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7CFB1CDB3F3C7F92D32C6C7B0FC E DC0BABFC1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C7CFB1CDB3F3C7F92D32C6C7B0FC E DC0BABFC12E687770>"

Transcription

1 조사연구보고서 제 16 호 Mt. Hallasan Research Report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orld Heritage Office

2

3 발간사 Publishing Message 섬전체가자연박물관제주도! 제주도는 180 만년전부터화산활동으로형성된화산섬으로써섬전체가자연박물관이라고불릴정도로독특한화산지형이발달되어있으며, 다양한동 식물이서식하고있는생태계의보고입니다. 제주가가진최고의환경자산으로 2002 년에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2007 년세계자연유산, 2010 년세계지질공원으로지정되어그가치를전세계적으로인정받았습니다. 이제제주는전인류가지키고보전해야할세계인의보물섬으로그위상이날로높아지고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는지난 2016 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과제주도내자연문화재및역사문화재관련부서와통합되면서명실공히제주의자연과문화유산을보존하고관리하는기관으로발돋움하고있습니다. 더욱이유네스코제주국제보호지역의생태환경자원조사와보존활용방안제시, 기후변화에대응하기위한제주자연의장기적인생태연구및모니터링, 제주생물자원의가치발굴및산업적이용방안등을제시하기위한다양한연구사업들을지속적으로추진하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되는제 16 호조사연구보고서에는최근 10 년동안의한라산구상나무림의공간변화와최근 8 년동안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에대하여논하였으며, 제주지역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특성연구결과도수록하였습니다. 그리고제주도지질학적특징으로제주화산섬과용암동굴의모체를이루고있는조천읍선흘리거문오름분석구의분출시기를제시하였고노루의개체수모니터링, 애월읍과구좌읍곶자왈의계절별토양특성과미생물의다양성도논하여수록하였습니다. 앞으로도민의생활과도정의정책결정에실질적인도움이될수있는다양한연구과제들을개발하고수행하여보다내실있는연구결과를도출해낼수있도록최선을다하겠습니다. 본조사보고서가발간될수있기까지힘들고열악한여건속에서도조사연구에매진해준연구원들과직원들의노고에다시한번감사의말씀을드립니다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장 김홍두

4 Table of Contents Research Paper 009 최근 10 년동안한라산구상나무림의공간변화 김종갑, 고정군 033 최근 8 년동안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고정군, 김종갑, 고윤정 048 거문오름분석구의분출시기 안웅산 067 노루개체수모니터링 오장근 080 애월과구좌곶자왈의계절별토양특성및세균의다양성 고석형, 김종식, 이영돈, 강희석, 신창훈 111 제주지역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특성연구 김대신, 김수경

5 Research Abstract 123 효돈천일대의지질학적특징 전용문, 고윤정, 고정군 145 수종의희귀 특산식물분포및동태 김현철, 정세호 167 아고산대제주조릿대분포및생육특성 김현철, 정세호 177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분포및동태 김현철, 정세호 185 한라산소백록담및 1100 고지습지의퇴적물에관한연구 고석형, 이영돈, 신창훈 196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 한태완, 이성권, 강윤복, 이영돈, 신창훈 215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시험연구 한태완, 김동철, 이영돈, 신창훈 226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법연구 한태완, 김영림, 오윤희, 신창훈 235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법연구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신창훈

6 Table of Contents Report 249 한라산남서사면오름의인문자원고찰 고윤정, 김미형, 고정군 277 제주도송이자원분포조사 안웅산 290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316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 316 _ 식물분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 김대신, 김현철, 김권수, 김종갑 341 _ 동물분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야생동물서식특성조사 (Ⅱ) 오장근 353 _ 병해충분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지의 병해충발생조사연구 (Ⅱ) 한태완, 고석형, 박정훈, 신창훈 377 _ 토양분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지의토양특성 (Ⅱ) 고석형, 한태완, 강희석, 이영돈, 박정훈, 신창훈

7 연구논문 Research Paper 최근 10 년동안한라산구상나무림의공간변화 김종갑, 고정군 최근 8 년동안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고정군, 김종갑, 고윤정 거문오름분석구의분출시기 안웅산 노루개체수모니터링 오장근 애월과구좌곶자왈의계절별토양특성및세균의다양성 고석형, 김종식, 이영돈, 강희석, 신창훈 제주지역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특성연구 김대신, 김수경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

8

9 최근 10 년동안한라산구상나무림의공간변화 김종갑 1), 고정군 2) 1) 제주특별자치도산림휴양과 2)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본연구는한라산구상나무림의분포면적과수관밀도를조사하고, 지역별수관밀도, 경사및방위별특성을파악하여최근 10년동안의구상나무림의변화를분석하였다. 2015년구상나무림의면적은 626.0ha로조사되었는데, 이는 2006년 738.3ha 에비해 10년동안 15.2% 에해당되는 112.3ha가감소한것이다. 구상나무의수관밀도가 41~71% 에해당되는중급밀도가 10년동안 72.6ha가감소하였고, 71% 이상의조밀한구상나무림도 21.3ha가감소된것으로나타났다. 해발고도별변화는 1,510~1,600m 구간에서전체감소면적이 32.6% 로가장크게나타났다. 지표경사 10 이하에서는분포면적이 123.1ha가확대된반면 11 이상의지역에서는 235.4ha 감소한것으로분석되었다. 방위별로는남동쪽이 23.4ha가감소하였으며, 동쪽을중심으로남동과북동의면적변화가전체면적의 55.5% 인 62.3ha가줄어든것으로나타났다. 지역별구상나무림의분포변화는진달래밭에서정상에이르는지역이 117.9ha중 71.8% 인 84.6ha가감소하였으며, 영실등산로일대가 21.5% 인 25.3ha, 큰두레왓일대는 6.8% 인 8.0ha가줄어든반면방애오름일대는 5.6ha가증가된것으로분석되었다. 지난 10년동안의한라산구상나무림의감소는해발고도, 경사및지역별 교신저자 ; 전화 : , jakal3182@korea.kr

10 특성을종합할때지구온난화와같은기후변화에따른한대성수목의고지대 로이동에따른감소보다는태풍, 가뭄등의기상이변적인요소에의해전역 에걸쳐감소된것으로판단된다. 서론 기후변화의속도는예상보다빠르게진행될것으로전망되고있다. 지난 1901~2012년동안지구의평균상승기온은 0.89 이지만, 21세기말에는 3.7 가상승될것이라고 2014년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PC) 보고서에서예측하고있다. 이로인해재난, 재해, 물부족등의현상이전지구적 지역에걸쳐광범위하게나타나고있다. 제주지역의 10년간 (1973~2010년) 연평균기온은 0.32 상승하였으며최저기온의상승률이최고기온의상승률의 1.7 보다더크게나타났다 ( 제주지방기상청, 2011). 또한강수량은최근 10년간 150~200mm이상많아졌는데, 상승경향을보이는기온과는달리증가와감소를반복하는경년변동을보였다. 기온및강수량의변화등으로생물종멸종위험증가, 식물종개화시기변화, 식생분포대변동등예측하기어려운다양한변화가예상된다. 한편고산지대에자라는식물은낮은온도, 가뭄, 강한바람, 서리등극한환경에노출되어있어, 이들환경적요인에의해영향을많이받는다고볼수있다 (Wildi and Lutz, 1996). 특히구상나무 (Abies koreana E. H. Wilson) 와같은과거빙하기에존재했던식생은산간지역에서수직적기온상승에민감하게반응하여고사하거나군락지역에타수종특히, 아고산대전이지역에분포하던신갈나무군락같은식생의침입이일어나고있다 ( 조민기, 2014). 구상나무는 1920년에우리나라의특산식물로보고된종으로서분포범위가전라북도덕유산이남의해발 1,000m 이상의고산지대에주로분포한다. 하지만한라산을제외하고는대부분숲을형성하지못하고있을뿐만아니라소규모면적이거나소수의개체만이드물게분포한다. 하지만한라산에는광대한면적의순림이형성되어있으며, 세계에서유일한구상나무림이분포하고있

11 다 ( 공우석, 2006; 김갑태등, 2007). 한라산구상나무림의면적을제시한선행연구를보면, 김찬수 (2006) 는 2003 년항공사진을이용하여한라산구상나무림의사면에따라다소차이는있으나해발약 1,300m 부터정상까지분포하고있으며, 그면적은 603.3ha이라고보고하였다. 그리고해발고 1,500m에서 1,800m 사이에전체면적의 87.4% 에해당하는 526.9ha가형성되었고방위별로는동쪽과북쪽사면에걸친지역에집중되어있다고하였다. 송국만 (2011) 은 2009년 2월에촬영된항공사진을이용하여구상나무림은해발 1,300m 구간에서부터한라산정상까지분포하고있으며, 면적이 1ha 미만의소규모집단을제외하고조사된구상나무림의전체면적은 803.6ha 이상이분포하는것으로보고하였다. 더불어동사면은 1,300m, 서사면과남사면은 1,400m, 북사면은 1,500m의해발고도에서부터구상나무림이분포하며, 분포지역은 20 미만의경사도에전체의약 70% 가분포하고있다고하였다. 그리고김남신과이희천 (2013) 은 1988년과 2002년 Landsat 위성을사용하여분석하였는데, 1998년에는 175ha, 2002에는 117ha가조사되었다고보고한바있다. 이처럼한라산구상나무림의면적은산출방법등에따라다양한의견이제시되는상황이다. 따라서본연구는최근 10년동안의한라산에분포하는구상나무림의정확한면적을조사하고, 수관밀도에따라 4개등급으로구분하여그분포지역의경사와방위특성을알아보고자비교분석하였다. 이는구상나무림의변화조사를통해향후구상나무보전연구의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그목적이있다. 재료및방법 구상나무림분포조사는한라산전지역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분포면적은국토지리연구원에서제공받은 2006년정사영상 (30cm급) 과 2015년정사영상 (25cm급) 을이용하여산림의경계를확인하여분석하였다. 구상나무와다른수목과구분이불확실한지역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1월까지현지조사를통해보강하였다. 구상나무의밀도는 AUTO CAD Map 3D 2010을이용하여정

12 사영상에격자를표시하고수관밀도를구분하여색상코드를부여한후분포가 확인된지역은 ArcGIS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 표 1). 표 1. 구상나무림의수관밀도구분기준 색상코드 수관밀도 구분 없음 0 ~ 10% 면적에서제외 YELLOW 11 ~ 40% 소밀도구상나무림 ORANGE 41 ~ 70% 중밀도구상나무림 RED 71 ~ 100% 조밀도구상나무림 구상나무림의면적은경계구분이불명확한라인에의한방법에서벗어나격자기반면적산출방법을개발하고적용하였다. 이는경계구역을명확하게제시하여정확도및신뢰성을한층높인것이다. 격자규격은 15m 15m로하여격자에들어온구상나무의수관밀도를제6차국가산림자원조사및산림의건강 활력도조사의수관밀도구분기준을참고하여기존의 4단계를 3단계로구분하여작성하였다 ( 산림청, 2011; 그림 1). 단, 수관밀도가 0~10% 에해당되는지역은구상나무림의면적에서제외시켰다. 그림 1. 수관밀도판정을위한수관의점유정도

13 결과및고찰 년한라산구상나무림의분포특성 1.1. 구상나무분포및수관밀도 2015년에촬영한정사영상을이용하여한라산에자생하는구상나무분포도를작성한결과, 구상나무림은해발 1,300m 이상지역에 626ha가분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2). 수관밀도범례 11~40% 41~70% 71~100% 그림 년한라산구상나무분포면적 구상나무림의분포를 3단계의수관밀도급으로구분하여분석한결과, 수관밀도 11~40% 를지닌소밀도가전체면적의 50.5% 인 316.2ha로상대적으로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였다. 그리고 41~70% 의수관밀도를지닌중밀도면적은 40.4% 에해당되는 253.1ha로나타난반면 71% 이상의조밀한밀도를지닌면적은 9.1% 인 56.7ha로분석되어상대적으로좁게나타났다. 이처럼중밀도와소밀도가전체 90% 이상차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므로중밀도감

14 소와소밀도증가현상이앞으로이어지면서구상나무서식지면적은지속적인 감소가진행될것으로예상된다 해발고도별구상나무분포한라산구상나무림이분포하는해발고도 1,300m 이상부터정상까지 100m 간격으로해발고도별면적을조사한결과, 해발고도 1,510~1,600m 구간이 40.1% 에해당되는 251.3ha가분포하여가장넓게나타났다 ( 그림 3). 이를중심으로해발고도가 1,500m 이하의면적비율이 8.7% 인반면에해발 1,610m 이상의면적비율은 51.2% 가분포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해발고도가 1,510~1,700m 사이구간에구상나무가전체의 74.6% 를차지하여주요분포구간으로볼수있다. 이에반해해발고도 1,300m 이하에서는 11% 이상의수관밀도를지닌구상나무림의분포지역은나타나지않는것으로분석되었다. 그림 3. 한라산해발고도별구상나무분포면적 (ha) 1.3. 경사및방위별구상나무분포한라산구상나무림이분포하는지역의지형특성을분석한결과, 지표면경사는 25 이하지역에 92.4% 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4). 경사가 25 이상지역이 7.6% 로백록담의외륜지역과정상을중심으로일부분에분

15 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방위별분포특성은동쪽을중심으로북동과남동 방향에가장넓은 46.7% 가분포하고, 서쪽을중심으로남서와북서방향으로 25.5% 로상대적으로적은분포비율을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림 4. 한라산경사및방위구상나무분포면적 (ha) 1.4. 주요지역별구상나무분포한라산구상나무림의지역별분포면적을산출을위해백록담과성판악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진달래밭일대, 백록담화구벽아래의방애오름일대, 어리목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큰두레왓일대및영실등산로일대로 4개지역으로구분하여조사하였다. 구상나무림의주요지역별분포면적은정상을중심으로한진달래밭일대가전체면적의 49.9% 인 312.3ha로분석되었다 ( 그림 5). 어리목등산로를따라윗세오름을포함한큰두레왓일대는 21.4%, 영실등산로일대가 16.6%, 남벽아래백록샘과방애오름일대가 12.1% 가분포하였다 년한라산구상나무림의분포특성 2.1. 구상나무분포및수관밀도한라산구상나무림의 10년전의분포특성을알아보기위해 2006년정사영상으로한라산에자생하는구상나무분포를분석한결과, 해발 1,300m 이상의지역에 738.3ha로조사되었다 ( 그림 6).

16 그림 5. 한라산주요지역별구상나무분포면적 (ha) 이는 2009년항공사진을사용하여분석한송국만 (2011) 의결과와는 65.3ha가감소한결과를보이는것이다. 이러한차이는본조사에서수관밀도 10% 이하를분포면적에서제외시킨것과격자를통한면적산출등의분석방법적인차이에서초래한것으로보인다. 구상나무분포를 3단계의수관밀도급으로분석한결과, 소밀도는전체면적의 45.3% 인 334.4ha로상대적으로가장넓게차지하였고, 다음으로중밀도가 44.2% 인 326ha로조사되었다. 가장조밀한밀도를지닌분포지역은 10.6% 인 78ha로분석되었다. 이처럼구상나무림의중밀도와소밀도면적의차이가크지않았고, 구상나무군락이중심으로주연부로갈수록밀도가낮아지는것이특징적이었다. 이는구상나무림주연부에서대부분의치수가발생하여확산하는구조를보인다 ( 고정군, 1996; 김대신, 1997). 그러나주연부에서는군락외부의다른수종과경쟁등간섭요인에따라고사하거나혼생하면서소밀도특성을형성하는형태를보이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17 수관밀도범례 11~40% 41~70% 71~100% 그림 년한라산구상나무분포및수관밀도면적 2.2. 해발고도별구상나무분포한라산구상나무림의해발고도별분포면적을분석한결과, 해발고도 1,510~1,600m 구간이 39% 인 287.8ha로가장넓었다 ( 그림 7). 이를중심으로해발고도가 1,500m 이하의면적비율이 10.2% 인반면에해발 1,610m 이상의면적비율은 50.8% 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해발고도가 1,510~1,700m 사이구간에구상나무가전체의 72% 로존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그러나해발고도 1,300m 이하는아주협소하게존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경사및방위별구상나무분포구상나무림이분포하는지역의지형특성을보면, 지표면경사가 11~25 범위에분포하는구상나무림의전체면적의 52.8% 인 389.9ha로가장많은면적을차지하였다 ( 그림 8).

18 그림 년한라산해발고도별분포면적 (ha) 그림 년한라산방위및경사별구상나무분포면적 (ha) 전체적으로지표경사가 25 이하지역에 84% 가분포하고있었고, 25 이상의경사가급할수록구상나무림의분포면적은급격히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방위별분포특성은동쪽을중심으로북동과남동방향에 48% 가분포하고, 북쪽을중심으로북동과북서가 37.6% 가분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구상나무림이동사면과북사면에대부분존재하고일조량이적고수분이충분히유지되는조건의지역에분포하며구상나무림의형성이수분조건과연관성이

19 높다는연구와유사한경향을보인다 ( 김찬수, 2006). 또한한라산토양조건이점토로풍화작용이매우적으며, 대부분굵은입자여서투수속도가매우빠를수있는조건을갖고있다 ( 현해남, 2006). 이러한수분조건과사면의방향이구상나무림의형성에연관성을가지는것으로판단할수있다 주요지역별구상나무분포한라산의구상나무림의주요지역별분포를백록담과성판악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진달래밭일대, 백록담화구벽아래의방애오름일대, 어리목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큰두레왓일대및영실등산로일대로 4개지역으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그결과, 한라산구상나무림의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는지역은진달래밭에서정상에이르는지역으로전체면적의 54% 인 396.9ha로나타났다 ( 그림 9). 이곳은구상나무순군락으로는가장규모가크다. 큰두레왓일대는 19%, 영실등산로일대는 17%, 방애오름일대는 10% 순으로분포하였다. 그림 년한라산주요지역별구상나무분포면적 (ha)

20 3. 10년간한라산구상나무림의변화 3.1. 구상나무림의분포면적및수관밀도변화한라산구상나무림의최근 10년동안의변화를알아보기위해 2015년및 2006년의분포결과를비교분석하였다. 그결과, 지난 2015년의구상나무전체면적은 626.0ha가분포하는것으로나타나 2006년 738.3ha에비해 112.3ha가감소한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10). 즉, 지난 10년동안 11% 이상이수관밀도를보이는구상나무림이 15.2% 가감소한것으로나타난것이다. 그림 10. 최근 10 년간한라산구상나무림변화 구상나무림의면적감소에대한수관밀도급으로변동비율을보면, 중밀도가 10년동안 72.9ha가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 표 2). 그리고소밀도는 18.2ha가감소된것으로났는데, 이는중밀도에서소밀도로변화되어소밀도의변화가적은것으로보인다. 그러나소밀도에서수관밀도 10% 이하의면적

21 제외밀도급으로변동이 109.3ha로밀도변화에의한면적감소로이어진것으로보인다. 또한밀도가가장높은등급의면적의변화가전체변동에서 19% 로한등급아래인중밀도로의변화폭이컸음을알수있다. 이처럼고밀도의구상나무림도전체적으로소밀도의변동비율보다높아앞으로구상나무림의밀도변화가전체적으로중밀도에서소밀도, 면적제외밀도급으로구상나무림의쇠퇴가더욱진행될것으로분석되었다. 표 2. 한라산구상나무의시 공간변화 수관밀도 년도별면적 (ha) 2006 년 2015 년 면적변동 (ha) 상대변동비율 (%) 소밀도 중밀도 조밀도 합계 해발고도별구상나무림변화한라산의구상나무림을 100m 간격으로해발고도에따라면적변화를조사한결과, 정상일대를제외하고는해발고도에관계없이 2015년구상나무림의면적이 2006년보다전체적으로감소한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1). 특히해발고도 1,510~1,600m 구간이 32.6% 인 36.6ha로가장변화가심하게발생했다. 이들구간을중심으로해발고도가 1,500m 이하의감소비율은전체감소면적의 18.4% 인반면에해발 1,610m 이상의감소면적비율은 48.9% 가분포는것으로조사되었다. 이는일반적으로기후변화에따른온난화로인해해발고도가낮은지역의구상나무고사가진행되고있다는것과상반된결과를보여주고있다.

22 그림 11. 최근 10 년간해발고도에따른한라산구상나무림 (ha) 변화 이와같은 2015년면적변화의원인으로 2012년태풍의영향과 2013년가뭄등에의해많은고사목이발생하였는데, 이러한대규모고사는강풍에의한뿌리흔들림, 집중강우에의한토양유실, 겨울철폭설등의원인들이복합적으로작용하였을것으로추측된다 ( 김진등, 2015). 특히성판악등산로해발 1,650~1,800m일대및큰두레왓일대는 30% 이상이최근 3~4년동안에발생된것으로분석되었다 ( 고정군등, 2015) 경사및방위별구상나무림변화구상나무림의최근 10년동안경사에따른분포변화는 10 이하에서는분포면적이 123.1ha 확대된반면 11 이상의지역에서는 235.4ha 감소한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12). 특히 0~5 경사지역의면적이 2006년보다 109.2ha가증가하였고, 11~25 경사사이구상나무서식지는 165.8ha가감소한것으로조사되었다. 최근 10년동안구상나무림의방위별분포변화를보면남동쪽의변화가 23.4ha가감소하였으며, 동쪽을중심으로남동과북동의면적변화가전체면적의 55.5% 인 62.3ha가줄어든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3). 반면남서쪽을중

23 심으로하는남쪽과서쪽은전체변동면적의 17.7% 인 19.9ha 가감소한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생육환경이양호한동쪽을중심으로외부적인요인에의하 여고사가진행된것으로추측할수있다. 그림 12. 최근 10 년간경사에따른한라산구상나무림 (ha) 변화 그림 13. 최근 10 년간방위에따른한라산구상나무림변화

24 3.4. 주요지역별구상나무분포변화특성최근 10년동안주요지역별구상나무림의분포변화를보면, 성판악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진달래밭일대가 2006년에비해전체변동면적 117.9ha중 71.8% 인 84.6ha가감소하였으며, 영실등산로일대는 21.5% 인 25.3ha, 어리목등산로를중심으로하는큰두레왓일대는 6.8% 인 8.0ha 순으로줄어든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4). 이에반해방애오름일대는 5.6ha가증가한것이특징적이다. 그림 14. 최근 10 년간주요지역별한라산구상나무림 (ha) 변화 주요지역별구상나무림수관밀도변화에따른생육등급을 4단계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 표 3). 그결과, 개척기에해당하는등급은조밀한수관밀도까지는형성되지않았지만중밀도및소밀도급수관밀도는증가하고있으며면적제외밀도에서소밀도로계속해서상승이이루어지고있는단계이다. 한라산구상나무림중방애오름일대일부지역이해당된다. 도입기에해당하는등급은수관밀도등급별로증가하며중밀도가가장넓게분포하고있어등급밀도상승이이루어지고있는단계로방애오름일대구상나무림이해당된다. 성장기에해당하는등급은수관밀도등급별로증가하며중밀도와소밀도면적이

25 차이가거의없으며소밀도가중밀도로상승이활발하게이루어지는단계로큰두레왓일대구상나무림이해당된다. 성숙기에해당하는등급은수관밀도등급별로보면소밀도는감소하는반면에다른수관밀도는증가하고있지만, 전체적인면적이감소가이루어지는단계로영실등산로일대구상나무림이해당된다. 쇠퇴기에해당하는등급은소밀도면적만증가하고다른수관밀도면적은감소하며전체적인면적감소가이루어지는단계로진달래밭일대구상나무림이해당된다. 표 3. 한라산구상나무림수관밀도급특성에따른생육등급 생육등급 수관밀도급특성 구상나무군락 개척기 중밀 소밀 방애오름일대일부지역 도입기 조밀 소밀 중밀 방애오름일대 성장기 조밀 소밀 중밀 큰두레왓일대 성숙기 조밀 중밀 소밀 영실등산로일대 쇠퇴기 조밀 중밀 소밀 정상 ~ 진달래밭일대 큰두레왓일대구상나무수관밀도분포변화최근 10년동안큰두레왓일대구상나무수관밀도분포변화를보면 8.0ha 가감소하였다. 수관밀도별로소밀도는 14.2ha가감소한반면중밀도와조밀도는증가하였다 ( 그림 15). 이는소밀도에서일부지역은밀도제외면적으로이동하였지만, 일부에서는소밀도에서중밀도로, 중밀도에서조밀도로구상나무개체수증가및수관폭의증가로밀도가상승한것으로판단된다. 밀도급으로판단한큰두레왓일대구상나무림의생육등급은성장기에해당한다 진달래밭일대구상나무수관밀도분포변화진달래밭일대의최근 10년동안구상나무림은 84.6ha 감소하였다. 수관밀도별로보면중밀도에서 79.7ha, 조밀도가 33.2ha가감소하였으며상대적으로소밀도는 28.2ha가증가한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16). 증가한소밀도는상위단

26 계의등급하락하면서증가한것으로보인다. 진달래밭일대의수관밀도는단 계별하락보다는조밀도에서소밀도급으로일부는면적제외밀도까지하락의 폭이컸으며외부적인변화에의해서급격한쇠퇴가진행된것으로판단된다. 그림 15. 최근 10 년간큰두레왓일대구상나무림 (ha) 수관밀도변화 Yellow: 소밀도, Orange: 중급, Red: 조밀도 그림 16. 최근 10 년간진달래밭일대구상나무림 (ha) 수관밀도변화 Yellow: 소밀도, Orange: 중급, Red: 조밀도

27 진달래밭일대의분포도를보면 2006년에완전한형태의군락을형성하고있었지만 2015년에는군락의내부에크고작은군반형태의미분포지가확연히구분되어보여지고있다. 그원인으로 1990년대까지는주로천이, 구상나무고령화및개체목간의경쟁등자연적인고사가주요원인으로작용하였으나, 2000년대에서기후변화에의한적설량감소에의한한건풍에의한동계건고현상이추가되었고, 최근잦은태풍, 집중강우등에의한생육기반악화에따른고사목빈도등이추가한것으로판단된다 ( 고정군등, 2015). 이를종합하여진달래밭일대구상나무림의생육등급은전체적으로면적이감소하며상대적으로수관밀도가소밀도로상승하는것처럼보이지만쇠퇴기에해당한다 영실일대구상나무수관밀도분포변화영실일대 2006년이후전체적인수관밀도변화를보면 25.4ha의면적이감소하였다. 수관소밀도가 20.7ha로가장많이감소한반면조밀도는 3.7ha가증가하였다 ( 그림 17). 2015년수관밀도변화를보면해발 1,500m 이하지역에서소밀도가면적제외밀도로등급이하락하여면적에서제외되었다. 전체적으로영실지역은해발고도에따른면적변화가관찰되어기후변화가원인으로작용한것으로판단되며, 생육등급으로보면성숙기에해당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방애오름일대구상나무수관밀도분포변화방애오름일대의최근 10년동안의면적변동은 5.6ha가증가한것으로조사되었다. 소급수관밀도는 2015년에 2006년에비해 11.6ha가감소하였으나, 이는단계별상승으로인한감소로면적제외밀도급에서소밀도로 5.6ha로진입한것으로분석할수있다 ( 그림 18). 수관중밀도는 11.9ha, 조밀도는 2006년밀도의 2배증가한 11.1ha로나타났다. 방애오름의생육등급은전체등급에서단계별상승하며면적변동이증가하여도입기에해당하는것으로판단된다.

28 그림 17. 최근 10 년간영실일대구상나무림 (ha) 수관밀도변화 Yellow: 소밀도, Orange: 중급, Red: 조밀도 그림 18. 최근 10 년간방애오름일대구상나무림 (ha) 수관밀도변화 이들결과를종합하여보면, 2006 년이후지난 10 년동안의한라산구상나 무림의면적감소는해발고도, 경사및지역별변화특성을고려할때기온상 승과같은지구온난화영향에따라한대성수목의고지대로이동하면서자생

29 지면적이감소되는것은상대적으로작은부분을차지하는것으로보인다. 기후변화에따른식생대이동및생장쇠퇴보다는태풍, 가뭄등의기상이변적인요소가한라산대부분지역에서구상나무림의밀도와자생지면적의감소에크게영향을준것으로판단된다.

30 Spatial Changes of Korean fir(abies koreana E.H. Wilson) in Mt. Hallasan during the Last 10 Years Jong-Kab Kim 1) and Jung-Goon Koh 2) 1) Forest & Recreation Divi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 Research Department for Hallasa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rea and crown density of Korean fir(abies koreana E.H. Wilson) in Mt. Hallasan in 2006 and The area of Korean fir was surveyed as 626.0ha in 2015, which was declined by 112.3ha compared to 738.3ha in The middle class of Korean fir corresponding from 41% to 70% of crown density was declined by 72.6ha, and it was also decreased by 21.3ha in the high class over 71% of crown density for ten years. The area of Korean fir from 1,510m to 1,600m above sea level was reduced by 36.6ha for ten years, which accounts for 32.6% compared to the total declining area. And the declining area was 123.1ha in slopes below 10 degree and 235.4ha in slopes over 11 degre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by the orientation, the change in the Southeast was decreased by 23.4ha, and the change of the area of the Southeast and Northeast in the East decreased 62.3ha, which accounts for 55.5% of the total area. Regarding the distribution by the region of Korean fir forest area, 84.6ha corresponding to 71.8% of the total 117.9ha was decreased in the

31 Jindallaebat area compared to 2006, 25.3ha in Yeongsil area and 8.0ha in Keundeurewat but Bangaeoreum area increased by 5.6ha. Considering the elevation, slop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Korean fir over the past decade, it seems to have occurred throughout the whole area such as typhoons and droughts rather than the highland migration due to global warming.

32 인용문헌 Wildi, B. and C. Lutz Antioxidant composition of selected high alpine plant species from different altitudes. Plant Cell and Environment 19: 고정군, 김대신, 고석찬, 김문호 한라산구상나무림의동태. 제주도연구. No.13:223~241. 고정군, 김대신, 김종갑, 고윤정 한라산구상나무림의생육동태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4호 pp9~26. 공우석 한반도에자생하는소나무과나무의생물지리. 대한지리학회지 41(1):73~9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 한라산아고산지대구상나무림군집구조에관한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2):161~167. 김남신, 이희천 아고산지역의구상나무분포변화에관한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5):49~57. 김대신 한라산구상나무림주연부의동태및식생구조. 제주대학교대학원김진, 이정현, 정성철, 김찬수 한라산구상나무 삶과죽음에관한이야기. 국립산림과학원 pp119. 김찬수 구상나무의분포및분류학적특성.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pp451~471. 송국만 한라산구상나무림의식생구조와동태. 제주대학교대학원. 송국만, 김찬수, 고정군, 강창훈, 김문홍 한라산구상나무림의식생구조와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제19권 ( 제4호 ):415~425. 산림청 제6차국가산림자원조사및산림의건강 활력도조사. 산림청산림과학원 pp23. 조민기 지리산구상나무림의식생구조변화와연륜생장패턴. 경상대학교박사학위논문. 제주지방기상청 지역기후변화보고서. 현해남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토양.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pp87~108.

33 최근 8 년동안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 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고정군 1), 김종갑 2), 고윤정 1) 1)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2) 제주특별자치도산림휴양과 요약 본연구는한라산장기생태연구를위해구축된영실일대소나무군락의수목특성변화를밝히기위해최근 8년동안소나무군락의종조성, 수목의흉고직경변화와새로운수목의출현등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자하였다. 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조사구내에출현하는수목은소나무등총 20 분류군인것으로나타나최근 8년동안덜꿩나무 1종이추가되었다. 조사구내전체수목의개체수는총 937본으로지난 8년동안 271본이감소하였다. 전체수목의단위면적당기저면적은총 51.5m2 /ha로나타났다. 이중소나무가 43.2 m2 /ha로전체의 83.8% 를차지하였고, 2008년에비해 8.8% 가감소하였다. 수종별출현빈도는소나무가지난 8년동안 112본이감소한 418본이었으며, 굴거리나무와비목나무는각각 33.3%, 31.4% 로매우높은감소율을보였다. 이에반하여서어나무는 10.5% 에해당되는흉고직경 3.0cm이상인 8개체새롭게출현한것이특징적이었다. 소나무는모두 10cm이상의흉고직경을갖고있었으며, 평균흉고직경은 35.5cm로나타났다. 전체적으로소나무의흉고직경이 8년동안평균 3.6cm증가한것이다. 소나무이외의구성목에서평균흉고의직경은 10cm이하의나무에서는평균 6.6cm를나타냈고, 10cm이상의나 교신저자 ; 전화 : , kjg3839@korea.kr

34 무는평균 28.0cm를보여, 8년동안다소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한라산영실일대의소나무림은상층은소나무우점하고있으나어린소나무의발달은이루어지지않고있었다. 숲의상층이하에는서어나무등낙엽활엽수의발달이지속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이는자연적천이과정뿐만아니라기후변화와관련하여소나무의쇠퇴와더불어서어나무를중심으로한낙엽활엽수림으로의발달이지속적으로이루어질것으로예측된다. 서론 장기생태연구는군집의동태변화를연구하는하나의방법으로한장소에영구방형구를설치하여시간경과에따른변화를장기간관찰하여결론을내리는연속관찰법이다. 영구방형구를설치하고오랫동안반복하여조사하는장기생태연구가가장이상적인군집동태변화를파악하는방법이지만시간적인어려움이있어이에대한연구는매우미흡한실정이다. 그러나특정군집이나생물다양성등이높은장소에서이루어지는장기생태연구는환경변화에대한개체군, 군집그리고생태계의상대적인반응을분석할수있게한다. 나아가, 장기생태연구결과의종합분석과모델링등은환경변화에대한긍정적인또는부정적인예측을가능하게한다. 제주지역에소나무림은한라산해발 1,000m 이상고지대에군락을형성하면서주로분포하는특성을갖고있으며점차고지대로이동되는것으로알려져있다 ( 고정군, 2007). 이러한소나무의이동이나확산은지구온난화와같은환경변화에의해그속도가더욱두드러질것으로예측되고있다. 이에따라고정군등 (2009) 은지난 2008년부터한라산내최대소나무군락의분포지역중한곳인영실일대장기생태연구를위한조사구를설치하고, 수목의분포특성을밝혀기후변화에따른소나무군락의변화를규명하는기초를제공하였다. 또한제주도내난대성상록활엽수림에서온대성낙엽활엽수림및한대성침엽수림까지기후변화에따른산림의변화를파악하기위한다양한연구접근이이루어지고있다 ( 고정군등, 2013; 고정군등, 2014; 고정군과김대신, 2015;

35 고정군등, 2016a; 고정군등, 2016b). 그러나아직까지장기적인모니터링을통한양적변화에대한조사결과는미흡한실정이다. 본연구는한라산장기생태연구를위해구축된영실일대소나무군락의수목특성변화를밝히기위해최근 8년동안소나무군락의종조성, 주요수목의흉고직경계급의빈도분포변화와함께새로운수목의출현등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자하였다. 연구내용및방법 1. 조사지개황한라산영실일대의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림은한라산국립공원내에위치하고있으며, 천연상태인임분의보존상태가양호하고소나무외에도많은온대성식물종이분포하고있다 ( 고정군등, 2009). 이일대소나무림의면적은 102ha로알려져있는데, 임령은 3영급에서 12영급이상까지다양하고임분구성도복층림인곳이많다 (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1998). 소나무림의장기생태연구를위해 1.0ha(100m 100m) 크기의조사구가지난 2008년에설치되었는데, 조사구는 N , E 에위치하며, 해발고도는 1,200m에서 1,280m로서부분적으로평지에서 10 까지완만한경사를이루고있다 ( 그림 1; 고정군등, 2009). 암석노출은 10% 이하로매우낮은상황이다. 그리고 1.0ha 소나무림조사구내에는 20m 20m 크기의방형구 25개를각각구분하였다. 2. 목본식물의동태조사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내장기생태연구조사구에분포하는목본식물에대한개체조사는지난 2008년조사된수목뿐만아니라새롭게성장하거나고사된개체목을대상으로 2016년 6월에모니터링을실시하였다.

36 그림 1. 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내장기생태연구를위한 조사구 (, m) 의위치도 A1~E5 : 조사구내방형구를의미함 장기생태연구조사구내에출현하는수목의동태변화를파악하기위하여목본식물의흉고직경 (DBH) 은지표면으로부터약 1.5m을기준으로직경테이프를이용하여측정하였는데, 흉고직경 3.0cm이상의모든목본에대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흉고측정위치는장기적인모니터링을위해번호표를부착한곳을기준으로하여오차를최소화하였다. 이때맹아로발생하여같은뿌리를갖는여러줄기가있을경우가장굵은줄기를선택하였다. 수목조사결과를이용한목본의중요치는상대밀도, 수관폭을기준으로산출된상대피도를합하여계산하였다. 또한현존식생의지속적인유지가능성및천이경향을예측하기위하여흉고직경의계급별빈도분포도를작성하였다. 빈도분포도의직경계급은조사대상수목중가장작은개체와큰개체사이의직경을 5.0cm간격으로 9개계급으로구분하여분석하였다.

37 결과및고찰 1. 임분수목의밀도및크기의변화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조사구내에확인된수목개체수는고사목을제외하고총 937본으로나타났으며, 소나무가전체개체수의 44.6% 에해당하는 418본이였다 ( 표 1). 전체적인수목밀도는지난 2008년에조사된 1,208본에비해 271본이감소하여, 지난 8년동안 22.4% 의개체수가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이중소나무가 112본으로전체감소된개체수의 41.3% 로나타났고, 소나무를제외한수종에서는 159본으로분석되었다. 표 1. 최근 8 년동안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의밀도및크기의 변화 식물명 생목밀도 ( 개체 /ha) 생목기저면적 ( cm2 /ha) 종구성 1) 2008 년 2016 년 2008 년 2016 년 2008 년 2016 년 RD RC RIV RD RC RIV 소나무 소나무외 전체 1, ,126.1 (83.3%) 95,260.1 (16.7%) 569,386.2 (100%) 1) RD: 상대밀도, RB: 상대피도, RIV: 상대중요치 432,340.4 (83.9%) 82,836.4 (16.1%) 515,176.8 (100%) 전체수목의단위면적당흉고직경을기준으로한기저면적은총 51.5m2 /ha 로나타났다. 이는 2008년에비해전체적으로 9.5% 인 5.4m2 /ha가감소한것으로개체수감소에기인한것으로판단된다. 이중소나무는 43.2m2 /ha로전체수목의기저면적에 83.9% 를차지하는것인데, 8년동안 8.8% 가감소하였다. 그러나현재까지영실일대소나무생목의기저면적은육지부월악산소나무림의기저면적인 28.8m2보다 78.8% 이상높은것으로이들지역에자라는소나무가상대적으로흉고직경등의생육상황이양호한것으로판단된다 ( 조현제등, 2006).

38 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임분내수목구성종의상대밀도, 상대피도를기준으로한상대중요치를보면소나무가 42.2으로분석되었으며서어나무를포함한나머지 19분류군의상대중요치의합은 57.9로나타났다. 임분내구성종의상대중요치는 2008년에비해소나무가다소감소하기는하였으나임분구성에큰변화는없는것으로판단된다. 또한전체적인임분구성목의밀도및크기를 2012년의조사결과에비교해도많은변화가일어나지않은것으로분석되었다 ( 고정군등, 2013). 그러나이들결과는소나무림의층위를구분하지않은전체적인분석결과로서층위에따른상대중요치는큰차이를보이고있다. 영실일대소나무림의살아있는수목의수고와흉고를기준으로생육상황의분포도를전체적으로소나무와소나무를제외한다른구성목의분포양상에많은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2). 즉, 상층은소나무가우점하는특성을보이는반면중층이하에서는소나무를거의찾아볼수없는특성을보이고있다. 이와같은수목의분포특성을 2008년과큰차이를보이지는않고있다. 2. 임분구성종별밀도의변화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조사구내에출현하는수목은소나무 (Pinus densiflora),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고로쇠나무 (Acer pictum var. mono),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굴거리나무 (Daphniphyllum macropodum), 주목 (Taxus cuspidata), 단풍나무 (Acer palmatum), 산딸나무 (Cornus kousa),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곰의말채나무 (Cornus macrophylla), 마가목 (Sorbus commixta),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두릅나무 (Aralia elata),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분단나무 (Viburnum furcatum),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등총 20분류군으로나타났는데, 출현종수는지난 2008년에비해덜꿩나무가새롭게추가된것이다 ( 그림 3).

39 그림 2. 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소나무 ( ) 및소나무이외수목 ( ) 의수고와흉고의분포도 지난 2008년이후지난 8년동안의수종별출현빈도의변화를보면, 소나무가 112본이감소한것을비롯하여대부분의수종에서고사목의발생으로개체수가감소된것으로나타났다. 특히, 굴거리나무와비목나무는 2008년에비해각각 33.3%, 31.8% 가감소되어매우높은감소율을보였다. 이외에도산벚나무, 층층나무, 단풍나무및산딸나무도비교적높은감소율을보였다. 이에반하여서어나무는 10.5% 에해당되는흉고직경 3.0cm이상인 8개체새롭게출현한것이특징적이었다. 또한때죽나무를비롯한윤노리나무, 분단나무및덜꿩나무등의관목림이지속적인흉고생장으로새롭게출현하는것으로나타났다.

40 그림 3. 최근 8 년동안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종별개체수 변화 Pd; 소나무 (Pinus densiflora), Cl: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Ps: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Ac: 고로쇠나무 (Acer pictum var. mono), Cc: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Qg: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Le: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Dm: 굴거리나무 (Daphniphyllum macropodum), Tc: 주목 (Taxus cuspidata), Ap: 단풍나무 (Acer palmatum), Ck: 산딸나무 (Cornus kousa), Ks: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Cm: 곰의말채 (Cornus macrophylla), Sc: 마가목 (Sorbus commixta), Pv: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Aa: 팥배나무 (Aria alnifolia), Ae: 두릅나무 (Aralia elata), Sj: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Vf: 분단나무 (Viburnum furcatum), Ve: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전체적으로소나무외에수종별출현빈도는고사목으로제외한기준으로층층나무가소나무를포함한전체개체수의 9.7% 인 91본이였으며, 서어나무가 9.0% 인 84본, 굴거리나무가 8.8% 인 82본, 비목나무가 7.7% 인 72본으로비교적높게나타났다. 그리고단풍나무가 3.8% 의출현빈도를보였고, 이외의산벚나무, 산딸나무등대부분의수종은 3.0% 이하의출현빈도를보였다. 두릅나무와덜꿩나무인경우는각각 1본만이관찰되어가장낮은출현빈도를보였다. 이처럼소나무를제외한수종별밀도는층층나무, 서어나무, 비목나무, 굴거리나무순으로밀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는 2008년에비해비목나무와

41 굴거리나무의밀도가서어나무의밀도와바뀐형태로변한것을알수있다. 이와같은결과를토대로 2008년의결과와비교하여보면 ( 고정군등, 2013), 전체적으로소나무의개체수가가장많게지속적으로감소되면서굴거리나무, 비목나무나층층나무도개체수가계속해서감소되는것으로나타났다. 이에반해서어나무와음나무등의낙엽활엽수종과분단나무등의관목류는지속적인증가를보이는것으로판단된다. 그러므로이곳의소나무림이장기적으로서어나무를중심으로하는낙엽활엽수림의발달가능성을예측할수있다. 3. 수목의흉고급분포변화영실일대소나무림에출현한수목을대상으로흉고직경급의변화를흉고직경 10cm를기준으로구분하여분석한결과, 소나무는 10cm미만의흉고직경을갖는개체는나타나지않았고, 모두 10cm이상의흉고직경을갖고있었다 ( 표 2). 표 2. 최근 8 년동안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의흉고생장 변화 식물명 2008년평균흉고 ( cm ) 2016년평균흉고 ( cm ) <10 10 <10 10 소나무 4.5 1) 31.9 _ 35.5 (±7.7) (±7.3) 소나무외 (±1.7) (±6.8) (±1.8) (±6.2) 전체 (±1.7) (±10.6) (±1.8) (±11.4) 1) 단일개체임 소나무의평균흉고직경은 35.5cm로나타났는데, 이는전체적으로소나무의흉고직경이 8년동안평균 3.6cm증가한결과이다. 소나무이외의구성목에서평균흉고의직경은 10cm이하의구성목에서는평균 6.9cm를나타냈고, 10cm이상의구성은평균 17.0cm를보였다. 이는지난 8년동안흉고직경이

42 10cm이하의구성목은평균흉고직경이 0.2cm가증가한것이고, 10cm이상의구성목은 1.9cm가증가한결과이다. 소나무림내살아있는나무를기준으로분석한흉고직경급의분포를보면전체적으로개체수분포가많은 2개의그룹으로구분되었다 ( 그림 4). 즉, 소나무를제외한수종이상당부분의개체들이분포하는 6.1~15.9cm범위의개체수는전체개체수의 31.8% 를차지하였다. 이에반해소나무를중심으로하는 31.0cm이상범위의개체수는전체개체수의 34.5% 를차지하며나머지개체들은대부분이이들중간범위에분포하는경향을보였다. 그림 4. 최근 8 년동안의임분내전체수목의흉고직급별변화 소나무림내전체수목의흉고직경급의분포를 2008년도와비교하여보면, 전체적인흉고직급별분포경향은고정군등 (2008) 의보고와같이소나무인경우흉고직경 31-35cm범위가높은비율을차지하는반면소나무이외의수종은흉고직경 20cm이하에분포하는특성으로보이고것과유사하였다. 그러나 41.0cm이상의개체수가 2008년에비해상대적으로증가한것은특징적인데, 이는소나무의흉고성장이지속되고있음을의미한다.

43 이와같은결과를종합하여보면한라산영실일대의소나무림은상층은소나무우점하고있으나수고및근원경이어린소나무의발달은이루어지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더불어숲의중층및하층에는서어나무, 층층나무, 비목나무등낙엽활엽수의발달이진행되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지난 8년동의특정한종의급격한쇠퇴나발달도아직까지는확인되지않고있다. 다만소나무이외의수종중서어나무가다른수종에비해상대적으로발달되는것이특이할만하다. 이는자연적천이과정뿐만아니라기후변화와관련하여소나무의쇠퇴와더불어낙엽활엽수림으로의발달이지속적으로이루어지고있으며, 기후변화나기상이변등에의해변화속도가빨라질가능성이있을것으로예측할수있다.

44 Changes of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Hallasan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for 8 Years Koh Jung-Goon 1), Kim Jong-Gab 2) and Koh Yoon-Jeong 1) 1) Research Department for Hallasa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 Forest & Recreation Divi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nges of species composition, growth status of woody plant species and diameter classes distribution in the permanent quadrat(1.0ha) of Pinus densiflora forest, which were designed for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in Mt. Hallasan during the last 8 years, 2008 to The number of woody plant species in the permanent quadrat were 20 taxa including Pinus densiflora, Viburnum erosum was added during the last 8 years. The entire individual of trees are total of 937 individuals, it was reduced to 271 individuals compared to Entire tree basal area by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is total of 51.5m2 /ha, and is 43.2m2 /ha of P. densiflora, it was reduced to 8.8% compared to Species occurrence frequency were relatively high in the 418 individuals of P. densiflora. Carpinus laxiflora increased by 10.5% compared to 2008 but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Lindera erythrocarpa decreased by 33.3% and 30.4%, respectively. DBH of P. densiflora increased by average 3.6cm, other species

45 over 10cm of DBH increased by average 0.8cm during the last 8 yea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upper layer of P. densiflora forest around Youngsil in Mt. Hallasan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but the emergence of young trees of P. densiflora has not been done. And, development of deciduous hardwoods such as C. laxiflora are constantly being made below P. densiflora forest. These changes such as decline P. densiflora, development of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succession progress in forest can predict that the rate of change will be faster by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46 인용문헌 고정군 지구온난화와한라산의식생.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No.6:3~17. 고정군, 이창흡, 김철수 기후변화대응한라산장기생태연구 -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보제1권 :202~214. 고정군, 김권수, 한태완 최근 5년동안동백동산일대상록활엽수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제12호 :17~29. 고정군, 김권수, 한태완 최근 5년동안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제12호 :3~16. 고정군, 김대신, 조병창 최근 5년동안한라산 5 16도로일대낙엽활엽수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제13호 :3~16. 고정군, 김대신 최근 5년동안한라산선작지왓일대구상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4호 :27~41. 고정군, 김대신, 고윤정, 김종갑. 2016a. 최근 5년동안한라산 1100도로일대침활혼효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5호 :9~24. 고정군, 김대신, 고윤정, 김종갑. 2016b. 최근 5년동안한라산속밭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5호 :25~40. 송국만, 김찬수, 고정군, 강창훈, 김문홍 한라산구상나무림의식생구조와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9(4):415~425. 조현제, 이중효, 배관호 월악산주요임분의종조성과구조 : 국가장기생태연구지소를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29(6):531~537.

47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한라산국립공원내우량소나무림보호대책. pp.87

48 거문오름분석구의분출시기 안웅산 1)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거문오름은세계자연유산으로등재된거문오름용암동굴계를형성한단성화산체로, 그형성시기는아직까지명확하게밝혀지지않았다. 본연구에서거문오름용암류및분석층하부에있는고토양층에대한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광여기루미네선스측정결과각각약 1.2만년과약 8천년의연대를얻었다. 지금까지 20~30만년전에형성된것으로알려졌던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약 8천년전이후형성된매우젊은용암동굴임을새롭게밝혔다. 서론 제주도에는 360여개의단성화산체 (monogenetic volcano) 들이분포한다. 서로다른시기에활동한개개의단성화산체에서분출한용암류및화산쇄설물들은서로덮고덮이는관계를가진다. 화산활동들사이의휴지기에는수 cm에서수 m에달하는지표퇴적물이발달하기도한다 ( 박기화외, 1998, 2000a, 2000b). 이들화산분출물사이에협재된퇴적층은화산분출의시기를추정하는좋은시료가된다 ( 예, Lian and Shane, 2000; Shaanan et al., 2011; Siebe et al., 2004, 2005). 최근제주도화산분출물 ( 용암류혹은화산 1) 교신저자 ; 전화 : , ungsan@korea.kr

49 쇄설물 ) 하부의고토양 ( 혹은생물편 ) 에대한방사성탄소연대측정및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으로 1만년이내의비교적젊은화산활동들이다수보고된바있다 ( 안웅산등, 2015; 이진영등, 2014a, 2014b; Sohn et al., 2015). 이러한기존의연구성과는지금까지분출시기가밝혀지지않은화산에대하여적절한연대분석시료만확보된다면분출연대를정확하게파악할수있음을의미한다. 본연구에서는거문오름과관련된용암류및분석층하부에서고토양층을찾아내고, 이에대한방사성탄소연대측정및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으로거문오름의분출연대를밝히고자한다. 재료및방법 1. 거문오름분석구와용암류거문오름분석구는하단의직경이약 1.4km, 비고가약 120m인말발굽분석구이다. 분석구의북쪽및북서쪽에는분석구중앙으로부터약 1.8km 걸쳐분석층이넓게분포한다. 분석구의한쪽부분이트여있는북동쪽방향으로는거문오름에서흘러나온용암이해안까지흘러약 13km에걸쳐분포한다 ( 그림 1). 거문오름용암류흐름과관련된일련의용암동굴들을거문오름용암동굴계라한다 ( 황상구외, 2005; 안웅산과황상구, 2009). 거문오름은초기용암분수 (lava fountain) 에의한분석구형성단계에서후기의용암분류 (lava effusion) 및용암동굴형성단계로진화해갔다 ( 안웅산, 2010). 이러한거문오름화산분화과정은화산분화과정초기에서부터상세히연구된하와이푸오오화산 (1983~ 현재 ) 에서의분화패턴과매우닮았다 (Heliker et al., 2003). 세계도처의많은단성화산들이비교적짧은시간동안활동하는것을감안할때 (Wood, 1980), 거문오름또한분석구형성단계에서용암류분류단계로의전환에있어시간적간극이크지않은일련의화산활동으로여겨진다. 지금까지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K-Ar연대측정으로 20~30만년전에형성된것으로보고된바있다 ( 황상구외, 2005). 최근고기원외 (2013) 는제주

50 도전역의지표및지하시료를대상으로연대측정을시도하면서만장굴인근 지역에서 Ar-Ar 연대측정을시도하였으나연대획득에실패한바있다. 그림 1. 북동쪽에서바라본거문오름과거문오름용암동굴계 ( 노란선 ). 연대분석 지점은검은화살표로표기 ((a), (b), (c) 지점 ) 2. 시료채취및분석퇴적물의퇴적시기를보다정확히파악하기위해동일한퇴적물시료에대하여방사성탄소연대측정이나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과같은서로다른연대측정기법을적용하여비교하거나 ( 예, 이진영외, 2014; ChongYi et al., 2012; Lee et al., 2011; Song et al, 2012), 동일층준의서로다른여러지점에서시료를채취하여연대결과를서로비교 ( 예, 안웅산, 2016; Lian and Shane, 2000; Siebe et al., 2004) 하는등다양한시도를할수있다. 본연구에서는연대측정의신뢰도를높이기위하여거문오름화산활동과관련된고토양층에대하여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 ( 이하 OSL) 과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각각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거문오름분석층하부의고토양 1 개지점, 거문오름용암하부의서로다른 2개고토양층에서채취하였다 ( 그림 1). 각지점에서는 OSL 시료와 AMS 시료를각각채취하여각각의연대결과

51 를비교할수있도록하였다. 거문오름분석층하부의고토양시료는거문오름에서서쪽으로약 1.5km 떨어진지점에서굴삭기를이용하여약 1.4m의분석층을제거하여채취하였다 ( 그림 1의 (a) 지점, 그림 2). 거문오름용암류하부의고토양시료는거문오름으로부터북동쪽으로약 5.2km 지점에서주채오름분석층과거문오름용암류사이에협재하는고토양에서 ( 그림 1의 b지점, 그림 3), 그리고거문오름으로부터약 12.2km 지점의채석장에서거문오름용암류하부에놓이는고토양 ( 그림 1의 c지점, 그림 4) 에서각각채취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은 Beta analysis 연구소에의뢰하여분석하였다. 연대는산세척된토양시료를분석한것으로, INTCAL 13을이용하여보정연대가계산되었다.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분석은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의뢰하여루미네선스자동측정장비 (Risø TL/OSL-DA-20) 를활용하여측정되었다. 결과및고찰 1. 연구결과거문오름관련분석층및용암류하부의고토양층에대한방사성탄소연대측정및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결과는표 1, 표 2와같다. 분석지점 a( 그림 2) 에서 OSL 시료 2점, 방사성탄소연대측정시료 3점을분석하였다. OSL과방사성탄소연대는거문오름분석층하부에놓이는고토양층의최상부와최하부시료에대하여각각분석되었다 ( 그림 2a). 방사성탄소연대 1개 (CS79-1-4(A)) 는 OSL연대 (CS79-1-4(O) 와직접적인비교를위해동일한지점에서측정되었다 ( 그림 2c).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은조립석영 (90~250μm) 과세립석영 (4~11μm) 으로구분하여실시하였다. 거문오름분석층직하부의고토양층최상부 (CS79-1-3) 에서조립석영과세립석영은각각 8.0±1.1 ka 와 7.6±0.9 ka로오차범위내에서서로일치한다. 고토양층의하부에서도조립석영 (10.4±1.3 ka) 과세립석영 (10.6±1.1 ka) 에서의 OSL 연대결과가오차범위내에서서로일치한다. 고토양층상부의연대가하부의

52 연대보다젊은값을보여퇴적학적으로조화로운연대결과를보인다 ( 그림 2c, 표 2). 방사성탄소연대측정으로는고토양층최상부 (CS79-1-9) 에서 11,840±150 cal yr BP를, 최하부 (CS ) 에서 13,130±60 cal yr BP를얻었다 ( 그림 2b). 고토양층의상부에서하부로연대증가를보인다. CS79-1-4의경우, OSL측정에서약 10.5 ka를, 방사성연대측정에서 13,090±50 cal yr BP의값을보인다 ( 그림 2c). 전반적으로분석지점 a에서방사성탄소연대가 OSL연대에비해약 3 ka만큼오랜연대를보인다. 그림 2. 거문오름분석층하부의고토양층에대한 OSL 및방사성탄소연대측 정결과. OSL 연대가방사성탄소연대에비해약 3~4 Ka 젊게나 타남. 분석지점 b( 그림 3) 에서거문오름용암류하부의고토양층은주채오름분

53 석구의경사면을따라경사지게분포하며, 약 25~30cm의두께를가진다. 고토양층의상부 10~15cm 이내에서 OSL, 방사성탄소연대측정용시료를각각 2점씩채취하여연대측정결과를비교하였다. OSL의경우조립석영 (90~250 μm ) 과세립석영 (4~11μm) 으로구분하여각각연대를측정하였다. 두시료의조립석영 OSL 연대는각각 7.3±1.0 ka와 7.8±1.1 ka(1σ 표준오차 ), 세립석영은 9.8±1.2 ka와 9.3±1.1 ka(1σ 표준오차 ) 로서 2σ표준오차의범위를고려하면서로일치하는결과로판단된다 ( 즉, 2σ표준오차범위에서조립석영의 OSL 연대범위는각각 ka, ka, 세립석영의 OSL 연대범위는 ka, ka이다 ). 인접한시료에대한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는 12,230~12,480 cal yr BP의범위를보인다. 방사성탄소연대는 OSL 연대보다는약 3-5 ka만큼오랜연대를보인다. 그림 3. 거문오름용암류와주채오름분석층사이에협재된고토양층에대한 OSL 및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 ( 그림 1 의 a 지점 ). 방사성탄소연대가 OSL 연대에비해약 3~5 Ka 만큼오랜연대를보임. 분석지점 c( 그림 4) 에서는거문오름용암류하부의고토양에대하여 OSL(1점 ), 방사성탄소연대측정 (2점) 을실시하였다. 이지점에서용암과용암사이의고토양층은얇은곳은 0.5m인데비해 ( 그림 4b) 두꺼운곳은 1 m 이상의두께를가진다 ( 그림 4c). OSL 측정에서는세립석영으로 7.5±0.3 ka 의연대를얻었다 ( 그림 3b). 이러한결과는분석지점 a와 b 지점에서의 OSL 연대와일치한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으로고토양층의상부에서 12,860±140

54 cal yr BP을, 그하부에서 17,050±320 cal yr BP를얻었다 ( 그림 3c).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는분석지점 b( 약 12.3 cal ka BP) 와는조화로우나, 분석지점 a의최상부연대 ( 약 11.9 cal ka BP) 에비해서는오랜값을보인다. 방사성탄소연대가 OSL연대에비해약 5 ka 만큼오래된연대를보인다. 그림 4. 거문오름용암류하부의고토양층에대한 OSL 및방사성탄소연대측 정결과 ( 그림 1 의 c 지점 ). 방사성탄소연대가 OSL 연대에비해약 5 Ka 만큼오랜연대를보임.

55 표 1.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 위치 그림 1 의 a 그림 1 의 b 그림 1 의 c 시료번호 위도 경도 δ13c ( ) 방사성탄소연대 yr BP 보정연대 (2σ range) Cal yr BP 비고 CS N33 27' 16.9'' E126 42' 17.2'' ,230±40 13,090±50 bulk organic CS N33 27' 16.9'' E126 42' 17.2'' ,150±40 11,840±150 bulk organic CS N33 27' 16.9'' E126 42' 17.2'' ,270±40 13,130±60 bulk organic AS N33 29' 37.3'' E126 45' 01.1'' ,370±40 12,230±170 bulk organic AS N33 29' 37.3'' E126 45' 01.1'' ,520±40 12,480±90 bulk organic AS N33 32' 33.8'' E126 47' 29.7'' ,950±70 12,860±150 bulk organic AS N33 32' 33.8'' E126 47' 29.7'' ,030±80 17,050±320 bulk organic 밑줄친두시료를제외한모든시료는베타분석연구소에서분석되었으며, 밑줄친 두시료는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분석되었다. 표 2.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결과 시료 ( 위치 ) 그림 1 의 a 그림 1 의 b 그림 1 의 c 시료번호 * 연간선량 (Gy/ka) 수분 함량 (%) 등가선량 (Gy)! 사용된 서브샘플 (n/n) OSL 연대 (ka, 1σ CS79-1-3(CG) 1.61± ± ±0.5 15/15 8.0±1.1 CS79-1-3(FG) 1.89± ± ±0.3 12/12 7.6±0.9 CS79-1-4(CG) 1.09± ± ±0.4 23/ ±1.3 CS79-1-4(FG) 1.28± ± ±0.3 11/ ±1.1 AS61-1-0(CG) 1.38± ± ±0.5 23/23 7.3±1.0 AS61-1-0(FG) 1.61± ± ±0.4 13/13 9.8±1.2 AS61-1-5(CG) 1.48± ± ±0.5 20/20 7.8±1.1 AS61-1-5(FG) 1.72± ± ±0.4 12/12 9.3±1.1 SE) 비고 그림 2 그림 3 AS42-3-1(FG) 3.77± ±0.7 12/12 7.5±0.3 그림 4 * CG: coarse quartz grain (90-250μm) FG: fine quartz grain (4-11μm)

56 2. 토의지금까지제주도고토양층연대측정연구에서는신뢰할만한연대결과를얻기위해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OSL 연대측정이동시에시도되어왔다. 하지만, 서로다른연대측정기법으로얻어진결과에나타나는연대불일치현상에대한심도있는논의는없었다. 국외의경우황사퇴적층, 호수퇴적층, 하성퇴적층등다양한퇴적환경에서의연대측정연구에서 OSL 연대와방사성탄소연대가서로잘일치한다는연구결과들도있지만 (Lang et al., 2003; Long et al., 2011), 많은대부분의비교연구들에서두연대측정결과에있어서로차이가있음이보고되고있다 (Antoine et al., 2009; Briant and Bateman, 2009; ChongYi et al., 2012; Feng et al., 2011; Lai et al., 2014; Lee et al., 2011; Long and Shen, 2015; Song et al., 2015; Song et al., 2012). OSL 연대에비해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가젊게얻어진예들을살펴보면, 약 25~30 ka보다젊은퇴적층에서는 OSL연대와방사성탄소연대가서로일치하는데반해, 그이상의연대에있어서방사성탄소연대는젊은탄소성분의영향으로실제퇴적연대보다젊은연대가얻어질수있어주의를기울여야함을지적하고있다 (Braint and Bateman, 2009: ChongYi et al., 2012; Lai et al., 2014; Long and Shen, 2015; Song et al., 2015). 그런가하면, OSL 연대가방사성탄소연대보다젊은연대를보이는사례들이보고되었는데, 그원인으로 old carbon 물질의혼입이제시하기도하였다 (Antoine et al., 2009; Lee et al., 2011). 본연구에서동일층준에놓이는서로다른세지점의고토양층에대하여방사성탄소연대와 OSL 연대를측정한결과, 방사성탄소연대 (~12 ka) 가 OSL 연대 (~8 ka) 보다약 4-5 ka 정도오랜값을보인다. 동일한시료에적용된서로다른연대측정법에서서로다른연대결과가얻어진것이다. 그원에대한검토가필요하다 방사성탄소연대의과대측정가능성 만약본연구에서얻어진 OSL 연대가퇴적층이실제퇴적된연대를지시 하는것이라고본다면, OSL 연대보다약 4-5ka 정도오랜연대를보이는방

57 사성탄소연대가 14C-deficient carbon(older carbon material) 의영향을받았을가능성을검토해야할것이다 (Antoine et al., 2009; Grimm et al., 2009; Lee et al., 2011). 탄소연대에영향을미치는 old carbon material의기원은연대측정대상인고토양의구성성분및퇴적기작에대한연구가뒷받침되어야보다구체적인원인을제시할수있을것이다. 하지만제주도고토양에대한기존연구들을통해 old carbon 물질의기원을유추해볼수있다. 기존연구에의하면제주도고토양은지구화학적으로한반도타지역의풍성퇴적물과제주도화산암류의혼합특성을보이며 ( 정기영외, 2015), 광물학적으로제주도현무암질화산활동으로는설명이어려운석영입자들이고토양내에평균 30% 이상 ( 이진영외, 2014) 에서최대 47.7%(Mizota et al., 1991) 까지포함되어있을뿐만아니라, 직경 10μm이하의석영입자에풍성기원석영의산소동위원소적특징 (δ18o = +16~17, Mizota et al., 1991) 이나타난다. 이러한특징은고토양층이풍성기원퇴적물임을지시하는것이다. 이러한해석은제주도고지대산정분화구 ( 동수악 ) 퇴적물의석영입자유입량변화를계절풍의강도변화에따른풍성기원물질의유입량변화로해석한 Lim et al.(2005) 의연구결과로도추정이가능하다. 즉, 산정호수퇴적물에풍성기원의황사물질이존재한다면제주도전역에풍성기원퇴적물이넓게분포한다는것을유추할수있기때문이다. 이번연구에서연대측정에사용된고토양층들이풍성기원의퇴적물이라면, old carbon 물질은퇴적당시황사유입과함께날려온암석기원의쇄설성방해석입자일수있다 ( 예, Grimm et al., 2009; Lee et al., 2011). 이러한추정은정기영외 (2011) 가한반도황사연구를통해암석기원의쇄설성방해석입자들이약 11%( 입자비율 ) 포함되었음을보고한것에의해뒷받침된다. 또다른 old carbon의기원으로퇴적층인근주변으로부터유입된보다오래된유기질탄소물질을들수있다. 제주도와같이시기를달리하는화산활동들이산발적으로발생하는조건에서는주변의오랜토양으로부터오래된유기질퇴적물이퇴적물로유입될가능성을배제할수없을것이다 ( 예, Rittenour et al., 2015). 향후이를증명하기위해고토양층의구성성분, 퇴적기작등에대한연구들이진행되어야할것이다.

