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안문화재연구원약식보고서 16-6 강화연리 422-7 번지일원 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 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2016. 4
혜안문화재연구원약식보고서 16-6 강화연리 422-7 번지일원 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 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2016. 4 * 학술적또는공공의목적을위하여발굴 ( 시굴 ) 조사보고서를공개하는데동의함.
1. 본보고서는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이김향복님의의뢰로실시한강화군선원면연리 422-7번지일원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화재시굴조사보고서이다. 2. 시굴조사는 2016년 4월 16일에이루어졌으며, 조사면적은 220m2이다. 3. 본문의지형도는국토지리정보원의발행지도를이용하였다. 4. 조사지역위성사진은포털사이트 구글어스 내용을일부인용하였다. 5. 조사지역의세부문화재현황은사업시행사측에서제공한수치지형도에수록하였다. 6.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은학술적또는공공의목적을위하여본보고서를공개하는데동의한다.
- 목차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의환경 5 1. 자연 지리적환경 5 2. 고고 역사적배경 12 Ⅲ. 조사범위와방법 17 1. 주변유적현황 17 2. 조사지역의위치와범위 19 3. 조사방법 19 4. 유적의층위 20 5. 조사결과 20 Ⅳ. 조사결과및조사단의견 23 사진 24
표차례 표 1. 조사지역주변문화재현황 18 표 2. 조사지역트렌치제원표 19 도면차례 도면 1. 조사지역위치도 (1:25,000) 및주변문화재현황 3 도면 2. 조사지역지질도 5 도면 3. 조사지역토양분포도 6 도면 4. 조사지역근세지도 8 도면 5. 조사지역대동여지도 9 도면 6. 조사지역청구도 10 도면 7. 조사지역동여도 11 도면 8. 조사대상지역사업계획평면도 19 도면 9. 조사대상지역사업계획단면도 19 도면 10. 조사지역토층도및토층사진 20 사진차례 사진 1. 조사지역조사전원경 ( 북동-남서 ) 25 사진 2. 조사지역조사전전경1( 남서-북동 ) 25 사진 3. 조사지역조사전전경2( 북-남 ) 26 사진 4. 조사지역조사완료후트렌치전경 ( 북-남 ) 26 사진 5. 트렌치조사완료후단벽토층 ( 남측 ) 27 사진 6. 트렌치조사완료후장벽토층세부 ( 서측 ) 27 사진 7. 트렌치조사완료후전경및장벽토층 ( 북동-남서 ) 28 사진 8. 조사지역 40m 범위이내노출전돌 28
Ⅰ. 조사개요 1. 조사개요 유적명 : 강화선원면연리 422-7 번지일원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 유적문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인천광역시강화군선원면연리 422-7 번지일원 조사유형 : 시굴조사 조사기간 : 2016 년 04 월 15 일 ( 실조사일수 1 일 ) 조사면적 : 220 m2 조사의뢰 : 김향복 조사기관 :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 조사경위 - 본조사는김향복님이인천광역시강화군선원면연리 422-7번지일원에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을위해인 허가등을의뢰하면서시작되었다. 