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9A6BAB8B0EDBCAD28312EC7F6C8B2BAD0BCAE292D28397E3130387029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¼øâÁö¿ª°úÇÐÀÚ¿ø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untitled

¹ßÇ¥¿äÁö

<C3CAC1A DC1DFB1B92E687770>

200706ºÎµ¿»êÆ®·£µåc02ªš

0001³»Áö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나하나로 5호

³»Áö_10-6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BCF6B5B5B1C720B1B3C5EBC3BCB0E8B0B3C6ED28B4EBC7A5292DB1E8BCF6C3B628C0CEBCE2292E687770>

학부모신문225호최종

- 2 -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03 ¸ñÂ÷


더바이어102호 01~09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

< B3E2B1E2C1D85FC1D6B9CEB5EEB7CFC0CEB1B8C5EBB0E8BAB8B0EDBCAD2E687770>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 2 -

03-교통이야기

01 02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ÀÚ¿øºÀ»ç-2010°¡À»°Ü¿ï-3


#7단원 1(252~269)교


지도학발달06-7/8/9장

01¸é¼öÁ¤

경영학회 내지 최종


T hwp

¾Æµ¿ÇÐ´ë º»¹®.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src.xls

문치주의와 기록문화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41~084 ¹®È�Çö»óÀбâ

0000³»ÁöÀμâ

지표3권1-265

이용자를위하여 1. 본보고서에수록된내국인통계는 2017 년 12 월 31 일현재 주민등록법 에의하여주민등록표에등재된세대와인구를집계한것입니다. 그리고외국인통계는 출입국관리법 에의하여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에등재된인구를집계하여수록한것입니다. 2. 본통계자료는다음과같은사유로작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5권심층-양화1리-1~172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온습도 판넬미터(JTH-05) 사양서V1.0

bm hwp

CR hwp

목 차

와플-4년-2호-본문-15.ps



OD..Network....( ).hwp

°ÇÃà»ç¶û2¿ùÈ£-2»©´Ù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37 동대문구 청량리8 추진위 청량리동 ,314 재개발 38 성북구 돈암6 추진위 돈암동 ,050 재개발 39 성북구 동소문2 조합 동소문2가 33 20,657 재개발 40 성북구 동선1 추진위 돈암동 ,235 재개발 41 성북구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Ⅰ. 도시계획시설결정 ( 변경 ) 1. 교통시설 가. 도로 ( 기정중로 보조간선도로 6,149 중로1-109 미호동 ( 건고 37) 변경중로 ,758 소로1-미호1 소로2-미호 ( 건고 37) 변

CC hwp

untitled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DocHdl2OnPREPRESStmpTarget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5BC5EBB0E8C7A55D BFF920BFA9B7D0C1B6BBE75FC5EBB0E8C7A55FBCADBFEF2E687770>

<C0CEBBE7B9DFB7C92D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Ⅰ 현황분석 1. 서울시 현황 2. 남양주시 현황 3. 구리시 현황 4. 묘 현황

1. 서울시 현황(연산군묘) 1) 위치 서울시는 한반도 중심으로 동쪽으로 강동구 상일동 산 12번지, 서쪽으로 강서구 오곡동 654번지, 남단으로 서초구 원지동 산 4-62번지, 북단으로 도봉구 도봉동 산 29-1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25개구, 43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1-1 입지현황(서울시) 2) 수계 및 지형 서울시의 하천은 국가하천인 한강, 중랑천, 안양천 및 청계천 등 33개 지방하천 외 총 36개 하천이 있는바, 특히 중랑천ㆍ정릉천ㆍ우의천 등 17개 하천에 대하여 자 연생태가 되살아나는 친수 환경으로 복원하여 쾌적한 도시하천으로 조성하기 위한 하천정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으며, 도림천ㆍ도봉천ㆍ불광천 등 6개 하천 6.42km에 대하여 이용 상황, 교통대책, 주민의견 등을 감안한 복원의 타당성조사로 장기적인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11

그림 1-2 하천현황(서울시 2020계획) 3) 기상 기후 서울의 기후는 주로 시베리아, 중국의 대륙성 기후계와 남서태평양의 해양성 기 후계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남부지방의 온대성 기후와 북부 지방의 한대성 기후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다. 서울시의 연평균기온은 11.6, 월 평균 최저기온은 -13.1, 월평균 최고기온은 35.4 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95mm 로 7~8월에 집중강우를 보이고 있다. 4) 토지이용 및 인구 서울은 우리나라 수도로서 행정ㆍ정치ㆍ경제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ㆍ경제적 여건을 기저로 하여 과학, 기술, 정보, 문화 예술 등 전국에 대한 선도적 활동이 집중함으로써 제반활동의 중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의 인구는 1970년부터 1990년까지 5,433천인에서 10,613천인으로 전국의 연 평균 증가율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서 20년간 2배 가까이 성장하였다. 그러 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는데, 1992년 1,097만명을 정점으로 서울의 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12

5) 문화 역사자원 서울시는 도성 안에 경복궁 등 5대 궁과 종묘, 사적 등이 있으며, 태릉ㆍ강릉, 헌릉ㆍ인릉, 신덕고왕후 정릉 등 많은 문화 역사 자원들이 있다. 서울시에는 경복궁과 덕수궁, 창덕궁 등 조선의 궁궐문화와 태릉ㆍ강릉, 헌릉ㆍ 인릉, 신덕고왕후 정릉 등 조선의 장묘문화를 볼 수 있는 문화자원이 풍부하다. 이 러한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세계유산 선릉ㆍ정릉과 연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이 요 구된다. 경복궁(사적 제17호) 덕수궁(사적 제124호) 종묘(사적 제125호) 영휘원ㆍ숭인원(사적 제361호) 선릉ㆍ정릉(사적 제199호) 태릉ㆍ강릉(사적 제201호) 헌릉ㆍ인릉(사적 제194호) 신정고왕후 정릉(사적 제208호) 의릉(사적 제204호) 봉은사 선불당(서울유형문화재 제164호) 방이동 백제고분군(사적 제270호) 창덕궁(사적 제122호) 그림 1-3 서울시 주요 문화재현황 13

2. 남양주시 현황(영빈묘, 광해군묘, 안빈묘, 성묘) 1) 위치 경기도의 동북부에 자리하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동( 東 )으로 양평군과 가평군, 서 ( 西 )로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구리시, 남( 南 )으로 하남시와 광주시, 북( 北 )으로 포천시와 접하고 있다. 남양주의 동( 東 )단은 북한강 가운데이며, 서( 西 )단은 수락산 정상이 해당되고, 남( 南 )단은 팔당호의 가운데가 되며, 북( 北 )단은 주금산 능선이 해당되며 도시기 능으로서 남양주는 수도권 동북부 관문지역에 위치하여 경춘축 포천축, 양평 가 평을 연결하는 교통요충지이다. 그림 1-4 입지현황(남양주시) 2) 지형 및 수계 (1) 지형ㆍ지세 남양주는 도시의 남북으로 철마산(711m), 천마산(812m), 백봉(589m), 예봉산 (679m) 등 산악에 의하여 도시가 동서로 양분된 형태이다. 14

서측은 왕숙천을 중심으로 구릉지와 평지대가 분포하고 있으며 동측으로는 산 악 중앙부에 분지형 평지가 분포하고 있다. 표고분석 결과 수도권 남북 제1녹지축에 해당하는 천마산~예봉산축의 표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양주의 서측 왕숙천변을 따라 저지대가 분포하고 있 으며 해발 200m 이상의 고지대가 전체의 34.9%를 점유하고 있으며, 비교적 개 발이 용이한 100m 이하의 지형은 36.0%로 분석되고 있다. 경사 분석 결과 천마산~예봉산 축을 경계로 서측은 경사도가 낮은 지대, 동측 으로 경사도가 높은 지대로 분포하고 있으며, 경사도 5도 미만의 비교적 평탄 한 지세가 전체 행정구역면적의 26.2%이며, 개발불능지에 해당하는 경사도 20 도 이상이 행정구역 면적의 47.7%를 차지하고 있다. 표 1-1 표고분석 (단위: m,km2,%) 구분 50이하 50-70 70-100 100-200 200-300 300-400 400-500 500이상 면 적 75.185 37.143 52.721 133.407 77.477 45.386 22.464 14.670 구성비 16.4 8.1 11.5 29.1 16.9 9.9 4.9 3.2 표 1-2 경사 분석 (단위: km2,%) 구분 5도이해 5-10도 10-15도 15-20도 20도 이상 비고 면 적 120.541 40.001 57.138 20.939 219.824 구성비 26.2 8.7 12.4 5.0 47.7 행정구역대비 (2) 수계 남양주시의 수계는 동측의 북한강을 중심으로 한 북한강 권역과 남측의 한강권 역 및 서측의 왕숙천 권역으로 구분된다. 북한강 권역의 지류인 구운천(수동천)과 묵현천으로 주변 산악에서 생성된 소하 천의 수량이 유입되며, 아양천 등 조안면 일대의 소하천 수량이 직접 북한강으 로 유입되고 있으며, 한강권역은 지류인 월문천과 일패천에 유입된 수량이 한강 으로 유입되며, 왕숙천 권역의 지류인 불암천, 용암천, 진건천, 용정천 등이 왕 숙천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량은 최종적으로 한강으로 유입된다. 표 1-3 하천별 개수현황 (단위: km2,%) 구분 하천수 총연장 개수연장 미개수연장 개수불필요 개수율 계 127 316.69 302.26 123.55 1788.87 40.9 국가하천 2 30.0 - - - - 지방2급하천 32 181.70 181.70 118.70 63.00 65.3 소하천 93 120.56 120.56 4.85 115.71 4.0 15

그림 1-5 수계분석도 (3) 기후 남양주는 주변이 산악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형성되어 대륙성기후를 나타내며, 기온의 연교차가 심한 지역이다. 과거 10년간(1991~2001) 기상자료에 의한 남양주시의 연평균 기온은 12.1 이 고 월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달은 1월로 -3.1 를 나타내며 가장 높은 달은 8 월로 25.5 로 나타나고 있다. 표 1-4 월별 평균기온 (단위: )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1991-5.0-2.7 3.9 12.0 17.4 23.2 24.9 25.5 20.8 13.2 5.3 1.3 11.7 1992-1.2-0.3 7.0 11.6 17.0 21.4 26.0 25.5 20.6 14.5 6.4 1.3 12.5 1993-1.9 0.8 5.3 11.1 18.7 22.5 23.9 23.9 21.3 13.4 8.7-0.4 12.3 1994-1.3 0.7 4.4 15.1 18.5 23.4 29.2 28.3 21.4 15.0 9.1 1.8 13.8 1995-2.4 1.0 6.3 12.0 17.7 21.7 25.5 26.6 21.4 14.8 6.0-1.4 12.4 1996-4.4-3.9 3.1 9.3 17.1 21.6 23.7 25.0 19.4 11.8 4.5-1.2 10.5 1997-5.4-1.5 5.5 13.0 17.2 23.0 25.7 25.4 18.4 11.1 6.3-0.7 11.5 1998-2.8 1.1 6.1 14.8 17.7 20.7 24.4 24.9 21.7 15.4 5.4-13.6 1999-2.2-0.5 5.5 13.0 16.8 22.3 24.9 24.7 21.9 12.4 5.5-1.7 11.9 2000-2.6-2.4 5.2 11.0 17.3 23.0 26.1 25.2 18.9 12.7 4.7-0.4 11.6 2001-5.0-1.3 4.2 12.6 18.7 22.5 25.3 25.4 20.6 14.2 4.3-2.3 11.6 평균 -3.1-0.8 5.1 12.3 17.6 22.3 25.4 25.5 20.6 13.5 6.2-0.3 12.1 16

