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문화연구 2006 여름호제 29 권제 2 호 ( 통권 103 호 ) pp. 205~237. 硏究論文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우실하 * 1) Ⅰ. 글을시작하며 Ⅱ. 당나라시대까지도태극 ( 太極 ) 이란삼태극 / 삼원태극을의미하는것이었다. Ⅲ. 빛날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 囧 자 Ⅳ. 명 ( 明 ) 자의변화 Ⅴ. 맹 ( 盟 ) 자의변화 Ⅵ. 태양을상징하는 日 과 囧 의차이 Ⅶ. 글을맺으며 : 囧 자형태의태양상징은파문 ( 巴紋 ) 와문 ( 渦紋 ) 삼태극 ( 三太極 ) 문양의기원이다 < 참고문헌 > < 국문요약 > I. 글을시작하며 빛날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인 囧 자의갑골문과금문에대해서는여러가지견해들이공존하고있다. 첫째, 달빛이비치는 열린창문 을상형한것이라는설, 둘째, 12년마다제후들을모아 밝음의신 ( 明神 ) 에게제사를지내던맹 ( 盟 ) 이라는행사에서제단에올려졌던 소의귀 를상형한것이라는설, 셋째, 불꽃 을상형한것이라는설등이다. 이글에서는경 ( 冏 ) 명( 明 ) 맹( 盟 ) 일( 日 ) 등의글자변화를통해이런견해들을비판적으로검토하고, 밝을경 ( 冏 ) 자와밝을명 ( 明 ) 자의공통기원인 囧 자가태양을상형한것이라는점을밝혀볼것이다. 특히 밝다 빛나다 환하다 는의미 * 한국항공대학교교양학부교수, 동양사회사상 / 문화이론전공 (woosilha@hau.ac.kr).
206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의 囧 자는 빛 을발생시키는 불 ( 火 ) 곧 태양속에소용돌이치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는점을밝혀볼것이다. 이런논의를통해서, (1) 囧 자의갑골문과금문에서보이는 태양을상징하는둥근원안에 3~4개의선이나 C자형곡선이둘러져있는囧자형상 에서각종파문 ( 巴紋 ) 이발생하였고, (2) 이런파문들가운데가장많이보이는 원안에 3개의선이나 3개의 C자형곡선이둘러져있는囧자형상 에서우리나라에서특히많이사용되는삼태극 ( 三太極 ) 혹은삼원태극 ( 三元太極 ) 의초기형상이기원하였다는점을밝혀볼것이다. II. 당나라시대까지도태극 ( 太極 ) 이란삼태극 / 삼원태극을의미하는것이었다. 태극 ( 太極 ) 에대해서우리는일반적으로음과양이어우러진태극곧 음양태극 ( 陰陽太極 ) 을떠올린다. 그런데우리나라에서는음양태극대신에흔히 삼태극 ( 三太極 ) 혹은 삼원태극 ( 三元太極 ) 이라고불리는문양이많이사용된다. 동아시아각국에서사용되는태극의모양도다르다. 예를들어, 중국과베트남의전통북에는음양태극이그려져있고, 한국과일본그리고티벳의북에는삼태극 / 삼원태극이그려져있다. 상ㆍ주ㆍ춘추ㆍ전국시대에이르는고고유물이나악기에는삼태극도형이대단히많이보이는데반해서음양태극은거의보이지않는다. 상 주 춘추 전국시대의각종고고유물에서도삼태극이그려져있었다면, 도대체삼태극도형은어디에서기원하는것일까? 필자는이미다른논문와논문들을통해서, (1) 고대동양에서태극이란당나라시대까지도음양태극이아니라삼태극 / 삼원태극을의미하는것이었다는점을밝혀놓았고, 1) (2) 이런삼태극의논리가동양음악의 5음 12율의산율 ( 算律 ) 체계의바탕이었으며, 2) (3) 삼태극의논리는동북아샤머니즘의 3수분화의세계관 1) 우실하, 최초의태극관념은음양태극이아니라삼태극 / 삼원태극이었다, ꡔ 동양사회사상 ꡕ, 제 8 집 (2003), 5~37쪽. 2) 우실하, 삼태극의논리와 5 音 12 律의산율수리 ( 數理 ) 체계, ꡔ한국음악사학보ꡕ, 제32집 (2004b),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07 (0-1-3-9-81) 의산물이라는점을밝혀놓았으며, 3) (4) 이런 3수분화의세계관 은도교나선도계통과우리나라의대종교등의전통종교와 천부경 삼일신고 등의민족비서등에서그대로계승되고있다는점도논의하였다. 4) ꡔ한서ꡕ, 율력지 ( 律曆志 ) 나 ꡔ사기ꡕ, 율서( 律書 ) 등에는삼태극관념이분명하게보이는데, 이들책에서는 천지인 3 기를함유한 1 기 가태극이라는의미로사용되었다. 5) 구체적으로보면, ꡔ한서ꡕ, 율력지 본문에는반고가활동하던후한초기의학자들이태극을어떻게이해하고있었는지를명쾌하고보여주는중요한표현이실려있다. 태극원기는셋을함유하고있으면서하나가된다 ( 太極元氣, 函三爲一 ). 6) 위의인용문에의하면, 태극원기 는 3 기 ( 氣 ) 를함유하고있는 1 기 ( 氣 ) 라는것이다. 이에대해서삼국시대위 ( 魏 : 225~265) 나라학자인맹강 ( 孟康 ) 7) 과당 ( 唐 : 618~907) 나라초기의학자안사고는아래와같은주석을달아놓았다. 맹강이이르기를, 원기 ( 元氣 ) 는자 ( 子 ) 에서처음일어나는데, 원기가분화되기전에는천지인 ( 天地人 ) 이혼합되어하나로되어있다. 그러므로자 ( 子 ) 의수 ( 數 ) 는홀로 1이다 고하였다. 남사고가이르기를, 함 ( 函 ) 은함 ( 含 ) 과같은의미로풀이한다. 이후에도모두이와같다 고하였다. 8) 위의인용문을통해서보면태극원기 ( 元氣 )= 일기 ( 一氣 ) 는 3 기를함유하고있 73~113쪽. 3) 우실하, 동북아성수 ( 聖數 : 3, 7, 9, 81) 의기원에대하여, ꡔ단군학연구 ꡕ, 제10집 (2004c), 205-240쪽. 4) 우실하, 도교와민족종교에보이는 3수분화의세계관, ꡔ도교문화연구ꡕ, 제24집 (2006), 99~133쪽. 5) 우실하, ꡔ전통음악의구조와원리 : 삼태극의춤, 동양음악ꡕ( 소나무, 2004a); 우실하, 앞의논문 (2004b), 73~113쪽참조. 6) ꡔ 漢書 ꡕ, 卷 21 上, 律曆志 第 1 上 ; ꡔ 漢書 ꡕ( 北京 : 中華書局, 1992), 964쪽. 7) 맹강은 ꡔ 漢書音義 ꡕ 9권을지은삼국시대위 ( 魏 ) 나라사람으로, 응소 ( 應邵 ) 복건( 服虔 ) 여순( 如淳 ) 등과같이후한시대에서삼국시대에걸쳐서활동한유명한주석가다. 8) ꡔ 漢書 ꡕ, 卷 21 上, 律曆志 第 1 上 ; ꡔ 漢書 ꡕ, 965쪽. 孟康曰, 元氣始起於子, 未分之時, 天地人混合爲一, 故子數獨一也. 師古曰, 函讀與含同. 後皆類此.
