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 26. 1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제출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보고서를 "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 사연구 (Ⅲ)" 과제의최종보고서 ( 부영양화조사 및평가체계연구 ) 로제출합니다. 26. 1 총괄연구기관 :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차례 > 제1장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2 1. 연구 목적 2 2. 연구내용 2 1-3. 3 차년도 세부 연구 내용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표 및 내용 4 제2장 1, 2차년도연구요약 7 2-1. 1 차년도연구결과 7 1. 호소의부영양화평가외국사례연구 7 2. 호소현장조사 1 3. 조류성장제한영양소조사 1 2 4. C h l - a 측정방법의개선방안검토 1 4 5. 수질측정망호소수질자료분석 1 5 6. 부영양화평가지표안개발 1 7 2-2. 2 차년도연구결과 1 8 1. 주요연구결과 1 8 2. 질소 / 인비율및부영양화제한요인연구 2 3. C h l - a 표준측정방법개선안제시 2 1 4. 국내호소의부영양화평가항목선정 2 5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27 3-1. 부영양화평가기법의현장적용 2 7 1. 한국형부영양화지수개발 2 7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4 5 4-1. 외국에서적용하고있는부영양화지수사례 4 5 - i -
4-2. 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 의범용성검토 47 제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 5 5 5-1. 호소수질조사정점및시기선정방법표준화 5 5 1. 호소내수질변동의원인 5 5 2. 호소내조사지점선정원칙 6 8 3. 유입수조사 7 5-2. 호소의대표수질결정방법 7 1. 대표수질조사정점과수심의선정 7 2. 시간적변동의대표치결정 7 2 3. 호소유입하천수의유량변동에따른대표수질산정법 7 3 4. 공간적대표치산정방법 7 4 5-3. 부영양화모니터링계획수립및조사지침 7 5 1. 부영양화모니터링계획제안 7 5 2. 강우시유입수모니터링방안 7 8 5-4. 부영양화평가지침 8 4 1. 평가에사용할자료조사 8 4 2. 한국형부영양화지수에의한영양상태판정 8 4 3. 각부영양화도지수간의차이발생시이의해석 8 제6장 생물학적 부영양화 평가방법연구 8 7 6-1. 생물군의 수질 지표성 검토 8 7 6-2.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지표 8 7 6-3. 육안관찰에 의한 부영양화 평가 8 8 6-4. 식물플랑크톤 밀도에 따른 지표성 검토 9 1. 검토지표항목 9 2. 대상호소 9 4 3. 지표항목의 적용 9 5 4. TSI KO 와 남조류, 규조류의 밀도간의 상관성 검토 9 8 5. TSI KO 와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AM) 간의 상관성 검토 1 6. 규조류 밀도의 지표성 검토 1 1 7. 식물플랑크톤 체적에 따른 지표성 검토 1 3 - ii -
6-5. 남조류밀도를이용한생물지표조사개발및활용방안 1 5 1. 남조류를이용한지표 1 5 2. 부영양화평가기준제시 1 7 6-6. 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지표종및지표개발의적정성또는향후검토방향 17 1. 지표개발의적정성 1 7 2. 향후검토방향 1 8 제7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19 7-1. 부영양화도에따른호소의분류 1 9 7-2. 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특성 1 1 1. 연안대 ( l i t t o r a l z o n e ) 의경사 1 1 2. 표수층 / 심수층 ( e p i l i m n i o n / h y p o l i m n i o n ) 의비 1 1 3. 투명도 1 1 1 4. 물의색 1 1 1 5. 식물플랑크톤의양과종류 1 1 1 6. 영양염류 ( n u t r i e n t s ) 의양과인위적부영양화 1 1 1 7. 용존산소농도 1 1 2 8. 저서동물어류 1 1 3 9. 저질 ( s e d i m e n t ) 의퇴적량과유기물함량 1 1 4 7-3. 부영양화지표홍보자료 1 1 5 참고문헌 117 부록 121 - iii -
< 표차례 > < 표 2-1> 총질소 (TN), 총인 (TP), Chl-a양과 투명도에 의한 호소의 4단계 부영양화 구분 7 < 표 2-2 > O E C D 가 제시한 총인. C h l - a 량과 투명도에 의한 영양도의 판정 8 < 표 2-3> 여러 나라의 총인 (TP) 과 투명도에 의한 부영양화 판정기준의 비교 8 < 표 2-4 > V o l l e n w e i d e r 에 의한 질소와 인에 의한 영양상태의 구분 9 < 표 2-5 > 부영양화지수 ( T S I ) 를 이용한 호소의 부영양화도 판정표 1 < 표 2-6 > 조사대상 호소의 댐앞 지점의 N / P 원자비 ( m e a n ± S D ) 1 1 < 표 2-7> 1차년도 algal assay에 의한 각 호소별 제한영양염의 조사 결과 13 < 표 2-8> 2차년도 algal assay에 의한 각 호소별 제한영양염의 조사 결과 21 < 표 3-1 > 투명도를 포함한 수질 항목들 간의 상관행렬 3 2 < 표 3-2 > 투명도와 탁도를 포함한 수질 항목들 간의 상관행렬 3 3 < 표 3-3 > 질소를 제외한 수질항목들간의 상관행렬 3 4 < 표 3-4> 부영양화지수 (TSI KO ) 에 대응하는 각 수질항목의 농도 4 3 < 표 4-1>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부영양화 지수와 적용사례 4 5 < 표 4-2 > C a r l s o n ( 1 9 7 7 ) 의 부영양화지수 ( T S I ) 와 대응하는 수질변수 4 7 < 표 5-1 > 식물플랑크톤의 조류 종에 따른 부유기작 6 1 < 표 5-2 > 호소의 대표수질 정점선정의 우선순위 7 1 < 표 5-3 > 호소의 대표수질 정점으로서 피해야 할 곳 7 2 < 표 5-4 > 측정치의 시간적 대표치로 사용되는 지표들 7 3 < 표 5-5> 측정치의 공간적 대표치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들 7 4 < 표 5-6 > 환경부의 정기적인 모니터링 대상인 9 개 호소 8 2 < 표 5-7>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 (TSI KO ) 에 의한 호소의 영양상태 판정 8 4 < 표 6-1 > 부영양화평가와 관련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변수 지표항목 9 < 표 6-2 > 생물지표개발 적용을 위해 조사한 호소 9 5 < 표 6-3> 호소의 부영양화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규조류와 남조류의 점유 율 비교 9 7 < 표 6-4 > 봄철 규조류 b l o o m 에 따른 등급안 제시 1 3 < 표 6-5 > 호소 부영양화에 따른 남조류 밀도기준 1 3 < 표 7-1 > 빈영양호와 부영양호의 특성 비교 1 1 3 - iv -
< 그림차례 > < 그림 1-1 > 3 차년도 부영양화 조사 및 평가체계 연구추진내용 5 < 그림 2-1 > 여러 나라의 C h l - a 에 의한 호소 부영양화 판정기준의 비교 9 < 그림 2-2> Lorenzen법에 의한 Chl-a 농도와 UNESCO법으로 측정한 Chl-a 농도 의 비교 1 4 < 그림 2-3 > 수질측정망 자료의 호소 수질지표 항목간의 상관관계분석 1 6 < 그림 2-4> 두 가지 용매제로 추출한 Chlorophyll a의 흡수 spectrum비교 23 < 그림 2-5 > 아세톤과 D M F 에 의해 추출된 C h l - a 농도비교 ( L o r e n z e n 방법 ) 2 4 < 그림 2-6> 아세톤과 DMF에 의해 추출된 Chl-a 농도비교 (UNESCO 방법 ) 24 < 그림 3-1 > 수질항목간의 상관성 분석 2 9 < 그림 3-2 > 수질항목간의 누적빈도 분포 ( % ) 3 < 그림 3-3 > 투명도를 포함한 주성분분석 결과 f a c t o r l o a d i n g 3 2 < 그림 3-4 > 투명도와 탁도를 포함한 주성분분석 결과 f a c t o r l o a d i n g 3 3 < 그림 3-5 > 질소를 제외한 주성분분석 결과 f a c t o r l o a d i n g 3 4 < 그림 3-6> COD 와 그에 대응하는 TSI KO ( C O D ) 의 관계 3 7 < 그림 3-7> Chl-a 와 그에 대응하는 TSI KO ( C h l - a ) 의 관계 3 8 < 그림 3-8> TP 와 그에 대응하는 TSI KO ( T P ) 의 관계 3 9 < 그림 3-9> 투명도와 그에 대응하는 TSI KO ( S D ) 의 관계 4 < 그림 3-1> 탁도와 그에 대응하는 TSI KO ( T U R ) 의 관계 4 1 < 그림 4-1> 종합 T SI KO 와 각 수질지표항목간의 상관분포 4 9 < 그림 4-2> 종합 T SI KO 와 각 수질지표항목의 l o g 변환간의 상관분포 5 < 그림 4-3> 한국형 TSI KO 의 항목간 지수 비교 ( 본 연구에서 조사된 1 개 호소의 자료 적용. 실선은 기울기 1 의 직선을 표시 ) 5 1 < 그림 4-4> 한국형 TSI KO 의 항목간 지수 비교 ( 환경부 수질측정망 자료 적용. 실선 은 기울기 1 인 직선을 표시 ) 5 3 < 그림 5-1 > 소양호의 성층의 계절적 변동 5 6 < 그림 5-2> 소양호 Chlorophyll a 농도의 계절적 변동 5 8 < 그림 5-3> 한강하류 수역에서 유속 ( 팔당호 방류량 ) 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관계 6 < 그림 5-4 > 부상성이 있는 남조류의 일종인 Anabaena s p. 6 2 < 그림 5-5 > 부상성 남조류가 상층으로 떠오르는 모양 6 3 < 그림 5-6 > 바람에 의해 부상성조류가 모이는 현상 6 3 - v -
< 그림 5-7> 부상성 남조류가 수면에서 바람에 밀려와 scum을 형성하고 불균일한 수질 분포를 나타내는 모습 6 4 < 그림 5-8 > 지류 유입부에 부상성 조류가 밀집하는 현상 6 4 < 그림 5-9> 호숫가에 밀집하여 수평적 변이를 크게 하는 원인생물인 와편모조류 Peridinium의 전자현미경사진 66 < 그림 5-1> 소양호의 지류 유입부에서 측정된 와편모조류 밀도의 일주기 변동 6 6 < 그림 5-1 1 > 소양호의 지류유입부에서 관찰된 와편모조류의 밀집현상 6 7 < 그림 5-12> 유영능력과 주광성을 가진 와편모조류가 지류유입부에 밀집하는 기작 67 < 그림 5-13> 강우시 하천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질변동 사례 ( 소양강. 25 년 6월 26일 ~29 일 ) 8 < 그림 5-14> 강우시 하천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질변동 사례 ( 소양강. 25 년 7월 27일 ~29 일 ) 8 1 < 그림 6-1 > 육안관찰에 따른 호소 부영양화 정도 8 9 < 그림 6-2 > 식물플랑크톤 특성지표와 부영양화도의 상관관계 9 6 < 그림 6-3 > T S I KO 와 남조류 밀도간의 상관성 9 9 < 그림 6-4 > T S I KO 와 규조류 밀도간의 상관성 1 < 그림 6-5 > T SI KO 와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AM) 밀도간의 상 관성 1 1 < 그림 6-6 > 봄철 ( 3 월 ~ 6 월 ) 호소의 영양등급에 따른 규조류밀도 분포 1 2 < 그림 6-7> 남조류의 생체량과 TSI KO 간의 상관관계 1 4 < 그림 6-8 > 남조류중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AM) 의 생체량과 TSI KO 간의 상관관계 1 5 - vi -
< 부록차례 >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23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5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4 7 제 4 절부영양화지수산정관련엑셀시트 267 제 5 절 3 차년도에제시한모니터링조사대상농업용저수지 271 제 6 절호소의부영양화평가홍보자료 277 - vii -
< 부록표차례 > < 부표 1-1>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2월 ) 1 2 3 < 부표 1-2>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3 월 ) 1 2 3 < 부표 1-3 >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4 월 ) 1 2 4 < 부표 1-4 >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6월 ) 1 2 4 < 부표 1-5 >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7월 ) 1 2 5 < 부표 1-6>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8 월 ) 1 2 6 < 부표 1-7> 팔당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3 월 ) 1 2 6 < 부표 1-8 > 팔당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4 월 ) 1 2 7 < 부표 1-9 > 팔당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6월 ) 1 2 7 < 부표 1-1> 팔당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7월 ) 1 2 8 < 부표 1-11> 팔당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8 월 ) 1 2 8 < 부표 1-12> 합천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3 월 ) 1 2 9 < 부표 1-13 > 합천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4 월 ) 1 2 9 < 부표 1-14 > 합천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6월 ) 1 3 < 부표 1-15 > 합천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8 월 ) 1 3 < 부표 1-16> 낙동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3 월 ) 1 3 1 < 부표 1-17> 낙동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4 월 ) 1 3 1 < 부표 1-18 > 낙동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6월 ) 1 3 1 < 부표 1-19 > 낙동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8 월 ) 1 3 2 < 부표 1-2> 왕송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3 월 ) 1 3 2 < 부표 1-21> 왕송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4 월 ) 1 3 2 < 부표 1-22> 왕송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6월 ) 1 3 3 < 부표 1-23 > 왕송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7월 ) 1 3 3 < 부표 1-24 > 왕송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8 월 ) 1 3 4 < 부표 2-1> 대청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12월 ) 2 5 < 부표 2-2> 대청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4 월 ) 2 5 < 부표 2-3 > 대청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6월 ) 2 6 < 부표 2-4 > 대청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8 월 ) 2 6 < 부표 2-5 > 주암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12월 ) 2 7 - viii -
< 부표 2-6> 주암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4 월 ) 2 7 < 부표 2-7> 주암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6월 ) 2 8 < 부표 2-8 > 주암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8 월 ) 2 8 < 부표 2-9 > 영산호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12월 ) 2 9 < 부표 2-1> 영산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4 월 ) 2 9 < 부표 2-11> 영산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6월 ) 2 1 < 부표 2-12> 영산호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8 월 ) 2 1 < 부표 2-13 > 왕궁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12월 ) 2 1 < 부표 2-14 > 왕궁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4 월 ) 2 1 1 < 부표 2-15 > 왕궁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6월 ) 2 1 1 < 부표 2-16> 왕궁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8 월 ) 2 1 2 < 부표 2-17> 성암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4 년 12월 ) 2 1 2 < 부표 2-18 > 성암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4 월 ) 2 1 2 < 부표 2-19 > 성암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6월 ) 2 1 3 < 부표 2-2> 성암저수지의 수질 조사 결과 (25 년 8 월 ) 2 1 3 < 부표 2-21> 대청호의 계절에 따른 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 수심 조사 결과 214 < 부표 2-22> 주암호의 계절에 따른 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 수심 조사 결과 214 < 부표 2-23> 영산호의 계절에 따른 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 수심 조사 결과 215 < 부표 2-24> 왕궁저수지의 계절에 따른 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 수심 조사 결과 215 < 부표 2-25 > 성암저수지의 계절에 따른 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 수심 조사 결과 216 < 부표 2-2 6 > 대청호의 S S, V S S, N V S S, C h l - a 조사 결과 2 1 7 < 부표 2-2 7 > 주암호의 S S, V S S, N V S S, C h l - a 조사 결과 2 1 8 < 부표 2-2 8 > 영산호의 S S, V S S, N V S S, C h l - a 조사 결과 2 1 9 < 부표 2-2 9 > 왕궁저수지의 S S, V S S, N V S S, C h l - a 조사 결과 2 2 < 부표 2-3 > 성암저수지의 S S, V S S, N V S S, C h l - a 조사 결과 2 2 1 < 부표 2-31> 대청호의 COD Mn, D O C, P O C, T O C 조사 결과 2 2 2 < 부표 2-32> 주암호의 COD Mn, D O C, P O C, T O C 조사 결과 2 2 4 < 부표 2-33> 영산호의 COD Mn, D O C, P O C, T O C 조사 결과 2 2 6 < 부표 2-34> 왕궁저수지의 COD Mn, D O C, P O C, T O C 조사 결과 2 2 7 < 부표 2-35> 성암저수지의 COD Mn, D O C, P O C, T O C 조사 결과 2 2 8 < 부표 2-3 6 > 대청호의 T N, T P 조사 결과 2 2 9 < 부표 2-3 7 > 주암호의 T N, T P 조사 결과 2 3 - ix -
< 부표 2-3 8 > 영산호의 T N, T P 조사 결과 2 3 1 < 부표 2-3 9 > 왕궁저수지의 T N, T P 조사 결과 2 3 2 < 부표 2-4 > 성암저수지의 T N, T P 조사 결과 2 3 3 < 부표 2-4 1 > 1 차 조사시기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 3 4 < 부표 2-4 2 > 2 차 조사시기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 3 6 < 부표 2-4 3 > 3 차 조사시기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 3 8 < 부표 2-4 4 > 4 차 조사시기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 4 < 부표 2-45> 주암호 및 성암저수지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 개체수 /L) 243 < 부표 2-4 6 > 영산호 및 대청호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 개체수 / L ) 2 44 < 부표 2-4 7 > 왕궁저수지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 개체수 / L ) 2 4 5 < 부표 3-1 > 부영양화 평가지수 산정에 이용한 호소의 수질 측정망 자료 2 4 7 < 부표 3-2> 부영양화 평가지수 산정에 이용한 농업용저수지의 수질 측정망 자료 25 < 부표 5-1 > 모니터링 조사 대상 농업용 저수지 목록 2 7 1 < 부록그림차례 > < 부도 1-1> 소양호, 낙동강하구언및합천호에서출현하는대표적동물플랑크톤 24 < 부도 4-1 > 부영양화지수산정과정엑셀시트 2 6 7 - x -
제 1 장서론 1 제 1 장 서론 1-1. 연구배경및필요성 부영양화란 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는 정체성수역에서 조류의 성장의 제한영양소 가 증가하여 조류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조류의 증가는 먹이망을 통하여 다른 생물의 양의 증가를 초래하며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가 증가하 여 발생하는 수질악화도 수반한다. 조류의 증가는 다른 생물의 종조성도 변화시키 며, 호소 심층의 산소고갈을 일으키고, 냄새발생, 독소발생, 미관상 불쾌감 발생, 수 돗물 정수비용의 증가 등의 총체적인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부영양화는 호소에 서 생태계의 건강성과 수자원의 이용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과거 우리나라 호소수질기준에는 용수원으로서 사용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평가 항목들만 포함되어 있었으며 호소생태계의 부영양화를 반영하는 지표항목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었다.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호소수질기준에 부영양화의 지표로서 선진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류밀도 (Chl-a) 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따 라서 조류의 밀도와 일차생산을 대변할 수 있는 지표항목을 포함하는 평가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근래 개정된 호소수질기준에서는 Chl-a와 TP가 추가되어 부 영양화를 평가하는 항목들이 측정되고 있으나, 단계별 등급으로 평가하는 체제를 가지고 있고 수질등급의 간격이 넓어서 호소의 부영양화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데에 는 어려움이 있다. 등급간격으로 나누는 구분법에 의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호소 가 2등급과 3등급의 두 등급에 포함되므로 동일한 등급 내에서도 수질의 차이가 크 며, 소폭의 수질 차이를 평가하기에는 변별력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외국에서도 호소의 수질을 부영양호, 중영양호, 빈영양호, 등의 3~4 단계로 구분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국가와 학자에 따라 기준이 달라 혼돈이 있으며 판정의 변별력이 부족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부영양화 평가지수를 개발하여 왔다. 지금까지 외국에서 개발된 지수들이 여러 가지 있으나 외국의 부영양화 평가지표는 거의 자연호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인데 반하여 우리나 라의 호소는 대부분 인공호이며, 몬순기후라는 독특한 자연환경 조건 때문에 외국 의 평가지표를 그대로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호소를 대상 으로 부영양화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고, 단계구분이 아닌 정밀한 정량이 가능한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1-2. 연구목적및연구내용 1. 연구목적 우리나라의과거호소수질등급은 COD를주요기준으로사용하고있었으며, 조류의밀도를나타내는항목 (Chl-a) 이포함되어있지않아부영양화를적절히평가하지못하였다. 외국에서만들어진부영양화평가지표는주로자연호를대상으로만들어진것이므로인공호위주인우리나라의자연에적합하지않는점들이있다. 호소의유기물근원은외부기원유기물과내부생성유기물로나눌수있는데자연호에서는외부기원유기물의기여도가무시할정도로작으나인공호에서는외부기원유기물의기여도가크다. 또한, 무기부유물질로인한빛흡수도가크다는특성을가지고있다. 본연구에서는이러한인공호의호소학적특성을고려하여우리나라인공호를대상으로부영양화를적절히평가할수있는지표를개발하여제안하였다. 1차, 2차년도에개발된한국형부영양화평가기법을현장에적용하여사용가능성을판단하고, 수정및보안하여한국형부영양화지수를제안하였다. 호소의정확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을위해호소수질조사정점및시기선정방법을표준화하여제시하였고부영양화모니텅링계획을수립하였다. 이러한결과를토대로호소의조사지침및부영양화평가지침을개발제안하였다. 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를위하여 1차, 2차년도에조사한다양한체류시간과영양상태가갖는 4개강유역의 1 개호소에서조사한식물플랑크톤자료를이용하여지표종및지표를개발하여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조류의밀도는부영양화지표로서부적절하지만, 기존의 Chl-a와남조류밀도를중심으로한조류예보제와일본에서제안된육안관찰에의한생물학적지표를보완함으로서부영양화지표로서활용가능할것이다. 2. 연구내용 본연구에서는호소의현장조사를통하여자료를수집하였으며, 환경부의수질측정망에의해수집된호소의자료를사용하여부영양화를정량평가할수있는지수를개발하였다. 1차년도와 2차년도에는빈영양호에서과영양호에이르는넓은부영양화변이를가지는 1 개호소를선정하여수질과식물플랑크톤등의자료를종합적으로조사하였
제 1 장서론 3 다. 또한환경부와한국농촌공사에서관리하는수질측정망의호소수질자료를종합하여수질인자들간의상관성을분석함으로써부영양화와관련된수질지표항목의특성을연구하여부영양화평가자료로서의활용성을검토하였다. 각지표항목의평가에의해부영양화를정량평가하는지수를개발하였다. 또한식물플랑크톤의군집구조에의한생물학적평가기법도연구개발하였다. 차후호소의평가기법의적용과활용을위한호소모니터링기법의프로토콜을제시하였다. 이와같이보안된부영양화평가기법과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기법을쉽게이해할수있도록홍보하는자료도작성하였다. 연차별연구내용은다음과같이요약할수있다. 1 차년도 - 낙동강, 한강을중심으로 5 개호소현장조사 - 수질측정망자료수집및상관성검토 2 차년도 - 영산강, 금강을중심으로 5 개호소현장조사 - 한국형부영양화평가지수 (TSI KO ) 제안 3차년도 - 1, 2차년도현장조사자료의종합검토 - 부영양화평가지수보완수정 - 우리나라호소에부영양화평가지수의적용성검토 - 1 개호소의현장조사자료에의해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지표개발 - 호소모니터링기법프로토콜제안 1-3. 3 차년도세부연구내용 1. 연구의필요성 1, 2 차년도에조사된호소의수질과플랑크톤군집자료를분석하여부영양화평가 지표를개발하고검토하여최종적으로부영양화평가지표를확정하여우리나라호 소에적용성을검토하여야한다.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2. 연구의목표및내용 가. 연구목표 수집된자료를종합하여부영양화평가지수를수정보완하고최종확정하며, 이를 우리나라호소에적용하여수질지표성과범용성을검토한다. 나. 연구내용 1) 부영양화평가기법의수정보완 수질과식물플랑크톤자료가동시에조사된 1, 2차년도에조사된 1 개호소의현장자료를분석하였다. 환경부와농어촌공사에서운영하는호소수질자료를종합하여수질인자들간의상관성을분석하였다. 부영양화를평가하는지수를수정보완하여확정하였다. 2) 부영양화 지수의 현장적용 및 범용성 검토 부영양화 지수의 선진국 사례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호소에 적용하여 각 부영양화 지표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였다. 부영양화 지수 (TSI KO ) 와 수질항목의 관계를 분석하여 범용성을 검토하였 다. 3 ) 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부영양화평가지수를개발하였다. 4) 부영양화지수및 Chl-a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연구 호소수질조사정점및시기선정방법을제시하였다. 부영양화모니터링계획수립및조사지침을제시하였다. 호소의생물상조사지침을제시하였다. Chl-a 측정방법간의차이를보정할수있는계수를제시하였다.
제 1 장서론 5 5) 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부영양화현상의원인과피해, 평가방법을설명하는자료를작성하였다. 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1 차, 2 차년도연구결과 부영양화평가기법의현 장적용및보안수정 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 검토 부영양화지수및 Chl-a 은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 방법연구 부영양화정도에따른 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선진사례, 학술조사등을이용한범용성검토 지난 2년간 조사된 1 개 호소의 현장 자료 및 기 타 타 연구 사업 자료 비 교 Chl-a 농도, 측정방법, 부유물질 측정방법의 표 준화 호소수질조사정점및시기선정방법표준화 호소의우점종과영양상태를고려한생물학적지표개발제안 부영양화특징과지표에관한홍보자료제작 국내호소에적합한부영양화지표를개발하여호소부영양화평가자료로활용 < 그림 1-1> 3 차년도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추진내용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7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2-1. 1 차년도연구결과 1. 호소의부영양화평가외국사례연구 외국의부영양화평가는빈영양호, 중영양호, 부영양호로나누는단계별구분법과부영양화지수를사용하는정량적방법의두가지로나눌수있다. 외국의호소연구는주로자연호를대상으로이루어졌으므로호소유기물의근원을주로식물플랑크톤의일차생산에의해공급되는내부기원으로간주하였다. 또한자연호에서는체류시간이길기때문에무기부유물질이적으며따라서투명도가식물플랑크톤의밀도를나타내는좋은지표가된다. 일반적으로호소의부양양화는제한영양염류인인과질소의농도, 조류밀도의지표인 Chl-a, 그리고호소의투명도등을이용하여등급을결정하고있다 ( 표 2-1~ 2-4, 그림 2-1). 한편,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동물의군집분석에의해수역의부영양화를판정하는생물학적판정기법이시도되기도하였다. 호소부영양화단계의구분은연구자의주관과각나라의자연환경차이에따라차이가크다는결점이있다. 즉, 다른나라에서는부영양호로판정되는호소가다른곳에서는빈영양호로분류될수있다. < 표 2-1> 총질소 (TN), 총인 (TP), Chl-a 양과투명도에의한호소의 4 단계부영양화 구분. 조류성장기인 6~9 월의평균치를사용 (Forsberg and Ryding 198). Trophic state Total N ( mg / m3 ) Total P ( mg / m3 ) Chlorophyll ( mg / m3 ) a Transparency (m) Oligotrophic 4 15 3 4. M es ot ro phi c 4 ~6 15 ~25 3 ~7 2. 5 ~4. Eu tro ph ic 6~1,5 25 ~1 7~4 1. ~2. 5 H ype rt roph i c 1,5 1 4 1.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표 2-2> OE CD 가제안한총인, Ch l - a, 및투명도에의한부영양화구분. 연평균과최대값, 최소값을사용 (Vollenweider and Kerekes, 1982). Trophic Category [P]λ [Chl-a] [max] [Sec]y [min]y Ultra-oligotrophic 4. 1. 22.5 12. 6. Oligotrophic 2.5 8. 6. 3. Mesotrophic 1~35 2.5~8 8~25 6~3 3~1.5 Eut roph i c 3 5 ~1 8 ~25 25 ~75 3 ~ 1.5 1. 5 ~. 7 Hypertrophic 1 25 75 1.5.7 [P]λ : 총인의연간평균치. [Chl-a] : Chl-a 의연간평균치, [max] : Chl-a 의최대값, [Sec]y : 투명도의연간평균치, [min]y : 연간에있어서투명도의최소치 ( 총인과엽록소 : mg / m3, 투명도 : m) < 표 2-3> 여러나라의총인 (TP) 과투명도에의한부영양화판정기준의비교 (Forsberg & Ryding, 198) Author(s) Total P ( mg / m3 ) 투명도 (m) Oligo- Meso- Eutro- Oligo- Meso- Eutro- U.S.E.P.A. 1974 1 1~2 2 3.7 2. ~3. 7 2. C arlso n 19 77 12 12~24 24 4 2~4 2. Ahl & Wiederholm 1977 12.5 12. 5 ~25 25 Rast & Le e 19 78 1 1~2 2 4. 6 2. 7~4. 6 2.7 환경부 21 * 15 15 ~25 25 4 2.5 ~ 4 2.5 * 한국의호소환경조사기법개발에관한연구 ( 환경부, 21)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9 < 표 2-4> Vollenweider에의한질소와인에의한영양상태의구분영양상태총인 ( mg /L) 총질소 ( mg /L) 극빈영양. 5. 2 빈중영양. 5 ~. 1. 2~. 4 중영양. 1~. 3. 3 ~. 65 중부영양. 3 ~. 1. 5 ~1. 5 부영양.1 1.5 ( 자료 ) 환경처 (1994), 수자원정책자료집 Ⅰ < 그림 2-1> 여러나라의 Chl-a 에의한호소부영양화판정기준의비교 (Forsberg and Ryding, 198) 부영양화의판정기준이차이를보임에따라이러한결점을보완하여부영양화의판정을객관화시키고지수에의해부양양화를판정하는방법의개발이시도되었다. 미국에서 Carlson (1977) 에의해제안된 TSI(trophic state index) 가대표적인사례이다. TSI는투명도를기준으로지수를만들고여기에 Chl-a와 TP의상관관계식을대입함으로써부영양화를정량적으로나타내는지수를제시하였다. 이에따르면대략 TSI 5 이상이면부영양호로판정할수있는데부영양호의판정기준은각자상황에따라정할수있으며부영양화를동일한지수로나타냄으로써객관성을가질수있는장점이있다 ( 표 2-5).
1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영양화도지수는호소간의비교뿐만아니라소폭의부영양화의변화를평가함에있어수치화가가능하고, 간명하게수질환경을나타낼수있는방법인것으로평가된다. 비록법적으로규제된사항은아니나미국이나일본등에서호소의수질평가나예측에이용되고있다 (EPA, 199). 그러나판정에사용되는 TP, 투명도, Chl-a 사이의양적관계와부영양화가인간에게미치는영향정도는지역에따라각기다를수있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특성과물이용에따른장해정도를고려한판정목표와기준이만들어져야할필요가있는것으로생각된다. < 표 2-5> 부영양화지수 (TSI) 를이용한호소의부영양화도판정표 (Kratzer and Brezonik, 1981) 부영양화지수 (TSI) 호소의영양상태 < 2 극빈영양 2~4 4 45~52 53~7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 7 과영양 2. 호소현장조사 차후 부영양화평가 기준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본 연구의 1차년도에 5개의 호소를 선정하고 각종 수질인자와 부영양화 평가지표 관련항목들 을 조사하였다. 한강과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대형호소와 소형저수지, 빈영양호 ( 소양호, 합천호 ) 와 부영양호 ( 팔당호, 낙동호 ), 과영양호 ( 왕송지 ) 등을 선정하여 광범 위한 특성의 수질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장에서 조사한 항목은 < 부록 > 에 제시하였 다. 기존의 호소수질 조사항목 외에도 Chl-a, TOC, POC, 투명도, 식물플랑크톤 밀도, 동물플랑크톤 밀도 등을 조사하여 다른 부영양화 평가 지표항목과의 상관성을 연구 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24 년 3 월부터 9 월 까지 각 5 회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COD농도는 체류시간이 길고 빈영양호인 소양호에서 낮게 나타났으 며, 부영양호인 팔당호, 합천호, 낙동호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영양호인 왕송저수 지에서 1 mgo 2 /L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 조류의 밀도가 높은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11 시기에표층의 COD는 2 mgo 2 /L 이상으로측정되었다. 부유물질과탁도역시호소의영양상태를설명할수있는좋은지표가된다. 부유물질은육상기원의토양입자와같은무기성과수체내에서증식하는조류와같이생물체에기원을둔유기성 ( 휘발성 ) 으로분류된다. 호소의부유물질은다량의무기현탁물이유역으로부터유입되는홍수기를제외하고는주로내부기원에의한물질들이기여한다. 본조사결과부유물질 (SS) 의농도는부영양호인왕송지와낙동호에서높게나타났다. 체류시간이긴소양호와합천호의경우무기현탁물질의비율이낮았다. 하천형의낙동호와체류시간이짧은왕송저수지의경우무기현탁부유물질 ( 비휘발성부유물질 ) 의함량이다른호소에비해높았다. 대표지점과다른지점간의 SS의수평적변이는호소의상류지역을제외하면크지않았으며, 팔당호의경우, 생활하수가유입되는경안천에서 SS의농도가특히높게나타났다. 수체내 N/P 비는제한영양소를결정하는주요인자가된다. 수중의 N/P 비가원자비를기준으로 16 이상의경우인이크게부족함을의미하고, 이하인경우질소가부족한상태가된다 (Forsberg and Ryding, 198). 조사결과과영양호인왕송저수지는 N/P 비가 19~8의범위로다른호소에비해인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낙동호와팔당호의 N/P 비는 17~311 범위이며소양호와합천호의경우 N/P 비가 184~1,56 으로인의농도가상대적으로매우낮은것으로나타났다 ( 표2-6). < 표 2-6> 조사대상호소의댐앞지점의 N/P 원자비 (mean±sd) 호소 월 2 월 3 월 4 월 6 월 7 월 8 월 9 월 소양호 184(±35) 194(±28) 2(±29 ) 4 17(±123 ) - 27(±13 9 ) - 팔당호 - 13 (± 4 1) 119 (±23 ) 217(±3 8 ) 4 4 (±5 ) 26(±1) - 합천호 - 75 (± 3 76) 4 15 (±5 3 ) 3 3 7(±13 1) - 616(±24 5 ) 395(±263) 낙동호 - 13 8 (±7) 125 (± 6) 275 (±5 4 ) - 262(± 5 ) 23 (± 18 ) 왕송지 - 67(±12) 5 9 (± 16) 27(±5 ) 3 5 (±15 ) 27(±6) - DOC 의농도는수체의일차생산력에따라달라지고호소의영양상태가증가할수 록농도가증가하여호소부영양화의지표로서이용된다 (Wetzel, 1972; Ochiai and Hanya, 198; Hama and Handa, 198; Thurman, 1985; Amon and Benner, 1994).
1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연구에의하면빈영양호의경우 DOC 농도는약 1~3 mgc/l, 중영양호에서는 2~4 mgc/l, 그리고부영양호에서는 3~34 mg /L의범위를보인다 (Thurman, 1985). 본조사에서호소 DOC의수평적변이는크게나타나지않았지만, 호소의영양상태와체류시간에따라 DOC의수직적변동이크게나타났다. 체류시간이길고빈영양호인소양호의 DOC는빈영양호의범주인 1~3 mgc/l 범위에속하였으며, 입자성인 POC의비율은낮아유기탄소는대부분 DOC 형태로서존재하고있었다. 반면부영양혹은과영양호인합천호와낙동호, 왕송저수지의 DOC 농도가 3 mgc/l 이상으로높게나타났으며, 조류의밀도가높아 POC도높게나타났다. 한편체류시간이짧은부영양호인팔당호의경우비교적 DOC의농도가낮고상대적으로입자성인 POC 농도가높았다. 3. 조류성장제한영양소조사 Algal assay를이용한 nutrient spike test의결과총 25개의 test 가운데모든시료에서인의첨가가성장을촉진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4개의시료는질소와인이함께성장을촉진하였다 ( 표 2-7). 또한미량금속 (EDTA) 과인이함께성장을촉진한시료도 4개있었다. 질소의첨가가조류성장을증가시키지않았다는사실은질소의결핍이일어나지않고있다는점을시사하며, 이결과로볼때조사대상호소는모두인이제한영양소인것으로판정할수있다. 이점은전국의호소의 Chl-a 와 TP의상관관계및 Chl-a 와 TN의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 TP가훨씬큰상관관계를보였다는결과와도일치한다. 조류생장에필요한영양염제한정도는수중의원소성분을분석하면추정할수있다. 해양조류의 C : N: P 원소비율 (16: 16:1) 을기준하여 (Red fi e ld e t al, 19 63, H ec ky et al, 1993) N/P 비가 1 이하일때는 N 결핍으로 15~2 이상이면 P 결핍으로판단해왔다. 우리나라호소의 N/P 비는대부분 Redfield ratio를초과하며, N/P가낮은곳에서는인과질소의농도가매우높은곳이므로사실상질소의제한은없을것으로판단된다.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13 < 표 2-7> 1차년도 algal assay에 의한 각 호소별 제한영양염의 조사 결과 Date +N +P +EDTA 제한영양소 1차 (2월 ) - P, EDTA 2차 (4 월 ) - - P 소양호 3 차 (6 월 ) - - P 4차 (7 월 ) - - P 5차 (8 월 ) - P, EDTA 1차 (2월 ) - - P 2차 (4 월 ) - - P 낙동호 3 차 (6 월 ) - - P 4차 (8 월 ) - - P 5차 (9 월 ) - - P 1차 (2월 ) - P, EDTA 2차 (4 월 ) - - P 합천호 3 차 (6 월 ) - N, P 4차 (8 월 ) - - P 5차 (9 월 ) - - P 1차 (2월 ) - - P 2차 (4 월 ) - - P 팔당호 3 차 (6 월 ) - N, P 4차 (7 월 ) - - P 5차 (8 월 ) - - P 1차 (2월 ) - N, P 2차 (4 월 ) - - P 왕송저수지 3 차 (6 월 ) - N, P 4 차 (7 월 ) - - P 5차 (8 월 ) - P, EDTA ( ; 조류성장증가 )
1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4. C h l - a 측정방법의개선방안검토 현재 Standard Methods에는 Chl-a 농도측정을위하여두가지의흡광광도법이제시되어있다. 방법은우리나라와일본에서공정시험법으로사용되고있는 SCOR/UNESCO법 (Strickland and Parsons, 1972) 과 EPA, Standard Method에서채택하고있는 Lorenzen(1967) 의방법이다. 두가지방법이측정의원리가다르고정의도다르며측정치가 2~3% 의차이를보이므로상호환산하여사용하여야한다. 본연구에서는기존의자료를수집하여두방법으로측정된값을비교하였다. Lorenzen법으로측정한 Total Chl-a는 UNESCO법으로측정한 Chl-a의 1.19 배인것으로나타났으며, Chl-a(Lorenzen) 은 Chl-a(UNESCO) 의.76 배인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2-2). 즉, Lorenzen법으로측정한 Total Chl-a에는.84를곱하고, Chl-a 의값에는 1.31을곱하여우리나라의공정시험법인 UNESCO 법으로측정한 Chl-a 의농도화할수있도록하여야한다. < 그림 2-2> Lorenzen 법에의한 Chl-a 농도와 UNESCO 법으로측정한 Chl-a 농도의비교. 약 2% 의차이를보이고있다. (Chl-a 농도 5 mg / m3이하의 자료는제외한결과 )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15 5. 수질측정망 ( 환경부 ) 호소수질자료분석 기존의호소수질자료를수집하여분석함으로써수질항목간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환경부에서수질을관리하는 9개호소에서측정된월별수질자료를사용하였다. 여기에는상수원으로이용되고있는주요대형댐이모두포함되며, 중요한자연호들이포함되어있다. 2~22년까지의 3 년간자료를정리하여분석하였다. 각호소별로중앙값을구하여이를대표치로사용하였다. 또한농업기반공사에서조사하고있는약 5 개의농업용저수지수질자료를정리분석하였다. 연간 2~4 회조사를실시하고있다. 각호소별로중앙값을구하여대표치로사용하였다 ( 그림 2-3). 부영양화와관련된지표항목들을대상으로분석한결과 COD, Chl-a, TP, TN, SS 등의항목이모두유의적인양의상관관계를보여, 유기물과영양염류가같은근원을가지고유사한행태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 COD, Chl-a, TP의상관관계가높았으며, TN은상관도가떨어졌다. 이것은 TN이제한영양소가아니고 TP가제한요인이라는것을시사한다. Chl-a와 TP는선형의상관관계를보였으나 COD는 Chl-a와의상관관계에있어서농도가낮을때는선형의상관관계를보였으나 COD 1 mg /L 이상, Chl-a 5 mg / m3이상에서는조류증가에대해 COD 증가율이낮아지는포화를보였다. 또한 COD는최소값이 2. mg /L인것으로나타나이것이자연배경농도인것으로보인다.
1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그림 2-3> 수질측정망자료의호소수질지표항목간의상관관계분석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17 6. 부영양화평가지표안개발 가. 부영양화지표항목의특성과평가항목의선정 난분해성외부기원유기물의중요성이큰우리나라의인공호의특성으로볼때 COD가가장중요한핵심항목이되어야하며, 다음으로부영양화에따른내부생성유기물, 즉, 조류의일차생산력증가를지표하는 Chl-a가중요한지표가된다. 또한조류의성장의원인이되는인자로서 TP가평가항목으로선정되어야한다. 본연구에서는여러가지연구결과를종합하여 COD, Chl-a, TP의세가지를부영양화평가지표항목으로선정하였다 나. 한국형부영양화평가지수 (T S I K O ) 의개발 한국의호소자료를토대로부영양화를평가하는지수를개발하였다. 전술한바와같이 COD와 Chl-a가중심적인지표항목이되므로 Chl-a를기준으로부영양화도를구분하고 COD와 Chl-a, Chl-a와 TP의상관관계를적용하여지수를만들었다. 우선 Ch l- a 농도를기준으로 에서 1사이의지수를만들었다. 엽록소농도 1, mg / m3을호소에서발생할수있는최고치로보았고, 엽록소농도 7~ 1 mg / m3을부영양호의기준으로보았다. 부영양호의기준으로 Chl-a 농도 1 을기준으로잡고이농도에서 TSI가 5이되도록하였다. Chl-a 1 mg / m3을 TSI 5으로정하고최대값 1, mg / m3의지수를 TSI 1으로정하여, lo g (Ch l-a) 를 C hl-a 1 에서 1,까지를일정간격으로분할하여지수를 5, 6, 7, 8, 9, 1으로정하였다. 그결과지수 1 증가는 Chl-a 2.5 배증가에해당하였다. TSI 5 이하에서는지수가 1 감소할때마다 1/2.5 를곱하여감소시켰다. 한편, 세가지의 TSI를종합할때에는외부기원유기물의지표인 COD에 5% 의비중을주고, 내부생성유기물에 5% 의비중을주는것이타당하다. 따라서 Chl-a 와 TP에각각 25% 씩의가중치를주어평가하는것이적절한것으로판단하였다.