(4) 인구 2001년 기준 남양주 인구는 376,231명으로, 과거 10년간(1991 2001) 연평균 인 구증가율은 6.45%로서 동기간 경기도 평균 증가율인 4.09%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2001년 기준 총가구수는 122,822가구며, 가구당 인구는 3.1인으로 과거 10년간 7.47%의 가구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남양주 인구의 자연적 증가는 매년 총인구의 1% 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도 대비 증가인구 중 80%가 사회적 증가인구로 구성됨에 따라, 남 양주는 전입 등의 사회적 요인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도시로 분석되고 있으며, 사회적 증가인구는 1993년까지는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94년 이후 98년까지 급 격히 증가하였다. 표 1-5 연별 동별 면적현황(남양주시) 구분 면적(km2) 구성비(%) 행정 동 법정 통 반 1996 460.33 100.0 6 10 100 1,630 1997 460.36 100.0 6 10 104 1,865 1998 460.03 100.0 6 10 105 2,144 1999 459.99 100.0 6 10 107 2,541 2000 459.99 100.0 6 10 113 2,827 2001 459.98 100.0 6 10 113 2,865 호평동 9.10 2.0 1 1 7 39 평내동 7.26 1.6 1 1 19 184 금곡동 6.93 1.5 1 1 30 180 양정동 12.49 2.7 1 3 12 59 지금동 7.15 1.6 1 3 18 102 도농동 2.48 0.5 1 1 27 262 표 1-6 세대 및 인구 현황(남양주시) 구분 세대 인구 세대수 증가율 인구수(명) 증가율 세대당인구(명) 1996 83,094 7.90% 254,688 6.67% 3.1 1997 92,522 10.1% 279,681 8.93% 3.0 1998 100,709 8.12% 307,232 8.96% 3.1 1999 109,802 8.28% 335,271 8.36% 3.0 2000 117,168 6.28% 359,388 6.71% 3.1 2001 122,822 4.60% 376,231 4.47% 3.1 평균 7.54% 7.35% 3.00 17

3) 역사문화환경 및 관광자원현황 (1) 지정문화재 현황 남양주시는 봉선사 대종(보물 제397호)과 광릉(사적 제 197호), 사릉(사적 제209 호), 홍릉ㆍ유릉(사적 제207호), 순강원(사적 제356호), 휘경원(사적 제360호), 광해 군묘(사적 제363호), 성묘(사적 제365호), 안빈묘(사적 제366호), 영빈묘(사적 제 367호)로 4개소의 왕릉과 2개소의 원, 그리고 4개소의 묘가 있다. 남양주시는 광릉 크낙새서식지(천연기념물 제11호), 양지리향나무(천연기념물 제 232호) 2개의 천연기념물이 있으며, 여경구 가옥, 궁집, 수종사 5층석탑 등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봉선사 대종(보물 제397호) 광릉(사적 제197호) 사릉(사적 제209호) 순강원(사적 제356호) 휘경원(사적 제360호) 광해군묘(사적 제363호) 성묘(사적 제365호) 안빈묘(사적 제366호) 영빈묘(사적 제367호) 광릉 크낙새 서식지 양지리 향나무 궁집 그림 1-6 남양주시 주요 문화재현황 18

3. 구리시 현황(명빈묘) 1) 위치 구리시는 동쪽으로 남양주시와 서쪽으로 서울시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와 접하 며, 남쪽으로 서울시 강동구, 경기도 하남시와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 남양주시 와 접하고 있다. 서울의 동쪽 끝에 위치한 위성도시로 남양주시와 서울시 사이에 위치하고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와 북부간선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 한다. 그림 1-7 입지현황(구리시) 2) 수계 및 지형 (1) 지형 지형상으로는 태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광주산맥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동쪽으 로 왕숙천이 흘러 낮은 구릉지 및 퇴적층을 형성하고, 서쪽으로는 아차산을 비 롯한 여러 산들이 산재하고 있어 대체적으로 높은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19

왕숙천과 한강이 합류하는 최하류 하곡에 펼쳐진 구릉지와 충적지에 위치한다. 갈매동과 사노동, 인창동에는 해발고도 40~100m에 달하는 구릉지가 전개되는 데, 이곳은 한강하류에 형성되어 있는 저위 침식면 지형에 속한다. 구리시 북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리봉(536.8m), 천견산(393.1m), 퇴뫼산 (363.7m) 등이 자리하고 서부에는 보다 낮은 구릉산(177.8m), 아치산(286.8m) 등이 위치하고 있다 (2) 수계 구리시를 통하여 흐르는 하천은 왕숙천을 비롯한 중천 2개(교문천, 왕숙천), 소 천 2개(백교천, 우미천), 세천 13개를 포함하여 모두 17개이고, 총연장은 23km에 이른다. 한강은 평창군 오대산에서 남한강이 합류하고 단발령( 斷 髮 令 )에서 발원한 북한 강이 남양주 와도읍 능내리 부근에서 합류하며, 구리시 토평동과 아천동 일대를 통과한다. 왕숙천은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신입리에서 발원하여 광주산맥 서측에 있는 추 가령구조곡을 따라 남류 하다가 토평동에서 한강에 합류하고 총 연장길이가 37 km에 이른다. 그림 1-8 지형 및 수계도 20

(3) 기후 구리시는 대륙성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건조하고, 여름철에는 고온다 습한 특징을 가진다. 겨울과 여름의 기온차가 크며, 연평균기온은 11.7, 1월 평균기온 -4.1, 8월 평균기온 25.9 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81mm로 전국평 균 1,180mm보다 많이 내리는 다우지역이다. 그림 1-9 월별 강수량, 평균기온 (4) 토지이용 및 인구 표 1-7 연별 동별 면적현황(구리시) 구분 면적(km2) 구성비(%) 동 행정 법정 통 반 1995 33.30 100.0 7 7 182 1,105 1996 33.30 100.0 8 7 182 1,105 1997 33.30 100.0 8 7 205 1,295 1998 33.30 100.0 8 7 219 1,382 1999 33.29 100.0 8 7 219 1,382 2000 33.29 100.0 8 7 223 1,414 2001 33.29 100.0 8 7 246 1,570 갈 매 동 3.95 11.87 1 1 9 37 동 구 동 7.32 21.99 1 39 262 2 인 창 동 2.10 6.31 1 36 245 교문 1동 7.55 22.68 1 29 162 2 교문 2동 1.10 3.30 1 26 209 수택 1동 1.58 4.75 1 33 216 수택 2동 0.47 1.41 1 2 43 249 수택 3동 9.22 27.70 1 31 190 토지이용은 전체 33.29km2 중 임야가 13.16km2(39.53%)로 가장 넓고, 전 5.56km2 (16.70%), 답 1.75km2(5.26%), 농경지가 7.31km2로 구리시 면적의 21.96%를 차지하 며, 대지는 3.27km2로 전체면적의 9.82%를 차지한다. 토지면적은 인창동이 6,218km2로 제일 넓으며, 토평동이 6,004km2로 두 번째로 넓 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2,212km2이 하천을 이루고 있어 하천의 비율이 높다. 21

표 1-8 세대 및 인구 현황(구리시) 구분 세대 인구 세대수 증가율 인구수(명) 증가율 세대당인구(명) 1996 52,227 8.84% 156,021 8.54% 2.99 1997 56,423 8.03% 164,887 5.68% 2.92 1998 54,676-3.09% 164,268-0.38% 3.00 1999 54,993 0.58% 166,751 1.51% 3.03 2000 55,933 1.82% 170,008 1.95% 3.04 2001 61,002 9.06% 185,494 9.11% 3.04 평균 4.21% 4.40% 3.00 1996년도부터 2001년까지 6년간 세대는 평균 4.21%씩 증가하였고, 인구는 평균 4.40%씩 증가하고 있으며, 세대 인구수는 평균 3명이다. 동별 인구수는 동구동이 전체인구 중 19.79%로 가장 많이 주거하고 있으며, 인 창동이 13.66%를 차지하고 갈매동이 2.27%로 가장 적게 거주하고 있다. 3) 역사문화환경 및 관광자원현황 (1) 지정문화재 현황 구리시의 지정문화재 5개소 중 국가지정문화재 3개소, 경기도지정문화재 2개소 가 지정되어 있으며, 비지정문화재로는 아차산성 과 관련된 유적과 벌말다 리 밟기, 꽃단치기와 갈퀴치기, 댁겨놀이 가 있다. 국가지정문화재로는 동구릉 과 명빈묘 2곳이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시도지정문화재는 유형문화재로 나만갑신도비 가 있고, 무형문화재인 갈매 동 도당굿 과 자수장 이 있다. 국가지정문화재는 인창동, 아천동에 분포되어 있으며, 도지정문화재는 사노동, 갈매동, 아천동에 분포하고 있다. 동구릉 그림 1-10 국가지정 주요문화재 명빈묘 22

표 1-9 문화재 현황 구분 갈매동 사노동 인창동 교문동 수택동 아천동 토평동 계 보 물 사 적 1 1 2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중요민속자료 중요무형문화재 소 계 1 1 2 유형문화재 1 1 무형문화재 1 1 2 시도지정 기념물 - 민속자료 - 문화재자료 - 소 계 1 1 1 3 향 토 유 적 총계 1 1 1 2 5 (2) 지정문화재 표 1-10 국가지정문화재 유적명 유적개요 비고 이곳은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1408년(태종 8)사망하자 태종 의 명으로 파주, 고양등지에서 좋은 능자리를 물색하던 중 당시 검교참 찬 의정부사를 지내던 김인귀( 金 仁 貴 )가 추천하고 영의정부사 하륜( 河 崙 )이 결정하여 능지로 정해진 곳이다. 동구릉 동구릉의 조성은 조선왕조 전 시기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동구릉이라 고 부른 것은 추존왕 익종의 능인 수릉( 綏 陵 )이 아홉 번째로 조성되던 1855년(철종 6) 이후의 일이며, 그 이전에는 동오릉( 東 五 陵 ), 동칠릉( 東 七 陵 )이라고 불렀다. 동구릉에는 태조 이성계의 능인 건원릉( 健 元 陵 )을 비롯하여 현릉( 顯 陵 : 5대 문종과 그의 비 현덕왕후), 숭릉( 崇 陵 : 18대 현종과 그의 비 명성 왕후), 혜릉( 惠 陵 : 20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 수릉( 綏 陵 : 23대 순조의 세자인 추존왕 익종과 그의 비 신정왕후), 경릉( 景 陵 : 24대 헌종과 그 의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 등 모두 아홉 개의 능이 조성되어 있 다. 동구릉은 구리시 아천동 산14번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1970년 5월 26 일 국가지정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었다. 사적 제193호 명빈묘 1991년 10월25일 사적으로 지정된 명빈묘는 조선조 제3대 태종의 후 궁인 명빈( 明 嬪 ) 김씨의 묘이다. 명빈(?~1479)은 지돈령부사( 知 敦 寧 府 事 ) 안정공( 安 靖 公 ) 김구덕( 金 九 德 )의 딸로 본관은 안동( 安 東 )이다. 태종 11년(1411) 11월 명빈으로 책봉( 冊 封 )되었고 성종 10년(1479) 6월 5일 사망하기까지 태종부터 성종에 이르는 7대에 걸쳐 내명부를 지켰 으나 태종과의 후사는 없다. 일명 아천동 동사골 구릉( 丘 陵 )에 2천5백 여 평의 규모로 조영되었으며 묘역의 석물( 石 物 )은 표석 1기, 문인석 1 쌍, 상석(혼유석) 향로석 등이 있다. 사적 제364호 23

