하북지역, 연해주지역 및 일본 등 기타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민족 철기문화, 나아가 고대문화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즉, 철기 문화의 유입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한반도 고대국가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기반을 확 충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1) 먼저 중국 동북지역을 비롯한 인접지역의 철기문화와 관련한 자료들을 축적, 이에 대한 학술자료(자료집 등) 발간, 2) 자문회의, 포럼 등을 통해 학계의 다양한 연구성과를 파악하고 객관 적 의견수렴 등 여러 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럼으로써 한반도지역과 중국지역의 철기문화의 관련성 여부 를 진단하여 한국 철기문화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밝히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반도 철기문화의 발생, 또는 유입과 관련, 가장 관련이 깊다고 파악되는 지역은 1전국시대 연국( 燕 國 )이 위치하고 있던 하북성지역 일대와 2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되어 존속한 낙랑군이 있었다고 알려 합하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의 철기의 유입과 사용 이라는 초기의 철기문화에 초점을 맞 추어 시간적 범위는 한반도에 철기가 도입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기원전 300년 ~ 기원전후(일명 초기 철기시대 ~ 원삼국시대 초기 )까지 중국의 철기문화와 한반도 철기문화를 비교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 였다. 3) 시간적 범위는 중국 왕조상으로 전국시대 ~ 서한시기까지이다. 기원전 300년 전후한 시기는 제 ( 齊 ) 진( 秦 ) 조( 趙 ) 연( 燕 ) 초( 楚 ) 위( 魏 ) 한( 韓 )의 이른바 전국7웅( 戰 國 七 雄 ) 이 스스로 왕( 王 ) 을 칭하여 각국간 견제와 다툼이 극심하였고, 진왕 정( 政 )이 80여년 뒤인 기원전 221년 중국지역을 통 일하였으나 기원전 206년 멸망하였다. 뒤를 이은 유방( 劉 邦 )의 한( 漢 )이 항우( 項 羽 )의 초( 楚 )를 무찌르 고 기원전 202년 다시 통일을 이룬다. 한은 무제( 武 帝 )대 이르러 활발한 대외 공략으로 가장 넓은 영토 를 유지하였으나 서기 8년 왕망( 王 莽 )이 신( 新 ) 나라를 세워 황제에 오르면서 한 왕조( 前 漢, 또는 西 漢 이 라 함)는 무너지고 만다. 4) 한편,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역은 고조선이 위치하고 있었다고 하는데, 기원전 3세기경 연의 장군인 진 개( 秦 開 )의 침략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위만( 衛 滿 )의 등장으로 위만조선(기원전 194~108년)이 성립, 현재의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강고한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기원전 108년 멸망하였고, 그 자리에 낙랑( 樂 浪 )을 비롯한 군현이 설치되었다. 고조선이 멸망하기 전후,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부여( 夫 餘 ), 두만강 일대에는 옥저( 沃 沮 ) 등이 등장하였으며, 한반도 남부지역은 삼한의 모태인 진국( 辰 國 ) 이 존재하였다고 전한다. 5) 다. 지역적 범위 선정한 지역은 크게 1중국 동북지역(요녕성, 길림성, 내몽고자치구 일대), 2중국 하북성지역(북경, 지는 평양 일대 서북한 지역으로 나뉜다. 그러나 북한지역은 현지조사를 실시할 수가 없어 동북지역 및 하북성지역 위주로 조사, 자료집 등을 발간하였다. 1. 한국고고학회, 2011, 개정신판 - 한국고고학강의, 사회평론, p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고고학사전, 그러나 초기철기시대 를 설정하는 데 대한 많은 연구자들의 지적이 있다. 1 초기철기시대 라는 명칭이 중기나 후기의 설정도 없이 초기만을 시대구분으로 하는 것은 어색한 점, 2세형동검과 점토대토기 등을 포함하는 것은 가장 청동기적 인 요소를 초기철기시대로 분류하는 오류를 범한다는 점, 3초기철기시대의 개념을 철기의 등장으로 정의하면 시기폭이 150~200년에 지나 지 않아 하나의 고고학적 시대로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는 점, 4초기철기시대는 선사단계가 아니며 역사시대(적어도 원사단계)이기 때문 에 역사시대로 편입시켜야 한다는 점 등을 들어 초기철기시대시대에 대한 시대구분론 상 입지가 약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최성락, 국립문화재 연구소 편, 2012, 한국고고학 시대구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고고학시대구분론 외부전문가 초청포럼 자료집 3. 일부 유적의 경우, 앞 시기 유물들과의 비교 및 연속성 파악 등을 위해 서기 2세기(중국 동한, 또는 후한, 한반도 (원)삼국시대)대 유적도 일부 포함시켰다. 본권 Ⅲ-3 유적연대표 참조. 4. 동양사학회, 1997, 槪 觀 東 洋 史, 지식산업사. 5. 국사편찬위원회, 2013, 한국사 4(초기국가 고조선 부여 삼한), 탐구당. 10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11

7 천진, 하북성 일대), ③중국 중원에 해당하는 하남성 및 산동성 등으로, 그밖에 한반도지역은 편의상 한 2. 주요 사업 및 진행과정 반도 북부(북한)와 남부(남한)로 나누었다. 후술하겠지만, 현지조사는 중국 동북지역(2011년) - 하북 성지역(2012년) - 하남성 산동성지역(2013)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한반도 지역은 발굴조사 보고서 등 문헌자료로 진행하였다.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사업은 2011년부터 올해인 2013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연도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한 중 고대 철기문화연구 주요 사업내용(2011 ~ 현재) 연도 연차 주요사업 내용 한 중 고대 철기문화연구 중국 현지조사 실시 ~7.8, 중국 요녕성 일대, 요녕성박물관 등 13개 기관 한 중 철기자료집 Ⅰ 발간 - 요녕성, 길림성 및 내몽고자치구편, 朝陽 袁台子遺蹟 등 82개 유적 동북지역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 - 燕國 철기문화의 형성과 확산 개최(5.25~26, 철박물관) - 중국 전국시대 燕國 철기문화와 한반도, 연해주, 일본지역 초기철기문화 소개 하북성지역 한 중 고대 철기문화연구 중국 현지조사 실시 ~29, 중국 북경시, 천진시, 하북성 일대, 중국 국가박물관 등 8개 기관 한반도북부지역 한 중 철기자료집 Ⅱ 발간 - 하북성 출토 연국철기편, 易縣 燕下都유적 등 15개 유적 한 중 철기자료집 Ⅲ 발간 - 한반도 북부지역편, 회령 오동유적 등 41개 유적 한반도남부지역 하남 산동성지역 한 중 철기자료집 Ⅳ 발간 - 한반도 남부지역편, 가평 대성리유적 등 28개 유적 2013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 - 중국 전국시대 철기문화와 동아시아 개최(6.19~20, Hotel Interciti) - 중국 전국시대 燕國 철기문화의 한반도 및 일본지역과의 관계 - 중국지역과 한반도 철기의 성분비교 -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 이외지역의 철기문화 등 그림1) 조사 연구대상지역 한 중 고대 철기문화연구 중국 현지조사 실시 - 8.5~14, 중국 하남성 정주시, 낙양시, 산동성 제남시, 치박시, 청도시 등 한 중 철기자료집 Ⅴ 발간 - 하남성, 산동성지역 초기철기편, 고형진 야철유적 등 47개 유적 한 중 철기자료집 Ⅵ 발간 - 한 중 철기자료집 Ⅰ~Ⅴ 주요내용 요약 수록 12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13

8 가. 중국 고대 철기문화 관련 현지조사(2011~2013) 1) 2011년 조사 - 조사기간 : (수). ~ 7. 8(금). - 조사지역 : 중국 요녕성 일대(심양시, 본계시, 금주시, 대련시 등) - 조 사 자 : 지병목(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장, 현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정태은(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정대영(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현 동양대학교 교수) 류위남(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현 서울시청 학예연구사) 요녕성 문물고고연구소 관계자 간담회 안산시 철생산광경 모형(안산박물관) 표 2) 2011년도 조사일정 일자 행선지 방문기관 업무수행내용 6.29(수) 인천 심양 - 조사단 출국 KE833 (6월 29일 15:00 출발, 6월 29일 15:45 도착) 6.30(목) 심양 요녕성 문물고고연구소 요녕성 박물관 - 요녕성 문물고고연구소장 대담 및 전시유물 촬영 조양 원대자 유적 봉성 유가보자 유적 - 요녕성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서풍 서차구묘지 환인 망강루 유적 7.1(금) 심양 건평 조양 건평박물관 - 건평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7.2(토) 7.3(일) 조양 능원 금주( 錦 州 ) 심양 심양 요양 안산 심양 조양 북탑박물관 요양박물관 안산박물관 7.4(월) 심양 환인 심양 오녀산성박물관 7.5(화) 심양 본계 단동 본계박물관 7.6(수) 단동 금주( 金 州 ) 대련 단동박물관 금주박물관 7.7(목) 대련 여순 대련 여순 박물관 7.8(금) 대련 인천 - 조양 북탑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 능원 안장자 고성 - 금주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 요양 박물관 견학 전시유물 촬영 요양 태평구 유적 거취현 유적 영수보 유적 등 6개소 - 안산 박물관 견학 전시유물 촬영 양초장 유지 사하동지 묘군 - 청 영릉 - 오녀산성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환인 추수동 유적 소황구 유적 삼도하자 - 오녀산성 - 자료 구매 - 본계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남분화차참 유적 본계 괴석동 유적 환인 삼도하 유적 - 단동 박물관 견학 - 금주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 여순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여순 노가촌 유적 - 대련 한묘 박물관 전시유물 촬영 - 자료 구매, 조사단 귀국 KE870 (7월 8일 14:30 출발, 7월 8일 17:30 도착) 금주( 錦 州 )박물관 전경 2) 2012년 조사 여순박물관 전경 - 조사기간 : (수). ~ 7. 8(금). - 조사지역 : 중국 북경시 천진시 하북성 일대(석가장시, 당산시, 역현 등) - 조 사 자 : 정태은(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김새봄(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현 영남대학교 박사과정) 이광명(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현 영남대학교 박사과정)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일자 행선지 방문기관 업무수행내용 6.20(수) 인천 북경 중국 국가박물관 - 조사단 출국 KE855 (6월 20일 11:05 출발, 6월 20일 12:10 도착) - 중국 국가박물관 관람 및 전시유물 촬영 (연하도 유적, 하북성 숭덕시 흥륭현 고동구유적 ) 6.21(목) 6.22(금) 북경 천진 천진 석가장 북경수도박물관 천진박물관 하북성박물관 하북성문물연구소 6.23(토) 석가장 역현 낭방 연하도유적 6.24(일) 낭방 당산 북경 표 3) 2012년도 조사일정 낭방박물관 당산박물관 6.25(월) 북경 - 귀국(KE856, 13:10) - 북경 수도박물관 관람 및 전시유물 촬영(북경 순의구 남가영, 북경 해정구 청하진 주방향 유적) - 천진 박물관 관람 및 전시유물 촬영(천진시 평원지구 유적) - 천진 거갈장, 장귀장 유적 - 하북성박물관 관람 및 전시유물 촬영 (신락시 하가장, 보정시 남손각장, 동흑산유적) - 하북성문물연구소 소장유물 촬영(숭덕시 쌍봉사유적) - 중산고성유적 - 역현 연하도유적(유물전시관 소장유물 촬영) - 낭방박물관(삼하시 착교촌유적) - 당산박물관(당산시 동환타유적) - 당산시 동환타유적 14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15

9 국가박물관 전시 전국철기유물 수도박물관 전경 석문곽유적 주변 유적답사 낙양박물관 전경 연하도유적 성벽단면 당산시 동환타유적 전경 제국고성 복원모형(임치제국박물관) 산동성박물관 철기재련 모형 3) 2013년 조사 나.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2012~2013) - 조사기간 : (월). ~ 8. 14(수). - 조사지역 : 중국 하남성(정주시 낙양시 등), 산동성(제남시 등) 일대 1) 2012년 학술포럼 - 조 사 자 : 정태은(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 주 제 :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학술포럼 - 燕國 철기문화의 성격과 확산 이영수(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 주 최 : 국립문화재연구소 김보람(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연구원) - 기 간 : (금).~26(토).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장 소 : 철박물관(충북 음성군 소재) - 참석자 : 이남규(한신대학교) 등 발표자 11명 및 관계분야 전문가 표 4) 2013년도 조사일정 일자 8.5(월) 8.6(화) 16 지역 방문기관 인천 정주 무강 주마점 전국야철유지 무강시야철유지군 표 5) 2012년도 학술포럼 행사일정 업무수행내용 - 출국(대한항공KE0809, 08:00~09:25) - 주마점 전국야철유지 - 무강시야철유지군(구두조) 일차 - 무강시야철유지군(석문곽) - 수당낙양성, 낙양박물관, 한위낙양성 성명 소속 이남규 한신대학교 白雲翔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石川岳彦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徐海峰 중국 하북성문물연구소 정인성 영남대학교 발표 주제 기조강연 :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 연구동향 기조강연 : 전국에서 서한시기까지의 연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그 특색 무강 낙양 낙양박물관 8.7(수) 낙양 고형진 정주 낙양공작참 고묘박물관 고형진 한대야철유지 - 낙양공작참, 고묘박물관(전시유물 촬영) - 고형진 한대야철유지 8.8(목) 정주 학벽 하남성문물고고연구소 하남박물원 - 정주 하남성문물고고연구소, 하남박물원 중국 북경시문물연구소 경진지역 전국 진한시기 연나라계통 철기 및 야철유적 학벽 안양 제남 내황 삼양장유지 박물관 - 학벽시 야철유적, - 내황 삼양장유지 박물관 郭京寧 8.9(금) 홍형우 국립문화재연구소 흑룡강 연해주 일대 초기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8.10(토) 제남 산동성박물관 제남시박물관 - 산동성박물관, 제남시박물관(전시유물 촬영) 김일규 서울문화유산연구원 8.11(일) 제남 치박 임치제국 역사박물관 김상민 일본 九州대학 한반도 서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양상 우병철 영남문화재연구원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笹田朋孝 일본 愛媛대학 8.12(월) 치박 청도 8.13(화) 청도 8.14(수) 청도 인천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 치박 임치제국역사박물관, 제국고성관련유적(순마갱 방문) - 치박 즉묵고성, [청도]자료구매 청도시박물관 1일차 (5.25) - 청도시박물관, 자료발송 귀국(대한항공KE0846, 11:50~15:10) 2일차 (5.26) 연하도유적 철기문화의 성격 중국 하북지역 전국에서 서한시기까지 연나라계통 철기 및 야철유적 연하도유적 토기와 와의 특징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일본에 나타나는 중국과 한반도 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종합토론 : 좌 장 : 이남규(한신대학교) 요약자료집 17

10 발표자 및 관계자 사진촬영 학술포럼 초청장 발표자 및 관계자 사진촬영 토론 진행 광경 학술포럼 초청장 토론 진행 광경 2) 2013년 학술포럼 - 주 제 :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학술포럼 - 중국 전국시대 철기문화와 동아시아 - 주 최 : 국립문화재연구소 3) 학술포럼 주요 성과 - 기 간 : (수).~20(목) 년도 포럼은 중국지역, 연해주지역, 한반도, 일본지역 등 동북아시아 전체 지역에 대한 연구성과 - 장 소 : Hotel Interciti(대전 유성구 소재) - 참석자 : 이남규(한신대학교) 등 발표 토론자 11명 및 학계 전문가 등 50여명 와 초기의 철기문화를 거시적으로 살피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 특히 중국 연하도 유적을 중심으로 한 전국시대 연나라 철기유물의 개략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표 6) 2013년도 학술포럼 행사일정 일차 1일차 (6.19) 2일차 (6.20) 18 한반도의 중부지역, 서남부지역, 동남부지역, 그리고 일본지역의 초기 철기와 비교함으로써 그 지역 성명 소속 발표 주제 白雲翔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村上恭通 일본 愛媛대학 정인성 영남대학교 김상민 대한문화재연구원 武末純一 일본 福岡대학 일본의 연계 또는 전한대 관련 철기의 시기비정 문제 陳建立 중국 북경대학 전국 양한시기 중원 및 북방지역 강철기술 연구 김수기 용인대학교 김보람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지역 초기철기시대 자료소개 정태은 국립문화재연구소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철기출토유적과 유물출토 양상 기조강연 : 燕國地域 鐵器의 起源과 發展 및 그 東계 東漸 燕國 以外의 中國 戰國時代 鐵器와 그 中心地(山東, 河南, 四川 等) 년도 포럼은 연나라 철기문화의 한반도와 일본지역으로 확산과정과 그 시기, 연나라를 제외한 위만조선의 철기문화에 대한 예찰 중국내 다른 지역의 전국시대 철기문화 양상, 성분분석을 통한 한 중 제철기술 비교, 전국시대 중국 한반도 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과정 과 위만조선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 이는 전년도 지역별 철기유물들의 성격비교에서 한반도에서 출토된 고체탈탄강 철기의 자연과학적 성과 종합토론 : 좌 장 : 이남규(한신대학교) 토론자 : 노태천(충남대학교), 우병철(경북문화재연구원), 김일규(서울문화유산연구원) 발표자 전원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의 초기철기문화 형성에 미친 영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나아가 물질문화와 정치체와의 관계, 그리고 유물에 내재한 자연과학적 성분 등도 본 포럼의 검토대 상이 되었다는 점이 좋은 성과였다고 할 수 있다. - 2차례의 포럼을 통해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의 연구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다. - 중국 현지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좋은 계기가 되었다. 요약자료집 19

