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함께걷 geo 추계정기답사초록 일시 : 2017 년 9 월 25 일 ( 월 ) ~ 9 월 28 일 ( 목 ) 3 박 4 일 장소 : 제주도일대 이름 : - 부산대학교지리교육과 -
[2017 함께걷 geo 추계답사 ] 일시 : 2017 년 9 월 25 일 ( 월 ) ~ 9 월 28 일 ( 목 ) 장 소 : 제주도일대 지도교수 : 정인철교수님, 박선엽교수님, 김기혁교수님, 구동회교수님 준비물 : 답사초록, 필기구, 카메라, 세면도구, 여벌의옷 ( 긴바지 ), 물통, 우산 우비, 멀미약, 기타등등 참가인원 : 41명 ( 교수님 4명, 학부생 1학년 16명 (16/19), 2학년 12명 (12/20) 3학년 9명 (9/20) [ 답사조 ] 1 조 (8) 문진성김영선차혜진박세준양하정우지수이소연최성훈 2 조 (8) 송이삭강민지문혜경오승우서자영김예주이세영김성주 3 조 (8) 권윤경김하영김종헌박현승이유진정유경정은지최원석 4 조 (7) 김현욱구해인이민희임지훈최지웅박혜원배정윤 5 조 (6) 김은혜조소연안소희김기훈박시현손해욱 - 1 -
[ 답사일정 ] 일차 구분 시간 내용 이동 09:00~10:00 김해공항-> 제주공항 이동 10:00~11:00 제주공항-> 구엄리돌염전 답사 11:00~11:30 1. 구엄리돌염전 식사 11:30~12:30 점심식사 답사 12:30~13:10 2. 곽지해수욕장 1일차 이동 13:10~13:50 곽지해수욕장-> 수월봉답사 13:50~15:00 3. 수월봉지질트레일 이동 15:00~15:10 수월봉-> 당산봉 답사 15:10~16:10 4. 당산봉 이동 16:10~16:40 당산봉-> 송악산 답사 16:40~17:40 5. 송악산 숙박 17:40~ 저녁식사및숙소 답사 09:00~09:40 6. 대정읍성 이동 09:40~09:50 대정읍성-> 알뜨르비행장 답사 09:50~10:30 7. 알뜨르비행장 이동 10:30~10:50 알뜨르비행장-> 모슬포항 이동 10:50~11:10 모슬포항승선대기 이동 11:10~11:40 모슬포항-> 마라도 답사 11:40~13:00 8. 마라도자유답사및점심식사 이동 13:00~13:10 마라도항승선대기 2일차 이동 13:10~13:40 마라도-> 모슬포항이동 13:40~14:00 모슬포항-> 오셜록티뮤지엄 답사 14:00~15:00 9. 오셜록티뮤지엄 이동 15:00~15:20 오셜록티뮤지엄-> 용머리해안 답사 15:20~15:50 10. 용머리해안 이동 15:50~16:20 용머리해안-> 조근모살 답사 16:20~17:20 11, 12. 조근모살 / 대포주상절리 이동 17:20~17:50 대포주상절리-> 서귀포하논 답사 17:50~18:20 13. 서귀포하논 숙박 18:20~ 저녁식사및숙소 답사 09:00~10:10 14. 물영아리오름 이동 10:10~10:30 물영아리오름-> 거문오름 답사 10:30~11:30 15. 거문오름 식사 11:30~12:30 점심식사 3일차 이동 12:30~13:00 점심식사-> 다랑쉬오름 답사 13:00~14:20 16. 다랑쉬오름 이동 14:20~14:30 다랑쉬오름-> 비자림 답사 14:30~15:00 17. 비자림
4 일차 이동 15:00~15:30 비자림-> 대수산봉 답사 15:30~16:30 18. 대수산봉 이동 16:30~16:40 대수산봉-> 온평리환해장성 답사 16:40~17:50 19. 온평리환해장성 숙박 17:50~ 저녁식사및숙소 답사 09:00~10:00 20. 제주 4.3평화공원 이동 10:00~11:00 43평화공원-> 제주밭담테마공원 답사 11:00~12:00 21. 제주밭담테마공원 식사 12:00~13:00 점심식사 답사 13:00~13:40 22. 김녕해수욕장 이동 13:40~13:50 김녕해수욕장-> 만장굴 답사 13:50~14:50 23. 만장굴 이동 14:50~15:40 만장굴->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답사 15:40~17:25 24, 25.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및제주원도심 이동 17:25~17:40 제주원도심-> 제주국제공항 이동 17:40~18:35 제주공항대기 이동 18:35~ 제주공항-> 김해국제공항 - 3 -
지교인이가는길
[ 목차 ] 1. 제주도개관 06 2. 제주도형성과정 12 3. 구엄리돌염전 16 4. 곽지해수욕장 20 5. 제주도의오름 24 6. 송악산 29 7. 물영아리오름 33 8. 거문오름 38 9. 다랑쉬오름 43 10. 대수산봉 47 11. 수월봉 50 12. 당산봉 53 13. 대정읍성 56 14. 알뜨르비행장 60 15. 마라도 63 16. 오셜록티뮤지엄 67 17. 용머리해안 70 18. 조근모살 74 19. 대포주상절리 77 20. 하논 80 21. 비자림 84 22. 온평리환해장성 87 23. 4.3평화공원 93 24. 제주밭담테마공원 97 25. 김녕해수욕장 101 26. 만장굴 105 27. 제주원도심 109 28.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113-5 -
1. 제주도개관 14 박세준 17 우지수 1) 위치 [ 그림 1.1] 제주위위치 [ 그림 1.2] 대동여지도제주 동경 126 09 127 00, 북위 33 10 34 35 의범위에위치한제주도는우리나라에서가장큰섬이다. 제주도는직선거리로서울에서는약 450km 떨어져있으며, 부산에서는약 290km가량, 목포에서는약 150km 정도떨어져있으며가장가까운완도에도약 85km 떨어져있다. 이와같이제주도는한반도와의격리되어있는섬이기때문에역사적으로 20세기중반까지는주로배를이용하여육지의물자와사람들의이동이제한적으로이루어질수밖에없었다. 가령, 조선시대에는제주도가대표적인유배지로이용되었고, 열악한삶의조건으로나타나는인구유출을막고자제주도거주자들은함부로섬을떠날수없는법령을만들어시행하기도하였다. 동쪽으로대한해협을사이에두고일본의대마도및큐슈지역, 서쪽으로중국의상하이와마주하며, 남쪽으로동중국해와면하고있다. 한국, 일본, 중국등동북아시아의중심부에위치하여지정학적으로매우중요한곳이다. 2) 지형 제주도는화산활동에의해형성된화산섬이다. 제주도는신생대제3기말플라이오세에화산활동이시작된이후제4기에완성된대륙붕위의화산도이다. 지질은제3기말에서제4기까지 5회에걸쳐분출된화산암류가대부분이며, 퇴적암층이부분적으로포함되어있다. 화산암류는주로현무암에속하며조면암질안산암과조면암도소량나타난다. 섬의중앙부에한라산이있으며, 중산간일대에는화산인오름과더불어광활한목초지가형성되어있다. 취락은대부분해안가를따라서분포하고있는데, 한라산이북의제주시는도내에서가장큰도시이며서귀포시는한라산남쪽의대표적인도시이 - 6 -
다. 한라산의정상에는직경약 500m의화구가형성되어있으며, 이곳에물이고여화구호를이룬다. 한라산은종상 ( 鐘狀 ) 의산정부를제외하면사면의경사가매우완만하여순상화산 ( 楯狀火山 ) 에속한다. 360여개의기생화산은섬의장축을따라한라산의동 서산복에대상 1) 으로분포하며, 송당일대에서최대밀도를나타낸다 (38개 100km2 ). [ 그림 1.3] 위성사진으로본제주도의지형 [ 그림 1.4] 제주도의행정구역 3) 인구및행정구역 제주도인구현황은 2017년 7월기준으로약 67만명으로, 내국인 65만명외국인 2만명정도거주하고있다. 인구는제주시가 488,766명으로 182,303명인서귀포시에비해약 3배정도많다. 제주도인구는지난해에비해 2.7%(1만 7202명 ) 증가했는데, 이는전국 17개시 도가운데세종에이어두번째로높은인구증가율이다. 제주도평균연령은 40.5세로전국평균 41.0세보다낮으며, 1인당경지면적은 2,882m2로전국평균보다높다. 제주도의행정구역은 2006년 7월 1일제주특별자치도의출범과함께서귀포시와제주시로각각통합되었다. 자치행정구역은폐지되었으며제주시와서귀포시 2개의행정시만존재한다. 하위행정구역은 7읍 5면 31동이다. 4) 기후 제주도는한반도에서남쪽으로약 100km 떨어진쿠로시오난류가북상하는아열대기후대에속하는화산섬이다. 울릉도다음으로비가많이오는지역이며, 남제주지방은보다더많은비가내린다. 북서계절풍과관련된지형성강수로한라산북쪽사면은겨울철에눈이많이내리며, 한라산기슭에는초겨울에내린눈이이듬해봄까지녹지않는다. 또한제주에는바람이많아연평균풍속 4.8m/sec 로, 특히겨울철바람이차고매섭다. 북서태평양연안동아시아지역에위치하여겨울철한랭건조한시 [ 그림 1.5] 연도별평균기온변화 1) 띠처럼좁고길게생긴모양. - 7 -
베리아기단과여름철북태평양기단의영향이뚜렷하게나타나는온대몬순기후지역에속한다. 제주시의연평균기온은 17 로이는 1950년 15.0 에비해 2.0 높아진것이다. 특히 2000년 15.7 보다도 1.3 높은것으로제주시의평균기온은지속적으로높아지는추세를보이고있다. 이러한추세는자동차의급격한증가로인한온난화가주된원인으로제시된다. 제주시의강수량또한 2016년 1416.4mm로 1950년 1293.9mm에비해 122.5mm증가했다. 남해의평균수온도지속적으로높아지는추세를보이고있다. 2011~2015 년남해의연평균수온은 15.8 로 1961~1970 년평균수온 15.4 에비해서는 0.5 높다. 제주도는우리나라최다우지역에해당한다. 특히 7 9월에는열대성저기압 ( 태풍 ) 의영향으로많은비가내리고있다. 또한, 해상에고립된섬이어서연중해풍을직접적으로받아바람이불고흐린날이많은다변성일기를보이고있다. 이러한기후로인해제주도에서는탁월풍의영향으로특정 [ 그림 1.6] 제주도의편향수방향으로만가지가자라거나기울어진나무인편향수가곳곳에서보인다. 5) 식생 제주도의면적은 1848km2로우리나라전체면적의 1.8% 에불과하나우리나라에서식하는전체식물종의 41% 에달하는 1992종이분포하고있다. 또한전체식물종가운데제주도특산종이 96종이될정도로독특한식물세계를보인다. 식생은난대림대에속하나한라산은고도에따라기온차이가크게나기때문에다양한식물상 [ 그림 1.7] 제주도의식생분포을나타낸다. 한라산의수직적식생분포를보면, 북쪽사면은 700m 이하의낮은지대로아열대식물이많고녹나무를주로하는상록활엽수림대이다. 또한가장저지대해안가에는마을이발달해있고, 약 200m~600m 에는초원지대가형성되어목축업이활발하며, 약 600m~1,400m 에는활엽수림대가, 약 1,400m~1,600m 에는침엽수림대가분포하고있다. 이중에는 8종의천연기념물이포함되어있으며, 한라산일대는국립공원으로지정되어있다. 다양한식물분포에비하여동물의분포상은매우빈약하다. 제주도에는예로부터맹금이 - 8 -
나맹수가없고노루나제주족제비가있었다. 조류는제주특유의제주딱다구리 박새 곤줄박이등 50 여종에달한다. 제주도에는원래까마귀가많고까치는없었으나, 1989년일간스포츠신문사가 50여마리를방사하여그수가크게불었다. 외래종인까치의개체수증가는제주도생태계교란의원인으로지목되고있다. 6) 역사 제주도의명칭은옛날부터주호 ( 洲胡 ), 섭라 ( 涉羅 ), 탐모라 ( 耽牟羅 ), 탁라 ( 乇羅 ), 탐라 ( 耽羅 ) 등으로불리었으며, 제주 ( 濟州 ) 라는명칭은고려고종 (1214-1259) 때부터사용되기시작했다. 그러나삼별초정벌후원 ( 元 ) 의직할지가되면서원에서는시종탐라라는칭호를사용하였는데, 이는탐라를고려와는별개의지역으로구분짓기위한조처였다. 그후고려에서는탐라가반환된 1295년 ( 충렬왕 21) 부터다시제주라는칭호를사용하였고, 또오늘에이르고있다. 제주도의가장오랜선사유적은애월읍어음리에있는빌레못동굴유적이다. 동굴의유적에서는황곰을비롯하여붉은사슴, 노루등의동물뼈화석과다량의긁개, 돌칼, 홈날등의석기들의출토되었다. 이굴은중기구석기시대에원시인이주거했던혈거유적지로보고있어서제주도자체가대륙과연결되었다가함몰하여점차섬이형성되었다는가설을반증하고있다. 또한최근에는한경면고산리에서신석기시대초기의유적, 유물등이발견되기도하였다. 7) 산업구조 제주도는도서지역으로 2차산업인제조업은거의없고 1차산업인농어업과 3차산업으로관광과행정중심의서비스업이높은비중을차지하는독특한산업구조를가진다. 구체적으로는감귤과해산물그리고관광관련업이 1차와 3차산업중중요한부문으로나타난다. 최근, 이러한편중된산업구조를다각화, 다양화시키려는노력으로새로운산업분야를개척하고있는데, 여기에는제주도의지하수를이용한다양한음식료의생산과판매, 그리고첨단산업으로정보통신 (IT), 향장산업의발전등을들수있다. 제주도의산업구조는지역총생산, 산업별사업체수와종사자수로보면, 2010년기준지역총생산은약 10조원을약간초과 ( 당해연도기준 ) 하는규모이다. 이는전국의약 0.9% 를차지하는비중으로, 전국대비제주도인구비중인 1.1% 보다낮은수준이다. 산업점유율을산업별로보면서비스분야에서가장높은 75.1% 를보이고, 농림어업에서 21.4%, 그리고광공업에서 3.5% 의비율을보인다. 이러한산업점유율은제주도경제를 2차산업인제조업이거의없이 1차와 3차산업, 세부적으로는농업과관광이높은비중을차지하는지역특성을반영하고있다. 8) 지역구분 제주도의지역구분은인문적요인보다는자연적요인이인간생활에더욱큰영향을미치고있다. 따라서제주도의지역은통상해안지역 ( 해발 200m 미만 ), 중산간지역 ( 해발 200~600m), 그리고산간지역 ( 해발 600m 이상 ) 으로구분되어진다. 도서를제외한제주도전체면적중해안지역 은 54.3%, 중산간지역은 32.2%, 산간지역 은 13.5% 를차지하지만, 인구비중은해안지역이 98.5%, 중산간지역 1.5% 를점유하며산간지역에는정주인구가거의없다. 제주도인구의대부분이거주하는해안지역을 - 9 -
중심으로지역의특성을알아보면, 제주시해안지역은탐라국시대부터줄곧제주도의정치, 경제등모든부문의중심지역할을담당해왔다. 2010년말제주도전체면적의 13.8% 를차지하지만인구는 56.2% 를점하고있다. 서귀포시해안지역은한라산남쪽의중심도시이다. 제주도전체면적의 13.7% 를차지하고인구는 14.8% 를점하고있다. 대부분도시화된지역으로완만한인구증가추세를보이는데, 최근혁신도시개발로향후좀더많은외부인구가유입할것으로보인다. 동부해안지역은토질이척박하여농업생산성이낮은편이며해녀의해산물채취활동이활발하다. 제주도전체면적의 41.9% 를차지하지만인구는 13.9% 에불과하다. 대부분의주민이농업과어업을겸하고있으며, 인구가지속적으로감소하는추세이다. 서부해안지역은비교적토질이비옥하고고산들같은넓은농경지가발달하여농업생산성이상대적으로높은편이다. 제주도전체면적의 30.5% 를차지하지만인구는 14.9% 에불과하다. 최근에영어교육도시와신화역사공원이조성되면서이곳을중심으로인구유입이될것으로예상된다. 한편중산간지역은넓고평평한초원을토대로대규모목장과골프장이많이입지해있고, 산간지역은한라산국립공원및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지정구역과거의일치하며, 지형이험준할뿐아니라국립공원지역이라주민의거주가허용되지않는다. [ 그림 1.8] 제주도의지역구분 MEMO - 10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손희하외,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2010, 국토지리정보원, 725 쪽 손명철외, 한국지리지제주특별자치도, 2012, 국토지리정보원, 1~349 쪽 [ 논문 ] 신석하, 역사와문화 - 제주도의자연환경과역사, 문화, 1999, 제주국제대, 64~65 쪽 [ 인터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8192&cid=46617&categoryid=46617 제주특별자치도 http://www.jeju.go.kr/open/governmen/stats/population.htm 호남지방통계청 http://kostat.go.kr/office/hnro/rohn_nw/2/5/index.board?bmode=read&aseq=361622 행정안전부, 2017 행정자치통계연보 http://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 00000013&nttId=59465 [ 그림출처 ] [ 그림 1.1] 대한민국국가지도집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430.php [ 그림 1.2]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 [ 그림 1.3] 한겨례환경생테http://ecotopia.hani.co.kr/342194?_fr=mt0 [ 그림 1.4]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bontem/30162232914 [ 그림 1.5]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15470 [ 그림 1.6] 지리블로그 http://geoj.tistory.com/36 [ 그림 1.7] zum학습백과 http://study.zum.com/book/13587 [ 그림 1.8] 제주소리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64416-11 -
2. 제주도의형성과정 16 차혜진 17 양하정 1) 제주도의형성 제주도는동북동방향으로길쭉한타원의모양을가지며, 신생대제3기플라이오세말부터역사시대까지발생한화산분출에의해형성되었다. 그결과제주도의산계, 수계및지형은제주도를형성한화산활동과관련되어육지와다른독특한형태를갖게되었다. 제주화산섬이만들어지기전제주도일대는굳어지지않은점토와모래층 ( 미고결퇴적층 : U층 ) 이있던얕은바다였다. 약 180만년전바다속지하로부터약한지층을뚫고마그마가상승하면서물과격렬하게반응한수성화산활동이발생하여수많은응회환 2) 과응회구 3) [ 그림 2.1] 제주도의지질구조들이생겨났다. 이후오랜시간동안이화산체들이파도에깎이고, 해양퇴적물과함께섞이기를반복하면서서귀포층이형성되었다. 서귀포층퇴적이후, 원시제주도는해수면위로점점성장하였고, 이후 55만년이후부터는용암이분출하면서넓은용암대지들이만들어졌으며, 용암이겹겹이쌓이면서한라산을중심으로한방패형태의순상화산체가형성되었다. 현재와해수면이거의비슷해진최종빙하기이후부터제주의해안지역을중심으로수성화산활동이발생하여성산일출봉응회구와송악산응회환과같은수성화산체들이생겨났고, 약 1,000년전의화산활동을끝으로현재제주도의모습이갖춰지게되었다. 2) 분화구가대체로크고깊으며분화구주변의화산재층의높이가 100m 이내로낮고, 화산체의기저직경에대한비고 ( 比高 ) 의비율이 1/10~1/30 인화산체 3) 분화구가지면보다훨씬높은곳에위치하고화산재층의높이가 100m 이상이며, 화산체의기저직경에대한비고 ( 比高 ) 의비율이 1/9~1/11 인화산체 - 12 -
시기 형성내용 제 1분출기 ~1,800,000년이전 기저형성 제 2분출기 1,800,000년 ~ 600,000년전 원시제주도형성 제 3분출기 600,000년 ~ 400,000년전 해안저지대형성 제 4분출기 400,000년 ~ 25,000년전 한라산화산체형성 제 5분출기 25,000년 ~ 수천년전 기생화산형성 [ 표 2.1] 제주도형성시기 (1) 제1분출기 ( 약 180만년이전 ) - 기저형성이시기제주도는해수면위로나타나지않았다. 제주도의기반은서귀포층, 기저현무암, 시대미상의퇴적암층과화강암으로구성되어있다. 서귀포시남서해안절벽에서만소규모로노출되어있는서귀포퇴적층에서신생대제3기말플라이오세의것으로보이는동물화석이확인됨으로써, 그하부에있는기저현무암층은서귀포층퇴적이전의분출결과로볼수있다. 또한지하수개발을위한시추결과, 제주도곳곳의해수면아래에서동일한현무암층이확인되어, 제주도의기저를형성하고있음을알수있다. (2) 제2분출기 ( 약 180만년 ~ 60만년전 ) - 원시제주도형성이시기에서귀포퇴적암층에서분출한표선리현무암이최초로용암대지를형성하였다. 이때섬의높이는 10~100m 정도였다. 서귀포층이쌓일때제주도지층은매우불안정하여상하운동이일어났다. 그후화산활동은계속되어점성도가낮은현무암질용암이다량으로분출되었다. 이때화산분출형식은하와이식 4) 으로큰폭발이없었으며마치용천수서물이나오듯많은양의용암이섬의장축방향의주변여기저기서대량으로흘러나왔다. 분출의결과산방산에서서귀포를잇는해안선을중심으로원시제주도가형성되었다. (3) 제3분출기 ( 약 60만년 ~ 40만년전 ) - 해안저지대형성화산활동의힘이서서히약해지면서분출하는용암의양과성분도변하면서산방산, 범섬, 숲선, 문선등과같은윗부분이둥근용암돔을만든후화산활동은휴식단계에들어갔다. 얼마간의휴식이있은후다시화산활동이시작되었다. 이때분출한용암류들은점성이약해유동성이컸기때문에현재제주도대부분의해안테두리까지용암대지를형성할정도로넓게흘러갈수있었던것으로보인다. 또한같은이유로, 제주도중심부에서수십회의분출이이루어졌지만이시기의한라산체높이는약 950m 정도로, 높지않았던것으로추정되고있다. (4) 제 4 분출기 ( 약 40 만년 ~ 2 만 5000 년전 ) - 한라산화산체형성 시흥리현무암의분출로시작하여한라산조면암질안산암의분출이있었던시기이다. 초기에는동서 4) 가스폭발이나화산쇄설물의분출없이조용히용암만유출하는형태이다. 열하분출인경우현무암질이홍수처럼퍼져나가므로현무암질홍수분출이라고도한다. - 13 -
해안지대에넓게유출되었으나, 점차백록담을중심으로국한되어분출하였다. 용암대지형성단계에서는하와이식분화였던것이이단계에서는스트롬볼리식 5) 으로변하였다. 그결과용암뿐만아니라화산쇄설물도같이분출하였으며용암류는점성이커유동성이적은성질을가졌기때문에넓게퍼지지못하고분화구주변에쌓여현재의한라산과같은높이의약 1600m의한라산체를형성할수있었다. 더불어한라산정상위에화구를막으면서높이약 300m의종모양의용암돔을만들었다. (5) 제5분출기 ( 약 2만 5천년 ~ 수천년전사이 ) - 기생화산형성이시기에는한라산정상에서의분출을비롯하여한라산체의산록에서동시다발적인오름들의분화활동이일어난다. 한라산중심부에서는백록담현무암이한라산의조면암질정상을부수고북동면에분출하여현무암웅덩이를형성해현재의백록담분화구의모습을갖게된다. 동시에한라산체도처에서일어난화산활동으로 360여개이상의기생화산들을생성하여오늘날의제주도와유사한지형과지질을완성하게되었다. 제 1 분출기 - 기저형성 제 2 분출기 - 원시제주도형성 제 3 분출기 - 해안저지대형성 제 4 분출기 - 한라산화산체형성 제 5 분출기 - 기생화산형성 [ 그림 2.2] 제주도의형성과정 5) 용암의분출과약한폭발이연달아일어나용암에피각이생길사이가없는것으로지중해상의리파리섬의스트롬볼리화산에서비롯되었다. - 14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이문원 손인석, 제주도는어떻게만들어진섬일까, 1983, 도서출판춘광, 53~56쪽세계자연유산본부, 유네스코 3관왕책자, 2013, 세계자연유산본부, 8~11쪽세계자연유산본부, 자연유산해설사표준교재 - 1. 제주의지형및지질, 2013, 세계자연유산본부, 1~5쪽 [ 논문 ] 손인석, 제주화산도의암석층서및연대층서, 1997, 제주대학교대학원, 222~226쪽윤미영, 제주도제 4기서귀포층과신양리층에서산출되는연체동물화석의탄소및산소안정동위원소에의한고수온해석, 1998,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15쪽 [ 인터넷 ]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6435&cid=50316&categoryid=50316 광물자원용어사전 http://www.kores.net/ 돌하르방의미소, 제주도 EBS학습자료실 - 영상사회과부도 http://www.ebs.co.kr/tv/show?prodid=179&lectid=3011999 제주도세계지질공원 -용어해설집 http://geopark.jeju.go.kr/index.php?mid=kr0405 ZUM학습백과 http://study.zum.com/book/14762 [ 그림출처 ] [ 그림 2.1] 자연유산해설사표준교재 - 1. 제주의지형및지질, 2 쪽 [ 그림 2.2] 이문원 손인석, 제주도는어떻게만들어진섬일까, 1983, 도서출판춘광, 54 쪽 - 15 -