표 1-11 경기도 지정문화재 유적명 유적개요 비고 나만갑신도비 갈매동 도당굿 자수장 나만갑(1592-1642)선생의 본관은 안정( 安 定 )이며 자는 몽뢰( 夢 賚 ) 호 는 구포( 歐 浦 )이며 광해군 5년(1613)에 사마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성 균관 유생이 되었으나 인목대비( 仁 穆 大 妃 )의 서궁 유폐사건으로 낙향, 오로지 학문에 열중하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순릉참봉에 배수되었다. 그해에 알성문과에 응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그 후 홍문관 교리로 있 던 때에 당쟁에 휘말려 강동현감으로 좌천되었다. 1627(인조5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에서 인조를 보위하였다. 환도후 병조정랑, 홍문관 수찬 사헌부 지평 등을 두루 거친 후, 병조찬 의가 되고 무고로 남해로 유배되었다가 1639년 영주에서 사망하였으며 후에 좌의정으로 추증( 追 曾 )되었다. 저서로는 병자록( 丙 子 錄 ), 구포집 ( 毆 浦 集 )이 있으며 신도비의 글은 청음 상헌이 글을 지었고, 추기( 追 記 ) 는 동춘당 송준길이 쓰고 손자 양좌( 良 佐 )가 지었다. 이외에도 문곡 김 수항이 지은 지명( 誌 銘 )과 우암 송시열이 글을 지은 묘표( 墓 表 )가 있다. 1985년 6월 2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도당굿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갈매동( 葛 梅 洞 ) 도당 굿은 구리시 갈매동 일대 7개 자연마을에서 500~600년 전부터 해오 던 할아버지와 할머니 신을 모시는 굿으로 2년에 한 번씩 치러진다. 음력 2월 1일 마을 굿을 주관할 당주, 숙수, 도가, 화주 등을 마을사람 중에서 부정이 없는 사람으로 뽑아 제의 준비를 하게하고, 음력 3월 1 일 전후로 날을 받아 굿날짜를 정하는데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 는 마을 축제기능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 현재 1998년 9월 11일 무녀당주( 巫 女 堂 主 ) 조순자( 趙 順 子 )와 잽이 당 주 허용업( 許 龍 嶪 )이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15호 갈매동 도당굿 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당집이 추가로 지정되었다. 1931년 일본 가나가와 현에서 태어난 신상순( 辛 相 順 )은 일본에서 소 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1951년 경남 마산여고를 졸업하였으며, 재 학 당시 마산의 자수장 김난초 선생에게 자수기술을 사사 받으면서 전 통자수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78년에는 외무부와 문교부의 후원으로 아시아 각국의 자수계를 돌 아보며 한국자수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에 대한 강연과 전시회 등의 활 동을 하였다. 작품으로는 화조도 병풍, 십장생 병풍, 백동자도 병풍 등 이 있으며 1971년 자수원 화린 공방 을 설립한 이후 현재까지 제자 양성과 연구에 몰두해 오고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5호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5호 나만갑신도비 갈매동 도당굿 자수장 그림 1-11 구리시 주요문화재 24

4. 묘 현황 1) 자연환경 (1) 위치 1 명빈묘 대상지는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14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동쪽방향으로 18.2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4호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연산군묘 대상지는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77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북쪽방향으로 16.1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2호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영빈묘 대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175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30.2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7호로 지정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광해군묘 대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 59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동 쪽방향으로 27.5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3호로 지 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안빈묘 대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 66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동 쪽방향으로 26.5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 정되어 있다. 6 성묘 대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 55번지 일원으로, 경복궁에서 북 쪽방향으로 16.1km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5호로 지정 되어 있다. 25

그림 1-12 위치도(명빈묘, 연산군묘, 영빈묘, 광해군묘, 안빈묘, 성묘. Web-Site) (2) 입지 1 명빈묘 명빈묘는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교문동이 위치 해있고 남쪽으로는 한강, 동쪽으로는 토평동, 서쪽으로는 서울시의 경계와 중곡 동이 위치하고 있다. 앞쪽으로 한강이 흐르고 있으며, 서울과 구리를 연결하는 아차산로를 따라 200m 북동쪽 위에 위치해 있으며 명빈묘 앞쪽 동사골에는 텃밭, 비닐하우스 등 주말농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26

그림 1-13 항공사진(명빈묘. Web-Site) 2 연산군묘 연산군묘는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도봉1동이 위 치하고, 도봉산이 북한산과 접하여 북쪽에 위치하여 있다. 남쪽으로는 쌍문근린공원, 동쪽으로는 서울시 지정보호수, 신학초교, 신동아아 파트 등 택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서쪽으로는 남북으로 우이천이 흐르고 북한산 우이동지구가 위치하고 있다. 북측으로 양효인공묘, 충정공 목서흠묘역 등이 위치하여 있다. 그림 1-14 항공사진(연산군묘. Web-Site) 27

3 영빈묘 영빈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장승 공동묘 지와 광릉, 휘경원이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왕숙천과 진접 중앙공원, 진접 택지지구가 입지해 있다. 동쪽으로는 진접읍사무소와 금곡리, 신동아아파트 등이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내각 리가 위치하고 수리봉이 위요하고 있다. 그림 1-15 항공사진(영빈묘. Web-Site) 4 광해군묘 광해군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진 건고교와 용정리, 영락교회 공원묘역이 위치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남양주시청과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능인 사릉과 고종황제와 명 성왕후의 홍릉과 순조황제와 원비 순명효황후, 계비 순정효황후의 능인 유릉이 입지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천마산 끝자락으로 호평동이 위치하며, 호평택지개발지구가 위치한 다. 서쪽으로는 남북으로 왕숙천이 흐르며 사능리가 위치하고 외곽순환도로를 따라 별내택지지구가 입지하고 있다. 28

그림 1-16 항공사진(광해군묘, Web-Site) 5 안빈묘 안빈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위치하며 북쪽은 용정리, 남양주CC 가 입지하고 있으며, 남쪽은 단종왕비 정순왕후의 묘인 사릉과 고종황제와 순조 황제의 능인 홍릉ㆍ유릉이 입지하고 있으며, 동쪽은 호평택지지구가 서쪽은 진 관리와 별내택지지구가 인접하고 있다. 그림 1-17 항공사진(안빈묘. Web-Site) 29

6 성묘 성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은 용정리, 남쪽 으로는 남양주시청과 단종왕비 정순왕후의 능인 사릉과 고종황제와 순조황제의 능인 홍릉ㆍ유릉이 입지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광해군묘가 입지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천마산 끝자락으로 호평동이 위치하며, 호평택지개발지구가 위치한 다. 서쪽으로는 남북으로 왕숙천이 흐르며 사능리가 위치하고 외곽순환도로를 따라 별내택지지구가 입지하고 있다. 그림 1-18 항공사진(성묘, Web-Site) 30

2) 역사경관림 능역공간 주변 식생 (1) 명빈묘 명빈묘 주변의 대표적 분포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 등이 자생하고 있으며 묘역 주변으로는 소나무림이 자생하고 소나무림 주변을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림이 피압하고 있다. 하부식생으로는 자생철쭉, 때죽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진입로 목계단 좌측으로 H5.0~8.0 R25~30 소나무림이 위치하고, 도로변쪽으 로 밤나무가 점적으로 식재되어 있다. 아교목으로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가 출현하고 있으며 우측으로 소나무, 신갈나 무, 참나무류 등이 분포하고 있다. 묘역 주변에는 좌측으로 소나무와 신갈나무, 참나무류, 리기다소나무, 하부식생 으로 자생철쭉 등이 분포되어 있는데 리기다소나무 군락은 참나무에 의해 피압 되고 있는 상태이다. 묘역의 역사경관림은 밀도의 조절 및 원경관 유지를 위해 역사경관림 관리기준 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한다. 그림 1-19 묘역 내 아교목층과 초지 그림 1-20 묘역 좌측 소나무림 그림 1-21 묘역 주변 밤나무 군락지역 그림 1-22 묘역 주변 상수리나무군락지 31

(2) 연산군묘 연산군묘 주변의 대표적 분포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참나무류이며 그 외 밤 나무, 잣나무, 팥배나무, 때죽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진입로를 따라 좌측으로 상수리나무군락과 잣나무림, 신갈나무림이 분포되어 있 으며, 우측으로는 좀작살나무가 군식되어 경관차폐림으로 식재되어 있다. 연산군묘로 들어서면 우측 앞쪽으로 팥배나무가 군식되어 있으며 그 뒤쪽으로 신갈나무림이 분포하고 있다. 좌측으로 묘역 안으로 소나무와 잣나무림이 묘역 밖으로 참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잣나무가 묘목주변으로 소나무림과 같이 식재되어 있다. 묘역 곡장 뒤편으로 소나무 군락이 조성되어 있고 산책로를 따라 들어서면 소 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참나무류가 혼재되어 분포되어 있으며 하부식생으 로 때죽나무가 출현하고 있다. 그림 1-23 묘역 좌측 주변 잣나무 묘목 그림 1-24 동선 주변 소나무와 잣나무 묘목 그림 1-25 등산로 주변 참나무류 군락 그림 1-26 등산로 주변 소나무와 참나무류 32

(3) 영빈묘 영빈묘 주변에는 소나무가 주요 수종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외에 참나 무류와 신갈나무가 출현되고 있다. 입구를 따라 들어서면 좌측 재실터 추정지와 우측에 묘목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잣나무, 참빗살나무 등의 묘목이 있다. 참배동선을 따라 양쪽으로 소나무가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우측에는 소나무 군 락 뒤편으로 참나무 군락이 조성되어 있다. 묘 뒤편으로 소나무 군락이 넓게 분 포되고 있으며 그 뒤편으로는 소나무림과 참나무 군락이 조성되어 있다. 영빈묘 좌측 능선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는데 산책로를 중심으로 우측은 소나무 군락, 좌측은 신갈나무와 참나무류가 혼재되어 출현되고 있다. 영빈묘 주변 소나무는 2010년 4월에 비해 10월에는 소나무 밀도가 많이 넓어졌 으며 풍해에 의해 소나무의 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묘역 앞 강쪽으로 잔디의 생육을 위해 소나무를 일부 솎아내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묘역의 역사경관림은 밀도의 조절 및 원경관 유지를 위해 역사경관림 관리기준 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한다. 그림 1-27 진입부 주변 묘목장 그림 1-28 제례동선 주변 소나무림 그림 1-29 능침 주변 소나무림(2010년 6월 묘역전경) 그림 1-30 능침 주변 소나무림(2010년 10월 묘역전경) 33

(4) 광해군묘 광해군묘 주변의 대표적 분포 수종은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신갈나무 등의 참 나무류 등이며 잣나무와 아까시나무, 자생철쭉 등이 출현되고 있다. 광해군묘는 참배동선을 따라 우측으로는 주요 수종이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신 갈나무림 참나무류이며 하부식생으로 자생철쭉이 분포되어 있으나 소나무림이 밀식되어 하부식생이 생육하기 힘든 사항이다. 묘역 좌측으로는 리기다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주요 수종이며 양측으로 잣나무와 아까시나무가 출현되고 있다. 리기다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등 외래수종은 역 사경관림으로 수종 갱신하여 재식해야 한다. 묘역 뒷쪽 곡장과 우측으로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나 소나무 가지치기 등 역사경관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묘역의 역사경관림은 밀도의 조절 및 원경관 유지를 위해 역사경관림 관리기준 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한다. 그림 1-31 묘역 뒤쪽 밀식된 소나무림 그림 1-32 진입동선 주변 잣나무 식생 그림 1-33 진입부 좌측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군락 그림 1-34 능침 주변 소나무와 잣나무 34

