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B72E20BFEBC1F6BAB020C6AFBCBAC8ADB1E2B4C920B9D720C0FCB7AB5F30383138283331337E333637292E687770>



Similar documents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경영학회 내지 최종

01정책백서목차(1~18)

, 02 / 03 MEGA PROFIT MEGA 킹스데일 GC! 기업도시,! 충주메가폴리스 첨단산업단지 , 1,811 ( 1,232) 2,511 ( ) () 3() IT BT NT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연합뉴스) 마이더스

IFEZ 35호국문-1

3¿ù.PDF

T hw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4-Ç×°ø¿ìÁÖÀ̾߱â¨è(51-74)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1301(•••).pdf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pdf..

1. 경영대학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이보고서는보건복지부에서주관하는국민건강증진기금에의해수행 된것이며, 이보고서에수록된내용은연구자개인적인의견이며보 건복지부의공식견해가아님을밝혀둡니다.

02 03 M E GA P R OF I T M E GA P OLIS! 기업도시,! 충주메가폴리스 첨단산업단지 , 1,811 ( 1,232) 2,372 ( ) () 3() IT BT

°¨Á¤Æò°¡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2006¹é¼Ł¹ß°£»ç1


hwp

시안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11+12¿ùÈ£-ÃÖÁ¾

01 0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소식지수정본-1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더바이어102호 01~09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슬라이드 1

2013지발-가을내지1004-4

CR hwp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차례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방한외래관광객관광객

pdf


2018이슈리포트_157

수련원표지 최종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CONTENTS

°ÇÃà»ç¶û2¿ùÈ£-2»©´Ù

#遺€?됱궗?뚮뱾168?

도록하였다. 시 도간, 시 군간연계협력형사업발굴을강조하여국가지역발전정책과의연계 성을고려하였다. 합리적인제5 차권역계획수립을유도하기위하여시 도에서는권역계획수립시 권역계획수립반 을시 도관계자, 계획수립수행기관, 전문가등으로구성 운영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체계적조정을위하

표지안 0731

_¸ñÂ÷(02¿ù)

ㅇ ㅇ

<BCDBB5B55FBAB8B0EDBCAD5F34C0E55F3228C5E4C1F6C0CCBFEBB0E8C8B9295F FC5E4C1F6C0CCBFEBC7A5BCF6C1A42E687770>

ÃѼŁ1-ÃÖÁ¾Ãâ·Â¿ë2

2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³À°È°µ¿Áö

eco-academy(....).hwp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여행 숙박 업종 소비자 분석 및 검색광고_201507

201211_수성구장기발전종합계획_보고서_인쇄최종본.hwp

( 제 7 호 ) 대구경북개발연구원 ) 김상무 * 이환태 **. 서론 1. 연구의배경및목적 2. 연구의방법및범위. 이론적배경 1. 관광동기와관광유형 2. 관광지선택요인및선행연구 3. 관광만족요인과체계. 실증연구의분석 1. 인구통계적특성및관광유형 2.

½Ç¹öÅäÇǾƴ޼�12-13È£_4Â÷

목 차

- 2 -

성인지통계

07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에너지절약_수정

☆국토2_6장( )


Y Z X Y Z X () () 1. 3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A 목차

2018 학년도수시 1 차모집정원내입시결과 모집단위 입학정원 수업년한 면접및실기고사점수는반영안됨 지원율 최저 수시 1 차 일반전형특별전형 ( 일반고교졸업자 ) 특별전형 ( 특성화고교졸업자 ) 내신등급 내신등급 내신등급 최초 최종 지지원최초최종원 최초 최종 최 최 최 율

한울101호커뮤

<A5B42E20C0CCC7D8B0FCB0E8C0DA20BAD0BCAE5F E687770>

¾Æµ¿ÇÐ´ë º»¹®.hwp

¹ßÇ¥¿äÁö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한류 목차2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³»Áö_10-6

한류 목차2_수정 1211

Transcription:

1. 용지별 특성화기능 및 전략 1.1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1.1.1 전제 개발여건 입지적으로는 대규모 내수면부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성이 완료된 이후에는 항 로 뿐만 아니라 해로, 육로로의 접근이 가능함 상위계획에서 세계적 수변도시를 지향하는 공간계획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수로 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개발이 가능하며, 복합도시 내에 포함되는 지역이므로 관 광도시로서의 육성이 가능함 2015년 이후 매립공사 완료 예정으로, 관광시설이 입지하기까지는 장기간이 소요 된다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향후 관광시설 도입 시 미래지향적이고 차별화된 도입시설의 구상이 필요함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개발여건 구분 개발여건 대규모 내수면부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개발 완료 후에는 해로, 육로 접근가능 상위 계획에서의 수변도시 공간계획으로 인해 적극적인 수로 활용 가능 복합도시라는 배후도시를 보유하고 있어 관광도시의 육성 가능 2015년 이후 매립완료라는 단점 존재 트렌드 미래의 관광트렌드는 한 곳에서 쇼핑, 외식, 문화생활까지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복합 쇼핑몰(Complex)을 지칭하는 몰링(malling)' 등 복 융합 기능이 강화된 신개념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음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0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몰링은 관광객으로 하여금 One-Stop관광이 가능하도록 하며, 한 곳에서 다양한 체험 및 활동이 가능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관광객 만족도를 증대시킴 또한,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여가시간이 증대되면서 교육, 의료, 관광, 레저 등 서 비스 수요는 양적 팽창과 함께 질적으로도 고급화 다양화되는 추세임 미래 관광시장은 여가시간의 증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관광객 욕구 다양화 및 다변화에 따라 테마추구형, 모험추구형, 스포츠 레저형, 휴양형, 자연친화형 등 다양한 관광행태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트렌드 구분 트렌드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몰링을 통한 One-stop 관광으로의 관광소비패턴 변화 complex시설(집적화) 서비스 수요의 고급화 다양화 관광형태의 다양화 관광자원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는 2015년 이후 매립이 완료되는 지역으로, 현재 관광자 원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국무총리실 외 9개부, 2011)에 의해 기반 인프라가 조성된 후에는 다른 용지 및 주변지역인 부안군과 김제시와의 자원연계가 가능함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국무총리실 외 9개부, 2011)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 지의 기능을 문화, 예술, 숙박, 건강, 미용, 스포츠, 게임, 위락, 생태, 수변휴양 등으로 제시함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및 도입예정 시설(MP) 도입기능 북측지구 남측지구 문화 예술 숙박 건강 미용 스포츠 공연장, 전시장, 이벤트 광장 수변호텔 등 스포츠 콤플렉스, 메디투어 센터 등 게이밍 위락 수변카페, 오픈마켓, 쇼핑몰 등 생태 수변휴양 마리나, 수변공원 등 자료 : 국무총리실 외 9개부(2011),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미디어아트, 오픈 스튜디오, 팝아트 호텔, 음식거리 예술인 마을 등 바이오 메디 R&D센터, 자연치유 리조트 시니어 빌리지 로컬 푸드 지원센터 등 세계명품관, 남도음식타운 게임시티, 키즈파크, 스페이스 월드 등 마리나 빌라 요트 건조학교, 힐링 포레스트, 플로팅 리조트, 인공비치 30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새만금 관광단지 개발기본계획 새만금 관광단지 개발기본계획(문화체육관광부, 2011, 수립중)은 1단계(2010~2020) 전략으로 국제적 관광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터테인먼트, 쇼핑, 공연 기능을 부여함 2단계 명품관광도시 명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변 휴양, 레포츠, 문화관광 및 문 화산업 등의 기능을 제시하였으며, 3단계 지속가능한 자족관광도시 실현을 위하 여 건강 미용, 수련 수양, 친환경 주거 등의 기능을 부여함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및 도입예정 시설 구분 비전 도입예정시설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동아시아 명품 문화관광 레저도시 메가하이드로버스터, 게임시티, 월드애니메이션파크, 월드스타즈 호텔& 컨벤션, 플로팅 리조트, 골든빌리지(고급수변주택), 관광지원주거단지, 프리미엄 아울렛, 매직워터스테이지, 마리나빌라리조트, 수변오토캠핑장, 수변주택, 스카이파크, 모험의 섬, 워터레포츠 학교, 마리나, 월드 컬쳐&아트 인큐베이터, 한스타일 호텔, 한지 빌리지, 아시아 앤틱마켓, 아트빌리지(예술인주거), 음식문화센터, 세계명품관, 세계미식가천국, 어촌문화거리, 새만금 도시센터, 새만금 건강테마파크, 자연치유리조트, 에스테틱리조트, 메디케어리조트, 세계대안요법학교, 다살휴양빌리지, 신화의 섬, 선마을, 세계평화공원, 장수빌리지, 생태주거단지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11), 새만금 관광단지 개발기본계획 수립(수립중) 소비자 Needs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결과 관광개발 추진방향에 대한 응답은 전체의 4순위인 10.3%가 문화체험관광지를 선 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국제회의, 박람회 중심의 관광단지가 전체의 8.3%로 나타남 용지 중 관광사업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복합관광용지가 1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최근 관광소비트렌드가 반영된 것 으로 분석됨 관련사례 사례분석 결과 복합도시용지 관광 레저용지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음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0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적용사례 구분 새만금 적용 랑그독 루시옹 시사점 각 기능별 용지의 융 복합화로 One-Stop 관광 가능 접근성 극복을 위한 목적형 관광지 구축 휴양과 주거가 혼합된 관광시설 배치 칸쿤 시사점 주변지역과 연계한 대규모 문화관광도시 구축 마스다르 시사점 신개념 교통수단 도입 세종시 시사점 무공해 교통수단 도입 올란도 시사점 테마파크 형태의 복합적 관광시설 도입을 통한 Multi-Complex 조성 센토사 시사점 관광 레저 문화 컨벤션 등 복합 Complex 조성 필요 홍콩 시사점 복합 Complex 조성을 통한 문화 레저도시 구현 수자원 적극 활용 마카오 시사점 게이밍산업 도입을 통한 이슈화 빌바오 시사점 공공디자인 및 건축시설의 명품화를 통한 도시매력성 강화 두바이 시사점 차별화를 위한 도시어메니티 강화 미나토미라이21 시사점 베니스 시사점 문화관광도시 자족성 확보를 위한 관련시설 집적화 세계 최고의 인공도시 조성 수자원을 적극 활용한 수변도시 조성 수자원을 활용한 교통시설 도입으로 관광상품화 선시티 시사점 첨단 의료시설 구축으로 새만금 경쟁력 강화 시사점 개발여건, 관련계획 및 소비자 니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의 핵심 키워드는 수로, 도시, 문화, 국제회의, 레저, 복합시설로 분석 매립문제 및 장기 개발계획의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입지적 특성 및 여건으로 인해 관광도시의 중추적 역할 가능(복합도시용지 내 포함) One-Stop 관광을 포함한 다양한 관광형태의 등장으로 인해 One-to-One 관광 이 가능한 복합적 시설도입 필요 명품 문화관광도시 조성을 위한 시설 및 브랜드 등의 명품화전략 필요 30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1.2 기능도출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는 새만금 관광의 허브역할을 수행하며, 초일류 관광지 기반마련 및 인지도 강화를 위한 공간으로 구축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개발방향 특성화 기능 특성화 전략 수로를 활용한 도시자체의 어메니티화 수로를 활용한 휴양주거기능 도입으로 수로형 관광도시 조성 수변상설 공연장 조성으로 인한 수변공간의 가치 강화 수자원을 활용한 음악분수 등 경관 이벤트 연출 복합도시 관광 레저 용지 초일류 관광지 기반마련 및 인지도 강화 도시디자인을 통한 관광자원화 혁신적 도시디자인을 통한 시설 및 도시의 문화관광 상품화 신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교통 인프라의 관광상품화 기타용지 문화 관광시설을 집약하여 One-Stop관광이 가능한 문화관광 Complex 조성 종합적 관광레저 서비스 제공 면세기능을 가진 프리미엄 쇼핑공간 및 대중적 Factory Outlet 등 쇼핑시설 특화 MICE, 문화공연, 게이밍 등 종합적 관광이 가능한 복합공간 연출 미용, 건강, 실버세대를 아우르는 차세대 수요에 부응하는 관광서비스공간 연출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기능 분류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07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1.3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1. 수로를 활용한 도시자체의 어메니티화 전략 1. 수로를 활용한 휴양주거기능 도입으로 수로형 관광도시 조성 2. 수변상설 공연장 조성으로 인한 수변공간의 가치 강화 3. 수자원을 활용한 음악분수 등 경관 이벤트 연출 전략 1. 수로를 활용한 휴양주거기능 도입으로 수로형 관광도시 조성 수변공간의 주거기능 배치로 거주민에게 레저, 여가 및 휴식기능을 제공하고 시민 들의 교류네트워크 거점 기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여가선용 및 관광행위를 가능하 게 하는 활력 넘치는 복합적 공간으로 조성함 - 최첨단 도시시설, 고급형 쇼핑센터 및 의료시설 등을 갖추는 장점을 활용하여 독립된 공간을 추구하는 한류스타의 호화로운 고급주택단지를 조성이 가능하고 이를 구경하러 오는 관광객에게 목적형 관광지를 제공할 수 있음 이탈리아 베니스(City on Water)-물의도시 세계에서 가장 독특한 도시 중의 하나이며 물의 도시(City on Water)로서 독특한 이미지와 도시구조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음 베네치아만 안쪽의 석호(Lagoon)위에 흩어져 있는 118개의 섬들이 약 400개의 다리로 이어져있어, 섬 사이의 수로가 중요한 교통로가 되어 수상교통이 발달함(수상버스(vaporetto), 트라게티, 수상택시, 곤돌라 등) 베네치아 도시 공간은 물길(water way), 보도(walk way), 다리(bridge)의 3대 요소로 구성됨 2005년 기준 약 190만 명의 외래 관광객이 방문하였으며, 이중 165만 명이 외국인이고 25만 명이 이탈리아인임 전략 2. 수변상설 공연장 조성으로 인한 수변공간의 가치 강화 새만금의 풍부한 수자원을 배경으로 공연장을 조성하여 사계절 관광 집객시설로 서 수변공간의 가치성을 강화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지닌 공연 프로그램을 기획 하여 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함 - 다양한 형태의 플로팅 스테이지 형태의 시설물을 배치하며, 서양의 오페라뿐만 아니라 동양의 특색을 담은 공연, 특히 전통문화를 재해석한 공연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대중문화공연 등을 연출함 308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페스티벌의 호상( 湖 上 ) 무대 2차 대전 직후, 마을 앞 보덴 호수에 바지선 두 척을 띄우고 공연한 것을 계기로 시작된 브레겐츠 페스티벌은 세계 3대 페스티벌의 하나로 꼽힘 오페라의 바탕이 되는 스토리와 현 이슈를 접목하여 무대장치를 설치하고, 2년간 유지하여 공연이 없을 때에도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음 2007년의 경우 페스티벌 개최기간인 여름 한달간 32만 명에 가까운 관광객 방문하였고 공연이 열리지 않는 날의 관광객을 합하면 그 수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되어 공연장만으로도 매력적인 관광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음 전략 3. 수자원을 활용한 음악분수 등 경관 이벤트 연출 수로의 일부구간에 음악분수, 워터아트, 아쿠아틱쇼, 낙조음악분수 등이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고, 세계적인 음악 및 한국적 음악과 어우러진 물을 이용한 경관 이벤트를 연출함 두바이 분수(Dubai Fountain)-세계 최고층 빌딩 배경의 세계 최고 분수쇼 세계 최고층 빌딩인 버즈 두바이(부르즈 할리파, Burj Khalifa) 앞의 인공호수에서 펼쳐지는 세계적인 음악 분수쇼 분수는 라스베이거스 벨라지오 분수보다 약 25%정도 긴 275m정도의 길이로 22,000갤런의 물을 21m~150m의 높이로 물을 쏘아 올리는 엄청난 장관을 연출 6,600개의 전구와 50가지 색의 프로젝터가 총 출력 150 루멘의 다양한 색의 향연을 선보이며, 아랍 음악과 서양 음악 등 다양한 음악을 배경삼아 1,000여 가지의 다른 표현을 연출하는 빛과 물과 음악이 조화되는 분수쇼 매일 오후 6시부터 30분 간격, 매회 다른 쇼로 진행되며, 관람료는 무료 고양 호수 예술축제-물을 활용한 종합 야외공연 예술축제 연극, 마임, 퍼포먼스, 무용, 음악, 뮤지컬, 영상, 호수 물위의 공연 및 불꽃쇼 등 모든 야외공연 예술축제 도시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생활의 활력을 느끼는 축제로 자기매김 특히 100% 물 위에서 펼쳐지는 수상공연은 설치미술, 퍼포먼스, 연극적 요소가 뒤섞인 놀이의 형태로서 인기를 얻고 있음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09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특성화기능 2. 도시디자인을 통한 시설의 관광자원화 전략 1. 혁신적 도시디자인을 통한 시설 및 도시의 문화관광 상품화 2. 신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교통 인프라의 관광상품화 3. 기타용지 문화 관광시설을 집약하여 One-Stop관광이 가능한 문화관광 Complex 조성 전략 1. 혁신적 도시디자인을 통한 시설 및 도시의 문화관광 상품화 새만금 문화관광의 가치성 증대를 위한 창조적 문화역량의 원동력으로서 공공디 자인 및 건축디자인의 가치를 새로이 부각하고 품격있는 도시경관을 형성하여 지 역 경쟁력 강화 및 마케팅의 주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함 - 안도타다오, 모쉐 사프디, 장 누벨, 리차드 로저스 등 세계적인 건축가 작품을 전시하고 데일치후리 등의 유리공예 작품 및 알랭 귈로 등의 조명예술 설치를 통한 공간자체를 관광상품화 함 새만금 지역의 다양한 특색 및 도시문화를 반영한 차별화된 도시디자인을 도입하 고 정주민에게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환경 및 도시경관을, 방문객에 게는 도시 자체의 관광어메니티를 제공함 일본 나오시마 섬-섬 전체가 미술관, 나오시마 예술 프로젝트 일본의 지중해라고 불리는 세토내해의 섬으로 수많은 미술작품과 조각들이 숨어있는 예술 애호가들에게 널리 알려진 작은 섬임 미술관, 항구, 골목, 목욕탕, 오래된 가옥까지 예술작품으로 꾸며짐 섬 경관은 그대로 보존하고,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타다오 의 작품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작가 제임스 타렐, 월터스 마리아 등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 등을 보유함 자연 그 자체를 예술로 승화시킨 나오시마는 시골의 작은 섬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현대예술의 중심지로 전 세계에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됨 일본 도시디자인 : 도시디자인 차별화를 통한 경관 조성 항구도시인 고베시는 롯코산을 배경으로 고베 하버랜드와 포트 아일랜드 등 친수공간이 조성되고 항구도시 고베경관이 형성됨 건축물 높이, 외벽 후퇴 거리, 색채, 지붕 형태, 베란다, 건축물 형태, 차양, 색채 등에 대한 규제 조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도베다운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진행중임 그 결과, 이야기가 있는 워터프론트를 만들고 즐기고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해 시민 관광객에게 매력을 제공함 310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전략 2. 