3. 구엄리돌염전 17 이소연 1) 개관 [ 그림 3.1] 구엄리돌염전 [ 그림 3.2] 구엄리돌염전위치 구엄리돌염전은제주공항에서서쪽으로약 15km 떨어진해안에있다. 공항로를따라가다가신제주입구에서우회전하여 800m를간후신광사거리에서한림 ~ 하귀방면으로우회전을해서 1132번일주서로를타고 9 km를간후가문동입구에서해안도로방면으로빠져나가애월로를따라 3 km 정도가면구엄리돌염전을볼수있다. 제주도는바다로둘러싸였으면서도소금이귀했다. 현무암기반의화산섬이기에소금밭을조성하기힘들었던것이다. 하지만조선명종 14년에강려목사가부임하면서구엄마을사람들은바닷물로햇볕을이용하여소금을제조하는방법을배워소금을생산하기시작하였으며이는곧그들의생업의터전이되었다. 평평하고넓은바위에찰흙으로둑을쌓아웅덩이를만들고, 그안에바닷물을부어햇빛과바람으로바닷물을증발시켜소금을얻었다. 마을사람들은돌위에서소금을만드는소금밭인구엄리돌염전을 소금빌레 6) 라고도불렀다. 소금밭은마을포구 ( 철무지개 ) 서쪽쉐머리코지에서구엄마을과중엄마을의경계지점인옷여까지의평평한암반지대이다. 소금밭의길이는해안을따라 300m정도이고제일넓은폭은 50m로서넓이는 4,845m( 약 1,500평 ) 에이른다. 해변바위는고저가들쭉날쭉하여평균수위를유지하기위해찰흙으로 15cm높이의경계둑을쌓았다. 구획이나눠진방을 물아찌는돌 ( 호갱이 ) 이라불렀다. 허벅으로퍼온바닷물을호갱이안에부어 7일정도햇빛으로졸이면명품소금이된다. 소금빌레는봄부터가을까지만소금을생산하고파도가센겨울에는작업을하지않았다. 마을사람들은소금빌레에서연간 2만8천800 근 (17t) 의소금을생산하여보리, 조, 콩등곡식과물물교환을했다고한다. 이곳에서생산된소금은색소등품질이뛰어나굵고넓적한천일염으로서소금한되는보리두되와맛바꿀정도였다고한다. 이러한소금밭은이마을주민들의생업의터전으로약 390여년동안삶의근간이되어왔으나점차의식구조의변천과생업수단의변화로 1950년대에이르러소금밭으로서의기능을잃게되었다. 현재구엄리돌염전은염전으로는이용하고있지않지만구엄리어촌체험마을에서방문객들을위해소금만들기체험을비롯한다채로운 6) 빌레 : 너럭바위 ( 반석 ( 盤石 )) 의제주방언 - 16 -
프로그램을마련해연중운영하고있다. 또돌염전에바닷물을모아계란을통해간물의염도를확인 하고햇볕에증발시켜소금을완성하는과정도체험할수있다. 2) 지형 구엄리 ~ 중엄리 ~ 신엄리일대해안은제4기초기에분출된신엄리현무암으로덮여있다. 신엄리현무암은암회색이고암석표면에서 4~5 cm 크기의장석결정이관찰되거나장석결정과함께어두운색깔의휘석결정이세립반정으로나타난다. 구엄리포구동측방파제부근에서는결정크기가약 2~7 mm 정도의장석반정이표면에서다량으로관찰되는현무암이분포하기도한다. 이지역은아아용암류 (aa lava) 7) 흐름의말단부에해당하는부분이다. 보통이런지역에서는표면의용암이굳어져깨진클링커 8) 가많이몰려있다. 하지만신엄리현무암이분포하는이지역중구엄포구가까운지역처럼클링커층이거의삭박되고평활한표면을이루는곳이있다. 반면구엄리포구부근의돌염전지역보다높은곳인상부는풍화삭박되지 [ 그림 3.3] 클링커층않은클링커층이 2m 정도로덮고있다. 3) 구엄리돌염전의제염과정 구엄리돌염전은염전조성과정이극히단순하면서도초보적이다. 조성과정에서는특별히많은노동력이나특수한시설이필요한것은아니나, 해수를가두어놓기위한암반내의둑막기가중요한작업중의하나이다. 작업순서를보면, 먼저염전으로이용할암반은먼저대빗자루로깨끗하게쓴다음, 누수방지를위해현무암표면의절리를따라진흙으로막는다. 암반바닥의구멍막기와함께, 여러번다져만든진흙으로암반위에둑을만든다. 둑막기도암반에나있는선을중심으로적당한크기로잘라서행해진다. 둑막기작업의종료는결국증발지의완성을의미한다. 이증발지를현지에서는 호갱이 라부른다. 여러개의증발지중에서 1~2개는제염의마지막단계에서이용되는 소금돌 이되는데, 가장매끈한암반으로선택한다. 소금을생산하려면, 먼저호갱이안에해수를채워야하므로우선바다와가까운증발지부터순서대로채우게된다. 이처럼구엄마을의경우는제염장소가해수면보다높은위치에있었기때문에, 허벅이나양동이를이용하여해수를퍼올리는노력이필요했다. 소금생산의원료인함수는호갱이에서 3단계의과정을걸친다. 첫번째는모든증발지에해수를떠넣어저농도의함수를만든다. 두번째는저농도의함수를몇개의증발지로모아계속적으로농 7) 아아용암 (aa lava) : 현무암또는안산암질용암의표면형태의하나 8) 클링커 (clinker) : 용암이흐르면서흐름체의상부나하부에서굳어진암석 - 17 -
도를높혀간다. 이때 6~10개의증발지의함수는 4~8개의분량이되며, 비어있는증발지에는다시새로운해수를부어놓는다. 한번이동된함수는점차농도가증가하여중농도의함수가된다. 세번째로는중농도의함수를다시 2~4개의증발지의양으로합치고계속증발시킨다. 이렇게 3단계를걸친함수는고농도의상태를띠게된다. 그후계란을띄워최종적인농도확인을하고좀팍과양동이에담아일시적인함수보관용기인혹으로운반한다. 함수는일조량이많은날에혹에서꺼내어소금돌 ( 매끈한암반 ) 에얹히고, 태양열로증발시킨후최종적으로소금결정체를얻는다. 이단계에서는고농도의함수를소금돌의크기에알맞게산정하는것이중요하다. 기상조건이좋으면계속적으로함수만들기가이루어지며, 고농도의함수가적당량이되면돌소금완성을위한함수의소금돌얹히기작업도병행된다. [ 그림 3.4] 구엄리돌염전소금생산과정 MEMO - 18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진명식외 8 인, 한국의지질노두 150 選, 20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2 쪽 [ 인터넷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je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eju&datatype=01&contents_id=gc00711653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27671&cid=51403&categoryid=5140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321&cid=51738&categoryid=51738 [ 그림출처 ] [ 그림 3.1]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321&cid=51738&categoryid=51738 [ 그림 3.2]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3.3]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321&categoryid=51738&cid=51738 [ 그림 3.4] 해녀박물관 http://www.haenyeo.go.kr - 19 -
4. 곽지해수욕장 ( 곽지과물해변 ) 15 김영선 1) 개관 그림 4.1 곽지해수욕장위치 그림 4.2 곽지해수욕장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애월읍곽지리에있는해수욕장으로, 길이약 350m, 폭 70m의백사장과평균수심 1.5m의비교적좋은조건을갖추었다. 이러한조건때문에청소년수련장이설치되고단체피서객이많이찾는다. 제주시내에서약 10km 떨어져있으며, 왼쪽으로협재해수욕장이, 오른쪽으로는이호테우해수욕장이위치한다. 해안이북쪽을향하고있어파도도그리높지않다. 물이빠지면해수욕장에서차가운용천수가솟아난다. 돌담으로둘러싸인이샘물은몸을씻는것은물론식수로도이용된다. 곽지리는선사시대의패총이발견되었을정도로유서깊은마을이다. 선사시대의패총이발견되기도한이곳은현무암종류의패사층이퇴적된곳으로, 지금도대합등의조개가많이서식하고있다. 물놀이와겸하여조개류도잡는여유를즐길수있다. 또유난히물이맑고, 제트스키를탈수있는곳이기도하다. 해수욕장과함께인근의월명사를돌아보거나한담휴게소에서한림교까지연결된해안도로를따라드라이브를하면현무암조각들과절묘한생김새의화산절벽을볼수있다. 각종편의시설은불편함없이갖추어져있고소나무숲에서야영도할수있다. 제주시에서일주도로인 12번국도를따라약 9km 가면애월읍에도착하고, 다시 1km 가량가면곽지리가나온다. 해수욕장의안내판이보이면우회전한다. 제주시내에서이곳까지는시외버스로약 50분걸리고서귀포시에서는 2시간남짓걸린다. - 20 -
2) 과물 과물이란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애월읍곽지리에있는용천수를일컫는말로한라산에서흘러내리기시작한물이땅속으로스며들어 100리를내려와곽오름을배경으로바닷가에서솟는달콤한감수라는뜻으로제주어로는돈물이라한다. 곽지해변에위치해있으며해안가의다른용천수처럼한곳에서집중적으로용출하지그림 4.3 곽지해수욕장과물않고여러곳에서힘찬물줄기를뿜어내고있다. 과물은물량이풍부하여상수도가보급되기전마을주민들이생명수로뿐만아니라축산용등다양한용도로사용되었다. 지금은식수원으로는거의쓰이지않고주로피서객들이해수욕후몸을씻는데주로이용되고있다. 우리나라 3대다우지중하나인제주도는둘째가라면서러울정도로많은비가내리지만먹을물은매우귀한편이다. 지표와지하대부분이현무암으로이루어져물이고이지않는데다, 제주사람들이 숨골 이라고부르는크고작은굴이많아비가오면물이땅밑으로스며들어숨골을통하여흐르다가바닷가에이르러서야겨우솟아나는형편이다. 제주에는한라산을중심으로해변에이르기까지약 550여개의자연마을이형성되었는데, 이들마을은세형태로나눌수있다. 해발 300m 이상의준평원지대에있는산촌, 해발 300m에서 100m 사이의구릉평야지대의중산간촌, 그리고해발 100m 이하의해안가어촌마을이다. 산촌에서는반농반목의생활을, 그림 4.4 곽지해수욕장과물노천탕중산간촌에서는농업위주의생활을, 어촌에서는어업이나반농반어의생활을했다. 어촌에서는질좋은용천수가솟아나는해안가에주로마을이생겨났고, 산촌이나중산간촌에서는드물게땅에서솟는용천수나빗물을고이게하여사용하는봉천수에먹을물을의존하는형편이었다. 그러다보니제주에는예로부터물을아끼기위한지혜가발달되었다. 산촌이나중산간촌에서는비가올때지붕위에서처마를통하여흘러내리는물을받아먹었으며, 나무를타고흐르는물을받기위해줄기둘레에띠를묶어밑으로물이흘러내리도록줄을만들고항아리를받쳐두기도했다. 나무줄기를타고흘러내리는것을받은물을 받은물, 물받는항아리를 통 이라고한다. - 21 -
또한어촌에서는용천수가솟아나는우물을 물통 이라고부르는데, 물통역시물을아끼기위한 3 단계의구조로되어있다. 물통의첫부분은식수로이용하고, 그다음흘러나온물에는야채를씻고, 거기서흘러나온세번째단계의물로는빨래를하였던것이다. 과물주변에는돌담을둘러외부와경계를지어놓았으며, 돌담안쪽의용천수가솟아나는부분에는지붕을덮어보호하고있다. 우물물은수로형식의물통을거쳐바다로빠져나가도록돼있는데, 위쪽수로에서는채소를씻고, 중간에서는목욕을하거나몸을씻고, 맨아래에서는빨래를한다. 과물은큰바위틈에서솟아나는물이내처럼흐를정도로많고또맑아서수도가보급되기전까지곽지마을은물론중산간마을인납읍리사람들까지도이용했다고한다. 이처럼제주의어촌은물과밀접한위치에있어, 물이름이그대로마을이름이되는경우가많았으며, 사람들이마을을떠나자솟아나던물이갑자기멈추어버렸다거나, 다시사람들이모여마을을이루자물이솟아흘렀다는전설또한흔하다. MEMO - 22 -
[ 참고문헌 ] [ 단행본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11- 한려수도와제주도, 2008, 돌베개, 75 쪽 [ 인터넷 ] 비짓제주 - 제주공식관광정보포털 http://www.visitjeju.net/index.jto 대한민국구석구석 -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225&cid=42840&categoryid=42855 [ 그림출처 ] [ 그림 4.1]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7870 [ 그림 4.2]~[ 그림 4.3]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theme/recom_content/cms_view_318534.jsp [ 그림 4.4] 다음블로그 http://blog.daum.net/jejutourmaker/2444-23 -
5. 제주도의오름 15 오승우 1) 오름개관 오름은전문용어로측화산 (lateral volcano) 을의미하며, 한라산산록에서해안에이르기까지주로일윤회성주기의분화활동에의해형성된단성화산을의미한다. 이것은거대한방패모양의순상화산이나, 화산분출물이겹겹이쌓인원추모양의성층화산처럼대규모의주화산이형성될때, 그산록의지각의틈을따라용암이분출되거나폭발식분화에의해서형성되는것이다. 화산의분출로형성된분화구는지하심부의마그마가어떤요인에의해지상으로분출하는화도가있는화구로서화산가스, 용암, 화산쇄설물을배출하여화산회, 화산암, 수중화산쇄설물과퇴적층으로지상에다양한형태로나타난다. 제주도에서오름을상징하는본래의모습인분석구 (scoria cone 또는 cinder cone) 는제주도의오름의대표적인형태로볼수있다. 마그마가물과의접촉에의해서만들어지는수성화산체는그분출양식및조건에따라응회구 (tuff cone) 나응회환 (tuff ring) 의형태로나타난다. 오름이라는용어는제주지역에만남아있는옛말로악 ( 岳 ) 이나봉 ( 峰 ) 을뜻하는말로쓰인다. 제주도에서오름을한자로표기할때 岳 으로써오다가 19세기말부터 峰 으로대체한것으로보인다. 현재는악보다봉이우세한빈도로사용되고있다. 따라서오름이름으로쓰이는악과봉은거의같은뜻으로사용되고있다. 또한오름외에도山을뜻하는고유어뫼를쓴흔적도확인되는데뫼의제주방언으로메를사용한예로성산읍수산봉을 물메, 안덕면군산을 군메 라부르기도한다. 2) 오름의분포 제주도에분포하고있는오름은총 368개로보고되고있는데이들중에는말굽형화구가 174개 (47%) 로가장많고, 원추형화산체가 102개 (27.7%), 원형화구를갖는화산체가 53개 (14.4%), 복합형화산체가 39개 (10.6%) 로나타난다. 화구호가확인된오름은제주시봉개동의물장오리, 해안동의어승생악, 삼양동의원당봉, 한림읍의금오름, 세미소, 조천읍의물찻 ( 검은오름 ), 서귀포시남원읍의사라오름, 물영아리, 동수악등이다. 지역별로분포를살펴보면제주시에 210개 ( 동지역 59개, 한림읍지역 16개애월읍지역 50개, 구좌읍지역 40개, 조천읍지역 30개, 한경면지역 13개, 우도면지역 2개 ) 가분포되어있고, 서귀포시에 158개 ( 동지역 37개, 대정읍지역 8개, 남원읍지역 29개, 성산읍지역 22개, 안덕면지역 31개, 표선면지역 31개 ) 가분포되어있다. 표고별분포를살펴보면해발 200m 이하의해안지역에는 143개 ( 제주시66 개, 서귀포시 77 개 ) 가분포되어있고, 해발 200m~600m 이하의중산간지역에는 149개 ( 제주시94 개, 서귀포시 55개 ) 가분포되어있다. 해발 600m~한라산국립공원사이지역에는 30개 ( 제주시 18개, 서귀포시 12 개 ) 가분포되어있고, 한라산국립공원내에는 46개 ( 제주시 32개, 서귀포시14개 ) 분포되어있다. - 24 -
[ 그림 5.1] 제주도오름분포 2) 제주도오름의지형적특성 ( 형성과정 ) 제주도의오름은대부분화산쇄설구 (pyroclastic cone) 에속한다. 화산쇄설구는폭발식분화에의해화구위로방출된화산쇄설물이화구주변에떨어져쌓임으로써형성되는원추형화산체이다. 화산쇄설구는분화양식과구성물질에따라스코리아콘 (scoria cone 또는 cinder cone), 하이드로볼케이노 (hydrovolcano), 용암원정구 (lava dome) 로분류된다. (1) 스코리아콘제주도의오름의일반적인유형은스코리아콘이다.( 그림 5.2) 스코리아콘의구성물질은현무암질마그마기원의다공질화산쇄설물인스코리아로서, 제주도에서는 송이 라고부른다. 스코리아콘은소규모의폭발식분화인스트롬볼리식분화 9) 에의해형성되는가장기본적인퇴적성화산지형이다. 지속적인분화활동으로스코리아콘이성장하여사면의경사가커지면화산체위에떨어진스코리아가그자리에멈추지못하고사면아래로굴러떨어진다. 이러한과정을통하여화산체가형성되므로스코리아콘의사면은애추의양상을띠게되며 30 에가까운급경사의직선사면을지닌원추형을이룬다. 이러한스코리아콘의모식적인형태는다랑쉬오름에서볼수있다. 그러나모든스코리아콘에서화구가출현되는것은아니며, 제주도에서는화구가없는스코리아콘이일반적이다. 이러한현상은화산체가형성된이후에시작되는침식작용으로화구주변이제거되기때문이다. 한편말굽형으로분류되는스코리아콘은모식적인스코리아콘과다른형태를띠고있으며화산체의평면형태가말굽이나 U자와유사하며스코리아콘이형성된직후에미고결상태의화산체를일부파괴하면서다시용암류가분출하기때문에출현하게된다. 분출시무너져내린스코리아는용암류에실려흘러가며유동궤적을따라구릉모양의미지형을만든다. 따라서말굽형스코리아콘의전면에출현하는소규모의퇴적지형을스코리아래프트 (scoria raft) 라고하며둔지봉에서많이볼수있다. 9) 스트롬볼리식분화는현무암질또는안산암질로된유동성이풍부한마그마가수십초에서수십분간격으로작은폭발을일으키면서화구에서분출하는분화이다. 분출한마그마는물보라나방추상, 소똥모양의화산탄으로낙하한다. 화구주위에는분출물이겹쳐쌓여원뿔모양의화쇄구가생성된다. - 25 -
[ 그림 5.2] 모식적스코리아콘 ( 다랑쉬오름 ) [ 그림 5.3] 말굽형스코리아콘 ( 부대오름 ) (2) 하이드로볼케이노하이드로볼케이노 (hydrovolcano) 는스코리아콘과는외형이다를뿐아니라구성물질과구조에서현저한차이를보이는화산체로서마그마의분출에외부의물의영향을미치는수인성화산작용에의해형성되는화산체이다. 일반적으로스트롬볼리식분화를일으키는비폭발적인현무암질마그마도지표수나지하수와접촉하게되면분화양식이달라진다. 상호작용하는마그마와물의비율에따라분화양식은매우다양하게나타나는데가장일반적인양식은수증기마그마폭발로서고온의마그마에접한물이다량으로기화하면서압력이증대되어폭발적인분화를일으키게된다. 수증기마그마폭발이일어나면폭발력이증대로인해화산쇄설물에는미립질이많아지며특히화쇄난류 10) 가화구로부터사방으로발생하므로기저직경이큰반면에비고가작은화산체가형성된다. 제주도에서는일출봉과우도의쇠머리오름이응회구에해당되며, 응회환은수월봉, 송악산, 용머리가해당된다. (3) 용암원정구용암원정구 (lava dome) 는점성이큰용암이화구에서밀려올라오면유동성이작으므로빨리흐르지못하고화구주변에서다소퍼지면서생긴도움형의화산체로종상화산으로불리는유형이다 ( 그림 5.5) 용암원정구는양파와같은동심구각상의내부구조를지니고있는데이것은먼저나온용암이뒤이어나온용암으로인하여얇게늘어나면서바깥쪽으로밀려나가기때문이다. 제주도의대표적인용암원정구로는산방산과한라산정상의백록담서벽을들수있는데산방산은모식적인용암원정구로서형태상의특징을잘나타난다. 산방산의정상부는절리가발달한비교적평탄면인데비하여기저부는직선상의애추 11) 사면, 산록부에는급경사의볼록사면으로이루어져있다. 10) 폭발적인화산분출에의해형성되어지면을따라빠르게흘러가는저농도의화산기원중력류 11) 가파른낭떠러지밑이나경사진산허리에풍화작용으로떨어져서고깔모양으로쌓인흙모래나돌부스러기. - 26 -
[ 그림 5.4] 응회구 ( 성산일출봉 ) [ 그림 5.5] 용암원정구 ( 산방산 ) (4) 이중화산한개의화산체로이루어진화산을단식화산이라고한다. 단식화산은화산체의크기와무관하므로복성화산일수도있고또는단성화산의경우도있다. 복수의화산체로이루는화산을복식화산이라고하는데, 구성하는화산체의수에의하여이중화산또는삼중화산으로구분할수있다. 제주도에는단성화산으로이루어진이중화산이다수분포하고있다. 대표적인이중화산으로는송악산, 당산봉, 두산봉, 쇠머리오름, 하논을들수있는데, 대부분하이드로볼케이노의화구안에소형의스코리아콘이출현하는공통점을지니고있다. 이러한단성의복식화산은분화활동의초기에는지하수나지표수와의접촉을통한수증기마그마폭발이발생하여응회구나응회환이형성된다. 그러나분화활동이지속되면서지하수가고갈되거나또는화구주변에화구륜이형성되어외부로부터화구안쪽으로유입하는지표수가차단되면마그마와물의접촉이일어나지않게된다. 따라서현무암질마그마특유의소폭발적인스트롬볼리식분화가발생하면서스코리아콘이형성된다. 쇠머리오름의망동산이나하논의보롬이오름등이후기의스트롬볼리식분화에의해출현한스코리아콘에해당한다. MEMO - 27 -
[ 참고문헌 ] [ 논문 ] 김유철 오름지질체험학습을통한초등학생의환경에대한인식변화 = Effects of the Oreum Geological Experience Learning on the Perceptional Change f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10,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 초등과학교육, 8쪽고성원 제주도오름의훼손실태에따른관리, 보전방안연구, 2007,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10~16쪽 [ 인터넷 ] 제주의기생화산, 오름 작성자교육부 http://blog.naver.com/moeblog/220474148965 [ 그림출처 ] [ 그림 5.1] 제주특별자치도자연환경생태정보시스템 http://nature.jeju.go.kr/ecology/nature_map.asp?code1=a02&code2=01 [ 그림 5.2] 제주도홈페이지 (VISIT JEJU)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 [ 그림 5.3] 제주도홈페이지 (VISIT JEJU) http://www.visitjeju.net/ko/search/searchresult.jto [ 그림 5.4] 제주도홈페이지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t_000000000500349 [ 그림 5.5] 제주도홈페이지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 - 28 -
6. 송악산 16 문혜경 1) 개관 송악산은제주도의남서쪽인서귀포시대정읍송악관광로 421-1에위치한해발고도 104m의오름이다. 이곳에서는우리나라최남단마라도와최고 ( 最高 ) 의한라산도한눈에볼수있어제주도전체경관을느낄수있다. 또한송악산은산과바다가공존하여가장 제주스러움 을느낄수있는곳으로, 빼어난경관덕분에대장금, 올인, 시크릿가든등유명드라마촬영지로이용되기도하였다. 송악산 ( 松岳山 ) 이라는오름의이름은두가지정도의유래를가진다. 첫번째는제주도방언으로기생화산을주로이루는화산쇄설물스 [ 그림 6.1] 송악산의위치코리아를 송이 라고부르는데, 송악산에유난히송이가많아서 송오름 또는 송악산 이라고부른다는것이다. 두번째는해송 ( 海松 ) 이많은오름이기때문에소나무송 ( 松 ) 자를사용하여송악산이라고부른다는것이다. 이름이붙여질당시에는소나무가많았지만현재는거의식생을찾아볼수없는지역이다. 제주도사람들은송악산을 절울이오름 이라부르기도한다. 해안절벽에부딪히는파도소리가귓전을때리는울음소리와비슷하다고하여붙여진이름인데, 물결을뜻하는 절 과운다는뜻의 울 을합하여 절울 이라부르는것이다. 송악산은다른화산들과는달리여러개의크고작은봉우리들이모여이루어진형태이다. 104m의비교적낮은주봉을중심으로하여넓고평평한초원지대와 3~4개의봉우리가있다. 주봉에는둘레 500m, 깊이 80m 정도의분화구가있는데내부에는붉은색의스코리아가가득차있다. 초기에는검은색이었으나지열에의해지속적으로산화되면서붉은색을띠게되었다. 그리고바닷가해안절벽에는일제강점기때일본군이뚫어놓은인공동굴이있어지난날의아픈역사를보여주는역사적공간으로서의의미를가지기도한다. 현재송악산은제주올레길 10코스중한사이트로, 최근몇년간의관광객증가로인한송악산정상부훼손으로 2020년 7월까지자연휴식년제에돌입한상태이다. 그래서현재송악산의정상부까지의등산은금지되어있고둘레길을이용한가벼운트래킹은지속적으로즐길수있다고한다. 2) 수성화산과응회환 마그마나용암이물과만나면마그마는급히식고물은끓게된다. 이냉각 가열반응은매우격렬 하여수증기를다량함유한큰폭발을일으키게되는데이를 수증기 - 마그마성분출 혹은 수성화산 - 29 -
활동 이라고한다. 이때고온의마그마나용암이차가운물을만나면작은반투명유리조각알갱이가되어깨진다. 이는뜨거운유리컵을찬물에넣으면컵이깨지는현상과동일하다. 그리고작은알갱이, 수증기로혼합된분출은화산쇄설물을멀리까지운반하여퇴적되게한다. 이과정을거쳐형성된오름을응회구또는응회환이라고하는데성산일출봉처럼높이가수백 m에해당하는것을응회구, 수십 m의높이는응회환이라고한다. 송악산은응회환에해당한다. 또이분출에의해형성된응회암은수증기를흡수하여안정화되면서부피가증가하기때문에짧은시간에도쉽게단단한암석이된다. 3) 송악산의지형 [ 그림 6.2] 송악산 [ 그림 6.3] 송악산분화구송악산은하부로부터응회암- 분석 12) 층-조면현무암 -분화구의순서로구성된이중분화구이다. 즉해안절벽을이루는화산체와내부의분화구를이루는정상부가서로다른환경에서형성된것이다. 또한그림 4에서볼수있듯이정상을중심으로서쪽은넓고완만한초원지대지만동쪽은깊은분화구가급경사를이루고있다. [ 그림 6.4] 송악산단면도송악산은 1차적으로뜨거운마그마가차가운해수와접촉하면서분출한화산재가화도 ( 火道 ) 13) 주위에쌓여응회환이된것이다. 이후이응회환이점차성장하면서마그마와물이접촉할수없게되자둘레약 1.7km, 직경약 500m의거대한규모로수성화산활동이종단된다. 하지만마그마는지속적으로분출되면서용암가스가상부에농집 ( 濃集 ) 되어폭발하게되고, 이때막대한양의화산쇄설물이뿜어져나와쌓이면서응회환내부에형태가다른분화구가생겨나게된다. 12) 화산분출시반고체상으로분출된것이대기중에서굳어진것. 화산쇄설물의일종. 13) 마그마나화산분출물이지표로나올때, 마그마의이동통로. - 30 -
