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l호( 99년 봄) 과 준비 과정,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원칙과 방법 및 그 결과에 대한 소개가 이 글의 주된 내용이 된다. 2. 2.1. 연구의 배갱 1993년에 국제 표준화 기구는 ISO/IEC 10646-1 이라는 유니코드의 표준 체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C3CAC1A DC1DFB1B9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나하나로 5호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³»Áö_10-6

0001³»Áö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7단원 1(252~269)교

152*22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Jkafm093.hwp


- 2 -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041~084 ¹®È�Çö»óÀбâ

연구노트

º´¹«Ã»Ã¥-»ç³ªÀÌ·Î

* pb61۲õðÀÚÀ̳ʸ

2009_KEEI_연차보고서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003report hwp

CC hwp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2ÀåÀÛ¾÷

77

º»ÀÛ¾÷-1

DocHdl2OnPREPRESStmpTarget

**09콘텐츠산업백서_1 2

hwp

내지(교사용) 4-6부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04 Çмú_±â¼ú±â»ç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41018_m

....pdf..

소식지수정본-1

2015년9월도서관웹용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편집인협회보381호_0422

hwp

레이아웃 1

ÃѼŁ1-ÃÖÁ¾Ãâ·Â¿ë2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2002report hwp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와플-4년-2호-본문-15.ps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ad hwp

¹ßÇ¥¿äÁö

_¸ñÂ÷(02¿ù)

(연합뉴스) 마이더스

피해자식별PDF용 0502

<30322EBFC0BCF6BFB52E687770>


01¸é¼öÁ¤

ÀÚ¿øºÀ»ç-2010°¡À»°Ü¿ï-3


bm hwp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B3EBC6AE322E687770>

많고 전화도 많다. 몸은 1,000년 전보다 진화한 것이 없는데, 처리할 일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영어가 필요 없는 분야에서까지도 취 업 시험에서 영어 성적을 요구하니, 우리를 필요 이상으로 바빠지게 하는 요인이다. 문자 생활도 우리를 바빠지게 할 수 있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¾Æµ¿ÇÐ´ë º»¹®.hwp

歯mp3사용설명서

untitled

<30352D30312D3120BFB5B9AEB0E8BEE0C0C720C0CCC7D82E687770>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Çѹ̿ìÈ£-197È£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60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T083001C

Chapter ...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ëÇа¨»ç¹é¼Ł Á¦3ºÎ

Microsoft Word - 7FAB038F.doc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고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제 3자가 명세서만으로

5 29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Transcription:

륙정 국제 한자의 표준화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권인한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7.}음 표준화는 국제적으로 조만간 완성될 전망인 국제 표준 문자 코 드 (UCS : U미ver:잃1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 일명 Unic띠e) 에 배 정된 한자들의 음을 정리하기 위하여 시작된 사업이다. 한국 중국 일본 퉁 한 자 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은 각기 독자적인 문자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한자음 은 물론이려니와 자체( 字 體 )에 있어서도 조금씩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이 것이 국제 전산망을 통한 신속한 정보 문화의 교류에 상당한 장애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국제 표준화 기구가 중심이 되어 각국의 한자 사용 관례를 최대한 존중하는 가운데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 코드가 통합 정리된 한 중 일 통합 한자 코드 의 완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코드가 완성되면 국내외의 문자 편집기는 이 코드 체계를 이용하여 한자에 대 한 정보 처리를 하게 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 한자의 음과 자체, 새김 등의 표준화가 시급한 해결 과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재돈 교수(이화여대)와 필자가 공동으로 연구하 여 그 결과를 문화관광부에 제출한 rks C 5700 한자음의 표준안에 대한 연구 라는 보고서의 내용을 일반에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배경

