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315F31355FB0A3C1F65FBFF8B0EDB8F0C1FD2E717870>

Similar documents
¹é¹üȸº¸ 24È£ Ãâ·Â

DocHdl2OnPREPRESStmpTarget


01 표1+표4.indd


untitle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5 291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03-교통이야기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4-Ç×°ø¿ìÁÖÀ̾߱â¨ç(30-39)

**09콘텐츠산업백서_1 2

¾ç¼ºÄÀ-2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hwp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11

소식지수정본-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È޴ϵåA4±â¼Û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³»Áö_10-6

º´¹«Ã»Ã¥-»ç³ªÀÌ·Î

[ 물리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유체내에서물체의마찰력에미치는 표면무늬에대한연구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홍순철 ( 울산대학교 ) 지도교사 : 김영미 ( 울산과학고 ) 참여학생 : 김형규 ( 울산과학고 ) 노준영 (

wtu05_ÃÖÁ¾

안테나/한지해(001~025)

_¸ñÂ÷(02¿ù)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allinpdf.com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pdf..

96 경첩들어올림 347 타입 A Ø 타입 B Ø 신속하고쉬운도어탈착 모든금속구조재질및마감처리강철, 아연도금또는스테인리스스틸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41018_m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 BFEB2E687770>

차례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CC hwp

<C0CFBABBBFACBCF6BAB8B0EDBCAD28C0CCC8ABC1A4292E687770>

¼øâÁö¿ª°úÇÐÀÚ¿ø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연합뉴스) 마이더스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내지-교회에관한교리

¼Òâ¹Ý¹®Áý¿ø°í.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4 Çмú_±â¼ú±â»ç

레프트21


조선공학일반08강.hwp

ITFGc03ÖÁ¾š

120~151역사지도서3

ÆÞ¹÷-Æîħ¸é.PDF

통계내지-수정.indd

30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¹ßÇ¥¿äÁö

Y Z X Y Z X () () 1. 3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2009°íÁ¾ÈƱ¹»ç ~37š

(중등용1)1~27

<B1B9BEEE412E687770>

CC hwp

LM 가이드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12.5 수정본.hwp

2009_KEEI_연차보고서

LM 가이드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2_안드로이드UI

ROK-WhitePaper(2000).hwp

광주시향 최종22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8표지 앉기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Ù·Î½Ã°£ ´ÜÃà°ü·Ã ¹ýÁ¦µµ Á¤ºñ¹æ¾È.hwp

06평저선(ok)(111~120).hwp

152*220

Transcription:

