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0000 금속공사
|
|
- 동윤 강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아셈타워 프리미엄 오피스 조성공사 [ 시방서 ] COEX 기술지원팀
2 시방서(전체 목록표) 0100 공사의 개요 0110 공무행정 및 제출물 0120 서류 및 공정 관련사항 0130 품질관리 0140 안전보건 및 환경관리 0150 자재의 일반사항 0210 가설공사 0220 철거공사 0330 미장 공사 0340 셀프레벨링재 바름 0410 모르타르 방수 0420 도막방수 0510 금속공사 일반 I (철+비속금속) 0515 금속공사 일반 II (경금속) 0525 긴결 및 고정철물 0530 금속 구조재 구조틀 공사 0535 금속 기성 및 제작 설치공사 0555 자동도어 설치 0565 금속 창호공사 0570 금속제 창호 철물 0610 경량벽체공사 0620 경량천장공사 I 0630 경량천장공사 II 0660 화장실 칸막이 공사 0710 목공사 일반사항 0720 목공사 1_문 &문틀공사 0810/20 창호철물 및 창호공사 유리공사 1010 도장공사 1210 석재공사 1220 타일공사 1350 가구제작 3220 SIGN 제작 4000 전기 및 통신, 소방 공사 5000 기계설비공사
3 SECTION 프리미엄 오피스 조성공사의 개요 제1절 공사의 개요 1.1공사개요 공사명:아셈타워 프리미엄 오피스 조성공사 공사범위 1) 이미지월 개조공사 : 시공 상세도에 따라 시공 계획서 및 각 재료의 샘플을 제시하고,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에 대한부분과 공정과 최종 마감의 목업 3단가지 이상 제시 2) 인포메이션 데스크 : 스피드게이트 통제시스템 및 안내데스크의 기능을 감안 수납공간 등 제시 3) 싸인물 개조공사 : 코엑스 CI 매뉴얼에 따라 색상 및 모양을 이해와 샘플제시 후 승인 필 4) 벽면 LED 조명공사 : 라인 조명공사의 경우 마감재 샘플제시 후 승인사항 5) 라운지 조성 : 색상 및 재질은 스펙시준을 참고하여 동등 이상의 사양 협의후 시공 6) 에스컬레이터 주위 개선공사 : 도면 및 시방서 등을 참고하여 시공 7) 1층 화장실 개선공사 : 세면대 및 큐비클칸막이, 벽, 바닥 등 마감재의 색상과 재질은 스펙을 기준으로 동등 이상의 제품을 승인을 득하고 시공 8) 스피드게이트 : 별도 도면 및 시방서 등을 참조하여 스펙기준 동등이상의 사양을 충촉하여야 한다 공사기간 : 발주일부터 2개월 이내 하자기간 : 준공일부터 1년간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본 특기 시방서(이하 시방서라고 함)는 아셈타워 프리미엄 오피스 조성공사 에 적용한다 시방서에 기재된 이외의 사항은 건교부 제정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이하 표준 시방서 라 한다)에 따른다 시방서 이외의 공사 진행 중 감독원의 별도 지시사항도 시방서로 간주한다 시방서는 일반시방, 자재시방 및 특기시방을 포함한다 시방서에 정한 공사 이외의 타 공사와 관련되는 공사사항은 각기 그 해당공사 설계도서에 따른다 시방에 표기된 설계도서라 함은 설계도면, 시방서, 내역서 및 관련서류 등으로 함 도면과 시방서의 내용이 상이하거나 명기가 없는 등의 의문이 제기 되었을 경우 공사 관련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이미지월 및 카펫, 의자, 화장실 등 각 3가지 이상 마감재 MOCK-UP을 제작하여 승인 후 시공 주요내용(공사내역 및 시방서, 설계도면 등 참조)
4 SECTION 공무행정 및 제출물 제1절 일반사항 1.1 비치 및 제출 1) 수급인은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공무행정에 관한 서류를 사실과 그 증빙자료에 의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2) 수급인은 공무행정서류 중 상시 비치를 요하는 서류는 건설공사 중에 발주자가 수시로 열람할 수 있도록 현장사무소에 항상 비치하여야 한다. 3) 수급인은 공무행정서류 중 제출을 요하는 서류를 지정된 제출시기에 지정된 부수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2 제출 절차 작성 및 확인 1) 수급인이 제출하는 각 제출물은 설계서의 내용 및 현장조건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또한 타 수급인, 자재 납품업체(지급자재 납품자재를 포함 한다), 작업자, 관련 기관과 협의, 조정한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2) 수급인은 각 제출물에 대하여 계약문서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제출물에 서명 또는 날인하여 담당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규격 1) 서류의 규격은 정부 또는 발주자의 지정 양식을 제외하고는 수급인이 내용의 성격에 따라 임의로 정하여 작성하되, 표지는 A4 용지에 세로로 작성하고 내용물은 A4 크기로 정리, 좌철 하는 것을 기준 한다. 2) 제출서류는 건별로 제출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명기하며, 비치서류는 건별로 작성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명기한다 추가서류 및 변경 담당원은 공사의 원활한 진행 등을 위해 제출물의 제출 부수의 추가 제출시기의 변경 또는 본 시방서에 명시되지 않은 제출물의 제출과 기록유지를 요구할 수 있으며, 수급인은 이에 따라야 한다 내용 변경 수급인은 모든 제출물에 대하여 그것의 주요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는 사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지체 없이 관련되는 제출물을 재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미제출시의 제한 이 시방서가 정한 제출물을 담당원에게 제출하지 않고서는 담당원의 승인 또는 확인을 받을 수 없으며, 해당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공사 관련자의 전파교육
5 수급인은 담당원에 확인한 제출물에 대하여 필요한 사항은 작업자 등 공사 관련자에게 전파교육을 시행하여 공사 시행상의 오류를 방지하여야 한다. 1.3 착공서류 착공신고서 제출 수급인은 공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계약 체결일로부터 7일 이내에 착공하고 착공신고서를 제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다만, 발주자가 착공시기를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야 한다 작성방법 필요한 서식에 따른다 첨부서류 1)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 2) 도급내역서 3) 공사 예정 공정표 4) 착공 전 사진 : 단지 전체의 상태, 지형 및 준공 후 보존되어야 할 시설물 등을 알아볼 수 있고, 촬영한 연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한다. 5) 손해보험증서 사본 제출시기 및 부수 공사 착공 3일 전까지, 각각 2부를 기준 한다. 1.4 공사 예정 공정표 1.3 착공서류 에 포함되는 공사 예정 공정표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수급인은 공사 예정 공정표를 PERT/CPM 등에 의한 공정계획서로 제출한다. 2) 수급인이 예정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는 이 시방서에 명시된 요구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수급인이 제출하는 공사예정표에는 다음 사항이 명시되거나 첨부되어야 한다. 가.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 단계별(Activity) 착수시점과 완료시점 나.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 단계별 선 후 동시시행 등의 연관관계 다. 주공정선(Critical Path) 또는 주공정 공사의 목록 라. 주간 공정률(표) 마. 주요 제출물 제출 일정계획: 시공계획서, 시공 상세도면 및 견본 바. 사용자재 옥내 운반 일정계획 사. 기타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1.5 공사계획 서류 제출서류 1) 지급자재 수급요청서(공사 착공 후 15일 이내 제출) 수급인은 공사에 사용할 지급자재의 적기반입을 위하여 자재의 품명, 규격, 수량, 사용예정일 및 반입요청일 등을 포함한 지급자재 수급요청서를 공사 예정 공정표에 부합되도록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6 2) 지급자재 수급요청서(계획 변경시 제출) 지급자재 수급요청서는 필요한 서식에 따라서 작성하여 제출한다. 3) 공종별 인력 및 장비 투입계획서 수급인은 공사 예정 공정표에 부합되도록 공사를 위하여 투입할 공종별 기능 인력수, 소요 장비의 규격 및 수량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4) 하도급 시행계획서 가. 수급인은 하도급을 시행하기 전에 하도급 시행계획서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나. 하도급 시행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하도급 예정 업종 - 하도급 계획금액 - 하도급 계약 예정일 5) 현장기술자 조직표 수급인은 수급인 본사의 해당 현장 담당직원 조직표 및 현장기술자 조직표를 함께 제출, 구성한다. 1.6 시공계획서 시공계획서 제출 수급인은 각 절(Section)의 공사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담당원의 확인을 받은 후 공사를 착수하여야 한다 작성방법 수급인은 시공계획서에 아래 사항을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공사 개요 2) 시공관리 체제 3) 세부공정표(자재, 인력 및 장비계획을 포함한다) 4) 사용 재료 및 시공 결과의 품질 5) 공정단계별 시공법 및 양생계획 6) 품질관리 계획 : 품질관리조직, 관리목표 및 실시방법, 목표 미달 시 조치방안 등 7) 안전관리 계획 및 환경관리 계획 8) 교통소통 및 환경오염방지 대책 9) 타 공사, 관계기관, 타 공종과의 협의한 결과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항 10) 적합한 시공을 위하여 설계서의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한 사항 11) 기타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공사 관련 시방서 공사에 관련된 시방 종류는 이 시방서 각 절에 따른다 제출시기 및 부수 1) 제출시기 : 각 공종공사 착수 15일 전까지를 기준 한다.(담당원의 확인 기간 : 접수일로부터 7일간)
7 2) 부수 : 2부 수급인은 시공계획서가 변경될 때에 변경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1.7 시공 상세도면 제출 및 확인 1) 수급인(하수급인, 자재나 제품제조자를 포함한다)은 설계서 및 현장조건과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여 공사 수행상의 잘못 또는 부분 공사의 누락을 예방하고, 타 공사 수급인, 지급자재 납품자, 관련기관 및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로 인한 공사의 지연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공 상세도면을 작성하여야 한다. 2) 수급인은 작성한 시공 상세도면에 대하여 담당원의 확인을 받은 후에 당해 공사를 착수하여야 한다. 3) 수급인은 담당원의 확인을 받은 시공 상세도면을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 작성방법 시공 상세도면은 설계서(공사시방서, 설계도면, 현장설명서 및 물량내역서)의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상태를 명확히 표기하여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척, 도면 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명시하여야 한다 제출대상 시공 상세도면을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및 그것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이 시방서 각 절에 따른다 제출시기 및 부수 1) 제출시기 : 각 공종공사 착수 14~15일 전까지를 기준한다. 2) 부수 : 2부(CD 또는 출력물) 1.8 공사 사진 비치 및 제출 수급인은 공사 시공 중 마감재 시공 등으로 육안 검사가 불가능한 부분 또는 준공 후 해체되는 가설물 등에 대하여 수시로 부분 및 전경을 분명히 나타내는 사진을 정리한 사진첩을 상시 현장에 비치하여야 하며, 준공시 준공서류 에 의거해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9 신고 및 인 허가 신청서류 인 허가 사항은 발주자가 수행함을 원칙으로 하며, 수급인은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하여 인 허가 업무에 최대한 협조와 지원을 하여야 한다 공사일지 작성 작성방법 공사일지는 필요한 서식에 따라 작성한다 현황보고 월별 현황 1) 제출서류
8 가. 월별 공정률 및 수행공사 금액 나. 인력, 장비 및 자재 현황 다. 계약사항의 변경 및 계약금액의 조정내용 라. 공사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사진 마. 제출시기 및 부수 공정 현황보고 1) 제출서류 2) 제출시기 및 부수 1.12 기성검사원 및 준공검사원 검사원 제출 기성검사원 1) 제출서류 가. 기성검사원 나. 기성 부분 총괄내역서 다. 공사비 세부내역 라. 품질시험 검사성과 총괄표 2) 제출시기 및 부수 : 기성검사 요청시 각 2부 제출 3) 기성검사원 제출시 수급인이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가.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나. 공사일지 다.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라.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마. 관련 공무행정서류 기록 및 비치에 관한 사항 준공검사원 1) 제출서류 가. 준공검사원 나. 준공 부분 총괄내역서 다. 공사비 세부내역 라. 공사기록부 마. 품질시험 검사성과 총괄표 바.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 사. 제출시기 및 부수 2) 준공계 제출시 수급인이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가.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나. 공사일지 다.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라.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9 마. 준공 예비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3) 미준공시 계약상 준공예정일 미준공 확인서 및 사유서 1.13 설계변경 요청 설계변경 승인 요청 1) 제출서류 가. 변경 요청 공문 나. 변경 사유서 다. 변경 총괄표, 내역서 및 산출근거 라. 변경 설계도면 마. 기타 관련 증빙서류(관련 사진 등) 바. 제출시기 및 부수 공사기한 연기원 1) 제출서류 가. 공사기한 연기원 나. 연기사유 및 연기로 인한 주공정 지연일 산출근거 다. 공사중단사실 확인서 및 증빙자료(공사 중단으로 인한 공사기한 연기원 제출 시) 라. 기타 관련 증빙자료 마. 제출시기 및 부수 1.14 품질시험 검사 및 자재관련서류 사급자재 관련서류 1) 자재 선정 검토요청서 가. 공사용 자재(지급 자재는 제외한다) 선정을 위하여 제출하며, 이 요청서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제품자료 및 견본을 첨부하여야 한다. 나. 제출시기 및 부수 : 자재의 사용 또는 설치 15일 전까지 제출해야 하며 담당원의 승인기간은 접수받은 날로부터 7일간으로 한다. 2) 제품 자료 (1) 항에서 자재 선정 검토요청서 제출 시 첨부하여야 할 제품자료 의 요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제출 대상자재 : 제출 대상자재의 종류는 이 시방서 각 절의 해당 시방에 따른다. 나. 작성방법 - 자재 개요(모델명, 제조자명, 연락처) - 당해 자재가 설계서에 명시한 기준 등에 적합한 품질임을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증빙서류 중 하나 1 품질검사 전문기관이 발급한 시험성적서. 다만, 발급한 날로부터 3개월이 경과되지 않았고, 발주자 등 공공기관 사업장에서 담당원의 서명 날인을 받아 시험의뢰하여 발급받은 시험성적서에 한한다.
10 2 산업표준화법 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품임을 나타내는 서류 3 주택건설촉진법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질검사를 받았거나 품질을 인증 받은 자재임을 나타내는 서류 4 위 (가)항에 해당되지 않는 자재는 자재 제품 제조자가 작성한 품질관련 기술자료 - 자재 제조자의 시공 또는 설치시방서 - 설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서류. 적합하지 않을 경우는 자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서 및 현장여건의 조정 요구사항 - 기타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 시공 상세도면에는 설계서대로 시공키 위해 발주자와 협의 조건을 조정한다. 다. 증빙서류 사본 증빙서류가 사본일 경우는 현장대리인의 원본대조필 서명 날인을 기준한다. 3) 견본 (1)항에서 자재 선정 검토요청서 제출시 첨부하여야 할 견본 의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제출대상 자재 : 제출대상 자재의 종류는 이 시방서 각 절의 해당 시 방에 따른다. 나. 포함 사항 - 자재의 견본 - 해당 시방번호 및 품질기준 - 납품소요기간 - 기타 이 시방서의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다. 비치 : 선정된 자재의 견본은 반입되는 자재의 검수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담당자의 사무실 또는 수급인 사무실에 준공까지 비치한다. 다만, 비치가 불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견본에 대해서 협의하여 비치 기간을 단축하거나 아예 생략할 수 있다. 4) 품질시험 검사대장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별지 제38호 서식 참조 5) 품목별 시험 검사 작업일지 품목별 시험 검사 작업일지를 작성, 시험사 및 현장대리인이 날인하고,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 비치를 기준한다. 6) 품질검사 검사성과총괄표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별지 제39호 서식 참조 7) 주요 자재 검수부 공사용 주요 자재(지급 자재는 제외한다) 반입시마다 승인된 제출자료 및 견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품질시험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품목별로 종합 기록하여 비치한다. 8) 품질검사 전문기관 의뢰 시험대장
11 품질검사 전문기관에 의뢰 시험하여 발급받은 시험성과표 원본을 첨부하여 담당원의 확인 후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지급자재 관련서류 1) 지급자재 수급 요청서 2) 지급자재 수급 변경 요청서 3) 지급자재 수급부 : 별지 제14호 서식 에 따라서 지급자재 품목별 인수, 출고, 재고의 상태를 상시 기록하여 비치한다 하도급 관련서류 하도급 시행계획서 일부 하도급 승인신청서 1) 신청서류 가. 하도급 승인신청서 나. 하도급 사유서 다. 하도급 예정금액 라. 하도급 예정금액(하도급 비율) 마. 하수급인(예정)의 면허증 및 면허수첩 사본 바. 제출시기 및 부수 일부 하도급 통지서 1) 통지서류 가. 하도급계약 통지서(건설산업기본법 시행규칙 별지 제 23호 서식에 따른다.) 나. 하도급 계획서 다. 공사내역서 라. 예정공정표 마. 하도급 계약이행 보증서 사본 바. 하수급인 건설기술자 자격증 또는 건설기술경력증 사본(건설기술인협회 발급) 사. 하수급인 건설기술자 경력증명서(건설기술인협회 발급) 아. 하도급 대금 직접지급 동의서 자. 건설공사 시공관리대장 차. 통지시기 하도급 통지 전문공사 하도급 통지서 1) 통지서류 가. 하도급계약 통지서 나. 하도급 계약서 다. 하도급공사 내역서(원 하도급내역 대비표 포함) 라. 예정공정표 마. 전문건설업 면허(등록)수첩 사본 바. 하수급인 건설기술자 자격증 또는 건설기술경력증 사본(건설기술인협회 발급)
12 사. 하수급인 건설기술자 경력증명서(건설기술인협회 발급) 아. 하도급 대금 지급보증서 사본 자. 하도급 계약이행 보증서 사본 차. 하도급 대금 직접지금 동의서 카. 건설공사 시공관리대장 타. 통지시기 : 하도급 계약을 체결, 변경 또는 해지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월별 하도급 대금 및 노임 현금지급 명세표 건설공사 시공관리대장 1.16 안전관리 서류 안전일지 수급인이 자체 관리하며, 안전점검, 안전진단, 건설재해 전문기관의 지도, 안전검사, 안전보건교육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여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안전점검표 수급인은 1회/월, 기성검사원 및 준공검사원 제출 시에 안전점검표에 의거하여 안전점검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공사감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정기 안전점검 결과 수급인이 안전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정기 안전점검을 시행하였을 경우에는 점검결과 사본 2부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수급인은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세부 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사본을 기성검사원 및 준공검사원 제출 시 2부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 수급인은 공사가 준공되면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를 작성한다 준공서류 준공서류의 종류, 내용, 제출시기 및 부수는 준공서류에 따른다.
13 SECTION 서류 및 공정 관련사항 제1절 일반사항 1.1 물량산정 및 기성 1) 견적서에 적용되는 물량산정 방법은 설계도서 및 시방에 준하여 기술한바에 일치하여야 한다. 2) 기성은 노임, 자재비, 공구료, 장비료, 가설시설비, 설치비 등 공사에 들어간 모든 직접비용과 그에 대한 관리비 및 이윤을 포함한다. 1.2 기성 신청 절차 1) 기성 신청서를 필요한 부서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한다. 2) 시공업체는 기성 신청시 정리한 공정표를 함께 제출한다. 3) 담당원이 구체적인 자료를 요구하면, 그에 상응하는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4) 매회 제출시 자료 1부에 표지문서를 함께 제출한다. 신청번호 및 일련번호와 설명을 적은 자료, 목록 등을 나타낸다. 5) 신청서에는 아래 사항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가. 최근에 찍은 공사 사진 나. 제출시까지 정리된 공정표 다. 해외로부터 들여와야 하는 자재가 있을 경우, 해외에 그 제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증빙서 1.3 공사진행에 따른 협의안건 착공 전 협의안건 1) 계약 이행에 관한 건 2) 이행보증 및 보험증서 건 3) 계약도서 관련 건 4) 자재 리스트 및 공정표와 그 진행 계획 5) 현장에서의 결정사항, 제출사항, 대체품, 기성 신청서, 제안서 청구, 설계변경 및 계약관계 6) 종료 절차 7) 일정계획표 8) 보안 절차 9) 기성신청 절차
14 10) 시험 절차 11) 기록유지 절차 회의 내용에 따라 이행하고 회의 내용을 문서로 기록한다. 1.4 공정회의 1) 정기적으로 공정회의를 갖되 필요에 따라 비정기적인 회의도 갖는다. 2) 참석자 범위 : 담당원, 시공자 현장 대리인, 해당공사 담당자,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해당공사 협력업체 및 자재 공급업체 등 회의 의제와 관련된 담당자 3) 의제 가. 지난 회의록을 점검한다. 나. 공정진행 상황을 점검한다. 다. 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결정 라. 공정진행에 방해되는 문제점 마. 제출건에 대한 계획과 상황 바. 현장 외 제작과 그 반입계획 사. 공정표 점검 아. 늦어진 공정에 대한 회복 대책 자. 계획된 공정의 진행 현황 차. 공정조정 카. 품질관리 타. 설계변경으로 인한 공정변화 및 조정 파. 기타 공사에 관한 안건 4) 회의 내용을 기록하고 회의 내용에 따라 이행하고 회의 내용은 문서로 기록한다. 5) 회의를 통한 주요 지시, 결정 및 승인사항은 문서로 기록하여 각 담당자들의 확인을 거쳐야 하며 그러지 않은 경우는 효력을 발생하지 못한다. 1.5 공정표 1) 공정표는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 2) 시공사는 현장 공정계획을 수립, 시행에 있어 공정관리방식을 운용, 유지하여야 하며 착공일 이전에 현장사무실에 구비하여야 한다. 3) 공정계획에 수립, 관리 및 공정관리 운용을 위해 실무 경험이 풍부한 담당자가 공정관리를 진행하여야 한다. 4) 시공사는 착공 전에 공정표, 자재수급계획서 장비투입 계획, 노무동원계획 등 공사시공에 따른 제반사항을 작성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5) 선후 작업활동 순서와 상호 연관성을 설명하고, 현재의 작업활동 시작이 선행공정에
15 미치는 영향과 현작업의 종료가 후속작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점을 사전에 파악하여야 한다. 6) 공사의 각 작업활동은 앞뒤가 바뀌지 않게 작업순서에 따라 공정표를 짠다. 주요 기자재는 제출물을 제출하는 날짜, 되돌려 받는 날짜, 구매 날짜, 현장반입 날짜 등을 명기한다. 7) 수학적 분석 달력 날짜를 사용하여 상세한 다이어그램의 각 작업 활동을 도표화한다. 가. 선행작업과 후속작업의 관계성 나. 작업활동명 다. 작업활동의 예상기간 8) 완료된 작업의 실제 종료날짜 기록을 유지한다. 9) 각 작업활동의 완료날짜와 현재까지의 진행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공사의 현 상황을 잘 묘사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정리보완(Update)한다. 10) 준공날짜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대책을 지적한다. 11) 시공사가 변경을 제안할 경우, 변경에 따른 공정을 분류하여 제출한다. 12) 문제가 생긴 것, 지연이 예상되는 작업활동 등 공정계획에 지연을 초래하는 사항들을 설명하는 보고서를 그 회복 대책과 함께 제출한다. 1.6 공정관리 1) 시공사는 담당원이 지시하는 방법과 요령에 따라 공사의 공정을 철저히 관리하고, 성과 자료와 보고서를 제출한다. 2) 공사 중 공정계획표에 의한 공정추진이 부진할 경우, 담당원은 공기만회 대책수립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자는 공사부진 사유서와 수정공정표를 포함한 공기만회 계획에 대한 문제점을 작성하여 담당원에게 제출해야 한다. 1.7 설계도서 검토 1) 시공사는 공사 전에 설계도서를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며, 만약 설계도서에 잘못이 있을 때에는 담당원에게 보고하여 협의하여야 한다. 2) 시공사는 공사 시공시 필요한 현장 세부상세도(Shop Drawing) 및 도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설계도서를 담당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얻은 후 시공해야 한다. 1.8 작업시간 1) 시공사는 공사 시행의 편의상 작업시간을 연장 또는 단축하거나 야간작업을 시행할 때에는 미리 사전 협의하여 결정한다. 2) 담당원이 공사시행의 형편에 따라 작업시간의 연장과 단축, 야간 또는 휴일작업의
16 필요성을 인정하고 작업지시를 할 경우 그에 따른 제반사항을 협의하여 결정한다. 1.9 현장관리 1) 현장관리는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근로기준법, 근로안전관리규칙 및 기타 관계법규에 따라 이행해야 한다. 2) 공사현장이 서로 인접하여 있거나 동일 장소에서 시공하는 별도 공사가 있을 경우, 시공사는 상호 협조하여 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공정을 조정하여야 한다. 3) 시공사는 공사현장에서 일반인 및 근로자의 출입감시, 풍기와 보건 위생상의 단속, 화재, 도난, 보안, 기타 사고방지에 대하여 특히 유의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4) 시공사는 공사 시공 중에도 모든 자재를 항상 정리하여 현장 내외를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며 가설물의 철거, 기타 잔해 일체를 정리정돈 하여야 한다 노무관리 1) 시공사는 공사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각 공종별로 현장 동원 인력관리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2) 시공사는 근로자가 공사시행 또는 관리상 부적당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근로자를 교체하여 공사 진행상 문제점을 사전에 관리한다 자재관리 1) 현장에 반입된 자재를 시공사가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감독하여야 한다. 기술적인 사항은 특기시방서에 의거하며 모든 자재는 KS 제품이거나 동등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공사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의 품질, 규격, 수량 등은 관리대장에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3) 시공사는 담당원의 승인 없이 어떤 자재도 외부로 반출하여서는 안 되며, 부득이 반출시에는 사전승인을 얻은 후 반출하여야 한다. 4) 현장에 반입되는 자재는 현장 반입검사를 시행하여야 하며, 검사에 합격한 자재는 작업에 지장이 없는 장소에 정리하여 보관하고, 점검이 쉽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5) 현장 반입검사에 불합격된 제품은 지체 없이 공사현장으로부터 반출하여 불합격과 합격품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불합격품 반출시 반출확인서 및 반출확인 사진을 첨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6) 필요에 따라 자재시험을 요구할 경우 시공사는 공인된 기관에 의뢰하여 요구 품목에 대한 시험성적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7) 시공사는 건물 하자기간 내 동일제품과 색상으로 하자 보수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일정수량의 물량을 협의, 조정하여 준공시 건축주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17 1.12 공사의 중지 다음 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공사의 전부 혹은 일부의 중지를 명할 수 있다. 1) 공사 진행상 중대한 결함이 발생할 경우 2) 계획변경 또는 타 연관공사로 인해 공사진행이 도저히 불가능한 경우 3) 시공사가 설계도서 및 시방서에 따라 한 시공에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 4) 악천후로 시공에 중대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 5) 공사장 안전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6) 천재지변이나 재난으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7) 인근 구조물에 중대 재해발생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8) 건축공사에 대한 시공부위 문제점에 대해 선공정조치, 보수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9) 각 (2),(4),(6),(7),(8)항의 경우에는 공사기간을 협의하여야 한다 공사의 기록 1) 공사의 착수로부터 준공시까지의 작업공정, 진척상황, 시공법 및 시공정도, 기상조건, 시험성적, 안전보건 관리기록 등 공사 전반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록하여 관리한다. 2) 건축물 내부에 매몰하는 부분 및 현장에서 조합하는 재료의 배합, 강도 등 시공후 검사가 곤란한 부위는 담당원의 입회하에 모양, 치수, 품질 등을 확인하고 그 기록자료(검사보고서, 기록사진, 성적표 등)는 사진기록과 함께 서류로 보관한다 도면관리 1) 시공사는 설계도면에 따라 시공도(Shop Drawings)를 작성하여 시공에 앞서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시공사는 관련 도면의 보관에 만전을 기하여야 하며, 변경이 있을 때에는 변경사항, 변경일, 변경사유 등을 명확히 기입하여 설계상 즉시 반영하여 도면 및 서류로 정리 보고하여 담당원에게 제출한다. 3) 시공사는 설계도면 및 시방서에 명기되어 있지 않거나 내용이 서로 틀릴 때 담당원에게 서면 보고하여 협의한다. 4) 공사준공시 당초 설계된 도면을 기초로 실제 설치된 치수 및 변경내용을 설계상 반영하여 준공도면으로 완성하여야 하며 담당원에게 준공도면에 따른 도서를 제출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18 SECTION 품질관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실내건축에서 시공 및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대한 품질관리는 자재의 일반사항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성실하게 수행하고 시공과정에서 품질 좋은 공사를 이루기 위한 내용을 언급하며, 전기공사 및 통신공사 외 조경식재 및 가설물 설치, 철거공사는 해당 시방에 따른다. 1.2 품질 확인 1) 품질 좋은 공사를 이루기 위해 기자재 공급업체, 제조업체, 기자재서비스, 현장조건 및 숙련도 전반에 걸친 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2) 자재의 특징과 재질의 내용이 설계도서 및 시방의 요구조건에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3) 정밀오차가 특별히 요구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시방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품질 이상에 부합하여야 한다. 4) 좋은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 이상의 숙련자로 하여금 공사를 수행하도록 한다. 5) 정확한 현장실측을 통하여 시공 상세도와 치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6) 제작 설치시 재질의 변형 및 뒤틀림이 없도록 각 공정별 시방에 따라 성실히 이행한다. 1.3 오차의 한계 1)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조립 및 설치 오차를 점검하여 오차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의 정밀도를 높인다. 2) 자재의 시방에서 나타낸 오차의 한계를 준하되 설계도면에서 기재된 치수가 상이할 경우는 착수 전에 사전검토 후 협의하여 결정한다. 3) 필요시 자재나 기기를 고정시키기 전에 확인 후 조정하여 설치한다. 1.4 공사용 스틸테이프(자)의 통일 1)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사용되는 모든 스틸테이프(자)는 정부의 공인을 받은 동일 제조업체 제품으로 각자 실측의 오차를 줄인다. 2) 특히 금속의 가공 제작은 사용 중인 것과 동일한 것으로 통일하여 제작의 허용오차를 줄인다. 1.5 견본(Mock-up)시공 1) 프로젝트 내용에 따라 필요시 본공사를 진행하기 전에 하는 시공을 말한다.
19 2) 재료 및 색상, 공사품질, 시공방법 등 적합성 여부 및 실제 시공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방의 요구에 따라 시행하며 전반에 걸쳐 미비한 사항 또는 재질의 변경과 허용오차를 줄임으로써 공사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6 시험 및 자재검사의 표준 1)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을 위하여 자재의 시험성적표(시험결과보고서)가 필요할 시에는 설계도서 및 해당 시방서에 일치될 수 있도록 사전계획을 통해 자재 반입 전 후 수립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2)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소요 재료의 품질기준에 관한 자료와 진행 중 현장에서 시험테스트가 요구될 시에는 해당 종목에 맞는 시험기구 및 장비 등을 비치하여야 한다. 3) 재료 또는 공사의 특수성 등으로 국내에서 시험이 불가능할 경우와 수입 자재일 경우 외국 시험전문기관에 의뢰 또는 해당 자재에 대한 필요한 시험 성적서를 요구할 수 있다. 1.7 공사 품질관리 1) 시공자는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후속 공정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도록(자재 확인, 현장 작업여건, 작업공간 확보, 정리정돈 등) 사전준비작업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그 바탕 준비상태가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가를 확실하게 검사한다. 3) 각 공정의 시공을 위해 사전 시공 전에 바탕 표면을 깨끗이 한다. 4) 바탕 표면에 금이 갔거나 파인 곳이 있으면, 충분히 여건에 맞게 조치하여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5) 공정 단계별 각 공사부분은 자체검사 후 설계도서 및 시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6) 공사진행 중 변질, 파손, 부적합 하다고 판단할 때는 재시정 조치한다. 7) 시공 후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부분은 시공전에 사진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0 SECTION 안전 보건 및 환경관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실내건축의 안전 보건 및 환경관리에 관계되는 사항에 적용한다. 전기공사의 안전관리 및 통신공사의 안전관리는 건축 전기 설비공사 일반 또는 건축 정보통신 설비공사 일반에 따른다. 1.2 안전 보건 및 환경관리 안전관리 1) 공사장 내의 직원 및 작업인원 등의 통제, 안전, 위생 및 안전사고에 대하여 안전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사고 발생시 즉시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이의 미흡 또는 잘못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 손실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2) 공사 수행으로 인하여 인접한 주민은 물론 기타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계획 1) 건설기술관리법 제26조 2항, 시행령 제46조 3항, 시행규칙 제21조 3항에 의하여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안전관리를 수행한다. 2) 안전관리 계획은 공사착공 전 수립하고 상황에 따라 변경계획을 보완한다. 3) 공사안전 및 보완 유지를 위하여 공사장에 관계자외 불필요한 출입을 통제하여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4)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 공사장에 따라 공사금액(지급자재비 포함) 3억 이상 100억미만의 공사는 착공 14일 이내에 건설재해예방 전문기관과 기술지도 계약을 의뢰한다. 5) 안전작업환경 조성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가. 작업 개시 전 작업장 안전교육 실시 나. 안전관리자 순찰 점검 다. 개인 보호구 착용여부 확인 라. 물체 투하시 감시인 배치 마. 취중인 자 또는 허약자 작업금지 바. 응급처치용 구급품의 확보 사. 비상구(탈출구)에 물건 적재 금지 아. 현장 정리정돈 6) 기록유지
21 안전검검 및 검사에 관한 사항, 안전에 관한 행사 및 교육에 관한 사항, 기타 안전 보건에 관한 사항에 대한 이행결과와 조치내용을 안전일지에 기록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1.3 안전관리자 1) 안전관리자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가. 안전교육 계획 수립 및 실시 나. 공사장 순회점검 및 조치 다. 해빙기, 우기, 태풍기 및 건조기를 대비한 안전점검 및 조치 건의 라. 기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3조에 규정한 직무 2) 안전담당자를 지정하여 작업시간동안 상주시켜야 하며 당해 직무와 관련한 안전, 보건상의 업무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 1항 에 의거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가. 가설 설치 위치작업 나. 폭발성, 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의 취급작업 다. 밀폐장소, 습한 장소에서의 용접작업 라. 지보공( 支 保 工 ), 비계조립, 해체 및 변경작업 마. 산소결핍 장소에서의 작업 바. 높이 5m 이상에서의 조립, 해체 사. 가스용접 또는 아크용접 장치를 사용하는 용접, 용단 또는 가열작업 아. 물체 투하작업 자. 보일러실 전기 설비작업 차. 낙하의 위험성이 있는 곳 카. 기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1조 제1항 에 규정한 작업 3) 안전담당자는 직무 수행 중 필요시 작업을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가. 유해, 위험기구 및 설비에 대한 점검 나. 안전 시설환경 등의 점검 및 조치 다. 안전한 작업방법의 결정 및 조치 라. 복장 및 보호장구의 착용 여부 점검 마. 작업 개시 전에 작업내용에 따라 위험요인을 작업자에 주지시켜 사전에 예방한다. 바. 기타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 11조 제2항 3항에 규정한 임무 1.4 화재예방 관리자 화재예방 관리자는 휴대용 소화기 및 소방수, 비치상태를 점검, 유지하는 등의 화재예방 업무를 이행한다.
22 1.5 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법 에 의한 안전조치 사전예방을 위하여 다음 표의 내용을 준수한다. <표1>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조치 구분 소화설비(소화기, 방화용수 등) 경보 또는 연락용 장비 상수 통기 및 환기설비 각종 안전완장 안전리본, 흉장, 각종 안전스티커 적용 소화설비가 필요한 장소 낙하, 화재위험 등이 있는 작업장 분진의 확산방지 및 초기 진압용 옥내 용접 및 밀폐된 장소에서의 작업시 안전관리자 등 착용 필요한 장소 기타 기타 관계법령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 안전 가설작업 1)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 2) 위험부위 안전표시판 및 안전난간, 접근방지책 설치 3) 비계다리 등 가설통로에 안전난간 및 미끄럼방지시설 설치 4) 고소( 高 所 )에서 물체 투하 시 감시인 배치 5) 강우, 강풍 시 외부 가설공사 금지 6) 발코니 부위 안전난간대 설치 전기사고 예방대책 1) 위험시설물에 일반인 출입금지 2) 전선의 절연 피복상태 확인 후 손상된 부분은 즉시 교체 3) 전기용량 초과 사용금지 4) 옥외분전함의 덮개 및 빗물받이 차양 설치 5) 가설전선 침수 방지 및 바닥에 깔린 전선피복 보호조치 6) 고압선 통과부위 위험표지판 및 경고 안내문 설치 화재예방 대책 1) 전기 무단 사용금지 2) 페인트 등 인화성 물질 및 위험물 방지 3) 자재 보관 및 대기실 사용의 소방기구 비치 4) 현장사무실, 창고, 기타 공간에 소방기구 비치 안전 보건장구 각종 작업시 상응하는 적절한 안전 보건장구는 표2에 의거하여 사용한다.
23 <표2> 안전 보건장구 적용 내용 안전 보건장구 물체 낙하의 위험이 있는 작업 추락, 충돌, 감전 위험이 있는 작업 안전모 기타 유해 위험이 있는 작업 감전 우려, 각종 물체의 운반 낙하 위험이 있는 작업 안전화(발 발목 보호용의 가죽 충격,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제 및 고무제품) 기타 유해 위험이 있는 작업 2m 이상의 각종 고소작업 작업대, 난간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곳 안전대(부속물 포함) 각종 비계 발판 위 작업 난간에서 신체의 일부를 밖으로 내밀어야 하는 작업 용접용 치마, 석면포, 용접작업 토시, 재킷 일반 작업용 면장갑, 근로자의 손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작업 및 기타 일반 작업용 고무장갑 소량의 각종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 면마스크, 톱밥 등 각종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 방진마스크, 각종 유해가스 및 유해물질 발생 장소 방독마스크 유해한 광선에 노출되는 작업 차광안경 가스, 증기, 분진 등을 발산하는 작업 보호용 안경 소음 90dB 이상이 발생하는 취급작업 차음보호구(귀마개,귀덮개) 1.6 안전시설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부위에 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표3> 안전시설물 안전시설물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미끄럼방지시설 수직 개구부 보호덮개 (12mm 합판 및 동등이상의 덮개) 안전대 걸이용 로프 설치 접근금지 방지를 위한 횡선대 3열 이상 설치 2m마다 강관 지지대 설치 낙하물 보호시설 장비의 안전 장치류 기타 안전표시판 적용 부위 엘리베이터 개구부, 발코니 난간, 복도 난간, 계단 안전난간대 설치 비계다리, 가설통로, 기타 추락 위험이 있는 곳 PD, AD, DA 기타 위험한 개구부 건물 외벽(조적, 미장, 도장, 비계공사)의 위험성 있는 장소, 외부 경사면 작업시 지하구조물, 맨홀, 집수정, 슬래브 타공 부위 출입 통제가 필요한 장소 건물 출입구 상부, 호이스트 출입구 상부 등에 낙하물 보호시설 설치 분전함의 누전차단기 부착 전선 정리 둥근톱, 절단기 및 기타 안전장치류 부착 전기용접기의 안전 장치류 부착 접근 금지판 : 위험물저장소, 자재창고, 공동구, 전기 실 및 기타 안전 제일 표시판 : 건물 전 후 좌 우 각 1개 자재가 공 장소에 부착 무재해 기록판 및 안전수칙 : 현장사무실 앞 및 해당 기기류에 설치
24 1.7 안전점검 1) 공사기간 동안 매일 자체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며 우기 동절기에는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2)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6조 4항 규정에 의하여 정기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1.8 안전 보건교육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3조에 의해 당해 사업장의 근로자에게 교육을 실시한다. 1.9 안전일지 안전점검, 안전진단, 건설재해 전문기관의 지도, 안전검사, 안전 보건 교육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여 비치하여야 한다 안전관리비 1) 공사금액 체결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표준안전관리비는 공사금액과는 별도 산정되어야 한다. 2) 당해 공사에 사용해야 할 안전관리비의 실행 예산을 별도로 작성하여 안전관리비 집행내역 및 사진, 집행영수증, 기타 증명서류를 당해 공사현장에 비치, 보관한다 환경관리 계획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다음 사항을 포함한 환경관리 계획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소음 진동 대책 2) 분진 먼지 대책 3) 악취 위생 대책 4) 건설폐기물 대책 5)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실내공기질 관리법 수립 대책 소음 진동 대책 소음 진동규제법 제9조에 의거, 실내작업장 내에서는 작업시간 조정, 소음기 설치, 소음절감 대책을 감구하여 소음을 방지하여야 한다 분진 먼지 대책 현장여건에 맞게 분진, 먼지 발생요인을 그때 상황에 맞게 수시로 관리한다. 1) 현장 내의 폐자재는 수시로 정리정돈하며 필요에 따라 수시 또는 일일 작업완료 후 진공청소기로 분진, 먼지를 제거한다. 2) 자재 운반시 분진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포장 및 적정량을 운반, 정리정돈을 한다. 3) 작업장 내의 폐자재 발생요인을 억제하고 재활용품을 분리수거, 관리한다 건설폐기물 대책
25 공사 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이 건설교통부 고시 환경부 고시 및 건설교통부 제정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 지침 에 적합하고 종류별(특정 폐기물, 일반 폐기물), 처리형태별로 분리 수거되어 재활용을 촉진함에 있다. 1) 특정 폐기물 : 유류 사용 잔해,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질, 폐내화벽돌, 타일 및 위생도기편류, 시멘트 폐액, 기계세재 폐액, 석면류 2) 일반 폐기물 : 폐콘크리트, 폐벽돌, 폐목재, 철골 및 철근편류, 파이프, 철사, 고철류, 포장골판지, 벽지, 로프, 천연섬유류, 유리편류, 천연고무편류, 철거 폐재, 일반 잔토 등 제2절 실내공기질 관리법 2.1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실내공기질 관리법 에 대한 대책 1) 다중이용시설과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알맞게 유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실내공기질 관리법 에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다중이용시설 :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을 말한다. 나. 공동주택 : 건축법 제2조2항2호의 규정에 의한 공동주택을 말한다. 다. 오염물질 :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개소와 그에 따라 다니는 입자상물질 등으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라. 환경설비 : 실내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신선한 바깥공기를 실내로 끌어 들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설비 마. 공기정화기 : 실내공간의 오염물질을 없애거나 줄이는 설비로서 환경설비 안에 설치되거나, 환기설비와는 따로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3) 다중이용시설의 적용대상은 다음 각호의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의 것으로 한다. 가. 지하역사(출입통로, 대합실, 승강장 및 환승통로 등이 딸린 시설을 포함 한다) 나.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의한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대합실 다. 항공법에 의한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 라. 항만법에 의한 항만시설 중 대합실 마.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의한 도서관 바. 의료법에 의한 의료기관 사. 실내주차장 아. 철도역사의 대합실
26 자.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4) 공동주택의 적용대상은 각 호의 공동주택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상으로 신축되는 것으로 한다. 가. 아파트 나. 연립주택 5) 실내공기질 공정시험 방법은 환경부에서 오염물질을 측정할 때 정확하고 통일된 측정을 하기 위하여 시험 방법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6)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 가. 신축되는 공동주택이 100세대 이상일 경우 시공자는 시공이 완료된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를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하고 입주 개시 전에 입주민이 잘 볼 수 있는 장소에 60일간 공고하여야 한다. 나. 실내공기질의 특정항목, 방법, 측정결과의 제출, 공고시기, 장소 등에 관한 사항은 환경부령에 준한다. 다. 다중이용시설의 설치(기존 시설의 개보수 및 보수를 포함) 규정에 의하여 환경부장관이 고시한 기준치보다 오염물질 방출량이 많은 건축자재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2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1) 다중이용시설 (유지기준) <표4>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제3조 오염 물질 항목 PM10 CO2 HCHO 총부유세 다중이용시설 (μg/m3) (ppm) (μg/m3) (CFU/m3)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및 철도역사의 대합실(연면적 2000m2 이상),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연면적 1500m2 이상), 항만시설중 대합실 150 (연면적 5000m2 이상), 도서관 박물관 및 이하 미술관(연면적 3000m2 이상), 장례식장 및 찜질방(연면적 1000m2 이상), 대규모 점포 의료기관(연면적 2000m2 이상 또는 병상수 이하 이하 100개 이상), 국 공립보육시설(연면적 m2 이상), 국 공립 노인전문요양시설, 이하 이하 유료 노인전문 요양시설 및 노인전문 병원 (연면적 1000m2이상) 200 실내 주차장 (연면적 2000m2 이상) 이하 NIOSH :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 (ppm) 10 이하 25 이하
27 2) 다중이용시설(권고기준) (국립 직업 안전 보건 연구소) <표5> 실내공기질 권고 기준-제4조 오염물질 항목 NO2 Rn VOC 석면 오존 다중이용 시설 (μg/m3) (pci/l) (μg/m3) (개/cc) (ppm)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대합실 및 철도역사의 대합실(연면적 2000m2이상),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연면적 1500m2 이상), 항만시설중 대합실 500 (연면적 5000m2 이상), 이하 도서관 박물관 및 미술관(연면적 3000m2 이상), 장례식장 및 찜질방(연면적 1000m2 이상), 대규모 점포 의료기관(연면적 2000m2 이상 이하 4.0 이하 0.01 이하 이하 또는 병상수 100개 이상), 국 공립 보육시설(연면적 1000m2 이상), 400 국 공립 노인전문요양시설, 유료 이하 노인전문요양시설 및 노인전문 병원(연면적 1000m2 이상) 실내 주차장 (연면적 2000m2이상) 0.03 이하 1000 이하 0.08 이하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TVOC)을 말하며,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자세한 정의는 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서 정한다. 2.3 시설별 환기량 기준 시설별 산정 기준 환기횟수 (회/h) 이용인원당 환기량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실내체육시설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업무시설, 2이상 용도건축물, 공연장, 대규모점포, 지하상점가, 혼인예식장, 장례식장 0.3 이상 25 이상 0.5 이상 25 이상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 학원 0.7 이상 25 이상 실내 주차장 3 이상 30 이상 환기설비 용량기준은 내부 연면적당 및 이용인원당 계산되며, 계산값 중 높은 값을 환기시설 용량으로 한다.
28 2.4 건축자재 기준 1)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단위:mg/m2h) 오염물질 항목 접착제 일반 건자재 포름알데히드 4 이상 1.5 이상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질 10 이상 4 이상 1. 일반자재란 벽지, 도장재, 목재 및 기타 건축물 내부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말한다. 2. 오염물질 방출 기준이 있는 환경마크, 한국산업규격(KS) 등을 획득한 건축자재에 대해서는 해당 오염물질 측정을 제외할 수 있다. 2) 친환경 건축자재 품질 인증제 시행 가.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정도에 따라 인증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 나. 최우수, 우수, 양호, 일반으로 구분 인증 다. 친환경 건축자재의 생산 유도 및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 제공
29 SECTION 자재 일반사항 제1절 일반사항 1.1 자재 적용의 기준 1)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재료, 제품, 기기의 기타) 중에서 시방서를 포함한 설계서에 품질기준이 명기되어 있는 품목은 품질기준에 적합한 신품(가설용 자재는 제외)을 사용하여야 하며, 명시된 제품 및 자재는 이와 동일한 제품 이상의 성능과 품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다만, 해당 설계 및 시방에 품질기준이 명기되어 있지 않은 품목은 아래 순서에 따라 적합한 자재 를 우선으로 한다(적합한 자재는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한 제품 을 우선으로 한다). 가. 산업표준화법 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품(KS표시품) 나. 건설기술관리법 제25조 에 의한 품질검사 전문기관(건축, 토목, 설비, 조경일 경우) 또는 공인시험기관(전기설비, 통신설비일 경우)에서 산업표준화법 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KS 표준품과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다고 확인된 것 다.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다른 것과 균형이 유지되는 것으로서 품질 및 성능이 우수한 제품으로 사용한다. 라. 지정된 한국산업규격의 적용은 해당 단위 공종에 기준 한다. 1.2 자재 선정 및 사용 1) 공사에 사용할 예정인 자재는 1.1 자재 적용의 기준 내용에 기준하여 우선하고 품질, 색상, 무늬, 질감, 기능성이 요구되는 자재는 샘플 또는 관련자료, 자재 성능과 특징 등을 명시, 선정하여 사용한다. 2) 또한 하자 발생시 교체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을 감안하여 단일 제조업체의 단일 규격의 자재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1.3 자재 반입시기 공사에 사용할 예정인 자재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현장작업 예정상의 사용예정일 이전에 현장에 반입한다. 1.4 자재 접수 자재 반입시 각 공사의 목적에 따른 시방서 및 설계서에 요구하는 자재로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하며, 문제점이나 이의가 있는지 검수한다.
30 1) 납품서 2) 품질, 규격, 성능 및 수량 등 3) 설계서와의 적격 여부 및 제품자료, 견본과의 일치 여부 4) 납품기일(추가 반입되는 시기) 및 동일성 여부 5) 시험성과표 또는 품질검사확인서 1.5 자재 보관, 운반 및 취급 자재 보관 1) 반입자재는 그 품질과 공사의 적합성이 보장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이물질이 혼합되거나 자재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2) 보관된 자재는 보관 전과 작업 투입 전에 변질 또는 변형을 다시 검사할 수 있는 위치에 보관한다. 3) 자재는 준공 전후를 막론하고 변질, 손상, 오염, 뒤틀림, 변색 등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일체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보관, 운반, 취급하여야 한다. 4) 화기위험이 있는 자재는 다른 자재와 분리하여 보관하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취급한다. 5) 현장에 반입된 모든 자재는 인수, 출고, 재고상태를 자재관리 서류에 기록하여 공사완료 후에도 서류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31 SECTION 가설공사 제1절 일반사항 실내건축공사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공사 전반에 걸쳐 공통으로 필요한 가설시설물, 임시 보조시설 및 기타 작업 수행시 적용한다. 1) 공사 중 사용될 임시 공급시설물 및 임시 가설시설물 2) 임시 전기시설, 임시 조명시설, 임시 난방시설, 가설용수 3) 가설 공용 시공장비(예: 가설 환기시설 및 가설 화장실) 4) 임시 통제장치, 방호책 및 울타리, 안전시설물 5) 현장 정리정돈 6) 자재 양중 7) 자재 운반 및 폐자재 반출 8) 준공 청소 및 기타 1.1 먹줄 놓기 본 작업을 시행하기 전 단계로서, 실제 현장 작업장 내에서 기준선을 설정(바닥은 X,Y,Z 좌표를, 벽면은 파악하기 쉬운 1m 높이를 기준선으로 설정)하고 도면에 명기된 치수에 준하여 본 작업장에 1:1 비율로 도면을 그리는 과정으로, 도면과의 오차 치수는 조정, 협의하여 각 공정별 설치작업은 각 기준선을 바탕으로 이행한다. 1.2 내부 비계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을 작업할 때, 또는 임시 작업대 설치가 요구될 때를 감안하여 설치한다. 1) 이동식 비계 : 안전성과 이동의 용이성, 작업성을 감안하여 적용한다. 2) 내부작업용 비계 - 작업장소와 근접해서 작업하기 쉬운 높이와 넓이를 설정할 것 - 작업자 추락방지 및 재료, 도구의 낙하방지 등의 안전성 여부 검토 - 강도, 작업 충격에 따른 안전성 여부 - 작업자의 이동, 통행이 용이할 것 1.3 낙하물 방지 및 위험 방지 공사현장에서 낙하물에 의한 위험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경우는 낙하물 방호철망, 방호시트, 방호선반을 설치하여 통행의 안전에 만전을 기한다. 1) 방호철망 : 철망 13 내지 16의 것을 사용하며 아연도금한 철선으로 철선지름 0.9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15cm 이상 철망을 겹쳐대고 긴결
32 철물로 결속시켜 연결부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2) 방호시트 : 시트의 인장강도와 신축률이 적은 것을 사용하며 난연처리가된 소재를 적용한다. 3) 방호선반 : 시공하는 부분의 높이가 20m 이하의 높이일 때는 1단 이상, 20m 이상일 때는 2단 이상을 설치한다. 1.4 보양 공사 진행 중 설치물 또는 작업의 완료된 내용에 따라 파손, 훼손, 오손의 우려가 있는 부분과 특히 마감 재료의 오염방지가 필요한 곳에 보호 작업을 한다. 예1) 도어프레임 설치 후: 합판 또는 PVC 재료 보양지를 이용하여 1.5m까지 견고하게 보양한다.(도어 설치시 제거 후 재보양) 예2) 벽면 마감 완료 후 보양 요구 시: 비닐, 보양지 재료를 이용, 오손이 되지 않게 한다. 예3) 바닥 마감 공정 완료 시: 재료의 특징에 따라 합판, 보양시트, 보양지 등으로 파손, 손상되지 않게 보양한다. 1.5 가설 사무실 및 창고 1) 대형공사 또는 건축과 동시에 진행될 경우 협의하에 건물 내 외부에 별도의 가설공간 설치 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현장사무실 및 창고를 개설할 수 있다. 2)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어 마감 공정만 남았을 경우에는 현장 사무실을 현장 안으로 옮겨, 임시 업무를 볼 수 있는 형태의 사무실로 사용할 수 있다. 1.6 가설 전기공사 신설 1)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작업에 필요한 전력을 예상치보다 여유 있게 산정하여 과부하로 인한 전력의 과부족 현상이 없도록 임시동력 분전반 패널을 설치하여 운영한다(신축현장일 경우) 2) 현장내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사고 및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밝기는 목적에 맞게 설치, 운영한다. 3) 현장에는 m 2 당 최소한 21W 밝기 수준으로 안전망이 설치된 전등을 적용한다. 4) 정밀작업 및 기타 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밝기로 조명을 설치 작업한다. 5) 가설 조명은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높이를 유지하여 균일하게 설치한다. 6) 현장 바닥에 부득이하게 놓여지는 인입선 또는 작업연결선의 경우 피복이 손상되거나 합선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배선의 보호를 위해 전선관, 튜브, 목재 박스 등으로 보양하여 별도 관리한다.
33 1.7 가설 환기시설 1) 공사수행 중 작업의 효율성과 위생관리를 위해 임시 환기시설 설치를 말한다(예: 팬 설치, 특정 작업지점의 집중팬, 진공청소 시 흡입). 2) 자재의 양생, 습기의 분산, 작업으로 인한 먼지, 유해가스, 분진 등의 누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된 공간에 환기가 되도록 한다. 1.8 현장 정리정돈 현장의 위생관리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좋은 품질의 공사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현장은 쓰레기 없이 깨끗한 그리고 정돈이 잘 된 상태로 유지한다. 2) 손이 닿기 힘든 곳이나 후미진 틈새 또는 작업으로 막히는 곳은 사전에 쓰레기 및 먼지, 분진을 말끔히 제거하고 진공청소기로 흡입하여 위생관리에 최선을 다한다. 3) 최종 표면 마감공사를 하기 전에 내부공간을 쓸고 진공청소기로 깨끗하게 하고 먼지를 없애는데 최선을 다한다. 4) 현장 내의 쓰레기를 정기적으로 모아서 현장 외부로 배출한다. 5) 공사장 내의 적절한 위치에 지정 폐자재 및 쓰레기를 집결하고 정기적으로 현장 외부로 반출시켜야 한다. 또한 법으로 정한 소형 소각시설 외에서의 소각행위는 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9 자재 양중 1) 현장에 필요한 자재 및 기타 내용을 반입할 때는 작업 공정에 따라 각 공정에 필요한 자재를 단계적으로 종류, 중량, 규격에 따라 계획(양중계획서)을 수립하여 이행한다. 2) 양중된 각종 자재들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각 공정의 위치에 정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며 추후 타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을 파악하여 적재한다 준공 청소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각종 보양지를 제거하고 작업으로 인한 먼지, 분진, 이물질, 기타 쓰레기를 반복하여 점검, 청결하게 청소한다 준공 도면 공사완료 후 1차 투입된 도면과 공사완료 후 시행결과의 오차 또는 변경 사항을 작성하여 제출, 보관하여야 한다.(각종 인 허가에 관련된 서류 및 기타 필증서는 도서로 첨부하여야 한다.)
34 SECTION 철거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이 시방은 건축물의 실내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거나 실내 마감의 개보수를 목적으로 절단 또는 해체를 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철거 시공업자 건설업법에 의한 비계공사업 면허를 받고 해체공사업을 영위하는 자. 1.3 철거 폐기물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철거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잔재물, 폐자재, 금속재 및 토사 조적조, 콘크리트 잔해물 등을 포함한다. 제2절 철거공사 계획 2.1 현장조사 1) 철거공사 계획 전에 대상건물의 조사 및 인근 주변 환경의 조사 등 충분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철거건물의 조사는 건물 설계도에 의해 직접조사를 실시하고 설계도서가 없는 경우에는 실측에 의한 간접조사를 한다. 3) 주변 환경 조사에는 인근 건물, 거주자, 도로상황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2 철거 계획서 1) 철거를 시작하기 전 사전조사를 토대로 철거방법과 작업내용에 관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2) 철거공사는 철거대상 내용 및 시공조건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3) 철거공사에 뒤이어 재시공이 예정되어 있을 때는 시공 착수와 관련하여 철거공사의 시공순서와 병행하여 작업방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철거 시공업자는 정확한 공정계획을 수립하여 무리한 공사 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기존 시설물의 구조적 결함이 없는지 또는 철거로 인한 건물의 구조적 결함이 있을 시에는 구조계산서를 첨부하여 필요에 따라 구조 보강공사 후 철거작업에 착수한다.
35 제3절 철거 3.1 작업준비 1) 주변상황의 파악 공사수행시 소음, 진동, 분진, 해체분진의 비산, 낙하 등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며, 공사수행에 앞서 주변의 상황을 확인하여 주변상황에 적합한 작업을 하여야 한다. 2) 설비관계 인입배관의 철거 건물내에 인입되어 있는 전기, 전화, 가스, 하수도 등 주요 배관설비에 대한 봉인 및 사전조치, 안전도를 확인한 후 철거를 하여야 한다. 3) 반입 반출로 반입 반출로는 내 외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출입구 부분은 항상 정리정돈을 하며, 반입 반출시 필히 제3자의 안전에 유의한다. 3.2 해체 및 철거 1) 해체공사는 해체준비 및 계획에 근거하여 예정된 방법, 공기 및 예산 내에서 공사의 안전성과 능률성을 감안하여 수행한다. 2) 가연물이나 진동 등에 쉽게 낙하, 탈락 및 박리되기 쉬운 재료(내화 피복재 등)은 사전에 철거한다. 3) 기존 전기시설은 원분전반 메인에서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합선 및 누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4) 해체공사는 상부에서부터 바닥에 이르기까지 해체순서에 따라 해체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한다. 5) 부재형태로 해체할 때는 알맞은 크기로 나누어 해체한다. 6) 해체된 부분을 지지하는 벽체나 바닥 또는 골조에 과다한 하중이 부과되지 않게 해체한다. 제4절 공해 및 안전대책 4.1 공해대책 1) 해체공사시 소음, 진동, 분진 등은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 2) 먼지와 쓰레기가 비산하거나 흩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물 뿌리기, 또는 그 외의 적절한 조치를 한다. 4.2 안전대책 1) 철거공사는 공사의 성질상 위험을 수반하게 되므로 시공시에는 반드시 안전위생관리 계획서를 작성하여 안전에 대비한다.
36 2) 구조재의 부식상태 및 재료의 접합상태를 조사하여 예기치 않은 전도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재료의 특성을 조사하여 화재 방지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4) 기계를 사용해서 해체하는 경우는 구조적 안전성을 주의하여야 한다. 4.3 철거자재 처분 1) 철거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내 외장재 등의 해체 폐기물은 외부로 반출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처분하여야 한다. 2) 수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부품이나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은 해체공사 중 별도로 분리수거하여 처분한다. 3) 철거공사 기간이 1일 이상일 경우 해체 폐기물을 적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철거폐기물은 철거 폐자재 내용에 따라 필요차량을 선정하여 처분하여야 한다.
37 SECTION 미장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미장공사의 개요 미장( 美 粧 ) 재료는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 바닥, 천장 등에 미화, 보호, 방습, 방음 등을 목적으로 적당한 두께로 발라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는 마무리 두께로 도장 재료와 구분하였으나 현재는 도장 재료로 사용하는 퍼티를 개량해 미장 재료와 유사한 효과를 내는 제품이 많아 미장재료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미장공사는 건축물의 최종 마무리 또는 그 바탕이 되며, 그것이 잘 되고 못 됨에 따라 건축물의 완성도가 달라진다. 또한 공정상 최종 단계의 작업으로 공기 단축의 목표 공정이 되며, 시공 부분이 모두 노출되므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해야 한다. 1.2 주요 내용 1)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 2) 석고 플라스터 바름(DIVISION 3 - Section 0350 참조) 3) 인조석(테라조)바름(DIVISION 12 - Section 1230 참조) 1.3 참조 규격 한국산업규격(KS) KS A 5101 표준체 KS D 7017 용접철망 KS F 2426 주입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KS F 4552 메탈라스 KS L 5201 포클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클랜드 시멘트 KS L 5220 포클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9007 미장용 소석회 제2절 재료 고결재와 결합재, 혼화제 등으로 구성되며, 고결재는 공기 중 탄산가스의 작용으로 경화하는 기경성( 氣 硬 性 )과, 가수( 加 水 )에 의해 경화하는 수경성으로 분류된다. 2.1 고결재( 固 結 材 ) 재료 자체적으로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고화하여 미장 바름의 주체가 되는 재료를
38 말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기경성 미장 재료 가. 진흙질 : 진흙, 새벽흙 나. 석회질 : 회반죽, 회사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dolomite plaster) 2) 수경성 미장 재료 가. 석고질 : 석고 플라스터, 무수석고 플라스터 나. 시멘트 모르타르 다. 인조석(테라조) 3) 기타 미장재료 가. 리신 바름 나. 라프코트 다. 섬유벽 등 2.2 결합재( 結 合 材 ) 고결재의 결점인 균열 방지와 점성 및 부착력의 증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 다. 1) 여물(hair) 흙, 회반죽 등 수축성이 있거나 인장에 약한 미장 재료의 보강재 또는 균열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여물은 가늘고 부드러우며 흰색에 가까울수록 상품이며, 품질에 따라 초벌용, 재벌용, 정벌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가. 짚여물: 5~6cm 정도의 길이로 자른 것으로 진흙질용으로 사용한다. 나. 삼여물: 생여물, 로프 삼여물, 흰색 삼여물 다. 기타: 종이 여물, 털여물, 털종려 2) 수염 목조의 졸대 바탕에 사용되며 바름벽의 벗겨짐, 균열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충분히 건조된 삼실, 종려털, 마닐라삼 등을 사용한다. 3) 해초풀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균열 및 바탕재의 흡수를 방지하며 건조 후 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사용한다. 과거에는 해초풀을 끓여 만든 것을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합성수지계의 합성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3 혼화제( 混 和 劑 ) 방수성, 방동성의 저항성을 높이고 착색 또는 응결시간 조절이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며, 방수제, 방동제, 착색제, 응결조정제 등이 있다. 1) 방수제 공극의 충진에 사용하는 소석회, 점토, 석분과 화학반응에 의해 방수성을 높이는
39 물유리, 지방산염, 명반 등이 있다. 2) 방동제 : 동해 방지를 위한 것으로 염화석회, 식염, AE제 등이 사용된다. 3) 착색제 : 무기질의 금속산화물이 주로 사용된다. 4) 응결조정제 응결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재료로, 응결 시간을 단축시키는 촉진제와 응결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제가 있다. 촉진제로는 염화석회, 물유리, 염화칼슘, 규산소다 등이 사용되며, 지연제로는 전분, 붕사, 해초풀 등이 사용된다. 제3절 바름(미장) 바탕 미장 바름의 바탕은 미장 재료의 하중을 지지하는 데 필요한 강도와 강성이 있어야 하며, 어느 정도의 진동에도 부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과 형상을 갖춰야 한다. 또한 화학적으로도 안정한 재질로서 화학반응이나 녹물에 의해 바름면이 변색되지 않고, 흡수 등으로 바름층이 약화되지 않아야 한다. 3.1 메탈라스(Metal Lath) 바탕 재료 1) 메탈라스 메탈라스는 KS F 4552 기준에 합격한 것으로 하고, 그 종류는 도면 및 시방서에 따른다. 지정이 없을 때는 1호 2종의 평( 平 )메탈 라스로 하며, 메탈라스의 힘살은 강선 지름 2.6mm 이상으로 한다. 2) 방수지 KS F 4901(아스팔트 펠트) 또는 KS F 4902(아스팔트 루핑)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3) 기타 재료 갈고리못은 지름 1.6mm(#16), 길이 25mm 내외의 철선으로 하며, 외부에 사용하는 강제 철망, 스테이플 등의 철물은 아연도금이나 기타 부식을 방지하는 유효한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시공 1) 방수지를 부착할 때, 방수지의 이음은 가로 세로 90cm 이상 겹치게 하고, 약 30cm 간격으로 갈고리못을 친다. 방수지는 주름이 지지 않도록 평탄하게 부착해야 하며, 찢어지거나 손상된 부위가 있을 때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겹쳐 댄다. 2) 벽에 부착하는 메탈라스는 가로 세로 30cm 정도의 간격으로 갈고리못 치기를 하고, 천장의 경우에는 15cm 내외로 치며, 메탈라스의 이음은 45cm 이상 겹치도록 한다. 3) 리브라스를 부착할 때는 리브를 바탕쪽으로 하여 붙이고 지름 1.2mm 이상 철선으로 얽어매거나 갈고리못으로 리브를 따라 30cm 간격으로 고정한다. 리브라스의
40 접합부는 세로가 45mm 이상 겹치게 하고, 가로는 리브와 리브를 겹친다. 3.2 와이어라스 바탕 재료 1) 와이어라스 와이어라스는 KS F 4551에 합격한 것으로 하고, 그 종류는 도면 및 시방서에 따른다. 지정이 없을 때는 마름모형(귀갑형) 라스로 하며, 와이어라스의 힘살은 강선 지름 2.6mm 이상으로 한다. 2) 방수지 KS F 4901(아스팔트 펠트) 또는 KS F 4902(아스팔트 루핑)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3) 기타 재료 갈고리못을 지름 1.6mm(#16), 길이 25mm 내외의 철선으로 하며, 외부에 사용하는 강제 철망, 스테이플 등의 철물은 아연도금이나 기타 부식을 방지하는 유효한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시공 1) 방수지 부착 방법은 메탈라스 바탕에 따른다. 2) 와이어라스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로로 부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가로 이음은 가로눈 꿰매기로, 세로 이음은 철망 1코 겹치기로 하고 힘살을 넣는다. 와이어라스를 고정할 때는 가로 세로 30cm 간격으로 갈고리못을 친다. 3) 힘살을 사용하는 경우, 세로는 기둥 및 샛기둥에 닿게 하고 가로는 45cm 내외로 꿰매어 누벼 넣거나 덧댄다. 교차하는 부분과 중간, 힘살에 둘러싸인 라스 부분의 중앙에 갈고리못 치기를 한다. 4) 천장의 경우에는 미리 메탈라스를 고정한 후 그 위에 와이어라스를 부착 한다. 3.3 석고보드 바탕 1) 재료 석고보드와 석고 라스보드는 KS F 3505에 합격한 것으로 하되 두께가 9m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보드용 평머리못, 기타 부착용 철물은 아연도금 또는 기타 부식을 방지하는 유효한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2) 시공 벽체 목조틀의 띠장은 가로 세로 45cm 내외의 간격으로, 천장의 반자틀은 가로 세로 30cm 내외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못치기 및 보드의 이음은 띠장면이나 반자틀 면 내에서 한다. 고정할 때는 15cm 정도의 간격으로 보드용 못 치기를 한다. 3.4 콘크리트 및 조적조 바탕 콘크리트 및 조적조 벽체의 면이 변형되었거나 파손이 심한 경우에는 두께 25mm 이하의
41 모르타르 바름으로 바탕면을 조정한다. 또한 콘크리트 바탕면이 너무 미끈하면 미장 바름 시 부착력이 저하되므로 와이어 브러시나 정으로 면을 거칠게 한다. 새로 쌓은 벽돌벽이나 블록벽 등은 모르타르 부분의 채워지지 않은 곳을 사춤쳐 밀실하게 만들고 경화된 이후에 시공한다. 제4절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 바름 4.1 일반사항 시멘트를 고결재로, 모래를 골재로 하여 물로 반죽하여 사용하는 미장 재료로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작업성이 좋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미장 재료이다. 시멘트모르타르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 가.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 : 실내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르타르로 시멘트와 모래로 구성된다. 나. 백색 시멘트 모르타르 : 주로 치장줄눈용으로 사용하며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색고, 돌가루, 모래로 구성된다. 2) 방수 모르타르 가. 액체 방수 모르타르 : 방수용으로 사용하는 모르타르로 시멘트에 염화칼슘 또는 물유리를 혼합하여 만든다. 나. 발수제 모르타르 : 간이 방수용 모르타르로 시멘트에 지방산 비누나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만든다. 3) 바라이트 모르타르 중원소인 바리움을 원료로 하는 분말재로,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들며 방사선 차단 재료로 사용한다. 4) 아스팔트 모르타르 아스팔트에 모래, 돌가루, 시멘트 등을 혼입, 가열하여 만든 것으로 바닥 방수용으로 사용한다. 아스팔트 메스틱이라고도 한다. 5) 질석 모르타르 운모질 원석을 1000 정도로 소성하여 유공질로 만들어 비중이 낮아진 경량 골재를 질석이라 하며, 가볍고 잘 타지 않아 단열과 방음 효과가 높다. 6) 석면 모르타르 시멘트에 석면을 섞은 모르타르로 열의 차단을 요하는 배관 부위에 사용한다. 4.2 재료
42 1) 시멘트 시멘트는 KS L 5201(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2) 골재 가. 모래 : 유해한 양의 철분, 염분, 머지 및 기타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강모래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해사를 물로 세척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염화물 함유량이 0.1% 이하여야 한다. 나. 무기질계 경량골재 : 펄라이트는 KS F 3701, 질석은 KS F 3702에 합격한 것으로 <표 1> 모래의 표준 입도 체의 크기 한다. 입도별 체의 통과비율 용도 바닥용 및 초벌 재벌용 2~10 10~35 25~65 50~90 80~ 벽 정벌 바름용 2~10 15~45 35~80 70~ 정벌바름용 엷게 바름용 5~15 20~60 45~ ) 물은 깨끗하고 유해한 양의 기름, 염분, 철분 및 유기물 등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4.3 모르타르 배합 및 바름 두께 1) 배합 모르타르의 배합은 용적 배합이며 가수한 후 1시간 이상 경과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바름 바탕 및 바름 부위에 따른 배합비는 <표 2>를 표준으로 한다. <표 2> 모르타르의 용적 배합비 바 탕 콘크리트, 시멘트 블록 및 벽돌면 바탕 각종 라스 바탕 초벌 라스먹임 고름질 재벌바름 정벌바름 바름 부분 시멘트:모래 시멘트:모래 시멘트:모래 시멘트:모래 시멘트:모래: 소석회 바닥 : 2 내벽 1 : 3 1 : 3 1 : 3 1 : 3 1 : 3 : 0.3 천장 1 : 3 1 : 3 1 : 3 1 : 3 1 : 3 외벽 1 : 2 1 : : 2 : 0.5 내벽 1 : 3 1 : 3 1 : 3 1 : 3 1 : 3 : 0.3 천장 1 : 3 1 : 3 1 : 3 1 : 3 1 : 3 : 0.5 외벽 1 : 2 1 : 2 1 : 3 1 : 3 1 : 3 2) 바름 두께 바름 두께는 <표 3>을 기준으로 하되, 천장은 15mm 이하, 기타 부위는 15mm 이상으로 한다. 바름 두께는 바탕의 표면에서부터 측정한 값이며, 라스먹임의 바름 두께는 포함하지 않는다.
43 <표 3> 모르타르 바름 두께 바 탕 콘크리트, 시멘트 블록 및 벽돌면 바탕 각종 라스 바탕 바름 바름 두께(mm) 부분 초벌바름 라스먹임 고름질 재벌바름 정벌바름 합계 바닥 내벽 천장 외벽 내벽 라스 두께보다 2mm 천장 외벽 내외로 두껍게 바른다. 0~9 0~ ) 고름질 미장 바름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얼룩이 심할 때 면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으로 초벌바름과 같은 기간 동안 방치해둔다. 4) 재벌바름 바름면의 구석, 모서리 등에 규준대를 대고 평탄하게 바른 후 잣대 고르기를 한다. 5) 정벌바름 재벌바름의 경화 정도를 보아 재벌바름과 같은 방법으로 바르되, 흙손자국이나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고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바탕에 심한 요철이 없고 마무리 두께가 2cm 이하인 때는 재벌바름 공정을 생략하고 초벌바름 후 곧장 정벌바름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2회 바름공법이라 한다. 또한 바탕이 평탄하고 마무리 두께가 1cm 이하인 때에는 1회로 마무리하는데 이를 1회 바름 공법이라 한다. 이 경우 바탕면에 시멘트풀을 바르고 정벌바름의 배합으로 밑바름한 후, 수분이 빠지는 정도를 보아 윗 바름한 다음 잣대 고르기를 한다. 4.4 모르타르면 마무리 1) 솔질 마무리, 시멘트풀 칠 정벌바름 직후, 솔에 물을 축여 벽면을 세로로 쓸어내려 흙손자국이 없도록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마무리 방법이며 가능하면 솔에 물을 많이 묻히지 않아야 한다. 시멘트풀 칠은 시멘트풀을 솔에 묻혀 2회 이상 방향을 바꾸어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2) 뿜칠 백 시멘트(시멘트)에 골재(모래 또는 경량 골재), 방수제, 안료 등을 혼합하여 모르타르 건으로 뿜어 마무리하는 방법이다. 천장면의 마감에 사용한다. 3) 긁어 만든 거친 면 마무리 재벌바름까지는 보통 모르타르 바름과 같은 방법으로 하고, 그 위에 두께 6mm 이상으로 정벌바름을 한 후 경화 정도에 따라 흙손, 쇠빗, 솔 등의 기구로 일정한 방향으로
44 긁어내어 마무리하는 방법이다. 4.5 기타 시멘트계 바름 시멘트계 바탕 바름재 시멘트 및 무기질계 잔골재를 주원료로 하여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으로 KS F 4716 (시멘트계 바탕 바름재)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건축물의 내외장 마무리공사의 바탕 고름에 사용하며 흙손, 주걱 등으로 두께 1~3mm 정도로 시공한다 엷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 시멘트, 합성수지 등의 결합재와 골재, 무기질계 분체 및 섬유 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으로 KS F 4715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건축물의 내 외벽을 뿜칠, 롤러칠, 흙손질 등으로 시공하는 재료로, 한 겹(두께 3mm 이하)으로 표면을 요철 모양으로 마무리한다. 바름재의 종류는 결합재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결합재에 의한 구분 가. 시멘트계 : 시멘트 또는 시멘트에 혼화용 폴리머디스퍼존을 혼합한 것. 나. 합성수지 에멀션계: 결합재로서 합성수지 에멀션을 사용한 것. 다. 규산질계 : 결합재로서 규산질계 또는 규산질에 합성수지 에멀션을 혼합한 것. 라. 합성수지 용액계 : 결합재로서 합성수지 용액을 사용한 것. 마. 수용성 수지계: 수용성 수지 또는 수용성 수지에 합성수지 에멀션을 혼합한 것. 2) 용도에 의한 구분 가. 외장용: 주로 외벽의 마무리로 사용하는 재료. 나. 내장용: 주로 내벽 및 천장의 마무리에 사용하는 재료. 제5절 시공 5.1 시공조건 확인(현장여건 파악) 작업할 현장의 바탕을 미리 검사해야 한다. 5.2 바탕 준비 1) 모르타르가 시공되는 바닥과 벽면의 조적 또는 콘크리트 바탕면은 3m당 6mm 이내의 평활도 오차 내에 들도록 평탄하게 정리되어야 한다. 2) 초벌 및 정벌 모르타르가 시공되는 바탕면은 먼지, 기름, 기타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분무기로 바탕을 습윤하게 한 후 작업한다. 3) 바탕의 덧붙임 손질을 요구하는 곳은 모르타르로, 요철을 조정하고 긁어놓은 다음 가능한 한 오랫동안 방치하되, 방치 기간은 최소 2주 이상이어야 한다.
45 4) 콘크리트 또는 PC 바탕면에서 모르타르를 부착하기 어려운 때는 혼화제를 넣은 시멘트풀을 미리 얇게 문지르고 나서 모르타르를 바르거나 표면 쪼아내기 등으로 부착력을 높인 후 모르타르를 바른다. 5.3 메탈라스 보강 1) 미장공사에 들어가기 전 바탕면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벽체의 균열 부위 등을 면밀히 검사한다. 2) 모든 내부 코너에는 폭 10cm의 90도 각으로 절곡한 코너 메탈라스를 천장선에서 바닥선까지 수직으로 벽체에 고정한다. 콘크리트 못, 나사못 또는 힐티를 사용하여 최대 15cm 이상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3) 개구부의 모서리와 배관 부위, 벽체의 균열 부위나 바탕재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된 접합 부위, 미장 후 균열이 우려되는 부위는 다음과 같이 메탈라스로 보강한다. <표 4> 메탈라스 설치 부위와 크기 창호 메탈라스 설치 부위 메탈라스 크기(cm) 폭이 60cm 이상인 경우 폭이 60cm 이하인 경우 소화전함 양수기함, 전기계량기함 외부 배관 부위 20 배관 길이 승강기 작동 버튼 부위 비드류 설치 1) 코너비드 가. 바탕면의 모서리 등 돌출 부위에 비드 표면의 중심을 정확히 정하고 다림추를 사용하여 상하 양끝을 수직으로 잡고 고정 메시가 벌어지거나 틀어지지 않게 똑바로 설치한다. 나. 콘크리트못,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최대 간격이 30cm가 넘지 않도록 비드를 고정한다. 2) 신축줄눈 비드 가. 벽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미장 후 신축으로 인한 균열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내벽은 6m 간격, 외벽은 3m 간격으로 신축줄눈 비드를 설치한다. 나. 콘크리트못,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최대 간격이 30cm가 넘지 않게 고정 한다. 5.5 바르기 일반조건 1) 모르타르를 바름에 있어 콜드 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가능한 벽면 전체를 한번에
46 바른다. 모르타르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 바탕면에 바르는 시멘트풀칠은 바름 횟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2) 미장줄눈 시공에 있어 필요한 경우 승인을 받아 공사비가 증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성 줄눈대를 사용할 수 있다. 5.6 벽, 천장 바르기 1) 초벌바름 및 라스먹임 가. 흙손으로 충분히 누르고 눈에 뜨일 만한 빈틈이 없도록 한다. 바른 후에는 쇠갈퀴 등으로 벽체 전면을 수평 방향으로 거칠게 긁어놓는다. 나. 초벌바름 또는 라스먹임은 2주일 이상 방치하여 바름면 또는 메탈라스의 이음 부위에 생기는 흠이나 균열이 충분히 드러나게 한 후, 틈새가 심한 곳은 덧먹임을 한다. 다. 초벌바름 후 1일간은 접근을 금하고 2~3일간은 물 뿌리기를 해야 한다. 라. 초벌바름 후 모르타르가 굳기 시작할 때 미장용 쇠빗으로 긁어놓는다. 2) 재벌바름 가. 재벌바름에 앞서 구석, 모퉁이, 개탕 주위 등은 규준대를 대고, 재벌바름은 규준대 바름과 병행하여 평탄한 면으로 바른 후 다시 잣대 고르기를 한다. 나. 초벌바름 후 15일 이상 방치한 후 재벌바름에 들어간다. 3) 정벌바름 가. 흙손으로 충분히 눌러 하부 바름면에 부착되게 하고 바름면에 얼룩, 처짐, 돌기, 들뜸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적당한 바름 두께가 되도록 바른다. 나. 재벌바름 후 7일 이상 방치시켰다가 정벌바름에 착수하며 면바탕 주위에 주의하고 얼룩, 허짐, 돌기, 들뜸 등이 생기지 않도록 꼼꼼히 바른다.정벌바름 후 2~3일간 습윤 양생시킨다. 4) 2회 바름 두께 바름 두께 20mm를 초과하는 부분은 초벌, 재벌, 정벌 3회로 나누어 시공해야 하며, 20mm 이하는 초벌, 정벌 2회로 나누어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초벌바름 위에 정벌 밑바름을 한 후 수분이 빠지는 정도를 보아 윗바름을 하고 잣대 고름질로 마무리한다. 5) 1회 바름공법 평탄한 바탕면으로 마무리 두께 10mm 정도로 1회 마무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바탕면에 시멘트풀을 바르고 정벌바름의 배합으로 밑바름한 후, 수분이 빠지는 정도를 보아 윗바름한 다음 잣대 고름질로 마무리한다. 6) 바탕 처리, 비드 설치 및 물 축임 후에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접착 혼화제를 골고루 바른다.
47 7) 미장면은 마감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도면에 따라 평활도 및 두께를 유지해야 한다. 5.7 바닥 바르기 1) 콘크리트 바닥면에 모르타르를 바를 때에는 바탕면의 레이턴스, 오물, 부착물 등을 제거하고 잘 청소한 다음 물을 뿌린다. 콘크리트 타설 후 수일 지난 것은 물로 씻어내되, 물이 고인 상태에서 바르면 안 된다. 2) 바닥바름은 시멘트풀을 충분히 문지르고 잘 고른 다음 수분이 아주 적은 된비빔 모르타르를 쇠흙손으로 바른다. 표면의 수분 정도를 보아 잣대 고름질을 하고, 구배에 주의하여 나무흙손으로 마무리한다. 3) 바탕처리 및 물 축임 후에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접착 혼화제를 골고루 바른다. 4) 재벌바름을 할 경우 초벌바름 후 1일간은 접근을 금하고 2~3일 간은 물뿌리기를 해야 한다. 5) 재벌바름을 할 경우 초벌바름 후 2주일 이상 가능한 한 장기간 방치하여 균열을 최대한 발생시킨 후, 틈새가 생기면 덧바름해야 한다. 6) 콘크리트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거나 착색을 목적으로 시멘트, 골재, 안료 등으로 된 표면 마무리 재료를 사용할 때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균등히 살포하고 콘크리트가 수분을 흡수하는 정도를 보아 쇠흙손으로 마무리한다. 7) 바닥 미장면은 마감 높이를 고려하여 설계도면에 따라 평활도 및 두께를 유지하도록 한다. 8) 바닥 모르타르 줄눈의 종류는 도면 및 공사 시방에 따르며, 공사 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주름줄눈으로 한다. 줄눈의 간격은 갓 둘레의 너비 20~30cm정도의 테두리를 남기고 그 내부를 약 150cm 간격으로 모양 좋게 나눈다. 줄눈의 크기는 폭 1cm, 깊이 0.5cm 정도로 하며, 형상이 균일하고 표면이 매끄럽게 줄눈파기를 해야 한다. 5.8 마무리 1) 쇠흙손으로 바르고 나무흙손으로 눌러 고른 후 다시 쇠흙손으로 마무리한다. 이 경우 평활한 면을 얻기 위해서 무기질 혼화제 등을 혼합한 정벌바름 배합으로 하고 모래의 양을 줄이지 않도록 한다. 2) 나무흙손 마무리 : 쇠흙손으로 바르고 나무흙손으로 고르게 마무리한다. 3) 솔질 마무리 쇠흙손으로 바르고 나무흙손으로 고르게 마무리한다. 이 경우 가능한 한 솔에 물이 많이 묻지 않도록 한다. 4) 바닥 콘크리트 제물 마무리 가. 된비빔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균등히 살포하고,
48 콘크리트가 수분을 흡수하는 정도를 보아가며 쇠흙손으로 문질러서 마무리한다. 나. 마무리 정도는 깔 바탕, 붙임 바탕, 바름 바탕, 방수 바탕 등 용도에 따라 다르므로 공사 시방에 따른다. 5) 콘크리트 벽면, 천장면 제물 마무리 가. 콘크리트 천장 및 내외벽 등 제물 마무리할 면을 숫돌, 그라인더 등으로 갈아내거나 콘크리트면에 생긴 홈 등의 결합 부위는 부착성이 양호한 재료로 메워준다. 나. 롤러 및 붓을 사용하여 접착성이 양호하고 건조 수축이 적은 합성수지의 무기계 재료를 콘크리트면에 몇 회 걸쳐 덧바름 한 후 갈아내어 마감한다. 5.9 시공 오차 시멘트 모르타르의 바름면은 평활하게 시공되어야 하며, 수직 및 수평 평활도에 대한 허용 오차는 3m당± 3mm로 한다 보수 및 재시공 1) 공사 완료 후 바름면의 균열이나 들뜬 곳, 손상된 곳은 해당 부분을 절개하고 주변과 마감 상태가 차이 나지 않도록 보수한다. 2) 작업 중에 떨어진 모르타르 찌꺼기를 치우고 후속 공정에 차질이 없도록 바름면을 청소한다 현장 품질관리 1) 시공상태 확인을 위해 검사봉으로 마감 부위를 골고루 두들겨본다. 2) 들뜸, 균열 부위는 줄눈 부위를 잘라내고 다시 붙인다 보양 및 박리 방지 1) 외부 미장공사를 여름에 할 경우 거적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적절한 습윤을 유지하도록 보양해야 한다. 2) 미장 바름면 주위의 문틀, 창틀 등에 묻은 미장 재료는 즉시 제거한다. 3) 각종 바닥 부위가 충격, 진동 등으로 박리의 우려가 있는 경우 KS D 7017 규정에 적합한 용접 철망으로 박리방지 조치를 취한 후 공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49 SECTION 셀프레벨링재 바름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셀프 레벨링(Self-leveling : SL)재는 물과 혼합시 수화 반응을 발생시키는 원료를 주 결합재(Binder)로 하고 건조에 의하여 결합력을 갖는 폴리머 원료를 보조 바인더로 사용하는 원료로 자체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물과 혼합하여 바닥에 타설시 자체 수평성을 갖는 석고계 및 시멘트계 등의 셀프레벨링재에 의한 바닥바름공사에 적용하며, 공사 범위 및 두께는 설계도면 및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한다. 1.2 참조도서 한국산업규격(KS): 시멘트계 셀프 레벨링재 JASS 15M-103 :셀프 레벨링재의 품질 규준 1.3 도서 및 기타 제품자료 : 물성, 특성, 시공법 등의 제품자료 견본 : 300mm 300mm 기준으로 표면 및 컬러 상태 참조 1.4 품질보증 견본시공 : 견본 시공은 실시공과 동일한 환경에서 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공사전 협의 레벨콘 시공을 위한 각종 요구 사항을 검토한다.(기타 작업과 연관된 바탕면 정리작업, 작업방법, 현장 보양작업, 작업 환경조성, 양생조건 등) 1.5 운반, 저장 및 취급 (1) 시멘트 제품이므로 보관은 고습이나 수분에 노출되어 풍화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분말 제품이라 적재시 지나친 하중을 받으면 제품에 지장을 줄 수 있어 취급시 주의가 필요하다. (2) 옥외 보관은 가급적 피하되, 부득이 한 경우에는 풍화가 되지 않도록 바닥에는 깔판을 설치하고 밀폐 보양하여 보관한다. 1.6 현장 작업조건 전기 시공에 필요한 적정 전압과 전기 용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연속식 시공시기는 기기 사양에 적합한 전압과 전기 용량 확보가 필수적이다 용수 작업 특성상 많은 양의 용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연속식 시공의 경우에는 충분한
50 용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시공환경 (1) 온도 : 프라이머의 전이 온도를 고려하여 하지 및 외기의 온도는 5 이상에서 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습도 : 프라이머 도포 및 SLH 시공시(30~85%), 기타 제품(30~90%) 제2절 재료 2.1 적용자재 원료 골재로서 쇄사, 주결합재인 시멘트는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하나 적정 작업성 확보를 위하여 특정사, 특정공장산을 적용하고, 석회석, 특수시멘트, 석고에 시멘트의 부결합재로서 시멘트 수화 반응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특별히 제조한 수성 폴리머를 사용한다. 기타 현장에서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제품 물성 및 용도 레벨콘-H는 산업용 SL재로 내마모성, 접착성, 기타 강도 성능을 향상시켜 마감재로 사용되며 시멘트 계열의 무기질바인더를 아크릴 계열의 수지를 보조 바인더로 보강한 제품으로 KCC제품 동등이상의 제품을 사용한다. 구분 특성 비고 성상 회백색 분말 표준혼수량 25% Flow 210~220mm 경보행 가능 시간 익일 보행 가능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음 시공두께 5~20mm 압축강도 280kg f/cm2 28일 접착강도 20kg f/cm2 선수축률 0.03% 이하 내마모성 0.5% 이하(KSF2813) Color 회색, 녹색, 적색 색소 첨가에 따라 색상 다양 Strain Modulus 6,000nN/mm2(KSF2438) 포장단위 25kg/Bag, 40Bag/Pallet 2.2 부속품 (1) 제품 적용시 요구 물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적정 프라이머 사용이 필수 적이다. (2) 제품은 현장 시공을 위하여 특정 시공기기가 필요하다. 소형 면적 시공시에는 핸드믹서, Mixing 용기, Pin Roller 또는 마감 Brush 등을 이용한 Batch 식이 적당하며, 대형 면적 시공시에는 연속식 시공 기기를 이용한 연속식 타설 공법이 적당하다. 연속식 타설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지속적인 투입 물비의 제어, 충분한 Mixing 여부, Mixing Pump의 타설압 등이 중요한 제어 요소이다.
