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연희의정의와의미 전통연희의정의 : 우리에게전통적으로전래되는모든연희적유산 전통의진정한의미 : 단순히과거로부터전해내려온다는전승의의미보다는현재와의계기속에새롭게창조하고발전시키려는, 미래지향적가치지향성이내포
전통연희의역사 한국의전통연희는기원이고대사회의제의로까지소급될정도로시원적이며오랜역사를지님 고구려의동맹, 부여의영고, 예의무천등 - 국가적제천의식으로서음주와가무를즐기며지냄 - 국가적제천의식전통이사라진뒤무속신앙을기반으로하여민간에서굿의형태로전래 - 삼국시대에는중국으로부터산악또는산악잡희라고불리는놀이들이전래되어한국가면극의모체가됨 백제 ( 기악 ), 신라 ( 가무백희, 황창무 ), 통일신라시대 ( 처용무, 오기 ;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 ) 존재
전통연희의역사 고려시대의연희 - 가무백희 : 국가제전인팔관회와연등회에서채붕이라는산대를설치하여연행 - 조희 : 재담과익살등으로이끌어감 조선시대 - 산대나희는크게주질, 농령, 근두등의구식지희와음악이성행 - 특히잡희또는창우지희라고불리는소학지희가발전된면모를보임
현전하는전통연희 대표장르 : 굿, 판소리, 탈춤, 꼭두각시놀이 이연희들은공연예술로서혹은제의로서우리의생활에가까이있으면서연극성이매우강하여한국현대연극에많은영향을미침 굿, 판소리 : 연극적속성이강하게담겨있는연희 탈춤, 꼭두각시놀이 : 독립된연극예술
현전하는전통연희 ( 굿 ) 무당이하는제의 국가적차원의고대적제전의전통이소멸된후점차일반인들의무속신앙을중심으로전승 목적에따라무신굿, 집굿, 마을굿으로나뉨 굿은다양한연희적속성을지니고있어서연극을비롯한공연예술의관점에서관심과연구의대상이되어옴 굿의연극성 : 무당의춤과노래, 반주자들의음악적반주, 빙의의신이적주술성, 생활을놀이화시킨무당굿놀이, 다채로운무구, 화려한무복, 굿에참여하거나구경하는관객들의요소들에서보여짐
현전하는전통연희 ( 판소리 ) 전통연희로서오늘날에도많은사람들에게예술적감동을선사 판에서부르는소리. 청중들을상대로판을벌이고고수의북장단에맞춰소리광대가소리를하는것 문학적측면 : 음악적인창을기본으로삼아여러인물들이살아가는현실의문제들을다룬다는점에서구비서사시 구성 : 아니리와창이반복해서교차 판소리의열두마당에서창으로전해지는것은 < 춘향가 >, < 흥보가 >, < 심청가 >, < 수궁가 >, < 적벽가 > 이고나머지일곱마당은단편적인내용이나사설혹은소설축약본으로전해짐 판소리는후에소설로만들어지고유통되면서조선후기문학의밑거름이되었고오늘날에도문학뿐만아니라연극을포함한공연예술의전반에지속적으로영향력을끼침
현전하는전통연희 ( 꼭두각시놀이 ) 남사당패라불리는유랑광대패가했던인형극 대잡이 ( 주조종자 ) 와대잡이손 ( 조수 ) 이관객쪽에서는보이지않게포장막뒤에숨어인형만을관객쪽으로노출시켜하는놀이 악사와신받이는극의진행에맞게반주. 특히신받이는인형극을지켜보며극중공간에집중시켰던관객의시선을극바깥으로옮겨극에몰입하려는관객의정서적태도를이완 구성 : 두마당일곱거리 ( 전반부네거리 - 박첨지마당, 후반부세거리 평안감사마당 ) 평민적인풍자와골계, 활력이넘치는재담과행위등이어우러져평민적인소박함과활력을풍김
오늘날현전하는전통연희 ( 탈놀이 ) 탈춤이라고도하며가면을쓰고하는연극이기에가면극이라고함 많은사람들이모일수있는마을의들판과같은넓은공간에서행해짐 상호관련성이희박한, 거의독립적인과장들이에피소드식으로연결되어있음. 복잡하거나세부적인일상사를그리지않고단순한갈등을선명하게그려내어관객들로하여금상황을쉽게이해하게함 평민층의진솔한비속어와골계적인재담은웃음을일으키고, 노래와춤은흥을일으켜신명나는대동놀이로서의여흥을마음껏즐기게함.
변강쇠가 줄거리 평안도월경촌에옹녀라는여자가살았는데, 상부살운명을타고나함께사는남편이계속죽는팔자를타고났다. 열다섯에시집간이래계속개가하지만남편들이죽게되자, 동네에서쫓겨난다. 유랑하던중청석골에서변강쇠를만나궁합을본뒤살림을차린다. 옹녀는궁합이잘맞아변강쇠와도회지에서살지만, 변강쇠의게으름과싸움질에지리산속에들어가살게된다. 산속에서도일을안하는데, 하루는옹녀가나무를해오라니까길가의장승을뽑아와서땐다.