11 요약자료집 Ⅲ 철기의 주요 유형과 지역별 출토양상 N a t i o n a l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o f C u l t u r a l H e r i t a g e 한 중 철 기 자 료 집 Ⅵ 20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21

12 Ⅲ. 철기의 주요 유형과 지역별 출토양상 연구자 白 雲 翔 徐 海 峰 이남규 우병철 削 刮 刀 鍤 凹 口 鍤 도자( 刀 子 ) 따비 1. 주요 철기유형 철로 이루어진 물건들은 기존에 인류가 만들었던 다른 물건들에 비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 라 열과 힘만 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 양한 물건을 만들 수 있는 철기는 예부터 농사를 짓거나, 재료를 가공하거나, 전쟁이나 사냥 등을 하는 등의 인간생활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장에서는 중국지역과 한반도에서 초창기에 사용된 철기들이 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철기를 분류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들마다 차이가 있으나 기능을 중심으로 농공구류(생산용구류), 무기류, 차마구류, 장신구류 등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국의 백운상( 白 雲 翔 )은 전국~서한시기까지 연나라지역에서 발견된 철기유물을 생산용구 무기설 비 거마기구 생활용구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6) 중국의 서해봉( 徐 海 峰 )은 채광 및 야금용구 농기구 가공용구 무기설비 거마기구 생활용구 잡용기구로 구분하였다. 7) 한편, 한국의 이남규( 李 南 珪 ) 는 크게 농공구류 무기류 기타류로, 8) 우병철( 禹 炳 喆 )은 무기류 농공구류 마구류 이형철기로 크 게 구분하였고 9) 네 연구자의 철기분류를 보면 다음 표 7)과 같다. 생산 용구 무기 설비 豎 銎 鐝 橫 銎 鐝 多 齒 鐝 直 口 鍤 鏟 六 角 鋤 鋤 板 鏵 冠 犁 鏵 鐮 刀 銍 刀 劍 矛 농기구 가공 용구 무기 鋤 大 鏵 鏵 冠 鐮 刀 銍 刀 斧 削 刀 鋸 鑿 錐 長 劍 矛 鏃 戟 帶 鉤 鏃 생활 용구 가위 [ 發 剪 ] 鎧 甲 족집게[ 鑷 子 ] 甲 冑 車 釭 거마 기구 釭 馬 銜 공구 무기 유공부( 有 銎 斧 ) 착( 鑿 ) 집게 망치 요형기( 凹 形 器 ) 가위[ 鉸 具 ] 검( 劍 ) 도( 刀 ) 촉( 鏃 ) 모( 矛, 鉾 ) 찰갑( 札 甲 ) 무기 마구 철착 철사 철검 철도 철모 철과 철촉 재갈 표 7) 한 중 주요연구자별 철기 분류 현황 연구자 거마 기구 車 鐧 馬 鑣 棘 輪 鉤 馬 銜 열쇠[ 鈅 匙 ] 마구 생산 용구 白 雲 翔 線 形 空 首 斧 梯 形 空 首 斧 錛 鑿 扁 鏟 鏟 刀 手 鋸 錘 채광 및 야금용구 농기구 徐 海 峰 농기구용 용범 목제가구용 용범 수레부속구용 용범 豎 銎 鐝 橫 銎 鐝 三 齒 鐝 五 齒 鐝 鏟 농구 이남규 U자형구 주조괭이 우병철 주조철부 판상철부 서( 鋤 ) 농공구 단조철부 겸( 鎌 ) 철겸 따비 철서 생활 용구 기타 齒 輪 鼎 釜 帶 鉤 帶 扣 頸 鉗 脚 鐐 (족쇄) 잡용 기구 도량형 鐐 鋦 釘 鋦 釘 拉 手 權 기타 철제의기 이형철기 닻형철기 6. 白 雲 翔 (김홍수 역), 2012, 전국( 戰 國 )에서 서한( 西 漢 )시기까지의 연( 燕 )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그 특색,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 제학술포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7. 徐 海 峰 (김홍수 역), 2012, 중국 河 北 지역 戰 國 에서 西 漢 시기까지의 燕 나라계통 철기 및 冶 鐵 유적,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 학술포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8. 李 南 珪, 2012,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 연구동향 - 초기철기~원삼국시대를 중심으로,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 화연구 국제학술포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9. 禹 炳 喆, 2012, 한반도 동남부 지역 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체로 철기의 기능을 중심으로, 일부는 형태를 감안하여 분류하였고, 한국의 경우 철부( 鐵 斧 )를 주조 품 및 단조품과 같이 형태 또는 제작방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구분한 경우도 있다. 철기문화의 한반도 유입은 무엇보다도 생산(농공구류)의 증대와 전쟁수행(무기류)을 통한 개인과 소속집단의 생존의 필요 성에 기인하여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22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23

13 상기 연구자들이 분류한 다양한 철기유물 가운데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대표적인 유물들의 유형과 형태 및 기 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아래(농공구류(생산용구), 무기류, 기타류)와 같다. 10)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가. 농공구류(생산용구) 1) 괭이[ 钁, 鐝 ] 연하도유적 능원 안장자고성지 위연 용연동유적 논산 원북리유적다-1호 단단한 땅을 파고 고르는데 사용하는 연장으로 현대 한국에서 사용하는 괭이는 나무를 가지와 함께 잘라서 가지 는 자루로, 가지의 줄기부분을 몸통으로 깎아 말굽쇄 모양의 쇠날을 박은 형태이다.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괭이는 주조상태로 많이 출토되는데, 학자들마다 명칭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대체로 발굴조사보고서에서 는 주조철부( 鑄 造 鐵 斧 )로 인식되고 있지만, 명칭과는 관계없이 농사짓는 데 사용하는 괭이류로 보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11) 중국의 경우 나무를 끼우는 구멍의 방향 및 위치에 따라 수공궐( 竪 銎 鐝 )과 횡공궐( 橫 銎 鐝 )로 분류하 는데, 한반도에는 횡공궐은 평안북도 위원군 용연동유적과 영변군 세죽리유적 등 지극히 제한적으로 출토되며, 대다수가 수공궐이라 할 수 있다. 평면의 형태( 刃 部 폭이 銎 部 폭에 비해 좁은지 넓은지) 및 공부의 단면형태(방 형, 장방형, 사다리꼴 등) 등에 따라 형식과 시기 등이 구분되기도 한다. 한국에서 보통 쇠스랑이라고 하는 다치 궐( 多 齒 鐝 )은 몸체에 방형의 구멍을 뚫어 공부( 銎 斧 )를 구성하고 인부( 刃 部 )가 2갈래~5갈래로 되어 있다. 한반 도에서 해당시기 동일한 형태의 철기는 발견된 예가 없고 유사한(세부적인 형태상 많은 차이를 보임) 형태의 철 기는 2세기 후반 이후에 등장한다. 12) 2) 호미[ 鋤 ] 논밭에서 김을 매거나 하는 등 사용하는 연장. 한국에서는 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은 부등변 삼각형 날의 한쪽 모서리에 목을 이어대고 거기에 자루를 박은 형태로 인식되어 김매기, 북돋우기, 옮겨심기, 잡초 제거 등 여러 가지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의 서( 鋤 )는 이와 달리 평면 육각형 또는 사다리꼴[ 梯 形 ]로 땅을 가는데 사용하는 도구로 괭이[ 鐝 ], 가래[ 耒 ], 살포 등과 혼용되기도 한다. 육각형의 서는 연 나라지역 전국 중기에 등장하여 서한전기 중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사다리꼴도 전국 중기에 등장하였 다. 한반도에서는 평안북도 위원군 용연동유적과 창원 다호리 61호, 밀양시 교동 등 일부지역에서 사다 리꼴의 서가 확인되었다. 13) 한국에서의 철서는 신부( 身 部 )의 길이에 비해 짧은 공부를 가진 것으로 ㄱ자 형의 자루를 끼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본문 30페이지 참조). 외양은 중국의 산( 鏟 )과 유사하나 공부가 신부를 둥글게 접어 단면이 원형이 된다는 점이 다르며 4세기 이후 고구려지역에서 등장한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10. 철기(유물)의 분류와 용도 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저서 및 논문 등을 참조하였으며,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그림에는 축척을 표시하지 않았다. 千 末 仙, 1994, 鐵 製 農 具 에 대한 考 察, 嶺 南 考 古 學 15. 金 在 弘, 2011, 韓 國 古 代 農 業 技 術 史 硏 究 - 鐵 製 農 具 의 考 古 學, 도서출판 고고. 홍대한, 2012, 재미있는 우리나라 철 이야기, 대산출판사. 白 雲 翔, 2012, 전국( 戰 國 )에서 서한( 西 漢 )시기까지의 연( 燕 )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그 특색,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 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羅 西 章 羅 芳 賢, 2013, 古 文 物 稱 謂 圖 典, 百 花 文 藝 出 版 社, 天 津. 11. 千 末 仙 은 유사한 형태의 유물 가운데에서도 길이와 날폭의 비율이 2:1이하가 많고 측면형태는 이등변삼각형을 나타내는 것은 농구로서의 괭 이가 아닌 공구로서 斧 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고, 중국의 白 雲 翔 역시 수공궐과 空 竪 斧 를 구분하는 데 있어 수공궐이 공수부에 비해 몸체가 좁고 길며 두껍고 무거운 특징을 갖는다고 하였으나 그 구분 - 특히 한반도의 경우 - 이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은 듯 하다. 千 末 仙, 1994, 鐵 製 農 具 에 대한 考 察, 嶺 南 考 古 學 15, p. 15. 白 雲 翔, 2012, 전국( 戰 國 )에서 서한( 西 漢 )시기까지의 연( 燕 )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그 특색,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 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p 중국의 횡공다치궐이 한반도 철기유물에서는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광주 신창동 유적에서 3갈래의 인부를 갖는 목제 횡공다치궐이 확인되었 다. 비록 철기유물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하나 기원전후한 시기에 도입,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연하도유적 수습유물 연하도 낭정촌 10호 공반유적- 전국후기 위원 용연동유적 창원 다호리 61호 13. 가평 대성리유적에서도 철서가 발견되었다고 하나 그 잔존형태가 명확하지 않다. 한편 창원 다호리유적 61호 출토 유물은 유사한 유물이 5점 출토되었는데, 당시에는 이형철기로 보고되었다. 본 자료집(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Ⅳ)에도 동일하게 언급되었다. 京 畿 文 化 財 硏 究 院, 2009, 加 平 大 成 里 遺 蹟, 李 健 茂 外, 1989, 昌 原 茶 戶 里 發 掘 進 展 報 告 (Ⅳ), 考 古 學 誌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25

14 3) 삽(鍤) 한반도지역 땅을 파거나 물건을 퍼 옮기는 일에 쓰이는 연장. 농사에서는 땅을 갈아엎고 구덩이나 골을 파고 흙이나 곡식을 퍼 옮기는 일에 사용한다. 대부분 철제농기구가 그렇지만 삽 역시 나무 등 다른 재료를 결합하여 이용하는데 형태에 따라 중국에서는 직구삽(直口鍤)과 요구삽(凹口鍤)으로 구분한다. 한국에서는 직구 삽을 一자형 쇠날(김재홍) 이라고도 하며, 요구삽을 U자형 삽날(천말선), U형 쇠날(김재홍), U자형구(U 字形具, 이남규), 가래(김광언)14) 등으로 부른다. 요구삽은 서한(전한) 시기 이후 등장한다. 밀양 교동유적 8호묘 창원 다호리 38호묘 직구삽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5) 낫[鎌,銍] 풀이나 곡식의 대를 베거나 나뭇가지를 치고 꺾어 넘기는데 쓰는 ㄱ 자 모양의 연장은 중국에서 겸(鎌) 이라 하고 반원형의 한국 청동기시대의 반달돌칼과 유사한 형태를 갖춘 도구를 질(銍)이라고 하는데 한 낙양 서교묘 1호 금서 소황지고성 조양 원대자유지 인천 운북동유적 요구삽(U형삽)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국에서는 반원형 철기라고 한다. 겸은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가릴 것 없이 출토되고 현재 사용되는 낫도 당시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질은 중국 옛 연나라지역과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일부 출토 되며, 서한시기 이후 사라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사용방법 역시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겸(鎌) 중국지역 공현 철생구유적 영성 흑성고성지 황해도 운성리 고분군15) 한반도지역 황해도 운성리 가말믜유적 4) 따비 소에 매고 밭을 갈거나 직접 삽처럼 땅을 파기도 하는데, 주로 돌이나 자갈이 많은 밭이나 쟁기와 삽으 16) 로 작업하기 곤란한 곳에 사람의 힘으로 작업하는 농기구이다. 낙양 소구한묘 연하도유적 충청남도 당진 소소리 등지에서 발견 17) 된 끌[鑿]이 2개가 세트로 출토되어 이를 두날따비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태성리 고분군 6호 완주 갈동유적 2호묘 질(銍) 한반도에서 출토된 따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비들은 공부의 단면이 원형이고 인부의 폭이 좁은 형태를 하고 있는데 판상철부(板狀鐵斧)를 가공, 개량 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산 동환타유적 무순 연화보유적 무산 호곡동유적 위원 용연동유적 14. 이남규는 형태상으로 유사하나 크기가 작은 것을 나무 등을 다듬는 데 사용한 凹形器로 공구류로 농공구 U자형구와는 별도 설정하였다. 李南 珪, 2002,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서울 경기지역의 農工具를 중심으로, 百濟硏究 3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金光彦, 1987, 신라 시대의 농기구,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輯 第8輯, 경주시. 15. 한 중 철기자료집 Ⅲ-한반도 북부지역-의 본문에는 보습으로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본문의 내용대로 정리한 것이고 본 유형분류상에는 요 구삽으로 분류하였다. 사실 형태상으로 U형삽, 따비날 등과 구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16. 이 따비형 철기를 제초구로 추정하는 이도 있다. 김도헌, 2013, 고대 따비형 철기의 용도 재검토, 韓國上古史學報 제79호, 한국상고사학회. 17. 金在弘, 2011, 韓國 古代 農業技術史 硏究 - 鐵製 農具의 考古學, 도서출판 고고, p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27