신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교통 인프라의 관광상품화 미래형 교통수단인 바이모달 트램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친환경적 관광교통 수단을 도입하여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하나의 관광자원으로 개발함 중화권 관광객 유치를 위한 위그선에 관광요소를 접목하여 탑승과 동시에 관광의 시작이라는 이미지는 형성할 수 있도록 함 일본 오다이바 유리까모메-무인 모노레일의 관광상품화 동경의 도시공간 구조를 다핵도시 공간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부도심 육성정책 중 하나인 오다이바 부도심 개발계획임 쓰레기 매립지로 쓰이며 버려졌던 인공섬 위에 탄생한 신도시이며, 도쿄의 미래 라고 할 정도로 최첨단을 자랑하는 계획도시임 유리까모메는 도쿄와 오다이바를 오가는 무인 모노레일로서, 접근성 향상 및 도심관광 활성화 측면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임 교통수단인 동시에 관광상품으로 인식되어 많은 관광객이 이용하고 있음 전략 3. 기타용지 문화 관광시설을 집약하여 One-Stop관광이 가능한 문화관광 Complex 조성 새만금 문화관광시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산업별 용지별로 흩어져 있는 문 화 관광기능을 가진 시설을 집약화하여 복합도시용지에 배치함 시설 집약을 통해 관광객의 동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게 하 고, 관광객의 체험도와 만족도는 극대화를 극대화함 스미소니언 박물관 - 전시기능 집약을 통한 One-Stop관광 실현 영국인 과학자 제임스 스미손(James Smithson)의 기부금으로 1846년 설립된 종합박물관(무료개방) 총 15개의 박물관과 갤러리, 동물원, 8개의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 규모의 박물관 콤플렉스 약 140백만 점의 수공예품과 견본을 전시하고 있으며, 항공우주박물관, 국립 우편 박물관, 허쉬혼 박물관 & 조각 갤러리 등 다양한 테마의 박물관 및 갤러리의 집적화로 세계 전 연령층의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음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11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특성화기능 3. 종합적 관광 레저 서비스 제공 전략 : 1. 면세기능을 가진 프리미엄 쇼핑공간 및 대중적 Factory Outlet 등 쇼핑시설 특화 2. MICE, 문화공연, 게이밍 등 종합적 관광이 가능한 복합공간 연출 3. 미용, 건강, 실버세대를 아우르는 차세대 수요에 부응하는 관광서비스공간 연출 전략 1. 면세기능을 가진 프리미엄 쇼핑공간 및 대중적 Factory Outlet 등 쇼핑시설 특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관광객 소비행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프리미엄 쇼핑공간 및 면세점, 대중적 상업시설 등 쇼핑시설 집객화를 통한 관광객 만족 극대화 공간을 조성함 - 다양한 연령층의 관광객을 겨냥하여 10대를 위한 패션문화타운(저렴함 보세상품), 20~50대를 위한 명품타운 및 아울렛, 여성고객을 타깃으로 한 인테리어소품타운, 남성고객을 타깃으로 한 명품자동차 전시타운 등 다양한 테마의 세계 최대 종합쇼핑타운을 조성함 홍콩 면세구역 - 쇼핑의 천국 홍콩은 자유무역항으로 성장시기키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면세구역으로 지정하여 수입품에 관세를 부여하지 않아 최고의 쇼핑 메카로 자리잡음 전 세계 다양한 브랜드의 집합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다양한 브랜드와 물품들이 빠르게 매장을 비우고 다시 채워짐(홍콩에 없는 브랜드는 세상에 없다) 매년 7~8월 2개월간 홍콩관광청이 대대적 프로모션에 나서는 대표적인 세일기간이며 각종 투어프로그램이나 교통패스 할인 등 이벤트를 통한 다양한 관광객 유치행사를 실시하고 있음 전략 2. MICE, 문화공연, 게이밍 등 종합적 관광이 가능한 복합공간 연출 원활한 산업관광 활성화를 위해 정부 측면에서 산업관광 홍보관 등의 견학시설 및 관련 기본 인프라를 지원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성공적인 새만금 산업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 - 세계 최대 신 재생에너지단지에 입주할 기업을 위한 신 재생에너지 전용 컨벤션센터를 설립하고, 신 재생에너지단지와 연계한 관광상품을 기획함 게이밍산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건전한 발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국 가 균형발전과 관광산업의 발전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새만금 종합 게이밍 콤플렉 스를 조성하여 새만금의 관광 레저산업을 선도함 312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 미래형 e-sports 공간을 조성하여 게임모자 HMD(Head Mounted Display) 전용 게임장, 4차원 극장형태 시뮬레이터 기반 게임장, Vehicle 메타포 게임장, 홀로그램 게임장, 로봇서바이벌 게임장, 신경합성게임장 등 미래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장으로 조성함 문화관광도시의 목표에 걸맞은 수요증대를 위해 문화공연을 활성화하고, 새만금의 공연장 비율, 문화공연지수 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 및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도시활성화를 도모함 스페인 빌바오 : 문화도시 구축을 통한 부정적 이미지 전환 1970년대 전통산업인 철강, 조선, 화학이 쇠락하고 정치적으로 10년간 이어진 바스크 분리주의자들의 터로 맞물리면서 도시 쇠퇴 1992년 정부의 빌바오 리아 2000 설립 및 프로젝트 진행으로 도시재생과 관련된 장기적 비전과 전략 수립 정확한 수요의 예측을 바탕으로 콘서트홀, 박물관 복합쇼핑센터 등을 집적시키면서도 기존의 문화와 원활히 조화를 이루는 계획 확립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세계적인 문화중심도시로 탈바꿈 전략 3. 미용, 건강, 실버세대를 아우르는 차세대 수요에 부응하는 관광서비스공간 연출 증가하는 의료관광객을 위한 성형, 피부미용, 헬스케어 등의 의료기관을 도입하고 해외 환자 유치를 위한 통역 서비스를 지원 등의 의료관광지원 시스템을 마련함 새만금의 우수한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자연이 주는 맑은 기운을 극대화 시켜주는 치유형 명상센터를 도입하고 각종 자연 치유형 건강프로그램을 운영함 관광지에서 건강회복 및 증진이 가능하도록 의료기관과 연계한 재활프로그램 및 재활치료센터를 도입하여 재활승마, 재활조정 등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하고 장애 인뿐만 아니라 일반인 환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의료관광객을 유치 하도록 함 - 기존 실버타운 위주의 의료 정주형 공간에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정주공간을 마련하고, 특히 가족단위의 입주를 위한 의료키즈타운 및 재활치료를 위한 마을을 조성함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1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미국 애리조나 주 세도나 일지 명상센터-명상테마리조트 교육장(마고홀 300명 수용, 피스홀 100명 수용), 기타 3개의 소규모 수련장, 회의장, 식당(야채식단), 약 50실의 숙박동, 수영장/스파, 외승장코스, 힐링가든으로 구성됨 지구 자기장 볼텍스(Voltex) 체험 프로그램 운영(여행사 패키지 프로그램) 및 트래킹, 요가, 기체조, 단전호흡 등 명상 수련코스 운영 색채, 배치, 층고, 자재 등 친 환경성을 극대화한 자연친화적인 시설 구성 및 숙박시설 도입으로 체류형 힐링 프로그램을 구축함 미국 선시티-의료기관 인근에 위치한 전원도시 형태의 실버타운 선시티는 민간에 분양한 미국 최초의 실버타운으로 약 26,000세대의 주거홈이 있고 인구 42,000명이 거주하고 있음 전원도시 형태를 갖추고 있고 운영하는 종합병원 등 병원 3개소, 요양시설 20개소, 골프장 18개소, 쇼핑센터 7개, 도서관 2개 등을 보유하고 있음 생활편익시설을 우선 짓고 그것을 어메니티(Amenity) 자원으로 활용함 대형 종합병원인 선헬스 델웹병원, 노인 전문 보스웰 병원이 중심부에 소재하고 있으며, 선시티의 병원 및 응급의료 시스템은 주 내 최고 수준임 우수한 시설, 기술, 서비스 등으로 인해 인근 도시의 젊은 환자들까지 고객을 확보하고 있음 31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1.4 기존계획 방향 제시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특성화 전략에 따른 용지별 기능 배분에 따라 기 수립 된 계획의 시설을 검토하고 특성화전략에 따른 새로운 시설도입을 제안함 특성화 방안 제시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는 동아시아 명품 문화관광레저도시에서 새만금 관광의 허브 기능을 담당하도록 제안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기존계획 특성화 방안 복합도시 관광 레저 용지 동아시아 명품 문화관광레저도시 새만금 관광의 허브 도입시설 제시 특성화 전략에 따라 대중적 Factory Outlet 등이 추가적으로 도입되어야 함 용지별 도입시설 제안 구분 기존계획 도입시설(방향 재설정) 추가시설 메가하이드로버스터, 게임시티, 월드애니메이션파크, 월드스타즈 호텔& 컨벤션, 플로팅 리조트, 골든빌리지(고급수변주택), 관광지원주거단지, 프리미엄 아울렛, 매직워터스테이지, 마리나빌라리조트, 복합도시 관광 레저 용지 수변오토캠핑장, 수변주택, 스카이파크, 모험의 섬, 워터레포츠 학교, 마리나, 월드 컬쳐&아트 인큐베이터, 한스타일 호텔, 한지 빌리지, 아시아 앤틱마켓, 아트빌리지(예술인주거), 음식문화센터, 세계명품관, 세계미식가천국, 어촌문화거리, 새만금 도시센터, 새만금 건강테마파크, 자연치유리조트, 에스테틱리조트, 메디케어리조트, 세계대안요법학교, 다살휴양빌리지, 신화의 섬, 선마을, 세계평화공원, 장수빌리지, 생태주거단지 대중적 Factory Outlet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1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2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1.2.1 전제 개발여건 입지적으로는 새만금 방조제 및 고군산군도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부지조 성이 완료되어 새만금 내해 및 외해의 이용이 가능하고, 현재의 경유형 관광객을 체류형 관광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선도적 역할이 가능함 상위계획에서 관광레저복합단지를 지향하는 공간계획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해양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개발이 가능함 또한, 세계적 관광명소화, 방조제 관광수요 충족, 주변자원과의 연계 등 전략적 계획이 제시되어 있어 초기 이슈화를 시키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짐 이미 매립공사가 완료되고 현재는 ATV, 오토캠핑장 등 임시시설이 배치되어 있으 며, 본격적인 개발 이전까지의 부지활용이 가능함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개발여건 구분 신시-야미 관광 레저용지 트렌드 개발여건 새만금 방조제 및 고군산군도 인접 매립 완료(초기조성)로 인한 임시시설 도입 경유형 관광객 전환을 위한 선도역할 해양자원 적극 활용 가능 내해 외해 활용 가능 국민 해양관광 수요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관광 참여비율이 1997년 23.4%, 2003년 26.8%에서 2010년 31.4%로 증가(1997년 해양수산부 자 료 기준)할 것으로 전망됨 미래 관광수요는 육지중심에서 벗어나 점차 해양의 다양한 체험관광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지역의 해양 및 어촌 관광자원의 개발을 통한 해양관광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31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또한, 럭셔리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관광, MICE, 요트 등 고부 가가치를 창출하는 여가시장이 확대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제도적 기반 마련이 중요함 합리적 관광소비계층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관광시장의 확대에 대비한 제도적 기반 구축, 안심관광소비에 대한 제도정비, 예술 공연 등 고급문 화와 연계한 관광상품의 개발, 명품관광콘텐츠의 개발 등의 정책강화가 필요함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트렌드 구분 트렌드 신시-야미 구간 관광 레저용지 해양관광 수요 증가 해양 및 어촌 관광자원 개발 부가가치 창출하는 여가시장 확대 고급문화와 연계한 상품 개발 감성소비, 체험소비의 확산 관광자원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는 현재 매립이 완료된 지역으로, 고유의 관광자원 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인근에 위치한 신시도와 야미도를 포함한 고군산군 도, 군산시 등과 연계가 가능한 지역임 신시도 대규모 휴게시설이 계획 중이며, 현재 임시시설로 마리나 시설, 오토캠핑장, 4륜 오토바이 체험장, 운동장 등 체육시설 및 수상레포츠 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국무총리실 외 9개부, 2011)은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 저용지의 기능을 생태, 휴양, 위락공간 등으로 제시함 세계적 관광명소화, 생태 휴양 위락공간, 방조제 관광수요 충족, 주변자원과의 연계(고군산) 등을 전략으로 제시함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및 도입예정 시설(MP) 구분 도입시설 면적 1단계 (2011~2015) 2단계 (2014~2016) 야미도 : 호텔, 상업시설, 클럽하우스 등 신시도 : 별장형 호텔, 중앙통제실 등 가족호텔, 상업시설, 컨벤션센터, 요트폴리텍대학, 워터파크, 마리나 등 0.30km2 0.47km2 3단계 (2016~2018) 메디컬센터, 씨월드, 미니어처 파크, 골프장 등 1.18km2 자료 : 국무총리실 외 9개부(2011),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17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새만금 방조제 메가리조트 개발사업 새만금 방조제 메가리조트 개발사업(한국농어촌공사, 2011)은 2020년까지 숙박시 설 및 워터파크, 마리나, 메디컬센터, 컨벤션 등 관광레저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시 설도입을 계획하고 있음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기능 및 도입예정 시설 구분 비전 도입예정시설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관광레저 복합단지 호텔 가족호텔 클럽하우스 별장형 호텔 상업시설, 컨벤션 요트폴리텍대학 워터파크, 마리나 메디컬센터 미디어파크 골프장 등 자료 : 한국농어촌공사(2011), 새만금 방조제 메가리조트 개발사업 등 관련계획 재구성 소비자 Needs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결과 새만금 내부용지 중 관광사업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해양관광용지 가 16.1%로 나타남 관광개발 추진방향에 있어서 응답자가 희망하는 사항은 해양관광지 19.2%, 레저/스포츠형 관광지 10.4% 순으로 나타남 관련사례 사례분석 결과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음 318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적용사례 