군역사 역사일반 3 고려말 - 조선중기전함개선과정에관한고찰 교수이명희 공주대학교역사교육과 교사장세옥부여여고 Ⅰ. 머리말 Ⅱ. 고려말누전선 ( 樓戰船 ) 의건조 Ⅲ. 조선전기한선 ( 韓船 ) 구조의정착과맹선 ( 猛船 ) 의운용 Ⅳ. 조선중기판옥선 ( 板屋船 ) 의개발 Ⅴ. 맺음말 군사연구제 125 집 65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말 - 조선중기전함개선과정에관한고찰 Ⅰ. 머리말 현재한국의조선 ( 造船 ) 산업은세계제일의선박수주능력과최고수준의설 계, 그리고건조능력을자랑한다. 그렇다면과거우리의조선능력은어느정도 였을까? 우리는삼면이바다로둘러싸인지형적특성을이용해예로부터활발한 해상교역을펼쳤으며, 배만드는능력이뛰어나동아시아의제해권을장악한적 도있었다. 그러나이러한사실을아는사람은많지않으며, 특히배만드는기술 은일본이나중국에비해막연히뒤떨어졌을것으로추측하는경우가대부분이다. 장보고는신라선 ( 新羅船 ) 을타고동중국해와한반도의남서해, 그리고일본을 연결하는국제무역을장악하여 해상왕 으로이름을떨쳤다. 몽고가두차례에 걸쳐일본을원정할때, 고려사람들은짧은시간에각각 900 여척의전함을전통 적인방식으로만들어냈다. 고려말최무선은종래한선 ( 韓船 ) 의장점을이용하 여군함에화포를탑재한세계최초의함포전술로왜구를격퇴했다. 조선시대에들어와서도화포의명중률을높이기위한노력과함께전함의구조 와성능을향상시키기위한개선작업이지속적으로이루어졌다. 그결과임진왜 란직전에는각종대형화포와함께판옥선이개발되어, 이미일본수군의전력 을압도하고있었다. 임란왜란에서조선수군이승리할수있었던요인을파악하 기위해서는양국의수군제도와군사동원체제, 전함과화포의성능, 전략과전 술, 국제관계등을종합적으로비교 평가할필요가있다. 1) 지금까지연구결과 를보면, 임진왜란당시조선수군이승리할수있었던가장결정적인요인으로 판옥선과함포의성능이일본수군을압도했다는점을지적하고있다. 2) 이가운데조선수군의핵심적인전력을이루었던전함의성능에관해서는일 찍이선박사 ( 船舶史 ) 의차원에서연구가이루어졌다. 김재근은조선중기의주력 전함이었던판옥선및거북선의구조와특성을밝혀냈다. 3) 이에의하면, 고려말 주 1) 임진왜란과관련된연구사적정리로는조원래와이민웅의연구가있다. ; 조원래, 임진왜란사연구의추이와과제 조선후기사연구의현황과과제, 창착과비평사, 2000 ; 이민웅, 임진왜란해전사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2. 2) 김재근, 우리배의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p.215. 3) 김재근, 壬辰倭亂中朝 日 明軍船의특성 임란수군활동연구논총, 해군군사연구실, 1993 ; 김재근, 속한국선박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그외조선수군의전함과관련된연구로는다음과같은논저들이있다. 나종우, 조선수군의무기체계와전술구사 한일관계사연구 10, 1999. 조원래, 임진초기해전의실상과조선수군의전력 조선시대사학보 29, 2004. 김철환, 무기체계발전과정에서거북선의위상 이순신연구논총 3, 2004. 66 군사연구제 125 집