1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2-2. 2 차년도연구결과 1. 주요연구결과 가. 호소현장조사 5개의호소를선정하고각종수질인자와부영양화평가지표관련항목들을조사하여차후부영양화평가기준개발에활용할수있는자료를수집하였다. 금강과영산강수계를중심으로대형호소와소형저수지, 빈영양호에서과영양호까지광범위한특성의수질자료를수집하였다. 대상호소는빈영양호인주암호, 중영양호인대청호, 부영양호인왕궁저수지, 과영양호인영산호와성암저수지이었다. 모두 24 년 12월, 1차조사를시작으로 4 월, 6월, 8 월까지총 4 회로계절적인특징이뚜렷한시기에조사하였다. 수심이깊은대청호와주암호의경우 1차조사시기인 12 월에수직혼합이일어나는것을볼수있고, 4월조사에서는표층의수온이증가하며성층현상이나타나기시작하는것을볼수있었다. 그리고하절기인 6 월, 8월조사에서는성층을확실히확인할수있었다. 그에비하여수심이얕은영산호, 그리고소형저수지인성암저수지와왕궁저수지는수심이 1 m 이내로바람의영향에의한교란이뚜렷하여전조사기간에거의완전혼합상태를나타냈다. 수중의용존산소 (DO) 는대기로부터용해되어유입되거나광합성생물에의해생성되고생물의호흡과분해에의해소비된다. 따라서부영양한호소일수록표층의용존산소는과포화되어있으며, 심층에서는유기물분해에따라많은산소가소비되어용존산소의고갈이발생한다. 수심이깊고중영양상태의대청호에서용존산소분포는 1차에서 3차조사까지심층까지풍부한용존산소가존재하여산화환경을나타내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하지만, 4차조사시기에는성층의생성으로인해수심 2 m 이하에서용존산소가 5 mg /L 이하로나타났다. 대부분의어류가번식을위해서는 4 mg /L 이상을요구하므로 8월대청호의심층에서어류의성장이감소할것으로보인다. 주암호도대청호와유사한경향을보였다. 수심이얕은영산호, 그리고소형저수지인성암저수지, 왕궁저수지에서는높은용존산소를보였고, 수온이상승한 8월에감소하였다. 용존산소의수평적인변이는크게나타나지않았다. 부유물질과탁도역시호소의영양상태를설명할수있는좋은지표가된다. 부유물질은육상기원의토양입자와같은무기성과수체내에서증식하는조류와같이생물체에기원을둔유기성 ( 휘발성 ) 으로분류된다. 호소의부유물질은다량의무기현탁물이유역으로부터유입되는홍수기를제외하고는주로내부기원에의한물질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19 들이 기여한다. 탁도는 빛을 산란하는 정도로 측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무게로 측정하는 부유물질 (SS) 과 탁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탁도는 입자가 작은 부유물의 상대 적 기여도가 크므로 입도가 크게 다른 시료에서는 SS와 탁도의 비가 다르게 나타 난다. 일반적으로 부유물의 입자가 작은 호소에서는 탁도 /SS 비가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본 조사 결과 부유물질 (SS) 의 농도는 부영양호인 영산호와 성암저수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체류시간이 긴 대청호와 주암호의 경우 무기현탁물질의 비율이 낮았다. 8 월에 대청호의 부유 물질이 급격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강우 후에 조사를 실시하여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대상 호소인 대청호의 경우, 8월 표층 1 m까지 DOC농도 9 mg / m3을 보였고 그 외에 조사에서 1~3 mg / m3 농도 범위를 보였다. POC는 전 조사 기간 동 안.2~3.2 mg / m3의 농도 범위를 보였다. 주암호에서는 전 조사 기간 동안 DOC 1~3 mg / m3 농도 범위를 보였고 POC는.8~5.4 mg / m3를 보였다. 영산호에서 전 조 사 기간 동안 DOC 2~8 mg / m3 농도 범위를 보였고 POC는.4~4 mg / m3를 보였다. 왕궁저수지에서는 전 조사 기간 동안 DOC 2~4 mg / m3 농도 범위를 보였고 POC는 1~12 mg / m3를 보였다. 성암저수지에서는 전 조사 기간 동안 DOC 2~1 mg / m3 농 도 범위를 보였고 POC는 1~1 mg / m3를 보였다. 유기물은 궁극적으로 1차생산자의 광합성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수중의 광합성 생물에는 식물플랑크톤, 수생식물, 부착조류, 광합성 세균 등이 있지만, 호소의 1차 생산은 대부분 식물플랑크톤과 수생식물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기여도는 생 물량과 호소의 형태 또는 영양단계에 의해서 좌우된다. 본 연구의 결과, 대청호에서는 표층 DOC농도가 높았던 8월 조사에서 일차생산이 498 mgc/ m2 /day 를 보였고, 그 외의 조사는 33~49 mgc/ m2 /day의 범위를 보였다. 주암호에서는 6월 조사에서 33 mgc/ m2 /day을 보였고, 다른 조사 시기에는 약 15 mgc/ m2 /day 의 일차생산을 보였다. 영산호는 3월에 가장 높은 1,69 mgc/ m2 /day의 일차생산을 보였고, 8월에는 263 mgc/ m2 /day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왕궁저수 지는 3월 175 mgc/ m2 /day에서 8월에는 686 mgc/ m2 /day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 다. 성암저수지는 모든 조사 시기에 높게 측정되었다. 특히 3월에는 1,364 mgc/ m2 /day 의 가장 높은 일차생산력을 보였다.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2. 질소 / 인비율및부영양화제한요인연구 가. 수중 N / P 비조사 질소와인의비율 (N/P atomic ratio) 은호소에서식물플랑크톤의성장을제한하는요소로알려져왔으며낮은 N/P는남조류의우점을유도하는등식물플랑크톤의천이에도중요한역할을하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Lambou et al., 19 76; Cla es so n an d Ry di ng, 19 77; Sch in dle r, 19 78 ). N /P 15 ~2 이상에서는인이제한영양소로 1~2 의범위는변이대로간주되며 1 이하에서는질소가제한영양소로작용하는것으로알려져왔다 (Forsberg and Ridying, 198). 5개현장조사호소에서모두 2 이상으로인제한을나타냈고, 주암호와대청호는모든조사기간동안 N/P 비가 1 을넘었다. 나. a l g a l a s s a y 결과에의한제한요인분석 AGPT 검정법은부영양화의파악과조류발생의예측뿐아니라제한영양염추정을할수있으며 (Goldman, 1978), 수질의오염도를판별하는척도가될수있다. 이러한측면에서볼때, 신 (23 ) 등에의한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를통한진양호의 AGPT 결과는수중 NH 4 -N와 SRP 영양염농도와유의한상관성이관찰되어실제수질오염도를잘반영하고있으며, AGPT에대한질소와인의영향은두영양염중어느한영양염이감소되거나고갈된구간에서그값은감소한다. 본연구에서는현장조사대상인 5개호소에대해 AGP test와 nutrient spike test 를실시하였다. 배양시간에따른조류의최대성장은대부분배양 11 일에나타났기때문에 14 일배양후측정된 Anabaena flos-aquae의최대밀도를비교하였다. 조류의 in vivo fluorescence와흡광도법으로측정한 Chl-a는높은상관성 (r 2 =.44) 을보이는것이확인되었으므로본연구에서는 in vivo fluorescence를조류밀도의지표로측정하였다. AGP를비교하여볼때빈영양호인대청호 1과 3지점에서가장낮은 AGP를나타냈으며, 영산호의 3지점에서가장높은값을나타냈다. 지점에따른계절별변화를보면, 과영양호인영산호에서 AGP의계절변동이가장컸다. 모든호소에서 P가제한영양소로판정되었다 ( 표 2-8).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21 < 표 2-8> 2차년도 algal assay에 의한 각 호소별 제한영양염의 조사 결과 Date +N +P N/P ratio 제한영양소 대청호 2차 (3 월 ) - 344 P 4차 (8 월 ) - 13 5 P 주암호 2차 (3 월 ) - 29 P 4차 (8 월 ) - 13 P 영산호 2차 (3 월 ) - 7 P 4차 (8 월 ) - 48 P 왕궁지 2차 (3 월 ) - 56 P 4차 (8 월 ) - 79 P 성암지 2차 (3 월 ) - 21 P 4차 (8 월 ) - 6 P ( ; 조류 성장 증가 ) 3. C h l - a 표준측정방법개선안제시 가. 각 C h l - a 측정방법의비교검토 현재 사용되고 있는 Chl-a 측정방법은 측정원리에 따라 흡광법, 형광법, 액체 크 로마토그래피법 (HPLC) 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흡광법이 간단하고 과거 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으므로 표준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형광법은 감도가 높으 므로 적은 양의 시료로도 측정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세포가 살아있는 현탁액 상태 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차가 크다. HPLC는 여러 가지 색소와 불순물이 섞여 있는 시료에서 각 성분들을 분리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일반적인 호소수질환경 조사에서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다. Chl-a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용매를 사용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부유물을 제거한 뒤 용매 중의 엽록소 농도를 측정한다. 현재 추출용매로서는 아세 톤 9% 용액, 메탄올, N-N-dimethyl formamide(dmf)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가 운데 아세톤이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흡광계수도 잘 측정되어 있어 표 준방법으로 채택되어 있다. 그러나 세포벽이 강한 녹조류와 남조류의 세포는 아세 톤에서 파괴되지 않아 색소가 잘 추출되지 않는다. 규조류가 우점하는 해양환경이
2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나남조류물꽃이발생한호소의시료에대해서는아세톤을사용해도좋으나일반적인부영양호에서는녹조류와남조류가흔히출현하므로적절하지않다. 따라서아세톤을사용하는경우에는세포의파쇄를돕기위해유리섬유여과지를 homogenizer 에서마쇄하여유리가루가세포를분쇄하도록하여야한다. 현재추출용매로서는 DMF가가장좋은것으로평가되고있다. 파쇄를하지않아도대부분의조류세포가파괴되어추출효율이좋다. 또한용액중에서색소가장시간안정하므로보관이용이하며, 엽록소의흡광계수는아세톤용액에서의흡광계수와유사하므로기존의아세톤추출법의계산식을그대로사용할수있다 (Speziale et al., 1984). 나. 엽록소추출방법의개선 2차년도에조사한 5개의호소에서 9% Acetone과 N-N-dimethyl formamide (DMF) 두가지다른추출용매을이용하여 Chl-a 농도를측정하여비교하였다. 두출출용매모두흡광하는파장이변화가없는것을볼수있다. 두가지에서발색되는 Chl-a의형태가유사하다는것을확인할수있다 ( 그림 2-4). Chl-a 농도를계산할때, Lorenzen 방법을이용할경우 DMF로추출한것이아세톤으로추출한 Chl-a 와 1.8 배, UNESCO법의경우에도.98로모든호소에서두가지용매로추출한농도가거의동일한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2-5, 그림 2-6). 본연구의결과공정시험법에서사용되고있는추출용매를 9% Acetone을이용하지않고 DMF를이용하여같은결과를얻을수있다는것을확인하였다. 따라서마쇄과정이필요없는 DMF를표준추출방법으로채택하여사용할것을제안한다.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23.5.4 DMF Acetone ABS.3.2.1. 3 4 5 6 7 8 9.5 Wavelenght(nm).4 DMF+acid Acetone+acid ABS.3.2.1. 3 4 5 6 7 8 9 Wavelenght(nm) < 그림 2-4> 두가지용매제로추출한 chlorophyll a의흡수 spectrum비교 ( 실선 : DMF, 점선 : Acetone, + acid : 산첨가 )
2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8 Chl. a extracted with DMF (ug/l) 6 4 2 Chl(DMF) =1.8Chl(Acetone) R 2 =.98 2 4 6 8 Chl. a extracted with 9% acetone (ug/l) < 그림 2-5> 아세톤과 DMF 용매에의해추출된 Chl.a 농도 비교 (Lorenzen 방법 ) 1 Chl. a extracted with DMF (ug/l) 8 6 4 2 Chl(DMF) =.98Chl(Acetone) R 2 =.99 2 4 6 8 1 Chl. a extracted with 9% acetone (ug/l) < 그림 2-6> 아세톤과 DMF 용매에의해추출된 Chl.a 농도 비교 (UNESCO 방법 )
제 2 장 1, 2 차년도연구요약 25 4. 국내호소의부영양화평가항목선정 가. 부영양화지표항목의특성 1) CO D 호소의부영양화평가를위하여 COD와 Chl-a, TP를중심항목으로사용하고, SD, TN을보조자료로서사용하는것이적절하다. COD는외부기원유기물의양을나타내는지표이며 Chl-a는조류의양, 즉호소내부기원유기물의양을나타내는지표이다. 따라서외부기원유기물의기여도가높은호소에서는 COD가의미를가지며, 외부기원유기물의기여도가작은경우에는 Chl-a가의미를가진다. 따라서이들두지표를합하여호소의수질및부영양화를평가하는지표를만들었다. 2) Ch l- a 조류의밀도를나타내는간접지표로서호소일차생산량 ( 내부생성유기물의양 ) 과상관관계를가지므로일차생산량의지표로서사용한다. 일차생산은외부기원유기물과함께호소내유기물부하량의큰두가지근원이므로이를지표하는 Chl-a 농도는부영양화평가지표로서매우중요하다. 3) TP TP는호소에서조류성장의제한인자이므로 Chl-a와밀접한상관관계를가진다. 조류가성장하는원인이므로유기물내부생성의원인인자로서 Chl-a와유사한의미를가진다. 그러나우리나라에서는체류시간이짧은인공호가대부분이므로 TP가높더라도조류의성장이억제되는사례가많다. 첫째, 홍수기에혼탁하여빛이제한요인이되는경우도있다. 둘째, 체류시간이짧아조류가호소하류로유출되는경우에는인의농도가높더라도조류가충분히성장하지못하므로이러한경우에는 TP 가부영양화의지표가되지못한다. 따라서 TP를부영양화지표로사용할때에는체류시간이일정기준이상일경우에만적용하도록제한을두어야한다. 4) 투명도 ( 탁도 )
2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투명도 (Secchi disc transparency) 는체류시간이긴자연호에서는좋은조류밀도의지표이지만우리나라에서는적합하지않다. 투명도를부영양화지표로사용하는근거는호소의부유물질이대부분조류세포라는가정이다. 체류시간이긴자연호에서는외부유입부하량이상대적으로작기때문에외부에서유입한무기부유물질이대부분침강하고수중에남아있지않다. 그러나인공호위주인우리나라에서는체류시간이짧아무기부유물질이많이함유되어있으므로이무기부유물질이투명도를좌우한다. 특히강우시에는많은무기물과 detritus가유입하여물을혼탁하게하며오히려조류의성장을억제하여조류밀도가낮아진다. 그러므로우리나라의자연여건에서는투명도가부영양화의지표가되기어렵다. 5) 질소 질소는우리나라의호소에서는조류성장의제한요인이아니므로부영양화평가의핵심지표가아니다. 질소가조류의성장제한요소가되려면적어도.3 mgn/l 이하로낮아져야하며 N/P의비가 2 이하이어야한다. 그러나우리나라의호소에서는질소의자연배경농도가 1 mgn/l이상을보이고있으므로질소의결핍이일어나지않으며다만무기질소의고갈이단기적으로발생할뿐이다. 또한 N/P의원자비도모든호소가 2 이상을보이고있으며, 특히영양염류농도가낮은대형댐에서는더욱더큰값을가지므로인이제한영양소일것으로예상된다. N/P비가낮은호소는하류지역의부영양호로서질소가결핍되어 N/P비가낮아진것이아니라인의농도가과다하게증가하여 N/P가낮아진것이므로이러한호소에서는영양소과잉으로인하여질소제한이나타나지않는다. 따라서질소는우리나라에서는부영양화의지표가될수없다. 그러나일반적으로질소의농도가인과유의적인양의상관관계를보이므로영양염류의양을나타내는보조지표로사용할수있다. 나. 부영양화평가항목의선정 우리나라의자연환경특성을고려하여 COD, Chl-a TP의세가지를호소부영양화평가항목으로선정하였다. 질소는제한영양소가아니므로수질항목과의상관성이낮았기때문에제외하였다. 그외에투명도와탁도는 TP와상관성이높으므로보조자료로서사용할수있다.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27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1. 부영양화평가기법의현장적용 1. 한국형부영양화지수개발 가. 부영양화지표항목의특성과평가지표항목의선정 본 연구에서는 호소부영양화의 평가항목으로서 COD, Chl-a, TP 를 선정하였다. 항목의 선정을 위해서는 부영양화의 정의와 호소의 수질을 평가하는 개념의 설정부 터 결정할 필요가 있다. 호소 부영양화란 단순히 조류의 양적 증가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호소내 유기물 의 총량의 평가를 함유하는 더 넓은 의미를 가질 수도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호소 의 수질을 관리하는 측면에서의 필요성을 본다면 단순히 조류의 양만을 평가하는 것보다는 유기물의 총량을 평가하는 데에 초점을 둔 평가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 다. 호소 내 유기물의 평가를 위해서는 근원이 되는 일차생산을 평가하여야 한다. 그 러나 일차생산력은 측정이 어려우므로 대안으로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을 평가하 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도 측정이 간단하지 않으므로 Chl-a 농도로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을 대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때로는 식물 플랑크톤의 밀도의 간접적 지표가 되는 투명도를 사용하거나, 식물플랑크톤 성장잠 재력을 나타내는 TP를 지표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부영양화를 평가하는 지수로서 TSI(trophic state index) 가 제안되었고 Chl-a, TP, SD를 지표항목으로 이용하여 부영양화를 평가하고 있다 (Carlson 1977). 자연호에서는 유기물의 대부분이 호소내 일차생산에 의해 생성된 것이므로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일차생산력이 유기물농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인공호와 같은 유입부하량이 큰 생태계에서는 외부기원유기물의 양이 더 많 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만으로는 유기물부영양화가 반 영되지 않는다. 또한 난분해성 외부기원 유기물의 중요성이 큰 우리나라의 인공호 의 특성으로 볼 때 COD가 가장 중요한 핵심항목이 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부영양 화에 따른 내부생성유기물, 즉 조류의 일차생산력 증가를 나타내는 Chl-a가 중요한
2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지표가 된다. 또한 조류의 성장의 원인이 되는 인자로서 TP를 평가항목으로 선정하 였다 본 연구사업에서는 1차년도와 2차년도에 1 개 호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부영양화 평가지표항목의 특성을 연구하였고, 호소부영양화평가에 적 용할 지표항목을 선정하였다. 나. 부영양화지수개발에사용한호소수질자료의상관성검토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1 개 호소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자료와 함 께 환경부와 한국농촌공사의 호소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부영양화 지수를 개발하였 다 ( 그림 3-1). 호소의 수질 자료는 계절에 따른 큰 변동을 보이므로, 대표치로서 동 계를 제외한 자료 (3 월~1 월 ) 의 중앙값 (median) 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평균을 대표치로서 사용하는 예가 많이 있으나 평균은 하나 혹은 두 개의 비정상적인 측정 치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환경조사 자료의 경우에는 중앙값이 더 통계적인 안정 성이 있다. 환경부관리대상 호소와 농촌공사의 관리대상 호소의 수질자료가 동일한 상관관계 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두 그룹의 호소의 수질자료를 합하여 분포분석에 사용하였다 ( 그림 3-1). 수질의 누적분포에 있어서는 농업용 저수지가 더 높은 COD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3-2). 본 연구에 사 용한 자료에는 전국의 규모가 크거나 수자원 또는 자연자원으로서의 가치가 큰 호 소 5 여 개가 포함되었으므로 저수량으로 볼 때 대부분의 호소롤 포함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국의 호소는 약 18,개 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 외에도 많은 소규모 호소가 존재하고 있으나 수량의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에 사용된 호소의 자료만으로도 우리나라 호소의 전체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제3장 부영양화조사 및 평가체계 연구 29 5 수질 측 정망자 료(호수) 수질 측 정망자 료(농업 용수) 본 연 구 조 사자 료 COD (mg /L) 4 3 2 1 3 6 9 12 Total Phosphorus ( / L) Chlorophlly (mg / ) 5 수질 측 정망자 료(호수) 수질 측 정망자 료(농업 용수) 본 연 구 조 사자 료 4 3 2 1 3 6 9 12 Total Phosphorus ( / L) 5 수질 측 정망자 료(호수) 수질 측 정망자 료(농업 용수) 본 연 구 조 사자 료 COD (mg /L) 4 3 2 1 1 2 3 4 5 Chlorophlly (mg/ ) <그림 3-1> 수질항목간의 상관성 분석(본 연구의 조사자료와 환경부호소수질관리대상, 및 농업용저수지 수질측정망 자료사용)
3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1 9 8 본연구조사자료수질측정망자료호수 ( ) 수질측정망자료농업용저수지 ( ) 누적빈도 (%) 7 6 5 4 3 2 1.1.1 1 1 1 Log (COD) 1 본연구조사자료 9 수질측정망자료호수 ( ) 수질측정망자료농업용저수지 ( ) 8 누적빈도 (%) 7 6 5 4 3 2 1.1 1 1 1 1 1 1 9 8 Log (TP) 본연구조사자료수질측정망자료호수 ( ) 수질측정망자료농업용저수지 ( ) 누적빈도 (%) 7 6 5 4 3 2 1.1.1 1 1 1 1 1 Log (CHL) < 그림 3-2> 수질항목의누적빈도분포 (%) ( 본연구에서조사한 1 개호소, 환경부관리대상호소, 및농업용저수지자료사용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1 다. 부영양화평가지표항목의주성분분석 (P C A ) 부영양화의평가와관련이있는지표항목으로서 Chl-a, TP, COD, Secchi disc transparency(sd), 탁도, TN 등을대상으로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PCA) 을실시하였다. PCA는변수들간의상관관계를분석함으로써유사한행동을보이는변수들을그룹화하는다변량분석기법이다. 투명도는다른요소와의역함수관계를가지므로선형의관계를가지는변수로변환하기위하여역수를사용하였다. PCA 분석결과를보면 COD와 Chl-a 은상관이높아유사한변동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고, TN은다른항목들과의상관성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3-1~3-3, 그림 3-3~3-5). 즉, 우리나라에서는질소가제한영양소가아니므로수질에미치는영향이작은것으로해석된다. 따라서질소는호소의수질과부영양화를평가하는데좋은지표가되지않는것으로판단된다. 투명도와탁도는기본적으로유사한지표항목이므로높은상관계수를보이고, 동일한변동을보이는것은당연하다. 주목할만한사실은 TP가투명도및탁도와높은상관을보이며변동한다는점이다. 이는인의많은부분이입자상으로존재하며, 혼탁한물의 TP가높다는것을시사하는것이다. 무기인이부유물질에흡착되어입자상으로변화하기도하고, 식물플랑크톤의세포에흡수되어입자상유기인의형태로존재하는양도많다. 따라서 TP의자료가부족한경우에는투명도나탁도를이용하여 TP를어느정도가늠할수있다 ( 표 3-4). 현재환경부의수질측정망대상호소의조사항목을보면측정항목이동일하지않으며, 일부호소에서는투명도를측정하지않고있으며, 일부호소에서는탁도를측정하는곳도있다. 탁도는간단히측정할수있고수질의좋은지표이며근래에탁도계가많이보급되어있으므로앞으로는탁도측정의활용도가높아질것으로예상된다. 이상과같이호소수질지표항목간의관계를분석한결과우리나라의호소의부영양화를평가하기위해서는지표항목으로서 COD, Chl-a, TP를사용하는것이적절한것으로선정하였으며, 투명도, 탁도, TN 등은보조자료로서가치가있는것으로평가된다.
3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표 3-1> 투명도를포함한수질항목들간의상관행렬 ( 본보고서에서조사한 1 개호소의 Chl-a, TN, TP, COD, SD 역수이용 ) C h l - a T N T P C O D 1/ S D C h l - a 1.. 4 23 9. 8 4 77. 9 716. 8 4 5 8 T N 1.. 6616. 3 4 3 5. 5 3 8 8 T P 1.. 8 73 3. 9 119 C O D 1.. 8 8 9 4 1/ S D 1. Prin. Ⅱ 1. TN.5 TP. 1/SD 1. -.5..5 1. CHL COD -.5 Prin. Ⅰ -1. < 그림 3-3> 투명도를포함한주성분분석결과 factor loading. Principal component I은호소의부영양화도를의미하며, Principal component II는호소의질소증가를의미하는것으로해석된다. 즉, TN은다른수질항목들과다른행동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 TN의경우호소부영양화에직접적인요인이아님을의미한다. ( 본연구에서조사한 1 개호소의자료사용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3 < 표 3-2> 투명도와 탁도를 포함한 수질 항목들 간의 상관행렬 ( 본 연구에서 조사한 1 개호소의 자료 이용 ) C h l - a T N T P C O D 1/ S D T u r b. C h l - a 1.. 3 4 3. 8 128. 9 73. 6766. 723 T N 1.. 5 9 65. 29 4 7. 5 3 15. 5 5 4 3 T P 1.. 8 29 4. 8 74 7. 9 3 4 1 C O D 1.. 767. 774 5 1/ S D 1.. 9 728 T u r b. 1. Prin. Ⅱ 1. TN.5 TUR TP 1/SD. 1. -.5..5 1. -.5 CHL COD Prin. Ⅰ -1. < 그림 3-4> 투명도와탁도를포함한주성분분석결과 factor loading. Principal component I은입자상인의증가로인하여 TP와탁도가증가한현상을의미한다. Chl-a 과 COD는유사한행동을보이나 TP와는약간다른변동을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Principal component II는질소의증가를의미하며, TN은다른수질항목에미치는영향이작음을보여준다. ( 본연구에서조사한 1 개호소의자료적용 )
3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표 3-3> 질소를제외한수질항목들간의상관행렬 ( 본보고서에서조사한 1 개호소의 Chl-a, TP, COD, 탁도그리고 SD 역수이용 ) C h l - a T P C O D 1/ S D T u r b. C h l - a 1.. 8 128. 9 73. 6766. 723 T P 1.. 8 29 4. 8 74 7. 9 3 4 1 C O D 1.. 767. 774 5 1/ S D 1.. 9 728 T u r b. 1. Prin. Ⅱ 1..5 CHL COD. 1. -.5. TP.5 1. TUR -.5 1/SD Prin. Ⅰ -1. < 그림 3-5> 질소를제외한주성분분석결과 factor loading ( 본 연구에서조사한 1 개호소의자료적용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5 라. 한국형부영양화지수개발 호소의 부영양화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과거에는 기준을 설정하여 이를 초 과하는 경우에 부영양화로 판정하고 이보다 낮으면 빈영양호로 판정하는 2분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국가에 따라, 학자에 따라 기준이 달라서 불일치하는 경우 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영양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지수 (Trophic State Index, TSI) 가 미국에서 Carlson(1977) 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미국에서 제안된 지수는 지표항목으로서 SD를 기본으로 만들어 졌다. 투명도 2 m를 지수 5으로 정하고 투명도가 2배씩 증감함에 따라 지수가 1 씩 증감하도록 분산을 정하였다. TSI(SD) 가 만들어 진 후 여기에 SD와 Chl-a의 상관관계식을 대 입하여 TSI(Chl-a) 을 만들고, 또다시 여기에 Chl-a와 TP의 상관관계를 대입하여 TSI(TP) 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지수는 미국의 자연호에서 얻은 상관관계식을 사 용하였으므로 우리나라의 인공호에서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우리나 라에 사용할 수 있는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자연호에서는 대개 투명도가 식물플랑크톤의 밀도에 의해 좌우되며 무기부유물질의 양이 많지 않다. 그에 비하 여 우리나라의 인공호에서는 무기부유물질이 많아 홍수기에는 투명도가 식물플랑크 톤의 밀도를 지표하지 못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여름에는 체류시간이 짧아 많은 호 소에서 TP에 비하여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즉, 체류시간이 짧아 인이 충분히 조류 성장에 이용되지 못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호소자료를 사용하여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 (TSIKO) 를 개 발하였다. 우선 평가의 지표항목으로서 전항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COD, Chl-a, TP 를 선정하였다. 부영양화지수를 만드는 첫 번째 방법은 미국의 예와 같이 투명 도나 Chl-a, COD 가운데 하나의 지표를 기준으로 지수를 만들고 이에 상관관계식 을 대입함으로써 COD와 TP, Chl-a 모두를 사용하는 지수를 만드는 것이다. 본 연 구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수를 만들어 안을 1, 2차년도의 보고서에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연구검토의 과정에서 이 지수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우리나라 호소의 자료를 적용한 결과 각 지표 항목간의 상관관계의 변이 폭이 커 서 신뢰구간이 매우 넓고, 상관관계식의 결정계수가 낮았다. 또한 항목간에 비선형 관계 문제와 COD의 자연배경농도의 영향도 지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대신 각 항목의 확률분포함수를 비교 하여 적용하는 방법으로 지수를 수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평가지표항목의 각 저
3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수지의계절적변동의 median이가지는분포확률을조사하여 25% percentile과 75% percentile을산출하였다. 지수의분산을결정하기위하여 25% percentile을지수 4으로정하고 75% percentile을지수 6 으로정하였다. 이는전국 5 여개의호소의수질자료의 median이지수 5을가지게되며지수 4과 6 사이에우리나라호소의 5% 가포함된다는것을의미한다. 각지표항목의분포를 log 변환함으로써선형화하고각부영양화지수와농도의관계식을구하였다. 이방법은호소의부영양화를우리나라의호소수질현황에따라상대평가의기법에의해평가하는의미를가지며또한비모수적인기법의의미도내포하고있다. 호소의절대평가를위해서는이후지수를영양단계로나누는기준을정하면된다 ( 그림 3-6~3-1). 이방법으로도출된 COD, Chl-a, TP의부영양화지수는다음과같다. T S I K O (C O D ) = 5. 8 + 64. 4 l o g (C O D mg / L ) T S I K O (C H L ) = 12. 2 + 3 8. 6 l o g (C h l - a mg / m3 ) T S I K O (T P ) = 114. 6 + 4 3. 3 l o g (T P mg / L ) 위의 세 가지 TSI KO 를 종합할 때에는 외부기원 유기물의 지표인 COD에 5% 의 가중치를 주고, 내부생성 유기물에 5% 의 가중치를 주어 종합 TSI KO 를 계산한다. 내부생성유기물의 지표는 조류의 밀도지표인 Chl-a이며 TP는 조류의 밀도를 좌우 하는 지표이므로 이 두 가지에 각각 25% 의 가중치를 주어 다음과 같이 계산하면 된다. 종합 T S I K O =. 5 T S I K O (C O D ) +. 25 T S I K O (C H L ) +. 25 T S I K O (T P ) 이외에도투명도와탁도도부영양화를지표하는보조자료로서사용할수있다. 조사기관에따라투명도를측정하기도하고탁도를측정하기도하므로가용한 조사항목에따라다음두가지지표가운데에서선택하여사용할수있다. T S I K O (S D ) = 5 6-4 9. 6 l o g (S D m ) T S I K O (T U R ) = 29. 7 + 28. 1 l o g (T U R N T U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7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5. 1. 15. 2. COD ( mg /L)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1. 1. 1. COD ( mg /L) < 그림 3-6> COD 와그에대응하는 TSI KO (COD) 의관계. ( 위 ; 산술좌표, 아래 ; 로그좌표 )
3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TSIko(CHL) 1 9 8 7 6 5 4 3 2 1 TSI ko.1 1. 1. 1. 1. Chl-a ( mg / m3 ) TSIko(CHL) 1 9 8 7 6 5 4 3 2 1 TSI ko. 5. 1. 15. 2. Chl-a ( mg / m3 ) < 그림 3-7> Chl-a 와그에대응하는 TSI KO (CHL) 의관계. ( 위 ; 산술좌표, 아래 ; 로그좌표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39 TSIko(TP) TSI ko 1 9 8 7 6 5 4 3 2 1..1.2.3.4.5 TP ( mg /L) 1 TSI ko 9 8 7 TSIko(TP) 6 5 4 3 2 1.1.1.1 1. TP ( mg /L) < 그림 3-8> TP 와그에대응하는 TSI KO (TP ) 의관계 ( 위 ; 로그좌표, 아래 ; 산술좌표 )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TSIko(SD) 1 9 8 7 6 5 4 3 2 1 TSI ko. 2. 4. 6. 8. 1. SD(m) TSIko(SD) 1 9 8 7 6 5 4 3 2 1 TSI ko.1 1. 1. SD(m) < 그림 3-9> 투명도와그에대응하는 TSI KO (S D) 의관계. ( 위 ; 산술좌표, 아래 ; 로그좌표 )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41 TSI ko TSIko(TUR) 1 9 8 7 6 5 4 3 2 1. 2. 4. 6. 8. 1. TUR (NTU) TSIko(TUR) TSI ko 1 9 8 7 6 5 4 3 2 1.1 1. 1. 1. 1. TUR (NTU) < 그림 3-1> 탁도와그에대응하는 TSI KO (T U R) 의관계. ( 위 ; 산술좌표, 아래 ; 로그좌표 )
4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마. 부영양화지수에의한부영양화판정 부영양화지수는정밀하게호소의상태를나타낼수있는장점이있으므로소폭의수질변화를간명하게나타낼수있으므로호소의관리에간편하게사용할수있다. 부영양호와빈영양호로구분하는구분법을이지수와비교한다면 < 표 3-6> 과같이제안할수있다. 현재외국에서적용하고있는부영양호의기준은국가에따라차이가큰데, 일반적으로 Chl-a농도 7~1 mg / m3이상이면부영양호로판정된다. 이농도는본연구에서개발된 TSIKO의 45~5에해당한다. 그러므로 TSIKO가 5 이상이면확실히부영양호라고판정할수있다. 그외에중영양호와과영양호를추가하여 4단계로구분한다면 TSIKO 3 이하를부영양호, 3 이상에서 5까지를중영양호, 5 이상에서 7 까지를부영양호, 7 이상을과영양호로구분할수있다 ( 표 3-4). 이와같은단계구분은인위적인것으로서견해가다를수있으므로필요에따라서단계의기준을변경할수있다. 본연구에서는서로다른수질항목에각각다른가중치를부여하여종합적으로호소의수질상태와부영양화를평가하는방법을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COD에 5%, Chl-a과 TP에 25% 의가중치를부여하고있다. 이것은이수의편이성과생태계건강성을두루포함하는지수이다. 만일각수질지표항목에대해이수목적별로다른가중치를준다면특수한목적에적합한수질평가기준을만들어적용할수있을것이다. 예를들면, 상수원수의평가에서는소독부산물질의전구물질인난분해성유기물을평가하기위해 COD의가중치를더크게줄수있고, 농업용수의평가에서는 TP를제외하고 COD와 Chl-a를선택할수있으며, 생태계건강성평가를위해서는 COD를제외하고 Chl-a와 TP, SD를선택할수있다. 관광용호소에서는탁도나투명도에더큰가중치를주는것이타당할것이다. 또한해양의부영양화억제를위한평가자료로사용하기위해서는현재부영양화지표항목에서빠진항목인 TN 을첨가하여고려할수있을것이다.
제 3 장부영양화조사및평가체계연구 43 < 표 3-4 > 부영양화지수 (T S I KO ) 에대응하는각수질항목의농도 T S I K O 부영양화구분 C h l - a ( mg / m3 ) T P ( mg / L ) C O D ( mg / L ) S D (m ) T U R (N T U ) 1.88. 4 1.16 8.45. 2 빈영양호 2 TSI K O 3 1. 5 9. 7 1.66 5.3 1. 5 3 2. 8 9. 11 2.3 8 3.3 4 1. 4 중영양호 5. 25. 19 3.4 2.1 2. 3 3<TSI K O 5 5 9.53.32 4.86 1.32 5.3 6 부영양호 17. 3. 5 5 6.9 5.8 3 11. 9 5<TSI K O 7 7 31.4.94 9.94.52 27 8 57.159 14.2.33 61 9 과영양호 7<TSI K O 13. 271 2.3.21 13 9 1 18 8. 4 61 29..13 3 15
4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45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4-1. 외국에서적용하고있는부영양화지수사례 부영양화지수를우리나라호소에적용하고외국의부영양화지수와비교함으로써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의범용성을검토하였다. 호소의부영양화를평가하기위한노력이전세계적으로많은연구자들에의해추진되어왔다 (Carlson, 1977; Forsberg and Ryding, 198; OECD, 1982; Nurnberg, 1996; Lampert and Sommer, 1997). 그동안많은연구자들이미국, 핀란드, 폴란드, 에콰도르, 캐나다, 마케도니아, 덴마크, 포르투갈, 일본, 뉴질랜드, 아일랜드등에서호소의부영양화평가에 Carlson(1977) 지수, Forsberg and Ryding(198) 및 OECD(1982) 등이제안한방법들을활용하고있다 ( 표 4-1). Carlson(1977) 의 TSI는호소부영양화도를평가하는데가장널리이용되고있는지수로서투명도 (S D), 표층총인 (TP), 및표층 C h l-a 농도를중심으로 부터 1까지범위에서부영양화정도를평가한다 ( 표 4-2). < 표 4-1> 전세계적으로통용되는부영양화지수와적용사례부영양화지수적용국가참고문헌제안자호소 OECD, 1 Finland 43 Turkia & Lepisto, 1999 Forsberg & Ryding 2 C arls on N ort h ea st ern Po lan d 19 Ch ro st & Si ud a, 26 3 C arls on C alifo rnia, U SA 1 Ah ea rn & Da hlgre n, 25 4 C arls on M in ne so ta, U S A 13 M PR B, 21 5 O ECD Ec ua do r 1 Sz e wzy k, 25 6 Carlson Quebec, Canada 12 Pace, 1986 OECD, 7 Cameroon 1 Kemka et al., 26 Forsberg & Ryding Carlson, New Hampshire, 8 1 God kin, 24 Forsberg & Ryding USA
4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표 4-1> 계속부영양화지수적용국가참고문헌제안자호소 OECD, Republic of 9 Nurnberg, 1 Patceva et al., 26 MACEDONIA Forsberg & Ryding 1 Forsberg & Ryding Denmark 39 Brodersen et al., 1998 11 Carlson Portugal 2 Geraldes & Boavida, 1999 12 OECD Florida, USA 1 Coveney et al., 25 13 Carlson Minnesota, USA 1 Axler et al., 1998 14 Ca rlso n P ola nd 14 S zy per & Go ldy n, 22 15 OECD Japan 41 Takamura & Nojiri, 1994 16 OECD New Zealand 31 Duggan et al., 22 17 OECD Ireland 32 DeNicola et al., 24 Carlson, 18 Forsberg & Ryding, Lampert & Sommer 19 Ca rlso n New Hampshire, USA Northern Virginia, USA 5 Bailey & Davignon, 1999 1 Eg g i nk, 21 2 Carlson Minnesota, USA 1 Olmanson et al., 22 21 Carlson Poland 19 Kiersztyn et al., 22 22 Carlson Minnesota, USA 2 Sawaya et al., 23 23 Carlson Arkansas, USA 1 Haggard et al., 1999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47 < 표 4-2> Carlson(1977) 의 부영양화지수 (TSI) 와 대응하는 수질변수. T S I 투명도 (m ) 총인 (u g / L ) 엽록소 a (u g / L ) 64.75.4 1 3 2 1.5. 12 2 16 3.. 3 4 3 8 6..94 4 4 12 2.6 5 2 24 6.4 6 1 48 2 7.5 96 56 8.25 192 154 9.12 384 427 1. 62 768 1,18 3 그러나외국의지수들이대부분자연호를대상으로조사된상관관계식을사용하였으므로우리나라의인공호에서는적합하지않은측면들이있다. 동일한 Chl-a 농도에대해우리나라의호소에서 TP가더높은값을보이는데이것은조류의성장에제한영양소이외의체류시간과빛투과도가영향을주기때문이며, 호소의투명도를좌우하는요인으로서조류의밀도이외홍수기에유입하는탁수의영향등으로투명도값이더작게나타난다. 이는기후적특성에따른우리나라호소의특징이다. 4-2. 한국형부영양화지수 (T S I K O ) 의범용성검토 앞서미국의부영양화지수가우리나라호소의자료와불일치하는점을서술하였다. 우리나라호소의수질자료의현황과각지수간의관계를 < 그림 4-1, 4-2> 에서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각항목의 TSI KO 간에는높은상관성이나타나고있다. 이는 TSI KO 가호소의수질을일반적으로잘반영하고있다는것을의미하며, 각수질항목을종합하여호소의부영양화실태를잘나타낸다고결론지을수있다. 종합 TSI KO (COD, Chl-a, TP를사용한 TSI KO 의가중평균 ) 와각수질항목간의상관관계를비교해보면 COD가종합 TSI KO 와가장높은상관성을보였다. 이는 COD에주는가중치가크기때문이며, COD가종합적으로호소의수질을가장잘
4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반영한다는것을의미하기도한다. Chl-a는낮은농도에서종합 TSI KO 와불일치하는측면이많다. 이는낮은조류의밀도가낮은경우호소의수질은조류밀도보다는다른요인들에의해서좌우된다는것을의미한다. 예를들면, 겨울의혼합기, 홍수기의 washout, 탁수기의성장저해등이조류의성장에큰영향을준다는것을시사한다. 높은 Chl-a 농도에서는 TSI KO (C HL) 은 TSI KO (COD) 보다큰값을보이게된다. 이는 Chl-a 농도에대한가중치가 COD보다작게주어졌기때문에나타나는본지수의고유한특성이라고볼수있다. 외부에서무기인이많이유입하여조류가크게증가하더라도외부기원유기물의양이이에비례하여유입하지않는경우에는 COD가조류밀도에정비례하여증가하지않으므로 TSI KO (CH L) 이 TS I KO (COD) 보다큰값을가지게된다. 하수처리장에서유기물이제거된방류수가방류되는경우, 농경지의화학비료가많이유출되는경우가이에해당하는사례가될수있다. TP는종합 TSI KO 와비교할때 Chl-a와는반대로높은농도에서불일치하는경우가많이나타난다. 즉, TP는높으나 Chl-a이낮은예들이많이있다는뜻이다. 우리나라호소에서는여름철홍수기에높은 TP가유역으로부터유입되지만홍수기짧은체류시간이나높은무기부유물질 (NVSS) 로인한빛투과도감소의영향에의해조류성장이저해되고 COD도상대적으로높지않은변동을보인다는것을시사한다 ( 그림 4-4 ). 한편, 투명도와탁도는수질을간접적으로지표하는항목이될수있음을언급한바있으며, 이는두항목을이용하여만든지표는다른수질항목과비교하여좋은상관성을보이기때문이다. 탁도보다는투명도가더좋은상관성을보이고있으므로앞으로호소의조사에서는투명도측정을추가하여보조수질자료로활용하는것이바람직하다 ( 그림 4-3). 미국에서는 Great American Secchi dip-in이라는일반시민이참여하는투명도모니터링프로그램이있는데, 호소주변에사는주민들이각자담당한호소에서수시로자주투명도를측정하여보고하고데이터베이스를만들어가는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각저수지를관리하는관리자나낚시터관리인등의시민이참여하는투명도모니터링을도입하여자료도수집하고시민들의환경보호의식을높이는데에기여할수있도록하는것이필요하다. 이상의결과를종합하면본연구에서개발된 COD, Chl-a, TP를사용하는종합 TSI KO 는전반적으로국내의기후적특성에따라호소의수질을잘반영하는것으로판단된다.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49 TSIKO 1 9 8 7 6 5 4 3 2 5 1 15 2 25 COD ( mg / m3 ) TSIKO 1 9 8 7 6 5 4 3 2 2 4 6 8 1 Chl-a ( mg / m3 ) 1 9 8 TSIKO 7 6 5 4 3 2 1 2 3 4 TP ( μg / m3 ) < 그림 4-1> 종합 TSI KO 와각수질지표항목간의 상관분포
5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TSIKO 1 9 8 7 6 5 4 3 2 1 1 1 COD ( mg / m3 ) TSIKO 1 9 8 7 6 5 4 3 2 1 1 1 1 Chl-a ( mg / m3 ) TSIKO 1 9 8 7 6 5 4 3 2 1 1 1 1 TP ( μg / m3 ) < 그림 4-2> 종합 T SI KO 와각수질지표항목의 log 변환간의 상관분포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51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COD)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TSIKO(CHL)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CHL)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CHL) vs TSI KO (COD) 1 2 3 4 5 6 7 8 9 1 TSI KO (CHL) < 그림 4-3> 한국형 TSI KO 의항목간지수비교. ( 본연구에서조사된 1 개호소의자료적용. 실선은기울기 1 의직선을표시 )
5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TSIKO(SD) 1 9 8 7 6 5 4 3 2 1 TSI KO (COD) vs TSI KO (SD) 1 2 3 4 5 6 7 8 9 1 TSIKO(COD) TSIKO(TUR) 1 9 8 7 6 5 4 3 2 1 TSI KO (COD) vs TSI KO (TUR) 1 2 3 4 5 6 7 8 9 1 TSI KO (COD) TSIKO(SD) 1 9 8 7 6 5 4 3 2 1 TSI KO (CHL) vs TSI KO (SD) 1 2 3 4 5 6 7 8 9 1 TSI KO (CHL) TSIKO(TUR) 1 9 8 7 6 5 4 3 2 1 TSI KO (CHL) vs TSI KO (TUR) 1 2 3 4 5 6 7 8 9 1 TSI KO (CHL) TSIKO(SD)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SD) 1 2 3 4 5 6 7 8 9 1 TSIKO(TP) TSIKO(TUR)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TUR)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 그림 4-3> 계속.
제 4 장부영양화지수의범용성검토 53 TSIKO(COD) TSI KO (TP) vs TSI KO (COD) 1 9 8 7 6 5 4 3 2 1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TSIKO(CHL) TSI KO (TP) vs TSI KO (CHL) 1 9 8 7 6 5 4 3 2 1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TSIKO(COD) TSI KO (CHL) vs TSI KO (COD) 1 9 8 7 6 5 4 3 2 1 1 2 3 4 5 6 7 8 9 1 TSI KO (CHL) < 그림 4-4> 한국형 TSI KO 의항목간지수비교. ( 환경부수질측정망자료적용. 실선은기울기 1인직선을표시 )
5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COD) 1 2 3 4 5 6 7 8 9 1 TSIKO(TP) TSIKO(CHL) 1 9 8 7 6 5 4 3 2 1 TSI KO (TP) vs TSI KO (CHL) 1 2 3 4 5 6 7 8 9 1 TSI KO (TP) TSIKO(COD) 1 9 8 7 6 5 4 3 2 1 TSI KO (CHL) vs TSI KO (COD) 1 2 3 4 5 6 7 8 9 1 TSI KO (CHL) < 그림 4-4> 계속 ( 환경부수질측정망자료및본연구에서조사된 1 개 호소자료적용 ).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55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 터링 방법 5-1. 호소수질조사정점및시기선정방법표준화 1. 호소내수질변동의원인 가. 강우에따른호소수질의변동 호소의수질도하천의수질과마찬가지로시간적변동을가진다. 수체수질의시간적변동주기는체류시간과유입수의수질변동에따라서달라지는데, 하천에서는수질변동의주기가짧고호소에서는길다. 하천의수질은강우에따라크게변동하는데그영향이호소에서도나타난다. 체류시간이짧은인공호의수질은강우에의한영향이더민감하게나타나며, 대형댐에서는비교적강우의영향이완충되어느리게나타난다. 일반적으로강우시호소로유입하는하천수의수질은악화되기도하고개선되기도한다. 점오염원이많은하천에서는강우시증가된유량에의한희석효과에의해수질이개선되는경향이있으며, 비점오염원이큰비중을차지하는하천에서는강우시인과부유물질의유입이커져농도가증가하여수질이악화되는경향이있다. 우리나라의대형댐은주로인구밀도가낮은산간지역에건설되어있다. 유역의인구밀도가낮으므로생활하수와산업폐수발생은적으며농경과축산이주요오염원이다. 농경지의영양염류유출은비점오염원의형태를띠고있으며강우시에대량유출되며갈수기에는거의유출되지않는특성을가진다. 강우시유입하천의유량이매우크고이때인농도도높아지기때문에인부하가강우시에집중된다. 따라서강우시유입하천의수질이나빠지는것이일반적인현상이며, 이에따라강우후호소의수질도나빠진다. 더욱이강우후 2차적인영향으로공급된영양염류에의해호소에서조류성장이증가하는현상이일반적으로일어난다. 나. 호소성층의계절변동과조류밀도의계절변동 대형댐에서수질의변동은강우에의한영양염류의유입이외에도, 계절에따른
5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온도와일사량의변화에의해성층의형성, 동 식물플랑크톤의번성등의요인에의해결정된다. 호소에서는계절에따라온도와일사량이달라지면서호소의성층현상이발생하거나쇠퇴하여혼합층의두께가변동하며 ( 그림 5-1), 이것이조류의천이와밀도변동을유발한다. 조류밀도는일반적으로여름에높아지는경향을보이는데, 겨울에높아지는호소도있다. 조류의계절변동은호소의수질에영향을주어수질의시간적변동을유발한다. < 그림 5-1> 소양호의성층의계절적변동 ( 김범철등, 24) 우리나라의대형댐은연중수온이 4 이상이며겨울에한번순환하는온난일순환형 (warm monomictic lake) 이므로늦가을부터겨울이끝나는초봄까지수직순환이계속된다. 이때에는성층이없으며무광대인심층까지혼합되므로식물플랑크톤이받는광량이조류의성장에필요한보상광도이하이다. 따라서수심이깊은호소에서는혼합기에식물플랑크톤의밀도가가장낮아진다. 수심이얕은호소에서는혼합이되어도광량이충분하므로이와같은겨울의급감현상은없다. 혼합기에는광량은작으나저층의영양염류가공급될수있으므로심층에무산소층이형성되고인의농도가높은호소에서는표층에영양염류가충분히공급될수있다. 그러나심층의무산소층과저질의인용출이뚜렷하지않은호소에서는겨울의혼합기에인의농도가증가하는현상은나타나지않는다. 겨울에는광량이낮으므로낮은광도에적응된규조류가식물플랑크톤군집을우점한다. 봄이되면표층의수온이상승하여성층이형성되면서혼합층의깊이가얕아진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57 다. 그러므로 식물플랑크톤은 빛이 충분한 표층에 머물게 되어 성장에 좋은 조건이 된다. 또한 아직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작으므로 포식압도 낮아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유리하다. 이 때 주로 규조류가 번성하며 봄의 조류 번성을 spring bloom 이라고 부른다. 호소에 따라 이 시기는 다소 차이가 나며 대개 3~5월경이 된다. 규 조류가 번성함에 따라 표층의 영양염류가 점차 감소하고 규소도 감소함에 따라 규 조류의 성장도 정체된다. 또한 규조류의 번성에 뒤이어 동물플랑크톤이 규조류를 먹이로 삼아 대량 증식 함으로써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물벼룩류 가 많이 증식하면 부유물을 매우 효율적으로 걸러 먹어 물이 맑아지는 청수현상 (clear water phase) 이 일어난다. 이 시기는 5~6월경으로 여름 장마 전의 시기이다 ( 김범철 등, 1999). 동물플랑크톤의 번성은 이후 수온의 상승에 따라 어류의 섭식이 활발해지면서 제거되어 감소하며, 식물플랑크톤의 양은 복잡한 먹이연쇄의 과정에 의해 조절된다. 우점종도 초봄의 규조류 우점에서 녹조류와 와편모조류, 남조류, 등으로 천이해 가 며 대개 여러 종류가 출현하는 양상을 보인다. 여름이 되면 호소내에서는 성층 점점 강하게 형성되며 강우량이 증가하고 비료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유역으로부터의 인유입이 증가하여 강우 후에는 식물플랑크톤 의 물꽃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spring bloom 현상도 나타나지만 비점오 염원이 주요오염원인 많은 호소에서는 여름에 식물플랑크톤의 밀도가 spring bloom 을 능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때 호소표층은 수온이 높고, 일사량이 크며, 인의 농도도 연중 가장 높아지므로 남조류의 우점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한다. 주로 Microcystis 속의 종들이 우점한다. 여름에는 동물플랑크톤의 섭식이 활발하므로 겨 울과는 달리 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이 높다. 따라서 이 점도 동물플랑크톤이 잘 포 식하지 않는 남조류가 증식하는데 유리한 조건이 된다. 여름에는 성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강우시에 유입하는 홍수유출수가 호소의 중층 으로 유입하여 저류된다. 이 후 중층의 인은 표층으로 확산되어 식물플랑크톤증식 을 유발한다. 따라서 강우와 물꽃현상은 댐의 규모와 성층의 강도에 따라 시간 격 차를 가지고 발생한다. 즉, 체류시간이 길고 성층이 안정한 소양호와 같은 대형댐에 서는 시간 격차가 한 달 이상으로 길고, 체류시간이 좀 더 짧은 대청호와 같은 호 소에서는 수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발생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대형댐에서는 물꽃현상이 여름에 발생하기 쉽고 장마 후 8월 말에 식물플랑크톤 밀도가 가장 높 아진다 ( 그림 5-2).
5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그러나우리나라에서도팔당호, 의암호, 낙동강하구언등과같은체류시간이짧은호소에서는영양염류의양보다는유량의변동과빛투과도가식물플랑크톤밀도더큰결정요인이되므로날씨에따라불규칙한변화를보인다. 큰비가내리면유량의증가에따라식물플랑크톤과동물플랑크톤이하류로유출되어급격한감소가일어나고, 이후동물플랑크톤군집의회복에는 2주 ~1개월이걸리는데식물플랑크톤은수일내에물꽃현상수준으로증식할수있다. 따라서식물플랑크톤군집의회복이먼저일어남으로써포식압이낮은상태에서급속히성장할수있다. < 그림 5-2> 소양호 Chlorophyll a 농도의계절적변동. 강우후여름에증가하는계절변동양상을보인다. ( 김범철등, 23). 가을이되면강우량이감소하여인부하가감소하며, 표층의수온이낮아짐에따라표층수는수온이동일한수심까지혼합되면서혼합층이깊어진다. 이에따라식물플랑크톤은고온, 고영양염, 고광도에적응된남조류에서저온, 저영양염, 저광도에적응된규조류로천이해간다. 여름동안에영양염류의부하가적은지역에서는강한성층으로인해표층의영양염류가고갈되고심층으로부터공급되지않으므로식물플랑크톤이감소한다. 특히자연호에서는내부부하에의한영양염공급이주요근원이되는데성층으로인하여심층에는영양염의농도가높지만표층에서는낮아지는현상이나타난다. 가을이되어수온이낮아지면서혼합층이점차깊어지는데이때심층의영양염이표층으로공급되어식물플랑크톤이증식한다. 이를 autumn bloom 이라고한다. 대개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59 autumn bloom 은 spring bloom 에비하여밀도가낮고지속기간이짧다. 혼합층이계속깊어지면빛의부족에의해식물플랑크톤이감소하기시작한다. 따라서겨울이되면조류가감소하는주요원인은빛의부족이된다. 이때수심이깊은호소에서는빛부족에의한조류감소효과가뚜렷하지만수심이얕으면겨울이되어도조류의감소가나타나지않을수도있다. 실제로한강하류에서는 2 월에최대조류밀도를보이기도하는데이는수온이조류의밀도에큰영향을주지않는다는것을보여준다. 낙동강의하구호에서도겨울-이른봄유속이느린계절에조류가많이번성하므로온도보다는빛과유속이더중요한요인이된다. 겨울에는수온이낮아식물플랑크톤의성장도느려지지만동물에비해서는영향을덜받는다. 특히광합성의명반응은수온의영향을거의받지않는것으로알려져있다. 게다가겨울에는낮은수온에적응된규조류가우점하므로수온이낮아도일차생산력이유지될수있다. 우리나라의많은호소에서는 Asterionella가겨울에흔히출현하는규조류이다. 또한겨울에는동물플랑크톤의현존량이감소하고포식압이낮아지므로이점은식물플랑크톤의성장에유리한조건이다. 그러나수심이깊은호소에서는혼합층이깊어지면서광도가낮은심층까지분포하므로식물플랑크톤의현존량이감소한다. 결빙이되는호소에서는빛의감소와난류의감소로인한침강률의증가로현존량이감소한다. 다. 체류시간이짧은저수지에서의식물플랑크톤의계절변화 체류시간이짧은저수지나강하류에서는유속과광투과도가가장중요한식물플랑크톤성장제한요소이다. 식물플랑크톤의최대비성장률은.2~2. day -1 이다. 수체의교환율 (= 유입수량 / 저수량 ) 이식물플랑크톤의성장률보다크면식물플랑크톤이성장하기전에하류로씻겨내려가므로생체량이감소한다. 체류시간이짧은저수지에서는홍수기에체류시간의감소가제한요인이될수있다. 유속이느려진하천의하류수역에서는유속이식물플랑크톤의현존량을좌우하는가장주요한요소이며, 현존량과유속은역상관관계를보인다 ( 그림 5-3). 체류시간이조류성장의제한요인이되는환경은강하류에만들어진수심이얕은호소나유속이느려식물플랑크톤성장이가능한하류수역에서나타난다. 한강하류, 팔당호, 낙동강하류및하구호등이대표적인지역이다.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그림 5-3> 한강하류수역에서유속 ( 팔당호방류량 ) 과식물플랑크톤현존량 의관계 ( 남궁현등, 2). 체류시간이제한요소로작용하여체류시간이길수 록조류의밀도가증가하는현상을보여준다. 라. 수직적변이에의한공간적분포변이 호소는 정체 수역이므로 하천에 비해 수질의 공간적 변이가 크게 된다. 특히 성 층기간에는 표층의 수온이 높아 심층과 교류하지 않음으로써 수질의 수직적변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수질의 수직변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조류의 분포로 인한 것이다. 조류는 침강하면 죽기 때문에 침강하지 않기 위한 기작을 가지고 있다. 호소에 서 식물플랑크톤은 성층기에는 상층에 주로 분포한다. 따라서 표수층 (epilimnion) 에 서는 조류의 호흡에 의해 BOD가 높고, COD, DOC, POC 등의 농도가 높다. 호소에서 조류의 수직변이는 혼합층 깊이, 조류세포의 비중, 바람에 의한 혼합강 도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비중이 작은 남조류는 규조류에 비해 수면에 밀집 되는 경향이 강하다. 남조류는 일반적으로 수심 2 m 내에 존재하며 수심 5 m를 넘 으면 밀도가 매우 낮아진다. 그에 비하여 규조류는 혼합층내에 고루 분포하는 경향 을 보인다. 따라서 표층에서의 조류 밀도는 남조류가 우점할 때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규조류는 깊은 곳까지 분포하여 전체적으로 조류의 양은 규조류가 우 점할 때 더 많을 수가 있다 ( 표 5-1). 이러한 조류의 밀집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조류의 밀도를 체적당 농도 ( mg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61 / m3 ) 로나타내지말고, 수직적으로적분하여단위면적당조류량 ( mg / m2 ) 으로나타내 는것이좋다. < 표 5-1> 식물플랑크톤조류종에따른부유기작 조류종부유기작 남조류 기포를가진다. 점액질을만들어비중을낮춘다. 규조류 oil 을생성하여비중을낮춘다. 와편모조류, 유글레나류 편모를가지고주광성 (phototactic) 유영을 한다. ( 김범철등, 23) 수질의수직변이를유발하는또하나의원인은유입수이다. 대형댐에서는홍수기에유입하는물은탁도가높고인농도가높다. 그런데강우시에는하천수온이낮아지므로이유입수는중층으로유입하여중층탁수대를형성한다. 그러므로이시기에는중층에서 SS, TP 가매우높은변이를보인다. 마. 조류의특성에따른수질의수평적변이 수면에부상하는조류가우점하는경우에는조류밀도의수평적변이가발생하기쉽고수질의수평적변이가크게된다. 조류의수평적변이가발생하는기작으로는바람에의한영향, 세포내기포에의한부유성, 그리고조류의유영능력을들수있다. 수면에부상한조류세포는바람에의해반대방향으로밀려가수면에밀집하는현상을나타낸다. 특히남조류세포가이러한불균일분포를일으키는주원인이다. 수면에부상하는대표적인조류는남조류와와편모조류를들수있다. 1) 부상성남조류에의한수질의수평적변이 남조류는인의농도가높고수온이 2 이상되는여름에서식하는부영양호의
6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지표생물이다. 부영양호에서는여름에남조류가녹조현상을일으킬정도로높은밀도로출현한다. 남조류가녹조현상을일으키면수면에녹색의 scum이떠올라더욱밀도가높게느껴지며미관상불쾌감을준다. 남조류세포가수면에떠오르는이유는세포내에기포 (gas vesicle) 를가지고있어비중이물보다작기때문이다. 남조류세포의기포이외에점액질도비중을작게하는데기여한다. 기포의크기와세포내단백질과탄수화물의일주기변화에의해비중을변화시킴으로써수중에서침강하기도하고수면에부상하기도한다. 이수직이동은일주기과정으로나타나기도하며, 세포의비중과물의혼합강도에따라수면에 scum을만드는정도가변한다. 대개약한바람이부는낮에바람이불어가는쪽의호숫가에서높은밀도의 scum이발견된다 ( 그림 5-4~5-8). < 그림 5-4> 부상성이있는남조류의일종인 Anabaena sp. ( 김범철등, 23)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63 < 그림 5-5> 부상성남조류가상층으로떠오르는모양 ( 김범철등, 23) 바람 호수 부상성조류밀집 < 그림 5-6> 바람에의해부상성조류가모이는현상 ( 김범철등, 23)
6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그림 5-7> 부상성남조류가수면에서바람에밀려와 scum 을형성하고불 균일한수질분포를나타내는모습 ( 김범철등, 23) 부상성조류가밀집하는곳 < 그림 5-8> 지류유입부에부상성조류가밀집하는현상 ( 김범철등. 23)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65 2) 유영성와편모조류 (dinoflagellates) 에의한수질의수평적변이 와편모조류도수질의수평적변이를유발하는대표적인조류이다. 와편모조류는바다에서적조를일으키는종류로서잘알려져있다. 바다에서출현하는와편모조류는흔히독소를가지고있거나물고기의아가미에달라붙어질식시키는등의피해를준다. 그러나호소에서서식하는와편모조류는독을가지고있지않아피해가없으며색깔도바다와는달리대개갈색을띤다. 담수의와편모조류는독성이없을뿐만아니라세포의크기가 5 μm이상으로남조류나녹조류에비하여큰편이다. 따라서동물플랑크톤의먹이가될뿐만아니라작은어류의먹이가되기도한다. 또한와편모조류의일부는광합성을하는동시에다른생물을포식하기도하는타가영양생물의섭식행태를보이기도한다. 와편모조류는두개의편모를가지고있으므로빠른유영능력을가진다. 주광성을나타내므로낮에는수면으로상승하고밤이면수층에흩어지는일주기운동 (diel migration) 을보인다. 낮에표층에몰리는특성으로인하여표층수가이동하는경우에는표층수를따라물리적으로밀집하는현상이나타난다. 바람이불어표층수가이동하면와편모조류도따라서바람이불어가는방향의호안에밀집한다. 즉, 바람에밀려온물은침강하지만주광성을가지고상승하는와편모조류는표층에계속남아있어높은밀도를보이게된다. 하천수가유입하는산간저수지의계곡부에서도표층수가계곡의안쪽방향으로이동하는표층류가지속적으로존재하며이로인하여낮에는계곡부에와편모조류가밀집하는현상이나타난다 (Kim et al, 1985, 그림 5-1~5-12). 와편모조류가밀집하는곳에서는물의색이짙은갈색으로변하는담수적조현상이관찰된다. 와편모조류의밀집은남조류의밀집보다집적도가매우높다. 따라서이러한지점에서수질을측정한다면 BOD, COD, TP 등의농도가매우높게나타난다. 따라서수면에 scum을형성하는남조류와주광성운동을하는와편모조류가우점하는호소에서는호소내지점간에식물플랑크톤의밀도가큰변이를보이며밤낮의차이도매우커지므로식물플랑크톤밀도의대표치를얻기위해서는일주기변동을고려한광범위한조사가필요하다. 와편모조류는셀룰로스로만들어진껍질 (theca) 을가지는종류 (armored type) 와껍질을가지지않는종류 (naked type) 가있다. 셀룰로오스껍질은일정한규칙성을가지고배열되어있는여러장의판으로구성되어있으며이판 (plate) 의배열과, 모양, 대칭성, 頂部 apex의구멍등이분류의 key가된다. Peridinium이가장흔히출
6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현하는종류이다 ( 그림 5-9). < 그림 5-9> 호숫가에밀집하여수평적변이를크게하는원인생물인와편모조류 Peridinium의전자현미경사진 (Kim, 1987) < 그림 5-1> 소양호의지류유입부에서측정된와편모조류밀도의일주기변동 (Kim, 1987).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67 < 그림 5-11> 소양호의지류유입부에서관찰된와편모조류의 밀집현상 ( 김범철등, 23) < 그림 5-12> 유영능력과주광성을가진와편모조류가지류유입부에밀집하는 기작 (Kim, 1987)
6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2. 호소내조사지점선정원칙 호소내수질은지점에따른변이를보일수있다. 호소중심부와연안부는수질과생물상이다르며, 나뭇가지모양의긴댐에서는수질이수평적으로도차이가있는것이보통이다. 따라서호소내의관측장소의수는호소의크기와특성, 및조사목적과조사인원에의해결정한다. 예를들어, 호소가클수록조사지점수를늘여야하며, 몇개호소의수질을비교하고자할경우에는각각호소의중앙부근혹은가장깊은지점을대표관측점으로하는것이좋다. 한장소를선택할때는최심점에서실시한다. 그러나최심점이호소의한쪽방향으로치우쳐져있을경우는호소의중앙에서조사할수도있다. 조사지점선정에있어, 다음과같은지점에우선순위를두어조사지점으로결정 한다. 1 수역 전체의 특성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 호소의 중심점이나 가 장 깊은 지점 2 유입하천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수역이 있거나, 상하류간의 흐름이 있는 인공호 등에서는 주요 유입하천수가 유입된 후 혼합된 지점 3 호소의 물이 유출되는 지점 4 호소의 물을 취수하는 지점 5 폐수나 하수의 유입으로 항상 오염이 심한 지점 6 호소 내에서 지하수가 용천되는 지점 호소의특성과조사목적에따라다음과같은원칙에따라조사지점을설정하되, 호소환경및생태계에대한지식과현장조사의경험을바탕으로필요한부분에대 해서는수정할수도있다. 1 하나의호소에대해서대체로 1~4 지점을조사지점으로설정한다. - 우리나라인공호의형태는대부분나뭇가지와같이많은지류로나뉘어져있어각각의지류는독립된수괴를형성하는경우가많기때문에각지류마다조사지점을설정할필요가있을수있다.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69 - 수초가많은호소에서는수평적혼합이억제되어수질의수평분포가큰변이를보일수있다. 특히동해안의기수호에서는지점에따라해수와의혼합정도가다르며염분이다르므로염분농도의분포에주의하면서조사지점을선정한다. - 호소면적이작고원형인경우에는한지점만조사해도큰문제는없다. 2 수심이얕고바람의영향을많이받거나이류가강하여쉽게물이혼합되는호소에서는호소전체의수질과생물상분포등이거의일정하므로수심별로조사할필요는없다. - 이경우에는파이프형태의채수기를사용하여표면부터수미터정도까지의혼합시료를채수하는방법이좋다. - 그러나수심이깊고성층이있는호소에서는수심별로생물상이나물리 화학적성상이뚜렷한차이를보이는예가많으므로수심별조사를하여야한다. 3 수심에따라수심간격조사를조절한다. - 수심이얕은호소에서는, 2, 4, 6, 8 m 와같이균일한수심간격으로조사를하는것이통례이다. - 수심이깊은호소에서는, 2, 5, 1, 2, 3, 4, 5, 6, 7, 8, 9 m 등과같이표수층에서는조밀하게그리고이하의수심에서는일정간격으로조사를한다. - 그러나, 모든수층이균일해지는수직순환기 (turnover) 에는관측의수심층수를줄일수있다. 4 연구의목적에따라수온약층의부근혹은호소바닥부근을자세하게조사 할때에는관측을.5 m 혹은 1 m 정도로세분하여조사할필요도있다. 채수방법도특수한채수기와펌프를이용한채수방법을이용한다. 5 유광대 (euphotic zone) 또는생산층을조사할때에는표층에서부터투명도 (Secchi 판으로측정가능 ) 의약 2.5배의수심까지조사해야한다. - 성층기의중층산소최저층의조사를위해서는산소농도의변화가큰부분을.5 m 간격으로세밀하게측정할필요가있다.