구분 새만금 적용 랑그독 루시옹 시사점 접근성 극복을 위한 목적형 관광지 구축 제3섹터 개발을 통한 효율적 업무 추진 칸쿤 시사점 서해안의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가능 공간 마련 센토사 시사점 가족단위 관광객 유치를 위한 Edu-tainment 도입 빌바오 시사점 공공디자인 및 건축시설의 명품화를 통한 도시매력성 강화 관광레저 전문조직 구성 필요 두바이 시사점 미나토미라이21 시사점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마련 차별화를 위한 도시어메니티 강화 초기단계부터 IT인프라 구축 선도사업 시행으로 인한 개발 분위기 조성 제3섹터 방식의 업무 효율성 강화 시사점 개발여건, 관련계획 및 소비자 니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의 핵심 키워드는 해양, 선도사업, 문화, 레저스포츠로 분석 새만금 종합개발의 선도적 사업이며, 매립 완료된 용지로서 초기 이슈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 수행 가능 해양자원의 콘텐츠 화를 통한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창조하는 해양테마산업 유치 가능 합리적 소비계층을 위한 해양체험소비 및 시설의 테마화 필요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19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2.2 기능도출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는 새만금의 해양테마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조성 하고 문화관광의 초석을 마련 및 이미지를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구축함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특성화 방안 구분 개발방향 특성화 기능 특성화 전략 해양테마관광 해양테마호텔, 아쿠아리움, 씨푸드센터 조성 엔터테인먼트 해변 먹거리촌, 캐릭터 숍 등 테마상가 집적화 공간 선도적 조성 해양형 위락시설을 도입한 해양문화 테마파크 조성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 용지 새만금 문화관광 초석마련 및 이미지 확산 해양레저스포츠 안전교육 및 자격면허 취득이 가능한 해양레포츠 아카데미 구축 마리나 수리, 유지 보수가 가능한 마리나 계류장 육성 전진기지화 조성 해양레포츠 교육(Education)과 놀이(Entertainment)가 융합된 Edu-tainment 형 시설 구축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 용지 기능 분류 320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2.3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1. 해양테마관광 엔터테인먼트 공간 선도적 조성 전략 1. 해양테마호텔, 아쿠아리움, 씨푸드센터 조성 2. 해변 먹거리촌, 캐릭터 숍 등 테마상가 집적화 3. 해양형 위락시설을 도입한 해양문화 테마파크 조성 전략 1. 해양테마호텔, 아쿠아리움, 씨푸드센터 조성 해양자원과 관련된 콘셉트의 인테리어를 도입한 호텔을 배치하여 아쿠아리움, 쇼 핑몰 등의 부대시설을 배치하고, 복합도시용지 및 새만금 내부용지 경관감상이 가능한 조망권을 확보하도록 타워형 랜드마크 시설을 구축함 특색있는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고급형 해산물 레스토랑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해 산물을 즐길 수 있는 어시장 형태의 씨푸드센터 등 여유로우면서 편한 휴식을 취 할 수 있는 식음시설을 구비함 전략 2. 해변 먹거리촌, 캐릭터 숍 등 테마상가 집적화 수변공간을 활용한 테마공간을 확보하고 상업시설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Entertainment 성격의 시설 도입하여 다양한 타겟층 확보 및 집객이 가능하고 체류하며 즐기는 공간으로 조성함 샌프란시스코 Pier 39 - 선착장을 개조한 대형 쇼핑센터 미국 캘리포니아 주( 州 ) 샌프란시스코 만(San Francisco) 연안에 위치 이탈리아 어부들이 선착장으로 이용하던 지역에 브랜드 상점과, 레스토랑, 선물가게 등이 입점한 181km2의 대형 쇼핑센터 아쿠아리움, 회전목마 등 위락시설이 있어 샌프란시스코 만 최대의 관광명소 1000개 넘는 많은 전문상가들이 밀집돼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연예술도 펼쳐져 이곳을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늘 신선한 볼거리를 제공 전략 3. 해양형 위락시설을 도입한 해양문화 테마파크 조성 아쿠아리움 및 실내형 스쿠버다이빙 센터 등 해양문화의 특성을 살린 시설의 도 입으로 테마파크 형태의 공간을 구축하고 미니어처월드, 캐릭터동산, marinebased survival 게임장 등 가족단위 관광객을 위한 해양문화 테마파크를 조성함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21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특성화기능 2. 해양레저 스포츠 육성 전진기지화 전략 1. 안전교육 및 자격면허 취득이 가능한 해양레포츠 아카데미 구축 2. 마리나 수리, 유지 보수가 가능한 마리나 계류장 조성 3. 해양레포츠 교육(Education)과 놀이(Entertainment)가 융합된 Edu-tainment 형 시설 구축 전략 1. 안전교육 및 자격면허 취득이 가능한 해양레포츠 아카데미 구축 해양스포츠 체험과 아마추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자격면허 시험장으로 운영 하고, 해양안전교육 연구센터를 조성하여 스킨스쿠버, 라이프가드 교육, 응급처지 법, 수상안전법 등 실무위주의 안전교육을 실시함 전략 2. 마리나 수리, 유지 보수가 가능한 마리나 계류장 조성 고군산군도, 복합도시용지와 연계 가능한 마리나 계류장을 조성하고, 클럽하우스, 전원, 급유, 급전시설, 마린빌리지, 마리나호텔, 레스토랑, 카페, 휘트니스센터, 쇼 핑센터 등 마리나와 관련된 모든 시설을 집적화함 전략 3. 해양레포츠 교육과 놀이가 융합된 Edu-tainment 형 시설 구축 해양레포츠 시설에 IT 기능과 게임 기능을 접목하여 교육형 체험ㆍ전시형 놀이시 설, 즉 에듀테인먼트형 시설을 구축하고, 해양자원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의 창의성 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함 해양형 게임 산업과 연계한 교육형 놀이시설, 한국을 대표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테마파크 등을 조성하고, 그 배경이 되는 공간을 재현하여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 하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학습효과를 증대시킴 세사미 플레이스(Sesame Place) 세사미 플레이스는 미국 교육 프로그램 Sesame Street 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하는 어린이 교육 테마파크임 초기의 세사미 플레이스는 단순 놀이공간에서 시작하여 라이드시설과 물놀이 시설을 접목하여 시설을 확대하고, 2000년대 들어 TV 교육 프로그램 인지도를 활용하여 교육과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결합한 어린이 공간으로 특화시킴 322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2.4 기존계획 방향 제시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 특성화 전략에 따른 용지별 기능 배분에 따라 기 수립된 계획의 시설을 검토하고 특성화전략에 따른 새로운 시설도입을 제안함 특성화 방안 제시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는 관광레저복합단지에서 새만금 해양테마 엔터테 인먼트 공간으로 조성하도록 제안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기존계획 특성화 방안 신시-야미 구간 관광 레저 용지 관광레저복합단지 해양테마 엔터테인먼트 공간 도입시설 제시 특성화 전략에 따라 아쿠아리움, 씨푸드센터, 해양문화 테마파크, 해양스포츠 아 카데미 등이 추가적으로 도입되어야 함 용지별 도입시설 제안 구분 기존계획 도입시설(방향 재설정) 추가시설 아쿠아리움 신시-야미 관광 레저 용지 워터파크, 마리나, 골프장, 미디어파크, 호텔(해양테마), 별장형 호텔, 가족호텔, 요트폴리텍대학, 클럽하우스, 상업시설(해변 먹거리촌 및 캐릭터 숍), 메디컬센터, 컨벤션 씨푸드센터 해양문화 테마파크 해양레포츠 아카데미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2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3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1.3.1 전제 개발여건 입지적으로는 부안군에 인접하여 새만금 내부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복합도시용지 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현재 선도사업인 게이트웨이 조성사업이 2013년 완공 예 정이며, 내륙형 개발이 유리한 조건을 지님 상위계획에서 대규모 골프장 및 명품복합도시와 연계된 레저파라다이스를 지향하 는 공간계획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레저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개발이 가능함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국무총리실 외 9개부, 2011)에 의한 개발이 완료된 후에 는 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적 특성으로 인해 배후도시의 수요확보가 가능함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개발여건 구분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트렌드 개발여건 배후도시 인접(복합도시용지) 보유로 인한 마켓 확보 내륙형 개발 유리 게이트웨이 선도사업 추진 환경 중심적 패러다임 확산,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인한 자유시간 증가 등의 요인으로 획일적인 대중관광보다 생태관광, 역 사 문화관광, 휴양관광 등과 같은 대안관광에 대한 선호도가 증대됨 특히, 스포츠 영역의 경우 래프팅, 트레킹, 스킨스쿠버 다이빙, 행글라이딩, 암벽 타기, 번지점프 등 소수 마니아층에서 각광받던 여가활동이 일반화, 대중화되어 여행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 최근의 스포츠산업은 프로야구의 폭발적인 흥행과 국제스포츠이벤트의 연속유치 를 통해 선진국형 시스템에 진입하면서 산업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 심으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임 32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복잡한 산업구조, 공간과 입지를 중시하고 시간소비 및 오락성 중심, 감동과 건강 을 지향하는 산업으로 향후 고부가가치산업,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산업, 세계 적 공통문화의 산업 등 스포츠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은 것으로 분석됨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트렌드 구분 트렌드 생태, 문화, 휴양관광 등 대안관광 증대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여가활동의 일반화, 대중화 4차 산업의 트렌드(농업-산업-서비스 -체험경제) 오락, 건강, 문화 등 스포츠산업 전망 밝음 관광자원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는 매립이 진행 중이며, 현재 고유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인근에 위치한 김제시와 부안군 등과 자원연계가 가능한 지역임 또한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인접한 복합도시용지 및 관광 레저용지 등과 전략적 연계를 통한 복합 complex의 조성이 가능함 2013년 조성완료 예정인 게이트웨이 개발계획에서 테마파크, 워터파크, 콘도미니 엄, 명품아울렛, 호텔, 만남의 광장 등의 도입이 예정되어 있어 관광객에게 공 공 편익시설을 제공하게 됨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국무총리실 외 9개부, 2011)은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의 기능을 공연, 예술, 숙박, 건강, 미용, 스포츠, 주거 등으로 제시함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및 도입예정 시설(MP) 도입기능 도입시설(예시) 문화 예술 숙박 공연 문화시설 콘도, 관광호텔 등 건강 미용 스포츠 골프장, 클럽 스포츠파크, 스포츠과학 패밀리파크 휴양주택단지 등 생태 수변휴양 마리나 빌리지 등 아쿠아파크 자료 : 국무총리실 외 9개부(2011),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2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청, 2010)은 2019년까지 숙박시설 및 테마파크, 대규모 골프장, 실버센터, 클럽스포츠테마파크, 스포츠과학 패밀리테마파크 등 명품복합도시와 연계된 레저파라다이스 조성을 위한 시설도입 을 계획하고 있음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기능 및 도입예정 시설 구분 비전 도입예정시설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명품복합도시와 연계된 레저파라다이스 타운하우스 콘도 관광호텔, 스포츠과학패밀리 테마파크 휴양주택단지 실버센터 연수단지 관광상업시설 클럽스포츠 테마파크 골프장 90홀 등 자료 : 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청(2010),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 등 관련계획 재구성 소비자 Needs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결과 관광개발 추진방향에 있어서 응답자가 희망하는 사항은 레저/스포츠형 관광 지 10.4% 로 나타남 관광개발 추진 시 선호 시설로는 스포츠/레저시설이 전체의 5순위로서 7.2%를 차 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관련사례 사례분석 결과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32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적용사례 구분 새만금 적용 랑그독 루시옹 시사점 칸쿤 시사점 각 기능별 용지의 융 복합화로 One-Stop 관광 가능 접근성 극복을 위한 목적형 관광지 구축 제3섹터 개발을 통한 효율적 업무 추진 주변지역과 연계한 대규모 문화관광도시 구축 정확한 마켓 타깃 설정 및 사업성 분석을 통한 투자유치 활성화 두바이 시사점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마련 미나토미라이21 시사점 제3섹터 방식의 업무 효율성 강화 문화관광도시 자족성 확보를 위한 관련시설 집적화 선시티 시사점 거주민을 위한 여가공간 마련 The Bitter End Yacht Club 시사점 스포츠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스포츠 강대국 실현 해양형 스포츠 및 내륙형 스포츠 거점화 머틀비치 시사점 관광단지 골프장을 활용한 스포츠 테마도시 조성 ESPN Wide World of Sports Complex 시사점 관광시설과 스포츠시설의 연계를 통한 관광 시너지효과 극대화 머슬파크 시사점 체험형 테마형 스포츠시설 도입을 통한 스포츠강국 실현 시사점 개발여건, 관련계획 및 소비자 니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제자유구역 관광 단지의 핵심 키워드는 골프장 등 여가 레저스포츠, 복합도시와의 연계 등으로 분석 대규모 골프장 조성 등 내륙형 스포츠산업 중심의 여가 레저시설의 도입 유리 관광도시 조성을 위한 서브역할을 통하여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와 연계한 복 합 complex 조성 가능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27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3.2 기능도출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는 새만금 스포츠 이벤트 및 관련 시설의 집적화 기능을 수행하며, 초일류 관광지 기반마련 및 인지도 강화를 위해 복합도시와 연계한 내 륙형 익스트림 활동 중심공간으로 구축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개발방향 특성화 기능 특성화 전략 PGA, LPGA 골프대회 유치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초일류 관광지 기반마련 및 인지도 강화 메이저급 스포츠 이벤트 공간 마련 여가 레저활동을 UFC, 프라이드와 같은 메이저급 대회 개최 및 아마추어 경기 개최 계절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내형 종합 스포츠시설 구축 수로를 활용한 조정경기장 및 골프장, 승마장 조성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암벽등반, 스케이트보드 위한 익스트림 등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조성 스포츠 공간 조성 하계스포츠의 상시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멀티트레이닝센터 도입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기능 분류 328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3.3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1. 