15 6) 보습[鏵] 8) 끌[鑿] 땅을 갈아엎기 위해 따비나 쟁기 등의 술바닥에 맞추는 삽 모양의 연장으로 땅을 갈아서 흙덩이를 일으 나무에 구멍을 파거나 깎고 다듬는데 사용하는 공구이다. 기능과 형태에 따라 홈이나 구멍을 팔 때 망 키는 일을 하는데 사용된다.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이 보습에 U자형, 또는 V자형의 날을 부착하는데 이 치로 쳐서 사용하는 박음끌, 손으로 밀어 사용하는 끌로 대패를 사용하기 곤란한 곳을 깎거나 하는 등 를 볏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보습을 이화(犂鏵), 볏을 화관(鏵冠)이라고 한다. 중국지역에서는 서한 사용하는 밀끌, 곡면깎기에 쓰이는 원형끌, 삼각홈을 파내는데 알맞은 삼각끌 등이 있으나, 본 자료집 (전한)대에 모두 철제로 만들어진 것이 등장한다고 한다. 한반도에서의 철제 보습과 볏은 4세기 이후에 에 소개된 대다수의 끌은 평면이 세장한 선형에 가깝고 공부(銎部)의 단면이 방형이거나 사다리꼴[梯 등장하기 때문에18) 본 자료집 한반도지역편(Ⅲ Ⅳ)에서는 수록되지 않았다. 形]을 하고 있으며, 인부(刃部)의 형태도 납작한 一 자형을 하고 있다. 중국지역과 한반도지역에서 고 루 출토되었다. 중국지역 공현 철생구유적 고형진 야철유적 내성구 우천진 기성장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연하도 낭정촌 10호 공방유적 부여 합송리유적 불명유구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 7) 도끼[斧] 나무를 찍어 베거나 쪼개는데 사용하는 연장으로 쐐기처럼 생긴 쇠날에 자루를 박는다. 산에서 땔감으 로 쓸 나무를 자르거나 쪼개는데, 나무를 다듬을 때 등도 사용된다. 연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무기로도 사용하며, 한국에서의 부는 주로 괭이의 날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평면이나 자루구멍[銎]의 형 태 등으로 분류하는 중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주조(鑄造) 단조(鍛造)와 같은 제작방식 및 형태(일반 철 9) 자귀[錛] 목재를 찍거나 깎는 연장. 모양은 도끼와 비슷하여 대형은 도끼[斧], 소형(길이 폭=10 5 미만)은 자귀[錛]19)로 보는 경우도 있다. 중국의 백운상(白雲翔)도 도끼[空首斧]와 유사하나 보통 날이 단면이거 나 날의 모서리가 바깥으로 벌어진 것을 분(錛)이라 하였으나, 중국 역시 한국와 마찬가지로 도끼와 자 부와 板狀鐵斧)로 나누기도 한다. 귀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듯 하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중국지역 하북성 연하도유적 M44 요녕성 무순 연화보유적 주조철부 단조철부 판상철부 영천용전리유적1호묘 성주 백전 예산리유적 Ⅲ-1호 경산 임당동유적 A-Ⅰ137호 18. 金在弘, 2011, 韓國 古代 農業技術史 硏究-鐵製 農具의 考古學, 도서출판 고고, p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연하도 무양대촌 노야묘대 27호 궁전유적 영성현 흑성고성 외부 나성 19. 李南珪, 2002,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서울 경기지역의 農工具를 중심으로, 百濟硏究 3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이남규는 본 논 문에서 대형은 斧, 소형은 자귀로 부를 수 있다고 하였으나 편의상 크기에 관계없이 부로 통일하였다. 요약자료집 29

16 10) 대패[ 鏟 ] 도끼나 자귀에서 발전된 목공연장으로 초기의 경우 자귀와 유사한 자루형태를 갖추고 있었으나 16세 기에 들어와 틀에 날을 끼워 만든 틀대패 로 개량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중국에서는 아 래 그림과 같이 방형의 공부를 한 것을 산( 鏟 )이라 하였으나 한국에서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도구를 농 중국지역 능원 안장자고성지 4호 수혈 기구 철서( 鐵 鋤 ) 로 칭하고 있다. 14) 송곳[ 錐 ] 중국지역 목재 종이 천 가죽 등에 구멍을 뚫기 위한 연장으로 쇠로 된 날과 나무로 된 자루로 만든다. 날의 한 쪽 끝은 뾰족하게 만들고 한쪽은 자루에 박을 수 있도록 슴베로 되어 있다. 대개의 송곳은 손으로 돌려 쓸 수 있도록 자루만 달려 있으나 활과 같은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뚫는 경우도 있다. 중국지역 연하도 낭정촌 10호 공방유적 공현 철생구유적 12) 못[ 釘 ] 쇠 대 나무 따위로 가늘고 끝이 뾰족하게 만든 물건으로 두 조각의 목재나 물건에 걸쳐 박아서 붙이 거나 벽 같은 데 박아서 다른 물건을 거는 데 사용된다. 망치와 같은 단단한 물체로 힘을 가하여 사용하 는데 타격하기 쉽게 뾰족한 끝부분의 반대부분에는 못대가리가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一 자형 못이지 낙양 언사 백초성 동한제릉 능원유적 길림 연길 학고동산유지(상층) 73년조사 Tr출토 만 고정시켜야 하는 대상에 따라 ㄴ 자나 ㄷ 자형의 못이 제작되기도 한다. 중국지역 15) 망치[ 錘 ] 물체를 두드리거나 변형시키는 공구로 못을 박을 때나 물건을 두들겨서 교정할 때 주로 사용한다. 중국 지역과 한반도지역 모두 많은 양이 출토되지 않았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낙양 언사 백초성 동한제릉 능원유적 산동 평음맹장 화상석묘 M1호 13) 톱[ 鋸 ] 나무를 자르거나 켜는데 사용하는 연장으로 얇은 철판에 규칙적으로 이[ 齒 ]를 내고 자루를 끼워 나무가 잘 잘리도록 날을 세웠다. 이를 번갈아 좌우로 밀고 당겨 톱질하며, 자르는 대상과 방법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중국지역에서는 연하도유적 및 능원 안장자고성지 등 일부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출토 되었으나 한반도지역에서는 이 시기 출토예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연하도 낭정촌 10호 공방유적 정백동 62호분 30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31

17 16) 집게[鉗] 19) 거푸집[鎔范] 집는 부분과 자루부분으로 구분되며 이들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다. 불과 관련된 작업을 주물을 부어 만들려는 물건을 주조하는 틀. 쌍범형식, 단범형식 등이 있으며 속이 빈 방울 등을 만들 때 위해 공방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에는 안쪽의 내범을 별도로 만들기도 한다. 대부분 중국지역 야철유적에서 출토되며 농공구류 거푸집 중국지역 이 다수이다. 한반도 북부지역 영변 세죽리유적 등에서 거푸집이 출토되었으나 철기 제작을 위한 것인 한반도지역 지는 분명하지 않다. 중국지역 고형진 야철유적 정백동 62호분 정백동 81호분 단장목곽묘 17) 가위[剪] 가공할 물질, 그 중에서도 종이와 실과 같은 얇은 물체를 잘라내는 용도로 사용한다. 한반도에서의 초 기사용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내무시 내성구 우천진 기성장 승덕시 흥륭현 수왕분유적 중국지역 나. 무기류 낙양 소구한묘 공현 철생구유적 1) 칼[劍] 찌르거나 베는 기능을 갖는 무기로 몸체의 양쪽에 날이 있어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검과 구분된다. 돌로 만들었다가 이후 청동 및 철 등 금속제로 대체된다. 검의 몸체에 가운데부분 능(稜)을 기준으로 대칭되 18) 새기개[鐵鉈 刮刀] 게 제작함으로 단면은 마름모꼴을 하고 있다. 중국지역에서 출토된 철검은 병부와 인부가 일체형으로 오늘날의 조각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구류의 일종으로 중국 지역에서는 유사한 유 물을 괄도(刮刀)라고 한다. 한쪽 끝이 뾰족하며 초승달 형태의 단면을 하고있다. 중국 하북성지역이나 되어 있는 검도 다수 있으나 한반도 출토 철검들, 특히 남부지역의 철검들은 별도의 손잡이를 제작, 부 착하여 사용하였다. 동북지역의 소수 유적에서 출토되나 한반도 중 남부지역 다수 유적에서 출토된다. 중국지역 중국지역 연하도 무양대촌 44호묘 익산 신동리유적 7-2호묘 창원 다호리유적 47호 연하도 신장두 30호묘 32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한반도지역 한반도지역 연하도 무양대촌 44호묘 경산 임당동유적 A-12호 기장 방곡리유적 가-11호 목관묘 요약자료집 33

18 2) 칼[ 刀 ] 몸체의 한쪽에만 날이 있어 주로 베거나 자르는 용도로 사용되는 무기로 작은 경우 일상용기로 사용된 다. 일상용기로 사용되는 작은 칼은 한국에서는 도자( 刀 子 ), 중국에서는 삭도( 削 刀 )라고 한다. 검과 달 4) 창[ 戈 ] 전차와 기마병의 주요 무기로 칼모양의 날을 자루 끝에 직각으로 붙였다. 중국지역과 한반도지역 전반 적으로 출토되나 수량은 많지 않다. 리 다수가 인부( 刃 部 )와 병부( 柄 部 )가 일체형이며 병부 끝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 環 ]를 한 환두도 가 대표적이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본계 괴석동유지 동굴 내 영변 세죽리유적 영천 용전리유적 연하도 낭정촌 10호 공방유적- 전국후기 낙양 왕성공원 동한묘 C1M8567호 대구 팔달동유적 92호 토광묘 5) 창[ 戟 ] 과와 모를 결합하여 찌르기와 타격이 가능한 장병 무기이다. 대체로 卜 자형에 납작한 형태를 하고 있 3) 창[ 矛 ] 다. 중국지역과 한반도 북부지역에서는 다수 출토되나 한반도 중 남부지역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 주로 찌르기가 목적인 무기로 몸체 양쪽으로 날이 있으며, 봉을 끼울 수 있는 자루(투겁)가 있어 투겁창 이라고도 한다.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지역의 철모는 몸체가 긴 삼각형 모양, 유엽형( 柳 葉 形 ), 철모인부 와 자루투겁 사이 장경( 長 莖 )이 있는 장병모( 長 柄 矛 )로 나뉘며 한반도 초기철기 철모는 장신형과 단신 형 철모로 크게 구분된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연하도 무양대촌 44호묘 석암리고분 연하도 무양대촌 21호 공방유적 밀양 교동유적 8호묘 6) 화살촉[ 鏃 ] 원거리 공격용 무기인 화살의 끝부분. 화살은 촉, 화살대, 깃으로 이루어졌으나 고고학자료상 남아있는 것은 촉 뿐이다. 촉의 형태로 제작시기 등이 가늠된다. 화살대와의 접합부인 뿌리의 유무에 따라 유경식 ( 有 莖 式 )과 무경식( 無 莖 式 )으로 크게 나뉜다. 뿌리를 배제한 촉 자체로도 형태를 나눌 수 있는데 단면이 삼각형인 촉과 납작하고 양쪽에 날이 서 있는 것도 있다. 초기철기의 촉으로 철로 뿌리를 만들고 촉은 청동으로 된 철경동촉( 鐵 莖 銅 鏃 )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반도 중 북부지역에서는 단면 삼각형의 철경 동촉이, 남부지역(경상도지역)에서는 납작한 단면의 양익촉이 주로 발견되었다. 34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35

19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연하도유적, 능원 안장자고성 무산 호곡동 5기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연하도 무양대촌 수습유물 평양시 정백동 1호분 창원 다호리유적 48호 2) 대구(帶鉤) 7) 갑주(甲冑) 복식용 혁대를 매는 데 사용한 갈고리로 청동제, 철제, 옥제 등이 있다. 중국지역에서 발견된 대구는 굽 전투시 방어를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갑(甲)은 갑옷, 주(冑)는 투구를 말한다. 갑옷은 전쟁에서 화살, 창 은 막대모양, 비파형, 수도꼭지형, 쌍구형(雙鉤形) 등이 있다. 중국지역에서도 다수가 출토되지는 않았 검을 막기 위해 쇠나 가죽의 비늘을 붙여 만든 옷이고 투구는 적의 무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 고 대상시기 한반도지역에서 철제대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리에 쓰던 쇠모자이다. 한반도에서는 소찰 일부만 출토되어 갑과 주의 구분이 어렵고, 삼국이 정립한 4세 중국지역 기 이후 고분 등에서 판갑과 찰갑 등이 출토된다. 중국지역 한반도지역 낙양 의양현 원촌묘 95LM1호 연하도 무양대촌 44호묘 낙양 언사 백초성 동한제릉 능원유적 가평 대성리유적 40호 주거지 3) 그릇[容器] 주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솥을 말한다. 다리가 있는 경우 정(鼎), 없는 경우 부(釜)라고 하며, 다. 기타류 음식이 아닌 숯불을 담는 경우 난방을 위한 노(盧)로 활용되기도 한다. 중국지역에서 청동예기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중국지역과 한반도지역 모두 적은 수가 출토되었다. 1) 차마구(車馬具) 중국지역 수레[車]와 말[馬]을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대상을 제어하고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수레의 경우 한반도지역 바퀴 및 동력을 구성하는 말(또는 소)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도구들이 주를 이루고, 마구류는 말을 다 루는 제어용(制御用), 기수의 안장과 관계된 안정용(安定用), 장식용(裝飾用) 등으로 구분된다. 차와 관 련된 유물로는 대부분 나무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아 바퀴 끝에 끼우는 차축두(車軸頭)가 주로 발견된 다. 재갈과 같은 마구는 중국지역과 한반도지역에서 모두 출토되나 차와 관련된 도구는 한반도 남부에 서는 출토되지 않았다. 36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연하도 동침촌 수습유물 연하도 무양대촌 수습유물 순천리 상동 목관묘 요약자료집 37

20 4) 저울추[ 權 ] 저울대에 걸어 무게를 잴 때 사용한 도구로 걸기 위한 고리가 윗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진대( 秦 代 )에 제작된 추는 지역별 단위를 통일하기 위한 진시황의 노력이 엿보이는 유물이라 할 수 있 다. 한반도에서는 저울추로 추정할 만한 유사한 철기유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지역 금주 소황지고성지 제3기층 보풍현 상주무향 고성촌 38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39

21 3. 지역별 유적, 유물 일람 가. 중국 동북지역(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 1) 지리적 환경 중국 동북지역은 행정구역상, 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의 3성을 말하며, 통칭하여 동북3성( 東 北 3 省 ) 이라고 한다. 한때 이 지역이 만주( 滿 洲 ) 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우던 시대에는 내몽고자치구 동부까지 포 괄하기도 하였다. 20) 북쪽과 동쪽은 러시아, 북한과 닿아 있고, 남쪽은 하북성과 닿아 있다. 서쪽의 내몽고 고원 동쪽 연변을 대흥안령( 大 興 安 嶺 ) 산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달리고, 그 북단에서 흑룡강과 소흥안령 산맥, 동쪽에는 백두산과 압록강이 있어 3면을 둘러싸고 있고, 중앙부는 동북평원이 자리하고 있다. 동북평원은 중국에서 가장 큰 평원으로 남부는 요하평원, 북부는 송눈평원으로 불린다. 동북은 겨울이 길고 추운 반면, 여름에 비교적 고온다습하고, 광대한 평야를 안고 있기 때문에 전작( 田 作 ) 중심의 농업이 주를 이룬다. 주로, 수수, 조, 콩, 봄밀, 옥수수 등의 생산이 많고 길림성 지역은 벼도 재배한다. 또한 산지가 많기 때문에 넒은 삼림에서 다량의 목재(대흥안령 낙엽송, 백두산 만주흑송 및 활엽수, 소흥안령 적송)가 생산된다. 또한 농림자원과 아울러 철, 석탄, 석유, 구리, 납, 금, 은, 보크사 이트와 같은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철광은 요녕성 안산( 鞍 山 )이 전국 매장량의 약 25% 21) 를 차지하 며, 본계( 本 溪 ), 요양( 遼 陽 ) 및 길림성 통화( 通 化 )지역이 풍부하다. 또한 석탄은 무순( 撫 順 )과 본계에서 풍부하게 생산된다. 그에 걸맞게 동북지역 공업은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높은데 제철, 제련공업은 안산 지역에, 구리, 납, 아연제련소는 심양( 瀋 陽 )에 위치하고 있다. 2) 역사 고고학적 환경 이 지역은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으며, 신석기시대 이후부터 다양한 문화를 꽃피웠다. 특히 기원전 6,000여년경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내몽고자치구 동부지역 및 요녕성 서북부지역의 흥륭와 문화( 興 隆 洼 文 化 ) 및 사해문화( 査 海 文 化 )는 이 지역 신석기시대의 가장 앞선 문화로 평가된다. 이후 내 몽고자치구 조보구문화( 趙 寶 溝 文 化, 기원전 5,500여년전), 요녕성 심양시 근교의 신락문화( 新 樂 文 化, 기원전 5,300~4,800년), 요녕성 요동지역 소주산문화( 小 珠 山 文 化, 기원전 5,300여년전 추정~기원전 2,500년), 특히 내몽고자치구 적봉시 주변 홍산문화( 紅 山 文 化, 기원전 4,000~3,000여년전)는 앞선 여 러 문화들을 계승, 발전시켜 이후 등장한 청동기문화를 이루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20. 본 자료집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관계로 내몽고자치구 동부지역까지 동북지역에 포함, 작성하였음 중국 안산시 홈페이지. 40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41

