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alyeongsanR5_1_157.hwp
|
|
- 정석 당
- 6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2
3 국립공원연구원연구보고 Nature, Our Future!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팔영산
4 국립공원탐방서비스헌장 우리공단임직원은국립공원이우리나라의자연생태계와자연및문화경관등을대표하는지역으로후손에물려주어야할소중한유산임을인식하고국민의여가생활과정서함양을위하여다음과같은자세로공원관리에임할것을약속합니다. 1. 다양한생태계, 유구한문화유산, 수려한자연경관이공존하는 국립공원으로보전하겠습니다. 1. 쾌적하고안전한국립공원탐방환경을유지하겠습니다. 1. 국민의삶의질을향상시킬수있는탐방프로그램을운영하겠습니다. 1. 국립공원관련자료와다양한탐방정보를국민이편리하게이용 할수있는환경을조성하겠습니다. 1. 고객의불편이최소화될수있도록항상고객의입장에서생각 하고행동하겠습니다. 우리공단임직원모두는국립공원탐방서비스헌장을이행함으로써 국민모두가유익한탐방을할수있도록정성을다하겠습니다.
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팔영산
6
7 과업수행자 본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는다음과같은연구진을중심으로수행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연구진 구분 성명 소속 보조원 과업총괄 권혁균 국립공원연구원 남승문 총괄조사위원채희영국립공원연구원 총괄진행 조용성 국립공원연구원 박은영 지형경관 지질 조용성 국립공원연구원 이진광 강남이 식물상 김인택 창원대학교 김세훈 안진우 식생 나경태 국립공원연구원 박승건 이민영 산림엽면적지수 김태근 국립공원연구원 김정광 심기창 포유류 김의경 국립공원연구원 김혜리 허남진 자연환경 조류 성하철 전남대학교 김우열 이지용 양서 파충류 장민호 국립공원연구원 구교성 김종운 어류 이승록 국립공원연구원 강승원 김대훈 육상곤충 ( 주간 ) 권진만 국립공원연구원 홍의정 전용락 육상곤충 ( 야간 ) 조영호 대전대학교 김영진 최민주 진정거미류 김병우 국립공원연구원 최두영 김기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권순직 자연생태연구소 황인철 한승철 담수조류 박정원 국립공원연구원 이찬희 박솔이 고등균류 장석기 원광대학교 박희재 김형배 인문환경 역사 문화자원 이찬희 공주대학교 김지영, 송치영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권헌교 국립공원연구원 이은정 이효은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심규원 국립공원연구원 김혜민 장지은 훼손지조사 이상희 충북대학교 주정덕 이정균
8
9 지형경관 급애지형 남쪽에서바라본팔영산전경 서쪽에서바라본팔영산전경 애추지형 토어지형 토어지형 판상절리지형 폭포지형
10 식물상 일월비비추 동백나무 돌양지꽃 층꽃나무 백양꽃 멀꿀 매미꽃 왕벚나무
11 조류 논병아리 노랑턱멧새 때까치 딱새 원앙 큰부리까마귀 홍머리오리 황조롱이
12 양서 파충류 두꺼비유생 청개구리 도마뱀 줄장지뱀 먹이포식중인쇠살모사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쇠살모사
13 어류 붕어 갈겨니 긴몰개 참종개 남방종개 미꾸리
14 곤충류 ( 주간 ) 끝검은말매미충 긴알락꽃하늘소 왕바다리 배자바구미 갈구리나비 땅별노린재 칠성무당벌레 두점박이먼지벌레
15 곤충류 ( 야간 ) 긴수염비행기밤나방 흰무늬왕불나방 멧누에나방 녹색박각시 쌍복판눈수염나방 무궁화밤나방 주홍박각시 태극나방
16 진정거미류 아기늪서성거미 흰수염깡충거미 흰눈썹깡충거미 ( 수컷 ) 배설하는흰눈썹깡충거미 ( 암컷 ) 속리유령거미 ( 암수 )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꼬마거미류일종 비탈거미류일종
17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플라나리아연가시다슬기 가재보통옆새우세갈래하루살이 맵시하루살이흰부채하루사이큰밀잠자리 두눈강도래긴발톱물날도래 KUa 동양줄날도래
18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조사지역격자
19 목 차 Ⅰ. 과업개요 1. 과업개요 1 Ⅱ. 분야별자원조사 1. 지형경관및지질 7 2. 식물상 식생 산림엽면적지수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육상곤충 ( 주간 ) 육상곤충 ( 야간 ) 진정거미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담수조류 고등균류 역사 문화자원 탐방행태 수용력평가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훼손지조사 341 Ⅲ. 요약및관리방안 381 IV.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원현황 421 V. 부록 1. 팔영산지구주간곤충종목록 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종목록 440
20 3. 팔영산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종목록 팔영산에서출현한담수조류종목록 453
21 Ⅰ 과업 개요
22
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 과업개요 팔영산은소백산맥이서쪽으로힘에지친듯기울다가동남으로고흥반도를바라보며점암면성기리, 강산리, 영남면양사리등에걸쳐우뚝솟아있는산으로옛문헌에보면팔전산, 팔령산, 팔점산등으로불리웠다. 산의정상에팔봉 ( 八峯 ) 이있는데 1 봉유영봉, 2봉성주봉, 3봉생황봉, 4봉사자봉, 5봉오로봉, 6봉두류봉, 7봉칠성봉, 8봉적취봉이라불리우고있다. 팔영산은 1998년 7월 30일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2011년부터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편입 ( 총면적 km2 ) 되어관리되고있다. 팔영산은고흥읍에서동쪽으로 25km떨어진지점에있는팔영산깃대봉 (608m) 과팔영산남동쪽능선의계곡에있는자연휴양림등을포함한다. 팔영산은기암괴석이많고산세가험준해연중등산객이끊이지않고, 특히제1봉인유영봉 ( 儒影峰 ) 에서마지막제8봉인적취봉 ( 積翠峰 ) 까지이어지는바위능선으로형성되어있다. 또한팔영산정상에오르면멀리일본의쓰시마섬 [ 對馬島 ] 이보이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전경이한눈에들어온다. 또한다양한동 식물이서식하고있어이러한자연자원에대한현황을조사하고자하였다. 가. 과업목적 국립공원내자원을주기적으로조사하여상세자원현황과목록을작성 국립공원자원의체계적 과학적인보전과관리에필요한자료획득및활용 나. 조사기간및지역 1) 조사기간 2012 년 2 월 ~ 12 월 2) 조사지역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대상으로 2km 2km 격자를설정하여포함되는 11개지역을조사대상으로하였다. 조사에이용한국가기본도인국립지리원지형도 ( 표 1) 와조사격자현황은다음과같다 ( 그림 1) 국립공원연구원 3
24 I. 과업개요 표 1. 조사대상지역해당도엽 해당도엽 (1/25,000) 백일 NI (347062) 내라노 NI (347064) 그림 1. 팔영산조사격자현황 다. 조사분야 자연환경분야의지형경관, 지질, 식물상, 식생, 산림엽면적지수,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육상곤충 ( 주간 ), 육상곤충 ( 야간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진정거미류, 고등균류, 담수조류분야와인문환경분야의역사 문화자원, 탐방행태 수용력평가,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훼손지조사등을조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4
25 Ⅱ 분야별 자연조사
26
27 지형경관및지질 1 조사위원 조용성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이진광 강남이
28
2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국립공원은기본적으로지형경관이수려하고자연생태계를그대로보존하도록관리함으로서그설정의의의를유지한다. 그러나최근선진각국은자연공원들에대하여자연그대로의보존을위하여다양한형태의자연유산보호를위한관리와함께관광자원으로서의활용을위한노력이부가됨으로서그자연유산으로서자산가치의배가를위한정책을세워나가고있다. 국내에서도상기한관점에서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에서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을대상으로자연자원조사를실시하였다. 자연공원내자연자원을조사하는목적은자연공원의자연자원을조사하여 1) 공원내자연자원을파악하고, 2) 분포특성과생성특성을분석하고, 3) 자연자원의보존과활용을위한자료를취득하며, 4) 이들결과를토대로지속적이고효율적인보존과활용을위한관리체계를구축하는데있다. 본조사는상기목적에의하여진행된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중지형경관및지질자원을대상으로진행되었다. 지형경관및지질자원은국립공원내자연자원중가장기본을이루는자연자원이라고할수있다. 본조사는팔영산내에부존하는지형경관자원과지질자원의특성을파악하여국립공원으로서지속적이고체계적인관리방안및효율적인활용을위한방안등을제시하는데목적을두고진행하였다. 이러한조사목적에따라, 본조사에서는팔영산내에위치하는지형경관자원과지질자원중지질학및지리학등학문적측면과관광학적활용측면에서보존되어야할지형경관과암상, 지질구조등지질 지리학적특성파악과그들의분포특성및이들의상호관계해석과이들을이용한적절한테마관광요소등의도출을통한활용방안제시에초점을두었다. 팔영산은고흥읍에서동쪽으로 25km 떨어진최고높이 608m, 총면적은 km2 1998년 7월 30일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나, 2011년 1월부터공원구역변경후에팔영산도립공원이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공원구역에편입되어관리되고있다. 팔영산은고흥군에서가장높은산으로중앙의깃대봉을비롯해유영봉 ( 儒影峰 ) 성주봉 ( 聖主峰 ) 생황봉 ( 笙簧峰 ) 사자봉 ( 獅子峰 ) 등 8개의봉우리로이루어져있으며, 산세가험하고기암괴석이많다. 정상에오르면멀리대마도까지볼수있고, 눈앞에펼쳐지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절경이일품이다. 팔영산의본디이름은팔전산 ( 八顚山 ) 이었다. 중국 국립공원연구원 9
30 1. 지형경관및지질 위왕의세숫물에 8개의봉우리가비쳐그산세를중국에까지떨쳤다는전설이전해지면서부터팔영산이라불렀다고한다. 예전에화엄사, 송광사, 대흥사와함께호남 4대사찰로꼽히던능가사를비롯하여경관이빼어난신선대와강산폭포등명소가많다. 그림 1-1. 팔영산의행정적위치 나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본조사는우선팔영산일대에대한지형경관및지질에대한문헌조사를수행하고, 이를기초로현장조사를수행하였다. 본조사분야는계절에영향을받지않으므로초기 3개월간 (6, 7, 8월 ) 은문헌조사를실시하고후기 3개월 (9, 10월 ) 은현지조사를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총 15일진행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10
3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1-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 조사지역동부공원지역확인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남부 서부공원지역확인능가사, 흔들바위, 제1봉 ~6봉일대북부공원지역확인제7봉 ~8봉, 탑재일대남부공원지역확인강산폭포, 신선대일대 팔영산조사구역은전체면적을 2km 2km(11개 ) 격자단위로조사대상지역을설정하였다 ( 그림 1-2). 그림 1-2. 팔영산조사지역격자 2) 조사방법 가 ) 문헌조사 국립공원연구원 11
32 1. 지형경관및지질 조사대상지역에대한지형경관은행정, 지리, 지형적정보를지형도를통해사전에확인하였으며, 조사지역에대한격자를설정하였다. 또한기존의문헌정보 ( 조사지역및인접지역의보고서,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등 ) 를통하여조사대상지역에대한지형자원의위치와속성정보를확인하였다. 기존의문헌정보, 지리적상황, 지형적특징, 접근성등을고려하여가장효율적인조사경로를설정하였으며, 산지지형, 하천지형등이골고루포함될수있도록조사경로를설정하였다. 지질분야는기존의문헌정보 ( 조사지역및인접지역의보고서, 지질조사보고서등 ) 를통하여조사대상지역에대한지질의현황등을파악하였다. 또한문헌조사는먼저대상지역에대한학술적연구진행여부를조사하고그연구내용을수집, 정리하였다. 선행된조사결과보고서와관련된지질을대상으로조사항목및조사대상등을파악하였다. 나 ) 현지조사현지조사는현지개황조사와정밀조사로구분하여진행되었다. 현지개황조사는기존의지형도, 지질도및문헌조사등을통하여파악된특별지형경관및지질등에대한위치파악과현지도로망등을점검하여정밀조사계획의수립과조사요소점검을위하여진행되었다. 이에의하여수립된정밀조사계획에의하여현지정밀조사가진행되었다. 지형경관에대한정밀조사는현장조사시 GPS를이용하여위치를 1초단위까지상세하게기록하였고, 환경부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형분야의지침에따라조사하였다. 지형자원의파악을위해능선과계곡중심으로조사하였으며, 각지형자원은반드시디지털카메라로촬영하되가능하면전체지형을포괄할수있도록사진상에서공간적규모를명시하고자하였다. 현지조사를통해확인된지형단위의 1:25,000 지형도상에표기하고해당지형의속정자료를별도의지형조사표에기록하였다. 지형지질조사표는 GPS 좌표와격자등현장에서수집된자료를기록하였다. 지형도 ( 과거에발간된지형도포함 ), 지질도, 정밀토양도, 토지피복도등의도면자료와문헌자료및영상자료등을기초로지형단위를개략적으로분류하였고, 지형조사는표 1-2의지형조사항목기준 (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환경부 ) 을적용하였다. 지질분야에대한정밀조사는지형경관과동일하게현장조사시 GPS를이용하여위치를 1초단위까지상세하게기록하였다. 각지질자원은반드시디지털카메라로촬영하되가능하면사진상에서공간적규모를명시하고자하였다. 현지조사를통해확인된지질단위의 1:25,000 지형도상에표기하고해당지질의자료를별도의지질조사표에기록하였다. 지질조사표는 GPS 좌표와격자등현장에서수집된자료를기록 국립공원연구원 12
3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하였다. 지질은광물학, 암석학, 층서학, 고생물학, 동력지질학, 지사학, 응용지질학, 해양지질학등다양한분과로나누어져있다. 특히본조사는현장에서광물학및암석학에중점을두었으며, 조사지역의구성광물및암종등많은자료를수집하려고노력하였다. 표 1-2. 지형조사항목대구분중구분지형경관단위급애 (cliff) 암석돔 (dome) 판상절리지형 (sheeting joint landform) 수직절리지형 (vertical joint landform) 토어 (tor) 악지 (badland) 고위평탄면 산지지형 (Mountaineous Landform) 침식및풍화지형 퇴적지형 고립구릉 (isolated dome) 권곡 (kar or cirque) 설식와지 (nivation hollow) 풍화동굴 (cave) 그루브 (groove) 나마 (gnamma) 산지타포니 (tafoni) 단층 ( 선 ) 곡삼각말단면구조토 (patterned ground) 암괴류 (block stream) 암괴원 (block field) 애추 (talus or talus cone) 산지습지 (montane wetland) 국립공원연구원 13
34 1. 지형경관및지질 ( 계속 )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단위 폭포 (water fall) 폭호 (plunge pool) 포트홀 (pothole) 소 (pool) 평지및하천지형 (Plain and Stream related Landform) 침식지형 퇴적지형 감입곡류구간 (incised meander) 미앤더코어 (meander core) 협곡 (canyon or gorge) 하식애 (stream cliff) 하식동 (stream cave) 삼각주 (delta or delta fan) 선상지 (alluvial fan) 하성충적지 (fluvial deposits) 포인트바 (point bar) 자연제방 (natural levee) 하중도 (mid-channel island) 사력퇴적지 (bar) 구하도 (old channel) yazoo 하도 (yazoo stream) 우각호 (oz-bow lake) 천정천망류하도구간 (braided stream) 지류습지배후습지구분류습지 (interrupt tributary wetland) 하안단구 (fluvial terrace) 호소성습지 (lacustrine wetland) 용천 (spring)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단위 돌리네 (doline) 우발라 (uvala) 카르스트지형 (Karst Landform) 자연교 (natural bridge) 카렌또는라피에 (karren or lappie) 카르스트건곡 (blind valley or sinking creek) 카르스트용천 (karst spring) 국립공원연구원 14
3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 계속 )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단위 해식애 (sea cliff) 해식동 (sea cave) 파식대 (wavecut platform) 침식및풍화지형 시스택 (sea stack) 시아치 (sea arch) 노치 (notch) 마린포트홀 (marine pothole) 해안타포니 (tafoni or honeycomb T) 간석지 (tidal flat) 염습지 (salt marsh) 거력해안 (boulder beach) 자갈해안 (gravel beach) 해안지형 (Coastal Landform) 모래해안 (sand beach) 패사해안 (organic sand beach) 사취 (spit) 사주 (sand bar) 퇴적지형 연안사주 (barrier island) 육계사주 (tombolo) 육계도 (land-tied island) 범 (berm) 비치리지 (beach ridge) 석호 (lagoon) 해안사구 (coastal dune) 사구습지 (coastal dune wetland) 해안충적지 (coastal deposits landform) 기타 해안단구 (coastal terrace) 간척지 (reclaimed land) 국립공원연구원 15
36 1. 지형경관및지질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단위 용암원정구 (lave dome) 분석구 (scoria cone) 응회구 (tuff cone) 응회환 (tuff ring) 마르 (maar) 구상화산 화구 (crater) 화산지형 (Volcanic landform) 중앙화구구화구호 (crater lake) 칼데라 (caldera) 칼데라호 (caldera lake) 용암대지 (lava plateau) 스텝토 (step-toe) 베게용암 (pillow lava) 새끼용암 (roped lava) 화산건곡 (volcanic dry valley) 용천 (spring) 주상절리지형 (culumnar joint landform) 다. 결과및고찰 1) 팔영산의지형가 ) 지형개관 고흥군이위치하고있는고흥반도는여수반도, 장흥, 해남과함께양쪽에만을끼고남해쪽으로깊숙이뻗어있는전형적인반도이다. 리아스식해안과반도의풍광이다도해의경관과어우러지는곳이이들반도의주변이다. 고흥군은남양면대곡리일대의닭모가지정도밖에안되는좁은육지로육속되어있을뿐사실상섬이나다름없다. 팔영산은고흥군의동쪽여수반도쪽으로깊숙이파고든반도중의반도인영남면과 국립공원연구원 16
3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점암면에위치하고있다. 지명의기원에대해서는세가지설이있다. 첫째 팔영산의그림자가멀리한양까지드리워졌기때문이다. 라는설이다. 둘째, 금닭이울고날이밝아오면서햇빛이바다위로떠오르면팔봉은마치창파에떨어진인쇄판같은모습이어서영자 ( 影字 ) 가붙여졌다. 는설, 셋째 세숫대야에비친여덟봉우리의그림자를보고감탄한중국의위왕이이산을찾으라는어명을내렸는데, 신하들이조선의고흥에서이산을발견하였다는데서유래하였다. 는설이다. 산의영험함이나독특한풍광에공통점을지닌것과관련해지명이유래하였음을시사하고있다 (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 국토지리정보원 ). 그림 1-3. 팔영산주변지형 전남고흥군점암면에위치한팔영산은총면적은 km2이다. 1998년 7월 30일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2011년부터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편입되어관리되고있다. 팔영산은고흥읍에서동쪽으로 25km떨어진지점에있는팔영산깃대봉 (608m) 과팔영산남동쪽능선의계곡에있는자연휴양림등을포함한다. 팔영산은기암괴석이많고산세가험준해연중등산객이끊이지않고, 특히제1봉인유영봉 ( 儒影峰 ) 에서성주봉 ( 聖主峰 ) 생황봉 ( 笙簧峰 ) 사자봉 ( 獅子峰 ) 오로봉 ( 五老峰 ) 두류봉 ( 頭流 국립공원연구원 17
38 1. 지형경관및지질 峰 ) 칠성봉 ( 七星峰 ) 을거쳐마지막제8봉인적취봉 ( 積翠峰 ) 까지이어지는바위능선으로형성되어있다. 또한팔영산정상에오르면멀리일본의쓰시마섬 [ 對馬島 ] 이보이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전경이한눈에들어온다. 2) 지형경관분석가 ) 산지지형 산지는산릉과급경사의산복으로된지역의총칭으로기본적으로는침식작용이강하게작용하는곳이고, 하류측에대해서는토사공급원이된다.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에의하면지형경관의산지지형은침식및풍화지형과퇴적지형으로나눌수있다. 여기서침식및풍화지형은급애, 암석돔, 판상절리, 수직절리, 토르, 악지, 고위평탄면, 고립구릉, 권곡, 설식와지, 풍화동굴, 그루브, 나마, 산지타포니, 단층 ( 선 ) 곡, 삼각말단면등으로세분화할수있다. 또한퇴적지형은구조토, 암괴류, 암괴원, 애추, 산지습지등으로나눌수있다. 산지지형은침식및풍화지형과퇴적지형으로분류되며, 총 21개종류로세분화된다. 이러한세분화된지형에대하여팔영산에서조사된주요산지지형에대하여서술하고자하며, 산지지형의조사분류표를표 1-3에나타내었다. 특히팔영산에서는급애, 판상절리, 토어, 애추지형등이부분적으로또는집중적으로관찰되고있다. 표 1-3. 산지지형조사분류표 대구분중구분지형경관비고 급애 수직또는급경사면을이루는암석사면 암석돔 암석으로이루어진돔 (dome) 모양의지형 판상절리 암석상에수평으로발달한절리 수직절리 화산지대이외의장소에발견된탁월한주상형절리지형 산지 침식및 토어 차별풍화의결과로지표에노출되어있는독립암괴 지형 풍화지형 악지 호우에의해우곡이불규칙하게형성된거친지형 고위평탄면 침식작용을받은평탄면이융기하여높은고도에위치한지형 고립구릉 구릉성산지가아닌분지내고립구릉지 권곡 빙하작용으로만들어진말발굽모양의침식지 국립공원연구원 18
3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퇴적지형 설식와지풍화동굴그루브나마산지타포니단층 ( 선 ) 곡삼각말단면구조토암괴류암괴원애추산지습지 눈 ( 雪 ) 의침식작용에의해형성된지형 석회암동굴과화산동굴을제외한일반적동굴 암석측면에길게흠통모양으로발달한풍화지형 화학적풍화에의해암반상에발달한풍화혈 암석의측면에형성된풍화혈 지질운동에의해구조선을따라형성된계곡, 단층작용의결과로만들어진골짜기 침식된단층애의산각말단에나타나는삼각모양의급애 주빙하작용으로만들어진다각형상의지형 부서진암괴가산사면을따라흘러내리는현상 부서진암괴가완만한사면을넓게덮고있는현상 산지사면을따라설형으로발달하는암설퇴적지형 산지지형내에서관찰되는담수습지 ( 가 ) 급애 (cliff) 급애또는단애 (cliff) 란사면의경사가급하여사면이동물질이쌓여있지않은기반암으로이루어진자유면 (free face) 을말한다. 즉수직및급경사면을이루는암석사면이다. 수직단층작용으로만들어진단애를단층애, 요곡운동으로형성된것을요곡애 (flexure scarp), 용암이흐르다가멈춘말단부가급애를이루는경우에는화산애 (volcanic cliff) 라고한다. 해안에서파도의침식작용을받아형성된것을해식애 (sea cliff) 라고하며, 하천주변에서하천의침식작용을받아만들어진것을하식애 (river cliff) 라고한다. 팔영산은 8개의봉우리가어우러져장관을연출하고있다. 이러한 8개의봉우리주변에는수직 수평의급경사급애지형이매우발달되어있다. 각봉우리주변에는다양한형태의급애지형이관찰되고있으며, 특히두류봉, 칠성봉, 신선봉, 성주봉주변과다른봉우리주변에는발달된급애지형이관찰되고있다. 이러한급애지형이발달되어있는팔영산은제1봉에서제8봉까지봉우리를연결하고있는탐방로가위치하고있다. 이러한급애지형은외부환경 ( 지진, 폭우등 ) 변화에낙석및사태가능성이매우크게존재하고있어지속적인모니터링등의향후대책이요구되고있다. 특히팔 국립공원연구원 19
40 1. 지형경관및지질 영산은탐방로주변에수직의급애지형이많이위치하고있으므로인하여항시안전에위험성을내포하고있어안전에대한지속적인인지를위하여추락및낙석등의위험에대한안내간판등이요구되고있다. 그림 1-4. 두류봉주변에발달된급애지형 그림 1-5. 칠성봉일대에발달된급애지형 국립공원연구원 20
4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1-6. 신선봉일대에발달된급애지형 그림 1-7. 성주봉 ( 제 2 봉 ) 일대에발달된급애지형 ( 나 ) 판상절리 (sheeting joint landform) 절리 (joint) 는마그마나용암이고결할때에는수축이일어나므로그중에틈이생기게된다. 신선한암석에서는이들틈이잘보이지않으나풍화를받으면틈에따라풍화가먼저진행되므로오랜시일이지나면굵은틈이나타나게된다. 이런틈을절리 (joint) 라고한다. 암석상에수평으로발달된절리를 판상절리 라고한다. 고흥지역은선캠브리아기의편마암류, 백악기의퇴적암류, 화산암및화산쇄설성암 국립공원연구원 21
42 1. 지형경관및지질 류, 그리고이를관입한화강암류로대별되고있다. 이러한지질학적인특징으로인하여팔영산은화산쇄설성암류인응회암이많이분포되어있다. 이러한응회암은퇴적암의성격을많이띄고있으며, 수직및수평의절리가매우발달되어있는것이특징이다. 팔영산봉우리주변에는수직의절리가매우발달되어있으나, 부분적으로수평의판상절리지형이부분적으로관찰되고있다. 그림 1-8. 유영봉 ( 제 1 봉 ) 주변에발달된판상절리지형 그림 1-9. 칠선봉 ( 제 7 봉 ) 주변에서관찰되는판상절리지형 국립공원연구원 22
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 다 ) 토어 (tor) 토어는차별적인풍화작용을받은결과그지역의기반암과연결되어지표에노출되어형성된독립성이강한암괴미지형을말한다. 형태적으로는똑바로서있는석탑이라는의미의어원을갖고있는데, 이는본래영국의 Dartmoor 지방의화강암괴를지칭하는지방어였다가현재는세계적으로사용하는용어가되었다. 토어의성인으로는 1단계발달이론과 2단계발달이론이있다. 1단계발달이론은주빙하작용, solution pan에의한수직붕괴작용, pediplanation 형성작용에의해서발달한다는이론인데, 이와같은작용들은모두지상에서의풍화작용을동반하는과정에서토어의발달을가져온다는이론이다. 이는주로온대기후지역에서토어의성인을밝히는이론으로토어의암괴들은동결융해를받아각진암괴들이대부분이다. 2단계발달이론은심층풍화에의해지하에형성된핵석이지표에노출되는과정에서토어의발달을가져온다는것이다. 이이론은주로열대기후지역의토어의성인을밝히는이론으로토어를이루는암괴들은화학적풍화작용을통해둥근암괴들로변형된다. (a) (b) (c) (d) 그림 토어 (tor) 의형성과정 암석이나돌의모양이둥근것은보통강가나바닷가등에서물에의한침식, 즉 국립공원연구원 23
44 1. 지형경관및지질 마식을받은결과이다. 그러나우리는산정상부근에서도쉽게이러한형태의암괴미지형을만날수있다. 이러한지형은처음에는하나의암체를이루던화강암이냉각, 팽창하면서그표면에절리가발생한다 ( 그림 1-10(a)). 절리를따라풍화가진행되어암체가바위덩어리들로분해된다. 이때절리면은풍화부산물인새프롤라이트로채워진다 ( 그림 1-10(b)). 이후새프롤라이트가빗물과지하수에의해모두씻겨나가면풍화되지않은기반암덩어리들이지표에모습을드러낸다 ( 그림 1-10(c)). 돌탑군을이룬암석덩어리들이침식과풍화로붕괴되어 1개의둥근암석덩이리만남는다 ( 그림 1-10(d)). 그림 생황봉 ( 제 3 봉 ) 측면에서관찰되는토어지형 국립공원연구원 24
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칠선봉과적취봉구간에서관찰되는토어지형 그림 생황봉과사자봉구간에서관찰되는토어지형 ( 라 ) 애추 (talus or talus cone) 애추 (talus) 는단애면 ( 절벽 ) 에서암설이하나씩하나씩장기간에걸쳐서떨어져내려쌓인암설의퇴적지형으로, 하천 바람 빙하등의운반매개체없이중력에의해암설이사면을따라이동하는과정을총칭하는매스무브먼트 (mass movement) 의일종이다. 암설들은급애를이루는기반암석이기계적풍화작용에의해서붕괴되고, 중력작용으로사면아래쪽으로이동하여퇴적되어애추를형성한다. 암설들은주로거치 국립공원연구원 25
46 1. 지형경관및지질 른조립암설로되어있고, 애추사면을따라서어느정도분급 ( 암설이낙하하면서쌓일때크기별로나뉘는현상 ) 이이루어져서큰암괴는가장밑에가서쌓이고세립암설은애추사면의최상부에쌓이는경향이있다. 애추사면의경사는일반적으로 35 내외를유지하는데, 만약이보다더가파르게암설이쌓이게될때암석의안식각 ( 암설이안정하게머무를수있는최대각도 ) 에의해쌓이지못하고아래로흘러내려계속원래의경사를유지할수있다. 또한애추사면에는식물이생장하지않는다. 만약식물이생장하게되면더이상암석의공급이않되는것으로서발달이중지된형태를나타내는것이다. 애추는중위도와고위도의산지에서겨울동안에얼었던단애면이봄에녹을때즉, 계절적인결빙에의한기계적풍화작용이가해져발달하게되므로동결과융해가자주반복될수록활발히성장한다. (a) (b) (c) 그림 애추 (talus) 지형의형성과정 우리나라의산악지방에도애추가많이발달되어있으며, 우리말로애추를 너덜, 돌서렁 이라부르는데현재성장하고있지않은것이많다. 암괴류 암괴원도애추와마찬가지로주빙하기후하에서가장잘발달하는데, 애추가급사면의기저부또는절벽 국립공원연구원 26
4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밑에형성되는반면에이것들은경사가비교적완만한산복에형성된다는것이다. 애추 (talus) 는주로빙하기에한랭건조한기후의영향으로암석의기계적풍화가활발히일어나서생성되었다. 특히암석으로이루어진거대한산체가대규모절리에의해붕괴되어절벽을이룬지형 ( 그림 1-14(a)) 에서지표면에노출된바위의절리나틈새로수분이스며들어동결과융해가반복되고햇볕에의해팽창과수축이반복되면, 그틈새가더욱벌어져암석들이하나둘씩아래로굴러떨어진다 ( 그림 1-14(b)). 암벽에서떨어져나온암설들이오랜세월겹겹이쌓여돌밭을이루고절벽은침식과풍화에의해점점깎여나간다 ( 그림 1-14(c)). 이런과정이오랜세월반복되면애추가형성된다. 또한돌들은대개모난모양이며, 큰암설일수록떨어질때의운동량이크기때문에더멀리이동한다. 그래서작은암설은사면상부에, 큰암석은멀리이동하여사면하부에집적되는분급이나타난다. 급경사의급애지형이발달되어있는하단부는기반암의지속적인풍화작용으로인하여암석이떨어져퇴적된애추지형이발달되어있다. 따라서애추지형이관찰되는지역은과거상부에급애지형이매우발달된것으로추정할수있다. 우리나라의대부분의산악지형은지형의형성과정에서이러한풍화잔유물이많이관찰되고있다. 팔영산은 8개의봉우리암반에서지속적인침식풍화작용으로인하여하부로이완된암괴류가퇴적되어애추지형을형성하고있다. 그러나이완된암괴의크기는매우다양하게나타나고있다. 그림 신성봉서쪽능선에발달된애추지형 국립공원연구원 27
48 1. 지형경관및지질 그림 오토캠핑장부근에발달된애추지형 나 ) 평지및하천지형평지및하천지형은환경부의 제3차전국환경조사지침 지형환경목록 (1999) 에의하면크게침식지형과퇴적지형으로분류되고 27개로세분된다. 팔영산지역에서관찰되는하천지형은폭포지형만이관찰되고있다. 표 1-4에평지및하천지형의조사분류표를정리하였다. 표 1-4. 평지및하천지형조사분류표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단위 비고 폭포 하천의경사급변점에나타나는낙수현상 폭호 폭포아래암반상에깊게파인둥근와지 포트홀 하상의기반암에마식작용으로형성된침식혈 소 하천공격면바로밑의하상에형성된수심이깊은곳 평지및 침식지형 감입곡류구간폭에비해곡이깊은산지사이를흐르는곡류하천미앤더의잘록한목이양쪽으로계속침식을받 하천지형 미앤더코어 아절단된후현재하도와구하도사이에형성된원추형의지형 협곡 양쪽곡벽이급경사를이루며좁고깊은계곡 하식애 하천의침식작용에의해형성된단애 하식동 하천의침식작용으로만들어진동굴 퇴적지형 삼각주 운반된하천퇴적물이퇴적된삼각형모양의하구 국립공원연구원 28
4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선상지하성충적지포인트바자연제방하중도사력퇴적지구하도 yazoo하도우각호천정천망류하도구간지류습지배후습지구분류습지하안단구호소성습지용천 지형곡구에발달한부채꼴모양의사력퇴적지형곡저를중심으로형성된평야활주사면에모래나자갈이쌓여형성된퇴적지형홍수시의범람으로하천양안을따라퇴적물이쌓여고도차를보이는지형하천가운데존재하는섬모양의지형 ( 목본류이상의식생이정착한퇴적지형 ) 하중도와비교할때, 초본류가피복되어있거나식생미피복퇴적지형과거의하천이흘렀던흔적으로남아있는하도자연제방너머평탄한범람원을흐르는지류하천하도와하도간의간격이좁은목부분이절단되어형성된소뿔모양의지형하천퇴적작용으로하상이주변보다높아진하천하천이분류와합류를하면서그물모양을이루고 흐르는하천하천의본류와지류구간에형성된하천습지자연제방뒤에상대적으로고도가낮은저습지하천의과거분류구간이었으나현재습지화된지형하천작용으로만들어진하천양안의계단상지형오래된인공저수지의습지포함하천이발원지등에적용가능 ( 가 ) 폭포 (water fall) 폭포 (water fall) 는하천의종단면에있어서급격한경사의변화, 즉천이점에해당하는수직의경사를갖는부분을말한다. 이지점에서유수는거의수직으로흐르기때문에폭포밑에는폭호 (plunge pool) 나포트홀 (pothole) 이형성된다. 폭포의형성요인으로는하상을이루는암석에경연 ( 硬軟 ) 의층이있을때단단한암석층인경암의부분이침식되지않은채급사면이되어폭포를이룬경우가가장많다. 폭포는유년곡에서많이볼수있는데하상에서벗어나떨어지는것에서, 급류급단과구별하기어려운비교적느린폭포, 1단에서몇단으로나뉜폭포등여러종류가있다. 그러나침식이진행되면폭포는후퇴하여결국에는없어지고만다. 이러한폭포는하천침식작용의일종인두부침식 ( 頭部侵蝕 ) 의대표적인예이다. 폭포는낙하하는물의와류로인하여생성된폭호에의해기부가파괴되어점차후퇴한다. 팔영산지역의수계는능가사부분의절골계곡, 탑재부근의시방골, 휴양림근처의양동계곡, 삼림욕장부근의점골, 안골등이위치하고있다. 그러나팔영산의수계는다른곳에비해발달되어있지않다. 수계가발달되어있지않아과거도립공원지정 국립공원연구원 29
50 1. 지형경관및지질 에의하여지방자치단체가관리할때, 여러곳에사방댐을설치하고이곳에다양한형태의물놀이시설물이위치하고있으며, 팔영산하부에는여러개의소규모저수지가위치하고있다. 강산리에서선녀봉탐방로지역에는높이 10m 내외의강산폭포가위치하고있으나, 조사당시수량이적었다. 강산폭포는주변의수직급애지형이관찰되고수평및수직절리가매우발달된형태가관찰되고있다. 또한폭포하부에는노출된기반암이형성되어있어폭호지형은관찰되지않고있으며, 지역주민의식수로사용하는시설물이관찰되기도한다. 그림 강산리강산폭포 3) 지질개요및형성과정가 ) 지질개요 고흥반도의대부분지역은중생대 ( 中生代 ) 의백악기 ( 白堊紀 ) 에형성된지질계통으로이루어져있으며, 특히산성화산암류 ( 酸性火山岩類 ) 의분포가넓게나타난다. 화성암류에속하는화강반암 ( 花崗斑岩 ) 과불국사화강암 ( 佛國寺花崗岩 ), 산성및중성화산암 ( 中性火山岩 ) 은경상계 ( 慶尙系 ) 에속하는지질계통으로서중생대백악기에진행되었던화산활동과밀접한관련성을지닌다. 이들중에서불국사화강암은포두면의중앙이남과거금도의내부, 도덕면과풍양면일대에우세하게나타나고영남면및외 내나로도의중간지역에국지적으로분포되어있다. 중성화산암류는동강면북부의산지에서남양면전체를지나고흥읍의남부에이르기까지북동-남서방향의주향을이루면 국립공원연구원 30
5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서대상으로분포하고금산면의남부해안및간척이전의해창만연안, 영남면의우미산주위, 내나로도의북부등지에주로분포한다. 화성암류에속하는화강반암류는매우좁은지역에걸쳐국지적으로점재한다. 이지역에분포하는퇴적암류 ( 堆積岩類 ) 로는두원면의동부대상지역과과역면이북의해안지역을따라역암 ( 礫岩 ), 응회암 ( 凝灰岩 ), 유문암 ( 流紋岩 ), 용암 ( 熔岩 ) 등으로구성된능주층군 ( 陵州層群 ) 지층이국지적으로분포한다. 그리고선캄브리아기에형성된지질계통으로서이미변성작용을받은변성암류 ( 變成岩類 ) 가고흥군의북부군역경계에서거금도의서부에이르는지역을따라길게분포하고있는데이중에서대서면전체지역과동강면북동부두원면의북부지역에는반상 ( 斑狀 ) 변정질, 편마암 ( 片麻岩 ) 으로이루어진소백산편마암콤플렉스가자리하고있다. 두원면의서부와도덕면의서부, 도양읍및풍양면일원, 금산면의북서부해안에는혼성질 ( 混成質 ) 편마암이우세하게나타나는지리산편마암콤플렉스가분포하고있다. 지형의연속성으로볼때비록고흥반도가전남의육지부와연결되어있기는하지만지질구조에있어서는전남의육지부와연속성을지닌다기보다오히려경남동부및남해안도서지역의지질계통과더유사한분포를보인다. 고흥지역의지질은선캠브리아기의편마암류, 백악기의퇴적암류 ( 역암, 사암, 셰일 ), 화산암 ( 안산암, 유문암 ) 및화산쇄설성암류 ( 응회암 ) 그리고이를관입한화강암류로대별이된다 ( 유성효, 황인호, 1988). 응회암류는고흥응회암과팔영산용결응회암으로구분된다. 고흥응회암은담회색의공중강하 (air-fall) 응회암으로세립내지중립질이며, 미약한층리를보이기도한다. 분포지는두원면, 고흥읍, 도화면그리고봉래면일대에분포한다. 팔영산용결응회암은화산회류 (ash-flow) 응회암으로고흥동부지역인팔영산을중심으로풍양면, 과역면과점암면일대에분포하며고흥응회암의상부에위치한다. 국립공원연구원 31
52
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1-5. 지질계통표 지질시대 제 4 기 층 충적층 ~~ 부정합 ~~ 안산암 -- 관입 -- 백악기 유문암및유문암질응회암 -- 관입 -- 안산암및안산암질응회암 -- 관입 -- 4) 지질각론가 ) 응회암 응회암은 C.K. 웬트워스의분류에서는지름 4mm 이하, R.V. 피셔의분류에서는지름 2mm 이하의화산방출물을정의한다. 함유물의암질 ( 岩質 ) 에따라여러가지명칭이있다. 암석전체의 75% 이상이유리파편으로된응회암을유리질응회암이라한다. 응회암이주로마그마에연유한결정 ( 結晶 ) 으로되어있는것은결정응회암, 기존암석의파편이위주가되어있는것은석질 ( 石質 ) 응회암이라한다. 구성물질의 50 75% 가유리이고나머지가결정이면유리질결정응회암이라한다. 화산탄을함유한응회암은응회집괴암이라하고, 부석 ( 浮石 ) 이나암재 ( 岩滓 ) 가굳어서된암석은각각부석응회암 암재응회암이라한다. 응회암의일종인용결 ( 溶結 ) 응회암은화산재 부석 암재가고온인채로두껍게퇴적하여, 하중 ( 荷重 ) 으로인한압축으로암편이서로용결하여생긴것이며, 용암과오인되는경우가있다. 우리나라에분포하는응회암은주로중생대백악기의지층으로경상남 북도와전라남 북도일원에분포한다. 전라남 북도에서의응회암분포지는전남과경남의남해안일대에분포하며화산암류인안산암, 유문암과함께해남, 진도, 장흥그리고고흥일대에광범위하게노출되고있다. 팔영산흔들바위에서는다양한크기의화산쇄설물이관찰되는응회암이관찰되고있다. 색은비교적외부에노출되어황색을많이띄고있으나, 풍화정도가매우심하게발달되어있는특징이있다. 또한주변에는유문암형태의암반이관찰되고있어이주변일대 국립공원연구원 33
54 1. 지형경관및지질 는유문암류를많이포함하고있는유문암질응회암이주로분포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그림 팔영산흔들바위에서관찰되는응회암 나 ) 용결응회암용결응회암 (welded tuff) 은화산쇄설암의일종으로화산재, 부석 ( 浮石 ) 암재 ( 岩滓 ) 등이고온상태로퇴적하여자신의무게에의해압축되어용결함으로써생성된다. 암질은보통석영안산암질, 유문암질이다. 용결응회암 (welded tuff) 은화산분출물이상당히뜨거워분출이후다시서로재용융되며결착되어퇴적된화성쇄설암이다. 엄밀히얘기하면만일암석에완두콩크기의조각이흩어져있거나 fiamme( 피아메 ) 가그속에있을때이것을용결라필리응회암이라고한다. 용결응회암은강하회기원일수있거나혹은이그님브라이트처럼화성쇄설밀도류로부터퇴적된것이다. 용결이이루어지는동안, 유리샤아드와부석조각들은서로들러붙어 ( 접촉부위가연결되어 ) 변형되고서로뭉쳐져서 유택시틱조직 이만들어진다. 용결의정도는퇴적층의상부가장자리로갈수록감소하고, 퇴적이얇아지는쪽으로, 분출지로부터멀어질수록감소한다. 용결응회암은주로성분상유문암질이다. 그러나모든성분영역의예는존재한다. 용결응회암은마그마에비롯된화산재나부석 ( 浮石 ) 암재 ( 岩滓 ) 등이고온인상태로가소성 ( 可塑性 ) 을가진채퇴적하였기때문에자중 ( 自重 ) 에의한압축으로암편은파쇄되고, 서로용결함으로써생성된것이다. 응회암층 부석퇴적층 암재퇴적층의일부만이용결하고, 주연부에서는다공질 ( 多孔質 ) 의응회암이나간극이많은강하부석퇴적물 강하암재퇴적물로점이하는경우도있다. 부석이나암재는상하로편평한렌즈모 국립공원연구원 34
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양으로배열한다. 기부는보통의응회암이며, 암편부분은기부보다거무스름하게보인다. 암질은일반적으로석영안산암질또는유문암질이다. 용결응회암을형성하는화산활동의형식은열운 ( 熱雲 ) 부석류 강하부석 암재류 강하암재를초래하는폭발적인것이며, 이런화산쇄설물이대량으로분출한뒤에는칼데라또는그와비슷한함몰지가생긴다. 뉴질랜드북도 ( 北島 ) 의로토루아호와타우포호, 수마트라의토바호주변은용결응회암으로형성된대지 ( 臺地 ) 이며, 이들호수는용결응회암을위주로하는화산쇄설물이분출한뒤에생긴함몰지이다. 팔영산일대에는광범위하게대부분의지역에서용결응회암이분포하고있다. 용결응회암의편광현미경분석에서의관찰결과, 유리질물질과자형의사장석이우세하다. 또한암편으로는안산암과유문암그리고변성암편이관찰된다. 응회암의조성을분석한결과, glass는평균 71.7%, 결정은 16.4%, 그리고암편은 11.8% 를차지하여이들암이유리질응회암에해당하고주로유문암질용결응회암으로구성되어있다고할수있다. 그림 팔영산유영봉 (1 봉 ) 일대에서관찰되는용결응회암 국립공원연구원 35
56 1. 지형경관및지질 그림 팔영산휴양림부근에서관찰되는용결응회암노두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1997년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제1차년도에고흥팔영산일대에대한지형경관과지질분야에대한조사가이루어졌으나, 본조사에서는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 환경부 ) 에의하여지형경관에대한분류및지형의변화에대하여조사하였다. 특히분류는산지지형과평지및하천지형으로크게나누었으며, 산지지형은다시침식및풍화지형과퇴적지형으로나누어진다. 침식및풍화지형은급애, 암석돔, 판상절리지형, 수직절리지형, 토르, 악지, 고위평탄면, 고립구릉, 권곡, 설식와지, 풍화동굴, 그루브, 나마, 산지타포니, 단층곡, 삼각말단면으로세분화하여조사하였다. 또한퇴적지형은구조토, 암괴류, 암괴원, 애추, 산지습지등으로분류된다. 평지및하천지형은침식과퇴적지형으로나누어지며, 침식지형은폭포, 폭호, 포트홀, 소, 감입곡류구간, 미앤더코어, 협곡, 하식애, 하식동으로세분화된다. 퇴적지형은삼각주, 선상지, 하성충적지, 포인트바, 자연제방, 하중도, 사력퇴적지, 구하도, yazoo하도, 우각호, 천정천, 망류하도구간, 지류습지, 배후습지, 구분류습지, 하안단구, 호소성습지, 용천등으로세분화된다. 본조사에서는이러한세분화된지형에대하여집중적으로조사하였으며, 세분화된지형경관에대한의미와형성과정에대하여서술하여보다친숙하게지형경관을접할수있도록하였다. 또한지질분야에서도공원관리및해설등에활용할수있도록팔영산의지질학적특징을위주로서술하였으며, 향후공원해설및자료등에적절하게활용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6
5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다도해해상국립공원.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고흥군, 군정백서 고흥군, 1997, 고흥지구간척사업추진현황 김해경, 고영구, 오강호, 2004, 고흥지역에분포하는백악기응회암의역학적특성에관한연구. 권혁재, 자연지리학, 법문사. 권혁재, 지형학, 법문사이우평 지리교사이우평의한국지형산책-백두산에서독포까지. 푸른숲. 이우평 지리교사이우평의한국지형산책-백령도에서이어도까지. 푸른숲. 윤성효, 황인호, 1988, 전남고흥반도에분포하는화산암류의화산층서및암석학적연구, 광산지질학회지. p 장기홍, 1985, 한국지질론, 민음사최범영등, 2002, 목포 여수도폭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환경부, 제2차자연환경전국조사지침. 환경부, 1997,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제1차년도 )-고흥의자연환경. 국립공원연구원 37
58
59 식물상 2 조사위원 김인택 ( 창원대학교 ) 보조원 김세훈 안진우
60
6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조사지역주변은바다와인접하거나접하고있는관계로해발고도로볼때높은산은없으며대부분이중 저산지성구릉들이산재하는전형적인해안지역의지형특성을나타낸다. 대표산인팔영산이최고봉이며동북쪽으로우각산 (344.9m) 과동남쪽으로우미산 (449.7m) 이팔영산과함께 3각형의형태를띠며조사지역의산지를형성하고있다. 본조사지역인팔영산 (608m) 을포함하는고흥군은 3면이바다로둘러싸인반도로전라남도의남쪽에위치해있다. 팔영산은행정적으로전라남도고흥군점암면의성기리, 장남리및강산리그리고영남면의금사리, 남열리및양사리등지에걸쳐있고지리적으로는동경 127 o o 27 30, 북위 34 o o 사이에위치하고있다 ( 그림 1). 고흥군의동쪽에치우쳐바닷가에인접한팔영산은주된봉우리들이동서를가로질러남북을향하고있다. 고흥군전체는남쪽을향한반도이지만팔영산을포함한산지는고흥군내에서동쪽을향한작은반도이다 ( 환경부, 1997). 8개의산악봉우리가기이한형상을보이고있다하여산이름이붙여질정도로정상부는암벽이풍화작용을받아형성된것으로여러지형경관들 ( 애추, 암괴류, 암괴원, 낙석, 석문, 박리현상, 유정승피난굴, 용천, 습지 ) 이나타나고있다. 능가사반대편사면에는자연생태계모니터링지역으로지정된자연휴양림이있어주변의수려한지형경관과더불어우수한생태관광지역으로서의조건을갖추고있다 ( 환경부, 1997). 조사지역이속해있는고흥반도의대부분지역은중생대백악기에형성된지질계통으로이루어져있으며, 특히산성화산암류의분포가넓게나타난다. 화성암류에속하는화강반암과불국사화강암, 산성및중성화산암은경상계에속하는지질계통으로서중생대백악기에진행되었던화산활동과밀접한관련성을지니며토양은고원지나고산악지에주로분포하는양질의산성갈색산림토및암쇄토가가장우세하게분포하고있으며, 지협부와두원면북부, 도덕면과도양읍, 금산면서부지역을따라식질, 양질의암쇄토및적황색토가길게분포하고있다. 그리고고흥읍과동강면남부, 도화면일대에는양질-식질의회색토내지충적토가좁게분포한다 ( 환경부, 1997). 자연경관이우수하여 97년 10월에도립공원으로지정된이후 2011년 1월 10일국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지정되었다. 팔영산의자연환경및식물자원에대한연구로는 1997년에김정환, 한미경등이제 2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일환으로팔영산의식물상에관하여연구를수행하였으며 2001년에김종홍등이고흥반도의자연환경과팔영산의식물상에대해연구를수행하였으며또 2004년고흥군과순천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에의해고흥의자연환경생태 국립공원연구원 41
62 2. 식물상 조사의일환으로조사보고가있으며최근에도국립공원관리공단측에서자연자원조사와모니터링등의연구, 그리고민간및산학기관에서도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는실정이다. 본조사는 2012년제3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의일환으로실시된팔영산지구의식물상조사로써식물자원과식물상을밝히고식물상변화추이를파악하여앞으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내분포하는식물종다양성보존을위한자료및탐방자료로활용하며, 나아가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내공원관리의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그의의를둔다. 나. 재료및방법 1) 조사지개황 조사지역주변은바다와인접하거나접하고있는관계로해발고도로볼때높은산은없으며대부분이중 저산지성구릉들이산재하는전형적인해안지역의지형특성을나타내며대표산인팔영산 ( 깃대봉 : 608m) 이최고봉이며동북쪽으로우각산 (344.9m) 과동남쪽으로우미산 (449.7m) 이팔영산과함께 3각형의형태를이루고고흥군의동쪽에치우쳐바닷가에인접한팔영산은주된봉우리들 [1봉유영봉 (491m), 2봉성주봉 (538m), 3봉생황봉 (564m), 4봉사자봉 (578m), 5봉오로봉 (579m), 6봉두류봉 (596m), 7봉칠성봉 (598m), 8봉적취봉 (591m)] 이동서를가로질러남북을향하고있다 ( 그림 2-1). 그림 2-1. 조사지역및식물상조사경로 ( ), 공원경계 ( ) 국립공원연구원 42
6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범위및조사방법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전지역을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였으며공원전체범위를 11개의격자 (2km 2km) 로나누어식물상조사를실시하였다. 식물상파악은각격자내에출현하는모든종류를조사하였으며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생물, 한국특산종, 희귀식물및외래식물의목록표를작성하였으며, 특정및외래식물조사표는동일지역내에 2개체이상이출현하는종류만을대상으로하였다. 식물의동정은이 (1996), 이 (1997), 이 (2003) 를참고하였고박 (2001) 의한국귀화식물원색, 김 (2008) 의한국의야생화와자원식물등을참고하였으며분류체계는해부학적특색을취한 Engler의방법에따라정리하였다. 또한조사중발견된관속식물중한국특산식물은가장최근에한국특산식물을정리한산림청 ( 의통계에따랐으며희귀식물은국립수목원 (2009) 에의거하였으며멸종위기야생생물의경우, 환경부야생동식물보호법 (2005) 의멸종위기동 식물을참고하였다. 팔영산의전체조사지역및조사경로는 ( 그림 2-1) 과같다. 3) 조사기간 본식물상조사는 2012년 4월 14일부터 2012년 10월 17일까지 7회 15일간조사를실시하였으며조사일정은 ( 표 2-1) 과같다. 표 2-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구분 조사기간 조사지역 격자번호 1차 능가사-탑재 793, 금사일제-깃대봉 797, 팔영산장-마당바위-제1봉 793, 794, 797 2차 강산리신흥-강산폭포 양사리영남초교-바른등재 798, 팔영산정상부 (1봉 - 8봉 ) 797 3차 편백휴양림 우천제 799, 차 팔영산휴양림하부 시목저수지상부 - 성황당 796 국립공원연구원 43
64 2. 식물상 표 2-1. 계속구분조사기간조사지역격자번호 팔경제 796 5차 강산폭포 794, 803 6차 탑재 797, 시목저수지 796 7차 팔영산휴양림 797 다. 결과및고찰 1) 식물의종조성 2012년도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자연자원조사식물상조사에서조사된관속식물은 45목, 129과, 442속, 683종, 86변종, 12품종으로총 781분류군이조사되었다 ( 표 2-2). 이와같은결과는우리나라관속식물 4,071분류군 ( 이, 1996) 의 18.77% 이며 (97) 의 83과, 190속, 229종, 27변종, 1아종 37변종 1품종으로 268분류군, (01) 124과, 464속, 683종, 1아종, 91변종, 7품종의총 782분류군 (04) 의 121과, 435속, 588종, 7품종, 2아종, 70변종으로총 667분류군, 과비교하면, 가장많은분류군이기록된 01년도조사시와비슷한조사결과로나타났다. 이러한조사결과는조사시기와답사경로, 조사범위, 조사방법등에의해단순비교하기는어려우나기존문헌에서조사한자료와비교하면팔영산에는 800여분류군의관속식물이자생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또한 Raunkiaer(1934) 가제시한산출공식인양치식물계수는 (Pte-Q=25 B/A, A : 현화식물종수, B : 양치식물종수 ) 는 1.30으로나타났다. 국립공원연구원 44
6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식물상조사에서발견된관속식물의종조성표 Class of tracheophyta Order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Lycopodineae Equisetineae Filcineae Gymnospermae Angiospermae - Dicotyledoneae - Archichlamydeae Metachlamydeae Monocotyledoneae Total 표 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연구목록 연도제목 출현종수 1997 팔영산의식물상 ( 전남고흥의식물상 - 환경부 ) 고흥반도의자연환경과팔영산의식물상 ( 고흥군, 순천대학교-김등 ) 고흥군자연환경조사 ( 순천대학교-김과임 ) 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 781 국립공원연구원 45
66 2. 식물상 2) 생활형별분류 이번에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조사된 781분류군을생활형에따라분류하면가장많은식물은 H( 지중식물, 휴면아지표 ) 이며 158분류군 (20.68%) 이나타났고, Th( 일년생식물 ) 가 150분류군 (19.63%), G( 지중식물, 휴면아땅속 ) 가 128분류군 (16.75%), 그리고 N( 저목, 소지상식물 ) 이 108분류군 (14.14%), MM( 교목, 대형지상식물 ) 이 77분류군 (10.08%),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 68분류군 (8.90%), HH( 수생식물 ) 가 40분류군 (5.24%), Ch( 반지중식물 ) 가 33분류군 (4.32%), 그리고 E( 기생식물 ) 가 2분류군 (0.26%) 이조사되었다 ( 그림 2-2). Th : Therophytes 1 년생식물 G : Geophyte 지중식물 ( 휴면아땅속에있는다년초 ) H : Hemicryptothytes 반지중식물 ( 휴면아가지표바로위에있는다년초 ) Ch : Chamaephytes 반지표식물 ( 휴면아가지표면에서 0-0.3m 이내의다년초 ) N : Nanophanerophytes 소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0.3-2m 사이 ) M : Microphanerophytes 소형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2-8.m 사이 ) MM : Megaphanerophytes 대형지상식물 ( 휴면아가지면에서 8-30m 사이 ) HH : Hydatophytes 수생식물 E : Epiphyten 기생식물 그림 2-2.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관속식물의생활형별분류 특기할만한것은이러한수치중 HH( 수생식물, Hydrophyte) 의 40분류군 5.24% 의점유율은산지에서는비교적높은수치로계곡의발달과하부저수지의형성이연계되어있어수생식물및습생식물이생육하기좋은환경을형성하고있는이유라판단된다. 또한 MM( 교목, 대형지상식물 ) 이 77분류군으로 10.08%,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 68분류군으로 8.90% 를기록하는반면 Th( 일년생식물 ) 이 150분류군으로 19.63% 를점유함도비교적높아본조사지역이오랜기간지속적이고광범위한인간간섭으로인한식물상을보유함을나타낸다고할수있다. 3) 한국특산식물 다른나라에서는볼수없는한국고유의특징을지닌식물을한국특산식물 ( 特産植物 ) 또는고유식물 ( 固有植物, Endemic plant) 이라고한다. 이러한특산식물은그지역 국립공원연구원 46
6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의특수성을설명할수있는가장좋은자료이며고유의생물종이기에종의유전적자원확보와그다양성과자생지에관심과보전에대한노력을필요로하는식물이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내서식하는특산식물의판단기준은산림청에제시한목록을참고하였으며조사된 781분류군중 14분류군의특산식물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나개나리와은사시나무, 신이대는식재종이다 ( 표 2-4). 표 2-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자생하는한국특산식물목록 번호 학명 국명 1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은사시나무 ( 식재 ) 2 Carpinus laxiflora Bl. 서어나무 3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4 Hepatica insularis Nakai 새끼노루귀 5 Philadelphus schrenckii Rupr. 고광나무 6 Lespedeza maritima Nakai 해변싸리 7 Stewartia koreana Maxim. 노각나무 8 Forsythia koreana Nakai 개나리 ( 식재 ) 9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 10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병꽃나무 11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12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13 Sasa coreana Nakai 신이대 ( 식재 ) 14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국립공원연구원 47
68 2. 식물상 4) 멸종위기식물및희귀식물가 ) 멸종위기종 환경부는자연환경보전법을토대로멸종위기야생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나누어관리하고있으며식물은총 77종 ( 개정 ) 이멸종위기야생동식물대상에속한다. 이번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식물상자연자원조사에서는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 Ⅱ급에속하는식물은발견할수없었다. 그러나 개정이전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에등록되었던히어리는팔영산산지계곡과정상부남서사면을중심으로광범위한분포를보인다 ( 그림 2-3). 그림 2-3.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와정상부히어리군락 나 ) 희귀식물희귀식물이란일반적으로자생지의식물개체군극히적거나급격한감소로보전이필요한식물로써종의지리적분포영역, 서식지의특이성정도및지역집단의크기를고려하여지정한식물로국립수목원에서지정한식물이다. IUCN( 세계자연보전연맹 ) 에서권고한멸종위기식물평가기준을기초로관속식물중 571분류군을희귀식물로지정하고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는총 19분류군의희귀식물이조사되었다 ( 표 2-6, 그림 2-4). 단, 이번조사에서발견된주목 (Taxus cuspidata),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목련 (Magnolia kobus), 왕벗나무 (Prunus yedoensis) 은식재종 (Planted Plants) 이며이을제외할경우에는 15분류군이자생한다 ( 표 2-4, 그림 2-4). 국립공원연구원 48
6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2-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자생하는산림청지정희귀식물목록 번호 학 명 국명 1 Athyrium mesosorum (Mak.) Makino 큰개고사리 2 Taxus cuspidata S. et Z. 주목 ( 식재 ) 3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 식재 ) 4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5 Magnolia kobus A.P. DC. 목련 ( 식재 ) 6 Corylopsis coreana Uyeki 히어리 7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 식재 ) 8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9 Ilex cornuta Lindl. 호랑가시나무 10 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거문도닥나무 11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이팝나무 12 Trigonotis icumae (Max.) Makino 덩굴꽃마리 13 Nepeta cataria L. 개박하 14 Abelia mosanensis T. Chung 댕강나무 15 Arisaema heterophyllum Bl. 두루미천남성 16 Tricyrtis dilatata Nakai 뻐꾹나리 17 Lilium distichum Nakai 말나리 18 Allium senescens L. 두메부추 19 Lycoris koreana Nakai 백양꽃 두루미천남성백양꽃 국립공원연구원 49
70 2. 식물상 뻐꾹나리 거문도산닥나무 그림 2-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자생하는희귀식물 5)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국내에자생하는식물분포상은첫째, 고립혹은불연속적으로분포하거나둘째, 남방혹은북방한계의위치에있거나셋째, 국내전지역에고루분포하거나넷째, 의식적혹은무의식적으로유입된형태로분포양상이각각다르다 ( 김, 2000). 이로인해식물구계학적인분석을통하여식물종을한반도의식물아구 ( 중부아구, 남부아구, 남해안아구, 제주아구 ) 에따라 5개의등급으로나눈것을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이라한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Ⅴ등급식물군 : 고립혹은불연속적으로분포하는분류군 Ⅳ등급식물군 : 4개의식물아구중 1개의아구에만분포하는식물군 Ⅲ등급식물군 : 4개의아구중 2개의아구에분포하는식물군 Ⅱ등급식물군 : 백두대간을중심으로 1,000m이상되는지역에분포하는식물군 Ⅰ등급식물군 : 4개의아구중 3개의아구에분포하는식물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조사된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109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Ⅴ등급식물군은히어리 (Crypsinus hastatus) 와왕벚나무 (Saururus chinensis) 2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점유율은 1.8% 로나타났다. Ⅳ등급식물군은매미꽃 (Hylomecon hylomeconoides),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등을포함한 6분류군이나타났으며, 점유율은 5.41% 로나타났다. Ⅲ등급식물군은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등을비롯한 26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24.32% 로파악되었으며 Ⅱ등급식물군은주목 (Taxus cuspidata),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을비롯한 6분류군이조사되었고점유율은 5.41% 이며 Ⅰ등급식 국립공원연구원 50
7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물군은푸조나무 (Aphanathe aspera), 모람 (Ficus nipponica) 등을포함한 69분류군이나타났으며점유율은 63.06% 로조사되었다 ( 표 2-5, 그림 2-5). 그림 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식물구계학적특정종출현종수및출현율 표 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구계학적특정식물목록 번호학명국명등급 1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히어리 2 Saururus chinensis Baill. 왕벚나무 Ⅴ 국립공원연구원 51
72 2. 식물상 표 2-5. 계속번호 학 명 국명 등급 3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4 Magnolia kobus A.P. DC. 목련 5 Prunus davidiana Fr. 산복사나무 6 Wistaria floribunda A.P. DC. 등 7 Carex arenicola Fr. Schm. 진퍼리사초 Ⅳ 8 Hylomecon hylomeconoides (Nak.) T. Lee 매미꽃 9 Stewartia koreana Maxim. 노각나무 10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11 Athyrium mesosorum (Mak.) Makino 큰개고사리 12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13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멀꿀 14 Kadsura japonica Dunal 남오미자 15 Sanguisorba hakusanensis var. koreana Hara 산오이풀 16 Lespedeza juncea (L.f.) Pers. 땅비수리 17 Poncirus trifoliata Rafin. 탱자나무 18 Melia azedarach var. japonica Makino 멀구슬나무 19 Rhus succedanea L. 검양옻나무 20 Ilex crenata Thunb. 꽝꽝나무 Ⅲ 21 Ilex cornuta Lindl. 호랑가시나무 22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23 Acer tschonoskii Maximowicz 시닥나무 24 Sageretia theezans Brongn. 상동나무 25 Camellia sinensis L. 차나무 26 Idesia polycarpa Maxim. 이나무 27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팔손이 28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29 Salvia japonica Thunb. 둥근배암차즈기 30 Viburnum awabuki K. Koch 아왜나무 국립공원연구원 52
7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2-5. 계속 31 Phaenosperma globosa Munro 산기장 32 Asparagus oligoclonos Max. 방울비짜루 33 Allium senescens L. 두메부추 Ⅲ 34 Lycoris koreana Nakai 백양꽃 35 Taxus cuspidata S. et Z. 주목 36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참바위취 37 Potentilla dickinsii Fr. et Sav. 돌양지꽃 38 Caryopteris incana (Thunb.) Miq. 층꽃나무 Ⅱ 39 Lonicera sachalinensis Nakai 홍괴불나무 40 Lilium distichum Nakai 말나리 41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 42 Gleichenia dichotoma (Thunb.) Hooker 발풀고사리 43 Gleichenia japonica Spreng 풀고사리 44 Pteris multifida Poir. 봉의꼬리 45 Cyrtomium fortunei J. Smith 쇠고비 46 Rumohra amabilis (Bl.) Ching 쇠고사리 47 Camptosorus sibiricus Rupr. 거미고사리 48 Cephalotaxus koreana Nakai 개비자나무 49 Torreya nucifera S. et Z 비자나무 50 Abies holophylla Max. 전나무 51 Chloranthus japonica Sieb. 홀아비꽃대 Ⅰ 52 Quercus acuta Thunb. 붉가시나무 53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54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 구실잣밤나무 55 Aphanathe aspera Planch. 푸조나무 56 Ulmus parvifolia Jacq. 참느릅나무 57 Celtis biondii var. heterophylla Schneid. 폭나무 58 Ficus nipponica Fr. et Sav. 모람 59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60 Bistorta manshuriensis Kom. 범꼬리 국립공원연구원 53
74 2. 식물상 표 2-5. 계속 61 Cerastium fischerianum Ser. 큰점나도나물 62 Clematis patens Morren & Decaisne in Bull 큰꽃으아리 63 Machilus thunbergii S. et Z. 후박나무 64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65 Chrysosplenium japonicum Makino 산괭이눈 66 Pittosporum tobira Ait 돈나무 67 Spiraea blumei G. Don 산조팝나무 68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 69 Pyrus ussuriensis Maxim. 산돌배 70 Caesalpinia decapetala var. japonica (S. et Z.) Ohashi 실거리나무 71 Vicia anguste-pinnata Nakai 가는갈퀴나물 72 Zanthoxylum planispinum S. et Z. 개산초 73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74 Orixa japonica Thunb. 상산 Ⅰ 75 Mallotus japonicus Muell. Arg. 예덕나무 76 Euphorbia pekinensis Rupr. 대극 77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회양목 78 Ilex macropoda Miq. 대팻집나무 79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80 Euonymus macroptera Rupr. 나래회나무 81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S. et Miq.) Rehder 줄사철나무 82 Euonymus trapococcus Nakai 버들회나무 83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말오줌때 84 Meliosma myriantha S. et Z. 나도밤나무 85 Meliosma oldhamii Miq. 합다리나무 86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거지덩굴 국립공원연구원 54
7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2-5. 계속 87 Grewia parviflora Bunge 장구밤나무 88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89 Eurya japonica Thunb. 사스레피나무 90 Actinostemma lobatum Maxim. 뚜껑덩굴 91 Elaeagnus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92 Elaeagnus glabra Thunb. 보리장나무 93 Hedera rhombea Bean 송악 94 Acanthopanax seoulense Nakai 오갈피나무 95 Vaccinium oldhami Miq. 정금나무 96 Ardisia japonica Bl. 자금우 97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까치수염 98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이팝나무 Ⅰ 99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 100 Trigonotis icumae (Max.) Makino 덩굴꽃마리 101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102 Lophatherum gracile Brongn. 조릿대풀 103 Arisaema heterophyllum Bl. 두루미천남성 104 Arisaema ringens Schott 큰천남성 105 Hosta capitata Nakai 일월비비추 106 Polygonatum inflatum Kom. 퉁둥굴레 107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천문동 108 Ophiopogon jaburan (Kunth) Lodd. 맥문아재비 109 Cephalanthera falcata (Thunb.) Bl. 금난초 국립공원연구원 55
76 2. 식물상 일월비비추 (Ⅰ) 동백나무 (Ⅰ) 돌양지꽃 (Ⅱ) 층꽃나무 (Ⅱ) 백양꽃 (Ⅲ) 멀꿀 (Ⅲ) 국립공원연구원 56
7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매미꽃 (Ⅳ) 왕벚나무 (Ⅴ) 그림 2-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구계학적식물 6) 외래식물및귀화식물 외래종 (exotic species) 은외국혹은국내의다른지역에서들어온모든종을말하고, 이중에서귀화종 (naturalized sp.) 은 " 우리나라비토착종으로서인위적또는자연적인방법으로우리나라에들어와야생상태에서스스로번식하여생존할수있는종 " 을말한다. 외래종의도입은 ' 인위적인경로 ' 와 ' 자연적인경로 ' 로구분할수있으며인위적인경로는다시 ' 의도적인경로 ' 와 ' 비의도적인경로 ' 로나뉜다. 의도적인경로는인간이약용이나염료용등어떤목적을가지고도입하는경우를말하며비의도적인경로는외국으로부터인간의왕래와화물의수출입등의경로를통해들어오는경우이다. 자연적인경로는바람, 해류, 철새등에의하여도입되는경우를말한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귀화식물들은특히인간의간섭이심한사찰주변과휴양림, 산지사면을가로지르는임도, 등산로와종주능선, 공원내각종시설물주변, 농경지와폐경지, 폐주거지, 각종종교행사지등에서대부분출현하고있으며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고유의식물상을훼손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 표 7). 특히팔영산의경우공원경계를중심으로주거지와농경지가계곡을따라깊이내부로분포하며산행및휴양림이용객과편백림과능가사계곡에피서나각종휴양을위해왕래하는탐방객도많은공원이기때문에이러한지역을중심으로외래식물의증가는필연적이다. 이러한귀화식물및외래식물의무분별한증가를방지하기위해서지속적인귀화식물및외래식물을관리할관리방안도출이필요하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발견된귀화식물은총 51분류군이조사되었으며이중환경부지정위해야생동식물은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국립공원연구원 57
78 2. 식물상 애기수영 (Rumex acetocella),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등 3종이발견되었다 ( 표 2-6). 도시화지수 ( 조사지내귀화식물출현수 / 전국귀화식물목록 100%) 은 17.77% 로비교적높게나타났으며 2010년자연자원조사대상인북한산 (18.47%) 과비슷하게나타났다. 또한귀화식물의귀화율 ( 조사지내귀화식물출현수 / 조사지내총출현관속식물 100%) 역시 7.43% 로높게나타났다. 대부분의산악형공원이 5% 내외의수치를보이는것을본다면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관속식물의귀화율및도시화지수는높은수준으로나타났다. 또한, 최근들어관광객이늘어나고있고공원구역재조정으로인하여여러건물이세워지는등접근성이용이해짐에따라인위적간섭이더욱늘어날가능성은높아이에따른대책이필요하다. 표 2-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의귀화식물목록 번호 학 명 국명 1 Rumex acetocella L. 애기수영 2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3 Persicaria orientalis (L.) Assanov 털여뀌 4 Silene gallica var. gallica L. 양장구채 5 Amaranthus lividus L. 개비름 6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7 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자리공 8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9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insk. 갓 10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11 Thlaspi arvense L. 말냉이 12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3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14 Astragalus sinicus L. 자운영 15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16 Oxalis articulata Savigny 덩이괭이밥 17 Ailanthus altissima Swingle 가죽나무 18 Abutilon avicennae Gaertn. 어저귀 국립공원연구원 58
7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9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20 Foeniculum vulgare Gaertner 회향 21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22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23 Verbascum thapsus L. 우단담배풀 24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25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26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27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escourtils 돼지풀 28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29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30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31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32 Solidago altissima L. 양미역취 33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34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35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36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37 Solidago serotina Ait. 미국미역취 38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39 Rudbeckia laciniata L. 삼잎국화 40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 41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주홍서나물 42 Avena fatua L. 메귀리 43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44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45 Festuca myuros L. 들묵새 46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47 Physalis angulata L. 땅꽈리 48 Vicia villosa Roth 벳지 49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 하수오 국립공원연구원 59
80 2. 식물상 50 Amaranthus mangostanus L. 비름 51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선인장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고흥군, 순천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 고흥의자연환경생태조사 - 식물편 -. pp 김인택,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완도군 Ⅱ-2( 전남의식생 ), 환경처. pp 김종홍, 홍행화, 박선홍, 김원희 고흥반도의자연환경과팔영산의식물상, 남도문화연구소제7집 pp 김철환 자연환경평가 (1. 식물군의선정 ). 한국환경생물학회지.18(1): 김철환, 한미경 팔영산 ( 전남고흥의 ) 의식물상. 환경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pp.1-9 정흥락, 양금철 팔영산 ( 전남고흥의 ) 의식생. 환경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pp.1-5 산림청. 한국특산식물.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 보유편 ), 일조각. 178p. 이우철 대한식물명고 (Ⅰ,Ⅱ). 아카데미서적. pp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p.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 상, 하 ). 향문사. 상 914p., 하 910p. 이호준, 김종홍, 배병호, 전영문, 강재구, 신정식 팔영산삼림식생과토양환경. 건국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이학논문집제22집. pp 이정석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완도군 1-2( 전남의녹지자연도 ), 환경처.pp 홍성조, 유호상, 팔영산 ( 전남고흥의 ) 의식물상. 환경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pp.1-10 Raunkiaer, C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682p. 국립공원연구원 60
81 식생 3 조사위원 나경태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박승건 이민영
82
