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WAUYXWSWBX.hwp

Similar documents
hwp

위해한류스타와브랜드를접목한 한류아시아투어전 을추진하고, 국내 Lifestyle 브랜드를홍보할 내셔널브랜드컬렉션 을신설하는등한류활용아시아마케팅을지원한다. 국내고급봉제생산기반을확보할수있도록와서울시가동대문첨단의류센터를통한봉제 Hub화및토탈패션센터증설등고급봉제생산기반을확충한다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hwp

<C1B6BBE7BFF9BAB85F E30312E687770>

ㅇ ㅇ

Ⅰ Ⅱ Ⅲ Ⅳ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2003report250-9.hwp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목차 Ⅰ Ⅱ (2013)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0교육프로그램_


µ¿ºÎ°æ¿µÀÚ-6¿ùÈ£ 8È£š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MRIO (25..,..).hwp


- ii - - iii -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01정책백서목차(1~18)

( 1 ) ( 2 )

슬라이드 1

½Å½Å-Áß±¹³»Áö.PDF

1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수정보고서(인쇄용).hwp

1. 경영대학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Layout 1

Microsoft PowerPoint - 02 중기청 자료(수정)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요 약 생산동향 가동률및설비투자 수주동향 수익성동향 재고동향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경영노트편집2월-3

**09콘텐츠산업백서_1 2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G lobal M arket Report 유럽재정위기 2 년, 주요국변화동향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04 특집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목 차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QFQZJBGPILQN.hwp

G lobal M arket Report 북미온라인유통시장진출방안 - 미국편 -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ÁÖ5Àϱٹ«Á¦Á¶»ç(03).hwp

목 차 Ⅰ. 정책여건 3 Ⅱ. 목표및추진방향 1. 의료해외진출및외국인환자유치지원종합계획 추진전략및과제체계 6 2. 외국인환자유치 2017년목표치조정 8 Ⅲ. 주요과제별 2017 년시행계획 9 1. 한국의료연관산업동반패키지수출 9 2. 진출단계별지원을통한민간역량강화 14

2018 학년도수시 1 차모집정원내입시결과 모집단위 입학정원 수업년한 면접및실기고사점수는반영안됨 지원율 최저 수시 1 차 일반전형특별전형 ( 일반고교졸업자 ) 특별전형 ( 특성화고교졸업자 ) 내신등급 내신등급 내신등급 최초 최종 지지원최초최종원 최초 최종 최 최 최 율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 -

수련원표지 최종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2. 세계패션산업의규모 패션산업으로서의의류 (apparel) 산업은세계적으로가장오래되고가장규모가큰산업중의 하나다. 세계전체소비재매출중에서가장큰산업이식품산업으로 2.2 조달러이고, 다음이 의류산업으로 1.7 조달러이며, IT 제품의 7,780 억달러보다약 2.2 배더큰시

천사 내지

소준섭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1 2 자료조사 및 디자인 개인별 주제에 대한 발표 소재 선정 자료조사 및 디자인 조사한 자료에 대한 발표 작업지시서 작성 3 4 작업지시서 작성 작업지시서에 따른 일정 확인 작업지시서에 따른 공정 방법 확인 갑피 패턴 작성 복사본, 기본본, 작업본 만들기 5 재단 소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0.筌≪럩??袁ⓓ?紐껋젾 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Layout 1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 I - - II -

<C6EDC1FD2D B3E22035BFF920BFC2B6F3C0CEBCEEC7CE20B5BFC7E25F C3D6C1BE292E687770>

About Fashion Retail Fair June / 2012 Wholesale Brand Trade Show 2012 년 6 월, 한국패션산업의제 2 의도약을위한첫걸음패션리테일페어가시작됩니다. 패션리테일페어는제조업시대내수패션산업의성장을이끌었던프랜차이즈유통시스템에


차 례

Transcription:

정책간담회발표자료 (10.12.16) 숙련집약형패션산업육성방안 (New Vision for Skill-intensive Fashion Industry) ( 2010. 12. 16 지식경제부

목 차 Ⅰ. 추진배경 1 Ⅱ. 현황및문제점 5 1. 숙련집약형패션산업의중요성 5 2. 국내패션산업의현황 6 3. 주요문제점 8 Ⅲ. 목표및추진전략 9 Ⅳ. 추진대책 10 1. 아시아 TOP 10 패션브랜드육성 10 2. 고급패션생산기반재건 14 3. 숙련인력의안정적공급 18 4. 제조, 서비스기술경쟁력강화 22 Ⅴ. 기대효과 25 Ⅵ. 세부추진일정 26

Ⅰ. 추진배경 ( 글로벌패션시대) 토탈패션중심의글로벌브랜드가세계시장장악 선진국은글로벌브랜드 * 를육성하여세계패션의흐름을선도 * 세계의류브랜드순위 : Louis Vuitton(1 위), H&M(2 위), Nike(3 위), Gucci(4 위), ZARA(5 위) (Interbrand 2009 발표) 의류 신발 안경등을토탈패션(Total Fashion) 화하여단일브랜드이미지와경쟁력을제고하고세계시장을지속적으로확대 * Louis Vuitton ( 佛 ) : 가방(1854) 가방 + 가죽제품 + 의류 + 귀금속 * Swarovski ( 墺 ) : 귀금속(1895) 보석 + 가방 + 악세사리 * Nike ( 美 ) : 신발 (1971) 스포츠의류 + 스포츠용품 * Gucci ( 伊 ) : 가방(1921) 의류 + 안경 * Fendi ( 伊 ) : 피혁(1925) 의류 + 안경 + 귀금속 + 신발 * Uniqlo ( 日 ) : 의류(1984) 의류 + 잡화 ( 국내패션산업) 글로벌트렌드에뒤쳐져패션경쟁력약화 우리패션기업들은좁은내수시장에안주하는등글로벌시장진출 * 을등한시하고, 토탈브랜드화는아직초기단계 * 한국세계시장점유율순위: 섬유(9 위), 의류(23 위), 귀금속(26 위) * 글로벌화애로요인 (%): 정보부족 (37.7), 약한브랜드파워 (33.3), 해외판매네트워크부족 (27.3) 순 해외브랜드와의치열한내수경쟁으로토종브랜드의잇단부도 * 부도사례: 톰보이( 10.7 월, 국내시장안주), 쌈지( 10.4 월, 무리한사업확장) 기존숙련인력이탈및고령화 *, 신규인력확보애로등인력난가중 * 제조업인력의고령화(%): 40대이상 65.5 ( 의류 84.0, 안경 78.4) ( 숙련인력) 전문성과경험을갖춘숙련인력확보가경쟁력결정 선진국은숙련인력을바탕으로고감성 고기능성제품개발 최근해외투자기업및고급제품주문의산업에새로운도전과기회로작용 U-turn 추세는패션 국내패션산업은숙련집약전문인력을적극발굴 육성하여 글로벌브랜드및토탈패션화함으로써경쟁력제고필요 - 1 -