바닷가에서두차례의화산폭발로형성된송악산은엄청난양의화산쇄설물을뿜어냈다. 분출된화산쇄설물은주변의육지와바다에쌓여응회암퇴적층을형성하였다. 이후이퇴적층, 즉응회환화산재층은오랫동안해풍및파도에침식을받아깎여나가면서절벽의형태를이루게된다. 이해안절벽은송악산전망대에서내려다보면거의직벽 14) 에가까운모습이라고한다. 4) 송악산과일제강점기 [ 그림 6.5] 송악산일오동굴 송악산은제주도에서일제의수탈이가장악랄했던곳으로한국최대의일제군사유적지로일컬어질정도이다. 그증거가바로송악산해안절벽에남아있다. 해안절벽에는동굴이여러개뚫려있는데자연적으로형성된것이아니라제2차세계대전중일본군이판인공동굴이다. 모두 15개가있다하여일오동굴이라불린다. 일제가연합군의일본본토상륙을저지하기위해제주도를요새화하면서자살공격용어뢰정을숨겨둘목적으로만들었다고한다. 뿐만아니라도로변에연합군의공습에대비하여파놓은방공호가있고동쪽해안에해군특공기지가설치되는등송악산곳곳에서삶의터전이일제에빼앗긴흔적들을볼수있다. MEMO 14) 수직에가까운암벽 - 31 -
[ 참고문헌 ] [ 단행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지질여행, 2013, 제주발전연구원, 127~140 쪽 이우평, 지리교사이우평의한국지형산책 2, 2007, 푸른숲, 242~248 쪽 [ 논문 ] 김원복, 아시아 태평양전쟁말기제주도에구축된일본군진지에관한연구 : 모슬포지역을중심으 로, 2009, 한신대학교대학원석사, 7 쪽 [ 인터넷 ] 네이버지식백과 답사여행의길라잡이 : 한려수도와제주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238&cid=42840&categoryid=42855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korean.visitkorea.or.kr/ 비짓제주 http://www.visitjeju.net/ko/index.jto [ 그림 6.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6.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지질여행, 2013, 제주발전연구원, 127쪽 [ 그림 6.3] 윤우석, 제주도송악산응회환의분출및퇴적환경, 2014, 제주대학교대학원석사, 7쪽 [ 그림 6.4] 네이버블로그 권동희의사진지리여행 http://blog.naver.com/kwontor55 [ 그림 6.5] 네이버지식백과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1463&cid=40942&categoryid=33142-32 -
7. 물영아리오름 17 서자영 1) 개관 [ 그림 7.1] 물영아리오름 [ 그림 7.2] 물영아리오름위치 물영아리오름은보편적으로는수령산 ( 水靈山 ) 이나수령악으로알려져있으며산정에화구호를가진흔하지않은오름이다. 서귀포시남원읍수망리에위치하며이는동부중간산지대의표고 350~400m 완만한평지지점에위치한것이다. 이일대는제주도에서가장높은밀도로오름이분포하는곳이다. 물영아리오름은총면적 717,013 m2, 비고 128m, 둘레4,339m 의스코리아콘이다. 정상에는직경 230~250m, 깊이 13~41m 의원형에가까운화구가발달해있다. 화구에는물이고여습지를이루고있다. 제주도의다른오름과달리, 화구에습지가형성되어있으며지역접근성이떨어지는덕분에다양한습지동식물이서식하고있다. 이에 2007년우리나라에서는 5번째, 세계적으로는 1,648번째람사르조약습지로등록되었다. (1) 이름의유래비가많이오면오름정상화구에물이고이기때문에 물이있는영아리 라는데서유래했다는이야기와오름정상에분화구가있어늘물이잔잔하게고여있다는데서유래한것이라는이야기가있다. 보편적으로는 산정상의화구호에물이있는신성한산 을뜻한다고전한다. 영아리 의의미는확실하지않으나 영 은예로부터이오름의산신이노하면분화구일대가안개에휩싸이고천둥번개와폭우가쏟아진다는이야기가있는것을바탕으로신령과관계된다는것의민간어원적인해석으로보인다. 아리 는 산 을뜻한다. - 33 -
(2) 지형과형성작용물영아리오름은스트롬볼리식분출에의해생겨났다. 스트롬볼리식분출은현무암질의클링커 15) 를지닌아아용암 16) 이분출하며, 폭발성분출을하기때문에암석재질의쇄설물의비율이높다. 분출의특징이주기적인것도있지만, 거의연속적으로분출되어용암의피각이형성될틈이없을정도로분출이일어나는경우가많다. 화산체는용암류와화산쇄설물이교대로퇴적되어형성되었다. 스트롬볼리식분출에의해형성되는가장기본적인퇴적성화산지형이스코리아콘이다. 물영아리오름화산체또한전체적으로스코리아콘의원추형을이루고있다. 스코리아콘의사면은애추의특징을지닌다. 따라서 30 에가까운급경사의직선사면을지닌원추형을이룬다. 스코리아콘의기저부완경화된부분은은용암류에의해사면이매몰되는경우와사면물질이침식과매스무브먼트 17) 가오랜시간일어난결과이다. 물영아리오름은남사면을제외하면용암류가화산체기저부밖으로돌출하고있어복잡한형태를보인다. 전사면에걸쳐서는 20~30 에이르는급경사구역, 기저부의완경사면이존재하는것으로이는전형적인스트롬볼리식분출화산의스코리아콘애추사면, 퇴적과풍화의결과를보여주는것이다. 물영아리오름의특이한특징으로남사면과서사면에는암석의빠른이동에의해형성되는와지지형이보이고, 남사면등산로우측에발달한와지는하곡의형태를보인다. 그러나바닥에서유수의흔적은관찰되지않으며, 곡지형도사면아래쪽까지연결되지는않다는점이다. 특히사면하부로부터용암류가흘러나가지않은북사면과남사면에서이런특징은더욱뚜렷하다. [ 그림 7.3] 스트롬볼리아식분출 [ 그림 7.4] 스코리아콘형성과정 15) 일반적으로각종무기성분으로이루어진타서굳은덩어리. 16) 하와이의토착어에서유래하는현무암질용암류의한형태. 용암의표면은거칠고작은가시들이돋친것처럼요철 ( 凹凸 ) 형에가깝다. 17) 유수, 바람, 빙하등과같은운반매개체의개입없이중력작용에의해물질이사면의지구중심, 즉낮은사면을따라이동하는과정. - 34 -
2) 물영아리오름습지 (1) 형성및지형물영아리오름의분화구사면이풍화작용과침식물의이동에의해완경사화과정을겪는과정에서생겨난세립질물질이화구저로유입되거나토층이발달해투수성이낮아져화구호가출현했다. 직경 230~250m, 깊이 13~41m, 바닥면적 0.56ha의원형에가까운화구가발달해있으며, 화구저에는지하에서의공급이아닌오직빗물이나수증기등이고여습지를이루고있다. 산정상에위치하여폐쇄된수문조건을갖추고있는반면주변의산림과생태적으로연결되어있다는것이지형적특징이다. 물영아리오름의단면도를보면집수에유리한형태의분화구모습을가지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남-북방향의분화구단면형은대칭적이며가장높은북쪽화구륜의해발고도는 496m이다. 반면에남서-북동방향은비대 [ 그림 7.5] 물영아리습지칭적인단면형으로남서쪽화구륜에해발고도 508m 의최고지점이위치하며동쪽화구륜에가장낮은 480m 지점이위치한다. 공중으로방출된화산쇄설물이바람의지사면에많이떨어져쌓이기때문에비대칭적인모습을만들게된것이다. 이곳에형성된습지는제주도에산재하는분화구습지의대표적인성격을갖고있다. (2) 람사르습지습지는다양하게정의되며일반적으로습지에대한개념을말할때는영구적으로또는계절적으로습윤상태를유지하고있고, 특별히적응된식생이서식하고있는곳이며, 육지특성을지닌건륙생태계와수새애계사이의일종의전이지대로종다양도가높은생태계를뜻한다. 물영아리오름의정상부에위치한화구호라는특징으로 2000년 12월환경부고시제2000-141 호에의해습지보호지역으로지정되었다. 그전부터물영아리오름습지는인간이간섭으로부터격리되어화구습지의원형을간직할수있었다. 또한하천이나지하수등외부에서는물이유입되지않고, 오직비가내려야만물이공급되는환경인데도항상물이고여있어다양한온대산지습지의모습을보존하고있어가치가뛰어났다. 이와같은가치를인정받아 2000년 12월습지보전법에따라습지보호지역으로지정되었다. 또 2007년에는생 [ 그림 7.6] 우리나라람사르습지태의우수성을국제적으로인정받아우리나라에서 5번째 - 35 -
이며, 세계에서 1648번째로국제습지조약에따른습지보호구역, 이른바람사조약습지로정식등록되었다. 람사조약습지는독특한생물지리학적특성을지닌곳이나동식물희귀종서식지또는물새서식지로서중요한습지를대상으로지정된다. 람사르협약습지분류체계를적용하여물영아리오름습지를분류하면내륙습지인습원성습지, 영속적습지, 습생식물습지, 이탄지및소택지에해당된다. 가치를국제적으로인정받은이후고시제2007-1 호를통해습지보전법제15조의규정에의하여물영아리오름습지보호지역에대한출입금지를 2007년 7월 20일부터해제함에따라탐방객들이늘고있다. (3) 식생및가치물영아리오름습지보호지역은대부분스코리아를모재로발달한토양이발달한다. 습지퇴적층은미사와점토로구성되어있으며, 유기물함량이높다. 그렇기때문에분화구습지내에서무수한동식물이살고있다. 야생동물은총 202종이서식하고있거나도래하고있으며, 물영아리오름습지에서확인된멸종위기야생동식물은으름난초 백운란 팔색조 삼광조 말똥가리, 애기뿔소똥구리, 물장군, 맹꽁이등이있다. 삼림식생은내에는금새우난과새우난, 덩굴용담등보전가치가높은종이많다. 오름내의습지식물군락은동심원상으로분포하고있다. 분화구내부의수분구배를명료하게보여주는동심원상의식생분포는자연식생으로서의가치가높아일찍부터주목을받았다. [ 그림 7.7] 애기뿔소똥구리 ( 제주 ) 물영아리오름습지의식생단면을살펴보면북동-남서방향의측선에서는양옆의임연식생으로상산군락이분포하고, 그안쪽으로고마리, 송이고랭이 -보풀, 송이고랭이, 마름군락이습지의중심부를향해분포하고있다. 대체로식물은 82과, 198속, 304분류군이확인된다. 이러한자연환경이보존될수있는이유는지역에대한접근성이떨어졌기때문이다. 넓은숲과다양한자연환경덕분에영화늑대소년을촬영하기도했다. MEMO - 36 -
[ 참고문헌 ] [ 논문 ] 김태호, 2009, 제주도산지습지의지형특성 -1100고지습지와물영아리오름습지를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40-41쪽국립환경과학원,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 물영아리오름 화엄늪, 2008, 환경부국립과학원, 12~28쪽차우성, 제주도물영아리오름습지의분포범위및심도파악을위한 3차원전기비저항탐사, 2009, 부경대학교, 12-23쪽환경부, 습지를찾아서 : 한국의람사르습지와습지보호지역안내서, 2008, 환경부, 31~35쪽 [ 인터넷 ] 대한민국구석구석, 물영아리오름,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2433925 국가환경교육센터, 물영아리오름 http://www.keep.go.kr/portal/board/view.act?boardid=envplacement&atclnum=35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물영아리오름습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107&cid=46617&categoryid=46617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지명 물영아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3531&cid=43740&categoryid=44174 [ 그림출처 ] [ 그림 7.1] 한국학중앙연구회 물영아리오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6391&cid=51954&categoryid=55491 [ 그림 7.2] 구글지도 maps.google.com/ [ 그림 7.3] 자연지리학사전, 화산의분출유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6759&cid=42455&categoryid=42455 [ 그림 7.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s://mgeo.kigam.re.kr/geoinfo/volcanic_geomorph/report/ch_8_3.html [ 그림 7.5] 두산백과, 물영아리오름습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57866&cid=40942&categoryid=33692 [ 그림 7.6] 습지를찾아서 : 한국의람사르습지와습지보호지역안내서캡쳐 [ 그림 7.7] 두산백과, 애기뿔소똥구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60488&cid=40942&categoryid=32520-37 -
8. 거문오름 1) 개관 17 김성주제주도동북부의제주시조천읍선흘리에위치하고있다. 거문오름의명칭은분화구내울창한산림지대가검고음산한기운을띠는데서유래되었으며, ' 신령스러운산 ' 이라는뜻을포함하고있다. 예로부터방하오름이라불렸으며방하악 ( 防下岳 ) 으로표기하였다. 오름의거멀창과수직굴일대의형세가방하또는방아와같다는데서붙인것이다. 동쪽에있는동검은오름과대비 [ 그림 8.1] 거문오름위치하여 서검은오름, 서검은이오름 이라 고도불리다가세계자연유산으로등재되면서거문오름으로불리게되었다. 거문오름은분화구에는깊게패인화구가있고그안에작은봉우리가솟아있으며한쪽이터진말발굽형화산체모양을하고있으며, 스트롬볼리안분출 (strombolian eruption) 에의해형성된거문오름분석구 (scoria cone) 로해발고도가 456 m이며능선길이는 4.5 km, 바닥지름이 1 km 이상인거대한화산체이다. 제주도동북사면해발 400m에위치한거문오름은주변에수많은동굴들이집중분포하는곳이며, 이화산체로부터흘러나온용암류가지형경사를따라북동쪽의방향으로해안선까지도달하면서 20여개의동굴 ( 김녕굴및만장굴등 ) 을포함하는용암동굴구조를완성시킨근원지로매우중요한의미를가진다. 주변에발달된용암동굴의규모와연장길이동굴생성물등은세계적인수준으로확인된바있다. 학술적 자연유산적가치가높아 2007년 6월 ' 제주화산섬과용암동굴 ' 에포함되어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으로지정되었고제주도의오름중유일하게세계자연유산으로등록되었다. 또한 2009년환경부선정생태관광 20선, 2010년한국형생태관광 10모델에뽑힌바있다. 거문오름은제주에서가장긴용암협곡을지니고있고오름이생성될당시흘러나온용암이경사지형을따라흘러내리면서용암동굴이생성되었다고여겨져만장굴, 김녕굴, 당처물동굴은규모와생성물이생태학적으로세계적인수준으로꼽는다. 제주도세계유산본부와거문오름국제트레킹위원회에서세계자연유산등재를기념해세계자연유산제주의브랜드가치를널리알리기위해 2007년부터매년 ' 거문오름국제트래킹 ' 을열고있다. 해발 456미터 ( 둘레 4,551미터 ) 로탐방로의코스는역사유적지를볼수있는분화구코스 ( 약 5.5Km-2 시간 30분 ) 와주변을조망하는정상코스 ( 약 1.8Km-1시간 ), 오름능선을따라 9개의봉우리를연결하는능선코스 ( 약 5Km-2시간 ), 그리고 3개의코스를아우르는전체코스 ( 약 10Km-3 시간30분 ) 로구분되는데전체코스는그모양이태극을닮아태극길로불린다. - 38 -
또한곳곳에갱도진지, 병참도로등일본군의태평양전쟁때의군사시설이발견되고있어과거역사잔재물인일본군동굴진지등의역사탐방지로도활용되고있다. 또한거문오름의화산체에서흘러나온용암류가북동쪽해안가의 20여개동굴의직접적인근원지로인정됨에따라 2005년 1월전국최초로국가지정문화재인천연기념물 444호로지정되었다. 2) 거문오름의형성과정 거문오름의정상부는해발 456 m 이며생성시기는약 30만년전 ~10만년전으로추정된다. 오름의정상에는깊게패인화구가있고그안에는작은우리 ( 알오름 ) 이있다. 화구를둘러싼마루 ( 하구륜 ) 는크고작은봉우리로이루어지면서기복을이루고있는것이처음에는원형화구의화산체가형성된후용암류의분출로말미암아북동사면의화구륜의일부가파괴되어말굽형을이룬것으로추정된다. 그리고이방향을따라서해안지역에이르기 [ 그림 8.2] 용암협곡지형도와형성까지흘러가면서용암동굴군이형성된것으로알려져있다. 수많은오름가운데거문오름이세계자연유산에등재된이유는거문오름에서분출한용암이약 14 km에이르는거대한용암동굴계를만들었기때문이다. 거문오름은초기에는마그마자체가가진폭발력에의해스트롬볼리안분출이일어나많은양의분석 (scoria) 을분출하여거문오름의형태를만들었다. 점차마그마의폭발력이줄어들면서뜨거운용암이솟아올라분석구의약한벽을허물고북동쪽방향으로상당한양의용암분출이일어났다. 이때용암이흐른통로를따라동굴의지붕이붕괴되어만들어진붕괴도랑 (collapse trench) 이만들어지고이에따른인장력에의해용암협곡이형성되었다. 3) 거문오름의자연적식생특징과인문적특징 거문오름은분화구내부에다양한화산지형을바탕으로다양한수종의수목과야생화가공존하는생태학적보존가치가매우우수한것으로알려져있다. 거문오름주변에산재한오름들은일반적으로초지대를형성하는데비하여거문오름의분화구주변식생은비록벌채, 화입, 개간등으로인해현재 2차림의형태를갖고있기는하지만자연림으로형성되어있다. 또한거문오름의식물들은식물지리적인측면에서아열대, 난대및온대에걸쳐출현하는식물들이공존하고있다. 특히양치식물은입지가비슷한타지역에비해독특한식물상을보인다. 또한식나무, 붓순나무등의희귀식물이군락을이루고있으며, 제주족제비, 큰오색딱따구리등제주를대표하는다양한동식물들이서식하고있는생태계의보고라고볼수있다. 거문오름은지질, 지형, 식생등의측면에서매우다양한요소를갖는지 - 39 -
역으로학술및교육적으로가치가높다고할수있다. 뿐만아니라숯가마터를비롯하여태평양전 쟁당시만들어진병참도로와갱도진지, 4 3 유적지등역사 문화적으로도중요한의미를지니고있다. 4) 거문오름용암동굴계 [ 그림 8.3] 용천동굴과당처물동굴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거문오름에서수차례에걸쳐분출된용암류에의해형성된일련의용암동굴들을말한다. 거문오름에서분출된용암이바닷가방향으로흘러가면서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과 [ 그림 8.4] 거문오름용암동굴계조망그외여러용암동굴들을만들었다. 화구중심으로부터유출된용암의침식계곡은도내최대규모로서전방으로유선형의골짜기를이루며약 4km정도연속되어나타난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세계자연유산으로등재된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이있고형태와규모, 2차생성물등이독특한특징을지니고있어,' 제주화산섬과용암동굴 ' 이세계자연유산으로등재되는과정에있어가장큰영향을끼쳤다. 거문오름이형성한용암동굴계는그규모가세계적일뿐만아니라형성당시의구조들이잘보존되어있어뛰어난경관및학술적가치를가지고있다. 특히용천동굴과당처물동굴은석회동굴에서만볼수있는탄산염생성물로인해세계에서가장아름다운용암동굴로평가받고있다. 또한용천동굴에는동물, 도자기편, 철기유물등이여기저기흩어져있다. 이러한유물들은 700년를심으로제사혹은제의행위를주했던탐라국의지배세력일가능성이높고여러유물의분포와그용도는용천동굴과제주도에살던주민들과의한문화를보여주고있다. 이처럼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자연, 과학가치뿐만아니라역사, 문화로도중요한가치가있다고볼수있다. 하지만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기원지와형성시기에해서는학자들간의이견이남아있다. - 40 -
5) 거문오름의현재 제주도는 2007년세계자연유산등재를기념하기위해 2008년부터 거문오름국제트레킹대회 를진행해오고있다. 약 2주간진행되는행사기간중에는하루탐방객수의제한없이자유롭게탐방이가능하며기존에운영되던탐방로외에새로운트레킹코스를운영하여탐방객들의만족도를높이고있다. 또한다양한체험프로그램과유산마을과지역특산품을홍보할수있는부스운영과세계유산관련심포지엄, UCC공모전등다양한행사도함께진행되어제주를대표하는트레킹행사로발돋움하고있다. 거문오름의경우, 세계자연유산등재를계기로하루탐방인원을제한하여해설사인솔탐방을실시하고있다. 해설사분들은대부분지역주민들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거문오름에대한자긍심과애정이그대로탐방객들에게전달될수있다. 또한지질을비롯한다양한분야의체계적인교육을이수하여전문성을추고있어탐방객들의다양한지적호기심을충분히만족시켜줄수있다. 그리고여행객들은탐방을통해화산탄과용암함몰구, 수직굴, 숯가마터, 일본군갱도진지, 식나무와붓순나무군락, 풍혈등을직접볼수있다. 이와함께한국지질환경연구소에서는거문오름인근지역학생들을대상으로지질탐사대, 곶자왈탐사대, 동굴탐사대등거문오름주변에대한지질을쉽고재미있게이해할수있도록일반및전문프로그램을운영하여지역주민이그지역의진정한가치를인식할수있도록다양한지질교육프로그램을진행해오고있다. [ 그림 8.5] 순서대로화산탄, 용암함몰구, 수직굴, 숯가마터 [ 그림 8.6] 순서대로일본군갱도진지, 식나무 & 붓순나무군락, 풍혈 - 41 -
[ 참고문헌 ] [ 논문 ] 고석형, 고정군, 오장근, 김현철, 강인보, 김철수, 고종형, 현해남,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제21권 2호제주도거문오름의식생유형별수목분포및토양특성, 2011, 38~43쪽제주도세계지질공원대표명소후보지로서거문오름의가치와의미지질학회지제52권제5호, 2016, 763~774 쪽김경환, 아동용에듀테인먼트활용을위한제주세계자연유산애니메이션스토리텔링 : 거문오름용암동굴계를중심으로, 2011, 학위논문 ( 석사 ), 제주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 스토리텔링학과, 12~13쪽고종형,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보전 / 최돈원국내학술기사제주특별자치도. 통권 112호, 2008, 129~141 쪽, 세계자연유산지구제주도거문오름일대의토양특성비교, 2016,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3~6쪽 [ 인터넷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636266 세계자연유산제주 http://jejuwnh.jeju.go.kr/heritagetours/lavatube/introduce.do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http://wnhcenter.jeju.go.kr)- 세계자연유산 _ 제주도의숨겨진흑진주조세일보 http://www.joseilbo.com/index.php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1711440 [ 이미지출처 ] [ 그림 8.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8.2] 제주도세계지질공원대표명소후보지로서거문오름의가치와의미지질학회지제52권제 5호, 2016.10, 763-774 p. 765 [ 그림 8.3] 제주도세계지질공원대표명소후보지로서거문오름의가치와의미지질학회지제52권제 5호, 2016.10, 763-774 p. 766 [ 그림 8.4~8.6]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http://wnhcenter.jeju.go.kr/index.php/contents/black/black - 42 -