8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재료및방법 1) 조사방법 식생조사는국토지리정보원에서발행한수치지형도와산림청에서발행한 1:25,000 임상도, 환경부에서발행한 1:25,000 생태자연도를참고하여조사구내에출현하는수종을대상으로교목층과아교목층, 관목층으로구분하여조사하였다. 교목층과아교목층은흉고직경이 2cm이상되는목본류를대상으로하였고 2cm이하관목층은수관폭의장축과단축을측정하였다. 조사결과분석은층위별종간상대적우점도를통합적으로비교하기위해 Curtis & MchIntosh(1951) 의방법으로상대우점치 (I.P : Impotance Percentage) 를구하였고, 수고를고려한평균상대우점치 (M.I.P : Mean Impotance Percentage) 를아래와같이구하였다. 상대우점치 (I.P.)= 상대밀도 + 상대피도 2 상대밀도 (R.D.)= 상대피도 (R.C.)= 어떤종의밀도전체종의밀도합계어떤종의피도전체종의피도합계 100(%) 100(%) 평균상대우점치 (M.I.P.)= 어떤종의 ( 상층 I.P. 3+ 중충 (I.P. 2+ 하츠야.p. 1 6 현존식생도는국토지리정보원에서발행한수치지형도와산림청의임상도, 환경부의현존식생도 (2010), 기존보고자료등을참고하여식생상관과군집구조조사등으로확인, 수정작업을거쳐현존식생도를작성하였다. 계곡부, 능선부또는암반지의식생과같이다양한종조성을보이며분포면적이작아표기하기어려운식생은주변군락에편입하였다. 현존식생도상의군락명은상관에의하여기재하며, 상관에의한군락명의판정방법은다음과같다 ( 표 3-1). 국립공원연구원 63
84 3. 식생 표 3-1. 상관에의한군락명의판정기준 최상층의우점비율 A종 B종 군락명칭 70% 이상 30% 이하 A군락 50% 50% A-B군락또는 B-A군락 60% 40% A-B군락 40% 60% B-A군락 * 3종이상이우점한경우는최우점종과차우점종을연명으로군락명을정하며, 3 종이동일한우점비율을차지한경우는입지의잠재자연식생에더욱가까운종 을 2종선정하여연명으로군락명을정한다. 2) 조사기간및조사지역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식생조사는 2011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총 6회 15일간 85개지점을조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64
8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나. 결과및고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의식생군락를조사한결과졸참나무군락 2개, 신갈나무군락 2개,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팽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합다리나무군락등총 10개의군락이분포한것으로조사되었고, 인공림은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림, 편백림, 곰솔-졸참나무림등총 3개가조사되었다. 졸참나무와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은주로북쪽과북서쪽방향의비옥한마당바위주변과팔영산야영장주변지역에서조사되었고,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과신갈나무군락은산의능선부분의약간건조한지역에서조사되었다. 굴참나무군락은계곡의비옥한전석지역에서주로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고, 상수리나무군락, 팽나무-물푸레나무군락은비교적비옥한지역에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소나무군락은산의능선부분의건조한지역에서조사되었다. 인공림인굴참나무-리기다소나무림과곰솔-졸참나무림에서리기다소나무와곰솔의수세가쇠약한것으로보아향후에는굴참나무군락또는졸참나무군락등참나무류의낙엽활엽수가우점할것으로판단되어지며, 편백나무림지역은간벌및정지작업등이지속적으로이루어지고있었다. 1) 다도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일반적개황 팔영산졸참나무군락은해발 201~559m에조사구를설정하였으며, 사면방위는주로북쪽방향을향하고있고경사도는 13~31 이다.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은해발 308~592m에조사구를설정하였으며, 사면방위는주로북서쪽을향하고, 경사도는 9~28 이다. 신갈나무군락은해발 187~592m로비교적산정상부분에위치하고있었으며, 사면은방위는주로북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22~30 이다. 굴참나무군락은해발 180~425m에조사구를설정하였으며, 사면방위는주로남쪽방향을향하고, 경사도는 12~28 이다.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은해발 181~203m로비교적산아랫부분에위치하고있으며, 사면방위는주로북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22~30 이다. 상수리나무군락은해발 157~418m에조사구를설치하였으며, 사면방위는주로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8~29 이다.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은해발 185~554m로비교적산정상부분에위치하고있으며, 사면방위는주로북쪽을향하고, 경사도는 23~30 이다. 소나무군락은해발 241~408m의산중간부분에조사구를설치하여조사하였으며, 사면방위는주로북쪽과남쪽을향하고, 경사도는 12~33 이다. 굴참나무-리기다소나무림은해발 89~449m로에조사구를설치하였고, 사면방향은남쪽과동쪽을향하고, 경 국립공원연구원 65
86 3. 식생 사도는 12~26 로비교적완만한지역에서조사하였다. 곰솔림은해발 392~394m 에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사면방위는주로북서쪽과남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14~ 15 이다. 물푸레나무 - 팽나무군락은해발 402~417m 로산중간부분에조사구를설치하 여조사하였고, 사면방위는주로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11~12 이다. 개서어나무 군락은해발 283~552m로산정상부분에서조사하였고, 사면방위는주로북서쪽과동쪽을향하고있고, 경사도는 15~30 이다. 합다리나무- 산검양옻나무군락은해발 181m의산아래부분에서조사하였다. 사면방위는남동쪽을향하고, 경사도는 12 이다. 편백나무림은해발 246~436m 산중간부분에서조사하였고, 사면방위는주로북서쪽과남쪽을향하고있었다. 경사도는 22~33 이다. 표 3-2. 조사구별일반적개황 구분졸참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N N N N N N N E ES E E W W W W SE N NE E 경사 ( ) 구 분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ES NW NW NW NW NE NE ES NE SW 경사 ( ) 구 분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S S ES N W SE SE SE SW SE SE SW 경사 ( ) 국립공원연구원 66
8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 분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 졸참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S ES E E SW SW SW ES NE NW 경사 ( ) 구분소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NW SE SE SE SE NW NE NE NE SW S W 경사 ( ) 구 분 굴참나무-리기다소나무림 팽나무- 곰솔-졸물푸레나무군참나무림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SW S W E E E E SW NW SE E E E 경사 ( ) 구 분 개서어나무군락 합다리나무-산검양옻나무군락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NW E E NW N N N W W W SE SE SE 경사 ( ) 구 분 편백림 조사구 해발고도 (m) 방위 SW SW SW SW SW SW W W 경사 ( ) 국립공원연구원 67
88 3. 식생 2) 군락별상대우점치 군락의분류는조사구의상층교목의상대우점치를고려하여군락명을명명하였다. 군락별상대우점치는졸참나무가상층에서 0.81% 로교목층을우점하고있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왕대가 0.56% 로우점하고있다. 그리고관목층에서후박나무가출현하고있어향후에후박나무와왕대의경쟁에서후박나무가우점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상층에서졸참나무가 0.51%, 개서어나무가 0.36% 로개서어나무와경쟁관계에있고, 아교목층에서는때죽나무가 0.22%, 소사나무가 0.13% 로경쟁관계에있다. 표 3-3. 졸참나무, 졸참나무 - 개서어나무군집상대우점치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감태나무 개서어나무 개암나무 개옻나무 고로쇠나무 곰의말채 괴불나무 국수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길마가지나무 나도밤나무 노각나무 노린재나무 노박덩굴 느티나무 단풍나무 당단풍 대팻집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국립공원연구원 68
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리기다소나무 말채나무 밤나무 병꽃나무 비목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레피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산초나무 새비나무 생강나무 소나무 소사나무 쇠물푸레 신갈나무 왕대 윤노리나무 작살나무 정금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쥐똥나무 진달래 쪽동백나무 참개암나무 철쭉 청미래덩굴 초피나무 팥배나무 팽나무 합다리나무 국립공원연구원 69
90 3. 식생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홍단풍나무 회목나무 회잎나무 후박나무 합계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상층에서신갈나무가 0.49%, 졸참나무가 0.37% 로신갈나무와졸참나무가경쟁관계에있고, 아교목층에서는쇠물푸레가 0.14%, 당단풍나무가 0.12% 로경쟁관계에있다. 신갈나무군락상층에서는신갈나무가 0.79% 로우점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당단풍나무가 0.14%, 때죽나무가 0.11%, 비목나무가 0.11% 로경쟁관계에있었다. 표 3-4. 신갈나무 - 졸참나무, 신갈나무군락상대우점치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감태나무 개서어나무 개암나무 개옻나무 국수나무 굴참나무 나도밤나무 노각나무 노린재나무 당단풍 대팻집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물푸레나무 병꽃나무 비목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0
9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사람주나무 사스레피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생강나무 소나무 소사나무 쇠물푸레 신갈나무 윤노리나무 작살나무 정금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진달래 쪽동백나무 참개암나무 참회나무 철쭉 청미래덩굴 털진달래 팥배나무 합다리나무 회목나무 회잎나무 히어리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71
92 3. 식생 굴참나무군락상층에서굴참나무가 0.74% 로우점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소사나무가 0.12%, 후박나무가 0.13% 로우점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상수리나무군락상층에서는상수리나무가 0.77% 로우점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때죽나무, 당단풍나무, 다릅나무, 사람주나무, 산딸나무, 상수리나무등다수의수종이경쟁관계에있었다. 표 3-5.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상대우점치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까마귀베개 감태나무 개서어나무 개암나무 고광나무 고로쇠나무 고욤나무 고추나무 광대싸리 국수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길마가지나무 까치박달 나도밤나무 노각나무 노린재나무 느티나무 다래덩굴 다릅나무 당단풍나무 대팻집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떡갈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2
9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리기다소나무 말오줌때 물푸레나무 밤나무 병꽃나무 붉나무 비목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레피나무 산검양옻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산초나무 상산나무 상수리나무 생강나무 소나무 소사나무 소태나무 쇠물푸레 신갈나무 예덕나무 윤노리나무 이팝나무 작살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쥐똥나무 찔레나무 참개암나무 참회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3
94 3. 식생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 청가시덩굴 청미래덩굴 초피나무 층층나무 팥배나무 팽나무 폭나무 풍게나무 합다리나무 회목나무 회잎나무 후박나무 합계 팽나무-물푸레나무군락상층에서팽나무가 0.43%, 물푸레나무가 0.26% 로경쟁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까치박달나무가 0.24%, 로우점하고있었다. 소나무군락상층에서소나무가 0.82% 로우점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소사나무가 0.19%, 쇠물푸레나무가 0.16% 로우점하고있었다. 표 3-6.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상대우점치 팽나무- 물푸레나무소나무구분상층아교관목평균상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목층층대우점감태나무 개암나무 개옻나무 고로쇠나무 고추나무 곰솔나무 광대싸리 국립공원연구원 74
9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 분 상층 팽나무- 물푸레나무 아교 관 목 평균상 목층 층 대우점 소나무아교관목상층목층층 평균상대우점 국수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길마가지나무 까치박달 나도밤나무 노각나무 노린재나무 다래 당단풍나무 대팻집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말오줌때 물푸레나무 병꽃나무 비목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레피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산초나무 상산나무 상수리나무 새비나무 생강나무 소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5
96 3. 식생 구 분 상층 팽나무- 물푸레나무 아교 관 목 평균상 목층 층 대우점 소나무아교관목상층목층층 평균상대우점 소사나무 쇠물푸레 수리딸기 신갈나무 예덕나무 음나무 작살나무 정금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쥐똥나무 진달래 쪽동백나무 참개암나무 참빗살나무 참회나무 철쭉나무 청미래덩굴 초피나무 층층나무 팥배나무 팽나무 합다리나무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76
9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림상층에서리기다소나무가 0.6%, 굴참나무가 0.24% 로경쟁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소사나무가 0.17% 로우점하고굴참나무, 후박나무, 산벚나무가출현하고있다. 편백나무림상층에서편백이 1%, 로우점하고있고, 아교목층에서는굴참나무가 0.22% 로우점하고있다. 표 3-7. 리기다소나무 - 굴참나무림, 편백나무림상대우점치 구분 상층 리기다소나무 - 굴참나무림 아교목층 관층 목 평균상대우점 상층아교목층 편백나무림 관목층 평균상대우점 감나무 감태나무 개암나무 개옻나무 고욤나무 국수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길마가지나무 노린재나무 당단풍 덜꿩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떡갈나무 리기다소나무 말오줌때 물푸레나무 밤나무 병꽃나무 붉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7
98 3. 식생 구분 상층 리기다소나무 - 굴참나무림 아교목층 관층 목 평균상대우점 상층아교목층 편백나무림 관목층 평균상대우점 비목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레피나무 산검양옻나무 산벚나무 산초나무 상수리나무 새머루 새비나무 생강나무 소나무 소사나무 쇠물푸레 수리딸기 신갈나무 싸리 예덕나무 작살나무 정금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진달래 참개암나무 철쭉나무 청미래덩굴 팽나무 편백 폭나무 국립공원연구원 78
9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분 상층 리기다소나무 - 굴참나무림 아교목층 관층 목 평균상대우점 상층아교목층 편백나무림 관목층 평균상대우점 푸조나무 합다리나무 후박나무 합계 곰솔-졸참나무림상층에서곰솔이 0.53%, 졸참나무가 0.28% 로경쟁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소사나무가 0.7% 로우점하고있다. 개서어나무-고로쇠나무군락상층에서상대우점치는개서어나무가 0.67%, 고로쇠나무가 0.13% 우점하고있고, 아교목층에서는당단풍나무가 0.19%, 산딸나무 0.17%, 사람주나무 0.15% 로우점하고있다. 표 3-8. 곰솔 - 졸참나무림, 개서어나무 - 고로쇠나무군락상대우점치 구분 상층 곰솔-졸참나무림 아교 관 목 평균상 목층 층 대우점 개서어나무-고로쇠나무군락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 감태나무 개서어나무 고로쇠나무 고욤나무 고추나무 곰솔나무 곰의말채 국수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길마가지나무 까치박달 국립공원연구원 79
100 3. 식생 구분 상층 곰솔-졸참나무림 아교 관 목 평균상 목층 층 대우점 개서어나무-고로쇠나무군락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 나도밤나무 느티나무 당단풍나무 대팻집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물푸레나무 비목나무 사람주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생강나무 소사나무 쇠물푸레 수리딸기 신갈나무 작살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참개암나무 참회나무 철쭉나무 청미래덩굴 팥배나무 국립공원연구원 80
10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분 상층 곰솔-졸참나무림 아교 관 목 평균상 목층 층 대우점 개서어나무-고로쇠나무군락아교관목평균상상층목층층대우점 팽나무 합다리나무 합계 합다리나무-산검양옻나무군락상층에서합다리나무가 0.58%, 산검양옻나무가 0.42% 로경쟁하고있었고, 아교목층에서는후박나무가 0.47% 로우점하고있다. 표 3-9. 합다리니무 - 산검양옻나무군집상대우점치 구 분 합다리나무 - 산검양옻나무군락 상층아교목층관목층평균상대우점 감태나무 굴피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검양옻나무 산뽕나무 자귀나무 팽나무 합다리나무 후박나무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81
102 3. 식생 3) 팔영산현존식생도 Cao : 소사나무군락 Pd : 소나무군락 PdQa :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PdQv : 소나무-굴참나무군락 Qs : 졸참나무군락 QsPd : 졸참나무-소나무군락 Qm: 신갈나무군락 QmPd: 신갈나무-소나무군락 QvPd : 굴참나무-소나무군락 QaPd : 상수리나무-소나무군락 Cac : 밤나무림 Cho : 편백림 Ct : 개서어나무군락 Pr : 리기다소나무림 Pt : 골솔 Ph : 왕대 Qa : 상수리나무군락 Qv : 굴참나무군락 R : 암석지 L : 경작지및도로, 마을등 국립공원연구원 82
10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 과거조사된식생자료와의비교 1997년이호준등 (1997, 건국대학교이학논문집 ) 이조사한팔영산의식물군락명칭및군락수는표 3-10과같다. 표 3-10과같이조사년도와조사기관, 조사자에따라군락명칭이상이하다. 이러한현상은조사방법및조사지역, 조사범위, 조사일수등의차이때문이라판단된다. 표 팔영산의년도별식생조사자료 조사년도조사목적조사기관식물군락비고 건국대학 1997 년 - 교이학논문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5개군락 집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 - 개서어나무군 락, 신갈나무 -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 2012 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락,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팽나무-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림 13개군락 편백림, 곰솔 - 졸참나무림, 개서어나무군락, 합다리나무 - 산검양옻나무군락 참고문헌 김종원, 이율경 식물사회학적식생조사와평가방법 240p. 이호준, 김종흥, 배병호, 박문수, 전영문, 강재구, 신정석 팔영산삼림식생가토양환경. 건국대학교이학논문집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 N. Y.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65pp 국립공원연구원 83
104
105 산림엽면적지수 4 조사위원 김태근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김정광 심기창
106
10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산림엽면적지수 (FLAI, Forest Leaf Area Index) 는산림환경에서일어나는다양한생물학적과정을정량적으로분석하고모델링하는데중요한변수로서식생구조의특성뿐만아니라산림의건강성및활력도등산림생태계평가에활용될수있는정량적인지표이다. 본조사는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에서실시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 (2012) 의일원으로산림지역을대상으로산림지역에서식생변화가최소가되는시기에측정한엽면적지수의공간적특성을분석하였다. 이를위해서현지에서측정한엽면적지수값과위성영상자료에서얻어진분광반사율과의관련성을통해제작한산림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여활용하였다. 나. 재료및방법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면적은 km 2 에달하며행정구역상전남고흥군에해당된다. 팔영산지구에서산림지역을대상으로엽면적지수의공간적특성을분석하기위해조사가수행되었다. 팔영산지구산림지역의공간적분포형태나면적을살펴보기위해환경부에서제공하는토지피복도를참조하여토지유형별분포특성을살펴본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경계내산림분포현황을살펴보면산림지역의총면적은 16.6km 2 으로공원전체면적중약 93% 를차지하고있다. 산림유형별활엽수림은산림총면적중 49.4%, 침엽수림은 30.1%, 혼효림은 13.2% 의비율로구성하는것으로나타났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의공간적특성을분석하기위해서필요한엽면적지수지도는현지 LAI 값과분광반사율의관계를통해서제작되었다. 이를위해현지 LAI 값은 LAI-2000 PCA 광학측정기를이용하였다. LAI 값이측정된지점과동일한위치의분광반사율은영상처리과정이수행된 Landsat ETM+ 영상자료에서추출하여사용하였다. 현지 LAI값과영상자료의분광반사율의관계는통계분석기법중하나인회귀분석방법을통해평가되었다. 그결과를바탕으로도출된산림 LAI 추정식은 LAI map을제작하기위해적용되었다. 본조사는자연자원조사지침서에제시된 11개조사격자 (2km 2km ) 를중심으로하였으며, 조사시기는 2012년 4월부터 10월에걸쳐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산림지역의엽면적지수를측정하였다. 산림지역엽면적지수의조사시기와조사격자는표 4-1과같다. 그림 4-1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 2km 2km 격자 국립공원연구원 87
108 4. 산립엽면적지수 크기로 보여주고 있다. 그림 4-1. 조사격자(2km 2km)와 조사지점 표 4-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격자) 조사 기간 조사지역(격자) 2012년 4월 11일 4월 13일 조사지점 선정을 위한 예비조사 2010년 4월 25일 4월 27일 794, 년 6월 27일 6월 29일 798, 년 10월 3일 10월 6일 797, 년 10월 19일 10월 20일 793, 797 국립공원연구원 88
10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 사용한자료 가 ) 엽면적지수 1 정의식생구조및생물학적주요변수중하나로서산림식생의광합성, 증발산, 에너지흐름의균형유지, 그리고탄소및수문학적순환과정을설명하는대부분생태계모델에서요구되는입력변수인엽면적지수 (Lear Area Index : LAI) 는기존문헌에서다양한방법으로정의하고있다. 1) 잎의형태를고려한수관층아래의지표면단위면적당잎의양면의면적합의비율 (Total LAI) 2) 지표면단위면적당잎의전체면적의 1/2에해당하는한쪽면의면적합의비율 (one-side LAI) 3) 지표면단위면적당잎광원에의해생기는수관층의잎의그림자면적합의비율 (Horizontally projected LAI) 4) 잎의기울기를고려한지표면단위면적당투영된잎의면적합의비율 (Inclined projected LAI 혹은실루엣 (silhouette) LAI) 본조사에서는엽면적지수 (Leaf Area Index : LAI) 를단위지표면적당엽면적합의비율의두번째정의를이용한다 (Chen, 1996). 이를식 1로표현하면다음과같다. Leaf area(m LAI= 2 ) Groundsurfacearea(m 2 ) 수식 1 2 측정기기엽면적지수측정기기로는 엽면적 지수 (LAI) 값을간접적으로측정하는 Li-Cor LAI 2000 plant canopy analyzer 이용하였다. 다른광학측정장치와마찬가지로 Li-Cor LAI 2000은산림수관층을통과하는빛의투과율을측정함으로써예측한다. LI-COR 사 ( 社 ) 의 "LAI-2000 Plant Canopy Analyzer" 기기는제어기부분 (LAI-2070) 과센서부분 (LAI-2050) 으로두부분으로구성된다 ( 그림 4-2). 복사에너지를감지하는반구모양의센서에촬영된영상을 5개의동심원형태로배열되어있는 국립공원연구원 89
110 4. 산립엽면적지수 디텍터에투영시킨다 ( 그림 4-3). 촬영각도는 0-13, 16-28, 32-43, 47-58, 그리고 이다. 촬영파장영역은 nm이며, 센서에장착하는캡 (View Cap) 은 0, 45, 90, 180, 그리고 270 각도의것이있다. 적절한 View Cap의선정은측정점의지형과식생의특성에따라다르나여러가지실험을통하여주변의간섭을최대한배제할수있는 90 캡을사용하여측정하였다 ( 이규성등, 2003). LAI-2000 PCA 기기의측정원리는우선수관층을구성하는잎들의공간적위치에따라달라지는방위각은랜덤으로분포한다고가정하고, 수관에도달하는태양복사에너지는태양의천정각에따라식물의수관층을통과하여입사된확산광 (Diffuse Radiation) 의투과율을측정한다. 투과율은수관층위에서측정된확산광량과수관층아래에서측정된확산광량의비율로서 LAI 2000 PCA 광학기계는다음 3가지전제조건하에 LAI를계산한다. 첫째, 파장영역 490nm에서잎, 줄기, 그리고나무가지와같은 foliage 는검은물체라고가정한다. 둘째, foliage를구성하는요소들은 LAI-2000 PCA 광학기계에장착된 5개의탐지센서 (detector) 가감지하는면적보다비교해서작다고가정한다. 마지막으로, foliage 구성요소는방위별로임의분포한다고가정한다. 그림 4-2. LAI-2000 PCA 광학측정기. 국립공원연구원 90
1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4-3. LAI-2000 PCA 센서구조. LAI-2000 광학측정기기를이용하여엽면적지수를산출하기위해적용되는 Beer-Lambert의법칙은흡수하는태양복사에너지량은파장에따라흡수율, 투과율, 경로길이, 그리고에너지강도에영향을받는다는것이다 (Li-Cor., 1992). LAI 2000 PCA 광학기계에서천정각 (θ) 및방위각 (φ) 에따라측정되는투과율 T(θ, φ) 는엽 (foliage) 의밀도, foliage의투영율, Path length의지수함수로서설명된다. 이를식 2로표현하면다음과같다. Beer 의법칙 : T(θ n, Φ s) = exp(-g(θ n, Φ s) u S(θ n, Φ s)) 수식 2 T(θ n, Φ s ) = 투과율 G(θ n, Φ s ) = 군엽투영지수 (the foliage projection coefficient) u = 군엽의밀도 (m 2 ( 군엽 )/m 3 ( 수관층 )) S(θ n, Φ s ) = Path Length θ n = 천정각 Φ s = 방위각 LAI-2000에서는군엽의평균방위각을사용한다. 위의식 1에서알고자하는 foliage amount와 orientation을구하기위해식 2을다시쓰면식 3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91
112 4. 산립엽면적지수 G(θ n, Φ s ) u = -In(T(θ n )) S(θ n ) = K(θ n ) 수식 3 이때방위각 (φ) 은첫번째전제조건에서 foliage는방위에따라랜덤으로분포한다고하였기때문에제외할수있다. 여기서 K(θ) 는천정각별태양복사에너지가수관층을통과하는경로길이 (Path length) 당접촉하는빈도수 (contact frequency) 를말하며, Miller(1967) 는 foliage 밀도 u를구하는식 4은다음과같이정의하였다. u = 2 K(θ n )sin(θ n ) (θ n ) 수식 4 foliage 밀도는엽면적지수 (LAI) 와수관높이 (Z) 에관련되며식 5로정의되면, 군엽의밀도는 LAI와수관층의높이 ( 두께, z) 와다음과같은관계를가진다. LAI = u z 수식 5 경로길이 (Path Length) S 는천정각과관련되어식 6 로정의된다. S(θ n) = z cos(θ n) 수식 6 식 2에서식 6까지정리하면 LAI는다음과같이수관층의투과율로정의될수있다. LAI = 2 (-In[T(θ n )]cos(θ n )sin(θ n )) (θ n ) 수식 7 여기서 S(θ) 가 1 cosθ 일때식 7은식 3과같으며, 결과적으로 LAI로해석되며 S(θ) 가 1 cosθ 가아닐때 foliage 밀도로해석된다. 최종적으로 LAI-2000 PCA광학기계는미리정해진 5개의천정각에서투과율을계산하므로식 8에표 2에서제시된값을이용하여 LAI값을계산한다. 국립공원연구원 92
1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수식 8 여기서 -ln(t(θ i )) S(θ i ) 는접촉빈도 (contact frequency) 나타내고그리고 W i 는 θ i sin θ i 로계산한다. 표 4-2. 천정각에따른 Wi와 S(θi) 값 Angle θ i Wi= sinθidθi = θ i sin θ i S(θi)=1/cosθ 태양광선이대기를통과하여산림의수관층에의해차단될확률은 Path Length, 군엽의밀도, 군엽의방향에비례한다. 따라서태양광선의투과율을통해 foliage에대한정보를추정할수있다. LAI-2000 기기를이용한엽면적지수의측정은하늘을향한시야가완전히트인개활지에서의측정 (Above) 과측정하고자하는수관층밑에서측정 (Below) 이함께이루어져야한다. 수관층밑에서태양광선의세기를측정하게되면측정점의수관층에의해얼마나많은태양광선이차단되었는지를알수있다. Above에서측정된태양광선의세기와 Below에서측정된태양광선의세기을종합하여측정지점의엽면적지수를추정하는것이다. 3 측정방법엽면적지수 (Leaf Area Index : LAI) 는다양한방법으로현지에서측정될수있다. LAI 값을획득하기위해수많은직접 간접적방법이사용되었다. 직접적인방법으로는현지에서산림유형별구분되는개별수종의일정한면적내에포함되는모든나뭇잎을수확 채집하여엽면적을측정하는방법과개체목의가지및엽의중량혹은면 국립공원연구원 93
114 4. 산립엽면적지수 적과개체목의수고및흉고직경간의관계를이용하여 (Gower 등, 1999) 측정하는상대생장식 (allometric equation) 이있다. 잎을채집하여직접적으로측정하는방법은결과에대한정확도의신뢰도는높으나, 극히일부지역에국한하여가능하며, 대규모지역에서는시간적노력및경제적비용이많이소요되는문제점을갖는다. 이방법은산림보다는경작지, 초지에대한 LAI을예측하는데있어서성공적으로이용되었다. 상대생장식방법은소규모지역에적합한상대생장식을개발하는데많은시간과노력이필요하기때문에보통기존에개발된상대생장식을이용한다. 이는특정지역에서 LAI를예측하는데상대생장식의계수에영향을주는다양한생물 비생물학적요인으로큰오차가발생할수있다. 소규모지역에몇몇표본지역으로한정되고대규모산림지역 LAI를측정하는것은시간적 경제적 인력이많이소요되는직접적인방법의문제를해결하기위해제시된다른방법은 Decagon ceptometer, Li-Cor LAI-2000, DEMON 그리고, TRAC과같은상업적으로이용가능한광학측정기기를이용하는간접적방법이개발되어현재널리이용되고있다 (Chen 등, 1997). 이러한광학측정기기는수관층의잎들이랜덤하게분포한다고가정하고태양복사에너지의투과율을기초로 LAI를예측한다. 이방법은수관에도달하는태양복사에너지와이복사에너지가수관을통과하여광학측정기센서에기록된복사에너지의비율로서 LAI값을추정한다. 간접적인방법으로추정된 LAI 값은직접적인방법에측정된 LAI 값보다적게추정되므로유효 LAI 값이라고도한다. 본조사에서는 LAI-2000 Plant Canopy Analyzer 광학기기를 1대를이용하여현지에서산림 LAI 값을측정하였다. 산림지역의 LAI 값을측정하기전과측정한후에해당측정지점부근에서하늘을향한시야가가장좋은곳을선택해수관에도달하는복사에너지를측정하는 Above 측정을수행하고엽면적지수를측정하고자하는지점에서수관층을통과하여광학기기센서에도달하는복사에너지를측정하는 Below 측정을하여 Above 측정값에대한 below 측정값의비율로서 LAI를계산하였다. 센서에도달하는복사에너지측정값의대표성을확보하기위해그림 4-4 처럼 5m 국립공원연구원 94
1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간격으로총 5지점에서 3번측정한다음평균값을이용해해당지점의 LAI 값을산출하였다. 해당지점의위치좌표를획득하기위해사용된기는 Trimble 사의 Pathfinder XR이다. 이기기의위치정확도는후처리를거친후 2m이내이나, 수관층아래에서측정한관계로이보다는낮은정확도를기대할수밖에없다. 현지에서 GPS 측량을실시한후국립지리원에서제공하는상시기준점을이용하여 DGPS 후처리를실시하였다. 5m 5m 그림 4-4. 엽면적지수측정지점분포. 나 ) Landsat ETM+ 반사율영상 본조사에서사용된위성영상은 9월에촬영된 28.5m 공간해상도를제공하는 Landsat ETM+ 영상자료를사용하였다. 산림지역의분광정보를추출하기위하여다중분광영상에서파장밴드번호가 6번인열적외선밴드만을제외한나머지가시광선, 근 중적외선영상 6개밴드를사용하였다. Landsat ETM+ 위성영상의일반적특징은다음표 4-3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95
116 4. 산립엽면적지수 표 4-3. Landsat ETM+ 센서특성 촬영폭 185km 촬영주기 16일 촬영고도 705km 밴드 # 파장폭 공간해상도 ( 청색광 ) ( 녹색광 ) ( 적색광 ) 28.5m ( 근적외선 ) ( 중적외선1) ( 열적외선 ) 60m ( 중적외선2) 28.5m (Pan) 15m 본조사에서이용한그림 3의 Landsat ETM+ 영상자료는 UTM 좌표체계의 GeoTiff 파일형태로제공되며 8bit 자료범위를갖는다. 본조사에서는최종적으로 LAI 측정값과관계는 Landsat ETM+ 영상에서추출한분광반사율값을이용하였다. 이를위해우선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의경계파일과호환성을위해서좌표체계를평면직각좌표인 TM(Transverse Mercator) 좌표계로지리좌표를등록한후, 공원경계지역이외의나머지지역은마스킹처리하여사용하였다. 다 ) 참고자료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지역의산림유형별 LAI 추정식을개발하고, 이를 Landsat ETM+ 반사율자료에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기위해서는산림지역에대한정보가필요하다. 이를위해서본조사에서는 4차수치임상도를활용하였다. 사용된수치임상도는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1994년부터산림자원정보화사업의일환으로제4차전국산림자원조사에의하여제작된종이임상도를전산화한수치지도이다. 수치임상도는각 1:25,000 축척의도엽단위로제작되며임분의구획경계에따라수종구성, 경급, 영급, 그리고소밀도와같은임분특성을속성자료로하여제작된공간자료이다. 항공사진과현지조사에의하여제작되는임상도는산림에대한현황을 국립공원연구원 96
1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파악하는중요한자료로산림자원관리를위하여필수적인자료이다. 수치임상도에포함되는산림에대한속성정보로수종구성은침엽수림, 활엽수림, 침활혼효림, 소나무인공림, 잣나무림, 낙엽송, 리기다소나무림, 참나무인공림, 포푸라림, 소나무림, 그리고참나무림으로분류한다. 수목의연령을나타내는영급은 10년을기본계급으로 6개등급으로분류한다. 수목의생장과관련있는흉고직경은지상부로부터약 1.2m 지점의가슴높이에서측정된수간의둘레일컫는데, 이는흉고직경이 6cm미만의치수, 6-16cm의소경목, 18-2cm의중경목, 그리고 30cm 이상의대경목으로 4개등급으로분류한다. 그리고수관의점유면적을설명하는소밀도는소, 중, 그리고밀로 3개등급으로분류한다. 영상처리에필요하고, 임상정보를얻기위해여러수치자료가사용되었다. 연구과정에서참고한자료의특성및용도는표 4-4에서보여주고있다. 표 4-4. 연구에서참고한자료와비교자료특성및용도 엽면적지수현지측정자료 기타수치자료 특성 산림지역을대상으로 2010년측정한엽면적지수 4차수치임상도 1:25,000 수치지형도 용도 참고자료 참조자료 다. 결과및고찰 1) 엽면적지수 (LAI) 현지측정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서엽면적지수측정은산림지역의공간적분포형태나면적, 그리고측정의용이성및접근성을고려하여이루어졌다. 그림 4-5에서 Landsat ETM+ 위성영상과현지에서 LAI를측정한 21개지점과중첩한결과를보여주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97
118 4. 산립엽면적지수 그림 4-5. Landsat ETM+ 영상에 LAI 조사지점을중첩한결과 산림지역에서엽면적지수를측정한지점의위치는 GPS 수신기를이용하여측정하 였다. 측정한지점의산림엽면적지수의값은평균 4.13 이고최소 2.16 에서최대 5.74 까지 LAI 가분포하는것으로나타났다. 표 4-5. 현지측정한산림 LAI 기초통계량 N 범위최소값최대값평균표준편차 ) 엽면적지수지도제작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대해서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기 국립공원연구원 98
1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위해현지측정된엽면적지수의측정값과위성영상자료에서도출된다양한식생지수및지표면반사율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이를통해산출된다중선형회귀식을적용하는실험적방법을이용하여지도를제작하였다. 이를위해우선, 현지측정된동일한지점에서위성영상자료의지표면반사율과함께도출가능한식생지수를추출한다음, 현지에서측정한 LAI 측정값과관계를분석하여얻어진엽면적지수추정식을도출한다. 도출된엽면적지수추정식을산림지역의공간적분포를보여주는분류지도에적용하여최종적으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지도를생성하여그결과를분석하였다. 가 ) 산림지역분류추정된엽면적지수추정식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적용하여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기위해우선, 산림지역에대한분류작업이필요하다. 이는 Landsat ETM+ 위성자료를이용하여무감독분류방법을통하여토지피복별영상을분류한후산림지역만을추출하였다. 그림 4-6에서토지피복분류결과산림지역을보여주고있다. 그림 4-6. 토지피복분류결과팔영산산림지역 국립공원연구원 99
120 4. 산립엽면적지수 다 ) 엽면적지수와반사율의관계식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적합한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기위해필요한엽면적지수추정식은산림지역을대상으로측정한엽면적지수값과동일한지점에서추출한 Landsat ETM+ 영상자료의반사율과다양한식생지수관계를통해서개발하였다. 엽면적지수와반사율및식생지수의관계를분석하기위해우선, 엽면적지수와반사율및식생지수의상관계수를통해통계적유의성을검토하고단순선형회귀식및다중선형회귀식을적용하여최종적으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적합한 LAI 추정식을산출하였다. 식생지수는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 NDVI), 단순식생지수 (Simple Ratio:SR), 그리고토양조건을고려한 SAVI의값을이용하였다 ( 표 4-6). 이는영상자료의특정분광파장영역을사용하여최대한식생정보를추출하는데널리사용되는지수이다. 표 4-6. LAI 를예측하기위해사용된위성영상자료의분광식생지수 분광식생지수식특징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NIR-RED/NIR+RED 정규식생지수 Simple Ratio (SR) NIR/RED 단순식생지수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SAVI) ( )*(NIR-RED)/(NIR+RE D+0.5) 토양조건을고려한식생지수 Landsat ETM+ 영상의분광반사율및식생지수와현지측정된 LAI값의상관관계는표 4-7과같이청색광파장영역 (band01) 을제외한가시광선, 근적외선, 중적외선의모든파장영역에서상관계수가 0.5이하로비교적상관성이낮은결과를보여주고있다. 이는지형적변화가다양하고산림밀도가높은우리나라산림의특성에기인한다고알려져있다. ( 이규성등, 2003, 김선화 2000). 국립공원연구원 100
12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4-7. LAI 와 Landsat ETM+ 반사율, 식생지수와상관계수 독립변수 엽면적지수와의상관관계 band band band band band band NDVI SR SAVI LAI값과분광반사율및식생지수의상관성이낮기때문에 LAI 추정식을개발하기에단일변수만을이용하는것은적합하지않다. 따라서본조사에서는다중회귀분석을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종속변수인엽면적지수를설명하는최적의독립변수를선택하기위해후방선택기법 (backward Selection) 를적용하였다. 후방선택기법 (backward Selection) 은다중회귀분석에서사용되는여러가지독립변수들중사용자가예측하고자하는종속변수를가장잘설명할수있는독립변수를선정하는방법이다. 즉, LAI 예측에있어서가장영향을줄수있는파장영역별분광반사율, 식생지수의총 9개독립변수들중에서최적의변수를선택하기위해사용되었다. 후방선택기법은중요도가낮은독립변수를하나씩제거하면서유도된회귀식의적합도와독립변수들의통계학적유의성을검토하여독립변수를선택하기위해통계적유의수준을 0.01로하여변수를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엽면적지수추정식을도출하기위해다중회귀분석결과표 4-8과같다. 산림지역엽면적지수를추정하기위해사용된변수로서가시광선밴드와토양조건을고려한식생지수를선정하는하는것이최적의결과를보여주었다. 표 4-9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의엽면적지수추정식을보여주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101
122 4. 산립엽면적지수 표 4-8. 산림엽면적지수추정식개발을위한회귀분석결과 선택된독립변수 비표준화 계수 유의확률 (**α<0.01, B 표준오차 *α<0.05에서유의 ) ( 상수 ) band band SAVI 표 4-9. 산림엽면적지수추정식 엽면적지수추정식 R 2 LAI = ( )+( )*band01+( )*band02+(5.959)*SAVI 위에서산출된 LAI추정식을산림지역에서추출된 Landsat ETM+ 반사율영상자료에적용한결과그림 4-7과같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값의평균은 4.02이고 1.04에서 7.44의범위의 LAI 값의분포를갖는다. 국립공원연구원 102
1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 자연자원조사 그림 4-7. 산림엽면적지수 지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산림엽면적지수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잎의 활력 도와 다양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을 용이하게 분석하기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기준으로 5단계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03
124 4. 산립엽면적지수 팔영산지구의산림에서잎의활력도가대체로높은 4와 5등급으로나타나고활력도가비교적낮은 1과 2등급지역은 797격자를포함한능선주변으로나타났다. 활력도가높은지역은전체산림지역의 41% 에해당하며활력도가낮은지역은산림면적중 17% 에해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잎의다양성은자연자원조사기준격자의크기를단위로엽면적지수평균대비편차의비율로서 매우낮음 부터 매우높음 까지 5등급으로구분하여평가하였다. 그림 4-8에서와같이산림지역에서잎의다양성은모든격자에서매우낮음으로나타났다. 이는국립공원의산림지역의식생의상태가매우유사하며안정되어있다고할수있다. 그림 4-8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서잎의활력도와다양성을보여주고있다. 그림 4-8. 팔영산지구산림지역에서잎의활력도와다양성 국립공원연구원 104
1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김선화, 한반도중부온대림지역에서 Landsat ETM+ 엽면적지수검증, 인하대학교공학석사논문. 김태근, 남한지역 LAI map 제작을위한중 저해상도위성영상연계방법개발, 인하대학교공학박사논문. 이규성, 김선화, 박윤일, 장기창, Generation of Leaf Area Index(LAI) Map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nd Field Measuremen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5), pp Brown, L. J., J. M. Chen, S. G. Leblanc and J. Cihlar, Short wave infrared modification to the simple ratio for LAI retrieval in boreal forests: an image and model analys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1, pp Chen, J. M., and J. Cihlar, Retrieving leaf area index of boreal conifer forests using Landsat TM imag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5, pp Lee, Kyu Sung, Kim Sun Hwa, Park Ji Hoon, Kim Tae Geun, Park Yun Il, Woo Chung Sik, Estimation of Forest LAI in Close Canopy Situation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5), pp 국립공원연구원 105
126
127 포유류 5 조사위원 김의경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김혜리 허남진
128
12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팔영산은고흥군동쪽의바닷가에인접해있으며자연경관의우수성과함께그주변지역의자연생태계가우수하여 1998년 7월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2010년에국립공원관리공단의다도해국립공원으로편입되었다 ( 전라남도, 2005). 야생동물의자원모니터링은야생동물의관리와보전을위해매우중요하며우리나라에서도중요성을인식하여 1967년부터전국야생동물실태조사를환경부에서실시하고있다 ( 국립환경과학원, 2001; U.S Fish & Wildlife Servies 1999). 포유류의모니터링은야생동물의보전과관리, 질병감염의가능성과경제적인측면, 토착종에대한위해성과이와관련된문제해결및완화대책수립을위해절대적으로필요하다 (Choudhury 2002). 본자연자원조사는 2011년에실시된국립공원타당성조사를통해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편입된팔영산지구의생물종현황파악하여국립공원생물자원목록 DB를구축하기위한기초조사의일환으로팔영산지구에서식하고있는포유류및환경부지정멸종위기생물에대한현황을파악하기위해실시하였다. 나. 조사방법 팔영산에서식하고있는포유류를조사하기위해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총 4회에걸쳐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2km 2km로이루어진 11개의격자로이루어진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를팔영산능선을중심으로 2개의조사구간으로구분하였으며첫번째구간은팔영산자연휴양림구간으로동남쪽에위치하는강산폭포, 팔영산자연휴양림, 남포미술관과, 금사이제를포함하고있으며두번째구간은탑재구간으로능가사, 마당바위, 시목저수지, 금사이제를포함하였다 ( 표 5-1). 포유류조사는대상동물의생태학적행동특성과조사시기, 조사기간및소요시간을고려하여조사방법을선정하여야한다. 이번조사는임의추적 (Random Search) 법을이용하였으며포유류의서식확인은직접관찰, 센서카메라를이용한실체확인그리고식흔, 배설물등의서식흔적 (Field sign) 에의한흔적조사를실시하였다. 소형포유류는생포덫 (Live Trap) 을이용한포획조사를실시하였다. 표 5-1. 다도해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일조사지역조사격자 팔영산자연휴양림 797,798 국립공원연구원 109
130 5. 포유류 능가사-마당바위, 팔영제-탑재 793,794,796, 시목저수지, 금사이제 796,800, ,802,798, 시목저수지, 남포미술관-깃대봉 1) 소형포유류 소형포유류조사는목견, 사체등직접관찰과포획조사를병행하였으며소형포유류를포획하기위한포획덫은생포포획틀 (Sherman's trap, Sherman Co. US) 을이용하였고유인먹이로는비스킷을사용하였다. 설치시기는소형포유류의폐사를방지하기위해해가질무렵에설치하여다음날아침에수거하는것을원칙으로하였으며포획된개체는종동정후현장에서방사하였다. 주간에확인이가능한다람쥐, 청설모, 하늘다람쥐, 멧밭쥐는섭식흔적, 직접관찰, 보금자리로서식유무를확인하였다 ( 그림 5-1~4). 그림 5-1. 청설모직접관찰 그림 5-2. 두더지이동로 그림 5-3. 포획조사 그림 5-4. 멧밭쥐보금자리 국립공원연구원 110
13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중 대형포유류 우리나라에서식하고있는중 대형포유류는대부분야행성으로행동학적인특성상사람에대한경계심이매우높아직접눈으로실체를확인하기가매우어렵다. 따라서이번자연자원조사는임의추적 (Random Search) 에의해발견된포유류의배설물, 족적, 식흔, 휴식지, 이동로, 잠자리, 털및포유류별생태학적특성 ( 멧돼지-비빔목, 진흙목욕탕, 노루-뿔질, 고라니-송치를이용한나무긁음 ) 에대한흔적을조사하여서식유무를확인하였다 ( 그림 5-6~9). 그림 5-6. 너구리발자국 그림 5-7. 고라니발자국 그림 5-8. 삵배설물 그림 5-9. 수달배설물 3) 무인센서카메라 팔영산지구에서식하고있는야생동물의실체를확인하기위하여흔적조사를통해발견된중 대형포유류및멸종위기종의배설물과발자국이발견된지역을대상으로무인센서카메라를설치하였다 ( 그림 5-10~11). 국립공원연구원 111
132 5. 포유류 그림 센서카메라설치 그림 멧돼지실체촬영 다. 결과및고찰 1) 다도해국립공원팔영산에서식하는포유류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포유류는개과개, 너구리, 고양이과삵, 족제비과오소리, 족제비, 수달, 사슴과고라니, 노루, 소과염소, 멧돼지과멧돼지, 땃쥐과땃쥐, 두더지과두더지, 토끼과멧토끼, 쥐과등줄쥐, 멧밭쥐, 다람쥐과청설모, 다람쥐로 11과 17종이조사되었다. 조사구간별서식현황은탑재구간에서 12종, 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 14종으로팔영산자연휴양림지역에서많은종이확인되었으며모든구간에서서식이확인된포유류는너구리, 삵, 오소리, 고라니, 멧돼지, 두더지, 등줄쥐, 청설모, 다람쥐로 9종인것으로나타났다. 법정보호종으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Ⅰ급수달과멸종위기Ⅱ급삵의서식이확인되었다 ( 표 5-2). 국립공원연구원 112
13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5-2.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포유류상 조사지역 과명국명학명 탑재 팔영산자연휴양림 개 Canis familialis 개과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고양이과 삵 Prionaliurus bengalensis 오소리 Meles meles 족제비과 족제비 Mustela sibirica 수달 Lutra lutra 사슴과 노루 Caproelus pygargus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소과염소 Capra hircus 멧돼지과멧돼지 Sus scrofa 땃쥐과땃쥐 Crocidura lasiura 두더지과두더지 Mogera wogura 토끼과멧토끼 Lepus coreanus 쥐과 다람쥐과 등줄쥐 Apodemus agrarius 멧밭쥐 Micromys minutus 청설모 Sciurus vulgar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구간별포유류종수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포유류종수 11 과 17 종 국립공원연구원 113
134 5. 포유류 2) 탑재구간포유류서식현황 탑재구간에서식하는포유류는개과너구리, 고양이과삵, 족제비과오소리, 족제비, 수달, 사슴과고라니, 멧돼지과멧돼지, 두더지과두더지, 쥐과등줄쥐다람쥐과청설모, 다람쥐로 12종이조사되었다. 포유류의실체를확인하기위해센서카메라를설치하였으나카메라작동오류및고장으로인하여확인된포유류없었으며포획조사에의해확인된등줄쥐 1종과직접관찰에의해확인된개, 너구리 ( 로드킬사체 ), 족제비, 고라니, 청설모, 다람쥐로 6종으로총7종의포유류실체가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으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Ⅰ급인수달이팔영제 (793격자) 와시목저수지 (796격자) 에서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멸종위기Ⅱ급인삵은팔영저수지 (793격자), 시목저수지 ( 격자796) 와탑재 ( 격자797) 에서서식이확인되었다 ( 표 5-3). 표 5-3. 탑재구간에서식하는포유류상 탑재 과명 국명 학명 조사격자 확인방법 개 Canis familialis 793 관찰, 족적 개과 Nyctereutes 배설물, 족적, 너구리 793,796,800 procyonoides 로드킬 Prionaliurus 고양이과 삵 bengalensis 793,796,797 배설물, 족적 오소리 Meles meles 797 배설굴 족제비과 족제비 Mustela sibirica 796 관찰 수달 Lutra lutra 793,796 배설물 793,794,796,800,80 사슴과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1 배설물, 관찰 멧돼지과 멧돼지 Sus scrofa 796, 배설물, 식흔 두더지과 두더지 Mogera wogura 793,796,797,800,80 1 굴 쥐과 등줄쥐 Apodemus agrarius 796 포획 다람쥐과 청설모 Sciurus vulgaris 793,796,800 식흔, 관찰다람쥐 Tamias sibiricus 793 관찰 종수 12종 국립공원연구원 114
13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3) 팔영산자연휴양림포유류서식현황 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식하는포유류는개과너구리, 고양이과삵, 족제비과오소리, 사슴과노루, 고라니, 소과염소, 멧돼지과멧돼지, 땃쥐과땃쥐, 두더지과두더지, 토끼과멧토끼, 쥐과등줄쥐, 멧밭쥐, 다람쥐과청설모, 다람쥐로 14종이조사되었다. 센서카메라에의해실체가확인된포유류는너구리, 멧돼지로 2종, 포획조사에의해서식이확인된소형포유류는등줄쥐 1종, 직접관찰에의해실체가확인된종은삵, 염소, 땃쥐 ( 사체 ),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 6종으로총 9종의포유류실체가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으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Ⅱ급인삵으로팔영산자연휴양림진입도로 ( 격자799) 에서로드킬당한사체를확인하였다 ( 표 5-4). 표 5-4. 팔영산자연휴양림구간에서식하는포유류상 과명 국명 학명 팔영산자연휴양림조사격자확인방법 개과 너구리 Nyctereutes 797,798,801,8 procyonoides 02 족적, 굴, 촬영 Prionaliurus 고양이과 삵 bengalensis 799 로드킬 족제비과 오소리 Meles meles 797 배설굴 노루 Caproelus pygargus 797 배설물 사슴과 795,797,798,8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01,802 배설물, 족적 소과 염소 Capra hircus 802 관찰 멧돼지과 멧돼지 Sus scrofa 797 배설물, 식흔, 촬영 땃쥐과 땃쥐 Crocidura lasiura 795 사체 두더지과 두더지 Mogera wogura 795,797,798,8 02,801 굴 토끼과 멧토끼 Lepus coreanus 797 배설물, 식흔 쥐과 등줄쥐 Apodemus agrarius 797 포획멧밭쥐 Micromys minutus 801 관찰 다람쥐과 청설모 Sciurus vulgaris 797,798,802 식흔, 관찰다람쥐 Tamias sibiricus 798 관찰 종수 14 종 국립공원연구원 115
136 5. 포유류 4) 법정보호종분포현황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일대에서확인된환경부지정멸종위기포유류는멸종위기Ⅰ급수달 ( 천연기념물제330호 ) 과멸종위기Ⅱ급삵으로 2종이조사되었다. 멸종위기Ⅰ급인수달은처음조사에는우천으로인한수량증가로인하여시목저수지에서발견하지못하였으나 2차조사에서시목저수지가끝나는지점 ( 격자796) 과계곡물이합류되는구간에서배설물이확인되었으며팔영제 ( 격자793) 에서는입구에서부터성주마을앞까지지속적으로배설물이발견되었다. 멸종위기Ⅱ급인삵은팔영제 ( 격자 793) 와시목저수지 ( 격자796) 에서배설물과족적이모두발견되었으며, 팔영산자연휴양림진입도로인국도 77호선에서로드킬에의한사체를확인하였다 ( 표 5-5). 표 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법정보호종현황 구분 국명 조사격자탑제팔영산자연휴양림 멸종위기I급 수달 793,796 멸종위기Ⅱ급 삵 793,796, 라. 선행연구와의비교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포유류에대한선행연구는환경부에서 1997년에실시한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1차년도조사와 2005년전라남도 ( 조사기관 :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에서조사한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로이번에실시한자연자원조사를포함하여팔영산지구에서식이확인된포유류는총 23종이다. 팔영산에서서식하는포유류는전국자연환경조사 ( 환경부 2005) 에서너구리, 고양이, 삵, 오소리, 족제비, 수달, 고라니, 멧돼지, 작은땃쥐, 땃쥐, 두더지, 멧토끼, 집쥐, 애급쥐, 생쥐, 등줄쥐, 흰넓적다리붉은쥐, 청설모, 다람쥐로 19종이확인되었고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너구리, 삵, 족제비, 수달, 고라니, 두더지, 멧토기, 집쥐, 등줄쥐,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로 12종이확인되었으며이번에실시한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개, 너구리, 삵, 오소리, 족제비, 수달, 노루, 고라니, 염소, 멧돼지, 땃쥐, 두더지, 멧토끼, 등줄쥐,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는 17종으로포유류상에큰변화는없었다 ( 표 5-6). 국립공원연구원 116
13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5-6.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선행연구와의포유류상비교 팔영산천관산전국자연환경조사자연자원조사국명학명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 ( 환경부 1997) ( 국립공원 2012) 보고서 ( 전라남도 2005) 개 Canis familialis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고양이 Felis catus 삵 Prionaliurus bengalensis 오소리 Meles meles 족제비 Mustela sibirica 수달 Lutra lutra 노루 고라니 Caproelus pygargus Hydropotes inermis 염소 Capra hircus 멧돼지 Sus scrofa 작은땃쥐 땃쥐 두더지 멧토끼 Crocidura shantungensis Crocidura lasiura Mogera wogura Lepus coreanus Rattus 집쥐 norvegicus 애급쥐 Rattus rattus 생쥐 Mus musculus 국립공원연구원 117
138 5. 포유류 등줄쥐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agrarius Apodemus peninsulae 멧밭쥐 청설모 다람쥐 Micromys minutus Sciurus vulgaris Tamias sibiricus 종수 참고문헌 전라남도 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전라남도. 원병휘 한국동식물도감제7권동물편 ( 포유류 ). 문교부. 원홍구 조선짐승류지. 과학원출판사. 평양. 윤명희 야생동물. 대원사. 환경부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제1차년도. 환경부. Bolen, E. G., and W. L. Robinson(1995) Widlife ecology and management.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Brown, R. W., M. J. Lawrence and J. Pope(1993) Animals Tracks, Trail & Signs. Hamlyn guide, London. Plumptre, A.J.(2000) Monitoring mammal populations with line transect techniques in african forests. J. Appl. Ecol., 37: US Fish & Wildlife Service(1999)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mith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and London. 국립공원연구원 118
139 조류 6 조사위원 성하철 ( 전남대학교 ) 보조원 김우열 이지용
140
14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은 1998년 7월 30일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다가 2011년국립공원으로승격되었다. 조사지역인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 (608m) 은전남고흥군영남면에위치하며총면적은 km2이고남동쪽능선의계곡에있는자연휴양림등을포함한다. 15번일반국도와 855번지방도를따라서접근이가능하고북쪽과남쪽은대부분이해안과접하고있는한반도최남단에속한다. 능가사반대편사면에는자연생태계모니터링지역으로지정된자연휴양림이있어주변의수려한지형경관과더불어우수한생태관광지역으로서의조건을갖추고있다. 1) 지형및지질 조사지역은바다와인접하거나접하고있는관계로해발고도로볼때높은산은없으며대부분이중 저산지성구릉들이산재하는전형적인해안지역의지형특성을나타낸다. 대표산인팔영산 (686.6m) 이최고봉이며동북쪽으로우각산 (344.9m) 과동남쪽으로우미산 (449.7m) 이팔영산과함께 3각형의형태를띠며조사지역의산지를형성하고있다. 북쪽의점암면일대는사정제 ( 沙亭堤 ) 에서발원하는물이와룡천 ( 臥龍川 ) 을거쳐점암저수지에서저류한후북서쪽의득량만으로유입하는데유수작용의특성으로인해평탄하고넓은계곡하상을형성한다. 북동쪽으로는호덕리에서발원한물이여러개의저지와소류지등에서흘러내린물과합류하여화계리를거쳐여자만 ( 汝自灣 ) 으로유입한다. 특히이지역은산지의침강으로인해서형성된지역이기때문에거의전지역이구릉성산지로이루어지고지협부나해창만부근, 그리고풍양면서부와도양읍동부해안에갯벌을간척하여조성한평야가넓게분포한다. 전체적으로보아고흥반도의지형은해창만을주위에서에워싸고있는호형의산지가위치한중앙부는높고, 주변해안으로갈수록점차고도가낮아지는특색을보인다. 이지역에분포하는퇴적암류는두원면의동부대상지역과과역면이북의해안지역을따라역암, 응회암, 유문암, 용암등으로구성된능주층군지층이국지적으로분포한다. 지형의연속성으로볼때고흥반도가전남의육지부와연결되어있기는하지만, 지질구조에있어서는전남의육지부와경남동부및남해안도서지역의지질계통과더유사한분포를보인다. 2) 기후 고흥군의기후는하계고온다우, 동계온난건조의특성을보인다. 해안지역에인접한관계로우리나라의타지역보다대륙의영향을보다덜받는반면, 연중난류가흐르 국립공원연구원 121
142 6. 조류 는남해안에위치하기때문에겨울의기온은비교적온화하며또한여름철에는다습한기류의지형적수렴으로비가많은기후특성을나타낸다. 따라서비교적연교차가작고온화하면서강수량이많은해양성기후의특성을강하게나타낸다. Mccune의기후구분에의하면남해안형에속하며, 온량지수에의한기후구분에서는난대기후지역에속한다. 표 6-1에서보듯이연평균기온은 ±8.71로비교적온화하며, 지난 30년간평균강수량은 mm로서전국평균에비해매우높은값을나타내었다. 이는조사지역이해안지역과산악지역을동시에보유하고있다는입지적특징으로말미암은것으로해석된다. 표 6-1. 고흥군지역의평균기온과강수량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전년 평균기온 ( ) 강수량 (mm) 그림 6-1. 조사지역의기후 우리나라주위의여름철천기도에나타나있는이지역의주풍향은동북동풍계열의바람이며, 겨울철천기도에는북서풍계열의바람이탁월한것으로나타나있다. 전체적으로고흥군의기후는해양의영향을주로받아강수량이많고, 기온이높은편이며동계는온난건조, 하계는고온다습하다. 국립공원연구원 122
1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나. 조사지역및방법 1) 조사지역 그림 6-3. 팔영산조사지역및조사경로 2) 조사일정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대한조사는 3계절에걸쳐총 3회실시하였으며, 춘계는 4월에 5박 6일 1회, 하계는 6월에 4박 5일 1회, 추계는 10월에 3박 4일에걸쳐시행되었다 ( 표 6-2). 국립공원연구원 123
144 6. 조류 표 6-2. 조사일정 구분조사기간조사일수조사격자 춘계 박 6 일 하계 박 5 일 추계 박 4 일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3) 조사방법 본조사는각격자별선조사법과정점조사법을병행하여시행하였고, 출현하는종, 개체수및번식가능성을파악하였다. 출현개체, 법정보호종및번식이확인된지역및가능성이높은지역은 GPS를이용하여정확한위치를파악하였다. 육안및쌍안경 (NIKON 8 42), 망원경 (NIKON 20 ) 으로관찰하였고, 나는모양및울음소리등에의해종을식별하였다. 조사결과의분석에이용된공식은다음과같다. 우점도 (Dominance Index : D.I) 환경의변화가악화될수록특정종의우세가나타나므로, 어떤우점종이군집에서가지는상대적인비를산출한다면환경의변화에대한명료한지표로서이용될수있다는관점에서도출된지수이다 (McNaughton, 1967). DI = n i /N DI: 우점도지수, N: 총개체수, n i : 제 i번째종의개체수 종다양도 (Biodiversity Index : H') Margalef(1968) 의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에의하여유도된 Shannon & Weaver function(pielou, 1966) 을사용하여산출한다. 이는동물군집의종풍부도와개체수의상대적균형성을뜻하는것으로군집의복잡성을나타낸다. 국립공원연구원 124
1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H' = (n i /N) ln(n i /N), n i ; 각종의개체수, N; 총개체수, ln; 자연로그 종균등도 (Evenness Index: J') 균등도는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제치의비로서표현된다. 각다양도지수는군집내모든종의개체수가동일할때최대가되므로결국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내는것으로 Pielou(1975) 의식을이용하여산출하였다. J' = H' / Ln(S), S; 관찰된전체종수, H'; 종다양도, Ln: 자연로그 종풍부도 (Richness Index: eh') 종풍부도지수는총개체수와총종수만을가지고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로서, 지수값이높을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고있다. 종풍부도지수는 Margalef(1958) 의지수를사용하여산출하였다. eh'=(s 1)/Ln(N), eh': 풍부도, S: 전체종수, N: 총개체수 다. 결과및고찰 1) 2012 년전체조류조사결과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확인된조류는총 82종 1,450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11.86%) 였으며다음으로참새 Passer montanus (11.03%),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7.52%),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5.72) 및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5.1%) 순이었다. 종다양성은춘계에 3.28, 하계에 3.06, 추계에 2.58로춘계에종다양도지수가높게나타났다. 종풍부도는춘계에 8.37, 하계에 3.06, 추계에 2.58로춘계에종다양도와같이종풍부도가높게나타났다. 종균등도는춘계에 0.81, 하계에 0.76, 추계에 0.75로춘계에종균등도가높게나타났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종다양성은 3.53, 종풍부도는 11.13, 종균등도는 0.8이었다 ( 표 6-3.). 국립공원연구원 125
146 6. 조류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확인된조류 최대우점번호국명학명도래춘계하계추계개체도현황수 (%) 1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Res 왜가리 Ardea cinerea Res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SV 대백로 Egretta alba alba WV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SV 쇠백로 Egretta garzetta Res 황로 Bubulcus ibis SV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SV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SV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SV 원앙 Aix galericulata Res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WV 쇠오리 Anas crecca WV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Res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Res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SV 말똥가리 Buteo buteo WV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WV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Res 꿩 Phasianus colchicus Re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Res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SV 흰물떼새 Charadriusalexandrinus PM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PM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Res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WV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Res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SV 뻐꾸기 Cuculus canorus SV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SV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SV 물총새 Alcedo atthis Res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SV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SV 후투티 Upupa epops SV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Res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Res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Res 청딱다구리 Picus canus Res 제비 Hirundo rustica SV 귀제비 Hirundo daurica SV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SV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SV 백할미새 Motacilla lugens WV 국립공원연구원 126
14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5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Res 힝둥새 Anthus hodgsoni PM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cervinus PM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WV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Res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SV 때까치 Lanius bucephalus Res 딱새 Phoenicurus auroreus Res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SV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Res 호랑지빠귀 Turdus dauma SV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SV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Re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Res 휘파람새 Cettia diphone Res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SV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SV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Res 쇠박새 Parus palustris Res 진박새 Parus ater Res 박새 Parus major Res 곤줄박이 Parus varius Res 동고비 Sitta europaea Res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Res 멧새 Emberiza cioides Res 쑥새 Emberiza rustica WV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Res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PM 방울새 Carduelis sinica Res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WV 참새 Passer montanus Res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SV 꾀꼬리 Oriolus chinensis SV 어치 Garrulus glandarius Res 물까치 Cyanopica cyana Res 까치 Pica pica Res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WV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Res 종수 개체수 1, ,450 종다양도 (H') 종풍부도 (R') 종균등도 (J') 국립공원연구원 127
148 6. 조류 그림 6-4. 생태형종구성 2) 조사격자별조사결과 2012년 793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34종 302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참새 Passer montanus (24.83%) 였으며다음으로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12.58%), 물까치 Cyanopica cyana (10.6%), 제비 Hirundo rustica (8.2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6.29%), 황로 Bubulcus ibis (5.96%), 까치 Pica pica (5.3%) 순이었다. 794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30종 154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8.18%) 였으며다음으로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16.23%), 참새 Passer montanus (14.94%),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6.49%) 및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5.84%) 순이었다. 795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36종 207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17.87%) 였으며다음으로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3.04%), 참새 Passer montanus (11.11%),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6.76%) 및제비 Hirundo rustica (5.31%) 순이었다. 796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41종 337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20.47%) 였으며다음으로물까치 Cyanopica cyana (10.98%),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8.31%),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8.31%), 참새 Passer montanus (7.72%), 박새 Parus major (6.23%) 및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5.04%) 순이었다. 797 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27종 87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19.54%) 였으며다음으로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국립공원연구원 128