7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3. 유입수조사 호소의유입부하량측정을위하여주요유입수의유량과수질을조사한다. 비강우시와강우시로나누어빈도를달리하여조사한다. 비강우시에는월 1회조사하고강우시에는연간 2개이상의강우사상에대해매강우사상당 1 회이상조사한다. 강우강도와강우량은매년큰변동을보이므로연간 2개의강우사상조사결과를수년간누적하여연평균유입부하량을산정한다. 장기간조사가불가능한경우에는 1년내에 4개이상의강우사상을조사하여연간부하량을산정한다. 5-2. 호소의대표수질결정방법 1. 대표수질조사정점과수심의선정 호소의수질은수직적으로큰변이를가지며, 수평적으로도변이를가지므로조사정점의위치에따라수질조사결과가큰차이를보일수있다. 호소의대표수질을얻기위해서는다음과같은원칙에의해조사지점을선정하여야하며각호소마다독특한환경여건을가지고있으므로모든호소에대해동일한기준을적용하여선정하는것보다는호소마다고유의기준에의해대표조사정점과조사수심을선정하는것이바람직하다 ( 표 5-2, 5-3). 첫째, 호소가주요용수원으로사용되고있으며호소내에서취수를하는경우에는용수원의수질이가장중요한요소가되므로, 취수지점을우선적으로조사정점으로선정하여야한다. 호소내수질분포가어떤분포를보이던간에궁극적으로용수원으로취수한물의수질이가장필요한관심의대상이므로정수장으로유입하는유입수를채취하면호소에서취수하여사용하는물의수질을가장적절히평가할수있다. 대청호내에서는청주시와대전시가용수를취수하고있는데대청호는국지적인남조류물꽃현상이발생한다. 남조류는표층에만분포하므로이러한사례의지역에서는선택적취수구를설치하여남조류가많지않은중층수를취수하는사례가많다. 그러므로표층과는전혀다른조류밀도를가진물이취수되어이용되므로이런경우엔표층수질이용수원의수질을대표할수없다. 둘째, 방류수를조사하는것이다. 많은대형댐들은호소내에서직접취수하지않고댐에서방류한물을하류에서취수하여이용한다. 그러므로이러한경우에는호소내의수질과관계없이댐의방류수의수질을대표치로사용하는것이타당하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71 다. 대형댐에서는방류구가중층에만들어져있어표층의식물플랑크톤이하류로유출되지않는경우도있다. 우리나라의대형댐은대부분중층방류설비로건설되어있으므로댐의중층수질이방류수의수질을결정짓게된다. 이러한댐에서는호소표층에조류가많더라도하류수질에직접적으로영향을주지는않는다. 즉, 표층에서는부영양화현상이나타나고있더라도댐방류수에서는조류의밀도가낮을수있다. 반대로방류수의수질이표층보다나쁜경우도있다. 소양호나임하호와같이홍수기에탁수가유입하는댐에서는중층에탁수가저장되어있다가서서히방류된다. 이때는호소표층의물은맑은상태를유지하지만댐의방류수는수개월동안혼탁한상태를지속한다. 소양댐의하류에서는소양호의방류수가춘천시의상수원으로이용되며, 이물은또한팔당호로유입하여수도권의수자원이된다. 반면에소양호나임하호내에서는취수를하지않으므로실질적으로소양호의수질은방류수의수질이대표한다고볼수있으며, 이러한사례에서는당연히방류수의수질이대표수질이되어야한다. < 표 5-2> 호소의 대표수질 정점선정의 우선순위 1. 댐에서 취수하는 호소 - 취수지점 ( 취수탑 ) 의 취수하는 물의 수질 2. 댐 하류에서 용수를 사용하는 경우 - 댐 방류수의 수질 3. 용수자원보다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가 큰 곳 - 호소의 중앙부 또는 가장 깊은 곳의 표층수. 인공호에서는 댐 인근의 하류수역으로서 댐 방류구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 4. 생태계 서식지로서의 가치가 중요한 곳 - 호소의 표층과 심층 ( 특히 성층 기의 DO수직분포 ) 5. 아무 기준이 없는 경우 - 수심별, 지점별로 유량 또는 저수량 가중 평균을 사용한다. ( 국립과학연구원. 전국 호소의 환경상태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3) 셋째, 호소의관광용으로서의가치가크고용수이용이유의적이지않은곳이라면표층의수질을대표정점으로사용하는것이타당하다. 표층의투명도와식물플랑크톤밀도가관광지로서의가치를결정하는가장중요한요인이다. 일반적으로수심이얕은곳일수록수질이나쁜경향이있으며얕은곳의저수량은작으므로대표수질을정점으로는호소한가운데의가장깊은곳을선택한다. 넷째, 용수원보다는생물서식지로서의가치가더중요한곳에서는심층이유산소
7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상태인가무산소상태인가가중요한요인이되므로표층과심층을함께조사하여그평균치를대표수질로사용한다. 다섯째, 특별한기준조건이없는경우에는수심별, 지점별로측정된값의가중평균을사용한다. < 표 5-3> 호소의대표수질정점으로서피해야할곳 호숫가 조류가 밀집한 곳 호숫가 수초대 가운데 오염원이 인접한 곳 댐의 최상류부 ( 국립과학연구원. 전국 호소의 환경상태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3) 2. 시간적변동의대표치결정 호소의수질은계절에따라식물플랑크톤의밀도가변동하므로시간적으로도그변동이커서수질의대표치를결정하기는쉽지않다. 시간적변동의대표치를결정하는방법으로서다음과같은지표를사용할수있다. 일반적으로수질지표는정규분포를보이지않으므로중앙값을사용하여야한다. 평균은일반적으로정규분포를하는집단에서대표치로서적절하나정규분포를하지않는경우에는비정상적인높은값의영향을크게받는다. 수질이나쁜경우에더비중을크게주는목적이라면 75% percentile를사용하는것이좋으며, 특별히수질이나쁜시기에관심을가지는경우라면 9% percentile 이나최대값을사용한다 ( 표 5-4 ).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73 < 표 5-4> 측정치의시간적대표치로사용되는지표들 전체측정치가운데순서로보아 5% 에해당하는측정치. 비정 중앙값 (median) 평균 (me an) 75% percentile 9% percentile 규분포를하는수질자료에서흔히사용되는대표치이며, 비정상적인높은측정치의영향을받지않는다. 대표치로서가장적절한값이다. 정규분포를하는자료에서사용하는대표치. 높은측정치의영향을크게받는다. 전체측정치가운데 75% 에해당하는값이므로중앙값보다큰값이며중앙값과유사한장점을가지며, 수질이나쁜경우에비중을크게두는경우에사용한다. 전체측정치가운데 9% 에해당하는값이므로수질이악화되는시기에비중을두는지표를말한다. 녹조현상등연중수질이가장악화된시기에비중을두는지표최대값를말한다. ( 국립과학연구원. 전국호소의환경상태평가및관리방안에관한연구. 23) 3. 호소유입하천수의유량변동에따른대표수질산정법 하천에서는유량에따라수질이크게변동하므로시간적변동을대표하는하천의수질자료를도출하는데가장중요한것은조사시점이다. 특히호소의유입수조사는오염물의유입부하량을산정하거나모델링하는데매우중요한자료이므로반드시수질조사는유량조사와병행하여야하며, 유량과연계하여유량에따른수질의변동을고려하여조사하여야한다. 유량조사가일정시간간격으로이루어지거나임의 (random) 시점에이루어지지않는다면그자료는편향된자료가된다. 가장흔히범하고있는우리나라하천수질의조사자료의편향성은강우시에조사를하지않고갈수기의조사를위주로한다는점이다. 호소로유입하는인과부유물질의부하량은강우시에집중되므로호소유입하천은강우시를위주로조사하여야한다. 1회강우시마다 1 회이상채수하여유량과농도를곱하여유량가중평균농도를구한다. 이를강우사상의유량가중평균농도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라하는데이것이유입수의대표수질이된다. 여러차례의 EMC 를측정한후이를평균하여사용한다. 유량가중평균농도 (EMC) = ( 유량 농도 )/( 유량 )
7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4. 공간적대표치산정방법 공간적 변동을 고려하여 대표치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지표를 사용할 수 있다. 호소에서는 모든 수층이 동일한 교환율을 보이지 않는다. 방류구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층은 교환율이 높으므로 사수층보다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 서 교환율을 곱하여 대표치를 산정하여야 한다 ( 표 5-5). 수평적으로 분포변동을 크게 보이는 호소와 같은 곳에서는 면적가중평균치 (area-weighted mean) 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층 현상, 조류의 생물학적 특 성 등에 의해 수직적 수질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 수직산술평균농도 (arithmetic vertical mean) 또는 체적가중평균치 (volume-weighted mean) 를 사용할 필요가 있 다. < 표 5-5> 측정치의공간적대표치로사용할수있는지표들방류수를수자원으로사용하는경우에적용. 수체교환율가중평균농도수질모델을이용하여각구간의수체교환율 (flushing 체적가중평균농도 (volume-weighted mean) 수직산술평균농도 (arithmetic vertical mean) 면적가중평균농도 (area-weighted mean) rate) 에농도를곱하여평균농도를구한다. 교환율이사용가능하지않은경우에사용. 측정된지점의수심별농도와수심별체적을고려한평균농도, Σ(C i Vi )/ΣVi 수심별체적자료가없는경우에사용. 측정된수심별농도를산술적으로평균한값, ΣCi/n 표층수질자료만사용가능한경우. 표층수만을대표수질정점으로선정한경우. 측정된지점의면적과농도를고려하여평균농도, Σ(C i (Ac /As )) Ci : 수질항목의농도, Vi : 수체의체적, Ac : 구간내셀 (cell) 면적, As : 구간 (segment) 면적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75 5-3. 부영양화모니터링계획수립및조사지침 1. 부영양화모니터링계획제안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18,여 개의 크고 작은 호소가 있으며, 대부분의 호 소에서 부영양화가 심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호소환경의 체계적인 조사기법과 분석방법이 적립시켜 호소환경의 적절한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다. 수자원 이용계획 및 관리, 수질자료의 신빙성과 이용의 효율성의 문제는 정책적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일관적인 조사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모니터링 대상 호소와 조사 항목, 그리고 조사 횟수를 제시 하였다. 가. 대상호소 조사대상호소는 " 호소수질보전법 " 에명시되어있는 9개호소와환경부에서수질측정망조사하고있는농업용저수지 5 개자료중에서만수위면적이 5 ha(.5 km2 ) 이상의저수지와특별관리대상저수지로선정된저수지를중심으로약 15 개의농업용저수지를선정하였다. 환경부관리대상수질측정망조사대상 9개호소 ( 표 5-7) 농어촌공사관리대상수질측정망대상농업용저수지 5 여개가운데 15 개선정 ( 부록 5절 ) - 호소의크기순으로선정하였고, 특별관심대상호소를추가. 나. 조사항목및방법 수질항목별수질조사및분석방법은수질오염공정시험법과호소환경조사지침을 원칙으로따르되, 필요한경우국제적으로통용되고있는표준시험방법 (Standard methods) 을따른다. 1) Chlorophyll-a 식물플랑크톤을 GF/F 여과지로여과하고여과지를 acetone 또는 DMF 용
7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액으로추출한다. Acetone 용액으로추출하는경우에는 tissue grinder 로마쇄한다. 원심분리하여부유물을제거한후 spectrophotometer 를사용하여흡광도를측정한다. 농도는공정시험법에의해계산한다. 2) T P 수심별로물은채수하여 teflon tube 에넣고 persulfate 분해시약을넣어 autoclave에서 1시간이상분해한다. 분해후 ascorbic acid 법으로 orthophosphate 농도를측정한다. 3) COD 수중의유기물량을간접적으로나타내는지표. 생물학적으로분해가능한유기물외에도난분해성유기물양도측정가능하다. 공정시험법에따라산성망간법으로측정한다. 4) TOC 장래수질기준을 COD에서 TOC로 대체할 것을 대비하여 TOC를 측정한 다. 2 mm 이상의 입자를 걸러낸다. 큰입자가 많은 시료에 대해서는 tissue grinder로 마쇄하여 입자를 분쇄한다. 산을첨가하고 질소를 purge 하여 무기탄소를 제거한다. TOC analyzer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5) SS 유속이빠른하천의시료에는모래가많이섞여있을수있으므로 1리터의물은채취하여 1시간침강후상부 25 ml을제거한후중간층의물을사용한다. GF/F를사용하여적정량의시료를여과한다. 공정시험법에따라분석한다. 6) 탁도 탁도계를사용하여측정한다.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77 7) DO DO meter 를사용하여수심별로수직분포를측정한다. 1 개이상의수심에서측정한다. 심층의 DO는포화도를계산하여보고한다. 8) 투명도 (Secchi Depth) Black and white 투명도판을사용하여측정한다. 오전 1 시~오후 2시사이에해를등지고측정한다. 투명도가큰빈영양호에서는직경 3 cm, 중영양호와부영양호에서는직경 2 cm 이상, 과영양호에서는직경 1 cm 이상의투명도판을사용한다. 9) 수온 수중온도계를사용하여온도의수직분포를측정한다. 1) 식물플랑크톤군집구조 연 6~ 12회이상조사한다. 표층.5m의물을 5 ml채취하여 Lugol's 용액으로고정한다. Sedgewick Rafter counting chamber 또는 Utermoel chamber 를사용하여검경계수한다. 밀도가낮은빈영양호의시료는 2일이상정치하여침강농축하고상층수를사이펀으로제거함으로써농축한다. 11) 동물플랑크톤군집구조 연 6~ 12 회이상조사한다. Mesh size 35 μm 네트로바닥에서표층까지예망하여채집한다. 12) 저서동물 Surber net 를이용하여수초대주변을조사한다. 연 2 회이상조사한다. 매 3년주기로조사한다. 13 ) 어류
7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정치망과자망을병용하여연 2 회이상조사한다. 매 3 년주기로조사한다. 다. 조사횟수 호소에서는여러가지현상을 1 년을기본주기로해서계절적으로변화하고또 한, 기상의변화나인간사회의영향에의해변화가현저하게발생하기도하므로조 사목적에부합되는관측횟수, 장소, 지점등을결정하여야한다. 수질, 플랑크톤 - 연 6~12 회이상, 매년조사한다. 저서동물, 어류 - 매 3 년마다연 2 회이상 유입수 - 강우시년 1 개강우사상에대해강우사상당 1 회조사 라. 조사수심 호소의형태는여러가지가있으며, 그수심과동식물의상태도호심부와연안부 에서다르게나타난다. 따라서연구의목적을고려하여관측할수심을결정하여야 한다. 호소표층 - 부유물질을피하여수심.5 m 에서조사 수심별수직분포 - 수심을 5 개이상선정하여조사 ( 예.5, 2, 5, 1, 2 m ). 유입수 - 하천의중앙부의중층한수심에서채수 2. 강우시유입수모니터링방안 호소의오염부하량을측정하기위해서는유량이큰강우시유입수를집중조사하는것이필요하다. 일반적으로점오염원의경우발생원의오염물질부하량의정량화가가능하며적정수처리시설의운영으로오염물질의저감이가능하지만비점오염원은오염물질의배출량및유입경로의파악이매우어려울뿐만아니라시간에따른부하의변동이심하기때문에정량화가어렵고또한강우초기에오염물질의농도가높은특징을가지고있다. 특히인과질소등의영양염류가많이포함되어있어공공수역으로유입될경우하천이나호소의부영양화를일으키는원인이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79 될수있다. 산업시설에서배출되는오염물질이거의없는농업지역은주로비점오염물질이발생하게된다. 비점오염원은강우량과밀접한관계가있으므로강우량의계절변동이큰우리나라는비점오염원의유출이계절적으로크게변동할수밖에없다. 또한강우시유출된다량의부유토사와인이하류의수질을악화시키는주원인이며, 유역개발과채소농사가활발해지면서비점오염원의중요성을강조하였다 ( 김범철등, 1996). 호소로유입하는인과부유물질의부하량은강우시에집중되므로호소유입하천은강우시를위주로조사하여야한다. 강우시호소로유입하는하천의수질은유량에따라크게변동하며특히강우초기에급증하는현상을보인다 ( 그림 5-13, 5-14). 따라서강우초기에는짧은시간간격으로조사하여야하며이후유량이감소하는시기에는수질의변동이작으므로조사간격을더길게할수있다. 호소유입하천을통한오염부하량을정량측정하기위해서는강우사상마다 1 회이상의조사가필요하다. 하천의규모에따라 3분 ~3시간의간격으로시료를채취하여두고강우가끝난후이가운데에서적절한시간을선택하여 1 개이상의시료를측정한다. 강우사상은강우량 5 mm 이상인것을선택하여야한다.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Flow rate (CMS) NSSS (mg L -1 ) 2 15 1 5 5 Flow rate SS BOD (mg O 2 L -1 ) Phosphorus (ug L -1 ) 1 5 BOD COD 4 TP 3 2 1 DTP DIP 1 5 COD (mg O 2 L -1 ) DOC (mg C L -1 ) DOC 5 6/26/5 17: 6/27/5 13: 6/28/5 9: 6/29/5 5: < 그림 5-13> 강우시하천에서의시간에따른수질변동사례 ( 소양강, 25 년 6 월 26 일 ~29 일 )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81 Flow rate (CMS) NSSS (mg L -1 ) 1 5 1 5 Flow rate SS BOD (mg O 2 L -1 ) Phosphorus (ug L -1 ) 1 5 BOD COD 4 TP 3 2 1 DTP DIP 1 5 COD (mg O 2 L -1 ) DOC (mg C L -1 ) DOC 5 7/27/5 22: 7/28/5 18: 7/29/5 14: 7/3/5 1: < 그림 5-14> 강우시하천에서의시간에따른수질변동의사례 ( 소양강, 25 년 7 월 27 일 ~29 일 )
8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표 5-6> 환경부의정기적인모니터링대상인 9개호소측정소명주소조사기관 경포호 강원도강릉시저동 ( 경포대앞 ) 원주지방환경청 영랑호 강원도속초시영랑동일원 속초시장 화진포호 고성군거진읍화포리원당리 고성군수 송지호 강원도고성군죽왕면오봉 1,2 리 고성군수 매호 강원도양양군현남면포매리 양양군수 향호저수지 강원도강릉시주문집읍향호리 농업기반공사 청초호 강원도속초시청초동 속초시장 낙동강하구언 부산시사하구하단동 ( 방조제앞 ) 한국수자원공사 금강하구언 충남도서천군화양면당선리 ( 방조제앞 ) 금강유역환경청 영산호 전남도목표시옥암동 ( 방조제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아산호 경기도평택시현덕면권관리 ( 방조제앞 ) 한강유역환경청 남양호 경기도화성시장안면이화리 ( 수문 ) 경기도 삽교호 강원도인제군인제읍원대리 ( 원대교 ) 금강유역환경청 시화호 경기도안산시목내동남방 한강유역환경청 소양댐 강원도춘천시신북읍천전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충주댐 충북도충주시종민동 ( 댐앞 ) 원주지방환경청 충주조정지 충북도충주시금가면 1 한국수자원공사 안동댐 경북도안동시성곡동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임하호 경북도안동시임하면천전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합천댐 경남도합천군대병면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남강댐 ( 진양호 ) 경남도진주시판문동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 충북도청원군문의면덕유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섬진강댐 ( 옥정호 ) 전북도임실군강진면용수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주암호 전남도순천시주암면대광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주암조정지 ( 상사호 ) 전남도순천시상사면용계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화천호 ( 파로호 ) 강원도화천군간동면구만리 ( 댐앞 ) 원주지방환경청 춘천호 강원도춘천시서면오월리 ( 댐앞 ) 원주지방환경청 의암댐 강원도춘천시신동면의암리 ( 신연교 ) 원주지방환경청 청평댐 경기도가평군외서면호명리 ( 댐앞 ) 한강유역환경청 팔당댐 경기도남양주시조안면능내리 ( 댐앞 ) 한강유역환경청 칠성호 ( 괴성댐 ) 충북도괴산군칠성면외사리 ( 댐앞 ) 원주지방환경청 보성강댐 전남도보성군겸백면용산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광동댐 강원도삼척시하장면광동리 ( 댐여수로부근 ) 한국수자원공사 영천댐 ( 조양호 ) 경북도영천시자양면삼매동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가창댐 대구시달성군가창면오동 ( 댐앞 ) 대구광역시 운문댐 경북도청도군운문면대천치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동복댐 전남도화순군동복면연월리 ( 댐앞 ) 광주광역시 안계댐 경북도경주시강동면안계리 한국수자원공사 보문호 경북도경주시보문동 ( 댐앞 ) 대구지방환경청 사연호 울산시울주군범서면사연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선암제 울산시남구선암동 ( 댐중앙 ) 한국수자원공사 대암호 울산시울주군언양읍구수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회야호 울산시울주군청량면 ( 댐앞 ) 낙동강유역환경청 연초댐 경남도거제시연초면이목리 ( 댐중앙 ) 한국수자원공사 구천호 경남도거제시신현읍들고 한국수자원공사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83 < 표 5-6> 계속측정소명주소조사기관 수어호 전남도광양시진상면섬거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달방천 강원도동해시달방동 한국수자원공사 경천저수지 경북도문경시동로면마광리 농업기반공사 광주댐 전남도담양군고서면분향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나주댐 전남도나주시다도면판촌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담야댐 전남도담양군금성면대성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장성댐 전남도장성군장성읍봉덕리 ( 댐앞 ) 영산강유역환경청 이동지 경기도용인시이동면송전리 경기도 고삼지 경기도안성시고삼면신창리 경기도 예당지 충남도예산군대흥면지곡리 ( 댐앞 ) 금강유역환경청 경천지 전북완주군화산면운제리 ( 댐앞 ) 전주지방환경청 대아지 전북도완주군동상면대아리 ( 댐앞 ) 전주지방환경청 덕동저수지 ( 덕동호 ) 경북도경주시덕동 농업기반공사 오봉저수지 ( 강릉지 ) 강원도강릉시성산면오봉리 농업기반공사 청천저수지 충남도보령시죽정동 농업기반공사 회동댐상류 부산시금정구선동 ( 신천교 ) 낙동강유역환경청 광교지 경기도수원시장안구조원동 경기도 원천지 경기도수원시팔달구원천동 경기도 서호 경기도수원시권선구서둔동 경기도 신갈지 경기도용인시기흥읍농서리 경기도 옥계북동지 강원도강릉시옥계면북동리 농업기반공사 초평천 ( 초평지 ) 충북도진천군초평면용정리 충청북도 탑정지 ( 논산지 ) 충남도논산시가야곡면종연리 금강유역환경청 간월호 충남도홍성군서부면궁리 ( 댐앞 ) 금강유역환경청 부남호 충남도서산시부석면창리 ( 댐앞 ) 금강유역환경청 석문저수지 충남도당진군석문면삼봉리 농업기반공사 보령호 충남도보령시웅천읍용수리 ( 금고개앞 ) 한국수자원공사 송악저수지 충남도당진군송악면가교리 농업기반공사 대호 충남도서산시대산읍운산리 금강유역환경청 부안댐 전북도부안군변산면중계리 ( 댐앞 ) 한국수자원공사 영암호 전남도영암군산호읍용당리황도앞 영산강유역환경청 금호호 전라남도해남군산이면부동리흑두~신흥앞 영산강유역환경청 대동저수지 전남도함평군대동면운교리 농업기반공사 풍랑저수지 경북도영천시청통면대평리 농업기반공사 용연저수지 경북도포항시신광면호리리 농업기반공사 기동저수지 경북도포항시기계면화봉리 농업기반공사 오태저수지 경북도상주시공검면오태리 농업기반공사 주남저수지 경남도창원시동읍용산리 ( 수문앞 ) 경상남도 정양늪 경상남도합천군대양면정양리 합천군 박실지 경상남도합천군용주면평산리 ~ 손목리 합천군 우포늪 창녕군유어면대대리, 세진리일원 창녕군 ( 환경위생과 ) 번개늪 경상남도창녕군계성면봉산리 농업기반공사 장척저수지 경남도창녕군영산면신제리 농업기반공사 하동저수지 경남도하동군청암면중이리 농업기반공사 질날벌 경상남도함안군법수면우거리~ 대송리 함안군
8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5-4. 부영양화평가지침 1. 평가에사용할자료조사 본연구에서제시한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 에의해서호소의부영양화를평가할수있다. 평가항목으로서 COD와 Chl-a 농도및총인농도를사용한다. 투명도나탁도자료가가용한경우에는이를보조자료로서사용한다. 생물조사자료가가용한경우에는이를적용하여평가에함께사용할수있다. 조사지점은호소의사용목적과형태에따라선정한대표지점을대상으로조사한다 ( 표 5-2). 평가시기는 4월부터 1 월까지조류가성장하는시기의자료를선택하며, 평가에사용할대표치로서는 1년단위로연내에조사한결과의중앙값을사용한다. 2. 한국형부영양화지수에의한영양상태판정 호소의영양상태는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 를이용하여 4단계로구분할수있다. 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 를이용하여호소의영양상태를판정하면, TSI KO 3 이하는빈영양호, 3~5까지는중영양호, 5~7을부영양호로보고, 7 이상일때는과영양호로평가한다 ( 표 5-7). < 표 5-7> 한국형부영양화지수 (TSI KO ) 에의한호소의영양상태판정 부영양화지수 (TSI KO ) 호소의영양상태판정 TSI KO 3 빈영양 3 < TSI KO 5 중영양 5 < TSI KO 7 부영양 TSI KO > 7 과영양
제 5 장부영양화지수및엽록소 - a 를이용한평가및모니터링방법마련 85 3. 각부영양화도지수간의차이발생시이의해석 호소의환경특성에따라총인 (TP), 엽록소 a (Chl-a), COD 에의해계산된 TSI KO 는차이를보일수있다. 이차이는다음과같은경우에발생하므로해석에참고할 수있다. 1) T SI KO (TP) > TSI KO (C HL) 총인 (TP) 이외에투명도, 체류시간등의다른요인이식물플랑크톤의성장을제한할가능성이있다. 동물플랑크톤의대량번성에의해식물플랑크톤이감소하는경우. 봄에발생하는 clear water phase 현상 2) T S I KO (C OD) > TSI KO (C H L) 겨울에혼합수심이깊어져조류의성장이억제된다. 유기물의근원이주로외부기원유기물이다. 처리하지않은하수가유입된다. 심림이나농경지의부식질이많이유입된다. 3) TSI KO (CH L) > TSI KO (TP) > TSI KO (CO D) 부상성 cyanobacteria 가우점하여수면에밀집하여 scum 을형성한경우의 표층자료 부상성조류가바람에밀려와호숫가에 scum 을형성하는경우
8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87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6-1. 생물군의수질지표성검토 생물지표를이용한부영양화평가는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그리고식물플랑크톤이있다. 어류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같은고등한생물들은수질환경뿐아니라퇴적물, 물리적서식환경에주로영향을받고있어부영양화를나타내는지표로서부적절한측면이있다. 부영양화된호소에서조류세포의밀도증가는부영양화지표로서활용가치가매우크다. 그러나조류세포의크기는종에따라생물량의차이가크기때문에지표로서부정확하고조류밀도는계절적변동, 체류시간등수문학적특성에따른영향으로아직까지널리이용되는지표는없는상태이다. 호소의식물플랑크톤군집은하천의부착조류에비해이동성이크고, 상류의호소와하천에서흘러내려오는종의이입 (immigration), 동물플랑크톤의선택적섭식 (selective grazing) 등의영향으로군집의변화가매우크게나타난다. 그외에도저서성부착조류와부유생물사이의서식형태를변환하는 meroplankton은저질표면에서 seed 형태로남아나중의군집에영향을주기도하며, 많은식물플랑크톤이넓은적응범위를보이고있으므로영양염류의상태만으로는군집의구조를결정한다고볼수없다. 이러한이유로인하여호소에서의식물플랑크톤군집은수질지표성이매우낮다. 현재로서는가장적용가능성이있는지표는남조류세포의증식이다. 많은부영양호에서우점서식하는경향이크고, 독성물질을분비하며이수적측면에서중요성이높아생물지표로서활용가치가크다. 6-2. 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지표 국내에서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대표적인지표는조류예보제가있다. 조류예보제는 1998년팔당호, 대청호, 충주호, 주암호등 4개지역을대상으로시행하고있으며, 25 년운문, 용담, 동북, 영천, 남강, 안계호등 1개지역으로확대시행되고있다. 2년이후한강의 4 개구간에도입되어 Ch l-a 농도와남조류세포수가 2회이상일정기준을초과하면구간별로경보를발령하는체제이다. 그러나이러한조
8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류예보제는남조류에국한되어있으며, 실제예보제의성격보다는조류의발생을알리는주의보의성격이강하다. 현재호소의부영양화정도를나타내는식물플랑크톤의지표가없는상황에서육안관찰에의한평가나조류예보제등을보완함으로서좋은지표로서활용할수도있을것이다. 본연구에서는육안관찰에의한호소부영양화평가방법을제시하고, 식물플랑크톤지표항목들을이용한부영양화평가의적용가능성을검토하여활용성을제시하였다. 6-3. 육안관찰에의한부영양화평가 대부분의식물플랑크톤은적응범위가넓어수질지표성이낮다. 그러나부영양수역에서우점출현하는남조류는부영양화의좋은지표가될수있다. 일본에서개발된육안관찰에의한부영양화평가방법은수질지표로서과학적인근거는부족하지만일반인들이쉽게호소의수질을평가할수있는방법으로남조류의발생에따라 7단계 (~6 단계 ) 로구분하고있다 ( 그림 6-1).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89 < 그림 6-1> 육안관찰에따른호소부영양화정도
9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6-4. 식물플랑크톤밀도에따른지표성검토 1. 검토지표항목 생태계의통합관리차원에서식물플랑크톤의다양한지표항목을적용하여군집의변화에따른호소부영양화도를판정하고있다. 미국 EPA(1988) 의기술지침서에따르면식물플랑크톤군집을이용한지표개발은총 15 개의지표항목으로구성되어있다. 이를바탕으로식물플랑크톤군집의특성을이용한군집지수를적용하고있다. 본연구에서는총 15 개지표항목중 Chrysophytes를대표하는분류군으로서 diatom을하나의그룹으로하였으며, 하천과달리호소에서는생물학적내성종과지표종의구분이애매하여오염내성지표 (pollution tolerance index) 와지표생물군 (indicator taxa) 항목을제외한총 12 개지표항목을이용하여국내의호소에서출현하는식물플랑크톤군집에적용하였다 ( 표 6-1). < 표 6-1> 부영양화평가와관련된식물플랑크톤군집의특성변수지표항목 지표항목환경스트레스에대한반응 % 남조류부영양화가진행될수록남조류, 녹조류의 % 녹조류비율증가 % 규조류부영양화가진행될수록비율감소 % 남조류중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의비율 % 규조류중 중심목의 비율 % 규조류중 우상목의 비율 부영양화가 될수록 남조류와 군체형 % colonial greens (Volvocales) 녹조류의 비율증가 % 유글레나의 비율 % 와편모조류의 비율 총 분류군수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분류군수 감소 종 다양도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종다양도 감소 우점도 비율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우점도 증가 가. 남조류 (c y a n o b a c t e r i a ) 부영양호에서남조류가대량번식하여물꽃현상을일으키면연록색의 scum 을형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91 성하므로밀도가높을때에는영어로는 'pea soup' 이라고불린다. 연록색의남조류세포가죽거나건조하여색소가세포외로유출되면청색이나타난다. 이색에따라일본에서는남조류물꽃현상을靑粉 ( あおこ ) 이라부른다. 우리말에서는이에해당하는용어가없으나일부에서는바다의적조 ( 赤潮 ) 와대비하여녹조 ( 綠潮 ) 현상이라부르고있다. 우리나라호소에서가장흔히녹조현상을일으키는종류는 Microcystis 속으로서과거에는모두 M. aeruginosa 한종으로취급하였으나근래에는 M. aeruginosa, M. ichthyoblabe, M. wesenbergi, M. novaceki, M. viridis, M. flos-aquae 등의종으로분류하며세포의크기와군체의모양이분류 key이다. 그외에소양호와같이수온이낮은지역에서는 Anabaena가우점종으로출현하며, 간혹 Oscillatoria와 Aphanizomenon, 등의사상조류 (filamentous algae) 가우점하거나 Microcystis와함께출현하기도한다. 사상체가군체형의 Microcystis와함께출현하는경우에는사상체와군체의점액질이한데엉겨매우큰덩어리의 scum을형성하기도한다. 나. 녹조류 (c h l o r o p h y t e s ) 일반명은녹조류 (green algae, chlorophytes) 이다. 식물과같은색소조성인 chlorophyll a 와 chlorophyll b를가지고있어초록색으로보인다. Chlorella와같이단세포인종류도있고해캄과같이긴사상체 (filament) 를형성하거나 Volvox와같이공모양의군체 (colony) 를형성하는종류도있다. 대부분담수에산다. 셀룰로오스로만들어진질긴세포벽 (cell wall) 을가진다. 다. 규조류 (d i a t o m s ) 규조류는두장의껍질 (frustule) 로구성되어있다. 두장의껍질은연결부위 (girdle) 에서겹쳐있으며바깥쪽껍질은 epitheca, 안쪽껍질은 hypotheca라고부른다. 세포가분열할때는구각이 epitheca가되고안쪽에새로운 hypotheca를생성하므로세포의크기가조금씩작아진다. 세포가커지기위해서는증대포자를만들어껍질을모두버리고새로운껍질을만든다. 단세포인종류도있고세포분열후세포가연결되어있어긴사상체 (filament) 를형성하기도한다. 세포의침강속도를감소시키기위한적응으로서뿔 (spine) 이나털 (seta) 모양의돌기를만들기도한다.
9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규조류의껍질은 slica (SiO 2 ) 로만들어지기때문에규조류에게는규소가필수영양소이다. 일반적으로규소는암석의주성분이기때문에토양과접촉하는물에는충분한규소가녹아있다. 그러나용해속도가느리므로규조류물꽃이발생할때는용존규소의고갈이일어날수있으며이것은규조류에서다른조류종으로우점종천이의원인이될수있다. 규조류는해양과담수에서가장많은광합성을담당하는조류이다. 호소의봄과가을에물꽃을형성하는주원인이되는조류이다. 호소에서가장흔히나타나는종은 Asterionella속이다. 특히규소가충분한하천에서는호소에비하여연중규조류의우점도가높다. 한강하류에서주로나타나는종류는 Aulacoseira속이며, 낙동강에서는 Stephanodiscus가우점하고있다. 라.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남조류의일종인 Microcystis는군체를형성하며호소내에서마이크로시스틴 (microcystin) 이라는간독성물질을분비한다. Anabaena, Aphanizomenon은질소고정능력을가진대표적인남조류로서세포가사상체 (filamentous chain) 를이루고있으며이사상체중에는질소고정을담당하는이형세포 ( 異形細胞 heterocyst) 라는특수한세포가있다. Anabaena에서처음발견되어아나톡신 (anatoxin) 은신경을마비시켜동물을즉사케하는신경독을분비한다. 마. 중심목 (c e n t r a l e s ) 원통형의껍질을가지므로축방향에서본외각의모양은방사대칭형이다. 부유성 조류가많다. Aulacoseira 는유속이느린하천과호소에서흔히나타나는중심목 규조로사상체를형성한다. 바. 우상목 (p e n n a l e s ) 좌우대칭형태를가지는규조류의일종이다. 중앙부에종방향으로홈 (raphe) 이있고이틈으로세포질이돌출하여미끄럼이동 (gliding) 을할수있다. 주로저서성이다. 하천의부착조류는대부분우상목이다. 그러나 Asterionella는국내많은호소에서겨울과봄에우점종으로출현하는대표적부유성우상목규조이다.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93 사. 군체형녹조류 (c o l o n i a l g r e e n s ) 공모양의군체 (colony) 를형성하는녹조류를의미하며대표적으로 Volvox 가있다. 아. 유글레나 (Euglenophyta) 유글레나류 (euglenoids) 는단세포이며편모를가지고있어운동성이있다. Chlorophyll b 를가지고있는녹조류계열이다. Euglena 가대표적인속이다. 대부분 담수에산다. 자. 와편모조류 (d i a n o f l a g e l l a t e ) 바다에서적조를일으키는와편모조류는독소를가지고있거나물고기의아가미에달라붙어질식시키는등의피해를준다. 그러나호소에서서식하는와편모조류는독을가지고있지않아피해가없으며색깔도바다와는달리대개갈색을띤다. 담수의와편모조류는독성이없을뿐아니라세포의크기가 5μm이상으로남조류나녹조류에비하여큰편이므로, 동물플랑크톤의먹이가될뿐아니라직접작은어류의먹이가되기도한다. 또한와편모조류의일부는광합성을하는동시에다른생물을포식하기도하는타가영양생물의섭식행태를보이기도한다. 와편모조류는두개의편모를가지고있으므로빠른유영능력을가진다. 주광성을나타내므로낮에는수면으로상승하고밤이면수층에흩어지는일주기운동 (diel migration) 을보인다. 와편모조류는셀룰로스로만들어진껍질 (theca) 을가지는종류 (armored type) 와껍질을가지지않는종류 (naked type) 가있다. Peridinium은담수에서가장흔히출현하는종류이다. 차. 총분류군수 (n u m b e r o f t a x a ) 군집내생물의출현종수를의미하며, 군집내스트레스정도가높을수록특정종 의우점화비율이높아져전체분류군수는감소된다. 카. 종다양도 (s p e c i e s d i v e r s i t y )
9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종의풍부도와개체수의균등한분포를나타내는척도로서 Shannon-Wiener index(h') 이널리이용되고있다. 일반적으로부영양수역또는오염수역에서는다양한생물의분포가제한되고내성도가높은생물의우점화경향으로종다양도와균등도는감소하고특정종의우점화경향이뚜렷하게나타난다. 타. 우점도 (d o m i n a n c e ) 생물군집내종의우점화비율을나타내는척도로서 Simpson 의 dominance index 가널리쓰이고있다. 일반적으로부영양한수역에서는생물의내성도가높은 특정종의우점화경향이높게나타난다. 2. 대상호소 대상호소는수체의물리적특성과체류시간그리고호소의부영양화정도가서로다른 1개호소에서 24 ~ 25 년까지 2년간식물플랑크톤현존량을조사를하였다. 1차조사는소양호, 합천호, 낙동강하구호, 팔당댐, 왕송저수지등을대상으로 24 년 3 월부터 9 월까지월별조사를수행하였고, 2차조사는주암호, 대청호, 영산호, 왕궁저수지, 성암저수지를대상으로 25 년 3 월부터 8 월까지조사하였다. 소양호와주암호는수심이깊으며, 체류시간이길고수질이양호한빈영양호로구분하였고, 합천호와대청호는수심이깊고체류시간이길지만부영양한호소, 그리고팔당호, 낙동강하구, 영산호는수심이얕고체류시간이짧은부영양호로분류하였다. 한편소형저수지로서부영양한왕궁저수지와과영양한저수지인성암지와왕송지를대상호소로하였다 ( 표 6-2).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95 < 표 6-2> 생물지표개발적용을위해조사한호소 특성빈영양호부영양호과영양호 수심이 깊고 체류시간이 긴 호소 소양호합천호주암호대청호 팔당호 수심이 얕고 체류시간이 짧은 호소 - 낙동강하구 영산호 소형저수지 - 왕궁지 - - 성암지왕송지 3. 지표항목의적용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지표를 개발하기위하여 국내 1 개 호소를 대상으로 호소 부영양화 등급에 따라 USEPA(1988) 에서 제시하고 있는 12 개 지표항목을 적 용하였다. 각각의 지표항목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으로 나타나고, 이러한 반응의 정도에 따라 점수화함으로서 부영양화를 평가하게 된다. 본 조사결과 호소의 부영양화가 진행되며 남조류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반면 규 조류의 비율은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그 외의 다른 녹조류나 와 편모조류, 분류군수등 대부분의 지표항목에 대해서는 호소 부영양화 지수 증가에 따른 어떠한 경향도 보이지 않았다 ( 그림 6-2). 호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도 는 부영양화되며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우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명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호소에서는 남조류와 규조류를 중 심으로 한 부영양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9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남조류 (cyanobacteria) 녹조류 (green algae) 규조류 (diatom) 1 1 1 8 8 8 연간점유율 (%) 6 4 연간점유율 (%) 6 4 연간점유율 (%) 6 4 2 2 2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AAM in cyanobacteria 중심목 (centric diatom) 우상목 (pennate diatom) 1 1 1 8 8 8 연간점유율 (%) 6 4 연간점유율 (%) 6 4 연간점유율 (%) 6 4 2 2 2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TSI KO TSI KO 군체형조류 (Colonial greens) 유글레나 (euglenophyta) 1 와편모조류 (dinaoflagellate) 1 1 8 8 8 연간점유율 (%) 6 4 2 연간점유율 (%) 6 4 2 % of dynoflagellate 6 4 2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빈영양중영양부영양 TSI KO < 그림 6-2> 식물플랑크톤특성지표와부영양화도의상관관계 (box plot 내중심선은평균값을의미 )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97 5 분류군수 (Number of Taxa) 4 종다양도 (species diversity) 종우점도 (dominance) 1 4 3 8 분류군수 3 2 (H') 다양도지수 2 우점도지수 (%) 6 4 1 1 2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빈영양중영양부영양과영양 TSI KO TSI KO TSI KO < 그림 6-2> 계속 호소의부영양화정도에따라지표성을보이는남조류와규조류를대상으로연간변동을비교검토하였다. 빈영양호에서남조류의점유율은 1% 미만이었으며, 중영양호에서약 3% 미만, 부영양호에서약 6% 정도점유하고있었다. 과영양호에서는약 94% 이상을남조류가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반면규조류의점유율은빈영양호에서 71~9% 정도이고, 중영양호는약 38~73%, 부영양호에서는 18~67% 그리고과영양호는약 5% 미만으로나타났다 ( 표 6-3). 호소의영양등급에따른남조류와규조류의밀도분포는중영양과부영양양호에서상당부분점유율이중첩되었으며, 특히규조류의경우과영양호를제외하고영양등급에따른점유율의차이가명확하지않았다. 이는규조류가출현하는시기에녹조류와기타조류가함께우점하는경향이크고, 또한계절에따른동물플랑크톤의 grazing effect에의한영향이크게작용하기때문으로판단된다. < 표 6-3> 호소의부영양화도에따른식물플랑크톤군집의규조류와남조류의 점유율비교 ( 연간변동의 5%~75% percentile 값 ) 특성 빈영양호 TSI KO 3 중영양호부영양호 3< TSI KO 5 5< TSI KO 7 과영양호 7>TS I KO 남조류 (%) ~. 7. 4 ~29. 8 8. 1~63. 4 94.1~98.7 규조류 (%) 71. -8 9. 8 3 8. ~72. 6 18. 3 ~67. 3. 7~4. 2
9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4. T S I K O 와남조류, 규조류의밀도간의상관성검토 호소의 영양등급에 따라 경향성을 보이는 남조류와 규조류를 대상으로 국내 부영 양화 지표인 TSI KO 와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상관성 검토는 조사대상 1 개 호소를 포함하여 국내 19 개 호소 ( 춘천, 의암, 청평, 파로, 금광, 멱우, 동방, 흥부, 덕우지 포 함 ) 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조류의 경우는 특정시기에 우점 출현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전 계절에 조사된 자료와 하계에만 조사한 자료를 구분하여 상관성을 파악 하였다. 전 계절 조사된 남조류의 밀도와 TSI KO 간의 결정계수 (R 2 ) 는.488이었으며 ( 그림 6-3 A), TS I KO 가 증가함에 따라 남조류의 밀도가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름철에 조사된 자료에서 TSI KO 와 남조류 밀도간에 결정계수 (R 2 ) 는.323 으로서 전 계절 조사 자료에 비해서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호소 영양단계에 따른 남조류의 밀도 증가는 전 계절 조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그림 6-3B). 이는 여름철 남조류 조사만으로도 충분히 호소 부영양화평가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99 9 A 7 과영양 TSI KO 5 부영양 중영양 3 1 빈영양 R 2 =.488 p<.1 9 B 과영양 7 TSI KO 5 부영양 중영양 3 1 빈영양 R 2 =.323 p<.1 2 4 6 8 남조류밀도 (1 n cells/ml) < 그림 6-3> TSI KO 와남조류밀도간의상관성 (A: 전계절자료, B: 여름철자료 ) ( 인용자료 : 북한강상류수역및소양호파로호생태계구조조사 (25~26), 환경부 ; 북한강중류수역및춘천, 청평, 의암호생태계구조조사 (25~26), 환경부 ; 경기도 6개저수지생물상조사, 24.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1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반면 TSI KO 와규조류의밀도간에는뚜렷한상관성을보이지않았다 ( 그림 6-4). 이는앞서설명한바와같이규조류가우점하는시기에는녹조류나기타조류가함께우점하는경향이크고, 동물플랑크톤의섭식에의한영향과계절적변동이크기때문에 TSI KO 와의상관성도낮게나타나는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호소에서규조류보다는여름철에우점출현하는남조류밀도가부영양화를나타내는더좋은지표로서판단된다. 1 8 R 2 =.3 p=.8119 TSI KO 6 4 2 2 4 6 8 규조류밀도(1 n cells/ml) < 그림 6-4> TSI KO 와규조류밀도간의상관성 5. T S I K O 와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 A M ) 간의상관성검토 남조류세포중군체나사상체를형성하는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AM) 세포밀도는부영양화가진행됨에따라밀도가증가한다. TSI KO 와 AAM 밀도간의상관성은남조류전체를대상으로했을때보다낮게나타났다 (R 2 =.339). 각호소의영양단계에따른 AAM의밀도범위가상당히중첩되어구분이명확하지않았다 ( 그림 6-5 ).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11 1 8 과영양 TSI KO 6 4 부영양 중영양 2 2 4 6 8 AAM 밀도 (1 n cells/ml) 빈영양 R 2 =.339 p<.1 < 그림 6-5> TSI KO 와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AM) 밀도간의상관성 6. 규조류밀도의지표성검토 호소의부영양화가진행되며남조류밀도는증가하고, 반면규조류의밀도는상대적으로감소하는경향을보이고있지만, 부영양화의지표인 TSI KO 와규조류의밀도간에는뚜렷한상관성이나타나지않았다. 따라서규조류밀도는호소부영양화의지표로서는적절하지않지만, 봄철수온이상승하는시기에대번성을이루는경우가많으며, 이시기에냄새를유발하며, 정수처리과정에영향을주어많은문제를발생시키기때문에예보성격의지표는필요하다. 본연구에서는봄철규조류가번성하는시기를대상으로호소의영양상태에따른규조류의밀도를검토하였다. 부영양한호소와달리빈영양호에서규조류의출현빈도가높게나타나기때문에이를기준으로크게 4개등급으로나눌수있다 ( 그림 6-6). 4개등급에는각영양단계에서출현할수있는모든규조류의밀도가포함되며각등급이가지는의미는다음과같다. 빈영양호에서규조류의출현이 25% percentile 이하의낮은밀도로출현하는경우 I등급으로규정하였다. 따라서 I등급
1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은모든호소에서규조류의밀도가매우낮은범위이다. 빈영양호에서 25~75% percentile 범위를 II등급으로하였다, 이는대부분의호소에서출현하는밀도범위를포함한다. II등급은호소에서일반적으로규조류가출현할수있는범위이다. 빈영양호의 75~9% percentile 정도를 III등급으로규정하였다. III등급에서는중영양호이상의영양상태를보이는호소의최대밀도를포함하고있다. 따라서 III등급이상은빈영양호에서만나타날수있는범위로서규조류 bloom의가능성이높은범위이다. 빈영양호에서규조류의밀도가 9% percentile 이상인경우 IV등급으로규정하였으며, 이는빈영양호에서일시적으로규조류밀도가과도한증식을보이는것으로규조류 bloom이일어난단계로규정할수있다. 이에대한등급안은현행남조류예보제의발령기준과동일하게 I등급은해제, II 등급은주의보, III등급은경보그리고 IV등급은규조류대발생의성격을가진다 ( 표 6-4). 8 규조류밀도 (1 n cells/ml) 6 4 2 IV 등급 III 등급 II 등급 I 등급 빈영양중영양 부영양 과영양 TSI KO < 그림 6-6> 봄철 (3 월 ~6 월 ) 호소의영양등급에따른규조류밀도분포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13 < 표 6-4> 봄철규조류 bloom 에따른등급안제시 등급 규조류 밀도 (cells/ ml ) 점유비율 특성 I 등급 < 1 1.4 낮음 bloom 가능성 없음 II 등급 1 1.4 ~1 3.6 보통 bloom 가능성 있음 III 등급 1 3.6 ~1 4.8 높음 bloom 가능성 높음 IV 등급 > 1 5. 매우 높음 대발생 7. 식물플랑크톤체적에따른지표성검토 식물플랑크톤의밀도를이용한지표는종에따라세포의크기나생체량이서로다르기때문에단순히밀도를이용하여비교하는것보다생체량으로나타내는것이더정확한표현방법이다. 세포밀도는그때그때사용목적이달라서부피나생물량으로표현하지만부피가크다고해서부피에비례하여유기물양이증가하는것은아니기때문에일반적으로생물량으로표현하게된다. 따라서본조사에서는부영양화의지표로이용할수있는남조류를대상으로세포체적을이용한지표성을검토하였다. 가. 남조류세포체적 (b i o v o l u m n ) 을이용한지표성검토 호소의부영양화정도에따라분포하는남조류세포체적의연간변동을비교하였다 ( 표 6-4). 남조류의생체량과호소부영양화지수인 TSI KO 간의상관성은결정계수 (R 2 ) 가.444로서밀도를이용한관계와비슷하게나타났다 ( 그림 6-7). 남조류세포체적을이용한지표는밀도를이용한지표에비해서변별력이낮게나타났다. 빈영양-중영양-부영양호의남조류세포체적은 1 2 ~1 4 μm 3 /L 범위에집중되어구분이명확하지않았다. 과영양호에서는대부분 1 6 μm 3 /L 범위로서높은생체량을보였다. 따라서남조류체적을이용한지표는밀도를이용한지표에비해서호소영양등급간에뚜렷한구분을제시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1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나.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A A M ) 세포체적을이용한지 표성 검토 남조류중사상체나군체를형성하는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AM) 를대상으로호소영양상태에따른생체량을비교하였다. AAM의생체량과 TSI KO 간의상관성은남조류전체를대상으로했을때보다결정계수 (R 2 ) 가더낮았으며, 빈영양-중영양-부영양호간의구분도명확하지않았다 ( 그림 6-8). 따라서남조류인 AAM 체적을이용한지표도밀도를이용했을때보다지표성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1 8 과영양 TSI KO 6 부영양 4 중영양 2 2 4 6 8 남조류생체량 (1 n um 3 /L) 빈영양 R 2 =.444 p<.1 < 그림 6-7> 남조류의생체량과 TSI KO 간의상관관계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15 1 8 과영양 TSI KO 6 4 부영양 중영양 2 2 4 6 8 AAM 생체량 (1 n um 3 /L) 빈영양 R 2 =.341 p<.1 < 그림 6-8> 남조류중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AM) 의생체량과 TSI KO 간의상관관계 6-5. 남조류밀도를이용한생물지표조사개발및활용방안 국내호소를대상으로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생물학적지표의적용성을검토한결과남조류의밀도지표가가장적합한것으로나타났다. 호소의영양상태에따른뚜렷한경향을보였으며, 호소부영양화의지표인 TSI KO 와도비교적높은상관성을보였기때문이다. 특히남조류가우점하는시기인여름철과가을철 (7 월에서 1 월사이 ) 사이특정시기의남조류세포밀도는전기간동안조사한자료와비교해서큰차이가없었으며, TSI KO 와도높은상관성을유지하고있어호소부영양화를대표할수있는지표가될수있다. 1. 남조류를이용한지표 남조류의세포밀도와군집내점유비율을통하여호소부영양양화도를판정하기 위하여남조류의조사는여름철인 7 월에서 1 월사이월 1 회이상집중적으로조사
1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하며, 군체를형성하는남조류의경우초음파 (sonicate) 를이용하여세포를분리하 여검경한다. 이에대한자세한조사방법은아래와같다. 가. 조사시기 조사시기 : 7월 ~1 월 ( 남조류중심 ) 강우시기제외 ( 강우후 3~4일이후에조사 ) 조사는매월중순경을대표시기로하여현장조사를실시한다. 조사회수 : 월 1회이상혹은총 4~1 회조사 나. 조사방법 조사지점의설정 : 호소의수심이가장깊은댐앞정점혹은대표수질정점참조 ( 표 5-2) 조사수심 : 각조사지점에서수심, 수온약층의수심에따라결정 - 남조류는수심 2~5 m이내주로분포, 규조류는혼합층에고르게분포 - 표층광저해를고려하여표층시료는.5 m 수심에서채수 - 수심이얕은호소 :.5 m, 1 m에서채수 - 수심이깊은호소 :.5 m, 2 m, 5 m에서채수 채수된시료에서 5 ml subsample하여고정액으로보존 - Lug o l s 용액 : 1 ml샘플에. 3 ml주입 - 산성포르말린 : l L 샘플에 4 ml주입 - M 3 fixative : 1 L 샘플에 2 ml고정액주입 - Glutaraldehyde : 샘플의 1~2% 정도 샘플농축 - 침강법 : 약 2일간자연침강시킨후사이펀을이용하여농축 - 막여과 :.45 μm막여과지이용 vacuum의압력은 5 kpa 이하 - 원심분리 : 1, g 에서약 2분정도 군체를형성하는세포의분리 - 잘흔들어준다. - S on icat i on (1~ 2분정도 ) 농축시료로부터 1 ml을분취하여광학현미경하에서계수
제 6 장생물학적부영양화평가방법연구 17 - S ed g ewi c k-r af t er co un ti ng ch am b er ( 용량 1 ml, 1 개의눈금 ) - Palmer-Maloney cell : 세포크기가작고고밀도인경우 샘플의동정은목 (order) 혹은속 (genus) 수준까지동정 2. 부영양화평가기준제시 남조류를이용한호소부영양화평가는크게세포밀도와식물플랑크톤전체군집내남조류가차지하는점유비율로서판정할수있다. 남조류의세포밀도는여름철조사를대상으로중앙값과 75% percentile값의범위로서판정하며, 또한남조류의점유율변동은연간조사자료에서중앙값과 75% percentile 값의범위로서판정할수있다 ( 표 6-5). 6-6. 식물플랑크톤을이용한지표종및지표개발의적정성또는 향후 검토방향 1. 지표개발의적정성 많은식물플랑크톤은적응범위가넓고, 동물플랑크톤의섭식의영향등으로군집의변화가매우크게일어나기때문에식물플랑크톤군집은지표성이매우낮다. 본조사에서여러수질지표항목을대상으로식물플랑크톤군집에적용한결과일부남조류나규조류항목을제외하고지표성이전혀없는것으로나타났다. 본조사에서지표종으로선정한남조류는부영양호에서우점서식하는경향이크고, 독성물질을분비하며이수적측면에서중요성이높기때문에생물지표로서적정한것으로판단된다. 호소의부영양화가진행되며뚜렷하게남조류세포는뚜렷하게증가하는경향을보였으며, 호소부영양화지수인 TSI KO 와도비교적좋은상관성을보였다. 반면규조류는호소부영양화도에따라감소하는경향을보였지만, TSI KO 와는상관성이나타나지않아수질지표성은낮았다. 남조류세포밀도는과영양한호소를제외하고주로여름과가을철과같이특정시기에우점출현하기때문에이시기에집중조사함으로서호소의부영양화도를효과적으로평가할수있다.