58 2.2. OSL연대의과소측정가능성이번연구결과에서얻은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가실제고토양층의퇴적연대를지시하는것이라면, OSL연대가실제퇴적연대보다젊은시기를지시하는것이다. OSL연대가실제보다젊게얻어질수있는경우로는, 석영만을골라내는시료처리과정에서소량의장석이포함되는경우를생각해볼수있다. 하지만시료처리과정에서 IR테스트를별도로실시하였으며, 그값이무시할정도로체크되었기에때문에장석의영향에의한연대치감소의가능성은배제할수있다. 다른가능성은거문오름분출시고토양층이열굽힘에의해 OSL연대가재설정되었다는것이다. 즉약 12 ka에퇴적된퇴적물이약 8 ka 전거문오름용암에덮이면서 OSL 연대만재설정되었을가능성을생각해볼수있다. 고토양이상부의용암류와직접접하는분석지점 b 나 c의경우그러한가정이가능하다. 하지만강하분석층과접하는분석지점 a의경우굽힘작용에의해 OSL연대가재설정되었을가능성은낮다. 또다른가능성으로교란작용과같은퇴적후작용에의해상부에분포하는젊은입자들이층의하부로이동하여실제퇴적연대보다젊은연대를나타내는경우를생각할수있다 ( 예, Forrest et al., 2003). 하지만분석지점 a 와같이약 1m 두께의강하성 (air-fall) 분석층의하부에놓이는고토양층의 OSL 연대는분석층이새롭게쌓인직후생물교란작용이완료된시기를지시하는것이다 ( 그림 1의 a 지점, 그림 2). 즉이지점의 OSL 연대는고토양층의퇴적시기혹은늦어도교란작용의마지막단계를지시하는것이다. 이러한해석은분석층아래에서채취한 OSL시료 (CS79-1-3, CS79-1-4) 가조립석영및세립석영에서모두오차범위내의동일한연대결과를보인다는것에의해지지된다 ( 그림 5). 본연구에서서로다른세지점에서얻어진 OSL연대가퇴적후교란작용, 퇴적후열굽힘, 시료처리에서의오류등의이유로과소평가되었을가능성은매우낮다고판단된다. 이상과같이거문오름과관련하여얻어진 OSL연대와방사성탄소연대를종합검토해보면, 거문오름의분출시기는 OSL 연대측정으로얻어진고토양층의연대인약 8 ka 전이후로추정된다. 고토양층의방사성탄소연대가 OSL연

59 대보다오랜것으로나타나는것은풍성기원의고토양층내에포함된 old carbon 물질 ( 암석기원의쇄설성 inorganic carbon 물질및 older organic carbon 물질 ) 의영향으로추정되며, 향후이에대한보다심도있는연구가필요할것이다. 3. 향후전망과과제제주도에분포하는 360여개의단성화산체들중극히일부만이최근분출시기가밝혀지고있다 ( 예, 안웅산외 2015; 안웅산과최형순, 2015; 임재수외 2016; 이진영외, 2014). 연대측정을기반으로한제주도화산활동사연구는시작단계인것이다. 금번연구는좁은의미에서는하나의단성화산체의화산분출의시기를밝히는것이지만, 넓은의미에서는제주도화산활동의시간적주기더나아가시공간적분출패턴을파악할수있어, 향후화산활동예측에도크게기여할것이다 (eg, Siebe et al., 2004, 2005; Lian and Shane, 2000). 향후연대측정의정밀도증대와신뢰도향상을위해서는연대측정의대상이되는고토양층의기원및퇴적기작등연대측정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대한보다다양한연구들이진행되어야할것이다. 더나아가화산암을대상으로하는 Ar-Ar 연대측정이나 U시리즈비평형연대측정과같은분석기법의확대적용이요구된다.

60 그림 5. 분석지점 a 에서의 SA(single aliquot) OSL 데이터의 De 분포도

61 결론 본연구에서는거문오름분출시분출한용암류와분석층을추적하여그하부에놓이는고토양층을찾아내고, 그고토양층을대상으로방사성탄소연대측정및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을실시하였다. 연대측정결과방사성탄소연대는약 12 ka, OSL연대는약 8 ka의연대를보인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가 OSL 연대보다오랜연대를보이는것은고토양내에포함된 old carbon 성분에의한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지금까지 20~30만년전에형성된것으로알려졌던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최소한약 8 ka 전이후에형성된매우젊은용암동굴임을새롭게밝혔다. 향후고토양층의연대에대한보다정확한해석을위해서는고토양이라는연대측정대상물질이퇴적되는퇴적환경과퇴적기작에대한연구들이수행되어야할것이다.

62 Eruption timing of the Geomun Oreum Ung san Ahn Research Department for Hallasa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mmary

63 인용문헌 고기원, 박준범, 강봉래, 김기표, 문덕철, 제주도의화산활동. 지질학회지, 49(2):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외 8인, 1998, 제주애월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290p. 박기화, 조등룡, 김정찬, 2000a, 모슬포한림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56p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외 9인, 2000b, 서귀포하효리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163p. 안웅산, 2010, 제주도만장굴의용암공급지와형성과정, 안동대학교박사학위논문. 178p. 안웅산, 고문헌에기록된제주도최후기화산활동에관한연구. 암석학회지, 25(1): 안웅산, 손영관, 윤우석, 류춘길, 정종옥, 강창화, 사람발자국퇴적층하부의테프라유리조성연구. 지질학회지, 51(2): 안웅산, 최형순, 매우젊은곶자왈용암류의연대. 지질학회지, 52(4): 안웅산, 황상구, 2009a. 만장굴용암동굴을형성한용암의공급지에관한연구. 암석학회지, 18(3): 안웅산, 황상구, 2009b. 세계자연유산만장굴의규모와내부구조가갖는의미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 이진영, 김진철, 박준범, 홍세선, 임재수, 최한우, 2014a. 제주도상창리제 4 기퇴적층연대와화산활동. 지질학회지, 50(6): 이진영, 홍세선, 최한우, 남욱현, 임재수, 김진철, 카츠키코우타, 2014b, 제주도화산활동에서제4기퇴적층의지질학적해석예비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145p. 임재수, 이진영, 김진철, 홍세선, 최한우, 제주도고산층의고환경및화산학적의미. 지질학회지제, 51(6): 정기영, 최호정, 권석기, 년봄철황사단일입자의광물학몇혼

64 합상태. 한국광물학회지, 24(3): 황상구, 안웅산, 이문원, 윤성효, 제주도북동부거문오름용암튜브계의형성과내부구조. 지질학회지, 41(3): 정기영, 한아름, 조민지, 박미연, 곽태훈, 안웅산, 2015, 제주도고토양의기원에관한광물학적및지구화학적연구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 68. Antoine, P., Rousseau, D.-D., Fuchs, M., Hatté, C., Gauthier, C., Marković, S.B., Jovanović, M., Gaudenyi, T., Moine, O. and Rossignol, J., High-resolution record of the last climatic cycle in the southern Carpathian Basin (Surduk, Vojvodina, Serbia). Quaternary International, 198(1): Briant, R.M. and Bateman, M.D., Luminescence dating indicates radiocarbon age underestimation in late Pleistocene fluvial deposits from eastern England. Journal of Quaternary Science, 24(8): ChongYi, E., Lai, Z., Sun, Y., Hou, G., Yu, L. and Wu, C., A luminescence dating study of loess deposits from the Yili River basin in western China. Quaternary Geochronology, 10: Feng, Z.-D., Ran, M., Yang, Q., Zhai, X., Wang, W., Zhang, X. and Huang, C., Stratigraphies and chronologies of late Quaternary loess paleosol sequences in the core area of the central Asian arid zone. Quaternary International, 240(1): Grimm, E.C., Maher, L.J. and Nelson, D.M., The magnitude of error in conventional bulk-sediment radiocarbon dates from central North America. Quaternary Research, 72(2): Heliker, C., Swanson, D.A. and Takahashi, T.J., The Pu'u O'o-Kupaianaha eruption of Kilauea Volcano, Hawai'i : the first 20 years. Professional Paper 1676, USGS. Lai, Z., Mischke, S. and Madsen, 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new OSL dates on the formation of the Shell Bar

65 in the Qaidam Basin, northeastern Qinghai-Tibetan Plateau. J Paleolimnol, 51(2): Lang, A., Hatté, C., Rousseau, D.-D., Antoine, P., Fontugne, M., Zöller, L. and Hambach, U., High-resolution chronologies for loess: comparing AMS 14 C and optical dating results.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10): Lee, M.K., Lee, Y.I., Lim, H.S., Lee, J.I., Choi, J.H. and Yoon, H.I., Comparison of radiocarbon and OSL dating methods for a Late Quaternary sediment core from Lake Ulaan, Mongolia. J Paleolimnol, 45(2): Lian, O.B. and Shane, P.A., Optical dating of paleosols bracketing the widespread Rotoehu tephra, North Island, New Zealand. Quaternary Science Reviews, 19(16): Lim, J., Matsumoto, E. and Kitagawa, H., Eolian quartz flux variations in Cheju Island, Korea, during the last 6500 yr and a possible Sun monsoon linkage. Quaternary Research, 64(1): Long, H., Lai, Z., Wang, N. and Zhang, J., A combined luminescence and radiocarbon dating study of Holocene lacustrine sediments from arid northern China. Quaternary Geochronology, 6(1): 1-9. Long, H. and Shen, J., Underestimated 14C-based chronology of late Pleistocene high lake-level events over the Tibetan Plateau and adjacent areas: Evidence from the Qaidam Basin and Tengger Desert. Science China Earth Sciences, 58(2): Mizota, C., Endo, H., Um, K., Kusakabe, M., Noto, M. and Matsuhisa, Y., The eolian origin of silty mantle in sedentary soils from Korea and Japan. Geoderma, 49(1): Rittenour, T.M., Coats, L.L. and Metcalfe, D., Investigation of late and post-fremont alluvial stratigraphy of Range Creek, east-central

66 Utah: Use of OSL when radiocarbon fails. Quaternary International, 362: Shaanan, U., Porat, N., Navon, O., Weinberger, R., Calvert, A. and Weinstein, Y., OSL dating of a Pleistocene maar: Birket Ram, the Golan height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01(1-4): Siebe, C., Arana-Salinas, L. and Abrams, M., Geology and radiocarbon ages of Tláloc, Tlacotenco, Cuauhtzin, Hijo del Cuauhtzin, Teuhtli, and Ocusacayo monogenetic volcano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Sierra Chichinautzin, México.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41(3): Siebe, C., Rodríguez-Lara, V., Schaaf, P. and Abrams, M., Radiocarbon ages of Holocene Pelado, Guespalapa, and Chichinautzin scoria cones, south of Mexico City: implications for archaeology and future hazards. Bulletin of volcanology, 66(3): Sohn, Y.K., Yoon, W.S., Ahn, U.S., Kim, G.B., Lee, J.H., Ryu, C.K., Jeon, Y.M. and Kang, C.H., Stratigraphy and age of the human footprints-bearing strata in Jeju Island, Korea: Controversies and new finding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4: Song, Y., Lai, Z., Li, Y., Chen, T. and Wang, Y., Comparison between luminescence and radiocarbon dating of late Quaternary loess from the Ili Basin in Central Asia. Quaternary Geochronology, 30: Song, Y., Li, C., Zhao, J., Cheng, P. and Zeng, M., A combined luminescence and radiocarbon dating study of the Ili loess, Central Asia. Quaternary Geochronology, 10: 2-7. Wood, C.A., Morphometric evolution of cinder cone.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7:

67 노루개체수모니터링 오장근 1)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본연구는한시적유해동물재지정이후노루개체수변화를파악하기위하여서귀포시성산읍, 안덕면과제주시구좌읍과애월읍지역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조사결과평균서식밀도는평방킬로미터당 3.41마리로조사되었다. 조사지역별밀도를보면, 안덕면지역이 1.82(±0.92) 마리 (/ km2 ), 성산읍지역 3.33(±1.82) 마리 (/ km2 ), 애월읍지역이 2.66(±1.87) 마리 (/ km2 ) 이었고구좌읍지역이 5.88(±2.47) 마리 ((/ km2 )) 로조사되었다. 연도별노루개체수는조사장소중 3개읍면 ( 안덕, 성산, 애월 ) 에서감소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나구좌읍지역에서는증가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즉안덕면지역에서는 2015년 3.05마리 (/ km2 ) 에서 2016년 1.82마리 (/ km2 ) 로감소하였고, 성산읍지역은 5.16마리 (/ km2 ) 에서 3.33마리 (/ km2 ) 로, 애월읍지역은 5.25마리 (/ km2 ) 에서 2.60마리 (/ km2 ) 로감소한반면구좌읍지역의노루서식밀도는 2015년 4.78마리 ( km2 ) 에서 5.88마리 (/ km2 ) 로증가하였다. 따라서앞으로적정서식밀도이하로감소하는지역에대해서는보호프로그램을마련하여시행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1) 교신저자 ; 전화 : , ojg6532@korea.kr

68 서론 제주에서식하는노루는한때멸종위기에처할정도로관찰하기어려운종이었으나 1980년대부터올가미수거와겨울철먹이주기등노루의대대적인보호운동전개로노루개체수증가와더불어제주도전역으로확산되어서식하면서농작물피해, 로드킬에의한교통사고, 산림내어린나무나조경수에도피해를주는등많은문제점이나타나고있는실정이다. 제주의자연환경은노루가서식하기에최적의조건을갖추고있는곳이다. 제주도전역에산림과오름등이산재해있어노루가서식하거나은신할만한곳이많다. 특히제주도전역에분포하는오름은노루의좋은서식지와번식지역할을하는곳이다. 제주도의오름이란독립된산또는봉우리를이르는제주방언으로제주도의한라산자락에산재하는기생화산들로 ( 김, 1995 오름나그네 ), 분화구를갖고있고화산쇄설물로이루어져있으며화산구의형태를갖추고있는것으로제주도에는제주시 210곳, 서귀포시 158곳등 368개오름이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1997, 제주의오름 ). 제주의노루는 1990년말부터제주도전역에확산서식하면서오름, 곶자왈등산림지역을중심으로서식하면서인근농작물에피해를주기시작하였다. 특히노루에의한농작물피해는 1990대초부터발생하기시작하여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으며, 노루와차량과의충돌로노루뿐만아니라사람의인명및재산상의피해도주고있다. 농작물피해등노루에의해발생되는문제점들을해결하기위하여노루출입방지그물망지원, 전기책시설지원과농작물피해보상등다각도로노력해왔음에도불구하고농작물피해나노루에의한각종문제들이줄어들지않고있다. 이러한문제점들을해결하기위하여 2013년 7월 1일제주에서식하는노루를한시적유해동물로지정하여농작물피해를주는노루에대해포획하는방안을마련시행하여 5천여마리를포획한바있다. 또한제주지역에알맞은적정서식개체수를파악하기위하여 2015년도개체수정밀조사를실시하여 7,600 마리가서식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노루가먹이로이용가능한식물을대상으로연간생물량을분석하여적정서식개체수를분석한결과제주지역에 6천여마리가적절

69 하다는결과를발표하기도했다. 이를근거로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적정서식개체수를기준으로관리방안마련을위해한시적유해동물지정을 2019년 6월 30일까지연장하여농작물에피해를주는노루에한해포획하고있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구좌읍, 성산읍, 애월읍과안덕면등 4개읍면을선정하여매년노루개체수를변화를파악하여적정개체수유지및제주노루가효율적으로관리하는데자료로활용하고자한다. 재료및방법 노루개체수변화모니터링조사는 2016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노루가주로활동하는시기인일몰후부터 3~4시간동안현장조사를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노루에의한농작물피해가극심한지역인제주시구좌읍과애월읍지역, 서귀포시성산읍과안덕면지역을조사장소로선정하여해발 600m 이하지역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 그림 1). 그림 1. 조사지역위치도

70 구좌읍은제주시도심에서 35km동쪽에위치하고있고, 면적은 km2로제주특별자치도면적의약 10% 를차지하고있으며 12개리로구성되어있다. 이지역의기온은평균 15.7 로온화하고편차가적은편이며강수량은평균 2,049.7mm로제주도평균 1,566.2mm보다높아강우가많은지역에속한다. 구좌읍지역의오름은송당리를중심으로 40개오름이분포하고있으며, 제주도읍면중가장많은분포를보이는지역으로오름의면적은약 10.4km2로조사지역중오름면적이가장큰곳이다. 또한구좌읍에서는구좌 성산곶자왈지대가분포하고있으며오름을중심으로종달, 한동, 세화, 상도, 하도등 3 개곶자왈로세분할수있다 ( 제주발전연구원, 2010). 애월읍은제주시동지역의서쪽에바로인접하고있는지역이다. 애월읍의경계선은대략동쪽으로는광령천을기점으로하여서쪽으로는금성천과어도오름까지, 남쪽으로는한라산서쪽끝자락까지뻗어있다. 애월읍에는법적지위를지닌 24개의법정리로조직되어있다. 이곳은 50여개의오름이분포하고있으며오름의면적은약 9km2로조사지역중오름의수는가장많은반면면적은상대적으로작아작은오름들이분포하는곳이다 ( 표 1). 표. 1. 조사지역의면적및오름현황 조사지역 면적 ( km2 ) 오름현황 (400m 이하 ) 오름면적 구좌읍 애월읍 성산읍 안덕면 성산읍은제주도의동쪽끝자락에위치한우리성산읍은영주십경중제1 경인성산일출봉, 초원과언덕그리고천혜의바다를간직한섭지코지가있는곳으로경사가완만한한라산남동쪽산록에위치하기때문에대부분이해발고도 200m 이하의낮은지대에위치해있다. 면적은 km2이며, 임야 km2로전체면적의약 50% 로차지하고있고, 목장용지는 4.48km2등이며평균강수량은 1,841mm, 평년평균기온은 15.2 이다. 이곳은일출봉, 두산봉, 대왕

71 산, 모구리오름등 24개오름이본포하고있으며, 오름의면적은 5.84km2로조사지역중오름면적이가장작은곳으로오름을제외한경작가능한지역은고구마, 보리, 콩, 유채, 당근등을주로재배하는경작지로구성되어있다 ( 표 1). 안덕면지역은제주도의서남부지역에위치하고있으며 10개의법정리와 19개마을로구성되어있으며 10,000여명이거주하고있는지역이다. 면적은 km2으로경작지 20.43km2, 임야가 55.51km2로전체면적의 52.6% 를차지하고있다. 이곳은 24개오름이분포하고있으며, 면적으로는 9.43km2정도로전체면적의약 9% 가량이오름이분포하고있어면적과오름의수는적은반면오름의면적은상대적으로넓은지역이다 ( 표 1). 조사장비는야간에대상동물이식별이가능한적외선카메라 (Recon Ⅲ -MRTB, FLIR-USA), 레이저거리측정기 (Laser-800, BUSHNELL, china), 서치라이트와조사경로및조사거리를파악하고기록하기위한 GPS, GPS 기능이있는노트북등을활용하였으며위장비로조사가불가능한지역에서는사람과사냥개등을동원하여조사에임했다. 현지조사는차량과사람출입이가능한모든지역을대상으로조사하였으나조사지의상황에따라상이한방법을이용하여조사하였다. 목장용지및경작지역등시야가확보되고도로가있는지역에서는조사차량지붕에적외선카메라를설치하여저속 (10~20km/h) 으로이동하면서조사하였으며서식이의심스러운지점에서는정차후확인하는방법으로조사하였다. 도로가없는지역은도보로이동하면서조사하였다. 조사면적산정및조사자료는현지관찰지점을지도화하고개체수를입력할수있는프로그램을만들어 GPS 기능이있는미니노트북과인터넷을통해 Mapping하거나입력하여면적을산정하였다. 결과및고찰 본연구는한시적유해동물지정이후노루개체수변화를파악하기위하 여제주시구좌읍지역과애월읍지역, 서귀포시성산읍지역과안덕면지역해

72 발 600m 이하지역에한하여차량등을활용하여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결과평균서식밀도는 3.41마리 (/ km2 ) 로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구좌읍지역 5.88(±2.47) 마리 (/ km2 ), 애월읍 2.66(±1.87) 마리 (/ km2 ), 서귀포시성산읍지역 3.33(±1.82) 마리 (/ km2 ), 안덕면지역 1.82(±0.92) 마리 (/ km2 ) 로조사되었다 ( 그림 2). 관찰된개체중암컷이 50%, 수컷 30%, 미성숙개체 20% 순으로조사되었으며, 암수비율은 6 : 4 정도서식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고, 새끼의생존율은어미 1마리당 0.57마리로조사되었다 ( 그림 3). 9 마리 / km 구좌읍애월안덕성산 그림 2. 조사지역별서식밀도비교 Male Female Yearing 그림 3. 조사지역내암수와새끼의비율 (%) 비교

73 구좌읍지역노루서식밀도는킬로평방미터당 5.88마리가서식하는것으로나타나타지역에비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다. 이러한밀도는 2015년도 4.78마리 (/ km2 ) 에비해 23% 정도증가한것이다 ( 오등, 2015, 그림 4). 연도별로분석한결과 2013년도에평방킬로미터당 10.78마리 ( 약 2000여마리 ) 이었던것이 2014년에 4.26마리 (/ km2 ) 로급감한후 2015년 4.78마리 (/ km2 ), 2016년도에 5.88 마리 (/ km2 ) 로 2014년도이후밀도가증가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제주노루가한시적유해동물로지정및재지정되면서농작물피해지인근노루는지속적으로포획됨에도불구하고밀도가증가한것은여러가지요인에의해증가했을것으로판단된다. 구좌읍지역은대면적의곶자왈과해발 400m 이하지역에 40여개의오름 ( 약 11km2 ) 이산재해있어노루의안전한은신처로제공되고있기때문으로판단된다. 특히한시적유해동물지정된 2013년부터 2014년사이에급격히감소한후 2016년까지지속적으로증가경향을보여주고있다 Individual Density 년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0.00 그림 4. 구좌읍지역연도별노루개체수및밀도변화 이는유해동물지정운영에따른포획, 총소리, 사냥개등포획활동으로인 해상대적으로위협요인이적은곶자왈지대나목장지대등사람출입이적은

74 장소로이동하는등주변경작지지역에서곶자왈등안전한지역으로유입되거나인근읍면지역에서안전한은신처를찾아유입되는개체가많아지면서서식개체수가증가한것으로판단된다. 이러한경향은향후중산간지역및저지대의곶자왈및오름등에서식하는노루관리방안마련시고려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애월읍지역의노루서식밀도는킬로평방미터당 2.6마리 (/ km2 ) 로나타나구좌읍지역에비해밀도가낮은것으로분석되었다. 연도별로는 2014년 7.58마리 (/ km2 ) 에서 2015년 5.25마리 (/ km2 ) 로감소하였고본조사에서는 2015년에비해더감소하여 2.6마리 (/ km2 ) 로감소한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5). 애월읍지역은 50여개의오름이분포하고있으며오름의면적은약 9km2로조사지역중오름의수는가장많은반면면적이상대적으로작은오름이분포하는곳이며, 상대적으로곶자왈등면적이적은반면산림과산림사이에경작지로둘러싸여있어한시적유해동물지정이후포획및포획활동으로서식에제한요인이많은반면상대적으로안전한서식지가적어이곳에생존한개체들은인근지역으로이동하여서식함으로써밀도가지속적으로감소하는겻으로판단된다. 특히본조사에서분석된서식밀도는 2015년도적정서식밀도 3.3마리km2에비해낮은밀도이기때문에농작물피해지와중산간지역등노루보호관리방안을마련하여시행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농작물피해지역내에서적정서식밀도를유지하더라도노루에의한농작물피해는지속적으로발생하기때문에이에대한대책도마련시행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성산읍지역은노루서식밀도는킬로평방미터당 3.33 마리로나타나애월읍지역이나안덕면지역에비해서식밀도는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구좌읍지역에비해밀도가낮은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연도별로는 2014년 11.2마리 (/ km2 ), 2015년 5.16마리 (/ km2 ), 2016년도 3.33마리 (/ km2 ) 로연차적으로감소하고있었으며적정서식밀도에근접한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6). 성산읍지역은제주도의동쪽끝자락에위치한곳으로대부분이해발고도 200m 이하의낮은지대에위치해있고전체면적의약 50% 정도인 53.84km2가임야이고, 목장용지 4.48km2와오름 4,32km2로노루의서식지역할을하고있으나성산읍이해발 200m 이하인저지대지역이고경작지가성산읍전역에분포하고있어한시적

75 Individual Density 년 2014년 2015년 2016년 그림 5. 애월읍지역연도별개체수및밀도변화 Individual Density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그림 6. 성산읍지역연도별개체수및밀도변화 0.00

76 유해동물로지정된농작물에피해를주는노루에해당되기때문에동시다발적으로포획됨에따라개체수가감소하거나포획되지않고생존한개체들은보다안전한인근지역으로이동하여서식하는경향이있어서식밀도가지속적으로감소하는것으로판단된다. 안덕면지역은노루서식밀도는킬로평방미터당 1.82마리로나타나타조사지역에비해가장밀도가낮은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연도별로는 2013년 9.0마리 (/ km2 ), 2014년 4.02마리 (/ km2 ), 2015년도 3.05마리 (/ km2 ), 2016년 1.82마리 (/ km2 ) 로 2013년이후지속적으로감소하는경향이있었다 ( 그림 7). 안덕면지역내노루가서식가능한곳은전체면적의 52%(55.51km2 ) 로 24개오름과곶자왈이분포하고있어노루가서식하기에적절한곳이라판단되는곳이나한시적유해동물로지정운영에따른개체수감소와더불어밀렵등도성행하고있을것으로추정된다. 또한제주도전체적으로우후죽순처럼제주도도처에주택등인공시설물이들어서면서노루의서식공간축소와방해요인증가로개체수가감소했을것으로판단된다 Individual Density 년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그림 7. 안덕면지역연도별개체수및밀도변화 0.00

77 본연구에서제주도전역노루개체수변화를파악하기위하여 4개읍면을대상으로모니터링한결과구좌읍지역만이밀도가증가하였으나그외조사구에서는지속적으로감소추세에있었다. 특히안덕면지역과애월읍지역은적정서식밀도보다낮은개체가서식하고있었으며, 성산읍지역도적정서식밀도에근접해있어향후이러한지역에대한노루보호관리방안을마련하여시행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78 Population monitoring of Roe deer in Jeju Jang-Geun Oh Research Department for Hallasa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mma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y number of roe deer populations after designated temporarily harmful animal at Andeok-myeon, Seongsan-eup, Aewol-eup and, Gujwa-eup in Jeju Province. The results were surveyed average density was 3.41 individuals per square kilometers. Density by investigation area were 1.82(±0.92) individuals per square kilometers at Andeok-myeon, 3.33(±1.82) at Seongsan-eup, 2.66(±1.87)at Aewol-eup and, 5.88(±2.47) at Gujwa-eup. The number of Individuals on roe deer by annuals were declined at three survey site(andeok-myeon, Seongsan-eup and Aewol-eup) but inclined at investigation place(gujwa-eup). Then, the density(individual/ km2 ) at Andeok-myeon was declined from 3.05 indi./ km2 in 2015 to 1.82 indi./ km2 in 2016, at Seong-eup were 5.16 indi./ km2 in 2015 to 3.33 indi./ km2 in 2016, at Aewol-eup were 5.25 indi./ km2 in 2015 to 2.60 indi./ km2 in But the density at Gujwa-eup were inclined from 4.78 indi./ km2 in 2015 to 5.88 indi./ km2 in Therefore in areas below the optimum density, it is judged that the protection program should be prepared and enforced.

79 인용문헌 오장근 최근 3년동안한라산국립공원내노루분포특성.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3 : 오장근 제주노루의분포특징과분류학적재조명.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4 : 오장근. 2005b. 제주노루의서식지이용특징.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4 : 오장근, 이창흡, 김철수 제주도에분포하는노루의개체수조사. 환경자원연구원보 2: 오장근, 노루의분포특징과보호관리방안. 제주노루의가치와효율적인관리방안심포지엄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P 오장근, 이영돈, 신창훈, 양영환. 2014, 농작물피해극심지역노루개체수조사.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13: 오장근, 정세호. 2016, 농작물피해지역노루개체수조사.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15: 서귀포시 서귀포시통계연보. 제주시 제주시통계연보. 제주발전연구원, 구좌읍미래발전계획에관한연구

80 애월과구좌곶자왈의 계절별토양특성및세균의다양성 고석형 1), 김종식 2), 이영돈 1), 강희석 1), 신창훈 1) 1)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2)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요약 본연구는제주곶자왈생태계에대한연구의일환이며, 2014년교래와산양곶자왈에이어 2016년에는애월과구좌곶자왈지역을조사하였다. 이들곶자왈토양의이화학적특성및세균의다양성을계절별로분석하여그특성을이해하고, 토양미생물의역할을규명하고자하였다. 곶자왈토양의미생물다양성에대한연구를위해서토양으로부터직접 DNA를추출및정제하여대량의유전자를해독하는분석기법인 pyrosequencing 분석법을도입하였다. 토양시료는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인한라산 5.16 도로변의 3개의채취지점을선정하였으며, 계절별로각각 6점씩총 72점을채취하였다. 조사지의토양은미사와점토함량이높은지역으로화산회토의특성을잘나타내었다. 토양 ph는 4.40~5.82 범위였으며, 가을에평균토양 ph가 5.36으로가장높았으며, 봄에토양 ph가 4.67로가장낮았다. 평균전기전도도는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에서각각 3.94dS/m, 1.81dS/m 및 1.32dS/m로애월곶자왈에서높은전기전도도를보였다. 평균유기물함량은애월과구좌곶자왈이각각 50.56%, 33.59% 로매우높은경향을보였으며, 대조구도 24.39% 로함량이높았다. 총질소는 % 범위였으며, 대조구보다애월과구좌곶자왈에서약 2배정도높은함량을보였다. 평균유효인산은애월과구좌 교신저자 ; 전화 : , ksh5251@korea.kr

81 곶자왈에서각각 72mg / kg, 17mg / kg로애월곶자왈에서함량이높았으며, 대조구는 12mg / kg를보였다. 교환성양이온함량은 K 0.18~1.78cmolc/ kg, Ca 0.82~63.87cmolc/ kg, Mg 0.41~11.52cmolc/ kg및 Na 0.16~2.15cmolc/ kg범위였다. 지점별평균교환성양이온은애월과구좌곶자왈이대조구보다높은함량을보였다. 양이온교환용량은 31.60~67.50cmolc/ kg범위였다. 지점별평균양이온교환용량은애월 47.81cmolc/ kg, 구좌 49.99cmolc/ kg및대조구 39.43cmolc/ kg이었으며 30cmolc/ kg이상으로매우높았다. 곶자왈토양의세균다양성분석을위한전체적인관련성을규명하기위해서 pyrosequencing data를이용하여작성한계통도에서는애월곶자왈과구좌곶자왈이근린관계에있었으며, 반면곶자왈과대조구는전체적인유연관계가멀다는것을알수있었다. 주성분분석 (PCA) 에서는시료전체를통틀어서세균군집의 grouping이계절과관계없이지역별로구분되는결과를보였다. 즉지역및계절에따른세균분포에대한분석결과는지역이토양세균의군집과의관련성이매우높았으며, 세균군집이계절에대한영향이거의없음을알수있었다. 다양성지수 Shannon index는 7.51( 대조구토양 ) > 7.44( 애월곶자왈토양 ) > 7.24( 구좌곶자왈토양 ) 순으로전체적으로아주높은다양성을보였다. Actinobacteria 목이애월곶자왈에서 31.5% 의높은분포를보였으며, 구좌곶자왈에서 25.45% 의분포를보였다. 질소고정세균인 Bradyrhizobium은애월 25.11%, 구좌 21.85% 이며, Rhizobium은애월 0.4%, 구좌 0.39% 를보였으며, 이들을포함하는 Rhizobiales 목은구좌 49.38%, 애월 48.92% 의높은분포를보였다. 따라서 Rhizobiales 등과같은미생물이곶자왈토양생태계에중요한역할을하고있음을짐작할수있다. 특히 Actinobacteria와 Bradyrhizobium의 pyrosequencing data를지역과계절에따른변화를보기위해서통계학적으로분석한결과, 곶자왈지역에따른영향은두미생물군에서, 계절에대한영향은 Actinobacteria에대하여통계학적으로유의한상호작용을하는결과를얻었다. 본연구는곶자왈토양의이화학성과세균다양성및종부유도에대하여분석하였다. 용암형태, 식생, 기후, 지하수침투력등에의해서정해지는곶

82 자왈토양의특징은세균군집구조에반영될가능성이높다. 그리고곶자왈토양의독특한이화학적특성을밝혔으며, 이와더불어 pyrosequencing 분석법을도입하여포괄적이고구체적인미생물분석을수행하여각곶자왈고유의토양세균군집존재가능성을제안하는결과를얻을수있었다. 또한곶자왈지역에대한체계적이고장기적인분석을시행함으로서곶자왈생태계의종합적이고구체적인결과를도출해낼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서론 과거곶자왈에대한정의를보면어원및어원에대한해석, 농촌진흥청, 연구논문등에의해곶자왈정의를다양하게해석했고곶자왈을흔히버려진땅, 농사를지을수없는지역으로인식되어왔다 ( 제주특별자치도, 2009; 농촌진흥청, 1976; 송시태, 2000). 반면에정광중 (2012), 강창화와정광중 (2014) 은인문학적인접근으로문화유적조사를통한곶자왈이용실태의검토를통해곶자왈은마을주민이면누구나가이용할수있는공동자원의가치를지닌곳으로해석하고있다. 최근곶자왈에대한관심이고조되면서제주특별자치도의곶자왈한평사기운동, ( 사 ) 곶자왈사람들의곶자왈매입기금마련등과같은공공신탁 (National trust) 확산등이추진되고있으며, 곶자왈을갖고있는일부마을은올레길코스를조성하여관리하고있다. 제주특별자치도 (2014) 는곶자왈보전및관리조례를공포하면서곶자왈은제주도화산활동중분출한용암류가만들어낸불규칙한암괴지대로숲과덤불등다양한식생을이루는곳으로정의하고있다. 이러한정의를바탕으로곶자왈중특별히보호할필요가있다고인정되어지정 고시하는지역을곶자왈보호지역이라고하고있다. 이들곶자왈보호지역지정은생태적, 지질적및역사문화적요소만이보호지역기준이되고있는게현실이다. 이와같이곶자왈정의와곶자왈보호지역지정은곶자왈보전과관리에있어매우중요한사항이므로다양한곶자왈특성을포함할수있는세부적인기준설정이필요하다고할수있겠다.

83 이에곶자왈의자연자원적가치를증명하기위해서각계의전문가들로부터학술연구가진행되고있다. 곶자왈에대한지질학적연구는 1900년대초부터수행이되어왔으며, 농업진흥공사 (1971) 에의한제주도지질도가작성되었고, 송시태 (2000) 가곶자왈지대에대한야외지질학적연구에따른논문발표가, 전용문등 (2012) 에의해서곶자왈정의에대한재해석과성인규명필요성발표가, 안웅산등 (2015) 에의해서곶자왈의용암류가매우젊은용암류임을의미하는발표가, 전용문등 (2015) 에의해서곶자왈을구체적으로구분하고범위를설정하는기준을마련하는제안등이있었다. 곶자왈에대한식생및식물상에대한연구는 5개년연구과제로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한라산연구소, 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수행한결과를보고서로발표하였으며, 김대신등 (2008) 에의해서곶자왈지대전반에대한식물상을발표하였다. 앞서언급한바와같이문화유적조사를통한인문사회적접근에의한발표, 생물상에관한발표등다방면의연구에도불구하고곶자왈의독특한생태계가치에대한더많은이해가요구되고있는실정이다. 그중에하나가곶자왈생태계를지탱하는큰축인토양및토양미생물에대한이해가될것이다. 곶자왈에서토양특성연구는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에의해서네개곶자왈지대에대한토양의이화학적성질, 광물학적분석, 인지질지방산 (PLFA) 분석등이보고되었다. 곶자왈에서미생물의연구는 Kim et al.(2014), Lee et al.(2015a, 2015b, 2015c) 에의해서신속및신종의발표가, Kim et al.(2014) 과 Kim et al.(2015) 에의해서교래곶자왈토양의고세균 (Archaea) 및세균의다양성연구를발표하였다. Kim et al.(2015) 은교래곶자왈토양의 pyrosequencing을처음으로수행하여밝혀진적이없는곶자왈토양미생물의전체모습을제시하였으며, 세균및고세균의다양성분석결과, 곶자왈토양이일반논, 밭및산림토양에비해서종다양성이높을가능성을시사하였으며, 더많은연구를통해서곶자왈고유의미생물생태시스템을규명할가능성을제시하였다. 곶자왈은토양이적게분포하지만숲을지탱하는식생에영양을공급하는공급처로서미생물의활성이높을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는토양미생물의다양성확보로곶자왈보전방안에대한과학적인

84 방법으로가치를규명하기위해애월및구좌곶자왈을대상으로계절별에따 른토양의이화학적성질을파악하였고, pyrosequencing 분석법으로미생물 연구를수행한결과를제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및시료채취토양과토양미생물분석시료는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인한라산 5.16 도로변으로 3개의채취지점에서봄, 여름, 가을및겨울에각각 6점씩총 72 점을채취하였다 ( 그림 1). 시료채취지점인애월곶자왈은해발 510m로곶자왈분포위치상애월곶자왈지역에, 구좌곶자왈은해발 150m로구좌-성산곶자왈지역에, 대조구인한라산 5.16 도로변은해발 650m로한라산국립공원지역에속하였다. 본보고서에는애월곶자왈은 AW, 구좌곶자왈은 GS 및대조구는 C로표기하였다. 애월과구좌곶자왈조사지에데이터로거 (HOBO Pro v2) 를설치하여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미기상을조사한결과평균기온은애월 12.0, 구좌 14.6 였으며, 평균습도는애월 92.9%, 구좌 90.7% 를나타내었다. 이는제주지방기상청에서발표한제주시의기온 17.0, 습도 71.8% 에비해서기온은애월곶자왈에서는 5.0, 구좌곶자왈에서는 2.4 낮았으며, 습도는애월곶자왈에서 21.1%, 구좌곶자왈에서 18.9% 높아곶자왈지역은상대적으로기온은낮고습도는높은환경을보였다. 토양및토양미생물시료는전형적으로곶자왈형태를띠는곳에서채취하였으며많은암석과뿌리등으로인하여시료채취가용이하지않았다. 시료채취에대한오류를줄이기위해서하나의토양시료채취지점에대하여근처 6점을합하여 1점으로정하였다. 대조구는한라산국립공원에위치하며곶자왈지역보다는토심이깊고비교적시료채취가용이하였다. 토양미생물분석을위한토양시료는토양을풍건시키지않고 2mm체로쳐서코니칼튜브에담아냉장보관하였다. 토양의이화학적성질분석을위한토양시료는풍건시킨후

85 2 mm체로쳐서폴리에틸렌병에보관하면서분석시사용하였다. 그림 1. 토양및토양미생물시료채취지점 : 시료채취지점, AW : 애월곶자왈, GS : 구좌곶자왈, C : 대조구 ( 한라산 5.16 도로변 ). 2. 분석방법 2.1. 토양이화학성분석토양의이화학적성질은제주대학교토양환경실험실에의뢰하여분석을진행하였으며, 농촌진흥청토양분석법 (NIAST, 2000) 에준하여분석하였다. 입자밀도는 pycnonmeter 방법을응용하여측정하였다. 입도분석은풍건토양 10g 을정량하여 500mL Tall beaker에담은후증류수를 300mL씩가하고 30% 과산화수소를 25mL씩가한뒤 90 로가열된전열판위에서유기물을분해하였다. 과산화수소분해가끝나면원심분리병에분산제 5% sodium hexametaphosphate 10mL를가한후약 18시간정도를진탕시키면서완전히분산시켰다. 이후 Pipette법과체분석을이용하여측정하였다. 토양 ph는토양과증류수의비를 1 : 5로하여토양 5g에증류수 25mL를첨가한다음진탕하여 ph meter(orion Star A211, Thermo) 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는 ph를측정하고남은여액을 Conductivity Meter (CM-11P TOA Electronics Ltd., Japan) 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토양유기물함량은 Walkley and Black법

86 으로분석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이용하여 UV/Vis Spectrometer (Lambda 25, PerkinElmer) 로측정하였다. 총질소함량은토양시료를황산으로분해한다음 Kjeldahl법으로자동질소분석장치 (Kjeltec analyzer unit, Foss, USA)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교환성양이온은 1N ammonium acetate(ph 7.0) 용액 50mL를가하여 30분간진탕한다음여과하여얻어진여액을 ICP-OES(JY 138 Ultrace, Jobin Yvon)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양이온교환용량은 1N ammonium acetate(ph 7.0) 용액으로포화후 ethanol로과잉의 NH4 + 세척한후증류하여정량하였다 토양미생물분석 토양 DNA의추출토양 DNA는 FastDNA SPIN kit for Soil(QBiogene Inc., Vista, CA, USA) 을이용하여추출하였다 Pyrosequencing 토양 DNA의 FLX-pyrosequencing은 마크로젠에의뢰하여분석을진행하였다. 1 DNA의전처리가. Barcode primer를이용한 PCR 수행전체미생물의다양성을분석하기위하여 16S rrna 유전자중가변영역인 V1~V3부분을특이적으로증폭할수있는 primer를제작하였다. 세균특이적 primer에는 27F(5'-GAG TTT GAT CMT GGC TCA G-3')/800R (5'-TAC CAG GGT ATC TAA TCC-3') 에 sequencing을진행하는각각의역방향 primer에는 pyrosequencing을수행하기위한 adaptor A(5'-CCA TCT CAT CCC TGC GTG TCT CCG AC-3') 부분과핵심염기서열인 TCAG, 10개의염기서열로이루어진각각의 barcode, linker를붙이고, sequencing을하지않는정방향 primer에는 adaptor B(5'-CCT ATC CCC TGT GTG CCT TGG CAG TC-3') 와핵심염기서열과각각의 linker를붙여제작하였다 ( 표 1). 추출된미생물의전체 genomic 를주형으로삼아제작된 primer로 PCR을수행하였다 ( 표 2).

87 표 1. Barcoded-PCR primer 에사용된 adaptor 이름염기서열 (5-3 ) Adaptor Forward primer adaptor B Reverse primer adaptor A CCTATCCCCTGTGTGCCTTGGCAGTCTCAG CCATCTCATCCCTGCGTGTCTCCGACTCAG 표 2. PCR master mix 및 PCR 프로그램조건 Master mix PCR program Reagent 1 Amplicon Step Min Cycle Forward Primer(10μM) 1μl Initial Denaturation Reverse Primer(10μM) 1μl Denaturation 94 15(sec) dntp mix(10mm each) 0.5μl Annealing 55 45(sec) 35 Faststart 10X Buffer #2 2.5μl Extention 72 1 Faststart HiFiPolymerase(5U/μl) 0.25μl Final Extention 72 8 Molecular Biology Grade Water 18.75μl Hold 4 Total 24μl 2 GS-FLX Plus Run 가. Microreactor 형성 Library ssdna를 DNA Capture beads와섞어준다. Capture bead에는 library의 A adapter와결합할수있는상보적인 primer가존재하여 library와결합이가능하다. 이때한가닥의 single strand와하나의 capture bead가결합시키는것이중요하다. DNA가결합된 capture bead와 emulsion oil을 shaker 를이용하여섞어준다. 결국한개의 oil에는한개의 capture bead, 한가닥의 library DNA가존재하며, 이를 "Micro-reactor" 라명한다. 이과정은 sequencing 결과를결정하는데중요한요인이되며, 혼합해주는농도와 shaking 정도를잘조절하는것이관건이다.

88 나. Emulsion PCR Microreactor가형성되면 PCR reagent와반응하여각각의 microreactor내부에서 clonal amplification이일어나고대략 1000분자증폭이일어나면 oil막이깨져 amplified DNA를얻게된다. 이는 sequencing이이루어지는최소단위가되며 microreactor 1개당하나의 sequencing결과가생성된다. 다. PicoTiterPlate packing Sequencing 을하기위한마지막단계로 sequencing 이일어나는 PicoTiterPlate 에 Micro-reactor를넣어준다. Picotiterplate는직경 44um pore를가지고있어 Micro-reactor가 pore에하나씩들어가게된다. 적정농도의 Micro-reactor를 plate에흘려주고 centrifugation을통해 deposit 시킨다. 그후 pore의공간을채우기위해 packing beads를넣고 sequencing을하기위한 enzyme beads를마지막으로넣고 centrifugation을통해 packing 완료한다. 라. Pyrosequencing 수행 100만개의 PicoTiter pore마다 Pyrosequencing의원리를이용한연속적인 sequencing이이루어진다. 이는동시에수만개의 signal을얻음으로써 sequencing의효율을높이는작용을한다. 우선 polymerase에의해 A adapter 에결합되어있는 key sequence부터합성이시작되고이로부터얻어지는 signal은각 nucleotide가나타내는 signal의정도를나타내는기준점으로작용된다. Pyrosequencing은하나의 nuleotide가합성되면서 n상태가 n+1상태가되고이때부산물로생성되는 PPi가 Adenylphosphate sulfate(aps) 와반응하여 ATP를형성하게된다. 생성된 ATP는 luciferase에의해 luciferin과반응하여생성되는 signal을통해 sequencing이이루어진다. Pyrosequencing의경우 4개의 nucleotide를 G-C-T-A 순으로넣어주어 sequencing을진행하게된다. 3 Data 분석 Pyrosequencing data 는 Kim et al.(2015) 과같은방법으로분석하였는데, 주 로 GS-FLX software(ver. 3.0), R VEGAN package(oksannen et al. 2011),

89 MOTHUR program(schloss et al. 2009) 와 QIIME(ver ) 를이용하여분석하 였다 통계학적분석 미생물과곶자왈지역및계절의관계를규명하기위한통계적분석을위 해 SPSS(statistics 24) 의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실시하였다. 결과및고찰 1. 조사지토양의물리적성질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인한라산 5.16 도로변토양의입자밀도와토성명은표 3과같으며, 분석결과는봄과여름철분석값에대한평균치로나타내었다. 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토양의평균입자밀도는각각 1.54, 1.70 및 1.83g/ cm3로화산재의영향을받은화산회토의특성을잘나타내었으며, 애월곶자왈에서입자밀도가가장낮았다. 입도분석결과미국농무성 (USDA) 의분류법에의하면애월곶자왈은미사질양토, 미사질식양토로미사질양토가주를이뤘으며, 구좌곶자왈은식양토, 미사질식양토및미사질양토로미사질식양토가주를이뤘으며, 대조구는미사질식양토, 식토로구좌곶자왈과마찬가지로미사질식양토가주를이뤘다. 이와같이조사지는모래함량이낮고미사와점토함량이높은지역이었다. 2. 조사지토양의화학적성질계절별에따른애월, 구좌곶자왈및한라산 5 16 도로변토양의화학적성질을그림 2에서그림 8까지나타내었으며, 조사지별로 Ⅰ( 봄 ), Ⅱ( 여름 ), Ⅲ( 가을 ) 및 Ⅳ( 겨울 ) 으로표시했다.

90 표 3. 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의입자밀도와토성명 시료채취지역 입자밀도 토성명 (g/ cm3 ) AW 미사질양토 AW 미사질양토 AW 미사질식양토 AW 미사질양토 AW 미사질식양토 AW 미사질양토 평균 1.54 GS 식양토 GS 미사질식양토 GS 미사질양토 GS 미사질식양토 GS 미사질식양토 GS 미사질식양토 평균 1.70 C 미사질식양토 C 미사질식양토 C 미사질식양토 C 미사질식양토 C 미사질식양토 C 식토 평균 1.83 전체적인조사지의토양 ph는 4.40~5.82 범위였다 ( 그림 2). 지점별평균토양 ph는애월 4.92, 구좌 5.25 및대조구 4.87로구좌곶자왈에서가장높았으며대조구에서가장낮았다. 류순호와송관철 (1984) 에의하면해안지방에서산간지방으로올라갈수록토양 ph가낮아진다는보고가있는데본연구결과와일치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의곶자왈환경자원조사에의하면평균토양 ph는애월곶자왈지역은 5.40, 구좌-성산곶자왈지역은 5.38이었다. 본연구결과와비교하면구좌곶자왈은토양 ph가유사한경향을나타냈으나애월곶자왈은매우낮은토양 ph를보였다. 정진현등 (2002) 은제주지역산림토양의표토가평균토양 ph 5.30으로보고한바있으며구좌곶자왈의토양 ph와유사한값을보였지만다른지역은 ph 5.0 이하로매우낮은토양 ph를보였다. 계절에따른평균토양 ph는모든조사지에서가을

91 에 ph 5.36으로가장높았다. 봄에토양 ph 4.67로가장낮았으며, 여름과겨울에는토양 ph가각각 4.99과 5.03으로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전기전도도는 0.29~9.77dS/m 범위로매우큰차이를보였다 ( 그림 3). 지점별평균전기전도도는애월 3.94dS/m, 구좌 1.81dS/m 및대조구 1.32dS/m로애월곶자왈에서가장높았으며대조구에서가장낮았다. 전기전도도가 0~2dS/m인경우에는염류피해가낮으며, 4dS/m 이상일경우는식물의생육에영향을미칠수있는기준값으로보고있다 ( 류순호, 2000). 본연구결과전기전도도는애월곶자왈에서대조구보다 2배이상높았으며식물생육에영향을줄수있는토양환경을보였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의보고에의하면전기전도도는애월곶자왈 1.42dS/m, 구좌-성산곶자왈 2.10dS/m로본연구결과와비교하면애월곶자왈은약 3배정도높았으며구좌곶자왈은다소낮은경향을보였다. 계절별평균전기전도도는가을에 0.80dS/m로가장낮았고, 여름에 4.41dS/m로매우높았으며계절별로유사한패턴을보였다. 그림 2.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토양 ph 변화 시료채취지점은그림 1 에제시함 Ⅰ: 봄, Ⅱ : 여름, Ⅲ : 가을, Ⅳ : 겨울. 토양유기물함량은 16.32~60.32% 범위로함량의차이가매우컸다 ( 그림 4). 지점별평균유기물함량은애월 50.56%, 구좌 33.59% 및대조구 24.39% 로애월곶자왈에서매우높은함량을보였다. 정진현등 (2002) 이보고한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유기물함량 10.40% 보다곶자왈은약 3~5배, 대조구는약 2배

92 이상의높은함량을보였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가보고한유기물함량과비교했을때애월곶자왈 23.66% 보다 2배이상높았으며, 구좌-성산곶자왈 33.35% 과는비슷한함량을보였다. 계절별평균유기물함량은봄과가을에각각 38.56%, 38.82% 로가장높았으며, 여름에 30.88% 로가장낮았으나조사지의평균유기물함량은 30% 이상으로매우높았다 EC(dS/cm)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3.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전기전도도변화 OM(%)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4.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유기물함량변화 총질소함량은 0.33~2.25% 범위였다 ( 그림 5). 지점별평균총질소는애월 1.66%, 구좌 1.21% 및대조구 0.82% 로애월곶자왈에서함량이가장높았으며대조구인한라산토양보다 2배정도함량이높았다. 정진현등 (2002) 이보고한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총질소함량 0.43% 보다곶자왈은약 3~4배, 대조구

93 는약 2배정도의높은함량을보였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가보고한총질소함량과비교했을때애월곶자왈 1.15% 보다다소높았으며, 구좌-성산곶자왈 1.35% 보다다소낮은경향을보였다. 계절별평균총질소는겨울 1.50%, 봄 1.39%, 여름 1.13% 및가을 0.91% 순으로함량이낮아지는경향을보였다 T-N(%)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5.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총질소함량변화 유효인산은 5~106mg / kg범위로함량의차이가매우컸다 ( 그림 6). 지점별평균유효인산함량은애월 72mg / kg, 구좌 17mg / kg및대조구 12mg / kg으로애월곶자왈에서가장높았다. 정진현등 (2002) 은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유효인산함량을표토 27.4mg / kg로보고한바있는데이에비해서애월곶자왈은약 2.5배정도함량이높았으나대조구는약 2배정도함량이낮았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의보고와비교하면유효인산은애월곶자왈 45 mg / kg, 구좌-성산곶자왈 12mg / kg으로본연구결과보다애월곶자왈은약 1.5 배정도함량이낮았으며, 구좌곶자왈은비슷한함량을보였다. 계절별평균유효인산은여름에 46mg / kg으로가장높았으며봄 38mg / kg, 가을과겨울은 26 mg / kg으로같은함량을보였다. 교환성양이온함량은 K 0.18~1.78cmolc/ kg, Ca 0.82~63.87cmolc/ kg, Mg 0.41~11.52cmolc/ kg및 Na 0.16~2.15cmolc/ kg범위였다 ( 그림 7). 지점별평균교환성양이온함량은애월곶자왈에서 K 1.21cmolc/ kg, Ca 34.85cmolc/ kg, Mg 8.41cmol c/ kg및 Na 0.68cmolc/ kg이었으며, 구좌곶자왈은 K 0.74cmolc/ kg, Ca 17.34cmolc/ kg,

94 Av. P2O5(mg/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6.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유효인산함량변화 Mg 4.44cmolc/ kg및 Na 0.63cmolc/ kg이었다. 대조구는 K 0.59cmolc/ kg, Ca 4.82cmol c/ kg, Mg 1.80cmolc/ kg및 Na 0.39cmolc/ kg이었다. 정진현등 (2002) 이보고한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교환성양이온 K 0.34cmolc/ kg, Ca 2.07cmolc/ kg, Mg 1.97cmolc/ kg및 Na 0.46cmolc/ kg과비교했을때대조구는교환성 Ca를제외하고는교환성양이온함량들이비슷한경향을보였다. 반면에교환성 Na를제외한교환성 K, Ca 및 Mg는애월과구좌곶자왈에서매우높은함량을보였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의보고에의하면곶자왈지대는교환성 Na를제외하고는함량이매우높다고하였는데본연구결과와도일치하는경향을보였다. 특히애월과구좌곶자왈에서교환성 Ca와 Mg 함량이매우높았는데생성연대가오래지않아풍화가덜진행된모재의영향에의해함량이높은것인지, 우마 ( 牛馬 ) 방목에의한배설물의영향에의한것인지, 인간행동에의한인위적인요인때문인지에대한추가적인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계절별평균교환성 K는여름에 0.65cmolc/ kg로함량이낮았으며봄, 가을및겨울은각각 0.88cmolc/ kg, 0.92cmolc/ kg및 0.94cmolc/ kg로비슷한함량을보였다. 평균교환성 Ca는봄과가을에각각 16.57cmolc/ kg, 17.64cmolc/ kg으로함량이비슷했으며, 여름과겨울에각각 20.31cmolc/ kg, 21.50cmolc/ kg으로비슷한함량을보였다. 평균교환성 Mg는교환성 Ca와마찬가지로봄과가을에각각 4.98cmolc/ kg, 5.12cmolc/ kg으로함량이비슷했으며, 여름과겨울에각각 4.69cmol c/ kg, 4.76cmolc/ kg으로비슷한함량을보였다. 평균교환성 Na는봄 0.36cmolc/ kg, 여름 0.50cmolc/ kg, 가을 0.69cmolc/ kg및겨울 0.72cmolc/ kg의함량을보였다.

95 2.00 Exch. K(cmolc/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Exch. Ca(cmolc/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Exch. Mg(cmolc/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1.00 Exch. Na(cmolc/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7.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교환성양이온변화

96 양이온교환용량은양이온교환용량이클수록양분을보관하여식물이필요시에공급할수있는능력이커진다 ( 류순호, 2000). 조사지의양이온교환용량은 31.60~67.50cmolc/ kg범위였다 ( 그림 8). 지점별평균양이온교환용량은애월 47.81cmolc/ kg, 구좌 49.99cmolc/ kg및대조구 39.43cmolc/ kg으로양이온교환용량이 30cmolc/ kg이상으로매우높았다. 정진현등 (2002) 이보고한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양이온교환용량 19.7cmolc/ kg보다애월과구좌곶자왈에서약 2.5배정도높았으며, 대조구에서도 2배정도높았다.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2013) 의결과와비교하면애월곶자왈 33.33cmolc/ kg, 구좌-성산곶자왈 39.00c molc/ kg으로본연구결과보다다소낮은양이온교환용량을나타내었다. 계절별평균양이온교환용량은봄, 여름및가을에비슷한양이온교환용량을보이다가겨울에다소높아지는현상을보였다 CEC(cmolc/kg)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AW GS C 그림 8. 계절별및지점별에따른양이온교환용량변화 3. 조사지의토양미생물다양성곶자왈토양에있어서세균다양성분석을위해서, 토양으로부터직접 DNA 를추출, 분류학적인정보를제공하는 16S rrna 유전자를대량으로분석하는 pyrosequencing을수행하였다. 얻어진대량의유전자정보로부터세균다양성 (bacterial diversity) 및종부유도 (species richness) 를추론하는방법으로곶자왈토양을분석하였다. 토양시료채취지점인비교대상지인애월곶자왈, 구좌곶자왈, 대조구로서한라산 5.16 도로변에대한전체적인관련성을규명하기위해서 pyrosequencing결과전체를이용하여계통도를분석한결과지역에따

97 른각각의시료가높은유사성을보였다. 또한애월곶자왈과구좌곶자왈이 근린관계에있었으며, 반면곶자왈과대조구는전체적인유연관계가멀다는 것을알수있었다 ( 그림 9). Ⅰ Ⅱ C AW GS Ⅲ Ⅳ 그림 9. 조사지의 pyrosequencing 으로분석결과의계통도 GS : 구좌곶자왈토양 ( 녹색 ), AW : 애월곶자왈토양 ( 적색 ), C : 대조구토양 ( 청색 ). Ⅰ: 봄, Ⅱ: 여름, Ⅲ: 가을, Ⅳ: 겨울. Bacterial diversity and richness. 생물다양성을나타내는지표인 Shannon index는 7.51(C, 대조구토양 ) > 7.44(AW, 애월곶자왈토양 ) > 7.24(GS, 구좌곶자왈토양 ) 순으로전체적으로아주높은다양성을보였다. Chao1 값 (Chao1 richness) 은 534종 (AW) > 521종 (C) > 513종 (GS) 순으로종부유도의추정치를보였다. Diversity와 species richness에있어서애월곶자왈이높은다양성및종부유도를보였고, 구좌곶자왈보다는대조구가그다음으로높은다양성과종부유도를보였다. 그림 10은구좌, 애월곶자왈과대조구토양의

98 pyrosequencing 의주성분분석 (PCA) 결과를보이고있다. 4 계절, 6 반복수의시 료전체를통틀어서 grouping 이지역별로잘나뉘어지고있음을보인다. 즉 계절과관계없이반복수에따른견고한결과를보였다 ( 그림 10). Ⅰ Ⅱ Ⅲ Ⅳ 그림 10. 조사지의 pyrosequencing 으로분석결과의 PCA. Bacterial distribution. 곶자왈의세균분포에대한결과는곶자왈토양은 Actinobacteria가 31.5%(AW) > 25.45%(GS) > 17.2%(C) 순으로우점하였으며, Acidobacteria는 8.70%(C) > 4.2%(GS) > 3.03%(AW) 순으로, Proteobacteria는 65.90%(C) > 63.39%(GS) > 59.04%(AW) 순으로분포하는결과를보였다. 특히 Proteobacteria중에서 Alphaproteobacteria가우점하였는데, 60.07%(C) > 53.41%(GS) > 54.03%(AW) 순으로아주높은분포를보였다. 계절에따른토양

99 세균의분포는관련성이매우높았으며이는세균의분포는계절에대한영향 을받는다는것을알수있었다 ( 그림 11). 그림 11. Pyrosequencing 으로분석한조사지의주요세균분포 Actinobacteria. High G+C 그램양성세균으로 Actinobacteria는토양에있어서유기물분해를포함해서여러가지물질의변환에있어서큰역할을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본연구에서는그분포가 31.5%(AW) > 25.45%(GS) > 17.2%(C) 순으로높은분포를보였으며, 애월곶자왈에서대조구토양에비해약 2배가까이높은분포및구좌보다도높은분포를보였다. Actinobacteria중에서도 Streptomyces 속은 1.71%(GS) > 1.46%(AW) > 0.74%(C) 순의분포를보였다. Streptosporangium속은 2.27%(GS) > 2.15%(AW) > 1.56%(C), Micromonospora 속은 2.56%(AW) > 1.66%(C) > 1.42%(GS), Mycobacterium 속은

100 1.58%(AW) > 1.25%(C) > 0.96%(GS), Actinoallomurus 속은 1.83%(AW) > 0.98%(GS) > 0.78%(C), Solirubrobacter 속은 1.73%(AW) > 1.27%(GS) > 0.74%(C) 으로곶자왈이대조구토양보다도높은분포를보였다. Acidothermus 속이 1.46%(C) > 0.64%(AW) > 0.44%(GS) 분포를보였다. 이번연구결과를통해곶자왈토양에서검출된 Actinobacteria의약 77속 229종이다양한역할을하고있음을시사하며, 특히애월곶자왈에서활발한역할이추측된다. 그림 4에서유기물함량이애월곶자왈에서높은함량을보였는데, 50.5%(AW)> 33.50%(GS) > 24.39%(C) 로, 이는유기물과 Actinobacteria 의분포가밀접한관련성이있는것으로판단되며, Actinobacteria의유기물분해등의기능에대한구체적인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이는유기물에있어서 25.19%( 산양곶자왈, SY) > 22.77%( 교래곶자왈, KR) > 15.05%( 석굴암토양 ) 와 pyrosequencing 결과에있어서 24%(SY) > 13.4%(KR) > 7%(C) 이관련성이있는것으로보인다. 애월과구좌곶자왈에있어서더높은유기물을포함하며, 높은 Actinobacteria가서식할가능성을시사한다. 보다폭넓게곶자왈을이해하기위해서는 Actinobacteria에대한심도깊은연구가필요하겠다. Alphaproteobacteria. 그램음성세균의대표격인 Proteobacteria의분포가곶자왈및대조구토양의 pyrosequencing 결과, 전체의약 62% 를차지하였으며, 그중에서 Alphaproteobacteria의분포가전체에서 60.07%(C) > 54.03%(AW) > 53.41%(GS) 의높은분포를보이고있다. Rhizobiales가 53.62%(C) > 49.38%(GS) > 48.42%(AW) 의순으로곶자왈과대조구에있어서높은분포를보임을알수있었다. 게다가질소고정세균이대량검출되었는데그중에서 Bradyrhizobium 단일속이 25.11%(AW) > 23.85%(GS) > 21.85%(C) 순으로아주높은분포와, Rhizobium 1.23%(C) > 0.4%(AW) > 0.39%(GS) 의분포를보였다. 또한광합성세균인 Rhodoplanes 8.61%(GS) > 8.28%(AW) > 6.62%(C) 분포를보였다. 특히 Bradyrhizobium은토양화학분석에있어서유기물, 질소, 인산의결과와유사한결과를얻었으며, Bradyrhizobium에대해서향후심도있게분석하고자한다.