22 이 지역 청동기시대는 대체로 기원전2,400년경부터 시작하여, 기원전400~기원전300년 무렵까지 존 속된다고 한다. 그 중 전기(기원전2,400~기원전1,400년)에 해당되는 문화는 요녕성 본계시 일대인 마 성자문화( 馬 城 子 文 化, 기원전2,000~기원전1,300년), 요녕성 심양시 일대 고태산문화( 高 台 山 文 化, 기 원전2,000~기원전1,400년), 요동반도 쌍타자1기문화( 雙 砣 子 1 期 文 化, 기원전2,000년 전후), 내몽고 ~요녕성주변 하가점하층문화(기원전2,400~기원전1,500년)가 대표적이며, 후기는 비파형동검문화 (요동지역, 기원전1,200~기원전500년), 쌍타자 2 3기문화(기원전1,500년전후~기원전1,100년), 하 가점상층문화(기원전1,400~기원전700년전후), 길림성 길림시 주변 서단산문화(기원전1,200~기원전 400년) 등이 있다. 22) 철기시대에 접어들면서 이 지역은 역사상 연( 燕 ), 한( 漢 ) 등의 중국왕조와 요녕 및 한반도를 기반으로 한 세 력(고조선, 고구려 등)의 세력확장을 위한 각축장으로서 등장한다.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무너뜨린 한무제 가 압록강과 혼강 유역에 현도군( 玄 菟 郡 )을 세웠으나 압록강 유역에서 등장한 고구려에 의해 제압당하였다. 고구려는 668년 나 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압록강 및 혼강, 송화강 일대와 요동반도, 한반도 북부 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구축하고, 중국의 북조 및 수 당과 대립하였다. 고구려의 유적은 요녕성 환인지 역의 오녀산성, 길림성 집안시 압록강 유역의 국내성과 환도산성, 장군총을 비롯한 다수의 고분군 등, 요녕 성과 길림성 일대에 산재해 있다. 그 뒤, 8세기 초 목단강 유역을 중심으로 성립한 발해( 渤 海 )는 고구려 유 민과 말갈족에 의해 건국된 국가로서 926년까지 존속하였다. 발해의 유적은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 치한 상경용천부( 上 京 龍 泉 府 )가 대표적이며, 그 밖에도 흑룡강성, 길림성과 러시아연해주 지역에 분포한다. 발해 멸망 후 거란족의 요( 遼 ), 여진족의 금( 金 ), 몽골[ 蒙 古 ]제국 등이 차례로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17세기 만주족(여진족의 후신)이 청( 淸 )을 세우고 중국 전역을 지배하였다. 요녕성 심양 시에 있는 심양고궁( 瀋 陽 古 宮 )은 만주족이 화북지역을 점령하기 전에 건설한 왕궁이다. 20세기 청조가 멸망하고 장쭤린[ 張 作 林 ]의 이른바 봉천파( 奉 天 派 ) 군벌이 지배하다가, 만주사변( 滿 洲 事 變 )으로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는 1930년대, 일본이 세운 괴뢰정권인 이른바 만주국( 滿 洲 國 ) 이 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1945년 8월까지 존속, 식민지배한다. 만주국의 왕궁과 관련 건물은 길림성 장춘시 ( 長 春 市 )에 있는데, 중국인들은 왕궁을 위황궁( 僞 皇 宮 ) 이라고 한다. 한편, 이 지역은 조선이 일본에 병합되는 단계였던 1905년을 전후하여 많은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생활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안중근( 安 重 根 ), 이회영( 李 會 榮 ), 홍범도( 洪 範 圖 ), 김좌진( 金 佐 鎭 ) 등 수많은 3) 유적 일람 이 지역에서 확인된 철기출토 유적은 총 82개소로 요녕성 50개소, 길림성 21개소, 내몽고자치구 11개 소이다. 24) 유적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중국 동북 지역 소재 철기출토유적(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 지역 연번 유적명(page) 25)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23) 凌 源 安 杖 子 古 城 址 건평 객라심하동유지(29) 建 平 喀 喇 沁 河 東 遺 址 건평 수천유지(31) 建 平 水 泉 遺 址 건평 하곽가지성지(33) 建 平 下 霍 家 地 城 址 조양 원대자유지(35) 朝 陽 袁 台 子 遺 址 개주 사구자한묘(51) 盖 州 沙 溝 子 漢 墓 금주 대니와유지(55) 錦 州 大 泥 窪 遺 址 금서 오금당 동주묘(57) 錦 西 烏 金 塘 東 周 墓 금주 소황지고성지(59) 錦 州 小 荒 地 古 城 址 금주 고탑구 관가와포유지(62) 錦 州 古 塔 區 關 家 窝 鋪 遺 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64) 遼 陽 三 道 壕 村 落 遺 址 요양 태평구유지(68) 遼 陽 太 平 溝 遺 址 요양 패로촌유지(68) 遼 陽 牌 路 村 遺 址 요양 거취현유지(70) 遼 陽 居 就 縣 遺 址 요양 영수보유지(70) 遼 陽 英 守 堡 遺 址 요양 하팔회유지(71) 遼 陽 下 八 會 遺 址 요양 남림자유지(71) 遼 陽 南 林 子 遺 址 태안 백성자유지(73) 台 安 白 城 子 遺 址 성곽 전국~서한 주거지, 수혈, 철정, 도범, 도가니, 송풍관, 각종철기 등 문화층 문화층 청동기시대 ~전국 하가점하층문화 ~전국 하층(하가점하층문화) 주거지 5기, 상층 옹관편, 토기 및 철기 등 상층(전국 연문화) 주거지 1기, 토기, 청동기, 철기 성곽 전국(연) 토축성, 회승문판 통와, 수면문반와당, 철곽, 철겸 등 서주~동한 서한말 ~동한초 수혈(주조제 철기, 차가미, 병기 다수), 묘군(서주조기 ~ 동한의 4시기) 다수 전축다실묘, 토기, 오수전, 주조철기 등 문화층 전국 하문화층(연) 유공석부, 홍도, 철겸, 명도전 등 성곽 춘추(동주) 전국 만기 ~서한 3호묘 출토유물 풍부, 검, 촉, 부, 착 등 각종 청동기 다수, 철곽 1점 하가점하층, 상층, 전국(연, 회갱, 회구, 옹관묘, 토기, 철기, 청동기, 화폐, 인장 등 다수), 요대의 4시기 미상 전국 철곽 1점(금주 대니와 유지 철곽과 유사) 주거지 + 서한 주거지6기, 우물 11기, 전요지 7기, 포석도로 2단, 옹관묘 369기 확인, 다량의 토기, 와편, 철기 등, 철기는 주거지에서 대부분 출토 생산(광산) 서한 철광석 2점, 소철추 1점, 철부 1점 생산(광산) 서한 철광석 2점과 철곽 1점 성곽 한 대량의 승문 능형문 방형격자문 통와, 판와편, 토기편, 갑주편, 오수전 요양박물관 전시품 요양박물관 전시품 오수전, 동촉, 철삽 등 요양박물관 전시 미상 한(추정) 쌍공철부 1점 요양박물관 전시 미상 한(추정) 철정동촉 5점 요양박물관 전시 한 철촉 2점 요양박물관 전시 문화층 전국 다량의 전국시대 기와, 토기편, 철곽 3점, 철서 1점, 철검 1점 및 동검, 동과 등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한 지역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2000년 현재 이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은 약 192 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23) 2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중국 소재 고조선관련 유적 보고서. 23. 정재남, 2008, 중국의 소수민족, 살림출판사 년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 발간 당시 흑룡강성 관련 유적은 자료부족 등으로 자료집에 수록하지 못하였다. 이후 2012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 및 중국 동북지역 고고조사현황(2000~2010)- 길림 흑룡강성편- 발간되고 난 이후 흑룡강성 내의 철기출토 유적들이 일부 소개되어 있다. 다만 지리적으로 먼 이유 등으로 인해 전국시대~한대의 유적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는 향후 밝혀야 할 과 제라 생각한다. 25. 유적명 옆의 page는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Ⅴ의 유적소개에 언급된 페이지를 말한다. 예시) 능원 안장자고성지(23)은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의 23쪽을 볼 것. 42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43

23 지역 연번 유적명(page)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안산 교구사하 양초장유지(75) 鞍 山 郊 區 沙 河 羊 草 莊 遺 址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75) 鞍 山 郊 區 沙 河 東 地 遺 址 안산 철서 북도관 한묘(75) 鞍 山 鐵 西 北 陶 官 漢 墓 안산 수암 성남유지(79) 鞍 山 岫 岩 城 南 遺 址 본계 상보 청동단검묘(82) 本 溪 上 堡 靑 銅 短 劍 墓 본계 남분 화차참묘지(85) 本 溪 南 芬 火 車 站 墓 地 본계 괴석동유지(88) 本 溪 怪 石 洞 遺 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90) 本 溪 南 甸 滴 塔 堡 子 遺 址 수혈 전국~한 철산 2점, 철궐 2점, 철서 1점 등 안산박물관 전시 한 토광묘, 전실묘, 석실묘 등 418기, 한 전실묘 23기, 토기 및 오수전, 철관 1점 안산박물관 전시 주거지 전국만기 ~서한초기 주거지, 수혈 등 노지 근처 철기 다량 출토 전국 석관묘 4기, 1호묘에서만 철기출토 전국 토광묘 추정 묘지, 명도전, 청동단검, 철곽 등 출토 문화층(동굴) 한 동굴내 퇴적층 내 철기, 토기편, 석기등 출토 미상 한 유적 상세상황 불명, 철갑편(상원하방형 47점, 타원형 1점, 장방형 1점), 철삽, 철부 등 다수 지역 연번 유적명(page)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요녕성 대련 후원대묘지(130) 大 連 後 元 台 墓 地 여순 이가구 서한패묘(132) 旅 順 李 家 溝 西 漢 貝 墓 여순 후목성역 전국묘(134) 旅 順 後 牧 城 驛 戰 國 墓 여순 노가촌유지(137) 旅 順 魯 家 村 遺 址 여순 철산진유지(140) 旅 順 鐵 山 鎭 遺 址 여순 개발구유지(140) 旅 順 開 發 區 遺 址 목양성지(143) 牧 羊 城 址 수혈 서한 서한 전국 서한 중만기 미상 서한 철곽 3점 확인 미상 서한 주조철곽 3점 확인 성곽 전국~한 석곽묘, 도관 3점, 철곽 1점, 기타 동과, 동검, 동모 등 패묘 26기, 전실묘 4기 중 양호한 20호묘만 약식보고, 철기 철검편 1점 확인 단실의 판축석관묘 3기, 1호묘와 3호묘간 교란 심각, 청동기 다수 출토 유구(교장)외 다른 유구가 발견되지 않음, 유구 내 남면에서 철곽 11점 확인, 기타 동경 3면, 성벽 잔존 높이 3m, 북쪽 문 잔존높이 12m, 내부 건축물 북편 집중. 대상철부, 판상철부 등 철기유물 다수 출토 장락( 長 樂 ), 미앙( 未 央 ) 등 한 대 문자유물 출토 대련박물관 전시품 대련박물관 전시품 27 환인 추수동유지(92) 桓 仁 抽 水 洞 遺 址 주거지 전국~한 주거지 2기, 수혈(회갱) 5기 등 확인, 유구 내 철기 및 명도전, 홍도편 등 출토 48 남산리 철기묘(148) 南 山 裡 鐵 器 墓 전국 목양성지 인근, 무덤 추정, 대형 호( 壺 )내에서 철부 등 철기류 다수 출토 위원 용연동 출토품과 유사 요녕성 환인 대전자 청동단검묘(95) 桓 仁 大 甸 子 靑 銅 短 劍 墓 환인 오녀산성(97) 桓 仁 五 女 山 城 환인 소황구유지(99) 桓 仁 小 荒 溝 遺 址 환인 삼도하자유지(99) 桓 仁 三 道 河 子 遺 址 성곽 미상 전국 전국~한 전국~한 미상 전국(추정) 철겹도 2점 장방형 단실 석실묘, 화장뼈, 청동단검, 명도전, 철삭, 구슬 등 출토 신석기시대 만기~청동기(1기), 전국만기~한초(2기), 한 대~고구려조기(3기), 고구려중기(4기), 금(5기) 3기층에서 철기 2점, 오수전 등 확인 청동기시대~전국 한대유물 확인, 철기 3점(모두 철곽) 오녀산박물관 전시 오녀산박물관 전시 고려채(151) 高 麗 寨 대령둔성지(154) 大 嶺 屯 城 址 백성 대안 한서유지(163) 白 城 大 安 漢 書 遺 址 문화층 성곽 주거지+ 전국~한 전국~한 전국~한 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3개 문화층, 철기시대 문화층, 세파두, 장경호 등 토기 및철부, 철곽, 철궐, 철겸, 유공철판, 명도전, 반량전 등 발견 평면 방형의 토성으로 추정, 부형품 53점, 도형품 2점, 창형품 2점, 정상품 2점, 부( 釜 )형품 1점 등. 공반관계, 층위 등 불명 주거지, 수혈, 무덤 등 생활유적. 한서 1기(서주), 한서 2기(전국~서한)로 구성. 2기 문화층에서 동도, 동추 등 청동기 및 철부, 철도 등 철기확인 철령 구대유지(102) 鐵 岭 邱 台 遺 址 서풍 서차구묘지(105) 西 豊 西 岔 溝 墓 址 창도 적가촌 청동단검묘(110) 昌 圖 翟 家 村 靑 銅 短 劍 墓 무순 연화보유지(112) 撫 順 蓮 花 堡 遺 址 신빈 용두산석개묘(115) 新 賓 龍 頭 山 石 蓋 墓 단동 관전 쌍산자유지(119) 丹 東 寬 甸 雙 山 子 遺 址 봉성 유가보자유지(122) 鳳 城 劉 家 堡 子 遺 址 주거지+ 주거지 전국~한 서한 전국~서한초 전국~서한 서한 총 4개 층, 대부분 유구 및 유물은 3층 확인, 주거지, 수혈 및 옹관묘, 토광묘 전국 중만기 철제농구 확인 단인장방형토광묘, 유목민족 및 한족유물 혼재, 다양한 철기 및 청동기 다수 무덤 파괴 심각. 초기 세형동검양상으로 보아 전국~서한초로 비정 원형주거지, 주거지 내 총 80여점 주조 철기(농구 등 생산공구) 토광수혈봉석석개묘 3기 중 2호묘 가족합장묘이자 철기출토유구(동병철검, 철과 등) 문화층(동굴) 전국(연) 수혈 내 명도전 200점, 철곽 2점, 철도 7점 출토 주거지+ 서한 주거지 2기, 옹관묘 8기 및 철기, 석기, 화폐, 토기, 동기, 건축재료 등 다양, 철기는 농공구류 및 무기류 요녕성박물관 전시 길림성 장춘 농안현 전가타자유지(165) 長 春 農 安 縣 田 家 坨 子 遺 址 사평 이수현 이룡호 고성지(167) 四 平 梨 樹 縣 二 龍 湖 古 城 址 사평 반랍산문유지(170) 四 平 半 拉 山 門 遺 址 요원 동요현 영화유지(172) 遼 源 東 遼 縣 榮 華 遺 址 요원 동요현 성자산고성지(174) 遼 源 東 遼 縣 城 子 山 古 城 址 요원 동요현 초가남산유지(176) 遼 源 東 遼 縣 肖 家 南 山 遺 址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178) 遼 源 東 遼 縣 彩 嵐 墓 地 요원 동풍현 대가자산유지(180) 遼 源 東 豊 縣 大 架 子 山 遺 址 주거지 성곽 전국 전국말~한 미상 전국~한 철곽 1점 채집 말각장방형 수혈주거지 1기, 황토 및 불다짐, 정, 관, 호, 두, 완 등 확인. 주거지 주변 철곽 및 철초자 확인 평면 방형 토성지, 남쪽 성벽 문지확인, 성지 내 회갱 등 유구 확인. 철곽, 철겸 등 철제 농기구 발견 미상 한 철곽 1점 및 협사갈도정 다리, 두형토기 대각 등 채집 성곽 전국~한 평면 타원형의 이중 성벽, 철곽 1점, 니질회도 등 채집 미상 한 성곽유적이었다고 하나 현재 확인되지 않음 한 토광수혈묘. 오수전 근거 한무제~서한말 동한초로 편년 미상 서한 회도, 흑도 등 출토. 한대철기 등 확인 39 대련 대반가촌 서한묘(126) 大 連 大 潘 家 村 西 漢 墓 서한 목곽패묘 및 토광목곽묘 등 3기 10 요원 동풍현 십대망유지(182) 遼 源 東 豊 縣 十 大 望 遺 址 미상 전국~한 수습유물 30점 중 철기 4점 모두 철곽 40 대련 신금 마산패묘(128) 大 連 新 金 馬 山 貝 墓 한 장방형 수혈목곽묘, 목곽과 묘광 사이 패각층 채워짐. 철기 2점(철삽) 확인 11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유지(184) 吉 林 樺 甸 縣 西 荒 山 屯 遺 址 전국말~한초 총 8기 무덤 및 2기 묘갱 확인, 480점 유물 중 철기 12점(분 5점, 겸 3점, 도 4점) 44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45

