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프로젝트개요 2. 개발동기 3. 관련연구 4. 개발내용 a. 동작과정 b. 지원기능 c. 개발환경 5. 장, 단점 6. 역할분담및일정 7. 향후개선사항 8. 참고문헌

Similar documents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1_cover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4D F736F F F696E74202D FB5A5C0CCC5CDC5EBBDC5B0FA20B3D7C6AEBFF6C5A9205BC8A3C8AF20B8F0B5E55D>

슬라이드 제목 없음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Microsoft Word - src.doc


SBR-100S User Manual

Ⅰ Ⅱ Ⅲ Ⅳ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52 l /08

H3250_Wi-Fi_E.book

제ㅈ목을 입력하세요

HTML5* Web Development to the next level HTML5 ~= HTML + CSS + JS API

PowerPoint Presentation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ICT À¶ÇÕÃÖÁ¾

..,. Job Flow,. PC,.., (Drag & Drop),.,. PC,, Windows PC Mac,.,.,. NAS(Network Attached Storage),,,., Amazon Web Services*.,, (redundancy), SSL.,. * A


NX1000_Ver1.1

스마트주택용분전반_160331

TTA Journal No.157_서체변경.indd


(연합뉴스) 마이더스

<4D F736F F D204954B1E2C8B9BDC3B8AEC1EE5FC0CCBCBAC8C62E646F63>

Special Theme _ 스마트폰 정보보호 스마트폰은 기존 PC에서 가지고 있던 위협과 모바일 기기의 위협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양 한 기능이 추가된 만큼 기존 PC에서 나타났던 많은 위 협들이 그대로 상속되며, 신규 서비스 부가로 인해 신 규 위

Microsoft PowerPoint - Chap14_WPAN과 WiBro기술 [호환 모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위한 Adobe Experience Manager Mobile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A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사업명 IT핵심기술개발 연구과제명 융합형 포털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참여형 방송기술개발 기여율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연구기간 2008년 03월 01일 ~ 2

11월 16일자.hwp

Microsoft PowerPoint SDK설치.HelloAndroid(1.5h).pptx


Art & Technology #5: 3D 프린팅 - Art World | 현대자동차

2010 년 10 월넷째주 ( ) 1. IT와타산업융합위한민관노력강화 2. 한국, IT산업분야국제표준제안건수세계 1위달성 3. 한국, 3년연속세계브로드밴드경쟁력 1위기록 4. 삼성SDS, 2011년 IT메가트렌드선정 'Smart' 와 'Social' 이핵심

SQL Developer Connect to TimesTen 유니원아이앤씨 DB 기술지원팀 2010 년 07 월 28 일 문서정보 프로젝트명 SQL Developer Connect to TimesTen 서브시스템명 버전 1.0 문서명 작성일 작성자

CONTENTS KATS 기술보고서제 74 호 KATS 기술보고서 스마트홈산업및표준화동향 I 주요이슈 4 Ⅱ 산업및시장 5 Ⅲ 기술및표준화 8 Ⅳ 대응방향및시사점 18 국가기술표준원 충청북도음성군맹동면이수로 93 TEL

컴퓨터과학과 교육목표 컴퓨터과학과의 컴퓨터과학 프로그램은 해당분야 에서 학문적 기술을 창의적으로 연구하고 산업적 기술을 주도적으로 개발하는 우수한 인력을 양성 함과 동시에 직업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갖는 IT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1. 전공 기본 지식을 체계적으로

Open Smart Home Platform and Interoperability of Home Appliances Park, Jun Hee Smart Convergence Middleware Research Team, ETRI

Microsoft PowerPoint 통신과 통신망.ppt

목차 Smart Home 개념 비전 구성도 Smart Home 서비스 Smart Home 시장규모 Smart Home 기술범위 국내외사례 국내외업체동향

Microsoft PowerPoint Android-SDK설치.HelloAndroid(1.0h).pptx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User Guide

wtu05_ÃÖÁ¾

Windows Live Hotmail Custom Domains Korea

Microsoft PowerPoint - 11주차_Android_GoogleMap.ppt [호환 모드]

[Blank Page] i

untitled

고객 카드

<4D F736F F D20B1E2C8B9BDC3B8AEC1EE2DC0E5C8F1BCF8>

암호내지

, N-. 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DLNA. DLNA,, UPnP, IPv4, HTTP DLNA. DLNA, DLNA [1]. DLNA DLNA DLNA., [2]. DLNA UPnP. DLNA DLNA.