(5) 안빈묘 안빈묘 주변의 대표적 분포 수종은 참나무류, 잣나무, 신갈나무 등이며 묘역 주 변으로 소나무가 분포되어 있고 하부식생으로 청단풍, 붉나무가 출현되고 있다. 진입동선 양측으로 참나무 군락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잣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하부식생으로 청단풍과 붉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묘역 바로 뒤편으로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은 1차적으로 리기다 소나무 군락, 2차적으로 잣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묘 뒤편 소나무 군락 이 후에는 잣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묘 좌측으로는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 군 락이 혼재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하부식생은 철쭉으로 분포되어 있다. 묘역의 역사경관림은 밀도의 조절 및 원경관 유지를 위해 역사경관림 관리기준 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한다. 그림 1-35 진입동선 주변 붉나무와 단풍나무 그림 1-36 묘역 뒤편 소나무림 그림 1-37 묘역 주변 혼합림 그림 1-38 묘역 주변 신갈나무림 35

(6) 성묘 성묘 주변의 대표적 분포 수종은 신갈나무와 전나무, 잣나무 등이며 밤나무, 참 나무류, 하부식생으로는 철쭉, 생강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진입동선으로 들어서면 양측으로 전나무, 소나무, 신갈나무가 혼재되어 분포하 고 있으며 하부식생으로 철쭉이 출현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하부식생층이 미 비한 편이다. 묘역 주변으로 우측에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뒤편과 좌측으로는 잣나 무, 전나무, 신갈나무, 참나무류가 혼재되어 있으며 하부식생으로 철쭉과 생강 나무가 출현되고 있다. 묘역 아래 좌측으로는 전나무, 잣나무, 신갈나무가 혼재되어 있으며 밤나무가 곳곳에 출현되고 있다. 묘역의 역사경관림은 밀도의 조절 및 원경관 유지를 위해 역사경관림 관리기준 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한다. 그림 1-39 묘역 좌측 아래 잣나무와 밤나무 그림 1-40 묘역 뒤편 소나무림 그림 1-41 묘 주변 참나무와 소나무 혼합림 그림 1-42 묘역 우측 사면 참나무림 36

3) 시설환경 (1) 묘역시설 1 명빈묘 묘역시설의 위치와 규모 명빈묘 석물은 석호와 곡장이 없이 나지막하게 봉분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석과 문인석만 설치되어 있다. 그림 1-43 현황도(명빈묘) 석물( 石 物 ) 문인석 문인석은 2개가 마주보고 있고 규모는 650 700mm, H2,040이며 부분 퇴화되 어 있으나 비교적 보존이 잘되어 있다. 37

그림 1-44 문인석(정면) 그림 1-45 문인석(측면) 혼유석 상석(혼유석)은 1개가 있고 고석은 없다. 규모는 1,550 980mm, H300mm이며 우 측모서리 부분이 파손되어 있고 풍화에 의해 색이 변하고 퇴화되어 있다. 혼유 석 앞에는 향로석이 있다. 그림 1-46 혼유석 그림 1-47 혼유석(측면) 기타 향로석 혼유석 앞 향로석은 사각형의 향로 형태로 규모는 320 260mm, H400mm이다. 부분 침식 및 파손되어 있다. 사각 장명등 대석과 같이 네 개의 다리가 조각되 어 있다. 그림 1-48 혼유석 그림 1-49 혼유석(측면)) 38

비석(표석) 봉분 앞 비석의 규모는 480 300mm, H960mm이며 비대와 비면 그리고 비갓이 한개의 돌로 이루어진 형태로 투박함을 보여주고 있다. 비갓의 비두가 종모양으 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표석에는 명빈김씨지묘( 明 嬪 金 氏 之 墓 ) 라고 해 서로 음각되어 있다. 그림 1-50 비석 그림 1-51 비석(측면) 표 1-12 봉분 및 석물 현황(명빈묘) 구분 명칭 현 황 내 용 규모 (단위:mm) 보존/복원 봉분( 封 墳 ) 1 - 보존 곡장( 曲 墻 ) - - - 병풍석( 屛 風 石 ) - - - 봉분 석물 기타 난간석( 欄 干 石 ) - - - 지대석( 地 臺 石 ) - - - 상계( 上 階 ) 1 L:4,850 보존 중계( 中 階 ) 1 L:8,500 보존 하계( 下 階 ) - - - 망주석( 望 柱 石 ) - - - 혼유석( 魂 遊 石 ) 1 1,550 980, H:300 보존 고석( 鼓 石 ) - - - 장명등( 長 明 燈 ) - - - 문인석( 文 人 石 ) 2 650 700, H:2,040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 - - 석마( 石 馬 ) - - - 향로석 1 320 260 H:400 보존 비석 1 480 300 H:960 보존 39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명빈묘의 경우 현존 건축물이 없는 상태이다.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고문헌 명빈묘는 조선 3대 태종의 후궁 명빈 김씨의 묘로서, 현재 명빈묘 조성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서 명 빈 김씨와 명빈묘에 관해 1479년(성종 10년) 6월 5일 명빈 김씨는 죽었으며, 승 정원에 전교하길 전일의 예에 따라 조회를 받기로 했다는 기사 1) 와 1757년(영조 33년)에 지방관 고양 군수에게 명빈의 묘를 수축하라 명한 기사 2) 를 볼 수 있다. 그림 1-52 성종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그림 1-53 영종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40

2 연산군묘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54 현황도(연산군묘) 봉분( 封 墳 ) 능침 연산군묘와 거창신씨묘가 같이 있고 하계 밑으로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조씨묘 가 있으며 그 밑으로 연산군의 사위와 딸인 부마능양위구문경묘와 휘순공주묘 가 있다. 그림 1-55 연산군묘 그림 1-56 연산군의 비 거창신씨묘 41

곡장 높이 1,200mm, 폭 600mm인 곡장이 능침을 감싸고 있으며 하단으로 이끼가 자라 고 있고 부분 파손 및 퇴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57 곡장(후면) 그림 1-58 곡장(측면) 석물( 石 物 ) 망주석 망주석의 규모는 600 600mm, H1,200mm로 2개가 대칭으로 있고 하단에 이끼가 껴있고 퇴화되어 있어 보존대책 및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59 망주석 그림 1-60 망주석 하단 상석(혼유석) 혼유석의 규모는 950 480mm로 2개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잔디에 의해 일부분 가려져 있고 토사에 의해 묻혀 있어 주변정비가 필요하다. 42

고석 고석이 상석의 밑에 상석을 받치고 있으며 연산군묘에 4개 거창신씨묘에 2개가 있다. 고석의 규격은 250 250mm, H200mm로 귀면의 문양이 닳아 없어지고 흔 적만 남아 있다. 고석 밑에는 고임 장대석이 놓여 있다. 그림 1-61 혼유석 그림 1-62 고석 장명등 장명등의 규모는 550 550mm, H1,900mm로 능침 앞 각각 1개가 있고 이끼가 끼 고 퇴화되어 있다. 그림 1-63 장명등(측면)-1 그림 1-64 장명등(측면)-2 문인석 문인석의 규모는 800 600mm, H2,200mm로 2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풍화가 심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산군묘는 연산군이 폐위되어 평민으로 사망하였기에 능역에 쓰는 무인석은 설치하지 않았다. 43

그림 1-65 문인석(정면) 그림 1-66 문인석(측면) 기타 향로석 향로석의 규모는 350 350mm, H550mm로 연산군묘 앞과 휘순공주묘 앞에 각 1개 가 있고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조각기술과 모양이 특이하여 예술적 가치 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다른 능원에서 볼 수 없는 흔치 않은 것이다. 그림 1-67 향로석(정면) 그림 1-68 향로석(측면) 상석 상석의 규모는 1,620 1,123mm, H300mm로 연산군묘와 거창신씨묘 앞 각 1개가 있고 연산군묘 앞 상석은 두 조각으로 균열이 심각하여 고정 작업을 위한 보존 처리가 요구된다. 상석앞의 향로석은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그림 1-69 상석 그림 1-70 상석(측면) 44

비석 비석의 규모는 900 500mm, H1,600으로 연산군묘와 거창신씨묘 앞 각 1개가 있고 거창신씨묘 비석은 파손이 심해 비석 문구를 알아보기 힘들고 퇴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71 비석(연산군묘) 그림 1-72 비석(거창신씨묘) 표 1-13 봉분 및 석물 현황(연산군묘) 구분 봉분 석물 기타 내 명칭 현 황 용 보존/복원 규모 (단위:mm) 봉분( 封 墳 ) 2 - 보존 곡장( 曲 墻 ) 1 높이: 1,200mm, 길이: 600mm 보존 병풍석( 屛 風 石 ) - - - 난간석( 欄 干 石 ) - - - 지대석( 地 臺 石 ) - - - 상계( 上 階 ) 1 - 보존 중계( 中 階 ) 1 - 보존 하계( 下 階 ) - - - 망주석( 望 柱 石 ) 2 600 600 H:1,200 보존 혼유석( 魂 遊 石 ) 2 950 480 보존 고석( 鼓 石 ) 4 250 250 H:200 보존 장명등( 長 明 燈 ) 2 550 550, H:1,900 보존 문인석( 文 人 石 ) 4 800 600, H:2,200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 - - 석마( 石 馬 ) - - - 향로석 1 350 350 H:550 보존 비석 2 900 500 H:1,600 보존 상석 2 - 보존 45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연산군묘에 현존하는 있는 건축물로는 재실이 있다. 재실은 능원의 우측(서측) 에 있으며, 현재(2010년) 해체 보수 중에 있다. 여러 묘 중 재실이 현존하고 있 는 연산군묘의 경우 향후 다른 묘의 재실복원과 관련하여 귀중한 실자료가 될 것이다. 이에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재실의 보존관리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 리가 필요하다. 표 1-14 대상지별 능제시설(건축물)의 보존현황(연산군묘) - 현존( ), 흔적( ), 멸실( ) 정자각 비각 수복방 수라간 재실 연산군묘 현황 유구 - - - - - 표 1-15 주요 시설물(건축) 연도별 정비 및 보수 현황(연산군묘, 2000년-2010년) 명칭 연도 내용 재 실 2010년 2007년 재실본채 복원 공사(도리, 기단 및 번와) 재실 기와 고르기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보고서 연산군묘에 관한 자료 중 최근 학술 보고서로 조선왕릉 시설물 종합정비 기본 계획 보고서(2007) 에서는 연산군묘 뒤편 일반가옥을 재실로 사용하고 있는 건 축물에 대한 향후 정비가 필요함을 이야기하고 있고, 조선왕릉 재실 보존관리 및 활용방안 마련 연구(2009) 는 연산군묘의 재실이 현존하는 묘 형식의 유일 한 재실 형태라 주목되며, 주택으로 훼손된 재실 원형을 복원해야 할 필요가 있 다고 언급하고 있다. - 고문헌 연산군묘는 조선 10대 연산군과 부인 거창군 신씨의 묘로서, 현재 성묘 조성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 서 연산군과 거창군 신씨의 성묘에 대해 1506년(중종 원년) 11월 8일에 연산군 이 역질로 인하여 죽었다는 기사 3) 와 1512년(중종 7년)에 거창군 신씨가 연산군 을 왕자군의 예로 이장하기를 청하는 기사 4) 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듬해인 46