9. 다랑쉬오름 17 이세영 1) 개관 [ 그림 9.1] 다랑쉬오름의위치 [ 그림 9.2] 다랑쉬오름 다랑쉬오름은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세화리에있는오름이다. 해발 382.4m, 높이 227m, 둘레 3,391m, 면적 80만 464m2로, 구좌읍을대표하는오름이다. 다랑쉬오름분화구의가장자리는한쪽은높고반대편은낮아비대칭이지만, 원뿔모양의형태를유지하고있다. 산정부 18) 에는크고깊은깔때기모양의원형분화구가움푹패어있는데이화구의바깥둘레는약1,500m 에가깝고남북으로긴타원을이루며, 북쪽은비교적평탄하고, 화구 19) 의깊이는한라산백록담의깊이와똑같은 115m라한다. 또한다랑쉬오름의비고 20) 는 227m에달해주변어느오름보다높게보인다. 다랑쉬오름의동남쪽에는아끈다랑쉬오름이있는데, 아끈다랑쉬오름은다랑쉬와닮은꼴이지만낮고작은원형분화구를가지고있으며작은다랑쉬라는의미를지닌다. 제주말로 아끈 이란 작은 을뜻한다. 다랑쉬오름은혹성에딸린위성과같이바로옆에자그마한분석구를하나끼고있는데, 그것이바로아끈다랑쉬오름이다. 제주곳곳에는아직도 4.3사건의아픔이남겨져있는데, 4.3사건당시무장대의주요거점이었던다랑쉬오름주변도그런곳중하나이다. 오름아래있던다랑쉬동굴에서아이들이포함된 11명이희생되었고, 20여가구의다랑쉬마을이폐촌되기도했다. 주변은제주 4 3사건때유격대원들이활동요충지였으며, 20여가구가살다가폐촌이된다랑쉬마을과 1992년제주 4 3사건의희생자유골 11 구가발견된다랑쉬굴이있다. 18) 산의정상부분 19) 화산의분출구주변에분출물이모여서된언덕 20) 어떤범위안의최고높이와최저높이의차 - 43 -
2. 다랑쉬오름이름의유래, 역사 (1) 이름의유래다랑쉬오름은과거 신증동국여지승람 에는다랑시악, 대동지지 에는대랑수악, 제주군읍지 에는다랑수악으로표기했다가일제강점기부터월랑봉 ( 月郞峰 ) 으로표기하였는데여기서월랑봉은다랑쉬오름을부르는또다른이름이다. 다랑쉬 란명칭에대한주로세가지설명이있는데하나는오름에쟁반같이뜨는달의모습이아름답다하여붙여진제주말에서유래했다는설이있다. 다른두가지해석은다랑쉬, 또는월랑봉이라고부르는것이높은봉우리라는뜻을가진달수리 ( 고구려계통의단어 ) 에서변화된명칭과작은진흙논을뜻하는다랑이와수렁의말을붙여진명칭이라고설명된다. 높은봉우리라는뜻의한자식표현이월랑봉이기때문에다랑쉬오름이월랑봉이라불리기도하는이유이다. 이외에도다랑쉬오름의 다랑 은높다는뜻의고구려어달 ( 達 ) 과관련이있다고도하며봉우리가달처럼둥글게보인다고하여 랑 ( 月郞 ) 이라고표기했다는등여러의견이제시되고있다. (2) 제주 4 3사건 ( 다랑쉬굴 ) 다랑쉬오름은빼어난자연경관속내에가슴아픈사연을간직하고있다. 1948년다랑쉬오름아래에는농사와목축업에종사하는 20여가구의사람들이마을을이루어살고있었다. 4 3항쟁와중에마을사람몇몇이다랑쉬오름주변의자연굴에서피난생활을하였는데, 군 경토벌대에게발각돼다랑쉬굴 21) 속에서몰살당한것이다. 다랑쉬굴은 4 3유적중에서은신처로토벌대와무장대를피하기위하여제주도민들이숨었던장소라고한다. 굴의입구는직경이 60~70cm로좁고낮아한사람이엎드려서겨우들어갈수있을정도이다. 군 경토벌대는당시굴주변에떨어진인분을보고피난민을발견해냈고, 피난민들에게굴에서나오라는명령을내렸으나따르지않자굴양쪽입구에동시에불을지펴연기를안으로들어가게해피난민들을모두질식사시켜버렸다. 다랑쉬굴의입구는현재폐쇄되어있다. 다랑쉬굴은 1991년에처음발견되고 1992년에공개된후부터 4 3사건연구의중요한결과물이되었다. 1992년이들의주검이발견되었는데, 발굴당시굴속바닥에는시신 11구가누워있었다고한다. 이들은 9살어린이로부터 51세아주머니를포함한민간인들이었다. 제주4 3 평화기념관전시장의입구는동굴의입구와같이만들어졌으며, 전시장끝에는 1992년에발견된다랑쉬굴의재현이발견당시그대로전시되어있다. 현재는입구가봉쇄되어다랑쉬굴안의현장을직접찾아갈수없기에재현으로라도경험하도록만들어놓은것이다. 다랑쉬굴은 4 3사건의전체과정을상징한다고할수있는데사건당시주민들의아픔과슬픔, 그리고 4 3사건이인정받기까지의과정이담겨있다. 21) 다랑쉬굴은제주시구좌읍세화리에위치한길이 30m 인용암동굴이다. 다랑쉬굴이위치한지역의이름은 ' 선수머세 ' 이지만다랑쉬오름과마을때문에다랑쉬굴로불러졌다고한다. 은신처동굴중에서는다랑쉬굴이처음으로발견되어 4 3 사건을널리알리게된계기가되었다. - 44 -
3) 다랑쉬오름의형성과정 다랑쉬오름을오르다보면붉은돌들을종종볼수있다. 이것은바로다랑쉬오름을형성하고있는스코리아 22), 제주도방언으로송이라고한다. 스코리아는마그마가대기중으로방출되어그속의휘발성성분이빠져나가많은기공 ( 氣孔 ) 이매우많다. 다랑쉬오름은아주전형적인스코리아콘의형태를지니고있는화산이다. 스코리아콘이란여러번에걸쳐지속적으로분화하는스트롬볼리식분화에의해형성되는가장기본적인퇴적화산지형을말한다. 스트롬볼리식분화란화산탄 23) 과스코리아 24) 등이주기적으로분출되어올라가는분화를말한다. 스트롬볼리식분화는다소점성이높은마그마가분출되어화구주위에겹쳐쌓여원뿔모양의화산쇄설구 25) 가생성되는데다랑쉬오름에서는스코리아콘의형태로형성된다. 이그림은화산력 (2), 화산재 (3), 화산탄 (5) 이포함된화산쇄설물과용암류 (6) 가겹쳐쌓여가는스트롬볼리식분화를보여준다. 스트롬볼리식분화는지속적인분화활동하는것이특징인데스코리아콘이원뿔모양으로계속성장하여사면의경사가급해지면, 화산체위에떨어진스코리아는그자리에멈추지못하고사면아래로굴러떨어진다. 이러한과정을통해화산체는전형적인원뿔모양을형성하게되는것이다. 그래서다랑쉬오름은아이스크림콘을엎어놓은듯한모양을하고있으며등고선은마치크기가다른동그라미여러개 [ 그림 9.3] 스트롬볼리식분화를겹쳐올려쌓은듯하다. MEMO 22) 스코리아는화산이폭발할때고체상태로분출되는물질인화산쇄설물의일종. 다랑쉬오름에서볼수있는스코리아는마그마에서올라온뜨거운증기에의해산화된붉은색스코리아이다. 23) 고구마모양의화산탄 24) 화산분출물중에서공기구멍이많고검정, 갈색, 빨강등의암색이며지름이 4mm 이상인암석덩어리를말함 25) 화구 ( 火口 ) 로분출되어올라온화산쇄설물이화구주변에쌓여서생기는구릉 - 45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손일,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푸른길, 42~43 쪽 [ 논문 ] 윤정수, 제주도북사면의기생화산체에관한연구, 1995, 해양과환경연구소, 27~28쪽소재관, 송이 (Scoria) 의거동특성및예측에관한연구, 2002, 제주대학교대학원, 3~5쪽이그나즈아니타, 제주4 3사건과주민의동굴피신생활,2016, 제주대학교대학원, 26~48쪽 [ 인터넷 ] 한국민족대문화백과, 다랑쉬오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164&cid=46617&categoryid=46617 두산백과, 스코리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3234&cid=40942&categoryid=32305 한국의자연지리, 스코리아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51390&cid=51290&categoryid=51290 지구과학사전, 스토롬볼리식분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9843&cid=42456&categoryid=42456 [ 그림출처 ] [ 그림 9.1]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213&cid=42840&categoryid=42855 [ 그림 9.2] 국토정보맵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 그림 9.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 46 -
10. 대수산봉 17 김예주 1) 개관 [ 그림 10.1] 대수산봉위치 [ 그림 10.2] 대수산봉에서본성산일출봉 대수산봉은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고성리에있는오름이다. 해발은 137.3m이고, 높이는 97m인기생화산이다. 대수산봉의정상부분에는산마루가넓고길게이어지고, 중간쯤에는타원형의분화구가형성되어있다. 분화구의깊이는얕게패어있어아담하다. 그리고산사면은완만한서너개의기복으로이루어져있다. 주요식생으로는산꼭대기를제외한전사면이해송과삼나무로조림되어울창한숲을이루고있다. 대수산봉은제주올레 2코스 26) 중간지점에있으며우도부터성산일출봉, 섭지코지로이어지는해안가풍경, 그리고한라산과오름이한눈에조망되는장소이다. 특히섭지코지가가장아름답게보이는곳이다. 정상조금못미쳐서는이동통신기지국과경방초소가세워져있다. 성산읍주민들에게대수산봉은마을에서가장큰공동묘지가조성된곳으로인식된다. 2) 대수산봉의유래 대수산봉은여러이름을가지고있다. 과거대수산봉의분화구에는물이있었는데, 오름안에물이솟아나못을이루었다고하여 물뫼, 물메, 물미 라고불렀다. 고지도나지리지에도대수산봉의별칭이표기되어있다. 탐라지 27) 에서는 ' 수산 ( 首山 )' 으로기재되어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 28) 에는 ' 수산 ( 水山 )' 으로표기되어있다. 그리고 제주삼읍전도 에는 ' 수산봉 ( 首山烽 )', 탐라순력도 ( 한라장촉 ) 29) 에서는 ' 수산망 ( 首山望 )' 으로기재했다. ' 물 ' 에해당 [ 그림 10.3] 대수산봉 26) 광치기 - 온평올레 27) 1653 년 ( 효종 4) 이원진이편찬한전라도제주목 정의현 ( 旌義縣 ) 대정현 ( 지금의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대정읍 ) 읍지 28) 조선시대의인문지리서 - 47 -
하는훈차표기가 ' 수 ( 首 )' 로되어있다. 이처럼 ' 수산 ' 이라부르던오름의이름은후대에동쪽에이웃 한 ' 작은물뫼 ( 小水山峰 )' 와구분하여 ' 큰물뫼 ( 大水山峰 )' 로불렀던것으로보이고, 한자로는그뜻을빌 어대수산봉 ( 大水山峰 ) 이라표기하고있다. 3) 대수산봉의역사 1276년원나라가몽골말 160마리를오름으로옮겨오기시작하면서고려시대부터목마장 ( 牧馬場 ) 으로이용된것으로전해오고있다. 그리고대수산봉의분화구에는샘물이나오는못이있었는데, 송나라의호종단 ( 胡宗旦 ) 이섬의산맥과수맥의기운을눌러버리고갔을때, 이오름의수맥도끊겨샘이마르고물도없어졌다고전해진다. [ 그림 10.4] 광여도 ( 제주 ) 의대수산봉일대조선시대에는이오름의정상에수산봉수대가있었다. 수산봉수는조선시대정의현의수산진에소속된 2중원형으로써외단직경 45m, 내단직경 29.6m 규모의토축봉수이다. 조선초기에는소수산봉에있다가조선중 후기에이르러대수산봉으로옮긴것으로추정된다. 상응봉수로는남서방향독자봉의독자봉수 30), 북동방향성산일출봉의성산봉수 31) 와교신을하였다. 그리고수산봉수에서별정 6명과작군 12명이교대근무했다는설이있다. 지금은봉수대의흔적이일부남아있다. MEMO 29) 1702 년 ( 숙종 18 년 ) 에제주목사겸병마수군절제사이형상이제주도의각고을을순회한장면을기록한채색화첩 30)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신산리에위치한정의현에소속된봉수 31)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성산리에위치한수산진에소속된봉수 - 48 -
[ 참고문헌 ] [ 단행본 ] 김기혁외,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753 쪽 [ 인터넷 ] 중문관광단지 http://www.jungmunresort.com/ab-1768-35&category_1=&pb_1385351716=2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http://www.hijeju.or.kr/where/oreum.htm?act=view&seq=552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99468&cid=40942&categoryid=32304 제주특별자치도청 http://www.jeju.go.kr/culture/myth/othermyth.htm?act=view&seq=28019 제주관광정보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menucd=dom_000001717013000000&areaid=con T_000000000500134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read.php3?aid=1423753200490400254 [ 그림출처 ] [ 그림 10.1] visit제주홈페이지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menucd=dom_000001718001000000&areaid=con T_000000000500134 [ 그림 8.2] hi제주홈페이지 http://www.hijeju.or.kr/where/oreum.htm?act=view&seq=552 [ 그림 10.3] hi제주홈페이지 http://www.hijeju.or.kr/where/oreum.htm?act=view&seq=552 [ 그림 10.4] 규장각원문검색 http://kyudb.snu.ac.kr/pf01/rendererimg.do?item_cd=gzd&book_cd=gr33611_00&vol_no=0 000&page_no=109&imgFileNm=GM33611IL0003_109.j - 49 -
11. 수월봉 16 강민지 1) 개관 [ 그림 11.1] 수월봉 [ 그림 11.2] 수월봉위치 수월봉의위치는제주시한경면고산리이며, 제주의가장서쪽끝머리에위치해있다. 고도는약 77m이다. 수월봉의정상부는넒은용암대지로이루어져있다, 그곳에는기우제를지내던육각정인수월정과서남쪽바다에서불어오는태풍을가장먼저감지할수있다는고산기상대가있다. 수월봉이라는명칭은한설화에서부터유래하는데, 수월이라불리는처녀와녹고라는총각인두남매가어머니병을고칠약초를캐다가누이수월이절벽에서떨어져죽었고, 살아남은녹고는슬픔에못이겨눈물을흘렸다는것이그설화이다. 이후에이설화를바탕으로이동산은 녹고물오름, 물노리오름, 녹모모루 라는별칭으로도불리게되었다. 수월봉에서정면으로차귀도, 죽도, 눈섬등을볼수있으며, 뒤쪽으로는당산봉과넓은평야, 산방산등이보인다. 그리고수월봉에서북쪽으로차귀도까지이어지는올레길을따라전설이깃든장소를볼수있으며, 태평양전쟁당시일본군들이절벽에만들어둔동굴형태의진지도볼수있다. 2) 수월봉의형성과정 수월봉은약 1만 8000년전에수성화산활동으로형성된응회환의일부분이다. 수성화산활동이란, 마그마나용암이물과만나냉각과가열반응이매우격렬하게발생하여수증기를다량함유한큰폭발을일으키는것을말한다. 수월봉을형성한마그마가분출된분화구의중심은차귀도와수월봉의중앙부근인것으로추정된다. 차귀도는수월봉과하나로연결돼있던응회환외륜의일부이다. 지금의수월봉은수월봉응회환이형성된이후응회환이오랜시간동안해수와해풍에의해침식되고깎여나가형성된것이다. 즉, 수월봉은수월봉응회환이깎여나가고남동쪽일부만남은것이다. - 50 -
[ 그림 11.3] 과거수월봉응회환의범위 [ 그림 11.4] 차귀도 3) 수월봉의퇴적구조 제주도의많은오름중수월봉은바다와가까이맞닿아있는오름이라는점에서특별한오름이다. 수월봉서쪽해안에는해식작용으로침식되어형성된절벽을볼수있는데, 이절벽을통해서수성화산분출물로이루어진수월봉응회환의퇴적구조를확인해볼수있다. 수월봉에서가장쉽게관찰할수있는퇴적구조는황갈색의화산재가겹겹이쌓여만들어진층리이다. 이층리는수성화산활동에의해형성된화쇄난류 32) 가만들어서경사가완만하다. 해안을따라남쪽으로내려오면퇴적물의크기가작고층의두께도얇은평행층리 33) 가발달한지층도볼수있다. 이지층은분화구로부터멀리떨어진곳에서형성된것인데, 입자가큰퇴적물들은분화구근처에이미퇴적되고, 입자가작은퇴적물들이화쇄난류를따라마지막까지실려와퇴적된것이기때문이다. 수월봉에는넓은지역에형성되어있는탄낭구조가장관이다. 탄낭구조란, 화산폭발에의해하늘로올라갔던큰암편들이화산재층위에떨어져층리를아래로오목한주머니모 [ 그림 11.5] 수월봉지층양으로변형시킨구조이다. 수월봉에있는탄낭은여러지층을뚫고있는데, 이는다른지역의지층에서좀처럼볼수없는현상이다. 이러한탄낭구조는수월봉을형성하고있는지층이물렁물렁한상태로쌓였음을보여주고있다. 수월봉정상부의수월봉육각정해안에탄낭구조가가장많이형성되어있는데, 이지역이화구에서가장가까웠던것으로추측된다. [ 그림 11.6] 수월봉탄낭구조 32) 폭발적인화산분출에의해형성되어지면을따라빠르게흘러가는화산기원중력류 33) 평탄하고서로평행한층리면 ( 표면 ) 을갖는퇴적암구조 - 51 -
[ 참고문헌 ] [ 단행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지질여행, 2013, 제주발전연구원, 149~153 윤성호등, 제주도지질공원, 2010, 제주화산연구소, 107~110 김다니엘, 제주오름여행, 2016, 북카라반, 16~18 이우평, 지리교사이우평의한국지형산책, 2007, 푸른숲, 257~258 [ 사이트 ] 제주도청 http://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act=view&seq=1652 대한민국구석구석 ( 한국관광공사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434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8451&cid=51055&categoryid=51055 [ 그림출처 ] [ 그림 11.1] 대한민국구석구석 ( 한국관광공사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ksearch/search.jsp [ 그림 11.2] 네이버지도 https://m.store.naver.com/places/detailmap?id=13491243 [ 그림 11.3] 제주도지질공원, 윤성호등, 제주화산연구소, 2010, 106쪽 [ 그림 11.4] 네이버지식백과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7076&cid=40942&categoryid=33281 [ 그림 11.5]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네이버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nhjeju&logno=80188267941 [ 그림 11.6]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네이버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nhjeju&logno=80188267941 MEMO - 52 -
12. 당산봉 16 김하영 1) 개관 [ 그림 12.1] 당산봉의위치 당산봉은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한경면용수리에위치해있고, 높이 148m, 둘레 4,674m, 면적 53만 4,135m2, 폭 1,259m 규모의오름이다. 당산봉은당오름을한자의뜻을빌려표기한것이다. 얕은바다에서수중분출된후, 분화구내부에새로운화구구 34) 가생긴이중식화산체인당산봉은한라산과용암지대가만들어지기이전에마그마가지하수혹은바닷물을만나폭발하면서만들어진것으로제주도에서가장오래된수성화산체로여겨진다. 2) 당산봉의지형 당산봉은크게세부분 ( 응회구, 분석구, 용암대지 ) 으로나눌수있는데, 당산봉의최하부에는북쪽으로트인말굽형응회구가있으며이응회구의분화구내에분석구가형성되어있고분석구외곽부와상단에용암대지와용암호가형성되어있어상하로뚜렷한 3개의단위로구분된다. 현재당산봉의해안쪽은심한파식작용으로원형을잃고있으며, 해안절벽에서잘발달된층리구조를볼수있고, 북서쪽벼 [ 그림 12.2] 당산봉랑에는 저승굴 또는 저승문 으로불리는해식동 35) 이세개있다. 전체적으로볼때동 서 남사면은가파르며퇴적암층이드러나있고, 서사면은바다쪽으로해안절벽을이루며, 북사면은말굽형분화구가크게열려그서쪽등성이는해안을따라, 동쪽등성이는일주도로를따라북으로뻗어내린다. 당산봉의서남쪽에는고산리자구내포구가, 동남쪽에는고산1리가, 북서쪽으로는용수리가자리잡고있다. 또북쪽바다로는 차귀도 라는무인도가있다. 34) 화산의분화구안에새로터져나온비교적작은화산으로알오름또는알봉이라고도한다. 35) 파도에의한침식작용으로해변낭떠러지에생긴천연동굴 - 53 -
3) 형성과정 당산봉의바깥쪽은북쪽으로경사가큰말발굽형분화구이며, 그안으로알오름이솟아있다. 당산봉도수월봉과마찬가지로수성분화활동에의해형성된오름의하나이다. 처음에마그마가솟아오르면서바닷물과접촉하며 1차폭발이일어나응회구 36) 가형성되었다. 이후더이상바닷물이유입되지않자더욱강력한화산으로바뀌면서 2차폭발이일어나응회구내부에서화산쇄설물이쌓여높이 83m 의분석구 37) 가형성되었다. [ 그림 12.3] 말발굽모양의당산봉당산봉분화구의북쪽이트인것은침식때문이아니라분출당시남쪽의기반암이더높은데다가강한북풍의영향으로분화구가남쪽으로치우쳤기때문이다. 한편당산봉의화산암가운데약 70만년전의것으로보이는암석이발견되어당산봉이수월봉응회환보다훨씬앞서형성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4) 수월봉과당산봉의비교 ( 응회환과응회구 ) 제주도서쪽고산포에는수월봉과당산봉이있다. 낮은구릉형태의수월봉은응회환에해당하고, 수월봉보다경사가급하고높은산을이루는당산봉은응회구에해당한다. 응회환과응회구가가까이분포하고있기때문에이둘을비교해볼수있다. 응회구와응회환은수성화산분출로인해생긴지형이라는것에서공통점이있지만, 높이와경사의정도에따라구분된다. 응회환은수성화산분출에의해높이가 50m 이하이며, 층의경사가 25 보다완만한화산체이고. 응회구는수성화산분출에의해높이가 50m 이상이고, 층의경사가 25 보다급한화산체를뜻한다. [ 그림 12.4] 응회환과응회구비교위그림을통해서응회환과응회구는형성과정에서도약간의차이점을가지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응회환을형성한마그마의분출은지표밑깊은곳에서분출한반면에, 응회구는지표가까이에서마그마가분출하였다. 이는경사도와분화구의크기에도영향을미쳤다. 응회환은분화구가지표가까이 ( 높이 100m 이내 ) 에위치하고, 넓은분포를가진다. 반면, 응회구는분화구가지면보다높은곳에위치하며, 응회환보다분화구의크기가작다. 36) 수성화산분출에의해높이가 50m 이상이고, 층의경사가 25 보다급한화산체. 37) 새용암이나기존암석의파편만으로만들어진원뿔형의작은언덕을말한다. - 54 -
[ 참고문헌 ] [ 단행본 ] 김다니엘, 제주오름여행, 2016, 북카라반, 25-26 쪽 이우평, 지리교사이우평의한국지형산책 2, 2007, 푸른숲, 259-260 쪽 [ 논문 ] 황상구, 제주도당산봉화산의화산과정, 1998, 암석학회지제 7 권제 1 호, 1-14 쪽 황상구, 제주도당산봉화산의형태적분류, 2001, 지질학회지제 37 권제 1 호, 71-82 쪽 [ 인터넷 ]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9280&cid=42456&categoryid=42456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6613&cid=40942&categoryid=33163 네이버-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3515&cid=43740&categoryid=4417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 그림출처 ] [ 그림 12.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local/siteview.nhn?code=17038317 [ 그림 12.2]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286613&imageurl [ 그림 12.3]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mapmode=0&pinid=19874911 [ 그림 12.4] 다음블로그 http://blog.daum.net/yyy4488/137-55 -