51 2.3 배합 Batch식 Mixing 용기에 지정 혼수량을 개량하여 투입한 후 핸드믹서를 작동시키면서 분말 원료를 서서히 투입한다. Mixing은 RPM에 따라서 다르지만 분말 원료내 모든 첨가제들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충분히 Mixing한다 연속식 물과 분말 원료가 연속적으로 혼입되는 시스템으로서 혼수량은 양수모터의 압력에 의해 좌우되며, 분말 원료의 투입량은 MIXER의 RPM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양수모터에서 충분한 수압이 발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분말 원료 투입은 고정된 RPM에 의하여 일정하게 원료가 투입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4 품질 관리 (1) KS의 품질 규정을 따른다. (2) JASS 15 M-103 품질 규정을 따른다. (3) 자재 검수는 현장 반입시 상품명, 수량, 유효사용기간 준수여부 등을 확인 한다. 제3절 시공 3.1 사전검토 (1) 시공 현장의 환경(온도, 습도, 통풍)을 확인하고 적정 환경을 조성한다. (2) 전후 공정을 확인하여 충분한 양생 기간을 확보한다. (3) 바탕면의 균열, 요철, 이물질 상태 등을 점검하고 보수해야 할 부분과 제거해야 할 물질을 파악한다. (4) 면적 및 레벨을 측정한 후 시공 두께에 맞춰 소요 원료량을 산정한다. 3.2 시공전 처리(바탕면 조정) (1) 바탕면 :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바탕면은 충분한 양생 및 수분 건조가 이루어진 후 시공한다. (바탕면 수분 함량 기준 : < 8 wt%(함수율 측정기 사용) 이하) (2) 균열 보수 : 타설 부위의 벽면이나 하지에 틈이 있으면 초기 국부크랙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여 보수한다. 장기적 균열 발전 예상부위는 균열 보수제를 이용하여 보수한 후 Fiber Mesh로 보강 처리한다. (3) 보양 : 흡수성이 우수한 자재로 벽체가 시공되어 있을 경우 벽면으로 혼합물 (Slurry)의 혼합수가 유출되어 초기 건조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 등으로 밀봉해 준다. 또한 SL재의 시공 불필요 부분과의 경계부위는 반드시 보양 처리한다. (4) 청소 : 시공할 바닥면의 먼지나 이물질은 깨끗이 제거한다. 특히 유기계 물질은 SL재
52 시공후 접착력 부진으로 인하여 박리, 들뜸 등의 문제를 발생시 킬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제거한 후 시공한다. 가. 분진, 레이턴스 등 : 전동식 Brush 나. 시멘트 페이스트, 유기 오염물, 페인트 : Sand blaster 다. 국부 레벨 오차, 돌출 부위 등 : 평삭기 (5) 구획 작업 : 필요에 따라 레벨을 표시하거나 시공능력, 두께, 면적을 고려하여 시공 구역을 분할할 수 있다. 3.3 프라이머(Primer) 도포 (1) 프라이머는 바탕면의 기공을 차단하여 SL재 시공시 바탕면이 수분을 흡수하여 시공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바탕면과 SL재의 접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필수 작업이다. (2) 프라이머는 표면장력과 유리 전이온도, 최저 적용온도, 바탕면에의 침투성, Sealing성 등을 고려하여 SL재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Acryl Emulsion 제품을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가. Primer 주요 사양 ㆍ주요 성분 : Styrene-acrylic acid copolymer ㆍ고형분 : 44-46% ㆍ점도 : cps ㆍMFFT : 0 (3) 프라이머의 표준 도포량은 바닥면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바탕면이 충분히 코팅되어 SL재 혼합물(Slurry)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2회 도포를 원칙으로 한다. 가. 1회 : 5배수 나. 2회 : 3배수 (4) 프라이머의 건조는 온도, 습도, 통풍 등 건조 환경에 영향을 받으나 바탕면 표면에 도막이 형성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다.(프라이머 도포시 사전 바닥 청소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미세 먼지가 있을 경우 표면강도의 저하로 들뜸, 박리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3.4 혼합 (1) 지정된 혼수량을 개량하여 용기에 담은 후 SL재 분말을 투입하여 혼합한다. (2) 레벨콘은 수지 및 첨가제의 분산 효과를 위하여 Mixing 효율이 우수한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Hand Mixer의 경우 600 RPM 이상에서 2분 혼련함) (3) 연속식 가. 넓은 면적에 타설시에는 일반적으로 연속식 Mixer를 사용하는데 연속식
53 Mixer에서는 혼수량을 양수 펌프의 압력에 의해 조절하므로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나. 사용기기는 Mixing 효율이 충분히 우수한 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Pump는 Mono Pump를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다. 혼수량은 재료의 표준 혼수량의 ± 1% 범위 이내의 범주에서 조절한다. 이때 공정 관리자는 SL재의 플로우값을 검사하여 규정된 품질 발현 여부를 측정한다. - 혼수량 : 26± 1wt% - 플로우값 : 210~220mm(Slurry 100cc 측정값) 3.5 타설 (1) 물에 희석시킨 혼합물(Slurry)를 레벨 표시에 맞춰 균일하게 붓고 난 후 Pin Roller나 Brush 등을 이용하여 면을 고르게 레벨링 한다. 소형 면적 시공시 Pin Roller 대신 흙손으로 펴주면서 가볍게 표면을 마감할 수도 있다. (2) SL재를 이어치기(좌우 겹쳐 타설)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실시하며, 혼합물 (Slurry)의 유동성이 30% 이상 상실한 경우에는 실행해서는 안 된다. 3.6 양생 (1) 양생 속도는 온도, 습도, 통풍 등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급건에 의한 초기 건조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24시간 보양 양생함을 원칙으로 한다. (3) 특히 외기나 바탕면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양생 기간중 필수적으로 보양을 해주며, 양생 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익일 보행이 불가능할 수 있다. (4) 양생 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하지에 난방을 하거나 온풍기를 이용하는 것은 엄금한다. (5) 직사광선하에서의 양생은 초기 건조 크랙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한다. 3.7 줄눈작업 (1) 사전에 줄눈 처리된 콘크리트 바탕면 시공시 줄눈 부위는 SL재 시공시 혼합물 (Slurry)가 스며들지 않도록 사전에 충진 처리한다. 가. 줄눈 충진재 : 신축력이 우수한 재료 사용 (예 : EPS계 Back-up재, 스폰지계 충진재 등) (2) SL재 시공후 줄눈 재작업은 SL재의 수분 함량을 고려하여 실시하며, 하절기는 1일 경과, 동절기는 1~2일 경과시가 적당하다. 이때 별도의 수분 또는 윤활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가. 줄눈 작업시 SL재의 수분 함량 기준 : 10± 5%(함수율 측정기 사용) (3) 줄눈 작업 부위는 SL재의 양생이 끝난 후 실링재를 이용하여 충진 처리한다. 3.8 탑 코팅재 시공 개요
54 탑 코팅재는 레벨콘-H의 사용에 있어서 오염 방지, 초기 방수 효과, 표면 보호 등을 위하여 사용한다. 가. 탑 코팅(Top coating)재 주요 사양 ㆍ외관 : White emulsion ㆍ주요 성분 : Stylene acrylic urethane copolymer ㆍ비중 : 1.1g/cc ㆍ포장 단위 : 18 Liter/can 시공 (1) 전처리 가. SL재의 표면은 탑코팅재 도포 전까지 출입을 금지하여야 하나, 오염 또는 이물질이 있을 경우 반드시 제거 작업과 청소를 하여야 한다. 나. 코팅재의 건조 및 침투성 향상을 위하여 SL재의 함수율이 8% 이내일 경우 도포작업을 실시한다. 다. 도포가 불필요한 부위와의 이음매는 테이프 또는 비닐계 등을 이용하여 보양 처리한다. (2) 시공 가. 도포 작업은 분무형 스프레이 장비, 롤러, 붓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코팅의 균질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나. 원액 도포를 기준으로 하며 시공시 국부적인 고임 현상이 없어야 한다. 다. 시공은 3회로 분할하여 도포하여야 하며, 이론적인 도포 두께는 150μm/회이다. 라. 1차 도포후 최소 1시간 이상 경과 후 2차 도포를 실시한다. 3차 도포는 2차 도포후 최소 12시간이 경과하여 표면이 완전히 마른 후 도포 하도록 한다. 마. 양생은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표면이 완전히 마를 때까지 보행 및 타 작업을 금지한다. 바. 이어치기를 마감할 경우는 경화 후 이어치기 부분의 돌출부분 및 기포 흔적이 남아있는 주변의 튀어나온 범위 등을 연마기로 갈아서 평탄하게 한 후 시행한다. (3) 주의사항 가.5 이하에서의 작업은 삼가고, 결빙점 이하 온도에서의 작업은 엄금 한다. 나. 잔여 원료는 결빙점 이상의 온도에서 밀봉 보관한다. 다. 셀프 레벨링재의 표면에 물결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창문 등을 밀폐하여 통풍과 기류를 차단하며 저습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55 SECTION 모르타르 방수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시멘트 방수제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혼입( 混 入 )하여 물리적, 화학적으로 물체의 공극( 空 隙 )을 메우고 이를 수밀하게 하여 방수작용을 하는 재료이다. 방수제는 액상( 液 狀 ), 분말상( 粉 末 狀 ), 반죽상으로 구분하며 액체방수제는 완전을 요하는 방수공사에, 분말방수제는 방수 모르타르에 주로 사용한다. 시멘트 액체 방수법은 모체에 방수제를 침투시키거나, 방수제를 혼입한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발라 방수의 목적을 이루고자 할 때 적용 한다. 1) 방수제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물리적 화학적으로 모체의 공극을 메우고 수밀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사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2)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 모체의 응결 경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축 팽창으로 균열이 생기지 않으며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3) 철재를 부식시키지 않아야 한다. 4) 모르타르면에는 부착성이 강한 것을 사용한다. 1.2 참조규격 한국산업규격(KS) KS F 2451 건축용 시멘트 방수재 시험방법 KS L 5100 시멘트강도 시험용 표준사 KS L 5103 길모아 장치에 의한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길모아 장치 : 굵은 골재비중 시험장비 세트 1.3 방수공사시 선행작업이 요구되는 취약부분 치켜올림, 감아내림, 오목모서리, 볼록모서리, 신축줄눈, 이음타설 부위, 드레인 주위, 파라펫(parapet) 주위, 고정철물 주위 및 설비배관 관통부 주위의 부분처리 방법은 별도의 선행작업으로 실런트계 처리, 메움 작업 등 주의를 요한다. 1.4 바탕 콘크리트의 체크 방수할 작업부위의 바탕은 다음 사항을 체크한 후 시공한다. 1) 바탕물매 : 1/100 이상 2) 차올림면 : 콘크리트 제물치장 마무리 3) 바탕 콘크리트면 : 물이 고이지 않도록 수정
56 4) 철근 및 기타 돌출물 : 돌출물은 깎아내고 보수 5) 안 모서리, 바깥 모서리의 마무리 : 적절한 모따기 폭 결정 6) 바탕 건조의 확인 : 추후 방수공법 적용시 부풀음 방지 1.5 방수턱 조성 모든 방수공정에 포함되며, 방수공사 작업시 방수 규격의 경계 부위는 필히 방수턱 조성을 선행하여 작업을 완료하도록 한다 방수턱 종류 및 조성방법 1) 조적조(벽돌)를 이용한 방수턱 조성 벽돌을 일정 높이(최종 마감재 높이를 감안한 높이)로 쌓아서 방수턱을 조성할 경우에는 원 콘크리트 바닥과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앵커볼트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조적과 시멘트 결속력을 높혀 크랙이나 파손이 없도록 해야 한다. 2) 금속재(갈바륨)를 이용한 방수턱 조성 크기와 높이는 주변 마감과 최종 마감재를 감안하여 결정해야 하며, 금속재를 이용해 방수턱을 조성한 후에는 금속재와 콘크리트 틈새를 반드시 실런트 처리나 에폭시 실링재를 도포, 틈새를 메워야 한다. 3)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방수턱 조성 1.6 운반, 보관 및 취급 일반사항 1) 제품은 봉인된 상태로 현장에 공급되어야 하며, 영상의 기온에서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며 습기 및 환기가 없는 장소에 밀폐상태로 보관되어야 한다. 2) 부득이 옥외에 야적으로 보관하게 될 경우, 품질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의 통풍을 고려하여 목재 깔판을 사용, 습기가 포장재료에 닿지 않도록 한다 취급 재료는 눈, 비나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 밀봉된 상태로 보관하고 운반 및 취급시 포장이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손상된 자재나 유효기간이 지난 것은 반출하여야 한다 환경조건 방수층 시공을 할 때 시공전 24시간 주위 기온이 5 이상이며 또한 방수재 제조업체의 제품자료에 의한 경화시간 동안의 기온이 5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시공한다. 1.7 시멘트 방수제의 혼합 액체 방수제의 혼합
57 1) 액체 방수제는 정확히 계량하여 물을 부어 지정하는 농도로 희석( 稀 釋 )하여 사용한다. 2) 방수 시멘트풀(Cement Paste)은 방수제 희석액과 시멘트를 지정하는 비율로 정확히 계량하여 반죽한다. 3) 방수제 혼합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를 소정의 배합비로 충분히 건비빔한 다음에 지정하는 비율로 방수제 희석액과 시멘트를 지정하는 비율로 정확히 계량하여 반죽한다. 4) 방수제를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에 혼합할 때에는 방수제의 희석액을 사용하여 시멘트량에 대한 지정 배합비로 혼합하고 충분히 비빔 한다 분말 방수제의 혼합 1) 시멘트에 방수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건비빔한 다음에 소정의 묽기로 물을 부어 반죽한다. 2) 시멘트에 소정의 방수제와 물을 부어 충분히 반죽한 다음에 소정의 묽기로 하여 사용한다. 3) 수용성 분말 방수제일 때는 물에 먼저 방수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해시킨 다음에 시멘트 또는 모래를 혼합한다. 제2절 시멘트 방수 2.1 재료 품질 : 방수제는 아래의 규정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1) 응결시간은 1시간후에 시작하여 10시간 이내에 종결한다. 2) 안정성은 침투법에 의한 시험으로 균열 또는 비틀림의 원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3) 강도 시험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넣은 것이 넣지 않은 것에 비하여 콘크리트에서 85kg 이상, 모르타르에서 70kg 이상으로 한다. 4) 침투비율은 콘크리트에 방수제를 혼합한 것이 혼합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0.95% 이하로 한다 방수제의 종류 방수제는 역상 방수제로 하며, 순도, 소정 사용량, 사용방법 등이 명시되고 방수 성능, 시험 성적 등으로 보아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승인된 것을 기준 한다 시멘트 및 모래, 기타 재료 1) 시멘트는 KS L 5201의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2) 모래의 입도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58 체의크기(mm) 입도( 粒 度 )별 체의 통과비율 용도 방수 페이스트용 5~15 20~60 45~ 방수 모르타르용 2~10 10~30 25~65 50~90 80~ ) 물은 청정하고, 유해 함유량의 염분, 철분, 이온 및 유기물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4) 보조재료 : 시멘트 액체방수 시공시 기상적 제약, 공기단축, 바탕 대응, 지수작업, 작업성능 개선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보조재료에는 아래 표와 같은 것이 있으며, 종류, 품질 및 사용법은 승인된 방수제 제조업체의 제품자료에 따른다. 보조재료 지수제 접착제 방동제 보수제 경화 촉진제 실링재 용도 바탕 결함부로부터의 누수를 막기 위하여 사용한다. 시멘트에 혼화하는 액체의 것, 물과 혼합하는 분체의 것 및 가수 분해하는 폴리머 등이 있다 바탕과의 접착 효과 및 물 적시기 효과를 증진 시키기 위하여 사용 한냉기의 시공시 방수층의 동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 보수성과 작업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 공기 단축을 위한 경화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 바탕 균열부의 충진 및 접합철물 주위에 실링할 목적으로 사용 방수제의 배합 및 비빔 1) 방수제는 방수제 제조업체가 지정하는 비율로 투입하고 모르타르 믹서를 사용하여 충분히 섞는다. 제조업체의 별도 지정이 없는 경우 분체로 된 방수제와 방수 모르타르를 다음 표의 배합비로 한다. <표 1> 방수제의 배합비 배합비 바름두께(mm) 종별 시멘트 모래 물 방수제 벽 바닥 1 방수용액 도포 - - 5~ ~0.5 2~4 1 2 방수 시멘트 풀칠 2 4~6 2~4 1 6~9 10~15 3 방수 모르타르 바름 2 6 2~4 1 2) 방수 시멘트는 시멘트를 먼저 2분 이상 건비빔 한 다음에 소정의 물로 희석시킨 방수제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5분 이상 섞는다. 3) 방수 모르타르는 모래, 시멘트의 순으로 믹서에 투입하고 2분 이상 건비빔한 후에 소정의 물로 희석시킨 방수제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5분 이상 섞는다. 4) 믹서의 회전을 멈춘 다음, 모르타르 내의 수분이나 모래의 분리가 없어야 하며,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5) 방수 모르타르의 비빔 후 사용이 가능한 시간은 방수제 제조업체의 특별한 지침이 없는 경우 20 에서 45분 이내로 한다.
59 2.2 시공 바탕 준비 1) 평면부 바탕의 콘크리트 표면은 쇠흙손 등으로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오목모서리는 직각으로, 볼록모서리는 각이 없게 완만하게 면처리 한다. 2) 방수 바탕은 휨, 단차, 들뜸, 레이턴스, 곰보, 균열 및 현저한 돌기물 등의 결함과 접착을 저해하는 유지류, 얼룩, 녹, 거푸집 박리제 등의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콘크리트 이음 타설부는 줄눈봉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이음면의 양쪽으로 각각 폭 15mm 및 깊이 30 mm 정도로 V커팅 되어야 한다. 3) 바탕이 건조할 경우에는 시멘트 액체 방수층 내부의 수분이 과도하게 바탕에 흡수되지 않도록 물로 적셔둔다 방수층 시공 종별 층수 A종 B종 C종 D종 1층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2층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3층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4층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5층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 모르타르 바름 방수액 침투 6층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액 침투 방수 모르타르 바름 7층 방수 모르타르 바름 방수 모르타르 바름 방수 시멘트풀 솔칠 - 8층 방수액 침투 방수액 침투 방수 모르타르 바름 - 9층 방수 시멘트풀 솔칠 방수 시멘트풀 솔칠 층 방수액 침투 방수 모르타르 바름 층 방수 시멘트풀 솔칠 층 방수 모르타르 바름 시공 1) 방수층 시공 전에 다음과 같은 취약 부위는 실링재 또는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등으로 방수처리를 한다. 취약 부위 : 조인트 부위, 이음 타설부, 균열,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거푸집 고정재에 의한 구멍, 볼트, 철골, 배관 주위 콘크리트 표면의 취약 부위 2) 방수층의 바름은 흙손, 뿜칠기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균일하게 바른다. 3) 각 공정의 바름 간격은 다음 표에 준한다. 계절 지하 지상 여름 1시간 정도 연속하여 시공 봄 또는 가을 3시간 정도 0.5~2시간 정도 겨울 6시간 정도 1~4시간 정도 4) 치켜 올림부분에는 미리 방수시멘트 페이스트를 발라두고, 그 위를 100mm 이상의 겹침
60 폭을 두고 평면부와 치켜 올림부를 바른다. 5) 각 공정의 이어 바르기 겹침 폭은 100mm 정도로 하여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하고, 끝 부분은 솔로 바탕과 잘 밀착시킨다. 6) 각 공정이 이어바르기가 되거나 다음 공정이 미장공사일 경우 솔 또는 비로 표면을 거칠게 마감한다. 2.3 양생 및 보양 1) 바름 완료 후 재료의 특성 및 시공장소에 따라서 적절한 양생을 한다. 2) 직사일광이나 바람, 고온 등에 의해 급속한 건조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시트 등으로 보호하여 양생한다. 3) 특히 재령( 材 齡 )의 초기에는 충격, 진동 등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4) 저온에 의한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보온 또는 시트 등으로 보호하여 양생한다. 5) 작업후 직사광선에 의한 급격한 건조가 되지 않도록 보양하여야 한다.
61 SECTION 도막 방수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요약 도료 상태의 방수재를 바탕면에 여러번 칠하여 상당한 살 두께의 방수막을 만드는 방수방법으로, 도막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고분자 재료는 내후, 내수, 내알칼리, 내유, 내마모, 난연 등의 여러가지 성능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외에도 신장능력과 접착성이 있어야 한다 주요 내용 1)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2) 각 제조사 제품에 따른 규격, 물성, 사용량에 준한다. 1.2 참조 규격 한국산업규격 KS F 4919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KS A 0006 시험장소의 표준상태 KS M 6518 가황고무 물리시험 KS F 2274 건축용 합성수지재의 촉진노출시험 KS M 8116 알칼리 처리 시험 KS M 8103 산 처리 시험 KS L 5115 석면 시멘트판 KS A 3101 샘플링검사 총칙 1.3 도서 및 기타 시공계획서 1) 세부공정 계획서 2) 시공상태 검측계획서 3) 품질관리 계획서 : 시공순서 및 방법, 자재관리, 작업환경, 보양 및 보수방법, 방수 배합비에 관한 특기사항, 품질보증기간, 관리시험계획 시공 상세도면 치켜올림, 감아내림, 오목모서리, 신축줄눈, 이음타설부, 드레인 주위, 파라펫(Parapet) 주위, 고정물 주위 및 설비배관 관통부 주위의 부분처리방법이 포함된 방수 시공상세도
62 1.4 운반, 보관 및 취급 보관 1) 제품은 봉인된 상태로 현장에 공급되어야 하며 영상의 기온에서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며 습기 및 환기가 없는 장소에 밀폐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2) 부득이 옥외 야적으로 보관하게 될 경우 품질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바닥의 통풍을 고려하여 목재 깔판을 사용, 습기가 포장재료에 닿지 않도록 한다 취급 1) 재료는 눈, 비나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 밀봉된 상태로 보관한다. 2) 운반 및 취급시 포장이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손상된 자재나 유효기간이 지난 것은 즉시 장외로 반출하여야 한다 환경조건 1) 방수층 시공을 할 때 시공전 24시간동안 주위 기온이 5 이상이어야 한다. 2) 또한 방수재 제조업자의 제품자료에 의한 경화시간 동안 5 이상의 기온이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시공한다. 제2절 도막방수의 종류 2.1 유제형 도막방수재 1) 유제형 도막방수는 수지유제(resin emulsion agent)를 바탕 콘크리트면에 여러번 발라 두께 0.5~1.0mm 정도의 바름막을 형성하여 방수층 기능을 하게 하는 것으로, 이 유제는 그냥 도포하거나 시멘트를 혼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로 바를 때도 있다. 2) 수지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아크릴스티렌(acryle styren) 공중합( 共 重 合 ), 초산비닐, 합성고무 등이 쓰이며, 에폭시수지 지방산을 합성한 고렉스(상품명임) 도막방수도 있다. 3) 아크릴 수지계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를 주된 원료로 하는 아크릴수지 에멀션계 방수재로, 한국산업규격(KS F 321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 용제형 도막방수재 1) 용제형 도막방수는 합성고무를 휘발성 용제(solvent)에 녹인 일종의 고무도료를 여러번 칠하여 두께 0.5~0.8mm의 방수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2) 클로로프렌(Chloro-prene) 고무계,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하이퍼론;hyperon)계, 우레탄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고무아스팔트계 등이 있다. 3) 클로로프렌 고무계는 클로로프렌을 주원료로 하여 충전재( 充 塡 材 ) 등을 혼합한 클로로프렌 고무용액계 방수재를 말하며, 한국산업규격(KS F 321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3 4) 우레탄 고무계는 폴리우레탄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주제와 가교제, 충전제 등을 주원료로 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성분형 우레탄 고무계 1류와 비노출형 고무계 2류로 구분하며 한국산업규격(KS F 321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5) 고무계 도막방수는 탄력있는 고무시트상으로 균열성에 질긴 도막방수이지만 시트방수 보다는 못하다. 그러나 시공이 용이하고 착색이 자유로워 경사 지붕, 쉘구조 지붕 등의 도막방수에 이용된다. 2.3 에폭시(Epoxy) 도막방수재 1) 에폭시 수지를 바탕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면에 2~3번 발라 두께 0.1~0.2mm의 도막방수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신장( 伸 張 )이 작아 내균열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내약품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장의 방수층 겸용 바닥 마무리재로 많이 사용한다. 2) 에폭시 수지에 유연성을 주기 위하여 탈 에폭시, 치오콜 에폭시 등의 변성 에폭시를 배합하여 사용할 때도 있다. 2.4 우레탄(Urethane) 도막방수재 일반사항 1) 용제형 도막방수제의 일종으로 우레탄 수지를 바탕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면에 2~3번 발라 두께 3mm 정도의 도막 방수층을 만드는 방수법이다. 2) 탄력성 및 방수성능이 우수하다 재료 1) 방수용 도막제 : 폴리우레탄을 주원료로 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품질에 따라 노출형 우레탄 고무계와 비노출형 우레탄 고무계로 구분하며, KS F 3211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2) 프라이머 : KS F 5000(건조시간 및 가열잔분 시험)의 품질(건조시간 : 5시간 이내, 가열잔분 : 20% 이내)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3) 보강재 : 도막의 보강 및 두께의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신장률 및 인장강도 등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유리섬유 비닐론, 데빌론 등의 망상포 ( 網 狀 布 )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바탕처리 바탕처리는 시멘트 액체방수에 준하고 배관 등의 관통공사가 종결된 후에 시공한다. <표 1> 도막방수 재료량(우레탄계 및 에멀션계: 두께 3mm 기준)
64 구분 수 량 규격 단위 고무 아스팔트 무기질 명칭 우레탄계 에멀션계 탄성계 고무아스팔트 에멀션 고형분 60% l 우레탄 방수제 주제, 경화제 kg 에멀션 kg 마감 코팅제 kg 프라이머 l 부직포 m 희석제 kg 파우더 kg 시멘트 kg 모래 m 제3절 시공 3.1 시공 기준 1)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1~3시간 경과 후 주제와 경화제 및 시방서에 명기된 기타 재료를 제조사의 배합시방에 따라 혼합하고, 시공시방에 따라 붓칠, 롤러칠, 뿜칠 등으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치켜올림 부분과 평면부분의 순서로 도포한다. 2) 도막의 두께는 3mm 이상이어야 하며, 보강포 위에 도포 할 경우에는 불침투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방수제의 겹쳐 바르기는 전 공정의 칠 방향과 직교하게 하고, 겹쳐 바르기 또는 이어 바르기의 폭은 100mm 내외로 하며, 겹쳐 바르기의 시간 간격은 여름 5시간~2일, 봄 및 가을 10시간~3일, 겨울 15시간~5일을 표준으로 한다. 3.2 시공 일반 1) 방수 시공상 필요한 사항은 모두 방수 시공자의 책임하에 세밀히 시공한다. 2) 방수공사의 시공에는 천후( 天 候 ), 기온 등의 영향이 있으므로 습하고 흐린날씨나 서열( 暑 熱 ), 한냉 시기를 피해 시공한다. 3) 콘크리트 바탕 상태 및 현장 여건에 따라 변경 시공할 수 있다. 3.3 시공 순서 1) 바탕정리 2) 프라이머 도포 3) 탄성 도막 방수재 1차 도포 4) 탄성 도막 방수재 2차 도포 3.4 도막 작업 전 선행공정 바탕 정리 1) 바탕면에 묻어있는 불순물이나 레이턴스 등을 깨끗이 청소하고 돌출되어 있는 철선이나 나무조각 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2) 바탕면이 평활하지 않는 곳은 고름모르타르(시공 별도)를 두께 20~24mm 정도로 발라 면
65 을 평활하게 한다. 약간의 습기가 있어도 시공은 가능하다 프라이머 도포 1) 바탕 정리후 프라이머를 전면에 0.3kg/cm 를 롤러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2) 무기질 에멀션과 무기질 파우더를 규정된 양으로 휘저어 한데 섞은 다음, 여기에 적당 량의 물을 혼합시켜 핸드 믹서기로 약 3~5분 정도 혼합한다. 3) 혼합비율은 그린 에멀션(18kg) + 그린 파우더(14kg) + 물(2kg)이며, 시공여건에 따라 다소 조정될 수 있다. 4) 혼합된 방수재는 롤러나 붓, 스프레이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3.5 품질관리 시공상태 검사 1) 바탕 표면상태 검사 2) 누수, 균열, 들뜸, 박리검사 3.6 청소 및 보양 1) 방수층의 시공이 완료되고 보호층을 덮기 전에 비닐 또는 천막 등으로 덮어 급격한 건조를 피하며, 기후조건에 따라 2~3일간을 양생한다. 2) 기온이 동결점 이하이거나 모체가 5 이하일 경우에는 양생포 등을 덮어 보온해 주도록 한다. 3) 방수공사 진행중 또는 완료후 양생전에는 그 위를 보행하거나 중량물을 적재 하여서는 안 되며 진동을 주어서도 안 된다.
66 SECTION 금속공사 일반사항 -Ⅰ (철, 비철금속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금속공사 또는 철물공사는 1차 가공 제작된 자재 또는 금속자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설치, 완료하는 작업으로, 그 공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등박스, 형틀 및 문틀 제작 등 특정한 형태로 설계된 것을 금속을 이용하여 재단, 커팅, 절곡 및 용접 등 여러 공정을 통하여 진행하는 경우와, 완제품이나 반제품 형태로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만 하는 공정이다. 1.2 적용규준 공사에 사용하는 철재(Steel)의 공통 적용규준 및 기준은 포스코(POSCO) 생산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기타 비철금속 및 2차 제품은 모두 한국공업규격(KS)에 규정되어 있는 것을 따르되, 다른 규격품일 경우 동등 이상품이어야 한다 한국산업규격(KS) KS D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용융 아연도금 및 강대 KS D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기계 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스테인리스 강대 KS D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D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판 및 조 KS D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산화 피막 KS D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산화 도장 복합피막 KS D 용융 아연도금 KS D 광명단 조합페인트 KS D 크롬산 아연 방청페인트
67 1.3 도서 및 기타 시공상세도 잡철물에 대한 제작 및 설치 상세도를 작성하여 여기에 관련 공사와의 접합, 정착 및 설치에 관한 평면, 입면 및 상세를 표기한다 견본 제품의 색상, 마무리, 외관, 형상 및 기능 등을 나타낸 자재는 견본을 참조한다 제품 설명서 사용되는 자재가 기성품인 경우에는 해당 제조업체의 제품 명세서 및 설계지침서를 참고한다. 제2절 철 금속재 2.1 순금속과 합금의 개념 순금속( 純 金 屬 ) (1) 순금속은 100% 순도를 가진 금속물질을 말한다. 모든 금속은 현재 거의 100%에 가까운 순도로 정제하고 있지만, 완전 100%인 것을 정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2) 금속재료로서는 순금속만을 사용하는 예는 거의 없고 대부분이 둘 이상의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된 합금을 사용하고 있다 합금( 合 金, Alloy) (1) 합금은 하나의 금속에 하나 이상의 다른 금속 또는 비금속을 가해서 금속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사용되는 모든 금속은 엄밀히 말해서 합금이라 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금속 혹은 비금속은 제조공정 중에 자연 혼입되는 경우와 유용한 성질을 얻기 위해 인공 혼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조공정 중에 자연 혼입되는 성분을 일반적으로 분순물이라고 한다. 이 불순물의 영향이 반드시 나쁘다고만은 할 수 없으며 합금에 따라서는 각각 다른 유용한 효과를 갖는 경우도 있다. (3) 합금의 제조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금속과 금속 또는 금속과 비금속을 용융상태에서 융합시키는 방법, 압축 소결에 의한 방법, 삼탄처리( 滲 炭 處 理 )와 같은 고체상태에서 확산을 이용하여 합금을 부분적으로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 2.2 철강( 鐵 鋼 ) 철강의 성분 철강은 철(Fe) 이외에 소량의 탄소(C), 망간(Mn), 규소(Si) 및 불순물로 인(P), 유황(S) 등을 함유하고 있다. 화학적으로 순수한 철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68 일이며, 순철( 純 鐵 )이라 해도 0.001% 정도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 철강의 종류 철강은 이론상 철, 강, 주철로 구분되는데 이것은 그 성질이 현저하게 변화되는 임계점( 臨 界 點 )을 탄소량으로 정한 것이다. 실제 열처리에 따라 경도의 차이가 있다. 명칭 탄소량(C) 성질 철 0.04% 이하 연질이고 가단성이 크다. 강 0.04%~1.7% 가단성, 주조성, 담금질 효과가 있다. 주철 1.7% 이상 주조성이 좋고 경질이고 취성이 크다. 2.3 탄소강 탄소강( 炭 素 鋼, Carbon Steel)의 성분 (1) 탄소강은 0.04~1.7%의 탄소를 함유하는 Fe-C 합금으로서 강(Steel)이라고도 한다. 인류가 태어나면서부터 사용해온 모든 철은 탄소강이며, 이것은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서 기계적 물리적 성질이 달라지고 사용목적에 따라 우수한 성질의 재료를 만들 수 있다. (2) 또한 가공성이 좋아서 판, 봉, 관, 선 등으로 만들어지며 담금질, 뜨임질 등의 열처리를 하면 기계적 성질이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매우 편리한 재료이다 탄소강의 구분 (1) 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저탄소강, 중탄소강, 고탄소강으로 구분 된다. 저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이 0.3% 이하, 중탄소강은 0.3~0.6%, 고탄소강은 0.6% 이상인 것을 말한다. (2) 탄소 함유량에 따라 탄소강을 세분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탄소량에 의한 탄소강의 구분 종별 탄소 함유량(%) 주용도 특별 극연강 0.08 이하 박판, 전신선 등 극연강 0.08~0.12 리벳, 못, 새시바, 용접관 등 연강 0.12~0.20 철골, 철근, 형강, 강판 등 반연강 0.20~0.30 레일, 차량, 기계용 형강 등 반경강 0.30~0.40 볼트, 강널말뚝 등 경강 0.40~0.50 공구, 피아노선, 스프링, 샤프트 등 최경강 0.50~0.80 스프링, 칼날, 공구 등 2.4 강의 열처리 열처리의 개념 (1) 열처리란 금속재료에 필요한 성질을 주기 위하여 가열 또는 냉각하는 조작을 말한다.
69 (2) 금속재료는 가열온도를 유지하는 시간 및 냉각온도에 따라서 조직이 크게 달라진다. 강을 고온으로 가열하였다가 냉각시키면 결정의 원자배열이 변화하여 그 조직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역학적 성질을 개선하거나 압연 또는 주조시의 잔류응력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열처리 방법 (1) 풀림(Annealing) : 강을 적당한 온도(800~1,000 C)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에 노( 爐 ) 안에서 천천히 냉각시키는 조작을 풀림이라 한다. 풀림을 하면 강의 조직이 표준으로 되므로, 단조( 鍛 造 ) 압연( 壓 延 ) 등에 필요한 가공성과 적당한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얻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2) 불림(Normalizing) : 결정입을 미세화하고 조직을 균일하게 하여 강력한 재료로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910 C 또는 그 이상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에 대기 중에서 냉각시키는 열처리를 말한다. (3) 담금질(Quenching or Hardening) - 강을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상태의 고온에서 물 또는 기름 속에 투입하여 급랭시키는 조작으로서,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라고 하는 조직을 가진 상당히 단단한 조직을 얻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마르텐사이트라는 것은 이와 같은 담금질에 의해 생기는 매우 단단한 조직을 일컫는 명칭이다. 담금질 온도의 범위는 탄소량에 의하여 변화하며 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낮아진다. 담금질의 효과는 탄소량에 따라 다르며 인장강도 경도는 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신장률 단면수축률은 반대로 감소한다. 담금질에 의하여 물리적 성질도 변화하는데 비중은 약간의 감소, 비열은 약간의 증가 그리고 전기저항 및 잔류응력은 크게 증가한다. 강재를 용접하면 그 부분은 일종의 담금질 처리를 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4) 뜨임질(Tempering) - 담금질을 한 강에 인성을 주기 위하여 변태점 이하의 적당한 온도에서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뜨임질을 하면 재료의 경도와 강도는 감소하지만 신장률 단면수축률 및 충격값은 증가한다. 따라서 메짐성이 완화된다. 특히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요한 경도 및 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적당하게 온도를 가감하는 것이 좋다. 2.5 특수강(Special Steel) 특수강의 개념
70 탄소강에 특수한 성질을 주기 위하여 다른 금속을 적당량만큼 첨가한 합금강을 말한다. 특수강은 그 성질에 따라 구조용 특수강, 특수용도용 특수강으로 구분한다 구조용 특수강 (1) 탄소강보다 강인성을 높인 것으로 담금질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2) 탄소강의 기본 성분에 금속원소 니켈(Ni) 망간(Mn) 크롬(Cr) 규소(Si) 텅스텐(W) 바나듐(V) 구리(Cu) 몰리브덴(Mo) 코발트(Co) 붕소(B) 등을 적당량 첨가한 것이다. (3) 일반적으로 구조용 특수강은 기계 구조용에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건축 토목 구조재로 사용되는 양은 적으나, 앞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 증대 및 부재 단면의 축소 또는 고층건축물에 대한 요구 등으로 크게 보급될 전망이다. (4) 구조용 특수강으로는 크롬강(Chrome Steel), 니켈강(Nickel-Chrome Steel), 크롬 몰리브덴강(Chrome-Molybdan Steel),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Nickel-Chrome- Molybdan Steel) 등이 있다 특수용도용 특수강 (1)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 크롬 니켈 등을 함유하며 탄소량이 적고 내식성이 우수한 특수강이다. 기계적 성질이 좋아 알루미늄판의 1/3두께로 같은 강도를 보이며 전기저항이 크고 열전도율이 낮다. 경도에 비해 가공성은 좋으며 납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건축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다방면으로 그 사용이 증대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강은 수십 종에 이르나 크롬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강이라는데 그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스테인리스강은 성분에 의해 크롬계 스테인리스강, 크롬 니켈계 스테인리스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두가지 기본형은 내식성, 내열성, 기계적 성질, 용접성, 절삭성 등에 따라 더 많은 종류로 나누어진다. 표. 스테인리스강의 화학조성 및 기계적 성질 크롬계 크롬 니켈계 종류 KS 주요화학 조성(%) 기계적 성질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해당규격 C Cr Ni Mo (kg/mm 2 ) (kg/mm 2 ) (%) 13크롬 스테인리스강 STS 크롬 스테인리스강 STS 스테인리스강 STS 스테인리스강 STS 스테인리스강 STS 표. 스테인리스강의 특성 및 용도
71 종류 특성 용도 약간 검은 빛을 냄. 스테인리스강 중 가장 내식성이 떨어 짐. 13크롬 식기 볼트 너트 나이프 가공성이 좋고 자성 있음. 스테인리스강 류 등에 사용 용접성은 좋지 않음. 크롬계 스테인 리스강 담금질로 경화 함. 가격이 가장 저렴함. 13 크롬 스테인리스강보다 흰빛을 냄. 내산성이 불충분함. 주방용품 전기기구 등 18크롬 스테인리스강 자성이 있고 용접성 좋음. 담금질해도 에 사용. 경화하지 않음. 크롬 니켈계 스테인리 해안지역의 외장재료 스강보다 가공성이 약간 떨어지고 가 로는 불리함. 격이 저렴함. 크롬계보다는 은백색을 냄. 내식성 내 열성이 우수하며 건축의 내 외장 및 차 18-8 가공성 용접성이 좋음. 량 등 전반적으로 가 스테인리스강 고온시에도 강도가 큼. 크롬 장 많이 사용. 자성화하지 않음. 니켈계 스테인 담금질하여 경화하지 않음 스테인리스강보다 인장강도가 떨 용접 구조용 재로 리스강 스테인리스강 어짐. 가장 많이 사용. 부식성이 강한 환경 (외부나 화학공장 내식성 내산성이 가장 우수함. 스테인리스강 등)의 내 외장재로 사용 2.6 주철과 주강 주철(Cast Iron) (1) 92~96%의 철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크롬, 망간, 유황, 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보다 용융점이 낮아 복잡한 형태의 것들을 주조하기 쉬우나 압연 단조성이 없다는게 결점이다. (2) 탄소량 1.7~6.67%까지의 것을 주철이라고 하지만 실용화되고 있는 것은 탄소량 2.5~4.5%의 범위이다. (3) 용강로에서 철광석을 환원해서 직접 주입한 것을 선철이라고 하며, 주철과 같이 쓰일 때가 많다. (4) 주철은 창호철물, 자물쇠, 장식철물, 방열기, 맨홀 뚜껑 등 주강을 쓰기에는 값이 너무 비싼 경우로 강 정도까지 필요하지 않을 때 많이 사용된다. (5) 주철은 탄소가 화합탄소(Fe 3 C)이냐 유리탄소(흑연)이냐에 따라 회주철(Gray Pig
72 Iron)과 백주철(White Pig Iron)로 분류되며, 백주철보다 회주철이 많이 사용된다. 냉각속도가 느리고 탄소량이 많을수록, 또 규소가 많을수록 회주철이 되기 쉽다. (6) 주철을 기계적 성질에 의하여 분류하면 보통주철, 특수주철(합금주철), 가단주철, 칠드(Chilled)주철, 구상흑연주철 등이 있다 주강(Steel Casting) (1) 주강은 탄소량이 0.1~0.5%의 용해강을 주형에 주입하여 제작하는 주물로서 저탄소주철이라 할 수 있다. (2) 규소(Si) 및 망간(Mn)의 양이 특히 많고 주조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질은 탄소강과 비슷하지만 인성은 떨어진다. (3) 화학조성에 의해서 보통주강(탄소강주강)과 특수주강(저합금강주강 및 고합금강주강)으로 분류되며, 고합금강주강은 다시 그 화학성분 및 용도에 따라 스테인리스주강 내열강주강 고망간주강 등으로 분류한다. 주강은 주조용재에 있어서 주철로서는 강도가 불충분한 것에 사용한다. 제3절 비철금속재 3.1 비철금속재의 종류 및 특징 비철금속재의 종류 비철금속으로는 동 및 동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니켈 및 니켈합금, 연, 아연, 주석 등이 있다 비철금속재의 특징 및 적용범위 (1) 비철금속은 특히 녹이 쉽게 나지 않는 장점 때문에 건축에서 주로 장식 및 부속 철물류의 대체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2) 종래 비철금속재료로 비교적 널리 사용된 것은 동을 주재료로 한 것들 이었으나 1945년 이후에 알루미늄 및 그 합금류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그 이용분야가 광범위하게 개척되어 건축재료로서의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다. 또한 아연이나 주석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은 강도, 경도,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의장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장식용으로 사용한다. 3.2 동과 동합금 동( 銅, Copper) - 미국의 루루기지방에서 생산되는 천연동이 있으나 대개 황동광(Cu 2 S Fe 2 S 3 & CuFeS 2 ) 또는 휘동광(Cu 2 S) 등으로부터 용광로나 또는 전로를 통하여 조동을 만들고 이 조동을 원료로 해서 반사로나 전기분해에 의해 정련하여 동을 얻는다. 동을 구리라고도 하며 동의 산출량은 미국, 칠레, 아프리카, 캐나다 등의 순으로
73 많다. 동의 약 80%는 순수한 동, 즉 순동으로, 주로 전기공업에 사용된다. 가공재료는 봉 판 관 선 등이 있으며, 주조에 의하여 여러가지 형상으로 만들어 실용화 하고 있다. 동이 다른 금속보다 우수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2) 부식이 잘 안 된다. (3) 아름다운 색을 갖는다. (4) 유연하고 전성( 展 性, 전연성)이 좋아 가공하기 쉽다. (5) 아연, 주석, 니켈 등과 합금을 하면 귀금속적 성질을 가진다 동의 용도 - 동은 철강보다 내식성이 우수하고 전연성이 크다는 등의 이점 때문에 지붕잇기 동판 및 동기와의 홈통, 철사, 못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열전도율이 높고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급탕용 및 급배수 파이프 등의 냉난방용 설비자재로도 많이 사용된다. 근래에는 주택의 난방용 배관재로서 강관보다 동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동관이 강관에 비해 값이 비싸다. 동은 아름다운 색과 광택을 지니고 있어 주로 장식재료로 사용되며, 전기전도율이 다른 금속에 비해 월등히 높은 이점을 이용하여 전기공사용 재료로도 사용된다 동합금(Alloyed Copper) 동합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건축재료로는 황동과 청동이 주로 사용 된다. (1) 황동( 黃 銅 ) : 일명 놋쇠라고도 하며 주로 동 70%와 아연 30%로 된 합금을 말한다. 실용화되고 있는 것은 보통 아연 약 40% 이하를 함유한 것. 황동은 압연 인발 등의 가공이 용이하고 내식성이 크므로 논슬립, 줄눈대, 난간, 코너비드, 정첩, 창문의 레일 장식 철물 및 나사 볼트 너트 등에 널리 사용된다. 황동은 산 알칼리 및 암모니아에 침식되기 쉬우므로 사용에 특히 주의하여야 하며, 아연을 50% 정도 함유한 것은 황금색을 띠며, 비중은 8.3 정도이다. (2) 청동( 靑 銅 ) : 동(Cu)과 주석(Sn)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며, 아연(Zn)이나 납(Pb) 또는 철(Fe)을 다소 함유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보통청동 또는 주석청동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들 중 실제로 공업용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주석의 함유량이 15% 이하의 것이다. 이중에서 주석을 10% 정도 포함한 것을 포금( 砲 金, Gun Metal)이라 하며, 밸브나 문 등의 제작용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청동의 색깔은 주석의 함유량에 따라 변화하는데, 주석 5%까지는 동적색으로 나타나고, 주석량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을 띠며, 주석
74 15%의 합금은 등황색을 띠게 된다. 주석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백색을 띠고 25%의 주석을 함유할 경우 창백황색이 된다. 주석 10% 정도 함유한 포금의 비중은 8.8이고 열전도율은 0.099cal/cmsec 정도이다. 청동은 황동보다는 내식성이 강하고 주조하기 쉬우며 표면은 특유한 아름다운 색깔을 지니고 있어 건축물의 장식 부품 또는 미술 공예재료로 사용된다. 3.3 알루미늄과 알루미늄합금 알루미늄(Aluminium) - 알루미늄(Al)은 알루미나(Al 2 O 3 )가 주성분인 보크사이트라는 광석에서 알루미나를 분리 추출하고, 이것을 용융된 빙정석( 氷 晶 石 ) 중에서 전기 분해하여 제조한 금속으로, 대표적인 경금속에 해당한다. 주요 산지는 미국, 캐나다 등이고 1827년에 발견되어 1886년에 공업적 제조가 시작되었으며 근래 들어 형재 판 선 봉 관 등 여러 가지 모양의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다 알루미늄의 용도 - 알루미늄은 경금속으로서 전연성이 좋고 내식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커튼월(Curtain Wall)의 스팬드럴(Spandrel)을 비롯하여 내외벽 천장 지붕의 마감재료, 도어 새시 창호철물 등의 창호재료, 계단 손잡이 논슬립 등의 조작재료, 블라인드 루버 창 격자 등의 내 외장재료, 배관 라지에이터 조명기구 싱크대 상하수도 상하수도관 등의 설비재료, 가구재료, 열절연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료 및 창호재료로서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알루미늄합금 - 알루미늄에 구리(Cu) 마그네슘(Mg) 망간(Mn) 규소(Si) 아연(Zn) 니켈(Ni)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열성 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조된 합금으로, 단련용 합금과 주물용 합금으로 대별된다. 단련용 합금은 단조, 압연, 인발, 압출 등의 가공으로 판 봉 관 선 등을 만들 수 있는 합금이고, 주물용 합금은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사용되는 합금으로서 주조성을 좋게 한 합금이다. 이 알루미늄 합금의 출현으로 내 외부장식용 착색무늬 판매, 대형 창 격자, 조각판재, 메탈 커튼월 등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단련용 합금에 속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내식성합금: 대기 중에서 순알루미늄과 거의 같은 내식성을 가지며 마그네슘 망간 규소 등을 첨가하여 역학적 성질도 개선된 합금으로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대개 이 합금이다. 알루미늄 새시바, 발코니 난간, 울타리, 파이프 등은 이 합금의 압출
75 성형재이다. (2) 고력합금 : 내식성은 내식성합금보다 떨어지지만 강도는 훨씬 높은 합금으로서 주로 가볍고 강도를 요하는 물체의 재료로 사용된다. 오늘날 널리 실용되고 있는 것은 듀랄루민(duralumin)이다. 듀랄루민은 독일의 알프레드 빌름(Alfred Wilm)이 발명하여 1909년에 공업생 산화된 Al-Cu계, Al-Si계, Al-Mn계, Al-Mg-Zn계, Al-Cu-Mg계, Al-Cu-Ni계 합금으로 항공기, 자동차, 기타 기계부품 등에 이용된 대표적인 단련용 알루미늄 합금이다. (3) 내열합금 : 열팽창률이 적고 열전도율이 커서 고온에서도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합금이다 알루미늄의 표면처리 알루미늄 표면에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처리를 함으로써 소지의 상태, 광택, 색에 변화를 주어 내식성,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외관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대표적인 표면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양극산화 피막법 : 수산 황산 크롬산 염기성염 등을 전해질로 하고 알루미늄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알루미늄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피막은 알루미늄 내마모성, 내식성, 표면경도, 염색성 및 전기절연성을 증대시키지만 형성된 피막은 다공성이므로 봉공처리(sealing)를 해야만 공기와의 접촉을 막을 수 있고 봉공처리( 封 孔 處 理 ) 후에 특별한 착색 및 부식방지를 위해서 합성수지계 도료를 칠할 때도 있다. (2) 화학적 산화피막법 : 알루미늄을 화학약품 용액에 담가 전류를 통하지 않고 산화피막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내마모성, 절연성을 기대할 수 없다. 3.4 아연과 아연합금 아연( 亞 鉛, Zinc) 아연은 섬아연광( 閃 亞 鉛 鑛 ;ZnS) 또는 능아연광( 菱 亞 鉛 鑛 ;ZnCO 3 ) 등의 원광석에서 증류법 또는 전해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100~150 로 가열하여 박판으로 압연할 수 있고 또는 와이어로 인발할 수 있다. 그러나 200 로 가열하면 결정립이 거칠어져서 다시 취약하게 된다. 아연은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거의 산화되지 않으나 습기와 탄산가스가 존재하면 표면에 염기성 탄산염의 박막이 생성되고, 내부의 산화를 방지한다. 아연은 묽은 산류에 쉽게 용해되며 그 용해도는 불순할수록 심해진다.
76 알칼리에도 침식되며 해수에는 서서히 침식된다. 또한 철과 동에 대하여 전기적 양성이 강하고 이를 금속에 접촉시키면 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연은 청백색의 광택을 지니고 있으며 고순도의 아연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대기중에서 어느 정도 광택을 유지하지만 불순물인 연(Pb) 철(Fe) 카드륨(Cd) 주석(Sn) 등을 소량 함유하게 되면 광택이 매우 떨어진다. 아 연은 함석(galvanized iron)의 제조에 사용된다. 가장 큰 용도는 철판의 아연도금이며 기타 철물에도 방식용으로 도금한다. 아연판은 지붕재료 등으로 쓰인다 아연합금(Alloyed Zinc) 아연합금은 다이캐스팅용 아연합금과 형주물용 또는 단련용 아연합금으로 구분된다. 다이캐스팅용 아연합금은 알루미늄(Al) 구리(Cu) 마그네슘(Mg)을 4~7% 정도 첨가한 합금인데 용융점이 낮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대기중의 내식성이 우수하여 건축 철물로서 유망한 합금이다. 형주물용 아연합금에는 다이캐스팅용 합금을 그대로 쓰지만 결정립이 거칠어지므로 강도는 다이캐스팅 주물보다 약 20% 낮다. 단련용 아연합금에는 Zn-Al계, Zn-Cu계, Zn-Al-Cu계 등이 있으며, 인장력이 30~50kg/mm 2 정도이고, 연신율이 8~20%이다. 3.5 연( 鉛, Lead)과 연합금 연의 특성 연은 납이라고 하며, 방연광(PbS) 백연광(PbCO 3 ) 황산연광(PbCO 4 ) 홍연광(PbCrO 4 ) 등의 광석을 제련하여 얻는다. 연은 비중이 비교적 큰 편인 11.4로 연질이며 전연성이 크다.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탄산염의 박층( 薄 層 )이 생겨 이로 인한 내식성이 증가되고 산이나 기타 약액에 대한 저항성이 크지만 알칼리에는 침식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중에 매립되는 경우에는 적당히 표면을 피복할 필요가 있다. 지붕재, 홈통, 급배수, 가스관 등에 사용되며 화학공법, 특히 황산 제조공장에 필요한 것이다 용도 연은 방사선을 잘 흡수하므로 X선 사용개소의 천장, 바닥, 벽에 방호용으로 사용되고 차음용으로 얇은 연판이 쓰이며 진동방지재로서, 컴퓨터, 냉난방장치의 진동을 제거하기 위한 연과 석면의 받침대(pad)로도 쓰인다 연합금 땜납은 납(Pb) 40~70%, 주석(Sn) 30~60%의 합금으로서 주로 아연도 강판 철선 동판 동선 수동용 연관 등의 접합용으로 쓰이는데 조작이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땜납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D 6704)에 규정 되어 있다. 3.6 주석( 朱 錫, Tin)과 주석합금 주석의 특성
77 주석은 석석( 錫 石, SnO 2 )에서 제조된다. 보통의 주석 품위는 99% 정도 이다. 순주석은 백색의 금속으로 연과 같은 유연성이 있으며 용융점(232 )이 낮고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비교적 크다. 물, 산소 및 탄산가스 등의 작용은 받으나 유기산류에는 거의 침식되지 않는다. 강한 산류, 특히 가열된 산에는 쉽게 용해 침식된다 용도 주석은 연과 달리 인체에 무해하므로 식기 통조림통의 도금으로 쓰이고 주로 합금(땜납, 청동 등)의 성분으로 첨가된다. 또한 미관, 방청 또는 방습 등을 목적으로 도금 또는 박막으로 이용된다. 납과의 합금으로 장식철물, 땜납으로도 이용된다. 3.7 니켈(Nickel)과 니켈합금 니켈 니켈은 니켈광석을 제련하여 얻는다. 니켈은 내식성이 크고 전연성이 풍부하며 전기저항이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려한 청백색 광택이 있어 공기 중이나 수중에서 색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황산가스가 있는 공기에는 심하게 부식된다. 바닷물, 알칼리성 염류 수용액에도 내식성이 좋아 부식률은 0.127mm/년 정도이다. 공기 중에서는 500 이상에서 서서히 산화하나 750 이상에서는 산화속도가 커진다 니켈합금 니켈과 구리 및 아연과의 합금인 양은( 洋 銀 )은 은백색 광택으로 외관이 아름답고 전성, 연성, 내식성이 크므로 건축, 전기 또는 장식철물로 이용되고 있고 크롬과의 합금은 니크롬선으로 전열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3.8 티탄(Titan)과 티탄합금 티탄의 특성 티탄은 은백색의 굳은 금속원소로서 천연으로 극히 널리 분포되어 대부분의 암석이나 토양 중에 들어 있다. 티탄을 티타늄(Titanium)이라고도 한다. 티탄을 가열하면 강한 빛을 내며 연소하고 거의 모든 비금속원소와 화합한다. 고순도의 티탄은 연하지만 불순물이 소량이라도 있으면 재료가 강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물리적 성질은 가볍고 융점이 비교적 높다. 또한 열팽창계수가 적으며, 열전도율이 낮고 전기저항이 높다 용도 본래 티탄 자신은 굉장한 활성으로 반응하기 쉬운 금속이지만, 미량의물 혹은 수산기의 존재하에서 용이하게 형성되는 산화피막으로 보호되어 산, 알칼리, 각종 염화물 용액, 유기산 등의 부식매( 腐 蝕 媒 )에 대해 뛰어난 내식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티탄을 건축재료로 사용하려는 이점이 여기에 있다.
78 3.8.3 티탄합금 티탄에 알루미늄 크롬 철 망간 몰리브덴 바나듐 등을 첨가한 합금으로서 가볍고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가공성이 낮아 건축재료용으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항공기, 자동차, 선박, 화학기계 등에 쓰이고 있다. 제4절 제작 설치 4.1 설치 일반사항 (1) 재질, 형태 및 치수 등은 설계도면에 준한다. (2) 제작전에 필요한 경우 현장 실측후 실시하고 강재의 접합은 금속공사에 의하여 모든 제품의 설치에 필요한 재료와 부속품에 관하여 도면 및 시방서에 언급이 없어도 해당 품목이 완전히 설치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3) 금속제품 제작시 재질이 다른 모든 이종 금속간의 접촉부에는 두께 1.0mm 이상의 PE 필름 등을 끼워 전식방지 처리를 해야 한다. (4) 항목들의 연결부를 맞추어 견고하게 조립하며, 연속용접으로 결합된 부재는 연속으로 실(seal)한다. (5) 상이한 재료가 접촉되거나 알루미늄이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적, 또는 습한 나무나 수분을 흡수하는 재료와 접촉하는 곳에는 표면을 역청질 도료나 아스팔트 바니시로 보호해야 한다. (6) 잡철물 공사는 선, 각도 및 곡률과 함께 형태와 규격이 맞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드릴링이나 펀칭은 선과 면이 깨끗이 되도록 하고 용접은 부분용접이 허용된 곳을 제외하고는 전체 접촉 부분을 따라서 연속 용접해야 한다. 제 위치에서의 노출 부분은 부분용접을 하여서는 안 되며 노출 용접부위는 매끈하게 연마해야 한다. (7) 용접 시 환경조건 가. 주위의 기온이 0 이하일 경우에는 용접을 하면 안 되며, 부득이한 경우 모재 부분의 접합으로부터 100mm 범위 내에서 36 이상으로 예열시킨 후 용접을 실시한다. 나. 눈 또는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용접할 수 없다. 부득이한 경우 눈이나 비로부터 완전 차단하고 용접부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용접한다. 4.2 금속공사의 기계 및 공구류 (1) 유압절단기 : 얇은 철판을 필요한 규격으로 가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계로 주로 유압에 의하여 작동된다. (2) V-커팅기 :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된 철판을 용도에 맞게 접을 때 미리 V 자형의 날로 철판을 긁어내는 기계로 철판의 절곡을 용이하게 도와주기 위하여
79 사용되는 기계이다. (3) 유압절곡기 : V-커팅된 철판을 절곡기 위에 올려놓고 다양한 형태로 철판을 접는 작업을 하는 기계이다. (4) 레이저 커팅기 : 철판을 이용하여 특정 형태를 가공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계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커팅하기 때문에 정밀한 형태의 가공이 용이한 기계이다. (5) 용접기 : 금속을 서로 접합시켜주는 기계로, 아크 용접, 아르곤 용접, 스포트 용접, 전기저항 용접, 매그용접, 티그용접 등 다양한 용접 방법이 있다. (6) 작업용 보안경, 방진마스크, 용접용 장갑 4.3 철물가공 실내건축공사에서의 금속의 가공이란 금속재 특히, 1.2~1.6mm의 철판을 이용하여 절단, V-커팅, 절곡 등의 작업을 통하여 특정한 형태의 금속 가공물을 1차 가공하여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하여 2차적으로 제작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1)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형태의 치수를 기준으로 재단한다. 일반적으로 1.2~1.6mm의 철판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제품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재단을 한다. (2) 다양한 형태로 재단된 철판은 V-커팅기를 이용하여 절곡을 위한 커팅작업을 한다. V-커팅 작업이란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철판 위에 V자 형태로 철판을 프레스(Press) 하는 작업으로 이는 철판을 접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접히는 면을 균일하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3) V-커팅한 철판이나 스테인리스 철판은 도면에서 제시한 형태로 절곡을 하게 된다. 절곡이라는 것은 철판을 접는다는 의미로 절곡을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1.0mm 이상이다. 그 이하의 치수로 할 경우에는 절곡할 날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절곡 작업이 곤란하다. (4) 제시된 치수로 절곡된 철판은 용접을 통하여 특정한 형태로 제작이 된다. 실내 건축공사에서 적용되는 금속 용접은 아르곤 용접을 하는데, 아르곤 용접은 철물을 완벽하고 밀실하게 접촉하므로 많이 이용된다.
80 표. 절곡금형의 다양한 형태 4.4 조립 허용 오차 (1) 직각도 : 대각에서 측정하여 최대 3mm 이내 (2) 면 길이의 최대 엇물림 : 1.5mm (3) 인접부재의 최대 어긋남 : 1.5mm (4) 최대 휨 : 2.5mm/m (5) 평면에서의 최대 변위 : 1.25mm/m 4.5 운반, 보관 및 취급 (1) 모든 제품 또는 자재는 부식, 변형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비닐시트,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사용해서 보양하며 외기에 직접 저촉되지 않도록 보관되어야 한다. 철재 제작물의 경우 녹막이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2) 현장 반입 후 녹막이칠의 손상부분 또는 박리부분은 원상태로 보수하여야 한다. (3) 분체도장된 부재의 현장 반입시는 보양재로 보양하며 작업기간 동안 표면손 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4) 용접봉은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하도록 편리하고 습도가 높은 곳에서 나봉 상태로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용접봉의 피복재가 충격에 의해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5) 현장내 구조재용 금속자재 반입 시 단면크기가 같은 항목별로 구분 관리할 수 있게 적재하여 작업 시 구조재 선별사용을 용이하게 관리한다.
81 SECTION 금속공사 일반사항-Ⅱ (경금속제)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알루미늄 및 합금(경금속)의 공종에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1) 경금속의 성분은 열처리 및 가공도에 따라 강도, 경도, 내식성 등이 현저히 달라지므로, 재료는 모두 그 종류 및 재질이 명확한 것을 사용한다. (2) 경금속제는 재질을 항상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출하할 때 재질을 표시한다. (3) 경금속제는 수송할 때, 손상되지 않도록 포장하고, 부식, 오염, 손상 등이 생기지 않도록 보양한다. (4) 경금속제는 보관 중, 모래 먼지가 쌓이거나, 빗물, 습기 및 기름 등이 묻으면 표면이 오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여야 한다. (5) 경금속제는 가공 및 운반 시 기름손으로 표면을 더립힌 채 방치하거나, 거친 솔 등으로 표면을 닦아 흠을 내서는 안 된다. (6) 경금속제의 조립은 리벳 볼트 나사조임을 표준으로 하지만, 수밀공법으로 할 때에는 용접 경납땜 접착 수밀도장 또는 수밀재 코킹으로 한다. 수밀성과 강도가 요구될 때에는 이 방법들을 적당히 병용한다. 경금속제는 용접 경납땜을 할 때에 국부적 가열로 재질, 형상 및 강도의 변화 또는 비틀림이 생기기 쉬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7) 경금속제는 팽창계수가 크므로, 팽창 및 수축의 여유를 보아 제작하고, 특히 이질적 구조체에 고정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제2절 재료 및 가공 일반 2.1 일반사항 경금속제를 가공할 때에는 흠이나 부식을 피하기 위하여 연장 등은 깨끗이 청소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공작대 바이스, 기타 물리쇠에는 경금속제 보호판으로 굳은 나무 등을 댄다. 2.2 절단 손 절단
82 (1) 연질재료 두께 1.5mm 이하 및 경질재료 1mm 이하의 판은 가위로 절단할 수 있다. (2) 판을 절단할 때에는 미리 금을 긋고, 판이 우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절단한다. (3) 도려낼 때에는 교차점을 넣어 끊어서는 안 되고, 될 수 있으면 미리 교차점에 작은 구멍을 뚫어 둔다 금 그어 절단 (1) 두께 1mm 이하일 때에는 금 그어 절단할 수 있다. (2) 골판을 골에 따라 일부를 끊을 때에는, 강선절단으로 할 수 있다 기계 절단 (1) 절단기로 절단할 수 없는 두께의 것은 톱 절단으로 하고, 가스절단은 피한다 톱 절단 (1) 톱 절단은 둥근톱, 띠톱 및 활톱을 사용한다. (2) 톱 절단에는 윤활유로서 절삭유 및 점도가 낮은 광유를 사용한다 절단부 마무리 (1) 절단에 따라 생긴 되말림은 줄 및 스크레이퍼(scraper) 등으로 마무리 한다. (2) 거친 마무리에는 골눈 줄 또는 프라이줄(6~8cm)을 사용한다. (3) 중마무리에는 홀눈 줄을 사용한다. (4) 마무리는 윤활유를 가하여 기름눈의 줄을 사용한다. 2.3 구멍뚫기 펀치뚫기 (1) 구멍의 위치 표시는 펀치로 자국내기를 한다. (2) 얇은 판(3mm 미만)의 구멍 뚫기는 펀치 뚫기를 할 수 있다. (3) 펀치와 다이(die) 간격은 재 두께 5%를 넘어서는 안 된다 송곳 뚫기 (1) 송곳뚫기는 재료의 재질에 따라 날의 각, 버튼 각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2) 지름 13mm 이하의 구멍뚫기에는, 핸드드릴, 가슴에 대고 누르는 드릴 또는 전기드릴을 사용한다. (3) 드릴의 휨은 구멍을 크게 하므로 반드시 휨이 없게 한다. (4) 얇은 판에 구멍을 뚫을 때에는 흠이 나기 쉬우므로, 재료의 밑에 고무받침을 끼워 둔다 리머(Reamer) 마무리 (1) 리머 마무리 할 때 구멍의 지름은 0.1~0.5mm 정도 작게 한다. (2) 윤활유는 석유 또는 기타 점도가 낮은 광유를 사용한다 탭(Tab) 세우기
83 (1) 탭을 세울 때에는 적당한 밑부분에 구멍을 뚫고, 달구어 붙지 않도록 광유를 바르고 한다. 가는 눈 나사는 될 수 있는대로 피한다. (2) 특히 강도를 요하거나, 탈착이 심한 곳에는 나사 이가 쭈그러지기 쉬으므로 스테인리스 철선 감기 또는 도장을 한 황동 붓슈(나사통)을 사용한다. 2.4 성형 일반사항 (1) 성형에 따르는 마무리 치수는 정확하고 표면에 가공흠 등이 없는 것으로 한다. (2) 본에 따라 가공할 때에는 미리 되돌림을 고려하여 만든 본을 사용한다. (3) 본 및 연장은 표면이 깨끗한 것을 사용한다. (4) 경금속제의 달구어 누그림은 합금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온도 범위 내에서 한다. (5) 열처리하는 합금은 달구어 누그린 상태로 가공하고, 담금질 직후에 교정하여 시호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판의 구부림 (1) 판의 냉간 구부림은 최소 안쪽 반지름 이상에서 한다. (2) 두드려 구부릴 때에는 꺾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얇은 판으로 구부리기 힘든 것 또는 두꺼운 판은 열간 구부리기로 한다. (4) 결정판을 도려낸 곳에서 두 방향으로 구부릴 때는, 구석에 먼저 구멍을 뚫어 찢어지지 않게 한다 관의 구부림 (1) 관의 냉간 구부림은 최소 안쪽 반지름 이상에서 행한다. (2) 날카로운 구부림 및 얇은 관의 구부림은 사춤물을 써서 행한다. (3) 구부린 부분의 주름살 수정은 관내에서 하고, 끝에 강구를 붙인 강철선으로 빼 내거가 여러 강구를 밀어 넣어 행한다. (4) 구부림 방법, 맞물림 정도는 도면 기준에 따른다 선 및 봉의 구부림 (1) 선 및 봉의 냉간 구부림은 최소 안쪽 반지름 이상에서 행한다. (2) 구부림의 방법은 관에 준한다 형재의 구부림 (1) 형재의 완만한 구부림은 관에 준하고, 플랜지의 변형 우글음 및 갈림 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행한다. (2) 형상이 간단한 형재의 구부림은 열간 또는 냉간에서 본을 대어 여러 차례 두드려서 행한다. (3) 형재의 날카로운 구부림은 도려내어 구부린 다음 용접한다.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84 있을 때는 덧판을 댄다 변형 교정 손으로 변형을 교정할 때는 평활한 작업대 또는 적당한 본을 위에서 나무, 고무 또는 경금속제의 망치로 변형부분 주위를 순차로 두드려서 교정한다. 2.5 리벳 접합 재료 (1) 리벳의 재질, 형상 및 치수는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2) 강제 리벳을 사용할 때는 설계 기준에 따른다. (3) 리벳의 지름은 재 두께에 따라 아래 표를 표준으로 한다. (4) 리벳의 길이는 재 두께의 합계보다 1.5~2d 더 길게 한다. 표. 재두께에 따른 리벳의 지름 재 두께 리벳 지름 열처리 (1) 열처리 고력재 이외의 리벳은 열처리를 하지 말고 그대로 가공한다. (2) 열처리 고력재 리벳은 열처리형 염욕조 등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물속에서 급냉하여 바로 사용한다. 10시간 이상 경과한 것은 다시 열처리를 한다, 다만, 냉장통에 보존한 것 또는 A16S는 예외로 한다 구멍뚫기 (1) 리벳의 위치 표시는 연필로 교접을 그려 정한다. 동일한 것을 여러 개 취급할 때는 구멍뚫기 게이지 본판으로 정한다. (2) 리벳의 중심에서 재 끝까지의 거리는 1.5d+10 이상으로 한다. (3) 리벳 중심간격은 3d 이상으로 한다. (4) 리벳 구멍은 1.03d, 또한 열간 리벳치기일 때는 1.06d로 한다 리벳 치기 (1) 리벳 치기는 손 치기 또는 기계 치기로 한다. 기계치기는 공기해머(Pneumatic Hammer) 또는 유압식 스퀴저(Squeezer)로 한다. (2) 스냅(Snap)은 리벳 머리에 접합한 것을 사용하고, 리벳 홀더(Rivet Holder)는 적당한 크기의 것을 사용한다. (3) 리벳을 칠 때, 판을 쳐서 사용한다 기타 (1) 강제 리벳을 사용할 때는 리벳 구멍 및 주변에 절연도장을 하고 리벳 치기를 한다. (2) 수밀 리벳의 접합은 접합부에 수밀도장을 한 후 리벳 치기를 한다.
85 (3) 리벳 치기를 할 때의 임시고정, 리머에 따른 구멍맞춤 및 마무리는 철골공사에 따른다. 2.6 정착 못 치기 (1) 못은 한국산업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고, 그 재질 같이 형상 및 못의 배치간격은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부득이 아연도금 못을 사용할 때에는 못 머리에 방청 도장을 한다. (2) 못을 칠 때, 판의 겹침나비는 15mm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못 구멍은 연필로 중심을 그리고 미리 펀치뚫기 또는 송곳뚫기를 하여 둔다. 판이 뒤틀리기 쉬운 곳에는 나사못을 사용한다. (3) 방수를 요하는 곳은 와셔, 고무받침 또는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펠트를 쓰고, 필요할 때는 못을 친 후 수밀도장을 한다. (4) 못을 쳐박을 때는 판에 흠이 나지 않도록 한다 나사못 볼트 및 작은 나사 (1) 나사못 볼트 및 작은 나사는 한국산업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고 재질 및 형상은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2) 조일 때는 판이 우그러지거나 나사 이를 쭈그러뜨리지 않도록 한다. (3) 나사못으로 고정할 때는 나사못 길이의 반 이상을 때려 박아서는 안 된다. (4) 볼트 또는 작은 나사로 고정할 때는 드릴로 1.3d의 구멍을 뚫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d는 볼트 또는 작은 나사의 지름) (5) 작은 나사의 나사 이는 3개 이상 걸리도록 하고, 부족할 때는 덧쇠를 대어 3mm이상 뒤쪽으로 내밀게 하거나, 기타 방법으로써 풀리지 않게 한다. (6) 나사가 풀리기 쉬운 곳에 볼트나 작은 나사를 사용할 때는 나사에 가는 실을 감고 크로메이트 도료를 칠하여 조이거나 2중 너트를 사용한다. 제3절 용접의 종류와 특성 3.1 가스용접 재료 (1) 아세틸렌 용접에 사용하는 산소는 순도 98%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아세틸렌은 용해 아세틸렌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수소용접에 사용하는 산소는 위와 같은 것을 사용하고, 수소는 시중품을 사용한다. (3) 용접봉은 재질이 같은 공금( 共 金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나, 담당자의 승인을 받아 43S(5% 규소 용접용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86 (4) 경금속용 플럭스(Flux)의 선정은 담당원의 지시에 따르며, 얇은 판(2mm 미만)의 용접에는 운행이 빠른 것을 고르고, 두꺼운 판은 운행이 느리고 산화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성능이 높은 것을 사용한다 공법 (1) 용접할 때, 모재의 용접부를 연마지, 와이어 브러시 또는 탈지 마무리로 한다. (2) 용접봉은 플럭스를 녹여 붙이거나 또는 사용할 때마다 물을 가하여 풀같이 한 것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사용한다. (3) 노즐의 끝에는 플럭스가 붙지 않게 주의한다. (4) 재 두께와 용접봉의 굵기는 원칙적으로 다음의 표에 따른다. 표. 재 두께와 용접봉의 굵기 (단위:mm) 재 두께 2 미만 5 미만 10 미만 10 이상 용접봉의 지름 (5) 용접봉은 선재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나 부득이 할 때는 상당치수의 파편을 사용할 수 있다. (6) 가스는 산소 아세틸렌 불꽂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약 1mm 이하의 엷은 것일 때에는 산소-수소 불꽃을 사용한다. (7) 불꽃은 환원불꽃을 사용한다. (8) 노즐 구멍의 지름은 재 두께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9) 모재의 용접부 형상은 다음의 (표)를 기준으로 한다. 표. 모재 용접부의 형상 (단위:mm) 재 두께 1 미만 2 미만 10 미만 10 이상 맞대는 형상 구부림 평 V Y,(X) (10) 용접하기 전에 모재의 용접부를 약 400 로 예열한다. (11) 재 두께의 20~30배의 간격으로 가붙임을 하고 나무망치로 우그러진 것을 고친 다음, 중간쯤에서부터 좌우로 정붙임을 한다. (12) 두께가 약 6mm 이상의 평판이고 용접길이 1,500mm 이하일 때에는 다른 끝을 조금 벌려서 한 끝에 가깝게 가붙임을 하고, 다른 끝의 가까운 곳을 조임쇠로 조인 후, 가붙임 쪽을 향하여 정붙임할 수 있다. (13) 조립할 때, 연장에 붙여댄 대로 용접을 하면 용접갈램이 생기기 쉬우므로 연장 중에 가붙임을 한 클램프(Clamp)를 풀고 정붙임을 하거나, 용접부에 150mm이상 떨어진 곳에 클램프를 조인다. (14) 용접은 1회를 원칙으로 하고, 수밀 기밀을 요할 때는 2중 용접을 피한다.
87 (15) 잔존한 플럭스는 60 이상의 따뜻한 물로 완전히 제거한다. 가. 용접부의 올림쇠나 조잡한 비드의 표면 마무리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필요에 따라 두들김을 하고, 별도의 절삭, 연마 마무리를 적당히 사용한다. 나. 용접에 따른 모재의 우글음은 주의하여 교정한다. 3.2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 일반사항 (1)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이란 불활성 가스 중에서 행하는 아크용접을 말한다. (2) 플럭스에 의한 부식의 우려 및 열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곳 또는 수직면 및 머리 위의 맞댄용접은 이 방법에 따른다 재료 (1) 용접기는 고주파 발생장치를 가진 교류용접기를 사용한다. (2) 토치(Torch)는 가스 캡(Gas Cap) 텅스텐 전극 및 가스공급 구멍 등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3) 재 두께의 텅스텐 전극과의 관계는 아래 표를 표준으로 한다. 표. 재 두께와 텅스텐 전극과 관계 (단위:mm) 재 두께 1이상 2미만 2미만 5미만 6미만 10미만 13미만 텅스텐전극의 지름 (4) 가스 캡은 자기제 또는 수냉식 금속제로서 재 두께에 따른 정격 및 지름은 다음의 (표)를 표준으로 한다. 표. 가스 캡의 정격 및 지름 (단위:mm) 재 두께 1이상 2미만 4미만 5미만 6미만 10미만 13미만 가스캡 의 구멍 지름 자기체 수냉식 금속재 최재정격 175(A) 최재정격 250(A) 최재정격 500(A) (5) 아르곤 가스(Argon Gas)는 압축용기(순도 99.9% 이상, 용기 압력 150kg/cm 2 이하)의 것을 감압밸브 및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한다. (6) 재 두께와 지름과의 관계는 다음의 표를 표준으로 한다. 표. 재 두께와 용접봉 지름과의 관계 (단위:mm)
88 재 두께 1이상 2미만 4미만 5미만 6미만 10미만 13미만 용접봉의 지름 공법 (1) 모재의 재질에 접합한 용접조건 및 용접부의 형상은 특기시방에 따른다. (2) 전극은 가스 캡의 단부에서 전극 지름의 약 1.5배 이상 내밀어서는 안 된다. (3) 텅스텐 전극의 위치 조절 또는 교환은 반드시 전원을 끈 후에 한다. (4) 용접의 아래에는 내열강재의 밑판을 댄다. 밑판은 모재에 접하는 표면이 평활하고 용접부와 밀착하지 않는 방법을 취한다. 또한 밑판의 나비는 모재 두께의 10배 이상으로 한다. (5) 용접 개시에 앞서 아래의 사항을 확인한다. 가. 가스압은 약 1kg/cm 2 로 조절하고 가스가 새지 아니할 것. 나. 토치용 냉각수량은 충분할 것. 다. 케이블의 한 극은 토치에, 다른 극은 모재에 접속하여 있을 것. (6) 아크는 두꺼운 동 또는 강재편 또는 모재에 접속시켜서는 안 된다. (7) 토치를 모재에서 약 3mm 띄어서 작은 원을 그리며 가열하고, 모재의 표면이 녹기 시작하면 균일한 속도로 용접하기 시작한다. (8) 토치는 모재에 대하여 70~90 각도를 유지하여 전진법으로 용접한다. (9) 용접봉은 모재에 대하여 약 15 기울이고, 그 공법은 가스용접에 준한다. 또한, 봉의 끝은 가스 분위기( 雰 圍 氣 ) 밖으로 내밀어서는 안 된다. (10) 벽면에 붙이는 접합은 토치를 용접부에 수직으로 하고,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용접봉의 사용은 토치의 밑에서부터 위항에 준하여 행한다. (11) 아크는 토치를 급속히 평행하게 하거나 모재에서 떼어서 정지하고, 소호후라도 한참 가스를 유출하여 전극의 산화를 막는다. (13) 재 두께가 6mm 이상일 때는 거듭 용접을 한다. 3.3 점용접 재료 (1) 점용접기(단상 교류식 3상 교류식 및 전자축세식, 전압 220~400V, 주파수 60Hz)를 사용하고, 그 선택은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전극은 지름 16mm를 표준으로 하되, 경질순도, 카드뮴 합금 등 적당한 것을 사용한다. 끝의 형상은 모재의 두께 및 재질에 따라 선정한다. (3) 가압식의 공기압력은 5kg/cm 2 를 표준으로 하고, 그 압력은 감압밸브로 조절한다. (4) 전극의 지지부 내부에는 냉각수(10 이하, 1분간 8 이상)을 통한다.
89 3.3.2 공법 (1) 모재의 변형은 미리 교정하여 둔다. (2) 형식이 복잡한 것은 연장으로 조여대고 또는 점용접을 부분적으로 하여 가붙임을 한다. (3)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가붙임의 리벳접합을 하여서는 안 된다. (4) 용접위치는 직접 연필로 그리지 말고 필요하면 피치게이지를 사용한다. (5) 용접을 개시할 때 공기압, 냉각수량 및 전극의 형상을 조절한다. (6) 가압력, 전류 및 통전시간은 재 두께에 따라 조절한다. (7) 재 두께에 따른 용접점의 중심에서 재 끝까지의 최소거리 및 용접 점열의 최소간격은 다음의 표를 표준으로 한다. 표. 용접점의 거리 및 간격 (단위:mm) 재 두께 0.5이하 0.8이하 1.0이하 1.5이하 2.0이하 2.5이하 3.0이하 용접점 중심에서 재 끝까지의 거리 용접 점열의 간격 (8) 전극의 끝이 더러워졌을 때는 연마지 등으로 제거한다. (9) 작업중 전압이 5%, 또는 공기압이 10% 이상 변동할 때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전압 또는 공기 압력을 조절한다. (10) 용접점은 표면이 미끈하고, 압흔이 일매지게 가지런히 되고, 갈림 등이 없게 한다. 또한, 용접점의 가부는 같은 재료 공법에 의하는 시편에 따라 검사하고,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4 경납땜 일반 사항 (1) 경납땜(Brazing)이란 모재보다 용융점이 약간 낮은 경납땜 봉만을 녹여서 모재 상호를 접합하는 것을 말한다. (2) 경납땜은 1S 2S 3S 등의 얇은 것으로 달구어 누그러져도 관계없는 부분에 한하여 사용한다. 열처리 합금에 대하여서는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재료 (1) 노즐에 사용하는 산소 아세틸렌 및 산소는 가스용접에 준하고, 토치 또는 가스를 사용할 때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경납땜 봉은 모재의 종류에 따라서 45S 또는 43S를 사용한다
90 (3) 플럭스는 운행이 빠른 것을 사용한다 공법 (1) 접합부는 납이 돌고 플럭스가 남지 아니할 정도로 하고, 겹침은 될 수 있는대로 크게 한다. (2) 맞댐접합은 될 수 있는대로 피하고 꽂아 넣는 식으로 하여 서로 지탱하도록 한다. (3) 철제연장 지지연장의 사용은 최소한도로 그치고, 경납땜을 하는 부분과의 접촉을 적게 한다. (4) 연장 지지연장에는 그 접촉부에 혹연분과 기계유 및 벤젠을 혼합한 것을 바르고, 200~300 로 달구어 녹인 납이 흘러 들어가지 않게 한다. (5) 플럭스는 사용할 때마다 소요량을 물로 풀같이 하여 접합부에 균일하게 바르고 건조한 후 곧 접합한다. (6) 노즐로 경납땜을 할 때는 모재의 과열을 피하고 불꽃이 접합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접합한 다음 냉각중에서 정치하여야 한다. (7) 접합부의 겹침살이 6mm 미만일 때는 모재의 틈새를 0.15~0.25mm, 6mm 이상일 때는 0.25~0.5mm로 함을 표준으로 한다. 3.5 접착 일반사항 접착이라 함은 모재를 녹여 붙이거나 또는 녹인 금속을 모재에 붙이거나 하지 않는, 소위 풀 접착을 말한다 재료 (1) 접착제는 완전히 보존되어 유효기간 내에 있는 것을 사용하고 그 종류 및 접착용법 등은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접착제는 1년 후의 강도 저하가 30%를 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된 것을 사용하고, 그 전단응력은 100kg/cm 2 이상으로 한다. 다만, 치장용일 때는 50kg/cm 2 이상의 것으로 한다. (3) 가온경화성의 접착제는 경화온도가 180 이상을 넘어서는 안 된다. (4) 접착제의 용기는 잘 밀폐하여 냉암( 冷 暗 )한 곳에 보존한다 공법 (1) 접착의 형식 및 공법은 모재의 두께, 형상에 따라 도면 또는 특기시방에 따르거나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접착할 때 미리 피접착물의 표면은 벤졸 또는 시너(Thinner)로 깨끗이 닦아 더러움, 기름 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3) 피접착면 간의 간격은 0.05~0.15mm를 표준으로 하고, 0.2mm를 넘어서는 안 된다.
91 (4) 경화액을 사용할 때, 그 양은 지정한 것으로 한다. 경화액을 첨가한 후는 소정 시간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5) 과잉의 접착제는 바른 후 바로 적당한 칼, 연마지 또는 지정된 용제(트리클로르 에틸렌 또는 아세톤 등)로 제거한다. (6) 예비가열을 요하는 공법은 소정의 방법에 따른다. (7) 휘발성분을 포함한 접착제에 있어서는 바른 후 적당한 건조상태에서 접착한다. (8) 접착 후의 처리는 소정의 방법에 따른다. 가압을 요할 때에는 소정시간, 소정의 압력(2~10kg/cm 2 )으로 유지한다. 가압을 필요로 하지 아니할 때라도 접착물 서로의 치우쳐 몰림을 막기 위하여 필요하면 클램프로 가볍게 고정한다. (9) 가온의 방법은 피접착물의 형상, 치수 및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방법(불꽃, 가열로, 적외선 등)을 사용한다.
92 SECTION 긴결 및 고정철물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및 참조 규격 서로 관계있는 부재를 서로 엮어 이동, 변형 등을 방지하는 재료를 긴결재라고 한다. 강철을 사용하여 만든 긴결철물에는 못, 리벳, 볼트 등이 있고 고정철물에는 인서트, 익스팬션 볼트, 드라이브핀 등이 있다. 고정철물 및 긴결철물의 규격은 KS에 합격한 것으로 하고, 설치간격 및 종별은 해당공종의 도면 및 특기시방에 따른다. 1.2 철사못(Wire Nails) 류 일반용 철못(Round Wire Nails) 연강선재를 사용하여 만든 못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형상, 용도, 치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림) 각종 못의 종류 및 형상
93 1.2.2 콘크리트용 철못(Concrete Nails) 경강선재를 사용하여 만든 못으로 콘크리트에 사용한다 나사못(Screws) 못 길이의 2/3 정도가 나사로 된 못으로 철제, 황동제 등이 있으며, 머리모양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그림) 나사못의 종류 및 형상 타카핀 (1) 타카핀은 에어 공구인 타카건에 끼워서 사용하며 용도에 따라 핀의 종류와 규격이 각기 다르게 적용된다. (2) 에어 타카건은 크게 콘크리트 타카건, 에어 네일터 타카건, 에어핀 타카건, 에어 스테이플 타카건 등 4가지로 구분된다. (3) 타카핀은 크게 J, ST, F, M으로 다음과 같이 용도에 따라 다르게 구분된다.
94 가. J : ㄷ자 타카핀으로 인테리어 내장용, 가구, 알루미늄 간판 등에 사용된다. (예: J422이면 4mm 폭을 가진 길이가 22mm ㄷ자 타카핀) 나. ST : ㅡ자 타카핀으로 철재, 콘크리트용에 사용된다.(예: ST38이면 길이가 38mm인 ㅡ자 타카핀) 다. F : ST 타카핀보다는 가늘며 내장마감, 가구, 제화 등에 사용된다. (예: F30 이면 길이가 30mm인 ㅡ자 타카핀) d. M : 아주 가는 ㅡ자 타카핀으로 보통 장식장 몰딩, 액자, 세부마감 용으로 사용된다.(예: M625이면 6mm 굵기에 길이가 25mm인 ㅡ자 타카핀) 타카핀의 단면모양 (1) ㄷ자 타카핀(J-표기) (2) ㄷ자 타카핀(J-표기) (3) F자 타카핀(F-표기) (4) M자 타카핀(M-표기) (5) ST자 타카핀(ST-표기) 1.3 볼트(Bolts) 및 너트(Nuts), 와셔(Washers) 볼트는 와셔와 너트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부재를 조여 긴결하는 데 사용한다 보통볼트(Common Bolt) : 육각머리볼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95 1.3.2 앵커볼트(Anchor Bolt) 갈고리볼트, 묻음볼트, 기초볼트라고도 하며, 볼트의 하부는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부는 나사모양으로 되어 너트로 조일 수 있게 되어있다. 기초에 묻어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1) 중량물 앵커(고하중에 적합한 앵커) 가. 모재 : 콘크리트, 대리석 나. 적용 : - 안전하고 확실한 앵커작업이 최우선으로 요구되는 곳 - H빔 구조물, 구조보강, 중량물용 브라켓 - 각종 구조물 다. 재질 : 볼트 스틸, 5μm 아연도금 라. 특징 : - 고하중, 동하중에 적합 - 조임토크에 의한 확장력 - 피부착물을 모재에 잘 밀착 - 충격하중과 내진에 적합 - 시공 즉시 하중 부담능력
96 - 세팅이 간편하고, 정확한 확장이 가능 - 플라스틱 슬리브의 역할로 모재와 피부착재 사이의 틈을 억제하여 단단하게 고정 (2) 스터드 앵커(관통 부착형 중간 하중 앵커) 가. 모재 : 콘크리트, 대리석 나. 적용 : - H빔 구조물, 천장 구조물, 각종 구조물 설치 - 목재빔 관통 부착, 구조 보강, 철판 보강작업 다. 재질 : 냉간소성 가공, 5μm 아연도금 라. 특징 : - 연속적인 작업에 적합 - 피부착물 관통 부착에 적합 - 유연성이 우수하여 정확한 위치에 시공 - 드릴비트 직경과 앵커 직경이 일치 - 나사선 보호를 위한 좁은 타격 부위 - 확장 조절 가능 마. 시공방법(중량물 앵커, 스터드 앵커) (3) 세트 앵커 가. 모재 : 콘크리트 나. 적용 : - 브라켓 고정, 커튼월 공사 - 엘리베이터 앵글 고정
97 - 천장 구조물 및 벽체 구조물 고정 다. 특징 : - 정확한 부착으로 최대의 안전성 유지 - 시공과 동시에 고하중 유지 - 충격하중과 내진에 적합 - 걸림 턱이 있어 견고함 라. 시공방법 - 슬리브 외경크기로 구멍을 낸다. - 슬리브와 볼트를 함께 삽입한다. - 세팅공구로 슬리브를 타격한다. - 라쳇트 또는 임팩드릴로 조인다.
98 (4) 프레임 앵커(창호 문틀 고정 설치) 가. 특징 : - 모재와 부착물간의 거리가 떨어진 경우 사용 편리 - 콘크리트 사용 - 모재내에서 확장된 후 부착물 고정 - 나무 또는 금속재질의 창문이나 문틀 고정하는데 사용 - 창문이나 문틀은 단단히 고정되며 모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 - 모재와 프레임 사이의 간격, 삽입깊이 조절 나. 시공방법
99 (5) 핀 앵커(주방기구 및 렌지후드 특수핀 앵커) 가. 특징 : - 주방기구 시공목 작업 및 렌지후드 고정작업에 용이 - 45 재질로 열처리되어 높은 인발력과 전단력 증가 - 다양한 용도에 저렴한 가격과 간편한 시공 나. 시공방법 (6) 플라스틱 앵커(주방가구 및 창호, 고정용 앵커) 가. 특징 : - 재질이 플라스틱이므로 오랜시간 지나도 변질이 안 됨
100 - 볼트와 몸통이 조립되어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속도가 빠름 - 앵커 내부는 특별한 구조로 설계되어 스크류가 잘 들어가며, 인발력 증가 - 모든 콘크리트에 적합하며 기타 조적벽돌에도 적합 - 창호, 문틀, 선반 고정, 싱크 시공목 작업 (7) 케미컬 앵커 가. 특징 : - 확장력이 없는 부착 - 모서리 거리와 앵커 간격이 짧은 곳에 유리 - 간단한 시공방법으로 높은 인발력 나. 적용 : - 시설물 보수, 보강 시 철근 또는 볼트 매립 - 신축, 증축, 개축 시 기존 철근이 없거나 빠진 경우 - 설계위치 변경 등으로 기존 매립된 철근 사용을 못할 때 - 모재의 압축강도가 약하여 확장에 의한 앵커링이 불가능할 때 다. 시공방법 1) 코일 및 유리관 캡슐 시공 시 볼트 삽입할 때, 반드시 회전+타격 2) 콘크리트 구멍은 압축공기 등으로 완전히 분진 제거 (8) 기타 긴결 부속재 가. 주걱볼트(Strap Bolt) : 볼트의 한쪽이 주걱모양으로 된 것으로 주로 목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긴결에 사용된다. 나. 양나사볼트(Double Ended Bolt) : 볼트의 양끝부분에 나사가 있는 볼트 다. 와셔(Washer) :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마찰저항을 크게 할 때 사용한다. 라. 너트(Nut): 볼트의 부속품으로 나사부에 끼운 뒤 부재를 조일 때 사용한다. 1.4 목구조용( 木 構 造 用 ) 철물 목구조용 철물은 KS F4514에 합격한 것으로 하고, 시공개소, 규격 및 시공방법은 도면 및 특기 시방에 따른다. (1) 꺾쇠(Clamp) : 2개의 부재를 잇거나 엇갈리게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철물로 강봉 ( 鋼 奉 )으로 만든다. 보통꺾쇠, 엇꺾쇠, 주걱꺾쇠 등이 있다.
101 (2) 띠쇠(Strap) : 띠형의 평철에 가시못 또는 볼트구멍을 뚫어 만든 철물로 목재의 이음 및 맞춤부분에 대는 보강철물로 사용한다. (3) 주걱볼트(Strap Bolt) (4) 양나사볼트(Double Ended Bolt) (5) 와셔(Washer) (6) 너트(Nut) (7) 감잡이쇠 : ㄷ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모서리 가로재의 연결이나 가로재와 세로재의 긴결에 사용한다. (8) ㄱ자쇠(L-Strap) : ㄱ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모서리 가로재의 연결이나 가로재와 세로재의 긴결에 사용한다. (9) 안장쇠 : 안장모양으로 만든 철물로서 큰 보에 걸쳐 작은 보를 받게 할 때 사용 한다. (10) 듀벨(Dowel) : 주로 보의 이음부분에서 보강철물로 사용되는 것으로 두 부재 사이에 끼워져 전단력에 저항한다. 볼트와 같이 사용한다. (11) 인서트(Insert) : 콘크리트조 바닥판 밑에 반자틀이나 기타 구조물을 달아매고자 미리 매입하는 고정용 철물 (12) 팽창볼트(Expansion Bolt) : 콘크리트, 벽돌 등의 면에 띠장 또는 다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묻어두는 특수형의 볼트 (13) 드라이브 핀(Drive Pin) : 구조체나 강재 등에 다른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핀으로 핀을 박을 때는 드라이브(Drive)를 사용한다. 드라이브 핀에는 콘크리트용과 강재용이 있다. (그림) 드라이브 핀 (그림) 인서트 핀
102 SECTION 금속 구조재 구조틀 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실내건축에서 금속 구조재를 사용한 보강 및 구조틀 작업으로, 벽체 금속구조틀 조성, 천정 금속 보강 및 건축화 가구 및 고정물 구조틀 제작시 적용한다. 1.2 적용 규준 공사에 사용하는 스틸 자재 공통 적용규준 및 기준은 포스코(POSCO) 생산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기타 비철금속 및 2차 제품은 한국공업 규격(KS)에 규정되어 있는 것을 따르되, 다른 규격품일 경우 동등 이상품이어야 한다 한국산업규격(KS)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 KS D 3530 일반구조용 경량 형강 KS D 3651 스테인리스 강대 KS D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KS D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1.3 도서 및 기타 시공상세도 금속 구조틀 제작 및 보강에 대한 설치상세도를 작성하여 구조재 규격 및 접합, 정착 및 설치에 관한 평면, 입면, 세부 단면도를 표기한다. 제2절 금속 구조재의 종류와 구분 2.1 구조용 강재(Structural Steel) 구조용 강재에는 형강, 봉강, 평강 등이 있으며 강재는 모두 형상이 바르고 직선으로 된 것으로서, 유해한 흠, 들뜬 녹, 뒤틀림, 갈라짐 등의 결함이 없는 것으로 KS D 3502(열간 압연 형강) 및 KS D 3530(일반구조용 경량형강)의 규격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형강(Shape Steel) 주로 철골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재료로 단면의 형상에 따라 앵글형강, 부등변 앵글형강, I형강, T형강, ㄷ형강 등으로 분류되며, 실내건축 공사에서도 구조물의 보강용으로 사용된다.
103 표. 형강의 종류 모양 및 치수 표. 형강의 표준길이 (단위:m) 길이 경량형강(Light Weight Shape Steel 또는 Light Gauge Shape Steel) (1) 경량형강은 구조재의 무게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단면이 작은 얇은 강판을 냉간 형성하여 가장 유효한 단면형상으로 만든 형강으로서, 보통의 열간압 연형강에 비하여 단위 중량에 대한 2차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근래에 일반 구조재, 가설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경량형강의 단면형태는 일반형 강재와 같으나 형강단면 끝에 혀를 달아 구부려 좌굴( 挫 屈 )성능을 더욱 좋게 한 립 스틸(lip steel)과 철판의 단면에 리브(rib)를 내어 바닥 벽 등의 구조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있다. (3) 조립 또는 도장 및 가공을 위하여 측판에 적당한 구멍을 뚫은 것도 있으나 이것은 응력상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중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4) 일반구조용 경량형강의 종류, 치수, 단면적 및 단위무게는 한국산업규격(KS D 3530)에 규정되어 있다.
104 표. 경량형강의 종류, 형상 및 치수 2.2 강판(Steel Plate) 강판은 강괴( 鋼 塊 )를 압연하여 앏고 넓게 만든 철판으로서, 판상형 강재의 총칭이다. 강판은 두께에 따라 박강판(두께 3mm 이하의 강판), 중강판(두께 3mm 초과, 6mm 이하의 강판), 후강판(두께 6mm 이상의 강판)으로 구분하고, 제조공정에 따라 열간압연 강판, 냉간압연 강판, 아연도금 강판, 표면가공강판,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구분한다 아연도금 강판(Galvanized Steel Sheet)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박강판의 표면에 아연도금 한 것으로 녹이 슬지 않고 외관미가 있어 지붕재 또는 설비재로 많이 사용된다. (1) 아연도 강판(평판)의 표준 너비 및 길이 (단위:mm) 표준 너비 표준 길이 762 1,829, 2,134, 2,438, 3,048, 3, ,829, 2,134, 2,438, 3,048, 3,658 1,000 2,000 1,219 2,438 3,048, 3,658 (2) 아연도 강판(골판)의 표준 치수 (단위:mm)
105 종 류 골판 1호 골판 2호 평판의 너비 항목 1, , 완성된 골판의 너비 골의 길이 18 9 골의 피치 (3) 강판재의 종류 및 규격(시중제품) (단위:mm) 품명 규격(두께 폭 길이) 무게(kg/매) 품명 규격 (두께 폭 길이) 컬러 스테인리스판 무늬 (STS304) 강판 Super Mirror 스테인리스판 (STS304) 단위 m 2 m 2 스테인 리스 강판 (STS304 ) Etching 스테인리스판 (STS304) Etching-Colo r 스테인리스판 (STS304) m 2 m 착색 아연도금 강판 아연도금 강판의 표면에 착색한 것으로 지붕 및 외벽재로 사용된다 무늬강판(Chequered Steel Plate) 강판의 표면에 무늬를 만들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만든 강판으로, 계단의 디딤판, 공장이나 창고의 바닥재로 사용한다 스테인리스 강판(Stainless Steel Plate)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으며, 광택이 아름다워 창호재, 주방재, 주방용 가구, 위생설비 등에 사용되지만 가격이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106 2.3 강관(Steel Pipe) 일반사항 강철관이라고도 하며 형상에 따라 각형 강관과 원형 강관으로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 구조용관, 배관용관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제조방법상, 직경의 크기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실내건축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각형 강관이다. (1) 제조방법상 이음매 유무에 따른 분류 가. 이음매 없는 강관 : 열간가공관, 냉간가공관 나. 용접강관 : 단접강관, 전기저항 용접강관, 아크용접강관, 가스 용접강관 (2) 직경 크기에 따른 분류 : 대구경관, 중구경관, 소구경관 (3) 용도에 따른 분류 : 구조용관, 배관용관, 열전달용관 (4) 아연도금 여부에 따른 분류: 배관, 흑관 정사각관(1), 직사각관(2) 규격과 종류 스테인리스 각형강관의 규격 및 중량표
107 제3절 금속 구조재 구조틀 작업의 적용 3.1 벽체 구조틀 (1) 건식벽체를 조성할 때 구조재로 경량철골과 목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큰 하중을 견뎌야 하는 경우와 내구성을 위해서 각파이프로 벽체를 조성하기도 한다. (2) 건식벽체를 조성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메탈 스터드를 이용하지만 특정한 곡선처리가 요구될 경우, 벽체에 특정한 형태가 만들어져야 할 경우에 적용한다. (3) 상업공간 등의 외부 파사드를 부분적으로 각파이프로 구조틀을 조성하고 도장 등의 후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마감판재로 외피를 감싸는 형태를 조성할 경우 적용된다. 3.2 붙박이(BUILT-IN) 형의 가구틀 제작 내구성이 요구되는 벤치형 빌트-인 의자나 카운터, 화장실 세면대 구조틀, F.C.U 구조틀 조성 등 건축화 가구(Built-in)의 경우 금속 구조재(각파이프)를 이용한 구조틀은 설계도면에 준하여 요구될 경우 조성한다. 3.3 천장 금속 구조틀 조성 대부분의 일반적인 천장 조성에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으나 천장 전체가 라운드형이거나 기타 다른 형태의 디자인적 요소로서 고려될 경우 스틸 파이프와 철판을 이용해 천장틀 자체를 조성한다. (1) 천장의 하중을 보강하거나, 구조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금속구조재 (각파이프)를 이용한 보강구조가 요구될 시 건축구조물에 긴결 하여야 한다. (2) 천장에 금속 제작물, 단천장 금속 판재, 간접조명박스, 커튼박스, 곡면천장 구조물
108 등의 제작, 설치가 요구될 경우 제작물과 각형강관으로 긴결하여 건축물에 고정한다. (3) 제작물 설치 시 최종 천장 마감높이와 위치를 확인하여 설계에 준한 정확한 위치가 되도록 한다. (4) 갈바스틸을 절곡이나 벤딩하고 스틸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철판이 울지 않도록 보강하여 고정한다. (5) 철판을 접합할 때는 아르곤 용접을 하여 철판과 철판이 완벽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 어떠한 충격에도 이음매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6) 천장틀의 용접부위는 고무질의 폴리퍼티로 요철 면을 고르게 한다. 천장 자체가 금속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으므로 하중의 지지와 보강에 각별히 유의한다.