101 Bradyrhizobium. 곶자왈과대조구에서 Alphaproteobacteria에속하는 Bradyrhizobium population는 25.11%(AW) > 23.85%(GS) > 21.85%(C) 순이었으며, 11종의 Bradyrhizobium이검출되었고, B. valentinum이평균 12% 이상으로높은출현빈도를보였다 ( 그림 12). 전질소와의상관관계는 AW에서 B. betae, B. canariense, B. diazoefficiens와정 (positive) 의관계, GS에서 B. canariense와정의관계, B. lupini와부 (negative) 의관계를보였으며, 대조구에서는 B. betae 와 B. pachyrhizi와정의관계, B. lupini와는부의관계를보이는통계적유의미한결과로나타났다. 이는질소고정능이있는 Bradyrhizobium의활발한역할이이루어지고있음을나타낸다. 특히, 최근까지는일반적으로 Bradyrhizobium 속은식물에공생하는 genotype이우점하는것으로알려져왔다. 하지만북미숲토양에서비공생 Bradyrhizobium이우점하는속으로보고되었고 (VanInsberghe et al., 2015), 유럽토양에서비공생 Bradyrhizobium이분리되었다 (Jones et al., 2016). 본연구결과에서도토양 pyrosequencing에서 free-living Bradyrhizobium이우점하는결과를보여, 유사한결과를얻었다. 추후이와관련해서뿌리혹형성유전자 (nod genes) 및질소고정유전자 (nif genes) 분석을통해비공생 Bradyrhizobium population 이곶자왈에서의질소순환에미치는역할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그림 12. 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의 Bradyrhizobium population.

102 Pseudomonas. 곶자왈과대조구에서 Gammaproteobacteria에속하는 Pseudomonas 속은 12 종이검출되었는데, 특히겨울샘플에서주로검출되었다. 겨울의 GS 곶자왈토양에서전체 Pseudomonas population이최대 46.7% 의출현빈도을보였으며, P. rhodesiae 최대 20.7%, P. graminis 최대 17.1%, P. fragi 최대 10.8% 의출현빈도를보였다. 사계절 72 샘플전체중에서 GS 곶자왈토양시료만이이와같은결과를얻었다. 이결과가그림 9의 pyroseqeuncing 계통도의 GSⅣ 시료의그룹으로나뉘어졌다 ( 그림 13). 즉봄, 여름, 가을에는거의검출되지않다가겨울에대량으로나타난부분에대한자연환경적인측면, 인위적인측면등의다각적인분석이요구된다. 그림 13. 애월, 구좌곶자왈및대조구의 Pseudomonas population. Other bacteria. 곶자왈토양의 Acidobacteria 다양성은대조구토양에비해서낮은분포를보였다 ( 그림 11). 즉 8.70%(C), 4.20%(GS), 3.03%(AW) 의분포를보였다. Acidobacteria의종구성을백분율로표시하면, Candidatus Solibacter가 2.51%(C) > 1.20%(GS) > 1.00%(AW) 순의분포를보였으며, Candidatus Koribacter는 3.46%(C) > 1.68%(GS) > 1.27%(AW) 의분포를보였다. 또한곶자왈에있어서주요기능성세균에대하여분석하면, 질산화세균인 Nitrospira는 0.80%(C) > 0.53%(GS) > 0.40%(AW) 순이며, 질소고정세균인 Bradyrhizobium은

103 25.11%(AW) > 23.85%(GS) > 21.85%(C) 순이었다. 메탄산화세균인 Methylocella 는 0.74%(C) > 0.19%(GS) > 0.20%(AW) 순이었으며, Methylobacterium은 0.11%(GS) > 0.05%(C) > 0.00%(AW) 순이었다. 그리고셀룰로스분해세균에속하는 Acidothermus는 0.64%(AW) > 0.53%(C) > 0.44%(GS) 의출현빈도를보였다. 4. 통계분석결과지역에따른 Actinobacteria 문과 Bradyrhizobium 속의 pyrosequencing data 를비교하기위해 SPSS(statistics24) 를이용하여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실시한결과, 세지역 (AW, GS, C) 에따라 Actinobacteria 문수준과 Bradyrhizobium 속수준모두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P < 0.001)( 표 4). Scheff 사후검정결과, 세지역모두각각통계적으로유의미한지역별차이를보임을알수있었다. 계절을기준으로 ANOVA 결과에서는 Actinobacteria의경우각계절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지만 (P < 0.001), Bradyrhizobium의경우계절에따른차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이와같은결과를종합하면토양분석결과애월곶자왈토양의유기물이평균 50.56% 까지나타나아주높았으며, 유효인산이평균 72mg / kg, 전기전도도가 3.94dS/m, 교환성양이온함량에서모두높은결과를얻었다. 또한 2015년의교래, 산양곶자왈의 pyrosequencing 분석에이어, 이번분석에서는세균다양성 (diversity) 및종부유도 (richness) 에대한정보를제시하였다. 주요세균의 pyrosequencing data의통계학적분석결과, 방선균으로도불리는 Actinobacteria와비공생질소고정균 Bradyrhizobium은곶자왈지역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인다. 반면에계절과의관계에있어서는통계적으로 Actinobacteria는유의한상관관계를보였으나, Bradyrhizobium은계절과유의한관계를보이지않았다. 또한 Pseudomonas의몇몇종이동절기의곶자왈에서대량으로검출되기도하였다. 이는곶자왈지역별특이 (unique) 미생물이존재함을보여준다.

104 표 4. 조사지역별세균 Actinobacteria 와 Bradyrhizobium 의 pyrosequencing data 에대한 ANOVA test 사후검정 (Scheff) 결과 Actinobacteria Bradyrhizobium I J 평균차이 (I-J) 유의확률 AW C * GS * C AW * GS * GS AW * C * AW C * GS * C AW * GS * GS AW * C * 앞으로곶자왈에대한체계적이고장기적인분석을시행해야할뿐만아니라, 곶자왈토양미생물의물질순환 ( 탄소, 질소, 인등 ) 에관련된보다광범위한분석이요구된다. 이러한과학적인연구접근을통해서곶자왈생태계의생성과유지에관련된이해와종합적인결과를도출해낼수있을것이다.

105 Soil Properties and Bacteria Diversity in the Season of Aewol and Gujwa Gotjawal in Jeju, Korea Suk-Hyung Ko, Jong-Shik Kim 2), Yeong-Don Lee 1), Hee-Suk Kang 1), Chang-Hoon Shin 1) 1)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 Gyeongbuk Institute for Marine Bioindustry Uljin, Gyeongbuk Summary This study is part of a study on the Jeju Gotjawal ecosystem. we investigated in Gyorae and Sanyang Gotjawal in 2014, followed by Aewol and Gujwa Gotjawal survey in Seasonal analyze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ological diversity of these Gotjawal soil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to clarify the role of soil microbial.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diversity of Gotjawal soil, we used pyrosequencing method, which is an analyzer method which extracts and purifies DNA directly from soil and decodes a large number of genes.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2 points at three sampling sites, Aewol(AW), Gujwa(GS) Gotjawal and around the 5.16 road at Mt. Halla(C), with six repetitions over four seasons. Soils of the investigated area showed high silt and clay contents and well characterized by volcanic ash soil. The soil ph in the study area ranged from In autumn, the average soil ph was the highest at 5.36 and the soil ph was lowest at 4.67 in spring. The average electrical

106 conductivities were 3.94dS/m, 1.81dS/m and 1.32dS/m in Aewol, Gujwa Gotjawal and control, respectively. Electrical conductivity showed high in Aewol Gotjawal. The average organic matter contents were highest at 50.56% and 33.59% in Aewol and Gujwa Gotjawal, respectively, and high 24.39% at the control. The average total nitrogen content ranged from %, the Gotjawal soil samples showed higher roughly twofold that of the control soil. The average available phosphate concentrations for the samples from Aewol and Gujwa were 72mg / kg and 17mg / kg, respectively, while the P2O5 for the control sample was 12mg / kg. The exchangeable catio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Gotjawal soils than in the control soil, ranged as follows: c molc/ kg K, cmolc/ kg Ca, cmolc/ kg Mg and cmolc/ kg Na.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ranged from cmolc/ kg, the average cation exchange capacity per site were 47.81cmolc/ kg in Aewol, 49.99cmolc/ kg in Gujwa and 39.43cmolc/ kg in the control, it was very high over 30cmolc/ kg in the study area. In the schematic diagram composed by using pyrosequencing data in order to figure out the entire relations for analyzing bacteria diversity of Gotjawal soil, Aewol Gotjawal and Gujwa Gotjawal are related, while Gotjawal and the control group have entirely distant genetic relations. In PCA, grouping of bacterial group of the entire samples, regardless of seasons, has a result distinctive by region. That is, the result of analysis of distribution of bacteria depending on region and season shows that region has very high relations with bacterial groups in soil but seasons do barely affect the bacterial groups. For the Shannon index, the soil in the control group(7.51) is highest, and then soil in Aewol Gotjawal(7.44) and soil in Gujwa Gotjawal(7.24) follow in order with entirely very high diversity. The order of Actinobacteria shows high distribution of 31.5% in Aewol Gotjawal, and 25.34% in Gujwa Gotjawal, respectively. Nitrogen-fixation bacteria, Bradyrhizobium is 25.11% in Aewol

107 and 21.85% in Gujwa, respectively. Rhizobium is 0.4% in Aewol and 0.39% in Gujwa, respectively, and the order of Rhizobiales, including both of them, is 49.38% in Gujwa and 48.92% in Aewol, respectively, with higher distribution. Therefore, microorganisms such as Rhizobia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oil ecosystem in Gotjawal. In particular, in order to see changes in pyrosequencing data of Actinobacteria and Bradyrhizobium, according to region and season,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influences according to Gotjawal reg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in both bacteria, while those according to seasons have interactions in Actinobacteria, respectively. This study analyz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a diversity of soil in Gotjawal. The characteristics of Gotjawal soils influenced by lava morphology, vegetation, climate, and groundwater penetration might highly be reflected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By understanding how soil microbes function in Gotjawal ecosystem, we can reveal their role to Gotjawal ecosystem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forest as a world unique site. We also can provide the information for inherent properties of Gotjawal soil and for the existence of indigenous bacteria. In addition, the research roadmap is required that we conduct interdisciplinary and long-term projects on Gotjawal regions, it will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to Gotjawal ecosystem.

108 인용문헌 강창화, 정광중 제주선흘곶자왈내역사문화유적의분포실태와특성.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1): 김대신, 김봉찬, 송시태 제주도곶자왈지대의식물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2): 농업진흥공사 제주도지하수보고서. 농촌진흥청농업기술연구소 제주도정밀토양도. 농촌진흥청. 수원, 한국류순호 토양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pp.730. 류순호, 송관철 제주도토양의화학적특성조사연구- I. 지대별화학적특성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 17(1): 1-6. 송시태 제주도암괴상아아용암류의분포및암질에관한연구.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pp.118. 안웅산, 손영관, 강순석, 전용문, 최형순 제주도곶자왈형성의주요원인. 지질학회지 51(1): 전용문, 안웅산, 류춘길, 강순석, 송시태 제주도곶자왈지역에대한지질학적고찰 : 예비연구결과. 지질학회지. 48(5): 전용문, 김대신, 기진석, 고정군 제주도곶자왈지대의지질학적분류체계제안과의미. 지질학회지 51(2): 정광중 제주의숲, 곶자왈의인식과이용에대한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2):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우리나라산림토양의지역별이화학적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사전. pp.730.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연구소 곶자왈환경자원조사 - Ⅴ. 곶자왈토양특성. 한라산연구소. p.184~216. Jones F.P., Clark I.M., King R., Shaw L., Woodward M.J., Hirsch P.R Novel European free-living, non-diazotrophic Bradyrhizobium isolates from contrasting soils that lack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genes

109 a genome comparison. Scientific Reports. 6: Kim J.S., Jung M.Y., Lee K.C., Kim D.S., Ko S.H., Lee J.S., Rhee S.K The Archaea community associated with lava-formed Gotjawal forest soil in Jeju,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Environment. 3: Kim J.S., Lee K.C., Kim D.S., Ko S.H., Jung M.Y., Rhee S.K., Lee J.S Pyrosequencing analysis of a bacter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lava-formed soil from the Gotjawal forest in Jeju, Korea. MicrobiologyOpen. 4: Kim K.K., Lee K.C., Eom M.K., Kim J.S., Kim D.S., Ko S.H., Lee J.S Variibacter gotjawalensi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soil of a lava forest. Antonie van Leeuwenhoek. 105: Lee K.C., Kim K.K., Eom M.K., Kim J.S., Kim D.S., Ko S.H., Lee J.S. 2015a. Mucilaginibacter gotjawali sp. nov., isolated from soil of a lava for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Evolutionary Microbiology. 65: Lee K.C., Kim K.K., Kim J.S., Kim D.S., Ko S.H., Lee J.S. 2015b. Cohnella collisoli sp. nov., isolated from lava forest soil.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Evolutionary Microbiology. 65: Lee K.C., Kim K.K., Kim J.S., Kim D.S., Ko S.H., Lee J.S. 2015c. Sphingomonas vulcanisoli sp. nov., isolated from soil of a lava for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Evolutionary Microbiology. 65: NIAST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Oksanen, J., et al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R package version URL Schloss, P.D., et al Introducing MOTHUR: open source, platform 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110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orbiology. 75: VanInsberghe D., Maas K.R., Cardenas E., Strachan C.R., Hallam S.J., Mohn W.W Non-symbiotic Bradyrhizobium ecotypes dominate North American forest soils. The ISME Journal. 9(11),

111 제주지역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특성연구 김대신 1)2), 김수경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제주지역에분포하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 육상식물 ) 을분포를조사한결과, 1급 6종류와 2급 28종류등 34종류의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제주분포 1급및 2급식물중에는난과식물이약 14종류로가장많은특징이있으며, 목본식물은 4종류였다. 생활형은착생식물 (E) 이 10종류, 수생식물 (HH) 이 5종류순인것으로조사되었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대부분이해발약 500m 이하의지역에주로분포하고있으며난대상록활엽수림지역에자라는종류가약 46% 로가장많았으며, 습지식생 16% 순이었다. 분포환경을보면계곡주변에분포하는식물들이약 30% 정도로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다. 서론 제주도는면적이 1,8492.2km2로국내에서가장넓은섬이며, 제주시지역의평균기온과연평균강수량이각각 ,584.9mm, 서귀포지역은각각 16. 9, 1,393.3mm고, 지질학적으로화산암류와화산쇄설암등으로구성되고흑갈색화산회토로덮혀있는특징이있다 ( 제주도, 2016). 섬중앙의한라산을중심으로식물의수직분포가뚜렷하고해안에서부터정상부까지오름, 곶자왈, 습지, 계곡, 동굴등이산재해있어고유식물과한정분포식물등다양한 1) 교신저자 ; 전화 : , kds3374@korea.kr

112 희귀및멸종위기식물들이분포하고있다 ( 임, 1992). 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종은자연적또는인위적인위협요인으로인하여개체수가많이줄어들어멸종위기에처한야생생물이며, 2급종은자연적또는인위적인위협요인으로개체수가크게줄어들고있어현재의위협요인이제거되거나완화되지아니할경우가까운장래에멸종위기에처할우려가있는야생생물을말한다. 현재멸종위기야생생물중육상식물은 1급 9 종류와 2급 68종류를포함하여모두 77종류이다. ( 환경부, 2012; 김등 2016). 따라서본조사는제주지역에분포하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를확인하고자생지및생육특성을파악하여향후멸종위기야생식물의관리를위한기초자료를얻고자실시하였다. 조사및방법 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야생생물 ( 육상식물 ) 의분포조사를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제주도전역을대상으로하여현지조사와문헌조사를병행하였다. 조사된자료는수종별로주요식생, 자생지특성, 분포특성등을기록하고문헌기록을수합하여비교하였다. 식물의목록및기재는환경부멸종위기야생생물목록은환경부 (2012), 이 (2003), 이 (2006) 국가식물표준목록 (2007) 등에따랐고, 생활형은 Raunkiaer(1934.), 임등 (1982), 이 (1996) 를참고하였다. 결과및고찰 1. 제주도내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제주지역에분포하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 육상식물 ) 을분포를조사한결과, 총 34종류의멸종위기종의분포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1).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종중육상식물은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만년콩

113 (Euchresta japonica), 암매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죽백란 (Cymbidium lancifolium), 풍란 (Neofinetia falcata), 한란 (C. kanran) 등 6종류가분포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육상식물종의약 67% 정도가분포하는것으며, 이중암매와만년콩등은국내에서제주지역에만분포하는종류이기도하다. 또한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종중육상식물은개가시나무 (Quercus gilva), 금자란 (Gastrochilus fuscopunctatus), 닻꽃 (Halenia corniculata), 대흥란 (C. macrorrhizum), 매화마름 (Ranunculus kazusensis), 무주나무 (Lasianthus japonicus),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백운란 (Vexillabium yakushimensis), 비자란 (hrixspermum japonicum),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석곡 (Dendrobium oniliforme), 솔붓꽃 (Iris ruthenica), 솔잎란 (Psilotum nudum), 순채 (Brasenia schreberi), 으름난초 (Galeola septentrionalis), 자주땅귀개 (Utricularia yakusimensis),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ya tabeana), 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죽절초 (Sarcandra glabra), 지네발란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차걸이란 (Oberonia japonica), 초령목 (Michelia compressa), 콩짜개란 (Bulbophyllum drymoglossum), 탐라난 (Saccolabium japonicus), 파초일엽 (Asplenium ntiquum), 한라솜다리 (Leontopodium hallaisanense), 한라송이풀 (Pedicularis hallaisanensis), 황근 (Hibiscus hamabo) 등 28종류로, 지정종의약 41% 정도가분포하는것으로제주지역이국가지정멸종위기야생식물의중요한생육처가되고있음을보여주고있다. 이중매화마름은 1912년 ( 이덕봉 ) 에현재제주시연동지역에서수집된표본이있으나현재까지새로운자생지정보가확인되지않아저지대습지을대상으로한지속적인조사가필요하다고보아진다. 솔붓꽃은제주도동부지역의오름에서최근에확인되었으며, 닻꽃은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오름에서그분포가확인되었다. 또한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육상식물중에는제주고사리삼, 한라솜다리등의제주도고유식물과개가시나무, 무주나무, 탐라란등은국내에서제주에만분포하는식물들도포함되어있다.

114 표 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야생식물및생활형 1 급 2 급 과명 학명 국명 생활형휴면형생육형 Orchidaceae Sedirea japonica 나도풍란 E r Leguminosae Euchresta japonica 만년콩 N e Diapensiaceae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암매 CH e Orchidaceae Cymbidium lancifolium 죽백란 G ps Orchidaceae Neofinetia falcata 풍란 E r Orchidaceae Cymbidium kanran 한란 G ps Fagaceae Quercus gilva 개가시나무 MM e Orchidaceae Gastrochilus fuscopunctatus 금자란 E pe Gentianaceae Halenia corniculata 닻꽃 Th e Orchidaceae Cymbidium macrorrhizum 대흥란 G e Ranunculus kazusensis 매화마름 HH ps Rubiaceae Lasianthus japonicus 무주나무 N e Orobanchaceae Orobanche filicicola 백양더부살이 H e Orchidaceae Vexillabium yakushimensis 백운란 G t Orchidaceae hrixspermum japonicum 비자란 E Pe Saururaceae Saururus chinensis 삼백초 HH e Orchidaceae Dendrobium moniliforme 석곡 E pe Orchidaceae Iris ruthenica 솔붓꽃 G ps Psilotaceae Psilotum nudum 솔잎란 CH e Nymphaeaceae Brasenia schreberi 순채 HH e Orchidaceae Galeola septentrionalis 으름난초 G e Lentibulariaceae Utricularia yakusimensis 자주땅귀개 HH e Labiatae Dysophyllaya tabeana 전주물꼬리풀 HH e Ophioglossaceae Mankyua chejuense 제주고사리삼 G e Chloranthaceae Sarcandra glabra 죽절초 G e Orchidaceae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지네발란 E ps Orchidaceae Oberonia japonica 차걸이란 E t Magnoliaceae Michelia compressa 초령목 MM e Orchidaceae Bulbophyllum drymoglossum 콩짜개란 E pr Orchidaceae Saccolabium japonicus 탐라난 E Pe Aspleniaceae Aspleniumantiquum 파초일엽 E t Compositae Leontopodium hallaisanense 한라솜다리 H ps Scrophlariaceae Pedicularis hallaisanensis 한라송이풀 H ps Malvaceae Hibiscus hamabo 황근 N e b

115 제주분포 1급및 2급식물중에는난과식물이나도풍란, 죽백란, 풍란, 한란, 금자란, 대흥한, 백운란, 비자란, 으름난초, 지네발란, 차걸이란, 콩짜개란, 탐라란등 14종류로가장많은특징이있으며, 이는제주지역에분포하는난과식물의약 20% 에해당한다. 식물의성상으로볼때초본식물이 30종류로대부분을차지했고, 목본식물은 4종류로나타났다. 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식물의생활형을보면그생육환경이나특성을잘알수있는데, 착생식물 (Epiphyten) 이 10종류로가장많고그다음수생식물 (HH) 이 5종류로나타나고있다. 그외로반지중식물 (H) 과저목또는미소지상식물 (N) 이각각 3종류, 지표식물 (Ch) 과대형지상식물 (MM) 이각각 2종류, 일년생식물 (Th) 이 1종류로분석되었다. 착생식물은대부분난과식물이나양치식물인경우로인간기호에의한남채의대상이되어왔으며, 자생지의붕괴나식생변화에의한영향을많이받고있어멸종위기에처하고있는것으로볼수있다. 수생식물의경우는수생환경의변화즉, 육화에따른수위변동등으로수생식물군락의변화및매립같은인위적인간섭등으로인해위협을받고있는것으로볼수있다. 2. 제주도내멸종위기야생식물의자생지특성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야생식물 34종류의해발고도별분포를보면그림 1과같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해안지역선단이나부속도서에서부터한라산정상백록담까지매우다양하게분포하는것을알수있으며, 일부종들은제외하면대부분의종들이제한된지역에분포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는제주지역이도서라는특성으로인하여해안지역은다양한식물들의유출입이빈번하며, 사구나습지등독특한환경을가지고있고섬중앙의한라산이있어식생의수직분포가뚜렷하고해발고도별로곶자왈, 습지, 동굴, 오름, 계곡등다양한환경들이산재해있기때문으로볼수있다.

116 그림 1. 제주지역멸종위기야생식물의해발고도별분포 또한대부분의멸종위기야생식물들은해발약 500m 이하의지역에주로분포하는특징이있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이러한지역은도민들의거주지역일뿐만아니라주된활동지역으로볼수있어인위적인간섭에영향을받고있음을보여주고있다. 상대적으로해발 1,000m 이상지역에분포하는식물들은기후변화나자생지감소등자연적인위협에더많이노출되고있는것으로볼수있다. 제주지역내멸종위기야생식물분포지를식생유형별로살펴보면그림 2와같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이가장많이분포하는식생유형은난대상록활엽수림지역이약 46% 로가장많았으며, 습지식생이 16%, 낙엽활엽수림식생이약 13%, 고산초지식생약 10% 순으로나타났다. 그외로저지대초지식생과침엽수림식생이각각 5% 등으로나타났다. 상록활엽수림식생이형성된지역은주로저지대의계곡이나곶자왈, 일부도서지역등으로볼수있는데이러한지역은공중습도가높고부식질이풍부하는등주변지역과는다른환경이형성되어있어멸종위기야생생물의중요한생육지및피난처가되고있음을알

117 수있다. 습지식생은매우독특한환경으로생물다양성이높은지역으로제주지역에는해안에서부터고산지역까지크고작은습지들이형성되어있다. 그래서저지대에분포하는순채뿐만아니라고산지역습지에자라는자주땅귀개같은수생및습생하는멸종위기야생생물의중요한생육지가되는것으로볼수있다. 한편, 저지대에서부터고산지역까지분포하는초지식생은제주도의전통적인방목등과관련되어온곳으로현존식생의천이가가속화되고있는지역이기도하다. 이러한초지식생은단초형의식물이나양지성초본식물들의생육에중요한지역으로볼수있는데, 특히고산초원의경우한라솜다리같은고유식물이나시로미등고산식물의중요한자생지가되고있다. 그러나이러한초지식생은방목이나식물체에대한이용이많이줄어들어점차목본식생으로천이가진행되어멸종위기야생생물의자생지가감소로이어질것으로보아져지속적인관심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한라산 / 고 산 12% 부속도서 6% 곶자왈 13% 해안 11% 습지 13% 계곡 30% 오름초지 15% 저지 초지대 5% 고산초지대 10% 낙엽활엽수 림 13% 침엽수림 5% 기타 5% 습지 16% 상록활엽수 림 46% 그림 2. 멸종위기식물의분포식생및자생지유형 제주지역에분포하는멸종위기야생식물의분포환경을보면그림 2 와같다. 조사결과, 계곡주변에분포하는식물들이약 30% 정도로가장많은것으로나 타났으며, 오름과초지에분포하는종류들이약 15%, 습지및곶자왈지역이

118 각각약 13%, 한라산고산지역에분포하는종류들이각 12% 의순이었다. 그외로해안지역에분포하는종류가 11%, 부속도서에분포하는종류가 6% 등이었다. 대부분의멸종위기식물들은 1~2개의매우제한된환경에분포하고있어자생지의자연적및인위적인환경변화에민감하다는특징이있다. 그렇지만예외적으로매우폭넓은생육환경을가지는경우도있는데, 대흥란, 솔잎란등이대표적이다. 대흥란의경우는해안림에서부터계곡사면, 오름, 곶자왈등에자라며, 솔잎란은계곡지역이대표적이기는하지만곶자왈, 부속도서, 오름 ( 화구벽 ), 해안등다양한생육지가있는것으로나타나특이한경우라할수있다.

11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Endangered Wildlife Plants in Jeju Island Kim dae-shin, Kim su-kyoung Research Department for Hallasan, 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umma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endangered wildlife plants in Jeju Island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distribution of 34 Taxa through field and literature survey. Among investigated plants, Orchidaceae (14 taxa) were the most common and woody plants were 4 taxa. Furthermore, Epiphyten(E) were 10 taxa, hydrophytes (HH) were 5 taxa, hemicryptophytes (H) were 3 taxa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Most of the endangered wildlife wre distributed in the area of less than 500m above sea level, with 46% of the species growing 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16% of wetland vegetation. And about 30% of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valleys and the surrounding areas.

120 인용문헌 Im, H. T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22, no.3, p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Retrieved 15 Dec. 2016, from <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in Korean) Lee, W.T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Lee, Y. N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Ordinance to partially revise the Enforcement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Wild Fauna and Flora: Ministry of Environment Ordinance No Retrieved 15 Dec. 2014, from (in Korean) Raunkiaer, C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don Press, London, England. Yim, Y.J., K.H. Park and J.K. Sim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Bull. Inst. Techn. & Sci. Chung-Ang Univ. 9:5-20 (in Korean). Young-Chul Kim, Hyun-Hee Chae, Bo-Ram Hong, Hyun-Kyung Oh, Kyeong-Hwa Lee, Kyu-Song Lee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Korean J. Environ. Ecol. 30(3):

121 연구초록 Research Abstract 효돈천일대의지질학적특징 전용문, 고윤정, 고정군 수종의희귀 특산식물분포및동태 김현철, 정세호 아고산대제주조릿대분포및생육특성 김현철, 정세호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분포및동태 김현철, 정세호 한라산소백록담및 1100 고지습지의퇴적물에관한연구 고석형, 이영돈, 신창훈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 한태완, 이성권, 강윤복, 이영돈, 신창훈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시험연구 한태완, 김동철, 이영돈, 신창훈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법연구한태완, 김영림, 오윤희, 신창훈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법연구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

122

123 효돈천일대의지질학적특징 전용문 1), 고윤정, 고정군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1. 효돈천의지형및지질개요제주도의대표적인하천인효돈천은한라산정상부백록샘과주변오름들에서발원한물줄기와영천악상류에서발원한물줄기가하류로흘러내려오다가칡오름주변에서합류하여바다로유입되는하천을말한다 ( 그림 1). 효돈천의길이는약 13km에이르며하천의주요지형으로는상류구간은산벌른내, 해발 m 구간에는돈내코계곡, 하류구간은바다로유입되는쇠소깍등을들수있다. 최상류구간의산벌른내에는얇은용암류들이누적된높이약 100m의절벽이형성되어있고하류에는 V자형태의좁고깊은계곡이발달하고있다. 돈내코계곡은수십 m 깊이의좁고오목한계곡이발달해있으며울창한난대림이잘형성되어있다. 효돈천의하류는주변에위치한영천악, 칡오름, 걸서악등의오름으로인해휘돌아가는곡류하천의형태를보이고있다 ( 예, 강순석외, 2001). 효돈천을구성하는암석은 1:50,000 지질도서귀포 하효리도폭지질도폭설명서 ( 한국자원연구소, 2000) 에따르면가장오래된순서로공천포현무암, 대포동조면현무암, 한라산조면암, 법호촌역암, 시오름조면현무암, 백록담조면현무암, 윗세오름조면현무암등으로구성되어있다. 이처럼효돈천일대의암석종류가다양한것은효돈천은길이가 13km에달하는긴하천이기때문에주변오름에서기원한다양한용암류가분포하기때문이다 ( 예, 강순석외, 2001). 그러나실제효돈천을이루는주요암석은상류구간의경우윗세오름조면현무암과백록담조면현무암이우세하게분포하고중류와하류구간은한라산조면암과 1) 교신저자 ; 전화 : , ymjeon74@korea.kr

124 시오름조면현무암이대부분을차지하고있다 ( 그림 1). 본자료에서는주요분 포암석에대해서만기술하였다. 그림 1. 효돈천일대의지형과암석구성

125 1.1. 한라산조면암한라산조면암은백록담분화구의서쪽및영실기암, 그리고백록담의북쪽과남쪽에넓게분포하고있으며, 돔상으로솟아있는백록담분화구를이루는주요암석이다 ( 박기화외, 2000a; 고정선외 2003; 그림 2). 한라산조면암은백록담의높은아고산기후하에서계절적인동결파쇄작용에의한기계적풍화작용에의해풍화지형이형성되었으며, 암벽의붕괴가현재에도진행중인것으로알려져있다. 한라산조면암의형성시기는 K-Ar 전암연령측정을통해약 2만5천년 (25±8 Ka) 으로알려져있다. 한라산조면암은윗세오름이나서북벽또는남벽순환로에서바라보면용암돔의구조를보이고있다. 이러한용암돔구조는점성이높은조면안질용암의물리적인성격과관계가깊다. 조면암을유출시킨마그마가하부로부터지표로계속적으로주입되면지표면이서서히부풀어오르면서상승팽창하게되는데, 이때초기용암돔의형태가만들어지게된다. 마그마가계속해서공급되어용암돔이부풀어오르게되면용암돔의외곽부는냉각에의해수직또는주상절리가발달하게되고, 절리면을따라쪼개짐이발달하게된다. 또한형성이후바람과온도, 일조량에따른차별적인풍화작용에따라한라산조면암은완만한봉우리형태나수직을절벽의형태를보이고있다. 한라산조면암의분포범위는백록담주변뿐만아니라 ( 그림 2) 서귀포시방향으로광범위하게분포하고있으며화학분석에서도조면암질에서조면안산암질까지다양한조성을보이고있다. 이와같이한라산조면암이넓은화학조성범위를보이는것에대해한라산조면암이하나의분화구에서분출하였기보다는점성이낮은조면암 ( 안산암 ) 질용암류들이지하에발달한선상의구조선을따라비슷한시기에분출했을가능성이높다 ( 고정선외, 2003) 는의견과조면암질용암류가상대적으로점성이높아멀리흐리지못하고용암돔을형성한뒤, 점성이높은조면암질마그마가후기에조면암을뚫고분출하여용암돔을형성하였다 ( 제주도, 2000; 박기화외, 2006; 제주특별자치도, 2009b) 는견해가존재한다.

126 그림 2. 백록담을구성하는한라산조면암 ( 상 ) 과효돈천일대의한라산 조면암 효돈천일대를구성하는한라산조면암은두께가수m에서 10m 내외이며암회색의조면암질용암류의특징을보인다. 또한두꺼운용암류의상하부에는두께가수십 cm~3m 내외인클링커 (clinker) 가발달한특징을보인다. 이현무암내부에는대체로기공이거의없어치밀하고견고한특징을보이며, 부분적으로유동구조가발달하기도한다. 또한 1~2m 간격의주상절리가발달하기도하며, 수평의판상절리도부분적으로나타난다. 현무암내부에는백색의장석이반정을이루며흑색의각섬석도소량포함되어있다.

127 1.2. 시오름조면현무암시오름조면현무암은제주도한라산을중심으로남북방향에주로분포하며, 한라산조면암과함께효돈천의하류구간대부분을구성하는암석이다. 특히효돈천의하류구간은한라산조면암과시오름조면현무암의암석경계를따라효돈천이발달하고있다 ( 그림 1). 이러한특징은두용암류의경계를따라좁고길게아래로오목한지형이연장성있게만들어졌고이틈을따라하천이발달한것으로추정할수있다. 이러한특징은단층을따라대규모하천이발달하는육지의경우와다른독특한제주도만의특징이라할수있다. 시오름조면현무암은회색이나암회색을띠며특징적으로거정질 ( 평균 4mm) 의사장석반정이잘나타난다. 사장석반정의크기는 5~10mm이며, 소량의휘석도포함되어있다. 또한현무암내부에는 1~10mm 크기의기공도약 20% 정도포함하고있다. 효돈천하류구간에서는시오름조면현무암과한라산조면암을흔히주로볼수있는데, 시오름조면현무암은수 mm 크기의큰사장석반정이잘나타나는반면, 한라산조면암은 1mm 이하의작은침상 ( 바늘모양 ) 사장석반정이포함되어있다는점에서큰차이가있다 ( 그림 3). 그림 3. 시오름조면현무암과한라산조면암비교

128 2. 효돈천의주요지형 2.1. 남내소와개소남내소와개소는연중물이고여있는물웅덩이와폭포가잘발달한효돈천의대표지형이다. 남내소물웅덩이는폭포수의침식작용에의해깊게파여있으며수심은최대 15m에이르며상류방향으로개소와이어진다 ( 그림 4). 개소는남내소에비해상대적으로수심이얕은물웅덩이가여러곳에만들어져있으며절벽면에서관찰되는암석구성은남내소와동일한특징을보인다. 그림 4. 남내소 ( 상 ) 와개소의전경 ( 하 )

129 남내소와개소의구성암석은폭포의단면에서관찰이가능한데, 두꺼운용암을중심으로상부와하부에클링커 (clinker) 라불리는용암부스러기들이분포하는형태를보인다 ( 그림 5). 이클링커는하천수의침식작용에의해침식되면서현재제주어로 궤 로불리는오목한지형을만들게되었다. 이지형은외견상동굴과같은형태를보이지만연장성이없어동굴의범주에속하지않는다. 그림 5. 남매소의용암단면과하부에발달한클링커와궤지형 남매소를구성하는용암은절벽면에서관찰이가능한데, 최대두께가 20m 에이르며, 일반적인용암과달리기공과광물알갱이들이거의없이치밀한특징을보인다. 또한용암의내부에는꿀과같이끈적한상태로용암이흐르면서만들어진유동구조 (lava flowage) 들이발달되어있다 ( 그림 6). 이유동구조들은시간이지나면서틈사이를따라풍화작용이발생하여양파의껍질처럼떨어져나가는박리구조를형성하였다. 이박리구조는용암이식으면서만들어지는주상절리및판상절리와는형성과정및형태에서큰차이가있다. 일반적으로제주도중문주상절리대나안덕계곡의경우용암이식으면서만들

130 어진규칙적인수직의주상절리와판상의절리가대칭적으로나타난다. 그러나남내소는수직의주상절리가거의발달하지않고불규칙한방향으로휘어지는형태의얇은박리구조만발달하고있어단순한용암의냉각에따른판상절리로해석하기에는무리가있고오히려박리의휘어진패턴과불규칙한형태는용암의흐름구조와닮아있다. 따라서남내소와개소일대에서나타나는판상의절리또는박리구조는실제로끈적한용암의내부에발달한유동구조를따라발생한풍화작용에의해암석이층층이깨지는현상으로해석하는것이타당할것으로생각된다. 그림 6. 용암의유동구조를따라박리작용이발달한단면

131 한편, 남내소와개소에깊고거대한물웅덩이가만들어지고폭포가형성된원인은무엇일까? 그이유를알기위해먼저과거의지형기복과용암의두께변화를생각해볼필요가있다. 남내소가만들어지기이전에이곳은작은규모의고 ( 古 ) 하천이었던것으로추정된다. 고하천의존재증거는용암의하부에존재하는퇴적층의존재를통해유추할수있다. 이고하천으로용암이유입될때, 기존하천의지형기복을따라오목한부분은용암이두껍게채워지고상대적으로볼록한부분은용암이얇게채워지게되었다. 이러한증거는남내소단면에서용암의두께변화가최대 20m에서최소 10m로변하는것으로볼때추정이가능하다. 용암의두께가동일하지않은상태에서용암의틈사이를따라물이흐르면서용암을침식시키게되면얇은부분이먼저침식되고그하부에있는클링커와토양층은더욱쉽게침식되면서깊은물웅덩이지형을만들게되었다. 따라서기존지형기복에따른용암의두께차이로인해남매소를비롯한개소에깊은물웅덩이들이곳곳에만들어지게된것으로생각된다. 이러한용암두께의차이는효돈천곳곳에발달한물웅덩이를만든주요한요인으로생각된다 예기소예기소는영천과효돈천이만나는길목에용암병풍으로둘러싸인깊은계곡을말하며폭포와물웅덩이가잘발달해있다 ( 그림 7). 예기소를구성하는암석은크게하부의퇴적암과상부에 2매의용암류로구분된다. 예기소의하부의퇴적암은현재의예기소가만들어지기이전에하천에쌓였던것으로추정되며, 예기소가용암류분출이전에도하천으로존재하였다는점에서매우흥미롭다 ( 그림 7). 따라서과거예기소는과거작은규모의하천이었으나인근오름에서분출한점성이높은용암류가오목한하천으로흘러들어와두꺼운용암을채워놓았다. 그이후다시지속적으로물이흐르는하천으로존재하면서침식작용에의해단단한용암이조금씩깎이면서깊은골짜기를만들었고웅장한주상절리를드러나게만들었다. 그리고흐르는물은급기야용암을뚫고그아래놓여있던바닥의퇴적물을깎아오목한물웅덩이를만들기에이르렀다. 이렇게예기소는용암이만들고물이깎으면서아

132 름다운경관을만들어낸것이다. 그리고마지막으로주변오름에서용암이분출하여하천으로흘러들어온것으로추정된다 ( 그림 8). 이용암은기존예기소의용암류상부와측면을따라흘러내린특징을보이고있으며, 상부와하부에얇은클링커층이협재되어있어아아용암류의일종이었던것으로추정된다. 그림 7. 예기소전경 ( 상 ) 과용암의하부에놓여있는퇴적층 ( 하 ). 이퇴 적층은예기소가용암분출이전에도하천으로존재하고있었 음을말해준다.

133 그림 8. 예기소형성이후하천이만들어지고다시유입된추후기아아용암류 의모습. 용암류사이에클링커층이협재되어있다 속궤속궤는폭포와거대한물웅덩이가아름다운곳이며, 무속행위를하던궤가있다고하여속궤라고불리는곳이다. 속궤는용암의점성이높아마치꿀처럼흐르는아아용암의단면을잘볼수있는곳이다. 특히아아용암의하부에는클링커라불리는용암표면의부스러기들이잘나타난다 ( 그림 9). 이클링커는꿀처럼점성이높은아아용암이천천히흐르는동안용암의표면이먼저굳고, 용암이흐르려는힘에의해이미굳어진용암표면이찢어지면서만들어졌다. 그리고상부클링커는포크레인의무한궤도바퀴처럼용암의표면을따라이동하다가결국용암의바닥에놓이게되었다. 이처럼속궤지역의단면에서는아아용암과상하부클링커를모두볼수있다는점에서지질학적인의미가있다 ( 그림 9). 한편하천의침식작용에의해두껍고단단한용암이모두깎이고그아래부서지기쉬운클링커층이빠르게침식되면서깊은물웅덩이가만들어지게되었다. 그리고침식된클링커의일부는폭포수의와류작용으로인해안쪽부

134 분이침식되아파이면서안쪽으로오목한궤지형을만들었던것으로추정된 다 ( 그림 10). 따라서속궤는아아용암의클링커가존재했던부분이차별적으로 깊게파이면서만들어진궤의일종으로추정할수있다. 그림 9. 속궤를이루는아아용암과하부의클링커지층 그림 10. 하부클링커가하천의침식으로안쪽으로파이면서만들어진궤. 단면상에서상하부에아아용암이있고그사이에수십-수m 두께의클링커층이협재된양상을관찰할수있으며, 클링커층이하천의침식작용에의해파여있는지형이만들어지게되었다.

135 2.4. 쇠소깎쇠소깍은효돈천의하류에서담수와해수가만나만들어진깊은웅덩이지형을말하며효돈천의가장대표적인지형중에하나이다. 쇠소깎에서도점성이높은아아용암과상하부클링커가발달한특징을관찰할수있다. 지형적으로쇠소깍의상류는깊지않고완만한용암의단면이드러나있지만, 바다와만나는쇠소깍하류는폭포처럼단차가큰지형기복을보이며수심이깊고오목한지형이발달하고있다 ( 그림 11). 이처럼효돈천하류지형의형태가크게다른원인은남내소와같이용암의두께가일정하지않은상태에서얇은용암이모두침식된이후하부에있던클링커가쉽게침식되면서깊고좁은계곡이형성된결과로추정된다. 그리고클링커하부에있던퇴적층은불투수층역할을하여용천수와바닷물을담는그릇역할을하면서수심이깊은웅덩이지형이유지되고있는것으로추정된다. 그림 11. 아아용암과하부클링커가발달한쇠소깍지형. 폭포와같이지형기 복이쇠소깍의상류와하류구간경계

136 2.5. 음요수음요수라는독특한지명을가진이곳은회색빛용암으로둘러쌓인좁고깊은계곡을말한다 ( 그림 12). 음요수지형을만든용암의상부에용암부스러기들이잘나타나고있어인근예기소나남내천과거의동일한조면암질아아용암에의해형성된것으로추정된다. 그림 12. 음용수지형의전경과용암의유동구조를따라발달한박리현상. 사 진하단우측에서용암의유동구조가관찰되며, 판상의절리또한유 사한패턴으로박리작용이발달하고있다.

137 한편음요수계곡의양쪽단면에는용암이판상절리처럼평평하게깨지는독특한모양을볼수있는데 ( 그림 12), 기존강순석외 2001의연구에서판상절리로보고되기도하였다 ( 효돈천 2001). 그러나음요수지역에서나타나는판상절리는앞서언급한남내천과동일하게절리의두께가규칙적이지않고, 절리의방향성도일정하지않으며, 수직의주상절리의발달이없는점으로볼때용암의냉각에따른수축작용으로만들어지는일반적인주상절리및판상절리와는다른원인에의해형성된것으로추정된다. 음요수지역에서나타나는판상의절리구조는점성이높은용암의내부에서만들어진유동구조를따라풍화가일어나암석이얇게갈라지는박리작용의일부로해석된다. 이는통상용암이냉각되는과정에서흔히만들어지는수직의주상절리와교차하는수평방향으로판상절리가발달하는것과다른현상이며, 지질학적으로의미가있다 우금포우금포는효돈천이바다와만나는넓은해안에넓게펼쳐진용암대지를일컫는지명이다. 일반적으로제주도동측과서측의경우점성이낮은파호이호이용암이분포하고있어완만하고평평한용암대지가잘발달해있는특징을보인다. 그러나우금포의경우는울퉁불퉁하게튀어나온용암들이매우어지럽게펼쳐진양상을보이고있다 ( 그림 13). 이울퉁불퉁한용암지형은꿀처럼점성이높은아아용암이흐르면서만든전형적인지형으로외국에서는악마의정원이라고부르기도한다. 우금포와유사한지형들은주로제주도의남쪽과북쪽에서흔히관찰되는데, 북쪽에서는용연과용두암이대표적이며, 남쪽에서는서귀포해안, 보목리, 중문일대가유사한특징을보이는곳이다. 한편우금포에서는점성이높은아아용암이만든다양한구조들을볼수있는데, 특히아아용암의부스러기들이엉겨붙은클링커층과용암이해안쪽으로흘러가면서만든용암하천 (lava channel) 과용암하천을이루던용암벽등을볼수있다. 용암벽은클링커덩어리들이엉겨붙어있고지면에수직으로서있는형태로나타나기때문에풍화침식에의해서도상대적으로오래남아있는경우가많다. 제주도의용두암과보목해안에서도유사한용암벽구조와용

138 암하천을볼수있다. 그리고우금포해안을따라점성이높은아아용암이넓게분포하는원인은효돈천과같이좁은하천을따라용암이흘러오다가넓은해안지형을만나넓게퍼져흐르면서얇은두께지만넓은아아용암대지가만들어진것으로추정된다. 그림 13. 아아용암에의해만들어진우금포해안전경 2.7. 산이물산이물은용천수가자연적으로흘러나오는곳을일컫는말로지금도용천수를볼수있다. 보통제주도의용천수는해안을따라용암층사이에서흘러나오는경우가대부분인데이곳에서는용암층을관통하여흘러내린물이지하로스며들지못하고고여있는형태로나타난다 ( 그림 14). 지표수가지하로스며들지못하는원인은산이물의용암단면에서그원인을찾아볼수있다. 용암의하부에는황갈색을띠며층리가발달한퇴적층이분포하는데, 이퇴적층은주로모래나진흙입자들로구성되어있으며, 층리가잘발달되어있다. 이와같은모래와진흙퇴적층은주호홍수때다량의물이하천을범람하여쌓이면서만들어지는경우도있고, 하천지형이휘는곳에서유속이상대적으로느려지는곳에모래등이쌓여만들어지긷도한다. 따라서용암층하부에놓여

139 그림 14. 산이물전경 ( 상 ). 산이물의단면 ( 하 ): 용암층을통과한빗물등이 고토양층을따라유출되는용천수의형성과정을보여준다. 있는퇴적층은이지역이용암분출이전에하천또는하천인근에위치한지역이었음을알려주는좋은증거라할수있다. 그리고이퇴적층은작고비슷한크기의입자들로구성되어있어물이잘통과하지못하는불투수층역할을하여물을아래로통과시키지않고흘러나오게만드는역할을하는것으로판단된다. 제주도의용천수는실제산이물과유사하게용암사이에협재된불투수성진흙층으로인해형성되는경우가많다. 그리고산이물계곡의용암표면에서는직격 1m 이상의크기를보이는거북이등모양의육각형절리들도잘

140 발달되어있다 망장포망장포는해안지역을따라평평하게용암대지발달한지형을보이는곳이다 ( 그림 15). 일반적으로토마토쥬스처럼점성이낮은파호이호이용암은두께가얇지만상재적으로넓은용암대지를만드는것으로알려져있다. 망장포해안에서는효돈천을이루는점성이높은아아용암과달리점성이낮은파호이호이용암을관찰하기좋은곳이다. 또한망장포해안의용암대지표면에는직경수십 cm 크기로쪼개지는다각형절리구조가발달되어있는데, 마치거북이의등모양과닮았다고해서거북등절리라고부르는구조이다. 망장포와같은용암대지는주로제주도동부와서부에서흔히볼수있는데, 김녕과월정, 협재등이유사한용암대지지역에해당되며제주어로빌레라고부른다 원앙소원앙소는깊이 50m 내외의깊은계곡에발달한폭포와물엉덩이지형을말한다. 계곡의단면에서용암과상하부클링커를기준으로총 4매의용암이관찰되며, 현재원앙소는최하부용암의하부클링커층을따라물웅덩이가발달해있다 ( 그림 16). 이용암은내부에광물반정이전혀관찰되지않으며수평방향의박리구조가관찰된다. 이용암의상부에놓여있는 3매의용암은거정질의사장석반정이포함되어있고주상절리를따라암석이파쇄되는특징을보인다. 한편원앙소물엉덩이를기준으로 8-9m 높이에는크기가 30cm이상이며둥근형태의암석이집중된구간이나타난다 ( 그림 17). 이역암은홍수때하천가장자리에쌓여만들어지는역암의전형적인특징을보이고있다. 지질학적으로원앙소는 4번에걸쳐두꺼운용암류가쌓인곳을따라초기하천이만들어지고지속적인침식작용을통해매우깊은계곡을만든것으로추정된다. 그리고용암류중간부분에서나타나는역암층은침식에의해깊어지기이전홍수때쌓인지층의일부가남아있는것이며, 이후하천의지속적인침식작용에의해하천이낮아지고깊어져지금의원앙소에위치하게된것으로추정된다.

141 그림 15. 파호이호이용암대지가발달한망장포해안 그림 16. 아아용암으로이루어진원앙소의단면. 하부에클링커층이발달해있다.

142 그림 17. 계곡중간부분에서관찰되는하천성역암지층. 용암의상부에위치한역암은용암이흐른이후하천이만들어졌을때역암층이쌓였음을지시한다. 역암이대체로둥근형태를띠는것은하천의운반과정에서오랜기간원마되었음을지시한다. 또한원앙소일대의계곡이휘어지는곡류하천의특징을보이는것은단층운 동에의해형성된일직선형태의하천이아니라하천의침식작용에의해깊어 진것임을뒷받침한다 선덕교하부선덕교하부계곡에는약 10m 두께의절벽이잘발달되어있으며, 다양한형태의암석들이관찰된다. 지층은최하부에서상부로가면서하부용암, 클링커, 고토양층, 아아용암순으로암석이나타난다 ( 그림 18). 최상부용암은두께가 1-3m 내외로비교적얇은편이며하부에는약 50-60cm 두께의클링커층이연장성있게잘발달되어있다. 클링커층의하부에는잔자갈에서왕모래크기의암편들이불규칙하게섞여있는고토양층이분포하고있다. 이토양층은상부에아아용암이분출하기이전에하천또는그주변에퇴적물이쌓여만들어진것으로추정된다. 한편최하부용암은반정이거의없고매우치밀하며단단한특징을보인다. 용암과클링커층의경계면을따라서는클링커들이엉겨붙어만들어진용암구 (lava ball) 도관찰된다 ( 그림 19). 이지역은기존에하천에서만들어진퇴적층이존재했던곳을따라다시아아용암이유입되었고오랜기간이용암이침식되어하부의퇴적층까지드러나게된지형으로추정된다.

143 그림 18. 선덕교하부하천단면 ( 상 ). 용암과하부토양층및클링커층을볼 수있고 ( 하좌 ) 최하부용암층내에용암구도관찰된다 ( 하우 ).

144 인용문헌 강순석, 김찬수, 김완병, 정세호, 강만생, 좌혜경, 강문규, 강시영, 2001, 제주생명의원류 / 하천과계곡2 효돈천. 나우출판. 295p 고정선, 윤성효, 강순석, 2003, 제주도한라산백록담분화구일대화산암류의암석학적연구. 지질학회지 12(1), 1-15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찬, 이승렬, 김유봉, 이한영, 조병욱, 장영남, 손병국, 전희영, 김용욱, 2000a. 서귀포-하효리도폭지질보고서 (1:50,000). 제주도, 한국자원연구소, 대전.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찬, 이승렬, 최현일, 박덕원, 이사로, 최영섭, 양동윤, 김주용, 서정율, 신현모, 2000b. 제주 ( 백아도, 진남포 ) 지질도폭설명서 (1:250,000). 한국자원연구소, 대전.

145 수종의희귀 특산식물분포및동태 김현철 1)2), 정세호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서론 최근기후변화로식생의변화와각종개발행위에따른지속적인식물종의감소를보이고있어여러학자들은향후 50년이내에지구상에생육하는 25만종의관속식물중약 20% 가멸종될가능성이있다고제시하고있다 (Wilson, 1992: Falk and Olwell, 1992: Australian Nature Conservation Agency, 1994). 이는 1970년대이후부터세계각국의희귀및절멸위험종의목록 (red data book) 을발표하고있으며, 그중일본의경우자생식물중약 17% 인 895종이희귀및멸종위기식물이라고제시하고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이후부터환경부가 64종을지정하여관리하고있으며산림청에서는 571종희귀 특산식물목록을작성하여제시하고있다 (Lucas and Synge, 1981; 국립수목원, 2008). 이들식물들은기후변화의영향뿐만이아니라생육환경의민감성, 분포지역의제한성등으로멸종가능성이높아국가차원의보전관리가시급한실정이라고제안되고있다. 그러나국가차원의보전관리위해서는대상식물에대한보전지위평가가우선되어야하는데과거희귀식물에대한평가는주로일부전문자들의관련식물의발견빈도에대한개인적인경험을토대로각기다른방식으로취합하여평가되어왔다 (Kim and Kim, 1990; Kim, 1994; Chang et al., 2001). 따라서희귀식물의개체군에대한생태와분포역, 크기, 동태등에관한정보는객관적으로수집되지않아세계유산자연보전연맹 (IUCN) 에서요구하는위기식물의평가시과학적인자료를통한객관적이고정량적인평가기준 1) 교신저자 ; 전화 : , khc4078@korea.kr

146 (criteria) 의근거자료를제시하지못했다 (IUCN, 2001). 따라서산림청에서는국내희귀식물의경우도해당식물에대한정확한분포범위, 자생지의환경특성, 개체군의유전학적특성및동태등의생물학적특성을정량적으로파악하기위해국내자생하는 4,100여종중 571종희귀식물을대상으로국가수준에서 IUCN 기준등급목록작성하였다. 이중제주지역의희귀 특산식물은 237분류군, 특산식물 54분류군, 중복종 28분류군을대상으로평가하였고멸종위기종 (CR) 65분류군, 위기종 (EN) 53분류군, 취약종 (VU) 66분류군등으로구분하였다 ( 국립수목원, 2008; Song 등, 2012). 한편김등 (2008) 은제주지역수준의평가는멸종 (EX) 1분류군, 야생멸종 (EW) 1분류군, 지역멸종 (RE) 3분류군, 극심멸종위기 (CR) 61분류군, 멸종위기 (EN) 13분류군, 취약 (VU) 83분류군, 위기접근 (NT) 374분류군로구분하였다. 그러나제주도는지리 지형적특수성으로인해우리나라에서제주지역에만한정분포하는희귀 특산식물이다양하게분포하고있어이들식물자원의현황, 자생지동태변화등에대한연구는매우미흡한실정이고최근제주지역에분포하는희귀 특산식물은인위적또는자연적요인으로인해자생지면적감소, 개체수감소등을보이고있다. 특히중산간이하지역은희귀 특산식물에대한보호지역지정등제도적장치미흡과서식지의접근용이성으로인한자생지교란위험성을가지고있고한라산국립공원지역은법적제도에따라인위적훼손의위험성은상대적으로낮으나대부분이환경에민감한수종으로구성되어있어제주조릿대군락이나참억새군락의발달, 소나무림의확장등자연적인요인으로인한서식지환경변화에따른자생지및개체수감소등이이루어지고있다. 따라서본조사는제주지역에분포하는희귀 특산식물에대한장기적인모니터링체계구축과자생지주변식생과생육특성등동태를파악하여현지내 외의종보존을위한기초자료로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147 재료및방법 1. 조사대상식물선정제주지역희귀 특산식물에대한생육특성을파악하기위해특산식물 (E) 3 분류군, 희귀식물인멸종위기종 (CR) 7분류군, 위기종 (EN) 2분류군, 중복종 2분류군으로총 6과 10속 10분류군에대해조사하였다. 지역적분포를보면국립공원 5개지역, 서귀포시 4개지역, 제주시 1개지역에방형구를설치하여조사하였다 ( 표 1, 그림 1). 표 년제주지역희귀ㆍ특산식물조사대상식물목록 연번 등급 1) 국명 학명 지역 1 E, CR 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제주시 2 CR 한라옥잠난초 Liparis auriculata 국립공원 3 CR 백운란 Vexillabium yakushimensis 국립공원 4 E,CR 두잎감자난 Oreorchis coreana 국립공원 5 E 제주방울란 Habenaria chejuensis 제주시 6 E,EN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국립공원 7 CR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서귀포시 8 CR 만년콩 Euchresta japonica 서귀포시 9 CR 제주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국립공원 10 EN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서귀포시 2. 자생지특성및식생조사식생조사를위한방형구설치는 년에조사된기존조사구와주변군락에교란을받지않고, 조사대상식물이가장대표적으로분포하는지점을찾아새로운조사구를추가설치하였다. 2개체이하로고립된단일개체생육지점에대해서는조사구의중심에개체가위치하도록조사구를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식생조사에서조사구의크기는식물군락의종조성에따라그 1) CR: 멸종위기종, EN: 위기종, E: 특산식물

148 면적이결정되기때문에희귀 특산식물의자생지방형구조사에서는대상종 의특성을고려하여그면적을결정하였다. 그외자생지특성, 개체군구조 및생태, 위협요인, 개체군분포지층위별특성등을조사하였다. 1: 제주고사리삼 2: 한라옥잠난초 3: 백운란 4: 두잎감자난 5: 제주방울란 6: 모데미풀 7: 백양더부살이 8: 만년콩 9: 제주황기 10: 전주물꼬리풀 그림 1. 조사지개황

149 결과및고찰 1. 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B.Y.Sun, M.H.Kim & C.H.Kim) 1.1. 주변식생및동태제주고사리삼은해발약 200 m 이내소택지형태로주변환경보다낮은함몰구와유사한형태로갖추고있는지역에다양한크기와형태로분포하며참느릅나무, 자귀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등상록활엽수림이나관목림등의하층식생으로자리잡고있고강우가빈번한여름에는보다오랜기간동안물에잠겨있는부분에자란다. 본조사지역은소택지형태의함몰구지역으로약 100m2에 40여개체가분포하고상층부에는자귀나무, 팥배나무, 참느릅나무, 까마귀베게등이분포하며하층식생은지형적특수성으로인해자금우, 송악등일부수종만분포하고있다. 고정조사구 (1 1m) 의종구성은자금우가피도 60% 정도우점하고있고제주고사리삼 20% 정도가분포하고있으며제주고사리삼의분포유형은근경번식으로인해군락적이고선 (line) 형태의분포양상을보였다 ( 그림 2). 그림 2. 제주고사리삼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고정조사구내제주고사리삼의동태는 2014 년조사시지상부수 40 개, 포자 결실수 26 개로조사되었고 2015 년조사시지상부수 42 개, 포자결실개체 29 개 로증가된것으로조사되었다. 그러나 2016 년조사시에는지상부수 16 개, 포

150 자결실개체 10개로지상부수나포자결실개체수가약 61% 가감소된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1). 이는제주고사리삼자생지의특성을보며 7~9월까지월평균강수량 300mm이상, 기온 20 이상인곳이지만올해자생지의환경인자를분석한결과월평균강수량 176mm로자생지월평균강수량이약 41% 로감소되어향후여름철우기일수나강수량이제주고사리삼의동태에많은영향을줄것으로판단된다. 표 1. 제주고사리삼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4년 년 년 위협요인제주고사리삼서식지는선흘곶자왈등에분포하여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접근이용이하고방문에따른산채와답압에의한위험성매우높다. 또한월평균강수량에따른민감한반응을보임에따라기후변화에따른자연도태가위협요인으로판단된다. 2. 한라옥잠난 (Liparis auriculata Blume ex Miq.) 2.1. 주변식생및동태한라옥잠난은한라산의해발고도가높은습지지역에자주이삭귀개, 기장대풀등습지식물과함께서식하며습지가장자리의물이고이는부분에자란다. 현재까지관찰된지역은 1곳으로약 345m2의분포면적을보이고있으며 50여개체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상층식생의종구성은물참나무 ( 피도 20%) 가교목층으로자리잡고있고팥배나무 ( 피도30%), 때죽나무 ( 피도10%), 산개벚나무 (20%) 등이아교목층으로자리잡고있으며꽝꽝나무 ( 피도10%), 비목 ( 피도 20%) 이관목층으로자리잡고있다. 하층식생은곰취, 기장대풀, 뱀톱, 청가시덩굴, 주름조개풀, 탑꽃, 긴잎미꾸리낚시등이분포하고있다. 고정조사

151 구 (1 1m) 상층식생의종구성은비목 10%, 단풍나무 60%, 때죽나무 10% 의피 도를보이고하층식생은한라옥잠난, 기장대풀, 곰취, 섬사철란, 낚시제비꽃 등이분포하며대부분이답압에의해토양이노출된훼손지로구성되어있다. 그림 3. 한라옥잠란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한라옥잠란개체군의동태조사결과개체수는 2010년 14개체, 2013년 10개체, 2014년 12개체, 2015년 19개체로증가하는경향을보이는것으로분석되었으나 2016년에는 12개체로감소하였다. 또한한라옥잠난생육특성상근경번식을함으로써성숙개체옆치수발생이이루어지기때문에성숙개체는 2010년 8개체, 2013년 7개체, 2014년 7개체, 2015년 5개체, 2016년 3개체로감소를보이는반면 75% 가치수로분포하고있다 ( 표 2). 표 2. 한라옥잠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0년 년 년 년 년

152 2.2. 위협요인한라옥잠난의주요분포지는수계가발달한협소한장소에군락적으로분포하고있어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사진촬영목적으로인한치수답압과성숙개체산채가주요한라옥잠난개체수의변동의원인이라고생각된다. 또한치수발생이이루어지고있어자생지인위적인간섭이없을시에는한라옥잠난은개체수유지및증가가될것으로판단된다. 3. 백운란 (Vexillabium yakushimensis (Yamam.) F.Maek.) 3.1. 주변식생및동태백운란은제주도내해발 370~800m 일원의낙엽활엽수림내에서분포하나서식지는낙엽층이빈약한지역으로한정적인분포양상을보인다. 현재까지백운란의출현지역을보면한라산을중심으로성판악일대 ( 약 640m) 의동쪽지역과어리목일대 ( 약 700m) 의서쪽으로분포하는양상을보인다. 본조사지역은한라산해발 764m에위치하고있고소나무 ( 피도 50%) 비목 ( 피도 20%), 곰의말채 ( 피도 20%), 산개벚나무 ( 피도 15%) 가교목층으로자리잡고있고아교목층으로비목과때죽나무가자리잡고있으며작살나무 ( 피도 10%), 비목 ( 피도 5%) 이자리잡고있다. 하층식생으로는고마리, 제주조릿대, 주름조개풀, 천남성, 노박덩굴, 줄딸기, 송악, 으름등이초본층으로분포하고있다. 그림 4. 백운란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153 백운란의개체수증감현황조사결과 2013년조사시전체개체수는 12개체로확인되었으나 2014년조사시 3개체로감소되었다. 이는조사지역의멧돼지의출현으로자생지가교란되었기때문이다. 2015년조사시에는 9개체가조사되어전년도대비증가된것으로조사되었으나 2016년에는고정조사구내에는개체가발생되지않았다. 그러나고정조사구와인접한곰의말채근경주변에 2개체발생되어폭우시부엽층과토양유실시개체훼손이나개체이동된것으로추정된다. 또한조사구내의개체수는급격히감소되는것으로분석되나자생지전체적으로급격한감소를보이지않는것으로추정된다 ( 표 3). 또한백운란의근계가 2~5cm사이에분포하여토양수분과대기중수분등의환경인자영향을많이받을것으로판단된다. 표 3. 백운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0년 년 년 년 년 위협요인백운란조사지역은국립공원지역으로서식지의접근이어려워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방문에따른도채와답압등인위적훼손을적을것으로판단이된다. 그러나본조사시멧돼지의이동과섭식에따른자생지의훼손이관찰되어동물에의한자생지파괴의위험성을가지고있다. 또한백운란은다년초로알려져있으나지상부의생활사에대한연구보고가없어현재로써개체수증감의파악이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지상부의생활사를파악하기위해 2013년조사지역분포개체에고유라벨를설치하였으나동일장소개체발생을확인하지못하였으며 2015년낙엽, 낙지가쌓이는곳이나교목의근계주변에백운란이발생을확인하였으나 2016년에는개체가발생되지않아다년생이아닌것으로판단된다.