13. 대정읍성 17 최원석, 17 정유경 1) 개관 대정읍성은조선시대초기 1418년 ( 태종 18) 제주도에설치된 3개의읍성중하나로, 당시의행정제도인 1목 ( 제주목 ) 2현 ( 예래현 차귀현 ) 이라는틀속에서제주섬의남서쪽인대정현의중심부에축성된현성을말한다. 대정읍성은현무암을거칠게장방형과정방형으로다듬질한후가로쌓기와모쌓기를병행하여외면을맞추어축조되었다. 그리고치성 38) 은 [ 그림 13.1] 대정읍성의지리적위치와주변지형성벽을축조한후성벽에덧대어축조하였다. 이러한성담의구성암석은대정읍성을중심으로볼때주변 5km 이내에서광해악현무암 39) 이상당히많이분포하는것을보아대부분이광해악현무암이라고볼수있다. 2) 대정읍성의기능 대정읍성은주위고지들이읍성을호위하듯에워싸읍성내부를외부의침입으로부터보호한다. 또가까운오름간에봉화를설치해외부의침입을감지하는데활용할수도있어외적의침입으로부터방어하기에상당히유리한지역적특성을지니고있다. 이를보면북쪽방향이곧바로해안에맞닿아있어적의직접침입에취약한제주읍성에비해지형을이용한방어전선을펴는데는대정읍성이더유리하다고볼수있다. 대정읍성을연결하는도로는중산간방향으로이어지는제주목- 대정읍성간도로를중심으로하여차귀진-대정읍성간도로, 모슬진-대정읍성간도로, 대정읍성 -서귀진방향으로이어지는도로가조선시대부터있었으며, 이도로는오늘날에도교통의요지가되고있는것을보았을때지역발전과지역간교류에있어서중요한위치에있었음을알수있다. 3) 대정읍성의지리적이점 대정읍성은주민들이생활에필요한다양한자원을획득하기에도쉬운편이었다. 북쪽에는멀지않은곳에중산간지역이위치하고있으며남쪽에는해안지역이읍성중심으로부터약가일정한간격을두고위치하고있다. 게다가모슬포해안같은경우에는거의직선에가까운도로하나로연결되어있다. 그러나 제주읍지 나 삼군호구가간총책 의두시기에나타나는대정읍성주변마을의인구수가 38) 한국성 ( 城 ) 구조물의일부로, 성벽의바깥으로덧붙여서쌓은벽. 39) 제주도남서부지역의지하층서구조의최상부에위치하며높은투수성의현무암으로심도 0m-50m 로얇게분포한다. - 56 -
늘어나자, 대정읍성주변보다해안가로더많은사람들이몰려생활했다는것을보아, 대정읍성에서해안까지멀리떨어져있기때문에어업이나수산물채취를생업으로하는주민들은제약을받을수도있다. 또한대정읍성은주변의고지로인오름군락을제외하면완만한저지대로이러한저지대는주로택지와농경지로개발되어있어농사가가능하다. 그러나주변에하천이단한개도없어논농사가어려워주로과수농업과밭농사를한다. 그리고여러도로가위치하고있기때문에다른마을과의거리적연계성이뛰어나마을간교류를하는데도큰불편함이없는환경이다. 읍성근처에는하천이없지만읍성외부근처에용천수와봉천수로물을구할수있었다. 용천수는구안성리의동마을, 안성리의서마을, 사계리와안성리에존재한다. 안성리에위치한구명물은최근까지도용출량이상당히많은것으로조사되어대정읍성의축성을전후한시기에도주변지역의많은주민들이사용했을것으로여겨지는용천수이다. 용천수외에도연못에빗물을받아식수로활용하는봉천수가여러개존재해주민들은자신들이거주하는곳과가까운곳에서물을이용할수있었다. 4) 대정읍성의역사적의미 대정읍성내부안성리마을의대정읍성동문터바로안쪽에는추사김정희의유배지가위치하고있다. 김정희의첫유배지는대정읍성안동네송계순의집이었고그이후대정현안성리강도순의집으로옮겨졌다. 유배가끝날무렵에는창천리로한번더옮긴것으로전해진다. 현재유배지중가장오래거주했던강도순의집앞에는세한도에그려진집의모양을본따추사관이지어져있다. 대정읍성축성시의전말을기록한제주판관하담의기록을통해축성당시인력동원과주민들의협력이잘이루어졌다는것과대정현주민들의공동체정신과마을단위생활문화를잘알수있다. 사실인력동원과협력이잘이루어져도한달안에성을축조하기는힘드나제주도가화산도라는특수성을가진덕분에석재의조달이비교적쉽게이루어져단기간내에완공이가능했다. [ 그림 13.2] 추사김정희유배지 [ 그림 13.3] 세한도 5) 대정읍성의인구지리 대정읍성은그당시읍성주변마을의인구가정확히몇명이었는지알수없으나 1704년기록된제주도 3개읍지역의마을의개수와호의개수로추정된인구수는약 365명이다. 이후 1780년도의 제주읍지 에는대정읍성주변마을인구수는 989명이었다. 1904년에작성된 삼군호구가간총책 에는총1,510명이확인된다. 시간이흐르면서, 2009년 3개마을인구수는 1,480명으로증가했다. 1702년에제작한 탐라순력도 에는대정읍성내외의마을모습이대략적인그림으로표현되어 - 57 -
나타난다. 그림을보면당시동문주변지역을중심으로인구가밀집하고마을의규모가확대되었을것으로보인다. 1709년에제작된 탐라지도 를보면서문이동문에비해다소늦은시기에마을이형성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대정읍성의정북또는북동쪽방향으로는가옥들이거의없고대부분농경지만조성되어있는데, 이는풍수지리적으로읍성의북쪽방향이라는사실과함께북 ~ 북동쪽방향으로도로가조성되지않아서마을의공간적확산범위에포함되지않았기때문이다. [ 그림 13.4] 탐라순력도 중대정조점 [ 그림 13.5] 대정읍성과그주변마을의가옥분포 6) 대정읍성의현대적의미 읍성은현대도시로편입하기직전의근대적도시로서성격을잘반영하는틀이며, 한국의도시들은과거의읍성을중심으로현대도시로발전한곳이많다. 대정읍성과그인근마을의주민들은주로농업과목축업에의존하여생업을이어갔고, 현재에도농촌형읍성으로남아있다. 농촌형읍성은그지역의자연과역사와문화가결부되어남아있는귀중한역사자원이자문화자원이기때문에대정읍성은보존되어야할존재적가치를지니고있다. MEMO - 58 -
[ 참고문헌 ] [ 논문 ] 정광중, 제주도대정읍성 ( 大靜邑城 ) 의지리적환경고찰,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44-61쪽유홍준, 추사김정희 : 유배지제주섬에서피어난꽃. 역사비평. Vol.-No.45, 1998, 300-343 쪽김명철. 2000. 朝鮮時代濟州島關防施設의硏究 : 邑城 鎭城과烽燧 煙臺를중심으로 = (A) STUDY ON DEFENSE INSTALLATIONS OF THE BORDER OF CHE-JU DO IN THE ERA OF YI DYNAST. 제주도. v, 127쪽 [ 그림출처 ] [ 그림 13.1] 정광중, 제주도대정읍성 ( 大靜邑城 ) 의지리적환경고찰,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44쪽 [ 그림 13.2]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6333&cid=51954&categoryid=55443 [ 그림 13.3]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751&cid=58863&categoryid=58863 [ 그림 13.4] 정광중, 제주도대정읍성 ( 大靜邑城 ) 의지리적환경고찰,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54쪽 [ 그림 13.5] 정광중, 제주도대정읍성 ( 大靜邑城 ) 의지리적환경고찰,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55쪽 - 59 -
14. 알뜨르비행장 17 정은지 1) 개관 [ 그림 14.1] 알뜨르비행장의모습 [ 그림 14.2] 알뜨르비행장위치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대정읍상모리에위치한알뜨르비행장은제주도방언으로 아래벌판 이라는의미를가지고있으며, 현지의지명인 40) 모슬포 를따서모슬포비행장이라고도불린다. 알뜨르비행장은 2차대전당시일본군들이제주도민을강제동원하여건설한제주도최초의일본군전투기비행장이다. 알뜨르비행장은중일전쟁중일본이전쟁의전초기지로서사용한장소이며, 또한이곳에서일본의극단적인전술로유명한 41) 카미카제 를위한조종훈련을했다고한다. 그뿐아니라일본에서날아온비행기는알뜨르비행장을거쳐상하이, 베이징, 난징까지공습가능하였다고한다. 이를통해알수있듯이, 알뜨르비행장은우리의아픈과거가담긴일제강점기를대표하는군사시설중하나이다. 알뜨르비행장을중심으로많은전쟁유적들이분포하고있어알뜨르비행장은일본군전쟁유적을가장효과적으로보여줄수있는곳이다. 그예로는태평양전쟁말기제주도대정읍알뜨르비행장에주둔했던일본해군비행대의지휘소, 또는통신시설로추정되는일제지하벙커와관제탑과당시비행장일대의부대의식수공급역할을한것으로추정되는관제탑내부시설등다양한전쟁유적들이존재한다. 제주도에는알뜨르비행장외에도정뜨르비행장, 진뜨르비행장, 육군비밀비행장등이있으며현재정뜨르비행장은제주국제공항으로이용되고있다. 2) 알뜨르비행장과일제강점기 알뜨르비행장은일본군이만든해군비행기지로활주로, 격납고, 지하벙커로구성되어있다. 알뜨르 비행장내에는등록문화재가세건이나분포하고있다. 등록문화재제 39 호인남제주비행기격납고, 등록문화재제 312 호인제주모슬포알뜨르비행장일제지하벙커, 등록문화재제 316 호인제주모 슬포알뜨르비행장일제고사포진지다. 이렇듯알뜨르비행장은등록문화재로도중요하다. 알뜨르는제주도방언으로 아랫벌판 이라는뜻이다. 그러므로알뜨르평야는평평한아랫벌판이다. 바다와가깝고, 대부분의지역이넓고평탄한초지로구성되어있는평평한아랫벌판은비행장을건설 40)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대정읍에있는포 41) 제 2 차세계대전때폭탄이장착된비행기를몰고자살공격을한일본군특공대. - 60 -
하기에좋은지리적요건을갖고있다. 알뜨르비행장은제주도에서처음으로만들어진비행장이었다. 일제강점기때일본군은해군항공대가본격적으로주둔하려는목적보다는항공기가오고가다가필요에따라임시로중간기착을해야하는경우에사용할목적으로알뜨르평야에비행장을만들계획을세웠다. 그리고 제주도비행기불시착륙장 을조성한다. 그리고중 [ 그림 14.3] 알뜨르비행장을중심으로한항공기지와국대륙을침공할것을염두에두고모슬포에비폭격지점행장을만든다. 특히모슬포지역은제주도남서부지역으로서중국과가장가까운거리에있었기때문이다. 알뜨르평야의지리적위치는태평양연안에접해있고, 주변에모슬봉, 바굼지오름, 산방산, 단산, 송악산이있으면서평평한평야이며직선거리로 6km가안되는인접한곳에 42) 천연항인화순항도있다. 불시착륙을위한목적으로건설할당시에는 6만평의규모였으나, 중일전쟁이본격화되면서일본은적극적으로이비행장을활용하기로하고증설한다. 중국본토폭격을위해서일본이편성한제1연합항공대는난징을공습하기위해나가사키현의오오무라항공기지로이동했다. 오오무라항공기지가중국에가장가까운곳이었기에모든폭격기는이곳에모였는데, 폭격기의비행가능거리로인하여, 폭격이끝난후에는알뜨르비행장에착륙할수밖에없었다. 이후에는폭격거점은제주도로옮겨져, 제주에서출발해서폭격을실시하게된다. 제2차세계대전이후에알뜨르비행장은그중요성을인정받아, 확장공사에들어가게되고오오무라항공기지의규모와같은수준에까지이르게된다. 알뜨르비행장에위치한남제주비행기격납고는 1937년에건립된것으로서 2차세계대전당시일본군들이제주도민을강제동원하여건설한전투기격납고이다. 알뜨르비행장에는일제지하벙커도있다. 1945년무렵에비행장을확장하면서만든일본해군비행장의부속시설을사용하여콘크리트구조체를만들고위쪽에돌무더기를쌓고나무등으로가려숨겨조성했다. [ 그림 14.4] 비행기격납고 [ 그림 14.5] 지하벙커내부모습 42) 자연적으로형성된항만 - 61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알뜨르비행장이갖는지리적의미에관한연구,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9-36 쪽 [ 논문 ] 강순원, 태평양전쟁기제주도주둔일본군과군사시설, 제주대학교대학원학위논문 ( 석사 ), 2006, 15-90쪽김원복, 아시아 태평양전쟁말기제주도에구축된일본군진지에관한연구 : 모슬포지역을중심으로, 한신대학교대학원학위논문, 2009, 13-73쪽 [ 인터넷 ] 네이버지식백과죽기전에꼭가봐야할국내여행 1001 알뜨르비행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702&cid=42865&categoryid=42865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제주의군사전략상요충지, 알뜨르비행장지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6337&cid=51954&categoryid=5544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알뜨르비행장관제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6985&cid=51954&categoryid=55467 [ 그림출처 ] [ 그림 14.1] 오마이뉴스 http://omn.kr/c5ta [ 그림 14.2] 네이버지도http://map.naver.com [ 그림 14.3] 알뜨르비행장이갖는지리적의미에관한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3, 31쪽 [ 그림 14.4] 알뜨르비행장이갖는지리적의미에관한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3, 32쪽 [ 그림 14.5] 알뜨르비행장이갖는지리적의미에관한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3, 32쪽 - 62 -
15. 마라도 16 박현승 1) 개관 [ 그림 15.1] 마라도전경 [ 그림 15.2] 마라도의위치 마라도는동경 126 16' 북위 33 07' 에위치하여대한민국의최남단에있는동중국해의섬이다. 섬전체가남북으로긴타원형이고해안은오랜해풍의영향으로기암절벽을이루고있다. 제주도에서남쪽으로약 11 km정도떨어져있다. 본래는천연숲이무성했다고전해지나, 조선시대말기에섬을개간하면서모두사라졌다고한다. 마라도의면적은 0.299km2, 섬의둘레는 4.2km, 길이는남북 1.25 km, 동서약 500m이다. 마라도는난대성해양동식물이풍부하고주변경관이아름다워 1997년 8월부터제주도가지정한해양도립공원으로관리되어오다가, 2000년 7월 19일자로천연기념물제423호인 마라도천연보호구역 으로지정 보호되고있다. 2) 마라도의지형과지질 마라도의지형은수차례분화활동에따른용암루가쌓여형성된화산섬으로주로현무암류로구성된특징을보인다. 마라도가화산섬이라고하지만, 현재섬내부에서는분화구를찾을수없으며따라서아직도마라도의형성과정에대해서정확히밝혀진바는없다. 그러나일부지질학자들은해저화산활동에의해형성된섬이라기보다는육상환경에서먼저섬이형성된이후에해수면이상승하여현재에이르게된것으로보고있다. 마라도를형성한화산체는일차적으로형성된후에해수면의상승과하강운동을받고, 물리적화학적풍화작용을지속적으로받아왔으며오늘날과같은해수면이유지되는 7000년전부터는주로파랑과해식이진행되는가운데현재의해안선에도달한것으로보고있다. - 63 -
그림에서등심선 20m선이마라도가생성되었을당시의원래모습인것으로추정된다. 마라도의해안에는크고작은해식동굴과해식애가발달되어있다. 섬의북동쪽해안과남서쪽해안에는파식대가발달되어있다. 섬의남쪽해안에서는시기가서로다른용암류가퇴적된노두 43) 를발견할수있다. 마라도에는작은실개천과용천수나지하수가없다. 그래서마라도에입주한주민들은섬안에파서만든 3개의봉천수 44) 를이용했는데, 이마저도가뭄이들면쉽게말라버렸다. 공동저수탱크와 제주삼다수 를공급하는등의식수문제해결책을마련하다가 2004년에도서지역해수담수화사업을통해물을공급할수있는환경을조성하게되었다. [ 그림15.3] 마라도의원지형복원도제주도에분포하는현무암질용암류는곶자왈용암과발레용암으로구분할수있다. 마라도는섬전체가발레용암인다공질의감람석현무암 45) 으로이루어져있다. 표선리현무암 이라고불리기도한다. [ 그림 15.4] 동쪽해안의해식애 [ 그림 15.5] 남쪽해안의용암류노두 ( 장군바위 ) 3) 마라도의역사 한척의항공모함을연상케하는마라도는개척이전에는 금섬 으로불리어지는곳으로사람들이신비스럽게여기면서도접근을꺼렸던섬이었다. 과거에는울창한원시림으로뒤덮여있었고해안에는해산물이풍부하였으나주변지역파도가높고기후변화가심하여당시교통수단으로는접근이어려웠다고한다. 그러나간혹날씨가풀릴때에는배를부리는사람들이섬에상륙하여나무를베고해산물도채취했었다고전해진다. 마라도에사람이살기시작한것은고종20년에모슬포에거주하던김나한씨등영세농어민 4,5세대가당시제주목사로부터개간허가를얻어입도하면서부터이다. 이거주민들은농경에필요한경작지를마련하기위하여화전을시작하였고, 그러한이유로마라도의삼림지대가사라지게되었다. 43) 암석이나지층이흙이나식물등으로덮여있지않고지표에직접적으로드러나있는곳 44) 빗물을고이게하여사용하는호수 45) 상당한양의감람석을함유하는경우부르는호칭 - 64 -
4) 마라도의산업 마라도의주요산업은어업과관광업이며, 대부분의주민들이관광업에종사하고있다. 관광객들의대부분은당일방문객이므로숙박업보다는음식판매업의비중이높은편이다. 마라도에서생산된수산물은마라도내에서관광객을대상으로판매하고있다. 그리고섬에는최남단을알리는기념비가세워져있다. 마라도가가진관광자원은다음 4가지로분류된다. 첫째개발되지않은기암절벽의해안등과같은자연경관이다. 둘째, 마라도의입지적조건으로서우리나라최남단유인도라는의미에서의지리적상징성이다. 셋째는현무암돌담으로둘러싼공간에차려놓은본항당 46) 인할망당, 장군바위등과같이토속신앙이결합된문호와마라도전통문화이다. 넷째, 자장면먹기 와같은새로이정착한마라도문화이다. [ 그림 15.6] 마라도의할망당 [ 그림 15.7] 마라도최남단비 MEMO 46) 제주에서마을의신을모신신당으로서낭당과유사하다 - 65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제주특별자치도민속자연사박물관, 마라도학술조사보고서 - 제주유인도조사, 2008, 제주특별자치도민 속자연사박물관, 111 쪽 [ 논문 ] 정광중, 마라도의지리적환경과지역환경조성방안,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 1-20쪽송시태, 마라도의지형 지질에관한연구, 2004, 교육과학연구, 225-234쪽변경화, 제주마라도의관광만족도와관광유인요인연구, 2014, 한국농촌건축학회, 45-54쪽 [ 그림출처 ] [ 그림 15.1]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6331&cid=51954&categoryid=55443 [ 그림 15.2] 구글지도 https://www.google.co.kr/maps/ [ 그림 15.3] 마라도의지리적환경과지역환경조성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1-20 [ 그림 15.4] 마라도의지리적환경과지역환경조성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1-20 [ 그림 15.5] 마라도의지리적환경과지역환경조성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1-20 [ 그림 15.6]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6521&cid=40942&categoryid=39632 [ 그림 15.7] 오마이뉴스 http://bit.ly/jb2nn - 66 -
16. 오설록티뮤지엄 1) 개관 17 이유진 [ 그림 16.1] 오설록티뮤지엄의위치 [ 그림 16.2] 오설록티뮤지엄의모습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안덕면서광리에위치했다. 제주오설록서광차밭과맞닿아있는오설록티뮤지엄은아모레퍼시픽이차와한국전통차문화를소개하고, 널리보급하고자 2001년 9월에개관한국내최초의차박물관이며, 최초의이름은 설록차박물관 이다. 서광차밭을포함해돌송이차밭 ( 도순차밭 ), 한남차밭이오설록의직영다밭이다. 서광차밭은산방산근처에위치한밭으로서, 서광리는전체가돌밭이라고해도될만큼작물재배가어려운곳이었지만, 1983년에개간을시작하여척박한땅에새생명을불어넣어대한민국에서가장광대한차밭을조성했다. 오설록티뮤지엄은동양과서양, 전통과현대가조화를이룬문화공간으로차유물관, 자연친화적인휴식공간, 2013년티클래스를더해 21세기형차박물관으로발돋움하고있다. 세계적인디자인건축전문사이트인 디자인붐 이선정한세계 10대미술관에오를만큼안팎으로아름다운풍광을뽐내는티뮤지엄은연간 150만명의관람객이방문하는제주도의명소이자문화공간이다. 제주도를찾는관광객들이차에대한관심을갖게하는계기를마련해주고있다. 오설록은설록차의모든것을체험할수있는공간으로 오설록 의 오 는경쾌한감탄의의미 (Oh) 와함께, origin of sulloc cha( 茶 ) 의의미를가지고있으며, 설록은설록차의브랜드네임이다. 오설록티뮤지엄은우리나라의녹차를중심으로전세계의다양한차문화를소개하고있다. 2) 제주도와차 제주도는차와관련한산업이크게발달해있는데, 차재배에유리한이유로는크게토양, 기후, 암반수를꼽을수있다. 첫째로차를키우는흙인화산회토는대부분의현무암과일부의조면암및퇴적암으로이루어져있으며, 75% 의공극률을보인다. 공극률이란암석의전체부피에대한공극의비율을의미한다. 이는세계적으로손꼽히는공극률이며, 물과공기의흐름을원활하게하며차나무뿌리가받는압력을줄여준다. 그리고화산회토는일반토양보다 10배나높은칼슘과마그네슘, 산화철등인유기물을함유하여아주비옥한흑색토양이다. 또한제주에만존재하는다공성현무암자갈돌이 - 67 -
토양의물리적특성을개선하여보다좋은찻잎을자라게한다. 기후로는연평균기온이 14~16ºC, 겨울에는최저기온이 5~-6ºC 이상이적당하다. 또한연강수량은최저 1300mm 이상이되어야한다. 우리나라의차재배지중에서는오직제주한곳만이이러한기후적조건에맞아떨어진다. 제주도는연평균기온 15ºC 이상의온난한기후, 연강수량 1850mm 이상으로차재배에최적의조건이다. 또한바다로둘러싸인제주는연간안개 ( 해무 ) 발생일수가 25일로, 이는녹차나무에자연차광효과를준다. 이를통해여린잎본연의맛과색을살릴수있기때문에최고품질의녹차를재배할수있다. 마지막으로재배에가장중요한요소인물에해당하는암반수가있다. 청정지역인제주의흙은화산회토로오염물질을걸러내는청정필터역할을하여깨끗한지하수를만들어낸다. 이렇게만들어진지하수를이용하여차를재배한다. [ 그림 16.3] 서광차밭 [ 그림 16.4] 녹차재배한계선 MEMO - 68 -
[ 참고문헌 ] [ 논문 ] 이진수, 한국차산업과문화의전환점에대한연구 : 장원서성한과아모레퍼시픽의기여를중심으로, 2013, 국제차문화학회, 20쪽윤창완, 제주지역농작물의재배변천과농정발전방향에관한연구, 2012, 제주대학교대학원, 17쪽백주원, 제주도차문화산업활성화방안연구, 2016, 성신여자대학교문화산업대학원, 33~34쪽 [ 인터넷 ] 오설록티뮤지엄홈페이지 http://www.osulloc.com/kr/ko/about/terroir [ 그림출처 ] [ 그림 16.1] 제주특별자치도청 www.jeju.go.kr [ 그림 16.2] 구글지도 https://www.google.co.kr/maps/ [ 그림 16.3] http://www.osulloc.com/kr/ko/about/terroir [ 그림 16.4] 정동효외 3명, 차생활문화대전, 2012, 홍익재 - 69 -
17. 용머리해안 1) 개관 15 김종헌용머리해안은산방산앞자락에있는바닷가로, 산방산휴게소에서 10분정도걸어내려가면수려한해안절경의용머리해안과마주치게된다. 이곳은 2011년 1 월에천연기념물제526호로지정되었고, 응회암으로이루어진용머리해안에는길이 700m, 높이 25~40m 의해식애가발달한다. 해식애앞쪽으로는소규모이지만평탄한파식대가발달하여용머리해안을 [ 그림 17.1] 용머리해안위치일주할수있는탐방로역할을하고있 다. 작은방처럼움푹들어간굴방이나드넓은암벽의침식지대가펼쳐져장관을이루고있는곳으로얼마전부터제주의새롭게소개되는관광코스중의하나이다. [ 그림 17.2] 용머리해안과파식대 2) 형성과정 용머리해안은산방산의남사면밑에붙어있으며, 바다쪽으로돌출하여작은곶을만들고있다. 겉으로보면평범하지만좁은통로를따라바닷가로내려가면오랫동안층층이쌓인사암층암벽이나온다. 이것은 180만년전수중폭발이형성한화산력응회암층으로산정표고는 48m, 비고는 43m, 둘레는 1,597m이다. 주로 47) 화쇄난류에의해만들어진화산체임을지질구조를통하여확인할수있다. 처음에는나지막한고리형태의화산체를이루었으나, 오랜기간에걸쳐깎여나가고지금은그일부만이남아있다. 초기용머리응회환은단단하지않은대륙붕의퇴적물위에만들어졌는데, 마그마가터져나올때몇차례에걸쳐화산체가무너져내렸다. 이로인해분화구가막혀그위치가 47) 화쇄난류 ( 火碎亂流 : 폭발적인화산분출에의해형성되어지면을따라빠르게흘러가는저농도의화산기원중력류 ) - 70 -