109 SECTION 금속 기성 및 제작 설치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금속 기성제품 및 제작제품으로 금속물 공사에 2차 제품을 주재료로 한 내용에 적용한다. 1.2 적용 내용 계단 논슬립 공사, 금속 줄눈대 공사, 펀칭메탈 공사, 코너비드 공사, 재료분리대, 점검구, 커튼박스 및 조명박스, 금속 격자 제작, 금속 계단 공사 등으로 금속 소재에 따른 일반사항은 금속공사 일반사항-Ⅰ,Ⅱ 를 참조한다. 제2절 계단 논슬립(Non-Slip) 금속공사 2.1 일반사항 (1) 계단 논슬립 금속물의 재질, 모양, 치수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2) 조임에 쓰이는 나사, 나사못 등은 논슬립과 동질의 것으로 하고 길이는 논슬립과 다리철물과의 조여 붙임에 충분한 것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에 묻는 경우의 발철물은 나비 15mm, 두께 2.3mm, 총길이 80mm, 허리높이 50mm 정도에 띠쇠로 하고, 끝을 갈라 벌려 다리철물 1개에 2개 이상 작은 나사로 고정하고, 길이는 표면에 준하며 좌 우 중심이 되게 설치한다. (4) 논슬립 자재의 종류는 스테인리스재, 황동재, 알루미늄재로 크게 구분되며 자재의 사양은 각 제조사의 규격에 준한다. 2.2 시공(습식 시공법) (1) 나중설치 공법일 때, 묻어둔 가설 나무벽돌은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빼내고 청소를 한다. 충진 모르타르로 발철물의 구멍을 메우고 설치높이를 규준실에 맞추어 나무장치로 두들겨 조절한다. 부착 후는 견고한 널판류 등으로 보양한다. (2) 제물고정다리로 된 논슬립은 모르타르 배합비 시멘트 1 : 모래 2의 된비빔으로 바탕바름을 한 위에 논슬립 앵커가 모르타르에 견고히 부착되도록 내리눌러 줄 바르고 수평 수직면이 일정하게 설치한다. (3) 계단 디딤판이 목조일 경우는 디딤판 위에 논슬립을 덧대거나 파서 나사 죄임을 한다.
110 2.3 스테인리스 논슬립의 종류와 규격 2.4 황동재 논슬립의 종류와 규격
111 2.5 스테인리스 논슬립의 시공법 2.6 알루미늄 논슬립의 시공법 2.7 테이프(Tape)재 논슬립 공공건물, 백화점, 빌딩, 수영장, 일반 가정의 욕실 및 경사로, 각종 계단 등 미끄러운 곳에 간단히 부착시킴으로써 미끄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품의 특징 및 규격 시방은 각 제조사 기준에 따른다. 제3절 금속 줄눈대 공사 3.1 자재 (1) 바닥판 금속 줄눈대의 재질, 모양, 치수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단, 공사 시방에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황동 압출재로 하고 모양은 I자형 제물 다리로 된 것을 사용하되 치수는 두께 4.5mm, 높이 12mm, 길이 900mm를 표준으로 한다.
112 (2) 다리 있는 것을 사용할 때는 다리철물은 줄눈대에 접합하고 바닥바름 두께(높이)에 알맞은 것으로 줄눈대에 견고히 고정한다. 다리의 간격은 줄눈대의 양끝 및 중간간격 450mm 내외로 나누어 맞춘다. 줄눈대의 이음이나 교차부에는 될 수 있는대로 긴 받침, 십자받침 등의 다리철물을 사용한다. 3.2 시공 (1) 줄눈나누기 도면에 줄눈 나누기를 한다. 단, 공사시방에 정한 바가 없으면 테라조, 인조석 깔기 등의 줄눈거리, 간격은 벽에서 일정간격의 테두리(150~200mm)를 남기고 900mm 내외로 한다. (2) 바탕 만들기 가. 맞대거나 깎아 맞추는 부분의 마구리는 직선, 수직으로 한다. 나. 줄눈 나누기의 한 구획 내에서는 줄눈대의 이음을 1개소 이상으로 하지 않는다. 다. 곡선용 줄눈대는 원척도나 곡선 본에 맞추어 뒤틀림 등이 없고 평탄하게 만든다. (3) 부착 줄눈대의 높이는 바닥 인조석을 연마하는 여유를 보아 정하고, 줄 바르고 이음새, 간격은 일매지게 설치한다. 줄눈대는 줄눈 나누기에 따라 바탕에 된비빔 모르타르 돋음을 하고, 수평실에 맞추어 내리 눌러 설치하며 상면에서 모르타르를 발라 붙인다. 이때, 사방에 남는 모르타르는 떼어내며 모르타르 돋음은 이음새 및 중간간격 450mm로 배치한다. 제4절 펀칭메탈 금속공사 4.1 자재 (1) 펀칭메탈(구멍철판)의 재질, 형상, 치수 및 표면마감은 도면 또는 공사 시방에서 정한 바에 따르고, 별도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두께 0.6mm의 냉간압연 강판으로 한다. (2) 펀칭(구멍 뚫음) 모양은 미리 견본을 협의한 후 승인을 받는다. 4.2 시공 (1) 재단 : 끼워 댈 부분의 치수보다 약간 줄여 끼울 수 있게 하고 각도를 정확히 재단한다. 갓 둘레의 펀칭 모양은 사방이 같은 정도로 남게 재단한다. (2) 부착 : 사방의 형상, 모양을 같게 하여 위치 바르게 끼워 대고, 배부름이나 우글음 등이 없도록 용접, 나사못 조임 및 누름선 대기로 고정한다. 나사못의 배치간격은 양끝 및 중간간격 300mm 내외로 한다.
113 4.3 타공판의 제작 기준도 4.4 타공 모양에 따른 종류(9p 그림 1 참조) 제5절 코너비드(Corner Bead) 금속재 공사 5.1 일반사항 (1) 사각기둥이나 직각 코너 벽체 등 훼손되기 쉬운 모서리 부분을 코너비드 금속재를 적용하고 미장마감 할 경우 적용한다. (2) 코너비드는 황동제, 아연도금 철재,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설치할 경우 그 치수, 종별 및 형상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에서 정한 바에 기준한다. <그림 1> 타공 모양에 따른 종류 (1) 모르타르 코너비드 (2) 표준 코너비드 제품의 종류와 규격은 제조사 기준에 따른다.
114 5.2 시공(코너비드 금속재가 콘크리트면에 적용되는 경우) (1) 코너비드 표면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정하고 수직추를 사용하여 수직의 기준을 정하여 고정다리가 벌어지거나 틀어지지 않게 똑바로 설치한다. (2) 부착 가. 콘크리트, 시멘트 블록 및 벽돌 등에 고정할 때는 고정위치마다 일정간격으로 철물(철근, 철판)을 매입한 후 철물을 용접 고정하고, 시멘트 배합비는 시멘트 1 : 모래 2의 된비빔 모르타르로 눌러 발라 설치한다. 나. 라스면에 고정할 때는, 라스바름이 건조된 후, 된비빔 모르타르로 눌러 붙여댄다. 다. 목부면에 붙여댈 때는 못이나 스테이플(Staple)로 고정한다. 5.3 수장용 금속재 코너비드 (1) 두께 0.5mm 갈바 금속재와 노우즈 코팅 종이를 결합하여 내부 코너 마감재로 사용하기 편리한 자재로 가위 재단이 가능하다. (2) 제조사에 따라 그 종류와 규격이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시 제조사 기준에 따른다 직각 코너비드 (1) 90도의 아웃코너에 사용한다. (2) 시공 부위 : 석고, 미장, 콘크리트면의 각진 부분 (3) 규격(단위:mm) 종류 Size A B l(길이) A-TYPE B-TYPE C-TYPE (4) 시공사례
115 5.3.2 자유각(Flexible) 코너비드 (1) 적용 부위 : 모든 각도(45~180도)에 사용 가능하며 벽체 코너,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부위에 주로 사용된다. (2) 규격(단위:mm) 종류 Size A B l(길이) A-TYPE B-TYPE m/ Roll (3) 시공 사례 L자형 마감 코너비드 (1) 적용 부위 : 문틀, 걸레받이, 천장줄눈, 단천장 부위에 사용할 수 있고 크랙 방지 및 라인을 바르게 정리하는 데 적용된다.
116 (2) 규격(단위:mm) 종류 Size A B C l(길이) A-TYPE B-TYPE (3) 시공 사례 Z자형 마감 코너비드 (1) 적용 부위 : 매입벽체, 문틀벽체, 걸레받이 및 벽체 상부 줄눈처리시 사용 가능하다. (2) 규격(단위:mm) 종류 Size A B C D l(길이) A-TYPE
117 (3) 시공 사례 곡면부위 마감 코너비드 (1) 적용 부위 : 아웃(Out) 코너, 인(In) 코너의 곡면에 사용된다. (2) 규격(단위:mm) 종류 Size A B C l(길이) 비고 A-TYPE B-TYPE C-TYPE D-TYPE OUT CORNER OUT CORNER OUT CORNER OUT CORNER
118 (3) 시공 사례 (4) 코너 연결 몰딩 수장재 코너비드 시공순서 (1) 제품의 갈바 스틸이 코너의 이음부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자재를 선정한다. (2) 시공부위는 평활하며 깨끗하고 건조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벽체와 완전 밀착형으로 돌출된 면에(피스, 타카, 석고보드 등) 시공 시 종이의 들뜸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3) 시공 방법은 도장용 퍼티(핸디코트)와 목공용 본드로 접착시킨다. 이때 현장온도는 15~25 를 유지해야 한다. (4) 마지막으로 코너비드의 종이 부분이 완전히 붙었는지 확인한다. (5) 완전히 양생시킨 후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119 그림. 수장재 코너비드 시공순서 기타 코너비드 보호대 (1) 적용 부위 : 차량과 충돌이 빈번한 주차장 기둥부위, 건축물 모서리 부위 등 보호가 필요한 부위에 적용한다. (2) 재질 : 고밀도, 우레탄, 합성고무, 연질, P.V.C. 등 (3) 기둥보호대 설치 단면도 (4) 보강대 설치 예
120 제6절 재료분리대 금속재 공사 (1) 이질재료로 마감이 구획되는 부분에는 도면에 별도 표기가 없어도 KS D3698에 적합한 스테인리스 스틸 타입으로 마감의 재료분리대를 설치해야 한다. (2) 마감 하지부분에 고정 보강하는 철물은 설치재료에 적합하고 바닥마감 두께에 알맞은 것으로 견고히 고정하여야 한다. (3) 맞대거나 맞추는 부분에서의 마무리는 직선, 수직으로 하며, 한 구획 내에서는 이음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7절 점검구 금속재 공사 (1) 점검구 규격 및 시스템 위치 등은 도면에 준하며, 점검구는 특기하지 않는한 같은 면이라야 한다. 점검구의 프레임(Frame)은 강판 두께 1.2mm 이상의 철재로 용접 접합하여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2) 점검구는 특기사항이 없는 한 최소 350mm 500mm 이상으로 하고 가장자리는 견고하게 하고 부속물과 함께 완성해야 한다. (3) 점검구는 스크루 드라이버(Screw Driver)로 열 수 있는 같은 면의 래치(Latch)에 고정되어야 한다. 노출된 금속 표면은 에나멜(Enamel)도장, 소부도장 또는 래커도장으로 마감한다. 제8절 커튼박스 및 조명박스 금속재 공사 (1) 예전에는 금속공사와 병행하여 목구조틀을 제작,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공기단축이나 인건비 문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갈라짐(크랙) 등의 문제점 해결과 디자인적 측면에서 라운드형의 구조나 디테일한 부분의 기술적 해결을 위해 금속으로 천장 구조물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2) 시공순서 가. 공장에서 제작된 주요 부품의 철물들을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형태로 제작을 한다. 나. 천장에 고정될 광천장(Lighting Box)이나, 커튼박스, 간접등박스와 같은 것의 위치선정은 먼저 바닥에 도면에서 제시한 규격으로 먹 매김을하여 구조물이 매달릴 위치를 정확하게 잡는다. 다. 바닥에 먹 매김한 크기로 제작한 다음 수직으로 실을 띄워 구조물을 수직으로 끌어 올려 자리를 잡는다. 라. 구조물이 정확한 자리를 잡게 되면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건물의 구조 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용접기로 고정한다.
121 마. 구조물은 단순하게 철판으로만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얇은 철판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보강한다. 바. 용접을 한 부위에는 반드시 녹막이 도장을 한다. 사. 천장에 구조물을 설치할 때에는 천장 속의 각종 설비시설들과 상충되는 문제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공한다. 아. 용접할 때에는 용접 불꽃이 튀어 주위의 선행된 마감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며, 특히 화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제9절 금속 격자물 제작 9.1 메탈라스(Metal Lath) 메탈라스의 개념과 용도 (1) 메탈라스는 두께 0.4~0.8mm의 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 모양으로 만든 것이며, 익스팬디드 메탈은 두께 6~13mm의 연강판을 망상으로 만든 것이다. (2) 메탈라스는 천장, 벽 등의 모르타르 바름 바탕용으로 쓰이며 익스팬디드 메탈은 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쓰인다. 익스팬디드 메탈이 메탈라스와 다른 점은 그 원판의 두께와 용도에 있다 메탈라스의 종류와 규준 (1) 메탈라스에는 편평라스, 봉우리라스, 파형라스, 리브라스(Rib Lath) 등 이 있는데, 그중 많이 쓰이는 것은 편평라스이다. 편평라스를 평라스라고도 하며, 보통 메탈라스라고 하면 이 편평라스를 말한다. 그림. 메탈라스의 종류 (2) 리브라스는 편평라스에 세로간격 9~12cm에 리브(갈빗대 모양의 두드러진 것)를 돋운 것으로, 이것은 라스와 바탕재와의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힘살의 역할을 한다. (3) 메탈라스의 규격은 한국산업규격(KS D 4552)을 참조한다. 9.2 와이어라스(Wire Lath)
122 9.2.1 와이어라스의 종류 와이어라스는 보통철선 또는 아연도금 철선으로 마름모형, 갑옷형, 둥근형 등을 만든 것으로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의 바탕 등에 사용된다. 그림. 와이어라스의 종류 및 모양 규격 (1) 한국산업규격(KS D 4551)에는 마름모형 와이어라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데 호칭방법 그 규격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마름모형 와이어라스의 규격 철선의 지름 (mm)(번선) 그물눈 (mm) 두께 (mm) (#18) (#18) (#18) (#20) (#20) (#20) 20 6 너비 W(m) 1종 길이 W(m) 너비 W(m) 1.82 이상 2종 길이 W(m) (2) 와이어라스는 굵은 철선을 쓰고 아연도금한 것이 고급품이다 이상 무게 (kg/m 2 ) 0.51 이상 0.60 이상 0.75 이상 0.32 이상 0.41 이상 0.54 (3) 와이어라스에 사용하는 갈고리못(스페물)은 지름 1.8mm(#15) 또는 1.6mm(#16)의 보통철선 또는 아연도금으로 만들며, 길이는 25mm와 18mm 두가지가 있다. 이상 9.3 와이어메쉬(Wire Mesh) 와이어메쉬의 용도 (1) 와이어메쉬는 연강철선을 전기용접(세로와 가로의 교차점)하여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만든 것이다.
123 (2) 블록을 쌓을 때 수평줄눈에 묻어 쌓아 벽면에 작용하는 횡력, 편심하중 등으로 인한 벽체의 균열을 방지하고 교차 및 모서리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한다. (3) 보통 장방형으로 만든 것이 많이 사용되며, 철선의 지름은 3.2~4.2mm(#8~10)가 주로 쓰인다 와이어메쉬의 규격 블록용 바닥 콘크리트 용 철선지름 망눈 1장 크기 1장 무게 비고 mm B.W.G mm in 너비(cm) 길이(m) (kg) #8 #8 # # # # # # # # # # # # 도금한 것( 白 )과 안한 것( 黑 )이 있다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데크 플레이트의 용도 (1) 얇은 강판에 골 모양을 내어 만든 강판 성형품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 패널(Form Panel) 또는 바닥판 및 지붕판으로 사용한다. (2) 키스톤 플레이트는 규칙적으로 골이 되게 주름잡은 강판으로서, 강판의 두께는 0.6~1.2mm 정도이며, 데크 플레이트에 비하여 춤이 작아 강성이 작다. 주로 지붕, 외벽 등에 쓰이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 패널에도 사용된다. 그림. 데크 플레이트와 키스톤 플레이트
124 9.5 재료 일반 (1) 공사에 사용되는 금속재 격자, 철 창살 등의 재질, 모양, 치수 및 구조 등은 도면에 따른다. (2) 사용되는 모든 재료는 별도의 명기가 없더라도 방청처리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6 시공 일반 (1) 주위의 올거미(뼈대)는 서로 연귀맞춤 또는 맞댐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용접함을 원칙으로 한다. (2) 격자살은 도면에 따라 간격을 나누어 맞추고, 주위 올거미 맞이에는 펀칭한 후 조여 붙이거나 맞대어 용접한다. +자형 접합부는 반턱맞춤과 겹쳐댄 뒷면에서 나사조임, 아크용접 또는 산소용접을 한다. (3) 각 용접부는 녹물이 생기지 않도록 완전히 밀봉된 용접을 하여야 하며 치장이 되는 곳은 그라인더, 줄, 연마지 또는 샌드페이퍼 문지르기 등으로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제10절 금속계단 공사 10.1 주요 재료 (1) 이 공사에 사용하는 철, 비철금속 및 이들 2차 제품은 모두 한국산업규격의 규정에 있는 것을 그대로 따르고, 기타에 대해서는 도면에 의하거나 승인을 받는다. (2) 금속계단의 계단참은 488kg/m 의 등분포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부속 재료 (1) 인서트, 앵커볼트, 앵커스크류, 볼트, 너트, 패스너, 브라켓 등은 사용목적에 적합한 형상, 치수로 하고 미리 견본을 제출해서 재질, 지지력 등에 대해 승인을 득한다. (2) 단순지지 및 단순 긴결 고정이 아닌 주요 하중을 부담하는 앵커철물, 보강철물 등의 부속재료는 해당 하중의 3배 이상을 부담할 수 있는 강도와 지지력을 갖는 제품이어야 한다 녹막이 처리 (1) 각종 철제 제작물은 바탕처리를 하고 KS M 5311의 2종에 적합한 광명단 조합페인트로 녹막이 칠을 한다. 아연도료, 분체도장 등이 되어 있어 별도의 녹막이 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지 않는다. (2) 재질이 다른 이종 금속간의 접촉부위 부식을 막기 위해 승인을 받은 재료 및 방법으로 전식방지처리를 해야 한다. (3) 현장 반입 후 녹막이 칠의 손상 또는 박리부분은 보수한다.
125 10.4 시공 설치 (1) 금속계단의 시공은 공통기준서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와 레벨 먹매김 및 기준 실을 띄워 도면의 위치와 차이가 없는지 확인후 시행하여야 한다. (2) 제품의 설치를 위한 앵커와 인서트 등은 구체공사때 사전에 매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불가피하게 이음시공을 해야 하는 재료는 실줄눈을 맞댄이음으로 하고, 이음부분의 자국이나 턱이 생기지 않도록 용접한 다음 깨끗이 그라인딩 처리하여 최종 마감된 상태에서 이음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4) 스테인리스 재질인 경우에는 이를 고정하기 위한 매설물 등도 반드시 스테인리스로 하고, 아르곤 용접 처리 후 깨끗이 그라인딩 처리하여 최종마감의 상태에서 이음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제11절 설치 일반 (1) 모든 잡철물은 도면에 표기된 위치에 제조업체의 추천에 따라 설치한다. (2) 수직과 수평이 되게 정확하게 맞추어 뒤틀림이나 하자가 없도록 설치한다. (3) 시공하자를 대비하여 충분한 가설 자재를 보양하여 영구 부착물의 설치가 완성될 때까지 올바른 모양을 유지해야 한다. (4) 계획되지 않은 용접부위나 연마부위,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공장 프라이머나 아연도금 되지 않은 면을 프라이머로 도포한다. 제12절 용접 일반 12.1 바탕준비 (1) 모재의 용접부위 표면은 용접에 앞서 슬래그(Slag), 수분, 먼지, 녹슬음, 기름, 녹막이칠 등을 포함한 도료 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2) 부재의 가공 절단면은 그라인더 등으로 평활하게 마무리 한다 용접기 및 부속 설비 (1) 용접기는 충분한 용량과 우수한 성능이 있는 것으로 한다. (2) 용접 설비는 누전 또는 전력폭발 등의 위험이 없도록 조치하고 용접광에 의한 피해를 주지 않도록 조치한다. (3) 용융금속 등의 낙하 또는 불티로 인한 화재, 화상의 예방 및 방호설비를 하고, 분말 소화기를 배치한다.
126 12.3 용접 작업 (1) 용접의 표면은 평활하며 일정한 골형으로 하고, 용접의 크기는 소요치수 보다 작지 않도록 한다. (2) 과도한 살돋움이나 살붙임을 하면 안 되며 표면 현상이 심히 불규칙해서도 안 된다. (3) 모재와의 접합부위는 전면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밀실하게 용접하여 수분, 먼지, 기타 불순물로 인한 녹슬음, 떨어짐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4) 용접 완료 후 슬래그는 제거한다. (5) 부재는 구부림, 비틀림 등의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며, 보관 소홀 및 용접열 등으로 인한 변형은 기계적 방법에 의하여 교정하여야 한다. (6)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용접 후 표면처리를 하고 스테인 클리너(Stain Cleaner)를 사용하여 산화를 방지한다. (7) 임시로 가용접을 할 경우에는 재확인 후 즉시 본용접을 해야 한다. 제13절 시공기준 일반 (1) 모든 금속공사의 설치는 공통기준 중심선 및 마감 레벨(Level) 먹 매김 기준선 등을 기준으로 하며 각 공사별 기준선을 먹 매김 또는 기준 실을 띄워 확인후 시행해야 한다. (2) 제품의 설치를 위한 앵커 볼트(Anchor Bolt), 인서트(Insert) 등은 구체공사시에 사전 매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불가피하게 나중 설치할 경우에는 구조와 매입 전선관, 기타 매설물 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한 후 시행 하여야 한다. (3) 이음시공이 불가피한 재료는 실줄눈 맞댄이음으로 하여 이음부의 이음자국 및 턱이 지지않게 처리해야 하며, 부득이한 용접이음부는 그라인더 등으로 깨끗이 마무리하여 최종마감 처리 후 이음자국, 용접흔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조립식 제품의 경우 현장실측을 하여 수평 및 수직 시공오차를 보완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5) 코너 연결부는 그 형상과 치수를 유지하도록 겹치거나 연귀맞춤을 한다. (6) 철물의 설치는 명시한 위치와 높이에 정확하게 설치하고 흔들림이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완전히 조여 부착한다. (7) 설치 오차 가. 수직에서의 최대 변위 : 합산하지 않고 층당 3mm 나. 직선에서의 최대 뒷물림 : 3mm 다. 최대 위치 변위 : 3m
127 제14절 청소 및 보양 (1) 표면이 노출되는 모든 금속 마감 재료는 최종 사용검사 청소시까지 재질별, 시공부위별로 적합한 보양재를 사용하여 다른 공종의 작업 등에 의하여 변색, 오염, 손상 등이 없도록 보양한다. (2) 설치된 보양재는 최종 준공검사 청소시 제거한다.
128 SECTION 자동문 설치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자동문 제작 및 설치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한국산업규격 (KS)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5 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압출형재 KS D 83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 산화피막 KS D 830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 산화도장 복합피막 KS D 8301 창호 기호 KS F 3109 문 세트 KS L 2002 강화유리 KS L 9102 유리면 보호재 1.3 성능 및 설계 기준 자동문은 정상 기후에서 개폐성능이 최소 1,000,000회 이상 작동해야 한다. 개폐성능은 제조업체의 공장 또는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시행한 시험성적서를 기준한다. 1.4 타 공정과의 협조 (1) 바닥 슬래브 또는 덧치기 모르타르 시공자와 협의하여 작동에 필요한 매입물의 설치 등을 위한 정확한 위치, 크기 및 형태 등을 협의한다. (2) 자동문에 대한 설치계획은 바닥 마감공사, 천장 마감공사, 전기배관 및 연결공사, 기타 자동문의 설치와 필연적인 연관이 있거나 서로 의존성이 있는 타 공사와 협의한다. (3) 자동문의 설치를 타 공사와 협조하기 위하여 자동문 제조업체는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설치용 형판(Template), 도표, 기타 필요한 자료를 관련되는 공사의 제조업체 및 설치자에게 사전에 제공한다. 1.5 운반, 보관 및 취급 모든 사용재료는 공장 출하시에 포장한 상태로 파손이나 손상되지 않고 표시 라벨이 정확히 붙어 있어 명확히 읽을 수 있는 상태로 현장에 반입한다. 1.6 공사 조건
129 제작을 위한 프레임 부재 절단 전에 현장검측 및 개구부의 실측을 한 다음 제작하여야 한다. 1.7 공정계획 자동문 공사는 인접 벽체공사 및 다른 공정의 작업일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공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바닥 마감재 높이선을 확인하여 자동문이 설치되는 부분은 바닥 마감공사 전에 자동문 작업에 필요한 전력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절 재료 2.1 제품 적용기준 (1) 문의 크기 및 형태는 도면에 따른다. (2) 리미트 스위치나 리드 스위치 없이 주행을 자동으로 점검하여 작동거리 감속위치 등이 자동 연산 입력되어 항상 최적의 문 개폐가 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제어방식의 컨트롤러를 채택한 자동문이어야 한다. (3) 개방속도는 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550mm/sec 이상이어야 한다. (4) 닫힘속도는 안전을 고려해 300mm/sec 이내이어야 한다. (5) 임의 설정 기능 : 개폐속도, 감속속도, 감속위치 등 문 중량에 따른 부하 조정이 자유로워야 하며 필요(에너지 절약)에 따라 부분반개가 가능 해야 한다. (6) 설정상태 및 자동문의 정상 가동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표시기능 이 있어야 한다. (7) 설정한 모든 값은 저장이 가능하여야 하며, 정전이 되거나 전원이 꺼져도 소실되지 않아야 한다. (8) 도어가 완전히 닫힌 후 틈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9) 모터는 제어특성이 우수하고 기동력이 강한 90W 이상의 DC Motor를 사용하고, 구동장치의 전원은 AC 220V를 기준한다. (10) 빈번한 반전이나 충돌에도 도어가 탈선하지 않도록 견고한 탈선 방지기능을 갖춰야 한다. (11) 주행 레일 및 주행 롤러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를 고려하여 쉽게 교환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12) BREAK OUT 기능 : 비상 시 또는 정전 시에는 일반 스윙 도어와 같이 계폐되어야 한다 안전 기능
130 (1) 안전 센서의 기능 : 안전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안전 센서는 자동문이 개방되어 있거나 닫힐 때에만 작동하고 완전히 닫힌 후에는 감지되어도 문이 열리지 않아야 한다. (2) 안전 반전 기능 : 도어가 닫히는 도중 사람과 충돌할 경우 위험하므로 충돌부하를 감지하여 즉시 반전시켜 열어야 하며 충돌시 도어 구동력은 13.6kgf를 넘지 않아야 한다.(UL 기준) 심재 재료(Core Material) KS L 9102에 적합한 최소 밀도 48kg/m3 이상의 유리면 보온판을 사용한다 구성 (1) 전원 공급장치 가. 1차 전압 AC 220V에 2차 전압은 시스템 내부전원과 모터용 전원이 분리 공급되어야 한다. 나. 작동대기 상태에서의 소비전류가 10mA 이하이어야 하며, 주위의 온도 25 이하에서 트랜스의 표면온도가 50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2) 컨트롤러: 마이컴 제어 방식으로 다음의 기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가. 개방대기 시간 조절 : 0~120초 나. 개방 주행속도 조절 : 최대 550mm/sec 이상 다. 닫힘 속도 조절 : 300mm/sec 이하로 조정 가능할 것 라. 개방 및 닫힘 감속 속도 조절 : 각각 따로 조절이 가능할 것 마. 기동력 및 브레이크 파워의 조절 바. 안전 반전기능 감도조절 사. 정전의 제어기능 (3) 엔진 가. 장시간 연속 운전에도 발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90W이상의 DC Motor로서 브러시의 교환이 용이하여야 한다. 나. 감속기는 소음이 적어야 하고 정전시 수동개폐가 자유로워야 한다. (4) 벨트 : 마이콤 타입 컨트롤러에서 도어의 위치편차 방지를 위해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며 장력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한다. (5) 기동 센서 : 인체와 물체 모두 감지가 가능하고 오작동이 적은 Passive type 근적외선 센서로서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6) 안전 센서 : 기동 센서에 정지체 감지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설치해야 하며, 대항형 적외선 빔 센서로써 감지거리는 자동문의 폭에 준하는 범위가 되어야 한다.
131 (7) 전기성 : 정전시 자동으로 해제되어 비상탈출이 가능하여야 하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발열이 적어야 한다. (8) 주행 레일 및 롤러 : 도어의 하중 및 도어의 빈번한 가동으로 인한 마모율이 낮아야 하며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9) 도어 : 12mm 투명 강화유리로서 상, 하부는 알루미늄 2.0T 재질로 제작한다. (10) 새시 프레임의 기준은 특기시방 도면에 준한다. 가. 주재료 : STAINLESS 1.5T 나. 보강재 : 두께 1.6mm Steel 이상 다. 표면 : SATIN VIBRATION 라. 유리 : 12mm 강화유리 2.2 자동문의 안전장치 및 기능 문의 형태 : 문의 크기 및 형태는 도면에 따른다 작동방식 (1) 자동문의 개폐는 누름버튼 스위치로 작동되는 방법과 적외선 빔 센서 감지로 작동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조작판에는 개폐 버튼 및 잠금장치 표시 램프가 포함될 수 있다. (2) 사용자가 사용후 문 닫힘 버튼을 누르지 않고 장소를 이탈 하더라도 일정기간 경과후 자동 닫힘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3) 사용자의 응급상황 발생시 외부에서 Key로 문을 강제 개방할 수 있도록 비상 Key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4) 제어방식 : 리드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로 자동 주행 점검 및 제어가 가능한 방식으로, 행정거리, 문 하중, 주행속도와 감속 부하가 상황에 따라 자동연산 입력되어 항상 최적의 문 개폐제어가 되는 마이크로컴퓨터 제어 방식의 컨트롤러를 채택한 형식이어야 한다. (5) 임의 조정 기능 : 개폐 속도 및 개폐 감속 속도와 문 무게에 따른 부하조정이 자유롭고, 개방 유지시간 타이머 조정기능, 반개(에너지 절약 시) 또는 부분 개방설정이 가능해야 한다. (6) 모터 : 모터는 마이크로컴퓨터 제어가 용이하고 기동력이 강한 제조업체의 표준 모터로 최소 90W 이상의 DC Motor를 사용하고, AC 220V의 전원을 사용한다. (7) 자가진단 기능 : 컨트롤러 내부에서 모터와 컨트롤러의 정상 가동 여부를 나타내주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8) 문(Door)의 탈선 방지 기능 : 빈번한 충돌에도 문이 레일에서 탈선되지 않도록 탈선 방지 안전기능이 제시되어야 한다.
132 2.2.3 안전기능 (1) 안전 감지기 기능 : 장애인 화장실용 자동문은 사용자가 휠체어나 목발 등을 사용한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 개폐 작동을 하게 됨으로 이런 돌출물 인식에 적합한 입체 감지방식 안전센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안전 역회전 기능 : 개폐작동 중 물체 또는 사람과 충돌시 문 또는 모터에서 부하를 감지하여 즉시 역회전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3) 화재나 정전시에는 문 부하 상태로 수동 작동이 가능해야 하며 비상시 또는 특별한 경우에 문의 닫힘을 막기 위해 최소 6.8kg이상의 힘이 작용 했을 때 문을 역회전 시킬 수 있는 전자감응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4) 비상시에는 외부에서 비상 스위치를 작동하여 개방이 가능해야 한다. 2.3 제작 일반사항 (1) 문틀과 문의 외관은 도면 또는 승인된 시공도에 표시된 크기와 형태에 적합하고, 자체 지지능력 및 요구된 성능을 만족하는 제조회사의 표준규격품으로 부속 구조재와 보강재, 기타 부속철물을 모두 포함한다. (2) 절단, 천공, 보강, 고정철물 등의 모든 가공은 공장에서 가공하며, 현장에서는 설치를 위한 고정(Anchoring) 및 조임(Screwing) 작업에 국한하고 유니트로 제작한다. (3) 가능한 고정물은 은폐시키며, 노출되는 고정철물의 머리 부분은 접시머리형으로 표면을 파서 매몰시켜 마감면과 같게 한다. 나사나 기타의 고정 철물은 필요한 경우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접시 머리형으로 매몰시켜 마감면을 인접되는 면과 맞춘다. (4)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며, 동작에 대한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기계 동작 부위에 적절한 보강재를 설치한다. (5) 이질재 철물의 접합 부위는 역청질계 페인트로 그 접착면을 칠하거나, 또는 전해 부식을 막을 수 있는 기타 재료로 격리시킨다 창호철물 창호철물 설치 부위를 적절히 보강하고 제조회사의 표준제품인 창호철물을 설치한다. 창호철물 마감은 자동문의 문틀 마감에 맞춰야 한다 조립 제작 조립 제작시 모든 이음부에는 홈이 없고 엇물림이 생기지 않도록 정확한 가공을
133 한다. 현장실측 후 작성한 시공도의 치수와 치수의 허용오차는 다음을 기준한다. (1) 높이 : ± 0.5mm 이하 (2) 폭 : ± 0.5mm 이하 (3) 지름 : ± 1.5mm 이하 (4) 두께 : ± 0.05mm 이하 제3절 시공 3.1 준비작업 (1) 바탕면 또는 구조물의 상태와 조건, 시공 오차 및 자동문을 설치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소들을 확인, 점검한다. (2) 작업의 저해 요소와 조건은 자동문을 설치하기 전에 모두 제거하거나 수정한다. (3) 부적합한 모든 요소가 수정된 후에 작업을 착수한다. 3.2 설치 일반사항 (1) 자동문은 제조업체의 설치지침 및 추천사항에 따라 설치한다. 만약 지침서가 없거나 실제 작업 조건에 합당치 않은 경우, 자동문 설치 착공 전에 필히 제조업체의 기술 책임자와 상의한 후 상세한 지침을 받은 다음에 시작한다. (2) 자동문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가조립, 시운전 및 각종 시험에 합격한 제품으로, 현장에서는 조립 및 설치만 가능해야 한다 설치 (1) 문짝과 문틀, 패널 및 모든 부재는 도면에 명시한 위치와 정확히 일치하고 뒤틀림이나 휨이 없도록 설치한다. 또한 부재, 고정 철물 및 기타 부속재를 빠짐없이 설치한다. (2) 타공사에 의해 설치될 매입물(Insert) 및 앵커장치는 충분한 시간 여유를 두고 사전에 공급하여 타 공사 공정의 지연을 미연에 방지한다. (3) 휘었거나, 뒤틀렸거나, 구부러졌거나, 변형이 되었거나 또는 기타의 손상으로 인하여 강도나 외관에 지장을 주는 부재나 부위는 설치해서는 안 된다. (4) 설치는 수평, 수직을 정확히 유지하고, 계획된 선에 정확히 맞추고, 이음 부분은 실금 맞춤으로 한다. 본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재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한다. (5) 이질재 철물의 접촉면과, 금속 및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에는 역청질계 페인트를 두텁게 칠하거나 또는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방식에 따라서 격리시킨다. (6) 설치시의 허용오차 기준
134 가. 위치 : ± 0.5mm 이하 나. 높이 : ± 0.5mm 이하 다. 폭 : ± 1.5mm 이하 라. 수직, 수평 : ± 0.05mm 이하 3.3 조정 설치된 자동문을 조정하여 서로 맞닿는 부분은 빈틈이 없도록 맞추고 기계적인 동작장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정한다. 3.4 청소 및 보양 (1) 작업장 청소 : 작업장에서 남는 자재, 포장재, 쓰레기 및 도구를 제거하여 작업장을 깨끗이 유지한다. (2) 철제 표면 : 사전 마감이 된 철제 표면의 보호용 덮개를 제거하고, 노출된 표면을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방법으로 깨끗이 청소한다. 흙, 착색부위, 손자국, 표면에 나타나는 흠집을 제거한 후 다시 표면을 깨끗이 닦는다. (3) 보호 : 실질적인 완공이 될 때까지 설치된 자동문에 손상이나 하자 부위가 없도록 제조업체와 설치자가 추천하는 방식으로 마감 보호를 하고 유지 관리한다. 3.5 검사 및 시운전 최종 완공 설치된 제품의 동작과 유지관리 방법 및 절차를 시범으로 보여준다. 시범 작동에는 다음에 기재된 기능과 관련된 전기 및 기계 연동작동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자동문의 전기적, 기계적인 작동 (2) 수동 개폐 (3) 안전 기능의 정상 가동 여부 (4) 감지기의 작동상태 (5) 역가동 작동상태
135 SECTION 금속 창호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창호공사에 있어서 금속재는 특성상 변형이 거의 없고, 견고하며 복잡한 요철면도 재단, 절곡, 용접이 가능해, 기성 창호 제작 뿐만 아니라 주문 제작창호 및 창호 프레임(Frame) 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1.2 재료 및 참조규격 스틸 새시 바(Steel Sash Bar) (1) 강제창호의 제작에서 울거미(Frame) 및 살로 사용하는 재료로 냉간압연 강판(KS D3512)을 사용하여 만든다. (2) 제조방법에 따라 강판을 중공으로 가압하여 만든 중공식과 소정의 단면으로 압연하여 만든 압연식, 주문 제작하여 만든 철판식(Plate metal system)으로 분류하며, 강도가 높고 경제적인 압연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압연식으로 제작된 스틸 새시 바의 규격은 KSD 3524에 따른다 재료 및 부속 부품의 규격 창 및 틀에 사용하는 재료 및 부속 부품은 표에 표시하는 규격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한다. 표. 창틀 및 창의 재료 그리고 부속 부품의 규격 사용구분 재 료 규 격 KS D 3698(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스테인리스강 KS D 3705(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D 3501(열간압연 연강판 및 강대) 창틀 및 창 (부속 부품 포함) 작은 나사, 볼트 및 리벳류 강 스테인리스강 KS D 3503(일반 구조용 압연강대) KS D 3506(아연도금 강판) KS D 3512(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20(착색 아연도금 강판) KS D 3528(전기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M 3343(염화비닐수지 금속 적층판) KS D 3535(스프링용 스테인리스 강선) KS D 3697(냉간압조용 스테인리스 강선) KS D 3702(스테인리스 강선재) KS D 3703(스테인리스 강선) KS D 3706(스테인리스 상봉) 강, 황동 KS D 3554(연강 선재),KS D 5103(동 및 동 합금)
136 제2절 스틸 창호 2.1 일반사항 (1) 스틸창호인 강제 창호는 일반 강제 창호에 비해 강도 및 내부식성이 크고 외관이 미려하여 창호용으로 적용되며, 구조형식 및 창호철물 등은 일반 강제창호와 같다. (2) 재료는 일반 강제창호와 같이 새시 바(Sash Bar)로 만든 것과 강판을 가공하여 사용한다. 2.2 스테인리스 스틸 프레임(Stainless Steel Frame) (1) 재료 자체의 독특한 미감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녹이 슬지 않으므로 도장 등의 후속 마감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2) 제작 및 설치 가. 현장의 하중문제를 고려하여 적합한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재단, 절곡(V-cut)하여 현장에 반입한다. 나. 수평, 수직을 정확하게 하여 설치한다. 기존 벽체와는 각파이프 등 금속 바(Bar)로 이격이 없도록 튼튼하게 결속한다. 다. 후속되는 마감 작업이 없으므로 프레임 자체에 용접 등의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한다. 2.3 갈바 스틸 프레임(Galvanized Steel Frame) (1) 녹이 나는 특성때문에 도장, 시트 취부 등의 후속 마감 공정이 필요하며, 용접 부위는 그라인더로 갈아내 면 가공하고 후속 작업시 요철이 없도록 퍼티(Putty) 작업을 한다. (2) 벽체 최종 마감선과의 치수 오차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여 설치한다. (3) 스틸 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할 개구부에는 반드시 C-형강으로 보강한다. (4) 도어 프레임 시공 시 출입에 의해 훼손되지 않도록 골판지 등으로 보양한다. (5) 스틸 프레임은 후속작업으로 도장 등의 마감 공정이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바탕작업을 실시한다. 제3절 강제문 3.1 일반사항 (1) 강제문의 개폐방식, 형상 및 구조는 보통의 목제문과 거의 같다. (2) 강제문은 문짝 및 문의 구조에 따라 양판문, 양판 유리문, 유리문, 한면 플러시문(Singel Side Flush Door), 양면플러시문(Both Side Flush Door) 등으로
137 구분하며, 규격에 맞게 프레스로 제작한 것과 주문 제작한 것이 있다. (3) 강제문은 개폐방법에 따라 여닫이문(한쪽 여닫이, 양쪽 여닫이, 자유 여닫이)과 미서기문, 미닫이문(한쪽 미닫이, 양쪽 미닫이)으로 구분하고 성능에 따라 보통문, 방음문, 단열문으로 구분하며, 그 규격은 KS F 4508에 따른다. 3.2 재료 강제문에 사용하는 재료 및 부속 부품은 표-1,2에 표시된 규격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한다. 표-1. 강제창호용 강판의 두께 사용구분 명칭 두께 창 창틀 창대 덧판, 비아무림 판, 레일(미서기 및 미닫이) 2.3mm 창 선반, 창선틀 1.2mm 창짝, 기타 창짝 : 울거미 및 살, 기타 : 벽선, 중간홈대 등 1.6mm 틀(윗틀, 선틀) 1.6mm 문틀 덧벽선, 문틀선 1.2mm 문 문턱, 밑문용 레일 2.3mm 문 울거미, 띠장, 양판 플러시용 판 1.6mm 힘살, 앵커 플레이트 2.3mm 표-2. 강제문의 재료 및 부속부품의 규격 사용구분 재료명 규 격 스테인리스강 KS D 3698(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D 3705(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D 3501(열간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3(일반 구조용 압연강대) KS D 3506(아연도금 강판) 창틀 및 창 (부속부품 포함) 강 유리 KS D 3512(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20(착색 아연도금 강판) KS D 3528(전기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M 3343(염화비닐수지 금속 적층판) KS L 2001(보통 판유리) KS L 2012(플로트 판유리 및 마판유리) KS L 2005(무늬유리), KS L 2006(망입유리) KS L 2004(접합유리), KS L 2002(강화유리) KS L 2008(열선흡수 판유리), KS L 2003(복층유리)
138 작은 나사, 볼트 및 리벳류 판 기타 스테인리스강 KS F 3202(중질 섬유판), KS F 3203(경질 섬유판) KS F 3104(파티클 보드) KS F 3105(파티클 보드 치장판) KS F 3208(외장용 치장 경질판), KS F 3101(보통합판) KS F 3106(화장합판) KS F 4701(암면 단열재), KS L 9102(유리면 보온재) KS M 3809(경질 우레탄폼 보온재) KS D 3535(스프링용 스테인리스 강선) KS D 3697(냉간압조용 스테인리스 강선) KS D 3702(스테인리스 강선재) KS D 3703(스테인리스 강선) KS D 3706(스테인이스 강봉) 제4절 강제창호 제작 4.1 일반사항 (1) 강판 두께는 도면에 준하고, 도면에 명기되지 않은 경우 강판의 두께는 문틀 및 문짝의 경우 1.2mm 이상, 문지방은 2.0mm 이상으로 한다. (2) 부재는 치수를 정확히 하여 여닫음이 잘 되게 제작하고, 보임 부분의 용접부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매끈하게 마무리한다. 시방서에 특별한 지정이 없을 때에는 다음 표에 준하여 제작한다. 표. 일반적인 강제창호 제작기준 구분 명칭 제작 방법 귀는 연귀 또는 허리댐으로 용접하고 외부 갓둘레의 윗막이 및 선대 틀 에는 물끊기를 댄다. 중간홈대 홈대의 양끝은 틀과의 감춤부에서 용접한다. 틀 틀선 귀는 연귀 또는 허리댐으로 용접한다. 밑창판 양끝은 물돌림을 붙이고, 선틀과 감춤부에서 용접한다. 창( 窓 ) 문( 門 ) Anchor 울거미 살 울거미 양판 Flush 양끝 및 중간 60mm내외로 배치한다. 귀는 연귀로 용접한다. 울거미와 촉을 꽂아 고정하고, +자로 교차되는 살은 4방 연귀 반턱 으로 하여 점용접한다. 귀는 연귀 또는 허리댐으로 용접하고, 띠장맞이도 허리댐으로 용접 한다. 밑막이는 하부를 감싸지 않고 두께 2.3mm의 e자형 덧판을 길 게 끼우고 나사 조이기 또는 용접한다. 울거미에 끼워 넣거나 소란을 대고 작은나사 조이기를 한다. 도면 및 시방서에 따른다. 4.2 일반 강제문(Steel Door)
139 4.2.1 일반사항 (1) 여닫이 양판문과 양면 플러시문이 주로 사용된다. (2) 강제문에 사용하는 강판의 두께는 도면에 명기되지 않은 경우, 문틀은 1.5mm 이상, 문은 1.2mm 이상으로 한다. (3) 재료로는 냉간 및 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이나 강판, 아연도금 강판이 주로 사용된다 종류 (1) 양판문(Panelled Door) : 문틀 및 울거미는 두께 1.5mm이상의 철판을 소정의 중공형으로 가공해서 꺾어 구부려 맞추고 각부의 접합부위를 용접한 후 울거미 사이에 유리 또는 건축용 보드류를 끼워 만든 문으로 여닫이문, 미서기문에 모두 사용한다. (2) 양면 플러시문(Both Side Flush Door) : 앵글이나 각파이프 등으로 울거미를 짜고 그 양면에 철판을 작은 나사나 용접으로 붙여댄 문으로 여닫이문에 주로 사용한다. 4.3 방음문 용도 공조실, 기계실, 녹음실 등 음향의 반사나 외부 소음의 차음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문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완제품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 규격 문의 강판 두께는 1.2mm이상으로 하고 문의 방음성능은 KS F 2808 방음성 시험에 의하여 음향투과손실이 40dB 이하인 제품을 사용한다. 문의 내부는 진동 및 음향의 차단을 위해 흡음재 및 진동 차단재의 이중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4 방화문 용도 건축법상 방화구획(건축법 제39조 2항 참조)을 설치해야 하는 건물이나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건축법 제 41조 참조)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이다 규격 방화문의 구조는 건축법 시행령 제6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차연성능 시험(KS F 2292 창호의 기밀성 실험) 및 가열시험(KS F 2268 건축용 방화문의 방화시험) 등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140 4.4.3 종류 방화문은 갑종 방화문과 을종 방화문, 드렌처(Drencher) 3가지로 분류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갑종 방화문 가. 골구를 철재로 하고 양면에 각각 두께 0.5mm이상의 철판을 붙인 것. 나. 철재로서 철판 두께 1.5mm 이상인 것. 다.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및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의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된 것. (2) 을종 방화문 가. 철재로서 철판두께 0.8mm 이상, 1.5mm 미만인 것 또는 철재 및 망입유리로 된 것. 나. 골구(뼈대)를 목재로 하고 옥내 면에 두께 12mm 이상의 석고보드를 붙이고 옥외 면에는 철판을 붙인 것. 다.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및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의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된 것. 제5절 창문 설치공사 5.1 녹막이 처리 (1) 창호설치 전에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를 다시 확인하고, 가공된 강제창호에 부착물이 붙어 있거나 오염 또는 녹슬어 있는 것은 Scraper, Wire Brush, 연마지 등으로 제거하고, 유류는 휘발유로 닦은 다음 녹막이 칠을 한다. (2) 모든 가공 및 구멍 뚫기는 녹막이 칠 전에 완료하여야 하며, 조립 후에 처리할 수 없는 부분은 먼저 녹막이 칠을 한다. (3) 또한 현장반입 후 칠이 벗겨진 부분이나 용접으로 손상된 부분은 다시 칠해야 한다. 5.2 창문틀 세우기 창문틀 세우기 및 창호 설치는 제작회사의 책임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창문틀 세우기는 나중 세우기를 원칙으로 한다 창문틀 먼저 세우기 (1) 철근콘크리트조에 먼저 세우기를 할 때에는 가설치용 지지틀이나 지지대를 만들어 여기에 세워 대고 틀의 이동변형을 막기 위하여 사방으로 가고정( 假 固 定 )한다. (2) 앵커철물은 철근에 연결하고, 창문틀은 콘크리트 타설시 변형되지 않게 버팀대
141 등으로 보강한다. (3) 조적조에 먼저 세우기를 할 때에는 정확히 가세우기를 하고 앵커철물을 조적조 벽체에 묻어 쌓는다 창문틀 나중 세우기 콘크리트조, 조적조에 나중 세우기를 할 때에는 쐐기, 고임재 등을 사용하여 가세우기를 하고, 틀의 이동변형을 막기 위하여 사방으로 가고정( 假 固 定 )한다 창문틀 고정 세우기가 끝나면 안팎에서 1:3 된비빔 시멘트 모르타르로 밀실하게 사춤 쳐 넣고 구조체와 창문틀의 틈이 나지 않도록 흙손으로 눌러 바른다. 5.3 운반, 저장 및 보양 (1) 현장 내에서의 장기보관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상 적절한 시점에 규격 및 사용부위별로 식별이 용이하게 하여 반입한다. (2) 반입에 앞서 창호부재가 오염, 훼손되지 않도록 보양해야 하며, 공장에서 외주 제작된 창호는 파손 및 훼손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한 후 포장하여 반입하고, 포장상태가 창호를 설치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한다. (3) 특히 밑틀이 없는 문틀은 운반시 문틀이 변형되지 않도록 문틀 하부에 보강틀을 부착하여 반입하여야 하며, 설치 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제6절 알루미늄제 창호 6.1 일반사항 (1) 알루미늄 창호는 가볍고(철의 1/3 비중임) 가공이 용이하고 녹이 슬지 않아 사용연한 이 길며, 외관이 아름답다. 또한 기밀성 및 수밀성이 좋고 개폐조작이 경쾌하다는 것이 장점 때문에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창호재이다. 그러나 강제창호에 비해 내화도가 낮고 알칼리에 침식되는 단점이 있다. (2) 알루미늄 창호는 강도가 약하므로 큰 창문에는 통유리를 끼우는 것을 가급적 피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중간 살로 울거미를 보강해야 한다. (3) 알루미늄 창호는 성능에 따라 보통창호, 방음창호, 단열창호로 분류하며 주로 미서기용으로 사용한다. 6.2 재료 (1) 알루미늄 새시 바의 재질은 KS에 규정된 것으로 하고 형상 및 치수는 KS규 격에 적합한 것으로서 도면이나 시방서에 따른다.
142 (2) 또한 창 및 틀에 사용하는 재료 및 부속 부품은 KS에서 표시하는 규격과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하며 부재의 두께는 1.35mm로 한다. 표. 알루미늄 창호의 재료 및 부속 부품의 규격 구분 재료 규격 창문틀, 창문살 보조재료 알루미늄 KS D 6701(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판) 유리 끼우기 강철 KS D 3510(경강선), KS D 3556(피아노선) 앵커, 갈고리 강철 KS D 3501(열간압연 연강판 및 강재) KS D 3512(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703(스테인리스 강선) 스테인리스 강 KS D 3706(스테인리스 강봉) 작은 나사 및 KS B 1021(홈붙이 작은 나사) 및 나사못 알루미늄 KS B 1023(+자홈 작은 나사) KS B 1055(나사못) 6.3 창호 제작 및 설치 (1)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주문제작하며, 틀 세우기 및 창호 설치는 제작회사의 책임으로 하고 틀세우기의 공법은 강제 창문틀 세우기에 따른다. (2) 특히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에 접하는 부분은 내알칼리성의 도료를 2회 이상 칠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6.4 운반, 저장 및 보양 운반, 저장 및 보양은 강제창호에 준한다.
143 SECTION 금속재 창호철물 제1절 일반사항 1.1. 창호 철물의 개념 및 적용 창호 철물은 창 문짝을 창문틀에 달고 개폐 또는 잠금, 창문의 보호 및 보강용에 사용되는 일체의 것을 총칭하며, 적용은 강도 및 내구력이 크고 도면에 명기된 형상에 준한다. 1.2 창호 철물의 종류 (1) 창호철물은 용도, 구조, 모양, 재료 품질 등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제 창호용과 철제 창호용으로 대별한다. 표. 목제 창호용 철물의 종류 창호의 종류 창호철물의 종류 및 수량 비 고 미닫이 외미닫이 레일(1), 바퀴(2), 오목 손걸이(1 또는 2) 및 걸쇠(1) 쌍미닫이 레일(1), 바퀴(4), 오목 손걸이(2 또는 4) 및 걸쇠(1) 밑에 미서기 쌍미서기 4짝미서기 레일(2), 바퀴(4), 오목 손걸이(4 또는 8) 및 꽂이쇠(1) 레일(2), 바퀴(8), 오목 손걸이(4 또는 8) 및 꽂이쇠(2) 바퀴를 달때 여닫이 외여닫이 함자물쇠(1), 정첩(2 또는 3) 함자물쇠(1), 오르내림꽂이쇠(상 하: 2), 정첩(4 또는 6), 쌍여닫이 문버팀쇠(2) 한쪽자재 손잡이(밑판 달림:2), 밑판(1), 한쪽 자유 정첩(2 또는 3), 외여닫이 본자물쇠(1), 문버팀쇠(1) 자재 여닫이 접문 한쪽자재 쌍여닫이 양쪽자재 외여닫이 양쪽자재 쌍여닫이 플로어힌지 여닫이 8짝, 4짝씩 좌우열기 손잡이(밑판달림:2), 밑판(1), 한쪽 자유정첩(2 또는 3), 오 르내리 꽂이쇠(상 하: 2), 본자물쇠(1), 문버팀쇠(2) 밑판(1), 한쪽 자유 정첩(2 또는 3), 본자물쇠(1), 문버팀쇠(1) 밑판(1), 자유정첩(4 또는 6), 오르내리 꽂이쇠(상 하: 1), 본자물쇠(1), 문버팀쇠(2) 밑판(2), 플로어 힌지(2), 지도리(2), 본자물쇠(1), 문버팀쇠 (2) 웃레일(1), 행거(8), 지도리(8), 밑홈레일(1), 정첩(16~24), 행거달이 손잡이(4), 걸쇠(1)
144 (2) 창호용 재료로는 강철, 주철, 단철(Wrought Iron), 황동, 청동,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이 주로 사용되며 KS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제2절 여닫이용 창호 철물 2.1 보통정첩(Hinge, Butt) (1) 여닫이 문짝을 문틀에 달아 여닫는 축이 되는 창호 철물을 정첩이라고 한다. (2) 정첩의 재료로는 강철, 주철, 황동 및 청동이 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황동을 사용한 주물제가 가장 많이 쓰인다. (3) 정첩의 치수는 높이로 표시하며 보통 벌린 전체 나비는 높이와 같은 정사각형이다. 표. 창호와 보통정첩의 크기 및 수량 창 호 정첩의 크기 창호높이와 정첩수량 종류 두께(mm) 나비(mm) 호칭 mm 2. 0 m 미 2.4m미 3.0m미 창문 창호의 너비 및 두께 자유정첩의 크기 울거미 두께 최대나비 높이 쌍자유 외자유 (mm) 20~30 800미만 # ~33 850미만 # ~36 750미만 # ~36 750~850 # ~43 800~850 # ~50 850~900 # ~ 900~1000 # 개 작은 창문 # 레버터리 힌지(Lavatory Hinge) 19~ (mm) (m) 호칭 (mm) 호칭 (mm) #3 76 # ~ #4 102 # ~ 내외 #5 127 # ~ #6 152 # ~ #7 178 #7 178 만 만 만 2개 3개 4개 수량 비 고 2개 3개 중량이거나 비 고 중량이거나 나비가 은 는 나비 가 넓은 창호에는 1단계 큰 치수정 첩 또는 정첩 1개 를 더 사용한다. 넓 창호에 1단계 큰 정첩 1 개를 더 사 용한다. (1) 자유정첩의 일종으로 공중화장실 및 공중전화실의 출입문에 사용한다. (2) 저절로 닫혀지거나 15cm 정도가 항상 열려 있어 표시기가 없어도 실이 비어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사용중에는 안에서 잠글 수 있다. 2.3 자유정첩(Double Acting Butt, Spring Hinge) (1) 축받이 관속에 스프링을 장치하여 안팎으로 자유롭게 여닫게 된 정첩이다. (2) 종류는 외쪽 자유정첩과 양쪽 자유정첩이 있으며, 정첩의 규격은 KS F 4502에 따른다. 표. 창호와 자유정첩의 크기 및 수량
145 2.4 플로어 힌지(Floor Hinge) (1) 금속제 스프링과 완충유와의 조합작용으로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바닥 밑에 설치하는 철물이다. (2) 보통정첩으로는 유지할 수 없는 무거운 중량문(주로 현관용 강화유리문)에 사용한다. 표. 문짝의 크기와 도어체크 그리고 플로어 힌지의 크기 문짝 크기 문짝 도어체크의 번호 플로어 한지의 번호 중량 보통의 스톱의 보통의 스톱의 비 고 폭(mm) 높이(m) (kg) 경 우 경 우 경 우 경 우 800이하 2.0내외 20~ 도 어 체 크 로 서 방화문짝인 경 900이하 2.1내외 30~ 우는 퓨즈 달린 950이하 2.4내외 50~ 암 을 사용한 1000이하 2.4내외 70~ 다. 2.5 피벗 힌지(Pivot Hinge) 창문을 상하에서 지도리(Pivot)을 달아 회전되도록 하는 돌쩌귀의 일종으로 주로 철제 등의 중량문을 다는데 사용한다. 상하부 윗 판에는 구멍을 뜷고 상하부 밑판에는 촉(장부)을 설치하여 촉의 구멍에 들어 끼워 돌게 한다. 그림. 각종 힌지 제3절 자물쇠(Lock) 및 열쇠(Key) 3.1 일반사항
146 자물쇠는 창문 등을 닫아 잠그는 창호 철물로 자물통과 열쇠, 볼트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자물쇠의 종류에는 함자물쇠, 실린더 자물쇠, 헛자물쇠, 본자물쇠 등이 있다. 그림. 각종 자물쇠 3.2 함 자물쇠(Bit Key Lock) 자물쇠를 작은 상자에 장치하여 출입문 등의 울거미 표면에 붙여대는 자물쇠로, 빗장 자물쇠 또는 면붙이 자물쇠라고도 한다. 기구에 따라 레버 텀블러 자물쇠(Lever Tumbler Lock), 핀 텀블러 자물쇠(Pin Tumbler Lock), 콤비네이션 자물쇠(Combination Lock)로 구분한다. 3.3 핀 텀블러 자물쇠(Pin Tumbler Lock) 자물쇠 장치를 원통형의 실린더 속에 장치한 것으로 함자물쇠의 일종이며, 실린더 자물쇠(Cylinder Lock)라고도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물쇠이다. 3.4 헛 자물쇠(Thumb Latch) 문을 닫으면 잠기는 걸쇠정도의 자물쇠로서 열쇠를 쓰지 않고도 문을 걸어 잠글 수 있다. 버튼장치를 하여 외부에서 열지 못하게 만든 것도 있다. 3.5 본 자물쇠(Dead Latch) 데드 볼트(Dead Bolt, 자물대)만이 있고 열쇠로 잠그고 열 수 있게 만든 자물쇠이다. 주로 실의 외부에서는 열쇠를 이용하나 실내에서는 손으로 돌리면 열 수 있는 것도 있다. 3.6 나이트 래치(Night Latch) 실내에서는 열쇠 없이 열고 실외에서는 열쇠가 있어야만 열 수 있는 자물쇠로 함 자물쇠와 거의 같은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면 붙이기가 쓰이지만 파넣는 식으로 된 것도 있다.
147 3.7 통 자물쇠(Path Lock) 통으로 된 자물쇠로 보통형과 붕어형으로 된 붕어 자물쇠와 맹꽁이 자물쇠가 있다. 열쇠를 사용하여 한쪽에서만 잠글 수 있으며 도난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제4절 걸쇠(Latch) 및 꽂이쇠(Lock Bolt) 4.1 걸쇠 문이나 창이 열리지 않도록 돌리거나 꽂아서 거는 창호 철물로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작한다 넓적 걸쇠 넓적하게 만든 걸쇠의 일종으로 넓적한 판에 구멍을 뚫어 돌리면 걸리게 되는 것으로서 맹꽁이 자물쇠를 걸 때 사용한다. 넓적 가막쇠, 넓적 걸쇠고리라고도 한다 도래걸쇠 넓적 걸쇠의 걸이쇠가 돌게된 창호 철물로 통 자물쇠를 채우는데 주로 사용한다 갈고리 걸쇠 : 철선을 이용하여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걸게 된 것이다 크레센트 초생달 모양으로 미서기 창문이나 오르내리 창을 걸어 잠글 때 사용한다. 4.2 꽂이쇠(Lock Bolt) 미서기나 미닫이 창호의 안팎 여밈대에 꽂아서 밖에서는 열 수 없게 된 문걸쇠로 길게 된 것과 중간을 꺾어 구부러지게 된 것이 있다 문빗장 쇳대를 한 문짝에서 다른 문짝에 꿰어 찔러 잠그게 하는 것으로 쇳대가 빗장이 된다 꽂이 자물쇠 꽂이쇠를 찌르고 그 밑에서 열쇠로 잠그게 된 것으로 문빗장 꽂이쇠, 고두 꽂이쇠, 오르내리 꽂이쇠, 민두 꽂이쇠 등이 있다 도어 볼트 놋쇠대 등으로 미닫이 창호나 미서기 창호의 안쪽에서 간단히 꽂아 잠글 수 있게 된 것이다.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끝 부분에 고두리가 달려 있다 오르내리 꽂이쇠
148 꽂이쇠를 아래위로 오르내리게 하여 문을 잠그는 철물로 주로 쌍여닫이 문에 사용한다 민고두 꽂이쇠 손잡이가 평평하게 된 꽂이쇠로 문의 옆면과 동일하게 되는 형식으로 여닫이문의 옆에 대어 닫으면 보이지 않게 된다 양 꽂이쇠 손잡이를 돌리면 상하에 꽂이쇠가 있어 걸리게 되는 철물로 문의 상하가 동시에 걸리게 된다. 그림. 걸쇠 및 꽂이쇠 종류 제5절 창호 개폐조정기 5.1 일반사항 열려진 창호가 닫아지지 않게 하거나 저절로 닫아지게 하는 철물로 도어스톱(Door Stop),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문 버팀쇠(Door Stay) 등이 있다. 5.2 도어 클로저(Door Closer, Door Check) 여닫이문의 윗막이대와 문틀 상부에 설치하여 문을 열면 저절로 닫히는 장치가 되어 있는 철물로 피스톤 장치가 있어 개폐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압식과 스프링식이 있다. 일명 도어체크라고도 한다. 5.3 도어 캐치(Door Catch, Door Stop) 문을 열어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하거나 벽 하부에 대어 문짝이 벽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철물로, 여닫이문에 사용하며 돔형 도어 캐치와 바닥붙이식 도어 캐치가 있다. 5.4 도어 홀더(Door Holder)
149 열려진 문을 버티어 고정시키거나 갈고리로 걸어 제자리에 머물게 하는 철물로 여닫이 문에 사용하며, 벽붙이식 갈고리 도어 홀더와 바닥붙이식 갈고리 도어 홀더가 있다. 5.5 문 버팀쇠(Door Stay) 도어스톱을 겸한 것으로 문의 하부에 달아 임의로 버틸 수 있게 하는 철물로 마찰식과 도어 붙이식이 있다. 5.6 창 개폐조정기(Sash Adjuster) 여닫이창의 창짝 하부와 밑틀에 달아 창짝이 바람에 여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을 열어 고정시키는 철물이다. 그림. 개폐조정기의 종류 제6절 손잡이(Handle) 및 손걸이(Sash Lift) 6.1 일반사항 창호를 개폐할 때 손이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창호에 장치한 철물로, 알 손잡이, 돌림 손잡이, 오목 손걸이 등이 있다. 6.2 알 손잡이(Door Knob) 잡는 부분이 넓적한 알모양으로 둥글게 된 것으로 실린더 자물쇠의 손잡이로 주로 사용한다. 6.3 레버 핸들(Lever Handle) 손으로 레버를 돌려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병원 및 유아교육시설의 출입문 손잡이로 주로 사용한다. 6.4 파이프 손잡이(Pipe Handle) 파이프를 길게 댄 손잡이로 주로
150 강화유리문에 사용한다. 6.5 오목 손걸이(Flush Pull) 미서기, 미닫이에 주로 사용하며 손가락을 걸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철문이다. 점검구 및 벽 매입형 방화 도어 등에도 사용한다. 그림. 손잡이 및 손걸이 종류 제7절 미서기, 미닫이용 및 기타 창호용 철물 7.1 문 바퀴 미서기, 미닫이 등의 창문 밑막이에 대어 문이 레일 위를 미끄러지게 하는 철물로 호차라고도 한다.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들어 있는 주철제 바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7.2 레일 호차가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창호의 밑틀에 고정시키는 철물로 재료(강철제, 황동제, 철심, PVC제) 및 모양(원호꼴, 네모꼴, 둥근꼴, 네모꼴, T형 등), 치수(7mm, 8mm, 9mm, 11mm)에 따라 분류한다. 7.3 도어 행거 접이문 등의 이동을 위해 문의 상부에 달아매는 철물로 매달기용 문 바퀴라고도 하며, 문짝의 크기에 따라 2개나 4개의 바퀴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151 SECTION 경량 벽체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요약 이 절은 경량철골 벽체에 적용하며, 여기에 마감되는 일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 내수석고보드, 방균 방화 방수 석고보드, 황토석고보드 및 그에 따른 부자재, 흡음용 단열재에 대한 실내간벽을 구획하는 경량칸막이 제작 설치와 품질에 관하여 적용한다 주요내용 (1) 석고보드 (2) 경량 철골 구조재 (3) 보온 단열 흡음재 (4) 긴결 부속재 (5) 조인트(joint)마감재 (6) 내화 경량벽체 구조 (7) 차음 경량벽체 구조 1.2 참조규격(KS) KS D 3609 건축용 강제 받침재 KS D 3705 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F 2271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KS F 3504 석고보드 제품 KS F 3514 석고보드용 못 KS F 4915 석고보드용 조인트 처리재 KS M 3803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KS F 유리면 흡음재 KS L 유리면 보온재 1.3 도서 및 기타 시공 상세도면 (1) 실별, 위치별 경량철골벽체 적용 사양 및 보드류 나누기에 대한 평면도, 입면 전개도, 단면도 (2) 각종 개구부, 콘센트, 스위치, 기타 전기 기계 설비류 부착물의 설치 위치 및 크기를 포함시킨 시공 상세도면
152 (3) 바닥, 천장 및 벽 기둥간의 접속부 마감상세, 보드류 패널(Unit Panel)간의 수직 수평 접합부 마감상세, 개구부 주위 및 전기 기계 설비류 부착물간의 접합부 마감 상세도면 제품 자료 시공에 적용되는 경량철골 및 석고보드 사양에 대한 제조업체의 제품 자료로서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제품사양 및 사용재료에 관한 사항: 경량 철골의 규격, 부속철물 및 고정재, 접착제 등 부자재에 관한 자료가 포함되어야 한다. (2) 석고보드의 사양, 물성에 관한 자료 시공계획서 (1) 설치 세부공정 계획서 (2) 시공상태 검측계획서 (3) 품질관리 계획서 (시공상 주의사항, 보양계획, 작업조건) 견본 : mm 크기의 경량철골벽체 단면구조를 보여줄 수 있는 견본 1.4 연관공사 (1) 각종 설비 덕트, 배관 배선 등을 위한 벽의 관통위치 및 크기에 따른 벽체 보강 등과 관련하여 사전에 설비공사 시공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2) 문틀과 관련된 각종 보양 및 설치는 사전에 문 제작 설치업체와 협의하여야 한다. 1.5 운반, 보관 및 취급 (1) 자재 및 부속철물은 포장된 상태로 기후, 직사광, 표면오염, 부식, 시공현장의 장비 및 기타 원인으로부터 피해가 없도록 건조상태에서 보관한다. (2) 석고보드의 보관은 건조한 곳이 좋으며 습기가 많은 지하실이나 눈, 비가 직접 닿는 곳은 피하며 바닥이 깨끗하고 평평한 곳에 강재를 3~4개 놓고 그 위에 차례로 겹쳐 쌓는다. (3) 땅에 직접 놓을 때는 각목을 3~4개 놓고 그 위에 적재하여야 한다. (4) 특히 경량철골 자재가 묶음에서 당일 사용된 후 연속작업에 적용되는 자재라 할지라도 작업과정,작업 종료후 항상 정리 정돈하여 자재 분산으로 형태가 변경되거나 타 작업에 피해가 유발되지 않게 유의한다. 1.6 환경 요구조건 (1) 일반 환경조건: 경량 철골벽체 설치 및 마감시 환경조건을 수립, 유지하고 시공업체는 시방에 따라 엄격히 설치, 보관한다. (2) 접착 석고보드 부착 시공시 최하 4 이상 유지한다. 접착식 석고보드 부착 시공시 시공후 건조되기 전 48시간 동안 최하 10 를 유지한다. 임시 난방기구를 사용할 경우
153 35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제2절 재료 2.1 석고보드 석고보드 원료인 이수석고(CaSO₄ 2H2O)를 가열, 결정수를 탈수시킨 소석고(CaSO₄ ½ 2H2O)를 주원료로 불연특성을 갖는 무기질 섬유 보강, 방수성능의 보강 및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수정제로 가공하여 안정된 결정 상태의 석고를 두 장의 석고보드용 원지 사이에 압착시켜 판상으로 만든 불연 내장재를 말한다 기능에 따른 석고보드의 종류 석고보드의 종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일반 석고보드, 욕실 부엌 등 습기가 많은 장소에 사용하는 방수석고보드, 내화구조용 등에 사용되는 방화석고보드, 곰팡이 번식과 증식을 억제하는 방균석고보드, 방화와 방수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화방수석고보드, 차음성능을 향상시킨 차음석고보드, 황토를 첨가한 황토석고보드가 있다. (1) 일반석고보드(GB-R): 석고보드의 종류중 가장 기본이 되는 제품으로 불연성, 방화성, 차음성 등이 우수하며 다양한 마감처리 및 시공이 가능한 석고보드로 벽, 천장 등의 불연 내장 마감재로 사용된다. (2) 방수석고보드(GB-S):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합하도록 심재인 석고를 특수방수처리, 방수성능을 우수하게 만든 석고보드로 욕실, 부엌 등과 같이 타일 접착용 바탕재를 많이 사용하는 습기가 많은 장소에 적당하다.(단, 직접 물이 닿는 부분에는 시공하지 않도록 한다.) (3) 방화석고보드(GB-F): 불연 특성을 갖는 석고에 무기질섬유를 보강시켜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석고보드로, 건축물의 내화구조 칸막이벽, 엘리베이터 홀용 칸막이벽 등에 사용된다. 1시간, 1.5시간, 2시간의 내화구조 및 다양한 차음구조들이 있다. (4) 방균석고보드: 석고보드에 특수한 방균처리를 하여 석고보드에 함습된 수분에 의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주는 기능성 석고보드이다. (5) 방화방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에 방수성능을 부여한 다기능성 석고보드로 화재와 습기에 강하며 내화, 차음구조에 적용되고 있다. (6) 차음석고보드: 기존 석고보드에 비해 차음성능이 향상된 제품으로 소음방지를
154 위한 추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성능이 있다. (7) 황토석고보드: 흡착성능, 항균성능,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기능이 있는 황토를 함유시킨 석고보드로써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다 형상에 따른 석고보드 종류 석고보드는 측면의 가공 형태에 따라 시공법 및 마감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평보드(Square Edge-Type Board): 석고보드의 측면을 거의 직각으로 성형한 보드로써 벽지 등의 마감하지용에 적용된다. (2) 테파보드(Teper Edge-Type Board): 석고보드의 길이방향 양단 부분을 경사지게 형성한 보드로써, 시공후 경사진 부분끼리 이음매를 조인트 콤파운드와 조인트 테이프로 메움처리하여 이음매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공 법에 적용된다. (3) 베벨보드(Bevel Edge-Type Board) 테파보드에 비해 경사지게 처리하는 부위를 좁게하여 이음매 처리를 쉽게할 수 있도록 성형한 보드로써, 천장이나 벽체에 사용하여 이음매가 보이지 않도록 시공하는 공법에 적용된다.특히, 벽체를 시공할 경우 우수한 시공성 및 마감성을 나타낸다.
155 2.1.4 석고보드의 규격 (단위: mm) 종 류 두 께 너비 길 이 표면색상 일반석고보드(GB-R) 9.5, ,2400,2700, , 아이보리 방수석고보드(GB-S) 9.5, ,240,2700, 하늘색 ,2400,2700, ,15 방화석고보드(GB-F) 핑크색 ,2400,2700, ,2400,2700, ,15 방화방수석고보드 핑크색 ,2400,2700,3000 방균석고보드 9.5, ,2400,2700, , 녹색 차음석고보드 9.5, ,2400,2700, , 아이보리 황토석고보드 9.5, ,2400,2700, , 아이보리 2.2 경량철골 구조재 석고보드 건식공법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되는 메탈구조재(경량철골)는 아연도 철판 (두께 0.5~1.2mm)을 스터드나 러너 등의 형상으로 롤러 성형한 채널로써 경량성, 시공 견고성, 경제성 및 다양한 적용성을 발휘한다 드라이월용 스터드 및 러너 메탈스터드와 메탈러너는 마감재의 나사못 시공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튼튼하면서도 경량이므로 내부 칸막이벽, 천장, 철골 내화피복 및 외부 커튼월의 비내력구조재로 적당하다. 배선 및 배관 관통이 용이하도록 구멍 뚫린(Hole Punching)제품도 있다. (1) 스터드와 러너의 규격 구 분 스터드 (Stud) KS 제품 KS D 3609(두께: 0.8mm) 일반 제품 (두께: 0.5,0.8,1.0,1.2mm) 형태 폭 날개 길이 폭 날개 길이 주문 주문 생산 생산
156 러너 (Runner) 샤프트월용 스터드와 러너 엘리베이터 주위의 샤프트월, 배기 덕트, 파이프 덕트, 계단벽 등 양면 시공이 어렵거나 내부 풍압이 큰 부위에 설치하는 구조재로서 CH-Stud, J-Runner, E-Stud, I-Stud 가 있다. (1) 스터드와 러너의 규격 구분 두께 폭 날개 길이 형상 CH-Stud 주문 생산 E-Stud 주문 생산 J-Runner , 기타 스터드형 채널 구분 형상 두께 높이(A) 너비(B C) 길이 퍼링 채널 Furring Channel
157 부상 채널 Resilient Channel 제트 채널 Z-Channel 보온, 단열, 흡음재 현대 건축물에서 가장 요구되고 있는 요소 중에 하나는 적당한 음향조절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고려이다. 유리면과 미네랄울은 이러한 요구에 맞게 열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단열 효과와 흡음 성능은 물론 석고보드와의 복합구조로 차음성능을 발휘한다. 유리면과 미네랄울은 무기질 재료로서 불에 타지 않으므로 내화구조의 심재로 사용하여 내화 시간을 연장시키고, 발수 처리가 되어있어 습기에 강하며 부식되거나 해충이 번식되지 않는다. (1) 단열, 차음재는 미네랄울 또는 글래스울(Glass Wool), 세라믹 파이버 등 각종 무기질 섬유재로서 외부에 면한 벽면인 경우에는 보온, 단열 효과로 적용되며, 간벽 사이에 매입하여 차음재 소재로 적용한다. (2) 무기질 섬유 보온 단열재는 1급 불연재 기준하며,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이 없어 화재로부터 인명피해와 화재의 확산을 막는 소재를 기준한다. (3) 유리섬유인 글래스울(Glass Wool)소재는 PE FILM으로 포장처리된 자재를 적용하여 유해물질인 유리섬유가 분산되지 않게 최대한 밀폐되게 적용한다 유리면(Glass Wool) (1) 최신의 원심 분리공법(Centrifugal Rotary Process)으로 생산되는 유리면은 미세한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단열, 흡음, 차음성이 우수하다. (2) 유리면은 다양한 밀도, 다양한 규격 제품으로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으며, 단열 벽체 및 차음 벽체의 심재로 밀도 24~60kg/m3 제품의 예를 들 수 있다 미네랄울(Mineral Wool) (1) 규산칼슘계 광석을 1600 의 고열로 용융하여 고속회전 원심공법(Rapidly Centrifugal Spinning Process)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단열, 흡음, 차음성은 물론 안전 사용온도가 높아 내화구조의 심재 및 커튼월(Curtain Wall)에 적당한 내화용 단열 차음재이다. (2) 석고보드 내화구조 시리즈에는 밀도 60kg/m3이상의 제품이 적용된다 생산규격 사례 75 구분 밀도 kg/m3 두께 (mm) 표준 규격 크기(mm) 폭 길이 비고 유리면 *관련 규격:KS L 9102 (인조광물섬유보온재)
158 미네랄울 *내화구조칸막이 심재용 *AL 은박지 등 부착품 가공 가능 2.4 긴결재(Fastener) 석고보드를 경량 철골에 고정시키거나 메탈 스터드를 메탈 러너에 고정시키는 등 두 재료 이상을 서로 결합 고정시켜주는 재료에는 나사못(Screw)과 철못(Nail)이 있다 나사못 (1) 나사못은 KS F 351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나사못은 셀프드릴링(Self-Drilling), 셀프테핑(Self-Tapping) 나사못으로, 석고판에는 G-자형(G-Type)을 사용한다. (3) 한 겹 붙일 때는 아연도금된 메탈 가공품 718 (22mm)나팔 형태의 나사(Bugle Head Type Screw)를 사용한다. (4) 두 겹 붙일 때는 아연도금된 메탈 가공품 1-1/4 (32mm)나팔 형태의 나사 (Bugle Head Type Screw)를 사용한다. (5) 세 겹 붙일 때는 아연도금된 메탈 가공품 21/4 (57mm)나팔 형태의 나사(Bugle Head Type Screw)를 사용한다 나사못의 용도별 사용 적용 방법 나사못의 종류 형 상 경량 철골에 석고보드를 부착할 경우 메탈스터드, 러너, 채널에 두께 9.5,12.5, 15mm의 석고보드 한겹 고정 28mm Bugle Head 나사못 1 메탈스터드, 러너, 채널에 두께 9.5,12.5, 32mm, 42mm 15mm의 석고보드 두겹 고정 Bugle Head 나사못 2 경량 철골에 목재를 부착할 경우 메탈스터드, 러너에 석고보드를 한겹 시공한 57mm, 42mm 위에 목재 트림(Trim) 고정 Trim Head 나사못 5 메탈스터드, 러너에 석고보드를 두겹 시공한 위에 트림(Trim)고정 57mm Trim Head 나사못 5 문틀(Door Frame), 러너에 메탈스터드를 고정할 경우
159 러너에 메탈스터드 고정 10mm Pan Head 나사못 8 러너에 메탈스터드 고정 (철판 두께 1.0mm 이상) 10mm Pan Head 나사못 9 문설주(Door Frame Jamb) 앵커클립을 메탈스터드에 고정 16mm Low-Profile 철판과 철판 부착 Head 나사못 10 (철판 두께 합 2.5mm까지) 두꺼운 경량철골(철판두께 1.0~2.5mm까지)에 석고보드를 부착할 경우 외부 커튼월 시공시 메탈스터드, 러너에 두께 12.5,15mm 방수석고보드 고정 25mm Bugle Head 나사못 3 외부 커튼월 시공시 메탈스터드, 러너에 고정된 방수석고보드 위에 메탈라스, 조적벽 긴결 철물의 고정 메탈스터드, 러너에 두께 9.5,12.5,15mm 의 석고보드 두겹 고정 32mm Bugle Head 나사못 4 32mm Pan Cake 11 Head 나사못 42mm Bugle Head 나사못 4 경량 철골에 AL-Trim을 부착할 경우 메탈스터드,러너에 경첩(Door Hinge), Trim을 고정 22 Oval Head Cd-Plated 나사못 6 목재상에 석고보드 및 부상채널(Resilient Channel)을 부착할 경우 목재상에 두께 9.5,12.5,15mm의 석고보드를 한겹 고정 32mm Bugle Head 나사못 1 목재상에 부상채널을 고정 25mm, 32mm Bugle Head 나사못 1 석고보드와 석고보드를 고정할 경우 두께 12.5,15mm의 석고보드를 접착식으로 두 7 38mm Bugle Head 나사못 겹 붙힘 석고보드를 하지재(경량철골, 목재상) 등에 부착시 나사못이 10mm 이상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사못 종류별 형상 철못(Nail) (1) 목재상에 석고보드를 고정시킬 때 사용되며 나사못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160 시공에서 적당한 철못의 선택은 대단히 중요하며, 규정된 규격의 철못을 사용해야만이 그 성능을 다할 수 있다. (2) 목재의 특성상 건조한 기후지역 또는 춥고 건조한 겨울 같은 길고 극심한 건조 조건하에서는 특수한 형상의 어떠한 철못을 사용하더라도 복합적인 목재의 비틀림 현상으로 인하여 철못이 빠질 수 있어 규정보다 좀 더 긴 못을 사용하여 그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철못 선택의 요령(KS F 3514) 철못의 규격 형상 (mm) 석고보드 두께 (mm) D d L 기타 긴결재 석고보드를 벽, 칸막이벽, 천장에 시공한 후 경량철골하지 또는 목재하지에 부착물을 취부하는 일이 불가능한 경우 앵커를 사용하게 된다. 석고보드 칸막이벽에 적용 가능한 앵커 종류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석고보드용 플라스틱 앵커 (1) 형상 (2) 특징 가. 높은 부착응력 나. 스크류와 함께 석고보드를 통과하여 부착(관통 부착) 다. 온도, 화학적 반응, 충격에 저항
161 (3) 설치 순서 석고보드용 철제 앵커 (1) 형상 (2) 특징 가. 얇은 벽체의 모재에 가장 알맞은 걸림력으로 작용하여 최대의 부착력 작용 나. 설치가 쉽고 편리하다. (3) 설치 순서 석고보드용 플러그 (1) 형상 (2) 특징: 나사못 형태로 석고보드에 시공 및 부착이 용이하다. (3) 설치 순서
162 2.5.4 석고보드 경량 앵커 (1) 형상 (2) 특징 가. 다양한 두께의 벽체와 패널에 적용 가능 나. 구멍안에서 헛돌지 않음 다. 스크류의 조임이 저항을 느낄 때가 설치 완료 (3) 설치 순서 2.6 조인트부 처리 부재 조인트 콤파운드(Joint Compound) 조인트 콤파운드에는 테파보드용과 베벨보드용 두 종류가 있다. (1) 테파보드용: 테파보드의 이음매를 메움 처리함으로써 일매 시공표면 효과를 내거나, 코너비드 처리, 보드표면의 흠 등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분말상태의 제품과 미리 반죽되어 제품화한 2가지 타입이 있으며 시공시 조인트 테이프와 함께 사용된다. * 포장단위: 분말형 10kg/bag, 레디믹스형 5~25kg/can (2) 베벨보드용: 베벨형 석고보드의 이음매 메움처리 전용으로 개발된 레디믹스형 제품으로 시공후 콤파운드내에 포함된 특수 바인더가 반응을 하여 경화가 진행된다. 별도의 콤파운드 반죽작업과 조인트 테이프의 사용이 필요없으며, 하도 상도의 2회 공정만으로 시공되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다. * 제품 명칭: 베벨코트, 포장 단위: 18kg/can 조인트 테이프(Joint Tape)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섬유질 테이프로서, 이음매 등을 처리할 때 콤파운드와 함께 사용되며, 크랙 방지 등 콤파운드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 포장단위: 펄프계 테이프 52mm*76m/roll
163 유리섬유계 테이프:35mm*90m/roll,50mm*90m/roll 석고본드 석고본드는 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콘크리트벽, 조적벽, 콘크리트 블록 ALC패널 등에 미장 모르타르 대용으로 석고보드를 직접 부착, 마감하는 분말형 접착제로서 물에 반죽하여 사용한다. * 포장단위: 25kg/bag, 사용량: 2.5kg/m2(18mm 마감두께로 접착시) 실런트 (Sealant) 건식벽체(Dry wall) 시공시 효과적인 내화, 차음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로서, 방음효과를 요구하는 병원, 학교, 사무실, 공장 등의 벽, 천장, 창문, 복도와 벽 사이의 조인트 등 밀폐 및 방음용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실런트와 방화성능이 요구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방화용 실리콘 실런트가 있다. * 아크릴 실런트: WL9530, 방음용, KS제품 방화용 실리콘 실런트: QS119R, 방화 및 방음용, FILK(방재시험연구소) 인증품, KS제품 등 제3절 내화 경량벽체 구조 및 시방 3.1 내화구조 관련 법규 (1)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정의): 내화구조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2) 건축법 제40조(건축물의 내화구조 및 방화벽) 가.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이 정하는 건축물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그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한다. 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방화벽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3)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9조(경계벽 및 칸막이벽의 구조): 제53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경계벽 및 칸막이벽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붕밑 또는 바로 윗층의 바닥판까지 닿게 하여야 한다. (4) 건축법 시행령 제53조(경계벽 및 칸막이벽의 설치) 법 제39조 제2항의 규정에 의거 다음 각호의 a.에 해당하는 건축물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경계벽 및 칸막이벽을 설치하여야 한다 a. 공동주택(기숙사를 제외한다)의 각세대간 경계벽(발코니부분을 제외한다) b. 공동 주택중 기숙사의 침실,의료시설의 병실,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중학교의 교실 또는 숙박시설의 객실간의 칸막이벽. (5)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경계벽 및 칸막이벽의
164 구조): 기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것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또는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8조의 규정에 의하여 설립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이라 한다)이 실시하는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된 것 - 인정내화구조체 3.2 경량 벽체 내화구조의 종류와 특징 내화 성능 벽체 두께 구조 내역 특징 방화(방화방수)석고보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드와 차음석고보드의 +차음 12.5T이상,1겹이상+C-STUD 복합사용으로 차음성 115mm 0.8T,65mm이상+(BLANK)+차음 능을 향상시킨 구조 이상 12.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KS L 9102에 해당 12.5T이상,1겹이상 하는 인조광물섬유보 1시간 온재 삽입 가능) 내화구조 방화(방화방수)석고보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드와 일반석고보드를 +일반 9.5T이상,1겹이상+C-STUD 94mm 복합사용한 경제적 0.8T,50mm이상+(BLANK)+일반 이상 구조(KS L 9102에 해당 9.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하는 인조광물섬유보온 12.5T이상,1겹이상 재 삽입 가능) 방화(방화방수)석고보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드와 경량철물을 이용한 +방화 12.5T이상,1겹이상+C-STUD 115mm 내화구조(KS L 0.8T,65mm이상+(BLANK)+방화 이상 9102에해당하는 인조광 12.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물섬유보온재 삽입 12.5T이상,1겹이상 가능) 50mm C-STUD를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사용하여 구조두께를 +방화 12.5T이상,1겹이상+C-STUD 1시간30분 100mm 최소화(KS L 9102에 0.8T,50mm이상+(BLANK)+방화 내화구조 이상 해당하는 인조광물섬유 12.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보온재, 발포LDPE 5T 12.5T이상,1겹이상 이상 삽입가능)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마감 방화(방화방수) +방화 12.5T이상,1겹이상+C-STUD 115mm 석고보드를 스테이플로 0.8T,65mm이상+M/W#60이상,50T이상+ 이상 시공하여 시공성이 우수 방화12.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 한 구조 수)12.5T이상,1겹이상 100mm 방화(방화방수)25T이상,1겹이상 건물의 엘리베이터 강
165 2시간 내화구조 이상 125mm 이상 110mm 이상 125mm 이상 125mm 이상 105mm 이상 140mm 이상 160mm 이상 +CH-STUD 0.8T,75mm이상+M/W 벽용 구조체로서 파이프 #60이상,50T이상+방화12.5T이상, 덕트, 공기덕트, 1겹이상+방화(방화방수)12.5T이상, 계단벽 등에 적합한 구 1겹이상 조 방화(방화방수)석고보 방화(방화방수)15T이상,1겹이상+ 드와 경량철물을 이용한 방화 15T이상,1겹이상+C-STUD 내화구조(KS L 0.8T,65mm이상+(BLANK)+방화 9102에 해당하는 인 1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조광물섬유보온재 삽 15T이상,1겹이상 입가능) 50mm C-STUD를 방화(방화방수)15T이상,1겹이상+ 사용하여 구조두께 방화 15T이상,1겹이상+C-STUD 최소화(KS L 9102에 0.8T,50mm이상+(BLANK)+방화 해당하는 인조광물섬유 1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보온재, 발포LDPE 5T 15T이상,1겹이상 이상 삽입가능) 방화(방화방수)15T이상,1겹이상+ 방화 15T이상,1겹이상+C-STUD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0.8T,65mm이상+M/W #60이상,50T 미네랄울, 경량철물을 이 이상+방화1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 용한 내화구조 수)15T이상,1겹이상 방화15T이상,2겹이상+C-STUD 방화(방화방수)석고보 0.8T,65mm이상+G/W24K이상,50T 드, 유리면, 경량철물을 이상+방화15T이상,2겹이상 이용한 내화구조 한쪽에서 시공하므로 양쪽에서 시공이 어려 방화25T이상,1겹이상+C-STUD 운 각종 건물의 엘리베 0.8T,75mm이상+M/W #60이상,50T 이터 강벽용 구조체로서 이상+방화1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 파이프덕트, 공기덕트, 수)15T이상,1겹이상 계단벽 등에 적합한 구 조로 시공성,경제성이 우 수함 방화(방화방수)12.5T이상,1겹이상+ 방화 25T이상,1겹이상+H형조이너 방화(방화방수)석고보 0.8T,25mm이상+M/W #60이상,50T 드와 H형 조이너(joiner) 이상+H형조이너 0.8T,25mm이상+ 를 이용한 내화구조 방 화 2 5 T 이 상, 1 겹 이 상 + 방 화 ( 방 화 방 수)12.5T이상,1겹이상 방화15T,2겹이상+C-STUD 0.8T, 유리면 및 스터드를 50mm이상(양면 엇배치)+G/W 32K,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려 50T(롤타입)+방화15T,2겹이상 시공하는 내화구조
166 125mm 이상 165mm 이상 160mm 이상 98mm 이상 102mm 이상 방화(방화방수)15T이상,1겹이상+ 방화 15T이상,1겹이상+C-STUD 0.8T,50mm이상(양면 엇배치)+방화 스터드를 지그재그 형 태로 엇갈려 시공하는 내화구조(KS L 9102에 15T이상,1겹이상+방화(방화방수) 해당하는 인조광물섬유 15T이상,1겹이상 보온재 삽입가능) 방화15T,1겹이상+방화25T,1겹이상 +LDPE 10T,1겹이상+C-STUD 방화석고보드와 C- 0.8T,65mm이상+M/W #60이상,50T STUD 사이에 LDPE 이상+LDPE 10T,1겹이상+방화25T, 를 부착한 내화 구조 1겹이상+방화15T,1겹이상 방화석고보드(15T,2겹이상)+경량강재샛 특수형태의 기둥(SH-STUD,100mm이상)+ SH-STUD를 적용한 (인조광물 섬유보온재 삽입가능)+방화석 내화구조 고보드(15T,2겹이상) PROMINA60(9T,1겹이상)+KCC방화 석고보드(15T,1겹이상)+경량강재샛기둥 마감보드에 CS보드를 (C-STUD,50mm이상)+인조광물 적용하여 충격 및 습기 섬유보온재 삽입가능+KCC방화석고 가 많은 곳에 적용가능 보드(15T,1겹이상)+PROMINA60(9T 한 구조,1겹이상) PROMINA60(9T,1겹이상)+차음시트 2mm,1겹이상+KCC방화석고보드(15 T,1겹이상)+경량강재샛기둥(C-STU 차음시트를 적용한 D,50mm이상)+인조광물 섬유보온재 CS 적용 내화구조체 삽입가능+KCC방화석고보드(15T,1겹이 상)+차음시트(2mm,1겹이상)+PRO MINA60(9T,1겹이상) 3.3 내화 경량벽체 구조 및 시방 시간 내화구조 (1) A-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1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차음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C-STUD 0.8T이상, 65mm이상 차음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167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450mm 300mm 450mm 가장자리 600mm 450mm 300mm 300mm (2) B-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94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일반석고보드 9.5T이상, 1겹이상 C-STUD 0.8T이상, 50mm이상 일반석고보드 9.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가장자리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168 시간 30분 내화구조 (1) A-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1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C-STUD 0.8T이상, 65mm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450mm 300mm 450mm 가장자리 600mm 450mm 300mm 300mm (2) B-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0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C-STUD 0.8T이상, 50mm이상 (LDPE 5mm 이상 적용가능)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가장자리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169 (3) C-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1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C-STUD 0.8T이상, 65mm이상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300mm 450mm 150~200mm 150~200mm 가장자리 300mm 450mm 150~200mm 150~200mm (4) D-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0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CH-STUD 0.8T, 75mm이상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25T이상, 1겹이상
170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m 300mm 시간 내화구조 (1) A-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2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STUD 0.8T, 65mm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171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450mm 300mm 450mm 가장자리 600mm 450mm 300mm 300mm (2) B-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1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STUD 0.8T, 50mm이상 (LDPE 5mm 이상 적용가능)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마감석고보드 고정시 타카못 사용) 구 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가장자리 45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3) C-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2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STUD 0.8T, 65mm이상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172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450mm 300mm 450mm 가장자리 600mm 450mm 300mm 300mm (4) D-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25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1겹이상 C-STUD 0.8T,65mm이상 유리면 24K이상,50T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450mm 300mm 450mm 가장자리 600mm 450mm 300mm 300mm
173 (5) E-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60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2겹이상 C-STUD 0.8T, 50mm이상(엇갈려 시공) 유리면 32K, 50T(롤타입)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2겹이상 고급호텔등 세대간벽 등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600mm 225mm 600mm 가장자리 450mm 450mm 225mm 225mm (6) F-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4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25T이상, 1겹이상 H형조이너 0.8T, 25mm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방화석고보드 2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이상, 1겹이상 호텔, 오피스텔, 아파트, 콘도 등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174 중앙부 mm 450mm 가장자리 - 300mm 300mm 300mm (7) G-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0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H-STUD 0.8T, 75mm이상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방화석고보드 2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300mm (8) H-TYPE
175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2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STUD 0.8T, 50mm이상 (엇갈려 배치)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300mm (9) I-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60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2겹이상 SH-STUD 0.8T, 100mm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2겹이상 고급호텔, 아파트, 오피스 등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스터드폭 225mm 스터드폭 가장자리 450mm 스터드폭 225mm 스터드폭
176 (10) J-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65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25T, 1겹이상 LDPE 10T, 1겹이상 C-STUD 0.8T, 65mm이상 미네랄울 #60이상, 50T이상 LDPE 10T,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25T,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1겹이상 오피스텔, 아파트, 호텔, 콘도 등 가. 나사못 간격 구 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300mm (11) K-TYPE
177 벽체 두께 상세 내역 98mm 이상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1겹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1겹이상 C-STUD 0.8T, 50mm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1겹이상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1겹이상 오피스텔, 아파트, 호텔, 콘도 등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가장자리 60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12) L-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02mm 이상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1겹이상 차음시트 2T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C-STUD 0.8T, 50mm이상 방화석고보드 15T이상, 1겹이상, 차음시트 2T 칼슘실리케이보드 9T, 1겹이상 오피스텔, 아파트, 호텔, 콘도 등
178 가. 나사못 간격 구 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가장자리 600mm 스터드폭 300mm 스터드폭 제4절 차음 경량벽체 구조 및 시방 4.1 일반사항 개인의 소득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주거에서도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성과 개 인의 사생활 보호 등의 측면이 부각되면서 차음구조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 지고 있다. 이에따라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석고보드를 이용한 다양한 두께 의 차음구조 칸막이벽이 구성되고 있는데, 차음구조 칸막이벽은 건축법 시행 령 제53조 및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제14조에서 규정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간 경계벽, 학교 교실, 의료시설의 병실, 숙박시설의 객실, 기숙사 침 실 등의 칸막이벽 등에 적용된다. 4.2 차음구조의 성능 기준 (1) 건설교통부 고시 제 :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1999년 12월 17일) (2) 제3조(성능기준): 건축물에 사용하는 차음구조의 경계벽 및 칸막이벽은 기 준 이상의 차음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3) 각 공간의 실별간의 STC(Sound Transmission Class) 기준 및 기준치는 요 구하는 기준에 따르며, 다음의 값을 표준치로 기준한다. 가. 실과 실간의 STC(Sound Transmission Class)기준 a. 사무실 간: 42 b. 화장실 간: 50 c. Elevator Shafts, Stair Shafts, Duct Shafts: 47 d. Elevator 기계실, 공조실 등: 55 나. 아래의 실별 소음레벨 NC(Noise Criteria) 기준 a. 별도의 주기없는 모든 사무실: 35 b. 복도, 로비: 차음구조의 종류와 특징
179 벽체 두께 구조 내역 특징 160mm 방화15T 2겹+C-STUD(50mm,양면엇 배치)+G/W 32K,50T(롤타입)+방화15T 2겹 유리면 및 스터드를 지그재 그 형태로 엇갈려 시공하는 차음구조 165mm 방화15T 1겹+방화 25T 1겹+LDPE 10T +C-STUD(65mm)+M/W#60,50T+LDPE 10T+방화25T 1겹+방화15T 1겹 방화석고보드와 C-STUD 사이에 LDPE를 부착한 차음구조 140mm 방화(방화방수)12.5T 1겹+방화 25T 1겹 +H형조이너+M/W#60,50T+H형조이너+ 방화25T 1겹+방화(방화방수)12.5T 1겹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와 H형조이너를 이용한 두께 절감형 차음구조 방화(방화방수)12.5T 1겹+방화 12.5T 125mm 1겹+LDPE 5T+C-STUD 65형+M/W 국내최초 1.5시간 #60,50T+LDPE 5T+방화12.5T 1겹+ 차음구조체 방화(방화방수)12.5T 1겹 방화(방화방수)15T 1겹+방화 15T 1겹+ 석고보드 사이에 유리면 및 C-STUD 65형+G/W 24K,50T+공간 200mm 중공층을 두어 차음성능을 (10mm)+C-STUD 65형+방화15T 1겹+ 향상시킨 구조 방화(방화방수)15T 1겹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15T 1겹+방화석고 보드 15T 1겹+경량강재샛기둥(C-STUD, 석고보드 사이에 유리면 및 50mm)+유리면(밀도 24kg/m3,50mm)+ 중공층을 두고 스터드를 엇 200mm 차음석고보드(12.5T,1겹)+공간(27.5mm) 배치하여 방범기능을 향상 +경량강재샛기둥(엇갈린C-STUD,50mm) 시킨 차음구조 +방화석고보드(15T,1겹)+방화(방화방수) 석고보드(15T 1겹) 방화석고보드(15T 2겹)+경량강재샛기둥 179mm (SH-STUD,119mm)+미네랄울(밀도60kg/ m3,두께50mm)+일반석고보드(9.5mm,1겹) +미네랄울(밀도60kg/m3,두께 50mm)+ 특수형태의 SH-STUD를 적용하여 내부에 일반석고 보드를 삽입하는 차음구조 방화석고보드(15T,2겹) PROMINA60(9T,1겹)+방화석고보드(15T, 1겹)+경량강재샛기둥(C-STUD,65mm) 마감보드에 CS보드를 적용 200mm (C-STUD,65mm)+공간(22mm)+미네랄울 하여 방범성 기능 및 중공 (밀도60kg/m3,두께50mm)+경량강재샛기둥 층에 의한 차음성능을 강화 (C-STUD,65mm)+방화석고보드(15T,1겹) 한 구조체 +PROMINA 60(9T,1겹) PROMINA60(9T,1겹)+차음시트2mm+방화석 마감보드에 CS보드 및 차 고보드(15T,1겹)+경량강재샛기둥(C- 음시트를 적용하여 차음성 152mm STUD,100mm)+미네랄울(밀도60kg/m3, 능을 향상시킨 경제적인 두께50mm)+방화석고보드(15T,1겹)+차음 구조체 시트 2mm+PROMINA 60(9T,1겹)
180 4.4 차음 경량벽체 구조 및 시방 (1) A-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60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2겹 C-STUD 50형(엇갈려 시공) 유리면 32K, 50T(롤타입) 방화석고보드 15T 2겹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600mm 225mm 600mm 가장자리 450mm 450mm 225mm 225mm (2) B-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4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 방화석고보드 25T, H형 조이너 25mm 미네랄울 #60, 50T 방화석고보드 25T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
181 가. 나사못 간격 구 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mm 450mm 가장자리 - 300mm 300mm 300mm (3) C-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65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방화석고보드 25T LDPE 10mm C-STUD 65형 미네랄울 #60,50T LDPE 10mm 방화석고보드 25T 방화석고보드 15T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300mm (4) D-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25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 1겹 방화석고보드 12.5T 1겹 LDPE 5mm C-STUD 65형
182 미네랄울 #60,50T LDPE 5mm 방화석고보드 12.5T 1겹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2.5T 1겹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600mm 450mm 600mm 가장자리 450mm 600mm 450mm 600mm (5) E-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20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 방화석고보드 15T C-STUD 65형 공간 10mm 유리면 24K, 50T C-STUD 65형 방화석고보드 15T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
183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450mm 450mm 450mm 가장자리 450mm 450mm 450mm 450mm (6) F-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200mm 이상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 방화석고보드 15T C-STUD 0.8T,50mm 차음석고보드 12.5T 공간 27.5mm 유리면 24K,50T C-STUD 0.8T, 50mm 방화석고보드 15T 방화(방화방수)석고보드 15T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차음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450mm 450mm 450mm 450mm 450mm 가장자리 450mm 450mm 450mm 450mm 225mm 225mm (7) G-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79mm 이상 방화석고보드 15T 2겹 SH-STUD 0.8T, 119mm 미네랄울 60K, 50T
184 일반석고보드 9.5T 미네랄울 60K, 50T 방화석고보드 15T 2겹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450mm 스터드폭 225mm 스터드폭 가장자리 450mm 스터드폭 225mm 스터드폭 (8) H-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200mm 이상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방화석고보드 15T, C-STUD 0.8T, 65mm 미네랄울 60K, 50T, 공간 22 C-STUD 0.8T,65mm 방화석고보드 15T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185 가. 나사못 간격 구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600mm (9) I-TYPE 벽체 두께 상세 내역 152mm 이상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차음시트 2T 방화석고보드 15T C-STUD 0.8T, 100mm 미네랄울 60K, 50T 방화석고보드 15T, 차음시트 2T 칼슘실리케이트보드 9T 가. 나사못 간격 구 분 바탕석고보드 마감석고보드 종 횡 종 횡 중앙부 600mm 600mm 300mm 600mm 가장자리 600mm 600mm 300mm 600mm 제5절 경량벽체 시공 5.1 경량 스틸(Steel) 구조재 설치 준비작업 (1) 건식벽이 설치되는 바닥, 천장, 벽체의 돌출되어 있는 못, 모르타르 등 모든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평탄하게 하는 작업을 한다. (2) 칸막이가 설치되는 바닥과 천장부위에 정확히 먹 매김을 한다. (3) 벽 관통, 배기 덕트, 전기 배관 및 설비 배관 등을 위한 벽의 관통위치 및 크기와 각종 전기 콘센트 및 스위치류, 기타 장치물에 대한 보강 관계 등을 시공자와
186 사전에 협의하여야 한다. (4) 현장의 설치를 위한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시공오차 및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조건에 대한 적합여부를 사전검토 후 착수하여야 한다 스틸 러너(Steel Runner) 설치 (1) 천장과 바닥에 먹 매김 선을 따라 스틸 러너(Steel Runner)를 배열한다. (2) 스틸 러너(Steel Runner)를 타전총을 사용하여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바닥과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3) 고정철물의 간격은 중앙부에서 600mm 이내로 하며 연결부나 귀퉁이, 끝부분은 200mm 이내로 한다 스틸 스터드(Steel Stud) 설치 (1) 스틸 스터드(Steel Stud)의 설치간격은 어떠한 경우에도 455mm를 초과할 수 없다. (2) 모든 개구부와 인접한 부위, 신축줄눈이 설치되는 양측부위, 칸막이의 끝부분, 연결부, 귀퉁이 부위에는 스터드를 추가보강 설치한다. (3) 신축줄눈이 요구되는 부위의 보강 스터드에서 12mm 이내로 이격하여 설치 한다. (4) 가능한 한 천장에서 바닥까지 조인트 없이 스터드를 설치하되 필요하다면 최소 이음길이가 200mm 이상이 되게 설치하고 스터드의 각 날개(Flange)에 2개 이상의 나사못으로 고정한다. (5) 출입구 주위에는 각 문설주에 2개의 스터드를 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문틀 앵커에 고정한다. (6) 수평보강 채널(Channel)은 바닥면에서 최소 1,200mm마다 각 스터드의 웹(Web)을 통과시켜 설치하되 최상단에선 1,600mm이내까지 허용된다. 이때 스터드와 보강 채널의 고정은 제조업체 사양에 따른다. (7) 모서리 부분, 개구부 주위, 설비물 부착 위치 등에는 시공상세도에 준하며 필요에 따라 보강 러너 및 스터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스터드의 높이상 3m를 초과할 경우는 1개 이상의 중간 보강 러너를 반드시 추가 설치하여야 한다. (8) 스터드는 러너에 나사못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나사못 머리로 인한 석고보드의 깨짐과 작업의 능률성 관계로 점용접으로 고정하기도 한다 퍼링 채널(Furring Channel) 설치 (1) 콘크리트벽 또는 조적벽 등에 퍼링 채널을 설치할 때에는 보통 채널을 세워서 시공하거나 경우에 따라 뉘어서 시공할 수도 있다. (2) 뉘어서 시공할 경우 채널은 천장선과 바닥선에서 각각 100mm 이내에 고정시켜야 하며, 콘크리트 못 등을 이용하여 600mm 간격으로 채널 날개부위에 좌 우로 번갈아가며 고정시킨다.