이에강화군청문화관광과는본신청지가인천광역시강화군소재 강화외성 ( 사적제452호 ) 주변국가지정문화재에포함되므로건축물및시설물 ( 기반시설 ) 등의건설공사를할경우에는문화재청발굴제도과-3050호 (2013. 4. 1) 에따라문화재조사를실시해야함으로시굴조사를명하였다. 이에따라사업시행자인김향복은사업시행전신청지에유존하고있을유적의명확한성격및그분포범위를확인하고, 향후처리방안을마련하고자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에시굴조사를의뢰하였다.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은의뢰를받은조사지역 ( 면적 :220m2) 에 2016년 04월 15일 ( 실조사 - 1 -
일수 1 일 ) 시굴조사를착수하였다. 2. 조사단구성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에서는강화군선원면연리 422-7 번지일원단독주택및근린생활 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화재시굴조사를위하여다음과같은조사단을구성하였다. - 조사단장 : 김도훈 ( 혜안문화재연구원원장 ) - 조사원 : 조경진 ( 혜안문화재연구원행정팀장 ) - 준조사원 : 이민우 ( 혜안문화재연구원연구원 ) - 보조원 : 김희정 ( 혜안문화재연구원연구원 ) - 2 -
도면 1. 조사지역위치도 (1:25,000) 및주변문화재현황 - 3 -
사진 1. 조사지역위성사진 ( 출처 : 구글어스 ) - 4 -
Ⅱ. 조사지역의환경 1. 자연 지리적환경 1) 조사지역이위치한강화도 ( 江華島 ) 는인천광역시북서부의섬지역으로 11개의유인도와 18개의무인도로구성되어있으며한반도의중서부에위치하고제주도 ( 濟州島 ) 거제도 ( 巨濟島 ) 진도 ( 珍島 ) 남해도 ( 南海島 ) 다음으로우리나라에서다섯번째로큰섬이다. 강화도는동경 126 6 ~126 32 북위 37 38 ~37 51 사이에위치한섬으로강화대교와초지대교를통해김포시와서울특별시등내륙과연결되어있는데, 동쪽으로는염하 ( 鹽河 ) 를건너김포시에접해있으며서쪽은서해에연하여있고남쪽은영종도 ( 永宗島 ) 등을거쳐인천에이르며, 북쪽은한강하구를건너경기도개풍군과예성강서쪽의황해도연백군과접한다. 도면 2. 조사대상지역지질도 ( 출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정보시스템 ) 1) 강화군사편찬위원회, 신편강화사下 - 현재와미래, 2003. 인천광역시 문화유산발굴조사단, 강화의문화유적, 2002. - 5 -
강화도는본래마식령산맥 ( 馬息嶺山脈 ) 의김포반도와연결되어진내륙이었으나오랜침식작용에의해내륙이평탄화된후, 대동기조산운동으로구릉성섬으로분리되었다가한강 임진강에서유출되는토사가쌓이면서다시김포반도와연결되었다. 그후염하가한강에서분류되어김포와강화사이에해협을이루면서하나의큰섬으로남게되었다. 도면 3. 조사대상지역토양분포도 ( 출처 : 흙토람 ) 강화도는남북길이 28km, 동서길이 16km로총면적은 405.02km2로마니산 ( 摩尼山 468m) 고려산 ( 高麗山 436m) 낙조봉 ( 落照峰 343m) 혈구산 ( 穴口山 466m) 진강산 ( 鎭江山 366m) 별립산 ( 別立山 400m) 등비교적산악이많은편이며이산들은대부분쥐라기의대보조산운동때생긴화강암저반으로구성되어있지만산지가노년기의형태를이루고있어대체로험준하지않고산이둥근모양을이루어곳곳에저평한충적지가발달해있다. 