참고 1 글로벌패션산업의변천 패션산업은유럽, 미국등 큰소비시장을중심으로빠르게진화중 70년대에는 QR(Quick Response) 전략을중심으로대규모소비시장에서효율적인유통구조와 소품종대량생산 체제를기반으로성장 - QR(Quick Response) 전략은 90년대 IT 기술의급속한발전을거치면서최근패션산업트렌드의근간을형성 80년대에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방식에서발전된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을통해브랜드기능이강화 - 다품종소량생산 을통해가치를높이고, 소비자의다양한욕구를충족 90년대에는효율적유통구조와브랜드가치를결합하여다품종대량생산이가능한 Fast Fashion, SPA * 전략이시장에서통용 * SPA : Specialty Retailer's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 2000 년대명품브랜드화가진전되면서안경, 신발등 토탈 브랜드화시대로진화되고있음 < 패션산업의진화단계> <1970 년대> <1980 년대> <1990 년대> <2000 년이후> + IT 기술 QR(Quick response) 전략 생산방식 ( 소품종대량생산 ) OEM ODM ( 다품종소량생산 ) Fast Fashion / SPA ( 다품종대량생산 ) 명품브랜드화 토탈브랜드화 - 2 -

참고 2 글로벌패션시장의트렌드 글로벌시장은서구경제의침체영향으로실용적가치구매와라이프스타일소비로소비행태가변화 글로벌브랜드의신흥시장확대에맞춰제조 유통의일체된新유통시스템및온라인 모바일마케팅이확대 구매소비 : 실용적가치구매와라이프스타일 (lifestyle) 소비로진화 소비자는일회적과시구매 * 에서실용적가치구매 ** 로변화 * 대량초과구매, ** 실용적가치와사회적가치를오래지속할수있는구매 구매형태 Fast Fashion 일회성 과시구매 가치지향적 Fashion 실용적 가치구매 대중명품소비보다소수를위한라이프스타일(Lifestyle) 형브랜드소비 * 로변화 * 자기만의개성과취향을실현할수있는소비형태 소비유형 대중명품, Mastige 단독샵, 판매전시 감성취향 Lifestyle 편집매장, 문화공간 제조유통 : 제조유통의 일체화, 온라인모바일 유통확산 가격경쟁력이있는제조 유통형 SPA * 시스템의확대 * 디자인, 생산, 유통까지한업체가모두운영, 빠른트렌드를반영, 제고최소화, 이윤극대화 제조시스템 시즌단위, Collection 선제조 + 후구매 1-2 주단위, 생산+ 유통(SPA) 선주문 + 후제조 ( 디지털생산 ) 온라인시장 * 의급성장및쇼셜미디어 ** 활용마케팅의확산 및스마트폰, 모바일앱(App) 등디지털유통 *** 이확대 * 모바일유통, 인터넷쇼핑몰, **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기업블로그 *** 위치기반서비스, 터치스크린, 증강현실이용, 모바일앱(Application), QR 코드 유통시장 오프라인시장 명품브랜드, 백화점 온라인시장, 디지털유통 글로벌화, Ubiquitous - 3 -

참고3 선진국사례 : 이태리의글로벌패션전략 패션경쟁력강화전략 ( 육성방향) 글로벌브랜드와네트워크강화, 업종클러스터구축, 디자인 숙련인력육성, 산 학연계인턴쉽등추진 * 국제전시회( 밀라노컬렉션, IDEA COMO 등) 개최를통해세계트렌드주도 ( 섬유 의류) 품목별전문화된단지구축및업체간 스트림간협력체제구축, 디자이너와생산자와의긴밀한연계 * 집적지 : 꼬모( 실크의류 ), 비엘라( 남성의류 ), 까르피( 니트의류 ) 등 ( 안경) 세계최대안경쇼 ( Mido 쇼, 밀라노) 개최를통해세계안경중심지역할, 안경의패션화를추구하여세계유행을주도 ( 신발) 신소재개발및디자인설계기술개발을통해세계등산화의고기능성 고부가가치화선도 ( 귀금속) 전문화된귀금속단지 ( 비첸자, 아레조, 발렌자포) 조성, 기획디자인생산판매를 연계하여지식집약형산업유도 정책적시사점 최소 3년이상생산현장경험을통해전문기술과지식을습득한숙련인력을활용하여최고급명품생산 * 생산 유통인력은숙련도와경험이높은 10 년이상의인력이다수, 개발인력은창의성있는 3~10년인력이다수구성 품목별전문화된생산집적지구축을통해패션제품의글로벌공급기지역할수행 첨단신소재개발, 독창적인디자인개발및브랜드화를통해세계명품시장을선도 토탈패션 * 이태리대표브랜드 : Gucci, Fendi, Prada, Armani, Versace, Ferragamo - 4 -

Ⅱ. 현황및문제점 1 숙련집약형패션산업의중요성 ( 개념) 숙련된인적자원을활용하여패션제품을생산하는업종 현장 훈련과교육을통해고도기술을습득한숙련인력 * 이기반 * 유무형의 체화된고기능고 도기술과지식을보유한경력이 3년이상인인력 상품기획 ( 기획디자인 ), 제조 ( 봉제가공 ), 마케팅공정의패션산업은 전 후방산업 ( 소재, 유통) 과밀접히연계된가치사슬구조형성 ( 범위) 패션과연계가능한의류, 섬유, 신발, 귀금속, 안경등5대업종 제조업대비취업유발계수, 생산유발효과등이큰분야 * 숙련집약형패션산업의선정기준 : 1 취업유발계수 10 이상, 2 부가가치율 35% 이상, 3 생산유발효과 2.0 이상, 4 패션디자인과연계가가능한분야 ( 특징) 브랜드가치가중요하고전후방고용창출효과가큰산업 소비자의감성을디자인화함으로써 높은브랜드가치창출 * 브랜드가치( 억불, Interbrand, '09 년) : H&M 154, Gucci 82, ZARA 68, Chanel 60 * H&M( 스웨덴,144 억불매출 ): 현대차 ( 매출 249 억불, 브랜드가치 46 억불 ) 의브랜드가치 3.3 배, 매출 0.6 배해당 서비스업수준의고용창출 * 과유통분야와밀접히연계됨 - 기획디자인 등은고급인력을, 생산분야는취약계층흡수가능 * 취업유발계수( 08): 숙련집약형산업 13.7, 제조업 8.0, 서비스업 16.2 패션유통분야는최근내수확대로고용창출증대가능 * 패션유통고용( 천명) : ( 06) 348 ( 08) 377 ( 10) 392-5 -

