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9ABBFEBBFAABBE7B1E2B7CFC7D C8A328BABBB9AE D32C2F7B1B3C1A4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B9ABBFEBBFAABBE7B1E2B7CFC7D C8A328BABBB9AE D32C2F7B1B3C1A42E687770>"

Transcription

1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 몽금척 수보록 문덕곡을중심으로 + 39) 조경아 * ( 한국예술종합학교무용원세계민족무용연구소전임연구원 )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 정도전악장정재에주목하는이유 Ⅱ. 몽금척정재의상징과비유 Ⅲ. 수보록정재의상징과비유 Ⅳ. 문덕곡정재의상징과비유 Ⅴ. 상징의지속과단절 Ⅵ. 맺음말 : 정도전악장정재에담긴현재적의미참고문헌 Abstract * 조경아 choom71@hanmail.net. + 이논문은 2009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 G00029)

2 국문초록 이글은정재가지닌융합적성격을고려하면서, 정재의의미에접근하는연구가필요하다는문제제기를하며시작되었다. 특히정도전은조선시대를대표하는사상가이자, 그가지은악장은조선시대에표본적역할을했으며, 이후정재의형태로공연되어대한제국까지지속되었기에그의악장정재를연구대상으로삼았다. 정도전은 1393년 ( 태조 2) 7월에태조에게악장을지어올렸는데그중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이나중에정재의형태로확장되었다. 따라서이글의목적은정도전악장의정재인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는무엇가? 그상징이어떻게조선시대에지속되었으며, 현재적의미는무엇인가? 를생각해보려는것이다. 연구의시기적범위는조선시대로한정하며, 대한제국기를포함한다. 연구방법은정재가기록된사료와도상자료를중심으로연구하는문헌연구방법을택했다. < 몽금척 > 정재는태조가즉위이전에꿈에신인이내려와천명을상징하는 금척 을주었다는내용이다. 금척 은곧 금으로만든자 인데, 신화에서자 [ 尺 ] 는왕권과함께생명력과규범을상징한다. 치어의내용에서금척을받을인물의조건은문무를겸하고, 덕이있으며, 지식을모두갖추고있고, 백성들이바라는사람이었다. 1인이읊는치어가하늘뜻을대표한것이라면, 12명의함께노래하는창사는많은백성들의뜻이라는것을시각화해서상징적으로드러냈다. 금척사에서는 유덕 과, 백성들의마음 을강조했다. 창사를부르면서점진적으로춤도확대되는데, 천억대를이어가라는금척사의메시지의확대와도상응하였다. 마지막퇴구호에서는경계의마음을가지라고당부한다. < 수보록 > 정재는태조가즉위이전에이상한글이쓰여있는 이서 를지리산의석벽에서사람이얻었는데, 이후에태조가즉위하여이글이실현되었다는내용이다. < 수보록 > 의춤에서핵심적인상징은 보록 이라는무구이다. 금척 이하늘에서천명으로신인이내린것이라면, 보록 은살아있는사람이전해준것이나, 왕업이라는상징은상통한다. 춤에서상징적인인물은지선 ( 地仙 ) 인데, < 수보록 > 악장에없던새로운역할로등장했다. 보록사를창한뒤에전체 6대의 18인의무원이이중으로줄지어세차례도는춤동작은창사의내용이모두이루어지라는온백성의염원과소망을담은듯하다. < 문덕곡 > 정재에서는백성들의염원을상징적으로드러냈다. < 문덕곡 > 악장은태조이성계가언로 ( 言路 ) 를열고, 공신 ( 功臣 ) 을보전하고, 토지제도를개혁하고, 예악을정리한것을치적으로찬양한내용이다. 표면적으로는공덕을기리는것이지만, 내면적으로는정도전이건의하여진행중인네가지사안이앞으로조선왕실에서지속되기를바라는기원이었다. 태조대에만들어진세악장은늦어도태종대에정재로만들어져서각종의례에쓰였다. 태종대에는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의내용이꿈에일어난일과도참설일뿐태조의실제덕이아니라고비판받았으나세종대는다시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을활발히공연했다. 그러나조선후기에는 < 몽금척 > 만이연향에서자주공연되었으며, 대한제국때까지지속되었다. 정도전악장의정재는신하로서임금에게하는발언이자제언이기도했다. 공연중간에부르는악장을단순히임금의공덕이나치적을받들어올리는송덕이나장수를기원하는내용으로만이해하면평면적인이해에그치는것이다. 오히려정도전이악장에서강조하는것은위정자로서칭송받을만한공덕을지니고있어야한다는 경계 의시각과, 천명과민심에의한정치를해야한다는메시지가낮고무겁게깔려있다. 정도전의민본사상이그의세악장정재에서도고스란히나타난것이다. 정도전의악장에서는민심을반영하는좋은국가를만들기위해군주로서의최선이무엇인가를끊임없이고민하도록했다. 천심, 즉민심을떠난왕과왕실은결국망할수밖에없다는이러한메시지는오늘날에도여전히유효하다. 최고국정자의리더십이어떠해야하는가? 국가가무엇을해야하는가를고민해야하는오늘날에도정도전의악장정재가주는 묵직한울림 은여전하다. < 주요어 > 정재 ( 呈才 ), 몽금척 ( 夢金尺 ), 수보록 ( 受寶籙 ), 문덕곡 ( 文德曲 ), 정도전 ( 鄭道傳 ) 176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3 Ⅰ. 머리말 : 정도전악장정재에주목하는이유 정재 ( 呈才 ) 1) 는악장, 춤, 반주음악등가무악 ( 歌舞樂 ) 이융합되어있는장르이다. 이런장르적성격을고려하면정재의한부분만을연구하는것으로는역사적실체에접근하기어렵다는생각이다. 국문학계에서도정재악장의본질적이해는음악과춤의상관적맥락에서이루어져야한다는견해가제시되었다. 2) 정재가지닌융합적성격을고려하면서, 정재의의미에접근하는연구가필요하다는문제제기를하며본연구는시작되었다. 이러한문제의식으로고려시대의당악정재이면서대한제국까지공연된 < 헌선도 ( 獻仙桃 )> 를발표했고, 3) 고려시대의향악정재이면서역시대한제국까지인기리에공연된 < 무고 ( 舞鼓 )> 를의미론적으로접근하여발표했다. 4) 이러한연구의연장선에서세번째연구는조선전기에정도전 ( 鄭道傳, 1342~1398) 의악장 5) 을정재로만든 < 몽금척 ( 夢金尺 )> 6) < 수보록 ( 受寶籙 )> < 문덕곡 ( 文德曲 )> 을의미론적으로살펴보고자한다. 정도전의자는종지 ( 宗之 ), 호는삼봉 ( 三峰 ) 이며, 본관은안동 ( 安東 ) 봉화 ( 奉化 ) 이며, 형부상서 ( 刑部尙書 ) 정운경 ( 鄭云敬 ) 의아들이다. 그는공민왕이친히종묘에제향했을때, 그림을상고하여악기를제작했을7) 정도로젊어서부터음악에재능이많았던듯하다. 그림 1. 정도전 1) 재주 ( 才 ) 를드린다 ( 呈 ) 는뜻에서비롯된정재의전통은고려시대부터시작되었다. 고려시대에는기녀들이궁중에서정재를공연했고, 조선시대에는궁중에서무동 ( 舞童 ) 이나여령 ( 女伶 ), 지방관아에서기녀들이공연을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기생조합이나권번출신의기생과이왕직아악대의무동이정재를담당했고, 현대에는국립국악원을비롯하여다양한곳에서공연되고있는가무악 ( 歌舞樂 ) 의종합예술이다. 조경아, 일제강점기기록을통해본춘앵전의역사성, 무용예술학연구 제 29 집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0), 107 쪽. 2) 조규익, 조선조악장의문예미학 ( 서울 : 민속원, 2005), 179 쪽. 3) 조경아, 정재의가무악 ( 歌舞樂 ) 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Ⅰ: 헌선도, 무용예술학연구 제 32 집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1), 149~177 쪽. 4) 조경아, 무고 ( 舞鼓 ) 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의미와그역사성, 한국무용사학 제 13 호 ( 한국무용사학회, 2012), 35~73 쪽. 5) 정도전이지은악장은몽금척 ( 夢金尺 ) 수보록 ( 受寶籙 ) 문덕곡 ( 文德曲 ) 납씨곡 ( 納氏曲 ) 궁수분곡 ( 窮獸奔曲 ) 정동방곡 ( 正東方曲 ) 신도가 ( 新都歌 ) 등모두일곱이다. 신도가는중종대에아박정재의창사로쓰이기도했다. 6) 기록에따라 몽금척 과 금척 두용어가혼용되었으나, 금척은무구 ( 舞具 ) 의명칭으로도쓰였으므로, 이글에서는혼동을피하기위해정재명일경우몽금척으로통일하겠음. 7) 태조실록 권 14, 1398 년 ( 태조 7) 8 월 26 일 ( 기사 ). 실록의번역문과원문은조선왕조실록웹사이트 ( 를이용함. 이하같음.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77

4 왜정도전이지은악장의정재를살펴보는일이중요할까? 첫째로, 사상가로서의정도전은조선왕조를통틀어가장강력한영향력을발휘했기때문이다. 조선왕조의역사는정도전이깔아놓은궤도를따라서 519년의장수를누렸다고할정도로그의사상은헌법과제도속에녹아있었다. 정도전은그횡적인측면에서의넓이에서나질적인면에서의깊이에서나, 그리고그사상이당대에미친영향력에서나, 당대사상계의일인자였으며또한 실학 으로서의성리학을가장실학답게실천한성리학자 8) 로평가받는다. 둘째로, 정도전의악장은조선시대에핵심적표본의역할을했고, 후속악장에영향을주었기때문이다. 1393년 ( 태조 2) 7월 26일에정도전은태조에게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 납씨곡 ( 納氏曲 )> < 궁수분곡 ( 窮獸奔曲 )> < 정동방곡 ( 正東方曲 )> 의악사 ( 樂詞 ) 를지어올렸다. 이는조선개국이래최초로악장을지어올린사례로서, 그는사명감이뚜렷한예악관에입각하여악장을창작했다. 9) 정도전이악장에대한관념은 역대로천명 ( 天命 ) 을받은인군은무릇공덕 ( 功德 ) 이있으면반드시악장에나타내어당시를빛나게하고, 장래 ( 將來 ) 에전하여보이게된다. 10) 라고언급한내용에서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정도전이올린악장은이후정재로만들어졌고, 대한제국까지지속적으로공연되었기때문이다. 처음에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은 1393년 ( 태조 2) 7월에가사만있는악사 ( 樂詞 ) 로지어졌고, 세달뒤인 10월에전악서 ( 典樂署 ) 에서무공방 ( 武工房 ) 을거느리고 < 문덕 > < 무공 > < 몽금척 > < 수보록 > 등새음악을올렸으니, 11) 이때에선율이붙은것이다. 그뒤에 1402년 ( 태종 2) 의국왕연종친형제악 ( 國王宴宗親兄弟樂 ) 에서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정재가공연되었다. 12) 따라서악사가지어지고, 늦어도 9 년뒤에는정재의형태로춤이동반되었다. 따라서정도전악장의정재는 악장이정재화 되는과정을보여주는사례로서중요하다. 또한정도전의사상이조선시대전반에걸쳐영향을끼친것과마찬가지로몽금척정재또한대한제국기까지생명력있게공연되었으니, 정재사에게주목되는것은당연하다. 정도전악장의정재에관한선행연구는국문학계에서조규익과김영수의연구가13) 있고, 음악학계에서송방송과김종수의연구가14) 주목된다. 무용학계에서는김영숙 박현 8)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 파주 : 지식산업사, 1999), 347~350 쪽. 9) 조규익, 시대를여는자의경륜과자긍심 : 정도전의악장, 조선조악장의문예미학, 373~374 쪽. 10) 태조실록 권 년 ( 태조 2) 7 월 26 일 ( 기사 ). 11) 태조실록 권 년 ( 태조 2) 10 월 27 일 ( 기해 ). 12) 태종실록 권 년 ( 태종 2) 6 월 5 일 ( 정사 ). 13) 조규익, 시대를여는자의경륜과자긍심 : 정도전의악장, 조선조악장의문예미학, 365~404 쪽 ; 김영수, 정도전악장문학연구, 동양학 34 집 ( 동양학연구소, 2003), 1~34 쪽. 14) 송방송, 조선왕조건국초기의정재사 ( 呈才史 ) 연구, 음악과민족 23 호 ( 민족음악학회, 2002), 193~232 쪽 ; 178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5 진 성기숙 15) 등이 < 몽금척 > 정재를중심으로정도전악장정재에접근하였다. 본연구에서는선행연구에서는한걸음더나아가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정재의악장 춤 반주음악에상징과비유 16) 가정재에어떠한의미로드러나는지살펴보고자한다. 윤병태는 예술적표현은예외없이대상이나사실적설명이아니라, 그의미의추상적이고비약적인면을은유적으로보여주려는목적을가진다는점에서상징적일수밖에없다. 라고하였다. 17) 연구의시기적범위는조선시대로한정하며, 대한제국기를포함한다. 연구방법은정재가기록된사료와도상자료를중심으로연구하는문헌연구방법을택한다. 살펴볼주요자료는정도전이남긴문집인 삼봉집 ( 三峰集 ), 18) 정재의창작과공연된상황을알수있는 조선왕조실록, 조선성종때정재의춤진행절차를알수있는 악학궤범 ( 樂學軌範 ), 조선후기정재가기록된의궤 ( 儀軌 ), 19) 고종대정재의무보인 정재무도홀기 ( 呈才舞圖笏記 ) 20) 등이다. 결국, 이글의목적은정도전악장의정재인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는무엇인가? 그상징이어떻게조선시대에지속되었으며, 현재적 조선왕조정재사연구 ( 서울 : 보고사, 2013), 47~85쪽으로복간됨. 김종수, 조선초기악장연행양상, 온지논총 제18집 ( 온지학회, 2008), 75~102쪽. 15) 김영숙, 조선조( 朝鮮朝 ) 초기 ( 初期 ) 의궁중무 ( 宮中舞 ), 한국미래춤학회연구논문집 제1집 ( 한국미래춤학회, 1993), 40~64쪽 ; 박현진, 몽금척의유교사상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0; 성기숙, 궁중정재에나타난天人合一사상연구, 한국미래춤학회연구논문집 제8집 ( 한국미래춤학회, 2001), 115~141쪽. 16) 상징의사전적뜻은 추상적인사물이나관념또는사상을구체적인사물로나타내는일 이며, 비유의사전적뜻은 어떤현상이나사물을직접설명하지아니하고다른비슷한현상이나사물에빗대어서설명하는일 이다.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사이트 ( 참고. 17) 윤병태, 헤겔미학에서 상징 과 상징예술 의개념적이해를위한서언, 헤겔연구 15집 ( 한국헤겔학회, 2004), 67~68쪽. 18) 삼봉집 이처음으로출간된것은고려우왕 11년에서 13년사이로추정됨. 개국후태조 6년 (1397) 8월에정도전의아들정진 ( 鄭津 ) 은 2권의 삼봉집 ( 홍무초본 ) 을개간하였으나, 전하지않음. 세조 11년 (1465) 에경상도관찰사로있던정도전의증손정문형 ( 鄭文炯 ) 이홍무초본에합하여 6책으로편성하고안동부 ( 安東府 ) 에서간행하였고, 성종 17년 (1486) 겨울에증보하였음. 정조 ( 正祖 ) 15년 (1791) 에왕명으로 삼봉집 ( 대구본 ) 을 14권 7책으로간행함. 한영우, 삼봉집 해제 한국고전번역원웹사이트 ( 참조. 이하본논문에서 삼봉집 의해석은한국고전번역원웹사이트에서제공하는번역문을참고했음. 19) 조선후기의궤에는몽금척 수보록 문덕곡중몽금척정재만기록되었음. 정조을묘 (1795) 정리의궤 권 1.59a11-b9 금척 ; 순조기축 (1829) 진찬의궤 권1.13a4-b4. 금척 ; 헌종무신 (1848) 진찬의궤 권 1.18a2-b1 금척 ; 고종정축 (1877) 진찬의궤 권1.16a11-b10. 금척 ; 고종정해 (1887) 진찬의궤 권.1.14b8-15a7. 금척 ; 고종임진 (1892) 진찬의궤 권1.32b8-33a7. 금척 ; 고종신축 (1901) 진찬의궤 권 1.11a4-b3. 금척 ; 고종신축 (1901) 진연의궤 권1.31a5-b4. 금척 ; 고종임인 ( ) 진연의궤 권 1.23b7-24a6. 금척 ; 고종임인 ( ) 진연의궤 권1.31a3-b2. 금척. 20) 조선후기 정재무도홀기 에는몽금척 수보록 문덕곡중몽금척정재만기록되었음. 계사 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연 여령각정재무동홀기 ; 신축 외진연시무동각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찬익일회작 여령각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찬 여령각정재무도홀기 ; 연대미상 무동각정재무도홀기.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79