WPAN 산업동향 언제어디서나네트워크에접속해정보를활용할수있는유비쿼터스시대가오면서 PC 와프린터등주변기기나가전제품간에무선으로대용량 데이터를주고받을수있도록해주는무선초고속데이터통신기술에많은관심이집중되고있다. 최윤섭 _ IT-SoC 협회기술지원팀과장

Æí¶÷4-¼Ö·ç¼Çc03ÖÁ¾š

(Microsoft PowerPoint - \310\250\263\327\306\256\277\366\305\251\(\260\255\274\256 KT\))

810 & 는 소기업 및 지사 애 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독립 실행형 장치로 구성하거 나 HA(고가용성)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810은 표준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범용 서버에 비해 가격 프리미엄이 거의 또는 전혀 없기 때문에 화이트박스 장벽 을

SANsymphony-V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 C0FCC6C4BBEABEF7B5BFC7E E687770>

통신업계를 위한 Continuum 솔루션 통신업체들은 날로 증가하는 기업 고객과 일반 소비자의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기 위 해 차세대 기술 및 인프라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나 교 환기 같은 주요 설비가 설치 되어 있는 mission-critic

Microsoft PowerPoint - 권장 사양

,. DocuCentre-V C2265 / C2263.,.,.,.., C2265 C , C2265 C *1: A4. *2: (A4 LEF, 200 dpi, ) Super G3, 55 25ppm* 1 ppm* 25ppm* 1 2 Model-CPS

TSP 사업계획

SBR-100S User Manual


<4D F736F F D205B4354BDC9C3FEB8AEC6F7C6AE5D3131C8A35FC5ACB6F3BFECB5E520C4C4C7BBC6C320B1E2BCFA20B5BFC7E2>

Microsoft Word - ICT Reprot

<4D F736F F F696E74202D20C8A8B3D7C6AEBFF6C5A928BEC8BCFEBFF820C1D6B0F829>

슬라이드 제목 없음

45호_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hwp

OM2M 기반의 OHP-M2M 오픈소스설치가이드 2015 년 8 월 경북대학교통신프로토콜연구실 최예찬, 강형우 요약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이이슈가되면서다양한사

Microsoft PowerPoint - I1-3 이현규 최종 업

슬라이드 1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4D F736F F D20C3D6BDC C0CCBDB4202D20BAB9BBE7BABB>

1. What is AX1 AX1 Program은 WIZnet 사의 Hardwired TCP/IP Chip인 iinchip 들의성능평가및 Test를위해제작된 Windows 기반의 PC Program이다. AX1은 Internet을통해 iinchip Evaluation

개 요 IoT 오픈랩 개념도 구축 배경 및 필요성 목적 및 기능 IoT 오픈랩 구성도 IoT 실증사업별 테스트베드의 허브인 IoT 오픈랩 구축 목 적 홈IoT 테스트베드와 타 실증사업 간 연계 사업 통합관리 및 사업간 협업체계 구축 : IoT 실증사업 간 협업 강화를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학교 유무선 인프라 구축

Cisco FirePOWER 호환성 가이드

LG Business Insight 1426

8.µðÁöÅÐÄÜÅÙÃ÷ »ê¾÷º° º¸°í¼�.hwp

LATEX과 Mendeley를 활용한 문헌 관리 2017년 2월 6일 제1절 서지 관리 프로그램 연구 주제를 찾거나 선행 연구를 조사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문헌들을 찾아보는 것이다. 수없이 많은 논문들을 찾게 되고, 이런 논문들을 다운로드한 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

Cloud Friendly System Architecture

< 표 1> 폴란드의 3 대이동통신기업현황 구분사업현황영업현황주요주주 피티케이 센터텔 폴콤텔 l 2) 피티씨 - 설립연도 : 1994 년 - 시장점유율 : 30.9% - 가입자수 : 14.1 백만명 ( 선불제 : 7.3 백만명, 후불제 : 6.8 백만명 ) - 고용자수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또한 미국,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신융합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규제 정비, 실생활 적용 중시, 사용자 보호/보안, 상황인지 등과 같은 규제 정비 및 사이버 보안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생태계 참여자간 협업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갤럭시윈 SHV-E500S 안드로이드 4.2 신형태그중하 갤럭시노트 3 SM-N900S 안드로이드 4.3 신형태그상 갤럭시 S4 액티브 SHV-E470S 안드로이드 4.2 신형태그중 갤럭시코어어드밴스 SHW-M570S 안드로이드 중 갤럭시그랜드 2 SM-G7

, Analyst, , Figure 1 ecall *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 : 응급 콜센터 개념 MSD (Minimum Set of Data) : 사고 시간, 장소, 운

Windows 10 General Announcement v1.0-KO

경우 1) 80GB( 원본 ) => 2TB( 복사본 ), 원본 80GB 는 MBR 로디스크초기화하고 NTFS 로포맷한경우 복사본 HDD 도 MBR 로디스크초기화되고 80GB 만큼포맷되고나머지영역 (80GB~ 나머지부분 ) 은할당되지않음 으로나온다. A. Window P

[Brochure] KOR_TunA

Nikon KeyMission 360. KeyMission 360 ( 1.5) SnapBridge 360/170 ( 1.1). SnapBridge 360/170., SnapBridge 360/170 OS.. KeyMission 360/ SnapBridge 360/170

KeyMission 360 KeyMission ( ).... 4K UHD., 60 cm... ii KeyMission 360

- 2 -

사용설명서를 읽기 전에 ios용 아이디스 모바일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ios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기기(iOS 버전 6.0 이상의 ipod Touch, iphone 또는 ipad)에서 장치(DVR, 네트워크 비디오 서버 및 네트워크 카메라)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영상을

Microsoft PowerPoint 통신과 통신망.ppt

Transcription:

Smart phone 을이용한 Home network 구현 김준현 200911379 이도영 200911409 손병대 200911395 지도교수 : 김기천교수님 ( 인 )