2 국내패션산업의현황 ( 산업동향) 글로벌금융위기이후생산, 수출등점차회복세 생산 수출은작년감소세에서벗어나금년증가세전환 * 생산증가율 (%): ( 05) 5.0 ( 06) 1.3 ( 07) 2.2 ( 08) 7.7 ( 09) 1.0 ( 10) 6.7 * 수출증가율 (%): ( 05) 8.7 ( 06) 5.3 ( 07) 1.0 ( 08) 0.8 ( 09) 12.4 ( 10) 18.1 * 수입증가율 (%): ( 05) 8.7 ( 06) 19.9 ( 07) 12.8 ( 08) 0.6 ( 09) 15.0 ( 10) 28.5 설비투자는전반적경기상승의영향으로회복세로반전 * 경공업투자 ( 조원 ) : ( 00) 2.4 ( 05) 3.1 ( 07) 4.2 ( 08) 3.9 ( 09) 3.5 ( 10) 3.4 ( 산업구조 ) 업체수는 47,617 개로, 전체제조업체중 15.2% 를차지 10인미만업체가 85.7% 에이르는등 영세업체가대부분 * (10 인미만업체 ) 제조업 81.6%, 숙련 85.7%, (20 인이상업체 ) 제조업 27.9%, 숙련 2.9% 품목별로산업집적지를형성하며, 지역산업으로성장 * 의류( 수도권 ), 섬유( 대구, 경기), 안경( 대구), 신발( 부산), 귀금속 ( 서울, 익산) 등 ( 인력구조) 생산인력은 311천명으로전체제조업중 9.8% 차지 고용 ( 05-09) 은연평균 5.6% 감소하였으나, 제조업은 1.7% 감소 * 인력고용부족률( 09 년, %) : 의류 11.3, 섬유 9.8, 신발 7.5, 귀금속 10.5, 안경 9.0 (KIET 업계설문조사결과) - 6 -

참고4 국내숙련집약형패션산업의인력구조 ( 2010 년) 개발인력생산인력유통인력 < 숙련집약형패션산업인력구조 > ( 단위: 천명, %) 구분 개발 인력 생산 인력 유통 인력 경력 ( 년) 의류섬유신발귀금속안경합계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3 1.5 18.5 0.22 18.2 0.03 2.3 0.7 23.3 0.05 25.0 2.5 18.2 3-10 2.2 27.1 0.34 27.3 0.04 3.1 1.1 36.7 0.07 35.0 3.7 27.0 10-20 3.6 44.4 0.6 54.5 0.6 46.2 1.1 36.7 0.04 20.0 5.9 43.1 20 0.8 9.9 0.01 0.9 0.6 46.2 0.2 6.7 0.03 15.0 1.6 11.7 소계 8.1 1.1 1.3 3.0 0.2 13.7 <3 2.8 20.0 5.4 4.0 0.4 2.1 0.8 11.3 0.1 3.0 9.6 3.1 3-10 4.2 30.0 8.1 6.0 0.6 3.1 1.3 18.3 0.2 6.1 14.3 4.7 10-20 35.3 24.9 40.3 30.0 7.7 40.1 4.2 59.1 1.3 39.4 88.8 29.1 20 99.0 70.1 80.6 60.1 10.5 54.6 0.7 9.9 1.6 48.5 192.4 63.1 소계 141.4 134.3 19.2 7.1 3.3 305.1 <3 55.9 13.0 4.7 12.0 8.8 28.0 5.2 20.0 2.9 18.0 77.5 19.8 3-10 83.8 19.5 7.0 17.9 13.2 42.0 7.8 30.0 4.4 27.3 116.2 29.6 10-20 111.8 40.1 15.6 39.9 7.8 25.0 5.2 20.0 5.7 35.4 146.1 37.3 20 27.9 10.0 11.7 29.9 1.6 5.0 7.8 30.1 3.2 19.9 52.3 13.3 소계 279.5 39.1 31.4 26.0 16.1 392.1 계소계 429.0 174.5 51.9 36.1 19.6 711-7 -

2 주요문제점 ( 브랜드파워) 세계시장진출잠재력을보유한브랜드가있으나, 낮은인지도, 투자부진등으로마케팅경쟁력취약 세계수준의글로벌브랜드부재로고부가가치시장개척에한계 * 세계시장점유율( 00 08, %) : 한국(4.3 1.6), 이태리(9.1 8.0) 대기업은국내시장에안주하고, 중소업체들은브랜드투자소홀 * 글로벌명품브랜드의국내진출로외국글로벌브랜드와의경쟁에취약 ( 제조기반) 섬유등패션연관산업기반은균형있게갖추고있으나, 생산기지의해외이전등으로국내제조기반취약 * 해외투자 ( 백만$) : ( 90) 105 ( 00) 259 ( 05) 570 ( 07) 534 ( 09) 273 * 해외투자업체수 ( 천개) : ( 95) 75 ( 00) 60 ( 05) 54 ( 08) 49 ( 09) 101 해외저가품 ( 중국등) 의대량수입으로국내생산이감소하여제조기반약화초래 선진국은핵심제조기반을자국내확보하여제품의고급화추진 * 이태리 : 생산집적화, 일본 : 90 년대말 제조기지 U 턴화 추진, 스페인 : ZARA 는 제품제조를자국에서수행, 글로벌기업으로급성장 ( 숙련인력) 명품제조능력은있으나, 명품제조기술을전수 시킬숙련인력의양적수급애로 신규인력의취업기피로개발생산인력의 상시부족현상발생 3년미만비숙련인력도 89천명으로전체인력의 12.6% 차지 디자인인력은의류분야에편중되어토탈브랜드확산에애로 * 패션디자인인력공급규모( 09 년) : 91 개대학, 연 7,000명 ( 기술경쟁력) 섬유제조및염색기술이세계최고수준이나, 신소재개발이미흡하고협력강화필요 안경, 귀금속, 신발분야에대한고기능성소재 R&D 지원이미흡 제조업간 ( 브랜드대기업 -협력업체), 제조업- 유통업체간상생협력취약 - 8 -