6 의미는무엇인가? 를생각해보려는것이다. Ⅱ. < 몽금척 > 정재의상징과비유 이장에서는 악학궤범 을기준으로정도전이창작한 < 몽금척 > 정재의흐름에따라악장에어떠한상징과비유가포함되어있는가를우선살펴보고, 다음으로악장의상징이춤공간에서어떻게시각화되었는가를주목하고자한다. 마지막으로반주음악과그아명에는이러한상징과어떤관련을맺고있는가를알아보려고한다. 1. 시작을알리는진구호 ( 進口號 ) 의상징과비유 < 몽금척 > 의첫기록인 태조실록 에는몽금척치어와 < 몽금척 > 사만수록되었고, 진구호와후구호, 성인사 ( 聖人詞 ) 의내용이없었다. 이후편찬된정도전의 삼봉집 을비롯하여성종대에편찬된 악학궤범 에는전체내용이수록되었으므로, 이들이모두정도전이지은것인지치어와몽금척사만정도전의작품인지는논란이있다. 21) 그러나 악학궤범 의기록에진구호와후구호, 성인사 ( 聖人詞 ) 도불렸으므로함께검토하겠다. 태조실록 과 삼봉집 은악장만기록되었으므로, < 몽금척 > 이정재의형식으로기록된 악학궤범 을기준으로상징과비유를살펴보기로한다. 진구호는 < 몽금척 > 정재의첫부분이다. 오운개서조 ( 五雲開瑞朝 ) 인자 ( 引子 ) 22) 의음악이연주되면, 죽간자를든 2인과족자를든 1인이조금앞으로나와무대에서면음악이그친다. 이들은무반주로진구호를부르는데23), 그내용은다음과같다. 奉貞符之靈異 美盛德之形容 하늘의명으로받은부록의신령스러움받들어 성덕의형용을찬미하도다 21) 삼봉집 치사 항목에기록되었으며, 진구호는 진시구호 ( 進時口號 ) 로, 퇴구호는 퇴시구호 라하였는데수보록에서도함께쓴다고하였다. 조규익은진시구호, 퇴시구호, 몽금척중강사등이 삼봉집 에수록되었지만, 태조실록 에생략되었기에정도전의작품으로보기어렵다고했다. 정재로개편될때누군가가창작, 첨부했고, 뒷날문집간행시에수록했으리고추정했다. ( 조규익, 시대를여는자의경륜과자긍심 : 정도전의악장, 조선조악장의문예미학, 366 쪽.) 그러나필자의생각에는 삼봉집 의편찬을아들과증손자가했던점과별다른주석이달려있지않다는점으로미루어보아정도전의글일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 22) 고종대 정재무도홀기 에서는보허자령 ( 步虛子令 ) 이연주되었음. 23) 의궤나 정재무도홀기 기록에서는모두죽간자를든 2 인이구호를하는데, 악학궤범 에서만구호를하는주체가족자 1 인과죽간자 2 인으로되어있음. 180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7 冀借優容 바라옵건대너그러이받아들이사 式孚宴譽잔치의즐거움을참되게하소서 24) 진구호에서핵심적인상징어는 정부 ( 貞符 ) 25) 이다. 정부는 하늘의명으로받은부록 이라는뜻인데, 부록 은뒷날에일어날길조나상서로운조짐을가리킨다. 부록은어떤추상적인상황을구체적인모습으로드러내미리보이는것이므로그자체가상징이다. 부록의형태는여러가지일수있는데, 여기서는바로이어지는금척 ( 金尺 ) 을미리암시한다. 부록의종류중에서도 정부 라고하여하늘의명, 즉천명으로받은특별한부록이다. 이는바로태조가꿈에서신인에게받은금척을말하는데, 금척으로 성덕의형용을찬미 하겠다고했다. 26) 진구호를하는부분에서춤의요소는미미하여춤의상징성을찾기어렵다. 죽간자를든이가나란히족도하여조금나아가서서구호를하고, 구호를마치면다시족도하여좌우로나뉘어서는동작정도이다. 2. 치어의상징과비유 구호에이어지는치어에는태조가금척을받기까지의내력을말하고있다. 악학궤범 에서음악이최자 ( 嗺子 ) 령 ( 令 ) 27) 을연주하면, 금척을든 1인과황개를든 1인이함께족도하면서조금나아가선다. 음악이그치면, 금척을든 1인이치어를하는데, 그내용은다음과같다. 금척 ( 金尺 ) 을꿈꾼것은천명을받으려는상서입니다. 28) 태조가29) 잠저 ( 潛邸 ) 30) 에있을때에꿈에신인 ( 神人 ) 이금척을받들고하늘에서내려와이르는말이 경시중 ( 慶侍中 ) 은맑은덕망이있으나장차너무늙었고, 최삼사 ( 崔三司 ) 는정직하다는명망이있으나어리석다. 라고하면서태조에게이르기를 자질이문무 ( 文武 ) 를겸하고덕도있고지식도있어, 24)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과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25) 한어대사전 에따르면, 정부 ( 貞符 ) 는상서로운부서로, 하늘의명을받은부록을지칭함.( 禎祥的符瑞. 指受命之符.) 26) 사전적인의미로칭송한다는의미의 송 ( 頌 ) 이바로성덕의형용을찬미하겠다는뜻이됨. 한어대사전 의 詩大序 에따르면, 칭송 ( 頌 ) 은성덕의형용을찬미하는 ( 美盛德之形容 ) 것이라했음. 27) 고종대 정재무도홀기 에서는향당교주 ( 鄕唐交奏 ) 를연주함. 28) 태조실록 에는이부분인생략됨. 29) 태조실록 에는 태조 대신 주상전하 ( 主上殿下 ) 라고기록됨. 30) 처음으로나라를세운임금이왕위에오르기전에사는집이나그시기를가리킴.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81

8 백성들의신망 ( 民望 ) 이몰렸다. 라고하고곧금척을주었습니다. 31) 금척은천명을상징한다. 치어의첫머리에 금척을꿈꾼것은천명을받으려는상서입니다 라고하여, 금척이라는구체적인사물로서추상적인개념인하늘의명을상징적으로드러낸다는것을알려준다. < 몽금척 > 정재의핵심적인상징인금척은치어에처음으로등장한다. 금척 은곧 금으로만든자 인데, 신화에서자 [ 尺 ] 는왕권과함께생명력과규범을상징한다. 이는자가만물의측량과조절이라는역할을수행하며, 왕만이그역할을소유했음을뜻한다. 동경잡기 ( 東京雜記 ) 에따르면, 신라시조혁거세도꿈에신인이하늘에서내려와금척 ( 金尺 ) 을주면서 그대는문무에뛰어나고신성하여백성이바라본지가오래이니, 이황금자로강토를바로잡으라. 하고하였고, 꿈에서깨어보니황금자 [ 金尺 ] 가있었다고한다. 32) 이때시간의상징으로 꿈 이주목된다. 현실공간에서는신인을만날수없으나, 꿈이라는특별한시간속에서는신과의만남이허락된다. 또한 꿈 의공간은매우사적이다. 남의꿈을알수없고, 남의꿈에들어갈수없다. 중국에서도꿈을통해건국의천명을받은인물들이전한다. 중국주나라 ( 周 : BC 1111~255) 의창건자인무왕 ( 武王 ) 이주 ( 紂 ) 를정벌할때에, 꿈꾼것을점쳐서강태공을얻었고, 그의힘으로천하를통일했으므로, 짐 ( 朕 ) 의꿈이짐의점괘와합하여좋은상서에합치되었다 [ 協卜之 그림 2. 금척 악학궤범 권 8. 夢 ] 고하였다. 중국후한 ( 後漢 ) 의창건자인광무제 ( 光武帝 : BC 4~AD 57) 가제위에오를때는하늘로부터적색의부절인적복부 ( 赤伏符 ) 를내려받았다. 이처럼나라를창건하는시기에군주와신인이꿈에서만난일은이미유학자들사이에선낯선일이아니었다. 조선의유학자들에게꿈에서천명을받은중국적인상황은보편적인것으로인식되었다. 다음으로금척을받을조건에관해서도치어에서술되었다. 천명은아무에게나내려질수없다. 그래서매우까다로운조건네가지를언급했다. 첫째로문무를겸하고, 둘째로덕이있으며, 셋째로지식을모두갖추고있고, 넷째로백성들이바라는인물이어야했다. 당대의인물인경시중 ( 慶侍中 ) 은경복흥 ( 慶復興,?~1380) 이며최삼사 ( 崔三司 ) 는최영 31) 악학궤범 권 4.11a6-8. 夢金尺, 受命之祥也. 太祖殿下在潛邸, 夢見神人, 奉金尺自天而來, 若曰 : 慶侍中有淸德, 且髦矣, 崔三司有直名, 然戇也. 謂太祖資兼文武, 有德有識, 民望屬焉, 乃以金尺授之 태조실록 과 삼봉집 서 ( 序 ) 에도기록되었음. 해석은 삼봉집 을참고하여수정하였음. 32)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 1 ( 서울 : 두산동아, 1992), 512 쪽. 182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9 (崔瑩, 1316~1388)인데, 모두 부족한 점이 있었고, 오 직 태조 이성계만 네 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인물이라 고 하였다. 즉, 태조는 준비된 인물이었으며, 하늘의 뜻과, 사람(백성)의 뜻이 모아진 존재였다. 이 모든 것 을 아는 하늘은 금척을 꿈에 줌으로서 천명을 내려주 었다. 정도전이 지은 <몽금척> 치어에 드러난 상징은 어 떻게 춤으로, 시각적으로 상징화되었을까. 진구호를 마친 뒤에 다시 오운개서조 인자가 연주되고33) 죽간 자를 든 2인은 뒤로 물러나 좌우로 나뉘어 선다. 좌우 에 6대 12인으로 세로로 늘어서 있던 대열이, 가로로 늘어서는 대열로 바뀐다. 좌우 대열의 제1인부터 차차 춤추며 나와서, 손을 모으고 족도하며 족자의 뒤에 좌 우로 나뉘어 서는 과정을 거친다. 2열 종대에서 2열 횡대의 대형으로 변한 모습은 주빈의 입장에서 무대의 대열을 바라볼 때, 좀더 많은 무원이 주빈에게 가까이 그림 3. 몽금척 족자 악학궤범 권8. 다가온 형태이다. 즉 무원들이 다가와서 무언가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상징적인 대형으로 보인다. 그리고 금척을 든 자의 치어가 이어졌다. 치어를 하는 과정에서는 무구를 통해 상징이 더욱 드러났다고 본다. 무구로서 금색 자의 형태인 금척 은 가장 강력하게 천명을 시각적으로 상징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금척의 모습은 악학궤범 권8에 자세히 그려져 있다.(<그림 2>) 금척의 가운데에는 하늘이 금척 을 내렸으니, 천명을 받은 징조이다. 라는 뜻의 天賜金尺受命之祥(천사금척수명지상) 이라 는 여덟 글자가 새겨져 있다. 자는 금으로 만들었으며, 자의 머리에는 구름과 해의 모양을 조각하였다. 자 밑에는 연꽃의 열매가 들어 있는 송이인 연방(蓮房)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자루를 달고, 자루 끝에는 고리를 단 뒤 색실 매듭을 드리웠다. 자의 길이는 9치 3푼, 너비 는 7푼 반, 두께는 1푼 반이었다. 또 해의 지름은 4푼, 해 구름의 크기는 7푼, 연방의 지름 은 1치 4푼이었으며, 자루의 길이는 2치 6푼, 자루 끝의 지름은 6치 반이었다. <몽금척>의 내력이 쓰여진 족자(<그림 3>)도 금척과 더불어 천명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몽금척> 족자에는 치어의 내용과 금척사 내용의 일부가 기록되었다. 33) 고종대 정재무도홀기 에서는 향당교주를 연주함. 정도전 악장 정재의 가무악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183