88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l호( 99년 봄) 과 준비 과정,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원칙과 방법 및 그 결과에 대한 소개가 이 글의 주된 내용이 된다. 2. 2.1. 연구의 배갱 1993년에 국제 표준화 기구는 ISO/IEC 10646-1 이라는 유니코드의 표준 체 계를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이는 한글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문자들을 총 65, 536자까지 수용할 수 있는 국제 다국어 문자판(BMP : Basic Multilingual Plane) 에 각기 고유한 코드 영역을 배정하여 이를 소프트웨어척으로 처리하는 통합 문자 코드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26개국의 문자 42,752자 에 대하여 국제 코드를 배정하고 있으며, 1998년까지 19차례의 수정을 거친 것 으로보고되어 있다기 유니코드의 등장은 한글 코드 체계의 KS규격에도 변학을 가져와 KS C 5700 이라는 새로운 코드를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KS C 5700 은 한글의 7.}음, 모음 240자와 완성형 한글 11,172자로 구성된 한글 코드와 한 중 일 통합 한 자(Extension A 포함) 중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글자들을 포함한 17, 456자의 한자 코드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이는 ISO끼EC 10646-1 의 내용을 모두 수용함 으로써 앞으로의 컴퓨터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 업계에 의해 공식적인 한글 한자 코드 체계로 활용될 것이며, 이에 따라 국내 도서관이나 출판업계 릉의 국 제적인 정보 교환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한자 코드의 경우는 여러가지가 미비한 상태에서 국가 표준 규격이 정해짐으로써 보완하여야 할 부분이 남아 있게 되었는데, 그것은 1) 이 사실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홈페이지 문서 (http:;/www.ioo.띠/cate/며 8741.html) 에서 확인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ISO끼EC 10646-1 은 19차례에 걸친 내용상의 수정 (1 996-1998) 을 거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서 제 5차 수정본이 한글 음절 (H때gul syllables) 에 관한 것이고, 제 13차 수정본이 한 중 일 통합 한자 (CJK Unified Ideographs with supplementary oources) 에 관한 것이며, 제 17차 수정본이 한 중 일 통합 한자 추가분 (CJK UnifÎ<어 Id graphs Extension A) 에 관한 것이다.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89 한 마디로 한자의 세 요소인 자형( 字 形 ). 자음( 字 륨). 자의( 字 義 )에 대한 표준 화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1994년에 상공자원부에서 표준 자형과 자음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보고서를 낸 바 있으나, 여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2)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추진이 불가피하게 되 었다. 이 사업의 주관 부서가 1997년 무렵에 문화체육부로 변경된 이후, 1998년 에 국제 문자 코드 제안 한자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연구 책임자 : 서울대 서 경호 교수)라는 큰 제목 아래 한자의 빈도 조샤 한자의 이체자 조사, 한자음 표준안 연구, 한자체 표준안 연구 등의 세부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다. 3) 2.2. 연구의 준벼 과청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한자음 표준안 연구의 과제는 ISOIIEC 10646-1 의 한 중 일 통합 한자 (Extension A 포함)로 제시된 총 27,486자의 한자들 중에 서 한국이 제안한 17.1 84자의 한자음 표준안을 설정 근거와 함께 제시하는 것이 었다. 과제의 성격상 한자음을 전공한 국어학자와 중국어학자가 함께 참여하여 국내의 자전들과 중국의 운서들을 망라한 기초 조사를 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2) 상공자원부 (1994), r차세대 정보기술을 위한 데이터코드 및 데이터세트 개발에 관 한 연구 보고서의 [별책부록 2] 국제통합한자코드의 한국 표준 자형 부분에서 표준 자형과 자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시된 표준 자형은 혼글 에 서 실현되는 글자들을 아무런 검토없이 그대로 수용하거나 중국 일본에서 제시한 자형을 손으로 그려 놓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제시된 표준 자음에도 일부 잘못이 보일 뿐만 아니라, 표준안 설정의 근거도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고서는 각주 1) 에서 소개한 IS0끼EC 10646-1 의 제 13, 더구나 이 보 17차 수정분이 나오기 이전 에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제 17차 수정분에서 새로 추가된 Extension A 부분은 전 혀 검토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3) 참고로 이 사업의 추진 경과를 일지 형식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998년 4월 15일 :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각 사업의 연구 방향 제안 설명회 개최.1998년 6월 8일 연구 용역 시작.1998년 6월 25일 :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연구 용역에 대한 설명회 개최.1998년 11월 16일 :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중간 검토 회의 개최.1998년 12월 7일 : 연구 용역 종결, 1차 보고서 제출.1999년 1월 22일 최종 보고서 제출