더불어강화도의간척사업으로인해곳곳에넓은평지가발달하여벼농사가활발하다. 지질은대체로화강편마암 흑운모편마암 석영편마암 장석편마암등으로분류된다. 강화도의기후는같은위도상의내륙지방보다따뜻한해양성기후의특징을갖고있으며, 연교차가적은편이다. 연평균기온은 11.2, 1월평균기온은 -4.7, 8월평균기온은 25.9 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321mm 이다. 강화도는경기만최대의섬이자핵심지역으로해양지리학상매우중요한의미를가지고 - 6 -
있다. 한반도서안의연안항로를이용하고자할때반드시거치거나또는그영향권을통과할수밖에없고, 한반도최대의만인경기만을장악하면그물처럼뻗은하계망 ( 河系網 ) 을이용하여한반도중부지역을통합할수있는유리한고지를확보할수있으며곳곳에해양세력이발호하고성장할수있는자연조건이갖추어져있다. 이러한지리적요건으로인하여고대부터현재까지중국과문물교류의전진기지로서역할을담당하였으며, 군사적으로침투해들어오는적으로부터수도를방어하기위한전략적요충지로서도중요한위치를점하고있었다. 이러한지정학적위치로인하여강화전역이요새화되어있으며현재도남북분단의상황에서최전방을방어하는역할을담당하고있다. - 7 -
도면 4. 조사대상지역근세지도 (1919 년 ) - 8 -
도면 5. 조사대상지역대동여지도 (1864 년 ) - 9 -
도면 6. 조사대상지역청구도 (1834 년 ) - 10 -
도면 7. 조사대상지역동여도 (19 세기 ) - 11 -
2. 고고 역사적환경 1) 고고학적환경 아직까지강화도에서단일유적으로구석기시대유적이밝혀진예는없다. 다만 1970년대후반동국대학교강화도학술조사단에의해하점면장정리에서쌍날찍개 1점이수습된바있다. 2) 또한강화도남단의영종도해안가에서주먹도끼와사냥돌을찾은바있고 3) 삼목도Ⅱ 유적에서는제4기지층의확인및지표조사에서몸돌과긁개등이수습되기도하였다. 4) 주변지역의이와같은구석기유적은강화도지역의구석기유적존재가능성을시사해준다. 현재강화도내의신석기유적은지표조사에의해동막리 ( 東幕里 ) 5), 사기리 ( 沙器里 ) 6), 도장리 ( 道場里 ) 7), 여차리 ( 如此里 ) 8), 삼거리 ( 三巨里 ) 9) 유적이확인되었다. 강화도는조석에의한조간대의형성과풍부한해산물, 리아스식해안의자연환경이형성되고있어선사시대부터적합한주거입지조건을갖추고있다. 이에앞으로해안가를중심으로더많은유적이확인될것으로여겨진다. 청동기시대의유적으로는크게각형토기주거지와지석묘 ( 支石墓 ) 를들수있다. 주거지는하점면삼거리 10) 에서발견된 1기의주거지외에아직별다른유적은확인되지못했다. 이시기의유물로석부나석촉, 석검, 석착등의석기와각형토기들이출토되었으나대부분이지표조사에서출토된유물이라유적의성격을밝히기에는어려움이따른다. 지석묘는대체로간석지가발달한깊은만을중심으로분포하고있다. 이러한지석묘의분포는생업경제및취락의입지선정과매우밀접한연관을맺고있는것으로생각된다. 강화도의지석묘는주로하점면 ( 부근리, 삼거리 ), 송해면 ( 상도리황촌부락, 하도리, 양오리 ), 내가면 ( 고천리, 오상리, 장정리 ) 등지에서발견되었으며현재까지 157기정도가분포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11) 지석묘는북방식과남방식이혼재하는양상을보인다. 강화도의지석묘는참성단이나삼랑성등청동기시대의국가단위로추정되는고조선 2) 동국대학교강화도학술조사단, 강화도학술조사보고서, 1977. 3) 서울시립대박물관, 영종도송산선사유적, 1996. 4) 신공항건설공단 서울대인문학연구소, 인천국제공항문화유적 2 차발굴용역최종보고서, 1998. 5) 장명수, 강화동막리빗살문토기의유적과유물, 古文化, 1987. 