10 금척을든치어인 ( 致語人 ) 은곧바로하늘의말을하는신인 ( 神人 ) 의상징이다. 왜냐하면 신인이금척을받들고하늘로부터왔다 는내용이치어안에들어있기때문이다. 즉금척을받들고 [ 奉金尺 ] 치어를하는이는곧신인이다. 이성계가꿈꾼일이현실이되어, 금척을든자가궁궐의무대에등장한것이바로금척정재이다. 금척을든자의춤동작은극히미미하다. 치어를하기전에족도하면서조금나왔다가, 치어를마치면다시족도하고그자리에서는정도이다. 3. 금척사 성인사의상징과비유 치어를마친뒤에금척령이연주되면, 6대 12인이소매를모으고족도하면서악절에따라금척사 ( 金尺詞 ) 를부른다. 34) 금척사 1장은아래와같다. 惟皇鑑之孔明兮吉夢協 35) 于金尺淸者耄矣兮 36) 直其戇兮 37) 하느님의살피심이크게밝아좋은꿈이금척에맞았도다맑은자는늙었고곧은자는어리석으니 有德焉是適덕이있어야만여기에적임이도다 38) 금척사는치사의내용을좀더비유적으로강조했다. 하늘의뜻으로금척을주는꿈을꾸었다는내용이전반부이며, 후반부는인물됨비교하면서금척을받을조건을나타내고있다. 성품이맑으나늙은자는치어에서말한경시중 ( 慶侍中 ) 을비유한것이며, 성품이곧으나고집이센자는최삼사 ( 崔三司 ) 를비유한것이다. 그리고마지막으로덕이있는성품이어야적임자라는것은태조이성계를비유하였다. 치어의내용을반복적으로말하고있으나, 이름이아닌성품을드러내어비유적으로표현했다. 이성계를 유덕 ( 有德 ) 자로비유한것이주목된다. 덕이있는자만이금척을받을만한 34) 악학궤범 에서선모는금척사를노래하지않으나, 조선후기의궤에서는선모와각대 12 인이함께금척사 1 장을노래했다. 35) 삼봉집 에는 恊 이나, 통용되는글자임. 36) 순조기축 진찬의궤 에는 兮 가생략되었음. 37) 태조실록, 삼봉집, 정조을묘 정리의궤 ; 헌종무신 진찬의궤 ; 고종정축 진찬의궤 ; 고종정해 진찬의궤 ; 고종임진 진찬의궤 ; 고종신축 진찬의궤 ; 고종신축 진연의궤 ; 고종임인 4 월 11 월 진연의궤 와고종대 6 종의 정재무도홀기 에는모두 兮 ( 혜 ) 대신 繄 ( 예 ) 로기록되었음. 38)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과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184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11 자이다. 금장태에따르면, 유학사상에서천명은인간사회의명령을넘어서가장높은차원의궁극적명령이라고한다. 하늘로부터인간에로드리워진것이천명이요, 인간에게서하늘로지향된것이덕이다. 천명은덕에만비춰지는것이요, 또한덕만이천명을받고이를지닐수있는인간의바탕이라고하였다. 39) 이러한논의에따르면, 천명의상징인금척을받을수있는자는덕있는이성계에게만해당한다. 표면적으로는이성계의덕을칭송하는듯하지만, 이면에는신하의입장에서군주인이성계가반드시 유덕자 가되어야한다고강조하는발언일수도있다. 금척사가춤의측면에서결정적으로치어와다른점은족도라는움직임을하면서반주에맞추어노래 [ 唱 ] 한다는점이다. 치어는 1인이움직임없이그대로서서반주없이, 특정한선율을얹지않고읊는메시지중심의표현이다. 그러나 < 몽금척 > 창사는가락에노래가사를얹어부르며, 반주음악과춤이곁들여진형태였다. 따라서메시지가움직임으로드러나, 시각적으로확대된측면이두드러진다. 1인이읊는치어가하늘뜻을대표한것이라면, 12명의함께노래하는창사는많은백성들의뜻이라는것을상징적으로드러내는듯하다. 즉하늘의뜻에백성들이화답하는듯한모습이다. 금척사 1장을마치면, 이어서금척사 2장을부른다. 악학궤범 에는금척사 2장도여전히 6대 12인40) 이부른다. 41) 금척사 2장의내용은다음과같다. 帝用度吾心兮俾均齊于 42) 家國貞哉厥符兮受命之祥傳子及孫兮 하느님이우리마음헤아리시고국가를다스리게한것이라오바르고굳은그부적이여상서로운명을받았으니아들에게전하고손자에게이름이여 彌于千億그천억대를이어가리라 43) 금척사 1장에서 유덕 을강조했다면 2장에서는 백성들의마음 [ 五心 ] 을강조했다. 그리고민심을헤아려서부적을내려준것이라고하였다. 여기서의부적은곧금척이며, 역시 39) 금장태, 유학사상의이해 (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7), 99 쪽. 40) 6 대 12 인이금척사 2 장을부르는사례는헌종무신 진찬의궤 고종무진 진찬의궤 고종정축 진찬의궤 고종정해 진찬의궤 고종임진 진찬의궤 고종신축 진찬의궤 고종신축 진연의궤 고종임인 4 월 진연의궤 고종임인 11 월 진연의궤 에서보임. 41) 정조을묘 정리의궤 와순조기축 진찬의궤 에서는선모와각대병창이함께부른다고했음. 42) 삼봉집 에는 于 대신 乎 로기록되었으나, 내용상통용됨. 43)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과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85

12 천명을상징한다. 한영우에따르면, 조선왕조의개창은몇사람의의지로이루어진것이아니라민심과천심을따른것이라고보는것이정도전의이른바역성혁명 ( 易姓革命 ) 논리라고한다. 그런데민심은가시적으로보이는것이지만, 천심은눈에보이지않는다. 그래서정도전은천심을따른증거로서이성계가금척을받았다고주장한다. 이성계가과연꿈속에서금척을받았는지는알수없는일이지만, 적어도왕조교체가힘의논리로이루어진것이아니라백성과하늘의뜻에따라민주적으로이루어졌다고주장하는그자체가정치사상의발전으로44) 보기도한다. 정도전은금척사 2장의뒷부분에서상서로운명을받았으니 천억대를이어가리라 고신하로서주문한다. 조선의개국이뒷날로끝없이이어져야한다는바람과소망이드러났다. 즉나라의창업 ( 創業 ) 도중요하지만나라를지켜가는수통 ( 垂統 ) 도그에못지않게중요한것이기때문이다. < 몽금척 > 은왕의꿈을통해왕의꿈 ( 포부 ) 을드러냈다. 즉, 왕의꿈에나타난천명의상징인금척을들고나라를바르게하여천억대에이어지도록조선왕실을지켜나가겠다는왕의꿈이표명된것이다. 그리고그러한조선왕실의꿈은개국공신이자조선의사상적기반을다진 정도전 을통해악장으로나타났다. 다음으로금척사의춤을살펴볼것인데, 먼저춤사위에관련된기존번역의문제점을지적하고자한다. 기존의 악학궤범 번역에서는금척사 1 2 장을다부른뒤에, 다시 2장을세차례더부르는것으로해석하였다. 악학궤범 에는금척사 1 2 장을기록하고 박을치면, 6대의열두사람이그대로그사 ( 詞 ) 제용이하만을창한다 를세차례창하고, 무진무퇴한다. 45) 라고하였다. 仍唱其詞 帝用以下 三度, 舞進舞退 를해석할때, 기존에는 삼도 ( 三度 ) 의해석을앞으로붙여제용이하의금척사 2장을 3번부르는것으로본것이다. 그러나필자는 삼도 ( 三度 ) 의해석을뒤로붙여 그금척사를이어서부른다. 무진무퇴를세번반복한다. 라고본다. 이렇게해석하는근거는고종대에전하는 6종의 정재무도홀기 기록이다. 정재무도홀기 의금척사 1장에서는보허자령에맞추어창사를부르고, 2장에서는향당교주에맞추어창사를부른다. 즉 악학궤범 과달리, 조선말기에는금척사 1장과 2장을다른선율에맞추어노래하였다. 금척사 1장을노래한뒤에 6대 12인은춤추기시작하며이어서노래한다. 세번춤추며나아가고물러난다 고기록하고뒤에금척사 2장이기록되어있다. 금척사 1장에는노래를하면서 염수족도 의소극적춤사위만하지만, 금척사 2 44)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112 쪽, 347~350 쪽. 45) 악학궤범 권 4.11a11-11b1. 訖. 拍, 六隊十二人, 仍唱其詞 帝用以下 三度舞進舞退 金尺舞 舞進至簇子左右而退 이혜구역주, 신역악학궤범, 267 쪽. 186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13 장에서는 노래를 하면서 삼도무진무퇴 즉, 세 번 나아가고 물러나는 적극적 춤사위가 뒤따르는 것이다. 정재무도홀기 에는 1장과 2장이 떼어져 기록되어서 별다른 설명이 필 요치 않으나, 악학궤범 에서는 1장과 2장이 붙어 있는데, 2장에서 춤사위가 바뀌기 때문 에 이를 설명하기 위한 기록이 혼동을 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림 4. 여령의 몽금척 순조 기축 진찬의궤 권수.20a 그림 5. 무동의 몽금척 고종 임인 11월 진연의궤 권수.25a 다시 춤사위의 상징으로 돌아가보겠다. 앞의 두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둔다고 해도, 춤의 측면에서 금척사 1장에서 2장의 진행은 보다 확대된 움직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금척사 1장의 창사를 부르면서 춤추는 염수족도 가 당시 어떠한 춤사위였는지 현재 재현되는 동 작과 같은지 명확히 알 수는 없으나, 공간의 이동이 크지 않은 동작이라고 유추된다. 상대 적으로 금척사 2장에서 창사를 부르면서 세 번 나아갔다가 물러나는 동작은 족자가 위치 한 곳까지 앞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공간의 이동이 금척사 1장보다 커진 형태이다. 즉 창사 를 부르면서 점진적으로 춤동작이 확대되는 것이다. 이런 춤동작과 춤공간의 확대는 천 억대를 이어가라는 금척사 2장의 메시지의 확대와도 상통한다. 금척사 1장과 2장을 마치면 성인사(聖人詞)가 이어진다. 성인사는 좌우대 12인이 악절 에 맞추어 병창한다. 성인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도전 악장 정재의 가무악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187