90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호( 99년 봄) 한자음의 표준안을 설정해야 할 것으로 연구의 기본 방향을 정하게 되었다. 이렇게 연구 방향이 정해짐에 따라 기존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초 조사 의 대상이 될 문헌들을 선정하며, 기초 조사의 결과를 입력 정리할 보고서의 형식 등을 결정하는 준비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1998년 3월 -5월), 우선 기존 연구의 현황 파악을 위하여 관련 보고서들을 살펴본 결과, r 차세 대 정보기술을 위한 데이터코드 및 데이터세트 개발에 관한 연구 J (상공자원부, 1994) 와 한자음에 의한 한자 입력 방법 연구 J (국립국어연구원. 1994) 의 두 보 고서를 찾을 수 있었다. 전자는 우리의 연구에 직접 선행되는 보고서이고 (2, 1.의 서술 참조) 후자는 우리의 연구와 직접 관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서편집기 혼글 에서 실현되는 15.500자의 한자음 표준안을 제시한 것으로서 표준안 설정 의 근거와 방법 등에 대한 논의가 있어 많은 참고가 되었다. 두 보고서의 내용 을 검토한 결과, 각 글자에 하나의 대표음만 제시한다는 점에서 공통되었으나, 제시된 대표음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이들은 대개 국내의 자전 틀에서 둘 이상의 음을 보이는 글자들이었는데, 한자음으로 한자를 입력하는 경 우에 해당 대표음을 모를 때에는 상당한 불면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또 한 표준안 설정에 필요한 기초 조사가 다소 미흡하였음도 드러났는데, 특히 오 늘날의 우리 한자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근대 시기의 자전류들에 대한 조 사가 미비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기초 조사의 대상이 될 문헌들을 선정하는 작업 에 들어갔다. 중국의 운서들을 선정하는 문제는 광운 을 기본 자료로 하되, 여 기에 나오지 않는 글자들에 대해서는 집운 등 중국의 역대 주요 운서류들을4) 참조한다는 이재돈 교수의 제안에 필자도 동의함으로써 비교적 손쉽게 해결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자전들을 선정하는 문제는 생각보다 그리 간단치가 않았다. 고 남광우 선생의 고금한한사전 의 조사 결과를 이용하기에는 수록된 글자수가 많지 않아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그 대신에 이 사전의 조사 대상이 된 문헌들 중에서 기초 조사의 대상들을 고르기로 하였다. 대개 훈몽자회 J. f천자문j. Ii'신증유합J ( 이상 중세 시게, 화동정음통석운고, 삼운성휘, 전운 옥편 J. r ;;r_'댐주석 J ( 이상 근대 시기). r자전석요, 신자전 J( 이상 개화기) 등의 4) r 집운, r옥편, 설문해자, r개병사성편해, 용감수감, r유편, r고금운회거요j. 편해유편, r 정자통, 자휘, r자휘보 등.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91 자전류들이 역대 자전들 후보로 올릴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을 모두 조사한다 는 것은 힘에 겨운 일이어서 대상 문헌을 더욱 좁히기로 하였다. 그 결과 전운 옥편 과 자전석요 를 최종 후보로 확정하게 되었는데, 중세 시기에 나온 세 문 헌은 수록 글자수가 1.000-3,000 정도에 그치는 것이어서 우리의 작업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디는 점, 화동정음통석운고, 삼운성휘 는 글자의 배열이 중 국운의 순서를 따른 것이기 때문에 한 글자 한 글자의 음을 확인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점If'자류주석, 신자전 은 대개 전운옥편 의 내용과 일치하여 따로 조사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 결정이었다. 다음으로 현대 자전류들 에 대해서는 한한대사전~(장삼식 1댔 교육출판공사), 뺑문한한대자전 ~ (l 995, 명문당)을 대사전의 대표로 선정하고, 중사전 규모로서 한한대자전~ (1997, 민 중서림), If'동아 새한한사전~ (1997, 동아출판사)을 대표로 선정한 결과 모두 4종 의 자전들을 최종 선정하게 되었다. 대사전류의 선정은 앞서 소개한 국어연구원 의 보고서를 참조하였고, 중사전류의 선정은 이들이 시중에 많이 유포되어 있다 는 점에 유의한 것이다. 기초 자료를 어떻게 선정하느냐는 최종 연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이 단기간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웠다. 최종 적으로 6종의 자전류 선정을 확정한 것이 1998년 9월 경이었음을 보면 그 사이 에 있었던 시행착오 과정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고서의 형식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모든 글자들에 대하여 기존 보고서의 내용, 역대 한국한자음 및 중국 운서음의 현황이 일목요연하게 드러날 수 있는 체재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본문에는 기존 보고서의 내용과 역대 한국한자음의 현황을, 각주에는 중국의 운서음 정보를 제시하는 체재로 결 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문은 행렬 (Row/Cell)-글자-기존 보고서 표준안 (Rl재2)-자전음 1 (AIB/CID)-자전음 II (EIF)-표준안"'5) 의 순서로 배열하게 된것이다. 5) 여기서 행렬 (Row/Cell) 은 'ISo.끼EC 10646-1 보고서에서 각 글자들에 매긴 행렬 번호를 말한다 나머지 팔호 속에 제시된 자료들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Rl : 상공자원부 보고서 (1994) Rz : 국립국어연구원 보고서 (1994) A : r 한한대사전 J (교육출판공샤 1996) B: r 명문한한대자전 J ( 영문당, 1995) C : r한한대자젤(민중서립, 1997) D: f 동아 새한한사전.!I(동아출판샤 1997) E : r전운옥편 J (1796?) F : r자전석요j ( 지석영, 1906)