변하면서서로다른분화구에서터져나온화산재가서로다른방향으로흘러가며쌓이게되었다. 용머리응회환은서로다른분화구에서터져나와쌓인세묶음의지층으로이루어져있다. 이들경계에서는큰규모의절단된부분과침식된부분을관찰할수있다. 이는당시제주도의지반이연약하여화도의이동이빈번하게일어난결과로서, 인근에소재하는단산도 48) 응회환과응회구가결합된불규칙한형태의화산체이다. 용머리에는제주특별자치도기념물제 23-21호로지정된산방연대가있으며, 해안오른쪽에는반원형으로부드러운검은모래사장이펼쳐져있다. 3) 지질구조 용머리의전반적인지질구조는용머리가응회환의잔존물인것을나타낸다. 얇은층리와이들내부에발달하는파동층리, 수평층리, 그리고거대연흔사층리는용머리가주로화쇄난류에의해퇴적되었음을나타낸다. 용머리의응회환은분출당시상당히습한조건에서분출했다. 비록용머리의크기는작지만, 다양한지층의모습과분포를보여준다. 용머리의남쪽부분에나타나는지층은용머리복합체가응회환의 49) 화구륜일부를포함하는것임을나타낸다. 용머리에대한퇴적학적조사를통해용머리응회환이측방연장성이좋은침식면에의해경계되는 [ 그림 17.3] 용머리응회환복합체의지질 지형 3가지의지층묶음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각의층서들은다른근원화구에서발생했다. 지층묶음의경계는측방으로연장성을가지며발달하는침식면에의해구분된다. [ 그림 17.4] 용머리지층묶음 48) 응회환 : 수성화산분출에의해높이가 50m 이하이고, 층의경사가 25 보다완만한화산체. 49) 화산의테두리 - 71 -
4) 용머리해안의전설 용머리전설에는제주사람들의희망과좌절이동시에존재한다. 용머리의기세는제주에천하를호령할제왕이태어날기운을갖고있었다한다. 중국의진나라진시황제는일지감치이를알아채고풍수사호종단을보내어제주도의이런맥을끊어놓고오라고제주도에보낸다. 이에호종단은제주의구좌읍종달리로들어와지형지세를보니과연왕이날지세라여겨제주의지맥혈을찾아끊기시작했다. 호종단이용머리에닿았는데막바다로뻗어나가려는용의머리를보고그는칼로용의꼬리를먼저자르고, 얼른용의등으로올라타잔등을칼로쳤다. 그리고더앞으로달려용의머리를끊으려는순간시뻘건피가솟으며산방산이울음을토했고몇날며칠을천둥번개가쳤다고한다. 그렇게제주의왕이날기세를꺾이고이를지켜보던산도바다도오랫동안사납게울어대더라고전한다. MEMO - 72 -
[ 참고문헌 ] [ 논문 ] 김지연, 제주올레를활용한지형학습 : 올레 10 코스중심으로, 2013, 동국대학교대학원, 20 쪽 [ 인터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8160&cid=46617&categoryid=46617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687&cid=42865&categoryid=42865 제주관광공사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menucd=dom_000001718002000000&areaid=con T_000000000500471 [ 그림출처 ] [ 그림 17.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17.2] 용머리해안 : 제주관광공사 http://www.visitjeju.net/ko/tourview.jto [ 그림 17.3] 제주삼다 http://www.jejusamda.com [ 그림 17.4] 제주도세계지질공원 http://geopark.jeju.go.kr - 73 -
18. 조근모살 17 박혜원 1) 개관 조근모살은제주서귀포시산록남로에위치한길이 200m 정도의작은해변이다. 해변뒤로웅장하게펼쳐져있는절벽과그것에아로새겨져있는주상절리의뛰어난경관으로우리에게잘알려져있으며, 해수욕장으로서의자연조건은매우열악하지만, 인적이드물고주변풍광이빼어나서한가롭게바다의정취를맛볼수있다. 또한 제주올레 8 코스 에포함되어관광객들이주상절리를관찰하며거쳐가는곳이기도하다. 조근모살해변의뒤쪽에는주상절리돌기둥의암벽이병풍처럼둘러쳐져있다. 그래서 병풍바위 로도불린다. 조근모살뒤쪽의주상절리대는모두하늘을찌를듯한높이로쭉쭉뻗어있다. 아래쪽바닷가에서있는사람이작은인형처럼보일정도로암벽의위용이대단하다. 주상절리의바닷물과맞닿는아랫부분은빨리식어주상절리가곧고치밀하지만, 위로갈수록천천히식어희미해지고물리적성질이다르면휘어지기도한다. [ 그림 18.1] 조근모살의위치 [ 그림 18.2] 조근모살 2) 이름 모살 이란 모래 를뜻하는제주방언이고, 조근 역시 작은 을뜻하는제주방언이다. 따라서 조근모살 이란작은모래해안을말한다. 방언에서유래한명칭이기때문에조른모살해변, 존모살해변등으로다양하게불린다. 반대로 긴모살 은긴모래해변, 즉중문해수욕장을뜻한다. 하얏트리젠시호텔앞절벽에위치한 15m 정도의높이를가진개다리폭포와색달해변을기준으로동쪽을긴모살, 서쪽을조근모살이라고부른다. 3) 주상절리 (1) 절리암석이지각변동에의하여압축력또는장력을받을때나마그마나용암이고결해 50) 수축할때, 틈이생기게된다. 새로만들어진암석에는이틈이잘보이지않지만, 오랜시일이지나면풍화작용 50) 암석에서떨어져나온쇄설물이나액체상태의물질이단단하고굳은암석으로변해가는일. - 74 -
때문에굵은틈이눈에띄게나타난다. 이런틈을절리라고한다. 절리의종류에는일반적으로주상절리, 판상절리, 방상절리가있다. 주상절리 (columnar joint) 란수직으로뻗은육각기둥모양의절리를뜻한다. 화산암지대, 그중에서도현무암지대에서가장잘관찰할수있다. 판상절리 (sheeting joint) 는한방향의절리면만이발달하여생기는여러장의판모양형태의절리를말하며, 이러한판상절리는화강암지대에서흔히관찰되고, 퇴적암지대에서도관찰된다. 방상절리 (rectangular joint) 는직교하는두방향으로절리가생겨육면체모양으로쪼개지는절리를뜻하는데, 이역시화강암지대에서발견할수있다. (2) 주상절리의형성과정주상절리는약 900도에달하는마그마나용암이냉각되는도중수축되어생긴것이다. 이러한용암의수축은온도가높고유동성이큰현무암질용암에서현저하게일어난다. 화산에서분출된현무암질용암이흘러지표에노출되면용암이빠르게식으며응고된다. 용암이굳으면서부피가수축해균열이발생하게되는데, 균열로인해생긴틈을절리라고한다. 이때, 단면의형태가육각형의긴기둥모양을이루고있는절리를주상절리라고부른다. 균열로인해분리된돌기둥은용암의두께와냉각속도에따라서수십센티미터의지름과수십미터의높이의규모로발달하기도한다. 또한, 용암의냉각속도가빠를수록주상절리기둥의굵기는가늘어지고, 주상절리겉면에발달한띠구조의간격은좁아지기때문에다양한형태를가진다. 바깥에직접노출된용암과는다르게용암의내부는서서히냉각되기때문에암석의내부로갈수록절리의방향이휘거나굵어지는것이다. 주상절리의모양은사각형기둥에서부터칠각형기둥까지다양하며, 육각형기둥이우세하게나타난다. 우리나라에분포하는주상절리중이러한특징을잘보여주는곳은제주도의송악산남쪽해안과서귀포시대포동해안, 포항시달전 [ 그림 18.3] 주상절리의구조동, 경기도한탄강연안등이다. - 75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손일,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푸른길, 99 쪽 양영훈, 자연이빚어낸환상의섬제주, 2004, 넥서스 BOOKS, 194 쪽 [ 논문 ] 강윤혁, 서귀포갯깍주상절리에대한초등학생의기초탐구능력분석, 2011,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쪽 [ 인터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 그림출처 ] [ 그림 18.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18.2] 손일,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푸른길, 99쪽 [ 그림 18.3] National Geoscience Database of IRAN http://www.ngdir.ir/default.asp - 76 -
19. 대포주상절리 1) 개관 [ 그림 19.1] 대포주상절리의위치 16 구해인서귀포시대포동해변에서주상절리대를관찰할수있다. 이곳주상절리의공간적위치는대포동과가깝지만행정구역으로중문동에해당되기때문에중문 대포의마을이름을병기하거나이곳의옛이름인 지삿개 를살려중문 대포지삿개해안 바위라고부른다. 화산섬인제주에는곳곳에주상절리가있지만제주중문단지안에있는주상절리는그중가장규모가큰곳으로널리알려져있으며관광객들을위해보다더가까이에다가가관찰할수있도록이동통로와전망대를만들어놓았다. 총길이 1km에이르는해안에걸 쳐겹겹이쌓인기둥에파도가부딪혀생기는하얀물거품은검은색의주상절리와어우러지며멋진색의조화를보여준다. 2) 자연환경 대포동주상절리를이루는대포동현무암은약 25만년전에녹하지악 51) 분석구에서분출한현무암으로맨눈으로관찰하여도반상조직 52) 이뚜렷하며, 사장석, 감람석, 사방휘석, 단사휘석, 불투명광물로구성된다. 높이와크기가저마다제각각인사각형또는육각형돌기둥의절리들은중문관광단지내의해안을따라깎아지른절벽을이루고있다. 주상절리의크기를살펴보면큰것들은주로 20m 내외로발달하며상부에서하부에이르기까지깨끗하고다양한형태의돌기둥들을보여 [ 그림 19.2] 대포주상절리일대주고있다. 해식애를따라발달한주상절리는주로수직이나수평인곳도있으며, 상부단면은사각내지육각형이다. 해식작용으로외형이잘관찰되고서로인접하여밀접하게붙어서그모습이마치일렬로늘어선조각작품들처럼보이기도한다. 제주도해안에는기둥모양의주상절리가절벽을이루고있으며, 우리에게잘알려진정방폭포와천지연폭포가이러한지형에형성된폭포이다. 51) 서귀포시중문동에위치한측화산 52) 매우작은결정질이나유리질로된화성암에큰결정이들어있는조직. - 77 -
3) 관광현황 1일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발표한통계에따르면제주도에서는성산일출봉 (316만9913 명 ), 천지연폭포 (198만 9344명 ) 에이어중문대포해안주상절리대 (170만 8300명 ) 가세번째로많은관광객들이찾은곳이었다. 이러한발길에보답하기위해제주특별자치도는서귀포 중문권을둘러보는 8시간짜리당일상품을비롯한 44개의표준관광상품을개발하였으며, 도의이러한노력은국내를비롯한수많은해외관광객들에게 알찬 여행을가꾸어주고있다. 특히, 중문에있는마리나항구에서출발해대포주상절리를비롯하여중문해수욕장, 갯깍주상절리등을함께감상할수있는제트보트는제주를찾는젊은관광객들에게특별한경험을선사한다. 또한이곳은주상절리단애 53) 의형성과정중에일어났던해수면변동과구조운동, 신생대제4기의빙하성해수면변동에관한연구등중요한지질자원으로서학술적가치와경관이뛰어나 2005년 1 월 6일천연기념물제443호로지정 보호되고있다. MEMO 53) 수직또는급경사의암석사면. 수직또는급경사의암석사면. - 78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죽기전에꼭가봐야할국내여행 1001, 2016, 최정규외, 마로니에북스, 916 쪽 한국의지질노두 150 選, 2004, 진명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2-331 쪽 [ 논문 ] 제주도대포동현무암에발달한지삿개주상절리의형태학및암석학적연구, 고정선외, 2005, 한국 암석학회, 제 14 권 4 호, 212-225 쪽 [ 인터넷 ]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제주일보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53425 National Geoscience Database of IRAN http://www.ngdir.ir/default.asp [ 그림출처 ] [ 그림 19.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19.2]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손일, 푸른길, 100 쪽 - 79 -
20. 하논 17 배정윤 1) 개관 하논화산은분화구의직경이 1.0~1.2km, 화구륜과화구바닥의고도차가최대 90m로서제주도화산분화구중최대규모이며, 분화구내부에는소규모분석구가발달해있다. 분화구바깥쪽으로는평균약 40 m 두께의응회암층이완만한경사의응회환을이루고있다. 하논분화구의안쪽경사면에는기반암이노출되어있고, 최대 15m 두께의화구호퇴적층이분화구의저지대를채우고있어서, 하논분화구는분출전지표면은물론지하수면보다도깊게파여만들어졌던것으로보인다. 따라서하논은한때화구가물로채 [ 그림 20.1] 하논의위치워진마르 (maar) 였던것으로해석되며현재의화산지형역시마르형응회환 54) 으로분류될수있다. 하논은 크다 의뜻을가진제주도방언 하영 의 하 와 논 이합쳐진말로, 큰논이라는뜻이지만육지에서는이정도의규모에큰논이라는이름을붙이지않는다. 어쩌면제주에서벼농사가가능한곳이흔치않아이런이름이붙은것으로예상된다. 하논은원래평균수심 5m 내외의화구호였을것으로추정되며, 퇴적층의두께는 15m가량된다. 외륜산의고도가가장낮은동쪽을파괴해배수한후평평한호수바닥을농경지로이용했는데, 자료에의하면 16세기전부터논농사가이루어졌다고한다. 하논바닥에는모두 3곳에서지하수가용출되는데, 이물은천지연폭포로흘러간다. [ 그림 20.2] 하논분화구의모습, 하논분화구바닥에서는논농사가이루어지고있는모습이다. 54) 수성화산분출에의해높이가 50m 이하이고, 층의경사가 25 보다완만한화산체. - 80 -
2) 하논의형성과정 하논의화산활동시기는화구호퇴적층에근거하면약 34,000년전으로추정되며, 화산활동은당시해수면보다 130~150m 정도높은내륙의지하에서지하수 마그마접촉에의한수성화산폭발을통해시작한것으로보인다. 수성화산폭발에의해마르형분화구가파이고그주위에는조면안산암질 55) 화산쇄설물로이루어진응회환이형성되었으며, 이후에지하수가고갈됨에따라분출양식이마그마성분출로전이되어분화구내부에분석구와용암연이형성된것으로보 [ 그림 20.3] 하논의등고선도인다. 화산활동이완전히종결된후분화구내에는화구호가형성되어최대 15 m 두께의화구호퇴적층이집적되었다. 3) 마르형분화구 하논은마그마와지하수의접촉이대규모폭발로이어지면서형성되었다. 용암분출로생성된일반적인화산분화구와달리, 마르형분화구는용암이나화산재분출없이지하깊은땅속의가스또는증기가지각의틈을따라한군데로모여한번에폭발하여생성된분화구를말한다. 지표면보다낮게형성된화산체로, 산체의크기에비해매우큰화구가특징이다. 이곳의분화구는주위에비해상대적으로높이가낮으며물로채워져있지는않으나분화구내에샘이존재하고, 비가올경우물이고인다. 깊이에비해직경이크며, 폭발에의해생겨난쇄설물들이퇴적되어언덕을이룬다. 하논분화구내에는 2차적으로형성된화구구인 보름이 오름이중앙부에위치해있다. 분석구 56) 형태의보름이는하논분화구가형성된이후또다른분출이이루어졌다는것을의미하며, 이를통해하논은이중화산에해당된다고할수있다. 호근마을로들어가는도로변의분화구입구노두에는응회환의퇴적층구조역시확인할수있다. 웅회환은작은알갱이와수증기로혼합된강렬한분출로인해화산쇄설물이멀리까지운반되어퇴적된오름을가리킨다. 55) 안산암과조면암의중간적인성질을가진암석으로라타이트라고도한다. 용암또는작은관입암체로산출된다. 56) 화산쇄설물이쌓여만들어진언덕 - 81 -
[ 그림 20.4] 마르형분화구의형성과정 4) 하논의벼농사 제주도는쌀을주식으로삼는문화권이지만지질특성의영향으로인해물을가둘수있는논을만드는데제약이많았기때문에쌀이귀했다. 제주도에서벼농사를할수없었던가장큰이유는지질특성의영향으로인해물을가둘수있는논을만드는데제약이많았기때문이다. 먼저, 제주도벼농사지역의변화양상을시대적으로분류할수있다. 조선시대에는습지나상시하천과주변에물이풍부한지역에서벼농사를했었다. 일제강점기에는수로를이용해서밭으로사용했던일부지역도벼농사를행하였다. 해방이후에는저수지와간척지등을활용하여벼농사를했었으나, 쌀값이떨어지면서벼농사는자연스럽게폐작되었다. 쌀은인구부양력이높은식량작물이면서고소득작물이었고, 또한유교적전통을지키기위해서도반드시필요한작물이었다. 제주도에서쌀을재배하려면용천이풍부하게나면서넓은평지가있어야하기때문에조선시대까지는일부마을만이벼농사를할수있었다. 일제강점기에들어토목기술이발달하면서수리시설의확충과간척등을통해벼농사를하려했던것도쌀이고소득작물이라는점이크게작용했다. 하지만도외지역에서쌀이풍부하게들어오면서쌀값이하락하고벼농사를하는것도큰소득을가져다주지는못했다. 오히려밭농사보다더낮은소득을얻었기때문에 1990년대이후로는대부분이폐답이되었으나, 하논은 15세기후반부터지금까지벼농사가계속되고있으며, 벼농사를할수있는자연적인조건을갖추고있는제주도의유일무이한지역이다. MEMO - 82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손일,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푸른길, 68 쪽 [ 논문 ] 정근오, 제주도벼농사의지리적연구, 2014,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8~9 쪽, 61~62 쪽 고선영, 제주도송악산응회환의분화작용및내부구조, 2016, 경상대학교대학원, 50 쪽 [ 인터넷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그림출처 ] [ 그림 20.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20.2] 손일, 앵글속지리학 ( 하 ), 2011, 푸른길, 66쪽 [ 그림 20.3] 고선영, 제주도송악산응회환의분화작용및내부구조, 2016, 경상대학교, 50쪽 [ 그림 20.4] 정근오, 제주도벼농사의지리적연구, 2014,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61쪽 - 83 -
21. 비자림 17 최지웅 1) 개관 비자림은제주시구좌읍비자숲길에위치해있다. 약 450,000 m2의면적에 500년에서 900년생비자나무약 2800그루가자생하는군락지이며, 이비자림은단일품종으로는세계최대규모의숲을이루는곳이다. 이에따라비자림은우선일제강점기 1936 년에는학술참고림으로, 광복후 1966년에는천연기념물제182호한라산천연보호구 [ 그림 21.1] 비자림의위치역의일부로, 그리고 1993년천연기념물제 374호 구좌읍의비자림지대 로분리 지정되었을만큼학술적인가치를인정받았다. 최근에는관광자원으로각광받고있으며, 연간 11만명에달하는관광객이입장하고있다. 문화재청은 1999년부터전체개체수를파악하기위한조사를착수하여매목마다고유번호를부여하여표찰을부착하였고, 나무의직경, 수세등을조사하여대장화하였다. 이후연차적으로비자나무의생장을위해 10년간에걸쳐피해목에대한외과수술 57), 고사지제거, 경쟁목제거및식생정리등의작업을진행했다. [ 그림 21.2] 비자림산책길 [ 그림 21.3] 비자림영역 2) 비자나무와제주 비자나무는자웅이주 58) 식물로써생장이느린편이지만높이 20m이상, 직경 200cm 이상까지자란다. 꽃은 4~5월경에피며, 이에따라제주비자림은 4월한달간입장료를받지않고무료개방한다. 비자열매는동의보감에 비자를하루에일곱개씩 7일간먹으면촌충이없어진다. 라고기록되 57) 수간공동발생목, 수피이탈목, 부패진전목등의피해에대해부패부제거, 살균, 살충, 방부, 방수처리, 공동충전, 인공수피및산화방지처리등의외과수술을시행함. 58) 암꽃과수꽃이각각다른나무에피는것. - 84 -
어있을정도로구충기능이뛰어나고, 변비치료제, 기름을만드는용도로사용되었다. 또한비자나무의목재는표면이치밀하고, 탄력성이우수해귀중한바둑판의소재로여겨졌고, 습기에강하여배의중요한부분을만드는재료로이용되었다. 때문에열매와목재는과거부터제주의특산물로사용되었다. 1053년 ( 고려문종 7년 ) 탐라국의국호를가지고축산물, 해산물과함께비자열매를조공했다는기록이남아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151권. 지리지전라도제주목 에는제주목의특산물로귤, 유자, 좋은말등과함께비자와비자나무목재를동시에기재하였으며, 동국여지승람 에도역시비자를토산물로기재, 과일수확을주목적으로하는비자림을주위에돌담을쌓아보호하도록한기록이있다. 조선성종즉위년 (1469년) 에는 사면이모래땅이고유일하게한라산이솟아있는제주에서생산되는비자의목재는국용재로매우중요한것인데, 무지한백성들의개간작업에의하여지력을잃어피해가발생함에따라작벌개간을엄금한다. 하였고, 1472년다시한번경고하였다. 경국대전에서또한 제주삼읍에는비자나무 녹나무 조록나무 산유자등은부근주민을지정해관리하도록하고해마다그수를조사해서보고하도록한다. 고기재하였다. 이상의기록들을볼때현재의울창한비자림지대는조선시대부터현재까지의보호, 증식이매우잘행해졌기때문에, 지금의울창한숲이조성, 보존된것으로생각된다. [ 그림 21.4] 비자림의천년나무 3) 관광지로서의비자림 앞서언급했던것처럼비자림은최근관광지로서의가치가높아졌다. 세계적으로도보기힘든천연원시림으로, 사방으로뻗은가지들과잎들로인하여하늘이보이지않을정도로 2800여그루의비자나무가자생하는천년의역사를가진숲이다. 연간통계를보면비자꽃이피는 4월그리고 5월에관광객수가증가하다가장마철인 6,7월에감소, 다시휴가철인 8월에증가하는경향이보인다. 1992년설치된비자림탐방코스는유모차, 휠체어가동반가능할만큼완만한경사로이루어졌으며, 봄에는새순을, 여름에는그늘에서오는시원함을, 가을에는아름다운단풍과낙엽을, 겨울에는하얀설경을볼수있는 4계절모두사랑받는관광지이다. - 85 -
[ 참고문헌 ] [ 논문 ] 이상길, 제주도구좌읍비자림의생물상, 생장특성, 무육강도에따른식생변화및보전방안에관한연 구, 2009, 상지대학교대학원박사논문, 1~22 쪽 [ 인터넷 ] 국사편찬위원회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151권. 지리지전라도제주목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7005 비짓제주 제주도공식관광정보포털 http://www.visitjeju.net [ 그림출처 ] [ 그림 21.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21.2] 비짓제주 제주도공식관광정보포털, http://www.ijto.or.kr/korean/ [ 그림 21.3] 이상길, 제주도구좌읍비자림의생물상, 생장특성, 무육강도에따른식생변화및보전방안에관한연구, 2009, 상지대학교대학원박사논문, 10쪽 [ 그림 21.4] 비짓제주 제주도공식관광정보포털, http://www.ijto.or.kr/korean/ - 86 -
22. 온평리환해장성 14 임지훈 1) 개관 환해장성 ( 環海長城 ) 이란해안을따라쌓은긴성곽이란뜻으로, 외적의침입을막기위해제주해안을따라건설된석조성곽이다. 환해장성은 1270년에최초축조된것으로알려져있으며이후 19세기까지개-보수가이루어졌다. 제주해안성곽은사료에서고장성 ( 古長城 ), 장성 ( 長城 ). 환해장성 ( 環海長城 ), 만리장성 ( 萬里長城 ) 등여러이름으로불리지만, 제주의역사, 문화연구자강창언씨의제언에따라 환해장성 ( 環海長城 ) 으로칭하고있다. 사료에서환해장성의총연장은약 300여리 (120km) 로기록되어있다. 그러나가공된석재로쌓은성벽이아닌, 현무암의자연석을크기별로분류해쌓아놓은환해장성의특성상풍화에취약했으며외관상으로도해안가밭이나주택의돌담, 해수범람방지를위한방파식돌담등과의식별이어려운경우가있다. 결정적으로 1980년대제주도해안도로건설이본격화되며기념물지정조차되어있지않았던환해장성은속절없이훼손되어오늘날부분적으로약 5km 만이남아있다. 잔존환해장성의위치가길이, 높이는아래와같다. ( 단위 : m) 구분지명길이높이 1 애월리환해장성 360 2.5~5.0 2 고내리환해장성 324 1.5~2.5 3 화북동환해장성 ( 곤을동환해장성 ) 140 3.0~3.8 4 북촌리환해장성 263 3.0~3.8 5 동복리환해장성 150 2.0~3.2 6 함덕리환해장성 150?? ~ 4.0 7 평대리환해장성 350 자료없음 8 온평리환해장성 2,120 2.0~3.5 9 신산리환해장성 600 2.0~2.5 10 태흥리환해장성 140 1.5 11 일과리환해장성 50 자료없음 [ 그림 22.1] 잔존환해장성분포도 - 87 -