14 聖人有作萬物皆覩靈瑞繽紛諸福畢至長言不足式歌且舞於樂於倫 성인이일어나시니만물이다보게되고신령스런상서하도많아모든복이이르옵니다긴말이오히려부족하여노래하고또춤추옵니다즐겁고도차례가있음이여 君王萬壽 46) 우리임금님만수를누리소서 47) 성인사에서태조는 성인 ( 聖人 ) 으로비유된다. 성인이일어나신령스런상서가일어난다고하였는데, 바로금척을받은일을말한다. 또한마지막으로임금의만수를기원한다. 앞에서천명을받을자가갖추어야할여러가지조건을여러번에걸쳐언급하고, 제일마지막에와서야임금개인의만수무강을축원하였다. 이러한내용의흐름을보면, 악장이단순히임금의축수를기원하고, 왕실에아부하는문학으로서기능하는것이아니라는점을알수있다. 성인사를부를때가장적극적으로춤이진행된다. 소포구락영의반주에따라오른쪽죽간자가족도하면서선도하고, 다음은족자, 다음은금척, 다음은황개, 다음은왼쪽죽간자, 다음은좌대의여섯사람, 다음은우대의여섯사람이차례로족도하면서나아간다. 왼쪽으로세차례회무 ( 回舞 ) 하면서악절에맞추어성인사를병창한다. 회무는처음도없고, 끝도없이이어지는원을구현한다. 또한완성되는모습의원형이기도하다. 모든출연진이큰원으로도는이회무는아마도성인이일어나서모든복이온세상에둥글게두루미치기를바라는온백성들의염원을담은상징인듯하다. 마지막으로올리는퇴구호는다음과같다. 樂旣奏於九成 壽庸獻於萬歲 48) 악은이미구성 ( 九成 ) 을아뢰었고 수명은항상만세를바치옵니다 46) 고종정해 진찬의궤 권 1.15a5-6에따르면, 재익일야연에서는 君王萬歲 를 銅闈上壽 로고쳐서부름. 주빈이왕세자이기때문임. 고종신축 진찬의궤 권 1.11b1-2에따르면, 진찬시에는 以獻萬歲 라하고익일회작시에는 君王萬歲 라고함. 진찬때는주빈이명헌태후이고, 익일회작시에는고종황제이기때문임. 47) 번역은이혜구역주, 신역악학궤범, 267쪽. 48) 고종정해 진찬의궤 권 1.15a7. 재익일야연에서는 於萬歲 를 以千歲 로고쳐서부름. 주빈이왕세자이기때문에한등급낮은글자를택했음. 188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15 未及懽 49) 娛之極 遽回 50) 儆戒之心 拜辭以歸 환오의극치에이르기전에 빨리경계하는마음으로돌아가소서 하직인사하고돌아가오니 式燕以處편안히쉬시옵소서. 51) 퇴구호에서는경계의마음을가지라고당부하며마무리한다. 경계는마지막에해야지판의흥을깨뜨리지않는다. 김영수에따르면, < 몽금척 >, < 수보록 > 과통용한다는진시구호와퇴시구호에도겉으로는임금의성덕 ( 盛德 ) 에대한찬미를드러내고있으나, 이면에는경계의마음을항상지녀야한다는신하로서의주문이깔려있다고하였다. 52) 4. 반주음악 < 몽금척 > 은 1393년 ( 태조 2) 년 10월 17일에비로소연주곡으로도올려졌다. 이때에 < 몽금척 > 은기존당악선율에맞추어노래를불렀다. 53) 조선전기성종대의 악학궤범 에따르면, 금척의반주음악은오운개서조, 최자영, 금척영, 소포구락영이었다. 이러한음악이현재전해지지않으므로당시반주음악의분위기와느낌은알기어렵다. 조선후기의궤에기록된연향별 < 몽금척 > 공연과반주음악은 < 표 1> 과같다. 아명은대부분장수를기원하는어구로구성되었다. 표 1. 조선후기의궤의 < 몽금척 > 공연과반주악곡명 연향일 악곡명 ( 아명 ) 악곡명 정재담당 연향명 의궤명 여령 대왕대비전풍정 경오풍정 ( 인조8) 묘시 - - 여령 대왕대비전 중궁전진연 갑자진연 ( 영조20) 윤 여민락청평악 여령진찬을묘정리 ( 정조 19) 진시風雲慶會之樂원무곡여령대전내진찬기축진찬 ( 순조 29) 진시萬年春之曲원곡여령왕세자회작기축진찬 ( 순조 29) 49) 삼봉집 에는 歡 이나, 통용되는글자임. 50) 삼봉집 에서만유일하게 懷 로기록되어 경계하는마음을품으소서 라고해석되는데, 경계하는마음으로돌아가소서 라는 回 와내용상큰차이가없음. 51)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과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52) 김영수, 정도전악장문학연구, 동양학 34 집, 28 쪽. 53) 김종수, 조선초기악장연행양상, 온지논총 제 18 집, 76 쪽.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89

16 묘시 風雲慶會之樂 원무곡 여령 대왕대비전내진찬 무신진찬 ( 헌종14) 미시 - - 여령 대왕대비전내진찬 무진진찬 ( 고종5) 묘시 - - 여령 대전회작 무진진찬 ( 고종5) 여령 대왕대비전내진작 계유진작 ( 고종10) 진시 風雲慶會之樂 原舞曲 여령 대왕대비전내진찬 정축진찬 ( 고14) 진시 堯天舜日之曲 原舞曲 여령 대왕대비전내진찬 정해진찬 ( 고종24) 이경 壽千春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야연 정해진찬 ( 고종24) 이경 千年萬歲之曲 原舞曲 여령 왕세자야연 정해진찬 ( 고종24) 묘시 海屋添籌之曲 原舞曲 무동 대전외진찬 임진진찬 ( 고종29) 진시 五雲開瑞朝 原舞曲 여령 대전중궁전내진찬 임진진찬 ( 고종29) 진시 咸寧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중궁전내진찬 임진진찬 ( 고종29) 이경 黃裳元吉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중궁전야진찬 임진진찬 ( 고종29) 손시 樂昇平之曲 原舞曲 여령 명헌태후전내진찬 신축진찬 ( 광무5) 손시 太平萬年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회작 신축진찬 ( 광무5) 손시 壽曜南極之曲 原舞曲 여령 황태자회작 신축진찬 ( 광무5) 묘시 海屋添籌之曲 原舞曲 무동 대전외진연 신축진연 ( 광무5) 진시 萬壽長樂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내진연 신축진연 ( 광무5) 해시 南極壽曜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야진연 신축진연 ( 광무5) 묘시 於萬斯年之曲 原舞曲 무동 대전외진연 임인진연 ( 광무6)4월 진시 瑞雲曜日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내진연 임인진연 ( 광무6)4월 해시 金仙獻桃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야진연 임인진연 ( 광무6)4월 손시 致和平之曲 原舞曲 무동 대전외진연 임인진연 ( 광무6)11월 손시 聖壽無疆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내진연 임인진연 ( 광무6)11월 해시 堯天舜日之曲 原舞曲 여령 대전야진연 임인진연 ( 광무6)11월 Ⅲ. < 수보록 > 정재의상징과비유 1. 진구호의상징 < 수보록 > 진구호는죽간자를든 2 인이무반주로부르는데, 그내용은다음과같다. 受皇天之符瑞 하늘이내린부록의상서를받아 190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17 啓景運之靈長 擧有懽忻 큰운수의영묘하고장원함을열었도다 온백성모두기뻐하여 式陳頌禱곧축하를올리도다 54) 진구호에서핵심적인상징어는 부록 이다. 앞의 < 몽금척 > 정재에서는금척이부록이었다면, < 수보록 > 정재에서의부록은 이서 ( 異書 ) 를말한다. 이상한글 이라는뜻의이서는뒤의치어에서좀더자세하게등장한다. < 수보록 > 의춤에서핵심적인상징은 보록 이라는무구이다. 여기한사람이소매를뾰족히하여 [ 尖袖 ] 보록을받들고족도하면서조금앞으로나가족자를든사람의뒤쪽약간동쪽에꿇어앉는다. 그러면승지가보록을전해받아서드리고, 그여기는몸을굽혔다가일어서고, 음악이그치면오른쪽소매를치켜들고치어한다. 보록을바치는이러한절차에서여기는곧지리산석벽에서보록을가져온사람임을비유적으로보여준다. 공연당시에보록의형태가어떠했는지 악학궤범 에자세하지않다. 2. 치어의상징과비유 < 수보록 > 의치어에따르면, 보록 ( 寶籙 ) 을받은것은이서를얻은것입니다. 태조 ( 太祖 ) 께서잠저에계실때어떤사람이지리산 ( 智異山 ) 석벽속에서이상한글을얻어다가드린후임신년 ( 壬申年, 1392) 에그말이징험되었습니다. 그러므로수보록 ( 受寶籙 ) 을지었습니다. 55) 라고하였다. 수보록은이성계가즉위하기전에어떤이로부터참서 ( 讖書 ) 을받았음을노래한것이다. 이상한글, 곧이서를 보배로운부록 이라고하여이서라지칭했다. 그런데앞의 금척 이하늘에서천명으로신인이내린것이라면, 이상한글이쓰여있는 이서 는지리산의석벽에서살아있는사람이얻은것이다. 곧신적인존재가아니라같은인간세상에살고있는사람이, 꿈속이아닌현실공간인지리산에서얻었다는것이다. 그래서하늘의뜻을상징적으로보여주는몽금척과달리땅의뜻을상징적으로보여주는듯하다. 역할자체로상징적인인물은지선 ( 地仙 ) 이다. < 수보록 > 악장에서등장하지않았던새로운인물이등장한것이다. 땅의신이며지리산에살고있는산신령으로볼수도있다. 54) 번역은이혜구역주, 신역악학궤범, 269쪽. 55) 受寶籙, 得異書也. 太祖在潛邸, 有人得異書於智異山石壁中以獻, 後至歲壬申, 其言乃驗, 作受寶籙. 三峯集 권 2 樂章 受寶籙幷序 에서는 전하께서잠저 ( 潛邸 ) 에계실적에어떤사람이지리산 ( 智異山 ) 석벽속에서이상한글을얻어바친일이있었다. 그후십수년만에그말이다징험되었다. ( 殿下在潛邸, 有人得異書, 於智異山石壁中以獻, 後十數年, 其言果驗.) 라고함.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91

18 지리산석벽에서얻은글은사람이가져온것이지만, 그것은땅신의뜻으로가져온것이라는은유가그안에숨겨져있다고생각한다. 따라서지선의춤은곧땅신혹은산신령의춤이라고할수있다. 금전악영의반주음악에맞추어지선두사람은족도하면서각각용선, 정절사이로앞으로나와인인장앞에섰다가박을치면북쪽을향하여춤추고다음엔대무하고, 다음엔북쪽을향하여춤을추고, 다음엔배무 ( 背舞 ) 하고, 다음엔북쪽을향하여춤추고, 다음엔무진 ( 舞進 ) 하여족자의좌우에나란히서서전과같이춤추고, 끝나면이전의위치로무퇴하여전과같이춤을추는데, 이와같이세차례를진퇴하면춤이끝난다. 박을치면지선두사람은족도하면서각각인인장, 정절사이로물러가서원래위치에서고, 음악이그친다. 3. 보록사의상징과비유 이서에쓰인내용은아래의보록사 ( 寶籙詞 ) 에자세히전한다. 彼高矣山石與天齊于以剖之得之異書桓桓木子乘時而作誰其輔之走肖其德非衣君子來自金城三奠三邑贊而成之奠于神都傳祚八百我龍受之 높다랗다저산이여석벽이하늘과가지런하네그석벽을쪼개내어이상한글얻었구려굳세고굳센목자가때를타고일어나니누가그를돕느냐주초 [ 趙浚 ] 의그덕이로세비의 [ 裴克廉 ] 의군자가금성으로부터오고삼전삼읍이도와서공이루리신도에자리정하여팔백대를전하도다우리임금이받았으니 粤惟寶籙이를보록이라이르도다 56) 192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19 보록사에는인물에관한비유가등장한다. 목자 ( 木子 ) 가왕이된다고하는데, 여기서목자는바로이성계를가리키고, 주초 ( 走肖 ) 비의 ( 非衣 ), 그리고삼전삼읍 ( 三奠三邑 ) 이목자를보좌하여팔백대에이르러팔천년동안왕업을이룬다는내용이적혀있다고한다. 주초는조준 ( 趙浚, 1346~1405), 비의는배극렴 ( 裵克廉, 1325~1392), 삼전삼읍은세사람의정씨, 즉정도전 정총 ( 鄭摠, 1358~1397), 정희계 ( 鄭熙啓,?~1396) 를가리키는데, 이들은모두조선의개국공신이었다. 한영우에따르면, 목자 ( 木子 ), 즉이씨 ( 李氏 ) 가왕이된다는예언은고려중기부터민중사이에널리유행하였다고한다. 이설은음양오행사상에서유래한것으로, 고려가수덕 ( 水德 ) 을칭하고있었으므로그다음왕조는목덕 ( 木德 ) 을가진사람이연다는것이다. 수 ( 水 ) 에서목 ( 木 ) 이발생하는까닭이다. 또한목자가 8백대동안왕업을이룩한다는것도오행사상과관련이있다. 즉 8이라는숫자는오행의목 ( 木 ) 을상징한다. 고려시대에유행했던음양오행사상을정도전이받아들인것은매우흥미롭게평가된다. 원래그는성리학자로서음양오행사상을성리학체계속에서받아들이고있었지만, 신비주의적요소는배척하는입장이었다. 그런데도불구하고신비주의적요소가담긴참서를그가찬양하는노래를지은것은다소이례적이다. 그책이과학적근거가박약하더라도민중사이에그러한믿음이있었다는것을소중하게생각하고, 조선왕조의개창이민심을따랐다는증거로서이용한것이다. 57) 정도전은정주학의한계를불교와도교의부분적절충을통해서극복하고, 심지어는민간의참설까지원용하여보다자유스러운자기세계를구축하였다. 그의분방한절충적태도는신왕조의문물제도를재정비하는과정에서구석구석마다발휘되고있었다. 58) 보록사에서는이성계가왕이된다는것도비유적으로드러내지만, 곁에서돕는신하들때문에왕이될수있었다는느낌을주는비유들도함께나타났다. 이는실제로일등개국공신이었던정도전이지은악장이었기때문에공신의공로를잊지말라는뜻도내포된것이아닐까싶다. 56)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과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三峯集 권2 樂章 受寶籙幷序 에서는보록사뒤에아래의글이첨부되었음. 안 석벽속의글에이르기를, 목자 ( 木子 ) 가돼지를타고내려와서삼한의지경을다시바로잡도다 [ 木子乘猪下復正三韓境 ]. 하였고, 비서 ( 秘書 ) 에이르기를, 목자장군의칼이요, 주초 ( 走肖 ) 대부의붓이로다. 비의 ( 非衣 ) 군자의지혜로다시삼한을바로잡았도다 [ 木子將軍劒, 走肖大夫筆, 非衣君子智, 復正三韓格 ]. 하였다. 주초는조준 ( 趙浚 ) 을말하고, 비의 ( 非衣 ) 는배극렴 ( 裴克廉 ) 을말한다. 또이르기를 삼전삼읍이응당삼한을없앨것이다 [ 三奠三邑應滅三韓 ]. 하였으니, 공 ( 公, 정도전 ) 및정총 ( 鄭摠 ) 정희계 ( 鄭熙啓 ) 를말한다. 또이르기를 조선은대 ( 代 ) 로는팔백대해 ( 年 ) 로는팔천년을내려갈것이다. 하였다. 57)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113쪽. 58)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349쪽.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93