92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호( 99년 봉) 2.3. 표줌안 셜청의 원칙과 방법 이제 각 한자들의 표준음을 정함에 있어서 우리가 세운 원칙과 방법들에 대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필요한 경우 가급적 우리 실생활에 자주 쓰이는 글자들 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다. 2.3.1. 먼저 우리가 세운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CD 중국의 운서음보다는 한국 자전음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 한국 자전류들 중에서는 자전음 ll(근대 자전류)보다는 자전음 I (현대 자 전류)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 단일 대표음의 설정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 복수음의 설정도 허용한다. 원칙 @과 @는 중국의 운서음과 다소간의 거리가 있는 속음( f갑훌)으로 한국 한자음이 정착된 경우 우리의 속음을 표준음으로 인정하되, 현대 자전음을 근대 자전음에 우선한다는 것으로 각각 속음주의 원칙 현대음주의 원칙 이라 부를 만하다. 두 원칙은 언중들에게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일반 언중 들은 대개 중국 운서음을 모르는 채 현대 자전류의 음에 의거하여 한자(또는 한자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면서까지 중국의 원음에 가깝게 표준음 을 정할 경우 언중들에게 새로 정한 음을 일일이 익히게 해야 하는 불편을 끼 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구주( 歐 써1) 구미( 歐 美 ) 등의 단어에서 유럽 (Europe) 의 음역자로 쓰이는 歐 는 광운 에 烏 候 切 烏 텀 切 6) 로 음이 표시되 어 있어서 정상적이라면 한국한자음 l 우 로 정착될 법하나, 현대 자전류 4종에 모두 구 로, 근대 자전류 2종에는 우 로 나온다.7) 따라서 위의 두 원칙을 차례 6) r광운 등의 운서류에는 두 글자를 이용하여 某 某 切 의 형식으로 한자음을 기록하 고 있다. 이를 반절법( 反 切 法 ) 이라 부르는데, 앞 글자( 反 切 上 宇 )는 성모( 聲 母 )의 음을 지시하고 뒤 글자( 反 切 下 宇 )는 운모( 題 母 )의 음을 지시한다 지시된 성모와 운모의 음을 합하면 해당 글자의 음을 알 수 있는 방식 이다. 반절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이돈주 (1995 : 102-113) 의 논의를 참조하기 바란다. 7) 이 밖에 이 글자의 음은 동국정운 에 풍~풍 r 번역소학 과 r소학언해 에 구, 삼운성휘 a 에 우, 신자전 에 위씁구 로 나온다(남광우 1995 참조). 역대 자전류 에서 속음 구.가 명시된 것은 신자전 이 처음이나, 이미 번역소학 과 소학언해 에 구 의 음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 속음의 연원이 오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93 로 적용하면 표준음으로 구 를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원칙 @은 새로 제정된 KS C 5700 의 코드 체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나 의 코드에 하나의 자체( 字 體 )와 자음( 字 흡)을 부여하여야만 정상적인 배열과 정렬이 가능해진다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단일 대표음을 제시함을 원칙 으로 하되, 여러가지의 이유로 복수의 표준음을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이를 허용한다는 것으로 이를 대표음주의 원칙 이라 부를 만하다. 예를 들 어, 九 와 世 는 현대 자전류 4종에 각각 구~규 (4종 동일), 세/세 ~생/세 ~생 /세 로 되어 있으나, 두 글자의 음이 규 와 생 으로 쓰이는 일은 거의 없으므로 두 글자의 음을 각각 구, 세 의 단일 대표음으로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便 과 北 은 현대 자전류에 각각 편~변/변~편~밴면~변/편~ 변, 북~배 (4종 동일) 로 나와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 便 利 ), 변소( 便 所 ), 동 서남북( 東 西 南 北 ), 패배( 敗 北 ) 에서 보는 것처럼 실제의 사용 양상에서 보아 복 수음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 표준음을 각각 편~변, 북~배 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8) 이때 제시된 복수음 중에서 첫번째로 제시된 음이 대표음 이 될 수 있도록 그 순서를 정한 뒤에(사용 빈도수 고려) 해당 글자의 'KS C 5700 코드에는 이 대표음을 배당하되 나머지 음은 문서편집기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면, 음으로 한자를 입력하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 도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3.2. 이제 위에 제시한 원칙들에 의거하여 각 글자들의 표준음올 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하자. 먼저 단수의 표준음을 설정한 대표적인 예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8) 복수음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는 몇 가지가 더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자세히 다룰 것이다. 9) 아래의 예시에서 편의상 각 글자의 행렬번호를 제외하였고, 최종 보고서의 각주에 서 제시한 중국 운서류의 반절읍도 아래의 설명 본문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그리고 예시에서 = 표시는 왼편의 음과 같음을 뜻하고 ι- 표시는 해당 자전에 그 글자 가 실려 있지 않음을 뭇한다. 자전음 I 이나 자전음 R 에서 /' 표시없이 하나로 제시 한 경우는 넷 또는 두 자전의 내용이 완전 일치함을 나타낸다.