1513년(중종 8년)에 연산군의 묘를 수축하는 것을 명하고, 소재 관원으로 하여금 치제하게 하였다는 기사와 1512년(중종 7년) 11월 24일 기사 5) 에서 연산군의 묘 를 수직하는 사람으로 근방에 사는 백성 3호를 정하여 감사하고 보수해야 한다 고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연산군묘에는 수복방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림 1-73 중종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그림 1-74 순종황제실 록 규장각 소장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75 배치도(연산군묘, 문화재청, 건축도면 일부수정-건축팀) 47

현재 연산군묘 내에는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으나 연산군묘 뒤편(남ㆍ서쪽)으로 현존하는 묘 중 유일하게 재실(-자형의 행랑채 ㄱ자형의 재실 본채 2동으로 이 루어져있음)이 남아 있다. 표 1-16 능제시설의 건축물(연산군묘) 능명 명칭 문헌( 春 官 通 考 ) 건축물 현황 위치 규모 위치 규모 비 각 - - - - 정자각 - - - - 수라간 - - - - 연 산 군 묘 수복방 - - - - 전사청 - - - - 제기고 - - - - 안향청 - - - - 재 실 - - 능침에서 오른쪽 66m 행랑채 3칸 본채 7칸 능제시설의 구조와 형식 재실 재실은 제사의 전반적인 준비를 담당하는 곳으로, 연산군묘의 재실은 연산군묘 능침에서 오른쪽으로 직선거리로 약 66m에 위치하고 있다. 연산군묘 재실은 -자형의 행랑채 ㄱ자형의 재실 본채 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랑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집이다. 민도리식 구조에 3량집이다. 행랑채 가운데 칸의 문으로 재실 안마당으로 들어오면 재실 본채가 앞에 보인 다. 재실 본채는 홑처마의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2칸의 대청마루가 있고, 오 른쪽으로 1칸의 온돌방이 있다. 왼쪽으로는 각각 2칸 규모의 방과 부엌이 붙어 있다. 48

그림 1-76 재실(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 제공, 현장실측에 의한 일부수정-건축팀) 표 1-17 건축물 일반현황(재실) 명칭 칸수 공포 처마 지붕 비고 재실 7 1 민도리 홑처마 맞배지붕 - 그림 1-77 연산군묘 재실(보수공사 중)-1 그림 1-78 연산군묘 재실(보수공사 중)-2 그림 1-79 연산군묘 재실(보수공사 중)-3 그림 1-80 연산군묘 재실(보수공사 중)-4 49

연산군묘 기본계획 그림 1-81 기본계획(연산군묘) 50

3 영빈묘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82 현황도(영빈묘) 봉분( 封 墳 ) 곡장 곡장의 규격은 높이 1,200mm, 폭 580mm로 능침을 둘러싸고 있다. 기와는 부분 파손되어 있고 벽 부분도 파손 및 이끼와 곰팡이가 생겨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83 곡장(밖에서 바라본 모습) 그림 1-84 곡장(안에서 바라본 모습) 51

둘레돌 능침을 받치고 있는 둘레돌의 규격은 높이 300mm로 테두리 간의 간격이 약 20 mm 이격되어 있다. 그림 1-85 둘레돌 그림 1-86 둘레돌(측면) 석물( 石 物 ) 망주석 영빈묘의 망주석 규격은 450 450mm, H1,650mm로 봉분의 앞면 중계에 좌우 2 개가 있고 왼쪽의 것은 약간 기울어져 있고 풍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그림 1-87 망주석 그림 1-88 망주석(측면) 혼유석 혼유석의 규격은 1,000 510mm, H250mm로 1개가 있고 보수되어 있지만 하단 부 분이 파손되어 있고 이끼가 끼어 있다. 52

그림 1-89 혼유석 그림 1-90 혼유석(측면) 고석 고석의 규격은 Ø500으로 상석 아래에 상석을 받치고 있으며 귀면 문양이 조각 되어 육안으로 확인된다. 그림 1-91 고석 그림 1-92 고석(측면) 장명등 장명등은 사각 장명등이며, 장명등의 규격은 550 550mm, H1,900mm로 1개가 있 으며 풍화되어 있으며, 등의 개와 부분의 북쪽 지붕이 심각하게 파손되어 있어 보존 정비가 필요하다. 그림 1-93 장명등 그림 1-94 장명등(상단) 53

문인석 망주석으로부터 밑으로 약 5보 떨어져 있는 문인석의 규격은 800 600mm, H2,200mm로 봉분의 앞면 중계에 좌우 2개가 있고 이끼가 자라고 풍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95 문인석(정면) 그림 1-96 문인석(측면) 기타 향로석 향로석의 규격은 1,000 510mm, H250mm로 2개가 있고 우측 상단이 파손되어 있다. 그림 1-97 향로석 그림 1-98 향로석(측면) 상석 상석의 규격은 1,780 1,130mm, H350mm로 1개가 있고 측면이 풍화되어 있어 재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99 상석 그림 1-100 상석(측면) 54

비석 비각이 없으며 비대의 규격은 960 630mm, H570mm이며 비면의 규격은 2400mm 비갓은 5820 240mm, H1430mm로 1개가 있고 상단과 하단부분은 파손 및 퇴화 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정면에는 예서로 유명조선국 영빈안 동 김씨지묘( 有 明 朝 鮮 國 寧 嬪 安 東 金 氏 之 墓 ) 가 음각되어 있다. 그림 1-101 비석 그림 1-102 비석(측면) 표 1-18 봉분 및 석물 현황(영빈묘) 구분 봉분 석물 기타 명칭 현 황 내 용 규모 (단위:mm) 보존/복원 봉분( 封 墳 ) 1 - 보존 곡장( 曲 墻 ) 1 높이: 1,200mm, 길이: 580mm 보존 병풍석( 屛 風 石 ) 1 높이: 300 보존 난간석( 欄 干 石 ) - - - 지대석( 地 臺 石 ) - - - 상계( 上 階 ) 1 - 보존 중계( 中 階 ) 1 - 보존 하계( 下 階 ) - - - 망주석( 望 柱 石 ) 2 450 450 H:1,650 보존 혼유석( 魂 遊 石 ) 1 1,000 510 H:250 보존 고석( 鼓 石 ) 2 Ø 500 보존 장명등( 長 明 燈 ) 1 550 550, H:1,900 보존 문인석( 文 人 石 ) 2 800 600, H:2,200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 - - 석마( 石 馬 ) - - - 향로석 2 1,000 510 H:250 보존 비석 1 960 630 H:570,1950,2400 (비:5820 240 H:1430) 보존 상석 1 1,780 1,130 H:350, 840 보존 55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영빈묘의 경우 현존하는 건축물은 없다. 그러나 능침 앞으로 80m 정도 떨어진 재실터 추정 위치에 유구(초석)들이 지면에 노출되어져 있다. 현재는 관리가 안 되고 지면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라 향후 재실 건축에 대한 복원 계획 을 세워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표 1-19 대상지별 능제시설(건축물)의 보존현황(영빈묘) - 현존( ), 흔적( ), 멸실( ) 정자각 비각 수복방 수라간 재실 영빈묘 현황 - - - - 유구 - - - - 초석과 기단 일부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보고서 영빈묘에 관련된 최근 보고서중 조선왕릉 시설물 종합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2007) 에서 현재 영빈묘의 부속건물은 남아있지 않으나 능침 남동쪽에 재실로 추정되는 곳에 초석이 산재해 있어 향후 복원 정비가 필요함을 이야기하고 있 다. - 고문헌 그림 1-103 영종대왕 실록 규장각 소장 영빈묘는 조선 19대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묘로서, 현재 영빈묘 조성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으나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서 영빈 김 씨와 영빈묘에 관한 기사 중 1735년(영조 11년) 1월 12일 영빈 김씨는 죽었으며, 예장( 禮 葬 )은 안빈( 安 嬪 )의 예에 따라 행하도록 하였다는 기사 6) 와 이듬해에 중관 을 보내어 영빈의 묘를 치제한 기사 7) 를 볼 수 있다. 또한 1911년(순종 4년) 이왕 직 사무관을 파견하여 각 능, 원, 묘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하자는 기사 8) 에서도 영빈묘를 언급하고 있다. 䄙 그림 1-104 순종황제 실록 규장각 소장 56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105 배치도(영빈묘, 문화재청, 건축도면 일부수정-건축팀) 현재 영빈묘에 건축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능침 앞으로 80m 앞에 재실터로 추 정되는 위치에 유구(기단)만이 방치되어 남아 있는 상태이다. 표 1-20 능제시설의 건축물(영빈묘) 능명 영 빈 묘 명칭 문헌( 春 官 通 考 ) 건축물 현황 위치 규모 위치 규모 비 각 - - - - 정자각 - - - - 전사청 - - - - 제기고 - - - - 안향청 - - - - 재 실 - - 능침 앞 80m 흔적 57

능제시시설의 구조와 형식 재실 재실은 제사의 전반적인 준비를 담당하는 곳이다. 영빈묘의 재실은 현존하지 않 고 그 초석과 기단 일부가 남아있는 터가 있다. 재실터는 능침에서 정면으로 80m 떨어져 있으며 지금은 초석만이 드러나 있다. 그림 1-106 재실터(현장조사에 의한 실측도면-건축팀) 그림 1-107 재실터 (추정) 그림 1-108 재실터 유구 58

4 광해군묘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109 현황도(광해군묘) 봉분( 封 墳 ) 곡장 광해군과 그의 비 묘 곡장의 규격은 높이 1,300mm, 길이 610mm로 능침을 둘러 싸고 있고 묘 앞에서 좌측은 풍화되어 있고 기와가 부분 파손되어 있다. 그림 1-110 곡장(좌측면) 그림 1-111 곡장(우측면) 59

석물 망주석 망주석의 규격은 망주 주축석은 400 400mm, H1,600mm로 봉분앞 전면 중계 앞 에 2개가 있고 묘 앞에서 좌측 망주석은 하단 부분이 파손되어 있고 우측 망주 석은 상단이 파손되어 있다. 그림 1-112 망주석(좌측) 그림 1-113 망주석(우측) 상석(혼유석) 상석(혼유석)의 규격은 900 340mm로 2개가 있고 좌측은 풍화되어 있다. 그림 1-114 혼유석 그림 1-115 혼유석(측면) 고석 혼유석 아래 고석의 규격은 Ø350, H320mm로 4개가 있고 귀면의 문양이 닳아 식별 이 되지 않으며 이끼 및 풍화되어 있다. 그림 1-116 고석 그림 1-117 고석(측면) 60

장명등 장명등은 사각 장명등이며, 장명등의 규격은 800 800mm, H2300mm로 광해군과 비의 봉분 앞 가운데에 있으며, 중대 부분이 심하게 파손되어 있다. 그림 1-118 장명등 그림 1-119 장명등(중단) 문인석 문인석은 중계의 공간에 있으며 상계인 망주석과 나란히 하고 있으며, 상계 밑 으로 마주보고 있는 문인석의 규격은 800 600mm, H2,200mm로 2개가 있고 안 면 부분이 훼손되어 있다. 그림 1-120 문인석 그림 1-121 문인석(측면) 기타 향로석 향로석의 규격은 300 300mm, H540mm로 광해군과 부인의 봉분 앞에 각각 1개 가 있고 이끼와 풍화가 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로석은 장명 등의 다리와 비슷하며 물갈이 되지 않았다. 61

그림 1-122 향로석(정면) 그림 1-123 향로석(측면) 비석 광해군묘의 비대의 규모는 1,000 650mm, H350mm이며, 비신은 1,190 610mm, H450mm, 총 1,650mm이다. 광해군묘 비석은 부분 파손되어 있고 문성군부인묘 비석은 풍화가 되어 있다. 비석은 혼유석 뒤에 서있다. 비각은 없으며 비대의 지붕은 없다. 그림 1-124 비석(광해군묘) 그림 1-125 비석(문성군부인묘) 상석 상석의 규격은 1500 910mm, H330, 800mm로 2개가 있고 비교적 보존이 잘 되 어 있으나 측면이 풍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62