Ⅲ. 숙련집약형패션산업의육성방안 발전비전 선진국형제조기반확보와토탈패션브랜드육성을통한고용창출실현 - 2020년신규고용 3.2 만명, 수출 210억불달성 - 발전목표 추진전략 추진대책 1. 아시아 TOP 10 패션브랜드육성 1 아시아 TOP 브랜드 10개발굴및육성 2 유망브랜드의글로벌성장강화 3 신진브랜드의내수시장기반확보 2. 고급패션생산기반재건 1 지역특화된고급생산기반구축 2 업종별로특성화된패션지원시설확충 3. 숙련인력의안정적공급 1 우수한개발인력의공급체계구축 2 생산인력의숙련도향상 3 패션서비스인력의전문화제고 2. 제조, 서비스기술경쟁력강화 1 10 대핵심품목기술개발 2 스트림간상생협력지원강화 - 9 -

Ⅳ. 추진대책 1 아시아 TOP 10 패션브랜드육성 新소비시장으로부상하고있는아시아지역중산층을겨냥한 아시아 TOP 브랜드 를 20년까지 10개육성 1-1 아시아 TOP 브랜드 10개발굴및육성 ( 육성방안) 글로벌브랜드창출을위해, 아시아시장을우선공략 2020년까지아시아 TOP 브랜드 10개육성목표 - 성장가능성이높은고급 중급품시장을목표시장으로설정 * 아시아중산층시장규모 : ( 90) 1.4 억명 ( 08) 8.8 억명 ( 중국 4.4 억, 인도 2.1 억) 아시아중 고급품시장에맞는 4 가지유형의브랜드群의 20개후보브랜드를발굴하여육성 ( 추진주체) 글로벌패션브랜드육성사업단 운영 패션관련협회, KOTRA, 생기원, 브랜드컨설팅기관등으로 글로벌패션브랜드육성사업단 을구성하여사업추진 * 09 년부터추진한의류중심의브랜드육성사업을확대 아시아 TOP 브랜드 10개육성 Luxury Brand (1 개) Designer Brand (2 개) Lifestyle Brand (5 개) SPA Brand (2 개) 가격업종 고가품 ( 토탈패션) 가격업종 고가품 ( 토탈패션) 가격업종 중고가품 ( 의류신발안경귀금속,,, ) 가격업종 중저가품 ( 토탈패션) 핵심요소 역사 품질 명성 핵심요소 디자이너창의성 핵심요소 고객특성/ 트렌드반영마케팅, 브랜드력기능성제품개발력 핵심요소 제조직매글로벌소싱빠른생산 - 10 -

1-2 유망브랜드의글로벌성장강화 ( 추진방안) 4 개의브랜드群의특성을감안하여해외진출및 글로벌성장지원 ( 브랜드군) Designer Brand Luxury Brand Lifestyle Brand SPA Brand 선진국사례 ( 예시) 세계디자이너제품 (Vivienne Westwood, Donna Karan, Marc jacobs) 명품 (LVMH, Gucci, Chanel, Bvlgari) 라이프스타일, 기능성제품 (Polo, Levi's/ Nike, North Face) Fast Fashion (ZARA, H&M, Uniqlo) * 개별( 의류, 신발, 가방등) 또는토탈패션브랜드를중심으로재무건전성, 경영능력, 상품개발력, 브랜드파워등평가 1 ( 디자이너브랜드) 지속적인브랜드가치제고 유명전시회및컬렉션에참가지원 ( KOTRA, 문화부, 서울부 산대구시 등) * 의류( 홍콩패션위크, 북경Chic 등), 안경(JCK 라스베가스쇼 ), 주얼리( 홍콩주얼리, 바젤보석 ), 신발(BISS, ISPO China), 섬유( 홍콩인터스코퍼, Texworld 등) 세계적인디자이너발굴을지원하는 한-중- 일패션위크 추진 - 해외공관과국내기관의협업을통한 패션문화행사 추진 * 서울시 (Seoul's 10 Soul) 문화부 (Concept Korea) 지경부합동지원프로그램발굴 디자이너브랜드를지원하는 벤처캐피탈민간투자자금 활성화 * 해외진출자금, 생산수주확대, 국내외유통망확보지원등 2 ( 명품브랜드) 해외유망브랜드의인수촉진 최근경영악화등으로매물이나올가능성이높은중소형해외 유망브랜드를발굴하여인수 합병* 지원 * 국내 PEF, 글로벌 M&A 펀드등민간투자펀드활용 * ( 사례) 05.11월성주D&D 에서 MCM( 獨 ) 인수, 07년휠라코리아가휠라인수 - 11 -

3 (Lifestyle 브랜드) 현지시장진출및현지화지원 시장진출에필요한 현지시장의종합정보조사 * 지원 ( 패션협회 ) * 지역별소비자분석( 라이프스타일등), 유통정보등제공 아시아진출거점 ( 중국등별 ) 한국기업디자인공동관 * 개설 * 민간공동디자인개발중국관(KOTRA 비즈니스센터내) 개설추진 국가차원의해외진출프로그램 ( KOTRA프로그램 * ) 을연계활용 * 지사화사업, 해외전시회참가, 무역사절단파견, 수출인큐베이터, 공동물류센터등 한류활용, 공익마케팅등을통한현지인지도제고 - 한류드라마 를활용하여아시아소비자들의 Lifestyle과연계 * 한류스타패션홍보사절단파견, 한류패션브랜드특별전 개최등 - 공익캠페인활동 * 을통한진출기업의브랜드인지도향상 * 재난구호( 지진, 쓰나미등) 활동, 환경보호, 난민지역학교등지원 4 (SPA 브랜드) 글로벌유통망구축및성장 대형화 현지유통전문가, 韓商 등 현지유통네트워크구축 - 중국, 인도등신흥시장에서 글로벌패션韓商대회 개최 - 지역별현지전문가, 한상들과의유통협력지원 * 광고물류유통 등 현지진출네트워크 및 한- 중글로벌네트워크 구축등 국내유통점 ( 백화점등) 과협업을통한현지유통시장동반진출 * 중국시장진출을통한중국의 제2 의내수시장화 중점추진 - 롯데, 이마트등유통업체와아시아지역에공동진출지원 국내외경쟁력있는 글로벌소싱처를발굴 제공 * 국내( 고가) 및국외( 중저가 ) 의소싱처발굴, 소싱정보 ( 원부자재조달등) 제공 - 12 -