94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l호 ('99년 봄) 글자 Rl재2 자전음 1 (A/B/CID) 자전음 ll(fif) 표준안~) 일 일 일 丁 정 정~쟁/정 1=1= 정 f뽕 벙 빙/병/빙 1= 벙 椰 야 --1야:/=1= 야 乃 내 내/내~애 1=1= 내 내 且 차 차~저 1=1차~저 ~조/차~저 져~차/차~저 차!Js 걷 ; 승/=1승~증/= 1 }; 숭 揚 게 거1]-갈~켈갈~걸~계~건~알/게/게~갈~걸 게~강~정/게~갈~걸 게 覆 S-1 복~부 부~복/복~부 복 f면 묘드 - 돈1=1--1-- 돈 :fù 심 --/심 1--1-- 심 *뾰 모 모 / 하/-- 하 먼저 첫번째 부류는 현대 자전류의 3종 이상이 하나의 음으로 통일되어 있는 예들이다. 이들은 다시 - 과 같이 4종의 자전이 완전 통일되어 있는 경우와 丁, 뽑, 椰 와 같이 3종의 자전에서만 통일되어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이든 중국 운서음이나 근대 자전음의 내용에 상관없이(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중국 운서음이나 근대 자전음의 내용을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현대 자전의 음으로 표준음을 세울 수 있는 것들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부류는 첫번째 부류에 비하여 현대 자전음의 양상이 다소 복잡한 예들로서 근대 자전음 또는 중국 운서음을 기초로 단수의 표준음을 세 울 수 있는 것들이다. 첫째, 乃, 且 의 경우는 3종의 현대 자전에서 복수의 음으로 통일되어 었으 나, 실제의 쓰임에서 이들이 각각 애, 저(또는 조) 로 쓰이는 예를 찾기 어려우 므로.내, 차 를 단일 대표음으로 세울 수 있다. 이들의 운서음으로 보아도 마찬 가지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乃 는 광운 에 如 갖 切 로 나오는데, 애 의 음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95 은 홍무정운 의 依 젖 切 (의성어)에 기원하는 후대의 음이므로 이를 무시하여도 좋은 것이다. 且 의 경우는 광운 에 子 魚 切 과 七 也 切 의 두 음이 기록되어 있으 나, 전자는 어조사( 語 助 難 )의 용법에 쓰이는 반면, 후자는 또[ 又 ] 의 뭇을 가진 다. 우리의 경우는 후자의 쓰임이 일반적이므로10) 차 를 표준음으로 세울 수 있다. 둘째.캘, 揚 의 경우는 2종의 현대 자전에서 단수음 또는 복수음으로 통일되 어 있으나, 이들 또한 각각 증, 갈(또는 걸) 로 쓰이는 용례를 찾기 어려우므로 승, 게 를 단일 대표음으로 세울 수 있다. 운서음으로 보아서도 캘 은 광운 에 暑 像 切 과 常 證 切 로 r 집운 에 諸 仍 切 로 나오는데, 광운 을 한자음 표준화의 기 준이 되는 운서로 삼았으므로11) r 집운 에 기원하는 증 의 음은 무시하여도 좋 은 것이다. 한편 揚 는 광운 에 居 觸 切, 去 例 切, 居 列 切 의 세 음이 기록되어 있 다. 앞의 두 반절음은 높이 들다[ 高 複 ] 의 의미를 지니는 이음동의( 異 흡 同 意 )의 관계에 있고, 나머지 居 列 切 은 들다[짧J. 세우다[옆] 의 의미를 지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전자 중에서 去 例 切 에 기원하는 게 의 음이 우세하게 쓰 였으므로12) 그 음을 표준음으로 세울 수 있다. 셋째, 覆 의 경우는 4종의 자전들이 모두 복~부 의 음을 보이고 있으나, 광 운 의 대표적인 반절이 芳 福 切 이므로 이에 따라 복 을 표준음으로 세울 수 있 다. 실제로 覆 蓋 (부개 : 뚜껑, 뒤덮음). 覆 載 (부재 : 뒤덮음과 받아 실음, 하늘과 땅) 등 현실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극히 일부의 한자어를 제외하고는 대다수 의 한자어에서 복 의 음으로 쓰이고 있음도 참고가 된다. 넷째, 뼈, 빠 홈 등은 현대 자전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 글자가 실려 있 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근대 자전류에서도 전혀 근거를 찾을 수 없음으로 해서 10) 우리의 옛 문헌들에서도 차 의 음이 우세하다 r번역소학, 신증유합, r천자문 (광주판) 등에서 모두 차 로 나온다. 남광우 (1995) 참조. 11) 우리 한자음의 모태가 된 것은 한어의 중고음( 中 古 흡)이라 할 수 있는데, 그 기준 이 되는 운서를 r광운 에 두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r집운 은 정치의 중 심이 중원( 中 原 )으로 옮겨진 북송( 北 宋 ) 이후 당대( 庸 代 ) 이래의 운목(짧 目 )을 현실에 가깝게 조정합과 동시에 문헌에 기록된 고대음과 방언음을 망라하려는 편 찬 태도로 인하여 중국에서조차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r 집운 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돈주 (1995 : 132-136) 를 참조하기 바란다. 12) r논어 언해, 신중유합 등에서 게 의 음을 보인다. 남광우(1 995) 참조.

