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untitled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테나/한지해(001~025)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322DB3EDB9AE2E687770>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Á¦190È£(0825).hwp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 2 -

200706ºÎµ¿»êÆ®·£µåc02ªš

untitled

hwp


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03Ȳ»óÀÏ


2.pdf

- 2 -

4-Ç×°ø¿ìÁÖÀ̾߱â¨ç(30-39)

나하나로 5호

³»Áö_10-6

hwp


슬라이드 1

hwp

¾Æµ¿ÇÐ´ë º»¹®.hwp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T 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제 1장 과업의 개요 제 1 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명 동복호 수질개선 사업성과 평가모델 구축 용역 1.2 과업의 기간 2012년 3월 5일 ~ 2012년 12월 31일(10개월 간) 1.3 과업의 목적 동복호의 수질은 현재 Ⅱ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으나,여름철

01¸é¼öÁ¤

32 김 태 ' 목포시 시각 화면낭독S/W 센스리더베이직 350, ,000 35,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3 김 옥 ' 무안군 지적 의사소통보조기기 보이스탭 770, ,000 77,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4 최 섭 '8303

hwp

歯이

ePapyrus PDF Document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CONTENTS


03-교통이야기

와플-4년-2호-본문-15.ps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198~243)교과서한지7ok

* pb61۲õðÀÚÀ̳ʸ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제 2 기 (2011 년 ~2014 년 ) 지역사회복지계획

04 Çмú_±â¼ú±â»ç

~

src.xls

e01.PDF

248019_ALIS0066_1.hwp

¹ßÇ¥¿äÁö

1362È£ 1¸é

¼øâÁö¿ª°úÇÐÀÚ¿ø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광주시향 최종22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DocHdl2OnPREPRESStmpTarget

#7단원 1(252~269)교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특집 하천사업 제안공모 도시계획과 하천사업의 창조적인 연계 융합 2 양 병 우 서귀포시 박 상 수 국토교통부 환경도시건설국장 하천계획과 주무관 동홍천(제주 서귀포시) 도시하천 정비사업 로 되어있어 지금까지 강우로부터 안전지대로 여겨 왔으나 1. 추진배경 최근 하천 상류

....pdf..



게 지니고 있으며 도시권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도시민의 다양한 사회 경제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수적인 대중교통수단 이다.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 하며 집약적이고 대량적으로 수송 이 가능하여 공간, 연료 및 비용의 효용성이 높다. 여수시에서 운행하는 버

성인지통계

경영학회 내지 최종

- 1 -

CR hwp


hwp

Y Z X Y Z X () () 1. 3

157~168-라오스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0001³»Áö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51-4대지01이광률.indd

Transcription:

화순 곡성 지역의 지형경관 윤 순 옥 박 충 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요 약 본 조사지역은 형제봉, 차일봉, 백아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험한 산체가 중앙부에 위 치해 있어 깊은 계곡과 기암괴석의 암봉과 같은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으며, 섬 진강과 보성강과 같은 대하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높고 험준한 산지가 많 아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평지는 하천을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산지 주변에 는 소규모의 선상지들이 잘 발달해 있으며,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지역의 하천변에는 대 규모의 하식애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또한 상수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저수지가 조사지역내에 위치하고 있어 하천 유역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는 지역이다. 하지만 일부 하천변에는 각종 위락시설, 산업시설과 골프장 등이 위치해 있으며, 대규모 채석장과 이용 후 방치된 채석장 등이 위치해 있어 주위의 지형경관을 해치고 있다. 1. 서 론 본 조사지역은 형제봉( 兄 弟 峰, 657m), 곤방산( 困 芳 山, 714.8m), 백아산( 白 鴉 山, 818m), 차일봉( 遮 日 峰, 665m)을 중심으로 하는 네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오곡면, 석곡면, 삼기면, 겸면, 입면 등을 포함하며, 곡성군 옥 과면, 오산면, 죽곡면과 담양군 대덕면, 남면, 화순군 북면, 동복면 그리고 순천시 주암 면을 일부 포함한다<그림 1>. 조사지역에는 한반도 산지의 근간을 이루는 백두대간의 최종점인 지리산이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요천과 섬진강이 만나는 곡성읍 일대, 섬진강이 크게 곡류하는 곡성 군 입면의 섬진강 하안, 옥과면과 입면의 옥과천 유역 등지를 제외하고는 동악산 (736.8m), 최악산(717m), 통명산(765m), 주부산(678.4m), 천덕산(672m) 등의 험준한 산 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산지의 좁은 하곡을 따라 섬진강과 보성강이 흐르고 있다. 조사지역을 흐르는 하천들로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섬진강과 지류 하천인 보성강 등의 대하천과 함께, 옥과천(지방2급), 곡성천(지방2급), 죽곡천(지방2-1 -

급), 석곡천(지방2급), 동북천(지방2급), 남천(지방2급) 등의 중, 소하천들이 포함되어 있 다. 조사지역 내에서 섬진강은 옥과면과 입면, 곡성읍 부근을 제외하고는 좁은 하곡을 흐르고 있으며, 보성강 역시 좁은 하도를 곡류하며 흐르고 있다. 이러한 하천 이외에 동복호와 같은 큰 호수도 위치하고 있다. 조사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가 북동-남서방향으로 연속되 며, 동 시대의 설옥리층과 용암산층은 조사지역의 북쪽과 북서쪽 그리고 서쪽에서 일부 나타난다. 이외에 선캠브리아기의 세립질화강암, 고생대 트라이아스기의 엽리상화강암, 중생대 쥬라기의 대보관입암류 등의 화강암류가 조사지역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독특한 지형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 조사지역 개관 - 2 -

2. 지형 및 지질 본 조사지역은 험준한 산지가 주를 이루고 있어, 평지는 하곡을 따라 좁고 길게 형성 되어 있으나 섬진강과 요천이 만나는 곡성읍 장선리, 동산리, 대평리 일대와 섬진강과 곡성천이 만나는 오곡면 오지리 부근에는 비교적 넓은 범람원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 옥과천과 섬진강이 만나는 옥과면 합강리 일대와 섬진강이 크게 곡류하는 입면의 섬진 강 하안 부근에도 범람원이 넓다. 섬진강과 보성강이라는 비교적 큰 하천이 조사지역내 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 두 하천은 조사지역내에서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지 못하고 협 곡을 통과하고 있다. 산지는 대부분 해발 500m 이상으로 높고 험하며, 산지를 흐르는 하천은 깊은 계곡을 흐른다. 산지는 대부분 토산이나 최악산과 백아산 일대는 고생대 트라이아스기의 엽리상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기암괴석의 암봉이 형성되어 있다. 이 러한 암봉은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백아산 일대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어 우수한 지형경 관을 보이고 있다. 그림 2. 조사지역의 지형도

높은 산지로 인해 산지의 전면에는 소규모의 하천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 성된 선상지성의 지형들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선상지들은 높고 험준한 산지를 형 성하고 있는 엽리상화강암 주변지역인 곡성읍 일대와 입면 일대에서 가장 넓다. 또한 퇴적암 지대인 동북천 유역과 동복호 일대에는 하천의 침식에 의한 하식애가 하천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3. 조사지역의 지질도 조사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가 조사지역의 남동쪽에 위치 하여, 북동-남서방향으로 연속된다. 이 지리산편마암복합체는 조사지역에서 가장 넓은 부분은 차지한다. 조사지역의 북쪽과 북서쪽, 북동쪽 그리고 중앙부에는 시대를 달리하 는 화강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사이로, 선캠브리아기의 설옥리층과 용암산

