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그림 채색필사본 소장
역사와경계 부산경남사학회
위원장 / 신명호 ( 부경대 ) 편집위원 / 김덕진 ( 광주교대 ) 김천학 ( 동국대 ) 신규환 ( 연세대 ) 유연실 ( 전남대 ) 이왕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호태 ( 울산대 ) 차영길 ( 경상대 ) 황보영조 ( 경북대 ) 고문 / 채상식 ( 부산대 ) 한규철 ( 경성대 ) 윤용출 ( 부산대 ) 홍순권 ( 동아대 ) 유장근 ( 경남대 ) 김동철 ( 부산대 ) 이근우 ( 부경대 ) 회장 / 김명환 ( 신라대 ) 총무이사 / 김승 ( 해양대 ) 학술연구위원회위원장 / 하세봉 ( 해양대 ) 위원 / 김성찬 ( 인제대 ) 김형열 ( 동의대 ) 남재우 ( 창원대 ) 박흥식 ( 서울대 ) 신은제 ( 동아대 ) 오인택 ( 부산교대 ) 윤경진 ( 경상대 ) 이경일 ( 경성대 ) 이수훈 ( 부산대 ) 이종흡 ( 경남대 ) 허영란 ( 울산대 ) 출판이사 / 임병철 ( 신라대 ) 학술정보이사 / 오미일 ( 부산대 ) 대외협력이사 / 박상욱 ( 부경대 ) 홍보이사 / 권덕영 ( 부산외대 ) 재정이사 / 남미전 ( 동아대 )
역사와경계 婀 부산경남사학회
98(2016.3), 1~33 1)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 사족의전쟁체험 정해은 목차 국문초록 이논문은임진왜란기대구의수령과지역사족들이일본군침략에어떤방식으로대처해나갔는지를검토한글이다. 대구는 1592년 4월 21일에일본군이쳐들어온이후로 1593년 5월 15일퇴각할때까지일본군의후방보급로이자중간기지로활용되었다. 일본군이퇴각하자마자명군이팔거에 1년정도주둔하면서대구는경상도중심지로부각되었다. 따라서임진왜란기대구에대한이해는일본군과명군이오래주둔한지역이라는사실에서부터시작해야한다. 전쟁이발발하자마자대구부사는동화사로들어가관군을지휘하면서전쟁에대처했다. 대구부및인근지역의전황을상급자에게수시로보고하고, 주요지역에복병을설치해일본군에타격을입혔다. 또의병조직을지원하고 을경영해군량을확보했다. 정유재란때에는도원수권율과관찰사이용순이공산성을방어거점지로활용했으며, 사방에서오는군량들을공산성에비축했다가경주및울산으로이송했다. 사족들은 1592년 10월무렵적세가치성해지자다른지역으로피신했다가 1593년 5월에일본군이퇴각하자귀향하기시작했다. 사족들은농사에 * 한국학중앙연구원책임연구원 / 1for2@aks.ac.kr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
집중하고인적네트워크를이용해생존해나갔다. 또명군주둔군영에물건을팔아서식량을해결한점도주목된다. 사족들은전쟁중에도제사나독서를포기하지않았다. 이것은사족들의변하지않은일상이면서도지키고자한가치와신념이었다. 주제어임진왜란, 대구, 수령, 사족, 관군, 의병, 경상좌도, 공산성, 윤현, 박의장 Ⅰ. 머리말 이글은 1592 년 4월임진왜란부터 1598 년 11월정유재란까지대구의전황을살펴보고, 수령과사족들이일본군의침략에어떤방식으로대처하고대응해나갔는지를검토한글이다. 현재임진왜란연구에서대구가차지하는비중은그다지높은편은아니다. 대구는인근의경주처럼수령과관군의활동이활발한편이아니었으며, 영천처럼이름높은의병장이출현한지역도아니었다. 이점은이지역에대한연구경향에서도잘드러난다. 지금까지임진왜란기대구에관한연구는월곡우배선을제외하고찾아보기힘들며, 몇몇단행본이나논문에서부분적으로언급했을뿐이다. 1) 최근에서야임진왜란기팔공산회맹과대구지역의의병활동을전체적으로조명한단행본과논문들이나와이지역에대한이해를높이고있다. 2) 임진왜란기대구부에일본군이처음쳐들어온때는 1592 년 4월 21일이었다. 이로부터 1년여가지난 1593 년 5월 15일에일본군이남쪽으로퇴각하면서주변지역으로피난을간사람들도되돌아오기시작하였다. 1) 최효식, 임란기경상좌도의의병항쟁 ( 국학자료원, 2004); 이수건, 월곡우배선의임진왜란의병활동 : 그의 을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13(1992); 장동익, 월곡우배선의임진의병활동 역사교육논집 18(1993); 김형수, 17 세기초대구사림의형성과분화 - 의 를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36(2006). 2) 구본욱, 대구유림의임진란의병활동 ( 삼일사, 2014); 구본욱, 대구유림의임진란창의와팔공산회맹 조선사연구 36(2006); 이욱, 임진왜란초기대구지역의의병활동 역사학연구 57(2015). 2 역사와경계 98(2016.3)
그럼에도대구는 1595 년까지사람의자취가끊기고농토가황폐하다는인상기가남아있으며, 해안현의경우 1597 년초까지도유사한감흥을써놓은기록이있어전쟁상흔이잘회복되지않은지역이었다. 임진왜란기대구지역을특징짓는요소는일본과명부대의주둔이라고판단한다. 대구는 1592 년 4월 21일에일본군이들어온후 1593 년 5 월 15일퇴각할때까지 1년여동안일본군이점령한곳이었다. 그리고일본군이퇴각하면서곧바로명군이주둔하였다. 명장수 이 1593 년 8월이후부터성주 에 1년여간주둔하면서대구는중앙조정에서명주둔지로인식되었다. 또 1596 년에대구달성에경상감영이설치되면서대구는임진왜란후반기경상좌도와우도를연결하는중요한공간으로부각되었다. 정유재란때에는대구공산산성이일본군을방어하기위한중요지역으로선정되었고, 명군의군량과마초를보관하는장소로이용되었다. 그러므로임진왜란전기간동안대구부의상황을파악하려면일본군과명군주둔을염두에두면서정유재란까지살필필요가있다. 이논문은이러한문제의식에서 1592 년 4월임진왜란부터 1598 년 11 월정유재란이끝날때까지대구의전황을검토하고그안에서수령과사족들이어떤상황에처해있었는지를살펴보았다. 사족의경우의병활동보다는피난과일상생활을더유의깊게살펴보았다. 전쟁기간사족의일상에대해주목하는이유는전쟁국면마다사족들이늘적극적인항전에나서지못했지만, 끊임없이전쟁을극복하고자한다양한시도나태도들을통해전쟁기간삶의전략을명료하게드러낼수있다고보았기때문이다. 이글에서전쟁기간사족의일상을알아보기위해중요하게이용한자료는대구사족 (1550 1615) 의 와 (1553 1594) 의 다. 3) 서사원의경우 1592 년 7월 6일에팔공산부인사에서 을조직할때에의병대장으로추대된인물로당 3) 낙재선생일기 의원본은계명대학교소장본, 번역본은 국역낙재선생일기 ( 박영호역, 대구 : 이회문화사, 2008) 을이용했다. 낙애선생일기 는동래정씨임하공문중소장본을이용하였다. 이일기자료들을소개, 제공해주신 교수에게감사드린다.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3
시의상황과체험을일기로자세히남겨두었다. 정광천은공산의진군의최초의병장으로추대된 의아들로서공산의진군에서하빈현남면의의병장으로활동하면서의병활동과피난생활을일기로써두었다. 논문의구성은먼저전쟁기간동안대구지역의전황을세밀히검토하였다. 다음으로전쟁발발직후부터명주둔이전까지대구부사의활동을추적하여임진왜란기수령의역할을재조명해보았다. 끝으로사족을중심으로전쟁으로위기를맞은일상이어떻게전개되었는지살펴보았다. 이글이임진왜란기대구지역의상황을파악하는데에조금이나마보탬이되기를기대해본다. Ⅱ. 임진왜란초기대구지역의전황 1592 년 4월 14일아침부산앞바다에상륙한일본군은세길로나누어북상하였다. 그가운데일본군최강의전력을갖춘고니시 [ ] 가이끄는제1군이부산포에상륙하여 4월 19일밀양을출발해서청도, 대구를거쳐 23일에인동성으로들어갔고 24일에낙동강을건너선산을거쳐상주를공격하였다. 4) 대구에일본군이들어온시점은 4월 21일이었다. 5) 대구사족으로의병을조직한 은어린하인의전갈로전쟁발발을알게되었다. 그는 4월 21일자일기에어린하인이 왜적이이미가까운곳까지들이닥쳤고, 은벌써사방문을열고도망가숨었고관아창고에는화염이하늘을찌릅니다. 고알려주어서서문밖으로달려가보니성에는한사람도남아있는사람이없었다고적었다. 6) 일본군은대구를남쪽으로부터침입해북쪽과서쪽을공략해나갔다. 4월 21일에일본군은대구남쪽지역인파잠 을거쳐들어왔다. 4월 4), の の 5( :, 1965), 116 117 쪽. 5),, 1592 년 4 월 21 일 ;, 1, 1592 년 4 월 21 일. 6)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4 월 21 일. 4 역사와경계 98(2016.3)
22일에수성현이불타고이어서읍내가불탔다. 4월 23일정오무렵에는북쪽을침입했는데, 팔거도덕봉고개로부터용진파계사로들어왔다. 4월 29일에는북쪽지역인검단리까지불탔다. 7) 5월 7일에는읍치의서쪽인하빈현에들어와약탈했고, 8) 5월 18일에도하빈현에서약탈을자행하는상황이었다. 9) 5월 25일에는다시북쪽내동까지접근하였다. 6월에도대구에는여전히일본군이있었다. 6월 22일경일본군은대구읍치의북쪽인해안현 까지침입했고, 8월 3일에도왜장 가이끄는일본군이해안현을침입하였다. 10) 7월초에는북쪽지역인부인동 동화리를거쳐지장동까지들어와지장사를분탕하였다. 하빈현의경우낙동강인근이어서성주를비롯한인근지역에서물길을따라배로도접근이가능하였다. 7월일본군은왜선으로낙동강을이용해하빈현을침략했다. 9월 16일새벽에도대구와성주에있던일본군이하빈현으로와서집결하였다. 11) 이러한사정을반영하듯, 선조에게올라온장계에는대구가일본군에게점령당했다는소식이이어졌다. 1592 년 6월에경상도관찰사겸도순찰사 는 좌도의동래 양산 밀양 청도 경산 대구 인동에서부터우도의성산 상주까지전체가이미적의소굴이되었습니다. 12) 고보고하였다. 1592 년 10월경상우도관찰사 도 경상도에서점거당한곳이좌도의경우부산 동래 경주 밀양 청도 대구 영산 창녕 현풍등열고을입니다. 13) 고보고하였다. 대구에들어온일본군의규모는정확하지않다. 다만, 1592 년 5월에일본군의선봉이서울을점령하자도요토미히데요시는각부대마다담당구역을정해서통치를명하였다. 이때대구는 이이끄는군사 8백명, 이이끄는군사 8백명등 1천 6백명이주둔했고, 7)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4 월 21 일, 22 일, 24 일, 26 일, 29 일. 8) 구본욱, 행정정여강의생애와임진란창의, 앞의책, 31 쪽. 9)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5 월 18 일. 10)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22 일, 8 월 3 일. 11) 이탁영, 정만록 곤, 장계.( 역주정만록, 305~306 쪽 );, 역주, 한일문화연구소, 180 쪽. 12) 선조실록 권 27, 선조 25 년 6 월 28 일 ( 병진 ). 13) 조경남, 난중잡록 1592 년 10 월 10 일.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5
8 9월에는 이이끄는군사 4천명이추가되었다. 14) 따라서 8 9월무렵대구에는 5천 6 천명정도가주둔해있었다고유추할수있다. 일본군이대구로대거몰린이유는 1592 년 7월이후곽재우 김면등의의병부대가현풍과창녕사이에서잇따라일본군을물리쳐낙동강중류이하의수로를차단하자, 어쩔수없이대구를경유하는육로를이용할수밖에없었기때문이다. 15) 일본군은주로대구향교에웅거하면서사방으로나가약탈을일삼았다. 16) 당시향교는동문밖 안에있었다. 그래서 여지도서 에는 옛향교터 로나온다. 일본군들은향교에다감옥을만들었고, 여염집에다대나무를쭉늘어세워울타리를만들어방어막도쳐놓았다. 17) 1593 년에도대구의상황은나아지지않았다. 1593 년 1월대구의북쪽팔공산에자리한동화사및인근암자나절들이일본군에의해불태워졌다. 1593 년 1월제2차평양성전투에서조 명연합군이승리하자일본군은강화협상을진행하면서남하했으며, 1593 년 4월중순에서울에서완전철수하였다. 이런상황에서 1593 년 1월하순에좌병사박진이군대를지휘해인동의일본군들을공격해포위하자살아남은잔당들이대구로쫓겨내려왔다. 18) 임진왜란초기에경상좌도에서군무를총괄한사람은영천출신의 으로 1592 년 4월 27일무렵에 로왔다. 19) 안집사김륵은선조에게 경상좌도의경우인동 대구 청도 밀양 기장 양산 동래 부산등지에여전히일본군들이웅거하면서물러날생각이없는상태 라고보고하였다. 20) 김륵이이문서를보고한시점은정확하지않으나 1593 년이었다. 1593 년 5월전라도좌수영에서돌아온선전관이춘영도인동 대구 밀양 14), の, 132 쪽. 15) 장동익, 월곡우배선의임진의병활동 역사교육논집 18(1993), 67 68 쪽. 16) 이탁영, 정만록 1592 년 7 월 15 일. 17)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9 일. 18), 1593 년 1 월 21 일 ( 병자 ). 19) 정해은, 임진왜란초기경상좌도안집사김륵의역할과활동 영남학 28 (2015), 365 쪽. 20), 권 5,,. 6 역사와경계 98(2016.3)
