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KATS 기술보고서제 74 호 KATS 기술보고서 스마트홈산업및표준화동향 I 주요이슈 4 Ⅱ 산업및시장 5 Ⅲ 기술및표준화 8 Ⅳ 대응방향및시사점 18 국가기술표준원 충청북도음성군맹동면이수로 93 TEL

Similar documents
ICT À¶ÇÕÃÖÁ¾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Open Smart Home Platform and Interoperability of Home Appliances Park, Jun Hee Smart Convergence Middleware Research Team, ETRI

<4D F736F F F696E74202D FB5A5C0CCC5CDC5EBBDC5B0FA20B3D7C6AEBFF6C5A9205BC8A3C8AF20B8F0B5E55D>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ㅇ ㅇ

<4D F736F F D20C3D6BDC C0CCBDB4202D20BAB9BBE7BABB>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4D F736F F D20B1E2C8B9BDC3B8AEC1EE2DC0E5C8F1BCF8>

지의 절반 정도를 데이터센터 냉각, 공조 등의 설비가 사용하며 나머지 절반을 IT 장비가 사용하고 있음을 고 있으므로, 본 고에서는 JTC1/SC39에서의 그린 데 이터센터 표준화 동향을 다루도록 한다. 알 수 있다[1]. 그러므로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의 향 상을 위

1ºÎ-1

1_cover

Ⅰ Ⅱ Ⅲ Ⅳ

2010 년 10 월넷째주 ( ) 1. IT와타산업융합위한민관노력강화 2. 한국, IT산업분야국제표준제안건수세계 1위달성 3. 한국, 3년연속세계브로드밴드경쟁력 1위기록 4. 삼성SDS, 2011년 IT메가트렌드선정 'Smart' 와 'Social' 이핵심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Microsoft Word - ICT Reprot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08연차보고서처음-끝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1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또한 미국,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신융합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규제 정비, 실생활 적용 중시, 사용자 보호/보안, 상황인지 등과 같은 규제 정비 및 사이버 보안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생태계 참여자간 협업

OUR INSIGHT. YOUR FUTURE. Disclaimer Presentation ( ),. Presentation,..,,,,, (E).,,., Presentation,., Representative.( ). ( ).

<붙임2> IT분야 국제표준 채택현황 일련 제안규격명 규격번호 국제문자코드-한글음절문자표 (Hangul syllables) 단방향멀티케스트전송규격 (ECTP-1: Enhanced Communication Transport Protocol-S

* 출처 : 한국전력공사수요관리고객포털자료인용 현황 ( 그림 ) 수요관리제도체계 o 기술개발현황 - ( 국외 ) 미국은수요반응이가장활성화된나라로, 지역별로다양한종류의수요반응프로그램을운영및시행하고있음. - 해당지역을관할하는 ISO 혹은지역계통운영자인 RTO가수요예측, 계

1ºÎ

52 l /08

OM2M 기반의 OHP-M2M 오픈소스설치가이드 2015 년 8 월 경북대학교통신프로토콜연구실 최예찬, 강형우 요약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이이슈가되면서다양한사

Ⅰ. 들어가며 (Smart Grid) - -, IT, 2000, , ,,,, , 2012,, - -,

, N-. 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DLNA. DLNA,, UPnP, IPv4, HTTP DLNA. DLNA, DLNA [1]. DLNA DLNA DLNA., [2]. DLNA UPnP. DLNA DLNA.

08SW

슬라이드 제목 없음

슬라이드 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KEIT PD(15-11)-수정1차.indd

Microsoft PowerPoint - Chap14_WPAN과 WiBro기술 [호환 모드]

OMA Bcast Service Guide ATSC 3.0 (S33-2) T-UHDTV 송수신정합 Part.1 Mobile Broadcast (Open Mobile Alliance) 기반 Data Model ATSC 3.0 을위한확장 - icon, Channel No.