96 새국어생활 체 9권 제 1호( 99년 봄) 표준음 설정을 주로 중국 운서음에 의존해야 하는 예들이다. 먼저 빼 은 광운 에 실려 있지 않은 글자로서 집운 의 삼 本 切 에 따라 돈 을 표준음으로 세울 수 있는 경우이고, *G'은 현대 자전류 1종에만 실려 있는 글자인데, 광운 의 반절 息 * 木 切 을 기초로 심 을 표준음으로 세울 수 있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홈 와 / 는 자전음 1. II 에 전혀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글À}들이다. 전자는 티 베트산 모직을 가리키는 搖 子 라는 중국어 단어에만 쓰이는 글자로서 한어대 자전 에 mu의 음을 보이고 있고, 현대 중국음 mu를 보이는 글자들의 한국한자 음이 대부분 모 에 해당됨을 근거로( 模 母, 후, 幕 등 참조) 그 표준음을 모 로 세울 수 있는 경우이다. 반면, /는 중국의 문헌들에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우리의 구결자( 口 談 字 )이다. 이는 篇 의 약자( 略 字 )에서 윗부분만을 떼낸 것으로 구결문에서는 향 로 읽히는데, 현대국어에서 향 의 음을 인정할 수 없으 므로 하 를 표준음으로 세운 경우이다)3) 이상에서 단일 대표음을 세운 예들을 중심으로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구체적 인 방볍들을 설명하였다. 이들을 종합할 때, 현대 자전류 3종 이상이 하나의 음 으로 통일된 경우는 해당음을 그대로 표준음으로 인정하되, 나머지 예들은 중국 운서음, 한국 자전음 II, 한자의 의미면이나 실제 한자어에서의 쓰임새 등에 부 합되는 음으로 표준음을 세우는 것으로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방법을 요약할 수 있올 것이다. 13) 이때 구결자 v 를 한자로 볼 수 있느냐, 또는 그 현대의 음을 달 수 있느냐 등의 논란은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이 사업의 중간 검토 회의에서 그러한 의견이 제기 된 바 있다. 필자의 솔직한 심정으로는 구결자와 같은 특수한 부호들은 한 중 일 통합 한자의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면 했다. 그러나 한 중 일 통합 한자 세트 는 이미 세 나라가 합의한 바 잘못된 부분이 있더라도 현재로서는 그 글자를 제 외할 수 없는 상황이고1 구결자가 기원적으로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려 발전시킨 것임을 감안하여 구결문에서의 독법에 상응한 표준음을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밝 혀두고자한다.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97 다음으로 복수의 표준음을 설정한 대표적인 예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글자 Rl재2 자전음 1 (AIB/C/D) 자전음 II(FJF) 표준안 金 김/금 금~검 금 금~김 切 절 절~체 / =/체~절/절~체 체~철/절~체 절~체 樂 악 악~요~락/악~락~료~요~록~로j악~락~요J= 요~악~락껴~락~요 악~락~요 申 꽂/관 관~천~꽂/천~관~꽂~꽂/관~천~꽂1= 관~천/천~곳 관~천~꽂 f폼 팔 괄~활/=/활/= 팔~활 팔~활 밍; 묘/초 묘~초 묘~초 #체 분~체/=/분/분~체 --/분 - -/분 체~분 lit 협 협 협~엽 야/-- -- 야~공 먼저 첫번째 부류는 일상 생활에 자주 쓰이는 글자이면서 운서음으로 보나 실제의 쓰임새로 보나 복수의 표준음 설정이 필요한 경우로서 金, 切, 樂 등이 여기에 속한다. 金 은 광운 에 居 엽 切 로만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의 쓰입새에 서 쇠 의 뜻을 가지는 일반 어휘에서는 금 으로, 성( 姓 )이나 지명에 쓰일 때에 는 김 으로 쓰이므로14) 금~김 의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예다. 切 또한 광 운 에 千 結 切 과 七 計 切 의 두 음이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쓰엄새에서 도 - 切 이 일절, 일체 의 두 음으로 쓰이므로 역시 절~체 의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예다. 樂 의 경우도 광운 에 五 角 切, 盧 各 切 五 敎 切 의 세 음이 기록되 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쓰임새에서도 樂 曲, 音 樂 등에서는 악 으로, 樂 園, 苦 樂 등에서는 락 으로, 樂 山 樂 水 의 예에서는 요 로 쓰이므로 역시 악~락~ 요 의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예다. 마지막으로 單 은 한국 고유의 음까지 고려 하여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경우다 r광운 의 古 愚 切 과 흥무정운 의 樞 賴 切 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의 쓰임새에 있어서도 申 빼(관시), 單 票 (천표) 등의 예 14) 일부의 지명에서는 금.의 음으로 쓰이는 예외도 있다. 금릉군( 金 像 那 ), 금정구( 金 井 區 ), 금호동( 金 湖 洞 ), 금탄동( 金 轉 洞 ) 등.