층, 중생대 백악기의 진안층군이 분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경암인 고생대 트라이아스 기의 엽리상화강암과 연암인 중생대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가 만나는 요천유역과 곡성 읍 일대에는 넓은 범람원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섬진강이 경암지역인 엽리상화강암을 관통하는 지역에서는 좁은 하곡이 형성되어 있어 뚜렷한 지형경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섬진강이 지리산편마암복합체(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를 통과하는 구간에서도 좁은 하 곡이 형성되어 있다. 3. 토 양 본 조사지역은 높고 험한 산지지역으로서 섬진강과 보성강 그리고 기타 중, 소규모의 하천이 발달해 있지만, 좁은 하도에서 곡류 또는 직류하여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비 교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충적토 기원의 토양 발달이 미약하며, 주로 기반암 풍화토 기원의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높은 산지로 인 해 산지사면을 따라 이동된 붕적층과 선상지의 발달이 일부 지역에서 탁월하여, 이들 기원의 토양 분포를 보이고 있다. 충적층 기원의 토양은 하천을 따라 좁고 길게 분포하며, 주요 분포지역은 옥과천이 섬진강에 합류하는 옥과천 하류부, 섬진강이 크게 곡류하는 입면의 섬진강 하안, 요천 이 섬진강에 합류하는 곡성읍 일대이며, 모두 대규모의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붕 적층 또는 선상지 퇴적층 기원 토양은 입면과 곡성읍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 밭으 로 이용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경작지 이용이 불가능하여 나지로 방치된 경우도 있다. 기반암 풍화토 기원의 토양은 조사지역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가파른 경사로 인 해 토양층의 두께가 얇고, 경작지로의 이용은 불가능하다. 이외에 화강암이 분포하고 있는 일부 산간지역에는 대규모로 기반암이 지표면에 노 출되어 토양 발달이 미흡하다. 4. 수문 및 하계망 본 조사지역은 섬진강, 보성강 등의 대하천과 옥과천, 남천, 동복천 등의 중, 소하천 에 의해 다른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조사지역 내에는 곡성천, 석곡천, 죽곡천, 동북천 등의 하천이 흐르고 있다. 섬진강은 전북 진안군과 장수군의 경계를 이루는 팔공산(1,151m)에서 발원하여 전라 남도 광양시와 경상남도 하동군을 경계 짓고, 광양만에 유입하는 유로연장 약 212km, 유역면적 약 5,348km 2 의 하천이다. 보성강은 전남 보성군 웅치면 용반리 일림산

(626.8m)에서 발원하여 전남 보성군, 순천시 일부 곡성군 일부지역을 유역분지로 하며,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에서 섬진강에 합류하는 유로연장 약 117km, 유역면적 약 1,718km 2 의 하천이다. 조사지역 내의 중, 소규모의 하천 중 옥과천은 곡성군 오산면 선세리에서 발원하여 옥과면 합강리에서 섬진강에 합류하는 섬진강의 지류하천으로 유로연장 약 25km, 유역 면적 약 132km 2 의 지방 2급 하천이다. 섬진강과의 합류부에서는 하천규모에 비해 비교 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고 있다. 석곡천은 곡성군 삼기면 대명산에서 발원하여 곡성군 석곡면 능파리 부근에서 보성강에 합류하는 유로연장 약 12km, 유역면적 약 39km 2 의 지방 2급 하천이다. 삼기면과 석곡면의 경계부보다 하류에서 곡류를 크게 하며 보성강 에 합류하나 주변의 범람원은 그리 넓지 않다. 곡성천은 곡성읍 서계리 최악산에서 발 원하여 북동류하다가 곡성읍 부근에서 크게 곡류하여 남동류하다가 섬진강에 합류하는 유로연장 약 11km, 유역면적 약 34km 2 의 소규모 하천이다. 섬진강과의 합류부에서는 오곡천과 함께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 4. 조사지역의 하계망도

5. 기후환경 조사지역 내에 기후관측소가 위치하고 있지 않아, 곡성군청에서 사용하는 광주기상대 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이와 함께 남한에 위치한 68개 관측소의 평균값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조사지역 겨울동안의 월평균 기온은 12월과 1월에도 영하권으로 내려가지 않는 0.5~2.8 의 기온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남한의 평균기온과 비교했을 경우 약 1. 5 높은 1월 평균기온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여름에도 계속되어 6~8월의 월평균 기온은 약 22~26 로, 전국 평균보다 약 1 높은 기온분포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도 전국 평균보다 약 1.2 높다. 월평균 강수량은 약 114.0mm로서 전국의 다른 지역(109.2mm)에 비해 높고, 6~8월 에 월평균 249.4mm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7월에 약 280mm로 가장 많다. 겨 울에는 약 32~43mm로 매우 소량만이 기록되고 있다. 전국과 비교했을 경우 조사지역 의 강수량이 약 50mm 더 많으나 그리 큰 차이는 아니다. 표 1. 조사지역의 월평균 기온과 월평균 강수량(1971~2000)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합계 기 온 ( ) 곡성 0.5 1.9 6.5 12.9 17.8 22.0 25.5 26.1 21.4 15.4 8.7 2.8 13.5 남한 -1.0 0.7 5.6 11.9 16.8 20.9 24.3 24.9 20.1 14.1 7.5 1.5 12.3 강 수 량 (mm) 곡성 38 43.9 64.5 95.3 97.3 190.3 281.9 276 137.7 55.3 55.4 32.4 1,368 남한 32.7 37.9 61.2 93.3 103.8 170.0 262.2 262.2 149.8 56.5 52.6 27.9 1,310.0 자료 : 기상청(광주기상대) 남한은 68개 관측소의 평균값임

그림 5. 조사지역의 기후도표 6. 조사내용 A. 형제봉 본 평가단위는 형제봉(657m)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곡성군 곡 성읍, 입면, 겸면, 옥과면 등이 포함된다. 이 단위는 형제봉, 최악산, 동락산 등의 엽리 상화강암 산지가 위치하고 있어 기암괴석의 암봉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지가 높고 험하 며, 청계계곡과 같이 계곡이 깊게 발달해 있어, 우수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 지 주변으로 넓은 선상지가 발달해 있으며, 하천 주변에는 범람원도 넓다. 하지만 옥과 천 일대에는 대규모의 산업시설과 골프장 등이 위치해 있어 이 지역의 경관을 해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은 경관적으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연구가치가 인정되 어 보존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등급 : Ⅴ B. 차일봉 본 평가단위는 차일봉(665m)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곡성군 오 산면, 담양군 대덕면, 화순군 북면 등이 포함된다. 본 조사단위는 동북천을 따라 하식애

등이 연속적으로 발달해 있으며, 동복호로 유입하는 구간에도 절경을 보이는 하식애가 있어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인다. 또한 아직까지 특별한 산업시설 또는 공단 등이 위치 하고 있지 않아 전체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경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대부분 동북천의 유역분지로, 동복호로 유입한 물은 상수도로 이용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충 분히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등급 : Ⅴ C. 백아산 본 평가단위는 백아산(818m)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화순군 북 면, 곡성군 석곡면, 순천시 동복면, 주암면 등이 포함된다. 본 조사단위는 백아산 일대 에 매우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는 암봉 등이 위치해 있으며 계곡도 깊고 깨끗하다. 또 한 동복호 일대에는 동복호에 유입하는 하천을 따라 하식애가 발달해 있다. 백아산 일 대의 소하천들은 모두 동복호로 유입되어 상수도로 활용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충분 히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등급 : Ⅴ D. 곤방산 본 평가단위는 곤방산(714m)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곡성군 오 곡면, 죽곡면 삼기면 등이 포함된다. 본 조사단위는 곡성천, 섬진강, 보성강, 석곡천 등 하천으로 경계가 이루어져 있으나, 섬진강 하안에는 많은 위락시설이 이미 위치해 있으 며, 많은 레져활동이 섬진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보성강 하안의 경우 지류하천이 유입하는 곳에서 비교적 넓은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나 이미 경작활동으로 원지형이 많이 파괴된 상태이다. 따라서 지형경관을 전제로 적극적인 보호는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등급 : Ⅰ 7. 결과 및 고찰 본 조사지역은 형제봉, 백아산 등의 우수한 경관을 보이는 산체와, 섬진강, 보성강 등 의 하천이 위치한 지역으로 다양한 지형경관을 나타낸다. 또한 호남 지역에서 보기 드 문 깊은 계곡과 높고 험한 산지가 위치해 있어 생태적으로도 우수하다. 한 지역의 상수 원을 담당하고 있는 동복호와 같은 대규모 저수지가 위치해 있어 적극적인 보호가 요

구된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현재 채굴 중인 대규모 채석장과 채굴이 끝났지만 복 구사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방치된 채석장 등이 있으며, 골프장과 같은 대규 모 위락시설 그리고 대규모의 산업시설이 위치해 있는 등 주위 경관을 해치는 요소도 내포하고 있다.