1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2. 향후검토방향 본조사에서얻어진결과를보다다양한스펙트럼을가지는호소에적용함으로서자료의신뢰성을높일수있도록한다. 특히인공호와달리자연호는전혀다른육수학적성격을보이고있기때문에이에대한고려가필요하다. 육안관찰에의한부영양화등급은일반인들도쉽게접근하고평가할수있는방법이지만과학적인근거가부족하다. 따라서각단계별로다른생물지표나부영양화지표와연계하여수치화하고등급안을제시하는것을검토한다. < 표 6-5> 호소부영양화에따른남조류밀도기준 ( 여름철조사자료의 5~75% percentile, 점유율은연간변동의 5%~75% percentile) 호소의 영양상태 세포밀도 (cells/l) 점유율 (% ) TSI KO 지수범위 빈영양호 1 1. 5 ~1 2.2 ~.7 TSI KO 3 중영양호 1 2. 2 ~1 3.3. 4 ~29. 8 3 < TSI KO 5 부영양호 1 2. 7 ~1 3.5 8. 1~63. 4 5 < TSI KO 7 과영양호 1 5.3 ~1 5.7 94.1~98.7 TSI KO > 7
제 7 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19 제 7 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 보방안 마련 7-1. 부영양화도에따른호소의분류 호소의부영양화도 (trophic state) 에따라호소를분류하는방법에는몇가지가있는데크게빈영양호 ( 貧營養湖 oligotrophic lake; oligo-는적다, troph는영양이라는뜻 ) 와부영양호 ( 富榮養湖 eutrophic lake) 의두부류로구분하기도하고과영양호 ( 過營養湖 hypertrophic lake), 부영양호, 중영양호 ( 中營養湖 mesotrophic lake), 빈영양호, 극빈영양호 ( 極貧營養湖 ultraoligotrophic lake) 등으로나누기도한다. 사람이살지않는산간계곡에위치한호소는수심 4~5 m 바닥까지들여다보일정도로맑은물을가질수있다. 소양호에서는계절에따라투명도가 1 m에이르기도한다. 반면에남양호나아산호, 팔당호, 낙동강하구호등지의경우투명도가낮아수심 1~2 m의바닥도보이지않을정도로혼탁하다. 이러한차이는호소의영양상태의차이에따른식물플랑크톤양의많고적음에서오는것이다. 식물플랑크톤양이많고혼탁한호소를영양이풍부하다는뜻에서부영양호 ( 富營養湖 eutrophic lake) 라하고식물플랑크톤이적고맑은호소를빈영양호 ( 貧營養湖 oligotrophic lake) 라부른다. 또빈영양호가수질오염에의해부영양호로변하는현상을부영양화 ( 富營養化 eutrophication) 라한다. 호소물의맑기는흙탕물이유입된홍수기를제외하고는식물플랑크톤의양에의해좌우되는데식물플랑크톤은미소한단세포광합성생물로서수중생물먹이의근본이된다. 박테리아에서물벼룩, 피라미, 쏘가리에이르기까지모든나머지생물들은식물플랑크톤이광합성하여만든유기물이거나육상식물이광합성으로생성한유기물을먹고사는것이다. 식물플랑크톤이많은물은식물플랑크톤세포들이많이떠있어물이혼탁하게되므로물의투명도를좌우한다. 또한 BOD, 수중산소의양을비롯한수질화학적특성뿐아니라어류의양도좌우하므로부영양화도는호소의특성을규정짓는가장중요한인자이다.
11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 부영양화도에따른호소의분류방법들 > 빈영양호oligotrophic lake 부영양호eutrophic lake 빈영양호oligotrophic lake 중영양호mesotrophic lake 부영양호eutrophic lake 빈영양호oligotrophic lake 중영양호mesotrophic lake 부영양호eutrophic lake 과영양호hypertrophic lake 7-2. 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특성 1. 연안대 (l i t t o r a l z o n e ) 의경사 빈영양호에서 가파르고 부영양호에서는 완만하다. 완경사의 연안대에는 많은 수 초가 서식할 수 있다. 수초는 광합성에 의해 많은 양의 유기물을 생성하므로 수초 가 없는 호소보다 유기물함량이 높아지며 호소의 부영양화를 유발한다. 수초가 많 은 연안대의 광합성생산량은 일반적으로 수초가 없는 개방수면보다 광합성량이 크 다. 2. 표수층 / 심수층 (e p i l i m n i o n / h y p o l i m n i o n ) 의비 수심이얕아이비가작아지면부영양화되기쉽다. 유기물의생산은표수층에서일어나며태양에너지는수면적에비례한다. 반면에유기물분해는호소의전수층에서일어나며특히저질의표면에서많이일어난다. 심수층이크면산소의양이많으므로심수층의산소고갈이덜일어난다. 또한수심이얕으면저질로부터용출되는영양염이표수층에전달되어식물플랑크톤이번식하기쉬우며, 산소가고갈된
제 7 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111 저질표면에서는인의용출이증가한다. 따라서산간의수심이갚은호소는대게빈 영양호이다. 3. 투명도 홍수기이외에는대개호소의물의맑기는주로플랑크톤의양에의해좌우된다. 부영양호는식물플랑크톤의양이많아혼탁하며, 일반적으로투명도 1.5~2 m 을부 영양호의경계로본다. 4. 물의색 부영양화는호소물의색에도영향을미친다. 원래순수한물은검푸른색인데부유물질이많을수록단파장빛을많이흡수하므로부유물이많을수록물의색이청색 녹색 황색으로변해간다. 또한플랑크톤은색소를가지고있기도하므로물의색을변화시킨다. 5. 식물플랑크톤의양과종류 빈영양호에서는수중의무기영양염류가부족하여플랑크톤이성장하지못하는반면에부영양호에서는인과같은제한영양소의유입증가로인하여식물플랑크톤이많아진다. 또한영양염류의농도에따라식물플랑크톤의종류도달라진다. 빈영양호에서는낮은영양염류농도에적응된규조류와와편모조류등이우점하며, 부영양호에서는녹조류, 남조류등의부영양호지표종들이우점한다. 6. 영양염류 (n u t r i e n t s ) 의양과인위적부영양화 생물은생체를구성하는데많은원소를필요로하며원소에따라필요량이다르다. 생태계의생물의총량은생물체의요구에비하여생태계내에서가장결핍된원소의양에의해결정된다. 즉수중에존재하는총량이문제가아니라생물이요구량에비하여부족한원소즉, 제한영양소 (limiting nutrient) 가문제가되는것이다. 이제한영양소를공급하면생물의양이이에비례하여성장하게된다. 농사를지을때질소비료를뿌려주는것은바로질소가토양에서가장결핍된제한영양소
11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이기때문이다. 일반적으로담수에서가장결핍되어있는원소는인 ( 燐, P) 인데인은생물의세포막과 DNA 등의핵산을만드는데필수원소이므로인이없이는생물이성장할수없다. 따라서식물플랑크톤의양은바로인의양에비례하며궁극적으로어류의양도인의양에의해결정된다. 호소가부영양호가될지빈영양호가될지는인의농도에달려있다. 인의농도.25 mg /L을기준으로이이상이면부영양호, 이하이면빈영양호로분류할수있다. 식물은수중의인을흡수하여세포를만들고동물은식물을먹고이중일부는동물체세포를만드는데사용되고나머지는배설된다. 예를들어양어용사료에는인이 1.5% 정도포함되어있는데이중.6% 정도는물고기가흡수이용하고나머지는배설한다. 인의흡수량은생물의성장량에비례하므로사람과같이성장이느린고등동물은섭취한인을대부분배설한다. 호소의유역으로부터유입되는인의배출원으로소, 돼지, 닭등의가축, 가정하수, 농경지의비료, 양어장등을들수가있으며호소내에서는수면에떠있는가두리양식장, 지하수용출등을들수있다. 총량으로보면우리나라호소의인부하량의약 8% 가유역의가축에서유래하는것으로추산되고있다. 사료를수입하면서까지소를기르고고기를많이먹게된대가로호소의부영양화에따른수질악화의피해를겪고있는것이다. 7. 용존산소농도 빈영양호에서는산소의농도가연중생물의서식에충분하지만부영양호에서는여름에심수층의산소가부족하여물에서썩는냄새가난다. 호소바닥의뻘속에는특히산소고갈이쉽게일어나며냄새는더욱심하다. 부영양호의심층이나시궁창에서나는냄새의원인물질은메탄 (CH 4 ) 가스인데메탄가스는산소가없는곳에서유기물이박테리아에의해분해되는과정에서발생한다. 산소가존재하는곳에서는유기물이분해될때이산화탄소 (CO 2 ) 가발생하므로아무런냄새가나지않는다. 부영양호의표층에는여름에산소가과잉으로생성되어산소포화도가 1% 를초과하는과포화현상이나타나며과포화된산소는수면에서대기중으로확산해나간다. 그러나여름에는성층현상이일어나고심층에는찬물이정체되어있어산소가풍부한표층수와섞이지않는다. 빛도도달하지않는암흑세계이므로광합성에의한산소발생도없다. 결국겨울에공급된심층의산소는봄부터서서히소비되어고갈된다. 빈영양호에서는산소를소비하는물질이적으므로 BOD가낮고여름에도산소고갈이일어나지않는다. 그러나부영양호에서는표층의플랑크톤이죽어가라
제 7 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113 앉아분해되는양이부영양호의심층이나부영양호의퇴적물속에는산소가없다. 여름에부영양호의수심이깊은곳에서는높은산소를필요로하는냉수어종이살 수없으며붕어, 잉어와같이저산소에내성을가진어류만이생존할수있다. < 표 7-1> 빈영양호와부영양호의특성비교특성빈영양호부영양호물의투명도맑다혼탁하다 Secchi disc 투명도투명도 2 m이상투명도 2 m 이하물의색검푸른색연녹색, 초록색, 갈색수심깊다얕다 식물플랑크톤의 양 적다 Chl-a 농도 7 mg / m3이하 Chl-a 농도 많다 7 mg / m3이상 식물플랑크톤우점종의종류규조류, 와편모조류남조류, 녹조류수중영양염류 (P, N) 의농도인농도 25 mg / m3이하인농도 25 mg / m3이상동물플랑크톤의양적다많다여름성층기의심층산소충분하다적거나고갈되기도한다. 저서동물의양과종류양은적으나다양하다양은많으나종류수가적다어류의양적다많다 어류의 종류 계류어, 냉수어종 ( 송어, 열목어등연어과 ) 온수어종 ( 잉어, 붕어등잉어과 ) 8. 저서동물어류 생물량은유기물의양에비례하므로부영양호에더많다. 그러나부영양호에서는 산소고갈이일어나므로저산소상태에내성이있는종류만이서식할수있어다양성 이낮아진다. 맑은빈영양호에서는다양한계류어들이많이서식하여어류군집의
11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다양성이높다. 반면에남양호라든가낙동강하구호와같이부영양화가심한호소에서는붕어와잉어, 메기등이우점하며서식하는어종이단순하다. 어류외에도호소바닥에는곤충의유생, 지렁이류, 조개류등의저서동물이살고있는데산소가고갈된부영양호의심층에는다양한저서동물이살지못한다. 부영양화될수록퇴적물의산소부족으로저산소에견디지못하는종류는소멸하고산소부족에견디는종류만이살아남기때문에다양성이감소한다. 그러나생물의총량은오히려더많다. 플랑크톤이많아먹이가풍부하므로저산소에내성이강한생물에게는먹이의경쟁자가없는호적조건이되기때문이다. 빈영양호와부영양호의어류군집도차이를보인다. 빈영양호에서는다양한어류가서식하지만부영양호에서는소수의어류만이서식한다. 어류가생존하려면산소가필요하며산란하고부화하여번식하려면 4 mg /L 이상의더많은산소가필요하다. 어류의종류에따라저산소에대한내성이다르게나타난다. 계류에사는냉수어종은높은산소를필요로하는데수온이높아지면더욱많은산소를소비하므로견디기어렵다. 열목어, 송어, 산천어등의송어과와연어와계류어가이에해당한다. 이들냉수어종은저온에적응되어있기에여름에수온이높아지는호소의표층에서는대사속도가너무빨라져살수가없다. 수온이낮은계곡으로올라가거나수온약층이하의찬물을찾아깊은곳에머물게된다. 그런데부영양호에서는수온약층이하의깊은곳에산소가없어살수가없고표층은더워서살수가없으므로냉수어종은소멸할수밖에없다. 부영양호에서살려면높은수온에적응하여표층에살거나산소가낮은곳에서도견딜수있어야한다. 온수어종인붕어, 잉어등의잉어과어류가이에해당한다. 9. 저질 (s e d i m e n t ) 의퇴적량과유기물함량 호소 퇴적물은 근원에 따라 육상에서 유입한 외부기원 (allochthonous) 퇴적물과 호소 내 생물의 사체 등에 기인한 내부생성 (autochthonous) 퇴적물로 나눌 수 있다. 부영양호에서는 유역으로부터 유입하는 유기물과 토양이 많고 빈영양호에서는 적 다. 빈영양호에서는 퇴적물 표면까지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므로 유기물의 산화가 잘 일어나며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이 적기 때문에 갈색 또는 회색의 밝은 색을 띤다. 외부에서 유입하는 유기물과 토양의 양이 적으므로 퇴적양이 적다. 식물플랑크톤의 양도 적으므로 내부생성 퇴적물의 양도 적다.
제 7 장부영양화정도에따른수질, 생태계특성등정책홍보방안마련 115 부영양호에서는퇴적물의양도많고유기물의함량도높다. 유기물이많으므로이를먹이로하는저서생물 (benthos) 의양이많다. 이를스웨덴의용어로유짜 (gyttja) 라하며 copropel이라고부르기고한다. 구성성분은부식질 (humic). 육상식물의파편, 진흙 (clay) 등의외부기원퇴적물과규조류의껍질을비롯한식물플랑크톤세포, 동물의배설물등의내부생성유기물이다. 과영영호또는유기물로심하게오염된호소의퇴적물은검은색을띠고저서생물이살지못한다. 이퇴적물을 sapropel이라부르며, 산소부족과유독성황화수소의발생때문에저서생물이살지못하므로구멍이나배설물등의 copropel 구조가없다. 7-3. 부영양화지표홍보자료 부영양화지표에관한홍보자료는부영양화에대한정확한이해와부영양호의특성, 그리고비료의인성분유출, 퇴비및축산분뇨유출, 그리고하수및하수처리장방류수의인성분과같은부영양호의원인을포함하였다. 또한, 어떠한방지대책을통하여부영양화의발생을막을수있는지제시하였다. 호소수질을평가하는지표로 COD( 또는 TOC), 조류밀도 (Chl-a), 총인농도를제안하였고보조지표로투명도 ( 또는탁도 ) 를제시하였다. 본연구에서개발하고제안한한국형호소부영양화평가지수를이용하여호소의수질을좋고나쁜수질에대한판정할수있도록하였다. 실제로가장널리알려진전국주요호소를대상으로한국형호소부영양화평가지수로호소의영양상태를평가하여사례로제시하였다 ( 부록제6 절 ).
11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참고문헌 117 참고문헌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4. 경기도 6 개 저수지 생물상조사 박주현. 23. 한국주요호소의 비교육수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환경부. 21. 한국의 호소환경 조사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2. 수질환경보전법 환경부. 24. 물환경 종합평가 방법 개발 조사연구 (I )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관, 26. 북한강 상류수역 및 소양호 파로호 생태계 구조조사 25 ~ 26. 국립환경과학관, 26. 북한강 중류수역 및 춘천, 청평, 의암호 생태계 구조조사 25 ~ 26. 국립환경연구원. 22. 12, 호소수질관리 안내서 국립환경연구원. 23. 전국호소의 환경상태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23. 12, 전국 호소의 환경상태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24,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 연구 (Ⅰ) 최종보고서 국립환경연구원. 25,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 연구 (Ⅱ) 최종보고서 한국 육수학회. 21, 한국의 호소환경 조사 기법에 과한 연구 ( 최종보고서 )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5, 탁수로 인한 수중생태계 영향조사 및 저감대책 제시 조규송, 강인구, 권오길, 김범철, 나규환, 안태석, 이종범, 이찬기, 이해금, 전상호, 최준길 공역. 1997, 호소환경조사법. 동화기술 류재근, 박혜경, 정명숙, 임인택, 공동수, 안승구, 김우구, 박제철, 신윤근, 허우명 공역. 22. 호소공학. 동화기술 講談社サイエンチィフィク, 西條八束 三田村緒佐武,1995, 新編 湖沼調査法 Ah e arn, D. S., a nd R. A. Dah lgre n. 25. Sed im en t and nu trie nt dynamics following a low-head dam removal at Murphy Creek, California. Limnol. Ocea no g r., 5 : 175 2-1762. Axler R., Yokom S., Tikkanen C., McDonald M., Runke H., Wilcox D., and B. Cady. 1998. Restoration of a Mine Pit Lake from aquacultural nutrient enrichment. Restoration Ecology. 6:1-19. Bailey M., and T. Davignon. 1999. A limnological assessment of Russell Pond, Woodstock, NH. University of New Hampshire Center for Freshwater Biology Re se arch. 1: 13-22.
11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Brodersen K. P., Dall P. C., and C. Lindegaard. 1998. The fauna in the upper stony littoral of Danish lakes: macroinvertebrates as trophic indicators. Freshwater Biology. 39:577-592. Carlson R. 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 61-3 69. C hro st, R. J, and W. Si ud a. 26. M ic ro bia l p ro du ct i on, ut ili z ation, and enzymatic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upper trophogenic layer in the pelagial zone of lakes along a eutrophication gradient. Limnol. Oceanogr., 5 1: 74 9-762. Coveney M. F., Lowe E. F., Battoe L. E. Marzolf E. R., and R. Co nro w. 25. Response of a eutrophic, shallow subtropical lake to reduced nutrient loading. Fres hwa te r B io lo g y. 5 : 1718-173. De N ic o la D. M., Eyt o E. D., Wem ae re A., an d K. I rv i ne. 24. U s ing epilithic algal communities to assess trophic status in irish lakes. J. Phycol. 4:481-495. Du g g an I. C., Gre e n J. D. and R. J. S hi e l. 22. Di st ri but io n of rotifer assemblages in North Island, New Zealand, lakes: relationships to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factors. Freshwater Biology. 47:195-26. Eg g i nk J. 21. An Explora ti o n o f t h e Li mn olo g i ca l Dyn ami cs o f Lake Manassas. Thesis submitted to the Graduate Faculty of the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Virginia. Forsberg C., and S. Ryding. 198.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nin 3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 18 9-27. Forsberg, C., and S.O. Ryding. 198.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7 Goldman, C.R. 1978. The use of natural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bioassay. Mitt. Internat. Verein. Limno. 21: 364~371 Geraldes A. M., and M. J. Boavida. 1999. Limnological comparison of a new reservoir with one almost 4 years old which had been totally emptied and refilled. Lakes and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4:15-22. Go dki n. W. T. 24. An a sse ss me nt of t he ph ysi cal, ch em 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hristine Lake, NH. UNH Center for Freshwater Biology
참고문헌 119 Re se arch. 6:1-16. Haggard. B. E., Moore P. A., Daniel T. C., and D. R. Edwards. 1999. Trophic Conditions and Gradients of the Headwater Reaches of Beaver Lake, Arkansas. Proc. Okla. Acad. Sci. 79:73-84. Hecky, R. E. et al, 1993. The stoichiometry of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in particulate matter of lakes and ocea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3 8 :79-724 Lampert W., and U. Sommer, 1997. Limnoe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Kemka N., Njine T., Togouet S. H. Z., Menbohan S. F., Nola M., Monkiedje A., N i yi te g e ka D., and P. C om pere. 26. Eut roph i ca ti o n o f lake s i n urbanized areas: The case of Yaounde Municipal Lake in Cameroon, Central Africa. Lakes &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11:47-55. Kent W. Thornton, Bruce L. Kimmel, Forrest E. Payne, 199,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Inc. Kie rszty n B., Siu da W., an d R. J. Ch ro st. 22. Micro bia l Ecto e nzyme Activity: Useful Parameters for Characterizing the Trophic Conditions of Lakes. Polish Jo urn al o f Env i ron me nt al S t udi e s. 11: 3 67-3 73. Nurnberg G. 1996. Trophic state of clear and colored, soft-and hardwater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nutrients, anoxia, phytoplankton and fish. Journal of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2(4):432-447. OECD, 1997. Biotechnology for Water Use and Conservatio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ering, Assessment and Control.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154pp. Olm ans on L. G., Ba ue r M. E., and P. L. Bre zon ik. 22. U se o f landsat imagery to de ve lo p a wa te r qu ali ty a tla s of Min ne so ta 's 1, la kes. Pecora 15/Land Sa te li te I nf orm at io n I V/I S PRS C o mmi ss io n I /FI EOS 22 C on fe re nce Proceeding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Final Report. OECD Cooperative Programme on Monitoring of Inland Waters (Eutrophication Control). OECD, Paris, 156pp.
1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Pace M. L. 1986. An empirical analysis of zooplankton community size structure across lake trophic gradients. Limnol. Oceanogr., 31:45-55. Patceva S., Mitic V., Jordanoski M., Matzinger A., Veljanoska-Sarafiloska E., 26. Tro ph ic S t at e of La ke Pre spa. Redfield et al, 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awater. pp 26-77. In M.N.Hill(ed), The sea: Ideals and Observations on Progress in the Study of the Seas, vol.2 : The Composition of Seawater, Comparative and Descriptive Oceanography. New York: Interscience. Sawaya K. E., Olmanson L. G., Heinert N. J., Brezonik P. L., and M. E. Bauer. 23. Exte nd in g s at elli t e re mo t e se ns in g to local s ca les : lan d and water resource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8:144-156. S ze wzyk. U. 25. Lim no log i cal i nv e st ig a ti o ns i n La ke S an Pablo, a hi g h mountain lake in Ecuador. Genehmigte Dissertation. Berlin. S zy per H., and R. Go ldy n. 22. Ro le o f cat chm en t are a i n t h e t ransport of nutrients to lakes in the Wielkopolska National Park in Poland. Lakes &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7:25-33. Takamura N., and Y. Nojiri. 1994. Picophytpolankton biomass in relation to lake trophic sate and the TN:TP ratio of lake water in Japan. J. Phycol. 3:439-444. Mi nne apo li s Park and Re cre at i on Bo ard (MPRB). 21. Tro ph ic S t ate Report 19 9 1-21. M N Turkia, J and L. Lepisto, 1999. Size variation of planktonic Aulacoseria thwaites (Diatomae) in water and in sediment from Finnish lakes of varying trophic s ta te. J. Plan kto n Re s.,21: 75 7-77. USEPA.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 nt hi c ma cro i nv ert e brat es an d f i sh. EPA/ 4 4 /4-8 9-1. U S EPA, O 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EPA. 1998. Lake and Reservoir bioassessment and biocriteria. Technical guidance document. US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Vollenweider, R.A. 1975. Input-output model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osphorus loading concept in limnology. Schweiz Z. Hydrol., 37, 53-84 Vollenweider and Kerekes, 1982. Eutrophication of water.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cooperative programme on monitoring of inland water. Environment directorate, OECD
[ 부록 ] 제1절 1차 년도에 조사한 5 개 호소의 조사 결과 정리 제2절 2차 년도에 조사한 5 개 호소의 조사 결과 정리 제3 절 부영양화 평가지수 산정과 관련한 자료 제4 절 부영양화 지수산정 관련 엑셀시트 제5 절 3 차 년도에 제시한 모니터링 조사 대상 농업용 저수지 제6절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홍보자료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23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 부표 1-1> 소양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2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4.7 11. 9 64. 7 7.15 1.3 2 4.6 11. 5 64. 9 7.3 7 1.5 1 5 1 4.7 4.5 11. 5 11. 8 66. 65. 7.3 7 7.3 8 1.3 5 1.21 2 4.6 11. 6 65. 1 7.3 6 1.3 2 St. 1 3 4 4.6 4.6 11. 4 11. 4 65. 2 65. 7 7.3 9 7.3 5 1.14 1.4 2 5 4.6 11. 3 65. 5 7.3 5 1.4 9 6 7 4.7 4.6 1. 9 9.9 66. 9 69. 5 7.3 3 7.29 1.3 1.16 8 4.6 8.8 74. 7.24 1.4 2 S t. 2 5.2 12. 5 61. 2 7.22 1.8 S t. 3 4.6 12. 8 62. 1 7.4 1.8 6 St. 4 1.1 14.3 79.1 7.27 16.5 < 부표 1-2> 소양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3 월 ) 조사정점 수심수온용존산소전기전도도탁도 ph (m ) ( ) ( mgo 2 /L) (μs/ cm ) (NTU) St. 1 2 5 1 2 3 4 5 6 7 8 6.6 6.4 5.9 5.7 5.4 5.1 5.2 4.9 4.9 4.9 5. 11. 8 11. 8 11. 7 11. 3 11. 6 11. 4 11. 5 11. 5 11. 4 11. 2 11. 1 61. 7 62. 4 62. 3 62. 5 62. 1 62. 6 64. 3 66. 3 66. 1 66. 5 67. 8 7.24 7.4 2 7.6 7.4 5 7.4 5 7.4 7 7.3 7 7.4 2 7.4 6 7.4 4 7.4 1 1. 1.2 1.1 1.4 2 1.25.9 6 1.4 4 1.5 1 1.3 2 1.3 4 1.4 1 S t. 2 7.1 12. 9 61. 6 7.27.9 7 S t. 3 7. 12. 2 62. 4 7.29 1.4 7 S t. 4 1. 9 1. 6 88. 4 7.3 1 1.16
12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 소양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4 월 ) 조사정점 수심수온용존산소전기전도도탁도 ph (m ) ( ) ( mgo 2/L) (μs/ cm ) (NTU) 2 5 1 1. 8 1. 6 1. 4 7. 13. 1 13. 12. 9 12. 7 6. 1 6. 5 6. 8 62. 1 8.6 7.8 7.76 7.68 1.14 1.13 1.3 2.9 8 St. 1 2 6.5 12. 6 61. 9 7.5 6 1.3 8 3 4.8 12. 63. 2 7.5 1 1.1 4 5 6 7 4.1 4.1 4.1 4. 12. 11. 9 11. 7 11. 6 62. 6 64. 1 66. 5 67. 9 7.4 8 7.3 2 7.29 7.3 9.74 1. 1.3 1 1.65 St. 2 15.6 12.7 65.6 8.16 2.32 St. 3 15.6 12.3 79.8 7.64 11.2 St. 4 15.6 1.8 79.8 7.64 11.2 < 부표 1-4> 소양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6 월 ) 조사정점 수심수온용존산소 (m ) ( ) ( mg O 2 /L) 25. 3 9.6 2 24. 7 8.8 5 23. 8 9.4 1 16. 5 1.3 2 12. 4 9.7 St. 1 3 7. 1.1 4 5.7 1.2 5 5.1 1.4 6 4.9 1.5 7 4.9 9.8 8 4.9 9.2 전기전도도탁도 ph (μs/ cm ) (NT U) 64. 8 8.12 1. 3 65. 2 7. 7 1. 51 64. 9 7. 5 1. 35 65. 4 7. 23 1. 21 64. 8 7. 37 1. 32 63. 2 7. 23 1. 14 64. 7. 2 1. 42 63. 8 7. 25 1. 49 65. 2 7. 11 1. 3 68. 7. 19 1. 16 69. 3-1. 42 S t. 2 26. 3 9. 1 8. 9 9. 2 1. 8 S t. 3 25. 6 1.6 69. 1 9. 26 1. 86 S t. 4 26. 1. 66. 1 8. 55 16. 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25 < 부표 1-5> 소양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7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 U) 27. 9.3 6. 9 7. 65 1. 61 2 25. 1 1.2 62. 6-1. 98 5 21. 5 9.2 59.8-1. 41 1 18. 5 6. 2 65. 4-2. 2 17. 2 7. 5 61. 3-1. 3 3 16. 1 8.4 55.5-3.6 St. 1 4 14. 9 8.4 5.7-69. 4 5 12. 9 8.3 63. 6-28. 7 6 7.2 9.4 64. 8-8.61 7 6.2 935 65. 8-4.17 8 5.4 9.7 65. 2-6. 7 9-9.4 66. 8-2. 89 1 6.5 1. 8 11. 9-5.47 St. 2 25. 9.8 62.5 8.8 1.34 St. 3 25.5 1.3 62.7 9.22 1.54 St. 4 25.1 1.1 6.3 9.48 2.8
12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6> 소양호의 수질 조사 결과24년 8월 ) 조사정점 수심수온용존산소전기전도도탁도 ph (m) ( ) ( mgo 2/L) (μs/ cm ) (NT U) St. 1 2 5 1 2 3 4 5 6 7 8 9 1 26.5 26.3 26. 2.5 19.2 18.8 17.1 14.9 8.4 7. 6. 5.6 5.7 1. 7 11. 3 1. 7 7. 9 7. 8 7. 3 8.9 9.9 9.4 1. 9.9 9.4 1. 1 61.1 63.3 64.4 68.9 66.3 56.9 51.9 51.7 65.1 64.5 66.6 69.5 158.8 9.5 9.61 9.65 7.1 7.1 7.2 6.9 3 6.9 8 7.16 7.13 7.3 7.14 7.79 1. 58 2. 28 1. 82 1. 14.9 2. 3.71 18. 2 31.3 7. 23 5.21 4.3 2. 8 3.32 St. 2 27.2 1.9 63.4 9.53 1.86 S t. 3 25. 8 12. 2 63.4 9. 63 2. 83 St. 4 25. 11. 66.6 9.37 2.88 < 부표 1-7> 팔당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3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1. 5 16. 2 169. 8 9.68 4.76 2 1. 1 15. 5 18 2. 7 9.74 5.1 St. 1 5 9.6 15. 4 176. 2 9.52 4.41 1 8.7 14. 16. 2 9.5 4.77 18 7.6 12. 14 5. 2 8.29 4.27 St. 2 8.4 13.6 92.7 8.44 1.89 St. 3 11.5 13. 2 27 9.23 2.5 9 St. 4 13.1 17.3 443 9.77 13.4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27 < 부표 1-8> 팔당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4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16. 7 15. 1 21 9.5 4.56 2 15. 8 15. 2 216 9.4 3.45 St. 1 5 14. 3 14. 7 24 9.2 2.9 9 1 12. 1 12. 168. 2 8.2 2.9 5 19 9.8 9.8 163. 4 7. 4 2.73 St. 2 14.9 11.9 96.7 8.49 2.47 St. 3 15.8 14.1 219 9.24 4.48 St. 4 17.8 15.4 41 9.4 13.5 < 부표 1-9> 팔당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6 월 ) 조사정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 U) 24.9 13. 6 13. 7 9. 1. 17 2 2.9 16. 1 13. 6 9.2 2. 26 St. 1 5 17.4 13. 7 187. 8 8.4 2. 81 1 16.4 12. 3 194.9 7. 8 2. 73 19 16.2 11. 6 195.8 7. 7 2. 75 St. 2 22.5 12.7 97.9 8.7 2.23 St. 3 18.8 13.6 199.8 8.3 3.26 St. 4 25.2 14. 1 231. 1 9. 1 7. 1
12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1> 팔당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7 월 ) 조사정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 mg 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19. 4 9.1 181 7. 6 2 19. 2 8.7 187 7. 6 St. 1 5 19. 9.1 198 7. 6 1 18. 9 9.2 145 7. 6 2 18. 8 9.4 144 7. 5 S t. 2 19. 2 1.1 85 7. 1 St. 3 19.3 9.4 188 7.7 St. 4 22.7 6.9 239 6.8 < 부표 1-11> 팔당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8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 mg 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3.7 6.9 123. 4 8.2 54.3 2 23.7 6.4 18. 6 8.3 65. 8 St. 1 5 23.5 6.3 18. 1 8.3 54. 9 23.1 6.5 18. 6 8.2 46.3 18 22.9 6.8 16. 4 8.3 55.7 S t. 2 23.3 1. 1 8. 2 8. 2 11. 8 S t. 3 21.1 6.8 96. 8 8. 1 151 S t. 4 24.8 5.6 225 7. 9 29. 4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29 < 부표 1-12> 합천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3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7. 12. 3 32. 7.5 4 2.5 8 2 6.7 11. 5 44.6 7.28 2.5 2 St. 1 5 6.5 11. 6 42.6 7.4 9 1.8 1 1 6.5 11. 1 35. 7.4 1.76 15 6.4 11. 4 44.8 7.4 2.13 St. 2 6.8 11.8 44.6 7.44 1.19 S t. 3 6.7 11. 5 41. 6 7.5 7 1.28 S t. 4 8. 11. 8 42. 7.74 3.3 2 < 부표 1-13> 합천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4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9.2 11. 8 12. 9 8.7 2. 1 2 14 12. 16. 1 8.5 2. St. 1 5 1 12 1 11. 8 11. 1 34.4 43.4 8.2 8. 1. 7 1. 4 2 8.5 13. 8 33.9 7. 9 1. 1 3 7. 1. 5 26. 6 7. 8 1. 5 S t. 2 16. 3 13. 1 47. 9. 3 1. 5 St. 3 16.5 14.6 34.1 9.2 1.5 S t. 4 17. 2 12. 4 52. 2 9. 5 5. 6
13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14> 합천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6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4. 5 8. 36.8 1. 1. 5 2 22. 9. 29. 3 1. 2. St. 1 5 19. 8.4 35.2 8.7 2. 1 1 11. 2 7. 6 36.4 7. 4 2. 6 2 8. 8.8 35.9 7. 6 1. 2 S t. 2 22. 9. 3 72. 5 1. 3 4. 3 St. 3 21.1 9.9 47.6 1.6 3.2 St. 4 22.5 8. 5.9 8.3 3.6 < 부표 1-15> 합천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8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3. 9.8 39.2 1. 6 1. 4 2 22. 5 6. 8 34.8 1. 12. 5 5 21. 5 3.7 32.6 7. 7. 8 St. 1 1 19. 3.5 37.6 6. 7 8.6 2 19. 3.2 48.7 6. 8 13. 8 3 18. 3. 13. 4 7. 4 33.1 4 14. 4. 14. 7 7. 9 9.4 St. 2 25. 13.8 12.4 11.3 6.1 St. 3 23.5 13.5 13.5 11.8 98.7 S t. 4 23. 8 17. 2 17. 2 11. 5 132.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31 < 부표 1-16> 낙동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3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8.3 14. 5 165. 3 9.52 11. 1 St. 1 2 8.7 13. 1 113. 5 9.63 11. 5 5 9. 14. 1 14 9. 7 9.73 12. 1 St. 2 8.6 14. 156. 9.41 11.3 St. 3 8.2 14. 188.3 9.34 12.3 St. 4 8.2 14.9 135.6 9.59 15.5 < 부표 1-17> 낙동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4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16 1. 12 177. 5 9. 4.2 St. 1 2 15. 3 1. 67 166. 7 8.9 4.5 5 15. 2 8.77 15 4. 1 8.7 4.7 St. 2 16.2 9.47 125.4 8.7 5.5 S t. 3 16. 5 1. 6 13 5. 7 9. 4. 5 St. 4 16. 8.99 17.4 9. 3.8 < 부표 1-18> 낙동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6 월 ) 조사정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2. 6.8 49.8 7. 3 4.5 St. 1 2 2. 2 6.2 43.7 7. 3 7. 7 5 2. 2 5.6 48.2 7. 3 9.2 St. 2 22.5 6.8 46.2 7.3 7.2 St. 3 22. 7.1 34.4 8.3 6.1 St. 4 22.5 7. 42.3 8.2 7.9
13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19> 낙동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8 월 ) 조사정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 U) 28.1 6. 6 61.4 8.1 9.8 St. 1 2 27.5 5.7 35.9 7. 6 11. 5 28. 6. 6 37.6 8.1 12. 2 St. 2 28.9 6.4 28.1 8. 8.5 St. 3 28.6 6. 8 4.4 8. 1 8.1 St. 4 29.2 8. 37.9 8. 1 8.9 < 부표 1-2> 왕송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3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4.3 17. 8 487 9.63 14. 3 St. 1 2 4.3 17. 5 78 4 9.66 13. 9 5 4.3 17. 5 489 9.66 13. 7 St. 2 4.3 17.1 499 9.6 13.1 St. 3 4.5 17.5 492 9.61 14. St. 4 4. 18.5 494 9.63 16.2 < 부표 1-21> 왕송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4 월 ) 조사정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12. 3 12. 3 483 9.72 18.6 St. 1 2 11. 6 11. 8 495 9.55 18.5 5 11. 8.5 498 9.34 22.2 S t. 2 12. 7 13. 4 48 2 9.71 18.1 S t. 3 12. 9 14. 4 49 2 9.3 19.2 St. 4 13.7 14.3 482 9.78 19.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33 < 부표 1-22> 왕송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6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6. 3 18. 6 4 1. 5 22. St. 1 2 24. 8 17. 1 395 9.9 17. 6 5 14. 9 2. 7 445 9.3 39.2 St. 2 25.7 15.4 396 1.5 19.2 St. 3 25.2 1.1 414 9.7 17. St. 4 25.8 1.5 443 9.5 17.4 < 부표 1-23> 왕송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7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26. 9 16. 1 29 8 9.7 23. 8 St. 1 2 23. 1. 4 278 8.8 24. 1 5 18. 9 1. 9 353 7. 7 4.3 S t. 2 26. 2 17. 8 29 9 1. 3 6. 5 S t. 3 25. 4 14. 4 29 9 1. 2 3. 7 St. 4 26.2 2. 311 1.6 51.3
13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24> 왕송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8 월 ) 조사정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o 2 /L) 전기전도도 (μs/ cm ) ph 탁도 (NTU) 3.5 16. 5 26 1. 3 38.1 St. 1 2 29. 13. 3 265 1. 4 36.6 5 25. 5.1 333 7. 8 22. 6 St. 2 3. 14.8 255 1.3 35.7 St. 3 3.5 2.4 281 1.9 7.1 St. 4 3.5 24.6 299 11. 81.6 2 월 3 월 4 월 6 월 7 월 8 월 < 부표 1-25> 소양호의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 : 경험식사용 (1.7/SD.) 조사 시기 투명도 (m) 흡광계수 (m -1 ) 유광대 (m) St.1 5.1. 3* 13.8 St.2 4.7.4* 12.7 St.3 3.8.5* 1.3 St.4.6 3.1* 1.5 St.1 3.3.4 12.1 St.2 4.4.4 11. S t. 3 2..4 11.2 St.4.5.9 5.2 St.1 3.6.5* 9.2 St.2 3.5.5 9.2 S t. 3 2. 4.7 6. 6 S t. 4. 7 2.2 2. 1 St.1 4.9.4* 13.2 St.2 3.7.5* 1. St.3 2.4.7* 6.5 St.4.8 2.1* 2.2 St.1 4.8.4* 12.96 St.2 4..4* 1.8 St.3 4..4* 1.8 St.4 3.2.5* 8.64 S t. 1 2. 9. 6* 7. 7 St.2 2.1.7* 6.5 St.3 2..9* 5.4 St.4 2..9* 5.4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35 3 월 4 월 6 월 7 월 8 월 < 부표 1-26> 팔당호의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 : 경험식사용 (1.7/SD.) 조사 시기 투명도 (m) 흡광계수 (m -1 ) 유광대 (m) St.1 1. 1. 7* 2. 7 St.2 1.6 1.1* 4.4 St.3 1.5.8 5.8 S t. 4. 4 2.8 1. 7 St.1 1.2 1.4 3.3 St.2 1.7 1. 4.6 St.3 1.1 1.5 3.1 S t. 4. 4 4.3 1. 1 St.1 2.1.8 5.7 St.2 1.8.9 4.9 St.3 1.3 1.3 3.5 S t. 4 1. 1.7 2. 7 St.1.4 3.2 1.5 St.2.8 1. 4.6 S t. 3. 2 3.1 1. 5 St.4 1.2.8 5.6 St.1.1 6.7.7 S t. 2. 6 2.9 1. 6 S t. 3. 1 12. 5. 4 S t. 4. 2 4. 1. 2 3 월 4 월 6 월 8 월 9 월 < 부표 1-27> 낙동호의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 : 경험식사용 (1.7/SD.) 조사 시기 투명도 (m) 흡광계수 (m -1 ) 유광대 (m) St.1. 8 2. 1* 2. 2 St.2.8 2.1* 2.2 St.3.8 2.1* 2.2 St.4.7 2.4* 1.9 St.1.7 1.1 4.1 St.2 1.2 1. 4.5 S t. 3 1. 5 1.9 2. 4 St.4 1.3 1.5 3.2 St.1 1. 1.9 2.4 St.2.7 1. 4.4 St.3.7 1.3 3.6 St.4.9 1.2 4. St.1.8 1.2 3.9 S t. 2. 9 2.3 2. St.3 1. 1.5 3.2 S t. 4. 7 2.6 1. 8 S t. 1. 8 2. 1* 2. 2 St.2 1. 1.7* 2.7 St.3.9 1.9* 2.4 St.4.8 2.1* 2.2
13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3 월 4 월 6 월 8 월 9 월 < 부표 1-28> 합천호의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 : 경험식사용 (1.7/SD.) 조사 시기 투명도 (m) 흡광계수 (m -1 ) 유광대 (m) St.1 3.2.5 9.2 St.2 4.2.4 11.5 St.3 4.3.4 11.5 St.4 - - - St.1 2.8.4 11.2 St.2 2.2.5 9.8 S t. 3 2. 2.6 7. 9 St.4 1.4 1.4 3.2 St.1 2..5* 9.7 St.2 1.7.8* 6. St.3 1.6.8* 5.6 St.4.8 2.3* 2. St.1.6 2.8* 1.6 St.2.5 3.8* 1.2 St.3.3 6.8*.7 St.4.3 5.7*.8 St.1.2 11.3*.4 S t. 2. 1 17. *. 3 St.3.2 8.5*.5 St.4.3 6.8*.7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37 < 부표 1-29> 왕송저수지의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조사시기투명도 (m) 흡광계수 (m -1 ) 유광대 (m) St.1. 5 3.2* 1. 4 3 월 St.2.6 3.1* 1.5 St.3.5 3.3* 1.4 St.4.6 3.1* 1.5 S t.1. 6 2. 8* 1. 6 4 월 St.2.6 2.8* 1.6 St.3.5 3.4* 1.4 St.4.5 3.4* 1.4 S t.1. 4 4. * 1. 2 6 월 St.2.3 5.7*.8 St.3.3 6.8*.7 St.4.2 8.5*.5 S t.1. 4 4. * 1. 2 7 월 St.2.3 5.7*.8 St.3.4 6.8*.7 St.4.3 8.5*.5 S t.1. 4 4. * 1. 2 8 월 * : 경험식사용 (1.7/SD.) St.2.3 5.7*.8 St.3.3 6.8*.7 St.4.2 8.5*.5
13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 소양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조사시기 수심 Chlorophyll-a( mg m -3 ) SS VSS NVSS (±S.D., n=3)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8. 67 84.13 16 2. 4 2. 9 2 1. 53. 73 48.8 52 2. 3 3.1 5. 87. 6 69.27 31 2. 3 2. 9 1 1. 2. 67 56.5 3 44 2. 1 2. 8 2 1. 7 1. 3 76.4 24 2. 1 2. 9 St.1 3 1. 3. 8 62.5 38 2. 3 3. 4 1. 4. 6 43.8 57 2. 7 2. 8 2 월 5 6 1. 2 2. 3. 5 1. 2 42 52.7 1.1 58 48 2. 1 2. 2. 6 2. 5 7 1.. 6 6.4 4 2. 3 2. 1 8 1. 6. 7 44.9 56 2. 2 1. 8 St.2 1.67.9 3 5 6.73 4 4 3. 2 3. 9 St.3 1.8.93 52.87 48 2.9 4.3 St.4 7.4 1.5 2 5.9 8. 1.9. 35. 35 1. 1. 3 ± 1. 5 ± 2.6. 5 83.1 17 1. 4 ± 1. 5 ± 5. 53. 53 1. 1. 4 ± 1. 5 ± 1 1. 27. 87 69.4 31 1. 3 ± 1. 3 ± 2. 6. 4 67.2 33. 9 1. 2 St.1 3. 4. 33 83.7 18. 9 1. 3 4. 93. 4 43.3 3 35 1. 1. 4 3 월 5 6. 8. 53. 47. 53 59 1.3 3. 41. 7 1. 1. 3 1. 4 7. 53. 33 62.2 38. 9 1. 3 8. 6. 4 67.2 33 1. 1. 3 St.2.6.4 67.2 3 3 2. ± 2. 5 ± St.3 1..7 7.3 3 1. 9 ± 2. 6 ± S t. 4 14. 67 2.67 18 12. 8 2 8. 6 ± 2. ±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39 조사시기 St.1 4월 수심 2 5 1 2 3 4 5 6 7 < 부표 1-3> 계속 Chlorophyll-a( mg m -3 ) SS VSS NVSS (±S.D., n=3)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1..8 87. 1 13 3.1 ± 4. ± 2. 1.3 67. 7 33 3. ± 4.6 ± 1.7 1.5 92. 1 8 2. 7 ± 4.5 ± 1.2.7 56. 5 44. 8 ± 2. 2 ±.7.5 8. 1 2 1. ± 1. 3 ± 1..8 83. 2 17. 6. 8.3.3 8. 1 2. 8. 7.4.3 83. 1 17. 5. 5.6.6 1... 7 1..7 67. 3 33. 4. 4 St.2 1.7 1.5 88.2 12 2.8 ± 3.5 ± St.3 2.9 2. 68.9 32 7.6 ± 3 6.8 ± St.4 16.7 3.3 2 13.3 8. ± 1.7 ± 6 월 St.1 2 5 1 2 3 4 5 6 7 8 2.2 1.8 1.9 1.1.9.9.8.8.7.9.8 2. 1.6 1.2.7.7.7.6.6.6.7.4 91. 2 9 3.9 ± 4.7 ± 89. 2 11 2. 9 ± 1 3.3 ± 1 61. 8 39 2. 3 ± 1 3. ± 64. 4 36 2. 8 ± 1 3.7 ± 1 78. 4 44 1. 4 ± 2. 5 ± 1 78 75 75 86 78 5. 2. 2. 2. 1. 2. 4 22 25 25 14 22 5. 3. 6. 5. 4. 3. 3. 4 St.2 1.8 1.2 67.6 33 4.1 ± 1 5.4 ± 1 St.3.5.2 51.2 51 3.6 ± 1 5.5 ± 2 St.4 7.3 3.3 45 4. 55 9.3 ± 4 9.8 ± 1
1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 계속 조사시기 St.1 7 월 수심 2 5 1 2 3 4 5 6 7 8 9 1 Chlorophyll-a( mg m -3 ) SS VSS NVSS (±S.D., n=3)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7.6 9. 1 12 3.7 ± 3.8 ± 1.4 1.2 83. 2 17 3.8 ± 1 4. ± 1 1.7 1.5 86. 2 14 4.5 ± 1 5.1 ± 1 1.9 1. 54. 9 46 3. 4.1 5.5.9 16 4.6 84 1. 2 2. 7 2.7 13 18. 87 1. 3 44. 4.8 11 39.3 89 1. 5 25. 2 3. 12 22. 2 88. 5 7.9 1. 13 6. 9 87. 5 3. 9. 3 21. 7. 1 11. 1.8 19 9.2 84 1. 2.7.5 18 2. 2 82. 3 3.7 1.3 36 2. 3 63. 2. 7 S t. 2 1. 7 1.6 9 6. 1 4 - - St.3 2.1 1.8 85.3 15 11.5 ± 1 12.8 ± 1 St.4 2. 1.5 73. 5 27 13.6 ± 4 11.8 ± 2 8 월 St.1 2 5 1 2 3 4 5 6 7 8 9 1 2.5 2.6 2.7 2. 1.4 2.9 11. 3 18. 8 5.3 3.3 1.9 1. 2.6 2. 2.1 2.3 1.9 1.3 1.3 2.3 5.6 1. 1.6.8.4 2. 8. 5 2 12. ± 12.8 ± 81. 5 19 12.2 ± 13.1 ± 85. 4 16 13.3 ± 1 14.4 ± 1 94. 1 7 6. 6 ± 6 8.3 ± 5 91 43 2 3 19 47 4 4 76. 1 1. 6 9. 13. 2 4.3 1. 8 1. 1. 6. 6 9 57 8 7 81 53 6 6 24 3.7. 9. 1. 4 4.9 1. 6 1. 5 1. 7 1. 4.1. 3. 6. 3 S t. 2 1. 8 1.4 78. 4 22 5. 6 7. 3 ± 6 St.3 3.3 3.1 95.1 4 11.9 12.3 ± 2 S t. 4 2. 9 2.4 8 5. 4 15 13. 1 13.6 ±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41 < 부표 1-31> 팔당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3 월 St.1 2 5 1 18 4.4 5. 4.2 3. 3. 3.4 3.2 3. 3. 2. 8 77 1. 23 27.1 ± 1 32. ± 1 64 1.8 36 26.8 ± 6 31.3 ± 7 71 1.2 29 24. ± 4 31.8 ± 4 1. 21.2 ± 1 26.6 ± 1 93.2 7 7. 3 ± 1 13. ± St.2 3.2.8 25 2.4 75 5.4 ± 1 7.8 ± 1 St.3 2.8 2.6 93.2 7 14.4 ± 1 18.1 ± 1 S t. 4 14.67 4. 67 3 2 1. 68 179. 6 ± 4 217. 9 ± 8 4 월 St.1 2 5 1 19 6.4 6.7 4.4 4.8 4.2 6.4 6. 3.2 2.4 2.4 1. 59.5 ± 1 66.6 ± 2 9. 7 1 32.4 ± 2 38.2 ± 2 73 1. 2 27 1.6 ± 13.9 ± 5 2. 4 5 1.1 ± 14.4 ± 57 1. 8 43 3.7 ± 1 1. ± St.2 6.8 4.8 71 2. 29 7.6 ± 11.3 ± 1 St.3 4.4 2.8 64 1.6 36 33. ± 38.1 ± 1 St.4 2. 15. 75 5. 25 153.5 ± 4 179.7 ± 2 6 월 St.1 2 5 1 19 1.8 4.9 5.1 4.8 3.8 1.6 3.1 2.8 1.9 2. 93. 1 7 4.4 ± 5. ± 62 1. 8 38 4.8 8. 54 2. 46 13.4 ± 16.7 ± 39 2. 3 61 5.6 ± 1 8.3 ± 1 52 2. 3 48 4. ± 1 6. ± St.2 3.9 2.4 61 4.5 39 8.3 ± 2 8.8 ± St.3 5.2 2.5 48 3.2 52 7.8 ± 1 8.5 ± 1 St.4 13.3 1.3 78 2. 23 47.1 ± 6 53.3 ± 5