목 차 1. 프로젝트개요 2. 개발동기 3. 관련연구 4. 개발내용 a. 동작과정 b. 지원기능 c. 개발환경 5. 장, 단점 6. 역할분담및일정 7. 향후개선사항 8. 참고문헌

주제 : Smart phone 을이용한 Home network 구현 1. 프로젝트개요 스마트폰또는홈네트워크기술은지속적으로부가가치를창출할수있는기술로, 삶의질을한층더높게만들어준다. 이프로젝트는스마트폰을통해스마트홈을제어하는시스템을설계및구현하였다. 스마트홈시스템은홈노드구조물, 원격스마트응용시스템, 홈서버제어시스템으로구성된다. 홈노드구조물은침입감지, 컴퓨터제어, TV 제어, 전등제어, 사용자인식모듈로구성되어있으며모듈들은홈서버에의해서제어된다. 홈서버는사용자가직접제어할수있는사용자인터페이스와스마트폰을이용하여원격제어할수있는원격인터페이스를제공함으로써언제어디서나편리하게홈자동제어시스템을제어할수있다. 2. 개발동기 최근반도체기술및이동통신기술의괄목할만한발전으로사용자의장치들이지능적이고자율적으로통신망을구성하여사용자가원하는정보를언제, 어디서나쉽게제공할수있는유비쿼터스컴퓨팅환경이현실화되었다. 특히홈네트워크또는유비쿼터스홈네트워크또는유비쿼터스홈네트워킹기술은통신, 방송, 가전, 건설, 컨텐츠등다양한분야가융합되며, 산업간파급효과가큰가치사슬을통해지속적으로부가가치를창출할수있는기술이다. 따라서홈네트워크기술의정보화가생활속에자리잡으면서, 단순히가정내의네트워크연결이아닌주택또는건물내의정보기술요소를구현하고, 주택내공간과기기의제약없이보다폭넓고다양한정보와서비스를많은사람들이가지고있는스마트폰을이용하여제공함으로써삶의질을한층더높게만들어줄수있을거라고생각하여서개발하게되었다.

3. 관련연구 홈네트워크 - 개념 정보기술의발전으로 PC뿐만아니라휴대전화, 디지털 TV 등다양한정보기기가네트워크로연결되는환경이급속하게형성되고있다. 홈네트워크기술은네트워크와방송융합, 유비쿼터스사회로의급물살등 IT의빠른환경변화와함께다양한환경과사용자특성을고려해야함으로, 다양한분야의기술들이융합되어 IT 분야의종합예술과같은성격을갖고있다. 특히홈네트워크가중심이되는스마트홈 (Smart Home) 은지능형정보가전기기를네트워크로연결시킴으로써사람과자연스러운상호작용이가능하도록함으로써인간중심의서비스환경 (HOME; Human Oriented Mutual Environment) 을구축하고유익한그린생활서비스를제공하는기술이다. - 등장배경 1990년대중반이후우리나라는본격적인정보화사업을추진, 정보인프라분야를중심으로전세계가부러워하는괄목할만한성과를이루었다. 즉, 전국을연결하는초고속정보통신기간망의구축, 1천만가구의초고속인터넷보급, 3천만명이상의이동전화가입등실적을거두었다. 하지만국민들이정보화혜택을피부로느낄수있는 Digital Life 실현이라는질적인측면에서는아직미흡한상황이다. 앞으로디지털컨버전스기술의가속화에따라언제, 어디서나, 기기에상관없이다양한멀티미디어서비스를누릴수있는유비쿼터스환경이구축되고, 가정내정보이용환경이획기적으로개선되어경제, 사회활동의많은부분이가정에서이루어지는 IT의생활화가점차확산될것이다. 이에세계최고수준인정보인프라가전산업, 사이버아파트등국내

의유리한정보이용환경을기반으로스마트홈구축을중점적으로추진하여 일반국민모두가가정에서삶의질을획기적으로개선하는다양한정보화의혜 택을누릴수있도록하는것이다. - 기술현황 홈네트워크의핵심요소기술은홈서버 홈게이트웨이, 유 무선홈네트워킹, 지 능형정보가전및지능형미들웨어를포함한다. 홈플랫폼분야는외부망과가정을연결하고가정내다양한서비스를관장하여유 무선통합홈네트워크환경및고품질 융합형서비스를가능하게하는홈서버 홈네트워크, 홈네트워크보안및개방형서버기술로구성된다. 유 무선홈네트워킹기술은 Ethernet, PLC, IEEE1394, HomePNA, 광홈랜등의유선홈네트워킹기술과 Wireless LAN, ZigBee, UWB, Wireless1394, WirelessUSB 등의무선홈네트워킹기술로구성되며, 정보가전분야는기존백색가전기기들과센서들을네트워크로연결하여새로운서비스를창출할수있는기반환경을제공하는지능형정보가전기술과홈센서기술로구성된다. 지능형미들웨어분야는매체및 OS에상관없이정보가전기기의제어및감시를수행하고홈에서의다양한상황에대한적응력을제공하여유비쿼터스서비스를가능하게하는홈네트워크미들웨어, 상황적응미들웨어및멀티모달인터페이스기술로구성된다. 홈네트워크제품은홈게이트웨이와같이홈네트워크와엑세스망을연결시켜주는단순네트워크기능중심의제품으로부터점차홈네트워크에연결되는모든기기와서비스를관장하여홈네트워크를유비쿼터스사회의시발점으로자리매김시킬수있는방송, 통신과게임융합형홈서버제품군으로발전해나가고있다. 또한홈네트워크확산을위해유선홈네트워크중심에서무선홈네트워크중심으로발전하고있다. 또한스마트그리드와연계된 HAN(Home Area Network) 의등장으로가정에서다양한기술을접목한그린홈서비스의중요성이부각되고있다. 이는지능화된전력절감홈네트워크기술을통해가정내의정