14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webbianus (16.09%),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9.2%), 박새 Parus major (6.9%) 및곤줄박이 Parus varius (5.57%) 순이였다. 798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26종 92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7.39%) 였으며다음으로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10.87%),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9.78%),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7.61%), 박새 Parus major (6.52%) 및쑥새 Emberiza rustica (5.43%) 순이었다. 799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24종 68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7.65%) 였으며다음으로참새 Passer montanus (16.18%), 제비 Hirundo rustica (16.1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7.35%) 및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5.88%) 순이었다. 800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30종 234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22.65%) 였으며다음으로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18.3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9.4%), 참새 Passer montanus (7.69%),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6.84%) 및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5.98%) 순이었다. 801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31종 169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멧새 Emberiza cioides (13.02%) 였으며다음으로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10.06%),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88%), 제비 Hirundo rustica (8.28%), 멧비둘기순 Streptopelia orientalis (7.1%) 및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6.51%) 이었다. 802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24종 151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참새 Passer montanus (26.49%) 였으며다음으로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5.89%), 멧새 Emberiza cioides (12.58%), 제비 Hirundo rustica (7.28%), 까치 Pica pica (5.3%) 및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5.3%) 순이었다. 803 번격자에서확인된조류는총 20종 77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참새 Passer montanus (14.29%) 와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14.29%) 였으며다음으로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12.99%),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9.09%), 제비 Hirundo rustica (9.09%),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6.49%) 및딱새 Phoenicurus auroreus (6.49%) 순이었다 ( 표 6-4.). 조사격자별종다양성, 종풍부도및종균등도는각각 793격자에서는 2.68, 5.78, 0.76이고, 794격자에서는 2.78, 5.76, 0.82이고, 795격자에서는 2.95, 6.56, 0.82이고, 796격자에서는 2.93, 6.87, 0.79 이고, 797격자에서는 2.80, 5.82, 0.85이고, 798격자에서는 2.89, 5.53, 0.89이고, 799격자에서는 2.68, 5.45, 0.84이고, 800격자에서는 2.63, 5.32, 0.77이고, 801격자에서는 3.00, 5.85, 0.87이고, 802격자에서는 2.46, 4.58, 0.78이고 803격자에서는 2.64, 10.75, 0.78였다. 종다양도는 3.00으로 801격자에서가장높게나타났고, 종풍부도는 5.85로 801격자에 국립공원연구원 129
150 6. 조류 서가장높게나타났다. 종균등도는각각 0.76, 0.82, 0.82, 0.79, 0.85, 0.89, 0.84, 0.77, 0.87, 0.78, 0.88으로나타나생태적지수가높게형성되어있었다 ( 표 6-5). 표 6-4. 조사격자별확인된조류 번호 국 명 학 명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왜가리 Ardea cinerea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대백로 Egretta alba alba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3 6 쇠백로 Egretta garzetta 황로 Bubulcus ibis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9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2 10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1 11 원앙 Aix galericulata 12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5 13 쇠오리 Anas crecca 2 14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5 15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8 16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말똥가리 Buteo buteo 1 18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1 19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꿩 Phasianus colchic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4 22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3 23 흰물떼새 Charadriusalexandrinus 2 24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1 25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뻐꾸기 Cuculus canorus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1 32 물총새 Alcedo atthis 33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1 34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후투티 Upupa epops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1 38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청딱다구리 Picus canus 제비 Hirundo rustica 귀제비 Hirundo daurica 1 2 국립공원연구원 130
15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2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백할미새 Motacilla lugens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1 46 힝둥새 Anthus hodgsoni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cervinus 2 48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1 51 때까치 Lanius bucephalus 딱새 Phoenicurus auroreus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2 54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55 호랑지빠귀 Turdus dauma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휘파람새 Cettia diphone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5 61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3 62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arus ater 박새 Parus major 곤줄박이 Parus varius 동고비 Sitta europaea 68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멧새 Emberiza cioides 쑥새 Emberiza rustica 5 71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73 방울새 Carduelis sinica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참새 Passer montanus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꾀꼬리 Oriolus chinensis 어치 Garrulus glandarius 물까치 Cyanopica cyana 까치 Pica pica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82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종 수 개체수 종다양도 (H') 종풍부도 (R') 종균등도 (J') 국립공원연구원 131
152 6. 조류 표 6-5. 계속 : 800 격자 ~803 격자 번호 국 명 학 명 합계 우점도 (%) 1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왜가리 Ardea cinerea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대백로 Egretta alba alba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쇠백로 Egretta garzetta 황로 Bubulcus ibis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원앙 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쇠오리 Anas crecca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말똥가리 Buteo buteo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꿩 Phasianus colchic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뻐꾸기 Cuculus canorus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물총새 Alcedo atthis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후투티 Upupa epops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청딱다구리 Picus canus 제비 Hirundo rustica 국립공원연구원 132
1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1 귀제비 Hirundo daurica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백할미새 Motacilla lugens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힝둥새 Anthus hodgsoni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cervinus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때까치 Lanius bucephalus 딱새 Phoenicurus auroreus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호랑지빠귀 Turdus dauma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휘파람새 Cettia diphone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arus ater 박새 Parus major 곤줄박이 Parus varius 동고비 Sitta europaea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멧새 Emberiza cioides 쑥새 Emberiza rustica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방울새 Carduelis sinica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참새 Passer montanus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꾀꼬리 Oriolus chinensis 어치 Garrulus glandarius 물까치 Cyanopica cyana 까치 Pica pica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종 수 국립공원연구원 133
154 6. 조류 개체수 ,878 종다양도 (H') 종풍부도 (R') 종균등도 (J') 표 6-6. 격자별우점종현황 ( 상위 5% 이상, 단위 : %) 국명학명 참새 Passer mont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제비 Hirundo rustica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박새 Parus major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멧새 Emberiza cioides 물까치 Cyanopica cyana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까치 Pica pica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17.9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16.2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14.3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8.3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6.8 딱새 Phoenicurus auroreus 6.5 황로 Bubulcus ibis 6.0 곤줄박이 Parus varius 5.7 쑥새 Emberiza rustica 5.4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5.3 3) 법정보호종현황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확인된법정보호종은총 7종 19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이중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3종 5개체로 795, 798격자에서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와 796격자에서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및 799격자에서두견 Cuculus poliocephalus이관찰되었다. 문화재청지정 국립공원연구원 134
1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천연기념물은 5종 16개체로 801격자에서였다. 원앙 Aix galericulata과 793, 794, 800, 801, 802격자에서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와 795, 798격자에서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와 799격자에서두견 Cuculus poliocephalus이관찰되었다. 멸종위기종이가장많이확인된격자는 801번격자로 3종 13개체로확인되었다 ( 표 6-6). 표 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확인된법정보호종현황 종명 / 학명 보호등급 관찰격자번호 관찰시기 춘계 하계 추계 최대 원앙 Aix galericulata 천연기념물제 327 호 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천연기념물제323-8호멸종위기Ⅱ급천연기념물제323-2호 793, 794, 800, 801, , 말똥가리 Buteo buteo 멸종위기조류 II 급 797,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멸종위기조류 II 급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멸종위기조류 II 급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천연기념물제 447 호 종수 개체수 ) 주요종현황 말똥가리 Buteo buteo 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인말똥가리는금번조사에서 797, 801 두개의격자에서총 2개체가확인되었으며, 1997년과 2005년고흥군일대에서확인이되었다. 두년도의개체수가확인이되지는않지만 2004년을제외하고 1개체이상확인되는점에미루어볼때먹이사슬의최상위단계가유지되고있어생태적보전이비교적잘이루어지고있다고판단된다. 생태 국립공원연구원 135
156 6. 조류 주로농경지, 산지, 습지, 평지, 초원, 하천, 숲에서서식하고날때날개아랫면의암갈색점이특징적으로보인다. 개체에따라깃털변이가심하지만, 일반적으로아랫면은전체적으로밝은갈색으로보이며, 배와옆구리날개끝은어두운갈색이다. 양쪽날개를약간들어각이완만한 V자형으로날며, 정지비행도한다. 번식기는 3월 ~5월이고대체로단독생활을한다. 나무나전신주같은기둥위에서앉아있거나정지비행, 먹이를잡는모습을자주보인다. 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 황조롱이는금번조사에서 793, 794, 800, 801, 802 다섯개격자에서총 7개체가확인되었으며 2004년과 2005년고흥군일대에서확인이되었다. 생태주로숲, 개활지, 농경지, 도시에서서식하고문화재청지정천연기념물 323-8호로전국의산림, 도시의숲, 빌딩, 아파트에서번식하며맹금류중에서비교적흔한텃새이다. 툰드라지역을제외한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유라시아등넓은범위에서분포한다. 수컷은머리와꼬리는푸른빛을띤회색이며, 등과날개윗면은적갈색바탕에흑갈색의세로줄무늬가있다. 암컷은머리와꼬리가등과같은적갈색이다. 등과날개덮깃에는줄무늬와반점이수컷보다조밀하게있어수컷과암컷의차이가뚜렷하다. 산지에서번식한무리가겨울에는평지로내려와흔히눈에띄나여름에는평지에서보기힘들다.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문화재청지정천연기념물제447호두견이는금번조사에서 799격자에서 1개체가발견 국립공원연구원 136
15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되었다. 개체수가많지는않지만 1997년과 2005년에고흥군일대에서확인이되어이일대에 1개체이상꾸준히찾아오는것으로판단된다. 생태 몸의색은뻐꾸기나벙어리뻐꾸기와유사하나크기가작으며, 배의검은색줄무늬 는굵고간격이넓다. 암컷도같은빛깔 이지만간혹등에붉은갈색바탕에짙 은갈색가로무늬가있는것도있다. 번 식은 탁란으로 휘파람새나 산솔새 등 소형 조류의 둥지에 알을 1개씩 낳고 달아난다. 우수리 만주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와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 말라 카등지에분포한다. 한국에서는전국에 서볼수있으며도시부근에서도봄과 가을의 이동시기에는 울음소리를 들을 수있다. 표 년고흥군일대에서확인된주요종현황 종명 / 학명 말똥가리 Buteo buteo 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보호등급 멸종위기 II 급 천연기념물제 호 천연기념물제 447 호 관찰격자번호 관찰시기 ) 번식둥지현황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 797번격자에서관찰된조류둥지는 2개였으며두개모두컵형태를가지고있었고 1번둥지는관목에 2번둥지는교목에지어져있었다. 두개의둥지모두봄철에발견되었지만둥지가비어있는것으로보아사용되지 국립공원연구원 137
158 6. 조류 않는둥지로판단된다. 표 6-8. 발견된둥지현황 번호 날짜 '20.09" N 34 37'22.93" N 위치 (GPS) '26.57" E '28.29" E 격자번호 형태 환경지면에서의높이 종명 797 컵관목 2.5m 확인불가 797 컵교목 0.7m 붉은머리오목눈이 6) 기상과의관계 기상청자료를이용하여선행도사와본조사의연도별평균기온과고흥군일대의종수와비교한결과 1997년 ±8.61, 2004년 ±8.47, 2005년 ±9.54, 2012년 ±9.21 로 2005년에약 0.5 ~0.6 가떨어졌고 2005년에종수는 121종으로 1997년의 45종, 2004년의 47종 2012년의 82종에비해다른년도에비해많았다. 그림 6-8. 고흥군일대의연도별종수와평균기온의변화 국립공원연구원 138
1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선행연구결과와의비교 선행연구를포함하여현재까지고흥군일대에서관찰된조류는총 147종이였다. 선행연구에서는총 133종이확인되었고, 이번현지조사에서는총 82종이확인되었다. 본조사에서추가로관찰된종은원앙 Aix galericulata,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등의보호종이새롭게확인되었다 ( 표 6-9). 선행문헌조사와본조사와비교할때 1997년과 2004년에비해종수가많아졌지만 2005년에비하였을때는종수가적어졌다. 하지만종과개체수를선행조사와단순히비교하기에는어려움이있다. 조사지역, 조사일수, 조사방법및조사기간등이모두달라조사결과만으로종다양성변화정도를판단하기어렵다. 그러므로같은시기동안지속적인모니터링이필요하다. 표 6-9. 고흥군일대선행조사와본조사결과비교 멸종위기 I 급, : 멸종위기종 II 급, : 천연기념물 번보호국명학명 호등급 1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26 2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가마우지 Phalacrocorax capillatus 왜가리 Ardea cinerea 9 6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16 7 대백로 Egretta alba alba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쇠백로 Egretta garzetta 5 10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rophotes 황로 Bubulcus ibis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1 13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혹부리오리 Tadorna tadorna 원앙 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청머리오리 Anas falcata 알락오리 Anas strepera 쇠오리 Anas crecca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고방오리 Anas acuta 국립공원연구원 139
160 6. 조류 26 넓적부리 Anas clypeata 흰죽지 Aythya ferina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검은머리흰죽지 Aythya marila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바다비오리 Mergus serrator 물수리 Pandion haliaetus 왕새매 Butastur indicus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새매 Accipiter nisus 참매 Accipiter gentilis 말똥가리 Buteo buteo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매 Falco peregrinus 꿩 Phasianus colchicus 흰눈썹뜸부기 Rallus aquaticus 쇠물닭 Gallinula chloropus 물닭 Fulica atra 장다리물떼새 Himantopus himantop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흑꼬리도요 Limosa limosa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학도요 Tringa erythropus 쇠청다리도요 Tringa stagnatillis 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알락도요 Tringa glareola 뒷부리도요 Xenus cinereus 깝작도요 Actitis hypoleucos - 61 노랑발도요 Heteroscelus brevipes 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붉은어깨도요 Calidris tenuirostris 좀도요 Calidris ruficollis 종달도요 Chlidris subminuta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 37 국립공원연구원 140
16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68 갈매기 Larus canus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노랑발갈매기 Larus cachinnans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뻐꾸기 Cuculus canorus 3 75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소쩍새 Otus scops 칼새 Apus pacificus 물총새 Alcedo atthis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후투티 Upupa epops 쇠딱다구리 Dendrocoposkizuki 9 84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청딱다구리 Picuscanus 팔색조 Pitta brachyura 뿔종다리 Galerida cristata 종다리 Alauda arvensis 제비 Hirundo rustica 귀제비 Hirundo daurica 3 92 긴발톱할미새 Motacilla flava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5 94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백할미새 Motacilla lugens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힝둥새 Anthus hodgsoni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cervinus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때까치 Lanius bucephalus 노랑때까치 Lanius cristatus 물까마귀 Cinclus pallasii 딱새 Phoenicurus auroreus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호랑지빠귀 Turdus dauma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국립공원연구원 141
162 6. 조류 110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개똥지빠귀 Turdus naumanni eunomus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naumanni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휘파람새 Cettia diphone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개개비사촌 Cisticola juncidis 솔새사촌 Phylloscopus fuscatus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스윈호오목눈이 Remiz consobrinus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arus ater 박새 Parus major 곤줄박이 Parus varius 동고비 Sitta europaea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멧새 Emberiza cioides 쇠붉은뺨멧새 Emberiza pusilla 쑥새 Emberiza rustica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꼬까참새 Emberiza rutila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방울새 Carduelis sinica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참새 Passer montanus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꾀꼬리 Oriolus chinensis 어치 Garrulus glandarius 물까치 Cyanopica cyana 까치 Pica pica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까마귀 Corvus corone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 74 종수 * 문헌 : 고흥, 팔영산일대의조류,1997, 환경부고흥지역의조류, 2004, 환경부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고흥일대의조류, 2005, 환경부 국립공원연구원 142
16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고흥, 팔영산일대의조류,1997, 환경부고흥지역의조류, 2004, 환경부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고흥일대의조류, 2005, 환경부이우신, 구태회, 박진영.(2000) 야외원색도감한국의새. LG상록재단 기상청홈페이지 ( &x=32&y=3)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argalef, R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2pp. McNaughton, S.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Pielou, E.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국립공원연구원 143
164
165 양서 파충류 7 조사위원 장민호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구교성 김종운
166
16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양서 파충류는발생생물학, 생태학그리고의학과같은다양한생물학적전문분야의연구를수행하는데있어서핵심적인역할을하고있다 (Pough et al., 2004). 특히생태계내에서는주로 1차와 2차소비자로, 피식자나포식자로서영양단계나먹이그물의중간단계를차지하고있다 (Zug, 1993). 양서류와파충류는변온동물로체온조절을위해대사에너지의이용이불필요할뿐만아니라크기가아주작은양서류들은조류나포유류가직접적으로이용할수없는에너지를수확함으로써생태계내에너지흐름에서에너지의전환효율성을증대시켜주기때문에 (Pough et al., 2004), 양서 파충류의다양성이높은생태계는에너지흐름이효율적으로유지될수있다. 따라서지역생태계에서양서 파충류상에대한연구조사는생태계의안전성정도를파악하고예측하는데매우귀중한자료로활용될수있다. 또한국내양서 파충류중많은종이멸종위기종, 먹는것또는포획금지종으로보호받고있으며, 기후변화관련하여척추동물중외부환경에가장민감한종으로보고되고있다. 팔영산 (608m) 은행정구역상전라남도고흥군에위치하였으며, 중앙의성주봉을비롯해유영봉, 칠성봉, 적취봉등 8개의봉우리로이루어져있다. 팔영산일대의양서 파충류상에대한조사는 2차전국자연환경조사 ( 한과송, 1997) 와 3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신과차, 2004), 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5) 에의해서이루어졌다. 나. 조사일정및방법 1) 조사일정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양서 파충류의산란시기및활동시기에맞추어 4회, 13일에걸쳐상세하게조사하였다 ( 표 7-1). 표 7-1. 조사일정조사기간 1차조사 (4박 5일 ) 2차조사 (3박 4일 ) 3차조사 (0박 1일 ) 4차조사 (2박 3일 ) 국립공원연구원 147
168 7. 양서 파충류 2) 조사지역 전라남도고흥군영남면과점암면에위치한팔영산일대 ( 격자 ) 의양서 파 충류상에 대해 선조사법을 사용하여 전지역을 계절별로 고르게 수행하였다 ( 그림 7-1). 그림 7-1. 팔영산내조사경로 ( 조사경로 : 형광색 ) 3) 조사방법가 ) 양서 파충류상 양서류중에서도롱뇽은물이흐르는계곡중유속의흐름이완만한곳을찾아작은바위를들추어유생을확인하거나물이고여있는작은웅덩이에산란한알을수집하여종을확인하였고, 성체는고지대의활엽수림이있는음지쪽에쓰러져있는고목을들추거나바위틈에서확인하였다. 또한개구리는탐방로를따라이동하면서그주변에서식하는개체를확인하거나바위틈혹은논, 수로그리고저습지주변에서포충망을이용하여채집하였다. 논이나웅덩이에서발견된개구리유생중동정에어려움이있는개체는 10% 포르말린에고정하였으며, 실체현미경을통하여유생의치열을확인한후동정하였다. 추가로야간에개구리의울음소리를청취한후종을식별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48
16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양서류의성체개체수산정시에는난괴는 ( 난괴수 2), 유생은 ( 발견지점 2), 사체와울음소리는 1개체로간주하였다. 파충류중에서장지뱀류은묵정밭주변, 도로변과탐방로주변의햇볕이잘드는곳에쌓여있는돌을들추어확인하였고도마뱀은그늘지고낙엽이많이쌓인산림지역내에서낙엽이나크고작은돌을들추어확인하였다. 뱀은저지대의임연부일대, 묵정밭, 탐방로주변에서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뱀의허물이발견된경우표본을제작하고이를동정하였다. 나 ) 군집분석모집단과군집을기술하는중요측정값으로는밀도 (Density), 우점도 (Dominant), 상대밀도 (Relative density), 종다양도 (Biodiversity), 생체량 (Biomass) 등이있으며, 이들측정값으로다른중요한생태측정을하게된다. 조사지역에서채집및확인된종들에대하여매조사때마다개체수를기록하였으며, 최대개체수를이용하여군집분석을실시하였다. (1) 우점도 (Dominance Index : DI) 각조사지점별로출현하는전체총개체수를기록하여우점도를산출하였다 (McNaughton, 1967). DI = ni/n DI : 우점도지수, N : 총개체수, ni : 제 i 번째종의개체수 (2) 종다양도 (Biodiversity Index : D') Margalef(1958) 의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에의하여유도된 Shannon-Weaver function(pielou, 1966) 을사용하여산출하였다. D = -Pi(lnPi) D' : 다양도, S : 전체종수 Pi : i 번째에속하는개체수의비율 (ni/n) 으로계산 (N : 군집내의전체개체수, ni : 각종의개체수 ) 국립공원연구원 149
170 7. 양서 파충류 (3) 균등도 (Evenness Index : E') 균등도는각지수의최대치에대한실제치의비로서표현된다. 각다양도지수는군집내모든종의개체수가동일할때최대가되므로결국균등도지수는군집내종구성의균일한정도를나타내는것으로 Pielou(1975) 의식을사용하여산출하였다. E' = D'/ Ln(S), E' : 균등도, D' : 다양도, S : 전체종수 (4) 종풍부도 (Richness Index : R') 종풍부도지수는총개체수와총종수만을가지고군집의상태를표현하는지수로서, 지수값이높을수록종의구성이풍부하게되므로환경의정도가양호하다는것을전제로하고있다. 본연구에서는대표적인지수인 Margalef(1958) 의지수를사용하여산출하였다. R'= (S-1)/Ln(N), R' : 풍부도, S : 전체종수, N : 총개체수 또한, 양서 파충류의정확한동정을위해강과윤 (1975), Ji et al.(1987), Maeda and Matsui(1999), Zhao and Adler(1993), 송 (2007) 등을활용하였다. 다. 결과및고찰 1) 양서 파충류현황 이번조사에서확인된양서류는총 2목 5과 7종 223개체로, 도롱뇽科 (Family Hynobiidae) 의도롱뇽 (Hynobius leechii), 무당개구리科 (Family Bombinatoridae) 의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두꺼비科 (Family Bufonidae) 의두꺼비 (Bufo gargarizans), 청개구리科 (Family Hylidae) 의청개구리 (Hyla japonica), 개구리科 (Family Ranidae) 의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 rugosa), 북방산개구리 (R. dybowskii), 계곡산개구리 (R. huanrenensis) 가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파충류의경우총 1목 4과 10종 61개체가발견되었는데, 도마뱀科 (Family Scincidae) 의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장지뱀科의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murensis) 과줄장지뱀 (T. wolteri), 뱀科 (Family Colubridae) 의누룩뱀 (Elaphe dione), 능구렁이 (Dinodon rufozunatum),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살모사科 (Family Viperidae) 의살모사 (Gloydius 국립공원연구원 150
17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brevicaudus),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까치살모사 (Gloydius saxatilis) 가관찰되었다 ( 표 7-2). 표 7-2. 팔영산일대에서확인된양서 파충류목록 1. 양서강 (Class Amphibia) 1. 유미목 (Order Caudata) 1. 도롱뇽科 (Family Hynobiidae) 1. 도롱뇽 (Hynobius leechii) 2. 무미목 (Order Salientia) 2. 무당개구리科 (Family Bombinatoridae) 2.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3. 두꺼비科 (Family Bufonidae) 3. 두꺼비 (Bufo gargarizans) 4. 청개구리科 (Family Hylidae) 4. 청개구리 (Hyla japonica) 5. 개구리科 (Family Ranidae) 5.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6. 옴개구리 (R. rugosa) 7. 북방산개구리 (R. dybowskii) 2. 파충강 (Class Reptilia) 3. 유린목 (Order Squamata) 6. 도마뱀科 (Family Scincidae) 8.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7. 장지뱀科 (Family Larcertidae) 9. 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murensis) 10. 줄장지뱀 (T. wolteri) 8. 뱀科 (Family Colubridae) 11. 누룩뱀 (Elaphe dione) 12. 능구렁이 (Dinodon rufozunatum) 13.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14.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9. 살모사科 (Family Viperidae) 국립공원연구원 151
172 7. 양서 파충류 15. 살모사 (Gloydius brevicaudus) 16.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17. 까치살모사 (Gloydius saxatilis) 2) 양서 파충류수직분포현황 이번자연자원조사에서확인된양서 파충류의고도별분포를분석하였다. 단, 4차조사시스마트폰조사시스템기기의오류로결과에반영하지못했다. 도롱뇽의경우평균 153m ( 최소 최대, m), 무당개구리는 198.8m ( m), 두꺼비는 m ( m), 청개구리는 108.3m ( m), 옴개구리는 144.9m ( m), 참개구리는 148.8m ( m), 북방산개구리는 61.5m ( m) 로나타났다. 참개구리는팔영산의저지대지역인 60.0m지점에서부터 369.0m까지분포하여팔영산에서발견된양서류중가장높은지점까지분포하고, 가장넓은범위에서서식하는종으로확인되었다. 대부분의양서류는저지대에서발견되었다. 한편파충류의경우는도마뱀은평균 201.6m ( m), 아무르장지뱀은 238.8m ( m), 줄장지뱀은 72.0m ( m), 누룩뱀은 195.1m ( m), 유혈목이는평균 249.8m ( m), 대륙유혈목이는 136.3m ( m), 능구렁이는 72.5m ( m), 살모사는평균 88.5m ( m), 쇠살모사는 149.7m ( m), 까치살모사는 311.0m ( m) 에서확인되었다누룩뱀은로드킬을통해발견된장소를제외한최저지대인 62.0m 지점부터파충류가발견된지점중가장높은곳인 408.5m 지점까지분포하고, 가장넓은범위에서서식하는종으로확인되었다. 3) 양서 파충류군집분석 이번조사에서양서류의경우총 2목 5과 7종 223개체가발견되었으며, 무당개구리가총 87개체로전체양서류중 39.0% 를차지하여최우점종으로확인되었다. 다음으로청개구리가 60개체로 26.9%, 옴개구리가 32개체로 14.3%. 참개구리가 28개체로 12.6%, 도롱뇽이 7개체로 3.1%, 두꺼비가 5개체로 2.2%, 북방산개구리 4개체로 1.8% 로나타났다. 양서류의군집분석에서종다양도는 1.525, 균등도는 0.784, 풍부도는 1.110로나타났다. 파충류는총 1목 4과 10종 61개체가발견되었으며, 아무르장지뱀이총 13개체로전체파충류중 21.3% 를차지하여최우점종으로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도마뱀이 12개 국립공원연구원 152
17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체로 19.7%, 줄장지뱀이 11개체로 18.0%, 누룩뱀과쇠살모사가 7개체로 11.5%, 유혈목이가 4개체로 6.6%, 대륙유혈목이가 3개체로 4.9%, 능구렁이가 2개체로 3.3%, 까치살모사와살모사가 1개체로 1.6% 로나타났다. 파충류의군집분석에서종다양도는 2.029, 균등도는 0.882, 풍부도는 2.189로나타났다. 팔영산의군집분석에대한이전자료가없기때문에국립공원중규모가작고, 비교적인근에위치한주왕산국립공원의군집분석값과비교하였다. 양서류의경우에는주왕산국립공원에비해전반적으로낮게나타났다. 산간계류성양서류인꼬리치레도롱뇽, 물두꺼비, 계곡산개구리가비교적낮고독립적인산인팔영산에서발견되지않았기때문에수치가낮게나타났다. 한편파충류의경우에는주왕산국립공원에비해높게나타났다. 도마뱀류가다른산에비해많은개체수가발견되었고, 뱀류또한다양한종들이서식하고있었기때문에다른지역에비해높게나타났다 ( 표 7-3). 팔영산은큰산맥과직접적으로연결되어있지않았으며, 국내국립공원들에비해높지않고, 산세가험하지않은편이다. 양서 파충류에속해져있는종들은대부분서식지특성이명확하기때문에깊고험한산악성산과낮고완만한구릉지성산에서식하는종들의구성이차이가난다. 그로인해비교적낮고, 독립적인산인팔영산의군집분석결과가다른국립공원에비해양서류는낮게, 파충류는높게형성된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53
174 7. 양서 파충류 표 7-3. 팔영산의양서 파충류군집분석결과 종명합계우점율 (%) 도롱뇽 (Hynobius leechii)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gargarizans) 청개구리 (Hyla japonica)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 rugosa) 북방산개구리 (R. dybowskii) 합계 223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murensis) 군집분석주왕산국립공원팔영산 (2012) (2011) 다양도 : 다양도 : 균등도 : 균등도 : 풍부도 : 풍부도 : 줄장지뱀 (T. wolteri) 누룩뱀 (Elaphe dione) 능구렁이 (Dinodon rufozonatum)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살모사 (Gloydous brevicaudus)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까치살모사 (Gloydius saxatilis) 합계 61 다양도 : 균등도 : 풍부도 : 다양도 : 균등도 : 풍부도 : 팔영산의양서 파충류중먹는야생동식물보호법상먹는것이금지된종은북방산개구리, 능구렁이, 유혈목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총 5종으로나타났으며, 포획금지종은도롱뇽,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도마뱀, 줄장지뱀, 누룩뱀, 능구렁이, 유혈목이, 대륙유혈목이, 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등총 12종으로확인되었다. 또한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도마뱀 1종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 종별로중복지정된종을정리하면팔영산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중총 12종이법정보호종인것으로나타났다 ( 표 7-4). 국립공원연구원 154
17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7-4.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양서 파충류의법정보호종현황 종명 먹는것금지종 포획금지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도롱뇽 (Hynobius leechii)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gargarizans) 청개구리 (Hyla japonica)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옴개구리 (R. rugosa) 북방산개구리 (R. dybowskii)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아무르장지뱀 (Takydromus amurensis) 줄장지뱀 (T. wolteri) 누룩뱀 (Elaphe dione) 능구렁이 (Dinodon rufozonatum)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살모사 (Gloydous brevicaudus)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까치살모사 (Gloydius saxatilis) 합계 5종 12종 1종 팔영산의양서 파충류상에대한조사는 2차전국자연환경조사 ( 한과송, 1997) 와 3 차전국자연환경조사 ( 신과차, 2004), 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5) 에의해이루어졌다. 선행연구중신뢰도에문제가있는청문조사는제외하고, 직접관찰된종만을비교하였다 ( 표 7-5). 이전조사들과비교한결과, 황소개구리와무자치 (Oocatochus rufodorsata) 를제외한전종을본조사에서확인하였다. 황소개구리와무자치는저수지나농경지에주로서식하는종으로팔영산중심으로수행한본조사와주변농경지까지조사한전국자연환경조사와는방법의차이가있고, 2004년전국자연환경조사의제목은팔영산조사이지만, 실제로조사한지역은주변의운림산이었기때문에차이가있는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155
176 7. 양서 파충류 표 7-5. 본조사와이전조사와의 양서 파충류목록비교 양서류 파충류 전국자연환경조사 팔영산 천관산 종명 본조사 1997년 2004년 도립공원 자연자 원조사 (2005년) 도롱뇽 - - 무당개구리 - 두꺼비 - - 청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 황소개구리 총합 8종 도마뱀 - 아무르장지뱀 - - 줄장지뱀 누룩뱀 - - 능구렁이 - - 유혈목이 대륙유혈목이 - 살모사 -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무자치 총합 11종 국립공원연구원 156
17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신광하, 차현주 고흥, 팔영산일대의양서 파충류, 환경부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한상훈, 송재영 고흥 ( 팔영산 ) 일대의포유류및양서, 파충류, 환경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 양서 파충류 ). pp.27~41. Ji DM, MY Liu, ZJ Liu, YF Zhou, KC Huang, SS Wen and BZ Zou Fauna Liaoningca. Amphibia, Reptilia. Liaoning Sci. Technol. Press, Shenyang. Maeda N and M Matsui Frogs and Toad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Tokyo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McNaughton S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Pielou EC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ur. Nat. 100: Pielou EC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165. Pough FH, JE Cadle, ML Crump, AH Savitzky, KD Wells Herpetology. Pearson Prentice Hall. Zug GR Hepetology :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Zhao EM and K Adler Herpetology of China.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New York. p522. 국립공원연구원 157
178
179 어류 조사위원이승록 국립공원연구원 보조원강승원 김대훈
180
18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나. 재료및방법 국립공원연구원 161
182 8. 어류 국립공원연구원 162
18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다. 결과및고찰 국립공원연구원 163
184 8. 어류 국립공원연구원 164
18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165
186 8. 어류 2) 전체어류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서식이확인된어류의목록은다음과같다.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Linnaeus, 1758) 붕어 Squalidus gracilis majimae (Jordan et Hubbs. 1925) 긴몰개 [ 고유종 ]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et Dabry, 1874) 버들치 Zacco platypus (Temminck et Schlegel, 1846) 피라미 Zacco temminckii (Temminck et Schlegel, 1846) 갈겨니 Family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 1842) 미꾸리 Iksookimia hugowolfeldi Nalbant, 1993 남방종개 [ 고유종 ]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Gymnogobius urotaenia (Hilgendorf, 1879) 꾹저구 Rhinogobius brunneus (Temminck et Schlegel, 1845) 밀어 본조사기간동안총 2목 3과 8속 9종 731개체의어류가확인되었다 ( 표 8-2). 잉어과어류가가장많은비율을차지하는어류상은한반도서해와남해로흐르는하천의공통된현상 ( 전, 1980) 인데, 잉어목잉어과에속하는어류가 5종 (56%) 으로가장많았고, 미꾸리과와망둑어과가각각 2종 (22%) 이었다 ( 그림 8-2). 국립공원연구원 166
18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전체 9종의어류중이차담수어 (secondary freshwater fishes) 인밀어Rhinogobius brunneus와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를제외하고 7종이일차담수어 (primary freshwater fishes) 이었다. 한반도고유종은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와남방종개iksookimia hugowolfeldi 2종이었고, 고유화비율은 22.2% 를차지하여전국하천의평균고유화비율인 28.85%( 이등, 2008) 보다낮았다. 전체조사지점에서가장다양한종이확인된곳은 St. 1(7종 ) 이었다. 이와반대로한종도출현하지않은지점은 St. 4, St. 5, St. 9이었다. 나머지조사지점에서는 1~3종이확인되었다. 그림 8-2. 팔영산어류의과별구성비 표 8-2. 팔영산조사지점별출현종및개체수 하천명강산천우천천금사천조사격자 조사지점 St. St. St. St. St. St. St. St. St. St 합계 상대 풍부도 (%) 항존도 (%) 잉어목 잉어과 붕어 * 긴몰개 버들치 피라미 국립공원연구원 167
188 8. 어류 갈겨니 미꾸리과미꾸리 * 남방종 개 농어목망둑어과꾹저구 밀어 종수 종 개체수 개체 * : 고유종 3) 하천별서식어류 하천별출현종을보면. 강산천조사지점에서는총 8 종이확인되었고우천천과금사 천의조사지점에서는각각 3 종이확인되었다. 가 ) 강산천의어류 총 8종의어류가확인되었다. 이차담수어인꾹저구와밀어를제외하고 6종은일차담수어였다. 잉어목잉어과에속하는어류가 5종으로가장많았고미꾸리과 1종, 농어목망둑어과 2종이었다. 고유종은긴몰개 1종이었다. 우점종은갈겨니이었고아우점종은버들치이었다. 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은없었다. 나 ) 우천천의어류 총 3종의어류가확인되었다. 이차담수어는밀어를제외하고 2종모두일차담수어였다. 잉어목잉어과에속하는어류가 2종이었고망둑어과가 1종이었다. 고유종및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은없었다. 다 ) 금사천의어류 총 3종의어류가확인되었다. 이차담수어는없었고 3종모두일차담수어였다. 잉어목잉어과에속하는어류가 2종이었고고유종은남방종개 1종이었다. 우점종은갈겨니이었고아우점종은버들치이었다. 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은없었다. 국립공원연구원 168
1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 우점종및항존도 본조사를통해확인된상대풍부도에의한우점종에서갈겨니가 349개체로 47.74% 를차지하여우점종이었고,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는 232개체, 31.74% 로아우점종이었다. 그다음으로는긴몰개 (7.39%), 피라미 (6.57%), 밀어 (3.42%), 꾹저구 (1.50%), 순이었고남방종개 (0.96%), 붕어 (0.55%), 미꾸리 (0.14%) 는상대풍부도 1% 이하로희소종이었다. 항존도는어종의널리분포하는정도를나타낸것으로각어종이출현한지점의수를총조사지점수로나눈백분율로표시한다 ( 채, 2009). 본조사에서확인된각어종의항존도를보면버들치가 60.00% 로가장높았고그다음은갈겨니 (50.00%), 긴몰개 (20.00%), 밀어 (20.00%) 순이었다. 나머지출현지점이한곳으로한정된붕어, 피라미, 미꾸리, 남방종개, 꾹저구는각각 10.00% 로낮은항존도를보였다. 팔영산의우점종인갈겨니와아우점종인버들치를비교해보면, 상대풍부도는갈겨니가높았고항존도는버들치가높았다. 버들치의높은항존도는수온이낮은계곡상류지역에서식하는종에서식특성과조사지점이공원구역의상류지역에해당되어나타난결과이다 ( 그림 8-3) 그림 8-3. 팔영산의출현종별상대풍부도와항존도비교 5) 특정종 본조사에서는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및문화재청지정천연기념물이확인되지않았 다. 6) 군집분석 군집구조분석을위해조사지점별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를분석한결과는표 국립공원연구원 169
190 8. 어류 3와같다. 다양도지수는 0인곳을제외하고 0.61~1.28로나타났다. 7종, 207개체가출현한 St. 1이 1.28로가장높았고 2종, 94개체만이출현한 St. 6이 0.61로가장낮았다. 균등도는 St. 7이 0.92로가장높았고, St. 10이 0.59로가장낮았다. 풍부도지수는 0.22~1.13으로균등도및다양도지수와비슷한경향을보였다. 균등도와풍부도는채집된종수가많고개체수가비교적균등하게채집된수역에서높게나타나는경향을보이는데 ( 이등, 2008), 본조사에서는출현종및개체수가적어전체적으로비교적다양한어류가서식한다고볼수있는 2.0이상의다양도지수 ( 김등, 2002) 가나타난조사지점은없었다. 또한, 다양도지수와풍부도지수는수온이낮고유속이빠른곳을선호하는계류성어종이우점하는상류지역보다는어류의다양한서식처가있는중 하류지역이높게나타나는데 ( 최등 2004; 이등 2008) 이러한결과에비추어볼때본조사지역은상류또는중 상류에해당되어비교적낮은지수를보였고주요하천들이독립하천인점과하천발달이미비한결과로담수어류에서식에비교적불리한지역으로판단된다.( 표 8-3, 그림 8-4). 표 8-3. 팔영산조사지점별어류군집분석 조사지점 종수 개체수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 St St St St St St St St St St 전체 9종 국립공원연구원 170
19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7) 공원구역내서식종 그림 8-4. 팔영산의조사지점별어류군집분석 전체조사지점중공원구역내조사지점은총 4 개지점이었다. 전체출현종은 3 종이 었고이차담수어인밀어를제외하고버들치와갈겨니의 2 종은일차담수어였다. 고유 종은없었고우점종은갈겨니이었다. 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및외래종은확인되지 않았다 ( 표 8-4). 표 8-4. 팔영산내서식종목록 조사지점격자번호종수출현종 St 버들치 St St 버들치, 갈겨니, 밀어 St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팔영산의어류상에대한선행연구와본조사를통해확인된어류는총 20종이었다. 차와윤 (1997) 의조사에서는 14종이확인되었고, 최와라 (2003) 의조사에서는 12종이확인되었다. 이중본조사에서추가로발견된종은꾹저구 1종이었다. 이와반대로선행연구에서는확인되었지만본조사에서출현하지않은종은 11종이었는데이러한차이는조사지역의차이에의한것으로생각된다. 또한향후시행될공원자원모니터링에서도선행연구출현종이추가로발견될가능성은희박할것으로판단된다. 우점 국립공원연구원 171
192 8. 어류 종은갈겨니로동일하였고고유종의경우참종개와자가사리의 2 종이서식하는것으 로확인되었다. 외래종은 2003 년조사에서도화면의일부지역에만배스가서식하는 것으로보고되었다. 고유종을대량으로섭식하여어류의다양성을감소시키는배스는 본조사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 표 8-5). 표 8-5. 팔영산및고흥지역의어류상비교 잉어목 국명본조사 잉어과 잉어 붕어 참붕어 * 긴몰개 버들치 피라미 갈겨니 미꾸리과미꾸리 미꾸라지 * 남방종개 점줄종개 * 참종개 메기목 메기과메기 퉁가리과 * 자가사리 농어목 농어과농어검정우럭과 배스가물치과가물치동갈치목 송사리과 송사리 망둑어과 꾹저구 밀어 종수 9종 12종 14종 * : 고유종, : 외래종 국립공원연구원 172
19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김성호, 윤창호, 주현수 섬진강수계의곡성군어류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 김익수 한국동식물도감제37권동물편 ( 담수어류 ). 교육부. 629pp.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영주, 김병직, 김지현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윤창호 한국어류검색도감. 아카데미서적. 747pp. 윤창호 속리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어류편. 국립공원관리공단. pp 이완옥, 김경환, 김종화, 홍관의 만경강의담수어류및외래어종의분포. 한국어류학회지. 20: 전상린 한국산담수어의분포에관하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차진열, 윤희남 고흥, 팔영산일대의담수어류.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채병수 월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어류편. 국립공원관리공단. pp 최윤, 라혜강 고흥, 천등산일대의담수어류.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可兒藤吉 溪流昆蟲の生態. 可兒藤吉全集, 全一卷, 思索社. Ik-soo Kim, Min-ki Oh, Kanumi Hosoya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cyprinidae) From Korea. Korea J. Ichthyol. 17(1): 1 7.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Pielou, E. C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Shannon, C. F. and W. Weaver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국립공원연구원 173
194
195 육상곤충 ( 주간 ) 9 조사위원 권진만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김창준 이수빈
196
19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팔영산은 2011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신규편입지로면적은총 km2이며, 행정구역상으로고흥군에위치하고있다. 팔영산자연자원조사는 2004년실시한팔영산 천관산자연자원조사이후팔영산을대상으로곤충상을조사한결과는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본연구를통해과거의연구를종합하여목록을작성하고현지조사를통하여다양한곤충상이확인될것으로생각된다. 또한, 문헌상의목록과현지조사결과의변화를비교하여팔영산의곤충다양성을확인하고, 보전대책및관리에대한기초정보를제공하고자한다. 나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 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약 10개월동안진행되었으며, 10월까지 5 회에걸쳐실시하였고, 상세조사지점및일정은표 9-1과같다. 표 9-1. 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 조사지역 ~ 팔영산자연휴양림, 능가사, 금사리, 탑재일대 ~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리, 두류봉일대 ~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리, 두류봉일대 ~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리, 두류봉일대 ~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리, 두류봉일대 국립공원연구원 177
198 9. 육상곤충 ( 주간 ) 그림 9-1. 팔영산조사지전경 (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일제상부, 능가사일대 ) 2) 조사방법가 ) 문헌조사 문헌조사는국내에출판된학술지등을우선적으로검색하였으며, 팔영산곤충상에관한연구를진행하는기관의보고서를검색하였다. 결과, 팔영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를통해확인된목록을정리하여수록하였다. 나 ) 현지조사조사방법은직접조사법과트랩을이용한조사법을사용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직접조사법은포충망을이용한쓸어잡기및채어잡기, 미소서식처검색법, 사진촬영등을중심으로해당지역의종의유무를확인하고자하였다. 트랩을이용한조사법은비행성곤충의조사를위한말레이즈트랩을설치하였다. 본조사는지점간차이또는개체의현존량을분석하기위해시행하지않았으며, 팔영산곤충의개괄적인현황을살펴보기위해시행하고자하였다. 채집된시료는실험실내로이동하여분류및동정을시행하였다. 분류군의동정을위해서는문교부도감곤충시리즈, 한국경제곤충시리즈, 한국곤충생태도감시리즈등과세부분류군의논문들을활용하였으며, 이들을통해동정이힘든경우는국내의해당분류군전문가에게동정을의뢰하여목록을작성하였다. 목록의정렬기준은한국곤충총목록 (2010) 을기준을일부수정하여정리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78
19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9-2 말레이즈트랩설치지점및조사경로 다. 결과및고찰 1) 곤충상가 ) 전체곤충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전체곤충상은총 15목 104과 363종으로확인되었다. 현지조사를통하여확보된분류군은 13목 89과 306종이었으며, 문헌조사를통해이지역에서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난분류군은 12목 46과 112종으로확인되었다. 야간곤충에서조사된 372종의나방류와통합한결과총 15목 126과 735종으로정리되었다. 딱정벌레목이 23과 87종 (23.5%) 으로가장많은종이확인되었고, 벌목이 17과 80종 (21.6%) 으로많은수의종이확인되었다. 다른지역에비해벌목의비중이매우높게나타난결과이다. 그러나이는비행성곤충을중점적으로조사할수있는말레이즈트랩을사용한조사방법과참여조사자에의한결과가큰영향을끼친것으로사료된다. 이외에는일반적으로많은종을포함하고있는나비목, 파리목, 노린재목등이우점적을나타나는결과를보였다 ( 표 9-2). 국립공원연구원 179
200 9. 육상곤충 ( 주간 ) 표 9-3 전체곤충상분류군별출현현황 문헌조사 현지조사 전체 과수 종수 과수 종수 과수 종수 돌좀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목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메뚜기목 대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풀잠자리목 밑들이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그림 9-3 팔영산곤충조사결과 국립공원연구원 180
20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나 ) 지역별조사현지조사결과를금사일제일대, 능가사일대, 두류봉일대, 자연휴양림일대의 4개지역으로구분하여조사결과를정리하였다. 조사결과, 자연휴양림일대에서전체확인종의 70% 가넘는 73과 220종으로가장많은종이확인되었고, 금사일제일대 35과 75 종, 능가사일대 31과 55종, 두류봉일대 35과 60종으로유사한종수를보였다. 표 9-4 조사지역별곤충상결과 금사일제상부 능가사 두류봉 자연휴양림일대 전체 과수 종수 과수 종수 과수 종수 과수 종수 과수 종수 돌좀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목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메뚜기목 대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국립공원연구원 181
202 9. 육상곤충 ( 주간 ) 그림 9-4 조사지역별출현분류군별현황 그림 9-5 지역별출현분류군비율 국립공원연구원 182
20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금사일제일대는나비목 (33.3%) 이능가사일대는벌목 (27.3%) 이, 자연휴양림과두류봉일대는딱정벌레목 (25.0%, 31.7%) 이, 우점분류군으로나타났다 ( 그림 9-5). 나비목의분류군들은초지와가두리의형성이종풍부도에큰영향을끼치는데팔영산에서는금사일제일대와자연휴양림일대가이조건을충족하고있었다. 자연휴양림일대는접근성이좋고비행성곤충을조사할수있는말레이즈트랩이설치되어높은종수를나타낸것으로여겨진다. 그러나, 출현한종들이깊은숲등을선호하는종들보다산림가두리를선호하는종들이다수포함되어있어잘보존된지역에서나타나는높은종다양성과는구분되어인식되어야할것으로여겨진다. 다 ) 격자별조사팔영산일대는격자의수가많지않고조사지점이지역별과격자별구성이크게상이하지않게나타났다. 다만, 자연휴양림일대가정상지역과매표소일대로구분되어나타났다. 조사결과, 798번격자 ( 매표소일대 ) 가 65과 190종으로가장높은종수를보였고, 정상부와휴양림관리사무소일대를포함한 797번격자가 47과 93종으로많은종수가조사되었다. 797번격자는말레이즈트랩이설치된격자로높은종수가기대되는곳이었으나 798번격자는마을과도로가인접해있어다양성이낮을것으로예상했으나가장높은종수를보였다. 이는앞에서언급한가두리효과의초기현상으로보여지는데, 산림의가두리지역은일부의훼손과보존이공존하는지역으로일시적인서식처의다양성을보이지만더욱훼손이진행되면급격한단순화현상이발생할수있으므로다른지역과비교하여꾸준한모니터링을실시하면서관리대책을마련하여야할것으로보인다. 국립공원연구원 183
204 9. 육상곤충 ( 주간 ) 표 9-5 조사격자별곤충상결과 전체 과수종수과수종수과수종수과수종수과수종수 돌좀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목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메뚜기목 대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국립공원연구원 184
20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법정보호종및특이곤충 본조사기간동안확인된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및특이종은확인되지않았다. 환경부고시고유종이 7종, 국외반출시승인대상종이 23종이확인되었다. 문헌기록을포함한결과에서는고유종이 11종, 국외반출시승인대상종이 27종이확인되었다. 확인된목록은다음표 9-5와같이나타났다. 표 9-6 고유종및국외반출시승인대상종 항목출현종 (* : 현지조사시확인되지않은종 ) 고유종 (11 종 ) 강하루살이 *, 여치 *, 팔공산밑들이메뚜기, 벼메뚜기 *, 고려애장님노린재, 등점목가는병대벌레, 눈큰산병대벌레, 고려참뿔자루맵시벌, 제주왕개미, 참밑들이 *, Homoneura haejuana 국외반출시승인대상종 (27종) 강하루살이 *, 여치 *, 땅강아지, 방아깨비, 팔공산밑들이메뚜기, 콩중이, 풀무치 *, 벼메뚜기 *, 풀색노린재 *, 말매미, 대마도줄풍뎅이, 사슴풍뎅이, 긴다리호랑꽃무지, 등점목가는병대벌레, 눈큰산병대벌레, 고려나무쑤시기, 홀쭉사과하늘소 *, 국화하늘소, 톱하늘소, 고려참뿔자루맵시벌, 미카도애꽃벌, 재래꿀벌 *, 호박벌, 꼬리명주나비, 큰표범나비, 시골처녀나비, 홍점알락나비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본연구이전팔영산에대한곤충상조사는매우빈약하였으며, 주간곤충에대한조사는 2004년전라남도에서시행된자연자원조사가유일하게확인되어본결과에수록하였다. 당시조사에서시행된현장조사결과총 13목 57과 125종을제시되었으며, 본결과에는나방류를제외한 46과 112종을국립공원곤충총목록 ( 월기준 ) 의기준으로국명및학명을정리하여수록하였다. 문헌상의매미목은노린재목으로, 나비목의뿔나비과, 뱀눈나비과는네발나비과로통합하여정리하였으며, 꿀벌과의어리꿀벌은어리꿀벌과로독립시켜정리하였다. 본자연자원조사를통해새롭게추가된종은 251종이었으며, 현지조사를통해확인되지않은문헌기록종은 57종으로나타났다. 파리목은기존에기록이된종이없었으 국립공원연구원 185
206 9. 육상곤충 ( 주간 ) 나본조사에서 37종이확인되어가장높은비율로증가하였으며, 벌목이 68종, 딱정벌레목이 67종으로가장많은수의종이추가되었다 ( 그림 9-7). 이로인해, 팔영산지역의주간곤충은총 15목 104과 363종으로정리되었다 ( 표 9-6). 과거문헌과의결과에서많은차이를보이고있으나이를경의변화와연관지어관계를언급하기는힘들며, 조사자와조사환경의차이가결과에다소영향을끼친것으로여겨진다. 표 9-7 전체곤충상분류군별출현현황 문헌조사현지조사문헌문헌- 현지 현지조사 전체 과수종수과수종수미확인 중종 복 추종 가 과수 종수 돌좀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목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메뚜기목 대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풀잠자리목 밑들이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국립공원연구원 186
20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9-6 문헌조사와현지조사결과현황 그림 9-7 분류군별문헌과현지조사결과비교 국립공원연구원 187
208 9. 육상곤충 ( 주간 ) 참고문헌 권용정, 서상재, 금정애, 한국경제곤충 18. 노린재目 (Hemiptera). 농업과학기술원. 512pp. 권용정, 허은엽, 한국경제곤충 19. 매미目 (Hemiptera). 농업과학기술원. 460pp. 김진일, 한국경제곤충 4. 풍뎅이上科 ( 上 )-딱정벌레目(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49pp. 김진일, 한국경제곤충 10. 딱정벌레目 ( 풍데이上科 ( 하 )). 농업과학기술원. 197pp. 박규택, 한국경제곤충 1. 불나방과, 독나방과, 솔나방과, 박각시과-나비목 (Lepid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76pp. 박종균, 백종철, 한국경제곤충 12. 딱정벌레과,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69pp. 우건석, 신현경, 한국경제곤충 5. 관총채벌레과총채벌레목 (Thysan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06pp. 이종욱, 류성만, 전영태, 정종철, 한국경제곤충 2. 잎벌과-벌목 (Hymenoptera). 농업과학기술원. 222pp. 이종은, 안승락, 잎벌레과, 딱정벌레目 (Coleoptera), 한국경제곤충 14. 농업과학기술원. 229pp. 정헌천, 지리산나비 8종의추가목록. 한국나비학회지. 9: 조영복, 안기정, 한국경제곤충 11.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67pp. 차진열, 구덕서, 정선우, 이종욱, 한국경제곤충 17. 맵시벌과, 벌목 (Hymen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78pp.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서울, 1994: 744pp. 한호연, 최득수, 한국경제곤충 15. 꽃등에과, 파리목 (Diptera). 농업과학기술원. 223pp. 홍기정, 박상욱, 우건석, 한국경제곤충 13. 바구미상과 ( 소바구미과, 주둥이거위벌레과, 거위벌레과, 침봉바구미과, 창주둥이바구미과, 왕바구미과 ), 딱정벌레목 (Coleoptera). 농업과학기술원. 180pp. 국립공원연구원 188
209 육상곤충 ( 야간 ) 10 조사위원 조영호 ( 대전대학교 ) 보조원 김영진 최민주
210
2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 (608m) 은 1998년 7월 30일팔영산도립공원으로지정된이후 2011년 1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로승격되었다. 고흥반도의남단에위치하며소백산맥의한지맥으로남쪽의천등산 (555m), 마복산 (538m), 운암산 (486m) 등과함께부체모양을형성하고있다. 중앙의성주봉을비롯해유영봉, 칠성봉, 적취봉등 8개의봉우리로이루어져있으며, 산세가험하고기암괴석이많다. 또한북쪽의팔영제와성기체및강산천, 동쪽의팔영천, 남쪽의금사천의발원지이며정상부가암벽으로이루어진고흥군내의명산이다. 지리적으로북위 , 동경 에위치하고있으며행정구역상으로는전라남도고흥군점암면과영남면의경계를이루고있으며다도해에인접해있다. 식물구계로는동아시아구계의한일난대아구와한국온대아구의남부에속하는지역으로난온대낙엽활엽수림대와상록활엽수림대로형성되어있다 ( 이등, 1997). 생물다양성은생명체의다양성과생명체가살아가는서식처의다양성을총칭하는것으로무척추동물을포함하여지구상에존재하는생물종수는약 3,000만종으로추산되고있지만그중약 170여만종이실제로기재되어있다. 이중곤충류는절지동물문곤충강에속하며현재까지전세계생물종의약 80% 를차지하는매우큰분류군이다. 곤충은해양생태계를제외한전지구생태계에서 1 2차소비자와부식자로서먹이그물의핵심적인위치를점하고있다. 즉, 종수와개체수로서지구생태계를부양하는중심에있다고볼수있다. 특히야행성곤충류의대부분을차지하는나방류는현재잘알려져있는나비류에비해종수가수십배에달하며색채의변화는물론생태나생활사도다양하고많은농작물이나산림의해충이포함되어있어서 ( 신, 2001) 유아등 (Light trap) 을이용하여채집을했을때특정생태계의상태를나타내는효과적인지표생물로이용될수있다 (Landau et al., 1999). 그러나나방류를비롯한다양한곤충이생물다양성의최고점에위치해있지만현실적으로연구인력의부족함때문에국내곤충종다양성을이해하는데많은어려움이있다. 현실적인어려움에도불구하고가장높은종다양성을갖는곤충류를조사한다는것은먹이그물의중심에있는곤충류에대한이해와나아가생태계전반을이해하여자연과인간이공존할수있는대안을모색하는데매우중요한시도라고할수있다. 본자연자원조사는 2012 년도팔영산의자연자원보전대책수립의일환으로수행되는조사로써팔영산에서서식하는나방류의다양성및변화상에대한자료를확보하여지속적인공원자원의보전대책마련및공원관리의전문화를제고하는데그목적이있다. 국립공원연구원 191
212 10. 육상곤충(야간) 나. 조사 방법 1) 조사지 선정 그림 팔영산지구 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_나방류) 조사지점 표 팔영산지구 자연자원조사 (야간곤충_나방류) 조사지점 Site 주소 좌표 Site 1 전라남도 고흥군 팔영산자연휴양림 / Site 2 전라북도 고흥군 영남면 금사일제 / 국립공원연구원 192
2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시기 조사는나방류의종다양성이가장높은 4-9월까지총 4회에걸쳐조사를수행하였다 ( 표 10-2). 표 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 ( 야간곤충 _ 나방류 ) 조사시기 격자조사일조사지점 1차 98, 99, 114, 차 90, 91, 106, 차 120, 121, 122, 차 55, 56, 71, 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금사일제일대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금사일제일대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금사일제일대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금사일제일대 3) 조사및분석방법가 ) 조사방법 야간곤충류는빛의파장에의해유인되는특성이있기때문에일반적으로 3가지형태의트랩을이용하여조사를수행하였다. 파장이짧아푸른빛을내는유아등 (Black light trap) 과광량이크며먼거리까지빛이도달하는수은등 (Mecury lamp), 조사지점의지형적인제한요인과강우등의영향을덜받는버켓 ( 등은 Black light) 을이용하여야행성곤충류의조사를수행하였다. 각각의 Trap은스크린법과사각망법등을이용하여조사를수행하였다 ( 그림 2). 조사시간은각각의유인등을이용하여일몰시부터자정까지조사하였으며주변의식당가나가로등등의영향을최대한덜받는곳에 Trap을설치하였다. 많은종이유인되는경우에는새벽 1-3시까지조사를수행하였으며, 조사지점주변에설치되어있는가로등과인근집단시설 ( 식당, 사무실 ) 에서발생되는인공불빛에모여든나방류도채집을하였다. 유인되는곤충류는분류군별로채집하여표본으로제작한후분류및동정하였으며, 채집물은대전대학교생명과학과동물분류생태학실에보관하였다. 곤충종목록은한국곤충명집 (1994) 과한국곤충총목록 (2010) 을기준으로작성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193
214 10. 육상곤충 ( 야간 ) 수은등 _ 사각망법 버켓등 유아등 _ 스크린법 그림 불빛을이용한야행성곤충조사방법 다. 결과및고찰 1. 야행성곤충 ( 나방류 ) 가 ) 군집구조 2012년팔영산지구의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류 ( 나방류 ) 를조사한결과총 22과 372종으로나타났다 ( 표 10-3). 현재까지국내에기록된나방류는총 67과 3416종이보고되었다 ( 백등, 20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나방류과 (Families) 수는 22 국립공원연구원 194