메이저급 스포츠 이벤트 공간 마련 전략 1. PGA, LPGA 골프대회 유치 2. UFC, 프라이드와 같은 메이저급 대회 개최 및 아마추어 경기 개최 3. 계절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내형 종합 스포츠시설 구축 전략 1. PGA, LPGA 골프대회 유치 세계 최대 규모의 90홀 골프장을 배경으로 PGA, LPGA와 같은 세계적인 골프대 회를 유치하여 새만금의 스포츠 이벤트시설로 구축함 스카이72-국내 유일의 미 LPGA투어 개최지 72개 홀의 동북아 최대 규모의 퍼블릭 골프장 기네스북에 등재된 400야드 300타석의 세계최대 원형 드라이빙 레인지 보유 2010년 국내 최초의 미 LPGA투어 개최 전략 2. UFC, 프라이드와 같은 메이저급 대회 개최 및 아마추어 경기 개최 UFC, 프라이드와 같은 종합격투기 토너먼트 상설경기장을 배치하여 메이저급 대 회 개최지 및 아마추어 경기장으로 활용하고 프로양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격투 스포츠의 활성화를 도모함 전략 3. 계절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내형 종합 스포츠시설 구축 실외 스포츠의 계절성을 극복하고, 스포츠뿐만 아니라 연극, 공연, 콘서트 등의 문화공연을 즐길 수 있는 종합 실내형 스포츠공간을 조성함 미국 메디슨스퀘어가든-실내형 종합 체육시설 미국 뉴욕의 펜실베이니아 역( 驛 )의 옥상에 1968년 2월 11일 준공한 원통형의 빌딩 2만 명을 수용하는 대 실내 체육관으로 빌딩의 직경은 130m(425ft), 2만의 객석 보유 빌딩 안의 체육관에는 48레인의 볼링장, 영화관, 전람회장 등 보유 준공 당시에 천장을 케이블로 매어다는 방법으로 건축한 미국 제1의 대건축물이었으며, 세계 최대의 스포츠 흥행장으로 꼽히고 있음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29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특성화기능 2. 여가 레저활동을 위한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조성 전략 1. 수로를 활용한 조정경기장 및 골프장, 승마장 조성 2.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암벽등반, 스케이트보드 등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조성 3. 하계스포츠의 상시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멀티트레이닝센터 도입 전략 1. 수로를 활용한 조정경기장 및 골프장, 승마장 조성 인공수로를 활용한 조정경기장을 조성하여, 국제적인 조정경기 및 카약, 카누경기 가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고, 관광객에게는 체험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중스포츠의 활성화 공간으로 조성함 평지의 특성을 살린 승마, 사이클, 골프장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 시설을 확충하여 프로 및 아마추어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및 국제적인 행사유치를 위한 활성화 공 간으로 조성함 전략 2.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암벽등반, 스케이트보드 등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조성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암벽등반, BMX, 스카이서핑, 도로썰매타기, 스케이트 보드 등 도심형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을 조성하여 계절과 연령층에 무관한 여가 공간을 제공함 수로를 활용한 광장형 여가공간 형태의 스포츠시설 구축을 통해 스포츠뿐만 아니 라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휴식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쉼터기능을 부여한 공간 으로 조성함 - 조각이나 기념물을 활용한 소규모 실외 전시, 수로를 활용한 분수 등을 배치하여 여가를 위한 최적의 장소로 활용함 전략 3. 하계스포츠의 상시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멀티트레이닝센터 도입 하계스포츠 특히, 수자원을 활용한 스포츠의 스타급 선수 발굴을 위한 멀티트레이 닝센터 건립을 통해 상시 훈련환경을 구축하고 훈련의 과학화를 지원하는 등 스 포츠의 저변확대와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 전문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체험 교육을 위해 국내 및 해외 유명 스타급 선 수를 초청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함 330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2.4 기존계획 방향 제시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특성화 전략에 따른 용지별 기능 배분에 따라 기 수립된 계획의 시설을 검토하고 특성화전략에 따른 새로운 시설도입을 제안함 특성화 방안 제시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는 명품복합도시와 연계한 레저파라다이스에서 새만금 스 포츠 익스트림 집적공간으로 조성하도록 제안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기존계획 특성화 방안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명품복합도시와 연계된 레저파라다이스 스포츠 익스트림 집적공간 도입시설 특성화 전략에 따라 종합격투기 토너먼트 상설경기장, 조정경기장, 승마장, 사이 클장,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멀티트레이닝 센터 등이 추가적으로 도입되어야 함 용지별 도입시설 제안 구분 기존계획 도입시설(방향 재설정) 추가시설 종합격투기 토너먼트 상설경기장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스포츠과학패밀리테마파크, 골프장 90홀, 타운하우스, 연수단지, 클럽스포츠테마파크 (실내 종합), 콘도, 관광상업시설(스포츠용품 관련), 휴양주택단지, 관광호텔, 실버센터 조정경기장 승마장 사이클장 익스트림 스포츠 공간 멀티트레이닝센터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31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4 고군산군도 1.4.1 전제 개발여건 입지적으로는 새만금 외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새만금 방조제 및 연결도로 조성으 로 인해 2012년 이후 육로접근이 가능하고 해양형 개발이 유리한 조건을 지님 상위계획에서 마리나, 요트하우스, 해양문화전시관, 해수욕장, 갯벌체험장, 자연생 태학습장, 생태박물관 등 고급휴양형 복합해양단지를 지향하는 공간계획을 제시 하고 있어 향후 해양레저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개발이 가능함 새만금 내부용지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이나, 향후 새만금 내부개발 완료시 관광 레저기능의 중복으로 인한 과투자 및 시설공급규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 어 내부용지와의 기능분류를 통해 효율적 개발계획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고군산군도 개발여건 구분 개발여건 고군산군도 섬해양자원, 자연자원, 문화역사자원 보유 새만금 외해에 입지 2012년 이후 육로접근 가능 산림청 수목원 조성 예정 트렌드 최근에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국제적, 정책적 중요도가 확대되면서 기존 대량관 광에 대한 반작용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대로 해양관광, 모험관광, 생태관광, 녹색관광, 문화관광, 테마관광, 도시ㆍ농촌 관광 등 친환경적 관광행태에 대한 수 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임 또한, 관광소비자는 관광상품 그 자체가 아닌 상품에 담겨있는 스타일과 이야기, 신체적 감동, 정신적 감동을 동시에 구매하는 행위로 변화하고 있음 332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대규모 시설조성 중심의 관광개발이 아닌 환경친화적 관광개발과 훼손된 생태계 의 보존 복원을 지향하는 생태관광에서 자연관광, 대안관광, 지속가능관광 등으 로 개념이 확대되고 있음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은 헬스 & 뷰티의 생활화, 자연스러운 즐거움 추구 등으로 나타나 기존 소비트렌드와 차별화된 여가산업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됨 용지별 개발여건 구분 트렌드 웰니스, 건강위주의 활동 고군산군도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녹색산업의 부상 생태관광 증가 추세 소득과 잉여시간 증대 삶의 질 향상 웰빙 트렌드 등장 관광자원 고군산군도는 섬 지역으로 섬문화 자원, 해양자원, 산악자원, 자연자원, 인문자원, 문화역사자원 등 유일하게 고유의 관광자원을 보유한 지역임 - 산림청 수목원이 도입될 예정으로, 향후 친환경 웰빙관광이 더욱 유리해질 것으로 전망됨 현재 숙박시설 도입, 각종 관광체류시설 등 국제해양관광지로의 조성을 위해 사업 시행자를 모집 중에 있으나, 높은 토지가로 인해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음 - 현재 신시-야미 관광 레저용지의 토지공급가는 m2당 113천원으로 분석되었으며, 고군산군도는 m2당 약 8만원~26만원으로 분석됨(한국토지정보시스템, 전라북도 부동산 종합정보 개별공시지가 참고) 또한, 방조제 조성을 통해 육로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고군산군도 트레킹코스, 해 수욕장 등 자연자원을 활용한 관광상품이 각광받고 있으며, 신시-야미 관광 레 저와의 전략적 연계가 가능하여 새만금 개발의 선도적 역할이 기대됨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청, 2010)은 2020년까지 마리나, 관광어시장, 부티크호텔, 콘도, 오션마켓, 생태박물관, 해수워터파크 등 고 급휴양형 복합해양단지의 조성을 위한 시설도입을 계획하고 있음 고군산군도 기능 및 도입예정 시설 구분 비전 도입예정시설 고군산군도 국제해양관광지 고급휴양형 복합해양단지 마리나, 관광어시장, 부티크호텔, 콘도, 오션마켓, 산림휴양소, 기업휴양소, 갯벌체험장, 테마호텔, 전망대, 워터프론트, 산악자전거코스, 자연(생태)학습장, 생태박물관, 카지노호텔, 해상무대, 복합상업시설, 해수워터파크, 가족캠핑장, 요트하우스, 해양문화전시관, 청소년수련원, 상업시설, 해수욕장, 별장형콘도 자료 : 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청(2010),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 등 관련계획 재구성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3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소비자 Needs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결과 새만금 지역 방문시 주로 한 관광활동은 자연 및 풍경감상(50.5%)이며, 주로 변 산반도 국립공원, 고군산군도, 해수욕장 등으로 나타남 새만금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에 대한 답변은 갯벌 등 자연경관 이 전체의 3순 위인 12.8%로 나타남 관광개발 추진방향에 있어서 응답자가 희망하는 사항은 생태관광지 26.1%, 해양관광지 19.2%, 레저/스포츠형 관광지 10.4% 순으로 나타나 새만금 지역의 자연환경과 해양자원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적 체험 관광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됨 새만금 관광개발 추진 시 선호 시설로는 자연생태체험시설 이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남 관련사례 사례분석 결과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적용사례 구분 새만금 적용 랑그독 루시옹 시사점 접근성 극복을 위한 목적형 관광지 구축 제3섹터 개발을 통한 효율적 업무 추진 주변지역 어민 생계대책 마련 주변지역 관광자원 연계 및 활용 칸쿤 시사점 서해안의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가능공간 마련 마스다르 시사점 친환경적 도시 인프라 조성 올란도 시사점 친환경적 도시개발 모델 도입 두바이 시사점 미나토미라이21 시사점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마련 차별화를 위한 도시어메니티 강화 제3섹터 방식의 업무 효율성 강화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마련 베니스 시사점 기존 역사와 문화는 보존하기위한 일부 개발지양 필요 선시티 시사점 자발적 커뮤니티 조성을 통한 주변지역민과의 연계 The Bitter End Yacht Club 시사점 해양형 스포츠 및 내륙형 스포츠 거점화 33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시사점 개발여건, 관련계획 및 소비자 니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고군산군도의 핵 심 키워드는 섬, 문화, 해양, 레저스포츠, 자연풍경 및 생태 등으로 분석 지역 고유의 섬자원 및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개발 용이 건강, 녹색, 생태관광을 기반으로 한 웰빙관광 도입 가능 전략적 기능 배분을 위해 높은 토지가로 인한 해양레저 프로그램과 뛰어난 자연 환경을 활용한 친환경 웰빙 프로그램 등의 도입 필요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3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4.2 기능도출 고군산군도는 새만금의 해양콘텐츠 자원 신 거점으로 구축하고 신시-야미 관광 레저용지와 함께 새만금 관광 초석마련 및 이미지 확산을 위한 공간으로 구축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개발방향 특성화 기능 특성화 전략 요트, 제트스키, 스킨스쿠버 등 해양스포츠 단지 고군산군도 새만금 문화관광 초석마련 및 이미지 확산 해양레포츠 액티비티의 신거점 구축 자연체험형 관광프로그램 개발 조성 해양형 조정 및 카누 등 해양형 아웃도어 스포츠 개최 새만금 내부 수변과 연결되는 마리나 계류장 조성 신시-야미도와 연결되는 고군산 트레킹코스 개발 새만금 외해 내해를 연결하는 유람선 코스 개발 Slow city를 표방하는 친환경 프로그램 도입 고군산군도 기능 분류 33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4.3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1. 해양레포츠 액티비티의 신거점 구축 전략 : 1. 요트, 제트스키, 스킨스쿠버 등 해양스포츠 단지 조성 2. 해양형 조정 및 카누 등 해양형 아웃도어 스포츠 개최 3. 새만금 내부 수변과 연결되는 마리나 계류장 조성 전략 1. 요트, 제트스키, 스킨스쿠버 등 해양스포츠 단지 조성 고군산군도는 뛰어난 섬자원, 해양자원을 활용한 해양레포츠 체험 특화공간으로 조성함 요트, 제트스키, 스킨스쿠버, 모터보트, 바나나보트, 스트로크, 스노쿨링, 잠수선, 바다낚시, 비치 발리볼 등 해양형 레저가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여 해양스포츠 단 지로 조성함 전략 2. 해양형 조정 및 카누 등 해양형 아웃도어 스포츠 대회 개최 해양 스포츠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세계적인 아웃도어 스포츠 대회인 세계윈드서 핑대회, 세계요트대회, 해양형 조정대회 등을 유치하여 참여형 레저공간으로 활용 하고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도모함 전략 3. 