청도 동래 부산등지에적진이그대로있다고보고하였다. 21) 이후대구에주둔한일본군이철수하는시점은 1593 년 5월 15일경이었다. 명군이일본군을쫓아남하하자일본군이대구에서완전히철수한것이었다. 22) 경상도관찰사한효순은 도안에서대구 청도의적은 (5월) 15일에물러갔습니다. 23) 고보고하였다. 이후에도일본군은대구및인근지역에크고작은형태로출몰했고, 이에따라관군과의병활동도지속되었다. 이상의내용을정리해보면, 임진왜란기일본군은 1592 년 4월 21일에대구를쳐들어와서무려 13개월동안주둔해있었다. 일본군의규모는 8 9월에 5천 6 천명정도있었다고추정된다. 일본군은대구의남쪽지역을시작으로수성현과하빈현을침략했고 1593 년정월에팔공산동화사에불을질렀다. 그러다가 1593 년 5월 15일에남쪽으로퇴각하였다. 그리고뒤에서언급하겠지만일본군이퇴각하면서그자리에명군이주둔하였다. Ⅲ. 대구부사의전쟁대응 1. 임진왜란기대구부사의재임현황 조선시대에대구는 세종실록 지리지가편찬될당시경주부에속한 대구군이었다. 이때대구군은대구읍내를비롯해수성현 하빈현 해안현 자이소로이루어졌다. 그러다가 1466 년 ( 세조 1) 세조가대구에 을설 치하면서도호부로승격되었다. 이후 신증동국여지승람 (1530 년 ) 이편찬될무렵대구부는대구군일 때와구성이크게다르지않았다. 이외에하빈현 ( 서 ) 수성현 ( 남 ) 해 안현 ( 북 ) 자이소가속해있었다. 24) 그리고임진왜란직전까지대구부는이 21) 선조실록 권 38, 선조 26 년 5 월 22 일 ( 을해 ). 22) 선조실록 권 39, 선조 26 년 6 월 6 일 ( 기축 ). 23) 선조실록 권 39, 선조 26 년 6 월 15 일 ( 무술 ). 24)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26, 경상도대구도호부.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7
모습을유지했는데, 1592 년 7월 6일 < > 에서확인할수있다. 이기록에따르면, 1592 년 7월에대구부는 20개마을로구성되었다. 읍내의경우 6리 1촌이며, 세개현은면 8곳, 리 3곳, 촌 2곳으로총 13개마을이속해있었다. 25) 임진왜란기대구부사로재직한사람들에대해서는기록의미비로온전하지않다. 여러 대구읍지 에 이남아있지만, 공통적으로부임과이임날짜를기록한시점이 1607 년 ( 선조 40) 5월에부임한 부터다. 이이전의부사들은언제부임했는지기록이없다. 임진왜란발발당시대구부사로재직중이던윤현을기준으로여러자료들을종합해보면임진왜란기대구부사는대략 7 9명정도재직했다고추정된다. 26) 성명 재임기간 출신 근거 1590년에읍성축조 대구읍지 대구읍지 1593년 6월제수, 바로교체 대구읍지 / 대구읍지 1593년 11월경부임 ( 추정 ) 대구읍지 / 낙재일기 1594년후반 1596.6 대구읍지 1597.7.21 대구읍지 / 대구읍지 대구읍지 대구읍지들에따르면, 김여표이후로부사로부임한인물은김구정 배 응경등이다. 배응경은 선조실록 에따르면 1601 년 2 월에대구부사로 임명되었다. 27) 따라서김구정은 1601 년 1 월까지대구부사였으므로임 진왜란기는아니며, 이흥종과김여표는정유재란기에대구부사로재임 했을가능성이높다고판단하였다. 그러므로임진왜란기대부부사는김 여표까지포함하면 9 명이며, 이흥종 김여표를제외하면 7 8 명정도다. 25)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권 2, < >. 26) 대구읍지는 대구읍지 김태규 박대현편역 ( 대구광역시, 1997) 을비롯해, 규장각소장본 3 종과 경상도읍지 2 종, 영남읍지 1 종을참조했다. 27) 선조실록 권 134, 선조 34 년 2 월 12 일 ( 신사 ). 8 역사와경계 98(2016.3)
임진왜란기대구부사는윤현과조호익을제외하고모두무신들이었다. 조호익의경우 1593 년 6월에대구부사에임명되었으나곧체직되었다. 도원수권율이즉시부임하지않았다고논박하는계를올렸기때문이다. 28) 그렇다면윤현을제외하고모두무신들이부임한셈이었다. 기왕의연구에따르면문 무출신수령을교차로파견된지역은군사적으로중시된연변지역에집중적으로분포되었다고한다. 29) 그런데대구는이경향과조금차이가난다. 임진왜란기에무신수령을집중적으로파견했다가, 전쟁이끝나고나서부터문신파견지역으로변해가는특성을보인다. 임진왜란기대구에무신수령을파견한것은대구가군사적으로중요지역으로부각되었음을말해준다. 현재임진왜란기대구부사가운데윤현을제외하고자료에서확인이가능한사람은이상과박홍장 (1558 1598) 정도다. 이상은서사원이 1593 년 12월 1일자일기에새로온성주이상을알현했다고하므로, 30) 1593 년 11월하순무렵에부임하지않았을까추정된다. 박홍장은임진왜란기경주부윤으로이름을떨친박의장의동생이다. 박홍장은 1580 년 ( 선조 13) 23세의나이로무과에급제해제주조방장및영암군수를거쳐 1594 년후반에대부부사로부임하였다. 대구부사시절인 1596 년 ( 선조 29) 8월에일본통신 에임명되어 과함께적국일본에다녀왔다. 박홍장에대해서는읍지마다 선정비가세워졌다. 고기록되어있다. 18세기말학자이긍익은 일본에사신으로가서적에게굽히지않았으므로나라의명령을욕되게하지않았다. 31) 고높게평가하였다. 2. 대구부사의전쟁대처 1592 년 4 월 14 일일본군이부산포를침략했다는첩보를받은경상감 28) 조호익, 부록권 1, 연보, < >. 29) 구완회, 조선후기의수령제운영과군현지배의성격 (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2), 25 29 쪽. 30)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3 년 12 월 1 일. 31), 4,,,.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9
사김수는 4월 15일에여러읍의수령들에게전령을보냈다. 그리고 16 일에도내모든군사의징발령을내려각지에서나누어주둔할것을명하였다. 임진왜란발발당시경상도의병영은울산 ( 좌병영 ) 과창원 ( 우병영 ) 이었다. 여기에속한 은경주 안동 대구 상주 진주 김해였다. 전쟁이발발하자상주진관에속한상주및함창수령은군사수천명을이끌고대구로향하였다. 이들은성주에도착해감사의지휘를받아대구밖에서군사를지원하기위해대구로진격한것이었다. 상주목사와함창군수가낙동강을건너칠곡석전에도착하고, 선봉대는대구금호에도착하였다. 32) 하지만결과는그다지좋지못하였다. 칠곡석전에도착한상주목사와함창군수는일본군으로보이는군사수십명이산뒤에서내려오자두려움에휩싸여전투도하지않고흩어져 4월 20일에상주로복귀하였다. 대구금호에이른선발대도도로에말을타거나걸어서대구를빠져나오는사람들로가득하자대구가이미함락되었다고판단해그대로도망쳤다. 나중에알고보니석전에서만난군졸들은피난민들과아군이었다. 33) 대구부에서는경상감사김수보다더일찍전쟁소식을접하였다. 4월 13일아침대구부사윤현이군사를모으라는명령을내렸다. 그리고이튿날부사윤현은좌병영으로가기위해군비를정비하고함창수령을지낸 를대구부의 으로삼았다. 그리고 4월 15일에 를이끌고좌병영으로향했다. 34) 4월 22일에좌병영울산이무너졌다. 이때 13개읍의군사들이다무너졌다고하는데, 35) 이 13읍에대구도포함되었다고판단된다. 23일에는우병영창원마저함락되었다. 대구부사가대구부로복귀한시점은정확하지않다. 4월 22일에좌병 32) 이호준, 임진왜란초기경상도지역전투와군사체제 군사 77(2010), 149 150 쪽. 33), ( 검간조정선생 ) 1592 년 4 월 20 일, 4 월 23 일. 34)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4 월 13 일 ~15 일. 는부대규모를뜻하는데, 현재로서는구체적인규모를알수없다. 35) 조경남, 난중잡록 1, 임진년, 1592 년 4 월 22 일. 10 역사와경계 98(2016.3)
영이함락되고 4 월 24 일에대구부사가팔공산동화사로들어갔다고하 므로 4 월 23 일이나 24 일에복귀했다고추정된다. 대구부소속아전들은 동화사의부속암자인염불암으로들어갔다. 36) 이때부터대구부의실질 적인지휘소는읍내에서 20km 떨어진동화사가되었고, 부사는이곳에 서군정과민정활동을전개했다. 대구부사의활동중눈에띄는것은동화사에주둔해있으면서치보 를늦추지않고좌도의전황과적정을알리는역할을수행한점이다. 경 상도감영의구실아치로서임진왜란기경상도관찰사의막하에서활동한 (1541 1610) 이작성한 정만록 에는임진왜란기장계가다수수 록되어있다. 이장계들을살펴보면전쟁초기관찰사김수나안집사김 륵이선조에게올린장계중경상좌도의전황은대구부사윤현이제공 하고있다. 앞서언급했듯이임진왜란초기에경상좌도에서군무를총괄한사람 은안집사김륵이었다. 김륵은안집사로왔으나곧바로저항태세를갖 출수없었다. 더구나 4 월 21 일이후로좌도와우도의소식이서로끊기 고, 김륵이 4 월 29 일, 5 월 4 일, 5 월 29 일에작성해올린보고서도길이 막혀조정에전달되지못했다. 37) 이처럼한동안경상좌도는군정이나 조차도국왕은물론상급자에게조차보고하지못한채고립상태였 다. 또김륵은 7 월중순무렵에도여전히우도의소식을들을수없다는 점과아직도밀양 양산 울산 동래 인동 기장 언양 현풍 비안 영산 창녕 등지의소식이정확하지않다고보고하였다. 38) 이런분위기에서대구부사윤현은보고들은소식들을치계하였다. 예컨대, 김수는 1592 년 7 월 15 일자보고서에서대구부사윤현의치보 를인용해경상좌도의여러고을및대구부의상황을보고하였다. 대구 부사윤현은 도의명령을받들어좌도의여러고을의전황과수령의 와왜적의거취, 농사형편, 버려진무기의수습, 군량창고의유무와 규모를듣고보는대로상고하여사잇길로급히보고하라는전령이옵기 에, 드디어보고들은것에따르면다른군읍은상세히알수없으 36)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4 월 24 일. 37) 김륵, 백암선생문집 권 5,, < >,. 38) 김륵, 백암선생문집 권 5,, ( 첫번째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1
나 39) 하면서경상좌도의여러고을및대구부의상황을김수에게 보고한것이다. 윤현에대한훗날평가에도이런사실이기록되어있다. 윤현은임진란초기부터공산동화사에있으면서왜적을조치하여잡은공 이많았다. 경상좌도와우도가서로길이막혔을때순찰사김수가사람을 시켜샛길로가서좌도의일을물으면윤현이조목조목아뢰었다. 40) 다음으로대구부사윤현의활동으로위기록에보이는 왜적을조치 하여잡은 군사활동도빠트릴수없다. 부사윤현이동화사에주둔하 면서군사를모아관군을정비한시점은 1592 년 6 월 13 일이었다. 41) 부 사윤현은흩어지거나도망한군졸 2 천여명을모았다. 그리고일본군 과직접맞서싸우기보다는주요지역에복병을설치하는방식으로대항 하였다. 부사윤현은대구부를넘어인근지역과연합해관군을이끌고전투에 참여하기도했다. 1592 년 5 월이후로경상좌병사박진이군사활동을 전개하기시작하면서윤현도여기에합류한것이었다. 윤현은 6 월에경 상좌병사박진의명으로군사를이끌고경산으로갔다. 42) 이때박진은 불시에일본군의공격을받아고전을면치못했으나, 윤현과관군들은 일본군 17 명을활을쏘아죽이는전과를올리고무사히돌아왔다. 43) 8 월 2 일에도관군은경내에침범한일본군들을추격해강을건너지못 하게하였다. 44) 이처럼부사윤현이동화사를기점으로군사활동을전 개하자, 감사김수는하양등적침을받지않은팔공산인근고을의곡 식및각종물건들을동화사로옮겨지키게하였다. 45) 하지만 8 월에연합작전에참가했다가수많은사상자를내고말았다. 39) 이탁영, 정만록 곤, 장계.( 역주정만록, 305 쪽 ) 40), 역주 1593 년 3 월.( 서울 : 역락, 2010, 67 쪽 ) 41)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13 일. 42) 김진수, 임진왜란기박진의군사활동과평가 한국사학보 60(2015), 255 쪽. 43) 이탁영, 정만록 곤, 장계.( 역주정만록, 263 쪽 );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19 일, 6 월 20 일. 44)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8 월 2 일. 45) 신흘, 역주난적휘찬 1593 년 3 월. 67 쪽. 12 역사와경계 98(2016.3)
당시좌병사박진을중심으로경주성을공격했으나박진이거느린군사 2 백명이전사했고, 윤현도적을추적하다도리어포위되어 7 백명이나 전사하였다. 46) 9 월에김성일이경상우도감사로다시발령을받아우도 로가기직전에동화사에서박진을만났는데, 이때부사윤현에게많은 군사를죽게한죄를물어곤장을치려다가그만두었다. 47) 다음으로, 대구부사의군사활동가운데주목할점이의병부대와밀 접하게연계를맺은사실이다. 대구에서본격적인창의는 1592 년 7 월 6 일팔공산부인사에서 를열고, 대구전역이참여하는 을조직 해 (1530 1593) 을의병대장으로추대한것이었다. 이후의병장 은정사철이병때문에사양하면서 7 월 18 일에서사원이새롭게대장이 되었다. 48) 여기서주목할점은대구향병의모집이나 및 이부사가주 둔한동화사에서이루어졌다는사실이다. 49) 1592 년 8 월이후로향병의 활동이본격화되면서향병의결진도동화사인근 에서이루어졌다. 이때마다부사윤현은군사가결진한곳으로와서살펴보았다. 50) 이런 사실들로미루어볼때에향병조직과운영에부사가관여했음을짐작할 수있다. 1593 년 1 월팔공산동화사가일본군에의해불태워지고, 인근의다른 암자들도불태워졌다. 부사윤현은인근 으로옮겨업무를보다가 맨몸으로빠져나왔다. 51) 이후윤현의군사활동은자세하지않다. 그러 다가 1593 년 5 월에명군이성주의속현인팔거에주둔하면서도원수권 율도하빈현에주둔했는데, 52) 이후대구부사들은하빈현을거점으로삼 46) 이탁영, 정만록 1592 년 8 월 25 일, 9 월 1 일 ;, 역주, 한일문화연구소, 177 쪽. 47) 이로, 역주용사일기, 177 쪽. 이내용은 과 에도실려있다. 48) 이욱, 임진왜란초기대구지역의의병활동 역사학연구 57(2015), 60 쪽. 49)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7 월 27 일, 7 월 30 일. 50)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8 월 6 일, 8 일, 9 일. 51), 1593 년 1 월 6 일, 9 일. 이후윤현은 1593 년 3 월에보령 로옮겨가기위해낙동강을건너다가인동에서왜적을만나, 부인과며느리 아들이강에투신해죽었다.( 신흘, 역주난적휘찬 1593 년 3 월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3