의전함은전통적인한선 ( 韓船 ) 의배밑구조를바탕으로해전에알맞게개선하여건조하였다. 조선시대에들어와서도전통적인한선의구조를기본으로전함개발이꾸준히이루어진결과, 조선중기의판옥선과거북선이만들어지게되었다. 이처럼조선수군이일본수군을압도하는전력을갖추게된배경은조선초기부터지속적으로전함을개발하고성능을개선한결과였다. 본고에서는이러한관점에서조선수군의전함개선과정을고찰하려고한다. 즉, 고려말의배만드는기술로부터조선중기판옥선을개발하기까지의전함개선과정을과학기술사의측면에서살펴보려고한다. 과학기술의발달과정에는인간의합리성과객관성, 그리고실용성이내포되어있다. 고려말의전함으로부터판옥선의개발에이르는과정에도문제점을해결해나가는과학기술자의 사고 ( 思考 ) 과정 이나 문제해결과정 이담겨있다. 이에본고에서는전함개선과정을 문제해결 의측면에서고찰하겠다. 이를위해, 먼저당시배만드는기술의수준과문제점을살펴보려고한다. 다음으로문제를해결하는과정에서당시사람들의관심은무엇이었으며, 해결해야할문제를무엇으로파악했는가, 또그문제를해결하기위해어떤방안을사용했으며, 그선택한방안은문제해결에어떤도움을주었는가를중심으로살펴보겠다. 이러한과정을통해, 함포사격이가능했던고려말누전선의구조적특징과이를발전적으로개선하여판옥선으로개발하기까지의과정을문제해결의측면에서규명할수있을것이다. 또한, 과학기술적개발이나발명일지라도완전히새로운것은있을수없으며, 문제를인식하고해결해나가는노력에의해과학기술은점진적으로발전해간다는사실을인식할수있을것이다. Ⅱ. 고려말누전선 ( 樓戰船 ) 의건조 1. 누전선개발의배경 고려말에왜구는 1350년 ( 충정왕 2) 부터매년한반도의모든해안지역을침탈하였다. 당시왜구는칼을들고상대배에올라타싸우는백병전에능했다. 그러므로고려는왜구를해상에서격퇴시키지못하고, 왜구가상륙한후육상에서격퇴하는 군사연구제 125 집 67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말 - 조선중기전함개선과정에관한고찰 전술을사용해야만했다. 그러나육상전투에서격퇴하는전술은모든해안지방을방어할수없었을뿐만아니라, 군사들의훈련도부족하여큰성과를거둘수없었다. 더구나왜구는많을때는 200~500척의대선단을이루며해안가를배회하다가불시에기습상륙하였다. 왜구는육지에서고려군을격파하고각종물자를약탈한후, 고려군이조직적으로반격하기전에재빨리배를타고도주하였다. 소규모왜구일경우에도기습상륙하여약탈한후바다로신속히철수하였다. 이러한곤경에처한고려조정에서는왜구를상대하는기본전략을수정하게되었다. 왜구를방어하는데는육지보다해상에서격멸하는것이효과적이라고판단했다. 즉, 배에화포를장착하여멀리서왜구의배를파괴하는방법을사용하기시작했다. 당시의화포는화약의폭발력을감당하기위해포신을두껍고육중하게만들수밖에없었다. 그러므로초기의화포는산지가많은지형조건때문에주로이동할필요가적은고정포로서요새나성곽을방어하는데사용하였다. 4) 그렇지만육중한대형화포라도배위에장착하면, 해상에서공격용으로기동성있게큰성능을발휘할수있었다. 당시의화포는대형화살을발사하였기때문에나무로만든전함을쉽게파괴할수있었다. 최무선은왜선과접근하지않고도적을물리칠수있는방법을연구한결과, 전함에화포를장착하는방법을고안했다. 그러나전함에화포를장착하는것은쉬운일이아니었다. 화포는배의높은곳에위치해야멀리, 정확하게발사할수있다. 배에서화포를발사하면반동력에의한충격으로배가한쪽으로기울든가부서지고, 심지어는뒤집힐수도있다. 또한파도나심한반동으로배가흔들리게되면화포의명중률도낮아질수밖에없다. 그러므로함포사격때생기는폭발반동을견딜수있고, 무거운화포를높은곳에설치해도뒤집히지않는전함을만들어야했다. 또한파도에도흔들림이적으며, 충돌공격에도견딜수있는크고튼튼한전함을만드는일이급선무였다. 주 4) 박재광, 대형화포와해전술 과학과기술 9 월호, 2006, p.45. 68 군사연구제 125 집