새만금 내부 수변과 연결되는 마리나 계류장 조성 마리나시설 중심의 계류장을 조성하며, 특히 신시-야미구간 관광 레저용지와 복 합도시용지과 연계가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여 해양스포츠의 전진기지로 활용함 Sanctuary Cove - 친환경 마리나 계류장 호주 퀸즐랜드 주 골드코스트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환경 보존과 도시화 억제를 콘셉트으로 마리나 계류장 조성 전체면적 474ha, 계류시설 400척 규모이며 클럽하우스, 전원, 급유, 급전시설 등의 지원시설과 마린빌리지, 하얏트 호텔, 골프코스, 정박장, 레스토랑, 카페, 휘트니스센터, 쇼핑센터 등을 연계시설로 보유하고 있음 474ha에 이르는 습지와 농장을 마리나 리조트로 개발하여 친환경성, 원예, 건강관련 시설이 집적하며, 단지 곳곳에 녹지공간 및 공원을 조성함 매년 5월 세게적인 국제 보트쇼를 개최 전문 보안 경비시스템, 의료응급 시스템 등 시스템 전문화를 구축함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37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특성화기능 2. 자연체험형 관광 프로그램 개발 전략 1. 신시-야미도와 연결되는 고군산 트레킹코스 개발 2. 새만금 외해 내해를 연결하는 유람선 코스 개발 3. Slow city를 표방하는 친환경 프로그램 도입 전략 1. 신시-야미도와 연결되는 고군산 트레킹코스 개발 2012년 연결도로의 완공으로 현재 신시-무녀-장자-대장도를 잇는 도보여행 코스 를 야미-신시-무녀-장자-대장도를 잇는 친환경 여행 코스로 확대 개발하여 새만 금 내부용지와 연결되는 자연체험형 코스를 구성함 도보여행 뿐만 아니라 자전거여행, 친환경 교통수단을 이용한 느림여행 등 고군산 의 자연환경과 식도락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 기반시설을 구축함 전략 2. 새만금 외해 내해를 연결하는 유람선 코스 개발 군산시 비응도에서 고군산군도로 연결되는 유람선 코스를 확대하여 새만금 복합도 시용지와 신시-야미 관광 레저용지, 고군산군도를 연결할 수 있는 코스로 개발함 유람선코스는 기존의 경관조망형 유람선이 아닌 각 용지에서 체류하며 즐길 수 있는 시설로 개발하여 용지별로는 관광 유람선을 위한 계류시설을 구축하고, 특 히나 고군산군도의 유람선 계류장은 새만금 외해와 내해를 연결하는 유람선 관광 의 중추적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전략 3. Slow city를 표방하는 친환경 프로그램 도입 고군산군도는 새만금에서 유일하게 자연 및 문화, 역사자원을 가진 지역으로 환경 보존 및 기존자원 활용을 전제로 공해 없는 자연환경 속에서 고유의 먹을거리와 문화를 향유하며 인간적인 삶을 추구하는 슬로시티형 공간으로 조성함 신시도 월영대, 갯벌 등 신시도의 자연 역사자원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구축 하고, 지역만의 독특한 식도락 문화를 상품화하여 고군산군도만의 새로운 친환경 프로그램으로 개발함 338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2.4 기존계획 방향 제시 고군산군도 특성화 전략에 따른 용지별 기능 배분에 따라 기 수립된 계획의 시설 을 검토하고 특성화전략에 따른 새로운 시설도입을 제안함 특성화 방안 제시 고군산군도는 고급휴양형 복합해양관광지에서 새만금 해양콘텐츠 자원의 신( 新 ) 거점을 담당하도록 제안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기존계획 특성화 방안 고군산 군도 고급휴양형 복합해양관광지 해양콘텐츠 자원의 신( 新 ) 거점 도입시설 제시 특성화 전략에 따라 워터프론트 조성계획은 해양스포츠단지로 조성하고, 새만금과 연계한 트레킹코스 및 유람선코스 등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함 용지별 도입시설 제안 구분 기존계획 도입시설(방향 재설정) 추가시설 마리나, 산림휴양소, 해양문화전시관, 전망대, 해수욕장, 갯벌체험장, 자연(생태)학습장, 워터프론트(해양스포츠단지), 생태박물관, 고군산군도 산악자전거 코스, 관광 어시장, 해양문화전시관, 가족캠핑장, 청소년 수련원, 기업휴양소, 요트하우스, 콘도, 오션마켓, 부티크 호텔, 테마호텔, 별장형 콘도, 해상무대, 복합상업시설, 해수워터파크, 별장형콘도, 카지노호텔 -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39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5 기타용지 1.5.1 전제 및 기능 배분 관광 레저용지를 제외한 농업용지, 산업용지, 과학 연구용지, 신 재생에너지 용지, 생태 환경용지 등 기타용지는 관광산업의 융 복합화를 전제로 체험위주 의 시설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산업별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함 기타용지 도입예정 시설 구분 도입예정시설 복합곡물단지(Neo-Agro단지, 생태습지), 자연순환형유기 농업단지 (생태마을, 유기농 체험교육장, 체험승마, 낙농체험 시설)첨단농업 시험단지, 원예단지, 대규모 농어업회사, 농업용지 농산업 클러스터(농산물 가공단지, R&D센터), 저탄소녹색 성장시범단지(녹색마을, 시설원예), 농업테마파크(체험, 전시관람, 교육, 편의, 숙박, 녹지 및 기타), 수목원, 농촌마을, 묘목장, Agro-Park 자동차부품, 조선기자재, 기계부품, 신소재 나노융합, 신 재생에너지, RFT(핵융합), 산업용지 바이오 고부가가치 식품 등 7개 업종 산업시설, 호텔, 콘도, 쇼핑, 의료, R&D지원 및 국제교류센터, 컨벤션, 산업전시관 등 한국형 핵융합 실증로 및 인공 광합성 연구단지, 해양환경단지 (해양생태체험관), 과학 연구용지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녹색 신 교통 종합연구 시험기지, 융합연구센터, 지식기반기업 연구소, 에너지관련 교육기관 및 기업부설 연구소, 과학영재학교 등 교육시설 신 재생에너지 용지 연구시험단지(신 재생에너지 산업 집적화 단지, 실증시범발전단지), 바이오 작물시범단지, 폐기물매립장, 신 재생에너지 기술연구센터, 태양광발전단지, 바이오 에너지 작물생산단지, 삼성그룹 입주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바이오 연료, 그린에너지 R&D 센터 등) 야생조류서식지, 조류생태관, 인공생태섬, 자연천이생태구역, 샛강공원, 수질정화습지, 생태 환경용지 새만금 생태복원단지(사파리), 탄소중립의 숲 자료 : 국무총리실 외 9개부(2011),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재구성 기타용지 특성화 방안 구분 개발방향 특성화 기능 농업용지 농촌관광 체험공간 산업용지 산업관광 체험공간 과학 연구용지 용지별 고유기능 과학교육관광 체험공간 중심의 체험관광 강화 신 재생에너지 용지 녹색관광 체험공간 생태 환경용지 생태관광 체험공간 340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새만금 기타 용지별 기능 분류 새만금 전체 용지별 기능 분류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41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5.2 농업용지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 중장년층 고향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특화 전략 1. 미래형 농촌도시 실현을 위한 농촌관광 체험공간 조성(Green Tourism) 2. 생태마을 및 농촌마을에서의 팜투어(Farm-Tour) 개발 3. 체험, 전시관람 등이 가능한 농업테마파크 조성 4. 농업기반 전문가 양성 전략 1. 미래형 농촌도시 실현을 위한 농촌관광 체험공간 조성 새만금 농업용지는 자연파괴를 최소화하면서 농촌의 풍부한 자연과 문화, 농촌 특 유의 평화로움과 안온함을 느낄 수 있고, 농촌에서의 농사일 체험 및 자연관찰 등 풍부한 체험테마를 즐길 수 있는 농촌관광 체험공간으로 조성함 주변지역의 농가소득 증대방안 및 어민 생활권 보장대책의 일환으로 새만금 그린 투어리즘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농촌주민의 합의, 창의, 자발성을 기반으 로 하는 농촌 체험관광을 추진함 전략 2. 생태마을 및 농촌마을에서의 팜투어(Farm-Tour) 개발 새만금 농업용지에 조성될 생태마을 및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농촌의 중요성과 새 만금의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문화관광 팜투어(Farm-Tour)를 개발함 전략 3. 체험, 전시관람 등이 가능한 농업테마파크 조성 체험, 전시 및 관람, 교육, 농촌형 숙박시설이 갖춰진 체험형 농업테마파크를 조 성하여 가족단위 관광객 및 청소년 관광객에게 농촌체험이 가능한 친환경 그린 투어리즘의 장을 제공함 전략 4. 농업기반 전문가 양성 새만금 개발로 인한 주변지역의 어촌기능 상실로 인하여 어민 생활권 대책 및 전원 생활 지원의 일환으로 전원생활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농촌기반 전문가를 육성하 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농업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확보함 342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5.3 산업용지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 군장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하여 국가브랜드 강화를 위한 산업관광 기능 전략 1. 최첨단 산업단지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산업관광 체험공간 조성 2. 위그선 클러스터 단지를 활용한 위그선 체험 프로그램 도입 3. 학생 및 단체 교육, 산업시찰을 위한 산업단지 견학상품 개발 4. 새만금 군산 종합비즈니스센터를 활용한 소규모 전시 및 포럼 개최 전략 1. 최첨단 산업단지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산업관광 체험공간 조성 새만금 산업용지는 21세기의 세계적 트렌드인 산업간 복융합에 해당하는 주제인 산업관광을 활성화하여 새만금 관광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기 위해 첨단 산업을 기반으로 한 산업관광 체험공간으로 조성함 새만금 산업관광 체험공간은 외래 관광객 유치 증대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생산 제품은 물론 총체적인 국가브랜드 강화를 위한 산업관광 활성화의 장으로 활용하 고, 국가차원의 기본인프라를 제공하여 산업관광 시범지역으로 운영함 전략 2. 위그선 클러스터 단지를 활용한 위그선 체험 프로그램 도입 군장국가산업단지 내 미래형 초고속 해상수송 수단인 중 대형 위그선 생산기지 가 조성됨에 따라, 신 교통수단에 대한 홍보 및 교육시설로 활용하며 그에 따른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함 전략 3. 학생 및 단체 교육, 산업시찰을 위한 산업단지 견학상품 개발 국내 울산, 포항, 광양 등에서 실시되는 산업시찰 및 견학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새 만금 산업단지에 조성되는 자동차, 조선, 신소재, 바이오 고부가가치식품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첨단산업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함 전략 4. 새만금 군산 종합비즈니스센터를 활용한 소규모 전시 및 포럼 개최 군산시 오식도동에 조성될 새만금군산종합비즈니스센터를 활용하여 소규모 각종 전 시, 회의, 포럼 등 산업단지에 입주할 업체의 비즈니스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함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4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5.4 과학 연구용지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 해양생태자원 체험 및 과학교육관광기능 수행(Edu-tainment) 전략 1. 새만금의 최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과학교육 체험공간 조성 2. 해양환경단지를 활용한 해양생태체험 프로그램 도입 3.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에서의 체험 프로그램 운영 4. 과학영재학교에서의 새만금 영재캠프 개최 전략 1. 새만금의 최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과학교육 체험공간 조성 새만금 과학 연구용지는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과학교육 체험공간으로 조성하 여 선진국 진입을 위한 과학문화교육의 거점공간으로 활용하고, 우리나라 과학교 육관광의 메카로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함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상상력과 호기심을 키우고, 단순히 흥미차원이 아닌 학습에의 재미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효과를 높이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적 공간으로 조성함 전략 2. 해양환경단지를 활용한 해양생태체험 프로그램 도입 해양생태연구 및 해양 사이언스 에듀테인먼트 역할을 담당하는 해양환경단지에서 해양생태체험을 직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해양생태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함 전략 3.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에서의 체험 프로그램 운영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내 체험비행, 에어쇼, 모형열기구 제작체험 등 각종 체험 및 전시가 가능한 공간을 조성함 전략 4. 과학영재학교에서의 새만금 영재캠프 개최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재캠프를 개최하여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고 확산적 사고력, 참신한 창의력 및 통찰력을 발휘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주고 평가함으로써 21 세기 지식 정보 기반사회를 선도할 창의성, 도전성, 협동성, 자신감 있는 인재를 육성함 34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5.5 신 재생에너지용지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기반마련 전략 1. 친환경 녹색기술을 활용한 녹색관광 체험공간 조성 2. 풍력단지를 활용한 경관 조망형 관광 프로그램 개발 3. 저탄소 생활을 직접 체험하는 제로하우스 체험시설 도입 4. 쓰나미, 지진, 태풍 등 재난/기후의 간접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전략 1. 친환경 녹색기술을 활용한 녹색관광 체험공간 조성 새만금 신 재생에너지용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탄소 배출을 완화 또는 저감 하는 관광활동의 확대와 관광시설 개발, 관광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새만금 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추구하는 녹색관광 체험공간으로 조성함 녹색관광 체험공간은 창조적 녹색도시 구현이라는 개발전략에 맞게 새만금의 녹 색성장을 선도하고, 농업용지와 복합도시용지와의 연계를 통한 미래지향형 그린 투어리즘 도시를 실현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활용함 전략 2. 풍력단지를 활용한 경관 조망형 관광 프로그램 개발 삼성그룹의 그린에너지 단지를 활용한 풍력단지 경관 조망형 관광상품을 개발하 고, 태양광 발전단지, 바이오작물 시범생산단지 등과 연계하여 청정에너지 도시로 서의 입지를 굳건히 함 전략 3. 제로하우스 체험시설 도입 신 재생에너지 실증연구 단지를 기반으로 실증 체험 기능의 테마공원으로 활용 하고, 제로하우스 체험시설을 도입하여 대국민 녹색관광 인지도 및 수용성을 제 고하며 태양광 바이오 풍력 등의 체험 및 홍보를 실시함 전략 4. 쓰나미, 지진, 태풍 등 재난/기후의 간접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쓰나미, 지진, 태풍 등 재난 및 기후를 간접체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4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1.5.6 생태 환경용지 특성화기능 및 전략 특성화기능 : 새만금 생태계 보존 보호를 위한 생태자연관광 기능 전략 1. 관광객에게 환경인식을 높이는 차별화된 생태관광 체험공간 조성 2. 환경보존을 위한 야생체험 에코투어 프로그램 도입 3. 자연을 배경으로 친환경 조형물을 설치한 자연생태 갤러리 운영 4. 생태복원단지를 활용한 사파리투어 실시 전략 1. 