변강쇠가 이일로전국의장승들이모여회의를연뒤, 변강쇠의온몸에병이들게하여죽게한다. 변강쇠는옹녀에게수절을당부하는데, 만일그러지않으면그상대남자는죽게될것이라고저주어린말을남기며죽는다. 여자가변강쇠의주검을치운다는핑계로중을꼬셨으나그중이갑자기죽고, 또다른남자를불러같이살자고약속한뒤송장을치르려는데그남자도죽는다. 이렇게계속하여여덟이죽게되었으나, 결국옹녀는사당패의도움으로변강쇠의영혼을위로하여장사를치르고떠난다.
변강쇠가 등장인물 옹녀 : 아름다우나상부살의운명탓에개가 ( 改嫁 ) 를반복하다가끝내정착생활에실패하는유랑민의좌절상을보여준다. 변강쇠 : 부랑 ( 浮浪 ) 하는유랑하층민의전형. 나태와고집을지녀현실생활에패배하는인물. 장승을패는상징을통해유랑생활청산의의지를보이기도하나의식화된것은아님, 죽어서도다른남자만나면안된다는저주어린독설은남성중심의가부장제의강력한모습.
변강쇠가의특징 외설성 당시판소리전승 5 가와는다르게 text 로만전승될수밖에없는요소 기물타령 : 주제를보여주는타령으로기물은성기를뜻함. 옹녀와강쇠가대낮에야외에서성욕을해소하는장면에서교창하면서부르는타령. 대낮에야외에서성욕을해소한다는것자체가외설의노골성으로보이지만, 집없이떠돌아다닐수밖에없는유랑민의처절한빈궁상을표상하기도함 비극적구조 강쇠와옹녀의몰락과유희와좌절의구조 하층민의만남, 섹스, 생활등의유쾌하고낙천적인희극성을담고있으면서도서사전체는빈궁한현실생활과대결하나실패하고좌절하는과정. 강쇠의뜻밖의죽음과그로인해옹녀가슬퍼하고, 장례치르기에여러어려움을겪으며, 장례후사라져유랑하는모습은비극적.
변강쇠가의특징 조선후기하층민의삶의형상화 유랑민의생활에대한상징과사실의생생한묘사 부부의궁핍한생활, 장승들의전국회의의기발한상상력, 기물타령의풍부하고다채로운비유와묘사 조선후기사회하층민의다양한모습 - 중 초라니 풍각쟁이 마종패 각설이 사당패들등장
참고문헌 굿과무가 김금화. 김금화의무가집. 문음사. 1995. 김태곤. 한국무가집 1~4. 집문당. 1992. 김헌선역. 한국고전문학전집 18. 고려대출판부. 1993. 서대석외역. 한국고전문학전집 30: 서사무가 1. 고려대출판부. 1996. 윤광봉. 굿과무당. 경서원. 1987. 편집부. 한국의굿 1~20. 열화당. 1990. 홍태한. 서사무가바리공주연구. 민속원. 1998. 판소리 김봉호편. 판소리창본집. 백문사. 1994. 김병국외. 판소리의바탕과아름다움. 혜민. 1999. 박황. 판소리의이백년사. 사사연. 1997.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선율구조. 어울림. 1995. 유신. 판소리예술론. 삼호출판사. 1992. 이규섭. 판소리답사여행. 민예원. 1995. 이기우외편. 판소리의지평 : 과제와전개. 신아출판사. 1992. 조동일외편. 판소리의이해. 창작과비평사. 1996. 최동현. 판소리명창과고수연구. 신아출판사. 1997.. 판소리란무엇인가. 에디터. 1996. 김흥규. 한국문학의이해. 민음사. 1986. 백현미. 한국창극사연구. 태학사. 1997.
탈춤및꼭두각시놀음 전경욱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8: 민속극.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93. 김수남. 한국의탈, 한국의탈춤. 행림출판사. 1988.. 한국의탈춤. 행림출판사. 1988. 김일출. 조선민속탈놀이연구. 한국문화사. 1998. 박진태. 탈놀이의기원과구조. 새문사. 1990. 서연호. 산대탈놀이. 열화당. 1987.. 황해도탈놀이. 열화당. 1988.. 야유 오광대탈놀이. 열화당. 1989.. 꼭두각시놀이. 열화당. 1990.. 서낭굿탈놀이. 열화당. 1991.. 한국전승연희의원리와방법. 집문당. 1997. 안동문화연구소. 하회탈과하회탈춤의미학. 사계절. 1999. 윤광봉. 유랑예인과꼭두각시놀음. 밀알. 1994. 전경욱. 한국가면극그역사와원리. 열화당. 1998. 채희완. 탈춤. 대원사. 1992. 김흥규. 한국문학의이해. 민음사. 1986. 참고문헌
전통연희연습문제 연습문제 1. 판소리의역사와연희적특성에대해조사해보자. 2. < 변강쇠가 > 에서옹녀와변강쇠의삶에대해토론해보자. 3. < 변강쇠가 > 의비장미와골계미에대해서토론해보자. 4. < 변강쇠가 > 와, 창 ( 唱 ) 이전승되어오는다섯가지판소리의주제의식과비교해보자. 5. 탈놀이혹은가면극의역사와연희적특성에대해조사해보자. 6. 굿을기능과목적에따라분류해보고그것들의역할과의미를살펴보자. 7. 굿가운데하나를선택하여그굿이진행되는과정을설명하고, 연극학적인측면에서그굿이지닌연극성을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