아팔거를오가면서군정을수행하였다. 한편, 전쟁이중반으로접어들면서대구부사의활약으로주목할점이둔전의운영이다. 임진왜란당시대구부의네곳창고에는총 11만석의곡식이비축되어있었다. 그런데읍내본창은일본군이들이닥치자마자소실되었고, 해안 수성 하빈세창고의곡식도 4월말경에이미민들이가져가버렸다. 53) 이때문에대구는다른지역에서곡식을가져다가민을구휼하는형편이었다. 대구부에서민의안정과군량확보를위해 을의논한시점은 1593 년 12월이며, 1594 년초부터둔전을시행하였다. 경상감사가팔거에주둔한명군군영에있는민들을불러모아둔전을경작한결과곡식수만석을얻는성과를올렸다. 여기에는대구부사박홍장과군관전계신의역할이컸다. 54) 1595 년 ( 선조 28) 6월류성룡은둔전의성공에고무되어선조에게대구지역의재건을건의할정도였다. 대구는서울로가는직로이자한도의중앙에위치해있습니다. 또청도사이는땅이매우비옥합니다. 금년에농사를크게짓고흩어진유민을불러모으면 을이루어서후일을도모할수있습니다. 신임대구부사박홍장은박의장의아우로무사중에유명한사람입니다. 다른사무는시키지말고대구부를수리하고돌보는일에만마음을쓰게해야합니다. 그리고순찰사에게농우와곡식종자를특별히조치하여떨어지지않게하소서. 55) 이상으로대구부사의활동을살펴보았다. 전쟁이발발하자마자대구부사윤현은즉시군사를이끌고좌병영으로이동하였다. 좌병영에서퇴각한윤현은대구에일본군이침입하자동화사로들어가관군을지휘하면서전쟁에대처하였다. 관찰사김수나안집사김륵에게대구부및인 52) 선조실록 권 46, 선조 26 년 12 월 3 일 ( 임자 ). 53) 이탁영, 정만록, ( 역주정만록, 305 쪽 );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4 월 28 일. 54) 이탁영, 정만록 1595 년정월 ; 신흘, 역주난적휘찬 1595 년정월. 55) 류성룡, 서애선생문집 권 8,, < >;, ( ) 1595 년 6 월. 14 역사와경계 98(2016.3)
근지역의전황을수시로보고하는한편, 주요지역에복병을설치해일본군에게타격을입혔다. 또사족들과함께의병을조직, 훈련하는일도지원했다고판단된다. 하지만대구부사의활약은 1593 년 1월동화사가일본군의공격을받은이후로는자세하지않다. 다만, 총병유정이팔거에주둔하면서대구부사들이인근하빈현에주둔하면서팔거군영을자주왕래하는모습을확인할수있을뿐이다. 이와함께 1594 년부사박홍장과군관전계신의주도로둔전을시행해큰성과를거두고, 이것이바탕이되어대구부의재건도진행되었다고할수있다. 부사박홍장의선정비도이둔전과관련이있어보인다. Ⅳ. 사족의피난생활과일상 1. 피난과귀향 대구부에전쟁이났다는소식은인근지역에비해하루더일찍전파되었다. 이미대구부사가 4월 13일에군사소집의명을내린상태였으므로민간에서도전쟁소식을일찍접한셈이었다. 대구부사가좌병영으로가면서임명한유진장박충후는읍성문을닫아민들의출입을통제하였다. 하지만 4월 21일에일본군이들이닥치자지역사족및민들은본격적으로피신하였다. 대구민들의주요피난처중한곳은팔공산이었다고판단된다. 일본군이한때파계사및지장사로들어왔으나, 대구부사가동화사에주둔했으므로민간인들도팔공산인근으로몰려들었다. 56) 팔공산은대구와청도가마주치는곳으로지형이험해일본군이제대로올라오지못하였다. 57) 그래서이곳은 1593 년 1월일본군이동화사를불태울때까지비교적안전한피신처였다. 공산성부근에도피난민들이초막을짓고피신 56) 이탁영, 정만록 1592 년 9 월 14 일. 57) 선조실록 권 44, 선조 26 년 11 월 7 일 ( 정사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5
하였다. 58) 앞서소개한대구사족서사원은전쟁소식을듣고서바로피신하지 않았다. 서사원은 의중심인남산동에살고있었다. 서사원이노친을 다른곳에모신날은 4 월 19 일이었다. 그리고 4 월 23 일에서사원은노 친과가속및친구들과함께응봉으로피하였다. 응봉은해발 300m 의 봉우리로응해산인근에있다. 서사원은응봉에서멀리서나마일본군의 모습을실제로목격했다. 이후서사원은부인리를거쳐염불암에서한동 안가족들과지냈다. 서사원은통문과편지, 지인이나수령과의만남등을통해전황을파 악하였다. 서사원은수시로동화사로가서수령을만났으며, 7 월에향병 을조직하였다. 그러다가일본군이 9 월에원당과동촌까지침범하자아 버지의결정에따라삼가로옮기기로결심하였다. 서사원일행은 10 월 말화원읍심원사를거쳐해인사를지나 10 월 28 일삼가에도착하였다. 이처럼서사원은전쟁이발발하자대구의북쪽지역에있는산봉우리 나암자에서피신하면서적동향을살피고수령을만나다가, 10 월말에 야대구를벗어나다른지역으로피신하였다. 서사원과함께대구향병 의의병장으로추대된정사철의아들정광천도적세가강해지자아버지 를모시고고향하빈현을떠나고령으로피난길에나선때가 1592 년 10 월 15 일이었다. 59) 이로보아대구지역에서적세가치성해진것은 1592 년 10 월경으로추정된다. 서사원은피난처에서대구소식을끊임없이파악하였다. 1593 년 5 월 12 일에명군이함창 상주 선산에이르자일본군들이달아났다는소식을 듣는다. 5 월 15 일에는일본군이대구를나갔으며, 5 월 17 일에는명군이 대구를지나갔다는소식을들었다. 서사원은 5 월이후로대구의사정이 점차나아지는소식을접하자 1593 년 6 월 13 일에대구로돌아왔다. 그 리고부서쪽으로 30 리정도떨어진 에터를잡았다. 서사원이대구 로돌아오기전에정광천도 5 월 17 일이른아침에낙동강을건너고향 으로돌아왔다. 60) 이처럼대구지역의경우사방으로피난을간사람들 58)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14 일. 59) 정광천, 낙애선생일기 1592 년 10 월 15 일. 60) 정광천, 낙애선생일기 1593 년 5 월 15 일, 5 월 17 일. 16 역사와경계 98(2016.3)
이 1593 년 5월중순일본군이퇴각하면서되돌아오기시작한것이었다. 한편, 대구에서일본군이극성을부리면서일본군부역자문제도대두되었다. 1592 년 4월 24일에는벌써하인들이일본군복장을하고토적질을하려다가마을사람들에게죽임을당하는일이발생했다. 일본군은경상도의여러지역을점령하자마자점령정책의일환으로 활동을펼쳤다. 1592 년 4월 24일관찰사겸도순찰사김수는대구를거쳐인동 선산을함락시킨일본군의동정을정탐하기위해선산으로박진 배설등을파견했다. 길에서박진을만난민간인들은 를차고일본군이나눠준종이를갖고있었다. 그종이는 의명의로되었는데위쪽에 자를크게쓰고, 그아래에다잔글씨로 군현의백성들은속히옛집으로돌아가남자는모를심고보리를거두며, 여자는누에를치고실을뽑아각각자기집일에힘쓰라. 만약우리군사가법을범하면반드시처벌한다. 61) 고되어있었다. 현재확인할수없지만대구지역도이와유사한점령정책이시행되었다고보인다. 1592 년 6월중순 가일본군에게붙어서나쁜짓을자행한 등 50여인을참한일도점령정책이시행되었을개연성을보여준다. 62) 다만, 종전후임진왜란사적을정리한 (1550 1614) 이 상주 대구 영천등에서는왜적이둔을친지가꽤오래되었지만, 단한사람도왜적에붙어서앞잡이가된사람이있다는소식을듣지못했다. 63) 고기록하였다. 이기록을그대로수용하기어렵지만대구가다른지역에비해부역자가적었던듯하다. 앞서소개한대로일본군이들어온직후일본군복장을한사노들이죽임을당하고, 6월중순에도부역자들이죽임을당했듯이대구에서자체적으로이루어진정화노력이부역자를감소시킨요인이아니었을까판단된다. 64) 61) 조경남, 난중잡록 1, 임진년상, 1592 년. 62)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6 월 15 일. 63) 신흘, 역주난적휘찬 1592 년 6 월 15 일. 64) 1592 년 7 월 19 일에김성일은 및소모관 유사를정하고, 일본군에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7
2. 생계유지방식 임진왜란동안식량문제는사족을포함한일반민들의상황을검토할때에빠뜨리지말아야할중요한주제다. 전쟁중사족및일반민들이겪은참혹한식량난은여기서일일이소개하지않아도될만큼많은연구들을통하여밝혀졌다. 그러나반복하여 식량의극심한부족으로아사자가속출했다. 는사실만을강조하다보면사족및일반민들이수행한적극적인전쟁극복과생존노력에대한통찰을저해할수있다. 예컨대, 7년동안조선군의군량보급및명군에대한각종경제지원을설명하고종전후신속한복구의과정을이해하기위해서는전쟁기간동안사족및일반민들이집요하리만큼포기하지않던농사경영에대하여이야기할필요가있다. 대구의피해상황은 무너진성터와다쓰러져가는집터 65) 라는표현에서엿볼수있듯이일본군이 1년이상주둔하면서민간의고통은이루말할수없을정도였다. 1594 년비변사에서 경상도의여섯진관가운데동래 경주 대구 진주 상주의다섯고을은이미곡식이고갈되어백성이거의모두사망하였습니다. 66) 고보고할정도였다. 1595 년 2월함양사족정경운은 아침을먹은후길에올라대구ㆍ경산ㆍ하양경계를지나니, 사람의자취가끊어졌다. 밭과들이모두황폐하였고, 흰갈대와누런띠풀이끝없이펼쳐있었다. 마음을아프게하는참담한풍경이이와같은경우가있겠는가? 67) 하고한탄하고있어전쟁소강기간에도대구가제대로회복되지않은사정을보여준다. 정경운은 1597 년 1월에 대구를지나다가반야촌에서말에게여물을먹였다. 사람들이모여있는데, 1595 년에본것보다몇배나많다. 68) 고적었다. 대구는정유재란직전에서야회복되고있었다. 그러면서도정경 게 하는사람들을따로기록하게하였다.(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2 년 7 월 19 일 ) 65) 선조실록 권 41, 선조 26 년 8 월 17 일 ( 무술 ). 66) 선조실록 권 49, 선조 27 년 3 월 23 일 ( 신축 ). 67), 1595 년 2 월 10 일. 68) 정경운, 고대일록 1597 년 1 월 8 일. 18 역사와경계 98(2016.3)
운은 해안현은산과내가꾸불꾸불둘러있고토지가비옥한데옛날의 번화함은모두잿더미가되어깨어진주춧돌과허물어진담이태평시절 을떠올리게할뿐이었다. 69) 고적고있어지역마다회복의편차가있었 다고보인다. 그렇다면임진왜란기대구민들은어떤방식으로생계를유지했을까? 서사원과정광천을중심으로살펴보면사족의생계유지방식은크게네 가지였다. 농사경영, 지인들을방문하여식량을얻는방식, 고을수령에 게식량을요청하는방식, 친인척부근에거주하면서식량을조달하는 방식이었다. 이네가지방식은임진왜란기양반들에게서공통적으로나 타나는특징으로서, 농사경영을제외하면모두인적네트워크를활용한 방식이라할수있다. 이런측면에서사족이전쟁중식량을확보할수 있는방도는다른계층에비해훨씬유리했다고할수있다. 서사원이삼가에서대구로돌아오자마자힘쓴일은농사였다. 여기에 서일일이소개할수없을만큼서사원은매일농사경영에힘을쏟았 다. 하양의택기전을갈고, 콩을심고, 기장밭과메밀밭을갈고, 읍내사 이에있는밭에김을매고, 콩밭에김을맸다. 이뿐만이아니었다. 주변 밭에서도토리도주워모았다. 또식량난을해결하기위해하나하나열 거할수없을만큼수령이나순찰사등에게지속적으로요청해식량을 보조받았으며, 환자 [ ] 등을신청하였다. 그런데대구사족들이생계를해결하는방식가운데다른지역과달리 눈에띄는점이있다. 곧명군주둔군영을통해식량을해결한점이다. 부총명유정이이끄는명군의지휘부가설치된곳은팔거의가산산성이 었으며, 대구에는전투병력을배치하였다. 70) 명군은 1 년이상이곳에 주둔해있었다. 이때문에 1594 년 8 월유정이철수할때에조선조정에 서는그동안유정부대에서 노릇을하거나명병사와혼인한여성 들을명으로가지못하게금지하는것이큰일이었다. 비변사의건의로 남자는포수와살수에뽑아소속시키고, 여자는여러가지방법으로구 제해서온전하게살려주게하였다. 71) 69) 정경운, 고대일록 1597 년 1 월 14 일. 70) 김성우, 조선시대대구읍세의팽창과정 대구사학 75(2004), 84 쪽. 71) 선조실록 권 54, 선조 27 년 8 월 16 일 ( 신유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19
실제로유정부대에서색출한조선인은남자만 560여명에달하였다. 이들은대부분굶주린실업자로서살아갈방도가없어명군부대에의탁한사람들이었다. 이들은유정이철수할때복장을바꾸어입고압록강을넘어가려하였다. 72) 이안에대구출신들이얼마나포함되었는지알수없으나유정부대가대구와팔거에있었으므로해당지역민들이상당수포함되었을가능성이높다. 더구나대구민들은명군군영의도움을곧잘받았다. 명군군영에물자가몰렸으므로자연스럽게이쪽으로사람들이몰렸다. 1593 년 12월비변사에서는 들리는내용에따르면대구의총병유정이주둔한곳에는멀고가까운지역의배고픈백성이떼지어모여들었고, 굶어죽은시체가들판에가득하여아무리구덩이를파고묻어도처리해낼수없다고합니다. 73) 고보고하였다. 또지역민들은명부대에물건을팔기도하였다. 명군들은본인에게배급된군량중일부를갖고본인들이필요한물품을조선인들과교역하였다. 이때문에여러고을에서명의진영을왕래하면서물건을저당하거나팔아서생계를유지했다. 그래서 의각고을사람들이팔거군영에나아가서팔기위해물품을머리에이거나등에짊어진자들이길에늘어섰다. 74) 고한다. 지역사족들도예외가아니었다. 서사원은피난을갔다가대구로돌아온후에 들의강압에못이겨말을팔고 과책갑을팔았다. 하지만이후로는자발적으로물건을갖다팔았다. 은술잔을팔고자했으나명군이은이아니라고우겨서그냥돌아온적도있었다. 1594 년 1 월에도아들의말과안자를팔아백미 18말을받아왔다. 75) 정광천도 1593 년 9월부내로가서명장수를만나소나말을팔려고했으나명장수들이병때문에누워있어만나지못하였다. 다시아들을명군진영에보냈으나허탕을치자결국주변지인이명군진영으로가서쌀과콩을구해돌아왔다. 11월에도사람을시켜소한마리를내주 72) 선조실록 권 56, 선조 27 년 10 월 8 일 ( 임자 ). 73) 선조실록 권 46, 선조 26 년 12 월 24 일 ( 계유 ). 74) 신흘, 역주 1594 년. 75)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1593 년 7 월 7 일 20 역사와경계 98(2016.3)