보가전기기및융합 IT 기기의전력소비모니터링은물론능동적인전력소모제어 와관리가가능하다. - 개발동향 1. 홈플랫폼기술 유무선통합화와디지털컨버전스의급속한진전으로 FTTH 등의차세대초고속유무선인터넷과연계되어가정에서다양한통신 방송 게임이융합된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가정용디지털허브로서의홈서버기능이부각되면서, 엔터테인먼트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개방형서비스프레임워크및서비스통합관리솔루션확보를위한기술개발이활발히추진되고있다. 인텔, 모토로라등은미래홈플랫폼분야에서우위를점유하기위해차세대홈서버용 SoC기술을개발중이며, Sony와 MS는자사가경쟁우위를갖고있는 PSX와미디어센터등을기반으로홈플랫폼을구축함으로써홈네트워크조기시장선점전략을추진하고있다. 이외에도 Alloptic 등은 FTTH기반으로통신 방송융합형서비스제공이가능한홈게이트웨이를개발하였다. IBM( 미국 ), Prosyst( 독일 ), GateSpace( 스웨덴 ) 은 OSGi를준수하는개방형서비스프레임워크 (SMF) 를상용화하였으며, 일본은 HSAC(Hikari Service Architecture Consortium) 를구성하여광기반의광대역통신망을기반으로고품질의홈서비스제공을위한개방형서비스플랫폼의구축을본격추진중이다. 이와더불어, 가정내다양한가전기기들에대해홈플랫폼을통한정보보호및보안성확보에대한연구가집중되고있다. 국내에서는 ETRI와삼성전자등에서통신 방송이융합된국내우위를갖는 DTV와연계되는신개념의홈플랫폼상용화기술을확보하고있으며, 휴맥스등에서셋톱에다양한부가기능을부가하여홈플랫폼으로전용할수있는셋톱개발을시도하고있다. 또한, LG전자 티컴앤디티비로, 애드텍 삼성전자, 인프라넷 임

프레스텍, 미리넷 디지스타등은 VOD 와실시간스티리밍방송, 홈뷰어서비스 가가능한초기홈서버를개발하였으며, 삼성전자, 콘넥디드시스템등의업체가 개방형프레임워크기술을적용한서비스게이트웨이시제품을개발하였다. 2. 유 무선홈네트워킹기술 초고속인터넷과연계한 Ethernet, 가전기기제어를위한전력선통신, AV 기기를위한 IEEE1394 등유선기술과 Wi Media 및 IEEE의 WPAN 등무선홈네트워크기술의표준경쟁이심화되고있다. 특히, 홈네트워크확산을위해고속무선홈네트워크의중요성이확산되면서미래형무선홈네트워크기술개발에선진기관이박차를가하고있다. 최근 Intellon( 미국 ), DS2( 스페인 ) 등에서는 200Mbps급의전력선통신핵심칩을상용화하였고, NEC( 일본 ) 등에서전력선모뎀시제품을개발하였으며, Echelon사 ( 미국 ) 와 ITran( 이스라엘 ) 사등은 10Kbps 이하의저속전력선모뎀을상용화하였다. 특히, 일본의경우 90년대중반이후, 경제적인댁내배선을위해플라스틱광섬유를이용한홈백본망구축이진행중이다. 무선홈네트워크는기존 IEEE 802.11x 기술의대역폭을확장하고 QoS를추가하는 IEEE 802.11e/n 규격의표준화를진행중이며, 20Mbps HDTV급전송이가능한 UWB(Ultra Wide Band) 와같은광대역무선기술과 ZigBee 등위치기반의저속센서기술이등장하는등유선보다는무선기술이시장을지배할것으로전망되고있다. 3. 정보가전기술 기존가전기기들이홈네트워크에연결되고있으며, 오디오, 비디오등 AV 기기들의지능화가빠르게진행되고있다. 이태리의 Meloni사는전력선을이용한냉장고, 에어콘등을상용화하였으며, GE사등도전력선을이용한정보가전기기시제품을출시하였다. 대부분의 AV기기들이 1394를기본적으로지원함으로미츠비시사등에서 HAVi 기반의 HDTV와 VTR을상용화하였으나, 최근들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의세력확산이증가하고있다. 또한유비쿼