6) 和田雄治, 朝鮮の先史時代遺物に就て, 考古學雜誌, 1914. 和田雄治, 江華島の石器時代遺物, 人類學雜誌, 1914. 7) 김정학, 한국기하학문토기문화의연구, 벽산학보, 1968. 8) 김병모 김충배, 강화도여차리빗살무늬토기산포지 안면도고남리패총 5,6 차발굴조사, 1995. 9) 최영준, 강화지역의해안저습지간척과경관의변화, 국토와민족생활사, 한길사, 1997. 서울대박물관, 오이도패총, 1984. 10) 김재원 윤무병, 삼거리유적 한국지석묘연구, 1967. 11)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강화의절터 - 지표조사보고서, 2009. - 12 -
의전설과그에얽힌유적이있는것으로보아고조선에선강역문제와더불어당시사회의복원에중요한자료를제공하고있다. 삼국시대의유적으로황련사지 ( 黃蓮寺址 ), 전등사 ( 傳燈寺 ) 등의사지및사찰과혈구진성 ( 穴口鎭城 ), 정족산성 ( 鼎足山城 ) 등의성곽유적 12) 이알려져있으나지표조사및사료검토등에의존한것으로추후정밀한조사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그외에동막리유적에서타날문토기 ( 打捺文土器 ) 와시루저부가수습되었으며 13) 여차리에서도원삼국에서삼국시대의것으로추정되는격자타날문토기가수습되었다. 14) 교동지역에서는대룡리유적 15) 과화개산성 ( 華蓋山城 ) 에서삼국시대의유물이확인되고있다. 강화도지역의대표적인역사시대유적으로는진 ( 鎭 ), 보 ( 堡 ), 돈대 ( 墩臺 ), 포대 ( 砲臺 ), 읍성 ( 邑城 ), 산성 ( 山城 ) 등의관방유적이있다. 이들유적은고려 ~ 조선시대에축조된것으로원 ( 元 ) 과청 ( 淸 ) 및근대제국주의침략과많은연관성을가진다. 산성은정족산성 ( 鼎足山城 ) 을비롯하여강화전성 ( 江華塼城 ), 교동읍성 ( 喬桐邑城 ) 등이있으며진은제물진 ( 濟物鎭 ), 월곶진 ( 月串鎭 ), 덕진진 ( 德津鎭 ), 초지진 ( 草芝鎭 ), 용진진 ( 龍津鎭 ), 주문진 ( 注文鎭 ) 등이있다. 보는철곶보 ( 鐵串堡 ), 광성보 ( 廣城堡 ), 인화보 ( 寅火堡 ), 승천보 ( 昇天堡 ), 정포보 ( 井浦堡 ), 장곶보 ( 長串堡 ), 선두보 ( 船頭堡 ) 등이있으며포대는남장포대 ( 南障砲臺 ), 인화성포대 ( 寅火城砲臺 ) 등이있다. 돈대는진과보에비해그수가월등히많으며행정구역상강화읍과양사면, 하점면일대에밀집분포하고있다. 한편강화도는고려-조선시대의경우임시도읍과수도의방어지로기능하였기에당시의많은유적이확인되고있다. 고려시대 ( 高麗時代 ) 의분묘유적은왕 ( 비 ) 릉이 4기, 석실분 2기, 고려귀족들의묘로추정되는 3기의분묘와함께 13개의분묘군 16) 이확인되었다. 이중에서강화석릉 ( 江華碩陵 ) 을비롯한여러기의왕릉급의묘와고분군에대한발굴조사가이루어졌다. 17) 강화도의고려시대분묘는다른지역에비해밀도가높은편이며대체로석실묘 ( 石室墓 ) 와석곽묘 ( 石槨墓 ) 로구분된다. 석실묘는홍릉을제외한대부분이진강산일대에집중되어분포한다. 석곽묘는판석조석곽묘 ( 板石造石槨墓 ) 와할석조석곽묘 ( 割石造石槨墓 ) 가모두확인되고있다. 18) 또한강화도에서는고급청자문화를보여주는여러유물들도출토되었는데 19) 이는강화도지역에서활동한유력자및귀족의존재를보 12)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교동대룡리유적, 2004. 13) 장명수, 강화동막리빗살문토기의유적과유물, 古文化, 1987. 14) 대한불교조계종문화유산발굴조사단 인천광역시, 강화의문화유적 - 강화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2002. 