20 보록사를창한뒤에전체무원이도는춤동작도상징적이다. 6대의 18인은이중으로줄지어세차례돈다. 이때왼쪽아홉기녀는서쪽을향하여안으로돌고, 오른쪽의아홉기녀는동쪽을향하여밖으로돌고, 모두제자리로돌아오면악이그친다. 긴창사의내용이모두이루어지라는염원과소망을담은듯이둥글게전체무원이함께도는형태는앞의 < 몽금척 > 에서도동일하게해당되었다. 마지막으로다음과같은퇴구호를한다. < 몽금척 > 악장의퇴구호에비해경계의의미는없고, 천세를염원하는아래의내용으로마무리되었다. 奏九曲而告成祝千歲而有永幸値昇平之日敢申悅懌之情拜辭而歸 구곡을연주하여이루어짐을고하고천세를빌어영원함을기약하도다다행히태평한날을만나감히즐거운심정을펴도다절하며하직하고돌아가리니 式燕以處이에편안히쉬소서 59) Ⅳ. < 문덕곡 > 정재의상징과비유 정도전이지은 < 문덕곡 > 은모두 4장으로구성되었는데, 개언로장 ( 開言路章 ), 보공신장 ( 保功臣章 ), 정경계장 ( 正經界章 ), 정예악장 ( 正禮樂章 ) 이었다. 태조가즉위하여경륜 ( 經綸 ) 을세우고기강 ( 紀綱 ) 을베풀어백성과더불어정법을혁신하여칭송할만한것이많았다고정도전이언급했다. 그중큰것만을들어서언로 ( 言路 ) 를열고, 공신 ( 功臣 ) 을안보하고, 경계 ( 經界 ) 를바로잡고, 예악 ( 禮樂 ) 을제정한데대한노래를지었다고했다. < 문덕곡 > 은앞의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정재와달리향악정재로창작되었기때문에구호나치어가없고창사만존재한다. < 문덕곡 > 사 ( 詞 ) 는다음과같다. 法宮有儼深九重 一日萬機紛其叢 君王要得民情通 대궐이우람하여구중으로깊으니 하루에도만기라무더기로쌓이누나 임금님은민정을통해야하는거라 59) 번역은이혜구역주, 악학궤범, 271~272 쪽을참고하여, 문맥을약간수정하였음. 194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21 大開言路達四聰 開言路臣所見 我后之德與舜同 언로를활짝열어사총 ( 四聰 ) 을달하셨네 언로가열렸어라, 신의소견으로는 우리임금성덕이순임금과같으시네 聖人受命乘飛龍多士競起如雲從恊謀効力成厥功誓以山河保始終保功臣臣所見我后之德垂無窮 성인이천명받아나는용을타시니뭇선비앞다투어구름처럼따르도다꾀맞추고힘을바쳐그공을이뤘으니산하로써맹세하여시종을안보하네공신을안보해라, 신의소견으로는우리임금성덕이무궁에드리우리 經界毁矣久未修强幷弱削相炰烋我后正之期甫周倉廩充富民息休正經界臣所見烝哉樂豈享千秋 경계무너져오래도록수리못해강자는겸병하고약자는빼앗겼네우리임금바로잡아주의보전기하시니곡식은가득차고백성은안식하네경계를바로잡아라, 신의소견으로는임금다와즐겁게천추를누리시리다 爲政之要在禮樂近自閨門達邦國我后定之垂典則秩然以序和以懌定禮樂臣所見 정치하는요령은예악에있다마라안방에서비롯하여온나라에달하도다우리임금법칙을제정하여남기시니질서가바로잡혀평화롭고즐겁구려예악을제정해라, 신의소견으로는 功成治定配無極공이루고다스려져무극과짝하리라 60) 앞의 < 몽금척 > 은하늘의뜻을상징했고, < 수보록 > 은땅의뜻을상징했다면, < 문덕곡 > 은사람들의뜻을상징한내용이다. < 문덕곡 > 은태조이성계가즉위한뒤의치적으로서언로 ( 言路 ) 를열고, 공신 ( 功臣 ) 을보전하고, 토지제도를개혁하고, 예악을정리한것을찬양한것이다. 즉이성계의치적가운데문치 ( 文治 ) 에해당하는것을노래한것인데, 실제로는 60) 번역은한국고전번역원의 삼봉집 을참고하였음. 악학궤범 의창사는국한문혼용의형태이므로, 태조실록 과 삼봉집 에기록된원래의창사를기준으로하였음.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95

22 정도전이건의하여이루어진공적이기도하다. 61) 사람들에게이루어진것과앞으로지속적으로이루어져할것들을정도전이신하의마음으로올린내용으로보인다. 악학궤범 에전하는 < 문덕곡 > 의춤진행은매우단순하다. 기녀한사람이치어를한뒤에, 여기가족도하고부복하였다가일어나춤추며물러난다. 여기는 < 문덕곡 > 의개언로장 ( 開言路章 ) 을부른다. 여기네사람은남쪽에서북쪽을향하여염수족도하고보공신장 ( 保功臣章 ) 을부른다. 끝나면부복하였다가가일어나물러난다. 또여기네사람이북쪽을향하여춤추며정경계장 ( 正經界章 ) 을부른다. 끝나면부복하였다가물러간다. 연장기 2인과연소기 2인이북쪽을향하여춤추며정예악장 ( 正禮樂章 ) 을부른다. 끝나면, 음악의절차에따라서로왕래하며춤추다가음악이끝나기를기다려염수하고족도하며물러난다. 맥락은다르지만, 정도전자신이 < 문덕곡 > 악장에맞추어춤을추었던일화도전한다. 1395년 ( 태조 4) 초겨울밤에태조가정도전등여러훈신 ( 勳臣 ) 을불러술자리를베풀어줄때였다. 한창술자리가무르익자, 어려운옛시절을상기시키는정도전의충언이이어졌는데, 태조는그의의견을옳다고여기면서사람을시켜서정도전이지은 < 문덕곡 > 을노래하게했다. 태조는정도전에게 이곡은경이지어올린것이니일어나서춤을추라. 라고요청하였고, 정도전은즉시일어나 < 문덕곡 > 노래에맞추어춤을추었다. 태조는다시상의를벗고춤을추라고하였고, 정도전에게거북갖옷을하사하고밤새도록매우즐기다가파하였다. 62) 개국공신이자문무의자질을모두겸했던정도전이춤을즐기는유연함이있었음을짐작하게하는대목이다. 정도전이갖고있는악 ( 樂 ) 에대한인식은 조정의악 ( 樂 ) 은군신간의장엄하고존경함을지극하게하기위한것 이며, 산사람사이에서악을사용하면군신이화합한다 라는63) 대목에서알수있다. 정도전은악이가지고있는화합 [ 和 ] 의기능을적극적으로인식할뿐만아니라, 태조앞에서춤을추어이를실현하기도했다. 64) 61)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112쪽. 62) 태조실록 권8, 1395년 ( 태조 4) 10월 30일 ( 경신 ). 63) 삼봉집, 조선경국전 예전, 권13의 악 ( 樂 ) 항목. 樂者, 本於性情之正, 而發於聲文之備. 宗廟之樂, 所以美祖考之盛德. 朝廷之樂, 所以極君臣之莊敬, 以至鄕黨閨門, 莫不因其事而作焉. 故幽則祖考格, 明則君臣和, 推之鄕黨邦國, 而化行俗美. 樂之效深矣哉. 64) 조경아, 조선시대사람들의춤, 음악, 삶의역사와만나다 ( 과천 : 국사편찬위원회, 2011), 164쪽. 한국문화사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23 Ⅴ. 상징의지속과단절 정도전의악장정재가어떻게조선시대에지속되었는가를이장에서살펴보려고한다. 1393년 ( 태조 2) 7월 26일에정도전이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악장을태조에게지어바쳤다. 정도전이악장을지은직접적인이유는 성시 ( 聲詩 ) 로써전파하고현가 ( 絃歌 ) 에올려서한없는세상에전하여, 듣는사람으로하여금성덕 ( 聖德 ) 의만분의일이라도알게해야된다. 라는것이다. 65) 삼봉정도전이올린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을보고태조는 아! 나같은사람의덕이어찌감히그런좋은이름을독차지할수있겠는가? 그러나창업 ( 創業 ) 하기가쉽지않은것을생각하고, 수성 ( 守成 ) 하기는더욱어려운것을생각하면, 마땅히종묘에도올리고조정에도아뢰어야할것이다. 라고교서 ( 敎書 ) 를내리고상을주었다. 66) 삼봉이올린악장의직접적인향유자는바로태조이성계이다. 그러나이성계는자신을칭송하는것으로만악장을감상하지않았고, 조선을앞으로도지켜나가고완성시키는 수성 의어려움을후대인들이자각하는데의미를두었다. 그렇기때문에악장을들으면서 경계 의마음을늦추지않도록후대에까지종묘에도올리고조정에도올리라고한다. 즉태조의발언을통해보면, 악장이지니는효용성을인정하는셈이된다. 이후에 1393년 ( 태조 2) 10월 27일에관습도감판사인정도전은전악서의무공방을거느리고수보록등의새악곡을연주하였다. 이때부터선율이있는노래로불리게된것이다. 1402년 ( 태종 2) 6월 5일에예조에서의례상정소제조와의논하여의례때쓰이는정재를정했는데, 국왕연종친형제악 ( 國王宴宗親兄弟樂 ) 에서 < 몽금척 > < 수보록 > < 문덕곡 > 이정재의형태로가무악이결합된형태로공연되었다. 그러나태종초기에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의상징은비판의대상이된다. 1411년 ( 태종 11) 에태종은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이태조 ( 太祖 ) 의실덕 ( 實德 ) 이아니라며비판한다. 태종은 옛부터제왕 ( 帝王 ) 이흥 ( 興 ) 하는것이천명 ( 天命 ) 과인심 ( 人心 ) 에있으니, 어찌부참 ( 符讖 ) 을족히믿을수있겠는가 라고반문하며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을악장 ( 樂章 ) 의첫머리로삼을수없다고했다. 천명과인심의내용은모두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에들어있는상징이지만, 실제의일을갖고지어진악장이아니라는점에서비판을받은것이다. 태종은 < 몽금척 > 은꿈속에있었던일이며, < 수보록 > 은도참지설 ( 圖讖之說 ) 인데가송 ( 歌頌 ) 으로하는것은마땅치않다고여겼다. 그러나하윤이굳이청하자 < 수보록 > 만악부에편입하고, < 몽금척 > 은악부의가사에오르지못하게하였다. 67) 65) 태조실록 권 4, 1393 년 ( 태조 2) 7 월 26 일 ( 기사 ). 66) 삼봉집 권 8. 부록 ( 附錄 ).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97