208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는데, 그 3기는바로천지인 3재 ( 三才 ) 를말하는것이다. 이렇게보면태극원기가 3기를함유하고있다는삼태극 / 삼원태극의개념은당시에통용되던보편적인태극이해방식이었다는것을알수있다. 이런삼태극관념은한나라와삼국시대그리고당나라시대의학자들에게까지도보편적인태극이해의방식이었다. 9) 1기에서 3기로분화되는삼태극관념은동북방샤머니즘의 3수분화의세계관 의산물이며, 삼재론의바탕이라는점도다른글에서이미밝힌바있다. 10) 동양사상의원류라고할수있는 ꡔ주역ꡕ 의기본논리도음양론과천지인삼재론에바탕하고있다. 11) 그러나태극을삼태극으로이해하던관념은, 송대 ( 宋代 ) 주렴계의 태극도설 ( 太極圖說 ) 이래로음양 2기만을포함하는음양태극관념으로변화된다. 송대성리학이후태극이란음양으로분화되는음양 2기를내포하고있는태극이되어버린것이다. 12) III. 빛날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 囧 자 한 ( 漢 ) 나라허신 ( 許愼 ) 의 ꡔ설문해자ꡕ 에보이는 囧 자의전서체는둥그스름한사각형안쪽의좌 우 아래에곡선을그려서분할을해놓은형상이다 (< 도표 1> 참조 ). 현재 囧 자는 빛날경 ( 冏 ) 자와같은의미를갖는이체자 ( 異體字 ) 로사용되고있다. 허신의 ꡔ설문해자ꡕ 에는 囧 자를아래와같이설명하고있다. 집의창문을열어서밝은모양을상형한것이다. 무릇 밝고빛나는것 에속하는것들은 囧 자를따른다. 광 ( 獷 ) 자와같은발음으로읽는다. 가시중 ( 賈侍中 ) 은 명 ( 明 ) 자와같은발음으로읽는다고한다 ( 窗牖麗廔闓明象形. 凡囧之屬 9) 우실하, 앞의논문 (2003), 5~37쪽참조. 10) 우실하, 앞의논문 (2004c), 205~240쪽참조. 11) 동양사상사의흐름에서삼재론 ( 三才論 ) 은 ꡔ주역 ( 周易 )ꡕ의십익 ( 十翼 ) 에서본격적으로나타난다. 중국사상의원류라할수있는 ꡔ주역ꡕ 은삼재론과음양론이함께기본적인구조를이루고있다. 64괘의초효 ( 初爻 ) 와 2효는지 ( 地 ), 3효와 4효는인 ( 人 ), 5효와상효 ( 上爻 ) 는천 ( 天 ) 으로 6효가천지인의삼재를상징하고있으며,ꡔ주역ꡕ 계사 ( 繫辭 ) 설괘전 ( 說卦傳 ) 에서는, 천지인삼재의도를각각천도 ( 天道 ) 를음양 ( 陰陽 ), 지도 ( 地道 ) 를강유 ( 剛柔 ), 인도 ( 人道 ) 를인의 ( 仁義 ) 로규정하고있다. 12) 우실하, 앞의논문 (2003), 5~37쪽참조.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09 皆從囧. 讀若獷, 賈侍中說讀與明同 ). 13) 위에인용한 ꡔ설문해자ꡕ 에서는 囧 자의모양이 창문을열어밝은모양 을상형한것이고, 광 ( 獷 ) 혹은명 ( 明 ) 자와같이발음한다고보고있다. ꡔ설문해자주 ( 說文解字注 )ꡕ를지은청 ( 淸 ) 의단옥제 ( 段玉裁 ) 도이런견해를반복하고있다. 14) < 도표 1> < 도표 2> ꡔ설문해자ꡕ 의 囧 ) 자 15) ꡔ설문해자ꡕ의목 ( 目 ) 목 ( 睦 ) 성 ( 省 ) 자 16) 그러나 ꡔ설문해자 ꡕ에서는 囧 자가 눈목 ( 目 ) 자의형상이라는견해도동시에보인다. < 도표 2> 에소개한 ꡔ설문해자ꡕ 에서 살필성 ( 省 ) 자를설명한부분을보면성 ( 省 ) 자의고문 ( 古文 ) 을, 적을소 ( 少 ) 자아래에 囧 자를이어놓은형태로소개하고 少 와 囧 을따른다고설명하고있으며, 17) 또 화목할목 ( 睦 ) 자를설명한부분에서도, 목 ( 睦 ) 자의고문을 록 ( 圥 ) 자아래에 囧 자를이어놓은형태로소개하고있어 囧 자가 目 자대신에사용되었음을보여주고있다 (< 도표 2> 睦참조 ). 18) 그러나막상 눈목 ( 目 ) 자를설명한부분에서목 ( 目 ) 자의고문 ( 古文 ) 을보 13) 許愼, ꡔ 說文解字 ꡕ( 北京 : 中華書局, 1992 영인본 ), 142쪽上. 14) 段玉裁, ꡔ 說文解字注 ꡕ( 杭州 : 浙江古籍出版社, 1999 영인본 ), 314쪽下. 15) 許愼, 앞의책, 142쪽上. 16) 위의책, 70쪽下 ( 目부분 ), 72쪽上 ( 睦부분 ), 74쪽上 ( 省부분 ). 17) 위의책, 74쪽上.
210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면 囧 자로소개되어있지않고둥그스름한사각형 ( ) 안쪽에 모양과 모양이아래위로연결된모습이다 (< 도표 2> 目참조 ). 19) ꡔ설문해자ꡕ 의이런일관성없는설명에대해서는단옥재도비판을하고있다. 곧성 ( 省 ) 자와목 ( 睦 ) 자에서허신이 目 자의고형으로소개한 囧 자는잘못이라는것이다. 곧 目 자의고형은 囧 자가아니라 안에 과 이아래위로연결된모습 의글자라는것이다. 20) 이런혼란을어떻게이해해야할것인가? 그리고단옥재와허신이 囧 자를 열린창문 으로해석한것은타당한것인가? 무엇보다도허신이나단옥재가고대의글자에대한책을쓸당시에는한자의원형이라고할수있는 갑골문 이발견되기이전이었으며, 이들이참고할수있는청동기금문 ( 金文 ) 도매우제한적이었다는점을고려할필요가있다. 갑골문이새롭게발견되고수많은청동기의금문 ( 金文 ) 이발굴된현재, 고문자학자들은허신이나단옥재의뛰어난학술적성과들을인정하면서도그들이지닌어쩔수없는시대적한계를지적하고있다. 예를들어, 1997년에 1200쪽에가까운 ꡔ고전석원 ( 古篆釋源 )ꡕ을편찬한왕홍력 ( 王弘力 ) 은책의편집후기 ( 編後語 ) 에서다음과같이밝히고있다. ꡔ 설문해자 ꡕ 에존재하는결함은역사적한계의소치이며, 성현문호 ( 聖賢文豪 ) 라고할지라도역시역사적인한계를벗어나기는어렵다. 오늘날우리들도이들과마찬가지지만, 한계의범주는각기서로다르다. 21) 수많은갑골문의발견과상 주청동기에새겨진금문의해독으로, 허신과단옥재의한계를벗어난새로운견해들이나오고있다. 새로운견해들을참고하기위해서먼저갑골문과상대 ( 商代 ) 부신정 ( 父辛鼎 ) 에보이는 囧 자의모양을살펴보자 (< 도표 3>, < 도표 4>, < 도표 5> 참조 ). 18) 위의책, 72쪽上. 19) 위의책, 70쪽下. 20) 段玉裁, 앞의책, 132쪽下 ( 睦부분 ), 136쪽上 ( 省부분 ) 참조. 21) 王弘力 ( 編注 ), ꡔ 古篆釋源 ꡕ( 瀋陽 : 遼寧美術出版社, 1998<1997>), 編後語. 이책은 1156쪽까지의본문뒤에, 다시 1~44쪽의검자표 ( 檢字表 ) 와편집후기 ( 編後語 ) 로구성되어있다.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11 < 도표 3> 갑골문과상대부신정 ( 父辛鼎 ) 에보이는 囧 자 22) < 도표 4> < 도표 5> 囧 : 빛날경 ( 冏 [giɔ ɳ]) 자의원형 23) 囧 : 밝을명 ( 明 [miŋ]) 자의원형 24) < 도표 3> 에서보는바와같이, 囧 자의갑골문과금문은, (1) 원안에 3개의 'C' 자형곡선이그려진형태와, (2) 원안에 4개의 C 자형곡선이그려진형태가있다. 갑골문과상대청동기명문에보이는이런모양의 囧 자가과연허신이나단옥재가말하듯이 열어놓은창문 을상형한것일까? 왕홍력 ( 王弘力 ) 은 囧 이두갈래의기원을지니고있으며현대한자에서도두글자로분화되었다고설명하고있다. 이것을살펴보면아래와같다. 첫째, 囧 자는현대중국어에서 jiong 으로발음되는 밝을경 ( 冏 ) 자의원형이라고본다. < 도표 4> 을보면 囧 자의금문은 < 도표 3> 에서본것과같이원안에 4개의 C 자형곡선이그려진형태다. < 도표 4> 에서 囧 자의고도문 ( 古陶文 : 옛도기에새겨진문자 ) 의모양은사각형안에작은사각형이있고그둘레를선으로연결시켜놓은창문형상이다. 이런모양에근거해서왕홍력은 밝을경 ( 冏 ) 22) 高明 ( 編 ), ꡔ 古文字類編 ꡕ( 北京 : 中華書局, 1987), 416쪽. 이책은한국에서영인되어출판되었다. 高明 ( 編 ), ꡔ 古文字類編 ꡕ( 동문선, 1990). 23)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583쪽. 24) 위의책, 583쪽.