154 4. 두잎감자란 (Oreorchis coreana Finet) 4.1. 주변식생및동태두잎감자란은현재까지보고된자생지는제주시조천읍교래리, 서귀포시수악교에분포하며곶자왈이라고칭하는지역에상산, 으름, 찔레등과함께혼생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본조사지역은 1100습지인근오름의하단부의낙엽활엽수림지역에자생함에따라식생층위별구성을보면수고가 10m이상인교목층은곰의말채가분포하고비목, 주목등이아교목층으로구성되어있으며관목층은산수국, 비목등으로구성되어있다. 초본층은제주조릿대가높은피도로우점하고있고개족도리, 새끼노루귀, 십자고사리, 이른범의꼬리등이분포하고있다 ( 그림 5). 또한두잎감자란은낙엽수림대의숲틈에서간헐적분포함에따라두잎감자란의생육과상부로부터이입되는광량이상관관계를보이는것을추정된다. 그림 5. 두잎감자란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2013년두잎감자란동태조사결과조사구 (1 1m2) 에서 4개체가출현하였으나 2014년에는출현을확인하지못하였고 2015년 2개체가출현되어 50% 의감소가이루어졌으며 2016년에는출현되지않았다. 이는 2013년도에비해제주조릿대지상부밀도가높아짐에따라습도, 광량, 피압등조사구내서식환경이변화와두잎감자란의개화및지상부출현등생리적기작에의해감소가이루어진것으로추정된다 ( 표 4).

155 표 4. 두잎감자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3년 년 년 년 위협요인본조사지역의위협요인은접근의용이성, 희귀성에따른채집과기념비근처에분포하고있어예초및주변정리에따른서식지환경변화인것으로판단된다. 또한두잎감자난결실시굴파리등곤충의섭식과자생지의주요하층식생인제주조릿대의확장에따른서식지환경변화가이루어지고있어개체감소가이루어질것으로판단된다. 5. 제주방울란 (Habenaria chejuensis Y. Lee & K. Lee) 5.1. 주변식생및동태제주방울란은해발 100m 이하지역에분포하고있으며한라산을기준으로서쪽지역곶자왈지대의저습한돌위나땅에한정적인분포양성을보임에따라제주방울란은빌레형태의암석이발달되어토양층과상층식생의발달이미비한지역을선호하는것으로판단된다. 본조사지역인해발 78m에위치한곶자왈지역에자생하고있으나교목층은없는지역으로소나무, 붉가시나무, 상동나무등이아교목층으로자리잡고있으며산초나무, 상동나무, 쥐똥나무, 소귀나무등이관목층으로이루는지역에분포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초본층으로는수까치깨, 여우콩, 산박하, 인동, 괭이밥, 개솔새, 마삭줄등이분포하고있다. 고정조사구의상층식생은교목층은분포하지않고아교목층으로소나무피도 30%, 상동나무피도 20%, 붉가시나무피도 15% 로자리잡고있으며관목층은쥐똥나무가피도 30% 로가장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초본층은잔디의피도가 20% 를보이고있으며수까치깨, 여우콩, 산박하, 인동, 괭이밥, 개솔새, 마삭줄등이간헐적분포를보이는것으로조사되었다.

156 그림 6. 제주방울란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제주방울란동태조사결과 2013년조사시전체 5개체에서 2014년 2개체로 2013년발생된치수가사멸되어감소된것으로분석되었으며 2015년 14개체로많은치수발생을보였으나 2016년 7개체로감소되었다. 또한성숙개체수는 2015년 8개체에서 2016년 2개체로 75% 감소하였는데이는제주방울란개화시산채가이루어진것으로추정된다 ( 표 5). 표 5. 제주방울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성숙개체수결실개체수 2013년 년 년 위협요인제주방울란은종자번식은잘이루어지나치수상태에서환경요구도가높아치수상태에서사멸되는경향을보인다. 제주방울란조사지역은곶자왈지역으로탐방로근처및탐방로에분포하고있어탐방객에따른답압과희소성에의한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방문에따른답압, 산채로자생지의파괴의위험성을상시내포하고있다. 따라서제주방울란은빌레형태의암석이발달되어토양층이빈약한지역에분포하고있어폭우시자생지훼손,

157 식생천이, 병해충, 제주방울란의높은환경요구도등이위협요인으로작용할 것으로판단된다. 6.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Ranunculaceae) 6.1. 주변식생및동태모데미풀은한라산국립공원하천의사면부와계곡부의주변에수분이풍부한곳에주로분포함에따라현재까지알려진자생지로는한라산을중심으로북쪽에위치한탐라계곡중류와 Y계곡중류에분포한다. 본조사지역은해발 1,085m에위치한경사도 70 인계곡사면의낙엽활엽수림에분포하고있다. 이지역의수고별종구성을보면개서어나무가교목층에서피도 30%, 아교목층에서피도 10% 로조사되었고관목층에서는산수국이피도 10% 로분포하였다. 초본층은제주조릿대가피도 30% 로가장높았으며세바람꽃, 곰취, 돌양지꽃, 이른범의꼬리, 참개별꽃등이낮은피도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7). 그림 7. 모데미풀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모데미풀개체군동태는개체수증감현황조사결과 2010년 41개체에서 2013년 97개, 2014년 24개체로급격한감소를보였는데이는발생한치수들이폭우나제주조릿대의피압으로사멸된것으로추정이된다. 최근조사를보면 2015년 54개체에서 2016년 61개체로증가되었고 20여개체는근생엽만가지고있는치수로조사되었다 ( 표 6).

158 표 6. 모데미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0년 년 년 년 년 위협요인고정조사구내모데미풀치수의발생특성을보면사면계곡의절벽틈에주로분포하고있다. 따라서모데미풀은경사도 70 인계곡암반사면의낙엽활엽수림하에자생하고있고폭우시산사태의치수및지상부의유실가능성을보이고있으며희소가치가높아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의방문에따른도채와답압등인위적훼손이높을것으로판단된다. 또한제주조릿대가자생지상단부에분포하고있어제주조릿대확장에따른서식지환경변화도모데미풀의생육에위협요인으로작용할것으로판단된다. 7.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Nakai) 7.1. 주변식생및동태백양더부살이자생지는해발 10m미만인지역으로해안도로와인접해있고매년잡초제거와군사훈련으로자생지의교란이이루어지는곳이다. 현재까지알려진백양더부살이출현지역은한라산을기준으로남서쪽해안근처의목초지대로말이나소를방목하고정기적인제초를하는지역이다. 본조사지역은해발 4m에위치한목초지로상층식생은분포하지않았고초본층은쑥과띠가 70% 이상의피도를보였으며꿩의밥, 쥐보리풀, 살갈퀴, 돌콩, 주름조개풀등이낮은피도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8).

159 그림 8. 백양더부살이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백양더부살이출현형태는 2015년백양더부살이지상부의출현은불연속적군락형태로출현하였으나 2016년에는불연속적개체형태로출현하였다. 또한백양더부살이동태를파악하기위해 2015년자생지전수조사결과 230여개체에서 2016년 124개체로약 50% 가감소한것으로분석되었고 2015년고정조사구 (1 1m) 에출현된개체수는 32개에서 2016년 6개로약 80% 가감소된것으로분석되었며 2015년과 2016년백양더부살이분포위치비교시방형구내서로다른위치에분포하는것으로보아산채로인한자생지파괴가이루진것으로판단된다 ( 그림 8, 표 7). 표 7. 백양더부살이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 성숙개체수 결실개체수 2013년 년 년 년 위협요인백양더부살이는제주도에서자생하는사실이최근에알려진식물로자생지의접근이쉽고매우희소가치가높아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방문에따른도채와답압등인위적훼손이매우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또

160 한정기적인제초와말이나소의방목, 군사훈련, 도로확대, 해안개발사업등 으로인한자생지의환경변화가위협요인으로작용할것으로생각된다. 8. 만년콩 (Euchresta japonica Hook.f. ex Regel) 8.1. 주변식생및동태만년콩서식지는해발 220 m에위치하고경사는 40~50 로매우가파른암석지대로, 돈네코계곡의북사면일대에소수의개체가불연속적이며제한적으로분포하고있다. 본조사지역은해발고도 302m에위치한상록활엽수림대지역으로경사도 60 인계곡사면에분포하고있다. 수고별종구성을보면수고 8m이상인교목인구실잣밤나무, 참가시나무등이 80% 피도를보이고수고 2 8m인동백나무, 종가시나무, 단풍나무등이 40% 피도를보이는것으로조사되었다. 수고 2m이하인관목류는천선과나무, 좁은잎천선과등이 10% 피도를보이고하층식생으로는바위족제비고사리가 35% 피도로가장높은피도로산출이되었으며송악, 마삭줄, 큰봉의꼬리, 콩짜개란등이낮은피도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9). 그림 9. 만년콩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만년콩의개체수동태는 2012 년조사시전체개체수 7 개, 성숙개체수 3 개, 결실개체수 1 개로조사되었고 2013 년조사시전체개체수 9 개, 성숙개체수 6 개, 결실개체수 0 개로조사되었으며 2014 년조사시전체개체수 10 개, 성숙개

161 체수 2개, 결실개체수 2개로전체개체수는증가한것으로조사되었다. 2015년조사시에도 2014년조사시와같이전체개체수 10개, 성숙개체수 2개, 결실개체수 2개로조사되었으나 2016년에는전체개체수 9개로만년콩치수 1개가확인되지않았다 ( 표 8). 표 8. 만년콩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성숙개체수결실개체수 2012년 년 년 년 년 위협요인만년콩은중국과일본그리고한국에서는제주도돈네코계곡에만한정적으로분포하는식물로희귀성과높은관상가치로인하여야생화동호회, 사진작가, 연구자등이방문에따른도채와답압등인위적훼손이높은것으로생각된다. 또한매우가파른지형에입지하여폭우에의한치수훼손등자연적인요인과계곡정비등인위적인요인으로개체유실및자생지파괴의위협요인으로작용할것으로생각된다. 9. 제주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Nakai) 9.1. 주변식생및동태제주황기자생지의특성은한라산해발 1,500mm이상고지대의한정된지역에만자생하며, 양지바른초지나바위주변의나지에분포하고개체수도매우적다. 본조사지역은해발고도 1,500m에위치한관목림대에속하며경사도약 10, 부엽층 6cm, 토양은점토로구성되어있고해발 1,500m지역으로관목림대에속하며상층부의식생은보리수나무, 산철쭉, 털진달래등하층식생은제주달구지풀, 제주조릿대, 가는범의꼬리, 돌양지꽃, 털새, 김의털등이분포하고있다. 고정조사구의상층식생의수고별종구성을보면교목층과아교목층

162 은분포하지않았으며관목층은보리수나무가 20% 의식피율을보이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하층식생은제주조릿대가피도 70% 로가장높았고털새 20%, 김의털 10% 순으로조사되었으며제주달구지풀, 가시엉겅퀴, 나비나물등이매우낮은피도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 10. 제주황기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제주황기개체수동태조사결과 2011년조사시전체개체수는 5개, 2013 년조사시에는 4개체2014년 11개체, 2015년 20개체, 2016년 22개체로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2013년에는약초꾼이나야생화동호회, 연구자등에의해채취가되어 4개체로개체수가감소하였지만 2014년부터전체개체수증가하는경향으로분석되었다. 또한등반로옆나지에제주황기종자가이입되어치수발생이되면서개체수가증가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제주황기의분포를보면털새, 제주조릿대등화본과식물과털진달래나산철쭉등관목림사이에분포하여주변식생의발달에따른피압등으로개체수및피도감소가우려가된다 ( 표 9) 위협요인제주황기의개체군증감현황예측및위협요인을분석한결과이지역은한라산국립공원지역이지만영실등산로옆개활지에분포하고있고점차생지가털새, 김의털, 제주조릿대등화본과식물의이입에따른피압, 주변환경

163 변화등으로개체수감소가우려가되고접근이용이하고민간에서도약용으 로사용하고있어약초꾼이나야생화동호회, 연구자등에의해채취나답압 등으로인한자생지교란위험성을가지고있다. 표 9. 제주황기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성숙개체수결실개체수 2011년 년 년 년 년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 주변식생및동태전주물꼬리풀의분포특성은해발 136m 중산간일대초지에형성된소택지에분포하고소택지내분포상을보면중앙부에는분포하지않고주연부에만분포한다. 현재까지알려진자생지는본조사지역의주변에는대부분이초지로구성되어있으며몇개의소택지가분포한다고하나한지역에서만분포하였다. 본조사지역의소택지면적약 2,409m2중물이항시고여있는수계지역과퇴적물이많이쌓인구릉지제외한 1,483m2에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조사지역의습지중앙부는약 70cm이상의물이항상고여있는곳은분포하지않고주연부는강우시에만물이 30cm 내외로고이는곳에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고정조사구의종구성은전주물고리풀은 50% 의피도로가장높았고가막사리 15%, 기장대풀 10%, 감자개발나물 10% 로조사되었으며물고추나물, 긴잎미꾸리낚시가간헐적분포를보였다. 한편조사지역북쪽분포지역에는감자개발나물이 70% 이상으로전주물꼬리풀상층에자리잡고있어점차감자개발나물피압으로인해점차왜소화현상과지상부수감소현상이관찰되었다.

164 그림 10. 제주황기개체군분포도및단면도 전주물꼬리풀개체수동태는 2012년조사시발생된지상부수는 102개, 성숙지상부 58개, 결실지상부 52개, 2013년조사시지상부수는 115개, 성숙지상부 69개, 결실지상부 65개, 2014년조사시지상부수는 138개, 성숙지상부 78개, 결실지상부 78개, 2015년조사시지상부 135개, 성숙지상부수 72개, 결실지상부수는 72개체, 2016년조사시지상부수는 146개, 성숙지상부 82개, 결실지상부 82개로증가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그러나올해조사시많은답압의흔적이발견되었고답압에의해군반 (Patch) 형태로전주물꼬리풀이분포하였다.( 표 10). 표 10. 전주물꼬리풀개체수변화 전체개체수성숙개체수결실개체수 2012 년 년 년 년 위협요인 최근야생화에관심이많아짐에따라희귀성으로인한야생화동호회, 연 구자등에의해채취나답압으로인한군락형태 (Community) 가아닌군반형태

165 (patch) 로분포함에따라나지에타식물이이입이수월하여자생지교란위험 성매우높은것으로생각된다. 또한경작지인근에분포하여농약살포등으 로인한농약이입으로인한자생지훼손이클것으로판단된다.

166 인용문헌 Austrlian Nature Conservation Agency Action plants and recovery plan funding proposal. Guideline for endangered and vulnerable species and ecological communities. Chang, C. S., H. Kim and Y. S. Kim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Pl. Taxon. 31: (in Korean). Falk, D. A. and P. Olwell Scientific and policy consideration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 IUCN IUCN Red List Categories;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Kim, Y. S The Necessity of Evaluation Criteria Selecitions for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Kor. J. Env. Eco. 8: 1-10(in Korean). Kim, Y. S. and T. U. Kim The Conservation od Rare Endangered Plants and The Role of Botanic Gardens and Arboreta in Korea. Seoul Nationa Univ. Coll. of Agric. Res. 15: 33-47(in Korean). Lucas, G and H. Synge, Plant Red Data Bool, IUCN. Song S. W., J. M. Chung, J. K. Shin, B. C. Lee, K. W. Park and S. J. Park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rare and endemic plant, Con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Kor. J. Pl. Taxon. 42(2): Wilson, E.C.O The diversity of life. Harvard Univ. Press 국립수목원 한국희귀식물목록집. 산림청국립수목원. 김찬수, 고정군, 문명옥, 송관필, 김수영, 김진, 김대신, 도재화, 송국만 제주지역의희귀식물. 국립산림과학원.

167 아고산대제주조릿대분포및생육특성 김현철 1)2), 정세호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서론 식물군락은오랜세월동안주변환경변화와계속적인상호작용으로환경에가장적합한식생의종구성을선택하며, 군락의양적, 구조적특성이환경의변화에따라도태되거나발달하여지속적인변화를한다 (Weger et al., 1983; 이등, 1993). 이들군락중조릿대류 (Sasa spp.) 는왕성한근경번식과주변환경에대한요구치가비교적낮기때문에벌채와산불등에의해나지가된산지에침입하거나경사가완만한화산지형에큰군락을형성하여산악지의교목림이나관목림에주요하층식생으로자라는등그분포역이넓다 (Oshima, 1960). 따라서조릿대속은분포지역별과입지별등분포양상에따라형태적으로나번식형태가달라 (Kudo, 1984; Katagiri et al., 1982; Yajima et al., 1997) 수관형성과부엽층의발달등독특한환경을형성하여하부에출현하는종이나치수에서로다른영향을주기때문에군락내의종다양성을결정하는중요한요인이된다 (Magurran, 1988). 한편한라산은지리적위치와해발고도와지세등으로아열대식물에서한대식물까지뚜렷한수직분포식생대를보여주고있고 ( 엄, 1962; 오, 1968; 차, 1969; 임등, 1991) 식생대를구성하는식물은환경변화에민감한종으로구성되어있는반면광엽성인제주조릿대는남방계식물로폭넓게적응력과근경번식을통해급속히확장될수있는종특이성을가지고있어한라산에서우점도가높은주요하층식생으로자리잡고있다 1) 교신저자 ; 전화 : , khc4078@korea.kr

168 ( 고, 2007). 따라서본연구는한라산제주조릿대에대한장기모니터링체계를구축하기위해아고산대분포면적산출과벌채와말방목통한관리방안기초자료를확보하고자실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아고산대제주조릿대분포면적산출한라산국립공원내해발 1,400m 이상아고산지역의제주조릿대분포경계를결정하기위하여국토정보지리원의항공정사영상 (1픽셀 =50cm) 을육안으로판독하였고분포지역의위치정보를획득하기위하여해당지역에대한국토정보지리원의수치지형도 (1/5,000) 를중첩하여보정하여사용하였다. 이때위치정보보정, 분포경계추출, 면적산출하기위해 ArcGIS (Ver. 10.3), AutoCAD (Ver. 19.1), QGIS Desktop (Ver ) 프로그램을이용하였다. 항공정사영상에서제주조릿대분포경계가명확하지않은지역과분포여부가불확실한산림지역일부는현지답사를통해확인하고보정하였다. 2. 제주조릿대관리방안연구제주조릿대관리방안을모색하기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제주조릿대벌채및말방목따른제주조릿대의생육특성및주변환경변화가조사가수행됨에따라금번조사에서는모니터링체계구축을위한기초자료를확보하였다 조사지개황벌채실험은한라산장구목남서쪽, 윗세오름북쪽등산로주변에위치한제주조릿대군락지 10,000m2를대상으로실시하였고말방목실험은한라산만세동산남쪽제주조릿대군락지 10,000m2를대상으로실시하였다 ( 그림 1).

169 그림 1. 조사지개황 2.2. 실험구설정벌채실험은제주조릿대지상부만벌채를통해제거한구역과부엽층까지제거한구역으로구분하여각각 5,000m2 (50m 100m) 대상으로실시하였고고정실험구는각각조사구내에 16.7m 20.0m로 15개의격자로구분하여격자중앙부에 1m 1m 고정방형구를설치하여조사하였으며제주조릿대벌채부산물로멀칭된주변부에 1m 1m 고정조사구 6개를설치하여조사였다. 고정대조구는주변인근제주조릿대군락내에 1m 1m 고정조사구 6개를설치하여조사하였다. 말방목실험은적정방목과강방목으로구분하여조사구내에각각 16.7m 20.0m로 15개의격자로구분하고격자중앙부에 1m 1m 고정방형구를설치하여조사하였고고정대조구는주변제주조릿대군락내에 1m 1m 고정방형구 6개를설치하여조사하였다 조사항목 벌채및말방목에따른환경인자변화를알아보기위해벌채및방목전

170 사전조사를실시하였다. 각각의벌채지역과말방목지역을대상으로지형변화는지상 LiDAR를이용한지형정밀측량을진행하였고토양환경변화는입도분석, 경도, 산도, 유효인산등 19개항목에대해말방목지 36개시료, 벌채지 42개시료를분석하였다. 또한하부식생의변화를위해벌채지와말방목지전지역을대상으로출현하는식물종을조사하였고고정조사구 78개에대해서는종다양도산출, 식물의이동등을파악하기위해제주조릿대하부식생조사를하였다. 제주조릿대벌채및말방목후생육변화를알아보기위해각조사지역고정조사구및대조구에대해밀도, 줄기길이, 옆장, 옆폭등을측정하였다. 벌채지역은제주조릿대군락내산철쭉, 털진달래등이분포하는지역으로연차별생육상태개선여부모니터링을위한기초자료를확보하기위해벌채지역내관목의생육상태를우량, 보통, 불량, 고사로구분하여전수조사를하였고개별식별표부착하여좌표값을기록하였으며수고, 수관등을조사하였다 ( 표 1). 말방목실험에서는일일섭식량및채식습성을알아보기위해총 68 일간말 4두를이용하여강방목과적정방목의각 1,000m2대상으로실시하여조사하였다. 표 1. 관목생육상태평가기준 번호 등급 평가기준 1 우량 상단의가지가 90% 이상살아있는경우 2 보통 상단의가지가 50~90% 가살아있는경우 3 불량 상단의가지가 50% 미만만살아있는경우나피압으로왜소한개체 4 고사 식물체전체가죽은경우 결과및고찰 1. 아고산대제주조릿대의분포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해발 1,400m 이상지역은 21.55km2으로이중제주조릿대가분포하는면적은 19.03km2로확인되어전체면적의약 88.3% 가점유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1). 분포특성을보면한라산분화구주변, 계곡

171 기저부및암반지역, 습지, 인공시설물구역을제외한거의전지역에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고오름의정상부근토심이매우얕은지역과경사가완만한지역에서움푹패여물이자주고이는지역은제주조릿대의침투가지연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그림 2. 아고산대제주조릿대의분포 2. 제주조릿대관리방안연구 2.1. 주변환경조사지상 LiDAR를이용한조사지역지형정밀측량을한결과만세동산일대방목지의표고값은최소 1,585m부터최대 1,598m까지조사되었고장구목일대벌채지의표고값은최소 1,697m부터최대 1,725m까지조사되었다 ( 그림 2).

172 그림 2. 조사지역의지형 각조사지역의토양특성중물리적특성을분석한결과방목지역은대부분미사토로나타났고, 벌채지역은사질양토나미사질양토로분석되어벌채지역모래함량 29.48% 로방목지역에비해 17.12% 가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반면미사와점토는방목지역에서각각 81.38%, 6.26% 로벌채지역에비해 8.50%, 0.72% 가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화학적특성을분석한결과토양산도는방목지역 ph 5.47, 벌채지역 ph 5.42로모든조사지역이산성으로나타났으며벌채지역과말방목지역염분,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전기전도도, 치환성염기 (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 를비교시유의한차이가없는것으로분석되었다. 하부식생의변화를위해벌채지와말방목지전지역을대상으로출현하는식물종을조사한결과방목지역에서는 21과 32속 36종 ( 강방목 11종, 적정방목 33종 ), 벌채지역에서는 24과 37속 38종 ( 지상부제거지역 26종, 지상부 + 부엽층제거지역 29종 ) 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며공통종으로털새, 김의털, 눈향나무, 털진달래등 16종으로분석되었다 ( 표 2). 이는제주조릿대에의해생육지가파편화가됨에따라실험지역에분포하는식물종수는많지만개체수는적은단독독립개체형태로분포하는것으로판단된다.

173 표 2. 실험지역출현식물종수 방목지역 벌채지역 구분 출현종수 강방목 목본 10종 적정방목 33 - 초본 26종 지상부제거 지상부및부엽층제거 29 - 목본 7 종 - 초본 31 종 58 - 공통종 16 종 - 목본 12 종 - 초본 46 종 2.2. 제주조릿대생육특성조사제주조릿대벌채및말방목후생육변화를알아보기위한간섭전제주조릿대생육특성조사결과부엽층의깊이는말방목지역 7.3cm, 벌채지역 8.5cm 로유의한차이를나타나지않았다. 밀도는말방목지역 1,311.4개 / m2, 벌채지역 1,011.3개 / m2로말방목지역이약 300개 / m2가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반면지상부의길이는벌채지역 52.2cm, 방목지역 47.3cm으로벌채지역이방목지역에비해약 4.9cm가큰것으로분석되었다. 제주조릿대의지상부생물량은줄기밀도와비례하며방목지역생체량은 2.9kg/ m2, 벌채지역생체량은 2.0kg/ m2로방목지역에서 0.9kg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잎에대한특성을알아보기위해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을산출한결과각각방목지역인경우 4.8개, 4.6cm. 10.1cm, 2.6cm, 19.8cm2으로산출되었고벌채지인경우 3.3개, 4.2cm. 9.5cm, 2.4cm, 18.6cm2으로산출되었다. 말방목실험에사용된말은저지대목초지역에적응한말들로고지대이동후먹이와주변환경변화에적응시키기위해시험방목을 15일간순치하였다. 방목실험을한결과섭식행태관찰에서는제주조릿대에대한말의섭식선호도는양호하였으나, 김의털, 털새등에비해서는낮은것으로관찰되었고제주조릿대부위별섭식선호도를보면제주조릿대낙엽, 신초, 구초, 줄기순으로조사되었다. 말의섭식량은적정방목기간동안에말 4두가섭식한총량은건중량기준으로 1,317kg이었으며말 1두의 1일섭식량은건중량 15.9kg으로체중의약 6.2% 를섭식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강방목실시로말 4두가섭식한총량은건중량기준 1,685kg이었으며말 1두의 1일섭식량은건중량

174 12.8kg으로체중의약 4.97% 를차지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강방목기간의섭식량이적은것은강방목 2차기간에는섭식이용이한잎은거의남아있지않아서먹이부족에의한것으로추정된다. 벌채지역내출현한관목류총 4,369개체에대해위치정보화를하였고출현하는주요수종으로는산철쭉 3,993개체, 털진달래 158개체, 눈향나무 101개체, 주목 53개체순으로나타났고생육상태는산철쭉인경우우량한개체가 5.4%, 보통 54.6%, 불량 39.6%, 고사 0.4% 로조사되었다. 털진달래의경우우량개체는확인되지않았고대부분불량 (54.4%) 이나고사 (34.2%) 로평가되어극양지성인털진달래인경우가산철쭉에비해제주조릿대에대해민감한반응을보이는것으로생각된다 ( 그림 3, 표 3). 그림 3. 벌재지역내관목류분포도

175 표 3. 벌재지역내관목류생육상태 수종 생육상태합계 ( 전체우량보통불량고사대비비중 ) 산철쭉 217(5.4%) 2,180(54.6%) 1,582(39.6%) 14(0.4%) 3,993(91.4%) 털진달래 0(0%) 18(11.4%) 86(54.4%) 54(34.2%) 158(3.6%) 눈향나무 16(15.8%) 67(66.3%) 18(17.8%) 0(0%) 101(2.3%) 주목 13(24.5%) 23(43.4%) 16(30.2%) 1(1.9%) 53(1.2%) 섬매발톱나무 0(0%) 3(75%) 1(25%) 0(0%) 4(0.1%) 구상나무 1(33.3%) 1(33.3%) 1(33.3%) 0(0%) 3(0.1%) 홍괴불나무 0(0%) 1(50%) 1(50%) 0(0%) 2(0%) 병꽃나무 0(0%) 0(0%) 1(100%) 0(0%) 1(0%) 총합계 250(5.7%) 2,325(53.2%) 1,725(39.5%) 69(1.6%) 4,369(100%)

176 인용문헌 Austrlian Nature Conservation Agency Action plants and recovery plan funding proposal. Guideline for endangered and vulnerable species and ecological communities. Chang, C. S., H. Kim and Y. S. Kim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Pl. Taxon. 31: (in Korean). Falk, D. A. and P. Olwell Scientific and policy consideration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 IUCN IUCN Red List Categories;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Kim, Y. S The Necessity of Evaluation Criteria Selecitions for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Kor. J. Env. Eco. 8: 1-10(in Korean). Kim, Y. S. and T. U. Kim The Conservation od Rare Endangered Plants and The Role of Botanic Gardens and Arboreta in Korea. Seoul Nationa Univ. Coll. of Agric. Res. 15: 33-47(in Korean). Lucas, G and H. Synge, Plant Red Data Bool, IUCN. Song S. W., J. M. Chung, J. K. Shin, B. C. Lee, K. W. Park and S. J. Park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rare and endemic plant, Con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Kor. J. Pl. Taxon. 42(2): Wilson, E.C.O The diversity of life. Harvard Univ. Press 국립수목원 한국희귀식물목록집. 산림청국립수목원. 김찬수, 고정군, 문명옥, 송관필, 김수영, 김진, 김대신, 도재화, 송국만 제주지역의희귀식물. 국립산림과학원.

177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분포및동태 김현철 1)3), 정세호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서론 최근자연친화적인생활환경및친환경적삶에관한관심이증가되면서산림관상자원에대한소비자의관심이증가와영상매체의발달및인터넷의빠른보급으로인하여국내외다양한식물자원에대한소비자의관심이높아져기존의관상식물이외에새롭고다양한관상식물을재배하고싶은소비자의요구가증가하고있다. 우리나라에는다양한산림자원이있으며, 소비자의기호에적합한다양한관상자생식물이존재하지만, 이에관한체계적인조사및개발연구가미흡한실정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층층나무목 (Cornales) 수국과 (Hydrangeaceae) 수국속 (Hydrangea) 에속하는산수국 (Hydrangea serrata var. acuminata) 은가지끝에커다란꽃이산방화서형태로달려관상가치가높을뿐만이아니라내음성과내한성, 내공해성이강하고당년에자란가지에서개화할수있기때문에미국의정원수육종소재로관심을끌고있다 (Reed, 2004; Anh 과 Lee, 1997, Orozco-obando 등, 2005). 수국속 (Hydrangea) 은동아시아, 북아메리카동부지역을중심으로분포하며전세계에 23 여종이알려져있고국내에는산수국 (H. serrata var. acuminata), 떡잎산수국 (H. serrata var. coreama), 탐라산수국 (H. serrata f. fertilis), 꽃산수국 (H. buergeri), 넌출수국 (H. petiolaris var. ovalifolia), 등수국 (H. petiolaris var. cordifolia), 성널수국 (H. luteovenosa) 이분포하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 1) 교신저자 ; 전화 : , khc4078@korea.kr

178 으나여러학자의견해차이를보임으로학명상의혼란과종동정상에많은어려움을겪고있다. 또한수국속식물이분류학적으로기재되기전부터원예종으로개량되고식재되면서많은잡종들이만들어져학명상의혼란과종동정상에많은어려움을겪고있기때문이다 (McClintock, 1957). 한국산수국속내분류는외부형태학적으로산수국, 꽃산수국, 탐라산수국의경우꽃받침잎인중성화의형질로구분하는데분류군의실체가명확하지않으며다양한변이를가진다고한다.( 김등, 2016) 따라서본연구는수국, 산수국, 꽃산수국, 탐라산수국등이다양한형태학적변이를보이는영주산외벽일대의수국속 (Hydrangea) 에대하여식물형태학적분류와분포특성을정리하여제주지역산수국자원화의기초자료로제공하고자한다.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조사지역은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표선면성읍리에위치한영주산으로해발도가 326.4m인오름이다. 분화구는화산체의남동쪽으로터진말굽형으로오름사면이대부분은억새가우점하는초지의형태를보인다 ( 제주도, 1997). 영주산동쪽외벽은관목형초지형태로억새, 찔레, 띠, 산수국등이분포하고있고서쪽, 남쪽, 북쪽외벽은교목성삼나무와곰솔이분포하고있다. 2. 조사및분석영주산외벽일대의산수국분포조사는산수국의개화시기인 5월부터 8월까지현지답사를통해조사하였고산수국화기및엽이특이성을보이는개체에대해서는현장에서라벨링과샘플링하였다. 수집된시료는한라수목원하우스에서밀폐삽목을통한무성증식과식물형태학적분류를위한식물표본을제작하였다. 산수국의형태학적특성을조사하기위해화기에대해서는위화크기및수를조사하였고엽에대해서는엽형, 엽장, 엽폭, 엽저각, 엽맥수, 거

179 치형태등조사하였다. 이를이용하여분류학적위치를알아보기위해 SPSS PC+ 통계 package 를이용하여군집분석하였다 결과및고찰 1.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분포현황영주산외벽일대수국속 (Hydrangea) 의분포는산수국 (H. serrata var. acuminata), 탐라산수국 (H. serrata f. fertilis), 꽃산수국 (H. buergeri), 등수국 (H. petiolaris var. cordifolia) 이분포한다. 산수국인경우는전체적으로영주산외벽일대대부분분포하지만북쪽외벽인경우가장낮은빈도로분포하였고교목림이분포하지않은동남외벽초지에높은빈도로분포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1). 산수국등수국 꽃수국탐라수국산수국 산수국 수국 그림 1. 영주산외벽일대수국속 (Hydrangea) 의분포

180 꽃산수국과탐라산수국인경우는산수국이출현빈도가높은동남외벽초지에간헐적분포를보이는반면서쪽일원의삼나무식재림하부에서높은출현빈도를보였다. 한편영주산입구동쪽무덤옆에 50년이상으로추정되는재배종인수국군락이분포하고최근영주산진입로노견에식재된수국도관찰되었다. 2.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의형태학적특성영주산외벽일대수국속 (Hydrangea) 의형태학적특성을알아보기위해수집된 106개체에대해엽병의길이, 엽장, 엽폭, 엽각등 8개항목에대한엽의특성과위화수, 위화폭, 위화각등 6개항목에대한위화의특성을가지고분석을하였다. 엽병의길이는 1.1~1.9cm까지분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고엽장은 8.5~10.2cm, 엽폭은 4.4~6.2cm까지분포하였다. 엽형은엽장과엽폭의비를가지고 0.5이상광타원형, 0.5이하장타원형으로구분한결과엽폭 / 엽장이 0.72 인광타원형으로부터 0.44인장타원형까지다양한엽형을보이것으로분석되었다. 엽저각인경우 38.3~63.9 까지분포를보였고엽폭 / 엽장비에따라엽저각이정의상관 (r=0.202, p 0.01) 을보였다. 엽맥은 4.8~6.5개까지분포하고좌우대칭또는비대칭으로분포하였다. 산수국의엽선은꼬리처럼긴예첨두의형태를보이고수국인경우예첨두형태를보인다 ( 이, 1980). 엽선은 0.8~2.0cm까지분포하고엽폭 / 엽장비에따라엽선의길이와역의상관 (r=-0.276, p 0.01) 을보였다. 엽연은둔거치 1, 예거치 2, 침상거치 3으로정하여분석한결과둔거치인 1.3부터침상거치인 2.5까지분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고둔거치에서침상거치로갈수록엽폭 (r=-0.196, p 0.01) 은좁아지는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2). 표 1. 영주산일대산수국의엽의특성 품종엽병 엽장엽폭엽저각엽맥수엽선 (cm) (cm) (cm) 엽폭 / 엽장좌우좌우 (cm) 엽연 A B C D E F G H I

181 5cm A B C D E F G H I 그림 2.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의엽형 산수국의위화는지름 2~3cm이고꽃받침잎은 3~5개를가지고있으며반면수국은위화의지름이 10~15cm이고꽃받침잎은 4~5개를가지고있다 ( 이, 2003). 영주산의꽃받침잎한장에대해크기와형태를분석한결과길이는 1.1~1.9cm까지분포하고폭은 1.0~1.8cm까지분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꽃받침잎의형태는길이 / 폭비율이 1.4인장타원형과 0.9~1.0인원형도분포하였고위화의지름은 2.2~3.8cm로조사되었다. 꽃받침잎의수는 3.4~4.5개로조사되었고꽃받침잎의엽저각은 56.3~165.1 로측정항목중가장넓은변이폭을보였다. 꽃받침잎의길이는꽃받침잎의엽저각은역의상관 (r=-0.174, p 0.01) 을보였고꽃받침잎의수와는정의상관 (r=0.143, p 0.01) 을보였다. 표 2. 영주산일대산수국의꽃받침잎 ( 위화 ) 의특성 품종 꽃받침잎길이폭비율엽저각갯수 A B C D E F G H I A B C D E F G H I 그림 3. 영주산외벽일대산수국의꽃받침잎형태

182 영주산산수국의꽃받침잎과엽의특성을상관분석한결과꽃받침잎의길이가증가함에따라엽선의길이 (r=0.349, p 0.01), 엽병의길이 (r=0.212, p 0.01), 엽장 (r=0.306, p 0.01), 엽폭 (r=0.173, p 0.01) 이증가하였으며엽저각 (r=-0.183, p 0.01) 은감소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김등 (2016) 은국내산수국에대한염기서열을분석한결과산수국의분계조는꽃산수국과탐라산수국이유집되어하나의단계통군을형성하였으며, 염기서열상으로도뚜렷한차이가없다고보고한바있다. 그러나본조사에산수국, 꽃산수국, 탐라산수국으로구분하지않고수집된수국속 (Hydrangea) 에대한잎과꽃받침의정량적형질을통해분류학적유사성을알아보기위해군집을분석을한결과총 106개체에서 9개의군집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4). CASE Euclidean distance A B C D E F G H I 그림 4. 영주산외벽일대수국속 (Hydrangea) 의군집분석 김등 (2016) 은산수국의염기서열을분석하기위해제주지역에서한라산, 색달동, 천지동, 남원읍, 아라동, 애월, 대포동등에서채집하였으나다양한형태를보이는성읍영주산일대의산수국은제외되었고산수국변이타입에대한분석이이루어지지않았다. 또한동일종내에서환경적응과관련한종내분화현상이유전적으로고정되었을때생태형 (ecotype) 이라고하고지속적으로변이의경향을보이는것을구배 (cline) 라고한다 (Turesson, 1922; Huxley, 1983). 따라서영주산의산수국은다양한형태변이를보임으로써영주산산수국의생태

183 형구배를증명하기위해향후염기서열분석이진행되어야할것이고산수국 의산업화를위한산수국의화색에대한연구가진행되어야할것이다 ( 그림 5). 그림 5. 영주산외벽일대수국속 (Hydrangea) 분포

184 인용문헌 Ahn, Y.H. and T.J. Lee Encyclopedia of Korea native Plants.\Orozco-Obando, W., G.N. Hresch, and H.Y. Wetzstein Genotypic variation in flower Huxley, J An auxiliary taxonomic principle. Nature. 142 : induction and development in Hydrangea macrophylla. HortScience 40(6): McClintock, E A monograph of the genus Hydrangea. Proc. Calif. Acad. Sci. 29: Reed, S.M Pollination biology of Hydrangea macrophylla. Hort Science. 40(2): Turesson, G The genotypic response of the plant species to habitat. Hereditas. 6: 김혜식, 박규태, 박선주 한국산수국속 (Hydrangea L.) 식물의분자계통학적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9(4):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185 한라산소백록담및 1100 고지습지의 퇴적물에관한연구 고석형 1), 이영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서론 다양한생명정보를담고있는습지는자연적이든지인공적이든지에관계없이영구적이거나일시적으로습윤한상태를유지하고그러한환경에적응된식생이서식하는장소를의미한다. 습지보전법은습지의효율적인보전과관리에필요한사항을규정하고있으며지정기준에맞춰습지보호지역을지정하고있다 (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9). 습지보전법제8조에의하면우리나라의습지보호지역은 2017년 1월기준으로총 41개소가지정되어있다. 그중람사르습지로지정된곳은 22개소이다. 람사르협약에서는희귀하고독특한습지유형과생물다양성이풍부해세계적으로보전가치가높은지역을람사르습지로등록해서보호하고있다. 제주도등 (2001) 의보고에의하면제주도의습지는약 250여개가있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현재 5개소가람사르습지로지정되어관리되고있다. 2006년에물영아리가최초로지정되었으며물장오리, 1100고지습지, 동백동산습지및숨은물뱅듸가있다. 이외에도한라산및중산간지역일대에는알려지지않은보전가치가높은습지가많다고알려져있으나각종동호회및등반객에의한훼손위험성을갖고있다고할수있다. 습지중요성을인식하고국가습지목록을구축하여습지의체계적인관리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186 를위한기초자료를확보하기위해 2000년부터 5년단위로제3차에걸쳐전국내륙습지일반조사및정밀조사가이뤄지고있다 (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9; 환경부국가습지사업센터, 2011). 본연구는한라산고산습지연구의일환으로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를대상으로토심별로퇴적물의이화학적성질, 연대측정등의분석및해석을통해서체계적인습지보전을위한학술적인자료를제공하는데목적이있다.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연구대상지인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의전경은그림 1과같다. 소백록담은백록담을기준으로직선거리로북동쪽방향으로 1.7km, 왕관릉에서동쪽방향으로 1.2km거리에위치한타원형의산정호수이다 ( 제주특별차지도환경자원연구원, 2009). 소백록담은해발약 1,500m로수면면적은 1,633m2로알려져있다 ( 고정군과고석형, 2008). 가매왓 이라는지명은백록담의동능에서동북쪽으로길게뻗어있는능선일대를가리키며소백록담을 물가메왓 물가마왓 물가마소 등으로부르기도한다. 백록담은갈수기에물이말라버리는고갈현상이발생하지만소백록담은물이마르지않는것으로알려져있다. 소백록담의담수지역은수생식물인가래, 골풀, 벌깨냉이등이분포하며, 습지주변으로는하한대성수종인구상나무, 좀고채목, 주목등과온대성수종인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등이혼효되어있는식생구조를보인다 ( 고정군과고석형, 2008). 1100고지습지는한라산정상에서직선거리로서쪽방향으로 6km떨어진한라산산록에발달한고산습지이다. 제주시와서귀포시산간을잇는 1100도로는한라산중턱의해발 1,100m까지올라간다고해서붙여진이름으로우리나라에서가장높은곳에위치해있는도로로이주변에위치해있어 1100고지습지라고불린다. 1100고지습지는완만한경사를갖고있어담수에유리한지형조건을갖고있으나평균적으로 50cm미만의낮은담수수위를보이고

187 있으며다양한형태의습지를볼수있다 고지습지보호지역의남북방향 의길이는 515m, 동서방향의길이는 500m 이며, 면적은 125,511 m2로알려져있 다 ( 환경부 국립습지센터, 2013). 그림 1. 연구대상지전경 (a) : 소백록담습지, (b) : 1100 고지습지. 1100고지습지에서멸종위기종인물부추의서식이확인되고독특한지형에발달한고산습지로서의가치가인정되어 2009년 10월 1일에습지보호지역으로선정되었으며, 같은해 10월 12일에람사르습지로등록되어환경부연산강유역환경청에서관리하고있다. 1100고지담수지역은한라부추, 세모고랭이, 올챙이고랭이등의수생식물이분포하며, 습지주변으로는제주조릿대, 꽝꽝나무등의관목수종과서어나무, 졸참나무등의낙엽활엽수림이분포하고있다 ( 고정군과고석형, 2008). 2. 시료채취그림 2에연구대상지위치및시료채취저점을표기하였다. 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조사는 2016년 4월부터 11월까지수행하였으며시료채취는 11 월에실시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위한토양시료는습지용토양채취기 (Peat sampler, Netherland) 를이용하였으며가급적이면토심이가장깊은곳을대상으로토양시료를채취하려고했다. 하지만토양시료채취가어려워

188 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모두표층에서부터 50cm깊이까지만채취하였다. 소백록담토양시료는 0~2cm, 10~12cm, 20~22cm, 30~32cm, 40~42cm및 48~50cm의총 6개시료로각각 2cm간격으로절취하여연대측정하는데이용하였다. 1100고지습지토양시료도소백록담시료와마찬가지로 0~2cm, 10~12cm, 20~22cm, 30~32cm, 40~42cm및 48~50cm의총 6개시료로각각 2cm간격으로절취하여연대측정하는데이용하였다 ( 그림 3). 그림 2. 연구대상지및시료채취지점 토양의이화학적성질을측정하기위한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토양시료는토심이 50cm밖에되지않아서 50cm깊이까지토양단면을만들었으며다시 10cm간격으로구분하여토양시료를채취하였다. 토양시료채취는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위한시료를채취한곳과동일지점에서채취하였다. 공통적으로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는 40cm깊이에서토양공극사이로계속해서물이흘러고여토양시료채취하기가힘들었으며, 1100고지습지는숨은물뱅듸와같이시료채취시특유의썩은냄새가났다.

189 3. 분석방법 3.1. 방사성탄소연대측정연대측정용시료총 12점을미국의 Beta Analytic Inc. 에분석을의뢰하였다. 동위원소분석에있어서초정밀질량분석기술에속하는가속기질량분광분석법 (AMS) 을이용하였다. 탄소연대보정곡선 Database는 INTCAL09를사용하였고, 보정탄소연대는 2 Sigma calibration한결과이며 95% 의신뢰도를가졌다. 그림 3. 방사성탄소연대측정 (a) : 소백록담습지, (b) : 1100 고지습지 토양의이화학적성질분석토양의이화학적성질은농촌진흥청토양분석법 (NIAST, 2000) 에준하여분석하였다. 입자밀도는 pycnonmeter 방법을응용하여측정하였다. 토양 ph는토양과증류수의비를 1 : 5로하여토양 5g에증류수 25mL를첨가한다음진탕하여 ph meter(orion Star A211, Thermo) 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는 ph를측정하고남은여액을 Conductivity Meter(CM-11P TOA Electronics Ltd., Japan) 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토양유기물함량은 Walkley and Black법으로분석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이용하여 UV/Vis

190 Spectrometer (Lambda 25, PerkinElmer) 로측정하였다. 총질소함량은토양시료를황산으로분해한다음 Kjeldahl법으로자동질소분석장치 (Kjeltec analyzer unit, Foss, USA)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교환성양이온은 1N ammonium acetate(ph 7.0) 용액 50mL를가하여 30분간진탕한다음여과하여얻어진여액을 ICP-OES(JY 138 Ultrace, Jobin Yvon)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양이온교환용량은 1N ammonium acetate(ph 7.0) 용액으로포화후 ethanol로과잉의 NH4 + 세척한후증류하여정량하였다. 결과및고찰 1. 조사지토양의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조사지토양의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를표 1, 2에나타내었다. 소백록담의탄소연대를보면토심 48 50cm깊이에서 2390±30으로나타났다. 반면에 1100고지습지의탄소연대를보면토심 48 50cm깊이에서 8360±40으로수치상으로보면소백록담보다약 3배이상오래전에생성되었음을알수있다. 표 1. 소백록담퇴적물의탄소연대측정결과 시료 번호 토양깊이 (cm) 탄소연대 (yr.b.p.) ± ±30 보정탄소연대 (yr.b.p.) 14 C BP(± 1σ) Cal BP(± 2σ) Cal BP 60 to 45 and Post BP 0 Cal BP 305 to 270 and Cal BP 215 to 150 and Cal BP 15 to Post ±30 Cal BP 465 to ± ±30 Cal BP 645 to 585 and Cal BP 565 to 530 Cal BP 1045 to 1030 and Cal BP 985 to ±30 Cal BP 2490 to 2345

191 표 고지습지퇴적물의탄소연대측정결과 시료 토양깊이 탄소연대 (yr.b.p.) 보정탄소연대 (yr.b.p.) 번호 (cm) 14 C BP(± 1σ) Cal BP(± 2σ) ±30 Cal BP 270 to 215 and Cal BP 195 to 190 and Cal BP 150 to 15 and Post BP ±30 Cal BP 1530 to ± ±30 Cal BP 1815 to 1685 and Cal BP 1675 to 1620 Cal BP 5440 to 5415 and Cal BP 5325 to 5290 and Cal BP 5150 to ±30 Cal BP 8315 to ±40 Cal BP 9475 to 9285 한라산을기준으로서쪽에위치한다른습지와의비교를위해서 40 42cm깊이에서의탄소연대를보면볼레오름습지는 11550±40, 숨은물뱅듸는 4420±30, 1100고지습지는 7390±30이었다. 한라산은순상화산체로서한라산서쪽사면은완만한경사를이룬다. 볼레오름습지가해발 1,224m, 1100고지습지가 1,100m, 숨은물뱅듸가 980m로같은토심 40 42cm깊이에서탄소연대를비교해보면해발이높아질수록탄소연대가높아져오래되었음을시사하고있으며습지및토양생성과도밀접한관련이있을것으로생각된다. 2. 조사지토양의이화학적성질소백록담및 1100고지습지토양의이화학적성질은표 3과같다. 평균입자밀도는소백록담및 1100고지습지습지에서각각 2.11g/ cm3, 2.33g/ cm3로일반적인토양의입자밀도보다낮았다. 고석형등 (2016) 의보고에의하면물장오리토양의평균입자밀도는 2.19g/ cm3, 사라오름은 2.27g/ cm3였으며, 소백록담은물장오리와 1100고지습지는사라오름과유사한수치를보였다. 토양 ph인경우소백록담은 , 1100고지습지는 범위였다. 평균토양 ph는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습지에서각각 4.66, 4.79로강산성을보였다. 이와같은토양 ph는볼레오름습지 5.70, 물장오리 5.60 및

192 사라오름 5.75 보다 ph 1이상이낮았으나숨은물뱅듸습지보다는 ph가다소높았다. 일반적으로토심이깊어질수록토양 ph가높아지는데본연구결과에서도이러한경향을보였다. 전기전도도가높은토양은식물생육에영향을미친다. 조사지의전기전도도는소백록담 0.42~0.97dS/m, 1100고지습지 0.13~0.29dS/m 범위였다. 전체적으로염류이온의농도가낮아식물생육에대한염류집적의영향은거의무시할수있다고판단된다. 표 3. 조사지토양의이화학적성질 시료채취지역 입자밀도 토양 ph 전기 유기물 전도도 함량 유효인산 교환성총교환성교환성마그질소칼륨칼슘네슘 (g/ cm3 ) (1: 5) (ds/m) (%) ( mg / kg ) (%) (c mol c/ kg ) 양이온교환성교환나트륨용량 소백록담 0-10cm 소백록담 10-20cm 소백록담 20-30cm 소백록담 30-40cm 소백록담 40-50cm 평균 습지 0-10cm 습지 10-20cm 습지 20-30cm 습지 30-40cm 습지 40-50cm 평균 토양유기물함량은소백록담 29.52~40.50%, 1100고지습지 11.69~36.44% 범위였다. 평균유기물함량은소백록담 34.86%, 1100고지습지 26.25% 로소백록담이 1100고지습지보다높은유기물함량을보였다. 이는고석형등 (2014) 이보고한숨은물뱅듸습지중심부의유기물함량 29.0% 와유사하였다. 일반적으로유기물함량은표층에서높고토심이깊어질수록함량이낮아진다. 본연구

193 결과 1100고지습지에서토심이깊어짐에따라유기물함량이낮아지는경향을보였으나소백록담은그러한경향을나타내지않았다. 1100고지습지에서는토양깊이에따른유기물함량과토양 ph 사이에는매우유의한부의상관관계 (r=-0.99 * ) 를보였으나소백록담은상관관계가없었다. 총질소함량은소백록담 0.74~1.33%, 1100고지습지 0.41~0.86% 범위였다. 평균총질소함량은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에서각각 1.02%, 0.70% 로유기물함량과마찬가지로소백록담에서 1100고지습지보다함량이높았다. 이와같은결과는고석형등 (2014) 이보고한숨은물뱅듸총질소함량과유사하였다. 일반적으로유기물함량과유사한경향을보이는총질소함량도표층에서높고토심이깊어질수록함량이낮아진다. 본연구결과소백록담은유기물함량과총질소함량사이에는매우유의한정의상관관계 (r=0.88 * ) 를보였으나 1100고지습지에서는상관관계가없었다. 유효인산함량은소백록담 35~78mg / kg, 1100고지습지 4~9mg / kg범위였다. 평균유효인산함량은소백록담과 1100고지습지에서각각 51mg / kg, 5mg / kg으로소백록담에서 1100고지습지보다약 10배정도높았다. 이와같은결과는고석형등 (2016) 이보고한물장오리 0~50cm깊이의평균총질소 48mg / kg과비슷한함량을보였으나사라오름습지보다는높은함량을나타냈다. 화산회토양은유효인산함량이매우낮아토양비옥도가낮은원인으로알려져있다. 소백록담이다소높은유효인산함량을보였으나식물생장에필요한유효인산함량보다낮아습지주변식생이생장하는데있어서제한적요인이될수있다고생각된다. 소백록담의교환성양이온함량은 K 0.22~0.30cmolc/ kg, Ca 6.44~10.83cmolc/ kg, Mg 2.54~3.85cmolc/ kg및 Na 0.31~0.42cmolc/ kg범위였으며, 1100고지습지는 K 0.07~0.30cmolc/ kg, Ca 0.46~0.90cmolc/ kg, Mg 0.96~2.20cmolc/ kg및 Na 0.32~0.45c molc/ kg범위였다. 소백록담의평균교환성양이온함량은 K 0.27cmolc/ kg, Ca 8.18cmolc/ kg, Mg 3.27cmolc/ kg및 Na 0.36cmolc/ kg이었으며, 1100고지습지는 K 0.15cmolc/ kg, Ca 0.76cmolc/ kg, Mg 1.44cmolc/ kg및 Na 0.41cmolc/ kg이었다. 소백록담의교환성양이온 Ca와 Mg는숨은물뱅듸, 볼레오름, 물장오리및사라오름습지의평균교환성양이온 Ca와 Mg보다매우높은함량을보였다 ( 고석형등,

194 2014; 고석형등, 2015; 고석형등, 2016). 또한정진현등 (2002) 이보고한제주지역산림토양의평균교환성양이온 Ca와 Mg보다함량이높았다. 교환성양이온은많은강우에의해퇴적층상부에서하부로비교적쉽게용탈되는특성을보인다. 소백록담은다른습지와는달리연중물이마르지않는산정호수이며이러한이유로배수상태가좋지않기때문으로생각된다. 양이온교환용량은소백록담에서 23.1~36.5c molc/ kg, 1100고지습지에서 24.2~39.0cmolc/ kg범위였다. 평균양이온교환용량은소백록담 30.6cmolc/ kg, 1100 고지습지 31.4cmolc/ kg으로유사한수치를나타냈다. 일반적으로양이온교환용량은심토보다표토에서높은값을나타내나본연구결과토양깊이에따라차이를보였다. 이상의결과를종합하면조사지는겉보기에는마른것으로보이나숨은물뱅듸, 볼레오름, 물장오리및사라오름습지처럼시료채취시물이계속해서나오는토양조건을보였다. 토양 ph가매우낮았으나유기물함량, 총질소함량, 교환성양이온 K와 Ca 함량, 양이온교환용량이높았다. 한라산을기준으로서쪽에위치한볼레오름, 1100고지습지및숨은물뱅듸에서의탄소연대를비교해본결과해발이높아질수록탄소연대가높아져오래되었음을시사하였다. 또한조사지에대한연대측정이일부이루어졌으나추가조사가필요하며화분분석이진행되지않아본보고서에는미기재하였다. 향후추가적인연구가진행된다면제주도지역에있어서후빙기환경변화와식생변화등을논의할때중요한기초자료가될것이다.

195 인용문헌 고석형, 박지훈, 양승훈, 김현철, 고용현, 신창훈 숨은물벵뒤습지의퇴적물에관한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3호 : 고석형, 이영돈, 신창훈 한라산볼레오름고산습지의토양특성.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4호 : 고석형, 김경범, 신창훈 한라산물장오리및사라오름고산습지의퇴적물에관한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제15호 : 고정군, 고석형 한라산고산습지의학술적가치조명과과제 - 한라산고산습지의현황및식물상.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학술심포지엄자료집. p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우리나라산림토양의지역별이화학적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제주도,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의습지. 대영인쇄사. PP.270.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한라산의자연자원. 디자인열림. p 환경부국가습지사업센터 전국내륙습지일반조사. 대양문화사. pp.802. 환경부 국립습지센터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 사 ) 한국신체장애인복지회인쇄사업장. pp.425.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년전국내륙습지일반조사. 광은기획. pp.813. NIAST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p

196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 한태완 1), 이성권, 강윤복, 이영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국내에솔수염하늘소의분포는충청이남지역에서부터제주도까지분포하고있으며해발 700m까지분포한다는설은있으나정확한연구자료는없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 2015년외부제안연구과제로서제주도해송림에큰피해를주고있는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에대해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범위를조사하여방제계획수립에기초자료로사용하고자실시하였다.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내용은솔수염하늘소우화시기에맞춰지역별및고도별 ( 해발 100m간격 ) 소나무임지대상유인페로몬제트랩을설치하여매개충출현개체수를조사하였다. 조사결과유인된곤충은 5월부터 10월까지페로몬트랩에유인 조사된곤충은총 10목 42과 101종으로 732마리가수거되었으며, 이중솔수염하늘소는 85마리가유인되었고, 지역별로는북부지역 31마리, 남부지역 2마리, 동부지역 45마리, 서부지역 4마리가유인되었으며, 고도별분포는 0m(1), 100m(2), 200m(3), 300m(4), 400m(10), 500m(4), 600m(5), 700m(2) 등고도별전지역에서 31마리가채집되었다.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197 서론 소나무재선충병은지난 2013년에제주도, 경남 북등남부지방을중심으로피해고사목이 218만본이발생하였으나총력방제로 2014년에는 174만본이발생되어감소추세로전환되었고아울러, 2016년 12월전국 14개시 도 103개시 군 구애서재선충병피해가진행중에있으며피해고사목은 16년 4월 1,373천본이발생하였다 ( 산림청, 2017), 제주도에서는 2004년에최초발생하여 2016년 4월까지총 1,612천본의고사목을제거하였고 2016년고사목제거추진상황은 319천본을제거하였으며, 2016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총 299 천본이고사목발생을예상하고있다 ( 제주도, 2017). 페로몬 (pheromone) 은동물개체로부터체외로배출되어동종의타개체에특이한반응을일으키는생리활성물질로서성페로몬을비롯하여수신자의반응에따라여러가지종류로나뉠수있으며, 생리변화페로몬에는메뚜기목이나딱정벌레목에서발견되는성숙페로몬, 흰개미목이나사회성벌목에서발견되는계급분화페로몬등이있다. 행동유기페로몬에서가장유명한것이성페로몬 (sex pheromone) 이다. 성페로몬은수많은곤충에서발견되며특히농업이나산림에피해를주는나방류의성페로몬은예찰및방제에가장많이이용되고있다. 이외에도군집형성에관여하는집합페로몬, 경고를알리는경보페로몬, 길잡이페로몬, 분산페로몬, 교미자극페로몬, 교미억제페로몬등이알려져있다 ( 박등, 2014). 페로몬트랩은대상해충의발생을정확히예찰하기위하여사용되고있는데,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경우에도이집합페로몬을이용하여발생소장을조사 ( 허등, 2006; Mizutani et al, 1996, 2002 ; Moriya and Mizutani, 2003 ; Huh et al, 2005b ; Tabuchi et al, 2005) 와매미나방개체군변화의단계별특징과페로몬트랩에의한포획효과도조사한바있으며 ( 이등, 2000), 페로몬트랩을발생소장조사, 방제, 공시충확보등의수단으로사용할경우에는낮은밀도에서도충분한유인효과를나타낼수있어야할것이다. 페로몬을이용한직접적해충방제방법으로서교미교란 (mating disruption) 에의이용은깍지벌레류의경우 Stemlicht 등 (1983) 및 Bar-Zakay 등 (1989) 에

198 의하여 Califomia red scale을대상으로검토된바있다. 깍지벌레류중최초로성유인물질의존재가밝혀진것은 1966년 Doane이미국의솔껍질깍지벌레류암컷은수컷을유인하는물질을발산함을증명한것이었다. Warthen 등 (1970) 은 Califomia red scale의성유인페로몬을분리하였으며, Roelofs 등 (1978) 은이의화학구조를동정하였다. 이어서그외몇종의깍지벌레류에있어페로몬의화학구조가밝혀졌으며이들의이용연구가진전되고있으나그연구실적은다른주요해충류에비하여미약한형편이다. 성페로몬을이용한해충방제는 Shorey 등 (1967) 이최초로나비목해충의교미교란에관한실험을한이후해충의방제예찰, 교미교란, 대량포획의방법에대한연구가보고되었다 (Jacobson, 1972 ; Sanders, 1986 ; Staten et al, 1987). 이는특정해충만을대상으로작용하고적은양으로도충분하며, 환경오염의부작용이없어해충의발생예찰에도이용되고직접방제에도이용이될수있는장점이있다 (Jutsum and Gordon, 1989). 국내에서는복숭아심식나방 (Carposina sasakii) 의발생조사 (Jung et al, 2012), 봉수아명나방에대한페로몬트랩의처리조건에따른유인효과 ( 김등, 2013), 솔껍질깍지벌레수컷성충의합성페로몬에대한반응 (Park et al, 1994), 파밤나방의합성페로몬트랩을이용한방제효과 (Kim et al, 1995) 에관한연구들이진행되었다. 복숭아명나바의성페로몬에대해서는성페로몬조성 (Jung et al, 2000) 과성충의활동리듬, 밤나무림에서의발생생태 (Choi, 1998) 에대한연구가진행되었다. 소나무재선충은식물기생성선충으로가늘고실과같은구조로 mm 의크기로성충은교미후 30일전후하여약 100개정도의알을낳고 25 조건에서 1세대기간은약 5일이며, 1쌍의재선충이 20일후 20여만마리이상으로증식한다 ( 한, 2007). 소나무재선충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 (Monochamus alternatus) 는해송수염치레하늘소라고도하는데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등에분포한다. 몸은전체적으로붉은갈색이고몸길이는 20 30mm이다. 수컷더듬이는몸길이의 배, 암컷더듬이는 1.5배정도이며, 완전변태를하고, 6 9월에 100여개의알을소나무류의수피속에낳는다. 다자란애벌레의몸길이는 40mm안팎이고 1 2개월간은소나무류수피밑의형성층부위를갉아먹으면서자란다.