14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1> 계속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3. 2.5 8 27. 5 92. 7 ± 2. 3 ± 2 23. 5 3. 13 2. 5 87. 3 ± 1 1. 8 ± St.1 5 24. 4.5 19 19. 5 81. 1 ± 2 2. ± 1 9 24. 4. 17 2. 83 1. 4 ± 2 2. 3 ± 18 26. 5 3.5 13 23. 87. 3 ± 2 2. 3 ± 7 월 St.2 6.7 1.3 2 5.3 8.6 ± 2 3.2 ± 1 St.3 26.5 4. 15 22.5 85 2.9 ± 1 4.5 ± 1 St.4 4. 1. 25 3. 75.8 ± 2. ± 1 67. 12. 18 55. 82. ± 2 15.7 ± 2 2 53. 7. 13 46. 87 3.5 ± 2 12.7 ± 1 St.1 5 57. 11. 19 46. 81. ± 2 14.2 ± 2 9 74. 7 11. 3 15 63. 3 85. ± 3 14.5 ± 2 18 43. 8. 19 35. 81. 9 ± 13. ± 1 8 월 St.2 8.3 3.7 44 4.7 56. ± 5 14.8 ± 1 St.3 147. 15. 1 132. 9 4.1 ± 2 8.8 ± 1 S t. 4 22. 7 1. 4 4 12. 7 5 6 5. 8 ± 2 8. 7 ± 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43 < 부표 1-32> 합천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3 월 St.1 2 5 1 15 2. 2. 2.6 1.8 2.8 1.8 1.8 1.6 1.4 2.2 9. 2 1 2. 2 ± 1 4.5 ± 1 9. 2 1 2. 4 ± 4.6 ± 62 1. 38 2. ± 4.4 ± 78. 4 22 1. 9 ± 4.4 ± 79. 6 21 1. 8 ± 3.9 ± St.2 3.2 2. 63 1.2 38 1.5 ± 3.2 ± St.3 1.4 1.2 86.2 14 1.5 ± 4.3 ± 1 St.4 1.2 2.8 27 7.4 73.8 ± 1 3.3 ± 2. 1.8 9. 2 1 2. ± 1 3.9 ± 2 2. 1.6 8. 4 2 2. ± 1 3.2 ± 1 St.1 5 1 2.6 2.2 2.2 2. 85 91. 4. 2 15 9 2. ± 1. 2 ± 3.8 ± 2. 4 ± 2 1.8.8 44 1. 56. 9 ± 1. ± 4 월 3 1.4.8 57. 6 43. 3 ±. 9 ± St.2 2.6 2.2 85.4 15 3.2 ± 1 5.5 ± St.3 2.8 2.6 93.2 7 5.1 ± 3 5. ± 1 St.4 1. 5.2 52 4.8 48 8.5 ± 7 8.3 ± 1 6 월 St.1 2 5 1 2 3.8 4.7 3.7 3.9 2. 3.1 3.4 2.5 3.2 1.6 82. 7 18 5.2 ± 1 5.7 ± 1 72 1. 3 28 6. 3 ± 1 7. 8 ± 1 68 1. 2 32 7. ± 2 9.7 ± 1 82. 7 18 1. 2 ± 1 5. ± 1 8. 4 2. 4 ±. 8 ± S t. 2 1. 2 9.7 9 5. 5 5 7. 8 ± 1 9. ± St.3 6.4 5.6 8 8. 8 13 16.3 ± 2 2.4 ± 1 St.4 8.8 7. 8 1.8 2 7.3 ± 1 8.4 ±
14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2> 계속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8 월 St.1 2 5 1 2 3 4 22. 8 8.5 7.7 8. 35. 26. 3 9.3 21. 7 7.5 6.2 6.7 21. 7 11. 5 6. 95 1. 2 5 75.5 ± 2 74.5 ± 1 88 1. 12 9.6 ± 2 1.1 ± 2 8 1. 5 2 1. ± 2 2. ± 83 1. 3 17. ± 1. 4 ± 1 62 13. 3 38. ± 2 1. 7 ± 44 14. 8 56. ± 2 1. 8 ± 1 64 3.3 36. ± 2 1. 3 ± St.2 33.3 3.7 92 2.7 8 145.3 ± 9 147.2 ± 4 S t. 3 68. 7 61. 3 8 9 7. 3 11 296.6 ± 66 26. 6 ± 3 St.4 53.3 48. 9 5.3 1 378.1 ± 44 363.3 ± 2 5.7 13. 26 37.7 74 166. 8 ± 8 168. ± 5 2 9.3 1.8 19 7.5 81 12.5 ± 4 14.8 ± 4 St.1 5 1 9.8 6. 3.1.1 32 2 6.7 5.9 68 98 8.1 ± 3 1. 4 ± 2 11.3 ± 1 3.6 ± 1 2 28. 9.3 33 18. 7 67 7. 8 ± 5 14. ± 6 3 21. 3 5.6 26 15. 7 74. ± 3.1 ± 9 월 St.2 54. 15.3 28 38.7 72 189.1 ± 66 188. ± 4 S t. 3 3. 5. 17 25. 8 3 14. 8 ± 2 111. 3 ± 4 St.4 14.5 1.8 12 12. 7 8 8 47.4 ± 1 49.6 ± 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45 < 부표 1-33> 낙동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16. 5 8.5 52 8. 48 129. ± 21 14.4 ± 19 St.1 2 14. 5 9.5 66 5. 34 18.3 ± 17 119.3 ± 19 5 16. 5 1. 61 6. 5 39 113.2 ± 13 126.4 ± 11 3 월 S t. 2 17. 5 8. 4 6 9. 5 5 4 92.7 ± 3 15. 7 ± 4 S t. 3 16. 5 9. 5 5 7. 5 4 5 92.2 ± 6 14. 6 ± 6 S t. 4 19. 5 1. 5 1 9. 5 4 9 113. 3 ± 5 121. 8 ± 5 14. 11. 5 82 2. 5 18 15.6 ± 1 21. ± 1 St.1 2 15. 5 13. 84 2. 5 16 15.2 ± 2.3 ± 1 5 13. 9.5 73 3.5 27 4.5 ± 1 11.4 ± 1 4 월 St.2 12.5 9.5 76 3. 24 13.7 ± 5 17.9 ± 6 St.3 1. 5.5 55 4.5 45 5.2 ± 1 1.9 ± 1 St.4 24.5 9.5 39 15. 61 6.1 ± 11.8 ± 4.7 3.7 79 1. 21 2. 9 ± 2 8.1 ± 1 St.1 2 11. 5 8.5 74 3. 26 3.7 ± 1 9.9 ± 5 1. 2 5.5 54 4.7 46 4.1 ± 2 9. ± 1 6 월 St.2 8. 7.2 9.8 1 3.9 ± 9.3 ± 1 St.3 6. 5.3 88.7 12 11.9 ± 2 14.8 ± 1 St.4 8.2 3.9 48 4.3 52 7.1 ± 1 1.7 ±
14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3> 계속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9.3 6.7 71 2. 7 29 8.4 ± 5 13.7 ± 1 St.1 2 1. 5 7. 67 3.5 33 6. 2 ± 1 1.9 ± 1 5 15. 7 8. 51 7. 7 49 7. 1 ± 2 11.1 ± 1 8 월 St.2 11. 8.8 8 2.2 2 9.7 ± 1 12.6 ± 1 St.3 14. 1. 71 4. 29 14.3 ± 2 18.3 ± 1 St.4 13.3 1.5 79 2.8 21 8.3 ± 1 11.8 ± 1 6.7 1.4 21 5.3 79 13.3 ± 2 19.8 ± St.1 2 1. 7 2.4 22 8.3 78 9.4 ± 3 19.8 ± 5 14. 3 6.3 44 8. 56 9.9 ± 2 14.9 ± 9 월 St.2 8.5.8 9 7.7 91 8.2 ± 2 19.2 ± 1 St.3 11. 2.5 23 8. 5 77 1.2 ± 2 14.7 ± St.4 13.5 4.8 36 8.7 64 7.8 ± 1 14.8 ± 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47 < 부표 1-34> 왕송저수지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21. 12. 57 9. 43 194.4 ± 6 21. 7 ± 6 St.1 2 23. 5 14. 5 62 9. 38 192. 1 ± 3 21. 2 ± 3 5 23. 5 7.5 32 16. 68 189.3 ± 4 26. 3 ± 2 3 월 S t. 2 24. 17. 5 73 6. 5 27 184. ± 6 21. 6 ± 9 S t. 3 27. 16. 5 61 1. 5 3 9 186. 8 ± 6 22. 1 ± 6 St.4 29.5 15.5 53 14. 47 179.5 ± 9 193.1 ± 8 18. 16. 89 2. 11 141. 5 ± 6 169.9 ± 6 St.1 2 18. 14. 78 4. 22 147. ± 5 175. 6 ± 5 5 21. 13. 62 8. 38 126. 1 ± 3 162. 6 ± 1 4 월 St.2 14.7 11.3 77 3.3 23 118.9 ± 1 151.5 ± 13 S t. 3 18. 12. 7 7 5. 3 3 122. 1 ± 6 153. 8 ± 7 S t. 4 18. 7 12. 7 68 6. 3 2 117. 5 ± 6 148. 5 ± 7 28. 7 25. 3 88 3.3 12 227.8 ± 13 248.6 ± 12 St.1 2 23. 3 21. 3 91 2. 9 199. ± 11 218.5 ± 8 5 34. 21. 62 13. 38 117. ± 16 139.7 ± 23 6 월 S t. 2 18. 7 16. 7 8 9 2. 11 142.9 ± 12 164. ± 16 S t. 3 21. 5 15. 5 72 6. 28 88.8 ± 3 1. 7 ± 3 S t. 4 24. 17. 71 7. 29 9.6 ± 2 11. 3 ± 3
14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4> 계속 조사시기 수심 SS VSS NVSS Chlorophyll-a( mg m -3 ) ( mg /L) ( mg /L) (% ) ( mg / L) (%) Lorenzen UNESCO 15. 3 12. 78 3.3 22 12.4 ± 12 125.3 ± 16 St.1 2 15. 3 1. 7 7 4.7 3 12. 7 ± 6 127. 1 ± 7 5 37. 9. 24 28. 76 - - 7 월 St.2 23. 18. 78 5. 22 198.9 ± 6 23.8 ± 6 S t. 3 23. 3 16. 7 71 6. 7 29 171. 3 ± 6 18. 6 ± 4 S t. 4 28. 21. 3 76 6. 7 24 256.5 ± 27 26. ± 28 9.3 6.7 97 2. 7 3 16.4 ± 11 163.5 ± 1 St.1 2 1. 5 7. 84 3.5 16 88.6 ± 3 94.4 ± 4 5 15. 7 8. 67 7. 7 33 18.9 ± 3 3.5 ± 2 8 월 S t. 2 11. 8.8 9 4 2. 2 6 168.5 ± 14 17.8 ± 14 S t. 3 14. 1. 9 5 4. 5 267.8 ± 18 275.5 ± 16 S t. 4 13. 3 1. 5 8 8 2. 8 12 165.3 ± 21 169.1 ± 23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49 < 부표 1-35> 소양호의 TN, TP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92.8 2. 12. 1 17 2 1. 4.8 1. 13. 9 177 5. 97.79. 13. 9 165 1. 89.9 2. 12. 1 164 2. 98.8 5. 12. 1 18 1 St.1 3 1. 11.8. 12. 9 25 4 1. 13.9. 12. 1 29 3 월 5 6 1. 18 1. 62.9 7 1.. 12. 14. 1. 1 218 25 6 7 1. 13.9 3. 14. 1 179 8 1. 4 1.2. 15. 11 27 S t.2 1. 1.72. 12. 9 18 6 S t.3. 92.8 9. 11. 1 18 5 S t.4 1. 39 1.3 6. 12. 1 25 6 1. 1 1.4. 12. 1 18 6 2 1. 1.9 3. 12. 1 18 6 5 1. 3.8 9. 13. 1 175 1 1. 66.9 8. 15. 1 24 5 St.1 2 3 1. 6 1. 3 1.4 1.5. 13. 13. 1. 1 18 1 175 4 1. 1.79. 13. 3 172 4 월 5 1. 33 1.6. 13. 1 227 6 1. 14 1.6. 12. 2 21 7 1. 55 1.14. 14. 2 24 5 S t.2 1. 11 1.. 15. 1 164 S t.3 1. 11.9. 24. 6 12 St.4-1.9.67.2 -
15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5>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1. 31 1.23. 4. 3 725 2 1. 7 1.22. 5. 3 474 5 1. 18 1.24. 6. 3 435 1 1. 18 1.24. 8. 4 327 2 1. 22 1.2. 6. 4 45 St.1 3 1. 17 1.23. 9. 3 28 8 6 월 4 5 1. 15 1. 15 1.25 1.27. 7. 8. 4. 4 364 318 6 1. 22 1.3 1. 6. 4 45 7 1. 21 1.3 3. 6. 2 447 8 1. 24 1.3 7. 9. 4 35 S t.2 1. 24 1.27. 8. 5 34 3 S t.3 1. 49 1.3 8. 2. 8 165 S t.4 1. 29 1.5 2. 18. 8 15 9 1. 22 1.27. 3. 3 9 2 1. 18 1.28. 2. 3 136 5 1. 22 1.3. 2. 6 1351 1 1. 41 1.5 2. 3. 5 141 2 1. 45 1.5 3. 3. 14 17 3 1. 31 1.4 1. 7. 3 2 414 St.1 4 1. 28 1.3 4. 1. 14 28 3 7 월 5 6 1. 23 1. 17 1.3 6 1.29. 4. 2. 11. 4 68 1 1295 7 1. 19 1.28. 2. 5 1318 8 1. 31 1.3. 2. 5 145 9 1. 18 1.3 3. 2. 4 136 1 1. 19.77. 2. 9 1318 S t.2 1. 26 1.27. 2. 5 1395 S t.3 1. 22 1.29. 2. 7 1351 S t.4 1. 32 1.3 2. 2. 6 139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51 < 부표 1-35>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1. 2 1.4. 9. 9 25 1 2 1. 8 1.4. 16. 8 14 9 5 1. 1 1.5. 12. 9 18 6 1 1. 37 1.5. 7. 2 433 2 1. 43 1.5 8. 6. 7 528 3 1. 43 1.4 8. 7. 4 452 St.1 4 1. 26 1.3 6. 19. 17 14 7 5 1. 26 1.3 2. 3 9. 26 72 6 1. 21 1.3 4. 11. 8 24 4 7 1. 2 1.28. 11. 1 24 2 8 월 8 9 1. 22 1. 4 1.29 1.3. 1. 8. 8. 6 27 388 1 1. 78 -. 26. 11 15 2 S t.2 1. 31 1.8. 12. 12 24 2 S t.3 1. 16 1.12. 14. 7 18 3 S t.4 1. 34 1.19. 19. 8 15 6
15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6> 팔당호의 TN, TP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2. 28 2.23. 4 6. 9 11 2 2. 45 2.22. 3 9. 8 13 9 St.1 5 2. 38 2.24. 4 7. 9 112 1 2. 28 2.15. 4 2. 5 12 3 월 15 2. 17 2.15. 15 1. 7 32 S t.2 1. 17 1.67. 26. 2 15 1 S t.3 2. 42 2.3 6. 3 8. 7 14 1 S t.4 7. 1 7.6. 29 7. 119 52 4 월 St.1 2 5 1 19 2. 45 2. 19 2. 11 2. 4 1. 93 1.9 9 1.9 8 1.9 2.18 1.9 5. 5 4. 5 5. 3 4. 3 2. 3 4. 14. 14. 6. 4. 4 1 88 13 7 14 1 126 S t.2 1. 77 1.5 4. 28. 4 14 S t.3 2. 17 1.8 6. 5 5. 9 87 S t.4 5. 4 3.4 1. 263. 9 1 42 6 월 St.1 2 5 1 2 1. 8 2. 17 2. 7 2. 24 2. 22 1.4 6 1.4 4 1.69 1.78 1.68. 17. 18. 28. 24. 23. 14. 8. 13. 8. 7 23 4 267 164 27 214 S t.2 1. 61 1.77. 2. 7 178 S t.3 2. 2 1.3 9. 24. 9 23 S t.4 2. 54 1.5 4. 11. 3 6 56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53 < 부표 1-36>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2. 97 2.5 8. 166. 4 4 2 3.1 2.4 6. 127. 3 6 52 St.1 5 2. 56 2.5 8. 13 3. 3 9 43 9 2. 46 2.5 1. 128. 3 6 43 18 2. 47 2.63. 13 2. 13 6 41 7 월 S t.2 2. 4 2.5 1. 4. 17 113 S t.3 2. 56 2.15. 161. 4 3 35 S t.4 4. 22 3.75. 18. 9 2 87 2. 7 1.4 9. 177. 19 26 2 1. 93 1.4 4. 171. 8 3 25 St.1 5 2. 1 1.4 5. 163. 8 9 29 9 2. 14 1.4 4. 18 8. 9 3 25 18 1. 78 1.4 1. 15. 73 26 8 월 S t.2 1. 41 1.6. 5 8. 9 54 S t.3 2. 17 1.27. 28 2. 15 2 17 St.4 4.87 1.66.484.274 22
15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7> 합천호의 TN, TP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4.18 2.5 6. 7. 5 1322 2 4.21 2.4 2. 13. 1 717 St.1 5 4.3 2.5 1. 15. 14 63 5 1 4.38 2.4 7. 3. 24 323 3 월 15 4.27 2.63. 18. 13 525 S t.2 4. 21 2.5 1. 1. 1 93 2 S t.3 4. 21 2.4 3. 11. 1 84 7 S t.4 5. 19 2.5 3. 13. 5 88 4 4.11 2. 1. 2. 8 455 2 4.19 1. 98. 28. 16 331 St.1 5 1 4.3 4.12 2. 31 2. 12. 22. 22. 17. 21 46 415 4 월 2 3 4.47 4.61 2. 14 2. 23. 25. 21. 19. 19 396 486 St.2 4.53 2.31.21.19 478 S t.3 4. 41 2. 61. 25. 24 39 1 S t.4 4. 25 2. 78. 24. 18 39 2 3.56 2. 42. 15. 13 526 2 4.36 1. 94. 23. 19 42 St.1 5 3.78 2. 35. 3. 25 279 1 3.73 2. 57. 3 5. 3 2 23 6 6 월 2 2. 83 1. 55. 28. 23 224 S t.2 3. 78 2. 79. 18. 14 465 S t.3 3. 59. 6. 16. 12 49 7 S t.4 3. 8 2. 11. 14. 14 6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55 < 부표 1-37>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8 월 St.1 2 5 1 2 3 4 9.44 1.6 12.5 11.3 9.69 9.81 11.5 1. 48 9.44 9.19 9.19 13. 71 8.19 5.83. 63. 3 6. 3 1. 3 1. 5 7. 5 3. 27. 28. 24. 18. 18. 3 5. 29. 21 332 619 861 87 376 41 96 S t.2 9. 6 6. 7. 8 9. 3 5 225 S t.3 12.8 2 5. 9. 13 3. 4 7 213 S t.4 1.9 3 7. 33. 18 9. 3 1 128 11. 6. 83. 8 7. 23 28 2 9.69 3.85. 3 1. 21 69 2 St.1 5 1 9.44 1. 43 5.26 9.6. 28. 25. 21. 19 74 7 92 2 11. 8 9.39. 8 6. 4 1 34 3 8.94 5.9. 78. 4 2 25 4 9 월 St.2 1.75 7.7.18.73 22 St.3 1.9 4.77.76.22 318 S t.4 9. 56 6.5 8. 8 5. 3 5 24 9
15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8> 낙동호의 TN, TP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5.81 4.11. 8 9. 2 14 5 St.1 2 5.97 4.43. 11. 24 13 1 5 5.72 4.71. 9 1. 22 13 9 3 월 S t.2 5. 63 4.4 1. 8 3. 26 15 S t.3 5. 62 4.3 8. 8 1. 17 15 4 S t.4 5. 74 4.69. 9. 26 14 1 5.19 3.87. 9 4. 4 8 122 St.1 2 5.23 2. 84. 9 6. 5 3 121 5 5.21 3.67. 8 8. 4 2 13 1 4 월 S t.2 5. 17 3. 45. 9 1. 4 3 126 S t.3 5. 16 3. 21. 8 6. 3 8 13 3 S t.4 5. 27 2. 71. 9 8. 3 5 119 5.49 2. 78. 3 7. 3 1 329 St.1 2 5.3 4.9. 5 3. 3 2 221 5 5.33 7. 89. 4 3. 3 274 6 월 St.2 6.46 3.53.46.39 311 St.3 4.82 3.56.61.34 175 S t.4 4. 16 3. 12. 3 7. 3 24 9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57 < 부표 1-38>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1.4 3 8.69. 8 7. 79 265 St.1 2 1.18 5.59. 8 8. 77 25 6 5 1.73 5.29. 9 2. 68 263 8 월 St.2 1.93 6.75.97.69 25 S t.3 9. 51 7.4 5. 9 3. 68 226 St.4 1.93 7.8.93.79 26 9.31 15. 77. 8 7. 79 23 7 St.1 2 9.69 6. 46. 8 8. 77 24 4 5 8.69 6. 7. 9 2. 68 29 9 월 St.2 9.93 7.25. 9 7. 69 227 S t.3 9. 69 5.9 6. 9 3. 68 23 1 S t.4 8. 57 5.9 6. 9 3. 79 24
15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39> 왕송저수지의 TN, TP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6. 4.52. 167. 3 6 8 St.1 2 5.89 4.58. 19 9. 3 3 66 5 5.88 4.52. 23. 3 57 3 월 S t.2 6. 5 4.61. 222. 29 6 S t.3 5. 98 5.4. 25. 3 1 65 St.4 5.88 4.34.296.29 44 4.78 3.51. 165. 3 1 64 St.1 2 4.79 3.59. 25 9. 3 4 41 5 5.2 3.65. 15 6. 3 7 71 4 월 S t.2 5. 3 3. 61. 19 8. 3 6 56 S t.3. 2 3. 48. 18 5. 3 4 62 S t.4 4. 62 3. 8. 13 9. 3 3 74 4.45 2.18. 422. 17 23 St.1 2 4.97 2.5 7. 33 7. 15 33 5 4.3 2.7. 38 6. 115 25 6 월 St.2 3.74 1.67. 34. 17 24 St.3 3.58 1.26. 29 3. 129 27 S t.4 4. 8 1.9 1. 25 6. 73 3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59 < 부표 1-39>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TN DTN TP DTP TN/TP (m ) ( mg /L) ( mg / L) ( mg /L) ( mg /L) ( 원자비 ) 5.87 3.22. 25 1. 123 52 St.1 2 3.8 1.3 1. 23 9. 13 5 29 5 5.95 3.28. 54. 9 6 24 7 월 S t.2 4. 6 1.9. 361. 14 2 25 S t.3 3. 34 1.4 5. 279. 118 27 St.4 4.36 2.12.375.81 26 2. 44.72. 24. 24 26 St.1 2 2. 96 1.9. 19 7. 3 4 33 5 7. 42 4.35. 763. 9 5 22 8 월 St.2 3.52 1.5.25.35 38 S t.3 3. 24 1.3. 28 7. 3 4 25 S t.4 3. 5 1.16. 363. 3 4 19
1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 소양호의 COD Mn, COD Cr, P OC, DO C, T OC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mg O 2 /L) ( mg O 2 /L) ( mg C/ L) ( mg C/ L) ( mg C/L) 2 월 St.1 2 5 1 2 3 4 5 6 7 8. 75. 52 1. 92 2. 62 1. 62. 69 1. 5 1. 39. 99 1. 52 1. 79 5.15 4.4 7. 26 5.45 3.53 7. 26 9.28 5.85 7. 47 4.54 3.33 1. 37 1. 25 1. 58 1. 3 1. 26. 99 1. 3. 85. 99 1. 7 1. 29. 47. 57. 64. 49. 5. 48. 49. 37. 88. 45. 5 1.8 4 1.8 2 2.22 1.79 1.76 1.4 7 1.79 1.22 1.8 6 1.5 2 1.79 S t.2 2. 32 3. 23 1. 44. 58 2.2 S t.3 1. 12 4. 94 1. 19. 14 1.3 3 S t.4 2. 22 8. 27 1. 79. 73 2.5 2 3 월 St.1 2 5 1 2 3 4 5 6 7 8 1. 6 2. 2. 1 2. 8 1. 9 2. 1. 5 1. 5 1. 5 1. 5 1. 8 2. 12 2. 52 6. 56 4.24 4.94 5.75 6. 66 6. 25 4.74 3.63 3.53 1. 28 1. 14 1. 9 1. 31 1. 17 2. 49 1. 23 1. 3 1. 13. 95. 97. 42. 52. 56. 48. 29. 24. 29. 34. 39. 24. 29 1.7 1.66 1.65 1.79 1.4 6 2.73 1.5 2 1.64 1.5 2 1.19 1.26 St.2 2. 2.42 1.8.72 1.8 St.3 1.8.61 1.16.96 2.12 St.4 1.8 6.96.97 1.39 2.36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61 < 부표 1-4>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mg O 2/L) ( mg O 2/L) ( mg C/L) ( mg C /L) ( mg C /L) 1.25 2.72 1.8 4 1. 18 3.2 2 2. 4.34.8 7 1. 16 2. 3 5 1.9 4.14 1.6 1. 16 2. 22 1.9 3 2.2.9 9. 67 1. 66 St.1 2 3 1.11 1.4 4 2.4 2 3.13 1.1.9 6. 62. 56 1. 63 1. 52 4 월 4 5.65 1.76 1.4 1 3.83 1.8.8. 47. 38 1. 55 1. 18 6.65 1.4 1.9 7. 47 1. 44 7 1.3 9 3.3.9 4. 55 1. 49 St.2 1.25 2.72 1.4. 97 2. 1 St.3 3.11 6.76.9 8 1. 25 2. 23 St.4 3.25 7.6 1.2 1. 5 2. 52 4.36 9.48 2.13 1. 43 3.56 2 - - 1.61. 78 2. 39 5 1.3 9 3.3 1.8 8. 85 2. 73 1 1.67 3.63 2.4 4. 64 3.8 2.4 2.9 1 2.76. 8 3.56 St.1 3.79 1.72 1.7. 8 2. 5 4 2.27 4.94 3.32. 68 4. 6 월 5 6 1.21 1.11 2.62 2.4 2 2.3 2.5 4. 68. 68 2. 99 3.22 7 1.21 2.62 2.73. 8 3.53 8 1.2 2.22 1.4 8. 48 1. 93 St.2 2.51 5.45 -.92.92 St.3 3.2 6.96-1.4 1.4 St.4 3.62 7.87-1.6 1.6
16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 /L) ( mg O 2 /L) ( mg C/L) ( mg C/ L) ( mg C /L) 1. 49 3.23 2.11. 47 2. 58 2 2. 4 4.44 1.9 5. 41 2. 36 5 1. 72 3.73 2.21. 44 2. 65 1 1. 21 2. 62 2.21. 57 2. 78 2 2. 46 5.35 2.3 8. 56 2. 94 3 4.55 9.9 2.5 7 1. 66 4.22 St.1 4 4.69 1. 19 2.5 1 2. 95 5.45 7 월 5 6 3.57 2. 9 7. 77 4.54 2.2 2. 1. 86. 62 4.6 2. 62 7 4.55 9.89 1.8 7 5.58 7. 45 8 1. 49 3.23 1.7 1. 12 2. 81 9 1. 16 2. 52 1.61. 29 1. 9 1 2. 78 6. 4 2.2. 82 3.2 S t. 2 1. 44 3. 13 2.19. 66 2. 85 S t. 3 2. 93 6. 36 1.77. 43 2. 2 St.4 1.81 3.93 4.18.44 4.62 2. 88 6. 25 1.5 1 1. 4 2. 91 2 2. 78 6. 5 1.24 1. 72 2. 96 5 3.71 8.7 1. 43. 1. 68 3.11 1 3.8 8.27 1.27. 7 1. 97 2 3.62 7. 87 1.4 2. 94 2. 36 3 2. 23 4.84 1.3 6. 94 2. 29 St.1 4 - - 1.5 1. 69 3.19 8 월 5 6 2. 51 1. 11 5.45 2. 42 1.3 2.9 4.2. 75 5.52 1. 65 7 3.25 7. 6 2.5 3 1. 17 3.7 8 2. 69 5.85.9 6. 56 1. 53 9 1. 35 2. 93.9 6. 3 1. 26 1 4.27 9.28 3.48 1. 5 4.98 St.2 3.34 7.26 1.66 1.54 3.2 St.3 4.22 9.18 1.24 1.9 3.14 St.4 3.57 7.77 1.39 1.93 3.32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63 < 부표 1-41> 팔당호의 COD Mn, COD Cr, P OC, DO C, T OC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L) ( mg O 2/L) ( mg C/L) ( mg C/ L) ( mg C/ L) 4.2 17. 35 1.5 1 2. 84 4.35 2 4. 17. 96 1.5 9 2. 77 4.36 St.1 5 3. 15. 64 1.4 8 2. 42 3.9 1 3.1 14. 73 1.5 9 1. 96 3.55 3 월 18 2. 7 2. 68 1.8 3 2. 35 4.18 S t. 2 1. 5 21. 89 1.5 1. 67 2. 18 St.3 2.7 13.32 1.68 2.18 3.86 St.4 11.7 44.59 5.3 3.92 9.22 4 월 St.1 2 5 1 19 6. 21 5.11 3.27 2. 14 1. 64 18 6 6. 44 19. 87 11. 17. 76 1.65 1.5 1 1.2 1.16 1.24. 42. 4. 23. 17. 17 2. 7 1. 91 1. 43 1. 33 1. 4 S t. 2 1. 74 7.16 1.. 29 1. 29 St.3 4.41 18.36 2.2.33 2.53 St.4 12.2 38.54 6.41.95 7.36 6 월 St.1 2 5 1 19 2. 73 3.73 2. 43 3.38 3.13 17. 15 9.28 8.47 9.58 1. 19 2.72 2.11 1.5 5 3.13 3.82 1. 27 2. 16 1. 86 1. 31 1. 44 3.99 4.27 3.41 4.44 5.26 S t. 2 4. 33 11. 1 1.79 1. 71 3. 5 S t. 3 1. 78 8.8 8 1.4 5 1. 8 3. 25 St.4 9.6 19.77 3.62 7.44 11.6
16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1>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 /L) ( mg O 2 /L) ( mg C/ L) ( mg C/ L) ( mg C /L) 3.23 19. 7 1. 91 1. 72 3.63 2 3.78 7.3 6 2. 27 1. 15 3.42 St.1 5 3.43 6.3 6 2. 68 2. 47 5.15 9 3.43 6.76 1. 84 1. 31 3.15 7 월 18 3.73 7.8 7 2. 2. 3 4.3 S t. 2 2. 33 6.5 3. 4. 77 3. 81 S t. 3 4. 67 6.3 6 2. 17 2. 32 4. 49 S t. 4 5. 7 6.8 6 2. 4. 58 2. 98 7. 7 9.18 2. 15 7. 78 9.93 2 7. 55 11. 8 2. 41 2. 5 4.91 St.1 5 6. 86 7.3 6 2. 57 3.87 6. 44 9 7. 5 8.88 3.1 3.5 6. 51 8 월 18 6. 11 9.28 2. 27 3.44 5.71 S t. 2 6. 56 5.65 1. 75 1. 58 3. 33 St.3 5.16 13.82 2.76 6.45 9.21 S t. 4 11. 49 27. 4 3. 34 4. 3 7. 64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65 < 부표 1-42> 합천호의 COD Mn, COD Cr, P OC, DO C, T OC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mg O 2/L) ( mg O 2/L) ( mg C /L) ( mg C/ L) ( mg C/L) 2. 25 2.11 3.4. 15 2 3.55 2 2. 3 2.5 2 3.55. 68 7 4.24 St.1 5 2. 94 3.45 5.14. 18 9 5.33 1 3.31 4.5 6. 57. 218 6.79 3 월 15 2. 94 5.77 3.81. 33 5 4.15 S t.2 1. 21 6.4 7 3. 4. 463 3.5 S t.3 2. 2 5.3 8 3. 44. 14 1 3.5 8 S t.4 2. 12 4.3 4 3. 54. 13 6 3.68 2. 73 9.88 1. 97. 71 2.4 2 1. 23 9.45 1. 97. 5 9 2.3 St.1 5 1 2. 73 4.79 7.3 9 7.4 4 1. 55 1. 87. 76. 4 6 1.63 1.9 2 4 월 2 3 3.13 3.77 2.74 6.3 8 2. 68 3.27. 4. 4 7 2.72 3.32 S t.2 5. 7 4.4 7 1. 92. 168 2.9 S t.3 2. 87 6.4 9 1. 73. 9 1.8 2 S t.4 4. 41 6.3 1 2. 1. 13 2 2.23 6 월 St.1 2 5 1 2 2. 85 1. 86 2. 84 4.43 3.87 5.1 5.35 7.72 6.5 6 5.94 1. 1. 33 1. 12 1. 6 1. 7. 14 6. 112. 112. 13. 66 1.15 1.4 4 1.23 1.16 1.14 St.2 5.45 11.39 1.49.376 1.87 S t.3 3. 12 8.9 8 1. 93. 29 3 2.22 S t.4 4. 76 1. 45 1. 49. 372 1.8 6
16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2>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mg O 2 /L) ( mg O 2 /L) ( mg C /L) ( mg C/ L) ( mg C/L) 9.19 3.1 6. 39 2. 75 2 9.14 2 4.63 18. 5 7. 52. 85 2 8.37 5 2. 2 13. 8 4.68 - - St.1 1 2. 63 11. 9 3.62. 9 2 3.71 2 2. 16 11. 7 5.52. 34 8 5.87 8 월 3 4 3.74 2. 99 6. 6 3.1 4.24 3.43. 116. 365 4.36 3.8 St.2 16.79 39.4 6.85 1.614 8.46 St.3 18.54 41.5 8.26 1.656 9.92 S t.4 18.62 4 6. 1 19. 6 1. 35 6 2. 96 9.2 3.1 6. 77 1. 99 9 8.77 2 4.6 18. 5 6. 81. 273 7.8 St.1 5 1 2.2 2.6 13. 8 11. 9 5.61 4.82. 126. 428 5.74 5.25 2 2.2 11. 7 6. 9. 576 7.4 8 9 월 3 3.7 6. 6 7. 39. 325 7.72 S t.2 16. 8 3 9. 4 9. 34 1. 317 1. 66 S t.3 18. 5 4 1. 5 9. 72. 95 6 1. 68 S t.4 18. 6 4 6. 1 8. 77. 69 7 9.4 7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67 < 부표 1-43> 낙동호의 COD Mn, COD Cr, P OC, DO C, T OC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L) ( mg O 2/L) ( mg C/L) ( mg C/ L) ( mg C/ L) 3.5 17. 42 6.5 1. 46 6. 92 St.1 2 5.45 17. 2 5.71. 49 4 6. 2 5 5.71 15. 27 5.17. 53 2 5.7 3 월 S t. 2 4. 65 16. 86 4.25. 526 4. 78 S t. 3 5. 14 16. 2 5.3. 65 5 5. 69 S t. 4 5. 2 16. 12 4.7. 479 4. 55 4.93 9.67 2.9. 126 3.3 St.1 2 5.81 13. 72 2.4. 27 2. 61 5 4.25 1. 9 1.6. 268 1. 87 4 월 St.2 4.87 7.14 3.12. 15 3 3. 27 S t. 3 4. 13 11. 5 2.4 4. 65 2. 51 St.4 4.27 8.74 2.67. 16 2. 78 8.2 8.2 1.4 6. 26 3.7 St.1 2 8.27 8.27 1.5 8. 15 2 3.2 5 6. 73 6.73 2.4 4. 8 5 4.6 6 월 St.2 8.6 8.6 1.22. 64 3. 1 St.3 8.66 8.66 2.23. 18 2 4. 1 S t. 4 7. 49 7.4 9 1.3 7. 11 4. 7
16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3>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 /L) ( mg O 2 /L) ( mg C/L) ( mg C/ L) ( mg C/ L) 17.1 17. 1 6.5 5. 37 2. 2 St.1 2 16.3 16. 3 5.12. 24 1 3.7 5 12.3 12. 3 5.11. 115. 8 8 월 S t. 2 12.6 12. 6 5.7. 23 9 1. 2 St.3 8.8 8.8 5.95.156 5.9 St.4 8.1 8.1 5.38.2 7.1 19.8 19. 8 7.4 1. 18 5 9.7 St.1 2 14.2 14. 2 5.6. 35 9.6 5 14.3 14. 3 5.3. 13 3 9.7 9 월 S t. 2 13.9 13. 9 5.66. 14 9 9. 8 S t. 3 13.2 13. 2 5.3. 119 9. 8 S t. 4 14. 14. 5.9 7. 276 1.2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69 < 부표 1-44> 왕송저수지의 COD Mn, CO D Cr, PO C, D OC, T OC 조사결과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 /L) ( mg O 2 /L) ( mg C/L) ( mg C/ L) ( mg C/ L) 15.9 26. 4 6.77 6. 12.77 St.1 2 11.8 29. 64 4.84 7. 25 12.9 5 13.9 27. 42 6.21 3.75 9.96 3 월 St.2 15.1 25.82 9.86 8.75 18.61 S t. 3 13.9 26. 54 5.76 8. 25 14.1 S t. 4 14.5 26. 43 7.8 2 7. 75 15.5 7 14.34 28. 7 4.55 8. 12.5 5 St.1 2 14.39 26. 57 5.21 7. 12.21 5 13.61 26. 16 4.95 6. 5 11.4 5 4 월 S t. 2 15. 87 27. 53 4.62 5. 67 1.29 S t. 3 15. 21 26. 71 4.9 8 6. 33 11.3 2 S t. 4 15. 97 27. 22 4.9 9 9. 98 14.9 7 22.12 41.26 7.3 5 1.13 17.4 8 St.1 2 2.87 43.78 9.92 1.3 6 2.28 5 17.73 38.54 6.5 7 9.79 16.3 6 6 월 St.2 2.32 39. 75 9.3 4 11.3 6 2.7 S t. 3 18. 83 4. 25 3.3 4 7. 77 15.11 St.4 19.87 39.55 7.6 8.31 15.91
17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44> 계속 조사시기및수심 COD Mn COD Cr DOC POC TOC (m ) ( mg O 2 /L) ( mg O 2 /L) ( mg C/L) ( mg C/ L) ( mg C/ L) 16.19 32.48 2.67 6. 8.67 St.1 2 14.74 3.47 2.4 9 5.34 7. 82 5 12.9 29. 36 2.8 9 4.5 7. 39 7 월 St.2 25.8 34.91 2.31 9. 11.31 St.3 24.96 34.3 4.96 8.34 13.3 St.4 25.9 47.41 2.89 1.67 13.55 14.43 3.97 6.16 1.77 16.9 3 St.1 2 12.19 38.44 5.51 6. 75 12.26 5 1.5 27. 84 4.34 8. 12.3 4 8 월 S t. 2 15. 33 46. 5.9 3 12.9 18.2 St.3 19.32 32. 18 6.13 21.11 27.24 St.4 19.7 52. 46 6.19 2.72 26.9 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71 < 부표 1-45> 팔당호의 3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St. 1 St. 2 St. 3 St. 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minutissima 9 12 Achnanthes s p. 13 26 3 63 25 Asterionella formosa 614 2822 Aulacoseira granulata 32 36 Cyclotella kutzingiana 118 4 4 31 69 5 Cymbella ventricosa 16 26 726 Cymbella sp. 12 Diatoma vulgare 242 6 25 Fragilaria crotonensis 17 Fragilaria sp. 19 35 218 99 Gomphonema s p. 26 218 Melosira varians 12 Melosira s p. 8 198 271 Navicula pupula 12 Navicula sp. 13 9 387 74 Nitzschia longissima 48 319 145 Nitzschia palea 9 12 Nitzschia sp. 12 25 Stephanodiscus hantzschii 1528 726 625 992 Synedra acus 13 17 24 Synedra ulna 6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26 48 Ankistrodesmus falcatus 19 27 36 99 Ankistrodesmus nannoselene 6 Chlamydomonas sp. 5 44 116 7564 Coelastrum sphaericum 198 Crucigenia quadrata 26 48 99 Gloeocystis gigas 347 Gonium sociale 99 Haematococcus lacustris 32 73 669 6 Micractinum pusillum 6 298 Monoraphidium contortum 276 25 Oocystis sp. 26 Pandorina morum 85 1885 Quadrigula chodatii 6 43 74 Scenedesmus acuminatus 198 Scenedesmus acutus 397 Scenedesmus ecornis 26 Scenedesmus quadricauda 35 48 496 Scenedesmus sp. 6 Schroederia setigera 25 Tetraedron sp. 99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p. 166 72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9 25 Peridinium sp. 13 12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hilomonas sp. 25
17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Crptomonas sp. 192 86 363 11532 Crptomonas sp.(nano) 1824 179 2758 3596 C H R Y S O P H Y C E A E ( 황색편모조강 ) Chromulina sp. 25 Dynobryon sertularia 9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25 Trachelomonas sp. 13 Round Flagellate 4 16 216 4 72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8 643 13 41 17337 4445 < 부표 1-46> 팔당호의 4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St. 1 St. 2 St. 3 St. 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sp. 4 145 31 Asterionella formosa 4 12,134 1 62 Aulacoseira granulata 4 Cocconeis sp. 4 4 Cyclotella kutzingiana 35 1 64 18 6 Cyclotella sp. 853 Cymbella tumida 4 7 Cymbella ventricosa 4 4 164 31 Cymbella sp. 27 Diatoma vulgare 7 27 Fragilaria crotonensis 14 1 657 29 Fragilaria intermedia 67 9 Fragilaria sp. 4 45 Gomphonema sp. 4 64 93 Melosira s p. 11 18 2 Navicula pupula 93 Navicula sp. 7 36 93 Nitzschia longissima 4 11 5 91 124 Nitzschia sp. 4 36 31 Stephanodiscus hantzschii 8 3 4 1,222 3 5,71 2,18 Surirella sp. 9 Synedra acus 4 18 73 Unidentified pennate diatom 7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48 4,216 Actinastrum hantzschii var. 91 elongatum Ankistrodesmus falcatus 9 4 91 465 Ankistrodesmus nannoselene Chlamydomonas sp. 439 57 246 1,86 Coelastrum sphaericum 24 8 Cosmarium sp. 4 Crucigenia quadrata 62 Dictyosphaerium pulchellum 25 127 Eudorina elegans 25 5 2,1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73 Golenkinia radiata 15 5 Haematococcus lacustris 9 341 Lobomonas rostrata 4 Micractinum pusillum 2,4 6 Monoraphidium contortum 18 7 64 93 Pandorina morum 24 8 Scenedesmus acuminatus 291 Scenedesmus ecornis 36 Scenedesmus longispina 1,116 Scenedesmus maximus 14 24 8 Scenedesmus quadricauda 18 14 25 5 1,8 9 1 Scenedesmus quadrispina 24 8 Scenedesmus sp. 14 124 Schroederia setigera 9 4 9 31 Tetraedron sp. 18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p. 33 764 Aphazomenon flos-aquae 37 Chroococcus sp. 372 Oscillatoria sp. 394 Phomidium sp. 136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4 Peridinium bipes 4 Peridinium cinctum 53 18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395 248 Cryptomonas sp. 3,4 4 7 14 2 6 12,4 Cryptomonas sp. (n a no ) 21,67 1,23 5,4 8 3 3,9 68 Round Flagellate 22 434 T o t a l c e l l n u m b e r (c e l l s / ml ) 29,16 16,78 45,585 36,518 < 부표 1-47> 팔당호의 7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St. St. St. 1-m 1-2m 1-5 m St. 2 St. 3 St. 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sp. 39 26 31 9 3 Amphora sp. 4 Asterionella formosa 12 26 5 21 4 Aulacoseira granulata 14 3 14 6 14 5 12 93 124 Cocconeis placentula var. klinoraphis 3 4 1 4 Cocconeis sp. 3 4 Cyclotella kutzingiana 18 4 1 4 9 28 Cyclotella sp. 24 3 16 18 4 62 Cymbella tumida 3 4 Cymbella ventricosa 42 7 5 4 2 Cymbella sp. 3 1 2 Diatoma vulgare 12 15 1 2 3 Fragilaria capucina 15 Fragilaria contruens 12 19 2 6 Fragilaria crotonensis 24 19 67 11 6
17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Fragilaria intermedia 12 Fragilaria sp. 3 7 1 2 Gomphoneis olivacium 7 5 4 3 Gomphonema s p. 24 7 16 9 Gyrosigma sp. 4 Melosira varians 12 19 1 13 Melosira s p. 14 6 67 21 18 78 12 Navicula pupula 7 Navicula s p. 33 26 26 7 13 22 Nitzschia longissima 6 16 Nitzschia s p. 15 37 21 7 2 25 Pinnularia sp. 3 Stephanodiscus hantzschii 24 4 Surirella sp. Synedra acus 9 19 5 14 2 Synedra ulna 6 4 Synedra sp. 7 18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7 7 22 Actinastrum hantzschii var. 21 elongatum Ankistrodesmus falcatus 9 4 16 11 2 Ankistrodesmus nannoselene Carteria sp. 4 Chlamydomonas sp. 4 Eudorina elegans 48 165 57 69 Monoraphidium contortum 6 5 Pediastrum boryanum 48 Pleodorina californica 23 9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ecornis 15 17 Scenedesmus longispina 9 Scenedesmus quadricauda 56 Schroederia setigera 4 3 Staurastrum sp. 4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phazomenon flos-aquae 18 3 163 Microcystis s p. 57 24 Oscillatoria sp. 17 Phomidium s p. 112 26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Peridinium sp. 4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2 3 Cryptomonas sp. 27 11 21 4 4 19 Cryptomonas sp.(nano) 6 32 2 124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Trachelomonas sp. 3 4 4 2 16 Round Flagellate 7 68 T o t a l c e l l n u m b e r (c e l l s / ml ) 881 1118 74 9 535 388 74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75 < 부표 1-48> 팔당호의 8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 1 St. 1 St. 1 St. 1 St. 1 m 2m 5m 1m 19 m St. 2 St. 3 St. 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minutissima 5 Achnanthes sp. 5 16 4 8 1 8 Amphora sp. 8 Asterionella formosa 5 24 3 2 24 36 Aulacoseira granulata 68 316 285 143 261 279 18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4 19 Cyclotella kutzingiana 27 79 87 24 95 Cyclotella sp. 95 245 285 52 166 18 55 3 Cymbella tumida 16 Cymbella ventricosa 16 8 4 Cymbella sp. 8 14 9 Diatoma vulgare 5 16 14 24 Fragilaria capucina 8 48 Fragilaria contruens 24 Fragilaria crotonensis 24 19 16 5 Fragilaria sp. 47 63 18 Gomphoneis olivacium 8 4 5 Gomphonema sp. 5 32 8 1 4 Gyrosigma sp. 8 Melosira varians 24 8 52 9 5 Melosira sp. 24 18 27 Navicula pupula 5 71 4 24 63 23 Navicula sp. 9 95 63 43 16 13 55 Nitzschia hungarica 4 5 Nitzschia longissima 5 8 5 9 5 Nitzschia s p. 18 119 3 2 38 79 22 46 Pinnularia sp. Surirella sp. 8 Synedra acus 18 26 19 152 253 742 5 Synedra ulna 16 8 24 5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198 111 29 13 36 182 Actinastrum elongatum hantzschii var. 71 19 47 Ankistrodesmus falcatus 27 8 8 19 16 41 Chlamydomonas sp. 5 2 Coelastrum sphaericum 36 19 Cosmarium sp. 32 Eudorina elegans 145 5 Lepocinclis sp. 4 Merismopedia elegans 73 Monoraphidium contortum 18 8 8 9 Pediastrum boryanum 36 63 76 73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76 25 3 73 Pediastrum simplex 127 76 63 Pleodorina californica 144 99 Quadrigula chodatii 14
17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Scenedesmus acuminatus 18 4 7 3 2 57 32 55 Scenedesmus dispar 36 Scenedesmus ecornis 127 19 158 38 63 36 Scenedesmus longispina 18 63 79 38 Scenedesmus quadricauda 182 63 63 86 18 Scenedesmus longispina quadricauda var. 18 Scenedesmus quadrispina 18 63 32 Scenedesmus sp 18 Schroederia setigera 8 8 5 Volvox aureus 35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 p. 261 96 Microcystis aeruginosa 12,316 Microcystis wesenbergii 282 712 Microcystis s p. 1,773 71 13 43 32 99 5 1 Oscillatoria tenuis 292 Oscillatoria sp. 123 158 133 514 Phomidium sp. 254 557 287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sp. 41 8 8 5 32 13 Cryptomonas sp.(nano) 9 8 8 8 4 5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Trachelomonas granulosa 5 Trachelomonas sp. 14 8 5 Round Flagellate 72 73 T o t a l c e l l n u m b e r (c e l l s / ml ) 3,25 2,626 2,321 1,5 4 2,388 2,45 1,354 13,583 < 부표 1-49> 합천호의 3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sp. 3 Asterionella formosa 1 4 1 Aulacoseira granulata 18 4 7 97 Cyclotella kutzingiana 19 297 16 257 Cymbella tumida Cymbella ventricosa Cymbella sp. Diatoma vulgare 3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rotonensis 12 2 1 14 Fragilaria sp. 1 11 Gomphoneis olivacium 5 Gomphonema sp. 1 Melosira varians 5 Melosira s p. 6 18 Navicula pupula Navicula sp. 3 2 24 Nitzschia longissima 5 12 9 54 Nitzschia palea 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77 Nitzschia sp. 1 5 Pinnularia sp. 3 Pleurosigma sp. 5 Skeletonema subsalsum Stephanodiscus hantzschii 84 198 187 149 Synedra acus 3 1 16 Synedra ulna 1 Synedra sp.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1 Ankistrodesmus falcatus 58 25 12 3 Chlamydomonas sp. 19 2 1 3 Eudorina elegans Haematococcus lacustris Monoraphidium contortum 13 2 16 6 Quadrigula chodatii Scenedesmus acutus Scenedesmus quadricauda Schroederia setigera 3 Staurostrum sp. 1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Peridinium cinctum 3 Peridinium sp. 1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ptomonas ovata 14 15 Crptomonas s p. 26 215 12 9 5 Crptomonas sp.(nano) 58 299 1388 352 C H R Y S O P H Y C E A E (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sertularia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Euglena sp. Phacus sp. 1 Round Flagellate 5 8 9 9 17 27 Unidentified Monad 1 Total cell Number (cells/ ml ) 932 38 67 23 1336 < 부표 1-5> 합천호의 4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sp. Amphora sp. Asterionella formosa 14 5 15 6 Aulacoseira granulata Cocconeis sp. 2 1 3 Cyclotella kutzingiana 26 45 133 149 6 Cyclotella sp. 49 14 1 3 Cymbella ventricosa 3 3 Fragilaria capucina 3
