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06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 출 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귀하 귀 공사와 2007년 12월 26 일자로 계약 체결한 소각재 자원화 사업 시범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과업지시서에 따라 성실히 수 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기본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1. 6. 경 기 도 구 리 시 수 택 동 8 4 9 7 ( 주)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대 표 이 사 조 영 수
[ 목 차 ] 1. 과업의 개요 3 1.1 과업명 3 1.2 추진배경 및 목적 3 1.3 과업의 개요 3 1.4 과업의 기대효과 4 1.5 예상 소요사업비 5 2. 일반현황 9 2.1 수도권매립지 지역현황 9 2.1.1 위 치 9 2.1.2 지형 및 지질 10 2.2 수도권매립지 일반현황 11 2.2.1 제1 매립장( 매립완료) 12 2.2.2 제2 매립장 13 2.2.3 제3 4매립장 14 2.2.4 종합환경연구단지 및 기타부지 14 2.3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현황 15 2.4 인문 및 사회 18 2.4.1 행정구역 현황 18 2.4.2 인구현황 18 2.5 기상현황 19 2.6 상하수도 현황 21 2.7 환경관련현황 22 2.7.1 상수원보호구역 22 2.7.2 정수장 현황 22 2.7.3 환경기초시설 현황 22 3. 7 2 3.1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및 소각재 처리현황 27 3.2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및 소각재 처리현황 32 3.2.1 구리시 자원회수시설 32 3.2.2 광명시 자원회수시설 34 3.2.3 과천시 자원정화 센터 36 3.2.4 인천 청라 광역생활폐기물 소각시설 38 3.2.5 강남 자원회수시설 40 3.2.6 노원 자원회수시설 42 3.3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 특성 43 3.3.1 수분 및 강열감량 43 3.3.2 입도 분포 45 3.3.3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 49 3.3.4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 처리기술 51 3.4 국내 소각재 재활용 관련 법규 검토 53 3.4.1 폐기물관리법 53 3.4.2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61 3.4.3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77 3.4.4 소각재 재활용을 위한 국내 관계 법규의 상충성 분석 81 3.4.5 국내 생활폐기물 바닥재 수요처 및 품질요구 조건 82 3.5 국내외 소각재 자원화 기술 83 3.5.1 유 럽 83 3.5.2 일 본 98 3.5.3 미국의 소각재 자원화 사례 108 3.5.4 국내 소각재 재활용 기술 현황 114 3.6 소각재 재활용을 위한 기준( 안) 119 3.6.1 생활폐기물 소각시설내 바닥재의 적정 처리 119 3.6.2 소각재 중간 처리 및 재활용 시설 고려사항 120 3.6.3 소각재를 이용한 재활용 용도 124 3.6.4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 재활용 기준( 안) 126 3.6.5 재활용 제품 품질 규격 133 3.6.6 바닥재 재활용 용도별 사업 추진 단계 148 i ii
4. 설치장소에 관한 사항 151 4.1 수도권매립지 일반현황 151 4.1.1 지형 지리 151 4.1.2 기상현황 156 4.1.3 토지이용현황 156 4.1.4 인구현황 159 4.1.5 도로 및 교통현황 160 4.2 수도권매립지 기술현황 162 4.2.1 폐기물 반입현황 162 4.2.2 매립가스현황 165 4.2.3 침출수 처리시설현황 168 4.2.4 Dream Park 조성사업현황 171 4.2.5 전력시설현황 173 4.3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조사 175 4.3.1 수도권 광역교통망계획(2001~2020) 175 4.3.2 인천광역시 도시기본계획(1991.7) 176 4.3.3 인천광역시 도시재정비계획(2000. 2) 177 4.3.4 인천광역시 교통정비계획(1999. 6) 178 4.3.5 도시개발계획 179 4.3.6 수도권 자치단체 폐기물 관리대책 181 4.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종합자원화종합단지 개요 184 4.5 지형현황측량 185 4.6 지반조사 186 4.6.1 시추조사 및 지층단면 186 4.6.2 지층상태 186 5. 기본설계 189 5.1 기계공정분야 189 5.1.1 기본공정 구성방안 검토 189 5.1.2 주요장비 검토 192 5.1.3 UTILITY 설비 202 5.1.4 환경오염방지 계획 204 5.1.5 자원화 기본 공정흐름( 안) 및 물질수지 207 5.1.6 자원화 시범시설 소요 부지면적 검토 210 5.2 토 목 분 야 211 5.2.1 부지조성계획 211 5.2.2 동선계획 217 5.3 건 축 분 야 218 5.3.1 건축계획 방향 설정 218 5.3.2 개 요 219 5.3.3 건물계획 기준 220 5.3.4 구조계획 221 5.4 전기 및 계측제어 분야 224 5.4.1 공사 개요 224 5.4.2 건축전기 설비 229 5.5 조경분야 234 5.5.1 조성목적 234 5.5.2 기본방향 234 5.5.3 도입수종선정사례( 예) 235 6. 재 정 계 획 239 7. 관 련 법 규 243 7.1 환경정책기본법 [ 일부개정 2008.3.28 법률 제9037 호] 243 7.2 대기환경보전법 [ 일부개정 2008.3.21 법률 제8976 호] 251 7.3 악취방지법 [ 일부개정 2008.3.21 법률 제8957 호] 253 7.4 소음진동규제법 [ 일부개정 2008.3.21 법률 제8976 호] 255 7.5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 일부개정 2008.3.21 법률 제8976 호] 258 7.6 폐기물관리법 [ 일부개정 2007.12.21 법률 제8789 호] 262 7.8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283 7.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등에 관한 법률 285 7.10 공유수면매립법 288 7.11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52 호] 290 iii iv
제 1 장 과 업 개 요
제1장 과업의 개요 제1장 과업의 개요 가) 설계개요 및 분야별 설계기준 작성 소각재 자원화사업 시범시설 설치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나) 시설부지에 대한 설계 다) 처리시설에 대한 설계 라) 공사비 산정 및 경제성 분석 1) 소각재는 철, 골재류 등으로 구성된 무기물로서 단순매립으로 인한 폐자원의 낭비를 막고 매립 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각재를 자원화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2) 이에 따라 100 톤 규모의 소각재 자원화 시범시설을 우선 설치하여 현재 매립되고 있는 소각재 를 대상으로 선별 및 분리 등의 기계적 전처리를 통해 유가물회수 ( 철, 비철금속 등) 및 보조기 마) 환경영향 저감대책 수립 바) 운영 관리계획 사) 기타 기본 및 실시설계에 필요한 도서 층재 등으로 자원화하기 위한 최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추진하 고자 함. 가.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위생적 처리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환경오염방지 나.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재활용을 통해 매립에 따른 문제점 배제 다. 자원의 회수 및 재이용 라. 생활폐기물 소각재처리기술 향상 마. 매립지 수명연장 가) 현장답사 나) 지역현황 및 처리시설 입지에 관한 사항 다) 관련 법규조사 라)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조사 마) 유틸리티( 전력, LNG/LFG, 용수, 폐수 등) 현황조사 3 4
제1장 과업의 개요 구 분 금 액 ( 억원) 비 고 기계공사 30 전기 계측제어공사 7 소 각 재 토목공사 20 자 원 화 시설용량 100 톤/ 일 시범시설 건축공사 35 조경공사 3 합 계 95 5
제 2 장 지역의 일반현황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수도권매립지는 지리적으로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서구 ( 검단동, 검암경서동 ), 김포시 양촌면 일대 에 위치하며, 동경 126 33 ~126 40, 북위 37 33, 37 37 사이에 위치한 해안 간 척지로서 서울까지의 직선거리는 약 30km 에 달한다. 또한 지정학적으로 국토의 중앙에 위치하여 장기적인 토지이용 구상에 있어 국토개발 남북 제1 축개성 ( 강화 안산 군산 목포의 ) 중심지역에 위치 하고 있어 미래지향적인 토지이용계획의 핵심지역이며, 통일여건의 성숙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적, 물적 교류확대를 위한 국토개발차원에서의 통일기반시설 조성의 요충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국토이용 관리측면에서 매립지는 인천국제공항, 공항접근도로의 개설과 함께 아시아 태평양시대의 주역을 위한 동북아시아 거점도시로서 뿐만 아니라, 국가의 관문으로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효율적 토지이용이 필요한 지역이며, 대 북방교역의 활성화와 수송체계정비 ( 공항, 운하, 고속도로, 철도 ) 에 따른 물류유통 공간이 필요한 지역이다. 매립지가 위치한 대상부지와 인근 주변지역의 지형은 심한 풍화침식작용에 의한 비교적 평탄한 노 년기 지형의 제4 기 해성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캠브리아기누대의 편마암 및 편암복합체와 시청소재지 극단 경도와 위도의 극점 지 명 극 점 연장거리 중생대의 화강암류와 화산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산계는 수인산 (146.6m), 학운산 (112m), 가현산 (215m), 계양산 (392m), 철마산 (226m), 북 인천광역시 남동구 시청앞길 25 ( 구월동 1148) 동단 계양구 하야동 동경 126 47 44 서단 옹진군 백령면 동경 126 36 41 남단 옹진군 덕적면 북위 36 55 10 북단 옹진군 백령면 북위 37 58 55 동서간 192.23km 남북간 117.60km 망산 (102m)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매립장을 중심으로 동북동 방향으로 신장된 타원형의 외윤을 형성하고 있고 중앙부인 오류리, 왕길리, 백석동 길무도 등지는 해발 30m 내외로 침식 풍화된 저지 대가 분지 형태이다. 또한 수계는 환상구조의 외곽 산지에서 기원하여 안쪽의 구릉지를 흐르는 방사 상 수계 형태로 본 지역의 외곽에 준용하천인 시천천 ( 유역면적 : 34 km2, 유로연장 : 9.5 km), 검단천 ( 유역면적 : 33 km2, 유로연장 : 9.9 km) 과 여러개의 수로가 불규칙하게 산재되어 서해로 유입된다. ( 그림 2.1.11) 사업대상지역 위치도 현재 수도권매립지는 동서로 약 2% 이내의 경사를 갖는 해안간척지로서 표고 1.26m ~ 4.53m 의 낮은 기복을 보이고 있으며, 수도권매립지 내를 주변의 수계인 시천천으로 여러개의 수 9 10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로가 북쪽과 남쪽으로 유입되어 제2 매립장 남서측으로 흘러 장도 배수갑문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고, 지반고 0.18m ~ 4.0m 를 형성하고 있다. 검단천은 북에서 남서방향으로 수로를 형성하여 안암도 배수갑문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고, 지반고 2.0 ~ 4.0m 로서 동고서저의 지반을 형성하며, 서측으로 장도 매도 가여로 이어지는 총 연 장 6,101m 의 방조제 ( 해발고 8.0m 의 석괴, 토사혼성제, 도로폭 19m, 유효폭 14m) 가 축조되 어 있으며, 유역면적 66.27km2 에서 유입되는 홍수량을 자연 배수하고 해수 유입방지를 위해 장도와 안암도 2개소에 폭5m, 높이3m, 4 연의 배수 갑문이 설치되어 있다. 면적 계 제1매립장 제2매립장 제3매립장 제4매립장 기 타 1,979만평 409만평 409만평 394만평 389만평 378만평 매립기간 매립용량 1992.2~ 2000.10 6,400만톤 2000.10~ 2015.2 6,700만톤 ( 매립중) 자료 : 1.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관리처 내부자료 2015년 이후 9,700만톤 ( 향후) 수도권매립지는 환경연구단지를 포함하여 총 4개 매립장으로 나눠져 있으며 각 매립장 시설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도권매립지는 서해안 김포지구의 간척지 약 1,980 만평에 조성된 세계 최대의 매립지로서 전체 매립지는 2개의 매립장과 향수 사용될 2개의 매립예정지 그리고 1개의 기타 시설 단지 등 5개 구 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매립안정화가 진행 중인 제1매립장은 1992 년부터 매립이 시작되어 2000 년 매립이 종료되 었다. 면적 409 만평의 제1 매립장은 이중 251 만평이 매립장으로 사용되었고 현재 매립이 진행중인 제2 매립장은 제1 매립장의 매립이 종료된 2000 년 10 월부터 매립이 시작되었다. 전체 매립장 부지 는 409 만평으로 이중 248 만평이 매립장으로 배정되어 있고 타용도로 전환된 3만평은 검단하수처 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3 매립장으로 예정된 부지는 총 394 만평으로 구체적인 계획은 수립되지 구 분 배 치 시 설 제1매립장 체육공원 현재 진행중 ( 대중골프장, 트레킹코스, 전망공원, 주민체육시설, 주차장 및 CNG 충전소) 제2매립장 환경이벤트단지( 수목원, 화훼원( 향기원), 식물원, 환경박람회장, 주차장) 제3매립장 환경문화단지( 환경센터, 환경예술공원, 자원화단지, 환승센터, 주차장) 제4매립장 연탄재 야적장 자연탐방단지 ( 쓰레기매립장, 암암도유수지, 자연학습관, 습지/ 하천생태지역, 초지/ 숲생태지역, 자연 관찰지역) 야생화단지 현재진행중 ( 지원센터, 진입 및 중심광장지구, 야생초화원, 생태환경체험장지구, 자연학습관찰지구, 습지관찰지구) 기타시설 레포츠단지( 지상레포츠공원, 비행레포츠공원, 주차장/ 환승센터) 않은 상태이며, 현재 차기매립장 조사를 위해 제3 매립장 기반시설 조성사업 실시설계 용역에서 위치선정중에 있다. 