2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과로전체 32.83%, 종수는 372종으로전체 10.88% 로나타났다. 팔영산은그간곤충상조사가거의전무해 16과 236종이추가된것으로나타났다. 특히밤나방과, 명나방과, 자나방과에서 155종이추가되었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야간곤충류 ( 나방류 ) 출현현황 Families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일제 Total 추가종 굴벌레나방과 Cossidae 잎말이나방과 Tortricidae 주머니나방과 Psychidae 명나방과 Pyralidae 창나방과 Thyrididae 알락나방과 Zygaenidae 쐐기나방과 Limacodidae 갈고리나방과 Drepanidae 왕갈고리나방과 Cyclidiidae 뾰족날개나방과 Thyatiridae 자나방과 Geometridae 솔나방과 Lasiocampidae 누에나방과 Bombycidae 왕물결나방과 Brahmaeidae 1-1 산누에나방과 Saturniidae 박각시과 Sphingidae 재주나방과 Notodontidae 독나방과 Lymantriidae 불나방과 Arctiidae 밤나방과 Noctuidae 얼룩나방과 Agaristidae Total 현재한국곤충목록 (2010) 에의하면국내에는총 67 과의나방류가기록되어있다. 국립공원연구원 195
216 10. 육상곤충 ( 야간 ) 이중잎말이나방과 407종, 명나방과 362종, 자나방과 638종, 재주나방과 107종, 밤나방과 992종으로상기한 5과가전체나방류의약 73% 를차지하고있는주요분류군이라할수있다. 팔영산에서조사된주요과별나방류는잎말이나방과 18종 4.42%, 명나방과 74종 20.44%, 자나방과 74종 11.59%, 재주나방과 22종 20.56%, 밤나방과 82종 8.26% 로조사되었다 ( 그림 10-3). 그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나방류주요분류군별출현현황 나 ) 야간곤충류 ( 나방류 ) 조사지점별출현현황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류 ( 나방류 ) 의조사지점별출현현황은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에서 22과 319종 684개체, 금사일제일대에서 21과 275종 560개체가조사되었다 ( 표 10-4). 팔영산은한반도의남부지방다도해해상과인접해있는지역으로남방계생물종의서식을확인할수있는국립공원으로대부분의조사지점이침엽수림과일부활엽수와잡목림이혼재되어있으나산의규모가크지않으며정상부를비롯한일부지역은암반으로되어있고해양성기후의영향으로종다양성은다른국립공원에비해높은편은아니다. 국립공원연구원 196
2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팔영산지구야간곤충류 ( 나방류 ) 조사지점별출현현황 Site Families Species Individuals 팔영산자연휴양림 금사일제 Total 다 ) 주요종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류 ( 나방류 ) 중주요종은큰갈고리밤나방, 노랑띠알락가지나방으로나타났다. 큰갈고리밤나방은남한전역에분포하며성충은 7-9월에나타난다. 금번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에서 40여개체가확인되었다. 주로포도, 감, 귤, 배, 복숭아, 사과등의과실에과즙을흡수하여피해를주며, 기주식물은눈괴불주머니이다. 노랑띠알락가지나방은한반도전역에분포하며국외에는일본, 중국, 대만, 인도등에분포한다. 성충은 5-8월에걸쳐나타나며미국흰불나방과함께낮과밤에쉽게확인이된다. 기주식물은낙엽송, 잣나무, 참나무류이며날개무늬의개체변이가크다. 본종은특히참나무류의주요한해충으로산림에서돌발적으로대발생하기때문에지속적인관찰이필요하다. 상기두종외에환경부가지정한기후변화생물지표 100종에포함된제주등줄박각시가팔영산지구자연휴양림에서조사되었다. 큰갈고리밤나방 노랑띠알락가지나방 그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나방류의주요종 국립공원연구원 197
218 10. 육상곤충 ( 야간 ) 라 ) 법정보호종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야간곤충류 ( 나방류 ) 에서조사된법정보호종은고유종이노랑띠들명나방을포함하여 2종, 특정종은솔애기잎말이나방을포함하여 18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검은보라들명나방을포함하여 14종으로나타났다 ( 표 10-5, 그림 10-5). 표 팔영산야간곤충류 ( 나방류 ) 법정보호종 고유종특정종국외반출승인대상종 노랑띠들명나방, 깜둥이창나방솔애기잎말이나방, 감나무잎말이나방, 네점노랑물명나방, 앞붉은명나방, 흰날개큰집명나방, 밤색갈고리나방, 왕갈고리나방, 무늬뾰족날개나방, 솔나방, 멧누에나방, 왕물결나방, 긴꼬리산누에나방, 참나무산누에나방, 탈박각시, 대왕박각시, 매미나방, 점박이불나방무궁화밤나방, 검은보라들명나방, 네점노랑물명나방, 노랑무늬들명나방, 노랑띠들명나방, 흰날개큰집명나방, 깜둥이창나방, 네눈은빛애기자나방, 물결멧누에나방, 긴꼬리산누에나방,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참나무산누에나방, 대왕박각시, 갈고리박각시, 매미나방 멧누에나방 _ 특정종 점박이불나방 _ 특정종 무늬뾰족날개나방 _ 특정종 흰날개큰집명나방 _ 특정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그림 팔영산국립공원나방류의주요법정보호종 국립공원연구원 198
2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그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나방류변화상 2012년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야행성곤충류 ( 나방류 ) 를조사한결과총 22과 372종이조사되었다. 본조사지역에대한과거문헌에는 2005년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팔영산 /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보고서 13종, 환경부전국자연환경조사내나로지역 132종이보고되었다. 금번조사에는 372종이조사되었고 236종이추가되어현재까지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에서조사된나방류는총 373종으로나타났다 ( 그림 10-6). 국립공원연구원 199
220 10. 육상곤충 ( 야간 ) 참고문헌 김창환, 남상호, 이승모, 한국동식물도감동물편 ( 곤충류Ⅷ) 26권. 문교부. 박규택, 불나방과, 독나방과, 솔나방과, 박각시과 ( 나비목 ). 한국경제곤충지 1호, 농업과학기술원. 배양섭, 명나방상과 ( 나비목 ). 한국경제곤충지 16호, 농업과학기술원. 백문기, 한국밤곤충도감. 자연과생태. 신유항, 원색한국나방도감. 도서출판아카데미서적. 신유항, 박규택, 남상호, 한국동식물도감동물편 ( 곤충류Ⅸ) 27권. 문교부. 이호준, 김종홍, 배병호, 박문수, 전영문, 강재군, 신정식, 팔영산삼림식생과토양환경. 건국대학교이학논집 22: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팔영산 /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한국곤충연구소, 한국곤충생태도감 (Ⅰ-Ⅴ). 고려대학교한국곤충연구소.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Byun, B. K., Y. S. Bae, and K. T. Park, Illustrated catalogue of Tortricidae in Korea (Lepidopter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center for insect systematics Korea. Inoue H., S. Sugi, H. Kuroko, S. Moriuti, and A. Kawabe, Moth of Japan. Volume 1. Kodansha, Tokyo, Japan. Kononenko, V. S., S. B. Ahn, and L. Ronkay, Illustrated catalogue of Noctuidae in Korea (Lepidopter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center for insect systematics Korea. 국립공원연구원 200
221 진정거미류 11 조사위원 김병우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최두영 김기춘
222
2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본연구과제는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의자연자원조사라는목적으로자연생태계를보전하기위해경관자원, 자연자원, 문화자원, 역사자원및그속에있는야생생물을포함하여자연현황자료확보, 공원관리의기초자료획득으로국립공원의효율적이고체계적인관리체계를구축하는데그의의가있다. 현재남한에는설악산과한라산등을포함한 20개의국립공원이지정되어있다. 이중에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 2010년도국립공원타당성에의해신규로편입된지역으로써소백산맥이서쪽으로, 동남으로고흥반도를향하며점암면성기리, 강산리, 영남면양사리등에걸쳐있다. 특히팔봉 ( 유영, 성주, 생황, 사자, 오로, 두류, 칠성, 적취 ) 의그림자가멀리한양에까지드리워졌다고하여팔영산이라불렀다고한다. 진정거미류 (true spider, Araneae-거미목 ) 은국내에서아직까지연구가미비한분야이지만완전한포식자로써생태적인이들의지위및중요성은많은여러연구에서입증되고있다. 하지만한국의거미상은몇몇학자들 ( 백갑용, 남궁준, 김주필, 서보근등 ) 에의해겨우그연맥을이어오고있고약 740여종이보고되어있다 ( 백과김, 1956; 백, 1967, 1978, 백과김, 1985, 1994; 2000, 2003; 남궁등, 2000; 김등, 2005, 남궁등, 2010; 김과김, 2010). 또한특정지역이나산등을중심으로거미상에대한연구조사가속리산 (Mori, 1930; 남궁, 1972; 김과유, 1986), 지리산 ( 백, 1942; 백과우, 1970; 남궁등 1972), 제주도 ( 백, 1954, 김과이, 1985; 김등, 1987), 울릉도 ( 백, 1954; 남궁등, 1972; 남궁, 1985, 백과강, 1988; 백, 1995), 소백산 ( 백, 196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충주 (Yaginuma, 1963; 남궁, 1964), 설악산 ( 문교부, 1967; 남궁과유, 1986; 남궁, 1988; 국립중앙박물관, 2004), 거제도 ( 백, 1970; 김, 1998), 광주 ( 남궁등, 1971), 덕유산 ( 남궁, 1972), 춘천 ( 남궁과백, 1972), 감악산 ( 남궁과윤, 1975), 불영사계곡 ( 백, 1976), 치악산 ( 남궁과윤, 1976;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b), 보경사 ( 백, 1979), 조령 ( 남궁, 1980), 흑산도와홍도 ( 백, 1980, 1981; 김등, 2008), 운악산 ( 남궁과윤, 1981), 거문도 ( 조, 1981), 울진 ( 남궁과백, 1982), 춘천과청주 ( 임, 1982), 남해 ( 서와손, 1984), 덕적군도, 대부도및영종도 ( 남궁등, 1985), 운길산 ( 김, 1985), 계룡산 ( 김등, 1988), 대암산 ( 남궁, 1988), 도솔산 ( 남궁, 1988), 강원도민통선 ( 남궁등, 1988), 한라산 ( 국립중앙과학관, 2003), 진도 ( 김, 1995), 백령도 ( 김, 1996), 고금도 ( 김, 1997), 철원 ( 김, 1999), 정족산 ( 김과김, 2000), 덕적도, 대부도그리고영종도 ( 남궁등, 1985), 설악산 (2004), 제주시험림 ( 국립산림과학원, 2005), 오대산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조등, 2005), 임자도 ( 김등, 2006), 비금도와도초도 ( 박등, 2007), 가야산 ( 국립공원연구원, 2007a), 월악산 ( 국립공원연구원, 2007b), 가지산 ( 국립산림과학원, 2008), 경주 ( 국립공원연구원, 2008a), 주왕 국립공원연구원 203
224 11. 진정거미류 산 ( 국립공원연구원, 2008b), 다도해해상 ( 국립공원연구원, 2009a), 변산반도 ( 국립공원연구원, 2009b), 월출산 ( 국립공원연구원, 2009c), 북한산 ( 국립공원연구원, 2010a), 설악산 ( 국립공원연구원, 2010b), 속리산 ( 국립공원연구원, 2011a) 지리산 ( 국립공원연구원, 2011b), 등에서보고한바있다. 하지만대부분목록뿐이며비교분석이나체계적인방법에의한조사가매우미흡하다. 뿐만아니라분류학적근거자료나동정에서의심스런분류군이많으며이들에대한비교연구나재정리가시급하다. 본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는이런점들을보안하여보다세부적인계획에의해체계적으로시정하였다. 또한차후이런유사과제에대한기초자료뿐아니라한국진정거미류의연구조사방법및분석에기틀이되었으면한다. 나. 재료및방법 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의 9개격자 (2km 2km ) 중에서접근과조사가용이한지역 ( 능가사지구, 탑재지구, 팔영산휴양림, 편백나무지대등 ) 을중심으로함정트랩 (Pitfall trap) 을설치하였고그외지역에서는정성조사를수행했다. 진정거미류의암수생식기가확연한성체를중심으로종동정을실시하였으며유주의경우확실한개체만분류동정하였고동정후에 75% 알콜올에고정시켜보관하였다. 분류는 Platnick(2012) 의체계를기준으로정리하였다. 그림 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의격자지도및함정트랩설치지 국립공원연구원 204
2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년도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조사권역조사권역능가사, 깃대봉능가사지구, 탑재지구, 팔영산휴양림, 편백나무지대 주요조사방법은흡충관 ( 그림 11-2), 함정트랩 ( 그림 11-3), 토양지표층채집 ( 그림 11-4), ph 측정 ( 그림 11-5), 덮개를이용한함정트랩 ( 그림 11-6), 직접눈으로채집 ( 그림 11-7), 썩은나무조사 ( 그림 11-8), 털어잡기 ( 그림 11-9), 쓸어잡기 ( 그림 11-10) 그리고쓸어잡기이후에흡충관을이용한채집 ( 그림 11-11) 등을병행하면서조사하였다. 그림 흡충관채집 그림 부동액, GPS, 트랩 그림 토양지표층거미류채집 그림 토양지표층 ph 측정 국립공원연구원 205
226 11. 진정거미류 그림 덮개및함정트랩그림 직접눈으로보고채집 그림 피트폴트랩설치지점그림 털어잡기 (beating) 그림 쓸어잡기 (Sweeping) 그림 쓸어잡기후흡충관채집 다. 결과및고찰 조사연구한결과 23과 52속 69종이채집되었다. 뿐만아니라 Theridiidae( 꼬마거미과 ) 의 1 신종이발견되었고 Gnaphosidae( 수리거미과 ) 의 Cladothela kishida, 1928( 갈 국립공원연구원 206
22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대꼭지거미속 ) 의 1신종인 Cladothela parua sp,( 가칭, 작은꼭지갈대거미 ) 를발견하였다. 계절적으로 4월부터 6월까지채집조사한결과때문에정주성거미류 ( 왕거미과, 접시거미과, 갈거미과 ) 보다는배회성거미류 ( 깡총거미과, 늑대거미과, 게거미과, 닷거미과, 농발거미과 ) 등이많이채집되었다. 라. 선행연구결과와의비교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관한거미류에관한조사는지리적인위치때문인지조사보고서는전무한상태라비교분석하기가어렵다. 마. 결론 Family Sparassidae Berkau, 1872 거북이등거미과 Genus sinopoda Jager, 1999 거북이등거미속 Sinopoda stellata (Schenkel 1963) 별농발거미 =Heteropoda stellata Family Salticidae Blackwall, 1841 깡충거미과 Genus Harmochirus Simon, 1885 왕팔이깡충거미속 Harmochirus insulanus (Kishida 1914) 왕발깡충거미 ( 산표깡충거미 ) =H.brachiatus (nec Thorell 1877) Harmochirus pullus (Bosenber get Strand 1906) 반고리깡충거미 Genus Neon Simon, 1876 네온깡충거미속 Neon rostratus Seo 1996 부리네온깡충거미 Genus Helicius Zabka, 1981 골풀무깡충거미속 Helicius yaginumai Bohdanowiczet Proszynski 1987 골풀무깡충거미 Genus Telamonia Thorell, 1887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207
228 11. 진정거미류 Telamonia vlijmi Proszynski 1984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Genus Phintella Strand, 1906 핀텔깡충거미속 Phintella linea (Karsch 1879) 안경깡충거미 Genus Synagelides Strand, 1906 어리개미거미속 Synagelides agoriformis Strand 1906 어리개미거미 Genus Pseudeuophrys Dahl 머리번개깡총거미속 Pseudeuophrys iwatensis (Walckenaer 1826)[=Euophryserratica ] 검은머리번개깡충거미 Family Gnaphosidae Pocock, 1898 수리거미과 Genus Drassyllus Chamberin, 1922 참매거미속 Drassyllus sanmenensis Platnick et Song 1986 삼문참매미거미 Drassyllus biglobus Paik 1986 쌍방울참매거미 Genus Zelotes Gistel, 1848 염라거미속 Zelotes asiaticus (Bosenberg et Strand 1906) 아시아염라거미 Genus Cladothela Kishida, 1928 갈래꼭지거미속 작은꼭지갈래거미 ( 가칭, Cladothela parva) - 신종 Genus Gnaphosa Latreille, 1804 넓적니거미속포타닌넓적니거미 Gnaphosa potanini Simon 1895 Genus Sernokorba Kamura, 1992 톱니매거미속 Sernokorba pallidipatellis (Bosenberg et Strand 1906) 석줄톱니매거미 Family Liocranidae (simon, 1897) 밭고랑거미과 Genus Phrurolithus C.L Koch, 1839 도사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208
22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Phrurolithus coreanus Paik 1991 고려도사거미 Phrurolithus pennatus Yaginuma 1967 살깃도사거미 Family Araneidae Clerck, 1757 왕거미과 Genus Yaginumia Archer, 1960 그늘왕거미속 Yaginumia sia (Strand 1906) 그늘왕거미 Genus Neoscona Simon, 1864 어리왕거미속 Neoscona pseudonautica Yin, Wang, Xie et Peng 1990 어리집왕거미 Neoscona melloteei (Simon 1895) 검은테연두어리왕거미 ( 점연두어리왕거미 ) Genus Eriophora Simon, 1864 방패왕거미속 Eriophora sachalinensis (Saito 1934) =Zilla sachalinensis 북왕거미 Genus cyclosa Menge, 1866 먼지거미속 Cyclosa octotuberculata Karsch 1879 여덟혹먼지거미 Cyclosa atrata Bosenberg et Strand 1906 울도먼지거미 Family Linyphiidae Blackwall 접시거미과 Genus Diplocephaloides, 1960 흰배애접시거미속 Diplocephaloides saganus (Bosenberg et Strand 1906) 흰배애접시거미 Genus Doenitzius 1960 땅접시거미속 Doenitzius pruvus Oi 1960 땅접시거미 Genus Paikiniana Eskov, 1992 백애접시거미속 Paikiniana mira (Oi 1960) 긴코뿔애접시거미 Arcuphantesscitulus Paik 1974 까막나사접시거미 Genus Arcuphantes Chamberlin et Ivie 1943 나사접시거미속 Arcuphantes pennatus Paik 1983 날개나사접시거미 국립공원연구원 209
230 11. 진정거미류 Genus Nippononeta Eskov, 1992 일본접시거미속 Nippononeta cheunghensis (Paik, 1978) 청하꼬마접시거미 Neriene longipedella (Bosenberg et Strand 1906) 농발접시거미 Genus Neriene Blackwall 1833 접시거미속진주접시거미 Neriene jinjooensis Paik 1991 Neriene oidedicata Helsdingen 1969 고무래접시거미 Neriene clathrata (Sundevall 1830) 십자접시거미 Family philodromidae Thorell, 1870 새우게거미과 Genus Philodromus Walckenaer, 1826 새우게거미속 Philodromus spinitarsis Simon 1895 =P.fuscomarginatus(non DeGeer 1778) 나무결새우게거미 ( 집새우게거미 ) Philodromus subaureolus Bosenberg et Strand 1906 갈새우게거미 Family Agelenidae C. L. koch, 1937 가게거미과 Genus Coelotes Blackwall, 1841 기슭비탈거미속 Coelotessong minjae Paik et Yaginuma 1969 민자가게거미가야기수가게거미 (Draconarius kayasanensis (Paik, 1976) Genus Paracoelotes Brignoli, 1982 깔대기비탈거미속깔대기거미 Pireneitega spinivulvus (Simon 1880) Genus Agelena Walckenaer, 1805 풀거미속 Agelena limbata Thorell 1897 들풀거미 Family Amaurobiidae Thorell, 1870 비탈거미과 Genus Ambanus Ovtchinnikov, 1999 어리비탈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210
23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Alloclubionoides coreanus Paik, 1992 한국어리비탈거미 Genus Callobius Chamberlin, 1947 비탈거미속 Callobius koreanus (Paik 1966) 반도비탈거미 Family Oecobiidae Blackwall, 1862 티끌거미과 Genus Uloctea Dufour, 1820 납거미속 Uroctea lesserti Schenkel 1936 대륙납거미 Family Clubionidae Wagner, 1887 염낭거미과 Genus Clubiona Latreille, 1804 염낭거미속 ClubionarostrataPaik1985 부리염낭거미 Clubiona jucunda (Karsch 1879) 살깃염낭거미 Clubiona vigil Karsch 1878 붉은가슴염낭거미 Clubiona kasanensis Paik 1990 가산염낭거미 Family Theridiidae Sundevall, 1833 꼬마거미과 Genus Achaearanea Strand, 1929 말꼬마거미속 Parasteatoda tepidariorum(c.l.koch 1841) 말꼬마거미 Genus sp Parasteatoda angulithorax (Bosenberg & Strand 1906) 종꼬마거미 Genus Stemmops O.P.-Cambridge, 1894 먹눈꼬마거미속 Stemmops nipponicus Yaginuma 1969 검정토시꼬마거미 ( 먹눈꼬마거미 ) Family Anapidae simon, 1895 도토리거미과 국립공원연구원 211
232 11. 진정거미류 Gens Comaroma Berkau, 1889 갑옷도토리거미속 Comaroma maculosa Oi 1960 갑옷도토리거미 Family Lycosidae Sundevall, 1833 늑대거미과 Genus pirata Sundevall, 1833 부이표늑대거미속 Pirata piratoides (BosenbergetStrand 1906) 공산늑대거미 Genus Arctosa C.L Koch, 1847 논늑대거미속 Arctosa kwangreungensis Paik et Tanaka 1986 광릉늑대거미 Genus Pardosa C. L. Koch, 1847 긴마디늑대거미속 Pardosa brevivulva Tanaka 1975 뫼가시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L.Koch 1878 별늑대거미 Pardosa laura Karsch 1879 가시늑대거미 Genus Alopecosa Simon, 1885 알로페늑대거미속 Alopecosa albostriata (Grube 1861) 흰무늬늑대거미 Family Ctenidae Keyserling, 1877 너구리거미과 Genus Anahita Karsch, 1879 너구리거미속 Anahita fauna Karsch 1879 너구리거미 Family Segestriidae Simon, 1893 공주거미과 Genus Ariadna Savigny et Audouin, 1825 공주거미속 Ariadna lateralis Karsch 1881 공주거미 Family Hahniidae Bertkau, 1878 외줄거미과 Genus Hahnia C.L Koch, 1841 외줄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212
23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Hahnia corticicola Bosenberg et Strand 1906 외줄거미 Genus Neoantistea Gertsch, 1934 제주외줄거미속 Neoantistea quelpartensis Paik 1958 제주외줄거미 Family Atypidae (Thorell, 1870) 땅거미과 Genus Atypus Latreille, 1804 땅거미속 Atypus coreanus Kim 1985 한국땅거미 Family Thomisidae sundevall, 1833 게거미과 Genus Bassaniana Strand, 1928 나무껍질게거미속 Bassaniana decorata (Karsch 1879) 나무껍질게거미 Genus Xysticus C. L. Koch, 1835 참게거미속 Xysticus ephippiatus Simon 1880 대륙게거미 Xysticus insulicola Bosenberg et Strand 1906 콩팥게거미 Xysticus croceus Fox 1937 풀게거미 Genus Oxytate L. Koch, 1878 연두게거미속 Oxytates triatipes L.Koch 1878 줄연두게거미 Family Cybaeidae Grothenolieck et Kraus, 1994 굴뚝거미과 Genus Cybeaus L. Koch, 1868 굴뚝거미속 Cybaeus mosanensis Paik et Namkung 1967 모산굴뚝거미 Family Pisauridae Simon, 1890 닷거미과 Genus Pisaura SImon, 1885 서성거미속 국립공원연구원 213
234 11. 진정거미류 Pisaura lama Bosenberg et Strand 1906 아기늪서성거미 Family Dictynidae O.P. Cambridge, 1871 잎거미과 Genus Cicurina Menga, 1871 두더지거미속 Cicurina japonica (Simon 1886) 두더지거미 Family Tetragnathidae Menge, 1866 갈거미과 Genus Leucauge White, 1841 백금거미속 Leucauge subgemmea Bosenberg et Strand 1906 금빛백금거미 ( 검정백금거미 ) Species Genus Family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a. 내장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5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6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7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연구원, 2007a. 가야산국립공원자원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07b. 월악산국립공원자원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14
23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8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c. 가야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가야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8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연구원, 2008a. 경주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08b. 주왕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a. 내장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국립공원관리공단, 2009b. 오대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국립공원연구원, 2009a.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09b.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09c. 월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10a. 북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10b. 설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11a. 속리산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연구원, 2011b. 지리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Choi, K.C The spider fauna of Sangdong-myun area in Yangju-gun,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3: Doi, H On the insect and other animals from Wan-do; Bull. Sci. Mus., (35): Im, M.S. & S.T. Kim, Study on the ecology of the spiders as natural enemy on insect pest of main crop I (The fauna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spiders at rice paddy field and leeve). J. Lift Sci. Konkuk Univ., 3: Jo, B.S., J.S. Yoo, Y.J. Kim, J.W. Jung and J.P. Kim, Spdier Fauna of Odaesan (Mt.), Gangwon-do, Korea. Korean Arachnol., 21(2): Jo, T.H On the spiders from Geomun Island, Korea. Kor. J. Zool., 24(2): Kambe, T Spiders from Mokkpo. J. Chosen Nat. Hist. Soc., (15): Kim, B.W. W. Lee & T.S. Kwon, A new species of the genus Ambanus (Arachnide: Araneae: Amaurobiidae) from Korea. Proc. Bio. Soc. Washington., 120(3): Kim, H.J Studies on the Fauna and Seasonal Dynemics of Spiders in the Crown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Ⅰ). Kor. Arachnol., 5(1): 국립공원연구원 215
236 11. 진정거미류 Kim, J.P The Spider Fauna of Mt. Ungil-san, Kyonggido, Korea. Kor. Arachnol., 1(1): Kim, J.P The Spider Fauna of Mt. Sokri-san, Kor. Arachnol., 2(1): Kim, J.P A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Kor. Arachnol., 6(2): Kim, J.P. 1995a. The Spider Fauna of Chindo Island, Korea, Kor. Arachnol., 11(1): Kim, J.P. 1995b. A list of Korean spiders in paddy fields. Kor. Arachnol., 11(2): Kim, J.P. 1996a. The Spider Fauna of Paiklyung-do Isl., Korea. Kor. Arachnol., 12(1): Kim, J.P. 1996b. The Spider Fauna of Chindo Island, Korea, Kor. J. Syst. Zool., 11(1): Kim, J.P The Spider Fauna of Kogeum-do, Korea. Kor. J. Syst. Zool., 13(3): Kim, J.P. 1998a. A list of Korean spiders (revised in 1998). Kor. Arachnol., 14(1): Kim, J.P. 1998b. The Spider Fauna of Geojedo Island, Korea. Kor. J. Syst. Zool., 14(3): Kim, J.P. 2000a. The Spider Fauna of Namhai Island, Korea. Kor. J. Soil Zool., 5(2): Kim, J.P. 2000b. A List of Korean Spiders. Kor. J. Soil Zool., 5(2): Kim, J.P. & B.W. Kim, Spider Fauna in Mt. Jungjock from Korea. Kor. Arachnol., 16(1): Kim, B.W. & J.P. Kim, A Check List of Korean Spiders(Revised in 2010). Kor. Arachnol., 26(2): Kim, J.P., H.P. Lee & J.R. Jun Species Composition in the Arthropod Community Overwintering inthe Straw Band. Kor. Arachnol., 6(1): Kim, J.P. & S.M. Lee The spider fauna of Cheju-do Island, Korea. Kor. Arachnol., 1(2): Kim, J.P., S.M. Lee & S.H. Kang Studies on the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at Tangerine orchard in Cheju Island. Korean J. Soil Zool., 1(1): 국립공원연구원 216
23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Kim, J.P., J. Namkung & J.R. Jun On the veritical distribution of spider community in Mt. Hallasan Island Chejudo, Korea. Kor. Arachnol., 3(2): Kim, J.P. J.W. Jung, J.S. Yoo, D.H. Kim & J.W. Lee Spider fauna of Imjado Island, Korea. Kor. Arachnol., 22(1): Kim, J.P., J.H. Shin & Y.C. Park, The spider fauna of Heuksan-do and Hong-do. Kor. Arachnol., 24(1): Kim, J.P. & J.S. Yoo The spider fauna of Mt. Yebongsan, Kyonggi-do, Korea. Kor. J. Soil Zool., 1(2): Kishida, K Spiders from Korea. Acta arachnol., Tokyo, 1: 15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Forest Eco-map for Eulsu-dong. KFRI Research data (311), 192pp. Korea National Parks Service, 2006a. Natural Resources Research report on Mt. Wollaksan national park. KNPS, pp Korea National Parks Service, 2006b. Natural Resources Research report on Mt. Chiaksan national park. KNPS, pp Korea National Parks Service, Natural Resources Research report on Mt. Gayasan national park. KNPS, pp Korea National Parks Service, Natural Resources Research report on Mt. Sopaiksan national park. KNPS, pp Lee, G.H. & H.P. Lee. 1990, Guild Structure and Seasonal Occurrences of Spider Communities in Pine Plantation Habitat. Kor. J. Ecol., 13(2): Lee, H.P. & G.H. Lee Species diversity and seasonal abundance of spider in latifoliate tree stand. Kor. Arachnol., 3(1): Lee, H.P. & B.H. Won The spider ecology of needle-leaf tree plantations. The New medical Journal, 11(2): Lee, H.P., J.P. Kim, J.R. Jun & K.S. Kyong. 1988, Studies on the Arthropods overwintering in the Straw band. Kor. Arachnol., 4(1): Lee, J.H., B.H. Kang, H.H. Park, J. Namkung & S.T. Kim Spider Fauna in Mt. Jumbong from Korea. Kor. J. Soil Zool., 5(1): Marusik, Y. M., K. Y. Eskov, S. Koponen & N. N. Vinokurov A check-list of the spiders (Aranei) of Yakutia, Siberia. Arthropoda Selecta 2(2):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nd National Academic of the Korean Language, 국립공원연구원 217
238 11. 진정거미류 Romanization Reference for Korean Place Names and Cultural Terms. National Academic of Korean Language, 417pp. Namkung, J Spiders from Chungjoo, Korea. Atypus, 33-34: Namkung, J Spiders from Mt. Deogyoo-san, Korea. The report of the Korean Commiss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 (5/6): Namkung, J A supplemental List of Korean Spiders. Kor. J. Pl. Prot., 15(2): Namkung, J The Spider Fauna of Is. Dae Heucksan-do and Is. Hong-do, Korea. Kor. J. Pl. Prot., 17(3): Namkung, J. 1980a. The Spider Fauna of Mt. Joryeong Area, Korea. Kor. J. Entomol., 10(2): Namkung, J. 1980b. Studies on Cave Spiders of Korea (Ⅰ). Kor. J. Pl. Prot., 19(2): Namkung, J The Fauna of the Lava Caves and its Environment in Jeju Island, Korea. Kor. J. Cave, 6(7): Namkung, J The Spider Fauan of Mt. Songni, Poun-gu, Chumgchongbuk-do, Korea. Nature Comservation, (53): Namkung, J., S.T. Kim & J.H. Lee Revision of the fauna of Korean spiders (Arachnida: Araneae). Ins. Koreana 17: Namkung, J. & N.K. Paik The spider Fauna of Chuncheon area, Kangwon-do, Korea. Kor. J. Pl. Prot., 12(3): Namkung, J. & N.K. Paik The Spider Fauna of Boogoo Area in UlJin-gun, Korea, Seongkyunkwan Univ., pp Namkung, J., N.K. Paik & M.C. Lee Spiders from the southern region of DMZ in Kangwon-do, Korea. Korean Arachnol. 4: Namkung, J., N.K. Paik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Isl. Ulreng-do (Dagelt), Korea. Kor. J. Pl. Prot., 20(1): Namkung, J. N.K. Paik,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Deogjeog Archipelago, Daebudo Isl. and Yeong-jieongdo Isl., Korea. Kor. Arachnol., 1(1): Namkung, J.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Mt. Gamak, Paju-gun, Kyeonggi-do. Korean J. Pl. Prot. 14: 국립공원연구원 218
23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Namkung, J.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Mt. Chi-ak san, Weon-ju. Natur. Conservation, (12): Namkung, J.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Mt. Seol-ak, Kangweon-do, Korea. Kor. J. Entomol., 10(1): Namkung, J., W.H. Paik & K.I. Yoon The spider fauna of Mt. Jiri, Cholla-namdo, Korea. Korean J. Pl. Prot., 11: Paik, K.Y A List of Spiders from Mt. Tii, South Keisho-Do, Korea, Acta Arachnol., 2(2): Paik, K.Y A List of Spiders from Quelpart I., Korea. Atypus, (4): Paik, K.Y A List of Spiders from Dagelet I., Korea. Atypus, (5): Paik, K.Y The Spider Fauna of Korea. Educt. J., 7/8: Paik, K.Y Spiders from Geojae-do Isl., Kyungnam, Korea. Thes. Coll. grad. Sch. Educ. Kyungpook Univ., 1: Paik, K.Y. 1976a. Spders comprised in the food for nesting. Atypus, (66): Paik, K.Y. 1976b. Report on the scientific survey of Bulyeonga Valley, 4. Rep. Korean Assoc. Conserv. Nature, 10: Paik, K.Y Araneae. Illustr. Fauna Flora Korea 21, Samwha Press, 548 pp. Paik, K.Y. 1979a. Spider Fauna of Mt. Pargong, Taeu, Korea. Theses Coll. Commen. Sistieth birthday of prof. J.H. Lee. pp , figs Paik, K.Y. 1979b. The spider fauna of Bogeong-sa District, Korea. Educ. J. Kyungpook Univ., 21: Paik, K.Y. 1979c. The Spider Fauna of Hwanghag Mt. Gyeongsnag Bug Do, Korea. Conser. Nature, 1: Paik, K.Y. 1980a. Report on the Spider Fauna of Mt. Geumoh-san Korea (Preliminary note). Rep. Mt. Geumoh, Natru. Resource, Kyungpook, pp Paik, K.Y. 1980b. The spider fauna of Dae Heuksan-do Isl., So Heuksan-do Isl. and Hong-do Isl., Jeunlanam-do, Korea. Kyungpook educ. Forum Kyungpook natn. Univ., 22: Paik, K.Y. 1995d. Spiders from the island Ulleung-do, Korea II. - with description of one new species and one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Korean Arachnol. 11(1): Paik, K.Y. & J.M. Kang Spiders from the Island Ulleungdo, Korea. Korean 국립공원연구원 219
240 11. 진정거미류 Arachnol., 4(1): Paik, K.Y. & J.S. Kim Survey on the spider-fauna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 in paddy fields of Taegu, Korea. Kor. J. Pl. Prot., 12(3): Paik, K.Y. & K.C. Kim A List of Spiders from Korea. Korean J. Biol., 1(1): Paik, K.Y. & J.P. Kim A list of Korean Spider(revised in 1985). Kor. Arachnol., 1(1): Paik, K.Y. & J.P. Kim A list of Korean Spider(revised in 1993). Kor. Arachnol., 10(1): Paik, K.Y. & K.C. Kim A List of Spiders from Korea. Korean J. Biol., 1(1): Paik, W.H. & K.S. Woo Spiders from Mt. Jiri. Kor. J. Pl. Prot., 9(2): Paik, K.Y., T. Yaginuma & J. Namkung Results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XIX. Cave-dwelling spiders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Bull. natn. Sci. Mus. Tokyo, 12: Platnick, N. I The world spider catalog, version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online at accessed to June 30, 2012). Park, Y.C., S.M. Kang, J.C. Jeong & J.P. Kim Spider fauna of two Korean Islands (Bigeum-do and Docho-do). Kor. Arachnol., 23(1): Song, D.X., M.S. Zhu & J. Chen The Spiders of China. Hebei Sci. & Technol. Publ. House, Shijiazhuang, 640 pp. Yaginuma, T., Spiders of Japan in color (new ed.). Hoikusha Publ. Co., Osaka, ⅩⅩⅣ+305pp. Yoo, J.S., S.T. Kim, S.Y Lee, J.K. Jung & J.H. Lee, Spider Fauna of Island Geojedo (Prov. Gyeongsangnam-do) in Korea. Journal of Korean Nature, 3(1): Yoon, J.K. & J. Namkung, Distribution of spiders on paddy fields in the suburbs of Kwangju city. Kor. J. Pl. Prot., 18(3): 국립공원연구원 220
24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2 조사위원 권순직 ( 자연생태연구소 ) 보조원 황인철 한승철
242
2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행정구역상으로전남고흥군점암면에위치하고있으며, 해발고도는 608 m, 총면적은 km2이다. 1998년 7월 30일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지정된이후 2011년에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로승격되었다. 8개의암봉으로이루어진팔영산은 1봉에서 8봉으로이어지는암릉을따라등산로가발달해있으며, 화엄사, 송광사, 대흥사, 능가사등의사찰과신선대와강산폭포등명소가많으며, 남동쪽능선계곡에팔영산자연휴양림이위치하고있어등산객의왕래가빈번하다. 또한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에서는팔영산지구에팔영산야영장에서남포미술관까지의탐방로정비, 자동차야영장정비, 자연학습장관찰로정비등을시행하는등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탐방객유치를위해노력하고있어, 앞으로팔영산지구를찾는탐방객이더욱증가할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이러한외부환경변화와교란요인으로인해팔영산지구의지형뿐만아니라자연환경이지속적으로변화될것으로판단되며, 특히수환경은환경변화에민감하게반응하므로이에대한모니터링을실시하여지속적인검토가있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 하천생태계는물의흐름을따라긴통로로이루어지며, 물이라는매체에의하여외부와구별되는독립적인생태계일뿐만아니라, 고도차에따라물이한방향으로지속적으로흐르고, 물의통로를따라유역환경이변하며, 또한다양한유역환경의영향을생태계내에서지속적으로받기때문에매우복잡한생태계이다. 이런특성을고려하여하천생태계를하나의 " 연속성의개념 (river continuum concept)" 으로보고있다 (Vannote et al., 198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하천생물중에서가장다양하고풍부한무리일뿐만아니라, 영양단계의저차소비자 (1차또는 2차소비자가대부분 ) 의역할을하기때문에하천생태계의구성원으로서중요하다 (Hynes, 1970; Ward, 1992; William & Feltmate, 1992). 또한이들은하천생태계의다양한환경요인과서식처에따라적응방식이다양하고, 수질환경에대하여민감하게반응하는종이많으므로순수생태학적연구뿐만아니라, 지표종으로이용되는등응용연구에도좋은재료가된다 (Boon, 1988; Dudgeon, 1994, 1995; Minshall, 1988; Reice & Wolemberg, 1993; Rosenberg & Resh, 1993). 본조사는팔영산의주요수계에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대한조사를실시하여 1) 서식하고있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전체적인분류군의구성및분포를파악하고, 2) 각조사지점별서식하는생물종을확인하여서식지의보존상태를알아낸다. 또한 3) 각조사지점에대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군집구조를파악하여물환경을 국립공원연구원 223
244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평가하고, 4) 고유종, 법정보호종등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중보호가요구되는종에대한분포를파악하는데그목적이있다. 나. 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 본조사는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수행하였고, 그시기및조사지역은표 12-1과같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주요수계에서총 9지점을선정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 그림 12-1). 표 조사기간및조사지역 구분 조사기간 조사지역 1차 ~ 능가사, 금사천및팔영산휴양림일대 2차 ~ 팔영산휴양림계곡일대 3차 ~ 금사천및절골계곡일대 4차 ~ 팔영산휴양림계곡및금사천일대 5차 ~ 절골계곡일대 그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조사지점도 국립공원연구원 224
2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 팔영산자연휴양림계곡수계 PY01 전남고흥군영남면우천리, 휴양림하 ( 격자 : 797) PY02 전남고흥군영남면우천리, 휴양림안내소상방우측지류 ( 격자 : 798) PY03 전남고흥군영남면우천리, 휴양림안내소상방좌측지류 ( 격자 : 798) PY04 전남고흥군영남면우천리, 우천제상방우측지류 ( 격자 : 798) PY05 전남고흥군영남면우천리, 우천제상방 ( 격자 : 798) (2) 금사천수계 GS01 전남고흥군영남면금사리, 금사일제상방 ( 격자 : 800) (3) 능가사 ( 절골 ) 계곡수계 NGS01 전남고흥군점암면성기리, 절골계곡우측지류 ( 격자 : 793) NGS02 전남고흥군점암면성기리, 절골계곡좌측지류 ( 격자 : 793) NGS03 전남고흥군점암면성기리, 팔영교 ( 격자 : 793) 2) 조사방법가 ) 채집방법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채집은각조사지점에서계류형정량채집망인 Surber net (30 30cm) 를이용한정량채집도실시하였고,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생태적특성을고려하여 Scoop net을이용하여미소서식처 (riffle-run-pool sequence) 에따라정성채집을수행하였다. 또한채집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시료는현장에서 Ethyl alcohol 95% 에고정하였고, 실험실로운반 sorting한후 70% ethanol에보존하였다. 나 ) 동정 (identification)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각분류군중수서곤충의경우는윤 (1988, 1995), McCafferty(1981), Kawai(1985), Merritt & Cummins(1984, 1996) 및 Peckarsky et al.(1990) 등을참고로하여동정하였다. 특히곤충류중꼬마하루살이류는배등 (1998) 을참고하였고, 깔다구류는 Wiederholm(1983) 을이용하여외부형태, 특히체장, 체색, mouth part 형태, abdominal tuble의유무, 강모의형태등의특징을고려하여임의로과수준 (family level) 에서동정하였다. 연체동물의경우는권 (1990), 권등 (1993) 을참고로하였고, 새우류는김 (1977) 을이용하였으며, 거머리류는송 (1995) 을참고로하였다. 기타갑각류및환형동물류등은岡田要 (1965a, b, c), Pennak(1988) 및 Peckarsky et al.(1990) 을이용하여동정하였다. 동정된학명의체계및국명은한국곤충명집 ( 한 국립공원연구원 225
246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국곤충학회, 1994) 과한국동물명집 (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에의거하여작성하였다. 3) 군집분석 군집구조의분석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주요조사지점에서정량적으로채집된자료로부터출현한분류군의수를비교하여출현개체수, 우점종, 군집지수 - 우점도지수 (DI, Dominant index), 종풍부도지수 (R1, Species richness index), 종다양도지수 (H', Species diversity index) 및균등도지수 (J', Evenness index) 를산출하였다. 한편출현종수의경우에는정성적으로얻어진자료를포함하여산출하였다. 총출현개체수를 N, i 종의개체수를 Ni, 총출현종수를 S, 제1우점종의개체수를 N1, 제2우점종의개체수를 N2라할때, 아래의식으로표현할수있다. DI= N 1 + N 2 N R1= S -1 lnn H'=- s p i log 2 p i p i = N i i =1 N J'= H' log 2 S McNaughton(1967) Margalef(1958) Shannon-Weaver(1949) Pielou(1975) 4)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생물학적물환경평가는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6) 에서제안된한국오수생물지수를이용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를이용한수생태건강성평가에서적용되는평가등급체계는다음과같다. KSI= n Si Ai Gi i =1 n Ai Gi i =1 i : 지정된지표생물군의일련번호 (number assigned to the taxon) n : 출현한지표생물군의총수 (number of taxa) Si : 지표생물군의오탁계급치 (saprobic value of the ith taxon) Ai : 지표생물군의출현개체수 (abundance index of the ith taxon) Gi : 지표생물군의지표가중치 (weighting factor of the ith taxon) 국립공원연구원 226
24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 생물학적물환경평가등급과체계 > 생물지수 생물등급 저서생물 (KSI) 서식지평가 환경상태 표현색서식지및생물특성 A 0.0~ 이상최적파랑 - 물이매우차고맑으며, 유속이빠름 - 바닥이주로큰바위와자갈로구성 - 부착조류가매우적음 B 1.0~ 이상양호초록 - 물이약간차고맑으며, 유속은보통 - 바닥이주로자갈과모래로구성 - 부착조류가약간있음 C 2.4~ 이상보통노랑 - 물이미지근하고, 약간불투명하며, 유속은약간느림 - 바닥은주로모래와실트 ( 미세로래 ) 로구성 - 부착조류가녹색을띠며많음 D 3.6~ 이하악화빨강 - 물이미지근하고매우불투명하며, 유속이느림 - 바닥은검회색혹은은실트 ( 미세모래 ) 로구성 - 부착조류가갈색혹은회색을띠며부패됨 국립공원연구원 227
248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다. 결과및고찰 1) 서식환경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각조사지점에대한서식환경은다음과같다. < 팔영산자연휴양림계곡각조사지점의서식환경 > 조사격자서식환경서식지 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 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 국립공원연구원 228
24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 팔영산자연휴양림계곡각조사지점의서식환경 > 조사격자서식환경서식지 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 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호박돌 > 자갈 > 암반매우맑음 < 금사천각조사지점의서식환경 > 조사격자서식환경서식지 800 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 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 국립공원연구원 229
250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절골계곡각조사지점의서식환경 > 조사격자서식환경서식지 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하천형유역환경제방수변식생하상구조투명도기타 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호박돌 > 자갈 > 암반매우맑음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암반 > 호박돌 > 자갈매우맑음산간계류산림자연형교목 > 관목호박돌 > 자갈 > 잔자갈매우맑음 국립공원연구원 230
25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분포및서식현황가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5 문 6강 13목 39과 70종이조사되었다 ( 표 12-2). 그림 주요분류군별출현종수점유율 (%) 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중에서편형동물문이 1종, 유선형동물문이 1종연체동물문이 1종, 환형동물문이 1종, 절지동물문이 66종으로조사되었다. 전체의 90% 이상을차지하는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5종, 곤충강이 61종이었고, 곤충강중에서는하루살이목이 18종, 잠자리목이 2종, 강도래목이 11종, 딱정벌레목이 4종, 파리목이 13종, 날도래목이 13종이조사되었다. 한편, 전체 70종중에서청정수역지표적으로알려진 EPT(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 분류군이 42종이출현하여 60.0% 를차지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2-2). 표 팔영산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종목록 No. 학명국명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1.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플라나리아 국립공원연구원 231
252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표 계 속 No. 학명국명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2. Gordius aquaticus Linnaeus 연가시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3.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다슬기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Oligochea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ea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4. Limnodrilus gotoi Hatai 실지렁이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Subphylum Crustacea 갑각아문 Class Malacostraca 연갑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Asellidae 물벌레과 5.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물벌레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6. Gammarus sobaegensis (Ueno) 보통옆새우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Atyidae 새뱅이과 7. Cardini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새뱅이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8. Macrobrachium koreana (Dana) 두드럭징거미새우 Family Cambaridae 가재과 9. Cambaroides similis (Koelbel) 가재 Subphylum Hexapoda 육각아문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10. Choroterpes altioculus Kluge 세갈래하루살이 11. Paraleptophlebia Japonic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국립공원연구원 232
2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계 속 No. 학명국명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12. Ephemera separigata Bae 가는무늬하루살이 13. Ephemera strigata Eaton 무늬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14.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민하루살이 15. Uracanthella punctisetae (Matsunura) 등줄하루살이 Family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 16. Caenis nishinoae (Malzacher) 등딱지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17. Bleptus fasciatus Eaton 맵시하루살이 18.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봄처녀하루살이 19.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20. Epeorus nipponic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21. Ameletus costalis (Matsumura) 피라미하루살이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22. Acentrella sibirica (Kazlauskas) 콩알하루살이 23. Baetiella tuberculata (Kazlauskas) 애호랑하루살이 24. Baetis fuscatus (Linnaeus) 개똥하루살이 25. Baetis ursinus (Kazlauskas) 방울하루살이 26. Labiobaetis atrebatinus (Eaton) 입술하루살이 27.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측범잠자리과 28. Davidius lunatus Bartenef 쇠측범잠자리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29. Orthetrum melania 큰밀잠자리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30.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 31.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32.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33.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34. Nemoura tau Zwick 토우민강도래 Family Leuctridae 꼬마강도래과 35. Rhopalopsole mahunkai Zwick 꼬마강도래 Family Pteronarcidae 큰그물강도래과 36. Pteronarcys macra Ra, Baik, and Cho 한국큰그물강도래 국립공원연구원 233
254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표 계 속 No. 학명국명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37.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한국강도래 38. Kiotina decorata (Zwick) 무늬강도래 39. Neoperla coreensis Ra, Kim, Kang, and Ham 두눈강도래 40. Oyamia nigribasis Banks 진강도래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Gyrinidae 물맴이과 41. Gyrinus japonicus Ochs 물맴이 Family Helodidae 알꽃벼룩과 42. Helodidae sp.(larva) 알꽃벼룩류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43. Elmidae sp. (larva) 여울벌레류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 44.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45.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46.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47.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48. Pedica KUa 장수각다귀 KUa 49. Tipula KUa 각다귀 KUa Family Culicidae 모기과 50. Culex sp. 집모기류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51. Simulium sp. 먹파리류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과 52. Ceratopogonidae sp. 등에모기류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53. Chironomidae sp.1 깔따구류 sp Chironomidae sp.2 깔따구류 sp Chironomidae sp.3 깔따구류 sp Tanypodinae sp. 늪깔따구류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57. Philorus KUa 멧모기 KUa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58. Rhyacophila brevicephala Iwata 넓은머리물날도래 59.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검은머리물날도래 60. Rhyacophila shikotsuensis Iwata 민무늬물날도래 국립공원연구원 234
2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계 속 No. 학 명 국 명 Family Hydrobiosidae 긴발톱물날도래과 61.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62. Wormaldia KUa 입술날도래 KUa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63. 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꼬마줄날도래 64.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a 65. Diplectrona KUa 산골줄날도래 KUa 66. Hydropsyche orientalis Martynov 동양줄날도래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과 67. Plectrocnemia KUa 깃날도래 KUa Family Goeridae 가시날도래과 68. Goera japonica Banks 일본가시날도래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69. Lepidostoma KUa 네모집날도래 KUa 70. Lepidostoma KUb 네모집날도래 KUb 나 ) 분류군별출현종수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5 문 6강 13목 39과 70종이조사되었다. 1차조사에서는총 5문 6강 13목 36과 64종이조사되었고, 이중에편형동물문이 1 종, 유선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1종, 환형동물문이 1종, 절지동물문이 60종으로조사되었다. 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5종, 곤충강이 55종이었으며,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17종, 잠자리목이 2종, 강도래목이 10종, 딱정벌레목이 3종, 파리목이 11종, 날도래목이 12종이조사되었다. 2차조사에서는총 4문 5강 11목 26과 38종이조사되었고, 이중에편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1종, 환형동물문이 1종, 절지동물문이 35종으로조사되었다. 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3종, 곤충강이 32종이었으며,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10종, 잠자리목이 1종, 강도래목이 6종, 딱정벌레목이 2종, 파리목이 5종, 날도래목이 8종이조사되었다 ( 표 12-3과 4). 1차조사 (64종) 에비해 2차조사 (38종) 에서출현종수가감소하였는데, 이는여름철강우량의증가와태풍의영향으로개체군회복기간이길어져서이와같은현상이나타난것으로판단되어진다 ( 그림 12-3과 4). 이는자연적인현상으로일정기간이지나면자연적으로회복될것으로판단되어진다. 국립공원연구원 235
256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그림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종수 (1 차조사 ) 표 각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종수 (1차조사 ) 지점분류군 PY01 PY02 PY03 PY04 PY05 NGS01NGS02NGS03GS01 계 편형동물문 유선형동물문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연갑강 하루살이목 절 잠자리목 지 곤 강도래목 동 충 딱정벌레목 물 강 파리목 문 날도래목 소계 소계 계 국립공원연구원 236
25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그림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종수 (2 차조사 ) 표 각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종수 (2차조사 ) 지점분류군 PY01 PY02 PY03 PY04 PY05 NGS01NGS02NGS03GS01 계 편형동물문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연갑강 하루살이목 절 잠자리목 지 곤 강도래목 동 충 딱정벌레목 물 강 파리목 문 날도래목 소계 소계 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팔영산은고흥반도에위치하여있어모 국립공원연구원 237
258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든수계가팔영산에서발원하여남해로유입되는독립하천으로유로연장이짧고, 유량이매우적은지역적특성으로국립공원내의계곡하천을통한물자원확보를위해수중보및저수지가건설되어있다. 따라서수로변경및물리적서식지변경으로인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군집이일부영향을받고있다. 또한지형적으로평상시에는유량이적고, 여름철강우시에는유량이일시적으로증가하여자연적인영향도함께받는지역으로다른국립공원에비하여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출현종에있어서물리적서식환경과기후적환경조건상다양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서식에는제한을받는것으로판단되어진다. 다 ) 분류군별출현개체수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출현개체수를비교하여보면전체적으로하루살이목이 39.8% 로가장많은개체가출현하였고, 다음으로는날도래목이 9.8%, 강도래목이 9.6%, 파리목이 8.3% 가출현하였으며, 비곤충류가 30.0%, 기타곤충류는 2.5% 를차지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4-5). 전체출현개체 4,514개체중에청정수역의지표종으로알려진 EPT(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 분류군이 2,672개체가출현하여 59.2% 를차지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 주요분류군별출현개체수점유율 (%) 1 차조사에서는총 3,962 개체가조사되었고, 이중에편형동물문이 229 개체, 유선형동물 국립공원연구원 238
2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문이 2개체, 연체동물문이 22개체, 환형동물문이 2개체, 절지동물문이 3,707개체로조사되었다. 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857개체, 곤충강이 2,850개체이었고,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1,593개체, 잠자리목이 14개체, 강도래목이 422개체, 딱정벌레목이 56개체, 파리목이 351개체, 날도래목이 414개체가조사되었다 ( 표 12-5 및그림 12-6). 표 각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개체수 (1 차조사 ) 지점분류군 PY01 PY02 PY03 PY04 PY05 NGS01NGS02NGS03GS01 계 편형동물문 유선형동물문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연갑강 절 하루살이목 ,593 잠자리목 지 곤 강도래목 동 충 딱정벌레목 물 강 파리목 문 날도래목 소계 ,850 소계 ,707 계 , ,962 2차조사에서는 552개체가조사되었고, 이중에편형동물문이 23개체, 연체동물문이 27개체, 환형동물문이 1개체, 절지동물문이 501개체가조사되었다. 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191개체, 곤충강이 310개체이었고,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202개체, 잠자 국립공원연구원 239
260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리목이 25개체, 강도래목이 13개체, 딱정벌레목이 19개체, 파리목이 23개체, 날도래목이 28개체가조사되었다 ( 표 12-6 및그림 12-7). 그림 각조사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개체수비율 (%) (2 차조사 ) 표 각지점에서출현한주요분류군별출현개체수 (2 차조사 ) 지점분류군 PY01 PY02 PY03 PY04 PY05 NGS01NGS02NGS03GS01 계 편형동물문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연갑강 절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지 곤 강도래목 동 충 딱정벌레목 물 강 파리목 문 날도래목 소계 소계 계 다른국립공원에비하여비곤충류의점유율이높게나타났는데, 이는이지역에주로유량이적은산간계류의형태를띠고있어이러한지역에서주로서식하는보통옆새우의밀도가높게나타난결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40
26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 백분율출현빈도및우점종현황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백분율출현빈도를보면출현한종중에상위의 20종이 89.94% 이상을점유하고있었으며, 특히출현한종의상위 10종이 77.07% 의점유율을나타내고있는것으로나타나특정한종의출현점유율이높게나타났다 ( 그림 12-8). 각출현종의백분율출현빈도를보면보통옆새우가 22.40%, 두점하루살이가 22.09%, 깔따구 sp.1가 6.20%, 플라나리아가 5.58%, 총채민강도래 KUa가 5.27%, 흰부채하루살이가 3.81%, 깜장하루살이가 3.41%, 꼬마줄날도래가 3.06%, 두갈래하루살이가 2.88%, 세갈래하루살이가 2.37% 등의순으로조사되었다 ( 표 12-7). 전체적으로청정한수계에서식하는보통옆새우, 하루살이류와강도래류가많은점유율을차지하고있다는것은팔영산수계의유역환경이매우건강하다는것을나타내준다고볼수있다. 그림 팔영산일대의수계에서출현한종수별출현빈도 (%) 국립공원연구원 241
262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표 출현종별개체밀도에따른종의점유율 (%) No. 국명개체수점유율 No. 국명개체수점유율 (%) (%) 1 보통옆새우 1, 두눈강도래 두점하루살이 동양줄날도래 깔따구류 sp 두드럭징거미새우 플라나리아 가재 총채민강도래 KUa 등줄하루살이 흰부채하루살이 무늬강도래 깜장하루살이 일본가시날도래 꼬마줄날도래 진강도래 두갈래하루살이 명주각다귀 KUa 세갈래하루살이 물맴이 토우민강도래 민강도래 KUb 네모집날도래 KUb 한국큰그물강도래 개똥하루살이 각다귀 KUa 입술날도래 KUa 실지렁이 네모집날도래 KUa 물벌레 다슬기 입술하루살이 늪깔따구류 검정날개각다귀 KUa 등딱지하루살이 연가시 쇠측범잠자리 가는무늬하루살이 민강도래 KUa 맵시하루살이 넓은머리물날도래 애호랑하루살이 민하루살이 총채민강도래 알꽃벼룩류 꼬마강도래 산골줄날도래 KUa 깔따구류 sp 피라미하루살이 꼬마줄날도래 KUa 무늬하루살이 콩알하루살이 봄처녀하루살이 방울하루살이 한국강도래 큰밀잠자리 여울벌레류 애기각다귀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장수각다귀 KUa 검은머리물날도래 집모기류 새뱅이 등에모기류 먹파리류 멧모기 KUa 깔따구류 sp 민무늬물날도래 긴발톱물날도래 KUa 깃날도래 KUa 국립공원연구원 242