참 고 문 헌 권혁재, 2000, 지형학, 법문사 곡성군, 2002, 곡성군 통계연보, 곡성군 국립지리원, 1986, 한국지지 - 지방편Ⅳ, 건교부 양승영, 2001, 지질학사전, 교학연구사. 한국자연지리연구회, 2000,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 한국자원연구소, 지질도폭 설명서 - 1:250,000 광주 기상청 http://www.kma.go.kr/ 곡성군 홈페이지 http://www.gokseong.go.kr/ 수자원 종합정보 시스템 http://wamis.kowaco.or.kr 화순군 홈페이지 http://www.hwasun.jeonnam.kr/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9 42 북위 35 17 3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읍에서 고달면으로 가기 위한 고달교에서 촬영한 섬진강의 하천퇴적물 이다.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으며, 섬진강은 좌에서 우로 흐른다. 상류로부터 섬진강이 운반해 온 많은 하상력들이 퇴적되어 있으며, 일부지역에는 식생이 정착하여 점점 육화되고 있다. 퇴적물은 대부분 직경 10cm 내외의 역이 주를 이루며, 이와 함께 다량의 모래도 포함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천퇴적물 기호 : GS28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8 21 북위 35 17 5 규모 높 이 : 폭 : 1.5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천은 발원지에서 곡성읍 부근까지 북동류하는 직류하천이지만, 곡성역 부근에서 크게 곡류하여 남동류한다. 사진은 곡성천이 곡류하기 직전으로 하 류에서 상류를 향해 촬영한 사진이다. 하천의 중앙부에 폭이 최대 약 1.5m의 소규모 하천퇴적물이 퇴적되어 있으며, 하천퇴적물에는 초본류가 성장하고 있 다. 유역분지가 그리 크지 않아 유량은 많지 않다. 멀리 곡성역이 보이고 있 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선상지 기호 : GM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7 54 북위 35 17 2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형제봉의 북쪽에 위치한 동락산(736m)을 중심으로 하는 산체에서 발원한 소규모의 하천들이 사력을 운반, 퇴적시켜 형성된 선상지이다. 사진은 선단부 에서 선정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곡성읍 일대에는 이러한 선상지의 발달이 탁 월하다. 선상지면은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선상지면 사이의 계곡은 주로 밭으로 이용되며, 사진의 좌측하단부에 위치한 저수지와 같이 일부지역 은 인위적인 제방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기도 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중도 기호 : GS2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9 16 북위 35 18 2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사진은 요천과 섬진강이 합류하는 곳에서 촬영한 것으로 섬진강은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흐른 후 왼쪽에서 합류하는 요천을 만나, 이후 곡류하여 오른 쪽으로 흐른다. 요천과의 합류점에는 이전의 좁은 하도를 벗어난 섬진강의 유 속이 감소하고 요천과 합류하면서 많은 하천퇴적물로 인해 하중도를 형성하 였다. 이 하중도에는 초본류와 함께 버드나무류와 같은 수생식물들이 서식하 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6 34 북위 35 18 4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조사지역에서 섬진강은 옥과면과 입면 그리고 곡성읍에서는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지만 이 지역 사이의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풍화, 침식에 강한 엽리상 화강암이 분포하고 있어 좁은 하도를 빠르게 흐르고 있다. 빠른 유속으로 인 해 하상에는 퇴적물이 쌓이지 못하고 하상에는 엽리상화강암의 기반암이 노 출되어 있다. 섬진강은 사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사면이동물질 기호 : GM1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6 12 북위 35 18 4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섬진강이 산지의 좁은 하도를 흐르는 구간에서 하곡은 가파른 경사의 사면 을 이룬다. 가파른 사면에서 이동되어 온 물질이 지방도 건설로 인해 노출되 어 있다. 사면이동물질은 대부분 지름 20cm 이상의 각력의 암석들로 이루어 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반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노출된 단면의 상부 는 최근의 사면붕괴로 인해 식생의 뿌리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5 9 북위 35 18 4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급경사의 험준한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이 섬진강에 유입하면 섬진강은 상 대적인 침식기준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소하천과 섬진강이 만나는 곳에서는 많은 하천퇴적물이 퇴적될 수 있다. 이 때 퇴적물의 형태는 삼각주와 유사하 게 퇴적된다. 사진은 청계동이라는 소계곡에서 발원한 하천이 섬진강에 합류 하면서 퇴적시킨 하상력으로 대체로 거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마도는 각 력 또는 아각력에서 아원력에 해당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58 북위 35 18 5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엽리상화강암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관찰된 무명 371고지로, 암봉을 형성하 고 있다. 봉우리는 마치 돔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식생 발달이 양호 하여 자세한 암석의 형태는 관찰이 어려우나, 식생으로 덮혀 있지 않은 부분 에는 수직, 수평의 절리가 잘 발달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23 북위 35 19 2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험준한 산지에서 발원하여 섬진강에 바로 유입하는 소규모 하천의 하상의 모습이다. 사진의 하단에는 풍화작용에 의해 기반암에서 떨어져 나와 짧은 구 간 하천에 의해 운반된 암설들이 관찰된다. 사진의 오른쪽에 노출된 기반암에 는 수평, 수직의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절리면을 따라 풍화작용이 진행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진의 중앙부에 위치한 기반암은 판상절리의 형태 로 절리가 발달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범람원 기호 : GS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3 51 북위 35 19 4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조사지역 내에서 섬진강은 옥과면과 입면 부근에서 크게 곡류한다. 옥과면 이전의 섬진강은 남류하지만 순창군 풍산면 대가리 부근에서 곡류하기 시작 한다. 크게 곡류한 이후에는 남동류하여 곡성읍으로 흐르고 있다. 사진은 섬 진강의 활주사면에 형성된 범람원이다. 범람원은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의 상단부에서는 섬진강의 인공제방이 관찰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하중도 기호 : GS2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3 8 북위 35 19 11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섬진강의 곡류구간에 형성된 뱃길들 이라는 하중도로 섬진강은 사진의 뒤 편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며, 사진의 하천은 섬진강의 분류이다. 하중 도의 정상부 고도는 하천수위보다 상당히 높아 큰 홍수가 아니면 더 이상 침 수의 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중도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목본류의 식생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천과 연한 부분과 하중도의 저지에는 초본류가 우 점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56 북위 35 16 1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형제봉(657m)에서 발원하여 섬진강으로 유입하는 입천은 섬진강과의 합류 부에서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지만, 상류부에서는 좁은 곡저평야를 흐르는 소 규모 하천이다. 소규모의 곡저평야를 흐르는 하천 양안에 인공제방을 설치하 여 하천의 유로를 제한시켜 곡저평야를 논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공제방의 폭 은 약 3m이하이며, 하상에는 기반암이 드문드문 노출되어 있다. 사진의 좌측 하단에는 일종의 보가 설치되어 일시적으로 하천수를 저수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산정 기호 : GM17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3 54 북위 35 15 3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조사지역 내에 위치한 엽리상화강암지대는 풍화, 침식에 상대적으로 강해 험준한 산지와 깊은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사진은 형제봉(675m) 주변의 산 정으로 사진 왼쪽의 세 개의 봉우리 중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봉우리가 형제 봉이며, 사진의 오른쪽에 위치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무명 744고지이다. 험준 한 산체와 함께 깊은 계곡이 잘 발달해 있으며, 산체에는 드문드문 기반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저수지 기호 : GL0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33 북위 35 16 5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형제봉과 같은 험준한 산지에서 발원한 소규모의 하천에 인공 제방을 만들 어 물을 일시적으로 저수시켜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다. 사진은 흑석저수지 로 저수지 수문 공사로 인해 저수된 물을 일시적으로 방류시켜 놓은 상태다. 저수된 물의 방류로 인해 저수지의 바닥이 노출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범람원 기호 : GS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16 북위 35 17 3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형제봉에서 발원한 입천은 흑석저수지까지는 소규모의 곡저평야를 형성시 키는 소하천이지만 흑석저수지 보다 하류에서는 섬진강과 함께 넓은 범람원 을 이루었다. 사진은 이러한 입천의 범람원을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범람원은 현재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봉우리가 매산(142m)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0 40 북위 35 18 2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섬진강에 유입하는 옥과천 하안의 구릉지를 인위적으로 절개하여, 평탄하게 조성한 골프장이다. 약 33만평에 달하는 지역의 지형을 인위적으로 변형하여 골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원지형은 전혀 알아볼 수 없으며, 골프장 조경을 위해 원 식생도 모두 파괴된 상태이다. 