212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의원형인 囧 자모양들을 ꡔ설문해자ꡕ 의설명을따라 열어놓은창문 을상형한것으로해석하고있다. 둘째, 囧 자는현대중국어에서 ming 으로발음되는 밝을명 ( 明 ) 자의원형이라고본다 (< 도표 5> 참조 ). 왕홍력은 囧 자가 밝을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공통의원형이라고보면서아래와같이자신의입장을정리하고있다. 내생각에는, 囧자는明 [miŋ] 으로읽는데, 창문을나타내는囧 ( 음은獷 [guɑ ŋ]) 자와더불어후에는 빛날경 ( 冏 [giɔ ɳ]) 자로바뀌었다. [ 그래서 ] 두글자 ( 明과冏을말함 : 필자 ) 의전서체모양 ( 囧을말함 : 필자 ) 이같다. 오늘날에는두가지음 ( 명明과경冏 : 필자 ) 으로분화되었다. 按 : 囧讀明 [miŋ], 與窗牖之冏 ( 音獷 [guɑ ŋ]), 後改冏 [giɔ ɳ] 二篆形同. 今分爲二聲符 (< 도표 5> 의아래왕홍력의설명부분 ). 25) 그런데 < 도표 5> 의설명문을보면왕홍력은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인 囧 자가 소의귀 ( 牛耳 ) 를상형한것으로보고있다. 이것은 밝을경 ( 冏 ) 자의옛글자인 囧 자를 열어놓은창문 이라고해석한것과전혀다른해석이다. 곧같은 囧 자를서로다른것을상형한것으로보고있는것이다. 이에대해서왕홍력은 ꡔ고문자형발미 ( 古文字形發微 )ꡕ 26) 등을지은강은 ( 康殷 ) 의견해를받아들이면서아래와같이설명하고있다. 강은 ( 康殷 ) 은희생의피를마시며맹세를할때사용되는소의귀를상형한것으로해석한다. 내생각에, 갑골문맹 ( 盟 ) 자가따르는바와같으니, 명 ( 明 ) 이라는소리로읽는다는것을증명할수있다. 康釋象歃盟之牛耳. 按 : 與甲骨文盟字所從相同, 可證讀明聲 (< 도표 5> 의갑골문해설문참조 ). 27) 강은과왕홍력이말하는 소의귀 는도대체맹 ( 盟 ) 자와어떻게연관되어있는 25) 위의책, 583쪽. 按 : 으로표기한부분은왕홍력자신의견해를덧붙인것이다 ( 위의책, 5쪽 ). 26) 康殷, ꡔ 古文字形發微 ꡕ( 北京 : 北京出版社, 1990), 777쪽. 27)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583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13 것일까? ꡔ설문해자ꡕ 에는맹 ( 盟 ) 자를설명하면서 ꡔ주례 ( 周禮 )ꡕ에보이는아래의내용을소개하고있다. 맹 ( 盟 ) : ꡔ주례ꡕ에이르기를, 국가에의심스러운일이있으면맹 ( 盟 ) 이행해졌다. 제후들은 3년마다 1번조 ( 朝 ) 를행하는데, 두번째조 ( 朝 ) 에회 ( 會 ) 를행하고, 두번째회 ( 會 ) 인 12년에한번맹 ( 盟 ) 이행해졌다. 북쪽을바라보고하늘에고하는관리인신사 ( 愼司 : 盟의의식을관장하던司盟을말함 : 필자 ) 가엄숙하게맹 ( 盟 ) 을명하면, 희생을죽여피를마시고붉은소반에올린옥으로만든돈 ( 敦 : 고대제사시에黍稷을담던그릇 : 필자 ) 에소의귀를세웠다. 囧을따르고血을따른다. ꡔ 周禮 ꡕ 曰 : 國有疑則盟. 諸侯再相與會十二歲一盟. 北面詔天之司愼司命盟. 殺牲歃血朱盤玉敦以立牛耳從囧從血 (< 도표 6>ꡔ설문해자ꡕ 盟참조 ). 28) < 도표 6> 허신의 ꡔ 설문해자 ꡕ 에보이는맹 ( 盟 ) 29) 단옥제는 ꡔ설문해자ꡕ 의이부분을해설하면서아래와같이부언하고있다. 곧, ꡔ주례ꡕ 에의하면북쪽을향하여 밝음의신 ( 明神 ) 에게고하는사맹 ( 司盟 ) 이라는관리가있어서맹 ( 盟 ) 에대한모든절차를관장했다. 또 ꡔ설문해자ꡕ 에보이는 재상여회 ( 再相與會 ) 4자는 재조이회재회 ( 再朝而會再會 ) 6자를잘못옮겨적은것이라고한다. ꡔ좌전ꡕ 소왕 ( 昭王 ) 13년기록에의하면, 조 ( 朝 ) 는 3년마다제후들을모아예 ( 禮 ) 를강연하는것이었고회 ( 會 ) 는 6년마다제후들을모아위세를보이던것이었다. 그래서 3년에 1번조 ( 朝 ) 가있었고 ( 三年而一朝 ), 6년 (= 再朝 ) 에 1번회 ( 會 ) 가있었으며 ( 六年而一會 ), 12년 (= 再會 ) 에 1번맹 ( 盟 ) 이있었다 ( 十二年而一盟 ) 28) 許愼, 앞의책, 142쪽上. 해석은단옥재의 ꡔ 說文解字注 ꡕ에서바로잡은부분을참고하였다. 29) 위의책, 142쪽上.
214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고한것이다. 30) 맹 ( 盟 ) 의의식에서 소의귀 를세웠다는 ꡔ주례ꡕ 와 ꡔ설문해자ꡕ 의기록을바탕으로왕홍력은 < 도표 6> 에보이는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인 囧 의갑골문형태를 소의귀 를상형한것이라고해석한것이다. 필자는이런견해를받아들이지않는다. 소의귀 를그려서 밝다, 빛나다 의의미를부가한다는것은너무나추상적이며, 논리적인비약이라고본다. 또한맹 ( 盟 ) 의의식을행하면서 밝다, 빛나다 의의미와연결되는것은 소의귀 가아니라 밝음의신 ( 明神 ) 이라고보기때문이다. ꡔ주례ꡕ 와 ꡔ설문해자ꡕ 의기록을받아들이더라도, 맹 ( 盟 ) 의의식에서중요한것은희생의피를마시고서로맹세를하며 밝음의신 에게고하는것이지 소의귀 를세우는것이아니다.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인 囧 자의갑골문형태는 밝음의신 ( 明神 ), 천지신명 ( 天地神明 ) 과관련된상징을상형한것이라고본다. 곧, 명 ( 明 ) 자의옛글자인 囧 자의갑골문형태는 소의귀 모양이아니라 밝은신 ( 明神 ), 천지신명 ( 天地神明 ) 의상징인 태양 을상형했을가능성이있다. 아래에서는필자의이런입장을명 ( 明 ) 자와맹 ( 盟 ) 자의변화를통해서살펴볼것이다. IV. 명 ( 明 ) 자의변화 < 도표 7> 에제시한 ꡔ설문해자 ꡕ에는명 ( 明 ) 자의전서체가 囧 + 月 의형태로소개되어있다. 그런데 囧 + 月 형태인명 ( 明 ) 자보다오래된고문 ( 古文 ) 은 + 月 형태라고소개하고, 이고문은 日 을따른다고설명하고있다. 이것은 囧 과태양을상징한 혹은 日 이모두같은태양을상형한것이라는점을분명하게보여주고있다 (< 도표 7> 참조 ). 31) ꡔ설문해자ꡕ 에서 빛날경 ( 冏 ) 자를설명하면서는 囧 자를 열린창문 혹은 소의귀 라고설명하더니, 명 ( 明 ) 자의고문을설명하면서는똑같은 囧 자를 日 자로설명하고있는것이다. 밝을명 ( 明 ) 자는태양 ( 日 ) 과달 ( 月 ) 의조합으로되어있는 30) 段玉裁, 앞의책, 314 下 ~315 上. 31) 許愼, 앞의책, 141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15 글자이고, ꡔ설문해자ꡕ 에서밝힌것과같이 囧 자는 日 과통용되었던것이다. < 도표 8> 에보이는갑골문과금문의명 ( 明 ) 자의변화를보면이런내용을확인할수있다. 그런데달 ( 月 ) 의모양은갑골문이래로큰변화가없는데, 태양 ( 日 ) 의모양은매우다양한형태가동시에사용되었다는점을알수있다. ꡔ고전석원ꡕ 을편찬한왕홍력은 < 도표 8> 에서명 ( 明 ) 자의갑골문을두가지형태로소개하고있다. 곧, (1) 月 + 日 형태의명 ( 明 ) 자에대해서는 해와달의모양을상형한것 ( 象日月之形 ) 이라고설명하고있고, (2) 月 + 囧 형태의명 ( 明 ) 자에대해서는 ꡔ갑골문자전 ( 甲骨文字典 )ꡕ을지은서중서 ( 徐中舒 ) 의논의를받아들여 달빛이창을비추는것을상형한것 ( 象月光照窗 ) 으로해석하면서, 일 ( 日 ) 의변형인 囧 자를 열린창문 으로해석하고있다 (< 도표 8> 의해설문참조 ). 첫번째해석은당연하고수긍이간다. 