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2학기 UST-KASI 천문우주과학전공신입생모집 대한민국천문우주과학을이끌어갈참신하고역량있는당신을환영합니다! 유관분야최고석학들과함께여러분의연구역량을키워나갈수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전공 (https://major.ust.ac.kr/astros.do 또는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 ) 에서는 2018학년도 2학기석박사통합과정 및박사과정 UST 신입생을모집합니다. 대전대덕특구에위치한한국천문연구원캠퍼스는 천문학과우주과학분야에서기초과학기술및응용과학기술지식습득에탁월한연구및교 육환경을제공하는국내유일의유관분야과학기술전문기관으로서, 세계를향해도약하는 핵심과학기술그룹들을보유하고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캠퍼스천문우주과학전공은최고의경쟁력을갖춘학위과정을제공하기위 하여, 전공강좌, 현장연구, 세미나등의교과과정과유관분야최고석학들에의해지도받을 수있는연구프로젝트를운영하고있습니다. 또한, 모든졸업생은한국천문연구원이외의 연구기관으로취업하여연구역량을키우도록적극지도및권장하고있습니다. 2018학년도 2 학기신입생모집분야는아래명기한연구분야들이며, 이외분야의신입생 은선발하지않습니다. 각각의세부전공관련문의사항은담당교수께보내주시고, 기타일 반문의사항은전공책임교수( 이상성, sslee@kasi.re.kr) 에게보내주시기바랍니다. 지원원 서접수는 3월 5일부터 16 일( 오후 5 시) 까지가능하며, UST 홈페이지입학안내를참고하시 기바랍니다 (https://ust.ac.kr/admission.do). 이상성드림. 전공책임교수
1. 곽영실교수 (yskwak@kasi.re.kr) 연구주제 : Study on the Ionospheric irregularities using ground-based and satellite observation data 연구목표 : 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KASI ionospheric radar and MU radar. 2. Study on the generation mechanism of the middle 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all-sky camera, GPS TEC map, scintillation monitor, ionosonde, meteor radar and SWARM satellite observation data. 3.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polar space environment observation system (all-sky camera, FPI, VIPIR, scintillation monitor) which are operated by KASI and KOPRI, and EISCAT observation and SWARM satellite data. 2. 김상혁교수 (astro91@kasi.re.kr), 민병희교수 (bhmin@kasi.re.kr) 연구목표 : 한국및인류의역사속에발견된천문학및그문화유산을발굴하고수집하 여과학적으로분석함으로써현대천문학적자료로활용하고인류의과학유산의가치를 재해석하는데그목표를두고있다. 연구방법 : 기초적인천문학에해당하는구면천문학, 천체역학등의필수과목을이수한다. 주요한연구분야로고천문역법, 고관측기기복원, 천문학사등이있으며, 세부주제에 따른전공선택과목을수강한다. 천문학의역사적발전과정을연구하기위하여, 연구 대상에대한천문기록을수집하거나천문유산을조사한다. 이들을다시현대적인과학 기술을적용하여분석하고, 과학유산의가치를재평가한다. 기대효과및결과 : 1. 한국및인류의천문기록을집대성하고현대적인매체로보존한다. 2. 한국및동아시아의천문과학문화유산을발굴하고가치를재해석한다. 3. 과학발전의관점에서한국천문학의큰줄기를완성한다. 4. 현대천문학의성과를기록하는이정표를개발한다. 3. 정웅섭교수 (jeongws@kasi.re.kr) 적외선관측기기개발및이를활용한적외선은하생성기원과우주별탄생역사연구 우주에서활발한별생성활동을보이는은하들대부분은 "obscured" 되어있기때문에, 이러한은하들의생성과진화를연구하기위해서는적외선관측기술에대한개발이필수 적이다. 또한, 먼우주초기의은하나별빛들이적색이동되어관측되는적외선파장대는 지상대기및열잡음에의한영향으로지상관측이어려워, 우주에서의관측이매우효 율적이기도하다. 우주에서의적외선관측기술은광학, 광기계, 자료및신호처리등에 서극한우주환경을견딜수있는설계/ 제작/ 시험이요구되며, 적외선은하의생성기원 과우주별탄생연구를위해적외선관측에최적화된다양한영상/ 분광타입의적외선 관측기기를연구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적외선관측기기혹은활용가능한지상/ 우 주관측기기로얻은적외선은하관측자료들로부터그은하들의특성을이해하기위한