17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Fragilaria construens 23 Fragilaria crotonensis 2 9 38 Fragilaria virescence 9 Fragilaria sp. 25 Melosira sp. 13 Navicula pupula var. capitata Navicula sp. 1 63 Nitzschia longissima 11 9 41 Nitzschia palea Nitzschia sp. 2 4 54 Pinnularia sp. 2 Stephanodiscus hantzschii 16 122 89 663 Synedra acus 4 5 1 54 Synedra ulna 13 Synedra sp. 2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6 Ankistrodesmus falcatus 2 9 22 69 Chlamydomonas sp. 9 56 12 Coelastrum cambricum Coelastrum sphaericum Cosmarium sp. 3 1 Crucigenia quadrata Dictyosphaerium pulchellum 7 Micractinum pusillum Monoraphidium contortum 16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longispina Scenedesmus quadricauda Scenedesmus sp. Schroederia setigera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p. Chroococcus sp. Oscillatoria sp. 33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4 Peridinium cinctum 5 21 4 38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hilomonas sp. Crptomonas ovata 158 18 12 19 Crptomonas sp.(nano) 647 69 1329 625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3 Euglena sp. Trachelomonas sp. 5 2 3 U n iden t if ied Ro und Fl agel la tes 21 48 7 622 227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79 Unidentified Monad 6 1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7 165 2283 355 < 부표 1-51> 합천호의 6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7 Achnanthes sp. 7 Asterionella formosa 72 125 54 Aulacoseira granulata 13 39 31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Cyclotella kutzingiana 7 5 4 Cyclotella sp. 1176 142 19 98 1979 Cymbella ventricosa 7 2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3 Fragilaria crotonensis 2176 1817 3233 128 Fragilaria sp. 5 Gomphonema sp. Melosira varians Melosira sp. 2 Navicula sp. 2 Nitzschia longissima 196 79 274 22 Nitzschia sp. 33 7 4 Skeletonema subsalsum 4 61 3 9 12 Stephanodiscus hantzschii Surirella sp. Synedra acus 13 86 69 2 Synedra ulna 7 5 1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7 Actinastrum hantzschii var. elongatum 46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2 Ankistrodesmus falcatus 39 5 Ankistrodesmus nannosolene 2 Chlamydomonas sp. 13 1 Closterium gracile Coelastrum reticulatum Coelastrum sphaericum 4 Coelastrum sp. Crucigenia quadrata Crucigenia tetrapedia Eudorina elegans 7 Kirchneriella lunaris Micractinum pusillum 13 4 Monoraphidium contortum 33 2 11
1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Oosystis parva Pediastrum boryanum 8 Quadrigula chodatii 13 Scenedesmus acuminatus 4 Scenedesmus longispina 26 2 Scenedesmus longus 26 Scenedesmus quadricauda 14 Scenedesmus sp. 52 13 1 Schroederia setigera 13 2 Selenastrum sp. Staurastrum sp. 13 13 1 2 Tetraedron minimum 13 Tetraedron sp. Treubaria setigerium 1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planktonica 18 Chroococcus sp. 72 13 1 3 Merismopedia elegans Microcystis aeroginosa Phomidium sp.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Peridinium bipes 5 Peridinium cinctum 98 3 62 598 1 Peridinium sp.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1 3 Cryptomonas sp. 59 2 Cryptomonas sp.(nano) 118 4 54 294 64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7 Trachelomonas sp. 13 13 3 Round flagellates 216 434 666 16 Total cell Number (cells/ ml ) 444 619 4 74 64 638 < 부표 1-52> 합천호의 8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Achnanthes sp. Asterionella formosa 6 Aulacoseira granulata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Cocconeis sp. Cyclotella kutzingiana Cyclotella sp. 3 Cymbella tumida Fragilaria sp. 3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81 Melosira varians Melosira sp. Navicula sp. Nitzschia longissima Nitzschia sp. Stephanodiscus hantzschii 2 Synedra acus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Ankistrodesmus falcatus Carteria sp. Chlamydomonas sp. Chodatella citriformis Coelastrum sphaericum Cosmarium sp. 3 Crucigenia quadrata Dictyosphaerium pulchellum Eudorina elegans Kirchneriella lunaris Oosystis parva 2 Pandorina morum 23 Pediastrum boryanum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Pediastrum simplex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Scenedesmus arcuatus var. platidisca Scenedesmus denticulatum Scenedesmus ecornis 6 Scenedesmus longispina Scenedesmus maximus Scenedesmus quadricauda Scenedesmus sp. Schroederia setigera Staurastrum sp. 3 Tetraedron minimum Tetraedron sp.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sp. Aphazomenon flos-aquae Microcystis aeroginosa 8,793 13,5 2 16,9 22 3 3,3 3 5 Microcystis sp. Microcystis spp. 69 7,78 2 1,6,5 3 8 1,75 4,9 3 8 2,8 1,8 4 7 Oscillatoria sp. 114 116 Phomidium mucicola 24,349 78 3 2,3 3 9 5 22 Phomidium sp. 52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Peridinium sp.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5 Cryptomonas sp. 113 18 28 61 Cryptomonas sp.(nano) 5 49 16 325
18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Trachelomonas sp. 2 4 3 T o t a l C e l l N u m b e r (c e l l s / ml ) 73 1,167 1,75,462 1,882,246 2,116,174 < 부표 1-53> 합천호의 9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Achnanthes sp.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granulata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Cocconeis placentula var. klinoraphis Cyclotella kutzingiana Cyclotella sp. Cymbella sp.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sp. Gomphonema sp. Melosira varians Melosira sp. Monoraphidium contortum Navicula pupula Navicula sp. Nitzschia longissima 6 Nitzschia sp. 229 Pinnularia sp. 2 Skeletonema subsalsum Stephanodiscus hantzschii Synedra acus Synedra sp.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25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Ankistrodesmus falcatus 6 Carteria sp. Chlamydomonas sp. 25 Closterium gracile Coelastrum cambricum Coelastrum sphaericum Cosmarium sp. Crucigenia tetrapedia Crucigenia sp.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83 Dictyosphaerium pulchellum Eudorina elegans 2 Golenkinia radiata Micractinum pusillum Monoraphidium contortum Oocystis parva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2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arcuatus Scenedesmus bicaudatus Scenedesmus ecornis Scenedesmus longispina Scenedesmus quadricauda Scenedesmus sp. Schroederia setigera Staurastrum sp. 6 Tetraedron elegans Tetraedron regulare var. incus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plantonica 138 Anabaena sp. Chroococcus sp. Merismopedia sp. Microcystis aeruginosa 1823971 1189354 962114 188867 Microcystis viridis Microcystis sp. Phomidium mucicola 871 21475 349 2895 Phomidium sp.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Peridinium sp.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ptomonas ovata 8 52 25 19 Crptomonas sp. 12 523 41 3 5 Crptomonas sp.(nano) 479 483 325 876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viridis Trachelomonas sp. 57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s 4 41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83343 121231 965994 193488 < 부표 1-54> 낙동호의 3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minutissima 5
18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Achnanthes sp. 5 9 Asterionella formosa 177 13 154 187 Aulacoseira granulata 27 3 7 9 Cyclotella kutzingiana 617 42 1576 144 3 Cymbella tumida 5 Cymbella ventricosa 5 6 5 5 Cymbella sp. 5 Diatoma vulgare 6 Fragilaria capucina 9 Fragilaria crotonensis 5 Fragilaria sp. 5 6 5 5 Gomphoneis olivacium 5 Gomphonema sp. 6 5 Melosira varians 16 12 159 Melosira sp. 14 192 489 56 Navicula pupula 11 Navicula sp. 19 14 55 Nitzschia longissima 21 19 27 27 Nitzschia palea 5 5 9 Nitzschia sp. 5 6 9 9 Pinnularia sp. 5 Pleurosigma sp. Skeletonema subsalsum 12 Stephanodiscus hantzschii 86889 4889 57516 4839 Synedra acus 43 19 36 36 Synedra ulna 5 12 Synedra sp. 6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Ankistrodesmus falcatus 27 12 23 23 Chlamydomonas sp. 54 18 Eudorina elegans 86 Haematococcus lacustris 5 Monoraphidium contortum 5 9 5 Quadrigula chodatii 5 5 Scenedesmus acutus 36 Scenedesmus quadricauda 36 36 Schroederia setigera 14 9 Staurostrum sp.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5 5 Peridinium cinctum Peridinium sp.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ptomonas ovata 5 Crptomonas sp. 17 12 41 3 2 Crptomonas sp.(nano) 27 21 14 55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85 C H R Y S O P H Y C E A E (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sertularia 27 14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5 9 14 Euglena sp. 11 Phacus sp. Round Flagellate 27 Unidentified Monad 5 Total cell Number (cells/ ml ) 88 273 5 15 6161 6116 < 부록 1-55> 낙동호의 4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 st1 st2 st3 st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hnanthes sp. 3 Amphora sp. 2 Asterionella formosa 2 Aulacoseira granulata 13 8 6 Cocconeis sp. Cyclotella kutzingiana 59 119 5 11 Cyclotella sp. 2 1 Cymbella ventricosa Fragilaria capucina 2 Fragilaria construens 4 Fragilaria crotonensis 2 Fragilaria virescence 4 Fragilaria sp. 3 Melosira sp. 19 4 Navicula pupula var. capitata 1 1 Navicula sp. 2 4 Nitzschia longissima 6 1 1 Nitzschia palea Nitzschia sp. 6 2 1 Pinnularia sp. 2 Stephanodiscus hantzschii 469 477 24 87 Synedra acus 4 4 1 7 Synedra ulna Synedra sp.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17 33 36 Ankistrodesmus falcatus 1 21 13 1 Chlamydomonas sp. 44 51 44 37 Coelastrum cambricum 15 Coelastrum sphaericum 67 5 3 Cosmarium sp. Crucigenia quadrata 8 Dictyosphaerium pulchellum 17
18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Micractinum pusillum 22 4 7 Monoraphidium contortum 15 15 7 Scenedesmus acuminatus 17 Scenedesmus longispina 6 Scenedesmus quadricauda 8 Scenedesmus sp. 4 4 8 Schroederia setigera 3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p. 13 Chroococcus sp. 8 Oscillatoria sp.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Peridinium cinctum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hilomonas sp. 15 15 Crptomonas ovata 1319 987 349 31 Crptomonas s p. (n an o) 114 31 449 4 171 29 39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Euglena sp. Trachelomonas sp. 2 2 12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s 51 44 Unidentified Monad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35 9 639 25 25 3555 < 부표 1-56> 낙동호의 6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1 st2 st3 st4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7 7 Achnanthes sp. 15 19 2 61 Asterionella formosa 279 414 214 11 Aulacoseira granulata 19 27 41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5 95 34 27 Cyclotella kutzingiana 81 14 Cyclotella sp. Cymbella ventricosa 6 Diatoma vulgare 12 Fragilaria capucina 14 9 7 Fragilaria crotonensis 7 7 Fragilaria sp. 2 7 7 Gomphonema sp. 6 14 14 Melosira varians 13 19 331 223 Melosira sp. 6 14 Navicula sp. 7 41 34 Nitzschia longissima 19 14 34 4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87 Nitzschia sp. 37 176 661 4 26 Skeletonema subsalsum 2176 34 61 45 5 288 1 Stephanodiscus hantzschii 6 Surirella sp. 62 183 269 169 Synedra acus 7 7 Synedra ulna CHLOROPHYCEAE( 녹조강 ) 56 19 3 4 74 Actinastrum hantzschii 28 Actinastrum hantzschii var. elongatum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31 14 55 14 Ankistrodesmus falcatus Ankistrodesmus nannosolene Chlamydomonas sp. 7 Closterium gracile 19 5 5 Coelastrum reticulatum 99 54 Coelastrum sphaericum 54 Coelastrum sp. 14 9 19 124 135 Crucigenia quadrata 25 Crucigenia tetrapedia 69 Eudorina elegans Kirchneriella lunaris 12 8 8 11 Micractinum pusillum 62 9 5 76 61 Monoraphidium contortum 34 14 Oosystis parva Pediastrum boryanum 41 Quadrigula chodatii 27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longispina Scenedesmus longus 62 122 28 18 Scenedesmus quadricauda 74 68 Scenedesmus sp. 19 Schroederia setigera 6 Selenastrum sp. Staurastrum sp. 6 7 7 7 Tetraedron minimum Tetraedron sp. Treubaria setigerium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planktonica 465 75 351 189 Chroococcus sp. 99 Merismopedia elegans 546 Microcystis aeroginosa 34 Phomidium sp.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Peridinium bipes 7 Peridinium cinctum 6 14 7 7 Peridinium sp.
18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25 19 28 41 Cryptomonas ovata 6 12 28 41 Cryptomonas sp. 837 114 744 69 Cryptomonas sp.(nano)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25 7 14 Trachelomonas sp. Round flagellates 316 244 62 4 6 Total cell Number (cells/ ml ) 5444 73 64 8611 1116 < 부표 1-57> 낙동강의 8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st1 st2 st3 st4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5 5 Achnanthes sp. 5 Asterionella formosa 5 Aulacoseira granulata 17 9 6 366 6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371 34 733 5 Cocconeis sp. 5 28 Cyclotella kutzingiana 293 172 676 19 8 Cyclotella sp. Cymbella tumida 14 Melosira varians 15 Melosira s p. 2 28 1 Navicula sp. 28 Nitzschia longissima 14 Nitzschia sp. 14 Stephanodiscus hantzschii 132 2 113 29 8 Synedra acus 14 C H L O R O P H Y C E A E (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113 35 Ankistrodesmus falcatus 5 15 42 Carteria sp. 5 Chlamydomonas sp. 56 Chodatella citriformis 5 Coelastrum sphaericum 41 159 Cosmarium sp. 15 Crucigenia quadrata 2 Dictyosphaerium pulchellum 73 56 Eudorina elegans 752 8 1 57 476 Kirchneriella lunaris 5 Oosystis parva 4 4 3 15 5 19 Pandorina morum Pediastrum boryanum 225 74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64 29 3 Pediastrum simplex 41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45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89 Scenedesmus arcuatus var. platidisca 2 2 Scenedesmus denticulatum 56 6 Scenedesmus ecornis 56 5 Scenedesmus longispina 59 2 113 4 Scenedesmus maximus 4 Scenedesmus quadricauda 88 2 395 198 Scenedesmus s p. 1 54 6 Schroederia setigera 15 4 6 113 24 8 Staurastrum sp. Tetraedron minimum 5 5 Tetraedron sp. 5 C Y A N O P H Y C E A E ( 남조강 ) Anabaena sp. 243 367 Aphazomenon flos-aquae 38 Microcystis aeroginosa 2,291 4,9 32 2,63 Microcystis s p. 2,28 6 4,9 9 2 1,5 5 8,15 9 Microcystis spp. Oscillatoria sp. 39 362 Phomidium mucicola Phomidium sp. D I N O P H Y C E A E ( 와편모조강 ) Peridinium sp. 5 5 C R Y T O P H Y C E A E (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83 85 5 Cryptomonas sp. 747 34 479 99 Cryptomonas sp.(nano) 1,993 791 1,747 273 E U G L E N O P H Y C E A E ( 유글레나강 ) Trachelomonas sp. 2 243 169 15 Total Cell Number (cells/ ml ) 7,21 27,839 13,71 14,3 8 4 < 부표 1-58> 낙동호의 9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1 st2 st3 st4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11 Achnanthes sp. 7 22 Asterionella formosa 11 Aulacoseira granulata 289 176 67 33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148 2 Cocconeis placentula var. klinoraphis 11 Cyclotella kutzingiana 53 49 47 76 Cyclotella sp. 11 21 7 22 Cymbella sp. 11 11 Diatoma vulgare 11
19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Fragilaria capucina 11 Fragilaria crotonensis 11 14 2 Fragilaria sp. 11 7 13 11 Gomphonema sp. 11 11 Melosira varians 22 Melosira sp. 128 14 4 7 13 1 Monoraphidium contortum 64 Navicula pupula 11 Navicula sp. 7 11 Nitzschia longissima 53 35 27 33 Nitzschia sp. 64 35 4 98 Pinnularia sp. Skeletonema subsalsum 21 7 9 3 19 Stephanodiscus hantzschii 13 8 233 124 293 Synedra acus 11 13 22 Synedra sp. 11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521 446 163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21 7 273 13 1 Ankistrodesmus falcatus 21 14 13 Carteria sp. 14 Chlamydomonas sp. 21 27 22 Closterium gracile 7 11 Coelastrum cambricum 174 Coelastrum sphaericum 171 17 Cosmarium sp. 7 Crucigenia tetrapedia 44 Crucigenia sp. 27 Dictyosphaerium pulchellum 27 Eudorina elegans 342 53 Golenkinia radiata 7 Micractinum pusillum 21 113 133 1123 Monoraphidium contortum 5 6 13 22 Oocystis parva 43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174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174 Scenedesmus acuminatus 56 53 Scenedesmus arcuatus 56 Scenedesmus bicaudatus 14 Scenedesmus ecornis 13 Scenedesmus longispina 13 1 Scenedesmus quadricauda 128 14 2 Scenedesmus sp. 86 27 Schroederia setigera 43 7 22 Staurastrum sp. Tetraedron elegans 53 Tetraedron regulare var. incus 1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91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plantonica 33 6 Anabaena sp. 49 Chroococcus sp. 12 Merismopedia sp. 86 113 138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viridis 352 2666 218 Microcystis sp. 76 923 19 Phomidium mucicola Phomidium sp. 174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Gymnodinium sp. 21 3 5 22 Peridinium sp. 21 3 5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ptomonas ovata 5 56 211 16 13 1 Crptomonas sp. 578 57 4 218 Crptomonas sp.(nano) 515 6 2622 12 1395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viridis 7 7 Trachelomonas sp. 43 49 2 33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s 22 Total cell number (cells/ ml ) 9864 768 743 1691
19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59> 왕송저수지의 3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 1 P r o t i s t a Dinobryon divergens Filinia longiseta 6 Tintinnidium sp. 6 Trachelomonas sp. Vorticella sp. 29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12 E u g l e n o p h y c e a e Euglena sp. 13 C y a n o p h y c e a e Anabaena sp. Lyngbya sp. 522 Oscillatoria sp. 23 5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Asterionella formosa Asterionella gracillima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65 Melosira spiroides 38 Synedra acus 178 Synedra ulna C h l o r o p h y c e a e Actinastrum hantzschii 53 Ankistrodesmus falcatus 13 Asterococcus limneticus 13 Closterium sp. 216 Coelastrum sp. Dictyosphaerium pulchellum Eudorina elegans 47 Pediastrum duplex Pleurosigma sp. Scenedesmus acuminatus 15 2 Scenedesmus ellipsoideus Staurastrum dorsidentiferum Tetraspora sp. 51 < 부표 1-6> 왕송저수지의 4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1 st.2 st.3 st.4 P r o t i s t a Vorticella sp. 25 6 47 6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18 19 B a s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93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6 25 113 25 Melosira spiroides 41 66 31 Synedra acus 33 6 19 6 C h l o r o p h y c e a e Actinastrum hantzschii 3 441 75 196 Asterococcus limneticus 41 61 43 Closterium gracile 8 Closterium sp. 6 Coelosphaerium sp. 48 735 94 423 Dictyosphaerium pulchellum 113 Eudorina elegans 98 Gloeocystis gigas 33 Micractinium pusillum 172 68 Scenedesmus acuminatus 33 Scenedesmus ellipsoideus 33 Sphaerocystis schroeteri 28 3 Ulothrix sp. 16 28 P r o t i s t a 종 < 부표 1-61> 왕송저수지의 6, 7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명 6 월 7 월 st. 1 st. 1 st. 2 st. 3 st. 4 Ceratium hirundinella 6 Trachelomonas sp. 34 431 C r y p t o p h y c e a e Cryptomonas sp. 1324 157 11 317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7 288 C y a n o p h y c e a e Anabaena spp. 32787 8621 235 Aphanocapsa sp. Lyngbya spp. 3 26229 5 8 25 862 9 683 Merismopedia elegans 525 92 Microcystis spp. 2155 198 163 93 29 254 7 3 7262 1497719 6 Oscillatoria spp. 6279 19 6721 1573 689655 165 418 Spirulina laxissima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Asterionella formosa 57 Asterionella gracillima 16 Cyclotella comta Cyclotella meneghiniana 6 Fragilaria construens Melosira granulata 157 79 168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89 91 4 8
19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Melosira spiroides 58 3 279 126 91 9 6 Melosira varians Navicula exigua 6 Nitzschia frustulum 33 21 48 Pinnularia gibba Synedra acus Synedra ulna 6 C h l o r o p h y c e a e Actinastrum hantzschii 58 273 172 91 384 Ankistrodesmus falcatus Ankistrodesmus spiralis 8 11 24 Asterococcus limneticus 15 42 31 23 48 Coelastrum reticulatum Coelastrum sphaericum 49 Cosmarium sp. 31 Dictyosphaerium pulchellum 33 Elakatothrix gelatinosa Gloeocystis gigas Micractinium pusillum Pediastrum duplex 929 Penium minutum Quadrigula chodatii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bijuga 116 13 7 126 Scenedesmus denticulatus Scenedesmus dimorphus 68 3 11 136 192 Scenedesmus ellipsoideus Scenedesmus longispina 116 13 7 252 192 Schroederia setigera Spirogyra sp. Staurastrum dorsidentiferum 23 Staurastrum longiradiatum Tetraedron pentaedricum 8 Tetraedron sp. 6 Ulothrix aequalis Westella botryoides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95 < 부표 1-62> 왕송저수지의 8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8월 st. 1 st. 2 st.3 st. 4 P r o t i s t a Ceratium hirundinella 8 Trachelomonas sp. C r y p t o p h y c e a e Cryptomonas sp. 595 496 77 154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14 51 C y a n o p h y c e a e Anabaena spp. 89 11 923 Aphanocapsa sp. 276 3 77 Lyngbya spp. 166667 193548 38889 135385 Merismopedia elegans 216 Microcystis spp. 1189473 2389962 268519 2277884 Oscillatoria spp. 194 8 9 926 8 55 6 184 62 Spirulina laxissima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Asterionella formosa 41 Asterionella gracillima 28 Cyclotella comta 8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construens 25 Melosira granulata 25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69 769 Melosira spiroides 32 Melosira varians 81 24 Navicula exigua Nitzschia frustulum 41 5 24 19 Pinnularia gibba 14 Synedra acus 149 8 Synedra ulna 14 5 16 19 C h l o r o p h y c e a e Actinastrum hantzschii 3134 32 Ankistrodesmus falcatus Ankistrodesmus spiralis Asterococcus limneticus 27 19 Coelastrum reticulatum Coelastrum sphaericum Cosmarium sp. 38 Dictyosphaerium pulchellum Elakatothrix gelatinosa Gloeocystis gigas Micractinium pusillum 65 Pediastrum duplex 79 Penium minutum Quadrigula chodatii 24 Scenedesmus acuminatus
19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Scenedesmus bijuga 32 Scenedesmus denticulatus 32 Scenedesmus dimorphus 2 Scenedesmus ellipsoideus Scenedesmus longispina 24 55 39 Schroederia setigera Spirogyra sp. Staurastrum dorsidentiferum Staurastrum longiradiatum 16 Tetraedron pentaedricum Tetraedron sp. Ulothrix aequalis Westella botryoides < 부표 1-63> 소양호의 3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 1 st. 2 st. 3 st. 4 2m 5m 1m m m m C r y p t o p h y c e a e Cryptomonas sp. 16 21 7 56 5 4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8 6 56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Achnanthes sp. 12 Amphora ovalis 12 Asterionella formosa 136 8 5 34 28 5 4 Asterionella gracillima 339 298 12 14 216 12 Ceratoneis arcus 24 Cyclotella comta 6 Cymbella affinis 24 Cymbella turgida 12 Fragilaria crotonensis 34 9 42 114 Melosira granulata 24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48 12 Melosira varians 41 12 Navicula anglica 12 Nitzschia frustulum 11 48 Pinnularia major 12 Synedra acus 8 7 6 12 Synedra ulna 3 12 C h l o r o p h y c e a e Ankistrodesmus falcatus 3 7 11 Asterococcus limneticus 3 Asterococcus sp. 6 Schroederia setigera 8 3 14 11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97 < 부표 1-64> 소양호의 4 월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st. 1 m 2m 5m 1m st. 3 m st. 5 m st. 7.5 m Cryptophyceae Cryptomonas sp. 93 12 39 38 25 83 9 Dinophyceae Peridinium sp. 7 12 29 19 19 56 Cyanophyceae Anabaena sp. 288 Chroococcus superbus 42 Bacillariophyceae Achnanthes sp. 18 Asterionella formosa 31 36 39 19 6 28 Asterionella gracillima 155 12 78 95 77 458 9 Cyclotella comta 14 Cymbella gracile 54 Gomphonema olivaceum 9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25 8 1 Melosira varians 2 24 5 4 Nitzschia frustulum 21 Pinnularia gibba 9 Pinnularia major 7 9 Synedra acus 19 6 83 9 Synedra ulna 7 54 Synedra sp. 9 Chlorophyceae Ankistrodesmus falcatus 31 5 7 6 14 Asterococcus limneticus 19 Asterococcus sp. 155 144 69 38 57 42 Cosmarium sp. 18 Scenedesmus bijuga 24 Schroederia setigera 5 11 5 6 14 < 부표 1-65> 소양호의 6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 1 m 2m 5m 1m st. 3 m st. 5 m st. 7.5 m Chrysophyceae Dinobryon divergens 17 Cryptophyceae Cryptomonas sp. 1 25 13 33 28 183 225 7 Dinophyceae Peridinium sp. 215 17 117 55 122 3 47
19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Cyanophyceae Chroococcus dispersus 25 Chroococcus sp. 17 244 Bacillariophyceae Asterionella formosa 1 4 4 33 61 12 Asterionella gracillima 1 44 328 61 12 Melosira granulata 93 Melosira varians 3 Nitzschia frustulum 16 23 Synedra acus 16 35 Chlorophyceae Asterococcus limneticus 31 Asterococcus sp. 1 27 33 83 61 Cosmarium sp. 17 14 Euastrum sp. 17 Pediastrum sp. 134 Scenedesmus bijuga 4 54 < 부표 1-66> 소양호의 7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 1 st. 3 st. 5 m 2m 5m 1m m m C r y p t o p h y c e a e Cryptomonas sp. 17 18 3 12 12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84 54 4 6 96 132 C y a n o p h y c e a e Oscillatoria sp. 48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Asterionella formosa 6 2 Asterionella gracillima 17 6 2 6 24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6 Melosira varians 4 24 Nitzschia frustulum 17 12 Synedra acus 6 6 8 C h l o r o p h y c e a e Ankistrodesmus falcatus 8 Asterococcus limneticus 6 Asterococcus sp. 3 4 12 3 12 24 Cosmarium binale 16 24 Euastrum sp. 1 8 Gloeocystis gigas 32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199 < 부표 1-67> 소양호의 8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 명 st.1 st. 2 st. 3 st. 4 m 2m 5m 1m m m m C r y p t o p h y c e a e Cryptomonas sp. 33 48 147 57 43 54 255 D i n o p h y c e a e Peridinium sp. 33 1 4 21 8 6 C y a n o p h y c e a e An a ba ena ma c ro spo ra 1921 13 78 34 3 622 12 91 Anabaena spiroides 232 Ana ba ena sp. 23 241 8 1745 272 Apha n oc aps a s p. 48 69 482 4 898 21 319 189 5 274 6 Chr oo co cc us s p. 48 11 16 319 324 Coelosphaerium sp. 361 12494 825 M ic r oc yst is sp. 12 45 77 1134 4 25 Os ci lla t or ia s p. 763 8 33 16 5 147 4 8 44 228 76 171 B a c i l l a r i o p h y c e a e Cymbella gracile 5 8 Fragilaria crotonensis 158 12 98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36 Melosira varians 16 Syn edr a a c us 1316 171 44 1 25 7 21 16 6 Syn edr a ul na 175 12 24 5 229 213 8 C h l o r o p h y c e a e Ankistrodesmus falcatus 18 1 5 Cosmarium constractum 132 Cosmarium sp. 1 25 11 12 Elakatothrix gelatinosa 66 561 49 43 65 12 Eua s tr um s p. 33 12 8 511 27 3 83 Gloeocystis sp. 33 Oocystis sp. 36 Pediastrum simplex 4 Sc en edes mus bij uga 3 51 612 29 4 32 34 216 24 Scenedesmus ellipsoideus 24 Staurastrum dorsidentiferum 24 25 4 43 16 36 Staurastrum gracile 66 1 4 8 6 Staurastrum longiradiatum 18 8 Staurastrum pingue 5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68> 소양호의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 ( 개체수 /L) 조사 시기 ( 월 ) 3 4 6 7 8 C r u s t a c e a e Bosmina longirostris 4.3 Copepodid 12.9 1.9 Diaphanosoma brachyurum 5.5 Mesocyclops leuckarti 4.1 Na upli us 1. 8 5 5. 9 16. 4 R o t a t o r i a Asplanchna sieboldi 15. Chromogaster ovalis 22.4 2.2 Conochilus uniarnis 7.5 Filinia longiseta 18.2 7.5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21.8 K. cochlearis var. macracantha 21.5 87.2 K. cochlearis var. micracantha 3.7 K. quadrata var. testudo 3.3 Ploesoma truncatum 12.9 38.7 8.2 Polyarthra trigla 3.7 4.3 6.8 P. vulgaris 5. 3 1. 4 5 8. 1 96. 9 Pompholyx complanata 14. 9 16. 6 4. 9 65. 5 Synchaeta stylata 6.5 9.6 Trichocerca cylindrica chattoni 4.1 T. stylata 11. 6 2.5 9. 2 1. 8 24. 6 미동정 6.8 P r o t o z o a Cil ia tea (? ) 11. 6 Didinium nasutum 27.4 Difflugia corona 17.2 Tintinnidium cylindrata 5. 97.2 262.3 182.8 Tintinnopsis cratera 1. 7 5. 5. 5 9 2. 5 Vorticella sp. 1.7 미동정 4.1 12.5 3.7 2.2 C r u s t a c e a e.. 1. 8 73. 1 3 6. 9 R o t a t o r i a 69.4 13 2. 1 77. 6 161. 3 25 9. 4 P r o t o z o a 24. 14 2. 271. 5 294. 6. 합 계 93.4 274.1 35.9 529.1 296.3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 < 부표 1-69> 낙동강하구언동물플랑크톤의현존량 ( 개체수 /L) 조사시기 ( 월 ) 3 4 6 8 9 C r u s t a c e a e Bosmina longirostris 764.2 9 42. 1 Bosminopsis deitersi 5.2 Copepodid 62.8 3.6 1.5 Diaphanosoma brachyurum 36.1 15.7 Mesocyclops leuckarti 11. 4. 4 22.2 13. 1 Na upli us 13. 7 38. 1 197.3 57. 6 R o t a t o r i a Asplanchna priodonta 32.8 Brachionus angularis 226. 6 B. angularis var. bidens 49.9 B. calyciflorus 2,75 7. 7 B. calyciflorus f. anuraeiformis 128.3 8.8 B. urceolaris 32.8 B. sp. 876.5 Filinia longiseta 68.3 Hexathra mira 2.9 38.9 1.5 Keratella cochlearis var. micracantha 73.4 6.6 K. cochlearis var. macracantha 19. 2 29. 3 K. cochlearis var. tecta 19. 1 41. 1 9.9 K. quadrata var. testudo 33.4 2.5 K. valga var. valga 3.3 Monostyla bulla 14.7 M. lunaris 5.2 Notholca labis 477.8 Ploesoma truncatum 8.2 Polyarthra euryptera 71. 7. 7 P. vulgaris 669. 111. 5 36.4 Pompholyx complanata Synchaeta stylata 887.4 7.9 Trichocerca capucina 244.5 T. cylindrica cylindrica 13.9 T. elongata 41.7 T. longiseta 18.3 T. stylata 125. T. tenuior 19.5 미동정 76.5 8.8 7.9 P r o t o z o a Arcella vulgaris 13.1 Cil ia tea (? ) 3 5. 5 2. 6 Dileptus sp. 2.6 Nebella sp. 31.4 Tintinnidium cylindrata 36.4 18.6 29.7 Tintinnopsis cratera 11. 7 43. 25. 28. 8 Trachelomonas sp. 2.6 Vorticella sp. 3,33.8 미동정 28.8 C r u s t a c e a e 177.5 4 2. 6. 1,5. 4 1,4 4. 2 R o t a t o r i a 7,71.8 361. 52. 9 4 83. 5 12. 4 P r o t o z o a 3,699.7 12. 3 72. 7 25. 19. 9 합 계 1,949. 523.8 125.6 1,558.9 1,274.5
2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1-7> 합천호의동물플랑크톤의현존량 ( 개체수 /L) 조사시기 ( 월 ) 3 4 6 8 9 C r u s t a c e a e Bosmina fatalis 4.5 Copepodid 3. 3. Diaphanosoma brachyurum 2.9 Nauplius 2.7 15.1 6. 5.7 R o t a t o r i a Brachionus foticula f. foticula 6. B. sp. 4.3 Chromogaster ovalis 8. 2 6. Hexathra mira 21. 1 Keratella cochlearis var. macracantha 13.7 19 3. 9 Lapadella lunaris 31.4 Monostyla bulla 4.4 Ploesoma truncatum 5.5 9.1 Polyarthra euryptera 35.5 37.1 P. vulgaris 171.8 4 1. 51. 3 Pompholyx complanata 24. 2 2. 9 Synchaeta stylata 5.9 미동정 3. 3. P r o t o z o a Arcella vulgaris 4.3 Ciliatea (?) 43.7 Dileptus sp. 3. 35.5 Paradileptus robustus 2.7 Tintinnidium cylindrata 588.8 Tintinnopsis cratera 8.2 C r u s t a c e a e 2.7 18. 1 13. 5 8. 6 R o t a t o r i a 324.4 248.5 114.7 6. 75.6 P r o t o z o a 3. 9.1 588.8. 4.3 합 계 348.1 33 8. 6 721. 6 19. 4 8 8. 5 < 부표 1-71> 팔당호의동물플랑크톤의현존량 ( 개체수 /L) 조사시기 ( 월 ) 4 6 8 R o t a t o r i a Brachionus calyciflorus f. anuraeiformis 2. 6 Filinia longiseta.6 Hexathra mira 2. P r o t o z o a Arcella vulgaris 2. 6 Tintinnopsis cratera 1.3 R o t a t o r i a 4.6..6 P r o t o z o a 1. 3. 2. 6 합 계 5.9. 3.2
제 1 절 1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 부표 1-72> 호소및월별출현종수 호소명분류 \ 월 3 4 6 7 8 9 소양호낙동강하구언합천호팔당호 Crustaceae 1 3 4 - Rotatoria 5 6 6 7 1 - Protozoa 5 4 3 4 - 합 계 1 1 1 14 14 - Crustaceae 3 2-5 6 Rotatoria 17 1 3-6 6 Protozoa 3 2 2-1 7 합 계 23 14 5-12 19 Crustaceae 1 2-3 2 Rotatoria 6 4 6-1 4 Protozoa 1 4 1-1 합 계 8 8 9-4 7 Crustaceae - - - Rotatoria - 2-1 - Protozoa - 1-1 - 합 계 - 3-2 -
2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Bosmina longirostris (2μm ) 소양호 : 7월 낙동강 : 8~9월 Mesocyclops sp. (1,μm ) 소양호 : 8월낙동강 : 3, 8~9월 Brachionus calyciflorus (1 μm ) 낙동강 : 3월 Polyarthra vulgaris (2μm ) 소양호 : 6~9 월 낙동강 : 3~4월 좌 : Tintinnopsis cratera (1 μm ) 우 : Tintinnidium sp. 소양호 : 3~7월 낙동강 : 3~9월 합천호 : 6 월 < 부도 1-1> 소양호, 낙동강하구언및합천호에서출현하는대표적 동물플랑크톤 좌 :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micracantha (1 μm ) 우 :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macrocantha 소양호 : 3~4월 낙동강 : 3~4월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 5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 부표 2-1> 대청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12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 T U ) 1 12.3 8.7 123.3 7. 4 1. 1 2 13. 8. 1 124.2 7. 4 2. 5 12.9 8. 1 123.3 7. 5 2. 1 12.9 8. 6 124.4 7. 4 2. 1 2 12.7 8. 8 124.4 7. 5 1. 9 3 12.2 8. 125.8 7. 3 2. 7 4 9.5 2.6 153.7 7.3 2.5 2 12.7 9. 123.8 7. 5 2. 5 3 12.2 9. 2 125.7 7. 5 1. 8 4 12.7 9. 14.8 7. 4 1. 7 < 부표 2-2> 대청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4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 T U ) 1 9.5 12. 6 13. 5 8.1 1. 6 2 8.5 12. 6 129. 9 8. 1. 4 5 8.5 12. 9 129. 1 8. 1. 4 1 8. 13.1 13.4 8. 1.4 2 6. 13. 2 129. 7. 9 1. 6 3 5. 12. 9 13 1. 7 7. 8 1. 5 35 5. 12.5 134.3 7.8 1.6 2 11.5 12. 8 14 1. 3 8. 4. 2 3 11. 12. 6 125. 5 8. 5. 4 9. 12. 7 13 1. 2 8. 4. 4