제4 매립장으로 계획된 부지는 총 389 만평으로 이중 81ks 평을 매립장으로 활 용할 예정이며, 매립장을 제외한 36 만평의 부지는 안암도 유수지를 조성할 예정이며, 기타 시설단 지는 환경 연구단지 24 만평, 신공항고속도로철도부지 86 만평, 경서매립장 7 만평, 인천시 적환장 1 만평, 경인운하예정지 74 만평, 기타 56만평으로 총 378 만평이다. 현재 매립안정화가 진행중인 제1매립장은 2000 년 10 월에 매립이 종료되었고, 1992 년부터 본격 적으로 서울, 인천,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일원에서 폐기물이 반입되었다. 매립초기의 폐기물반입량은 일일 약 35,000 톤이었으나 쓰레기 종량제의 실시로 인하여 폐기물 반 입량은 1일 약 25,000 톤으로 감소하였다. 이후 수도권매립지의 음식물쓰레기의 반입저감 노력 및 정부의 폐기물 감량화 정책으로 폐기물 일일 평균 반입량이 2000 년 17,000 톤까지 감소하기도 하 였다. 11 12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제1매립장의 부지면적은 409 만평이며, 매립용량은 6,400 만톤으로 현재 사후관리를 위한 체육공 원화 공사중에 있고, 주민체육시설과 CNG 충전소, 계량대 등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부지 면적 구 분 면적( m2) 평 비 고 침출수처리장 97,912 29,670 도 로 79,305 24,032 관리시설 23,872 7,234 계량시설 33,900 10,273 매립구역 2,317,199 702,182 가스소각시설 8,704 2,638 기 타 424,028 128,344 부지 면적 구 분 면적( m2) 평 비 고 매립용량 침출수처리장 제1매립장 도 로 273,990 83,014 관리시설 제1매립장 계량시설 제1매립장 매립구역 2,463,738 746,465 가스소각시설 제1매립장 기 타 843,272 255,495 계 3,581,000 1,084,974 69,969,614 m3(6,700 만톤) 매립기간( 계획) 2000~2015 자료 : 드림파크 조성을 위한 효율적 토지이용방안 조사연구, 2005. 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계 2,984,920 904,373 매립용량 64,670,000 m3(6,400 만톤) 매립기간( 계획) 1992~2000 자료 : 드림파크 조성을 위한 효율적 토지이용방안 조사연구, 2005. 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이후 조성될 제3 매립장과 제4 매립장은 장래의 폐기물 매립을 위한 부지로서 폐기물의 반입량 및 폐기물 매립 장기계획을 고려하여 매립지 기반시설을 착공하고 2022 년까지 매립을 위해 사용할 계 획으로 있다. 현재 제3 매립장과 제4 매립장은 간척사업 후 매립지로의 활용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 현재 매립이 진행중인 제2 매립장은 제1 매립장의 매립이 종료된 2000 년 10 월부터 매립이 시작되 었으며, 사용기간은 2000 년 10월부터 2015 년까지로 예정하고 있으며, 총 매립면적은 248 만평이 며 매립용량은 6,700 만톤이다. 재2 매립장 기반시설공사는 하천 및 외곽수로공, 우수배제공, 도로시설공, 흙제방축조공, 내부지반 공, 연약지반처리공, 침출수집배수공, 조경공, 급수공, 지하수배제공, 부대공, 침출수처리장공 등으 로 되어있다.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수지, 덤불, 섬 등이 곳곳에 산재해 있고 염분제거도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제3 매립장으로 예정된 부지는 총 394 만평으로 이중 현재 진행중인 폐기물종합자원 화단지가 330,600 m2(10 만평) 부지에 계획중에 있고, 221 만평은 제3매립장 사업이 추진중에 있 다. 제4 매립장으로 계획된 부지는 총 389 만평으로 이중 181 만평을 매립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며 매립장을 제외한 208 만평의 부지는 상류지역인 검단천 주변지역 등의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방지 하고 민원을 예방하기 위한 안암도 유수지가 2009 년 완공되었다. 제1 매립장을 설치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2 매립장은 보다 위생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아직 주변지 역에 대한 수림대 조성 등의 조경공사가 시행되고 있지 않다. 종합환경연구단지 및 기타부지의 부지면적은 378 만평으로 종합환경연구단지에는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연수부, 한국환경자원공사, 환경관리공단 등의 기관들이 입주해 있으며, 주변에는 굴포천 방수로, 양묘장, 경서동매립장, 인천시 적환장 등의 시설이 있다. 13 14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위 치 : 김포시 대곶면 대벽리 6621번지 일원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일원 ( 서울 영종대교 인천국제공항) 부지관련내용 : 수도권매립지 남측에 위치해 있는 경서동매립장 옆으로 통과하며 서울에서 인천 공항까지 연결되는 인천공항전용고속도로 및 철도로서 환경연구단지에서 반경 500m 이내의 가시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면 적 : 296,774 m2 ( 건축면적 : 26,661 m2) 규 모 : 운항정비동, 정비개조동, 물류센터 외 사업기간 : 2005 년 ~ 2007년 부지관련내용 : 주변산업단지와의 연계를 통한 관련부품 및 장비산업의 국산화, 기술이전 및 첨단 산업을 목적으로 하는 개발지구로써 북측 부지경계에서 2k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위 치 :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서해)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한강) 사업기간 : 2009 년 ~ 2011년 사업규모 주운수로 : 18km( 폭 80m, 수심 6.3m) * 주운수로 중 14km는 홍수시 방수로로 사용 인천터미널 : 면적 2,453 천m2( 물류단지 1,162 천m2, 항만 1,291 천m2) 김포터미널 : 면적 1,701 천m2( 물류단지 869 천m2, 항만 832 천m2) 대상선박 : RS(River/Sea) 선박(250TEU) *RS 선박 : 하천과 바다를 동시에 운항할 수 있 는 선박 부지관련내용 : 한강하류에서 서해로 연결되는 대한민국 최초의 뱃길이다. 위 치 : 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서구, 계양구 일원 방수로 연장 : 14.2km 사업기간 : 2005 년 ~ 2008년 부지관련내용 : 1 2 매립장과 종합환경연구단지 등을 관통하고 있다. 규 모 : 약 41 만m2(11,000 톤/ 일) 사업기간 : 2008 년 ~ 2017년 15 16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주요 에너지화 시설 생활폐기물 전처리(RDF제조 및 RDF 전용보일러시설) 하수슬러지 고형연료화 시설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각종 체험관 및 교육의 장으로 제공 국내외 기술발표회나 전시회 등을 개최하여 세계 환경에너지 기술의 중심지 역할 환경에너지타운 의 관련 기술력 향상 및 기술개발, 교육, 홍보 등을 위한 시설을 설치운영 대학원대학 설립(13 년 개교 목표) 을 통해 환경에너지 관련 현장 실무 전문인력 양성 추진 건설페기물 에너지화 시설 등 규 모 : 약 305만m2 바이오순환림 조성(275 만m2), 유채단지 조성(30 만m2) 등 사업기간 : 2010년 2016년 포플러나무, Energy grass, 유채 등을 재배하여 바이오매스, 바이오디젤 등을 생산( 매립지 유휴부지 활용) 행정구역에 의한 유역 구성은 아래표와 같이 유역면적 44.59 km2중 인천광역시가 50.5%, 경기도 김포시가 49.5% 를 점유하고 있다. 행 정 구 역 위 치 면적( km2) 편입비(%) 비 고 인천광역시 검단동, 검암동 22.54 50.5 태양광 발전( 발전규모 : 약 30MW, 설치면적 : 114 만m2)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대곶면 22.05 49.5 풍력발전은 낮은 풍속에 따른 경제성 부족으로 사업추진 보류, 향후 기술발전 ( 낮은 풍속에도 발 전가능 기술개발) 등에 따라 사업추진 검토 자연의 무한 에너지인 태양력, 풍력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 전력 ) 생산 ( 매립지 유휴부지 활용 ) 사업면적 : 3.5만m2 사업기간 : 2010 년 ~ 2016년 주요시설 : 에너지화 관련 각종 연구 및 실증실험시설, 기술전시, 체험관, 홍보관, 전망대 등을 주요기능 설치 에너지화 관련 기초연구 및 실험을 수행 계 서 울 인 천 경 기 구 분 세대수 인 구 세대수 인 구 세대수 인 구 세대수 인 구 1998 6,676,813 20,136,188 3,458,511 10,321,496 794,534 2,485,199 2,423,768 7,392,493 1999 6,815,658 20,467,275 3,490,616 10,321,449 809,671 2,524,251 2,515,371 7,621,575 2000 6,956,433 20,709,745 3,540,492 10,273,234 829,164 2,562,321 2,586,777 7,874,190 2001 7,272,398 21,366,736 2,623,929 10,331,244 845,739 2,581,557,2802,730 8,453,935 2002 7,468,062 21,638,306 3,623,929 10,280,523 872,057 2,596,102 2,972,076 8,761,681 2003 7,712,913 21,941,896 3,714,697 10,276,968 891,606 2,601,278 3,138,368 9,060,228 2004 7,949,212 22,152,285 3,780,305 10,287,847 908,673 2,610,715 3,260,234 9,253,723 2005 8,187,282 22,331,290 3,871,024 10,297,004 933,686 2,632,178 3,389,373 9,417,824 2006 8,189,471 21,898,410 3,978,938 10,356,202 965,302 2,663,854 3,252,672 8,895,067 2007 8,662,864 22,490,698 4,046,086 10,192,710 995,712 2,710,040 3,628,973 9,650,392 17 18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구 분 기 온 ( ) 평 균 극최고 극최저 강수량 (mm) 일조시간 (hr) 평균풍속 (m/s) 1998 13.2 34.1 12.5 1,638.1 2,326.7 2.3 1999 12.6 34.1 12.5 1,472.5 2,257.0 2.2 2000 12.7 35.2 11.1 1,159.4 2,217.5 3.0 2001 12.9 34.0 18.2 1,144.5 2,325.0 2.6 2002 13.1 37.0 10.6 1,033.7 2,190.8 2.8 2003 12.5 31.0 14.1 1,702.2 1,963.6 2.4 2004 12.9 33.9 14.8 1,307.5 2,253.6 2.5 2005 12 33.8 13.5 1,155.8 2,332.2 2.6 2006 12.7 32.5 13.3 1,300.1 2,092.3 2.5 2007 12.9 31.8 8.1 1,120 2,012.3 2.6 인천기상대의 과거 10 년간(1998~2007 년) 의 인천시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종합 분석하였다. 평 균 12.8 33.7 12.9 1,303.4 2,197.1 2.6 자료 : 기상자료( 인천기상대), 1998~2007, 기상청. 좌 표 북위 37 28 동경 126 38 해 면 높 이 (m) 측 후 소 (H) 수은기압계 (Hb) 온 도 계 (ht) 지 상 높 이 (m) 풍 속 계 (ha) 우 량 계 (hr) 68.9 70.3 1.4 14.0 0.5 인천시의 과거 4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천기일수는 맑은날 107 일, 흐린날 95 일, 강우일 104 일로 각각 조사되었다. 자료 : 2007 기상연감, 2007, 기상청. 최근 10 년간 인천시의 기상현황을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10 년간 평균기온은 12.8, 최고기온은 33.7, 최저기온은 12.9 였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1,244.3 mm, 일조시간은 2,200.6hr, 평균 풍속은 2.67 m/s 로 조사되었다. 년 도 맑음 흐림 강수 서리 안개 눈 뇌전 폭풍 2004 119 88 97 28 40 12 19 2005 124 81 104 44 33 21 21 2006 92 97 97 44 51 15 17 2007 92 113 118 39 39 14 29 1 평균 107 95 104 39 41 16 22 1 자료 : 통계연보, 2008, 인천광역시. 19 20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인천광역시의 상수도 현황으로는 전체인구 2,710,040 명에 급수인구 2,644,668 명으로 보급율 은 97.59% 에 해당하며, 1인 1일당 급수량은 371L 로 나타났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2006 전국 상수원 보호구역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광역시는 상수원 보 호구역이 별도로 지정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 분 급수도시내 총 인 구 급수인구 보급율 (%) 시설용량 ( m3/ 일) 급수량 ( m3/ 일) 1일1인당 급수량(L/ 일) 인천광역시에 상수도를 공급하는 정수장은 부평, 남동, 수산, 공촌으로 조사되었으며, 풍납과 팔당 인천광역시 2,710,040 2,644,668 97.59 2,092,800 980,967 371 자료 : 통계연보, 2008, 인천광역시 을 관련 취수장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평균 생산량은 981,000 m3/ 일로 조사되었 다. 나. 하수도 현황 인천광역시의 하수처리인구는 2,710,040 명으로 보급율 90.6% 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7 구 분 합 계 부평 노온 남동 공촌 수산 강화 길상 시설용량 [ 천m3/ 일] 2,578 600 560 542 250 623 0.8 2 생산실적 [ 천m3/ 일] 981 213 6 232 197 331 0.6 1.2 자료 : 2007 상수도통계, 2008, 환경부 구 분 총인구 하 수 처 리 인 구 물리적처리 생물학적처리 고도처리 보급율 (%) 인천광역시 2,710,040 2,456,292 1,252,358 1,203,934 90.6 자료 : 통계연보, 2008, 인천광역시 2004 년 현재 전국 운영중인 분뇨처리시설 현황 (2004, 환경부 ) 자료를 이용하여 인천광역시에 위 치한 분뇨처리시설 현황을 조사하였다. 인천광역시의 분뇨처리장은 총 8 개소로 조사되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21 22