어서명군진영에서쌀을사오게하였다. 11 월 24 일에도몇사람이말을 끌고팔거로갔는데아마도말을팔기위해간것으로보인다. 윤 11 월에 도아들이팔거진영에서쌀을사서돌아왔다. 76) 3. 명군주둔에따른피해 1592 년 ( 선조 25) 12월명제독이여송은약 4만 5천여명을이끌고조선으로들어왔다. 1593년 1월조선군과연합해평양성전투 (1593.1.6 1.9) 에서승리한이여송부대는그여세를몰아일본군을추격했으나벽제관전투 (1593.1.25 1.27) 에서패하였다. 이후송응창등명군지휘부가일본과강화협상을시작하면서일본군은 1593 년 4월중순이후서울에서철수해남하했고, 남하하는일본군을쫓아명군도남하하였다. 대구부에명군이처음들어온시기는 1593 년 5월 15일이었다. 일본군이퇴각하자그날명군의선봉대인부총병이여백이군사를거느리고들어온것이다. 77) 이어서유정도상주를거쳐대구로들어왔다. 본래대구에오유충이오기로했으나, 상주에주둔해있던유정이대구로오고, 오유충은신녕으로옮겼다. 78) 유정은 1593 년 4월말에단병무예에능한 군사를이끌고먼저압록강을건넌명군과합류하였다. 명군은일본과강화교섭이진행되면서 1593 년 8월부터단계적으로철수하여 1594 년 9월에조선출병 20개월만에군사 1만명만잔류시키고나머지병력을요동으로철군하였다. 이과정에서명조정의필요와조선의요청으로유정은 1594 년 7월명조정의명령으로귀국할때까지 1년 4개월여정도조선에머물렀다. 조선에서유정에대한평판은초창기에대단히좋았다. 예컨대 유정군대는물건을주어도사양하며, 물건을보아도빼앗지않고청렴하고근엄함이다른군대에뛰어나니모든사람이흠모한다. 79) 고할정도였 76) 정광천, 낙애선생일기 1593 년 9 월 3 일 6 일 7 일 8 일. 11 월 17 일 24 일, 윤 11 월 21 일. 77) 선조실록 권 39, 선조 26 년 6 월 6 일 ( 기축 ). 78) 신흘, 역주 1593 년 5 월 15 일. 79) 이탁영, 정만록 1593 년 5 월 17 일.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21
다. 1593 년 6월 역시서울에서참장 로부터유정이지금도착했는데, 그가자신의친족이자단병무예에능한남방군사로서조선에남게된다면이익이있을것이라는말을들었다. 80) 하지만 1593 년 6월말에조선군이진주성전투에서크게패한이후조정에서는유정에대한불만이커져갔다. 조정에서진주성전투이후유정에게적극도와줄것을요청했으나, 유정은자기뜻대로할수없다면서경략송응창과제독이여송의명령을기다려야한다고핑계되었다. 81) 유정은일본군의형세가급박해지자대구에서이동해고령을거쳐합천에주둔하였다. 하지만유정은여전히전투에적극나서지않으면서전투부재의책임을조선장수들에게돌렸다. 82) 그러면서영남이황폐하고멀다면서서울이나평양에주둔하기를희망하였다. 83) 1593 년 8월하순유정은대구로돌아왔다. 여기에는두가지배경이있었다고판단된다. 하나는경략송응창이진주성전투이후명군을두갈래로나누어한쪽은남원 진주사이에배치하여전라도를지키고, 다른한쪽은대구 선산사이에배치해경상도를지킬것을명했기때문이다. 84) 다른하나는진주성싸움이후에일본군이울산이나경주를침범할지도모른다는경보가나오자, 유성룡이유정에게경주가까운곳이나대구와청도경계에진주해적을막아줄것을끊임없이요청했기때문이다. 유정은유성룡의요청이있자군사 2 를출동시켜먼저대구로가서진을치게하였다. 85) 그리고본인도대구로왔다가 8월하순에대구에서성주팔거로진을옮겼다. 86) 이후유정은황제의명을받고철수할때까지팔거에주둔하였다. 80) 유성룡,, < >. 81) 선조실록 권 40, 선조 26 년 7 월 10 일 ( 임술 ). 82) 선조실록 권 41, 선조 26 년 8 월 13 일 ( 갑오 ). 83) 선조실록 권 41, 선조 28 년 8 월 17 일 ( 무술 ). 84) 선조실록 권 41, 선조 28 년 8 월 17 일 ( 무술 ). 85) 유성룡,, < >, < >, < >. 86) 조경남, 난중잡록 3, 계사년, 1593 년 8 월 22 일. 22 역사와경계 98(2016.3)
팔거에명군이주둔하면서대구부의민들은명군의양식이나말먹이를마련해야하는부담을졌다. 이뿐만이아니었다. 명군들이민가에수시로드나들면서민폐를끼쳤다. 마을사람들은농사도짓지못한채이들을위해밥을지어야했다. 명군들은말을비롯해각종물건들을빼앗고, 노비들을비롯해지역민을구타하였다. 마을의나무를베어갔으며, 쌀이나각종물건을들고와번번이술을요구하였다. 술이없으면화를내면서소란을부리기도하였다. 87) 이처럼명군의주둔은지역민들에게양면성이있었다. 이들을통해생계를유지하는가하면다른한편으론이들때문에큰피해와곤혹을치러야했다. 이것이 1594 년 7월에유정부대가철수할때까지지역민들이명군으로인해겪던상황이자어려움이었다. 4. 일상의영위 : 제사와독서 임진왜란기일상에서대구사족들이중요하게여긴사안은제사였다. 전쟁중사족들이제사를충실하게거행하는모습은오희문이나정경운사례에서도비슷하게나타난다. 1592 년 11월정광천은고령으로피난중이면서도고조부기제사에참석하기위해아버지정사철를모시고거창까지갔다온다. 88) 12월에는어머니제사를위해피난처에서대구하빈으로돌아와밥과국으로제사를지냈다. 1593 년정월일본군이동화사를불태우는시점에서정광천은새해를맞아차례를올리고아버지에게헌수을기원하는술잔을올리기까지한다. 정광천은 1593 년 3월에돌림병으로아버지정사철이사망하자주변의도움을받아소렴을치렀다. 그리고문상을받기시작하였다. 정광천은관을구하지못해성복하지못하다가간신히관을짜서대렴한후무등곡촌에임시산소자리를마련하였다. 이과정에서일꾼들에게줄양식이 87) 명군으로겪은피해상은 낙재선생일기 를참조해서술했으며특별히각주를달지않았다. 88) 정광천의제사와효행은 낙애선생일기 를참조해서술했으며, 앞서와마찬가지로특별히각주를달지않았다.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23
없어산역이중지되기도하였으나주변인의도움으로간신히산역을마쳤다. 산역을마친후묘소에서간단하게제를올리고, 이튿날일가식구들을데리고성묘하였다. 이후정관천은한동안여막에서지냈다. 아버지생신을맞이하자나물 과일 술등을간단하게갖추어전을올렸다. 이처럼정광천은피난중이면서도아버지상을당해주변의도움을받아임시로산소를조성하고여막에서지내면서아버지에대한효를보여주었다. 비록평소처럼하지못했지만기본의례들을빼뜨리지않으면서아침저녁으로상식을하며보름 까지하는모습을보여주었다. 이처럼 16세기말에제사로구현된효는이미사족들에게중요한실천이념으로유포되고생활화되어있었다. 이시기효의실천이란사족들에게중요한가치이자, 사족으로서의정체성과자긍심을지켜나가는중요한매개였다고생각한다. 그러므로정광천도전란중에아버지의상례를포기하지않은행적을보임으로써자기정체성을유지하려고했던것이다. 한편, 서사원이본인의정체성을지켜나가는방식도눈길을끈다. 서사원은일기에본인의자질구레한일상을많이기록한편이아니다. 농사나가족 제사, 향촌에서일어난공적인사건들을더많이남겨두었다. 그럼에도서사원이본인에대해지속적으로기록한주제가있었는데그것은다름아닌독서였다. 서사원은 1592 년 5월피신중에하인을시켜집에서서책 20여권을가져오게하였다. 하인으로부터집이모두타버리고대문만남아있다고전해들은서사원은참담한심경을이렇게적었다. 더욱참담한것은 1 천권의 를내가반평생동안널리구하여보배처럼간직한것인데하루아침에연못속에모두버려졌으니상심이어떠한가? 하면서안타까워하였다. 서사원이독서기록을본격화하는시점은 1593 년 8월이후삼가에서돌아와이천에자리를잡으면서부터다. 서사원은주로 를읽었으며 도좋아하였다. 1594 년 4월부터는틈틈이각종책들을읽거나외웠다. 명신언행록 근사록 화담집 ( 서경덕 ) 태극도설 24 역사와경계 98(2016.3)
소학 주역 등을읽었다. 무엇보다도서사원이즐겨읽은책들은 논어 대학 중용 이었다. 서사원은이책들을아침저녁으로반반씩나누어외우기도하였고몇차례씩반복하여읽었다. 1595 년에는 주역 을부지런히외우면서끝까지통독했고, 다시 주서 를읽다가 맹자 를보았다. 서사원의독서기록은임진왜란기피난일기에서좀처럼찾기어려운기록이다. 이부분은얼핏사소해보이지만자세히관찰해보면서사원이추구한삶의지향점을알려주는함축적인단서가녹아있다. 서사원은전쟁이소강기로접어들면서향촌에서생존과생계를위해고군분투하면서도독서를멈추지않았다. 독서는변하지않은일상이기도하거니와, 서사원이전쟁중에서도지키려고한가치이자신념이었다고여겨진다. Ⅴ. 정유재란과대구의상황 도요토미히데요시는정사황신, 부사박홍장이이끄는조선통신사가다녀간이듬해인 1597 년 1월부터주력부대를보내다시전쟁에돌입하였다. 가토오가이끄는제1군이 1597 년 1월 14일에부산다대포에상륙했으며, 이어고니시가이끄는제2군이웅천에상륙하였다. 7월 8일일본군은다시부산에상륙해전라도를수중에넣었으나, 1598 년 8월도요토미히데요시가죽고 11월노량해전에서이순신에게패배해본국으로퇴각하면서전쟁도막을내렸다. 이것이정유재란이다. 정유재란이발발하기전에통신사로간황신과대구부사박홍장은선조에게일본의재침가능성을비밀리에보고했고, 선조는이보고서를토대로명에일본군의재침가능성을알렸다. 89) 또선조는경기도체찰사이원익을부산으로파견해일본의재침에대비하게하였다. 이원익은황신과박홍장등이부산에당도하자이들을통해적침의경보가긴박하다는정황을파악하였다. 그래서각도에급히공문을보내증축 보수해둔 89) 선조실록 권 82, 선조 29 년 11 월 10 일 ( 임인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25
산성을중심으로정해진기일안에들판을비우게하였다. 90) 여러장수들은군사를거느리고관내산성으로들어가고모든민들은각자저장한곡식을산성으로운반하여청야한후에성을지켜라. 오는 (1597 년 ) 1월 5일에종사관을파견해명령의실행여부를조사할때에명을어긴자는일체군율로다스릴것이다. 91) 이에따라경상도의관리와민들은창녕의화왕산성, 대구의공산산성, 하동의정개산성, 삼가의악견산성, 합천의이숭산성, 안음의황석산성등지에집결하여일본군의재침에대비하였다. 92) 임진왜란이발발한이후대구지역에서요해지로서주목받은곳은팔공산의공산산성이었다. 1593 년 11월비변사에서는팔공산이대구와청도가마주치는곳으로지형이험해 1592 년에도일본군이끝내올라가지못했다고평가하면서민력을덜기위해의승장홍정을시켜보수하자고건의하였다. 93) 하지만이때는물력의부족으로시행하지못하였다. 공산산성이다시주목받는해는 1596 년이었다. 1596 년관찰사이용순은체찰사이원익의제안으로대구 에경상도감영을열고석축을더쌓았다. 대구가감영자리로주목을받은이유는경상우도와좌도를연결하는중간지점인데다가, 경상도북부와남부를연결하는통로에위치했기때문이다. 대구가경상도감영으로서위상을갖자 1596 년 4월에도체찰사이원익의명령으로공산산성이보완, 수축되었다. 이무렵관찰사이용순에대하여 순찰사이용순이대구에있으면서늘공산을왕래하며중요한일들을지휘하므로, 이용순을가리켜대구의순찰사요, 공산의만호라하였다. 94) 는평이있을정도였다. 그런데공산산성이대구읍치로부터 20km 떨어진곳에위치하다보니요충지로서적합하지는않다는의견도제시되었다. 1596 년 11월권율은 90) 조경남, 난중잡록 3, 1596 년 11 월, 12. 91) 조경남, 난중잡록 3, 1596 년 11 월. 92) 서인한, 임진왜란사 ( 서울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19 쪽. 93) 선조실록 권 44, 선조 26 년 11 월 7 일 ( 정사 ). 94) 신흘, 역주난적휘찬 1596 년. 26 역사와경계 98(2016.3)
산성과요해지의중요성을역설하면서공산산성은요충지는아니나이미쌓았으니인근민들의피난처로활용해야한다고주장하였다. 95) 1597 년 2월도체찰사이원익은권율과상의한끝에경주 부산 공산세곳에정예군사들을뽑아나누어지키게하자고건의하였다. 그러자비변사에서경주 부산 공산의세곳은적진과멀어서공격에유리하지못하다고판단하였다. 96) 유성룡도팔공산에산성이있지만 1592년처럼일본군이영천 신녕 의흥에서팔공산후면으로나온다면조령과죽령아래쪽은며칠이면함락될수있다고보았다. 그러므로일본군의북상을막기위해서는대구위쪽으로안동같은큰지역에방어시설을해야한다고주장했다. 97) 이러한논의에도불구하고대구공산산성은정유재란때두가지측면에서중시되었다. 하나는정유재란때에도원수권율및관찰사이용순등이주둔하면서방어거점지로활용되었다. 조선조정은일본의재침소식을접하자경상좌우도가합세해대처하게하였다. 우병사김응서등이군사를이끌고경주와울산에진주하였고, 권율은대구에서각도의군사 2만 3천명을모아적침로를방어하였다. 또권율의명으로남원부에보관한총통 1천자루를대구로이송하였다. 98) 다음으로대구는경상좌도와경상우도를연결하는중요한지점으로서, 정유재란당시사방에서오는곡식들이대구를거쳐경주및울산으로이송되었다. 1597 년조선조정에서는군량마련을위해경상도좌로에윤승훈, 중로에유영경, 우로에성영을파견하였다. 이들은해당지역에서곡식을거두어상주 대구 경주등지로옮겼다. 99) 1597 년 12월에대구로이송된군량이쌀과콩을합쳐 5천석이나되었다. 100) 대구로이송된군량은주로공산성에비축해두었다. 이런가운데대구민들은군 95) 선조실록 권 82, 선조 29 년 11 월 16 일무신. 96) 선조실록 권 89, 선조 30 년 6 월 10 일 ( 기사 ). 97) 류성룡, 진사록, < >. 98) 조경남, 난중잡록 3, 1597 년 2 월. 99) 류성룡, 진사록, < >. 100) 류성룡, 진사록, <, >.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27