199 소나무류목질부속에서애벌레상태로월동한뒤, 4월무렵에수피와가까운곳에용실을만들고번데기가된다. 성충은 5월하순부터 7월하순에걸쳐 6mm정도의둥근구멍을뚫고밖으로나와소나무의어린가지수피를갉아먹는다. 암컷은우화한뒤 20일무렵에쇠약하거나고사한나무의수피를물어뜯어 1개씩알을낳는데건강한나무에는산란하지않는다 ( 이등, 2013; 국립산림과학원, 2008). 현재국내에솔수염하늘소의분포는충청이남지역에서부터제주도까지분포하고있으며해발 700m까지분포한다는설은있으나정확한연구자료는없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 2015년외부제안연구과제로서제주도해송림에큰피해를주고있는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에대해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범위를조사하여방제계획수립에기초자료로사용하고자실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시험장소및시험재료본실험에사용한페로몬트랩의구성은포획통과다중깔대기트랩하단에연결된반투명의플라스틱통에유인되어떨어진매개충이외부로탈출하지못하도록포획하는장치이고페로몬유인제는 α-피넨과에탄올혼합으로페로몬및유인제를용기에담은일체형플라스틱통을깔대기트랩에설치하여사용하였다 ( 에이스컨설팅 Co.).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내용은솔수염하늘소우화시기에맞춰지역별및고도별 ( 해발 100m간격 ) 소나무임지대상유인페로몬제트랩을설치하여매개충출현개체수를조사하였으며 ( 그림 1, 표 1), 조사대상지는지역별로북부, 남부, 동부, 서부등 4개지역에각각 2개의유인페로몬트랩을설치하였고제주시지역 (0 700m) 조사구에는각각 1개의페로몬트랩 (8개소 8개트랩 ) 을설치하였으며, 휘발성물질로시간이경과하면없어지는페로몬루어는 3개월마다총 2회추가교체하였다 ( 그림 2, 그림 3). 또조사

200 기간은 2016년 4월경에계획수립, 대상지선정, 트랩구입및설치완료하였고 5월부터 10월까지주 1회및월 4회트랩설치장소에현장방문하여유인된곤충을수거 조사하였으며트랩에유인된곤충은실험실로갖고와서동정및표본제작하였다. 그림 1. 솔수염하늘소지역별 고도별페로몬유인트랩설치장소 표 1. 솔수염하늘소지역별 고도별분포조사지현황 구분 고도별 지역별 조사지 ( 해발 m) 설치장소 설치트랩수 0 제주시도두1동산1 도두봉주변 제주시노형동 나주김씨입도조묘주변 제주시노형동 신비의도로카트체험장주변 제주시노형동 3762 축산진흥원정문주변 제주시노형동산 로일방통행로주변 제주시연동산 노루쉥이오름주변 제주시해안동산 어승생삼거리주변 제주시해안동산 217 천아수원지주변 1 구좌읍 제주시구좌읍한동리 둔지오름주변 2 한경면 제주시한경면판포리 934 판포오름주변 2 군산 서귀포시상예동 군산주변 2

201 그림 2. 사용된솔수염하늘소페로몬유인트랩 ( 에이스컨설팅 Co.) 그림 3. 솔수염하늘소페로몬유인트랩설치장소 A, B: 남부지역 ( 서귀포시군산 ), C, D: 서부지역 ( 한경면판포오름 ) : 페로몬유인트랩설치장소 결과및고찰 2015년외부제안연구과제로서제주도해송림에큰피해를주고있는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에대해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범위를조사하여방제계획수립에기초자료로사용하고자실시하였다. 솔수염하늘소의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내용은솔수염하늘소우화시기에맞춰지역별및고도별 ( 해발 100m간격 ) 소나무임지대상유인페로몬제트랩을설치하여매개충출현개체수를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지는지역별로는북부, 남부, 동부, 서부등 4개지역에각각 2개의유인페로몬트랩을설치하였고제주시지역 (0~700m) 조사구에는각각 1개의페로몬트랩 (8개소 8개트랩 ) 을설치하였으며, 휘발성물질로시간이경과하면없어지는페로몬루어는 3개월마다 2회교체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4월경에계획수립, 대상지선정, 트랩구입및설치완료하였고 5월부터 10월까지주1회및월4회트랩설치장소에현장방문하여수거 조사하였으며트랩에유인된곤충은실험실로갖고와서동정및표본제작하였다. 솔수염하늘소에대해지역별 고도별서식

202 분포범위를조사한결과페로몬트랩에유인된곤충종은 9 목 49 과 109 종 764 마리가조사되었다 ( 그림 4, 부록 1). 그림 4. 솔수염하늘소지역별 고도별서식분포조사 A, B: 유인된솔수염하늘소, C: 곤충수거 조사된곤충목록에서월별페로몬트랩유인곤충은 7 월에 252 마리, 8 월에 191 마리, 9 월에 138 마리가유인수거되었으며, 6 월에는 122 마리, 5 월과 10 월에 각각 31 마리와 30 마리가수거되었다. 그림 5. 목별페로몬트랩유인곤충현황

203 목별유인된곤충현황 ( 그림 5) 은딱정벌레목이 70종으로가장많았고노린재목 18종, 나비목 6종, 벌목과파리목이각각 5종이채집되었다. 과별유인된곤충현황 ( 그림 6) 은총 49과가유인되었고이중하늘소과가 14종으로가장많이유인되었다. 그림 6. 과별페로몬트랩유인곤충현황 이결과는한등 (2015) 이타사제품의페로몬트랩을사용해유인된곤충종 7목 24과 53종 2,224마리 ( 솔수염하늘소 6마리 ) 가유인된결과와비교할때종다양성이나솔수염하늘소유인효과면에서봤을때많은차이가있었으며, 2015년도에사용했던페포몬트랩에서풍이등특정종이대량으로유인된것과다른결과를나타났다. 유인된곤충증솔수염하늘소는지역별과고도별모두에서총 85마리가유인되었으며, 지역별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 그림 7) 을보면동부지역인구좌읍둔지오름주변에설치된페로몬트랩에서 45마리가유인되었고구좌읍을제외한제주시, 서귀포시, 서부지역인한경면에서는페로몬트랩유인된솔수염하늘소개체수가적었다. 이결과로지역별유인된곤충수를비교해봤을때구좌읍둔지오름주변에소나무재선충병에감염된고사목발생빈도가증가할것

204 으로사료되어제주시청소나무재선충병방제부서에둔지오름주변방제자료 확인결과피해목이작년보다증가한것과일치하였다 ( 자료미제시 ). 그림 7. 지역별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해발 0~700m 고도별에따른솔수염하늘소분포조사결과를보면 ( 그림 8) 해발 0~300m에 1~4마리가채집되었지만해발 400m( 노루쉥이오름주변 ) 에 10마리가유인되었으며, 해발 500m에서는 4마리, 해발 600m에서는 5마리로저지대보다는고지대에서유인된솔수염하늘소가증가하였다. 특히해발 700m에고솔수염하늘소 2개체가유인되었지만성충크기가고도별타지역에서보다작으며몸체에재선충유무를현미경검사한결과선충자체를관찰하지못하였다. 해발 300m 이하저지대보다 400m에서솔수염하늘소유인개체수가많은이유는그동안지속적인방제작업으로인해솔수염하늘소가서식할수있는소나무임지가점차줄어들어섭식활동을하기위해점차고지대로이동하는것이아닌가사료된다. 월별페로몬트랩유인된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 그림 9) 을보면 6월에는 13 마리, 7월 ~9월에는각각 21~22마리가유인되었으며 10월조사결과 3마리만채집되었다. 월별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조사결과를봤을때현재우리도에서산림청헬기를이용해실시하고있는솔수염하늘소항공방제와약제살포, 연막살포등지상방제는 6월 ~8월사이에집중적으로실시되고있어본조사결과와는차이가있어향후제주특별지치도항공및지상방제계획추진시기존

205 그림 8. 고도별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그림 9. 월별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6월 ~8월에중점실시하는것보다 9월까지항공방제를연장추진하여실시하는게솔수염하늘소에의한고사목발생빈도를낮출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본시험연구결과페로몬트랩에유인된곤충종은 9목 49과 109종으로총 764마리가조사되었고솔수염하늘소는 85마리가유인되었으며, 솔수염하늘소

206 지역별유인은동부지역인구좌읍둔지오름주변에설치된페로몬트랩에서 45마리가유인되었고구좌읍을제외한제주시, 서귀포시, 서부지역인한경면에서는페로몬트랩유인된솔수염하늘소개체수가적었다. 고도별유인현황은해발 0~300m에 1~4마리가채집되었지만해발 400m( 노루쉥이오름주변 ) 에 10마리가유인되었으며, 해발 500m에서는 4마리, 해발 600m에서는 5마리로저지대보다는고지대에서유인된솔수염하늘소가증가하였다. 특히해발 700m에고솔수염하늘소 2마리가채집되었지만성충크기가고도별타지역에서보다작으며몸체에재선충유무를현미경검사한결과선충자체를관찰하지못하였다. 월별페로몬트랩유인된솔수염하늘소유인현황 ( 그림 8) 을보면 6월에는 13 마리, 7월 ~9월에는각각 21~22마리가유인되었으며 10월조사결과 3마리만채집되었다. 해발 700m에서유인된솔수염하늘소성충몸속에재선충유무를현미경검사결과선충자체를발견할수없었지만현재최고높은지대에서채집된솔수염하늘소이기때문에 2017년도에연구과제추진시페로몬트랩은저지대솔수염하늘소를유인할수가있기때문에방법을달리하여한라산국립공원내고도별 ( m) 솔수염하늘소서식분포및재선충보유유무를실시함으로서효과적인매개충정보를제공하고소나무재선충으로부터한라산국립공원보호를위한기초자료를구축할수있다고사료된다.

207 인용문헌 Choi, K. S. (1998)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rictiferalis Guenee (Lepidoptera : Pyralidae), adults : circadian rhythms in activity and seasonal occurrence at chestnut orchards. Ph. D.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6~17, 47~50.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페로몬유인트랩방제도입에따른시범사업추진및방제효과조사가이드라인. 산림청. 산림청 년도산림병해충예찰방제계획. 산림청.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5호조사연구보고서 15: 278~292. 한혜림 ( 산림정보 ) 소나무재선충의생물학적특성. 산림지 2007(12): 82~85. 허완, 박정규 먹이첨가에의한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집합페로몬트랩의유인력증진. 韓應昆誌 45(1) : 87~90. Huh, H.S., W. Huh, S.D. Bae and C.G. Park. 2005b. Seasonal occurrence and ovarian development of bean bug, Riptortys clavatus. Korean J. Appl. Entomol. 44: 199~205. Jacobson, M Insect sex pheromone. Academic press, New York. pp 제주도 소나무재선충병방제실행계획. 제주도 Jung j. G., K. S. Han, G. S. Choi and K. S. Boo Sex Pheromone Composition for Field-trapping of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Males. Korean J. Appl. Entomol. 9: 105~110. Jung S. A., L. P. Sah, J. J. Ahn, Y. I. Kim and C. Jung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major fruit moths, Grapholita molesta, Grapholita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monitored by sex ppheromone in

208 plum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50: 449~459. Jutsum, A. R. and R. F. S. Gordon Introduction. Pheromone: importance to insects and role in pest management in insect pheromones in plant protection, eds by A.R. Jutsum and R.R.S. Gordon. pp. 1~13. Kim K. J., J. D. Park and D. S. Choi Seasonal occurrence of Spodoptera exigua in Chonnam Province and a possibility of their control in vinyl house with pheromone traps. Korean J. Appl. Entomol. 34: 106~111. 김영재, 김현경, 강길남, 김영명, 문선주, 김길하 복숭아명나방에대한페로몬트랩의처리조건에따른유인효과. 농약과학회지 17(3) : 200~205. 이장훈, 이해풍 매미나방개체군변화의단계별특징과페로몬트랩에의한포획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3(1) : 65~70. 이상현외 식물병해충도감 ( 진단과방제 ), 병해편. 학술편수관. pp. 21~25. Mizutani, N., Y. Hirose, H. Higuchi and T. Wada Seasonal abundance of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an egg parasitoid of phytophagous bug, in summer soybean fields. Jpn. J. Appl. Entomol. Zool. 40: 199~204. Moriya, S. and N. Mizutani Examination of the form of synthetic aggregation pheromone traps for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Ann. Rep. Kanto- Pl. prot. 50: 139~141. 국립산림과학원 新산림병해충도감. 국립산림과학원연구신서제25호. pp. 223~225. 박규택, 권용정, 박종균, 배양섭, 배연재, 변봉규, 이봉우, 이승환, 이종욱, 이종은, 한경덕, 한호연, 국립수목원 한국곤충대도감. 지오북. 박일권, 고상현, 정영진 산림병해충페로몬및천연물해충방제제의현장적용가술개발. 국립산림과학원연구보고제14-25호. 박승찬, 위안진, K. Mori 솔껍질깍지벌fp 수컷성충의비행습성및합

209 성페로몬에대한반응. 韓應昆誌 33(4) : 250~256. Roelofs, W. M. Gieselmann, A. Carde, H Tashiro, D. S. Moreno, C. A. Henrick & R. J. Anderson Identification of the Califomia red scale sex pheromone. J. Chem. Ecol 4: 211~224. Sanders, C. J Evaluation of high-capacity, nonsaturating sex pheromone traps for monitoring population densities of spruce budworm (Lepidoptera: Tortricidae). Can. Entomol. 118: 611~619. Shorey, H. H., L. K. Gaston and C. A. Saario Sex pheromones of noctuid moths. XIV. Feasibility of behavioral control by disrupting pheromone communication in cabbage loopers. J. Econ. Entomol. 60: 1541~1545. Staten, R. T., H. M. Flint, R. C. Weddle, E. Quintero, R. E. Zarate, C. M. Finnell, M. Hernandes and A. Yamamoto Pink Bollworm (Lepidoptera: Gelechiidae): Large-scale field trials with a high-rate gossyplure formulation. J. Econ. Entomol. 80: 1267~1271. Stemlicht, M., W. L Roelofs, E. Dunkelblum & M. J. Gieselmann Management of scale pests through utilization of their pheromone. Bet Dagan. Israel, Bard. 20 pp. Tabuchi, K., S. Moria and N. Mizutani Seasonal catches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in water-pan traps with synthetic attractants. Jpn. J. Appl. Entomol. Zool. 49: 99~104. Warthen, J. D., Jr., M. Rudrum, D. S. Moreno & M. Jacobson Aonidiella aurantii sex pheromone isolation. J. Insect Physiol ~2209.

210 부록 1. 솔수염하늘소유인페로몬트랩수거곤충목록 Species name / Korean name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Orthoptera 메뚜기목 1 1 Rhaphidophoridae 꼽등이과 Diestrammena coreana 꼽등이 Mogoplistidae 어리귀뚜라미과 Ornebiua kanetataki(matstmura) 어리귀뚜라미 1 1 Gryllotalpidae 땅강아지과 Gryllotalpa orientalis Burmeister 땅강아지 1 Hemiptera 노린재목 Ricaniidae 큰날개매미충과 Orosanga japonica(melichar) 일본날개매미충 1 Aphrophoridae 거품벌레과 Aphrophora intermedia(uhler) 흰띠거품벌레 1 Flatidae 선녀벌레과 Geisha distinctissima(walker) 선녀벌레 Dictyophara 상투벌레과 Orthopagus lunulifer(uhler) 깃동상투벌레 2 Largidae 큰별노린재과 Physopelta gutta Burmeister 귤큰별노린재 Phrrhocoridae 별노린재과 Physopelta cincticollis(stal) 여수별노린재 1 1 Reduviidae 침노린재과 Peirates (Cleptocoris) cinctiventris(horvath) 검정침노린재 1 Cydnidae 땅노린재과 땅노린재 sp 1 Pentatomidae 노린재과 Halyomorpha halys(stal) 썩덩나무노린재 Eysarcoris guttiger(thunberg) 점박이둥글노린재 1 Pentatoma semiannulata(motschulsky) 장흙노린재 2 1 Carbula putoni(jakovlev) 가시노린재 1 노린재 sp. 1 Eocanthecona kyushuensis 노린재류 ( 국명없음 ) 1 Delphacidae 멸구과 멸구 sp 1 Cicadellidae 매미과 Meimuna opalifera(walker) 애매미 Platypleura kaempferi(fabricius) 털매미 Graptopsaltria nigrofuscata(motschulsky) 유지매미 4 1

211 Species name / Korean name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Coleoptera 딱정벌레목 Carabidae 딱정벌레과 Colpodes japonicus 일본줄납작먼지벌레 1 9 Harpalus corporosus 검은머리먼지벌레 1 Synuchus nitidus 윤납작먼지벌레 Calleida lepida(redtenbacher) 노랑머리먼지벌레 1 Patrobus flavipes(motschulsky) 습지먼지벌레 4 먼지벌레 sp 참머리먼지벌레 sp. 1 Silphidae 송장벌레과 Nicrophorus concolor 검정송장벌레 5 Scarabaeidae 소똥구리과 Copris ochus(motschulsky) 뿔소똥구리 1 Onthophagus japonicus Harold 소요산소똥풍뎅이 1 Onthophagus(Strandius) lenzii (Harold) 렌지소똥풍뎅이 1 Liatongus phanaeoides 창뿔소똥풍뎅이 1 Melolonthidae 검정풍뎅이과 Holotrichia diomphalia(bates) 참검정풍뎅이 1 Heptophylla picea(motschulsky) 긴다색풍뎅이 1 Maladera japonica(motschulsky) 우단풍뎅이 1 Maladera orientalis(motschulsky) 애우단풍뎅이 Miridiba castanea(waterhouse) 밤색풍뎅이 Maladera castanea(arrow) 밤색우단풍뎅이 3 Maladera cariniceps(moser) 알모양우단풍뎅이 1 Rutelidae 풍뎅이과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주둥무늬차색풍뎅이 Anomala albopilosa 청동풍뎅이 1 1 Anomala chamaeleon(fairmaire) 카메레온줄풍뎅이 Holotrichia kiotoensis 검정풍뎅이 1 2 Dynastidae 장수풍뎅이과 Eophileurus chinensis(faldermann) 외뿔장수풍뎅이 Trogidae 송장풍뎅이과 Trox setifer(waterhouse) 송장풍뎅이 1 Histeridae 풍뎅이붙이과풍뎅이붙이 sp. 1 Cetoniidae 꽃무지과 Gametis jucunda(faldermann) 풀색꽃무지 1 Protaetia brevitarsi seulensis(kolbe) 흰점박이꽃무지 1

212 Species name / Korean name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Pseudotorynorrhina japonica(hope, 1841) 풍이 2 Cetonia pilifera(motschulsky,1860) 꽃무지 1 Elateridae 방아벌레과 Melanotus annosus(candeze) 재털빗살방아벌레 1 6 Melanotus cribricollis(candeze) 검정빗살방아벌레 1 Melanotus legatus(candeze) 빗살방아벌레 1 1 Penthelater plebejus(candeze) 길쭉방아벌레 Pectocera fortunei(candeze) 왕빗살방아벌레 1 Ectinus sericeus(candeze) 누런방아벌레 1 Agrypnus binodulus coreanus 녹슬은방아벌레 방아벌레 sp. 2 1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Harmonia axyridis(pallas) 무당벌레 1 Chilocorus kuwanae(silvestri) 애홍점박이무당벌레 1 Cerambycidae 하늘소과 Semanotus bifasciatus(motschulsky) 향나무하늘소 1 Spondylis buprestoides(linne) 검정하늘소 Acalolepta fraudatrix(bates) 우단하늘소 5 Monochamus alternatus 솔수염하늘소 Prionus insularis(motschulsky) 톱하늘소 3 Cephalallus unicolor(gahan) 넓적하늘소 1 Pterolophia zonata(bates) 흰띠곰보하늘소 Apriona germari(hope) 뽕나무하늘소 1 Anoplophora malasiaca(thomson) 알락하늘소 2 3 Xylotrechus atronotatus(pic) 제주호랑하늘소 1 Megopis sinica(white) 버들하늘소 3 Asemum striatum(linne) 작은넓적하늘소 5 Arhopalus rusticus(linne) 큰넓적하늘소 1 하늘소 sp. 1 Staphylinidae 반날개과 Neobisnius pumilius(sharp) 홍딱지호리반날개 1 Platydracus brevicornis(motschulsky) 홍딱지반날개 1 반날개 sp. 2 Tenebrionidae 거저리과 Strongylium cultellatum(maklin) 별거저리 12 8 Ainu tenuicornis(lewis) 길쭉거저리 5 Chrysomelidae 잎벌레과 Lema (Lema) diversa(baly) 적갈색긴가슴잎벌레 1

213 Species name / Korean name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Cassida (Cassida) nebulosa(linnaeus) 남생이잎벌레 1 Aulacophora nigripennis(motschulsky) 검정오이잎벌레 1 1 잎벌레 sp. 1 Mordellidae 꽃벼룩과 Hoshihananomia pirika(kono) 알락광대꽃벼룩 1 Curculionidae 바구미과 Niphades verrucosus(voss) 솔검정혹바구미 1 Shirahoshizo rufescens(roelofs) 솔흰점박이바구미 바구미 sp Dryophthoridae 왕바구미과 Sipalinus gigas 왕바구미 Nitidulidae 밑빠진벌레과 Glischrochilus japonicus(motschulsky) 네눈박이밑빠진벌레 7 Ipidae 나무좀과나무좀 sp. 1 나비목 Lepidoptera Zygaenidae 알락나방과 Chalcosia remota(walker) 뒤흰띠알락나방 1 Noctuidae 밤나방과 Dictyestra dissectus(walker) 노랑맥검은밤나방 1 Amphipyra livida(denis et Schffermuller) 까마귀밤나방 1 1 Sphingidae 박각시과 Agrius convolvuli(linnaeus) 박각시 1 Geometridae 자나방과 Scopula ignobilis(warren) 넉점물결애기자나방 1 자나방 sp Hymenoptera 벌목 Apidae 꿀벌과 Apis mellifera(linne) 양봉꿀벌 Pompilidae 대모벌과 Cyphononyx dorsalis(lepeletier) 대모벌 1 Ichneumonidae 맵시벌과맵시벌 sp. 1 납작맵시벌 sp. 1 Formicidae 개미과개미 sp. 1

214 Species name / Korean name 5월 6월 7월 8월 9월 10 월 Dictyoptera 바퀴목 Ectobiidae 바퀴과 Blattella nipponica (Asahina) 산바퀴 Thysanura 좀목 Lepismatidae 좀과 좀 sp. 1 Archaeognatha 돌좀목 Machilidae 돌좀과 Haslundichilis viridis(lee et Choi) 납작돌좀 4 Diptera 파리목 Muscidae 집파리과파리 sp. 1 2 Calliphoridae 검정파리과 Lucilia caesar (Linne) 금파리 1 Tipulidae 각다귀과 Ypthima motschulskyi koreana 아이노각다귀 1 Bibionidae 털파리과 Bibio tenebrosus Coquillett 검털파리 2 Asilidae 파리매과 Machimus scutellaris 검정파리매 2

215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시험연구 한태완 1), 6) 김동철, 이영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매년팽나무새순출엽시가해로엽생장억제및갈변화로미관을저해하고있는팽나무벼룩바구미에대한약제방제법을구명하여방제법을정립하고농약살포방법을달리하여방제시간및예산을절감할수있는방제기술을제공하고자본시험을실시하였다. 조사결과아바맥틴기준량과배량처리구에서방제가가 % 로높게조사되었으며, 에마맥틴기준량과배량처리구에서는 %, 이미다클로프리드기준량, 배량처리구에서는방제가 % 로조사되었다. 특히아바맥틴과이미다클로프리드배량처리구에서방제가가각각 96.1%, 93.5% 로조사되어농약등록시험기준에적합하였으며, 약제방제모든처리구에서약해피해는없었다. 또한팽나무벼룩바구미를방제하기위해 3 4회실시하던방제횟수를 1회나무주사실시로방제효과가높아방제시간및예산을절감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서론 팽나무 (Celtis sinensis) 는해발 600m 이하제주지역에자생하는느릅나무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216 과 (Ulmaceae) 팽나무속 (Celtis) 에속하고당산목, 정자목, 풍치목으로제주도민에게 폭낭 으로아주친숙하게이용되는낙엽교목으로서높이는 20m이상자라고잎은호생하며, 끝이뾰족하고비뚤어진모양을하고있다. 꽃은 5월에피고열매는핵과로서둥글고등황색으로 10월에익으며, 과육은단맛이난다. 제주도성읍리에서자라는것은천연기념물제161호, 한림읍명월리의팽나무군락은제주도기념물제19호로지정되어있으며 ( 이, 1993; 이등, 2001). 주로발생하는병해충으로는심재부후병과팽나무알락진딧물이보고되고있다 ( 장, 2003). 제주지역에주로발생하는산림병해충은소나무재선충병, 솔나방, 벚나무빗자루병등 5종외에도팽나무에피해를주고있는바구미류, 알락진딧물, 상수리나무에갈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에복숭아혹진딧물등의발생이확인되고있다고보고하고있다 ( 김, 2012, 한등, 2014). 수목병해충을구제하고자화학약품을사용하여방제하는방법을화학적방제또는약제방제라하는데그효과는사용방법, 약제의성질, 곤충의특성, 환경조건등에의하여좌우되지만이러한외적조건들의다소변한다고해도살포농도나살포량을달리하여방제목적을달성할수있다 ( 신, 2012). 수목해충에대한방제연구로는하등 (2003) 이 3종의살충제가온실가루이와담배가루이의생육단계별살충효과및방제효과에서처리후 3일째부터 90% 이상의방제효과를나타난다고보고하고있으며, 이뇨, 지갈, 위내정수등한약재용도인택사를가해하는중요한해충의하나인진딧물방제를위하여몇가지살충제를시험하였고 ( 신등, 2000), 정등 (2014) 이비펜트린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등몇가지살충제가썩덩나무노린재와뚱보기생파리에대해사충율을조사하였다. 또한박등 (2009) 이꽃매미 2-3령약충에대한살충제의살충활성조사하였고또한배병해충방제시농약사용절감과방제효율개선을위해삼식충류와잎말이나방등에의한과실피해를조사하였으며 ( 조, 2012), 박등 (2013) 이진천지역에분포하는꼬마나무이를대상으로 27종살충제에대해살충효과를검정하여저항성여부를조사하였고현재전국적으로소나무에많은피해를주고있는솔수염하늘소에대한수종살충제의살충효과에대해서도보고하고있으나 ( 이등, 2003), 이 (2009) 는생태계를파괴하고

217 천적을소멸시키는살충제의사용을최대한줄이고밤나무종실해충인복숭아명나방과밤바구미를방제하는친환경방제방법을선발하여방제관리기술제공을실시하기도하였다. 팽나무벼룩바구미 (Orchestes horii) 는유충이잎가장자리를중심으로잎속에서엽육만먹고표피를남기며, 성충은잎에주둥이를꽂고엽육을먹어자그마한구멍이생긴다. 성충은몸길이가 2.3~2.6mm로뒷다리가잘발달해벼룩처럼잘뛴다. 연1회발생하며성충으로월동한후 4월하순에잎에산란한다. 유충은 4월하순 ~5월상순에잎속에서가해하다가번데기가되고성충은 5월상순 ~6월에주로가해한다. 피해가심하면잎이갈색으로변하면서일찍떨어지는데매년팽나무새순출엽시가해로엽생장억제및갈변화로미관을저해하고있는해충이다 ( 국립산림과학원, 2007). 수목해충인바구미류에대한연구로느티나무에큰피해를주고있는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태와방제 ( 이, 1996), 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물적특성과몇가지약제를공시하여살충효과를조사하였고 ( 김등, 2006), 외래해충인잔디왕바구미가국내에최초발생되어골프장잔디에피해가주고있다는보고 ( 양등, 2009) 와느티나무벼룩바구미가 1, 2월에발생하는해충으로내장산, 백양사국립공원등에큰피해를주고있다고보고하였으며 ( 변, 1994), 외래및돌발병해충의방제대책연구에서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태와방제에서충태별외부형태, 온도별용발육기간, 생활환, 주요천적, 약제방제에대해서논하였으나 ( 국립산림과학원, 2008), 1998년하반기에중국에서건너온것으로추정할뿐팽나무벼룩바구미에대한생태는일부도감과미디어상에서서술되고있을뿐이며약제방제로는 4월하순에이미다클로프리드분산성액제를나무주사하거나 5월상순부터페니트로티온유제 1,000배액을 2 3회살포한다고기록되었지만 ( 문등, 2014), 농촌진흥청농약관리시스템에등록된팽나무벼룩바구미방제약제는없으며, 또한대부분식재된팽나무나무높이가높아농약방제에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매년팽나무새순출엽시가해로엽생장억제및갈변화로미관을저해하고있는팽나무벼룩바구미에대한약제방제법을구명하여방제법을정립하고농약살포방법을달리하여방제시간및예산을절감할수있

218 는방제기술정보를제공하고자본시험을실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시험장소및시험재료본실험은한라수목원원내에식재된팽나무 ( 수고 7~15m, 흉고직경 18~51cm, 21본 ) 를선택하여약제방제시험을실시하였다. 공시농약으로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진딧물등의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는 Abamectin 1.8% 유제 ( 로멕틴, 로탐 ), Emamectin-benzoate 2.15% 유제 ( 에코팜골드, KC생명과학 ), Imidacloprid 20% 분산성액제 ( 어드마이어, 바이엘 ) 3종의약제 ( 농약사용지침서, 2015) 를농도별 ( 기준량 3~5ml, 배량 6~10ml ) 로사용하였으며, 약제처리시기는 2016년 3월 23일에충전식드릴을이용하여약제종류및농도별로나무주사를실시하였다 ( 표 1). 나무주사한부위는 2차감염을예방하기위해살균제인티오파네이트메틸도포제 ( 톱신페스트 ) 를도포하였다. 표 1. 팽나무벼룩바구미나무주사약제방제시험약제처리내용 농약품목명 ( 시험약제명 ) Abamectin ( 로맥틴 ) EmamectinBenzoate ( 에코팜골드 ) Imidacloprid ( 어드마이어 ) 주성분함량 (%) 희석배수및사용량 5-10 ml / 흉고직경 10 cm 5-10 ml / 흉고직경 10 cm 3-6 ml / 흉고직경 10 cm 약효시험 약해시험 처리시기및방법기준량배량 처리시기 : 회나무주사처리 5 ml / 흉고직경 10 cm 5 ml / 흉고직경 10 cm 3 ml / 흉고직경 10 cm 10 ml / 흉고직경 10 cm 10 ml / 흉고직경 10 cm 6 ml / 흉고직경 10 cm 무처리 약제처리및약효조사 시험구배치는완전임의배치법으로 3 반복실시하였으며, 약효시험은농촌진 흥청농약의등록시험기준과방법의과수굴나방류등록시험기준에따라실

219 시하였다. 조사방법은최종약제처리후 7월 11일에피해엽을채취하여조사하였으며, 주당 8방위에서수관부하부로부터무작위로선택하여가지당 25엽씩주당총 200엽에대한피해면적율계수의모집단별로분류조사하였고성충의피해공은피해로간주하지않았다. 이 200엽에대하여각잎의피해면적율 (%) 에따라아래와같은피해면적율계수모집단별로분류하여산출식에의해피해도를산출하였으며 ( 농약등록시험기준과수굴나방류 ), 피해도면적율계수, 피해도및방제가산출식은아래와같다. - 피해면적율계수 : (0) 피해무, (1) 피해면적율 %, (2) 피해면적율 %, (3) 피해면적율 %, (4) 피해면적율 50.1% 이상, (N) 조사주수 - 피해도산출 : 피해도 = ( 피해엽수 계수 ) / 4 N x 방제가산출식 : ( 약제처리구피해도 / 대조구피해도 ) x 100 약해시험은약제처리 15 일, 30 일후에팽나무주당 4 방위에서수관부전체 약해여부를 2 회외관달관조사를실시하였으며, 약해조사방법으로는아래 기준에의거실시하였다 ( 농약등록시험기준과수굴나방류 ). - 약해조사기준 : (0) 육안으로약해가인정되지않음 (1) 아주가벼운약해로서작은약반이약간인정됨 (2) 처리된잎이적은부분에약해가인정됨 (3) 처리된잎의 50% 정도약해가인정됨 (4) 상당한피해를받고있으나아직건전한부분이남아있음 (5) 심한약해를받고고사상태임 결과및고찰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기위해한라수목원원내에식재된팽나무 ( 수고 7~15m, 흉고직경 18~51cm, 21본 ) 를선택하여약제방제시험을실시하였다. 공시농약으로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진딧물등의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는 Abamectin 1.8% 유제 ( 로멕틴, 로탐 ), Emamectin-benzoate

220 2.15% 유제 ( 에코팜골드, KC생명과학 ), Imidacloprid 20% 분산성액제 ( 어드마이어, 바이엘 ) 3종의약제 ( 농약사용지침서, 2015) 를농도별 ( 기준량 3~5ml, 배량 6~10ml ) 로사용하였으며, 약제처리시기는 2016년 3월 23일에충전식드릴을이용하여약제종류별및농도별로나무주사를실시하였으며 ( 그림 1), 피해면적율계수, 피해도및방제가산출등약효조사와약해조사방법은농촌진흥청농약등록시험기준과수굴나방류를적용하였다. 그림 1.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시험연구 A: 팽나무벼룩바구미성충, B: 팽나무벼룩바구미피해 C: 나무주사드릴천공, D: 약제나무주사 효과조사는 7월 11일에피해엽을채취하여조사하였으며, 주당 8방위에서수관부하부로부터무작위로선택하여가지당 25엽씩주당총 200엽에대한피해면적율계수의모집단별로분류하여조사하였다. 조사결과 ( 그림 2), 약제나무주사한처리구에서모두갈변엽이나팽나무벼룩바구미유충은발견되지않았으며, 성충에의한피해공은관찰되었으나피해정도는아주미비하였

221 다. 농약등록기준에따라피해도와방제가를조사한결과를보면약제별처리농도에서피해도는 46.9~9.1로무처리구 100.0에비해양호하였으나, 아바맥틴배량처리구와이미다클로프리드배량처리구에서피해도가각각 14.6, 9.1를제외하고는 2015년도예비시험결과피해도 14.6~3.3 결과보다효과가저조하였다 ( 한등, 2015). 그림 2. 팽나무벼룩바구미약제방제효과조사결과 A, B: 효과조사, C: 무처리구, D: 이미다클로프리드배량처리구. 약제별처리농도별방제가는아바맥틴기준량과배량처리구에서 79.5%, 81.8% 로조사되었으며이미다클리프리드기준량과배량처리구에서 84.6%, 88.% 로조사되었으며, 에마맥틴기준량과배량처리구에서각가 45.0% 와 43.1% 로효과가아주저조하였다. 이는 2015년도예비시험결과에서방제가가 % 로살충효과가매우높은것으로조사된것과다른결과를보였다. 이는 2015년도에이어 2016년도에한라수목원내동일한팽나무를이용하여

222 약제방제효과시험을실시하였고이에약효에대한효과가저조하였지만관리가안된하천변팽나무를대상이미다클로프리드를나무주사한결과기준량이나배량처리구에서모두 90% 이상의방제가를나타난걸로보아 ( 결과미제시 ) 2017년도에는표선면번영로나서귀포시지역팽나무가로수식재지에서추가약제방제효과를실시하여얻어진결과를비교분석를실시함으로서약제방제효과에대한문제점을파악할수있다고사료된다. 또한약제처리 15일, 30일후에주당 4방위에서수관부전체 2회외관달관조사를실시하여약해여부를조사한결과모든처리구에서약제처리에의한약해피해를관찰할수없었다. 표 2. 팽나무벼룩바구미나무주사약제방제조사결과 약제명 약제사용량 ( ml /10cm) 아바맥틴 5 아바맥틴 10 에마맥틴 5 에마맥틴 10 이미다클리프리드 3 이미다클리프리드 6 무처리 0 주당 200 엽에대한피해면적율계수 (0-4) 모집단별엽수와피해도 구분 계피해도방제가 (%) 엽수 개수 엽수 개수 엽수 개수 엽수 개수 엽수 개수 엽수 개수 엽수 개수 방제약제별, 처리농도별에따른방제가는모든처리구에서 82.9~96.1% 로살 충효과가매우높은것으로조사되었는데이등 (2005) 은벼멸구, 애멸구, 끝동

223 매미충등멸구류와벼물바구미등에대한약제저항성모니터링한결과이미다클로프리드에대해서만일부지역에서 68배의저항성을보이고있다는보고와일치하지않았으나, 김등 (2003) 아바맥틴, 이미다클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등은담배가루이방제에효율적으로이용되며침투이행성과잔효성이높은것으로조사된것과점박이응에약제시험에서아바맥틴 5종이감수성계통과야외계통에서 100% 의살충율을보여우수약제로선발되었으며, 꽃노랑총재벌래성충에대한 80% 이상의살충율을보인약제는에마맥틴등 8종이조사와비슷한결과를얻었지만효과는미비하였다. 본시험에사용된아바맥틴유제는굴파리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초록애매미충, 솔나방, 소나무재선충병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고에마맥틴유제는담배나방등나방류, 소나무재선충, 잎벌레류, 총채벌레, 굴파리류, 응애류에, 이미다클로프리드분산성액제는느티나무벼룩바구미, 진딧물류, 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버즘나무방패벌래류, 깍지벌레류, 굼벵이류, 꽃매미살충제로등록되어있으나 ( 한국작물보호협회, 2015), 팽나무벼룩바구미방제약제로는등록되거나약제방제살충제로보고된적이없다. 따라서본연구결과아바맥틴, 에마맥틴유제, 이미다클로프리드분산성액제의살충효과가매우높고아바맥틴과이미다클로프리드분산성액제의방제가가농약등록시험기준에적합해추가검증시험을통해효과가입증되면팽나무벼룩바구미방제약제로등록되어제주도내천연기념물, 보호수, 당산목, 정자목, 풍치목등으로보호관리되고있는대부분의팽나무나무높이가매우높아방제하는데어려움이있지만방제하는데본연구결과를적용하면방제횟수나방제시기, 예산절감등을얻을수있으며또한나무주사기주입형태나약제주사량을개선하면매우효과적일것이라고생각된다.

224 인용문헌 변병호 ,2월의해충 (ⅩⅦ) 느티나무벼룩바구미. 한국조경수협회 18(1) : 22. 하태기, 황인처, 김종관, 송유한, 김길하, 유용만 몇가지살충제의온실가루이와담배가루이의생육단계별살충효과및방제효과. 한국농약과학회지 7(3) : 207~215.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4호조사연구보고서 14: 386~404.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5호조사연구보고서 15: 413~432. 장명준 노거수생육환경및보호에관한조사연구.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정부근, 임유진, 이흥수, 박정규 몇가지살충제의썩덩나무노린재와똥보기생파리에대한독성.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2(4) : 457~460. 김길하, 이영수, 유정수, 최미현, 송명희, 김주일 장미주요해충의발생생태및방제기술개발. 농림부최종연구보고서. pp. 176~180. 김철수, 김종국, 신상철, 최광식, 전문장, 박일권 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물학적틍성및약제살충효과. 韓應昆誌 45(2) : 195~200. 김준범 제주주요산림병해충생태와방제. 산림지 2012(10) : 66~69. 한국작물보호협회 농약사용지침서. 삼정인쇄공사. 이광래 느티나무벼룩바구미생태및방제. 산림 363: 110~225. 이상명, 문일성, 정영진, 이상길, 이동운, 추고열, 이정규 솔수염하늘소 (Monochamus alternatus) 에대한數種殺蟲劑의殺蟲效果. 韓國林學會誌 92(4) : 305~312.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이총규 친환경적밤종실해충방제연구. Korean J. Appl. Entomol.

225 48(1) : 95~100. 이시우, 최병렬, 박형만, 유재기 주요병해충에대한약제저항성모니터링. 농약과학회지 9(4) : 365~373. 이영노, 이경서, 신용만 제주자생식물도감.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제주관광식물원여미지. 문성철, 이상길 나무병해충도감. 자연과생태 p 국립산림과학원 외래및돌발병해충의방제대책연구. 국립산림과학원국립산림과학원 新산림병해충도감. 국립산림과학원연구신서제25호. p 박준원, 박영욱, 안정진, 박상은, 최장전, 구현나, 김길하 진청지역꼬마배나무이에대한 27종약제의살충효과. 농약과학회지 17(1) : 72~75. 박지두, 김민영, 이상길, 신상철, 김준헌, 박일권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의생태특성및약제살충효과. 韓應昆誌 48(1) : 53~57. 농촌진흥청 농약의등록시험기준과방법--농촌진흥청고시제 호. 농촌진흥청. 신종섭, 권병선, 이상래 살충제에의한택사진딧물방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3(3) : 255~259. 신상철 수목해충의화학적방제 (1). 한국조경수협회 pp. 34~40. 양승원, 심규열, 김정호, 홍기정, 정영기 외래해충잔디왕바구미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의발생보고. Kor. Turfgrass Sci., 23(2) : 265~270.

226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법연구 한태완 1), 7) 김영림, 오윤희,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아파트울타리나정원수및도로중앙분리대의경계목으로많이식재되고있는다정큼나무에 Entomosporium mespili에의한갈색둥근무늬병이발생하여조기낙엽및수목고사등큰피해를주고있으며, 방제농약이등록되지않아가로수관리부서등에불편을주고있어이에대한약제방제법정립및조경수재배농가등에방제정보제공과농촌진흥청농약등록을추진하기위하여본시험을실시하였다. 제주시노형동애조로도로변중앙분리대와서귀포시안덕면상창리도로변중앙분리대에식재된다정큼나무에 4종의약제를농도별로 10일간격 3회살포후약해및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였다. 제주시지역과서귀포시지역에서실시한본시험연구결과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방제를위해테부코나졸 25%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3.6~11.9% 로아주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86.8~95.9% 로높게나타났으며, 티오파이테메틸 75%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도이병율이 11.0~12.7% 로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84.0~87.7% 로, 마이코뷰타닐 6%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9.8~17.9% 로, 방제가는 80.2~88.9% 로,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9.8~17.3% 로나타났고방제가는 80.4~89.2% 로나타났으며, 약제방제모든처리구에서약해피해는없었다.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227 서론 장미과 (Rosaceae) 다정큼나무속 (Raphiolepis) 식물인다정큼나무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는관상용으로많이심고, 한국 ( 제주와전남, 경남 ), 일본, 대만등지에분포하며주로산기슭양지나해안가에자란다. 높이는 2~4m이고, 줄기는곧게서며가지가돌려난다. 꽃은 4~6월에흰색으로피고가지끝에원추꽃차례를이루며달린다. 열매는이과로둥글고지름이 7~10mm이며윤기가있고가을에검게익으며나무껍질과뿌리는생사 ( 生絲 ) 를염색하는데쓰인다. 잎가장자리에톱니가없거나일부에톱니가약간있는것을둥근잎다정큼 (var. integerrima), 잎이거꾸로세운바소모양또는긴타원모양이고물결모양의톱니가약간있거나밋밋하며길이가 5~10cm, 폭이 1~3cm인것을긴잎다정큼 (var. iukiuensis) 이라고한다 ( 이, 1993, 육, 1993). 제주에서는아파트울타리나정원수및도로중앙분리대의경계목으로많이식재하고있다.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 (Entomosporium leaf spot) 은원반병 ( 圓玟病 ) 이라고하며, 봄에새잎이나오면서가을까지발병이계속되므로병든나무는때때로잎이조기에낙엽지고수세가쇠약해지며, 심한경우말라죽는다. 병반은처음에적갈색으로작지만나중에는암갈색으로둥글게되고직경이 2~5mm에달하며, 자홍색 ~ 자흑색띠로둘러싸여진다. 오래된잎에서는병반이상당히커져서부정형이되고병반의뒷면은자색 자홍색으로부정형이된다. 4월하순부터발생을시작하는데병에걸린잎은 5월경까지대부분이낙엽된다. 통풍이좋지않고습도가높은조건에서발생하기쉬어며, 병원균은주로잎표면의각피밑에접시모양으로생기며얼마후각피를깨고돌출한다 ( 이등, 2013; 나등, 2009). 갈색둥근무늬병은가지, 굴참나무등참나무류, 다정큼나무등에주로발생하지만기주식물에따라병원균이각각다르고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은 Entomosporium mespili에의해발생되며 Entomosporium mespili에의해주로발생되는병은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다정큼나무 (Raphiolepis indica), 채진목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에서점무

228 늬병을일으킨다고보고 (Seo 등, 2010; Seo 등, 2011; Shin 등, 1998; 신등, 2013; 한등, 2014;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Bowen 등, 1994) 되고있는병원균과일치한다고보고되고있다 ( 산림청, 2016). 외국의경우 E. mespili에의한점무늬병방제에대한보고가있으며 (Cobb 등, 1985; Lange 등, 1998), 또한 Cobb 등 (1985) 은 photinia 점무늬병에 chlorothalonil 처리시방제효과가우수하게나타났고 propiconazole의경우방제효과는우수하게나타났지만약해증상이발생한다고보고하고있고 chlorothalonil은배나무에발생하는 Entomosporium 점무늬병에도방제효과가있다고보고하고있다 (Chandler, 1967). 현재까지국내에서는비파나무, 홍가시나무등 ( 서등, 2010, 서등 2011) 이연구가보고된바있지만다정큼나무둥근갈색무늬병에대한연구결과는미비하고등록된약제방제농약은없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제주도에서다정큼나무에피해를주고있는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에대하여약제방제법정립및조경수재배농가등에방제정보제공과농약등록을추진하기위하여본시험을실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시험포장및시험재료본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시험장소로는제주시노형동애조로도로변중앙분리대와서귀포시안덕면상창리도로변중앙분리대에식재되어있는건전하고동일규격의다정큼나무를선택하여 2016년 4월 6월에걸쳐실시하였다. 공시재료인다정큼나무는수고 1m이고건강하고병해피해와차량, 동물피해등이없고수관폭이넓은것을선정하였으며, 공시농약으로, Thiophanatemethyl 70% 수화제 ( 지오판, 아그로텍 ), Miclobutanil 6% 수화제 ( 시스텐, 경농 ), Iminoctadinetriacetate 25% 액제 ( 배푸란, 동방아그로 ), Tebuconazol 25% 수화제 ( 실바코, 바이엘크롭사이언스 ) 4종의약제 ( 표 1) 를사용하였다.

229 2. 약제처리및약효조사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방제약제선발은약제살포를총 3회 (2016년 5월 12일, 5월 23일, 6월 02일 ) 처리하였으며, 약효는최종약제처리 10일후인 6 월14일에조사하였다. 약제살포는압력식분무기 (4L) 를이용해잎이흠뻑젖어약액이흐를때까지충분히살포하였으며, 4종약제 2농도처리 5나무, 40나무에대조구 5나무총 45 나무에실시하였다. 약해조사는최종약제처리 3일후부터총 3일 (6월 05일, 6월 07일, 6월 09일 ) 간격으로 3회현장목측확인조사하였으며, 약제방제효과조사는 4방위별가지를무작위로선택하여건전엽수와이병엽수를조사하여이병률 ( 이병엽수 / 전체엽수 100) 과방제가를조사하였으며, 약해피해도함께조사하였다. 표 1.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시험연구에사용한살균제 일반명유효성분명 a) 제제형태 (RS)-2-(4-chlorophenyl)-2-(1H-1,2,4-triazol-1-ylmeth Miclobutanil yl)hexanenitrile Iminoctadinetri -acetate Tebuconazole Thiophanate-m ethyl 농도 (%) WP 6 1,1'-Iminodi(octamethylene)diguanidinium triacetate EC 25 (RS)-1-pchlorophenyl-4,4-dimethyl-3-(1H-1,2,4-triaz olylmethyl)pentane-3-ol WP 25 Dimethyl 4,4'-(o-phenylene)bis(3-thioallophanate) WP 70 a) 유효성분명 : IUPAC(Internationa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명명 WP(Wettable Powder) : 수화제, EC(emulsifiable Concentrate) : 유제. 결과및고찰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기위해제주시노형동 애조로도로변중앙분리대와서귀포시안덕면상창리 도로변중앙분리대에식재되어있는다정큼나무를선정하여 2016년 4월 ~6월에걸쳐시험연구를실시하였으며, 사용된약제로는 Thiophanatemethyl 70% 수화제, Miclobutanil 6% 수화제, Iminoctadinetriacetate 25% 액제, Tebuconazol 25% 수

230 화제 4 종의약제를처리하여 4 방위별가지를무작위로선택, 이병율과방제가를 조사하였으며 ( 그림 1), 최종약제살포후 3 일간격으로약해피해를조사하였다. 그림 1.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법연구 A: 갈색둥근무늬병균 (Entomosporium mespili), B: 갈색둥근무늬병병반, C: 피해고사목, D: 약제방제처리, E: 테부코나졸 (1000배액), F: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500배액 제주시지역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기위해실시한결과를보면무처리구에서평균이병율이각각 88.3% 로아주높게나타났으며, 테부코나졸 25% 5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3.6% 로아주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95.9% 로높게나타났으며, 테부코나졸 25% 수화제 1000배액에서는이병율과방제가가각가 4.6%, 94.8% 로나타났다 ( 표 2). 또한티오파네이트메틸 70% 수화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방제가가 86.4%, 85.7% 로조사되었으며, 마이클로뷰타닐 6% 수화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 88.9%, 84.2%,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40% 액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 85.3%, 80.4% 로처리약종모든처리구에서방제가가 80% 이상높게나타났다. 서귀포시지역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기위해실시한결과를보면무처리구에서평균이병율이각각 89.2% 로아주높게나타났으며, 테부코나졸 25% 5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4.7% 로아주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94.8% 로높게나타났으며, 테부코나졸 25% 수화제 1000배액에서는이병율과방제가가각가 11.9%, 86.8% 로나타났다 ( 표 3). 또한티오

231 파네이트메틸 70% 수화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방제가가 87.7%, 84.0% 로조사되었으며, 마이클로뷰타닐 6% 수화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 88.7%, 80.2%,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40% 액제 500배액, 1000배액처리구에서는 89.2%, 86.4% 로처리약종모든처리구에서방제가가 80% 이상높게나타났다. 이는한등 (2016) 이동일수종, 제주시동일장소에서실시한약제방제예비시험결과테부코나졸를제외한 4종의약종에서방제가가저조하게나타난것과다른차이를보였으며, 한등 (2014) 이 2종약제처리에따른홍가시나무에서동일한질병을일으키는 Entomosporium mespili에의해발생되는홍가시나무점무늬병방제효과에서마이클로뷰타닐 6% 수화제 500배액에서방제가가 82.5~100% 와 1000배액에서 87.7~100% 로높게나타난것과비슷한결과를보였다. 표 2.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효과조사결과 ( 제주시 ) 시험약제 유효성분 (%) 희석배수 이병엽율 (%) 평균 이병율 a (%) 방제가 b (%) 테부코나졸 25 티오파네이트메틸 75 마이코뷰타닐 6 1, , , 이미녹타딘트리 - 아세테이트 40 1, 무처리 Ÿ a 이병율 = ( 약제처리후이병엽수 / 총엽수 ) 100 Ÿ b 방제가 = [( 무처리이병율 - 처리이병율 )/ 무처리이병율 ] 100.

232 표 3.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효과조사결과 ( 서귀포시 ) 시험약제 유효희석성분배수 (%) 이병엽율 (%) 평균 이병율 a (%) 방제가 b (%) 테부코나졸 25 티오파네이트메틸 75 마이코뷰타닐 6 1, , , 이미녹타딘트리 - 아세테이트 40 1, 무처리 Ÿ a 이병율 = ( 약제처리후이병엽수 / 총엽수 ) 100 Ÿ b 방제가 = [( 무처리이병율 - 처리이병율 )/ 무처리이병율 ] 100. 또한홍가시나무점무늬병방제효과가높은마이클로뷰타닐수화제와 Benomyl, thiophanate methyl과같은 benzimidazole계농약에대한 E. mespili 의저항성발현이강력히시사되고있는 (Lange 등, 1998) 결과와 2015년도결과와달리 2016년도본조사결과와는상당히유사한결과를나타났다. 제주시지역과서귀포시지역에서실시한본시험연구결과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방제를위해테부코나졸 25%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3.6~11.9% 로아주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86.8~95.9% 로높게나타났으며, 티오파이테메틸 75%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도이병율이 11.0~12.7% 로낮게나타났고방제가는 84.0~87.7% 로, 마이코뷰타닐 6%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9.8~17.9% 로, 방제가는 80.2~88.9% 로,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500, 1000배액처리구에서이병율이 9.8~17.3% 로나타났고방제가는 80.4~89.2% 로나타났다. 이는방제가가 80% 이상이면농촌진흥청농약등록기준에적합하여 4개약종모두가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방제농약으로등록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233 인용문헌 Bowen, K.L., Hagan, A.K., Olive, J. and Foster, W Application rates and spray intervals of ergosterol-biosynthesis inhibitor fungicides for control of Entomosporium leaf spot of Photinia. Plant Dis. 78: 578~581. Chandler, W.A Fungicidal control of Fabrea leafspot of pear. Plant Dis. 51: 257~261. Cobb, G. S., Hagan, A. K., Gilliam, C. H. and Mullen, J. M Fungicidal control of Entomosporium leaf spot on photinia. Plant Dis. 69: 684~685. 산림청 병해충검색-병해검색. 산림청. 한유경, 한경숙, 이성찬, 김수 코퍼하이드록사이드를이용한토마토풋마름병방제, 농약과학회지 15(3): 298~302.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이영돈, 고석형, 박정훈, 신창훈 종약제처리에따른홍가시나무점무늬병방제효과. 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 14: 324~339.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pp Lange, R. M., Bains, P. S. and Howard, R. J Efficacy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Entomosporium leaf and berry spot of saskatoon. Plant Dis. 82: 1137~1141. 이상현외 식물병해충도감 ( 진단과방제 ), 병해편. 학술편수관. pp. 39~40. 이창복 원색식물도감. 향문사. 나용준외. 2009, 조경수병해충도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p. 192~193 Seo, S. T., Kim, K. H., Park, M. J. and Shin, H. D Occurrence of Entomosporium leaf spot on Photinia glabra in Korea. Plant Pathol. J. 26: 100. Seo, S.T., Park, M.J., Shin, H.D. and Kim, K.H Occurrence of leaf spot on Eriobotrya japonica caused by Entomosporium mespili in Korea. Res.

234 Plant Dis. 17 : 228~231. 서상태, 신창훈, 지권혁, 박소영 비파나무및홍가시나무점무늬병의살균제방제효과. Res. Plant Dis. 17(3) : 410~412. Shin, H.D., Lee, H.T., Yang, S.I. and Lee, S.H Leaf spot of Amelanchier asiatica caused by Entomosporium mespili. Korean J. Plant Pathol. 14 : 732~734. 신창훈,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강인보, 서상태 홍가시나무점무늬병 (Entomosporium leaf spot disease) 방제법연구.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12 : 141~149. 한태완, 김영림, 현지숙, 신창훈 다정큼나무갈색둥근무늬병약제방제법연구. 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 15 : 304~312. 육창수 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235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법연구 한태완 1), 8)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제주도내주요도로변및집단식재지내에먹무늬재주나방이발생하여왕벚나무류에큰피해를주고있어이에대한방제법을구명하여방제법정립및재배농가에방제정보를제공하고자본시험을실시하였다. 약제방제시험장소로는제주시해안동해안교차로주변에식재되어있는왕벚나무가로수를선택하여나무주사약제방제시험을실시하였다. 조사결과아바맥틴배량과기준량처리구에서방제가가 % 로높게조사되었으며, 클로티아니딘배량처리구에서방제가 80.4% 로조사되었으나, 에마맥틴처리구에서는기준량, 배량모든처리구에서방제가가 50% 이하로방제효과가저조하였고약제방제모든처리구에서약해피해는없었다. 서론 산림해충은수목이나삼림에해를주는곤충들로 2,252종이기록되어있으며 ( 임업연구원, 1995), 농업해충은농작물생물에영향을주는곤충들로국내에 2,619종이기록되어있다 ( 한국식물보호학회, 1985). 해충의피해는해충의발생시기, 발생량에의해매우다르게나타날수있다.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236 기후변화로인해산림병해충발생증가및잠재해충의문제해충화로확산위험이증가하고있으며, 국내의산림병해충발생현황은 2006년에는 389천ha가발생되었으나점차적으로감소추세에있으며,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기타병해충등은감소추세에있고소나무재선충병은 2015년도부터감소추세에있으나 2016년도12월현재전국 14개시 도 103개시 군 구소나무재선충병피해가진행중에있다 ( 산림청, 2017). 제주지역에주로발생하는산림병해충은소나무재선충병, 솔나방, 솔잎혹파리, 벚나무빗자루병등 5종외에도팽나무에피해를주고있는바구미류, 알락진딧물, 상수리나무에갈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에복숭아혹진딧물등의발생이확인되고있다고보고하고있다 ( 김준범, 2012, 한등, 2014). 수목해충을방제하는살충제는유인제, 기피제등일부를제외하고는직접적인살충을목적으로개발되었으며, 그효과는사용방법, 약제의성질, 곤충의특성, 환경조건등에의하여좌우된다 ( 신, 2012). 수목해충에대한방제연구로는잎침지법을이용하여후추열매메탄올추출물및분리된화합물들의배추좀나방유충에대한살충활성율검정 ( 박, 2012) 과 etofenprox에대한복숭아혹진딧물감수성과저항성개체군의살충제에대한살충활성차이를비교 ( 조등, 2009) 하였으며, 박등 (2009) 이꽃매미 2-3령약충에대한살충제의살충활성조사하였고정등 (2014) 이비펜트린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등몇가지살충제가썩덩나무노린재와뚱보기생파리에대해사충율을조사하였다. 또한배병해충방제시농약사용절감과방제효율개선을위해삼식충류와잎말이나방등에의한과실피해를조사하였으며 ( 조, 2012), 박등 (2013) 이진천지역에분포하는꼬마나무이를대상으로 27종살충제에대해살충효과를검정하여저항성여부를조사하였고현재전국적으로소나무에많은피해를주고있는솔수염하늘소에대한수종살충제의살충효과에대해서도보고하고있으며 ( 이등, 2003), 느티나무에큰피해를주고있는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물적특성과몇가지약제를공시하여살충효과를조사하였다 ( 김등, 2006). 이외에도시설가지주요해충방제, 주황긴다리풍뎅이, 온실가루이와담배가루이, 아까시잎혹파리등생물학적특성과약제살충효과에대해서많은연구가진행되어오고있다 ( 문등, 2008; 최등, 2001; 하등, 2003; 박등, 2009).

237 장미과 (Rosaceae) 살구속 (Prunus) 식물인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는높이 15m에달하는교목으로수피는회갈색이고잎은도란형으로끝이길게뾰족하고 4월경에잎보다먼저 5개의꽃잎으로흰색또는홍색의꽃이달리고열매는핵과로 6~7월에흑자색으로익는다 ( 이, 1986). 제주도에는한라산해발 500~900m 사이에자생하며, 관상용으로많이심는낙엽활엽교목이다. 원산지는한국으로내조성은강한편이나추위와병충해에약하다 ( 이, 1993, 육, 1993). 제주시에식재되어관리하고있는가로수는 194개노선 32종 3만 1,585본으로이중왕벚나무는 8,978본으로전체의약28% 를차지하고있다 ( 제주시, 2015). 먹무늬재주나방 (Phalera flavescens) 은장미과하늘나방이라고도하는데중형의나방으로 6 7월경에성충이나타나며, 성충의얼굴과가슴은유백색인데긴털로덮여있다. 어린유충은몸이자주색이고, 머리는검은색이며집단으로모여산다. 방해를받으면일제히실을타고죽내려왔다가다시올라간다. 자라면서흩어지고종령유충은검은몸에자주색무늬가있고길고흰털들이있으며, 벚나무 배나무 자두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등의잎을먹는다. 번데기로월동하고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우수리 시베리아등지에분포한다 ( 국립산림과학원, 2008). 제주도에서는 1990년에벚나무류에대발생한후매년제주도전역에 7월을시작으로 9월까지주로왕벚나무에큰피해를주고있다. 또한 2016년도에는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 정실입구교차로 ~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 제주대사거리가로수, 한라대학입구 무수천사가로교차로, 정석항공관입구 ~ 가시리사거리구간가로수가로수에서발생이심한것으로조사되었으며 ( 한등, 2016), 매년여름에발생하는먹무늬재주나방은활동이시작되면하루만에왕벚나무잎전체를갉아먹을만큼생육에큰지장을초래할뿐아니라도시미관을저해하고있고먹무늬재주나방에대한약제방제연구와등록된약제는없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제주도내주요도로변및집단식재지내에먹무늬재주나방이발생하여왕벚나무류에큰피해를주고있어이에대한방제법을구명하여방제법정립및재배농가에방제정보를제공하고자본시험을실시하였다.