187 (3) 채널의 설치간격은 보드의 두께에 따른 상설치 간격을 준수해야 한다. 단열재를 설치할 경우, 이 공법은 부적당하다 Free Standing 퍼링 공법 (1) 이 공법은 42mm 메탈 스터드와 러너를 사용하여 외벽 내측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러너를 설치하고 스터드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내측벽면으로 일정 공간을 둘 필요가 있을 때 적당한 방법이다. (2) 벽체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더 큰 규격, 더 두꺼운 경량철골을 사용하거나 벽체 중간 지점 정도에서 벽체를 잡아 줄 수 있도록 보강을 해야 한다. 5.2 석고보드 시공 석고보드는 목재 또는 경량철골(스터드 또는 채널) 등의 프레임에 나사못이나 못을 사용하여 직접 한겹 또는 두겹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조적벽 등에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여 접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겹 시공과 두겹 시공 (1) 한겹시공: 경제성, 시공성, 내화성이 요구되는 내부 벽체 및 천장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며 공기 단축을 원할 때나 균열이 생기거나 오손된 부위의 개 보수 또는 새로이 벽이나 천장 표면의 형태를 바꾸고자 할 때 적합하다. 한겹 시공(Single Layer) 두겹 시공(Double Layer) (2) 두겹 시공: 석고보드 한 장을 하지용으로 상(frame)에 횡이나 종방향으로 부착한 후 그 위에 마감 보드를 종이나 횡방향으로 겹쳐 부착하는 방법으로, 한겹 시공에 비해 뛰어난 강도 및 방화 차음성능을 가지며 표면보드의 파손 및 크랙(crack)방지, 탁월한 표면 마감 미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겹 시공은 항상 한 유니트의 바탕보드 시공이 완료된 후에 표면보드를 사용해야 한다 석고보드의 부착방법 석고보드의 부착 방법은 상(Frame)의 종류에 따라 다음 몇가지 방법이 있다. (1) 철못 시공: 목재 상(Frame)에 대한 일반적인 부착방법이다.
188 (2) 이중철못 시공: 부착력을 증대시켜 변형을 최소화 시킨다. (3) 접착 시공: 유기질 접착제(초산 비닐계 등)를 목재 스터드에 도포한 후 보드를 접착시키고 철못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과 보드와의 접착력 증대는 물론 철못 시공을 절감할 수 있다. (4) 나사못 시공: 보드를 목재 상 및 메탈 스터드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변형이 거의 없는 방법이다. (5) 석고본드 시공: 콘크리트 벽 등에 별도의 상(frame)없이 보드를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편리하고 미려한 내부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석고보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 시공 (1) 석고보드는 횡방향(상에 대하여 보드의 길이 방향을 수직으로 시공) 또는 종방향(상에 대하여 보드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시공)으로 모두 시공할 수 있으며, 상황 및 여건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택하여 시공한다. (2) 그러나, 석고보드 내화구조는 종방향으로만 시공해야 한다. (3) 일반적으로 횡방향 시공은 종방향 시공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가. 이음매의 총길이 최대 25% 절감됨 나. 보드가 내충격이 강한 쪽으로 시공되므로 견고함 다. 상의 간격 및 배열이 불규칙해도 시공 가능 라. 각 보드가 보다 많은 상에 고정되므로 견고함 마. 이음매가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 있으므로 이음매 처리가 쉬움 (4) 보통 1,200mm 석고보드를 벽체에 시공할 때 천장고가 2,400mm 이하인 경우에는 횡방향 시공이 이음매는 물론 재단횟수 감소, 취급 및 이음매 처리를 용이하게 하나, 천장고가 2,400mm 이상이거나 벽의 폭이 1,200mm 이하인 경우에는 종방향 시공이 유리하다. (5) 천장에 시공할 때에는 작업이 편리하고, 이음매의 길이가 줄어드는 방법을 택하여 시공한다. 종방향시공 횡방향시공
189 5.2.4 석고보드 시공의 일반규정 (1) 우선적으로 벽체를 먼저 시공한다. (2) 치수에 맞게 보드를 재단한다. (3) 모든 이음매는 너무 밀착되지 않도록 약간의 간격을 두고 고정하며, 보드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4) 같은 겹에서 시공방향(길이, 폭)은 일정해야 한다. (5) 테파 베벨보드 옆에 재단면을 붙여 시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원칙적으로 석고보드의 가장자리(edge)는 상에 고정되어야 한다.(단, 횡방향으로 시공하는 경우는 예외) (7) 보드의 가장자리에 메탈 트림을 설치할 경우에는 보드 시공전에 트림 설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8) 마루장선과 문틀 상부와 같은 큰 치수 목재에는 나뭇결을 가로지르는 식으로 보드를 직접 고정하여서는 안 되며, 목재의 뒤틀림에 대한 방지책으로 콘트롤 조인트를 설치하거나 부상채널을 이용한 부상공법으로 시공해야한다 (9) 이음매에서 보드의 표면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메탈 스터드의 지지되지 않은 날개 부분 또는 열려있는 부분에 각 보드의 가장자리를 먼저 고정할 수 있도록 보드 시공을 진행시킨다.이렇게 하기 위하여, 모든 스터드의 날개 방향(열린부분)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날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드를 시공해 간다. 이렇게 하여 각 보드의 고정이 이음매에서 스터드의 날개를 잡아주며, 다음 보드의 부착이 단단한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보드의 가장자리가 스터드의 지지되는 날개부분에 먼저 고정된다면, 다음 보드를 고정시킬 때의 압력으로 스터드의 개구부 날개면에 변형이 생길 수가 있어 보드의 이음매 부위에 돌출부가 생길 수 있으므로 경량철골 상에는 상기 시공 절차로 반드시 시공해야 한다.(그림 참조)
190 그림. 정확한 시공 사례 그림. 잘못된 시공 사례 5.3 석고보드 절단 방법 석고보드 절단 순서 (1)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를 대고 표면 종이를 커터날로 절단한다. (2) 절단선을 중심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누른다. (3) 보드를 뒤집어서 뒷면의 표면 종이를 뒤로 젖혀 커터날로 선을 따라 절단한다. (4) 거친 샌드페이퍼나 스틸(steel)브러쉬로 절단면을 평활하게 고른다 원형의 구멍을 뚫을때 원형커터를 이용하여 구멍뚫는 장면 > 뚫어진 구멍을 다듬는 장면 필요한 부위의 크기를 절개하는 방법 콘센트 박스, 전선 등의 출구 등 작은 개구부를 만들 때에는 아래 그림의 순서로 진행한다.
191 (1) 절단할 부위를 표시한다. (2) 중앙부에 구멍을 뚫는다. (3) 대각선을 따라모서리까지 톱질한다. (4) 표면종이를 칼로 절단한다. (5) 힘을 가하여 조각들을 떼어낸다. 5.4 석고보드 건식벽체 공법 (1) 콘크리트벽 또는 조적벽 및 벽체 등에 석고본드를 이용하여 석고보드를 직접 고정하는 방법으로, 평활한 벽면 및 다양한 마감처리를 할 수 있고, 시공성이 편리하여 기존의 시멘트 모르타르 마감을 대체하는 공법이다. (2) 원칙적으로 외벽의 내측벽 및 지하실 벽체 등에는 석고본드의 사용이 부적합하여, 메탈 퍼링채널을 이용하여 보드를 시공해야 하나, 외벽이라 할지라도 단열시공이 되어 있거나 중공층이 있는 중공벽체인 경우에는 외벽 내측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내부 벽체의 마감용으로도 적용된다 준비작업 바탕면(피착면)의 먼지, 기름때 등을 깨끗이 제거하고, 5mm 이상의 돌출부를 다듬질 망치로 다듬어 바탕면을 평활하게 골라준다 석고본드 공법의 효율성 (1) 공기단축: 재래식 공법에 비해 골조하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벽면에 굴곡이 있을 때 수평조정이 쉬워 공기가 현저히 단축된다. (2) 시공성: 바탕면에 석고본드를 바르고 그 위에 보드를 압착시공하기 때문에 공법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높다. (3) 경제성: 목재 상이나 경량철골 등 하지재를 사용치 않으므로 시공이 쉽고 자재가 절감된다. (4) 우수한 성능: 방화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석고보드와 단열재로 다양한 공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다. (5) 다양한 마감: 페인트 도장, 벽지마감 등 각종 다양한 방법으로 마감이 가능하다.
192 5.4.3 석고본드의 사용량 마감두께에 따라 1m2당 2.5~4.0kg을 사용한다. 1포에 25kg씩 포장되어 있으며 6~10m2 시공이 가능하다. (1) 마감두께에 따른 사용량 마감 두께 (mm) 사용량 (kg/m2) ~25 3~4.5 (2) 석고본드 부착간격 보드의 주변부 1500~200mm 벽면의 상부 300~350mm 허리벽 주위 200~250mm 시공순서 (1) 먹줄 작업 가. 바탕면의 먼지 기름때를 제거하고 벽면을 다듬질 망치를 사용하여 고른다 나. 하지면의 요철을 고려하여 벽이나 천장의 석고보드 마감면에 먹줄작업을 실시한다. 다. 최저 두께로 마감하는 경우는 하지의 최대 돌출부에 3mm를 더하여 그 위에 석고보드 두께를 더한 마감면에 먹줄 작업을 한다.
193 (2) 석고보드의 재단 가. 석고보드의 절단면을 길이방향으로 전용 절단칼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재단한다. 나. 전기박스나 홈, 절단면의 가공은 미리 먹줄로 표시하여 전용공구를 사용하여 보드의 표면부터 실시한다. (3) 석고본드의 반죽 가. 석고본드를 반죽통에 넣고 본드 1kg당 500~700cc의 깨끗한 물과 잘 반죽한다. 전동식 반죽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물을 붓고 반죽해 준다. 나. 한번에 반죽하는 분량은 1시간 이내에 사용 가능한 분량이 적당하다. 다. 사용중인 석고본드에 물이나 석고본드를 계속 부어 사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경화 불량에 의한 탈락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라. 한번 사용한 반죽통과 시공구는 깨끗이 씻은 후 사용한다 마. 반죽통은 200L 내외의 용량을 고무나 플라스틱 용기가 적당하다. (4) 석고보드의 부착 가. 흙손으로 석고본드를 찍어 벽면에 볼(ball)형태로 점점이 바른다.이때 볼의 직경은 90mm정도, 두께는 보드를 압착하여 부착했을때 마감두께의 2배 정도로 한다. 나. 석고보드를 벽에 부착하는 경우 손으로 가볍게 눌러 압착시킨 후 각목을 사용하여 천천히 먹줄에 맞춰 상하 좌우의 레벨을 조정한다. 다. 일단 석고본드에 석고보드가 부착되어 경화할 때는 통기가 안될 경우 1개월, 통기가 잘 될 경우에는 2주간 충격을 주어서는 안 된다. 라. 석고보드는 부착시 천장과 바닥에서 수분을 빨아들일 우려가 있으므로 천장과 바닥으로부터 10~20mm 띄우고 바닥에는 목재나 석고보드 조각으로 받쳐 준다. 마. 석고본드를 한번에 작업할 수 있는 면적은 석고보드 5매 정도가 적절 하다. 바닥 접합부위 조인트 연결부위 (5) 보수: 마감면의 틈새, V홈, 균열 등의 장소에는 조인트 콤파운드를 사용하여 메워준다. 석고본드는 석고보드 부착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음매 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본드를
194 사용시 DRY OUT(수화반응 부족)현상을 일으켜 피착면과 접착불량이나 표면에 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벽지, 페인트 등 마감재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석고본드 시공조건 (1) 석고본드 시공은 지하실, 욕실 등 습기가 많은 곳이나 결로가 예상되는 곳은 피한다. (2) 녹의 발생이 예상되는 자재인 철못, 코너비드와 같이 시공할 때에는 미리 방청처리를 해준다. (3) 동절기 시공등 온도가 5 C 이하인 경우는 공사를 피해준다. (4) 석고본드가 제조된 후 4개월이상 경과된 것은 초기 수화반응이 진행됐을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 (5) 본드의 건조기간은 현장조건, 양생 기후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으며 석고본드 부착후 통기성이 있는 경우는 15일 이상, 통기성이 없는 경우는 30일이상 경과후 마감재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건조가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수분측정을 위해서는 건축용 목재 수분계나 모르타르용 수분계를 이용할 수 있다. (6) 도배용 풀은 밀가루 풀을 사용하고 부패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7) 실내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외벽 주위에서 석고본드 부위와 중공부의 표면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발생되고 통기성이 없는 비닐계 벽지로 마감시 벽지의 변색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바탕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초배지를 바른 후 시공해야 하며 본드 경화후에도 주기적으로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8) 콘크리트면에 기름, 오물 등이 남아있을 경우 석고본드가 접착되지 않을 수 있으니 확인하여 오물제거를 한 후 약간의 요철을 만들어 시공한다. (9) 시공현장은 습기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기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공기구멍을 설치하여 준다. (10) 석고본드가 완전히 경화건조될 때까지는 석고본드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로 반드시 받쳐 준다. (11) 콘크리트 등 표면이 매끄러운 바탕면에 작업시에는 샌딩처리나 표면에 돌출부위를 만들어 시공한다. (12) 유기화학성 물질표면에는 사용을 금한다. (13) 페인트 마감의 경우 본드의 수분을 미리 체크하고, 건조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마감시에는 변색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염화비닐계 용제형 실러를 도포해야 한다. (14) 페인트 도장마감의 경우에는 필히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음매 처리를 하여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195 5.5 나사못 시공 나사못은 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Head를 갖는 전기 스크류건(Screw Gun)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스크류건의 조정 나사못의 시공 깊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나사못 머리가 보드 표면에 거의 묻힐 정도로 시공한다. 나사못의 시공깊이를 조정하려면 조절용 Head를 풀어 조정하고, 조정이 끝나면 조절용 Head를 잠근다 나사못의 시공 비트의 끝부분에 나사못 머리의 십자홈을 맞춰 끼우고 시공 부위에 비트가 눌러지도록 스크류건을 눌러 준다. 비트는 눌러지지 않는 한 돌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건을 잡을 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손목에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쥐고, 나사못을 보드 표면에 수직으로 적용하며, 보드의 가장자리에서 10mm 이상 이격시켜 시공한다. 5.6 마감 부속재(Trim Accessory) 시공 보드와 보드가 만나는 돌출 모서리를 보호하며, 개구부 타 재료의 벽체 또는 천장이 만나는 부위를 손쉽게 마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서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경량철골 및 목재상 구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코너비드(Corner Bead) 시공 표준형 메쉬형 (1) 코너비드는 돌출모서리 또는 틀이 없는 개구부 등의 외곽면을 보강하여 충격 등으로부터 구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코너비드는 표준형과 메쉬(Mesh)형이 있으며, 양쪽 날개면에 철못, 스테이플 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250mm 간격으로 고정하고, 조인트 콤파운드를 3회 정도 도장하여 마감한다.
196 목재상에 철못으로 코너비드 시공 스테이플로 코너비드 시공 케이싱 비드(Casing Bead) 케이싱비드 설치도 (1) 케이싱 비드는 석고보드 시공시 보드의 마감 및 가장자리를 보호하고, 천장 및 벽체 파티션이 접하는 부위에 실런트 처리를 용이하도록 한다. (2) 다른 재질의 재료가 서로 만나는 벽체 및 천장의 경계에 사용되며, 케이싱 비드의 표면은 페인트 등으로 마감한다 콘트롤 조인트(Contorl Joint) (1) 콘트롤 조인트의 설치는 조명기구, 디퓨져(Diffuser), 문 등의 개구부 및 기타 변형이 생길 수 있는 면 등을 가로지르는 식으로 설치되며,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에도 설치한다. 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다른 구조가 만나거나 잇게 되는 경우 나. 'L', 'U' 및 T'자 모양의 천장면이 연결되는 경우 다. 건물구조 및 또는 기초벽에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혹은 콘트롤 조인트(Control Joint)가 생기는 부위 코너비드(내각면) 이음매 처리 (1) 하도 및 조인트테이프 부착: 좌 우 내각면에 코너용 헤라를 사용하여 콤파운드를 바른 후 조인트테이프를 잘 눌러 부착시킨다. (2) 상도 및 샌딩처리: 하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그 위에 얇게 콤파운드를 바르고 완전히 경화한 다음 샌딩처리를 한다.
197 내각면 이음매 처리 코너비드(외각면) 이음매 처리 (1) 코너비드 설치: 벽체의 코너부분에 석고보드를 부착한 후 외각 모서리 부위의 보강을 위하여 코너비드를 외각에 부착한다. (2) 콤파운드 도포 및 샌딩처리: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코너비드 외각의 볼록한 부분까지 콤파운드를 바른 다음 완전히 경화후 샌딩 공구로 평활하게 고른다. 외각면 이음매 처리 5.7 석고보드 바탕처리 석고보드를 벽이나 천장, 코너부위 둥에 부착한 후 콤파운드 또는 조인트 테이프로 이음매를 처리함으로써 마감시 이음매나 못머리 자국 등이 전혀 드러나지 않아 표면 마감효과가 좋다. (1) 작업이 간단하고 빠르며 이음매가 없어지므로 마감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2) 접착력이 강한 콤파운드와 강인한 조인트 테이프를 사용하므로 크랙이나 표면박리 등의 염려가 없는 천장이나 벽면을 얻을 수 있다. (3) 완전한 이음매 처리에 의해 방 내화성 및 차음성, 단열성이 향상된다. (4) 이음매가 전혀 드러나지 않으므로 페인트, 각종 벽지, 스프레이재 등 취향에 맞는 마감재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198 5.7.1 테파보드의 이음매 처리 (1) 하도: 테파보드의 이음매 부위에 하도용 헤라로 콤파운드를 균일하게 채워넣는다. (2) 조인트 테이프 접착: 하도후 즉시 조인트 테이프용 헤라로 조인트 테이프를 잘 눌러 하도 위에 접착시킨다. 그 다음 헤라를 보드에 45 경사지게 잡은 후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불필요한 콤파운드를 제거한다. 조인트 테이프 밑부분의 콤파운드는 접착에 필요한 0.8mm 정도 두께의 콤파운드만 남기고 제거한다. 조인트 테이프에 주름이 생기거나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인트 테이프 접착후 즉시 그 위에 콤파운드를 얇게 바를 수도 있다. (3) 못머리 처리: 테이프 부착 전이나 후에 못머리 부위를 콤파운드로 종이면까지 메우고 완전히 경화한 후 샌딩공구로 평활하게 한다. (4) 중도: 하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하도 폭보다 좌우로 각각 50mm정도 넓게 콤파운드를 조인트 테이프 위에 바른다.(전체폭 150mm) (5) 상도: 중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상도용 헤라를 사용하여 중도폭보다 좌우로 각각 50mm정도 더 넓게 콤파운드를 얇게 바른다. 이때 못 머리부위에도 콤파운드로 얇게 코팅한다.(전체폭 250mm) (6) 샌딩 처리: 상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샌딩공구로 전체면을 평활하게 고른다. 하도 조인트 테이프 접착 못머리 처리 중도 상도 샌딩처리
199 5.7.2 평보드의 이음매 처리 (1) 하도: 이음매 부위에 얇게 콤파운드를 바른 다음 조인트 테이프를 대고 그 위에 좌우로 각각 150mm폭으로 콤파운드를 얇게 바른다. (2) 중도: 하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좌우로 각각 200mm폭으로 하도위에 콤파운드를 얇게 바른다. 이때 마감시 이음매 부위에 층이 생기지 않도록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게 하고 점차 가장자리 부위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바른다. (3) 상도 및 샌딩처리: 중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콤파운드를 좌우 각각 220mm폭(전체 440mm)으로 중도와 동일한 요령으로 바른다. 상도가 완전히 경화한 후 샌딩공구로 전체면을 평활하게 고른다 바탕시공의 주의사항 (1) 이음매 처리 작업전에 필히 못이나 나사못 머리가 보드표면과 일치하게 시공되어 있는가 확인한다. (2) 콤파운드를 한꺼번에 너무 두껍게 바르면 경화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크랙 등의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3) 조인트 테이프 접착시 부분적인 접착불량이 발생할 경우 그 부분의 조인트 테이프를 떼어내고 콤파운드로 메워준다. (4) 완전히 경화시키지 않고 통기성이 없는 비닐 벽지 등으로 마감할 경우 코너비드 등에 녹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완전히 경화한 후 마감처리를 한다 (5) 콤파운드와 조인트 테이프를 보관할 때에는 습기찬 곳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특히 조인트 테이프는 습기에 민감하여 급속히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할 수 없게 된다. 5.8 보온, 단열재 시공 시공 일반 (1) 단열재료 및 단열공법에 따른 보조단열재 및 설치재료, 공구 등을 준비 한다. (2) 단열시공 바탕면은 단열재 또는 방습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못, 철선, 모르타르 등의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청소한다. (3) 단열재를 겹쳐서 사용하고 각 단열재를 이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4) 단열재의 이음부는 될 수 있는 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이음부 발생 시 틈 부위를 기존 단열재를 절단하여 재 충진 시킨다 벽체 시공의 종류와 공법 (1) 프리캡 공법
200 가. 설계도면에 따라 핀 부착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나. 콘크리트 벽체를 지름± 0.3mm, 깊이 20± 3mm로 타공한 후 프리캡 핀을 햄머 드릴 또는 망치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보조공구 등을 이용하여, 프리캡 핀과 벽체가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 프리캡 핀에 유리면(크린 매트)을 밀착시켜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하며, 필요시 칼 또는 절단기구를 사용하여 시공한다. 라. (필요에 따라) PE 필름 등의 방습층을 주름지지 않게 시공하며 이음부는 충분히 중첩시켜 투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마. 유리면(크린매트) 시공후 프리캡을 덮어 고정한다. 바. 측벽 및 코어벽이 외벽과 만나는 부위는 마감을 고려하여 시공하되 외벽을 먼저 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사. 수평자를 이용하여 프리캡의 수평을 조절한 후 프리캡을 90 돌려 고정시킨다. 아. ø 6 25mm 나사못을 사용하여 석고보드를 설치한다. 각각의 프리캡에는 1개 이상의 나사못을 고정하며, 석고보드의 이음부 위에는 각 석고보드에 1개씩의 나사못을 고정한다. 나사못 시공 주위는 요철이 없도록 평활하게 마무리 한다. 자. 석고보드 이음매와 코너부분은 두드러짐이 없도록 본드로 메운후 샌드 페이퍼 등으로 평활하게 면처리를 한다. 건축공사 수급자는 스위치 박스 위치를 정확하게 석고보드 위에 표시하여 전기공사 수급자가 필요규격만큼 정밀하게 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차. 프리캡 설치도 및 단면 상세 a.프리캡 설치도 b.프리캡설치 단면 상세도 (측벽, 코어벽일 경우)
201 (2) 지지핀 공법 가. 설계도면에 따라 핀 부착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나. 지지핀 본드는 사용하기 직전에 잘 저어 사용하되 핀의 구멍을 통해 빠져 나와 지지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압착한다. 다. 지지핀 본드가 완전히 경화한 후, 단열재의 접합부를 밀착시켜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하며, 필요시 칼 또는 절단기구를 사용하여 시공한다. 라. 필요에 따라 보양필름(PE film) 등의 방습층을 주름지지 않게 시공하며 이음부는 충분히 중첩시켜 투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마. 단열재 시공 후 핀 덮개를 고정하되,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핀 덮개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바. 전기박스 주변은 지지핀을 전기박스 좌 우 1개씩 시공 후 석고본드로 보강한다. 사. 측벽 및 코어벽이 외벽과 만나는 부위는 마감을 고려하여 시공하되 외벽을 먼저 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아. 기온이 5 C 이하일때는 지지핀 붙이기 및 석고보드 붙이기 작업은 피해야 한다. 자. 지지핀위 석고보드 붙이기 a. 석고본드의 혼합은 시공이 좋도록 반죽하되 1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b. 핀 위에 석고본드를 소요두께의 2배 정도가 되게 직경 5cm정도(눌렀을 경우 8cm정도) 붙이고, 석고보드를 수직 수평이 되게 붙인다. 3시간 이내에는 충격이나 힘을 가해서는 안 되며, 석고 본드가 완전히 굳을 수 있도록 2주 동안은 변형이 생길 정도의 충격이나 힘을 가해서는 안 된다. c. 석고본드의 수직 수평 유지는 석고본드 두께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d. 석고본드 이음새와 코너 부분은 두드러짐이 없도록 본드로 메운 후 샌드 페이퍼 등으로 평활하게 면처리를 한다. e. 건축공사 수급자는 스위치 박스 위치를 정확하게 석고본드 위에 표시하여 전기공사 수급자가 필요 규격만큼 정밀하게 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차. 지지핀 위치도 및 단면 상세도 지지핀 위치도 지지핀 설치 단면 상세도
202 (3) DRYWALL 공법 바탕면 청소 RUNNER/STUD 설치 일면 G/S 2PLY 시공 단열재 재단 매입 설치 마감면 G/S 2PLY 마감 (4) 이중브라켓 공법 바탕면 청소 먹 매김 작업( 간격) 이중브라켓 핀 시공 단열재 설치 이중브라켓 캡 시공 G/S 마감 시공시 유의사항 (1) 충진된 단열재는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충분히 환기한다.(조적조 중공벽체 시공시) (2) 중공부에 단열재가 공극없이 잘 충진되었는지 검사 확인한다. (3) 단열재가 벽체에 잘 밀착되었는지 확인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잘 고정시킨다. (4) 단열재가 늘어나지 않도록 나무벽틀을 벽면에서 단열재 두께만큼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나무벽틀 주위의 단열재를 칼로 오려 단열재가 나무벽틀에 꼭 맞도록 한 후 띠장을 설치한다. (5) 벽과 바닥의 접합부위의 단열재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6) 천장의 단열재 설치시 천장 마감재를 설치하면서 단열시공을 하되 단열재는 반자틀에 꼭 맞게 재단한다. (7) 천장바탕 또는 천장 마감재를 설치한 다음 단열재를 틈없이 설치하고 벽과 접하는 부분은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공한다. (8) 타 공법에 비해 작업자의 안전성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해서 시공시 위험성이 적으나 재해사고가 나지 않도록 유의한다. 5.9 경량벽체(DRYWALL)의 구조 및 부위별 시공도 a. 평면도-예 b. 모서리부위-예
203 c. 문틀보강 평면도-예 d. 벽체접합부위 평면도-예 e. ㄱ자부위 평면도-예 f. T자부위 평면도-예 g. DOOR FRAME 보강입면도 및 상세도-예 h. 접합부위 상세도-예
204 i. 걸레받이 상세도-예 j.창틀부위 보강상세도-예
205 k. 화장실부위 보강상세도-예 l. 변기설치 상세도-예 m. 욕조설치 상세도-예 n. 세면대설치 상세도-예
206 o. 덕트부위 상세도-예 o. 덕트부위 상세도-예
207 p. 배관설치 입면도-예 q. A상세도(배관관통부위 보강단면도) r. 배관관통부위 보강 평면도 s. B상세도(배관관통부위 보강단면도) t. 건식벽체 접합상세도-예 u. 접합부위 상세도-예 v. 곡면부위 상세도-예
208 w. 기준 형태의 예 5.10 경량벽체 작업 점검 및 보양 점검 사항 (1) 석고보드 설치 완료 후 이음부위 검사 (2) 고정피스 완료상태 점검 (3) 석고보드위 바탕처리 후 표면 마감상태 검사 보양 및 청소 (1) 보양: 최종 준공청소 시까지 적합한 보양재를 사용하여 다른 공종의 작업 등에 의하여 손상 또는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장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설치된 보양재는 다음 공정을 준비할 때 제거하고 깨끗이 청소한다.
209 SECTION 경량 천장공사-1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절은 경량철골 천장틀을 사용하여 석고보드, 흡음 천장재, 재료를 부착시 키는 경량 천장 설치 공사에 적용한다. 1.2 적용 규준 시방에 적용되는 소재의 기준은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한국산업규격 KS KS B 홈붙이 작은 나사 KS B 홈붙이 나사못 KS D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전기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건축용 강재 받침대(벽 천장) KS F 천장보드용 접착제 KS F 석고판 국제 표준화 기구(ISO) 품질규격 ISO 9002 인증 1.3 운반, 보관 및 취급 운반 및 보관 (1) 모든 제품 또는 자재는 부식, 변형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존되어야 하며, 흙이나 외기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관되어야 한다. (2) 손상된 제품은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야 하며, 철재 제작물의 경우 녹막이 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취급 (1) 흡음 천장재 및 석고보드 제품의 취급은 모서리의 손상, 흠집, 표면의 훼손, 오염 등이 없도록 보관하여 취급해야 한다. (2) 습기가 차지 않고 통풍, 환기가 잘 되는 실내에 보호, 저장, 관리해야 한다.
210 1.4 천장 작업 조건 천장공사 전 과정동안 최소 16 이상, 상대습도 80% 이하의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는게 이상적이다. 1.5 작업의 연속성 기계, 전기 및 기타 천장 상부공사 및 실내 습식공사 종료후 공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각 부분의 천장 높이에 맞추어 커튼박스 및 셔터 박스 작업, 전기배선공사가 선행 설치되어야 한다. 제2절 자재 2.1 일반사항 (1) 가공부분의 녹막이 처리가 손상된 부분은 보수하여야 한다. (2) 지진하중을 고려할 시는 적용하중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별도 시방에 의해 설치하여야 한다. (3) 경량 천장구조재의 설치는 수평면이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2 천장받침재 (1) 천장받침재는 KS D 3609 규정에 합격한 것 또는 동등 이상으로 한다. (2) 천장받침재 구성재료인 싱글바, 더블바, 캐링채널 및 부속재의 정의는 KS D3609에 규정된 부재의 명칭에 따른다. 2.3 M-BAR 및 캐링채널 자재 KS D(건축용 강재 받침대) M-BAR 및 캐링채널 자재 (단위: mm) 종류 19형 25형 부재 기호 CS-19 CS-25 A B t 치 수 L(길이) 4000, 5000 A,B A(±1.5), B(±0.5) 싱글바 허용차 L ±40 기호 CW-19 CW-25 A B t 치 수 L(길이) 4000, 5000 A,B A(±1.5), B(±0.5) 더블바 허용차 L ±40 기호 CC-19 CC-25 A B t 치 수 L(길이) 4000, 5000 A,B A(±0.5), B(±1.5) 캐링채널 허용차 L ±40 (1) A 및 B의 치수는 부재의 끝부분에서 200mm이상 안쪽 부분에서 측정한다. (2) 두께 허용차는 KS D 3506에 따른다.
211 2.4 T-BAR T-BAR 시공법 Main T-BAR와 Cross T-BAR의 체결로 형성된 천장틀 위에 천장재를 얹는 시스템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빠르며 시공 완료 후 천장판 어디서나 점검구 역할이 가능해 천장재의 손상이 없이 천장 내부의 배선, 배관 보수 점검이 용이하다. 사용되는 BAR는 15mm Steel Bar, 25mm Steel Bar, Omega Bar, Ultra Bar 등 그 종류가 다양하여 원하는 이미지 창출이 가능하다 T-BAR 종류 a. 15mm Steel Bar b. 15mm Omega Bar c. 15mm Ultra Bar d. 25mm Steel Bar e. 25mm Omega Bar
212 2.5 천장 부속자재 KS D 3609(건축용 강재받침대) 천장 부속자재 (단위: mm) 종류 자재 19형 25형 행거볼트(hanger bolt) 전조 나사, 나사산 지름 0.9 (원통부 지름 8.1 이상) 너트 높이 7.7 이상 행거 판두께 2.0 이상 클립 판두께 0.6 이상 판두께 0.8 이상 바 조인트 판두께 0.5 이상 캐링채널 조인트 판두께 1.0 이상 1) 캐링채널 조인트 백업재의 두께는 0.8mm 이상으로 한다. 2) 판 두께의 허용차는 KS D 3506에 따른다. 제3절 경량철골 구조틀 종류와 시방 3.1 M-BAR System 구조틀 일반시방 (1) M-BAR System 매립형(Concealed-Type)으로서 한국공업규격제품인 Double M-BAR, Single M-BAR, Carrying Channel, Hanger Bolt 등으로 조립하는 공법이다. (2) 천장 전면을 한면으로 처리할 수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공법이다. (3) 특히, 집섬보드와 암면흡음판 등으로 이중붙임을 함으로서 이음이 밀착되고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적용범위는 일반적으로 일반사무실, 작은공간, 연회장, 회의실, A.P.T, 고급주택 등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M-BAR System 구조도
213 3.1.3 M-BAR 구조위 마감재 설치도 자재 종류와 형태 자재명 (Product Name) 자재 형태 (Section Shape) 치수(Size) (단위: mm) T W H 캐링채널 (Carrying Channel) 마이나채널 (Minor Channel) C-채널 (C-Channel) 더블엠-바 (Double M-BAR) 싱글엠-바 (Single M-BAR)
214 행가클립 (Hanger-Clip) 행거보트 및 너트 (Hanger Bolt & Nut) 엠-바 클립 (M-BAR Clip) DIA 9mm(M9) 더블엠-바조인트 (Double M-BAR Joint) 싱글엠-바조인트 (Single M-BAR Joint) 캐링찬넬 조인트 (Carrying Channel Joint) H-바 조인트 (H-BAR Joint) 1) 표준길이(Standard Length):3000, 4000, 5000mm ) 소재: 전기 아연도금 강판 3.2 트랙바(TACK-BAR) System 구조틀 일반사항 (1) 트랙바(TACK-BAR) System은 매립형(Concealed-Type)으로서 학국공업규격 제품인 TACK-BAR Carrying Channel, Hanger Bolt 등으로 조립하는 공법이다. (2) 타카건(Gun)을 사용하여 시공하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공법이다.
215 공법이다. (3) TACK-BAR 구조틀에 최종마감재(예: 흡음텍스)를 단판(1 PLY)으로 적용하는 TACK-BAR System 구조도 TACK-BAR 설치도 3.3 H-BAR System 일반사항 H-BAR System은 경제적인 방법으로 M-BAR 시스템과 같은 매립형으로, 바의 노출이 없어 깨끗한 천장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작은 공간에 적합한공법이다.
216 3.3.2 H-BAR 구조위 마감재 설치도 3.4 T-BAR System 일반사항 (1) T-BAR 시스템(KS D 3609)의 소재는 부식방지 보호코팅이 된 용융아연도 강판(KS D 3506) 또는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여 성형함으로써 부식이 방지 된 자재를 기준하며, 또한 노출부분(Flange)은 다양한 컬러철판(KS D 3520)이나 컬러알루미늄판을 천장마감재로 적용할 수 있다. (2) 천장마감재 작업이 완료된 후 천장판 어느 곳이나 점검구 역할이 가능하여 배선이나 배관 등의 보수점검이 용이한 구조이다. (3) 일반적으로 사무실, 호텔, 점포, 레스토랑, 전시장 등에 적용할 수 있다 T-BAR 구조 위 마감재 설치도
217 3.4.3 트윈 T-BAR 시스템(Line-Diffuser 적용) 설치도 (1) 조명기구나 라인 디퓨저 등 모듈라인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조명시설 및 디퓨저 라인에 대해 충분한 보강을 할 수 있어 중량 시설물 설치가 용이하다. (2) 조명기구 적용시 설치도 LINE T-BAR System (1) LINE T-BAR System은 기존 T-BAR System보다 노출면을 슬림(Slim)화한 구조로 메탈 패널(Matal-Pannel), 다양한 컬러철판이나 컬러 알루미늄 판, 흡음텍스 및 기타 마감재로 적용할 수 있다. (2) LINE T-BAR System 구조도 3.5 T&H BAR System 일반사항 (1) 넓은 공간의 천장일 경우, 모듈라인(Modul-Line)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 조로 크로스 바(Cross-Bar)의 노출이 없는 형태이다. (2) 적용범위는 일반적으로 공간이 넓은 사무실, 공공시설 등이다.
218 3.5.2 T&H BAR 천장도 T&H BAR 구조 위 마감재 설치도 (1) T&H BAR의 구조도 (2) 스페이서 바(Spacer-Bar)가 설치될 경우: 등기구 및 설비기구 시설과 인접된 부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3.6 A.P.T 천장 System 일반사항 (1) 목재틀로 구성되던 아파트 천장 System의 소재를 불연성 강재
219 (Galvanized Steel)로 대체하여 고안한 조립식 천장 System으로, 기존의 목재 천장틀의 결함을 보완하고, 시공방법과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타 공법에 비하여 공기를 훨씬 단축할 수 있다. (2) A.P.T 천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가. 천장틀의 뒤틀림 방지 나. 불연재(Galvanized Steel) 다. 수평조절기능 보유 라. 슬래브(Slab)의 목심 설치 공정의 배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저하 방지와 전체적인 아파트의 공기단축. 마. 조립식 공법으로 시공 용이 바. 자재의 규격별 공장생산으로 현장작업의 최소화 및 자재손실 방지 설치 상세도 (1) 설치 단면도 (2) 평면도 자재의 종류와 규격 자재명 자재 형태 규격(T W H) CARRIER M-BAR
220 A.PT BRACKET T: 2.0 W: 20 L: 50 H(a.25, b.40, c.250) NUT SQ-CEILING System 일반사항 (1) SQ-CEILING System은 하중을 많이 받는 일반건축물이나, 병원, 콘도 등 의 복도, 돌출된 보가 많은 천장에 사용되며, 특히 등 보강, 점검구 설 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는 구조이다. (2) 천장폭이 3m 미만의 천장 구조재에 적용되며 행거볼트 구조가 필요 없는 공법이다 SQ-CEILING Syste 설치도 (1) 설치도 (2) 전개도
221 (3) 꺾임천장 구조의 설치도 3.8 P-BAR System 일반사항 (1) 캐링채널과 M-BAR 두 가지 부재가 동일한 단일 부재로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는 공법으로, 상부의 하중에 견고성을 강조하는 시스템이다. (2) 대형 천장 공간 구조에 적합하며, 단위 부재의 강성 증가로 상부 바(캐링 기능)는 1,800~2,000, 하부 바(M-BAR 기능)는 450 간격으로 설치가 가능 하다.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연결은 전용 클립을 고안하여 부재들이 일체 화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상부 바와 하부 바의 규격 (1) 상부 바: T (2) 하부 바: T 부재 내력의 허용하중 구 분 행거 간격 (B H) Carrier 부재 (kg/m2) 주자재 Hanger Clip 허용하중 Power-Bar 시스템 P-BAR 구조도
222 3.8.5 완성된 구조의 단면도 시공순서 (1) 건물의 중심선 설정: 마감판의 타입을 고려하여 현장 제반여건을 정밀하게 실측한 후 등라인, 기타 부착물의 위치 등을 감안하여 러너 설치 기준선을 먹 매김한다. (2) 러너 라인 레벨 체크 및 러너 설치 (3) 행거볼트 설치 천장 높이를 고려하여 행거 볼트를 고정한다. (4) 등라인 설정 (5) 캐링 설치 행거와 캐링을 결합시킨 후 캐링 클립(CARRYING CLIP)으로 연결 설치한다. 설치간격은 1500~2000mm로 한다. (6) P-BAR 설치 설치된 캐링(CARRYING)에 P-BAR를 사용하여 450mm 간격으로 P-BAR를 설치한다. 단, 벽체의 단부로부터 200mm 이내에 P-BAR를 위치시켜야 한다. (7) 석고보드 및 기타 마감재 취부 제4절 천장 점검구 4.1 일반 사항 설계도면에 의한 규격의 점검구를 위치별 천장재와 동일한 제품 또는 인접한 천장재와 잘 조화되는 알루미늄 기성제품 또는 스틸 제작 점검구 등으로 설치하는 것을 기준한다. (1) 도면(천장 평면도)에 표시된 위치에 설치한다. (2) 점검구 주위에는 천장 내부에 규격별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223 4.2 점검구의 적용성 (1) 알루미늄 프레임식(기성품) 가. 규격: mm 나. 프레임: 알루미늄 압축 성형재 (2) STEEL PLATE 제작물 두께 1.2mm, 1.6mm의 스틸 판재를 이용하여 점검구 제작을 할 수 있으며 제작과 크기는 도면에 따른다. 제5절 시공 일반사항 5.1 강제 천장 바탕(철근 콘크리트조일 경우) 달대볼트(행거) (1) 고정용 인서트의 간격은 공사시방에 따르며 지정이 없는 경우 900mm~1200mm 간격으로 하여야 한다. (2) 벽 및 보 밑의 인서트는 달대볼트의 고정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묻는다 (3) 반자틀 받이, 달대볼트는 공사시방에서 정하는 바가 없을 경우, 직경 9mm로 하고 상부는 인서트에 고정하고 하부는 반자틀 받이 행거붙임으로 한다 반자틀 받이(마이너 채널) 채널의 간격은 공사시방에 따르며 1,000mm내외로 양끝을 맞대어 달대볼트의 행거에 고정한다 반자틀(캐링채널) (1) 반자틀 간격은 도면에 따르고, 반자틀 받이에 용접 또는 지정된 특수 철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2) 반자틀을 격자형으로 하는 경우, 반자틀과 반자틀의 접합부는 용접 또는 특수 철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3) 반자틀의 양끝은 맞대거나 매입한다. 5.2 강제 천장 바탕(철골조일 경우) 달대볼트(행거) 고정용 인서트의 간격은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에 따르며 지정이 없는 경우 900m~1,200mm 간격으로 하여야 한다 반자틀 받이(마이너 채널) (1) 채널의 간격은 설계도면과 시공 상세도면에 따르며 1000mm 내외로 설치하여야 한다. (2) 채널의 양끝은 기둥 등의 강재에 맞댐 또는 덧댐 용접하여야 한다.
224 (3) 반자틀 받이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챔(Chamber, 1/100)시공을 하여야 한다 반자틀(캐링채널) 설계도면 및 시공 상세도면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반자틀은 양쪽 끝을 기둥 등의 금속재에 맞댐 또는 덧댐 용접으로 하고 반자틀 받이에 철물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견고하게 정착시켜야 한다 강재 데크 공사기간 중에 행거 클립을 설치하여야 한다. (1) 달대의 설치는 벽, 기둥, 배관과는 독립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캐링 부재가 분리되는 곳은 없어야 한다. (3) 덕트나 다른 장비로 인하여 행거의 설치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곳은 가장 가까운 곳에 보강하여야 한다. (4) 처짐력을 초과하는 하중이 생기면 메인 러너나 크로스 러너에 부속재를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5) 각 코너에서 150mm이내에 부속 행거를 설치하여 고정하중을 보강하여야 한다. 5.3 경량 천장 설치 경량철골 천장틀 설치 (1) 달대의 위치는 천장 내부의 관련 작업을 고려하여 정해야 하며, 제일 바깥측 달대는 천장 각 단부와의 간격이 15c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2) 달대는 지정간격에 따라 견고하게 설치하고 천장의 부분적인 처짐이나 뒤틀림 등이 생길 수 있는 곳은 추가 보강한다. (3) 달대는 반드시 방청처리된 제품을 사용하고 용접 등으로 방청처리가 손상된 경우는 추가방청조치를 한다. (4) 몰딩은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게 하고 모서리나 꺾임부위는 연귀맞춤으로 틈새없이 한다. (5) 천장틀 몸체는 천장판 설치에 적합하도록 해야 하며, 천장판 부착시 수 평면 허용 오차 범위내에 들도록 정밀하고 견고하게 설치한다. (6) 조명기구 등의 기구부착으로 처지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기구 양단에 보 강재를 설치하되 보강재 설치위치는 전기공사 수급인과 협의하여야 한다. (7) M-BAR 설치방법 가. 건물 중심선 결정 마이톤 규격을 고려하여 현장 사면을 정밀하게 실측한 후에 등라인, 디퓨저 위치 등 타 공정을 체크하여 중심선을 설정한다. 나. Strong Anchor 고정
225 a. Strong Anchor를 사용할 때: 중심선이 설정되면 Strong Anchor(Ψ9.5) 고정부위를 슬래브 표면에 표시한 후 드릴로 뚫고 고정한다. b. 주물 인서트 사용할 때: 도면에 따라 주물 인서트(Ψ9.5)를 거푸집에 설치한다. c. 유의사항: 앵커 또는 인서트간의 간격 유지에 유의한다. Strong Anchor 또는 인서트는 캐링 채널의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다. Molding Line Level Check a. 물 수평 방법이나 레벨기를 사용하여 도면에 의한 위치를 확정한다.(천장 높이 확정) b. 물 수평에 의한 지점 확인 및 지점과 지점사이에 먹 매김을 한다. c. 물 수평법 사용할 경우 먼저 호스내의 기포 유무 및 호스의 파손 여부를 확인한 후 레벨 체크를 하여야 한다. 라. Wall Molding 부착 (몰딩 1.0T 15mm 또는 더블 몰딩1.0T 12mm 12mm 12mm 12mm 이상) a. 먹줄에 따라 몰딩을 부착하며 벽 몰딩은 콘크리트 몫으로 3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 b. 이때 몰딩과 몰딩사이의 높이 및 간격이 이완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c. 커튼 박스 등 시설물과 관련하여 사양에 따라 부착한다. 마. 행거 볼트 설치(Ψ9 1,000 이상으로 방청 처리한 것) a. 행거 볼트 및 너트(Ψ7.7 이상으로 전기 아연도금 한 것) 이용 시 행거 볼트를 Strong Anchor 또는 인서트에 고정시키고 행거를 연결한다. b. 천장높이를 고려하여 행거 너트로 조정한다. 바. 커튼 박스 설치 a. 사양에 따라 용도에 적합한 제품을 제작한다.(스틸의 경우 완벽한 녹방지 조치 요함) b. 용접 작업이 병행되므로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대를 설치한다. 사. 등라인 설치 등라인 설정 사양에 따라 하되 전기 및 설비 관계자와 협의를 하여야 한다. 아. 캐링 채널 설치 (1.2T W38 H12) 행거 세트와 캐링 채널 결착 후 설치한다 자. 마이너 채널 설치(1,2T 19W 10H)
226 시공면적이 넓은 경우 설치되는 캐링 채널을 다시 클립(1.0T 30W)으로 연결, 간격으로 설치한다. 차. M-BAR 설치 캐링채널을 설치한 후 M-BAR 클립을 이용하여 300mm간격으로 M-BAR를 설치한다. (8) T&H-BAR 설치방법 가. 건물 중심선 결정 나. Strong Anchor 고정 다. Molding Line Level Check 라. Wall Molding 부착 마. 행거볼트 설치(Ψ9 1,000이상으로 방청 처리 한 것) 바. 커튼 박스 설치 사. 등라인 설치 아. 캐링 채널 설치(0.4T W38 H12) 자. 메인 T-BAR(0.4T W38 H25) 시공 중심선에 실을 띄운 후 캐링 채널을 메인 T-BAR 제품의 규격 및 간격으로 설치한다. 차. 설치된 천장들의 수평을 물 수평 또는 레벨기로 맞추고 행거 볼트, 너트를 조정하여 정확히 맞춘다 카. H-BAR+마이톤 설치 순서로 설치한다. (9) T-BAR 설치방법 가. 건물 중심선 설정 나. Strong Anchor 고정 다. Molding Line Level Check 라. Wall Molding 부착 마. 행거 볼트 설치(Ψ9 1,000 이상으로 방청 처리 한 것) 바. 커튼 박스 설치 사. 등라인 설치 아. 캐링 채널 설치(0.4T W38 H12) 자. 마이너 채널 설치(1.2T 19W 10H) 시공면적이 넓은 경우 설치된 캐링채널을 다시 클립(1.0T 30W)으로 연결 간격으로 설치한다. 차. 메인 T-BAR 설치 시공중심선에 실을 띄운 후 캐링채널과 메인 T-BAR를 천장판 규격 및 등라인에
227 맞춰 600 또는 1,200 간격으로 설치한다. 카. CROSS T-BAR의 Tip a. 시공 중심선에 실을 띄운 후 메인 T-BAR의 Hall에 CROSS T-BAR를 끼워 설치한다, b. CROSS T-BAR 설치시 메인 T-BAR의 Hall이 다른 메인 T-BAR의 중앙 부위와 일치되어야 한다. c. 직각도의 유지와 크로스 T-BAR의 Tip끼리 완전히 결착되었는지 확인한다. (10) 클립바 설치방법 가. 클립바 설치방법은 상기 M-BAR 설치방법 (7)항 (가)내지 (사) 항목과 동일하게 시공한다. 나. 캐링채널 설치 후 와이어클립을 이용하여 300mm 간격으로 클립바를 고정시킨다. 다. 천장돌림과 타일의 마감은 정교하게 처리하고 천장돌림 몰딩은 mm ㄷ-몰딩을 사용한다. 라. ㄷ-몰딩 안쪽에 mm의 판 스프링(스테인리스)을 눌러 끼워서 배판이 들뜨지 않도록 한다 천장틀 보강 설치 (1) 달대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부분의 행거 볼트는 마이너 채널을 2,500mm ~3,000mm 간격으로 행거볼트에 용접 고정한다. (2) 천장 행거는 각 열마다 약 9m 간격으로 브레싱(Bracing) 보강한다. (3) 조명기구, 설비기구, 점검구 등이 설치되는 주위는 도면에 별도의 표기가 없더라도 시공자 부담으로 경량철골 천장틀의 달대 이외의 9 철재 환봉 또는 L m 앵글 등으로 용접 연결하여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며, 별도의 보강이 필요할 시에는 별도 보강한다. 5.4 석고보드 취부 SECTION-0610 경량 벽체공사 항목에 준하여 시공한다. 5.5 흡음 천장재 및 기타 마감재 취부 경량철골 구조재 위에 적용될 수 있는 마감재로서 각 제조사 제품 및 사양, 시방에 준하여 적용한다 아스칼텍스 (1) 난연 1급 불연 천장재로 석고, 시멘트를 주원료로 혼합하여 생산된 자재 이다. 불연성, 내부식성, 습기가 있는 장소에 적용가능하며, 티보 드라 이버 또는 타카 건에 의한 연속 시공이 가능하다.
228 (2) 규격의 예 구분 두께(mm) 나비(mm) 길이(mm) 비고 천장판 유공판 일반 천장용 (3) 물성(KS L 5509 시험법) 비중 흡수에 의한 길이 변화율 휨파괴 하중 함수율(%) 1.5 이하 0.2% 이하 14kgf 이상 15 이하 (3) 중량 및 포장단위의 예 a. 중량: 27kg/Box b. 포장단위: 18매/Box *주) 각 제조사의 사양과 물성, 특성을 각기 다르게 나타낼 수 있으며, 시공의 특성도 제조사의 시방에 준한다 이지톤 (1) 고로슬래그와 자연광석을 고온에서 용융시켜 섬유상으로 만든 미네랄울을 주원료로 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불연, 단열, 흡음 천장재이다. 티보 드라이버 또는 타카 건에 의한 연속시공이 가능하며, 석고보드 하지 재 없이 경량강재 받침재 위에 직접 시공이 가능하다. (2) 물성 항목 단위 성능(12mm) 시험방법 밀도 kg/m3 50 이하 KSL 9105 함수율 % 3.0 이상 휨파괴하중 N 60 이상 열저항 m2.k/w 0.19 이상 KSF 2277 흡음률 250Hz, 500Hz, 1000Hz, 2000Hz의 산술평균 0.19 이상 KSF 2277 난연성 급별 난연 1급(불연) KSF 2271 (3) 규격 및 포장단위 두께(mm) 나비(mm) 길이(mm) Edge 형상 포장수량(매/Box) 면취 18
229 (4) 시공도 (5) 보강 구조도 가. 이지톤 천장 시공후 원형등을 설치하는 경우로, 등기구 하중에 의한 천장면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M-BAR를 이용하여 보강한 사례이다. 나. 기타 스피커, 스프링클러헤드, 화재 감지기 등의 천장설비 보강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한다 시스톤 (1) 고로슬래그와 자연광석을 고온에서 용융시켜 섬유상으로 만든 미네랄울 주원료로
230 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불연, 단열, 흠음천장재이다. 경량 강재 받침대(M-BAR) 구조 위 석고보드 1PLY를 하지재로 취부한 후 타카건으로 시스톤을 취부하면 된다. (2) 물성 항목 단위 성능 시험방법 KS L 9105에 9mm 12mm 15mm 19mm (KS 등) 의한 규정치 밀도 kg/m 이하 함수율 % 이하 두께9mm:40이상 KS L 9105 휨파괴 두께12mm:60이상 N 하중 두께15mm:90이상 두께19mm:130이상 두께9mm:0.14이상 열저항 m2.k/w KS F 2277 두께12mm:0.19이상 두께15mm:0.23이상 두께19mm:0.28이상 250Hz, 500Hz, 평균 0.45~ 0.50~ 0.50~ 0.50~ KS F Hz, 2000Hz의 흡음률 산술평균치 난연성 급별 난연 1급(불연) KS F 2271 난연 1급에 합격 각 제조사의 사양과 물성, 특성은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시공의 특성도 제조사 의 시방에 준한다. (3) 제품종류 A TYPE B TYPE C TYPE - 규격: mm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231 D TYPE E TYPE F TYPE - 규격: mm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G-TYPE H TYPE I TYPE - 규격: mm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J TYPE K TYPE L TYPE - 규격: mm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232 M TYPE N TYPE O TYPE - 규격: mm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P TYPE Q TYPE R TYPE - 규격: mm - 규격: mm - 포장수량:18매 - 포장수량:18매 (3.24m2)/Box (3.24m2)/Box - Border:두께 9mm - Border:두께 9mm S TYPE T TYPE
233 (4) 설치 구조도 (4) 천장도 5.6 시공 허용오차 천장 설치 후 천장면의 수평면에 대한 허용오차는 3m에 대하여 ± 3mm이내가 되도록 한다. 5.7 현장 품질관리 시공 상태 확인 (1) 달대볼트, 반자틀 받이, 반자틀 간격 및 설치검사 (2) 천장 받침대 수평 일직선 검사
234 SECTION 경량 천장 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장은 경량철골 구조틀을 바탕으로 알루미늄(Aluminum, 이하 AL로 표기) 소재 천장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공사시 적용한다. 1.2 일반사항의 적용 경량철골 구조틀의 일반사항과 관련한 모든 규정은 본 시방서 SECTION 0520 경량천장공사 I"의 내용을 준용한다. 1.3 도서 및 기타 시공계획서 세부공정 계획서, 시공상태 검측계획, 품질관리 계획, 시공순서 및 방법, 청소 및 보양, 보관, 관리, 검사시험 계획 및 품질 보증 기간 등을 포함시킨다 시공상세도 설치 및 시공에 필요한 주위 구성 부자재와 마감에 대한 세부 상세도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품자료 제조업체 설명서, 카달로그, 설치 및 유지관리 지침서, 그리고 O&M(operation and maintenance) 매뉴얼을 제출한다 견본 설계도면 SPEC에 준하며 색상은 제품업체의 표준색상 중에서 선정하는 것으로 한다. 제2절 AL TILE 천장재 종류와 구분 2.1 일반사항 (1) AL소재로 제작된 천장재로서 각 제조사의 제품에 따라 규격과 시방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2) AL 천장재의 문양과 형태는 각 제조사 제품을 참조하여 설계 규정에 따른다 AL TILE 천장재 (1) 크게 유공타일( mm, mm, mm)과 무공타일로 나뉘며 가공모형에 따라 사각형, 원형, 평판형으로 구분된다. (2) 소재는 0.7~0.8T를 사용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는 분체도장 및 염화PVC 코팅,
235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3) 표면처리에 따라 유광과 무광처리 제품으로 구분된다 AL TILE 천장재 (1) 유공타일( mm)과 무공타일로 나뉘며 가공모형에 따라 사각형, 원형, 평형으로 구분된다.(무공 모형안에 타공됨) (2) 소재는 0.7~0.8T를 사용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는 분체도장 및 염화 PVC 코팅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AL TILE 천장재 (1) 유공타일( mm)과 무공타일로 나뉘며 모형은 원형과 평판형으로 구분된다. (2) 소재는 0.7~0.8T를 사용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는 분체도장 및 염화 PVC 코팅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3) 표면 처리는 멜라민도장, 분체도장, 함마톤도장, 불소도장, 염화 PVC 코팅, 아노다이징 등 다양하게 적용된다 AL TILE 천장재 (1) 유공타일( mm, mm, mm)과 무공타일로 나뉘며 유공타일의 모형은 사각형, 원형, 육각형, 평형으로, 무공 모형은 사각형, 원형, 팔각형, 평판형으로 구분된다.(무공 모형안에 타공됨) (2) 소재는 0.7~0.8T를 사용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는 분체도장 및 염화 PVC 코팅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3) 표면 처리는 멜라민도장, 분체도장, 함마톤도장, 불소도장, 염화 PVC 코팅, 아노다이징 등 다양하며, 광택처리 여부에 따라 유광과 무광처리 제품으로 구분된다 , AL TILE 천장재 (1) 유공타일과 무공타일로 구분되며 모형은 평판 단일형이다. (2) 소재는 0.7~0.8T를 사용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는 분체도장 및 염화 PVC 코팅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3) 표면 처리는 멜라민도장, 분체도장, 함마톤도장, 불소도장, 염화 PVC 코팅, 아노다이징 등 다양하다. (4) TILE과 TILE 등과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 AL TILE 천장재 (1) 유공타일과 무공타일로 구분되며 모형은 평판 단일형이다. (2) 소재는 알루미늄의 경우 0.7T, 스틸의 경우 0.7~0.8T를 사용한다. (3) 표면 처리는 멜라민도장, 분체도장, 함마톤도장, 불소도장 등 다양하다.
236 (4) , , CLIP-IN System과 LAY-IN System으로 사용. 2.8 주요자재 (1) TILE (2) MOULDING (3) BOLT (4) CLIP-BAR (5) CARRING (6) NUT (7) WIRE-CLIP (8) HANGER (9) CLIP-BAR JOINT 1) 사우나, 목욕탕, 실험실, 화학실, 해변가 등에 사용할 때는 염분과 수분, 화공약품에 강한 분체도장이나 염화 PVC 코팅된 제품을 적용하여야 한다. 2) 청소시에는 제품의 찌그러짐에 주의하고 먼지 제거시에는 중성세제로 세척한다 무공형(Non-Perforated Tile) 평 판 원 형 사 각 형 유공형 (Perforated Tile) 유공평판 원형유공 사각유공 설치 구조도 및 상세도
237 제3절 AL 소재의 천장재 종류와 구분 3.1 일반사항 (1) AL 소재의 천장재는 각 제조사의 제품에 따라 규격과 특성, 시방이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2) AL 천장재의 문양과 형태는 각 제조사 제품을 참조하여 설계 규정에 따른다. 3.2 AL Spandrel System(100-S, 150-S, 180-S, 280-S) 일반사항 (1) 경량철골 천장구조물인 M-BAR 시스템에 스크류로 패널을 고정하는 스판드럴 시스템이다. (2) 종류는 유공과 무공으로 구분되며, 유공은 흡음율이 좋으므로 소음이 많은 곳에 적용 가능하다. (3) 주요 시공법으로는 M-BAR가 사용되며, 피스 고정형으로서 바람이 많은 곳이나 지동이 있는 곳, 캐노피 및 외부천장 마감재로 적합하다. (4) 색상과 규격은 각 제조사 제품에 기준한다 주요 자재 (1) SPANDREL (2) CARRING (3) M-BAR (4) M-BAR CLIP (5) MOULDING (6) BOLT,NUT (7) HANGER 1) 외부 시공시 M-BAR 간격을 좁게 할 것. 2) 청소시에는 제품의 찌그러짐에 주하고 먼지 제거시에는 중성세제로 세척한다.
238 3.1.3 종류별 단면도(Cross-Section) 100S 180S 280S 자재의 종류(Available Product) NO. 구분 Size Specifications AL 0.5T Width 100mm 1 100S Perforated, Non-Perforated Height 10mm M-BAR Piece AL0.6T Width 180mm 2 180S Perforated, Non-Perforated Height 20mm M-BAR Piece AL 1T Width 250mm Perforated, Non-Perforated 3 250S Height 16mm Clip Assembler with "c" shape STEEL-BAR 설치도와 단면상세도 (1) 설치도 (2) 단면 상세도 3.2 AL재 Spandrel System(180-RS, 280-RS) 일반사항 (1) 스틸 0.5T, 0.6T 소재로 폭에 따라 180mm와 280mm 두 종류로 구분된다.(높이는 25mm) (2) 무공, 유공형이 있으며 유공형은 흡음율이 좋아 소음이 많은 곳에 적합 하다.
239 (3) 주요 시공법으로는 M-BAR가 사용되며, 피스 고정형으로서 바람이 많은 곳이나 진동이 있는 곳, 도로 톨게이트, 벽체용에 많이 사용된다 주요 자재 (1) SPANDREL (2) CARRING (3) M-BAR (4) M-BAR CLIP (5) MOULDING (6) BOLT, NUT (7) HANGER (8) 각파이프 및 스터드 1) 외부시공시 M-BAR 간격을 좁게 할 것 2) 소재가 스틸이므로 마감 도장 취급주의 종류별 단면도(Cross Section) 180,280-RS (유공형) (무공형) 자재의 종류 NO 구분 Size Specifications STEEL 0.5T 1 180RS M-BAR Piece Width 180mm Perorated, Height 25mm Non-Perorated Rounded Type Width 280mm 2 280RS Height 25mm STEEL 0.6T 상의 설치도
240 3.3 BAFFLE System 일반사항 (1) 입체효과가 있는 구조재로, 리브의 격자틀 구성과 AL TILE 판재가 복합시공 되어 흡음효과가 있다. (2) AL TILE 판재(0.5~O.6T 기준)는 1.0mm로 타공하여 적용한다 주요 자재 (1) BAFFLE (2) BAFFLE CARRIER (3) POLE SET (4) HANGER (5) TILE 1) 외부에 설치할 때는 Baffle위에 올려 놓는 방법으로 타일판이 시공 되므로 Baffle 날개와 타일판 날개를 강력한 스프링으로 잡아줘야 한다. 2) 목욕탕, 사우나 등은 무공 분체도장을 한다. 3) 염분이나 수분이 많은 건물일 때는 분체도장으로 적용한다 자재의 규격(Available Products) (단위:mm) Model Size Width Thickness Note 100 BAFFLE (by order) 200 BAFFLE (by order) 300 BAFFLE (by order) 설치 단면도 설치 구조도
241 3.4 MODULE System 일반사항 (1) Module System은 TILE과 100mm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2) 타일은 유공과 무공으로 나뉘며 Module과 타일의 높낮이로 인하여 노출효과가 강조되는 것이 장점이다 주요자재 (1) TILE (2) MAIN-BAR (3) CROSS-BAR (4) HANGER (5) MOULDING 1) 외부의 바람이 많은 곳은 부적합하다. 2) 목욕탕, 사우나 등은 분체도장을 한다. 3) 잡음이나 소음이 많을 시에는 유공타일로 시공한다 자재의 규격 제품 (단위:mm) 구분 Width Depth Thickness A-Modules B-Modules 타공율 1.8mm PITCH 4.0mm 20.5% 설치 구조도 A B: 최대 500mm C: 최대 1,500mm D: 최대 1,500mm 3.5 PLANK PANEL 일반사항 (1) 유공과 무공타일로 구분되며 모형은 평판 단일형이다. (2) 소재는 알루미늄의 경우 1.0T, 스틸은 0.8~1.2T를 사용한다. (3) 시공방법은 LAY-IN System으로 여러가지 모형으로 복합 시공이 가능하다.
242 3.5.2 자재의 종류 Modle Wide Lenght ,1500,1800 Steel 0.8T, AL 1.0T Plank ,1500,1800 Perforated, (Panel) ,1800,2000 Non-Perforated ,1500,1800 Grid-Bar D7 Grid 100 (Channel) 설치 구조도 패널과 채널의 조립도 3.6 Tartan Ceiling System 일반사항 (1) Tartan Ceiling System은 평면과 입체직선, 사선패널이 자유롭게 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조립, 해체, 점검 및 보수성이 용이한 구조이다. (2) 패널의 타공으로 음향 조절이 가능하다 주요자재 (1) 타탄 패널(STEEL, AL, STAINESS STEEL) (2) MAIN RUNNER (3) JOINT BOX (4) BOLT, NUT
243 3.6.3 자재의 규격 Item Joint Box Main-Runner Panel (단위:mm) Standard Thickeness Steel AL Sus T 1.2T T 1.2T T 1.2T T 100 1, T T 200 1, T 200 1, T T 250 1, T 250 1, T T 0.8T 1.0T 120 1, T 1.2T 1.2T , T 1.5T 1.2T 자재의 단면도(Cross-Section) Joint Box Main Runner Tartan Panel 설치구조도
244 3.7 WAFFLE System 일반사항 (1) Module-Bar(데파형)와 T-BAR(직각형)로 구분되며, 천장의 입체감과 웅장함의 효과가 장점이다. (2) 색상과 규격은 주문에 의하여 유공도 가능하다. (3) 표면처리는 나무 무늬목, 대리석 무늬, 함마톤도장, 분체도장 등 다양하다 주요자재 (1) WAFFLE (2) FRAME (3) MODULE-BAR (4) CLOSS-BAR (5) HANGER (6) MOULDING (7) MAIN T-BAR (8) JOINT (9) C/T CLIP (10) ANGLE JOINT 1) 외부 및 바람이 많은 곳의 사용은 부적합하다. 2) 좁은 공간 및 특이한 공간의 시공법으로는 부적합하다 종규별 참조규격 (1) MODULE-BAR 타입(데파형) Model Size(L W H) Thickness Note AL 0.8T waffle AL 1.0T Module bar waffle 폭: AL 1.2T waffle
245 (2) T-BAR 타입(직각형) Model Size(L W H) Thickness Note waffle AL 1.2T waffle waffle AL 1.2T Wood Finishing waffle 설치 구조도 (1) Module Method (2) T-BAR Method 3.8 LOUVER System(단판) 일반사항 LOUVER System은 천장에 조명효과를 살릴 수 있는 System으로, 0.6~0.8T의 알루미늄 소재를 격자형으로 엮은 형태이다.
246 3.8.2 주요자재 (1) LOUVER (2) T-BAR (3) L-MOULDING (4) CLOSS T-BAR (5) HANGER 1) 외부에 설치하기는 부적합하다. 2) 간접조명 효과는 좋으나, 청소 및 등 교환, 전기고장 등으로 인한 기타 고장수리시 루버 시 공법을 무시하고 해체 시공을 번복할 경우 파손 우려가 있어 T-BAR 공법이 가장 무난하다 구조도 A-TYPE B-TYPE C-TYPE 자재의 규격 No Model Size Thickness Note ,200 AL 0.8T ,200 AL 0.8T 그외 규격은 주문제작 ,200 AL 0.8T (Other Specifications ,200 AL 0.8T Can Be Made To ,200 AL 0.8T Order) ,200 AL 0.8T 시공 구조도 3.9 LOUVER System(겹루버) 일반사항 (1) 천장의 입체감과 웅장함을 연출하고자 할 때 또는 간접조명 효과를 살리고자 할 때 효과적이다. (2) 알루미늄 0.5T를 겹으로 벤딩하여 만든 제품으로 85mm, 100mm, 150mm 등 크기가 다양하다.
247 3.9.2 주요자재 (1) LOUVER (2) MAIN-BAR (3) HANGER (4) MAIN-BAR JOINT (5) MOULDING 1) 시공시 날개부분의 라인이 일치하는 지 주의해야 한다. 2) 캐노피, 해변가 등의 시공에는 부적합하다 자재의 구조도 자재의 종류 Model Size(W L H) Size Thickness Note 85mm Louver , AL 0.5T 100mm Louver , AL 0.5T 그외 규격은 150mm Louver , AL 0.5T 주문제작 (Other 150mm Specifications , AL 0.5T Louver Can Be Made 150mm To Order) , AL 0.5T Louver 130mm Louver , AL 0.5T 설치 구조도
248 3.10 OMEGA & Module System 일반사항 오메가 및 모듈 시스템(Omega & Module-System)은 다양한 마감판재(Plate)를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특수 조명시설 및 공조시설 혹은 대형 천장보드 특수메탈라스, 알루미늄 거울패널, 특수천장패널 등과 병행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오메가시스템(Omega System) 구조도 AL 패널 구성도 (예-1) 자재의 규격 자재명 Product No. 모듈 런너 (Module Runner) AL 모듈바 (Aluminum Module-Bar) 자재의 형태 Section Shape (예-2) 치수 Size T W H 캐링 채널
249 (Carrying Channel) 마이너 채널 (Minor-Channel) CHICAGO-Metal System 일반사항 (1) 다양한 모양, 색상, 규격의 천장틀(Suspension System)이 노출되어 패널과 일체화 되는 구조이다. (2) 천장틀에 패널을 올려놓는(Lay-In)타입으로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며 어느 장소에나 쉽게 천장 내부를 점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서로 다른 규격의 패널과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주요자재 (1) TILE (2) T-BAR (3) HANGER (4) T-BAR CLIP (5) C- CLIP (6) CARRING (7) BOLT, NUT 외부 패널로는 부적당하다 자재의 단면도 자재의 규격 Size(mm) Material Grid Option T AL T Steel
250 T Steel T T AL Steel T T T T T T T AL AL Steel Steel Steel Steel Steel 3.12 바리솔 시스템(Barrisol System) 일반사항 (1) 폴리염화비닐(PVC)를 주재로 반사, 투영되는 표면효과를 지닌다. (2) 다양한 색상으로 설치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3) 방수의 기능과 방염성 소재로 습기가 있는 공간 천장재로 용이하다 자재의 특성 (1) 두께: 0.15~18mm, 0.3~30mm(세무) (2) 무게: 200g/m2 (3) 폭 : 1.6~2.0m (4) 내후성: -40~45 C 에서도 변형이 없음 (5) 내구성: 강도 및 탄력성 우수 (6) 투습저항치: 40mm2 hmm Hg/g 시공 순서 (1) 벽 마감 완료 후 실측한다. (2) 모든 벽면(천장)을 따라 레일을 설치한다. (3) 현장에 따라 천장 또는 벽면을 이용하여 이중레일을 고정한다. (4) 등기구 등 천장 부착물에 대한 보강재 세트를 정확한 장소에 설치한다. (5) 가스히터를 이용하여 천장면의 실온을 45 C 이상 높여 시트를 유연하게 만든다. (6) 모서리 부분부터 대각선으로 바리솔 전용 주걱을 사용하여 당겨서 반대편 모서리에 걸어준다. (7) 각 모서리 부분이 끝나면 그 사이의 중간 부분부터 차례로 당겨 모든면을 팽팽하게 걸어준다.
251 (8)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칼로 깨끗이 도려내고 (타공), 보강링을 부착한다. (9) 정확한 수평 마감을 위해 보강재 세트의 레벨링 작업을 한다. (10) 온도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면 시트가 팽팽해지면서 완성된다 시공법의 종류 (1) Normal Type 벽면을 따라 몰딩이 보이는 바리솔의 기본 시스템으로 주택의 천장에 주로 쓰인다. (2) Star Type 벽면을 따라 5mm 정도의 줄눈(메지)형태로 보여지는 것으로 다양한 천장형태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보강자재 (1) 등기구 보강재 세트 등기구를 부착하기 위하여 등 보강재를 설치하는데, 그 구성은 그림과 같다. (2) 바리솔시트 타공방법 등기구를 부착할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고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강와셔를 보강링에 부착한다. (3) 바리솔시트의 설치
252 SECTION 화장실 칸막이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남 여 화장실 칸막이 공사가 멜라민 수지 패널로 구획, 마감될 경우에 적용한다. 1.2 도서 및 기타 (1) 시공 계획서 세부공정 계획서, 시공상태 검측계획, 품질관리 계획, 시공순서 및 방법, 청소 및 보양, 보관, 관리, 검사 계획 및 품질 보증기간 등을 포함 시킨다. (2) 시공 상세도 설치 및 시공에 필요한 주위 구성 부자재와 마감에 대한 세부 상세도 (3) 제품자료 제조업체 설명서, 카탈로그, 설치 및 유지관리 지침서, 그리고 O&M(operation and maintenance) 매뉴얼 (4) 견본 mm 크기의 견본을 기준으로 하며, 색상은 제품업체의 표준색상을 확인한다. 1.3 운반, 보관 및 취급 자재는 제조업체의 시방서대로 손상입지 않고 잘 포장된 상태로 운반되어야하며, 청결하고 건조한 그리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되어야 한다. 제조업체의 이름, 상품명, 규격, 마감 및 설치위치 표시가 붙어 있어야 한다. 제2절 제품의 구성 2.1 패널 (1) 두께 : 25mm (2) 표면재 : 0.8mm PLASTIC LAMINATE (멜라민 수지 마감) (3) 심재 : 전면 23.4MM PARTICLE BOARD + 0.8MM 양면 H.P.M 마감 측면 18.0MM PARTICLE BOARD + 0.8MM 양면 H.P.M 마감 (4) 힌지 : 스테인리스 제품 2.2 표면재 티타늄을 특수가공 처리한 소재로서 패턴이용한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마감이 되어 있다.
253 제3절 시공 3.1 작업준비 (1) 최종 작업 도면에 표시된 치수와 맞는지 작업현장의 치수를 확인한다. (2) 준비된 자재가 시공부위별로 정확하게 입고 되었는지 확인한다. 3.2 시공순서 (1) 시공부위 청소 시공부위 바닥과 벽에 오물을 제거한다. (2) 시공선 먹줄 띄우기 가. 실측 도면에 의거, 전면 시공 중심선을 먹줄로 표시한다. 나. 칸막이 폭을 실측 도면에 의거,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표시한다. 다. 바닥과 벽체의 시공 중심선이 수직이 되도록 삼각추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먹줄로 표시한다. (3) 받침대 고정부위 표시 바닥 중심선에 받침대 고정부위를 연필 또는 사인펜으로 표시한다. (4) 받침대 시공부위 드릴 작업(Drilling) 가. 표시된 시공부위를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뚫는다. 나. 드릴 작업시 방수층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적정 길이만 뚫는다. (5) Hole 청소 드릴 작업한 Hole속의 이물질을 브러쉬로 청소해낸다. (6) 컬러 코크 주입 후 세트 앵커로 받침대 고정 Hole속에 컬러 코크를 주입하고 받침대의 구멍과 바닥의 구멍을 일치시 킨 후 세트 앵커로 받침대를 고정시킨다. (7) 받침대 수평조정 받침대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물 호스를 이용하여 수평작업을 실시하며 모든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8) 황동봉 보강철물 설치 가. 황동봉 보강철물을 벽체의 시공 중심선의 일정한 높이에 맞춘다.(3개소 설치) 나. 황동봉 보강철물의 구멍이 뚫릴 부위에 연필 또는 사인펜으로 표시한다. 다. 전동 드릴로 구멍을 뚫고 구멍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플라스틱 앵커를 끼우고 앵커볼트로 고정시킨다. 라. 황동봉 보강철물을 고정시키는 것은 치장볼트로 동일하다. (9) 중간패널 설치 가. 황동봉 보강철물이 설치된 부위에 패널을 끼우고, 수직이 되었는지 삼각추를
254 이용하여 확인한 후 패널을 조립한다. 나. 중간패널 조립이 끝난 후 전면패널 조립위치에 황동봉 보강철물을 스인받은 높이에 설치한다. (10) 전면패널 설치 가. 전면패널 설치 예정위치에 수평실을 띄운다. 나. 전면 벽체 패널과 중간패널 조립시에 요구된 문 쪽이 되도록 하고, 패널이 수직이 되었는지 삼각추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황동봉 보강철물을 사용하여 중간패널과 벽체에 패널을 조립한다. (11) 출입문 설치(W:600mm, 조정 가능) 가. 출입구에 제작된 출입문을 끼우고 좌 우로 최소 치수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한다. 나. 문짝 조립시 문짝과 양쪽 패널에 문 힌지 상 하부를 부착할 곳을 표시한 후 전동드릴로 구멍을 뚫고 휘장 볼트로 조립하여 설치한다. 다. 문 힌지의 열림각도는 15도로 하여 설치한다. (12) 부속품 설치 다음의 각 부속품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설치한다. 가. 도어 캐치(Door Catch, Door Stop) 설치 및 옷걸이 부착 나. 잠금쇠 부착 : 잠금쇠 고정 스크류는 고정하며 설계기준에 의한 미관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3.3 청소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잔여 자재를 지정된 장소에 정리정돈하고 필요시 현장 외부로 반출한다.