량을경주까지수송하는데에동원되었다. 101) 공산과금오산성에는민력을소비한것이가장많았고이웃고을의기계와 군량을모두거두어성중에가득쌓아놓고수령을독려해늙고약한남녀 들을거느리고성을지키게하니원근지방의인심이떠들썩하였다. 102) 인근지역에서대구로군량을수송한사례는경상도풍산양반 (1555 1628) 의사례가있다. 이진은정유재란이발발하자 1597년 2월에여강서원에서향회를열어향병조직을결의하였다. 유사를선출해봉정사에서병기와군량들을거두고, 군량을모아대구로수송하였다. 그결과 1597 년 5월에각민호 8결당군량 1석씩을읍창에서받아서대구로수송하였다. 103) 6월과 7월에도대구공산성으로군량을운반했다. 정유재란당시일본군이공산성을침입한것은 1597 년 9월이었다. 당시관찰사이용순은의성향교의북산에서결진하면서침공에대비하였다. 하지만일본군이바로공산성을침략하는바람에그안에쌓아둔무기와수만석의곡식을빼앗겼다. 104) 이때문에공산성에곡식을비축한조치가비판받기도했으나, 공산성은정유재란때에대구지역의상황과역할을보여주는중요한공간이라할수있다. Ⅵ. 맺음말 이글은 1592 년 4월임진왜란부터 1598 년 11월정유재란까지대구의전황을검토하고, 수령과민이일본군의침략에어떤방식으로대처하고대응해나갔는지검토한글이다. 필자가임진왜란기대구의상황을검토하면서고심한문제는두가지 101) 류성룡, 진사록,. 102) 류성룡, 정유년 8 월. 103), 5 월 3 일, 9 일, 16 일. 6 월 29 일, 7 월 5 일. 일기가수록된 의원본은유교넷 (http://www.ugyo.net) 이용. 104) 이탁영, 정만록 1597 년 9 월 20 일. 28 역사와경계 98(2016.3)
였다. 임진왜란기대구에대한이해가임진왜란사연구에어떤기여를할수있는가, 전쟁을일상의관점에서바라보았을때에임진왜란에대한이해의폭을어떻게넓힐수있는가하는점이었다. 대구는 1592 년 4월 21일에일본군이침략한후 1593 년 5월 15일퇴각할때까지 1년여동안일본군이점령한곳이었다. 일본군은대구를후방보급로이자중간기착지로활용하면서인근지역을공격하였다. 그리고대구는일본군이퇴각하면서곧바로명군이주둔한지역이었다. 명총병유정이팔거에 1년정도주둔하면서대구는경상좌도와우도를연결하고, 경상도의북쪽과남쪽을이어주는중심지로부각되었다. 따라서임진왜란기대구에대한이해는일본군과명군이오랜기간주둔한곳이라는사실에서부터시작해야한다고본다. 이논고는이러한문제의식에서 선조실록 과각종일기자료를토대로임진왜란초기대구지역의상황을재구성하고, 수령및사족들의전쟁대처방식을검토하였다. 전쟁이발발하자마자부사윤현은군사를이끌고좌병영으로이동하였다. 좌병영에서퇴각한윤현은동화사로들어가관군을지휘하면서전쟁에대처하였다. 대구부및인근지역의전황을수시로보고하는한편주요지역에복병을설치해일본군에게타격을입혔다. 또사족들과함께의병을조직하는일도지원하였다. 이후대구부는 1596 년감영이되고정유재란때에공산성을중심으로내지와전장을연결하는허브역할을하였다. 도원수권율및관찰사이용순이주둔하면서방어거점지로활용되었으며, 경상도의남북을연결하는중요한지점으로서사방에서오는곡식들이대구를거쳐경주및울산으로이송되었다. 1597 년 9월에일본군침입으로공산성의군량과물자들이파괴되었지만, 지역의중요성이부각되어종전이후부터조선후기내내경상감영으로자리하게된다. 한편, 대구부의사족들은 1592 년 10월경적세가치성해지자대구를벗어나다른지역으로피신하였다. 그리고 1593 년 5월중순경일본군이퇴각하자다시귀향하기시작하였다. 사족들은농사에집중하고인적네트워크를이용해생존해나갔으며, 이런속에서도제사나독서등을통해사족으로서의정체성을유지하였다. 이것은사족들의변하지않은일상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29
이면서그들이전쟁중에서도지키려고한가치이자신념이었다고본다. 요컨대, 임진왜란기대구지역은내부적으로수령과관군의역할을다양한시선에서살펴볼수있는단서이자, 외부적으로일본군과명군의움직임을면밀히파악할수있는공간이라할수있다. 그리고이안에서사족과민들의생존방식은임진왜란기에펼쳐진일상을구체적으로접근하는데에중요한시사점을던져준다고생각한다. 30 역사와경계 98(2016.3)
참고문헌 ( 서사원 )( 계명대학교도서관소장본 ; 박영호역, 국역낙재선생일기 ( 달성서씨현감공파종중간행 ), 이회문화사, 2008), ( 정광천 )( 동래정씨임하공문중소장본 ), ( 김륵 )( 김준영편집,, 영주 : 시대인쇄출판사, 1999), ( 이탁영 )( 원본 정만록, 의성문화원, 1987; 이호응역주, 역주정만록, 의성군, 2002), ( 조경남 ), ( 이여빈 )( 유교넷 (http://www.ugyo.net)), ( 류성룡 ), ( 류성룡 )( 이재호번역 감수, 서애선생기념사업회, 2001), ( 정경운 )( 역주고대일록 ( 상 하 ), 남명학연구원, 2009), 역주 ( 이로 )( 부산대학교한일문화연구소, 1960), ( 신흘 )( 신해진역주, 역락, 2010), ( 김성일 ), ( 신경 ), ( )( ), ( )( 유교넷 ), ( ) ( 조정 )(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 오극성 )( ), ( )( 조응록 )( 조남권역, 태학사, 1999), ( 조호익 ), 대구읍지 (1767 1768 년편찬 )( 김태규 박대현편역, 대구광역시, 1997) 구완회, 조선후기의수령제운영과군현지배의성격,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2. 구본욱, 대구유림의임진란의병활동, 대구 : 삼일사, 2014. 서인한, 임진왜란사, 서울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이수건, 조선시대지방행정사, 서울 : 민음사, 1989. 김진수, 임진왜란기박진의군사활동과평가, 한국사학보 60, 2015 김성우, 조선시대 의팽창과정, 대구사학 75, 2004. 이욱, 임진왜란초기대구지역의의병활동 역사학연구 57, 2015. 이호준, 임진왜란초기경상도지역전투와군사체제 군사 77, 2010. 장동익, 월곡우배선의임진의병활동, 역사교육논집 18, 1993. 정해은, 임진왜란초기경상좌도안집사김륵의역할과활동, 영남학 28, 2015., の の 5, :, 1965.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31
Abstract105) The Wartime response of the Daegu suryeong during the Imjin-year war with the Japanese and the Sajok figures experience of the taste of war Chung, Hae-Eun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suryeong(, local magistrate) and Sajok figures of the Daegu area responded to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1590s. Daegu was first invaded in April 21st, 1592, and until they retreated on May 15th, 1593, the area was forced to serve as the Japanese troops homefront supply base and a middle stopover. As soon as the Japanese soldiers retreated, the Ming army entered the region and stayed at Palgeo for a year, and Daegu became the central strategic point of the Gyeongsang-do provincial area. Future studies of the Daegu area in the Imjin Wae ran period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region was inhabited by both Japanese and Ming troop for a rather extended period of time. As soon as the war broke out, the Daegu suryeong established a basecamp in the Dong hwa-sa monastery, where he monitored battle situations and issued orders to Joseon troops. He reported the situation of the Daegu-bu area and that of the adjacent regions to his superiors on a regular basis, and deployed continuous ambushes to strike the Japanese troops. He also provided support for the Righteous militias, and ordered cultivation of garrison farms to secure necessary grains. When the war resumed after a brief respite of negotiation, and the so-called Jeong-yu Jae ran began, Supreme Commander(Do-Weonsu) Gweon Yul and Gwanchal-sa magistrate Yi Yong-sun decided to use the Gongsan-seong ( ) fortress as a critical defense post, which also served later as a * Senior Researcher,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1for2@aks.ac.kr 32 역사와경계 98(2016.3)
relay post of grains, collected from other regions to be sent to Gyeongju and Ulsan areas. Fearing the imminent invasion of the Japanese troops, in October 1592 the Sajok figures left Daegu, sought refuge in other areas, and returned in May 1593, after the Japanese troops withdrew. They concentrated i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elied upon human resources to survive. They also sold commodities to the Ming soldiers and bought food they needed. They did not give up their studies and maintained their custom of holding memorial services, even during wartime. That was what they were determined to uphold and preserve even in dire situations, their values, their conviction and their lifestyle. Key Words Imjin-year War with the Japanese( ), Daegu( ), suryeong(, local magistrate), Gyeongsang Jwa-do Province( ), officials forces( ), righteous militias 논문투고일 : 2015.12.5 논문심사일 : 2015.12.10 게재확정일 : 2015.12.26 임진왜란기대구수령의전쟁대응과사족의전쟁체험 33
98(2016.3), 35~74 106)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 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박민주 목차 국문초록 부산에서는 1929년부터 제1기부산하수도건설사업 ( 이하제1기사업 ) 이진행되었다. 제1기사업은 1927년부터논의가시작되었다. 그리하여부산부협의회에서 50만 5천원규모의 5개년공사를내용으로하여사업을진행하기로하였다. 이후 1929년에총공사비 26만원의 3개년사업으로최종결정되었다. 사업구역은대창정, 본정, 서정, 부평정, 서부평정, 좌등정, 영정이었다. 이들지역은일본인인구가많았던지역이었으며, 상업중심지였다. 사업내용이확정된이후, 1929년부터공사가시작되었다. 공사는본정, 서정, 부평정, 서부평정, 영정, 좌등정, 대창정순으로진행되었다. 제1기사업은 1932 년종료되었고, 소요된공사비는 25만 6500원이었다. 부산부는사업종료이후 * 이논문은본인의석사논문을수정 보완한것이다 ( 졸고를작성하는데도움을주신모든분들과게재에관하여심사해주신심사위원분들께감사의말씀을드립니다 ). ** 동아대학교사학과석사 / krzone001@naver.com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35