238 재료및방법 1. 시험장소및시험재료본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시험장소로는제주시해안동해안교차로주변에식재되어있는왕벚나무가로수 ( 흉고직경 16~24cm, 21본 ) 를선택하여 2016 년 7월 ~9월에걸쳐약제방제시험을실시하였으며, 2015년도에시험했던시험목 (18본) 을제외하여선정하였다 ( 그림 1). 공시농약으로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진딧물등의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는 Abamectin 1.8% 유제 ( 로메틴 ), Emamectin-benzoate 2.15% 유제 ( 모스파워 ), Acephate 97% 캡슐제 ( 아시트 ), Clothianidine 20% 액제 ( 볼케이노 ) 4종의약제 ( 농약사용지침서, 2015) 와캡슐형살충제로솔잎혹파리, 흰불나방등에효과가있는 Acephate 97% 액제 ( 아시트 ) 를농도별 ( 기준량 3~5ml 1개, 배량 6~10ml, 2개 ) 로사용하였으며 ( 표 1), 약제처리시기는 2016년 7월 14일에충전식드릴을이용하여약제종류및농도별로나무주사를실시하였다. 나무주사한상처부위는 2차감염을예방하기위해살균제인티오파네이트메틸도포제 ( 톱신페스트 ) 를도포하였다. 그림 1.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시험장소

239 표 1. 먹무늬재주나방나무주사약제방제시험약제처리내용 농약품목명 ( 시험약제명 ) AbamectinEC ( 로맥틴 ) EmamectinBenzoate ( 모스파워 ) Acephate ( 아시트 ) Clothianidin ( 볼케이노 ) 주성분함량 (%) 약효시험 약해시험 희석배수및사용량 처리시기및방법 기준량 배량 5~10ml / 5ml / 흉고 10ml / 흉고 흉고직경10cm 직경 10cm직경 10cm 5~10ml / 5ml / 흉고 10ml / 흉고 흉고직경10cm처리시기 : 직경 10cm직경 10cm 1개 / 흉고직경유충발생한달전 1개 / 흉고 2개 / 흉고 3cm 1회나무주사처리직경 3cm직경 3cm 3~6ml / 3ml / 흉고 6ml / 흉고 흉고직경 10cm 직경 10cm 직경10cm 무처리 약제처리및약효조사시험구배치는완전임의배치법으로 3반복실시하였으며, 약효시험은농촌진흥청농약의등록시험기준과방법의과수잎말이나방등록시험기준에따라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최종약제처리후 30일차각잎의피해면적율에따라피해도를조사하였으며, 피해조조사방법은주당 8방위에서수관부하부로부터 1/4 높이와 3/4 높이사이의가지를임의로 1개씩채취하여, 각가지의하부로부터 25엽씩주당 8주, 총200엽을채취, 이 200엽에대하여각잎의피해면적율 (%) 에따라아래와같은피해면적율계수모집단별로분류하여산출식에의해피해도를산출하였으며 ( 농약등록시험기준 ; 과수잎말이나방류 ), 방제가산출식은아래와같다. - 피해면적율계수 : O 피해면적율 0%, %, %, %, %, 9 75% 이상, (N): 주당조사엽수 (= 200엽 ) - 피해도산출식 : 피해도 = ( 피해엽수 계수 ) / 9N x 100) - 방제가산출식 : ( 약제처리구피해도 / 대조구피해도 ) x 100 약해시험은약제처리 15 일, 30 일후주당 4 방위에서수관부전체를약해유 무 2 회외관달관조사를실시하였으며, 약해조사방법으로는아래기준에의 거실시하였다.

240 - (0) 육안으로약해가인정되지않음, (1) 아주가벼운약해로서작은약해반응이약간인정됨, (2) 처리된잎이적은부분에약해가인정됨, (3) 처리된잎의 50% 정도약해가인정됨, (4) 상당한피해를받고있으나아직건전한부분이남아있음, (5) 심한약해를받고고사상태임. 결과및고찰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효과를조사하기위해제주시해안동해안교차로주변에식재되어있는왕벚나무가로수를선택하여 2015년 7월 ~9월에걸쳐약제방제시험을실시하였다. 공시농약으로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진딧물등의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는 Abamectin 1.8% 유제 ( 로메틴 ),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 ( 모스파워 ), Acephate 97% 캡슐제 ( 아시트 ), Clothianidine 20% 액제 ( 볼케이노 ) 4종의약제를농도별 ( 기준량 3~5ml, 1개 ; 배량 6~10ml,2 개 ) 로사용하였고, 약제처리시기는 2016년 7월 14일에충전식드릴을이용하여약제종류및농도별로나무주사를실시하였으며 ( 그림 1), 피해도, 방제가등약효조사와약해조사방법은농촌진흥청농약등록시험기준과수잎말이나방류를적용하였다. 그림 1.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법연구 A: 먹무늬재주나방유충, B: 약제주사, C, D: 약제효과조사.

241 시험조사구에서약해조사는 7월 29일과 8월 13일에달관조사를실시하였으나약해여부를관찰할수없었다. 먹무늬재주나방유충발생일은약제처리후 28일이경과한 2016년 8월 11일에대량으로발생하였고약제처리구를제외한왕벚나무에먹무늬재주나방유충섭식으로인한피해가심하게발생하였다. 약제방제농도는흉고직경 10cm당아바맥틴과에마맥틴은 5~10ml, 클로티아니딘은흉고직경 10cm당 3~6ml, 애세페이트는흉고직경 3cm당 1~2개를나무주사하였다. 그림 2. 먹무늬재주나방약제방제법연구 A: 대조구, B: 아바맥틴, C: 아세페이트, D: 클로티아나딘, E: 에마맥틴 약제방제효과조사결과 ( 표 2, 그림 2), 아바멕틴 5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와 10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에서방제가가각각 82.9%, 91.4% 로높게조사되었으며, 클로티아니딘 3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와 6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에서방제가가 76.1% 와 81.8% 로조사되었고아세페이트캡슐제1개 / 흉고직경 10cm, 2개 / 흉고직경10cm 처리구에서방제가가각각 81.3% 와 88.2% 롤높게나왔지만에마맥틴 5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와 10ml / 흉고직경10cm 처리구에서 27.8%, 70.7% 로효과가저조하였다. 방제가가 80% 이상이면살충효과는우수하였지만아바맥틴배량처리구를제외히고는농진청농약등록시험기준에적합하

242 지는못했다. 이는먹무늬재주나방이유충발생시기가약제나무주사후 20일이지나서발생하였는데나무주사후약제가수목가지끝부분까지이동하는데걸리는기간이 1개월후도달한다는보고 ( 이등, 2009) 와약제방제효과조사시약제처리구에서지하부는유충섭식에의한피해가미비했으나주로지상부에만피해가발생한점으로봤을때 2015년도결과에이어나무주사후약제가지상끝까지도달하지못한결과라고사료된다. 이는유충발생시기를정확히예측하여나무주사를실시하는것보다전년도발생일을기준으로미리한달이전에나무주사를실시하면효과가높을것으로사료되며제주지역인경우는 6월하순 ~7월중순사이에나무주사를실시하면방제효과가매우높을것으로사료된다. 표 2. 먹무늬재주나방나무주사약제방제조사결과 약제명 약제사용량 ( ml /10cm,1 개 /3cm) 아바맥틴 5 아바맥틴 10 에마맥틴 5 에마맥틴 10 아세페이트 1 아세페이트 2 클로티아나딘 3 클로티아나딘 6 무처리 0 주당 200엽에대한피해면적율계수 (0-9) 모집단별엽수와피해도구분 계피해도방제가 (%)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엽수 계수 본시험에사용된아바멕틴유제는굴파리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초록애매 미충, 솔나방, 소나무재선충병방제약제로등록되어있고에마맥틴유제는담 배나방등나방류, 소나무재선충, 잎벌레류, 총채벌레, 굴파리류, 응애류에, 클

243 로티아니딘액제는노린재류, 진딧물류, 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버즘나무방패벌래류, 아세페이트액제는솔잎혹파리, 종실해충, 흰불나방살충제로등록되어있으나 ( 한국작물보호협회, 2015; 정등, 2016), 먹무늬재주나방방제약제로는등록되거나약제방제살충제로보고된적이없다. 따라서본연구결과아바멕틴과클로티아니딘이살충효과가높지만농약등록시험기준인방제가가 90% 이하로나타나기준에미치지못해지만나무주사처리시기를 1개월이전에실시하면상기시험 3종의약제모두에서농약등록시험기준에맞는높은방제가를얻을수있어벚나무류재배농가나가로수관리부서에방제정보를제공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또한벚나무류는다른수목에비해상처에민감하게반응하는수종이어서드릴천공에의한나무주사후살균제도포등 2차감염을방지하면고압분무기를이용해서방제약제살포하는방법보다여러가지면에서효과가높을것으로사료된다.

244 인용문헌 최우근, 이동운, 이승욱, 추호렬, 박정규, 사공영보 기주식물에따른몇가지살충제의주황긴다리풍뎅이, Ectinohopliarufipes(Coleoptera : Scarabaeidae) 에대한살충효과. Kor. Turfgrass Sci. 15(3) : 119~126. 조창욱, 박초롱, 윤규식, 강민아, 권혜리, 강은진, 서미자, 유용만, 윤영남 Etofenprox에대한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의저항성과감수성개체군의생명표와섭식행동비교. 韓應昆誌 48(3) : 301~310. 조영식 농약사용조건에따른배병해충방제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학술발표자료. 산림청 임업통계정보- 산림병해충발생및방제현황. 산림청. 김철수, 김종국, 신상철, 최광식, 전문장, 박일권 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생물학적틍성및약제살충효과. 韓應昆誌 45(2) : 195~200. 김준범 제주주요산림병해충생태와방제. 산림지 2012(10) : 66~69. 한국작물보호협회 농약사용지침서. 삼정인쇄공사. 하태기, 황인처, 김종관, 송유한, 김길하, 유용만 몇가지살충제의온실가루이와담배가루이의생육단계별살충효과및방제효과. 한국농약과학회지 7(3) : 207~215.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4호조사연구보고서 14 : 386~404.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양윤희,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5호조사연구보고서 15 : 413~432. 제주시 제주시내가로수식재현황. 제주시. 정부근, 임유진, 이흥수, 박정규 몇가지살충제의썩덩나무노린재와똥보기생파리에대한독성.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2(4) : 457~460. 정한록, 김종익, 박준호, 이언동, 권정화, 김제홍, 심기보 생활권주변수목건강하게가꾸기.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245 이상명, 문일성, 정영진, 이상길, 이동운, 추고열, 이정규 솔수염하늘소 (Monochamus alternatus) 에대한數種殺蟲劑의殺蟲效果. 韓國林學會誌 92(4) : 305~312. 이상명, 김동수, 김철수, 조규성, 추호렬, 이동운 수간주입한아바맥틴의곰솔과잣나무내분포와지속성. 농약과학회지 13(3) : 190~196.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문형철, 임주락, 황창연, 김주, 류정, 신용규 시설가지주요해충방제를위한약제방제체계.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7(4) : 330~335. 국립산림과학원 新산림병해충도감. 국립산림과학원연구신서제25호. P 박일권 후추열매유래화합물들의배추좀나방유충에대한살충활성. 韓應昆誌 51(2) : 149~152. 박준원, 박영욱, 안정진, 박상은, 최장전, 구현나, 김길하 진청지역꼬마배나무이에대한 27종약제의살충효과. 농약과학회지 17(1) : 72~75. 박지두, 김민영, 이상길, 신상철, 김준헌, 박일권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의생태특성및약제살충효과. 韓應昆誌 48(1) : 53~57. 박지두, 신상철, 김철수, 전문장, 박일권 아까시잎혹파리 (Oboldiplosis robiniae) 의생물학적특성및약제살충효과. 韓應昆誌 48(3) : 327~333. 농촌진흥청 농약의등록시험기준과방법-농촌진흥청고시제2008-4호. 농촌진흥청. 신상철 수목해충의화학적방제 (1). 한국조경수협회 pp. 34~40.

246

247 보고서 Report 한라산남서사면오름의인문자원고찰 고윤정, 김미형, 고정군 제주도송이자원분포조사 안웅산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 식물분야 동물분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 김대신, 김현철, 김권수, 김종갑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야생동물서식특성조사 (Ⅱ) 오장근 병해충분야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지의병해충발생조사연구 (Ⅱ) 한태완, 고석형, 박정훈, 신창훈 토양분야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지의토양특성 (Ⅱ) 고석형, 한태완, 강희석, 이영돈, 박정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

248

249 한라산남서사면오름의인문자원고찰 고윤정 1), 9) 김미형 2), 고정군 1) 1)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2) 제주대학교사학과 서론 제주도의중앙부에위치한한라산은제주도의상징일뿐아니라화산폭발로형성되어육지부의여느산과는다른독특한모양을이루고있다. 지금까지한라산은현무암과조면암이대칭적으로겹겹이쌓여만들어진순상화산체로인식되어왔다. 이러한인식의근거는한라산의해발고도 600~1,000m 이상인산악지대의대부분이 15 미만의완만한경사면을이루고있기때문으로판단하였다. 한라산세계자연유산핵심지역내에는정상부의백록담분화구를중심으로장구목과방애오름, 영실기암의가파른암벽등약 50개의오름을비롯한여러화산지형들이분포한다. 한라산에는주로조면현무암과조면암이분포하고있는데, 제주도 (2000) 에의하면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에는대략 11개의암층이나타나는것으로알려져있다. 본고에서는한라산세계자연유산지구내오름중에서도주로남서사면오름 12개소를대상으로경관특성및인문자원등을조사하였다. 교신저자 ; 전화 : , kyj5526@korea.kr

250 조사지역및방법 1. 조사지개황본조사는백록담을중심으로세계자연유산핵심지역인한라산남서사면오름 12개소를대상으로 2016년 2월부터 11월까지조사하였다 ( 그림 1). 한라산남서사면에해당하는오름은위로부터윗세오름중가장큰오름인붉은오름을시작으로오백나한, 이스렁오름과어스렁오름, 볼레오름으로이어지며, 한라산 1100도로를중심으로한라산쪽으로왕오름과다래오름, 반대편쪽으로삼형제오름중큰오름과셋오름으로연결된다. 삼형제오름의말젯오름은자연유산지내에포함되지않으나삼형제오름의연결선상에서이번조사대상에포함하였다. 그리고마지막으로살핀오름을고찰하였다. 그림 1. 조사지개황

251 2. 조사방법오름의현장조사를통하여경관특성을조사하고사진촬영을실시하였으며, 오름에대한문헌적고찰로기존문헌자료및관련서적과고지도등을분석하여각오름에대한지명유래및역사와민속에대한자료를정리하였다. 또한오름에대한용천수및현재이용되고있는상황도함께제시하였다. 각오름의나열순서는한라산백록담을중심으로해발고도가높은순으로정리하여이해를돕고자하였으며, 오름의명칭은 2009년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발행 한라산의자연자원 을기준으로하였다. 결과및고찰 1. 붉은오름 1.1. 개요및경관특징한라산영실등산로의 1,700m 고지주변에는크고작은오름세개가나란히있는데이를통틀어 윗세오름 이라하는데, 이는위에있는세개의오름이라는의미이다. 한라산서북벽서남쪽으로연이어자리잡고있으며현재제주시와서귀포시를구분하는행정구역경계선을이루고있다. 윗세오름의세오름중에서가장위로부터남사면에붉은흙이드러나있는오름을 붉은오름 이라한다 ( 그림 2). 또는 큰오름 으로불린다. 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38-1번지일대에위치하며해발 1,740m, 비고 75m의원추형오름으로세오름중에서가장크다. 붉은오름은용암이분출해형성된붉은송이 [ 스코리아, scoria] 로이루어져있는데, 그림 2. 붉은오름

252 세월에따른자연침식으로송이를쉽게확인할수있다. 그리고회백색에서담녹회색을띤큰장석반정인백록담조면암으로형성되어있다. 윗세오름주변은한라산에서최고의경관을자랑하는곳이다. 한라산정상을둘러싼화구벽의웅장함과드넓게펼쳐지는선작지왓, 만세동산, 민오름과장구목이병풍처럼펼쳐져있어멋진경관을조망할수있다. 또한한국특산식물인털진달래가 5월초순부터개화하고 5월말경에는산철쭉이아름답게피어장관을이룬다. 한라산에상산방목이금지되면서윗세오름일대에는야생노루들의천국이되었다. 곳곳에습지와물이흐르는작은시내들이있어이일대는한라산의수많은야생초들의보금자리역할을하고있다 지명유래 웃세오름 또는 윗세오름 은 웃 ( 또는윗 上 )+ 세오롬 으로구성된말이다. 세오롬 싀성제오롬 과대비하여위쪽에있는 세개의오롬 이라하여불리는것이다. 즉, 1100고지에있는삼형제오름보다높은고도에있어붙여진이름이다. 세개의오름을각각일컬을때는삼형제에빗대어 큰오름 셋오름 족은오름 이라고도한다. 윗세오름중에서가장큰오름이라하여 윗세오롬큰오롬 큰윗세오롬 큰오름 등으로불린다. 붉은송이로이루어져있어 붉은오름 이라고도한다. 1) 1.3. 역사와민속 근현대시기한라산의아고산지대에서는우마방목이행해졌었다. 일명 상 산방목 이라하여, 해발 1,400m 이상의아고산지대에해당하는상산 ( 上山 ) 에 우마 ( 牛馬 ) 를올려방목했던목축이었다. 우마를마을별로낙인과귀표를한 후, 대체로청명 ( 淸明 ) 일을전후해상산으로올린다음상강 ( 霜降 ) 일경에마을 로이동시켰다. 이러한상산방목을위한필수적자연환경요건에는초지와 물, 비바람을피할궤 [ 바위굴 ] 가있어야가능했다. 윗세오름과선작지왓까지 이어지는일대에는한라산고원초원지대에해당되며윗세물, 노루샘, 탑궤 1) 오창명, 제주도오름과마을이름, 제주대학교출판부, 1998; 제주도오롬이름의종합적연구, 제주대학교출판부, 2007.

253 등이있어상산방목이이루어졌었다. 윗세오름일대는서귀포시하원동과제주시애월읍광령리주민들의공동방목지였다. 그중윗세붉은오름은제주시애월읍광령리, 해안동, 노형동, 오라동목축민들이주로이용했던방목지였다. 그러나 1970년한라산이국립공원으로지정되면서국가정책에의해상산방목이금지되고현재방목지로서의기능을상실하게되었다. 2) 1.4. 용천수한라산국립공원내에는총20여개의용천수가분포하고있다. 그중어리목계곡의상류지점계곡사면에서윗세붉은오름북쪽방향으로표고 1,668m에위치하는윗세물이있다. 하루평균용출량은 50m3정도로현재인근윗세오름대피소의식수로사용하고있다. 예전에주로윗세오름대피소에서야영을했었던등산객들이식수로사용했었다. 남쪽의노루샘이메말라도항상물이흘러유용하게사용되는생활용용천수이다 현재이용현황윗세붉은오름과윗세누운오름사이에윗세오름대피소가있다. 이곳은한라산등산객들의쉬어가는장소로영실 어리목 돈내코등산로의교차점이다. 영실등산로와윗세오름대피소에서윗세오름은물론인근선작지왓과만세동산의아름다운절경을감상할수있으며남벽분기점까지우회등산로가있어등산객들은윗세붉은오름옆을거칠수있다. 2. 누운오름 2.1. 개요및경관특징윗세오름의세오름중에서붉은오름과족은오름사이에위치한오름이다 ( 그림 3). 가운데에길게가로누운형상이라누운오름이라일컫는다. 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38-1번지일대에위치하며해발 1,711.2m, 비고 71m의오 2) 강만익, 근현대한라산상산방목의목축민속과소멸, 耽羅文化 제 43 권,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2013.

254 그림 3. 누운오름 름이다. 길게동서방향으로자리잡은누운오름은능선이완만하며이일대에털진달래와산철쭉이피면백록담과어우러져한폭의그림을보듯아름다운장관을이룬다. 또한겨울에도눈이쌓이면고고하고새하얀설경이펼쳐지는곳이다 지명유래누운오름은윗세오름중에서붉은오름과족은오름가운데에자리한오름이다. 오름이나지막하게가로누워있어누운오름으로불린다. 셋오롬 으로도일컫는다. 셋 은 둘째의 라는뜻을가진제주어 셋 의훈독자표기이다. 곧, 중간에있는또는두번째로높은오름이라는뜻이다. 3) 한편 망오롬 이라고도한다. 테우리 [ 牧者 ] 들사이에서우마를살피던망 ( 望 ) 이있던곳이라하여망오름으로불리기도했다 역사와민속윗세누운오름과윗세족은오름일대는상산방목이행해졌던방목지로누운오름은테우리들사이에서우마를관찰하는 망동산 역할을했다. 이일대는서귀포시와제주시의경계에해당하는지역이었다. 따라서 1960년대까지만해도남북군 ( 南北郡 ) 우마들이공동으로방목되던공용목축지였다. 윗세오름일대가애월읍광령리에해당되지만, 제주시해안동, 남쪽으로는서귀포시하원동, 도순동, 서홍동등여러마을의행정경계선이만나는고산지대에해당되었다. 한라산이국립공원으로지정되면서이후상산방목이금지되었지만, 3) 우낙기 제주도 (1965) 에서확인되는중문면 영실오름, 영실악 ( 靈瑟岳 ) 은윗세오름의 셋오롬 을일컬은것으로보이는데, 이는잘못판단한것으로여겨진다.

255 이일대는방목에참여했던제주의남북군테우리들의만남의장소이자우마 들의집합장소로활용되었던방목지였다 용천수윗세누운오름남쪽방향으로영실등산로마지막지점에노루샘이있다. 표고 1,666m로평균하루용출량이 30m3정도된다. 선작지왓주변에사는야생노루들이목을축이러이곳샘을찾아모여들기때문에노루샘이라고명명한것으로알려져있다. 노루샘의물은선작지왓으로흘러곳곳에물웅덩이를형성하여야생노루뿐만아니라선작지왓주변에살아가는많은생물들에게생명수같은역할을하고있다. 또한과거우마와테우리들도생명을유지하기위해노루샘에서물을얻어상산방목을할수있었다. 그런데영실등산로등산객들의음용으로도이용했었으나, 최근수자원본부의수질검사결과부적합판정을받아저수조와염소투입기를설치해음용을재개할수있을것으로전망하고있다. 4) 한편윗세오름중에서세번째오름인족은오름에대한조사는 2014년조사연구보고서제14호에서제시하였다. 3. 오백나한 3.1. 개요및경관특징한라산최고의경승지중하나로영실 ( 靈室 ) 을꼽을수있다. 이일대의영실기암절벽동쪽에는오백여개의하늘높이장엄하게늘어선기암괴석들을볼수있다. 이모습이석가의불제자모습과유사하다하여 오백나한 또는장군이서있는모습이라하여 오백장군 이라고도불린다 ( 그림 4). 또한서쪽벽에는 1천여개의주상절리가마치병풍모양을하고있어병풍바위라부른다. 서귀포시하원동산1-1일대에위치하며해발 1,639.3m에달한다. 복합형형태로비고가 389m이다. 영실기암과오백나한은 2011년 11월 13일국가지정문화재인명승제84호로 4) 제주新보, 2016 년 6 월 9 일기사.

256 지정되었다. 이일대는기암괴석과울창한수림이어우러져계절의변화에따라사계절내내독특하고수려한경치를선사하는곳이다. 영실일대의동쪽암벽에는한대성식생들인구상나무, 좀고채목, 털진달래등이식생을이루고있다. 또그림 4. 오백나한한서쪽암벽에는병꽃나무, 시로미, 산매자나무등관목들이주요수종을이루어 450여종의식물이자생하고있다. 계곡을사이에두고한대와온대가마주하고있는지역이기도하다. 한편지난 2000년에영실기암은계곡이라기보다는분화구라는설이제기되었었다. 영실기암이한라산조면현무암으로구성된약 52만 47만년전에분출하여만들어진분화구로, 이때용암이해발 m까지흘러내려계곡의형태를띠게되었다는것이다. 이후약 7만년전에다시영실의중앙부에서조면암질암석이솟아나현재의모습을갖추게되었다는설이다. 즉, 지금의영실등산로와과거등산로로이용되었던동쪽능선으로이어지는부분이영실분화구의외륜으로써처음의분화구형태라는것이다. 그리고오백장군이라불리는바위들이솟아올라오늘날의모습을갖추게되었다는것이다. 백록담의형성과정인남서쪽의조면암이먼저솟아오른후북동쪽에서현무암이용암돔의일부를부수며흘러나온과정과는그순서가반대의양상을보여준다 지명유래 영실에오백나한의바위가서있다는데서유래해영실에있는수많은바 위군을오백나한 ( 五百羅漢 ) 이라고한다. 나한 ( 羅漢 ) 은아라한 ( 阿羅漢, Arhat) 의

257 준말로소승 ( 小乘 ) 의수행자들을뜻한다. 또한오백명의장군이서있다는데서오백장군 ( 五百將軍 ) 으로, 천불오롬 ( 千佛峰 ) 천불암 ( 千佛岩 ) 으로도불린다. 임제의 남명소승 ( ) 에는 五百將軍洞 ( 오백장군동 ) 靈谷 ( 영곡 ) 千百洞 ( 천백동 ) 靈谷洞 ( 영곡동 ) 김상헌의 남사록 권2( ) 에는 天佛峰 ( 천불봉 ) 行道谷 ( 행도곡 ) 靈谷 ( 영곡 ) 이익태의 지영록 ( ) 에 瀛谷 ( 영곡 ) 이원진의 탐라지 (1653) 에수록된김치, 이경억의제영 ( 題詠 ) 에서와이형상의 남환박물 (1704) 에는 瀛室 ( 영실 ) 로표기하였다. 제주삼읍도총지도 (18 세기중반 ) 에 灵室 ( 영실 ) 제주삼읍전도 (1872) 에 五百將軍 ( 오백장군 ) 으로표기되어있다. 오백장군은 오백장군 의음독자결합표기이며, 靈谷 瀛室 灵室등은 영실 의한자차용표기이다. 靈 瀛 灵은한자의뜻과같이신선이머무는신령스러운곳이라는의미이다. 室은고유어 실 의음가자표기, 谷은 실 의훈독자표기, 洞은 실 의훈독자표기이다. 靈谷洞은 영실골 五百將軍洞은 오백장군골 의한자차용표기로 영실 을달리일컫는말이다 역사와민속가. 제주도도( 濟州島圖 ), 제주십경도( 濟州十景圖 ) 영주십경은제주에서경관이뛰어난 10곳을선정한아름다운비경이다. 매계이한우 ( ) 는조선후기제주를대표하는문인으로서제주의열가지뛰어난경치를표현하고자하여 영주십경시( 瀛州十景詩 ) 를지었다. 제주뿐만아니라타지의문인들이그의시에화운함으로서매계이한우의영주십경이널리알려지게되었다. 5) 영주십경중에서한라산의영실기암은제7경에속한다. 조선후기의 제주도도 와 제주십경도 에는영실의신비롭고아름다운모습이그림으로남겨져전해지고있다. 제주도도 는탐라도총 ( 耽羅都摠 ), 영곡 ( 瀛谷 ), 백록담 ( 白鹿潭 ), 산방 ( 山房 ) 으로구성되어있으며그림의상단부분에사적에대한설명이적혀있다. 제주십경도 는그림에대한구조가 제주도도 와동일하며명월소 ( 明月所 ), 천지연 ( 天池淵 ), 서귀소 ( 西歸所 ), 성산 ( 城山 ), 산방 ( 山房 ), 취병담 ( 翠屛潭 ), 5) 김치완, 영주십경으로본매계이한우의선경인식과그태도, 대동철학 제 59 권, 대동철학회, 2012.

258 조천관 ( 朝天館 ), 영곡 ( 瀛谷 ), 백록담 ( 白鹿潭 ), 별방소 ( 別防所 ) 의모습이담겨있는 화첩이다. 나. 수행굴수행자가은거했던굴이라하여 수행굴 이라알려져있다. 한라산영실휴게소일대영실제2교에서계곡의우측능선을따라 30여분올라가서우측방향으로약50m 정도들어서면작은하천이나온다. 그주변에문헌기록상의옛수행굴로추측되는굴의입구를찾을수있다. 굴입구를제외하고는주변에낙엽활엽수림과제주조릿대등으로뒤덮어져있어쉽게찾을수있는곳은아니다. 김상헌의 남사록 (1601) 에수행굴속에는 20여명이들어갈수있으며, 옛날고승휴량이들어가살던곳이라하고있다. 6) 김치의 유한라산기 ( ) 에는영실을방문하고, 골짜기동남쪽산허리에석굴이하나있는데이름이 수행 이라하고있다. 옛날에도승이거기살았다는데부서진온돌이지금도남아있다고기록하였다. 7) 신증동국여지승람 (1530) 과이원진의 탐라지 (1653) 의기록을보면영실의존자암을속설에전하기를 수행동 ( 修行洞 ) 이라하였다. 8) 여기서고려해야할것은기록에서말하는 수행동 ( 修行洞 ) 과 수행굴 ( 修行窟 ) 을동일한곳으로볼수있는지여부이다. 그리고수행굴이존자암의옛터일가능성에대해서는좀더구체적인연구가필요하다판단된다. 9) 김치의 유한라산기 ( ) 에서김치는한라산을유람하면서영실골짜기의옛존자암터를방문한후, 그다음에골짜기동남쪽의수행굴을지나칠성대에도착했다. 10) 김치의기록 6) 南槎錄 卷 2, 9 月 24 日戊午條, 又過修行窟窟中可容二十餘人古有高僧休粮入樓之處也過七星臺坐禪巖 道邊高巖列峙狀如北斗又有一石恰如坐僧故云. 7) 金緻, 遊漢拏山記, 洞之東南山腰有一石窟名曰修行昔有道僧栖於其中廢堗至今尙存. 8) 新增東國輿地勝覽 卷 38, 濟州牧佛宇尊者庵, 在漢拏山西嶺其洞有石如僧行道狀諺傳修行洞 ; 耽羅志 濟州佛宇尊者庵, 舊在漢拏山瀛室其洞有石如僧行道狀諺傳修行洞. 9)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서발간한 (2006) 한라산총서 Ⅲ. 한라산의역사 유적 에서는사료의기록에나타나는수행굴이존자암의옛터일가능성을강하게시사하고있다. 그러나두곳의관계에대해서는좀더구체적이고정확한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10) 金緻, 遊漢拏山記, 行六七里抵靈室洞府頗寬敞此亦古尊者基也 不得已還出洞門洞之東南山

259 을보면당시영실옛존자암터와수행굴은별개의곳이었음을알수있다. 한라산수행굴에대한정확한위치비정과연구는앞으로계속보완해나가 야하는연구과제중하나이다. 다. 설화 1 설문대와오백장군영실에관한설화는다수전해지고있다. 예로부터이곳을지날때함성을지르거나큰소리를내면오백개의기암괴석들이안개를피어오르게하여앞을분간하기어렵게만들어버린다는신비한전설이깃든곳이기도하다. 한편설문대와오백나한에관한전설이전해진다. 설문대는한라산신화에서원초적대모신으로창조행위와자연물을질서화한여산신의성격을지닌다. 오백나한의전설은이러한설문대에대한성모여산신의도교적성격에오백나한의불교적요소가첨가되어호국불교및산천숭배의신앙적요소가담겨져있다. 설문대할머니에게는 500명의아들이있었다. 할머니는외출한아들들이먹을죽을끓이다가발을헛디뎌솥에빠져죽게된다. 집으로돌아온아들들은죽을맛있게먹었는데막내아들이솥에가라앉은어머니의뼈를발견하고통곡했다. 막내아들은울면서통곡하다가고산리앞바다차귀도에바위가되었고나머지형들도울다가바위가되어지금의영실을경승지로만들었다는전설이전해진다. 영실에는 499개의장군이, 차귀도에막내동생이떨어져있는셈이다. 차귀도의마지막하나오백장군바위는대정읍의바굼지오름에서훤히보인다. 전해오는이야기로는어느날지관이바굼지오름의묏 [ 묘 ] 자리를하나고르고서, 묏자리는좋은데차귀도의오백장군이보이는것이흠이라고했다. 이윽고상제는차귀도에건너가도끼로바위를찍어없애려했다. 하지만워낙큰바위라없애지못했다. 그래서차귀도의오백장군에는도끼로찍었던자국이남아있다고한다. 이처럼설문대할망신화에서할망의아들들을영실기암의오백나한과연결 腰有一石窟名曰修行昔有道僧栖於其中廢堗至今尙存由修行行十余里抵七星臺.

260 시켜창조적여신의성격은사라지고전설화된것으로볼수있다. 신성성을지닌설문대의모습보다, 민담으로구전된설문대에게투영된잠재력이제주인들에게삶의활력소가되었으리라는것이다. 또한 499개의영실기암과차귀섬에있는유사한바위를연결시켜모자람의모티프를만든점이다. 완전히채우지는못했지만이탈된형상물에대한인식을포함시킴으로써가난한제주민의삶의한계를합리화했음을엿볼수있다. 11) 2 풍수전설제주의신앙전설에따르면풍수신앙과관련하여음양 ( 陰陽 ) 으로육대 ( 六大 ) 명혈이있다고전해진다. 풍수를보는사람이정한것이아니라제주사람들이그들이살고있는땅에대한애정과소망을곁들어만들어낸명혈들일가능성이높다. 명혈에는음택혈과양택혈로나뉘는데, 사람이죽어묻힐묏자리가음택혈이고살아있는사람의집터를양택혈이라한다. 영실은음택혈에서육대명혈중하나라고한다. 전설에따르면다음과같다. 중국송나라때주자 ( 朱子 ) 는부친이돌아가시자고려국탐라에좋은묏자리가있다하여아는동생을보내알아보게하였다. 동생은탐라에도착해영실을둘러보니한눈에봐도구천명령지지 ( 九千命令之地 ) 였다. 구천명의군사를향해명령하는듯한형국이라는뜻이다. 그리고영실을자세히살펴본후금계등실형 ( 金鷄登室形 ) 이라바꿔생각하였다. 금닭이둥우리에오른듯한형국이기도한것이다. 송나라로돌아온동생은그림을그려주자에게보여주며탐라서남쪽영실은금계등실형같았다고전했다. 그러나주자는아침에봉황새가우는형국인봉명조일형 ( 鳳鳴朝日形 ) 이라하였지만황통 ( 皇通 ) 이열리는자리라하였다. 황통이란임금님의묏자리라는뜻이다. 주자는생각대로탐라영실에부친을묻었다. 그래서주씨무덤이영실에있게되었는데, 그묘는보통사람들은잘찾아내지못하고구산 ( 求山 ) 에많은공력이있는자라야만간신히알아본다고한다. 풍수를아는제주사람들은주자가유학자로길이이름을남기는것은부친묘를명혈인제주영실에묻었기때문이라고 11) 좌혜경, 한라산의구비전승, 한라산총서 Ⅴ. 한라산의구비전승 지명 풍수,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261 여긴다. 12) 3.5. 용천수영실계곡은도순천의발원지이다. 영실병풍바위일대해발 1,600m 부근에서발원하여남서쪽으로흘러강정천하구로이어진다. 도순천은하류에서는강정천이라불리지만도순지역의지명에서하천명이지어졌다. 제2도순교방면이영실로향하는주류이고동북쪽으로이어지는하천은녹나무자생지로연결된다. 13) 한편한라산영실휴게소인근해발 1,555m에영실물이위치한다. 하루평균용출량은약 2,000m3로영실기암바위밑에서용출되는샘이다. 현재물탱크를이용하여서귀포시회수동과서귀포시자연휴양림에서식수로사용하고있는생활용용천수이다. 4. 볼레오름 4.1. 개요및경관특징 1100도로탐라각휴게소에서한라산을바라볼때정상으로이어지는산줄기를따라좌우독립된세개의오름을확인할수있다. 제일오른편부터순서대로볼레오름, 이스렁오름, 쳇망오름이다. 볼레오름은한라산영실휴게소에서서북쪽에있는오름으로서귀포시하원동산1-1일대에위치하며북동쪽사면은제주시애월읍과경계를이룬다 ( 그림 5). 해발 1,374.2m이며비고가 104m 로북서향으로벌어진말굽형의오름이다. 오름의서사면지대는여러야생화들과기암괴석이어우러져습원 ( 濕原 ) 을형성하고있고남사면에도영실주변과연계되어적송이넓은군락을이루고있다 지명유래 볼레오름은김치의 유한라산기 ( ) 에 浦涯嶽 ( 포애악 ) 탐라지도 (1709) 에 乶羅岳 ( 볼라악 ) 尊者岳 ( 존자악 ) 제주삼읍도총지도 (18 세기중반 ) 에 12) 이석범, 제주전설집 2, 제주문화원, ) 강시영, 한라산의주요하천, 한라산총서 Ⅷ. 한라산의하천,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262 乶羅岳 ( 볼라악 ) 尊者 ( 존자 ) 제주삼읍전도 (1872) 에 甫羅岳 ( 보라악 ) 尊者庵 ( 존자암 ) 제주군읍지 (1899) 제주지도 에 鋪羅岳 ( 포라악 ) 으로표기되어있다. 민간에서는불래오름 ( 佛來岳 ) 으로불린다. 浦涯 는음이 포애 지만그림 5. 볼레오름 볼래 볼레 의불완전한음가자결합표기로 볼 의말음 ㄹ 은표기에반영되지않았다. 乶羅 는음이 볼라 이지만유사음 볼래 볼레 의음가자결합표기이다. 乶 은 浦 에 乙 을덧붙인한국한자로 볼 의음가자표기, 羅 는 라 의유사음 래 레 의음가자표기이다. 甫羅 ( 보라 ) 와 鋪羅 ( 포라 ) 도역시 볼레 볼래 의불완전한음가자결합표기이다. 여기서 볼레 볼래 는 보리수 의제주어를일컫는다. 佛來 도 볼레 의변음을반영한 불래 의음가자표기로 尊者庵 과관련시킨표기라할수있다. 尊者岳 은 존자오롬 尊者庵 은 존자암 의음독자결합표기이다. 이는암자이름과오름이름으로도사용했음을알수있으며존자암이있었던오름이라는데서붙인것으로보인다 역사와민속가. 존자암존자암은서귀포시하원동산1-1번지볼레오름남사면중턱에위치한사찰이다. 현재의존자암은제주대학교박물관에서두차례의발굴조사를 ( ) 거쳐 2002년에새롭게복원된건물이다. 존자암지는제주특별자치도기념물제43호로지정되어있다. 존자암에대한정확한창건연대를알수없으나고려시대이전부터존재해왔을것이라고는추정하고있다. 홍유손 ( ) 의시문집인 소총유고 ( 篠叢遺稿 ) 에실린 존자암개구유인문( 尊者庵改構侑因文 ) (1507) 의내용에서존

263 자암은세성 ( 姓 ) 씨가처음일어날때창건되어세고을이정립한뒤에까지오래도록전해졌다고하고있다. 14) 또한김상헌의 남사록 (1601) 에실린 충암존자암중수기 ( 冲庵尊者庵重修記 ) 에서도앞의기록과일치하는내용이실려있다. 15) 두사료의기록으로만보면탐라시대부터존재했을것으로보여진다. 그러나역사상우리나라에불교가전래된시기는고구려소수림왕2년 (372) 으로이보다앞선시기에해당되며, 이는더욱더정확한연구와고증이요구된다. 볼레오름에있었던존자암창건시기는고고학적발굴조사결과, 고려후기에서조선전기에해당하는유물이다수출토되었다. 그중이른시기로 14세기후반고려청자와명문기와가출토되었다. 따라서 14세기이전으로거슬러가는것은불가능할것으로추정하고있다. 16) 홍유손의 존자암개구유인문 (1507) 에서존자암은비보사찰이었으며국성재 ( 國聖齋 ) 를지냈던곳이었다. 17) 신증동국여지승람 (1530) 의제주목불우조의존자암에관한내용을보면한라산서쪽허리에있으며 수행동 ( 修行洞 ) 으로전해진다고기록되어있다. 18) 김치의 유한라산기 ( ) 에서판관김치는볼래오름을넘어존자암에머물렀었고, 영실에있는이전존자암터를방문한기록이있다. 19) 이원진의 탐라지 (1653) 에서존자암을한라산영실골짜기에승려가도를닦는모습을한바위가있어속설에전하기를 수행동 ( 修行洞 ) 이라하고대정현지경으로옮겨갔다고한다. 20) 이후이익태의 지영록 (1694) 에서이익태목사는영실에서 10리를더간후존자암에도착했고그곳 14) 篠叢遺稿, 文 尊者庵改構侑因文 在濟州, 今夫尊者之爲庵也肇於三姓初起之時而久傳於三邑鼎立之後. 15) 南槎錄, 冲庵尊者庵重修記, 夫尊者之爲庵肇造於三姓初起之時而久傳於三邑鼎峙之後. 16)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도, 尊者庵址, 1996; 현문필, 존자암의창건 ( 創建 ) 에관한고찰, 濟州島硏究 제 35 권, 제주학회, ) 篠叢遺稿, 文 尊者庵改構侑因文 在濟州, 裨補之所也俗稱之舊也旌縣大族惡疾多 缺 由庵之旣廢矣風雨時乖年穀或歉因庵之不修矣 況夫邦賜其㽪俾種其稻以爲齋粢而於首夏之月卜得吉日爲差三邑滶頭中一員齋沐行祀於是庵謂之國聖齋今其廢也纔六七年矣. 18) 新增東國輿地勝覽 卷 38, 濟州牧佛宇尊者庵, 在漢拏山西嶺其洞有石如僧行道狀諺傳修行洞. 19) 金緻, 遊漢拏山記, 踰獐岳入三長洞由三長越浦涯嶽逶迤而南到一精舍高在烟霞下壓滄溟卽尊者庵也板屋八九間盖以草茅不侈不陋 行六七里抵靈室洞府頗寬敞此亦古尊者基也 20) 耽羅志 濟州佛宇尊者庵, 舊在漢拏山瀛室其洞有石如僧行道狀諺傳修行洞今移西麓外十里許卽大靜境也.

264 은부서진기둥과몇개의기둥뿐이었다. 임시로지어진집이있어산에유람왔을때쉬어가는곳으로사찰의기능을수행하지못하고있었다고전한다. 21) 문헌상에서존자암은당시국가에서토지나노비가지급된비보사찰로써국성재를지냈었다. 처음에는영실에위치했다가이건 ( 移建 ) 했으며점차쇠락해져갔음을알수있다. 이건에대해서사료의기록으로만살펴보았을때존자암은영실 볼레오름 대정현지경으로옮겨진것으로추정하고있다. 세종때음사의제한과산천단묘의정비, 17세기중후반제주지역의재난과이를극복하긴위한민관 ( 民官 ) 의대응으로이건한이유로보고있다. 22) 발굴조사에의해출토된유구는건물지, 축대시설, 비각지 ( 碑閣址 ), 배수시설, 적석시설등이있었으며, 유물은명문기와편, 백자편, 분청사기편, 소량의청자편이출토되었다. 23) 나. 존자암지세존사리탑존자암지세존사리탑 ( 世尊舍利塔 ) 은서귀포시하원동산1-1번지존자암지경내에있다. 제주특별자치도유형문화재제17호로지정되었다. 이원진 탐라지 (1653) 의불우조존자암에관한이경억 ( ) 의시에 천년묵은외로운탑이남아있고 라는세존사리탑에관한기록이있다. 24) 발굴당시에는탑의기초가되는부분인기단부와탑의몸체인탑신부가분리된채발견되었다. 사리탑의구조는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구성되어있고탑의몸체는길쭉한타원형이며현무암으로제작되었다. 형태가종과비슷하다고해서 석종형 ( 石鐘形 ) 이라고도한다. 이러한형태는고승의사리나유골을안치하는묘탑 ( 墓塔 ) 인부도 ( 浮屠 ) 에많이보이며고려후기부터조선시대에널리유행했던 21) 知瀛錄 8 月 16 日. 行二十里有瀛室 又行十里卽尊者庵只餘把屋數楹添作假家以爲遊山時中火之處故休息人馬. 22) 송문기, 조선시대제주도존자암의위치와이건에대한문헌적고찰, 耽羅文化 제 41 호,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도, 尊者庵址 - 發掘調査中間報告, 1993;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도, 尊者庵址, ) 耽羅志 濟州佛宇尊者庵李慶億詩, 尊者知名寺荒凉半舊墟千年孤塔在

265 형식이다. 전체높이가 190cm로기단부는팔각형으로된밑받침대돌인하대석위에, 원반모양의중간받침돌인중대석을얹은형태이다. 탑신석을덮는옥개석의형태는하면은평평하나낙수면이제주초가지붕형태로부드러운곡선을보이고있다. 그위에조성된보주또한세련된조각미를연출하고있을뿐아니라, 지금까지국내에서는옥개석과보주를같은돌로다듬은전례가없을만큼그가치가매우높게평가되고있는탑이다. 25) 다. 일제군사유적복곽진지일제시기일본군의제주도진지구축은 1945년 1월부터구축되기시작했고현재까지제주곳곳에산재해있다. 일본군의진지구축을지역별로살펴보면 제주도병력기초배치요도 에나와있는대로제주를크게서부 중부 동부로나누어볼수있다. 그중서부는미군이상륙할가능성이높은주요군사거점으로지목되었기에일본은이지역을중요시여겨다양한군사시설을배치했다. 이에따라볼레오름은제주서남부에속해군사유적이배치된오름이었다. 한편유형별로분류해서 제58군배비개견도제주도 를보면제주에 4종류의위장진지, 전진거점, 주저항진지, 복곽진지가설치되었다. 그중복곽진지는주저항진지가함락되었을경우최후의저항거점으로마련된군사시설이었다. 복곽진지는섬안으로깊숙이한라산을중심으로설치되었는데당시볼레오름에는제58군사령부복곽진지가설치되었다. 26) 라. 풍수 볼레오름은수려한산세와아늑한지세로형성된명혈을품고있는산체이 다. 지세적특징은한라산의용맥을타고둥근풍수의오성산형체로, 금형인 부봉 ( 富峰 ) 과필봉의기세인목형 ( 木形 ) 의형태로넓은평원에우뚝솟은형태 25)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특별자치도,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도서출판광문당, 2009; 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 26) 박찬식, 제주도내오름과일제군사유적, 한라산총서 Ⅲ. 한라산의역사 유적,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266 이다. 풍수지리의형기적 ( 形氣的 ) 인물형으로는봉황이알을품고있는봉소포란형 ( 鳳巢包卵形 ) 의형국을갖추고있다. 산정의주봉 ( 主峰 ) 은풍후하고넉넉하여금형 ( 金形 ) 의형태로매끄럽게넘는형상을이루는반면머리는독수리가비상하듯날랜모습의형상이다. 또한풍수의작국 ( 作局 ) 으로사신사 ( 四神砂 ) 의하나인현무 ( 玄武 ) 에준하는명당의국세 ( 局勢 ) 가흐르고있다. 한라산을나한산 ( 拿漢山 ) 으로삼는다면예로부터승려들의수양도량으로삼던절터의조건이잘부합된요지라할수있다. 27) 4.4. 용천수볼레오름은말굽형으로정상에굼부리가형성되어있는데, 이굼부리의북쪽으로는천아오름으로흐르는외도천의한지류가발원한다. 또한오름의남서사면은법정악을따라서흐르는도순천의발원지이다. 한편볼레오름에는습지원이형성되어있어 1100고지습지까지이어져있지만이습지에관하여연구가아직까지전무한상황이다. 지난 2013년 3월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생태계보전가치를등급별로평가한결과볼레오름습지를습지등급 2급으로선정한바있다. 28) 이습지의곳곳에산재한물웅덩이들은야생노루들의생명을유지할수있는소중한곳으로알려져있다. 5. 이스렁오름 5.1. 개요및경관특징 1100도로탐라각휴게소에서한라산정상의서쪽사면을바라보면순서대로제일왼편이사제비동산, 둥그렇게누워있는쳇망오름, 기와지붕처럼솟아있는이스렁오름을볼수있다. 이스렁오름은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38-1일대해발 1,352.6m에위치하며비고가 73m의원추형오름이다 ( 그림 6). 이스렁오름의굼부리는자연침식되어많이얕아졌는데상당히육지화가진행된습지로이루어져있다. 그리고오름의남쪽기슭에서동쪽기슭일대는 27) 신영대, 제주의오름과풍수, 백산출판사, ) 제주新보, 2013 년 3 월 20 일기사.

267 초원을이루며남쪽과북쪽의봉우리사이가평지를이루고있다. 고산식물인시로미와털진달래가자생하고있으며곰취, 금방망이등초본식물이자라고있다 지명유래이스렁오름은 이슬렁오그림 6. 이스렁오름름 이 렁오롬 이라고도한다. 제주삼읍도총지도 (18세기중반 ) 에 伊士郞岳 ( 이 랑악 ) 제주삼읍전도 (1872) 에 伊士良岳 ( 이 량악 ) 으로표기되어있다. 민간에서는주로 이스렁오롬 이라고한다. 伊士郞 은 이 랑 의음가자결합표기이다. 伊 는 이 의음가자, 士 는 ( 士됴 사 )> 사 의음가자표기, 郞 은 랑 의음가자표기이다. 伊士良 의 良 도음이 량 이지만유사음 랑 의음가자표기이다. 이스렁 은 이 랑 의변음으로보인다. 6. 어스렁오름 29) 6.1. 개요및경관특징어스렁오름은이스렁오름과볼레오름사이에위치한조그만원추형오름이다 ( 그림 7). 1100도로탐라각휴게소에서한라산정상을바라보면기와지붕형태의이스렁오름남쪽으로근접해있다. 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83번지에위치하며해발 1,332.4m, 비고 37m이다. 제주도에서발간한 (1997) 제주의오름 에는기록되어있으나현재까지 어스렁오름 을 이스렁오름 의이명으로잘못인식해온것이대부분이다. 또한비고도다른오름에비해낮아오름으로잘알려져있지않다. 29)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이발간한 한라산의자연자원 (2009) 에는 이스렁오름 의다른이름으로 어스렁오름 이라고기재되어있다. 그러나이후현장조사결과또다른오름이존재함을확인하였다. 본지면을빌어오류임을밝힌다. 이스렁오름 과 어스렁오름 은서로다른오름이다. 어스렁오름 은 이스렁오름 근처에인접해있다.

268 6.2. 역사와민속한라산의아고산지대에우마를방목했던상산방목지는여러곳이있었다. 그중어슬렁오름도제주목축민에게방목지로활용되었다. 비고가낮아우마를이동시키기수월했고이슬렁오름과어슬렁오름사이에그림 7. 어스렁오름습지로형성된곳이있어이일대가목축을행하기로적합했던것으로보인다. 주로서귀포시하원동과애월읍광령리주민의공동방목지였다. 한라산이국립공원으로지정되면서방목이금지되어현재는기능을상실하였다. 7. 왕오름 7.1. 개요및경관특징왕오름은장오름과볼레오름사이에위치한오름으로서귀포시중문동산1 번지일대에위치한다. 표고는해발 1,223m이며비고가 38m인원추형오름이다 ( 그림 8). 1100도로탐라각휴게소에서볼레오름을조망해보면볼레오름앞으로조그마한언덕처럼보이는두개의봉우리를볼수있다. 그그림 8. 왕오름과장오름중앞에위치한것은장오름이고, 뒤편이왕오름이다. 접근성의어려움으로인하여장오름에대한조사는전무한상황이다. 왕오름은한라산수림 ( 樹林 ) 지역에자리하고있고비고가

269 낮은이유로식별하기가쉽지않은오름이다. 8. 삼형제 ( 큰오름 ) 8.1. 개요및경관특징삼형제오름은세개의오름이동서로나란히연이어있는오름으로행정구역상서귀포시색달동과애월읍봉성리 광령리의경계에걸쳐져있다. 1100도로의탐라각휴게소에서서쪽방향으로차례대로삼형제오름이있으며, 탐라각휴게소바로옆에있는오름이삼형그림 9. 삼형제 ( 큰오름 ) 제큰오름이다 ( 그림 9). 큰오름은해발 1,142.5m, 비고가 118m로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18-2일대에위치한다. 남서에서북동으로긴등성마루를지녔고오름의정상부분은비교적평평하며북서향의말굽형형태를갖추고있다 지명유래삼형제오름은세봉우리를아우르는지명으로형제와같이연이어있다하여 싀오름 세오름 싀성제오롬 세성제오름 이라고도불린다. 김치의 유한라산기 ( ) 에 三長洞 ( 삼장동 ) 三長 ( 삼장 ) 으로, 탐라지도 (1709) 와 제주삼읍전도 (1872) 등에 三長山 ( 삼장산 ) 대정군읍지 대정군지도 (1899) 에 三長岳 ( 삼장악 ) 제주군읍지 제주지도 (1899) 에 一峯 二峯 三峯 으로표기하였다. 三長山 과 三長岳 은음독자결합표기인지, 세진오롬 ( 세 + 긴 + 뫼 ) 의훈독자결합표기인지확실하지않다. 원래 세진메 세진오롬 이라불리다가한자로三長山과三長岳으로표기하면서이를음독자로읽은것으로보인다. 싀 와 성제 는 세 ( 三 ) 와 형제 를일컫는제주어이다. 삼형제오름중에서 큰오

270 름 은첫번째오름이라하여붙여졌다. 세성제큰오름 이라고도불린다 역사와민속가. 고 ( 故 ) 고상돈기념비삼형제큰오름동쪽기슭 1100도로탐라각휴게소인근에고 ( 故 ) 고상돈기념비가세워져있다. 고상돈은한국인최초로세계최고봉에버리스트 (Everest) 와북아메리카매킨리 (Mckinley) 정상등정에성공한제주출신산악인이다 년 5월 29일매킨리등정을성공하고하산하던중사고로사망하였다. 현재고상돈기념사업회에서는한국산악계의전설인고상돈산악인의넋을위로하는추모제를기념비앞에서주최하고있다. 나. 백록 ( 白鹿 ) 의전설비삼형제큰오름의동쪽고 ( 故 ) 고상돈기념비옆에백록의전설비가있다. 세조실록에따르면세조 10년 (1464) 제주에서흰사슴을바치다 라는기록이있다. 30) 또한김치의 유한라산기 에서도영실골짜기안에흰사슴이있다고기록하였다. 31) 이는한라산에흰사슴이살았음을알수있다. 그리고세조실록의기록을보면당시흰사슴을보는것은보통의상서가아닌길한징조로인식했음을짐작할수있다. 32) 기슭에살았던한사냥꾼이어머니의병을고치기위해흰사슴을찾아헤매다한라산정상에서사슴을발견하였다. 하지만백발노인이나타나막아서서사슴을거느린채짙은안개속으로사라져버렸다. 안개가걷히고사라져버린곳으로찾아내려가보니큰연못이있었다. 사슴사냥을포기하고연못의물을떠서어머니에게드시게하였더니병이말끔히나았다는이야기다. 훗날사람들은이연못을 백록담 이라고부르게되었고, 백록 은심성이착하고효성이지극한사람에게만보인다고전해진다. 30) 世祖實錄 32 卷, 世祖 10 年 2 月 2 日. 濟州獻白鹿. 31) 金緻, 遊漢拏山記, 修淨告余曰洞裡有白鹿好食瀛州草往往人或見之此實神仙所居之地也. 32) 世祖實錄 14 卷, 世祖 4 年 9 月 12 日. 禮曹啓白鹿非常之瑞請令諸道隨所聞先後進賀箋從之.

271 9. 삼형제 ( 셋오름 ) 9.1. 개요및경관특징삼형제오름중에서큰오름과말젯오름사이에위치한오름이다 ( 그림 10). 삼형제셋오름은남쪽능선에작은새끼오름을달고있는것이특징이다. 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8-2일대에위치하며해발 1,112.8m 비고가 123m이다. 셋오름은남북이긴등성마루에서쪽으로흘러내린말굽형화구의모습을갖추고있다. 삼형제오름은화구그림 10. 삼형제 ( 셋오름 ) 가모두서쪽으로흘러내린형태이지만, 분화구형태와방향이각각조금씩다르게나타나는것은분출당시바람의방향때문이라고한다. 셋오름정상에오르면제주의남서쪽광활한바다와대지, 오름을시원하게조망할수있으며멀리산방산도볼수있다. 그리고오름의능성에는조릿대가울창하게분포하고있다 지명유래 셋오름은 세성제셋오름 둘째오름 으로도불린다. 삼형제오름중에서가운데 위치한오름으로, 셋 은 둘째의 라는뜻을가진제주어 셋 의훈독자표기이다. 10. 삼형제 ( 말젯오름 ) 개요및경관특징삼형제말젯오름은세개의오름중에서마지막서쪽끝자락에위치해있어 족은오름 이라고도불린다. 말젯오름은해발 1,075m 비고 125m로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 18-2일대에위치한다 ( 그림 10). 남서쪽에서북동쪽으로누운

272 등성마루와북서향말굽형 의화구를지니고있다 지명유래말젯오름은삼형제오름중에서마지막에있는오름이라하여붙여졌다. 말젯오름에서 말젯 은 마지막의, 셋째의 라는의미를그림 11. 삼형제 ( 말젯오름 ) 가진제주어이다. 말젯 은 말자 ( 昆형곤, 季말자계 ) 말재 ( 頭家첫재 末家말재 ) 말째 의제주어 말제 에사이시옷이붙은것이다 용천수말젯오름북쪽골짜기는남쪽과서쪽으로흘러안덕계곡으로들어가는데, 삼형제오름일대의대규모고산습원은창고천의발원지이다. 이고산습원은크게 1100고지탐라각휴게소일대, 삼형제오름북쪽일대, 말젯오름서쪽일대의 3곳의습지로형성되어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창고천은 30,000여평에이르는드넓은고산습원에서발원하는특이한지형이며하류는수자원이풍부한곳으로유명한안덕계곡이이어져있다. 천연기념물로지정보호되고있는안덕계곡에는 300여종의제주자생식물이분포하고있다. 11. 다래오름 개요및경관특징다래오름은한라산을횡단하는 1100도로에서영실입구의좌측수림지대에있는오름이다. 영실입구삼거리에서오름산체를확인할수있다. 서귀포시중문동산1 번지해발 938.8m에위치하며비고가 64m로비교적낮은오름이다 ( 그림 12). 화구는서향의말굽형형태이며오름대부분의능선에는주목과굴거리나

273 무등상록성수목이많이분포하고있다. 그러나현재이다래오름에대한정보가전무한실정이여서추후지속적으로연구가요구되는오름이다 지명유래 레오롬 레오름 등으로불리기도한다. 레 그림 12. 다래오름는열매인 다래 를뜻하는제주어이다. 레 가많았다는데서또는 레낭 ( 다래나무 ) 이많다고해서붙여진이름이라한다. 제주에는이러한의미로붙여진서귀포시중문동다래오름외에도두곳이더알려져있다. 서귀포시안덕면감산리에있는월라봉으로불리는다래오름, 제주시애월읍봉성리에있는다래오름이다. 12. 살핀오름 개요및경관특징살핀오름은한라산 1100도로상의삼형제오름과붉은오름사이에위치한오름이다 ( 그림 13). 해발 1,076.3m의제주시애월읍광령리산183일대에위치하며비고는 76m이다. 화구의형태는원추형으로오름의정상부동북쪽에는화구흔적이있으며, 한라산의울창한자연림으로덮여있다. 현재까지정보가전무한오름중에하나로, 과거김통정장군의삼별초병사들이이오름에서주변지역동정을살폈다는데서 살핀오름 으로전해지고있다. 정상에오르면큰바위가솟아있어 살피던지점 으로추측되는곳은있으나대부분수림으로덮여있어조망하기가쉽지는않다. 그러나나무위로올라가면제주의서부지역이한눈에들어오기는한다.

274 그림 13. 살핀오름 지명유래살핀오름의 살핀 은 살피다 의관형사형으로볼수있고, 살 ( 矢 ) 피다 의관형사형으로볼수있으나정확히알려진바는없다. 고려시대에여몽 ( 麗蒙 ) 연합군을항쟁한삼별초군들이이오름정상에올라동정을살폈다는데서도명칭이전해진다. 향후계획 백록담을중심으로한라산세계자연유산지구내남서사면에위치한 12개오름의경관특징및지명유래, 역사와민속, 용천수, 현재이용현황등을살펴보았다. 예로부터제주인들삶의터전이되었던한라산자락의오름은자연적가치외에도삶의흔적이배어있는역사유적과인문자원등다양한문화적가치를지니고있다. 이번의조사를토대로한라산전역으로조사범위를확대하고경관특징, 식생의분포, 역사문화자원및인문자원조사에주력해나갈계획이다. 본조사를통하여한라산의대표적인경관자원인오름특성연구의기초자료로써오름의인문학적가치조명및향후제주도경관자원의보전관리와이용계획수립시기초자료로활용되기를기대해본다.

275 인용문헌 < 사료 > 朝鮮王朝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金尙憲, 南槎錄 金緻, 遊漢拏山記, 耽羅志 ( 李元鎭 ) 李元鎭, 耽羅志 李增, 南槎日錄 李益泰, 知瀛錄 李衡祥, 南宦博物 林悌, 南溟小乘 洪裕孫, 篠叢遺稿 耽羅地圖 濟州三邑全圖 濟州三邑都總地圖 大靜郡地圖, 大靜郡邑誌 濟州地圖, 濟州郡邑誌 < 연구논저및기타 > 강만익, 근현대한라산상산방목의목축민속과소멸, 耽羅文化 제43권,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강수헌, 제주의오름, 대왕사, 국립제주박물관, 漢拏山, 디자인나눔, 김치완, 영주십경으로본매계이한우의선경인식과그태도, 대동철학 제59권, 대동철학회, 송문기, 조선시대제주도존자암의위치와이건에대한문헌적고찰, 耽羅文化 제41호,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신영대, 제주의오름과풍수, 백산출판사, 2009.

276 오창명, 제주도오름과마을이름, 제주대학교출판부, 1998., 제주도오롬이름의종합적연구, 제주대학교출판부, 이석범, 제주전설집2, 제주문화원, 이증저, 김익수역, 南槎日錄, 제주문화원, 이원진저, 김찬흡외편역, 譯註耽羅誌, 푸른역사, 이형상저, 이상규 오창명역주, 南宦博物, 푸른역사,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도, 尊者庵址 - 發掘調査中間報告, 1993., 尊者庵址,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특별자치도,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도서출판광문당, 현문필, 존자암의창건 ( 創建 ) 에관한고찰, 濟州島硏究 제35권, 제주학회, 홍순만외역, 담수계편, 譯註增補耽羅誌, 제주문화원, 홍유손저, 國譯篠叢遺稿, 소총유고국역간행위원회,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제주편, 제주도, 제주의오름,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한라산총서Ⅲ 한라산의역사 유적, 2006., 한라산총서Ⅴ 한라산의구비전승 지명 풍수, 2006., 한라산총서Ⅷ-한라산의하천,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국립공원, 한라산 유네스코가인정한세계인의보물,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한라산의자연자원, 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 제주新보

277 제주도송이자원분포조사 안웅산 1) 33)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야외조사를통해제주도지표에분포하는송이자원의분포특징, 분포지역, 송이자원매장량을조사하였다. 송이 ( 분석, scoria) 는현무암질화산활동으로분출한화산쇄설물이다. 제주도송이의분포양상은크게 3가지유형으로구분된다. 1 분석구형성시분출되었으나후기용암류에의해피복되어용암류아래에분포하는경우, 2 지형적저지대로재이동되어퇴적된재동송이층, 3 비교적분출시기가오래지않아지표에퇴적되어있는지표송이층으로구분된다. 제주도송이자원은대부분오름 ( 분석구 ) 주변에국한되며, 일부는오름인근지역의저지대에재동퇴적되어분포한다. 대부분의송이자원이오름에국한된것은오름 ( 분석구 ) 형성당시오름인근에쌓인송이층들이후기의화산활동으로인한용암류에덮였기때문으로판단된다. 서부지역의노꼬메, 도너리, 그리고동부지역의다랑쉬, 민오름, 거문오름등과같이비교적젊은화산체인근에는송이층이지표에분포하지만그두께가대체로 1 ~ 2m로얇고, 부분적으로재동된점토질퇴적물이협재하기도한다. 제주도내송이분포량은동부지역에약 km3, 그리고서부지역에약 km3로총약 5.33 km3으로추정된다. 향후물리탐사법등을추가적용하여지표송이층및저지대에분포하는재동송이층에대한체적측정을실시한다면주요송이분포지역의송이매장량을보다구체적으로산출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1) 교신저자 ; 전화 : , unsgan@korea.kr

278 서론 제주도송이 ( 분석, scoria) 는 제주특별자치도보존자원관리에관한조례 상에보존자원으로지정고시된유한자원이다. 송이는과거보온, 단열, 방음, 방습재등으로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화장품의주요원료로활용되고있는고부가지질자원으로급부상하였다. 2011년 4월송이관련상표등록건수가 579건에달하는것은송이자원의경제적가치가매우크고, 다양하게활용될수있음을보여준다. 본연구는 2015년에서 2016년에걸쳐제주도전역에걸친야외조사를통해제주도내송이자원의분포와매장량을조사하였다. 연구방법 1. 기존자료수집및정리야외조사와병행하여제주 애월도폭 ( 박기화외, 1998), 모슬포 한림도폭 ( 박기화외, 2000a), 서귀포 하효리도폭지질보고서 ( 박기화외, 2000b) 등의기존지질도를참조하여스코리아분포양상을조사하였다. 또한지표하스코리아층의분포특성및양상을알아보기위하여제주도지질주상도자료집 ( 제주특별자치도, 2001, 2012) 을참조하였다 ( 그림 1). 지질도폭및기존자료들에실린암석분석자료들을 GIS프로그램에입력하여야외조사시함께참조하였다. 시추코아주상도상에는스코리아층, 사력층, 화산쇄설층등송이층으로해석될수있는층들이기재되어있다. 하지만시추자료는오랜기간에걸쳐여러기재자에의해기술된것으로기재의기준이서로다르다. 이러한이유로시추자료에기재된부분이송이층이라는것을확인하기위해야외조사를통해확인작업을수행하였다. 기존시추코아주상도상에서화산쇄설층, 사력층등으로기재된많은부분들은송이층이라기다는용암류의흐름에의해자파쇄작용으로형성된클링커층이라는것을알수있었다.