2. 누전선의구조 최무선은이러한문제를해결하기위한방안을전통한선 5) 의배밑구조에서찾았다. 전통적인한선의배밑바닥구조는평평하다. 이는조수간만의차가심하고갯벌이발달한서남해안의지형조건에적응한결과이다. 한선은 < 그림 1> 6) 과같이배밑바닥이평형한평저선 ( 平底船 ) 이므로, 밀물때갯가로들어왔다가썰물이되어도갯벌위에서배가옆으로넘어지지않는다. 그대로갯벌위에서작업할수있으며, 깊은항구가아니더라도어디에나배를댈수있는장점이있다. 이러한평저선의구조를가지고있는고려의전함들은화포를장착하거나발사하더라도크게흔들리지않는다. < 그림 1> 평저형한선의단면도 < 그림 2> 중국형첨저선의단면도 또한높은파도와강풍에도배가침몰하거나심하게기울지않도록무게중심을 낮추었다. 고려전함은배를처음건조할때부터 < 그림 3> 과같이배밑바닥을돌 로채웠다. 돌로바닥을채운고려의배는 15 도정도기울었다가도다시원상태로 돌아올수있었다. 7) 또한무게중심을낮춤으로써, 배의상단에무거운화포를장 착하더라도배전체의균형을잡을수있었다. 주 5) 한선의기본선형은평평한배밑, 턱을따내고널판대기를겹쳐서모아올린뱃전, 가로다지널판대기로대어막은이물비우와고물비우, 배의대들보라할수있는멍애, 멍애아래의뱃전에구멍을뚫어서꿰어걸은장쇠, 배밑을가로로꿰어박은기다란나무창인가새, 뱃전을위에서아래로꿰어박은나무못인피새의구조이다 ( 이원식, 한국의배, 대원사, 1990, p.15). 6) 1984 년완도앞바다에서발굴된배의단면도이다. 평탄하고두꺼운밑판, 서로겹쳐올라간외판, 좌우양현을연결하는가룡목등으로매우간소하며, 전통한선의기본구조가나타난다 ( 김재근, 우리배의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pp.6~7). 7) < 그림 3> 은디지털복원영상이다 (KBS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 6, 효형출판, 2003, pp.199~200). 군사연구제 125 집 69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 말-조선 중기 전함개선과정에 관한 고찰 아울러 전함 자체의 구조를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소나무나 참나무 같은 단단한 목재를 두껍게 기본 재료로 사용했다. 목재를 부착하고 연결할 때도 쇠못이 아닌 단단한 참나 무 못을 사용했다. 참나무 못은 물에 불으면 팽 창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연결된 나무 사이 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조여 준다. 이렇게 최무 선은 전통적인 고려 배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함포 사격이 가능한 새로운 전함으로 누전선8)을 개발하였다. <그림 3> 고려 전함의 배 밑바닥 장치 3. 누전선 개발의 영향 화포로 무장한 고려 전함은 진포해전(우왕 6년, 1380)과 관음포해전(우왕 9년, 1383)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1380년 8월, 왜구 2만여 명이 500여 척의 배를 이끌고 진포(금강 하구)로 침 입하여 상륙하였다. 당시 왜구들은 상륙한 후, 타고 온 전함들을 모두 연결하여 항구에 정박시키고 있었 다. 최무선은 고려의 전함 80여척을 이끌고 왜구의 선박에 화포 공격을 퍼부어 왜선 500척을 전소시켰다. 이 진포해전은 전함에 화포를 장착 하고 공격한 세계 최초의 함포 해 전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림 4> 누전선 이후 1383년, 왜구는 120척의 배를 이끌고 남해 관음포에 침입하였다. 고려 정지 (1347~1391) 장군은 최무선과 함께 화포를 장착한 전함 47척으로 추격하여 왜구 주 8) 본 고에서 논의하는 전함의 명칭으로는 누전선, 맹선, 쾌선, 비거도선 등이 있다. 누전선 은 배 위에 갑판을 깔고 그 주위에 방패를 둘렀으며, 갑판 위에 누각이 설치된 까닭에 누전선이라 불렀다. 맹선은 군용과 조운에 겸용할 목적으로 병조선을 약간 고쳐 개발한 배로서, 무겁고 속력이 느린 단점이 있었다. 쾌선이나 비거도선은 적선을 추격할 때 쓰는 비교적 작으면서 속력이 빠른 배를 일컫는다. 70 군사연구 제125집