그런데두번째해석은여전히 ꡔ주례ꡕ ꡔ설문해자 ꡕ ꡔ설문해자주 ꡕ의설명을따르면서혼란을거듭하고있다. 이것을과연어떻게보아야할것인가? < 도표 8> 과 < 도표 9> 에보이는명 ( 明 ) 자의변화를보면, 태양을상형한일 ( 日 ) 자가다양한모양으로상형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명 ( 明 ) 자와경 ( 冏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원안에 3~4개의선분이나 C자모양의곡선이그려진 囧 자를해석해온견해들을짚어보자. 첫째, 앞서소개한강은 ( 康殷 ) 과왕홍력처럼 소의귀 로해석한다면명 ( 明 ) 자의갑골문은의미가불명확해진다. 둘째, 서중서와왕홍력처럼동일한명 ( 明 ) 자의갑골문을하나는 태양 과달을상형한것으로해석하고, 다른하나는 창문 과달을상형한것으로해석하는것자체가일관성이없다. 囧 자의형태에대한이런혼란은왜일어난것인가? 필자는그원인은, (1) ꡔ 주례ꡕ 의내용을너무나자의적으로갑골문해석에끼어맞춘때문이고, (2) 허신의 ꡔ설문해자ꡕ 와단옥재의 ꡔ설문해자주 ꡕ의권위에지나치게의존했기때문이라고본다. 이런두가지한계에서벗어날수있다면일관성을지닌새로운해석을할수있을것이다. 명 ( 明 ) 자의시대별각종글자를통해서보면, 빛날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공통기원인 囧 자의갑골문 금문 ( 金文 ) 도문( 陶文 ) 등에보이는모양은분명히 밝다, 빛나다, 환하다 등의의미를지닌 태양 과연관되어있다. 명 ( 明 ) 자의초기갑골문에서는현재사용되는 日 + 月 형태와반대로된 月 + 日 형태가대
216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부분이다. 이런현상을어떻게설명할수있을까? 명 ( 明 ) 자의초기갑골문이 月 + 日 의형태가대부분인것은중국의창세신화인반고신화 ( 盤古神話 ) 와관련이있다는설명이있다. 반고신화에의하면개천벽지 ( 開天闢地 ) 의신인반고가죽자그의신체각부분이변하여천지만물이만들어진다. 반고의머리는 4개의큰산으로, 지방과기름진살은강과바다로, 모발 ( 毛髮 ) 은초목으로변하였다. 특히그의 왼쪽눈은태양 이되고 오른쪽눈은달 이되었다고한다. 이런반고신화를바탕으로일본학자수지우라코헤이 ( 杉浦康平 ) 는왼쪽눈이태양이되고오른쪽눈이달이되었다는반고신화의내용이중국고대의갑골문에반영되어있다고해석하고있다. 곧, 반고의 왼쪽눈의위치에태양 을 오른쪽눈의위치에달 을배치한것이갑골문에보이는 月 + 日 형태의명 ( 明 ) 자라고설명하고있다. 32) 수지우라코헤이는반고신화의이런내용이일본의신화에도영향을미쳤다고보고있다. 일본신화에의하면, 삼귀자 ( 三貴子 ) 로알려진, (1) 태양신천조대신 ( 天照大神 ), (2) 달신월독존 ( 月讀尊 ), (3) 폭풍신소전명존 ( 素戔鳴尊 ) 등 3신의아버지는이장락존 ( 伊奘諾尊 ) 33) 이다. 그런데신화에의하면아버지이장락존의왼쪽눈에서태양신 ( 天照大神 ) 이생겨났고, 오른쪽눈에서달신 ( 月讀尊 ) 이생겨났고, 콧바람 ( 鼻息 ) 에서폭풍신 ( 素戔鳴尊 ) 이태어났다고한다. 34) 수지우라코헤이는반고신화를토대로갑골문초기의명 ( 明 ) 자가 月 + 日 의형태로그려진원인을설명하고있다. < 도표 10> 는 ꡔ삼재도회 ( 三才圖會 )ꡕ에보이는반고씨 ( 盤古氏 ) 의그림에, 왼쪽눈에태양을오른쪽눈에달을배치하여수지우라코헤이가재구성한그림이다. 이상의논의를종합하면, 명 ( 明 ) 자의갑골문과금문등에보이는 囧 과 혹은 日 이모두태양을상형한것이라는점을분명하게알수있다. 32) 杉浦康平 ( 著 ), 李建華 楊晶 ( 譯 ), ꡔ 造型的誕生 ꡕ( 北京 : 中國靑年出版社, 1999), 17~18쪽. 33) ꡔ고사기 ( 古事記 )ꡕ에서는伊奘諾尊이伊邪那歧命으로, 그의부인은伊邪那美命으로나온다. 34) 杉浦康平, 앞의책, 18~19 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17 < 도표 7> ꡔ 설문해자 ꡕ 에서의 명 ( 明 ) 35) < 도표 8> < 도표 9> 명 ( 明 ) 자의변화 ( 왕홍력,ꡔ고전석원ꡕ) 36) 명 ( 明 ) 자의변화 ( 고명,ꡔ고문자류편ꡕ) 37) < 도표 10> 반고신화와 月 + 日 형태의 明 자 : 오른쪽눈 = 달, 왼쪽눈 = 태양 38) 35) 許愼, 앞의책, 141쪽. 36)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583쪽. 37) 高明 ( 編 ), 앞의책, 496쪽. 38) 杉浦康平, 앞의책, 17쪽 ( 그림 ), 18쪽 ( 글씨 ).
218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V. 맹 ( 盟 ) 자의변화 맹 ( 盟 ) 이란 12년에한번씩제후들을모아놓고사맹 ( 司盟 ) 이라는관리의주도아래희생의피를나누어마시며 밝음의신 ( 明神 ), 천지신명 ( 天地神明 ) 께새로운결의를고하던의식이었다. 희생동물의피를잔에담아함께돌아가며마셨기때문에, 그릇명 ( 皿 ) 자에피를상징하는점모양이합쳐지면서 피혈 ( 血 ) 자가된것이다. < 도표 11> 에보이는명 ( 皿 ) 자의갑골문은굽이높은그릇형상이고, < 도표 12> 에보이는혈 ( 血 ) 자의갑골문은그릇안에피가담긴것을표시하기위해서그릇위나안에작은원이나점혹은 一 자형이덧그려진형상이다. 그리고 < 도표 13>, < 도표 14> 에보이는맹 ( 盟 ) 자에서는 그릇명 ( 皿 ) 자와 피혈 ( 血 ) 자가혼용되었음을알수있다. 현재사용하는맹 ( 盟 ) 자는 그릇명 ( 皿 ) 자위에 밝을명 ( 明 ) 자가올라간형태이다. < 도표 11> < 도표 12> 그릇명 ( 皿 ) 자의변화. 피혈 ( 血 ) 자의변화. ( 왕홍력, ꡔ고전석원ꡕ) 39) ( 왕홍력, ꡔ고전석원ꡕ) 40) ꡔ설문해자ꡕ 에서는 ꡔ주례ꡕ 에나오는내용을근거로맹 ( 盟 ) 자의모습이그릇 ( 皿 ) 위에 소의귀 를상형한 囧 자가올라가있는것으로해석하고있다.(< 도표 6> 참 39)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581쪽. 40) 위의책, 905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19 조 ). 그러나 < 도표 13> 와 < 도표 14> 에보이는맹 ( 盟 ) 자의갑골문에서그릇위에올라간 囧 자모양을모두 소의귀 로해석한다면몇가지문제가발생한다. 첫째, 그릇위에 日 + 月 자형태의명 ( 明 ) 자가올라간형태에서월 ( 月 ) 과조합된 囧 자를모두 소의귀 로보면, 소의귀 와 달 ( 月 ) 이올라가있는것이된다. 소의귀 와 달 ( 月 ) 이왜같이올려지는것인가? 이것은설명할수도없고의미도통하지않는다. 둘째, 월 ( 月 ) 과조합된 囧 자모양을 소의귀 로보지않고 열린창문 으로보아도의미가통하지않는다. 예를들어 < 도표 14> 에서보이는초기갑골문에서는그릇 ( 皿 ) 위에 열린창문 ( 囧 ) 만이올라가있다. 12년마다행해지는맹 ( 盟 ) 의행사에서그릇안에 창문 을올려놓았단말인가? 결국맹 ( 盟 ) 자의갑골문에서보이는원안에 3~4개의선분이나 C자형곡선이그려진형태의 囧 자를 소의귀 나 열린창문 으로해석할때에는일관성을상실하게되고의미도통하지않게된다. 밝을경 ( 冏 ) 밝을명 ( 明 ) 맹세할맹 ( 盟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모두보이는 囧 자의형태를일관성있게설명할수있는해석은없는가? < 도표 13> < 도표 14> 맹 ( 盟 ) 자의변화. 맹 ( 盟 ) 자의변화. ( 왕홍력, ꡔ고전석원ꡕ) 41) ( 고명, ꡔ고문자류편ꡕ) 42) 41) 위의책, 584 쪽.