독자적인세출항목으로 하수비 ( ) 를편성하여하수도를체계적으로관리하기시작하였다. 한편, 제1기사업은이전의하수도공사와마찬가지로민족차별적인성격을띠어조선인거주지역을제외한채이루어졌다. 조선인들은부산에서일본인거주지외곽에주로거주하였다. 이들지역은낙후된지역이었으며, 도시기반시설건설에서도배제되었다. 이와같은민족차별적인시정 ( ) 에대한조선인들의불만표출의한사례가 1934년부산부회에서의조선인의원사퇴였다. 1934년부산부회에서조선인의원들은조선인지역의위생시설확충을요구하였다. 그러나이요구는부회내에서의정치적상황과맞물려이루어지지못했고, 의원들은사퇴하기에이르렀다. 조선인의원사퇴는이후부산부의설득에의해끝내철회되었지만, 부산의조선인들이도시기반시설정비를절실하게원했음을보여주는대표적인사례였다. 주제어부산부 ( ), 제 1 기부산하수도건설사업, 위생문제, 도시계획, 지 역정치, 공간정치 Ⅰ. 머리말 1876 년조일수호조규 ( ) 가체결된이후일본인들이개항장에이주하기시작했다. 이가운데부산은지리적으로일본과가까웠고, 15세기부터왜관이설치되었기때문에이주해온일본인들의수가다른도시들에비해많았다. 개항기부산은정주하게된일본인들에의한도시발전이진행되었다. 부산의일본인들은일본전관거류지 ( ) 를중심으로거주지역을확대해갔다. 부산은지형적특성상평지가부족했기때문에이들은매축공사등을진행하였고, 근대도시의기반시설들을함께정비하였다. 이것은일제강점기에진행되었던도시개발사업으로이어졌다. 이시기정비했던도시기반시설가운데상하수도시설은전염병예방과같은공중위생의향상을위해반드시필요한시설이었다. 특히하수도는 오수처리 를수행한다는점에서 깨끗한물의공급 을수행하는상수도에못지않은중요성을가지고있었다. 또한하수도는근대위생담 36 역사와경계 98(2016.3)
론이작용하는대표적인시설이라는점에서도근대도시이해에도움을얻을수있는시설이었다. 당시근대도시에영향을주었던공중위생개념은근대서구의개념으로일본을거쳐조선으로유입된것이었다. 서구에서는 19세기에들어서서병인 ( ) 으로써 세균 이발견되었고, 근대위생개념이확립되었다. 그이후우리의몸을좀더철저히관리해야한다는필요성이제기되기시작했다. 그러한필요성에따라서구의도시도새롭게구조화되었다. 1) 이러한구조화에서가장중요했던것이물이었다. 이와같은흐름속에서서구의상하수도가근대적으로정비되었으며, 일본에서도 19세기말부터정비되었다. 조선에서는개항이후대한제국에의해정비되기시작하였고, 조선에들어온일본인들에의해서도정비가이루어졌다. 2) 본글에서는개항기부터일제강점기재조일본인들에의해건설되었던조선의상하수도시설가운데서부산하수도시설을다루려한다. 그리하여이시기의하수도시설건설이앞에서언급한근대위생개념이조선의도시에서적용되었던하나의사례였다는것을밝히는것을목적으로한다. 이때도시계획실행의부분에서하수도건설을통해부산부와부산부협의회라는지방세력이영향력을미쳤는가를함께파악하려한다. 또한조선에서일본인들의주도에의해진행되어민족차별적성격을띤도시개발사례중의하나였음을논하려한다. 한국의하수도시설에관한연구는주로도시계획, 도시공학과같은분야에서이루어졌으며, 역사학의경우에는근현대도시사연구분야에서다루고있다. 재조일본인들에의한조선의하수도시설을다룬선행연구를살펴보면, 손정목이나김의환, 김용욱등에의해선구적인연구가이루어졌다. 3) 그이후부산거류민단에의한상수도시설공사연구 4) 나 1) 조르주비가렐로, 깨끗함과더러움 ( 서울 : 돌베게, 2007), 295 쪽. 2) 김정란, 근대해항도시부산에서의콜레라유행과그대응 일본인거류지운영과상수도설비과정을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4(2011), 14 쪽. 3) 손정목, 한국개항기도시변화과정연구 ( 서울 : 일지사, 1982).; 손정목, 일제강점기도시계획연구 ( 서울 : 일지사, 1990).; 김의환, 부산근대도시형성사연구 ( 서울 : 연문출판사, 1973).;, 의 2(1963). 4) 김승, 한말부산거류일본인의상수도시설확장공사와그의미 한국민족문화 34(2009).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37
청계천정비를둘러싼경성부협의회에서의논의과정을다룬연구 5) 등에서하수도시설이언급되었다. 또한일제강점기서울에서의상하수도와우물과의관계를다룬연구, 6) 1885 년부터 1910 년까지한성부내일본인거류지에서의근대적위생사업에관한연구, 7) 일제강점기청진의도시개발을논한연구 8) 등에서도다루어졌다. 이들선행연구는일본인에의한하수도시설공사에대한이해를넓히는데도움을얻을수있다. 그러나독립적인연구의소재가아닌점으로인해구체적인내용을알기어렵다는한계가있다. 또한지역의하수도시설에대한연구가부족하다는한계점을들수있다. 그리하여본글에서는구체적으로일제강점기부산부에서진행되었던하수도건설사업에대해다루려한다. 9) 일제강점기부산부에서는조선총독부에의해총 2번의대규모하수도건설사업이진행되었다. 첫번째는 1929 년부터 3개년사업으로 1932 년까지진행되었으며, 두번째는 1936 년부터시작되어첫번째사업과마찬가지로 3개년사업으로진행되었다. 본글에서는첫번째사업을중심으로논지를전개하려한다. 첫번째사업은개항기를포함하여일제강점기를통틀어부산부에서대규모로진행되었던최초의하수도건설사업이라는점에서의의를갖고있다. 또한부산부의하수도시설이이사업이후부터독자적인예산이편성되어관리되기시작했다는점에서도중요한사업이다. 본글은먼저 1929년부터시작된부산하수도건설사업의배경에대해서서술한다. 이를위해선행연구들과조선총독부가발행한 부산도시계획서 ( ), 부산일보 ( ) 조선시보 ( ) 5) 염복규, 식민지시기도시문제를둘러싼갈등과 민족적대립의정치 : 경성부 ( 협의 ) 회의 청계천문제 논의를중심으로 역사와현실 88(2013). 6) 김백영, 일제하서울의도시위생문제와공간정치 상하수도와우물의관계를중심으로, 68(2009). 7) 이연경 김성우, 1885~1910 년한성부내일본인거류지의근대적위생사업의시행과도시변화 대한건축학회지 28(2012). 8) 송규진, 일제강점기 식민도시 청진발전의실상 사학연구 110(2013). 9) 본고에서의부산부행정범위는 1914 년부제 ( ) 실시이후에설치된부산부에소속된지역이다. 또한 1936 년동래군서면과사하면암남리가편입되기이전까지의부산부를의미한다. 38 역사와경계 98(2016.3)
동아일보 ( ) 조선일보 ( ) 와같은당시신문자료를이용한다. 그리하여부산의개항과일본인거주지확장, 일제강점기초조선에서의도시개발, 개항이후부터 1920 년대까지의부산하수도시설의건설등을다룬다. 다음으로 부산부협의회회의록 ( ), 부산부세입출결산 ( ), 부산도시계획서, 신문자료, 하수도사업관련조선총독부문서등을활용하여 1929~1932 년부산하수도건설사업의전반적인내용을서술하려한다. 이때의전반적인내용에는사업의결정과정과진행과정및결과, 사업의한계등을포함한다. Ⅱ. 개항이후 1920 년대까지의부산하수도건설 부산이 1876 년개항된이후일본정부는조선정부와조약을체결하고조선으로의이주를장려하였다. 그결과, 개항이후부산의일본인인구는폭발적으로증가하였다. 부산재조일본인들은개항이후부산항가까이에위치했던초량왜관을중심으로조성된일본전관거류지에거주했고, 이를토대로생활권을점차확장해갔다. 거류지에는용두산을중심으로일본영사관등정부기관이설립되었고, 용두산동쪽을중심으로거주지가형성되었다. 10) 부산은지형적인특성상산이많고, 넓은평지를갖고있지못하였기때문에일본인들이거류지에서자신들의영향력을넓히기에는한계가있었다. 이에일본인들은생활권확장을위해대규모공사를여러차례진행하였다. 그리하여북빈매축공사 ( ), 영선산착평공사 ( ), 부산진매축공사 ( ) 등이이루어졌다. 공사가진행되면서일본인들은부산북부지역과부산진방면으로영향력을확장하게되었다. 이시기부산에서는일본인들이거주하는지역의도시기반시설정비도함께이루어졌다. 앞서언급한공사의부속공사로써도로, 수도, 항 10) 아이사키코, 부산항일본인거류지의설치와형성 개항초기를중심으로 도시연구 : 역사 사회 문화 3(2010), 21 쪽.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39
만시설등에대한공사가진행되었다. 일본인들에의한부산의확장은 일본인인구의증가로이어졌다. 조선인들도부산확장을위해이루어진 공사로인해부산으로유입되었기때문에조선인인구도증가하였다. 11) 개항이후진행된일련의도시개발은부산을근대도시로변모시켰다. 부산의근대하수도시설도개항기부터정비되기시작했다. 이시기부 산일본인들은콜레라와같은전염병이발생하는것은조선인들이불결하 기때문이라고생각하였다. 12) 또한위생에대한인식이낮은조선인들이 일본인지역에출입하는것도하나의원인으로보았다. 13) 이때당시위 생은주로 전염병으로부터목숨을지켜준다 는뜻을지녔고, 단순한방역 을넘어서신체의건강을유지하기위한하위개념으로이해되었다. 14) 또한당시부산은인구와가옥이증가하고교통이빈번하여청소가잘 이루어지지않고, 전염병도증가하고있었다. 15) 일본인들은자신들의거 주지를위생적으로만들고전염병을예방하기위한하수도시설의필요 성을인식하고있었다. 이에이시기만들어진하수도는도로중간에설 치되어오수가빨리배출되도록하고, 덮개를한시설이었다. 16) 또한영 선산착평공사당시새로운시가지의배수를위하여양측은돌로만들 고, 뚜껑은철근콘크리트로만든암거 ( ) 공사가진행되었다. 굴착지 에는구거 ( ) 가구축되었고부산역주변의구거도정리 개선되었다. 17) 1891 년제정, 1902 년개정된 청결에관한취체규칙 ( ) 에서는하수류 ( ) 의건설과관리방법이규정되었다. 이밖에 1904 년 부산영사아리요시 [ ] 에의해거류지와주변지역을대상으로도로 정비및상하수도개량공사를위한 부산거류지도로및상하수도개량 11) 이시기부산의인구증가에관해서는홍순권, 일제시기부산지역일본인사회의인구와사회계층구조 역사와경계 51(2004) 을참조. 12) 전염병발생, 위생등과관련하여개항기부산전관거류지일본인들이조선인에대해어떠한인식을가졌는지에대해서는김정란, 근대해항도시부산에서의콜레라유행과그대응 일본인거류지운영과상수도설비과정을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4(2011) 을참조. 13) 정영란, 부산시의분뇨처리 ( 부산 : 부산환경공단, 2013), 53 쪽. 14) 신동원, 호환마마천연두 ( 서울 : 돌베개, 2013), 123 쪽. 15) 정영란, 부산시의분뇨처리 ( 부산 : 부산환경공단, 2013), 53 쪽. 16) 정영란, 위의책, 53 쪽. 17) 김의환, 부산근대도시형성사연구 ( 서울 : 연문출판사, 1973), 72 73 쪽. 40 역사와경계 98(2016.3)
공비예산서 와 부산항일본거류지관내도 가외무성에제출되기도하였다. 18) 한일병합이후에도정비는계속되어 1910 년대중반에는초량바닷가쪽의하수개축공사가진행되었다. 19) 또한 1920 년대에진행된 시구개정 시기에도시행되었다. 이때부산도시계획을위한하수도설비현황조사가이루어지기도하였다. 20) 개항이후 1920 년대까지부산에서건설되었던하수도시설에관해서는다음의표와그림을통해참고할수있다. ( 단위 : m) 구역 간선 지선 길이 구조 비고 a지선약 18 개거제5간선 80 암거제1구제18간선 65 보수천 665 개거 164 제1간선 370 암거 시구개정당시시공 b지선 96 시구개정당시시공 제2간선 139 제3간선 349 일부시구개정당시시공 제2구 제4간선 139 제5간선 360 개거 제7간선 390 제8간선 680 제 9 간선 130 331 암거 a 지선 90 개거 시구개정당시시공 18) 김정란, 근대해항도시부산에서의콜레라유행과그대응 일본인거류지운영과상수도설비과정을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4(2011), 20 쪽 19) 부산일보, 1915.7.10.(2), の 20) 조선시보, 1924.5.23.(2), の と の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41
제 10 간선 90 210 암거 b지선 90 개거 계 4,446 개거 2,577m 암거 1,869m * 출전 : 조선총독부내무국토목과, 부산도시계획서, 1930, 153~154 쪽. * 출전 : ( 좌상 )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근대지도모음집 ( 부산 :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2012). 중 22. 부산부전도, 1934 의일부 ; ( 중간 ) 조선총독부내무국토목과, 부산도시계획서, 1930. 중 부산도시계획서하수도계통도 의일부 42 역사와경계 98(2016.3)
< 표 1> 과 < 그림 1> 은조선총독부가부산에진행했었던도시개발과향후의도시계획에대한내용을담아 1930 년에발행한 부산도시계획서 에수록된것이다. 21) < 표 1> 에서 부산도시계획서 가제작될당시까지부산에서건설된하수도시설을확인할수있다. 조선총독부에의한첫번째부산하수도사업이 1929 년부터시작되기때문에 1930 년에나온 부산도시계획서 에수록된 < 표 1> 의기설하수도는 1920 년대까지의하수도시설임을알수있다. < 표 1> 상의제1구는현재의부산서구지역이며제5간선은서구충무동, 제18간선은현부산도시철도자갈치역부근이다. 보수천 ( ) 은부산서구와중구를흐르는천으로현재의보수천과동일한하천이다. 다음으로제2구는현부산중구 동구지역이며제1간선은현중구대청동부근이다. 제1간선부터현동구좌천동부근까지제10간선이이어진다. 이때제1구에서제5간선과제18간선만이기설하수도시설로언급되는것은, 부산도시계획서 에서기존에건설된구역과향후건설할구역을모두포함하여구역을설정하였기때문으로생각된다. < 표 1> 과 < 그림 1> 에의하면당시일본인들이많이거주했던현재의충무동, 남포동, 동대신동, 초량동, 좌천동부근에하수도가건설되었음을알수있다. 이때, 일본전관거류지는한일병합이후에도일본인의중심거주지가되었으므로거류지가있었던현재초량동지역의하수도 (< 표 1> 상의제2구 ) 는개항기에건설되었을가능성이크다. 하지만이시기근대하수도시설은조선인들이많이거주하고있던지역에는건설되지않았기때문에민족차별적인성격을띠었다. 일본인지역에만하수도가건설되었던것은자신들의지역을위생적으로만들어외부에서유입될수있는비위생적인요소를사전에차단하고, 혹은유입이되더라도이를신속히배제하기위한의도로진행된것으로보인다. 21) < 그림 1> 의왼쪽위에수록한지도는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이발행한 부산근대지도모음집 중에서 1934 년에발행된 부산부전도 를수록한것이다. < 그림 1> 중좌상의그림은 1920 년대까지의부산하수도건설이당시부산부에서어느지역에건설되었음을이해하기위한목적으로수록하였다. 좌상의그림에서노란색네모로표기한부분이 1 구에해당하는지역이며, 붉은색네모가 2 구에해당하는지역이다.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43