조경 식수는 대부분 소나무류와 향나 무류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선상지 기호 : GM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0 39 북위 35 17 3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사진의 상단에는 입천에 유입하는 소하천 하안에 발달한 선상지로서 구릉 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사진의 하단에는 선상지보다 낮은 고도에 범람원이 발달해 있다. 선상지와 범람원과의 고도 차이는 약 15m이다. 선상지면은 현 재 인위적인 평탄화 작업을 통해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범람원은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45 북위 35 16 4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장군봉(424m)에서 발원한 소하천에 의해 형성된 선상지면을 절개, 평탄화 시켜 조성한 겸면농공단지이다. 농공단지는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며, 일부의 업체만 들어선 상태이다. 단지조성으로 원지형면은 완전히 변형되었으며, 많 은 부분이 나지로 방치되어, 잡초들이 무성히 자라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1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41 북위 35 16 3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에 삼기천이 합류하는 옥과면 죽림리 부근의 옥과천 하상으로, 상류 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한 사진이다. 하천의 우안에는 새로운 제방공사가 현재 진행중이며, 좌안의 제방에는 식생이 자라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7 40 북위 35 16 3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읍 부근의 곡성천 하상으로 하천 양안에는 인공 제방이 건설되어 하천 이 직선화 되어 있다. 하도 내에는 공사로 인해 하천퇴적물과 토사가 뒤섞여 있다. 하도 중간에는 인위적인 하중도가 현재 건설 중이며, 하도 우측에는 산 책로와 체육시설을 계획하고 있다. 하천 좌측에는 특별한 시설공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사진은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선상지 기호 : GM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5 53 북위 35 15 28 규모 높 이 : 폭 : 1k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락산(736m)에서 발원하여 곡성읍 월봉리 부근에서 곡성천에 합류하는 소 하천인 월봉천에 의해 형성된 선상지로 비교적 규모가 크다. 선단 부근의 폭 이 약 1km이며, 선상지의 길이는 약 1.2km에 이른다. 선상지면은 모두 밭으 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곡구 부근에는 도림사 관광단지가 위치해 있다. 사진 에서 왼쪽의 계곡이 선상지의 선정부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5 15 북위 35 14 58 규모 높 이 : 폭 : 1k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형제봉의 산체에서 발원한 소하천의 상류부 하상으로 엽리상화강암의 기반 암이 하상에 넓게 노출되어 있으며, 사진의 좌측에는 거대한 하상력도 관찰된 다. 노출된 기반암 표면에는 절리면을 따라 침식이 가속화되어 절리면의 방향 을 유지하고 있는 포트홀도 관찰된다. 이외에도 수많은 절리가 기반암에 발견 된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2 북위 35 15 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최악산 주변 산체에 형성된 암봉이다. 최악산은 사진에서 가장 오른쪽의 봉 우리이다. 이 지역은 고생대 트라이아스기의 엽리상화강암이 분포하고 있어 산체가 암봉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주변 산지에 비해 산지도 높고 험하며 계 곡은 깊어 우수한 지형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식생피복이 양호하여 암봉의 전 체적인 형태의 관찰은 용이하지 않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범람원 기호 : GS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47 북위 35 16 1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에 삼기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형성된 넓은 범람원이다. 조사지역에 서 넓은 평지가 나타나는 곳은 곡성읍 일대와 옥과천과 삼기천이 만나는 지 점에서 섬진강과의 합류점까지 이다. 범람원은 모두 논으로 이용되거 있었으 며, 사진에서 하천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상단의 도시는 옥과 면 소재지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56 북위 35 13 5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삼기면 소재지 부근의 삼기천 하상의 모습이다. 하상의 좌안을 따라 인공제방이 설치 중이며, 하천 우안에도 제방공사가 진행 중이다. 사진의 중 간부에는 소규모의 보가 설치되어 있어 일시적으로 물을 저수하는 기능을 하 고있으며, 이 저수된 물은 펌프를 통해 주위 농경지에 공급된다. 사진은 상류 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선상지 기호 : GM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33 북위 35 14 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최악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에 의해 형성된 선상지이다. 선상지면에 곡성군 삼기면 소재지가 위치해 있으며, 일부지역은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삼기천과 의 비고는 약 10m에 이른다. 선상지의 선단부분은 삼기천의 곡류로 인해 침 식되어 단애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 일대는 배후의 엽리상화강암으로 이루 어진 높고 험한 산체로 인해 선상지 발달이 탁월하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천퇴적물 기호 : GS28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9 34 북위 35 16 4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류 또는 남동류하던 섬진강이 요천과 만나면서 곡성읍 부근에서 크게 곡 류한 후 남류한다. 곡류하는 지점에서 약 3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사질의 하 천퇴적물이다. 하천퇴적물은 유로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진 의 상단에 위치한 하천퇴적물에는 식생이 입지하고, 사진 하단의 하천퇴적물 에는 상부의 일부지역에서만 초본류가 들어서기 시작한 단계이다. 하천은 왼 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하천퇴적물 기호 : GS28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1 7 북위 35 19 2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옥과면 합강리에서 섬진강에 옥과천이 합류하면서 형성된 하천퇴적 물이다. 섬진강은 사진 상단에서 좌에서 우로 곡류하며 흐르고, 옥과천은 사 진의 하단에서 좌에서 우로 흐른다. 하천퇴적물 위에는 주로 초본류의 식생이 덮혀 있으며, 하천퇴적물이 어느 정도 안정화 되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이곳의 섬진강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A-2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순창 지형도 평가단위 형제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4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3 56 북위 35 18 1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읍과 입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정으로 능선을 따라 고생대 트라이아스 기 엽리상화강암의 암봉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의 암봉은 남쪽의 최악산에 서부터 시작하여 매봉까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높고 험준한 산지와 깊은 계곡을 형성하고 있어 매우 우수한 지형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에서 가장 왼쪽의 봉우리가 매봉(368m)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현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3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12 북위 35 15 2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호남고속도로 주변에서 관찰된 암봉이다. 원형 모양의 여러 개의 암석이 모 여 하나의 거대한 암봉을 이루고 있으며, 암봉의 정상부는 식생피복이 양호하 여 관찰이 용이하지 않다. 노출된 기반암 표면에도 일부 식생이 거주하고 있 다. 또한 기반암 표면에는 수직, 수평의 절리가 잘 발달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현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19-3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4 21 북위 35 15 5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담양군에서 영산강에 합류하는 오례천(지방2급)의 상류부로 하류부에서 상 류부를 향해 촬영한 사진이다. 하천의 좌안에는 돌을 쌓아 만든 인공제방이 위치하고 있으며, 우안에는 자연 상태의 제방으로서 식생피복이 양호하여 관 찰이 용이하지 않다. 하천의 주변에는 좁은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어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상에는 하상력과 함께 기반암도 발견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선상지 기호 : GM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 45 북위 35 14 4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담양군 대덕면 운암리에 위치한 무명 418고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에 의해 사력 물질이 이동, 퇴적되어 형성된 소규모의 선상지이다. 비교적 경사가 급 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밭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묘지로 도 이용하고 있다. 현재의 하천은 선상지면의 오른쪽에서 흘러 나와, 논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규모의 곡저평야를 흘러 창평천으로 유입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 51 북위 35 14 1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담양군 봉산면에서 영산강에 합류하는 창평천에 유입하는 소하천에서 발견 된 암석하상이다. 사진은 하류에서 상류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기반암을 기준으로, 이보다 상류부는 암석하상이 연속되지만, 이보다 하류에서는 하상력이 관찰된다. 상류부의 소하천이어서 하상력은 대부 분 아각~아원의 원마도를 보인다. 하천 양안에는 소규모의 제방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방 안쪽은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암석낙하 기호 : GW26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3 14 북위 35 13 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산사태와 유사한 형태로 기반암의 절리면을 따라 암석이 붕괴, 낙하되었다. 