220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필자는맹 ( 盟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囧 자형상이 ꡔ주례ꡕ 나 ꡔ설문해자ꡕ 에서 밝음의신 ( 明神 ) 으로기록된태양을상징하는것이라고보고있다. 왜냐하면, (1) 경 ( 冏 ) 명( 明 ) 에서 밝음 을가져다주는것은태양이고, (2) 맹 ( 盟 ) 의의식에서도희생의피를잔에담아돌려마시면서 밝음의신 ( 明神 ) 께고하는것이주된목적이었기때문이다. 맹 ( 盟 ) 자의갑골문에보이는그릇위에올라가있는것을천지신명을상징하는빛나는태양이라고본다면, 갑골문이후에태양과달이합쳐진명 ( 明 ) 자가그자리에대신오는것은자연스럽고또쉽게이해할수있다. 이렇게보면, 앞서경 ( 冏 ) 자와명 ( 明 ) 자의갑골문과금문에서보이는 囧 자의해석에서제기되었던여러가지상충되는해석의문제도자연스럽게풀린다. VI. 태양을상징하는 日 과 囧 의차이 명 ( 明 ) 자의갑골문에서태양을나타내는 일 ( 日 ) 은, (1) 원속에점을찍은 자형태, (2) 원의안쪽에 3개의폐곡선이나삼각형모양이그려진형태, (3) 원의안쪽에 3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이그려진형태가함께사용되었다. < 도표 8> 에서는 5개직선이원의안쪽에그려진형태도보인다. 이를통해서보면, 갑골문시대부터태양을상형할때 日 자모양과 囧 자모양을모두사용했음을알수있다 (< 도표 8> 과 < 도표 9> 참조 ). 청동기에새겨진금문명 ( 明 ) 자에서도, (1) 원속에점을찍은일반적인 자형태, (2) 원의안쪽에 3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을그린형태, (3) 원안쪽을 Y 자형으로삼등분한형태, (4) 원안쪽을 十 자형으로사등분한형태, (5) 2개의폐곡선으로원을삼등분한 사 ( 四 ) 자형태, (6) 3개의폐곡선을원안쪽에그린 경 ( 囧 ) 자형태등다양한모습으로원안쪽을분할하고있다 (< 도표 8> 과 < 도표 9> 참조 ). 명 ( 明 ) 자에보이는이런특징들은 < 도표 13> < 도표 14> 에보이는맹 ( 盟 ) 자 42) 高明 ( 編 ), 앞의책, 316 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21 의갑골문에서도확인할수있다. 곧맹 ( 盟 ) 자의갑골문에서그릇 ( 皿 ) 위에올라간태양상징에서도여러형태의일 ( 日 ) 자모양이보인다. 태양의형태가다양하게표현되어있지만, 원안에 3개의직선이그려진형태가대부분이다. 그렇다면명 ( 明 ) 맹( 盟 ) 의갑골문이나금문에보이는, 태양을나타내는원속에다양한형태의선이그려진것은무엇을표현하기위한것이었을까? 전서체명 ( 明 ) 자에서는태양을나타내는일 ( 日 ) 은일반적으로 囧 자형태가사용된다. 태양을나타내는원안쪽은다양한형태로그려지고분할되어있지만가장일반적인것은원안에 3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이그러져있는모양이다. 이런형태들은태양속에있는무엇을표현하려고한것일까? 이의문을풀기위해서태양자체를나타내는 일 ( 日 ) 자의변화를살펴보고이것과비교해보기로한다. < 도표 15> 일 ( 日 ) 자의변화 ( 왕홍력, ꡔ고전석원ꡕ) 43) < 도표 15> 에보이는태양을상형한글자인일 ( 日 ) 자의변화를보면, (1) 태양의안쪽에 1개의점이나선이그려지거나, (2) 태양의바깥쪽으로빛이방사되는형태로그려진다. 태양자체를상형한일 ( 日 ) 자의옛글자들에서는, 명 ( 明 ) 자의옛글자에서보이는, 원안에 3~4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을그린 囧 자모양이하나 43)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690 쪽.
222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도보이지않는다. 이것은 囧 자형태의태양과 日 자형태의태양이명 ( 明 ) 자나맹 ( 盟 ) 자에서혼용되고있긴하지만, 처음갑골문이만들어지던시기에는 태양의서로다른특징을상형했다 는것을의미한다. 그렇다면태양을 日 자모양으로상형한것과 囧 자모양으로상형한것은어떤차이가있었을까? 필자는 囧 자형태의태양에보이는원안쪽의직선이나 C자형곡선들은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다고본다. 태양자체를나타내는글자 인 日 자와, 태양속의불꽃 을상형한글자인 囧 자가처음에는구별되어사용되었다고본다. 즉, 囧 자는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고, 그것은 밝다, 빛나다, 환하다 등과관련된의미를지닌다. 이에비해서 日 자는 태양자체를상형한것 으로, 그것은 빛, 불빛, 햇빛 등의의미를지닌다는것이다. 이런필자의입장을논증하기위해 밝다 빛나다 환하다 라는의미를지닌한자와 빛 불빛 햇빛 의의미를지닌한자들을비교해보자. 44) 1.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의미를지닌한자들 밝다 빛나다 환하다 는의미는곧바로 태양자체 와연결되는것이아니라, 밝은 빛 을만들어내는 불 ( 火 ) 과관련되어있는것이다. 태양은 빛 을만들어내는여러불 ( 火 ) 가운데 가장큰불 ( 火 ) 일뿐이다. 이런까닭에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뜻으로사용되는한자들은모두불 ( 火 ) 이나 가장큰불 인태양 ( 日 ) 을부수로하고있다. 먼저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뜻으로사용되는몇가지글자들을구체적으로살펴보면아래와같다. 첫째, 불 ( 火 ) 을부수로한것 : 불빛환할광 ( 爌 ), 빛날경 ( 炅 ), 빛날경 ( 耿 ), 빛날경 ( 煚 ), 빛날경 ( 熲 ), 밝을경 ( 燛 ), 밝을경 ( 曔 ), 밝을당 ( 爣 ), 밝을랑 ( 烺 ), 불빛령 ( 爧 ), 밝을병 ( 炳 ), 빛날삭 ( 爍 ), 밝을소 ( 炤 ), 빛날요 ( 烑 ), 빛날요 ( 燿 ), 빛날육 ( 焴 ), 밝을음 ( 烎 ), 밝을작 ( 焯 ), 빛날정 ( 炡 ), 빛날현 ( 炫 ), 빛날형 ( 炯 ), 빛날혼 44) 여기에서예를든여러한자들은 < 한글 2002> 에들어있는한자를대상으로한것이다.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23 ( 焜 ) 등. 둘째, 태양 ( 日 ) 을부수로한것 : 밝을경 ( 暻 ), 빛날계 ( 暩 ), 밝을광 ( 曠 ), 밝을교 ( 暞 ), 밝을교 ( 曒 ), 밝을금 ( 昑 ), 밝을단 ( 㫜 ), 밝을돈 ( 旽 ), 밝을료 ( 暸 ), 밝을병 ( 昞 ), 밝을석 ( 晳 ), 밝을성 ( 晟 ), 밝을소 ( 昭 ), 빛날엽 ( 曄 ), 밝을오 ( 旿 ), 빛날욱 ( 昱 ), 밝을적 ( 旳 ), 밝을정 ( 晶 ), 밝을준 ( 晙 ), 밝을창 ( 昶 ), 밝을탄 ( 暺 ), 밝을향 ( 晑 ), 밝을호 ( 晧 ), 밝을확 ( 曤 ), 빛날황 ( 晃 ), 밝을훤 ( 昍 ) 등. 위의한자들에서보는바와같이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의미를지닌한자들은불 ( 火 ) 이나태양 ( 日 ) 을부수로가지고있다. 그런데특히주목할것은태양 ( 日 ) 과불 ( 火 ) 이조합된 빛날경 ( 炅 ) 자의경우, 부수가일 ( 日 ) 이아니라화 ( 火 ) 라는점이다 ( 火부의 4획 ). 이것은 빛나다, 밝다, 환하다 라는의미의중심이 태양 ( 日 ) 보다는 불 ( 火 ) 에있다는것을보여준다. 이경우에태양 ( 日 ) 은여러불 ( 火 ) 들가운데 가장큰불 ( 火 ) 이라는의미로사용되는것이다. 그렇다면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의미로사용되는 밝을명 ( 明 ) 자와 빛날경 ( 冏 ) 자의공통의옛글자인 囧 자도불가운데가장큰불인태양과관련된것으로보는것이자연스럽다. 이렇게보면경 ( 冏 ) 명( 明 ) 맹( 盟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원속에 3~4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이그려진 囧 자는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고할수있다. 2. 빛 불빛 햇빛 의의미를지닌한자들 빛 은크게 불빛 과 햇빛 으로나눌수있다. 일반적으로 불빛 을나타내는한자는불 ( 火 ) 을부수로가지고있다. 그리고 빛 가운데가장강력한빛인 햇빛 을나타내는한자들은태양 ( 日 ) 을부수로하고있다. 이것을조금상세히설명해보면아래와같다. 첫째, 불빛 을나타내는글자들은불 ( 火 ) 을부수로하고있다. 예를들어 불빛고 ( 焸 ) 자에는태양 ( 日 ) 의상징이둘이나있다. 그러나이글자는 불빛 을의미하는글자이기때문에화 ( 火 ) 부의 8획으로되어있다. 기타몇몇글자를보면아래와같다.