1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강화의절터 - 지표조사보고서, 2009. 16)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강화의고려고분, 2003. 17) 한국선사문화연구소 김해허씨시중공파중앙회, 가락허씨중공무덤발굴조사보고, 1988. 국립문화재연구소, 강화석릉, 2003. 국립문화재연구소, 강화고려왕릉 ( 가릉 곤릉 ) 발굴조사지도위원회자료,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 강화능내리고분발굴조사지도위원회자료, 2007. 18) 이희인, 강화고려고분의유형과구조, 인천문화연구 제 2 호, 2004. 19) 한강문화재연구원, 강화관청리유적, 2009. - 13 -
여준다. 이밖에선두리에서는고려시기의도기제작지로추정되는유적이확인되어청자이외의강화지역도기생산체계에대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있다. 20) 조선시대 ( 朝鮮時代 ) 의유적으로는외규장각지 21) 에서건물지 6기와백자, 상평통보등이출토되었는데일부분이지만조선궁전지의면모를살펴볼수있었다. 통제영학당지와진해루지유적 22) 에서는고려에서조선, 근 현대까지의건물지가조사되었다. 강화산성정상부에서는남장대건물지와봉수시설의흔적이확인되었고그서측봉우리지역에서는군사관련건물지가확인되었다. 23) 2) 역사적환경 강화도는우리나라최초의국가인고조선의건국자단군왕검과관련된유적이현존한다. 강화도가우리역사에확실하게등장하는것은삼국시대 ( 三國時代 ) 부터이다. 24) 한반도의중심을흐르는한강하구에위치한강화도는지정학적관계로고구려 ( 高句麗 ) 백제 ( 百濟 ) 신라 ( 新羅 ) 삼국이치열한영토경쟁을벌였던곳이다. 삼국시대초기의강화는백제의판도안에포함되었던것으로보인다. 이는강화도의초기철기시대사람들은대략비류계백제인과연결되었기때문이다. 그후고구려의남하과정에서강화도는고구려의판도에편입되었고, 고구려는이곳에혈구군 ( 穴口郡 ) 을설치하고그산하에몇개의현 ( 縣 ) 을두게되었다. 그러나한강유역진출과이지역의장악을목표로한삼국간의경쟁과정은꾸준히이어졌다. 이후 6세기중엽신라는고구려를몰아내고한강유역을차지하게되자강화도에해구군 ( 海口郡 ) 을설치하고강화본섬의동내음현을강음현으로, 수지현을수진현으로, 교동도인고목근현을교동현으로재편, 개칭했다. 신라는대외적방어를강화하고지방세력의대두를저지하기위한목적으로패강진을비롯한군진들을설정해갔다. 이과정에서 844년 ( 문성왕 6) 신라는강화가가지고있던지정학적중요성을감안하여이곳에혈구진 ( 穴口鎭 ) 을설치했다. 신라는이를바탕으로통일의기초를마련하게되었다. 고려시대강화는 940년 ( 태조 23) 에양광도에속하는강화현 ( 江華縣 ) 으로편성되었다. 군에서현으로강등된것은고려초왕건세력과강화의해상세력사이에존재하던대립적관계에따른것으로추정된다. 25) 이외에도후삼국통일이후바다를통한군사적필요 한울문화재연구원, 강화산성남장대지유적, 2011. 중원문화재연구원, 인화 - 강화도로건설공사구간내문화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집, 2010. 2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강화선두리도기요지, 2004. 21) 한림대학교박물관, 강화조선궁전지 ( 외규장각지 ), 2003. 22) 불교문화재연구소, 강화통제영학당지 진해루지유적, 2008. 23) 한울문화재연구원, 강화산성남장대지유적, 2011. 24) 李亨求, 江華島고인돌무덤調査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25) 강화군군사편찬위원회, 신편강화사, 2003. - 14 -