26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마 ) 군집지수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각유역환경을평가하기위한군집분석의결과는다음과같다. 1차조사를통하여우점도지수평균 0.462(±0.138), 다양도지수평균 3.229(±0.597), 종풍부도지수평균 3.956(±1.364), 균등도지수평균 0.712(±0.095) 로나타났다. 2차조사를통하여우점도지수평균 0.642(±0.129), 다양도지수평균 2.484(±0.531), 종풍부도지수평균 2.440(±0.782), 균등도지수평균 0.752(±0.120) 으로나타났다 ( 표 12-8과 9). 표 팔영산일대수계의각조사지점별군집지수 (1 차조사 ) 지점 지수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 (H') 종풍부도지수 (R1) 균등도지수 (J') PY PY PY PY PY NGS NGS NGS GS 평균 (± 표준편차 ) (±0.138) (±0.597) (±1.364) (±0.095) 표 팔영산일대수계의각조사지점별군집지수 (2 차조사 ) 지점 지수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 (H') 종풍부도지수 (R1) 균등도지수 (J') PY PY PY PY PY NGS NGS NGS GS 평균 (± 표준편차 ) (±0.129) (±0.531) (±0.782) (±0.120) 국립공원연구원 243
264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금년도의경우여름과가을철에걸쳐태풍과집중호우가빈번하게발생하였고, 강우기간이예년보다길어지면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회복기간이예년보다길게나타났는데, 이러한집중호우는하천생태계에많은영향을미치는교란요인 (disturbance factors) 으로작용한다 (Petts and Calow, 1996). 그러나국립공원과같이보전이잘되어있는지역은홍수에의한자연적인교란이발생하여도일정기간이지나면자연적으로회복될것으로판단된다. 전체적으로낮은우점도지수와높은다양도지수를나타내고있어팔영산주요수계의물환경이양호한상태임을잘나타내주고있다. 바 )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를이용한물환경평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전체조사지점을대상으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생물학적물환경평가한결과는다음의표와같다. 전체 9개조사지점에서 2회에걸친조사결과모든지점및시기에서 1.000이하의값으로나타나생물등급은 A 등급에환경상태는 최적 으로나타났다 ( 표 12-10). 표 팔영산일대수계의각조사지점별한국오수생물지수평가결과 시기지점 KSI 생물등급환경상태시기지점 KSI 생물등급환경상태 1 차조사 PY A 최적 PY A 최적 PY A 최적 PY A 최적 PY A 최적 2 PY A 최적 PY A 최적 PY A 최적차 PY A 최적 PY A 최적조 NGS A 최적 NGS A 최적 NGS A 최적 사 NGS A 최적 NGS A 최적 NGS A 최적 GS A 최적 GS A 최적 사 ) 특별히보호대책이필요한종및그서식지 (1) 국외반출승인종및분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모든수계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중환경부와문화재청에서지정한법정보호종 ( 멸종위기야생생물Ⅰ Ⅱ급, 천연기념물등 ) 의출현은확인및조사되지않았다. 국외로반출시에정부의허가를받아야하는국외반출승인종의경우가는무늬하루살이, 총채민강도래, 한국큰그물강도래, 한국강도래, 국립공원연구원 244
26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두눈강도래등총 5 종이출현하였다. 가는무늬하루살이 (Ephemera separigata Bae) 출현지점 : PY01 길이는 15-20mm에이르는대형종이다. 날개의중앙에암갈색의가로줄무늬를가지며, 배의각마디의양쪽가장자리에가는세로줄무늬를가지는데, 특히제7-9배마디의것은매우가늘면서도양쪽가장자리에치우쳐있는것이형태적특징이다.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coreana Zwick) 총채민강도래의성숙한유충의몸길이는 10mm, 꼬리길이는 8mm정도로, 민강도래과중에서대체적으로몸의크기가큰편에속한다. 특히유충시기에는항상투명한점액질로온몸이싸여있다. 출현지점 : PY03 한국큰그물강도래 (Pteronarcys macra Ra, Baik and Cho) 출현지점 : PY01, PY02 현존하는강도래류중에서몸의크기가가장큰것으로알려져있으며 50mm이상인종도있다. 일명 "giant stonefly" 라하며강도래류중에서도원시형에속하는분류군이다. 유충은산간계류의하류나소규모하천의큰돌과부식성식물질이썩어있는곳에서서식한다. 국립공원연구원 245
266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한국강도래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 Ham) 출현지점 : PY01, PY02, PY03, PY05 유충의몸길이는 28mm, 꼬리길이는 13mm정도이다. 강도래류중에서대형에속하는종으로더듬이는꼬리의길이와거의같다. 체색은전체적으로노란색바탕에암갈색을띤다. 각다리마디의뒷가두리에는강도래붙이와같은장모열이있다. 배마디는짙은갈색을띠고말단은암갈색이다. 두눈강도래 (Neoperla quadrata Ra, Kim, Kang & Ham) 몸길이는 12mm 내외이고, 체색은연한갈색이다. 홑눈은 2개이고, 뒷머리융선과접하여있다. 가슴등판에는다양한무늬가나타나지않는다. 미모에는장모열이없다. 출현지점 : PY01, PY05, NGS01, GS01 (2) 한국고유종팔영산의모든수계에서서식하는한국고유종의경우두드럭징거미새우, 가는무늬하루살이, 한국큰그물강도래, 한국강도래, 두눈강도래, 네모집날도래 KUa, 네모집날도래 KUb 등 7종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46
26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우 2011년에국립공원으로편입된지역으로현재비교할만한기존의자료가부족한실정이다.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에서수행한 2011년도조사에서팔영산이포함된 내라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에서총 4문 6강 15목 32과 50종이조사되었고, 편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4종, 환형동물문이 5종, 절지동물문이 40종이조사되었으며, 절지동물문에속하는갑각강이 2종곤충강이 38종으로조사되었다. 곤충강에속하는하루살이목이 14종, 잠자리목이 3종, 강도래목이 2종, 뱀잠자리목이 1종, 딱정벌레목이 2종, 파리목이 6종, 날도래목이 10종이조사되었다. 이번조사에서는총 5문 6강 13목 39과 70종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조사되었고, 이중에편형동물문이 1종, 유선형동물문이 1종연체동물문이 1종, 환형동물문이 1 종, 절지동물문이 66종으로조사되었다. 전체의 90% 이상을차지하는절지동물문중에는연갑강이 5종, 곤충강이 61종이었으며,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18종, 잠자리목이 2종, 강도래목이 11종, 딱정벌레목이 4종, 파리목이 13종, 날도래목이 13종이조사되었다. 그러나문헌의경우본조사와조사지점및시기에있어상이한부분이많아단순비교하기에는다소무리가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 국립공원연구원 247
268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참고문헌 권오길 한국동식물도감제32권동물편 ( 연체동물Ⅰ). 문교부. 446pp.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김훈수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 새우류 ). 문교부. 배경석 원두희 포천 철원권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제2차전국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배경석 원두희 봉화 영월권역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제2차전국자연생태계조사보고서. 배연재 박선영 황정미 깜장하루살이 ( 하루살이목 : 꼬마하루살이과 ) 유충의기재및한국산꼬마하루살이과유충의검색표. 한국육수학회지 31(4): 282~286. 송광래 한국산거머리강 ( 환형동물문 ) 의분류.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57pp. 윤일병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 수서곤충류 ). 문교부. 윤일병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한국의수서곤충. 생태조사단. 415pp. 원두희, 전영철, 권순직, 황순진, 안광국, 이재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한국오수생물지수의개발과생물학적하천환경평가적용.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전태수, 조운석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내라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곤충학회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건국대출판부. 한국동물분류학회 한국동물명집아카데미서적. 환경부 수생태건강성회복을위한하천복원모델과기준, 조사계획수립연구 - 수생태건강성조사계획수립및지침.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I) - 수생태건강성조사및평가체계연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조사연구 (III) - 수생태건강성조사및평가체계연구. 황순진, 김난영, 원두희, 안광국, 이재관, 김창수, 신재기 우리나라생물학적물환경평가의현황과미래.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황순진, 김난영, 원두희, 안광국, 이재관, 김창수 돌말 (Epilithic Diatom) 을이용한국내주요하천 ( 금강, 영산강, 섬진강 ) 의생물학적수질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국립공원연구원 248
26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황정훈, 한국산날도래목의분류학적연구.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 251pp. Allan, J. D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Boon, P. J The impact of river regulation on 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K.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2: 389~409. Dudgeon, D Function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increased sediments loads resulting from riparian-zone modification of a Hong Kong stream. Verh. Internat. Verein. Limnol. 25: 1790~1792. Dudgeon, D Environmental ipacts of increased sediment loads caused by channelization: A case study of biomonitoring in a small river in Hong Kong. Asian J. Environmental Management. 3(1): 69~77. Horne, A. J. and C. R. Goldman, Limnology. McGraw-Hill, Inc. 576pp. Hynes, H. B. N.,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Liverpool Univ. Press, Liverpool, U. K. Kawai, T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 東海大學出版會. Lepneva, S. G Trichoptera. Ⅱ. Larvae and pupae of Annulipalpi. Fauna SSSR(N. S.) 88: 1~560. McCafferty, W. P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Boston. pp Merritt, R. W. and K. W. Cummins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2nd. Ed. Kendall/Hunt Publ. Co., Dubuque, Iowa. Merritt, R. W., and K. W. Cummins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Publ. Co. Minshall, G. W Stream ecosystem theory: a global perspective. J. N. Benthol. Soc. 7(4): 263~288. Reice, S. R. and M. Wohlemberg Monitoring freshwater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enthic processes: measures for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p.287~305 In: D. M. Rosenberg and V. H. Resh (Eds.)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 Hall, New York. Rosenberg, D. M., and V. H. Resh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and Hall, New York. 488pp. Uchida, S.and Maruyama, H What is Scopura longa Ueno, 1929 (Insecta, 국립공원연구원 249
270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Plecoptera) A revision of the Genus. Zool. Sci, 4(4): 699~709. Ueno, M Studies on the stoneflies of Japan, Mem. Coll. Sci. Kyto Imp. Univ., Ser. B. 4: 97~155, pl. 24. Ward, J. V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Wiederholm, T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Ⅰ - Larvae. Ent. Scand. Suppl pp. Willams, D. D. and B. W. Feltmate Aquatic Insects. C A 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岡田要. 1965a. 신일본동물도감 ( 상 ). 북륭관. 679pp. 岡田要. 1965b. 신일본동물도감 ( 중 ). 북륭관. 803pp. 岡田要. 1965c. 신일본동물도감 ( 하 ). 북륭관. 763pp. 국립공원연구원 250
271 담수조류 13 조사위원 박정원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이찬희 박솔이
272
27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담수조류는수계에서광합성을하는 1차생산자로서, 그리고동물플랑크톤이나어류의치어, 저서성어류, 다슬기등의먹이로서수계생태계에서최하위계급을차지하고있다. 따라서수계생태계에서이들의중요성에대해아무리강조해도지나치지않는다. 일부조류는타생물과공생관계를이루고있다. 육상생물중지의류는균류와조류가공생관계를이루며생활하는생물체로서육상생태계의초기천이과정에서매우중요한역할을담당하고있다. 대개지의류가서식하는장소는거치른환경 ( 암벽, 건조한지역 ) 으로, 이들의의해나오는유기물질은다른생물체에매우중요한영양원으로제공된다. 그리고남조류중 Calothrix, Cylindrospernum 등은공기중의질소를고정하는생물질소고정체로서역할도하고있다 (Huchinson 1967). 담수조류중일부는수중의물리화학적인서식환경의변화에따라반응을나타내고넓은생태적적응범위를가지기때문에하천이나호수등의수질의상태를파악하기위해환경지표종으로이용되고있다. 특히부착규조류는피각을가지고있고외부유입물질에빠른반응을나타내기때문에생물학적수질평가의중요한생물로활용되고있다. 생물학적수질평가에서부착규조는천이가짧고, 산처리하여도피각이남아있다는점, 수질의상태에따라분류군을나눌수있다는점등의장점으로인해영국, 일본등지에서생물학적수질평가에이용하고있다. 본조사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수환경에서식하는생물종을파악하여수환경의건강을파악하고, 팔영산지구자원의효율적인관리체계구축하고자담수조류를조사하였다. 나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및선정 조사는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진행되고있으며, 팔영산지역에서는처음으로담수조류의조사가진행되고있으므로가능하면담수조류의서식장소를모두채집하려고노력하였다. 팔영산지역의담수조류채집은각지구별로장소를선정하였고, 선정된장소와조사시기는다음과같다 ( 표 13-1). 국립공원연구원 253
274 13. 담수조류 표 팔영산지구지역의담수조류의채집일자및장소 채집일자 채집장소 능가사계곡, 휴양림, 휴양림센터, 휴양림저수지 수영장상류지점, 수영장하류지점, 팔영산주차장, 휴양림, 림탐방지원센터 시목저수지, 금사제, 우천지, 백운화, 쑥세골 휴양 2) 조사방법가 ) 플랑크톤채집및분석 정성적인분석을위한시료의채집은플랑크톤네트 (plankton net, Rhigosha N xxx 25) 를사용하였고, 시료는채집즉시 Lugol's 용액으로고정하였다. 종의동정은녹조류중녹색소구목은 Komarek 과 Fott,(1983), 물먼지과는 Prescott, Croasdale 와 Vinyard(1975) 와 Prescott, Croasdale, Vinyard, 와 Bicudo(1981), 남조류는 Komarek 과 Anagnostidis(2001), 유글레나는 Gojdics(1953) 를참고하였고, 규조류는 Krammer와 Lange-Bertalot(1986, 1988, 1991a, 1991b) 의도감을참고하였다. 나 ) 부착조류의시료채집과종동점및계수시료는주로수심 10~30cm에있는돌중에서그정점을가장보편적인상태를지니고있는것으로추정되는지름 10~20cm 정도의돌을수개채집하여솔로수면과평행한윗면을긁어서부착조류를채집한후원시료를잘혼합하여사용하였다. 동정과사진촬영을위한시료는 Permanganate method (Hendey, 1974) 에의하여세정한후 Pleurax로봉입하여영구표본을제작하였으며, Simonsen (1979) 체계에따라분류하였다. 부착규조군집의상대빈도등을구하기위하여임의로선정된현미경하의시야에서 300개이상의피각을계수하였다. 다 ) 생태군분류및생물학적수질평가부착규조류의생태군분류는 Watanabe(2005) 가제시한방법에따라, 각출현종을동정하여청수성분류군, 오탁성분류군및광적응성분류군으로분류하였고, 각생태종마다 300개이상의피각을계수하여각생태군을상대빈도로나타났다. 호청수성분류군은깨끗한수역에서출현하는종류이고, 호오탁성분류군은유기물질의유입이많은곳을선호하는생태군이다. 광적응성분류군은맑은수역에서오염된수역까지 국립공원연구원 254
27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서식하는종류이나, 일반적으로수역이유기물질의오염도가높을수록광적응성분류군의상대빈도가증가하는경향이있다. 생물학적수질평가는분류된생태군을근거하여 DAIpo(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water pollution) 방법 (Watanabe, 2005) 에따라분석하였다 ( 표 13-2). DAIpo=50+½(A-B) A: 조사지점에서출현한호청수성종의상대빈도의합 B: 조사지점에서출현한호오탁성종의상대빈도의합 그리고 DAIpo, BOD 및오탁계급의상관관계의값은표 13-2 와같다 표 DAIpo, BOD 및오탁계급의상관관계 DAIpo BOD 오탁계급 극빈부수성수역 (xenosaprobic) β빈부수성수역 (β-oligosaprobic) α빈부수성수역 (α-oligosaprobic) β중부수성수역 (β-mesosaprobic) α중부수성수역 (α-mesosaprobic) 15-0 >10 강부수성수역 (polysaprobic) 다. 결과및고찰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조사 동정된담수조류는모두 62종류였고, 녹조류가 13종류, 황갈조류와유그레나류가각각 3종류, 남조류가 2종류그리고규조류가 41종류로규조류가가장많이출현하였다. 규조류의 Achnanthes 속이 9종류, Gomphonema 속이 6종류가출현하였고그외속들은 1 ~ 3종류씩출현하였다. 규조류가가장많이출현한것은부유성규조류가많이조사되었기때문이다. 1) 식물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은팔영산지구의가장자리에위치한저수지를대상으로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모두 28종류의조사되었으며, 녹조류가 13종류, 규조류가 7종류, 황갈조 국립공원연구원 255
276 13. 담수조류 류와유글레나류가각각 3종류그리고남조류가 2종류씩출현하여식물플랑크톤은녹조류가가장많이출현하였다. 녹조류와규조류는조사전지역에서다양하게출현하였으며, 규조류는우천제에서전혀출현하지않았고, 황갈조류는시목저수지와백운하에서전혀출현하지않았다 ( 표 13-3). 유글레나류는백운하지역에서만출현하였으며, 남조류는쑥세골과시목저수지에서출현하였다. 각조사지역별출현종수에서금사제가 9종류, 쑥세골이 13종류, 시목저수지가 4종류, 우천제가 2종류그리고백운하가 12종류가출현하여우천제에서가장적게출현하였고, 쑥세골과백운하지점에서다양하게출현하였다. 표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식물플랑크톤 목록 / 장소금사제쑥세골시목저수지 우천제 백운하 Chlorophyceae Arthrodesmus indentatus + Didymocystis fina + Monoraphidium contortum + Monoraphidium minutum + Monoraphidium obtusum + + Nephrocytium allantoideum + + Quadrigula closterioides + Scenedesmus arthrodesmiformis + Scenedesmus ecornis + Scenedesmus quadricaidata + Sphaerocystis schroeteri + + Staurastrum tetracerum + Tetraedron caudatum + Bacillariophyceae Aulacoseira ambigua +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 Cyclotella stelligera + + Melosira varians + 국립공원연구원 256
27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Rhizosolenia longiseta Synedra acus + + Chrysophyceae Dinobryon cylindricum var. + palustre Dinobryon divergens Dinobryon sociale + Euglenophyceae Trachelomonas allia + Trachelomonas klebsii + Trachelomonas volvocina + Cyanophyceae Microcystis aeruginosa + Oscillatoria planktonica + 2) 부착규조류 가 ) 출현종수팔영산계류의각조사지역에서동정된부착규조류는모두 35종류였으며, Achnanthes 속이 9종류, Gomphonema 속이 6종류가출현하였고그외속들은 1 ~ 3 종류씩출현하였다. 각조사지역별출현종수에서, 휴양림지역은 9 ~ 15종류, 휴양림탐방지원센터지점은 8 ~ 10종류, 휴양림저수지지점은 12 ~ 14종류가출현하였다 ( 표 13-4). 표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부착규조류의목록과상대빈도 (%) 휴양림탐방휴양림휴양림종목록지원센터저수지 3월 5월 3월 5월 3월 5월 Achnanthes catenat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oblongella Achnanthes lanceolata 5.01 국립공원연구원 257
278 13. 담수조류 Achnanthes laterostrata 0.20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sp Achnanthes raphidosa 0.28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silesiaca Diatoma vulgaris 0.15 Eunotia arcus 2.01 Eunotia binulnaris 0.20 Eunotia minor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0.89 Gomphonema angustatum 9.75 Gomphonema clevei Gomphonema olivaceum var. minutissima Gomphonema parvulum Gomphonema quadritruncatum Gomphonema pumilum Hannaea arcus Meridion circulare var. constrictum Reimeira sinuata 능가사지점은 10 ~ 14종류그리고능가사지역에위치한수영장상 하류지점은 11 ~ 12종류가출현하였다 ( 표 13-5). 전반적으로출현종수는유사하였으며휴양림지역의 3월에 15종류로가장많이출현하였고휴양림탐방지원센터지점이 8종류로가장적게출현하였으나종수의출현은큰의미를부여할것이없다. 표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부착규조류의목록과상대빈도 (%) 능가사수영장수영장종목록 / 장소 3월 5월상류하류 Achnanthes altergracillima Achnanthes catenata 국립공원연구원 258
27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Achnanthes oblongell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sp. 1.3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clotella stelligera 1.21 Cymbella affinis 0.86 Cymbella leptoceros 0.95 Cymbella silesiaca Eunotia arcus 0.85 Eunotia binulnaris Eunotia minor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Gomphonema angustatum 0.00 Gomphonema clevei Gomphonema parvulum Gomphonema quadritruncatum Gomphonema pumilum Hannaea arcus Hantzschia amphioxys 0.17 Navicula cryptocephala 3.81 Nitzschia sinuata 0.17 Reimeira sinuata 0.52 Surirella angusta 0.17 Synedra ulna 0.17 나 ) 우점종팔영산의각조사지역에서부착규조류의우점종은 Achnanthes catenat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oblongella, Gomphonema pumilum, Gomphonema quadritruncatum, Hannaea arcus Reimeira sinuata 등다양한종이우점종으로출현하였다 ( 표 6). 휴양림지역은 Gomphonema pumilum (5월, 상대빈도 24.79%), 와 Reimeira sinuata (3월, 상대빈도 72.21%), 휴양림탐방지원센터지점은 Achnanthes oblongella (3월, 상대빈도 91.07%), Hannaea arcus (5월, 상대빈도 96.44%), 휴양림저수지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38.95%), 국립공원연구원 259
280 13. 담수조류 Gomphonema quadritruncatum (3월, 상대빈도 77.78%), 능가사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72.88%), Achnanthes oblongella (3월, 상대빈도 73.18%), 능가사계류에위치한수영장상류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60.45%), 수영장하류지점은 Achnanthes catenata (5월, 상대빈도 33.33%) 가우점종으로출현하였다. 표 각조사지점에서출현한우점종과상대빈도 (%) 조사지역 월 우점종 상대빈도 (%) 휴양림 3 Reimeira sinuata Gomphonema pumilum 휴양림탐방 3 Achnanthes oblongella 지원센터 5 Hannaea arcus 휴양림 3 Gomphonema quadritruncatum 저수지 5 Achnanthes convergens 능가사 3 Achnanthes oblongella Achnanthes convergens 수영장상류 5 Achnanthes convergens 수영장하류 5 Achnanthes catenata 다 ) 생태군분류부착규조류의생태군분류에서, 맑은수역에서식하는호청수성분류군은모두 18 분류군이출현하였으며오염된수역을선호하는호오탁성분류군은전혀출현하지않았다. 맑은수역에서오염된수역까지서식장소가광범위한광적응성분류군은 17종류가출현하였다. 각조사지점별생태분류군의출현율에서, 호청수성분류군은휴양림지역이 25.2 ~ 76.5%, 휴양림의탐방지원센터지점은 96.19~99.57%, 휴양림의저수지지점은 ~ 83.99% 의범위였다 ( 표 13-7). 휴양림지점과휴양림의저수지지점은호청수성분류군의출현율이범위큰반면, 탐방지원센터지점은출현율도높았고, 오차의범위는적었다. 휴양림지점에서 5월에호청수성분류군의출현율이낮은것은, 우점종으로출현한종이 Gomphonema pumilum으로본종은광적응성분류군으로분류되어있으나생태적인부분에서는많이알려져있지않으나주로빈영양하천즉맑은수역에서생육하는것으로추측되고있는종이다. 휴양림저수지지점에서호청수성분류 국립공원연구원 260
28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군의낮은비율은우점종이 Gomphonema quadritruncatum으로본종역시생태적인부분은많이알려져있지않으며, 주로알칼리도가높은수역에서식하는종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 Gomphonema pumilum과 Gomphonema quadritruncatum 두종의생태적인부분은정밀조사가수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 표 각조사지잠에서호청수성종의상대비율 (%) 장소 휴양림 휴양림탐방지원센터 휴양림저수지 월 3월 5월 3월 5월 3월 5월 호청수성분류군 라 ) DAIpo 를이용한생물학적수질평가 DAIpo 지수 ( 부착규조군집을이용한유기오탁내성지수 ) 을이용한생물학적수질평가에서휴양림은 DAIpo가 62.75~88.03으로 3월은매우좋음, 5월은좋음 ~ 약간좋음이었고, 탐방지원센터는 3월과 5월에 DAIpo가 98.1 ~ 99.79로수질은매우좋음이었으며, 휴양림지역의저수지는 DAIpo가 3월이 59.44, 5월은 92이었고 3월의수질은좋음 ~ 약간좋음, 5월은매우좋음이었다 ( 표 13-8). 표 각조사지점의 DAIpo 지수와수질등급 장소 휴양림 휴양림탐방지원센터 휴양림저수지 월 3월 5월 3월 5월 3월 5월 DAIpo 수질등급 매우좋음 좋음 ~ 좋음 ~ 약간좋음매우좋음매우좋음약간좋음매우좋음 능가사지역은 DAIpo가 ~ 92.14였고수질등급은매우좋음이었으며, 수영장상류의 DAIpo는 95.05, 수질등급은매우좋음, 수영장하류는 DAIpo지수는 77.62로수질등급은좋음 ~ 약간좋음이었다 ( 표 13-9). 표 각조사지점의 DAIpo 지수와수질등급 장소능가사수영장상류수영장하류월 3월 5월 DAIpo 수질등급매우좋음매우좋음매우좋음 좋음 ~ 약간좋음 국립공원연구원 261
282 13. 담수조류 참고문헌 Hendey, N.I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 Microscopy. 32: Komarek J. and B. Fott, Das Phytoplankton des Sßwassers Systematik und Biologie. Teil., 7. Chlorophyceae (Grunalgen Ordung: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9/1. Cyanoprokaryota 1. Teil: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1. Teil: Naviculaceae(H. Ettl, J.Gerloff, H. Heynig and D. 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2. Bacillariophyceae 2. Teil: Bac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a.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3. Bacillariophyceae 3. Teil: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b.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4. Bacillariophyceae 4. Teil: Achnanthaceae. Kritische Ergänzungen zu Navicula (Lineolatae) und Gomphonema(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Prescott, G.W. and H.T. Croasdale, W.C. Vinyard A Synopsis of North American Desmids. Part II. Desmidiaceae: Placodermae, Section 1. Lincoln, Univ. of Nebraska press. Prescott, G.W. and H.T. Croasdale, W.C. Vinyard, C.E. de M. Bicudo A Synopsis of North American Desmids. Part II. Desmidiaceae: Placodermae, Section 3. Lincoln, Univ. of Nebraska press. Simonsen, R The diatom system: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2: Watanabe T. Picture Books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 Rokakuho, Tokyo. 국립공원연구원 262
283 고등균류 14 조사위원 장석기 ( 원광대학교 ) 보조원 박희재 김형배
284
28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팔영산은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소나무및소사나무등이우점하고있는곳으로비교적고등균류의서식환경이양호하다할수있다. 고등균류는대부분담자균류와자낭균류에서발생하며, 그종류및서식환경또한다양하다. 특히산림에서산림병원균으로살아있는수목에피해를주는기생균의역할을하는종류도있지만대부분의균류는낙엽이나목재등식물체의분해자로물질순환에중요한역할뿐만아니라대부분의고등식물과공생관계를유지하며수목의생장에필요한각종영양물질을공급함으로써산림생태계순환에필수적이라할수있다. 또한인간의식량자원및약용자원으로주목받는생물군으로우리나라에도현재 1,000여종이상보고되고있지만이들에정확한설명, 생태적특성, 지리적분포등에대한자료는미흡하다. 이러한균류는기주식물과의관계뿐만아니라기상, 임황및지황등의환경적요인과오염물질, 벌채및산불등인위적요인에의해종구성및개체수발생에크게영향을받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본자연자원조사에서는팔영산을대상으로조사지역별 ( 격자 ), 계절별및고도등에따라고등균류분포, 서식환경및발생형태에대해조사한다. 또한미기록종및특산종에대해서도조사하여팔영산고등균류의다양성확보및자연자원과생태계보존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나. 조사기간및방법 1) 현지조사가 ) 조사내용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전지역을대상으로고도별및계절별등에따라발생되는고등균류를분류동정하고, 서식환경별 ( 목재부후균, 낙엽부후균, 활물성기생균, 지상균및외생균근균등 ) 및발생형태별 ( 단생, 군생, 산생, 총생등 ) 로구분하고미동정된고등균류에대해서는채집하여보관하고추후동정한다. 2) 조사대상및방법 가 ) 조사기간 국립공원연구원 265
286 14. 고등균류 2012 년 3 월부터 10 월까지 (15 회 ) 현지조사를실시하였으며, 이는다음과같다 ( 표 14-1). 표 조사기간및지역 ( 격자 ) 구분 조사일 조사격자 1회 5월 24일, 25일 793, 794, 797, 2회 6월 21일, 22일 793, 794, 797, 798, 802 3회 7월, 09일, 10일, 25일, 26일 793, 794, 797, 798, 802 4회 8월 17일, 31일 793, 794, 797 5회 9월 01일, 22일, 23일 793, 794, 797, 798, 802 6회 10월 04일, 05일 793, 794, 797, 798, 802 나 ) 조사방법 (1) 현지조사조사지역 ( 격자 ) 에따른조사경로를등산로및계곡등출입이가능한지역을도보로이동하며조사하였으며, 조사경로에따른 Road Transect Method에의해좌우로각각 10m를조사범위에포함하여조사하였다. (2) 채집및분류채집및조사한균류에대해서는균류의특징 ( 갓, 주름살, 대등 ). 조사지역, 서식장소 ( 발생림의침, 활, 혼합림기주수종, 토양, 낙엽, 가지, 목부등 ) 및발생형태 ( 단생, 산생, 군생, 총생등 ) 을기록하고, 분류동정이어려운종들은 Melzer용액, KOH 또는 Guaiacol 등에의한화학반응및현미경를이용하여담자기, 담자포자, 낭상체등을관찰하여종의분류, 동정하는데참고하였다. (3) 분류동정채집된표본의전반적인동정을위하여今關六也등 (1992), 幼菌の會 (2001), 高橋郁雄 (2003), 本鄕次雄 (2000) 및 David(1985) 의문헌을참조하였으며, 국내문헌으로는김삼순과김양섭 (1999), 박완희와이호득 (1991), 이지열 (1993), 조덕현 (2003) 및농업과학기술원 (2004) 등을이용하였다. 또한최종분류를위해한국기록종버섯재정리목록 (2011, 이태수 ) 및 국립공원연구원 266
28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다. 결과및고찰 1) 고등균류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대상으로고등균류를조사한결과총 2계 3문 5 강 19목 45과 94속 174종이동정되었으며, 이를분류하면아래와같다 ( 표 14-2). 표 조사된고등균류의분류군별분포 계 문 강 목 과 속 종 Fungi Ascomycota Leotiomycetes Sordariomycetes Basidiomycota Agaricomycetes Agaricales Auriculariales Boletales Cantharellales Geastraceae Hymenochaetales Phallales Polyporales Russulales Thelephorales Dacrymycetes Protozoa Amoebozoa Myxogastrea 국립공원연구원 267
288 14. 고등균류 조사결과담자균문은 2강 11목 37과 83속 163종, 자낭균문은 2강 4목 4과 6속 6종및아메바문 (Amoebozoa) 은 1강 4목 4과 5속 5종인것으로조사되었다. 자낭균문의경우두건버섯강이 2과 2속 2종이, 동충하초강이 2과 2속 2종이었으며, 담자균문에서는주름버섯강이 36과 82속 162종이, 붉은목이강에서 1과 1속 1종이조사되어대부분의고등균류는담자균문중주름버섯강에속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를분류군별로세분하였을때주름버섯목이 16과 36속 79종으로전체조사종수의 45.4% 로가장많이발생되었으며, 그물버섯목이 5과 15속 26종 (14.9%), 무당버섯목이 2 과 4속 23종 (13.2%) 및구멍장이버섯목 5과 15속 19종 (10.9%) 으로순으로나타났다. 가장많이발생된균류는그물버섯과로 22종으로가장많았으며, 무당버섯과 (21종), 광대버섯과 (16종), 주름버섯과 (14종), 구멍장이버섯과 (13종) 순으로조사되었다. 조사시기별에따른분포 ( 그림 14-1) 를보면가장많은고등균류를조사한시기는 7 월 25일조사에서 27과 43속 73종이었으며, 7월 09일 (23과 42속 57종 ), 7월 26일 (17과 30속 42종 ), 8월 31일 (18과 31속 37종 ) 순으로나타났으며, 5월 25일조사와 6월 22일조사에서는 1종도조사하지못하였다 과 속 종 그림 조사시기별에따른고등균류분포 월별에따른고등균류의분포 ( 표 14-3) 는과 (Family) 별에서는 5월이 2과로가장적게조사되었으며, 7월이 37과로가장높은것으로나타났다. 종 (Species) 수분포는 5월이 2종으로가장적게나타났으며, 7월에 123종으로가장많이조사되었다. 특히, 8월의경우 7월과 9월에비해현저히적은종이조사되었는데, 이는태풍으로인한많은강수및바람등이고등균류발생에영향을주었던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68
2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월별고등균류분포상월별 과 속 종 5월 월 월 월 월 월 월별에따른우점균류를보면 ( 표 14-4), 7월에는무당버섯과의균류가, 8월에는그물버섯과가 9월에는광대버섯과의균류가비교적기타균류에비해우점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같은균류는수목들과공생하는균근균을형성하는외생균근성버섯류가여름철발생이기타균류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다. 표 월별에따른우점균류의종수 과명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전체 그물버섯과 무당버섯과 광대버섯과 주름버섯과 구멍장이버섯과 이상의결과, 고등균류발생은 7월에가장많이조사되었고 9월, 8월순으로나타나대부분여름철에발생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9월이후에는점차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수목과공생하는외생균근성버섯인그물버섯과, 무당버섯과및광대버섯과등이우점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69
290 14. 고등균류 2) 조사지역 ( 격자 ) 및고도별분포특성 가 ) 조사지역 ( 격자 ) 별고등균류분포상조사지역 ( 격자 ) 별에따른고등균류분포는모든조사지역 ( 격자 ) 이고등균류가발생될것으로판단되며, 특히고등균류의경우조사시기및기상조건에따라많은차이를보이고있는것으로많은조사지역을집중적으로조사할수없어고등균류의서식환경이양호하다고판단되는조사지를조사한결과는다음과같다 ( 표 14-5). 조사기간동안가장많은고등균류가조사된지역 ( 격자 ) 은 797번으로 30과 53속 88종으로가장높았고 794번 (82종), 793번 (80종) 및 802번 (47종) 순으로나타났다. 고등균류종발생이높은 797번지역은이는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및팔영산휴양림 적취봉 두류봉 팔영산휴양림지역이었고, 794번및 793번격자는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으로대체적으로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이고등균류서식환경이비교적좋은것으로나타났다. 표 조사지역격자별고등균류분포상 격자번호 분류체계 과속종 나 ) 고도별고등균류분포상고도별에따른고등균류의분포를살펴보면 ( 표 14-6) 고등균류발생종이가장높은지역은 200m ~ 299m 사이에서 82종으로많이발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조사지역은임황및지황조건이기타지역에비해다양하였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특히, 500m 이상지역에서고등균류발생의감소가현저했는데이는정상부지역으로많은암반으로인한얕은토심, 토양수분의증발산및강우로인한토양유실등의영향이있는것으로사료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70
29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고도별에따른고등균류분포상 고도 (m) 과속종 99m m m m m m 고도별에따른우점균류를보면 ( 표 14-7), 비교적 399m까지폭넓게균류분포상을보이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특히, 그물버섯과는 m에서 18종으로기타균류들에비해많은종수가조사되어서식환경이다양했던것으로판단된다. 수목과공생하는외생균근균성버섯인그물버섯과, 광대버섯과및무당버섯과등의우점균류는 500m 이상지역에서균류의발생이현저히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많은암반등이있는정상부지역으로고등균류서식환경에영향을주었기때문인것으로사료된다. 표 고도별에따른우점균류발생분포상 고도별 (m) 과별 그물버섯과 무당버섯과 광대버섯과 주름버섯과 구멍장이버섯과 국립공원연구원 271
292 14. 고등균류 3) 고등균류서식환경및발생형태의분포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조사된고등균류를서식환경및발생형태별에따라구분하면 ( 그림 14-2, 3 ), 서식환경별에서는외생균근균이라판단되는균류는총 14과 26속 84종으로가장많이조사되었으며, 목재부후균 (22과 37속 45종 ), 지상균 (12 과 20속 28종 ) 의순이었다. 발생형태별에서는전체적으로군생또는산생형태를보인종들이 119종으로대부분을차지하고있었으며, 단생 (37종), 층생 (11종) 순으로나타났다 목재부후균 낙엽및가지부후균 외생균근균지상균기타 과 속 종 그림 서식환경별고등균류의분포상 과 속 종 20 0 단생산생또는군생층생기타 그림 발생형태별고등균류의분포상 국립공원연구원 272
29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또한지역별 ( 격자 ) 에따른조사결과는다음과같다. 가 ) 793번, 794번, 797번격자이지역은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으로총 43과 82속 142종의고등균류가조사되었으며, 이를분류군별로보면무당버섯과가 18종으로가장많이발생되었으며그물버섯과 17종, 광대버섯과 15종순으로조사되었다. 서식환경별에있어서는외생균근성버섯이 14과 24속 69종으로가장많이발생되었으며, 목재부후균 (21과 35속 39종 ), 지상균 (8과 13속 18종 ) 의순이었다. 이지역은다양한식생구조및계곡등으로다양한고등균류가분포할수있는서식환경을가지고있는것으로판단되며추후지속적인조사와연구가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되는지역이다. 나 ) 797번격자이지역은팔영산휴양림 적취봉 두류봉 팔영산휴양림지역으로총 24과 38속 61종의고등균류가조사되었으며, 이를분류군별로보면그물버섯과와광대버섯과가 8종으로가장많이발생되었고, 무당버섯과 7종순으로나타났다. 서식환경별에있어서는외생균근성버섯이 9과 15속 36종으로가장많이조사되었고목재부후균 (8과 11 속 12종 ), 지상균 (6과 7속 7종 ) 순이었다. 이지역은휴양림위쪽 300m 이상지역으로정상부까지거리는짧기는하나, 정상부까지다양한식생군락 (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사나무, 대나무 ) 을형성하고있는지역으로추후지속적인조사와연구가이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되는지역이다. 다 ) 797번, 798번, 802번격자이지역은남포미술관 바른등재 깃대봉지역으로총 26과 45속 57종의고등균류가조사되었으며, 이를분류군별로보면그물버섯과 10종, 주름버섯과 9종, 구멍장이버섯과 8종순으로조사되었다. 서식환경별에서는목재부후균이 14과 20속 21종으로가장다양하였으며, 지상균 (6과 11속 15종 ) 및외생균근성버섯 (4과 8속 15종 ) 순으로나타났다. 이지역은 200m 이상부터능선부를따라깃대봉까지가는지역으로비교적고등균류서식환경이양호한것으로판단되는지역이다. 4) 고유종및미기록종 가 ) 자생우점종및특징종 국립공원연구원 273
294 14. 고등균류 조사결과확인된 174종에대한특징에따른우점종및특징종을보면 ( 그림 14-4), 낙엽및가지부후균은밀버섯 (Gymnopus confluens), 큰낙엽버섯 (Marasmius aurantioferrugineus) 등이우점하였고, 목재부후균은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메꽃버섯붙이 (Microporus vernicipes) 등이우점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지상생은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과톱니겨우살이버섯 (Coltricia cinnamomea) 등이많이발생되었으며, 수목과공생하는외생균근성버섯은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ea), 흰꽃무당버섯 (Russula alboaxeolata) 및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등이다양한조사지역에서조사되었다. 균류이용면에있어독버섯이라할수있는광대버섯과 (Amanitaceae) 의흰알광대버섯 (Amanita verna ),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독청버섯과 (Strophariaceae) 의노란다발 (Hypholoma fasciculare) 등의균류가조사되었으며, 식용버섯은목이 (Auricularia auricula-judae), 털목이 (Auricularia polytricha ),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및젖비단그물버섯 (Suillus granulatus) 등이, 약용버섯은영지 (Ganoderma lucidum), 눈꽃동충하초 (Cordyceps nutans) 등의균류가조사되었다. 고동색우산버섯 (Amanita fulva)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적색신그물버섯 (Aureoboletus thibetanus) 흙무당버섯 (Russula senecis ) 그림 14-4 고등균류의우점종및특징종 국립공원연구원 274
29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선행연구결과와비교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전라남도고흥군점암면과영남면에위치하고있으며,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소사나무및대나무등의수종이주요수종으로구성된국립공원이라할수있다. 고등균류는임분연령, 기질특성, 미세기후, 산림피복도, 임분밀도, 고사목의양등입지특성과기후조건및광선등의미세환경차이에따라종발생에영향을주고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대한과거조사자료가없어이번조사결과를기초로기술하고자한다. 대부분의고등균류는담자균문중주름버섯강에속하는균류였으며, 종다양성은그물버섯과가가장많은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서식환경별에서는외생균근성버섯이, 발생형태별에서는산생또는군생을하는형태가많은것으로나타났다. 월별분포에서는 7월이가장높았고 9월, 8월순으로비교적여름철에집중하는것으로나타났다. 고도별에서는 200m 299m에서고등균류발생이가장높았으나, 전체적으로 400m 미만지역에서도균류발생이높은것으로판단된다. 조사지역 ( 격자 ) 별에서는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 (793번, 794번, 797 번격자 ) 이고등균류서식환경이비교적좋은것으로나타났다. 참고문헌 1. 김삼순, 김양섭 한국산버섯도감. 유풍출판사. pp 박완희, 이호득 원색도감한국의버섯. 교학사. pp 성재모등 4인 강원의버섯. 강원대학교출판부. pp 이지열 원색한국버섯도감. 아카데미서적. pp 이태수 한국기록종버섯재정리목록. 저숲출판. 36 pp. 5. 조덕현 원색한국의버섯. 아카데미서적. pp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한국의버섯 ( 식용버섯과독버섯 ). 동방미디어. pp 今關六也, 大谷吉雄山, 本鄕次雄溪 カラー名鑑日本のきのこ. 山と溪谷社. pp 幼菌の會 きのこ圖鑑. 家の光協會. pp 高橋郁雄 北海道きのこ圖鑑. 亞璃西社. pp 本鄕次雄 きのこ. 山と溪谷社 Agere, R Zur Okologie der Mykorrizapilze. J. Cramer. pp David Arora Mushrooms Demystified. pp. 960 국립공원연구원 275
296 14. 고등균류 13. Donk, M A conspectus of the familes of Aphyllophorales, Rijksherbarium. Leiden. 14. Eriksson, J. and L. Ryvarden. 1973~1976.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s. 2, 3, 4. Fungiflora. Olso. 15. Eriksson, J., K. Hjortstam, and L. Ryvarden. 1978~1984.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s. 5, 6, 7. Fungiflora. Olso. 16. Eriksson, J., K. Hjortstam, and L. Ryvarden. 1978~1984.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s. 8. Fungiflora. Olso. 17. Gilbertson, R. L. and L. Ryvarden North American Polypores. Vols. 1, 2. Fungiflora. Oslo. 18. Gilbertson, R. L. and L. Ryvarden European Polypores. Vols. 1, 2. Fungiflora. Oslo. 19. Singer, R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oeltz Scientific books. koenigstein. 20. Index Fungorum ( 국립공원연구원 276
297 역사 문화자원 15 조사위원 이찬희 ( 공주대학교 ) 보조원 김지영 송치영
298
29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국립공원은일반인들에게보전가치가있는자원이라기보다주로여가를즐기는관광지로인식되어왔다. 국립공원에는역사 고고 종교등다양한종류의문화유산이보존되어있으므로일반관광지와는차별화된역사문화자원의보고로인식되고활용되어져야한다. 또한국립공원내문화자원의발굴과홍보를활성화하여지역적전통과문화적가치를상승시키는것이필요하다. 그러나아직까지도국립공원내문화유산에대하여통합적관리체계가구축되지않아사찰보유문화재가아니거나지정문화재가아닐경우에는그가치를인정받기어려웠다. 우리나라에는총 19개의국립공원이있고공원내에는총괄 40건의국보와 138건의보물등약 590건의지정문화재를비롯하여아직지정되지않은 500여건의비지정문화재가산재한다. 이중에서전남고흥의팔영산을대상으로역사적문화유산의현황과그역할을알아보고현재의보존상태와향후보존관리체계를위한기초연구를실시하고자하였다. 팔영산은전라남도고흥군점암면에위치하며, 총면적 km2으로성주봉 (608m) 을주봉으로 8개의봉우리로이루어졌다. 본래이름은팔전산이었으나, 중국위왕의세숫물에 8개의봉우리가비쳐그산세를중국에까지떨쳤다는전설이전해지면서팔영산이라불리기시작했다. 정확한명칭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이며, 1998 년 7월 30일도립공원에서시작하여점차탐방로등공원시설을증축하여 2012년 1월 10일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편입되었다. 또한여덟개의암봉으로이루어진산세가험준하고기암괴석이많으며신선대, 강산폭포등의아름다운경관과조망이조화로워우리나라 100대명산에선정되기도하였다. 팔영산북쪽에는순천송광사, 구례화엄사, 해남대흥사와함께호남의 4대사찰로꼽히던성기리의능가사를비롯하여만경암, 서불암등의암자, 갖가지형상의바위와수려한경관, 많은문화유적지가산재한다. 또한여러가지전설과민담이역사와함께스며있는곳이기도하다. 이조사연구에서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중심으로현존하는문화자원의현황을파악하고더불어문화자원의보존실태, 문화자원으로서의중요성등을파악하였다. 또한발굴되지않고알려지지않은채소멸되어가는역사문화자원의가치를재조명하고보존과활용방안에대해고찰하고자한다. 이는문화자원의효율적보존방안과데이터베이스구축에크게기여를할것으로사료되며, 선조들의숨결이후대에계승되기를기대한다. 나. 조사방법 국립공원연구원 279
300 15. 역사 문화자원 1) 조사지선정 조사지역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로분류되고, 행정구역상전남고흥군점암면과영남면의경계를이루며, 다도해에접한다. 지리적으로북위 , 동경 에위치하며, 높이 608m, 총면적 9,881km2의규모로고흥군에서가장높은산이다. 또한능가사를비롯한경관이빼어난신선대와강산폭포등명소와용바위, 류청신피난굴등의경관자원도많다. 금번에조사된팔영산지구조사지역의위치와좌표는그림 15-1과같다. 그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역사문화자원의조사지역과조사대상. 국립공원연구원 280
30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조사기간 문헌과실내조사를통해다도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지정및비지정문화유산현황을조사하고대략적인위치를파악하여지형도에도시하였다. 또한문화재보호법을기준으로현황조사표를제작하였다. 이는향후데이터베이스를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다. 유형문화재는현재위치와현황, 훼손및보존상태, 관리상태, 보존환경등을중심으로기록하고, 무형문화재는소유자와보유자, 전승현황, 절차, 조사방법등을중심으로기록하는등양자의조사기준을달리하였다. 제작된기초자료를근간으로문화유산의현재모니터링, 관리의필요성, 주변경관과의조화로움등을파악하였다. 팔영산국립공원역사 문화자원조사기간과일정및세부내용은표 15-1과같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현지조사기간및조사지역. 횟수조사시기일수세부내용구분 1 차 8 월 21 일 ~27 일 7 일 793, 794, 796, 797 격자 2 차 10 월 04 일 ~08 일 5 일 795, 798, 799 격자 3 차 10 월 24 일 ~28 일 5 일 796, 797, 798, 800, 801, 802, 803 격자 조사완료 총 3 회 17 일팔영산전구역 3) 조사방법가 ) 문헌조사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 793~803까지총 11개의격자 (2km 2km ) 로구성되어있으며조사격자에해당하는국립공원구역내의문화재를모두조사하였다. 실내조사는국립공원자원총람홈페이지와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사이트,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의문화재보존관리지도를참고하였다. 절터, 전설및설화등비지정문화자원에대한내용은 2010년고흥군청에서발간한 팔영산에얽힌이야기 를참고하였다. 국립공원구역에해당하는문화유산은지정문화재 1건, 비지정문화재 19건 ( 무형자원포함 ) 으로총 20건이조사되었으며, 지정문화재로는전라남도유형문화재 1건이있다 ( 표 15-2). 팔영산의북서쪽기슭에위치한능가사에보물을비롯한대부분의지정문화재가많이소장되어있으나국립공원구역에속하지않아조사에서제외하였고능가사외곽에위치한극소량의문화자원만조사대상에포함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81
302 15. 역사 문화자원 팔영산은최근도립공원에서승격되면서문화자원발굴이가속화되고있으므로지속적인관심과모니터링이필요한상태이다. 금번에조사된역사 문화자원목록은표 15-3과같다. 표 팔영산지구의역사 문화자원의현황 (2012 년 11 월현재 ). 국립공원 국가지정 국보보물중요무형문화재 유형문화재 시도지정 기념물문화재자료 민속문화재 비지정 총계 팔영산 표 팔영산지구의역사 문화자원의목록 (2012 년 11 월현재 ). 구분수량역사문화자원 시도유형문화재 1 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 (264) 능가사부도군 (9 기 ), 만경암지, 팔영산봉수지, 고흥팔영산도립공원조상사업지구내 비지정 13 문화유적 ( 기와가마터 ), 류정승피난굴, 먼지재서낭당, 서불암지, 빈대절터, 안양암터, 수원암터 ( 선암절터 ), 북당골절터, 칠봉절터, 지장절터, 설화 6 팔영산의여덟봉우리이야기, 송팔응장군과백마, 송팔응장군의누님과공깃돌바위, 수원암의덕대장사, 수룸바위, 성문바위 나 ) 현지조사문헌및실내조사내용을종합하여팔영산지구내의지정및비지정문화재를대상으로위치 ( 좌표 ) 와훼손및보존상태, 관리상태, 보존환경등을기록하고, 사진촬영을실시하였다. 이러한내용은자체제작된문화재조사양식에기록하였으며, 최종 DB화를수립하도록조사양식을통일하였다 ( 표 15-4). 지정문화재의조사방향은현황파악과모니터링으로보존상태와관리현황에초점을맞추고, 비지정문화재에대해서는문화재등록건의를목적으로보존적가치의중요 국립공원연구원 282
30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성을판단하고정확한위치와규모, 연혁및현존상태를조사하였다. 현지조사에사용된 GPS는 Ascen사 GPS850 기종이다 ( 표 15-4). 표 유형및무형문화재현황조사요약표. 유형문화재현황조사요약표 무형문화재현황조사요약표 GPS 측정규모측정구성재질세부사진 국립공원연구원 283
304 15. 역사 문화자원 다. 결과및고찰 1) 문화자원현황 팔영산에는시도유형문화재 1건이며, 그밖에선사유적과역사유적, 무형자원을포함한지정되지않은문화재가 19건으로총 20건가량의문화자원을보유하고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구분별해당문화재명칭은표 15-5, 6과같다. 팔영산의지정문화재는전라남도유형문화재제264호인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가유일하며능가사에서약 400m 떨어진계곡주변에위치한다. 주변에 7기의부도군과함께자리하고있으며위치이동없이처음세워진자리를지키고있다고전해진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지정문화재의목록. 번호종목명칭지정일 1 전라남도유형문화재제 264 호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 ( 高興楞伽寺秋溪堂및泗影堂浮屠 ) 팔영산지구내에는지정된문화재보다팔전산봉수지, 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로정비된팔영산도립공원내문화유적등지정되지않은역사 문화자원이많으며, 그밖에역사적고증이정확히이루어지지않은암자터가많이분포한다 ( 표 6). 그러나능가사의부속암자로서정식기록을볼수있는것은만경암과서불암, 칠봉암뿐이며, 그밖에현재남아있는많은절터들은소속을알수없으며개인이임의로세운암자도있다고보여진다 ( 고흥군, 2010). 만경암은현재조선말항일의병들이저항하며싸웠던전적지였으며, 서불암은가장근래까지스님이기거했던암자로알려져있다. 칠봉암역시지리적이점때문에빨치산의은거지로활용하면서진지를형성한흔적이관찰된다. 이밖에팔영산내에는알려지지않은암자터가 20여개에달한다고전해지고있으나현재조사되어기록으로전해지는것은빈대절터, 안양암터, 지장절터, 수원암터 ( 선암절터 ), 북당골절터뿐이다. 능가사의외곽에위치한능가사부도군은지정문화재인추계당및사영당부도와함께위치하고있으며, 대부분의탑신에주인공이름이석각되어있어역사적의미가남다르다고할수있다. 또한팔영산에는송팔응장군의전설을비롯하여여덟봉우리와지명, 바위와관련된이야기등여러가지설화가전해져내려오기도한다. 국립공원연구원 284
30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비지정문화재목록. 번호명칭번호명칭 1 능가사부도군 (9기) 11 북당골절터 2 만경암지 12 칠봉절터 3 팔전산 ( 팔영산 ) 봉수지 13 송팔응장군과백마 4 류정승피난굴 14 송팔응장군의누님과공깃돌바위 5 먼지재의서낭당 15 수원암의덕대장사 6 서불암지 16 수룸바위 7 빈대절터 17 성문바위 8 안양암터 18 팔영산의여덟봉우리이야기 9 지장절터 10 수원암터 19 고흥팔영산도립공원조성사업지구내문화유적 ( 성기리기와가마터 ) 2) 보존가치및보존현황 가 ) 시도지정문화재시도지정문화재는문화재청장이지정하지않은문화재로시도지정문화재위원회의심의를거쳐시 도지사가지정한문화재로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및민속자료등 4가지유형으로구분된다. 팔영산지구내조사된시도지정문화재는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 1점이며, 능가사의외곽에위치하고팔영산국립공원조사구역 793에해당한다. 추계당부도와사영당부도는각각 17세기중반과후반경에조성되었을것으로사료된다. 추계당부도는석종형으로형태와문양이조선종과흡사하다. 정상부는종의용뉴와흡사하고총 4마리의용머리가동서남북을향하고있다. 사영당부도는이형부도로방형의하대석을앉히고귀퉁이사방에용두를조각하였다. 탑신한쪽에직사각형의위패를새기고그안에사영당이라는당호를새겨넣었다. 옥개석은방형으로팔작지붕형합각을나타냈으며, 상륜부는옥개석과같은돌로조각되었다 ( 문화재청, 2012). 두부도모두곳곳에균열과박리박락, 마모등으로인하여보존상태가양호하지않으며, 사영당부도는탑신전체적으로옅은녹색지의류가고착되어있다. 이는지반이잔디로이루어진때문으로보여지며현황및보존상태를간략히정리하면다음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285
306 15. 역사 문화자원 격자번호팔영산 지정번호전남유형문화재제 264 호 명 칭 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 재 질 응회암, 잡사암 GPS 현황 시대조선시대 (17 세기중반 ) N34 38'15.93" E127 24'57.27" 보존가치 추계당 : 석종형부도로방형의하대석위로 8 각의복련을새긴기단부가관찰됨 추계당 음각 사영당 : 이형부도로하대석귀퉁이에용두가조각됨. 북쪽에위패모양새기고사영당당호새김 보존현황 < 추계당부도 > < 사영당부도 > 추계당 : 박리상균열과박리박락관찰, 암석의특성상반정이빠져나간공동발견, 유두부위보수흔적, 기단부지의류고착 ( 음각상태희미함 ) 사영당 : 지붕틀과기단부에구조상균열과녹색지의류, 흑색지의류고착이관찰됨, 상륜부는박리박락심하며, 탑신전체적으로옅은녹색지의류고착됨, 덩굴식물이기단부를덮음 낮은철책으로보호되며, 입간판설치 지반이잔디로수분에의한피해우려됨 나 ) 비지정문화재 (1) 유적지 1 능가사부도군 능가사부도군은능가사경내에서서쪽편으로작은개울을건너 50m 정도떨어진지점에조성되었다. 조선후기에건립된것으로보이는부도 9기가있으며, 그중전면에위치한 2기는전라남도유형문화재추계당부도와사영당부도이다. 나머지부도가운데가장전면좌측에위치한벽해당부도는사각형지대석위에팔각형탐신을올리고전각형옥개석을결구하였다. 탑신석한면에주인공시호를음각하였고, 상륜부는시멘트보수물질이충전되었으며, 각종지의류피복률이매우높다. 운봉당부도는사각형지대석위에원구형탑신을올리고사각형옥개석을마련하였다. 탑신석한면에액을마련하여주인공시호를음각하였다. 곳곳에생물피복과시멘트보수가관찰되며, 상륜부는일부파손이관찰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86
30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광희대사부도는사각형지대석위에원형으로복련과앙련이장식된대석을 2단으로마련한다음원구형탑신석을올렸다. 옥개석은서까래와부연이표현된전각형을상륜부는받침대와보주가남아있다. 몸체곳곳에균열이관찰되고선태류피복률이오른쪽에유난히집중된다. 옥개석에서는시멘트보수흔적이관찰된다. 당부도는명문의마모가심해판독이어려우며, 사각형지대석과하대석을마련하고상대석은앙련문을장식하였다. 벽천당부도는사각형지대석위에원형으로복련과앙련이장식된하대석과상대석을마련하였다. 탑신석은원구형으로한쪽면에액을마련하고주인공을음각하였다. 몸체에박리가심각하며곳곳에박락과박리상균열, 기단부모서리마모등이관찰된다. 향암당부도는사각형지대석과대석을마련하고원구형탑신석을결구하였다. 옥개석은사각형으로상륜부는노반, 복발, 보주가올려져있다. 하단부에시멘트보수물질이관찰되며, 옥개석에다양한종류의지의류가관찰된다. 명문이없어주인공을알수없는무명부도는지대석을마련하여팔각의기단부와탑신석을올리고옥개석은사각으로모서리는도드라지게양각하였다. 상부연녹색지의류피복률이매우높으며, 선태류도관찰된다. 모두 2m 내외의높이를보이며, 모든부도에서시멘트또는수지보수흔적이관찰된다. 낮은철책으로보호되고있으나잔디지반으로인한생물과수분침해가우려되며, 물리적훼손상태는모두심각하고, 변색은벽천당부도가가장극심하다. 능가사부도군 < 벽해당 > < 운봉당 > < 광희대사 > < 당 > < 벽천당 > < 향암당 > < 무명 > 국립공원연구원 287
308 15. 역사 문화자원 2 만경암지 능가사에서 1봉으로오르는팔영산중턱에위치한만경암은능가사의부속암자로 1905년을사보호조약이체결되어전국에서의병이봉기하자고흥지방에서팔영산을중심으로항일무장투쟁을전개하였다. 1909년만경암에집결하여 120명의의병부대가일본토벌대의기습으로많은희생자를낸사실이전남폭도사에기록되었다. 유적은일부축대와초석이남아있으며, 기와파편이곳곳에산재한다. 유적보존이잘되어있지않고안내판도숲에가려져찾아가는길이쉽지않고아는사람이거의없다. 만경암지내에는축대와초석이일부잔존하고수많은기와파편이발견되어있어향후발굴과연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등산로에서확인할수있도록안내판을신설해야할것이다. 만경암은벽오와그의제자형연등이머물렀던암자였는데옛날에는보현암이라고불렀으나능가사를중창한벽천이이암자도중수하면서만경암으로개칭하였다고한다. 현재만경암은조선말항일의병들이저항하며싸웠던전적지로더잘알려져있다. 이지역주민들은이곳만경암을맹감절터, 맹갱절터등으로부르고있다. 이밖에능가사부속암자로정확한기록이되어있는것은서불암, 칠봉암뿐이다. 만경암지 3 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 ( 고흥팔영산도립공원조성사업지구내문화유적 ) 전남고흥의팔영산주변에는유물산포지가많이발굴되었지만팔영산내에서유적이확인된건많지않다. 팔영산도립공원당시발굴조사실시중에발견된고흥성기리기와가마는팔영산의북서쪽으로뻗어내린자락사면부에위치한다. 주변용수공급이원활하고산림자원이풍부하여손쉽게땔감을구할수있는곳이다. 국립공원연구원 288
30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 ( 고흥팔영산도립공원조성사업지구내문화유적 ) 2004~2005년발굴조사를통해 2000m2규모의조선시대기와가마 3기, 조선시대옹기가마 1기, 용도미상가마 1기, 조선시대배수로 1기, 폐기장 4기, 점토저장시설 2기, 미상수혈 4기가확인되었다 ( 문화재청, 2012). 출토유물은기와류, 옹기류, 자기류등이며, 현재관람객을위해유구의최대한의원형을보존하여전시하고있으며, 상세한설명이소개되어있다. 보호각은완전폐쇄형으로통풍이어려우므로여름철습기로인한곰팡이와들뜸현상이우려된다. 4 팔전산 ( 팔영산 ) 봉수지 문헌기록에따르면동쪽으로순천백야곶봉수, 남쪽으로마북산봉수와서로응하는조선시대 5로의봉수노선중제5로에해당하는연변봉수의직봉이다. 그러나남쪽의마북산봉수가설치되기이전에바로천등산봉수가연결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 의낙안군봉수조에 군남림시남준장흥부팔산 이라는기록이있어당시에는낙안군과도응했다는사실을알수있다. 이봉수의설치는 1454년이전이며 1894년에폐지되었다. 팔전산봉수는깃대봉 ( 원래이름은봉래봉 ) 에위치하며, 고흥군에서가장높은지점으로여자만과순천만등고흥반도의대부분지역이관망된다. 산정상에평탄지를조성하여연태를설치하였고주변이일부석축시설이확인된다. 현재봉수의연태내부에는한국전력중계탑이, 서쪽경사면에는경찰초소가자리하고있어북측과서측면이유실되었다 cm규모이며, 주변에서는도기, 토기편등이수습되었다 ( 배종부, 1991; 최인선, 2002). 국립공원연구원 289
310 15. 역사 문화자원 팔전산 ( 팔영산 ) 봉수지 5 류정승피난굴 고려시대고위관리이자외교관으로활약하던류청신 ( 柳淸臣,~1329) 이 10세때왜구의침입을피해부모를따라피신한석굴로알려졌다. 피란중에적에게발각되어적의칼날이어머니의가슴을겨누는순간재빨리적을가로막고대신죽여달라며애원했다고한다. 그러자그효성에감복한왜구들은그들을죽이지않고그대로물러났으며, 나중에이사실이조정에알려지자나라에서는그의효성을기려효아정려를내렸다. 이를계기로이곳을류정승피난굴이라전하고있으며, 굴전면에는류정승피난지라는여섯글자가새겨져있다. 류청신은호가신암, 본관이고흥이며, 고려때문하시랑평장사를지낸류욱의손이고, 문하시랑추밀원사를지낸류승무의아들이다. 18세과거에급제하여좌참찬이되었으며, 충렬왕때공을세워 3품으로승진하였고충렬왕은당시장흥부고이부곡을고흥현으로승격시켜주었다. 충렬, 충선, 충숙왕대의외교관으로원나라에 29번왕래하였고, 끝내고국으로돌아오지못하고원나라에서생을마감하였다. 나라에서영밀이라는시호를내리고제사를지내도록했다. 우리나라에호두나무를최초로들여온사람으로유명한류청신은천안시풍세면에사우와정려가있고, 고흥읍봉황산중턱에유적비가남아있다 ( 고흥군, 2010). 이석굴은팔영산자연휴양림매표소를지나자마자좌측암반에위치하고있으나별도로설치된안내판이없고접근이원활하지않아재정비가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계곡을건너계단이조성되어있으며, 전면에수계가있는것에비해보존상태가양호하고내부도깨끗하다. 그러나암반에서흘러나오는수분이흑화현상을발생하고있으며, 연녹색고착지의류가곳곳에피복되어있다. 석굴상부에 柳政丞避難地 가석각되어있으며, 내부공간은 3평정도로여전히인적이관찰된다. 국립공원연구원 290
3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류정승피난굴 6 먼지재의서낭당 먼지재는점암면성기리와영남면금사리를잇는산길의고갯마루를말한다. 이산길은일반주민들뿐만아니라조선시대여도, 녹도, 발포진을관할하던사도진첨사가부임할때사도로넘어가던행차길로도이용되었다. 팔영산먼지재에는서낭당이있었다고한다. 오랜기간이곳을이용하는이들이적고, 관리하지않으면서방치되어있던것을 2010년 2월고흥군에서팔영산편백숲을조성하면서복원한것이다. 서낭당을지날때에돌을탑처럼쌓은누석단에돌 3개와솔개비를얹어놓고침을 3번뱉은다음왼쪽발꿈치로땅을 3번구름으로써행로의안전과행운을기원했다. 또한서낭나무에입던옷의저고리동정이나 5색헝겊조각을걸고치병과무병장수를빌었으며, 새집으로이사할때옛집의잡귀들이따라오지못하도록옷을찢어걸어놓기도하는등여러가지풍속이있다 ( 고흥군, 2010). 현재에는편백숲의정상에위치하는데인적이드물어지면서관리도소홀하며자연스럽게유실되고있는듯하다. 입간판에는먼지재와서낭당에대한간략한소개가되어있고과거서낭당과함께 4각제단이있었다는기록이있다. 먼지재의서낭당 7 서불암지 국립공원연구원 291
312 15. 역사 문화자원 능가사부속암자중하나인서불암은팔영산 9부능선의층암절벽아래에있다. 현재대숲으로둘러싸여있고그흔적만조금남아있는데, 만호를지나백운동골짜기를쳐다보면암자터가있다. 주민들은서불암을서부사, 서부암, 서암등으로부르고있으며, 일명서불사의암이라고도한다. 조선시대인문지리지인조선환여승람에는서불암의절경이다음과같이묘사되어있다. 밑에서올려다보면마치하늘에닿아있는듯하고, 위에서내려다보면조망이좋아바다와하늘이한눈에들어왔다. 잔도를따라올라가면작은섬들이바둑알처럼널려있고, 화표주 ( 망주석 ) 가파도위에있어사람들이보석이라고일컬으며멀리바라보이는노인성과해드는아름다운모습은장관을이룬다. 서불암뒤편절벽바로밑에는물이마르지않는작은옹달샘이있는데샘안에 9개의용알이있었다하여이름을구룡정이라한다. 그러나현재용알흔적은없고이샘물을마시면백년의수를누린다는전설이함께전해지고있다. 또암자터뒤편의절벽에는손가락세개가들어갈만한구멍이있었는데여기에서쌀이나왔다는전설이있다. 서불암은팔영산의여러암자중가장근래까지스님이기거했던암자로알려져있다. 30~40년대까지도스님이머물렀고, 여순사건당시에는빨치산들이은거한곳으로도알려져있다 ( 고흥군, 2010). 서불암은만경암과함께능가사사적비에서그기록을확인할수있으며, 서불암을오르는백운동계곡에는전병도사건 1) 으로알려진기도원터가남아있다.. 서불암지 8 빈대절터 빈대절터는백운동오른쪽기슭으로오르는등산로곁에있다. 주변에는야생차들이자생하는데, 옛날이곳에머물던승려가뿌린차씨가자란것이라고하나추정할뿐자세히알수없으며, 빈대암의고증자료는없으며, 다음과같은이야기가전한다. 절에빈대가많아서승려들이견디지못하고떠났는데, 10년후다시와보니사흘만에다시빈대가득실거렸다. 더불어 강구천년, 빈대백년 이라는경구가전하는데, 강구는바닷가바위틈에사는갯강구를말한다. 한편빈대에얽힌재미있는얘기가 1) 전병도사건 : 1966 년전병도는 20 여명의교인들을이끌고이곳에들어와기도원을짓고신앙공동체생활을시작하였다. 점차학대와전횡이도를넘어경찰이수배하면서이곳기도원이외부에알려지게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92
3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있는데, 옛날한스님이빈대에시달린나머지침상의네다리를물이가득든그릇속에담아두면, 아무리빈대라도물을헤엄쳐건널수없다고생각했다. 스님은그날밤침상의네다리를큰물그릇속에담가놓고안심하며잠을청했는데, 밤새빈대가천정으로기어올라가곧바로스님의몸위에떨어져스님은비명을지르고침상을박차고뛰어나갔고, 다음날바로짐을싸서하산했다고한다. 빈대절터에오르는작은길옆에는제법큰계곡이골을이루고있는데, 장마철이나비가많이올때에는물소리가시원한폭포를이룰수있는곳도있다. 또빈대절터아래능선쪽으로산동백군락지가형성되어있다. 그러나외지인들이불법적으로많이굴취해갔는지현재남아있는개체수는그리많지않다 ( 고흥군, 2010). 팔영산빈대절터 9 안양암터 두류봉 ( 제6봉 ) 으로오르는등산로왼쪽에위치한큰대숲이안양암이있던자리이다. 안양암터는팔영산내암자터가운데가장크며, 절의승려들이농사짓던 35계단이넘는다랭이논터가아직그대로남아있다. 또한절터인근에는규모가크고수량도상당한샘터가있다. 일설에민중불교를포교하고실천하던한스님이있어이곳에암자를짓고주위를개간하여자급자족의삶의실천했는데, 붓다의무소유정신을가르치고실천했던이스님을많은사람들이따랐다고한다. 이후불자들사이에서는자연스럽게그를큰스님으로부르게되었고, 큰스님이계신절이라는뜻에서큰절이라불리기도했다. 또이절터위에는규모가제법큰샘터가있는데수량도상당하고샘터옆에아직남아있는안내표지로보아거의 80년대까지식수로사용하지않았을까추측된다 ( 고흥군, 2010). 이절터는현재넓은대숲으로덮혀있어, 정확한내부확인이어려우나, 1기의봉분도확인된다고전해진다. 국립공원연구원 293
314 15. 역사 문화자원 팔영산안양암터 10 지장절터 지장암터는일명딸각바구절터라고도하며, 강산리한동마을건너편의기도원이있는계곡을따라오르다보면우측능선의울창한대숲속에절터가있다. 군사용진지와비슷한정방형석축흔적이남아있다. 임진왜란당시팔영산에있던모든암자는우리병사들의주둔지로활용됐는데진지형태의정방형석축또한임진왜란당시의방어진지로추정하기도한다 ( 고흥군, 2010). 대나무숲이넓게덮고있어석축의모습조차관찰이어려우며우측편에계곡이흐르고있다. 지장절터 11 수원암터 ( 선암절터 ) 흥양읍지등의문헌에수원암으로나와있는이절터는주민들에의해선암절터로불리기도한다. 강산리옥녀봉능선을따라왼편골짜기에대숲에가려있으며, 현재몇단의큰석축단이남아있다. 2m 이상되는기단석은원형이대체적으로잘보존되어있으나오른쪽기단일부가심하게허물어져있으며, 현재는무속인들의제사터가되고있다 ( 고흥군, 2010). 국립공원연구원 294
3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2 북당골절터 일명중병골절터라고도하며옥녀봉우측산기슭맨위쪽대숲속에흔적이남아있다. 석축단의규모로보아꽤큰암자가있던것으로추정된다 ( 고흥군, 2010). 13 칠봉절터 칠성봉에서성기리쪽의 8부능선아래있다. 현재대숲만이무성하지만여순사건의빨치산들이은거하면서진지를형성한흔적이남아있는곳이다. 남아있는석축단만보아도상당한규모의암자였음을알수있으며, 대숲과멀리운암산과점암면, 과역면일대를한눈에조망할수있다는이점때문에빨치산들이은거지로활용했던것으로추측된다. 절의우측촛대형상의바위위에빨치산들의감시초소가있었다고전해지며, 절터인근에진지용총안을형성했던석축의흔적이남아있다 ( 고흥군, 2010). 이렇게조사된지정되지않은절터들의명칭은흥양읍지의문헌과마을주민들의증언을토대로작성된것이다. 그밖에강산리와성기리등팔영산인근마을주민의증언을종합하고흥양읍지및능가사의기록을참고하면팔영산에는 20개가넘는암자가있었던것으로추정된다. 부두암, 빌암, 원각암, 중봉암, 상봉암, 뽀옥암 ( 뽁지암 ), 칠봉암, 우영소, 만경암, 서불암, 수원암, 지장암, 세다리, 빈대암, 성문암, 담상암, 중병암등이나, 주민들이증언과도서로맞지않아정확한위치추적이어렵다 ( 고흥군, 2010). (2) 무형자원 무형자원은전설이나민담등마을주민들에의해전해지는설화가대부분이며, 고흥군에서발간한 팔영산에얽힌이야기 에서발췌하였다. 1 팔영산의여덟봉우리이야기 전남고흥군점암면과영남면에걸쳐우뚝솟은팔영산은고흥군의진산이라할수있으며군내에서가장높고예부터신경스러운산으로알려져있다. 산꼭대기에웅장한 8개의바위그늘이한양에까지드리워져서팔영산이라불렀다고하는설과금닭이울고날이밝아오면서붉은햇빛이바다위로떠오르면팔봉은마치창파에떨어진인판과같아서그림자영자를붙였다고하는설이있다. 또한옛날중국위나라태화연간에팔봉의그림자가왕의세숫대야에비추자왕이이를상서로이여겨신하들에게이것이어디에있는무슨산인가를알아보도록했는데, 멀리고흥반도에이와똑같은 국립공원연구원 295
316 15. 역사 문화자원 산이있다는보고를받고는산이름에그림자영자를붙여주었다고도한다. 팔영산의여덟봉우리는제1봉유영봉을시작으로제2봉은성주봉, 제3봉은생황봉, 제4봉은사자봉, 제5봉은오로봉, 제6봉은두류봉, 제7봉은칠성봉, 제8봉은적취봉이다. 2 먼지재지명유래 먼지재는점암면성기리와영남면금사리에잇는산길의고갯마루를말한다. 이산길은일반주민뿐아니라조선시대여도, 녹도, 팔보진을관할하던사도진첨사가부임할때사도로넘어가던행차길로이용되었다고한다. 먼지재의명칭은여러설이있는데, 이고갯마루에가끔회오리바람이불면서먼지가일었기때문에먼지재로부르게되었다고한다. 또다른설은영남면쪽에서바라보면멀리재가보이기때문에 먼지재 로부른것이나중에발음이와전되어먼지재 몬지재 몬짓재등으로변천되었다는것이다. 흥양읍지에 먼지 ( 遠地 ) 재 기록된것으로보아서후자의것을더욱신빙성높게보고있다. 3 송팔응장군과백마 팔영산에는송팔응장군의전설을비롯한여러가지전설과민담이스며있다. 송팔응장군과백마에얽힌전설을소개하면다음과같다. 송팔응 ( 宋八應 ) 장군의어머니는시집간지 5년이지나도태기가없자, 명산인팔영산에들어가백일기도를드렸다. 그러던어느날꿈에백발노인이나타나팔영산에서제일큰일봉을그녀의품에안겨주면서 너의저성이지극하니천진신명께서반드시영험을내려주실것이니라. 하고는이내일봉에다지팡이를꽂은뒤에구름을타고등천했다. 꿈을꾼후바로태기가있어아이를낳으나그가바로송팔응장군으로팔영산의정기를받고태어났는데어려서부터기상이비범하고총명하였으며기골이장대하게자라났다. 나이 15세에장군은날마다새벽이면팔영산에들어가열심히무예를닦았고, 병자호란이일어나기전새벽에마을인근에용연이라는큰연못을지나가게되었다. 못보던백마한마리가연못가에서성대고있는것이아닌가. 이상하게여긴장군이백마곁을다가가니백마는기다렸다는듯이발을치켜들면서기쁘게울어댔다. 장군이목을쓰다듬어주자백마는곧땅에엎드리면서자기등에올라타라는시늉을했다. 기이하게생각한장군이마침내말등에올라타자백마는크게한번울음을내뱉고이내하늘높이날아단숨에팔영산정상에도달했다. 장군은너무도기뻐하며그백마와함께팔영산을오르내리며더욱열심히무예를닦았다. 10년을보내면서어느날장군은백마의능력을시험해보고자팔영산의높은봉우리까지화살을쏠터이니그보다빨리도착하지않으면목을치겠다고하였다. 그러자백마는알아들은듯연신발을구르며크게울어댔고이윽고송팔응장군은 국립공원연구원 296
