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율무[薏苡, 瑦贛 回回米] 염주[念珠, 川穀] 옛 기술 및 지혜 ) 율무[薏苡]는 이물지 (異物志)를 인용한 ꡔ민요술ꡕ 에 익지(益智)는 의이(薏苡 : 율무)와 비슷하게 생겼다. 즉 율무는 익지(益智 : Alpinia oxyphylla)와 비슷하다 는 표현으로 처음 등장한다. 2) ꡔ농상집요ꡕ 에는 새로 첨가된 약 부의 작물로 율무[薏苡]는 9월에 서리가 내린 뒤 종자를 거둔다. 이듬해 3월 중에 밭을 가는대로 이랑 내에 점뿌리기[點種]하고 고무 래로 고르게 흙을 덮어 준다. 풀이 자라면 김매 준다 라 하였다. 우리나라 농서 가운데는 ꡔ증보산림경ꡕ에 율무[薏苡]는 시골에서는 율모 라고 한다. 밭이 높건 낮건 상관없다. 그러나 반드시 습한 땅이어야 좋다. 오곡을 심는 방법대로 심 되, 쇠똥 거름에 심으면 더욱 좋다. 율무 뿌리는 어린아이의 회충을 하니 거두어 저 3) 장한다. 열매는 몸을 가뿐하게 하고 장기[瘴]를 물리친다. 또 율무죽[薏苡粥]은 율무 열매를 곱게 가루로 만들고, 곱게 가루를 낸 멥쌀 3분의 양과 함께 섞어 죽을 쑤고 꿀 4) 을 넣어 먹는다 라 하였다. ꡔ농포문답ꡕ에는 율무[薏苡]는 성질이 따뜻하고 단맛이 나며 습토(濕土)에 적합하고 소 나 말의 거름[糞]으로 북돋아 줍니다. 많이 수확하여 가루로 만들어 죽을 쑤어 먹는데 5) 역시 기근을 할 수 있습니다 라 하였다. ꡔ농정회요ꡕ에는 율무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내력이나 염주(念珠)와의 관계에 대한 내 6) 력도 써 있다. ① 율무[薏苡]는 ꡔ농정전서ꡕ에서도 ꡔꡕ에 의이인(薏苡仁)이라 하는데, 일명 해려 옥담기실(記實)공(贛)이다. 속명은 주아이며 또 서번촉출이라고도 한다. 잘 갈아 앉힌 평평한 늪이나 들판에서 자라고, 교지(交趾 : 오령<五嶺>이남지대)에서 생산되는 것이 알갱이가 가장 크다. 그 곳 토착민들은 감주(贛珠)라고 부른다. 지금은 곳곳에서 난다. 싹은 크기 3~4자로 자라고, 잎은 가장 잎과 비슷하나 약간 크며 붉은 색이나 흰 색 꽃이 핀다. 이삭이 패고 결실하면 청백색이다. 모양이 슬같지만 약간 길기 때문에 의주자(薏珠子) 라고 한다. 맛이 달고 성질이 약간 차며, 독이 없다. 요즘 사람들은 또 보자(菩提子) 라고도 부른다. 23
24 고 이 지 신 溫 故 而 知 新 ② ꡔ강목ꡕ에서 뇌효(雷斅)가 이른바, 보통 감미(贛米)는 먹지 않는다. 알갱이는 크지만 맛이 없다. 당대 사람들이 갱감(粳贛)이라 하는 것이 이것이다. 율무[薏苡子]의 알갱이는 작고 색깔은 푸르며 맛이 달아 사람의 이빨을 갈게 한다. 율무를 많이 심으면 2~3월에 숙근(宿根 : 묵은 뿌리)에서 저절로 잎이 돋아나는데 막 나 망모(芒茅)와 같다. 5~6월에 줄기가 나오고 꽃이 피며 결실한다. 2가지 품종이 있다. 하나는 차진 것 으로 뾰족하고 껍질이 얇다. 즉, 율무이다. 그 쌀은 흰색으로 나미(糯米 : 찹쌀)와 같아 죽을 쑤거나 밥을 짓거나 가루를 갈아 먹을 수 있다. 또 쌀과 함께 술을 빚어도 된다. 또 하나는 둥글고 껍질이 두텁고 단단한 것으로 바로 보리자(菩提子 : 보리자 나무의 열 매)이다. 쌀이 적으니, 바로 갱감(粳贛)이다. 그러나 꿰어서 염불 외는 염주들을 만들 수 있어 사람들은 또 염주(念珠)라고 부른다. 그 뿌리도 백색으로 숟가락 자루만큼 크며 뒤엉켜 있다. 맛이 달다. 또 율무는 맛이 달고, 성질이 약간 차며 독이 없다 고 하였다. 7) 그러나 ꡔ임원경지ꡕ에는 씀바귀나 율무는 먹을 수 없다 고 하였다. 