성이감소하면서강화의군사적요충지로서의중요성도함께감소하였고또한강화는물류이동의집산지가아니라예성강의벽란도로들어가는통과지로서의성격을가지게되면서그중요성이감소하여현으로읍격이강등된것으로보인다. 무인집권기에강화는유배지로서의역할을하였던것으로보이나몽고의침략에직면하게되면서방어에유리한지리적조건으로인해전시수도로서의역할을하게된다. 1231년 ( 고종 18) 에몽고의 1차침략이전개되었고이에고려는이듬해몽고와일단화의를맺고강화도로천도를단행하였다. 이에도성의여러시설을갖추고강화군으로승격시켜읍호를강도 ( 江道, 일명沈都 ) 라하였다. 고종에이어원종이즉위하고 1270년 ( 원종 11) 송도로환도하기전까지는강화도는수도의역할을담당하였다. 이시기에강화도에서는고려문화의정수라할수있는금속활자의주조, 판만대장경의조판, 삼강청자의제작등이이루어졌다. 환도후강화는아마도양광도에속하는강화현및 3개의속현과 1개의향으로구성된강도이전의행정체제를따랐을것으로여겨진다. 충렬왕때강화는잠시인주 ( 仁州 ) 에편입되었다가 1377년 ( 우왕 3) 에강화부로승격되었고이곳에는내성과외성및행궁과관량 ( 關梁 ), 진보 ( 鎭堡 ), 봉수 ( 烽燧 ) 등의시설이재건되었다. 조선시대의강화는군사적역할이강화되었다. 인조는즉위초부터강화도와남한산성을기각지세 ( 掎角之勢 ) 의보장처로하고강화도수비체제에대한조치를강화하였다. 인조 2년경기수영 ( 京畿水營 ) 을강화도로이전하였고정묘호란때에는강화도로피난하면서유수부 ( 留守府 ) 로승격시켰다. 병자호란으로청국의포로가되었다가귀국한후즉위한효종은강화도방비책으로광성보를설치하였고굴곶평과장평에둔치를설치하는등강화도방비를강화하였다. 이어효종대에는경기서남부지역과강화주변에있던진보들이강화도로이전되는등청나라의감시를피해가면서강화도를요새화하였다. 1678년 ( 숙종 4) 에는 12개의진보와 53개의돈대를설치되었고내성과외성이축조되었으며, 강화부의축성을위해진무영 ( 鎭撫營 ) 을설치하였고 1680년 ( 숙종 5) 에는 49개의돈대처를두고외성을수축하였으며, 1695년 ( 숙종 20) 에는문수산성을완축하였다. 또한숙종대부터강화부의수비체제는삼도방어영을중심으로하는수순중심체제에서진무영을중심으로하는육군중심체제로전환되었다. 이때부터강화도는수도방어체제의제일선이자후퇴해서제 2의수도방어체제를수행할수있는보장처가되었다. 영조 4년에일어난 이인자의난 을계기로도성사수론이확립되면서강화도는더이상왕실의보장처가아니라도성방어를수행하는역할을하게되었다. 조선말이양선의출몰로강화도는서양세력에맞서는전초기지가되었다. 1866년 ( 고종 3) 의병인양요 ( 丙寅洋擾 ) 와 1871년 ( 고종 8) 의신미양요 ( 辛未洋擾 ) 를거치면서덕포진을비롯하여용진진, 광성보, 덕진진, 초지진에포대가설치되고돈대가수축되었다. 병인양요와신미양요가극복한이후조선의조정에서는흥선대원군이실각하고 1873-15 -
년고종의친정이이루어졌다. 이시점에서메이지유신 ( 明治維新 ) 에성공하여근대국가로전환한일본은조선과근대적외교관계를새롭게시도하게되고결국 1876년강화연무당 ( 鍊武堂 ) 에서는조선측의신헌 ( 申櫶 ) 과일본측의구로다기요타카 ( 黑田淸隆 ) 에의해 12개의조항으로된조일수호조규 ( 朝日修好條規, 강화도조약 ) 가체결되었다. 이를계기로조선은제국주의의침략에본격적으로노출되기에이르렀으며 1910년조선은일본에게강제병합되어이에강화도도그군사적역할이소멸되었다. 오늘날에도군사분계선이북쪽에지나기때문에수도방위상중요시되고있다. 행정상의지위는고려시대이래군 ( 郡 ) 부 ( 府 ) 도호부 ( 都護府 ) 도 ( 都 ) 등으로여러번변경되었다가 1906년군이되었다. 1914년군, 면통 폐합으로교동군 ( 喬桐郡 ) 을편입시켰으며, 1973 년강화면이읍 ( 邑 ) 으로승격하였다. 1995년인천광역시로편입되었으며, 강화읍및선원 ( 仙源 ) 불은 ( 佛恩 ) 길상 ( 吉祥 ) 화도 ( 華道 ) 양도 ( 良道 ) 내가 ( 內可 ) 하점 ( 河岾 ) 양사 ( 兩寺 ) 송해 ( 松海 ) 교동 ( 喬桐 ) 삼산 ( 三山 ) 서도 ( 西島 ) 면등 1읍 12면으로편성되어있다. - 16 -