3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먼산봉우리를향해활을쏜뒤, 동시에말을몰아그봉우리를향해내달았다. 장군을태운백마는힘차게하늘을날아순식간에팔영산상봉에도착했다. 그러나기다려도화살이도착하지않고주변에도화살이보이지않아낙담하여칼을빼고그자리에서백마의목을내리쳤다. 그러자갑자기천둥이치면서비바람이일더니그바람을뚫고그제서야화살이뒤편바위에와꽂히는것이었다. 장군은자기눈을의심했으나이미엎지러진물이었고, 자기가너무도성급하고경솔했음을깨닫고애마의목을붙들고목놓아울었다. 이날이바로북쪽오랑캐가쳐들어와병자호란이일어난날이었고장군은백마의등에서안장을떼어내어산아래로힘껏던지며 미안하다, 미안하다 를외치고백마를양지바른곳에잘묻어주었다. 그때장군이던진말안장은바위로변해지금까지도남아있는데, 성기리의편백숲속에이바위가있다. 그후장군은병자호란이끝날때까지싸움터로나가용감하게싸웠다. 조정에서는장군의전적과충의를높이치하하고벼슬을내렸으나그는이를거절하고고향에돌아가조용히은거하였다. 장군의나이팔십에이르던어느날, 다시팔영산을찾아백마의무덤앞에서옛생각에젖어다음과같은시한수를읊었다고한다. 팔응팔십등팔영팔영불노팔응노 ( 나이팔십에팔영산에올라보니팔영은늙지않았는데나팔응만이렇게늙었구나!). 팔영산에는아직도장군이쏘았던화살이꽂힌바위와장군이산아래로내던진말안장바위가있어이전설을전하고있으며, 지역민들사이에서는이러한내용을가사로한민요가불리고있다. 4 송팔응장군의누님과공깃돌바위 송팔응장군에게는장군을아끼는누님이있었다. 어려서부터장군의누님은장군보다모든것에앞섰는데, 장군보다기운도더세고무슨일을해도장군이당해내지못했다. 그러나여자라는이유때문에남앞에서는그런재주를절대드러내지않았다. 그리고혹시라도송팔응장군이의기소침해질까봐장군과의시합에서는일부러져주는일이많았다. 누님은날마다장군과함께팔영산에올라장군이무예를닦는일에게으르지않도록훈련시키고독려했다. 그렇게무예를닦으며자신감을갖게된송팔응장군은어느날, 누님을이길수있을것같다는생각이들어내기를걸었다. 결국남매는팔영산봉우리에있는바위를공깃돌삼아공기놀이를시작했고팔응이먼저시작했다. 마지막, 한꺼번에손등의공기를허공에띄웠다가낚아채는대목에서그만샐패하고말았다. 팔응의손바닥을빠져나가산밑으로우수수떨어진공깃돌은현재성기리편백숲속에군데군데남아있다. 누님의차례가되었다. 이번에도동생이의기소침해질까봐똑같은실수를하여공깃돌을일부러놓쳐버렸다. 공깃돌들은산밑으로떨어졌는데그중하나는너무멀리날아가서어디에떨어졌는지조차알수없었다. 이때송팔응장군은이런누나의마음을깨달았다. 서로의마음을알아 국립공원연구원 297
318 15. 역사 문화자원 차린오누이는웃으면서손을맞잡고팔영산을내려갔다. 이날누님의손에서빠져나간공깃돌중하나가동강면이라고한다. 따라서지금도동강면마륜리원등저수지를따라조금오르다보면길가에큰바위가있어사람들은이바위를공깃돌바위또는고인돌바위라고부른다. 5 수원암의덕대장사 수원암 ( 선암 ) 의기단석을보면산속에서어떻게저렇게굵은돌로기단석을쌓았을까하는의구심을갖게된다. 어느날이수원암에성도이름도없는팔척거구의사내가찾아와절머슴을살고싶다고했다. 이리저리사람됨을살피던스님이허락하여그날부터절머슴으로살게되었는데, 이름이없던터라덩치가크다고하여그냥덕대라고불렀다. 어찌나기운이센지한말밥을먹고힘을쓰는데굵은기단석을번쩍번쩍들어서쌓았다고한다. 담력또한대단해서벼다섯섬을지고수룸바위끝에서돌아앉아대변을보았다. 또비오는날이면서말절구통을삿갓대신머리에뒤집어쓰고다녔으며그괴력에는스님들도모두혀를내둘렀다고한다. 6 수룸바위 강산폭포등위에있는바위인데강산쪽의수십길낭떠러지위에넓게튀어나와있다. 옛날부터사내들은동구밖에놓여진 들돌 로서로의힘을과시했고이곳수룸바위에서는담력을시험했다고한다. 수룸바위끝에가서낭떠러지를내려다보고오줌을싸면담력이큰사람으로인정받았고, 그바위끝에서돌아앉아변이바위에걸치지않게싸는사람은최고의담력을지닌사내로인정되어자랑거리가되었다고한다. 수원암의절머슴덕대는벼다섯섬을지고이수룸바위위에서돌아앉아낭떠러지로떨어지게변을보았다고한다. 또이바위끝에서대변을보면소원을이룰수있다는얘기도함께전해진다. 7 성문바위 성문바위는지장골과북당골사이의골짜기에있는입석바위로큰성의문처럼생겼기때문에사람들은이바위를성문바위라고부른다. 이곳골짜기를성문골이라하고, 이곳암자를성문암이라고부르는것이여기에서연유한다. 옛날에한장수가이성문을열고들어가면서말하길, 태평세상이오기전에는결코나오지않겠다고했다. 그렇게문을닫고들어간그장수는아직도나오지않고있는데언제쯤그가성문을열고나와대동세상, 평등세상을이룰지민초들은그날을손꼽아기다리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298
3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고흥군, 2010, 팔영산에얽힌이야기, 고흥군청. 국립공원자원총람홈페이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문화재청,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 -문화재보존관리지도-, 문화재청, 2012, 배종무, 고용규, 관방유적 도요지, 고흥군의문화유적, 1991, 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 성춘경, 이계표, 금희태, 고흥군의불교유적, 고흥군의문화유적, 1991, 목포대학교박물관. 전국문화유적총람, 최인선, 박태홍, 고흥군의호국유적Ⅱ-봉수-, 2002, 순천대학교박물관. 국립공원연구원 299
320
321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16 조사위원 권헌교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이은정 이효은
322
3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1) 조사배경및필요성 국립공원은우리나라의자연생태계나자연및문화경관을대표하는지역으로서엄정한자원보전과지속가능한이용을도모하기위해지정된곳이다 ( 자연공원법제1조 ). 그러나 2007년국립공원입장료폐지, 주5일근무제 수업제정착에따른여가시간증가, 국립공원을비롯한숲의건강및치유기능에대한관심증가 (wellness, wellbeing, naturalbeing, slow life, LOHAS-Life of Health & Sustainability), 북한산둘레길, 태안해변길, 에코빌리지등탐방객관리패러다임변화및탐방인프라확충, 가족중심및체험형여가활동증가등최근사회환경변화 ( 그림 16-1) 로인해국립공원탐방수요는지속적으로증가 1) 하고있다 ( 그림 16-2).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자원훼손및탐방만족도저하의가장직접적요인인탐방수요증가에전략적으로대응하고, 보호지역에대한역할강화, 공원의새로운가치창출, 기후변화및사회환경변화에적극적으로대응하기위해 자연보전의핵심, 생태복지의선도기관 을 2013~2017 중장기경영목표비전으로선정하고건강한공원자원보전 ( 서식지건강성증진, 자연생태계복원등 ), 행복한생태복지실현 ( 미래세대환경교육강화, 국민휴식 치유공간확충등 ), 함께가는파트너십구축 ( 이해계층과의갈등해소체제구축, 취약계층대상사회공헌확대등 ), 앞서가는공원관리구현 ( 공원특성별관리강화, IT 기반의공원관리구현등 ) 등 4대전략목표, 15개전략과제를마련 시행할예정이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그림 16-3). 그림 최근사회환경변화와여가동향 그림 국립공원탐방객수 ( 천명 ) 국립공원탐방객관리에있어가장어려운딜레마는탐방수요의불균형, 즉특정 1) 2006 년 (26,786 천명 ) 대비 2011 년 (40,803 천명 ) 약 52% 탐방객수증가 (2012 국립공원기본통계 ) 국립공원연구원 303
324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시기의탐방집중현상 ( 그림 16-4) 을어떻게관리할것인가의문제이다. 왜냐하면탐방집중현상, 경제학개념으로해석하면순간적으로공급이수요를충족시키지못하는경우는공원관리자나탐방객양측모두에게사회 경제적비용부담을높이고자연자원의질훼손과혼잡으로인한탐방만족도의질저하를야기하기때문이다 ( 김사헌, 2003). 결국, 국립공원관리자는공원내자연생태계, 역사 문화, 경관, 휴양자원의훼손과부정적영향을최소화하는동시에탐방객들에게양질의휴양경험을제공할수있는이용수준과관리전략을마련해야한다. 이를위해서는자원에대한면밀한조사 모니터링뿐만아니라탐방객에대한사회과학적분석, 즉탐방객특성 (visitor profile), 탐방행태, 수용력평가가반드시필요하다. 그림 국립공원 4 대전략목표그림 탐방집중현상 ( 팔영산 ) 2) 수용력개념 수용력 (carrying capacity) 이란최초방목학에서나온개념으로일정한범위의지역이수용할수있는동물의개체수를의미하는개체군성장이론에서시작되었다 ( 신원섭, 1999). 즉자연생태계에서수용력개념은일정생태계또는서식처의회복불가능한훼손없이지탱될수있는특정종의최대개체군밀도로정의할수있다 ( 박석희, 1995). 야생동물혹은자연생태계관리개념으로시작된수용력개념은 1960년대 Wagar(1964) 와 Lucas(1964) 가야외휴양분야에도입한후, 탐방집중지역에서의수용력추정의필요성을제기하면서휴양자원관리에적용되기시작하였다. Wagar(1964) 는수용력을 한지역이지속적으로양질의탐방경험을제공하면서유지될수있는이용수준 으로정의하고, 답압과혼잡도의영향을분석하는등생태적인측면뿐만아니라, 사회적인면을최초로수행하였다. 수용력과관련하여초기야외휴양연구는원생지 (wilderness) 가보유하고있는물리적 생태적환경의특성을기술하는데서시작되었다. 물리적 생태적연구에서하나의개념적틀로사용된수용력개념은차츰인간의생활영역확대 발달과함께의미의폭이확대되어최근에는탐방객경험즉, 사회 심리적분야까지다루고있다. 수용력개념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생물 생태학적개념으로출발하여, 1980년대 국립공원연구원 304
3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사회 환경적, 심리적요소가반영된사회적수용력개념으로발전되었다. 이후수용력의범위와적용대상은세분화되었으나많은연구자들이정의한수용력개념을종합하면, 물리적, 생태적, 사회심리적수용력으로구분할수있다. 첫째, 물리적수용력은인공구조물이나시설물의최적공간규모즉시설이수용할수있는능력으로서, 도시및지역계획상의옥내공간규모설정에많이적용되며장소 ( 시설 ) 내에서특정활동에참여할수있는탐방객의최대허용수준을의미한다. 둘째, 생태적수용력은특정지역에서환경의질이저하되지않고유지될수있는최대개체군밀도로서, 식생 토양 수자원 야생동물등이심각하게훼손또는감소되어자기회복능력을상실하지않는정도의탐방수준을의미한다. 셋째, 사회심리적수용력은탐방객만족이극대화되는탐방밀도수준을의미한다. 수용력은일반적으로숫자로표시하지만국립공원내에서탐방객들은선형관광형태로시 공간적으로빠르게이동하고분산하며단순한활동참여가아닌방문동기를충족시키기위해다양한탐방활동을하기때문에어느일정이용수준을숫자로표현하는것은현실적으로불가능하다. 또한각국립공원은고유의수용력을가지고있고연구나관찰을통해그것을발견할수있다는생각은수용력개념을공원관리에적용하는데있어가장큰오해다. 왜냐하면국립공원내에서수용력이란단순하게하나의숫자로표시할수있는기술적인산물이아니라생태학적, 물리 ( 시설 ) 학적, 사회 심리학적요인조사와공원관리계획및정책, 탐방객의견, 자원및예산범위등을고려한가치판단의산물 ( 그림 16-5) 로보아야하기때문이다 ( 신원섭, 1999, 국립공원연구원, 2007). 그림 수용력개념의패러다임변화 따라서모든각각의상황에따라다른이용수준이결정되지않는한수적인수용력결정은사실상불가능하며, 만약연구를통해수적인수용력이결정된다고해도현시점에서탐방객을통제할수단이없기때문에국립공원관리자가최우선적으로고려해야할사항은탐방객수를관리하는것이아니라해당지역의적정수용력을결정하는생태학적 물리 ( 시설 ) 학적, 사회 심리학적지표와평가기준 (indicator & standard) 을 국립공원연구원 305
326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관리하는것이다. 다시말해서얼마만큼의탐방객이적절한수준인가? 의관점이아니라기후변화, 탐방수요, 이용행태, 탐방객의시 공간적분포, 대내 외환경변화등으로부터야기되는자원변화에대한구체적인관리목표설정과모니터링을통해자원및탐방객관리가이루어져야한다 (Hammitt and Cole, 1987; Hendee et al., 1990; Cole, 1994, 국립공원연구원, 2007). 한편과거수용력연구의대부분은탐방수요증가가자원의질에미치는부정적인영향을단순선형관계로가정했지만, 실제연구결과에서는직접적선형관계보다는매개변수를통한간접적관계로나타났다. 이러한선행연구결과들은수용력연구를더욱발전시키기위한노력을가속화시켰고, 1980~1990년대이후에는수용력개념에대한한계와약점을보완하는다양한관리모델들이북미공원관리연구가들에의해개발되었다. 수용력관리모델로는허용가능한변화의한계 (limits of acceptable change; LAC), 탐방객영향관리 (visitor impact management; VIM), 탐방객경험과자원보호 (visitor experience and resource protection; VERP) 모델등이있으며, 최근이슈인생태계건강성평가모델, 스트레스지수역시광의의개념에서는수용력관리를위한모델이다. 이가운데탐방객경험과자원보호 (VERP) 모델은미국의 NPCA(national park & conservation association) 에서기존의수용력모델을보완하여 9단계체계로개발하였으며현재요세미티및아치국립공원등에서적용 모니터링되고있다 ( 그림 16-6). VERP Framework VERP 모델재구성 그림 단계 VERP framework * 자료 : VERP Framework A handbook for Planners and Managers 재정리. 결론적으로국립공원내에서의수용력은절대적가치가아니며공원특성, 관리목표, 국립공원연구원 306
32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탐방량이자원에미치는영향등을고려한상대적가치개념이라할수있다. 따라서사회적환경변화에따른탐방수요증가와그로인한자연자원훼손, 탐방경험의질저하문제해결을위한과학적인국립공원관리정책은과학적인조사 모니터링과국립공원이해관계자들과의사회적합의형성과정후에마련 시행되어야할것이다. 3) 조사목적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분야조사목적은수용력개념에대한이론적고찰과탐방객특성, 탐방행태, 수용력평가결과등을토대로최근급변하는대내 외환경변화에보다효율적이고탄력적으로대응할수있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관리방안을마련하는것이다. 이를위해팔영산지구에서탐방객설문조사와현지조사를통해탐방객의인구 통계적, 사회 경제적특성, 탐방행태, 공원환경평가, 혼잡도및만족도, 시 공간별탐방집중도, 사회심리적수용력등을분석 평가하였다. 나. 인문환경 1) 위치및지정현황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1981년 12월 23일 14번째국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우리나라국립공원가운데면적 ( 육상 km2, 해면 1, km2 ) 은가장넓다. 행정구역상으로는 1개도 ( 전라남도 ), 5개시 군 ( 여수시, 고흥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에속해있다. 공원구역면적은 2, km2이다 ( 표 16-1). 공원구역은흑산 / 홍도지구, 비금 / 도초지구, 조도지구, 소안 / 청산지구, 거문 / 백도지구, 나로도지구, 금오도지구, 팔영산지구등 8개지구로구분할수있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지정현황 공원명위치 공원구역 년월일면적 비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전라남도 , km2 팔영산지구 2011 년신규편입 2) 교통및세력권 * 자료 : 2012 국립공원기본통계 국립공원연구원 307
328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접근체계는전국주요도시및배후도시와광역연결도로망을통해 1차접근교통체계가형성되며, 2차접근교통체계로는배후도시와지역도로에의한순환교통망으로형성된다. 광역도로망으로는남해고속도로벌교 IC를통해접근이가능하다. 2차접근체계로는국도 15호선, 27호선, 77호선으로접근이가능하다. 주요도시에서접근시간은광주 2시간이내, 대전 부산 3시간이내, 부산 4시간, 서울 5시간이내에접근이가능하다. 3) 탐방객추이 2007년국립공원입장료폐지, 주5일근무제 수업제정착에따른여가시간증가, 광역교통망확충에따른접근성개선, 지리적특성 ( 도시근교형국립공원 ), 숲의건강및치유기능에대한관심 (Well-being, Natural-being, LOHAS-Life of Health & Sustainability 등 ) 증가, 탐방인프라확충, 가족중심 체험형여가활동증가등으로인해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대한탐방수요는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다. 또한세계화로인한다양한여가스타일을경험하게되면서탐방행태또한예전과는비교할수없을만큼다양화되고차별화된경험을추구하고있다. 2012국립공원기본통계를바탕으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 ( 전체 ) 연도별탐방객추이는그림 16-7과같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매년소폭감소하다가, 국립공원입장료폐지 (2007년 1월 1일 ) 후급격한탐방객증가현상이나타났다. 2008년 100만명을넘어선후 2009~2011년에는 100~130만명수준에서등락하고있다. 신규편입된팔영산지구월별탐방수요는표 16-8과같이 3월과 11월에탐방집중현상이뚜렷하고여름성수기인 7~8월에가장적은것이특징이다. 그림 연도별탐방객수 ( 단위 : 천명 ) 그림 년월별탐방객수 ( 단위 : 명 ) * 자료 : 2012국립공원기본통계 한편, 장기적인관점에서팔영산의탐방수요는추가분석이필요하다. 원론적인시각에서는국민들의가처분소득및여가시간증가, 건강및치유기능에대한관심증가등의 국립공원연구원 308
32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요인들이탐방수요에긍정적요인으로작용할것으로예측할수있다. 또한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국내관광이 2021년까지연평균 4.6% 성장하여약 6억 7,600만명수준으로증가할것으로예측하였으며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세계관광기구에서도 21세기관광환경조류에대해세계화에서지역화, Free-Plan SIT(Special Interest Tourism) 와재방문객증가, 정보수집방법의다양화 ( 인터넷, 스마트폰, SNS 등 ), 생태관광및공정관광등의행태를전망하고있다 (UNWTO, 2001). 이러한양적 질적변화는국립공원에서도트렌드로나타날것이분명하다. 따라서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관리자는지속적인탐방객수모니터링후과학적인수요예측결과에따라체계적인공원관리전략을마련해야할것이다. 다. 조사방법 1) 조사내용 탐방객이용행태및수용력평가분야주요조사내용은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객의인구통계적 사회경제적특성, 이용특성, 혼잡도및탐방만족도, 시 공간적탐방집중도등탐방이용행태분야, 사회심리적수용력평가분야로구분할수있다. 첫째, 탐방객이용행태분야세부조사내용으로는성별, 연령, 최종학력, 월평균가구총소득, 직업, 거주지, 동반유형, 동반인수, 체류기간, 체류장소, 소요시간, 교통수단, 방문빈도, 방문목적, 주요탐방활동, 필요정보유형, 탐방만족도, 재방문의사, 시 공간탐방집중도, 23개세부평가요소로구성한공원환경평가항목등이있다. 조사항목가운데탐방만족도, 재방문의사, 공원환경문항평가척도는 5점 Likert형 Scale(1점 : 전혀그렇지않다, 2점 : 그렇지않다, 3점 : 보통, 4점 : 그렇다, 5점 : 매우그렇다 ) 을이용하며공원환경에관한세부평가요소로는경관, 비용, 시설, 서비스, 상품, 혼잡도, 질서의식등이다. 둘째, 팔영산지구수용력평가는혼잡예상도, 혼잡지각도, 적정이용률등설문조사결과를바탕으로사회 심리적수용력을평가하였다 ( 그림 16-9). 주요분석결과는 2008년실시한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결과와비교 기술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 309
330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그림 주요조사내용 그림 조사설계 2) 조사대상및범위 조사는현지조사와탐방객설문조사를병행하여실시하였으며탐방객설문조사대상은성별, 연령, 집단규모등에따라구체적인탐방활동시간이나유형이차이나기때문에이러한변인들을고려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팔영산지구를방문한 19세이상탐방객을모집단으로하여총 400명의유효표본을수집하였으며설문방법은 1:1 대인개별면접법 (face to face interview) 을이용하였다 ( 그림 16-10). 현지설문조사는수용력평가를위해극성수기기간에집중적으로실시하였다. 3) 표본추출방법 탐방객설문조사는예비조사 (pretest) 와관련전문가의검토를통해개발된표준화된설문지를이용하였으며, 조사목적, 조사방법, 조사내용등을조사가실시되기전에충분히교육받은조사자가팔영산지구탐방을마치고귀가하는탐방객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표본추출은원칙적으로대상집단의대표성을최대한확보하기위해무작위로추출하거나확률표본추출방법 (probability sampling) 을이용해야한다. 그러나공원내접근경로가다양하여탐방객들이선형관광형태로시 공간적으로빠르게이동 분산하는공원특성상단순무작위추출 (random sampling) 이나확률추출방법은현실적으로불가능하다. 따라서가능한탐방객의성별및연령비율을다양하게조사하도록하는편의표본추출방법과체계적표본추출방법을함께적용하였으며조사의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9%P이다 ( 식 1). 국립공원연구원 310
33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Z : 95% 신뢰수준에서의 Z- 값. P : 모집단비율로최대표본크기를구하기위해 0.5 적용 E : 최대허용오차 식 1 라. 결과및고찰 1) 인구통계 사회경제적특성 팔영산지구탐방객의인구통계 사회경제적특성을살펴보면성별은남성이 56.4%, 여성이 43.6% 로나타났다. 그러나이러한결과는남성설문응답률이높다는정보일뿐모집단전체의성별을대표하지않는다. 본조사에서는응답자에게동반인원의성별을묻는 2차질문을실시하여표본조사의신뢰성을검증하였다. 분석결과응답자한사람의동반인원은남성이평균 4.54명, 여성이 3.88명으로팔영산지구는남성탐방객비율이여성탐방객보다많은것으로나타나표본추출은양호한것을알수있다. 연령은 50대 43%, 40대 25.5%, 30대 15.9%, 20대 8%, 60대이상 7.6% 순으로나타나, 산악형국립공원평균연령비율 (20~30대 47.3%) 보다는중 장년층비율이상대적으로높은것으로나타났다 ( 국립공원연구원, 2010). 소득수준은 200~300만원대가 27.3% 로가장높고 300~400만원대가 24.1%, 400~500만원대가 17.4% 순으로나타났다. 학력수준은고졸이 49% 로가장높고다음으로대졸 38.5% 로타공원에비해학력수준은높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직업은자영업, 회사원, 전업주부, 전문직, 공무원 / 교원순이며, 응답자거주지는팔영산인근지역인전라남도가 35% 로가장높고다음으로광주광역시 19.6%, 경상남도 14.6% 순으로나타났다. 2008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결과와비교할때가장주목할것은주연령층비율이타지구에비해상대적으로높으며, 타지구의경우응답자거주지가전국적으로분포하는데반해팔영산지구의경우인근지역탐방객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16-2). 국립공원연구원 311
332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표 인구통계 사회경제적특성 구분 빈도 (%) 빈도 (%) 구분다도해팔영산다도해팔영산 성별 남성 만원미만 여성 만원 대 소득 만원 대 만원 연령 40 대 만원 대 만원이상 대이상 중졸이하 자영업 고졸 학력 전문직 대학재학 공무원 / 교원 대학졸업이상 직업 학생 전라남도 전업주부 광주광역시 거주지 회사원 경상남도 기타 기타 ) 탐방행태 국립공원관리측면에서자원및시설관리뿐만아니라탐방행태를파악하는것도매우중요하다. 탐방객이용행태분석을통해탐방서비스및고객만족도를제고하고지속적으로변화하는수요자욕구 (needs) 에신속하게대응하고맞춤형서비스를제공할수있기때문이다. 팔영산지구전체탐방객의 76.6% 가숙박탐방객이었으며, 숙박장소는입지특성으로인해모텔, 펜션, 민박순으로높게나타났다. 탐방객동반유형은직장동료 / 동호회회원, 가족, 친구 / 연인순, 교통수단은자가용, 전세버스를이용한탐방객이 93.7% 로나타났다. 거주지에서목적지까지소요시간은지리적특성으로인해 3시간이상이 국립공원연구원 312
33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전체탐방객의 39.1% 로가장높게나타났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타지구및타국립공원과비교할때당일탐방객비율이높고단체탐방비율이높은것이특징이다 ( 표 16-3). 표 탐방행태 구분 빈도 (%) 빈도 (%) 구분다도해팔영산다도해팔영산 호텔 / 콘도 가족 숙박장소 펜션 친구 / 연인 민박 동반유형 직장동료 / 동호회 모텔 혼자 기타 기타 체류기간소요시간 당일 자가용 숙박 전세버스 시간이내 교통수단 고속 ( 시외 ) 버스 ~2시간 시내버스 ~3시간 기타 시간이상 자연경관감상 처음 건강증진 방문횟수 2~3회 방문 친목도모 ~5회 목적 주변볼거리 ~10회 역사문화자원관람 회이상 기타 시간이내 탐방로정보 등산시간 2~3시간 필요 주변관광지정보 ~5시간 정보 지역축제정보 시간이상 공원자원시설 국립공원연구원 313
334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방문빈도는처음방문이 61.7%, 재방문이 38.3% 인것으로나타났다. 팔영산지구방문목적에대해서는 자연경관감상, 신체적정신적건강증진, 가족 / 친구 / 동료와친목도모 순으로높게나타났다. 탐방객의등산시간은, 정상지역의해발고도가낮음에도불구하고타공원에비해탐방객연령비율이상대적으로높아 4~5시간이 57.6% 로가장높게나타났다. 마지막으로팔영산지구를탐방할때가장필요한정보로는탐방로정보가가장요구도가높았으며다음으로주변관광지정보, 지역축제, 공원자원및시설정보순으로나타났다 ( 표 3). 따라서팔영산지구탐방객들에게양질의탐방경험을제공하기위해서는무엇보다여행출발전에공원내탐방로, 주변관광지, 축제, 공원자원및시설정보등에관한상세정보를얻을수있어야하며국립공원관리공단, 유관기관 ( 지자체등 ), 포털사이트등인터넷홈페이지에탐방객이필요로하는양질의최신정보를지속적으로갱신 제공해야할것이다. 3) 탐방만족도 국립공원관리의핵심목표는자연자원의엄정한보전과더불어탐방객들에게양질의탐방경험을제공하는것이다. 최근국립공원을둘러싼대 내외환경변화에적극적으로대응하기위해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자원의질관리와더불어지속적인서비스질향상을위해노력하고있다. 탐방만족도평가는탐방객들에게제공되는탐방서비스에대한평가와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한탐방서비스재설계를가능하게해준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그러나국립공원내에서의탐방서비스는탐방객개인에따라인지하는수준이다양하고공원관리목표즉자원의훼손또한고려해야하므로소비자로부터반복구매를목표로하는상품시장과는분명한차별성을가진다. 따라서현시점에서국립공원탐방서비스는이상적이거나과도한서비스수준이아니라상품시장에서체험할수없는차별화되고최소한의탐방객욕구충족수준에서제공되어야한다. 즉, 탐방객관리정책의궁극적목적은국립공원의자원과차별화된서비스를통해국민들의보건 휴양에기여하는것이지과도한수요를창출하는것은아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평가는전반적인탐방만족도문항과공원환경에대한세부탐방만족도평가문항을토대로조사 분석하였다. 세부탐방만족도평가를위한 23개문항은선행연구와공원특성을고려하여작성하였으며평가척도는 5점 Likert형 Scale (1점 : 매우불만족, 3점 : 보통, 5점 : 매우만족 ) 을이용하였다. 전반적인탐방만족도는평균 4.12점으로, 19개국립공원전체평균 3.99점 ( 국립공원연구원, 2010) 보다상당히높게나타났다. 탐방만족도결과를세분화하면, 남성이평균 4.21점, 여성이평균 4.02점으로남성이다소높았으며, 연령별로는모든연령층에서비슷 국립공원연구원 314
33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하게나타났으나 40 대가평균 4.33 점으로가장만족도가높게나타났다 ( 표 16-4). 표 탐방만족도 구분평균표준편차 t/f Sig 전체탐방만족도 성별 연령 남자 여자 대 대 대 대 대이상 한편 2008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지구별탐방만족도결과와비교하면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가타지구에비해월등히높게나타났다. 이는탐방만족도에영향이큰여행비용과탐방시간이타지구에비해낮고대표적불만족요인인지구내혼잡이아직까지는발생하지않기때문으로판단된다. 또한기대이론, 즉팔영산지구탐방객들은탐방전기대보다탐방후얻는성과가크기때문에만족도가높은것으로추정할수있다 ( 그림 16-11). 그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지구별탐방만족도 국립공원연구원 315
336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일반적으로탐방만족도는관광지의매력성 (attractiveness), 관광편의성 (convenience), 서비스질 (service quality), 관광비용 (cost) 에가장큰영향을받는다. 팔영산지구의경우관광지매력성부분 ( 수려한자연경관평균 4.44점 ) 은 23개세부항목별만족도평가결과에서도나타나듯이가장만족도가높은항목이므로지속적인자원보전정책추진을통해경쟁력을확보할수있다. 둘째, 관광편의성부분은탐방로, 교통, 날씨등양질의정보제공및혼잡회피가중요관리척도이다. 탐방행태분석결과에서나타난바와같이팔영산지구탐방객들은탐방로, 주변관광지, 지역축제, 공원자원및시설정보에대한수요가가장높기때문에국립공원관리공단및유관기관홈페이지, 스마트폰등모바일환경등을통해지속적으로업데이트할필요가있다. 또한항목별만족도평가결과에서나타나듯이부족한탐방정보및안내판에대한항목만족도가낮게나타났다. 따라서최근개발된탐방로등급제, 연령대별소요시간, 편백림을활용한치유효과 (Diet Map 등 ) 및치유프로그램등다양한정보를제공하여자원특성을활용한차별화된휴양기회를제공해야할것이다. 셋째, 서비스질부분은가장시급히개선해야할항목이다. 세부만족도평가결과에서나타나듯이 다양한특산상품, 저렴한상품가격, 쾌적한숙박시설, 맛있는향토음식, 질좋은관광서비스 등서비스질항목모두탐방만족도를저하시키는요인으로평가되었다. 따라서지역주민, 지자체, 사찰등팔영산지구이해관계자들과공동으로서비스질개선을위한협의체를구성 운영하여상품및향토음식기획 연계마케팅, 숙박환경개선등수요자중심의서비스를제공해야할것이다. 한편, 2008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지구별세부만족도결과와비교할때모든항목에서타지구에비해만족도가높은것으로나타나전체적인탐방만족도분석결과와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결국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향상을위해서는지속적인자원, 시설물모니터링과더불어양질의탐방 혼잡정보제공, 자연해설프로그램, 안내판확충, 숙박 음식 교통체계개선, 편의시설확충등서비스질개선이가장시급한것으로판단된다. 23개각항목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지구별세부만족도평가결과는표 16-5와같다. 국립공원연구원 316
33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공원환경에대한지구별세부탐방만족도 평가항목 세부탐방만족도 팔영산흑산 / 홍도거문 / 백도향일암정도리 E01. 수려한자연경관 E02. 저렴한여행비용 E03. 짧은여행시간 긍정평가항목 E04. 잘정비된탐방로 E05. 잘구비된자연학습프로그램 E06. 편리한교통수단 E07. 쾌적한숙박시설 E08. 맛있는향토음식 E09. 풍부한문화유적지 E10. 질좋은관광서비스 E11. 저렴한상품가격 E12. 다양한특산상품 E13. 비싼관람료와주차요금 E14. 다른탐방객이많아혼잡함 E15. 주차장, 진입로등교통혼잡 부정평가항목 E16. 쓰레기등주변환경오염 E17. 부족한탐방정보및안내판 E18. 지나친상업행위 E19. 지저분한화장실 E20. 무분별한취사행위 E21. 부족한편의시설 ( 화장실, 급수대등 ) E22. 탐방객들의부족한질서의식 E23. 오염된계곡물 국립공원연구원 317
338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4) 사회 심리적수용력평가 사회 심리적수용력은탐방객휴양경험질에관점을둔수용력측정수단으로, 물리적요소인탐방밀도에대한탐방객의심리학적반응 (Shelby et al, 1988) 또는일정한휴양공간에서활동하는사람들이탐방밀도, 조우도, 혼잡등과같은활동분위기를참고견디면서휴양활동을지속할수있는심리적능력을의미한다 (Shelby and Heberlein, 1986). 사회 심리적수용력영향인자는주로다른탐방객또는집단과마주치는횟수와장소, 집단의종류와크기등이강조되며탐방객경험에직접적영향을미친다 ( 신원섭, 1999). 따라서탐방객특성, 이용행태, 동기, 지역에따라수용력이달라질수있기때문에사회 심리적수용력을결정하는일은매우어렵고복잡하다. 한편이용밀도는제한된단위공간당탐방객수에대한물리적개념이지만사회 심리적수용력의핵심개념인혼잡지각은특정밀도나조우횟수 (Level of encounter) 에대한탐방객의부정적평가이다 ( 김남조등, 2000). 탐방객들은성과의예측인기대와인지된성과를비교하여성과가기대보다높으면만족이증가하게되고, 성과가기대에미치지못한다면불만족을인지하게된다. 이러한기대불일치이론은인지과정에근거하며성과예측치와인지된성과의차이가크면클수록탐방객이느끼는만족이나불만족은보다분명해진다 (Swan and Matin, 1980). 결국혼잡지각은탐방시간대변경 ( 시간회피 ), 탐방목적지변경 ( 장소회피 ), 탐방활동변경 ( 활동회피 ) 과같은회피현상으로나타나기때문에사회 심리적수용력측면에서매우중요한개념이다 ( 김남조, 2005). 팔영산지구의사회 심리적수용력평가는가을성수기조사결과이며혼잡예상, 혼잡지각, 재방문의사등을 5점 Likert형 Scale(5점 : 매우그렇다, 3점 : 보통이다, 1점 : 전혀그렇지않다 ) 을이용하여조사하였으며분석결과는표 16-6과같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지구별혼잡지각도및재방문의사 구 분 지역 팔영산흑산 / 홍도거문 / 백도향일암정도리 C1 혼잡예상 C2 혼잡지각 C3 재방문의사 C4 시간회피 C5 장소회피 C6 활동회피 가을성수기혼잡지각도는평균 2.26 점으로대부분이혼잡을경험하지못하는것으로 국립공원연구원 318
33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나타났으며이는 2011년신규편입된팔영산지구탐방객수가많지않기때문이다. 야외휴양지역관리에있어가장중요한척도인재방문의사는 4.12점으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타지구보다매우높게나타났다. 그러나활동회피항목이평균 3.82점으로타지역에비해높게나타나다양한탐방인프라및프로그램마련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한편, 탐방인원의적정성여부에관한분석결과, 혼잡하지않다는비율이혼잡하다는비율보다절대적으로높게나타나탐방객이최대만족을얻을수있는수준즉, 사회 심리적수용력측면에서는문제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표 탐방인원의적정성여부 구 분 지역 팔영산흑산 / 홍도거문 / 백도향일암정도리 혼잡하다 (%) 현재수준이적당하다 (%) 혼잡하지않다 (%) ) 시 공간적탐방집중도분석 일반적으로특정지역의시 공간적탐방집중현상은자원의특성과탐방객의활동유형에따라양상이다르게나타나며순간적으로공급이수요를충족시키지못하기때문에공원관리자나탐방객양측모두에게비용부담을높이고전반적인서비스수준및혼잡으로인한탐방만족도질저하를야기하게된다. 시 공간적탐방집중도분석은팔영산지구내주요지역에대한탐방객들의선호도와탐방압력을파악하여탐방악영향을최소화할수있는관리방안을마련하기위해서이다. 조사방법은탐방빈도가상대적으로우세한지역이표시된팔영산지구안내지도를응답자에게제공하고시 공간적이동경로를 Diary형식으로직접기입하도록하였다. 연중탐방밀도가가장높은가을성수기에탐방집중지역을대상으로시 공간적탐방집중도를분석한결과탐방밀도가가장높은시간 (peak time) 은오전 11시에서오후 1시사이이며, 탐방빈도는능가사~제8봉등탐방코스가단순하여특정지역이아닌주이동경로전체가비슷한빈도로나타났다 ( 표 16-8). 일반적으로자원훼손의직접적영향은탐방객수가아니라성수기 주말등특정시기, 특정지역, 특정시간대탐방집중현상이다. 따라서국립공원관리자가자연, 역사, 문화, 휴양자원의엄정한보전과양질의탐방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서는반드시단계별 국립공원연구원 319
340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현장관리방안과사회적합의를통한탐방객분산정책 ( 혼잡예고제, 탐방예약제등 ) 도입이필요할것이다. 표 팔영산지구시 공간적탐방집중도 ( 천분율, ) 구분 7 시 8 시 9 시 10 시 11 시 12 시 13 시 14 시 15 시 16 시 17 시 18 시계 능가사 흔들바위 제 1 봉 제 2 봉 제 3 봉 제 4 봉 제 5 봉 제 6 봉 제 7 봉 제 8 봉 팔영산 탑재 편백숲 계 국립공원연구원 320
34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기본통계. 2.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중장기 (2013~2017) 경영목표. 3.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탐방이용행태연구. 4. 국립공원연구원 입장료폐지시공원관리방안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5.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수용력관리시스템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6. 김남조 정철 박상현 김진선 사회적수용력의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의관계에관한연구. 관광학연구 24(1): 김남조 지리정보시스템을이용한관광지수용력적용모형개발. 관광학연구 29(2): 김사헌 관광경제학. 백산출판사. 448p. 9. 박석희 신관광자원론. 일신사. 178p. 10. 신원섭 야외휴양관리. 도서출판따님. 202p. 11. 한상열 권헌교 국립공원입장료폐지에따른탐방수요예측분석. 2007년한국산림휴양학회학술발표논문집 p. 12. Cole, D.N Management Ecological Impacts at Wilderness Campsites. Journal of Forestry 79(2) : Hammitt, William E. and David N. Cole Wildland Recreation :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ley & Sons: New York, NY. 14. Hendee, John C., George H. Stankey, and Robert C. Lucas Wilderness Management. North American Press: Golden, CO. 15. Lucas, R.C Wilderness Perception and Use; The Example of the Boundary Waters Canoe Area. Natural Resources Journal 3(2) : Paul F.J. Eagles and Stephen F. McCool Tourism in National Parks and Protected Areas - Planning and Management. CABI Publishing. 320p. 17. Shelby, B., & Heberlein, T.A Carrying Capacity in Recreation Setting. Corvallis. OR;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18. Shelby B., Vaske, J.J and Harris, R User Standards for Ecological Impacts at Wilderness Campsit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0 : Swan John E. and Warren S. M Testing comparison level and predictive expectations models of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Ⅷ, pp 국립공원연구원 321
342 16. 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 20. USDI, NPS, Denver Service Center VERP Framework A handbook for Planners and Managers. 103p. 21. Wagar, J.S The Carrying Capacity of Wild Lands for Recreation. Forest Science Monograph 7,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Washington, D.C. 국립공원연구원 322
343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17 조사위원 심규원 ( 국립공원연구원 ) 보조원 김혜민 장지은
344
3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국립공원은자연보존을우선으로하는동시에탐방객만족을실현할수있도록지속적인이용을균형있게도모해야한다. 즉국립공원은후손에게물려주어야할자연보존의마지막보루이기때문에생태계및자연경관의보호 관리가최우선적으로이루어져야하며, 한편으로는좁은국토와많은인구를가진우리의여건하에증가하는국민여가수요의일부분을능동적으로충족시켜나아가야한다 ( 한상열등, 2007). 국립공원의소유권은개인이아니라국가구성원전체에부여되며어느한개인이타인의이용을배제할수없는공공재적성격이강한동시에, 한번훼손되면그회복에상당한기간이걸리거나다시는회복되지않는비가역적성격의환경자원이다 ( 국회예산처, 2008). 이러한측면에서볼때우수한자연 문화자원의보고이자국민여가수요의상당부분을충족하고있는공공재인국립공원의경제적가치평가가선행되어야할것이다. 특히환경자원의경제적가치는관리대상이아니라대상자원의현황을알려주는지표로그중요성이크다고할수있다. 국립공원에대한탐방객의지불의사금액은탐방객이현재국립공원을통해얻게되는효용을화폐가치로, 국립공원관리에소요된총비용보다국립공원이용에따른탐방객의총편익이커야만국립공원관리정책의당위성을확보할수있다. 따라서자연자원및문화자원에대한가치평가는탐방객에게는자원의중요성에대한인식을제고시키고, 중앙정부에게는환경보전을위한공원관리의필요성과재정적지원을정당화하는객관적지표를제공할것이다. 이러한측면에서본연구는환경자원의경제적가치평가방법중가장널리적용되고있는가상가치평가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을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이용가치 (use value) 와보존가치 (preservation value) 를추정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제적가치평가는먼저서론에이어환경재의가치평가방법및적용방법의이론적배경을살펴보고, 다음으로탐방객조사방법및자료수집현황을살펴본후수집된자료를이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이용가치와보존가치를추정한다. 이때경제적가치추정방법으로는최근자연환경자원에대한경제적가치평가방법으로가장널리적용되는가상가치평가법의이선선택형 ( 二選選擇型, dichotomous choice) 모형을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본연구에서추정한이용가치와보존가치를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연간총가치와총자산가치를평가한다. 나. 재료및방법 국립공원연구원 325
346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1) 경제적가치의개념 국립공원의자연자원 ( 동 식물, 자연경관자원등 ) 은탐방을통하여발생되는이용가치와자연자원의비가역적 (irreversible) 특성으로발생되는보존가치 (preservation value) 혹은비이용가치 (nonuse value) 를지니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이용가치는국립공원의자연자원을탐방하면서얻을수있는소비적 (consumptive) 인개인의이익관심에관련된가치로국립공원탐방객이체험하고획득하는탐방만족을금액으로계량화된가치라할수있다. 이와는달리보존가치는소비적인이익관심과는완전히독립적인가치로존재가치 (existence value), 유산가치 (bequest value), 그리고선택가치 (option value) 로구성되어있다 (Krutilla, 1967). 존재가치는국립공원내에자연 문화자원이존재하고있다는사실자체에만족하여기꺼이지불하려는경제적가치를말하며, 유산가치는자연 문화자원을보호하여우리미래세대에게물려주기위하여기꺼이지불하려는경제적가치를의미한다. 이와는달리선택가치는국립공원내에유일하게존재하는자연자원을비록현재에는여러가지요건 ( 소득, 시간등의부족 ) 으로인하여이용하지못하고있지만향후여건개선에따라이용할수있는일종의향후이용권을미리확보하고자하는댓가로기꺼이지불하려는경제적가치를말한다. 1) 2) 경제적가치평가방법 최근의자연환경자원에대한경제적가치평가방법으로가상가치평가법 (CVM) 의이선선택형모형 (DC) 이가장널리사용되고있다. 가상가치평가법의이선선택형모형은개념상으로는최소한 incentive-compatible 하기때문에가상가치평가법의가상적인시장을설정하는데에서발생하는가상적편의 (hypothetical bias) 를제거할수있다는장점을지니고있다. 2) 이러한이유에서미국 NOAA(1993) 의 Blue Ribbon panel에서는 1) 선택가치와존재가치의정확한차이점은선택가치는향후이용할기회가자신이소비하는상품의한부분을구성하고있다는사실에대하여지불하려는댓가임에반하여, 존재가치는자연자원의존재자체에대하여비록자신이아니더라도다른사람들이자연자원을이용하는기회를허용하는가치이다. 2) 이선선택형모형에서는개념상으로는응답자가선택할수있는대안이 예 혹은 아니오 중하나만으로응답하기때문에, 응답자자신의선호 (preferences) 를진실하게나타나게하는적합한요인이존재함으로가설적편의가발생하지않는것으로알려져있다 ( 김태균 최관, 1998). 그러나최근의연구들에서는이선선택형가상가치평가에서가상적상황에서의반응이실제 (real) 상황에서의반응과차이가있음을실증적으로보여주고있다. 즉응답자들이가상적상황에서자신들의선호를진실하게나타나게하는적합한유인이존재한다는것에의문을제기하고있다 (Cummings et al., 1996; Brown et al., 1996; Fox et al, 1998). 국립공원연구원 326
34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환경재의가치평가방법으로가상가치평가법의이선선택형을적극추천하고있다. 3) 그러나이선선택형모형은이러한장점에도불구하고지금까지국내에소개된대부분의실증연구에서는응답자의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 WTP) 에대한함수형태를가정하는모수적추정방법 (parametric approach) 으로분석되어지기때문에지불의사금액의기대치를계산하는과정에서평가기준에대한문제점들이제기되고있다. 즉, 응답자의지불의사금액의분포를 logistic 분포로가정하는 logit model이나표준누적정규분포를가정하는 probit model로부터 WTP의기대치인가치평가액을계산할때, 설정된모형자체에서나타나는陰 (negative) 의 WTP를평가액산출과정에포함시켜야하는가에관한문제와陰의 WTP를평가액추정시배제하는경우라하더라도기대치평가에있어추정된함수로부터적분영역을어디까지의범위로할것인가에따라서추정되는평가액이많은영향을받는다. 그러나아직까지도이에대한명확한규명이나기준이제시되지않고있다. 4) Habb와 McConnell(1997) 이지적한바와같이陰의 WTP 영역은경제적평가대상에고려하지않고있다. 왜냐하면이용가치나보존가치를추정하기위해서제시되는가상적인시나리오가설문응답자에게효용 (benefits) 을제공하지않는다면그재화는응답자로부터간단히무시될수있기때문이다. 그러나실증분석에있어서는 WTP의특정함수형태를가정하기때문에추정되는함수로부터陰의 WTP를배제하고평가액을추정하는것이적절한가에대하여는아직까지이론적으로불명확하다. 이러한맥락에서본연구보고서에서는함수형태를처음부터전혀고려하지않고응답자의반응만을이용하여평가하는비모수적추정방법 (nonparametric approach) 의일종인 Turnbull 분포무관모형 (distribution-free model) 을적용한다. 3) Turnbull 분포무관모형 가 ) 이론적배경 3) 미국상무부산하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에서는노벨경제학상수상자인 Kenneth Arrow 와 Robert Solow 를공동의장으로경제전문가 22 명으로구성된패널 (panel) 을구성하였는데, 이들은가상가치평가법의블루리본 (blue ribbon) 이라불리는 NOAA 보고서 (1993) 를통하여가상가치평가법의가장적절한질문형태로이선선택형을추천하고있다 (p. 4612). 이선선택형모형의장점은 incentive-compatible 하다는장점이외에도일반시장 (market) 에서의구매과정과매우유사하다는점과간단하게설문할수있으며, 출발점편의 (starting point bias) 를제거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Freeman, 1993). 4) 실증분석에적용되는평가기준의유형은陰의 WTP 영역을포함하여계산하도록적분영역을 - 에서 + 까지로정하는 overall mean WTP 와추정확률이 0.5 일때의금액을기준으로하는 median WTP, 그리고陰의 WTP 를고려하지않고적분영역을영 (0) 에서최고제시금액또는일정확률수준까지의금액으로설정하는 truncated mean WTP 가있다 (Hanemann, 1984). 국립공원연구원 327
348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이선선택형가상가치평가법에서의응답은 예 또는 아니오 의離散 (discrete) 형태를나타낸다. 즉, 조사자가설정한시나리오에서임의의금액 (A) 원에대하여지불할용의가있을경우 예 라고응답하며, 그렇지않을경우 아니오 라고응답하여그반응을기초로하여경제적가치를평가한다 (Bishop & Heberlein, 1979). 이때설정된시나리오는연구대상환경재의질적인변화가 z 0 에서 z 1 으로변화한다는것을가정한다. 그러므로환경질의변화에따른개인의 WTP는아래와같이정의되어질수있다. V(y-WTP, z 1 ) = V(y, z 0 ) (1) 여기서 V(y, z) 는개인의간접효용함수를나타내며 y는개인의소득수준이다. 만약응답자가 예 라고응답했다면이는금액 (A) 원을지불하고환경재의질적변화가 z 1 으로변화하는것이금액 (A) 원을지불하지않고환경재의질적변화가 z 0 으로유지되는것보다개인의효용수준이높거나같다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개인의 WTP 확률은금액 (A) 원을초과하지않으며이를식으로표현하면아래와같다. Prob.(WTP A)=F WTP(A) (2) 여기서 F WTP(A) 는연속적으로증가하는함수를가정하기때문에 WTP의기대치는아래의식 (3) 과같이추정된다. E(WTP)= 0 [1-F WTP (A)dA]- 0 - [F WTP (A)dA] (3) 식 (3) 의우항에있는 0 - [F WTP (A)dA] 는陰의 WTP 영역에대한적분값을의미 한다. 일반적인실증분석에서는평가대상재화가환경재의경우陰의 WTP 영역을고려하지않고陽 (positive) 의 WTP 영역만을평가의대상으로하고있다. E(WTP)= 0 [1-F WTP (A)dA] (4) 그러나陰의 WTP 영역을포함하여계산하는식 (3) 의경우에서는陰의 WTP는진정한응답자의선호는아니지만통계적적합성 (fitness good) 과함수형태 (model 국립공원연구원 328
34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specification) 에있어서는그중요성을가진다. 이와같은문제를해결하기위하여 Duffield와 Patterson(1991) 은陰의 WTP를배제할수있는비대칭모형의일종인 log-linear logit 모형을적용하고, 여기에서추정되는 WTP 함수로부터기대치를추정할때에는최대제시금액에서절단 (truncated) 한적분값으로평가하는것을제안한바있다. 5) 따라서본연구에서는 WTP 분포에대한함수적형태를규정하지않고단지응답자의반응만을분석한다. 이러한모형으로는 Kristrom(1990) 이제안한최우법을적용한비모수적추정방법의하나인단순분포무관모형과 McFadden(1994) 의 pooled adjacent violators algorithm 을적용한모형, Kristrom(1997) 의 spike모형, Haab와 McConnel(1997) 에의해정리된 Turnbull 분포무관모형등이있다. 본연구에서는이들모형중가장최근에제안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을실증자료에적용하여陰의 WTP와절단편의 (truncation bias) 에관련된문제해결을위한적용가능성을검토한다. 나 ) 추정방법이선선택형가상가치평가법은일반적으로다음과같은질문형태로주어진다. 귀하는가격이 A j 원일때이를지불하실의향이있으십니까? 이때주어지는제시가격이 M개라고하고이를 j로표현하면 j=0, 1,... M이되고, 이때만약 j>k일경우에는 A j>a k 이다. 응답자가 A j-1 에서 A j 까지의구간에서응답확률을 p j 라고한다면아래의식 (5) 와같이표현된다. p j = P(A j-1 < W A j) for j=1,...,m+1 (5) 대부분의경우에서응답자는 j=1에서 M까지의 A j 에대하여각각응답하게되는데, 이때최대제시금액 A M 을초과하는금액에대하여는 A M+1= 라고가정하자. 이때누적분포함수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를 F j 라한다면 CDF는아래의식 (6) 과같다. F j = P(W A j) for j=1,...,m+1, 여기서 F M+1=1 (6) 5) logit 이나 probit 모형에서나타나는陰의 WTP 문제를모형자체에서포함하지않도록하기위하여 log-logistic, log-normal 모형 (Cameron, 1988) 이외에도 Weibull model 등을사용하기도한다. 그러나이경우에있어서도적분구간을어디까지로할것인가에대한기준은아직까지명확하게밝혀지지않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329
350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여기에서누적분포함수가아닌각제시금액사이의구간확률 p j 는누적분포함수 F j-f j-1 로계산되며, 이때초기의누적분포함수 F 0 0이다. Turnbull 분포무관모형에서는누적분포확률 F j 뿐만아니라구간확률 p j 로도추정이가능하다. 누적분포함수 F j 를이용할경우최우추정함수는아래식 (7) 과같이표현된다. L( F;N,Y)= M [ N j ln (F i )+Y j ln(1-f i )] (7) j=1 여기서 N j 는제시금액 A j 에대하여 아니오 라고응답하는응답자수이고, Y j 는 A j 에대하여 예 라고응답하는응답자의수이다. 또한 (1-F M )=P M+1 의확률은최고제시금액을초과하는확률 W로표현된다. 이를누적분포함수가아닌구간확률 p j 로표현하면아래식 (8) 과같다. L( p;n,y)= M N j=1( j ln( j p i )+Y j ln(1- j ) i=1 i=1 p i ) (8) 위의식에대하여 Turnbull(1976) 은식 (6) 을확률 p j 로미분하여최대화조건을식 (9) 와같이정리하였다. L = M p i j = i N j j - p k k =1 Y j 1- j k =1 L 0 p j 0 p i =0 (9) p p i k 위의식을이용하여 p 2 0 라면아래식 (10) 과같이성립한다. L - L = N 1 - Y 1 =0 (10) p 1 p 2 p 1 1-p 1 이를 p 1 에대하여정리하면아래식과같다. p 1 = N 1 N 1 + Y 1 (11) 국립공원연구원 330
35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만약 p 3>0 이라면 L - L 로부터아래식과같이 p p 2 p 2 를구할수있다. 3 p 2 = N 2 N 2 + Y 2 - p 1 (12) 그러므로, 만약 N 2 N 2 + Y 2 > N 1 N 1 + Y 1 이라면, p 2 는陽의값을가지게된다. 이는 응답자가제시금액 A 2 에대하여 아니오 라고응답하는확률이 A 1 에대하여 아니오 라고응답하는확률보다크다면, (A 1, A 2 ) 사이의구간에서확률은陽의값을가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구간확률 p j 는 F j -F j-1 로계산되며이때의 F j = N j 이다. 이러한 N j + Y j 분적분포함수는독립적인 Bernoulli 연속시행으로동일한제시금액이주어진응답자들의각부표본 (subsample) 으로부터계산되어질수있다. 그러나만약 N 2 N 2 + Y 2 < N 1 N 1 + Y 1 이라면 p 2 의최우추정치는陰의값을가지 게된다. 따라서 p 3 0 이아니라고가정한다면, p 2 =0 을적용하여 L p 1 에서 L p 3 을 빼면아래의식 (13) 과같이정리된다. L - L = N 1 + N 2 - Y 1 + Y 2 =0 (13) p 1 p 3 p 1 1-p 1 이를 p 1 에대하여정리하면식 (14) 와같다. p 1 = N 1 + N 2 N 1 + N 2 + Y 1 + Y 2 (14) 그러므로 p j 가陰이아니라는제약조건을포함하는문제를해결하기위하여, j번째와 (j-1) 번째의 cell을합하여계산할수있으며, 이때 N * j=n j +N j-1, Y * j=y j +Y j-1 로표현 되고, 이경우 p j 를추정하면 p j = N * j Y * j + N - j -2 p * k 로계산할수있다. 만약이러 j k =1 국립공원연구원 331
352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한경우에서도 p j 가陰의값을가진다면, p j>0 을만족할때까지반복적으로계산한다. 다음으로위와같은과정에의하여계산된누적분포함수를이용하여기대치를추정하기위하여식 (15) 와같이계산한다. E(W)= 0 A j WdF(W)= M +1 j=1 WdF(W) (15) A j -1 이때, 제시금액간의구간의면적을계산하기위하여는먼저확률구간에서의금액을어떤것을기준으로할것인가가중요한데, 일반적으로각각의구간에서최소값을기준으로하는 lower-bound가적용되고있다. 따라서각각의구간에서최소값을적용할때지불의사금액의기대치는식 (16) 과같이계산된다. E(LB WTP )=0 P(0 W<A 1 )+A 1 P(A 1 W< A 2 )+ (16)...+A m P(A m W< A m+1 )= M +1 A j-1 p j j=1 또한 lower-bound 에의하여추정된지불의사금액의분산은아래식과같이추정된다. (17) 여기서 V(F j ) 는 F j (1-F j ) N j + Y j 이다. 4) 자료수집가 ) 조사방법 설문조사를실시하기전에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사전답사하여최근탐방현황및최성수기를파악하였으며, 현지탐방객을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봄, 여름, 가을철조사를평일과주말로구분하여현지설문조사 (on-site survey) 를실시하였다. 현지설문조사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을마친 20대이상의성인을대상으로일대일면접과자기기입식방식을병행하였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자연및문화자원등가치를평가하는것이므로사전에철저한교 국립공원연구원 332
3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육과훈련을받은면접원에의하여이루어졌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가갖는경제적가치 ( 이용가치와비이용가치 ) 를추정하기위한가상적인질문들이가상가치평가법의이선선택형질문형태로주어졌다. 이때사용되어진지불수단 (payment vehicle) 으로는경제적가치평가에대한추정의사실성 (reality) 을현실적으로반영하기위하여이용가치의경우에는입장료를, 비이용가치의평가에대하여는가구당연간지불하는세금 (tax) 을제시하였다. 조사탐방객수 ( 표본수 ) 는 385명으로표본크기 (n) 의신뢰수준은식 (18) 과같이모집단비율에의한표본크기에의하여신뢰수준 95% 에최대허용오차 ±0.05를충족시키고있다. (18) 여기서 Z : 95% 신뢰수준에서의 Z값 (1.96) P : 최대표본크기를구하기위하여 0.5를적용 E : 최대허용오차 나 ) 현지조사방법경제적가치를평가하기위한지불수단 (payment vehicle) 은현재국립공원입장료가폐지됨에따라입장료대신공원탐방시소요되는기본적인사용료로가정하여설문을실시하였다. 가상적인사용료의제시금액 (A j ) 은 500원부터 50,000까지 7개의가격수준으로설정하고이가운데임의로하나를질문하였다. 이용가치평가를위한지불수단인기본적인사용료는 1인당 1일 1회에소요되는금액으로설정하였다. 다음으로보존가치평가를위한지불수단은가구당세금으로가정하고세금의지불형태는연간지불금액으로설정하였다. 6) 각각의가격수준에대한응답자의반응결과는표 17-1과같으며, 가격수준에대한응답자의반응 (response) 에대한 Turnbull 분포무관분석은각각의가격수준에서 ' 아니오 ' 라고반응하는확률을이용한다. 6) 이용가치와보존가치추정을위한제시가격은 500 원을시작으로 1,000 원, 2,000 원, 5,000 원, 10,000 원, 20,000 원, 50,000 원까지총 7 개가격을제시하였다. 여기서 500 원부터출발한이유는입장료가폐지됨에따라최소한의금액을설정하기위해서제시된가격수준이다. 국립공원연구원 333
354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표 이용가치와보존가치에대한응답자반응 제시금액 이용가치 N 예 응답자 보존가치 아니오 응답자제시금액 N 예 응답자 아니오 응답자 , , , , , , , , , , , , 합계 합계 다. 지불의사금액의평가 1) 이용가치추정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이용가치에대하여각각의가격수준에대한응답자의반응을토대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누적분포함수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와확률밀도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추정결과는표 17-2와같다. 여기서각각의가격수준에대하여응답자가 아니오 라고대답하는경우의확률은결국 Turnbull CDF이며, 가격수준의연차적 CDF의차이는 Turnbull PDF 이다. Turnbull 분포무관함수를적용은모수적추정방법과같이표 17-1의자료를이용하지만, 분포에대한가정없이경험적자료만을적용하여제시된금액들과이들금액에서의최소한의사용료금액지불확률만을이용하여평가한다. 이와같은방법으로계산한 Turnbull 누적분포함수인 CDF(F j ) 와확률밀도함수인 PDF(p j ) 를 lower-bound를기준으로제시금액구간들을정리하면표 17-2와같다. 표 17-2에서계산된 F j 와 p j 를이용하여제시금액의 lower-bound를기준으로하여식 (16) 과같이계산한결과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이용가치는 7,325원으로추정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34
3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이용가치의 Turnbull 분포무관추정치 lower-bounded range Turnbull CDF a Turnbull PDF b 0 ~ ~ 1, ,000 ~ 2, ,000 ~ 5, ,000 ~ 10, ,000 ~ 20, ,000 ~ 50, ,000 ~ a b Turnbull CDF, F j Turnbull PDF, p j=f j-f j-1 2) 보존가치 ( 비이용가치 ) 추정가 ) 보존가치추정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보존가치는제시된각각의가격수준에대한응답자의반응을토대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CDF( 누적분포함수 ) 와 PDF( 확률밀도함수 ) 를추정한결과표 17-3과같으며, 보존가치의추정은이용가치추정방법및단계와동일하게계산되었다. 그러나이때식 (14) 와같이 p j 가陰으로나타날경우에는이때의관측점의확률은 p j 가陽의값을가질때까지반복적으로보정한다. 이와같은방법으로계산한 Turnbull 누적분포함수인 CDF(F j) 와확률밀도함수인 PDF(p j) 를 lower-bound를기준으로제시금액구간들을정리하면표 17-3과같다. 표 17-3에서계산된 F j 와 p j 를이용하여제시금액의 lower-bound를기준으로하여식 (16) 과같이계산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보존가치는 7,995원으로추정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35
356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보존가치의 Turnbull 분포무관추정치 lower-bounded range Turnbull CDF a Turnbull PDF b 0 ~ ~ 1, ,000 ~ 2, ,000 ~ 5, ,000 ~ 10, ,000 ~ 20, ,000 ~ 50, ,000 ~ a b Turnbull CDF, F j Turnbull PDF, p j=f j-f j-1 나 ) 보존가치의할당본연구에서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보존가치를선택가치, 존재가치, 유산가치로설정하였다. 여기서는보존가치의지불의향을지닌응답자를대상으로보존가치의구성요인인선택, 존재, 유산가치각각의비율로할당한결과유산가치 4,034 원 (50.45%) 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선택가치 2,163(27.05%), 존재가치 1,799원 (22.50%) 순으로나타났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보존가치할당비율 보전가치비율 (%) 지불의사금액 ( 원 /1 가구 1 년 ) 선택가치존재가치유산가치 ,163 1,799 4,034 합계 ,995 주 ) 보존가치지불의향을가진 159 명에대한분석결과임. 국립공원연구원 336
35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라. 총경제적가치의평가 앞에서추정된이용가치 (1인 1회) 와보전가치 (1가구 1년) 의추정결과를토대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경제적가치를평가하기위해서는연간총이용가치와연간총보전가치로각각계산할필요가있다. 연간총이용가치는 1인 1회당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 WTP) 과 2011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객수 (195,891명 7) ) 를곱하여구해진다. 연간총보전가치의경우에는 1가구당 1년의보전가치와 2011년총가구수 8) 를곱한다. 연간총이용가치와연간총보전가치의합으로연간총가치 (flow value) 를추정할수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연간총가치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매년동일하게산출되는경제적편익이다. 따라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자산가치 (total stock value) 는할인율을고려한연간총가치들의총합으로다음의식 (19) 를통해추정된다. 현재자산가치 (PV) = (19) 여기서 B: 매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가제공하는경제적순편익으로연간총가치 i : 할인율 ( 이자율 ) 로 5% 로가정 그결과표 17-5에서와같이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연간이용가치는 14.35억원, 연간보존가치는 1,405.13억원으로연간총가치는 1,419.48억원이며, 총자산가치는 29,809.09억원으로평가되었다. 7)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 2011 년 6 월부터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관리하였기때문에 2011 년 6 월부터 12 월 (7 개월 ) 까지탐방객수 114,270 명을기준으로하여 2011 년전체탐방객수를산술적으로추정 (195,891 명 ) 하여적용함. 8)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010) 집계결과 17,574,067 명적용 국립공원연구원 337
358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가치평가결과 구분금액계산과정 연간이용가치 ( 억원 /1년) 연간보존가치 ( 억원 /1년) 연간총가치 ( 억원 /1년) , , 인 1회지불의사금액 2011년탐방객수 = 7,325원 195,891명 1가구 1년지불의사금액 2011년총가구수 = 7,995원 17,574,067가구연간이용가치 + 연간보전가치 = 14.35억원 + 1,405.13억원 총자산가치 ( 억원 ) 억원 29, 마. 활용방안 본연구는효율적인국립공원관리정책수립및시행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환경자원의경제적가치평가방법중가장널리적용되고있는가상가치평가방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을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국립공원의경제적가치평가를실시하였다. 그결과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직접이용한탐방객의지불의사금액은 1 인 1회탐방기준 7,325원으로추정되었으며, 보존가치는 1가구가 1년에 7,995원을지불할의사가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또한보존가치중유산가치 4,034원 (50.45%) 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선택가치 2,163원 (27.05%), 존재가치 1,799원 (22.50%) 순으로나타났다. 그리고추정된이용가치와보존가치를토대로추정한연간이용가치는 14.35억원, 연간보존가치는 1,405.13억원으로나타났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경제적가치는 29,809.09억원으로평가되었다. 이와같이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제적순기능을정량적으로평가함으로써얻을수있는기대효과및활용방안은다음과같다. 자연보전정책추진의당위성확보 보호지역의확대및신규지정 국립공원의역할과기능홍보 국립공원에대한사회적인식제고 국립공원연구원 338
3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인근지역사회구성원과의사회적합의형성등이러한결과는향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관리 정책수립및홍보등을통해공원의생태적중요성과보존가치에대한탐방객과일반대중의인식제고등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가야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경주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주왕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월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설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속리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국회예산정책처 비시장가치평가연구 : 환경자원을중심으로김태균, 최관 식품안정성에대한소비자가치측정 : 가상적가치평가의수정 한국농업경제학회지 38(2):1-17. 한상열, 이민하, 유리화, 김재준 소백산국립공원의자산가치평가 :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4):37-45 Bishop, R. C., and T. A. Heberlein Measuring values of extra-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s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61: Brown, T. C., P. A. Champ, R. C. Bishop, and D. W. McCollum Which response format reveals the truth about donations to a public good? Land Economic, 72: Cameron, T. A A new paradigm for valuing non-market goods using referendum dat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y censore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5: 국립공원연구원 339
360 17. 자연자원의환경 경제적가치평가 Cummings, R. G., G. W. Harrison, and E. E. Rutstrom Homegrown values and hypothetical surveys: Is the dichotomous choice approach incentive compatible? American Economic Review 85(1): Duffield, J. W., and D. A. Patterson Inference and optimal de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Land Economics 67: Fox. J. A., J. F. Shogren, D. J. Hayes, and J. B. Kliebenstein CVM-X: Calibrating contingent values with experimental auction marke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80: Freeman, A. M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s: Theory and Methods, Resources for the Future. p.516. Haab, T. C., and K. E. McConnell Referendum models and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lternative solu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2: Hanemann, W. M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66: Kristrom, B A non-parametric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welfare measures in discrete response valuation studies. Land Economics 66: Kristrom, B Spike models in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9: Krutilla, J. V Conservation reconsidered. American Economic Review 57: McFadden, D Contingent valuation and social choi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6: NOAA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Federal Register 58: 국립공원연구원 340
361 훼손지조사 18 조사위원 이상희 ( 충북대학교 ) 보조원 주정덕 이정균
362
36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가. 서론 국립공원은기본적으로지형경관이수려하고자연생태계를그대로보존하도록관리함으로서그설정의의의를유지한다. 그러나최근선진각국은국립공원들에대하여자연그대로의보존을위하여다양한형태의자연유산보호를위한관리와함께관광자원으로서의활용을위한노력이부가됨으로서그자연유산으로서자산가치의배가를위한정책을세워나가고있다. 국내에서도상기한관점에서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에서기설정된국립공원들을대상으로주기적으로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를실시하고있다. 국립공원내자연자원을조사하는목적은국립공원의자연자원을조사하여 1) 국립공원내자연자원을파악하고, 2) 분포특성과생성특성을분석하고, 3) 자연자원의보존과활용을위한자료를취득하며, 4) 이들결과를토대로지속적이고효율적인보존과활용을위한관리체계를구축하는데있다. 탐방로는인간이자연과가장근접하는시설로서숲과같은자연생태계공간의내부를연결하는인체의혈관과같은기반시설이다. 그러므로탐방로상에서발생하는각종부정적인영향은곧바로주변생태공간으로전달되면서산림생태계및환경자원의훼손및악화로이어질수있다. 우리나라의탐방로는험준한산악지형에서정상으로향하는야생동물이동로나골짜기, 능선부의토양사면을인간의지속적인답압에의하여최단거리로생성된것이대부분이다. 따라서탐방로에서발생하는각종훼손은자연훼손을고려하지않은노선체계에서강우를비롯한국지적기상과토질등의환경적인취약성과이용객의무리한이용형태가가세하여발생하고있으며, 정비및관리의미흡으로인해더욱심화되고있다. 탐방로와탐방로주변의훼손과정은탐방로노면의토양침식으로부터시작되며, 단계별진행과정을살펴보면 1단계로탐방객의지속적인답압에의한나지화가확장되고지표유하수에의한노면침식이발생한다. 2단계는 1단계의방치에따른훼손의가속화로뿌리노출, 암반노출, 노면세굴등바닥침식을초래한다. 3단계는통행자의보행불편에따른새로운보행공간의개척으로탐방로가분기되고노폭이확장되면서주변지역으로훼손이확산되는단계이다. 본조사는상기목적에의하여진행된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 중탐방로, 산사태발생지등을대상으로진행되었다. 따라서, 팔영산지구내탐방로, 산사태발생지등을중심으로현장조사를통하여훼손지위치, 규모, 주변환경등훼손지일반현황과훼손유형및원인분석등을통하여공원관리를위한기 국립공원연구원 343
364 18. 훼손지조사 초자료로활용코자실시하였다. 나조사기간및방법 1) 조사기간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로훼손지현장조사는 5차에걸쳐수행되었으며, 1차조사에서국립공원내노선의예비답사를통하여노선별조사계획을수립하였다. 또한 2차~4차조사를통하여총 11개노선및지선에대한탐방로훼손지조사가수행되었다. 5차에걸친조사일및조사지역은다음과같다. 표 훼손지조사기간및조사지역 조사기간 조사지역 ~ 3 국립공원내노선예비답사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 ~ 19 야영장 ( 능가사 ) ~ 유영봉 ( 일봉 ) 야영장 ( 능가사 ) ~ 탑재 ~ 적취봉 ( 팔봉 )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성주봉 ( 이봉 ) ~ 신선봉 ~ 강산리 ( 일부폐쇠구간 )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유영봉 ( 일봉 ) ~ 탑재지선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지선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지선 ( 폐쇠구간 ) 2) 조사방법 탐방로는법정탐방로를중심으로구간 ( 탐방로 ) 별로일정한간격 ( m 간격 ) 으로조사하는신속조사법을이용하여측점을선정하고측점별주변인자를조사하여각탐방로의물리적특성및훼손유형을분석하고, 또한구간내훼손이발생한지점에대해서는전체조사법을통하여각탐방로의훼손정도및훼손유형, 발생지점의특 국립공원연구원 344
36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성등을분석하였다. 산사태발생지는최근몇년간공원구역내에서발생한경우에한해서산사태발생지를대상으로발생위치, 발생원인, 발생규모, 복구필요성등을조사하였다. 다. 결과및고찰 1) 조사대상지현황 팔영산은전남고흥반도에위치한산으로 1998년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다가, 2011 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로편입되었으며, 높이는 608m, 총면적은 km2이다. 옛문헌에보면이산의이름은팔영산 ( 八影山 ) 이외에팔전산 ( 팔전산 ), 팔령산 ( 팔령산 ), 팔점산 ( 팔점산 ) 등으로불리웠다. 산의정상에팔봉이있어일봉유영봉 (491m), 이봉성주봉 (538m), 삼봉생황봉 (564m), 사봉사자봉 (578m), 오봉오로봉 (579m), 육봉두류봉 (596m), 칠봉칠성봉 (598m), 팔봉적취봉 (591m) 이있다. 실제로는 10봉으로유영봉과성주봉사이에작은봉이하나있으며, 8봉인적취봉남쪽으로팔영산의주봉인깃대봉 (608m) 이위치하고있다. 그림 팔영산전경 가 ) 고도별분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고도분포를살펴보면최저 15m에서최고 608m 로분석되었다. 팔영산내팔봉의고도분포는 491m( 유영봉 ) 에서 598m( 칠성봉 ) 의분포를보이고있으며주봉은팔봉인적취봉에서남동쪽 500m 떨어진깃대봉 (608m) 이주봉이다. 바닷가주변에위치하는관계로최저해발고는남포미술관주변 15m로가장낮은곳으로최고해발고는깃대봉 608m로가장높은곳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45
366 18. 훼손지조사 고도분포별면적을살펴보면 100m 이하지역의분포면적이 2.76km2로전체면적의 15.42% 를차지하고있으며, 100 ~ 200m 지역이 6.39km2에 35.70% 로가장많은면적을차지하고있고, 200 ~ 300m 지역이 4.08km2에 22.79%, 300 ~ 400m 지역이 2.78km2에 15.53%, 400 ~ 500m 지역이 1.33km2에 7.43%, 500 ~ 600m 지역이 0.56km2에 3.13%, 600m 이상인지역은칠봉인칠성봉과주봉인깃대봉주변지역으로분포면적이 km2로 0.007% 를차지하고있다. 그림 고도별면적분포 국립공원연구원 346
36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고도별면적분포 구 분 면 적 ( km2 ) 비 율 (%) 비 고 100m 이하 ~ 200m ~ 300m ~ 400m ~ 500m ~ 600m m 이상 0 0 면적 : km2 계 나 ) 경사도별분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사분포를살펴보면최저 0, 최고 74.96, 평균 로분석되었다. 경사도 15 미만의완경사지분포면적은 1.64km2에 9.16%, 15 ~ 20 의경사지분포면적은 1.86km2에 10.39%, 20 ~ 25 의급경사지분포면적은 3.04km2에 16.98%, 25 ~ 30 의험준지분포면적은 4.26km2에 23.8%, 30 이상의절험지분포면적은 7.1km2에 39.66% 로경사도가높아질수록분포면적도늘어나는것으로분석되었다. 현재경사도가가장완만한지역은능가사와휴양림주변으로조사되었으며, 경사도가높은지역은일봉에서팔봉주변, 신선봉, 깃대봉주변의 7부이상의지역이경사도 30 이상의절험지로조사되었다. 일봉에서팔봉주변의각각의정상부는평평한암릉구간으로오히려경사가완만한것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47
368 18. 훼손지조사 그림 경사도별면적분포 표 경사별면적분포 구 분 면 적 ( km2 ) 비 율 (%) 비 고 완경사지 (15 미만 ) 경사지 (15 ~ 20 ) 급경사지 (20 ~ 25 ) 험준지 (25 ~ 30 ) 절험지 (30 이상 ) 최고 계 국립공원연구원 348
36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탐방로현황 현재팔영산의탐방로현황을살펴보면과거도립공원시절개설되었던다양한지선과일부노선을폐쇠하고일부탐방로를정비하여총연장 15.1km로축소되었다. 그림 과거탐방로현황 ( 도립공원 ) 그림 현재탐방로현황 ( 국립공원 ) 이번조사를통하여팔영산의탐방로는지선을포함한 11개노선 15.1km로조사되었으며, 경사거리로는 16.3km로확인되었다. 문헌및도면조사를통하여도립공원에서국립공원으로이관되기전에는다양한지선들이산재해있었던것으로확인되었으나, 국립공원으로이관되면서장기간폐쇄조치된노선들은탐방로의형태를알아볼수없을정도로노면이회복되어길을찾을수없는관계로금번조사에서제외되었다. 금번조사된 11개노선중 2개노선은가장최근에폐쇄된구간들로탐방로의형태를확인할수있는노선 1개소와최근발행된국립공원안내도에표시된노선 1개소를포함하고있으며조사된 11개노선에대한내용은다음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349