천체물리학적인이론과분석방법도함께연구될계획이다. 근적외선에서부터서브밀 리파장대에이르는적외선다파장관측자료로적외선우주망원경으로확인된적외선 은하들의생성기원과그특성을파악하여먼우주에서부터현재에이르는우주별생성 역사를이해하고, 나아가우주암흑시대에서기인된다고여겨지는적외선우주배경복사 의정확한기원을밝히고자한다. 신입생들은현재개발이진행/ 계획중이거나이미운영중인적외선우주망원경개발프 로젝트에참여하여기기의주요파트들을개발할기회를가질수있으며, 국외협력기 관들과의연구/ 개발협력기회도주어질예정이다. 아울러, AKARI, Herschel 등국외우 주망원경및국내우주망원경인 MIRIS, NISS 등의기존/ 예정우주적외선관측자료들 뿐만이아니라, 관측된적외선은하의다파장특성을파악하기위한가시광/ 적외선 (KMTNet, 중대형망원경), 서브밀리 (JCMT 및 ALMA) 등후속관측으로얻은자료들 을제안/ 분석하고연구할계획이다. 4. Prof. Arman Shafieloo (shafieloo@kasi.re.kr) In cosmology group we are looking for very strong,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in order to train them at a competitive level internationally and making them prepared for the near future and next generation of the cosmological surveys.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come officially involved with SDSS-IV (Sloan Digital Sky Survey, Stage 4) and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surveys and the project will include studying and performing research o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cosmology such as testing early universe scenarios and reconstruction of the growth and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using large scale structure data.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regression approaches) and preparation to deal with future big data will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or integrated-phd. Candidates are required to have strong mathematics and physics background and during the course of PhD a successful candidate has to work on and develop advanced methods of data analysis tailored suitably to analyze cosmology data in different context. 5. 조중현교수 (jhjo39@kasi.re.kr) 우리나라는우주위험으로부터국민의안전과우주자산을보호하기위해 우주환경감시기 관 으로한국천문연구원을 2015 년에국가지정하였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의우주위험감 시센터에서는이 우주환경감시기관 의임무를수행하기위해종합대응체계를구축하고, 우주위험의감시및대응기술을확보하며우주위험대비기반확충을위한연구개발을 수행중에있습니다. 이와관련하여다음과같은분야의우수한인재를양성하고학위를 수여하여대한민국의우주감시전문인력배출에이바지하고자합니다. 현재이분야는 연구인력이극소수이어서여전히채용시장전망도밝습니다. 현재입학생이연구지도를받을수있는연구분야는아래의광범위한분야를박사학위 수준까지받을수있으며, 현재지도교수의주관심사항은지구중심궤도우주물체의궤 도추정과그진화입니다. 2-3 년에는태양중심궤도우주물체의궤도추정및그진화가 주관심사항으로올라올예정입니다. 연구주제는매우 flexible 합니다.
또한박사과정또는통합석박사과정양과정다환영합니다. 천체역학, 궤도공학, 우주동력학, 위치천문학, 기본계천문학 - EOP 및 ERP 분석 (GPS, SLR 자료) 우주감시관측정보처리및분석 - 광학위성관측자료분석, 광학자료이용궤도추정 - 레이다위성관측자료분석, 레이다자료이용궤도추정 인공및자연우주물체위험도분석 - 인공우주물체충돌확률및재진입예측 - 소행성관측자료분석 ( 궤도, 궤도진화) - 소행성충돌확률분석 현재우주위험감시센터에는이와관련한전공교수 2명을포함하여현장강의가가능한 박사연구인력이 5명이근무하고있으며자연우주물체관련전공박사연구인력이 4명이 인접그룹에서근무하여강의및연구지원이가능합니다. 이번 UST학생모집에서는석 박사통합과정이나박사과정학생을구하고있습니다. 