224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졸 ( 炪 ) : 불빛졸 : 불빛. 빛나다. 앙 ( 炴 ) : 불빛앙 : 불빛, 빛. 희 ( 烯 ) : 불빛희 : 불빛결 ( 焆 ) : 불빛결 : 불빛 광 ( 烡 ) : 불빛광 : 불빛, 빛. 휼 ( 烅 ) : 불빛휼 : 불빛, 빛연 ( 烻 ) : 불빛연 : 불빛고 ( 焸 ) : 불빛고 : 불빛 둘째, 햇빛 을나타내는글자는모두태양 ( 日 ) 을부수로하고있다. 태양 ( 日 ) 을부수로가진글자가운데 햇빛 이아니라 불빛 을의미하는글자는하나도없다. 예를들면아래와같다. 경 ( 景 ) : 햇볕경 : 햇볕, 햇살, 햇빛. 유 ( 曘 ) : 햇빛유 : 햇빛. 위 ( 暐 ) : 햇빛위 : 햇빛, 빛, 햇살휘 ( 暉 ) : 빛휘 : 빛, 햇빛 분 ( 昐 ) : 햇빛분 : 햇빛. 윤 ( 昀 ) : 햇빛윤 : 햇빛. 현 ( 晛 ) : 햇살현 : 햇살, 햇빛. 희 ( 曦 ) : 햇빛희 : 햇빛, 일광 셋째, 불 ( 火 ) 을부수로하는글자가운데일부는햇빛을의미하는것으로의미가확대되기도하였다. 예를들어, 빛을나타내는대표적인글자인 빛광 ( 光 ) 자는본래 불빛 을의미하는것이었다. 실제로 빛광 ( 光 ) 자의갑골문을보면사람머리위에불 ( 火 ) 이올라가있는형상이다 (< 도표 16> 참조 ). 그러나현재는 불빛 과 햇빛 에두루사용된다. 이외에도불 ( 火 ) 을부수로하면서불빛과햇빛을다의미하는것으로아래와같은것이있다. 괴 ( 烠 ) : 빛괴 : 빛, 햇빛. 희 ( 爔 ) : 불희 : 불, 햇빛. 광 ( 光 ) : 빛광 : 빛, 햇빛. 위의예를통해서보면, 일반적으로 불빛 을의미하는한자들은불 ( 火 ) 과연결되어있고, 햇빛 과연결된한자만이태양 ( 日 ) 과연결되어있다는것을알수있다. 물론괴 ( 烠 ), 광 ( 光 ), 희 ( 爔 ) 처럼 불빛 을나타내는글자가 햇빛 도포함하는의미로확장된경우도있지만, 대체로이런원칙이지켜지고있다. 이상의논의를요약하면아래와같다.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25 < 도표 16> 광 ( 光 ) 자의변화 ( 왕홍력, ꡔ 고전석원 ꡕ) 45) 첫째,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의미는 불 ( 火 ) 과 태양 ( 日 ) 을부수로한다. 이것은 밝다 빛나다 환하다 는의미를낳는것은기본적으로불 ( 火 ) 이며, 태양이부수로사용되는것은태양으로서의의미가아니라단지 불가운데가장큰불 을의미하는것이다. 이런까닭에태양자체를나타내는 日 자와는달리 밝다 빛나다 환하다 의의미를지니는 冏 明 자의옛글자에서는 태양의불꽃 을상형한 囧 자형태의태양상징이사용된것이다. 둘째, 빛 은여러가지형태의불 ( 火 ) 과큰불인태양 ( 日 ) 에서만들어지지만, 일반적인 불빛 은불 ( 火 ) 을부수로하고 햇빛 은태양 ( 日 ) 을부수로한다. 이런까닭에태양 ( 日 ) 을부수로한글자중에일반적인 불빛 을의미하는글자는하나도없는것이다. 셋째, 태양 은 불가운데가장큰불 이고, 햇빛 은 빛가운데가장강력한빛 일뿐이다. 이런까닭에 태양자체 를상형하여 빛가운데가장강력한햇빛 을발생하는글자인 日 자와, 태양의불꽃 을상형하여 불가운데가장큰불 을의미하는 囧 자가구별되었던것이다. 넷째, 이런논의를통해서보면 빛나다 밝다 환하다 의의미로사용되는 밝을명 ( 明 ) 자와 빛날경 ( 冏 ) 자의공통의옛글자인 囧 자는 태양내부에서이글거리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고볼수있다. 45) 王弘力 ( 編注 ), 앞의책, 305 쪽.
226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결국경 ( 冏 ) 명( 明 ) 맹( 盟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원속에 3~4개의선이나 C자형곡선이그려진囧자형상 은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고할수있다. 3. 囧 자모양은 태양속에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다 한자에서 빛 은불 ( 火 ) 를부수로하는 불빛 과태양 ( 日 ) 을부수로하는 햇빛 의개념으로나뉜다. 그래서 빛나다 밝다 환하다 는의미도불 ( 火 ) 를부수로하는글자와태양 ( 日 ) 을부수로하는글자로나뉜다. 그런데 밝음 을가져오는근원은불 ( 火 ) 이다. 태양은가장큰불 ( 火 ) 이며, 가장큰밝음을가져오는신성한 밝음의신 ( 明神 ) 이라고할수있다. 태양 이라는 불 ( 火 ) 은가장강력하고신성한것임에는틀림없다. 고대사회에서 12년마다맹 ( 盟 ) 이행해질때 밝음의신 ( 明神 ) 에게고했다고한다. 이때의 밝은신 혹은 밝음의신 은태양이다. 밝음 은 태양의불 에서기인하는것이기때문에, 맹 ( 盟 ) 자의갑골문에서는그릇 ( 皿 ) 위에 불꽃이이글거리며타오르는태양 을올려놓은것이다. 이것은경 ( 冏 ) 명( 明 ) 맹( 盟 ) 자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囧 자모양이태양의또다른상형이었다는것을말해준다. 日 자와 囧 자는모두태양을상형한글자였다. 그래서갑골문과금문의명 ( 明 ) 자 맹 ( 盟 ) 자등에보이는태양상징에서는 日 자와 囧 자가혼용되었던것이다. 그러나 日 자의갑골문과금문에서는 囧 자형태가하나도보이지않는다. 이것은 日 자와 囧 자가모두태양을상형한것이지만초기에는서로다른의미를지니고있었다는것을말해준다. 곧 日 자는태양자체를상형한것이고, 囧 자는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 태양의불꽃 을상형한것이었다. 명 ( 明 ) 자나 경 ( 冏 ) 자가의미하는 밝음 을가져다주는 태양의불꽃 을나타내기위해서, 명 ( 明 ) 자와 경 ( 冏 ) 자의원형인 囧 자는 원안에 3~4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 을그려서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표현한것이다. 이것은맹 ( 盟 ) 자에서도마찬가지다. 이를통해서보면, (1) 태양자체 를상형할때에는원안에점을하나찍어서표현했고, (2) 태양속에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나타낼때는원안쪽으로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27 3~4개의선이나 C자형곡선을그려서 밝다, 빛나다 의의미를지니게하였다는것을알수있다. 결론적으로 囧 자모양의태양상징에서 원안에 3~4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 을그려넣은것은 태양속에서이글거리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고볼수있다 VII. 글을맺으며 : 囧 자형태의태양상징은파문 ( 巴紋 ) 와문( 渦紋 ) 삼태극 ( 三太極 ) 문양의기원이다 명 ( 明 ) 자와맹 ( 盟 ) 자의변화에서보면, 원안에 3~4개의직선이나 C자형곡선이들어가있는태양형상이많이보인다. 대부분은 3개의선이나 3개의 C자형곡선이들어가있다. 이런 囧 자모양의태양의불꽃상징은, 나중에파문 ( 巴紋 ) 혹은와문 ( 渦紋 ) 이라고불리는문양으로이어진다. 파문혹은와문은 C자형곡선의수에따라서 3파문, 4파문, 5파문등으로불린다. 필자는각종파문혹은와문은태양의불꽃을상형한 囧 자형태양상징에서기원했다고본다. 중국의문양학자이조정 ( 李祖定 ) 은 ꡔ중국전통길상도안 ( 中國傳統吉祥圖案 )ꡕ에서파문혹은와문을 경문 ( 冏紋 ) 이라고이름하고아래와같이설명하고있다. 청동기문식가운데하나이다. 이것은원형의기하학적도안으로, 하나의원속에물이소용돌이치는모양과비슷한문양이있어서와문 ( 渦紋 ) 이라고도부른다. 이문양의구조는금문 ( 金文 ) 가운데 명 ( 明 ) 자의구조와완전히일치한다. 경 ( 冏 ) 자는빛 ( 光 ) 의의미이고빛 ( 光 ) 은반드시불 ( 火 ) 에서부터발생한다. 옛기록에 불은둥근형태로그린다 ( 火以圜 ) 는기록이있다. 소위경문 ( 冏紋 ) 은실제로일군의불의형상이다. 이문양은상 주시대에시작되어한나라때에성행하였다. 冏紋 : 靑銅器紋飾之一. 它是圓形的幾何圖案, 在一個圓面上飾類似水渦綫條狀的紋樣, 也稱渦紋. 此紋樣結構與金文中的明字結構完全相同. 冏卽光的意思, 而光必發自火. 古時記載有 火以圜, 所以冏紋實際上是一團火的形象. 它始於商周, 盛行於漢代. 46)