24 세종대는다시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의공연이활발해졌다. 세종은아버지태종의말을인용하면서 일찍이 < 몽금척 > 은꿈속의일이라고하여버리고쓰지않았다. 그러나다시생각하니주나라의무왕도또한, 짐 ( 朕 ) 의꿈이짐의점 [ 卜 ] 과맞았다고말하였으니, < 몽금척 > 을악부에올리게하는것이옳겠다 고했다고하며 < 몽금척 > 을다시악부에올리도록한다. 68) 1432년에상정소에서올린회례악에도수보록지악과개몽금척지기 ( 改夢金尺之伎 ) 가올라있다. 69) 1433년에는더나아가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을비롯한회례악장을신하들이외우고그뜻을음미 ( 吟味 ) 하게하여, 연회에배석 ( 陪席 ) 하도록하자는의견이제시되기까지했으나, 세종은시행하기에적당치않다며거절했다. 70) 조선후기에는정도전악장의정재중에 < 몽금척 > 만지속적으로공연되었다. 영조병술년 ( 丙戌年, 1766) 진연때에는영조가친히 < 몽금척 > 정재의유황사 ( 維皇詞 ) 와성인사 ( 聖人詞 ) 를지어, 내연에서악장으로쓰도록했다. 71) 그러나현재전해지는영조이후의의궤나홀기기록에서는영조가아닌정도전이지은창사로기록되었으므로, 영조가지은창사내용을알기어렵다. 영조가 < 몽금척 > 정재의창사를짓기도했지만, < 몽금척 > 이주는당대의의미에관해 1762년 ( 영조 38) 4월에왕세손인정조에게다음과같이당부하였다. 태왕 ( 太王 ) 이빈 ( 邠 ) 땅을떠난것이우리시조 ( 始祖 ) 의일과서로부합되어, 기산 ( 岐山 ) 에봉황 ( 鳳凰 ) 이운것과 < 태조 ( 太祖 ) 의꿈에 > 신인 ( 神人 ) 이금척 ( 金尺 ) 을준것은모두저절로상서 ( 祥瑞 ) 가이르렀으니, 하늘에순종하는임금은바로이런상서가있게된다. 대저나라를세우기어려움은하늘을오르는것과같고, 망하기쉬움은털을태우는것과같다. 시험삼아 3백년의종사 ( 宗社 ) 를생각건대, 네가만약부지런히힘쓰기를그만두지않는다면어찌다만 4백년뿐이겠는가? 주 ( 周 ) 나라 8백년의복조 ( 福祚 ) 에거의가깝게될것이다 ( 중략 ) 하늘이임금을세우는것은자봉 ( 自奉 ) 하기위해서가아니라양민 ( 養民 ) 하기위해서이다. 민심을한번잃으면비록임금이되고자하더라도되지못하니, 너는백성두려워하기를사부 ( 師傅 ) 보다더해야한다. 72) 하늘에순종하는임금만이신인이금척을주는상서가저절로이른다고하였다. 그러면 67) 태종실록 권 년 ( 태종 11) 윤 12 월 25 일 ( 신사 ). 68) 세종실록 권 년 ( 세종 14) 3 월 16 일 ( 을해 ). 69) 세종실록 권 년 ( 세종 14) 9 월 19 일 ( 갑술 ). 70) 세종실록 권 년 ( 세종 15) 11 월 27 일 ( 병오 ). 71) 정조을묘 정리의궤 권 1.59b11. 英宗丙戌進宴時, 御製維皇詞 聖人詞 72) 영조실록 권 99(1762 년 ( 영조 38) 4 월 25 일 ( 무자 ). 198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25 하늘뜻은무엇인가. 하늘이임금을세운뜻은스스로봉양받기위해서가아니라백성을기르기위한것이다. 즉백성을하늘처럼섬겨야함을영조는세손인정조에게당부하였다. 백성의마음을단한번이라도잃으면제대로임금이될수없으므로백성을스승보다더두려워해야한다고신신당부하였다. 군주가가져야할이러한마음은오늘날에게절실히필요한마음인데, 정도전의악장에이미상징적으로들어있었다. < 몽금척 > 의치어에도일부변화가있었다. 금척을꿈꾼것은천명을받으려는상서입니다. 태조 ( 太祖 ) 73) 께서잠저에계실적에꿈에금척을받았습니다. 한양에나라를열었고, 성신이아름다운덕을내려주어지금몇백년에이르니, 아천만억년까지 74) 라는금척치어는정조을묘 (1795) 정리의궤 부터이후의의궤와홀기에기록된변화된내용이다. 조선초에는태조의왕권을정비하기위한노력이필요했기때문에당시의인물인경시중과최삼사와비교가필요했을지모르나, 조선후기가되자더이상태조와다른인물과의비교는의미가없었다. 태조는국조로서흔들림없는인물이었기때문이다. 조선후기에는오히려태조가세운조선을유지하는것이더욱요청되는시기였으므로치사의내용도변경되었다. 따라서경시중과최삼사라는구체적인인물의이야기는빠지고, 태조가건국한조선을계속이어가려는수성 ( 守成 ) 을염원하는메시지가강조되는내용으로치사가바뀌었다. 조선후기에내연과외연에서여령과무동은 < 몽금척 > 정재를공연했다. 그런데무동이 < 몽금척 > 정재를공연하는경우에는죽간자를든사람의진구호와퇴구호가때로생략되기도했다. 임진년 (1892) 외진찬, 신축년 (1901) 외진연, 임인년 (1902) 4월과 11월의외진연때, 모두죽간자의구호가생략되었다. 금척이지닌상징성은대한제국기까지지속되었다. 고종은 1900년에훈장을정하면서가장높은대훈장을 금척 이라이름했는데, 옛날태조고황제가아직왕위에오르기전에꿈에서금척을얻었는데나라를세워왕통을전하게된것이여기에서시작되었으므로천하를마름질해서다스린다는뜻을취해서대훈장의이름을정했다고밝혔다. 75) 정도전은 500여년이지난고종때에와서반역자의누명을벗고정치적으로복권되었지만, 그의사상은이미왕조의헌법과제도속에녹아있었다. 76) 고평가받는다. 조선시대 73) 정조을묘 정리의궤 에는 국조 ( 國祖 ) 로표기됨. 74) 정조을묘 정리의궤 권 1.59b2-3; 헌종무신 진찬의궤 권 1.18a6-7; 고종정축 진찬의궤 권 1.16b3-4; 고종정해 진찬의궤 권 1.14b12-15a1; 고종임진 진찬의궤 권 1.32b12-33a1; 고종신축 진찬의궤 ; 고종신축 진연의궤 ; 고종임인 4 월 진연의궤 ; 고종임인 11 월 진연의궤 ; 연대미상 무동각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연 여령각정재무동홀기 ; 신축 외진연시무동각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찬익일회작 여령각정재무도홀기 ; 신축진찬 여령각정재무도홀기. 75) 고종실록 권 40, 1900 년 ( 고종 37) 4 월 17 일 ( 양력 ).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199

26 가가진유연성을가늠할수있다. 성리학자인정도전이도참설에서나가능한이야기를수용하여왕실의례에서공연되었고, 반역자가쓴악장인데도불구하고정도전은고종대에복권되기전까지정재악장으로공연되었다. 너른포용력을보여주는대목이다. 또한정조대에 삼봉집 이정조의명으로간행되었다. 정도전이복권되기전인데도불구하고, 왕명으로정도전의문집을간행했던이유는무엇일까. 이는새로운국가의기틀을다시점검하는데, 정도전의사상이필요했기때문으로보인다. 정도전악장의정재는신하로서임금에게하는발언이자제언이기도했다. 공연중간에부르는악장을단순히임금의공덕이나치적을받들어올리는송덕이나장수를기원하는내용으로만이해하면평면적인이해에그치는것이다. 오히려정도전이정재악장에서강조하는것은칭송받을만한공덕을위정자로서지니고있어야한다는 경계 의시각과, 천명과민심에의한정치를해야한다는메시지가낮고무겁게깔려있다. Ⅵ. 맺음말 : 정도전악장정재에담긴현재적의미 이글의목적은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인악장 춤 반주음악에담긴의미를밝히려는것이다. < 몽금척 > 정재에서금척은천 ( 天 ), 천명을상징한다. 금척 은곧 금으로만든자 인데, 신화에서자 [ 尺 ] 는왕권과함께생명력과규범을상징한다. 이는자가만물의측량과조절이라는역할을수행하며, 왕만이그역할을소유했음을뜻한다. 금척을받을조건에관해서도치어에서술되었다. 첫째로문무를겸하고, 둘째로덕이있으며, 셋째로지식을모두갖추고있고, 넷째로백성들이바라는인물이어야했다. 금척을든치어인 ( 致語人 ) 은곧바로하늘의말을하는신인 ( 神人 ) 의상징이다. 금척사는이성계를 유덕 ( 有德 ) 자로비유했다. 1인이읊는치어가하늘뜻을대표한것이라면, 12명의함께노래하는창사는많은백성들의뜻이라는것을상징적으로드러내는듯하다. 금척사 1장에서 유덕 을강조하고, 2장에서는 백성들의마음 을강조했다. 창사를부르면서점진적으로춤동작이확대되는데, 천억대를이어가라는금척사 2장의메시지의확대와도상통한다. 성인사에서태조는 성인 ( 聖人 ) 으로비유되는데, 모든출연진이큰원으로도는이회무는아마도성인이일어나서모든복이온세상에둥글게두루미치기를바라는백성들의염원을담은상징인 76)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347~348 쪽. 200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27 듯하다. 퇴구호에서는경계의마음을가지라고당부한다. < 몽금척 > 정재에서는금척이부록이었다면, < 수보록 > 정재에서의부록은 이서 ( 異書 ) 이다. < 수보록 > 의춤에서상징은 보록 이라는무구로시각화되었다. 금척 이하늘에서천명으로신인이내린것이라면, 이상한글이쓰여있는 이서 는지리산의석벽에서살아있는사람이얻은것이다. 역할자체로상징적인인물은지선 ( 地仙 ) 인데, < 수보록 > 악장에서등장하지않았던새로운인물이등장한것이다. 땅의신이며지리산에살고있는산신령으로볼수도있다. 보록사를창한뒤에전체무원이도는춤동작도상징적이다. 6대의 18인은이중으로줄지어세차례도는데, 역시창사의내용이모두이루어지라는염원과소망을담은듯하다. < 문덕곡 > 악장의내용은사람들의염원을상징한것으로볼수있다. < 문덕곡 > 은태조이성계가즉위한뒤의치적으로서언로 ( 言路 ) 를열고, 공신 ( 功臣 ) 을보전하고, 토지제도를개혁하고, 예악을정리한것을찬양한것이다. 즉이성계의치적가운데문치 ( 文治 ) 에해당하는것을노래한것인데, 실제로는정도전이건의하여이루어진공적이기도하다. 정도전은신하의입장에서무엇을왕에게말하고자했는가? 정도전이지닌사상적특징은민본사상이었으며, 당시대다수의백성인농민의이익을대변하는선비이이자지식인의사상이라할것이다. 이러한점에서그의사상의선진성이있다고평가받는다. 77) 정도전의민본사상은그의악장정재에서도고스란히드러난다. < 몽금척 > 과 < 수보록 > 정재에서는현실에서는일어나기어려운, 천명이담긴꿈과도참의이야기가춤과무구로상징화되어나타났다. 군주인태조의덕을기리는것에서만그치지않았다. 좋은국가를만들기위해군주로서의최선이무엇인가를끊임없이고민하고잊지말라던경계로서의몽금척의상징은시간을거슬러대한제국때까지계승될만큼매우강력했다고보인다. 유교적사유속에서는사회도개인의내면적질서의연장으로이해된다고한다. 따라서인간사회질서의중심은덕이요, 정치의원리도덕이다. 인간사회에부여되는천명이통치권이라면이통치권은덕이있는자에게부여되어야하는것이다. 통치자가덕을상실할때에는혁명이이루어져야하는것이요, 이혁명의주체는바로대중으로서의인간이다. 78) 천심, 즉민심을떠난왕과왕실은결국망할수밖에없다는이러한메시지는지금에서도유효하다. 천심의바로미터는바로민심이다. < 문덕곡 > 에서정도전이역설했던언로를열고, 나라에공이있는사람들을보호하고, 나라의경계 ( 토지 ) 를바로잡고, 예악으로통치하는네가지발언은 600여년이지난현재도여전히요청되는사안이다. 최근에세월호 77) 한영우, 왕조의설계자정도전, 351 쪽. 78) 금장태, 유학사상의이해, 100 쪽.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201

28 사건으로최고국정자의리더십이어떠해야하며, 국가가무엇을해야하는가를고민해야하는오늘날에도정도전의악장정재가주는 울림 은여전하다. 정약용은 이미춤이있다면그것은반드시성공을상징하는것일것이다. 성공을상징하는악 ( 樂 ) 이있으므로해서왕업 ( 王業 ) 이얼마나어렵다는것을알게되고따라서효경 ( 孝敬 ) 의마음도뭉게뭉게일어날것이다. 춤을어찌하찮게평가할수있겠는가. 79) 라고했다. 이글이정재가지닌의미를다시생각하는작은계기가되길바라는마음이다. 논문투고일 : 심사완료일 : 게재확정일 : ) 정약용, 다산시문집 권 10. 원무 ( 原舞 ) 202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29 참고문헌 <1차자료 > 英祖甲子年 進宴儀軌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30) 正祖乙卯年 整理儀軌 ( 園行乙卯整理儀軌, 수원시, 1996) 純祖己丑年 進饌 儀軌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3) 憲宗戊申年 進饌 儀軌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6) 高宗戊辰年 進饌儀軌 ( 奎 13474) 高宗癸酉年 進爵儀軌 ( 藏書閣圖書番號藏 ) 高宗丁丑年 進饌 儀軌 ( 藏書閣圖書番號藏 ) 高宗丁亥年 進饌 儀軌 ( 藏書閣圖書番號藏 ) 高宗壬辰年 進饌 儀軌 ( 藏書閣圖書番號藏 ) 高宗辛丑年 進宴 儀軌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24) 高宗辛丑年 進饌 儀軌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23) 高宗壬寅年. 4 月 進宴儀軌 ( 藏書閣圖書番號藏 ) 高宗壬寅年.11 月 進宴儀軌 ( 高宗壬寅進宴儀軌, 서울大學校奎章閣, 1996) 三峰集 呈才舞圖笏記 (1980. 영인 ) ( 國立國樂院,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4) 呈才舞圖笏記 (1994. 영인 )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다산시문집 권10. 원 ( 原 ) 원무 ( 原舞 ) 이혜구역주 (2000). 신역악학궤범. 서울 : 국립국악원. 성무경 이의강 (2005). 완역집성정재무도홀기. 서울 : 보고사. <2차자료 > 김영수 (2003). 정도전악장문학연구. 동양학 34집, 동양학연구소 :1-34. 김영숙 (1993). 조선조( 朝鮮朝 ) 초기 ( 初期 ) 의궁중무 ( 宮中舞 ). 한국미래춤학회연구논문집 제1집, 한국미래춤학회 : 김종수 (2008). 조선초기악장연행양상. 온지논총 제18집, 온지학회 : 금장태 (2007). 유학사상의이해. 파주 : 한국학술정보. 박현진 (2000). 몽금척의유교사상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송방송 (2002). 조선왕조건국초기의정재사 ( 呈才史 ) 연구. 음악과민족 23호, 민족음악학회 : 송방송 (2013). 조선왕조정재사연구. 서울 : 보고사. 성기숙 (2001). 궁중정재에나타난天人合一사상연구. 한국미래춤학회연구논문집 제8집, 한국미래춤학회 : 윤병태 (2004). 헤겔미학에서 상징 과 상징예술 의개념적이해를위한서언. 헤겔연구 15집, 한국헤겔학회 : 조규익 (2005). 조선조악장의문예미학. 서울 : 민속원. 조경아 (2009). 조선후기의궤를통해본정재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조경아 (2010). 일제강점기기록을통해본춘앵전의역사성. 무용예술학연구 제32집, 한국무용예술학회 : 조경아 (2011a). 정재의가무악 ( 歌舞樂 ) 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Ⅰ: 헌선도. 무용예술학연구 제32집, 한국무용예술학회 : 조경아 (2011b). 조선시대사람들의춤. 음악, 삶의역사와만나다, 과천 : 국사편찬위원회. 조경아 (2012). 무고( 舞鼓 ) 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의미와그역사성. 한국무용사학 제13호, 한국무용사학회 :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203