98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호( 99년 봄) 에서 관, 천 의 두 음으로 쓰이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單 은 지명에서 꽂 이라 는 국음( 國 音 )도 가지므로(예 : 장기꽂) 그 표준음을 관~천~꽂 의 복수음으로 설정한것이다. 그런데 복수 표준음이 위의 첫번째 부류와는 달리 우리 일상 생활에 잘 쓰이 지 않는 글자들에 대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活, 망 등이 여기에 속하는 예들 이다. 活 의 경우는 광운 에 戶 括 切, 古 活 切 의 두 음이 기록되어 있고, 우리의 자전류에도 두 음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현대국어에 이 글자 가 실제로 쓰이는 한자어를 찾을 수가 없으므로 어느 음이 더 우세하게 쓰이는 지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망 의 경우도 광운 에 t핍 切, 初 J1\ 切 의 두 음이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나 현대국어의 실제 용례를 찾 을 수 없다는 점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러한 경우에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 용하여 단수의 표준음을 설정하는 방안도 없지는 않겠으나, 문제가 되는 글자들 이 자체( 字 體 )만을 보아서는 사람마다 독음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는 것들이 대 부분이므로 정확한 음을 모르는 채 한자를 입력하는 사랍들에게는 다소간의 편 의를 제공하는 측면도 있으리라 판단하여 각각 괄~활, 묘~초 의 복수 표준음 을 설정한 것이다. 마지막 세번째 부류로 제시한 1.*, Jt, 의 경우는 지금까지의 예들과는 다 른 이유에서 복수음을 설정한 경우다. 먼저 1.*, Jt 은 광운a 의 음이 각각 補 本 切 과 胡 賴 切 이므로 분, 협 의 음을 표준음으로 설정함이 원칙이나, 두 글자는 각각 體 와 葉 의 약자(또는 간체자)로도 쓰이므로 각각 체, 엽 의 음도 인정 한 것이다. 두 글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연, # 가 동양 삼국에서 모두 體 의 약자(또는 간체자)로 쓰이는 데 비해 랴 은 중국에서만 葉 의 간체자로 쓰인다 는 점이다. 이때 싹 과 같은 글자들에 대하여 중국 간체자의 음까지 인정한 것 은 다소 과한 결정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 것을 예상하면서도 복수의 표준음을 설정한 이유는 중국의 간체자들에 대하여 해당 정자( 正 字 )에 준하는 한자음을 부여하기로 한 방침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함이다. 한편 는 한자에 기원 한 일종의 부호로 쓰이는 특별한 예인데, 구결자로는 也 의 성획( 省 劃 )으로서 야 의 독음을 가지는 반면에, 국악에서는 'I: 의 약호로서.공 으로 읽히므로 그 표준음을 야~공 의 복수음으로 설정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복수음의 배열 순서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하고자 한다. 앞에서