255 SECTION 목공사 일반사항 제1절 일반사항 목공사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대패질, 칠하기 등의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 목공사와 굽도리, 판벽, 걸레받이, 문틀선, 창호, 바닥 마무리 등 수장 목공사로 대별되며, 특히 실내건축공사에서 목공사가 차지하는 비 중은 매우 크다. 목재는 건축용 재료로서 오랜 세월을 중요한 구조재 및 수장재의 역할을 담당하여 왔지만, 근래에 철근 및 콘크리트 등의 구조재료가 출현함으로 인해 구조재의 역할은 줄어들고 장식재 및 수장재 등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시방서 명시 사항 이외의 기타사항은 건설부 제정 건축 표준시방서에 준한다. 1.1 목재 자재 적용규준 참고규격 : 한국산업규격(KS) KS F 1519 목재의 제재 치수 KS F 2203 목재의 수축률 시험방법 KS F 2205 목재의 흡습성 시험방법 KS F 2219 목재의 가압식 방부 처리방법 KS F 2228 목재의 착염성 시험 KS F 2250 목재의 방부제 성능시험 KS F 3101 보통합판 KS F 3113 구조용 합판 KS F 3118 수장용 집성재 KS F 3124 난연목재 KS F 4514 목구조용 철물 종류 KS M 1701 목재 방부제 1.2 목재 자재 1) 재료의 품질등급과 종류와 치수를 식별하여 규정된 용도에 따라 적용한다. 2) 목재는 증기건조목을 사용하며, 의장재의 시공에 있어서 함수율은 현장에 반입시와 시공시 동일하게 15% 이하의 증기건조목이어야 한다. 3) 합판은 KS F 3101 또는 기준의 규격에 부합하는 것을 쓰고 밀도는 4kg/m3로 적용된 것을 표준으로 한다. 4) 목재는 습기가 없는 장소을 선택하고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며 비틀림을 방지하기
256 위해 겹쳐 쌓고 함수비 증가가 우려될 시에는 덮개를 씌어야 한다. 5) 미장 모르타르 작업이 완료되고, 창과 문 또는 바람막이 설치가 되기 전에는 목재 현장 반입을 고려해야 하며, 추운 계절에는 임시적 난방설비가 준비되어야 한다. 6) 대패질의 정도 치장재의 대패질 마무리 정도는 상 중 하의 3종으로 하며 특기시방에 정한바가 없을 때에는 상급을 표준으로 한다. 1.3 목재의 분류 목재는 성장에 의해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침엽수는 구조용재로, 활엽수는 치장재 및 가구로 많이 사용된다. 침엽수에는 육송, 해송, 삼송나무, 전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리기다소나무, 비자나무, 잣나무 등이 있고, 활엽수에는 밤나무, 느티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너도 밤나무, 박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사시나무, 느릅나무, 자작나무 등이 있다 용도에 의한 분류 목재의 용도는 구조용재와 수장용재로 구분하고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1) 구조용재 건물의 뼈대로 사용되는 부재로 강도 및 내구성이 크고, 건조와 습윤으로 인한 수축팽창이 작으며, 내부식성이 크고 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생산량이 많고 구입이 쉬워야 한다. 2) 수장용재 주로 실내의 치장을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 수장재, 창호재, 가구재를 총칭한 것으로, 무늬 및 결이 아름다우며 뒤틀림이 작고, 함수율이 낮으며 내마모성이 커야한다 목재의 종류, 재질 및 용도 표. 대표적인 국내산 침엽수의 재질 및 용도 수종 산지 재의 색조 심재 변재 재 질 용도 소나무 전국 황갈색 백 색 가공성 및 탄력이 좋음. 뒤틀림이 심함. 구조재 해 송 남한 황갈색 백 색 산출량이 적음. 비중이 크고 단단 함. 충해에 강함. 구조재 리기다 나무결이 곧음. 강도가 약하고 가 수장재 전국 황갈색 황갈색 소나무 벼움. 수축성이 매우 작음. 창호재 잣나무 전 국 ( 전 라 가볍고 연함. 나무결이 곧고 수축 수장재 적 색 백 색 (홍 송) 도 제외) 성이 작음. 강도가 약함. 창호재 전나무 전국 갈백색 황갈색 비중이 작고 강도가 약함. 가구재 변형이 크고 내습성이 작음. 수장재 솔송나무 경북 황갈색 황 백 재질이 치밀하고 윤택이 있음. 구조재
257 울릉도 내수, 내습, 내구력이 큼. 수장재 낙엽송 전국 적갈색 백 색 재질이 곧고 내구성이 큼. 강도가 약함. 탄력성이 큼. 구조재 비자나무 남부 황 색 백 색 재질이 치밀하고 탄성이 있음. 수장재 내수, 내습, 내구성이 큼. 조각재 표. 대표적인 국내산 활엽수의 재질 및 용도 수종 산지 재의 색조 심재 변재 재 질 용도 사시나무 전 라 충 북 결이 약간 거칠고 연함. 가구재 제외,전국 황백색 황백색 가볍고 내구성이 작음. 수장재 박달나무 전 라 황 해 담 황 비중 및 수축성이 큼. 수 장 재 제외,전국 적갈색 갈 색 강도가 매우 크고 비틀림이 적음. 가구재 너도 경북 수장재 담갈색 담갈색 재질이 치밀하고 단단하며 가벼움. 밤나무 울릉도 창호재 밤나무 전국 암갈색 담갈색 가볍고 연함. 강도는 약하나 내구성, 가구재 내수성은 큼. 수장재 비중 및 강도가 큼. 결이 아름답고 느티나무 황해이남 담 황 수장재 적갈색 내구성, 내습성 큼. 수축 및 변형이 전국 백 색 가구재 작음. 오동나무 전국 담황색 담황백 가볍고 연함. 방습, 방충성이 있음. 가구재 변형이 작고 결이 아름다움. 수장재 표. 대표적인 외국산 침엽수의 재질 및 용도 재의 색조 수종 산지 재 질 용도 심재 변재 미 국 북미의 결이 곧고, 재질이 연해 가공성이 우 가구재 적갈색 백 색 삼나무 중북부 수함.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 수장재 미 국 적, 황 결이 곧고 가볍다. 구조재 미 송 담갈색 캐나다 백 색 재질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큼. 수장재 미국 북 미 표면이 조밀하고 결이 곧음. 수장재 황갈색 담갈색 전나무 캐나다 광택이 있고 가벼움. 창호재 표면이 조밀하고 아름답다. 미솔송 알래스카 담 회 수장재 담갈색 내구성을 작으나 재질이 굳다. 나 무 남가주 갈 색 창호재 침목 및 펄프의 원료. 미 노 송 ( 실 담 황 북 미 황 색 삼나무) 백 색 결이 곧고 내구성이 크다. 가구재 수장재 표. 대표적인 외국산 활엽수의 재질 및 용도 재의 색조 수종 산지 재 질 용도 심재 변재 열대 비중이 작고 가공성, 접착성이 우수 가구재 적나왕 황갈색 담홍색 아시아 함. 합판용, 창호재로 사용. 수장재 백나왕 열대 황백색 재질 및 용도는 적나왕과 비슷하나 가구재
258 아시아 장식적 가치가 적음. 수장재 결이 곧으며 수축성 및 흡수율이 작 티 크 태국 수장재 농갈색 백갈색 고 내구성이 큼. 고급 가구용으로 사 미얀마 가구재 용. 마 호 재질이 치밀하고 견경함. 색채, 광택 수장재 중남미 갈 색 홍갈색 가 니 이 미려함. 가구재 수장재 오 크 미 국 담황색 갈 색 비중이 크고 견경함. 가구재 월 넛 미 국 심갈색 담갈색 강인하며 결이 아름답고 광택이 있 수장재 다.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큼. 가구재 흑 단 태국 강도, 내구성 매우 큼. 재질이 미려 가구재 흑 색 담적색 필리핀 함. 조각재, 공예품재. 수장재 자 단 태국 강도, 내구성 매우 큼. 재질이 미려 가구재 주흑색 농자색 미얀마 함. 조각재, 공예품재. 수장재 1.4 목재의 치수 표시 및 규격 치수 표시 목재의 치수 표시법에는 제재치수, 제재정치수, 마무리치수의 3종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재치수 및 제재정치수로 주문하지만, 창호재 또는 가구재와 같이 마무리를 필요로 하는 재는 마무리치수보다 3~5mm 정도 여유있게 주문해야 하며, 통나무는 끝 마구리 지름으로 표시한다. 1) 제재치수 제재소에서 톱으로 제재한 치수를 말하며 구조재, 수장재에 사용된다. 2) 제재정치수 제재목을 지정치수대로 한 것 각재 및 판재의 구분 두께가 6cm 이상이고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을 각재( 角 材 )라 하고, 두께가 6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을 소각재( 小 角 材 : 오림목)라 하며, 두께가 6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판재( 板 材 )라 한다. 판재는 두께와 폭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소 판재: 두께가 3cm 미만이고, 폭이 12cm 미만인 것. 2) 후 판재: 두께가 3cm 이상인 것. 3) 판재: 두께가 3cm 미만이고, 폭이 12cm 이상인 것 목재의 기성재( 旣 成 材 )치수 1) 각재의 단면치수 기본치수 단위 1/2쪽 1/2각 1/3쪽 1/4쪽 1/5쪽 mm
259 (4.0 寸 角 ) ( 寸 ) ( ) ( ) ( ) ( ) ( ) (3.5 寸 角 ) mm ( 寸 ) ( ) ( ) ( ) ( ) ( ) (3.0 寸 角 ) mm ( 寸 ) ( ) ( ) ( ) ( ) ( ) 2) 판재의 두께 치수 두께 6, 9, 12, 15, 18, 21, 24, 30, 36mm 등이 있고, 나비는 보통9cm 이상 10,12,13.5, 15, 18, 21, 24cm 등이 사용된다. 3) 통나무(log) 통나무는 끝 마구리지름 9cm 이상 10, 12, 13.5, 15, 18, 21, 24cm 등이 있고 길이는 각재의 정척길이와 같다 목재의 정척( 定 尺 )길이 정척물( 定 尺 物 )이란 일정한 길이로 된 목재를 말하며 길이 1.8m(6 尺 ),2.7m(9 尺 ), 3.6m(12 尺 )의 3종이 있다. 길이 3.6m(12 尺 ) 이상인 것을 장척물( 長 尺 物 )이라 하며 0.9m씩 길어진 것을 표준으로 한다. 또한 길이 1.8m(6 尺 ) 미만인 것을 단척물( 短 尺 物 ), 정착물 이외의 것을 난척물( 亂 尺 物 )이라 한다 목재의 취급단위 목재는 체적단위로 취급하며, m 3 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 才 ) 단위가 많이 사용되며 기타 목재의 관용단위는 다음과 같다. 1) 1m 3 = 100cm 100cm 100cm = 1,000,000cm 3 *1m 3 = 재( 才 ) 300 才 = B. F(Board Feet) 2) 1 才 = 1 才 1 才 12 尺 *1재( 才 ) = m 3 3) 1 石 = 1 尺 1 尺 10 尺 *1석( 石 ) = 10 才 10 才 10 尺 1 才 1 才 12 尺 = 83.3 才 4) 1B. F = 1inch 1inch 12feet *1B. F = m 3 = 才 1.5 목공사용 철물 1) 못(Nail) : 못의 지름은 널 두께의 1/6이하로 하고 길이는 박아대는 나무두께의 2.5~3.0배로 하되 재의 마구리 부분에 사용하는 못은 3.0~3.5배로 하며 널두께가 10mm 이하인 때에는 4배를 표준으로 한다. 또한 못을 박을 때는 15도 정도 기울게 박는다.
260 그림. 못의 종류 2) 에어 툴 핀(Air tool pin:타카 핀) 못의 대용품으로 사용하는 철물로 근래에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 거의 에어툴 핀을 사용한다. 현장에서는 타카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며 핀의 종류에는 석고보드나 두께가 얇은 함판에 사용하는 ㄷ 자형과 MDF, 걸레받이, 반자돌림대, 몰딩 또는 두께가 두꺼운 건축판에 사용하는 I'자형, 콘크리트나 조적조 벽체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용이 있다. 3) 나사못(Screw) 나사못은 처음부터 틀어박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망치로 때려 박더라도 나사못 길이의 1/3을 틀어박아야 한다. 나사 조이기에 앞서 나사못 길이의 1/2정도의 구멍을 부재에 미리 뚫어 놓는다. 그림. 나사못의 종류 4) 볼트(Bolt) 볼트는 두 부재를 강력하게 당겨 조이는데 사용하며, 보통 6각 볼트 및 너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구조용 볼트는 지름 12mm 이상, 경미한 구조부에서는 지름 9mm의 것을 주로 사용한다.
261 그림. 볼트의 종류 5) 꺽쇠(Clamp) 꺽쇠는 2개의 부재를 잇거나 엇갈리게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철물로 강봉( 鋼 奉 )으로 만든다. 보통꺽쇠, 엇꺽쇠, 주걱꺽쇠 등으로 구분하며 두 재를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곳에 사용한다. 강력하게 당겨 조일 수 없으므로 하중을 많이 받는 곳이다 중요한 부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단면의 모양이 원형인 꺽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꺽쇠치기를 할 때에는 접합하는 두 부재를 밀착시키고 꺽쇠를 두 부재에 같은 길이로 걸친 후 양 어깨부분을 교대로 쳐 박고 필요할 때에는 꺽쇠자리 파기를 한다. 그림. 꺽쇠의 종류 6) 띠쇠(Strap) 띠쇠는 띠형의 평철( 平 鐵 )에 가시 못 또는 볼트구멍을 뚫어 만든 철물로 목재의 이음 및 맞춤부분에 대는 보강철물로 사용한다. 띠쇠는 지름 6mm 이상의 가시 못 또는 볼트를 병용하고 판의 두께는 3~6mm, 나비는 20~60mm 정도로 한다. 녹막이칠을 하여 사용하며, 띠쇠는 형상 및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가. 감잡이쇠: ㄷ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왕대공과 평보, 평보와 ㅅ자보 등의 맞춤부분에 보강철물로 사용한다. 나. ㄱ자쇠(L-strap): ㄱ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모서리 가로재의 연결이나 가로재와 세로재의 긴결에 사용한다. 다. 안장쇠: 안장모양으로 만든 철물로서 큰보에 걸쳐 작은보를 받게 할 때 사용한다.
262 그림. 띠쇠의 종류 7) 듀벨(Dowel) 주로 보의 이음부분에서 보강철물로 사용되는 것으로 두 부재 사이에 끼워져 전단력에 저항하게 하는 일종의 산지로 볼트와 같이 사용한다. 1.6 목공사용 접착제 동물질 접착제 1) 동물질 아교( 動 物 質 阿 膠 ) 동물의 가죽, 근육, 뼈 등에서 추출한 것으로 투명에 가깝고 악취가 없고 탄성이 크며, 가열용해 했을 때 점성이 큰 것이 우수한 제품이다. 비교적 접착력이 크고 취급도 용이하나 내수성이 적은 것이 결점이다. 암모니아, 포르말린 등을 1% 내외로 혼합하면 내수성, 방부성이 증가하고 접착력도 증가한다. 2) 알부민 아교(albumin 阿 膠 ) 동물질 아교에 비해 접착력 및 내수성은 우수하나 접착시 가열 및 가압을 필요로 한다. 가. 혈액 알부민( 血 液 albumin) : 동물의 혈액으로부터 만든 것으로 비교적 빠르게 고착되고 접착력도 양호하다. 알부민을 물에 용해한 후 암모니아수 또는 석회수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한다. 주로 목재의 접착에 사용되었으나 합성수지 접착제가 보편화된 이후에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나. 난백 알부민( 卵 白 albumin) : 난백을 원료로 하여 탄닌산 또는 초산을 가하여 정제한 담황색의 분말로 혈액 알부민과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 3) 카세인(casein) 아교 우유에서 지방질을 제거하고 자연 산화시켜, 젖산 또는 염산 등을 넣어 분리시킨 다음 가열한 후 침전단계를 거쳐 건조시켜 만든 것으로 적당량의 물을 가하면 점성이 있는 풀이된다. 내수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며, 주로 목재의 접착에 사용한다 식물질 접착제 1) 대두 아교( 大 豆 阿 膠 ) 탈지대두( 脫 脂 大 豆 : 콩에서 콩기름을 추출한 후 잔류액을 가열하여 만든 것)를 분말화
263 한 것으로 성질, 배합방법 및 용도가 카세인 아교와 거의 유사하다. 가격이 저렴하고 내수성도 비교적 우수하다. 2) 전분질계( 澱 粉 質 系 ) 접착제 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녹말성분을 원료로 한 것으로 물을 가 한후 가열하여 풀로 만든 것으로 주로 도배용으로 사용한다. 3) 소맥질( 小 麥 質 ) 접착제 소맥(밀)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을 가열하여 만든 것으로 용도는 전분 질계 접착제와 같다 식물질 접착제 1) 비닐수지 접착제(vinyl resin paste) 초산비닐 또는 초산비닐과 염화비닐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로 용제형과 에멀젼형의 2가지로 분류된다. 용제형은 초산비닐을 아세톤이나 메탄올 등에 용해시틴 것으로 용도는 넓으나 0 C 이하 또는 60 C 이상으로 되면 접착강도가 저하된다. 내수성 및 크리프 저항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 에멀젼형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화제나 독성의 위험이 적다. 비닐수지 접착제는 값이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이다. 그러나 내수성이 부족하게 때문에 옥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요소수지 접착제(ureaformaldehyde resin paste) 요소수지와 포르말린의 초기 축합물을 탈수하여 축합한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무색투명하며 내수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다. 내수성은 비닐계 접착제보다는 크고 멜라민수지나 페놀수지 접착제 등에는 미치지 못한다. 주로 목재 및 내수합판의 접착에 사용된다. 3) 멜라민수지 접착제(acrylic resin paste) 요소수지 접착제와 같이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멜라민과 포르말린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내수성 및 내열성 등이 요소수지 접착제보다 우수하나 고가이다. 주로 목재와 내수합판의 접착제로 사용한다. 가열경화성이므로 사용시에는 70 C 이상의 열압처리를 한다. 4) 페놀수지 접착제(phenol resin paste) 페놀수지의 초기축합체에 메탄올 용액 50%를 혼합한 접착제로 접착력, 내수성,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다. 주로 목재나 내수합판의 접착에 사용하며 상온에서 경화하는 것도 있으나 20 C 이하에서는 접착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므로 60~110 C 정도로 열압처리를 한다. 5) 폴리에스테르수지 접착제(polyester resin paste)
26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주원료로 하고 경화제, 촉진제 등을 가하여 만든 것으로 상온에서도 경화가 빠르고 접착력이 크며 경화수축은 작다. 목재, 석재 등의 접착에 사용한다. 제2절 부재의 이음과 맞춤 2.1 일반사항 두 개의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거나 잇는 자리를 이음이라 하고, 두 재를 경사 또는 직각으로 접합하거나 접합한 자리를 맞춤이라고 한다. 이음과 맞춤 부위는 구조상 부재의 약점이 되므로 충분한 보강이 있어야 하며 이음과 맞춤의 가공 및 시공상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부재는 되도록 작게 깎아내어 약해지지 않도록 한다. 2 이음과 맞춤의 위치는 응력이 작은 곳에 두고,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3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큰 응력이 작용하는 곳에는 철물로 보강하며, 모양에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4 이음과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한다. 5 맞춤의 면은 정확하게 가공하여 서로 밀착되고 빈틈이 없도록 한다. 2.2 이음(Joint) 이음은 맞댄이음, 겹친이음, 따내기 이음, 중복이음으로 구분하고 이음 위치에 따라 심이음, 낸이음, 보아지 이음, 벼개이음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1) 맞댄 이음(Butt joint) 두 부재를 서로 맞대고 철판 또는 나무를 덧판으로 댄 후 큰 못을 박거나 볼트를 사용하여 조임 한 이음으로 큰 압력이나 인장력을 받는 부재에 사용한다. 덧판과 부재 사이에 산지나 듀벨을 사용하면 더 큰 응력에 저항할 수 있다. (그림) 맞댄이음 2) 겹친 이음(Lap joint) 2개의 부재를 단순히 겹쳐대고 산지, 볼트, 듀벨 등으로 보강하여 잇는 방법으로 볼트와 듀벨을 사용하면 큰 간 사이의 Truss에도 사용 가능하다.
265 (그림) 겹침이음 및 반턱이음 3) 반턱 이음(Half lap joint) 2개의 부재를 반턱모양으로 따내고 큰못이나 볼트 또는 나사로 보강하는 이음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나 큰 응력이 작용하는 곳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따내기 이음 두 부재가 서로 물려지도록 부재를 가공하여 맞추는 이음으로 큰 못, 산지볼트 등으로 보강하여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가) 주먹장 이음(Dovetail joint) : 한 부재의 끝을 주먹모양으로 만들어 다른 부재에 내리물려 빠지지 않게 한 이음으로 가장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휨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토대, 멍에, 중도리 등의 이음에 사용한다. 나) 메뚜기장 이음(Cutter tail joint) : 주먹장 이음에 비해 약간 튼튼한 이음으로 인장력을 받는 곳에 사용할 수는 있으나 효과는 크지 않다. (그림) 따내기 이음 다) 엇걸이 이음(Oblique scarf joint): 휨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이음으로 요한 부재의 이음은 모두 엇걸이 이음으로 한다. 이음의 길이는 부재 춤(Depth)의
266 3.0~3.5배로 하며 엇걸이 이음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것들이 있다. ᄀ 엇걸이 산지이음 : 엇걸이 이음에 산지를 사용한 것으로 이음길이는 재춤의 2.5배 이상, 중간 경사는 춤의 1/10, 산지의 크기는 15~18mm 각으로 한다. 도리나 중도리 등의 휨응력을 받는 곳에 적당한 이음이 다. ᄂ 엇걸이 촉이음 : 재의 끝에 촉이 있고 중간턱을 수직으로 하여 맞대어 맞추고 윗면에서 산지를 박은 이음이며, 엇걸이 산지이음보다 강력한 이음이다. 이음의 길이는 부재 춤(Depth)의 3.0~3.5배로 하며 기둥, 도리 등에 사용한다. (그림) 엇걸이 이음 라) 빗 이음(Splayed joint) : 두 재를 서로 경사지게 잘라 잇는 이음으로 이음길이는 부재 춤의 1.5~2.0배 정도로 한다. 서까래, 지붕널, 마루널, 장선 등에 쓰인다. (그림) 기타 이음 마) 엇빗 이음(Herring bone joint): 두 부재를 가위모양으로 엇갈리게 잘라 잇는
267 이음으로 반자틀, 반자살대 등에 사용한다. 바) 이음의 위치 ᄀ 심 이음: 지지재( 支 持 材 )의 중심부에서 잇는 이음 ᄂ 낸 이음: 이음자리에 직교하는 부재의 맞춤자리를 피해서 있는 이음 이다. ᄃ 보아지 이음: 수직재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로 구성한 이음이다. ᄅ 벼개 이음: 수직재 위에 간막이 도리 또는 보를 걸고 그 위에서 잇는 이음이다. (그림) 이음 위치 2.3 맞춤(Connection joint) 두 부재를 장부와 장부구멍으로 만들어 맞춰지게 한 것이 일반적이며 맞춤의 종류는 다름과 같은 것이 있다. 1) 일반적인 맞춤 ᄀ 턱 맞춤(Shoulder joint): 기둥에 부재의 크기가 작은 가로재를 맞출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두 재에 턱을 만들어 서로 물리게 하는 간단한 맞 춤방법이다. ᄂ 숭어턱 맞춤 : 한식 목구조에서 기둥사이의 보에 턱을 만들어 끼워 넣는 맞춤으로 기둥과 도리의 맞춤에 쓰인다. ᄃ 장부밋턱 맞춤(Oblique butt joint): 기둥에 층도리와 같은 가로재를 접합시킬 때 사용하는 맞춤으로 기둥과 보, 기둥과 도리 기둥과 하인방의 맞춤에 줄 사용된다. 접합부를 보강하기 위해 산지를 박거나 꺽쇠치기 또는 감잡이쇠를 대기도 한다. (그림) 각종 맞춤
268 2) 주먹장 맞춤 ᄀ 주먹장부 맞춤(Dovetail joint): 장부가 주먹모양으로 된 것으로 토대와 멍에의 맞춤, 또는 반자틀의 달대에 쓰인다. ᄂ 두겁주먹장 맞춤(Capping dovetail joint): 주먹장 위에 턱을 낸 두겁모양으로 씌우고 밑은 주먹장으로 물리게 된 맞춤이며 계단난간이나 지붕보의 맞춤에 사용된다. ᄃ 턱걸이주먹장 맞춤: 주먹장에 턱걸이 및 턱솔을 만든 것으로 간단하고 튼튼하여 철물로 보강하지 않아도 된다. (그림) 주먹장 맞춤 3) 연귀 맞춤(Mitre joint): 마구리가 보이지 않도록 귀를 45 로 접어서 맞추는 것으로 문선, 판벽의 두겁대, 걸레받이 등에 사용한다. ᄀ 반연귀 맞춤(Mitre and rebated joint): 연귀를 반만 내고 안쪽 또는 바깥쪽은 직각으로 잘라내어 맞추는 것으로 토대의 모서리에 쓰인다. ᄂ 안촉연귀 맞춤(Tongue and groove mitre joint): 연귀의 안쪽에 촉을 내고 다른 재는 구멍을 뚫어 꿰뚫어 넣은 후 바깥쪽은 연귀로 한 맞춤이다. ᄃ 밖촉연귀 맞춤(Tongue and groove mitre joint): 바깥쪽은 연귀로 하고 안쪽에 촉을 내어 물리게 한 맞춤이다. ᄅ 안팎촉연귀 맞춤: 연귀의 안팎에 촉과 홈을 파서 물리게 하는 방법이다. ᄆ 사개연귀 맞춤: 귀를 45 로 접고 안쪽에 여러개의 촉과 홈을 내어 물리게 한 것으로 치장을 요하는 곳이나 직각 모서리에 쓰인다. (그림) 연귀 맞춤의 종류
269 4) 장부 맞춤(Mortise and tenon joint) 한 부재에는 장부를 내고 다른 부재에는 장부구멍을 파서 끼우는 맞춤으로 턱솔장부 맞춤, 턱장부맞춤, 쌍턱장부 맞춤, 빗장부 맞춤, 쌍장부 맞춤, 부채장부 맞춤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부맞춤은 다음과 같다. ᄀ 내다지장부 맞춤(Through mortise and tenon joint): 장부를 길게 하여 맞춰지는 재를 꿰뚫어 넣게 한 맞춤으로 본기둥 또는 주요 구조재의 위치고정에 쓰이며, 재의 바깥으로 꿰뚫어 나온 장부에 산지나 벌림쐐기 등을 박아 빠짐을 방지한다. ᄂ 긴장부 맞춤(Full mortise and tenon joint): 장부의 길이가 맞춰지는 재 춤의 1/2 이상인 것으로 기둥의 상하 맞춤에 사용하며 가로산지를 박아 보강한다. ᄃ 반다지(짧은 장부) 맞춤(Stub mortise and tenon joint): 맞춰지는 재춤의 1/2 ~ 1/3 정도의 깊이로 뚫어 넣는 짧은 장부로 샛기둥, 동바리 등의 맞춤에 쓰인다. (그림) 각종 장부 5) 쪽매(Joint) 폭이 좁은 널을 옆 대어 붙여 그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마루널이나 양판문의 양판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ᄀ 맞댄 쪽매(Plain butt joint): 널 옆을 대패질 마무리하여 서로 맞댄 후널 위에서 못질하는 것으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실용적인 툇마루에 쓰인다. ᄂ 반턱 쪽매(Slip lap joint): 널의 옆을 널 두께의 반만큼 깎아서 맞댄면의 틈을 감추게 하는 것으로 두께 15mm 미만의 널깔기에 사용된다. ᄃ 틈막이 쪽매(Panel strip joint): 징두리 판벽에 주로 사용하며 쪽매하여 댄 널의 틈을 가리기 위하여 좁은 널을 덧댄 것이다. ᄅ 오니 쪽매(Herring bone joint): 널의 옆에 살촉모양으로 솔기를 낸 것으로 흙막이 널에 쓰인다. ᄆ 양끝못 맞댄 쪽매(Doube point nail plain joint): 맞댄 쪽매에 양끝못을 사용한 것으로 용도는 맞댄 쪽매와 같다. ᄇ 빗 쪽매(Splayed joint): 널의 옆을 경사면으로 대패질 한 것으로 반자널 쪽매 등에
270 사용한다. ᄉ 제혀 쪽매(Tongued and groove joint): 널의 한 옆을 제물로 혀를 내고 다른 재의 옆면은 혀가 물리도록 홈을 판 것으로 혀의 위에서 빗못질 하므로 못머리가 감추어진다. 보행진동이 있는 마루널 깔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며, 양판문의 양판 또는 징두리 양판문의 징두리판에도 사용한다. ᄋ 딴혀 쪽매(Spline joint): 널의 양옆에 홈을 파고 혀를 따로 끼워 댈 수 있게 만든 것으로 마루널 깔기에 쓰인다. (그림) 쪽매의 종류 2.4 세우기 가공이 완료된 목재는 도면과 대조하면서 바심질의 착오 또는 가공이 안된재료가 있는 가를 확인해야 하며, 세우기 순서대로 운반하여 정리하고, 양식 지붕틀 등은 지상에서 완전히 조립하여 세우기를 빨리 할 수 있게 한다. 가공된 목재를 운반할 때는 장부 및 맞춤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받침대나 지주를 임시로 세울 때는 이를 튼튼하게 고정하고 악천후가 예고되면 가새나 버팀대 등으로 설치된 구조물을 보강해야 한다. 목조건물의 뼈대 세우기는 토대, 1층 벽체 뼈대(기둥, 샛기둥, 인방, 층도리, 큰보), 2층 마루틀, 2층 벽체뼈대, 지붕틀의 순서로 한다. (1) 토대( 土 臺 : Ground sill) 완성된 기초 콘크리트에 매입된 앵커 볼트의 위치를 확인한 후 토대를 번호순으로 기초 위에 놓은 다음 가설치된 앵커볼트의 위치에 맞게 볼트 구멍을 뚫고 토대와 기초를 연결 시킨다. 이 때 토대의 심먹은 기초의 심먹과 일치하여야 하며 기초와 접하는 토대의 밑 부분에는 방부제를 반드시 칠해야 한다. (2) 기둥(Column) 건물의 모서리나 간막이벽과의 교차부 또는 집중하중이 오는 곳에 통재기둥을 수직으로 세워 이동이 되지 않도록 가새 또는 버팀대로 고정하고 이를 기중으로 하여 평기둥 및 샛기둥을 공정순서대로 세워 나간다. (3) 가새, 버팀대, 귀잡이 ᄀ 가새(Brace) 목조벽체를 횡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하기 위하여 벽면에 45 로 빗대어 X
271 자형, V자형으로 배치하는 부재로 인장력을 부담하는 가세는 기둥 단면적의 1/5 이상으로 하고, 압축력을 받는 가새는 기둥 단면적의 1/3이상으로 한다. ᄂ 버팀대(Knee brace) 가새를 댈 수 없거나 실내 사용에 지장이 없는 곳에 수직으로 빗대는 부재로 그 경사는 45 로 한다. 벽체의 버팀대는 기둥과 같은 크기를 사용하고 기둥과 보, 기둥과 지붕틀의 버팀대는 기둥의 1/2 또는 1/3쪽을 기둥의 양옆에 대고 볼트로 조임 한다. ᄃ 귀잡이(Horizontal bracing) 토대, 보, 도리 등의 가로재가 수평으로 맞추어 지는 귀를 3각형 구조로하기 위하여 빗방향 수평으로 대는 부재로 가로재와 같거나 1.2정도의 크기를 사용한다. (4) 층도리, 깔도리, 처마도리 ᄀ 층도리(Girder) 층도리는 2층 마루바닥이 있는 부분에 수평으로 대는 가로재로 기둥을 연결하고 보를 받으며 웃기둥의 토대가 된다. 부재의 크기는 구조계산을 하여 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반적으로 나비는 기둥과 같은 크기로 하고, 춤은 나비의 1~2배 정도로 한다. ᄂ 깔도리(Wall plate) 기둥머리를 고정하고 지붕틀의 하중을 받아 기둥으로 전달하는 가로재이다. 부재의 크기는 구조계산을 하여 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반적으로 층도리와 같은 크기로 한다. ᄃ 처마도리(Pole plate) 양식구조에 사용하며, 깔도리 위에 지붕틀을 걸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R 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걸쳐 대는 부재로, 그 크기는 층도리 또는 처마도리와 같거나 다소 작게 한다. (5) 지붕틀(Roof truss) ᄀ 한식 및 절충식 지붕틀 지붕보와 처마도리를 걸고 그 위에 대공, 동자기둥을 세운 후 중도리 및 용마루대를 걸어 고정하고 서까래를 중도리 위에 건다. ᄂ 양식 지붕틀 가급적이면 지상에서 완전히 조립한 후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달아 올려 깔도리 위에 걸고 처마도리, 중도리, 용마루대, 가새, 대공 밑잡이 등으로 연결 고정한다.
272 제3절 재료 3.1 재종 및 재질 구분 치 장 재 구 조 재 비 고 재질 내장공사 설계도면에 명기된 기준에 따라 치장재에 준함 라왕, 미송 함수율 12% 이하 24% 이하 함수율은 단면에 대한 (증기 건조목) (증기 건조목) 평균치임 품 등 1등 무절 1등 소절 단면 치수 마무리 치수 제재 치수 목재의 치장면은 모두 * 경사진 광선을 비추어 거스러미 및 마무리 대패질하고 마무 대패질 외부에 노출되 대패자국이 전혀 없는 것 리 정도는 상종으로 한 마무리 는 부분만 대패 * 뒤틀림, 휨 등이 미소하여 기준 다. 정도 질 함 대를 맞대어 보아 틈이 보이지 않는 것 수급자는 증기 건조목을 사용하여야 하며 전물량에 대해 증기 건조목 여부를 확인할 수 있 는 증명을 담당원에게 제시한다. 3.2 목재 (1) 규정된 용도에 따라 종류와 등급을 검사한다. (2) 등급기준에 따라 결함사항을 검사한다. (3) 시방서에 따라 목재의 허용 함수비를 점검한다. (4) 공기중의 오염 또는 손상의 우려가 있는 원목재료일 경우 토분 먹임 종이붙임, 널대기,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보양한다. 가공재는 습기, 직사일광을 받지 않도록 하고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5) 목재는 가공 또는 설치 후 비에 맞지 않게 하고 필요시 직사광선을 받지 않게 한다. (6) 대패질의 정도 1 치장면은 특기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는 모두 대패질로 마무리 한다. 2 대패질의 마무리 정도는 상 중 하의 3종으로 하며 특기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중을 표준으로 한다. 3 대패질의 마무리 정도는 다음 (표)를 참고로 한다. 대패질 종별 상 중 하 평 활 도 광선을 경사지게 비추어서 거스러미 및 대패자국이 없는 것 거스러미 및 대패자국이 거의 없는 것 다소의 거스러미 및 대패자국은 허용하지만 톱자국이 없는 것 뒤 틀 림 뒤틀림 휨, 및 흠집이 극히 미소하여 기준대를 대어 보아 틈이 보이지 않는 것. 뒤틀림, 휨 및 흠집이 적고 기준대를 대어 근소하게 나는 것 대단한 뒤틀림, 휨 및 흠집이 없고 도장 및 기타 마무리에 지장이 없는 것
273 3.3 합판 합판은 라왕 합판으로 KSF 3101규정에 합격한 것으로 다음 기준에 의한다. (1) 습기에 노출되는 합판은 2종 합판(내수합판) 1급으로 한다. (2) 기타 실내에 사용하는 합판은 3종 합판(비내수합판) 1급으로 한다. (3) 형상 및 치수는 도면에 의한다 합판붙임 (1) 붙임 처리는 목재 바탕면에 접착제를 사용하며 타카핀으로 부착한다. (2) 합판의 못 박기 경우에는 녹막이 처리한 못을 사용한다. (3) 판 나누기는 도면에 의거, 나누기를 하여 나간다. (4) 합판 재료 기준표 두께 단판 겹수 나비 길이 허용치 두께 나비 길이 대각선 길이차 : : *5.0미만 ± 0.5mm *5.0이상 10.0미만 *10.0 이상 ± 0.5mm ± 1 ± 10-0 ± 1.5 ± 합판 사용 불가품 (1) 외부 충격에 의해 상처 입은 것 (2) 일부라도 부식 또는 오염된 합판 (3) 좀 먹었거나 옹이 박힌 합판 (4) 찢어지거나 파손된 합판 (5) 중간 부분을 이은 합판 (6) KS 규격품이 아닌 합판 * T=11.5mm 방수합판일 경우는 7겹으로 적용함 5,7,9
274 3.4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목재 조각을 고온, 고압하에 섬세하게 특수 접착제와 함께 열압 성형한 섬유판(FIBER BOARD)로서, 그 비중이 0.4~0.8의 것을 말한다 재료의 물성 물 성 M. D. F 밀도 비중 0.63 곡강도 350kg/cm 저밀도 : 300~500kg/m 고양계수 30t/cm 중밀도 : 500~700kg/m 벽리강도 9.0kg/cm :900~1200kg/m 고밀도(M.D.F) 흡수율 35% 흡수 두께 팽창율 7% 나무나사 지지력 표면 55% 목구 40% 크기 4' 8'( ) 두께 (mm) 3,4,9,12,15,18,20,22,25, 집성목재(Glue-laminated timber) 두께 1.5~3cm의 판재를 접착제로 섬유평행방향으로 겹쳐 붙여만든 제품으로 목재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자유로이 만들 수 있고, 표면마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자유로이 만들 수 있고, 표면 마감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어 목구조의 보, 기둥, 아치, 트러스 등의 구조재료로는 물론 계단의 디딤판, 노출된 서까래, 가구용 등의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집성목재가 합판과 다른 점은 판재를 섬유방향으로 평행하게 붙인다는 점과 붙이는 매 수가 홀수가 아니어도 된다는 점, 큰 단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집성목재의 규격은 KS F 3118에 규정되어 있다. 3.6 마루판(Flooring) 무늬가 아름다운 참나무, 단풍나무 등을 이용, 인공 건조한 판재로 만든 제품으로 규격 및 가곡방법에 따라 플로링 보드(flooring board), 플로링블록(flooring block), 쪽매널(wood
275 mosaic), 파키트리 보드(parquetry board), 파키트리 블록(parquetry block)으로 구분한다. 3.7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목재 또는 식물질을 절삭 또는 파쇄하여 소편(particle)으로 만들어 충분히 건조시킨 후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 제판한 보드로 칩보드(chip board)라고도 한다. 변형이 적고 음 및 열의 차단성이 우수하여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이용된다. 표면 처리에 따라 바탕 파티클 보드(표면, 뒷면이 바탕 그대로인 것), 홑겹 붙임 파티클 보드(표면, 뒷면에 홑겹으로 붙인 것), 합침지 붙임 파티클 보드(표면, 뒷면에 합성수지 함침지를 붙인 것)로 구분한다. 표-4 파티클 보드의 규격(시중제품) 품 명 규격(두께 폭 길이) 비 고 품 명 규격(두께 폭 길이) 비 고 파티클 9, 파티클 尺 6 尺 尺 8 尺 보 드 보 드 파티클 보드 치장판(dressed particle board) 보드의 표면을 아름답게 치장한 것으로 표면의 치장 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단판처리 파티클 보드 치장판: 표면에 치장단판을 접착하여 만든 것. 2 플라스틱 처리 파티클 보드 치장판: 보드의 표면에 합성수지계 시트 또는 필름을 접착하여 만든 것. 3 도장 파티클 보드 치장판: 표면에 합성수지 도료를 사용하여 소부도장 처리한 것. 3.9 코펜하겐 리브(copenhagen rib) 코펜하겐 방송국의 벽에 음향효과를 내기 위해 최초로 사용한 것으로 두께 50mm, 나비100mm정도의 긴 판재의 표면을 리브로 가공하여 집회장, 강당, 영화관, 극장 등의 천장 또는 내벽에 붙여 음향조절의 효과 및 장식의 효과를 주는데 주로 사용한다 코르크 보드(cork board) 코르크나무 표피를 원료로 분말을 만들고 톱밥, 삼, 접착제 등을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제품으로 비중이 작고 탄성, 단열성, 흡음성 등이 우수하여 보온재 및 흡음재로 많이 사용된다. 표-4 코르크 보드의 규격(시중제품) 품 명 규 격(폭 길이) 두께(mm) 탄화 코르크판 mm 25, 50, 75, 100 일반 코르크판 mm 1, 2, 3, 4, 5, 10, 15, 무늬목(wood grain) 색상 및 결이 아름다운 목재를 얇게 켠 것으로 석고보드나 합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276 사용, 가열가압 부착시켜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할 때 사용한다. 홍송(himekomatu), 버드나무(yanagi), 미송, 티크(teak), 마호가니(mahogany), 오크(oak), 월넛(walnut) 등이 주로 사용된다 쇠사리(moulding) 및 걸레받이 원목이나, M.D.F 등을 사용하여 만든 제품으로 천장과 벽, 벽과 바닥 모서리 부위의 마감에 사용한다 판재코아합판(Lumber Core Plywood) 목재의 단판 사이에 각재를 심재로 사용한 보드로서 강도는 크나 중량이 많이 나간다. 내장용재나, 가구재로 사용한다. 인도네시아, 중국산이 많이 수입되고 있다. 표-5 각 종 수장재의 종류 및 규격 품 명 규격(두께 폭 길이) 비 고 품 명 규격(두께 폭 길이) 비 고 코어합판 O.S.B 尺 8 尺 보 드 尺 8 尺 O.S.B(Oriented Strand Board) 길고 얇은 나무 조각들(aspen)을, 표면 층은 보드방향으로 심층은 보드의 횡 방향으로 배열시키고, 내수수지로 압착가공한 보드이다. 밀도와 강도가 높다. 내장용, 외장용으로 사용한다 견본품 목재 및 마감재는 담당원에게 견본품을 제출하여 재질 및 형상, 색상, 무늬 등에 관하여 승인을 득한다 마감 치수 치장재의 목재 단면 표시치수를 마감치수로 하며 구조재는 다듬어 놓은 치수로 한다 보관 및 보양 보관 (1) 구조재 및 수장재는 완전 건조재이므로 비로 손상되지 않게 직접 지면 또는 습기 찬 물체에 접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2) 목재의 저장은 오염, 손상, 변색, 썩음, 습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재해야 하며 건조가 잘 되게 보관한다. (3) 목재는 지면에서 20cm 이상 띄워서 보관하고 목재와 목재사이를 간격재를 끼워서 통풍이 잘 되게 하여야 한다 보양
277 (1) 가공재는 습기, 일광을 받지 않도록 항시 건조 상태를 유지한다. (2) 공사도중 오염, 손상의 우려가 있는 재료 및 시공부분은 종이붙임, 널대기 등의 방법으로 보양한다 작업 조건 (1) 공사용 장비 및 공구, 도구의 안전장치는 안전관리에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항상 화재 방지에 대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위험한 작업이 많으므로 충분한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모든 작업자들은 안전 도구를 필히 사용하도록 한다. 제4절 시공 일반 4.1 시공 일반 공사를 시공함에 있어 도면에 의거, 정확히 시공되어져야 하며 설계자의 의도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허용 오차 1 부재 길이 : ± 1.5mm 2 부재 맞춤(수직, 수평) : ± 0.01mm 3 부재 각도(36, 40) : ± 0.04mm 4 면적 1m2 : ± 2mm 사전에 공작도를 충분히 검토한 후 제출하고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모든 기준 및 수평에 맞게 시공하여야 한다 이음 맞춤의 가공 마무리 (1) 이음 맞춤 각부의 크기 비례 및 그 마무리에 대하여서는 담당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2) 목재는 시공 후 뒤틀림이나 갈라짐이 없도록 구조재와 완전 고정하여야 한다. (3) 합목을 할 경우는 맞춤 방법으로 하며, 추후 뒤틀림, 갈라짐, 휨 등의 변형이 없어야 한다. (4) 합판 또는 치장재가 손상이 가지 않도록 완전 접착시켜 가공 제작하여야 한다 표면 처리 마감면의 모든 구멍과 균열은 원목 조각으로 채워서 결 방향으로 가볍게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목공사 시 유의사항 (1) 목공사는 잘 짜여져 기준선과 수평에 정확히 맞게 되어야 하고 안전한 구조가 되어야 한다.
278 (2) 고정용 타카핀 및 고정용 못은 마감 표면에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4.2 방부 처리 적용범위 특기가 없는 한 다음에 대하여 방부처리를 하여야 한다. (1) 구조내력상 주요부분에 사용되는 목재로서 콘크리트, 벽돌, 돌 등 기타 이와 비슷한 수성 재질에 접하는 부분 (2) 목조의 받침기둥을 구성하는 부재의 모든 면 (3) 급배수 시설에 근접한 목부 부분 (4) 습기가 차기 쉬운 모르타르 바름 부분 방부재의 재질 (1) 방부 처리한 목재는 인체에 해롭지 않고 금속재를 녹슬지 않게 하는 것으로 한다. (2) 직접 우수에 젖는 곳에 쓰는 방부 처리된 목재는 방수성이 있는 것으로 한다 방부재의 종류 종류 1호 2호 품명 KSM 1670(크레오소트유) KSM 1701(페놀류, 무기 플루오르 화합물계, 목재 방부제) 3호 방부제의 성능시험 방법 KSM1671(펜타크로페롤, P.C.P) 시 험 방 법 KSF 2252 (목재 방부제의 방부효력 시험방법) KSF 2253 (목재 방부제의 착화정 및 착염성 시험방법) KSF 2254 (목재 방부제의 칠 부식성 시험방법) KSF 2255 (목재 방부제의 흡습성 시험방법) 공법 (1) 도포는 솔 또는 헝겊으로 하고 뿜칠은 뿜칠기로서 1회 처리한 후,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다음 회의 처리를 한다. (2) 2종 및 3종의 방부처리는 목재 가공 후에 한다. (3) 방부처리를 한 목재를 가공하였을 때는 3종의 처리를 한다. 4.3 방연처리 일반사항 (1) 내장공사에 사용되는 목재의 방연처리 또는 방연 목재에 적용한다. (2) 방연처리는 목재 방연제에 의한 개설법 침지법 도포법 또는 뿜칠법으로 한다.
279 (3) 방연 처리한 목재는 사람과 가축에 해롭지 않고 또한 철재를 녹슬지 않게 하는 것으로 한다. (4) 목재는 방연처리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건조되어야 하며, 방연처리된 목재는 충분히 건조된 후에 사용한다. (5) 페인트칠 바니쉬칠 등으로 마무리하는 목재의 방연재는 담당원과 협의 후 시행한다 목재 방연제 목재 방연제의 품질 종별 용제 및 용도는 특기 시방에 따른다. 표. 목재 방연처리의 종별 종별 1종 2종 3 종 공법 개설법 또는 이에 준하는 가압법 2시간 침지 2회 도포 또는 2회 뿜칠 공법 (1) 목재 방연처리의 종별은 (표)에 따른다. 특기 지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3종으로 한다 (2) 도포는 솔 또는 헝겊으로 하고, 뿜칠은 뿜칠기로서 1회 처리한 후,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후 다음 회의 처리를 한다. (3) 목재 방연처리의 종별 중 2종, 3종의 방연처리는 목재 가공 후에 한다. (4) 방연처리를 한 목재를 가공하였을 때에는 그 가공부분에 대하여 3종의 처리를 한다. (5) 도포 또는 뿜칠일 때에 갈라진 곳, 흠집 등에 대하여서는 특히 면밀히 재처리를 한다. (6) 방연처리를 한 목재의 갈라진 곳에 대해서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3종의 처리를 한다. (7) 도포나 뿜칠시의 기온은 7 이상이어야 하며 비가 올 때에는 도포작업을 중지한다. (8) 도포나 뿜칠의 횟수는 3회로 한다. 다만, 매 회마다 도포나 뿜칠이 충분히 건조된 후에 다음 회의 도포나 뿜칠을 한다 주의 사항 방연페인트는 방연페인트를 칠한 후 래커 도장을 해도 이상이 없는 재료라야 한다.
280 SECTION 목공사 Ⅰ 목재문 및 문틀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절은 목재문 및 문틀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2) 목재창호의 형상, 규격 및 치수는 설계도면에 따르며 모든 치수의 기준은 마무리 치수 를 기준한다. (3) 적용범위 : 플러쉬 도어 (Flush Door) 1.2 적용규준(한국산업규격 기준) KS F 1502 창호 기호 KS F 3101 보통합판 KS F 3106 특수가공 치장합판 KS F 3107 천연무늬 치장합판 KS F 3108 창호의 목제 틀재 KS F 3109 문 세트 KS M 3700 초산비닐수지 에멀션 목재 접착제 1.3 도서 및 기타 시공 상세도면 시공 상세도면은 KS F 1502에 기준 한다. (1) 문의 배치도 : 설치 위치, 부호, 개폐방법 (2) 문 일람표 : 부호, 형상, 치수, 수량, 부재, 부품의 재료, 성능, 표면마감, 창 호철물 (3) 문 및 문틀 상세도 : 재질, 형상, 치수, 표면마감, 부속철물, 부착철물의 위 치, 방수처리, 방식처리, 주위의 마감재나 설비기기와의 관계, 여닫음 제품 자료 문 및 문틀의 부자재에 대하여 아래 자료를 참조하여 기준한다. (1) 문, 문틀 및 부자재 특성, 물성 (2) 제조업체사 시방서 (보양방법, 제작 및 설치 특기사항) (3) 유지관리 자료 (취급설명서, 열쇠리스트, 유지관리방법) 시공계획서
281 1.3.4 견본 (1) 문의 제작 및 설치 세부공정 계획서 (2) 시공상태 검측계획서 (3) 품질관리계획서 (1) 투명 마감문 색상과 목재섬유 방향을 보여주는 문 표면재의 견본을 참조하고 목재 규격은 8cm 30cm 의 크기로 기준한다. (2) 공장 마감문 : 공장마감으로 하는 300mm 300mm의 견본을 참조한다. (3) 목재창호 부자재 1.4 운반, 보관 및 취급 (1) 창호부재는 현장내에서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상 적절한 시점에 규격 및 사용부위별로 식별이 용이하게 하여 반입한다. (2) 반입에 앞서 창호부재가 오염, 훼손되지 않도록 보양해야 하며, 공장마감된 문짝은 골판지, 발포 폴리스티렌판 등으로 전면 포장하여 반입하고, 포장 상태가 설치시까지 유지되도록 한다. 밑틀이 없는 문틀은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단부에 버팀재로 보강하여 반입한다. (3) 창호자재는 외부의 충격과 외기로부터 손상을 입지 않는 장소에 뒤틀림, 휨이 생기지 제2절 재료 않도록 저장한다. 플러쉬문을 보관할 때는 높이 1.5m 이상 쌓지 않아야 한다. 2.1 목제 플러쉬문(Flush door) 및 문틀 재료는 아래의 규정된 항목에 합격한 것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로 한다. 부자재는 견본품 및 제품자료에 따른다 재료 및 품질 (1) 내부 보강재는 으로 한다. (2) 한 판 두께 5mm 합판을 양쪽 측면에 본드와 타카 못으로 고정한다. (3) 테 둘림은 10mm 원목으로 돌린다. (4) 규격 : 도면표기에 의한다. (5) 치수의 오차 : 시방에 따른다. 높이, 너비(mm) 양변의 안목치수(mm) 두께(mm) ± 2 2 이하 ± 1 (6) 목재의 품질은 KS F 3109 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서 함수율 15% 이하인 것으로 한다. 단, 플러시문의 내부 틀재는 동등 이상 품질의 집성 목재로 할 수 있다. (7) 목재: KS F 3109 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서 함수율 15% 이하인 것이라야 한다. (8) 합판 : KS F 3101 에 적합한 것으로서 5.6mm 1급으로 한다.
282 A종 B종 C종 수종 침엽수 홍송, 회나무 삼송, 산나무, 미송 미송, 적송 활엽수 특기시방에 따른다. 참나무, 추목, 라왕 라왕 품질 등급 1등 2등 3등 울거미재 4방 또는 3방 곧은 변재가 있는 2방 곧 2방 곧은결 마름질 띠장재 결 은결 방법 변재가 있는 곧은결 판재 곧은 결재 널 결재 또는 널결재 (9) 심재 : Solid - 증기건조 집성목 제작 (1) 제작도면 및 견본을 제작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제작하여야 한다. (2) 미관과 강성을 고려하여 재료의 결정 및 조직의 방향성 등을 고려하여 조합, 제작하여야 한다. (3) 문틀 문짝 마감시 무늬목을 붙일 경우 무늬목 위 투명 우레탄 도장으로 마감한다. (4) 창호부재는 표면처리가 도장인 경우에는 장부 또는 꽂임촉 접합으로 하 고 비닐랩핑 제품인 경우에는 턱맞춤으로 제작하되 현 척도를 작성하여 마무리 상태를 정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5) 플러쉬 문짝의 합판 표면이 도장 마감일 경우 (견마지(#220 이상)를 사용하여 평활하게 연마한 후 도장작업을 한다. (6) 일반합판 및 몰딩의 부착은 KS M 3700의 1종 1호에 접합한 초산비닐수지 에멀션 목재접착제를 사용하며, 충분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될 때까지 압축처리 하여야 한다. (7) 합판은 접착제를 써서 뼈대에 압착한다. 창호의 옆 두께면에는 10mm 테두리 선을 압착하여 합판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치장선에 붙여 댄다. (8) 몰딩에는 타카핀(MP6-15)을 사용하여야 하고, 간격은 120mm 정도로서 표면에는 2mm 정도 들어가게 박아야 하며, 표면에는 박은 자국이 생기지않도록 해야 한다. (9) 도어 로크가 설치되는 부위는 보강목을 설치하여야 한다. (10) 옹벽에 면하는 문틀로서 선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되고 표면처리를 도장으로 하는 경우 매립앵커용 볼트구멍을 내고 구멍마개용 목심 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2.2 부속자재 창호 고정용 철물 (1)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이거나 녹 방지처리가 된 제품을 사용한다. (2) 조적부위용 고정철물 두께 1.6 mm, 길이 150 mm 폭 40 mm 이상의 아연도금된 것으로, 문틀에 고정할 수 있는 못 구멍과 모르타르 충진에 영향이 없도록 고안된 구멍을 갖고 있거나 또는 주름이 되어있는 L-형 고정철물을 사용한다.
283 (3) 타격앵커용 볼트(콘크리트 부위용 고정철물) 직경 5mm, 길이 100mm 이상의 아연도금 드라이버 스크류를 매입할 수 있는 플라스틱 타격앵커용 볼트를 사용한다. (4) 후설치 문틀 고정철물 철판 두께 2mm이상으로 나사끼움 부위가 접시홈으로 가공된 제품을 사용한다. 2.3 자재 허용오차 치수 정밀도 치수 정밀도는 아래의 (표)와 같은 허용차 이내로 한다. 표. 치수의 정밀도 (단위 : mm) 항목 부재치수 완성치수 오 차 옆두께 보임면나비 종 횡 비틀림 휨 직각도 대각선길이차 허용차 ± 대각선 길이가 1,000mm이하인 경우에는 허용차를 1.0mm이하로 한다. 2.4 자재 품질관리 (1) 마감상태 검사는 육안검사로 맞춤이나 이음부의 틈 발생 유무, 대패질의 마무리 정도, 면과의 맞춤, 도장상태에 대한 검사 (2) 형상, 치수, 재료, 마감에 대한 상태를 점검한다. (3) 자재검수 자재 현장반입시 치수 및 결함에 대한 검수를 확인한 후에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제3절 시공 3.1 준비 목제창호 설치를 위한 개구부는 목제창호 또는 가틀 설치 전에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하여 잘못 시공된 부위는 창호설치 위치를 알 수 있는 기준 먹 매김을 한다 벽체와 접착하는 문틀 이면에는 크레오소오트유 방부제를 2회 도포한다. 3.2 목재문 설치 목제창호의 설치는 창호틀의 설치 시점 및 가틀 설치 유무에 따라 선설치공법과 후설치공법으로 구분한다 선설치공법 (1) 문틀은 수평, 수직을 정확히 하고 마감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위치를 정한다. (2) 창 고정용 철물은 타격식 앵커나 고정용 매립앵커 중에서 선택하여 다음 기준에 따라 시공하되, 여닫음의 충격에 안전해야 한다. 가. 선틀의 높이가 1.5m 이하일 때는 양측 각 2개소, 1.5m를 초과할 때는 양측 각
284 3개소씩 고정하되, 조적벽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조적부위용 고정철물을, 콘크리트 벽 또는 기둥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타격 앵커용 볼트(콘크리트 매입 길이 35mm 이상)를 사용한다. 나. 합성문틀( 알루미늄+목재 등)과 같이 문틀의 폭이 작아 타격앵커용 볼트로 시공하기 곤란한 경우 조적부위용 고정철물을 사용한다. 다. 창틀의 윗틀은 중앙에 1개소 타격앵커용 볼트로 고정한다. 단, 미서기문은 그 폭이 1,800이상일 경우 윗틀 및 밑틀에 각각 2개소 타격앵커용 볼트로 등간격 고정한다. (3) 문틀 하부 고임은 문틀 고임대 등을 사용하여 틈이 없도록 밑틀에 밀착시공 한다 후설치공법 창호 틀을 설치하기 위한 가틀을 먼저 설치하고 주변 벽체, 바닥과 마감재를 시공한 후 본틀(창호틀)을 고정철물 등을 이용, 설치하는 공법으로 여닫이 문틀에 적용한다. (1) 시공순서 가. 가틀반입(공장에서 조립반입 또는 현장설치 전 조립 소운반) 나. 개구부 작업면 기준목(쐐기역할 및 사춤틈 확보) 설치 다. 가틀 수평보기 및 고정(콘크리트 못과 매립볼트로 고정) 라. 본틀 반입 마. 본틀 문틀에 고정철물 달기 바. 본틀조립 및 고정(고정철물을 이용, 가틀에 고정) 사. 보조틀 설치(후면에 접착제 도포 및 마구리 타카 고정) 아. 문선 설치 (2) 재료 반입 가. 가틀 : 구성부재간 접착이 견고하고 상온보관시 휨 발생이 전체 길이의 2% 이내인 18mm 두께의 블록보드(집성목을 양쪽으로 합판으로 접착한 판 재)에 매립볼트 고정용 이중홈을 가공하여 납품토록 하며, 틀 조립 후 변형방지를 위해 귀잡이를 설치한다. 합판으로 시공 시는 9겹 이상의 합판으로서 KS F 3101 규정에 적합한제품을 사용하되 준내수 1급을 사용한다.(함수율 13% 이하) 나. 본틀 : 목재의 품질은 KS F 3109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서 함수율 15%이하인 30mm 라왕 또는 집성목을 사용한다. 다. 보조틀 : 15mm 중질섬유판(MDF/욕실 PVC)으로 다음 기준을 만족할 것. 밀도(kg/m 2) 접착력(kg/cm 2) 휨 강도(kg/cm 2) 팽창률(%)
285 680~730 7 이상 350 이상 1 (3) 본틀 설치 가. 선틀과 윗틀은 방바닥 미장, 벽 바탕공사가 완료된 후 후설치 문을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나. 선틀 고정철물은 문틀의 높이가 1.5m 이하일 때는 양측면 각 3개소, 1.5m 초과 시에는 양측 각 4개소를 고정하고 윗틀 고정철물은 폭이 0.8m 이하일경우에는 1개소, 0.8m를 초과할 때는 2개소를 고정한다. 다. 본틀의 고정은 휨 강도가 큰 스테인리스 나사못(Ψ5,1)을 사용하여 가틀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라. 측면 보조틀은 벽체 두께에 따라 폭을 구분(일반벽체 : 설계치수-80mm, 단 열재 설치벽체 : 설계치수-130mm)하여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본틀에 밀어 넣어 부착하고 숨은 못 치기를 한다. 마. 문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틀과 가틀의 조립틈은 쐐기격으로 고 정한다. 바. 밑틀은 바닥재 마감 전에 가틀 바탕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전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들뜬 부위가 없도록 부착하고 숨은 못 치기를 한다. 사. 욕실의 경우 선틀의 방수 한계높이 이하 부분에는 방수용 발수재를 도포하여 바탕처리를 하고 대리석(Marble) 등 내수성 재질의 밑틀을 설치한 후 타일 벽면의 마감치수를 고려하여 본틀을 고정한다. 아. 문선은 후면을 오목하게 가공하여 문틀의 전후면에 설치하며 시공시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견고하게 부착하고 숨은 못 치기를 한다. 자. 설치 허용오차 창호 및 창호틀의 설치 허용오차는 수직, 수평오차가 각기 ± 3mm 이내가 되도록 한다. 3.3 조정 창문 문짝 설치 후 여닫음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여닫음맞춤상태를 조정해야 한다. 3.4 현장 뒷정리 보양은 두께 1.5mm 이상의 보양판으로 밑틀과 선틀(높이 1m까지)의 3면에 설치하여 도장 또는 마무리공사 직전까지 보양판을 유지하여야 하며 후속공정에 의해 보양판을 해체할 때는 고정용 결속재를 제거하여 자국이 남지 않아야 한다.
286 SECTION 창호 철물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이 시방서는 문화부의 재료분리대를 제외한 창호 철물의 공급 및 설치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1) 각종 방화문용 하드웨어 2) 철재문용 하드웨어 3) 스테인리스 스틸문용 하드웨어 4) 목재문용 하드웨어 5) 강화유리문용 하드웨어 1.2 참조 규격 창호 공사에 사용될 모든 하드웨어의 철저한 품질 관리를 위해 아래 명시된 공업 규격 및 제 기준을 적용한다 적용 기준 1)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공업규격) 2)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A.N.S.I) 3) JAPANESS INDUSTRIAL STANDARDS(J.I.S 공업규격) 4) UNDREWRITER'S LABIRATIRIES(U.L) 가. BUTT & HINGE : ANSI AL56.1 나. MORTISE LOCK & LATCHS : ANSI A156.4 다. EXIT DEVICE : ANSI A156.3 라. DOOR CONTROLS & CLOSER : JIS 공업규격 & ANSI A 마. AUXILIARY LOCK : ANSI A156.5 바. ARCHITECTURAL DOOR TRIM : ANSI A156.6 사. SELF-CLOSING HINGE & PIVOT : ANSI A156.5 아. ELECTRIC STRIKE & ELECTRIC DEAD BOLT : ANSI A156.5 자. MATERIALS & FINISH : ANSI A 창호철물협회(DHI) 1) DHI A115.1-STANDARD STEEL DOOR & STEEL FRAME PREPARATION FOR MORTISE LOCKS FOR 1-3/8" & 1-3/4" DOORS 2) DHI A DOOR & FRAME PREPARATION FOR BORED LOCKS
287 3) INSTALLATION GUIDE FOR DOORS & HARDWARE 4) RECOMMENDED LOCATIONS FOR BUILDING'S HARDWARE FOR STANDARD STEEL DOOR & FRAMES 국립소방협회(NFPA) 1) NFPA 80 - FIRE DOORS & WINDOWS(방화문 및 창문) 2) NFPA CODE FOR SAFETY TO LIFE FIRE IN BUILDING & STRUCTURES(건물 및 구조물에서의 화재로부터 생명 보호) 3) NFPA INSTALLATION OF SMOKE & DRAFT CONTROL DOOR ASSEMBLIES(문에 연기차단 장치의 설치) 4) NFPA 문 부속품의 화재 시험 1.3 도서 및 기타 철물 일람표(Hardware Schedule) 1) 각 유형별 철물에 대한 설치 위치 및 높이가 표기되어야 하며 철물과의 연결, 사용 등 주의할 내용이 명기된 일람표 및 카탈로그를 참조한다. 2) 하드웨어 자재의 유형별로 적용 위치, 범위, 함께 조립되는 제품, 부착 방법들을 명기한 도면을 검토해야 한다. 3) 철물 일람표 가. 수급자는 하드웨어 공급자와 납품계약 성립 후 30일 이내에 출입문별 철물 일람표와 전달 스케줄(Delivery Schedule)을 작성하여 시공에 누락이 없게 리스트를 작성하여 승인, 협의한다. 나. 자재 전 품목에 대해 기술 카탈로그를 제출 참조하며 철물 일람표를 검토해야 한다. 4) 마스터 키(Master Key)는 마스터 키 시스템(Master Key System)에 의해 관련된 모든 키를 열 수 있기 때문에 키 전달과정에서 마스터 키 번호의 유출이나 불법적인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터 키는 제조자로부터 발주자가 지정하는 사람에게 직접 전달되어야 한다 견본 : 마감 및 색상, 형식에 대한 샘플을 제출하여 협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조업자 설치 및 지침서 : 별도의 주의가 요구되는 주변 소견, 설치 시 주의할 점 및 설치 방법이 명시되어야 한다 공사 기록서(Project Record Documents) 마스터 키 스케줄에 의거, 도어 락의 설치 위치 및 개별 키 번호를 기록한다. 1.4 견본 시공 승인된 품목을 정한 문이나 필요에 따라 지정하는 창호에 설치하여 문제점 여부를 확인,
288 승인을 얻는다. 1.5 품질 보증 1) 도어 하드웨어(Door Hardware)의 설치는 도장공사가 완전히 마감된 후 설치해야 한다. 2) 도어 하드웨어가 현장에 반입되면 자재를 관리하고 통제해야 한다. 3) 도어 하드웨어의 설치는 제작의 설명서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시공해야 하며, 설치가 끝난 후에는 노출면에 대한 파손을 예방하고 마감면을 깨끗하게 마무리해야 한다. 4) 각종 방화문에 설치되는 하드웨어는 국내 소방법령 및 건축법 시행령상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5) 하드웨어의 색상은 각각의 하드웨어와 서로 일치하고, 또한 유지 관리가 원활한 것이어야 한다. 1.6 타 공정과 협력 작업 수급자는 창호 철물, 연기감지기, 또는 경보시스템을 설치하기 전에 관련 시방에서 부가되는 조건을 관계자와 전체 보안계획 하에서 충분히 조정하여 설치 작업을 확인하고 협의해야 한다. 1.7 운반, 보관 및 취급 제품을 운송, 취급 및 보관 시 손상되지 않도록 보양해야 한다. 또한 제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하고 철물 일람표에 근거하여 식별할 수 있는 표시가 있어야 한다. 1.8 유지관리 1) 계약 종결과 운전 및 유지관리 자료에 따라 시행한다. 2) 특수한 경우나 별도의 철물 조립 시 사용할 특수 렌치나 도구를 제공한다. 3) 철물 구성품 제조업자로부터 유지관리 도구 및 부자재를 공급받는다. 4) 체인지 키(Change Key)와 마스터 키(Master Key) 및 그랜드 마스터 키(Grand Master 제2절 제품 Key)에 키 태그(Tag)를 부착하고 도어 번호 및 기타 관련 정보를 명기한 책을 발주자 또는 관계자에게 전달한다. 2.1 철물 종류와 마감 명기 1) 철물 일람표(Hardware Schedule) : 도면의 철물 일람표를 참조한다. 2) 철물 리스트(Hardware List) : 아래에 기재된 창호 철물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제품 중 일부를 참고로 기재한 것으로, 본 표는 공사용 창호 철물에 해당한다. NO ITEM DESCRIPTON 1 BUTT HINGE 2 CENTER HUNG PIVOT SET 3 FLOOR CLOSER 4 DOOR CLOSER 5 MORTISE LOCKSET / DEAD LOCK 6 EXIT DEVICE
289 7 ELECTRIC STRIKE 8 AUTOMATIC SLIDING DOOR HARDWARE SET 9 DOOR STOP 10 EXTENSION FLUSH BOLT & DUST PROOF STRIKE 11 FLUSH RING & PULL HANDLE 12 WEATHER STRIPPING & AUTOMATIC DOOR BOTTOM 13 KEY CABINET 3) 철물마감 명기 일람표 BHMA ANSI FINISH DESCRIPTION US3 605 BRIGHT BRASS US4 606 STAIN BRASS US STAIN BRONZE US10B 613 ANTIQUE BRONZE, OILED US BRIGHT CHROME US26D 626 STAIN CHROME US BRIGHT STAINLESS STEEL US32D 630 STAIN STAINLESS STEEL USP 600 PRIME COATING 제3절 창호 철물의 종류별 기준 3.1 버트 힌지(BUTT HINGE) 1) 별도의 명기가 일람표에 없는 경우 버트 힌지는 FIVE-KNUCKLE, CONCEALED BUTTON TIP, MORTISE TYPE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버트 힌지의 규격 및 수량은 다음의 기준을 따른다. - 문의 폭이 900mm 이하: 4" - 문의 폭이 1000mm 까지: 4 1/2" - 문의 폭이 1000mm 이상: 5" - 문의 폭이 1200mm 이상: 6" - 수량: 1500mm 이하 - 2개 1500~2250mm 이하 - 3개 2500~3000mm 이하 - 4개 2) 창호 하중이 있는 경우는 볼 베어링 타입(Ball Bearing Type) 경첩을 사용한다. 3) 샤워실, 화장실 및 습기가 있는 장소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경첩을 사용해야 한다. 4) 보강 철판의 두께는 최소 4.5mm 이상으로 보강해야 하며 스크루는 플랫 헤드타입(Flat Head Type)을 사용하여 스크루 헤드가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외부에 노출되는 도어의 안전이 요구되는 NRP(Non Removable Pin) 경첩을 사용한다. 3.2 피벗 세트(Pivet Set) 각 층이 연결되어 있는 P.S 또는 E.P.S 도어에는 센터 힌지 피벗 세트(Center Hinge
290 Pivet Set)를 사용하고 최대 개폐각도는 90도 이내여야 한다. 도어 제작 시 디테일 도면을 검토한 후 제작하도록 한다. 3.3 플로어 클로저(Floor Closer) 1) KS & JIS 기준에 맞춰 생산된 제품과 동등 이상의 것이라야 한다. 2) 플로어 클로저는 문의 폭과 중량에 적합하고, 설계 조건에 따라 Center Hung, Single Acting, Double Acting으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3) 속도 조절기능이 1차 속도(Closed Speed)와 2차 속도(Latch Speed)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고 Back Check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주 출입문 또는 출입이 빈번한 도어는 작동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4) 플로어 클로저는 기능에 따라 스톱형 또는 논스톱형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스톱형일 경우 90도 스톱형을 사용한다. 3.4 도어 클로저(Door Closer) 1) KS & ANSI A156.4 GRADE 1에 준하여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도어 클로저는 색상과 모양이 섬세하고 모양이 수려해야 하며, 실내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도어 클로저는 좌우측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장 조건에 맞춰 복도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경첩면, 상부면, 정지면 등을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해야 한다. 4) 모든 도어 클로저는 1차 속도(Closed Speed)와 2차 속도(Latch Speed) 및 Back Check 기능(Option)을 포함해야 하며 또한 외부 도어에 사용되는 클로 저는 PT4C(Option: Power Adjustable) 기능이 내장돼 있어야 한다. 5) 보강 철판 두께는 최소 2.5mm 이상이어야 하며, 클로저 설치 시에는 셀핑(Selfing) 스크루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TAP 시공 후 메일스트럼(Maelstrom) 스크루로 제조자의 설치 도면에 따라 정확히 설치하도록 한다. 6) 도어 클로저가 설치되는 도어의 경첩은 베어링 타입이어야 한다. 3.5 락 세트(Lock Set) 1) KS & ANSI A156.3 시리즈 1000 GRADE 1에 준하여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도어 락의 내부 부품은 부식방지 처리를 한 철제로 제작된 제품이어야 한다. 3) 락 세트 기능은 사용에 따라 아래 표에 기준하여 적절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NO 종류 기능(OPERATIONS) - 자유 통행문에 사용한다. 1 PASSAGE LOCK - 잠금장치가 없어서 양쪽 손잡이로 자유롭게 문을 열 수 있다. 2 PRIVACY LOCK - 화장실과 욕실문에 사용한다.
291 3 ENTRANCE LOCK 4 CLASSROOM 5 STOREROOM LOCK 6 DUMMY TRIM - 안쪽 손잡이의 버튼을 누르면 바깥쪽 손잡이가 고정되어 문이 열리지 않는다. - 문이 잠겨 있는 경우 안쪽 손잡이를 돌리거나 바깥쪽에서 열쇠 대신 동전이나 스크루 드라이버 등으로 잠금장치를 해체하여 문을 열 수 있다. - 출입구, 사무실, 일반 문에 사용한다. - 안쪽 손잡이의 버튼을 누르면 바깥쪽 손잡이가 고정되어 문이 열리지 않는다. - 문이 잠겨 있는 경우 안쪽 손잡이를 돌리거나 바깥쪽에서 열쇠로 잠금장치를 열 수 있다. - 통로나 계단실 등 외부의 출입을 제한하는 문에 사용한다. - 안쪽에서는 언제나 문을 열 수 있다. - 다른 락과 달리 바깥쪽에서 열쇠로만 문을 잠그거나 해체할 수 있다. - 창고문 등에 사용한다. - 바깥쪽 손잡이는 항상 고정되어 있어서 문이 열리지 않는다. - 바깥쪽에서는 열쇠를 사용해야만 문을 열 수 있다. - 안쪽에서는 언제나 문을 열 수 있다. - 보통 양개문의 잠금장치가 되지 않은 문에 주로 사용한다. - 별도의 장치 없이 문을 열 때의 손잡이로만 사용한다. 3.6 비상장치(Exit Device) 1) ANSI AL156.3 GRADE 1 및 U.L 10B의 기준에 참조하여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계단실 및 계단전실 등의 갑종 방화문에는 비상 또는 화재 시 많은 인원이 빠른 시간 내 신속히 탈출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 장치를 설치한다. 3) 외부 트림(Trim)은 문의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한다. 4) 할로우 메탈 도어(Hollow Metal Door)는 트루 볼트(Thru-Bolt)로 보강한다. 3.7 데드 락(Dead Lock) 1) 점검구용 데드 락은 데드 볼트가 있는 락 타입을 사용하며, 실린더가 도어 면에서 많이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강화유리문은 프레임이 있는 유리면에서 상하부 레일이 있는 경우에는 데드락을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한다. 단, 하부에 설치할 때는 더스트 소켓(Dust Socket)을 한 조로 사용한다. 3.8 오토매틱 도어 보텀 & 가스켓(Automatic Door Bottom & Gasket) 1) KS & UL 10B, ASTM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NFPA(Matonal Fire Protestion Association) 기준을 참조하여 생산되는 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을 기준으로 한다.
292 2) 방음, 방화, 방연을 요구하는 도어 및 프레임에 설치한다. 3)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은 도어 및 프레임의 마감 페인팅이 끝난 후 설치하여 마감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4) 오토매틱 도어 보텀(Automatic Door Bottom)은 설치 조건에 따라 노출형과 매립형을 구분하여 설치한다. 3.9 기타 도어 하드웨어 1) 푸시 풀 핸들(Push Pull Handle) : 설계도면의 디자인에 따라 적절한 타입을 사용하며 최종 스케줄 제출 시 디자인, 색상 등을 관계자와 협의 후 결정한다. 2) 플러시 볼트(Flush Bolt) & 더스트 프루프 스트라이크(Dust Proof Strike) 3) 바닥용 도어 스톱 4) 벽부용 도어 스톱 5) 드롭 링 풀(Drop Ring Pull) : 점검구 문에 사용되며 재질은 황동에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문에 매입되어 문의 편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BACK MOUNTING 고정 타입이어야 한다. 6) 푸시 풀 플레이트(Push Pull Plate) : 공용화장실에 사용되며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황동 제품을 사용하며, 크기와 재질은 도면에 준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7) Magnetic Door Relase : 경보 및 화재감지기, 연기감지기와 연동 작동되어야 하며, 연기감지기가 내장된 도어 클로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8) 도어 코디네이터 : 양개문의 폐쇄순위조절기로 사용된다. 9) 주방 및 화장실 문에는 도어의 부식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MOP PLATE는 KICK PLATE를 사용하며 문 제작 시 함께 제작한다 자동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Automatic Sliding Door System) 1) AC 비동기 모터(AC A SYNCHRONOUS MOTOR)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가. 기어 박스가 없이 모터에서 구동축으로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 나. 닫힐 때 지속적인 스피드로 일시 멈춤 없이 감속하면서 작동해야 한다. 다. 전력 소비보다 낮아야 한다(최대 160W, 평균 50~60W, 대기 시 4W). 2)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Microprocessor Controller)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다음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가. 문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에 필요한 파워(Driving Power)를 스스로 조절하는 기능. 나. 스톱 포인트 메모리(Stop Point Memory) 기능을 갖고 있어 종료 지점을 미리 계산하면서 작동함으로써 끈기지 않고 서행하면서 부딪힘 없이 정지하는 기능. 다. 작동에 관한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조작반에 보고하고 안전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기능.
293 라. 개 폐, 개방폭, 속도, 잠김 등을 조절하는 5가지 기능이 있어야 하며 이를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을 구동부 외부에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마. 자가진단기능을 갖고 있어 이상 발생시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에 33가지의 예상되는 오류에 대한 코드 시그널이 표시되어 즉시 고장 원인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 닫힘과 열림의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Auto Reversing(장애감지 시 후퇴)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4) 타이밍벨트 방식으로 D55mm의 대형 롤러를 사용하며, 도어 패널당 4개의 주행 롤러와 2개의 카운터 롤러로 구성되어 흔들림 없이 견고한 주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하, 좌우, 전후로 조절할 수 있어서 마모 시에 재조절하여 항상 유격 없이 견고하게 주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5) 알루미늄 레일은 별도로 구분되어 있어 마모 시에는 레일만 교체하도록 해야 하며, 레일의 하부에는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주행 시 진동과 소음이 흡수되는 저소음 방식의 레일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6) 전자전식 브레이크 기능이 있어 동작의 종료 지점에서 도어 패널을 붙잡는(Hold)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7) Electomechanical Lock은 2개의 슬라이딩 패널을 각각 고정하는 형태로, 벨트를 절단해도 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여야 한다. 8) 최대 주행속도는 양개문의 경우 1,600mm/sec를 만족해야 한다. 9) 미국 UL 인증 및 독일 TUV 안전도 테스트(사이클 테스트 100만회, 600kg의 초과 하중 시로 함)에 합격해 내구성과 안전도가 공식적으로 입증된 제품이어야 한다 마스터 키 플랜(Master Key Plan) 1) 마스터 키 스케줄을 작성해야 한다. 2) 공사기록서(Project Record Documents) : 마스터 키 스케줄(Master Key Schedule)에 의거해 도어 락의 설치 위치 및 개별 키 번호를 기록해야 하며, 각 락 세트는 개별 키, 마스터 키, 그랜드 마스터 키를 공급해야 한다. 또한 준공 시 키 캐비닛은 키 수량에 맞는 제품을 여분으로 공급해야 한다. 제4절 시공 4.1 점검 1) 공사 협의 및 조정: 시공 전 현장 조건을 점검한다. 2) 건물 준공 전까지 플레이트나 핸들 같은 최종마감 부재는(시공을 위한 경우를 제외) 제조업체의 보호덮개를 제거하지 않는다. 4.2 설치
294 1)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철물을 설치한다. 2) 철물 제조업체가 공급한 형판(Trmplates)을 사용한다. 3) 시공 상세도면의 규정에 따라 마감 바닥면에서 철물의 중심선까지 설치한다. 4) 경첩 - 상부: 상단 문틀에서 경첩까지 125mm(5") - 하부: 바닥 마감면에서 경첩 하부까지 250mm(20") - 중간 경첩: 상하부 경첩의 중간 5) 손잡이 레버: 바닥 마감면에서 손잡이 레버 중심선까지 965.2mm(38")을 표본으로 한다. 6) 데드 볼트: 바닥 마감면에서 실린더 중심선까지 1524mm(60")을 표본으로 한 다. 7) PANIC DEVICE: 바닥 마감선에서 중심선까지 mm(42")을 표본으로 한다. 8) 비상구 장비: 바닥 마감면에서 가로대까지 965.2mm(38")을 표본으로 한다. 9) 모든 도어 하드웨어는 바닥과 벽 마감, 그리고 도어의 마감이 끝난 후 설치한다.
295 SECTION 창호공사 II 철재 스테인리스 스틸 문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철재문과 문틀 그리고 그에 따른 고정 및 부속 철물의 물성, 제작 및 설치 등에 관한 시방에 적용한다. 2) 주요 내용 가. 철재문 나. 스테인리스 스틸 문 1.2 적용 규준 한국산업규격(KS) KS D 아연도 강판 KS D 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F 강철재 문 KS M 광명단 조합페인트 1.3 도서 및 기타 제품 자료 철재문과 문틀 및 부속재의 외형, 표면 처리 및 철물 보강을 위한 절단부위에 관한 것이 명기되어야 한다. 아연도금 부분에 대한 특기사항과 전 처리, 도료 및 공정이 포함된 공장 도장에 관한 서술 또는 제품 자료가 포함되어야 한다 제작 및 시공 상세도 각 문과 문틀의 위치, 입면, 제작 및 시공 상세, 부재 결합방법, 창호철물 보강 위치 및 연장 부분, 철물을 위한 따내기와 마감, 문틀용 앵커의 종류, 간격, 위치 및 형태, 그리고 금속재의 두께가 명시돼 있어야 한다 견본 문짝 및 문틀의 단면, 보강재 및 내부 충진재 등이 보이고 도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견본을 기준으로 한다 시공 계획서 문짝, 문틀 및 부속재의 시공 순서 및 방법, 자재 관리, 작업 환경, 보양 및 보수 등을 포함한다.
296 1.3.5 견본 시공 대표적인 철재문 및 문틀 한 세트를 필요에 따라 지정하는 위치에 견본 시공을 한다. 1.4 품질 관리 1) KS D 3506과 KS D 3512의 조건에 따르며, 이 참고규준 사본 한 부씩을 현장에 비치해 놓는다. 2) 시공자는 품질 관리 지침서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3) 방화문과 문틀은 MFPA 80의 방화등급에 준해야 한다. 4) 모든 자재는 반입 시 하차 전에 자재에 관한 자료를 첨부하여 자재 검수를 거친 후 현장에 반입해야 한다. 1.5 운반 및 보관 1) 문짝, 문틀 및 부속품은 운반 시 훼손되지 않도록 보양하고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반입되어야 하며, 자재는 지붕이 있는 건조한 창고에 보관한다. 평탄한 장소에 휨, 뒤틀림 등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쌓고, 습기에 접하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게 보관한다. 벽에 기대어 놓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바닥에서 최소 25mm 이상 띄워서 세워 보관하고, 각 문짝은 최소 10mm 간격을 두어야 한다. 2) 각 제품별 고유 분류 코드가 명시되어야 한다. 3) 주위의 다른 부식성 재료와 격리시킨다. 4) 산이나 다른 습식 공정이 끝나고 건조될 때까지 설치해서는 안 된다. 5) 도장이 마모되었거나 흠집 등 훼손된 부분은 동일 색상의 도료로 보수한다. 밑틀이 없는 문틀은 운반 시 문틀이 변형되지 않도록 문틀 하부에 보강 프레임(ㄷ T)을 부착하여 취급하고, 설치 후 제거하도록 한다. 제2절 자재 2.1 철재문 재료 철재문 및 문틀의 모든 강판은 KS D 3512 규정에 적합한 냉간압연 강판(Cold Rolled Steel)을 사용해야 하며 부위별 강판 두께 및 재료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문틀: 1.6mm 냉연강판 2) 문짝: 전기아연도 강판 플러시(Flush) 문판 - 1.2mm 및 울거미 및 띠장 - 1.6mm 3) 앵커 연결 철물: 2.3mm 4) 충진 단열재: KS D 9102의 2호에 적합한 유리면 50K 이상(방화문) 5) 방청 페인트: KS M 종 6) 마감 페인트: KS M 종 조합 페인트 무광 또는 반광
297 7) 문짝 코어(Core): Paper Honeycomb (200g/cm) + 발포 우레탄 8) 보강판: 특기 시방 및 도면에 준한다 제작 1) 문짝 가. 문짝의 4면 마구리 골구의 모서리는 아연도 강판으로 보강하고, 모서리 이음 부위는 견고하게 용접한다. 용접 부위는 이음자국 및 그라인딩(Grinding)에 의한 훼손 흔적이 없도록 처리해야 한다. 나. 경첩, 도어 락(Door Lock), 도어 클로저(Door Closer), 손잡이 등과 같은 창호 철물이 부착되는 부분은 문짝 및 문틀 내부에서 지정 철판으로 보강한다. 다. 표면은 굴곡, 찌그러짐, 뒤틀림, 용접자국 등의 손상 없이 부드럽게 마무리되어야 한다. 라. 앵커 연결 철물은 공장에서 미리 부착시켜 현장에 반입해야 하며, 문틀의 상하단에서 20cm 위치와 중앙부 등 3개소 이상이어야 한다. 마. 문짝 강판과 하니컴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접착제는 문짝 강판에 전면 도포하고, 하니컴 양면에 강판을 접착한 후 80~90 의 열 압착기(Hot Press)로 압착한다. 바. 피벗 힌지(Pivot Hinge)와 문짝의 골구 사이에는 두께 4.5mm의 갈바륨 강판으로 가공한 보강재를 덧댄 후 피벗 힌지를 부착해야 한다. 사. 문짝의 폭, 길이, 대각선 및 두께의 허용오차는 각각 ± 1.0 ~±1.5mm 이내로 한다. 아. 철재 문짝의 제작 품질기준은 KS F 4508에 준한다. 2) 문틀 가. 냉연강판(Cold Rolled Steel): 냉간압연한 코일을 전해청정라인에서 표면 오염을 제거하여 소둔로에서 로 가열 후 일정 시간을 유지하여 가공성을 확보한 다음 압연 공정을 통해 표면 및 형상을 개선한 제품을 사용할 것. 나. 문틀은 경첩, 도어 클로저, 스트라이크 등의 철물 위치에서 보강되어야 하며 안전시설을 위해 필요한 따내기를 한다. 문틀은 모두 장부맞춤 철물을 위한 따내기를 해야 하며, 모든 철물 부착 부위에는 보강을 해야 한다. 다. 방화문의 경우 문틀은 밑틀을 포함하여 일체로 제작하되, 4면 모서리 접합 부위는 아크 용접 또는 점용접으로 견고하게 접합한다. 라. 앵커 철물의 위치는 제작설치 도면에 의한다. 3) 방화문으로 지정되는 문은 도면 및 건축법 시행령 제29조 방화문의 구조 이상으로 제작하되, 별도 지시가 없는 한 방화문용 도어 클로저 및 도어실(Seal) 설치를
298 원칙으로 한다. 4) 도장 가. 공장 도장 마감문인 경우 문짝의 도장 재료와 도장 방법은 승인된 제작 및 시공 상세도를 따른다. 나. 제작 공장에서 문틀 도장의 범위는 하도(녹막이칠) 2회이며, 하도용 도 장재 (녹막이 도료)는 KS M 5311의 2종에 적합한 도료 또는 동등 이상의 도료로 하되, 도장재와 도장 방법은 승인된 제작 및 시공 상세도를 따른다. 다. 문짝 표면 도장은 분체 도료를 사용하며 180 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완성한다. 도막 두께는 30미크론 이상이어야 한다. 해머톤(hammer-tone) 마감의 분체일 경우 220 에서 20분간 가열하며 도막 두께는 30미크론 이상이라야 한다. 라. 작은 긁힘이나 흠집은 도료 제조업체의 추천 제품과 시스템에 따라 원래의 마감과 색상, 재질, 광택이 같도록 보수한다. 2.2 스테인리스 스틸 문 1) 재료 가. 스테인리스 철판: KS D 3698 규정에 적합한 STS 304(27종)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철판으로 두께 1.5mm 수퍼 미러(Super Mirror) 및 헤어라인(Hairline) 처리 제품을 사용한다. 나. 내부 보강판: 두께 1.6mm 이상의 냉간압연 아연도금 철판 2) 부속 재료 가. 조립에 필요한 스크루, 볼트, 너트 등은 스테인리스 스틸(STS 304 2종)을 사용해야 하며, 표면에 나타나는 스크루는 주재료와 동일한 재질과 색상으로서 평머리 스크루(Flat Head Screws)를 사용하여 나사 머리와 주재료의 표면이 평활하게 일치해야 한다. 나. 연결 접합 및 보강 철물: 동일 재질의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브론즈 판, 아연도금 강판으로서 전식 또는 부식의 염려가 없고 구조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다. 문틀 홈에 설치되는 가스켓은 연질 패킹으로서 재질은 네오프렌(Neoprene)계 고무 등으로 한다. 접착제는 가스켓 및 창호재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라. 창호 철물은 본 시방서 Section 0810 창호 철물 에 따른다. 3) 제작 가. 절단: 판재의 절단은 승인된 세부 시공 상세도의 치수에 준하며, 절단면은 수직 수평을 정확히 유지해야 한다. 모든 절단면이 절단하지 않는 표면과 동일한
299 상태가 되도록 절단 시 발생한 요철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나. 절곡: 반드시 V-Cut(V자 형태의 커트)으로 처리 후 절곡하되 물리적 힘의 가공으로 인한 절곡부의 크랙 내지 표면 손상이 없어야 한다. 또한 절곡 각도와 면, 각의 직선이 일정해야 한다. 다. 조립 1 표면재와 내피(내부보강 철판)의 틈은 0.5mm 이내로, 접착제를 전면 도포하여 밀착 조립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해야 한다. 2 보조 프레임, 접합부 등의 연결 고정 조립은 스크루, 볼트, 너트 부위, 용접 방법에 대해 명기해야 한다. 3 용접은 아르곤(Argon)으로 하되 아르곤 가스의 순도는 99.5%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용접에 의한 손상 부위 중 표면이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방청 페인트를 2회 도장하여 처리하고, 표면이 되는 부분은 수퍼 미러(Super Mirror) 및 헤어라인(Hairline)으로 처리하여 이질감이 없도록 한다. 4 외기와 면하는 부위의 모든 접합부는 조립 설치 완료 후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용 실리콘 실런트로 처리한다. 5 가공 조립이 끝난 제품은 제조업체의 검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한 후 포장한다. 6 조립이 완료된 제품은 검사를 거쳐 비닐 보호막과 테이프를 이용하여 개별 포장하고 반입한다. 제3절 시공 3.1 준비 1) 제품이 반입되면 위치별로 배치한 후 문틀을 모르타르 사춤하여 2~3일간 양생시킨다. 2) 문틀에 페인트가 제대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완료되어 있지 않다면 즉시 페인팅을 하고 문짝 설치를 준비한다. 만일 문틀에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이를 먼저 제거한다. 3) 문과 문틀은 설치 위치 및 본 시방서 창호 철물 의 내용에 따라 창호 철물을 설치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창호 철물 설치를 위해 현장에서 드릴링(Drilling)이나 테이핑(Taping)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단, 보강, 드릴링과 테이핑은 공장에서 실시한다. 4) 창호 철물 설치를 위한 문 및 문틀을 보강한다. 3.2 본 작업 1) 결정된 먹선을 기준으로 수평 수직을 맞춘 후 문틀 철근(Frame Bars) 양쪽에 3개소
300 이상을 콘크리트 벽에 철근을 용접하여 견고히 고정시킨 후 하부 철재 실(Steel Seal)을 0.5mm 철판으로 보양한다. 2) 설치 가. 문짝을 조심스럽게 문틀에 끼우고 경첩을 맞추어 설치한다. 나. 락 세트 위치와 스트라이크 위치를 확인하고 문틀과 문짝의 간격을 확인하여 경첩을 조정하여 맞춘다. 다. 피벗 힌지나 돌쩌귀 힌지의 경우 문짝의 높이가 맞지 않다면 워셔를 프레이쪽 힌지에 끼워 조정한다. 라. 문짝이 원활히 개폐되는지 확인한다. 마. 필요한 다른 부속품을 장착한다. 바. 설치 완료한 문과 문틀의 간격은 3mm를 유지하고 양 여닫이문이 맞닿는 부분은 6mm 간격을 유지한다. 3) 작업상 주의사항 가. 문짝은 무게를 고려하여 조심해서 운반해야 한다. 나. 힌지를 장착할 때 유동이나 이격이 없도록 조여야 한다. 다. 부속은 정 위치에 정확히 장착시켜야 한다. 라. 문짝은 문틀에 페인트를 칠한 후 설치한다. 마. 문틀과 문짝은 정확하게 맞아야 한다. 바. 개폐가 원활해야 한다. 3.3 보양 1) 공구를 정리정돈하고 주변을 청소한다. 2)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표면 보양재는 공사 중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청소 시 이를 제거한다. 3) 입주 전까지 제품에 손상이 없도록 보양을 철저히 한다.