그림 1-126 상석 그림 1-127 상석(측면) 표 1-21 봉분 및 석물 현황(광해군묘) 구분 봉분 석물 기타 명칭 현 황 내 용 규모 (단위:mm) 보존/복원 봉분( 封 墳 ) 2 - 보존 곡장( 曲 墻 ) 1 높이: 1,300mm, 길이: 610mm 보존 병풍석( 屛 風 石 ) - - - 난간석( 欄 干 石 ) - - - 지대석( 地 臺 石 ) - - - 상계( 上 階 ) 1 - 보존 중계( 中 階 ) 1 - 보존 하계( 下 階 ) - - - 망주석( 望 柱 石 ) 2 400 400mm, H:1,600mm 보존 혼유석( 魂 遊 石 ) 2 900 340mm 보존 고석( 鼓 石 ) 4 Ø 350, H:320mm 보존 장명등( 長 明 燈 ) 1 800 800mm, H:2300mm 보존 문인석( 文 人 石 ) 2 800 600mm, H:2,200mm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 - - 석마( 石 馬 ) - - - 향로석 2 300 300mm, H:540mm 보존 비석 2 1,000 650mm, H:350mm 1,190 610 H:450mm, 1,650mm 보존 상석 2 1500 910mm H:330mm, 800mm 보존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광해군묘의 경우 현존하는 건축물은 없다. 그러나 봉분의 아래 수십미터에 재실 터로 추정되는 곳에 초석과 기단으로 추측되는 돌들과 기와 파편들이 발견된다. 현재 재실터로 추정되는 곳은 잣나무가 조림되어 산림으로 변해있고 주변 농경 지를 경작하기 위해 돌들을 한쪽으로 모아둔 흔적 또한 보인다. 63

표 1-22 대상지별 능제시설(건축물)의 보존현황(광해군묘) - 현존( ), 흔적( ), 멸실( ) 정자각 비각 수복방 수라간 재실 광해군묘 현황 유구 - - - - 초석 일부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고문헌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부인 문성군부인 유씨의 묘로서, 현재 묘 조성 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으나,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서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묘에 관한 기사를 찾아볼 수 있다. 1623년(인조 원 년) 문성군부인 유씨를 장사지낸 기사 9), 1641년(인조 19년) 광해군이 제주에서 위리안치( 圍 籬 安 置 ) 10) 된 가운데 죽은 기사 11), 인조가 상이 승지를 보내어 광해군 에게 치제( 致 祭 )하도록 한 기사 12) 들을 볼 수 있다. 또한 1911년(순종 4년) 이왕직 사무관을 파견하여 각릉, 원, 묘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하자는 기사 13) 에서도 광해 군묘를 언급하고 있다. 그림 1-128 인조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그림 1-129 순종황제실 록 규장각 소장 64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130 배치도(광해군묘, 문화재청, 건축도면 일부수정-건축팀) 현재 광해군묘에는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지만, 광해군묘 아래 재실터로 추정되 는 위치에 초석 일부가 존재한다. 65

그림 1-131 능침(광해군묘) 표 1-23 능제시설의 건축물(광해군묘) 능명 광 해 군 묘 명칭 문헌( 春 官 通 考 ) 건축물 현황 위치 규모 위치 규모 비 각 - - - - 정자각 - - - - 수라간 - - - - 수복방 - - - - 전사청 - - - - 제기고 - - - - 안향청 - - - - 재 실 - - 능침 앞 70m 흔적 능제시설의 구조와 형식 재실 재실은 제사의 전반적인 준비를 담당하는 곳으로, 광해군묘의 재실은 능침에서 앞으로 약 7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은 재실터 추정위치와 그 주변에 노출된 유구들의 흔적만 겨우 발견할 수 있다. 그림 1-132 재실터 추정 위치 그림 1-133 재실터 유구-1 그림 1-134 재실터 유구-2 66

광해군묘 기본계획 그림 1-135 기본계획(광해군묘) 67

5 안빈묘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136 현황도(안빈묘) 봉분( 封 墳 ) 곡장 곡장의 규격은 높이 1,100mm, 길이 440mm로 능침을 둘러싸고 있으며 벽 부분이 퇴화되어 있고 하단은 이끼가 자라고 있다. 그림 1-137 곡장(후면) 그림 1-138 곡장(측면) 68

석물 망주석 망주석의 규격은 400 400mm H1,770mm로 상계 밑으로 2개가 있고 퇴화되어 있 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39 망주석 그림 1-140 망주석(측면) 장명등 상석과 약 5보 거리의 정면으로 위치해 있는 장명등의 규격은 850 850mm, H2,100mm로 1개가 있고 상단 부분이 퇴화되어 있다. 그림 1-141 장명등 그림 1-142 장명등(측면) 69

혼유석 비석과 상석 사이에 위치한 상석(혼유석)의 규격은 1,650 1,000mm, H300mm로 1개가 보수가 되어 있고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그림 1-143 혼유석 그림 1-144 혼유석(측면) 고석 고석의 규격은 Ø250, H200mm로 4개가 있고 크기가 작아 암석과 함께 상석을 받쳐 놓았다. 그림 1-145 고석 그림 1-146 고석(측면) 문인석 문인석의 규격은 600 500mm, H1,830mm로 2개가 있고 안면이 닳아 있어 보수 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47 문인석 그림 1-148 문인석(측면) 70

기타 비석 안빈묘의 비석은 비대와 비신만 있고 비갓은 생략되었다. 비석의 규격은 비대는 110 690mm, H350mm이며, 비신은 220 610mm, H1,320mm로 1개가 있고 풍화되어 있어 보존과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49 비석 그림 1-150 비석(측면) 향로석 동자석 사이에 위치해 있고 향로석의 규격은 400 300mm, H630mm로 1개가 있 고 퇴화되어 있다. 사각 향로석의 조각이 정교하고 섬세한 면이 돋보인다. 그림 1-151 향로석 그림 1-152 향로석(측면) 상석(혼유석) 상석의 규격은 1,070 340mm로 1개가 있고 측면이 총기 등에 의한 손상이 있으 며 풍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53 상석(좌측면) 그림 1-154 상석(우측면) 71

동자석 향로석과 같은 축으로 서로 마주보고 서있고 동자석의 규격은 350 300mm, H1,230mm로 2개가 있고 퇴화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동자석의 모습은 실물보다 작으며 얼굴의 표정이 어른 표정이다. 그림 1-155 동자석 그림 1-156 동자석(후면) 표 1-24 봉분 및 석물 현황(안빈묘) 구분 봉분 석물 기타 명칭 현 황 내 용 규모 (단위:mm) 보존/복원 봉분( 封 墳 ) 1 - 보존 곡장( 曲 墻 ) 1 높이: 1,100mm, 길이: 440mm 보존 병풍석( 屛 風 石 ) - - - 난간석( 欄 干 石 ) - - - 지대석( 地 臺 石 ) - - - 상계( 上 階 ) 1 - 보존 중계( 中 階 ) - - - 하계( 下 階 ) - - - 망주석( 望 柱 石 ) 2 400 400mm, H:1,770mm 보존 혼유석( 魂 遊 石 ) 1 1,650 1,000 H:300mm, 650mm 보존 고석( 鼓 石 ) 4 Ø 250, H:200mm 보존 장명등( 長 明 燈 ) 1 850 850mm, H:2,100mm 보존 문인석( 文 人 石 ) 2 600 500mm, H:1,830mm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 - - 석마( 石 馬 ) - - - 동자석 2 350 300mm, H:1,230mm 보존 향로석 1 400 300mm, H:630mm 보존 비석 1 110 690mm, H:350mm 220 610mm, H:1,320mm 보존 상석 1 1,070 340 mm 보존 72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안빈묘의 경우 현존 건축물이 없는 상태이다.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고문헌 안빈묘는 조선 17대 효종의 후궁 안빈 이씨의 묘로서, 현재 안빈묘 조성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다만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서 안빈 이씨와 안빈묘에 관한 기사 중 1666년(숙종 12년) 5월 27일 효종 때의 후궁 귀 인 이씨를 안빈으로 삼았다는 기사 14) 와 1796년 (정조 20년) 8월 9일은 정조는 효종조 후궁 안빈의 제사 문제로 제수로 쓸 쌀과 돈, 집을 주도록 했다는 기 사 15) 를 볼 수 있다. 또한 1911년 (순종 4년) 이왕직 사무관을 파견하여 각 능, 원, 묘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하자는 기사 16) 에서도 안빈묘를 언급하고 있다. 그림 1-157 숙종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그림 1-158 정종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73

6 성묘 능제시설의 위치와 규모 그림 1-159 현황도(성묘) 봉분( 封 墳 ) 곡장 곡장의 규격은 높이 1,300mm, 길이 440mm로 능침을 둘러 싸고 있으며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그림 1-160 곡장 그림 1-161 곡장(후면) 74

병풍석 병풍석의 규격은 높이 600mm로 능침을 받치고 있으며 이끼가 껴있어 능침과 병풍석의 경계가 구분되지 않고 십이지신상의 식별이 어렵다. 그림 1-162 병풍석 그림 1-163 병풍석(정면) 난간석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난간석의 규격은 270 350mm, H570, 800mm로 12간으로 축조되어 있다, 높이는 1,130mm로 풍화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성묘의 봉분은 왕비의 형태를 이루어 난간석과 문인석 무인석이 있어 중계와 하계를 만든 것이 특이하다. 그림 1-164 난간석 그림 1-165 난간석(측면) 지대석 병풍석을 받쳐 놓은 지대석의 규격은 W950mm로 일부분이 지반에 침하되어 있 다. 그림 1-166 지대석 그림 1-167 지대석(정면) 75

석물( 石 物 ) 석양 능침 주변으로 바깥쪽을 향해 서있는 석양의 규격은 400 1,350mm H700mm로 4 개가 있고 풍화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68 석양(우측면) 그림 1-169 석양(좌측면) 석호 능침 주변으로 바깥쪽을 향해 서있는 석호의 규격은 450 1,350mm, H850mm로 4개가 있고 모두 귀가 닳아 있어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석호의 꼬리에 방울이 달린 것이 특이하다. 그림 1-170 석호 그림 1-171 석호(정면) 망주석 망주석의 규격은 650 650mm, H2,500mm로 상계에 좌ㆍ우측으로 2개가 있고 풍 화되어 있다. 그림 1-172 망주석 우측 그림 1-173 망주석 측면 76

상석(혼유석) 상석(혼유석)의 규격은 2,680 1,760mm, H460, 920mm로 1개가 있고 풍화되어 있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74 혼유석 그림 1-175 혼유석(측면) 고석 상석(혼유석)을 받치고 있는 고석의 규격은 Ø 600, H460mm로 4개가 있고 귀면의 문양이 확연히 드러나 있으며 풍화되어 있으나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그림 1-176 고석 그림 1-177 고석(측면) 장명등 장명등은 팔각 장명등이며, 장명등의 규격은 1,250 1,250mm, H2,700mm로 1개가 있어 보수한 흔적이 있고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이런 형태는 조선시대 초기에 나타나는 장명등이며 왕과 왕비에 나타나는 팔각 형태이다. 그림 1-178 장명등 그림 1-179 장명등(상단) 77