붕괴된 암석은 대체로 판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반암에도 수평의 절리가 관 찰된다. 이 사면에서 토양층은 매우 얇아 존재여부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이 다. 피해 방지를 위해 도로변에 자갈로 펜스를 설치해 놓았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4 8 북위 35 8 17 규모 높 이 : 1m 폭 : 1.5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남천의 중, 하류부 하상에 길이 약 2.5m, 폭 약 1.5m이며 높이 1m 내외의 화산암류의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기반암에는 수직의 절리가 잘 발달해 있 으며 수평의 절리도 관찰된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이 기반암 이외에도 드문드문 기반암의 암석하상이 발견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4 45 북위 35 8 1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담양군 대덕면 수양산(593m)에서 발원한 남천은 남류하는 직류하천으로 소 규모의 곡저평야만을 형성시키는 소규모의 하천이나 담양군 남면 인암리 부 근에서 유로를 바꿔 남류하게 된다. 이후 남천은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 하며 화순군 북면 임곡리에서 동북천과 합류하여 동복호로 유입한다. 곡류를 크게 하면서 공격사면에 연속적으로 하식애를 형성시켰다. 하식애를 관찰할 수 있는 구간은 약 1km에 달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2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17 북위 35 7 5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남천과 동복천이 합류하는 화순군 북면 임곡리에서 남천의 상류쪽으로 약 8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암석하상이다. 사진은 하류에서 상류를 향해 촬영 하였다. 기반암이 하상 전체에 걸쳐 노출되어 있으며, 기반암의 전면과 요지 사이에는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기도 하다. 노출된 기반암보다 상류쪽의 보는 자연적으로 노출된 기반암과 인위적인 제방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포트홀 기호 : GS1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17 북위 35 7 53 규모 높 이 : 폭 : 50c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하상에 노출된 기반암은 유수와 유수에 포함되어 있는 사력물질에 의해 마 식작용을 받는다. 절리의 교차점이나 풍화 등으로 침식에 약한 와지에서 마식 이 집중될 경우 기반암에 원형의 항아리 모양이나 원통모양의 구멍이 형성되 며 이를 포트홀이라 한다. 사진은 남천의 하류부에 형성된 포트홀로 최대지름 이 약 50cm, 깊이 약 10cm에 달한다. 중앙부의 거대한 포트홀 주변으로 지름 1cm 내외의 작은 포트홀도 관찰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38 북위 35 8 1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남천과 동북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동북천 상류방면으로 약 500m 떨어진 지점의 동북천 하상의 모습이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 다. 사진의 좌안으로 시멘트 제방이 확인되며 우안에서는 시멘트 제방이 일부 발견되었다. 하천이 좌에서 우로 곡류하면서 흘러 하천 좌측에는 다량의 하상 력이 퇴적되어 있으며, 그 위로 일부 식생이 서식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39 북위 35 8 1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의 하류부에서 발견된 하식애이다. 동북천은 차일봉에서 발원하여 서 류하다가 화순군 북면 맹리에서 유로를 변경하여 남류한다. 유로를 변경하면 서 백악기의 진안층군에 발달한 하곡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하천의 측방침식 으로 인해 하식애가 형성되었다. 이 하식애는 동북천의 하류부에서 연속적으 로 관찰되어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6 북위 35 9 5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화순군 북면 옥리에 위치한 화순온천 부근에서 발견된 절개지이다. 온천과 관련하여 시설물 공사를 위해 산지를 절개하여 평탄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노 출된 단면의 하부에는 진안층군의 퇴적암 기반암과 함께 기반암에서 떨어져 나온 암편이 다수 발견되며, 그 위로 1.5m 내외의 사면이동물질과 토양층이 확인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24 북위 35 10 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화순군 북면 서유리에 위치한 화순공룡발자국화석지의 기반암 절개지이다. 화순공룡발자국화석지는 1999년 화순온천지구를 답사하던 중 발견되었으며, 중생대 백악기의 진안층군에 육식공룡의 발자국이 새겨져 있다. 공룡발자국과 함께 연흔과 건열의 흔적도 발견되고 있다. 노출된 기반암의 절개지에는 수평 의 층리가 관찰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25 북위 35 10 13 규모 높 이 : 10m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화순공룡발자국화석지 주변에 발견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시설물 공사를 위 해 사면을 절개하여 기반암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기반암에는 수평의 층리가 잘 발달해 있으며, 이와 함께 수직의 절리도 잘 발달해 있다. 노출된 기반암 의 상부에는 얇은 토양층이 발달해 있으나, 사진의 우측으로는 상당히 두꺼운 토양층과 함께 사면이동물질이 퇴적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9 북위 35 11 12 규모 높 이 : 폭 : 30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복천에 유입하는 소하천에 발달한 곡저평야이다. 곡저평야의 폭은 최대 300m이며, 소하천을 따라 연속적으로 발달해 있다. 곡저평야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곡저평야와 산지와의 경계부근에서는 일부 밭으로 이용되기 도 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12 북위 35 11 3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과 화순군의 경계인 원리재 또는 성덕치에 위치한 국도 15번 건설공 사로 인해 노출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수평의 층리가 관찰된다. 낙석방지를 위해 도로변에는 펜스를 절개된 사면에는 그물망을 설치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7 56 북위 35 12 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은 곡성군 오산면 한우재에서 발원하여 옥과면 합강리에서 섬진강에 유입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사진은 옥과천의 상류부인 곡성군 오산면 선세 리 부근의 곡저평야이다. 곡저평야 부근의 산지의 말단부는 완만한 경사의 선 상지성 지형으로 곡저평야와의 경계가 분명치 않다. 곡저평야의 대부분은 논 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산지와의 경계부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3 북위 35 12 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의 최상류 하상에 노출된 기반암이다. 기반암의 하상과 함께 일부 지 역에서는 아각의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어 산지하천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기반암의 절리면 사이에 하천수가 침투하여 기반암은 절리면을 따 라 풍화, 침식되어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 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1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44 북위 35 11 5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이 발원하여 오산면 선세리에 위치한 성덕제( 聖 德 堤 )에 유입하기 바 로 직전의 모습으로 하천의 활주사면으로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다. 하천의 양 안으로는 수많은 식생이 거주하고 있으며, 퇴적된 하상력에서도 일부 지역에 서는 초본류의 식생이 서식하고 있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 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사면이동물질 기호 : GM1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34 북위 35 11 5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가파른 경사의 산지에서 사면을 따라 이동된 물질이 도로 건설로 인해 노 출되어 있다. 구성물질은 10cm 정도의 각력과 사질의 물질이 주를 이룬다. 노 출된 단면의 상부에는 소나무류의 목본류의 식생이 거주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5 북위 35 12 1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오산면 선세리 부근의 무명 340고지에 형성된 암봉의 모습이다. 식 생피복이 매우 양호하여 부분적으로만 암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거대한 암체 가 하나의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식생 사이로 노출된 암봉 에는 수평, 수직의 절리가 잘 발달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16 북위 35 13 3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오산면과 겸면의 경계인 산이재에서 발견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두 지역을 잇는 지방도 건설로 인해 선캠브리아기의 세립질 화강암의 절개지가 노출되어 있다.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면에 식생을 정착시키기 위해 초본류의 식생을 이식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7 41 북위 35 13 23 규모 높 이 : 20m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이 오산면 단사리 부근을 통과하면서 하천 곡류로 인해 공격사면에 형성된 하식애로, 단애의 높이는 20m 이상에 이른다. 하식애에는 수많은 절 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식애 상부에는 정자가 위치하고 있어, 우수한 지형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옥과천은 하식애의 하단부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7 40 북위 35 13 2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오산면 단사리 부근에 조성된 효녀 심청 효 공원 의 전경이다. 옥 과천이 형성한 곡저평야와 산지와의 경계부를 인위적으로 개조시켜 공원을 설치하였으나, 주위의 암체들과 조화를 이루어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 다. 여러 개의 장승과 함께, 소나무, 철쭉 진달래꽃이 식재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범람원 기호 : GS0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75 북위 35 14 5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옥과천이 상류의 좁은 하도를 빠져 나와 하도가 넓어지는 구간에 위치한 옥과천의 범람원이다. 