30 한영우 (1999). 왕조의설계자정도전. 파주 : 지식산업사. 漢語大詞典編纂處編纂 (1990).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 三聯書店有限公司, 檀國大東洋學硏究所 ( ). 漢韓大辭典. 천안 : 檀國大東洋學硏究所.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1. 서울 : 두산동아. 국립국어연구원표준국어대사전웹사이트 ( 조선왕조실록웹사이트 ( 한국고전번역원웹사이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웹사이트 ( 204 무용역사기록학제 33 호

31 Abstract A Symbol and Metaphor included in the Songs, Dances, and Musics of Jeongjae, Songs written by JeongDojeon Cho, Kyung-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historicity included in the songs, dances, and music of performing court dance called as Jeongjae( 呈才 ), especially songs written by JeonDojeon. Monggeumcheok( 夢金尺 ), Suborok( 受寶籙 ), Mundeokgok( 文德曲 ) were produced by Jeondojeon during the reign of Taejo. His songs had a contained in the request as a puisne. The scope of time period for this research is from Joseon to Imperial Daehan( 大韓帝國 ). The research objective is Joseon wangjo sillok( 朝鮮王朝實錄 ), Akhakgwebeom( 樂學軌範 ), all of source materials from official record of court event called Uigwe( 儀軌 ), Jeongjae Mudo Holgi( 呈才舞圖笏記 ) and many literary works. First, Geumcheok in Monggeumcheok Jeongjae symbolizes the command of the skies. Geumcheok to take upon command to convey the role of the god of the sky symbolizes. Yiseonggye was a metaphor for a man of virtue, in the song of Geumcheok. Depending on the song, the dance moves gradually expanded. Thaejo was a metaphor for a complete human, in the song. Depending on the song, turned into a big circle all the dancers, symbolizing hope was to receive all the blessings. Watch out for the end and leave a message. Second, Suborok can show the symbolic message of the land. Dancing tool called Borok is a key symbol. There are written prophecy, Yi Seonggye would become the king. These commands are passed to the land of the gods appeared in dance. Borok singing finished, all dancers turns into a circle. The circle is a metaphor, the content of the song want done. Third, Mundeokok can show the symbolic message of the human. <Key words> Jeongjae( 呈才 ), Monggeumcheok( 夢金尺 ), Suborok( 受寶籙 ), Mundeokgok( 文德曲 ), JeonDojeon( 鄭道傳 ) 정도전악장정재의가무악요소에담긴상징과비유 205

32

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2019달력-대(판형키워)

2019달력-대(판형키워) 조국개황 72 주년 2019 4352 오직나에게덕이있어야항상향기롭다 興聖爲伍 성인과짝이되고성인의대열에들어가야한다.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3 24 30 35 26 27 28 29 2019 1January 2 24 25 26 27 28 3 4 5 6 7 8 9 10 11 12 13

More information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ISSN 2288-5854 Print ISSN 2289-0009 online DIGITAL POST KOREA POST MAGAZINE 2016. APRIL VOL. 687 04 DIGITAL POST 2016. 4 AprilVOL. 687 04 08 04 08 10 13 13 14 16 16 28 34 46 22 28 34 38 42 46 50 54 56

More information

쌍백합23호3

쌍백합23호3 4 5 6 7 여행 스테인드글라스 을 노래했던 하느님의 영원한 충만성을 상징하는 불꽃이다. 작품 마르코 수사(떼제공동체) 사진 유백영 가브리엘(가톨릭 사진가회) 빛은 하나의 불꽃으로 형상화하였다. 천사들과 뽑힌 이들이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하며 세 겹의 거룩하심 가 있을 것이다. 빛이 생겨라. 유리화라는 조그만 공간에 표현된 우주적 사건인 셈이다.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178È£pdf

178È£pdf 스승님이 스승님이 스승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알라는 위대하다! 위대하다! 알라는 알라는 위대하다! 특집 특집 기사 특집 기사 세계 세계 평화와 행복한 새해 경축 세계 평화와 평화와 행복한 행복한 새해 새해 경축 경축 특별 보도 특별 특별 보도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도가니! 스승님과의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지도학발달06-7/8/9장

지도학발달06-7/8/9장 3 1 7 17 95101G 421d 221 2 3 4 1971 34 12 1804 1866 1972 31866 4 1 5 33 1866 3 6 31866 3 1803 1877 1804 1866 2 02333 318 4 51 633 3 6 2022 222 31866 1955 1931 3 916 7 1925 1925 10 9 1862 65 8 7 2 1931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연합뉴스) 마이더스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2012. 04 Vol. 98 Cover Story April 2012 _ Vol. 98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www.yonhapmidas.co.kr Contents... 14 16 20 24 28 32 Hot News 36 Cover Story 46 50 54 56 60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통계내지-수정.indd

통계내지-수정.indd 안전한 나날을 그리다 안전한 나날을 그리다 01 16 22 28 32 36 40 44 50 54 58 02 62 68 90 94 72 98 76 80 102 84 03 04 106 142 110 114 118 122 126 130 134 148 154 160 166 170 174 138 05 178 182 186 190 194 200 204 208 212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5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7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9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More information

..1,2,3,4-........

..1,2,3,4-........ 2011 Spring Vol.09 Contents 2011 Spring Vol.09 Issue 04 06 09 12 15 16 Story Cafe 18 Special Theme Theme 01 Theme 02 Theme 03 24 26 28 32 36 38 40 41 42 44 48 49 50 Issue 04 05 2011 SPRING NEWS Issue

More information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Android 용 Brother Image Viewer 설명서 버전 0 KOR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표입니다. Android는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초등학교 학년 별책부록 호 www.nobelsangi.com 듣기와 말하기 first [f ;Rst 퍼-스트] 첫째 third [^ ;Rd 써-드] 셋째 second [s k nd 세컨드] 둘째 fourth [f ;R^ 포-쓰] 넷째 fifth [fif^ 피프쓰] 다섯째 seventh [s vân^ 세븐쓰] 일곱째 sixth [siks^ 식스쓰] 여섯째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THENATIONAL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YEARBOOK 2005 Ⅰ. Ⅱ. Ⅲ. 3. 31. 가곡 계면조 한바탕 4. 15. 민속악단 정기공연 11. 24. 민속음악대제전 9. 1. 무용단 정기공연 창작무용 5. 26. 창작악단 제2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1.10.27 7:34 PM 페이지429 100 2400DPI 175LPI C M Y K 제 31 거룩한 여인 32 다시 태어났습니까? 33 교회에 관한 교리 목 저자 면수 가격 James W. Knox 60 1000 H.E.M. 32 1000 James W. Knox 432 15000 가격이 1000원인 도서는 사육판 사이즈이며 무료로

More information

1 (1) 14 (2) 25 25 27 (3) 31 31 32 36 41 2 (1) 48 (2) 56 (3) 63 72 81 3 (1) 88 88 92 (2) 96 (3) 103 103 104 107 115 4 (1) 122 (2) 129 (3) 135 135 141 153 165 5 (1) 172 (2) 187 (3) 192 201 207 6 (1) 214

More information

Gwangju Jungang Girls High School 이상야릇하게 지어져 이승이 아닌 타승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모텔에 여장을 풀고 먹 기 위해 태어났다는 이념 아래 게걸스럽게 식사를 했다. 피곤하니 빨리 자라는 선생님의 말 씀은 뒷전에 미룬 채 불을 끄고 밤늦게까지 속닥거리며 놀았다. 몇 시간 눈을 붙이는 둥 마 는 둥 다음날 이른 아침에

More information

왕께찬양합니다-R.Vader_&_J.Rouse._Arr.C._Kirkland)

왕께찬양합니다-R.Vader_&_J.Rouse._Arr.C._Kirkland) 왕께찬양합니다 Rady Vader & Jay Ruse 곡/Camp Kirlad a ff f f (G Gely =60) l l l l 4 a ff f f 4 4 l l l l b f f f f4 4 l l l l b f f f f4 l l l l 4 a ff f f 4 z f mp b f f f f4 4 z s z f 편곡 5 a ff f f m mp s s

More information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84 85 86 87 88 89 1 12 1 1 2 + + + 11=60 9 19 21 + + + 19 17 13 11=60 + 5 7 + 5 + 10 + 8 + 4+ 6 + 3=48 1 2 90 1 13 1 91 2 3 14 1 2 92 4 1 2 15 2 3 4 93 1 5 2 6 1 2 1 16 6 5 94 1 1 22 33 55 1 2 3 4 5 6

More information

10월추천dvd

10월추천dvd 2011 10 DVD CHOICE dvd dvd?!!!! [1] [2] DVD NO. 1898 [3] Days of Being Wild 지금도 장국영을 추억하는 이는 많다. 그는 홍콩 영화의 중심에 선 배우였고,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거짓말 같던 그의 죽음은 장국 영을 더욱 애잔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만들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 이 장국영을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More information

2015년9월도서관웹용

2015년9월도서관웹용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후회의 문장들 사라져 버릴 마음의 잔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해에도 배추농사에서 큰돈을 남은 평생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그 말을 다시 떠올려보 만졌다 하더라도 지난 여름 어느 날 갑자기 들기 시작한 았다. 맺지 못한 채 끝나버린 에이드리언의 문장도 함께. 그 생각만은 변함없을 것 같았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 그래서

More information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진 의학 지식과 매칭이 되어, 인류의 의학지식의 수준을 높 여가는 것이다. 하지만 딥러닝은 블랙박스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단지 결과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의학지 식의 확장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실제로 의학에서는 인공지능을 사용하게 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이해

More information

RVC Robot Vaccum Cleaner

RVC Robot Vaccum Cleaner RVC Robot Vacuum 200810048 정재근 200811445 이성현 200811414 김연준 200812423 김준식 Statement of purpose Robot Vacuum (RVC) - An RVC automatically cleans and mops household surface. - It goes straight forward while

More information

001-015_¸ñÂ÷(02¿ù)

001-015_¸ñÂ÷(02¿ù) JAPAN Global 한국 팝음악, 즉 K-POP이 일본 내 한류 열풍의 선봉에 나섰다. 인기 걸그룹 카라가 도쿄 아카사카의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데뷔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_ 이태문 통신원 또다시 열도 뒤흔드는 한류 이번엔 K-POP 인베이전 아이돌 그룹 대활약 일본인의 일상에 뿌리내린 실세 한류 일 본에서 한류 열풍이 다시 뜨겁게

More information

2017 Summer.Vol. 07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소식지 제4산업혁명시대 핵심인프라 공간정보 그 미래를 KAIA가 함께 합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국토공간정보의 효율적, 체계적 생산 및 가공과 다양한 국토공간정보의 활용 융합 서비스 기술 구현을 통해 국민 편의와 산업발전 향상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4산업혁명시대 핵심인프라 공간정보 그

More information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광진구 상징물 1. 광진구 마크 녹음이 가득한 아차산과 한강에 비친 아차산의 음영을 나타내는 두 삼각형, 광진 나루를 보여주는 돛단배로 이루어져 있다. 광진구의 유구한 역사와 미래를 나타내 는 백색과 한강의 깨끗한 환경을 상징하는 청색을 바탕으로 광진구의 힘찬 도약과 화합을 상징한다. 2. 새 - 까치 3. 나무 - 느티나무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모양이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

ad-200200004.hwp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

광주시향 최종22

광주시향 최종22 광주시향 최종22 2015.8.26 4:22 PM 페이지1 VOL.7 2015. 09 9월 4일(금) Masterwork Series Vl 프랑스 기행 9월 22일(화) 가족음악회 팝스콘서트 광주시향 최종22 2015.8.26 4:23 PM 페이지23 20세기 이전의 유명한 작곡가가 쓴 비올라 곡은

More information

한국사 문제1급

한국사 문제1급 1 2. 1. 3. 2 4. 5. 6. 7. 8. 3 9. 10. 11. 12. 4 13. 다음 중에서 고려 시대 문화재를 모두 고른 것은? [2점] 15. 다음 주장을 입증하는 근거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을 받기 전까지는 제도 운영, 국왕 및 왕실 구성원 명칭, 국가 의례에서 실질적인 황제국을 지 향하였다. ① 원구단을 만들어 하늘에

More information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안 경 광 학 과 세부내용 - 남을 도와 준 경험과 보람에 대해 말해 보세요. - 공부 외에 다른 일을 정성을 다해 꾸준하게 해본 경험이 있다면 말해 주세요. - 남과 다른 자신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말해 주세요. - 지금까지 가장 고민스러웠던 또는 어려웠던 일과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 자신의 멘토(조언자) 또는 좌우명이 있다면 소개해 주시길 바랍니다.