또한필요시에는기본과목을 KAIST, 연세대, 충남대등에서공동학점으로이수할수있습니다. 6. 변도영교수 (bdy@kasi.re.kr) 연구목표 : 현재 125-142 GHz 관측이가능한한국우주전파관측망(Korean VLBI Network:KVN, http://kvn.kasi.re.kr) 의 D band 수신기의 frontend의주파수대역을확장 하여 125-170 GHz의관측이가능하도록수신기를이루고있는관련부품의광대역화 연구를수행한다. 특히이대역에서동작하는원형편광기의개발, 초전도믹서와국부 발진부(LO) 개발이필요하다. 초전도믹서는언급한 RF/LO 대역에서동작할뿐만아니 라, 한번에출력하는중간주파수 (IF) 대역이 8-16 GHz 가되도록제작되어야한다. 연구방법 : RF 회로에대한이해를바탕으로구현된회로에대한 3차원전자기해석소프트웨어 이용한회로성능최적화방식을이용한원형편광기개발 초전도믹서의원리를이해하고, 광대역입력신호정합과출력 IF 신호대역정합을 고려한새로운초전도믹서의제작/ 측정 관측을통한광대역 기대결과 : 125-170GHz 수신기의성능검증및과학연구활용 KVN의 125-170GHz 대역에서편광관측대역을넓힘으로써편광각측정정밀도개 선과편광각의 π-ambiguity 해결가능하기때문에 AGN의 Rotation Measure 측정연구 에우수한성능기대. KVN의새로운수신기의개발과운영에참여할수있는기회를통한전파천문학분 야차세대초전도검출기개발인력양성. 7. 선광일교수 (kiseon@kasi.re.kr) 성간, 은하주변및은하간물질연구: 우주에는조용한은하부터매우폭발적인별탄생을보이는은하까지흥미롭고다양한은하들이존재한다. 우리팀은가까운우주에서먼우주에이르기까지다양한현상을보이는은하들을천체물리학적인관점에서올바르게이해하는데관심을갖고있다. 이를위
해서는성간/ 은하간물질의공간적분포및운동학적특성그리고은하내부에서발생한 빛의생성과전달메카니즘을잘이해하여야한다. 한국내에서는아직까지은하주변및 은하간물질에대한연구가매우미흡한편이다. 그러나, 미국및유럽의경우는은하간 및은하주변물질에대한활발한연구를진행하고있으며초기은하의생성및바리온 물질의우주내에서의분포에대한연구도매우활발하게진행하고있다. 먼우주의은하에대한많은연구들이라이먼알파(Lyα) 관측을통해수행되고있다. 하지만, 라이먼알파와같은공명선은수많은산란과정을거치기때문에해석이용이하 지않다. 기존의은하주변물질에대한연구는매우단순한모델을가정하고있기때문 에 Si II (1 번이온화된실리콘) 또는 C IV (3 번이온화된탄소) 등흡수선관측과라 이먼알파방출선을동시에설명하지못한다. 우리는좀더현실적인모델을고안하여 다양한파장의방출선과흡수선의기작, 기체의운동학적특성, 그리고편광을동시에 설명할수있도록하고자한다. 또한, 단순한은하모델에서출발하여복잡한수치모델 에이르기까지다양한은하모델과성간먼지복사전달모델을결합하여다파장관측자 료와비교하는연구를수행하고자한다. 이연구를위해우리는매우빠른계산코드를 이미보유하고있다. 우리는기존의수많은관측데이터를이용할것이며, 필요에따라 관측제안서를통해관측을제안할것이다. 또한, 관측자료로부터모델추론을위해필 요한매우효율적인 보유하고있다. MCMC (Markov Chain Monte-Carlo) 코드도자체적으로개발하여 이연구는현재국내외여러연구팀에서추진하고있는은하서베이관측과우주론적시 뮬레이션을연결하는고리가될것이다. 또한, 먼우주또는가까운은하의진화및별 탄생현상을이해하는데중요한기여를할것으로기대한다. 신입생은자신의선호도 및재능에따라구체적인연구주제를선택하게될것이다. 또한다양한이론적인배경 및관측자료해석방법, 그리고시뮬레이션방법등을익히고자신만의연구주제를발굴 하는훈련을받게될것이다. 8. 이병철교수 (bclee@kasi.re.kr) 불과 30 여년전만하더라도외계행성이라는용어가존재하지않았지만, 현재외계행성 연구는이찰나의순간에현대천문학의가장주목받는분야중의하나가되었다. 차세대 지상대형망원경인 GMT의가장중요한연구분야중하나라는사실이잘입증하고있 다. 국내에서는 2003 년보현산고분산분광기(BOES) 가개발되고 2008년부터본격적인외 계행성탐색연구를시작하여 2017년 12월현재까지 50 여개의외계행성( 후보포함) 을 발견하여약 20 편의논문을발표하였다. 지금까지는다파장영역에서여러가지방법으 로다양하고특이한행성들이발견되었는데, 외계행성의발견그자체에초점을맞춘지 금까지의연구를외계행성연구의제 1 세대로구분한다면, 이제부터의연구방향은행성 발견을넘어서외계행성자체를연구하는제 2 세대연구단계라고할수있겠다. 차세대지상대형망원경인 GMT를활용한외계행성연구를위해서는분광학을포함한행 성대기모형, 행성계시뮬레이션, 지질학등융합연구로의접근이필요하다. 천문학신생아 에불과한외계행성연구가단기간에현대천문학의중요한분야로자리매김이가능하게 된근본적인힘은창의적인아이디어와편견없는시각으로연구에몰입한덕이었을것 이다. 이에본그룹에서는외계행성연구에열의가있는분광학/ 대기모형/ 시뮬레이션등 을전공할박사과정혹은석박사통합과정의겸손을지닌인재를기다리고있습니다. 이 분야의국내연구진은다소미비한편이지만약 20년에걸쳐서조직된국외선진연구 진( 러시아, 우크라이나, 독일, 일본, 미국등) 과풍부한관측인프라( 러시아, 일본, 중국
등) 가매우잘갖춰져있다. 다. 이에참여할학생은물심양면풍부한지원을기대할만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