2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 대청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6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1. 3 1. 5 125. 8 8.1 2.9 2 2. 3 1. 8 128. 3 8. 1 3. 5 2. 9 1. 29 126. 5 8. 1 1.1 1 19. 6 11. 7 125. 1 8..8 2 12. 8 12. 3 8 12. 6 7. 7.8 3 8. 7 12. 2 126. 7 7. 5 1.2 35 8.4 11.34 124.3 7.4 1.2 2 21. 9 1. 72 127. 2 8. 2.9 3 24. 7 1. 78 129. 9 8. 4 1. 4 22. 7 11. 8 5 125. 4 8. 1 1.6 < 부표 2-4> 대청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8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3. 9.9 128. 3 9.2 1.6 2 3. 2 1. 2 13 2. 1 9. 2 2.3 5 28.3 9.1 129.9 9. 3.4 1 26. 5 6. 2 13 1. 8 7. 2 3. 2 24. 5. 1 16. 8 7. 4 9.9 3 2. 9 4. 8 16. 8 6. 9 4 7.6 4 1. 3.2 143.5 6.9 8.4 2 29. 2 1. 5 129. 8. 9 4.3 3 29. 8 12. 7 126. 9 9. 7 15.4 4 3.6 9.8 134.3 7.8 1.7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 7 < 부표 2-5> 주암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12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13. 8.4 78. 3 7. 7 2.5 2 12. 7 7. 7 71. 7 7. 6 1.7 5 12. 5 7. 3 72. 9 7. 4 1.6 1 12. 7 8. 72. 6 7. 4 1.5 2 12. 6 6. 8 72. 9 7. 3 1.4 3 12. 3 5. 7 8. 6 7. 2 3.1 2 13. 7.6 73.3 7.2 1.8 3 12. 6 9. 2 72. 6 7. 2 1.7 4 12. 2 9. 5 72. 2 7. 3 22. < 부표 2-6> 주암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4 월 ) 조사지점 수심 (m )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12. 6 13. 4 69. 7. 4 1.8 2 12. 12. 9 71. 7. 3 2.1 5 11. 5 12. 6 7. 7. 4 5.4 1 1. 12. 8 7. 6 7. 4 1.5 2 6. 8 7. 7 7. 3 1. 3 6. 5 71. 4 7. 3 1. 2 12. 8 12. 1 75. 6 7. 4 1.9 3 13. 12. 6 8 7. 4 7. 4 1.7 4 13.7 13. 86.2 7.5 1.5
2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7> 주암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6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3. 1 1. 3 6 68. 6 7.7 2.5 2 22. 8 9. 9 68. 6 7.7 2. 5 22.3 9.92 68.6 7.8 1.4 1 17. 9 11. 14 67. 2 7.4 2.1 2 7. 9 11. 4 9 63. 6 7.1 1.3 3 7. 2 11. 5 7 64. 7 6.8 1.4 2 24. 6 1. 17 71. 6 8. 1.9 3 23. 6 11. 13 75. 8.9 3. 4 24.2 13.44 89.5 9.8 5.1 < 부표 2-8> 주암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8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9. 8. 68. 1 7.1 1.5 2 28.8 7.8 7.3 7.3 1.4 5 28.8 8.1 69.9 7.1 1.3 1 25. 4 5. 2 77. 1 6.8 1.4 2 18. 1 4. 2 77. 2 6.6 1.7 3 9. 5. 8 75. 6.6 1.6 2 28.9 8.6 73.6 8. 4.2 3 29.1 9.5 75.5 7.4 2.1 4 29. 9.6 75. 7.4 5.3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 9 < 부표 2-9> 영산호의수질조사결과 (24 년 12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9.8 1. 4 1672. 7.5 12.4 2 9. 9 1. 178 6. 7.6 13.4 5 9. 9 8. 8 179 7. 7.6 13.6 8 9. 8 1. 5 179 5. 7.6 11.2 2 1. 7 9. 3 1775. 7.6 14.2 3 1. 5 8. 3 13 2. 7.6 12. 4 11. 1 8. 9 79 8. 7.7 2.6 < 부표 2-1> 영산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4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11. 6 11. 9 248. 7.3 4.6 2 11. 4 12. 3 248. 7.8 4.8 5 11. 13. 25 3. 7.8 4.7 7 1. 5 1. 8 25 8. 7.7 4.6 2 14. 6 11. 1 15 63. 7.8 5.9 3 14. 2 11. 1625. 7.7 6.6 4 14. 9.4 59. 7.7 15.3
21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11> 영산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6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2. 1 8.68 129 3. 7.7 8.7 2 22. 8. 5 6 128 8. 7.7 8.8 5 22. 8. 6 128 9. 7.7 9.1 7 21.2 6.97 1823. 7.5 8.5 2 22.2 8.9 484. 7.5 24.5 3 24.5 8.67 34.8 7.6 25.3 4 22. 2 4. 75 19 9. 6 7.1 3 3.3 조사지점 < 부표 2-12> 영산호의수질조사결과 (25 년 8 월 )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8. 2 7. 1 129 3. 7.3 27.4 2 28. 5. 6 128 8. 7.2 24.6 5 27. 8 5. 4 128 9. 7. 22.3 7 27. 8 4. 3 18 23. 7.2 24.1 2 27.8 5.2 484. 7.1 31.2 3 28.2 6.2 34.8 7.1 46.2 4 28. 1 6. 2 19 9. 6 7.1 5 6.4 < 부표 2-13> 왕궁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12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9.2 1. 118. 7 7.3 4.9 2 9. 1. 3 118. 3 7.2 4.2 5 8. 8 1. 7 119. 1 7.2 6. 2 1. 1 9. 6 13. 2 7. 3.4 3 9. 4 9. 1 118. 7 6.9 3.1 4 1. 9. 9 118. 4 7.3 3.3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1 < 부표 2-14> 왕궁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4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1. 5 11. 7 118. 7 8.1 2.6 2 1. 5 1. 1 119. 2 7.9 3.1 5 9. 8 7. 1 118. 7 7.8 4.2 7 9. 5 8. 2 118. 9 7.8 4.3 2 1. 9 11. 8 119. 1 7.9 2.7 3 11. 1 11. 9 121. 3 7.9 2.9 4 1. 8 12. 1 118. 9 7.9 2.5 < 부표 2-15> 왕궁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6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3. 9 11. 4 5 128. 1 8.6 3.17 2 23. 2 11. 28 127. 8 8.4 8 2.63 5 2. 3 1. 19 129. 4 7.5 9 3.18 7 14.7 6.34 138.7 6.97 5.55 2 25. 1 11. 3 5 129. 1 8.67 4.1 3 25. 3 11. 8 5 13 1. 6 8.7 6.75 4 25. 5 11. 66 128. 9 8.63 2.9 5
21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16> 왕궁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8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3.6 13. 6 129. 3 9.95 6.3 3 2 3. 13. 5 128. 9.7 5.78 5 23. 8 12. 8 13 2. 6 7.15 14.4 2 3.9 13.1 123.7 9.93 4.79 3 3.4 13.9 128.7 9.95 5.37 4 3.8 12.6 13.1 9.94 7.12 < 부표 2-17> 성암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4 년 12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7. 8 12. 9 176. 6 7.7 12.6 2 8. 1. 3 175. 8 7.6 13.9 5 8. 12. 4 174. 6 7.6 15.5 2 8. 12. 3 178. 6 7.6 13. 3 7. 8 12. 3 177. 8 7.6 13.8 4 8. 12. 2 176. 2 7.4 11.3 < 부표 2-18> 성암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4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 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 TU) 1 1. 8 12. 9 135.4 8.1 13. 5 2 1. 4 12. 2 13 4.6 8.1 15. 3 5 9. 5 1. 6 13 2.3 7.9 3 2. 9 2 11. 7 12. 6 14.1 8.6 13. 6 3 11. 9 12. 6 14.1 8.2 13. 4 4 11. 6 13. 5 13 6.9 8.5 14. 8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3 < 부표 2-19> 성암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6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4. 9 13. 6 23. 3 9.4 12.4 2 24. 5 12. 5 226. 4 9.4 15. 5 23. 1 9. 24 1. 2 7.5 19. 2 24.6 14.3 232.9 9.3 11.8 3 23. 6 14. 2 23 1. 7 9.3 13. 4 24. 12. 3 216. 9. 19. < 부표 2-2> 성암저수지의수질조사결과 (25 년 8 월 ) 조사지점 수심 (m) 수온 ( ) 용존산소 ( mg O2/ L) 전기전도도 (us/ cm ) ph 탁도 (NTU) 1 29. 3 9.5 24. 8.4 11.7 2 28. 8 8. 3 26. 7.7 13.2 5 14. 3 8. 2 19 4. 2 7. 22.4 2 29. 8 1. 8 18 9. 3 9.1 22.4 3 29. 8 11. 4 19 2. 9.1 24.5 4 29. 8. 8 27. 8.2 13.1
21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21> 대청호의계절에따른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투명도흡광계수유광대 (/m ) (k) (m ) 24.12. 1 1 2. 9. 6 7.7 2 2.9.6 7.8 3 3.1.6 8.4 4 3.4.5 9.2 25.4. 7 1 3. 2. 5 8.6 2 - - - 3 - - - 4 1.5 1.1 4.1 25.6. 2 1 8. 5. 4 12.5 2 8..2 21.6 3 4.6.4 4.6 4 3.2.5 3.2 25.8. 9 1 3. 1. 4 8.4 2 2.4.7 6.5 3 1.1 1.5 3. 4 3..6 8.1 < 부표 2-22> 주암호의계절에따른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투명도 (/m ) 흡광계수 (k) 유광대 (m ) 24.12. 9 1 3.3. 7 6.4 4 2 3.1.7 6.78 3 3.8.6 7.75 4 4.2.5 8.72 25.4. 8 1 2. 7. 4 13.2 2 3.3.5 8.9 3 2.6.7 7. 4 2.4.7 6.5 25.6. 3 1 4. 8. 4 13. 2 3. 8. 5 1.3 3 2..9 5.4 4 1.2 1.4 3.2 25.8. 1 1 4. 7. 4 12.7 2 2.4.7 6.5 3 1.1 1.6 3. 4.7 2.4 1.9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5 < 부표 2-23> 영산호의계절에따른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투명도흡광계수유광대 (/m ) (k) (m ) 24.12. 8 1. 8. 5 8.8 2.5.7 6.9 3.6.8 5.7 4.5 1.1 4.3 25.4. 9 1 1. 1 1. 6 3. 2.9 1.9 2.4 3 - - - 4 - - - 25.6. 4 1. 9 1. 9 2.4 2.4 4.3 1.1 3.4 4.3 1.1 4 25.8. 11 1. 5 3. 4 1.4 2.5 3.4 1.4 3.5 3.7 1.2 4.4 4.3 1.1 < 부표 2-24> 왕궁저수지의계절에따른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투명도 (/m ) 흡광계수 (k) 유광대 (m ) 24.12. 2 1 1. 6 1. 1 4.3 2-3 - 4-25.4. 2 1 3. 1. 6 7.6 2 2..9 5.4 3 2.1.8 5.7 4 3..6 8.1 25.5. 29 1 1. 7. 7 6.3 2 1.3 1.3 3.5 3 1. 1.8 2.6 4 1.6 1.1 4.3 25.7. 27 1 1. 3 1. 3 8. 2 1.3 1.3 3.5 3 1.2 1.4 3.2 4 1.3 1.3 3.5
21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25> 성암저수지의계절에따른투명도, 흡광계수, 유광대수심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투명도 (/m ) 흡광계수 (k) 유광대 (m ) 24.12. 1 1.5 3.4 1.4 2.6 2.8 1.6 3.5 3.4 1.4 4.5 3.4 1.4 25.4. 1 1.6 2.2 2.1 2.8 2.1 2.2 3 - - - 4.6 2.8 1.6 25.5. 28 1.5 3.4 1.4 2.5 3.8 1.2 3.5 3.8 1.2 4.4 4.3 1.1 25.7. 27 1.6 2.8 7. 2.5 3.4 1.4 3.4 4.3 1.1 4.6 2.8 1.6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7 날짜 ( 월 ) 지점수심 < 부표 2-26> 대청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SS ( mg /L) VSS ( mg / L) NVSS ( mg /L) Chl-lorenzen ( mg / m3 ) Chl-UNESCO ( mg / m3 ) 24. 12.1 1 6. 1. 6 4.4 2. 5 ±. 12 2.1±.23 2 2. 2 1. 4. 8 2. 5 ±. 16 2.3 ±.3 2 5 1. 6 1. 2. 4 3. 1±. 21 2.7±.21 1 2. 1. 6. 4 2. 4 ±. 3 7 2.6±.22 2 3. 6 2. 1. 6 2. 5 ±. 5 3 2.4 ±.12 3 3. 6 2. 1. 6 1. 4 2. 4 19. 3. 2 15. 8 1. 2.5 2 3. 6 2. 6 1. 2. 3 ±. 22 3.1±.19 3 1. 6 1. 4. 2 2. 8 ±. 4 9 3.4 ±.5 5 4 2. 2 1. 6. 6 3. 7±2. 15 3.±.8 25. 4.7 1 1. 78 1.. 78 1. 2±. 5 1 2.±.3 6 2 1. 22. 8 9. 3 3 1. 1±. 25 1.9 ±.13 5 1. 5 6. 5 6 1. 2. 7±. 28 6.3 ±.4 2 1 1. 22 1. 11. 11 2. 7±3. 9 4 2.2±.3 7 2 1. 67. 78. 8 9 1. 3 2.1 3.78.44.33 1. 1.8 3 5 1. 11. 67. 4 4 1. 3 2. 2 5. 67 2. 11 3. 5 6 1. 7±. 19 3.8 ±.25 3 8. 3 3 1. 11 7. 22. 9 ±. 1 2.±.26 4 3. 78 2. 22 1. 5 6 1. 4 ±. 3 5 3.±.27 25. 6.2 1 3. 9 3. 6. 3. 4 ±. 1 1.2±.25 2 1. 1. 4. 7. 1±. 8 1.1±.3 8 5. 9. 8. 1. 4 1.3 ±.7 1 1.. 1. 9. 3 ±. 22 1.3 ±.3 8 2. 7. 6. 1. 1.9 3 1. 3. 6. 7. 4 1.1 3 5 3. 1 2. 3. 8. 6.7 2. 5. 3. 2. 6 1.3 ±.5 3 1. 3 1. 1. 2 1. 4 ±. 29 1.9 ±.9 4 2. 8 2. 7. 1 1. 3 ±. 3 9 2.8 ±.5 1 25. 8.9 1 12. 2 6. 6. 2 3. 4 ±. 8 6.2±.6 2 11. 6 8. 3. 6 2. 8 ±. 9 1 4.8 ±.4 5 11. 9. 2. 6. 5 ±1. 4 9.7± 1.3 9 1 9. 6 7. 4 2. 2 3. 1±. 4 7 5.9 ±.24 2 29. 5 14. 5 15. - 3.9 ±.5 8 3 28. 5 13. 15. 5-3.5 ± 1.14 4 4. 3. 1. - 1.1±.6 2 17. 8 2. 8 15. 4. 5 ±. 19 8.2±.16 3 12. 3 3 1. 67 1. 67 11. 5 ±1. 5 5 19.4 ±.5 6 4 23. 1. 4 12. 6 3. 6±1. 5 5.4 ±.4 2
21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날짜 ( 월 ) 지점수심 < 부표 2-27> 주암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SS ( mg /L) VSS ( mg /L) NVSS ( mg / L) Chl-lorenzen ( mg / m3 ) Chl-UNESCO ( mg / m3 ) 24.12. 9 1 12.5 9.5 3. 2 12.4 7. 2 5. 2 5 17.5 1. 5 7. 1 14.67 7. 67 7. 2 19.5 12. 7. 5 3 16.5 1. 6. 5 2 12. 9. 3 3 2. 67 3 13.67 9.33 4.33 4 14.67 2. 12. 67 25.4. 8 1 11.67 3. 8. 67 1. 6±. 19 2. 1±. 15 2 13. 2. 67 1. 3 3. 2±. 3 6 2. 2±. 12 5 14.3 3 3. 67 1. 67. 7±. 3 4 2. 4 ±. 3 3 1 2.67 19. 67 1. 1. 1±. 5 2. 8 ±. 14 2 18. 2. 16. 1. 5 2. 4 3 22.67 17. 3 3 5. 3 3 1. 6 1. 8 2 14. 3. 67 1. 3 3 1. 8 ±. 9 3. 1±. 24 3 16.3 3 8. 3 3 8. 2. 9 ±1. 27 4. 7±. 23 4 24.3 3 1. 3 3 23. 3. 2±. 63 4. 6±. 23 25.6. 3 1 13.3 3 8. 3 3 5.. 4 ±. 11 1. 5 ±. 17 2 15.67 8. 3 3 7. 3 3. 5 ±. 15 1. 5 5 12.5 4. 5 8.. 4 ±. 19 1. 5 ±. 11 1 27. 9. 18.. 3 ±. 24 1. 3 ±. 3 8 2 6.25 2. 75 3. 5. 9 1. 8 3 11.75 6.25 5.5-2. 2 1.5 1.. 5. 5 ±. 71 1. 4 ±. 9 4 3 2.8 2.. 8 3. ±. 6 4. 8 ±. 17 4 6.. 73 5. 27 2. ±2. 66 3. 6±1. 74 25.8. 1 1 1.7. 4 1. 3. 9 ±. 8 2. 7±. 4 2.9.6.3 1.2±.23 2.5±.11 5 1..88.12 1.2±.23 2.9±.27 1 2.6 1. 4 1. 2 1. 2±. 27 2. 8 ±. 15 2.75. 63. 13. 2±. 7 1. 4 ±. 2 3 4.6 1. 6 3.. 2±. 23 1. ±. 25 2 1.8 1. 6. 2 4. 3 ±. 4 7. 4 ±. 28 3 2. 1. 6. 4 12. 6±. 79 17. 3 ±. 6 4 3.4 2. 1. 4 13. ±1. 1 19. 5 ±. 7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19 < 부표 2-28> 영산호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SS ( mg /L) VSS ( mg /L) NVSS ( mg /L) Chl-lorenzen ( mg / m3 ) Chl-UNESCO ( mg / m3 ) 24. 12. 8 1 12.3 3 4. 8.33 3.3±.11 5.3±.23 2 12.3 3 3. 9.3 3 2. ±. 3 3. 3 ±. 21 5 12. 3. 9.. 5 ±. 3 6 2. 7±. 27 8 11.3 3 3. 3 3 8. 1. 1±1. 27 2. 4 ±. 17 2 13.2 2. 6 1.6 3. 3 ±. 3 3 5. 4 ±. 26 3 12.2 2. 4 9.8 2. 5 ±. 19 4. 6±. 79 4 19.8 3. 4 16.4 1. 9 2. 4 ±. 1 25. 4. 9 1 8. 3. 8 4.2 3 2. ±1. 75 3. 1±. 3 4 2 19. 14. 2 4.8 29. 6±1. 5 3 2. 9 ±. 23 5 8. 2. 8 5.2 11. 7±. 27 18. 1±. 72 7 6.6 1. 6 5. 2. 1±. 3 8 5. ±. 4 2 4.6 1. 2 3.4 17. 4 ±. 18 27. 1±. 4 5 3 19.2 12. 6 6.6 5. 5 ±. 2 1. 2±. 14 4 18.6 4. 8 13.8 9. 6±. 8 8 16. 9 ±. 67 25. 6. 4 1 12.2 4. 8.2 11. 5 ±. 4 8 15. 3 ±. 8 5 2 12.2 11. 4.8 8. 3 ±. 13 12. 3 ±. 74 5 12.2 3. 2 9. 7. 1±. 77 12. 6±. 74 7 22.4 21. 4 1. 4. ±. 23 7. 3 ±. 14 2 27. 24. 3 3 2.67 21. 8 ±. 13 3 5. 4.4 1 3 27.3 3 1. 67 16.67 19. 5 ±1. 4 2 3 9. 7±. 8 1 4 3 9.67 4. 67 3 5. 1. 1±1. 68 21. 3 ±. 67 25. 8. 11 1 19.6 5. 6 14. 15. 3 ±. 61 19. 7±1. 3 6 2 15. 5. 5 9.5 6. 7±. 6 1. 4 ±. 7 5 17.3 3 5. 67 11.67 9. 8 ±. 5 7 14. 4 ±. 3 1 7 17.3 3 4. 3 3 13. 7. 2±. 5 3 11. 2±. 27 2 19.3 3 4. 3 3 15. 6. 9 ±. 23 12. ±. 4 1 3 3 5.67 7. 3 3 28.3 3 12. 3 ±. 19 19. 1±. 8 8 4 4 2.3 3 15. 3 3 27. 12. 9 ±. 62 26. 7±. 3
2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29> 왕궁저수지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SS ( mg /L) VSS ( mg /L) NVSS ( mg /L) Chl-lorenzen ( mg / m3 ) Chl-UNESCO ( mg / m3 ) 24. 12.2 1 13.5 3. 1.5 2 11.5 5. 6.5 5 14.5 8. 5 6. 2 6. 2. 3 3 3.67 3 4.67 2.33 2.33 4 16.33 8.33 8. 25. 4.2 1 2.1 1. 1.1 1. ±. 5 3. ±. 64 2 9.6 8. 5 1.1 1. 2 1. 5 5 4.8 1. 2 3.6 5. 9 1. 1 7 4.4 1. 2 3.2 5. 7±. 79 8. 3 ±. 29 2 9.8 9. 6.2 1. 7±. 5 3. 1±. 9 3 8. 7. 5.5 2. 5 1. 5 4 2.2. 4 1.8 1. 3 ±. 63 2. 8 ±. 2 25. 5.29 1 7. 6. 6.4 2. ±2. 3 2 6. 2±. 3 8 2 2. 1. 3 3.67 2. ±. 2 7. 5 ±. 18 5 2.4 2. 2.2 4. 5 ±2. 14 13. 3 ±. 74 7 9.8 9. 6.2 2. 7±. 4 3 6. 4 ±1. 1 2 4.6. 6 4. 6. 9 12. 6±. 4 8 3 7.2 7..2 14. 6±1. 5 5 19. ±1. 5 1 4 12.6 1. 2 2.4 3. 5 ±. 4 5. 1±. 28 25. 7.27 1 4.67 4..67 3. 7±1. 1 3 4. 2 2 3.33 3..33 33.7±.21 36.9±.48 5 9.5 6. 3.5 23. 8 29. ±2. 3 8 2 9.5 6.5 3. 31.7±2.33 34.1±1.75 3 5.5 4. 1.5 23.5 32.5±.57 4 6.5 5. 5 1. 3 1. 8 ±1. 13 3 4. 3 ±1. 64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21 < 부표 2-3> 성암저수지의 SS, VSS, NVSS, Chl-a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SS ( mg /L) VSS ( mg /L) NVSS ( mg /L) Chl-lorenzen ( mg / m3 ) Chl-UNESCO ( mg / m3 ) 24. 12.1 1 12.5 9.5 3. 31.7±5.1 37.2±4.89 2 12.4 7.2 5.2 26.8±4.34 33.1±5.9 5 17.5 1. 5 7. 23. 2±3. 28 28. 5 ±5. 12 2 14.67 7. 67 7. 23. 8 ±1. 66 3 2. 9 ±5. 4 9 3 19.5 12. 7.5 25. 9 ±2. 9 3 2. 8 ±3. 3 3 4 16.5 1. 6.5 26. 3 ±1. 8 1 3 3. 6±3. 25. 4.1 1 12. 9. 3 3 2.67 3 8. 3 8. 6 2 13.67 9.33 4.33 14.2 33.6±5.27 5 14.67 2. 12.67 4 1. 3 9. ±. 75 2 11.67 3. 8.67 4. 5 4 5. 6 3 13. 2. 67 1.3 3 3 5. ±4. 4 5 4 3. 4 ±2. 8 4 4 14.3 3 3. 67 1.67 3 8. ±1. 9 4 5. 5 ±. 8 1 25. 5.28 1 2.67 19. 67 1. 5. 5 ±2. 12 6. 9 ±. 9 7 2 18. 2. 16. 63. 3 ±. 7 8 1. 7±1. 29 5 22.67 17.33 5.33 38.7±1.6 59.5±1.44 2 14. 3. 67 1.3 3 5 6. 4 ±. 9 7 63. 9 ±1. 7 3 16.33 8.33 8. 47.4±1.32 54.6±1.22 4 24.33 1.33 23. 52.5±1.8 69.4±3.7 25. 7.27 1 13.3 3 8. 3 3 5. 5 7. 6±1. 8 1 5 9. 2±2. 67 2 15.67 8.33 7.33 45.2±.31 6.7±.47 5 12.5 4. 5 8. 17. 6±. 66 27. 4 ±2. 7 2 27. 9. 18. 4 5. 7±1. 5 4 5 1. 6±. 1 3 6.25 2. 75 3.5 5. ±1. 63 5 6. 6±2. 4 6 4 11.75 6.25 5.5 52.8±3.9 54.4±1.6
22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1> 대청호의 CODMn, DOC, POC, TOC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4. 12.1 1 4.15 1.915.72 2. 63 5 2 4.5 1.589.63 2.219 5 3.73 1.691.54 2.231 1 5.65 1.394.72 2.114 2 3.73 1.643.9 2.543 3 4.9 2.679.9 3.579 4 5.65 1. 8 12 1.4 4 3. 25 2 2 3.9 4 1. 63 3 1.17 2. 8 3 3 3.4 1. 62.63 2. 25 4 3.73 1. 75.72 2. 4 25 25. 4.7 1 3.8 3 2. 29 6.9 3 4 3. 23 2 4.15 3.999 1.785 5.784 5 4.69 1. 774.25 2. 24 1 3.5 1 2. 5 76.5 3. 76 2 4.37 1.896.35 2.246 3 3.73 1. 3 2.2 1. 5 2 3 5 3.9 4 1. 9.8 9 6 2. 79 6 2 4.8 1. 779 1.179 2. 9 5 8 3 4.5 3. 3 1.4 2 4. 72 4 4.69 2. 14 4 1. 3. 14 4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23 < 부표 2-31> 계속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5. 6. 2 1 2. 2 1. 668.448 2. 116 2 3.2 2.939.543 3.473 5 2.92 1.345.497 1.842 1 2. 62 1. 65 5. 5 19 2. 174 2 4. 13 1. 623. 5 3 6 2. 15 9 3 2.92 1.314.533 1.847 3 5 3. 23 1. 3 71. 5 2 1. 8 73 2 3. 4 3 1. 25 6. 5 12 1. 768 3 4. 23 2. 19 4. 67 2. 8 1 4 4.54 1.519.594 2.113 25. 8. 9 1 4. 23 9. 1 2. 19 11. 29 2 4. 64 9. 25 9 1. 9 77 11. 23 6 5 4.13 9.342 2.77 11.419 1 4.13 1.85 1.898 3.748 2 5. 14 3. 18 3 4. 73 6 7. 9 19 3 5.34 2.69 3.227 5.836 4 4.13 1.633 1.878 3.511 2 5.14 2.194 1.617 3.811 3 6. 75 2. 4 26 2. 8 5. 226 4 4.94 2.321 2.623 4.944
22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2> 주암호의 CODMn, DOC, POC, TOC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4. 12. 9 1 4.15 1. 28 7 4. 275 5.562 2 6.94 1.528 3.24 4.768 5 3. 8 3 2. 8 4 4. 725 7. 5 65 1 3.62 1.34 3.45 4.79 2 3.62 1.424 5.4 6.824 3 3.3 2.977 4.5 7.477 2 3.3 1.552 4.2 5.752 3 3. 62 1. 3 62 4. 2 5. 5 62 4 4.48 1.444.9 2.344 25. 4. 8 1 3. 71 2. 28 1. 3 5 3. 63 2 4. 67 1. 8 74 1. 2 3. 74 5 9.82 1.74.891 2.595 1 7. 14 1. 4 29. 8 78 2. 3 7 2 6. 5 2. 114. 8 26 2. 9 4 3 5.53 1.397.888 2.285 2 4. 78 1. 5 9 9 1. 164 2. 763 3 5. 8 5 1. 67 1. 66 2. 673 4 7.46 1.822 1.454 3.276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25 < 부표 2-32> 계속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5. 6.3 1 3.63 2. 222.8 9 3.31 2 2.8 2 1. 9 8 2.77 2. 68 9 5 3.83 1.599.757 2.356 1 3.12 1. 65 6.8 27 2. 4 8 3 2 3.8 3 2. 12.779 2. 8 8 1 3 3.63 4.74.891 4.965 2 3.23 1. 5 72.9 4 9 2. 5 21 3 4.9 4 1. 661 1.13 8 2. 79 9 4 5.14 3. 9 69 3.18 7 7. 15 6 25. 8.1 1 3.3 3 1. 5 5.18 1. 73 2 3.73 1. 5 13.27 1. 78 3 5 3.73 1. 623.3 9 4 2. 17 1 4.3 2. 115.63 2. 74 5 2 3.9 3 1. 4 4 1.28 1 1. 722 3 3.4 3 1. 5 5.72 2. 225 2 5.4 4 2. 6.72. 78 3 6.15 2. 3 8 6.72 3. 16 4 6.75 2.444.9 3.344
22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3> 영산호의 CODMn, DOC, POC, TOC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4. 12.8 1 5.65 6.844 1.8 8.644 2 5.12 3.149 1.35 4.499 5 5.87 4.841 1.35 6.191 8 5.44 2.358 1.5 3.858 2 6.3 2. 74 4 1.17 3. 9 14 3 5.44 2.483 1.8 3.563 4 5.87 2.445 1.53 3.975 25. 4.9 1 6.5 3. 538 2.65 5.63 2 7.3 3.481 1.798 5.279 5 4.78 3. 616 1.5 12 5. 128 7 7.4 6 3. 223 1.29 3 4. 5 16 2 8.3 2 4. 4 1 2.118 6. 5 28 3 5.53 4.183 1.438 5.621 4 4.67 4.153 1.334 5.487 날짜 ( 월 ) 지점수심 < 부표 2-33> 계속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5.6. 4 1 6.5 6. 276 1.8 76 8.152 2 7.26 5. 274 1.9 4 2 7. 216 5 7.26 6. 1 1.8 69 8. 8 7 7 6.5 5 4. 9 13 1.78 6. 621 2 9.58 5.86 3.236 8.322 3 9.78 5.533 3.683 9.216 4 8.87 6.191 3.486 9.677 25.8. 11 1 7.9 6 6. 4 76.4 19 6. 8 9 5 2 8.16 6. 78 6.4 3 6 7. 222 5 8.6 7. 8 5 8.4 12 8. 27 7 7.86 4.366 1.95 6.316 2 6.5 5 6. 5 16.3 74 6. 8 9 3 6.65 3. 73 3.5 4 6 4. 279 4 5.85 3.765.472 4.237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27 < 부표 2-34> 왕궁저수지의 CODMn, DOC, POC, TOC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4. 12. 2 1 3.92 2. 68 9 1.35 4.39 2 4. 67 3. 6 2. 25 5. 25 6 5 3.49 2.975 3.825 6.8 2 4.67 3.45 1.5 4.5 3 5. 8 5 2. 3 2 1. 5 3. 3 7 4 5.85 2.56 3.75 6.256 25. 4. 2 1 4. 5 7 2. 5 18 1. 8 4. 3 18 2 3.6 2.119 3.825 5.944 5 6.28 2.868 1.787 4.655 7 5. 4 2 2. 779 1. 8 5 7 4. 63 6 2 5.21 3.158 1.857 5.15 3 4.67 2.112 1.835 3.947 4 4.89 2.16 1.977 4.83 < 부표 2-34> 계속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5. 5.29 1 6.24 4.297 1.44 5.737 2 6.55 4.18 1.49 5.598 5 6.35 2.95 1.749 4.699 7 6.5 2. 78 2.5 4 2 4. 62 2 6.15 2. 4 69 2.15 5 4. 624 3 6.55 2.477 2.151 4.628 4 5.75 2. 769 2.3 77 5. 14 6 25. 7.27 1 8.9 7 8. 3 19 12.64 2. 3 8 3 2 9.27 3. 8 5 9.9 25 13. 73 5 8.8 7 3. 3 9 7 2.7 6. 9 7 2 9.98 4.129 8.769 12.898 3 8.97 3.784 7.346 11.13 4 9.3 7 3. 22 8.5 23 11. 725
22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5> 성암저수지의 CODMn, DOC, POC, TOC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4. 12. 1 1 8.53 2.818 4.275 7. 9 3 2 6.6 4.847 3.24 8.87 5 7.3 9. 69 1 4.725 14. 4 16 2 7.68 2. 72 3.4 5 6. 17 3 9.7 2.984 5.4 8.384 4 8.53 3.18 4.5 7.518 25. 4. 1 1 9.18 3. 558 5.932 9.49 2 9.5 3.785 6.844 1.629 5 8.21 7.531 7.183 14.714 2 7.8 9 3. 19 9 6.8 66 1. 65 3 7.4 6 3. 79 1.2 6.19 4 8.64 3. 18 7.13 5 1. 24 3 < 부표 2-35> 계속 날짜 ( 월 ) 지점수심 COD Mn ( mg O 2 /L) DOC ( mg C/ L) POC ( mg C /L) TOC ( mg C/ L) 25. 5.28 1 9.7 4.757 6. 15 1.8 62 2 9.17 3.978 7.57 11.548 5 9. 7 5.629 7. 8 9 12.718 2 9.58 2.57 6.792 9.299 3 9. 17 1.73 4 7. 5 12 9.24 6 4 9.88 2.994 7.42 1.414 25. 7.27 1 9. 68 3.4 15 7. 25 3 1.668 2 9.78 3.488 9.399 12.887 5 8. 16 3.18 6. 9 3 1.11 2 9.37 3.914 7.99 11.823 3 9.88 3.469 1.136 13.65 4 8. 3 7 3.4 6 7. 8 9 5 11.3 1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29 < 부표 2-36> 대청호의 TN, TP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수심 TN DTN TP DTP TN/TP ( mg /L) ( mg /L) ( mg /L) ( mg /L) ( 원자비 ) 24.12. 1 1 1.58 1.29 15 14 23 4 2 1.5 2 1.28 18 17 19 8 5 1.5 1.3 17 7 19 6 1 1.4 1 1.2 14 1 23 4 2 1.5 1.28 16 7 217 3 1.4 6 1.3 3 23 12 14 2 4 1.4 7 1.4 7 9 1 28 3 7 2 1.4 6 1.4 9 2 18 167 3 1.5 2 1.3 4 17 9 24 4 1.4 3 1.23 13 7 24 5 25.4. 7 1 1.5 3 1.25 8 7 4 27 2 1.61 1.3 4 11 5 3 3 2 5 1.5 2 1.22 13 6 272 1 1.78 1.29 11 7 3 79 2 1.58 1.62 8 4 462 3 1.5 1.27 12 4 28 5 3 5 1.6 1.3 8 1 4 3 61 2 1.65 1.5 3 16 5 23 4 3 1.4 5 1.28 4 6 5 72 4 1.64 1.21 25 1 14 8 25.6. 2 1 1.5 9 1.3 4 7 3 5 5 2 1.45 1.33 1 4 319 5 1.53 1.34 6 4 576 1 1.4 7 1.28 12 3 28 2 2 1.4 4 1.26 1 5 3 26 3 1.5 3 1.28 14 7 24 8 35 1.52 1.28 9 2 371 2 1.71 1.3 6 7 3 5 5 7 3 1.5 1.13 9 3 382 4 1.5 1.25 12 4 28 4 25.8. 9 1 1.27.9 2 21 1 13 7 2 1.3 1.9 6 25 1 119 5 1.3 6 1.13 21 5 14 9 1 1.7 1.4 1 2 9 19 6 2 1.8 1 1.5 8 77 3 5 5 4 3 1.92 1.82 76 37 57 4 1.65 1.3 9 16 11 229 2 1.5 4 1.2 24 8 14 5 3 1.9 3 1.1 4 11 11 4 1.26.8 7 19 8 15 1
23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7> 주암호의 TN, TP 조사결과 날짜 ( 월 ) 지점 수심 TN DTN TP DTP TN/TP ( mg / L) ( mg / L) ( mg / L) ( mg / L) ( 원자비 ) 24. 12.9 1 1. 12. 72 14 13 18 4 2 1. 1. 65 13 6 174 5. 9 4. 68 2 4 11 1 1. 1. 8 2 14 116 2 1. 6. 7 26 12 9 3 3.84.94 36 23 6 2. 9 3. 7 4 1 16 5 2 3. 9 4. 69 4 1 11 5 3 4. 9 4. 71 22 12 9 6 25. 4.8 1 1. 24. 8 6 8 6 3 4 7 2 1. 13. 8 9 1 8 25 9 5 1. 75. 75 2 5 2 1 1. 21. 7 22 3 127 2 1. 11. 76 16 8 16 3 1.83.96 12 7 35 2 1. 18. 7 21 4 127 3 1. 11. 75 2 9 125 4 1. 21. 79 19 1 14 4 25. 6.3 1. 9 9. 9 4 7 6 3 4 2.85.84 7 3 27 5 2. 5 8. 8 1 7 6 274 1. 9 4. 8 7 16 6 13 5 2.97.93 14 5 154 3 3.42 1.6 19 3 139 2. 8 8. 8 3 1 4 21 3 1. 11. 78 18 8 14 3 4 1.38.59 37 1 86 25. 8.1 1. 73. 4 2 12 2 14 2 2. 75. 4 2 14 2 126 5. 66. 3 9 12 2 123 1 1. 3 1. 63 11 4 272 2 1. 17. 64 8 7 3 26 3 1. 1. 71 15 4 15 6 2. 8 3. 4 2 24 7 8 3.99.36 31 8 72 4. 9 6. 3 3 3 3 12 66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1 < 부표 2-38> 영산호의 TN, TP 조사 결과 날짜 ( 월 ) 지점 수심 TN DTN TP DTP TN/TP ( mg /L) ( mg /L) ( mg /L) ( mg /L) ( 원자비 ) 24. 12.8 1 3.45 2.5 119 84 66 2 3.28 2.64 123 76 61 5 3.34 2.58 133 75 57 8 3.21 2.4 9 13 73 71 2 3.5 4 2.75 13 4 111 61 3 3.75 3.4 13 7 8 7 63 4 4.65 3.61 23 145 46 25. 4.9 1 5.68 2.74 19 2 125 68 2 5.9 5 3.15 19 128 72 5 5.5 8 4.9 18 2 13 8 7 7 5.5 3 4.8 1 18 2 13 7 69 2 6.47 5.75 248 174 6 3 6.1 5.5 7 223 15 5 62 4 5.89 5.93 255 157 54 25. 6.4 1 4.78 3.1 12 8 4 9 1 2 4.8 4 3.11 122 8 7 9 1 5 4.79 3.4 3 126 8 6 8 7 7 4.8 5 3.9 12 1 9 2 2 5.4 8 4.71 24 2 14 5 2 3 6.9 2.75 264 14 7 5 3 4 4.9 2 2.79 218 13 5 2 25. 8.11 1 3.5 1.76 13 7 8 8 5 1 2 2.83 1.75 135 97 48 5 2.65 1.79 134 99 45 7 2.74 1.9 13 5 1 4 6 2 2.4 3 1.68 124 8 6 4 5 3 2.38 1.94 155 77 35 4 2.4 3 1.7 165 74 3 4
23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39> 왕궁저수지의 TN, TP 조사 결과 날짜 ( 월 ) 지점 수심 TN DTN TP DTP TN/TP ( mg / L) ( mg / L) ( mg / L) ( mg / L) ( 원자비 ) 24.12. 2 1 1. 14. 72 28 1 92 2 1. 17. 74 3 6 12 75 5 1. 17. 74 3 5 1 77 2 1.8 1.44 29 25 14 3 1. 11. 72 26 12 9 8 4 1. 21. 65 26 11 17 25.4. 2 1. 63. 8 21 14 68 2. 64. 8 4 25 11 5 8 5. 5 8. 73 3 1 12 4 2 7. 61. 76 3 3 11 4 2 2. 61. 69 23 5 5 9 3. 61. 72 24 12 5 8 4. 63. 8 3 19 12 78 25.5. 29 1. 9. 5 7 26 18 8 2. 2. 64 15 9 15 5. 4 6. 72 15 15 9 2 7.. 5 5 12 16 27 2. 15. 5 3 14 11 15 3. 2. 5 6 28 23 5 4 4. 23. 9 21 16 14 25.7. 27 1 1. 13. 73 3 8 15 68 2 1.53 1.15 43 16 82 5 1. 76 1. 73 4 6 1 8 8 2 1. 12. 79 3 9 15 65 3 1. 11. 78 3 9 14 65 4 1. 15. 76 4 1 15 65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3 < 부표 2-4> 성암저수지의 TN, TP 조사 결과 날짜 ( 월 ) 지점 수심 TN DTN TP DTP TN/TP ( mg / L) ( mg / L) ( mg / L) ( mg / L) ( 원자비 ) 24. 12. 1 1.55. 8 4 74 1 34 2.45.91 79 13 26 5.43 1.5 86 6 24 2.52.99 69 11 34 3.51.9 69 8 34 4. 5 4. 8 6 7 12 3 5 25. 4. 1 1 1. 19 1. 2 16 16 26 2 1. 21 1. 21 112 15 25 5 1. 11 1. 7 217 15 12 2 1. 21 1. 13 8 8 18 3 1 3 1. 21 1. 8 8 7 12 3 2 4 1. 2 1. 5 9 1 13 3 25. 5. 28 1 2. 9 6. 5 9 8 7 16 78 2 2. 8 2 1. 4 8 9 9 21 65 5 3. 11 1. 8 1 9 6 19 74 2 2.82 1.16 88 19 74 3 2. 5 9 1. 3 3 8 3 2 74 4 2. 9 8 1. 5 4 15 2 65 25. 7. 27 1 1. 9 6. 8 6 71 15 63 2 1. 78. 9 5 72 14 5 7 5 2. 19 1. 67 8 2 21 61 2 1. 76. 79 8 5 17 4 7 3 1. 8 1. 79 8 2 17 5 4 1. 9. 9 2 71 3 1 61
23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1> 1 차조사시기의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hnanthes sp. 11 38 Asterionella formosa 89 Aulacoseira granulata 118 16 1,28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676 22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448 33 Cyclotella kuetzingiana 113 Cyclotella meneghiniana 28 Cyclotella sp. 1 8 Cymbella sp. 11 Fragilaria capucina 34 Fragilaria crotonensis 21 11 981 Fragilaria sp. 8 22 Gomphonema sp. 11 Melosira varians 53 Melosira sp. 233 237 15 Meridion circulare 32 Navicula cryptocephala 11 Navicula pupula 11 Navicula pupula var. rectangularis 11 Navicula viridis var. rostellata 11 Navicula sp. 1 8 33 Nitzschia longissima 189 Nitzschia sp. 3 11 38 Stephanodiscus hantzschii 24 59 211 22 943 Synedra acus 3 8 11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3 226 Actinastrum hantzschii var. elongatum 113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Ankistrodesmus falcatus 7 33 38 Chlamydomonas sp. 38 11 38 Closterium gracile 3 Eudorina elegans 1,28 Monoraphidium contortum 15 Ooecystis parva 3 Pandorina morum Rhaphidonema nivale 15 Scenedesmus abundans 755 Scenedesmus acuminatus var. acuminatus 3 Scenedesmus acutus var. acutus Scenedesmus quadricauda 7 981 Scenedesmus sp. 34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5 < 부표 2-41> 계속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CHLOROPHYCEAE( 녹조강 ) Schroederia setigera 38 Staurostrum sp. 3 17 38 Tetraedron minimum 38 Tetraedron regulare var. incus 38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sp. Anabaena sp. 51 Aphanizomenon flos-aquae 626 15,435 Chroococcus sp. 98 566 Merismopedia elegans 5,434 Oscillatoria sp. 11 Phomidium sp. 11,888 Spirulina sp. 7,623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Peridinium bipes Peridinium sp.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38 Cryptomonas sp. 3 42 174 746 Cryptomonas sp.(nano) 76 271 543 22 1,132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cylindrica Dynobryon sp.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Euglena sp. Phacus acuminatus Phacus sp. 23 Trachelomonas crebea Trachelomonas oblonga Trachelomonas planktonica var. oblonga 38 Trachelomonas sp.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 135 Total cell Number (cells/ ml ) 663 1,995 1,978 1,157 49,853
23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2> 2 차조사시기의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hnanthes sp. Asterionella formosa 1,596 13 132 2 124 Aulacoseira granulata 8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5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74 Cyclotella kuetzingiana 17 13 13 3 Cyclotella meneghiniana Cyclotella sp. 17 1 13 1 Cymbella sp.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rotonensis 8 74 Fragilaria sp. 3 Gomphonema sp. 3 Melosira varians Melosira sp. 59 6 25 Meridion circulare Navicula cryptocephala 13 Navicula pupula Navicula pupula var. rectangularis Navicula viridis var. rostellata Navicula sp. 13 Nitzschia longissima 8 13 Nitzschia sp. 25 Stephanodiscus hantzschii 34 23 317 25 Synedra acus 25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Actinastrum hantzschii var. elongatum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13 Ankistrodesmus falcatus 13 Chlamydomonas sp. 8 1 356 3 Closterium gracile 25 Eudorina elegans Monoraphidium contortum 1 25 Ooecystis parva Pandorina morum 27 Rhaphidonema nivale Scenedesmus abundans Scenedesmus acuminatus var. acuminatus Scenedesmus acutus var. acutus 317 Scenedesmus quadricauda 99 Scenedesmus sp.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7 < 부표 2-42> 계속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지왕궁지성암지 CHLOROPHYCEAE( 녹조강 ) Schroederia setigera Staurostrum sp. 1 Tetraedron minimum Tetraedron regulare var. incus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sp. 92,628 Anabaena sp. Aphanizomenon flos-aquae 13,44 Chroococcus sp. 6 Merismopedia elegans Oscillatoria sp. Phomidium sp. Spirulina sp.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Peridinium bipes 13 Peridinium sp. 8 6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7 Cryptomonas sp. 25 1 831 143 99 Cryptomonas sp.(nano) 16 74 6,49 43 5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cylindrica 16 Dynobryon sp. 3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149 Euglena sp. 8 Phacus acuminatus 25 Phacus sp. Trachelomonas crebea 25 Trachelomonas oblonga 7 Trachelomonas planktonica var. oblonga Trachelomonas sp. 3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 13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967 225 8,548 352 196,614
23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3> 3 차조사시기의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5 Achnanthes sp. 2 4 Asterionella formosa 4 Aulacoseira granulata 5 293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76 1,572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48 Cocconeis placentula var. klinoraphis 4 Cocconeis sp. Cyclotella kuetzingiana 2 178 Cyclotella meneghiniana 469 Cyclotella sp. 4 64 41 474 Cymbella tumida 3 Cymbella ventricosa 4 Fragilaria crotonensis 641 59 Fragilaria sp. 4 Gomphonema sp. Melosira sp. 5 27 Navicula pupula 4 Navicula sp. 5 Nitzschia longissima 5 4 Pinnularia sp. 2 Synedra acus 21 89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5 Ankistrodesmus falcatus 3 Characium obtusum Chlamydomonas sp. 2 21 89 Chodatella citriformis Closterium gracile Closterium sp. 5 Coelastrum sphaericum 43 237 Coelastrum sp. Cosmarium sp. Eudorina elegans 171 Golenkinia radiata Lagynion sp. 223 Micractinum pusillum Monoraphidium contortum 3 5 21 3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3 9 < 부표 2-43> 계속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CHLOROPHYCEAE( 녹조강 ) Ooecystis parva 69 Pandorina morum 16 512 712 Pediastrum biradiatum var. longecornutum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341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Scenedesmus abundans 178 Scenedesmus acuminatus var. acuminatus 43 Scenedesmus acutus var. acutus 119 Scenedesmus bicaudatus. 119 Scenedesmus ecornis 59 Scenedesmus maximus 21 Scenedesmus quadricauda 21 356 Scenedesmus sp. Schroederia setigera 5 4 89 Staurostrum sp. Tetraedron minimum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affinis 395 Anabaena spiroides var. crassa 38 41 Anabaena sp. 3,38 Chroococcus sp. 59 445 Merismopedia elegans 119 Microcystis aeroginosa Microcystis viridis Microcystis sp. 7 4,96 Oscillatoria sp. 3,618 Phomidium mucicola Phomidium sp. 667 Spirulina sp.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Ceratium hirundinella Peridinium sp. 4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6 Cryptomonas sp. 18 13 379 12 59 Cryptomonas sp.(nano) 4 48 128 112 28
2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3> 계 속 종 명 대청호 주암호 영산호 왕궁지 성암지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cylindrica 3 58 Dynobryon divergens 63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3 Euglena sp. 21 Phacus sp. Trachelomonas oblonga Trachelomonas sp. 5 8 148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 6 18 17 17 Total cell number (cells/ ml ) 141 186 3,717 6,444 12,246 < 부표 2-44> 4 차조사시기의식물플랑크톤현존량 종 명 대청호 주암호 영산호 왕궁지 성암지 BACILLARIOPHYCEAE( 규조강 ) Acanthoceras magdeburgens 5 Achnanthes sp.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granulata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127 191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f. spiralis 47 Cocconeis placentula var. klinoraphis Cocconeis sp. 11 7 27 Cyclotella kuetzingiana 7 348 Cyclotella meneghiniana Cyclotella sp. 761 142 99 136 Cymbella tumida Cymbella ventricosa 5 Fragilaria crotonensis 23 1,528 Fragilaria sp. 5 Gomphonema sp. 2 Melosira sp. 16 19 Navicula pupula Navicula sp. 2 55 Nitzschia longissima 55 Pinnularia sp. Synedra acus 164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4 1 < 부표 2-44> 계속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CHLOROPHYCEAE( 녹조강 ) Actinastrum hantzschii 7 5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aviatile Ankistrodesmus falcatus 4 Characium obtusum 5 Chlamydomonas sp. Chodatella citriformis 33 Closterium gracile 5 Closterium sp. Coelastrum sphaericum Coelastrum sp. 436 Cosmarium sp. 11 33 Eudorina elegans 122 253 3,158 436 Golenkinia radiata 4 27 Lagynion sp. Micractinum pusillum 19 Monoraphidium contortum 33 Ooecystis parva 11 16 19 Pandorina morum 175 19 1,53 Pediastrum biradiatum var. longecornutum 218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Pediastrum simplex var. duodenarium 263 Scenedesmus abundans 546 Scenedesmus acuminatus var. acuminatus Scenedesmus acutus var. acutus Scenedesmus bicaudatus. Scenedesmus ecornis 19 23,259 Scenedesmus maximus 84 132 Scenedesmus quadricauda 21 818 Scenedesmus sp. 8 Schroederia setigera 4 5 27 Staurostrum sp. 5 263 Tetraedron minimum 5 33 27 CYANOPHYCEAE( 남조강 ) Anabaena affinis 149 Anabaena spiroides var. crassa 26 Anabaena sp. Chroococcus sp. Merismopedia elegans 14,949 Microcystis aeroginosa 46,57 Microcystis viridis 7,632 1,555