토의 및 평가 율무속(Coix) 식물은 단자엽 벼과식물이며 년 또는 다년생으로서 자웅이화(雌雄異花)이 다. 아시아 및 태평양 도에 3~4종이 분포한다. 이들 가운데 율무(Coix lachrymajobi var. maguen, C. maguen, C. lachrymajobi var. frumentacea)는 일년로 염주[C. lachrymajobi]에 흡사한 변종이다. 곡립의 껍질[殼]이 손가락으로 눌러서 깨어질 정도로 얇은 점에서 염주와 다른 점이다. 동남아시아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중국 후한시대에 전파 되고 우리나라와 일으로 귀화하여 약용식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이후에 습지에서 잘 자라므로 답전작[畓田輪煥作]으로 식용사료용 및 약용 작물로 재배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옥수수가 도입되기 이전(6세기)까지 중요한 식용작물이었 고, 지금도 인도지나, 인도네시아에서는 식용작물이며 조단백질이.3%에 이를만큼 영 양가가 높다. 정백하여 죽으로 끓여 먹으면 맛이 쌀에 버금가며 이를 의이인(薏苡仁)이 라 한다. 한방에서는 강장이뇨에 처방하고 잎줄기는 풋베기사료로도 이용한다. 반면에 염주는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체가 크고 광택이 있는 종실수주(種実手珠)라 한다. 잎은 옥수수와 비슷하다. 수주옥으로 불공드리는 염주를 만든다는 데서 명칭이 유 래하며, 뿌리는 천각(川殼)이라 하여 진해(鎭咳劑)로 쓰고 과실의 전부나 지방을 식용
) 한다. 염주를 실내나 의복 밖으로 슬처럼 꾸미는 장식용으로도 쓴다. 이호진자옥 등(992)의 ꡔ신 사료작물학ꡕ9)에 따르면 염주(Jobi s tears)와 율 무(Adiay)의 원산지는 학자에 따라 동남아시아중국필리핀 등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 이전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재배되었다고 한다. 율무는 현재 인 도버마인도네시아 반도동인도도필리핀 등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나 남아메리카에서 소규모로 재배하여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염주는 미국에서 관 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일 등에서는 염주와 율 무를 약용이나 율무차 등의 건강식품으로 이용하며, 최근에는 사료작물로도 많은 연가 이루어지고 있다. 염주는 열매 모양이 계란꼴[卵形]공꼴[球形]이며, 녹색이었던 것이 성숙하면 흑색으 로 되었다가 다시 회백색으로 된다. 두껍고 딱딱한 포(苞) 안에 ~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저장전분은 멥성이다. 그러나 율무는 포의 두께가 얇고, 성숙하면 열매의 색깔 이 흑갈색으로 되며, 포 안에 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저장전분은 찰성이다. 염주와 율무에 대한 품종개량은 되어 있지 않고, 대체로 재래종을 수집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품종의 보존과 특성이 잘 정리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종실생산이 목적일 때에는 율무가 염주보다 종실수량이 많고 열매의 껍질이 얇아서 도정하기 쉽다. 