석마 석마의 규격은 550 1,350mm, H900mm로 4개가 있고 눈 과 귀가 닳아 식별이 되지 않아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80 석마 그림 1-181 석마(측면) 문인석 문인석의 규격은 850 700mm, H2,550mm로 2개가 마주보고 있고 묘 앞에서 좌 측 문인석은 보수한 흔적이 있고 우측 문인석은 퇴화가 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1-182 문인석(좌측) 그림 1-183 문인석(우측) 무인석 문인석에서 약 5보 떨어진 곳에 마주보고 있는 무인석의 규격은 800 750mm, H2,600mm로 2개가 있고 무인석의 안면이 다르다. 78

그림 1-184 무인석(좌측) 그림 1-185 무인석(우측) 표 1-25 봉분 및 석물 현황(성묘) 구분 명칭 현 황 내 용 규모 (단위:mm) 보존/복원 봉분( 封 墳 ) 1 - 보존 곡장( 曲 墻 ) 1 높이: 1,300mm, 길이: 440mm 보수 병풍석( 屛 風 石 ) 1 높이: 600mm 보존 봉분 난간석( 欄 干 石 ) 1 270 350mm, H:570mm, 800mm, 1,130mm 보존 지대석( 地 臺 石 ) 1 W:950 보존 상계( 上 階 ) 1 - - 중계( 中 階 ) 1 - - 하계( 下 階 ) 1 - - 석양( 石 羊 ) 4 400 1,350mm, H:700mm 보존 석호( 石 虎 ) 4 450 1,350mm, H:850mm 보존 망주석( 望 柱 石 ) 2 650 650mm, H:2,500mm 보존 혼유석( 魂 遊 石 ) 1 2,680 1,760mm, H:460mm, 920mm 보존 석물 고석( 鼓 石 ) 4 Ø 600, H:460mm 보존 장명등( 長 明 燈 ) 1 1,250 1,250mm, H:2,700mm 보존 문인석( 文 人 石 ) 2 850 700mm, H:2,550mm 보존 무인석( 武 人 石 ) 2 800 750mm, H:2,600mm 보존 석마( 石 馬 ) 4 550 1,350mm, H:900mm 보존 79

능제시설의 보존상태 성묘의 경우 현존 건축물이 없는 상태이다. 능제시설의 이론적 고찰 주요 시설물(건축물)을 중심으로 - 고문헌 성묘는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이며, 광해군 사친 공빈 김씨의 묘로서, 현재 성묘 조성과 보수에 관한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에서 공빈 김씨와 성묘에 관한 기사를 찾아볼 수 있다. 공빈은 사포( 司 圃 ) 김희철( 金 希 哲 )의 딸로써, 임해( 臨 海 ) 광해( 光 海 ) 두 왕자를 낳았는데 공빈 김씨는 산후병으로 졸하였다는 기사 17) 와 1610년(광해군 2년) 광 해군은 사친인 공빈 김씨를 추존하여 자숙 단인 공성 왕후로 삼았으며, 능의 이 름을 성릉이라고 하였다는 기사 18) 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1630년(인조 22년) 광해군이 폐위되자 공빈 김씨도 공빈으로 폐해지고 능호도 고쳤으며, 묘소 법에 어긋나게 세운 석물들을 헐도록 명하였다는 기사 19) 와 1911년(순종 4년) 이왕직 사무관을 파견하여 각 능, 원, 묘의 경계를 정하고 조정하자는 기사 20) 에서도 성 묘를 언급하고 있다. 그림 1-186 광해군일기 규장각 소장 그림 1-187 인조대왕실 록 규장각 소장 80

(2) 능역 외 1 경계 울타리 (가) 명빈묘 명빈묘 주변은 임야지와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음. 비공개 지역이나 묘를 가까이서 볼 수 있게 계단과 계단주변 난간을 설치했음. 입구쪽은 비포장도로로 되어 있음. 격 자 형 : L=20m, H1.50m 입구 우측 주변 설치. 합성목재 지주에 격자형망 설치. 일부구간 격자형망의 녹슨 흔적. 능 형 망 : L=350m, H=1.60m 대부분 도장 탈락, 노후, 훼손 심각. 인근 주민들의 무단 잠입 빈번, 창 살 형 : L=60m, H=1.5m 입구 계단 양쪽으로 설치. 합성목재 지주에 창살형 철재 설치. 그림 1-189 격자형 : 입구 주변일부 그림 1-190 능형망 : 임야지, 농경지 인접 그림 1-188 경계울타리 현황도(명빈묘) 그림 1-191 창살형 : 입구 주변일부 81

(나) 연산군묘 주출입구 주변으로 인근 주민들의 왕래가 잦은 민가지역이 대부분임. 연산군묘 경내로 쓰레기 및 폐자재 등의 불법투기가 심각함. 현재 재실은 예전 연산군묘 관리원이 거주하고 있어 문제가 됨. 연산군묘는 조선의 제10대 임금으로 역사적 가치를 갖고 있는 곳으로 사료됨. 묘역 주변의 부지의 사유화 및 경관훼손으로 이들의 정비가 필요함. 격 자 형 : L=85m, H2.00m 주출입구에서 재실 방향에 일부 설치. 상태 양호. 능 형 망 : L=430m, H=1.60~1.70m 민가, 임야지, 농경지와 경계, 노후, 훼손 심각. 도토리 채집 등으로 무단잠입 하는 주민들에 의해 울타리 훼손 심각. 북서쪽의 비탈면 토사유출 심각. 쓰레기와 폐자재의 불법투기 심각. 스텐레스 판넬 : L=25m, H=2.00m 입구 관리소 주변 설치. 설치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양호. 색상이 주변과 부조화. 그림 1-193 격자형 : 주출입구 주변 그림 1-194 능형망 : 임야지, 민가, 농경지 인접 그림 1-192 경계울타리 현황도(연산군묘) 그림 1-195 스텐레스 판넬 : 관리소 주변 82

(다) 영빈묘 농경지, 임야지와 인접해 있음. 비공개지역이나 영빈묘 내 능선에 사람의 왕래가 잦은 산책길의 흔적으로 보아 무단출입이 잦음. 능 형 망 : L=610m, H=1.70m 농경지와 임야지 인접, 노후, 훼손 매우 심각. 가시철조망 : L=680m, H=1.60m 농경지와 임야지 인접, 노후, 훼손 심각. 인근 주민들의 무단 잠입 빈번. 그림 1-196 능형망 : 농경지, 임야지 인접 그림 1-197 가시철조망 : 농경지, 임야지 인접 그림 1-198 경계울타리 현황도(영빈묘) 83

(라) 광해군묘 주변은 영락공원(공동묘지)로 가는 도로, 민가, 공장, 임야지가 인접되어 있음. 비공개지역이나 농경지 부근의 울타리 노후와 훼손이 심하여 인근 주민들의 통 제가 곤란함. 격 자 형 : L=20m, H=1.80m 주출입구 주변 울타리. 최근 설치로 상태 양호. 능 형 망 : L=1,280m, H=1.50~1.70m 민가, 공장, 농경지, 임야지 인접. 노후, 훼손 심각. 인근 주민들의 무단 잠입 빈번. 그림 1-199 격자형 : 입구 및 농경지 주변 그림 1-200 능형망 : 민가, 농경지 인접 그림 1-201 경계울타리 현황도(광해군묘) 84

(마) 안빈묘 찾기 힘든 산속에 위치해 있음. 주변은 임야지역으로 많은 소나무 사이에 있음. 경계울타리는 격자형으로만 설치되어 있음. 격 자 형 : L=170m, H=2.00m 경계울타리를 격자형으로 일괄 정비. 상태 양호. 그림 1-202 격자형 : 임야지 인접 그림 1-203 경계울타리 현황도(안빈묘) 85

(바) 성묘 찾기 힘든 산속에 위치해 있음. 성묘의 앞에 큰 민묘가 하나 있음. 비공개지역이긴 하나 주변에 경계울타리가 없음. 미설치구간 : L=115m 그림 1-204 경계울타리 현황도(성묘) 86

4) 역사문화환경 (1) 조성연혁 1 명빈묘 명빈묘는 사적 제364호이며 지정 면적은 8,138m2이다. 명빈김씨는 본관이 안동( 安 東 )이고 지돈녕부사( 知 敦 寧 府 事 ) 안정공( 安 靖 公 ) 김구 덕( 金 九 德 )의 딸로 1411년(태종11년) 11월 빈으로 책봉되어 성종대( 成 宗 代 )에 사망 할 때까지 7대를 거쳤으나 후사는 없었다. 명빈김씨의 묘는 사성( 莎 城 )은 없으며 새롭게 정비된 탓인지 봉분이 비교적 크 게 쌓여져 있다. 봉분 앞에는 비갓을 올린 묘갈( 墓 碣 )이 있고, 그 앞으로는 상석 ( 床 石 )과 향로석이 있으며 혼유석( 魂 遊 石 )은 없다. 상석 좌우에 지대석( 地 臺 石 )이 있으며, 상석은 그 위에 놓여 있다. 그 앞쪽 양옆에 문인석 1쌍이 있다. 2 연산군묘 연산군묘는 사적 제362호이며 지정 면적은 14,276m2이다. 연산군은 성종( 成 宗 )의 아들로 1476년에 태어나 1494년 성종의 뒤를 이어 왕위 에 올랐다. 그러나 1498년(연산군4년)에 많은 신진사류( 新 進 士 類 )를 죽이는 최 초의 사화인 무오사화 戊 午 士 禍 )를 일으키고 1504년(연산군10년)에 생모인 폐비 윤씨가 성종의 후궁의 모함으로 내쫓기자 후궁을 죽이는 등 비정이 극에 달하 여 중종반정( 中 宗 反 正 )에 의해 폐왕이 되어 강화에 유배되었다. 1506년 11월 강 화교동에서 31세의 나이로 병사하여 1513년 2월에 왕자군( 王 子 君 )의 예로 강화 에서 현 위치로 이장되었다. 묘의 시설은 대군으로 예우하여 봉분, 곡장, 혼유석, 장명등, 향로석, 재실 등을 갖췄으나 병풍석, 석양, 석마, 사초지, 문인석 등은 세우지 않았다, 연산군의 묘 비 전면에 燕 山 君 之 墓 (연산군지묘), 뒷면에는 正 德 八 年 二 月 二 十 日 葬 (정 덕팔년이월이십일장)이라고 새겨져있다. 3 영빈묘 영빈묘는 사적 제367호이며 지정 면적은 36,776m2이다. 영빈김씨는 문정공( 文 正 公 ) 김상헌( 金 尙 憲 )의 현손녀이며 성천부사( 成 川 府 使 ) 김창국( 金 昌 國 )의 딸로서 1669년(현종10년)에 태어나 숙종의 후궁이 되었다. 그 러나 장희빈( 張 禧 嬪 )의 모략으로 인현왕후( 仁 顯 王 后 )가 폐위되어 서인( 庶 人 )으로 쫓겨나자 함께 호( 號 )를 깎이고 본가로 돌아왔으며 1735년(영조11년)에 별세하였 다. 후에 인현왕후가 복위됨에 따라 같이 복위되었다. 묘 주위에는 곡장( 曲 墻 )이 있고 묘비, 장명등( 長 明 燈 ) 등이 있다. 87