한편, 1920 년대까지하수도건설은이시기조선에서의도시개발열풍과도관련있었다. 재조일본인들은개항기부터자신들이살고있는지역의개발을원하였다. 이것은행정기관에대한청원, 상업회의소에서의활동등을통해꾸준히표출되었다. 이에조선총독부는 1910 년대초반부터각도시에시구개정을실시하여도시를개발하기시작하였다. 22) 이시기의시구개정은도시의도로 교량 하천을근대적으로정비함으로써구획별로건축물의근대화를달성한다는도시계획의초보적인개념으로진행하는사업을의미했다. 23) 그리하여경성, 부산, 평양, 진남포, 신의주의 5 개부 ( ) 와전주, 진해, 진주, 해주, 겸이포, 함흥의 6개면 ( ) 에 1930 년대초까지시구개정사업이진행되었다. 24) 또한조선총독부내무국은 1920 년대초반에일본의도시계획법에영향을받아도시계획령을제정해우선적으로경성, 부산, 대구, 평양에도시계획사업을진행하려하였다. 25) 그러나내무국의도시계획령은총독부내에서아직 시기상조 라는반응이나옴에따라조선시가지계획령이논의되기전까지논의가중지되었다. 26) 이러한일련의상황에는도시개발에대한재조일본인들의욕구도반영된것이었다. 부산에서진행되었던매축, 착평공사, 시구개정사업, 대부산건설계획 등도같은경우였다. 시구개정이진행되면서도시개발과정의하나로각도시에서근대하수도건설이함께이루어졌다. 당시조선총독부는 조선시가의하수설비는불안전하여오수가길가에버려지거나, 토지에스며들어지하수를오염시켜위생상위해를끼치고있다 면서하수도건설을추진하였다. 27) 그리하여경성, 대구, 평양, 진남포, 전주등에서시구개정과하수도건설이병행실시되었다. 또한대전, 이리, 군산, 광주, 원산, 선주등에서는하수도건설을주로하면서가로 ( ) 공사가부수적으로병행 22) 손정목, 일제강점기도시계획연구 ( 서울 : 일지사, 1990), 101 쪽. 23) 손정목, 위의책, 101 쪽. 24) 손정목, 위의책, 112 쪽. 25) 동아일보, 1922.12.23.(2),, ; 1925.1.28.(1),, 를 26) 염복규, 일제하경성도시계획의구상과시행 ( 서울 : 서울대학교, 2009), 96 쪽. 27) 조선총독부, 조선토목사업지 ( ), 1937, 810 쪽. 44 역사와경계 98(2016.3)
되었다. 28) 부산에서는 < 표 1> 에서도확인할수있듯이시구개정과병행하여하수도건설이진행되었다. 이처럼개항기부터 1920년대까지부산에서는근대하수도시설이꾸준히건설되었다. 그러나이시기건설은체계적으로진행된것은아니었다. 당시의이러한상황에관해서는위생을위하여계통적인조사를바탕으로하수도가건설되어야한다는의견이제기될정도였다. 29) 부산의위생문제도꾸준히언론을통하여보도되었다. 부산부의위생인부 ( ) 가부산공설시장에서나온오물통을보수천에서씻고있으며, 이것은전염병의원인이될것이라는보도가대표적이었다. 또한부산항의위생이형편없으며, 항구의오수가도로위로흘러내리고있다는등의문제제기도있었다. 30) 이것은이시기까지진행되었던하수도공사가일본인들이만족하는수준에까지이르지못했다는것을의미했다. 건설이체계적으로이루어지지도않았지만, 그나마건설되었던시설도비위생적인상황을개선해주지못했던것이다. 이밖에개항기부터만들어진시설은점차노후화됐기때문에개량이필요했다. 또한일본인인구역시꾸준히증가했기때문에새로운하수도시설의건설이요구되었다. Ⅲ. 사업의수립과시행 1. 사업계획의수립 부산의근대하수도건설은앞서언급하였듯이개항기부터 1920 년대 까지진행되었다. 그러나늘어난인구로인해발생하는많은오수를체 계적으로처리할수있는새로운시설의건설과기존시설의개량을필 요로하게되었다. 총독부는이를해결하기위해부산부하수도건설사 업을 1929 년부터 3 개년으로진행하기로하였다. 31) 제 1 기사업은 1920 28) 손정목, 일제강점기도시계획연구 ( 서울 : 일지사, 1990), 113 쪽. 29) 부산일보, 1925.6.10.(1), ( ) 30) 조선시보, 1923.1.21.(3), で を ふことを める ; 1923.1.21.(3), も も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45
년대중반이후다시진행된총독부의부산도시계획에포함되었던사업 중하나였다. 또한, 이사업은총독부의의중뿐아니라부산부에거주하 는일본인들의바람이반영되었던것이기도하였다. 제 1 기사업은사업 지역등을결정하는실무적인부분에서부산부와부산부협의회가관여하 였고, 이후총독부에의해서최종결정되었다. 구체적인공사역시부산 부에의해서시행되었다. 총독부는제 1 기사업에관한내용을 부산도시 계획서 에수록했다. 제 1 기사업은 1923 년사업의착수가결정되었다. 32) 이후 1927 년부터 구체적인논의가진행되었다. 그것은사업을실시할구역과사업에필요 한예산확보에대한것이었다. 1927 년 3 월 18 일부터진행된부산부협 의회에서제 1 기사업에관한논의가이루어졌다. 야마우치 [ ] 부 산부이사관 ( ) 은 하수도를완성하고도로포장공사를하는것이 좋다고생각 되며, 도로의개선을위해서는하수도의완성과함께진행 할필요가있다 는의견을피력하였다. 33) 같은회의에서요시오카시게 미 [ ] 의원은부산부하수도를완전하게해주었으면한다는발 언과함께 1927 년도예산에는어느정도의예산이계상 ( ) 되어있는 가 라는질문을하였다. 이에야마우치부이사관은 하수도문제는당면 한문제이기때문에제 1 계획에서는사업예산을 1 백만원으로잡고있으 며, 계획의실행을위해국고와지방비보조를신청할것 이라답하였다. 또한도로포장계획도하수도공사와동시에시행하려고한다는답도덧 붙였다. 34) 앞서언급하였던논의와제 1 기사업이전까지의상황을함께볼때, 31) 이때의하수도건설사업을당시발행되었던신문이나 부산부협의회회의록, 부산부세입출예산 등에서는별도의명명을하지않고 부산부하수개수공사 라는명칭을사용하였다. 그러나사업이종료된후에진행된다음사업에대해서는 제 2 기부산하수도공사 등과같이사업명 ( ) 에 제 2 기 를붙여사용하는것을확인할수있다. 이에본고에서는첫번째하수도건설사업을제 2 기하수도공사사업이전에진행되었던사업이라는의미에서 제 1 기사업 으로표기한다. 32) 조선시보, 1923.7.22.(2), で に を に ち の 33) 제 1 회부산부협의회제 1 차회의록, 1927. 34) 제 1 회부산부협의회제 2 차회의록, 1927. 46 역사와경계 98(2016.3)
부산부는하수도문제를급히처리해야할문제로생각하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부산부협의회에서사업구역에대한논의가이루어진것을통해서볼때, 사업의기초계획이조선총독부라는중앙에서결정이되어하향전달된것이아님을확인할수있다. 이는당시도시개발사업에지방의의견이반영되었음을추측하게한다. 이와같은제1기사업과관련한내용은 1927 년 3월의논의에서최초로확인할수있다. 또한 1927 년 6월부터는언론매체에서도관련된내용을확인할수있다. 1927 년 3월협의회에서의논의이후같은해 6월 24일의협의회에서는도로및하수도개량공사의시행을위한국고및지방비보조신청에대한논의가이루어졌다. 이날야마우치부이사관은하수도의완성을위해서는앞서제시하였던예산 1백만원의 2배인 2백만원이필요할것이라예상하였다. 그러면서이를위해예산보조를신청하려하니협의회의승인을바란다는발언을하였다. 이과정에서협의회의원들은 제 1기이후에도계속해서사업이진행되기를바란다, 예산보조신청승인에대해회의소집이너무긴박하다, 35) 제1기사업의시행구역이인구밀도를기준으로정했다고하나공평한계획이라생각하지않는다 36) 는등의여러의견을내었다. 37) 1920 년대부협의회가부의자문기관성격으로이미결정된부의정책을형식적으로승인하는역할을맡고있었다고는하나, 의원들이하수도공사에높은관심을보이는것을확인할수있다. 이를통해부산부협의회의원들도부산부와마찬가지로하수도시설을중요하게인식하고있었음을알수있다. 또한이와같은인식들은부산부토목관료의인식속에서도확인할수있다. ( 중략 ) 우리의부산부가중요한번화가에대해서 12 간 ( ) 이상의간선도로가 없는것은정말로유감이나새삼스럽게확장도불가능하기때문에내년도 35) 이것은야마우치이사관이예산보조신청서를회의다음날인 6 월 25 일까지제출해야한다고했기때문에나온반응이었다. 36) 여기서공평한계획이라생각하지않는다는발언은사업구역을행정구역별로의발전상태나상황등을고려하지않은채, 단순히인구밀도만으로선정하였기에나온불만으로생각된다. 37) 부산일보, 1927.6.25.(2), と かる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47
예산으로하수도를근본적으로시설 ( ) 하는것과함께간선의모든도로를포장하는것을결정하여, 국고보조신청을하게되었 ( 다 ). 종래부산의전염병발생은다른조선내도시보다도많다. 보통티푸스와같은것은수도와하수 ( 도 ) 가완비된다면그발생이격감 ( ) 하므로부산도지금공사중인상수도와하수 ( 도 ) 의완비를통해도시의큰불명예가되는티푸스그외의전염병을박멸하고싶다. 도로포장은그하수계획이나지하매설물과밀접한관 ( 계 ) 가있으므로동시에시공하는계획인데, 오른쪽과같이간선도로가좁으므로포장에의해교통의소통을계획하는데필요 ( 라는면 ) 에서말해도, 시민의편익을위해서 ( 도 ) 꼭필요하다. ( 이하생략, 괄호는필자가넣은것임 ) 38) 인용문은부산부토목주임기사하야미류조 [ ] 가 1927 년에부산일보와한인터뷰의일부이다. 하야미는 부산은종래전염병환자가많은곳 이므로하수도가완비되면전염병환자의발생을막을수있다는논리로하수도시설의필요성을주장하고있다. 여기서하야미의직책인기사 ( ) 는 1920 년대조선전체에서 20~30 명뿐인엘리트기술관료였다. 하야미는토목주임기사였으므로부산부토목관료들을대표했다고봐도무방할것이다. 하야미의지위를놓고볼때부산부의토목관료들사이에서도하수도시설에대한필요성이제기되었음을추측할수있다. ( 단위 : 명 ) 콜레라 적리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파라티푸스 계 1918 0 104 99 0 0 203 1919 177 183 95 9 0 464 1920 708 56 46 0 0 810 1921 0 52 188 0 0 240 1922 0 134 107 0 6 247 1923 0 81 116 0 7 204 1924 0 57 75 0 8 140 1925 0 179 129 0 15 323 1926 0 47 138 0 12 197 1927 0 97 141 0 13 252 38) 부산일보, 1927.6.22.(2), の は づ の から 48 역사와경계 98(2016.3)
두창 성홍열 디프테리아 유행성뇌척수막염 계 1918 2 4 39 0 45 1919 376 18 31 0 425 1920 28 12 9 0 49 1921 36 13 10 0 59 1922 378 14 18 0 410 1923 28 190 17 0 235 1924 3 374 19 1 397 1925 1 31 20 5 57 1926 4 29 19 4 66 1927 2 32 23 6 63 * 조선인, 일본인, 외국인을모두합한수임 * 출전 : 부산부내무계, 부산부위생시설개요 ( 부산 : 부산부, 1928), 12~14 쪽을정리 또한, 부산은전염병환자가많은곳이라는하야미의발언에관해서는부산부내무계가부산부의전반적인위생상황에대한내용을담은 부산부위생시설개요 ( ) 를참고할수있다. 부산부위생시설개요 에서는조선인환자수에대하여불명확한부분 39) 이있으나, 1918 년부터 1927 년까지당시에발생하였던콜레라, 적리 ( ) 등과같은전염병환자수현황을수록해놓았다. < 표 2> 를통해서부산에서매년마다전염병환자가늘지는않지만꾸준하게환자가발생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를바탕으로생각할때, 부산의전염병에대해언급하고있는하야미의발언은신빙성이없는것은아니었다. 이밖에 부산부위 39) 조선인환자수에대한부분은편집상글에수록된표에서는확인할수없으나, 실제 부산부위생시설개요 를살펴보면조선인환자수가일본인수에비해적은것을확인할수있다. 예를들면 1927 년의적리환자수가일본인이 43 명, 조선인이 4 명, 외국인이 1 명인식이다. 1927 년부산의인구중조선인인구는일본인인구에비해약 1.7 배많았었기때문에단순하게인구수로만생각해도예와같은환자수가나올수없다. 이것은환자수를병원을찾았던환자에한정하여집계하였기때문일가능성이크다. 당시에는서양식병원에대한거부와유료진료등으로인해병원을찾는조선인들이많지않았기때문이다. 그리하여일본인환자수가조선인에비해더많은결과가도출된것이라할수있다. 당시조선인들의서양식병원에대한거부감에대해서는신동원, 호환마마천연두 ( 서울 : 돌베개, 2013) 을참조.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49