d 1-3 신진브랜드의내수시장기반확보 ( 신진브랜드) 국내비즈니스기반확대 창의적인 한국패션신진디자이너 100 인 을선정지원 * 민관합동 신진디자이너 100 인전 개최하여지원확대 ( 문화부 + 서울시 + 지경부등 ) 사업기반을확장하도록 국내비즈니스매장을제공확대 * 두타신진디자이너창업관 ( 중기청 ), 롯데백화점 ( 서울시 ), 동대문센터 ( 지경부 ) 등지웜 디자이너의자생적패션집적지 ( 가로수길, 한남동길, 삼청동길등) 를 지자체별로맞춤비즈니스활동합동지원 ( 서울시각구청 ) * 강남패션페스티벌 ( 강남구 ), 패션문화페스티벌 ( 문화부 ) 등지역대중문화행사와연계 해외유명디자이너와의교류확대 * 세계유명디자이너초청, 국내디자이너와의정기적인컬렉션개최및교류추진 - 모바일브랜드패션쇼 * 개최등을통해마케팅지원 * 모바일패션쇼용앱기술개발지원, Fashionnet Korea 운영 ( 중소내수브랜드) 내수기반강화 중소내수브랜드의마케팅활동지원 - 서울섬유교역전(Preview in Seoul) * 를패션전문전시회로개편 * PIS 내패션브랜드관을별도구성, 텍스타일패션대전, 봉제컬렉션, 패션포럼등연계 내셔널브랜드컬렉션 개최로내수브랜드마케팅에활용 * 디자이너및중소브랜드중심, ( 예) 일본 Girl s collection ( 자국브랜드홍보목적) - 13 -

2 고급패션생산기반재건 제반여건이잘갖춰진패션집적지를 패션지식기반집적지구 로지정하여한국대표클러스터로육성 패션전용단지를건립하여선진국형생산기반을재구축하고, 패션지원시설확충으로고급패션제조기반을강화 패션특구패션전용공단패션집적센터 ( 기능) 제조+ 유통결합토탈패션제조공장제조업체밀집 + 종합지원시설 ( 조성) 2 개 ( 동대문, 대구봉무동) 1 개 ( 경기북부) 10 개( 전국패션업종밀집지역) 2-1 지역특화된고급생산기반구축 ( 패션특구) 패션기업의대표적패션집적지를 패션지식기반 집적지구 로지정하고, 역동적인 아시아패션명소 로육성 * 산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제22 조에근거한지정절차 : ( 시도지사 지정요청 현장조사지정심사 지경부지정 ), 서울시및대구시검토를통해추진 동대문지역등을 아시아패션허브 로육성하여패션실험의장 ( 제조+ 유통) 과패션트렌드발신기지로발전 * ( 예시 ) 동대문 : 첨단기술의류기술센터설립추진, 대구봉무동 : 패션창작스튜디오운영 * 동대문, 대구봉무동지정추진( 11 년~) ( 패션단지) 경기북부에 토탈패션전용단지 조성을검토 의류, 귀금속등토탈패션업종이입주하고, One-Stop 지원할 수있는단지형태로조성추진 ( 산단공, 경기도등) * 산단공추진검토, 약33 만m2규모, 사업기간( 12 ~ 18 년), 토탈패션업종위주 < 경기북부 > ( 지리여건 ) 내수시장인동대문, 남대문시장과근거리위치, 단납기가능 ( 주변환경 ) 섬유종합지원센터 ( 양주), 섬유소재연구소 ( 양주), 신발피혁연구소분원( 동두천), 염색공단등주변에반경 10km내입지 ( 기업현황 ) 경기북부염색업체, 2,500 개중소섬유업체지원, 경기북부지역염색업체와니트업체와협업을통한완결형생산납품 - 14 -

ː ( 패션센터) 전국에산재한패션기업들의토탈패션화및클러스터화 촉진을위해 토탈패션집적센터(TFC) 신설 지자체수요조사및타당성조사등을거쳐전국에 10개소설치 * 토탈패션집적센터시범사업: 11 년부터추진, 국비 + 지자체매칭 * 전국의패션집적지를중심으로깨끗하고저렴한임대공장 ( 유휴건물리모델링 또는아파트형공장건립) 지원 : 부산, 동두천, 익산등우선추진 기존발전모델결과물 생산업체 < 패션제조업 > 고급제품생산 패션인력기술, 교육, 설비 명품제조 ( 숙련인력) + 패션디자인 ( 패션디자이너 ) + 기술지원, 인력양성 ( 지원인력 ) 취업 창업, 경험축적맞춤형종합지원가능 2-2 업종별로특성화된패션지원시설확충 대구 ( 안경 ), 부산( 신발 ), 익산( 귀금속 ) 등지역특화패션지원시설확충 대구안경집적지 ( 대구북구 ) 내영세부품업체및디자인업체에 안경테제조기술향상및협업체제구축지원 - 안경디자인및가공애로기술지원을위한 안경 R&BD 연구소 추진 ( 한국안경산업지원센터내설립추진, 대구시) 부산신발집적지 에부품소재 제품 R&D, 신뢰성평가, 마케팅지원등신발종합연구지원 -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를 신발산업진흥원 ( 가칭) 으로확대 ( 부산시 ) * 재원은국비및기존부지매각대금활용, 녹산산업단지내설립추진 익산귀금속집적지 에귀금속디자인및기술지원을위한 귀금속디자인 기술연구소 구축추진 ( 익산시 ) 안경물류 유통구조개선을위한안경공동물류센터 ( 대구) 및 원사물류지원을위한원사공동물류센터 * ( 양주) * G-Textopia 내 원사공동물류센터 설치 설치 - 15 -