4 광해군묘 광해군묘는 사적 제363호이며 지정 면적은 55,742m2이다. 광해군은 1575년(선조8년) 선조( 宣 祖 )와 공빈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 며, 곧 세자( 世 子 )로 책봉되었다. 1623년 반정군이었던 광해군은 폐위되어 강화 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1641년(인조19년)에 67세로 천수( 天 壽 )를 다하고 어머니 무덤 발치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겨 지금의 묘소 로 옮겨졌으며 건너다 보이는 곳에 어머니의 묘소인 성묘가 자리하고 있다. 광해군묘는 쌍분으로 왼쪽이 광해군, 오른쪽이 그의 부인 문성군부인 유씨이며, 군묘의 형식으로 간소하게 조성되어 있다. 두 봉분에 각각 비석( 碑 石 )과 상석( 上 石 )이 있고, 장명등( 長 明 燈 )과 망주석( 望 柱 石 ), 문석인( 文 石 人 ) 1쌍이 설치되어 있 다. 5 안빈묘 안빈묘는 사적 제366호이며 지정 면적은 1,983m2이다. 안빈이씨는 1623년(인조원년)에 태어났다. 병자호란 후 봉림대군( 鳳 林 大 君 :효종) 이 심양( 瀋 陽 )에 인질로 갈 때 같이 갔었고 1645년(인조23년)에 귀국하였다. 숙 녕옹주( 淑 寧 翁 主 )의 생모이다. 1693년(숙종19년)에 별세하였으며 안빈으로 진호 ( 進 號 )되었다. 6 성묘 성묘는 사적 제365호이며 지정 면적은 1,785m2이다. 공빈김씨는 1553년(명종8년) 김효철의 딸로 출생하여 선조의 후궁이 되었는데 재색이 출중하였다고 한다. 1575년(선조7년)에 임해군( 臨 海 君 )을 낳았고, 다음 해에는 광해군( 光 海 君 )을 낳았다. 1577년(선조10년) 24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1577년(선조10년) 양주에 묻혔으나 1610년(광해군2년) 광해군에 의해 공성왕후 로 추존되고, 석물을 왕비릉에 준하게 축후하였으며, 능호를 성릉이라 하였다. 묘역은 곡장( 曲 墻 )으로 둘려 있으며 봉분은 원형의 호석( 護 石 )을 두르고 다시 12 면의 난간석을 설치하였다. 난간석 밖으로는 석양( 石 洋 )과 석호( 石 虎 )를 각 4쌍 씩 번갈아 배치하였다. 봉분의 전방에 3단의 계체석( 階 砌 石 )을 조성하여 상계 ( 上 階 )에는 상석과 조우의 망주석을 배열하고 중계( 中 階 )에는 장명등, 그 좌우에 문인석과 석마( 石 馬 ) 1쌍씩을 배열하였다. 하계( 下 階 )에는 좌우에 무인석과 석마 1쌍씩을 배열하였다. 묘역의 규모 및 다양한 석물의 배치와 석물의 뛰어난 조각성 등이 왕릉 수준이 나, 묘비 등 기록류의 석물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88

(2) 영역 및 시설물 변화 1 제례동선 그림 1-205 항공사진(명빈묘 1960년대) 그림 1-206 항공사진(연산군묘 1960년대) 89

그림 1-207 항공사진(영빈묘 1960년대) 그림 1-208 항공사진(광해군묘 1960년대) 90

(3) 풍수 1 명빈묘( 明 嬪 金 氏 ) 표 1-26 풍수적 해석 (명빈묘)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명빈김씨 승 하 일 하 관 일 1479년 6월 5일 1479년 7월 7일 장 지 아천동 동사골 아차산 좌 향 계좌정향( 癸 坐 丁 向 )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상 지 관 相 地 官 파 구( 破 口 ) 흐 름 한북정맥 용암산 수락산 불암산 용마산 아차산 산 맥 조 산 태조산(백두산), 중조산(불암산), 소조산(용마산), 주산(아차산) 지 형 산 계 (북 쪽) 주산 뒷쪽까지 (북동쪽) 아치울까지 (동 쪽) 43번 국도까지 (남동쪽) 아치울삼거리까지 (남 쪽) 안산 뒷쪽까지 (남서쪽) 청룡 뒷쪽까지 (서 쪽) 청룡 뒷쪽까지 (북서쪽) 청룡 뒷쪽까지 수 계 (한강) 묘역 주변에 흐르는 명당수가 한강에 합수 풍수지리 특 징 풍수 반영요구 소점당시 현 재 횡룡입수( 橫 龍 入 首 ), 우선룡 무덤에 바로 뒤에 인위적으로 파 놓은 물길 보완 91

2 연산군묘( 燕 山 君, 居 昌 郡 夫 人 ) 표 1-27 풍수적 해석 (연산군묘)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연 산 군 거창신씨 천 장 일 1513년 2월 20일 비문 천장사유 거창군부인 신씨의 건의 21) 승 하 일 1537년 4월 (8일) 22) 하 관 일 1537년 6월 26일 비문 장 좌 지 향 연 산 군 양주 해촌( 海 村 ) 23) 거창군부인 연산군묘역 연 산 군 임좌병향( 壬 坐 丙 向 ) 측정 거창군부인 임좌병향( 壬 坐 丙 向 ) 측정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상 지 관 相 地 官 승 하 일 1506년 11월 8일 24) 강화도 교동( 喬 桐 ) 하 관 일 초장지 (연산군) 파 구( 破 口 ) 사 신 사 四 神 砂 산 맥 장 지 강화도 좌 향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 상 지 관( 相 地 官 ) 주 산 시루봉(121m) 청 룡 주산(시루봉)-50m 백 호 231m-53m-66m-정의공주 묘 안 산 명 당 수 방학천 객 수 중랑천 흐 조 름 산 한북정맥 한강봉 챌봉 사패산 도봉 산 시루봉 태조산(백두산), 중조산(사패산), 소조산 (도봉산), 주산(시루봉) 92

3 영빈묘( 寧 嬪 金 氏 ) 표 1-28 풍수적 해석 (영빈묘)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영빈김씨 승 하 일 1735년 1월 12일 하 관 일 1735년 3월 14일 비문 장 지 양주 풍양 좌 향 임좌병향( 壬 坐 丙 向 )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상 지 관 相 地 官 파 구( 破 口 ) 흐 름 한북정맥(죽엽산) 용암산 수리봉 371m 256m 183m 산 맥 조 산 태조산(백두산), 중조산(용암산), 소조산(수리 봉), 주산(183m) 지 형 산 계 (북 쪽) 주산까지 (북동쪽) 백호까지 (동 쪽) 궁안골 백호까지 (남동쪽) 궁안골까지 (남 쪽) 안산까지 (남서쪽) 무주골까지 (서 쪽) 무주골 윗쪽골까지 (북서쪽) 무시골까지 수 계 (왕숙천) 주산 동서쪽에서 발원한 물이 왕숙천 에 합수 풍수지리 특 징 소점당시 현 재 횡룡입수( 橫 龍 入 首 ) 풍수 반영요구 93

4 광해군묘( 光 海 君, 文 城 郡 夫 人 ) 표 1-29 풍수적 해석 (광해군묘) 광 해 군 문성군부부 인 장 좌 지 향 초장지 (광해군) 사 신 사 四 神 砂 산 지 맥 형 풍수지리 특 징 풍수 반영요구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천 장 일 1643년 10월 4일 천장사유 어머니 옆에 묻히고 싶다는 유언 문성군부인 우측 승 하 일 1623년 10월 8일 25) 강화도 하 관 일 1623년 윤10월 29일 26) 광 해 군 문성군부인 우측 문성군부인 양주 적성동( 赤 城 洞 ) 27) 광 해 군 해좌사향( 亥 坐 巳 向 ) 문성군부인 해좌사향( 亥 坐 巳 向 ) 승 하 일 1641년 7월 1일 28) 제주도 하 관 일 장 지 제주도 좌 향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 상 지 관( 相 地 官 ) 주 산 웃송릉 430m 봉우리 청 룡 내청룡 148m-150m-106m 외청룡 주산-성묘 뒷산 백 호 139m-151m-97m 안 산 258m(안빈묘 뒷산) 명 당 수 웃송릉에서 내려오는 물 객 수 사릉천 흐 조 산 수 름 산 계 계 한북정맥(운악산) 주금산 철마산 천마산 557m 430m 광해군묘 태조산(백두산), 중조산(주금산), 소조산(천 마산), 주산(430m) 북 쪽) 영락교회공원묘원 (북동쪽) 성묘 진입로까지 (동 쪽) 성묘 진입로까지 (남동쪽) 성묘 진입로까지 (남 쪽) 공원묘원 진입로까지 (남서쪽) 영락교회공원묘원 (서 쪽) 영락교회공원묘원 (북서쪽) 영락교회공원묘원 (사릉천) 웃송능에서 흘러온 물이 적성골에 서 사능천(천마산에서 발원하여 문화촌에 서 왕숙천과 합수)과 합수 소점당시 현 재 횡룡입수( 橫 龍 入 首 ) 앞쪽에 명당 및 진입로 조성 94

5 안빈묘( 安 嬪 李 氏 ) 표 1-30 풍수적 해석 (안빈묘)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안빈이씨 승 하 일 하 관 일 1693년 10월 23일 1693년 12월 16일 장 지 양주 동면 적성동( 赤 城 洞 ) 비문 좌 향 계좌정향( 癸 坐 丁 向 )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상 지 관 相 地 官 파 구( 破 口 ) 산 맥 흐 조 름 산 한북정맥(운악산) 주금산 철마산 천마산 557m 430m 258m 태조산(백두산), 중조산(주금산), 소조산(천마 산), 주산(258m) 지 형 산 계 (북 쪽) 주산까지 (북동쪽) 청룡 뒷쪽까지 (동 쪽) 청룡 뒷쪽까지 (남동쪽) 청룡 끝부근까지 (남 쪽) 안산까지 (남서쪽) 백호끝 부근까지 (서 쪽) 송능리 진입로까지 (북서쪽) 송능리 진입로까지 수 계 (사릉천) 명당수가 사능천(천마산에서 발원하여 문화촌에서 왕숙천과 합수)과 합수 풍수지리 특 징 풍수 반영요구 소점당시 현 재 비룡입수( 飛 龍 入 首 ) 과협처에 있는 초소 이전 과협 왼쪽에 있는 무덤이 내룡을 손상 95

6 성묘 표 1-31 풍수적 해석 (성묘) 구 분 내 용 특이사항 공빈김씨 승 하 일 하 관 일 1577년 5월 27일/또는 5월 1일 장 지 좌 향 묘좌유향( 卯 坐 酉 向 ) 측정 상지대신 相 地 大 臣 상 지 관 相 地 官 파 구( 破 口 ) 흐 름 한북정맥(운악산) 주금산 철마산 천마산 557m 430m 361m 산 맥 조 산 태조산(백두산), 중조산(주금산), 소조산(천마 산), 주산(361m) 지 형 산 계 (북 쪽) 외백호 상단까지 (북동쪽) 내백호 뒷쪽까지 (동 쪽) 내룡 (남동쪽) 청룡 상단까지 (남 쪽) 내청룡까지 (남서쪽) 내청룡 끝부근까지 (서 쪽) 안산까지 (북서쪽) 외백호까지 수 계 (사릉천) 성묘 좌측에서 발원한 물이 봉인사에 서 흘러온 물과 합수되어 적성골에서 사능천 (천마산에서 발원하여 문화촌에서 왕숙천과 합 수)과 합수 풍수지리 특 징 소점당시 현 재 과룡( 過 龍 ), 조산( 朝 山 ) 불암산 풍수 반영요구 96

그림 1-209 시설물현황도(명빈묘)A3 97

A3 그림 1-210 시설물현황도(연산군묘) 99

그림 1-211 시설물현황도(영빈묘)A3 101

A3 그림 1-212 시설물현황도(광해군묘) 103

그림 1-213 시설물현황도(안빈묘)A3 105

A3 그림 1-214 시설물현황도(성묘)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