의배 17척을불사르고 2,400여명을섬멸했다. 관음포해전은진포대첩과는달리움직이는표적에대한함포전술의성격을띠고있다. 그동안고려는왜구와의전투에서수세였지만, 최무선의함포전술로전세는단번에역전되었다. 고려는이여세를몰아공양왕 1년 (1389) 에왜구의소굴인대마도를정벌하였다. 이때박위는전함 100여척으로왜선 300여척을격침시키고왜구소굴을불태웠다. 고려수군이적극적으로왜구토벌에나서자, 일본은종래와는달리빈번히고려에사신을파견하여공물을바치거나포로를송환하는등고려와관계를개선하고자노력했다. Ⅲ. 조선전기한선 ( 韓船 ) 구조의정착과맹선 ( 猛船 ) 의운용 1. 한선구조의정착 조선왕조도왜구를해상에서무찌르는고려말의전략을그대로이어받았다. 태종 세종대에이르러왜구가어느정도진압되자, 조선전함의단점을개선하려는논의가일어났다. 조선전함의문제점으로는첫째, 전함의종류가잡다하고동일한종류라도일정한규격이없으며, 둘째, 선체가크고무거워속력이느리고, 셋째, 정교하게제작하지못해수명이짧으며, 넷째, 유지보수를제때하지못해수명이더욱짧아진다는점이었다. 9) 한마디로조선전함의가장큰문제점은수명이짧고속력이느리다는점이었다. 이러한결함을해결하기위해세종 16년 (1434) 에는전통적인한선구조의평저선을버리고중국식첨저형 ( 尖底型 ) 구조를채택하기도하였다. 그러나중국식첨저형배를건조하다보니, 노력이많이들며좋은목재를구하기가어려웠다. 따라서중국식첨저형배에못지않게오래사용할수있도록, 조선전함이지닌문제점을해결하기위한몇가지노력을기울였다. 첫째, 모든전함을대맹선 ( 大猛船 ) 중맹선 ( 中猛船 ) 소맹선 ( 小猛船 ) 으로통일시켜정비했다. 둘째, 선체가무거워속력을내지못한다는결함은끝내해결하지못하고, 그대신쾌선 ( 快船 ) 이나비거도선 ( 鼻居刀船 ) 같은작고빠른배를함께사용하였다. 셋째, 전함의수명을연장하기위해서정기적으로확인하는점검법 ( 點檢 주 9) 김재근, 우리배의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p.97. 군사연구제 125 집 71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말 - 조선중기전함개선과정에관한고찰 法 ) 을마련하였으며, 배밑을석회로바르고불과연기로그을려병충해를방지하는연훈법 ( 煙燻法 ) 을고안했다. 그리고일정기간이지나면배에박은나무못을갈아버리는개삭 ( 改槊 ) 으로배의수명을연장시킬수있었다. 이렇게조선전함이가지고있던문제점을상당부분개선한결과, 문종원년 (1450) 에는중국식으로배만드는방법을버리고, 다시한선구조로배를만들게되었다. 따라서이후세조대에개발된병조선 ( 兵漕船 ) 이나맹선은순전한한선구조의배이며, 명종대에개발된판옥선과임진왜란때의거북선도그하체만큼은한선구조였다. 10) 이로써배밑바닥이평평한한선구조는한국특유의선박구조로자리잡게되었다. 2. 맹선의운용 왜구는조선초기까지남해안일대를자주침범하였다. 태종과세종은수군제도를정비하고전함을증가시키며, 새로운조선술을도입하는등국방강화정책을추진하였다. 태종대에 600여척에이르던전함의규모도세종대에는 800여척으로증가했다. 세종실록지리지 에기록된당시의전함은대선 ( 大船 ) 중대선 ( 中大船 ) 중선 ( 中船 ) 쾌선 ( 快船 ) 별선 ( 別船 ) 을비롯해 13종에달했다. 이가운데대선 중대선 중선은각종화포를갖춘무장전함으로서, 고려말부터전래된평저선구조의전함이었다. 상장 ( 上粧 ) 은병사들이발을붙이고전투할수있도록갑판을설치하고노를달아놓았다. 그크기를보면중선은 30명, 중대선은 50~60 명, 대선은 80명정도탑승하였다. 11) 그러나계해약조 ( 세종 25년, 1443) 이후왜구가점차사라지면서세조대에이르러서는전함보다조운선을보충하는데주력하였다. 이에세조대에신숙주는군용과조운용으로함께사용하기위해대 중 소의병조선을만들었다. 병조선은종래지방마다각기다르게만들었던전함의형태를통일시키되, 선체의구획과갑판위의구조만변경할수있도록개선한배로서전통적인한선구조를지닌전함이었다. 한편, 성종대에는병조선을약간개량한대맹선 중맹선 소맹선이조선의대표적 주 10) 김재근, 우리배의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p.99. 11) 김재근, 한국의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p.114. 72 군사연구제 125 집