370 18. 훼손지조사 그림 팔영산주요탐방로현황 조사된노선은표 18-4의내용과같으며, 1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2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3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의 3개탐방로를 혹은 3 2 1로종주하는코스가가장많이이용되고있다. 그이유로는조사기간중탐방객이가장많이목격된탐방로가 1, 2, 3번탐방로였으며, 대부분의탐방객이야영장에서출발하여야영장으로되돌아오는것으로목격되었다. 또한, 휴양림에서도순환코스가구성되어있지만대부분의탐방객이 5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코스로올라와서 2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코스를역으로왕복하고다시 5 탐방로를이용하여휴양림으로이동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휴양림쪽으로연결된탐방로로는 6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코스와 10 성주봉 ( 이봉 )~ 휴양림코스가있으나조사기간중이용객이목격되지않거나최근이용된흔적이거의없는것으로조사되어자주이용되지않는탐방로로판단된다. 그외다른탐방로에서는조사기간중탐방객이거의목격되지않거나, 전혀목격되지않았으며, 이용흔적도거의없는것으로조사되었다. 폐쇄된노선으로는 7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탐방로의일부구간 ( 선녀봉에서 국립공원연구원 350
37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강산폭포쪽하산구간 ) 과 11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 ( 지선 ) 탐방로였으며, 최근이용된흔적을거의찾아볼수없었으나 7 탐방로는국립공원탐방로로표시되어있고, 11 탐방로는조사당시노폭및탐방로의형태가남아있어조사를수행하였다. 조사결과주탐방로는 7개코스이며, 보조탐방로 ( 지선 ) 가 4개코스로조사되었다. 표 탐방로현황 탐방로명 수평거리 (km) 경사거리 (km) 비 고 1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 하산코스 ( 폐쇠 ) 8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지선 9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 지선 10 성주봉 ( 이봉 )~ 휴양림 지선 11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 지선 ( 폐쇠 )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351
372 18. 훼손지조사 3) 탐방로물리적특성 현재팔영산의탐방로별물리적특성을조사하기위해 11개코스총 15.1km에대하여 GPS를이용하여이동거리 200m 구간마다측점을선정하고각종인자를조사하여분석하였다. 조사구간중 7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탐방로코스에서강산리쪽으로임도가횡단하며절성토면을구성하고있어통행이거의불가능하여임도에서강산리까지의코스는조사대상에서제외하고노선위치만조사하였다. 표 탐방로코스별현황 탐방로명 수평거리경사거리측점수 (km) (km) 표고차 (m) 평균경사 ( ) 노폭 (m) 나지폭 (m) 1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491 (411)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596 (105)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596 (535)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609 (566)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563 (253) 310~572 (262)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 ~526 (508)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 성주봉 ( 이봉 )~ 휴양림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 ~572 (207) 484~522 (38) 424~455 (31) 533~563 (30) 합계 국립공원연구원 352
37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그림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노선경사분포 야영장 ( 능가사 )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9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1.71km, 경사거리는 1.88km이며, 최저표고는 80m, 최고표고는 491m, 표고차는 411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4.1 로계곡상단의사면을따라올라가다능선을따라유영봉 ( 일봉 ) 까지연결된노선으로마지막의일부급경사구간을제외하고는경사의변화가크지않은노선이다. 구간의평균노폭은 1.8m, 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공원측에서최근노폭을확장보수하여나지폭은좁고, 노폭은넓게조사되었다. 현재팔영산지구코스중에서순환코스의일부구간으로구성되어가장많이이용되고있는구간중하나이다. 2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암릉구간으로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7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1.33km, 경사거리는 1.68km이며, 최저표고는 491m, 최고표고는 596m, 표고차는 105m로구간의평균경사는 3.1 로조사되었으나, 8개의암봉을통과하는구간으로봉우리와봉우리사이의경사는 70 가넘는급경사구간도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1.0m, 평균나지폭은측정이불가하였다. 전체구간이암릉구간 국립공원연구원 353
374 18. 훼손지조사 으로노폭과나지폭의구분이어렵고, 나지폭의확정도불가한구간으로조사되었다. 현재팔영산지구코스중에서순환코스의일부구간으로구성되어가장많이이용되고있는구간중하나이며, 암릉구간으로안전시설물이가장많이설치되어있으며, 최근일부개보수가이루어졌으나아직도추가시설물이다수필요한구간이다. 그림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노선경사분포 3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야영장 ( 능가사 )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13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2.87km, 경사거리는 2.71km이며, 최저표고는노선입구 ( 야영장 ) 의 61m, 최고표고는적취봉 ( 팔봉 ) 596m, 표고차는 535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1.4 로조사되었다. 야영장 ( 능가사 ) ~ 탑재구간은골짜기를따라조성된구간이며, 탑재근처에서탐방로를임도의헤어핀구간이관통하고있어서일부경사가급하고임도를탐방로로이용하는구간이일부포함되어있다.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임도에서시작되어 1981년에식재된편백숲을완만한경사로통과하고적취봉인근에서급경사를이루고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1.7m, 평균나지폭은 0.2m로조사되었으며, 탑재를기준으로야영장쪽은노폭이 1m 이상으로넓고, 적취봉방향은노폭이 1m 이하로노폭이 0.6m인구간도일부분포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구간내의노선이대부분계곡부나석력지를따라위치하여나지폭의명확한구분이 국립공원연구원 354
37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어렵고, 토양으로이루어진노폭의가장자리주변은초본류의식생이확장되어나지폭이비교적좁게조사되었다. 현재팔영산지구코스중에서순환코스의일부구간으로구성되어가장많이이용되고있는구간중하나이다. 그림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노선경사분포 4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그림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노선경사분포 국립공원연구원 355
376 18. 훼손지조사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20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3.64km, 경사거리는 3.81km이며, 최저표고는노선입구 ( 남포미술관 ) 의 43m이며, 최고표고는깃대봉 608m, 표고차는 566m로구간의평균경사는 8.4 로조사되었다. 고흥군영남면남사리 77번국도변의남포미술관에서시작하여약200m 정도의마을포장도로를통과하여마을입구주변의산림에서시작하여능선을따라깃대봉까지경사의완급이반복되고깃대봉에서적취봉 ( 팔봉 ) 까지는비교적완만한하강경사를이루는노선이다. 본구간의시점은국립공원바깥에위치하고있으며, 전체구간의 9.8%( 수평거리 0.82km, 경사거리.86km) 가국립공원경계바깥쪽에위치하고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9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는노선으로시점부와종점부를제외한대부분의구간에서식생이회복되어노폭과나지폭이줄어들고있어노폭과나지폭의경계가명확하게구분되지않는지역이다. 5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그림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4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국립공원연구원 356
37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간의수평거리는 0.71km, 경사거리는 0.76km이며, 최저표고는휴양림의 310m이며, 최고표고는적취봉 ( 팔봉 ) 과깃대봉사이의사거리로 563m, 표고차는 253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9.6 로조사되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1.4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팔영산의북동쪽사면에위치한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적취봉 ( 팔봉 ) 방향으로경사의변화가없는급경사형태의직선구간으로시점부와종점부의노폭이넓고가운데구간은노폭이비교적좁다. 휴양림쪽구간은콘크리트포장구간과석력지를보강하여돌계단형태로보강되었으며, 대부분의구간이석력지로조사되었다. 6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그림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5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0.78km, 경사거리는 0.84km이며, 최저표고는휴양림의 310m이며, 최고표고는두류봉 ( 육봉 ) 과칠성봉 ( 칠봉 ) 사이의사거리로 572m, 표고차는 262m 로구간의평균경사는 18.6 로조사되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9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팔영산의북동쪽사면에위치한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두류봉 ( 육봉 ) 방향으로경사의변화가없는급경사형태의직선구간으로대부분의구간이능선부에위치하고있다. 휴양림쪽도로 국립공원연구원 357
378 18. 훼손지조사 포장구간을지나하천을횡단하여목계단과돌계단으로이어지며, 정상부근은급경사의노출암이분포하고있으며, 대부분의구간이석력지로조사되었다. 7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 ( 암릉하산구간폐쇠 ) 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산리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하여 16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2.77km, 경사거리는 2.94km이며, 최저표고는강산리의 18m이며, 최고표고는선녀봉이 526m, 표고차는 508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0.3 로조사되었다. 성주봉 ( 이봉 ) 에서선녀봉까지의구간은비교적완만한경사를보이고있으며, 선녀봉에서강산리구간은암노출, 석력지, 급경사지의분포를보이고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8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선녀봉에서강산리쪽으로의암릉구간하강코스가위험하여현재출입금지표지판이설치되어있다. 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노면의가장자리로초본류의침입이진행되어어느정도의자연복원이진행중이며, 절반이상의구간이암릉과석력지로연결되어있어서노폭과나지폭이좁게조사되었다. 강산리쪽으로는임도가탐방로를관통하여하산시에는절토사면을미끄러져내려가야하고, 등반시에는임도에서절토사면으로가려져있어탐방로를찾을수가없는상황이다. 그림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 국립공원연구원 358
37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8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탑재 ~ 두류봉 ( 육봉 ) 구간은탑재에서두류봉 ( 육봉 ) 과칠성봉 ( 칠봉 ) 쪽으로연결되는지선으로 100~200m 간격을단위로하여시종점을포함하여 5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0.57km, 경사거리는 0.61km이며, 최저표고는강산리의 365m이며, 최고표고는두류봉 ( 육봉 ) 사거리로 572m, 표고차는 207m로구간의평균경사는 20.0 로조사되었다. 탑재에서능선을따라두류봉 ( 육봉 ) 과칠성봉 ( 칠봉 ) 사이의사거리로연결되는급경사구간으로전구간에걸쳐석력지가분포되어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7m이고평균나지폭은 0.2m로조사되었으며, 노면의좌우측으로수목들과초본들이위치하고있고이용도적은구간으로비교적노폭이좁게생성되어있는구간이다. 그림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노선경사분포 국립공원연구원 359
380 18. 훼손지조사 9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 그림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 탑재 ~ 유영봉 ( 일봉 ) 구간은 100~200m 간격을단위로하여시종점을포함한 3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0.36km, 경사거리는 0.37km이며, 최저표고는 484m이며, 최고표고는 522m, 표고차는 38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3 로조사되었다. 탑재 ~ 두류봉 ( 육봉 ) 지선중간의삼거리에서유영봉 ( 일봉 ) 방향으로사면의등고선을따라이동하는노선으로경사가완만한분포를보이고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7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초본류의침입에의한자연복원이진행중으로일부구간은노선을찾기가어려운구간도분포하고있다. 국립공원안내도의탐방로표시와는다르게유영봉 ( 일봉 ) 과성주봉 ( 이봉 ) 사이로연결되어있으며, 안내도에표시된거리도 0.7km로되어있으나 0.4km로노선과거리를수정할필요가있다고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60
38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0 성주봉 ( 이봉 )~ 휴양림 그림 성주봉 ( 이봉 )~ 휴양림노선경사분포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구간은 100~200m 간격을단위로시종점을포함하여 3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0.41km, 경사거리는 0.42km이며, 최저표고는 424m이며, 최고표고는 455m, 표고차는 31m로구간의평균경사는 1.5 로조사되었다. 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산리구간에서성주봉 ( 이봉 ) 과선녀봉사이에서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구간과연결되는지선으로사면의등고선을따라이동하는경사가완만한분포를보이는구간이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6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초본류의침입에의한자연복원이진행중으로일부구간은노출암과석력지를통과하는관계로노폭이매우협소한구간이다수분포하고있다. 국립공원연구원 361
382 18. 훼손지조사 11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 ( 폐쇠 ) 그림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노선경사분포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구간은 200m 간격을단위로시종점을포함하여 3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였다. 구간의수평거리는 0.28km, 경사거리는 0.28km이며, 최저표고는 533m이며, 최고표고는 563m, 표고차는 30m로구간의평균경사는 6.1 로조사되었다.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노선에서깃대봉과적취봉 ( 팔봉 ) 사이에서탑재방향으로야영장 ( 능가사 ) ~ 탑재 ~ 적취봉 ( 팔봉 ) 노선과연결되는지선으로완만한경사를가지는구간으로중간에샘물이위치하고있으나현재는폐쇄되어사용하지않고있다. 구간의평균노폭은 0.7m이고평균나지폭은 0.1m로조사되었으며, 폐쇄노선으로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초본류의침입에의한자연복원이진행중으로나지폭이거의없고노폭이매우협소한구간이다수분포하고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 11개탐방로 15.13km( 경사거리 16.30km) 구간을대상으로 88개의측점을신속조사법으로조사하여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조사한결과평균경사는 10.40, 평균노폭은 1.02m, 평균나지폭은 0.11m로조사되었다. 이는한국환경생태학회에서 1988~1999년까지 9개의산악형국립공원 11개지구의탐방로훼손실태를조사한결과국립공원탐방로의평균노폭 2.64m, 평균나지폭 2.06m로보고하였으며, 2006년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는평균노폭 1.45m, 평균나지폭 1.11m로보고되었으며, 2006년치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에서는평 국립공원연구원 362
38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균노폭 1.76m, 평균나지폭 1.23m 등에비하여팔영산지구탐방로는주요 3개노선이외에는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탐방객이용영향에의한훼손정도가심하지않은것으로조사되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2006). 4) 탐방로훼손유형 탐방로훼손유형은훼손진행단계 ( 과정 ) 를판단하는지표로서중요한자료가된다. 훼손유형은자연상태의탐방로상에서물리적훼손의발생및진행과정을기준으로분류한노면침식, 뿌리노출, 암석노출, 노폭확대, 비탈붕괴, 분기등으로구분하여조사하고이들의훼손유형이나타나지않는지점은건전지점으로분류하였다. 각구간별측점지점에서조사한훼손유형을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표 탐방로구간별훼손유형 탐방로명야영장 ( 능가사 ) ~ 유영봉 ( 일봉 )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야영장 ( 능가사 ) ~ 적취봉 ( 팔봉 ) 남포미술관 ~ 적취봉 ( 팔봉 ) 휴양림 훼손유형거리측점수 (km) 건전뿌리암석노폭노면노출노출확대침식 비탈 구간내 붕괴분기 분기수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신리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탑재 ~ 유영봉 ( 일봉 ) 지선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지선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지선 계 국립공원연구원 363
384 18. 훼손지조사 1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그림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구간 훼손유형 야영장 ( 능가사 )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구간은 9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7개의훼손유형이 17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5개소로 55.6%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뿌리노출이 4개소에 44.4%, 건전, 분기, 노폭확대가각각 2개소 22.2%, 비탈붕괴와노면침식이각각 1 개소로 11.1%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18). 훼손유형 : 암석노출 훼손유형 : 뿌리노출 ( 노면침식 ) 원 인 : 답압과강수에의한표층 원 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답 침식및유수에의한노면유실등의복합적인작용으로암석노출진행 압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하여유실되어뿌리노출현상진행 사진 야영장 ( 능가사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4
38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2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그림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훼손유형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 7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1개의훼손유형이 7 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7개소로 100.0% 의출현빈도를보이고있다. 8개의봉우리를종주하는암릉구간으로대부분의노면재료가암반이나전석, 자갈로이루어진구간이다 ( 그림 18-19). 훼손유형 : 암석노출 훼손유형 : 암석노출 ( 노면침식 ) 원인 : 암반면의얕은토양층이답 원인 : 능선정상부의노출암지역압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에주로분포하며토양은유실되어거하여유실되어암반노출 ( 노면침식 ) 진의없고보행이불편한지형행사진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5
386 18. 훼손지조사 3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그림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훼손유형 야영장 ( 능가사 )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 12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5개의훼손유형이 15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11개소로 91.7%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건전, 뿌리노출, 노면침식, 노폭확대가각각 1개소에 8.3%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0). 훼손유형 : 노면침식 ( 뿌리노출 ) 훼손유형 : 암석노출 ( 노면침식 ) 원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답 원인 : 답압및유수에따른토층압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의상실로노면침식, 뿌리노출, 암석노하여유실되어암석노출 ( 노면침식 ) 진출이복합적으로진행행사진 야영장 ( 능가사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6
38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4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그림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 훼손유형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 18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5개의훼손유형이 24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10개소로 55.6%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건전이 9개소 50.0%, 노면침식이 3개소 16.7%, 뿌리노출, 노폭확대가각각 1개소에 5.6%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1). 훼손유형 : 노면침식 ( 뿌리노출 ) 훼손유형 : 건전 원 인 : 답압및유수에따른토층 원 인 : 경사가완만한능선부에나타 의상실로노면침식, 노면세굴, 암석노출이복합적으로진행 나는건전지역으로대부분노면침식 0.1m 이하, 노폭 1m 이하로협소한상태 사진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7
388 18. 훼손지조사 5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그림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구간은 4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5개의훼손유형이 8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3개소로 75.0%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노면침식이 2개소 50.0%, 노폭확대, 분기, 건전이각각 1개소 25.0%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2). 훼손유형 : 노폭확대 훼손유형 : 분기 원 인 : 토양층의침식으로석력지 원 인 : 보행불편에따른새로운탐 가노출되고보행불편에따른우회로형성으로노폭확장이진행 방로 ( 분기 ) 가형성되어노면침식, 뿌리노출등의훼손이복합적으로진행 사진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8
3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6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그림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은 5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3개의훼손유형이 6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4개소로 80.0%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뿌리노출, 건전이각각 1개소 20.0%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3). 훼손유형 : 노면침식 ( 뿌리노출 ) 훼손유형 : 건전 원 인 : 답압및유수에따른토층 원 인 : 경사가완만한지역에지피가 의상실로노면침식, 노면세굴, 암석노출이복합적으로진행 낙엽으로피복되어노면침식 0.1m 이하로유지되는건전한상태 사진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69
390 18. 훼손지조사 7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 ( 암릉하산구간폐쇠 ) 그림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구간훼손유형 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산리구간은 13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2개의훼손유형이 14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10 개소로 76.9%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건전이 4개소 30.8%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4). 훼손유형 : 암석노출 훼손유형 : 건전 원 인 : 능선을종주하는노선에나 원 인 : 경사가완만한지역에식생이 타나는암반지역으로표토는침식되어기반암노출, 보행불편초래 침입하여노면침식깊이 0.1m 이하, 노폭이 1m 이하로협소한상태 사진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산리사거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70
39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8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그림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은 5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3개의훼손유형이 8 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4개소로 80.0%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뿌리노출이 3개소 60.0%, 건전이 1 개소 20.0%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5). 훼손유형 : 암석노출 훼손유형 : 뿌리노출 ( 노면침식 ) 원 인 : 답압과강수에의한표층 원 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답 침식및유수에의한노면유실등의복합적인작용으로암석노출진행 압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하여유실되어뿌리노출, 암석노출 사진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71
392 18. 훼손지조사 9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 그림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구간훼손유형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구간은탐방로사이를연결하는지선으로 3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2개의훼손유형이 4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이 3개소로 100.0%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뿌리노출이 1개소 33.3%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6). 훼손유형 : 암석노출 훼손유형 : 뿌리노출 ( 암석노출 ) 원 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침식 원 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답 및유수에의한노면유실등의복합적인작용으로암석노출진행 압으로토입자가분리되고, 강우로인하여유실되어뿌리노출, 암석노출 사진 탑재 ~ 유영봉 ( 일봉 ) 삼거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72
39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0 성주봉 ( 이봉 )~ 휴양림 그림 성주봉 ( 이봉 )~ 휴양림구간훼손유형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구간은탐방로사이를연결하는지선으로 3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2개의훼손유형이 3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건전이 2개소로 66.7%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암석노출이 1개소 33.3%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7). 훼손유형 : 건전 훼손유형 : 암석노출 원인 : 경사가완만한지역에서지 원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유피가낙엽으로피복되고, 나지로식생실되어암석이노출되고보행불편을이침입하여건전한노면을유지초래하고있는지역사진 성주봉 ( 이봉 )~ 휴양림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73
394 18. 훼손지조사 11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 ( 폐쇠 ) 그림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구간훼손유형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구간은탐방로사이를연결하는지선이며현재폐쇠된구간으로 3개의측점을조사하였고 2개의훼손유형이 3회출현하였다. 측점수에대한훼손유형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건전이 2개소로 66.7% 의출현빈도로가장높게나타났고다음으로암석노출이 1개소 33.3% 의순으로조사되었다 ( 그림 18-28). 훼손유형 : 건전 훼손유형 : 암석노출 원인 : 등고선방향을따라분포하 원인 : 경사면의얕은토양층이유는노선으로나지로식생이침입하여실되어암석이노출되고보행불편을건전한노면을유지 ( 노폭 1m 이하 ) 초래하고있는지역사진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구간훼손유형및특성 국립공원연구원 374
39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 11개노선 15.35km 구간에대하여 75개의측점을조사하여훼손유형을분석한결과 7개의훼손유형이 111회출현한것으로나타났다. 측점수에대한각훼손유형의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건전 33개소에 44.0% 로가장많은출현빈도를보였고, 다음으로암석노출 30개소에 40.0%, 노면침식 21개소에 28.0%, 뿌리노출이 13개소에 17.3%, 분기 10개소에 13.3%, 비탈붕괴 3개소 4.0%, 노폭확대가 1개소에 1.3% 순으로조사되었다. 팔영산지구탐방로의전체적인훼손정도는심하지않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훼손유형중암석노출과노면침식의출현빈도가높은것은대부분의탐방로가계곡부와능선부에위치하여답압및유수침식에따른암석이노출되는현상이나타나고있으며, 현재일부구간에서는자연적인복원이이루어지고있으나, 호우에의한계곡부의노면침식에따른암석노출이증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4) 탐방로훼손정도 각탐방로별전체구간내에서발생한훼손지를국립공원관리공단의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 ( 표 17-7) 을참고하여탐방로별로훼손정도및훼손특성을분석하였다. 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에의해조사한훼손정도를 4가지 강, 중, 약, 건전 으로구분하였다. 표 탐방로훼손정도평가기준 훼손등급강중약건전 훼손상태 훼손정도가심하여암반노출, 수목뿌리노출, 노면침식및확대, 주변부식생파괴등훼손확산구간 훼손확산심화로즉시복구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이상, 1 3년내정비필요구간 부분적으로나지화가진행되는구간으로측면붕괴, 노면배수불량에따른수로화등훼손진행구간 훼손진행및확산우려로단기간내복구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이상, 4 7년내정비필요구간 국소적인훼손발생으로노면배수및동선유도등필요구간 배수로등일부노면정비및일반적시설물유지보수필요구간 훼손나지폭 m내 외 평균노폭이 1.2m이하로적정하고노면에낙엽등지피물이남아있거나, 주변식생으로노폭이유지되고있는구간 산림환경피해도 5 6등급 3 5등급 2 3등급 0 1등급 국립공원연구원 375
396 18. 훼손지조사 표 탐방로훼손정도및훼손비율 탐방로명 거리 (km) 건전 (km) 훼손정도 강 (km) 중 (km) 약 (km) 훼손비율 (%) 야영장 ( 능가사 )~ 유영봉 ( 일봉 )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야영장 ( 능가사 )~ 적취봉 ( 팔봉 ) 남포미술관 ~ 적취봉 ( 팔봉 )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신리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탑재 ~ 유영봉 ( 일봉 ) 지선 성주봉 ( 이봉 )~ 휴양림지선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선 지 계 전체조사법을통해훼손이발생한지점의훼손정도를조사한결과, 야영장 ( 능가사 )~ 유영봉 ( 일봉 ) 1.71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1.26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12km, 약 구간이 0.33km로훼손비율은 26.3% 로조사되었다. 유영봉 ( 일봉 )~ 적취봉 ( 팔봉 ) 1.33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97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01km, 약 구간이 0.35km로훼손비율은 27.1% 로조사되었다. 야영장 ( 능가사 )~ 적취봉 ( 팔봉 ) 2.67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2.25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14km, 약 구간이 0.18km로훼손비율은 12.5% 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76
39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남포미술관 ~ 적취봉 ( 팔봉 ) 3.64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3.05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33km, 약 구간이 0.26km로훼손비율은 16.2% 로조사되었다. 휴양림 ~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0.71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66km, 강 구간과 중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약 구간이 0.05km로훼손비율은 7.0% 로조사되었다. 휴양림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0.78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68km, 강 구간과 중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약 구간이 0.10km로훼손비율은 12.8% 로조사되었다. 성주봉 ( 이봉 )~ 선녀봉 ~ 강신리 2.77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2.15km, 강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중 구간은 0.27km, 약 구간이 0.35km로훼손비율은 22.4% 로조사되었다. 탑재 ~ 두류봉 ( 육봉 ) 사거리 0.57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56km, 강 구간과 중 구간은조사되지않았으며, 약 구간이 0.01km로훼손비율은 1.8% 로조사되었다. 탑재 ~ 유영봉 ( 일봉 ) 지선 0.36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14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17km, 약 구간이 0.05km로훼손비율은 61.1% 로조사되었다. 성주봉 ( 이봉 )~ 휴양림지선 0.41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21km, 강 구간은없었으며, 중 구간이 0.20km, 약 구간은훼손이조사되지않았으며훼손비율은 48.8% 로조사되었다. 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지선 0.28km 구간중 건전 구간이 0.22km, 강 구간은 0.06km, 중 구간과 약 구간은훼손이조사되지않았으며훼손비율은 21.4% 로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 8개본선, 3개지선 15.13km 구간에대해탐방로훼손정도를조사한결과, 건전 구간이 12.15km(80.3%), 강 구간이 0.06km (0.4%), 중 구간이 1.24km(8.2%), 약 구간이 1.68km(11.1%) 로전체구간에대한훼손정도는 2.98km로훼손비율은 19.7% 로분석되었다. 강 구간은 0.06km로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지선구간에서나타났으며그외의구간에서는조사되지않았으며, 현재폐쇄된노선으로암노출지 ( 석력토 ) 사면을통과하는지역으로복구보다는당분간모니터링이필요한지역으로판단된다. 중 구간은 1.24km로 7개탐방로에 0.01 ~ 0.33km의분포를보이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남포미술관 ~ 적취봉 ( 팔봉 ) 구간에서 0.33km로가장높게나타났다. 약 구간은 1.68km로 9개탐방로에 0.01 ~ 0.35km의분포를보이는것으로조사 국립공원연구원 377
398 18. 훼손지조사 되었으며,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구간과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신리구간에서 0.35km로가장높게조사되었다. 훼손비율이높게나타난구간은탑재 ~ 유영봉 ( 일봉 ) 지선구간 61.1%,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지선구간 48.8% 로높게나타났으며지선구간의특성상조사거리가짧아훼손비율이높게나타난것으로확인되었다. 특히다수의탐방객들이순환노선으로이용하는야영장 ( 능가사 ) ~ 유영봉 ( 일봉 ),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이봉 ), 야영장 ( 능가사 )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국립공원으로이관후상시관리를통하여일부훼손지를보수하였기때문으로판단되며, 일부구간들은탐방객에의한훼손보다는자연재해에의한훼손발생이더클것으로판단되며, 현지조사에서도탐방객에의한훼손보다는자연상태에서발생한훼손 ( 수목도복, 유수에의한노면세굴등 ) 이일부를차지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의국립공원탐방로훼손등급실태조사자료에의하면전체국립공원탐방로 1,087.2km 구간에대한훼손정도는 강 구간이 10.7%, 중 구간이 22.8%, 약 구간이 51.3% 로훼손비율은 33.5% 로보고되었으며, 치악산국립공원과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006) 에서조사된훼손비율은 13.1% 와 11.9% 로보고되어본조사결과와일부차이를보이고있는데, 이는훼손정도평가기준이조사자의주관적판단에의한것이기때문에조사자에따라상당한차이가발생하는것으로판단된다. 전체적으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훼손정도는대부분 약 에포함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일상적인관리를통하여충분히유지보수가가능하다고판단된다. 하지만,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구간에대해서는탐방객이용에따른훼손보다는탐방객의추락, 미끄러짐, 부상등의안전에상당한주의를요하는급경사지역들로전구간이이루어져있으며, 기존의도립공원시설에설치된스테인레스구조물들은상당히미끄러워추가적인안전시설물 ( 펜스, 안내판, 배수로 ) 설치로추가훼손을미연에차단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판단된다. 5) 산사태발생지및기타훼손지현황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대한산사태발생지및기타훼손지현황파악을위하여관리소의견, 항공사진, 현지조사등을병행하였으나조사구역내에는최근발생한산사태는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78
39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탐방로훼손 세굴유형분석과복원대책에관한연구. 161 pp.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581 pp.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505 pp.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탐방로정비매뉴얼. 161 pp. 산림청 등산로훼손유형별생태적정비요령. 188 pp. 산림청 산림의보전적활용증진을위한숲길의조성 관리기본계획. 85 pp. ( 사 ) 생명의숲국민운동본부 생활권숲길현황조사매뉴얼. 260 pp. 에코시티사업단.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팔영산 천관산도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환경부 고흥 (8-18) 의자연환경 : 팔영산. 국립공원연구원 379
400
401 Ⅲ 요약 및관리방안
402
40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요약및관리방안 1. 지형경관및지질 1-1. 요약고흥군이위치하고있는고흥반도는여수반도, 장흥, 해남과함께양쪽에만을끼고남해쪽으로깊숙이뻗어있는전형적인반도이다. 리아스식해안과반도의풍광이다도해의경관과어우러지는곳이이들반도의주변이다. 고흥군은남양면대곡리일대의닭모가지정도밖에안되는좁은육지로육속되어있을뿐사실상섬이나다름없다. 팔영산은고흥군의동쪽여수반도쪽으로깊숙이파고든반도중의반도인영남면과점암면에위치하고있으며, 총면적은 km2이다. 1998년 7월 30일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2011년부터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편입되어관리되고있다. 팔영산은고흥읍에서동쪽으로 25km떨어진지점에있는팔영산 (608m) 과팔영산남동쪽능선의계곡에있는자연휴양림등을포함한다. 팔영산은기암괴석이많고산세가험준해연중등산객이끊이지않고, 특히제1봉인유영봉 ( 儒影峰 ) 에서성주봉 ( 聖主峰 ) 생황봉 ( 笙簧峰 ) 사자봉 ( 獅子峰 ) 오로봉 ( 五老峰 ) 두류봉 ( 頭流峰 ) 칠성봉 ( 七星峰 ) 을거쳐마지막제8봉인적취봉 ( 積翠峰 ) 까지이어지는바위능선으로형성되어있다. 또한팔영산정상에오르면멀리일본의쓰시마섬 [ 對馬島 ] 이보이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전경이한눈에들어온다. 팔영산에서는급애, 판상절리, 토어, 애추지형등이부분적으로또는집중적으로관찰되고있으며, 하천지형은폭포지형만이관찰되고있다. 팔영산이속해있는고흥반도의대부분지역은중생대백악기에형성된지질계통으로이루어져있으며, 특히산성화산암류분포가넓게나타난다. 화성암류에속하는화강반암과불국사화강암, 산성및중성화산암은경상계에속하는지질계통으로서중생대백악기에진행되었던화산활동과밀접한관련성을지닌다. 고흥반도지역은산지의침강으로인해서형성된지역이기때문에거의전지역이구릉성산지로이루어지어져있다. 팔영산일대의지질은제4기의충적층과백악기의안산암, 유문암및유문암질응회암, 안산암및안산암질응회암으로이루고있다. 팔영산일대는응회암과안산암질용결응회암이주로분포되어있다 관리방안 팔영산은 8개의봉우리가어우러져장관을연출하고있으며, 이러한봉우리를연결하는탐방로가조성되어있다. 팔영산의지질은용결응회암으로구성되어있으며, 수 국립공원연구원 383
404 III. 요약및관리방안 직및수평의절리가매우발달되어있다. 이러한지질구조특징으로물리적 화학적풍화작용발생으로손쉽게암석이부서지는특징을가지고있다. 따라서이러한외부환경에의한침식및풍화작용등으로인하여지형의변화는지속적으로변화될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다음과같은관리방안등이수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 1) 지속적인지형변화에따른위험지구및낙석, 산사태, 등에대한체계적인전문적인조사및관리방안등이수립되어야할것으로판단됨. 2) 팔영산지형경관및형성과정등에대한이해를돕기위한안내해설판및안내서등이추가로수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됨. 2. 식물상 2-1. 요약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전체범위를 11개의격자 (2km 2km) 로나누어식물상조사를실시하였으며조사된관속식물은 45목, 129과, 442속, 683종, 86변종, 12품종으로총 781분류군이조사되었다. 기존문헌에서발견되지않은종은총 190분류군이이번조사에서추가로발견되었다. 조사된 781분류군을생활형에따라분류하면 H( 지중식물, 휴면아지표 ) 가 158분류군 (20.68%), Th( 일년생식물 ) 가 150분류군 (19.63%), G ( 지중식물, 휴면아땅속 ) 가 128분류군 (16.75%), 그리고 N( 저목, 소지상식물 ) 이 108분류군 (14.14%), MM( 교목, 대형지상식물 ) 이 77분류군 (10.08%), M( 아교목, 소형지상식물 ) 이 68분류군 (8.90%), HH( 수생식물 ) 가 40분류군 (5.24%), Ch( 반지중식물 ) 가 33분류군 (4.32%), 마지막으로 E( 기생식물 ) 가 2분류군 (0.26%) 으로기록되었다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의특산식물이자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Ⅱ급에해당하는식물은관찰되지않았으며, 국립수목원지정희귀식물의경우총 19분류군의희귀식물이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지구 ) 에서조사된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109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Ⅴ등급식물군은히어리 (Crypsinus hastatus) 와왕벚나무 (Saururus chinensis) 의 2분류군으로조사되었으며, 점유율은 1.8% 로나타났다. Ⅳ등급식물군은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등을포함한 6 분류군이나타났으며, 점유율은 5.41% 로나타났다. Ⅲ등급식물군은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등을비롯한 26분류군으로나타났으며점유율은 24.32% 로파악되었으며 Ⅱ등급식물군은주목 (Taxus cuspidata), 돌양 국립공원연구원 384
40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지꽃 (Potentilla dickinsii) 을비롯한 6분류군이조사되었고점유율은 5.41% 이며 Ⅰ등급식물군은푸조나무 (Aphanathe aspera), 모람 (Ficus nipponica) 등을포함한 69분류군이나타났으며점유율은 63.06% 로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총 51분류군이조사되었으며이중환경부지정위해야생동식물은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애기수영 (Rumex acetocella),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등 3종이발견되었다 관리방안 1) 외래식물및귀화식물관리방안수립팔영산은능가사와팔영산휴양림, 편백림, 팔영산 8개봉우리등의광범위한인식과더불어나로도우주발사대와소록도에이르는탐방객이흔히찿아전남일대에서유명탐방지중하나이다. 이와함께본공원은오랜기간정상부와계곡에이르기까지민속신앙기도처와등산객, 각종식물채취와광범위한인위적식재와경작등에의해자생식물의훼손과아울러귀화식물의유입및번성은필연적이기도하다. 그러나현재귀화식물의분포는국도와임도, 경작지, 주거지주변부에서주로관찰되며공원지역내집중분포지역은없어구제에시급을요하진않으나외래식물및귀화식물에대한다음과같은관리방안은필요하리라판단된다. 첫째, 중장기적인외래식물제거관리방안및모니터링시스템을인근유관기관과대학, 연구원, NGO등과의협력을통하여수립하여야할것이다. 귀화식물의관리는인력, 예산등에서한계를예상하여관리하고자하는귀화식물종을연차적으로선택하고그들의생태학적위치를고려하여자생식물서식지로갱신여부를결정하는것이바람직하다고본다. 외래식물제거관리방안-계절별로귀화식물의분포역의변화와생육상태, 주변지역의개발현황, 탐방객에따른영향등점검둘째, 귀화식물을이용하여탐방및생태학습자원으로의활용하거나경관적, 탐방적가치를가진식물도많으므로이를활용할충분한가치를가지고있다. 생태학습자원으로의활용-원예, 약용, 염료등자원적가치가높은식물도있으므로귀화식물에대한막연한거리감에대한실질적홍보및식별, 구제방안제시필요. 2) 계곡부식물상보호 국립공원연구원 385
406 III. 요약및관리방안 팔영산은식물구계지리학상한반도남해안아구에속하는지역으로난대림지역으로상록활엽수림대에속하나대체적으로온대림이분포하며난대림지역은드물게남부금사이제 ( 영남면양사리 ) 상부계곡에후박나무와동백나무, 차나무, 개산초나무등의상록활엽수잔존개체수를관찰할수있다. 또한비자나무는식재로믿어지나주엽나무, 탱자나무등도자생하고있어팔영산종다양성보전에중요한지역으로평가된다. 또한탑재에서능가사에이르는계곡부와팔영산휴양림에이르는계곡임도변에형성된뻐국나리의자생지는탐방객의통로와인접하여훼손의가능성이크므로보전의필요성이크다. 팔영산북사면상부계곡과정상부암봉하부, 남사면팔영산휴양림하부계곡에는많은히어리자생지가분포하는바이에대한지속적인관찰과보전의필요성이있다. 이와같이. 팔영산계곡부에는본공원의대표적식물상이잔존자생함으로서계곡부식물상에대한지속적모니터링과보전및복원에노력할필요가있다 ( 그림 2-1). 모니터링방향-중요지점 ( 고정방형구설정 ) 을선정하여계절별로금사이제 ( 영남면양사리 ) 상부계곡부에는상록활엽수의종과분포역, 생육상태의변화, 계층구조, 계곡의침식이미치는영향, 주변부의개발현황등을점검, 히어리와뻐꾹나리자생지도동일하나개화, 결실시기와개체수, 탐방객이미치는영향등을점검. 그림 2-1. 팔영산금사이제의주엽나무와비자나무 3) 특정지역의적극적복원 강산폭포와금사이제상부계곡에는신앙단체가수년간주거함으로서이지역에자생하였던다양한상록활엽수종을비롯한난대계열식물이훼손되었거나자생지에서사라진것으로생각되며이에대한정밀조사와복원대책이요구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86
40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정상부암봉밑석굴앞에는영산홍류가식재되어있고팔영산휴양림하부산지에는동백나무 ( 원예품종-겹꽃 ) 가광범위하게식재되어있으며능가사에서탑재로향하는임도에는황칠나무가가로수형태로, 팔영제상부편백림에는더덕이탐방로를따라파종되어있다. 그러나이같은무분별한식재는팔영산의자연성과식물종다양성을훼손하는결과를가져올것으로생각된다. 팔영산은전체적으로남, 서부에편백식재지가, 북부지역에소나무가광범위하게조성되어있어종의다양성에제한적역할을하리라생각되나남부양사리일대와서부성기리일대계곡부를잘보전한다면양호한남부아구의식물종을보유할것으로기대된다, 팔영산의종보전과탐방객들에대한생태학습과식물자원적가치인식제고와공원의위상격상을위해시목저수지, 금사일제와금사이제의상부계곡부는공원부지로편입하여남부아구특정식물원으로발전시킴이바람직하다. 3. 식생 3-1. 요약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의식생군락을조사한결과졸참나무군락 2개, 신갈나무군락 2개,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팽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합다리나무군락등총 10개의군락이분포한것으로조사되었고, 인공림은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림, 편백림, 곰솔-졸참나무림등총 3개가조사되었다. 팔영산은우리나라남단에위치하고있어쿠로시오난류의영향으로난온대기후대가형성되는지역이다. 따라서이산은난온대림이형성되어야하는지역이나식생구조는온대수종들이우점하여군락을형성하고있다. 팔영산의중상부식생은척박한토양과암석지의지형적특성으로인간의간섭이적어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등 2차림이잘발달되어있다. 그러나산의중하부에식재된리기다소나무림과곰솔림은식재된수종의수세가약하여낙엽활엽수림으로천이가진행중인것으로판단된다. 편백나무군락은지속적인관리로우점종인편백나무의수세가양호하나간벌된숲틈에굴참나무의침입흔적을볼수있어인간의인위적인간섭을중단할경우일부지역은굴참나무숲으로천이될가능성이높다. 굴참나무군락에일부남아있는후박나무의종자들이계곡을따라빠르게확산되고있어계곡주변토심이양호한지역에서부터후박나무군락이형성될것으로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87
408 III. 요약및관리방안 3-2. 관리방안 1) 난대수종서식지역보전계획 팔영산은난온대지역에위치하고있어난대림이형성되어이지역만의독특한경관을형성하여야하나인간의인위적인교란으로형성되지못하고있다. 따라서조사구번호 50번지역에자생하고있는굴거리나무 ( 흉고직경 13 cm ) 한그루와조사지역 71~77번지역에자생하고있는후박나무약 60주에대한보호대책이필요함 2) 팔영산자연휴양림외래수종관리방안 진입도로주변숲안쪽에최근식재된것으로판단되는홍단풍나무에대한제거또는이식등관리방안이필요함 현재조림된편백림에대해서는숲가꾸사업등장기적인관리방안또는관리방침등을수립하여 2차림으로천이를유도하여야함 곰솔과리기다소나무림이난온대림으로천이될수있도록복원방안을마련하여야함 4. 산림엽면적지수 4-1. 요약 LAI( 엽면적지수 ) 는식물의엽층에서발생하는에너지, 이산화탄소, 질소의교환과식물의구조적특징을나타내는중요한지수이다. 엽면적지수의정의는단위면적지표면적당엽면적의합으로단위는 m 2 /m 2 으로, 엽면적지수가 1은 1m 2 지상면적에 1m 2 의엽면적이분포하고있음을의미한다. 본조사에서는산림생태관련지표로널리활용되고있는 LAI를측정하고분석하였다. 이를위해현지에서측정한 LAI 값과위성영상자료의반사율과의상관관계를이용하여 LAI 추정식을산출하였다. 산출된추정식을위성영상자료에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지도를제작하여그특성을규명하였다. 그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산림엽면적지수는평균적으로 4.02로최소 1.04과최대 7.44범위에분포하고있다. 산림엽면적지수의공간적분포특성을잎의활력도와다양성으로보면팔영산지구의산림에서잎의활력도는대체로높은 4 와 5등급으로나타나고활력도가비교적낮은 1과 2등급지역은 797격자를포함한능선주변으로나타났다. 활력도가높은지역은전체산림지역의 41% 에해당하며활력도가낮은지역은산림면적중 17% 에해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잎의다양성을자원조 국립공원연구원 388
40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사기준격자의크기로살펴보면모든격자에서다양성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이는팔영산지구의산림지역에서식생의상태가매우유사하고안정되어있는상태라고판단할수있다 관리방안산림특성중식생의구조적특징은산림생태계에서지표면과대기, 기후의상호작용인에너지, 수분, 탄소의순환의매개체로서매우중요한역할을한다. 특히산림에서식생의잎은외부환경의상호작용하여증발산, 식생과대기간의에너지및이산화탄소의교환이이루어지므로식생의활력도를간접적으로판단하는기준이될수있으며산림지역에서엽면적지수를측정함으로써가능하다. 더나아가매년시간의흐름에따른지수값의변화로식생의생육단계를고찰함으로써산림식생의건강성 산불이나병충해와같은산림의재해발생을예측하고평가할수있는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또한기후변화에따른생태계변화관찰지역, 특별보호구, 조사모니터링고정조사구등을선정할때객관적기준으로이용될수있다. 팔영산지구산림지역의잎의활력도와다양성을고려해볼때조사모니터링조사구로 797번격자가선정되어조사가이루어질필요가있다. 5. 포유류 5-1. 요약본자연자원조사는팔영산지구에서식하고있는포유류와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에대한현황을파악하기위해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총 4회에걸쳐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2km 2km로이루어진 11개의격자로이루어진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지구로팔영산능선을중심으로탑재와팔영산자연휴양림 2개의조사구간으로구분하여조사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포유류는개과개, 너구리, 고양이과삵, 족제비과오소리, 족제비, 수달, 사슴과고라니, 노루, 소과염소, 멧돼지과멧돼지, 땃쥐과땃쥐, 두더지과두더지, 토끼과멧토끼, 쥐과등줄쥐, 멧밭쥐, 다람쥐과청설모, 다람쥐로 11과 17종이조사되었다. 조사구간별서식현황은탑재구간에서 12종, 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 14종으로확인되었고모든구간에서서식이확인된포유류는너구리, 삵, 오소리, 고라니, 멧돼지, 두더지, 등줄쥐, 청설모, 다람쥐로 9종으로법정보호종으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Ⅰ급수달과멸종위기Ⅱ급삵의서식이확인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89
410 III. 요약및관리방안 5-2. 관리방안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새로편입된팔영산지구는이번자연자원조사의결과에서보여주듯이멸종위기종등다양한생물종이서식하고있는지역으로생물다양성유지하고추가적인생물종을발굴하기위해다음의 2가지에대한관리방안을수립하였다. 첫번째 - 멸종위기종보전방안 두번째 - 포유류정밀모니터링 1) 멸종위기종보전방안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팔영산에서서식이확인된환경부지정멸종위기포유류는멸종위기Ⅰ급수달 ( 천연기념물제330호 ) 과멸종위기Ⅱ급삵으로 2종이였다. 멸종위기Ⅰ급인수달과멸종위기Ⅱ급인삵의서식흔적이모두발견된지역은전남고흥군영남면금사리에위치하고있는시목저수지와전라남도고흥군점암면성기리에위치하고있는팔영제로두지역모두다양한포유류의서식이확인되었으나팔영제의경우마을주민들이낚시와어망을이용한어류의포획활동이활발하였으며시목저수지도낚시를한흔적이곳곳에서발견되어멸종위기Ⅰ급인수달의생태계교란및낚시줄과어망에의한 2차피해가발생할가능성이높은것으로조사되었다. 팔영제와시목저수지는국립공원경계에벗어난지역에위치하고있으나팔영산지구의격자번호 793, 796, 800에포함되어있는저수지로수달과삵의배설물이확인된지역또한공원경계지역의산림접경지와공원구역에포함되어있는계곡인근이였다. 따라서어업활동을제재할수있는법적인제도마련과특별보호구지정등국립공원에서집행이가능한현실적인보호관리방안이마련되어야한다. 2) 포유류정밀모니터링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편입된팔영산지구에서선행연구와이번에실시한자연자원조사를통해서식이확인된포유류는총 23종으로소형포유류를제외한대부분의종이이번조사에서확인되었으며염소와노루 2종이이번조사에서처음확인되었다. 소형포유류는산림생태계내에서 3차소비자들의먹이원으로생태계균형유지하는데중요한역할을하는포유류로장기모니터링을통해정확한서식종과군집분석에대한조사가필요한것으로판단된다. 본조사에서는선행연구에서조사된기록이없는염소와노루가발견되었다. 노루 국립공원연구원 390
4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는팔영산자연휴양림에서대나무군락이있는지점으로이동하여조사하던중배설물이발견되어무인센서카메라를설치하였으나실체가확인되지않았으므로서식유무를확인하기위해무인센서카메라를이용한지속적인모니터링필요한것으로판단된다. 남포미술관에서바른등재구간에서서식이확인된염소는생태계유입종으로야생동물인고라니와노루의생태와유사한습성을가지고있는가축으로왕성한식욕과강한번식력으로개체수가증가할경우산림생태계에미치는영향이매우큰동물이다. 따라서이지역을집중조사하여팔영산지역에서식하고있는염소의정확한생태와개체수를파악하기위한조사가필요하다. 6. 조류 6-1. 요약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확인된조류는총 82종 1,450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우점종은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11.86%) 였으며다음으로참새 Passer montanus (11.03%),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7.52%),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5.72) 및큰부리까마귀Corvus macrorhynchos (5.1%) 순이었다. 종다양성은춘계에 3.28, 하계에 3.06, 추계에 2.58로춘계에종다양도지수가높게나타났다. 종풍부도는춘계에 8.37, 하계에 3.06, 추계에 2.58로춘계에종다양도와같이종풍부도가높게나타났다. 종균등도는춘계에 0.81, 하계에 0.76, 추계에 0.75로춘계에종균등도가높게나타났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종다양성은 3.53, 종풍부도는 11.13, 종균등도는 0.8이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확인된법정보호종은총 7종 19개체 ( 최대개체수기준 ) 였다. 이중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은 3종 5개체로 795, 798격자에서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와 796격자에서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및 799격자에서두견 Cuculus poliocephalus 이관찰되었다. 문화재청지정천연기념물은 5종 16개체로 801격자에서였다. 원앙 Aix galericulata 과 793, 794, 800, 801, 802격자에서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 와 795, 798격자에서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와 799격자에서두견 Cuculus poliocephalus 이관찰되었다. 멸종위기종이가장많이확인된격자는 801번격자로 3종 13개체로확인되었다 6-2. 관리방안 문헌비교연구에서기존제 2 차전국자연환경조사등선행조사에서의조사방법및 국립공원연구원 391
412 III. 요약및관리방안 조사기간등이모두달라비교에있어정량적변화에대한고찰이정확히이루어졌다고판단하기는힘들다. 향후조사결과의일관성과기후변화등의지표에활용이가능하도록조사방법의정량화하여지속적인모니터링이필요하다고생각한다. 팔영산이 2011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승격된지얼마되지않아단순한경관관광으로만그치는것이아니라다른지역보다많은종다양성확보와생태계안정화와함께국립공원의생물적, 생태적인프로그램을개발하고숲해설사배치와국립공원홍보프로그램등국립공원의활발한이용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와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및황조롱이 Accipiter soloensis 등법정조류에대한지속적인모니터링과함께국립공원을관통하는지방도로에서발생되는소음이팔영산에서번식하고있는조류에방해요인으로작용하지않도록이도로를지나는차량에대한단속과조류의번식기간동안탐방객의출입으로조류에시각과청각에방해요인으로영향을미칠수있어탐방객에게이를알리는안내필요하다. 7. 양서 파충류 7-1. 요약이번조사에서확인된양서류는총 2목 5과 7종 223개체로, 도롱뇽科의도롱뇽, 무당개구리科의무당개구리, 두꺼비科의두꺼비, 청개구리科의청개구리, 개구리科의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가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파충류의경우총 1목 4과 10종 61개체가발견되었는데, 그현황을살펴보면도마뱀科의도마뱀, 장지뱀科의아무르장지뱀과줄장지뱀, 뱀科의누룩뱀, 능구렁이, 유혈목이, 대륙유혈목이, 살모사科의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가관찰되었다. 양서 파충류의고도별분포현황에서누룩뱀이가장높은곳에서확인되었으며, 다른종들은주로저지대에서많이관찰되었다. 한편양서 파충류의군집분석에서양서류는무당개구리가, 파충류는도마뱀이우점종으로확인되었으며양서류의경우다양도는 1.525, 균등도는 0.784, 풍부도는 로, 파충류는다양도가 2.029, 균등도가 0.882, 풍부도가 2.189로나타났다. 법정보호종현황에서먹는것이금지된양서 파충류는총 5종으로나타났으며, 포획금지종은 12 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1종으로확인되었다. 선행연구결과의비교할때, 황소개구리와무자치를제외하고모든종이본조사에서확인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392
4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7-2. 관리방안고흥군의동쪽에는팔영산 (608m), 중앙에는운람산 (487m), 남서쪽에는조계산 (473m) 과천등산 (554m), 남쪽에는마복산 (539m) 이위치해있고, 이중팔영산은가장높고, 사람에게많이알려진산이다. 현재팔영산자연휴량림과팔영산오토캠핑장을운영하고있어사람들의방문이더욱많아질것으로예상된다. 새롭게국립공원지역으로편입된만큼유지와관리가매우중요한시점이라할수있다. 따라서팔영산의지속적인생물다양성유지, 탐방객관리등을위하여크게 1) 자원보전 2) 생태탐방 3) 시설측면에서관리방안을제시하고자한다. 1) 자원보전 팔영산은편입된이후처음자연자원조사가수행된만큼알려진바가없다. 이전에조사된환경부자료나전라남도자료는광범위하고, 개략적으로조사했었던만큼자연보전을위해서는지속적으로정밀한조사가선행되어야한다고생각된다. 능가사등산로입구쪽에조성된연못은양서류산란에매우중요한역할을하고있어팔영산내에특기할만한보호지점이라고생각된다. 그중정치된연못이나웅덩이에만산란을하는두꺼비에게는산란장소로매우중요한역할을하고있었다. 1차조사당시많은수의두꺼비유생을관찰하였다 ( 그림 7-2). 만약이연못이없어진다면이주변두꺼비들의산란에치명적인영향을줄것으로판단된다. 또한,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청개구리, 무당개구리모두이곳을산란지로사용될것으로예상된다. 따라서이연못은팔영산주변의양서류의주산란지로쓰이는매우중요한보호지점이라고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 393
414 III. 요약및관리방안 그림 7-2. 능가사주변연못에서관찰한두꺼비유생 2) 생태탐방 팔영산지구에서식하는양서류중개구리류는각종마다독특한울음소리와형태적으로확연하게구별되는특징을가지고있기때문에이러한소리와형태적차이점를잘활용한다면야외에서훌륭한시청각교육이진행될것으로기대된다. 보호지점으로앞에서언급하였던능가사등산로입구쪽에위치한연꽃연못에는북방산개구리, 도롱뇽, 무당개구리등의알과성체를 3월경부터 6월까지관찰할수있고, 특히두꺼비유생이집단으로유영하는모습을 5월경에관찰할수있어체험교육의장소로매우유용하게사용될수있다. 또한능가사입구부터정상까지가는등산로를따라이어진계곡에는많은수의옴개구리가서식하고있었다. 옴개구리는산개구리류나참개구리와달리일반인에게많이알려지지않았기때문에홍보나교육의대상으로효과적일것이라고생각된다. 3) 시설 팔영산지구내에는기존에조성된임도들이잘연결되어있다. 임도주변에는산림이그대로형성되어있어양서 파충류의이동이빈번할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이임도를통한차량을통행을최소화해야할것이다. 본조사를통해서도양서 파충류 국립공원연구원 394
4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의로드킬을임도에서발견할수있었다 ( 그림 7-3). 특히파충류들은가을철에몸을말리기위해햇볕이잘드는임도로몰려나오기때문에차량의통제는특히중요하다. 그림 7-3. ( 좌 ) 팔영산내형성된임도, ( 우 ) 임도에서로드킬된참개구리 8. 어류 8-1. 요약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10개지점에대해 11일간조사를실시하였다. 전체적인하천형은남해로흐르는독립하천이인접한상류형과중상류형이었다. 전체어류상은총 2목 3과 8속 9종 731개체이었고잉어목잉어과어류가 5종으로가장많았고, 미꾸리과와망둑어과가각각 2종이었다. 이차담수어인밀어와꾹저구를제외하고일차담수어였고한반도고유종은긴몰개와남방종개 2종이었다. 하천별로는강산천에 8종, 우천천과금사천에각각 3종이서식하였다. 상대풍부도에의한우점종과아우점종은갈겨니와버들치였다. 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및문화재청지정천연기념물은확인되지않았다. 외래종은없었다 관리방안첫째, 팔영산의대부분에수계는도로의개설, 농수로, 상류지역의소류지, 인공구조물등으로인해하상구조가인위적으로변경된지역이많은도서지역수계와유사한특징을가지고있었다 ( 차와윤,1997). 또한남해로흐르는독립하천과하천의발달정도가미비하여출현종도적었다. 이에따라서식처의변화는어류의생존에직접적인영향을줄것으로판단된다. 하천의정비보다는현재상태의하천을지속적으로유지 국립공원연구원 395
416 III. 요약및관리방안 하는것이중요하고자연재해로인해파손되었을경우에는자연상태에가깝게하되하상의손상을최소화하는공법을택하는공사를진행하여야한다. 둘째, 선행조사에서고흥지역에외래도입종인배스가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배스는한국재래종치어및다른소형무척추동물을대량으로섭식하여하천의생물다양성을크게감소시키는것으로알려져있는데팔영산주변으로소규모소류지등이조성되어있어배스의서식여건으로충분하였다. 현재까지팔영산내에배스가서식하진않았지만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해유입여부롤확인할필요성이있다. 셋째, 야영장과휴양림에설치되어있는수영장및보로인해물의흐름이방해를받고있다. 특히자동차야영장의경우수영장을중심으로상류에 1개의사방댐이있고하류에 2~3개의보가연속적으로설치되어있다. 이로인해연간일정한유량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되나, 건기에정체된계곡수의오염이우려된다. 이에어류의서식처확대와계곡수보호를위해기능을상실한보와이용이저조한수영장은철거하는것이좋을것으로판단된다 ( 그림 8-1). 자동차야영장 자동차야영장 휴양림휴양림그림 8-1.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수영장및보 마지막으로, 다양한종의생물자원에대한홍보자료를확보하고공원자원에대한지속적인정보를탐방객에게제공함으로서공원자원에대한소중함을알려야한다. 자연자원조사를통해연구원에서제작한담수어류생태안내서를책으로제작하여탐방안내소등에비치하고재가공하여리플렛등으로활용한다면탐방객을위한좋은교 국립공원연구원 396
4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육자료활용할수있을것이다 ( 그림 8-2) 그림 8-2. 국립공원의민물고기이야기 9. 육상곤충 ( 주간 ) 9-1. 요약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곤충상은현지조사를통하여확보된주간곤충 13목 89과 306종과문헌기록의 12목 46과 112종을포함하여주간곤충총 15목 104과 363종이확인되었고, 야간곤충에서조사된 22과 372종의나방류와통합한결과총 15목 126과 735종으로정리 다른지역에비해벌목의비중이매우높으나이는비행성곤충을중점적으로조사할수있는말레이즈트랩을사용한조사방법과참여조사자에의한결과가큰영향을끼친것으로사료됨 자연휴양림일대에서전체확인종의 70% 가넘는 73과 220종으로가장많은종이확인되었고, 798번격자 ( 매표소일대 ) 가 65과 190종으로가장높은종수를나타냄 산림의가두리지역은일부의훼손과보존이공존하는지역으로일시적인서식처의다양성을보이지만더욱훼손이진행되면급격한단순화현상이발생할수있으므로다른지역과비교하여꾸준한모니터링을실시하면서관리대책을마련필요 환경부고시고유종이 11종, 국외반출시승인대상종이 27종이확인 본자연자원조사를통해새롭게추가된종은 251종이었으며, 현지조사를통해확인되지않은문헌기록종은 57종으로확인 파리목은기존에기록이된종이없었으나본조사에서 37종이확인되어가장높은비율로증가하였으며, 벌목이 68종, 딱정벌레목이 67종으로가장많은수의종이추가 팔영산일대는주변이농경지와도로로둘러싸여있는곳으로가두리효과에의해 국립공원연구원 397
418 III. 요약및관리방안 크게영향받는지역으로여겨지므로, 자연휴양림일대를포함한최소탐방객의유지를통한환경변화를모니터링하는것이매우시급함 9-2. 관리방안팔영산일대는주변이도로와농경지로둘러싸여있어농번기와탐방또는관광성수기의영향을매우민감하게받을것으로예상되는지역이다. 특히, 팔영산자연휴양림과능가사일대는잘발달된탐방로와도로로인해가두리효과가나타날가능성이높을것으로사료된다. 규모가크지않고주변과격리된소규모의산지가도로및탐방로에의해파편화현상이발생한곳은노랑띠알락가지나방등특정곤충이대발생하는경우가적지않게나타나므로이에대한사전대비가필요하다. 아직공단에편입되지않은능가사와자연휴양림일대는정상탐방객을최소한으로유지하고주변샛길이나불필요한탐방로를정리하는기간동안나머지구역을휴식년제를실시하는것이타당하다여겨진다. 특히, 자연휴양림일대는본조사결과산림가두리에서식하는종들의비중이매우높게나타나고있어산림보다는오히려도로또는농경지의주변의조사결과와유사할정도이다. 하지만자연휴양림의관리및통제가국립공원과일원화되지않아해당구간에의해지속적인환경변화의영향을받을수있으므로, 일원화된팔영산지역의관리를위해자연휴양림과능가사일대가공원지역으로반드시포함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그림 9-1 팔영산휴식년제제안구역 국립공원연구원 398
4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10. 육상곤충 ( 야간 ) 요약 2012년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결과, 야간곤충류 ( 나방류 ) 는총 22과 372종 1246개체가조사되었다. 본조사를통해 236종이추가되어현재까지총 373종이확인되었다. 밤나방과 82종, 자나방과 74종, 명나방과 74종, 재주나방과 22종, 잎말이나방과 18종등의순으로나타났다. 팔영산자연휴양림일대에서 22과 319종, 금사일제일대에서 21과 275종이조사되었다. 주요종은큰갈고리밤나방, 노랑띠알락가지나방, 제주등줄박각시로나타났다. 법적보호종은고유종이얼룩갈고리나방을포함하여 2종, 특정종은감나무잎말이나방을포함하여 25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흰날개큰집명나방을포함하여 7종으로나타났다 관리방안야행성곤충중나방류는종다양성이가장높은분류군으로산림생태계의먹이사슬에중심에있다고할수있다. 대부분의나방류는평상시에는먹이사슬내에서생산자와 2차소비자 ( 혹은 3차소비자 ) 의밀도조절인자로작용하지만초식성인나방류가대발생하였을때는산림생태계의주요한해충으로작용한다. 따라서나방류의인위적인이동은해충군집의증가로인한산림생태계의파괴와먹이사슬의왜곡등의결과를초래한다. 나방류에가장큰인위적인간섭요인은농약의항공살포와인공적인불빛이다. 전자는국립공원이기때문에살포에많은제한이있을것으로판단하지만후자는계룡산국립공원의곳곳에늘상존하고있다. 즉, 주변의가로등, 식당가, 펜션심지어사무소에서내뿜는야간의불빛은나방류의인위적이동을초래하여먹이사슬구조에장기적인영향을미친다. 나방류는야간의불빛에의해직선거리로약 600m 정도이동을하고대부분다시원서식지로돌아가지못하기때문에인공불빛은생태계에큰문제를야기한다. 팔영산국립공원의경우능가사뒤편의캠핑장에설치된가로등이나방류에게가장큰문제점으로판단되기때문에사람의이동을감지하여점등되는가로등의설치등이필요하고점등시간의기술적인조절또한필요하다. 국립공원연구원 399