Ⅲ. 조사범위와방법 1. 주변유적현황 연번유적명조사내용조사기관 16 개의돈대와 21 개의수문이 있는총연장 23,225m 에달하는 성으로, 石城, 土城그리고塼城으 1 강화외성 로나눌수있다. 이중에토성과 강화의문화유적, 2002 석성이대부분을차지하고있으 며, 전성은오두돈대와광성돈대 구간에서일부만확인된다. 오두돈주변의전축성구간에대 2 강화외성 ( 사적제 452 호 ) 한지표조사결과에의하면, 뻘층을기초로머릿돌을올리고그위에대형석재로석벽의중심을삼고그위에머릿돌을올리고다시 동양고고학연구소, 2 001, 도서해안지역 종합학술조사 Ⅲ 전돌을여러단쌓았음을확인할 수있다. 유적의규모는동서 74m, 남북 3 강화연리용당사지 45m 정도이며, 주위에서는다량 강화의문화유적, 2002 의와편이수습된다. - 17 -
조선시대각진에배치되었던병 4 용진진 ( 시도기념물제 42 호 ) 마만호의관리하에있었던곳으로, 포좌 4개소, 총좌 26개소의시설물이있었으나석축대부분은 남아있지않다. 용진진의관할하에있던돈대로 서중영우부좌사의중앙초소였다. 현재의좌강돈대는돈대면석이 5 강화지산리 용진좌강돈대 1-2단이남아있던것을최근복원정비한것으로지름이 32m인 평면형태가圓形이다. 서쪽으로 출입문이만들어져있고, 동쪽으 로 4 좌의포문이배치되어있다. 성첩을지키기위해창건되었으 6 강화연리용당사지 며, 유적의규모는동서 74m, 남북 45m 정도이며, 주위에서는다 강화의문화유적, 2002 량의와편이수습된다. 해안저지의강화외성을따라설 치된포대로서, 현재석축등의 7 강화연리사망금포대지 시설물은유실되고토축만이남아 강화의문화유적, 2002 있는데, 그규모는길이는약 120m, 폭 5.3m 정도이다. 8 포내리유물산포지 2 회청색경질토기호류와백자대접 그리고각종기와류의유물이확 인되었다. 경기도박물관, 2002, 도서해안지역종합학 술조사 Ⅲ. < 표 1> 조사지역주변문화재현황표 - 18 -
2. 조사지역의위치와범위 본원에서실시한시굴조사는인천광역시강화군선원면연리 422-7번지일원으로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을앞두고있다. 조사지역은국가지정문화재 강화외성 ( 사적제452호 ) 주변으로염하강을바라보는낮은구릉의사면에위치하며, 조사지에서강화외성의부존여부및유구와유물을포함한문화층을확인하기위해조사가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면적은사업신청지총 3,967m2중진입로건설예정부분인 220m2이다. 조사지역의진입로를살펴보면, 우선김포에서강화대교를건너갑곶돈대방향으로좌회전을하면해안동로가나오는데, 이길을따라화도돈대방향으로직진을하면용진진을만난다. 조사지는이용진진에서남동쪽으로약 500m 떨어져염하강을바라보는낮은구릉의사면에위치하고있으며, 조사지역의서편으로는수연창숯불장어가위치하고있다. < 도면 8> 조사대상지역사업계획평면도 < 도면 9> 조사대상지역사업계획단면도 3. 조사방법 조사지역은염하강을바라보는낮은구릉의사면에위치하고있으며, 트렌치는조사지역의지형에맞추어등고선과직교되는방향으로총 1개의트렌치를길이 14m, 너비 2m의제원으로구획하여조사하였다. 트렌치의하강작업은기반층이확인되는깊이까지제토하면서유구와유물이포함된문화층의존재와분포범위를확인하는방법으로실시하였다. 제원 (m) 너비길이깊이 방향 비고 Trench 1 2 14 0.58 N-4 -W < 표 2> 조사지역트렌치제원표 - 19 -