24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4> 계속 종명대청호주암호영산호왕궁지성암지 Microcystis sp. 2,599 1,278 13,645 Oscillatoria sp. 51 4,638 Phomidium mucicola 351 21976 Phomidium sp. 271,791 Spirulina sp. 9,32 DINOPHYCEAE( 와편모조강 ) Ceratium hirundinella 5 Peridinium sp. 4 16 263 164 CRYTOPHYCEAE( 갈색편모조강 ) Cryptomonas ovata Cryptomonas sp. 5 23 47 395 928 Cryptomonas sp.(nano) 48 63 111 23 218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 Dynobryon cylindrica Dynobryon divergens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 Euglena gracilis 27 Euglena sp. Phacus sp. 5 Trachelomonas oblonga 27 Trachelomonas sp. 4 5 66 Unidentified Round Flagellate 8 Total cell number (cells/ ml ) 4,181 2,231 15,63 15,339 38,319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4 3 < 부표 2-45> 주암호 및 성암저수지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 개체수 /L) 조사 시기 주암호 성암저수지 종 명 12/9 4/8 6/ 3 8/1 12/ 1 4/3 5/28 7/ 27 A r t h r o p o d a Bosmina longirostris.8.1 Copepodid.3.2.1.6 1.4 Daphnia galeata. 6 Diaphahosoma brachyurum. 2.2 Eodiaptomus japonicus.9.9 Mesocyclops leuckarti.1 Nauplius.4.7 2.2 2.8 T r o c h e l m i n t h e s Anuraeopsis fissa 4.8 Asplanchna priodonta.1.2 21. 7. 6 15.5 Brachionus angularis 7. 2 B. calyciflorus 62.9 15.3 29.6 Filinia longgiseta 92.4 25.4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1,3.5 242. 7 9.9 K. cochlearis var. tecta f. macrocantha 2.3 K. cochlearis var. tecta f. microcantha. 7.1.3 Monstyla bulla 58.4 Philodina roseola. 7.4 146.8 8. 4 Polyarthra trigla 1..6.5 1.2 1,992.6 18.3 29.5 21.2 P. vulgaris.9 1.5 4.2 83.9 4.8 38.1 Pompholyx complanata. 2.5 3. 8 11. 7 Schizocerca diversicornis 3.9 2.8 Trichocerca cylindrica cylindrica 41.9 29.6 T. stylata.1.7.2 18.5 111.5 미동정.1.6 6.1 P r o t o z o a Difflugia biwae 2.3 Difflugia s p. 1. 4 261. Nebella sp. 97.5 Phacus sp. 4.2 Strobilidium sp. 26.8 Tintinnidium cylindrata 39.1.1.5.2 114.3 Tintinnopsis cratera 37.4 62.9 448.6 Vorticella sp. 7. 7 42. 미동정 1.1 A r t h r o p o d a ( 갑각류 ).3 1.4 2.4 4. 4.2 T r o c h e l m i n t h e s ( 윤충류 ) 4.7 2. 3.4 7. 3,67.7 457.2 28. 283.6 P r o t o z o a ( 원생동물 ) 84.2 1.2.5 2.6 14.9 98.9 855. 합 계 89.2 4.6 6.3 13.6 3,712.6 457.2 36.9 1,142.8
24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2-46> 영산호및대청호의동물플랑크톤현존량 ( 개체수 /L) 조사 시기 영산호 대청호 종명 12/ 8 4/9 6/ 4 8/11 12/1 4/7 6/2 8/9 A r t h r o p o d a Bosmina longirostris.8 9.6.6 Copepodid 1.7 5.6 9.4 6.5.1.4 Daphnia galeata 2. 2 Diaphahosoma brachyurum 1. 8 9. 1. 3 Mesocyclops leuckarti 2.5 2. 1. 3 Nauplius.4 21.3 6.4 15.2.5.4 17.4 T r o c h e l m i n t h e s Anuraeopsis fissa 1. 4 Asplanchna priodonta 2. 2 Brachionus calyciflorus f. anuraeiformis 11.3 B. quadridentatus var. quadridentatus 3. B. urceolaris. 5 Conochilus unicornis 1. 5. 2 Filinia longgiseta 1. 2. 2 Hexathra mira 16.5 31.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2.1 7. 7 2. 2 K. cochlearis var. tecta f. macrocantha 1. 1 K. cochlearis var. tecta f. microcantha 1.9 K. valga var. tropica 16.6 11.8 K. valga var. valga 4. 6 2. 2 Mytilina ventralis.3 Philodina roseola 3.5 Ploesoma truncatum 3.5 Polyarthra euryptera 2.9. 5 2. 2 P. trigla 6.7 7.6 22.2 6.7 33.9 P. vulgaris 1.7 1. 3.. 3 Pompholyx complanata.4 9.4 Synchaeta stylata 1.3 2.. 4 13.6 Trichocerca stylata 5. 7. 7 2.9 미동정 3.6.4 9.1 2.1 P r o t o z o a Actinophrya sp. 7.2 Difflugia biwae 1. 7 D. corona 5.7 Nebella sp. 2..2 Phacus sp. 45.7 Strobilidium viride 8.8 1.5 3.2 5.7 Tintinnidium cylindrata 1. 2 26. 1 13 4. 1 9.7 T. fluviatile 2.6 68.5 5.3 83.2 Tintinnopsis cratera 2.1 774.2 8 1.3 117.6 13.5 1.9 1. 6.2 Vorticella sp. 2.9 8. 2 미동정.4.7 A r t h r o p o d a ( 갑각류 ) 4.6 28.9 3.9 4.5.5.9 18.4 T r o c h e l m i n t h e s ( 윤충류 ) 14.7 22.3 4.5 94.9.4 8.2 96.6 P r o t o z o a ( 원생동물 ) 34.5 9 36. 6 116. 1 1,29 3. 6 13. 5 1. 9 1. 5 23.8 합 계 53.9 9 87. 9 18 7. 4 1,429. 13. 5 2. 8 1. 6 138.8
제 2 절 2 차년도에조사한 5 개호소의조사결과정리 24 5 < 부표 2-47> 왕궁저수지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 개체수 /L) 조사 시기 왕궁저수지 종 명 12/ 2 4/2 5/29 7/ 27 A r t h r o p o d a Copepodid 3.6 14.8 Cyclops sp. 5.3 Daphnia galeata 5.6 Nauplius 8.7 7.7 T r o c h e l m i n t h e s Asplanchna priodonta 15.9 1.4 Brachionus forficula f. forficula 74. B. forficula f. minor 27. 8 Keratella cochlearis var. tecta 11. 8 266. 3 K. cochlearis var. tecta f. microcantha.5 4.2 K. quadrata 34.3 K. valga var. tropica 3.6 K. valga var. valga 3. Philodina roseola 2.3 1. 1.9 4.7 Polyarthra trigla 79. 8 61. 5 P. vulgaris 1.5 12. 7 Pompholyx complanata 16.5 45. Rotaris rotatoria.5 Synchaeta stylata 3.6 71. Testudinella patina 1.2 Trichocerca capucina 3.3 1.2 T. cylindrica cylindrica 3. T. stylata 81.2 6.1 26.9 P r o t o z o a Difflugia brevicolla 24.9 D. corona 144.4 D. limnetica 12. 4 Enchelydium sp. 18.3 Tintinnidium cylindrata 3.8 Tintinnopsis cratera 2. 3 1. 63. 7 Vorticella s p. 21. 2 미동정 27.8 A r t h r o p o d a ( 갑각류 ) 17.9 27. 8 T r o c h e l m i n t h e s ( 윤충류 ) 11. 5 73.7 15 8. 6 5 61. P r o t o z o a ( 원생동물 ) 2. 3 1. 8 8. 7 227.8 합 계 121. 8 92.7 24 7. 3 8 16. 6
24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4 7 제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1) 수질측정망 ( 호소자료 ) 2) 수질측정망 ( 농업용저수지자료 ) 3 ) 본연구에서조사한 1개호소자료 ( 부록 1절, 2절참고 ) < 부표 3-1> 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에이용한호소의수질측정망자료 호소명 C O D ( mg / L ) (2~24 중앙값 ) T N ( mg / L )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S D (m ) 경포호 13. 1 2.351. 16 2. 1. 4 영랑호 4.57 1.839.7 26. 9. 6 화진포호 5. 8 1. 25. 8 7 3 5. 4 1. 7 송지호 3.35.885.55 11.75.8 매호 5. 15 1. 8. 66 2. 17. 4 향호 5. 69 1. 162. 72 14. 4 5. 4 청초호 3. 6 1. 7. 12 1. 8. 9 낙동강하구 5.4 3.89.58 17.4.8 금강하구 6. 2 3. 22. 63 12. 4 4. 6 영산호 5. 7 2. 8 17. 9 1 9. 8 5. 9 아산호 8. 65 6. 276. 163 14. 3 5. 9 남양호 1. 2 3. 62. 9 7 9. 7 1. 6 삽교호 7. 3 3. 74 2. 13 5 11. 4. 6 시화호 5. 8 2. 115. 8 4 21. 1. 1 소양호 1. 9 1. 4 16. 14 3. 3. 8 충주호 1. 9 1. 78 6. 18 3. 3. 충주조정지 2. 6 2. 262. 3 2 4. 8 1. 3 안동호 2. 4 1. 63 5. 18 5. 7 2. 8 임하호 2.65 1.588.23 5.6 1.7 합천호 2. 4 1. 4 78. 17 7. 9 5 2. 진양호 2. 8 1. 25. 22 3. 8 2. 7 대청호 2.5 1.543.24 3.25 3. 옥정호 2. 7 1. 78 4. 23 6. 24 2. 주암호 2. 5. 8 8. 14 2. 6 3. 8
24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호소명 C O D ( mg / L ) < 부표 3-1> 계속 T N ( mg / L )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S D (m ) 상사호 2. 5 1. 9. 2 3.8 3. 파로호 1. 7 1. 126. 12 3.8 3. 5 춘천호 2. 2 1. 3 14. 16 4.75 2. 5 의암호 2. 4 1. 64 7. 3 1 8.9 1. 8 청평호 2. 4 1. 64 6. 3 1 9.2 2. 팔당호 2. 9 1. 9 74. 4 6 14.3 5 1. 3 칠성호 2. 2 1. 8 67. 3 1 7. 2. 7 보성호 4.45 1.439.38 1.1.9 광동호 2. 1 1. 5 3 1. 22 3.9 2. 2 조양호 3. 5 1. 4 4. 27 8.75 1. 6 가창호 2. 8. 9 23. 24 5.1 1. 6 운문호 2. 6 1. 171. 16 4.15 2. 동복호 3.. 8 5. 18 1.5 1. 8 안계호 3. 8 1. 5 8 2. 28 1.6 1. 5 보문호 5. 1 1. 224. 61 13.7 1. 5 선암호 3. 4 2. 3 78. 8 3 19.9 1. 2 사연호 3.1 1.434.27 8.9 1. 6 대암호 4. 4 2. 19. 5 3 25.4 1. 2 회야호 4. 8 2. 18 7. 4 4 1.3 1. 5 연초호 3. 3. 5 2. 29 1.7 1. 5 구천호 1. 7. 3 4. 2 2.9 3. 수어호 2. 1.335.15 3.8 3.3 달방호 2. 5. 8 21. 24 4.5 5 2. 3 경천호 3.55.588.15 5.84 2.3 광주호 3. 9 5. 9 9 2. 24 6.9 1. 5 나주호 4. 3 5 1. 228. 28 8.75 1. 2 담양호 3. 1 1. 8. 21 6.4 5 1. 8 장성호 4. 1 1. 5 19. 3 2 9.2 1. 5 이동지 5. 5. 8 67. 3 3 6.8 2. 1 고삼지 4. 7 2. 23 8. 7 24.75. 9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4 9 호소명 C O D ( mg / L ) < 부표 3-1> 계속 T N ( mg / L )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S D (m ) 예당지 4. 4 1. 678. 4 2 14.5 4. 8 경천지 4. 1 1. 3 66. 3 1 6.8 5 1. 8 대아지 2. 8 1. 211. 26 3.25 2. 4 덕동호 4. 5 5 1. 113. 25 7.3 4 2. 강릉지 2. 1 1. 3 5. 16 5.7 1. 2 회동지 4. 4 4. 17. 9 1 3 2.3 2. 7 광교지 2. 7 3. 9 9. 3 1 7.5 1. 4 원천지 6. 6 3. 769. 8 1 5.3 5. 5 서호 15.7 8.85.59 143.6.3 신갈지 9. 3 6. 217. 25 3 6.5 5 2. 1 오계지 3.35.946.47 9.65 1.6 탑정지 3.4 1.584.22 6. 1. 4 간월호 8.8 1.836.37 23.82.6 부남호 8. 8 1. 3 6. 3 8 23.3 9. 6 보령호 2. 3 1. 5 73. 16 2. 2. 대호 8. 25 1. 225. 18 8.4. 9 부안호 2. 4 5. 9 73. 7 1.8 3. 1 대동호 4.95.837.31 19.7 1. 풍락지 9. 1. 8. 4 3 2.4 5. 7 오태지 4. 6. 5 4. 24 6.4 8 2. 2 주남저수지 9.1 1.583.12 19. 1. 정양늪 5. 8 2. 4 9. 65 16.1. 4 박실지 4. 7 1. 9. 4 2 19.2. 6 우포늪 11. 65 1. 9 3 2. 11 18.7. 5 번개늪 9. 3. 73 7. 5 9 16.4 2. 3 장척호 7. 9 5. 8 8 2. 4 4 11.7 2. 6 하동호 2. 6. 74. 26 3.63 3. 2 질날벌 7. 5 1. 729. 68 23.8 5. 4
25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3-2> 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에이용한농업용저수지의수질측정망 시설명 자료 (2~24 중앙값 ) C O D ( mg / L )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2 연봉저수지 1.7. 75 31.8 1.35 가곡저수지 3.3 5. 12 4. 1. 8 3 가북저수지 3.15. 27 5. 9 5 1. 3 1 가산저수지 8.3. 4 1 12. 1 1. 29 가음저수지 7.65. 4 1 2. 6 1. 5 가천저수지 6.4 5. 4 5 18. 3 1. 9 가혜저수지 8.1. 6 28. 1 1. 4 9 가회저수지 2.9. 17 5. 65. 8 7 간월담수호 9.6. 71 23. 2. 15 갈곡저수지 2.25. 1 3. 1. 5 7 갈천저수지 3.5 5. 24 9. 15. 75 감돈저수지 1.9. 14 7 4 2. 7 2. 6 감동저수지 3.9 5. 21 7. 2. 9 1 감물저수지 4.9 5. 5 14. 2 1. 17 강진저수지 4.2. 4 1 14. 1 1. 8 개심저수지 6.5. 3 8 14. 1 1. 4 4 개운저수지 3.8 4. 14 4. 7. 8 2 개운저수지 7.4. 3 8 12. 4 1. 17 개천저수지 1.7. 5 3 18. 9. 9 3 경천용수간선 3.2. 29 3. 65 1. 9 2 경천저수지 5.78. 5 5 25. 1 1. 8 경천저수지 (1) 3.3. 22 3. 65 1. 4 9 경천저수지 (2) 3.5. 19 3. 4 1. 4 7 경천지 (1) 4.67. 4 8 1. 9 1. 5 8 경포저수지 6.6. 5 7 18. 5 1. 5 2 계룡저수지 7.4 5. 66 26. 8 1. 5 계촌저수지 2.6. 21 4. 8 2. 28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5 1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고경저수지 5.3. 4 2 6. 5 1. 18 고구저수지 8.3. 4 5 13. 6. 78 고남저수지 6.5. 4 16. 3 1. 3 5 고려저수지 6.75. 63 19. 6. 8 8 고련저수지 2.6. 17 3. 4 5. 4 8 고마저수지 8.8 5. 72 29. 9 1. 62 고모저수지 5.15. 29 8. 65 1. 4 4 고삼저수지 5.72. 5 8 1. 8 2. 29 고수저수지 4.9. 4 1 11. 8 1. 4 5 고풍저수지 5.5. 28 7. 75 1. 73 고현저수지 4.25. 3 7 8. 65 2. 4 4 공능저수지 8.4 5. 9 4 29. 4 2. 5 7 공리저수지 1.1. 9 3. 7 2. 3 광곡저수지 3.5. 12 2. 4 1. 6 광주저수지 4.1. 3 7. 9 5 1. 8 1 광혜저수지 3.8 5. 3 1 9. 8 5 1. 16 구룡저수지 2.15. 12 3. 75 1. 3 3 구림저수지 3.5. 22 8. 4 5 1. 3 5 구만저수지 3.2. 3 4 7. 9 1. 64 구산저수지 3.6. 11 8. 2. 61 구성저수지 3.6. 28 5. 8 1. 6 구시저수지 4.7. 29 1. 8 1. 9 구이저수지 4.1. 27 5. 7 1. 8 6 구천저수지 4.25. 23 8. 3 2. 29 군곡저수지 5.. 5 14. 7 1. 4 굴운저수지 3.3 8. 12 2. 6. 77 궁저수지 3.5. 18 6. 6. 68 궁산저수지 8.2. 13 3 4 5. 1 2. 27 궁촌저수지 4.65. 3 6 1. 6 2. 19 궁평저수지 4.9 5. 4 3 14. 1 1. 3 8
25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금광저수지 4.6. 27 9.5 1. 4 1 금마저수지 6.5. 3 4 9. 9 5. 72 금봉저수지 6.25. 21 11. 1 1. 3 5 금석저수지 4.3 5. 24 4. 8 1. 5 금오저수지 5.25. 21 4. 6 1. 8 금전저수지 4.15. 3 5 7. 4 5. 76 금정저수지 1.. 16 3 4. 7 1. 9 7 금주저수지 2.75. 11 2. 2 1. 76 금평저수지 5.15. 3 4 11. 7 1. 5 8 금풍저수지 4.85.39 9.25.87 금호저수지 6.65. 4 1 1. 2. 9 9 금화저수지 3.75. 8 1.. 8 4 기동저수지 6.1. 67 9. 25 1. 67 기산저수지 4.1. 25 9. 25 1. 3 4 기산저수지 3.1. 21 5. 7 1. 5 3 기지저수지 13.5. 15 5 4. 1. 7 기흥저수지 11.3. 27 24. 8 5. 9 3 길상 2 저수지 9.. 11 3 8. 6 2. 1 길용저수지 4.1. 21 8. 2. 8 길정저수지 5.4. 21 5. 25. 8 2 나주저수지 4.45.31 9.3 1.68 나주호용수간선 4.8 5. 5 8 15. 1. 9 5 남매저수지 7.. 4 9 18. 2. 1 남북저수지 6.5.33 5.25 1.65 남성저수지 3.5 5. 17 3. 65. 4 1 남양저수지 9.67. 15 2. 4 3. 12 남치저수지 3.65.31 7.55 2.6 내봉저수지 8.9 5. 75 25. 2 1. 5 7 내산저수지 2.. 8 2. 5. 4 7 내야저수지 8.3.9 31.4 2.5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5 3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내장저수지 4.4. 3 1 13. 2 1. 5 6 노동저수지 6.4. 4 14. 1 1. 노흥저수지 5.7. 25 4. 9 1. 3 5 농암저수지 6.8. 61 27. 5 2. 17 능저수지 7.8 5. 5 14. 5 1. 7 달창저수지 5.15. 4 3 8. 7 1. 26 담안저수지 2.3. 1 4. 65. 62 담양저수지 3.25. 21 6. 4 5 2. 2 당전저수지 3.3. 2 6. 75 1. 4 대가저수지 5.5 5. 4 11. 5. 9 4 대곡저수지 4.7. 3 9 13. 7 1. 5 8 대동저수지 6.3 5. 4 7 21. 2 1. 26 대룡저수지 3.8. 16 5.. 8 대룡저수지 2.3. 19 5. 7 1. 대사저수지 3.8. 17 5. 7. 8 4 대산저수지 9.8. 64 16. 2 1. 3 1 대성저수지 6.5. 27 5. 25. 9 8 대승저수지 9.25. 5 5 13. 3 1. 3 6 대아용수간선 2.9. 2 2. 75 1. 5 6 대아저수지 2.6. 3 5 1. 8 6 1. 3 대안저수지 3.5 5. 16 3. 3 1. 3 8 대위저수지 8.9 5. 6 28. 4 1. 7 대정저수지 6.4. 5 11. 2 1. 3 8 대지저수지 4.15.31 9.35.83 대평저수지 3.8. 4 2 8. 75 1. 69 대포저수지 4.6. 4 1 8. 9 1. 4 5 대호용수간선 8.4. 62 25. 9 1. 62 대호담수호 7.3. 3 3 13. 7 1. 3 7 대화저수지 7.1. 8 2 12. 8 1. 8 1 덕가저수지 5.7. 28 1. 3 1. 9 4
25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덕계저수지 3.3. 12 2. 4 1. 덕곡저수지 2.7. 19 3. 65. 8 덕동저수지 3.7. 26 7. 2. 73 덕림저수지 16.8. 29 6 18. 6. 27 덕산저수지 2.7. 9 3. 3 5. 79 덕산저수지 4.9 5. 3 1 8. 9 1. 12 덕산저수지 4.. 25 12. 8 1. 덕용저수지 6.5. 25 11. 6. 69 덕우저수지 7.4 5. 65 26. 1 1. 79 덕촌저수지 6.5 5. 5 6 15. 4 1. 4 8 도고저수지 1.6. 14 3 4 3. 1 3. 25 도덕저수지 11.2. 119 5. 3 2. 14 도원저수지 2.5. 18 1. 7. 6 도척저수지 3.3. 25 5. 6 1. 66 도천저수지 6.55.35 9.85 1.7 도천저수지 5.35.39 5.45.99 도촌저수지 2.7. 19 8. 8. 72 동명저수지 6.6. 6 8. 8 5 1. 9 3 동방저수지 13.5. 128 72. 9 2. 2 동부저수지 6.9 5. 61 28. 7 1. 17 동부저수지 2.75. 19 6. 4 5. 78 동상저수지 2.4 5. 14 4. 3 1. 3 1 동화저수지 2.4. 1 3. 3 1. 3 6 두량저수지 6.8 5. 5 7 13. 1. 61 두창저수지 6.75. 3 6 1. 8 1. 2 둔전저수지 9.15. 8 3 18. 8. 9 5 마둔저수지 4.6. 3 12. 2 1. 19 마산저수지 11.. 115 5 6. 7 2. 2 마지저수지 5.15. 4 2 1. 3 1. 71 만년저수지 4.45.33 7.4 1.85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5 5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만수저수지 7.1. 64 27. 7 1.35 만수저수지 11.. 13 8 71. 9 2. 4 3 만운저수지 7.9. 4 6 18. 6 1. 71 매산저수지 2.9 5. 1 2. 6. 8 1 매원저수지 7.5. 63 12. 2 1. 14 매화저수지 2.8. 13 3. 2. 4 6 맹동저수지 4.8. 28 5. 3 1. 26 멱우저수지 8.5 5. 9 1 4. 7 1. 5 3 명계저수지 4.5 5. 3 6 8. 75 1. 3 2 명관저수지 4.. 22 4. 75. 7 묘곡저수지 4.7. 22 13. 7. 8 3 무극저수지 5.55.38 8.25 1.3 무수저주지 5.1. 4 4 9. 5 5 1. 25 무을저수지 6.5 5. 4 2 15. 1 1. 12 무풍저수지 3.5 5. 4 6 8. 25 5. 6 묵계저수지 1.8 5. 14 2. 1. 62 문광저수지 4.8 5. 26 1. 5 1. 27 문산저수지 6.2. 5 2. 1 1. 6 문수저수지 1.65. 6 1.. 66 문죽저수지 4.8 5. 27 4. 8 5 1. 4 7 문천저수지 9.6. 75 15. 8 2. 6 미륵저수지 5.5.38 9.3 1.45 미산저수지 2.9. 14 2. 5 5 1. 5 4 미제저수지 6.4. 3 3 8.. 9 6 미호저수지 4.3. 3 8 4. 8 5 1. 5 박달저수지 3.2. 29 3. 9. 76 반계저수지 3.55.18 5.55 1.37 반곡저수지 5.9. 3 3 11. 3. 8 1 반산저수지 5.5. 3 3 9. 6 1. 26 반월저수지 7.4. 68 4. 2 1. 79
25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발랑저수지 5.15. 4 1 18. 2 2. 4 6 방교저수지 1.6. 9 8 3 6. 8 2. 18 방동저수지 4.9. 24 8. 5 1. 15 백곡저수지 3.6. 3 5 7. 8 8 1. 3 3 백련저수지 3.5. 19 5. 7. 8 5 백록저수지 5.2. 4 9 23. 9 1. 4 8 백록저수지 5.9. 3 2 5. 8. 64 백마저수지 6.3. 5 4 22. 1 1. 3 9 백마저수지 2.9 5. 2 4. 4 1. 61 백산저수지 4.75. 26 5. 4 1. 26 백석저수지 5.9. 4 13. 1. 4 6 백용저수지 5.4. 4 7 17. 3 1. 5 백운저수지 3.5 5. 29 9. 8 1. 3 2 백천저수지 2.5. 13 5. 8 5. 4 5 백학저수지 5.. 4 1 15. 4. 62 벽계저수지 3.1. 13 3. 4. 71 벽남저수지 4.3 5. 3 9 18. 1 2. 5 1 병산저수지 3.9 5. 22 11. 7 1. 3 보문저수지 4.9. 61 9. 3 3 1. 7 보청저수지 3.2. 15 6. 1. 8 7 보통저수지 9.3 5. 16 25. 9 2. 3 복곡저수지 2.2. 1 7. 4. 4 5 복심저수지 6.75. 5 16. 2. 8 4 복안저수지 3.. 1 3. 3. 5 9 봉림저수지 6.5 5. 6 25. 4 2. 27 봉산저수지 8.4. 5 1 6. 1. 8 9 봉성저수지 3.1. 23 7. 15. 8 4 봉소저수지 6.95.54 2.8 1.98 봉암 ( 고흥 ) 저수지 11.2. 66 3 6. 8 1. 64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5 7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봉암 ( 진도 ) 저수지 8.1. 74 15. 3 1. 8 봉암저수지 7.65. 7 27. 8 2. 12 봉의저수지 2.3. 8 4. 8. 4 1 봉재저수지 11.1. 115 5 7. 9 2. 4 1 봉학저수지 5.95.35 4.5 1.41 부남담수호 1.5.58 2.8 1.55 부남호용수간선 11.4.155 37.2 2.58 부전저수지 5.5 5. 4 13. 6 2. 11 불갑저수지 5.2. 3 9 14. 6 1. 1 비룡저수지 2.8. 11 4. 1. 75 사곡저수지 9.4 5. 26 5. 6 1. 27 사동저수지 4.4. 15 3. 2. 74 사산저수지 8.7. 8 2 28. 4 2. 4 1 사천저수지 3.. 14 2. 6. 65 사천저수지 4.7. 4 2 9. 3 5 1. 3 7 산막저수지 2.75. 8 6. 4 1. 3 1 산수저수지 3.9 5. 25 12. 5 1. 24 산정저수지 3.5. 17 2. 2 1. 16 삼가저수지 3.75. 21 4. 15. 77 삼가저수지 2.75. 12 4. 5 1. 21 삼기저수지 4.2. 3 8. 3 1. 64 삼덕저수지 3.6. 23 4. 9. 4 1 삼합저수지 5.85.35 1.8.83 삼화저수지 1.8. 13 3. 3 5. 4 9 삼흥저수지 2.65. 18 4. 8 5. 67 삽교담수호 8.5. 19 9 24. 7 4. 5 7 삽교호용수간선 7.15. 26 18. 7 4. 7 상성저수지 13.1. 17 61. 9 2. 3 7 상신저수지 5.2. 17 2. 7. 29 상오안저수지 3.5. 13 4. 4 5 1. 27
25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상판저수지 3.5. 18 4. 2 1. 7 생곡저수지 2.7. 12 3. 8 5 1. 68 서부저수지 7.5. 61 3 5. 1. 6 서산저수지 3.25. 14 4. 65. 73 서산저수지 8.65. 8 2 21. 2 1. 11 서성저수지 4.. 3 5 13. 4 1. 4 2 서암저수지 2.9. 21 4. 75 1. 3 3 서하저수지 2.6. 13 4. 8 1. 5 석남저수지 8.6. 74 21. 8. 8 4 석문저수지 9.2. 8 6 4 3. 2 1. 4 4 석우저수지 8.4 5. 68 18. 7 1. 77 석포저수지 3.9. 9 3. 7. 5 5 설성저수지 1.4. 122 4 9. 4 3. 3 2 설악저수지 3.55.13 1.85.52 성남저수지 2.8 5. 19 6. 6 1. 8 성암저수지 8.9 5. 8 1 6. 8 1. 73 성양저수지 3.6. 22 6.. 75 성연저수지 3.8. 21 5. 3 1. 18 성주저수지 3.6. 4 8 4. 5 1. 15 소수저수지 5.85.74 15.9 1.96 소월저수지 5.5. 18 5. 4 2. 28 소태저수지 3.9. 12 3. 9. 4 5 소포담저수지 8.4 5. 111 26. 3 2. 74 손곡저수지 4.1. 2 9. 2 1. 18 손항저수지 2.1. 2 4. 6 1. 3 솔기저수지 2.4 5. 1 1. 5 5. 61 송강저수지 3.5. 21 4. 25. 4 7 송곳저수지 9.25.265 35.5 3.85 송단저수지 3.4 5. 19 5. 8. 5 8 송면저수지 2.8. 12 1. 3 5 1. 6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5 9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송선저수지 4.25. 3 1 7. 1. 29 송악저수지 7.65.49 27.5 1.8 송원저수지 7.3. 72 23. 8 1. 28 송정저수지 3.9. 18 4. 1. 3 수동저수지 6.25. 9 1 9. 1 1. 12 수룡저수지 11.8. 12 5 2. 3 1. 8 7 수송저수지 6.25. 4 8 12. 2 1. 27 수야저수지 4.55.19 3.75 1.43 수양저수지 6.4. 5 5 2. 2 1. 64 수청저수지 4.7. 3 1 12. 6 1. 5 순성저수지 13.9.231 83.6 3.8 순흥저수지 2.7. 12 3. 4 1. 5 1 승언 2 저수지 1.1. 8 1 28. 6 1. 9 신구저수지 9.5 5. 75 3 4. 2 2. 3 4 신대저수지 5.2. 3 2 13. 3 1. 63 신대저수지 7.25. 1 4 6. 4 3. 6 신덕저수지 8.3 5. 9 2 15. 1 1. 9 3 신림저수지 4.85.28 9.95 1.42 신매저수지 2.4. 11 5. 4 1. 3 신송저수지 7.1. 3 6 17. 3 1. 5 2 신왕저수지 3.5 5. 18 4. 1. 5 3 신창저수지 3.8. 16 5. 25 1. 4 6 신촌저수지 2.7. 13 5. 5 5. 76 신풍저수지 4.5 5. 3 4 6. 2. 3 신항저수지 6.5 5. 5 18. 1 1. 13 신휴저수지 2.. 3 67 111. 4. 11 심곡저수지 6.15.44 9.5 1.46 쌍암저수지 2.8. 17 5. 3 5 1. 75 쌍정저수지 4.45.38 9.75.97 안룡저수지 3.5. 12 2. 4. 5 1
2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안심저수지 2.7. 22 5. 25 1. 9 안심저수지 6.25. 25 8. 75 1. 14 안평저수지 3.8 5. 18 7. 8 1. 4 애당저수지 6.9 5. 4 7 18. 6 1. 13 양악저수지 2.9 5. 13 5. 4. 76 양전저수지 18.7.342 15. 5.33 양지저수지 4.6. 29 12. 8 1. 4 4 양촌저수지 2.4 5. 1 5. 4 5 1. 3 양화저수지 2.8 5. 19 5. 5. 8 9 어천저수지 7.5. 67 26. 2 1. 9 연제저수지 11.4. 13 7 61. 5 2. 5 연죽저수지 2.9. 22 5. 5 1. 2 연풍저수지 5.3. 5 2 15. 7 1. 9 8 영산담수호 6.3. 14 15. 4. 3 8 영산호용수간선 6.65.153 33.4 3.25 영천저수지 3.25. 26 12. 5 3. 14 영천저수지 ( 한천 ) 4.5 5. 3 1. 9 1. 7 예당용수간선 6.68. 75 21. 3 2. 16 예당저수지 6.1. 5 5 27. 3 2. 24 오남저수지 3.3 5. 19 6. 25 2. 6 오동저수지 3.25. 17 5. 3 5 1. 12 오동저수지 5.8. 4 7 15. 3 1. 오로저수지 7.25. 23 4. 7. 72 오봉저수지 2.4. 8 1. 7 1. 오봉저수지 2.9 5. 16 6. 15. 8 7 오봉저수지 5.8 5. 25 2. 7 1. 28 오산저수지 4.25. 26 2. 6 1. 1 오산저수지 3.6. 13 2. 5. 8 3 오성저수지 5.8 5. 3 8. 65 1. 3 6 오어저수지 2.7. 14 3. 2. 61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6 1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오원저수지 2.8 2. 11 5. 9 1. 62 오태저수지 4.4. 19 5. 7. 78 옥계저수지 2.3 5. 21 13. 8. 9 6 옥계저수지 3.5. 24 7. 3 5 1. 3 3 옥계저수지 2.3 5. 13 2. 15 1. 11 옥계저수지 2.55.13 4.65.89 옥곡저수지 1.7. 8 3 29. 5 2. 7 옥구저수지 8.1. 6 15. 6 1. 15 옥녀저수지 12.4. 9 1 3 1. 4 1. 5 1 옥산저수지 5.3 5. 5 3 19. 7 1. 옥서저수지 6.3. 4 7 12. 5 1. 8 2 옥성저수지 7.3. 26 15. 1. 옥연저수지 4.8 5. 24 4. 9 1. 3 5 옥천저수지 ( 남해 ) 2.8 5. 18 5. 4 5. 6 옥천저수지 ( 창녕 ) 2.9 5. 21 5. 25. 9 1 와룡저수지 2.65. 18 7. 7. 69 왕궁저수지 5.7. 3 6 8. 4 5 1. 12 왕송저수지 16.7. 24 7 5 9. 5 4. 16 왕신저수지 4.15. 25 4. 3 5 1. 29 용계저수지 4.1. 3 3. 6 1. 9 용곡저수지 4.5. 5 2 17. 9 1. 77 용곡저수지 3.5. 2 3. 25. 66 용담저수지 8.5. 8 2 4 6. 1 1. 79 용당저수지 6.. 68 15. 2 1. 4 2 용덕저수지 2.5 5. 2 3. 4 1. 71 용산저수지 4.4. 2 6. 2 1. 3 3 용산저수지 4.6. 4 4 9. 7 3. 1 용설저수지 5.9 5. 4 4 14. 3 1. 7 용암저수지 5.85.38 7.65 1.33 용암저수지 7.5. 22 7. 9. 8
26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용연저수지 4.7. 3 1 18. 5 1. 3 용연저수지 5.65. 3 11. 6 1. 3 3 용천저수지 3.8 5. 11 2. 5. 5 3 용천저수지 6.5.34 6.3 1.78 용치저수지 3.5. 2 6. 5. 7 용풍저수지 7.9. 8 5 29. 9 2. 68 용화저수지 3.25. 14 4. 3 1. 3 1 우곡저수지 2.3 5. 16 1. 25. 74 우금저수지 3.9. 24 4. 3 1. 4 4 우목저수지 5.5. 24 9. 4 5 2. 13 우천저수지 3.9. 24 1. 5 1. 8 5 운암저수지 4.9. 3 8 13. 8 1. 9 9 웅양저수지 3.2. 18 3. 5 1. 13 원남저수지 4.1.35 4.45 1.38 원당저수지 5.75. 5 1 2. 4 2. 8 원등저수지 3.5 5. 18 7. 5 5 1. 11 원창저수지 3.1. 14 5. 15. 9 2 원천저수지 8.3. 15 16. 7 2. 77 월곡저수지 3.3 5. 29 7. 8 5. 76 월곡저수지 3.25. 17 1. 1. 8 8 월남저수지 4.25. 26 11. 6 1. 16 월매저수지 3.2. 23. 9. 9 8 월산저수지 3.2. 13 5. 5. 69 월운저수지 2.8 5. 28 2. 8 1. 4 월천저수지 9.5.89 47.4 1.45 월평저수지 2.75. 17 4. 75 1. 16 유곡저수지 4.. 4 7 6. 75 1. 5 9 유천저수지 2.8. 13 6. 25. 9 8 율치저수지 3.85.3 9.95 1.49 응석저수지 3.. 12 4. 2. 24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6 3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이동저수지 5.3 3. 6 6. 5 7 3. 14 인교저수지 4.. 3 1 1. 6 1. 23 임고저수지 4.5 5. 3 4. 6 1. 9 임천저수지 5.8 5. 4 1 1. 8 1. 6 입곡저수지 4.. 2 4. 9 5 1. 1 입암저수지 4.15.33 8.95 1.72 입장저수지 7.. 65 28. 6 1. 74 잠홍저수지 8.7. 5 8 3 7. 7 1. 71 장계저수지 6.3 5. 29 7. 7. 9 5 장곡저수지 5.7. 8 5 17. 7 2. 3 3 장남저수지 3.4. 26 12. 9 2. 3 3 장성저수지 3.8. 3 3 6. 9 2. 21 장성호용수간선 3.3 5. 26 5. 1. 1 장수저수지 5.4 5. 68 21. 5 2. 8 7 장연저수지 4.1. 3 1 5. 75. 75 장찬저수지 3.15. 12 3. 65. 8 9 장척저수지 7.25.33 5.15.49 장치저수지 3.9. 4 14. 3 1. 14 장흥저수지 4.5. 18 9. 15 1. 17 적누저수지 3.65. 1 5. 4 5 1. 적량저수지 2.5 5. 12 6. 25 1. 13 전대저수지 16.9. 19 7 14. 4. 9 1 정안저수지 7.9 5. 5 3 22. 1 2. 9 4 제2호저수지 9.. 75 23. 2 1. 61 조산저수지 ( 고수 ) 4.5 5. 3 1 12. 6 1. 19 조성저수지 7.1. 27 5. 75 1. 13 조연저수지 3.25. 14 3. 5 1. 3 종천저수지 4.4. 3 8. 6 1. 7 좌연저수지 3.4. 21 5. 4. 9 9 좌운저수지 2.5. 13 2. 3 5 1. 3
26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주남저수지 8.7. 1 19. 5 1. 5 2 주촌저수지 4.15. 3 13. 7 1. 5 3 죽안저수지 6.25. 4 9 12. 2 1. 65 죽암저수지 4.8. 3 6 12. 1 1. 3 7 죽전저수지 2.75. 22 4. 3 5. 5 8 중산저수지 3.3 5. 22 3. 1 1. 4 4 중화저수지 5.35.49 8.55 1.36 중흥저수지 6.7. 3 9 19. 6 1. 8 5 증광저수지 2.8. 17 7. 1. 3 9 지산저수지 3.4 5. 2 5. 2 1. 3 3 지슬저수지 3.75. 13 3. 3. 64 지정 ( 광주 ) 저수지 1.3. 13 4 24. 8 2. 6 지정 ( 장흥 ) 저수지 8.7. 14 3 69. 8 2. 4 지천저수지 4.5 5. 23 7. 3. 8 8 지평저수지 4.3 5. 25 9. 1. 8 직지저수지 5.7. 29 6. 8 5 1. 65 진례저수지 2.5. 12 2. 25 1. 1 진죽저수지 9.25. 8 17. 6 1. 14 창림저수지 7.5 5. 29 8. 1. 65 창평저수지 3.15.19 4.45 1.33 천락저수지 3.8 5. 23 8. 4 5. 72 천은저수지 2.3. 17 2. 6. 76 천장저수지 2.9 5. 14 4. 65 1. 15 천천저수지 2.5. 12 5. 6 1. 8 청계저수지 5.1. 22 4.. 5 9 청림저수지 2.3. 14 2. 1. 72 청상저수지 6.6.59 8.55 2.39 청용저수지 4.5. 21 8. 8. 8 7 청천저수지 5.13. 4 12. 5 1. 2 청호저수지 8.2. 61 16. 9 1. 28
제 3 절부영양화평가지수산정과관련한자료 26 5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초당저수지 2.1. 24 3. 65. 5 5 초대저수지 12.. 14 8 79. 7 3. 9 2 초동저수지 5.3. 28 2. 5. 4 초전저수지 4.8. 3 5 5. 25 1. 7 추동저수지 2.4. 14 7. 6 1. 1 추평저수지 4.4. 3 9 7. 5 5 1. 71 축동저수지 7.2. 6 17. 5. 9 7 취병저수지 3.4 5. 2 5. 6 1. 8 1 칠곡저수지 7.15. 4 23. 1. 3 6 칠동저수지 2.3 5. 1 4. 5 5. 69 칠성저수지 1.9. 17 1. 1. 5 1 탑정저수지 5.5. 6 17. 7 1. 64 판곡저수지 4.7. 26 7. 65. 8 5 팔덕저수지 2.9. 13 5. 2. 8 4 평암저수지 3.9 5. 19 7. 4. 63 평택용수간선 9.6. 14 22. 9 5. 3 9 평택담수호 7.7. 2 28. 1 7. 9 1 풍년저수지 14.2. 15 5 67. 1 4. 8 8 풍락저수지 7.3. 4 1. 5 1. 4 2 풍전저수지 8.3. 6 27. 5 1. 3 8 하곡저수지 5.6. 3 3 9. 9 1. 3 2 하도저수지 4.65. 25 6.. 9 4 하동저수지 1.95.15 3.55.48 하빈저수지 8.8 5. 4 9 11. 1. 9 하이저수지 3.3. 22 7. 2. 9 9 학동저수지 3.3. 23 6. 9. 9 4 학사평저수지 2.65. 16 1. 6. 8 1 학저수지 7.2. 5 3 15. 5 1. 1 학파 1 저수지 7.3. 61 23. 4. 9 3 한계저수지 3.9 5. 3 5. 6. 9
26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시설명 C O D ( mg / L ) < 부표 3-2> 계속 T P ( mg / L ) C h l - a ( mg / m3 ) T N ( mg / L ) 해원저수지 6.2. 5 3 18. 1. 16 향리저수지 7.6. 79 28. 4 1. 14 향양저수지 3.6. 15 6. 2. 75 향호저수지 5.65.34 5.3.44 호민저수지 9.2. 5 1 24. 9. 8 7 호암저수지 7.25. 5 9 14. 2. 14 홍동저수지 9.7. 12 5 1. 6 2. 8 7 홍양저수지 8.55.183 4.3 3.17 홍중저수지 7.3 5. 8 18. 9 2. 4 4 화곡저수지 5.25.25 8.95.98 화곡저수지 4.9. 4 1 5. 8 5. 9 7 화매저수지 5.8 5. 17 2. 65. 62 화산저수지 4.3 5. 3 5 11. 6. 8 7 화산저수지 4.6. 17 1. 9 5. 67 화정저수지 4.1. 24 1. 7 1. 1 황금저수지 7.15. 65 3. 5 1. 3 7 황령저수지 2.8. 17 3. 8 5. 5 1 회룡저수지 5.. 28 8. 5 5 1. 9 9 횡계저수지 4.9 5. 26 7. 7 1. 8 2 효곡저수지 2.5. 15 5. 9. 74 효천저수지 9.2. 5 6 17.. 9 2 효촌저수지 7.1. 67 3 1. 6 2. 9 4 흑석저수지 5.4. 118 9. 4 1. 8 6 흥덕저수지 5.9. 118 9. 7 2. 4 2 흥부저수지 11.. 18 62. 3 3. 21 흥사저수지 4.25. 19 7. 8 5. 73 흥아소저수지 4.25.34 11.3 1.14 흥업저수지 6.4. 61 27. 3 1. 8
제 4 절부영양화지수산정관련엑셀시트 26 7 제 4 절부영양화지수산정관련엑셀시트 < 부도 4-1> 부영양화지수산정과정엑셀시트
< 부도 4-1> 계속 제 4 절부영양화지수산정관련엑셀시트 26 9
제 5 절 3 차년도에제시한모니터링조사대상농업용저수지 271 제 5 절 3 차년도에제시한모니터링조사대상농업용저수지 < 부표 5-1> 모니터링 조사 대상 농업용 저수지 목록 시설명 시도 위치시군구읍면동리 관리주체 2연봉저수지 전남 고흥군 점암면 연봉리 농기공 ( 고흥지사 ) 가산저수지 경남 밀양시 부북면 월산리 농기공 ( 밀양지사 ) 가음저수지 경북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 농기공 ( 의성지사 ) 가혜저수지 충남 아산시 염치읍 석두리 농기공 ( 아산지사 ) 감돈저수지 전남 무안군 몽탄면 봉명리 농기공 ( 무안 신안지사 ) 개천저수지 경북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 농기공 ( 의성지사 ) 경천저수지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농기공 ( 공주지사 ) 계룡저수지 충남 공주시 계룡면 하대리 농기공 ( 공주지사 ) 고구저수지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농기공 ( 강화지사 ) 고려저수지 인천 강화군 고천리 농기공 ( 강화지사 ) 고마저수지 전북 부안군 동진면 내기리 농기공 ( 부안지사 ) 고풍저수지 충남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 농기공 ( 서산지사 ) 공능저수지 경기 파주 조리 장곡 농기공 ( 파주지사 ) 공리저수지 충남 홍성군 구항면 공리 농기공 ( 홍성지사 ) 광주저수지 전남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농기공 ( 담양지사 ) 구이저수지 전북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농기공 ( 전주지사 ) 군곡저수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 농기공 ( 해남지사 ) 궁산저수지 전북 고창군 심원면 궁산리 농기공 ( 고창지사 ) 궁평저수지 충남 아산시 송악면 궁평리 농기공 ( 아산지사 ) 금광저수지 경기 안성시 금광면 금광리 농기공 ( 안성지사 ) 금평저수지 전북 김제시 금산면 쌍용리 농기공 ( 동진지사 ) 기지저수지 전북 전주시 덕진구 장동 농기공 ( 전주지사 ) 기흥저수지 경기 용인 기흥 고매 농기공 ( 평택지사 ) 길상2저수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장흥리 농기공 ( 강화지사 ) 길정저수지 인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농기공 ( 강화지사 ) 나주저수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판촌리 농기공 ( 나주지사 ) 내봉저수지 전남 고흥군 도덕면 봉덕리 농기공 ( 고흥지사 ) 내장저수지 전북 정읍시 내장동 농기공 ( 정읍지사 )
27 2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5-1> 계속 시설명 시도 위치시군구읍면동리 관리주체 능 저수지 전북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 농기공 ( 동진지사 ) 달창저수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농기공 ( 달성지사 ) 담양저수지 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성리 농기공 ( 담양지사 ) 대가저수지 경남 고성군 대가면 암전리 농기공 ( 고성 거제지사 ) 대동저수지 전남 함평군 대동면 운교리 농기공 ( 함평지사 ) 대성저수지 경북 구미시 수점동 농기공 ( 구미지사 ) 대승저수지 경북 영천시 금호읍 남성리 농기공 ( 영천지사 ) 대위저수지 전북 군산시 회현면 고사리 농기공 ( 군산지사 ) 대정저수지 전남 고창군 공음면 두암리 농기공 ( 영광지사 ) 대화저수지 전북 김제시 금구면 대화리 농기공 ( 동진지사 ) 덕동저수지 경북 경주시 덕동 경주시 덕림저수지 전북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 농기공 ( 고창지사 ) 덕산저수지 전북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농기공 ( 전주지사 ) 덕용저수지 충남 부여군 충화면 가화리 농기공 ( 서천지사 ) 덕우저수지 경기 화성시 봉담읍 덕우리 농기공 ( 수원지사 ) 덕촌저수지 전남 장흥군 대덕읍 가학리 농기공 ( 장흥지사 ) 도고저수지 충남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 농기공 ( 아산지사 ) 동방저수지 경기 화성시 팔탄면 노하리 농기공 ( 수원지사 ) 동부저수지 충남 서천군 시초면 봉선리 농기공 ( 서천지사 ) 동상저수지 전북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농기공 ( 군산지사 ) 동화저수지 전북 장수군 번암면 동화리 농기공 ( 남원지사 ) 두량저수지 경남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 농기공 ( 사천지사 ) 두창저수지 경기 용인 원삼 두창 농기공 ( 안성지사 ) 둔전저수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세등리 농기공 ( 진도지사 ) 마산저수지 충남 아산시 방축동 농기공 ( 아산지사 ) 만수저수지 경기 안성 공도 만정 농기공 ( 안성지사 ) 맹동저수지 충북 음성군 맹동면 동통리 농기공 ( 음성지사 ) 멱우저수지 경기 화성 우정 멱우 농기공 ( 수원지사 ) 묘곡저수지 경북 영덕군 영해면 묘곡리 농기공 ( 영덕지사 ) 문천저수지 경북 경산시 진량읍 문천리 농기공 ( 경산지사 )
제 5 절 3 차년도에제시한모니터링조사대상농업용저수지 273 시설명 시도 < 부표 5-1> 계속 위치 시군구 읍면동 리 관리주체 미제저수지전북군산시미룡동농기공 ( 군산지사 ) 미호저수지충북진천군초평면화산리농기공 ( 청원지사 ) 반산저수지충남부여군규암면반산리농기공 ( 부여지사 ) 방동저수지충남대전시유성구방동농기공 ( 연기대금지사 ) 백곡저수지충북진천군백곡면건송리농기공 ( 진천지사 ) 백산저수지전북김제시백산면하정리농기공 ( 동진지사 ) 백용저수지전남나주시다시면운봉리농기공 ( 나주지사 ) 백운저수지전남광양시봉강면지곡리 농기공 ( 순천 광양 여수지사 ) 보문저수지경북경주시보문동농기공 ( 경주지사 ) 보통저수지경기화성시정남면보통리농기공 ( 수원지사 ) 복심저수지충남부여군충화면복금리농기공 ( 부여지사 ) 봉림저수지충남예산군봉산면봉림리농기공 ( 예산지사 ) 봉산저수지경남창녕군계성면봉산리농기공 ( 창녕지사 ) 봉암 ( 고흥 ) 저수지 전남 고흥군 도덕면 도덕리 농기공 ( 고흥지사 ) 봉암 ( 진도 ) 저수지 전남 진도군 지산면 가치리 농기공 ( 진도지사 ) 봉재저수지 충남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농기공 ( 아산지사 ) 불갑저수지전남영광군불갑면녹산리농기공 ( 영광지사 ) 비룡저수지충북보은군내속리면삼가리농기공 ( 보은지사 ) 사산저수지전북부안군주산면사산리농기공 ( 부안지사 ) 상성저수지충남아산시영인면상성리농기공 ( 아산지사 ) 상판저수지경북상주시모동면상판리농기공 ( 상주지사 ) 서부저수지충남서천군판교면흥림리농기공 ( 서천지사 ) 서산 ( 장흥 ) 저수지 전남 장흥군 대덕읍 연지리 농기공 ( 장흥지사 ) 석남저수지 전북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 농기공 ( 고창지사 ) 석문저수지충남당진군석문면삼봉리농기공 ( 당진지사 ) 석우저수지전북정읍시고부면장문리농기공 ( 정읍지사 ) 설성저수지경기이천시설성면창전리농기공 ( 여주이천지사 )
27 4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5-1> 계속 시설명 시도 위치시군구읍면동리 관리주체 성암저수지 충남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 농기공 ( 서산지사 ) 성연저수지 충남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 농기공 ( 보령지사 ) 성주저수지 (1) 경북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농기공 ( 성주지사 ) 성주저수지 (2) 경북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농기공 ( 성주지사 ) 소수저수지 충북 괴산군 소수면 길선리 농기공 ( 괴산지사 ) 소포담저수지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농기공 ( 진도지사 ) 수동저수지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농기공 ( 장흥지사 ) 수룡저수지 충남 태안군 근흥면 수룡리 농기공 ( 서산지사 ) 수양저수지 전남 장성군 삼서면 수양리 농기공 ( 장성 광주지사 ) 순성저수지 충남 당진군 면천면 원동리 농기공 ( 당진지사 ) 승언2저수지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농기공 ( 서산지사 ) 신대저수지 경기 수원 팔달 하동 농기공 ( 수원지사 ) 신덕저수지 전남 해남군 화원면 신덕리 농기공 ( 해남지사 ) 신림저수지 전북 고창군 신림면 자포리 농기공 ( 고창지사 ) 신송저수지 충남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농기공 ( 서산지사 ) 신휴저수지 충남 아산시 음봉면 신휴리 농기공 ( 아산지사 ) 심곡저수지 경북 경주시 서면 심곡리 농기공 ( 경주지사 ) 양전저수지 충남 천안시 직산면 양당리 농기공 ( 천안지사 ) 양촌저수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농기공 ( 해남지사 ) 연제저수지 충북 청원군 강외면 연제리 농기공 ( 청원지사 ) 오남저수지 경기 남양주 오남 오남 농기공 ( 양평광주지사 ) 오동저수지 전남 영광군 염산면 오동리 농기공 ( 영광지사 ) 오어저수지 경북 포항시 오천읍 항사리 농기공 ( 포항지사 ) 오태저수지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 농기공 ( 상주지사 ) 옥곡저수지 전북 군산시 성산면 대명리 농기공 ( 군산지사 ) 옥구저수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어은리 농기공 ( 군산지사 ) 옥녀저수지 전북 군산시 미성동 농기공 ( 군산지사 ) 옥산저수지 충남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농기공 ( 부여지사 ) 옥연저수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기세리 농기공 ( 달성지사 ) 왕궁저수지 전북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 농기공 ( 익산지사 )
제 5 절 3 차년도에제시한모니터링조사대상농업용저수지 275 시설명 시도 < 부표 5-1> 계속 위치 시군구 읍면동 리 관리주체 왕송저수지경기의왕시월암동농기공 ( 수원지사 ) 용담저수지경기용인시원삼면사암리농기공 ( 안성지사 ) 용당저수지충북충주시신니면송암리농기공 ( 충주 제천지사 ) 용산저수지전남보성군겸백면용산리한국전력 용설저수지경기안성죽산용설농기공 ( 안성지사 ) 용암저수지충남연기군서면고복리농기공 ( 연기대금지사 ) 용풍저수지경기이천시장호원송산리농기공 ( 여주이천지사 ) 원남저수지충북진천군초평면신통리농기공 ( 괴산지사 ) 입암저수지전북정읍시입암면천원리농기공 ( 정읍지사 ) 잠홍저수지충남서산시음암면상홍리농기공 ( 서산지사 ) 장성저수지전남장성군장성읍용강리농기공 ( 장성 광주지사 ) 장수저수지전남고흥군포두면장수리고흥군 장척저수지경남창녕군영산면신제리농기공 ( 창녕지사 ) 전대저수지충남당진군송악면전대리농기공 ( 당진지사 ) 제 2 호저수지전남무안군몽탄면당호리농기공 ( 무안 신안지사 ) 조성저수지경북의성군구천면조성리농기공 ( 의성지사 ) 중흥저수지충남공주시의당면중흥리농기공 ( 공주지사 ) 지정 ( 광주 ) 저수지 전남 광주시 광산구 지정동 농기공 ( 장성 광주지사 ) 지정 ( 장흥 ) 저수지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농기공 ( 장흥지사 ) 지평저수지 경북 상주시 공검면 지평리 농기공 ( 상주지사 ) 진죽저수지충남보령시청소면진죽리농기공 ( 보령지사 ) 청호저수지전북부안군하서면청호리농기공 ( 부안지사 ) 초대저수지충남당진군신평면초대리농기공 ( 당진지사 ) 축동저수지충남서천군한산면축동리농기공 ( 서천지사 ) 풍년저수지충남천안시입장면시장리농기공 ( 천안지사 ) 풍전저수지충남서산시인지면풍전리농기공 ( 서산지사 ) 하곡저수지경북경주시안강읍하곡리농기공 ( 경주지사 ) 하동저수지경남하동군청암면중이리농기공 ( 하동 남해지사 )
27 6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 부표 5-1> 계속 시설명 시도 위치시군구읍면동리 관리주체 학 저수지 강원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 농기공 ( 철원지사 ) 학파1저수지 전남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농기공 ( 영암지사 ) 해원저수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농기공 ( 해남지사 ) 홍동저수지 충남 홍성군 장곡면 지정리 농기공 ( 홍성지사 ) 홍양저수지 충남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농기공 ( 홍성지사 ) 흥덕저수지 전북 고창군 흥덕면 석우리 농기공 ( 정읍지사 ) 흥부저수지 경기 시흥시 물왕동 농기공 ( 수원지사 )
제 6 절호소의부영양화평가홍보자료 277 제6절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홍보자료 1) 부영양화 2) 부영양화 평가지표 3 ) 전국 주요호소의 부영양화도 평가 부영양화 1. 부영양화정의 식물플랑크톤의양이많고혼탁한호소를부영양호라하고식물플랑크톤이적고맑은호소를빈영양호라부른다. 이러한빈영양호에서부영양호로변하는과정을부영양화라고한다. 질소나인등의무기영양염류가수생태계에유입되어조류의성장이크게번성으로인하여유기물이차생산이증가하면서호소내유기물에너지의함량이증가하는현상이다. 2. 부영양화특징 부영양화에의해식물플랑크톤이증가하여물이혼탁하다 ( 투명도 2 m 이하 ). 플랑크톤이많아녹색또는갈색을띤다. 인농도가높다 (TP > 25 mg / m3 ). 식물플랑크톤이많은물은광합성에의해 BOD ( 생화학적산소요구량 ; Biochemical Oxygen Demand) 가증가하게되고침강한식물플랑크톤의분해 에의해여름에심층의산소농도가낮아진다.
27 8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Ⅲ) 최종보고서 ( 부영양화분야 ) 부록 3. 부영양화피해 혼탁하여미관상불쾌하다. 관광지로서의가치가하락한다. 수돗물의조류냄새가발생한다. 남조류에서독소가발생한다. 수돗물의발암물질이증가한다. 호소심층의산소고갈과어류의피해가발생한다. 4. 부영양화원인 비료사용으로인한인성분유출. 퇴비및축산분뇨의사용으로인성분유출. 하수및하수처리장방류수에포함된인성분유출. 5. 부영양화방지대책 하수의 화학적처리에 의한 인의 제거를 통한 저감 대책. 축산 분뇨 및 퇴비사용의 억제를 통한 유출량 저감 대책. 농경지비료사용량저감을통한방지대책. 농경지토양유출저감을통한방지대책. 비료사용 자제 및 시비의 시기를 조절하여 강우유출을 막는 계몽 활동을 통한 방지
제 6 절호소의부영양화평가홍보자료 279 사진 1. 부영양호에주로우점하는남조류 사진 2. 남조류대량발생사진 사진 3. 깨끗한물속의투명도판 (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