옥과천은 사진의 오른쪽에서 흐르며,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촬영하였다. 범람원은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이 범 람원을 안들이라 부르고 있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8 북위 35 13 3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기반암을 절개하여 채석장으로 이용하였으나 더 이상 채석장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방치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절개지 하단부에 약간의 복구공사를 해 놓 았으나 완전한 복구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위 경관을 해치고 있다. 노출된 기반암은 백악기의 진안층군 퇴적암으로 수평의 층리가 관찰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5 34 북위 35 13 5 규모 높 이 : 폭 : 30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담양군 대덕면 갈전리에서 동북천에 유입하는 소하천에 발달한 곡저평야로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촬영한 지점에서 곡저평야는 폭이 약 300m로 비교적 넓은 곡저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곡저평야는 모두 논으로 이 용되고 있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1 북위 35 11 2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 하상에 퇴적된 하상력으로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이 지점 이전까지는 서류하던 동북천은 이 지점을 통과한 후에는 크게 곡류 하여 남류하게 된다. 하상력은 마치 하중도와 유사한 형태로 하도 중간에 퇴 적되어 있으며, 사진 오른쪽의 자갈은 인위적으로 하천에 쌓은 것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2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28 북위 35 7 4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과 남천은 화순군 북면 임곡리에서 합류하여 동류하다가 크게 유로 를 변경하여 남서류하여 동복호에 유입한다. 하천이 곡류하면서 공격사면에는 하식애를, 활주사면에는 하상력을 형성시켜 우수한 지형경관을 형성하고 있 다. 사진에서 하천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흘러 다시 좌측으로 빠져나간다. 공 격사면에 형성된 하식애는 임곡리 임곡마을의 입구에서부터 시작하여 물렴교 부근까지 약 1km에 달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24 북위 35 7 4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의 곡류에 의해 형성된 하식애 하단부의 모습이다. 하식애는 중생대 백악기 진안층군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층리가 잘 발달하여 있으며, 이와 함께 수직의 절리도 발달되어 있다. 하식애는 하천 수위가 주기적으로 침범하는 지역에는 식생이 서식하지 못하고, 하천 수위가 더 이상 침범하지 못하는 지점 상단에 주로 나타난다. 하천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20 북위 35 7 4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이 동복호에 유입하면서 유속의 감소와 함께 하천의 곡류로 인해 운 반해 오던 퇴적물을 더 이상 운반하지 못하고 활주사면에 퇴적된 하상력이다. 하상력 위로는 일부 지점에서 초본류의 식생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천은 사진 의 오른쪽에서 크게 곡류하여 왼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9 북위 35 8 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과 남천이 합류하는 임곡리에서 하류방향으로 약 500m 떨어진 지점 의 하식애이다. 이 지점부터 하천의 곡류에 의해 하식애가 연속적으로 형성되 어 있다. 하식애 하부의 일상적인 하천 수위보다는 높은 지점을 활용하여 조 경수 묘목을 키우고 있다. 하천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산정 기호 : GM17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1 45 북위 35 12 1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차일봉의 산정부이다. 사진의 중앙에 위치한 약간 낮은 봉우리가 차일봉이 다. 사진은 차일봉의 남동사면으로 이 지역은 선캠브리아기의 세립질화강암으 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산지임에도 불구하고 산정은 전형적인 토봉의 형태 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사면이동물질 기호 : GM1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2 45 북위 35 11 5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시설물 공사로 인해 노출된 사면이동물질의 노두이다. 세립질화강암의 기반 암 위에 사면에서 이동된 물질이, 곳에 따라 다양하나 최대 두께 약 1m로 퇴 적되어 있다. 기반암은 심하게 풍화를 받았으며, 사면이동물질은 주로 각~아 각력의 암석이 주를 이루며 분급은 불량하다. 자갈을 충진하고 있는 매트릭스 는 대부분 모래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B-3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차일봉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0 12 북위 35 13 4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주민들에 따르면 산지를 절개하여 토사를 채취하였다고 한다. 현재에는 더 이상 토사채취는 이루어지 않고 있다. 사면에 일부 복구사업을 해 놓았으나 완전한 복구사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방치되어 있어서 주위 경관을 해치고 있 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장동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3 지형 명칭 : 댐 기호 : GS3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6 북위 35 4 5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복댐은 1971년 건설된 구동복댐의 용량부족으로 이 댐의 전면에 새로운 댐을 건설하여 1985년에 완공되었다. 댐 높이는 약 45m, 길이는 약 170m이 다. 동복호의 저수용량은 9,900만m 3 이며, 하루 25만m 3 의 상수도용 원수를 광 주광역시에 공급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41 북위 35 10 4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의 북서쪽에 위치한 무명 606고지 주변의 암봉이다. 이 지역은 백악 기의 진안층군, 고생대 하부평안층군, 선캠브리아기의 용암산층 등의 퇴적암 이 분포하고 있는 곳으로 산지 곳곳에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어 백아산과 함 께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산지는 매우 험준하고 경사가 가파 르다. 노출된 기반암 사이사이에는 식생이 양호하게 피복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32 북위 35 10 41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 주변 산지에 위치한 암봉이다. 일반적인 화강암의 암봉은 돔(dome) 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반면, 이 지역의 암봉은 돔(dome)의 형태라기보다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로 인해 각양각색의 모양을 하고 있어,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다. 식생이 양호하게 피복되어 있어 전체적인 암봉의 형태를 관찰하 기는 용이하지 않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27 북위 35 10 3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험준한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 유역의 계곡을 인위적으로 절개, 평탄화시 켜 위락시설을 건설하였다. 절개된 산지능선은 인위적으로 식생을 피복시켜 산사태를 방지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55 북위 35 9 3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의 상류부 하상의 모습이다. 퇴적암의 암석하상이 노출되어 있으며, 퇴적암의 수평층리를 따라 풍화가 진행되어 기반암에서 수 평으로 겹겹이 암석이 떨어져 나오고 있다. 수평층리와 함께 여러 방향의 절 리가 형성되어 있어 경관이 우수하다. 또한 기반암에 약간의 비고차가 있어 소규모의 폭포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19 북위 35 9 2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보다 남쪽에 있는 무명 760고지 주변의 암봉이다. 식생피복이 양호하 여 전체적인 암봉의 형태를 관찰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백아산과 더불어 우수 한 지형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임도 기호 : GM11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0 33 북위 35 11 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목재벌채와 산지관리를 위해 설치된 임도의 모습이다. 임도가 설치된 일정 구역 내의 산지에는 나무가 거의 벌채되어 주위 경관을 해치고 있다. 사진의 하단에는 소유역에서 하천수에 의해 운반, 퇴적되어 형성된 소규모의 선상지 가 발달해 있으며, 일부는 묘지로 일부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의 최하 단에는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봉 기호 : GW13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49 북위 35 10 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과 주변 산봉우리의 모습이다. 사진 뒤편의 암봉이 백아산(818m)이 며, 백아산에서 시작된 산지능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백아산 일 대는 지형경관이 우수한 암봉이 형성되어 있어, 많은 이들이 찾는 관광명소이 다. 또한 산지가 높고 험하며, 계곡은 깊어서 생태적으로도 우수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0 5 북위 35 11 21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의 상류부 하상으로 하천 양안에 옹벽의 인공제방이 설치되어 있다. 하천은 좁은 하도 내에서 사진의 좌측으로 치우쳐 흘러 하천의 우안에는 비 교적 많은 양의 아각~아원의 하상력을 퇴적시켰다. 퇴적된 하상력 위로는 초 본류의 수생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 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35 북위 35 11 25 규모 높 이 : 폭 : 30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의 상류부에 형성된 곡저평야이다. 이 지역에서 곡저평야의 최대 폭 은 약 300m이다. 곡저평야의 대부분은 논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일부지역은 잡초들만 무성한 나지로 방치된 곳도 있다. 사진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26 북위 35 9 3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국도 15번 확장공사로 인해 기반암 절개지가 형성되었다. 