생시설개요 에서는전염병이다수발생하는원인을 음식을주의해서섭 취하지않은것 과 환자발견이늦어지는경향 으로분석하였다. 40) 이 때오염된음료수역시주의해야할음식의하나이므로, 이러한전염병의 원인에대한분석또한앞서언급한인식이형성되는것에영향을주었 을것이다. 이처럼부산부협의회와부산부관료들은부내의하수도정비에대해 관심을갖고그필요성을인지하고있었다. 그리하여 1927 년도로포장과 하수공사를 88 만원규모의 5 개년공사로제 1 기사업을진행하기로하 였다. 이때도로포장에는 37 만 5 천원, 하수도공사비로는 50 만 5 천원이 책정되었다. 재원은 29 만 3 천원의국고보조와 5 만원의지방비보조를 받으며, 나머지는부채 ( ) 로충당하는것이되었다. 부채는시구개정 비를사용하여 20 년동안상환하게하였다. 41) 1927 년에결정된예산을단순금액으로보면, 하수도공사비가협의회 에서제시되었던 2 백만원의반도되지않는금액이책정되었다. 그러나 도로포장으로책정된금액보다많은금액이책정되어하수도공사의중 요성과비중이높았음을알수있다. 이것은부산부의의견이반영된것 으로보인다. 하수도공사를우선시하였던야마우치부이사관의앞선 발언을통해서볼때, 부산부가하수도공사의비중을높게해야한다고 총독부에피력하였고총독부가이를받아들인결과인것이다. 1927 년에결정되었던제 1 기사업내용은 1928 년에보다구체화되었다. 기존에 88 만원규모로진행될예정이었던사업은 1928 년 5 월도로포장 공사비 35 만원과하수도개량공사비 65 만원을합쳐총 100 만원으로 변경되었다. 1928 년에결정된예산은 1927 년예산에비해서총예산은 늘었으나도로공사비가일부줄어들었고, 하수도공사비는증가하였다. 이를통해전년도인 1927 년과마찬가지로하수도공사의중요성과비중 이유지되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이때의 100 만원중 60 만원은부 비 ( ) 로충당하고 32 만 5 천원은국고보조로충당하는것으로변경되 었다. 사업이실시될구역은대창정 ( ), 본정 ( ), 서정 ( ), 부평 40) 부산부내무계, 부산부위생시설개요, 부산부, 1928, 11 쪽. 41) 부산일보, 1927.6.26.(1), の の を の に ぐ 50 역사와경계 98(2016.3)
정 ( ), 보수정 ( ), 초량정 ( ), 곡정 ( ), 목도 ( ) 등이 었으며, 총길이는 1 만 99 미터로규모면에서도대규모공사였다. 42) ( 단위 : 원, m) 내역 명칭 금액 길이 함형 ( 函形 ) 암거 원형 ( 圓形 ) 암거 길이 폭 높이 길이 지름 대창정 40,000 1,029 170 1.5 1.2 859 0.5-1.2 본정 49,000 1,173 569 1.2-2.0 1.2-1.5 604 0.8-0.9 서정 35,000 606.45 62.15 1.8 1.5 544.3 0.8-1.3 부평정 82,000 1,140 455 1.5-2.0 1.5-2.0 785 0.9-1.3 서부평정 9,500 400 400 0.6-1.0 좌등정 3,000 180 180 0.7-1.0 영정 10,000 150 150 1.2-1.5 1.0 측구 10,500 2,100 사무비 21,000 합계 260,000 6,878.45 1,406.15 3,372.3 * 출전 : 조선총독부내무국토목과, 부산도시계획서, 1930, 151~153 쪽. 공사구역문제 현안개선방법대창정은중요한상업가이자, 평탄한대창정하수도를개량하기로함매립지로써오수의처리가불량함 * 제1지선 : 구 ( 舊 ) 매립신정 ( 埋立新町 ) 일대의배수를완전하게함 * 제2지선 : 용두산 ( 현부산용두산 ) 부터구매립신정, 대창정 1정목본정은부산시가지중가장번성방면에흘러내리는빗물을본정통본정한상업구역으로이구역의배수 ( 本町通 ) 으로모아암거에의해바가잘되도록할필요가있음다에방류하기로함 * 제3지선 : 장수통 ( 長手通 ) 의배수를꾀하는것으로써재래 (?) 암거를이용해그 ( 배수 ) 구조의일부를개조 보강하기로함 42) 부산일보, 1928.5.10.(3), の に へ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51
인구가조밀하여하수개수가필요서정및행정 ( 幸町 ) 의하수도를개서정함량하기로함대청정전차통 ( 電車通 ) 북측일대의언덕으로부터유출되는빗물의부평정하수제2지선을 일부가인가 ( 人家 ) 가조밀한보수등의여러피해를제거하고더욱더정 1정목및부평정 3정목에서범부평정복병산서쪽기슭부터유출되는빗람하고있음. 또한큰비가올때마물을제1지선에서모아간선암거다침수가옥이수십호를헤아려에의해바다에방류하기로함부평정의위생이대단히한심한상태임부산공설시장부근의오수배제가서부평정하수도를신설하기로함불량함대창정 1정목부근에서배수를필좌등정하수도를신설하기로함요로함본정 5정목복병산 ( 현부산복병산 ) 의고지대로부터흘러내리는빗물산진열소가로방향의재래하수영정물및오수가부산역전부근의저구를개수하여제2잔교기부 ( 基部 ) 지대에정체 잔류하는것을막을부근의바다에방류하기로함필요가있음 측구개수 간선하수 ( 도 ) 의개수에따라이것에접속하는측구의일부를개수하기로함 * 출전 : 부산부하수개수공사비충당기채의건 (1929) 부산부관계서류 ( 국가기록원소장, 관리번호 : CJA0002736), 483~485 쪽을재정리 * 괄호는필자가넣은것임 제시한자료중 < 표 3> 은 부산도시계획서 에수록된 부산하수개수 공사실시계획일람표 이다. < 표 4> 는 부산부관계서류 에수록된제 1 기사업의 공사구역및대요 ( ) 를바탕으로새롭게정리한표이다. 두자료를통하여구체적인공사구역과각구역에소요되는경비등을 확인할수있다. 먼저, 제 1 기사업에는최종사업지역으로현재의부산동구와중구일 대인대창정, 본정, 서정, 부평정, 서부평정 ( ), 좌등정 ( ), 영 정 ( ) 이선정되었다. 43) 여기서본정과영정은 < 표 1> 에서확인하였던 43) 좌등정의경우에는 1912 년부터 1931 년까지진행된바다매립공사이후동명을다시제정하는과정에서 1927 년지지정 ( ) 과함께대창정일정목 ( ) 으로통합되었다. 부산부관계서류 에서좌등정이그대로사 52 역사와경계 98(2016.3)
이미하수도공사가진행되었던구간이포함된지역이다. 나머지는 < 표 1> 에수록되지않은지역이다. 이때 < 표 1> 에는수록되지않았으나 < 표 4> 에서개수할것이결정된지역도존재했다. 이를통해제1기사업에서본정과서정, 영정, 대창정에서는기존하수도시설의개량과신설이함께진행됐으며, 이외의지역에서는하수도신설이이루어진것을알수있다. 소요경비의면에서보면, 제1기사업은처음계획된 5개년사업에서예산문제로인해 3개년사업으로최종결정되었다. 총공사비역시같은문제로 65만원에서 26만원이되었다. 44) 사업공사비는 9만원은국고보조, 3만원은지방비보조를받으며, 나머지 14만원은기채 ( ) 로하여충당하기로하였다. 기채의연이율은 6분 ( ) 8리 5모이내로하고, 1932 년에우선 5만원을갚기로하였다. 또한 1933 년부터 1952 년까지나누어보조금및일반세입으로상환하는것이되었다. 부산부는하수도공사이후에도로공사를한다는조건으로하수도공사의공사비보조를인정받아공사를진행하기로하였다. 제1기사업의시행년도별지출액과보조액에대해서는다음표를참고할만하다. ( 단위 : 원 ) 지출 재원 년도 사무비 공사비 계 국고지방비보조보조 기채 계 1929 7,000 80,000 87,000 10,000 10,000 67,000 87,000 1930 7,000 78,000 85,000 40,000 10,000 35,000 85,000 1931 7,000 81,000 88,000 40,000 10,000 38,000 88,000 계 21,000 239,000 260,000 90,000 30,000 140,000 260,000 * 출전 : 부산부하수개수공사비충당기채의건 (1929) 부산부관계서류 ( 국가기록원소장, 관리번호 : CJA0002736), 459 쪽. 용되고있는것은통합된대창정일정목에서과거좌등정이었던구간을사업지역으로선정하였기때문인것으로생각된다. 일제강점기부산의동명변화에관해서는이병운, 부산행정구역지명의변천사 한국민족문화 29 (2007).; 동아일보, 1927.7.15.(4), 에서, 을 으로 를참조. 44) 부산일보, 1929.3.9.(8), 々 ; 1929.8.9.(9), の の は り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53
( 단위 : 명 ) 정동별 일본인 조선인 외국인 합계 남부민정 127 2,439-2,566 녹정 740 349 6 1,095 초장정 1,599 4,237 4 5,840 토성정 1,749 461 5 2,215 곡정 247 4,305-4,552 부민정 781 624 1 1,406 중도정 546 1,528 1 2,075 대신정 2,061 10,912 6 12,979 보수정 3,787 2,189 13 5,989 부평정 5,588 526 17 6,131 대청정 1,890 197 5 2,098 복전정 221 3-224 서정 2,405 103 29 2,537 행정 1,167 98 3 1,268 남빈정 1,417 197 7 1,621 변천정 1,186 135 9 1,330 본정 1,868 628 17 2,513 대창정 2,217 727 15 2,959 영정 815 180 18 1,033 영주정 518 9,212 54 9,784 초량정 3,846 9,560 345 13,751 수정정 1,947 5,342 100 7,299 좌천정 519 4,506 25 5,050 범일정 939 6,159 17 7,109 영선정 4,336 9,315 16 13,667 청학동 53 926-979 동삼동 28 1,517-1,545 항만 39 1-40 합계 42,642 76,370 643 119,655 * 출전 : 장선화, 1920 30 년대부산의공업발전과도시구조의변화 ( 부산 : 동아대학교, 1998) 에서발췌해재정리함 다음으로선정된사업지역대해자세히알아보려한다. < 표 6> 은 1929 년부산의행정구역별인구수를정리한표이다. 제 1 기사업지역은 < 표 6> 45) < 표 5> 에서제 1 기사업구역을굵은글씨와 문자로표기하였다. 좌등정의경우에는대창정에포함되어있기때문에따로표기되어있지않다. 54 역사와경계 98(2016.3)
에서확인할수있듯 1929 년현재일본인인구가조선인인구보다작게는 3배, 많게는 20배이상이많은지역이었다. 당시부산에는대신정 ( ), 초량정, 영선정 ( ) 등총인구의약 10% 에해당하는 1만명이넘는인구가살고있는행정구역도존재했다. 도시전체의위생과전염병예방이라는측면에서본다면, 이들지역에대한하수도공사는필수적이었다. 그러나이들지역은모두제1기사업에서제외되었다. 이때이세지역은일본인인구에비해서조선인인구가많다는공통점을가지고있음을 < 표 6> 을통해서확인할수있다. 이를통해제1기사업은사업지역선정에 민족차별에따른 우선순위가적용되어, 일본인인구가많고일본인중심의행정구역이우선적으로선정되었던것으로이해할수있다. 또한사업지역의선정에는부산부협의회의원들의출신성분과도연관이있었다. 제1기사업지역은 1926 년 11월에당선된제3기협의회의원들에의해서결정되었다. 제3기협의회는총 30명의의원으로구성되었는데, 조선인의원은 3명이었고일본인의원은 27명이었다. 여기서조선인의원 3명은상업자본가 1명을포함하여모두자본가출신이었으며, 일본인의원중에서도상공업자들이많았다. 46) 상공업자를포괄하는자본가출신의원이많은제3기협의회에서결정된제1기사업지역에는상업과관련된지역이많이포함되었다. 한편, 일본인들은상업지와주거지를구분하지않았기때문에, 일본인회사가많았던당시상업관련지역은자연스레부산에서일본인인구가많은지역이기도했다. 이것이반영되어결정된제1기사업지역중에서상업중심지는대창정과본정, 서부평정이었다. 이들지역에는각각은행을포함한주요회사 ( 대창정, 본정 ) 과부산공설시장 ( 서부평정 ) 이자리잡고있었다. 사업이시작된 1929 년현재부산에는본점과지점을모두포함하여 175개의회사가있었다. 이가운데대창정과본정은각각 44개와 19개의회사가존재했을정도로상업이발달하였고회사가다른지역보다많았다. 또한부산의상업지역은 1920 년대초반까지는거류지가중심이었는데, 20년대 46) 이에관해서는홍순권, 근대도시와지방권력 ( 부산 : 선인, 2010), 354 356 쪽을참조. 일제강점기부산부하수도건설사업의진행과정과한계 (1929~1932) 55
후반으로가면서매립지쪽으로중심지가이동하였고상점가와야점 ( ) 도확장되었다. 47) 매립지쪽에서는특히대창정에회사가집중적으로분포하였다. 본정이부산에서가장번성하는상업구역이며, 대창정이중요한상업지역이라는 < 표 4> 의설명은이를잘나타낸다. 서부평정의부산공설시장은부평정시장 ( ) 을의미했다. 부평정시장은영정시장 ( ) 과함께 1915 년 9월 1일자로부영 ( ) 으로하여개시 ( ) 하였다. 여기서영정시장은성적이좋지않아 1916 년폐지되었고, 부평정시장은이후전국에서가장큰규모의공설소매시장으로성장하였다. 48) 부산부는 1914 년실시된시장규칙에따라자연발생적으로만들어져경영되었던사설시장을매수하거나대여하여부영시장을만들어갔다. 또한대여한사설시장을확장하여그것을인수하기도하였다. 1922 년이되면부평정시장은부산부의모든시설을인수하여진정한의미의부영시장이되었다. 부산부는 1920년대초부영시장을정비하면서시장주변을정리하였다. 이때 종래시장부근의도로는음식물, 야채, 해산물등의조선인행상인으로가득차통행의장애는물론비위생적으로아주무질서 하다는이유로위생적인부분에서도로, 하수도등이정비되었다. 부산공설시장의정비는 1920 년대후반까지이어져제1 기사업의사업구역에도선정되었다. 이를종합해보면제1기사업의사업지역은부산내지역별민족적인구구성과함께상업중심지와같이상업과관련된요소들이작용되어결정되었다. 또한부평정시장의경우처럼당시공중위생에대한관심도영향을주었다. 2. 사업시행과결과 제 1 기사업은 1929 년본정부터시작되었다. 본정은거류지의동쪽지 역으로재조일본인들이가장오랫동안거주했던곳이었다. 또한본정의 47) 전성현, 일제시기부산의중심상점가와도시문화 역사와경계 92(2014), 179 쪽. 48) 홍순권외, 일제강점하부산의지역개발과도시문화 ( 부산 : 선인, 2009), 91 쪽. 56 역사와경계 98(20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