301 SECTION 유리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유리공사의 개요 1) 유리는 광선을 투과시키는 불연 재질로서, 품질이 균일한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2) 그러나 충격 강도가 약한 취성 재료로 파손되기 쉽고 열에 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3) 실내건축 및 건축공사에는 대부분이 소다석회 유리로 만든 판유리(투명 판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1.2 참고 규준 한국산업규격(KS) KS F 건축용 실링재 KS L 강화유리 KS L 봉합단열(insulating) 유리 KS L 무늬유리 1.3 유리 제품의 종류 일반사항 1) 유리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화합하고 있는 주요 원소의 명칭을 붙인 화학 성분이나 용도에 의해 분류된다. 2) 실내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판유리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보통 판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망입유리와 특수한 장소 및 용도로 사용하는 자외선 투과유리, 자외선 흡수유리, 적외선 차단유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리의 성능을 사용 목적에 맞게 개선한 유리 가공품으로 안전유리, 접합유리, 강화유리, 복층유리, 투명 착색유리, 불투명 착색유리 등이 있다 보통 판유리(sheet glass) 1) 실내건축공사에서 창호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두께 2~5mm 정도의 유리로 맑은 판유리 (투명유리: clear glass)와 서리 판유리로 구분한다. 2) 맑은 판유리는 그 표면이 제조된 그대로의 평활한 면을 가진 유리이며, 서리 판유리 (반투명유리: obscured glass)는 유리 표면에 금강사 또는 모래 등을 고압공기로 뿜거나 연마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면의 광택을 없앤 유리이다. 서리 판유리는 외부로부터의 시선 차단을 겸한 실내장식용으로 사용된다. 3) 창호용 판유리의 두께는 2mm, 3mm, 5mm가 주로 쓰이며, 두께 3mm 이하의
302 유리를 마판유리(얇은 판유리), 그 이상을 후판유리(두꺼운 판유리)라고 한다. 4) 판유리의 크기는 mm 까지를 보통판(두께 2~3mm), 900 1,800mm까지는 대판 ( 大 板 : 두께 ~5mm), 그 이상을 특대판이라 호칭하며, 판유리는 유리 합계면적 9.29m 2 (100ft 2 )들이가 상자 단위로 판매된다. 5) 시중에서 판매되는 맑은 유리의 규격은 아래 표와 같다. <표1> 맑은 유리의 규격 품명 두께 규격(mm) 규격(inch) , , , , , , , , , , , , 맑은유리 914 1, , ,219 1, ,219 1, ,829 1, ,524 3, ,829 3, ,134 3, 대형 규격은 별도의 할증률 계상 6 2,134 3, ,134 3, ,134 3, ,134 3, ,134 3, ,134 3, 판유리 가공품 종류 1) 마판유리(Polished Plate Glass) 후판유리의 한 면 또는 양면을 연마 가공한 고급 유리로 고급 건축물의 유리창이나 거울의 원판으로 사용한다. 거울은 두께 5mm의 마판유리를 사용, 한면을 은도금 한 후 보호막으로 동 도금을 하여 만든다. 2) 결상유리(Hipped Glass) 젤라틴 수용액을 유리면에 발라 40 정도로 처리하여 유리면에 결상( 結 霜 ) 형의 모양이 생기도록 한 유리로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한다. 3) 무늬유리, 형판유리(Embossed Glass, Figured Glass)
303 투명유리의 한 면에 주름, 다이아몬드, 구름 등의 무늬를 만든 것으로 실내 장식용 및 투시방지용으로 사용된다. <표3> 시판되는 무늬유리의 규격 품명 두께 규격(mm) 규격(inch) 무 늬 유 리 ) 색유리(Coloured Glass) 유리 제조 시 유리의 원료에 산화금속류의 착색제를 넣어 각종 색채를 띠게한 유리로, 실내장식용으로 사용된다. <표4> 시판되는 무늬유리의 규격 품명(mm) 두께(mm) 규격(mm) 규격(inch) 단위 비고 색유리 3, 5, 6, ft 2 색유리 색상 5) 강화유리(Tempered Glass) (Bronze, Gray) 판유리를 600 정도로 가열한 후 냉각공기로 급냉시켜 유리 표면에 강화 압축응력을 만들어 파괴 강도를 높인 유리로, 내충격 내압 휨강도가 크고 깨지더라도 파편이 둥근 입상이 되므로 파편에 의한 부상의 우려가 적어 안전유리로 분류된다. 고층건물의 창유리, 진열 창유리, 현관 무테문, 자동차 및 항공용 유리로 사용된다. <표4> 시판되는 강화유리의 규격 품명 두께 최대 규격(mm) 단위 비고 3 맑은유리 2,180 3,048 4 맑은유리 2,180 3,048 5 맑은유리 2,180 3,048 6 맑은유리 2,180 3,988 강 8 맑은유리 2,180 3, 맑은유리 2,180 3,988 화 12 맑은유리 2,180 3,988 강화유리에는 곡면 유 3 컬러유리 2,180 3,988 5 컬러유리 2,180 3,988 ft 2 강화유리, 접합강화 리 6 컬러유리 2,180 3,988 유리, 방탄강화유리 8 컬러유리 2,180 3, 컬러유리 2,180 3,988 등이 있다. 12 컬러유리 2,180 3,988 6 반사유리 2,180 3,650
304 6) 망입유리(Wire Glass) 유리액을 롤러로 제판하여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 성형한 유리로 깨져도 파편이 흩어지지 않고 균열만 생겨 안전유리로 분류된다. 금속망의 소 재로는 망은철, 황동, 알루미늄 등이 사용되며, 망의 형은 4각형, 능형( 菱 形 ), 6각형, 8각형 등이 있다. 유리의 파손 방지, 도난 및 화재 방지, 위험한 천장, 진동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곳에 사용한다. <표5> 시판되는 강화유리의 규격 품명 두께 규격(mm) 규격(inch) 매수 단위 7 1,219 1, 망입유리 box 7 1,219 1, ) 접합유리(Laminated Safe Glass) 2장 또는 그 이상의 유리 사이에 유연성 있는 강하고 투명한 poly vinyl butiral을 삽입한 유리로, 파손 시 파편이 흩어지지 않아 안전유리로 분류된다. 자동차용, 건물의 진열장용으로 사용되며, 구성하는 2매의 유리 종류에 따라 플로트 접합유리, 무늬 접합유리, 망입 무늬 접합유리, 망입 마판접합유리 등으로 구분된다. 8) 복층유리(이중유리: Pair Glass) 2장 또는 3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레에 틀을 끼워 내부를 기밀하게 한 뒤 건조공기를 넣은 유리로, 방서, 방음, 결로 방지를 필요로 하는 창호용 유리로 사용된다. 크게 단열 복층유리와 태양열 차폐 복층유리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창, 도로변이나 공항 주변의 건축물, 녹음실 같이 소음 차단이 요구되는 곳, 온도나 습도 조절이 필요한 곳 등에 적용된다. 가. 복층유리의 규격 나. 구조도 최대크기 평균무게 두께 두께 구성 mm inch kg/m A+3 1,219 1, A+5 1,829 2, A+6 2,438 2, A+5 1,829 2, A+6 2,438 2, A+8 2,438 3, ) 에칭유리(Etching Glass) 유리가 불화수소에 부식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후판유리의 면에 그림이나, 무늬, 글자 등을 화학적으로 조각한 유리로 실내장식용으로 사용된다. 10) 샌드블라스트 유리(Sandblast Glass) 유리면에 오려낸 모양판을 붙이고 모래를 고압증기로 뿜어 오려낸 부분을 마모시켜 유리면에 그림이나 무늬, 글자 등의 모양을 만든 것으로 장식용 창이나 스크린에
305 사용한다. 11) 매직유리(Mmagic Glass) 판유리의 표면에 은 등의 반사성 금속 피막을 입힌 유리로 반사유리라고도 한다. 밝은 쪽은 광선을 반사시켜 거울처럼 보이며, 어두운 쪽에서는 밝은 쪽을 투시할 수 있다. 12) 반사유리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의 건축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되면서 건축물의 형태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반사 성능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외부 창호재로서 기능과 장점을 더욱 향상시켜 건축물 외관에 고급스러움을 더하는 열선 반사유리가 적용되고 있다. <표6> 제품의 규격 두께 최대 크기 최소 크기 계열 가공 형태 mm mm inch mm inch 그린 단판 6.0 2,438 3, 강화, 스카이 단판 6.0 2,134 3, 배강도 블루 곡 단판 6.0 1,800 2, <표7> 제품의 성능표 계열 품명 솔라가드 N 계열 L계열 특수유리의 종류 1)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 광학적 특성 열적 특성 가시광선 태양복사열 열관류율 차폐 취득 투과율(%)/ 투과율(%)/ 색 계수 총열량 반사율(%) 반사율(%) 30 / / 녹색 24 / / 여러 가지 색을 넣은 장식용 특수유리로 각종 색유리의 작은 조각을 도안에 맞게 절단해서 H자형 단면의 납제( 鉛 製 )틀에 끼워 모양을 낸 것으로 장식용 창이나 천장에 사용된다. 2) 프리즘 유리(Prism Glass) 판유리의 한쪽 면이 톱날 모양으로 된 것으로, 입사광선이 굴절 분산되어 실내조도를 증대시키고 균일하게 한다. 천창이나 지하실창의 채광용으로 사용하며, 데크 유리(Deck Glass), 톱라이트 유리(Top Light Glass), 포도( 鋪 道 ) 유리라고도 한다. 3) 유리블록(Glass Block) 속이 빈 두 쪽의 상자 모양의 유리에 건조된 저압공기를 넣고 녹여 붙인 것으로, 열전도율이 벽돌의 1/4 정도로 작고 보통 유리창보다 균일한 확산광을 얻을 수 있다. 실내의 냉난방 효과를 겸한 채광 및 장식용으로 사용한다. 4) 유리벽돌(Glass Block) 청색
306 벽돌 모양의 유리 성형품으로 채광용이 아닌 내 외벽의 장식용으로 사용한다. 5) 유리 타일(Glass Tile) 색유리를 작은 조각으로 잘라 타일 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색채가 다양하고 절단 및 가공이 자유로우며 비흡수성을 지니고 있어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6) 기포유리(Foam Glass) 유리를 가는 입자의 분말로 만들어 카본(carbon) 발포제를 섞어 가열 발포시킨 후 냉각시켜 고체로 만든 것으로 단열성, 흡음성이 우수하여 단열재, 보온재, 방음재로 사용된다. 1.4 일반 용어의 정리 1) 강화 유리문 고정법: 강화 유리문을 플로어 힌지 등의 철물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2) 경사단면: 유리 절단 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일반적으로는 깎임이라 한다. 3) 구멍흠집: 유리면에 경도가 높은 재질이 극부적으로 접촉할 때 생기는 흠집으로 특히 클린 컷(Clean Cut)된 절단면에 발생하기 쉽다. 4) 구조 가스켓: 클로르프렌 고무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유리의 보호 및 지지, 수밀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가스켓으로, 지퍼 가스켓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PC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Y형 가스켓과 금속 프레임에 사용되는 H형 가스켓이 있다. 5) 글레이징 가스켓(Glazing Gaskets): 염화비닐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끼움용 부자재로, U형 글레이징 채널(Glazing Channel)과 J형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가 있다. 6) 끼우기 홈: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창틀에 설치하는 홈으로서 그 홈의 단면치수는 끼우는 판유리의 두께에 따른 내풍압성능, 내진성능, 열 깨짐 방지성능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7) 나사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모서리에 구멍을 뚫어 장식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8) 대형 판유리 고정법: 대형 판유리 고정법에는 현수 글레이징 시스템(Suspended Glazing System)과 현수 리브(rib) 보강 글레이징 시스템 등 복잡한 시공 방법이 있다. 현수 글레이징 시스템은 금속 클램프를 이용하여 보나 슬래브에 매다는 공법이며, 현수리브 보강 글레이징 시스템은 금속 멀리언(Mullions) 대신 리브 유리를 측부 보강재로 사용하는 시공법이다. 9) 면 클리어런스: 유리를 프레임에 고정할 때 유리와 프레임 사이에 여유를 주는 것이다. 10) 반 강화유리(Heat-Streanthened Glass): 플로트(Float) 판유리를 연화점 부근(약 700 )까지 가열한 후 양쪽 표면에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유리 표면에 200~600
307 kgf/cm 2 의 압축응력층을 갖도록 한 가공유리로, 내풍압강도, 열깨짐 강도 등은 동일한 두께의 플로트 판유리에 비해 2배 이상의 성능을 가진다. 그러나 제품의 절단은 불가능하다. 11) 방연벽 고정법: 망입 또는 선입 판유리를 천장 바탕면에 실리콘계 받침 철물을 사용하여 방연벽으로 하는 고정법이다. 12) 백업(Back-up)재: 실링(Sealing) 시공인 경우에 부재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의 면 클리어런스 부위에 연속적으로 충전하여 유리를 고정하고 실(Seal) 타설 시 실 받침 역할을 하는 부자재로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rm), 발포 고무, 중공솔리드 고무 등이 사용된다. 13) 부정형 실링재 고정법: 부정형 실링재 고정법에는 탄성 실링재 고정법과 퍼티(Putty) 고정법이 있다. 탄성실링재 고정법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의 U형 홈이나 누름고정용 홈에 유리를 끼우는 경우 탄성실링재를 사용하는 고정법이며, 퍼티 고정법은 금속, 나무 등의 홈에 유리를 끼울 경우 퍼티를 사용하는 고정법이다. 14) 샌드블라스트(Sandblast) 가공: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리면에 기계적으로 모래를 뿌려 미세한 흠집을 만드는 가공방법이다. 15) 세팅 블록(Setting Blocks): 새시(Sash) 하단부의 유리끼움용 부자재로서 유리의 자중을 지지하는 고임재를 일컫는다. 16) 스페이서(Spacers): 유리 끼우기 홈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에 면 클리어런스를 주어 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블록이다. 17) 에칭(Etching): 화학약품에 의한 부식 현상을 응용한 가공법으로 유리에 주로 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8) 열선 반사유리: 판유리의 한쪽 면에 열선 반사막을 코팅하여 일사열의 차폐성능을 높인 유리이다. 19) 완충재: 충격 시 유리 절단면과 새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새시의 좌우 측면에 끼우는 고무 블록으로서 주로 개폐 창호에 사용된다. 20) 유리 단부(Glass Edge): 판유리를 절단했을 때 생기는 절단된 단면의 절단 각, 절단면, 절단부 등을 총칭한다. 21) 유리 리스트: 해당 건물에 사용되는 유리의 전체 사양을 표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종류, 두께, 형태, 치수, 가공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량을 기입한 형태이다. 22) 유리 퍼티(Putty): 염화칼슘을 식물유 또는 동물유로 혼합한 유리 설치 재료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3) 절단면 연마: 유리 절단 후에 각진 절단 부위를 적절히 연마하는 방법으로, 사람이 손으로 만져도 상처를 입지 않게끔 해야 한다.
308 24) 접착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을 양면접착 테이프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고정법이다. 25) 접착 지지철물 병용 고정법: 거울, 장식요리 등의 뒷면을 바탕면에 접착하고 유리 단부를 지지 철물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26) 조정 연마: 가장 기초적인 절단면 처리로서 연마재는 #120~200 정도를 사용한다. 27) 철물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상하에 철물을 부착하여 하부의 받침 철물로 그 중량을 지지하는 고정법이다. 28) 치솟음: 휨 가공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리의 단부가 형틀과는 다르게 소정의 곡률로 되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29) 클린 컷(Clean Cut): 유리를 절단한 후 그 절단면에 구멍흠집, 단면결손, 경사단면 등의 결함 없이 깨끗하게 절단된 상태를 말한다. 30) 태피스트리(Tapestry) 가공: 샌드블라스트 가공한 것에 산에 의한 화학적 가공을 더한 방법이다. 1.5 유리무게 산출법 유리크기(가로) * 유리크기(세로) * 유리두께 * 유리비중/1,000,000 = 유리의 무게(kg) 크기와 두께 단위는(mm) 기준임. 유리비중: 2.38 예) 유리 크기: 1m * 1m * 2.38/1,000,000 = 23.8kg 유리 크기가 가로 1m, 세로 1m 두께가 10mm일 경우 : 유리무게는 23.8kg임 1.6 도서 및 제출물 시공도 및 시방서의 작성 유리의 제작,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에 기초하여 시공도, 시방서를 작성한다 시공도 및 시방서의 작성 1) 유리 시공도: 마감공사, 커튼월 공사 등의 시공도에 포함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거울, 장식유리, 유리 스크린 등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의 유리 시방도서를 작성한다. 2) 유리 일람표: 건축물에는 각종 유리가 사용되므로 품종, 두께, 형태, 치수, 시공 방법으로 구분하여 유리 일람표를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시공요령서: 공사 개요, 공사 범위, 관리 체계, 공정표, 사용 재료의 명칭, 규격, 제작자, 제작 공장, 제작, 시공 방법, 제품 검사, 반입, 양중의 계획, 시공 기기 및 장비, 시공 순서 및 요령, 양생, 청소, 검사 및 안전 관리 등을 기재한다. 4) 견본의 제출 및 시험 제작 견본의 제출 및 시험 제작에 대해서는 공사 시방에 따르며 각종 유리는 mm
309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구조계산서 대형 판유리 및 SSG시스템의 시공도를 제출할 때는 시공법에 따른 구조계산 서를 첨부하도록 한다. 1.7 운반, 보관 및 취급 1) 유리의 운반은 크기, 무게, 현장 상황과 운반 거리 등에 따라 적절한 운반법을 채택한다. 2) 유리는 포장단위별로 제조업체명, 상품명, 및 규격 등이 부착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되어야 하며, 습기가 없는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되 시공 시점까지 포장을 제거하지 않는다. 3) 현장 반입 시 손상의 유무, 수량 등에 대해 확인한다. 4) 목재상자나 팔레트(Palette)로 운반해 온 유리는 그대로 보관한다. 5) 목재상자나 팔레트가 없는 경우 벽, 바닥에 고무판 또는 나무판을 대고 유리 세워두며 유리와 유리 사이에는 종이를 끼워 보관한다. 6) 모든 입고품은 확인을 하고 의심스러운 상자는 분리하여 검사한다. 특히 유리는 규격에 대한 검사를 명확히 해야 한다. 7) 유리는 시원하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그늘진 곳에 보관하고, 직사광선이나 비에 맞을 우려가 있는 곳은 피한다. 8) 즉시 사용하지 않을 유리는 비닐이나 방수포로 덮고, 상자 내의 열 집적 방지를 위해 상자 사이의 공기순환을 고려하여 쌓아둔다. 9) 사용 실런트, 가스켓 등 부자재의 성능에 대한 시험결과는 제조업체로부터 자재 반입 시 함께 받는다. 10) 복층유리는 모서리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고, 외부 압력을 줄일 수 있는 합성고무로 만든 완충재를 두며, 20매 이상 겹쳐 쌓아서는 안 된다. 11) 유리를 취급할 때 유리의 모서리나 귀퉁이가 땅에 닿거나 유리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유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12) 보관 및 중간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입과 수송 계획을 세워야 하며, 특히 유리는 층별로 수송 계획을 세워 반입해야 한다. 13) 현장에 반입되는 유리와 퍼티(콤파운드)는 명백한 제조회사의 상표가 붙은 것을 포장한 채로 반입해야 한다. 14) 운반과 저장할 때의 주의사항 가. 운반할 때에는 차량의 진동으로 인하여 판유리가 충격을 받는 일이 없도록 보호 조치를 해야 한다.
310 나. 차량으로 운반할 때는 통이나 함, 프레임을 차량 진행방향으로 적재한다. 다. 규격이 서로 다른 상품을 하나의 통이나 함에 넣고 운반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라. 판유리를 보관하는 적재창고는 항상 청결하게 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 한다. 마. 판유리 보관 시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바. 판유리를 적재하는 창고 바닥은 판유리의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여야 하고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사. 적재창고 내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환기 장치를 한다. 아. 적재창고 바닥에는 무리가 없도록 한다. 자. 판유리가 적치된 장소 위에는 선반을 설치하지 않는다. 차. 판유리가 금속물질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보관한다. 15) 취급과 절단에 관한 주의사항 가. 반사유리와 파스텔 유리를 취급할 때에는 언제나 깨끗한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특히 기름기가 묻은 장갑을 끼고 다뤄서는 안 된다. 나. 절단할 때에는 코팅면을 위로 하고 금(score)을 긋는다. 다. 판유리 가장자리는 항상 매끄럽게 절단되도록 한다. 라. 판유리의 절단가루가 코팅면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마. 코팅면에 분필 또는 마킹펜으로 표시를 해서는 안 된다. 1.8 기후 조건 1) 유리 끼우기는 주위 기온이 4 이상일 때 작업한다. 2) 실링재를 사용하여 유리 끼우기를 할 때는 위의 온도조건 외에 상대습도가 90% 이하에서 수행한다. 제2절 부자재 2.1 가스켓(Gaskets) 1) 네오프렌(Neoprene), EPDM, 실리콘 고무화합물 등의 재료로 만든다. 2) 스폰지 가스켓의 경우 25~45도의 경도를 갖는 검은 네오프렌(Neoprene)으로 둘러싸며, 20~30% 수축될 수 있어야 한다. 3) 덴스 가스켓(Dense Gasket)이 공동형인 경우는 75±5도의 경도를 가져야 하고(공동이 없는 재질의 경우는 55±5도의 경도) 외부 가스켓은 네오프렌(Neoprene), 내부 가스켓은 EPDM으로 하거나 동등 성능을 지닌 재질이어야 한다. 2.2 실링재 유리 끼우기용 실링재는 KS F 4910에 규정된 적합한 내곰팡이성이 있는 실리콘 (Silicone)계의 비초산형을 사용한다. 1) 실리콘계 실런트로 KS F 4910(건축용 실런트) 규정에 합격한 것이나 동등 이상의
311 품질이어야 한다. 2) 프라이머를 사용할 경우 프라이머는 작업하기 적합한 점도를 가지며, 접착성이 우수해야 하며 사용가능 시간이 충분해야 한다. 3)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 여부에 따라 1액형과 2액형이 있으며, 초산 타입과 비초산 타입이 있으므로 시공 조건에 따라 선택한다. 4) 화장실과 같이 습한 곳에서는 항균 코킹제를 사용하며 뒷면에 열선 처리한다. 2.3 세팅 블록(Setting Block) 및 측면 블록(Side Block) 유리 고정재료로 실링재가 사용될 경우 세팅블록 및 측면 블록은 실리콘재를 사용한다. 1) 세팅 블록: 네오플렌(Neoprene), EPDM,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쇼어 경도 80~90도 정도여야 하며, 폭은 유리 두께에 비해 3mm 정도 크고, 프레임의 유리끼움 홈의 폭에 비해 1.6~3mm 정도 작아야 한다. 길이는 유리면적 900cm 2 당 2.5mm 이상이어야 하며 10cm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세팅 블록은 유리 폭의 1/4지점에 각각 1개씩 설치하여 유리의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한다. 2) 측면 블록: 프레임에서 유리가 일정한 면 클리어런스를 유지토록 하며 프레임의 양 측면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재료를 말한다. 네오프렌(Neoprene), 실리콘 (Silicone) 등의 재질로 경도는 50~60도 정도로 하며, 유리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10cm 이상의 길이로 한다. 새시 네 변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1개씩 부착하고 새시 끝으로부터 3mm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2.4 백업재(Back-up) 1) 재료는 단열 효과가 좋은 발포 에틸렌계의 발포재나 실리콘이 씌워진 발포 우레탄 등으로 담당원의 승인을 얻은 후 결정한다. 2) 백업재는 2면 접착을 방지하고 일정한 시공면을 얻기 위해 사용되며, 변형 줄눈을 조정하고 줄눈 깊이 조정을 위해 충전한다. 2.5 제작 일반사항 표면가공 1) 샌드블라스트(Sandblast) 가공에 있어서는 가공 깊이를 두께의 1/12 미만으로 하고 1매의 유리에 대한 가공 개소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최대한 균등하게 배치한다. 2) 태피스트리(Tapestry) 가공의 경우 가공 깊이는 판 두께의 1/10 미만으로 한다. 3) 샌드블라스트(Sandblast) 가공 또는 태피스트리 가공을 실시한 것의 강도상 취급은 형판유리에 준한다 강화유리 가공 1) 강화유리의 치수 정밀도는 KS L 2002에 따른다. 2) 절단, 절단면 처리, 구멍뚫기, 따내기 등은 강화 가공 전에 한다.
312 3) 태피스트리 가공의 경우 가공 깊이는 판 두께의 1/10 미만으로 한다. 2.6 재료 선택의 일반사항 1) 창호 면적 및 위치에 따른 유리의 품종 및 두께는 도면에 따른다. 2) 주요 부재 및 기타 부재간의 시공서에 대해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 3) 각 재료는 미리 견본을 받아 검토한 후 사용한다. 4) 특별히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실런트, 코킹재나 기타 재료의 사용은 제조처의 설명서에 따른다. 5) 퍼티를 기름이나 용제성 네오프렌, 부틸,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EPDM, 아크릴릭 등과 병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색유리, 반사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6) 실런트로는 기온, 습도 등 용제에 의한 화학작용으로 복원력이 있는 고체로 양생이 가능한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릭 등의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제3절 시공 3.1 준비 1) 유리면에 습기, 먼지, 기름 등의 해로운 물질이 묻지 않도록 한다. 2) 시공 전 유리와 부자재 제조업체의 제품 사양에 대해 검토한다. 3) 계획, 시방 및 도면의 요구에 대해 프레임 시공자의 작업을 검토하고 프레임의 수직, 수평, 직각, 규격, 코너 접합 등의 허용오차를 검사하여, 리벳, 용접시의 요철 등으로 유리의 면 클리어런스 및 단부 클리어런스가 최소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4) 모든 접합, 연결 철물, 나사와 볼트, 리벳 등이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한다. 5) 유리의 규격이 허용오차 내에 있는지 정확히 검사한다. 6) 유리를 끼우는 새시(Sash) 내에 부스러기나 기타 장애물을 제거한다. 7) 배수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하며, 배수 구멍은 일반적으로 5mm 이상의 직경으로 3개 있어야 한다. 색유리, 반사유리, 접합유리, 망유리 등의 경우 단부가 물에 닿지 않도록 한다. 8) 세팅 블록을 유리 폭의 1/4 지점에 각각 1개씩 설치하여 유리의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한다. 9) 청소를 위해 실런트 시공 부위에 톨루엔, 아세톤 등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10) 접착제 충전 시 줄눈의 치수와 공작도면이 일치하는지, 적당한 규격인지 검토한 후 작업에 들어간다. 3.2 시공법 1) 유리 끼우기는 도면과 시방서에 명시된 사항 외에는 제조업체의 제품 자료에 따라
313 시공하며, 유리를 끼운 후 창을 여닫는 충격에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2) 바깥 온도가 5 이하이거나 비, 눈 또는 강풍 시에는 유리 끼우기를 중단한다. 불가피한 경우에는 유리 제작업체와 협의하여 확실하게 시공되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3) 유리 끼우기 시공업체는 유리를 끼우기 전 각종 창의 제작 및 시공오차를 충분히 검토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4) 유리 끼우기는 물림 깊이, 유리면의 수평 수직면의 정확도를 유지하여 끼워야 하며, 실런트 시공까지 움직임 등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견고히 고정시켜야 한다. 5) 무늬유리는 무늬면이 실내에 오도록 끼운다. 6) 알루미늄 창에 사용되는 가스켓의 경우, 유리의 한 면은 부드러운 가스켓을, 다른 한 면은 견고하고 밀도 높은 가스켓을 사용하되, 가스켓을 유리를 끼우는 각 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하여 중앙에서 단부쪽으로 홈에 정확히 물리도록 일정한 힘으로 끼워 외관상 균일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7) 복층유리 끼우기: 알루미늄 창에 복층유리를 끼울 때는 실링재를 사용하여 고정하며, 시공방법은 제조업체의 제품 자료에 따른다. 8) 강우나 강설 직후 작업할 때에는 작업 발판이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새시 홈에 습기가 남아 있으므로 충분히 사전 건조시킨 후 시공한다. 9) 대형 유리 등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담당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 시공해야 한다. 3.3 주의사항 1) 판유리를 취급할 때에는 모서리에 흠이 생기거나 프레임이 부딪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판유리를 이동할 때에는 모서리에 흠이 생기거나 프레임이 부딪히지 않도록 압착기를 사용하며, 모서리의 손상 방지를 위해 지렛대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시공 중 취급 기구나 재료를 쌓아두어 하중에 의해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주위에서 용접, 샌드블라스팅 같은 작업을 할 때는 판유리의 손상 방지를 위해 두터운 방수포나 합판으로 보호하며, 산성 약품을 이용하여 세척할 때에는 세척 후 깨끗한 물로 유리를 닦아내도록 한다. 5) 시공 중 세팅 블록이나 위치 결정재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외관상 균일하게 유리를 끼운다. 또한 판유리 끼우기용 부속 재료에 얼룩이 묻어 있거나 재료의 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7) 백업재는 줄눈 폭에 비해 약간 큰 것을 뒤틀리지 않게 삽입한다. 8) 현장작업 중에 생기는 부스러기, 먼지, 쓰레기, 코팅재 같은 것에 의해 배수, 환기
314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3.4 유리 끼우기 절단 1) 판유리의 절단은 창호의 유리 홈 안치수보다 상부 및 한쪽 측면을 1.5~2mm 정도 짧게 하여 정확한 모양이 되게 절단한다. 2) 판유리를 내리 끼우기 할 때는 웃막이 홈의 안치수를 15mm 내외로 하고, 유리 양측면은 1.5~2mm 짧게 절단한다. 3) 판유리를 절단하기 전에는 유리면에 부착된 종이, 기름, 먼지 등을 제거하고 깨끗이 닦아주며, 창호의 유리홈은 마른 헝겁으로 청소한다 설치 1) 창호의 뒤틀림 및 유리 홈의 엇턱 등으로 유리 끼우기가 어렵거나 반죽퍼티로 시공할 부위에 습기가 차 있을 때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누름퍼티는 유리 고정철물 설치 후 즉시 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유리 취급 시 단부에 홈이 생기거나 프레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항상 주의하며, 유리를 회전시킬 때는 단부의 손상 방지를 위해 보호 조치를 해야 한다. 4) 유리를 옮길 때는 압착기를 사용해야 하며, 하단부 손상 방지를 위해 지렛대로 유리를 들어올리거나 옮기지 않는다. 5) 시공 중 세팅 블록이나 측면 블록 등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외관상 균일성이 유지되도록 유리를 끼운다. 7) 백업재는 줄눈 폭에 비해 약간 큰 것을 사용하고 뒤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8) 현장 작업 중에 생기는 부스러기, 먼지, 코팅, 이물질 등에 배수, 환기 구멍 등이 막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실런트 충전 1) 충전하기 전 유리면 보호를 위해 테이프를 부착할 경우에는 줄눈 양측의 가장자리선과 일치하게 붙이고 줄눈 내부까지 침범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단, 도장면에 테이프를 붙일 경우 도료의 경화가 불충분하면 테이프 제거 시 박리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2) 실런트의 충전은 줄눈 폭에 맞는 노즐을 선정, 실런트가 심층부까지 충전되도록 가압하며, 공기가 들어가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충전은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실행한다. 4) 작업 후 즉시 테이프를 제거한다. 3.5 청소 및 보양 1) 페인트, 콘크리트, 모르타르, 플라스터 또는 다른 비슷한 재료들이 유리나 금속 프레임
315 위에서 경화되면 홈, 부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즉시 깨끗한 물이나 적당한 용제로 닦아내거나 미리 비닐로 보호하도록 한다. 2) 실링재로 고정된 유리의 경우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이물질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3) 용접, 내화피복 등 유리면을 손상하거나 오염시킬 수 있는 작업을 시행할 때에는 합판, 시트, 보호커버 등을 설치한 후 시행한다. 4) 안전을 위한 경고용 테이프, 천, 종이 등을 유리가 부착된 프레임에 부착하여 이를 표시하고 유리에는 직접 표시하거나 부착하지 않도록 한다. 5) 유리 청소는 창호, 유리, 실런트, 기타 인접 마감면에 변질, 변색, 오염 등을 일으키지 않는 무해한 재료를 사용하여 깨끗이 청소한다. 6) 유리와 접촉하여 다른 재료를 쌓아두지 않는다. 7) 이미 설치된 유리는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닦아주도록 한다. 제4절 유리 종류별 시공법 4.1 강화 판유리 지지구조의 검사 지지구조가 도면대로 제작,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지지구조의 치수 허용편차는 아래 표와 같다. 항목 허용편차(mm) 지지구조의 바닥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 ±2.0 상부 유리벽 지지철물의 접합볼트용 구멍의 피치 ±2.0 리브유리 지지철물의 접합볼트용 구멍의 피치 ± 강화유리 설치 1) 강화유리의 치수 허용오차는 아래 표에 따른다. 2) 연결 철물의 형상, 치수 및 문 상부유리의 절단, 구멍 위치의 치수 허용차는 아래 표와 같다. 항목 허용편차(mm) 연결 철물의 형상, 치수 ± 1.0 강화유리의 절단 및 구멍위치 ± 2.0 3) 상부유리와 리브유리는 서로 수직이 되도록 지지 철물을 사용해서 부착하고 판유리의 하단이 동일 수평선상이 되도록 조정한다. 4) 측면 유리벽은 상부 유리벽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하고, 상부 유리 및 리브보강 유리와 연결 철물을 이용해서 고정한다. 5) 강화유리와 지지틀과의 클리어런스 및 지지 깊이의 최소값은 아래 표와 같다.
316 표. 지지 깊이의 최소값 항목 최소값(mm) 면 클리어런스 5 단부 클리어런스 6 지지 깊이 12 6) 강화유리간의 클리어런스는 3mm를 표준으로 한다. 또 강화유리문의 하단과 바닥 마감면과의 클리어런스는 10mm를 표준으로 한다 실링재의 충전 1) 강화유리와 지지틀과의 접합부에 충전하는 실링재의 깊이는 5mm 이상으로 한다. 2) 그 외 필요한 곳에는 실링재를 충전한다 강화유리문 시공법 1) 문틀의 검사: 문틀이 적정하게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2) 플로어 힌지(Floor Hinge)의 매입 가. 플로어 힌지의 매입은 톱 피벗(Top Pivot)의 축심과 플로어 힌지의 중심이 연직이 되도록 맞춘다. 나. 플로어 힌지의 커버면(Cover Plate)이 바닥의 마감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있도록 조정한다. 3) 문 매달기: 문은 정확한 위치에 주의해서 설치한다. 4) 조정: 문의 플로어 힌지로 개폐 속도, 닫는 위치 등을 조절한다. 4.2 스팬드럴 유리 1) 반강화 처리된 불투명 스팬드럴 유리 뒤에 어둡고 균일한 색상의 백업 단열재를 설치한다. 2) 스팬드럴 유리와 백업 단열재 사이에 최소 12mm 이상의 공기층을 두고 상부에 열 집진 방지를 위한 환기 구멍을 설치한다. 3) 스팬드럴 유리의 세라믹 도료 코팅면이 실내에 향하도록 설치한다. 4.3 반사유리 1) 반사유리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설치 방법을 선정해 시공한다. 2) 접합 강화 복층 스팬드럴 유리로 시공할 경우 좋은 영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8, 10, 12, 15mm의 단판유리를 표준으로 한다. 3) 인접한 유리의 면은 일직선으로 시공하며, 시공 전 풍압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4) 세팅 블록은 유리 폭의 1/4 위치가 최적이지만 영상 조정을 위해서는 양단에 가까운 것이 유리하므로, 지지부재의 하중전달 조건, 변위를 검토해 유리 폭의 1/6 또는 1/8 위치로 할 수 있다.
317 5) 백업재는 충전 시 반사유리의 영상을 일그러지게 할 수 있으므로 특수 백업재를 사용하거나 새시에 일정하게 충전시킨다. 6) 유리 면적에 대한 변의 비율은 1:3 이 넘지 않도록 한다. 7) 유리 시공 시 시공책임자는 유리 외벽 중앙으로부터 30~50m의 거리에서 시공상태를 관측하여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4.4 프리즘 유리 1) 프리즘 유리를 철제 프레임에 설치하는 경우 가. 염화비닐계 합성수지도료를 1회 칠한다. 프레임의 유리받이 부분에는 코킹 컴파운드를 밑에 깔고 염화비닐계 함성수지도료를 1회 칠한다. 나. 칠이 건조된 후, 백색시멘트 모르타르(백색시멘트 1 : 소석회 1회 용적비)로 줄눈을 채운다. 다만, 치장줄눈으로 할 때의 줄눈은 공사 시방에 따른다. 다. 톱 라이트(Top Light)일 때에는 도면에 따라 프레임 주위에 코킹 컴파운드를 충전한다. 2) 프리즘 유리를 콘크리트 벽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 가. 프리즘 유리가 콘트리트에 직접 접촉되는 면에 염화비닐계 합성수지도료를 1회 칠하고,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프리즘 유리를 지정한 위치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부어넣는다. 나. 프리즘 유리를 콘크리트 바닥 또는 평지붕에 직접 설치할 때에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4.5 복층유리 1) 복층유리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 생산되므로 제작 후에는 절단, 가공이 불가능하다. 복수의 유리를 사용해 치수의 오차가 발생하기 쉬워 제작 시 유리의 자중을 받는 아래쪽 면을 맞추므로 발주 시에 아래측을 지정한다. 2) 봉착재는 유기질 재료이고 자외선에 의해 노화되므로 복층유리의 받침대 부분은 접착면이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통상 유리보다 크게 설정한다. 3) 접착부가 장시간 물에 잠겨 있으면 노화가 촉진되므로 설치는 부정형 실링재공법으로 하고 그레이징 가스켓 공법은 피한다. 부정형 실링재 공법의 경우도 새시의 하부에 배수 기구를 만든다. 또 복층유리의 단부 클리어런스는 변위에 대응하기 위한 필요 치수 외에 표면장력에 의해 유리 접착부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크게 설정한다. 4.6 접합유리(Laminated Glass) 1) 두께 5mm 양면 유리 사이에 스펙(Spec)과 동일한 재료를 유리 접착제와 함께 밀착시킨다. 2) 제작 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318 3) 유리 가장자리는 습기에 접하지 않도록 실리콘 처리한다. 4) 재료의 종류는 도면 및 스펙에 기준한다. 5) 견본품을 제작하여 검토한 후 시공한다. 4.7 에칭유리 재료 1) KS L 2012에 합격한 판유리를 사용해야 한다. 2) KS L 2012에 합격한 판유리라도 육안 검사 시 홈이 난 유리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3) 강화유리를 사용한다. 4) 에칭을 위해 사용하는 유리의 두께는 8mm 이상 19mm 이하로 한다 제작 공정 1) 디자인 승인 디자인 축소(확대) 세척 2회 불산방지제 도포 배포작업 인화 작업 칼 다듬질 스프레이 샌딩 불산 부식 순수 세척 2회 육안 검사 제품 포장 2) 테이프 작업 전 필히 유리의 부식 방지를 위해 불산방지재를 유리 표면에 도포해야 한다. 3) 칼 다듬질 할 때는 테이프용 칼이나 제조용 칼을 사용하되 칼의 각도는 45도를 유지하여 유리의 홈을 방지한다. 4) 스프레이 샌딩 시 60~100방의 금강석을 사용해야 한다. 5) 테이프 작업을 할 때는 비닐 테이프와 면 테이프(5mm)를 병용하여 샌딩 시 유리 표면에 홈이 나지 않도록 한다. 6) 불산을 도포할 때 유리의 끝부분은 반드시 모두 테이프로 둑을 쌓듯 붙여 뒷면에 불산이 묻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7) 세척할 때는 반드시 순수 세척기와 정확한 순수 세척수를 사용해야 한다. 8) 제작 중 에칭 이외 부분의 샌딩을 막기 위해 샌딩 테이프와 샌딩 보호용 테이프를 이중으로 접착시킨다 운반 및 시공 1) 에칭유리는 반드시 유리 철재 프레임을 탑재한 차량으로 운반해야 한다. 2) 운반 전 에칭 표면은 테이프로 보강한 후 시공 전까지 떼어서는 안 된다. 3) 시공 시 유리 밑면에 유리 크기의 1/4 위치에 세팅 블록(네오프렌 고무)을 끼워 넣어 하중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한다. 4.8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 품질 KS G 36018호에 의한 동등 이상의 품질로서 품질검사에 합격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319 4.8.2 규격 및 구성 1) 규격: 사용 부위별 두께 및 크기는 도면 및 시방에 기준한다. 2) 구성: 스테인드글라스 패널 표면에 패널의 휘어짐, 안전도를 감안하여 Brass Flat Bar 20 3T를 압출 제작하여 제작된 스테인드글라스와 용접 가공한다. 이때 프레임의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드글라스를 프레임에 설치 시 공기순환이 잘 되도록 제작해야 한다 디자인 및 재료 1) 예를 들어 고딕 건축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볼 수 있는 글라스 페인팅과 초자 무늬로 연출하는 방법 등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2) 디자인에 따라 모형판을 제작하여 사전 검토 후 제작에 착수한다. 3) 기능 및 특성: 디자인에 따라서 색유리의 특성을 살려 사용해야 하며 먼지나 습기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설계돼야 한다. 청결 유지 등을 고려하되 투시성, 연출 효과는 물론 방음, 방수, 방품, 방냉성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도안한다. 4) 재료 선택: 조명기구 등의 난반사는 유리의 선택과 초자 안료의 온도 조절로 처리하며 아크릴 등의 뒷면에 사용하는 것은 절대 금한다 재료 1) 색유리 가. Antique Glass: 대부분 바탕색(배경) 유리에 사용한다. 일부 글라스 페인팅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열처리 시 유리에 따라 불투명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온도 조절 및 유약을 선택해야 한다. 나. Pearl Glass: 악센트 부분에 사용하며, 빛의 투과성이 높고 좋으면서 난반사를 막는다. 투명 초자로 무늬를 그려 넣으면 고전적인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출할 수 있다. 글라스 페인팅 시 열처리 후 진주의 효과가 없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다. Cathedral Glass: 글라스 페인팅 등 극히 일부에만 사용된다. 천장의 골조나 전구가 직접 보일 우려가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라. Opal Escent Glass: 글라스 페인팅 및 가라쿠사에 소량 사용하며, 큰 작품일 경우 많이 사용하면 지나친 빛의 차단으로 답답한 느낌을 준다. 마. Beveled Glass: 유리 덩어리를 보석처럼 연마하여 악센트 부분에 끼우는 것으로 색유리 모서리를 연마하여 사용한다. 2) 글라스 페인팅 및 바탕무늬용 초자 안료 착색제(산화제) 색상 황화카드뮴(CBS) 황색, 적색 셀레늄(SE) 적색, 피 브롬화니젤(NIBR 2 ) 갈색 염화 금(AVCI) 황금색
320 산화코발트(COO) 이산 감청색 화망간(MIN02) 무색 1) 기타 다른 색상이 요구될 때 황화카드뮴 및 셀레늄 계통은 혼합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다른 색도 100~115 에서 건조후 색상별로 810~820 FH에서 소성해야 한다. 소성 후 자연냉각시켜야 균열이 없으므로 서냉로에서 1일 이상은 반드시 방치시켜야 한다. 3) 전체적으로 투명 초자 안료를 사용하며 열처리 시 온도 조절을 통해 반투명성을 갖게 하여 조명등의 직접적인 노출을 방지한다. 4) 이음납(Leade Came) 가. 형태: H형, 둥근형, ㄷ형 나. 용도: (H형, 둥근형) 스테인드글라스의 중간 이음납 다. 두께: 5, 6, 8, 10, 12, 18, 20mm 라. 창문이나 천장 작업 등 대형작품에 적합하며 녹이 슬지 않고 유연하여 이음납에 따라 디자인의 선을 표현할 수 있다. 5) Solder : 60% 이상 주석 사용(유리와 유리를 연결한 이음납과 만나는 지점을 용접할 때 사용한다) 6) 작품 보호용 보강대 : 이음납의 휘어짐 및 작품의 보호를 위해 신주 보강대를 설치한다. 7) 기타 사항은 건설부 제정 표준시방서에 준하며 자재는 KS 제품을 사용한다 제작 1) 지정된 디자인을 실제 크기로 확대 그림 2) 확대 그림에 따른 유리의 색상 및 종류 지정 3) 유리 절단 및 이음납 제작 4) 색유리 샌딩(Sanding) 및 시핑(Chipping) 5) 글라스 페인팅 및 무늬 투명 초자 열처리(색상에 따라 650~800 ) 6) 글라스 페인팅 및 무늬 초자 그림 7) 이음납으로 조립 8) 보강대: 스테인드글라스 전면에 작품의 보호를 위해 설치 9) 마감 작업 가. 브러시 작업: 이음납의 용접 부분 및 유리면을 깨끗이 청소 나. 퍼티 작업: 이음납과 유리의 틈새 메우기 설치공사 제작된 작품을 프레임에 올려 고정시킨다. 4.9 거울 시공 거울을 시공하는 방법에는 접착제와지지 철물로 고정시키는 방법과 양면 테이프 및
321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와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와 지지 철물로 고정시키는 방법 철물과 거울 면의 접촉면에 충격 완화재를 끼워 접착제와 양면 테이프를 병용하여 줄눈에 맞춰 붙여 나간다 양면 테이프와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방법 거울 뒷면에 양면 테이프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고정 방법이다. 거울은 시멘트로 마감한 미장 면에 거울이 직접 닿지 않도록 반드시 타일면에 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거울시공 순서 1) 거울 시공 전에 벽면의 이물질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2) 바탕면에 본드, 스펀지 양면 테이프 등을 고르게 붙인다. 거울 접착 뒷면과 바탕 면과의 사이에는 벽면 하자불량 및 전면 충격 시의 완충작용을 위하여 3mm 이상의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야 하며, 거울의 하중관계를 고려하여 거울 면적의 적당량을 고르게 부착한다. 3) 대형 거울을 시공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면이나 모르타르 면의 건조, 고름 등의 문제 때문에 내수 합판을 밑창 붙임하고 그 위에 붙여야 한다. 부득이 콘크리트 벽면에 직접 부착 시에는 시멘트가 완전 양생이 된 후 시공하여야 부착력이 오래가며 거울 수명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4) 거울 취부 작업은 모든 공정 중에서 마무리 작업에 속하며, 시공 후에는 거울이 파손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보양하여야 한다. 제5절 유리 대용품 5.1 아크릴 일반사항(용도) 항공기, 자동차, 전차, 열차, 조명, 간판, 방음벽, 안전거울, 선바이저, 문구류, 채광창, 실내외 천장, 가로등, 광고, 건축, 도어, 각종 기계류 계기판, 문자판, 시계, 렌즈, 화장품, 판촉물, 인테리어, 잡화, 장식장, 가구, 진열장, 디스플레이, 대형 수족관, 해저터널, 각종 모형 등 디자인 요구대로 가공성이 용이하여 상품의 고급화에 필요한 모든 분야에 걸쳐 산업자재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아크릴의 특성 원료 MMA(Methyl Methacrylate) 이고 무기 유리의 약 1/2 이며 비중이 높을수록 중압률이 비중 높아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좋다. 광학적 특성 - 빛투과율 92-98%로 투명도가 뛰어나며 분광 광선투과율은 자외부에
322 열가공성 무독 무해 (인체) 무색투명 칼라의 다양성 무광아크릴 강도와 무게 표면광택의 우수성 내후성 성형성 가공성 있어서 2,500A의 파장정도에서 입상을 나타내 자외선을 투과하기 시작하고 보통 무기유리보다 월등한 자외선 투과성을 보여주고 있다. - 가시 광선 영역에서는 흡수열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 가시광선 투과율은 약 93%이며 약 7%는 표면 반사율이다. - 굴절율에 있어서는 상온에서 나트륨 D선에 대해 1.49로 1.52의 보통 무색유리보다 약간 낮다. - 아크릴은 MMA(Methyl Methacrylate)가 주원료로서, 열가소성 온도는 70~110 이며 95~110 로 굽힘가공, 성형가공을 해도 백화 크레이징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 현대는 유독성 산업재로 인한 환경오염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는 시대이지만 아크릴만큼은 무독성으로 식기 및 식료품 용기, 의치, 의안, 의골, 인큐베이터, 등 직 간접적으로 인간의 필수 용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무색투명 아크릴은 수정같은 투명성을 지녀 약 2m 의 두께 에서도 물체를 온전히 투시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성이 뛰어나 항공기의 창이나 두꺼움이 필요하면서도 고급성이 필요한 장식장 및 먼거리의 빛을 이용하기 위한 조명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 아크릴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안료, 도료에 의한 착색이 자유롭고 선명한 착색제조를 얼마든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 성형을 위한 가공시에도 변색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평면 엠보싱 처리로 은은한 광택이 있다. - 인테리어 및 특수용도로 사용된다. - 충격 강도에 있어서 강화 유리와 비교할 때 약 4배에서 17배 이상 높아 항공기의 방풍용등 안전도가 요구되는 곳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무게비교는 상대적인 유리의 약 1/2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 아크릴은 강한 강도에 비해 열가소성이 우수하여 의치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단 유리에 비해 마모성이 약한 것이 단점이다. - 아크릴 표면은 높은 광택의 유지 및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서 실내장식, 장신구, 디스플레이용 등 산업 전반 각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오랜 시간이나 기후변화에도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지녀 변색, 표면상태, 강도 등 물리적 성질에 잘 약화되지 않는 우수한 내후성이 장점으로 항공기의 방풍, 옥외간판, 교통표지판, 자동차 램프커버 등 기타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 아크릴은 가열로 구부리기, 단곡면, 복곡면, 박스, 기타 복잡한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에 있어서는 가압성형,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이 있다. - 성형시 온도에 따른 변색이나 약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품질 변화가 없다고 볼 수 있다. - 아크릴은 성형 이외에 기계로써 구멍뚫기, 절단, 절삭, 천공, 조각, 연마와 접착, 도장, 염색 등 각종 가공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한편 절단 부분을 연마하면 본래 광택과 동일한 표면처리도 가능하다. 때문에 다른 산업 원자재와 비교해 활용도가 높으며 가공법도 약
323 5.1.3 아크릴재 종류별 규격표 3만여 종류에 이른다. 두께(mm) 1T 1.3T 1.5T 1.8T 2T 2.5T 3T 3.5T 4T 4.5T 5T 6T 7T 8T 10T 12T 15T 18T 20T 25T 30T 3*6(910*1830) 정3*6(1020*1900) 4*5(1220*1539) 정4*5(1300*1610) 대1*2(1100*2100) 대4*6(1300*1900) 대4*8(1305*2515) 대5*8(1600*2515) 규격 대6*8(1900*2515) (750*1830) (990*1470) (1025*1525) (실 유리 (1030*1525) (1060*1580) (1120*1680) (1330*1330) 사이즈) (1435*1435) (1650*1650) (1390*1990) (1390*2590) 아스텔 생산 유리 (3*6) (정3*6) (4*5) (대4*8) 무광 (1030*1525) 5.2 폴리 카보네이트(렉산시트) 일반사항 천장, 캐노피, 건축물의 연결통로, 건물 및 거실, 공장 등의 채광판 및 지붕재, 고층아파트의 창호 및 안전유리, 박물관, 병원의 창, 수영장, 실내체육관 지붕, 사격장, 수족관 및 식물원, 온실, 동물원의 울타리, 방탄 및 방음벽, 자외선 차단 구역, 각종 약품 저장소, 버스정류장의 대기소, 주유소 캐노피, 공중전화 부스, 자동판매기 및 진열장, 실내 칸막이, 실내외 사인보드 등에 다양하게 유리 대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폴리 카보네이트의 특성 1) 내충격성 기존 강화유리에 비해 150배 이상, 판유리의 250배, 아크릴의 30배이기 때문에 각종 안전사고나 도난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해준다. 2) 에너지 절약 단열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판유리와 견주어 열관율이 낮기 때문에 높은 열효율로 냉 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시공성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중이 유리의 1/2 정도의 경량으로 구조물 설치비가 절약될 뿐더러 취급이 용이하다. 4) 투시성 빛의 확선성이 크며,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 판유리와 같이 맑고 아름다운 표면 광택이 있다. 또한 제품 색상이 플라스틱류의 제품보다 다양하다. 5) 단열과 자외선 차단 우수한 단열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햇빛으로 인한
324 가구류, 미술품 등의 변색을 방지한다. 6) 내구성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자기소화성이 있으며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는다 폴리 카보네이트의 종류별 특성 1) 폴리 카보네이트 9034 SHEET 가장 보편적인 제품으로 내충격성, 결량성, 다양한 색상, 높은 보온 효과, 자유로운 조형 창조 등의 장점과 미적 기능까지 갖춘 다기능 제품이다. * 용도: 건축물의 외벽 실내외 천장, 캐노피, 연결통로, 사인보드, 각종 열가공제품 등 2) 폴리 카보네이트 XL SHEET 폴리 카보네이트의 표면에 특수 코팅을 하여 내구성을 증가시켰으며 자외선 차단효과가 높다. * 용도 : 천장 캐노피, 연결통로, 식물원, 수영장, 방음벽등 기타 자외선 차단이 필요한 곳. 3) 폴리 카보네이트 MARGARD SHEET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내마모성 특수 코팅을 하여 표면 경도를 더욱 증가시킨 제품으로 출입이 빈번한 곳의 창호용으로 사용되며 항상 깨끗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한다. * 용도 : 버스, 학교나 공공건물의 출입구 및 난간, 은행의 창구, 병원의창, 동물원 울타리, 매장의 진열창 등 4) 폴리 카보네이트 LTC SHEET 아이빔형 구조체로 단열이 필요한 곳과 제품의 반투명성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또한 표면에 자외선 차단용 코팅을 하였으며, 같은 두께의 판유리와 비교하여 무게가 1/16로 구조물 설치비가 절약된다. * 용도 : 식물원, 수영장, 천장, 온실, 스타디움, 실내칸막이 등 5) 폴리 카보네이트 PAG SHEET 표면 엠보싱 처리된 제품으로 독특한 문양이 주는 반투명성 때문에 외부 시선으로부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안전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한다. * 용도 : 일반건축물의 창 공장과 산업설비의 창, 반사광 차단 및 프라이버 시 보호가 요구되는 곳 6) 폴리 카보네이트 LEXGARD SHEET 제품 두께에 따라 보호용과 방탕용으로 구분된다. 보호용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방탄용은 거의 모든 총격에(미국의 UL 규격 752-방탄목록)
325 탁월한 방탄효과를 낸다. 7) 폴리카보네이트 S/SG SHEET 판상형의 렉산제품을 절단하여 금속 프레임과의 조합 방식으로 또는 몰드를 이용한 열가공으로 여러 가지 모양의 사인물을 제작할 수 있다. 색상이 다양하여 선택이 자유롭고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탁월하고 기후의 변화에 잘 견뎌 사인물의 수명을 길게 한다. * 용도 : 외부 간판, 실내 사인보드 등
326 SECTION 도장 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및 규준 적용 범위 이 시방은 건축물 실내 외의 일반적인 도장공사에 대한 것이며, 특정 도장 재료는 그 제품의 특기 시방에 준한다 규준 한국산업규격(KS) 제품에 기준하되 종류별 도장 재료에 따라 규준을 서술한다. KS M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KS M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KS M 광명단 조합페인트 KS M 조합페인트 KS M 조료용 희석제 KS M 조료용 희석제 1.2 도서 및 제출물 제품 설명자료 도장재의 종류별로 세부 품질기준, 배합 희석, 환경 조건, 바탕준비 상태, 도장재를 사용할 때 유해물질에 대한 과다 노출 등 안전조치 사항이 포함된 제조업체의 제품자료 견본 공사에 사용되는 주요 부분의 도장 및 뿜도장 등은 사전에 색상, 광택, 조직 등에 관한 견본품(크기 mm)을 제작하여 승인을 얻은 후 실시하며, 특수 코팅의 색상, 질감, 마무리 상태를 확인할 경우는 견본 시공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제조업체의 작업설명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면 처리 과정과 바탕면의 조건 등에 대한 사항들이 포함 되어야 한다. 1.3 운반, 보관 및 취급 1) 재료는 봉해져 있어야 하고 표지(Label)가 붙은 채로 현장에 반입되어야 한다. 2) 가연성 도료는 전용 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저장 장소는 내화 구조 또는 방화구조로 된 장소를 선택해야 하며, 도료 창고에는 화기 없음 을 필히 표시한다.
327 보관할 때에는 소화기 및 소화용 모래 등을 배치한다. 3) 용기에는 제조업체명, 페인트 종류, 상품명, 생산번호, 상품코드, 면적당 소 비량, 표면 처리, 건조시간, 색상 명칭, 혼합과 희석제 등에 관한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 4) 페인트 재료는 환풍 시설이 된 장소에 주변 기온을 7~32 로 유지시켜 보관하고, 제조업체의 사용설명서에 따른다. 5) 재료를 보관하는 장소는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환기가 잘 되며 먼지가 나지 않는 곳을 선택한다. 1.4 기후 및 작업 조건 1) 작업장소의 기온이 5 이하, 35 이상이거나 습도가 85% 이상일 때는 작업을 중지한다. 주위의 다른 작업으로 인해 도장작업에 지장을 받거나 칠의 손상이 우려될 때, 바람이 강하여 칠이 날리거나 작업 부산물이 흩어질 경우에도는 작업을 중지한다. 칠막의 각 층은 가급적 얇게 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다음 공정에 들어간다. 2) 칠할 면과 주위 기온이 페인트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명시된 온도 범위를 벗어났을 때는 도장작업을 하지 말아야 한다. 3) 비나 눈이 올 때, 페인트 제조업체가 지정한 상대습도 범위를 벗어났을 때는 외부 코팅을 해서는 안 된다. 4) 라텍스(Latex) 페인트의 시공 가능한 최저 온도는 제조업체의 특기 시방이 없을 경우 내부 7, 외부 10 로 한다. 5) 바니시(vanish) 페인트의 시공 가능한 최저 온도는 제조업체의 특기 시방이 없을 경우 내외부 동일하게 18 로 한다. 6) 칠할 면은 860룩스 정도의 밝기를 유지해야 한다. 7) 작업 시 기후 조건은 온도 약 20, 습도 약 75%일 때가 가장 이상적이다. 1.5 여유 자재(Extra Materials) 1) 도장의 표준량은 평평한 면의 단위 면적에 소요되는 양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사용량은 도장하는 바탕면의 상태나 도장 재료의 손실 등을 감안하여 여분을 준비해야 한다. 2) 시공자는 시공 면적에 따라 색상별, 종류별로 자재를 보관, 제공해야 한다. 3) 각 용기에는 제조업체 표지와 더불어 색상, 타입, 질감 및 위치별 표식을 작성하여 붙인다. 제2절 도료의 품질과 종류 2.1 일반사항 1) 자재는 반드시 검수를 거친 후 현장에 반입해야 한다. 2) 규격, 종별의 선정, 희석액의 배합 비율, 도료 용도의 선정 등은 각 도장, 종별표에
328 기준한다. 3) 도장 재료는 한국산업규격(KS)에서 지정한 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공사 시방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는 그 제조회사 제품의 특기 시방에 따른다. 2.2 도료의 품질, 종류와 용도 도료의 품질과 종류는 다음 <표>를 참조한다. 도료의 품질에 관한 규정 및 합격해야 할 번 도장 희석제 규격 호 명칭 규격번호 품질내용 규격종별 (시너) 사용 용도 1 조합페인트 KS D 5312 조합페인트 1급 페인트 목재, 철재, 아연, 2급 시너 도금면 조합페인트 조합페인트 외부용 목재 페인트 2 목재용 KS M 급 목부 초벌용 프라이머(백 시너 프라이머 색 및 담색) A류 B류 3 녹막이 도장 재료 C류 D류 E류 KS M 아연말 1종, 2종, 3종 페인트 5325 프라이머 시너 KS M 광명단 페인트 5318 조합페인트 1, 2, 3, 4, 시너 KS M 크롬산 아연 1종 5323 방청페인트 2종 페인트 KS M 광명단 크롬산 아연 방청페인트 5424 징크로메이트 및 프탈산 수지를 주제로 하는 녹막이 페인트 철부 아연도 강판 방청용 철부 녹방지용 철부 녹방지용 철부 방청용 철부 경금속부 방청 폴리베닐프부고랄 수지와 인산 등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4 와셔 금속면 처리제를 1종 지정 KS M 5337 프라이머 겸한 프라이머로서 2종 시너 공사 시방에서 정하는 제품으로 한다 2종을 주제로 한 것으로서 도장 5 페인트 시너 KS M 5319 제조회사가 지정한 2종 것 6 셀라닉스 KS M 5602 셀락 바니시 혹은 락크니스 공업용 변성 금속면의 표면 처리제 도료 희석용 옹이땜 송진막이
329 알콜 스밈막이 합성수지를 이용한 규격에 합격하는 페인트 7 오일퍼티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당량의 구멍땜용 시너 체질안료를 섞어 쓴다. 불포화 8 불포화 폴리에스터 퍼티로서 고형분이 지정 폴리에스터 100%인 도막형 도료 시너 퍼티 구멍땜용 9 리무버 공사 시방에서 지정하는 제조사의 제품 도막제거용 스파 1종, 10 바니시 KS M 5603 바니시 2종 페인트 KS M 5601 알키드 1급, 시너 목재용 바니시 2급 11 착색겸용 유성 스테인 또는 수성 스테인과 체질안료를 눈먹임제 섞어서 만든 제조자의 제품(stain filler) 착색 및 눈 메움제 유성 스테인 또는 수성 스테인으로서 변색이 안 약품처리에 따른 되고 도료에 유해한 작용이 없으며, 밀착을 12 착색제 착색은 특기 시방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서 담당원이 지정한 것을 따름 선정한다(stain) 13 스밈방지제 (바니시 투명 락크니스를 그 농도가 10% 내외가 되게 변성알콜로 묽게 한 것으로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흡수방지용 도장용) 사용한다 자연건조형 알키드 14 KS M 종: 광택 페인트 목재, 철거, 아연 합성수지 에나멜 2종: 반광 시너 도금면 각색(프랄산 수지 3종: 무광 상도용 에나멜) 래커 15 에나멜 래커 KS M 16 시너 5316 투명 KS M 17 래커 5326 우드 KS M 18 실러 샌딩실러 KS M 5300 리타더 20 시너 래커 에나멜 (lacquer enamel) 니트로 세롤로오그 래커용 시너 투명 래커 (clear-lacquer) 래커 우드실러 (lacquer wood sealer) 래커 샌딩실러 (sanding sealer) 리타더 시너 (retarder thinner) 3종 래커 시너 (lacquer thinner) 래커 시너 래커 시너 래커 시너 목재, 철재, 아연도금면 희석용재 목제 철재류 눈메움용 면조정용 건조지연제
330 21 알루미늄 바니시 22 염화비닐 바니시 염화비닐 23 프라이머 염화비닐 퍼티 염화비닐 에나멜 KS M 5335 폐놀계 또는 석유계 합성수지와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도료 염화비닐 바니시 염화비닐 프라이머 염화비닐 퍼티 염화비닐 에나멜 1종 2종 3종 1, 2종 페인트 시너 염화 비닐 시너 철재류 바탕면 누름용 스밈막이 초벌용 방청용 바탕퍼티 먹임용 목재, 철재, 모르타르면 24 염화비닐 시너 아크릴 바니시 염화비닐 시너 사용하는 아크릴 에나멜의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제품 희석용제 초벌용 스밈방지 아크릴프 사용하는 아크릴 에나멜의 초벌용(칠부면 25 라이머 아크릴 퍼티 아크릴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제품 사용하는 아크릴 에나멜의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제품 사용하는 아크릴 에나멜의 아크릴 시너 녹막이 도장용) 초벌, 퍼티먹임용 시멘트 모르타르, 에나멜 아크릴 시너 합성수지 에멀션 퍼티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액형 우레탄 바니시 2액형 우레탄 실러 2액형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재료 공사 시방이 지정하는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사용하는 합성수지 에멀션의 제조자가 지정하는 제품 합성수지 에멀션 KS M 5310 페인트(외부) 1.2급 합성수지 에멀션 KS M 5320 페인트(내부) 1.2급 공사 시방에 지정된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공사 시방에 지정된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공사 시방에 지정된 제조자의 제품 또는 담당원의 철재, 목재용 희석용제 바탕면 누름용(스밈막이용) 시멘트 물 모르타르 초벌, 페인트 재벌,정벌 시너 목재용 2액형 눈먹임 우레탄 살오름용 시너 2액형 초,재,정 우레탄 승인을 받는다 우레탄 벌목재용
331 바니시 2액형 시너 초벌용(금 사용하는 2액형 우레탄 바니시의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우레탄 속면 제품 시너 녹막이용) 30 무늬도장 초벌용(금 지정 금속용 사용하는 무늬도장의 제조회사가 지정하는 제품 속면 시너 프라이머 녹막이용) 31 무늬코트 두색 이상의 안료색상을 가진 입체감이 있는 다색채 정벌용 무늬도장 무늬 에 폭 시 에 사용하는 에폭시 에나멜의 제조회사가 지정한 스터 퍼티 제품 구멍 메움제 에폭시 초벌용(칠부 사용하는 에폭시 에나멜의 제조회사가 지정한 에폭시 에스터 면 녹막이 도 32 제품 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에스터 프라이머 장) 에폭시 시너 공사 시방에서 지정된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 정벌용, 철재 에스터 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용 에나멜 콘 크 리 트, 2액형 사용하는 2액형 에폭시 에나멜의 제조자가 지정 모 르 타 르 면 에폭시 하는 제품 용, 금속면 프라이머 에폭시 33 녹막이 시너 2액형 공사 시방에 지정한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당 철재, 콘크리 에폭시 원의 승인을 받는다. 트면 에나멜 2액형 후도막 에폭시 사용하는 2액형 후도막 에나멜의 제조회사가 지 정하는 제품, 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제품 에폭시 시너 콘크리트, 모 르타르면용, 금속 녹막이 34 프라이머 도장 2액형 후도막 재벌, 정벌용 공사 시방에 지정한 제조회사의 제품 또는 담당 타르 에폭시 콘크리트 금 원의 승인을 받는다. 에나멜 시너 속 에폭시 수지와 폴 내유성을 필 35 타르 에폭 KS M 5307 고 여기에 타르, 2종 에폭시 는 초벌, 재 시 도장 안료 등을 혼합한 3종 시너 벌, 정벌용 도료 2액형 리아미드를 사용하 1종 2액형 타르 요로 하지 않 36 광택합성 수지 특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수분 산성으로 공해, 인화성이 없는 광택 페인트 물 재벌, 정벌용,
332 에멀션 페인트 37 염화고무 도료 38 폴리우레 탄 수지 에나멜 39 불소수지 에나멜 40 뿜도장용 도재 방균 페인트 바닥재 도료 내알칼리성, 내수성이 우수한 수지로서 수영장에 지정 적합한 도료 시너 폴리에스터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를 주체로 한 내 폴리우레 화학성 고광택,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료 탄 시너 초내후성, 산/알칼리성이 강하고 시멘트, 콘크리트 지정 건축물의 외장용으로 사용되는 도료 시너 지정 합성수지와 체질안료를 혼합한 입체무늬 도료 시너 건축물 내외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 목재 등 지정 에 곰팡이균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만든 페인트 시너 특수에폭시, 우레탄 수질을 이용하여 내마모, 부 지정 착성, 내오염성이 요구되는 바닥재 도료 시너 철재, 모르타르 용 내수성 수영장용 재벌, 정벌용 콘크리트 면 콘크리트, 모르타르 철재류 재벌, 정벌치장 용 초벌, 재벌, 정벌용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 제3절 바탕 만들기 공사(면 처리) 3.1 목부 바탕 만들기 목재 도장은 금속 도장과 같이 바탕조정에 따라 양부가 결정된다. 목재의 바탕은 목재의 종류, 벌채 시기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사전에 그 재질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공정 목부 바탕 만들기의 공정, 도장,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1> 목부 바탕 만들기 공정 공정 내용 면 처리 건조시간 1 오염, 부착물의 오염, 부착물의 제거, 유류는 휘발유, 제거 시너 닦기 2 송진의 처리 송진의 긁어내기, 인두지짐, 휘발유 닦기 대패자국, 거스러미, 찍힘 등을 #120~150 3 연마지 닦기 연마지로 닦기 도료량 (kg/m )
333 4 옹이땜 셀라닉스 옹이 및 그 주위는 2회 붓으로 도장하기 간회 1시간 이상 5 구멍땜 구멍땜용 갈림, 구멍, 틈서리, 우묵한 곳의 퍼티 땜질하기 24시간 이상 공법 목부의 바탕 만들기는 일반적으로 옥내 부분을 더욱 면밀히 하고 기타 사항은 도장 종류, 도장 부분, 도장 환경, 바탕재의 수종, 바탕의 형상에 따라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목재 연마는 바탕 연마와 도막 마무리 연마 2단계로 행한다. 1) 표면이 두드러진 못이나 타카핀은 깊이 박고, 녹이 슬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징크 퍼티를 채운다. 2) 먼지, 오염, 부착물은 목부를 상하지 않도록 제거하고, 필요하면 상수도물 또는 더운물로 닦는다. 3) 유류, 기타 오물 등을 닦아내고 휘발유, 시너 등으로 닦는다. 4) 대패자국, 거스러미, 찍힘 등은 바탕의 재질에 따라 연마지(샌드페이퍼 #120~240)로 닦아 제거하고, 다시 #240 연마지로 면, 모서리 등이 두리 뭉실하지 않고 약한 부분의 재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평탄히 연마한다. 다만, 옥외 부분의 처마고리, 비늘판 등은 지장이 없는 한 연마지 갈기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5) 녹아 나온 송진은 칼, 주걱 등으로 긁어내고, 송진이 많은 부분(옹이의 갓둘레)은 인두로 가열하여 송진을 녹아 나오게 한 후 휘발유로 닦는다. 6) 옹이땜은 옹이 갓둘레, 송진이 나올 우려가 있는 부분(삼송소나무의 적심 부분 등)에는 셀락니스를 1회 붓도장하고, 건조 후 다시 1회 더 도장한다. 7) 나무의 갈라진 틈, 벌레구멍, 홈, 이음자리 및 쪽매널의 틈서리, 우목한 곳 등에는 구멍땜용 퍼티를 써서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8) 투명 도장(바니시, 투명 래커 등)을 하는 경우 바탕면에 심한 얼룩, 오염, 변색 등이 있으면 필요에 따라 표백제를 사용할 수 있다. 표백액은 미지근한 물에 풀어 솔 또는 스펀지를 사용하고, 표백 후에는 더운 물로 씻고 완전히 건조시킨다. 참나무일 때에는 #100 정도의 연마지를 고무, 코르크 등으로 받쳐 평평하게 닦는다. 3.2 철부 바탕 만들기 금속 표면에는 유지나 녹, 흑피, 기계유 등 여러 종류의 오염물이 부착되어 있기 쉬우며 이들 오염물은 도막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공정 철부 바탕 만들기의 공정은 바탕재의 종류, 면의 형상, 사용 부분 및 녹막이의 화학처리 방법에 따라 아래 표를 기준으로 한다. <표 2> 철부 바탕 만들기의 공법
334 종별 공정 내용 면 처리 (1종) 인산염 처리 (2종) 금속바탕 처리용 프라이머 도장 (3종) 보통의 금속 공법 1 덜맴, 부착물 제거 2 유류 제거 3 녹떨기 4 화학처리 5 피막 마무리 1 오염, 부착물 제거 2 유류 제거 인산염 처리 (크롬산 처리) 덜맴, 부착물을 스크레이퍼(scraper), 와이어 브러시(wire brush) 등으로 제거 휘발유 닦기, 비눗물 씻기 또는 약한 알칼리성액 가열처리 경미한 녹, 녹슬음은 산 담그기, 더운물 씻기 또는 샌드블라스트 (sandblast)로 제거 인삼용 용액에 담갔다가 더운물로 씻은 후 건조(크롬산에 다시 담가 처리) 스틸 울(steel wool), 연마지, 천 등으로 가볍게 연마 오염, 부착물을 스크레이퍼(scraper), 와이어 브러시(wire brush) 등으로 제거 휘발유 닦기, 비눗물 씻기 또는 약한 알칼리성액 가열처리, 더운물 씻기 금속바탕 1회 붓질 또는 스프레이 도장 3 녹 방지 도장 처리용 프라이머 (와셔 프라이머) 1 오염, 부착물 오염, 부착물을 스크레이퍼, 제거 와이어 브러시 등으로 제거 2 유류 제거 휘발유 닦기 스크레이퍼, 와이어 브러시, 손연마 연마지 등으로 녹떨기 3 녹 제거 그라인딩 휠, 회전식 와이어 기계연마 브러시 등 동력 공구 사용 건조 시간 곧 화학 처리 도료량 (kg/m ) 2시간 이내 0.02 철부의 바탕 만들기의 정도는 도장 종별, 도장 환경, 도장 장소, 바탕재의 형상 등에 따라 결정하고 새시 바(sash bar), 얇은 강판 등은 특히 정밀하게 한다. 녹 제거 또는 화학처리를 한 다음 마감 도장에 착수한다. 1) 바탕 만들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장소에서 바탕재 조립 전에 한다. 2) 오염, 먼지 등은 닦아내고 단조, 용접, 리벳접합 등의 부분에 부착된 불순물을 스크레이퍼, 와이어 브러시, 내수 연마지 등으로 제거한다. 3) 기름, 지방분 등의 부착물은 닦아낸 후 휘발유, 벤졸, 트리크렌, 솔벤트, 나프타(naphta) 등의 용제로 씻어내거나 비눗물로 씻고, 더운물 등으로 다시 씻어
335 건조시킨다. 철재의 상호, 수장, 가구 등의 얇은 강판재를 칠한 것과 화학처리한 것은 주의하여 탈지하고, 알칼리성 수용액(가성소다, 메탄 규산소다, 이산소다 등의 수용액)에 담가 70~80 로 가열한 후 더운물로 씻어내어 알칼리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휘발유, 벤졸, 트리크렌 등의 용제로 씻어낸다. 4) 일반 구조용재 등의 격지 높은 망치, 스크레이퍼 등으로 제거하고 붉은 녹은 와이어 브러시, 내수 연마지(#60~#80)로 제거한다. 새시 바는 신장기로 당겨서 검정 녹을 제거한 후 와이어 브러시, 내수 연마지(#60~#80)로 가는 녹을 제거하여 엷은 산화물 피막을 남길 정도로 한다. 강제 창호, 수장, 가구 등의 얇은 강판은 롤러로 칠한 뒤 와이어 브러시, 에머리 클로티(emery cloty) 등으로 대부분의 철재면이 나타날 정도로 검정 녹, 가는 녹을 제거한 다음 샌드블라스트로 녹떨기를 한다. 화학처리를 할 때에는 약산성 수용액에 담가 가열한 후 더운물로 씻어 검정 녹, 가는 녹, 깊은 녹을 제거한다. 5) 인산염 처리는 견본품을 제출하여 승인을 받도록 한다. 인산염 용액에 철재를 담가 강고한 인산염 피막을 일정하게 형성한 뒤 더운물로 씻어낸다. 6) 금속 바탕처리용 프라이머 도장은 도장번호에 규정하는 금속 바탕처리용 프라이머를 도장솔로 고르게 1회 얇게 도장한다. 7) 녹떨기나 화학처리를 한 후에는 철재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을 적당한 방법으로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8) 모래나 철강 등의 입자를 압축공기로 붙여 그 충격과 마찰력에 의해 녹이나 검정 녹, 기타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주위 환경조건과 도료의 종류에 따라 바탕 만들기의 등급이 결정된다. 블라스팅에는 4등급의 소지처리 방법이 있다. <표 3> 블라스트법에 의한 바탕 만들기 표면 상태 완전나금속 블라스트 (white metal blast) 준나금속 블라스트 (near white blast) NACE 규격 SSPC 규격 스웨덴 규격 (SIS) 1 SSPC-SP5 Sa 3 2 SSPC-SP10 Sa 2.5 소지 상태 회백색, 그리스, 녹, 검정 녹, 먼지 등 도막이 전혀 없는 상태(100%) 아주 약하게 변색하거나 줄무늬가 남은 상태, 위의 오염물이 95% 이상 제거된 상태 약간 변색되거나 흠이 있는 반블라스트 3 SSPC-SP6 Sa 2 상태, 위의 오염물이 2/3 (commercial blast) 이상 제거된 상태 브러시 블라스트 4 SSPC-SP7 sa 1 단단하게 부착된 검정 녹,
336 녹 등 도막이 남아 있는 (brush-off blast) 상태 1) 블라스팅을 하기 전에 철재의 모든 그리스는 제거되어야 한다. 2) 용접 시 발생한 용접 자재와 이음새, 날카로운 부분도 제거되어야 한다. 3) 블라스팅의 적당한 공기압력은 7~7.5kg/cm 이며, 압력이 5kg/cm 로 줄어들면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모래의 양이 두 배로 늘어난다. 4) 블라스팅된 표면은 녹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가능한 빨리 1차 프라이머를 도장해야 한다. 5) 블라스팅한 후 프라이머를 도장하기 전 압축공기로 바탕의 먼지를 제거하고 도장해야 한다. 3.3 아연도금면의 바탕 만들기 표면의 유지분을 옹제로 닦아야 하며, 오래 노출된 표면에는 백색의 아연염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비눗물로 제거하거나 다시 깨끗한 물로 세척해야 한다. 또 2~3% 염산으로 세정해도 좋으며 인산염 피막처리(화학처리)를 하면 밀착력이 높아진다 공정 아연도금면의 바탕 만들기 공법은 소재의 종류, 면의 형상, 사용 부분, 녹막이 처리에 따라 <표>의 3종으로 한다. <표 4> 아연도금면의 바탕 만들기 공정 도료량 종별 공정 내용 면 처리 건조시간 (kg/m ) A종 오염, 부착물 오염, 부착물을 와이어 1 금속바탕 제거 브러시 등으로 제거 처리용 금속 바탕용 프라이머 2 녹방지 도장 1회 붓도장 2시간 내 0.02 프라이머 도장 오염, 부착물 오염, 부착물을 와이어 B종 1 제거 브러시 등으로 제거 황산아연 황산아연 5% 2 화학처리 1회 붓도장 5시간 정도 0.05 처리 수용액 3 물 씻기 물 씻기 2시간 정도 C종 1 방치 옥외 풍우에 노출 방지 1개월 이상 옥외노출 오염, 부착물 오염, 부착물을 와이어 2 풍화처리 제거 브러시 등으로 제거 공법 1) 바탕면 만들기는 바탕재의 설치 후에 해도 무방하다. 2) 오염, 부착물은 와이어 브러시, 내수 연마지 등으로 제거하고 유류 부착물도 해당 방법으로 제거한다. 3) 금속 바탕처리용 프라이머는 도장 번호에 규정하는 금속 바탕처리용 프라이머를 붓으로 고르게 1회 도장한다.
337 4) 황산아연처리를 할 때는 약 5%의 황산아연 수용액을 1회 도장하고 약 5시간 정도 풍화시킨다. 5) 화학처리를 하지 않을 때에는 옥외에서 1~3개월 노출시켜 바탕을 풍화시킨다. 도장 직전, 표면에 발생한 산화아연을 연마지 #60~#80 또는 와이어 브러시로 완전히 제거하고 부착물을 청소한다. 3.4 경금속 동합금부의 바탕 만들기 공정 철재에 비해 표면이 평활해서 화학처리하는 편이 좋다. 탈지는 트리크랜 증기나 알칼리액을 사용하고 부착이 우수한 인산염 피막처리를 한다. 경금속 및 동합금부의 바탕 만들기 공정은 바탕재의 종류, 면의 형상, 사용부분, 화학처리 방법에 따라 아래 <표>를 따른다. <표 5> 경금속 및 동합금부의 바탕 만들기 공정 종별 공정 내용 면 처리 건조시간 1종 인산처리 2종 W/P 금속 바탕 처리용 프라이머 1 오염, 부착물 제거 2 유류 제거 3 화학처리 1 오염, 부착물 제거 2 유류 제거 녹방지 도장 인산 알코올 처리 금속 바탕용 프라이머 오염물 부착물을 스틸 울 (steel wool) 등으로 제거 유류는 휘발유 등으로 제거, 비눗물로 씻기, 물 씻기 85% 인산 1 : 공업용 알콜 3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20~30분 담그기, 더운물 씻기 오염, 부착물을 스틸 울, 천 등으로 제거 유류는 휘발유 등으로 제거, 비눗물 씻기, 물 씻기 1회 붓도장 3시간 이상 도료량 (kg/m ) 0.01~ 공법 경금속 및 동합금부의 바탕 만들기의 정도는 철부 바탕 만들기에 준하는 금속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5 플라스터, 모르타르, 콘크리트면의 바탕 만들기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면은 시공 초기에는 다량의 수분과 알칼리성을 함유하고 있어, 도막의 변색이나 박리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도장하기 전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338 3.5.1 공정 플라스터, 모르타르, 콘크리트면의 바탕 만들기 공정은 면의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에 따라 아래 표 6,7를 표준으로 한다. <표 6> 모르타르면, 석고보드면 전면(All putty) 바탕 만들기(2종) 공정 내용 면 처리 건조시간 도료량 (kg/m ) 바탕면의 들뜸이나 1 바탕 처리 부풀음이 없는지 조사 2 오물, 부착물 제거 오염, 부착물 제거 3 프라이머 아크릴 에멀션 투명도료 1: 물 4 2시간 퍼티 아크릴 에멀션 퍼티 또는 집섬퍼티 24시간 1 5 갈기 작업 <표 7> 석고보드 이음새 바탕 만들기(3종) 공정 내용 면 처리 도료량 건조시간 (kg/m ) 1 바탕 처리 바탕면 들뜸이나 28일 부풀음이 없는지 조사 이상 2 오염, 부착물 제거 오물, 부착물 제거 3 프라이머 아크릴 에멀션 투명도료 1 : 물4 24시간 0.15 아크릴 에멀션 4 이음새 퍼티 투명도료 1 : 물4 #80~120 연마지 닦기 1 5 이음새 테이프 부착 양면 접착테이프 아크릴 에멀션 퍼티 6 줄퍼티(테이프면) 또는 집섬퍼티 2시간 갈기 작업 #240 연마 혹은 물 샌딩(#320) 1) 콘크리트 면의 바탕 처리는 견출처리법에 따라 시방의 지침대로 별도 처리한다. 2) 비닐계 도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일 때는 바탕의 3주간(21일) 양생한다 공법 1) 바탕재는 20 를 기준으로 약 28일 이상 충분히 건조시켜야 하며(수분함유율 10% 미만), 알칼리도는 ph9 이하의 상태가 이상적이다. 2) 오염, 부착물 제거 시 바탕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바탕의 균열, 구멍 등의 주위는 물을 축인 다음 석고 퍼티로 땜질한다. 건조 후 연마지로 평면을 평활하게 닦는다.
339 4) 무광택 도료로서 특수도장을 잘 받아들이도록 할 때는 바탕면을 도료의 성질에 따라 거칠게 한다. 5) 특수도장을 하기로 예정된 콘크리트 바닥면은 5%의 염산용액, 혹은 기타 청소 전용 용제로 씻어내고 물로 다시 씻어낸 후 암모니아 등 린스로 중화시킨다. 또는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4절 시공 4.1 관련 사항 1) 다른 공정의 진행 사항과 대조, 검사 후 착수시기를 검토한다. 2) 도장공사는 최종 공정으로 타 공사의 공사 지연으로 공기가 촉박할 경우가 많으므로 세밀한 계획을 세워 도장 건조기간을 단축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4.2 사전 검사 1) 제조업체의 특기 시방에 따라 도장공사를 할 수 있는지 도장할 바탕면을 점검한다. 2) 도장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면 처리 상태를 검사한다. 3) 프라이머(Primer)가 도장 재료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4) 전동 습윤 측정기로 바탕면의 함수량을 측정한다. 표면 함수율이 아래 수치 보다 클 때는 도장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가. 플라스터(Plaster), 석고보드(Gypsum Board): 12% 나. 석재,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12% 다. 내부 목재: 15% 라. 외부 목재: 15% 마. 콘크리트 바닥: 8% 4.3 도료 검사 1) 도료는 KS 규격품 및 환경친화성제품(환경마크 인증제품)이어야 하며 밀봉한채 반입하여 시행한다. 2) 반입된 물품은 제조회사명, 색상, 고유 지정표시 등을 기록하고 도료 재료별, 사용될 위치별 표식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3) 통이 많이 찌그러지거나 녹슨 것은 반입하지 않는다. 4) 페인트 배합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5) 통 뚜껑의 납품회사, 검사자 봉인을 확인한다. 4.4 준비 작업 1) 면처리 작업이나 도장작업을 하기 전에 전기 플레이트(plate)류 하드웨어, 조명기구 틀, 기타 부착물은 제거하거나 테이프(tape) 등으로 보양한다. 2) 도장공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결점을 바로잡고 더러운 표면은 깨끗이
340 청소한다. 잔존해 있는 기존 코팅은 부풀려 제거한다. 3) 도장 표면으로 투과하여 비칠 것 같은 메운 흔적은 셀락(shellac)으로 표가 나지 않게 실(Seal)한다. 4) 불투수성 표면: 곰팡이를 트리소디움 인산염 용액과 표백제로 문질러 제거한 후 청정수로 씻어내고 건조시킨다. 5) 알루미늄 표면의 페인트 마감: 증기나 고압수로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산 씻기와 솔벤트 세척으로 산화물을 제거한 후 깨끗이 청소하고 그 즉시 에칭 프라이머(Etching Primer)를 칠한다. 6) 보온재의 피복재면: 종이나 면직물에 묻어있을 때 유지, 기름 등을 제거한 다. 7) 콘크리트 바닥면: 불순물을 제거한 후 깨끗한 물로 씻어낸다. 요구하는 산 알칼리도를 확인한 후 건조시킨다. 8) 석고보드면: 흠집 등을 필러 콤파운드(Filler Compound)로 처리하고, 이후 그 부분에 프라이머를 칠한다. 9) 아연도 마감면: 표면의 불순물과 기름 성분을 제거하고 솔벤트로 씻어낸다. 그런 다음 에칭 프라이머(Etching Primer)를 도포한다. 10)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블록 면의 페인트 마감: 먼저 모르타르 잔재, 때, 소금이나 알칼리성 가루 등 이물질을 제거한다. 트리소디움 인산염 용액으로 기름과 유지를 제거하고 잘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풍화작용이나 녹 등으로 더러워진 부위는 물을 축축하게 뿌린 후 소디움 메타 규산염 용액으로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11) 미장면: 헤어라인 크랙(Hairline Cracks)이나 작은 구멍 및 불완전한 부위는 라텍스 패칭 플라스터(Latex Patching Plaster)로 충진하여 주위와 같이 평탄하게 만든다. 그런 다음 물로 씻어내어 강알칼리성 표면을 중화시킨다. 12) 칠이 안 되어 있는 철의 면: 유지, 밀 스케일(Mill Scale), 용접 찌꺼기, 먼지, 녹 등을 제거한다. 녹이 두껍게 슬어 있는 곳은 와이어 브러시나 샌드라스팅(Sand Lasting)으로 제거하고 솔벤트로 씻어낸다. 13) 녹막이 칠이 되어 있는 철의 면: 샌드페이퍼(Sand Paper)로 문질러 느슨한 프라이머와 녹을 제거한다.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은 솔질을 한다. 솔벤트로 표면을 청소하고 철의 원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칠한다. 메탈(Metal) 시설물과 공장에서 프라이머 칠이 되어 있는 부분에도 프라이머를 칠한다. 14) 페인트 마감된 내부 목재면: 프라이머를 칠하기 전 먼지와 모래 등을 쓸어 낸다. 옹이, 거무스레한 줄무늬, 수액 흔적 등이 있는 부위에는 실러 (Sealer)를 채운다. 프라이머가 건조된 후 못 자국이나 크랙을 다시 실링 (Sealing)하고, 샌드페이퍼 작업을 한다.
341 15) 투명마감 내부 목재면: 실링(Sealing)하기 전 먼지와 모래 등을 쓸어낸다. 옹이, 거무스레한 줄무늬, 수액 흔적 등이 있는 부위에 실링(Sealing)한다. 실러가 건조된 후 못 자국이나 크랙을 다시 실링하고, 매 칠마다 가볍게 샌딩(Sanding)한다. 16) 페인트 마감 외부 목재면: 먼지, 모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옹이, 거무스레한 줄무늬, 수액 흔적 등이 있는 부위에 실링한다. 프라이머를 칠한 후 외부용 착색 코킹 콤파운드(Calking Compound)로 못 자국을 충진한다. 17) 투명마감 외부 목재면: 먼지, 모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옹이, 거무스레한 줄무늬, 수액 흔적 등이 있는 부위에 실링한다. 실러를 칠한 후 외부용 착색 코킹 콤파운드로 못 자국을 충진한다. 18) 도료의 혼합: 안료를 함유한 도료는 내용물이 충분히 섞이도록 골고루 저어서 균등하게 해야 하며 KSA5101 표준에 의해 NO100~250 정도의 체로 걸러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8> 도장의 체 거르기 도료 종류 사용하는 체 비고 수성 페인트류 No. 250~200 휘저어 거르기 유성 페인트류 No. 170~125 휘저어 거르기 바니시, 에나멜, 래커류 No. 125~100 자연 거르기 19) 도료 희석: 에멀션 도료 및 수용성 도료는 맑은 물을 사용하고 기타의 도료는 그 도료에 적합한 희석재를 사용하며, 원칙적으로 도료와 동일 제조공장 제품을 사용한다. 또 도료의 희석률 정도는 도장법, 기온, 바탕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제조공장의 지시나 사용설명서에 따른다. 20) 도료의 사용 가능 시간: 도장할 때 혼합하여 사용하는 2액형 이상의 도료에서는 혼합비 및 혼합 후의 사용가능 시간이 지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21) 환기 및 현장 조건 다음과 같은 사항에서는 도장해서는 안 된다. 가. 도장하는 장소의 기온이 낮거나 습도가 높고, 환기가 충분하지 못하여 도장의 건조가 부적당할 때. 나. 강설우, 강풍, 지나친 통풍, 도장할 장소의 더러움 등으로 인해 물방울 들뜨기, 흙 및 먼지 등이 도장막에 부착되기 쉬울 때. 다. 주위의 다른 작업으로 인하여 도장작업에 지장이 있거나 또는 도장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 4.5 도장 공법 1) 붓
342 사용하는 도료의 성질과 도장하는 부위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것을 쓴다. 2) 붓도장 일반적으로 평행, 균등하게 하고 도료량에 따라 색깔의 경계, 구석 등에 특히 주의하며 도료 얼룩, 흐름, 거품, 붓자국 등이 생기지 않도록 평활하게 한다. 3) 롤러도장 붓 도장보다 도장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붓도장 같이 일정한 도막 두께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표면이 거칠거나 불규칙한 부분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4) 뿜도장 도장 기구 뿜도장 도장에는 도장용 스프레이건(spray gun)을 사용한다. 래커 타입의 도료일 때에는 노즐 구경 1.0~1.5mm, 뿜도장의 공기압은 2~4kg/cm 를 표준으로 하고 사용 재료의 묽기 정도(Ford cup#4, 15~25초 정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스프레이건에 쓰이는 압축공기는 유분, 수분, 먼지 등이 섞이지 않게하고, 또한 공기압이 사용 중 0.2kg/cm 이상 증감되지 않도록 적절한 장치를 한다. 도료 자체를 고압(150kg/cm )으로 가압하여 도장을 작은 유출관으로 배출시켜 안개처럼 뿜어내는 에어리스(Air-Less) 스프레이 방법도 있다. 에어리스 스프레이 노즐은 0.02~01mm이 사용되며, 수치가 커질수록 도막 두께가 두꺼워진다. 5) 뿜도장 방법 뿜도장 거리는 도장면에서 30cm를 표준으로 하되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뿜도장할 때에는 매끈한 평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항상 평행 이동하면서 운행의 한 줄마다 뿜도장 너비의 1/3 정도를 겹쳐 뿜는다. 각 회의 뿜도장 방향은 전회의 직각방향으로 한다. 에어 스프레이는 매회 붓도장과 동등한 정도의 두께로 하고 2회분의 도막 두께를 한번에 도장하지 말아야 한다.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은 1회 도장에 두꺼운 도막을 얻을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넓은 면적을 도장할 수 있다. 4.6 기계 전기 기구의 별도 도장 1) 별도의 지시가 없으면 도금된 표면, 스테인리스강, 크롬판, 동, 주석 또는 이와 같은 금속으로 된 재료는 도장하지 않는다. 2) 기계 및 전기 시설물에 부착되어 있는 마감되지 않은 루버 그릴, 커버 및 점검류들은 별도로 페인트 마감한다. 3) 마감이 되어 있지 않은 것들로서 보온 및 노출 파이프, 전선관, 박스류 보온 또는 노출 덕트, 행거(hangers), 브래킷(brackits), 보강재 및 받침대 등은 프라이머를 칠한 후 페인트 마감한다. 4) 그릴이나 루버를 통해 들여다보이는 덕트 내 표면에는 겉표면 마감과 같은 페인트칠을
343 한다. 댐퍼도 루버나 그릴을 통해 들여다보이는 내표면에 겉면과 같은 페인트칠을 한다. 5) 기구, 파이프, 전선과 노출 덕트 등은 색깔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승인받은 대로 컬러로 분류하여 마감한다. 화살표의 이름과 번호에 흐름을 알 수 있도록 컬러 밴드(Color Bands)와 인식표를 설치한다. 6) 별도로 분리하여 페인트 마감한 후 전기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s), 하드웨어(Hardware), 전등기구 프레임(Frame), 설형 덮개(Escutcheons), 기타 각종 부착물들을 재설치한다. 7) 움직이는 운전 부품, 기계 및 전기 부품으로 밸브, 댐퍼 작동기, 감지기 모터 및 송풍기 샤프트는 특별 지시가 없는 한 도장하지 않는다. 또한, 라벨도도장하지 않는다. 4.7 도장하기 1) 도장하는 양은 표준량을 따르고, 뭉치거나 얼룩, 흘러내림, 주름, 거품, 붓 자국 등의 결점이 생기지 않도록 균등하게 도장한다. 2) 도료의 배합 및 배합 장소 도료는 바탕면의 조밀, 흡수성 및 기온 상승 등에 따라 배합 규정의 범위 내에서 도장하기에 알맞게 조절한다. 3) 체 거르기 도료를 사용 직전 오물이나 기타 잡물이 섞이지 않도록 한 뒤 체에 걸러 사용한다. (표 8 참조) 4) 바탕 만들기 및 바탕면에는 아래의 처리를 한다. 가. 녹, 유해한 부착물(먼지, 기름, 타르분, 회반죽, 플라스터, 시멘트 모르타르) 및 노화가 심한 낡은 구도막은 완전히 제거한다. 나. 면의 결점(홈, 구멍, 갈라짐, 변형, 옹이, 흡수성이 불균등한 곳 등)을 보수하여 면을 도장하기 좋은 상태로 만든다. 다. 배어나오거나 녹아나올 우려가 있는 유해물(수분, 기름, 산, 알칼리 등)의 작용을 방지하는 처리를 한다. 라. 도장이 잘 부착되도록 연마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5) 바탕 및 바탕면의 건조 바탕 자체 및 바탕 표면이 건조하지 않을 때는 충분한 양생 기간을 두어, 충분히 건조시킨 후 그 다음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6) 퍼티(Putty) 먹임 바탕면의 상태에 따라 면의 오목한 구멍, 빈틈, 틈서리, 갈라진 곳 등에 구멍땜용
344 퍼티를 나무주걱, 쇠주걱 등으로 가능한 얇게 눌러 채우고 평활하게될 때까지 갈아낸다. 다만, 외부의 처마둘레, 비늘판 등은 지장이 없는 한 생략해도 좋다. 퍼티가 완전 건조되기 전에 연마지 갈기를 해서는 안 된다. 7) 연마 재료 및 연마지 갈기 가. 연마 재료: 연마재의 입도, 연마포, 연마지, 내수 연마지는 다음의 규격 에 합격하는 것으로 한다. KS L 6001 연마재 입도 KS L 6002 연마도 KS L 6003 연마지 KS L 6004 내수 연마지 나. 연마지 갈기: 각 공정의 연마지 갈기는 도장의 도장막이 건조된 다음, 각 층마다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연마지의 입도는 각 시방의 표에 나타난 도장공정을 기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연마지 갈기는 창호, 수장, 가구 등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하고 도장, 건조, 연마를 매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벌도장에 가까울수록 입도가 작은 연마지를 쓰고 또한 차례 면밀히 한다. 8) 스밈 방지(흡수방지제: Sealing) 소나무, 삼송 등과 같이 흡수성이 고르지 못한 바탕재의 색올림을 할 때에는 스밈 방지를 해야 한다. 스밈 방지제를 붓으로 고르게 도장하거나 스프레이건으로 고르게 1~2회 뿜도장한다. 9) 색올림(착색제: Stain) 색올림제의 도장은 붓도장으로 한다. 대강 건조되면 붓과 부드러운 헝겊으로 여분의 색올림제를 닦아내고 색깔 얼룩을 없앤다. 건조 후, 도장한 면을 검사하여 심한 색깔 고름질은 서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한다. 10) 눈먹임제(눈메움제: Filler) 가. 눈먹임제는 빳빳한 털붓(돼지털의 붓) 또는 나무주걱, 쇠주걱 등으로 잘 문질러 결의 잔구멍에 압입시키고, 여분의 눈먹임제는 닦아낸다. 잠깐 동안 방치한 후 반건조시켜 끈기가 남아 있을 때 면방사 헝겊이나 삼베헝겊 등으로 나뭇결에 직각으로 문지르고, 다시 부드러운 헝겊 등으로 닦아낸다. 나. 귀, 문선(Trim), 문틀(Moulding) 등에는 눈먹임제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색올림을 하지 않고 눈먹임을 하였을 때에는 눈먹임제가 충분히 건조되기를 기다렸다가 #240 정도의 연마지로 가볍게 눈먹임제를 제거한다. 다. 눈먹임 공정 전에 색올림을 했을 때에는 연마지로 닦지 말고 헝겊 등으로 여분의 눈먹임제를 깨끗이 닦아낸다. 이때 색올림층이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45 11) 물갈기(Water Sanding) 가. 갈기에는 마른 연마와 물 연마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축도장에서는 마른 연마를 주로 사용한다. 나. 바탕의 오물, 기타 잡물을 제거한 후 필요한 연마지를 가볍게 나뭇결에 따라서 혹은 일직선, 타원형으로 바탕면 갈기 작업을 한다. 물갈기가 필요할 때는 도장 도막이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해야 하며, 건조 전에는 물갈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 다. 물갈기에 쓰이는 연마 재료 및 갈기법은 다음과 같다. 1 KS L 6001(연마재 입도)의 No.320~400 정도 연질의 경석분 또는 퍼미스 스톤(Pumice Stone)가루를 약 5배의 물에 담가 펠트 또는 천에 묻힌다. 2 뒤쪽에 코르크, 고무 등을 받친 뒤 No.320~400의 내수 연마지로 도장면을 적시면서 간다. 라. 갈기 부분을 적실 때에는 한꺼번에 불필요한 부분까지 적시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 갈기는 나뭇결이 충분히 평탄하고 광택이 없어질 때까지 갈고, 간 부분은 간 찌꺼기가 마르기 전 맑은 물에 적신 해면, 스펀지 등으로 도장면을 닦아 찌꺼기로 인한 오염을 방지한다. 다시 씻어 꼭 짠 스펀지 등으로 훔쳐낸 다음 퍼프 또는 비닐 스펀지로 수분을 충분히 훔쳐낸다. 이렇게 한 다음 다시 2시간 이상 방치하여 도장면이 완전히 건조되면 다음 공정을 실시한다. 12) 초벌도장, 재벌도장, 정벌도장 도장법은 재료별 공법에 준하며, 초벌도장, 재벌도장, 정벌도장의 품질을 높인다. 제5절 재료별 도장기법 5.1 수성 페인트 1) 도장의 순서 가. 모르타르 부분에 1차 퍼티작업을 한다. 나. 면 고르기로 1차 연마작업을 한다. 다. 2차 퍼티작업을 한다. 라. 2차 면 고르기 연마작업을 한다. 마. 수성 페인트로 1차 도장(롤러 도장)을 한다. 바. 요철 부위의 퍼티작업 및 면 고르기 연마작업을 한다. 사. 수성페인트로 2차 도장(롤러 도장)작업을 한다. 아. 요철부위의 퍼티작업 및 면 고르기 연마작업을 한다. 자. 정벌도장(롤러 도장)을 한다. 2) 주의사항
346 가. 5 이하에서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중지해야 한다. 나. 롤러도장은 천천히 상하좌우로 고르게 한다. 다. 1회에 너무 넓게 도장해서는 안 된다. 5.2 아크릴 페인트 1)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면, 모르타르면의 내수성, 내알칼리성 또는 내후성이 양호한 곳에 아크릴 에나멜 도장을 적용한다. 2) 콘크리트, 모르타르면의 아크릴 에나멜 도장 콘크리트 모르타르 플라스터 석고보드 면의 아크릴 에나멜 도장 공정, 시너, 도장 희석제 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와 같다. <표 9>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의 아크릴 에나멜 도장 공정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연마지 #80~#120 2 초벌도장 100 아크릴 투명 (1회) 아크릴 시너 10~20 4시간 이상 구멍 메우기 아크릴 퍼티 초벌도장 (1회) 연마지 #180~240 5 초벌도장 아크릴 투명 100 (1회) 아크릴 시너 10~20 6 재벌도장 아크릴 에나멜 100 (1회) 지정 시너 10~20 7 정벌도장 아크릴 에나멜 100 (1회) 지정 시너 10~20 6시간 이상 ) 주의사항 가. 밀폐된 장소나 환기가 좋지 않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주의한다. 나. 스프레이 작업 시 노즐에서 실 모양으로 나와 오렌지팔 현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다. 퍼티 두께가 너무 두꺼워 건조가 불충분할 경우 도막에 주름, 부풀음이 일어나기 쉽다. 라. 보통 래커보다 낮은 점도의 것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해야 한다. 5.3 녹막이도장(방청도장) 1) 철재면 전처리 도료로서 녹 발생 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이다. 2) 첫 번째 녹막이도장은 공장에서 조립 전에 도장함을 원칙으로 하고, 화학처리를 하지 않은 것은 녹떨기 직후에 도장한다.