24 지역 연번 유적명(page)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4) 출토 유적 및 유구 현황 길림 강북 토성자유지(188) 吉 林 江 北 土 城 子 遺 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190) 吉 林 永 吉 縣 學 古 東 山 遺 址 길림 영길현 양둔 대해맹유지(193) 吉 林 永 吉 縣 楊 屯 大 海 猛 遺 址 주거지 전국~한 2시기 문화층(상층 진한대) 주거지 문화층 서한 한 상(하층유구 파괴한 회갱, 서한대) 하(주거지, 회갱, 서단산문화)층의 문화층, 상층문화층에서 철기 13점 1기(청동기), 2기(한), 3기(발해)로 구분, 2기층서 한 철제 가위 1점 확인 중국 동북지역(요녕성, 길림성, 내몽고자치구)에서 확인된 초기철기 출토유적의 성격을 검토해 본 결 과, 가 조양 원대자유지를 비롯, 총 23개소로 아래 그림 2)와 같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체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15 길림 포자연전산유지(195) 吉 林 泡 子 沿 前 山 遺 址 주거지+ 전국~한 주거지 4기, 석관묘 11기, 옹관묘 2기, 4호 주거지 철기 2점(곽, 분 각 1점) 길림성 길림 소달구묘지(198) 吉 林 騷 達 溝 墓 地 통화 매하구시 영안유지(200) 通 化 梅 河 口 市 永 安 遺 址 전국 미상 한 철궐 등 채집유물 소달구 산저자 1호 무덤내 유물 출토(석도, 석촉, 백석관, 옥관, 옥추, 동부 4점, 동구 3점, 철편 1점) 18 통화 서강유지(201) 通 化 西 江 遺 址 주거지 전국말~한초 유적 남부 단애에서 주거지 1기(평면 장방형) 확인, 주거지 상면 도관, 동, 분, 석촉, 철곽(3점) 등 유물 확인 19 길림 장백현 간구자유지(204) 吉 林 長 白 縣 干 溝 子 遺 址 전국~한 적석묘 다수, A지구 1호묘(철곽 1점), 3호묘(철도 1점) 철기출토, 기타 채집 그림 2) 중국 동북지역 철기출토 유적 현황(유적성격별) 연변 왕청현 백초구 신화묘군(208) 延 邊 汪 淸 縣 百 草 溝 新 華 墓 群 연변 왕청현 백초구유지(208) 延 邊 汪 淸 縣 百 草 溝 遺 址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215) 通 遼 奈 曼 旗 沙 巴 營 子 城 地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217) 通 遼 奈 曼 旗 西 土 城 子 城 地 적봉 오한기 사도만유지(219) 赤 峰 敖 漢 旗 四 道 灣 遺 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221) 赤 峰 敖 漢 旗 老 虎 山 遺 址 한 석관묘 12기, 북옥저 문화 추정 문화층 한 알하하( 嘎 呀 河 ) 우안 단애상 문화층 노출, 철모편 채집 성곽 성곽 주거지+ 전국~서한 전국~서한 전국 평면 방형 판축성곽, 2,000여점의 연 진 한 대 유물 출토, 철기 통 825점 출토 평면 방형 판축성곽, 장방형 고대( 高 臺 )건물지 확인, 도로를 기준으로 동서 2개 구역으로 나뉨 건물지 열지어 배치, 유적 남쪽 묘장구역, 전국시대 화폐 교장 출토 성곽 전국~한 다수의 철 생산공구 및 반량전 출토 표 9) 중국 동북지역 성격별 유적일람 유적 성격 유적명 계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건평 하곽가지성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거취현유지, 환인 오녀산성, 목양성지, 대령둔성지 길림성 사평 이수현 이룡호 고성지, 요원 동요현 성자산고성지 성곽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냉수당성, 오포산 서산파토성, 상수천성, 영성현 흑성고성지, 화림격이현 토성자고성 17 조양 원대자유지, 개구 사구자한묘, 금서 오금당 동주묘, 요양 남림자유지,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 안산 철서 요녕성 북도관 한묘, 본계 상보 청동단검묘, 본계 남분 화차참묘지, 환인 대전자 청동단검묘, 서풍 서차구묘지, 창도 적가촌 청동단검묘, 신빈 용두산석개묘, 대련 다반가촌 서한묘, 대련 신금 마산패묘, 대련 후원대묘지, 여순 이가구 서한패묘, 여순 후목성역 전국묘, 남산리 철기묘 5 적봉 노야묘촌락지(224) 赤 峰 老 爺 廟 村 落 址 주거지 전국 석검, 채도편, 옹, 호, 명도전, 철부 등 채집 길림성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유지, 길림 소달구묘지, 길림 장백현 간구자유지, 연변 왕청현 백초군 신화묘군 23 내몽고 자치구 6 냉수당성(225) 冷 水 塘 城 성곽 전국 평면 장방형, 신석기 ~ 한대유물 출토, 전국시대 철부 등 출토 주거지 요녕성 길림성 안산 수암 성남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무순 연화보유지 장춘 농안현 전가타자유지, 길림 강북 토성자유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통화 서강유지 8 7 오포산 서산파토성(226) 敖 包 山 西 山 坡 土 城 성곽 전국 방형에 가까운 평면형태, 회도승문관편 및 철곽 등 채집 내몽고자치구 적봉 노야묘촌락지 생산유적 요녕성 요양 태평구유지, 요양 패로촌유지 총 82개 유적 적봉 지주산유지(228) 赤 峰 蜘 蛛 山 遺 址 상수천성(230) 上 水 泉 城 영성현 흑성고성지(231) 寧 城 縣 黑 城 古 城 址 화림격이현 토성자고성(235) 和 林 格 爾 縣 土 城 子 古 城 수혈 성곽 성곽 성곽 전국~한 전국~한 전국~서한 전국~한 전국~한문화층 10기 수혈 발견, 바닥에 철정 1,042매 확인, 병기 보관소 추정 구체적 내용 미상, 석부, 승문토기, 명도전, 철부, 골제품 등 채집 내 외성 구분, 평면 장방형, 나성(외성) 중남부 주전공방 확인 문화층 10m, 전국, 한, 북위, 당, 요~명대문화 확인, 평면 장방형, 문화층서 다수 철기유물 채집 문화층 복합 기타 미상 요녕성 길림성 요녕성 길림성 내몽고자치구 요녕성 내몽고자치구 요녕성 길림성 건평 객라심하동유지, 건평 수천유지, 금주 대니와유지, 태안 백성자유지, 본계 괴석동유지, 단동 관전 쌍산자유지, 고려채 9 길림 영길현 양둔 대해맹유지, 연변 왕청현 백초구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철령 구대유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백성 대안 한서유지, 길림 포자연산유지 적봉 오한기 사도만유지 안산 교구사하 양초장유지, 여순 노가촌유지 적봉 지주산유지 금주 고탑구 관가와포유지, 요양 영수보유지, 요양 하팔회유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환인 소황구유지, 환인 삼도하자유지, 여순 철산진유지, 여순 개발구유지 사평 반랍산문유지, 요원 동요현 영화유지, 요원 동요현 초가남산유지, 요원 동풍현 대가자산유지, 요원 동풍현 십대망유지, 통화 매하구시 영안유지 계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47

25 이 들은 대체로 전축묘, 석실묘, 석곽묘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해당지역 내 형태에 따른 유적현황은 아래 표 10)과 같으며, 대표적인 유구들은 아래 그림 3)과 같다. 다만 동북지역 유적들 은 자료가 부족하여 구체적인 출토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표 10) 중국 동북지역 형태 및 관련유구 형태 토광묘 유적(유구)명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철령 구대유지M4호 토광목관묘 대련 대반가촌 서한묘 M4호묘, 토광목곽묘 대련 신금 마산패묘, 조양 원대자 M-10호, 38호, 59호, XM-12호 석관묘 여순 후목성역 전국묘 2호 3호묘, 길림 소달구묘지 산저자 1호묘, 석곽묘 조양 원대자 XM-7호, 79M2호묘, 대련 후원대묘지 토광석개묘 토광목곽묘<조양 원대자유지 M-38호묘> 토광석개묘<신빈 용두산석개묘> 토광목관묘<대련 대반가촌 M4호묘> 적석묘<길림 장백현 간구자묘지 A-1호묘> 신빈 용두산석개묘,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 청동단검묘, 적석묘 길림 장백현 간구자묘지 석실묘 조양 원대자 M-23호, 요양 남림자유지, 환인 대전자 청동단검묘 전실묘 개주 사구자 한묘, 안산 철서 북도관 한묘, 그림 3) 중국 동북지역 철기출토 주요 유구(유구의 축적 및 방향은 일치하지 않음) 무덤 다음으로 많이 출토되는 유적(유구)은 성곽이다.26) 자료집에 수록된 동북지역 성곽들은 능원 안장 자고성을 비롯 동북지역에서 총 17개소가 확인되었다. 내몽고자치구에 다수가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성곽들은 대부분 평지성이며 강과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평면형태는 대체로 방 형, 또는 장방형을 하고 있는데 2중성(영성현 흑성고성지)을 하고 있는 경우, 내부에 생산을 위한 공방 이 있는 경우(능원 안장자고성지,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등)도 있다. 유일하게 예외가 환인 오녀산 성인데, 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은 같으나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조성한 산성으로서 석성이다. 세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적형태가 주거지이다. 주거지 유적은 안산 수암 성남유지를 비 전실묘<개주 사구자한묘> 석곽묘<조양 원대자유지 XM-7호묘> 롯해 8개소가 확인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복합유적 및 성곽으로 집계한 유적들 역시 대부분 주거지유구 가 발견되는 마을유적의 형태를 하고 있어 10여 개소가 넘는다고 할 수 있다. 주거지 유적들에서 확인 된 주거지들은 지상식건물(능원 안장자고성지 2호주거지), 수혈식건물(장춘 농안현 전가타자유지 수혈 주거지, 길림 포자연전산유지), 그리고 지면상 건축한 주거지(통화 서강유지 1호주거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면형태는 방형, 장방형이 대부분이고 말각장방형(철령 구대유지 5호주거지 등)과 타원형(길 림 포자연산유지 4호주거지 등)도 일부 확인된다. 석실묘<조양 원대자유지 M-23호묘> 48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토광묘<철령 구대유지 M4호묘> 26. 성곽은 내 외부에 주거지, 등 다양한 유구가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성벽을 제외하고 단일한 유구로 파악하여 집계하기에 어려운 부 분이 있으나 내부에서 발견되는 유구들도 성과 관련이 있는 것들로 확인되어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성곽 이라는 범주로 분류하였다. 요약자료집 49

26 그밖에도 요양 태평구유지와 요양 패로촌유지는 철광산유적으로서 현대 중국 철생산의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안산, 요양, 본계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이 지역 철생산이 전국~한대에도 이루어지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분류 철기 지역 출토유적 계 가래 [ 鏵 ] 요녕성 조양 원대자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 3 내몽고자치구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1 5) 출토 철기유물의 특징 중국 동북지역 내의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들은 종류가 다양하고 수량도 많다.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Ⅰ 에서 파악한 철기유물들은 다음 표 11)과 같으며, 27) 이를 숫자상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그림 4)이다. 분류 철기 지역 출토유적 계 농공 구류 괭이 [ 钁, 鐝 ] 호미 [ 鋤 ] 요녕성 길림성 내몽고자치구 요녕성 표 11) 동북 3성지역 철기유물별 출토유적 일람 건평 객라심하동유지, 건평 수천유지, 건평 하곽가지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개주 사구자 한묘, 금서 오금당 동주묘, 금주 소황지고성지, 금주 고탑구 관가와포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패로촌유지, 태안 백성자유지, 안산 교구사하 양초장유지,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본계 남분 화차참묘지, 본계 괴석동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환인 오녀산성, 환인 소황구유지, 철령 구대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창도 적가촌 청동단검묘, 무순 연화보유지, 단동 관전 쌍산자유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대련 대반가촌 서한묘, 대련 후원대묘지, 여순 노가촌유지, 여순 철산진유지, 여순 개발구유지, 고려채 장춘 농안현 전가타자유지, 사평 반랍산문유지, 요원 동요현 영화유지, 요원 동요현 성자산고성지, 요원 동풍현 대가자산유지, 요원 동풍현 십대망유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길림 포자연전산유지, 통화 매하구시 영안유지, 통화 서강유지, 길림 장백현 간구자묘지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 적봉 오한기 사도만유지, 오포산 서산파토성,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능원 안장자고성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태안 백성자유지, 안산 교구사하 양초장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철령 구대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영성현 흑성고성지 삽 [ 鍤 ] 도끼 [ 斧 ] 자귀 [ 錛 ] 끌 [ 鑿 ] 삭도 [ 削 ] 톱 [ 鋸 ] 송곳 [ 錐 ]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거취현유지, 환인 오녀산성, 대련 대반가촌 서한묘, 대련 신금 마산패묘 내몽고자치구 영성현 흑성고성지 1 요녕성 건평 객라심하동유지, 요양 태평구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무순 연화보유지, 목양성지, 남산리 철기묘, 고려채 길림성 백성 대안 한서유지 1 내몽고자치구 적봉 노야묘촌락지, 냉수당성, 적봉 지주산유지, 상수천성 4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대니와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길림성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 청동단검묘, 길림 포자연전산유지 2 내몽고자치구 요녕성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 영성현 흑성고성지,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능원 안장자고성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교구사하 동지유지, 본계 상보 청동단검묘,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무순 연화보유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길림성 요원 동요현 초가남산유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2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적봉 지주산유지 3 요녕성 본계 괴석동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환인 대전자 청동단검묘, 철령 구대유지, 목양성지 5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1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건평 수천유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태평구유지 길림성 요원 동풍현 대가자산유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2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대패 [ 鏟 ] 낫 [ 鎌, 銍 ] 요녕성 내몽고자치구 요녕성 길림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교구사하 양초장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철령 구대유지,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적봉 오한기 사도만유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영성현 흑성고성지,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건평 하곽가지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대니와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철령 구대유지, 무순 연화보유지, 여순 후목성역 전국묘, 목양성지, 고려채 사평 이수현 이룡호 고성지,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 청동단검묘,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무기류 칼 [ 劍 ] 칼 [ 刀 ]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태안 백성자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신빈 용두산석개묘, 여순 이가구 서한패묘 길림성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1 요녕성 길림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영수보유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철령 구대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무순 연화보유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백성 대안 한서유지, 사평 이수현 이룡호 고성지,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길림 화전현 서황산둔 청동단검묘, 길림 장백현 간구자묘지 농공구류의 분류방식은 万 欣,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11, 동아시아 지역의 전국양한시기철제공구, 한 중 철기자료집 Ⅰ의 내용을 참 조하였다.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3 창 [ 矛 ] 내몽고자치구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1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길림성 요원 동요현 채람묘지,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연변 왕청현 백초구유지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1