절개된 기반암에 는 산사태 방지를 위해 식생을 인위적으로 이식시키는데 현재는 그 기초 작 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에선 산지를 계속 절개시켜 도로 확장공사를 진행 중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구릉지 기호 : GP02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7 7 북위 35 9 5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화순군 북면 이천리 도천마을의 전경이다. 완경사 구릉지에 마을이 형성되 어 있으며 구릉지의 능선부는 상당히 평탄하여 밭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사진의 하단에는 길성천의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54 북위 35 8 50 규모 높 이 : 폭 : 30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에서 발원한 길성천은 화순군 북면 와촌리 부근에서 동복호에 합류 하는 소규모의 하천으로 하천규모가 작아 범람원은 동복호에 합류하는 지점 에서 일부 관찰되나 전체적으로는 곡저평야가 주를 이루고 있다. 사진은 길성 천의 하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저평야로 최대 폭은 약 300m에 이른다. 곡저 평야 주변의 완만한 경사의 구릉지에는 묘지 또는 밭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 진은 하류에서 상류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43 북위 35 8 2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백아산에서 발원한 길성천이 동복호에 합류하기 약 1km 전 지점에 형성되 어 있는 하식애이다. 길성천은 발원하여 서류하지만 북면 이천리 부근에서 곡 류하여 남류하게 된다. 이후 전체적인 유로는 남서방향이만 조그마한 하곡내 에서 크게 곡류하며 남서류 한다. 노출된 하식애의 기반암에는 수많은 식생이 거주하여 하식애를 관찰할 수 없을 정도이다. 사진에서 길성천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창평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1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6 51 북위 35 8 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길성천이 동복호에 합류하면서 형성시킨 하식애이다. 하식애의 하단에는 지 방도가 건설되어 있다. 이 지점부터는 하천은 호소에 유입하여 정수상태를 유 지하고 있다. 노출된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진안층군의 퇴적암으로 수평의 층리가 잘 발달해 있으며, 이와 함께 수직의 층리도 발달되어 있어, 특이한 모양의 하식애를 형성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동복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4 지형 명칭 : 암석단애 기호 : GW20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35 북위 35 7 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화순군 북면, 이서면, 동복면의 경계를 이루는 옹성산(512m)의 능선부에 형 성된 거대한 암석단애이다. 이 단애는 중생대 백악기 진안층군의 역암으로 이 루어져 있으며, 단애의 하부는 동 시대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적 인 차이로 인해 거대한 암석단애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보다 면밀한 조사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하식애 기호 : GS21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9 34 북위 35 8 4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복호에 유입하는 내복천의 상류부 하상으로 하식작용에 의해 하식애가 형성되어 있다. 하식애와 함께 하상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으며, 사진의 좌측으로는 아각의 하상력도 퇴적되어 있어 전형적인 산지 계곡 하천의 모습 을 보여 주고 있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동복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4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1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8 10 북위 35 5 43 규모 높 이 : 폭 : 40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북천에 유입하는 소하천인 가수천에 형성되어 있는 곡저평야로 하천규모 에 비해 비교적 큰 곡저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사진을 촬영한 지점에서 곡저 평야의 폭은 약 400m이며, 최대 약 800m에 이른다. 곡저평야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곡저평야와 산지의 경계부에는 취락 또는 밭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천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른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1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동복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4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7 27 북위 35 4 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동복호를 빠져나온 동복천과 유천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모습이다. 오른쪽에 서 왼쪽으로 합류하는 하천이 유천천이며,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 였다. 하천 양안에는 모두 제방이 건설되어 있으며, 하천 안쪽에도 인위적으 로 유로가 조성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7 북위 35 9 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석곡면 온수리 부근에 위치한 채석장이다. 산지의 한 능선을 완전히 절개하 여 거대한 기반암체가 노출되어 있다. 채석장 뒤편의 높은 봉우리가 천황봉 (475m)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24 북위 35 8 48 규모 높 이 : 폭 : 250m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석곡면과 삼기면의 경계인 국사봉(683m)에서 발원한 후 남동류하여 석곡면 석곡리 부근에서 보성강에 합류하는 온수천은 보성강과의 합류부에는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지만 이전까지는 좁은 곡저평야만을 형성시키는 소규모 하천이다. 사진은 온수천의 곡저평야로 촬영지점에서의 폭은 약 250m 이다. 곡저평야는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산지와의 경계부에서는 일부 밭으 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은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59 북위 35 8 1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온수천 하류부의 하상의 모습이다. 하천 양안에 현재 제방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며, 이 공사로 인해 하상에는 하상력이 많이 노출되어 있다. 하천 제방 우안의 범람원은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좌안에는 석곡면 소개지이다. 사진 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동복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4 지형 명칭 : 하중도 기호 : GS2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46 북위 35 6 4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일제시대 지형도에 의하면 곡성군 목사동면 행기미들은 보성강의 곡류로 인한 보성강의 하중도였다. 그 때의 유로는 사진 하단의 저지와 사진 상단부 에 위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제방공사를 통해 사진 상단부의 유로를 통 해서만 보성강이 흐르게 하였으며, 사진 하단부의 유로는 습지상태로 방치해 두었다. 이때부터 하도의 매립이 이루어져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C-2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동복 지형도 평가단위 백아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4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5 북위 35 4 4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순천시 주암면 한동산(647m)에서 발원하여 주암면 광천리에서 보성강에 합 류하는 광천의 하류부 하상이다. 하천 양안으로 인공제방이 연속적으로 설치 되어 하천은 직선화되었으며, 하도 내에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다. 하상력의 일부 지점에서는 식생이 자라고 있기도 한다. 사진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 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하성단구퇴적물 기호 : GS29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7 47 북위 35 16 1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읍과 오곡면 경계인 오곡면 승법리 승법마을 부근의 하성단구퇴적물의 노두이다. 농경지 정리로 인해 하성단구 노두가 노출되었으며, 구성물질은 비 교적 일정 크기(약 10cm)의 아원~원력의 역과 함께 사질 물질이 주를 이루 고 있다. 노두 곳곳에 이끼류가 자라고 있다. 단구면의 해발고도는 약 80m이 며, 섬진강과의 비고차는 35m 내외이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매스무브먼트 기호 : GW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7 48 북위 35 15 39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가파른 경사의 사면을 따라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산사태가 일어난 지점에 서는 좁은 폭으로 소량이 물질이 이동하였으나, 사면의 하부로 내려오면서 좀 더 많은 물질이 더해져 규모가 좀 더 커졌다. 산사태로 인해 식생은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기반암이 일부 노출되기도 하였다. 산사태 발생 후 완전한 복 구사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발의 위험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애추 기호 : GW0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7 5 북위 35 14 4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산지사면에서 풍화작용에 의해 크고 작은 암설들이 기반암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형성된 애추의 모습이다. 애추의 주변부를 따라 식생이 계속 침범하고 있어 애추는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하고 안정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애추의 구성물질은 크기 10~20cm의 각력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위의 식 생은 크고 작은 목본류와 함께 여러 가지 식생이 자라고 있어 식생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6 45 북위 35 14 20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오곡면 구성리에서 발원하여 오곡면 오지리 부근에서 섬진강에 합류하는 오곡천 상류부의 하상으로 하천 양안에 제방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공사로 인해 하상에는 하상력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사 진 상단부는 식생이 밀도 높게 자라고 있다. 