제2장 지 역 현 황 제2장 지 역 현 황 처리장명 위치 시설용량 ( 톤/ 일) 일평균처리량 ( m3/ 일) 처리공법 가동율 (%) 비고 소 재 지 시설용량 [kg/hr] 소각 방식 운영 방식 2006년 처리량[ 톤] 설치비[ 백만원] 계 지방비 관리인원 [ 인] 비 고 송림 분뇨처리시설 동구 송림6동 1116 800 972 해양정화처리 121.5 연수구 동춘동 20,833 기타 연속식 70,784 129,744 83,242 359 가좌 분뇨처리시설 서구 가좌1동 450 520 표준활성오니법 ( 하수연계) 115 서구 경서동 20,833 기타 연속식 133,438 79,379 54,935 162 중구 신흥동 150 고정화격자 회분식 29 100 100 0 율도 분뇨처리시설 서구 원창동 3291 300 300 B3 공법 85 중구 관동 30 35 28 28 0 강화군 분뇨처리시설 강화군 강화읍 용정리 8787 30 18 액상부식법 60 강화읍 용정리 1,042 화격자 연속식 2,631 6,646 4,183 0 옹진군 연평면 500 기타 회분식 103 638 319 0 백령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16277 10 1.76 액상부식법 100 옹진군 백령면 200 기타 회분식 가동중지 340 170 0 북도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 산116 2 0.12 자연정화법 100 옹진군 대청면 100 기타 회분식 34 128 64 0 옹진군 덕적면 150 기타 회분식 8 210 105 0 자월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 산68 2 0.03 자연정화법 100 자료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07, 환경부 덕적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덕적면 진리 산 1181 2 0.1 자연정화법 100 대청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4212 2 0.42 자연정화법 100 인천광역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매립대상 폐기물은 전량 수도권매립지에서 매립처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평 분뇨처리시설 옹진군 연평면 연평리 5051 2 0.32 자연정화법 100 자료 : 전국 운영중인 191 개 분뇨처리시설 현황, 2004, 환경부 인천광역시에는 총 9 개 소각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연수구 동춘동과 서구 경서동에 각각 500 톤/ 일의 대형 소각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중그 신흥동, 중구 관동과 강화읍, 옹진군에 소형 소각시설 이 7 개소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3 24
제 3 장
제3장 제3장 지 역 서울 (4) 경기도 (15)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 2001~2006 년 기간 동안의 바닥재 발생 및 처리현황을 아래 표와 그림 에 나타내었다. 시설명 처 리 량 ( 톤) 2001 2002 2003 2004 2006 처리방법 노 원 9,560 6,976 6,666 6,485 5,360 매 립 양 천 10,063 9,587 7,749 6,930 6,394 매 립 928 0 0 0 0 재활용 강 남 0 7,145 7,232 7,949 10,294 매 립 마 포 0 0 0 0 26,564 재활용 계 20,551 23,708 21,647 21,364 48,612 수 원 10,808 12,456 14,090 13,531 15,675 매 립 대장동 삼정동 광 명 평 촌 0 12,879 12,856 11,334 0 매 립 12,922 0 0 0 12,967 재활용 0 0 9,017 8,091 0 매 립 10,311 9,626 0 0 7,257 재활용 0 849 7,905 13,186 12,707 매 립 13,978 13,079 5,778 17 0 재활용 2,664 3,133 4,804 7,391 8,241 매 립 7,613 7,216 3,624 0 0 재활용 성 남 24,078 20,060 19,946 18,149 19,201 매 립 일 산 5,424 10,139 9,833 9,419 8,065 매 립 5,208 685 0 0 0 재활용 용 인 2,412 2,100 1,616 2,842 5,658 매 립 과 천 0 0 939 2,643 2,534 매 립 3,598 3,579 2,244 0 0 재활용 자료 : 대형폐기물 소각시설 운영현황, 2002 ~ 2007, 환경부 지 역 경기도 인 천 (2) 충 남 (2) 대 전 (1) 부 산 (3) 경 남 (2) 대 구 (1) 울산 (1) 광 주 (1) 제 주 (2) 시설명 안 산 처 리 량 ( 톤) 2001 2002 2003 2004 2006 처리방법 0 0 3,179 6,026 6,326 매 립 5,792 7,608 3,089 0 0 재활용 군포 2,994 4,007 3,538 3,025 3,301 매 립 수지 453 478 514 806 1,173 매 립 의정부 1,147 8,105 5,436 7,467 8,337 매 립 파주 0 0 1,621 2,276 2,592 매 립 구 리 1,077 6,789 6,004 5,553 5,071 매 립 계 110,479 122,787 116,033 111,757 119,105 청라 0 18,855 21,994 22,052 27,239 매 립 공항 0 1,061 2,140 1,586 793 매 립 계 0 19,916 24,134 23,638 28,032 천안 1,238 8,488 8,905 9,180 8,757 매 립 공주 1,446 0 0 0 0 매 립 계 2,684 8,488 8,905 9,180 8,757 대전 7,687 8,201 5,560 6,517 24,400 매 립 명지 0 0 3,541 15,533 15,490 매 립 해운대 17,154 14,140 13,714 11,418 13,814 매 립 다대 9,517 9,869 6,954 7,804 7,426 매 립 계 17,204 18,070 16,055 29,855 47,316 창원 18,064 18,250 18,832 16,677 17,267 매 립 김해 6,071 12,352 11,024 10,636 8,288 매 립 계 24,135 30,602 29,856 27,313 25,555 성서 29,264 29,106 31,418 31,634 30,665 매 립 울산 22,926 25,936 24,957 24,001 19,242 매 립 상무 19,732 24,423 17,041 21,135 23,469 매 립 산북 0 0 1,757 3,073 3,173 매 립 산남 0 0 0 969 1,247 매 립 계 0 0 1,757 4,042 4,420 자료 : 대형폐기물 소각시설 운영현황, 2002 ~ 2007, 환경부 27 28
제3장 제3장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가장 많이 운영중인 경기도 지역에서의 배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지역 은 연도별 소각시설 설치 현황에 따라 발생량 추이가 변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처리현황 2001 2002 2003 2004 2006 발생량(톤)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2006 2004 2003 2002 2001 서울 경기 인천 충남 대전 부산 경남 대구 광주 울산 제주 국내 소각시설에서 발생된 바닥재는 2006 년 현재 87.3% 가 매립되고 있으며, 12.7% 만이 재활용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재활용 매 립 재활용 매 립 재활용 매 립 재활용 매 립 60,350 (100%) 70,680 (34.7%) 0 (0%) 10,371 (5.1%) 0 (0%) 102,996 (50.5%) 0 (0%) 19,732 (9.7%) 41,792 (100%) 124,619 (45.3%) 0 (0%) 16,689 (6.1%) 0 (0%) 109,653 (39.8%) 0 (0%) 24,423 (8.9%) 14,735 (100%) 147,079 (50.6%) 0 (0%) 14,465 (5.0%) 0 (0%) 110,440 (38.0%) 0 (0%) 17,041 (5.9%) 17 (100%) 156,741 (49.7%) 0 (0%) 15,698 (5%) 0 (0%) 117,703 (37.3%) 0 (0%) 21,135 (6.7%) 46,787 (100%) 148,962 (46.2%) 0 (0%) 33,156 (10.3%) 0 (0%) 112,192 (34.8%) 0 (0%) 23,469 (7.3%)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와 그림에 나타내었다. 350,000 300,000 매립 재활용 86.8% 95.2% 99.9% 87.3% 제 주 재활용 매 립 0 (0%) 0 (0%) 0 (0%) 0 (0%) 0 (0%) 1,757 (0.6%) 0 (0%) 4,042 (1.3%) 0 (0%) 4,420 (1.4%) 처리량(톤) 250,000 200,000 150,000 77.2% 총 계 재활용 매 립 60,350 (77.2%) 203,779 (22.8%) 41,792 (86.8%) 275,384 (13.2%) 14,735 (95.2%) 290,782 (4.8%) 17 (99.99%) 315,318 (0.01%) 46,787 (87.3%) 322,199 (12.7%) 100,000 50,000 0 22.8% 13.2% 12.7% 4.8% 0.01% 2001 2002 2003 2004 2006 합 계 264,129 (100%) 317,176 (100%) 305,517 (100%) 자료 : 대형폐기물 소각시설 운영현황, 2002~2007, 환경부 315,335 (100%) 368,986 (100%) 29 30
제3장 제3장 아래 그림들에 권역별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 매립량 및 재활용량 현황을 나타냄. 2006 년 기 준 바닥재 매립비율은 수도권에서 46.2% 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도가 1.4%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 였다. 권역별 바닥재 재활용 현황은 2001 년부터 2006 년까지 수도권지역에서 발생된 바닥재만 재 활용 되고 있었으며, 그 외 권역에서 발생된 바닥재는 전량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립량(톤) 180,000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34.7% 50.5% 45.3% 39.8% 50.6% 38.0% 49.7% 37.3% 46.2%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제주 34.8% 60,000 40,000 20,000 0 10.3% 7.3% 9.7% 8.8% 6.1% 6.7% 5.0% 5.9% 5.0% 5.1% 0% 0.5% 1.3% 1.4% 0% 2001 2002 2003 2004 2006 재활용량(톤)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2 0 1 5 1 0 60,350 46,787 41,792 14,735 2001 2002 20 03 2004 2006 17 항 목 배출허용기준 먼 지 염 화 수 소 배출현황 1호기 2호기 30(12) mg/sm3 2.07 1.77 30(12)ppm 4.28 4.65 5 황 산 화 물 50(12)ppm 2.71 3.5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6 질 소 산 화 물 80(12)ppm 36.47 34.94 다 이 옥 신 0.1ngTEQ/Nm3 0.01 0.01 31 32
제3장 제3장 설 비 명 : 소각재 처리 설비 형 식 용 량( 톤/hr)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재 추출기 수조식 1~4 5,500 수냉식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 일)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18 바닥재 성분분석 (ppm. %) 재 벙커 C Cu 1.537 Fe H Hg N.D Cr N.D O Pb 0.472 As N.D N Cd N.D Zn S CN N.D Cl(%) ph SO42 강열감량 2.67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4,500 22,500 3,000 7 0.95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양호 없음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비산재 저장조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70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특이사항 바닥재 전처리 공정 보일러 호퍼 절탄기 호퍼 전기 집진기 Air knocker 4.86 반건식 반응탑 백필터 사이클론 Electric Tracing 형 식 용 량 유 량 없음 소각로( 스토커) 냉각조( 수냉) 저장조 진동컨베어 자력선별 재 적재함 항 목 배출허용기준 먼 지 염 화 수 소 황 산 화 물 질 소 산 화 물 다 이 옥 신 배출현황 1호기 2호기 30(12) mg/sm3 3.11 4.60 30(12)ppm 4.65 4.78 50(12)ppm 2.13 2.08 80(12)ppm 37.13 36.15 0.1ngTEQ/Nm3 0.03 0.04 33 34