27 분류 철기 지역 출토유적 계 내몽고자치구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1 무기류 창 [ 戟 ] 창 [ 戈 ] 화살촉 [ 鏃 ]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1 요녕성 본계 괴석동유지, 무순 연화보유지 2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건평 수천유지,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하팔회유지, 요양 남림자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철령 구대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목양성지, 고려채 길림성 길림 영길현 학고동산유지 1 14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2 갑 ( 甲 )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2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1 그림 4) 중국 동북지역 철기유물 별 출토유적 수 차마구 ( 車 馬 具 ) 요녕성 조양 원대자유지,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봉성 유가보자유지 4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화림격이현 토성자성지 2 대구 ( 帶 鉤 )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안산 철서 북도관 한묘 4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1 그릇 요녕성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서풍 서차구묘지, 2 기타 요녕성 능원 안장자고성지, 조양 원대자유지, 개주 사구자 한묘, 금주 소황지고성지, 요양 삼도호 촌락유지, 요양 태평구유지, 요양 패로촌유지, 안산 수암 성남유지, 본계 남전 적탑보자유지, 환인 추수동유지, 환인 삼도하자유지, 철령 구대유지, 무순 연화보유지, 단동 관전 쌍산자유지, 여순 후목성역 전국묘, 목양성지, 남산리 철기묘, 대령둔성지 18 그림 5)중국 동북지역 무기류 유물 별 출토유적 수 그림 6) 중국 동북지역 기타류 유물 별 출토유적 수 기타 길림성 장춘 논안현 전가타자유지, 사평 이수현 이룡호 고성지, 길림 강북 토성자유지, 길림 영길현 양둔 대해맹유지, 길림 소달구묘지, 연변 왕청현 백초구 신화묘군 6 총 22개 종 이상 내몽고자치구 통요 나만기 사파영자성지, 통요 나만기 서토성자성지, 적봉 오한기 노호산유지, 적봉 지주산유지, 영성현 흑성고성지 도형품, 부형품 등 형태 및 용도가 명확하지 않았다고 보고된 것은 기타로 편입 5 한편, 가장 많은 출토범위를 보인 유물이 괭이[ 钁 ]로 전체 82개 유적 중 46개소(56%)를 차지한다. 형태 및 크기는 대동소이( 大 同 小 異 )하며 주조품이다. 그 외의 철기유물 들은 괭이만큼 현저한 유적수를 보이 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 특이한데, 농공구류 중에서도 낫[ 鎌 ], 호미[ 鋤 ], 도끼[ 斧 ], 끌[ 鑿 ] 등이 다소 높은 출토빈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가래[ 鏵 ]와 같이 공동작업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구보다는 개인이 휴 대체로 요녕성과 내몽고자치구 지역에서 다양한 철기들이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요녕성은 분류 대할 수 있는 농공구류가 아무래도 넓은 범위에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기준으로 삼았던 농공구류, 무기류 및 기타 22종 이상이 출토되어 가장 많은 종류가 출토되는 양상을 보 이고 있으며, 내몽고자치구가 16종 이상, 길림성이 11종으로 가장 적은 양상을 보였다. 길림성 지역이 가장 적은 종류가 출토되는 양상을 한마디로 설명하기에는 쉽지 않다. 기후 등 자연환경의 척박성, 중국 과 한반도 세력의 주요 충돌지점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 등을 추정해 볼 수 있겠으나, 현대 중국의 발굴 조사 여건 및 성과 등과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52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3

28 나. 중국 북경시 천진시 및 하북성 지역(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Ⅱ) 요나라는 현재의 북경지역을 남경( 南 京 )을 설치하였고, 금( 金 )나라는 처음 연경( 燕 京 )으로 부르다가 몽 골족이 이를 빼앗은 뒤 대도( 大 都 )라 하였다. 명대에 1420년 영락제( 永 樂 帝 )가 이곳을 북경이라 하였는 1) 지리적 환경 중국 북경시 천진시 및 하북성지역(이하 하북성지역)은 화북평야 북부에서 내몽고고원 남동부에 걸친 지 역에 위치하며 북경시( 北 京 市 ), 천진시( 天 津 市 )를 둘러싸고 있다. 북동쪽으로 요녕성, 북서쪽으로 내몽고 자치구, 서쪽으로 산서성( 山 西 省 ), 남쪽으로 하남성( 河 南 省 ), 산동성( 山 東 省 )과 접하고 동쪽은 발해만( 渤 海 灣 )이 있다. 지세는 북쪽이 내몽고 고원의 일부분에 속하는 고원지대(해발 1,200~1,500m)가, 서쪽은 태행 데, 그 명칭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수대( 隋 代 )에 대운하가 완공된 후 남운하와 북운하가 만나는 지점에서 최초로 도시가 형성되기 시 작하였는데, 이것이 천진( 天 津 )의 시작이다. 천진은 영락제 당시에 사용된 명칭으로 물자 운송의 중심 이었다. 1856년~1860년 사이의 제 2차 아편전쟁(일명 애로호 사건)으로 영 프 연합군에 의해 천진이 점령당하였고 불평등조약인 천진조약이 체결되었다. 28) 산맥( 太 行 山 脈 )이 성 지역을 둘러싸고 있으며, 동남부 지역은 화북평원의 일부로 지세가 평탄하다. 이 지역 은 봄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으며, 여름은 덥고 비가 많이 내린다. 가을은 시원하며, 겨울은 춥지만 눈은 적 게 내린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에 따라 밀, 땅콩, 팥, 옥수수 생산량이 전국 3~4위 정도에 달할 정도로 농 산물이 풍부하다. 또한 철광 저장량 전국 2위, 코크스 저장량 전국 1위로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한다. 현 재 철강공업은 당산( 唐 山 )과 한단( 邯 鄲 )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원료가 풍부하고 시장이 근접한 조건을 갖추 어 각종 제조업이 발달하였다. 2) 역사 고고학적 환경 이 지역은 구석기시대부터 인류의 활동공간이었다. 북경시 방산구( 房 山 區 )에 있는 주구점( 周 口 店 ) 유적 은 스웨덴의 지질학자 안데르손(J.G.Amdersson) 등이 1923년 발견한 유적으로 약 50만년 ~ 20만년 전에 걸쳐 존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 유적에서 발견된 인골은 호모 에렉투스(Homo Eerectus) 단계 의 사냥과 채집에 의존한 구석기인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6,000~5,500년 경에는 신석기 자산문화( 磁 山 文 化 )가 현재의 하북성 남부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돼지, 개, 닭등 가축을 기른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춘추전국시대 하북성 북부는 연( 燕 )에 속해 있었으며, 남부는 중산국( 中 山 國 ), 조( 趙 ) 및 위( 魏 ) 등이 점 하고 있었다.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Ⅱ에도 소개되는 연하도( 燕 下 都 ) 유적이 하북성 보정시( 保 定 市 ) 역현( 또는 이현, 易 縣 )에 위치하고 있으며, 석가장시( 石 家 庄 市 ) 영수현( 靈 壽 縣 ) 영수성( 靈 壽 城 )이 중산국의 도 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남부의 한단시( 邯 鄲 市 )에는 전국시대 조국의 도성이 있던 조국고성지( 趙 國 古 城 址 )가 위치하고 있어 춘추전국시기 국가들의 각축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한대( 汉 代 )에는 하북에 유주( 幽 州 )와 기주( 冀 州 )를 설치하였고 조조( 曹 操 )가 일찍이 장하( 漳 河 ) 강변에 동작대( 銅 雀 台 )를 수축하였으며 이곳에서 아들 조식( 曹 植 )이 동작대부( 銅 雀 台 賦 )를 지었다고 전한다. 당 대( 唐 代 )에는 하북도( 河 北 道 )가 되었으며 안녹산( 安 祿 山 )이 하북절도사( 河 北 節 度 史 )에 임명된 후 이곳 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송대( 宋 代 )에는 하북동로( 河 北 东 路 )와 하북서로( 河 北 西 路 )로 나뉘었으며 북부는 요( 遼 )에 속하여 양국 간 교전이 있었던 지역이 되었다. 3) 유적 일람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는 전국시대 연나라의 철기문화의 흔적을 조사한 결과, 북경시와 천진시를 포함한 하북성지역의 철기출토유적은 연하도 유적을 비롯하여 모두 15개소에 달하였다. 북경 시, 천진시, 하북성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 유적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 표 12)와 같다. 지역 연번 유적명(page)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북경시 천진시 하북성 1 북경시 두점고성유적(129) 北 京 市 竇 店 古 城 遺 蹟 북경시 순의구 남가영유적(134) 北 京 市 順 義 區 藍 家 營 遺 蹟 천진시 동교 장귀장유적(154) 天 津 市 東 郊 張 貴 庄 遺 蹟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158) 天 津 市 南 郊 巨 葛 庄 遺 蹟 천진시 북창유적(161) 天 津 市 北 倉 遺 蹟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164) 天 津 市 北 倉 磚 瓦 廠 遺 蹟 역현 연하도유적(12) 易 縣 燕 下 都 遺 蹟 28. 이상 하북성 홈페이지 표 12) 중국 하북성 지역 소재 연국철기 출토 유적(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Ⅱ) 성곽 전국 ~한 미상 전국 철산 1점, 철호 1점 전시 대성과 소성으로 구분, 대성평면 방형, 대성 내 야철유적 추정, 항토( 夯 土 ) Ⅳ층 전국후기 철기 다수(철곽 4점) 전국 M1 호 목관묘, 철분( 錛 ) 1점 지표수습 주거지 +수혈 주거지 성곽(도성) 전국(중후기) 전국 ~서한(초) 전국 춘추~전국 수혈 1기 확인, 수혈 내 토기, 철기, 동기, 골기, 방기 및 일부 동물뼈 등 유물다수 출토(철기 鋤 1점, 钁 1점, 鑿 2점, 鏟 1점, 鐵 莖 銅 鏃 2점 확인) 주거지 1기, 수혈 7기 확인, 출토유물 총 90여 점(철기 钁 2점, 斧 1점, 鎌 1점), 협사홍도 釜 출토 반지하 주거지, 철서, 철부, 철곽, 철착 등 출토 (연하도 출토 철기와 동형), 釜, 罐, 盆, 시루, 어망추 등 출토 해자를 중심으로 동성과 서성으로 구분, 동성 (대규모 궁전건축)이 중심. 궁전유적(노모대 28호, 노야묘대 27호, Ⅴ호), 공방유적(고맥촌 5호, 낭정촌 10, 11, 13, 30호, 무양대촌 18, 21, 22, 23호), 주거유적(동침촌 6호, 북침촌 8호, 서침촌 19호, 서관성촌 9호), 유적(낭정촌 31호, 구여대묘구 16호, 무양대촌 44호, 서관성촌 7호, 9호, 신장두 30호, 허량촌 8호, 성밖 해촌 1~3호, 성밖 북동 토광묘)으로 구분 북경 수도박물관 전시 54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5

29 지역 연번 유적명(page) 유적성격 시대 주요내용(유구, 유물) 기타 표 13) 중국 하북성지역 성격별 유적일람 하북성 승덕시 흥륭현 수왕분유적(136) 承 德 市 興 隆 縣 壽 王 墳 遺 蹟 승덕시 흥륭현 고동구유적(139) 承 德 市 興 隆 縣 古 洞 溝 遺 蹟 승덕시 흥륭현 금광유적(141) 承 德 市 興 隆 縣 金 鑛 遺 蹟 승덕시 난평현 소성자유적(142) 承 德 市 灤 平 縣 小 城 子 遺 蹟 장가구시 백묘유적(143) 張 家 口 市 白 廟 遺 蹟 당산시 동환타유적(148) 唐 山 市 東 歡 坨 遺 蹟 생산(공방) 미상 생산 전국~한 전국 전국 2, 3호 트렌치 내 전국시대 제철관련 유물 확인 40종 87점 철제농구 용범 출토 철겸용범 1점, 철착용범 1점, 철서용범 1점, 차기용범 1점 전시 금광 채굴시 조사, 광갱 내 철서 1점, 철부 1점 등 철기 확인 전국 수혈 토광묘, 철제대구, 도관, 동물뼈 등 출토 수혈+주거지 + 전국 (중기~중후기) 전국 (중기후반) 5개 유형 유존으로 분류, 1유형(하가점하층), 2유형(상나라 조기), 3유형(춘추 중기, 후기, 전국 중기이후), 4유형(전국 중후기, 鐵 刀 1점), 5유형(연문화 계통) 수혈 286기, 구상유구 21기, 우물 4기, 토기요지 2기, 주거지 30기, 옹관묘 8기 등 다양한 유구 다수 분포. 철기 생산공구 다수 출토(곽 35점, 장판궐 1점, 겸 33점, 五 齒 耙 1점, 서 1점, 削 8점, 반월형철도 1점, 矛 2점, 揷 1점, 대구 다수 등) 국가박물관 전시 당산박물관 전시 유적 성격 유적명 계 성곽 북경시 북경시 두점고성유적 1 하북성 역현 연하도유적 1 천진시 천진시 동교 장귀장유적,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2 하북성 승덕시 난평현 소성자유적, 장가구시 백묘유적 2 주거지 천진시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 1 생산유적 하북성 승덕시 흥륭현 수왕분유적, 승덕시 흥륭현 금광유적 2 복합 천진시 천진시 북창유적 1 하북성 당산시 동환타유적, 창현 초가루유적 2 미상 북경시 북경시 순의구 남가영유적 1 하북성 승덕시 흥륭현 고동구유적, 무녕현 영장유적 2 계 15 복합유적-심지어 성곽으로 분류된 연하도 유적 역시 주거지와 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복합유적으 로 분류될 수 있다- 역시 당산시 동환타 유적이나 창현 초가루 유적과 같이 수혈이나 주거지가 같이 확 무녕현 영장유적(165) 撫 寧 縣 榮 庄 遺 蹟 창현 초가루유적(166) 滄 縣 肖 家 樓 遺 蹟 총 15개 유적 미상 전국 소철분 1점 및 사질회도, 니질홍도 등 수습 수혈+ 전국 수혈 5기 및 등 확인, 철곽 1점 출토, 刀 幣 10,339점 확인 인되는 마을유적들이 대부분이며 유적의 개수로만 보면 가 가장 많다. 의 형식은 대체로 토광 묘, 30) 옹관묘 등인데 철기출토 유구는 토광묘가 대다수이다. 묘 내에서 인골은 대부분 직지장이나 간혹 굴신장인 경우가 있다. 귀족 이상의 신분일 경우 亞 자형묘와 같은 폭 2m 이상의 폭을 갖는 대형 목곽 묘에 안치되기도 한다. 4) 출토 유적 및 유구 현황 중국 하북성지역에서 확인된 초기철기 출토유적을 검토해 본 결과, 총 15개소의 유적이 확인되었고 29) 그 중 가 장가구시 백묘유적을 비롯, 총 4개소로 아래 그림 7)과 같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한편, 성곽, 유적 등 성격에 따른 유적분류 현황은 다음 표 13)과 같다. 토광묘<연하도 동침촌 6호-M5호묘> 토광묘<연하도 동침촌 6호-M5호묘> 그림 7) 중국 하북성지역 철기출토 유적 현황(유적성격별) 亞 자형 묘<연하도 신장두 30호묘> 석곽묘(적석목관묘)<장가구시 백묘유적 M 25호묘> 29. 본 지역은 앞서 밝힌 데로 전국시대 연( 燕 ), 조( 趙 ), 위( 魏 ), 중산( 中 山 ) 등 여러 나라의 각축지역이었다. 그러나 연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의 위 치가 대체로 하남성 남부 및 남서부 내륙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한반도와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 연국의 철기유적만 조사, 수록 하였다. 중국 중원지역의 철기유적과 유물에 관한 수록자료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Ⅴ- 하남 산동성지역의 초기철 기 참조. 그림 8) 중국 하북성지역 철기출토 주요 유구(유구의 축적 및 방향은 일치하지 않음) 30. 수혈토광묘로 알려져 있는 유구들은 단순한 토광묘이기보다는 수혈 내에 목관(목곽)을 안치한 목관(목곽)묘인 경우가 많다. 56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7