228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일반적으로파문혹은와문으로불리는이문양을경문으로해석한이조정의이러한견해는, 앞서필자가논의한것과비교하면많은부분이일치한다. 그러나그는 경문 ( 冏紋 ) 은실제로일군의불의형상이다 고만하였을뿐이고, 이것을태양의상징과연결시키지못하고있다. 필자는이조정이말하는경문 ( 冏紋 ) 의원속에서 C자형곡선이소용돌이를일으키며도는모양을 태양속에소용돌이치는불꽃 을상형한것이라고논증하였다. 중국학자고대륜 ( 高大倫 ) 채중민 ( 蔡中民 ) 이영복 ( 李映福 ) 이공동으로편찬한 ꡔ 중국문물감상사전 ( 中國文物鑑賞辭典 )ꡕ에서도, 원안에 C형곡선이그려진 囧 자형태를원와문 ( 圓渦紋 ) 이라고부르고이것을 불꽃문양 ( 火紋 ) 으로만해석하고있다. 이들은 1974년호북성황피현 ( 黃陂縣 ) 반용성 ( 盤龍城 ) 에서출토된상대전기의술잔인 도찬원와문가 ( 饕餐圓渦紋斝 ) 에보이는 6개의원와문 ( 圓渦紋 ) 을소개하고있다. 이원와문내부에는중앙에작은원이있고원주위에 6개의 C자형곡선이둘러져있는데, 이원와문에대해다음과같이설명하고있다. 원와문의문양구조와금문가운에명 ( 明 ) 자가따른다는경 ( 囧 ) 자의구조는완전히똑같다. 경 ( 囧 ) 의의미는빛 ( 光 ) 이고, 빛은불 ( 火 ) 로부터발생한다. 원와문이라는것은대개일군의불의형상이며, 바로불꽃문양 ( 火紋 ) 이다. ꡔ고공기 ( 考工記 )ꡕ에서그림을그리고수를놓는일에대해서기록한곳에서는 불은둥근형태로그린다 ( 火以圜 ) 고하였는데, 그의미는불의도상 ( 圖像 ) 은둥근것으로서표시하여사용할수있다는것이고, 그것은바로이런형태의문양을지칭하는것이라고볼수있다. 가 ( 斝 ) 는따뜻한술을담는그릇이며, 그그릇위에원와문을장식한것은깊은뜻이내포되어있다고할수있다. 圓渦紋的紋飾結構與金文中明字所從的囧字結構完全相同. 囧的意思是光, 光發自火, 所以圓渦紋大槪是一團火的形象, 也就是火紋.ꡔ 考工記 ꡕ 記載畵繢之事有 火以圜, 意思是火的圖像可用圜來表示, 可能也就是指這類紋飾. 斝爲溫酒器, 其上飾圓渦紋, 可謂寓意深刻. 47) 46) 李祖定 ( 主編 ), ꡔ 中國傳統吉祥圖案 ꡕ( 上海 : 上海科學普及出版社, 1994<1989>), 100쪽. 이책에서는 火以圜 이 火似圜 으로오타가나서원문을확인하여바로잡았다. 원문이란 ꡔ 周禮 ꡕ, 冬官 古工記 를말한다. 47) 高大倫 蔡中民 李映福 ( 主編 ), ꡔ 中國文物鑑賞辭典 ꡕ( 廣西桂林 : 灕江出版社, 1997<1991>), 106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29 인용문에서보는바와같이이들도 囧 자문양을 불꽃문양 ( 火紋 ) 으로만볼뿐, 이것을태양의상징들과연결시키지는못하고있다. 가 ( 斝 ) 는고대에제사를지낼때술을따뜻하게덥히던온주기 ( 溫酒器 ) 로, 반용성 ( 盤龍城 ) 에서출토된것은높이가 30.1cm나되는것이다. 가 는상대에많이보이지만서주시대에와서는별로보이지않는다. 가 의크기로보아서는 3개의다리사이에숯을넣어술을직접데웠을것으로보인다. 모양이비슷하지만높이 10cm 내외의술잔인작 ( 爵 ) 과는다르다. 위에서소개한가 ( 斝 ) 의꼭대기로돌출된 2개의기둥윗면에도원와문이그려져있다 (< 도표 17> 참조 ). 또, 상대 ( 商代 ) 에술을담아두던술독인뢰 ( 罍 ) 의몸체에도불꽃을상징하는원안에 C자형곡선이 5개가그려진원와문이여러개보인다 (< 도표 18>). 이외에도각종청동제기의몸체에는수많은와문이장식되어있다. 이것은제사음식이나술을따뜻하게덥힌다는의미에서 태양의불꽃문양 을사용한것이라고할수있다. 파문 와문 경문은 < 도표 19> 에제시한상대청동기에보이는소위삼파문 ( 三巴紋 ) 이라고부르는모양으로변형되는데, 이것은우리나라에서사용되는 삼태극 ( 三太極 ) 혹은삼원태극 ( 三元太極 ) 의원형 이라고할수있다. 이것은필자가조사한가장이른시기인상대 ( 商代 ) 의삼파문자료들이다. 또한 < 도표 20> 은상대후기은허 ( 殷墟 ) 에서출토된옥기에보이는문양으로앞서살펴본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문양과같은모양이다. < 도표 21> 에보이는동주 춘추시대의다양한삼파문은현재우리나라에서사용되는삼태극모양과거의유사한모양이나타나는가장이른시기의자료들이다. 이런형태의삼파문은상 주 춘추 전국시대를거쳐서진 한시대까지대단히많이보이지만한대이후로는거의보이지않는다. 소위파문 와문 경문등으로불리는형태들가운데 3파문의형태가나중에우리나라에서삼태극 / 삼원태극문양으로변형되는것이다. 물론초기의삼파문은 태양속에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으로아무런철학적의미도없었다. 그러나삼파문은후대에우리나라에서천지인 ( 天地人 ) 삼재 ( 三才 ) 를상징하는도상으로철학적의미를획득하게된다. 조선성리학의최고봉이라고일컬어지는퇴계를모신도산서원에도이삼태극문양이 3개그려져있고, 성리학을가르쳤던수많은향교와서원의정문에도이삼태극이그려져있다 (< 도표 22> 참조 ). 48)
230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송대성리학이전에는태극이라는것이천지인삼기를함유한삼태극혹은삼원태극을의미하는것이었다. 이점은이미필자가다른논문을통해서상세히논증한바있다. 49) 아마도조선시대학자들은고대삼태극의논리와성리학의음양태극의논리사이에서많은고민을했을지도모른다. 물론그들의저서안에서태극은철저히성리학의논리에따라해석되었을뿐이다. 중국과한국의성리학자들의태극논쟁어디에도태극을삼태극으로이해하는것은없다. 50) 조선시대의학자들가운데태극을천지인 3기를함유한삼태극으로이해한사람을아직은찾을수없었다. 언제부터인가삼태극문양은천지인삼재론과연결된철학적상징을얻게되었고, 현재는각종민족종교나사회단체등에서삼재론의상징으로많이사용하고있다. 삼파문이철학적상징을얻어삼태극으로변화하는과정에대해서는다른논문을통해서밝혀볼것이다. < 도표 17> 상 ( 商 ) 전기 ( 前期 ) 가 ( 斝 ) 에보이는원와문 ( 圓渦紋 ) 51) 48) 필자는조선시대에는이미삼파문이철학적의미를부여받아삼태극으로인식되었을것이라고보고있다. 이에대한상세한논의는다른논문을준비할것이다. < 도표 22> 에서는몇몇서원과향교의사진을올리지만이외에도수없이많다. 상 주시대부터현대에이르는각종삼파문 삼태극관련자료들은필자가많이소장하고있고, 별도의책으로준비하고있다. 49) 우실하, 앞의논문 (2003), 5~37쪽. 50) 중국에서는주자 ( 朱子 ) 와육사산 ( 陸梭山 ), 육상산 ( 陸象山 ) 형제와의 주 육태극론변 ( 朱陸太極論辨 ) 으로시작되어계속해서이어졌다 ( 임헌규, 주, 육태극논변 ( 陸太極論辨 ) 과형이상학, ꡔ한국철학논집ꡕ, 제17집 (2005), 369~398쪽 ; 소현성, 주희와육구연형제의태극논변, ꡔ동양철학ꡕ, 제 24권 (2005), 93~120 쪽참조 ). 우리나라에서는회재 ( 晦齋 ) 이언적 ( 李彦迪, 1491~1553) 과망기당 ( 忘機堂 ) 조한보 ( 曺漢輔, 생졸연미상 ) 의논쟁에서시작되어퇴계와율곡을거처후대에까지이어진다 ( 임헌규, 사암( 思庵 ), 율곡태극논변과율곡의태극론, ꡔ한국사상과문화ꡕ, 제29집 (2005), 169~196쪽 ; 장윤수, 한국성리학에서 무극태극 논쟁, ꡔ철학연구ꡕ, 제61집 (1997), 169~188쪽 ). 51) 高大倫 蔡中民 李映福 ( 主編 ), 앞의책, 106쪽.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31 < 도표 18> 상 ( 商代 ) 뢰 ( 罍 ) 에보이는원와문 ( 圓渦紋 ) 52) < 도표 19> 상대 ( 商代 ) 청동기에보이는삼파문 ( 三巴紋 ) 53) 19-1 19-2 < 도표 20> 상대후기은허 ( 殷墟 ) 출토옥기에보이는삼파문 54) 52) 田自秉 吳淑生 ( 編 ), ꡔ 中國工藝美術史圖錄 ( 上 )ꡕ( 上海 : 人民美術出版社, 1994), 177쪽. 53) 謝海元 顧望, ꡔ 中國靑銅圖典 ꡕ( 杭州 : 浙江人民出版社, 1999), 19-1은 619쪽, 19-2는 621쪽. 54)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 編著 ), 安陽殷墟出土玉器 ( 北京 : 科學出版社, 2005), 156쪽.