터스홈이가시화되면서홈센서간정보교환이가능하도록홈센서가지능화되고착용가능한형태로발전하고있으며, RFID 및유비쿼터스 ID를기반으로다양한정보를제공할수있도록발전할것으로전망된다. 센서는홈오토메이션서비스의필수구성요소로써주로방범 방재, 실내환경조절, 원격검침등에사용되고있으며, 향후센서기술은지각화센서, 극한환경센서, 마이크로미케니컬센서 ( 미소기계소자 ), 바이오센서등으로발전해나갈것으로예상되며, 지능화, 다원화, 다양화되고있다. 4. 지능형미들웨어기술 2000년부터 MS, 인텔, 소니사등은각사가우위를점유하고있는분야중심으로미들웨어에대한표준을선도하여, 현재미들웨어기술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LonWorks 등다양한단체표준이혼재되고있다. 특히, 최근에들어오면서다양한이종미들웨어간에상호호환성부재가홈네트워크확산의부재로인식되면서이들간상호호환과연동을보장하려는기술개발이시작되고있다. 또한, 점차무선홈네트워크환경이확산됨에따라무선홈네트워크에연결되는디바이스를안전하고자동으로구성하여관리할수있는미들웨어의필요성을인식하며이에대한개념이정립되고있다. 그리고유비쿼터스홈을구체화하는상황인지미들웨어기술에대한연구도활발히진행되고있다. - 시장동향 인스태트 (In-Stat) 의보고서에따르면, 세계스마트홈시장은 2008년 828억달러에서연평균 16.4% 의성장률을기록하며, 2014년에는 1,773억달러에이를전망이다. 특히유무선홈네트워킹분야는 2007년 193억달러에불과하던것이 2014년에는 4,930억달러 ( 연간 53.2% 성장률 ) 라는경이로운성장세를보일전망이다. 이와별도로네트워크미디어정보가전분야가연평균 20.9% 의높은성장세를, 홈오토메이션이 10.5% 의성장세를보일전망이다. 국내시장은유무선홈네트워킹시장이연간 36.2% 의고성장을지속하는가운데, 네트워크미디어정보

가전이연간 36.3% 의성장세를보일것으로전망되고있다. 국내스마트홈시장은 2014년 4조 4,308억원으로예측된다고인스태트보고서는밝히고있다. 특히최근들어국제표준의중요성이부각되고있는가운데각국에서는자국기술을 ISO, IEC 등다양한국제표준화기구에경쟁적으로제안을추진하고있는상황이다. 특히새로운방식의유무선네트워킹기술, 미들웨어기술의난립으로서로다른기술간의상호연동성제공이주요이슈로까지떠오르고있는실정이다. ISO/IEC 표준의경우, ISO/IEC JTC1 SC25가정보기기상호접속에관한표준을제정하고있으며, 산하 WG1은 HES(Home Electronics System) 에대한국제표준화를진행중이다. 특히 WG1은 HES Residential Gateway(RG) 의요구사항과기본기능에대한표준을제정하였고, 현재 Interoperablity와 Security에대한표준화작업을진행하고있다. 국내기술로는 SKT가개발한홈게이트웨이관리기술 (CMP), 경원대 ( 전호인교수 ) 가개발한근거리무선메시네트워킹기술 (WiBEEM) 이현재국제표준프로젝트로진행중이다. IEC 표준은, IEC/TC100(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 ) 가 AV, 멀티미디어시스템및장비에대한국제표준화를담당하는기구로 TC100 산하 TA8에서멀티미디어홈서버시스템관련국제표준을제정하고있다. 스마트홈 - 개념 스마트홈시스템은빠르게변화하는 ICT 가주거환경에접목되는현상을나타 내는것으로서하나의개념으로표시하는것은쉽지않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2010) 는스마트홈을 지능형정보생활기기가네트워크로연결되어사람과자연스러운상호작용을하고인간중심의서비스환경에서실감생활서비스를제공하는기술 로정의한다. 스마트홈의세부구성요소는서비스기반을제공하는홈플랫폼기술, 정보생활기기의접속을위한유 무선홈네트워킹기술, 맞춤형융합서비스제공을위한지능형정보가전기술, 쾌적하

고경제적인생활환경유지를위한그린홈기술등이있다.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KASH) 는스마트홈을 주거환경에 IT 를융합하여국민 의편익과복지증진, 안전한생활이가능하도록하는인간중심적인스마트라이 프환경 으로정의한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CA) 은스마트홈을 유무선통신망과디지털기기를 기반으로편리하게가정환경을관리할수있는유비쿼터스홈네트워크시스템과 그러한시스템이구축된주거공간 으로정의한다. 이상의논의를종합해보면스마트홈시스템의개념은다음과같이정의할수있다. 스마트홈시스템은사물인터넷 (M2M/ IoT/ IoE) 기능이포함된가전제품및가정설비가유무선통신네트워크가구축된주거환경에서스스로정보를생산해서다른사물과사람에게전달하고, 사람의수요를파악하거나예측해서일정수준의자동화결정을함으로써주거생활의질을높여주는시스템이다. 스마트홈시스템은단순한홈네트워크구축의의미를넘어보안, 에너지관리, 엔터테인먼트까지확장되고있으며, 이들서비스를결합한통합형플랫폼으로진화하고있다. - 개발동향 구글 (Google) 은 2014년 2월온도조절장치와화재경보장치를만드는 Nest Labs 를 32억달러에인수했다. Nest Labs는인공지능과통신기능을갖고있는스마트콘트롤러 ( 온도조절기 ) 인 Nest Thermostat을제조하는기업이다. Nest Labs의 Thermostat은스마트폰처럼터치방식으로작동되며휠을돌려서실내온도를조절할수있고, 일주일정도계속해서온도를설정하면그이후에는패턴학습과인공지능을통해스스로최적의온도수준을찾아설정할수있다. 구글의 Nest Labs 인수는구글이본격적으로스마트홈시장으로진출하는준비단계로평가할수있다. 뿐만아니라구글은안드로이드 OS를보유하고있기때문에 Nest Labs와같은하드웨어기업의인수를확대해나간다면향후 OS, 하드웨어, 그리