347 3) 현장 반입 후 도장은 현장에서 실시하거나, 또는 용접 부산물 및 부착물을 제거한 후 녹막이도장을 1~2회 실시한다. 다만, 설치 후 도장이 불가능한 부분은 설치 전에 도장하도록 한다. 4) 바탕재 종류에 따라 해당 제조회사 또는 규격품을 따라야 하며, 경우에 따라 담그는 방법으로 도장해도 좋다. 5) 재벌도장을 할 때에는 1차 도장 이후 24시간 이상 간격을 둬야 한다. 5.4 유성 페인트 도장(합성수지 조합페인트 도장) 적용 및 시공 유성 페인트 도장의 종별, 도장 횟수에 대해 공사 시방에서 따로 정한 바가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이 시공한다. 1) 목부 유성 페인트 도장 목부 유성(조합) 페인트 도장의 공정,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다음의 표에 따른다. <표 10> 목부 조합페인트 도장 공정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 시간 도료량 (kg/m 바탕조건 연마지 #120으로 연마 초벌도장(1회) 조합페인트 목재 프라이머 백색 및 담색(KS M 5318) 100 시너 0~10 24시간 0.1 2) 철부도장 나뭇결 메우기 합성수지 퍼티 시간 연마 연마지 #180 재벌도장(1회) 조합페인트(KS M 5312) 정벌도장(2회) 조합페인트(KS M 5312) 공정 내용 100 시너 0~ 시너 0~10 희석비율 (중량비) 12시간 시간 0.12 철부의 조합페인트 도장의 공정, 도료,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11> 철부 조합페인트 도장 공정 건조시간 도료량 (kg/m 1 바탕조건 연마지 #120으로 연마 2 조합페인트 목재 프라이머 100 초벌도장(1회) 백색 및 담색(KS M 5318) 시너 0~10 24시간 나뭇결 메우기 합성수지 퍼티 시간 4 연마 연마지 #180
348 5 재벌도장(1회) 조합페인트(KS M 5312) 6 정벌도장(2회) 조합페인트(KS M 5312) 3) 아연도금면 도장 100 시너 0~ 시너 0~10 공정 내용 건조시간 1 바탕조정 연마지 #120으로 연마 광명단 조합페인트 100 (KS M 5311) 2 녹막이도장 아연말 프라이머 (1~2회) (KS M 5325) 페인트 시너 징크로아연메이트방청 (KS 0~10 M 5323) 3 구멍 메움 합성수지 퍼티 연마 연마지 #180 5 재벌도장 100 조합페인트(KS M5312) (1회) 시너 0~10 6 정벌도장 100 조합페인트(KS M5312) (1회) 시너 0~10 12시간 시간 0.12 아연도금면의 유성페인트 도장의 공정, 도료, 도료의 희석비율, 면의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12> 아연도금면의 조합페인트 도장 공정 주의사항 48시간, 수지에 따라 차이가 있음 도료량 (kg/m ) 시간 시간 ) 조합페인트의 조색: 정벌도장에 쓰이는 조합페인트는 전문 제조회사가 소요되는 색상과 광택으로 조합함을 원칙으로 한다. 도장업체가 조색할 때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작업한다. 2) 사용하기 전 균일한 상태로 잘 혼합한 후 사용한다. 3) 도장할 바탕의 기름, 먼지, 녹, 기타 오염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도장한다. 4) 희석은 해당 시너로 10~20% 정도 희석하여 사용한다. 5) 목재에 도장할 때는 KS M 5318(조합페인트 목재용 백색 및 담색)을 사용하고, 철재에 도장할 때는 KS M 5424(광명단 페인트), KS M 5323(크롬산 아연방청 페인트) 및 일반 유성계 방청 프라이머를 이용하며 하도가 완전히 건조된 후 상도를 작업한다. 6) 오래된 구도막 위에 다시 도장할 경우는 구도막을 #320~400 샌드페이퍼로 연마한 후 도장한다. 7) 도료는 사용 후 완전히 밀폐하여 화기로부터 멀리 보관한다. 8) 재도장 간격을 준수하여 얇게 도장한다. 5.5 폴리우레탄 수지 에나멜 도장 적용 및 시공
349 장시간 내후성, 내마모성, 미장성을 필요로 하는 내외부, 벽, 바닥에 사용하는 도장 종류로, 도장 종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아래 표를 기준으로 한다. <표 13>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나멜의 도장 종별 바탕의 종류 도장종류 도장횟수 초벌도장 퍼티작업 재벌도장 정벌도장 철재면 A 종 B 종 모르타르면 A 종 B 종 플라스틱면 A 종 1 0~ ) 철재면의 폴리우레탄 에나멜 도장 <표 14> 철재면의 폴리우레탄 에나멜 도장 공정 바탕의 종류 도장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초벌 (1회) 금속형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 시간 희석제 0~10 이상 퍼티 붙이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퍼티 100 희석제 0~2 1시간 이내 연마지 4 연마 #180~240 재벌도장 5 (1회) 정벌도장 6 (1회)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폴리우레탄 시너 0~20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폴리우레탄 시너 0~20 상태에 따라 재벌도장과 정벌도장 사이에 연마작업을 한다. 2) 모르타르면 폴리우레탄수지 에나멜 도장 <표 15> 모르타르면 폴리우레탄 에나멜 도장 공정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1 초벌도장 2액형 에폭시 혹은 우레탄 (1~2회) 수지 바니시(투명) 100 우레탄 시너 10~30 3 퍼티 붙이기 2액형 에폭시 수지 퍼티 시간~7일 이내 시간~7일 이내 건조시간 (시간) 우레탄 6시간 에폭시 20시간 24시간~7일 이내 도료량 (kg/m ) 0.08~ 연마 연마지 #150~240
350 5 재벌도장 (1회) 2액형 에폭시 수지 에나멜 시간~7일 폴리우레탄 시너 10~30 이내 연마 연마지 #240~320 정벌도장 2액형 우레탄 수지 에나멜 시간~7일 7 (1회) 이내 우레탄 시너 10~30 3) 플라스틱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에나멜 도장 <표 16> 플라스틱면 폴리우레탄 수지 에나멜 도장 공정 01.2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1 퍼티 붙이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퍼티 100 4시간 내 2 연마 연마지 #280~320 3 초벌도장 (1~2회) 2액형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100 전용 시너 0~30 24시간 내 연마지 연마지 #320~400 내수연마 5 재벌도장 (1회)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100 전용 시너 0~ 정벌도장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시간~7일 (1회) 전용 시너 0~30 이내 주의사항 1) 고온 다습할 경우 백화현상이나 기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도장 시 온도는 5~30, 상대습도는 85%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2) 1회 도장 시 너무 두껍게 도장할 경우 기포가 발생할 있으므로 규정된 도막두께로 도장해야 한다. 3) 경화된 도막에 재도장할 경우 반드시 연마하여 거칠게 하여 도장하고, 잔존하는 오염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도장해야 한다. 4) 지정된 도료의 주제 외 경화제의 비율은 제조회사의 시방에 따른다. 5) 우레탄 도료는 도장작업 시 충분히 환기시키고,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6) 도장이나 경화 시 주위 온도는 5 이상이 적합하며, 수분의 응축을 피하기 위해 표면 온도는 노점 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7) 흡수가 심한 곳은 하도 도장을 얇게 2~3회 정도 도장하면 좋다.
351 5.6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 적용 및 시공 1) 바탕의 종류, 도장의 종별, 사용 부분 및 도장 횟수에 따라 내부용, 외부용 1급 2급으로 나뉜다. 공사 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2급으로 한다. 2)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내외부 도장의 공정, 도장, 시너 희석비율(중량비),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의 <표>에 따른다. <표 17>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 공정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연마지 #100~160 2 초벌도장 3시간 합성수지 에멀션 투명 100 (1회) 이상 퍼티먹임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00 3시간 물 0~5 이상 4 연마 연마지 #180~240 5 재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00 3시간 (1회) 물 5~20 이상 정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00 3시간 (1회) 물 5~20 이상 0.1 가. 에어리스 뿜도장으로 할 때의 조합비율 표준은 뿜도장의 압력이 100~150kg/cm 정도일 때를 표시한 것으로, 컴프레스의 압력에 따라 물의 양을 가감한다. 나. 표의 공정1에서 회반죽, 플라스터, 나무섬유판, 석고보드부 등 흡수성이 심할 경우에는 흡수방지 도료를 도장한다. 도장 횟수에 대해서는 시방에 따른다. 다. 위의 도장공정 중 내부용 KS M 5320(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과 외부용 KS M 5310(합성수지 에멀션 데이트)는 동일하다 주의사항 1) 5 이하의 온도에서 도장할 경우 균열의 우려 및 도막이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도장을 피한다. 2) 부착력을 고려하여 과다한 희석은 피한다. 3) 저장이나 수송 중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0 이하일 때 냉각). 4) 모서리 등에 붓으로 새김질한 면과 롤러 도장면의 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새김질 시 동일 규격번호로 작업해야 하며 가능한 희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김질을 먼저 해야 색깔 차이를 줄일 수 있다. 5) 시멘트 모르타르면은 양생을 충분히(pH 9 이하)해야 한다. 5.7 광택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 적용 및 시공
352 1) 수성 도료의 결점인 심한 오염과 도막의 평활성을 개량한 광택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으로서, 도장 종별은 공사 시방에 정한대로 따른다. 2) 도장의 공정, 시너의 배합비율 및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표에 따른다. <표 18> 광택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도장 공정 희석비율 공정 내용 건조시간 도료량(k/m ) (중량비) 1 바탕처리 연마지 #100~160 초벌도장 2 합성수지 에멀션 투명 100 3시간 이상 0.08 (1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퍼티먹임 3시간 이상 물 0~5 4 연마 연마지 #180~ 시간 이상 시간 이상 0.1 재벌 정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회) (1회) 물 물 5~20 5~ 주의사항 퍼티먹임 공정은 바탕 상태가 양호할 때는 생략할 수 있다. 1) 시멘트 모르타르는 마감처리 후 28일 이상 경과되어 ph 9 이하, 수분함유율 8% 이하인 상태에서 바탕처리 후 도장한다. 2) 10 이하에서 도장을 하면 균일한 도막을 얻을 수 없고 균열 및 박리 현상을 일으킨다. 3) 제품은 35 이하, 5 이상의 실내에서 보관하고, 개봉 후 6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4) 사용 후 남은 도료는 표면에 깨끗한 물을 약간 뿌려서 완전하게 밀봉한다. 5.8 합성수지 에나멜 페인트 도장 적용 및 시공 목부, 철재 부위, 경금속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도료로서 도막성이 강하며, 도장의 종류, 바탕의 종류, 도장 횟수는 다음 시방에 따른다. <표 19> 에나멜 페인트 도장 횟수 도장 종류 프탈산 수지 에나멜 바탕의 종류 도장 횟수 초벌 퍼티작업 재벌 정벌 목부 1 0~2 1 1 철부 2 0~2 1 1 경금속부 1 0~ ) 목부 에나멜페인트 도장 도장의 공정, 도장,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353 <표 20> 목재부위 에나멜 도장 공정 공정 내 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m ) 1 바탕조정 연마지 #120~180 2 초벌도장 목부초벌용 에나멜 10시간 이상 초벌도장 퍼티작업 연마 연마지 #180~240 5~15 24시간 0.04 자연건조형 알키드 붓도장 뿜도장 5 재벌도장 수지 에나멜 시간 이상 (1회) (KS M 5701) (0~15) (20~25) 0.12 페인트 시너 6 연마 연마지 #240~320 자연건조형 알키드 7 정벌도장(1 회) 수지 에나멜 2) 철부 에나멜 페인트 도장 100 (KS M 5701) 페인트 시너 (0~10) 공정 내용 희석비율(중량비) 건조시간 1 바탕조정 연마지#120~180 녹막이 도료 녹막이도장(초 벌도장 1회째) 페인트 시너 0~10 24시간 이상 0.12 녹막이도장 이후의 공정, 시너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21> 철재 부위 에나멜 페인트 도장 공정 도료량 (k/m ) 48시간 이상 녹막이도장(초 벌도장 2회째) 녹막이 도료 100 페인트 시너 0~10 각 회 24시간 이상 구멍메움 에나멜 퍼티 100 각 회 24시간 페인트 시너 0~10 이상 연마 연마지 #240~320 붓도장 뿜도장 6 재벌도장(1회) 자연건조형 알키드 수지 에나멜 (KS M 5701) 페인트 시너 (0~15) (20~25) 24시간 이상 연마 연마지 #240~320 8 정벌도장(1회) 자연건조형 알키드 수지 에나멜 (KS M 5701)
354 공정 페인트 시너 10~20 가. 바탕의 표면 상태와 도장 시험에 사용한 견본판의 마무리 정도에 따라 퍼티먹임 및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면 처 리 건조시간 도료량 (k/m ) 각회 1 바탕조정 의거 2 초벌도장 녹막이 도장 100 페인트 시너 0~5 48시간 연 마 연마지#160~ 의거 바탕퍼티 4 주걱먹임 경금속바탕용 퍼티 시간 페인트 시너 0~5 5 연 마 연마지 #240~320 붓도장 뿜도장 자연건조형 알키드 재벌도장(1 6 수지 에나멜 (KS M ~85 회) 5701) 페인트 시너 0~15 (20~15) 7 연 마 연마지 #320~400 자연건조형 알키드 8 연마지 닦기의 횟수를 결정한다. 나. 옥외일 경우 하도 2회, 옥내일 경우 하도 1회 도장을 원칙으로 한다. 3) 경금속부 에나멜페인트 도장 경금속부 에나멜페인트 도장 이후의 공정, 도장, 시너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의 <표>에 따른다. <표 22> 경금속부 에나멜 도장 공정 주의사항 정벌도장(1 회) 수지 에나멜 100 (KS M 5701) 페인트 시너 0~5 이상 1) 4와 5의 공정은 주문 바탕재면과 같이 평활하지 못할 때에만 적용한다. 2) 바탕표면의 상태와 도장 시험에 사용한 견본판의 마무리 정도를 기준으로 퍼티먹임의 도장 횟수를 결정하지만, 전면에 퍼티먹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빈틈, 흠집 등의 부분만 해도 좋다. 1) 에나멜 도장은 너무 두껍게 도장하면 내부가 잘 건조되지 않으므로 1회 도장 시 적절한 도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2) 시너에 래커 시너를 사용하면 광택이 죽고 백화현상 또는 초벌도장이 일어나기 쉽다. 3) 사용 후 용기 중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반드시 뚜껑을 닫아 밀폐시켜 그늘진 곳에 두어야 한다. 4) 에나멜페인트를 필요한 색깔로 조색해야 할 경우 동일 제조사의 동종 에나멜 페인트를 혼입한다
355 5.9 래커 에나멜 도장 적용 및 시공 목부, 철부, 동합금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도료로서 바탕 종류, 도장 횟수는 다음과 같이 시방에 따른다. <표 23> 래커 에나멜 도장 횟수 도장종별 종별없음 1) 목부 래커 에나멜 도장 공정 바탕 도장 횟수 종별 도장 바탕 퍼티먹임 재벌도장 정벌도장 목부 1 0 ~ 철부 1 0 ~ 동합금부 1 0 ~ 목부의 래커 에나멜 도장(붓도장일 때)의 공정, 시너 희석비율, 면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24> 목부 래커 에나멜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면 처리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연마지 #160~# 의거 2 초벌도장 래커 투명 100 (1회) 래커 시너 25~30 2시간 바탕메움 래커 퍼티 100 래커 시너 0~5 4 연마 연마지 # 의거 5 재벌도장 래커 서페이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2시간 이상 재벌도장 래커 서페이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2시간 이상 연마 연마지 #240~# 의거 8 정벌도장 래커 에나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2시간 이상 정벌도장 래커 에나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2시간 이상 연마 연마지 #320~# 의거 11 정벌도장 래커 에나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2시간 이상 ) 문틀, 문선 사이, 나무틈은 공사 시방이나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2) 목재면이 양호할 때는 3, 4의 공정을 생략한다. 3) 10, 11의 공정은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2) 철부, 동합금부의 래커 에나멜 도장 철부, 동합금부에 래커 에나멜을 뿜도장할 때 도장 공정, 시너 희석비율, 면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표 25> 철부, 동합금부의 래커 에나멜 도장 공정
356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연마지 #180~#240 2 초벌도장 래커 프라이머 100 (1회) 래커 시너 25~30 3 바탕퍼티 래커 퍼티 100 래커 시너 0~5 4 연마 연마지 #180~#240 5 재벌도장 래커 서페이서 100 (1회) 래커 시너 15~25 6 재벌도장 래커 서페이서 100 (1회) 래커 시너 15~25 7 연마 연마지 #320~#400 8 정벌도장 래커 에나멜 100 (1회) 래커 시너 20~35 9 정벌도장 래커 에나멜 100 (1회) 래커 시너 10~25 건조시간 도료량 (kg/m ) 주의사항 1) 바탕처리 바탕처리는 뿜도장 또는 주걱도장으로 하지만 목부일 때는 뿜도장으로, 철부 및 동 합금일 때에는 주걱도장을 원칙으로 한다. 바탕이 극히 평탄할 때는 철부 및 동합금부라도 뿜도장으로 처리해도 좋다. 2) 공법(초벌도장, 재벌도장, 도막의 갈기방법) 가. 초벌도장 시 물연마는 표면이 평활하도록 갈되, 프라이머의 도장막이 갈아 없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나. 재벌도장 시 도막의 물갈기는 표면에 평활해지도록 하되 래커 프라이머의 도막이 갈아 없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래커 서페이서의 도막은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갈아 없앤다. 3) 정벌도장 습도가 75~80%로 도장면이 백화할 우려가 있을 때는 래커 시너를 30% 이내로 줄이고 리타더 시너로 바꿔 넣어도 된다. 습도가 85% 이상일 때는 도장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어두운 색이라도 광택이 필요할 경우는 래커 에나멜을 20% 이내로 줄이고 투명 래커로 바꿔 넣어도 좋다 염화비닐 에나멜 도장 적용 및 기준 염화 비닐수지 에나멜 혹은 비닐수지 도료라고도 부르며, 염화비닐과 초산비닐, 마레인산의 조성비에 따라 수지성능이 각각 다르나 내식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357 우수한 도장으로서 도장 종별은 표에 따른다. <표 26> 도장 종별 소지 도장 횟수 초벌 재벌 정벌 콘크리트, 모르타르면 1 ~ 철재면 1 ~ ) 염화비닐 에나멜 도장 공정 공정은 소지면에 따라 아래 표를 기준으로 한다. 공정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연마지 #120~#160 2 초벌도장 염화비닐수지 프라이머 100 6시간 이상 0.4 (1회) 지정 시너 5~20 3 퍼티먹임 염화비닐 퍼티 6시간 이상 적당량 4 연마 연마지 #180~#240 5 초벌도장 염화비닐수지 프라이머 100 6시간 이상 0.4 (2회) 지정 시너 5~20 6 재벌도장 (1회) 붓도장 뿜도장 내용 염화비닐 에나멜 100 지정시너 5~20 염화비닐수지 에나멜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연마지 #80~#120 초벌도장 염화비닐수지 바니시 (1회) 지정 시너 5~20 3 퍼티먹임 염화비닐 퍼티 4 연마 연마지 #180~#240 5 초벌도장 염화비닐수지 바니시 (2회) 지정 시너 5~20 6 재벌도장 염화비닐 에나멜 100 (1회) 지정 시너 5~20 7 정벌도장 염화비닐 에나멜 100 (1회) 지정 시너 5~ 지정시너 5~20 건조시간 도료량 (kg/m ) 6시간 이상 시간 이상 3, 4의 공정은 바탕 상태가 양호할 경우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시간 이상 정벌도장 (1회) 주의사항 정벌도장 1회째와 같다. 3, 4 안의 공정은 바탕상태가 양호할 때는 생략할 수 있다. 0.12
358 1) 염화비닐 에나멜은 수지 조성에 따라 철재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의 부착 상태가 상이하므로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선정한다. 2) 이 도료는 고온 또는 장시간 저장 시 겔화현상이 있으므로 장기 보관은 어렵다. 3) 스프레이 작업은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작업한다. 4) 다공성의 바탕에 도장할 경우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장 시 유의해야 하며,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할 때에는 충분히 환기시킨 후 호흡기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염화고무 에나멜 도장 적용 및 시공 1) 해수와 고인 물에 대한 내수성이 우수하며 내화학성이 뛰어난 자연 건조형 염화고무계 도장으로서, 수영장 벽면 및 바닥 마감공사에 적용하며 도장 종별은 표에 따른다. 바탕의 종류 도장 종별 도장 횟수 초벌 재벌 정벌 철재면 A 종 아연도금면 A 종 ) 철재면의 공정은 아래 표를 기준으로 한다. 공정 1 바탕조정 2 초벌도장 (1회) 3 재벌도장 4 정벌도장 (1회) 주의사항 내용 와셔 에칭 프라이머 (KSM-5337, 2종) 희석비율 (중량비) 100 건조시간 도료량 (kg/m ) 4시간 이상 0.09 희석제 0~10 염화고무계 에나멜 100 4시간 이상 희석제 0~10 염화고무계 에나멜 100 희석제 0~10 4시간 이상 ) 바탕이 충분히 양생되어야 한다(20 기준 30일 이상, 수분함유량 6% 이하). 2) 바탕면의 먼지, 유분 등 기타 오염물이 깨끗이 제거돼야 한다. 3) 적합한 ph(7~9)를 유지하도록 한다. 4) 도장이나 경화 시 주위 온도는 5 이상이 적합하며, 수분의 응축을 피하기 위해 표면 온도는 노점 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5) 다공성의 바탕에 도장할 경우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장 시 유의해야 한다 에폭시계 에나멜 도장 적용 및 시공 에폭시 에스터 에나멜 도장, 2액형 에폭시 에나멜 도장, 2액형 두꺼운 에폭 시 에나멜 도장, 2액형 타르 에폭시 도장 등 4종류가 있다. 에폭시계 에나멜 도장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른 바탕면, 도장 횟수는 다음 표에 따른다. 도장의 종류 사용 목적 바탕 종류 도장 횟수
359 에폭시 에스터 에나멜 2액형 에폭시 에나멜 2액형 두꺼운 에폭시 에나멜 2액형 타르 에폭시 공정 도장 1) 에폭시 에스터 에나멜 도장 미약한 내산, 내알칼리를 목적으로 사용할 때 내산, 내알칼리, 내수를 목적으로 사용할 때 내수, 내해수를 목적으로 사용할 때 내용 초벌 재벌 정벌 철재 철, 아연도금 콘크리트, 모르타르 철, 아연도금 콘크리트, 모르타르 철재면 콘크리트, 모르타르 철재면의 에폭시 에나멜 도장의 공정, 시너의 배합비율,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다음의 표에 따른다.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2 초벌도장 에폭시 에스터 프라이머 100 (1회) 지정 시너 0~10 3 퍼티먹임 에폭시계 퍼티 시간 이상 4 연마 연마지 #160~#180 24시간 이상 5 초벌도장 에폭시 에스터 에나멜 100 (2회) 에폭시 시너 (0~15) 24시간 이상 재벌도장 에폭시 에스터 에나멜 시간 이상 (1회) 에폭시 시너 (0~15) 7일 내 정벌도장 재벌 때와 같다(1회) 2) 2액형 에폭시 에나멜 도장 철재 아연도금 면의 2액형 에나멜 도장 및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의 2액형 에폭시 에나멜 도장의 공정, 도료, 시너의 배합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를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철구조물 도장협회(SSPC) 의거 처리 2 초벌도장 (1회)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 희석제 100 (0~10) 초벌 2회 3 (녹막이 건조시간 도료량 (kg/m ) 24시간 이상 0.3 초벌 1회 도장할 때와 같다 24시간 이상 0.3 도장) 4 퍼티먹임 2액형 에폭시 퍼티 24시간 이상 5 연마 연마지 #150~#180 6 재벌도장 2액형 에폭시 에나멜 시간 이상 0.1
360 (1회) 희석제 (0~15) 7일 이내 7 정벌도장 재벌 때와 같다(1회) )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를 금속면용으로 한다. 2) 뿜도장은 에어 스프레이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등으로 한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2 초벌도장 2액형 에폭시 100 붓도장 프라이머 (2회) 희석제 (0~10) 24시간 7일 이내 퍼티먹임 2액형 에폭시 퍼티 24시간 이상 4 연마 연마지 #150~#180 5 재벌도장 2액형 에폭시 에나멜 100 에폭시 시너 (0~15) 6 정벌도장 재벌 때와 같다(1회) 24시간 0.2 1)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는 금속면용으로 한다. 2) 뿜도장은 에어 스프레이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등으로 한다. 3) 2액형 두꺼운 에폭시 에나멜 도장 철재 아연도금 면의 2액형 에폭시 두꺼운 에나멜 도장 및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의 2액형 두꺼운 에폭시 에나멜 도장의 공정, 도장, 시너의 배합비율, 면의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를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철구조물도장협회(SSPC) 의거 처리 2 초벌도장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100 프라이머 (2회) 희석제 (0~5) 24시간 90일이내 퍼티먹임 2액형 에폭시 퍼티 24시간 이상 4 연마 연마지 #150~#180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5 재벌 시간 이상 에나멜 (1회) 7일이내 에폭시 시너 (0~15) 정벌 재벌 때와 같다(1회) 1)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프라이머는 금속면용으로 한다. 2) 초벌은 에어리스 스프레이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붓도장 2회도 괜찮다. 재벌 및 정벌 도장은 에어 스프레이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등으로 한다. 3) 연마는 다음 공정 직전에 시행한다. 1)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용으로 한다.
361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조정 2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초벌 시간 프라이머 (1회) 7일이내 에폭시 시너 (10~30) 시간 3 퍼티먹임 2액형 에폭시 퍼티 이상 4 연마 연마지 #150~#180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5 재벌 시간 이상 에나멜 (1회) 7일이내 에폭시 시너 (10~30) 정벌 재벌 때와 같다(1회) ) 재벌과 정벌은 에어리스 스프레이로 한다. 4) 2액형 타르 에폭시 도장 철재면의 2액형 타르 에폭시 도장 및 콘크리트 모르타르 면의 2액형 타르 에폭시 도장의 공정, 도장, 시너의 배합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를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2 초벌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프라이머 시간 (1회) 에폭시 시너 (5) 7일이내 0.13 뿜도장 2액형 타르 에폭시 칠 100 희석제 24시간 3 초벌2회 0.3 7일이내 2액형 타르 에폭시 칠 100 붓도장 희석제 (0~5) 4 재벌 초벌 2회때와 같다(1회) KS M 5307 타르 에폭시 수지 도료 초벌 2회때와 같다(1회) KS M 5307 타르 에폭시 5 정벌 수지 도료 뿜도장은 에어리스 스프레이로 한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2 초벌 2액형 두꺼운 막 에폭시 프라이머 시간 (1회) 에폭시 시너 (5) 7일이내 초벌2회 뿜도장 2액형 타르 에폭시 페인트 시간 희석제 5~10 7일이내 재벌 초벌 때와 같다.(1회) KSSM
362 6 정벌 초벌 2회때와 같다.(1회) KSSM 뿜도장은 에어리스 스프레이로 한다 주의사항 1) 2액형 도장 재료를 중복하여 도장할 때의 건조시간이 7일을 초과했을 경우는 연마지 닦기 공정을 두어야 한다. 2) 정벌 후 실제로 사용할 때까지 반드시 7일 정도의 건조기간을 두어야 한다. 3) 프라이머와 정벌도장은 상하관계가 있도록 한다. 염화고무 및 에폭시 제품 등의 마감도장은 일반적으로 함유수지의 기건성 프라이머를 들뜨게 하므로 같이 사용할 수 없다. 4) 철재면의 표면은 스웨덴 규격협회(SIS) 규격 San 21/2 이상이 이상적이다 바니시 공정 적용 및 시공 이 시방은 스파 바니시 도료, 프탈산 바니시 도장, 1액형 우레탄 바니시 도장 및 2액형 우레탄 바니시 도장에 대한 것으로, 기타 바니시 도장에도 규정을 적용한다. 1) 바니시 도장의 종별(목부 도장일 때) 바니시 도장은 바탕 만들기와 내부, 외부 바니시 도장 2공정으로 나뉘며, 각 공정의 표준은 아래 표를 따른다. 가. 내부 바니시 도장: 공정 시 도장 재료, 희석비율, 면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를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연마지 #120~#180 2 초벌도장 1액형 우레탄 바니시 100 (1회) 페인트 시너 5~20 24시간 연마 연마지 #180 재벌도장 1액형 우레탄 바니시 (1회) 페인트 시너 5~20 24시간 연마 연마지 #240~# 정벌도장 1액형 우레탄 바니시 (1회) 페인트 시너 5~20 24시간 ) 바탕의 착색 및 눈메움 작업을 할 때에는 바탕처리 후 작업을 한다. 2) 2액형 우레탄 바니시 도장도 위의 공정을 따른다. 나. 외부 바니시 도장: 비가 들이치는 외부의 바니시 도장 공정은 아래 표를 표준으로 한다. 1) 바탕을 착색하지 않을 때는 2의 공정은 생략한다.
363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도료량 (kg/m ) 1 바탕처리 연마지 #120~#180 2 색 올림(착색) 유성 또는 수정액 올림제 10시간 이상 초벌도장 스파 바니시 페인트 시너 연마 페인트 시너 5~15 5 재벌도장 6 연마 연마지 #240~320 스파 바니시 100 페인트 시너 5~20 24시간 정벌도장 스파 바니시 100 페인트 시너 5~ ) 2액형 바니시 도장도 위의 공정을 따른다 주의사항 1) 바니시를 도장할 때는 바니시 솔을 써서 나뭇결에 따라 평행 이동하고 가능한 붓으로 도장한다. 같은 자리를 되풀이하거나 되돌리는 붓칠을 해서는 안된다. 붓칠 끝자리에 남은 도장은 가볍게 솔로 훑어낸다. 2) 바니시 도장은 특히 습기에 주의하고 습도가 85% 이상일 때는 도장을 해서는 안 된다. 3) 환기를 충분히 시키고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할 경우에는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바니시 재도장 1) 도막의 노화가 심할 때 가. 이전의 도막에 생긴 크랙이나 부풀음, 들뜬 격기, 오물 등은 리무버 등으로 모두 제거한다. 나. 용제성 리무버룰 사용했을 때에는 휘발유로 충분히 닦아내고, 알칼리성의 것을 사용했을 때에는 수산 등의 중화제로 씻는다. 다. 기존 도막을 벗겨낸 다음 바탕재는 충분히 건조시키고 연마재로 잘 닦는다. 필요할 때에는 착색, 눈먹임 등을 하고 전 항의 공정, 공법에 따라 도장한다. 2) 도막의 노화가 심하지 않을 때 기존 도막에 금이나 들뜬 격지 등이 없고 단순히 광택이 없을 때는 연마지 갈기(#240~320)를 한 후 전 항의 공정, 공법에 따라 도장한다 투명 래커 도장 적용 및 시공 목재 부위에 적용되며 투명 래커 도장의 공정, 도장, 시너의 희석비율, 면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364 1 바탕조정 23015에 따라 바탕조정 (kg/m ) 2 색 올림 에폭시 혹은 우레탄 수지 바니시(투명) 우레탄 시너 10~ 우레탄 6시간 에폭시 20시간 0.08~ 초벌 2액형 에폭시 수지 퍼티 100 재벌 4 (1회) 연마지 #150~240 24시간~7일 이내 5 재벌 (1회) 2액형 에폭시 수지 에나멜 시간~7일 폴리우레탄 시너 10~30 이내 연마 연마지 #240~320 7 정벌도장 (1회) 2액형 우레탄 수지 에나멜 시간~7일 우레탄 시너 10~30 이내 정벌(2회) 1) 무색 투명으로 마무리할 때는 2의 공정을 뺀다 주의사항 장소 옥내 2) 눈먹임제의 색깔은 미리 지시를 받아 도장의 견본판과 같도록 조정한다. 3) 마무리에 있어서 무광 래커를 쓸 때는 8의 공정에서 무광으로 스프레이 도장한다. 1) 재벌도장이 건조된 뒤 연마지를 바탕재의 길이 방향으로 닦아 평활하게 한다. 이 공정은 도막을 평활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므로 초벌도장 도막이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정벌도장은 뿜도장으로 한다. 습도 75~80%에서는 도막에 백화현상이 발생하므로 래커 시너 30% 이내를 줄이고 리타더 시너로 바꿔 사용한다. 습도가 85% 이상일 때에는 도장해서는 안 된다. 3) 붓 도장을 할 때는 시너 희석율을 F.C #4 30~40초로 하고, 스프레이로 할 때는 F.C #4 13~17초로 한다 무늬 코트(다색채 모양 뿜도장) 적용 및 시공 목재 부위, 콘크리트면, 모르타르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부위별 공정은 표에 따른다. 바탕종류 콘크리트, 모르타르, 플라스터, 석고보드, 나무 바탕 퍼티가 필요할 경우 지시에 따른다. 도 장 횟 수 바탕퍼티 초벌 재벌 정벌 1~
365 1) 콘크리트, 모르타르, 석고보드, 나무의 무늬도장 콘크리트, 모르타르, 플라스터, 석고보드, 나무의 무늬도장 공정, 도장, 시너의 배합비율, 면의 처리,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1) 퍼티먹임 및 연마지 닦기는 바탕의 상태에 따라 지장이 없을 때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생략해도 공정 내용 희석비율 건조시간 도료량 (중량비) (시간) (kg/m ) 1 퍼티작업 합성수지 에멀션 퍼티 - 24시간 이상 - 2 연마 연마지 #220~#400 3 초벌 (1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00 물 0~10 3시간 이상 초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100 (2회) 물 0~5 3시간 이상 재벌 무늬코트, 뿜칠 작업 24시간 이상 0.3 아크릴 투명 페인트 정벌 희석제 20~ 좋다. 2) 정벌용 광택 코팅은 아크릴 에멀션을 성분으로 한 수용성 고광택 투명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3)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는 공사 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는 KS M 5320(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내부용)) 1급으로 한다 주의사항 1) 바탕은 충분히 양생되어야 하며 바탕의 레이턴스, 먼지, 유분 등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2) 바탕의 ph는 7~9 정도, 함수율은 10% 이하여야 한다. 3) 온도가 5 이하나 상대습도 85% 이상에서는 건조가 불량하여 부착력 및 내구력이 저하되므로 도장을 피해야 한다. 4) 알칼리 용출로 인한 변색 및 무늬 번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히 방수를 해야 하며 알칼리 용출이 예상되는 곳은 반드시 내알칼리성 실러로 도장한 후 작업하도록 한다. 5) 도장작업 전 무늬 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야 하나 너무 심하게 분산시키면 무늬 입자가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6) 무늬도장은 20 에서 제조일로부터 3주 이내 사용해야 한다. 7) 무늬코트 전용 스프레이건을 사용하고 압력은 2.5~3.5kg/cm 으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본타일 도장 적용 및 시공
366 치장용 뿜도장 도재 중 내수성, 은폐력,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션을 주성분으로 한 수성 본타일과 색상 보유력, 내오염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 본타일, 중도무늬형의 에폭시 에멀션을 주성분으로 한 에폭시 본타일, 그리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외부 마감도재로 우수한 탄성과 내충격성, 균열에 대한 방수 효과를 줄 수 있는 탄성 본타일이 있다. 뿜도장의 도장 종류에 따른 소지면 및 도장 횟수는 아래 표에 따른다. 도장 종별 소지면 도장 횟수 하도 중도 상도 수성 본타일(내부) 콘크리트, 모르타르면 아크릴 본타일(내, 외부) 콘크리트, 모르타르면 에폭시 본타일(내, 외부) 콘크리트, 모르타르면 탄성본타일(내, 외부) 콘크리트, 모르타르면 ) 수용성 본타일 공 정 내 용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23015에 따름 2 초벌도장 아크릴 에멀션 프라이머 100 희석제 0~20 건조시간 도료량 (시간) (kg/m ) 8시간 이내 퍼티붙이기 불포화 폴리에스터 퍼티 100 1시간 이내 희석제 0~3 4 연마 연마지 #180~ 재벌도장 (2회) 정벌도장 (2회)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100 폴리우레탄 시너 0~20 2액형 폴리우레탄 에나멜 100 폴리우레탄 0~20 24시간~7일 이내 시간~7일 이내 ) 아크릴 본타일 공정 내용 희석비율 건조시간 도료량 (중량비) (시간) (kg/m ) 1 바탕조정 23015에 따름 2 초벌도장 아크릴 수지 투명 100 아크릴 시너 0~20 8시간 이내 0.08 재벌 3 (중도 유성형 중도무늬 도재 시간~3일 이내 0.9~1.2 무늬) 4 정벌도장 아크릴 수지 에나멜 100 (2회) 아크릴 시너 0~10 24시간~3일 이내 0.23~0.35 3) 에폭시 본타일 공정 도장내용 희석비율 건조시간 도료량
367 (중량비) (시간) (kg/m ) 1 바탕조정 23015에 따름 에폭시 에멀션 투명 초벌도장 0.08 물 0~ ~1.3 아크릴 우레탄수지 정벌도장 에나멜 24시간~3일 이내 0.23~0.35 (2회) 지정 시너 0~10 재벌 에폭시 에멀션 무늬 (중도무늬) 뿜칠도제 4) 탄성 본타일 공 정 내 용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23015에 의거 처리한다.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2 초벌도장 탄성 아크릴 에멀션 투명 ~0.1 물 0~ 재벌 (중도 무늬) 재벌2회 (중도무늬) 정벌도장 (2회) 탄성현 중도무늬 바탕제 100 물 10~20 탄성아크릴 중도 무늬 100 도료 물 0~10 탄성아크릴 우레탄 수지 도료 100 지정 시너 0~20 24시간 1.3~1.7 24시간 1~1.5 24시간~3일 이내 0.23~ 주의사항 1) 틈새나 흠은 수성퍼티 혹은 에폭시 퍼티, 탄성 퍼티 등으로 메워 조정한 후 작업한다. 2) 물을 사용하는 뿜도장 도재는 주위 온도가 5 이하에서 작업할 경우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작업을 피한다. 3) 수성 본타일은 내부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외부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4) 도장이나 정화작업은 주위 온도 5 이상이 적합하며, 수분의 응축을 피하기 위하여 표면 온도는 노점 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5) 동절기나 저온에서는 살포작업 시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도 1회차에서 희석비를 높여 중도면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작업해야 한다. 6) 2액형 뿜도장 도재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규정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바닥재 도료 도장 적용 및 시공 접착성이 강한 도료로서 주차장 바닥이나 옥상 방수용으로 사용되며 종류는 내마모성,
368 내충격성, 탄성이 풍부한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와, 내약품성이 월등히 좋은 폴리 아마이드 경화형에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2액형 에폭시 도료, 그리고 자연건조형 아크릴 수지 에나멜 등 3종류로 나뉜다 도장 종별 바닥재 도장 종별 및 그에 따른 도장 횟수는 아래 표에 따른다. 소지별 콘크리트, 모르타르 도장 종별 도장 횟수 초벌도장 재벌도장 정벌도장 우레탄계 일반형(코팅) 1 1~2 1 두께 3mm형 에폭시계 일반형(코팅) 1 1~2 1 두께 3mm형 아크릴계 일반형(코팅) 1 1~2 1 1) 코팅형 우레탄 바닥제 도장 공정 초벌도장 (1회) 재벌도장 (1회) 정벌도장 (1회) 희석비율 내용 (중량비) 우레탄 수지 100 프라이머(투명) 지정 시너 0~20 아크릴 우레탄 수지 100 시페이서 지정 시너 10~20 우레탄 수지 에나멜 100 지정 시너 0~20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8시간 이후 시간 이후 0.2~ 시간 이후 ) 코팅형 에폭시 바닥재 도장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1 초벌도장 (1회)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투명) 100 지정 시너 0~20 8시간 이내 재벌도장 (1회) 에폭시 수지 서페이서 100 지정 시너 10~20 24시간 0.2~ 정벌도장 (1회) 우레탄 수지 에나멜 100 지정 시너 0~20 24시간 0.2 3) 아크릴수지 에나멜 바닥재 도장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1 초벌도장 아크릴수지 투명
369 2 (1회) 아크릴 시너 10~20 재벌도장 아크릴수지 에나멜 100 (1회) 아크릴 시너 5~10 0.2~ 정벌도장 (1회) 아크릴수지 에나멜 100 아크릴 시너 5~ )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도장 (3mm 기준) 공정 초벌도장 (1회) 재벌도장 (1회) 정벌도장 (1회) 희석비율 내용 (중량비) 폴리우레탄 수지 100 프라이머(습기경화형) 지정 시너 0~10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도제(탄성형) 지정 시너 0~5 폴리우레탄 수지 100 에나멜(습기경화형) 지정 시너 0~10 건조시간 (시간) 도료량 (kg/m ) 8시간 시간~72시간 시간 주의사항 1) 바탕에 기름,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면 겔화되어 부착 상태가 나빠진다. 그러므로 소지 바탕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도장해야 한다. 2) 반드시 지정된 시너를 사용해야 하며, 폴리우레탄 중도제의 경우 재도장 시간을 준수해야 층간 부착이 좋다. 3) 경화제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밀폐된 곳에 지정하고 직사광선을 피한다. 4) 2액형 우레탄 도료는 작업하기 편리하나 독성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환기 장치나 보호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하도록 한다. 5) 각 도료는 도장하기 전 주제와 경화제를 지시된 비율에 따라 약 4~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6) 우레탄 중도는 시공 이음매의 레벨링을 고려하여 신속히 시공해야 한다 (10~20분 이내). 7) 콘크리트 강화제로 처리된 면은 쇼트 블라스팅, 그라인딩 또는 농염 산으로 표면을 세척한 후 상수도물로 깨끗이 씻어 완전히 건조시켜야 하며, 도장 전에 반드시 도료와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산처리 작업 시는 고무장화, 고무장갑 및 마스크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8) 표면의 균열 또는 요철 부분은 V자형으로 파내고 하도 도장하여 건조시킨 후, 퍼티로
370 처리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조정한다. 9) 혼합된 도료는 사용 가능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하며, 도막의 충분한 성능은 도장 후 20 에서 7일 후 발휘한다. 기온이 5 이하거나 상대습도 85% 상에서는 도장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은분 페인트(알루미늄 페인트) 도장 적용 및 시공 1) 알루미늄 페인트 도장의 도장 종별은 바탕의 종류, 사용 부분 및 도장 횟수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이 2종으로 구분한다. 도장의 종별은 공사 시방에 따른다. 종별 사용 부분 바탕 종류 도장 횟수 초벌도장 재벌도장 정벌도장 A종 옥외 철부 B종 옥내 철부 1-1 도장의 종별은 공사 시방에 따르고 공사 시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는 아연 도금부 알루미늄 페인트 도장의 초벌용 도장은 와셔 프라이머로 도장한 후 녹막이도장을 한다. 2) 철부 은색 에나멜 페인트 도장의 공정, 도장, 시너 희석비율, 건조시간 및 도료량의 표준은 아래 표에 따른다. 공정 내용 희석비율 (중량비) 1 바탕조정 연마지#180~#220 초벌도장 녹막이 도장 (1회) 지정 시너 10~20 알루미늄 3 재벌도장 4 정벌도장 주의사항 붓도장 희석제 페인트 0~10 희석제 100 뿜도장 희석제 0~10 재벌도장 때와 같다 KS M 5335알루미늄 페인트 (1회) 건조시간 도료량 (kg/m ) 시간 비고 알루미늄 페인트 1) 알루미늄 페인트의 혼합: 알루미늄 페인트의 알루미늄 파우더와 바니시와의 혼합 비율은 그 제조자가 지정한 비율로 한다. 혼합양은 1일분으로 하고 잘 휘저으면서 혼합한다. 도장할 때마다 잘 저어서 쓴다. 2) 구멍 때움, 퍼티먹임 및 연마지 닦기: 주물, 파이프, 일반 구조재, 지붕면, 외부 벽면으로서 특히 지장이 없을 때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구멍때움, 퍼티먹임 및 연마지 닦기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3) 2액형 알루미늄 페인트는 혼합했을 때 장시간 방치하면 은분 색깔이 검게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내화도장
371 적용 및 시공 종래의 내화피복제는 락울(Rock Wool)에 시멘트류를 사용하여 몇 10mm의 두께를 요구했으나 최근의 내화도료 는 1mm 이내의 두께로도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고 내의장성이 있는 데다 분진도 없으므로 시공 관리가 쉽다. 이와 같은 내화도료 는 시험성적서 및 담당원의 승인을 얻은 후 시공 하도록 한다. 공정 내용 건조시간 도료량(kg/m ) 1 바탕조정 바탕 방청페인트 부착 유무 조사 2 프라이머 방청도료(내화성) 4시간 주재 내화페인트 5시간 삼도재 염화비닐계 페인트 4~8시간 주의사항 1) 외기 온도 4 이상에서 작업할 수 있다. 2) 시공 두께의 오차는 1mm 미만이어야 한다. 3) 완전 건조되려면 4~6일 정도 소요된다 복층무늬 도료(뿜칠용 도료) 칠 일반사항 1) 치장용 뿜칠 도장재료 중 내수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션을 주성분으로 한 수성 본 타일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주원료로 한 중도무늬형의 에폭시 본 타일 등이 있다. 2) 복층무늬 도료의 종류 가. 수성용 본 타일: 아크릴 공중합체 에멀션을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입체감을 지닌 무늬를 형성하며 주로 실내용으로 사용한다. 콘크리트, 모르타르, 석고보드 등의 바탕에 사용하며 내수성, 은폐력, 내후성, 내오염성, 작업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마감용 도료이다. 나. 아크릴 본 타일: 내외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오염성, 광택, 색상 보유력 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입체감 있는 무늬를 형성한다. 다. 에폭시 본 타일: 내외부용으로 사용하며 부착성, 내수성, 고내후성, 강도, 광택, 3 ) 칠의 종별 색상 보유력 및 내오염성 등이 우수한 에폭시수지를 주원료로 한 것으로 입체감 있는 무늬를 형성한다. 복층무늬 칠의 도장 종별은 바탕, 도료에 따라 표와 같이 하고, 바탕 만들기는 특기 시방에 따른다. 도장 횟수 종별 바탕면 하도용 중도용 상도용 수정용 본타일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1 1 2
372 아크릴 본타일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에폭시 본타일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칠의 공정 1) 수용성 본 타일 뿜칠 공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바탕조정 바탕조정용 퍼티 특기 시방에 따른다 2 초벌칠 아크릴 에멀션 프라이머 8시간 이상 방치한다 3 퍼티먹임 바탕조정용 퍼티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4 연마지 닦기 #180~240 5 재벌칠 1회 2액형 폴리우레탕 에나멜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6 정벌칠 1회 2액형 폴리우레탕 에나멜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2) 아크릴 본 타일 뿜칠 공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바탕조정 바탕조정용 퍼티 특기 시방에 따른다 2 초벌칠 투명 아크릴수지 6시간 이상 방치한다 3 재벌칠 에폭시 에멀션 중도무늬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4 정벌칠 2회 아크릴수지 에나멜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3) 에폭시 본 타일 뿜칠 공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바탕조정 바탕조정용 퍼티 특기 시방에 따른다 2 초벌칠 투명 아크릴수지 3 재벌칠 에폭시 에멀션 중도무늬 4 정벌칠 2회 아크릴수지 에나멜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5.21 다채무늬 도료(뿜칠용 도료) 칠 일반사항 1) 도장면의 외관을 여러 가지 색(바탕 면에 용해성과 색이 다른 2가지 이상 도료)으로 변화를 주어 도장의 효과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료로 주로 내장용으로 사용한다. 2) 칠의 종별 다채무늬 칠의 종별은 칠의 바탕에 따라 표와 같이 하고, 바탕 만들기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칠 장소 실내 칠의 공정 바탕면 콘크리트, 모르타르, 플라스터, 석고보드, 목재 등 도장 횟수 바탕퍼티 초벌칠 재벌칠 정벌칠 1~ 공 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바탕조정 합성수지 에멀션 퍼티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373 2 연마지 닦기 #220~400 3 초벌질 1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3시간 이상 방치한다 4 초벌질 2회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3시간 이상 방치한다 5 재벌칠 뿜칠용 무늬코트 도장재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6 정벌칠 투명 아크릴수지 5.22 롤러(Roller)무늬 마무리 칠 일반사항 롤러무늬 마무리 도장재는 합성수지페인트와 무기질 혼화재, 안료 등을 공장에서 배합하여 제품화한 수용성 도장재료로, 각종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롤러를 사용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시멘트계와 합성수지 에멀션계로 대별할 수 있으며, 주로 내장용으로 사용한다 칠의 공정 1) 시멘트 스터코(Cement Stucco) 칠 본 공정은 롤러무늬 마무리 칠의 공정에 한한 것으로, 흙손 마무리인 경우에는 특기 시방에 따른다. 공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밑바탕칠 합성수지 에멀션 공정간 1시간 이상 방치한다 2 시멘트 스터코칠 시멘트 스터코 칠한 후 1시간 이내(보통30분 전후)에 무늬 넣기 3 무늬 넣기 무늬롤러로 무늬 넣기, 48시간 이상 방치한다 4 마무리칠 합성수지계 도료 최종양생: 24시간 이상 2) 시멘트계 롤러무늬 마무리 칠 시멘트, 세골재, 무기질 혼화재, 안료 등을 공장에서 배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칠의 배합은 제조업자의 지정에 따르고 칠의 공정은 표를 기준으로 한다. 공정 재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밑바탕칠 합성수지 에멀션 공정간 1시간 이상 방치한다 2 무늬형성재 칠 무늬 형성재 칠한 후 1시간 이내(보통30분 전후)에 무늬 넣기 3 무늬 넣기 무늬롤러로 무늬 넣기,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4 마무리칠 합성수지계 도료 24시간 이상 최종양생 3) 합성수지계 롤러무늬 마무리 칠 합성수지 에멀션, 탄산칼슘, 충진재, 세골재, 안료 등을 공장에서 배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칠의 배합은 제조업자의 지정에 따르고 칠의 공정은 표를 기준으로 한다.
374 공정 재 료 공정의 내용 및 특기사항 1 밑바탕칠 합성수지 에멀션 공정간 1시간 이상 방치한다 2 무늬형성재 칠 무늬 형성재 칠한 후 1시간 이내(보통30분 전후)에 무늬 넣기 3 무늬 넣기 무늬롤러로 무늬 넣기, 24시간 이상 방치한다 4 마무리칠 합성수지계 도료 24시간 이상 최종양생 제6절 특수 도장 재료 및 공법 6.1 방화도료(난연 도료) 적용 및 시공 건물 내장재로 사용하는 특수 도료인 방화도료 시공 시 해당하는 것으로, 방화도료를 사용하여 가연성 물질이 난연화되면서 화재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동시에 연소 확대를 억제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재료의 이해 난연 도료는 특수한 재열 합성수지와 인산염 유도체를 적정 배합한 특수 도료로서, 목재 및 합판 등 가연성 내장 재료의 마감재로 사용한다. 화재 시 단열층을 형성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해주는 하도용과 다양한 색깔 과 미려도를 가진 상도용으로 나뉘며, 바니시와 페인트 두 종류를 가진 발포성 난연도료이다. 가. 장화성이 우수하여 얇은 도막으로 강력한 난연 성능을 나타낸다. 나. 외부의 충격과 마모에 훌륭한 저항력이 있어야 한다. 다. 농축된 산이나 알칼리 등 대부분의 화학물질과 오염에도 매우 강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아야 한다. 라. 시공상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지 않고 붓, 롤러, 스프레이 등 시공이 용이한 제품이어야 한다. 2) 난연처리 시공방법 가. 합판 난연처리: 합판의 난연처리는 목재의 수성 약품으로 적합하도록 시험 분석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합판에 주약관 가압식 장비를 사용하여 합판 전체에 완전 흡수시켜야 하며 훈풍 및 전기 기계를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켜야 한다. 합판 입고 시 1장을 난연검사소에 제출하여 난연 3급 검사에 합격해야 한다. 나. 각재 난연처리 공사: 각재 및 합판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인력을 이용하여 도장한다. 다. 래커 위 난연처리 도료: 래커 마감 위에 유성도료를 이용하여 난연하는 작업으로, 시험 및 분석, 감정 확인된 난연성 도료를 사용해야 하며 작업 전 도료 견본품을 제출하여 승인을 취득한 후 시공한다.
375 라. 상기 난연처리는 난연 3급 검사를 받아야 하며, 방염처리는 소방서에서 발행하는 방염필증을 첨부하여 담당원에게 제출해야 한다. 3) 도장공사 및 시방 도장공정/시방 건조시간 재벌칠 도포량 도장 횟수 비고 클리어 바니시 하도용 4시간 이내 24시간 500grb/m 2~3회 K8F2271 하도용 2시간 이내 이내 85grb/m 1회 페인트 하도용 4시간 이내 24시간 4) 규격 및 물성 5) 작업 환경 상도용 2시간 이내 이내 100grb/m 1회 기준 600grb/m 3회 K8F2271 구분 하도용 상도용 비고 1. 종류 수성/페인트, 바니시 유성/페인트, 바니시 2. 밀도 특징 무취 솔벤트 4. 저장수명 12~15개월 12개월 5. 작용한도 도포량 500~600grb/m 500~600grb/m K8F 칠 횟수 2회 1회 난연 3급 기준 8. 건조시간 4시간 이내 2시간 이내 9. 재도장 시간 4~6시간 사용 도구 붓, 롤러, 스프레이 붓, 롤러, 스프레이 11. 도구 세척 물 시너 12. 적용 온도 5~30 5~30 시공 시 13. 적정 습도 85% 이내 65% 이내 시공 시 14. 마감 처리 유광, 무광 작업을 위해서는 하도용의 경우 온도 5 ~30, 습도 85% 이내, 상도용의 경우 온도 5 ~30, 습도 65% 이내가 이상적이다. 6) 표면 처리 나무의 모공 속으로 도료가 침투되도록 고안된 제품이므로, 시공 전 나무의 표면이 항상 청결하도록 유분, 낡은 도막, 먼지 등을 사전에 제거해야 하며, 시공 당시 나무의 수분 함양이 17%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미 페인트나 바니시가 도포되어 있다면 도막의 두께가 0.15mm 이하인 경우는 기존 도막을 제거하지 않고 시공하는 편이 낫다. 특히 이미 방염처리가 되어 있거나 특수 코팅을 한 합판이나 목재의 표면에 도료를 시공하려고 할 때는 사전에 전문 업체에게 문의한다. 7) 재료의 취급 및 보관 재료는 실온에서 습기나 환기가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하며 사용 시 일반 도료의 혼합사용을 금한다. 6.2 아모코트 도장 재료의 이해 1) 아모코트 폴리시드 플라스터는 대리석 분말, 석회, 천연 안료, 오일과 왁스 등의 기준
376 재료로 만든 것으로, 다양한 색상을 창조한다. 2) 아모코트는 평평한 면과 구부러진 곡면, 어느 곳에나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흙손 마감 작업으로, 컬러 대리석 분말과 자연 안료는 다양하고 자연스러우며 영구적인 색상을 마감 표면에 제공한다. 3) 아모코트 폴리시드 플라스터는 단순한 마감이 아니라 색상과 창조성, 기술이 합해져서 하나의 미술 작품과도 같은 고급 벽 마감재로 만들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바탕 벽면의 기본 조건 1) 아모코트 폴리시드 플라스터는 평평하고 고른 벽면이면 어디든 마감이 가능하고 갈라짐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조인트된 석고보드면의 경우 완전히 건조한 상태에서 시공해야 하며, 벽지 위 마감은 가능한 피해야 한다. 2) 이미 마감된 경우라면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좋은 마감면을 얻기 위해서는 기본 벽면이 평평하고 고른 상태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마감면이 불완전하거나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3) MDF 위에 아모코트를 칠할 때에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MDF가 다소 팽창하면서 연결 부위가 갈라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작업 이전에 체크할 사항 1) 기본 벽면은 울퉁불퉁한 면이 없는 매끈하고 평평한 벽면이어야 한다. 2) 작업할 부위에 충분한 조도가 비출 수 있게 작업등을 설치해야 한다. 3) 기본 벽은 구조적으로 안전해야 하며 마감재 조인트 부분은 별도로 퍼티 처리를 해야 한다. 4) 테이핑과 조인팅은 완벽해야 한다. 스크루 헤드나 테이핑의 융기, 벽면의 손상, 모서리의 튀어나온 부분이나 패인 부분은 적당한 석고보드 도료로 봉합 해야 한다. 5) 작업 장소의 온도는 8~10 가 이상적이다 일반적인 문제와 해결 방법 1) 3mm 깊이의 움푹 파인 부분은 키코트를 걸죽해질 때까지 계속 섞어준 다음 구멍 부분을 메운다. 페더 에지(Feather Eedge)를 이용하여 구획을 그은 후, 면이 평평해질 때까지 계속 작업해준다. 최소 4시간이나 하루 정도 가만히 놔둔 다음, 전체 벽면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키코트를 칠한다. 2) 깊은 구멍, 만입 부분 등은 아모코트 리페어 팩이나 필러를 이용하여 채워주는 것이 좋다. 3) 뒤쪽 벽면의 융기 부분이나 울퉁불퉁한 부분, 국부적으로 작게 튀어나온 부분은 서폼(Surform)이나 칼날로 깎아내어 평평하게 만들어준다. 4) 가늘고 미세한 갈라짐은 종이테이프, 테이핑 플라스터 보드를 붙여 보수하거나 조이팅
377 혼합물을 발라준다. 5) 오래된 석고나 여러 자재가 혼합된 벽면은 기존에 있는 아모코트에 보수나 수리를 위한 마감작업을 할 때는 각 소재마다 접착력이 다르기 때문에 마감면을 잘 봉합해주는 것이 기본이다. F3 프라이머나 집락 탑코트(Gyproc Topcoat)를 브러시나 롤러로 발라준다. 6) MDF 기본벽 MDF 자재는 일반적으로 흡수력이 있고 팽창하는 경향이 있어 습기에 노출되면 휘게 된다. 그럼에도 MDF 자재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다음의 사항을 검토 하도록 한다. 가. 수분에 저항력이 있는 MDF를 사용한다. 나. 얇거나 휘어지는 MDF를 사용하지 않는다. 가급적 18mm 이상의 MDF를 사용한다. 다. 모든 연결 부분과 코너는 조이고 밀착돼 있어야 하며, 나무 각목을 뒤쪽에 보강해야 한다. 라. 모든 나사못 부위는 팩 필러(T재 Pack Filler)를 이용하여 동일면이 될 수 있도록 채워준다. 마. 전체 면은 아모코트 키코트를 바르기 이전에 완전히 초벌칠이 되고 봉합되어야 한다 작업공정 1) F3 프라이머의 마감 아모코트 F3 프라이머는 거의 모든 기본 벽면에 적합한 접합 아크릴 프라이머로 용도는 다음과 같다. 가. 페이스트 마감을 위한 모든 벽면에 사용될 수 있다. 나. 집섬 스킴코트(Skimcoat)와 새 석고보드, 그리고 이전에 작업한 표면간의 접착력이 증대된다. 다. 물과 1 : 1로 희석시킨 다음 브러시나 롤러로 마감한다. 라. 프라이머는 2~3시간 안에 건조되지만 추운 상태에서는 하루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2) 키 코트의 믹싱 키코트 프라이머 위에 칠해야 하며 나중에 도포되는 석고층에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음 작업에서 칠해지는 플라스터에 국부적이며 지속적인 접착력을 제공한다. 가. 설명한 대로 키코트를 혼합하여 벽면에 지속적으로 작업한다. 나. 석고 자재는 젖어 있는 상태에서 알갱이 두께로 벽면에 칠해주고 납작한 흙손으로 누르는 힘이 벽면에 전해지도록 한다. 마감면이 울퉁불퉁 하거나 선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평활해야 한다. 다. 마감면은 거친 샌드페이퍼와 같아야 한다.
378 라.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춥고 제한된 장소에서의 작업은 뒤쪽 벽면의 접착 상태를 높일 수 있도록 키코트를 두 번 칠하는 것이 좋다. 마. 두 번째 키코트 작업은 첫 번째 키코트가 완전히 건조되거나 반 이상 건조된 후 발라준다. 물에 석고 분말을 넣고 전기 드릴을 사용하여 응어리가 지지 않고 부드럽게 될 때까지 섞어준다. 바. 5분 동안 가만히 놔둔 후 사용하기 전에 한 번 더 저어준다. 3) 아모코트 플리시드 플라스터 여러 가지 분말가루를 섞어 놓은 것으로 18kg 단위의 통으로 포장되어 있다. 색소는 비틀어 여는 플라스틱 소형통에 들어 있으며 석고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함께 첨가된다. 가. 색소 내용물을 30리터 믹싱통에 붓는다. 물을 색소 용기에 채워 남아 있는 색소를 전부 씻어낸다. 나. 18kg 통에 필요한 물의 총량은 7.2~7.5리터이다. 1kg 소형 플라스틱 통 입구까지 물을 채워서 30리터 믹싱통에 붓는다. 다. 마감면에 질감이 형성되면 6kg의 대리석 분말을 넣는다. 라. 18kg용 석고를 첨가하기 이전, 색소와 물을 가볍게 섞어준다. 마. 물과 색소를 혼합물에 섞고 분말을 조심스럽게 부은 뒤 응어리지지 않게 완전히 섞어준다. 바. 5~10분 동안 자재를 가만히 놔두고 벽에 바르기 직전 한 번 더 섞어준다. 4) 흙손 테크닉 가. 석고의 미장은 일정 기간 동안의 연습을 통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재와 흙손 기술에 대한 이해이다. 나. 흙손을 효과적으로 충분히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흙손의 다양한 각도를 이용한 미세한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며, 마감 시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재료를 발라주는 것, 면 고르는 작업, 석고에 광을 내는 작업이다. 흙손의 각도에 약간만 변화를 주거나 흙손에 주는 힘을 바꾸어도 각각의 흙손질의 효과나 전체적인 작업의 시간과 질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난다. 5) 마감작업 가. 스무스(SMOOTH) 1 건조한 키코트 위에 있는 작은 돌기들과 흙손질로 인한 선들을 없애고 특히 코너와 다른 쪽 표면들이 접한 부분에 주의하여 작업한다. 2 키코트 칠 위에 1m 씩 석고 자재를 칠해주고 사방으로 흙손질을 해준다. 키코트 위에 작업을 할 때 석고 흙손이 자재 속의 대리석 알갱이를 덮으면서 매우 고운 선들을 만들어준다. 표면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짧게 터치하고 지속적인
379 패닝(인위적인 방법으로 건조시키는 것) 작업을 해준다. 마지막 칠을 하기 이전에 흙손질을 하면 표면에 흥미를 더해줄 것이다. 평범한 마감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첫 번째 칠을 제외한 모든 칠 작업에서 모든 선과 돌기 부분들이 흙손질되어야 한다. 3 첫 번째 칠이 더 이상 끈적거리지 않고 단단하게 느껴질 때까지 가만히 놔둔다. 이것은 작업 장소의 온도와 습도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보통 30~90분이 소요된다. 4 약간의 자재를 흙손에 덜어내어 첫 번째 칠 위에 발라준다. 이러한 과정을 전체 벽에 반복하고 가끔씩 이미 작업한 곳으로 되돌아가 평평하게 흙손질을 한다. 5 일단 전체 벽면에 질감이 형성되면 흙손을 깨끗하게 하고 난 뒤 45 로 기울여 자재가 많이 있는 곳을 취해 불완전한 부분을 채워준다. 6 마감면이 빈틈없이 매끈해질 때까지 15~20분 간격으로 흙손질해주고 아직 광은 내지 않는다. 7 마지막에 세로 방향으로 힘을 주어 광을 내고 표면 위에 형성된 가늘고 불규칙적인 선들을 강조한다. 8 마감면이 건조되도록 놔둔다. 나. 스파출라타(SPATULATA) 스파출라타 작업은 마감 후 광이 많이 나고 매끄러운 표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mm 이상의 두께로 칠하지 않으며 마지막 마감에서 불완전한 부분이 조금이라고 보이면 안 되므로 마지막 칠을 하기 전 다음과 같은 주의가 요구된다. 1 깨끗한 물에 동일한 양의 F3 프라이머를 섞은 다음 브러시나 롤러를 이용하여 벽면에 칠하고 건조되도록 놔둔다. 다공성의 표면 위에서는 프라이머가 2~4시간 이내에 충분히 건조되지만 페인트로 마감된 표면의 경우에는 프라이머를 바르고 하루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2 일단 프라이머가 건조되면 표면 위에 스파출라타 페이스트를 일률적으로 칠한 뒤 건조되도록 놔둔다. 흙손질로 인한 선이 최대한 남지 않도록 작업한다. 3 따뜻한 기온에서는 페이스트 칠이 몇 시간 안에 건조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시점에서 마감 작업을 할 수 있다. 춥고 습한 상황에서는 건조되기까지 최고 8시간 내지 그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 그릿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선들과 군더더기 무늬를 갈아 없애고 먼지는 닦아낸다. 5 소량의 자재를 소형 흙손이나 스파출라타 블레이드에 덜어낸다. 표면 위에 패치를 만들면서 전체적으로 한 번 더 석고 자재를 걷어낸다. 이런 방식으로
380 너무 두껍지 않게 1-2m 씩 연속적인 패치를 가하며 칠해준다. 6 작업하고 있는 부분과 이전에 칠한 패치와의 빈 공간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번 더 칠해준다. 7 세 번째 패치를 칠해준 다음 깨끗한 블레이드로 흙손질하거나 광을 낸다. 세 번의 작업으로도 스파출라타 마감이 가능하지만, 광을 내기 이전에 6~8번 칠해주는 것도 흔한 일이다. 8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어두운 부분은 습기가 지나치게 많은 곳이므로 광 작업을 하지 않는다. 9 마감면이 건조되도록 놔둔다. 6.3 안티코 스터코 도장(ANTICO STUCCO) 적용 및 시공 1) 재료의 이해 안티 스터코는 재료의 반복터치 기법으로 입체감과 변화감을 연출하는 데커레이션 페인트로, 제품은 정확한 소재와 시공 기술의 정교한 배합에 의해 희석회를 기본으로 만들어진다. 2) 기술 사양 가. 제품 생산범위: 천연 재질의 데커레이션 소재 나. 색상: 8색상 + 흰색 다. 포장단위: 라파엘로 ROO 흰색(1 20kg, 2.5kg, 6 1kg) RO1, RO2, RO3, RO4, RO5, RO6 (6 1kg) 라. 조성: 천연소재, 식물성 접착제, 모래, 무기산 마. 비중: 1.5kg/l 바. 도포율 : 1.5kg/m 사. 보존방법: 0 이상에서 보관 아. 희석: 불필요 자. 사용공구: 금속 흙손, 헤라(스파투라) 3) 시공 시공할 표면을 깨끗이 하고, 느슨하거나 들뜬 부분은 제거하며 완전 접착을 위해 프라이머를 사전에 시공한다. 습하거나 5 이하의 조건에서는 시공하지 않는다. 가. 1차 코팅: 제품을 벽에 바른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6시간 정도 대기 중에 건조시킨다. 나. 2차 코팅: 제품을 벽에 바른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6시간 정도 대기 중에 건조시킨다.
381 다. 3차 코팅: 제품을 헤라로 약간씩 덜어내 얇게 도막을 낸 후 광택을 만든다. 헤라로 광택이 없는 표면, 혹은 얼룩이 지며 표면이 빛나는 형태(대리석 질감)를 만들 수 있다. 4) 안전도 데이터(독성 데이터) 안티코 스터코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색소, 중금속, 크롬, 납, 염화물, 독성용액, 위험한 분해성 물질이 없는 소재)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난연성 으로 화재에 대한 위험이 적어 안전성이 요구되는 곳은 어디든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를 시공한 후 제품을 3차에 걸쳐 헤라로 반복 터치(Touch) 시공하며, 이때 대리석 질감을 내기 위해서는 입체감을 연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382 SECTION 석재공사 (화강석, 대리석)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이 시방은 압축강도가 높은 석재를 바닥, 벽체에 마감재로 사용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것으로, 대리석, 화강암, 인조석 등을 구조체에 연결 철물이나 모르타르 등으로 설치 고정하는 방법이다. 석재는 실내건축공사에서 주요 마감재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종류로는 화강암, 대리석, 사암 등이 있다. 화강암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고 외양이 다양하여 실내외의 마감재 및 구조재로 사용되고, 대리석은 외관 및 색조는 아름다우나 내후성이 약해 주로 실내 마감용으로 사용된다. 석재는 종류나 용도, 크기, 다듬기 및 쌓기 공법에 따라 패턴이 달라지며, 사용하기에 앞서 석재의 강도, 경도, 시공성, 내구성, 재질 및 색감, 채석의 용이도, 가공성 등을 감안하여 용도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1.2 주요 내용 1) 석재 바닥 붙이기 2) 석재 벽면 붙이기(건식, 습식) 3) 석재 쌓기 1.3 적용 규준 한국산업규격(KS) KS F 석재의 흡수율 및 비중 시험방법 KS F 석재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석재 KS F 콘크리트용 부순 모래 KS F 포틀랜드 시멘트 1.4 도서 및 기타 시공상세도 1) 이 시방서에서 적용하는 바닥 및 벽체 등의 석재 공사는 도면을 참조하여 공사 착수 전에 돌 나누기 및 설치 시공상세도(연결 철물 위치 등도 포함), 하중계산서를 작성하여 승인을 받는다. 2) 시공상세도: 석재의 가공제작 전 설계도면 및 본 시방서를 기준으로 한 석재 시공
383 부위별 바탕면의 현장 검측을 실시하여 바탕면의 시공 정도 및 시공 오차 등을 정확히 조사한 후 시공 오차를 고려한 석재 나누기 평면도, 입면전개도, 단면상세도, 그리고 배치 및 색 배열, 주변 조건, 이질자재와의 접합부에 대한 상세를 작성한다. 3) 시공상세도에는 석재 줄눈 나누기에 의한 부위별 석재의 치수, 석재별 번호, 줄눈폭, 긴결 철물의 위치와 규격, 각종 창호 및 개구부류, 노출 박스 및 커버류를 비롯한 기계 및 전기설비 관련 부착물의 위치와 크기, 신축줄눈, 외벽 건식공법 시 환기 파이프의 규격, 위치, 플래싱(flashing), 기타 관련사항에 대해 상세히 나타내어야 한다 제품 자료 공사에 필요한 부속자재를 포함한 석재 종류별 시공에 적용될 자료 및 샘플을 제출한다 견본 색상, 등급, 마감, 무늬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mm 크기의 견본 석재 1) 공사에 사용된 외산 석재에 대한 품질, 색조의 점검 및 검사를 위하여 필요하다면 원산지에서 선적 전 사전검사를 실시한다. 2) 현장에 반입한 석재는 모두 수량, 품질 등에 대하여 실제 도면에 준한 샘플과 동일한지 검수한다 작업 절차서 석재 바닥 및 벽의 공사 또는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작업은 시공 전에 타 공정과 협의하며 특히 바닥은 타 공정이 중단 또는 완료된 시점에서 시공해야 한다 유지관리 자료 추천된 세척법, 세척제, 부식 제거방법, 광택제 및 왁스가 포함 되어야한다. 1.5 품질보증 외관 및 물리적 특성 등이 균일한 품질의 재료를 공사에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수량을 보유하고, 가급적 단일 원산지에서 석재가 공급되도록 한다. 1.6 견본 시공 경우에 따라 지정한 위치에 견본 시공하여 표면 마감 상태 및 색상을 확인하기 위해 견본 시공을 검수한다. 1.7 기후 조건 1) 석재 공사 완료 후 7일간은 재료 및 주변 온도를 최소 10 이상으로 유지하여 양생시킨다. 2) 석재를 공사 중 현장에 임시로 저장할 때, 공사완료일 또는 비가 오는 날에는 외기에 접하지 않게 얼룩지지 않는 방수용 덮개로 덮어 안전하게 보양해야 한다.
384 제2절 석재의 일반사항 2.1 성분에 의한 석재 분류 화성암(Igneous Rock) 화산작용으로 용융된 마그마가 지표면에서 냉각, 응고된 암석으로, 지구 내부에서 생긴 것을 심성암이라고 하고 지표에 유출되어 굳은 것을 화산암이라 한다. 종류로는 화강암, 섬록암, 안산암 등이 있다 수성암(Acquecus Rock) 화성암의 풍화물, 유기물, 기타 광물질이 땅 속에 퇴적되어 지열과 지압의 영향으로 응고된 것으로 퇴적암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연질이며 강도가 약하고 풍화, 동해, 변색의 우려가 있으나 석회암을 제외하고는 화열에 비교적 강하다. 사암, 점판암, 응회암, 등이 있다 변성암(Metamorphic Rock) 화성암, 수성암 등이 지열과 지압으로 변질되어 결정화된 것으로 암석 중의 광물 성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줄지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석회암, 사문암, 대리석 등이 대표적인 종류이다. <표 1> 성분에 의한 석재의 분류 성인에 의한 분류 암석의 종류 대표적인 석재 화강암 황등석 심성암 화성암 섬록암, 반력암 흑화강암 ( 火 成 岩 ) 수성암 ( 水 成 岩 ) 변성암 분출암 쇄설암 안산암 안산암 석영 조면암 경석 사암 사암 점판암, 이판암 이판암 응회암 응회암 유기암 석회암 석회석 수성암계 대리석, 트래버틴 대리석 화성암계 사문석 사문함 2.2 석재의 종류와 특성 화강암(Granite) 1) 화강암은 쑥돌이라고도 불리며 그 질이 단단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크다. 2) 또한 외관이 수려하고 절리의 간격이 비교적 커서 큰 판재를 생산할 수 있으나 내화도가 낮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3) 화강암은 대리석을 비롯한 다른 석재와 비교하여 흡수성이 적고 압축강도가 높아 아치, 토대, 기둥, 실내외 마감재로 널리 사용된다. 4) 국내에서도 우수한 화강암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산의 수입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385 2.2.2 사암(Sand Stone) 1) 암석의 붕괴에 의하여 생긴 모래, 자갈이 외부의 압력을 받아 경화 생성된 암석으로 다소 거칠지만 독특한 질감과 무늬 및 색상을 갖고 있다. 2) 함유 광물의 성분에 따라 암석의 질, 내구성, 흡수율, 강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실내장식용으로는 연질의 것을 사용하고, 표면을 연마하지 않은 쪼갠 상태 그대로 사용한다. 3) 대표적인 종류로는 인도산 사암을 들 수 있다 점판암(Clay Stone) 1) 점토분이 지압과 지열을 받아 응고 생성된 것으로 층상으로 되어 있어 얇은 판으로 채취할 수 있다. 2) 천연 슬레이트라고도 하며, 흡수성이 적어 기와대용 지붕재나 타일 대용 바닥재로 사용된다. 3) 일부 수입산의 경우 색채 및 무늬가 아름다워 대리석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석회암(Lime Stone) 1) 주성분은 탄산석회로 석질은 치밀하나 내산성, 내화성이 부족하고 내후성이 낮다. 2) 주로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되지만 입자가 곱고 색상이 부드러운 일부는 실내외 장식재로도 사용한다 대리석(Marble) 1)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2) 조직이 치밀하면서 견고하고 색채와 반점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표면을 연 마하면 광택이 난다. 그러나 산과 열에는 약하다. 3) 주로 실내장식재로 사용되며 수입산으로는 이탈리아산이 유명하고, 국내산으로는 강원도 정선석 및 충북산 백석이 유명하다 트래버틴(Travertin) 1) 대리석의 일종으로 석질이 불균일하고 다공질이다. 2) 황갈색의 반문과 아치가 아름다우며 대리석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사문암(Serpentine) 1) 암록색 바탕에 흑백색의 무늬가 아름답다. 2) 대리석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2.3 석재의 분류 석재 형상에 의한 분류 석재는 형상에 따라 잡석(호박돌), 간사, 각석, 사고석, 판돌, 구들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86 2.3.2 용도에 따른 분류 실내외 마감용과 구조용 석재로 대별되며 그 용도 및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1) 마감용 석재 가. 외장용: 화강암, 안산암, 점판암 나. 내장용: 대리석, 사문암, 화강암 2) 구조용 석재: 화강암, 안산암 3) 용도에 의한 석재의 분류(국내산) 구분 용도 암석 종류 색상 대표적인 석재의 산지별 명칭 외장재 구 조 재 외벽 마감재 바닥 마감재 화강암 백색 계열 경기도: 여주석, 신산리석, 덕정 석 충청도: 아산석, 온양석, 충주석 경상도: 영천석, 상주석, 영주석 전라도: 황등석 분홍 계열 경기도: 포천석, 가평석, 상계석 포 장 용 쑥색 계열 경상도: 합천석, 지리산석 계 단 용 경기도:김포석 녹색 계열 경상도: 보성석 흑색 계열 경상도: 마천석 내벽 마감재 사문암 녹 갈 색 경북경산, 강원산 내장재 바닥 마감재 내벽 마감재 흑색 계열 경기산 계 단 용 바닥 마감재 계 단 용 암녹색 계열 충청산 국내산 대리석의 분포 현황 산지도명 석재 명칭 분포 지역 색상 및 외관 임계석 정선, 임계 담적색~회백색, 담회색바탕 갈색무늬 강원도 황룡석 삼척, 하장 담황색 철암석 태백, 철암 회색~담황색 정선석 정선 담황색바탕 갈색무늬 취옥석 충주 백색바탕 담록색무늬 백 석 중원, 살미 백색 충청북도 광덕석 괴산, 문광 담회색바탕 녹색, 회백색바탕 흑색무늬 백운석 단양, 백운 백색~담록색 청룡석 제원, 청풍 담회색바탕 흑색 또는 담적색무늬 전라북도 무주석 무주 백색~회백색 전주석 전주 백색바탕 갈색무늬 전라남도 공작석 강진, 명창 담회색바탕 갈색무늬 경상북도 영천석 영천, 화북 청록색바탕 회백색반점 내벽 마감재 바닥 마감재 계단 마감재 등의 내장용 재료 외국산 대리석의 명칭 및 산지
387 2.4 인조석 석재 명칭 산지 색상 및 외관 용 도 PERLINO BLANCO 이탈리아 아이보리 ROSSO VERONA 이탈리아 담적색바탕 황갈색반점 RED MARBLE 이탈리아 적색 NERO MARQUINA 이탈리아 청흑색바탕 청회색무늬 내벽 마감재 ROSATO 이탈리아 아이보리 및 담갈색 바닥 마감재 BOTTICINO 이탈리아 아이보리 CREMA MARFIL 이탈리아 아이보리 계단 마감재 TRAVERTINO 이탈리아 베이지 등의 내장용 SERPEGGIANTE 이탈리아 베이지 재료 ROSA AURORA 포르투갈 백색바탕 핑크색무늬 RED TRAVERTINE 이 란 주홍바탕 오렌지색무늬 SIVIC WHITE 유 고 흰색바탕 회색반점 테라조 타일(Terrazzo Tile) 1) 테라조 타일은 대리석, 사문암, 화강암 등의 종석을 골재로 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에 착색제를 혼합하여 표면층을 만들고, 뒷면은 골재를 사용하여 성형한 정사각형의 타일이다. 2) 주로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하며, 테라조 타일의 규격은 KS F4035을 기준으로 한다. <표 2> 테라조 타일의 치수 및 휨파괴 하중 종 별 치수(mm) 길이 나비 두 께 휨파괴 하중(kg/cm2) 300평 평 인조석판(Artificial Stone Board) 1) 대리석, 사문암, 화강암 등의 쇄석을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에 안료를 섞어 바른 후 바이브레이터로 다져 성형한 천연석의 모조품으로, 천연석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가 절감이나 가공의 어려움을 극복한 제품이다. 2) 종석의 종류에 따라 모조석판과 테라조판으로 분류하며 천연석보다 다양한 균질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2.5 석재 가공 석재 가공 마무리의 종류 및 가공 공정 1) 형상, 치수는 돌 나누기 및 설치 상세도에 따라 정확하게 가공한다. 2) 마무리의 종류 및 가공 공정은 아래 표를 기준으로 하며 도면 또는 특기 시방에 따른다. 3) 마무리 정도는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4) 석재 갈기의 종류
388 종류 마무리의 정도 거친 갈기 #24~#80(#100~#300)의 카보런덤 숫돌 또는 같은 정도의 마무리가 되는 다이아몬드 숫돌로 갈아낸다. 물 갈기 #400~#800의 카보런덤 숫돌 또는 같은 정도의 마무리가 되는 다이아몬 드 숫돌로 갈아낸다. 본 갈기 #800~#1500의 카보런덤 숫돌 또는 같은 정도의 마무리가 되는 다이아몬 드 숫돌로 갈아내고, 광내기 가루를 사용하여 버프(buff)로 마무리한다. 5) 화강석 표면 가공 종류 다듬질 종류 가공의 정도 거친 다듬: 정자국 60mm 정다듬 줄 다듬: 정자국 45mm 고운 다듬: 정자국 30mm 25눈: 최종 25눈 도드락 다듬질 석질을 손상하지 도드락 다듬 64눈: 최종 64눈 도드락 다듬질 100눈: 최종 100눈 도드락 다듬질 않도록 한다 1회: 100눈 도드락 다듬질 위에 잔다듬질 1회로 정자국이 남지 않을 잔다듬질 거친 갈기 (광 없음) 정도 2회: 100눈 도드락 다듬질 위에 잔다듬질 2회 도드락눈이 남지 않도록 마지막에 3회: 100눈 도드락 다듬질 위에 잔다듬질 3회 날망치로 잔다듬질 100눈 도드락 다듬질 바탕위 최종 60# 철사 또는 커버랜덤 원반 갈 기 또는 원심 다듬질 제3절 석공사 적용 재료의 구분 3.1 석재의 품질 3.2 철물 실내건축공사에 사용하는 화강암의 품질은 KS F 2530의 경석, 1등급에 적합한 것으로 철분 함유량이 3% 이하여야 하며, 대리석 및 기타 석재의 품질은 설계도 및 특기 시방에 따른다. 공통적으로 석재는 균열, 파손 및 흠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철물은 석재의 크기, 중량 및 시공개소에 따라 충분한 강도가 있는 것을 사용하고, 최소한 단위 석재 1개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철물을 사용한다. 철물의 종류, 재종, 형상 및 치수는 도면 또는 특기 시방서에 따르고 지정이 없을 때에는 다음 표에 따른다. <표 3> 석재용 철물 철물의 종류 재의 종류 형상 및 치수 연결 철물 스테인리스 지름 6mm, 양끝 구부린 것(꺾쇠 모양) 촉 스테인리스 지름 9mm, 길이 80mm 꺽쇠 스테인리스 지름 9mm, 적용길이 150mm <표 4> 긴결철물의 재종 및 치수
389 3.3 모르타르 석재의 종류 철물 재의 종류 치 수 대리석 황동선 지름 2.8~4.2mm(#12~#8) 테라조 아연도금 철선 지름 3.4~4.2mm(#10~#8) 인조석 아연도금 철선 지름 3.4~4.2mm(#10~#8) 경질석 아연도금 철선 지름 3.4~4.2mm(#10~#8) 연질석 아연도금 철선 지름 3.4~4.2mm(#10~#8) 화강석 붙임에 사용하는 모르타르는 백화방지용 시멘트를 사용하고, 줄눈은 석재용 변성 실리콘계 코킹을 사용하여 백화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다음 표에 따른다. <표 5> 모르타르 배합비 구 분 시멘트 모 래 줄눈 너비 깔 모르타르(붙임 모르타르) 사춤 모르타르 잔다듬일 때: 6mm 내외, 표면에서 2mm 정도 들어가게 한다. 치장줄눈용 모르타르 1 1 <표 6> 석재의 종류에 따른 돌붙임 모르타르 배합비 석재의 종류 제4절 석재 시공법 4.1 시공 일반사항 대리석공사 구분 2 맞댄면 물갈기일 때: 3mm 내외 3 거친 돌일 때: 9~25mm 맞댐면용 사춤용 시멘트 석 고 모 래 시멘트 모 래 대리석 테라조 인조석 경질석 연질석 ) 시공 전 대리석의 재질, 색조, 무늬, 모양 및 마무리의 종류를 미리 정하고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자의 승인을 받는다. 2) 대리석은 모서리나 맞댐 면이 파손되기 쉽고, 얇고 면적이 큰 것은 깨질 우려가 크므로 주의하여 운반하고, 대리석 붙임용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석고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석고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멘트 모르타르 중의 알칼리 성분이 대리석에 침투되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벽에 붙이는 경우의 긴결철물은 제3절 3.2의 긴결철물의 재종 및 치수를 따르고 바탕면과 석재 뒷면과의 간격은 3cm를 표준으로 한다.
390 4.1.2 테라조 및 인조석 공사 1) 시공 전에 테라조 및 인조석의 종석의 종류, 알의 크기, 무늬, 모양, 마무리의 종류를 미리 정하고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자의 승인을 받는다. 2) 테라조 및 인조석의 붙이기 공법 및 양생과 청소는 대리석 공사에 따른다. 4.2 석재붙임 공법 석재의 돌붙임 공법은 모르타르의 사용 여부에 따라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분되며 공기, 백화현상 등의 문제점과 시공의 합리화 측면에서 근래에는 습식공법보다 건식공법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습식공법에는 전체 주입공법, 부분 주입공법, 절충공법, Silicon Bonded System 등이 있으며, 건식공법에는 강재트러스 지지공법(Paneling System), 앵커 긴결 공법(Conventional System), GPC 공법(Granite Veneer Concrete) 등이 있다 습식공법(Wet Method) 1) 구조체와 석재 사이를 사춤 모르타르와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공법으로 소규모 건축물이나 주택 등의 실내에 유리하다. 실내건축공사에서 많이 사용된다. 2) 습식 붙이기 시공 가. 석재 붙이기에 들어가기 전 바탕처리 및 바탕 앵커철물 기준 먹매김, 창호 등 기타 매설물의 설치 고정 등에 대해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한다. 나. 줄눈 나누기에 따라 기준실 또는 피아노선을 띄우고 최하단 돌의 하단부에 쐐기를 끼워 줄눈 및 수평 수직을 정확히 유지한다. 긴결철물, 촉, 꺾쇠 등과 쐐기를 사용하여 석재의 밑부분으로부터 100mm 높이까지 1:3 배합 시멘트 모르타르를 1차 주입 충진하여 고정시킨다. 다. 사춤 모르타르의 주입 충진 1 전체 주입공법: 최하단부의 1차 사춤 모르타르 경화 후 석재 상단면으로부터 4~5cm까지 균등한 높이로 3단계로 나누어 1:3 배합 시멘트 모르타르로 균일하게 충진시킨다. 2 부분 주입공법 및 절충 공법: 최하단부의 1차 사춤 모르타르 경화 후 바닥면으로부터 30cm 높이까지 1:3 배합의 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수평을 맞춰 균일하게 충진시킨다. 라. 최하단 돌의 설치 및 주입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화, 촉과 쐐기에 의하여 상부 돌을 가설치하고 고무망치로 두들겨 소정의 줄눈을 맞춘 다음 긴결 철물, 촉, 꺾쇠 등과 쐐기를 사용하여 바탕 철근에 고정시킨다. 마. 꽂임촉의 상하고정은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며 줄눈폭이 1mm 초과할 경우에는 줄눈폭 두께의 납판 조각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 줄눈 폭을 일정하게
391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의 수평 줄눈 및 수직 줄눈 부분에는 물에 적신 흰색의 깨끗한 헝겊을 끼워서 주입 모르타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바. 상부 돌 배면의 사춤 모르타르 주입 충진 1 전체 주입공법: 상부 돌을 긴결 철물로 고정시킨 후 석재 상단면으로 부터 4~5cm 높이까지 균등하게 3단계로 나누어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 충진시킨다. 2 부분 주입공법: 상부 돌을 긴결 철물로 고정시킨 후 상하 석재간의 수평 줄눈을 중심으로 하여 15cm의 수평 띠가 되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 충진하되, 하부 돌의 상단면으로부터 7.5cm 위치에 스티로폼과 PE 필름을 사용한 틈막이 재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주입 모르타르가 새지 않도록 막는다. 3 절충(반건식)공법: 하부 돌을 긴결 철물로 고정시킨 후 석고와 시멘트를 1:1로 배합한 석고 모르타르로 경화, 고정시킨다. 사. 시멘트 모르타르 주입 충진할 때는 주입 부분 및 기타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PE 필름으로 보양해야 한다. 아. 주입 모르타르의 응결 후 경화 전에 줄눈 부위에 끼운 헝겊을 제거하고 석재 표면으로부터 3~5mm 깊이까지, 실런트 시공을 해야 할 줄눈 부위는 10mm 깊이까지 1:1 시멘트 모르타르로 밀실하게 충진시킨다. 줄눈이 주입 모르타르에 의해 메워진 부분은 소정의 깊이로 줄눈파기를 하고 줄눈 부위 및 석재 표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치장줄눈을 시공할 때까지 보양한다. 자. 치장줄눈 시공: 석재 표면으로부터 치장줄눈의 깊이는 줄눈폭이 1~3mm의 경우에는 1~1.5mm, 줄눈폭이 3~5mm 이상인 경우는 2~3mm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시공한다. <그림 1> 습식공법 A 타입 입체도
392 <그림 2> 습식공법 A 타입 단면도 <그림 3> 습식공법 B 타입 단면도 건식공법(Dry Method) 1) 석재 뒷면에 모르타르를 사춤하지 않고 긴결 철물만 사용하여 석재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강재 트러스 지지공법과 앵커 긴결 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2) 앵커 긴결 공법에 의한 건식 붙이기 가. 건식 석재 붙임공사는 시공상 필요한 상세도면을 시공자가 제작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나. 화강석은 철분이 다량 포함된 제품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석재의 색깔, 결무늬, 가공 모양, 마무리 정도, 물리적 성질 등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아울러 화강석 특유의 문양을 제외한 눈에 띄는 반점 등은 제거한다. 다. 꽂임촉 둘레의 파단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갈라지기 쉬운 석질의 경우는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석재 자체를 보강한다. 라. 건물의 자중, 적재하중, 풍압력, 지진력 등의 각종 하중과 온도, 습도에 의한 건조 수축 및 수직, 수평 변위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시공한다. 마. 건식 붙임용 앵커볼트 및 긴결 철물(fastener, 촉 등)은 석재당 2개소 이상 설치해야 한다. 아래 건식 붙이기 철물에 기재된 규격 이상으로서 부위별 석재의 크기 및 중량, 바탕조건 등에 따라 설치 위치, 규격 등에 대한 구조계산서와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제품이어야 한다. 바. 건식 붙이기 철물 1 석재의 건식 돌붙임에 사용되는 모든 구조대 또는 긴결 철물은 반드시 녹막이처리를 한다. 2 건식 돌붙임에 사용되는 에어, 볼트, 너트, 와셔, 연결 철물 등은 스테인리스 제품을 사용한다. 3 건식 붙이기에 사용되는 끼움판은 영구적인 재료로 고온에 변형되지 않고 화재
393 시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4 석재 내부의 마감면에서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마감공법을 사용한다. 5 앵커볼트: 10mm dia 이상의 아연도금 처리 제품 6 긴결 철물(fastener): 두께 100mm 이상의 스테인리스 304(27종) 7 촉: 3.2mm dia 스테인리스 스틸 304(27종), 길이 40~50mm 8 촉 고정 충진제: 에폭시계 접착제 사. 건식 붙이기 석재의 배면과 바탕면 또는 단열재 표면간은 최소 30mm 이상의 공기층을 유지해야 한다. 아. 외벽의 건식 붙이기 줄눈 부위에는 배면 고임층이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5~6mm dia의 PVC 파이프를 1.5~2.0m2 당 1개소 범위 내로 빗물이 침투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 지그재그로 설치해야 한다. 외벽 최하단부와 창호 Lintel 부위에는 두께 0.5mm 이상의 배수용 동판 플래싱(Flashing)과 배수 파이프를 설치해야 한다. 이들의 설치 위치 및 방법은 세부 시공상세도에 나타내어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자. 치장줄눈의 폭은 6mm를 기준으로 하며, 석재 표면으로부터 줄눈의 깊이는 2~3mm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실런트 충진 두께는 5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림 4> 건식공법 단면도 본드 시공법 1) 본드 시공은 주로 인테리어 작업과 세면대 상판, 모델하우스, 철판 계단, 합판 위 및 가구 시공 시 적용할 수 있다. 2) 본드시공 시 부자재 가.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돌을 접착시킨다. 나.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돌이 움직이지 않게 양생될 때까지 돌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394 다. 시멘트는 바닥면 시공 시 바닥 수평이 맞지 않을 때나 돌 위에서 받는 충격이나 압력을 채워줄 때 사용한다. 라. 본드 시공 시 합판을 설치하여 시공할 경우 목재는 충분 하게 건조된 자재를 사용해야 하며 나무의 뒤틀림 현상으로 약한 돌(인조석 등)은 파손이 없도록 한다. 벽면 본드 시공 시 두께는 5~10mm 가능 4.3 석재 깔기 공법 석재의 깔기 공법은 모르타르 시공법과 압착시공법으로 구분하며, 모르타르시공법은 돌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 압착시공법은 돌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모르타르 시공법 1) 바탕면을 깨끗이 청소한 뒤 물을 충분히 뿌려둔다. 2) 붙임 모르타르의 두께는 깔고자 하는 판석의 두께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의 경우 3~4cm, 대리석의 경우는 2cm 정도로 하며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1:2로 한다. 3) 붙임 모르타르를 포설하고 그 위에 시멘트를 적당량 뿌린 다음, 깔고자 하는 판석의 뒷면에도 시멘트를 뿌린다. 4) 기준이 되는 위치부터 줄눈에 맞춰 깐 후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춘다. 5) 1일 정도 경과 후 치장줄눈을 넣고 깨끗이 청소한다 압착시공법 1) 바탕면을 깨끗이 청소한 뒤 적당량의 시멘트와 물을 뿌려둔다. 2) 접착제는 담당원이 승인한 석재용 접착제와 시멘트를 사용한다. 3) 붙임 모르타르를 1cm 두께로 포설하고 판석의 뒷면에는 석재용 접착제와 시멘트를 사용한다. 4) 기준이 되는 위치부터 줄눈에 맞춰 깐 후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춘다. 5) 1일 정도 경과한 후 치장줄눈을 넣고 깨끗이 청소한다.