관광객에게 환경인식을 높이는 차별화된 생태관광 체험공간 조성 새만금 환경용지는 새만금 내부의 자연자원을 보존하고 지역주민의 편익이 될 수 있는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 동시에 생태계의 균형을 이루며 지역의 자연과 문 화를 이해하는 환경친화적 관광을 실현할 수 있는 생태관광 체험공간으로 조성함 새만금 간척지의 독특한 특성을 유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자연 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관광객을 위한 체류형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환경보존 은 물론 환경 지역 관광객이 상생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함 전략 2. 에코투어 프로그램 도입 생태 환경용지 내 친환경 에코투어 체험시설을 구축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의 교 육을 위한 자연생태교실, 가족단위 관광객을 위한 무인도 캠프 등 에코투어 프로 그램을 도입함 전략 3. 생태자연 갤러리 운영 새만금 생태관광 체험공간의 계절성을 탈피할 수 있는 자연 그대로의 갤러리를 운영하여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새만금의 보존가치를 깨닫게 함은 물론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환경 교육적 효과를 부여함 전략 4. 생태복원단지 사파리투어 실시 새만금 환경용지에 도입되는 생태복원단지를 활용하여 친환경 이동수단을 활용한 생태사파리투어 상품을 개발함 34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1.2.4 기존계획 방향 제시 새만금 관광특성화 전략에 따른 용지별 기능 배분에 따라 기 수립된 계획의 시설 을 검토하고 특성화전략에 따른 활용시설을 도출함 용지별 특성화 방안 구분 기존계획 특성화 방안 산업용지 지식창조형 산업 및 환경친화형 산업 허브 산업관광 체험공간 과학 연구 용지 창조적 연구 환경 조성 및 과학과 비즈니스의 융합 연구단지 과학교육관광 체험공간 신 재생 에너지 용지 세계 신 재생에너지 산업 허브 녹색관광 체험공간 농업용지 첨단기술 및 고품질 수출농업 육성 농촌관광 체험공간 생태 환경 용지 자연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지는 명품생태공간 생태관광 체험공간 용지별 도입시설 구분 내용 관광기능 강화시설 농업용지 산업용지 과학 연구 용지 신 재생 에너지용지 생태 환경 용지 생태 및 농촌마을에서의 팜투어(Farm-tour) 개발 체험 전시관람 등이 가능한 농업테마파크 도입 농업기반 전문가 양성(부래미 마을 사례) 위그선 클러스터 단지 체험 프로그램 도입 포항제철과 같은 교육용 견학프로그램 운영 소규모 전시 및 포럼 개최(새만금컨벤션센터) 해양환경단지를 활용한 해양생태체험 프로그램도입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에서의 체험 프로그램 운영 새만금 영재캠프 개최(과학영재학교) 풍력발전기를 활용한 경관형 관광 도입 저탄소 녹색성장을 직접 체험하는 제로하우스 도입 쓰나미, 지진, 태풍 등 간접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환경보존을 위한 야생체험 에코투어 프로그램 도입 자연을 배경으로 친환경 조형물을 설치한 갤러리 운영 도입 예정인 생태복원단지를 활용한 사파리투어 실시 자연순환유기농업단지, 저탄소녹색 성장 시범단지, 농업테마파크, 수목원, 묘목장, 농촌마을 위그선 클러스터단지, 각종 산업시설, 새만금군산종합비즈니스센터 해양환경단지(해양생태체험관),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과학영재학교 풍력발전기 등 그린에너지단지, 바이오작물 시범생산단지, 자연재해 등 간접체험을 위한 소규모 시설 캠핑을 위한 최소시설 구축, 생태복원단지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47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2. 연계공간 체계 구상 2.1 기본전제 2.1.1 기본방향 콘텐츠(콘텐츠 자원발굴 및 개발) 새만금 주변지역의 개발 및 적극적 활용이 가능한 문화관광자원을 발굴하고 그 특성에 따라 자연 인문 역사자원으로 분류하여 자원 콘텐츠화 함 플랫폼(관광지 강화) 특성별 분류된 각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공간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이를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인 관광지를 설정함 터미널(자원연계 및 권역별 핵심관광지 구축) 유사성격의 자원이 상호 연계하여 하나의 권역을 형성하고, 각 권역별 문화공간 집 적지인 핵심관광지를 설정하여 관광객이 집중적으로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설정함 클러스터(연계공간 활성화) 같은 특성의 문화관광 자원 및 관광지별로 형성된 권역을 바탕으로 새만금 문화 관광클러스터를 설정하고 각 권역별 시너지효과 및 동반 성장을 위한 전략을 수 립함 연계공간 체계구상의 새로운 개념 구분 개념 내용 콘텐츠 플랫폼 터미널 관광 자원 관광 콘텐츠 활용가치를 전제로 한 문화관광자원 자연관광자원 인문관광자원 지자체 관광개발사업 문화자원 있는 관광지 플랫폼 필수 인프라인 관광시설, 관광 역사자원이 있는 관광지 방문객 체험이 가능한 콘텐츠 해양자원이 있는 관광지 접근 공간 기타 체류자원이 있는 관광지 관광콘텐츠 플랫폼 터미널 자원에 따라 형성된 관광권역 다기능의 문화관광이 복합된 공간 주요 관광지 지자체 핵심사업 관광지 집중 배치지역 문화관광 클러스터 관광권역의 상호 네트워크 구축 문화관광자원의 결합을 통한 테마 단일화 자료 : 삼성경제연구소(2004), 문화자원 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 응용 348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2.1.2 클러스터 설정 관광콘텐츠 및 플랫폼 설정 새만금 지역의 자연관광자원은 산악관광자원, 해양관광자원, 경관 및 조망성이 우 수한 해안 및 도서관광자원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인문관광자원은 종교적 인지 도가 높은 다양한 문화재, 지역의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유적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 현재 개발추진 중인 각 시군별 사업계획을 포함하여 지역이 지니고 있는 자연관 광자원, 인문관광자원 등 자원화가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관광 콘텐츠로 설정함 새만금 관광콘텐츠 및 플랫폼 구분 군산시 (고군산 포함) 김제시 부안군 내용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대장도, 비응도, 야미도, 신시도, 어청도, 관리도, 횡경도, 방축도, 명도, 말도, 연도, 개야도, 죽도, 선유도 해수욕장, 개야도해수욕장, 임피향교, 옥구향교, 상주사, 불지사, 은적사, 운심사, 지장암, 성흥사, 염의서원, 어청도봉수대, 옥산사원, 은파관광지, 금강호관광지, 국제해양관광지, 오성산 활공장, 대위제, 비명산온천, 옥구온천, 금강철새조망대, 금강호 시민공원, 채만식문학관, 월명공원, 진포해양테마공원, 어린이 교통공원, 군산 산업단지, 비응도 풍력발전단지 등 김제향교, 금구향교, 만경향교, 금산사, 흥복사, 문수사, 학선암, 귀신사, 망해사, 청룡사, 만복사, 청운사, 용봉사, 조앙사, 쌍용사, 혜봉사, 원각사, 벽골제, 김제온천관광지, 김제아네스빌 C.C, 대율 저수지, 만경지, 선암저수지, 김제온천, 동진수리민속박물관, 귀신사, 금산교회, 모악산도립공원, 천주교수류성당, 증산교본부, 청운사하소백련, 단야각, 벽천미술관,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창작스튜디오 등 변산해수욕장, 고사포해수욕장, 격포해수욕장, 상록해수욕장, 모항갯벌해수욕장, 위도해수욕장, 깊은금해수욕장, 논금해수욕장, 계화면 의복리 해안, 격포리, 위도, 부안향교, 내소사, 개암사, 성황사, 월명암, 용화사, 내원암, 구암리 고인돌, 효충사, 간재선생유지, 위도 해수욕장, 모항 관광지, 변산해수욕장, 격포 방파제, 변산온천, 벼락폭포, 봉래구곡, 낙조대, 직소폭포, 곰소, 격포, 하섬, 부안댐, 금구원조각, 수락폭포, 원숭이학교, 부안영상테마파크, 반계선생유적지, 유천리도요지, 전서지도요지, 구암리지석묘, 백산성 등 자료 : 전라북도(2009), 새만금 주변지역 문화관광자원개발 종합기본계획, 각 시군 홈페이지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49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주요 추진사업 계획 구분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내용 새만금 중국특구 시범단지 조성, 새만금 국립수목원 및 수림대조성 신시도 별장형 리조트 개발(휴양콘도미니엄, 가족호텔, 별장형리조트), 고군산 마리나항만 개발(리조트형, 200척 규모), 신시도-야미 메가리조트 대규모 컨벤션센터 건립 및 호텔 유치 새만금 연계 관광상품 개발 만경 동진강 친수공간 조성, 위그선 운항(군산~제주, 군산~중국) 웰빙농식품 체험농원 시범소정(체험, 관광), 서해권역 해상풍력 실증단지 조성(위도) 녹색미래에너지 체험과학관 건립, 군산새만금 종합비즈니스센터 건립 비응도공원 도시숲조성 모델사업 어촌어항관광개발(야미도어촌관광단지), 어촌종합개발사업, 도서종합개발사업 어총도 도시개발 유형화사업 10대 자전거 거점도시 육성사업 근대문화중심도시 조성, 임피 간이역 관광자원화 사업 군산새만금 오토캠핑파크 조성사업 은파관광지 금강호관광지 조성사업 새만금 주변 관광자원화 사업(새만금 주변 비응도 공원, 탁류길 조성사업) 생태관광 금강 연계사업, 농촌체험마을 명품화 지원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개관, 근대산업유산 문화공간 벨트화사업, 근대역사 경관 조성 관광마리나 조성사업(고군산 200척, 비응항 100척) 말도 관광전망공원 조성, 오식도동 민자 관광숙박시설 건립 심포지구 명품 마리나항 조성, 워터파크 및 물의 거리 조성 만경능제 문화관광자원 개발 생태하천 조성, 만경강동진강 생태벨트 조성사업 벽골제 사계절 관광지사업 및 복원, 세계문화유산 등록 소설 아리랑 기행벨트 조성 동헌 내아 사적지 주변정비 국립 김제 농업생명 청소년 수련원 조성 부안 신 재생에너지 테마파크 변산마실길 운영, 변산해수욕장 관광지 조성사업 격포항 요트계류장 조성, 궁항마을 해안경관 형성사업, 격포-궁항간 해상탐방로 조성사업 새만금주변 관광자원화사업, 습지보호지역 관리, 부안자연생태공원 조성 부안도예 창작스튜디오, 요트경기장 시설 보수 매창 사랑의 테마공원, 변산 자연 휴양림 각 지역별 대표 콘텐츠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류됨 지역별 대표 콘텐츠 구분 자연관광자원 인문관광자원 주요 추진사업 계획 군산 근대역사문화자원 채만식 문학자원 역사문화 및 수변관광개발 김제 낙조 및 어항 아리랑 배경지 전통농업관련 관광개발 부안 변산반도국립공원, 해수욕장 해양관련 설화 새만금 관광단지 350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터미널 설정 및 문화관광 클러스터 설정 형성된 콘텐츠 및 플랫폼 분석결과, 각 지역별 관광자원의 성격이 명확하게 구분 되어 하나의 권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콘텐츠 분류를 위하여 군산은 근대역사문화거리와 비응관광어항을 터미널로 설정 하고 근대문화 역사자원권으로 권역의 명칭을 설정함 김제는 심포항과 벽골제를 터미널로 설정하고 어 농촌 문화자원권으로 설정함 부안은 새만금 관광단지, 게이트웨이, 변산해수욕장을 터미널로 설정하고 관광체 류 자원권으로 그 명칭을 설정함 형성된 군산, 김제, 부안의 각 권역과 새만금 내부를 연계하여 새만금 문화관광의 동반 성장을 위한 새만금 문화관광 클러스터로 설정함 새만금 문화관광 클러스터 구분 관광콘텐츠 플랫폼 터미널 클러스터 1권역 (군산) 2권역 (김제) 3권역 (부안) 근대역사문화자원 비응도 해양자원 산업 도시자원 농촌문화자원 어촌문화자원 경관자원 (서해일몰 등) 해양문화자원 영상문화자원 자연관광자원 금강호 관광지 월명공원 은파유원지 옥녀 옥구저수지 군산저수지 등 김제향교 성모암 모악산 도립공원 하소백련지 만경능제저수지 망해사 등 낙조대 부안영상테마파크 내소사 고사포해수욕장 적벽강 채석강 곰소젓갈시장 위도 등 근대역사문화거리 비응관광어항 군산 중심 근대문화 역사자원권 심포항 벽골제 김제 중심 어 농촌 문화자원권 게이트웨이 변산해수욕장 부안 중심 관광체류자원권 새만금 문화관광 클러스터 콘텐츠 발굴 플랫폼 설정 터미널 구축 클러스터 형성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51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2.2 연계공간 체계 구상 2.2.1 근대문화역사자원권 근대문화 역사자원과 산업시설 중심의 산업 역사 관광 근대역사자원권은 고군산군도를 제외한 군산시, 새만금 산업용지, 새만금 과학 연구용지를 포함하는 권역으로 설정함 군산지역의 근대역사문화자원 및 비응도 해양자원, 산업도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지자체의 사업추진이 필요하며, 향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산업체 험 및 과학교육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기적인 개발계획이 수립되어야 함 군산 연계공간 전략 구분 개발방향 강화전략 군산 근대문화 역사자원과 산업시설 중심의 산업 역사관광 군산새만금 종합비즈니스센터 건립, 비응도공원 도시숲조성 모델사업, 근대문화중심도시 조성, 임피 간이역 관광자원화 사업,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개관, 근대산업유산 문화공간 벨트화사업, 근대역사 경관 조성, 관광마리나 조성사업, 오식도동 민자 관광숙박시설 건립 근대문화 역사자원을 연계한 산업 역사 체험루트 조성 군산지역의 역사문화자원 및 산업관광 자원을 활용하여 관광루트를 형성하고, 향 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산업관광 및 과학교육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역사체험루트를 조성함 새만금 개발 이전시기의 관광루트는 금강호관광지 채만식문학관 경암동철 길 근대역사문화거리 은파관광지 비응관광어항 새만금방조제 등으로 구성함 새만금 개발 이후시기는 금강호관광지 채만식문학관 경암동 철길 근대 역사문화거리 은파관광지 새만금군산산업전시관 비응관광어항 및 비응 도 공원 산업용지 과학 연구용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 조제 등으로 구성함 352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근대문화역사자원권 연계방안 연계루트 구분 새만금 개발 전 새만금 개발 후 연계루트 금강호관광지 채만식문학관 경암동철길 근대역사문화거리 은파관광지 비응관광어항 새만금방조제 금강호관광지 채만식문학관 경암동 철길 근대역사문화거리 은파관광지 새만금군산산업전시관 비응관광어항 및 비응도 공원 산업용지 과학 연구용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조제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53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2.2.2 어 농촌 문화자원권 어 농촌 문화자원 중심의 녹색관광 어 농촌 문화자원권은 김제시, 새만금 농촌도시를 포함한 농업용지, 새만금 신 재생에너지용지를 포함하는 권역으로 설정함 김제지역의 어촌문화자원 및 농촌문화자원 활용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향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미래형 농촌체험 및 친환경 녹색관광체험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함 김제 연계공간 전략 구분 개발방향 강화전략 김제 어 농촌 문화자원 중심의 녹색관광 만경능제 문화관광자원 개발, 생태하천 조성, 만경강 동진강 생태벨트 조성사업, 벽골제 사계절 관광지사업 및 복원, 세계문화 유산 등록, 소설 아리랑 기행벨트 조성, 동헌 내아 사적지 주변정비, 국립 김제 농업생명 청소년 수련원 조성 어 농촌 문화자원을 연계한 녹색관광 체험루트 조성 김제지역의 어촌문화자원 및 농촌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관광루트를 형성하고, 향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미래형 농촌관광 및 친환경 녹색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문화 체험루트를 조성함 새만금 개발 이전시기의 관광루트는 벽골제 아리랑문학관 동헌내아 능 제 망해사 심포항 하소백련지 등으로 구성함 새만금 개발 이후시기는 벽골제 아리랑문학관 동헌내아 능제 망해사 심포항 농업용지 신 재생에너지 용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조제 등으로 구성함 354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어 농촌 문화자원권 연계방안 연계루트 구분 새만금 개발 전 새만금 개발 후 연계루트 벽골제 아리랑문학관 동헌내아 능제 망해사 심포항 하소백련지 벽골제 아리랑문학관 동헌내아 능제 망해사 심포항 농업용지 신 재생에너지 용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조제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55