사례 1 동대문지역의패션특구지정 ( 특구지정) 패션기업 ( 의류 귀금속제조 + 브랜드유통) 이집적한동대문및인근지역을 패션지식기반집적지구 로지정 ( 11 년) * 동대문지역: 8 만개가넘는업체와커뮤니티형성, 패션업중기업들이집적하여교류활성화와교육등을통해경쟁력제고 ( 육성방향) 상품기획 생산 유통 쇼핑등이결합한패션 귀금속산업의대표패션클러스터로육성지원 패션트렌드를선도하는 패션발신기지 로발전시키고, 재미와즐거움을제공하는 아시아의패션명소 로육성 * 한국의패션실험실( 제조+ 유통) 에서아시아패션허브로발전 기존변경 지원 방향 ( 동대문) 패션의류집적지 + 소싱처 ( 종로구) 귀금속 동대문 ( 고부가가치지식산업확산 + 아시아쇼핑센터) + 종로( 귀금속) 아시아의패션명소 ( 지원내용) 동대문패션클러스터의창작활동을장려하고기업간협업을통하여동대문브랜드창출지원 제조, 유통등을종합적으로조율하고, 아시아의패션트렌드를리드하는 아시아패션허브 로발전 매년동대문창작스튜디오디자이너 100명을배출하여패션제조업체와디자이너간협업, 시제품마케팅지원( 서울시, 10년~) 동대문첨단의류기술센터 ( 11년말완공) 를중심으로동대문소재봉제기업들간교류를활성화 종로구내 귀금속보석기술혁신지원센터건립 을통한지역네트워크구축, 마케팅지원, 디자인및기술지원 * 서울주얼리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 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 5년 30 억원) - 16 -

사례 2 대구이시아폴리스 ( 봉무동 ) 패션특구지정 ( 특구지정) 패션기업및섬유생산기능을집적한대구이시아폴리스지역을 패션지식기반집적지구 로지정 ( 11년~) * 이시아폴리스 : 스포비즈연구센터, 대구텍스타일 Complex, 한국폴리텍섬유패션대학, 복합상업유통단지 조성중, 이를통한 one-stop 비즈니스단지조성 ( 육성방향) 대구지역섬유생산지를활용한패션제품의연구개발, 생산, 유통등이결합한 동남권패션특구 로육성 섬유제조를기반으로의류패션 ( 동구), 주얼리( 남구), 안경산업 ( 북구) 를연계한 섬유패션종합클러스터 로발전 * 섬유패션종합클러스터 : 섬유기반 ( 개발, 생산, 유통) + 토털패션제품화센터역할 기존변경 지원 방향 ( 이시아폴리스) 의류패션연구및생산, 마케팅 ( 중구) 주얼리 이시아폴리스 ( 지식산업기반고부가가치의류패션연구/ 마케팅) + 중구( 주얼리 ) 동남권패션특구육성 ( 지원내용) 패션의류, 주얼리분야의대구경북지역소재기업들간교류를활성화하고, 경쟁력강화와판로개척지원 대구텍스타일 Complex 조성을통한섬유 패션제품의글로벌통합마케팅사업운영체제구축및비즈니스공간조성 디자이너육성을통한패션제조업체와디자이너간협업, 시제품마케팅및판로지원 창업보육센터및중견기업육성 Program 운영 ( 개년규모 10 / ) 첨단도심형패션의류봉제 제품생산공간구축 - 17 -

3 숙련인력의안정적인공급 패션전문인력을개발 생산 유통부문별로신규인력을발굴하고기존인력재훈련추진 개발인력은브랜드디자인기획, 생산인력은숙련도향상, 유통인력은마케팅교육에중점을두고육성 3-1 우수한개발인력의공급체계구축 ( 신규인력) 경험과능력을갖춘세계적브랜드디자인인력양성 우수패션관련대학에 Brand Design Lab(BDL) 을운영, 스트림간기술과경험을습득한토탈디자이너를양성 ( 연 미정 브랜드디자인랩 운영 의류 섬유안경신발귀금속 (2 개대학) 대구보건대학경남정보대학서울산업대 * 5 개대학지정( 각 20 명), 상품R&D, 생산기술등개발업무습득 브랜드디자인창작활동 * ( 연 디자이너를양성하고, 패션기업인턴쉽 * ( 연 100 명) 100명) 을지원하여창의적인신인 40명) 확대지원 * 창작활동 : 토탈패션집적센터( 시울시 3 개포함) 및창작스튜디오( 서울시) : 100 명, 창업 창직인턴( 노동부) 및 1 인창조기업지원( 중기청) 활용 * 패션기업인턴쉽운영 : 패션단체주관, 50 개브랜드기업대상, 중소기업인턴 ( 고용노동부) 등활용 ( 기존인력) 토탈패션이정착 확산되도록기업인력재교육 업종별단체 ( 섬산연등) 및지원기관, 하여기업의재직자훈련지원확대 ( 개기관 5 ) * 지방자치단체등과연계 * 섬산연, 대구섬유연합회, 대구안경센터, 부산신발산업진흥센터, 주얼리산업연합회등 * 5 개기관( 각 100 명), 고용노동부의재직자훈련지원제도활용 - 기업이자발적으로훈련프로그램에참여할수있게하는인센티브추진 - 18 -

3-2 생산인력의숙련도향상 ( 신규인력) 여성, 청년, 취약계층의인력유입여건을개선 도심여성인력에게는 TFC( 연 기술교육을실시하여 200명) 에서취업과연계된패션 도심형숙련일자리 제공 * 토탈패션집적센터 10 개( 서울시 3 개포함) 운영 : 50개기업입주예상 대학 청년인력에게는대학 기업 단체간협약에의한숙련 맞춤교육훈련 * 지원및 패션인력멘토링제도 ( 연 100명) 추진 * 한국폴리텍대학, 패션기업, 섬유산업연합회등연계맞춤교육훈련 ( 10 년~, 고용노동부 ) < 패션인력멘토링제도( 안) > 대학생은생산현장에서요청하는단기프로젝트(6 개월이내) 를수행하여학점을이수하고, 기업은성적우수자우선취업기회부여, 우수개발제품사업화 귀금속( 서울산업대귀금속공예학과), 신발( 경남정보대신발패션과), 안경 ( 대구보건대안경광학과) 부터우선추진 인력수요가많은신발 가방 주얼리등특성화高지정 추진 - 산업계특성화 高간지원협약을체결, 현장맞춤형기능인력을 양성 ( 실습장비지원산학겸임교사교과과정개발학생멘토링등,,, ) * 신발( 부산산업과학고) 특성화고기지정, 가방 주얼리분야에추가지정검토 취약계층에게는 봉제업지원센터( 의류산업협회) 를통한숙련 기술제공 ( 연 50명) 및취업을연계 * 취약계층 ( 새터민 1만8 천명, 수형자 3 만명, 다문화가정등) ( 기존인력) 숙련도향상을위해기존인력을대상으로재교육강화 기존인력의재교육은업종별 숙련인력양성기관 에서추진 숙련패션인력양성프로그램 ( 총괄: 생기원) 의류 섬유 안경 신발 귀금속 패션봉제아카데미, 대구안경산업 부산신발산업진 주얼리산업 그린의류지원센터 지원센터 흥센터 연합회 * 5 개기관( 각 100 명), 2단계교육과정운영- 기초 3 개월 + 숙련( 현장) 3개월 * 고용노동부의재직자훈련지원제도등활용 - 19 -