제3장 제3장 설 비 명 : 소각재 처리 설비 형 식 용 량( 톤/hr)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재 추출기 습식+ 반건식 6 3,700~4,500 수냉식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 일)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18.75 12 거의없음 C Cu 0.627 Fe H Hg Cr 바닥재 성분분석 (ppm. %) O Pb 2.146 As N Cd 0.016 Zn S CN Cl(%) ph SO42 강열감량 3.8 재 벙커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500m3 3 1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환풍기가동 양호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비산재 저장조 5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건식 Air 및 Airknocker heating cable 보일러 호퍼 반건식 반응탑 1 절탄기 호퍼 백필터 3.5 전기 집진기 사이클론 형 식 용 량 유 량 항 목 배출허용기준 배출현황 먼 지 염 화 수 소 30(12) mg/sm3 1.29 30(12)ppm 3.46 특이사항 황 산 화 물 질 소 산 화 물 50(12)ppm 5.59 80(12)ppm 26.27 바닥재 전처리 공정 소각로( 스토커) 재추출기 컨베어벨트 자력선별 진동스크린 재저장조 다 이 옥 신 0.1ngTEQ/Nm3 0.01 35 36
제3장 제3장 설 비 명 : 소각재 처리 설비 형 식 용 량( 톤/hr)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재 추출기 수조형, 왕복구동형 2 1,700 수냉식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 일)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7.77 2~5 없음 바닥재 성분분석 (ppm. %) 재 벙커 C Cu 0.401 Fe H Hg N.D Cr 0.001 O Pb 0.084 As N.D N Cd 0.027 Zn S CN N.D Cl(%) ph SO42 강열감량 3.05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14,600 3,800 2,000 10 1.3~1.5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자연배수식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비산재 저장조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5 Capacitance High / 1개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바이브레이터 열선 보일러 호퍼 반건식 반응탑 0.6 1.5 절탄기 호퍼 백필터 전기 집진기 사이클론 형 식 용 량 유 량 항 목 배출허용기준 먼 지 염 화 수 소 황 산 화 물 질 소 산 화 물 배출현황 1호기 2호기 30(12) mg/sm3 2.08 3.05 30(12)ppm 1.80 1.98 50(12)ppm 2.27 1.74 80(12)ppm 40.45 40.41 특이사항 다 이 옥 신 0.1ngTEQ/Nm3 0 0.02 바닥재 전처리 공정 소각로( 스토커) 재추출기 컨베어벨트 자력선별 진동스크린 재저장조 37 38
제3장 제3장 설 비 명 : 재 추출기 바닥재 성분분석 (ppm. %) 재 벙커 형 식 용 량( 톤/hr) 소각재 처리 설비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유압식 4.1 수냉식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 일)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66 10 C Cu 0.22 Fe H Hg N.D Cr N.D O Pb 0.013 As N.D N Cd N.D Zn S CN N.D Cl(%) ph SO42 강열감량 1.7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24,650 7,500 7,500 3 1.2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기계적 배기 양호 양호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비산재 저장조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50 정전용량식 / 1개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비산재 용량 최소화 열선을 이용하여 저장조 보온 보일러 호퍼 절탄기 호퍼 전기 집진기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비산재를 주기적으로 배출 반건식 반응탑 백필터 사이클론 형 식 용 량 유 량 9.7 항 목 배출허용기준 먼 지 염 화 수 소 황 산 화 물 질 소 산 화 물 배출현황 1호기 2호기 3호기 30(12) mg/sm3 2.37 1.64 1.30 30(12)ppm 1.04 1.48 2.65 50(12)ppm 3.2 1.36 2.51 80(12)ppm 32.86 32.14 35.11 특이사항 다 이 옥 신 0.1ngTEQ/Nm3 0.0 0.01 0.0 바닥재 전처리 공정 소각로( 스토커) 재배출장치 냉각조( 수냉식) 저장조 39 40
제3장 제3장 설 비 명 : 소각재 처리 설비 형 식 용 량( 톤/hr)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설 비 명 : 소각재 처리 설비 재 추출기 수조식 4 수냉식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 일)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소각량 대비 11% 2.7 없음 재 추출기 형 식 용 량( 톤/hr) 자력선별 크기 (Gauss) 소각재 냉각 방식 ( 공냉/ 수냉) 수조식 8 수냉 바닥재 발생량 ( 톤/ 일) 재 냉각용 급수량 ( 톤/hr) 습증기 발생으로 인한 노내 영향 C Cu x Fe x 252.6 유량계 미설치 없음 H Hg x Cr x C Cu 0.093 Fe 바닥재 성분분석 (ppm. %) O Pb x As x N Cd x Zn x S CN x Cl(%) x 바닥재 성분분석 (ppm. %) H Hg 0.002 Cr 0.006 O Pb 0.049 As N.D N Cd N.D Zn ph SO42 x 강열감량 4.4 S CN 0.006 Cl(%) 재 벙커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22,500 6,000 6,000 7 1.14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없음 양호 x 재 벙커 ph SO42 강열감량 크기(W L H) (mm) 재 저장 용량( 일분) 적용 겉보기 비중 (Ton/m3) 6,700 54,000 6,000 2,081m3 (8 일분) 1 벙커내 악취 제거 설비 벙커내 배수 상태 벙커내 고화 상태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급배기 덕트 배수시설없음, 자연증발 고화안됨 비산재 저장조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Steam tracing & vibrator 8.26 토크스위취 / 4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없음 비산재 저장조 비산재 특성 저장조 용량(m3) 레벨스위치 형식 / 수량 없음 없음 Ash bridge 형성 방지 현황 하부 습기 침투 방지 현황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보일러 호퍼 4.152 조온탑 3.6 절탄기 호퍼 57.6 백필터 4.8 전기 집진기 사이클론 형 식 용 량 유 량 비산재 발생량 ( 톤/ 일) 비산재 가습기 보일러 호퍼 절탄기 호퍼 없음 반건식 반응탑 백필터 전기 집진기 12 사이클론 없음 형 식 용 량 유 량 없음 특이사항 특이사항 재추출기 및 자력선별기 없음 바닥재 전처리 공정 소각로( 스토커) 소각재 이송장치 자력선별기 재분산기 저장조 바닥재 전처리 공정 소각로( 스토커) 소각재 이송장치 저장조 41 42
제3장 제3장 소각 시설 수 분 강열감량 소각 시설 수 분 강열감량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재의 수분함량은 2.2~27.8% 의 범위에 있어 각 소각장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음. 강열감량 또한 0.5~7.5%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분의 함량에 차이가 많이 나는 원인으로는 각 소각장에서 최종 발생된 소각재의 수냉방식과 소각로 형태 ( 스토커 소각로 [33 개 소], 유동상 소각로[2 개소]) 등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각재 수분함량은 소각재의 운반, 저장, 처리, 처분, 재활용 등에 있어서 중요한 물리적 특성으로 써 특히 운반 및 처분에 있어서는 경제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소각재를 도로기층재, 시멘트 원 료 등으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수분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는데 주로 옥외에 저장함으로써 건조 및 숙성효과를 동시에 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체적으로 수분함량이 15% 이상일 경우 옥 외저장에 따른 흩날림 등이 방지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각재 재활용시 수분함량에 대한 기준은 덴마크에서 도로기층재로 활용시 17~25% 범위에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각재의 강열감량은 재활용을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일부 물질은 악취 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일부 물질은 재활용 제품을 제조하였을 때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 1 16.3 3.8 18 27.8 3.7 2 19 19.6 5.1 3 14.3 3.7 20 16.0 1.0 4 24.4 3.3 21 17.3 4.6 5 20.3 2.4 22 16.5 3.4 6 16.4 4.4 23 16.8 1.3 7 27.4 4.3 24 23.7 3.9 8 2.2 4.1 25 15.3 2.6 9 11.5 4.0 26 18.7 3.9 10 23.7 4.3 27 23.6 2.3 11 19.6 3.1 28 14.9 4.6 12 9.8 7.5 29 21.8 3.3 13 17.8 1.4 30 20.5 5.4 14 16.2 4.8 31 15.1 4.6 15 19.7 4.6 32 13.4 2.1 16 0.9 0.4 33 0.7 0.5 17 20.5 3.2 34 18.8 2.4 43 44
제3장 제3장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입도분포는 조사대상 소각장별로 상당히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2mm 이상의 조대입자가 30~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0.3~2mm 범위의 입경이 50~60% 정도 차지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2mm 이상의 입자에는 고철류, 유리류, 도자기류가 50% 정 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바닥재를 활용하여 재활용시 이러한 불순물에 대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박현서 등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각 소각장의 처리형태에 따 라서 입도에 따른 분포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이유는 소각장에 서 배출되는 재처리 공정( 체분리 또는 자력선별 등) 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소각재는 입도분리를 통해 철편류 등 유가물질을 회수하고. 조대입자는 골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미세입자는 주로 시멘트원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소각재를 각종 토건재료로 활용시 수요처에 따라서 선별된 소각재를 분쇄하는 공정이 필 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각시설에서 소각재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보통 수냉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에 의한 응결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 분쇄를 고려할 수 있고 입도선별한 소각재에 대하여는 골재 등 재활용 목적에 요구 되는 강도 등을 시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인공적으로 골재의 크기 및 강도 등을 조절 하기 위하여 시멘트 및 각종 고화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활용의 폭을 넓힐 수는 있지만 이에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므로 기존 골재와의 가격 비교 등 비용경제적인 측면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채취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의 입도분포 실험결과 및 기존 문헌에서 조사된 입도분포 실험결 과를 각각 아래 표들에 나타내었다. 소각 시설 No. 4 (>4.75m m) No. 10 (2~4.75 mm) No. 20 (0.85~2 mm) No. 50 (0.3~0.85 mm) 입도분포 실험 No. 60 (0.25~0.3 mm) No. 100 No. 200 (0.15~0.25 (0.075~0.1 mm) 5mm) < 0.075m m 합 계 1 10.3 20.7 29.7 27.5 3.6 5.5 2.4 0.3 100.0 3 4.9 25.3 39.9 20.0 2.5 4.2 2.8 0.4 100.0 4 12.8 21.1 28.1 23.8 4.8 6.2 2.8 0.3 100.0 5 11.1 20.1 27.1 28.0 5.5 5.7 2.3 0.2 100.0 6 12.4 22.5 28.9 23.4 5.4 4.3 2.8 0.3 100.0 7 9.8 19.6 31.1 25.6 5.6 4.8 3.1 0.4 100.0 8 5.6 13.1 36.1 32.0 4.0 6.5 2.6 0.1 100.0 9 8.0 28.6 36.6 16.2 1.8 4.2 3.4 1.1 100.0 10 13.0 28.4 36.4 20.0 1.8 0.4 0.1 0.0 100.0 11 11.1 19.4 28.4 26.6 4.4 6.7 3.0 0.5 100.0 12 8.2 10.7 12.9 46.4 14.5 5.5 1.7 0.2 100.0 13 10.6 18.1 30.2 28.7 5.9 4.5 1.9 0.1 100.0 14 13.0 30.9 28.4 14.6 2.7 6.1 3.9 0.4 100.0 15 13.1 28.6 31.5 12.7 5.6 4.8 3.4 0.3 100.0 16 0 0 45.3 33.5 1.6 12.1 6.3 1.2 100.0 17 16.2 24.8 27.9 20.3 2.7 4.3 3.7 0.1 100.0 18 15.2 21.8 30.0 26.0 4.8 1.8 0.4 0.0 100.0 19 5.4 14.0 32.2 25.7 4.4 9.6 7.4 1.3 100.0 20 5.3 32.0 30.8 18.6 4.0 6.4 2.7 0.3 100.0 21 0 0 75.7 8.3 4.6 2.9 5.8 2.7 100.0 22 15.7 31.9 27.9 11.8 6.7 3.9 1.8 0.3 100.0 23 14.3 29.8 24.4 14.3 11.2 3.6 2.2 0.2 100.0 24 16.2 26.8 25.8 21.0 4.1 3.7 2.2 0.1 100.0 25 9.5 14.6 31.4 27.6 4.3 8.0 4.1 0.5 100.0 26 17.2 32.5 29.7 14.6 2.8 2.1 1.1 0.0 100.0 27 14.3 29.6 25.9 16.4 6.8 4.3 2.1 0.6 100.0 28 8.9 29.1 31.0 19.7 3.0 5.6 2.3 0.4 100.0 29 16.7 31.3 24.3 14.8 5.4 4.5 2.8 0.2 100.0 30 17.1 27.8 31.9 18.6 2.2 1.7 0.6 0.0 100.0 31 18.4 30.4 24.5 17.5 3.5 4.0 1.7 0.1 100.0 32 11.5 30.4 24.3 18.1 5.6 6.4 3.4 0.3 100.0 32 26.3 47.0 15.9 4.6 0.9 2.5 2.5 0.3 100.0 33 0 0 60.6 17.7 2.3 9.7 8.6 1.1 100.0 34 0 0 43.6 47.6 1.9 2.5 3.6 0.8 100.0 45 46