232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 도표 21> 주 춘추시대의다양한삼파문 21-1 동주 ( 東周 ) 시대비봉문 ( 飛鳳紋 ) 에보이는삼파문 55) 21-2 주대 ( 周代 ) 창인과 ( 戈 ) 에보이는삼파문상세도 56) 55) 謝崇安, ꡔ 商周藝術 ꡕ( 成都 : 巴蜀書社出版, 1997), 책머리도판. 56) 馮雲鵬 馮雲鵷,ꡔ 金石索 ꡕ( 北京 : 書目文獻出版社, 1996 영인본 ), 上卷, 195쪽 ; 우실하, ꡔ전통문화의구성원리ꡕ( 소나무, 1998), 285쪽 < 도표 7~8>. ꡔ 金石索 ꡕ은청나라때풍운붕 ( 馮雲鵬 ) 과풍운원 ( 馮雲鵷 ) 이편집한것으로당시까지수집된금문 ( 金文 ) 과석문 ( 石文 : 비석등에새겨진글씨나그림등 ) 등을집대성한것이다.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33 21-3 주대 ( 周代 ) 초 ( 楚 ) 나라의생 ( 笙 ) 에보이는삼파문변형문 57) 21-4 춘추시대큰종인박 ( 鎛 ) 에보이는삼파문 58) 21-5 춘추시대종 ( 鐘 ) 에보이는삼파문 59) 57) 三浦康平, 앞의책, 82쪽. 58) 謝海元 顧望, 앞의책, 620쪽. 59) 위의책, 108쪽 ( 좌 ), 612쪽 ( 우 ).
234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 도표 22> 서원과향교건물에보이는삼태극 22-1 도산서원 ( 陶山書院 ) 내삼문 ( 보물 211 호, 경북안동 ) 22-2 합호서원 ( 合湖書院 )( 문화재자료 41 호, 충남연기 ) 22-3 단성향교 ( 丹城鄕校 )( 시도유형문화재 88 호, 경남산청군 )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35 21-4. 동래향교 ( 東萊鄕校 ) ( 시도유형문화재 6 호, 부산시동래구 ) 22-5 이천향교 ( 利川鄕校 )( 문화재자료 22 호, 경기도이천시창전동 ) 참고문헌 권오엽 ( 역주 ), ꡔ고사기 ( 古事記 )ꡕ( 상 중 하 ). 대전 : 충남대학교출판부, 2000~2001. 소현성, 주희와육구연형제의태극논변. ꡔ동양철학ꡕ 제24권, 2005, 93~120쪽. 우실하, 도교와민족종교에보이는 3수분화의세계관. ꡔ도교문화연구ꡕ 제24집, 2006, 99~133쪽. 우실하, ꡔ전통음악의구조와원리 : 삼태극의춤, 동양음악 ꡕ. 서울 : 소나무, 2004a. 우실하, 삼태극의논리와 5 音 12 律의산율수리 ( 數理 ) 체계. ꡔ한국음악사학보 ꡕ 제32집, 2004b, 73~113쪽. 우실하, 동북아성수 ( 聖數 : 3, 7, 9, 81) 의기원에대하여. ꡔ단군학연구ꡕ 제10집, 2004c, 205~240 쪽.
236 ꡔ 정신문화연구 ꡕ 제 29 권제 2 호 (2006) 우실하, 최초의태극관념은음양태극이아니라삼태극 / 삼원태극이었다. ꡔ동양사회사상 ꡕ 제8집, 2003, 5~37쪽. 우실하, ꡔ전통문화의구성원리 ꡕ. 서울 : 소나무, 1998. 임헌규, 사암( 思庵 ), 율곡태극논변과율곡의태극론. ꡔ한국사상과문화ꡕ 제29집, 2005, 169~196쪽. 임헌규, 주, 육태극논변 ( 陸太極論辨 ) 과형이상학. ꡔ한국철학논집 ꡕ 제17집, 2005, 369~398쪽. 장윤수, 한국성리학에서 무극태극 논쟁. ꡔ철학연구ꡕ 제61집, 1997, 169~188쪽. 지재희ㆍ이준령 ( 역해 ), ꡔ주례 ( 周禮 )ꡕ. 서울 : 자유문고, 2002. 康殷, ꡔ 古文字形發微 ꡕ. 北京 : 北京出版社, 1990. 高大倫 蔡中民 李映福 ( 主編 ), ꡔ 中國文物鑑賞辭典 ꡕ. 廣西桂林 : 灕江出版社, 1997. 高明 ( 編 ), ꡔ 古文字類編 ꡕ. 北京 : 中華書局, 1987. 段玉裁, ꡔ 說文解字注 ꡕ. 杭州 : 浙江古籍出版社, 1999. 班固 ( 著 ), 顔師古 ( 注 ), ꡔ 漢書 ꡕ. 北京 : 中華書局, 1992. 謝崇安, ꡔ 商周藝術 ꡕ. 成都 : 巴蜀書社出版, 1997. 杉浦康平 ( 著 ), 李建華 楊晶 ( 譯 ), ꡔ 造型的誕生 ꡕ. 北京 : 中國靑年出版社, 1999. 謝海元 顧望, ꡔ 中國靑銅圖典 ꡕ. 杭州 : 浙江人民出版社, 1999. 王弘力 ( 編注 ), ꡔ 古篆釋源 ꡕ. 瀋陽 : 遼寧美術出版社, 1998. 李祖定 ( 主編 ), ꡔ 中國傳統吉祥圖案 ꡕ. 上海 : 上海科學普及出版社, 1994. 田自秉 吳淑生 ( 編 ),ꡔ 中國工藝美術史圖錄 ( 上 )ꡕ. 上海 : 人民美術出版社, 1994. 馮雲鵬 馮雲鵷, ꡔ 金石索 ꡕ. 北京 : 書目文獻出版社, 1996. 許愼, ꡔ 說文解字 ꡕ. 北京 : 中華書局, 1992. ꡔ 漢書 ꡕ. 北京 : 中華書局, 1992. 국문요약 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 囧 자는 빛날경 ( 冏 ) 자와 밝을명 ( 明 ) 자의옛글자이다. 그러나이 囧 자가무엇을상형한것인가에대해서는여러가지견해들이공존하고있다. 첫째, 달빛이비치는 열린창문 을상형한것이라는설이있다. 둘째, 12년마다제후들을모아 밝음의신 ( 明神 ) 에게제사를지내던맹 ( 盟 ) 이라는행사에서제단에올려졌던 소의귀 를상형한것이라는설이있다. 셋째, 빛을발산하는타오르는 불꽃 을상형한것이라는설이있다.
삼태극 ( 三太極 )/ 삼원태극 ( 三元太極 ) 문양의기원에대하여 237 이글에서는 囧 자와밀접하게연결되어있는경 ( 冏 ) 명( 明 ) 맹( 盟 ) 일 ( 日 ) 등의갑골문과금문에보이는이들글자들의변화를통해서위의견해들을비판적으로검토한다. 이를통해서밝을경 ( 冏 ) 자와밝을명 ( 明 ) 자의공통기원인 囧 자가태양속에타오르는불꽃을상형한것이라는점을논증하였다. 특히 밝다 빛나다 환하다 는의미의 囧 자는 빛 을발생시키는 불 ( 火 ) 곧 태양속에소용돌이치며타오르는불꽃 을상형한것이다. 이런논의를통해서보면, (1) 囧 자의갑골문과금문에서보이는 태양을상징하는둥근원안에 3~4개의선이나 C자형곡선이둘러져있는囧자형상 에서각종파문 ( 巴紋 ) 이발생하였고, (2) 이런파문들가운데가장많이보이는 원안에 3개의선이나 3개의 C자형곡선이둘러져있는囧자형상 에서우리나라에서특히많이사용되는삼태극 ( 三太極 ) 혹은삼원태극 ( 三元太極 ) 의초기형상이기원하였다는것을밝혔다. 투고일 :2006. 3. 13. 심사완료일 :2006. 5. 29. 주제어 (keyword): 태극 (Taegǔk : 太極 ), 음양태극 (Yin-yang Taegǔk : 陰陽太極 ), 삼태극 (Sam Taegǔk : 三太極 ), 삼원태극 (Sam-won Taegǔk : 三元太極 ), 샤머니즘 (sham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