30 한편, 성곽유적으로 확인된 연하도유적과 북경 두점고성유적은 성벽을 판축으로 축조한 토성으로서 연 하도유적은 동서 8km, 남북 4~6km의 대규모 유적으로 중앙 해자로 동성과 서성으로 분리된다. 내부에 표 14) 하북성지역 철기유물별 출토유적 일람 분류 철기 지역 출토유적 계 궁전유적, 공방유적, 주거유적, 유적 등 다양한 유구들이 자리하고 있다. 북경 두점고성유적도 대성 과 소성으로 구분된 평면 방형의 성곽이다. 그리고 하북성지역 역시 생산유적이 발견되었다. 고맥촌 5호 공방유구를 비롯한 연하도 내의 공방유구 내에서 다수의 철기가 출토되었으며, 특히 승덕시 흥륭현 수왕분유적에서는 호미[ 鋤 ], 낫[ 鎌 ], 괭이[ 钁 ], 도끼[ 斧 ], 끌[ 鑿 ], 차구( 車 具 ) 등의 주조철기를 제작하기 위한 철제 거푸집[ 范 ]이 발견되어 제작과정을 밝 괭이 [ 钁, 鐝 ] 호미 [ 鋤 ] 대패 [ 鏟 ] 낫 [ 鎌, 銍 ] 북경시 두점고성유적,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천진시 북창유적,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창현 초가루유적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승덕시 흥륭현 금광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북경시 순의구 남가영유적,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3 천진시 북창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힐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었다. 또한 용범에서는 전국시대 장인의 이름 또는 직위로 추정되는 명문( 右 廩 )이 확인되었다. 본 유적이 위치한 승덕시와 당산시 일대는 현재도 중국 철강산업의 중심역할을 담당 하는 지역이다. 5) 출토 철기유물의 특징 중국 하북성지역의 철기들은 종류가 다양하고 수량도 많다. 특히 연하도에서 출토된 철기유물들은 생산 용구류 20종, 무기류 6종, 거마기구 5종 및 생활용구 4종, 기타(형벌용구) 2종으로 분류되어 이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 표 14)와 같다. 31) 가장 다양하고 많은 철기유물이 출토된 유적은 단연 연하도유적이다. 전국시대 연하도 내에 이미 다량의 철기 생산을 위한 전문 공장이 있었으며(연하도 내 무양대촌 18호, 21호, 낭정촌 10호, 고맥촌 5호 유적 등) 여기서 생산된 철기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 및 사용되는 과정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리고 각 유적에서 발견되는 유물들은 연하도를 제외한 다른 유적들을 살펴보았을 때 무기류보다는 주로 농기구와 같은 생산용구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생산용구 (농공구류 ) 무기류 가래[ 鏵 ] 역현 연하도유적 1 삽( 鍤 ) 역현 연하도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2 도끼[ 斧 ] 천진시 북창유적,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3 자귀[ 錛 ] 천진시 동교 장귀장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무녕현 영장유적 3 끌[ 鑿 ]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천진시 북창 전와창유적, 역현 연하도유적 3 삭도[ 削 ] 역현 연하도유적, 장가구시 백묘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3 새기개[ 刮 ] 하북성 지역 역현 연하도유적 1 톱[ 鋸 ] 역현 연하도유적 1 망치[ 錘 ] 역현 연하도유적 1 칼[ 劍 ] 역현 연하도유적 1 창[ 矛 ] 역현 연하도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2 창[ 戟 ] 역현 연하도유적 1 화살촉[ 鏃 ] 역현 연하도유적, 천진시 남교 거갈장유적 2 갑주 ( 甲 冑 ) 노기 ( 弩 機 ) 차마구 ( 車 馬 具 ) 대구 ( 帶 鉤 ) 역현 연하도유적 1 역현 연하도유적 1 역현 연하도유적 1 역현 연하도유적, 승덕시 난평현 소성자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3 기타 그릇 역현 연하도유적 1 거푸집 [ 鎔 范 ] 역현 연하도유적, 승덕시 흥륭현 수왕분유적, 승덕시 흥륭현 고동구유적 3 기타 역현 연하도유적, 당산시 동환타유적 하북성지역의 철기분류는 白 雲 翔 (김홍수 역), 2012, 전국( 戰 國 )에서 서한( 西 漢 )시기까지의 연( 燕 )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그 특색, 2012 동아 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본 글에서는 그의 생산용구 분류안을 보다 단순화 (예 : 線 形 空 首 斧, 梯 形 空 首 斧 斧 로 통합)하여 출토유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철기생산용 거푸집 항목을 추가로 삽입하였으며, 연하도 유 적 출토 철기유물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적 수도 많지 않은 관계로 동북지역과 같이 세부지역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58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59

31 전국시대 연국철기의 지역적 특성 백운상은 연하도에서 출토된 철기들을 분석하면서 전국시대 다른 나라(지역)들과는 구분되는 연나라 철기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32) 연나라지역 공수부( 空 首 斧 )는 선형( 線 形, 인부와 공부의 폭이 동일하거나 인부가 공부보다 약간 좁음, 우측그림 좌 중)과 사 다리꼴[ 梯 形, 인부가 공부보다 넓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을 하 고 있음, 우측그림 우]의 두 종류로 다른 형태는 발견되지 않음 끌[ 鑿 ]의 경우 공구( 銎 口 )가 원형인 것은 이 지역에서는 발견 되지 않음 평면 사다리꼴, 납작한 판형의 산도( 鏟 刀, 대패로 분류)는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굽은 몸체에 궁형이며 인부가 안으로 휘고 주조로 제작된 변릉 ( 邊 棱 )이 있는 겸도( 鎌 刀, 낫)는 연나라지역의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진한시기가 되면 점차 사라져 단조로 제작된 선형 겸 도로 변화 배부( 背 部 )가 두껍거나 가장자리에 돌출된 변릉( 邊 棱 )이 있는 겸도( 鎌 刀 )와 질도( 銍 刀, 모두 낫으로 분류)는 연나라지역에서 유행하였으나 서한시기가 되면서 사라짐 착체검( 窄 體 劍 ), 장검이 유행 모( 矛 )는 유엽형( 柳 葉 形 )의 가늘고 긴 신부에 양날이 평평하고 곧은 형태임 공구가 사다리꼴인 괭이[ 鐝 ]는 주로 연나라지역에서만 발견 횡공궐과 횡공다치궐( 橫 銎 多 齒 鐝 )은 전국후기~말기 연나라지 역에서 등장하며, 진( 秦 )대 이후에 다른 지역에서도 등장 찌르고, 베고, 당기는 부분 세 부분이 모두 납작하고 가늘고 긴 복( 卜 ) 자형의 창[ 戟 ] 사용 육각호미[ 六 角 鋤 ]는 전국중기~서한중기까지 등장하는 농구인 데,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나 연나라지역이 가장 많고 용범까 지 발견되었으므로 연나라지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철기로 분류 사다리꼴호미[ 梯 形 鋤 板 ]는 연나라지역의 경우 가장자리에 돌 대[ 邊 棱 ]가 있는데 서한시기가 되면 거의 사라짐 인자형호미[ 人 字 形 鋤, 신부는 납작하고 얇으며 평면상으로 人 자형을 함]는 전국시대 연나라지역에서만 발견됨 차마구나 대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이른 시기에 등장하 나 종류나 양이 많지 않음. 반면 목칼과 족쇄와 같은 형구들은 연나라지역에서 발견된 것이 가장 많고 진대와 서한시기가 되 면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는 양이 증가함 이를 종합하면, 1 철기 가운데 생산용구와 무기류가 비교적 발달하였고 종류도 다양하나 차마구, 생활용구 등은 종류도 적고 지역적 특징도 명확하지 않음, 2 앞서 언급한 농공구나 무기는 지역적 특 색을 갖고 있음, 3 진대와 서한시기에 각 지역의 철기유형 및 형태는 급속히 통일화되는 경향을 보이 면서 지역성 약화(다른 지역의 철기가 연 지역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나타남) 32. 白 雲 翔 (김홍수 역), 2012, 전국에서 서한시기까지 연나라지역 철기문화 및 특색, 국립문화재연구소, 韓 中 鐵 器 資 料 集 Ⅱ-하북성 출토 燕 國 철기. 60 한 중 철기 자료집 Ⅵ 요약자료집 61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24 2004. 12 2004. 11 25 26 2004. 12 % 50 40 30 20 10 0 華 東 華 北 中 南 西 南 東 北 西 北 전 체 중 대 형 차 중 형 차 소 형 차 경 차 2004. 11 27 帕 28 2004. 12 2004. 11 29 30 2004. 12 2004. 11 31 32 2004. 12 2004. 11 33 34 2004.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

AB000032-01.hwp

AB000032-01.hwp 1 다호리 48호분(계층3/ 馬 刀 모선 形 ) 2 다호리 32호분(계층4/ 刀 모선 形 ) 3 다호리 18호분(계층4/ 刀 모 形 ) 4 다호리 37호분(계층4/ 唯 刀 形 ) 5 다호리 47호분(계층5/모선 形 ) 6 다호리 67호분(계층6/ 唯 선 形 ) 그림1. 다호리 고분군의 계층성 1 다호리 25호분(계층5/ 唯 모 形 ) 2 임당 A-Ⅰ-145호분(계층3/

More information

¹ßÇ¥¿äÁö229-286

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

토픽 31호(2016.3.7).hwp

토픽 31호(2016.3.7).hwp 절실히 묻고 가까이 실천하는 선진 산림과학 3.0 시대를 열겠습니다! 01 03 05 05 06 07 08 08 10 10 11 임업인에게는 희망을, 국민에게는 행복을 带 NIFoS 1 중국 닝샤회족자치구() 중국 무슬림 인구 주요 분포도 중국 닝샤의 회족 자치구 3 중국 무슬림 인구 Top 11 지역 순위 지역( 省 ) 인구(만)

More information

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기원 전후 樂 浪 郡 의 支 配 勢 力 에 관한 일연구 吳 永 贊 * Ⅰ. 머 리 말 Ⅴ. 기원 1세기 전반 王 調 亂 과 Ⅱ. 樂 浪 古 墳 의 被 葬 者 에 대한 諸 論 議 支 配 勢 力 의 추이 Ⅲ. 기원전 1세기대 木 槨 墓 와 支 配 勢 力 1. 土 人 의 성장과 王 調 亂 Ⅳ. 기원전 1세기 중후반 墓 制 의 변천 2. 지배세력의 추이 1. 귀틀묘의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碘 岛 监 结 30km 20km 10km 碘 达 碘 测 时 提 高 后 的 上 限 [250,000 微 西 弗 / 年 ] [10,000 微 西 弗 / 年 ] 巴 西 瓜 拉 帕 里 的 辐 射 (1 年 来 自 地 面 等 ) > 辐 射 量 ( 微 西 弗 ) 250,000 100,000 50,000 10,000 注 : 本 资 料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tory Story 2013. 1. 30. Story 2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3 STORY STORY 12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3 Korean Wave Story 2013 (2012년 1/4분기) 12 12 2012. 4. 9. 2 3 4 5 6 乱 世 佳 人 花 絮 合 集 梦 回 唐

More information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고조선의 천문과 북두칠성 13 고조선의 천문과 북두칠성 이 용 복 서울교육대학교 / 소남천문학사연구소 I. 서론 고조선에 대한 것은 고대사를 전공하고 있는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역사에 대하 여 평소에 별로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이라도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 조선에 대한 연구는 학자들 간 많은 이견이 있고 학문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고조 선( 古

More information

<C4A5B0EE20B3ABBBEAB8AE20353839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C4A5B0EE20B3ABBBEAB8AE20353839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칠곡 낙산리 589번지 근생시설부지내 매장문화재 국비지원 지표조사 결과보고서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지표조사 결과보고서를 공개하는 데에 동의함 2015년 10월 (재)대동문화재연구원 목 차 삽도목차 ⅱ 도면목차 ⅱ 사진목차 ⅱ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대상지의 입지와 환경 1 1. 입지 1 2. 고고 역사적 환경 2 Ⅲ. 조사내용 6 1. 조사대상지

More information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2017. 6. 22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구위원송대성박사前 ) 세종연구소소장방효복예 ) 중장前 ) 국방대학교총장남성욱박사고려대행정전문대학원장이원우박사前

More information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棄 権 DNS: 欠 場 )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

국사관논총_52집.hwp

국사관논총_52집.hwp 중국학계의 만주지역 고고학 연구동향 최 무 장 * Ⅰ. 시 작 말 2. 신석기시대 Ⅱ. 흑룡강성 3. 청동기시대 1. 구석기시대 4. 철기시대 2. 신석기시대 5. 고구려유적 3. 신석기시대말 Ⅳ. 요 녕 성 4. 청동기시대 1. 구석기시대 5. 철기시대 2. 신석기시대 6. 역사시기 3. 청동기시대 7. 발해문화 4. 고구려유적 Ⅲ. 길 림 성 Ⅴ. 맺 는

More information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 산업중분류, 조직형태 및 동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단위 : 개, 명 금정구 서1동 서2동 서3동 Geumjeong-gu Seo 1(il)-dong Seo 2(i)-dong Seo 3(sam)-dong TT전 산 업 17 763 74 873 537 1 493 859 2 482 495 1 506 15 519 35 740 520 978 815 1 666 462

More information

<BFACB1B82D30352DBFC0C7F6BCF62DC8B8B3B2C0DA20B1E2C0E720A1AEB0A5BCAEA1AFB0FA20A1AEBFE4BCF6A1AFB8A62D31C2F7BCF6C1A42E687770>

<BFACB1B82D30352DBFC0C7F6BCF62DC8B8B3B2C0DA20B1E2C0E720A1AEB0A5BCAEA1AFB0FA20A1AEBFE4BCF6A1AFB8A62D31C2F7BCF6C1A42E687770> 硏 究 論 文 회남자 기재 갈석 과 요수 를 통해 본 전기 고조선의 중심지 오현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통합과정 수료, 한국고대사 전공 98kid2000@hanmail.net I. 머리말 II. 갈석 과 요수 조문의 사료 맥락 검토 III. 갈석 과 요수 의 위치 고증 IV. 연장 진개 침입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 V. 맺음말 I. 머리말 근대사학 도입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보고제 2018-22 집 서산부석면강당리산 189 번지태양광발전시설 B 부지내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8. 7. 서산부석면강당리산 189 번지태양광발전시설 B 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8. 7.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 JKS태양광발전소 ( 정기상氏외 16인 ) 이의뢰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를거쳐국비지원으로실시한

More information

속표지(도큐)

속표지(도큐) 인묘(유 소아묘)와 성인묘 양자가 뚜렷이 구분되어지는 객관적 기준(점)이 설정된다면, 이러한 기 준을 이용하여 인골이 출토되지 않는 다른 유적에 적용 가능하지 않을까한다. 먼저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되어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고분의 성격 을 가장 잘 파악 할 수 있는 예안리고분군 목곽 석곽 유 소아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특별전을 열며 이번 묻혀진 백제문화로의 산책 - 한성백제 특별전은 우리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전시 입니다. 지난 겨울에 열렸던 우리 곁의 고구려 전에 이어 경기도의 삼국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뜻 깊은 자 리이기도 합니다. 한성백제는 첫 도읍지인 한성의

특별전을 열며 이번 묻혀진 백제문화로의 산책 - 한성백제 특별전은 우리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전시 입니다. 지난 겨울에 열렸던 우리 곁의 고구려 전에 이어 경기도의 삼국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뜻 깊은 자 리이기도 합니다. 한성백제는 첫 도읍지인 한성의 특별전을 열며 이번 묻혀진 백제문화로의 산책 - 한성백제 특별전은 우리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전시 입니다. 지난 겨울에 열렸던 우리 곁의 고구려 전에 이어 경기도의 삼국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뜻 깊은 자 리이기도 합니다. 한성백제는 첫 도읍지인 한성의 이름을 따 부르는 명칭으로 680여 년 간의 전 시기 중 전성기를 포함하여 500년 가량 지속되었지만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김해 한림면 용덕리 산1-5번지 외 7필지 국비지원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 2016.03 CONTENTS 목 차 Ⅰ. 조사개요 01 Ⅱ. 조사지역과 주변 환경 02 1. 자연 지리적 환경 02 2. 고고ㆍ역사자료로 본 김해의 역사 10 Ⅲ. 조사내용 18 1. 고고분야 19 2. 조사구역 내 유적 현황 22 3. 민속분야 24 4. 지명분야 25 Ⅳ. 종합고찰

More information

20001031jc0inb001a.HWP

20001031jc0inb001a.HWP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1 2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3 4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2000 年 度 國 監 - 農 林 海 洋 水 産 ( 附 錄 )) 5 6 (2000

More information

<B1B9BEEE412E687770>

<B1B9BEEE412E687770> 21 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및정답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2002 年 2 月 昌 原 大 學 校 大 學 院 音 樂 科 安 明 基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Sonata for B-flat

More information

( )탐스런해설OK

( )탐스런해설OK EBS 01 01 01 01.. 01 01 01 03 04 05 06 07 08 09 10 2 03 카라코람 70 100 산맥톈산 산맥 히말라야 산맥 알타이산맥 고비사막타클라마칸사막 티베트고원 윈구이고원 랴오허강황허강양쯔강 130 150 침엽수림사막, 사막관목대열대우림건조스텝열대낙엽수림고원 70 100 130 온대혼합림 대싱안링 산맥 산맥야블로노비 환 태 평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지표조사보고제 2016-54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6. 11.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6. 11.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이상현氏의의뢰로 ( 사 )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를거쳐국비지원으로실시한 서산음암면도당리산9-5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

More information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GM작물실용화사업단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GM작물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김욱 박사 1. 조사목적 GM 작물 관련 인식조사는 사회과학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GM 작물 관련 인식 추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조사설계 2.1.