제3장 제3장 구 분 A 생활계 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재( 단위 : %) B 구 분 자력선별 전 바닥재 자성물질( 철금속) 자력선별 후 바닥재 #1 #2 #3 평 균 #1 #2 #3 평 균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9.1mm이상 4.2 3.6 4.2 4.0 10.6 3.8 8.6 7.7 19.1~9.52mm 8.6 8.7 9.9 9.1 14.4 4.3 12.9 10.5 9.52~4.75mm 22.6 9.3 15.9 15.9 23.4 7.9 15.5 15.6 4.75~2.0mm 23.2 17.2 26.6 22.3 19.0 17.4 24.2 20.2 2.0~0.84mm 18.8 25.8 18.8 21.2 13.8 28.8 18.8 20.4 0.84~0.42mm 10.8 15.8 9.2 11.9 7.6 18.4 9.4 11.8 0.42~0.25mm 4.6 7.4 4.6 5.5 3.8 7.8 4.2 5.3 0.25~0.15mm 2.8 3.8 3.4 3.3 2.6 4.4 2.4 3.2 0.15~0.074mm 3.8 4.4 5.0 4.4 3.2 5.0 3.0 3.7 0.074mm미만 0.6 4.0 2.4 2.4 1.6 2.2 1.0 1.6 자료 : 소각재( 바닥재) 재활용사업 타당성 보고서, 200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4.75mm 이상 47.1 11.1(3.5) 36.0 4.75~2.36mm 21.8 2.8(0.2) 19.0 1.18~2.36mm 14.0 2.5(0.1) 11.5 0.6~1.18mm 11.4 1.6 9.8 0.3~0.6mm 2.0 0.2 1.8 0.15~0.3mm 2.2 0.2 0.7 0.15mm 1.5 0.3 <0.1 합 계 100 18.7(3.8) 78.8 자료 :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재활용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연구보고서, 20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구 분 입 도 구성비(%) 비 고 19mm 이상 13.2 철편류, 도자기류, 유리류 등 19mm~2.4mm 42.6 철편류, 도자기류, 유리류 등 구 분 자력선별 전 바닥재 자성물질( 철금속) 자력선별 후 바닥재 4.75mm 이상 47.1 2.6(1.0) 44.5 4.75~2.36mm 21.8 1.4(0.3) 20.4 A 소각장 B 소각장 2.4mm~0.42mm 19.7 세라믹류, 유리류 등 0.425mm~0.104mm 12.5 CaCO3, Calcium silicate, 세라믹류 0.104mm 12.0 CaCO3, Calcium silicate 합 계 100 19mm 이상 18.9 철편류, 도자기류, 유리류 등 19mm~2.4mm 44.0 철편류, 도자기류, 유리류 등 2.4mm~0.42mm 17.6 세라믹류, 유리류 등 0.425mm~0.104mm 8.6 CaCO3, Calcium silicate, 세라믹류 0.104mm 10.9 CaCO3, Calcium silicate 합 계 100 1.18~2.36mm 14.0 0.4(0.1) 13.6 0.6~1.18mm 11.4 0.3(0.5) 10.6 0.3~0.6mm 2.0 0.1(0.1) 2.0 0.15~0.3mm 2.2 0.1(ND) 2.2 0.15mm 1.5 0.1(ND) 1.5 합 계 100 5.2(1.9) 94.8 자료 :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재활용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연구보고서, 20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료 : 소각재 안정화 및 재활용기술에 관한 연구, 2000. 9, 환경관리공단 47 48
제3장 제3장 소각시설 Cu CN As Hg Pb Cd Cr 6+ 1 0.049 0.000 0.000 0.000 0.075 0.000 0.000 중금속 용출시험결과 측정대상 모든 소각재에서 용출시험에 의한 지정폐기물 기준치 이내로 검출되 어 모두 일반폐기물로 분류된다. 또한, 휘발성 중금속 물질인 비소와 수은은 대부분 불검출, Cr 6+ 와 CN 의 경우도 대부분의 소각시설에서 불검출되었다. 그러나 중금속 물질의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 은 납과 구리의 경우 용출기준 이내로 검출되었으나, 일부 시설의 경우 높게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소각재 재활용시 구리와 납의 용출을 억제시키기 위해 CaO 나 Al 2O 3등이 함유된 킬레이 트제나 시멘트 제품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지정폐기물 판정여부를 위한 용출시험기준치에는 모두 만족하고 있지만 이는 소각재의 재활 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아니므로 국외의 재활용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소각재를 재활용할 경 우 중금속의 용출을 억제하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소각재 숙성저장 / 공정도입의 경우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ph 를 낮추고 함유되어 있는 금속산화물 형태의 중금속을 물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탄산화물로 전환시키면 물에 의한 용 출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는 공정 등이 있다. 실제로 국내외의 연구에서도 숙성처리에 의해 납 등의 중금속 용출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보고되 었다. 아래 표에 국내 34 개 대형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 중금속 용출실험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시료채취 불가 3 0.004 0.000 0.000 0.000 0.012 0.000 0.000 4 0.073 0.000 0.000 0.000 0.267 0.000 0.004 5 1.847 0.000 0.000 0.000 0.014 0.011 0.003 6 1.368 0.002 0.000 0.000 0.794 0.078 0.002 7 0.921 0.000 0.000 0.001 0.531 0.005 0.000 8 0.473 0.000 0.000 0.000 2.361 0.000 0.000 9 0.523 0.000 0.000 0.000 0.988 0.000 0.003 10 0.112 0.010 0.000 0.000 0.393 0.033 0.000 11 0.352 0.002 0.000 0.000 0.481 0.028 0.000 12 0.754 0.002 0.000 0.000 0.316 0.014 0.000 13 0.212 0.000 0.000 0.000 0.000 0.007 0.000 14 0.112 0.000 0.000 0.000 0.290 0.090 0.000 15 0.967 0.000 0.000 0.000 1.687 0.041 0.000 16 0.015 0.000 0.000 0.000 0.000 0.012 0.000 17 0.099 0.000 0.000 0.000 0.090 0.120 0.000 18 0.054 0.000 0.000 0.000 0.030 0.000 0.000 19 1.688 0.000 0.000 0.000 0.783 0.002 0.000 20 0.160 0.000 0.000 0.000 0.038 0.000 0.000 21 0.298 0.000 0.000 0.000 0.113 0.000 0.000 22 1.013 0.000 0.000 0.000 0.258 0.009 0.000 23 0.315 0.000 0.000 0.000 1.082 0.000 0.000 24 1.810 0.000 0.000 0.004 2.059 0.125 0.004 25 1.775 0.000 0.000 0.000 2.276 0.000 0.000 26 1.235 0.000 0.000 0.004 1.796 0.087 0.124 27 0.028 0.000 0.013 0.000 0.065 0.000 0.000 28 0.863 0.000 0.000 0.000 1.236 0.156 0.000 29 0.016 0.000 0.000 0.000 0.182 0.022 0.000 30 0.071 0.000 0.000 0.000 1.623 0.002 0.030 31 0.876 0.000 0.000 0.000 0.761 0.031 0.000 32 0.015 0.000 0.000 0.000 0.038 0.082 0.000 33 0.018 0.000 0.000 0.000 0.040 0.078 0.000 34 0.004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용출기준 3 1 1.5 0.005 3 0.3 1.5 49 50
제3장 제3장 위 반응 중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금속물질의 산화반응은 철비철 / 선별을 통하여 단기간 제어가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처리방법은 크게 물리적 선별을 통한 유가물질 회수, 세정에 의한 처리, 탄산화 처리공정을 통한 안정화 및 열처리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에는 약 4 ~ 12% 정도의 철금속 및 비철금속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물리적 선별과정인 자력선별이나 와전류 선별을 통하여 이러한 유가물질을 회수한다. 또한, 도로건 설 등의 재생골재, 시멘트 부원료 등 소각재의 재활용 용도에 맞도록 소각재의 입도선별 등이 이러 한 물리적 선별에 포함된다. 생활폐기물을 소각한 후 발생된 바닥재는 세정공정을 통해 바닥재에 포함된 수용성 물질을 쉽게 제 거할 수 있다. 소각재의 ph는 물과 접촉시 9.5 ~ 12 정도로 이러한 환경에서 대부분의 중금속 및 미량금속은 난용성이 되어 용출되지 않으나, 다른 수용성 염은 상당량 용해된다. 바닥재의 수세 가능하다. 이수석고 또한 수세공정을 통해 단기간 제어 가능한 장점이 있다. ph 의 안정화는 자연상태에서 단기간 제어가 어려우며,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인위적으로 CO 2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화 처리방법) ph 의 안정화를 단기간에 제어할 수 있다. 바닥재를 열처리하는 기술은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 제조나 방사성 폐기물 처리 산업 으로부터 다양한 기술이 응용되어 왔으며 온도는 1,100 ~ 2,000 로 플라즈마 시스템을 이용하 는 경우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플라즈마 시스템은 바닥재나 비산재에 포함되는 다양한 무기성 폐기물의 용융고화나 용융처리 하며, 감용화 (33 ~ 50% 까지 ) 나 낮은 침출성, 매우 안정된 생성물 덩어리는 골재로서 용게 재활용 되며 처리되는 재 중의 PCDD/PCDF( 다이옥신류) 도 저감된다. 공정은 물리적 선별 혹은 바닥재 숙성공정을 조합하여 적용되는 실정이다. 탄산화 처리공정은 자연숙성에 의한 방법, 인위적으로 CO 2 가스를 주입하여 숙성하는 방법이 있으 며, 자연숙성이란 자연 상태에서 대기중의 H 2O, CO 2 및 O 2 등과 반응을 통해 바닥재를 안정화하 는 것을 말한다. 바닥재의 재활용율이 높은 국가에서는 대부분 자연숙성을 통해 바닥재의 숙성을 통하여 바닥재를 안 정화하는 실정으로, 일반적으로 자연숙성은 보통 3 ~ 6 개월 정도가 소요되며, 바닥재의 안정화 반응은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Process Reaction Hydrostatic CaSO H O CaSO H O CaSO H O CaSO H O Oxidation Carbonation Al H O Al OH H Fe O H O Fe OH Fe O gamma Fe O alpha Fe O Fe S O FeSO SO Ca OH CO CaCO H O 51 52