사진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 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곡저평야 기호 : GP03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6 34 북위 35 14 1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상류부에서 오곡천에 합류하는 소하천에 의한 곡저평야로 소규모 선상지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일정하게 고도가 낮아지 고 있으며, 곡저평야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완만한 사면의 산지는 묘지 또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25 북위 35 11 4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삼기면과 석곡면 경계부에 위치한 호남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노출 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절개면에 숏크리트(shotcrete) 공법을 이용하여 사면 안정을 유도하고 있다. 절개지 상단에는 이미 식생이 정착해 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23 북위 35 11 1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삼기면 대명산에서 발원하여 곡성군 석곡면 능파리 부근에서 보성 강에 합류하는 석곡천의 상류부 하상에 노출된 기반암이다. 거력이 하도의 중 앙부에 위치하고 있어 일시적으로 하천수를 저수하며, 또한 하천을 분류시켜 흐르게 한다. 기반암의 고도차로 인해 나지막한 폭포가 형성되어 흐르고 있 다. 사진의 좌측 상단에는 약 20cm 이상의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원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6-2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4 39 북위 35 10 5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산지를 절개시켜 채석장으로 이용한 후 복구공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 고 방치된 기반암 절개지이다. 기반암은 선캠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 로 채굴로 인해 기반암의 원면이 많이 손상되었다. 수풀이 우거진 산지에 기 반암을 드러내어 주위 경관을 해치고 있어 빠른 복구가 요구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5 13 북위 35 9 36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석곡면 연반리 부근의 석곡천 하상의 모습으로 하천 주위 곳곳에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하상의 일부에는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으며 이 지점을 통과하 는 하천은 비교적 빠르게 흐르고 있다. 하천 양안에는 돌망태로 이루어진 인 공제방이 연속적으로 건설되어 있다. 사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 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8 55 북위 35 16 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오곡면 구성리에서 발원하여 오곡면 오지리 부근에서 섬진강에 합류하는 오곡천 하류부 하상의 모습이다. 하천 양안에 인공제방을 설치한 뒤 자연형 하천공사를 실시하여 원래의 하천 모습을 많이 변형시켰다. 하도 내에 하중도 와 보 등을 설치하였으며, 하중도에는 초본류의 수생식물들이 거주하고 있다. 사진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1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곡성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0-3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0 36 북위 35 15 3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곤방산에서 발원하여 오곡면 침곡리에서 섬진강에 합류하는 소하천의 상류 부 하상의 모습으로 편마암 계열의 기반암이 하상에 넓게 노출되어 있다. 사 진은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노출된 기반암에는 편리나 엽리 와 같은 변성암에서 관찰되는 선구조가 확인된다. 하도 주위의 식생은 수풀이 우거져 있어 생태적으로 건강한 산지하천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2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하상력 기호 : GS25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2 13 북위 35 14 1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섬진강에 설치된 다리로 인해 하도 내에서 일시적으로 하천이 사진에서 좌 에서 우로 곡류하여 퇴적된 하상력이다. 다양한 크기의 하상력이 퇴적되어 있 으며, 하상력의 일부에는 초본류의 식생이 거주하고 있다. 하도 폭은 200m 내외로 비교적 크나 하천 주위에 평지는 전혀 발달하지 않았으며, 산지는 높 고 험하여 협곡을 형성하고 있다. 지리산편마암복합체를 통과하는 섬진강 하 안에 이러한 협곡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3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인공지형 기호 : GM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1 59 북위 35 14 3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오곡면 송정리 마을 도로 확, 포장공사로 인해 산지 능선부가 절개되어 지 리산편마암복합체의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절개지 하단부에는 기반암이 관 찰되나 사면 이동물질에 의해 절개지가 피복되어 전체적인 기반암의 형태를 관찰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주위의 산체에는 소나무류의 식생이 우거져 있는 반면, 기반암 절개지가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 주위 경관을 해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4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산정 기호 : GM17 등급 : Ⅴ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0 19 북위 35 13 5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곤방산 주위의 산정부로 오른쪽의 가장 높은 봉우리가 곤방산(714m)이다. 이 지역은 지리산편마암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토봉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산체에는 산림이 우거져 있어 생태적으로 건강한 산지를 형성하 고 있다. 사진 하단의 완만한 사면의 산지는 산림을 벌채하여 묘지 등으로 이 용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5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암석하상 기호 : GS2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0 15 북위 35 12 4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곤방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의 상류부 하상의 모습으로 거대한 기반암이 하 상에 노출되어 있다. 기반암에 경사가 있어 소규모의 폭포를 형성하였다. 기 반암에는 하천의 마식작용에 의한 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상풍화를 받은 흔적도 관찰된다. 하천 양안에는 인공제방이 설치되어 하도 주변을 밭으로 이 용하고 있다. 사진은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6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폭포 기호 : GS14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0 47 북위 35 12 45 규모 높 이 : 1m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곤방산에서 발원하여 오곡면 봉오리 일대를 흐르는 소하천 상류부에 발달 한 폭포이다. 기반암에 약 1m의 비고차가 있어 폭포가 형성되었으며, 인위적 으로 기반암을 평탄화시킨 흔적이 관찰되며, 기반암에는 수많은 절리가 형성 되어 있다. 물이 흐르지 않는 기반암의 일부분에는 이끼류와 같은 식생이 서 식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7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1 42 북위 35 12 52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하도 양안에 석축을 쌓아 인공제방 설치 공사를 하고 있으며, 하도에도 석 축을 쌓아 시설물을 건설하려는 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공사로 인해 원 하상 의 형태는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사진의 왼쪽으로 하도에서 수집한 하상력들 이 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 였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8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하천합류점 기호 : GS3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2 38 북위 35 11 38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섬진강과 보성강이 합류하는 압록리 일대의 하천 경관의 모습이다. 섬진강 은 사진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며, 보성강은 사진의 왼쪽에서 섬진강에 합 류한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19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협곡 기호 : GS18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20 55 북위 35 10 27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죽곡면 용정리 북소마을 부근 보성강 하천의 모습이다. 보성강은 전 남 보성군 웅치면 용반리 일림산에서 발원하여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에서 섬 진강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주암호 이후 구간에서는 지류하천과의 합류점 부 근에 소규모의 범람원을 형성할 뿐, 큰 범람원을 형성하지 못하고 좁은 하도 를 흘러 협곡을 형성하고 있다. 사진

지 형 경 관 조 사 표 조사자 : 윤순옥, 박충선 소 속 : 경희대학교 NO. D-20 지역 소 권 역 화순, 곡성 조 사 일 자 도 엽 명 석곡 지형도 평가단위 곤방산 2005년 7월 도엽번호 NI 52-1-27-1 지형 명칭 : 인공하천 기호 : GS27 등급 : Ⅰ 위치 경위도 : 동경 127 19 12 북위 35 9 5 규모 높 이 : 폭 : 넓 이(가로 세로) : 기 타 : 특징 곡성군 죽곡면 주부산(678)에서 발원하여 죽곡면 태평리에서 보성강에 합 류하는 죽곡천의 하류부 하상으로, 하천 우안에는 돌망태로 이루어진 인공제 방이, 좌안에는 시멘트 옹벽의 인공제방이 설치되어 있다. 유량이 적어 하상 에는 하상력이 일부 노출되어 있으며, 하상 곳곳에 식생이 자라고 있다. 사진 은 하류부에서 상류부를 향해 촬영하였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