한국 한자음의 표준안 연구 99 도 언급한 바 있듯이 복수 한자음의 배열 순서를 정함에 있어서는 한자음 상호 간의 빈도수를 반영하여 첫번째로 제시되는 음이 대표음의 역할도 할 수 있도 록 원칙을 정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수 한자음의 빈도수에 대한 연구 업적이 거의 없다시피 하여서 기존 보고서들의 대표음 설정 결과나 자전류의 배열 순서를 참조하는 가운데 연구자들의 직관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앞 으로의 보완을 필요로 하는 부분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2.4. 표준안 설정의 결과 끝으로 한지음 표준안 설정 작업의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안 설정이 이루어진 한자의 수는 ISo.지EC 10646-1 에 한국이 제안 한 17.184자 중에서 Extension-A 부분의 1,834자를 제외한 15, 350자이다. 계획 상으로는 Extension-A 부분도 처리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 부분은 중국의 운 서류나 우리의 자전류에 실려 있지 않은 글자들이 대부분인 관계로 좀더 신중 한 표준안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 기회로 미룬 것이다. 다음으로 15,350자의 표준음의 현황을 상공자원부 보고서 (Rl) 와 비교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단수 표준음을 설정한 글자들은 14,589자 (95.04%) 로서 Rl과 동일한 음을 설정한 글자는 14,낌9자15) 이고, Rl과 차이나는 음을 설정한 글자는 310자이다. 둘째,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글자들은 761자 (4.96%) 로서 Rl과 통일 한 음을 포함한 복수음을 설정한 글자들은 7때자이교 Rl과 차이나는 음을 포 함한 복수음을 설정한 글7.}들은 21자이다}6 ) 결과적으로 Rl과 1,071자에 걸쳐 차이나는 표준안을 설정한 셈이 된다. 15) 최종 보고서의 일러 두기 에서 14, 258자로 보고한 것은 계산상의 착오가 있었기에 여기서 바로잡는다. 16) 최종 보고서에는 위의 각 경우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행렬번호 뒤에 일정한 기호 를 달았다. Rl과 통일한 단수 표준음을 설정한 14, 279자에 대해서는 구분 기호를 달지 않는 대신에 Rl과 차이나는 단수 표준음을 설정한 310자에 대해서는 * 표 시를, Rl과 동일한 음을 포함한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740자에 대해서는 % 표시 를, Rl과 차이나는 음을 포함한 복수 표준음을 설정한 21자에 대해서는 # 표시 를달았다.

100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호( '99년 봄) 지금까지 다소 장황하게나마 rks C 5700 한자음의 표준안에 대한 연구 보 고서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지면 관계상 설명이 미진한 부분도 없지는 않은 듯 하나 한국한자음의 실상이나, 한자음 표준안 설정의 원칙과 방법에 대한 대강은 드러난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남아 있는 과제나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해결하지 못한 과제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한 중 일 통합 한자 코드 혐l서 중국과 일본이 각기 독A.적으로 제출한 한자들의 표준 음을 정하는 일이대여기에는 물론 Exten외on-A 부분에서 한국이 제안한 한자들의 표준음을 정하는 일도 포함된다). 둘째, 본고의 서술에서 드러난 문제들, 특히 복수 표 준음의 설정과 관련뼈 한-7.}음 상호간의 빈도수 조사 문제나 중국 간체자의 음을 인 정하는 문제 등에 대한 보완 작업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학자들의 관심과 참여 속에 하나하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는 우선적으로 국제 표준 문자 코드 에 배정된 한자 들의 표준음 정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나, 이 밖에 부수적인 활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도 있는 듯하다. 그것은 국내 자전들이 보여주는 한 자음의 차이 또는 남북한의 한자음의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고자 할 때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하여 통일 한국에 대비하는 국 가 표준의 자전( 字 典 )의 편찬까지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일들이 가까운 장래에 실현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지 모르나 이 연구의 결과가 최소 한 그러한 일을 이룰 수 있는 하나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인한 (1997). r 한자음의 변화. 국어사연구J. 서울 : 태학사. 남광우 (1995). r고금한한자전 J. 인천 : 인하대학교출판부. 이돈주 (1995). r한자음운학의 이해 J. 서울 : 탑출판사. 이재돈 (1993). r중국어 음운학J. 서울 : 서광학술자료사 沈 薦 士 (1945/1985). w 廣 題 聲 系 J. 北 京 : 中 華 書 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