제3장 제3장 국내의 경우 사업장폐기물인 소각재 ( 바닥재 ) 의 재활용 및 처리에 직접적인 관련이 되는 법규나 지침 등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반면, 이와 유사한 석탄재나 연소재 등의 부산물의 재활용 등에 대해서는 폐기물관리법 및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서 재활용 용도나 방법 등의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폐기물 관리법 제66 조 제3 항에 (2008 년 3 월 개정 ) 의거 사업장폐기물을 환경부령에 정한 용도 및 방법으로 재활용하는 경우의 그 용도 및 방법을 별표 17 에 제시하고 있다. 별표 17 의 제2 항에 서는 지정폐기물을 제외한 사업장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건축토목공사의 성토재보조기층재도로기층재 와 매립시설의 복토용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 재활용 대상물에 석탄재 및 연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재활용 용도는 관계 법령에 따라 인허가된 건축토목공사의 성토재보조기층재도로기층재 및 매립시 설의 복토용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만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재활용할 때에는 다음 의 사항 등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금속 목재 쓰레기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철강슬래그석탄재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5 조( 지정부산물 재출업자 의 준수사항) 에 따른 지침에 맞게 사용하여야 한다. 석탄재연탄재점토점결폐주물사무기성오니는 일반토사류나 건설폐재류를 재활용한 토사류를 부 피기준으로 50 퍼센트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토목공사 등의 성토재보조기층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토양환경보전법 제4 조의 2에 따른 토양오염 우려기준 이내이어야 한다. 매립시설의 복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표 11 제2 호 나목 2) 차) 의 규정 ( 매립시설의 복 토 기준) 에 적합하여야 한다. [ 별표 17]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 < 개정 2008.3.3> 폐기물의 재활용 용도 및 방법( 제66조제3 항 관련) 1.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제3조에 따른 에너지회수기준에 맞게 연료로 이용하는 경우 2. 지정폐기물을 제외한 사업장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건축 토목공사의 성토재 보조기층재 도로기층재와 매 립시설의 복토용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 가. 재활용 대상폐기물은 광재 분진 도자기조각 석탄재 연탄재 점토점결폐주물사 폐석회 폐석고 폐 내화물 폐콘크리트전주( 사업장일반폐기물만 해당한다), 석재가공과정이나 벤토나이트제조공정에서 발 생하는 폐석재, 레미콘제 조공정에서 발생하거나 건설현장에서 반품된 폐레미콘, 무기성 오니 [ 하수준설 토( 고형물 중 유기성 물질의 함량이 7 퍼센트 인 것만 해당한다), 토기 자기 내화물 시멘트 콘 크리트 석제품의 제조 및 가공시설 건설공사장의 세륜( 洗 輪 ) 시설, 수도사업용 정수시설, 비금속광물 분쇄 시설( 굴착시설을 포함한다) 또는 토사세척시설에서 발생하는 무기성 오니로서 수분함량 70퍼센트 로 탈수 건조한 것만 해당한다] 나. 재활용 용도는 관계 법령에 따라 인 허가된 건축 토목공사의 성토재 보조기층재 도로기층재 및 매 립시설의 복토용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다만, 농지 저지대 연약지반 등에 이용할 때에는 시 도지사가 별도로인정하는 경우만 해당하고, 폐석회 폐석고는 공유수면( 바다만 해당한다. 같 다) 의 매립면허를 받은 지역( 매립공사 준공인가를 받은 지역을 포함하고, 매립면허나 매립공사 준공인가 를 받은 지역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포함한다. 같다) 의 성토재 또는 바다에 접한 매립시설의 복토 재만해당한다. 다. 재활용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금속 목재 쓰레기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2) 철강슬래그 석탄재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른 지침에 맞게 사용하 여야 한다. 3) 석탄재 연탄재 점토점결폐주물사 무기성오니는 일반토사류나 건설폐재류를 재활용한 토사류를 부피 기준으로 50 퍼센트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건축 토목공사 등의 성토재 보조기층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토양환경보전법 제4조의2에 따른 토양오염 우려기준 이내이어야 한다. 5) 폐석회 폐석고를 재활용하는 경우 가) 공유수면의 매립면허를 받은 지역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공사표준시방기준 또는 개별공사시방서를 지키고 최상층은 일반토사층으로 하되 그 두께가 한다. 150센티미터 이상이어야 나) 재활용 대상폐기물은 별표 1 의 유해물질 함유기준 이내이어야 하며, 시험방법은 환경분야 시험 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1 항에 따른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따라야 한다. 53 54
제3장 제3장 다) 공유수면의 매립면허를 받은 지역의 성토재나 매립시설의 복토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별 파쇄 등의 중간처리 후 일반토사류 등과 혼합 중화하는 적절한 재활용공정을 거쳐야 한다. (1) 혼합 중화방법은 지형 여건, 환경 위해성 여부, 공사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반토사 류 등과 섞어 사용하거나 일정두께의 층별로 번갈아 사용하여야 한다. (2) 일반토사류 등과 혼합사용하는 경우 일반토사류 등의 비율을 부피기준으로 폐석회의 경우 80퍼센 트 이상, 폐석고의 경우 70 퍼센트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폐석회의 수소이온농도를 중성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선별 파쇄 혼합 중화 등의 재활용공정 시 새로운 부산물이 생성될 때에는 폐석회와 부산물의 환경영향을 검토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4) 매월 1 회 이상 침출수 수질, 지반안정도, 인근지역의 지하수 등을 측정하여 재활용신고기관에 보 고하여야 한다. 라) 재활용 시에는 침출수 수질로 인한 2 차 환경오염이 없고, 지반안정도 성토재유실 등의 영향이 없 도록 하여야 한다. 마) 재활용 물량은 재활용신고기관에서 정하는 물량으로 하되, 다)(4) 의 측정 결과 등을 고려하여 신고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이를 조정할 수 있다. 6) 매립시설의 복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표 11 제2호나목2) 차) 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3.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열분해시설에서 가스 유류 등 연료를 뽑아내거나 폐타이어를 매립시설의 차수재로 사용하는 경우 4. 약사법 에 따라 의료폐기물 중 태반을 원료로 하는 의약품의 제조허가를 받은 자가 그 원료로 이용하는 경우 5. 동식물성 잔재물, 유기성 오니, 폐식용유 및 음식료품의 제조 유통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재물을 농경지의 퇴비( 비료관리법 제4 조에 따른 공정규격에 맞는 원료 또는 제품인 경우만 해당한다) 나 가축 의 먹이로 사용하는 경우. 다만, 재활용하는 자의 농경지 및 가축에 재활용하는 경우만 해당하며, 비용을 받는 경우는 제외한다. 6. 분진을 가공하여 원래의 배출자에게 전량 원료로 제공하거나 분진 광재를 용융 추출 등의 방법으로 금속 을 회수하는 경우( 덩어리 알갱이 등의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7. 폐합성섬유를 선별 분쇄하여 섬유제품의 원료( 일정한 규격의 용기 또는 상자에 넣거나 포장하여야 한다) 로 가공하는 경우 8. 폐플라스틱을 재생원료( 일정한 규격의 용기 또는 상자에 넣거나 포장하여야 한다) 로 가공하거나 무게기준 으로 80 퍼센트( 건축자재용인 경우에는 60 퍼센트, 필름의 경우에는 50 퍼센트, 자동차용 자재인 경우에는 25 퍼센트) 이상 사용한 성형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9. 폐유리를 파쇄 분해하여 유리제품이나 건축 토목자재의 원료( 일정한 규격의용기 또는 상자에 넣거나 포 장하여야 한다) 로 가공하는 경우 10. 폐활성탄 폐촉매 폐흡착제 폐흡수제 및 안정화 고형화 처리물을 원래의 용도로 재활용하거나 해당 제 품의 제조원료( 일정한 규격의 용기 또는 상자에넣거나 포장하여야 한다) 로 가공하는 경우 11. 폐타이어 폐고무벨트 등 폐고무( 폐합성고무를 포함한다) 를 재활용하여 재생고무 고무바닥재 등의 고무 제품을 제조하거나 활성탄 또는 고무제품의 제조원료( 일정한 규격의 용기 또는 상자에 넣거나 포장하여야 한다) 로 가공하는경우 12. 폐목재( 페인트 기름 방부제 등이 묻어 있는 폐목재는 제외한다) 또는 벌채 산지개간 건설공사 등으로 발생한 임목폐기물로 숯 활성탄 톱밥 열탄 등을 제조 또는 나무제품의 원료로 가공하거나 파쇄하여 제 초용 축사용 퇴비원료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13. 유기성 오니를 지렁이 등의 먹이로 사용하여 토지개량제를 만드는 경우 14. 폐산 폐알칼리( 수소이온농도 외의 오염물질이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3 에 따른 청정지역의 오염물질배출허용기준 이내인 경우만 해당한다) 를 하수도법 제2조제9호에 따 른 공공하수처리시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2조제12 호에 따른 수질오염 방지시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48조에 따른 폐수종말처리시설 또는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 용에 관한 법률 된 경우만 해당한다) 제2조제8 호에 따른 처리시설의 수처리제로 사용하는 경우( 수처리제의 수요자와 계약이 15. 폐자동차의 범퍼문짝본넷 등( " 폐자동차 " 라 한다) 또는 폐가전제품 ( 컴퓨터를 포함한다. 같다 ) 을 수리수선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폐자동차 ( 폐자동차 파쇄물을 포함한다 ), 폐가전제품, 폐형광등 또는 폐전지 ( 이산화망간리튬전지와 플루오르화탄소리튬전지는 제외한다 ) 를 파쇄용융추출 등의 방법으로 금속플라스틱유리 등 을 회수하는 경우 또는 파쇄물을 열이용하고 남은 잔재물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경우 16. 폐어망을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 조제 2호부터 제4 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환경시설의 미생물 담체로 사용하는 경우 17. 폐석회에 고화제( 固 化 劑 ) 토사 등을 혼합하여 다진 후 바다에 접한 매립시설의 차수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18. 철도 폐침목을 옥외계단용, 옥외바닥재용 또는 노반보강용 등으로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19. 이산화규소나 산화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폐촉매를 파쇄하여 시멘트 보강재나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는 경우 20. 철강제조공정 중 열간압연 ( 熱 間 壓 延 ) 공정, 연주 ( 連 鑄 ) 공정 또는 단조 ( 鍛 造 )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화철을 철강제품 원 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름 25밀리미터 로 선별하는 경우 21. 유기성 오니지정폐기물은 ( 제외한다 ) 를 고형화하거나 고화 처리하여 산업표준화법 제15 조에 따른 규격표시인증을 받 은 보도블럭 등 경량골재를 제조하거나 시멘트공장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탄화시켜 재활용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22. 석산에서 채석 시 발생하는 폐석분 토사 ( 수분함량 30 퍼센트 로 탈수건조한 것만 해당한다 ) 를 채석지역 내 하부복 구지저지대 등의 채움재로 사용하거나 무게기준으로 원료의 40 퍼센트 이상을 사용한 토목건축자재로 가공하는 경우 23. 음식물류 폐기물을 탄화시켜 흡착제를 제조하는 경우 24. 다른 사람의 사업장폐기물 (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물체만 해당한다 ) 을 수리수선하여 같은 용도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경우 ( 수리수선하는 과정에서 지정폐기물이나 특정대기수질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아니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25. 다른 사업장의 폐주물사를 주물사로 다시 사용하거나 금속용융로에 첨가제 부원료 등으로 투입하는 경우 26.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폐기물 종류와 용도 및 방법을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55 56