395 6) 압착 시공의 예 본드 석재 깔기법 1) 본드 시공 시 마감 거리는 최대 돌출된 곳에서 석재 두께를 포함한 것으로, 12T는 17mm, 20T는 25mm, 30T 는 35m의 마감 높이가 가능하다. 벽면과 바닥면은 동일하게 적용한다. 2) 돌과 돌 사이 줄눈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나 보통 1~3mm까지 가능하다. 제5절 품질관리 5.1 운반 및 보관 1) 노출된 면은 수평면을 유지해야 하며, 조인트 또한 정확히 절단해야 한다. 모든 뒷면은 앞면과 평행되게 절단하며, 귀퉁이는 똑바르고 정확하게 절단되어야 한다. 2) 운반을 위해 마감된 석재는 조심스럽게 포장되어 실려야 하며, 운반 도중 손상을 입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해야 한다. 또한, 밑받침이나 포장을 위한 재료는 착색이나 변색되지 않고 보관 도중 얼룩이 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 3) 석재를 현장까지 운반할 때는 부서지거나 각이 떨어지거나 오염 또는 다른 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시설이나 취급 장비를 사용해야 하며, 비닐을 사용해 나무로 된 받침대 위나 기타 지지대 위에 보호재와 석재가 분리되도록 보관하여 기후나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4) 재료들은 이름, 상표, 유형 등급 및 색상 등을 잘 표시하여 밀폐된 컨테이너로 현장에 운반해야 하며 얼룩이 생기지 않게 건조한 상태로 보관한다. 5.2 품질 검수 1) 깨지고, 조각 나고, 얼룩이 생기거나 기타 손상된 석재, 결함이 있는 줄눈, 견본 및
396 견본 시공물과 일치하지 않는 석재 및 줄눈, 명시한 기타 요구사항에 따르지 않은 석재시공, 석재 설치 부위는 교체하고 재시공한다. 2) 교체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도록 승인된 견본 및 견본 시공물과 동일하게 교체한다. 3) 석재면의 청소는 붙임과 동시에 보양재를 제거하고 줄눈 시공 시, 준공 청소 시 등 3차례 이상에 걸쳐 시행해야 하며 깨끗한 흰색의 마른 헝겊, 스펀지, 나무주걱,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크레이퍼(stainless steel scraper), 황동제 와이어 브러시(brass wire brush) 등을 사용하여 줄눈 부위 및 석재표면에 손상, 변색, 오염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부득이 산류 또는 약품 등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 재료, 사용 방법 등에 따라 견본 시공을 통해 문제점 여부를 검수한 후 실시한다. 5.3 청소 및 보양 1) 공사기간 중 오염 및 변색이 되지 않도록 크라프트지 또는 질긴 덮개로 바닥을 보양한다. 2) 사용검사 전에 보양지를 제거하고 실러(Sealer)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절차 및 재료로 실러칠된 표면을 청소한다. 3) 붙여대기 완료 부분에는 그 때마다 보양한다. 4) 돌붙임이 끝난 켜마다 필요에 따라 모조지 또는 질긴 백지 하드롱지에 풀칠하여 돌에 봉투바름한다. 5) 종이붙임이 끝난 후 특히 중요한 부분이나 자주 통행하는 부분은 널빤지로 보양한다. 6) 청소는 가능한 한 물청소를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종이바름을 닦아낸 후 마무리를 한다. 7) 조각, 깨짐, 얼룩 및 색상이 요구한 것과 맞지 않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손상을 입은 것은 교체한다. 옆의 부재와 잘 어울리도록 새 부재를 설치해야 하며, 교체한 흔적이 남지 않도록 조인트 부위에 모르타르를 주의해서 넣는다. 8) 작업을 종결시키기 전에 빳빳한 솔이나 물로 모든 얼룩, 먼지나 기타 착색된 것을 닦아내어 석재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9) 청소한 후에는 얼룩이 지지 않는 나무로 모서리와 손상될 여지가 있는 부분에 가설 펜스를 설치하여 차후에 건물을 관리하는 데 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한다. 5.4 여분 자재 및 기타 사항 1) 자재의 3%에 해당하는 여분을 입주 후 건축물의 유지관리 목적으로 공급한다. 2) 외산 석재의 품질관리 상태 및 색상, 품종을 확인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원석 채취 현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제6절 석재 쌓기 6.1 석재 쌓기의 종류
397 돌쌓기는 석재의 종류, 크기, 면 다듬기의 정도에 따라 막돌 쌓기와 다듬돌 쌓기로 대별되며 줄눈의 모양에 따라 허튼층 와 바른층 쌓기로 구분된다 막돌 쌓기(거친돌 쌓기, Rubble Stone Work) 잡석, 자연석, 막돌 등을 사용하여 맞댐면을 직선으로 다듬지 않고 생긴 그대로 또는 거친 다듬 정도로 하여 쌓는 방법으로 자연적이며 거친 분위기를 표현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다 다듬돌 쌓기(Ashlar Stone Work) 네모돌 쌓기, 마름돌 쌓기라고도 하며, 돌의 모서리나 맞댐면을 일정한 모양으로 다듬어 줄눈을 바르게 쌓는 방법이다 허튼층 쌓기(막쌓기: Random Walling) 돌의 맞댐면을 직선으로 다듬어 줄눈이 규칙적으로 되지 않도록 쌓는 방법이다 바른층 쌓기(Rang Work) 한 켜 한 켜의 수평줄눈을 일직선이 되도록 쌓는 방법이며, 거친돌 바른층 쌓기, 다듬돌 바른층 쌓기 등이 있다. <그림 6> 돌쌓기의 종류 6.2 석재 쌓기 방법 쌓기 공법 1) 바탕면을 청소한 후 맞댐면에 물 축이기를 하고 세로규준틀에 따라 수평실을 치고 모서리, 구석 등의 기준이 되는 위치부터 돌쌓기를 한다. 2) 돌을 설치할 때는 먹매김에 맞춰 돌 밑에 물을 축인 나무쐐기 또는 납제( 鉛 製 )쐐기 등의 고임재나 소정의 연결 철물을 가설치한 후 수평 수직을 확인하고 깔 모르타르를 채워 넣어 본설치한다. 이때 인접 돌과의 사이에도 줄눈 두께의 쐐기를 끼워 경사, 고저가 없고 턱이 지지 않게 줄눈이 바르게 고정한다. 3) 사춤 모르타르를 주입할 때는 맞댐면에 물 축이기를 하고 줄눈의 틈에는 깨끗한 헝겊을 끼워 사춤 모르타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때 돌 높이의 1/3 정도는 된비빔
398 모르타르를 다져 넣고, 어느 정도 경화된 다음에 묽은 비빔 모르타르를 부어 넣는다. 4) 줄눈 사이에 끼운 헝겊은 모르타르가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제거하고 일정한 깊이로 줄눈파기를 한 후 모두 제거하고 그 자리는 모르타르로 채워 넣는다. 5) 밑 켜의 사춤 모르타르가 경화된 다음 석재의 상하좌우, 돌의 맞댐면 또는 돌과 뒷벽 사이에 은장, 촉, 꺾쇠, 고정쇠 등의 연결 철물을 설치하여 석재의 배 내밀기를 방지하도록 한다. 6) 1일 쌓기 높이는 돌 높이 50cm 내외의 것은 2켜 이하로 하고, 모르타르의 사 춤은 1켜마다 하며 2켜 이내로 한다. 7) 쌓기 도중에 오염된 곳 또는 모르타르가 부착된 곳은 그 즉시 제거하고 물로 충분히 씻어낸다. 8) 돌에 묻은 시멘트풀을 제거하기 위해 염산류를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희석시켜 사용하고 즉시 물로 씻어내어 염산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치장줄눈 1) 치장줄눈은 통줄눈 또는 막힌줄눈으로 하고, 줄눈의 너비는 갈기 마무리일 때는 맞대기나 1~2mm, 잔다듬일 때는 3~6mm, 정다듬일 때는 6~9mm, 거친돌 막쌓기일 때에는 9~25mm 정도로 한다. 2) 돌쌓기가 완료되고 사춤 모르타르가 경화되면 철선, 쐐기 등은 모두 제거하고 돌 밖으로 돌출된 철물 등은 1.5cm 깊이까지 잘라내거나 구부려 넣고 치장줄눈을 넣는다. <그림 7> 석재의 치장줄눈 모접기(Rustication) 1) 돌의 줄눈부분을 치장을 목적으로 모를 접어 잔다듬하는 것이다. 2) 형상에 따라 두모접기, 빗모접기, 세모접기 등이 있다.
399 그림. 석재의 모접기
400 SECTION 타일 공사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일반 타일은 점토 또는 암석의 분말을 성형한 후 소성하여 만든 판제품을 총칭한 것으로, 이것을 건축물의 내 외 벽면, 바닥 등의 표면에 붙이는 것을 타일 공사라 한다. 보통 타일은 도기질 타일(ceramic tile)을 의미하며, 함수 규산반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에 규석, 장석, 석회석 등의 미분을 가하여 소지재로 만들어 성형, 건조, 소성한 것이다. 타일 붙임의 목적은 미화, 청결, 바탕보호, 방수 등에 있으며, 사용하는 장소나 목적에 따라 해당하는 재료를 골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1.2 참조 규격 한국산업규격(KS) KS A 5101 표준재 KS F 2518 석재의 흡수율 및 비중 시험방법 KS F 2519 석재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4035 기성 테라조 KS F 4910 건축용 실링재 KS L 1001 도자기질 자기질 타일 KS L 1593 도자기질 자기질 타일용 접착제 KS L 5201 포클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클랜드 시멘트 1.3 관련 도서 1) 각 실별 줄눈 나누기 2) 타일 형태 및 색상 나누기 3) 이질 재료와의 접합부 상세도 4) 구배 및 드레인 주위 처리 상세 5) 각종 부착물(수전류, 콘센트) 설치 부위 상세 6) 문틀 주위 코킹 홈 상세 7) 문양 타일이나 별도 색상의 타일을 사용할 경우 그 위치 1.4 제품 자료 바닥 타일재 및 부자재에 대한 아래와 같은 항목을 포함해야 한다. 1) 바닥 타일의 재질, 치수, 형태, 타일 소지질( 素 地 瓆 ), 표면, 유약 상태, 접착성 등의
401 제반사항 2) 제조업체 공사시방서 3) 타일용 접착재, 실링재, 줄눈재의 물성 및 특성 1.5 시공계획서 1) 세부공정계획서 2) 시공상태 검측계획서 3) 품질관리계획서(관리시험, 시공 및 방법, 모르타르 및 혼화제 배합, 바탕처리, 보양계획) 1.6 견본 1) 실제 타일로 구성된 색표(Color Chart) 2) 타일 견본: 실제 납품되는 자재 기준 크기 3) 접착제: 타일 붙임용 접착제에 대한 견본 4) 줄눈재 및 실링재(색상표 포함) 1.7 운반, 보관 및 취급 1) 타일은 사용 시까지 외기와 습기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관하고 포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2) 접착제는 동결되거나 과열되지 않도록 한다. 1.8 환경 요구사항 1) 접착제 사용 시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타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환기시켜야 한다. 2) 모르타르 붙임 작업 시 기온이 2 이하가 되지 않도록 보온해야 한다. 3) 줄눈을 넣은 후 경화 불량이 우려되거나 24시간 이내에 비가 올 우려가 있는 경우 필름이나 비닐 보양재로 보양해야 한다. 1.9 여유 자재 유지관리를 위한 여유 자재의 수량은 따로 지정한 바가 없을 때는 타일의 표면 마감, 색상, 크기별로 총 타일량의 5%를 여유분으로 공급한다. 제2절 자재 일반사항 2.1 용도에 의한 분류 <표 1> 용도에 의한 타일의 분류표
402 분류 형상 및 용도 재질 제조법 외장용 타일 건물의 외벽에 주로 사용되는 중형 및 대형 타일 자기, 석기질 습식 내장용 타일 건물의 내벽에 주로 사용되는 중형타일 자기, 석기, 도기질 건식 바닥용 타일 5.4cm 각 이상의 바닥용 타일 계단의 논슬립 타일 포함 자기질 습 건식 모자이크 타일 내 외벽, 바닥에 사용되는 5.4cm 각 이하의 소형 타일 건 식 특수용 타일 상기 이외의 명칭이 붙어 있는 타일 2.2 타일의 성형에 의한 분류 1) 타일의 성형에는 건식과 습식의 2가지 방법이 있다. 2) 건식은 소지재를 건조, 분말로 하여 약간의 습기를 가한 후 형틀에 넣고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압 성형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형태의 보통 타일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된다. 치수 및 정밀도가 높고 능률적이라 내장 타일, 바닥 타일, 모자이크 타일 제조에 유리하다. 3) 습식은 소지재를 균일한 플라스틱 상태로 반죽하여 찍어내거나 형틀에 넣어 성형하는 방식으로, 정밀도는 낮으나 복잡한 형상의 타일 제조에 유리하다. 2.3 소지의 질에 의한 분류 <표 2> 소지의 질에 의한 분류 종류 도기질 (earthen ware) 석기질 (stone ware) 자기질 (porcelain) 소지 소성 온도 흡수율 색조 성질 성분 1,100~1,230 15~20% 백색 유색 경견( 硬 堅 ) 탁음( 濁 音 ) 점토질 및 원석 1,160~1,350 8% 이하 유색 경견( 硬 堅 ) 원석과 청음( 淸 音 ) 다량의 점토 양질 원석 1,230~1,460 1% 이하 백색 경견( 硬 堅 ) 및 소량의 청음( 淸 音 ) 점토 용도 내장용 타일 내장 외장 바닥용 타일, 클링커 타일 내장 외장 바닥용 타일, 모자이크 타일 2.4 타일의 형상에 의한 분류 타일은 형상 및 면처리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적인 타일: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육각형, 팔각형 등 2) 표면처리 타일: 스크래치 타일(scratch tile), 태피스트리 타일(tapestry tile), 천무늬 타일, 클링커 타일(clinker tile) 3) 특수형상 타일: 보더 타일(boder tile), 모자이크 타일(mosaic tile), 둥근모타일, 볼록 타일, 면접기 타일 등 4) 특수용도 타일: 창인방용 타일, 창대용 타일, 논슬립(non-tile)용 타일
403 2.5 용도에 따른 분류 타일은 종류와 형상 및 용도에 따라 외부용, 내부용 또는 벽과 바닥용으로 구분한다. 1) 내벽용 타일: 건물의 내벽에 사용되는 타일로, 흡수성이 약간 있고 외기에 대한 저항력이 작은 도기질, 반자기질이 주로 사용된다. 2) 외벽용 타일: 건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타일로, 흡수율이 낮고 강도가 큰 자기질이나 석기질이 주로 사용된다. 3) 내부 바닥용 타일: 내부 바닥용은 흡수성이 거의 없고 경질이며 내마모성이 큰 자기질이나 석기질이 사용된다. 4) 특수형 타일 가. 보더 타일(border tile): 가늘고 길게 된 봉형( 俸 刑 )의 시유제품으로 걸레받이나 징두리용으로 사용된다. 나. 모자이크 타일(mosaic tile): 모자이크 타일 중에서 11mm각은 huttorn paper에 줄눈을 미리 나누어 붙인 상태로 판매된다. 다. 아트 모자이크 타일(art mosaic tile): 모자이크 타일 중에서 11mm각 이하의 극히 작은 타일로 무늬나 회화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라스 모자이크(lath mosaic)라고도 한다. 라. 논슬립 타일(nonslip tile): 미끄럼막이용으로 계단의 디딤판 끝부분에 사용된다. 마. 이외에 둥근모 및 볼록 타일, 모서리용 타일 등이 있다. 5) 특수용도 타일 가. 논슬립 타일(nonslip tile): 미끄럼막이용으로 계단의 디딤판 끝부분에 사용된다. 나. 창 인방용 타일(물끊기 흠이 있는 것), 창대용 타일 등 6) 면처리 타일 가. 스크래치 타일(scratch tile): 표면이 긁힌 모양으로 외장용으로 사용한다. 나. 클링커 타일(clinker tile): 고온으로 소성한 타일로 표면에 요철( 凹 凸 ) 무늬가 있다. 다. 태피스트리 타일(tapestry tile), 천무늬 타일 2.6 타일 선정 및 타일 붙임 재료 타일의 선정 타일은 대형일수록 치수의 차가 크고 모양이 뒤틀리거나 우그러진 것이 많으며, 저급품일수록 표면에 흠이 많다. 그러므로 타일을 선정할 때는 타일의 종류, 등급, 형상, 치수, 소지 표면의 상태, 광택 등을 면밀히 살펴 시방서의 내용과 동일한 제품인지를 확인하고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후 타일의 소요 수량을 반입한다.
404 2.6.2 타일 붙임 재료 타일 붙임 재료는 시멘트 모르타르와 유기질 고무계 및 에폭시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점착력 및 내구성이 강하고 작업이 용이하며 경제적이어야 한다. 점착력은 4kg/cm2 이상이 되어야만 타일의 탈락과 동해( 凍 害 )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표 3> 타일 붙임 재료별 성능 재료별 시멘트 아크릴 합성고무 에폭시 합성 구분 모르타르 에멀션 라텍스 고무 라텍스 접착성, 내수성 Ο Ο Ο Ο 보수성 Ο 필요 작업성 Ο Ο Ο Ο 성능 내열성 Ο 내한성 Ο 내구성 Ο 외벽 Ο 시공 욕실(벽면) Ο Ο 장소 욕실(바닥) Ο 바탕 미장 모르타르 Ο Ο Ο Ο 석고보드 프라이머 처리 프라이머 처리 프라이머 처리 프라이머 처리 타일 자기질(외벽) Ο 의 자기질(내벽) Ο Ο 자기질(바닥) Ο 종류 도기질(내벽) Ο Ο Ο 기타 바탕의 건습 살수 건조 건조 건조 양생 온도 10 이상 10 이상 10 이상 10 이상 Ο: 적당, : 부적당, : 검토 후 사용 제3절 타일 시공 일반사항 3.1 타일 나누기 시공에 앞서 타일을 실제로 배치하여 줄눈이 일정하고 토막 타일을 쓰지 않도록 놓아 보는 것을 타일 나누기라 한다. 타일 나누기는 마감면의 외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시공할 타일이 결정되면 설계도와 실제 건물의 각 부 치수를 실측하고 확인하여 시공에 차질이 없도록 세밀하게 계획해야 한다 m2 당 소요되는 타일의 매수와 줄눈의 크기 (단위: 장/m2당)
405 형상 정 사 각 형 직 사 각 형 규격 (mm) 줄눈의 폭 (mm) 바닥 및 벽 타일 줄눈 나누기 3.2 타일 시공
406 3.2.1 모르타르 배합 1) 타일 시공 시 모르타르 배합비는 <표 4,5,6>을 기준으로 하고 배합 수량은 타일 바탕면의 습윤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 2) 모르타르는 건비빔한 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가수( 加 水 )하여 반죽한 것은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표 4> 바닥 타일 붙임 모르타르 표준 배합 구 분 시멘트 모래 비 고 바닥용 타일 1 3 된비빔 모자이크 타일 1 3 된비빔 클링커 타일 1 3 된비빔 <표 5> 벽 타일 붙임 모르타르 표준 배합 구 분 시멘트 모래 혼화제 발라 붙이기 내 외장 1 3~4 지정량 벽 타일 압착 낱장 붙이기 내 외장 1 2~2.5 지정량 붙이기 판형 붙이기 내장 1 0.5~1.0 지정량 모자이크 타일 내 외장 1 0~0.5 지정량 <표 6> 치장줄눈용 모르타르 표준 배합 구 분 시멘트 모래 비 고 내장용 타일 1 0.5~1.5 배합비는 줄눈폭에 따라 달라진다 외장용 타일 1 0.5~1.0 착색 안료는 지정량을 사용한다 모자이크 타일 1 0~0.5 클링커 타일 줄눈너비 15mm 이상인 경우 바탕처리 1) 타일을 붙이기 전 바탕의 들뜸, 균열 등을 검사하여 불량 부분은 보수하며, 불순물을 깨끗이 청소하고 붙임바탕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바탕에 충분히 물을 뿌린다. 2) 압착 붙이기나 접착제 붙이기를 할 때의 바탕면의 평활도는 벽의 경우 2.4m당 3mm 이내, 바닥의 경우 3m당 3mm 이내에 들도록 한다. 또한 바닥면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고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욕실 및 다용도실의 물매는 1/100, 발코니는 1/150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3) 바탕 모르타르 바르기는 타일의 두께와 붙임 모르타르의 두께를 고려하여 2회에 나누어 바르고, 바름 두께가 10mm 이상일 경우에는 1회에 10mm 이하로 하여 쇠흙손으로 눌러 바른다. 4) 바탕 모르타르를 바른 후 타일 붙임까지의 존치 기간은 1주일 이상 두는 것을원칙으로 한다. 제4절 타일 시공법의 종류 4.1 떠붙임 공법
407 타일 뒷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얹어 바탕 모르타르에 누르듯이 1매씩 붙이는 공법으로 적산 붙임공법, 경단 붙임공법, 쌓기 공법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타일 붙이기의 기본적인 공법이지만, 외벽에서는 백화가 발생하는 일이 많으므로 현재는 다른 공법으로 바뀌고 있다. 한때, 도시 지역에서는 압착공법의 사용이 압도적이었지만, 박리문제 때문에 내장타일 붙이기에는 개량떠붙임 공법과 떠붙임 공법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떠붙임 공법의 특징은 편차가 적은 양호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구조체의 거동에 대한 적응도가 높아 박리가 거의 없다. 또, 정도가 높은 바탕면이 불필요하며, 타일 붙이기의 마무리 정도가 양호하다. 그러나 숙련된 시공을 요하는 만큼 숙련도를 얻기까지 장시간이 필요한 점, 시공 능률이 나쁜 점 등은 단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림 2> 떠붙임 공법의 개요도 4.2 개량( 改 良 ) 떠붙임 공법 떠붙임 공법의 결점을 개선한 공법으로, 본래는 외장 타일을 붙이는 공법인데 근래에는 유닛 타일에도 쓰이고 있다. 모자이크 타일 개량 떠붙임 공법, 내장타일 개량 떠붙임 공법 등은 모르타르를 바를 때 마스크를 사용하므로 통상 마스크 공법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개량 떠붙임 공법은 압착공법에서 문제가 되는 오픈 타임(open time)의 문제가 없으며, 양호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떠붙임 공법에서 볼 수 있는 백화 현상이 거의 없어 모자이크 타일, 내장 타일의 박리 방지에도 유효하다. 그러나 모르타르가 타일 뒷면 전체에 고르게 발라지지 않으면 백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모자이크 타일 개량 떠붙임 공법, 내장 타일 개량 떠붙임 공법에서는 타일 붙임의 마무리 정도가 바탕면의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는 결점도 있다. 4.3 압착공법 평평히 만든 바탕 위에 붙임 모르타르를 바르고, 그 위에 타일을 비벼 넣거나 두드려 눌러 붙이는 공법을 말한다. 모자이크 타일은 오래전부터 이 방법으로 공사를 해왔으며 외장 타일의 경우는 떠붙임 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채용하였다. 이 공법은 보급 초기에는 별문제가 없었으나 시공 불량에 의한 탈락 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408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개량 떠붙임 공법, 개량 압착공법, 밀착 공법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현재 일본의 건축공사 공통 사양서에는 압착공법에 대한 사항은 빠져 있는 상태로 압착공법의 사용을 사실상 금하고 있는 실 정이다. 압착공법의 장점으로는 타일과 붙임재료 사이에 공극이 생기기 어려우므로 백화가 생기기 어렵고 시공 능률이 양호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오픈 타임의 영 향이 크고 접착강도 편차가 큰 점은 단점으로 지적된다. <그림 3> 압착공법의 개요도 4.4 접착공법 유기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거의 압착공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타일을 붙이는 공법으로 내벽에만 사용한다. 압착공법보다도 적용 가능한 바탕의 종류가 많으며, 보드에는 이 공법으로 타일을 붙인다. 비교적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은 좋으나 아직은 외벽에는 부적합한 공법이다. 4.5 밀착공법 압착공법과 거의 같으나 밀착 공법 전용( 專 用 )의 진동수와 진폭의 진동 공구(Vibrator)로 타일 면에 충격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공법은 외장 타일 붙이기에만 적용되며, 일명 동시줄눈 공법 이라고도 부른다. <그림 4> 밀착 공법의 개요도 4.6 개량 압착공법 접착공법, 밀착공법은 모두 압착공법의 부류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접착공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장 타일을 붙이고, 밀착공법은 외장타일 압착공법에
409 대응하여 그것을 대치하기 위한 공법이라는 점이 다르다. 개량 압착공법은 압착공법의 단점인 오픈 타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압착공법과 달리 타일에도 붙임 모르타르를 바른다. 이 공법은 편차가 적은 양호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백화의 발생이 거의 없는 반면, 타일에도 모르타르를 바르므로 일의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림 5> 개량 압착공법의 개요도 4.7 바닥 타일 붙임공법 내부 및 외부의 바닥에 모자이크 타일과 바닥 타일, 클링커 타일 등을 붙이는 공법이다. 바닥 타일은 종래 주택의 욕실, 변소, 현관의 바닥과 옥상 등에만 사용되어 왔지만, 근간에는 지하도로, 상점이 있는 보도, 공원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림 6> 바닥 타일 붙임공법의 개요도 4.8 먼저( 先 ) 붙임공법 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PC 커튼윌을 제작할 때 타일을 미리 붙여 마감하는 방법으로, 거푸집 먼저 붙임공법과 PC판 먼저 붙임공법이 있다. 이 공법은 타일의 접착이 확실하며 백화 발생이 없고, 공기 단축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붙이는 타일의 종류가 많으면 작업이 복잡해지며, 그에 따라 원가도 상승하게 된다. 4.9 건식공법 건축공사의 건식화 추세에 따라 타일 시공에서도 그 요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배경으로 탄생한 것이 바로 건식공법이다. 현재 널리 이용되는 공법은 아니나 여러 장점으로 인해 앞으로 주목해야 할 공법이다. 이 공법의 이점은 타일 시공 시 현장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410 4.10 치장줄눈 <그림 7> 건식공법의 개요도 1) 타일을 붙인 후 3시간 정도 경과하면 줄눈 파기 및 청소를 하고 24시간 경과 후 붙임 모르타르의 경화 정도를 보아 줄눈 부위에 물을 뿌리고 치장줄눈을 넣는다. 2) 치장줄눈의 너비가 5mm 이상일 때는 고무흙손으로 충분히 눌러 발라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2회로 나누어 줄눈을 채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청소( 淸 掃 ) 1) 치장줄눈 작업이 끝나면 타일면에 붙은 모르타르나 시멘트풀, 기타 불순물 등은 신속히 제거하고 헝겊, 스펀지 등에 물을 적셔 타일면을 깨끗이 닦아낸다. 2) 부득이하게 염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4% 정도의 묽은 염산용액으로 하고 산분( 酸 分 )이 남지 않도록 깨끗이 물로 씻어낸다 보양( 保 養 ) 1) 타일 시공 시 기온이 2 이하일 때는 난방, 보온 등으로 시공 부분을 보양해야 하며, 보양이 불가능할 때는 즉시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 2) 타일을 붙인 후 3일간은 진동, 충격, 보행을 금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보행판( 步 行 板 )을 설치한 후 보행할 수 있다. 제5절 테라코타 5.1 재료 일반 테라코타란 이탈리아어로 구운 흙 이란 뜻으로, 도토( 陶 土 ), 자토( 磁 土 ) 등을 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소성한 속이 빈 대형의 점토 제품이다. 일반 석재보다 가벼우며, 압축 강도는 화강암의 1/2 정도이다. 또한 화강암보다 내화도가 높으며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다. 구조용과 장식용으로 구분하며, 구조용은 바닥, 칸막이 등에 사용되고 장식용은 난간벽, 주두( 柱 頭 ), 돌림대, 창대 등에 사용된다. <표 5> 테라코타 규격 및 매수 (단위: m2 당) 5.2 테라코타 시공 규격(cm) 붙임매수(매) 규격(cm) 붙임매수(매)
411 5.2.1 붙임 공법 1) 바탕을 청소한 후 물을 축인 다음 줄눈 나누기에 맞춰 수평실을 치고 테라코타의 부호에 따라 귀 모서리를 잘 맞추어 뒤틀림이나 턱 등이 없게 붙인다. 2) 이때 바탕 및 테라코타는 충분히 물을 적셔 습윤( 濕 潤 )하고, 각 단마다 맞댐 자리 홈턱이 있는 것은 연결 철물 및 고정 철물을 사용하여 철골 또는 철근에 2개소 이상 연결한 후 뒷면에 모르타르를 충분히 채워 넣는다 치장줄눈과 청소 및 보양 1) 모르타르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는 진동 및 충격을 금한다. 2) 치장줄눈의 청소 및 보양은 벽돌공사 또는 타일공사에 준한다.
412 SECTION 가구 제작 제1절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이 시방은 지급 자재가 아닌 가구류 제작, 설치공사에 관한 것이다. 1.2 적용 규준 한국산업규격(KS) KS D 3536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F 3101 보통 합판 KS F 3104 파티클보드 KS G 3117 거울 KS G 5700 가정용 주방용구 KS L 2002 강화유리 KS M 3803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1.3 도서 및 기타 1) 자재 제품 자료 가구류 각 제품에 대한 사용 재료의 제원, 제작 과정, 조립 방법, 카탈로그 상의 제작상세도 및 조립도, 제품 조립에 사용된 고정 철물의 종류 및 재질, 수량이 포함된 제조업자의 제품 자료. 2) 견본품 가구류 각 제품에 대한 마감 상태 및 색상을 선정하기 위해 공사에 적용되는 제품 종류와 크기, 타입별로 1개의 완성품과 납품 가능한 마감 종류 및 색상 별 차트 또는 부분 견본을 제출한다. 1.4 운반, 보관 및 취급 1)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하는 제품은 부품 및 부재 단위로, 공장 완제품인 경우에는 제품 단위로 골판지 등으로 보호 포장해야 하며, 포장 외부에 제조업 자의 상표, 상품명 및 부재명, 수량 등이 표시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되어야 한다. 2) 각 제품은 눈, 비, 습기 등으로부터 안전한 실내에 보관되어야 한다. 3) 제품을 취급할 때 파손 및 마감면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한 다. 제2절 재료 2.1 목재료
413 2.1.1 목재 국내산 또는 외국산을 막론하고 거심, 마디와 흠이 없고 비틀림, 찍힘, 썩음, 해충에 대한 해가 없는 양재를 사용한다. 특히 화장재는 목리, 색조가 균등한 우량재로 견본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어느 것이나 함수율은 천연 건조에 의해 25% 이하로 한 후 인공 건조에 의해 10% 이내인 것이어야 하며, 살충 처리된 것을 2주 이상 실내에 자연 방치하여 12~13%로 안정시킨 것을 사용 한다 무늬목 재질, 목리, 색조 등은 특히 엄선하여 사용하고, 건조에 의해 품질이 손상 되지 않도록 주름 없애기를 하여 함수율 5% 정도로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나뭇결의 상태는 곧은 나뭇결을 원칙으로 하고, 이음방법은 특기 시방에 의하거나 감독원과의 협의 하에 결정한다. 무늬목의 폭은 곧은결의 경우 100~200mm, 엇결의 경우는 150mm 이상으로 한다 합판 마디 갈라짐, 썩음 등이 없는 양질의 것으로서 따로 지정이 없는 한 6mm 두께 이상의 합판을 사용한다. 보이는 곳에 사용하는 합판은 양면을 합친 합판 1급으로 하고, 보이지 않는 곳에 사용하는 합판은 양면을 합친 합판 2급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성형 합판 성형 합판의 심재는 두께 12mm 정도에 함수율 5%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적충재 보이는 곳의 적충재는 두께 0.6~3.0mm 정도의 지정 재료를 사용한다. 적충심의 경우는 라왕 합판을 심재로, 무늬목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보강재 두께 대 폭이 2:3 이하로 한다. 보강재 위에 직접 무늬목을 접착하지 않고 양면에 라왕 6 이상의 합판을 압축하여 부착한다 플러시(Flush)재 심재는 앞서 기술한 함수율까지 건조한 양질의 동등한 물건을 사용한다. 틀은 부착 철물의 위치 등을 확인한 후 상의 간격을 갑판류는 90mm 이내, 다른 것은 180mm 이내로 하고 규격은 9mm 이상, 기타는 6mm 이상의 합판을 양면에 압접하고 지정 마감재로 마감한다 기타 하니콤 코어(Honey Comb Core)를 사용하는 경우는 살충, 방부 가공이 안전한 것을 사용하고, 특히 뒤틀리지 않도록 양재를 선정한다. 2.2 금속재
414 2.2.1 강철재 앵글 플레이트, 봉, 관 등은 KS 규격 중 일반 구조용의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스프링은 경인 강선 또는 스프링 강재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하며 방청을 위해 에나멜 칠을 한다. 나사, 목나사, 볼트류도 KS 규정에 적합하며 방청을 위해 아연 도금한 것으로 한다 비철금속 동, 황동,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및 이러한 제품은 모두 KS 규격품으로 한다 기타 바닥면, 선반대, 천장 등에 설치하는 경우는 현장을 조사하고 인서트, 앵커 볼트류는 사용 목적에 따른 형상, 재질, 지지력 등을 고려하여 설치 시 지지력이 충분한 부재를 선택한다. 하중을 받는 것은 실제 하중의 3배 이상의 지지력을 갖는 것으로 한다 기성 금속제품 파이프, 앵글, 알루미늄 주름, 의자용 각종 부품류, 핸들, 손잡이, 경첩, 자물쇠류 등 기타 기계 부품은 미리 견본품을 협의하여 선택, 설치한다. 2.3 피혁 사용하는 피혁은 흠이 없는 것으로 한다. 염색 시에는 특히 유의하여 변색이나 퇴색, 얼룩이 없도록 정교하게 염색한다. 2.4 의자재 1) 표면 마감 표면 마감은 얼룩, 염색 얼룩이 없는 것, 퇴색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한다. 2) 직물 가. 고무 제품은 BS 규격 1급품 또는 동등 이상인 것으로 하고, 400m/m 이하 는 구멍이 안 뚫어지는 것으로 한다. 나. 고무 제품류는 단위 좌면에 대해 1~3층의 적층을 하고, 경연 및 스펀지 종류는 따로 구분한다. 다. 성형합판 바탕재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합판 위에 고무 제품 정도의 경도를 갖는 스펀지 8~10mm를 깔고 그 위에 지정한 쿠션재를 충진한다. 3) 스프링(Spring) 스프링재는 KS 기준에 합격한 제품으로서 도장은 멜라민수지 소부 도장으로 한다. 선의 번호 및 권수는 의자의 형상, 크기에 맞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가로세로의 간격은 50mm 이내로 한다. 힘을 받는 곳에는 스프링 높이가 60mm 이상인 것으로 선택한다. 제3절 제작 3.1 가공 조립
415 3.1.1 공통사항 1) 나무의 선택은 도면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생각하며 재료의 불량 개소를 제거한다. 나뭇결, 색조 등을 고르게 하고 하얗게 섞은 것 등도 제거한다. 2) 각 재료의 접합부는 원치수 시공도에 따라 정확하게 가공하고 조립은 일단 가조립하여 잘못된 것 등을 고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 조립을 한다. 손잡이 구멍에는 충분히 접착제를 발라서 견고히 밀어 넣고 깊이는 재료 두께의 정도로 한다. 접착제가 빠져나온 것은 즉시 닦아낸다. 3) 장부 접합을 할 경우는 협의 후 결정한다. 4) 보강 철물은 디자인을 해치지 않도록 사용 장소, 마무리에 주의하여 방청 도장 또는 도금한 것으로 사용한다 판 구조 1) 윗판, 옆판, 벽판 등의 폭이 넓은 면은 지정한 마감재를 사용한다. 각 재료의 목리는 번갈아 직각으로 하고 마감재는 양면에 동일 재료를 사용하여 접착 건조시킨 후 재질 내 외부가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틀어지지 않도록 세심하게 시공한다. 2) 하니콤(Honey Comb)류의 경우에는 간격이 없도록 사용한다. 3) 테두리에는 단단한 목재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사용하는 하니콤(Honey Comb)류의 두께와 맞춘다. 4) 완성 후 표면에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격자로 할부 치수를 결정하고 심재에 6mm 두께 이상의 합판을 양면에 접착한 후, 화장재를 압축 프레스를 사용하여 양면에서 누른다. 압축 프레스에서 꺼낸 후에도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평탄한 장소에 평적하고 보호한다. 철물을 부착한 곳에는 단단한 나무심을 박는다. 5) 플러시(Flush) 적층합판, 성형 합판 등의 접착에서는 압축력, 압축시간에 유의하여 결로, 먼지 등의 혼입을 주의한다 상자 구조 1) 책장, 선반 등의 상자는 직각 가공과 수평처리 마무리 시공에 주의한다. 2) 서랍의 앞판은 특히 건조도가 높은 재료로 나뭇결이 고은 것을 고르고, 좌우가 있는 경우에는 나뭇결이 좌우 연속인 것을 사용한다. 3) 수납장 등의 이동 가구로 벽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뒷면은 정면 및 측면의 완성재와 같은 재료로 마무리한다. 다만 도면에 지시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4) 특기가 없는 경우 수납장 내부의 완성은 합판 6mm 정도로 한다 의자류 보이지 않는 곳의 재료라도 충해 또는 찢김, 썩음 등이 없는 참나무, 벚나무 또는 너도밤나무를 선택하여 접착제로 충분히 견고하게 조립한 후, 각 요소에는 단단히
416 보강재를 부착하고 필요할 경우 보강 철물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3.2 가구 철물 1) 일반사항 강판, 강관, 놋쇠판 등의 소재는 모두 녹, 흠집, 휨 등이 없는 양질의 것을 선택하고, 주조품은 흠집, 풀어짐이 없는 것을 선택한다. 형상, 기타 도면에 따라 충실히 제작하되 마무리는 특히 꼼꼼하게 하며, 색깔은 지정된 견본과 같이 하되 설치한 후에 굽거나 꼬이는 일이 없는 정확한 것이어야 한다. 2) 재료 가. 합판은 KS F 3101에 의한 준내수 2급으로 한다. 나. 파티클보드는 KS F 3104에 적합한 것으로서 두께 15m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다. 휨 강도는 148kgf/mm 이상으로 한다. 라. 서랍이 있는 경우, 서랍 레일은 금속 제품 또는 사용상 지장이 없도록 내구성 있는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마. 고압 멜라민(High Pressure Melamine)은 두께 0.8mm 이상으로서 KS M 3803에서 규정한 내열, 내수, 내오염성을 확보해야 한다. 바. 문짝, 서랍 등의 손잡이는 황동,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제품으로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재질의 제품으로 한다. 사. 신발장의 조립, 제작에 사용되는 모든 철물은 녹슬지 않는 재질이나 녹막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제작 및 조립 가. 도면 및 시방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 제조업체의 제품 자료에 따른다. 나. 상부장, 하부장, 측장 등은 운반, 조립,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분리 제작되어야 하며, 조립할 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못 또는 나사못 고정이 아닌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추후 분리가 용이하도록 연결해야 한다. 다. 제작 및 조립 허용오차는 높이 및 너비의 경우 2mm, 대변의 안목치수는 1,000mm당 2mm를 기준으로 한다. 3.3 기타 가구 제작 이동 수납장 1) 재료 가. 경첩은 아연 다이캐스팅 위에 먼저 니켈 피막을 입힌 후 그 위에 크롬도 금을 한 것으로 하되, 크롬도금은 30초 이상 크롬에 담가야 한다. 니켈크롬도금의 피막 두께는 0.5mm 이상이어야 하며, 경첩은 PVC 재질의 경첩 보호링이 있어야 한다. 나. 피스 등의 각종 고정철물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하고, 피스 보호캡 등은 ABS
417 재질로서 머리가 보이지 않는 크기로 한다. 다. 합판은 KS F 3101에 의한 준내수 2급으로 한다. 라. 파티클보드는 KS F 3104에 적합한 것으로 하되, 다만 휨 강도는 148kgf/mm 이상, 두께 15m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마. 수납장의 조립, 제작에 사용되는 모든 철물은 녹슬지 않는 재질이나 녹막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2) 제작 및 조립 가. 수납장의 세부적인 형상 및 규격은 제작업체의 제품 자료에 따른다. 나. 벽체 사이에 수납장이 설치되는 경우, 빈 공간이 거의 보이지 않는 쪽에서 제품을 제작해야 한다. 다. 하부지지대, 경첩, 손잡이 등은 견고하게 부착하여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라. 수납장의 문짝 힌지 및 손잡이 규격, 형상, 재질 등은 기능 및 내구성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제품 자료에 따른다 붙박이 수납장 및 선반 1) 재료 가. 파티클보드는 KS F 3104에 의해 휨 강도 138kgf/mm 이상, 두께 15m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나. 파이프는 두께 0.2mm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분채 도장이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다. 행거봉은 KS D 3536에 적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한다. 라. 볼트 및 너트의 재질은 철재로 하되 표면에 녹막이처리가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 제작 및 조립 가. 반침수납장의 고정부품 규격, 세부적인 형상 및 재질은 내구성, 기능, 미관 등 성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제품자료에 따른다. 나. 선반과 선반 지지봉은 해체 및 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해야 한다. 선반 및 옷걸이의 지지봉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후 양단면에 연질 염화비닐 또는 고무제 등의 기타 캡을 씌운 구조여야 한다. 다. 선반 밑면에는 지지봉과의 고정을 위하여 탈착이 용이한 고정 클립을 부착해야 한다 서랍 제작 1) 서랍은 주로 두께 12mm의 판재를 사용한다. 2) 서랍 바닥은 5mm 합판을 주로 사용한다, 3) 서랍 앞면과 서랍 박스는 중간 중간 접착제를 붙이고, 스크루로 조여야 한다.
418 제4절 시공 설치 4.1 준비 1) 각 제품이 설치될 부위는 선행 공종이 완전히 종료된 상태로 깨끗이 청소 되어야 한다. 2) 각종 수납가구 설치 부위의 벽면은 평활하게 마감되어 수납가구 설치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4.2 설치 각 제품의 설치는 도면 및 시방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 제조업체의 제품 자료에 따른다. 4.3 조정 및 검사 1) 조정 가. 설치된 각 제품은 문짝, 서랍 등의 여닫이가 원활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나. 각 제품은 설치 후 외부선 및 각 조인트 부위 등이 수직, 수평 상태여야 한다. 수직,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조립 철물 등을 조정하여 똑바로 맞춘다. 2) 검사 검사는 설치가 완료된 각 제품에 대하여 시행하되 외관, 작동 및 기타 결함 유무를 확인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4.4 보양 및 청소 후속공사로 인하여 설치된 각 제품이 오염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419 SECTION SIGN 공사 Ⅰ. 기본사항 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아셈타워 1층 프리미엄 오피스 로비 조성공사에 따른 간판의 일반적인 제작 및 설치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제출물 1) 제품의 자재 자료 제품에 대한 사용재료의 제원, 제작과정에서의 조립방법, 제작상세도 및 조립도, 제품조립에 사용된 고정철물의 종류 및 재질, 수량이 포함된 제조업자의 제품 자료 등. 2) 견본 각 제품에 대한 마감상태 및 색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간판 제작설치에 적용되는 제품 종류와 크기 및 타입별로 1개의 완성품과 납품 가능한 마감 종류 및 색상별 차트 또는 부분견본 등을 제출한다. 3. 운반 보급 및 취급 1)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하는 제품은 부품 및 부재 단위로, 공장 완제품인 경우에는 제품 단위로 비닐 보호테이프 등으로 보호 포장되어 현장에 반입되어야 한다. 2) 각 제품은 눈, 비, 습기 등으로부터 안전한 실내에 보관되어야 한다. 3) 제품을 취급할 때 파손 및 마감면이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되어 원상태로 보수가 불가능한 제품은 신품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Ⅱ. 제 품 1. 금속재 제품 1) 금속재 제품은 철, 비철금속(경금속은 제외) 및 이들의 2차 제품을 주재료로 해서 제조한 기성 금속물, 또는 도면 및 간판 제작설치시방에 따라 제작하는 금속물 등으로, 구조체의 내부에서 틀을 형성 하거나 외부 표면에서 마감재로 활용되는 갈바철판, 스테인리스 스틸판, 스틸 파이프, 알루미늄 판 등을 일컫는다. 2) 기성 금속물은 미리 견본을 제출하여 재질, 모양, 치수, 색깔, 마무리 정도, 구조, 기능 등에 대해 감독관의 승인을 받는다. 3) 이 간판 제작설치에 사용하는 철, 비철금속 및 이들 2차 제품은 소재, 제품 모두 한국산업규격의 규정에 있는 것은 그에 따르고, 기타에 대해서는 도면 및 간판 제작설치시방에 의하거나 승인을 받는다.
420 4) 인서트(insert), 앵커볼트(anchor bolt), 앵커 스크류(anchor screw), 직결나사류는 그 사용목적에 따른 형상 치수로 하고, 미리 견본을 제출해서 재질, 지지력 등이 충분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5) 금속간판 제작설치에 사용되는 제품들은 수직, 수평에 맞고 또한 관련간판 제작설치에 맞추어 도면에 따라 위치에 바르게 설치한다. - 노출된 이음부위는 상호간 정확히 맞도록 설치하고 눈에 보이는 곳이나 개구에는 실란트와 조인트 충전재를 사용한다. - 콘크리트나 석재 또는 다른 금속이 두꺼운 역청 페인트로 코팅된 표면에 닿는 경우에는 부식이나 전기분해작용 등으로부터 표면이 보호되도록 한다. - 공장맞춤 또는 조인팅에 필요한 절단, 용접, 납땜, 연마의 과정에서 손상된 마감을 보수하고 교정한 자국이 남지 않도록 마감이나 페인트의 초벌피막을 보수하여야 한다. - 현장에서 재 마감할 수 없는 것은 전체를 재 마감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토록 한다. - 알루미늄 같은 비철금속재 등의 경우는 표면의 질감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절단 가공한 후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6) 녹막이 처리 - 강철제 금속제품의 녹막이처리는 도금처리 및 간판 제작설치시방에 정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녹막이도장)에 따라 녹막이 도료를 2회 칠한다. - 비철금속제품으로 이에 접하는 타 재료에 의해서 부식을 받을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도면 또는 간판 제작설치시방에 의해서 방식( 防 蝕 )처리를 한다. - 간판 제작설치완료 후에는 보양재를 제거하고 청소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왁스 등을 사용해서 닦는다. 2. PC 판재(플라스틱) 1)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는 열 팽창계수가 크므로 열 또는 온도에 의한 신축성을 고려해야 한다.PC 평판은 10 의 온도차에 대하여 1m마다 1~1.5mm, 비닐평판에서는 0.7~0.8mm의 신축여유를 두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2) 열가소성 재료는 열에 따른 경도의 변화가 있으므로 50 (단시간 60 ) 이상 넘지 않도록 한다. 3) 마감부분에 사용하는 경우 표면의 흠, 얼룩,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종이, 천 등으로 적당히 양생한다. 4) 양생 후, 부드러운 헝겊에 물, 비눗물, 휘발유 등을 적셔서 청소한다. 5) 판재에는 도료용 용제(에스테르, 아세톤)가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6) PC판재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도장전이나 시트붙이기 전에 아크릴재의 표면에
421 정전기를 없애고 기름기 성분을 없애어 먼지가 붙지 않도록 한다. 3. 문자용 재료(포맥스, 아크릴 및 AL 고무스카시) 1) 아크릴과 포맥스는 지정된 디자인 및 규격에 따라 컴퓨터 조각(라우팅)기계로 컷팅하여 입체면이 깨끗하게 손질한 후 설계도면에 의한 색상으로 도장한다. 2) AL 고무스카시는 지정된 도안으로 지정색상의 알루미늄판을 붙인 고무 스펀지판에 컴퓨터로 도안을 붙여 도안대로 정확히 스카시기계로 절단한 후 문자의 입체면이 깨끗하게 손질하여 준비한다. 3) 포맥스, 아크릴, AL 고무스카시 문자는 가공이 끝난 후 문자의 표면이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비닐 보호테이프 등으로 보양한 후 현장에 반입하며, 특히 알루미늄 문자는 누름에 약함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반입하고 설치하여야 한다. 4. 알루미늄(갈바) 채널문자 1) 알루미늄 채널문자는 설계에 따라 컴퓨터로 현도한 디자인으로 절단 가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2) 갈바로 채널문자를 만들 경우에는 컴퓨터로 디자인된 도면을 레이져로 절단한 후 용접하여 녹막이 도장과 지정색상 상도 도장으로 제작한다. 3) 채널문자의 바닥판과 입체면은 용접접합 방식이나 타카방식으로 접합할 수 있으나 문자의 비틀림이나 변형이 되지않도록 단단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4) 문자와 커버는 설계도면대로 광확산 PC판을 가공하여 지정색 시트를 붙여 제작설치 하도록 하고, 채널문자의 종류나 색상, 도장색상, 접합방식 등은 샘플링하여 제작한 후 제출하여 감독관과 협의하여 승인된 제품으로 사용한다. 5) 채널문자는 1.0mm 알루미늄 채널문자를 정교하게 가공하여야 한다. 6) 채널문자에 빗물의 배수를 위하여 하단부에 15mm 정교하게 타공한다. 7) 채널내부조명은 방수형 LED로 하며, 앞면은 3mm 광확산PC판을 대고 테두리는 알루미늄몰딩으로 고정한다. 8) 주간, 야간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성능을 가진 시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Ⅲ. 제 작 및 설 치 1. 점착시트(필름)의 컴퓨터 커팅 및 접착 1) 평탄 작업 - 접착성 또는 마무리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요철 부분이 없도록 연마처리나 표면을 긁어 평평한 바탕이 되도록 한다. 2) 커팅과 접착 - 컴퓨터 커팅(computer cutting)은 로고체, 타이틀체, 설명문체, 방향표시, 픽토그램
422 등을 컴퓨터에 입력한 뒤 플로터의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 컴퓨터 커팅(computer cutting)은 설계도에 정해진 대로 데이터를 컴퓨터로 확대, 축소하여야 한다. - 점착시트의 부착하고자 하는 표면을 깨끗이 닦은 다음 세제 5% 용해액을 표면에 뿌리고 문자 등을 배면지에서 탈취한 다음 배면 접착제 부분에도 용해액을 충분히 뿌려준다. -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히 맞추어 고정시킨 다음, 고무밀개(squeege)를 이용하여 용해액을 밀어내면서 부착시킨다. 이때 한 방향 또는 바깥방향으로 일정 한 힘을 가하여 밀어내어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 시트지의 색상과 글자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 시트(필름)의 접착은 원칙적으로 피접착면의 온도가 16~38 일 때 실시한다. 접착면 온도가 16 이하인 경우에는 적외선 램프, 제트히터, 가열드라이어 등으로 표면온도가 16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필름 전용 프라이머를 표면에 도포 한다면 10 이상에서도 점착이 가능하나, 이 경우 부착 후 되도록 드라이어로 가열하면서 다시 눌러준다. 3. 재료의 도장작업 1) 도장재료 - 도료의 선정 : 도장재료는 설계에서 정하는 대로 하며, 한국 공업규격에 정함이 있는 것은 그 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설계에서 정하는 바가 없을 때에는 그 제조자명, 제품명 등에 대하여 미리 감독관의 승인을 받는다. 2) 자연건조 우레탄 도료 - 하도용도료 1물성 (가)조성: 2액형 (나)부피고형분 : 48% 이상 (다)점도(20 ) 80~100ku (라)비중(20 ): 1.35 (마)인화점 : 25 이상 2도장사양 (가)혼합비 : 주제/경화제=90/10~80/20(중량비) (나)도막 두께 : 35~50μ (다)건조시간 및 재도장 간격
423 (라)이론 도포율 : 9.6 m2/1 이상(건조도막두께 :50μ) (마)숙성시간 : 약30분 (바)에어리스 상도용 도장 분사 압력 : 120 kg/cm2 노즐팁 구경 : 0.17~ 상도용 도료 1물성 (가)조성: 2액형 (나)부피고형분 : 40% 이상 (다)점도(20 ) : 75±5ku (라)비중(20 ) :1.25±0.05ku (마)인화점 :25 이상 2도장 사양 (가)혼합비 : 주제/경화제=85/15~90/10(중량비) (나)도막 두께 : 20~40μ (다)건조시간 및 재도장 간격 - 도장방법 (라)이론 도포율 : 10 m2/1 이상(건조도막두께 :40μ) (마)숙성온도(20 ) : 혼합 즉시 사용가능 (바)에어리스 도장조건 분사 압력 : 120 kg/cm2 노즐팁 구경 : 0.17~0.021
김포공항배수체계정비사업 ( 2 단계 ) 공사시방서 2017 한국공항공사 서울지역본부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More information<312E20C0AFC0CFC4B3B5E55F5352444320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페이지 2 / 6 첨부 1. 공급품 목록 및 납기일정 번호 품명 모델명/사양 Vendor 단위 수량 납기 비고 1 (샘플기판) 6Layer, FR-4, 1.6T, 1온스, 2 (샘플기판) 3 (샘플기판) 4 (샘플기판) 5 (샘플기판) FRONT PANEL BOARD 3종 1. 샘플기판은 Board 별 성능시험용 2. 샘플 기판 후 Board 별 육안점검 및
More information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금속공사제15장 미장공사제16장 창호공사제17장 유리공사제18장 칠공사제19장 수장공사제20장
More information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
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금속공사제15장 미장공사제16장 창호및유리공사제17장 칠공사제18장 수장공사제19장 기타잡공사
More information......-....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대체부품 인증제도
- 1 - - 2 - 심사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More information?.?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기계 기구및설비설치또는변경시사업장안전성문제가걱정된다면? 제조업등유해 위험방지계획서로해결하세요! '14 9 13 10 13. ?.? -? - www.kosha.or.kr * : (),, ( 15 ) - 15 - ( 25 ) - 2 - : - : ( 2013-2 ) ( ) 10. 500kW. 2,000kW. 2,000kW 84,000 123,000 183,000
More information관리 번호 김포공항콘크리트포장보수공사 공사시방서 ( 토목 )
관리 번호 김포공항콘크리트포장보수공사 공사시방서 ( 토목 ) 2017. 3.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등록번호개정번호
More information대상항목 총 50 항목 ( 신설 : 3, 보완 : 47) 번호그룹분야항목명구분요청기관내용 1~3 A 토목건축설비 토목 4~6 A 건축 설비 토목 7~9 A 건축 설비 토목 10~12 A 건축 설비 토목 13~15 A 건축 설비 토목 16~18 A 건축 설비 토목 19~
표준품셈 상시관리심의 안 대상항목 총 50 항목 ( 신설 : 3, 보완 : 47) 번호그룹분야항목명구분요청기관내용 1~3 A 토목건축설비 토목 4~6 A 건축 설비 토목 7~9 A 건축 설비 토목 10~12 A 건축 설비 토목 13~15 A 건축 설비 토목 16~18 A 건축 설비 토목 19~21 A 건축 설비 토목 22~24 A 건축 설비 토목 25~27
More information목차
KC CODE KCS 57 80 10 국가건설기준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57 80 10 : 2017 상수도공사 펌프설비 2017 년 8 월일제정 http://www.kcsc.re.kr 국가건설기준 목차 KCS 57 80 10 상수도공사펌프설비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참고기준 KS B 1511
More informationXXXXXX XXXXXX
KEI 2004 RE-13 연구보고서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공성용 이희선 XXXXXX XXXXXX 제1장 서 론 1 2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제2장 실내공기질과 건강 3 4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제2장 실내공기질과 건강 5 6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제2장 실내공기질과
More information08. VE 사례 소개 자료.hwp
2.1 총괄집계표 총괄표 NO 제안 번호 제안내용예상금액비고 VE 가치 향상방법 ( 건축) 1 A001 숙박시설욕실, 화장실천정마감조정 4,178,500원 1 2 A002 숙박시설기초측면단열재삭제 16,212,000원 1 3 A003 전기실천정마감변경 7,461,726원 1 4 A004 PIT층바닥마감변경 1,073,797원 1 5 A005 연결통로바닥마감변경
More informationKC CODE KCS 국가건설기준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 2017 상수도공사 공기기계설비 2017 년 8 월일제정 국가건설기준
KC CODE KCS 57 80 20 국가건설기준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57 80 20 : 2017 상수도공사 공기기계설비 2017 년 8 월일제정 http://www.kcsc.re.kr 국가건설기준 목차 KCS 57 80 20 상수도공사공기기계설비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참고기준
More informationCD 2117(121130)
제품보증서 품질 보증기간은 구입일로부터 1년간이며, 애프터서비스용 부품의 보증기간은 5년간 입니다. 애프터서비스용 부품이란 외장을 제외한 회로, 기능 부품을 말합니다. (당사 규정에 따른 것임) 제 품 명 모 년 구 입 일 구 입 자 판 매 자 월 일 주소 성명 주소 대리점명 델 명 SERIAL NO. TEL. TEL. 제품보증조건 무상 서비스: 보증기간내의
More information- 1 -
- 1 - - 2 - - 3 - - 4 - - 5 - - 1 - - 2 - - 3 - - 4 - σ σ σ σ σ σ σ - 5 - - 6 - - 7 - - 8 - log - 9 - - 10 - - 11 - - 12 - m ax m ax - 13 - - 14 - - 15 - - 16 - - 17 - tan - 18 - - 19 - tan tan - 20 -
More information<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www.koroad.or.kr E-book 03 2016. Vol. 427 54 C o n t e n t s 40 50 24 46 04 20 46? 06,! 24 50 3, 08! BMW,? 28 54 12,! KoROAD 2 30 58 16, 34 60 18? 38 62? 40 64 KoROAD (IBA) 4!,, 2016 CEO!. 427 2016 3 2
More information사용설명서 의료용 진동기 사용설명서는 언제나 볼 수 있는 장소에 보관하세요. 사용전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을 반드시 읽고 사용하세요. 사용설명서에 제품보증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제품은 가정용 의료용 진동기이므로 상업용 또는 산업용 등으로는 사용을 금합니다. BM-1000HB www.lge.co.kr V V V V 3 4 V V C 5 6 주의 설 치
More information목 차 - 3 - (( () (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2) 3) 마이크로나이즈드구리화합물, N-N 디알킬 N-N 디메칠벤질알킬암모니움카보에니트등으로구성됨. 1)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More information온습도 판넬미터(JTH-05) 사양서V1.0
온습도 조절기 Model:JTH-05 1. 제품 사양. [제품 구분] JTH-05A(입력 전원 AC), JTH-05D(입력 전원 DC) [전원 사양] JTH-05A 입력 전압 출력 전원 소비 전력 JTH-05D AC 90~240V DC 10~36V 12Vdc / Max.170mA Max.2W [본체 사이즈] ~ 온/습도 범위(본체): 사용 [0 ~ 50, 85%RH
More information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More information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D 19/12 (2006.01) E01D 2/00 (2006.01) E01D 2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36938 (22) 출원일자 2011년04월20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4월20일 (65) 공개번호 10-2012-0119156
More information- 1 - - 2 - - 3 - - 4 - - 5 - - 6 - 주행방향 900 Φ100 재귀반사체 지주 주행방향 1100 120 40 200 740 900 120 45 원형재귀반사체 Φ100 검정색바탕도색 흰색합성수지지주 - 7 - 옹벽 900mm 900mm 노면 옹벽 900mm 900mm 노면 - 8 - - 9 - - 10 - - 11 - - 12 - 0.9
More informationDMFC 제정 : 목 차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국방 군사시설기준 설계도서작성 감독지침 국방부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목 차 DMFC 1-30-50 제정 : 2009. 10. 1 제 1 장일반사항 DMFC 1-30-50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Ÿ - 1 - 제 1 장일반사항 DMFC 1-30-50 Ÿ Ÿ Ÿ
More informationBN H-00Kor_001,160
SPD-SHD/SPD-0SHD BN68-008H-00 ..... 6 7 8 8 6 7 8 9 0 8 9 6 8 9 0 6 6 9 7 8 8 9 6 6 6 66 67 68 70 7 7 76 76 77 78 79 80 80 8 8 8 8 8 86 87 88 89 90 9 9 9 9 9 96 96 98 98 99 0 0 0 0 06 07 08 09 0 6 6
More information120000 3 100000 80000 연구원수 연구개발비 ( 총 GDP 중비율 ) 2.5 2 60000 1.5 40000 1 20000 0.5 0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More information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9. 2. 6.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대 법 원 제 1 부 판 결 사 건 2012두6605 사업시행계획무효확인등 원고, 상고인 원고 1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이인재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외 1인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외 3인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12. 2. 2. 선고 2011누16133 판결 판 결 선 고 2015. 4.
More information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 별지제 17 호의 10 서식 ] < 개정 > 1. 작업장개요 현장명 ( 공사명ㆍ작업명 ) 광진중학교석면해체제거공사 측정의뢰자 ( 석면해체ㆍ제거업자 ) 현장소재지 서울특별시광진구뚝섬로 64 길 45 광진중학교 석면해체ㆍ제거작업신고번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 별지제 17 호의 9 서식 ] < 개정 2011.3.3> 석면해체ㆍ제거작업신고번호서울동부 -20180234 신고현장 현장명 ( 공사명ㆍ작업명 ) 광진중학교석면해체제거공사소재지서울특별시광진구뚝섬로64길 45 광진중학교 전화번호 010-4206-0444 신고인 석면해체ㆍ제거업자명 ( 상호 ) : 이오산업개발 고용노동부등록번호 : 제 34
More information관리 번호 김포공항콘크리트포장보수공사 공사시방서 ( 토목 )
관리 번호 김포공항콘크리트포장보수공사 공사시방서 ( 토목 ) 2018. 4. 재료의종류허용오차 (%) 비고 물, 시멘트라텍스골재혼화제 ±1 ±1 ±3 ±1 구분 앵커볼트 종류 슬래브의두께 ( mm ) 직경 ( mm ) 길이 ( mm ) 간격 ( mm ) 비고 430-510 42 510 460 현장적용 내구특성
More informationRegulation on Approval of Consumer Chemical Products subject to Safety Check without promulgated Safety Standard.hwp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안전기준미고시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의승인에관한규정 [ 별지제 1 호서식 ] 색상이어두운란은신고인이적지않습니다. 접수번호접수일시처리기간 상호
More information4-Ç×°ø¿ìÁÖÀ̾߱â¨ç(30-39)
항공우주 이야기 항공기에 숨어 있는 과학 및 비밀장치 항공기에는 비행 중에 발생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과 학이 스며들어 있다. 특별히 관심을 갖고 관찰하지 않으면 쉽게 발견할 수 없지만, 유심히 살펴보면 객실 창문에 아주 작은 구멍이 있고, 주 날 개를 보면 뒷전(trailing edge) 부분이 꺾어져 있다. 또 비행기 전체 형 상을 보면 수직꼬리날개가
More information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1. 지구단위계획구역결정 ( 변경 ) 조서 가. 총괄 ( 변경없음 ) 도면표시번호 구역명위치 기정 면 적 ( m2 ) 변경후 변경 계 1단계 2단계 비고 - 수원시영통구매탄동, 이의동, 광교지구원천동, 하동, 팔달구우만동, 제1종지구단위계장안구연무동일원획구역용인시수지구상현동,
More information*) α ρ : 0.7 0.5 0.5 0.7 0.5 0.5-1 - 1 - - 0.7 (**) 0.5 0.5-1 - (**) Max i e i Max 1 =150 kg e 1 = 50 g xxx.050 kg xxx.050 kg xxx.05 kg xxx.05 kg Max 2=300 kg
More information- 2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가 ) 가 ) 가 ) 가 ) - 10 - - 11 - 길이 피시험기기 주전원 절연지지물 케이블지지용절연물 접지면 발생기 - 12 - 길이 가능한경우 절연지지물 절연지지물 접지면 전자계클램프 감결합장치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More information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환경영향평가서내위생 공중보건항목작성을위한건강영향항목의평가매뉴얼 - 협의기관용 - 2013. 12 환경부환경보건정책관실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제 1 장건강영향평가의개요 건강영향평가의정의건강영향평가제도의필요성건강영향평가의목적및기능건강영향평가의원칙건강결정요인 - 1 - - 2 - - 3 - 제 2 장건강영향평가제도의시행방안
More information- 1 -
차세대정보시스템구축개발사업 을위한 제안요청서 ( 안 ) <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More information정부3.0 국민디자인단 운영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로 정책을 함께 만들 수 있었고 그 결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정책 개선안을 도출하며 정책의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각 기관별 정부3.0 과제에 적용하여 국민 관점의 서비스 설계, 정책고객 확대 등 공직사회에 큰 반향을 유도하여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More information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More information»¶¥ı_0124
For Better Chemically Yours Tel 02) 833-2521 Fax 02) 844-2521 2 395-67 402 To21 Co., Ltd. 402 Lotte Tower, 395-67, Shindaebang-2-dong, Dongjak-ku, Seoul, 156-711, Korea http://www.to21.co.kr Chemical Management
More information05_2012_표준품셈_설비.hwp
32 목차 기계설비부문 제 Ⅰ 편 공통사항 제 1 장 적용기준 목차 33 제 2 장 가설공사 34 목차 목차 35 제 Ⅱ 편 기계설비공사 제 1 장 공통공사 36 목차 목차 37 제 2 장 공기조화설비공사 38 목차 제 3 장 위생및소화설비공사 목차 39 제 4 장 가스설비공사 40 목차 제 Ⅲ 편 플랜트설비공사 제 1 장 공통공사 목차 41 제 2 장 화력발전기계설비공사
More information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빠른 빠른 시작: 시작: 라이선스, 라이선스, 서비스 서비스 및 주문 주문 이력 이력 보기 보기 고객 가이드 Microsoft 비즈니스 센터의 라이선스, 서비스 및 혜택 섹션을 통해 라이선스, 온라인 서비스, 구매 기록 (주문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작하려면, 비즈니스 센터에 로그인하여 상단 메뉴에서 재고를 선택한 후 내 재고 관리를 선택하십시오. 목차
More information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지정및안전 표시기준 제1조 ( 목적 ) 제2조 ( 정의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지정및안전 표시기준 제1조 ( 목적 ) 제2조 ( 정의 ) - 1 - - 2 - 제3조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지정 ) 제4조 ( 안전기준의설정 ) 제5조 ( 안전기준 ) 제6조 ( 표시기준 ) - 3 - - 4 - 제9조 ( 규제의재검토 ) 제 7 조 ( 안전기준확인제출자료 ) 제8조 ( 안전기준적용예외 ) 부칙 제1조 ( 시행일 )
More information쩍쩐효첩 12쩔첫 쨀쨩횁철4_2
COVER STORY THEME SPECIAL ELESTOR DECEMBER 2013 06 07 Your First Safety Manager DECEMBER 2013 Vol.124 C o n t e n t s KNOCK ELESTOR DECEMBER 2013 10 11 1 2 KNOCK 3 4 5 ELESTOR DECEMBER 2013 12 13 6 7
More information<31372E20B1E2C5B8BCB6C0AFC1A6C7B0C1A6C1B6BEF72E687770>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 체크리스트 1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 연번 기계설비명 1 개면기 2 몰딩성형기 3 솜평탄기 4 연신기 5 원단와인더기 6 원단제직기 7 의류프레스 8 인쇄기 9 재단기 10 포장기 ( 가나다 순) 2 유해위험관리기법의 개발 업 종 명 : 기타섬유제품제조업 기계설비명 : 개면기 기계설비 설명 개면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기계로서, 면화의
More information광택 도료를 바른 대리석 바닥 시공 팽창 콘크리트 블록 벽면에 초벌 구이 타일 시공 Tile on Tile. 수영장 및 저수조의 소형 타일 접착. 과도한 하중을 견뎌야 하는 바닥용 타일 접착. 기술적 특성 는 시멘트와 등급이 매겨져 있는 골재로 구성된 회색 또는 백색
경화 시간이 빠르고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오픈 타임이 긴 대형 타일용 고기능성 타일 접착제 인증 및 등급 ISO (International Standard, 국제표준)13007-1 인증 C2TE 등급 : 고성능 시멘트계 접착제 + 추가기능(수중침지, 열 노화, 동결 융해시의 높은 접착강도 보유) + 수직 저항성(T) + 확장된 오픈타임(E) *등급에 대한
More information<322DB3EDB9AE2E687770>
어도 설계 실무 (Design of Fishway) 1. 머리말 2. 어도 설계의 기본 이론 3. 어류이동의 생태학적 특성 4. 어도 설계의 수리학적 기법 5. 어도의 설계 및 설치사례 참 고 문 헌 헌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2 자연형 어도의 예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3 어도 내부에 돌을 설치한 모습 그림 2.4 어도 바닥에 돌을 설치한
More information<INPUT DATA & RESULT / 전단벽 > NUM NAME tw Lw Hw 철근 위치 Pu Mu Vu RESULT (mm) (mm) (mm) 방향 개수 직경 간격 (kn) (kn-m)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NUM NAME tw Lw Hw 철근 위치 Pu Mu Vu RESULT (mm) (mm) (mm) 방향 개수 직경 간격 (kn) (kn-m) (kn) 휨 전단 축력 종합 1 2W1 300 3400 4500 수직 2EA- D13 @150
More information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2018년 10월 12일식품의약품안전처장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More information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연번주요지적사항처분요구조치현황 감사결과처분요구및조치현황 No. 1 m () ( : ) 3 [(1),, ], 2. 3 2013 6~12 11( 2.7), 399KW. - 2 - m (-6933, `12.5.2) (2014-56),,,,.,.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More information<303330395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2003년 가을호 5.0 4.0 3.0 2.0 1.0 (%) 2.6 2.8 2.4 1.2 주택매매가격 0.8 주택전세가격 1.6 0.4 0.0-1.0-2.0-0.1-0.6-0.2-0.9 02.1 3 5 7 9 11 03.1 3 5 7 8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천호) 149 2001년 2002년 2003년 46 46
More informationContents 01. 안전을 위한 주의 사항 03 02. 터치형 멀티 조절기 각부 명칭 04 03. 터치형 각방 조절기 각부 명칭 05 04. 조절기 난방/정지 하기 06 05. 조절기 외출 /해제하기 07 06. 조절기 반복난방 하기 09 07. 조절기 예약난방 /
사 용 설 명 서 대림산업 Touch형 조절기 멀티조절기 각방조절기 본 사용설명서는 찾기 쉬운 장소에 보관하세요. 제품 사용 전 반드시 사용설명서를 잘 읽어 주세요. 제품의 사양은 사전에 통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사 및 공장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모현면일산리 483-1 TEL : +82-31 - 336 9911 FAX : +82-31 - 336 9911
More information.....hwp
모델명 Indigo 14 1958년부터 사자표 라는 상표로 국내외의 많은 분께 사랑 받고 있는 라이온미싱은 가정용 재봉기 전문 회사입니다. 구입하신 제품은 직선/지그재그 바느질과 다양한 바느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정성이 가득한 나만의 작품을 만드는데 조그마한 보탬을 드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본 설명서는 제품개선을 위하여 부분사양이 예고 없이 변경될
More informationNo Slide Title
저속 고토크 유압 모터 JS,JH, 시리즈 2K / J2K, 6k / J6K 시리즈 2005-1 B137 001-02 June 2000 JH 시리즈 특징 스풀 밸브 및 지로터가 있는 컴팩트한 디자인. 수입 고압 용량 샤프트 씰, 다 양한 범위의 마운팅 플랜지, 샤프트, 포트, 속도가 설계 유연성을 제공합 니다. 샤프트 회전 방향 및 속도는 쉽고 부드럽게 제어할
More information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www.koroad.or.kr E-book 04 2016. Vol. 428 30 C o n t e n t s 08 50 24 46 04 20 46,, 06 24 50!! 08? 28, 54 KoROAD(1)! 12 30 58 KoROAD(2) (School Zone) 16 60 34 18 62 38, 64 KoROAD, 40 11 (IBA) 4!, 68. 428
More information□
단체표준인증업무규정 제정 20 년 월 일 제 1 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산업표준화법 제27조 및 한국제지자원진흥원 (이하 진흥 원 이라 한다.) 정관 제4조 제1항 제4호 제지자원에 대한 품질인증 관리기준 제정 및 운영 에 따라 적정하고 합리적인 한국제지자원진흥원 단체표준 (이 하 단체표준 이라 한다.)을 제정 보급하고 인증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More information국도_34호선(용궁~개포)건설사업_최종출판본.hwp
2011 년도타당성재조사보고서 국도 34 호선 ( 용궁 ~ 개포 ) 건설사업타당성재조사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요약 Ⅰ. 타당성재조사의개요 1. 사업의배경및목적 4. 34 ~... 2. 사업의추진경위및개요 : 23 2010-10 : ~ : L= 5.0km(4 ) : 764 : 100%() : 2013~2018 (6 ) < 표 1> 총사업비내역 (:
More informationFISHING PORT PRODUCTS CAR STOPPER l WHARF EDGE PROTECTOR l STAINLESS BOLLARD l SATETY LADDER TIRE FENDER l DESIGN FENCE l OTHER PRODUCTS 대아엠에스
FISHING PORT PRODUCTS CAR STOPPER l WHARF EDGE PROTECTOR l STAINLESS BOLLARD l SATETY LADDER TIRE FENDER l DESIGN FENCE l OTHER PRODUCTS 대아엠에스 FISHING PORT PRODUCTS ➏ ➊ ➌ ➊ CAR STOPPER ➋ WHARF EDGE PROTECTOR
More information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WON HEUNG C O N T E N T S Happy House Wide Area Traffic Wonheung Bogeumjari Plan Landscape Plan Green City Wonheung 002 004 006 008 010 Unit Plan 74 A 012 Unit Plan 74 CH 014 Unit Plan 84 A 016 Unit Plan
More information[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 1 - [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1] 입사지원서의학력과출신학교정보기재란유무 - 2 - 회사명 학력기입 고등학교대학석사박사출신학교명
More information½Ç°ú¸Ó¸®¸»¸ñÂ÷ÆDZÇ(1-5)¿Ï
실과056-094 2013.1.9 7:22 PM 페이지67 MDPREP_RipControl 2007 개정 5학년 검정 지도서 각론 알짜 정리 67 영양소 힘을 내는 일(탄수화물/지방/단백질) 몸의 조직 구성(지방/단백질/무기질/물) 몸의 기능 조절(단백질/무기질/비타민/물) 식품 구성 자전거의 식품과 영양소 식품군 곡류 탄수화물 우리가 활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More information건축 시공 1
건축시공 2 5.4 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는시멘트, 모래, 자갈, 물, 혼화제등을사용하여만든복합재료이며공장에서반제품으로제조되어현장에서완제품으로만듦 콘크리트타설순서 : 시공계획 현장준비작업 레미콘운반 각종시험 타설 다짐 양생 출처 : 건축공학의이해 ; 정순오외 ; 기문당 ; p 140 콘크리트의배합 - 물, 시멘트, 골재 ( 모래, 자갈 ), 혼화재료등의비율을결정하여표시하는것
More informationREVIEW CHART 1
Rev.3, 27. October 2017 구교 2017. 10. 27 한국철도시설공단 REVIEW CHART 1 1 2 θ 3 θ θ 4 5 knm 6 7 8 9 10 11 K V K h K s 12 상재하중 복토중량 암거중량 측면마찰력 양압력 13 14 15 16 17 18 19 θ =80 ~90 L 1 L2 L1 L=2L +L 1 2 L1
More information< B3E220C1A631C8B820B0A1B1B8BCB3B0E8C1A6B5B5BBE720C7CAB1E22042C7FC28C0CEBCE2292E687770>
국 가 공 인 자 격 검 정 2011년 5월 14일 시행 무 단 전 재 금 함 대 한 상 공 회 의 소 수험번호 제한 80분 형별 시간 다음 문제를 읽고 알맞은 것을 골라 답안카드의 답란 (①, ②, ③, ④)에 표기하시오. 성 명 8. 주방가구나 일반가구에 사용되는 유리는 파손 시 소비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에 적합한 유리로 옳은 9. 다음 중 ᆮ자형
More information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기계설비부문 제 I 편 공통사항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II 편 기계설비공사제 1 장 공통공사제 2 장 공기조화설비공사제 3 장 위생및소화설비공사제 4 장 가스설비공사제 Ⅲ 편 플랜트설비공사제 1 장 공통공사제 2 장 화력발전기계설비공사제 3 장 수력발전기계설비공사제 4 장 제철기계설비공사제 5 장 쓰레기소각기계설비공사제
More information목 차 6. 전기공사 605 전기공사일반 610 배관 배선공사 655 감시제어설비공사 615 조명설비공사 625 수변전설비공사 630 예비전원설비공사 635 신재생에너지설비공사 640 동력설비공사 650 피뢰및접지공사
전기공사시방서 공사명 : 한국의류시험연구원안양제 2 별관 2015. 1. 한국의류시험연구원안양제 2 별관 목 차 6. 전기공사 605 전기공사일반 610 배관 배선공사 655 감시제어설비공사 615 조명설비공사 625 수변전설비공사 630 예비전원설비공사 635 신재생에너지설비공사 640 동력설비공사 650 피뢰및접지공사 60510 전기공사일반사항 1. 일반사항
More information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고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제 3자가 명세서만으로
대 법 원 제 2 부 판 결 사 건 2013후518 권리범위확인(특) 원고, 상고인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경진영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변경 전: 토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성수 외 4인 원 심 판 결 특허법원 2013. 1. 25. 선고 2012허6700 판결 판 결 선 고 2015. 9.
More information<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ⅰ ⅱ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ⅲ ⅳ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ⅴ ⅵ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More information[첨부3]
산업용목재펠릿보일러준공검사를위한시험기준 산업용목재펠릿보일러 준공검사를위한시험기준 1 2 3 주위공기온도를측정하고 열풍기출구에서 주위공기온도 열풍기출구 4 5 6 ( 시험기관표식및주소 ) 시험성적서 스팀보일러 성적서번호 : 호 페이지 (1) / ( 총 3) 1. 의뢰인 기관명 : 주소 : 의뢰일자 : 2. 시험성적서의용도 : 산림청보급사업준공검사신청용
More informationUSC HIPAA AUTHORIZATION FOR
연구 목적의 건강정보 사용을 위한 USC HIPAA 승인 1. 본 양식의 목적: 건강보험 이전과 책임에 관한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이라고 알려진 연방법은 귀하의 건강정보가 이용되는 방법을 보호합니다. HIPAA 는 일반적으로 귀하의 서면 동의 없이 연구를 목적으로 귀하의
More information96 경첩들어올림 347 타입 A Ø 타입 B Ø 신속하고쉬운도어탈착 모든금속구조재질및마감처리강철, 아연도금또는스테인리스스틸
96 경첩들어올림 347 6.35.1 Ø 6.35 31.7 25.4.1 6.35 25.4.1 6.35.1 Ø 6.35 6.35 31.7 모든금속구조강철, 아연도금또는스테인리스스틸 63.5 50.8 50.8 50.8 63.5 50.8 Ø 3.2 Ø 3.2 25.4 20.8 20.8 25.4 1.27 1.27 1.27 1.27 50.8 4 x Ø 3.2±0.1
More information3.. :. : : 2015 ~ : 5.. : (C10),,,, (C26), (C28). : (10720), (26221),. (26222), (26291), (26293), (26299), (28902) ( : ) ( m2 ) (%) 106,
2017-89 () 15 (), 74 192, 30, 8. 2017. 9. 21. 1., (). :. : 87-1. : - 182,501m2, - 182,590m2 ( ) 89m2 ) 2. 1 3.. :. : 822 4.. : 2015 ~ 2018. : 5.. : (C10),,,, (C26), (C28). : (10720), (26221),. (26222),
More information<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국가기술자격검정시행계획 2015. 11. 2016 - 4 - 1. 근거 2. 기본방침 - 1 - 3. 세부시행계획 - 2 - - 3 - - 4 - 4. 검정별시행계획 - 5 - - 6 - - 7 - 기술사 종목별시행회 108 110 108 110 108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More informationLM 가이드
RSR 가이드 제품치수제원 치수도, 치수표 RSR- 형, RSR- 형, RSR-T 형... RSR- 형, RSR-K 형, RSR-V 형, RSR- 형.. RSR-(T) 형, RSR-(T) 형.. RSR-V 형, RSR-V 형, RSR- 형... 레일의표준길이와최대길이... 스톱퍼... 옵션... as 및각종씰부착후 블록치수 ( 치수 ).. 캡... QZ 부착후의
More information서면심사신청서류작성시참고사항 Ⅰ. 사업자등록증 가. 안전인증신청서상의내용과일치하는사업자등록증사본제출 1 안전인증신청서상에기재한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소재지, 대표자성명과 일치하는사업자등록증사본을제출하여야합니다. Ⅱ. 사용방법설명서 가. 사용방법설명서에기술하여야할일반사항 1 사용방법설명서를작성할때에는다음과같이한다. 1) 제품명을명시할것 2) 제품의용도를명시할것
More information내지(교사용) 4-6부
Chapter5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01 02 03 04 05 06 07 08 149 활 / 동 / 지 2 01 즐겨 찾는 사이트와 찾는 이유는? 사이트: 이유: 02 아래는 어느 외국계 사이트의 회원가입 화면이다. 국내의 일반적인 회원가입보다 절차가 간소하거나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개인정보 항목이 있다면 무엇인지
More information한국노인인력개발원 규정집(2015ver11).hwp
유연근무제 운영지침 Ⅳ-10. 유연근무제 운영지침 유연근무제 운영지침 제정 2012.09.03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39호 개정 2012.12.3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52호 개정 2013.08.0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65호 개정 2014.04.0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88호 개정 2014.06.27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94호 제 1 장 총 칙 제1조(목적)
More informationKBO_보일러 사용기술 규격_에너지관리공단
보일러 및 압력용기 기술규격(KEMCO코드) 중 보일러의 제조, 설치, 사용과 관련된 아래 규격을 보일러 압력용기 기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에 제정공표합니다. 1. 보일러 제조기술 규격(KBM) 2. 보일러 설치기술 규격(KBI) 3. 보일러 사용기술 규격(KBO) 2002년 5월 29일 2 0 0 2 KBO 목차 Korea Boiler Operation
More information2016년 신호등 1월호 내지(1219).indd
www.koroad.or.kr E-book 01 2016. Vol. 425 06 C o n t e n t s 58 48 18 22 04 CEO 18 2016 48! 06 22 52,, 2 08 26,! 56 KoROAD,! 14 28 58 16 32 60,?! 36, 62?, 38, 64 KoROAD?. (IBA) 4! 425 2016 1 4 1980 8 22.
More information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www.koroad.or.kr E-book 10 2016. Vol. 434 62 C o n t e n t s 50 58 46 24 04 20 46 06 08, 3 3 10 12,! 16 18 24, 28, 30 34 234 38? 40 2017 LPG 44 Car? 50 KoROAD(1) 2016 54 KoROAD(2), 58, 60, 62 KoROAD 68
More information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G01F 23/02 (2006.01) G01F 2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96769 (22) 출원일자 2007년09월21일 심사청구일자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지하수위 관측장치 2007년09월21일 (11) 공개번호 10-2009-0031004
More informationLM 가이드
SR/SS 볼리테이너타입 가이드 B 제품치수제원 치수도, 치수표 SR-R 형, SR-R 형... SS-R 형, SS-R 형... SR- 형, SR- 형... SS- 형, SS- 형... SR-RH 형 ( 수주대응품 ), SR-RH 형 ( 수주대응품 ).. SS-RH 형 ( 수주대응품 ), SS-RH 형 ( 수주대응품 )... SR-H 형 ( 수주대응품 ),
More information<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2010. 09. 28.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목 차 Ⅰ. 탐구주제 02 Ⅱ. 탐구하게된동기 02 Ⅲ. 배경이론 02 1. 유글레나의특징가. ph 나. 온도 Ⅳ. 선행연구고찰 03 1. 산소결핍과인체에미치는영향
More information제536호 인천광역시 연수구 2009. 8. 10 월요일 구정방향 단계별 개발계획 ( 단위 : 억원) 주체별 재원부담 규모 ( 단위 : 억원) < 송도지구 생활권별 인구 배분계획 > < 첨단산업클러스터(5 7 공구) 토지이용계획 > 규 모 구분 등급 류별 번호 폭원 기 능 연장 (m) 기 점 종 점 사용형태 주요
More information2.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급의료 제공에 관한 조례안 및 심사보고서.hwp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급의료 제공에 관한 조례안 (전계석 의원 발의) 의안 번호 641 발의연월일 : 2012. 11.. 발 의 자 : 전계석 의원 찬 성 자 : 김화목, 박경준, 임종기, 김기대, 김종곤 의원(5명) 1. 제안이유 구민들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응급이송수단의 확보 응급의료기관 등의 안내를 받을 수 있 도록
More information스마트주택용분전반_160331
Smart Distribution Board / Home Distribution Board Moving Forward into the World 02_03 World Class Brand 04_05 Smart Distribution Board / Home Distribution Board C o n t e n t s Smart Distribution Board
More information목차 보조지원사업지원설비안전조치기준 양산품목의안전조치 공사품목의안전조치 1. 적재대 ( 일반 / 중량물 / 금형 / 파렛 ) 2. 원사빔적재대 3. 공구함 4. 이동식대차 5. 스태커 6. 전동지게차 ( 보행식 / 입식 / 좌식 ) 7. 에어발란스 8. 컨베이어 9.
보조지원사업지원설비안전조치기준 목차 보조지원사업지원설비안전조치기준 양산품목의안전조치 공사품목의안전조치 1. 적재대 ( 일반 / 중량물 / 금형 / 파렛 ) 2. 원사빔적재대 3. 공구함 4. 이동식대차 5. 스태커 6. 전동지게차 ( 보행식 / 입식 / 좌식 ) 7. 에어발란스 8. 컨베이어 9. 높낮이조절작업대 10. 금형교환장치 (QDC,QMC) 11.
More information*12월영상 내지<265턁
영상물등급위원회는 등급분류에 관한 문의 대표전화 : 02-2272-8560 ( ) 안은 내선번호 월간 KOREA MEDIA RATING BOARD MAGAZINE 은 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특 집 B 시상식 및 송년회 영상 칼럼 B제한상영가에 대한 소견 이 달에 만난 사람 BPC게임물
More informationLM 가이드
R/RS 가이드 B 제품치수제원 치수도, 치수표 R-R 형, R-LR 형... RS-R 형, RS-LR 형... R-A 형, R-LA 형... RS-A 형, RS-LA 형... R-B 형, R-LB 형... RS-B 형, RS-LB 형... 레일의표준길이와최대길이... 옵션... LaS 및각종씰부착후 블록치수 (L 치수 ).. LaS 부착후의그리스니플증가치수..
More information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 별지제 17 호의 9 서식 ] < 개정 > 석면해체ㆍ제거작업신고번호 현장명 ( 공사명ㆍ작업명 ) 전화번호 합덕여자고등학교교실천정텍스철거공사로 신고현장 인한석면해체공사소재지충청남도당진시합덕읍면천로 1583 신
석면농도측정결과보고서 철거업체 : 대한청정건설 ( 주 ) 공사명 : 합덕여자고등학교교실천정텍스철거공사로인한석면해체공사주소 : 충청남도당진시합덕읍면천로 1583 측정일 : 2017년 12월 29일, 2018년 01월 02일 ~ 2018년 01월 10일 (10일간) ( 주 ) 대길환경기술 TEL 041-631-2296 FAX 041-631-2298 EMAIL-
More informationA0 rev.0
CUCKOO PRESSURE JAR COOKER Fresh www.cuckoo.co.kr www.cuckoo.co.kr 각 부분의 이름 각 부 명칭(외부) 소프트스팀캡 부속품 안내 압력추 취사나 요리 전 압력추를 수평으로 맞추어 주십시오.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며, 젖히면 수동으로 증기배출이 됩니다. 자동 증기 배출구 취사나 요리가 끝나거나 보온시
More information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2012 년도타당성재조사보고서 여수신북항건설사업 2012. 10 요약 요약 1. 사업의개요 가. 추진배경및목적 2012( 1), 2) ) 164 11. -.,,. (2008.10.23, ) 3). 1),,,,,,,. 2),,,,. 3) 2013 7 2012(, ) 11, ( A,B,C,W ).. 나. 사업내용및추진경위 : : : 1,103m, 1,270m,
More information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689 216,000 100.0 100.0 100.0-5,679,338 5,462,689 216,649 100.0 100.0 100.0 - 증 )649 5,222,334 5,006,334 216,000 92.0 91.6 100.0 100.0 5,222,983 5,006,334 216,649 92.0 91.6 100.0 100.0
More information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1 제 1 장서론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구 1.1 1.2 1.3 제 1 장서론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구 2 제 2 장 국내외주요지진발생현황 및피해사례조사 분석 하수도시설내진기준마련을위한연주 2.1 서론 2.2 국내지진발생현황및발생빈도 2.3 국외주요지진과하수도시설피해상황 제 2 장국내외주요지진발생현황및피해사례조사
More information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Ⅰ. () / 001 1. () / 001 Ⅱ. () / 002 1. () / 002 2. () / 004 3. () / 014 4. / 026 5. / 044 6. / 052 () Ⅰ. () 1. () ( m2 ) 186, 883,353 ) 62.5 883,415.5-186 883.353 m2 883,415.5 m2 ( 62.5 m2 ) 1 Ⅱ. () 1.
More information웹진을 위한 경험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8) 의 팔찌장신구는 단위면적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만들고, 이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디자인하였다. 팔찌의 내 경을 60mm로 최소화하여 어린이나 손이 작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장신구구조물의 내부 형태에 예각으로 조각부분을 주어 3D 프린터로 출력하였 다. 의 조형물은 내부공간을 최대한 비우고, ABS 소재의 가벼운
More information°ÇÃà»ç¶û2¿ùÈ£-2»©´Ù
2 I I 3 4 I I 5 6 I TURTLE HOUSE I 7 8 I I 9 10 I I 11 12 I I 13 14 I I 15 16 I 전 면 광 고 2011년 2월 10일(목) 건축문화 건축물의 가치향상, 외장마감의 아름다움 표현 초석건설산업(주)이 최고의 품질과 우수한 시공기술로 실현하겠습니다. 저희 초석건설산업(주)은 차별화된 디자인과 창의성을
More information1. 통합-기업집단-포스코
2012. 09 Compliance Program l 2012. 09 Contents 08 09 27 36 50 53 62 74 88 104 150 151 156 158 159 171 174 183 193 206 213 120 122 124 126 145 146 222 222 225 Contents 234 239 245 252 265 272 280 282
More information<4D F736F F D20C0CFB9DD20BDC3B9E6BCAD>
1 목 차 A01000 총칙... 5 A01010 공사일반...6 A01011 공통사항... 6 A01012 건축공사일반... 13 A01020 관리및행정... 16 A01021 공사관리및조정... 16 A01022 공무행정및제출물... 23 A01023 보안규정... 34 A01030 자재관리... 37 A01031 자재관리... 37 A01040 품질관리...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