279 그림 1. 오름과인접한시추코아현황 ( 제주도지질주상도자료집참조 ) 2. 오름인근시추코아지질주상도분석제주도지표의많은부분은 1~2m 두께의토양이발달하고있어, 일부절개지를제외하면지표하송이자원의분포를직접확인하기에많은어려움이있다. 이러한이유로오름 ( 분석구 ) 인근의시추코아주상도자료를참조하여지표하송이의분포를간접적으로파악하였다 ( 그림 2, 3) 3. 야외조사를통한송이자원분포조사시추코아로깅자료, 기존지질도등을참조하여송이자원이지표에분포할것으로추정되는오름을대상으로야외조사를실시하고송이자원의분포영역을조사하였다. 위에서살펴본바와같이오름과오름주변의용암류의분포는송이자원분포에매우중요한영향을미친다. 즉오름 ( 단성화산체 ) 분출이후, 해당오름보다높은곳에서분출한후기용암류는저지대에위치하는화산체를애워싸며흐르게된다. 이러한반복적인화산활동은오름주변에쌓여있는분석층 ( 송이층 ) 을피복하게되고, 이로인해상당수의오름들인근에는용암층이둘러싸고있다. 야외조사시에는오름인근의송이분포양상조사와함께암석시료를채취하여 ( 그림 4), 용암류의분포양상을추적하고그공급지를추적하는방법을이용하여지질도작업을병행실시하였다.

280 그림 2. 판포오름인근의시추코아현황 ( 예 ) 그림 3. 판포오름서쪽위치한시추코아 주상도자료 그림 4. 암석시료채취위치 야외조사를통해용암류를구분하는작업을수행하게되는데, 용암류의구 분은암석이가지는반정의종류및함량의유사성에기초하여판단하게된

281 다. 일반적으로맨틀의부분용융으로형성되는마그마가동일한화도를따라분출할경우에는유사한성분과유사한물리적조건하에서마그마가분화하기때문에유사한반정과반정함량을가지게된다. 이러한야외기재적특징을바탕으로야외에서용암류의분포를조사하고지질도를작성하게된다. 지질도작성시에는기존연구들에서의암석화학분석자료를참조하였다. 이를위해기존지질도폭자료및연구논문에제시된암석분석자료들을정리하고 GIS프로그램에입력하여 ( 그림 5), 야외지질경계설정작업시참조하였다. 그림 5. 기존암석화학분석자료 DB 화결과 ( 둥근점 : 분석지점, 알파벳 : 암석명칭 ) 4. TIN 자료를활용한체적계산야외조사결과 360여개의오름인근에서대부분의송이는지표에분포하기보다는후기에흘러온용암류에피복되어있어, 대부분의송이들은오름에국한되어분포한다. 이러한이유로오름의체적이송이자원의체적이될수있다. 본연구에서는송이로이루어진오름의체적 ( 송이의체적으로간주 ) 을구하기위하여 1:5000 수치지형도자료를이용하여 GIS 프로그램상에서 TIN

282 자료를획득하고, 이를이용하여오름의체적을계산함으로써스코리아 ( 송이 ) 의체적을얻었다 ( 그림 6). 그림 6. GIS 프로그램을이용송이로이루어진오름의체적을구하는방법 _ 예 ( 수직스 케일 2 배과장한이미지 ) 연구결과 1. 스코리아의분포양상 1.1. 지형적저지대로재이동된송이층화산지형에형성된저지대는퇴적이일어나는장소로, 오름혹은아아용암류의표면으로부터이동된화산성쇄설물들이저지대로이동되어비교적두꺼운퇴적층을형성한다. 재동된송이퇴적층의경우흔히오름인근지역에서관찰되는데비교적수평적연속성이작고, 송이층과점토질혹은실트질퇴적물이교호하여겹겹이쌓여있는특징을보인다 ( 그림 7) 후기용암에피복된송이층 제주도분포하는많은송이층들은서로시기를달리하는후기용암류들에 의해피복되어있으며 ( 그림 8), 비교적분출연대가젊은소수의오름주변에

283 분포하는송이층만이지표에노출되어있다. 제주도서부지역에송이채굴이 활발하지않은이유는여기에있다고볼수있다. 그림 7. 이달봉남쪽하천절개지에들어난재동된송이층 ( 해당지역은오름과용암류사이에형성된낮은지대에새별오름, 이달봉등에서이동되어온스코리아들이쌓여두꺼운퇴적층을이루고있음 ). (a) 새별오름과이달봉 3D 지형이미지, (b) 지형적저지대에쌓여있는송이층전경, (c) 송이층과머드층이교호하는재동퇴적층의특징을잘보임 지표에노출된송이층서부지역에분포하는오름중비교적젊은분출연대를갖는노꼬메, 도너리등화산체인근지역에는지표에송이층이노출되어있다 ( 그림 9). 동부지역에는다랑쉬, 민오름, 거문오름등화산체인근지역에송이층이잘발달해있다. 이들송이층은오름주변모든방향에분포하기보다는분출당시의풍향,

284 용암분출기둥의방향등에따라오름의한쪽방향에우세하게분포하는특징을보인다. 노꼬메오름에서분출된스코리아들은오름의북서쪽방향으로넓게분포한다. 이들송이층들은지표에퇴적된이후부분적인재동작용을격게되어저지대에서는두껍게그리고상대적으로돌출된부분에는얇게분포하는특징을가진다. 그림 8. 판포오름인근하천절개지에노출된단면 ( 판포오름분석층및고토양층이후 기의용암류에의해피복되어있음 ) 2. 송이자원분포도앞서언급한바와같이제주도송이자원들은후기에분출한용암류에의해대부분피복되어오름에국한되어분포한다 ( 그림 12). 서부지역오름들중분출시기가비교적젊은노꼬메등의오름들에국한되어오름인근지역에비교적넓은영역에송이자원들이지표에노출되어있으나그층의두께가 0.5~2.0m 내외로얇은특징이있으며, 재동과정에서점토

285 질퇴적층과교호하여순수한송이자원으로활용하기에어려움이있을것으로 여겨지며, 순수한송이자원으로간주되지않을것이다 ( 그림 9). 그림 9. 노꼬메지표에노출된송이층. (a) 노꼬메북서쪽초지에노출된지표송이층으로그하부에는작은노꼬메용암이놓이고, 상부에는토양층이분포함. (b) 지표에노출된재동송이층에서관찰되는재동퇴적구조 이에비해동부지역에분포하는오름중비교적젊은분출연대를갖는다랑쉬, 민오름, 거문오름등화산체인근지역에도지표에송이층이노출되어있다 ( 그림 10). 다랑쉬오름에서분출된스코리아들은오름의북동쪽방향과남서쪽방향으로넓게분포한다 ( 그림 11). 민오름인근에는북쪽으로비교적두꺼운송이층이분포하며, 거문오름의경우북동쪽으로넓게송이층이분포한다. 그림 10. 지표에노출된송이층. (a) 거문오름북서쪽에노출된지표송이층으로그하부에는고토양층이분포함, (b) 다랑쉬오름북동쪽지표에노출된송이층

286 그림 11. 다랑쉬분석층의분포 ( 붉은점은다랑쉬분석층이노출된지점. 수치는 분석층의두께 ) 그림 12. 제주도송이분포도 ( 송이자원의대부분은오름에국한되어분포, 노꼬메, 민 오름, 거문오름, 다랑쉬등과같은비교적젊은오름인근의지표에송이층 이비교적넓게분포 )

287 3. 송이자원매장량야외조사를통해송이분포영역을확인하고분포도를작성하였으며, 분포도를바탕으로지형을고려하여송이자원의체적을계산하였다. 이를위해서 1:5,000수치지형도를활용하여 GIS 프로그램 (ArcMap) 을이용하여 TIN자료를만들고송이가분포하는지역에한정하여그체적을구함으로서송이의체적을구하였다. 제주도송이자원총매장량은동부지역약 2.97 km3와서부지역약 km3을모두합쳐총약 5.33 km3가될것으로추정된다 ( 표 1, 2). 표 1. 제주도동부지역송이매장량 계제주시조천읍구좌읍성산읍표선면남원읍우도면국립 오름 송이체적 ( km3 ) 비고 ( 수성화산체 ) 사라봉 도두봉 입산봉 두산봉 메오름 소머리 오름 공원내 소머리 오름 표 2. 제주도서부지역송이매장량 계애월읍한림읍한경면대정읍안덕면서귀포시 오름 송이체적 ( km3 ) 국립 공원내 비고 ( 수성화산체 ) 고내봉, 파군봉 수월봉, 당산봉 송악산용머리, 썩은다리 베릿네, 하논 4. 향후과제 / 개선방향제주도송이들의대부분은오름 ( 소화산체 ) 에국한되어분포하며, 비교적최근에분출한오름의경우그주변에송이층이넓게분포한다. 본연구에서는초기핸드오거를이용하여송이층의두께를직접확인하는작업을수행하

288 였으나, 인력에의한송이층시추에어려움이있을뿐만아니라시추가능깊이도 2m 내외로얕아실질적송이층두께측정에제한이많았다. 향후다랑쉬등지표송이층이분포하는지대에대해서는등층후선작성, 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법을적용하여지표하송이층의두께를측정하는방법을적용한다면상대적으로많은송이자원이분포하는지역에한정하여보다상세한매장량산정이가능할것이다. 결론 야외조사를통해지표에분포하는송이자원의분포특징, 분포지역, 송이자원매장량등을조사하였다. 송이 ( 분석, scoria) 는현무암질화산활동으로분출한화산쇄설물로주로분석구 ( 오름 ) 인근에분포한다. 제주도송이층의분포양상을살펴보면, 크게 3가지유형으로구분된다. 1 분석구형성시분출되었으나후기용암류에의해피복되어용암류아래에분포하는경우, 2 지형적저지대로재이동되어퇴적된재동송이층, 3 비교적분출시기가오래지않아지표에퇴적되어있는지표송이층등으로구분된다. 제주도송이자원은대부분오름 ( 분석구 ) 에국한되며, 일부오름인근지역의저지대에재동퇴적된송이층으로분포한다. 대부분의송이자원이오름에국한된것은오름 ( 분석구 ) 형성당시오름인근에쌓이송이층들이후기의화산활동으로인한용암류에덮여용암층아래에분포하기때문으로판단된다. 이러한이유로생성연대가비교적젊어다른용암류에피복되지않은노꼬메, 민오름, 거문오름, 다랑쉬등비교적젊은화산체인근에는송이층이비교적넓은면적으로지표에노출되어있다. 제주도내송이분포량은동부지역에약 km3, 그리고서부지역에약 km3로총약 5.33 km3으로추정된다. 향후물리탐사법등을추가적용하여지표송이층및국지적으로저지대에분포하는재동송이층에대한체적측정을실시한다면주요송이분포지역의송이매장량을보다구체적으로산출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289 인용문헌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외 8인, 1998, 제주애월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290p. 박기화, 조등룡, 김정찬, 2000a, 모슬포한림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56p.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외 9인, 2000b, 서귀포하효리도폭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163p. 제주특별자치도수자원본부, 2001, 제주도지질주상도자료집Ⅰ, 988p. 제주특별자치도수자원본부, 2012, 제주도지질주상도자료집Ⅱ, 996p.

290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한태완 1)34),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 한라산연구원 1. 목적 m 주요산림병해충발생및모델분석연구를기반으로주요산림병해충동태구명, 발생원인및시기를예측함으로써산림병해충종합적관리를위한기반지식구축 m 주요산림병해충군집분석연구를통하여이후산림구조의변화가산림병해충상변화에미치는영향평가 m 산림상변화에의한주요및돌발산림병해충의발생량, 발생시기등에대한발생조사 2. 조사방침 m 주요산림병해충주지적인발생정밀예찰조사로적기방제체제구축 m 산림병해충및돌발병해충의발생량, 발생시기, 피해실태모니터링 m 주요관광사적지주변및도로변등산림병해충피해실태조사 m 침입우려병해충감시기능강화로피해조기차단및자연경관보존 3. 조사방법가. 소나무재선충병피해실태조사 1) 선단지주변등고사목조사 (1) 조사장소 : 발생지역경계지역및미발생지역위주고사목집중조사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291 피해확산여부판단 (2) 조사시기 : 년 2회 ( , ) (3) 조사방법 : 의뢰들어오거나자체조사를실시하여원인모르게고사한소나무류의목편을채취후검사를실시하여소나무재선충병감염유무확인 2) 집단발생지내감염율표본조사 (1) 조사장소 : 애월읍, 한경면, 대정읍, 안덕면, 구좌읍, 한림읍, 성산읍, 표선면, 조천읍, 남원읍 (2) 조사시기 : 년 2회 ( , ) (3) 조사방법 : 지역별고사목집단발생지 (10개읍면 ) 을대상으로재선충병감염율표본조사 3) 솔수염하늘소수종별가해및재선충병감염여부조사 (1) 조사기간 : 2016년 4월 8월 (2) 조사장소 : 한라수목원내임업시험연구실 (3) 시험수종 : 5종 ( 해송, 삼나무, 구상나무, 비자나무, 리기다소나무 ) (4) 조사방법 : 솔수염하늘소우화상내에 5종을화분에식재해먹이선호도및재선충병감염율조사 4) 솔수염하늘소우화상황조사 (1) 조사기간 : 2016년 4월 8월 (2) 조사장소 : 제주시오라동및노형동임지에설치한우화상 (3) 조사방법 : 매개충이칩입한고사목을우화상에집재한후우화하는솔수염하늘소의개체수를매일조사 나. 솔잎혹파리우화상황및충영형성율조사 (1) 조사시기 : 2016 년 ( 우화상황 ), 2016 년 ( 충영협성율 ) (2) 조사장소 : 도일원해송림 ( 고정조사구 16개소 ) (3) 조사방법

292 조사대상지내에서피해정도가평균이되는조사목 5본을전구역에서고루선정 조사목 1본당충영형성상태가평균이된다고판단되는 1년생신초를 4방위에서 2가지씩채취 채취된가지위에붙어있는총엽수와충영이형성된엽수를계산 충영형성율 = ( 충영형성엽수 / 총엽수 ) 100 심 : 50% 이상, 중 : 20 49%, 경 : 19% 이하 다. 주요지역수목병해충발생조사 (1) 조사시기 : 2016년 5월 9월 (2) 조사장소 : 도일원 ( 조사구 10개소및주요도로변 ) (3) 조사방법 : 주요관광사적지및주요도로변등조사구에월 1회이상현지답사하여발생병해충종류와가해수종, 발생상황을조사 라. 솔나방발생상황조사 (1) 조사시기 : 2016년 5월 ( 춘기 ), 9월 ( 추기 ) (2) 조사장소 : 도일원 ( 고정조사구 17개소등 ) (3) 조사방법 : 조사구에서임의로 20본을선정한후수관상부와하부에서 1 가지씩을선택하여가지위에서식하는유충수를조사함. 4. 조사결과가. 소나무재선충병피해실태조사 1) 시료검사결과 ( 검사의뢰된시료나발생지경계지역인선단지주변등위주검사 ) 제주도전지역에대한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표본조사등에서조사 채취한고사목 861본에대한시료검사결과 525본이검출되었고감염율은 60.9% 로작년 59.1% 보다높게나타났다. 2016년도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발생현황을보면일교차나기온이특별한변화가없어기존발생지역주변으로고사목이지속적으로발생되고제주도전역으로확산되는추세이며, 국립공원경계주변에고사목이발생하고있으나검사결과미감염된것으로조사되고있고

293 국립공원관리사무소자체적으로나무주사를실시하여한라산국립공원으로확산을방지하는데총력을기울이고있는실정이며, 2017년에는선단지및국립공원경계지역등소나무재선충병예찰조사를더욱강화할계획이다. 2016년소나무재선충병정기 (4 5월, 9월 10월 ) 및수시피해실태를조사하기위해전년도피해발생지 10개읍 면지역에서고사또는고사중인소나무에서목편을채취하여소나무재선충감염여부조사하였다. 2016년소나무재선충병피해실태조사결과는표 1, 표 2와같다. 소나무재선충병상반기표본조사는 2016년 3월14일 3월31일 10개읍 면지역을대상으로총 141본시료를채취하여현미경검사를실시한결과총 141본고사목중 101본이재선충병에감염된것으로조사되어감염율이 71.8% 으로나타났다. 또한표본조사와병행하여 5 16도로, 1100도로, 제1, 2산록도로등선단지주변을조사한결과고사목시료 23본중에 17본이검출되어 73.9% 의감염율을보였다. 2) 선단지주변고사목조사결과제주지역내국립공원경계지역, 번영로, 평화로, 비자림로, 산록도로등미발생지역주변을중심으로년 2회 ( , ) 조사하여소나무재선충병감염여부를검사분석하였다. 상반기 ( 조사일자 : ) 선단지주변고사목조사결과고사목 23본시료를채취하여검사결과 17본이감염목으로판명되었고감염율은 73.9% 였다. 하반기 ( 조사일자 : ) 선단지주변고사목조사결과재선충병검사한시료는 40본이었고검사결과 34본이감염목으로판명되었고감염율은 85% 였다. (1) 상반기선단지고사목조사결과 m 조사기간 : m 조사지 : 선단지 ( 번영로, 평화로, 비자림로, 산록도로등 ) 도로변양측 50m m 조사결과 : 고사목 23본, 시료검사 23본 ( 감염목 17본, 감염율 73.9%) (2) 하반기선단지고사목조사결과 m 조사기간 : ~

294 m 조사지 : 선단지 ( 번영로, 평화로, 비자림로, 산록도로등 ) 도로변양측 50m m 조사결과 : 고사목 50 본, 시료검사 50 본 ( 감염목 34 본, 감염율 68%) 3) 집단발생지내표본조사결과제주지역내소나무재선충병집단발생지, 생활권주변, 경작지주변을중심으로피해유형별시료를년 2회채취하여소나무재선충병감염여부를검사분석하였다. 상반기집단발생지내표본조사를실시하였는데그결과는표 1과같다. 상반기조사시기는 2016년 3월 13일부터 3월 31일까지조사하였으며, 10개읍 면지역조사구에서총 180본고사목시료를채취하여검사하였다. 검사결과총 141본중 101본이감염되어 71.6% 가재선충병에감염된것으로조사되었다. 표 1. 고사목집단발생지에대한상반기표본조사결과 조사지역 조천읍 구좌읍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한경면 한림읍 애월읍 합계 조사본수 검출본수 검출율 (%) 하반기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표본조사계획에의거하반기집단발생지내표본조사를실시하였는데그결과는표 2와같다. 하반기조사시기는 2015 년 9월 19일부터 10월 14일까지조사하였으며, 10개읍 면지역조사구에서총 200본고사목시료를채취하여검사하였다. 검사결과총 200본중 165본이감염되어 82.5% 가재선충병에감염되어상반기와같이높게나타났다. 이는기온, 일교차가예년과비슷한날씨를보여고사목발생이높았고또한감염율도높게나타났다.

295 표 2. 고사목집단발생지에대한하반기표본조사결과 조사지역 조천읍구좌읍성산읍표선면남원읍안덕면대정읍한경면한림읍애월읍 합계 조사본수 검출본수 검출율 (%) ) 솔수염하늘소수종별가해및재선충병감염여부조사 (2014~2016년) 솔수염하늘소수종별가해및재선충병감염여부를조사하기위해 2014년 2016년한라수목원임엄시험연구실주변우화상내에서제주도에분포하는수목 8종 ( 해송, 적송, 섬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구상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비자나무 ) 을대상으로먹이섭식, 고사, 재선충병감염여부를조사하였으며, 먹이섭식여부는줄기표면에섭식흔을, 고사여부는고사현상, 재선충병감염여부는고사한시료를채취하여현미경으로검사하였다. 먹이섭식, 고사및재선충병감염여부를조사하기위해사용된솔수염하늘소성충은솔수염하늘소매개충우화상황조사에서우화되는솔수염하늘소를채집하여시험조사우화상 (700x252x215cm) 내로방사하였다. 조사결과 ( 그림1, 표4), 먹이가풍부하지못한상황이어서 8종의수목에모두대량의섭식흔적을관찰할수있었으며, 특이한점은제주도에방풍림으로많이식재되어있는삼나무와비자나무, 편백나무도섭식하였다. 이는개체수에비해협소한공간 (700x252x215cm) 과먹이부족에따른섭식활동으로여겨지며삼나무나편백나무등을섭식할가능성은매우낮아보이지만지속적인방제작업으로인해선호하는수종인곰솔등이감소하면자연상태에서도섭식할것으로보인다. 시험수종들이고사여부를조사한결과해송, 적송, 섬잣나무, 리기다소나무는고사하였고구상나무와비자나무는고사되지않았으며, 삼나무는시험목 2본중 1본은생존하였고 1본은고사하였다. 이는수령이 3년생인어린삼나무묘목을대상으로실험한결과섭식활동으로수피등형성층집중가해와가뭄으로인한생리적고사로보여지며, 편백나무는가지일부분이부분적으로고사하였다. 고사된수종을대상으로소나무재선충병감염여부를현미경검사한결과해송, 적송, 섬잣

296 나무, 리기다소나무에서는재선충이검출되었지만가지가일부고사한삼나무와편백나무에서는재선충이검출되지않았으며, 고사되지않은구상나무와비자나무는재선충병검사에서제외하였다. 2014년도에이어 2015년시험결과리기다소나무는금번실험에서고사및감염되었으나자연상태에서의리기다소나무고사목대상시료채취하여조사한결과재선충이관찰되지않았지만지속적인방제작업으로곰솔등소나무류가감소하면자연상태에서도섭식하여감염될소지가많고향후자연상태에서소나무재선충접종시험이나솔수염하늘소를그물망등을이용하여인위적인방사를통한섭식, 고사여부등을추가로조사할필요가있다고사료된다. 제주도에많이분포하는수종들을대상먹이섭식, 고사여부및재선충병감염여부를조사한결과시험수종 8종모두가섭식하였으며해송, 적송, 섬잣나무 ( 오엽송 ), 리기다소나무는고사되고소나무재선충병에감염되었지만구상나무, 삼나무, 편백, 비자나무는고사되지않고또한재선충병에도감염되지않았다. 표 4. 솔수염하늘소수종별가해및재선충병감염여부조사 (2014년 ~2016년 ) 수종명 섭식여부 고사여부 감염여부 비고 ( 시험기간 ) 구상나무 섭식 생존 미감염 년 해송섭식고사감염 년 적송섭식고사감염 년 섬잣나무섭식고사감염 년 리기다소나무 섭식 고사 감염 년 삼나무 섭식 고사1, 생존1 미감염 2016년가뭄에의한피해 편백나무 섭식 생존 ( 부분고사 ) 미감염 2016 년섭식으로인한부분고사 비자나무섭식생존미감염 2016 년 5) 솔수염하늘소매개충우화상황조사결과 5.1) 설치장소 : 제주시노형동 567번지 ( 속칭전경부대 - 해발157m) 총우화수량 : 556마리 - 최초우화일 : 우화종료일 :

297 - 최고우화일 : 해발 157m인노형동 567번지에설치된우화상에서소나무재선충병의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의최초우화일은 2016년 5월 25일로전년도 5월 27일에비해 2일빨랐으며, 우화종료일은 8월 14일로총 556마리 ( 261, 295) 가우화하였다 ( 그림 2). 그림 1. 솔수염하늘소수종별가해및재선충병감염여부조사 A: 비자나무, B: 삼나무, C: 편백, D: 섬잣나무, E: 비자나무섭식, F: 삼나무섭식 5.2) 설치장소 : 제주시오라2동 407번지 ( 속칭모수원 - 해발241m) 총우화수량 : 478마리 - 최초우화일 : 우화종료일 : 최고우화일 : 해발 241m인오라2동 407번지에설치된우화상에서소나무재선충병의매개충인솔수염하늘소의최초우화일은 2016년 5월 26일이며우화종료일은 8 월 16일로총 478마리 ( 247, 231) 가조사되었다 ( 그림 3).

298 그림 2. 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솔수염하늘소우화상황조사결과 ( 오라동 ) 그림 3. 소나무재선충병매개충솔수염하늘소우화상황조사결과 ( 오라동 )

299 4. 솔잎혹파리우화상황및충영형성율조사결과가. 2015년솔잎혹파리우화상황조사결과 설치장소 : 제주시연동 883번지 설치일시 : 설치수 : 10개 조사방법 : 우화상설치후솔잎혹파리우화개체수를조사 조사결과 - 총우화수량 : 140마리 - 최초우화일 : (2015년도최초우화일 : ) - 우화종료일 : (2015년도우화종료일 : ) 2016년 4월 19일제주시연동 883번지소나무임지에솔잎혹파리채집용우화상 10개를설치한후매일현장방문하여우화상에채집된솔잎혹파리성충개체수를조사하였다 ( 그림 4). 솔잎혹파리의최초우화일은 2016년 5월 13일로전년도 5월 14일에비해 1일빨랐으며, 우화종료일은 6월 14일로총 140 마리가우화한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5). 그림 4. 솔잎혹파리우화상황조사

300 그림 5. 솔잎혹파리우화상황조사결과 나. 솔잎혹파리충영형성율조사결과 2016년솔잎혹파리충영형성율조사결과피해율을보면 ( 표 5), 2015년도에이어조사전지역에서피해정도가 5.5% 이하인경급으로조사되었다. 대부분고정조사구내에서충영형성율을보면전년도보다감소하고있으나제주시지역인경우아라동들위오름, 해안동해안목장, 오등동죽성, 오등동오등목장, 조천읍알밤악, 조천읍산굼부리, 조천읍조전목장, 구좌읍덕천경계에서충영형성율이증가하였으나피해정도는경급이었으며, 솔잎혹파리의피해발생에의한피해가점차감소되고있다고볼수있다. 또한충영형성율조사결과를보면 ( 표 6) 제주도전지역을볼때전년도에비해전체평균 0.5% 증가한 5.6% 로조사되었으며제주시지역도전년에비해 0.7% 로충영형성율이증가했으며, 서귀포시지역도은 3.1% 로전년도와비슷하게조사되었다. 제주시지역에서는전년도에비해아라동들위오름, 해안동해안목장, 오등동죽성, 오등동오등목장, 조천읍알밤악, 구좌읍덕천경계에서충영형성율이다소증가하였으나소나무생육에피해를줄정도가아닌아주경미하게발생

301 하였고서귀포시지역에서는안덕면창천북쪽과안덕면거린오름, 남원읍민악 에서층영형성율이다소증가하였으나경미하였다. 표 5. 솔잎혹파리충영형성율 ( 피해율 ) 조사결과 제 주 시 서귀포시 조사장소총엽수충영엽수충영율 (%) 피해정도 해안동해안목장 경 아라동들위오름 경 애월읍광령리 ( 항몽유적지주변 ) 경 조천읍알밤악 경 구좌읍덕천경계 경 아라동관음사 경 영평동삼미목장 경 오등동죽성 경 오등동오라목장 경 오등동오등목장 경 조천읍산굼부리 경 조천읍조천목장 경 예래동군산 경 안덕면창천북쪽 경 표선면태흥목장 경 안덕면거린오름 경 남원읍민악 경 피해도조사요령 1. 조사대상지내에서피해정도가평균이되는조사목 5 본을전구역에서고루선정 2. 조사목 1 본당충영형성상태가평균이된다고판단되는 1 년생신초를 4 방위에서 2 가지씩채취 3. 채취된가지위에붙어있는총엽수와충영이형성된엽수를계산 4. 충영형성율 =( 충영형성엽수 / 총엽수 ) 100( 심 :50% 이상, 중 :20-49%, 경 :19% 이하 ) 솔잎혹파리충영형성율조사결과를종합해보면 2015년조사결과보다평균적으로 0.5% 가증가하였지만솔잎혹파리로인한소나무림피해가발생되지않고점차솔잎혹파리로부터회복이되고있으며이는그동안먹좀벌등지속적인천적방사와소나무재선충병예방나무주지역확대실시로피해가점차줄어들고있는것으로사료된다.

302 표 6. 솔잎혹파리충영형성율조사결과 제주시서귀포시 조사지 충영형성율 증감 도평균 아라동 들위오름 아라동 관음사 영평동 삼미목장 해안동 해안목장 오등동 죽성 오등동 오라목장 오등동 오등목장 조천읍 알밤악 조천읍 산굼부리 조천읍 조천목장 애월읍 항몽유적지 구좌읍 덕천경계 예래동 군산 안덕면 창천북쪽 표선면 태흥목장 안덕면 거린오름 남원읍 민악 피해도조사방법 1. 조사대상지내에서피해정도가평균이되는조사목 5본을전구역에서고루선정 2. 조사목 1본당충영형성상태가평균이된다고판단되는 1년생신초를 4방위에서 2가지씩채취 3. 채취된가지위에붙어있는총엽수와충영이형성된엽수를계산 4. 충영형성율 =( 충영형성엽수 / 총엽수 ) 100-( 심 :50% 이상, 중 :20~49%, 경 :19% 이하 ) 다. 솔껍질깍지벌레발생선단지조사 2016년솔껍질깍지벌레발생실태조사계획이산림청에서수립됨에따라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추자면관내소나무임지에대한피해실태조사를 2016년 6월 9일도, 행정시와합동조사추진하였다. 솔껍질깍지벌레발생및고사목조사결과 ( 표 7, 그림 6) 추자면내소나무임지대상난괴 ( 알덩어리 ) 에서부화된솔껍질깍지벌레약충을관찰할수없었으며, 묵리, 영흥리, 예초리, 신양리소나무임지에서단목형태의피해목이관

303 찰되었으나피해정도와면적은미미하였으며, 소나무임지곳곳에서제거되지 않은고사목이다수관찰되었다. 표 7. 솔껍질깍지벌레발생선단지조사 읍면별 제주시 추자면 리동별 '16년춘기발생면적 (ha) 좌표 ( 개소 1) 계심중경 X좌표 Y좌표 소계 대서리 영흥리 묵리 신양리 예초리 그림 6. 추자도지역솔껍질깍지벌레발생도 또한 2015년춘기조사때발생면적이 246.8ha이었으나금번조사에서는 42ha로피해면적이대폭감소하였다. 이는나무주사및고사목제거작업을지속적으로실시한결과이다. 하지만방제위험이높은계곡이나절벽사면부에는단목형태의고사목들을관찰할수가있었다.

304 라. 주요지역수목병해충발생상황조사결과제주도일원관광사적지및주요도로변등주요지역에대한수목병해충발생상황조사결과 ( 그림 7, 표 8), 주요발생해충으로는잎벌류, 깍지벌레류, 선녀벌레류진딧물류, 먹무늬재주나방, 팽나무벼룩바구미등이주로발생하였으며, 병해로는빗자루병, 그을음병, 갈색무늬구멍병, 떡병등이발생하였다. 전년도와같이팽나무에벼룩바구미피해와왕벚나무에갈색무늬구멍병피해가많은것으로조사되었으며도로변중앙분리대에식재된수목에진딧물로인한그을음병이발생하였다. 발생양상을보면해충류는온도변화에따라여러수종이발생하였지만병해는한번발생하면계속남아있어발병초기에방제하는것이급선무라생각된다. 그림 7. 산림병해충발생조사및예측기술연구 A: 노랑털알락나방유충, B: 그을음병 ( 다정큼나무 ), C: 솔수염하늘소우화, D: 극동등애잎벌유충, E: 선녀벌레성충, F: 차독나방유충

305 표 8. 주요지역수목병해충발생상황조사결과 월별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가해수종 5 월 제주시삼성혈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 조록나무혹진딧물공깍지벌레그을음병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복숭아혹진딧물떡병조록나무혹진딧물줄솜깍지벌레돈나무이팽나무벼룩바구미복숭아혹진딧물빗자루병갈색무늬구멍병빗자루병복숭아혹진딧물팽나무벼룩바구미떡병돈나무이돈나무이느티나무외줄진딧물회양목명나방 조록나무 사스레피나무 생달나무왕벚나무철쭉 조록나무 돈나무팽나무 왕벚나무 왕벚나무 팽나무철쭉, 진달래돈나무돈나무느티나무회양목 제주시한림시내가로수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 정실입구 - 제주대사거리가로수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한라대학입구 - 무수천사가로구간가로수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광령입구 - 장전용흥사구간가로수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비자림 - 평대리입구구간가로수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서귀포시안덕면산방산주변 서귀포시안덕면안덕계곡주변 팽나무벼룩바구미조록나무혹진딧물극동등애잎벌회양목명나방팽나무벼룩바구미복숭아혹진딧물빗자루병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점무늬병떡병솔나방가루깍지벌레순나방 팽나무조록나무철쭉회양목팽나무 왕벚나무 생달나무홍가시나무철쭉 반송

306 월별 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 가해수종 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 팽나무벼룩바구미팽나무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 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빗자루병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돈나무이돈나무 5월 떡병 철쭉 중문초등학교입구교차로-제주국제대학교사거리구간가로수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중문관광단지교차로 ~ 중문초등학교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교차로구간가로수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대평리더코브호텔주변주택가 솔나방 해송 사철나무깍지벌레흰가루병 사철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줄솜깍지벌레 조록나무 제주시삼성혈공깍지벌레그을음병 사스레피나무 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선녀벌레약충 생달나무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줄솜깍지벌레 조록나무 떡병 철쭉 돈나무이 돈나무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복숭아혹진딧물 6월 빗자루병왕벚나무갈색무늬구멍병 흰가루병 사철나무 빗자루병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떡병 철쭉, 진달래 돈나무이 돈나무 돈나무이 돈나무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 느티나무외줄진딧물 느티나무 회양목명나방 회양목 제주시한림리내가로수 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정실입구 - 제주대사거리가로수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한라대학입구 ~ 무수천사가로구간가로수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연미마을내해송임지 솔나방 해송 서귀포시안덕면산방산주변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307 월별 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 가해수종 조록나무혹진딧물 조록나무 극동등애잎벌 철쭉 회양목명나방 회양목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빗자루병서귀포시안덕면안덕계곡주변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생달나무 점무늬병 홍가시나무 6월 떡병철쭉솔나방 가루깍지벌레 반송 소나무순나방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 복숭아혹진딧물빗자루병 왕벚나무 이세리아깍지벌레돈나무이 돈나무 사철나무깍지벌레흰가루병 사철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 조록나무 제주시삼성혈 공깍지벌레그을음병 사스레피나무 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선녀벌레약충 생달나무 복숭아혹진딧물 왕벚나무 극동등애잎벌선녀벌레약충 철쭉 돈나무이그을음병 돈나무 7월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조록나무혹진딧물 조록나무 팽나무벼룩바구미 팽나무 복숭아혹진딧물 빗자루병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복숭아혹진딧물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팽나무벼룩바구미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선녀벌레 팽나무 극동등애잎벌 철쭉, 선녀벌레 진달래 흰가루병 사철나무 정석항공관입구 -가시리사거리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308 월별 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 가해수종 평대초교앞교차로 -덕천입구교차로구간가로수 쐐기나방류 왕벚나무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 느티나무외줄진딧물느티나무돈나무이돈나무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 그을음병 돈나무 제주시한림시내가로수 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정실입구교차로 ~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 제주대사거리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한라대학입구 ~ 무수천사가로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해안교차로 ( 애조로 )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장전리교차로 -용흥사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극동등애잎벌 철쭉, 진달래 서귀포시안덕면산방산주변 선녀벌레, 선녀벌레약충 철쭉, 진달래 7월 돈나무이 돈나무 뾰족후박나무이 ( 가칭 ) 생달나무 복숭아혹진딧물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서귀포시안덕면안덕계곡주변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점무늬병 홍가시나무 선녀벌레약충, 선녀벌레 홍가시나무 솔나방 반송 진달래방패벌레 철쭉 집명나방류후박나무뾰족후박나무이 ( 가칭 ) 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 복숭아혹진딧물빗자루병 왕벚나무 중문관광단지교차로 ~ 중문초등학교교차로구간가로수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8 월 제주시삼성혈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사철나무깍지벌레 흰가루병조록나무혹진딧물그을음병뾰족생달나무이 ( 가칭 ) 선녀벌레약충갈색무늬구멍병극동등애잎벌선녀벌레약충돈나무이그을음병조록나무혹진딧물 사철나무 조록나무 생달나무 왕벚나무 철쭉 돈나무 조록나무

309 월별 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 가해수종 복숭아혹진딧물 빗자루병갈색무늬구멍병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 빗자루병갈색무늬구멍병극동등애잎벌선녀벌레 왕벚나무철쭉, 진달래 흰가루병 사철나무 정석항공관입구- 가시리사거리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평대초교앞교차로 -덕천입구교차로구간가로수 쐐기나방류 왕벚나무 느티나무외줄진딧물 느티나무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돈나무이그을음병 돈나무 제주시한림시내가로수 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복숭아혹진딧물왕벚나무 정실입구교차로 -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연평초등학교 - 한일베라체입구사거리 집명나방 후박나무 8월 온난화농업센터삼거리구간가로수 - 제주대사거리가로수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한라대학입구 - 무수천사가로교차로 ( 해안교차로포함 )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극동등애잎벌 철쭉, 진달래 서귀포시안덕면산방산주변 선녀벌레, 선녀벌레약충 철쭉 돈나무이 돈나무 뾰족후박나무이 ( 가칭 ) 생달나무 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서귀포시안덕면안덕계곡주변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점무늬병 홍가시나무 솔나방 반송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 돈나무이그을음병 돈나무 빗자루병 왕벚나무 서귀포신시가지내가로수 집명나방 후박나무 대평리더코브호텔주변 솔나방 ( 추기 ) 소나무 ( 해송 ) 제2산록도로도로변 벼슬집명나방 붉나무 러브랜드 - 축산진흥원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중문관광단지교차로 ~ 중문초등학교교차로구간가로수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9월 제주시삼성혈 흰가루병배롱나무공깍지벌레사스레피나무

310 월별 발생지역 ( 장소 ) 진단병해충명 가해수종 먹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 제주시삼성혈사철나무깍지벌레흰가루병 사철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그을음병 조록나무 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극동등애잎벌 철쭉 돈나무이 9월그을음병 돈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 조록나무 제주시구좌읍만장굴주변 빗자루병갈색무늬구멍병 왕벚나무 빗자루병 왕벚나무 제주시구좌읍비자림주변 극동등애잎벌 철쭉, 진달래 흰가루병 사철나무 평대초교앞교차로 ~ 덕천입구교차로구간가로수 쐐기나방류 왕벚나무 느티나무외줄진딧물 느티나무 제주시한림읍한림공원그을음병이세리아깍지벌레 돈나무 제주시한림시내가로수 구실잣밤나무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느티나무외줄진딧물느티나무 돈나무이서귀포시안덕면산방산주변그을음병 돈나무 조록나무혹진딧물 조록나무 10월 뾰족후박나무이 ( 가칭 ) 생달나무 서귀포시안덕면안덕계곡주변 구실잣밤나무빗자루병구실잣밤나무점무늬병홍가시나무 솔나방 반송 빗자루병 구실잣밤나무 돈나무이 서귀포시중문동천제연폭포주변 그을음병이세리아깍지벌레빗자루병 돈나무왕벚나무 마. 솔나방발생상황조사결과춘기솔나방발생상황을조사한결과 ( 표 9) 조사구대부분피해도는 경 또는 미발생 으로조사되었지만, 한림읍상대리가축분묘처리장주변, 금악리한전스마트센터주변소나무임지에서는발생및피해정도가 중 으로조사되었다. 이지역은 2014년도추기솔나방조사때에도발생정도가증가한지역이었

311 다. 제주시지역에는한경면저지오름임지에서경미할정도로솔나방유충이 발생하였고나머지조사구에서는유충발생을관찰할수가없었다. 서귀포시 지역에서는예례동해안도로변주변임지에서유충이발생하였으나그외지역 에서는발생하지않았다. 표 9. 춘기솔나방발생상황조사결과 발생및피해정도시별읍 면 동별지역별심중경미발생 비 고 도두동도두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연동민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삼양동원당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상귀리항몽유적지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제 수산리수산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애월읍고내리고내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곽지리과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주봉성리어도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시 한림읍상대리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주변임지 상대리천아오름주변임지 한경면고산리수월봉주변임지 저지리저지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조천읍 선흘리알밤악주변임지 고정조사구선흘리동백동산주변임지 구좌읍김녕리만장굴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서홍동삼매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예래동 해안도로변임지 보목동 제지기오름주변임지 고성리대수산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서수산리대왕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성산읍오조리동부소방서주변임지 귀종달리지미봉주변임지 포표선면표선리매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시동광리거린오름주변임지 안덕면동광IC ~ 덕수2교차로주변임지 상모리송악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 대정읍 일과리해안도로변임지 사계리산방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조상대상지에서피해가평균이되는조사목 (20 본 ) 을선정하여직경 길 이가 100 cm2정도되는가지위에있는유충수를조사 - 총유충수 / 조사본수가 2.0 이상이면심, 1.0 이상 ~2.0 미만이면중, 1.0 미만 이면경으로피해도표시

312 표 10. 추기솔나방발생상황조사 시별읍 면 동별지역별 제 주 시 서 귀 포 시 발생및피해정도비고심중경미발생 도두동도두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연동민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삼양동원당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애월읍 상귀리항몽유적지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수산리수산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고내리고내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곽지리과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봉성리어도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한림읍상대리천아오름주변임지 한경면 조천읍 고산리수월봉주변임지 저지리저지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 선흘리 ) 알밤악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선흘리동백동산주변임지 구좌읍김녕리만장굴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서홍동삼매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예래동해안도로변임지 보목동제지기오름주변임지 성산읍 고성리대수산봉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수산리대왕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오조리동부소방서주변임지 종달리지미봉주변임지 표선면표선리매오름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안덕면 대정읍 동광리거린오름주변임지 동광 IC ~ 덕수 2 교차로주변임지 상모리송악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일과리해안도로변임지 사계리산방산주변임지 고정조사구 조상대상지에서피해가평균이되는조사목 (20 본 ) 을선정하여직경 길 이가 100 cm2정도되는가지위에있는유충수를조사 - 총유충수 / 조사본수가 2.0 이상이면심, 1.0 이상 ~2.0 미만이면중, 1.0 미만 이면경으로피해도표시

313 추기솔나방발생상황을조사한결과 ( 표 10) 춘기에비해발생정도가감소하였다. 특히춘기조사때발생정도가 중 으로조사되었던한림읍상대리가축분묘공공처리장주변및금악리한전스마트센터주변소나무임지에서발생정도가경으로감소되었고서귀포시지역에서춘기때발생하지않았던안덕면동광리거린오름주변임지에솔나방유충이관찰되었으나발생정도는경미하였다. 바. 푸사리움가지마름병발생추이조사푸사리움가지마름병발생추이를리기다소나무가식재된임야를대상으로조사한결과는발생상황을관찰할수없었다. 이는과거푸사리움가지마름병피해로인해대부분리기다소나무조림지가감소하고단목형태로임지에드문드문존재함으로서피해발생을관찰할수가없었다. 사. 참나무시들음병발생조사한여름에갑작스럽게말라죽게하는참나무시들음병발생상황조사로기후변화에대응한산림병해충발생조사및적기방제체제구축하기위해 2016년 8 월4일 ~8월 17일동안졸참나무등참나무류조림지및한라산국립공원지역 ( 오라2동산100, 용강동산 14-1, 해안동산220-13번지등 3개소 ) 에서발생상황을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참나무류조림지주변고사목과배설물배출상황을조사하였다 ( 그림 8). 조사결과졸참나무조림지인오라2동산100번지주변과용강동산 14-1번지내에식재된졸참나무전수조사결과배설물 (Frass) 발생을확인할수없었으며, 해안동산220-13번지인어리목주변서어나무고사목 (1본) 과고사목내침입공흔적다수관찰되었으나팥배나무좀으로판명되었다. 향후 2016년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와연계하여참나무류조림지및한라산국립공원지역에고사목발생여부등집중예찰을강화할예정이다.

314 그림 8. 참나무시들음병발생조사 A: 제주시오라 2 동산 100 졸참나무임지, B: 제주시용강동산 14-1 졸참나무임지, C: 제주시해안동산 서어나무고사목, D: 팥배나무좀침입공

315 5. 참고문헌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요령. 산림청. 산림청 산림병해충예찰 방제계획. 산림청. 산림청 산림병해충예찰 방제계획. 산림청. Keenji Umeya, Toshitsugu Okada 해충대사전. 아카데미서적. 이기형, 권건형, 안찬기, 김영재, 전원찬, 황진형, 박정훈 공립나무병원진단사례집. 대한인쇄기획. 이상명, 김동수, 김준범, 전향미, 최광식, 박남창 한국의소나무재선충병방제연구. 웃고문화사. 이상현외 식물병해충도감 -진단과방제-. 학술편수관. 이창복 원색식물도감. 향문사. 국립산림과학원 소나무재선충병방제실무매뉴얼 ( 개정 ). 청산기획사. 국립산림과학원 분재재배및병해충관리. 웃고문화사. 국립산림과학원 新산림해충도감. 웃고문화사. ( 사 ) 한국산림기술사협회 소나무재선충병 은숲의전염병. 명성기획인쇄사. 신창훈,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강인보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12:275~298. 신창훈, 고형종,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13:287~305. 한태완, 김경범, 김영탁, 강희석, 박정훈, 신창훈 산림병해충발생예찰조사연구.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제14호조사연구보고서 14:386~404.

316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 김대신, 김현철, 김권수, 김종갑 35)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 1) 제주특별자치도산림휴양과 서론 제주도의산림면적은 88,022ha이며제주도전체면적의 47.6% 에해당한다 ( 산림청, 2015). 이중소나무림의면적은 15,071ha이며, 제주도산림면적의 17% 를차지한다. 2004년제주시오라골프장인근에서최초발생한소나무재선충병으로인해소나무림에많은피해를주어 2016년말까지 1,700천여본의감염목이제거되었다 ( 산림휴양과, 2017). 본연구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의감염목제거후산림생태계에미치는영향을모니터링하여소나무재선충병방제전략의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으며 2차년도조사결과이다.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조사지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로, 감염목에대한벌채작업이진행된애월읍유수암리, 광령리와도두봉, 조천읍와흘리를대상지로선정하였다 ( 표 1, 그림 1). 교신저자 ; 전화 : , jakal3182@korea.kr

317 표 1. 조사대상지현황 대상지 조사구읍 동 리지번 면적 ( m2 ) 소유자 1 애월읍유수암리 ,818 도유지 2 애월읍광령리 ,855 도유지 3 도두1동 산1 외 3필지 69,400 국유지 ( 산림청 ) 4 조천읍와흘리 1173 외 1필지 6,297 도유지외 1 조사구 3 조사구 4 조사구 2 조사구 1 그림 1. 조사지개황 2. 조사방법 2.1. 조사구모니터링각조사지역에대해실험구, 대조구를구분하여 2015년에선정한조사구를동일한방법으로조사하였다 ( 표 2).

318 표 2. 고정조사구위치정보및곰솔현황 조사 1 지역 조사 2 지역 조사 3 지역 조사 4 지역 조사구역위치정보고도방위 실험구 대조구 실험구 대조구 실험구 대조구 실험구 대조구 N E N E N E N E N E N E N E N E 곰솔본수생목벌목 409M M M M M M M M 조사내용각지역별조사구와주변지역에대해식물상조사를하여지역별출현종수, 특정식물출현종수, 식물구계학적등급, 유사도지수등을비교분석하였으며재선충병방제를위해벌채한지역에대해식생의간섭을규명하기위해귀화식물의분포를이용하여귀화율,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Index) 등을산출하였다. 조사방형구내식생변화를조사하기위해조사방형구의곰솔의피도, 근원경, 수고, 수령등생장조사와하층식생을이루고있는식생에대해조사하였으며이를이용하여수관단면도와평면도를작성하였다 ( 이등, 2011; Yim and Jeon, 1980; Numata, 1978). 또한곰솔벌채에따른식생천이를추정하기위해고정방형구내 1 1m 소형방형구를설치하였고곰솔의개체수변화를조사하기위해곰솔치수옆에지침봉을이용하여마킹하였다.

319 귀화율 (Naturalization Index)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Index) 체감도시화지수 (Actual urbanization Index) 유사도지수 (Index of Similarity) NI = S/N 100 UI = S/N 100 AUI = E/S E/Et 1/A S= A/(A+B+C) S : 귀화식물종수 N : 일정지역의전체식물종수 S : 그지역의귀화식물종수 N : 국내귀화식물종수 321 종 E : 귀화식물종수 S : 출현식물종의총수 Et : 국내의귀화식물종수 321 종 A : 전체지역내에서지역의면적비 A : 서식지 A와 B에공통으로서식하는종수 B : B에는서식하나 A에서식하지않는종수 C : A에는서식하나 B에서식하지않는종수 결과및고찰 1. 조사지역별관속식물상조사지역별관속식물상을파악하기위해대조구, 실험구, 주변지역으로구분하여조사한결과 4개지역에총 231분류군이분포하는것으로나타났다. 조사 2지역 ( 광령리 ) 일대에총출현된관속식물의수가 133분류군으로가장높았으며조사 1지역 ( 유수암 ) 132분류군, 조사 4지역 ( 와흘리 ) 114분류군, 조사 3 지역 ( 도두봉 ) 84분류군순으로조사되었다 ( 표 3). 2015년조사와지역별출현순위는동일하나조사 1지역에가장많은 20분류군이유입되었으며조사 3지역은 3분류군이조사항목에서제외되었다. 지역별대조구는추가로고사목이발생하여제거됨에따라종의유입이계속되고있는것으로나타나고있는데, 이는정등 (2015) 이소나무를벌채시하층식생피도및종다양성은대상벌채넓이에상관없이교목종및광선호수종의확장에의해증가한다고보고한것과유사한결과를보이고있는것으로사료된다. 실험구는조사 3지역을제외하고는출현종수가증가하였으며, 조사 3지역은예덕나무와멍석딸기등의우점으로인하여출현종수가감소한것으로

320 보인다 ( 부록 1). 표 3. 조사지역별관속식물의출현종수 지역 구역별출현종수출현종수대조구실험구주변식물 조사 1 지역 조사 2 지역 조사 3 지역 조사 4 지역 조사지역별특정식물분포현황 2.1. 희귀 특산식물분포조사지역별희귀 특산식물분포현황을보면조사 1지역인경우희귀식물등급이 DD( 자료부족종 ) 인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가 2015년모니터링과동일하게대조구및주변식생으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고특산식물인떡윤노리나무가실험구에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표 4). 표 4. 조사지역희귀 특산식물분포현황 과명한국명학명 희귀 식물 특산 식물 조사지역 홀아비꽃대과 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DD 지치과 개지치 Lithospermum arvense LC 난초과 방울새란 Pogonia minor VU 담팔수과 담팔수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EN 백합과 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VU 장미과 떡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2015년출현, 2016년출현, 2015년, 2016년출현 한편조사 2 지역인경우 2015 년조사에는 LC( 약관심종 ) 인개지치

321 (Lithospermum arvense) 와 VU( 취약종 ) 인방울새란 (Pogonia minor) 이분포하였고 2016년조사에는 EN( 위기종 ) 인담팔수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가추가되었다. 조사 3지역인경우 EN( 위기종 ) 인담팔수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와 VU( 취약종 ) 인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2015년에조사된 LC( 약관심종 ) 인솜양지꽃 (Potentilla discolor) 은발견되지않았다. 조사 4지역인경우 2016년에도희귀 특산식물은분포하지않는것으로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분포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Ministry of Environment(2012) 에의해식물의보전가치에따라 Ⅰ등급부터 Ⅴ등급까지구분하였는데, 조사지역전체를대상으로총 53분류군이조사되었다. 등급별분포를보면, Ⅴ등급과 Ⅱ등급식물의분포는없었으며, Ⅳ등급은돌토끼고사리 (Microlepia strigosa), 담팔수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등 3분류군, Ⅲ등급은병풀 (Centella asiatica),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후피향나무 (Ternstroemia gymnanthera) 등 16분류군, Ⅰ등급은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장딸기 (Rubus hirsutus), 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등 34분류군으로조사되었다 ( 표 5) 귀화식물분포조사지역별귀화식물의분포를보면조사 2지역은 9과 15속 15종으로가장많이분포하고있고, 조사 1지역 7과 14속 14종, 조사 4지역 3과 8속 8종, 조사 3지역 3과 5속 5종순으로분포하고있었다 ( 표 6). 각지역별공통적으로분포하는종은개망초 (Erigeron annuus), 서양금혼초 (Hypochaeris radicata) 였고, 조사지역 3곳이상분포하는종은소리쟁이 (Rumex crispus),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주홍서나물 (Crassocephalum crepidioides) 등으로조사되었다.

322 표 5. 조사지역의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분포현황 등급 과명 한국명 학명 조사지역 고사리과 선바위고사리 Onychium japonicum (Thunb.) Kunze 고추나무과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노박덩굴과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Thunb. 줄사철나무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Miq.) Rehder 녹나무과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Jacq. 대극과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돈나무과 돈나무 Pittosporum tobira (Thunb.) W.T.Aiton 두릅나무과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 별고사리 Thelypteris acuminata (Houtt.) C.V.Morton 면마과 사다리고사리 Thelypteris glanduligera (Kunze) Ching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J.Sm. 털별고사리 Thelypteris parasitica (L.) Fosberg 물푸레나무과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Ⅰ 박과돌외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백합과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Gray 보리수나무과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 뽕나무과 좁은잎천선과 Ficus erecta var. siebold i (Miq.) King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Thunb. 산형과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 실고사리과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운향과 개산초 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자금우과자금우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장미과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 ascendens (Makino) Ohwi 장딸기 Rubus hirsutus Thunb. 주목과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Thunb. 참나무과 구실잣밤나무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포도과 거지덩굴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홀아비꽃대과 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 녹나무과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 오미자과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L.) Dunal Ⅲ 운향과머귀나무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감탕나무과먼나무 Ilex rotunda Thunb.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 으름덩굴과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323 등급 과명 한국명 학명 조사지역 산형과 벌사상자 Cnidium monnieri (L.) Cusson 병풀 Centella asiatica (L.) Urb. 대극과 산쪽풀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갈매나무과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L.) Brongn. Ⅲ 녹나무과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Siebold ex Nees 운향과왕초피나무 Zanthoxylum coreanum Nakai 국화과 털머위 Farfugium japonicum (L.) Kitam. 두릅나무과 팔손이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새모래덩굴과 함박이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차나무과 후피향나무 Ternstroemia gymnanthera (Wight & Arn.) Sprague 담팔수과 담팔수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 Hara Ⅳ 고사리과 돌토끼고사리 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산형과 제주피막이 Hydrocotyle yabei Makino 2015 년출현, 2016 년출현, 2015 년, 2016 년출현 표 6. 조사지역별귀화식물분포 과명 국명 학명 조사지역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개쑥갓 Senecio vulgaris L.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뚱딴지 Helianthus tuberosus L. 국화과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별꽃아재비 Galinsoga parviflora Cav. 서양금혼초 Hypochaeris radicata L. 주홍서나물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마디풀과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바늘꽃과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L. 방울새풀 Briza minor L. 벼과오리새 Dactylis glomerata L. 산형과솔잎미나리 Apium leptophyllum F.Muell. ex Benth. 십자화과냄새냉이 Coronopus didymus (L.) Sm. 들갓 Sinapis arvensis L. 자리공과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개자리 Medicago polymorpha L. 콩과토끼풀 Trifolium repens L. 현삼과선개불알풀 Veronica arvensis L 년출현, 2016 년출현, 2015 년, 2016 년출현

324 조사 1지역의소리쟁이 (Oenothera biennis L.) 는 2016년조사에새롭게기록되었으며조사 2지역에서는 2015년과 2016년에조사되었다. 국내지역별귀화율은광주도심하천 14.9%, 한라산국립공원내도로변 13.7%, 서울시산림지역 19.7%, 가야산국립공원지역 17.7% 의귀화율을보이는것으로분석하였다 (Lim et al, 2004; Kim et al, 2007; Song et al, 2005; Lim and Hwang, 2006). 조사지역에대해귀화율을산출한결과조사 1지역이 12.9% 로가장높게분석되었고, 조사 2지역 11.3%, 조사 4지역 7.0%, 조사 3지역 6.0% 로분석되었다 ( 표 7). 표 7. 조사지역별귀화율과도시화지수비교 구분 조사 1 지역조사 2 지역조사 3 지역조사 4 지역 실험구대조구전체실험구대조구전체실험구대조구전체실험구대조구전체 출현종수귀화식물종수귀화율도시화지수 이는조사 1지역이유수암인근으로주변에가축농장이많아목초지에서이동한귀화식물들로귀화율이높게산출된것으로판단된다. 또한대조구에도귀화식물들의출현이점차증가한것으로조사되었는데곰솔벌채로인해인위적인간섭이증가하고호광성특성을가지는귀화식물의생육이유리해졌기때문으로보아진다. 도시화지수는국내귀화식물종수를대상으로조사지역에분포하는귀화식물종수의백분율로산출되기때문에귀화율과비슷한경향을보이고 % 의도시화지수를보이는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7). 이

325 는작년최대인 3.7% 보다다소증가하였으며조사 1 지역이 2.5% 에서 5.3% 로 가장높게증가한것으로분석되었다. 3. 조사지역별식생분포특성 3.1. 조사구식생분포현황본연구사업은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감염목제거후산림생태계에미치는영향을모니터링하여소나무재선충병방제전략의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것으로조사구내식생변화를조사하기위해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를작성하였다. (1) 조사 1지역 1 대조구대조구는곰솔림지역으로조사구선정시총 15개체의곰솔이분포하고있었으나이중 7개체가올해제거되어 8개체가군락을형성하고있다. 곰솔의피도는약 20% 이고곰의말채, 덜꿩나무, 윤노리나무, 화살나무. 팥배나무등이하층식생으로분포하고있다 ( 그림 3). 2 실험구실험구는재선충병의발생으로 9개체의곰솔이벌채되었으며근원직경은 30~72cm이고수령은약 30~35년으로조사되었다. 실험구에는교목층과아교목층은분포하지않고관목층으로때죽나무, 가막살나무, 쥐똥나무등이분포하며주홍서나물, 고사리, 쇠무릎, 칡, 강아지풀등초본류가 80% 이상의피도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4). 곰솔벌채후발생된곰솔치수의변화를조사한결과곰솔치수는 26개체가분포하고있고, 주변초본식생으로강아지풀, 새머루, 매듭풀, 마, 으름, 차풀등이분포하였다.

326 순번 수종 흉고직경 (cm) 수고 (m) 수관폭 (m) 비고 1 곰솔 제거 (2016) 2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제거 (2016) 7 곰솔 제거 (2016) 8 곰솔 제거 (2016) 9 곰솔 곰솔 제거 (2016) 11 곰솔 제거 (2016) 12 곰솔 제거 (2016) 13 곰솔 곰솔 곰솔 그림 3. 조사 1지역대조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327 순번 수종 수고 수령 순번 수종 수고 수령 1 곰솔 25 2년생 14 곰솔 12 2년생 2 곰솔 곰솔 20 3 곰솔 곰솔 15 4 곰솔 곰솔 15 5 곰솔 곰솔 20 6 곰솔 곰솔 15 7 곰솔 곰솔 18 8 곰솔 곰솔 15 9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15 그림 4. 조사 1지역실험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2) 조사 2지역 1 대조구대조구는곰솔림지역으로총 7개체의곰솔이분포하고있고, 이중 1개체는 2015년이전에고사되어 6개체가분포하고있다. 이들곰솔은수고 20~24cm, 흉고직경 (DBH) 20-46cm이며대조구의주요상층식생으로자리잡고

328 있다. 곰솔의피도는약 60% 이고후박나무, 까마귀쪽나무, 예덕나무, 쥐똥나 무, 팽나무등이하층식생으로분포하고있다 ( 그림 5). 순번 수종 흉고직경 (cm) 수고 (m) 수관폭 (m) 비고 1 곰솔 곰솔 곰솔 곰솔 46 고사 5 곰솔 곰솔 곰솔 그림 5. 조사 2지역대조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2 실험구실험구는 2015년당시재선충병의발생으로 14개체의곰솔이벌채되었으며근원직경은 18~67cm이고수령은약 21~43년으로조사되었다. 올해는곰솔 4그루중 1그루가남아교목층으로자리잡고있고, 관목층으로후박나무, 예덕나무, 쥐똥나무, 먼나무등이분포하며맥문동, 왕고들빼기, 방가지똥, 칡, 까마중등초본류와관목이혼재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6). 조사구내곰솔치수의변화를보기위해조사한결과 2015년확인된 3개체중 1개체가확인되었다.

329 순번수종수고수령비고 1 곰솔 10 2 년생 그림 6. 조사 2 지역실험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3) 조사 3지역 1 대조구대조구는도두봉해안선에위치한곰솔림지역으로수고 2~16cm이고흉고직경 (DBH) 이 7-38cm인곰솔 9개체가상층식생으로자리잡고있다. 곰솔의피도는약 80% 이고상동나무, 팥배나무, 꾸지뽕나무, 예덕나무등이하층식생으로분포하고있다 ( 그림 7). 곰솔치수는 15개체가이번조사에관찰되었다.

330 순번 수종 수고 수령 비고 순번 수종 수고 수령 비고 1 곰솔 12 2년생 5 곰솔 46 2년생 2 곰솔 10 6 곰솔 16 2개체 3 곰솔 12 6개체 7 곰솔 10 2개체 4 곰솔 46 8 곰솔 10 그림 7. 조사 3지역대조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2 실험구실험구는재선충병의발생으로 4개체의곰솔이벌채되었는데근원직경은 36~52cm이고수령은약 33~54년으로조사되었다. 현재는예덕나무가관목층주요식생으로자리잡고있고멀구슬나무, 팽나무, 까마귀쪽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초본층으로는엉겅퀴, 솔나물, 수영, 털머위, 좀싸리등이분포하고있다 ( 그림 8). 곰솔벌채에따른치수의변화를조사한결과 2015년에확인된 6개체중 1개체가확인되었다.

331 순번수종수고수령비고 1 곰솔 22 2 년생벌채 그림 8. 조사 3 지역실험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4) 조사 4지역 1 대조구대조구는와흘리일대로실험구내의곰솔을전면벌채하였기때문에인접지역을선발하였다. 대조구내에는별다른변화없이 2015년과동일하였다. 수고 20~24m, 흉고직경 (DBH) 25~46cm인곰솔 7개체가피도 80% 이상으로상층식생으로자리잡고있으며, 천선과나무, 올벚나무, 예덕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초피나무등이하층식생으로자리잡고있다 ( 그림 9). 인근지역의재선충병감염목제거를위해조사지주변에반출로가설치되면서상층부가열려주변식생변화가예상된다.