420 III. 요약및관리방안 11. 진정거미류 요약조사연구한결과 23과 52속 69종이채집되었다. 이중에서꼬마거미과의 1신종이발견되었고수리거미과에서 Cladothela parua sp,( 가칭, 작은꼭지갈대거미 ) 를신종후보로발표할예정이다 관리방안거미류는환경지표동물일뿐만아니라 100% 익충으로서제2, 제3 소비자로서생태계유지보호에아주중요한무척추동물의분류군이다. 특히멸종내지천연기념물로지정해야할한국땅거미 (Atypus Coreanus Kim) 도서식함으로탐방로이외의낙엽층이나죽은고, 관목, 돌무더기, 등의지속적인유지나관리가필요할것이다.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요약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대한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5문 6강 13목 39과 70종이조사되었다. 이중편형동물문이 1종, 유선형동물문이 1 종연체동물문이 1종, 환형동물문이 1종, 절지동물문이 66종으로조사되었다. 전체의 90% 이상을차지하는절지동물문중에는갑각강이 5종, 곤충강이 61종이었으며, 곤충강에는하루살이목이 18종, 잠자리목이 2종, 강도래목이 11종, 딱정벌레목이 4종, 파리목이 13종, 날도래목이 13종이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조사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백분율출현빈도를보면출현한종중에상위의 20종이 89.94% 이상을점유하였으며, 특히출현한종의상위의 10종이 77.07% 의점유율을나타내고있어, 특정한종의출현점유율이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각출현종의백분율출현빈도를보면보통옆새우가 22.40%, 두점하루살이가 22.09%, 깔따구 sp.1가 6.20%, 플라나리아가 5.58%, 총채민강도래 KUa가 5.27%, 흰부채하루살이가 3.81%, 깜장하루살이가 3.41%, 꼬마줄날도래가 3.06%, 두갈래하루살이가 2.88%, 세갈래하루살이가 2.37% 등의순으로조사되었다. 국외반출승인종의경우가는무늬하루살이, 총채민강도래, 한국큰등그물강도래, 한국강도래, 두눈강도래등총 5종이출현하였으며, 한국고유종의경우두드럭징거미새우, 가는무늬하루살이, 한국큰그물강도래, 한국강도래, 두눈강도래, 네모집날도래 KUa, 네 국립공원연구원 400
42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모집날도래 KUb 등총 7종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전체조사지점을대상으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생물학적물환경평가한결과모든지점및시기에서 1.000이하의값으로나타나생물등급은 A 등급에환경상태는 최적 으로나타났다. 또한전체적으로청정한수계에서식하는보통옆새우, 하루살이류와강도래류가많은점유율을차지하고있다는것은팔영산의유역환경이매우건강하다는것을나타낸다고볼수있다 관리방안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우도립공원에서 2011년국립공원으로승격되어기존의도립공원에서사용하던시설들이현재그대로유지되고있는실정이다. 특히, 하천의하도내에위치한수영장의경우위부지역이아닌하천을콘크리트로막아야외수영장으로사용하고있고, 이물은그대로하천으로유입되고있다. 이러한시설물의경우하계에는이용목적이있으나관람객이없는대부분의비수기에는그대로방치되어구조적개선이필요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또한능가사지역에계곡에서중장비를이용한하천공사가진행되었는데, 절대보전지역인국립공원내의하천에서이루어지는공사의경우필요에따라사업이진행되더라도국립공원내에서식하는생물에최대한교란을주지않는범위내에서시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팔영산휴양림계곡에는다수의연속된사방댐이설치되어있는데, 이러한연속된사방댐의경우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뿐만아니라다른생물들의서식에도이동및수자원이용에있어저해요인으로작용할수있으므로, 연구를통하여구조적개선이필요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또한사방댐의경우수심이깊어사고발생위협이있으므로노후된경고안내판의경우복구및재설치하는것이필요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국립공원연구원 401
422 III. 요약및관리방안 < 능가사지역에설치되어있는야외수영장및하천정비공사 > < 팔영산지역에설치되어사방댐및경고안내판 > 13. 담수조류 요약 1) 식물플랑크톤식물플랑크톤은모두 28종류의조사되었으며, 녹조류가 13종류, 규조류가 7종류, 황갈조류와유글레나류가각각 3종류그리고남조류가 2종류씩출현하였다. 각조사지역별출현종수에서금사제가 9종류, 쑥세골이 13종류, 시목저수지가 4종류, 우천제가 2종류그리고백운하가 12종류가출현하여우천제에서가장적게출현하였고, 쑥세골과백운하지점에서다양하게출현하였다. 2) 부착규조류 가 ) 출현종수팔영산계류의각조사지역에서동정된부착규조류는모두 35종류였으며, Achnanthes 속이 9종류, Gomphonema 속이 6종류가출현하였고그외속들은 1 ~ 3 국립공원연구원 402
4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종류씩출현하였다. 각조사지역별출현종수에서, 휴양림지역은 9 ~ 15 종류, 휴양림탐방지원센터지점은 8 ~ 10, 휴양림저수지지점은 12 ~ 14가출현하였으며, 능가사지점은 10 ~ 14 종류그리고능가사지역에위치한수영장상 하류지점은 11 ~ 12 종류가출현하였다. 나 ) 우점종팔영산의각조사지역에서부착규조류의우점종은 Achnanthes catenat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oblongella, Gomphonema pumilum, Gomphonema quadritruncatum, Hannaea arcus Reimeira sinuata 등다양한종이우점종으로출현하였다. 휴양림지역은 Gomphonema pumilum (5월, 상대빈도 24.79%), 와 Reimeira sinuata (3월, 상대빈도 72.21%), 휴양림탐방지원센터지점은 Achnanthes oblongella (3월, 상대빈도 91.07%), Hannaea arcus (5월, 상대빈도 96.44%), 휴양림저수지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38.95%), Gomphonema quadritruncatum (3월, 상대빈도 77.78%), 능가사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72.88%), Achnanthes oblongella (3월, 상대빈도 73.18%), 능가사계류에위치한수영장상류지점은 Achnanthes convergens (5월, 상대빈도 60.45%), 수영장하류지점은 Achnanthes catenata (5월, 상대빈도 33.33%) 가우점종으로출현하였다. 다 ) 생태군분류부착규조류의생태군분류에서, 맑은수역에서식하는호청수성분류군종은모두 18분류군이출현하였으며오염된수역을선호하는호오탁성분류군은전혀출현하지않았다. 맑은수역에서오염된수역까지서식장소가광범위한광적응성분류군은 17 종류가출현하였다. 각조사지점별생태분류군의출현율에서, 호청수성분류군은휴양림지역이 25.2 ~ 76.5%, 휴양림의탐방지원센터지점은 ~ 99.57%, 휴양림의저수지지점은 % 의범위였다. 라 ) DAIpo를이용한생물학적수질평가 DAIpo 지수 ( 부착규조군집을이용한유기오탁내성지수 ) 을이용한생물학적수질평가에서휴양림은 DAIpo가 ~ 88.03으로 3월은매우좋음, 5월은좋음 ~ 약간좋음이었고, 탐방지원센터는 3월과 5월에 DAIpo가 98.1 ~ 99.79로수질은매우좋음이 국립공원연구원 403
424 III. 요약및관리방안 었으며, 휴양림지역의저수지는 DAIpo가 3월이 59.44, 5월은 92이었고 3월의수질은좋음 ~ 약간좋음, 5월은매우좋음이었다. 능가사지역은 DAIpo가 ~ 92.14였고수질등급은매우좋음이었으며, 수영장상류의 DAIpo는 95.05, 수질등급은매우좋음, 수영장하류는 DAIpo지수는 77.62로수질등급은좋음 ~ 약간좋음이었다 관리방안전반적으로수질은양호한것으로판단되나, 휴양림지역의 5월, 휴양림저수지지점의 3월, 그리고수영장하류지점의수질이약간낮은것으로나타났다. 휴양림의 5월은숲이우거져물속까지빛이도달하지않는환경요인으로생각되고, 휴양림저수지지점의 3월에낮은원인은정확히파악하기힘들다. 그러나우점종으로출현한 Gomphonema quadritruncatum은광적응성분류군이나실제로맑은수역에서더욱많이출현하는종이므로본종이우점으로출현한것은수질이맑아지기때문으로판단된다. 그러나수영장하류의경우수질등급이떨어지는것은하계의탐방객들의유입과, 보의역할을하는수영장의영향으로하류로내려가는수질은약간떨어지기때문으로생각된다. 따라서수영장하류의지점은부착규조뿐만아니라저서성무척추동물도함께조사하여수질을판정하는것이더욱객관적인것같다. 14. 고등균류 요약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대상으로고등균류를조사한결과, 총 2계 3문 5 강 19목 45과 93속 174종이동정되었으며, 대부분의고등균류는담자균문중주름버섯강에속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를분류군별로세분하였을때주름버섯목이 16과 35속 79종으로전체조사종수의 45.4% 로가장많이발생되었으며, 그물버섯목이 5과 15속 26종 (14.9%), 무당버섯목이 2 과 4속 23종 (13.2%) 및구멍장이목 5과 15속 19종 (10.9%) 으로순으로나타났다. 가장많이발생된균류는그물버섯과로 22종으로가장많았으며, 무당버섯과 (21종), 광대버섯과 (16종), 주름버섯과 (14종), 구멍장이버섯과 (13종) 순으로조사되었다. 월별에서는 7월이 123종으로가장많이조사된반면 5월과 6월에가장적은것으로나타났다. 국립공원연구원 404
4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조사지역 ( 격자 ) 별에서는 797번격자에서 30과 53속 88종으로가장높았고 794번격자 (32과 55속 82종 ), 793번격자 (31과 56속 80종 ) 순으로나타났는데이지역은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으로균류의서식환경이가장양호한지역으로판단된다. 고도별에서는 200m ~ 299m에서 82종으로많이발생하였고 100m 199m(27과 49속 68종 ), 300m 399m(23과 36속 61종 ) 순으로조사되어비교적 400m 미만지역의균류서식환경이양호하다고판단된다 관리방안다도해해상 ( 팔영산 ) 국립공원은 8개의봉우리이루어져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절경을볼수있는지역으로많은관광객들의방문이높을것으로판단되는국립공원이다. 국립공원으로편입되기이전많은샛길로인한심한훼손및많은암석과암반등으로인한얕은토심은고등균류발생에분포에영향이있을것으로판단되어관광객들의주의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모니터링지역으로는고등균류의서식환경이양호할것으로판단되는 1 능가사 유영봉 탑재 능가사지역 2 팔영산휴양림 적취봉 두류봉 팔영산휴양림지역 3 남포미술관 바른등재 깃대봉지역등 3지역에대해지속적인연구및모니터링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15. 문화자원 요약 1) 보존현황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보유하고있는문화재에대한보존적가치를판단하기위해역사적 학술적 경관적관점에서살펴보고현재의보존상태와관리방안을구축하는모니터링체계를제시하고자한다. 보존및관리방안을검토하기위하여보존상태에따라양호 관리 긴급세가지로분류하였다. 보존관리가잘되어있거나보존처리가선행되어있어앞으로모니터링위주의조사가필요할것으로사료되는문화재는보존상태가양호하다는의미의양호, 안내판이나입간판이잘되어있지않으며문화재자체가보존처리및보수를필요로하는것을관리가필요한것의의미로관리, 풍화가극심하여보존처리가시급한 국립공원연구원 405
426 III. 요약및관리방안 문화재에대해서긴급처리가필요하다는의미로긴급으로구분하고기재하였다. 이는향후지속적인모니터링을통해국립공원역사 문화자원관리를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팔영산지구내에속하는문화자원은유적지및명승과관련된자원이 12건으로가장많으며, 무형자원이 6건이고, 석조는 2건에불과하다 ( 그림 15-1). 또한석조나유적지등관리를요하는유형문화자원을대상으로보존및관리현황을등급별로분류하였다 ( 표 15-1). 그림 재질별역사 문화자원분류및수량. 국립공원연구원 406
42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표 지정문화재와비지정문화재의보존현황. 지정문화재의보존상태 양호 관리 긴급 고흥능가사추계당및사영당부도 - 비지정문화재의보존상태 양호 관리 긴급 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류정승피난굴먼지재서낭당 능가사부도군만경암지서불암지빈대절터안양암터지장절터팔전산봉수지 지정문화재인능가사의추계당및사영당부도는보존상태가양호하지못하였고지반이나보존처리등별도의관리가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비지정문화재중석조로구성된능가사부도군과절터는긴급한보존및관리를요하는것으로판단된다. 석조물은야외에위치하고있어풍화에노출되므로지속적인관리가필요할뿐아니라능가사부도군은잘못된보존처리로인하여재손상이가속화되고있다. 또한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는관람객을위한시설과안내가잘되어있으나통풍이원활하지않아여름철내부곳곳에습기로인한곰팡이가발생할수있어주의가요망된다. 만경암지를포함한여러절터와팔전산봉수지는안내판이나입간판이잘갖추어지지않아관람객들이역사 문화자원정보를파악하는데어려움이있다. 찾아가는길을포함하여최소한의홍보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2) 보존적가치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내매우많은수량을차지하는비지정문화재가운데역사적, 학술적, 경관적가치판단에부합하는일부문화재에대하여이들의가치를재인식하고보존하여지정문화재로서의지위가필요한것을정리하면표 8과같다. 이들에대하여는국립공원관리공단뿐만아니라관련시군및광역자치단체와연계하여국가지정문화재로등록하고충분한가치를인정받아체계적인보존과관리가이루어질수있도록노력해야할것이다. 국립공원연구원 407
428 III. 요약및관리방안 표 비지정문화재의보존적가치와지정의필요성. 보존가치항목역사학술경관능가사부도 만경암지 서불암지 내용명문으로주인과조성시기를알수있으며, 부도의조형성이매우강조됨만경암지를잡은배경이역사적가치가충분하며, 복원을통해학술적가치도기대서불암지의배경이역사적가치가충분하며, 복원을통해학술적가치도기대 빈대절터 빈대절터의배경이역사적가치가충분함 안양암터 안양암터의배경이역사적가치가충분함 지장절터 지장절터의배경이역사적가치가충분함 류정승피난굴 팔전산봉수지 고흥성기리기와가마터 류정승인물이지닌역사적배경과현재경관적가치가충분함건립년도와폐지년도가확실하며현재위치의조망이나경관적가치도뛰어나다고판단됨복원이잘되어역사적및학술적가치가뛰어나교육적측면에서도우수하고경관과조화로운복원도가치가높다고판단됨 관리방안 1) 안내판과주변정비가장시급한문제점으로나타난것은비지정문화재의경우기록이전무하고입간판이나안내도가없어찾기에매우어려울뿐아니라관리도전혀되어있지않다는점이다. 만경암지의경우안내판이있으나현재대나무숲에가려져외부에서는잘보이지않으므로안내판의재정비가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그밖에서불암지를포함한여러절터는안내판도없으며, 조사에참여한최소한의연구원들만파악하고있으므로이의홍보와활용방안이절실하다. 또한팔전산봉수지에대한입간판이나안내는전혀없으므로추가설치가요구된다. 2) 보존현황 DB와구체적보존관리방안구축현재존재하는국립공원내의역사 문화자원에대해서데이터베이스구축을통해표준화및체계화를완성해야한다. 또한유형및무형문화재조사현황표를표준화하여데이터베이스구축의기초자료를마련해야한다. 이자료는정기적모니터링자료로도이용하여문화재에대한보존처리이력과현재훼손현황을기록하여관리방안 국립공원연구원 408
42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구축에활용할필요가있다. 또한부도나사적비등과같이야외에위치하여보존상태가불량한문화재에대하여는신속하고상세한정밀진단과보존처리가수반되어야할것이다. 3) 문화자원발굴과홍보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도립공원으로고시되면서본격적인발굴작업을실시하였으나, 2012년국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므로더많은문화자원의발굴과경관자원의확대에힘써야할것이다. 팔영산정상에서펼쳐지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조망에대해서도가치를재인식해야하며, 팔영산내에분포한다고전해지는 20여개의암자터와같이발굴이끝나지않은문화재를정비하여역사적가치도높여야한다. 국가나지자체에서관리되지않는비지정문화재에대한활용을위해관리와홍보를활성화하고, 후대에잘계승되도록적합한보존처리및관리가수반되어야할것이다. 16. 탐방행태 수용력평가 요약국립공원탐방객관리의궁극적목적은탐방수요증가에따른자원훼손예방과함께양질의탐방경험제공이다. 이를위해서는서비스주체와이용주체간쌍방향상호작용이매우중요하다. 즉, 서비스주체인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이용주체인탐방객의특성및만족도등에대한정보를토대로엄정한자원보전전략과다양한탐방객요구를충족시킬수있는탐방환경조성및서비스체계를구축해야한다. 최근국립공원을비롯한야외휴양시장은생태관광, 공정관광등으로대표되는자연 생활문화경험과체험지향적으로점차다양화되고있다. 그러나국립공원에서는주 5일근무제및주 5일수업제정착, 접근성향상, 숲의건강및치유기능에대한관심증가, 입장료폐지등대내 외환경변화로인하여급격한탐방수요증가와이에따른자원훼손에대한우려가예상된다. 결국현시점에서국립공원탐방객관리의핵심이슈는탐방수요의불균형, 즉특정시기탐방집중현상에대한효율적관리방안마련에있으며이를위해서는자원에대한면밀한조사 모니터링과더불어탐방객 Profile, 탐방행태, 수용력평가가반드시필요하다.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자연자원조사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분야조사는공원내주요탐방집중지역에서탐방객설문조사를통해이루어졌으며탐방객의인구 통계적, 사회 경제적특성, 탐방행태, 탐방만족도, 시 공간별탐방집중도, 사회 심리적수용력등을분석 평가하였다. 주요분석결과는다음과같다. 국립공원연구원 409
430 III. 요약및관리방안 첫째, 팔영산지구탐방객은남성탐방객비율이높으며타공원에비해중 장년층탐방비율이높게나타났다. 소득수준은타공원에비해다소낮게나타났으며직업은자영업, 회사원, 전업주부, 전문직, 공무원 / 교원순으로높게나타났다. 거주지는팔영산인근지역인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상남도순으로나타났다. 둘째, 팔영산지구탐방이용행태분석결과전체탐방객의 76.6% 가당일탐방객이었으며, 체류탐방객의주숙박장소는모텔, 펜션, 민박순으로높게나타났다. 동반유형은직장동료 / 동호회와함께방문한탐방객이 39.2% 로가장많았다. 거주지에서팔영산까지의교통수단은자가용, 전세버스순, 소요시간은 3시간이상이 39.1% 로가장높게나타났다. 재방문비율은 38.3% 로나타났으며방문목적은 자연경관감상, 신체적정신적건강증진, 가족 친구 동료와친목도모 순으로높게나타났다. 탐방객의등산시간은정상지역의해발고도가낮음에도불구하고타공원에비해탐방객연령이상대적으로높아 4~5시간이내가 50.6% 로가장높게나타났다. 탐방객들의요구도가높은정보유형은 탐방로정보, 주변관광지정보, 지역축제정보, 공원자원및시설정보 순으로나타나수요자의요구도가높은양질의정보를여행출발전에인지할수있도록관리적노력이필요하다. 셋째, 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는 19개국립공원전체평균 (3.99점) 보다다소높은평균 4.12점으로나타났다. 세분시장별로는남성이여성보다, 연령별로는모든연령층에서비슷하나 40대에서가장만족도가높게나타났다. 2008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지구별탐방만족도결과와비교하면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가타지구에비해월등히높게나타났다. 이는탐방만족도에영향이큰여행비용과탐방시간이타지구에비해낮고대표적불만족요인인지구내혼잡이아직까지는발생하지않기때문으로판단된다. 또한기대이론, 즉팔영산지구탐방객들은탐방전기대보다탐방후얻는성과가크기때문에만족도가높은것으로추정할수있다 23개세부항목별만족도평가결과에서는 수려한자연경관, 저렴한여행비용, 잘정비된탐방로 항목에대한만족도가가장높았고, 부정적항목에서는 비싼관람료와주차요금, 부족한탐방정보및안내판 항목이가장높게나타났다. 결국팔영산지구탐방만족도향상을위해서는지속적인자원, 시설물모니터링과더불어양질의탐방 혼잡정보제공, 자연해설프로그램, 안내판확충, 숙박 음식 교통체계개선, 편의시설확충등서비스질개선이가장시급한것으로판단된다. 넷째, 팔영산지구탐방수요, 자원특성, 선행연구결과등을감안할때생태적수용력추정은부적절하다고판단되어성수기혼잡지각도및순간이용밀도에기초한사회 심리적수용력을간접평가하였다. 가을성수기혼잡지각도는평균 2.26점으로대부분이혼잡을경험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 2011년신규편입된팔영산지구탐방객수가많지않기때문이다. 야외휴양지역관리에있어가장중요한척도인재방문의사는평균 4.12점으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타지구보다매우높게나타났다. 그러나활동회피 국립공원연구원 410
43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항목이평균 3.82점으로타지역에비해높게나타나다양한탐방인프라및프로그램마련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한편, 탐방인원의적정성여부에관한분석결과, 혼잡하지않다는비율이혼잡하다는비율보다절대적으로높게나타나탐방객이최대만족을얻을수있는수준즉, 사회 심리적수용력측면에서는문제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다섯째, 특정지역의시 공간적탐방집중현상은순간적으로공급이수요를충족시키지못하기때문에공원관리자나탐방객양측모두에게비용부담을높이고전반적인서비스수준및혼잡으로인한만족도의질저하를야기하게된다. 따라서관리적측면에서는공원내주요지역에대한탐방객들의선호도와탐방압력을파악하여탐방악영향을최소화할수있는관리방안을마련해야한다. 팔영산지구에서탐방밀도가높은가을성수기조사결과를토대로시 공간적탐방집중도를분석한결과, 탐방밀도가가장높은시간 (peak time) 은오전 11시에서오후 1시사이, 탐방빈도는능가사~제 8봉등탐방코스가단순하여특정지역이아닌주이동경로전체가비슷한빈도로나타났다 관리방안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행태및수용력평가분야자연자원조사결과분석을통한공원관리방안은다음과같다. 첫째, 탐방객의인구통계적, 사회경제적, 탐방행태등탐방이용행태조사자료는국립공원의기본주체인탐방객, 자원, 시설물관리의근간이되는중요한기초자료이다. 따라서과학적이고정확한탐방객수시계열자료확보와더불어탐방객설문조사매뉴얼 ( 조사시기, 조사장소, 조사방법, 표본수, 표본추출방법, 분석방법등 ) 작성후지속적인모니터링과평가결과에따른대응방안이마련되어야할것이다. 특히표본조사및간접방법을통해탐방객계수를하고있는지역은조속히자동 전산화된계수시스템이도입되어야할것이다. 둘째, 국립공원탐방서비스는탐방객개인에따라인지하는수준이다양하고공원관리목표즉자원의훼손또한고려해야하므로수요자로부터반복구매를목표로하는상품시장과는분명한차별성을가진다. 결국국립공원탐방서비스는민간부문처럼최대수요창출을위한과도한서비스제공이목적이아니라차별화된공간에서자연을대상으로최소한의탐방객욕구를충족시킬수있는수준에서서비스를제공해야한다. 특히공원환경에대한세부만족도평가에서특별히낮게평가된부분은가장우선적인개선방안마련이필요하다. 팔영산지구탐방객들은탐방로, 주변관광지, 지역축제, 공원자원및시설정보에대한수요가가장높기때문에국립공원관리공단및유관기관홈페이지, 스마트폰등모바일환경등을통해양질의정보를지속적으로업데이트해야할것 국립공원연구원 411
432 III. 요약및관리방안 이다. 또한향후예상되는탐방로, 주차장등핵심지역혼잡예방을위해광역정보체계를활용한실시간혼잡정보및훼손 복구노력에대한설득메시지제공, 최근연구개발된탐방로등급제, 연령대별소요시간, 치유효과 (Diet Map 등 ) 및치유프로그램, 자기안내식해설프로그램등이도입되어야할것이다. 또한공단중장기경영목표와연계하여저지대치유프로그램, 미래세대환경교육을위한인프라및양질의교육및해설프로그램도입이필요하다. 셋째, 팔영산지구인근의서비스질또한시급한개선노력이필요하다. 세부만족도평가결과에서나타나듯이 다양한특산상품, 저렴한상품가격, 쾌적한숙박시설, 맛있는향토음식, 질좋은관광서비스 등서비스질항목등이탐방만족도를저하시키는요인으로평가되었다. 따라서지역주민, 지자체, 사찰등팔영산지구이해관계자들과공동으로서비스질개선을위한협의체를구성 운영하여상품및향토음식기획 연계마케팅, 숙박환경개선등수요자중심의서비스를제공해야할것이다. 넷째, 탐방객을통제할강제수단이없는현시점에서수치화된수용력은의미없는 Magic Number에불과하다. 결국수용력관리는 VERP모델및 2013년부터시행되는스트레스지수, 생태계건강성평가프로그램을이용한지표관리를통해이루어져야할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립공원내대표적탐방행태인선형관광 ( 그림 16-1) 으로인한시 공간탐방집중현상은자연자원훼손과탐방경험의질저하의가장직접적원인이되기때문에탐방집중현상을예방할수있는단계별관리전략 ( 그림 16-2, 표 16-1) 마련이필요하다. 그림 선형관광예 ( 소백산비로봉 ) 그림 단계별공원관리전략 일반적으로수용력관리전략은직접적관리방법과간접적관리방법으로단계별로구분할수있다. 다만국립공원을포함한대부분의야외휴양은탐방객스스로의선택과자유의지, 그리고프라이버시가양질의탐방경험을얻는데필수적이기때문에직접적 국립공원연구원 412
43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관리대안은부득이간접적관리대안이목적을달성하지못할경우에적용해야할것이다. 또한비록정책효율성은다소미진하더라도탐방객의행동을변화시키고탐방집중지역의훼손을예방할수있는간접적공원관리전략을도입하고지속적인홍보와설득노력을기울이는것이가장중요하다. 마지막으로고품격탐방서비스제공을위해서는최근이슈화되고있는 IT기반맞춤형서비스 (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개발등 ), 환경성질환등치유프로그램, 미래세대를위한환경교육프로그램, 다양한문화컨텐츠를개발해야할것이다. 또한지역주민과함께하는공원관리를위해지역주민참여프로그램을개발하고협의체를구성하여갈등관리및사회적합의에의한공원관리계획을수립 시행해야할것이다. 표 단계별수용력관리방안 구분단계관리대안 1 단계교육 세부내용 양질의정보제공 ( 홈페이지, 광역정보체계및모바일환경 ) - 탐방로, 주변관광지, 지역축제, 공원자원및시설정보등 저지대수평탐방유도프로그램마련 - 미래세대환경교육, 편백숲활용치유프로그램등 지역사회, NGO, 사찰등과협의체구성운영 탐방안내소신설및기능강화, 공원입구랜드마크설치등 특성잠재된강력한관리수단탐방객행동변화를강조자유의지존중 수용력관리방안 2 단계지역관리 혼잡지역의훼손및접근방지 - 시설물재배치, 식생 / 펜스등장애물설치, 순찰강화등선택권 탐방객분산 유도시설물설치 - 자연관찰로, 혼잡정보전광판, Viewpoint, picnic 시설등 탐방객분산을위한시설물제한 ( 주차장, 화장실등 ) 생태적민감지역에대한일시 영구적폐쇄 ( 특별보호구등 ) 3 단계가격혼잡요금제 (congestion pricing) 4 단계행위제한 혼잡지역탐방예약제등탐방객수제한정책 - 단체탐방제한또는예약제 : 일본 10 명 ( 요시노부마노지역 ) - 그랜드캐년국립공원 : 17 인이상집단이용금지 ( 사전허가 ) 관리자동행시에만입산허가 위법행위에대해벌금부과등사법권강화 탐방객 / 관리자 관리행위 정책효율성은큰반면갈등요인 행위규제강조탐방경험의질저하우려 차량통행제한 ( 극성수기자동차통행금지구역설정 ) 국립공원연구원 413
434 III. 요약및관리방안 17. 자연 문화경제적가치평가 요약국립공원의가치를입증하는것은정책결정자들을포함한모든국민들에게중요하다. 예를들어방문한국립공원이내게제공한평안함의가치와같이자연그대로의환경이제공하는유 무형의가치가얼마인지우리에게좀더명확하게인식될수있다면이에대한우리의태도는달라질수있을것이다. 즉경제적가치를매기는것이가치활용을위한특정기준을제시해주지는못하지만보다효율적인자연자원의보존과이용을위해중요한역할을할수있기때문이다. 지금까지다양한경제적가치평가방법이개발 개선되어왔으며, 여러측면에서국립공원등과같은자연자원에적용되었다. 그러나자연자원에대한가치를매기는것이불필요하거나또는불가능할수도있지만이에대한금전적인가치를입증한다면물질자본을중시하는의사결정과정을바로세우는데기여할수있을것이다. 이러한측면에서본연구는환경자원의경제적가치평가방법중가장널리적용되고있는가상가치평가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을적용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제적가치를추정하였다. 그결과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이용가치는 7,325원 (1인 1회) 으로추정되었으며, 보존가치는 7,995원 (1가구 1년) 으로추정되었다. 또한보존가치를선택, 존재, 유산가치로설정하여각각의비율로할당한결과유산가치 4,034원 (50.45%) 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선택가치 2,163(27.05%), 존재가치 1,799원 (22.50%) 순으로나타났다. 그리고앞에서추정된이용가치 (1인 1회) 와보전가치 (1가구 1년) 의추정결과를토대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경제적가치를평가하기위해서는연간총이용가치와연간총보전가치로각각계산할필요가있다. 연간총이용가치는 1인 1 회당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 WTP) 과 2011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탐방객수 (195,891명 1) ) 를곱하여구해진다. 연간총보전가치의경우에는 1가구당 1 년의보전가치와 2011년총가구수 2) 를곱한다. 연간총이용가치와연간총보전가치의합으로연간총가치 (flow value) 를추정할수있다. 1)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는 2011 년 6 월부터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관리하였기때문에 2011 년 6 월부터 12 월 (7 개월 ) 까지탐방객수 114,270 명을기준으로하여 2011 년전체탐방객수를산술적으로추정 (195,891 명 ) 하여적용함. 2)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010) 집계결과 17,574,067 명적용 국립공원연구원 414
43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연간총가치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에서매년동일하게산출되는경제적편익이다. 따라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자산가치 (total stock value) 는할인율을고려한연간총가치들의총합으로다음의식 (1) 을통해추정된다. 현재자산가치 (PV) = (1) 여기서 B: 매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가제공하는경제적순편익으로연간총 가치 i : 할인율 ( 이자율 ) 로 5% 로가정 그결과표 17-1 에서와같이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연간이용가치는 억원, 연간보존가치는 1, 억원으로연간총가치는 1, 억원이며, 총자 산가치는 29, 억원으로평가되었다. 표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가치평가결과 구분금액계산과정 연간이용가치 ( 억원 /1년) 연간보존가치 ( 억원 /1년) 연간총가치 ( 억원 /1년) , , 인 1회지불의사금액 2011년탐방객수 = 7,325원 195,891명 1가구 1년지불의사금액 2011년총가구수 = 7,995원 17,574,067가구연간이용가치 + 연간보전가치 = 14.35억원 + 1,405.13억원 총자산가치 ( 억원 ) 억원 29, 관리방안 국립공원연구원 415
436 III. 요약및관리방안 본연구는효율적인국립공원관리정책수립및시행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제적가치평가를실시하였다. 그결과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를직접이용한탐방객의지불의사금액은 1인 1회탐방기준 7,325원으로추정되었으며, 보존가치는 1가구가 1년에 7,995원을지불할의사가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또한보존가치중유산가치 4,034원 (50.45%) 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선택가치 2,163원 (27.05%), 존재가치 1,799원 (22.50%) 순으로나타났다. 그리고추정된이용가치와보존가치를토대로추정한연간이용가치는 14.35억원, 연간보존가치는 1,405.13억원으로나타났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총경제적가치는 29,809.09억원으로평가되었다. 이와같이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경제적순기능을정량적으로평가함으로써얻을수있는기대효과및활용방안은다음과같다. 자연보전정책추진의당위성확보 보호지역의확대및신규지정 국립공원의역할과기능홍보 국립공원에대한사회적인식제고이러한결과는향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관리 정책수립및홍보등을통해공원의생태적중요성과보존가치에대한탐방객과일반대중의인식제고등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18. 훼손지조사 요약 2012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탐방로, 산사태발생지에대한훼손정도등을조사한결과는다음과같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고도분포를살펴보면최저 15m에서최고 608m 이며팔영산내팔봉의고도분포는 491m( 유영봉 ) 에서 598m( 칠성봉 ) 의분포를보이고있으며주봉은팔봉인적취봉에서남동쪽 500m 떨어진깃대봉 (608m) 이주봉이다. 바닷가에위치하는관계로최저해발고는남포미술관주변 15m로가장낮은곳으로, 최고해발고는깃대봉 608m로가장높은곳으로조사되었다. 이번조사를통하여팔영산의탐방로는지선을포함한 11개노선 15.13km로조사되 국립공원연구원 416
43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팔영산 ) 자연자원조사 었으며, 경사거리로는 16.3km로확인되었다. 금번조사된 11개노선중현재폐쇄된 2 개구간에서탐방로의형태를확인할수있는노선 1개소와최근발행된국립공원안내도에표시된노선 1개소를포함하여조사를수행하였다. 탐방로의물리적특성을조사한결과평균경사는 10.40, 평균노폭은 1.02m, 평균나지폭은 0.11m로조사되어비교적건전함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훼손유형은 11개노선 15.13km 구간에대하여 82개의측점을조사하여훼손유형을분석한결과 7개의훼손유형이 109회출현한것으로나타났다. 측점수에대한각훼손유형의출현빈도를분석한결과암석노출 59회에 72.0% 로가장높게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건전 23개소 28.0%, 뿌리노출 11개소 13.4%, 노면침식 7개소 8.5%, 노폭확대 5개소 6.1%, 분기 3개소에 3.7%, 비탈붕괴 1개소 1.2% 순으로조사되었다. 팔영산지구탐방로의전체적인훼손정도는심하지않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훼손유형중암석노출의출현빈도가높은것은대부분의탐방로가계곡부전석지와능선부암릉구간에위치한것에기인하며, 현재자연복원이이루어지는구간도있으나, 호우에의한계곡부의노면침식에따른암석노출이증가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전체조사법에의한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 8개본선, 3개지선15.13km 구간에대해탐방로훼손정도를조사한결과, 건전 구간이 12.15km(80.3%), 강 구간이 0.06km(0.4%), 중 구간이 1.24km(8.2%), 약 구간이 1.68km(11.1%) 로전체구간에대한훼손정도는 2.98km로훼손비율은 19.7% 로분석되었다. 훼손정도 강 구간이 0.06km로적취봉 ( 팔봉 ) 사거리 ~ 탑재지선구간에서나타났으며그외의구간에서는조사되지않았다. 구간별훼손비율이높게나타난구간은탑재 ~ 유영봉 ( 일봉 ) 지선구간 61.1%, 성주봉 ( 이봉 ) ~ 휴양림지선구간 48.8% 로높게나타났으며지선구간의특성상조사거리가짧아훼손비율이높게나타난것으로확인되었다 관리방안다도해해상국립공원팔영산지구의 11개탐방로는현재비교적건전한상태를유지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으나훼손지에대한조사결과를바탕으로관리방안을제시하고자한다. 탐방객의이용도가가장높은 3개구간야영장 ( 능가사 ) ~ 흔들바위 ~ 유영봉 ( 일봉 ),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야영장 ( 능가사 ) ~ 탑재 ~ 적취봉 ( 팔봉 ) 구간에대하여탐방객의안전과생태계보호, 추가훼손의방지를위하여훼손지정비및도립공원당시설치된구조물을교체할필요성이있다. 급경사암반지대에설치되어있는기존 국립공원연구원 417
438 III. 요약및관리방안 시설물중스테인레스사슬로프는매우미끄럽고, 철재계단은폭이좁고간격이넓게설치되어있어성인들의보폭보다도넓게설치되어있으며, 고정용앙카볼트가느슨해져있는곳도다수있어서쉽게미끄러지거나추락할위험이가지고있어교체가시급하다고판단된다. 사진 스테인레스사슬로프 사진 철판과앙카볼트를이용한계단 유영봉 ( 일봉 )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급경사지암릉구간에안전시설물이없는곳도다수분포하고있어안전시설물의추가가시급하다고판단된다. 남포미술관 ~ 깃대봉 ~ 적취봉 ( 팔봉 ) 구간은탐방객의이용이거의없어인적이매우드문구간으로판단되며현재노면이자연복원이진행중이거나낙엽, 지피식물에피복되어노폭이협소한구간이다수확인되었으며, 3.64km로가장긴구간이나 0.5km 지점 ( 묘지앞 ) 에서 3.0km 지점 ( 깃대봉 ) 까지약 2.5km 구간내에안내판이나거리표지판이바른등재 (2.5km 지점 ) 이외에는설치되어있지않으며, 긴급구조등을위한현위치번호가표시된다목적위치표지판은깃대봉 1개소로추가설치를고려할필요가있는구간이다. 성주봉 ( 이봉 ) ~ 선녀봉 ~ 강산리구간은현재성주봉 ( 이봉 ) ~ 선녀봉구간만이용가능한상태이며선녀봉 ~ 강산리구간은경사가급한암릉구간으로하산을금지하고있는상태로성주봉 ( 이봉 ) ~ 선녀봉까지의구간을계속개방한다면추가안전시설물의보완이필요하다고판단되며, 선녀봉 ~ 강산리구간은현재폐쇄되어있으나반대쪽의강산리쪽에는탐방로안내판이설치되어있으며, 강산리에서선녀봉으로등반하는구간의중간에임도가횡단하여개설되어탐방로에절토사면이형성된관계로등 국립공원연구원 418
옥천 일대의 지형
1 사가일대의식물 사가 (356121) 일대의식물 - 방문산 - 손현덕 선은미 * 목포자연사박물관 전남대학교 * 요약 1 조사지역내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총 80과 179속 187종 4아종 42변종 7품종의총 240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이지역내에서식하는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으로는 Ⅳ등급종백양꽃 1분류군, 광릉골무꽃을비롯한 III 등급종 4분류군, II 등급종층꽃나무
More information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조경식재설계 2 - 조경식물 ( 목본 )- 1. 자작나무 음양성 : 양수 건습성 : 건조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번식 : 실생, 삽목 성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원추형 백색의수피, 황색단풍 강조, 유도, 차폐, 녹음식재 2. 서어나무 음양성 : 음수 생장속도 : 중간 건습성 : 건조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More information도감본문(수정)~10p
두번째이야기 덩굴나무 두번째이야기덩굴나무 6 0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4 5 6 6 5 4 7 8 9 P. densiflora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P. densiflora for. erecta 0 6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8 산에서자주만나는큰키나무 덩굴나무 덩굴나무차례 9
More information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조경식물학 - 상록활엽수외 - 1. 녹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중용수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성상 : 상록활엽교목 수형 : 타원형 분포 : 난온대지역 이식 : 어려움 번식 : 실생 / 삽목 대기정화능력우수, 환경정화수 기조, 녹음, 가로수, 방풍, 방화식재 2. 생달나무 내한성 : 약함 음양성 : 음수 생달나무 Cinnamomum
More information박선주.fm
자연보존 173 : 22-33 ; 2016 년 5 월 운문산생태 경관보전지역의특정식물및귀화식물연구 1) 박선주 송임근 2) 영남대학교생명과학과 서론 운문산은가지산 (1,240 m), 천황산 (1,189 m), 재약산 (1,108 m) 등과더불어해발 1,000 m 이상의고봉에둘러싸여있고, 영남의 7산중의하나이며, 경상남 북도의경계를이루는성현산맥 ( 省峴山脈 )
More information2011국립공원표지-수정
KOREA NATIONAL PARK SERVICE For the nature as it i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el : 02-3279-2700, 02-3279-2701 Fax: 02-3278-2785~6 E-mail: webmaster@knps.or.kr www.knps.or.kr About This Reports Contents
More information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계열 (2) - 1. 서부해당화 음양성 : 양수 서부해당화 Malus prunifolia 성상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 구형 번식 : 실생 / 접목 적색의꽃, 적색열매가아름다움 기조, 강조식재 2. 마가목 음양성 : 음수 마가목 Sorbus commixta 수형 : 타원형 이식 : 어려움 전정 : 보통 번식 : 실생 / 접목 / 취목 흰색꽃과적색열매가아름다움
More informationBTXHINECYMSR.hwp
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 무갑산 양자산 천덕봉 국수봉 - 양금철 신진호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1. 서론 식생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 자원을찾는데그목적이있다.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이라함은희귀 성, 대표성, 전형성을포함하는것으로서자연식생, 극지의입지에남아있는유존식생, 식 생발달에오랜시간이걸리는식생유형을말한다.
More information안테나/한지해(001~025)
01 1 01-1 2 3 01-2 0 250 m 02 1 02-1 2 3 02-2 03 1 03-1 2 03-2 3 04 1 2 3 04-1 04-2 05 1 2 3 05-1 05-2 06 1 06-1 2 06-2 3 07 1 2 3 07-1 07-2 08 1 2 3 08-1 08-2 09 1 09-1 2 3 09-2 10 1 2 10-1 10-2 3 11
More information옥천 일대의 지형
1 진도소권역일대의식생 진도소권역일대의식생 - 지력산, 첨찰산, 여귀산 - 양금철 한미경 ¹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¹ 생물학과 요약 본조사에서는전체총 10개도엽 38개격자에서수정, 추가되어 21개의군락이조사되었다. 전평가단위에서식생보전등급 Ⅱ등급은첨찰산평가단위에서는첨찰산일대, 쌍계사부근의상록활엽수림 ( 천연기념물제107호 ) 및덕신산남사면에분포하는졸참나무-소사나무군락,
More information13-ºÎ·Ï¸ðÀ½-0312
Pinus thunbergii Parlatore Abies holophylla Maximowicz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Juniperus chinesis Linnaeu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Ginkgo biloba
More informationZRQWOSTHTGNE.hwp
1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대구 군위소권역일대의식생 - 가산 팔공산 - 안경환 윤상혁 국립환경과학원 계명대학교 1. 서 론 본조사권역은경상북도군위군, 영천시, 칠곡군, 경산시및대구시일대에위치하고 있으며, 해당도엽(1:25,000) 은군위(368151), 다부(368153), 대율(368154), 신령(368163), 칠곡(358031), 동촌(358032),
More information옥천 일대의 지형
1 덕곡일대의식물 덕곡 (358014) 일대의식물 - 문수봉 - 김휘 곽지훈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덕곡면문수봉조사지역에자생하는관속식물은 66 과 155 속 192 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덕곡면문수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은확인할수없었다. 특정식물종 5 급은확인되지않았다. 식물구계학적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4급으로는선포아풀이있었고 3등급으로는물박달나무다수개체가확인되었다.
More information옥천 일대의 지형
1 임실 장수소권역일대의식생 임실 장수소권역일대의식생 - 내동산 - 성낙필 이윤택 하늘나무생태연구소 요약 1 본조사권역은관촌 (357061), 평장 (357062), 임실 (357063), 신창 (357064), 반암 (357073) 도엽의내동산 (887m) 평가단위로구성되며출현식물군락의유형은신갈나무군락 (Qm), 졸참나무군락 (Qs), 굴참나무군락 (Qv),
More information<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나주 화순소권역일대의식생 - 식산 국사봉 수인산 - 박문수 이광명 순천대학교산림자원학과 요약 조사대상지내 2영급이상의현존식생은산지낙엽활엽수림은신갈나무군락등 24개군락, 산지침엽수림은소나무군락등 11개군락, 산지습성림은서어나무-굴참나무군락등 2개군락, 식재림은리기다소나무 -소나무식재림등 2개식재림으로나타나본소권역에서수치지도에기재된식물군락은총
More information401.fm
Journal of Korean Nature Vol. 3, No. 4 199-211, 2010 Classification Type of Vascular Plants in Yeohangsan, Muhaksan and Palyongsan, Masan Hyun-Kyung Oh 1 *, Hyun-Mi Kang 2 and Song-Hyun Choi 2 1 Department
More information옥천 일대의 지형
1 진상일대의식물 진상 (357154) 일대의식물상 - 억불봉 - 김휘 박유철 국립목포대학교 요약 1 진상면 (357154) 지역의억불봉 (1,008m) 일대에대한식물상조사에서총 100과 137 속 332분류군으로나타났다. 2 진상면억불봉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종II급인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Nakai) 를확인할수있었다. 3 환경부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
More information<BDC4BBFD32302DBCF8C3B5B1B8B7CA5FC1F8BFB5B1D42DC6EDC1FD2E687770>
순천 구례일대의식생 순천 구례일대의식생 - 천왕봉 봉두산 아미산 희아산 용계산 - 진영규 김세훈 창원대학교생물학과 1. 서론 본조사지역은남부권역에속하며순천, 구례지역을소권역으로하고있다. 행정구역상전라남도순천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에속하며, 순천시는황전면, 월등면. 광양시는봉강면, 광양읍. 곡성군은목사동면, 고달면. 구례군은구례읍에걸쳐있다. 본조사지역에해당하는도엽
More information2(2): 87~97,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
2(2): 87~97, 2016. 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Flora around Gudeok Campsite,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You, Ju-Han ABSTRACT 국문초록 Corresponding author: You,
More information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MUQNBKAYUVJY.hwp
1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제주Ⅱ 소권역일대의식생 - 새별오름 거문오름 노로오름 - 유영한 정헌모 공주대학교생물학과 1. 서 론 조사지역인제주도는우리나라의저위도지역에위치하고있으며, 동서방향의장축 (74km) 과남북방향의단축(32km) 을갖는타원형의모양을하고있다. 총면적은 1,824.9 km2로서행정구역단위중도로서는제일작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제주도 2006).
More information93261.hwp
곡성 순천지역의식생 - 봉두산, 수리봉 - 조영호 김진석 ( 경북대생물학과 ) 요 약 기존의임상도와녹지자연도, 현지의상관및식물사회학적조사를토대로봉두산과수리봉평가단위의식생보전지역이설정되고, 식생보전대상지역의현존식생도가작성되었다. 한편상관에의한현존식생도상의식물군락은소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More information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2018.5. - 2018.12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경이변화되는과정을추적하고해석하여광주광역시의각자연환경인자별자연환경지표 ( 기준 ) 를미래지향적으로설정하며,
More information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경영학회 내지 최종
2014 08. 18-08. 20 2 02 03 04 05 05 05 06 07 08 08 08 09 10 11 12 13 16 17 19 22 23 23 23 24 24 25 25 27 28 29 30 30 32 33 34 34 35 35 35 37 37 38 39 39 40 42 43 44 44 44 46 47 49 50 51 3 4 5 6 7 8 9 10
More information차례
작품번호 1819 울산태화강의겨울철철새 모니터링자료와서식환경간의 비교연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환경 212. 7. 9. 구분성명 출품학생 지도교사 정유정 정선명 조은아 김동호 차례 - 1 - Fig 1. 태화강조류조사 site - 2 - - 3 - - 4 - - 5 - - 6 - Table 1. 모니터링실시날짜 년 21 211 212 1.9 1.16 1.8
More information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화순 곡성 지역의 지형경관 윤 순 옥 박 충 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요 약 본 조사지역은 형제봉, 차일봉, 백아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험한 산체가 중앙부에 위 치해 있어 깊은 계곡과 기암괴석의 암봉과 같은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있으며, 섬 진강과 보성강과 같은 대하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높고 험준한 산지가 많 아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평지는
More information2012-82 The Study on the Alternative Pla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in Palgong-Mountain , i ii iii iv v ? vi vii 제 절연구배경및목적 연구배경과필요성 연구목적 제 절연구범위 연구내용및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제 절선행연구고찰 주요개념 관련연구
More information슬라이드 1
NJ52-14-8-062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산외면신정리일원 NJ52-14-8-093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5. 본지도는의사전승인없이복제, 국외반출, 충청북도보은군속리산면중판리일원 NJ52-14-8-094 4. 본지도는지적이표시된지형도또는을기준으로작성하였음
More information옥천 일대의 지형
1 순창 임실소권역일대의식생 순창ㆍ임실소권역일대의식생 - 국사봉 3, 여분산, 백련산 - 남궁정 원호연 공주대학교생물학과 요약 1 순창 임실소권역은한반도의남부에위치하고있으며, 전국자연환경조사대권역중남부권역에해당된다. 행정구역상으로는전라북도정읍시, 임실군, 순창군및전라남도담양군일부에걸쳐있으며, 각평가단위조사지역은국사봉3(656m), 여분산 (774.3m), 백련산
More information지속가능한산림자원관리지침 < 전문 > [ 별표 1] 간벌후입목본수기준 ( 단위 : 본 /ha) 수 종 가슴높이지름 ( cm )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잣나무 1,500 1,200 1,000 880 760 670 600 530 480 440 400 낙엽송 1,500
More information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뉴질랜드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 ( 주 ) 제이앤드에이 Ÿ Ÿ Ÿ Ÿ Ÿ Ÿ Ÿ Ÿ Ÿ 2.3)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토양특성 [표 2-7] Waipara Limestone Vineyard Estate 부지 토양 특성 유효
More information담양군 도래수마을의 식물상 조사 분석
담양군도래수마을의식물상조사분석 박미정 1, 최진아 1* 2 1, 이상화, 김은자, 전보배, 유준완 1 1 1. 국립농업과학원 2. 녹색마당 Vegetation Survey and Analysis in Damyang-gun Doraesoo Village Park Meejeong 1, Choi Jin-a 1*, Lee Sanghwa 2, Kim Eunja 1,
More information93251.hwp
제천 단양지역의식생 - 동산, 부산 - 강상준 한동열 ( 충북대학교과학교육학부, 충북대학교강사 ) 서 론 식물군락에대한연구는군락의구조를밝히려는연구와그것의동태를규명하려는연구의두가지측면에서진행되어왔다. 구조적인측면의연구는일정한지역에서어느한순간의식생조성과그것의환경과의관계를밝히는것을목적으로한다. 구조적측면의연구는식생을기술하는것으로시작된 19C초이후많은연구자들에의해연구되어왔는데군락의개념에대한인식의차이에따라군락을단위체로인식하려는접근법과연속체로인식하려는접근법으로연구방향이대별되어왔다
More information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
정규영 서정수 * 박명순 이선희 최하나 정수영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Kookmang(Chungju, Chungbuk) School of Bioresource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This survey
More information93273-1.hwp
완도1 의 지형경관 장 은 미 이 해 미 * (3G CORE 부설연구소,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서 론 지형적으로는 해안선의 출입 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서 배후의 산지에서 뻗어 나온 산각이 바다에 몰입하면서 소반도 및 두각지가 산재하고 이들 사이에 크고 작은 만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만과 만구 그리고 반도 및 두각지 선단에는 섬들이 점점이 놓여 다 도해를
More information_report.hwp
해외출장복명서 ( 일본기타큐슈, 교토, 오사카 ) 2009. 9 녹색국토 도시연구본부이승욱 - 차례 - 1. 해외출장개요 1 2. 주요내용및시사점 2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2 2. 교토카모강 14 3. 오사카요도강 16 3. 방문기관및안내자 1. 목적 2. 출장일정및출장지 - 1 - 1. 기타큐슈무라사키강 < 무라사키강전경 > - 2 - < 무라사키강하류에입지한산업단지전경
More information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was surveyed from August 2016 to October 2016. The
More information유주한 홍광표 : 부산광역시 해운정사의 조경식물과 식재특성 분석 Ⅰ. 서론 우리나라의 사찰은 산지, 마을, 도심 등 다양한 지역에 위치 하고, 이 중 전통사찰은 불상 등 불교 신앙의 대상을 봉안하고 승려의 수행활동, 신도 교화를 위한 건립, 축조된 건조물로 경 내지,
1(2): 96~104, 2015. 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Analysis on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Plants in Haeunjeong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You, Ju-Han
More information09엄정섭(143~152)ok
Effectiveness of Landform Teaching using Google Earth Mash-up Contour Map Jin Ho Choi* Min Ho Baek** Yong Gwan Beom*** Jung-Sup Um**** Abstract : Contour lines are widely adopted as representation of terrain
More information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untitled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최송현 ( 밀양대학교조경학과교수 ) 목차 1. 머리말 2. 천성산환경영향평가서검토 (1) 1994년환경영향평가서내용검토 (2) 2003년자연변화정밀조사보고서검토 3. 천성산지역의군집구조조사및분석 (1) 현존식생및녹지자연도분석 (2) 연륜및생장분석 4. 연구결과의비교 5. 천성산환경영향평가의문제점과대책 1. 머리말 천성산 ( 千聖山
More information7(3)-03.fm
w» wz, 7«3y(200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7, No. 3, (2005), pp. 201~210 ½ 1 Á v 2 Á 2 Á 1 Á Ÿ 1 Á½ y 2 1 w ù, 2 w w (2005 2 15 ; 2005 8 19 ) The Vegetation Structure
More information16절 백지
Vol.13. No.2 2014. 10. pp.165~176 165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 1) 조광진 ** 박인환 *** 김명현 **** 김혜영 *****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Ecological Forest Site at Mt. Misung in
More informationT...........hwp
성인 미성년자 25.0% 20.0% 15.0% 10.0% 5.0% 0.0% 21.6% 22.4% 18.2% 17.5% 10.5% 6.3% 3.5% 백분율 어린이 청소년 회원 일반시민 환경지도자 초중등교사 기타 50.0% 40.0% 30.0% 20.0% 10.0% 0.0% 23.8% 45.2% 11.9% 7.2%
More information'17 년해양수산부국고보조금총괄현황 40 2015~2018 () ( ) 1,000 - - 70% 20% 10% (044-200-5444) 73 (%) : 3%( 16) ㅇ,,, 2014~2018 () ( ) 3,540 - - 50%, 20% 30% (044-200-5441) ㅇ (%) - ('14) 6.4% ('15) 20%
More information2_11_24 김준수.hwp
농업생명과학연구 45(3) pp.9-18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3) pp.9-18 비룡산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 김준수 1 홍진기 1 김경수 1 조용찬 2 배관호 3* 1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2 국립수목원, 3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접수일(2011년 03월 04일), 수정일(2011년
More information화보 끝없는,, 끝나지 끝나지 않는 않는 즐거움 끝없는 얼음벌판 인제빙어축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 지류와 내린천의 관문인 소양호, 눈 덮인 내설악의 환상적인 경관을 배경으로 은빛 빙어를 주제로 펼쳐 지는 축제가 있다. 바로 인제빙어축제이다. 인제빙어축제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 민국 대표축제이다. 10회 축제기간 동안 방문객 100만 명 돌파(2007년 기준,
More information3(1): 21~33,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Vascular Plants around Tongdosa(Temple) in Gajisan Provincial Pa
3(1): 21~33, 2017. 6.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ISSN 2465-8146 Vascular Plants around Tongdosa(Temple) in Gajisan Provincial Park Oh, Hyun-Kyung* Choi, Yoon-Ho** You, Ju-Han*** ABSTRACT
More information<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영천 경주 지역의 지형경관 황 상 일 박 경 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요 약 본 조사지역은 도덕산, 인내산, 구미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낙동강 수계와 형산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금호강과 형산강 하안에는 비교적 넓은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나 이외의 하천은 대부분 소하천으로, 이들 소하천들은 퇴적암 지 대에서는 짧은 유로를 직류하며
More information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1074-01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More information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8(4) : 511~525(2015) 소, 기암 10개소, 계곡 4개소, 해변 1개소등 26개소의경관자원이있으며, 공원깃대종은소나무와원앙이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경주국립공원의
Korean J. Plant Res. 28(4):511-525(2015) http://dx.doi.org/10.7732/kjpr.2015.28.4.511 P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경주국립공원구미산지구에분포하는관속식물상 유주한 1 *, 권순영 2 1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조경학과,
More informationR hwp
목적기초연구 1 * Anticomplement Activities of Korean Indigeneous Plants No. Plant name Srientific name Family Activity(IC50) 98112 해변싸리 Lespedeza martrima 콩과 12.2 96019 지리산오갈피 Acanthopamax chiisanensis
More information차례
차례 표차례 優占度階級 群度階級 그림차례 - 1 - - 2 - - 3 - 표 2. 優占度階級 (Braun-Blanquet, 1964) 5 : 표본구면적의 3/4이상을덮고, 개체수는임의 4 : 1/2-3/4을덮고, 3 : 1/4-1/2을덮고, 2 : 개체수는많으나被度가낮다혹은산재하나被度는높다 ( 단1/10이다 ). + : 被度는낮고散在 r : 고립하여출현하고被度는극히낮다.
More information〈표7
1 경주일대의양서 파충류 경주일대의양서 파충류 김일훈 김빛나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생물학과 요약 본조사는 제3차전국자연환경 " 조사의일환으로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경주시에위치한경주도엽 (359014)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상를대상으로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3목 6과 12종의양서 파충류서식이확인되었다.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More information수용할토지의소유자및권리자명세 수원천생태하천복원사업 토지소재지실제편입지면적지목이용 ( m2 ) 도군면리지번현황지번면적 ( m2 ) 1 전북완주상관신 수도수도 소유자 주소성명주소성명 전주군전주면 관계인 2 전북완주상관신 수도
사업개요 하천명 공사명 공사위치공사기간사업량시점종점착공준공 공사목적 수원천 수원천생태하천복원사업 완주군상관면신리상관저수지 완주군상관면신리전주천합류점 지방하천수원천생태하천복원을통한치수 이수및쾌적한수환경조성 수용할토지의소유자및권리자명세 수원천생태하천복원사업 토지소재지실제편입지면적지목이용 ( m2 ) 도군면리지번현황지번면적 ( m2 ) 1 전북완주상관신 301-1
More information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다 (Kim et al., 2012). 여러가지생물종이어우러져구성된생물군집은종간상호작용이다양할것이므로종다양성이높은군집은구조적으로복잡할것이다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 16 권제 1 호 (2014) (pissn 1229-5671, eissn 2288-185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2014), pp. 11~21 DOI: 10.5532/KJAFM.2014.16.1.11 c Author(s) 2014.
More information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GM작물실용화사업단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GM작물 인식조사 및 실용화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김욱 박사 1. 조사목적 GM 작물 관련 인식조사는 사회과학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GM 작물 관련 인식 추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조사설계 2.1.
More information〈표7
1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대보일대의양서 파충류 김일훈 김빛나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생물학과 요약 본조사는 제3차전국자연환경 " 조사의일환으로 2012년 2월부터 10월까지경상북도포항시에위치한대보도엽 (359153) 에서식하고있는양서 파충류상를대상으로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3목 6과 11종의양서 파충류서식이확인되었다. 한반도고유종인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More information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4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SO2, 아황산가스)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SO2)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의
More information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성장을선도하는폐기물처리시설조성
More information금강하구역관련연구용역분석및 대응전략수립 τ ρ τ ρ τ ρ 6 6 ( km2 ) (95) ( m3 /s) (185) (275) (355) 7210 144.45 79.12 53.01 34.74 (J) (K) 8228 164.83 90.28 60.49 39.64 8549 171.27 93.81 62.85 41.18 9431 188.93 103.48 69.34
More information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More information(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84~299)206지도서2-3 2012.9.17 21:21 페이지284 mac01 T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1 단원의 개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물자와 사람들의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자연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교 통과 통신이
More information학습 1 수목의개념과분류 1-1. 수목의뜻과범위 학습목표 l 산림과조경용수목의종류를알수있다. 필요지식 / 1. 수목학의개념과분류가. 수목학의뜻과범위 1) 수목학의뜻수 ( 樹 ) 는목木 주壴 촌寸으로구성되어있고, 木은상형문자象形文字로서가지와뿌리가달린나무를나타내며풀과는달리
학습 1 수목의개념과분류 1-1. 수목의뜻과범위 학습목표 l 산림과조경용수목의종류를알수있다. 필요지식 / 1. 수목학의개념과분류가. 수목학의뜻과범위 1) 수목학의뜻수 ( 樹 ) 는목木 주壴 촌寸으로구성되어있고, 木은상형문자象形文字로서가지와뿌리가달린나무를나타내며풀과는달리특히뿌리를나타낸다. 주壴의토土는흙으로서나무의싹이트는것을나타내고豆는제기祭器로서윗부분이넓어서잘넘어지지않기때문에섰다는것을나타내며,
More information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nggi-do.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consist of
More information05(김창석)p fm
Weed Turf. Sci. 3(4):284~291 http://dx.doi.org/10.5660/wts.2014.3.4.284 Print ISSN 2287-7924, Online ISSN 2288-3312 Research Article Weed & Turfgrass Science Weed & Turfgrass Science was renamed from both
More informationⅠ. 지방의회기본현황 1 Ⅱ. 지방의회상임위원회현황 5 1. 총괄내역 8 가. 상임위설치의회수 8 나. 위원수별상임위원회수 10 2. 의회별내역 12 Ⅲ. 지방의회정당별등현황 37 1. 정당별및성별현황 41 2. 의원 1인당인구수 55 3. 직업별현황 69 Ⅳ. 지방의회의장협의회현황 83 1.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일반현황 85 2. 전국시 도의회의장협의회
More information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1. 변경요지 () 2. 변경의목적및사유 - -, - 1) ) 59.2% 3 - -, ) 환경정책 (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보전의메카에서복지의메카까지 ) 2) 201
기자설명회보조자료 2015.4.29( 수 ) 10:30 국립공원삭도시범사업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강원도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신청서 - 요약 - 1. 변경요지 () 2. 변경의목적및사유 - -, - 1) - 2013 2) 59.2% 3 - -, - 2018 1) 환경정책 (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보전의메카에서복지의메카까지
More information- 1 -
- 1 - - 2 - - 3 - - 4 - - 5 - - 1 - - 2 - - 3 - - 4 - σ σ σ σ σ σ σ - 5 - - 6 - - 7 - - 8 - log - 9 - - 10 - - 11 - - 12 - m ax m ax - 13 - - 14 - - 15 - - 16 - - 17 - tan - 18 - - 19 - tan tan - 20 -
More information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2014 조석표 ( 한국연안 ) 항행통보 : 2014 년 7 호 87 항 정정 2014 년도조석표자료를별지의자료로교체 - 3. 개정수및비조화상수 (p.293 p.299) - 4. 기본수준점표성과 (p.300 p.317) 비고 측량 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제 8 조제 3 항의규정에의거설치한기본수준점의 성과가신설 변경되어별지와같이추보표를발행하오니, 사용하고있는 2014
More information•••••1301(•••).pdf
K I A M O T O R S V o l _ 1 0 6. 2 0 1 3 01 K I A M O T O R S V o l _ 1 0 6. 2 0 1 3 01 Happy Place + 은빛 추억이 새록새록, 태백산 눈축제 태백산에 하얗게 눈이 소복하게 쌓이면 축제가 시작된다. 태백산 눈축제 는 은빛 으로 옷을 갈아입은 태백의 매력을 맘껏 느낄 수 있는 다양한
More informationhwp
부산의지형경관 - 금정산 - 오건환 신해수 ( 부산대학교지리교육과 ) 서 론 조사은부산광역시의북부에자리잡고있으며경상남도양산시와경계를이룬다. 고담봉 (801.9m) 에서남서쪽으로해발 500~600m의산등성이로이어지는금정산은북동 -남서방향의양산단층에지배된태백산맥의말단부로서부산의등줄산맥을형성하고있다. 수려한화강암으로다듬어진금정산은지질시대를거치면서침식과풍화작용에씻기고깎기면서마치성곽과성채처럼조각된능선이주위를감싸고있는데다.
More informationfm
자연보존 133 : 17-22 ; 2006 년 3 월 우리나라의생태자원 (2) : 활용전략 1) 이상돈 2) 이화여자대학교공과대학환경학과 서론 우리나라는북위 33.07' 에서 43.01' 사이에위치하며온대지역에속하는전형적인반도기후를가지고있다. 육지지역과해양지역등총 22 만 2 천 km 2 이며남한의면적은 99.6 천 km 2 로전체한반도의약 45% 를점유하고있다.
More information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More information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Microsoft Word - 4장_처짐각법.doc
동아대학교토목공학과구조역학 4. 처짐각법 변위법 (Slope Deflection ethod Displacement ethod) Objective of this chapter: 처짐각법의기본개념. What will be presented: 처짐각법을이용한다차부정정보해석 처짐각법을이용한다차부정정골조해석 Theoretical background 미국미네소타대학의
More information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광진구 상징물 1. 광진구 마크 녹음이 가득한 아차산과 한강에 비친 아차산의 음영을 나타내는 두 삼각형, 광진 나루를 보여주는 돛단배로 이루어져 있다. 광진구의 유구한 역사와 미래를 나타내 는 백색과 한강의 깨끗한 환경을 상징하는 청색을 바탕으로 광진구의 힘찬 도약과 화합을 상징한다. 2. 새 - 까치 3. 나무 - 느티나무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모양이
More information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목차 i 목 차 iv 목차 표목차 목차 v vi 목차 목차 vii 그림목차 viii 목차 요 약 요약 1 요 약 제 1 장사업개요및조사방법 4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 * ( 15 ) 요약 5 : 6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요약 7 8
More informationhwp
산청 구례 2 의지형경관 손일 지영진 ( 경상대학교지리교육과 ) 1. 서론 본조사은한반도남부에서가장높은산인지리산의중앙부에해당하는산악지형이며, 소백산맥의가장끝자락에해당한다. 조사은경상남도와전라남도의도경계에인접해있으며, 지리산계와관련이있는경남의서부이다. 조사의대부분은행정구역상으로경상남도하동군에속하나, 전체중북동부일부은산청군에, 북부의일부은함양군에포함된다. 본조사과다른과의경계는주로하천에의해이루어지는데,
More information(연합뉴스) 마이더스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2012. 04 Vol. 98 Cover Story April 2012 _ Vol. 98 The monthly economic magazine www.yonhapmidas.co.kr Contents... 14 16 20 24 28 32 Hot News 36 Cover Story 46 50 54 56 60
More information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5,678,689 5,462,689 216,000 100.0 100.0 100.0-5,679,338 5,462,689 216,649 100.0 100.0 100.0 - 증 )649 5,222,334 5,006,334 216,000 92.0 91.6 100.0 100.0 5,222,983 5,006,334 216,649 92.0 91.6 100.0 100.0
More information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 2012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2012. 5. 12( ) 2012 1. 1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2012. 7. 4( ) ~ 7. 6( ) 3 등록시간 : 09:00 ~ 18:00. : 2 ( 1 ). 1 3 (A4 1매, 워드작성 붙임서식
More information국가건설기준 설계기준 Korean Design Standard KDS : 2016 쌓기 깎기설계기준 2016 년 6 월 30 일제정
국가건설기준 설계기준 Korean Design Standard KDS 11 70 05 : 2016 쌓기 깎기설계기준 2016 년 6 월 30 일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제 개정에따른경과조치 이기준은발간시점부터사용하며, 이미시행중에있는설계용역이나건설공 사는발주기관의장이필요하다고인정하는경우종전에적용하고있는기준 을그대로사용할수있습니다.
More information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요약본) 2015. 4. 지방공기업평가원 제주관광공사가부족한쇼핑인프라를보완하고, 수익을제주관광진흥에재투자하여 관광산업활성화와관광마케팅재원확보 라는양대목적달성에기여하고공기업으로서사회적책임을다하고자시내면세점사업에투자하려는의사결정에대한타당도는전반적으로볼때 긍정 으로평가할수있음 역할및필요성 대내 외환경 정책및법률 경제성기대효과
More informationuntitled
11-1400119-000205-01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93520 9 788997 450602 ISBN 978-89-97450-60-2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20149 031-540-2000 415 aplan Tomorrow FOUR SEASONS
More informationhwp
습지유형분류및기능평가의배경 / 목적 이론적고찰 습지의개념및정의습지지표습지의생성및발달 습지의유형및특성습지의기능, 이용습지의관리및복원 물영아리오름습지의유형분류기능평가 유형분류기능평가 HGM 습지분류체계 람사습지분류체계 습지분류의재구성 물영아리오름습지유형분류 기능평가모델구축 평가변수 / 지표설정 현장조사 물영아리오름습지평가항목별평가 관리전략기본방향설정 *
More information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322DB3EDB9AE2E687770>
어도 설계 실무 (Design of Fishway) 1. 머리말 2. 어도 설계의 기본 이론 3. 어류이동의 생태학적 특성 4. 어도 설계의 수리학적 기법 5. 어도의 설계 및 설치사례 참 고 문 헌 헌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2 자연형 어도의 예 제12회 수공학 웍샵 그림 2.3 어도 내부에 돌을 설치한 모습 그림 2.4 어도 바닥에 돌을 설치한
More informationhwp
원주 제천의지형경관 ( 강원대학교지리교육과 ) 서 론 본조사은백운산을중심으로한이다. 이들은행정구역상으로강원도원주시단구동일대와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일부와제천시백운면일대에해당된다. 원주시는북쪽으로강원도횡성군, 서쪽으로경기도양평군 여주군, 남쪽으로충청북도제천시, 동쪽으로강원도평창군 영월군과접해있다. 원주시의면적은 867.76km 2 이고수리적위치는북위
More information03Ȳ»óÀÏ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astal Terraces at Jigyeong-Ri, the Areal Boundary between Gyeongju- and Ulsan Cit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Sang-Ill Hwang*, Soon-Ock Yoon**, and Han-San Park***
More information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