인전함이되었다. 대맹선 중맹선 소맹선의정원은각각 80명, 60명, 30명이었으며, 이들맹선은병조선의탑승인원을약간늘려만들고이름만바꾸어부른전함이었다. 맹선도병조선처럼군용과조운에겸용할수있는전함으로만들어졌다. 군용으로사용할경우에는노군 ( 櫓軍 ) 이노를젓고군사가전투하는데필요한발판을설치하며, 조운으로사용할경우에는노와발판을제거하였다. 조운에이용할경우가장규모가컸던대맹선의적재량은 800석정도였다. 그러나맹선은군용보다조운에더많이활용되었으므로, 몸집이크고무거웠으며속력이느렸다. 이에삼포왜란 ( 중종 5년, 1510) 이후에는군용으로더이상쓸모가없다는문제점이나타났다. 더욱이사량진왜변 ( 중종 39년, 1544) 무렵부터왜선은이전보다몸체가커졌고, 화포를비롯한화약병기를사용하는등조선의맹선보다막강해졌다. 이에조선에서는새로운전함을개발하지않으면안되었다. Ⅳ. 조선중기판옥선 ( 板屋船 ) 의개발 1. 판옥선의개발배경 고려말부터왜구와싸울때는대개왜선보다큰전함과화기를이용해격퇴하였다. 그러나을묘왜변 ( 명종 10년, 1555) 무렵, 왜구는조선의맹선보다규모가더큰배로침입했으며화기도능숙하게사용하였다. 이러한상황에서속도가느린맹선이나규모가작은경쾌선으로는적을막아낼수없다는문제에처했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조정에서는여러논의가일어났다. 서후 ( 徐厚 ) 는왜적이칼을들고뛰어들수없을정도의높고큰배를만들자고건의했다. 이는조선수군이높은위치에서적을내려다보며전투할수있는이점이있기때문이었다. 송흠 ( 宋欽 ) 은갑판위 4면을판자로둘러치고, 그안에서전투원이안전하게싸울수있는전함을만들자고주장했다. 이러한배경에서선체가크고무거우며안전하게전투할수있는전함으로개발한것이판옥선이다. 2. 판옥선의구조와기능 판옥선은배밑바닥이평평한한선의구조를기본으로선체를맹선보다크고튼튼하게만든혁신적인전함이다. 판옥선은배밑의구조가평저형이기때문에, 첨 군사연구제 125 집 73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 말-조선 중기 전함개선과정에 관한 고찰 저형에 비해 물속에 깊이 잠기지 않아 회전하는 데 유리하였다. 그 외형과 단면 도12)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5> 판옥선( 各船圖本 )과 단면도 판옥선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배 밑바닥보다 그 상장(上粧) 구조에 있다. 종래의 전함은 갑판이 하나뿐이며, 기껏해야 갑판 위에 다락을 세워놓은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판옥선은 갑판 위에 상장갑판을 설치한 2층 갑판의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13) 첫째, 바닥이 평평한 선체 위에 그보다 폭이 넓은 갑판을 2층 구조로 만듦으로 써,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었다. 기존의 맹선과 같은 단층갑판의 전함에서는 전투원과 비전투원이 한 곳에서 모여 싸울 수밖에 없 었다. 전투력이 전혀 없는 노군은 적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노 젓는 일에 전념할 수 없었다. 전투원들도 비좁은 공간에서 전투력을 발휘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은 판옥선의 갑판을 2층 구조로 만들고 4면을 판자로 둘러 해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비전투원인 노군(櫓軍)은 판옥 안에서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노 젓는 일에만 전념할 수 있었기 때문에 빠른 속력을 낼 수 있었다. 당 시 판옥선 같은 큰 전함에서는 노 한 자루에 5명이 배당되었고 예비노군으로 20명 을 배치했다. 그러므로 양쪽에 16자루의 노를 갖추었다면 모두 100명의 노군을, 양 주 12) 판옥선의 단면도는 남천우가 그린 것이다(문중량, 우리역사 과학기행, 동아시아, 2006, p.228에서 재인용). 13) 김재근, 한국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pp.133~135 ; 이민웅, 임진왜란 해전사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p.21 참조. 74 군사연구 제125집