고이를연결한시스템허브까지완비한스마트홈서비스기업으로성장할것으 로전만된다. WSAN(Wireless Sensor and Actor Networks) 는무선센서네트워크에감지된정보를기반으로작동장치 (Actuator) 에게특정행위를지시하는무선센서 / 장치네트워크이다. 현재우리나라는스마트빌딩에적용하여첨단 IT시스템을이용한냉 난방, 조명, 공조 환기, 방재 보안등의정보를감지하고있다. 이러한실시간으로전달, 판단, 처리및제어할수있는지능형센서노드플랫폼및최적화된에너지관리로쾌적하고편리한실내환경을높은에너지, 적은인력으로관리할수있다. 조지아텍에서구현하고있는 'AwareHome' 이란, 집과집주변의정보, 그리고거주자의행동에대한정보를인식하는능력을가진거주환경을의미한다. 특히 AwareHome은사람의인지능력 (Human-Like perception) 이라는개념을이용하여고령자를위한다양한서비스를개발하고있다. 거주환경에서인식해야할정보의범위를구체화함으로써실제적용가능한스마트홈의모델을제시하였다. MIT MediaLab 내의주요연구단체중에하나인 Changing Place가추진중인 House_n 프로젝트는실거주자를상대로다양한연구를수행하기위해 PlaceLab 이라는테스트베드를구축하였다. 연구자들은하루 24시간본랩에거주하는거주자의정보를모니터링하고선택된거주자는짧게는몇시간에서길게는몇개월까지연구Lab에거주할수있다. 연구에필요한추가장비는필요에따라설치될수있으며모니터링과이러한장비의관제는현장밖에서원격으로이루어질수있다. 현재의료서비스는병원에서가정으로, 치료에서예방으로그무게중심이이동하고있다. 이러한트렌드는의료서비스를필요로하는노령인구의급증과연관되어있어새로운도전과기회를제공하고있으며, House_n 역시이러한예방의학을 1차연구안건으로삼고있다. 필립스리서치는새로운미래형라이프스타일을선도할가전을개발하는 Homelab 이라는연구시설을갖추고 'Connected Home' 이라는개념이어떻게구 현될수있는지가정의미래를제시하였다. 거실의커다란디스플레이와리모컨

겸용디스플레이, 거울형미러디스플레이를통하여서로다른공간에있는친구와영화나디지털사진등을함께감상할수있고욕실거울통해뉴스나기타정보를검색해볼수있다. 집안어디에서나원하는장소에비디오컨텐츠를전송해줄수있으며음성명령으로좋아하는노래나앨범을검색하거나재생할수있다. 이동통신사업자인 AT&T는이용자가스마트폰, 폰태블릿PC, 데스크톱등을가정내모든상황을통제할수있는 3G 및 Wi-Fi 기반의통합형가정관리시스템인 Digital Life 서비스를출시했다. 이서비스는 2012년 2월 Atlanta와 Dallas에서시범적으로도입되었고, 2013년 5월부터미국내 20개도시에서상용화됐다. 이서비스는 AT&T가 2010년인수한스마트홈솔루션전문기업인 Xanboo의기술을바탕으로개발되었다. Digital Life 서비스는기본적으로편리한가정보안솔루션을지향하고있다. Digital Life가다른가정보안솔루션과차별화되는점은센서가감지한데이터를이용해자동으로경보시스템을가동하고필요한기능을수행할수있다. 현재 ios, Android, Windows Phone에서작동하는모바일리모컨애플리케이션을출시한상태이며, Digital Life 이용자들은이애플리케이션을통해스마트폰으로문단속, 신래온도조절, CCTV 영상재생등의동작을수행할수있다.

4. 개발내용 a. 동작과정 번호 설명 1 - 최초이용시 Smart phone 에 Application 을설치. 2 - Server 와연결시도시 Server 로계정과비밀번호를전송 - 사용자는미리 Server PC 에사용자계정과비밀번호를작성후저장. 3 - Server 에서계정과비밀번호검사후연결허용여부결정.