그러나 풋베기[靑刈飼料]로 이용할 때에는 염주가 크고 엽신함량(葉身含量)이 높아 사료생산성 이 더 크므로 율무보다 재배에 유리하다. 율무의 종실은 coixol을 함유하고 있어 진통진경작용(鎭痛鎭痙作用)이 있고, coixenolide 가 함유되어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으며, 그 밖에 이뇨작용(利尿作用)배농작용(排 膿作用) 등의 약리작용(藥理作用)이 있고, 단백질함량이 높아(6%) 자양강장약(滋養强 將藥)이나 율무차, 식용, 양조원료 등으로 이용된다. 염주와 율무를 청예로 이용할 때에는 개화기에 예취하며, 년에 2~3회 예취할 수 있 다. 그러나 재생력과 생장속도는 수수 x 수단그래스 교잡종보다 떨어져서 생산성이 낮고 기호성도 떨어진다. 출수 후 40일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를 만들면 개화기에 예취하는 것 보다 건물생산량이 많으며, 또 사일리지의 질도 개화기에 예취한 것보다 젖산함량이 많 고 낙산함량(酪酸含量)은 적어 질이 더 우수하다 고 하였다. 25
26 고 이 지 신 溫 故 而 知 新 결론 및 시사점 율무와 염주는 각각 Coix종의 원종과 변종으로서의 차이가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약 리용으로 추출하여 이용케 되는 입장에서는 각각 다른 식물종으로 분하는 것이 좋겠으 나 식일반식 및 사료용으로 쓰는 입장에서는 같은 식물종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 로 생각된다. 이미 율무는 작물화되어 있어서 재배이용 및 품종이 개발되고 체계화되어 있다. 재 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식으로의 가치나 이용법은 가히 전통식용화가 되어 있는 동남아시아(인도 네시아 등)의 사례를 비교하여 검토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0) 국립작물과학원의 민간요법적 용성도 다음과 같이 소개된 바 있다. ① 취 치료 : 이유 없이 취가 심한 사람은 율무를 껍질 채 볶은 것을 몇 알 입에 넣고 씹으면 취가 없어진다. ② 관절 치료 : 무릎이 붓고 염증이 심할 때 회 20~30g을 다려서 복용하면 염증이 삭으면서 부종이 내리고 굴신이 원하게 된다. ③ 소염, 배농, 이뇨작용에 기인하는 전신부종에 다려서 복용한다. 또 코익세노라이드 성분은 사마귀 치료에 효험이 있고, 암세포의 발육을 억시키는 작용이 있다. 인용문헌 및 설명문 ) ꡔ민요술ꡕ 益智, 類薏苡 2) ꡔ농상집요ꡕ 薏苡 新添 九月霜後收子 至來年三月中, 隨耕地於壠內點種, 撈蓋 令平 有草則鋤 3) ꡔ증보산림경ꡕⅠ(농촌진흥청, 2003, 고농서국역총서 4) 薏似 鄕名 율모 不問田之 高下但宜卑濕地種依五穀法尤宜下着牛糞根治小兒蛔收儲實輕身勝瘴 4) ꡔ증보산림경ꡕⅡ(농촌진흥청, 2003, 고농서국역총서 5) 薏苡粥薏苡米作細末和粳米 細末三分一作粥如蜜食之 5) ꡔ농포문답ꡕ (자옥 등, 200, ꡔ방고문헌집성ꡕ 3, 농촌진흥청) 薏苡性溫味甘冝 濕土用牛馬糞培壅多收作屑爲粥亦可救飢也
6) ꡔ농정회요ꡕⅠ (농촌진흥청, 2005, 고농서국역총서 0) 7) ꡔ임원경지ꡕ 苦薏不食 ) 堀田滿(94) ꡔ世界有用植物事典ꡕ, 平凡社 9) 이호진채천이석순자옥최진용(992) ꡔ신 사료작물학ꡕ, 향문사 0) 작물과학원(2005) ꡔ자연에서 찾는 민간요법, 약ꡕ, 농촌진흥청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