4. 유적의층위 조사지역의층위는총 2 개층으로, 표토층아래바로암반층이확인이된다. Ⅰ 층 ( 포토층 ) 은부엽토를포함하는퇴적층으로두께는 39cm 정도이며, 바로아래 Ⅱ 층 에서는기반암이확인된다. < 도면 10> 조사지역토층도및토층사진 ( 장벽 ) 5. 조사결과 조사지역은염하강을바라보는낮은구릉의사면에위치하고있으며, 주변으로국가지정문화재 강화외성 ( 사적제452호 ) 이위치하고있다. 조사지의토층을살펴보면표토층아래바로기반암이확인이되어, 유구와유물을포함하는문화층및강화외성의흔적은확인되지않았다. 그러나조사지역과인접한남쪽경작지의지표상에서전돌이일부확인되었다. 비록, 지표에서확인하였지만, 외성과관련된흔적은확인되지않았다. 결과적으로시굴조사지역에서벗어난지역으로이지역에대해서는사업시행이전에반드시관계기관에통보하여적법한절차에따라진행하여야할것이다. - 20 -
< 도면 11> 시굴조사지역트렌치배치도 - 21 -
< 도면 12> 시굴조사지역트렌치배치도및전돌노출지역 - 22 -
Ⅳ. 조사결과및조사단의견 1. 조사대상지역은김향복님의의뢰로진행되었다. 조사지역의위치는인천광역시강화군선원면연리 422-7번지일원으로, 면적은 220m2이다. 이에강화군청문화관광과는본신청지가인천광역시강화군소재 강화외성 ( 사적제452호 ) 주변국가지정문화재에포함되므로건축물및시설물 ( 기반시설 ) 등의건설공사를할경우에는문화재청발굴제도과-3050호 (2013. 4. 1) 에따라문화재조사를실시해야함으로시굴조사를명하였다. 2. 조사지역은국가지정문화재 강화외성 ( 사적제 452 호 ) 주변으로염하강을바라 보는낮은구릉의사면에위치하며, 조사지에서강화외성의부존여부및유구와유 물을포함한문화층을확인하기위해조사가실시되었다. 3. 조사지역의토층은총 2 개의층으로표토층아래바로기반암이확인되었으며, 유 구와유물을포함하는문화층의존재와강화외성등매장문화재는확인되지않았다. 4. 결과적으로사업시행지역에서는유구와유물은확인되지않아관련법령에따라관계기관과협의를통하여공사를진행하여도좋을것이다. 그러나조사지역남쪽경작지인근에서전돌이확인되고있어향후사업시행중문화재가발견되는경우반드시관계기관및조사단에통보하여적법한절차에따라진행하여야할것이다. 2016 년 04 월 19 일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장 - 23 -
寫 眞
< 사진 2> 조사지역조사전원경 ( 북동 - 남서 ) < 사진 3> 조사지역조사전전경 1( 남서 - 북동 ) - 25 -
< 사진 4> 조사지역조사전전경 2( 북동 - 남서 ) < 사진 5> 조사지역조사완료후트렌치전경 ( 북 - 남 ) - 26 -
< 사진 6> 트렌치조사완료후단벽토층 ( 남측 ) < 사진 7> 트렌치조사완료후장벽토층세부 ( 서측 ) - 27 -
< 사진 7> 트렌치조사완료후전경및장벽토층 ( 북동 - 남서 ) < 사진 8> 조사지역 40m 범위이내노출전돌 - 28 -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시굴조사약보고서 16-6 강화연리 422-7 번지일원 단독주택및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 문화재시굴조사약보고서 2016. 04. 印刷 2016. 04. 發行 발행처 : ( 재 ) 혜안문화재연구원경기도용인시기흥구강남로 13, 702호 ( 구갈동, 칼리지포인트 ) Tel. 031-893-6940 Fax. 031-893-6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