More information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전반, 타격, 투수, 수비 진기록 전반 시즌 최고 승률 0.706 85 삼성 (110 경기 77승 32패 1 무) 기별 최고 승률 0.741 85 삼성 ( 전기 55경기 40승 14패 1 무) 시즌 최저 승률 0.188 82 삼미 (80 경기 15승 65 패) 기별 최저 승률 0.125 82 삼미 ( 후기 40경기 5승 35 패) 시즌 최다 승리 91 00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발 간 등 록 번 호 54-3540000-000057-01 2012년도 정비사업 추진 지연에 따른 갈등요인 길라잡이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BUPYEONG-GU 1970년대 부평의 전경 1995년 부평의 전경 2011년 부평의 전경 백운2구역 재개발지역 부평4동 재개발지역

More information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O 매입처 : 유한회사유니스한국자산관리대부 / 연락처 : 02-6010-0084 일련번호생년월일성별고객명대출과목주소1 주소2 1 790208 남 강 * 태 일반자금대출 경기 시흥시 2 900321 여 강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서대문구 3 780830 여 강 * 경 일반자금대출 경기 양주시 4 670509 여 강 * 란 일반자금대출 경기 수원시 5 760411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24 2저널(11월호).ok 2013.11.7 6: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sibility Study) 등을 수행하여 인니전력 이다. 공사(PLN)를 비롯한 인니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보고제 2017-36 집 금산군북면외부리 685-1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8. 금산군북면외부리 685-1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8.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유지순외 7인이의뢰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를거쳐국비지원으로실시한 금산군북면외부리

More information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抗 日 蜂 起 와 殲 滅 作 戰 의 史 實 探 究 - 韓 國 中 央 山 岳 地 帶 를 中 心 으로- 이노우에 가츠오( 井 上 勝 生 ) 1) 머리말 지난 해(2015년) 10월과 11월, 日 本 軍 東 學 黨 討 伐 隊 의 進 軍 路 를 한국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後 備 第 19 大 隊 (당시 東 學 黨 討 伐 隊 라고 불리었다) 第 1

More information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323031352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323031352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地 表 調 査 報 告 2015-16 김제 순동 농업용창고신축부지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5. 10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지표조사보고서를 공개하는 데에 동의함. [별지 제3호서식] 사업 내용 지표 조사 조사 결과 사 업 명

More information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2009-2010)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636 384,830 485,806 126 918, 시군별 성별 총인구 및 성비 (2012-2013) (단위 : 명, %) 구분 2012 2013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한국인(계) 한국인(여) 한국인(남) 성비 전국 50,948,272 25,444,212 25,504,060 100.2 51,141,463 25,553,127 25,588,336 100.1 경상북도 2,698,353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11+12¿ùÈ£-ÃÖÁ¾

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

More information

<3429BFC0C1F8BCAE2E687770>

<3429BFC0C1F8BCAE2E687770> 한국경제학보 제18권 제1호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s Vol. 18, No. 1(Spring 2011) 일제말 電 力 國 家 管 理 體 制 의 수립* 1) 吳 鎭 錫 ** 요 약 본고는 1940년대 전반 전력국가관리의 수립을 대상으로 정책 결정의 주체 에 주목하여 정책의 원안이 등장하여 최종안에 이르는 변천과정을 면밀하 게 분석한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µ¿¼�Çѹ溴¿øb60Ü¿ïÈ£š

µ¿¼�Çѹ溴¿øb60Ü¿ïÈ£š 2003 Winter Vol.5 www.dsoh.co.kr 2003 Winter / Vol.5 www.dsoh.co.kr C o n t e n t s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선조들의 지혜 엿보기 동서의약박물관 나무약틀 조선시대(AD 20C) 길이 49.0cm 높이 33.0cm 한의학에 대한 사랑과 뿌리 깊은

More information

ÀÚ¿øºÀ»ç-2010°¡À»°Ü¿ï-3

ÀÚ¿øºÀ»ç-2010°¡À»°Ü¿ï-3 2010 희망캠페인 쪽방의 겨울은 유난히 빨리 찾아옵니다. 하늘 높은지 모르고 오르는 기름 값은 먼 나라 이야기 마냥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내 몸 하 나 간신히 누일 전기장판만으로 냉기 가득한 방에서 겨울을 보내야 합니다. 한 달에 열흘정도 겨우 나가는 일용직도 겨울이 되면 일거리가 없어, 한 달 방값을 마련하 기 어렵고, 일을 나가지 못하면 밖으로 쫓겨 날

More information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003. 11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Ⅰ. 調 査 槪 要 1. 調 査 目 的 고성군에서 추진중인 율대 농공단지 확장예정지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제74-2와 동법 시행령 제43-2

More information

½Å½Å-Áß±¹³»Áö.PDF

½Å½Å-Áß±¹³»Áö.PDF 특 별 연 구 과 제 중 소 기 업 의 중 국 시 장 개 척 방 안 연 구 2 0 1 3 9 특별연구과제 2013-6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개척방안연구 특별연구과제 2013-6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개척방안연구 Contents v 08 09 09 11 12 12 14 16 22 22 25 30 35 37 41 41 42 49 52 55 55 61 71 76

More information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1(5): 68~77, 2013. 10. http://dx.doi.org/10.9715/kila.2013.41.5.068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59) 포석계 기암곡 가) 계곡현황 이 계곡은 鮑 石 溪 의 지류로 삼릉계 정상에서 시작하여 서북쪽으로 약 1.3km 흘러내려와 鮑 石 亭 부근에서 본류로 합쳐지는 계곡이다. 黃 臺 와 부엉더미를 형성하여 바위산이 험준하게 계곡의 동면을 막고 솟아 있으므로 절묘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이루는 계곡으로 정상부에 바둑바위가 있어 碁 巖 谷 이라 불리워진다. 東 京

More information

지도학발달06-7/8/9장

지도학발달06-7/8/9장 3 1 7 17 95101G 421d 221 2 3 4 1971 34 12 1804 1866 1972 31866 4 1 5 33 1866 3 6 31866 3 1803 1877 1804 1866 2 02333 318 4 51 633 3 6 2022 222 31866 1955 1931 3 916 7 1925 1925 10 9 1862 65 8 7 2 1931

More information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像 氣 名 刹 希 望 曰 術 技 藝 道 技 年 月 日 0 5, 1 2 3 4 5 45,000 40,000 39,534 35,000 30,000

More information

%±¹¹®AR

%±¹¹®AR 2004 CONTENTS 03 04 06 14 21 27 34 40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Auf den Spuren der Ostbarbaren Czech-Korean Dictionary 18 19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More information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상현고등학교 2 1 28 유 훈 2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6 24 정 찬 3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8 3 김 헌 4 [1]2018개방실험-학생2기[

More information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

200706ºÎµ¿»êÆ®·£µåc02ªš

200706ºÎµ¿»êÆ®·£µåc02ªš 06 2007 SUMMARY PartⅠ 아파트 시장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3. 분양실적 및 계획 PartⅡ 토지 시장동향 1. 권역별 지가동향 2.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동향 3. 토지거래동향 주요 News Real Estate Trend June 2007 Vol.11 KOREA APPRAISAL BOARD 2 3 4 5 Real Estate

More information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역대 국회의원 명단 당적표시는 당선당시(총선결과, 재 보궐당선, 의석승계) 소속정당을 나타냄. 제9 10대 국회의원의 당적중 국민회의 표시부분은 통일주체국민회의 에서 선출한 국회의원임. 제헌국회 (당적은 당선당시의 당적임)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성 명 선 거 구 당 적 비 고 姜 己 文 산 청 無 所 屬 金 若 水 동 래 朝 鮮 共 和 黨

More information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15-27호 2015.08.05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 국민의 절반 동참시 1조 3,100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 기대 Executive Summary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개 요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침체된 국민의 사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오는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에 최근

More information

성인지통계

성인지통계 2015 광주 성인지 통계 브리프 - 안전 및 환경 Safety and Environment - 광주여성 사회안전에 대한 불안감 2012년 46.8% 2014년 59.1% 전반적 사회안전도 는 여성과 남성 모두 전국 최하위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 2014년 광주여성의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범죄위험 으로부터 불안하 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76.2%로

More information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10 11 12 13 14 부여는 그 도장에 예왕지인( 濊 王 之 印 : 예왕의 인장)이라고 새겨져 있다. 그 나라에는 오래된 성이 있는데, 이름을 예성( 濊 城 )이라 고 한다. 본래 예맥의 지역인데, 부여가 그 가운데 왕으로 있었다. 1 15 16 17 18 19 20 1 2 21 2 22 1 2 23 24 1 2 25 26

More information

경영학회 내지 최종

경영학회 내지 최종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한서대주변개발예정용지 한서대학교 국도38호선 (2~4차로) 국도29호선 (4차로) 국도 38 호선 대산읍 군도 12 호선 가로림만 국도29호선 (4차로) 지곡면군도호선지방도634호선 ( 왕복2차로 ) 서산지방산업단지 성연면 인천 성연농공단지 지방도 634 호선 국지원 70 호선 지방도 649 호선 태안 팔봉면 국도 32 호선 음암면서산 IC 서해안고속도로국도32호선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제 정 1973. 2. 28 개 정 2010. 3. 19 定 款 삼성전기주식회사 http://www.sem.samsung.com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More information

일시 : 2014. 6. 20.( 금 ), 14:00~18:10 장소 : 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센터세미나실 출석위원 : 심정보, 박강철, 이현혜, 최성락, 강현숙, 김권구 ( 이상 6명 ) 심의내용및의결사항 : 이하자료와같음 안건번호매장 2014-06-01 1. 제주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조성사업부지내지표조사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가추진하는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소재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

More information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Story Story 2012. 9. 13. Story 1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2 STORY STORY 12 호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2 Korean Wave Story 2012 (2012년 1/4분기) 12 호 12 호 2012. 4. 9. 2 3 4 5 轩 辕 剑 之 天 之 痕 我 的

More information

미온적인 태도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나진항 개발관련 논의 또한 2005 년부터 추진되어 온 것으로 북한은 중국을 상대로는 도로(권하-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러시아를 상대로는 철도(하산-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나진항 3, 4 호 부두운영권 및 개발권을 넘긴다는 이중적

미온적인 태도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나진항 개발관련 논의 또한 2005 년부터 추진되어 온 것으로 북한은 중국을 상대로는 도로(권하-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러시아를 상대로는 철도(하산-나진항)건설을 대가로 나진항 3, 4 호 부두운영권 및 개발권을 넘긴다는 이중적 중국의 대북한 인프라 협력, 의존과 개방의 딜레마 원동욱(동아대 국제학부 중국학전공) Ⅰ. 들어가는 말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1874 호 등)에도 불구하고, 북중 수교 60 주년 및 북중 우호의 해(2009)에 따른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10. 4~6)으로 북중간 경제협력은 지속되고 있고,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는

More information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12.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직 책 성 명 소 속 직 위 조 사 단 장 성 태 현 경 남 발 전 연 구 원 원 장 책임연구원 이 범 홍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센 터 장 조 사 원 연구보조원 이 영 주

More information

DocHdl2OnPREPRESStmpTarget

DocHdl2OnPREPRESStmpTarget 자르는 선 5 월 월말 성취도 평가 국어 2쪽 사회 5쪽 과학 7쪽 자르는 선 학년 5 13 4 47 1 5 2 3 7 2 810 8 1113 11 9 12 10 3 13 14 141 1720 17 15 18 19 1 4 20 5 1 2 7 3 8 4 5 9 10 5 월말 성취도평가 11 다음 보기 에서 1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찾아 쓰시오. 각 나라마다

More information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84 85 86 87 88 89 1 12 1 1 2 + + + 11=60 9 19 21 + + + 19 17 13 11=60 + 5 7 + 5 + 10 + 8 + 4+ 6 + 3=48 1 2 90 1 13 1 91 2 3 14 1 2 92 4 1 2 15 2 3 4 93 1 5 2 6 1 2 1 16 6 5 94 1 1 22 33 55 1 2 3 4 5 6

More information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지표조사보고 15-99 [국비지원 지표조사]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 목 차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 및 그 주변의 환경 2 1. 청주시의

More informatio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2019. 6.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1225-1755 eissn 2288-9566 https://doi.org/10.9715/kila.2019.47.3.039 A Study on the Designer s Post-Evaluation of Gyeongui

More information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제23호(2015.7) 115~149쪽 북송 여요의 성립과 그 의의 이희관* 목차 Ⅰ. 문제의 소재( 所 在 ) Ⅱ. 여요 성립의 계기 定 州 白 磁 器 有 芒, 不 堪 用 의 재검토 Ⅲ. 여요의 성립시기 Ⅳ. 여요의 성립과 어용자기 조달방식의 변화 Ⅴ. 여요의 성립과 휘종 Ⅵ. 나머지말 여요의 전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 前 호림박물관 이 논문은 2014년

More information

지표3권1-265

지표3권1-265 894 895 896 897 898 899 900 901 산 학 리 축산업은 벼농사와 비교할 때 농한기가 없다는 것이 이점이다. 또한 가을에 추수한 짚과 왕겨를 축사 바 닥에 깔아서 쓰고, 가축의 배설물이 쌓이면 걷어내서 거름으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축 배설물을 거름 으로 쓰면 농사를 지을 때 좋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고, 축산 오염물을 배출하지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ç¶ûÀÇ¿�¸Å7È£ÃÖÁ¾

»ç¶ûÀÇ¿�¸Å7È£ÃÖÁ¾ 대성가족 사랑의 우체통 사랑의열매 2007. 9 가을소식 발행처 아동복지시설 대성보육원 발행인 최 현 자 편집인 이 영 지 발행일 2007년 9월 1일 주 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58번지 전 화 053-763 - 7249 팩 스 053-764- 7110 2 Contents 2 3 4 6 8 10 2007. 9 14 18 16 17 3 4 5 6 7 8

More information

단체표준심사위원회 - 2 - 목 차 - 1 - - 2 - - 규격별및무게 - 3 - 표 4-4 - 원형 그림 1-5 - 각형 - 6 - - 7 - B 부상세 C 부상세 D 부상세 부도 1 - 하수도용회주철 ( 648) 뚜껑및틀 - 8 - 손잡이 부도 2 - 상수도용구상흑연주철 ( 648X100) 뚜껑및틀 - 9 - 손잡이상세 무늬도 C 부상세 B 부상세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 4 - - 5 - - 6 - - 7 - 가공기업수 전체 일가공능력 400 톤이상 200~400 톤 100~200 톤 100 톤이하 2006 7,698 103 262 1,241 6,092 2007 7,548 95 251 1,059 6,143-8 - - 9 - 구분 유류가격인건비운송비 경유휘발유남여 원 / 톤, km 원 /10

More information

2004. 3. 31. 고속철도 개통의 영향과 시사점 목차 요약 Ⅰ. 고속철도 시대의 개막 Ⅱ. 고속철도 개통 현황 Ⅲ. 선진국의 고속철도 사례 Ⅳ. 고속철도 개통의 영향 Ⅴ. 시사점 내용문의: 전영옥 수석연구원 (jeonyo@seri.org) 02-3780-8133 고속철도 개통의 영향과 시사점 - 철도국이 추진한 도쿄(

More information

ITFGc03ÖÁ¾š

ITFGc03ÖÁ¾š Focus Group 2006 AUTUMN Volume. 02 Focus Group 2006 AUTUMN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두 길 모두를 가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 곳에 서서 한쪽 길이 덤불 속으로 감돌아간 끝까지 한참을 그렇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는 다른 쪽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이

More information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2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터빈 진동저감 및 IP 1 단 HVOF Coating 등을 설계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More information

名門家 명문가 기록관리의 변천 2011년 부천 족보전문 도서관 變遷 序 文 나이 스물을 조금 넘겨 군대 생활을 할 때 우연찮게 족보를 보기 시작하게 되었다. 그 즈음에는 문맹률도 높았고 그래서, 당히 각 가정에서 책을 구경하기란 아마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얘기 같지만 국민학교 교과서 정도가 전부이지 동화나 소설이나 잡지는 구경할 수도 없었다. 혹여 나름대로

More information

學 術 調 査 報 告 第 226 冊 국도대체우회도로(효현-내남) 구간 내 경주 부지리유적 2015 學 術 調 査 報 告 第 226 冊 국도대체우회도로(효현-내남) 구간 내 경주 부지리유적 2015 ( 財 ) 慶 尙 北 道 文 化 財 硏 究 院 1 2 원색사진 1. 조사대상지 원경 3 1 2 3 원색사진 2. 1호묘 조사 중 전경(1) 토층(2) 유물출토상태(3)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