쪽에 20자루의노를갖추었다면노군은 120명에달했다. 이에반해, 전투원은 52~62 명에불과했다. 노군이전투요원보다많은이유는전함을자유롭게움직일수있는기동성을중시했기때문이다. 둘째, 판옥선은선체가높고커서왜구가올라타백병전을벌이기어려웠던반면, 조선수군은아래를내려다보며화포를발사할수있는장점이있었다. 즉, 판옥선은선체가 2층으로되어있어서적이기어오르기어려웠다. 또한상장갑판위에화포를설치하였기때문에, 적선을내려다보며전투하고포격할수있었다. 셋째, 판옥선은종래의전함에비해선체가커졌기때문에많은전투원과화포, 그리고각종군수물자를실을수있었다. 그러나임진왜란무렵까지의판옥선은크기를분명히알수없다. 다만임진왜란에종군했던나대용 ( 羅大用 ) 장군이올린상소문에는정원이 125명이상이었다는기록이있다. 이전에활약했던대맹선의정원이 80명에불과했다는사실과비교해보더라도판옥선은매우큰전함이었음을짐작할수있다. 대체로배의길이는 30미터에달했고, 노젓는사람을포함하여 150~200명이승선할수있었다. 한편, 일본의전함으로는 90명이승선할수있는지휘선아다케부네 ( 安宅船 ) 와이보다크기가작으면서주력전함으로활약했던세키부네 ( 關船 ) 가있었다. 그러나아다케부네나세키부네는배만드는방식에서판옥선과큰차이가있었다. 일본의전통선박은가볍고가공하기쉽게주로삼나무나전나무로만들었다. 이에반해전통한선과판옥선은소나무나참나무를사용했다. 특히배밑판은물이스며드는것을막기위해송진이많은소나무를주로사용했다. 소나무는삼나무나전나무에비해가공하기는어렵지만, 재질이강하기때문에전투시충격에도오래견딜수있다. 또한, 판옥선은판자의아랫부분을 ㄴ 자로깎아내고그위에판자를붙였다. 참나무못을위쪽판자에서아래판자로내리꽂아박았다. 반면아다케부네는판자두개를나란히붙이고쇠못으로똑바로박아연결했다. 쇠못은충격을받으면빠지기쉬우며, 쇠가부식되면못주위의나무까지함께썩을수있다. 그러나판옥선에사용된소나무나참나무못은물에닿아팽창하면못박은구멍으로물이들어가는것을막았다. 또한아다케부네는배밑이뾰쪽한첨저형이므로물에잠기는부분이깊어회전하기어렵다. 군사연구제 125 집 75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 말-조선 중기 전함개선과정에 관한 고찰 <그림 6> 아다케부네(왼쪽)14)와 세키부네(오른쪽) 그 외 배의 속력을 좌우하는 돛과 노 젓는 방식이 달랐다. 판옥선은 돛이 2개이 며 노 한 자루에 5명이 배치되었다. 일본 전함은 돛이 하나이면서 노 한 자루를 1~2명이 저었기 때문에, 판옥선은 일본 전함에 비해 속력이 뒤지지 않았다.15) 임진왜란 해전은 판옥선과 세키부네의 대결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세키부네는 아다케부네와 같이 배 밑이 뾰쪽한 첨저형 구조이면서 그 규모도 판옥선에 비해 너무 작기 때문에 화포를 장착해 발사할 수 없었다. 반면 조선의 판옥선은 사방에 여러 개의 화포를 장착하여 공격할 수 있었다. 이것이 임진왜란 해전에서 전력의 차이를 낳게 한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3. 판옥선 개발의 의의 16세기 초까지 조선 수군의 주력을 이룬 전함은 대 중 소맹선이었다. 그러나 임 진왜란이 일어나기 40여 년 전에 판옥선을 개발한 것은 여러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16) 첫째, 판옥선은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나타난 전투용 전함이었다. 판옥선은 오로 지 전투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 전함이었다. 이에 비해 일본 전함은 주 14) KBS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 6, 효형출판, 2003, p.324에서 재인용. 15) 이민웅, 임진왜란 해전사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p.33. 16) 김재근, 한국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pp.137~138 참조. 76 군사연구 제125집