08 용지별 관광특성화 방안 수립 2.2.3 관광체류자원권 자연자원 및 관광체류형 중심의 자연경관 문화관광 관광체류자원권은 부안군,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및 복합도시용지를 포함하는 권 역으로 설정함 부안지역의 해양문화자원, 영상문화자원, 자연관광자원 등을 활용하여 적극 개발 하고, 향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도시관광 및 스포츠레저관광, 복합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연경관문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부안 연계공간 전략 구분 개발방향 강화전략 부안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변산마실길 운영, 변산해수욕장 관광지 조성사업, 격포항 요트계류장 조성, 자연자원 및 관광체류형 중심의 부안 격포-궁항간 해상탐방로 조성사업, 부안자연 생태공원 자연경관문화 관광 조성, 부안도예 창작스튜디오, 요트경기장 시설 보수, 변산 자연 휴양림 지역문화자원 및 관광체류형 자원을 활용한 해양문화 관광루트 조성 관광체류자원권은 부안군, 새만금 관광용지 및 복합도시용지 전체를 포함하는 권 역으로 설정함 부안지역의 지역문화자원 및 관광체류형 자원을 활용하여 관광루트를 형성하고, 향후 새만금 개발 시기에 맞추어 도시관광 및 스포츠레저관광, 복합관광이 이루 어질 수 있도록 문화관광루트를 조성함 새만금 개발 이전시기의 관광루트는 내소사 곰소항 전라좌수영세트장 영상테마파크 채석강 적벽강 변산해수욕장 새만금전시관 새만금 방조제 등으로 구성함 새만금 개발 이후시기는 내소사 곰소항 전라좌수영세트장 영상테마파크 채석강 적벽강 변산해수욕장 새만금전시관 게이트웨이 경제자유 구역 관광단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조제 등으로 구성함 356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관광체류자원권 연계방안 연계루트 구분 새만금 개발 전 새만금 개발 후 연계루트 내소사 곰소항 전라좌수영세트장 영상테마파크 채석강 적벽강 변산해수욕장 새만금전시관 새만금방조제 내소사 곰소항 전라좌수영세트장 영상테마파크 채석강 적벽강 변산해수욕장 새만금전시관 게이트웨이 경제자유구역 관광단지 복합도시 관광 레저용지 새만금방조제 새만금 관광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수립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