332 순번수종흉고직경 (cm) 수고 (m) 수관폭 (m) 비고 1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곰솔 그림 9. 조사 4 지역대조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2 실험구실험구에는 4개체의곰솔이벌채되었는데근원직경은 33~88cm이고수령은약 46~65년으로조사지역중곰솔수령이가장오래된것으로조사되었다. 실험구내에는교목층과아교목층이분포하고있지않고대부분초본층으로칡이 60% 이상으로우점하고미국자리공, 개망초, 왜모시풀, 수영등이분포하고있다 ( 그림 10). 조사구내 2015년에관찰된곰솔치수는 4개체였으나 2016 년조사시에는관찰되지않았다. 이는칡등만경식물의우점으로빛이차단되어고사된것으로추정된다.

333 순번 수종 근원직경 (cm) 장축단축 수령 비고 1 곰솔 벌채 2 곰솔 벌채 3 곰솔 벌채 4 곰솔 벌채 그림 10. 조사 4지역실험구의수관투영도및수관단면도

334 인용문헌 Cho, Y.C., Pee, J.H., Kim, K.S., Koo, B.Y., Cho, H.J., Lee, C.S. (2011) Ecological responses of natural and planted forests to thinning in southeastern Korea: a chronosequence study.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4: Haugo RD, Halpern CB., Vegetation responses to conifer encroachment in a dry, montane meadow: a chronosequence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Botany 85: Numata, M. and Ono, K.(1952) Studies in the ecology of naturalized plants in Japan Ⅰ. 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2(3): Numata, M., Observation and study of plant ecology. Tokai University Press, Kanagawa, 275pp.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박인환, 조광진, 사공정회, 김혜영 충청남도금산천과기사천의식물상및식생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한국내귀화식물의현황과고찰. 식물분류학회지 41(1): 정세영, 조용찬, 변봉규, 김혜진, 배관호, 김현섭, 김준수 강원도삼척지역에서소나무이차림의대상벌채에따른초기식생재생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5): 산림휴양과 년산림휴양계획. 제주특별자치도 pp297~298.

335 부록 1. 조사지역별식물상 과명 학명 국명 조사지역 고비과 Osmunda japonica 고비 실고사리과 Lygodium japonicum 실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고사리 고사리과 Microlepia strigosa 돌토끼고사리 Onychium japonicum 선바위고사리 넉줄고사리과 Nephrolepis cordifolia 줄고사리 Dryopteris uniformis 곰비늘고사리 Cyrtomium falcatum 도깨비쇠고비 Thelypteris acuminata 별고사리 면마과 Thelypteris glanduligera 사다리고사리 Dryopteris bissetiana 산족제비고사리 Thelypteris decursivepinnata 설설고사리 Cyrtomium fortunei 쇠고비 Dryopteris hikonensis 큰족제비고사리 Thelypteris parasitica 털별고사리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incisum 꼬리고사리 주목과 Torreya nucifera 비자나무 나한송과 Podocarpus macrophyllus 나한송 낙우송과 Cryptomeria japonica 삼나무 소나무과 Pinus thunbergii 곰솔 측백나무과 Chamaecyparis obtusa 편백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개밀 Isachne globosa (Thunb.) Kuntze 기장대풀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띠 Bothriochloa ischaemum (L.) Keng 바랭이새 벼과 Briza minor 방울새풀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억새 Dactylis glomerata 오리새 Oplismenus undulatifolius 주름조개풀 Paspalum thunbergii 참새피 Miscanthus sinensis 참억새 Carex lanceolata 그늘사초 사초과 Carex boottiana 밀사초 Cyperus cyperoides 방동사니아재비 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천남성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닭의장풀 골풀과 Luzula capitata 꿩의밥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둥굴레 백합과 Liriope platyphylla 맥문동 Asparagus schoberioides 비짜루 2015년출현, 2016년출현, 2015년, 2016년출현

336 부록 계속 과명 학명 국명 조사지역 Allium macrostemon 산달래 Smilax nipponica 선밀나물 백합과 Polygonatum falcatum 진황정 Lilium lancifolium 참나리 Smilax sieboldii 청가시덩굴 Smilax china 청미래덩굴 Dioscorea septemloba 국화마 마과 Dioscorea quinqueloba 단풍마 Dioscorea japonica 참마 생강과 Zingiber mioga 양하 난초과 Pogonia minor 방울새란 Cymbidium goeringii 보춘화 홀아비꽃대과 Chloranthus fortunei 옥녀꽃대 Castanopsis sieboldii 구실잣밤나무 참나무과 Castanea crenata 밤나무 Quercus acutissima 상수리나무 느릅나무과 Ulmus parvifolia 참느릅나무 Celtis sinensis 팽나무 Morus bombycis f. dissecta 가새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꾸지뽕나무 뽕나무과 Ficus oxyphylla 모람 Morus bombycis 산뽕나무 Ficus erecta var. sieboldii 좁은잎천선과 Ficus erecta 천선과나무 삼과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Boehmeria platanifolia 개모시풀 쐐기풀과 Boehmeria nivea 모시풀 Boehmeria longispica 왜모시풀 Persicaria longiseta 개여뀌 Persicaria senticosa 며느리밑씻개 마디풀과 Rumex crispus 소리쟁이 Rumex acetosa 수영 Persicaria hydropiper 여뀌 Persicaria filiformis 이삭여뀌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작살나무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쇠무릎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미국자리공 석죽과 Stellaria media 별꽃 Semiaquilegia adoxoides 개구리발톱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사위질빵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으아리 으름덩굴과 Stauntonia hexaphylla 멀꿀 2015 년출현, 2016 년출현, 2015 년, 2016 년출현

337 부록 1. 계속 과명 학명 국명 조사지역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으름덩굴 새모래덩굴과 Cocculus trilobus 댕댕이덩굴 Stephania japonica 함박이 오미자과 Kadsura japonica 남오미자 Litsea japonica 까마귀쪽나무 녹나무과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 Neolitsea sericea 참식나무 Machilus thunbergii 후박나무 Coronopus didymus 냄새냉이 십자화과 Capsella sp 냉이 Sinapis arvensis 들갓 Cardamine impatiens 싸리냉이 돌나물과 Sedum sarmentosum 돌나물 Sedum bulbiferum 말똥비름 돈나무과 Pittosporum tobira 돈나무 Rosa wichuraiana 돌가시나무 Potentilla chinensis 딱지꽃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떡윤노리나무 Rubus parvifolius 멍석딸기 Duchesnea indica 뱀딸기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벚나무 Rubus crataegifolius 산딸기 장미과 Potentilla discolor 솜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양지꽃 Prunus pendula f. ascendens 올벚나무 Pourthiaea villosa 윤노리나무 Rubus hirsutus 장딸기 Rubus oldhamii 줄딸기 Agrimonia pilosa 짚신나물 Rosa multiflora. 찔레꽃 Geum aleppicum Jacq. 큰뱀무 Sorbus alnifolia 팥배나무 Lespedeza tomentosa 개싸리 Medicago polymorpha 개자리 Sophora flavescens 고삼 Glycine soja 돌콩 Kummerowia striata 매듭풀 콩과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벌노랑이 Lespedeza cuneata 비수리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살갈퀴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새콩 Lespedeza bicolor 싸리 Vicia tetrasperma 얼치기완두 2015 년출현, 2016 년출현, 2015 년, 2016 년출현

338 부록 1. 계속 과명 학명 국명 조사지역 Rhynchosia volubilis 여우콩 Dunbaria villosa 여우팥 콩과 Lespedeza virgata 좀싸리 Chamaecrista nomame 차풀 Pueraria lobata 칡 Trifolium repens 토끼풀 쥐손이풀과 Geranium thunbergii 이질풀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괭이밥 Oxalis stricta 선괭이밥 Zanthoxylum planispinum 개산초 Zanthoxylum ailanthoides 머귀나무 운향과 Zanthoxylum schinifolium 산초나무 Zanthoxylum coreanum 왕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초피나무 멀구슬나무과 Melia azedarach 멀구슬나무 Acalypha australis 깨풀 대극과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산쪽풀 Mallotus japonicus 예덕나무 Ricinus communis 피마자 옻나무과 Rhus javanica 붉나무 감탕나무과 Ilex rotunda 먼나무 Celastrus orbiculatus 노박덩굴 Euonymus japonicus 사철나무 노박덩굴과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줄사철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참빗살나무 Euonymus alatus 화살나무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고추나무 Euscaphis japonica 말오줌때 갈매나무과 Rhamnella franguloides 까마귀베게 Sageretia theezans 상동나무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개머루 Cayratia japonica 거지덩굴 포도과 Vitis ficifolia var. sinuata 까마귀머루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담쟁이덩굴 Vitis flexuosa 새머루 담팔수과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담팔수 피나무과 Corchoropsis tomentosa 수까치깨 다래나무과 Actinidia polygama 개다래 차나무과 Eurya japonica 사스레피나무 Ternstroemia gymnanthera 후피향나무 제비꽃과 Viola japonica 왜제비꽃 Viola mandshurica 제비꽃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macrophylla 보리밥나무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2015년출현, 2016년출현, 2015년, 2016년출현

339 부록 1. 계속 과명 학명 국명 조사지역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달맞이꽃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두릅나무과 Hedera rhombea 송악 Fatsia japonica 팔손이 Torilis scabra 개사상자 Peucedanum japonicum 갯기름나물 Cnidium monnieri (L.) Cusson 벌사상자 산형과 Centella asiatica 병풀 Torilis japonica 사상자 Apium leptophyllum 솔잎미나리 층층나무과 Hydrocotyle yabei 제주피막이 Cornus macrophylla 곰의말채 Cornus walteri 말채나무 Cornus kousa 산딸나무 Cornus controversa Hemsl. 층층나무 진달래과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산철쭉 자금우과 Ardisia japonica 자금우 앵초과 Lysimachia japonica 좀가지풀 감나무과 Diospyros kaki 감나무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tanakana 검노린재 때죽나무과 Styrax japonicus 때죽나무 물푸레나무과 Ligustrum japonicum 광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쥐똥나무 협죽도과 Trachelospermum asiaticum 마삭줄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박주가리 메꽃과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메꽃 지치과 Lithospermum arvense 개지치 Ajuga decumbens 금창초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꿀풀 꿀풀과 Isodon inflexus 산박하 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 탑꽃 Isodon inflexus var. canescens 털산박하 Solanum nigrum 까마중 가지과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꽈리 Solanum lyratum 배풍등 현삼과 Veronica arvensis 선개불알풀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파리풀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질경이 Paederia scandens 계요등 꼭두서니과 Galium verum var. asiaticum 솔나물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갈퀴꼭두서니 Sambucus sieboldiana 덧나무 인동과 Lonicera japonica 인동덩굴 Viburnum dilatatum 가막살나무 박과 Gynostemma pentaphyllum 돌외 2015 년출현, 2016 년출현, 2015 년, 2016 년출현

340 부록 1. 계속 조사지역과명학명국명 박과 Trichosanthes kirilowii 하늘타리 Bidens tripartita 가막사리 Dendranthema indicum 감국 Erigeron annuus 개망초 Senecio vulgaris 개쑥갓 Carpesium divaricatum 긴담배풀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국화과 Gnaphalium affine 떡쑥 Helianthus tuberosus 뚱딴지 Bidens frondosa 미국가막사리 Taraxacum platycarpum 민들레 Sonchus oleraceus 방가지똥 Ixeris debilis 벋음씀바귀 Galinsoga parviflora 별꽃아재비 Youngia japonica 뽀리뱅이 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 Artemisia princeps 쑥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엉겅퀴 Lactuca indica 왕고들빼기 Crassocephalum crepidioides 주홍서나물 Hemistepta lyrata 지칭개 Farfugium japonicum 털머위 2015년출현, 2016년출현, 2015년, 2016년출현

341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야생동물서식특성조사 (Ⅱ) 오장근 1) *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본연구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야생동물서식현황을파악하기위하여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장소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지역으로선정된 4개지역을대상으로조사지역내야생동물의서식상황을파악하였다. 포유류는노루, 제주족제비, 제주등줄쥐, 집쥐등이관찰되었다. 조류는모두 35종이관찰되었으며시험구에서는 30종, 대조구에서는 31종이관찰되었다. 조사지역별로는유수암지역이대조구 19종, 시험구 18종, 도두봉지역이대조구 22종, 시험구 15종, 영송학교인근조사지역대조구 19종, 시험구 15종이관찰되었으며, 와흘지역인경우대조구 18종, 시험구 17종이관찰되어대조구에비해시험구에서관찰된종수가적은것으로나타났다. 종다양도는전체적으로 2.028~ 정도로비교적낮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영송학교인근지역이종다양도가가장낮은반면, 유수암지역이가장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조사지역간유사도지수는영송학교조사구와와흘지역조사구가가장높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유사도지수가가장낮은곳은도두봉지역과영송학교조사구로분석되었다. 1) 교신저자 ; 전화 : , ojg6532@korea.kr,

342 서론 제주지역의산림파괴자인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부산에서처음으로발생하여최근몇년동안급속히확산되고있다. 제주도에서는 2004년에최초로발생되었으며, 재선충병피해를최소화하기위하여다각적으로노력하고있으나피해가확산되고있다 ( 산림청, 2015). 제주도의소나무림면적은 16,284ha로제주면적의 18%( 산림청, 2015) 에해당되며, 소나무재선충병피해면적은 7,088ha로제주도소나무림의 39% 가감염되어 545,000여본이사라지는등제주지역산림유형이변화하고있는실정으로현재진행중에있다. 그러나이러한소나무재선충병에의해수많은소나무가벌채되고있음에도불구하고벌채에따른제주지역생물다양성에미치는영향등에대한연구자료가부족한상황이다.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등야생동물은긱종마다선호하는서식지가서로달라종특이성이있다. 특히조류는이용할수있는먹이자원과번식할수있는은신처유무에따라서식여부가결정되어생물다양성에영향을주기때문에야생조류의서식은곤충및식물의먹이자원과밀접한관계가있어서야생조류의출현특성은산림의크기와낙엽활엽수림대와상록침엽수가혼생하는혼효림에서종수나개체수출현빈도가다르게나타나는등 ( 박등, 2012) 산림내가지치기, 벌채등인위적인행위로인해야생동물에미치는영향은클것으로예상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2015년에이어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내산림의유형변화정도에따라야생동물변화정도를파악하여향후대책마련에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한다. 재료및방법 조사지역은제주시애월읍유수암리건승원 ( 해발 400m) 일대, 애월읍광령 리영송학교일대 ( 해발 200m), 제주시도두봉 ( 해발 60m) 일대, 조천읍와흘리 임지 ( 해발 140m) 일대등 4 곳이다. 총조사면적은 97,370m2 이며, 이중도두

343 봉이 69,400m2 으로가장넓었고, 유수암이 11,818m2, 광령리일대가 9,885m2 이였고, 와흘리가 6,297m2 로조사면적이가장작았다 ( 그림 1). 그림 1.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지역 포유류조사는소형과중형포유류를대상으로실시하였다. 대부분의동물은동굴, 식흔, 배설물과족적등흔적을이용하여서식여부를기록하였으나자료를확보하기위하여소형및중대형생포트랩을이용하여생포후동정하였다. 설치류등소형포유류는소형생포트랩 (shaman traps) 을이용하였고유인먹이는땅콩과버터를사용하여생포후종동정하였다. 조류조사는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월별로 1~2회씩실시하였으며, 조사범위는조사지내의조사경로를선정하여조사경로를따라좌우 100m 범위와인접지역을포함하였다. 각조사구에출현하는야생조류는망원경과쌍안경

344 그리고육안을통한관찰, 울음소리, 나는모양, 사체등으로각종과개체수를파악하였다. 개체수확인은군집전체를한눈에볼수있는지점을선정하여정점조사법 (Point Counts Method) 와일정한조사경로를따라실시하는선조사법 (Line Census Method) 을병행하였다 (Bibby et al., 1992). 또한번식여부확인은조사경로를따라출현조류의둥지와알, 새끼출현, 어미의먹이급여, 암수의구애행동등으로판단하였다. 조류목록순서는한국조류목록 ( 한국조류학회, 2009) 를따랐다. 유사도지수 (CCs) 는두군집간에종구성의유사도를나타내는것으로, SØrensen(1948) 의공식을이용하였다. CCs=2C/S 1 +S 2 C; 두군집의공통종수, S 1 및 S 2 ; 군집 1 및 2 의종수 ) 양서 파충류조사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지역으로선정된 4개지역을대상으로양서 파충류서식상황을조사하여기록하였다. 조사시기는양서 파충류가산란등활발하게활동하는시기를정하여조사하였으며, 일부종에대해서는낙엽과돌, 나무토막등을들추어내면서조사하였다. 특히양서류는산란시기와활발하게활동하는 2월부터 9월까지실시하였으며, 양서류는고 (2005) 의방법을이용하여알의모양과크기, 유생의모양등을이용하여동정하였으며, 또한관찰되거나습지주변을대상으로돌이나낙엽등을들추어제주도롱뇽등을확인하는직접적인방법과울음소리등간접적인방법등을이용하여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파충류는대부분직접관찰되는개체를대상으로기록하였으나일부종은돌담이나낙엽등을들추어서식여부를조사하였다.

345 결과및고찰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일환으로 2014년도벌채가완료된제주시애월읍유수암리건승원 ( 해발 400m) 일대, 애월읍광령리영송학교일대 ( 해발 200m), 제주시도두봉 ( 해발 60m) 일대, 조천읍와흘리임지 ( 해발 140m) 일대등 4곳을대상으로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와곤충류등의출현현황을조사하였다. 조사결과포유류는노루, 제주족제비, 제주등줄쥐, 집쥐등이관찰되었다. 조류는모두 35종이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매, 황조롱이, 두견등 3종이관찰되었다. 시험구와대조구를비교한결과시험구에서는 30종, 대조구에서는 31종이관찰되었다 ( 그림 2). 조사지역별로는유수암지역이대조구 19종, 시험구 18종, 도두봉지역이대조구 22종, 시험구 15종, 영송학교인근조사지역대조구 19종, 시험구 15종이관찰되었으며, 와흘지역인경우대조구 18종, 시험구 17종이관찰되어대조구에비해시험구에서관찰된종수가적은것으로나타났다 Species Individuals 종 Test 종 Cont 그림 2. 시험구와대조구내조사된종과개체수비교 조사지역내에관찰되는조류가산림의상층, 중층이나하층등층위별선

346 호정도를파악하여벌채에따른영향정도를분석하고자길드 (guild) 개념을도입하여분석하였다. 지표면이나비행하는종과개체를제외하고분석한결과중간층에서모두 28종 978개체가관찰되어가장선호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하위층 20종 458개체, 상위층 14종 211개체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3).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보면소나무벌채지시험지역은중간층이거의존재하지않기때문에대조구에비해종다양성이낮을수밖에없을것으로판단된다. 또한소나무벌채는재선충병피해목에한해벌채하고있어피해목이추가로발생할경우벌채가반복시행되는경우가빈번해어린나무들이자라는데방해를받아산림복원도지체되는경향을보여주고있는실정이다 Species Individuals 종 20종 14종 Upper Middle lower 그림 3. 산림의층위별관찰조류현황 각조사지역별조사결과를보면, 우선유수암지역에서는대조구에서 19종, 258개체가관찰되었고, 시험구에서는 18종 128종이관찰되어두지역간개체수차이가 2배이상차이가나는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월별로는시험구에서는 12월에 9종이관찰되어가장많은종이관찰되었으나 4월에는 1종만이관찰되어월별관찰빈도차가큰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4).

347 Species Individuals 0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est Cont. 그림 4. 유수암조사구의월별, 시험구별조류현황비교 도두봉지역은시험구에서 15종 170개체, 대조구에서 22종 330개체가관찰되어대조구에비해종과개체수가모두적었다 ( 그림 5). 월별로는 7월, 8월과 11월에 6종, 5월과 10월에 5종등관찰된반면, 대조구에서는 11월과 12월에 11종, 3월과 4월에 8종, 5월부터 7월사이에 6종이관찰되는등대조구비교할경우차이가큰것으로조사되었다. 반면 2015년관찰되지않았던긴꼬리딱새 1쌍과꾀꼬리가관찰되었는데, 이는시기적으로이동시기에잠시머무는장소로이용했을것으로판단된다 ( 그림 5) Species Individuals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est Cont. 그림 5. 도두봉조사구의월별, 시험구별조류현황비교 영송학교인근조사지역에서는시험구 15 종, 126 개체, 대조구 19 종 470 개체 가관찰되어다른조사지역의결과와유사한경향을보여주었다 ( 그림 6). 이

348 지역에서는 2015 년조사시관찰되지않았던비행중인매 1 마리가관찰되기도 하였다 Species Individuals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est Cont. 그림 6. 영송학교인근조사구의월별, 시험구별조류현황비교 와흘지역에서는경우시험구 17종. 대조구 18종이관찰되어타조사지역의결과와유사한경향을보여주고있었다 ( 그림 7). 월별로는다른조사지역과는다르게 7월과 10월에 9종, 12월에 8종, 4월부터 7월과 11월에 7종이관찰되어타조사지역에비해관찰종수의변화폭이적었다. 조사지역내종다양도를비교한결과유수암지역에서 2.521로가장다양한종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도두봉 2.201, 와흘리 순으로나타났으나, 영송학교인근조사지역이 1.916으로가장낮은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8). 유수암지역과와흘조사지역은시험구종다양도가대조구보다높게나타났는데이두지역은조사구주변에경작지, 목장지대등야생동물이휴식공간이비교적불량한곳이고재선충피해로인해침엽수인소나무를벌채함으로서산림내식물다양성이높아지면서특정야생동물이선호했기때문으로판단된다. 유수암조사지역과와흘조사지역종다양도가대조구에비해높은것은참새, 꿩, 직박구리등텃새가일시에시험구에주기적으로출몰했기때문으로판단된다. 또한도두봉지역에서는기식재된동백나무의해충을구제하기위하여살충제를살포하거나탐방객의편의를제공하거나경관을확보하기위하여관목및지표식물제거작업을실시하는등인위적간섭이많아월별변

349 화가심하였으며, 이에따라조사지역내야생동물서식현황의변화상을파악 하는데어려움이많았다 Species Individuals 0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est Cont. 그림 7. 와흘조사구의월별, 시험구별조류현황비교 시험구 대조수 유수암리도두봉영송학교와흘리 그림 8. 조사지역별종다양도비교 조사지역간유사정도를파악하기위하여두지역간공통으로관찰되는종과각지역에서만관찰되는종을구분하여시험구와대조구를구분하여유사도지수를평가하였다. 유사도지수는영송학교조사구와와흘지역조사구가가장높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유사도지수가가장낮은곳은도두봉지역과영송학교조사구로

350 분석되었다 ( 표 2). 표 2. 조사지역별출현한야생동물의지역간유사도지수 조사지역 유수암리 도두봉 영송학교 와흘지역 유수암리 시험구 대조구 도두봉 시험구 대조구 영송학교 시험구 대조구 와흘지역 시험구 - 대조구 - 유수암지역조사구에서는시험구에서는와흘지역과유사도지수가가장높았으며, 영송학교조사구, 도두봉조사구순으로유사도지수가낮은것으로분석되었다. 그러나대조구에서는영송학교조사구와유사도지수가가장높았으며, 다음으로와흘, 도두봉순으로분석되었다 ( 표 2). 도두봉지역은시험구에서영송학교와유사도지수는 0.39, 와흘지역과는 0.55로분석되어와흘지역조사구와유사도지수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대조구에서는영송학교와의유사되지수는 0.73, 와흘지역 0.70 순으로나타나대조구에서는도두봉과영송학교조사구, 도두봉과와흘조사구가비슷한경향을보여주었다. 영송학교조사구에서는와흘지역과가장유사한경향을보여주었으며, 시험구와대조구에서도유사한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두지역모두조사구주변에감귤과수원및건축물이산재해있어평소다양한동물이서식하지않기때문에두지역간유사도지수가비슷한것으로판단된다. 종합적으로보면소나무벌채지인시험지역내추가벌채, 벌채에따른운반차량출입, 식재식물보호를위한살충제살포, 경관확보를위한잡목및지표식물제거하는등하부식생파괴가반복되고있는실정으로야생동물의변화정도를파악하기에어려운실정이다. 따라서소나무벌채지야생동물서

351 식현황및변화상조사의원활히진행되기위해서는시험지역의추가벌채나, 인위적간섭최소화방안을마련한후시행하는것이소나무벌채에따른야 생동물서식현황을파악하는데효과적일것으로판단된다.

352 인용문헌 Bibby C. J., N. D. Burgess and D. A. Hill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Kim, J. L. and H. J. Yoo Summer seasonal fauna of the insect from the Islands Paengnyong-do of the province Kyonggi-do, Korea. Rep. Surv. Nat. Env. Kor Niemela J., Langor D and J. R. Spence Effects of clear-cut harvesting on boreal ground -beetle assemblage(coleoptera: Carabidae) in Western Canada. Conservation Biology 7: Werner S. M. and K. F. Raffa Effects of forest management practices on the diversity of ground-occurring beetles in mixed morthern hardwood forests of the Great Lakes Reg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9: 고영민 제주도의양서류상. 한라산고산습지의학술적가치조명과과제. 한라산연구소. P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오장근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 야생동물서식특성조사 (1차년도).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조사연구보고서 15호제주특별자치도 산림휴양정책사업계획. 한국조류학회 한국조류목록.

353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지의 병해충발생조사연구 (Ⅱ) 한태완 1), 고석형, 박정훈, 신창훈 제주특별자치도세계유산본부한라산연구부 요약 본연구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한분야인병해충발생상황을조사하기위하여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장소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대상지로선정된 4개지역을대상으로조사지역내산림병해충발생상황을조사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산림병해충및돌발병해충종류, 피해상황및발생여부, 피해도등조사하였고방제후소나무재선충병추가발생및피해상황도함께조사하였다. 월별병해충조사결과, 5월에는병해 11종, 충해 16종이조사되었고 6월에는병해 8종, 충해 13종, 7월에는병해 11종, 충해 20종이조사되었으며, 8월엔병해 8종, 충해 16종이, 9월에는병해 11종, 충해 24종으로병해충발생이높았으며, 10월에는병해 10종, 충해 14종이조사되었다. 또한유수암리조사구와도두봉조사구에서소나무재선충병이 9월 10월에집중적으로발생하였다. 서론 제주도는전체 185 천 ha 중산림은 89 천 ha( 제주도면적의 48%) 로거의절반 1) 교신저자 ; 전화 : , htw6613@korea.kr

354 이산림으로이루어져있다. 그중소나무림은 16,284ha( 산림면적의 18%) 가분포하여소나무는약 12만본이생립하고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2014). 임상별로는활엽수비율이가장높으며, 무림목지, 침엽수, 혼효림순이다. 지역별로는제주시는침엽수비율이상대적으로높고서귀포시는혼효림비율이상대적으로높다 ( 제주특별자치도, 2013). 소나무재선충은미국, 캐나다, 멕시코등북미대륙토착종으로 (Knowles et al., 1983, Dwinell, 1993) 미국내자생수종들은대부분저항성을나타내어큰피해가없으나이선충이원산지에서다른나라로유입될경우이선충에감염된소나무는모두죽으며감염후 3개월이내에죽기때문에지구상의그어떤산림병해충보다무서운병으로산림에심각한피해를주고있다. 그예로일본에서 1900년대초반부터소나무에피해가나타나기시작하여점차확산되면서현재는소나무와해송이거의전멸상태가되고있다 (Kishi, 1995). 국내에서는 1988년에부산동래구금정산에서처음발생하여 27년이경과한 2016년 12월현재국내의소나무재선충병발생면적은 14개시 도, 103개시 군 구에서피해진행중에있으며피해고사목은 2016년 4월 1,373천본이발생하였으며, 2016년도신규 ( 재 ) 발생지로는세종 (1월), 청주 제천 금산 횡성 (2월), 의성 홍천 보성 김제 동두천 (3월), 군의 함양 중랑구 (4월), 합천 산청 고흥 (10월) 등발생하였다 ( 산림청, 2017). 지난 2004년제주지역에소나무재선충병이처음내습한이래, 그발생빈도를낮추기위해많은노력을해왔으나 2013년이후의재선충병의급속한확산과이에따른대대적인방제가집중되면서피해가증가하고있는실정이며 ( 제주특별자치도, 2013). 2004년부터 2016년 9월까지 1,612천본을제거하였으며 2017년 4월까지 299천본을제거할계획으로고사목물량이나방제비용이증가하고있는실정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2017). 일반산림병해충연구로는국내 4개소골프장내에식재되어있는조경수대상으로발생하는해충의발육단계나식성, 섭식형태및조경수의가해부위등을조사하였으며 ( 김등, 2007), 외국의연구사례로는세계의산림병해충발생및피해현황을보면전세계산림면적의 2% 이내로해충피해가발생하지만주로온대및한대지역의일부국가에서그피해가심각한수준이다고보

355 고하고있다 ( 고, 2013). 또한김 (2012) 은제주에주로발생하는소나무재선충병등산림병해충 5종외에도팽나무에피해주고있는바구미류, 알락진딧물, 상수리나무에갈무늬재주나방, 왕벚나무에복숭아혹진딧물등의확인되고있고매년태풍으로인한해풍, 염해피해목이해송등수종에관계없이다량발생되고돌발병해충의대발생이우려된다고보고하고있다. 소나무재선충병방제연구로서는이등 (2008) 이곰솔 (Pinus thunbergii) 에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이용한소나무재선충과솔잎혹파리및솔껍질깍지벌레의동시방제가능성에대해연구하였으며, 살충제살포가소나무림의토양생물에미치는영향에서토양에서식하는절족동물, 곰팡이, 세균, 방선균의개체수변화와이들토양물군집의구조에유익한영향을주지않아항공방제가소나무림의토양생물에큰영향을줄가능성이낮음을나타낸다고보고하였다 ( 권등, 2005, 권등 2005).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의연구로서윤등 (2006) 은재선충병피해지역과대조구의층위별각각개체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및우점도는대조구보다피해지가높게나타났으며, 소나무재선충피해지의식생변화경향을보면피해목제거로인하여지표면의수광상태가상당히양호해진관계로양수는번성하고반대로음수는감소되는경향이나타난다고하였으며, 토양미생물의유기질분해활성지표인토양호흡의계절변화와토양호흡에영향을미칠수있는토양온도, 수분및토양유기물과의관계등을분석하였다 ( 조등, 2009). 또한홍등 (2013) 은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제거에따른산림훼손과훈증처리작업에따른아교목층낙엽활엽수의무분별한제거는산림의온도저감, 습도조절등공익적기능을저하할우려가높다고보고하고있지만재선충병피해지내의동 식물상변화등에대한연구는미비한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내산림의유형변화정도에따라산림병해충발생정도를조사하여향후재선충병피해지수종갱신등피해복구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실시하였다.

356 재료및방법 조사지역은제주시애월읍유수암리건승원 ( 해발 400m) 일대, 애월읍광령리영송학교일대 ( 해발 200m), 제주시도두봉 ( 해발60m) 일대, 조천읍와흘리임지 ( 해발140m) 일대등 4곳이다. 총조사면적은 97,370m2이며, 이중도두봉이 69,400m2으로가장넓었고, 유수암이 11,818m2, 광령리일대가 9,885m2이였고, 와흘리가 6,297m2로조사면적이가장작았다 ( 그림 1). 조사구내에식생종다양성에서도두봉조사구와유수암리조사구에서높았으며조천읍와흘리조사구에서가가장낮았다. 또한소나무임황은모든조사구에서이는소나무재선충병발생정도에따라고사목방제가이루어졌지만와흘리조사구를제외한조사구에서고루분포하고있었지만고사가진행중인소나무도관찰할수있었다. 산림생태계조사내용으로는조사구내주요산림병해충발생량, 발생시기를모니터링하였으며돌발적으로발생하는병해충과방제후소나무재선충병추가발생및피해상황을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발생상황을대조구와비교하기위해식물분야조사팀에서설정한대조구방형구 (10x10m, 와흘리 2565) 내에분포하는소나무 (7본) 에재선충병발생을방지하기위해아바맥틱살충제 (1ml/ 흉고직경 1cm ) 를나무주사하였다. 그림 1.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지역

357 병해충조사는 5월부터 10월까지월별 1~2회씩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조사지내의경로를무작위로선정하여조사경로를따라병해충발생상황을관찰하였으며, 병해충동정은식물병해충도감 ( 이등, 2013) 을참고하였고동정이어려운병과충은실험실로가져와서현미경등으로관찰하여비교동정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발생조사는조사구내발생한완전고사목을대상으로시료채취기를이용하여흉고부위 (1.2m) 에서 4방위 ( 동 / 서 / 남 / 북 ) 및상, 하로고사목시료 150g 이상채취하고채취가완료된고사목에는라벨테이프로표시하였으며, 채취된시료는비닐지퍼백에담아채취일자, 장소및위성좌표를표기한후임업실험실로갖고와서매뉴얼에따라 12시간이상분리한후광학현미경 (Leica co.) 으로재선충유무를검사하였다 ( 국립산림과학원, 2012년 ). 조사결과및고찰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산림생태계조사연구일환으로제주시애월읍유수암리건승원 ( 해발 400m) 일대, 애월읍광령리영송학교일대 ( 해발 200m), 제주시도두봉 ( 해발 60m) 일대, 조천읍와흘리임지 ( 해발 140m) 일대등 4곳을대상으로조사구내주요병해충발생량, 발생시기를모니터링하였으며, 돌발적으로발생하는병해충과 2014년에고사목방제가완료된지역으로추가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발생및피해상황을조사하였다. 병해충조사결과조사구내에분포하는기주식물종에따라발생하는병해충종류가결정되어지고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방제여부에따라서도병해충발생정도가다른양상을보였다 ( 그림 2, 부록 1).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내해충피해양식에따른조사 분류한결과 ( 그림 3), 수목의수액을흡수하는흡수성해충은전지역조사구에서총 18종이조사되었으며주로진딧물류와깍지벌레류가대분분이었으며, 도두봉지역에서돈나무이는매년관찰되었다. 수목의잎을갉아먹는식엽성해충은차독나방, 독나방, 팽나무벼룩바구미등총 17종이조사되었다. 또한잎에충영을형성하는외줄면충등충영형성해충 3종이조사되었고, 천공성해충은알락하늘소 1

358 종이조사되었다. 그림 2.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내병해충조사 A: 황갈무리잎벌, B: 붉나무혹응애, C: 돈나무이, D: 때죽나무납작벌레, E: 으름덩굴녹병, F: 차독나방 그림 3.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내가해양식에따른분류 2015년도조사결과 ( 한등, 2015) 조사된해충종수는총 26종이조사되었지만 2016년도에는 39종이조사되어해충발생양상이점차증가하고있다. 이는소나무재선충병방제로소나무대신일반활엽수들이천이과정을통해숲이형성되면서다양한해충이발생하고있는것으로사료되며, 향후다년간의조

359 사결과를토대로동 식물, 곤충및병해충대상비교분석해야할필요성이대두된다. 또한서식및섭식형태별조사결과로서김등 (2007) 이국내 4개소골프장내에식재되어있는조경수대상으로발생하는해충을조사한결과식엽성해충이 49%, 흡즙성해충이 51% 를조사된것과유사한결과를보였다. 전체조사구내조사시기별병해충발생량을보면 ( 그림 4), 5월조사결과수병 11종, 해충 16종이조사되었으며, 6월에는수병 8종, 해충 13종이, 7월에는수병 11종, 해충 20종이 8월과 9월에는각각수병 8종, 해충 16종과수병 11종, 해충 24종이관찰되었으며, 10월에는수병 10종, 해충 14종이발생하였다. 수병은조사기간동안에걸쳐거의일정하게발생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해충으로는 7월과 9월에많이발생하였으며그이외에는비슷하게조사결과를보였다. 그림 4.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조사시기별병해충조사 재선충병피해지조사구내에서병해충발생양상은주로초본류보다는목 본류에서대부분관찰되었고기주식물에따라차독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소 나무순나방, 팽나무벼룩바구미, 흰가루병과깍지벌레류및돈나무이에의한

360 그을음병등이관찰되었으며, 주로돌발적으로발생하는해충과팽나무벼룩바구미등특정기주식물에따른토착해충종들이관찰되어 2015년도조사결과와비슷한발생양상을보였다. 전체조사구내조사지역별병해충발생을보면그림 5와같다. 해충은도두봉조사구에서 26종으로가장많이조사되었으며, 와흘리조사구에서 11종으로가작적게발생하였다. 그림 5.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조사지역별병해충조사 해충발생이조사지역별에따리차이를보인것은조사지역면적과소나무재선충병방제정도, 수목의종다양성, 먹이및기주식물과의관계, 울폐도에따라영향을미친것으로사료된다. 2015년도에이어해충발생이상대적으로많이관찰되었던도두봉조사구는소나무재선충병발생전수목종다양성이가장다양하고피해목제거등소나무재선충병방제정도도다른조사구에비해낮아먹이풍부도등먹이및기주식물과의관계로인해발생이증가했을것이라사료된다. 또한와흘리조사구는소나무재선충병고사목방제작업이많이진척되어진곳으로소나무고사목제거및방제작업시활엽수림의훼손등으로인해종다양성및먹이및기주식물과의관계가낮아해충이적게발

361 생된것으로사료된다. 수병발생은도두봉과광령리조사구에서각각 12종과 11종으로가장많이발생하였고, 와흘리조사구와유수암리조사구에서각각 8종과 9종으로관찰되어다른조사구보다큰차이는없었다주로관찰된수병은둥근무늬병, 점무늬병, 흰가루병, 그을음병, 갈색무늬구멍병, 빗자루병등이었다. 이수병들은기주식물과의밀접한관계이거나진딧물류와같은 1차원인에이은 2차발병, 병충해방제미실시등으로인한질병보유등이대부분이었지만말채나무의점무늬병이나동백나무탄저병등이관찰되었다. 도두봉과광령리조사구에서수병이많이발생한것과와흘리에서적게발생한요인은조사구내에분포하는숙주식물의다양성, 온도 수분과일광조건, 고사목방제정도에따라수병발생정도가차이가있는것으로사료된다. 도두봉과광령리조사구에서는소나무 ( 곰솔 ) 뿐만아니라예덕나무, 팽나무등식생종구성상태가다른조사구보다높아알맞은온도와상대습도유지, 울폐로인한일광부족등으로수병이많이발생하였으나, 와흘리조사구에서는고강도소나무재선충병방제작업으로인해식생종구성의단순성, 높은온도와낮은수분, 높은일광상태, 종다양성과기주식물의감소로인해병해충발생이감소한것으로사료된다.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조사지역별소나무재선충병발생상황을보면 ( 표 1, 그림 6), 각조사구별병해충조사시신규로관찰되는소나무고사목시료를채취하여고사목시료채취표시후실험실로가져와현미경으로재선충유무를검사하였으며, 전년도에발생한고사목은조사자료에포함시키지않았다. 각조사구별발생한소나무고사목은주로 8월 ~10월에주로발생하였으며, 2015년도조사시 8월 ~9월발생한것과약간의차이가있었다. 또한와흘리조사구에서는남아있는소나무가없어고사목을관찰할수가없었다. 도두봉조사구에서는고사목이 8~10월에관찰되었고시료채취한고사목 12본중에 5본이재선충병에감염된고사목이었으며주로 9~10월에고사한소나무에서주로감염되었다. 유수암리조사구에서는고사목이총 23본이조사되었으며 8월, 9 월을제외하고전조사기간에걸쳐발생하였으며감염여부조사결과 9본이검출되어 39% 의감염율을보였다. 광령이조사구에서는총 10본의고사목이발생하였고이중 7본이감염목으로 77% 의감염율을보였으며특히 5월 ~8월보다

362 는 9월 10월에주로발생하였고감염율도높았다. 이는아무리방제가잘이루어졌다하더라도이미재선충병에감염되어고사목으로발전되었거나장기적인방제작업으로인한미처리부분으로인해고사목발생등종합적으로고려해봐야할사항으로사료된다. 표 1.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조사지역별소나무재선충병발생상황 조사구 도두봉 유수암리 광령리 조사기간 고사본수 감염본수 ( 월 ) ( 본 ) ( 본 ) 소계 소계 소계 10 7

363 그림 6. 소나무재선충병피해지조사지역별소나무재선충병발생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계열 (2) - 1. 서부해당화 음양성 : 양수 서부해당화 Malus prunifolia 성상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 구형 번식 : 실생 / 접목 적색의꽃, 적색열매가아름다움 기조, 강조식재 2. 마가목 음양성 : 음수 마가목 Sorbus commixta 수형 : 타원형 이식 : 어려움 전정 : 보통 번식 : 실생 / 접목 / 취목 흰색꽃과적색열매가아름다움

More information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KOREA NATIONAL PARK SERVICE For the nature as it 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el : 02-3279-2700, 02-3279-2701 Fax: 02-3278-2785~6 E-mail: webmaster@knps.or.kr www.knps.or.kr About This Reports Contents

More information

433대지05박창용

433대지05박창용 Recent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Changyong Park* JaYeon Moon** Eun-Jeong Cha*** Won-Tae Yun**** Youngeun Choi***** 1958 2007 6 9 6 9 10 10 10 10 10 Abstract This

More information

03-서연옥.hwp

03-서연옥.hwp 농업생명과학연구 49(4) pp.31-37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4) pp.31-37 Print ISSN 1598-5504 Online ISSN 2383-8272 http://dx.doi.org/10.14397/jals.2015.49.4.31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적용한 충남지역 사유림경영율 추정 서연옥

More information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was surveyed from August 2016 to October 2016. The

More information

지속가능한산림자원관리지침 < 전문 > [ 별표 1] 간벌후입목본수기준 ( 단위 : 본 /ha) 수 종 가슴높이지름 ( cm )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잣나무 1,500 1,200 1,000 880 760 670 600 530 480 440 400 낙엽송 1,500

More information

03이경미(237~248)ok

03이경미(237~248)ok The recent (2001-2010) change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lated to normals (1971-2000) in Korea* Kyoungmi Lee** Hee-Jeong Baek*** ChunHo Cho**** Won-Tae Kwon*****. 61 (1971~2000) 10 (2001~2010).

More information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

44-3대지.02이광률c

44-3대지.02이광률c Properties of Channel and Evolutions of Fluvial Terraces in Odae River Gwang-Ryul Lee* 1 3 OSL 1 MIS 2 2 MIS 3 2 0 205m/ka 0 269m/ka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perties of fluvial landforms in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251-273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2.201706.251 : 1997 2005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뉴질랜드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 ( 주 ) 제이앤드에이 Ÿ Ÿ Ÿ Ÿ Ÿ Ÿ Ÿ Ÿ Ÿ 2.3)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토양특성 [표 2-7]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부지 토양 특성 유효

More information

02À±¼ø¿Á

02À±¼ø¿Á Geomor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at Jeongdongjin-Daejin area on the East Coast,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Soon-Ock Yoon*, Sang-Ill Hwang** and Hak-Kyun Ban*** Abstract : In this paper we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60000-000017-10 낙뢰연보 ANNUAL LIGHTNING REPORT. 2 0 1 4 일러두기 1. 이연보는전국에설치된 7 대의 IMPACT ESP 센서로관측된대지방전자료중에서, 3 개 이상의센서에서동시에관측된낙뢰자료만분석하였다. 2. 대지방전중전류의세기가 10 ka 이하인정극성낙뢰는구름내방전으로간주하여분석에 서제외하였다.

More information

386-390.hwp

386-390.hwp 386 HANYANG MEDICAL REVIEWS Vol. 29 No. 4, 2009 우리나라 미숙아의 통계와 의료비용 Statistics and Medical Cost of Preterm in Korea 윤혜선 을지대학교 노원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Hye Sun Yoon, M.D., Ph.D., Department of Pediatrics, Nowon

More information

<B3EDB9AE3128C3D6C1BE292E687770>

<B3EDB9AE3128C3D6C1BE292E687770> 연구논문 / 1 최근 5년동안한라산영실일대소나무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고정군, 김권수, 한태완 최근 5년동안동백동산일대상록활엽수림장기생태연구지내수목분포특성변화고정군, 김권수, 한태완 한라산정상일대야생동물분포특성오장근, 이영돈, 강인보, 김창조, 양영환 제주의멧돼지분포와행동권조사연구오장근, 이영돈, 강인보, 김창조, 양영환 백록담내딱정벌레목곤충의분포특성이영돈,

More information

목차 ⅰ ⅱ ⅱ ⅳ i

목차 ⅰ ⅱ ⅱ ⅳ i 11-1480523-000900-01 온난화환경에서의생태계영향연구 (II) 환경자원연구부자연평가연구팀, 대기환경연구과 1), 건국대학교 2) 서울대학교 3) 제주대학교 4), 충북대학교 5), 국립공원연구원 6) 2011 목차 ⅰ ⅱ ⅱ ⅳ i 목차 ii 목차 iii Abstract iv Ⅰ. 서론 Ⅰ 2 2 1 Ⅱ. 연구내용및방법 Ⅱ.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서 2009-05 일반화선형모형 (GLM) 을이용한 자동차보험요율상대도산출방법연구 Ⅰ. 요율상대도산출시일반화선형모형활용방법 1. 일반화선형모형 2 연구보고서 2009-05 2. 일반화선형모형의자동차보험요율산출에적용방법 요약 3 4 연구보고서 2009-05 Ⅱ. 일반화선형모형을이용한실증분석 1. 모형적용기준 < > = 요약 5 2. 통계자료및통계모형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15 Nov.; 26(11), 985991. http://dx.doi.org/10.5515/kjkiees.2015.26.11.985 ISSN 1226-3133 (Print)ISSN 2288-226X (Online) Analysis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243-268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1.201703.243 * - 2001 2015 - The Research Trends on Peer Counseling in Elementary and

More information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설계 2 - 조경식물 ( 목본 )- 1. 자작나무 음양성 : 양수 건습성 : 건조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번식 : 실생, 삽목 성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원추형 백색의수피, 황색단풍 강조, 유도, 차폐, 녹음식재 2. 서어나무 음양성 : 음수 생장속도 : 중간 건습성 : 건조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More information

04.hwp

04.hwp 24(5): 281 288, 2001 Korean J. Ecol. 한라산구상나무 (Abies koreana W.) 의연륜연대학적연구 기후변화에따른생장변동분석 구경아 박원규 공우석 *, * 적요 :,. 1912 1999, 1982, 1988, 1996. ( ) 4 11, 12 1.. - 1, 2, 3 11 (SOI). (frost damage), 1964, 1965,

More information

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WON HEUNG C O N T E N T S Happy House Wide Area Traffic Wonheung Bogeumjari Plan Landscape Plan Green City Wonheung 002 004 006 008 010 Unit Plan 74 A 012 Unit Plan 74 CH 014 Unit Plan 84 A 016 Unit Plan

More information

09구자용(489~500)

09구자용(489~500) The Study on the Grid Size Regard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Local Climate Maps* Cha Yong Ku** Young Ho Shin*** Jae-Won Lee**** Hee-Soo Kim*****.,...,,,, Abstract : Recent global warming and abnormal

More information

차례

차례 작품번호 1819 울산태화강의겨울철철새 모니터링자료와서식환경간의 비교연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환경 212. 7. 9. 구분성명 출품학생 지도교사 정유정 정선명 조은아 김동호 차례 - 1 - Fig 1. 태화강조류조사 site - 2 - - 3 - - 4 - - 5 - - 6 - Table 1. 모니터링실시날짜 년 21 211 212 1.9 1.16 1.8

More information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 An Analysis of Spatial-Temporal Changes in the Longevity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ng-live Community in Seoul Jae Hun Sim* Seung Cheol Noh** Hee Yeon Lee*** 7)8)9) 요약 주제어 This paper aims to

More information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

09È«¼®¿µ 5~152s

09È«¼®¿µ5~152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23, No.2, 2007, pp.45~52 Measurement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s of Rice Canopy Using a Ground Polarimetric Scatterometer System Suk-Young Hong*, Jin-Young Hong**,

More information

최종용역보고서

최종용역보고서 최종용역보고서 - 7 - - 1 - - 2 - - 3 - 그림 1. 사업대상지위치및접근경로 - 4 - 그림 2. 사업대상지위치및면적 - 5 - 그림 3. 말레이시아지도 - 6 - 그림 4. 사라왁지도 - 7 - - 8 - 그림 5. 말레이시아일반강우량분포도 그림 6. 사라왁고도분포현황 - 9 - - 10 - 그림 7. 사라왁항공노선 그림 8. Trans-Borneo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1) 통계청고시제 2010-150 호 (2010.7.6 개정, 2011.1.1 시행 ) - 4 -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에따른골밀도검사기준 (2007 년 11 월 1 일시행 ) - 5 - - 6 - - 7 - - 8 - - 9 - - 10 -

More information

歯1.PDF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More inform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발굴조사보고서 BANGUDAE PETROGLYPH IN DAEGOK-RI, ULJOO EXCAV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More information

2 안웅산 손영관 강순석 전용문 최형순 was too short for top soil layer to develop. In other words, the Gotjawal-forming lavas are inferred to be very young. This infe

2 안웅산 손영관 강순석 전용문 최형순 was too short for top soil layer to develop. In other words, the Gotjawal-forming lavas are inferred to be very young. This infe 지질학회지제 51 권제 1 호, p. 1-19, (2015 년 2 월 ) J. Geol. Soc. Korea, v. 51, no. 1, p. 1-19, (February 2015) DOI http://dx.doi.org/10.14770/jgsk.2015.51.1.1 ISSN 0435-4036 (Print) ISSN 2288-7377 (Online) 제주도곶자왈형성의주요원인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27(2), 2007, 96-121 S ij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j ij i j S ij S ij POP j SEXR j AGER j BEDDAT j k i a i i i L ij = S ij - S ij ---------- S ij S ij =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More information

src.xls

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11-148523-132-1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12 목차 Ⅰ Ⅱ Ⅲ ⅰ 목차 Ⅳ ⅰ 목차 iii 목차 ⅳ Abstract ⅴ Ⅰ. 서론 1 Ⅱ. 연구내용및방법 < 그림 1> 대청호유역추소리조사지점도 2 Ⅱ. 연구내용및방법 3 Ⅱ. 연구내용및방법

More information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11-1480523-001163-01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목 차 ⅰ ⅲ ⅳ Abstract ⅵ Ⅰ Ⅱ Ⅲ i 목 차 Ⅳ ii 목 차 iii 목 차 iv 목 차 v Abstract vi Abstract σ ε vii Abstract viii Ⅰ. 서론 Ⅰ. 1 Ⅰ. 서론.

More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18 Oct.; 29(10), 799 804. http://dx.doi.org/10.5515/kjkiees.2018.29.10.799 ISSN 1226-3133 (Print) ISSN 2288-226X (Online) Method

More information

- 1 -

- 1 - - 1 - - 2 - - 3 - - 4 - - 5 - - 1 - - 2 - - 3 - - 4 - σ σ σ σ σ σ σ - 5 - - 6 - - 7 - - 8 - log - 9 - - 10 - - 11 - - 12 - m ax m ax - 13 - - 14 - - 15 - - 16 - - 17 - tan - 18 - - 19 - tan tan - 20 -

More information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400,,,,,,.,,, -, -, -., 3.. :, Tel : 010-9540-0640, E-mail : sunney05@hanmail.net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More information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An 1 & Kyoo-jeong Choi 2 * 1 Korea National Wrestling

More information

1..

1.. Volume 12, Number 1, 6~16, Factors influencing consultation time and waiting time of ambulatory patients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Jee-In Hwang College of Nursing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11-1480523-000748-01 배경지역 ( 백령도 ) 에서의 대기오염물질특성연구 (Ⅲ) 기후대기연구부대기환경연구과,,,,,,, Ⅲ 2010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목차 Ⅳ ii 목차 iii 목차 iv 목차 μg m3 μg m3 v 목차 vi Ⅰ. 서론 Ⅰ μm μg m3 1 Ⅰ. 서론 μg m3 μg m3 μg m3 μm 2

More information

°ø±â¾Ð±â±â

°ø±â¾Ð±â±â 20, 30, 4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3.1 6.3 9.4 12.6 15.7 18.8 22.0 25.1 28.3 31.4 2.4 4.7 7.1 9.4 11.8 14.1 16.5 18.8 21.2 23.6 7.1 14.1 21.2 28.3 35.3 42.4 49.5 56.5 63.6 70.7 5.9 11.9 17.8 23.7

More information

212.fm

212.fm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7, no. 2, p. 236 246, April 2006 ( 해설 ) 남제주사람발자국화석을포함한지층의층서와지질연대에대한고찰 김경수 1, *Á 김정률 2 1 충북과학고등학교, 363-853 충북청원군가덕면상야리 2 한국교원대학교지구과학교육과, 363-371 충북청원군강내면다락리 Review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357-378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9.2.201906.357 3 * Effects of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Curriculum Cluster

More information

서론 34 2

서론 34 2 34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ume 34, Number 2, 2009, pp. 165 176 165 진은희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More informatio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KDI정책포럼제221호 (2010-01) (2010. 2. 10) 내용문의 : 이재준 (02-958-4079)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02-958-4312)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http://www.kdi.re.kr 우리나라경기변동성에대한요인분석및시사점 이재준 (KDI 부연구위원 ) * 요 약,,, 1970. * (,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Method Country Vegetation type Reference AA Japan Quercus-mixed Kirita(1971) Japan Quercus-mixed Nakane(1975) CC China glassland Jia et al.(2006) Japan deciduous forest Hirano e tal.(2003) USA hardwood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01이정훈(113~127)ok

01이정훈(113~127)ok The Role of Historical Relativity in International Exchange of Culture and Tourism at the Regional Level: A Case of Gyeonggi and Shandong Province Jung-hoon Lee** Kyung-Eun Choi*** Eun-Ja Lee****,.,,.,,.,,.,.,.,,,

More information

-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More information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고속도로건설에 따른 지역간 접근성 변화분석 A study on the impact of new highway construction on regional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se the interregional accessibility changes due to highway construction.

More information

기업분석(Update)

기업분석(Update) 1.. Quantitative Analyst 이창환 91-73 ch.lee@ibks.com Sector Monitor: 업종별수익률 : Cyclical 업종이 Defensive 업종대비아웃퍼폼 이익모멘텀 : 1개월전대비 EPS 전망치변화율은업종전반적으로 (+) 를기록. ERR 역시전반적으로 (+) 를기록한가운데 와, 업종이두드러짐. 개월선행 EPS 전망치는,,

More information

<B1B9BEEE412E687770>

<B1B9BEEE412E687770> 21 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및정답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Lumbar spine

Lumbar spine Lumbar spine CT 32 111 DOI : 10.3831/KPI.2010.13.2.111 Lumbar Spine CT 32 Received : 10. 05. 23 Revised : 10. 06. 04 Accepted : 10. 06. 11 Key Words: Disc herniation, CT scan, Clinical analysis The Clinical

More information

1

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9 2.7 제주국제자유도시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91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D + 1.500

More information

44-3대지.08류주현c

44-3대지.08류주현c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ing Regional Typ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Foreigner Commuting Ju-Hyun Ryu*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many implications of commuting regional

More information

BTXHINECYMSR.hwp

BTXHINECYMSR.hwp 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 무갑산 양자산 천덕봉 국수봉 - 양금철 신진호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1. 서론 식생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 자원을찾는데그목적이있다.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이라함은희귀 성, 대표성, 전형성을포함하는것으로서자연식생, 극지의입지에남아있는유존식생, 식 생발달에오랜시간이걸리는식생유형을말한다.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조림설계 감리및사업시행지침 목 차 위치및면적 교촌 1 소반 ( 면적 5.80ha) 구분 작업량 단위품 소요품 단가 ( 원 ) 할인 금액 ( 원 ) ( 인원, 수량, 요율 ). 단위작업 단위 단위 종류 할증 비 고 o 예정지정리 1,048,775 - 직접노무비 10.50 84,687 5% 933,674 ㆍ불량림벌채 1 ha 1.50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1.201604.1 *,..,,,.,.,,,,.,,,,, ( ).,,,. * 2014. 2015. ** 1, : (E-mail: cajoo@pusan.ac.kr)

More information

2011´ëÇпø2µµ 24p_0628

2011´ëÇпø2µµ 24p_0628 2011 Guide for U.S. Graduate School Admissions Table of Contents 02 03 04 05 06 08 09 10 11 13 15 21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SERVICE www.leadersuhak.com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More information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actus standard nutrient solution for hydroponic culture in potted succulents, Echeveria derenbergii, Sedeveria Letizia and Cotyledon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149-171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4.201712.149 * A Study 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Introduction of Innovational

More information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27 2, 71-90. 2009. 3 * ** 3, 3,. B 2003 4 2004 2.,.,,,.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Development) ** ( : heyjun@gmail.com) 72 한국교육문제연구제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461-487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8.4.201812.461 * - 2008 2018 - A Study on the Change of Issues with Adolescent Problem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The e-business Studies Volume 17, Number 6, December, 30, 2016:275~289 Received: 2016/12/02, Accepted: 2016/12/22 Revised: 2016/12/20, Published: 2016/12/30 [ABSTRACT] SNS is used in various fields. Although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MUQNBKAYUVJY.hwp

MUQNBKAYUVJY.hwp 1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 새별오름 거문오름 노로오름 - 유영한 정헌모 공주대학교생물학과 1. 서 론 조사지역인제주도는우리나라의저위도지역에위치하고있으며, 동서방향의장축 (74km) 과남북방향의단축(32km) 을갖는타원형의모양을하고있다. 총면적은 1,824.9 km2로서행정구역단위중도로서는제일작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제주도 2006).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The e-business Studies Volume 17, Number 6, December, 30, 2016:237~251 Received: 2016/11/20, Accepted: 2016/12/24 Revised: 2016/12/21, Published: 2016/12/30 [ABSTRAC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577-601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8.4.201812.577 3 * The Effect of Home-based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More information

03¹ü¼±±Ô

03¹ü¼±±Ô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Seon-Gyu Beom* Abstract : In Korea, aside from their official administrative names, aliases of each province

More information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3) 2 1) 1897519( ) ( ) () () () 4) ( ) 5) 6) 15-20 7) 191216 2) ( ) () 42 () 193111 12 1933 4 3)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3) 2 1) 1897519( ) ( ) () () () 4) ( ) 5) 6) 15-20 7) 191216 2) ( ) () 42 () 193111 12 1933 4 3) 141(26) 20056 Korean J Med Hist 14131 Jun 2005 ISSN 1225505X ( 1897-1982) * ** 1 ( 1897-1982) ( ) 1) 3 1 ( ) 1930 1930 1930 * () ** 1) ( 2000 p 13-15) 1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More information

04김호걸(39~50)ok

04김호걸(39~50)ok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2, No. 1(2013) pp.39~50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Kim, Hogul* Lee, Dong-Kun** Mo, Yongwon*

More information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190 2016 JEL Classification Number J24, I21, J20 Key Words JILPT 2011 1 190 Empirical Evidence on the Determinants of Success in Full-Time Job-Search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By Hiroko ARAKI and

More information

01À̽ÂÈ£A9-832š

01À̽ÂÈ£A9-832š A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in Korea* Seungho Lee** and Won Tae Kwon*** Abstract : Daily rainfall data from 14 stations during 1941 to 2000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e information

3 Contents 8p 10p 14p 20p 34p 36p 40p 46P 48p 50p 54p 58p 생명다양성재단 영물이라는 타이틀에 정 없어 보이는 고양이, 날카롭게 느껴지시나요? 얼음이 따뜻함에 녹듯이, 사람에게 경계심 많은 길고양이도 곁을 내어주면 얼음 녹듯이 당신을 바라봅니다. 길 위에 사는 생명체라 하여 함부로 대하지 말아주세요. 싫으면 외면해주세요.

More informati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Vol.5, No.5, October (2015), pp.471-479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10.50 스마트온실을 위한 가상 외부기상측정시스템 개발 한새론 1), 이재수 2), 홍영기 3), 김국환 4), 김성기 5), 김상철 6) Development of Virtual Ambient Weather Measurement

More information

1. 경영대학

1. 경영대학 [ 별표 1] 1. 교육과정의영역구성및이수점표 경 영 농 업 생 명 과 동물생명과 과 ( 부 ) 명 경영 회부 ( 경영전공 ) 교 최소전공필수선택 심화점 7 12 1 18 38 18 27 45 0 45 47 단일전공 27 72 20 경영 회부 0 45 47 7 12 1 18 38 21 24 45 ( 회전공 ) 단일전공 27 72 20 경제 무역부 0 45 47

More information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5, Number 1, March 2016 : pp. 33 ~ 67 부문별에너지원수요의변동특성및공통변동에 미치는거시적요인들의영향력분석 33 ~ < 표 1> 에너지소비량과주요변수들의연평균증가율 ~ ~ ~ ~ ~ 34 35 36 37 38 ~ 39 [ 그림 1] 부문별에너지원소비량의증가율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최송현 ( 밀양대학교조경학과교수 ) 목차 1. 머리말 2. 천성산환경영향평가서검토 (1) 1994년환경영향평가서내용검토 (2) 2003년자연변화정밀조사보고서검토 3. 천성산지역의군집구조조사및분석 (1) 현존식생및녹지자연도분석 (2) 연륜및생장분석 4. 연구결과의비교 5.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1. 머리말 천성산 ( 千聖山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More information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5. 상평형 : 순수물질 이광남 5. 상평형 : 순수물질 상전이 phase transition 서론 ~ 조성의변화없는상변화 5. 상평형 : 순수물질 전이열역학 5. 안정성조건 G ng ng n G G 자발적변화 G < 0 G > G or 물질은가장낮은몰Gibbs 에너지를갖는상 가장안정한상 으로변화하려는경향 5. 상평형 : 순수물질 3 5. 압력에따른Gibbs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91-116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9.1.201903.91 : * Research Subject Trend Analysis on Educational Innovation with Network

More information

¹ýÁ¶ 12¿ù ¼öÁ¤.PDF

¹ýÁ¶ 12¿ù ¼öÁ¤.PDF 논문요약 146 [ 주제어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abstract Recent Development in the Law of DPRK on the

More information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4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SO2, 아황산가스)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SO2)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의

More information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제 6 차지역산림계획 2018. 1. 차 례 제 6 차지역산림계획개요 1 제 5 차지역산림계획평가 3 제 6 차지역산림계획작성방향 7 비전과전략 9 전략별주요추진계획 11 1. 기후변화대응및지속가능한산림경영체계확대 12 2. 산림산업육성및산림일자리창출 16 3. 국유림을활용한지역소득증대및산촌활성화 18 4. 일상속산림복지체계정착 20 5. 산림생태계보전과이용조화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04-다시_고속철도61~80p

04-다시_고속철도61~80p Approach for Value Improvement to Increase High-speed Railway Speed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 highly competitive system is to create a new market place that can create new values. Creating tools and

More information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 수시연구 2013-01.. 2010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2010... 권혁구ㆍ서상범... 서문 원장 김경철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xi 요약 xii xiii xiv xv xvi 1 제 1 장 서론 2 3 4 제 2 장 국가물류비산정방법 5 6 7 8 9 10 11 12 13

More information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2012. 12 : pp.231~251 생활지향형 요소의 근린주거공간 분포특성 연구: 경기도 시 군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Life-Oriented Features in the Neighborhood: Focused on Municipalities of Gyeonggi Province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