번호 설명 1 - 연결설정후사용자는 Smart phone 을이용하여 Home network Server 로각종명 령 Message 를전송할수있음. 2 - Server는특정이벤트발생시해당 Server에등록된 Smart Phone으로각 Event에해당하는 Message를전송할수있음. - 사용자가 Smart phone 단말기를이용하여특정명령 Message를전송했을때, Server는그 Message에따른동작결과를사용자에게응답 Message로전송. 3 - Home network Server 에연결된전등에서점등예약시간만료등각 Event 가발생시관련정보를 Message 를통해 Server 로전달

4 - 전등제어 Message 및수신받은 Message 에따른응답 Message 전송. 5 - Home network Server 에연결된냉난방 System 에서온도측정에따른 Event 등이발생했을때관련정보를 Message 를통해 Server 로전달 6 - 냉난방 System 제어 Message 및수신받은 Message 에따른응답 Message 전송 7 - Home network Server 에연결된냉장고에서재고부족등의 Event 가발생했 을때이와관련된정보를 Message 를통해 Server 로전달. 8 - 냉장고제어 Message 및수신받은 Message 에따른응답 Message 전송. b. 지원기능 - 공통사항 제한사항 - Home network 에연결되는실제 Device 들의준비는불가능. - Home network 에접속될 Device 들에이용될 Software 개발로대체. - 해당 Software 들은 Smart phone 또는 Laptop 에서실행가능. 기능사항 - 사용자의 Smart phone 단말기와 Server 간의 Message 송수신. - Server와해당 Server에연결된 Device들간의 Message 송수신. - Server는사용자의 ID, PW, 전화번호등을저장하는 Database 구축 - 특정 Event 발생시 Server 는사용자 Smart phone 으로 SMS 전송 ( 비연결시 ) - 특정 Event 발생시 Server 는사용자 Smart phone 으로관련 Message 전송 ( 연결시 )

- 사용자단말기 ( 스마트폰 ) 기능최초설치접속인증요청 Device 제어요청접속종료 기능설명 - App store 또는특정저장장소에있는 Application 를 Smart phone 에설치 - 해당계정의비밀번호를 Server로전송. - Server로부터접속허용 Message를수신하면접속성공. - Home network에연결된 Device 선택 - 선택한 Device에맞는특정제어 Message 전송 - Server와의접속종료요청 - Smart phone 이종료되거나무선인터넷이지원되지않을경우자동으로접속종료. - Server 기능접속처리계정설정 Device 제어 기능설명 - Smart phone에서접속요청을수신. - 수신한계정과비밀번호가일치하는지 DB를확인. - 일치여부에따른접속허가 Message 전송. - Smart phone에서접속할수있는계정생성. - 생성된계정의비밀번호변경기능. - 해당계정과연동될 Smart phone의전화번호저장.. - 사용자가원하는 Device에게명령 Message 전송 - 특정 Device 로부터특정 Message 를받을경우계정에연동된전화번호로 SMS 전송 - 전등 기능 On/Off 기능설명 - 전등의점등, 소등기능. - 해당 Device 수동조작가능. - Server를통한원격조작가능. 예약점 / 소등 - 사용자가예약해놓은시간에점등및소등가능. - 점등후시간측정을통해일정시간후소등가능.

- 냉장고 기능온도조절 / 확인물품개수확인문원격조정 기능설명 - 냉장고온도수동으로조작및확인가능. - 원격으로냉장고온도조작및확인가능. - 원격으로냉장고동작모드설정가능 ( Timer 기능추가 ) - 냉장고안의공간을사용자가구역별로설정가능. - 각구역에존재하는물품의개수및무게등의실시간감지. - 원격으로해당구역물품상태를사용자가확인가능. - 무게미달및물품잔고부족일경우 Server로 Message 전송. - 냉장고의문이덜닫혀있을경우 Server로경고 Message 전송. - 원격으로냉장고문조작가능. - 냉난방 System 기능 On/off 자동온도조절 기능설명 - 온도측정을통한냉난방System 동작설정. - 해당 Device 수동조작가능. - Server를통한원격조작가능. - 단일냉방기및난방기조작가능. - 사용자명령없이자동온도조절가능. - 사용자가미리설정한온도와실제온도를비교. - 실제온도가더높을경우냉방, 더낮을경우난방실시. Timer 설정 감시모드 - Timer 기능. - Timer 기능활성화시해당시간동안지정한냉방기및난방기가동작. - 사용자설정시 Timer의시작과끝에 Message를 Server로전달.. - 사용자가원할때 Smart phone을이용해서현재집안의온도상태및가동중인냉방기및난방기의정보를알수있음. - 온도가너무높거나낮아질경우위협요소로인지하고 Server로 Message 전송. - 사용자가미리설치한카메라를통해실시간영상및특정시간의사진을 Server 를통해사용자에게전달.

c. 개발환경 기능 기능설명 사용자단말기 - Smart phone ( 삼성갤럭시 S ) - Android 운영체제 Server - Desktop ( Window 7 ) -> 무선인터넷지원 - Android 기반개발 tool 지원 - Eclipse 개발 tool 지원 - 사용 Language : Java 각종기기 - Smart phone ( 사용자단말기와동일 ) - Laptop ( Window 7 ) -> 무선인터넷지원 5. 장, 단점 - 장점 -> 편리성증대 사용자가외출시집안에남아있을모든위협요소를확인하기위해불필요한시간을낭비하는것을막을수있다. 사용자는미리, 혹은이후에생각날때마다위협요소들을스마트폰을이용하여 list화하여관리할수있고, 외출시이를이용하여해당위협사항들을자동으로한번에확인할수있게된다. 또, 만일해당위협요소에관련된사건이발생시홈네트워크에서이와관련된내용을외출중인주인에게메시지로전송할수있고, 사용자는손쉽게잔재하고있는위협요소를스마트폰조작으로용이하게관리할수있게된다.