2) 환해장성의변천사 몽골에항전중이던고려조정이 1270년 ( 원종 11년 ) 항전을끝내고개경환도를추진한다. 당해 5 월, 원종은군의해산명령을내렸으나삼별초는조정의결정에불만을품고항명, 전남진도로내려가대몽항전을계속해나간다. 이후고려조정은삼별초의제주진출을예상하고삼별초의세력확장을사전에저지하고자시랑고여림이이끄는군사 1천을제주로보내둘레 300여리의해안성곽축조를명했는데이것이환해장성의시원이다. 이때파견된시랑고여림의기록을통해환해장성의축조시기를유추해볼수있는데, 고려사 에서1270년 ( 원종 11) 9월시랑고여림이전남진도를토벌중이라는기록이있다. 고여림은곧고려조정의명에따라장성축조를위해제주로이동했으며, 59) 당해 11월중순경삼별초가제주를장악하려전투를벌일때전장에서전사했다. 60) 따라서제주의환해장성은 1270년 9월부터 11월중순까지만 2개월이채되지않는짧은기간에축조됨을알수있다. 또한 1653년제주목사이원진이편찬한 탐라지 고장성( 古長城 ) 조에는 연해환축 ( 環築 ) 하여둘레가 300여리라 라는문구가적힌걸로보아, 지속적증축을통해 17세기에이르러서야장성의길이가 300리에도달다고하니, 1270년건설시에는섬외곽을연속해서쌓지않고, 적이상륙하기쉬운일부구간을선택해축조했을가능성이크다. 1천의군사로 ( 대규모토목공사에백성들을동원하는것이일반적임을감안하더라도 ) 2개월만에건설한성곽이삼별초의공격으로부터효과적인기능을할수없었음은물론, 향후제주를점령한삼별초가계속적인대몽항전을위해환해장성을유지-보수해나갔음은쉽게짐작가능하다. 이후환해장성은왜구가기승을부리던고려말부터조선시대까지운용했으며 탐라기년 에영국선박의무단측량에대비해주민을동원, 환해장성을수축했다는기록에서보듯이양선이출현한 19세기까지도지속적으로보수되어나갔음을알수있다. 3) 환해장성축성방법 성벽의구조는크게기단부, 하단부, 중단부, 상단부로나눌수있는데, 환해장성의경우중단부의 구분이모호하기에기단부, 하단부, 상단부로나누어도무방하다. 기단부축성에서제주전역의환해 장성은대부분지표면을고르게하지않고기단석 61) 을쌓는방식을택했다. 이럴경우기단이약해 성벽이쉽게허물어지지만축성시간이단축되므로단시간에긴성벽을쌓을수있다. 앞선건축배경을 봤을때, 충분히이해할수있는건축방식이다. 다만, 추후건설된것으로추정되는신산리환해장성 의경우에는굴곡진지표를잡석으로메우거나, 잡석이많은지표를고르게다진다음기단석을쌓은 경우도관찰할수있다. 하단부는기단부에서대략 0.5m 정도로본다. ( 이는성벽의크기에따라달 라진다.) 하단부는크게성석 ( 城石 ) 62) 과면석 ( 面石 ) 63) 의크기차이가큰것과비슷한것두가지로나 뉜다. 성석이란성벽내부에쌓는돌이고면석은성벽의겉면을쌓는돌을뜻하는데 ( 아래그림을참 고 ), 면석의크기가성석보다커야성벽이쉽게허물어지지않는다. 59) [ 신증동국여지승람 ] 제 38 권, 전라도, 제주목, 고적조, 古長城沿海環築周三百餘里高麗元宗時三別抄叛據珍島王遣侍郞高汝林等于耽羅領兵一千以備之因築長城 60) [ 동사강목 ] 제 11 하, 원종 11 년 (1270) 조 ; 고려사절요제 18 권원종 11 년 (1270) 11 월조. 61) 기단석 : 건축의기초가되는단을쌓는돌 62) 성석 : 성벽축조에서내부에쌓는돌 63) 면석 : 성벽축조에서성벽의외부를쌓는돌 - 88 -
[ 그림 22.2] 성곽구성요소명칭 애월리환해장성 1지점, 화북동환해장성 4지점, 그리고직접답사를가게될온평리환해장성 1지점의경우면석과성석의크기차가 10배에이른다. 성석이면석사이의빈공간을잘눌러줌으로써안정적으로지탱할수있었다. 위세곳의성벽상태는오늘날까지양호하다. 상단부는모든환해장성이비슷한모습이다. 상단부로갈수록돌의크기가작아지고성석과면석의구분이뚜렷하지못하다. 이로인해풍화작용으로쉽게허물어진곳이많으며, 상단부의흔적을찾을수없는곳도많다. 4) 온평리환해장성의특징 온평리환해장성은연장 2,120m로해안도로건설로인해일부구간이유실된구간이있지만, 잔존환해장성중에서가장긴길이와비교적양호한보존상태가특징이다. 이성곽은조선시대이양기출몰기에개축되었다고추정되는데, 대부분의환해장성이제주북부해안에위치해있는반면온평리환해장성은제주동남부에위치하고있어일본을경유한이양선으로부터섬을방어하기위해개축되었다는추측을하기에충분하다온평리환해장성은크게 1지점과 2지점으로나뉜다. 1지점은온평리동포구 ( 浦口 ) 북쪽부분이다. 성의일부가완전히파손되어성곽이끊긴구간이있으나, 남아있는성곽의윤곽이나계단등이잘보존되어있어전체적형상을파악하는데큰어려움이없다. 성의높이도 1.2m에서최대 3m까지쌓여있으며축성방식은허튼층쌓기 64) 에잔돌끼움 65) 형태를나타내고있다. 또한앞서축성방법에서언급했듯하단부면석의크기가매우커시각적으로도안정감을준다. 반면 2지점의환해장성은전체적으로훼손의정도가크나, 그나마비교적북쪽의성곽이양호한편이다. 이곳은해수와의거리가약 50m 밖에되지않아방파, 방풍을위한돌담으로착각하기쉽다. 축성방식은 1지점의성과같이허튼층쌓기와잔돌끼움방식을사용했지만, 협축 66), 즉내성 ( 內城 ) 과외 64) 허튼층쌓기 : 불규칙한돌을사용해서가로, 세로줄이일정치않게흐트려쌓는방식. 65) 잔돌끼움 : 벽사이사이공간에작은돌을끼워넣는건축방식. 66) 협축 : 성벽 ( 城壁 ) 쌓기에서, 외성 ( 外城 ) 과내성 ( 內城 ) 의이중으로쌓는방식. - 89 -
성 ( 外城 ) 이분리되어있는것이특징이다. 외성은발길이닿기어려워잡목이나잡초등이무성히자라 있다. 2 1 [ 그림 22.3] 온평리환해장성분포도 ( 우측은편의를돕기위한인터넷지도 ) [ 그림 22.4] 온평리환해장성 1 지점 [ 그림 22.5] 온평리환해장성 1 지점항공뷰 항공뷰를참고해보면사이사이끊긴구간이있으나, 한눈에봐도성곽의일부임을알수있다. - 90 -
[ 그림 22.6] 온평리환해장성 2지점 [ 그림 22.7] 온평리환해장성 2지점항공뷰 1지점에서북쪽으로이동하면찾을수있는 2지점의환해장성일부. [ 그림 22.6] 을보면방파, 방풍을위해만들어진평범한돌담과착각하기쉬운모습에성곽의일부임을인지하지못한일부관광객들이쌓아둔돌멩이들이눈에띈다. [ 그림 22.7] 의원으로표시된부분을유심히보면온평리환해장성 2지점의축성방식인협축의특징이나타난다. 해안도로변에위치한내성 ( 內城 ) 과내성의전방에위치한외성 ( 外城 ) 이확연히구분되는모습이다. MEMO - 91 -
[ 참고문헌 ] [ 논문 ] 제주도환해장성과규슈원구방루의역사적고찰, 한일관계사연구제 55 집, 2016, 39~59 쪽 조선시대제주환해장성의설치와분포양상, 한국사학보제 65 호, 2016, 285~317 쪽 [ 인터넷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그림출처 ] [ 그림 22.1] : 강창언, 제주도의환해장성연구, 1991,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111쪽제주특별자치도제주문화예술재단 ( 책임연구원김일우 ), 2009,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391쪽 [ 그림 22.2] : 손영식, 한국성곽의연구, 1987, 문화재관리국 [ 그림 22.3] : 강창언, 제주도의환해장성연구, 1991,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111쪽 [ 그림 22.4~7] :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92 -
23. 4 3 평화공원 1) 개관 16 이민희 [ 그림 23.1] 제주 4 3 평화공원 [ 그림 23.2] 제주 4 3 평화공원위치 제주 4 3평화공원은제주시봉개동에위치한공원으로 4 3 사건이발발한이후희생자의넋을기리고 4 3 사건의역사적의미를되새겨희생자의명예회복및평화와인권교육의장으로사용되기위해조성되었다. 평화공원의이름은제주 4 3 사건의아픔을딛고평화의가치를구현하는공간으로거듭나기를바라는의미를지니고있다. 평화공원은 2000년 1월 제주 4 3 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 이제정되면서조성사업을통해건립이되었다. 이러한제주 4 3 평화공원은 4 3 사건을기억하고재현하여 4 3 정신과희생자의넋을기리는상징적인장소로자리잡고있다. 2) 4 3 사태배경 광복직후독립적인국가를세우기위한건국준비위원회 ( 약칭 : 건준 ) 가전국적으로조직이되었고제주도또한 1945년 9월건준이결성되었다. 이러한건준은이후인민위원회로개편되었다. 그리고제주도에주둔하던일본군이철수하고제주도에미군정이실시되었다. 미군정은인민위원회를공식적행정기관으로인정하지않았고우익인사들을조직화시켜인민위원회에대항할세력을키워나갔다. 게다가제주도에는콜레라가발생하고식량난, 미군정의곡물정책실패로민심은악화되었다. 그리고군정관리와경찰고위간부까지부정행위를일삼는등사회적문제가대두되고있었다. 이렇게제주도의혼란스러운상황이계속된채 1947년 3월 1일일어난사건이 4 3 사건의기점이된다. 1947년 3월 1일은광복후두번째로맞는 3 1절로이를기념하기위해제주도의좌익진영이전도민적행사를치르기로결정하였다. 3월 1일기념대회로인해제주북초등학교주변에는사람들로인산인해를이뤘고기념행사가끝난후시민들은군정당국의반대에도불구하고가두시위를시작하였다. 2시 45분경관덕정광장에서기마경찰의말발굽에어린아이가치이는사고가일어났고이에대해군 - 93 -
중들이항의를하였다. 경찰들은군중들이몰려오자경찰서를습격하는것으로오인하고총을발포했고그로인해민간인 6명이숨지고 6명이중상을입었다. 이발포사건으로제주도내민심은극도로악화되었지만미군정은민심수습보다발포의정당성, 시위주동자를검거하는일에만주도하였다. 이어 3월 10일에는발포사건과그에대한대응에항의하는대규모파업이일어났다. 파업에는관공서, 은행, 회사, 학교, 운수업체등직원은물론이고현직경찰관까지동참하였다. 하지만이에대해미군정의경무부장조병옥은경찰의발포를정당방위로주장하고 3 1 사건을폭동으로규정하는등총파업을와해시켰다. 게다가북조선과통모로발생했다는내용을공표하여제주도를 빨갱이섬 으로조작하였다. 이렇게미군정은민심을바로잡기는커녕제주도주민의대부분이좌익색채를가지고있다고표현하며파업주모자를검거하라는명령을내리며 3 1 사건이후 1948년 4 3 사건발발직전까지 2500명이검속되었다. 3) 4 3 사태전개 1947년 11월유엔총회는남 북한동시에인구비례에따라보통선거원칙과비밀투표에의한총선거를실시한다는안을통과시켰다. 그러나안건을위한유엔한국위원단은소련의거부로북한을방문할수없게되었고남한만의단독선거를시행하는안을상정한다. 이에대해남로당 67) 은단독선거를저지하기위한강력한투쟁의일환으로 1948년 2월 7일총파업을일으키는 2 7 구국투쟁을전개한다. 제주도는 2월 8일각지역에서시위가벌어졌으며이사건이후또다시검거선풍이일어났고구금자들에대한경찰의취조강도또한높아졌다. 이후 3월제주도에서는경찰에연행된청년 3명이고문으로숨지는사건이발생하며민심을동요시켰다. 그에따라남로당은비밀회의끝에경찰과서청에대한항쟁을개시하기로결정하였다. 남로당제주도당은경찰및서청의탄압과통일을막는 5 10 단독선거반대투쟁을접목시켜무장투쟁을계획했고이를 4월 3일로날을잡았다. 1948년 4월 3일 350명의무장대는새벽도내 12개경찰지서를공격하고우익단체의집을습격하기도하였다. 미군정은 4 3 사건이발생하자 4월 5일전라남도경찰 100여명을제주에급파하고제주비상경비사령부를설치하는등경찰력을강화시켰다. 또한본격적인진압작전에앞서무장대지도자와교섭하도록지시하였다. 그결과 4월 28일전투를중지할것등을합의하였으나 5월 1일우익청년단의오라리방화사건 68) 으로협상은파기되었다. 통일정부를바라는많은세력에도불구하고결국 8월 15일대한민국단일정부가수립되었다. 이후이승만정부는제주도문제를정권의정통성에대한도전으로인식하였고 10월 11일제주도경비사령부를설치하였다. 송요찬제9연대장은제주해안선으로부터 5km이외의지점및산악지대의무허가통행을금지하고이를어기면폭도배로인정하여총살에처할것이라는포고문을발표하였고 11월 17일에는제주도전역에계엄령이선포되었다. 대규모강경진압작전이전개되었고중산간마을의 95% 이상이불에타없어지고많은사람들이희생되었다. 재판절차도없이이유를막론하고이들에대한무차별학살은자행되었고가족중한명만사라지면도피자가족이라칭하며총살하기도하였다. 제주도에 1948년 12월 31일계엄령이해제되었다. 계엄령해제몇년후 1954년 9월 21일한라산의금 67) 남조선노동당의줄임말로 1946 년 11 월서울에서결성된공산주의정당 68) 우익청년단이좌파활동을한것으로알려진사람들의집을찾아 12 채의민가를불태운사건 - 94 -
족지역이전면개방되면서 4 3 사건은발발된지 7년만에종결되었다. 4 3 사건전기간동안희생자는 2만 5,000~3 만여명으로추정되고있다. 하지만희생자의수는도피자수등으로추가될수도있다. 2000년이되어서야 4 3 사건에관한 제주 4 3 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 이제정, 공포되었다. 이법안은사건과관련된희생자와그유족들의명예를회복시켜줌으로써인권신장과민주발전및국민화합에이바지함을목적으로제정된것이다. 이러한사건에대한공동체적보상의일환으로 4 3 평화공원이개관하였다. MEMO - 95 -
[ 참고문헌 ] [ 논문 ] 허호준, 제주4ㆍ3 전개과정에서의 5ㆍ10선거의의미, 2007, 민주주의와인권, 282~288쪽함옥금, ' 제주 4 3' 의초토화작전과대량학살에관한연구 : 미국의역할과책임을중심으로, 2004,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60~68쪽 [ 인터넷 ] 제주 4 3 평화공원 http://jejupark43.1941.c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제주 4 3 아카이브 http://www.43archives.or.kr/ 제주 4 3 평화재단 -제주 4 3 사건진상보고서 http://jeju43peace.or.kr/pages.php?p=4_2_1_1 [ 그림출처 ] [ 그림 23.1]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5807&cid=42856&categoryid=42856 [ 그림 23.2]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96 -
24. 제주밭담테마공원 1) 개관 15 조소연 [ 그림 24.1] 제주밭담테마공원위치 제주밭담테마공원에서는세계주요농업유산으로등재되어있는각종유형의제주밭담을한공간에서동시에관람, 체험할수있다. 제주밭담테마공원에는밭담을이용한탐방코스가짜여있다. 제주의전통가옥과해변등문화를동시에보여줄수있도록코스를조성함으로써문화관광, 농촌관광의기반을마련하여지역경제활성화에기여하도록하였다. 기존농로및마을안길을경유하는탐방로조성으로제주밭담의경관을볼수있는데탐방로조성은대로변과가깝고해안경관과제주밭담, 제주의바람을느낄수있는지역을우선적으로선정되었다. 기존의올레길등과연계하는코스의조성을활용하여홍보도하며각코스는각각의코스별로특색을가질뿐만아니라전체를하나의코스로아우를수있도록계획하여탐방객의선택에따라완주또는코스별로선택적으로탐방할수있도록계획하고있다. 제주밭담축제를개최하기도하는데, 대중들이제주밭담에쉽게접근할수있게해주어관심이나친밀감을가지는데도도움을준다. 2) 밭담의역사 밭담이란, 제주도에서, 밭의가장자리를돌로쌓은둑을말하며, 현재밭의경계도되고바람으로부터곡식을보호하는역할을하고있다. 제주의인구가점차증가하면서정주지역의범위가중산간지대로확대되기시작하며이는토양의개간을불러왔다. 이섬은화산활동시흘러내린용암이섬전체를덮고있고개간을해도토양층이얇아자갈들이많이섞여있다. 조금만흙을걷어내면기반암이노출되어버리기때문에농사를짓는데돌은커다란걸림돌이었다. 69) 더불어제주는대양과접해있는한반도최남단의섬이다. 대양에접해있다는것은바람이강하게 - 97 -
불어올수있는위치라는의미기도하다. 8~9월에집중되는수차례의태풍으로농업재해가빈번히발생하기때문에이섬에서는다른어떤지역보다강한바람에대비한생활이부득이하여밭담의발달이이루어지게되었다. 이는제주농업의차원을크게바꾸어놓은일대혁명이된것이다. 위에서말했듯이제주에서돌은극복의대상이었지만동시에자원이되었다. 곧제주의돌문화가형성되게외었다. 주위에널려있는돌을건축재료로활용하는한편사시사철불어대는바람을막기위해돌담을쌓은것이다. 이처럼바람을막기위해돌담을쌓은지혜는주변에산재해있는돌이라는자원을건축재료로사용하면서자연스럽게얻어질수있다. 기록상으로는 1234년제주판관김구가토지경계를두고다툼이잦아지자경계용돌담을쌓도록했다고하지만, 그이전에도밭담은존재했을것이라본다. 이섬의농업의역사로미루어볼때그이전어느시기에밭담을쌓게되었고그기능을이해하게되면서점차섬전역으로확대되어갔다고본다. [ 그림 24.2] 제주섬의환경과밭담의형성배경개요 또밭담의기능중하나는경계의기능이다. 마소의방목이농작물을짓밟고돌아다니며뜯어먹어버려이로인한밭주인과마소주인간의다툼도비일비재했는데밭담은마소로부터한해농사를지켜내는중요한역할도했던것이다. 즉, 밭담은작물의생육을도왔고이는곧바로수확의결실을향상하는토대가되었다. 그리고밭담은경사가심한제주지역에서비바람에의한토양의침식을막아자연비옥도가유지되는표토를보전하기위한것이다. 토지의경계로서의의미를넘어애정에서비롯된삶의지혜와의지가고스란히담겨져있는문화적산물이기도하다. 3) 밭담의특징 제주의밭담은개인또는가족단위라는소규모공동체에의해쌓아져왔다. 경작과정에서나오는돌들을경작지에서먼곳으로옮기기보다는그주위에쌓는편이훨씬쉽고노동력도덜들어간다. 그런만큼제주전역에걸쳐형성된밭담은시간적으로볼때매우오랜역사를간직하고있음을알수있다. 틈새가많아그틈새가바람구멍역할을하여강한바람에도잘견뎌내는구조를형성하고있다. 밑돌두개사이에윗돌을올리는형태로층층이축조하거나밑돌과윗돌사이의틈새가틀경우자갈을굄으로써안정성을획득하여 1천여년을넘게제주밭담을지탱해온힘이된것이다. 밭담은바람의저항을잘받는유선형형태이고돌이많은기공이있는현무암이어서마찰력이증가한다. 많은구멍이뚫려있어바람이잘빠져나가므로밭담이받는저항이감소되어잘무너지지않는것이 69) 표토층이가벼워비바람에돌이드러나므로계속치워야하는데이것으로인해 머들 이형성. 밭담형성의시초가됨. - 98 -
다. 즉돌의형태에따라돌이받는마찰력그리고돌과돌사이의구멍이만들어내는 파풍효과 덕분이라고할수있다. 밭담은그길이가 22,108km 에이르는것으로추정하는데지구반바퀴를돌고도남는길이이며, 흑룡만리 라부르기도한다, 검은색의현무암밭담이끊임없이구불구불흘러가는모습이마치 흑룡 을닮았다하여서, 만리 는끝없는듯이어진길이를나타낸상징어로붙여진이름이다. 제주섬의밭담은이렇듯선인들의지혜와노력이고스란히담긴농업문화유산이다. [ 그림 24.3] 강한바람을이겨내는제주밭담의과학적근거 4) 밭담의유형 줄로쌓은 외담 과두줄로쌓은 접담 으로구분되며, 외담은가장일반적인형태이고가장많은비중을차지한다. 접담은다른경작지에비해돌이더많이나오는곳에주로형성된다. 잣담 은큰돌사이에작은돌을채워넣어사람들이그위로지나다닐수있어 잣길 이라하며, 도로에서멀리떨어진땅을드나들어야하는이웃에대한배려의뜻이담긴것이다. 잣굽담 은작은돌을먼저일정높이까지쌓은뒤큰돌을그위에쌓은담으로경작지에서나온다양한크기의돌을처리하기위한지혜가담겼다. [ 그림 24.4] ( 왼쪽상단부터시계방향으로 ) 외담, 겹담, 잣담, 잣굽담 5) 밭담의다양한가치 밭담은농업적가치외에도제주의미학을대표하는빼어난문화경관으로서의가치를지니고있다. 또한생물다양성의보전측면에서도제주밭담은큰가치를지닌다. 해안가에서부터중산간까지제주섬을띠처럼두르고있는밭담은그간중산간지대의난개발을막는장치로작용해생물다양성을보전하는역할을해왔다. 뿐만아니라밭담은제주미래관광의핵심코드로기능할것이다. 근대각광을받고있는제주문화관광, 농촌관광, 체험관광의주요한테마로서제주밭담이자리잡아나갈수있다. 더불어제주밭담은연속곡선으로얼기설기쌓여있어웬만하면무너지지않지만한곳이무너지면붙어있는돌담도덩달아무너진다. 무너지지않으려면서로어깨를겯고함께버텨내야하는제주밭담의모습은어쩌면척박한환경을인내와노력으로함께개척해온제주인의모습과도닮아있다는상징적가치또한지니고있다. - 99 -
[ 참고문헌 ] [ 단행본 ] 김형훈, 제주는그런곳이아니야, 2016, 나무발전소, 21~25 쪽 윤원근외, 농어업유산의이해, 2014, 청목출판사, 164~170 쪽 [ 사이트 ] 제주밭담 http://jejubatdam.jeju.go.kr [ 그림출처 ] [ 그림 24.1] 제주밭담 http://jejubatdam.jeju.go.kr [ 그림 24.2] 윤원근외, 농어업유산의이해, 2014, 청목출판사, 165쪽 [ 그림 24.3] 윤원근외, 농어업유산의이해, 2014, 청목출판사, 169쪽 [ 그림 24.4] 임진강, 제주돌문화자원의문화관광적가치 : 밭담을중심으로, 2017, 경희대학교, 154~155쪽 - 100 -
25. 김녕해수욕장 16 안소희, 17 박시현 1) 개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해맞이해안로에위치한김녕해수욕장은총면적 4만 9000m2, 백사장길이 200m, 너비 120m, 평균수심 1~2m로, 제주시에서동쪽으로 23.4km 떨어진곳에있다. 작은백사장에깔린부드러운은빛모래와코발트빛의맑은바닷물은주위의기암절벽과어우러지며아름다운풍광을보여준다. 김녕지역의암석해안구간은 2.27km 로암 [ 그림 25.1 김녕해수욕장위치 ] 석이드넓게펼쳐져있는데, 도로와가까워서접근성이좋고다른해수욕장에비해덜붐비는편이다. 이곳김녕해수욕장에서는갯바위낚시와캠핑, 윈드서핑, 수상스키등을즐길수있다. 주변에김녕사굴, 만장굴, 김녕미로공원, 제주공예단지, 함덕해수욕장, 세화해수욕장, 행원리풍력발전단지, 제주해녀박물관등관광명소가많이있어다른관광지와의접근성도뛰어난편이다. 그리고주변의사구는과거에모래가너무많아농사짓기에부적합한땅이었지만현재영농법의발달로인해마늘, 양파, 파, 홍당무, 깻잎등의밭작물을재배하여농가소득을올리고있다. 2) 제주도의해안 투수성이큰현무암이넓게분포하는제주도해안은내륙하천으로부터의토사공급이지속적이지못해암석해안이두드러지게나타나있다. 암석해안의대부분은제주남부해안에분포하며유동성이작은조면암질로구성되어비고 70) 가높은지형을형성한다. 따라서주상절리와해식애, 파식대와같은암석해안의특징들이나타난다. 따라서모래해안은규모와수가작아전체의 7.1% 인 21.9km에불과하 [ 그림 25.2] 하얀백사장모습다. 검은현무암모래는지극히한정되어있지만, 흰모래는석종유동굴이있는한림읍협재리일대의 3.2km2범위에집중적으로분포되어있다. 하지만제주도사빈들은길이가 500m를넘지못하는전형적인포켓비치 71) 이며김녕해수욕장도이에속 70) 어떤범위안의최고높이와최저높이의차 - 101 -
한다. 하지만그마저도기반암이노출되고있어사빈의연속성이떨어지는편이다. 모래의주요공급원이육지가아니므로사빈퇴적물에는해저로부터공급된패사의함량이매우높아석회석퇴적물이차지하는비율이 67% 에이른다. 특히김녕해수욕장은퇴적물의 98% 가석회질의조개껍질파편으로이루어져하얀색을이루고있는것이다. [ 그림 25.3] 제주도해수욕장분포현재제주도에는협재, 용머리, 김녕, 이호테우, 표선, 함덕, 삼양, 중문색달해수욕장등을포함한총 19개해수욕장이있다. 제주도내해수욕장이용객현황은 2017년기준으로 278만 8000명이측정되었다. 함덕해수욕장은제주도의동쪽, 협재해수욕장은서쪽을대표하는해수욕장이다. 함덕은제주국제공항에서성산일출봉이있는동쪽으로 30~40분정도일주도로를따라가다보면만날수있다. 그곳에서는들쭉날쭉한해안선이만들어낸해변들과그끝에우뚝솟은서우봉이함께만들어내는풍경을빼놓을수없다. 서우봉정상까지는올레길과둘레길이정비되어있어또다른즐길거리를선사한다. 협재는바다가운데솟아있는비양도가볼거리이다. 비양도는수만년전화산폭발로생겨난작은섬으로, 때론선명하게, 때론희미하게모습을드러내는신비의섬이다. 수상스포츠를즐길수있는곳으로는중문색달해변과신양섭지코지해변을꼽을수있다. 색달해변은파도가센편이어서서퍼들에게유명한곳이다. 섭지코지는해수욕장이넓은반원형으로형성되어바람이불어도파도가잔잔한편이다. 덕분에윈드서핑에최적의장소로꼽힌다. 섬속의섬인우도에는 서빈백사 로유명한홍조단괴해변이있다. 천연기념물로지정된홍조단괴해변은홍조라는석회조류가죽은후산호처럼하얗게굳어버린것들이파도에깎여형성된독특한해변이다. 모래가고운백사장과는달리굵직한홍조류를볼수있다. 요즘뜨고있는월정리해변도해안도로를따라각자의개성을뽐내는카페들로색다른풍경을연출한다. 71) 헤드랜드 ( 바다로돌출한육지의선단부 ) 와헤드랜드사이의만입에초승달모양으로발달한사빈 - 102 -