제3장 제3장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를 활용하여 매립지 사용되는 복토재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 인다. 이미 국내외에서 하수슬러지 등을 이용한 복토재 원료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 는 실정이다. 현재 하수슬러지를 첨가한 복토재 원료 실험결과 복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따라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바닥재를 활용한 복토재 원료로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 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토용 골재로서 순환골재를 사용할 경우 안정성 여부 등 현장조건에 대해서 충분한 조사를 실시한 후 환경오염우려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적용하여야 한다. 복토용에 대한 물리적인 품질은 본 기준에서 특별하게 규정하지 않았다. 대상 공사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관련 법 및 시방서에서 복토 에 대한 별도의 품질 규정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공사의 시방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복토를 실시할 경우 사용하는 재료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양환경보 전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기준을 따르도록 하였다. 토양환경보전법 제4 조의 2에서는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물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의 기준 ( " 우려 기준" 이라 한다) 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동 시행규칙 제1조의 4항에서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규정하여 해당 용도로 복토를 실시할 경우 용출에 대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 규 제 물 질 가 지역 나 지역 비 고 카 드 뮴 1.5 12 구 리 50 200 비 소 6 20 수 은 4 16 납 100 400 6가 크롬 4 12 아 연 300 800 니 켈 40 160 불 소 400 800 유기인화합물 10 3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12 시 안 2 120 페 놀 4 20 고 있다.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은 KS F 2576( 재생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방법 ) 에 의하여 목재, 천조각 등의 유기이물질 시험결과, 총 골재용적의 1% 로 제한하였다. 건설공사 유류( 동 식물성 제외) 벤젠톨루엔에틸벤젠 크실렌 석유계총탄화수소 80 2000 및 그 외의 토지의 형질 변경등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실시하는 복토용 재료에 대한 기준과 미국 EPA 에서 규정한 복토재의 기준을 아래 표들에 나타내었다. 트리클로로에틸렌 8 40 테트라클로로에틸렌 4 24 이물질 함유량 (%, 부피기준) 1.0 비고] 1. 가지역 : 지적법에 의한 지목이 전답대과수원목장용지임야학교용지하천 수 도용지공원체육용지 ( 수목 잔디 식생지에 한한다) 2. 나지역 : 지적법에 의한 지목이 공장용지 도로 철도용지 및 잡종지인 지역 3. 다음 각목의 1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목 구분에 관계없이 나지역의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적용한다. 가.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이 설치된 경우 나. 가지역에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또는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 가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토양오염 사고가 발생한 경우 출처] 순환골재품질기준, 2005, 건설교통부 57 58
제3장 제3장 일반적으로 매립시설 복토용이라함은 일반 복토용과 달리 폐기물관리법의 관리기준을 적용받는 것으 로 폐기물 및 기타 매립시설의 상부를 덮는 행위를 말한다. 건설폐기물 중 침출수의 발생으로 주변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되는 건설폐재류만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차수시설, 집수시설, 침출수 유량조정조, 침출수 처리시설, 가스소각시설 및 사전연료화 처리시설을 갖추지 아니한 매립시설에 항 목 기 준 Liquid Limit 50% Plasticity Index 25% Maximum dry density 1.5t/m3 이상 Porosity 42% 매립할 수 있도록 폐기물 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Content of organic clay and mud Small quantity 매립시설에 대한 관리기준은 폐기물관리법 및 동시행령, 동시행규칙에 의한 중금속 용출 등의 관리 를 받는다. 매립 시설 복토재의 두께는 매립작업 종료 후 투수성이 낮은 양질의 흙과 순환골재를 혼합 사용하여 일일 복토할 경우 150 mm 이상으로 하며, 매립작업이 7일 이상 중단될 때에는 노출 된 매립층의 표면 부분에 300 mm 이상의 두께로 다져 기울기가 2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중간 복토를 하여야 한다. 복토용 재료의 별도 입도 규정은 없으며 최종적인 차단층의 투수계수가 1 10 7 cm /sec 가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규 제 물 질 허 용 기 준 납(Pb) 또는 그 화합물 3.0 구리(Cu) 또는 그 화합물 3.0 비소(As) 또는 그 화합물 1.5 수은(Hg) 또는 그 화합물 0.005 카드뮴(Cd) 또는 그화합물 0.3 6 가크롬(Cr6+) 1.5 시안화합물(CN) 1.0 트리클로로에틸렌(TCE) 0.3 테트라클로로에틸렌(DCE) 0.1 유기인화합물(P) 1.0 기름성분(%) 5 단, 매립시설의 복토용으로 시공할 경우 작업 종료 후, 기울기 2%, 투수계수 1 10 7 cm/sec가 되도록 시공하 여야 한다. 출처] 순환골재품질기준, 2005, 건설교통부 토양오염우려기준( 제1조의5 관련) < 개정 2005.6.30> 물 질 가 지역 나 지역 카 드 뮴 구 비 수 납 리 소 은 6가크롬 아 니 불 연 켈 소 유기인화합물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시 페 안 놀 유류( 동 식물성 제외)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BTEX) 석유계총탄화수소(TPH)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1.5 50 6 4 100 4 300 40 400 10 2 4 500 8 4 ( 단위 : mg/ kg) 12 200 20 16 400 12 800 160 800 30 12 120 20 80 2,000 비고 1. 가지역 : 지적법 에 의한 지목이 전 답 대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학교용지 하천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수목 잔디 식생지에 한한다) 유원지 종교용지 및 사적지인 지역 2. 나지역 : 지적법 에 의한 지목이 공장용지 도로 철도용지 및 잡종지인 지역 3. 다음 각목의 1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목 구분에 관계없이 나지역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적용한다. 가.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이 설치된 경우 나. 가지역에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또는 유류[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BTEX) 항목에 한한 다] 에 의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 가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40 24 59 60
제3장 제3장 명 칭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벽돌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 조 제5 호의 규정에 의한 재활용제품은 별표 1에 규정 하고 있으며, 별표 1의 제6 항에 고로슬래그 석탄재 광재 분진 연소재 석분오니 소각잔재물 또는 폐주물사를 사용하여 제조한 제품 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석탄재광재분진연소재 또는 소각잔재물을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40 퍼센트 이상 사용한 요 업제품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GR F 4001, 1998년 12월 23일 이 규격은 폐주물사를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60% 이상, 석탄재, 광재, 분진, 연소재, 소각잔 재물, 콘크리트 등을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50% 이상을 사용한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벽돌 ( 벽돌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석탄재광재분진연소재 또는 소각잔재물을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50 퍼센트 이상 사용한 토 압축강도 N/ mm2{ kgf/ cm2} 동결융해 후 압축강도( 1 ) N/ mm2{ kgf/ cm2} 흡수율 % 목 건축자재 시멘트대체재로서 석탄재, 고로슬래그를 중량기준으로 시멘트 소요량의 5퍼센트 이상 사용한 레미콘 및 건축자재 ( 시멘트대체재로 사용되는 석탄재는 KS L 5405 또는 KS L 5211 에 적 합한 것이어야 하며, 고로슬래그는 KS F 2563 또는 KS L 5210 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 다) 한편, 별표 1에 규정된 재활용 제품 중에서 기술표준원장이 정하여 공고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우수 재활용 제품에 대한 국가 인증마크 (GR, Good Recycled) 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개 발 및 생산된 제품을 철저히 시험분석 평가한 후 우수제품에 대하여 부여하는 인증제도로서 국제적 규격기준과 동등 이상으로 제정하여 단계별로 국가 규격화 하고, 재활용 제품의 품질 일류화를 유 도하고 있다. 현재 GR 인증된 재활용 제품 중에서 소각재 또는 이와 유사한 폐기물 등을 원료로 이용한 재활용 제품의 GR 인증현황을 정리하면 다음 표들과 같다. 주로 재활용 골재 ( 폐주물사, 석탄재, 광재, 분 진, 연소재, 소각 잔재물, 콘크리트 등이 적정한 공정을 거쳐 생성된 골재의 총칭으로 골재 관련규 격에 적합한 골재를 말함) 를 이용한 재활용 제품으로 GR 분야로는 폐요업 분야가 주 대상이다. 품질기준 명 칭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품질기준 8{ 82} 이상 8{ 82} 이상 10 주 ( 1) 동결융해후 전 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시험은 1. GR마크 표시 인증심사 및 사후관리시 2. 규격 개정으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함. GR F 4002, 1998년 12월 23일 재활용 골재 속빈 콘크리트 벽돌 이 규격은 폐주물사를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60% 이상, 석탄재, 광재, 분진 연소재, 소각잔재 물, 콘크리트 등을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50% 이상을 사용한 재활용 골재 속빈 콘크리트 블 록1( 블록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전 단면적( 2 ) 에 대한 압축강도 N/ mm2( kgf/ cm2) 동결융해 후 전 단면적( 3 ) 에 대한 압축강도 N/ mm2( kgf/ cm2) 흡 수 율 % 8{82} 이상 8{82} 이상 10 주( 2) 전 단면적이란 가압면( 길이치수 두께치수) 으로서, 속빈 부분 및 양끝의 오목하게 들 어간 부분의 면적도 포함한다. ( 3) 동결융해후 전 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시험은 1. GR마크 표시 인증심사 및 사후관리시 2. 규격 개정으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함. 61 62
제3장 제3장 명 칭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품질기준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호안 블록 GR F 4004, 1999년 9월 16일 이 규격은 주로 조립에 의해 친수ㆍ하천이용, 생태계 보전, 경관 보전 등의 환경 호안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호안 블록( 블록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한 도 구 분 표면에 노출하는 부분 표면에 노출하지 않은 부분 기 포 잔 금 가 기 지름 5~10 mm, 깊이 10mm 10 10cm2에 5개 이내 길이 30 mm, 폭 0.25 mm, 전면( 全 面 ) 에 대해서 5개 이내 지름 5~15 mm, 깊이 15mm 10 10cm2에 10개 이내 길이 30 mm, 폭 0.25 mm, 전면( 全 面 ) 에 대해서 7개 이내 모 서 리 결 손 2cm2이내 1개소 까지 3cm2이내 2개소 까지 골 재 의 노 출 없을것 없을것 균 열 없을것 없을것 페이스트 누 출 변 길이의 ⅓이내 폭 20mm이내 변 길이 ⅔이내 폭 20mm이내 파 손 없을것 없을것 유색층의 벗겨짐 없을것 지름 10mm이내 1개소 까지 구 분 시편의 크기( mm) 압축강도 N/ mm2{ kgf/ cm2} 동결융해후의 압축강도( 5 ) N/ mm2{ kgf/ cm2} 100 100 100 50 50 50( 4 ) 100 100 100 50 50 50( 4) 기 본 형 및 이 형 블 록 1 종 2 종 시료평균 : 20.58{210} 이상 시료개개 : 17.64{180} 이상 시료평균 : 18.62{190} 이상 시료개개 : 15.68{160} 이상 시료평균 : 20.58{210} 이상 시료개개 : 17.64{180} 이상 시료평균 : 18.62{190} 이상 시료개개 : 15.68{160} 이상 흡 수 율 시료평균 7 이내, 시료개개 10이내 시료평균 : 23.52{240}이상 시료개개 : 20.58{210}이상 시료평균 : 21.56{220}이상 시료개개 : 18.62{190}이상 시료평균 : 23.52{240}이상 시료개개 : 20.58{210}이상 시료평균 : 21.56{220}이상 시료개개 : 18.62{190}이상 주 ( 4) 50 50 50mm 의 강도값은 100 100 100mm 강도를 기준으로 정한 수치이 다. ( 5) 동결 융해 시험 후의 압축 강도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및 사후 관리시, 규격 개정으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 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무게%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소각잔재물, 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무게% 이상 포함해야 한다. 