More information

141018_m

141018_m DRAGONS JEONNAM DRAGONS FOOTBALL CLUB MATCH MAGAZINE VOL.136 / 2014.10.16 Preview Review News Poster PREVIEW K LEAGUE CLASSIC 32R JEONNAM VS SEOUL / 14.10.18 / 14:00 / 광양축구전용구장 서울과 뜨거운 한판 승부! 전남드래곤즈가 오는

More information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특집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특집 : 독서관련 단체의 독서축제 가을독서문화축제, 부산으로 가다 17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부산 가을독서문화축제의 이모저모 18 특집 : 독서관련 단체의 독서축제 19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20 특집 : 독서관련 단체의 독서축제

More information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1960 년대 1960 년 35 1960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36 37 1960 년 [ è ] 1851 1 [ ] 1 é é é 1851 É 1960 년 2 1 2 11 1952 22 38 1961년 1961년 39 1961 년 3 월 14 일, 한국일보 4 면, 2 3 2 3 40 1962년 1962년 41 1962 년 1

More information

071115-2

071115-2 Copyright eyesurfer. All rights reserved.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매일경제신문] 04면 종합 -9- 2007년 11월 14일 수요일 [내일신문] 17면 산업/무역 - 11 -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매일경제신문] 37면 인물 - 16 - 2007년 11월 15일 목요일 [동아일보]

More information

2. 1) 7 ( ). (1) 1),. ( 湖西 ),. 19,., , (2).,,,,.,,., ),.. 1) 조광, 초기천주교의충청도선교와그사회문화적특성, 2014, p.11~30. 프란치스코교

2. 1) 7 ( ). (1) 1),. ( 湖西 ),. 19,., , (2).,,,,.,,., ),.. 1) 조광, 초기천주교의충청도선교와그사회문화적특성, 2014, p.11~30. 프란치스코교 1. 8 15 18 4 5..!!,.,.,.,..,,,,...,. 124,., TV, CNN.,,.,,., (,, ),,,,. - 1 - 2. 1) 7 (2014.9.16). (1) 1),. ( 湖西 ),. 19,.,.. 1801, 1790 1801. (2).,,,,.,,., 1784 9 1785.... 2),.. 1) 조광, 초기천주교의충청도선교와그사회문화적특성,

More information

단양군지

단양군지 제 3 편 정치 행정 제1장 정치 이보환 집필 제1절 단양군의회 제1절 우리는 지방자치의 시대에 살며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고 주민의 복지증진을 꾀 하고 있다. 자치시대가 개막된 것은 불과 15년에 불과하고, 중앙집권적 관행이 커 서 아직 자치의 전통을 확고히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앞으로의 과제 가 더 중요하다는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우리지역 지방자치의

More information

2009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http://www.kedi.re.kr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3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4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5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6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7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More information

PowerPoint Template

PowerPoint Template SOFTWARE ENGINEERING Team Practice #3 (UTP) 201114188 김종연 201114191 정재욱 201114192 정재철 201114195 홍호탁 www.themegallery.com 1 / 19 Contents - Test items - Features to be tested - Features not to be tested

More information

³»Áö_10-6

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

741034.hwp

741034.hwp iv v vi vii viii ix x xi 61 62 63 64 에 피 소 드 2 시도 임금은 곧 신하들을 불러모아 나라 일을 맡기고 이집트로 갔습니다. 하 산을 만난 임금은 그 동안 있었던 일을 말했어요. 원하시는 대로 일곱 번째 다이아몬드 아가씨를

More information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 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ii 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 v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vii vi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ix x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 xii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요약 xiii xiv 전문기술외국인력노동시장분석 제 1 장서론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vol.126 Seed Money Bank Savings Banks + vol.126 www.fsb.or.kr 20163 + 4 Contents 20163 + 4 vol.126 www.fsb.or.kr 26 02 08 30 SB Theme Talk 002 004 006 SB Issue 008 012 014

More information

연구노트

연구노트 #2. 종이 질 - 일단은 OK. 하지만 만년필은 조금 비침. 종이질은 일단 합격점. 앞으로 종이질은 선택옵션으로 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 종이가 너무 두꺼우면, 뒤에 비치지 는 않지만,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두꺼우면 고의적 망실의 위험도 적고 적당한 심리적 부담도 줄 것이 다. 이점은 호불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은 괜찮아 보인다. 필자의

More information

1 9 9 2년 2 월 1 1일에 모 스 크 바 에 서 서명된 북 태 평양 소하 성어족자 원보존협약 (이하 협약 이라 한다) 제8조 1항에는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8조 16항에는 위원회가 을 채택해야 한다고 규정

1 9 9 2년 2 월 1 1일에 모 스 크 바 에 서 서명된 북 태 평양 소하 성어족자 원보존협약 (이하 협약 이라 한다) 제8조 1항에는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8조 16항에는 위원회가 을 채택해야 한다고 규정 1993년 2월 24일 발효 1994년 1월 11일 개정 1998년 11월 6일 개정 2001년 11월 2일 개정 2003년 10월 31일 개정 2013년 11월 15일 개정 2014년 5월 16일 개정 제목 규칙 페이지 적용 1 110 회계연도 2 110 예산 3-9 110-111 분담금 10-11 111 계상예산의 지출대상 12-13 111 전용 14 111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¾ç¼ºÄÀ-2

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¹é¹üȸº¸ 24È£ Ãâ·Â

¹é¹üȸº¸ 24È£ Ãâ·Â 2009.가을 24호 2_ . 02 03 04 08 10 14 16 20 24 28 32 38 44 46 47 48 49 50 51 _3 4_ _5 6_ _7 8_ _9 10_ _11 12_ _13 14_ _15 16_ _17 18_ 한국광복군 성립전례식에서 개식사를 하는 김구(1940.9.17) 將士書) 를 낭독하였는데, 한국광복군이 중국군과 함께 전장에

More information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ÁÖº¸15.7.26

ÁÖº¸15.7.26 4 생명순활동상황 생명순(구역예배)활동상황 분당판 21권 30호 2015년 7월 26일 생명순 보고는 토요일 오전까지 마쳐주십시오. 보고자 : 김연호 목사 010-9251-5245 보고 : 각 교구 조장님께서 교구 사역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분당판 21권 30호 2015년 7월 26일 생명순(구역예배)활동상황 전도실적은 전도 한 분이 소속한 교구의 생명순에

More information

01¸é¼öÁ¤

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k k k k k k k k k k k k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k k k k k k k k k k k k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k k k k k k k k k k k k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k k k k k k k k k k k k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f 4 4 G =72 m e f 5 b f f 4 4 a ff l 더럽기가한량없던우리들 a ff l 더럽기가한량없던우리들 b f f l l 아무공로없이 b f f l l a ff

More information

가해하는 것은 좋지 않은 행동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불쌍해서이다 가해하고 나면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 같아서이다 보복이 두려워서이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화가 나고 나쁜 아이라고 본다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생각이나 느낌이 없다 따돌리는 친구들을 경계해야겠다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중학생 고등학생 남 여

More information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 연구문제 3 (1) VALS(Values and Life Style) (2) 친환경소비실천태도 (3) 친환경소비실천의도 (4) 친환경소비실천행동 α α α α α α.951 -.107 -.075 -.027 -.016.002.032 -.059.010.030 -.019 -.040.852.927 -.035 -.053 -.162.003 -.002.010

More information

2학년 1학기 1,2단원 1 차례 세 자리의 수 1-1 왜 몇 백을 배워야 하나요? 1-2 세 자리 수의 자릿값 알아보기와 크기 비교하기 1-3 뛰어 세기와 수 배열표에서 규칙 찾기 1단원 기본 평가 단원 창의 서술 논술형 평가 22 1단원 심화 수

2학년 1학기 1,2단원 1 차례 세 자리의 수 1-1 왜 몇 백을 배워야 하나요? 1-2 세 자리 수의 자릿값 알아보기와 크기 비교하기 1-3 뛰어 세기와 수 배열표에서 규칙 찾기 1단원 기본 평가 단원 창의 서술 논술형 평가 22 1단원 심화 수 2학년 1학기 1,2단원 1 차례 세 자리의 수 1-1 왜 몇 백을 배워야 하나요? 1-2 세 자리 수의 자릿값 알아보기와 크기 비교하기 1-3 뛰어 세기와 수 배열표에서 규칙 찾기 1단원 기본 평가 2 8 14 20 1단원 창의 서술 논술형 평가 22 1단원 심화 수준 평가 23 한박사의 스토리텔링 24 2 여러 가지 도형 2-1 같은 점과 다른 점 찾기

More information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역사 속 행정이야기 :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역사 속 행정이야기 조선의 궁궐 경복궁( 景 福 宮 )에 반영된 행정체계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와 명칭에는 조선의 건국 주체세력들의 국왕 정치 및 행정 체계에 대한 이상향이 담겨 있는 것이었다. 들어가는 말 서울은 한국의

More information

3 권 정답

3 권 정답 3 권 정답 엄마표학습생활기록부 엄마가선생님이되어아이의학업성취도를평가해주세요. 021 계획준수 학습기간 월일 ~ 월일 원리이해 시간단축 정확성 종합의견 022 계획준수 학습기간 월일 ~ 월일 원리이해 시간단축 정확성 종합의견 023 계획준수 학습기간 월일 ~ 월일 원리이해 시간단축 정확성 종합의견 024 계획준수 학습기간 월일 ~ 월일 원리이해 시간단속 정확성

More information

2007중국답사기

2007중국답사기 2 0 0 7 2 0 0 7 2007 31 2007 12 31 159 1 1803 02 6000 4326 7 02 6000 4328 21 2007 1200 2007 2007 12 31. 9 28 44 55 81 1 94 2 103 113 120 131 142 152 157 165 175 185 199 212 223 243 251 262 279 293 303

More information

hwp

hwp 문화정책논총 제 14 집 (2002) : 105 124 Ⅰ. 정보통신의발달과문학의매체변화 Ⅱ. 문학에서디지털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Ⅲ. 가상공간의서사가문학에미친영향 문화정책논총제 집 디지털기술발전과문학 문화정책논총제 집 디지털기술발전과문학 문화정책논총제 집 디지털기술발전과문학 문화정책논총제 집 디지털기술발전과문학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4 7 7 9 3 3 4 4 Ô 57 5 3 6 4 7 Ô 5 8 9 Ô 0 3 4 Ô 5 6 7 8 3 4 9 Ô 56 Ô 5 3 6 4 7 0 Ô 8 9 0 Ô 3 4 5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 선거의 의미와 필요성 ① 선거의 의미`: 우리들을 대표하여 일할 사람을 뽑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선거의 필요성`: 모든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일을 의논하고

More information

제 1 절 복습 \usepackage{ g r a p h i c x }... \ i n c l u d e g r a p h i c s [ width =0.9\ textwidth ] { b e a r. j p g } (a) includegraphics 사용의일반적인유형

제 1 절 복습 \usepackage{ g r a p h i c x }... \ i n c l u d e g r a p h i c s [ width =0.9\ textwidth ] { b e a r. j p g } (a) includegraphics 사용의일반적인유형 그림배치 이주용 jlee@formal.korea.ac.kr 2011 년 9 월 28 일 제 1 절 복습 \usepackage{ g r a p h i c x }... \ i n c l u d e g r a p h i c s [ width =0.9\ textwidth ] { b e a r. j p g } (a) includegraphics 사용의일반적인유형 (b)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NJ52-14-8-062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산외면신정리일원 NJ52-14-8-093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속리산면중판리일원 NJ52-14-8-094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12월영상 내지<265턁

*12월영상 내지<265턁 영상물등급위원회는 등급분류에 관한 문의 대표전화 : 02-2272-8560 ( ) 안은 내선번호 월간 KOREA MEDIA RATING BOARD MAGAZINE 은 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특 집 B 시상식 및 송년회 영상 칼럼 B제한상영가에 대한 소견 이 달에 만난 사람 BPC게임물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주제어

주제어 禪門拈頌集 의편찬과 禪宗頌古聯珠集 * 조명제 ** < 한글요약 > 주제어 - 370 - Ⅰ. 머리말 - 371 - Ⅱ. 禪宗頌古聯珠集 의인용내용 - 372 - - 373 - - 374 - - 375 - - 376 - - 377 - - 378 - - 379 - - 380 - - 381 - - 382 - - 383 - - 384 - - 385 - - 386 -

More information

(초등용1)1~29

(초등용1)1~29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20 21 22 23 24 03 25 26 27 28 29 01 33 34 35 36 37 38 39 02 40 41 42 43 44 45 03 46 47 48 49 04 50 51 52 53 54 05 55 56 57 58 59 60 61 01 63 64 65

More information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계획수립등전력수급안정에도최선의노력을기울이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하는 2016년발전설비현황은

More information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할렐루야10월호.ps, page 1-12 @ Normalize ( 할 437호 ) www.hcc.or.kr news@hcc.or.kr Hallelujah News PHOTO NEWS 새벽 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이 주께 나오는도다. 제437호 2007년 10월 7일 (주일) 화요청년찬양부흥회 날짜: 10월 16일, 11월 6일, 11월 20일 12월 4일, 12월 18일 (매달 1 3주 화요일) 장소: 할렐루야교회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07

07 5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1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100년을 그린 10년의 발자취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제19호

제19호 41 - 조선농민사기관지 조선농민 과 농민 을중심으로 국문초록 42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43 44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45 46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47 48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49 50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51 52 동학학보 21 호 천도교와아나키즘의결합 53

More information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www.greenkiss.org / 02-747-339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김정자 이경재 < 진행순서 > < 발제문 > 1.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1p 2. 대운하로흐르는힘들, 그리고객관과물질의세계... 20p < 토론문 > 1. 양극화와개발주의... 35p 2.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