3) 김녕 월정리일대의해안퇴적지형 구좌읍김녕 월정리일대는표선현무암과서귀포 중문조면암으로이루어져있고, 제주도에서해안사구가가장잘발달한지역이다. 하지만도로건설에따라사구의일부가훼손되면서겨울철북서풍에의해모래가도로와농경지등내륙으로이동했다. 그결과토지이용과생활에불편을줄뿐만아니라해수욕장으로이용되는사빈의모래유실도가져오고있다. 특히해안사구에조성된 [ 그림 25.4] 김녕해수욕장모습해안도로와우회도로등은집중호우시에배수되는하천들을가로막으면서건설되었기때문에마을의침수피해를가져왔다. 해수욕장의모래유실을살펴보면, 개발사업으로인한해안사구의훼손및시멘트로옹벽을쌓거나방파제축조로인해침식이가중된것이가장큰원인으로파악되었다. 이러한현상은제주도내전해안으로확대되고있다. 해양지역에대한개발과인공시설물의설치에따라사빈에퇴적되는모래의양보다파랑에의해해저로이동되는양이많고, 또한사빈의모래들은바람에의해내륙으로이동되면서사구, 사빈, 사퇴간의모래의퇴적균형이깨지고있다. 4) 행원풍력발전단지 행원풍력발전단지는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행원리 563번지일대에있는국내에서가장규모가큰풍력발전단지이다. 행원리는북쪽으로바다와인접해있는해변마을이지만해발고도가 100m에이르고, 옛날부터바람이셌기때문에풍력발전에용이한마을이다. 제주도는 1995년 제주도지역에너지계획 을수립하6 고, 1996년제주도에무한한풍력자원을청정대체에너지로개발, 공급하기위한풍력발전실용화사업에착수했다. 1997년도내 4개지역풍력자원조사를실시해행원지구를풍력단지사업지로선정함에따라풍력발전기 1 2호기를설치했고 1998년 8월부터상업운전에들어가국내최초로풍력발전상업화에성공했다. 지금은행원리바닷가 5만 6900 m2의부지에총 15기 10mw 규모의풍력발전기가설치되어풍력발전시범단지조성사업을완료하게되었다. 행원풍력단지에서생산된전력은변전소와연결된전용선로를통하여모두한국전력공사에서운영하는성산변전소로보내져구좌, 성산지역의각가정으로보내지고있다. 청정에너지생산과더불어학생들의견학장소와청정제주의관광지역할도수행하고있다. [ 그림 25.5] 행원풍력발전단지 - 103 -
[ 참고문헌 ] [ 단행본 ] 고규홍, 대한민국여행사전, 2009, 터치아트, 33~36쪽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5~83쪽 EBS한국교육방송공사편집부,EBS 수능특강사회탐구영역한국지리, 2017, EBS한국교육방송공사, 47 쪽이민부외, 한국의자연지리, 2012, 서울대학교출판부, 78~89쪽김기혁외,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2010, 국토지리정보원, 187~191, 200~210쪽 [ 논문 ] 최진희, 제주도김녕-월정해안사구지역의환경변화연구, 2008,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논문요약,~1쪽성혜승, 제주도연안의풍수해완충공간계획, 2014, 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 73쪽이선화, 제주해녀생애사의스토리텔링을통한문화콘텐츠활성화방안, 2016, 제주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10쪽 [ 인터넷 ]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5947&cid=40942&categoryid=31928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korean.visitkorea.or.kr/ 제주도민일보 http://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733 제민일보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6166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 그림 25.1] 네이버지도 http://map.naver.com [ 그림 25.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 그림 25.3] 기상청 http://www.kma.go.kr/aboutkma/intro/jeju/one_click/one_click5 [ 그림 25.4]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9400 [ 그림 25.5] 네이버포스트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707173&memberno=8606675&vty pe=vertical - 104 -
26. 만장굴 1) 개관 17 손해욱 만장굴은오래전부터주민들사이에 만쟁이굴 이라는속칭으로알려졌으나, 세상에널리공개된것은 1958년이후였다. 1962년 12월 3일김녕사굴과함께천연기념물제98호로지정되었다. 그이후 1977 1986 년까지한 일합동조사가실시되었다. 제주에는화산용암의침하운동으로생성된 [ 그림 26.1]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위치천연동굴이많은데특히눈여겨봐야할곳이거문오름용암동굴계에포함되어있는동굴이다. 만장굴은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동굴중하나로석주 종유석등이장관을이루어동굴내부는세계적인규모를나타내어준다. 만장굴의규모는총길이 8,928m, 폭 2~23m, 천장높이 2~30m, 총연장 13,422m 에달하며, 거문오름용암동굴계에포함된다른동굴과이어지듯형성되어있다. 이러한규모와가치는세계적으로인정받아거문오름용암동굴계전체가유네스코지정세계유산으로등록되어있으며, 만장굴은그중유일하게일반인에게공개된동굴이다. 만장굴은 250만년전제주도가폭발할때한라산분화구에서흘러내린용암이바다로나아가면서형성된것이라고한다. 또한만장굴은전체적으로고드름처럼생긴용암종유, 용암석순, 용암석주, 용암선반, 새끼줄용암등의동굴생성물이존재하며, 이러한동굴생성물들의보존상태가매우양호하고학술적가치는물론경관적가치도매우우수한동굴로평가받고있다. 가로폭 5m, 높이 5~10m에달하는동굴내부는웅장한궁전의복도를걷는듯한느낌인데입구에서부터거대한돌기둥이존재하고있는동굴안 1km지점까지만공개되어있고나머지구간은접근이통제되고있다. 2) 제주도의용암동굴과형성과정 [ 그림 26.2] 용암동굴의생성과정 지금까지확인된제주도용암동굴 136개의지역별분포를보면제주시지역에는 90개의동굴이서귀포지역에는나머지 46개의동굴이존재한다. 이중에서크게최근연구대상의동굴로나눠살펴보면거문오름용암동굴계에포함되어있는만장굴, 김녕굴. 당처물동굴, 용천동굴, 뱅뒤굴등이있고, 이외의소천굴, 협재굴 쌍용굴 황금굴, 빌레못동굴, 수산굴, 북촌동굴로크게 10개의동굴을꼽고있다. - 105 -
용암동굴이일반적으로생성되는과정은다음과같다. 용암이지표로흘러나올때의온도는일반적으로 1,000~1,500 이며, 이렇게높은온도의용암이지표면을덮을경우공기중에노출된표면은대기와온도차에의해쉽게식어굳는다. 그러나내부의용암은식는속도가늦어표면이굳은이후에도지반이낮은곳으로계속흘러내려가게된다. 이때용암이흘러가면서생긴빈자국이바로용암동굴인것이다. 또용암동굴은가스의압력때문에천장두께가얇아쉽게무너져내려앉으며동굴천장이폭발한곳이많다. 이것들이대개용암동굴의입구가된다. 3) 만장굴의형성과정 관광객이드나드는만장굴들머리도천장이무너져내린곳이다. 이렇듯만장굴또한일반적인용암동굴의형성과정을따르고있다. 하지만만장굴을단순히용암이빠져나간단순터널식용암동굴로오해해서는안된다. 만장굴을자세히살펴보면과거용암에의해형성된다층구조등다양한여러용암지형을확인할수있다. 만장굴바닥에서관찰할수 [ 그림 26.3] 만장굴의복층구조있는새끼줄구조 72), 용암이흐르면서벽면에남긴선구조, 다층구조동굴중상층통로로부터용암이흘러내리면서형성된용암석주 73), 역시다층구조동굴중하층이무너져내리고일부가남은구조인용암교, 먼저암석으로굳은용암이이후다시흘러내리는용암에포함되어이동하던모습을보여주는용암표석, 용암이흐르면서벽면을장식한유선등이대표적이다. 특히이중에용암석주는세계에서가장큰규모의용암석주라고알려져있다. 용암교, 용암석주, 용암표석등최소두차례이상의용암흐름을가리키는구조들을토대로만장굴의형성과정을추정해볼수있다. 제주도의완만한지표를따라용암이흘러내려가면서초기만장굴형태를형성하고, 그이후동굴내외부로수차례에걸쳐공급되는용암류에의해최종적으로현재의다층형구조를띈동굴을이루게된것으로추정된다. 이를조금더자세히설명하면용암류에서초기형태의용암동굴이만들어진후, 이미생성된초기형태의용암동굴로분출량이대체로일정한용암이지속적으로흘러가면서그표면이굳어하위동굴지붕즉상위동굴바닥이형성되었다. 이후에도용암은계속흘러동굴바닥은더깊게침식되었으며, 천장에는용암이부가되어현재와같은하위동굴이형성되었다. 용암석주의경우하위동굴까지완전히형성된이후만장굴상위지표를흘러가던새로운용암류가천장에있는창혹은창구조를통해만장굴내로흘러들어와독특한구조물을형성한것으로판단된다. 72) 용암이흐를때빨리굳는용암표면이용암이흐르는힘에밀려주름이지면서만들어진구조. 73) 천장에서흘러내리던용암이바닥에쌓이면서굳어져기둥모양으로형성된구조 - 106 -
[ 그림 26.4] 만장굴의용암교 [ 그림 26.5] 만장굴의용암석주 4) 동굴내의지형적특징과자연환경 동굴이같은방향으로 2중 3중으로발달한것도만장굴의지형적특징이다. 이뿐만아니라동굴내부에발달되어있는동굴천정의용암종유석과벽의용암날개, 바닥의새끼줄용암등이곁들여신비로운지하세계를연출하고있다. 동굴내부의의온도는연중계절에관계없이항상섭씨 11~21도를유지하고있다. 동굴안에서식하고있는생명체는박쥐를비롯하여땅지네 농발거미 굴꼬마거미 진드기 가재벌레등의동굴생물이서식하고, 남조류및녹조류의식물도찾아볼수있다. [ 그림 26.6] 만장굴의새끼줄용암 MEMO - 107 -
[ 참고문헌 ] [ 논문 ] 안웅산, " 제주도만장굴의용암공급지와형성과정 ", 2010., 안동대학교, 128~151쪽김범훈, " 제주도용암동굴의보존및관리방안 ", 2007.,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12~26쪽권동희, 화성암과제주도의용암동굴연구, 1996., 한국동굴학회, 동굴, 45(0): 49-63쪽 [ 단행본 ] 김범훈, 동굴전문김범훈기자의제주도용암동굴들여다보기, 2009, 각, 26~97쪽진병식, 한국의지질노두 150선, 20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최정규, 죽기전에꼭가봐야할국내여행 1001, 최정규, 2010, 마로니에북스 [ 인터넷 ]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korean.visitkorea.or.kr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제주관광청 http://www.visitjeju.net/ko/index.jto 세계자연유산제주 http://jejuwnh.jeju.go.kr/main.do 세계자연유산센터 http://wnhcenter.jeju.go.kr/index.php/main [ 그림출처 ] [ 그림 26.1]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247147 [ 그림 26.2] 세계자연유산제주홈페이지 http://jejuwnh.jeju.go.kr/main.do [ 그림 26.3]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http://wnhcenter.jeju.go.kr/index.php/main [ 그림 26.4]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324&cid=51738&categoryid=51738 [ 그림 26.5]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6584&cid=58925&categoryid=58925 [ 그림 26.6] 네이버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18324&cid=51738&categoryid=51738-108 -
27. 제주원도심 1) 개관 17 민유경 [ 그림 27.1] 일제지적도에나타난제주읍성일대 [ 그림 27.2] 구제주 ( 원도심 ) 과신제주 도심은도시의발전과정에서최초의발생공간이자역사의흐름과함께사람들의도시활동이축척된공간으로시가지의중심부에형성되며행정시설을비롯한주요기능들이들어서있는도시의중심공간이다. 즉도심은도시내에형성된중심지이자최상위주심기능의집적체라는의미로정의될수있다. 중심지로서도시의정체성을상징하는중추적역할을수행하던도심은 1970년대이후급속한도시화과정을겪으면서증가하는인구의욕구를충족시키기위해도심외각으로토지구획정리사업등의도시개발사업 74) 이추진되었다. 이렇게진행된도심외부로의도시개발사업은도심주요기능들을분산시켜도심의중심적기능은약화되었다. 이러한과정을거쳐기존의중심지역할을하던도심은구도심 ( 혹은원도심 ) 을형성하게된다. 제주의경우, 제주성지가위치한제주의원도심은탐라시대부터최근까지제주의중심지역할을해오며 7세기후반현재의묵은성일대에축조된탐라성을기축으로확장되어갔다. 그이후대규모읍성촌락이형성되고조선시대를걸쳐도시가확장되어갔다. 지금원도심의내부에는은행업무시설과이마트, 코리아극장등대형쇼핑상가및극장들이입지해있으며, 외부에는탑동매립지와남해안, 서측의서문시장과제주공항및주요도시기반들이위치하여있을뿐아니라향교 ~ 제주목관아지 ~ 관덕정 ~ 북초등학교 ~ 오현단 ~ 제주성지등으로이어지는역사벨트와용두암 ~ 용연 ~ 산지천 ~ 제주항으로이루어지는광광문화루트가존재한다. 원도심지역은이러한여러장점을가지고있음에도도심의외향적확장과공공행정및업무기능의신제주로의이전, 상주인구의감소, 주거환경의악화등으로점점활력을잃고쇠퇴해가는상황이다. 도시생활권의광역화및기존시가지의인구집중억제등으로인해신제주개발이시작되어행정이신제주로이동하게된다. 이로인해원도심기성시가지는급격히쇠퇴하게되었다. 74) 도시개발구역에서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신, 생태, 문화, 보건및복지등의기능이있는단지또는 시가지를조성하기위하여시행하는사업을말한다. 도시개발사업은도시개발과도시환경조성을목적으로함. - 109 -
2) 제주원도심의가치재조명과재생사업 도시재생사업이란신도시위주의도시확장에따라발생하는도심공동화를극복하고침체된도시경제를개선하기위해물리 환경적으로뿐만아니라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으로도시를다시활성화하는것이다. 제주의원도심은지속적인쇠퇴에도불구하고공간적가치뿐만아니라역사문화유적및근현대사의주요시설이다양하게분포하고있다. 이러한원 [ 그림 27.3] 프린지페스티벌도심의문화, 역사적가치를보존하고원도심쇠퇴를막기위해제주시에서는도시재생사업을진행하고있다. 제주시에서는원도심재생을위해옛길을보존해옛길탐험, 원도심코스등관광컨텐츠를개발했다. 더불어오래된건축물을개조해아트센터를만드는등예술문화의장소로발전할수있도록예술문화사업을지원하고있다. 특히문화적측면에서는문화예술거리에서열리는 프린지페스티벌 (Fringe Festival) 은그예가된다. 원도심인삼도2동은예술가들이자유롭게자신의작품을만들고팔수있도록각종문화센터나복합문화공간을설치해문화예술거리가위치하고있다. 그곳에서 1년에한번아마추어예술인, 국외내외의아티스트들이모여예술축제를여는것이프린지페스티벌이다. 이는원도심옛길의멋스러움을이용해새로운가치를창출한것으로볼수있다. 다음으로, 역사적측면에서는원도심중심의투어를예로들수있다. 제주도청홈페이지에는제주원도심여행코스를추천하고있다. 이는이도1동, 일도2동, 용담동일대의관광명소들을활용한투어로써전통과제주도민들의생활상이어우러져있는동문시장, 역사적인가치를내포하고있는제주성지와제주목관아등을포함한코스이다. 먼저제주관아는탐라국시대부터조선시대까지제주의정치 문화 행정의중심지역할을하던곳이다. 오랜세월을지나면서많은피해를입기도했으나복원의과정을거쳐지금의모습을가지게되었다. 특히제주목관아입구에위치한관덕정은제주에서가장오래된건축물로세종 30년군사훈련을위해지은후로사람들이모이는장소로쓰였으며현재도축제의광장으로기능하고있다. 또한그주변 [ 그림 27.4] 원도심여행에는제주등지에서쉽게볼수있는돌하르방의원조돌하르방을볼수있다. 또한산지천 75) 을따라서가다보면나오는칠성통은현재의칠성로로과거조선시대부터형성되던상업지가발전하여지금의쇼핑거리가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양장점등근대상점들이들어서기시작했으며지금은대형상가와영화관등의상가들이모여있다. 이코스의 75) 산지천 ( 山地川 ) 은제주시최고의번화가인동문시장입구맞은편에흐르는하천이다. 산업화가한창이던 1960 년대에산지천을복개 ( 覆蓋 ) 하여주택과상가건물이형성되면서환경오염되는문제가생기자 1995 년도에산지천을문화와역사의모습그대로되살리기위한복원사업을시작하여 2002 년맑은물이흐르는현재의산지천모습을갖게되었다. - 110 -
마지막의제주성지는돌로쌓아올린돌담으로이루어진성으로탐라국당시에쌓았던것을고려시대에확장축조, 조선시대에도여러차례보수해왜구방어용으로쓰였다. 이는일제강점기시대에제주항을개발하면서성벽을허물어바다를메우는골재로사용돼옛자취를많이잃어버리게되었지만옛조상들의축성법을알게해주는귀중한자료로활용된다. 지금도계속하여복원을진행해역사적가치를보존하고자노력하고있다. 이렇듯제주시에서진행하고있는원도심투어는현재원도심의모습과전통적인역사적명소의역할을함께보여줌으로써원도심의활기를다시되찾으려하는도시재생사업의일환으로볼수있다. MEMO - 111 -
[ 참고문헌 ] [ 단행본 ] 안종수, 한국관광지리, 2002, 백산출판사, 432~444 쪽제주특별자치도, 올레길해양문화스토리텔링개발사업 -제주해양문화관광벨트개발, 2014, 연진, 240~244 쪽김태일, 제주도시건축과삶의풍경, 2014, 제주대학교출판부, 44~82쪽 [ 논문 ] 김황국, 문화자원조사와문화마케팅전략연구 : - 제주시용담동지역을중심으로, 2017., 제주대학교대학원, 44~48쪽차호철, 구도심쇠퇴상권의활성화방안에관한연구 : 제주시일도1동신흥로와칠성로인근블록을중심으로, 2011, 제주대학교대학원, 13~72쪽 [ 인터넷 ] 제주관광정보공식사이트 http://www.visitjeju.net/m-ko/index.jto [ 그림출처 ] [ 그림 27.1] 김태일, 제주도시건축과삶의풍경, 2014, 제주대학교출판부, 45쪽 [ 그림 27.2] 제주도홈페이지 http://www.jeju.go.kr/index.htm [ 그림 27.3]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www.visitjeju.net/m-ko/index.jto [ 그림 27.4]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www.visitjeju.net/m-ko/index.jto - 112 -
28.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14 김기훈 1) 소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일도2동 996-1번지에위치해있다. 제주만의독특한 민속유물 과 자연사적자료 를수집및보전하여후손에게전승하기위해 1984년도에국내유일의민속자연사박물관으로개관해지금에이르렀다. 민속자연사박물관은자연사전실, 제1민속전시실, 제2민속전시실, 해양종합전시관, 야외전시장으로나뉘어있다. 자연사전시실은지질관, [ 그림 28.1]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전경육상생태관으로구분하여제주도의지질, 동식물표본등 1,500여점을입체적으로전시하고있다. 제1민속전시실은제주민의일생, 제주초가, 칠머리당영등굿, 제주전통배를중심으로약 2,000여점의민속자료및의식주와관계된일상생활자료가전시되어있다. 제2민속전시실은제주의생업 생산주제관으로제주해녀, 제주의농업, 사냥, 목축, 제주의무속신앙, 불미공예, 제주의말 ( 馬 ) 문화등의테마별로전시되어있다. 제주도는우리나라최남단에위치하여다양한어류가알을낳거나겨울을나는장이며, 아열대와한대식물들이공존할수있는국내유일의바다로서, 해양종합전시관에는그바다에서식하는어류, 해조류, 패류등을전시하고있다. 2) 제주전통문화 제주도는화산섬이며, 절해고도 ( 絶海孤島 ) 76) 라는자연환경을지니고있다. 이런환경은제주도의전통문화자원이풍부하면서도독특하다는특징을지니게하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1) 제주도의풍속 돌의나라, 바람의나라 라는삶의여건은육지와는다른다양한민속을만들어냈다. 낮은지붕과집줄, 바람막이인풍채, 바람을거르는울담과올렛담등건축구조는제주섬의환경과조화롭게살아가기위한방편이되었다. 또한돌을이용한다양한축조물, 생활용구와놀이문화가존재하며독특한농경어로문화가형성되었다. 제주도의세시풍속으로는제주도민의안녕과풍요를기원하는입춘굿놀이가현재도전승되고있다. 음력팔월초하루를전후하여행해지는가문벌초문화와입춘전 5일간치러지는신구간풍속이독특하다. 신구간은신들의임무교대기간으로신이자리를비운사이에집수리나이사를함으로써신과갈등하지않으려는삶의철학이담겨있다. 또한제주지역은묘를만들고산담을두르는독특한매장문화가목축문화의영향을받아형성되어 76) 육지에서아주멀리떨어져있는외딴섬. - 113 -
있다. 산담은마소와병충해가묘지로침입하는것을막고새풀이돋는것을돕기위해들불놓기를할때불이묘지안으로번지지못하도록하는기능도지니고있다. 제주도에서는모둠벌초라고는성묘문화도이어지고있다. 서귀포시를포함한제주도전역에서음력 8월초하루에조상들의묘를찾아가문의후손들이모두모여하는벌초를말한다. 조상의묘에대한벌초는자손의마땅한도리로서매우중시한다. 타지에나가살고있더라도참석하려고했으며, 학교에서는벌초방학을두어참석을배려하기도하였다. (2) 제주도의민속공예민속공예로는관모공예, 옹기공예, 불미공예, 초고공예, 석공예등이전승되고있다. 말총의주산지답게총모자, 망건, 탕건제작과대나무로갓양태를겯는관모공예가일찍부터제주시를중심으로전승되었다. 대정읍신평리, 구억리등점토가풍부한지역에서옹기공예가성행했다. 안덕면덕수리를중심으로가마솥과볏, 보습등을제작하는불미공예가전승되고있고, 정동 ( 댕댕이줄 ) 으로모자를겯는초고공예가한림읍귀덕리를중심으로성행했다. 석공예로는제주도전역에걸쳐연자매 ( 방에), 돌하르방, 액막이거욱대 ( 방사탑 ) 등을제작하는공예기술이전승되고있다. [ 그림 28.2, 28.3] 제주연자매 / 액막이거욱대 (3) 제주도의농어업어로기술로는해안조간대의일정한구역에돌담을쌓아밀물에몰려든고기를썰물에가두어잡는원시적인어로기술인 원 이남아있다. 물고기를잡는담을원담내지는갯담이라고한다. 또한모래밭어장에서후릿그물로멸치를잡는, 제주도의독자적인어로기술도전승되고있다. 또하나특이한어로기술은테우 ( 떼배 ) 에자리그물을메달아고기를잡는방법인데줄낚시와끌낚시에의한갈치와옥돔을잡는어로기 [ 그림 28.4] 물고기를잡는돌담 ( 원 ) 술도성행했다. 한편제주해녀들의물질은원시적인나잠어업으로 2015년국가중요어업유산제1호로지정되어있다. 농사기술로는조농사에서수해를피하기위한마갇이 ( 마걷이 ) 농법이특이하다. 이는장마시기가 - 114 -
지난후씨앗을뿌려습해를막기위한농법이다. 씨앗을뿌린뒤비가내리면종자의발아와함께잡초가무성하게되고조의생육에지장을주게된다. 이러한조를 마맞인조 ( 장맛비의피해를입은조 ) 라고하고, 조농사를망치게되었을때이를 물마갇이 라고한다. 비가많은경우잡초가무성하게자라면두벌, 세벌매기까지밭매는일이많아진다. 또조농사를지을경우바람에씨앗이날리는것을막고발아가잘되도록마소를몰아다밭을밟아주거나 섬피 ( 끄실캐 ) 로흙을덮어주는관행이있다. (4) 제주도의의식주의생활과관련하여제주도농민들은갈옷을입는문화가있다. 갈옷은감즙으로염색해서만든옷으로입으면시원하고땀이나도몸에달라붙지않는다. 갈옷의색깔도흙색깔과비슷하여더러워져도쉽게눈에띄지않고감염색으로인해빳빳하게풀먹인옷처럼되기도하지만강도가강해져질겨진다. 근래에건강차원에서천연염색이각광을받으면서갈옷이재조명되고있다. 식생활과관련하여서는 보리쉰다리 라불리는발효음식이대표적이다. 제주에는저장기술이크게발달하지않았다. 제주도는반찬류보다는국류가풍부한데옥돔미역국, 갈치호박국, 성게국, 자리물회등이관광상 [ 그림 28.5] 갈옷품으로유명하다. 주생활과관련하여가옥구조는제주환경에맞게올레와정낭, 안채와바같채의배치, 화장실, 텃밭과낟가리터, 돌담과방풍나무등으로구성된다. 볏짚이아닌띠를덮은초가지붕과 풍채 가특이하다. 풍채는평상시는차양장치로서기능을하지만, 바람이칠때는비바람을막는방풍장치로서기능을한다. 울릉도의 우데기 가고정형인것에비해제주의 풍채 는가동형으로기후환경에효과적으로 [ 그림 28.6] 풍채대응한기술인셈이다. - 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