-> 에너지절약용이 스마트폰을이용하여홈네트워크를구성했을시홈네트워크에연결된각기기들이실행되고종료되기까지의운행시간등을수집하여알수있다. 만약사용자가미리해당기기의하루운행시간을정해놓는다면, 해당시간이초과하였을때홈네트워크와연동된사용자의스마트폰으로관련알림메시지를전송할수있다. 이를통해사용자는손쉽게불필요하게낭비되는에너지를절약할수가있다. -> 쾌적한개발환경 스마트폰을이용한기술이기때문에스마트폰에서실행되는애플리케이션개발이필수적인데, 오늘날에는애플리케이션개발에도움이되는도구들이많이존재하기때문에편리한개발환경을갖출수있다. 또한유지, 보수시에도개발자들에게큰편의성을제공할수있다. -> 비용절감 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을위해서부수적인원격조종장치가필요한것이아니라, 오늘날대부분의사람들에게보급된스마트폰을이용하여홈네트워크서비스를이용하는것이기때문에, 홈네트워크서비스를지원하는기기들이존재한다면그외에별도의비용이필요하지않다. - 단점 -> 비용문제 스마트폰을이용하여집에있는여러기기들을조작할수있으려면해당기기 들이네트워크기능을지원해야한다. 오래된기기들은홈네트워크를지원하지 않아홈네트워크에접속할수없으므로해당서비스를제공받을수없다. 이는

곧홈네트워크서비스를지원받기위해서는그에맞는네트워크호환기기들이필요하다는것을의미하며이를구비하는데있어서사용자에게큰부담을줄가능성이있다. ( 실제프로젝트진행시에는스마트폰이나노트북을이용하여해당기기들에탑재할소프트웨어개발 ) -> 보안문제 사용자에게편리성을제공하기위해홈네트워크는필수적으로사용자의이용정보를데이터형식으로저장하게되는데, 홈네트워크가해킹을당했을경우악의적으로이러한정보들이이용될수있다. 사용자가주로시청하는 TV 채널이라든지언제불이켜지고꺼지는등의정보를통해사용자가언제외출하고귀가하는지에대한정보도알수있다. 또한방범문제를해결하기위해적용되는서비스가도리어실거주자의프라이버시를침해할수있는문제도존재한다. -> 시스템오류문제 지원기능중안정성을필요로하는기능이존재한다. 하지만만약서비스오류로인해사용자가요구하지않는형태, 즉가스밸브가열리고아무도없는집에현관문이열리는등의문제가발생할수있다. 이는곧자칫하면막대한재산피해나인명피해로이어질수있으며, 사용자에게편리성을제공해야할홈네트워크서비스가도리어사용자에게큰악영향을미치는경우이다. -> 스마트폰의필수 기본적으로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을이용한서비스인만큼스마트폰이존재하지않으면해당서비스를이용하는데제한사항이있다. 오늘날스마트폰이많이보급되기는하였지만, 아직스마트폰을이용하지않는사용자들도많이존재하고있기때문에이는해당사용자들이홈네트워크서비스를사용하는데제한사항..

6. 역할분담및일정

7. 향후개선사항 -> 소비자의인식문제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가일반소비자 320명을대상으로 스마트홈유용성 설문조사를실시했었는데절반에가까운소비자들이 없어도되지만, 있으면좋다 고응답했다. 즉, 홈네트워크서비스자체가현재소비자욕구가확실히담보된서비스는아니란것을반증한다. 때문에아직소비자욕구가충분히있지않은상태에서의홈네트워크서비스개발은해당서비스발전의발목을잡는잠재요소이다. 향후소비자들의욕구를증진시키는작업이필요할것이다. -> 통일된플랫폼을구축하는일 현대사회에존재하는모든기기들은동일한회사에서동일한플랫폼을가지는기기들이아니다. 각기다른이해관계를가진기업에서앞다투어경쟁하듯기기를출시하는오늘날이러한다른기업에서생산된기기들을하나로묶는플랫폼이필요하다. 스마트폰을이용한홈네트워크를구현하려고할때모든기기에동하게적용되는프로토콜이존재하지않는다면홈네트워크서비스는반쪽짜리서비스로동작할것이다. 심한경우에는각기다른종류의홈네트워크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그종류수만큼의프로토콜이필요할수도있다. -> 효율적인기술개발필요 홈네트워크기술이접목된기기들은그이유만으로도그렇지않는기기들에비해가격이무척이나높다. 그리고이는곧소비자들의진입장벽으로작용하고이로인해해당서비스의상용화는늦춰지고, 이때문에해당서비스발전에박차를가하기힘든상황이다. 효율적인기술개발을통해서비스비용뿐만아니라최초기반비용이낮아져야할과제가남아있다.

8. 참고문헌 - [special report 2] 주인님오신다불넣고목욕물받자 글로벌기업격전지부상한스마 트홈 ( 14.5.13 매경이코노미 )- - 日소니, ' 똑똑한 ' 밥통형홈서버 'HS1' 발표 ( 08.5.7 ZDNet Korea ) - 스마트홈네트워크기술 ( 13.2.20 ICN ) - 사물인터넷을이용한스마트홈시스템 ( 14.2.24 국회입법조사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