명 칭 재활용 골재 보도차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품질기준 재활용 골재 사용량 GR F 4007, 2000년 4월 27일 이 규격은 주로 조립에 의해 보도, 차도, 광장, 주차장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블록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구 분 인터로킹블록 휨 강 도 N/ mm2{kgf/ cm2} 동결 융해 후의 휨강도( 3 )N/ mm2{kgf/ cm2} 개 개 흡 수 율 % 평 균 4.9 {50.0} 이상 4.9 {50.0} 이상 10 이내 7 이내 주( 3) 동결 융해 후의 휨강도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및 사후관리시, 규격 개정 으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무게%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소각잔재물, 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무게% 이상 포함해야 한다. 명 칭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멘홀 블록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재활용 골재 사용량 기 타 GR F 4012, 2000년 12월 15일 이 규격은 주로 하수도 및 전기 통신용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철근 콘크리트 맨홀 블록 ( 맨홀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폐주물사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60 무게% 이상, 건설폐재 석 탄재ㆍ광재ㆍ분진ㆍ연소재ㆍ소각잔재물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 의 50 무게% 이상이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Cl) 량은 0.30kg/m3 이어야 한다. 다만, 주문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0.60kg/m3 로 해도 된다. 63 64
제3장 제3장 명 칭 재활용 골재 철근 콘크리트 케이블 트로프 명 칭 재활용 골재 철근 콘크리트 근가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11, 2000년 12월 15일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13, 2001년 3월 14일 적용범위 이 규격은 지중, 지표 등에 설치하는 각종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철근 콘크리트 케이블 트로프의 몸체 및 뚜껑( 트로프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로 통신주 및 전주의 앵커부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철근 콘크리트 근가( 이 하 근가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품질기준 호 칭 몸 체 뚜 껑 동결융해시험후 압축강도( 1) 휨강도 하중 휨강도 하중 지간 L( mm) MPa(=N/ mm2) 70 5 15 95 120 4 24 145 150A 5 150B 4 175 150D 3 200A 5 30 200B 220 200C 단위 : kn{ kgf} 흡수율 250 280 18.0 이상 7% 이내 300 4 300C 330 330 370 400 25 450 430 430C 5 480 550 6 600 620 7 680 주( 1) 급속 동결 융해시험 후의 압축강도는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및 사후 관리시, 규격 개정으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실시한다. 품질기준 재활용 골재 사용량 기 타 호칭 구분 균열하중 kn 파괴하중 kn 지 간 L (m) 0.7 15.0이상 30.0이상 0.5 1.0 15.0이상 30.0이상 0.8 1.2 15.0이상 30.0이상 1.0 동결융해시험 후 압축강도( 1 ) MPa(=N/ mm2) 18.0이상 주( 1) 급속 동결 융해시험 후의 압축강도는 GR마크 표시 인증 심사 및 사후 관리 시, 규격 개정으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 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실시한다. 비 고 균열 하중이란, 근가에 폭 0.25mm 의 균열이 생겼을 때의 하중을 말하고, 파 괴하중이란 시험기가 표시한 최대하중을 말한다 폐주물사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60 무게% 이상, 건설폐재 석 탄재ㆍ광재ㆍ분진ㆍ연소재ㆍ소각잔재물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 의 50 무게% 이상이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Cl) 량은 0.30kg/m3 이어야 한다. 다만, 주문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0.60kg/m3 로 해도 된다. 명 칭 재활용 점토 벽돌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GR F 4014, 2001년 9월 21 일 개정 : 2004년 8월 25일 이 규격은 점토 등을 원료로 하고 석탄재광재분진연소재 또는 소각 잔재물, 폐수처리오 니, 석분오니, 폐석이 포함된 석분 등의 폐재료를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40퍼센트 이상 사 용하여 혼련, 성형, 건조, 소성시켜 만든 벽돌( 벽돌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폐주물사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의 60 무게% 이상, 건설폐재 석 탄재ㆍ광재ㆍ분진ㆍ연소재ㆍ소각잔재물의 경우 재활용 골재 사용량은 중량기준으로 원료 의 50 무게% 이상이어야 한다. 품질기준 품 질 종 흡 수 율(%) 류 1 종 2 종 3 종 10 13 15 기 타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염소이온(Cl ) 량은 0.30 kg/ m3 이어야 한다. 다만, 주문자의 승 인을 얻은 경우에는 0.60 kg/ m3로 해도 된다. 압축 강도(N/ mm2) 22.54이상 20.59 이상 10.78 이상 65 66
제3장 제3장 명 칭 재활용 골재 소파 콘크리트 블록 명 칭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15, 2001년 12월 24일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17, 2001년 12월 24일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로 항만, 해안 및 하천 시설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소파 콘크리트 블록( 이 하 소파 블록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로 도로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중앙 분리대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품질기준 단위 : N/mm 2 구 분 압축 강도 동결 융해 시험 후의 압축 강도( 4) 소파 블록 21 이상 21 이상 주( 4) 동결 융해 후의 압축 강도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또는 사후 관리시, 규 격 개정으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품질기준 구 분 압축 강도 동결 융해시험 후의 압축 강도( 3 ) 중앙분리대 24 이상 24 이상 단위 : N/mm 2 주( 3) 동결 융해 후의 압축 강도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또는 사후 관리시, 규 격 개정으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명 칭 재활용 골재 보도용 콘크리트 판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품질기준 GR F 4016, 2001년 12월 24일 이 규격은 주로 보도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보도용 콘크리트 판( 판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구 분 파괴 하중 보도용 콘크리트판 동결 융해 시험 후의 파괴 하중( 3 ) 흡수율 (%) 단위 : kn 평 균 개 개 12 이상 12 이상 7 10 주( 3) 동결 융해 후의 파괴 하중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또는 사후 관리시, 규 격 개정으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명 칭 재활용 골재 보도용 맨홀 뚜껑 및 틀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품질기준 GR F 4018, 2001년 12월 24일 이 규격은 주로 상하수도의 맨홀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보도용 맨홀 뚜껑 및 틀( 뚜껑 및 틀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종 류 압축 강도 N/mm 2 정하중 시험 N 충 전 재 18 이상 뚜 껑 50 000 이상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67 68
제3장 제3장 명 칭 재활용 골재 출입 차단용 지주 명 칭 재활용 골재 프리케스트 철근 콘크리트 암거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19, 2001년 12월 24일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GR F 4024, 2002년 12월 30일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로 보도, 자전거 전용 도로 등의 차량 출입 차단에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출 입 차단용 지주( 볼라드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적용범위 이 규격은 주로 도로의 지중에 매설되는 통로, 수로 등으로 사용하는 재활용 골재 프리캐 스트 철근 콘크리트 암거 ( 암거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품질기준 콘크리트 충전재 압축 강도 N/mm 2 브리넬 경도 H.B 압괴 강도 N/mm 2 본체 및 받침대의 외피 인장 강도 N/mm 2 최대 하중 N 항절 시험 휨 mm 18 이상 223 196 이상 200 이상 9 000 이상 4.5이상 품질기준 동결 융해 시험 후의 압축 강도 시편의 크기 mm 100 100 100 기본형 및 이형 암거 RCA종 및 RCB종 시료 평균 : 35.0Mpa 이상 시료 개개 : 30.0Mpa 이상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기 타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염소 이온(CI) 량으로서 0.3kg/m³ 이어야 한다. 명 칭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인공 어초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GR F 4022, 2001년 12월 24 일, 개정 : 2005년 2월 15일 이 규격은 해안의 구조물로 어업자원의 산란장, 치어 성숙장, 서식장 및 해중림에 사용되 는 재활용 골재 콘크리트 인공 어초( 어초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단위 : MPa 명 칭 재활용재를 이용한 수목 보호 덮개 및 받침틀 GR 인증번호 및 인증 일시 적용범위 GR F 4027, 2002년 12월 30일 이 규격은 주로 수목의 보호에 사용되는 재활용재를 이용한 수목 보호 덮개 및 받침틀( 이 하 덮개 및 받침틀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한다. 구 분 압축 강도 동결 융해 시험 후의 압축 강도( 3 ) 품질기준 인공 어초 21 이상 21 이상 주(3) 동결 융해 후의 압축 강도 시험은 GR 마크 표시 인증 심사 또는 사후 관리시, 규격 개정으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여 특히 필 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품질기준 종 류 인장 강도 (N/mm 2 ) 내 력 (N/mm 2 ) 연신율 (%) 경 도 (HB) 휨 강도 (N/mm 2 ) 덮 개 450 이상 280 이상 10 이상 140~210 받침틀 5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원료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 석분 오니, 폐수처리 오니, 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원료 사용량의 50질 량% 이상 사용하여야 한다. 재활용 골재 사용량 재활용 골재는 폐주물사의 경우 골재 사용량의 60 질량% 이상, 석탄재ㆍ광재 ㆍ분진ㆍ연소 재ㆍ 소각 잔재물폐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골재 사용량의 50 질량%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기 타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염소 이온(CI) 량으로서 0.3kg/m³ 이어야 한다.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