- 패션분야명장을숙련인력양성지도인력으로활용하여, 산업 현장의필요한숙련도향상기술교육을실시 * 숙련인력명장 :49 명 ( 패션디자인 3, 편물 4, 양복등 29, 신발류 2, 귀금속가공 11) 명칭개명, 우수인력포상, 패션쇼를통해봉제기술의우수성을 널리홍보하여패션기능인력의자긍심고취 - 패션종사자의명칭을현대적으로개명 * 하고 패션기능경진 대회 를통해우수인력을선정 포상 * 하고, 봉제패션쇼개최 * 예) 미싱사재단사봉제사 봉제디자이너, 보석세공사 JA( 주얼리아티스트 ) 등 * 정부와민간( 브랜드기업 ) 포상을연계, 숙련종사자의자긍심고취와지원효과극대화 3-3 유통인력의전문성제고 ( 신규인력) 시장기능에따라기업의자연충원유도 도소매분야패션유통전문점 ( 대리점) 창업을권장하고, 유통 전문인력의취업장려 기업수요가급증하고있는매장관리자, 상품전문가등양성을위해 패션유통전문가양성프로그램 * 운영 ( 연 100 명, 3 주과정) * 패션유통전문인력양성 - MD 전문교육기관및패션지원기관을활용 ( 노동부, 섬산연 ) ( 기존인력) 해외진출에필요한일부전문인력 ( 글로벌패션전문가 ) 양성 기존패션비즈니스전문기관등을활용하여브랜드해외 진출과브랜드현지화에필요한글로벌패션전문가양성 - 장기적으로글로벌전문유통인력양성을위한 패션비즈니스 스쿨 * 설립추진 * 패션전문대학원형태로설립( 연 100 명규모, 50명 x 2 회), 지역별글로벌 상품전문가, 글로벌소싱처관리자등글로벌전문인력양성 - 20 -

참고 5 패션업종인력구조변화 ( 단위 : 천명) 업종고용목표 (2010/2020 년) 추진대책 개 발 경력 2010 2020 20년이상 1.6 2.3 브랜드디자인랩운영 10-20년 5.9 8.7 토탈디자인창작활동지원 패션기업인턴쉽 3-10년 6.2 13.3 기존인력재교육 생 산 20년이상 192 206 도심여성-숙련일자리연결 대학청년인력맞춤교육 10-20년 3-10년 89 24 68 59 숙련인력멘토링제도 취약계층숙련기술습득 (30.5) 숙련인력양성재교육 (33.3) 유 통 20년이상 52 59 패션유통전문가양성 10-20년 146 244 글로벌비즈니스인력양성 3-10년 194 184 글로벌패션비즈니스쿨설립 < 5 대패션업종별인력구조목표 (2010/2020 년) > ( 단위 : 천명) 업종의류섬유신발귀금속안경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개 발 20년이상 10-20 년 3-10년 생 산 20년이상 10-20 년 3-10년 유 통 20년이상 10-20 년 3-10년 - 21 -

4 제조, 서비스기술경쟁력강화 고기능성제품개발 IT융합을촉진하여패션제품의고급화지원 생산공정간 ( 스트림 ) R&D 협력을강화하고, 제조-유통간상생협력활성화지원 4-1 10대핵심품목기술개발 ( 고기능성제품) 첨단신소재신공정 개발을위한기술혁신촉진 신제품개발을위한 기술로드맵 ( 09.11) 의체계적이행 패션산업기술로드맵 * 수립및신섬유 * 에코및스마트신발소재, 3D 안경, 귀금속셋팅기술등을포함, 3년단위수립 친환경 고기능성 고감성중심의 10대 R&D 핵심품목개발 < 10 대핵심부품 > 섬유 : 1 친환경섬유, 2 고기능성섬유 신발 : 3 성장촉진신발, 4 에코신발, 5 스마트신발 안경 : 6 패션스포츠안경, 7 3D 디지털안경, 8 인체친화플라스틱안경 귀금속 : 9 3 색링(Trinity-La-Belle), 10 세발셋팅반지 패션소재친환경- 기능성인증마크 지원( 패션소재협회) * 국제수준의인증시험방법구축, 인증제발급시스템체계를마련 (IT 융합) 제품개발및제조공정에 IT를접목하여신시장창출 3차원디지털휴먼을기반으로쇼핑 주문 제조공정을 IT화 하는 3D 디지털패션제조 유통시스템 을개발 보급 * 3D 인체정보기반맞춤주문형생산(i-Fashion) 및유통(Digital Clothing) 개발추진 * 동대문첨단의류기술센터에시범운영( 12 년~) 및패션업계등보급활성화 패션제품모바일홍보를위한스마트폰앱(App) 의보급 * 스트림제품개발선정과제의제품소개 App. 개발병행지원 확산 패션제품에 IT기술을적용한 추진 ( 를활용한웰니스스마트의류시스템개발 스마트 인텔리전트의류 상용화 IT ( 09 ~ 14, 100 억원, 생기원) ) - 22 -