수송용선박을단순히전함으로전용만했기때문에, 17) 일본수군이패배하게된가장중요한요인이되고있다. 둘째, 판옥선은맹선과같은기존전함의형태, 구조, 기능등을혁신적으로개선하였다. 즉, 선체위에폭이넓은 2층구조의갑판을설치하고 4면을둘러친구조는중국이나일본전함에서는찾아볼수없다. 이러한탁월한구조를갖추었기때문에판옥선은막강한전투력을발휘해적을완전히압도할수있었다. 셋째, 판옥선을개발함으로써전통적인대선 ( 大船 ) 위주의해전이다시자리잡는계기가되었다. 삼포왜란이후속력이느린맹선을대신하여소형경쾌선을사용한적도있었다. 그러나일본이이전보다더큰배와화기로무장하여침략해오자, 이에대응하기위해왜선보다선체가훨씬큰판옥선을만들게되었다. 넷째, 판옥선은조선후기에도주력전함으로활약하는한편, 그형태와구조는방패선을비롯한다른전함의모형이되었다. 특히막강한화포로무장한채적진으로돌격했던거북선도판옥선의상체부분을조금개량해서덮개를씌운구조였다. 이처럼판옥선은종전의대맹선보다 2배나크게만들면서판옥을얹었기때문에왜구의전법이었던백병전술을막아낼수있었다. 또한대형화포를대량으로장착하여발사함으로써임진왜란해전을승리로이끌수있었다. Ⅴ. 맺음말 지금까지고려말에서조선중기에이르는전함의개선과정을문제해결의측 면에서살펴보았다. 이시기에해전에서승패를결정짓는가장중요한것은전함과 화포의성능이었다. 일찍이한반도남서해안의지형에알맞은전통한선의구조를 바탕으로, 시대와상황의변화에맞춰전함의문제점을개선해나갔다. 그결과고 려말에는전함에서화포를발사할수있는누전선을만들수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왜구의침입상황에따라군사용과조운용을겸할수있는병조선으로 서맹선체제를갖추었다. 주 17) 佐藤和夫, 海と水軍の日本史 하권, 原書房, 1995, p.313( 조원래, 임진초기해전의실상과조선수군의전력 조선시대사학보 29, 2004, p.94 에서재인용 ). 군사연구제 125 집 77

군역사 역사일반 고려말 - 조선중기전함개선과정에관한고찰 그러나무겁고속력이느린맹선의단점을개선하려는꾸준한노력끝에, 이전과는구조와성능이전혀다른판옥선을개발하기에이르렀다. 임진왜란해전에서조선수군은칠천량전투를제외한모든해전에서일방적인승리를거두었다. 이는조선초부터왜구를방어하기위해지속적으로전함의성능과구조를개선한결과였다. 이미명종 10년 (1555) 무렵에임진왜란의주력전함이었던판옥선이등장한것은물론, 천자 지자 현자 황자총통같은대형화포가개발되었다. 따라서임진왜란의해전은전쟁발발 40여년전에이미승패가결정되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전함의문제점을인식하고구조와성능을개선해나갔던과학기술능력은외침을막고임진왜란해전에서승리할수있었던가장중요한요인이되었다. 과학기술이사회의변화는물론한국가의운명을판가름하는핵심요소로작용했으며, 역사의방향을바꿔놓았던것이다. 78 군사연구제 125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