사례3 패션-IT 융합 : 디지털패션맞춤제조 유통시스템 필요성 패션제조공정의 IT화를통한신시장창출및글로벌시장주도 '3D 기반디지털패션제조 유통시스템개발 을통해패션산업의새로운부가가치창출지원 시스템개요 3D 소비자( 디지털휴먼) 와 3D 의류제조 IT 기술을기반으로한 3D 유비쿼터스쇼핑, 맞춤제조등 IT융합비즈니스창출 < 시스템개념도 > 활용분야 맞춤주문형디자인- 제조- 유통서비스플랫폼구축, 실물의상의 3D 디지털콘텐츠화등 소비자맞춤주문형의류패션제품 개발 활용사례 소비자의 3D 디지털휴먼( 아바타, 손 발 머리등) 을활용한맞춤신사복 셔츠 숙녀복, 맞춤장갑 ( 골프, 조종사, 승마등), 맞춤군복교복, 맞춤신발, 맞춤운동복( 골프웨어, 야구유니폼등 ) - 23 -

4-2 스트림간상생협력지원강화 ( 공동협력 R&D) 스트림별컨소시엄을구성하여 R&D 지원활성화 스트림기술개발협력사업 * 의단계적지원확대 * 3개이상섹터에서 3개이상업체가컨소시엄을구성하여참여 * 사업예산(300 억원/ 년수준) 을단계적으로 500억원까지확대추진 ( 상생협력) 브랜드대기업과중소협력업체간상생협력강화모색 제조, 유통, 마케팅분야등에서 상생협력성공사례 개발확산 - 브랜드기업 ( 대기업) 이패션복합몰( 생산판매문화공간 ) 을조성하고, 중소협력업체에게임대공장제공및주문, 기술경영지도등지원 < 상생협력사례 > ( LG 패션) 양주패션복합단지건설(37 천m 2, 740 억원소요) : 열악한의류제조업체에게임대공장지원, 중소기업과디자인생산기술력 공유를통한상생추구 ( 한섬 ) 팩토리아울렛 ( 구로공단내아파트형공장 : 5 층규모, 1천m 2 규모): 13개업체입주, 400 명고용, 협력업체입주지원, 사입및일감확보등안정적기업운영지원 ( 유통거래) 제조기업과대규모유통점과의공정한유통 거래질서확립및패션제품의지식재산권보호 대규모유통점과의표준거래계약서제정 보급, 불공정거래 행위 ( 판매수수료인상등 ) 에대한조사강화지원 ( 공정위 ) * 백화점등대규모소매점입점시특정매입표준거래계약서사용권장, 대규모소매점( 백화점) 불공정거래행위조사강화( 공정위) 위조품확인 ( 스마트폰활용) 등패션순정품의유통과상표권 침해단속등지식재산권권익보호지원 ( 지식재산권보호센터) - 24 -

Ⅴ. 기대효과 경쟁력제고 구 분 기술경쟁력 (%) 지식경쟁력 (%) 부가가치율 (%) 10 15 20 10 15 20 10 15 20 숙련집약형패션산업 80 85 90 60 70 80 40 43 45 * 자료 : 산업연구원( 10), 기술수준과지식경쟁력은선진국대비 % 기술경쟁력 : 고기능성섬유 의류신발, 신소재안경, 귀금속 개발등으로 20년에선진국의 90% 수준으로향상기대 지식경쟁력 : 디자인역량강화, 글로벌브랜드육성및해외시장 진출등으로 20년에선진국의 80% 수준으로제고기대 부가가치율 : 첨단신소재개발, IT 융합, 패션디자인력강화, 제품의고부가가치화등으로 20년에 45% 에수준접근 전망 성장산업으로변모 구 분 생 산( 조원) 수출(10 억불) 고용( 천명) 10 20 증가율 10 20 증가율 10 20 증가율 숙련집약형패션산업 41 64 4.5 14 21 4.1 711 743 0.04 * 자료 : 산업연구원( 10), 증가율은 10 ~ 20년기간의연평균증가율 생산 : 생산기반확충, 고부가가치제품생산확대, 수출증가등에 힘입어 10년 41조원에서 20년에 64조원으로증가전망 수출 : 고부가가치제품생산과글로벌브랜드의해외시장 진출을통한글로벌시장개척, FTA를활용한차별화된마케팅 전개등으로 20년에 210억불로증가전망 고용 : 생산증가, 고용환경개선과미래비전제시를통한인력 유인으로 20년까지 32천명의신규고용창출기대 - 25 -

Ⅵ. 세부추진일정 정책과제명 추진일정 ( 년) 담당부처 1. ASIA TOP 10 패션브랜드육성 1 1-1. 아시아 TOP 브랜드 10 개육성 10 ~ 20 지경부 1-2. 유망브랜드의글로벌성장강화 지경부, 문화부, 중기청, 서울시 - 글로벌패션브랜드육성사업단운영 계속 지경부 - 패션전시회, 컬렉션및패션문화행사지원 계속 문화부, 중기청, 지자체 ( 서울시등 ), 지경부 - 시장조사센터및현지공동디자인지원 12~15 지경부 - KOTRA 지원프로그램활용 계속 지경부 ( KOTRA 등) - 아시아진출, 현지마케팅및성장대형화 11~15 지경부 1-3. 신진브랜드의내수시장기반확보 - 신진브랜드국내비즈니스기반제공 11~15 지경부, 문화부, 서울시 - 중소브랜드의내수기반확보 11~15 지경부 2. 고급패션생산기반재건 1 2-1. 지역특화된고급생산기반구축 1 - 패션지식기반집적지구지정추진 11~계속 서울시, 대구시, 지경부 - 경기북부패션전용공단조성 12~18 경기도, 지경부 - 지역별토탈패션집적센터지원 11~16 지자체, 지경부 2-2. 업종별로특성화된패션지원시설확충 1 - 대구안경, 부산신발, 익산귀금속패션지원시설확충 11~15 - 공동물류센터( 대구안경, 경기원사) 11 ~15 3. 숙련인력의안정적공급 1 3-1. 우수한개발인력의공급체계구축 11~계속 3-2. 생산인력의숙련도향상 11~계속 3-3. 유통인력의전문성제고계속 4. 제조, 서비스기술경쟁력강화 1 대구시, 부산시, 전북도, 지경부대구시, 경기도, 지경부 지경부, 노동부, 중기청등지경부, 노동부, 법무부, 통일부, 11~ 지경부노동부 4-1. 10대핵심품목기술개발 1 11~ 계속 지경부 4-2. 스트림간상생협력지원강화 1 11~ 계속 지경부, 공정위 - 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