슬라이드 1

3. 클라우드 컴퓨팅 상호 운용성 기반의 서비스 평가 방법론 개발.hwp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1권.hwp

Microsoft Word - 김정훈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슬라이드 제목 없음

목차 Smart Home 개념 비전 구성도 Smart Home 서비스 Smart Home 시장규모 Smart Home 기술범위 국내외사례 국내외업체동향

클라우드컴퓨팅확산에따른국내경제시사점 클라우드컴퓨팅확산에따른국내경제시사점 * 1) IT,,,, Salesforce.com SaaS (, ), PaaS ( ), IaaS (, IT ), IT, SW ICT, ICT IT ICT,, ICT, *, (TEL)

행정간행물등록번호 고령화와유비쿼터스사회진입에대비한 홈헬스케어의료기기표준화가이드라인

TTA Journal No.157_서체변경.indd

그림 2. 5G 연구 단체 현황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 티미디어 서비스의 본격화, IoT 서 비스 확산 등의 변화로 인해 기하 급수적인 무선 데이터 트래픽 발생 및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

< C0FCC6C4BBEABEF7B5BFC7E E687770>

Special Theme _ 스마트폰 정보보호 스마트폰은 기존 PC에서 가지고 있던 위협과 모바일 기기의 위협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양 한 기능이 추가된 만큼 기존 PC에서 나타났던 많은 위 협들이 그대로 상속되며, 신규 서비스 부가로 인해 신 규 위

untitled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FIP 13 FIP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TEGRATED-TECHNOLOGY PROGRAM 13 : (IoT), 4.0,,,,,, CEO. 13 : ( ) ~ 11 1 ( ) : 310

<4D F736F F F696E74202D20342D B9D720434F534420C8B0B5BFC7F6C8B25FC0CCC0E7B0FC205BC0D0B1E220C0FCBFEB5D>


휴대용 기기 분야 가정용 영상 기기 분야 휴대 전화 USB, FireWire 등 PC PC TV DVD/Blu-ray 플레이어 게임 콘솔 휴대 전화 휴대전화, PMP 등 휴대용 기기 간 대용량 데이터 무선 전송 캠코더 Component, Display Port, DVI

CONTENTS Volume 테마 즐겨찾기 빅데이터의 현주소 진일보하는 공개 기술, 빅데이터 새 시대를 열다 12 테마 활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의 현황 빅데이터, 하둡 품고 병렬처리 가속화 16 테마 더하기 국내 빅데이터 산 학 연 관

목 차 1. 프로젝트개요 2. 개발동기 3. 관련연구 4. 개발내용 a. 동작과정 b. 지원기능 c. 개발환경 5. 장, 단점 6. 역할분담및일정 7. 향후개선사항 8. 참고문헌

Data Industry White Paper

I (34 ) 1. (10 ) 1-1. (2 ) 1-2. (1 ) 1-3. (2 ) 1-4. (2 ) 1-5. (1 ) 1-6. (2 ) 2. (8 ) 2-1. (3 ) 2-2. (5 ) 3. (3 ) 3-1. (1 ) 3-2. (2 ) 4. (6 ) 4-1. (2 )

월간 SW 산업동향 ( ~ ) Ⅰ. Summary 1 Ⅱ SW 5 2. SW 7 Ⅲ Ⅳ. SW SW Ⅴ : Big Data, 38

untitled

1. 기술배경 NFV는 Consortium of Service Provider들에의해서만들어졌다. 현재 Network Operation은규모가큰전용 Hardware appliances가계속해서증가하고있다. 새로운 Network Service를 Launching할때마다에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IPAK 윤리강령 나는 _ 한국IT전문가협회 회원으로서 긍지와 보람을 느끼며 정보시스템 활용하 자. 나는 _동료, 단체 및 국가 나아가 인류사회에 대하여 철저한 책임 의식을 가진 다. 나는 _ 활용자에 대하여 그 편익을 증진시키는데 최선을 다한다. 나는 _ 동료에 대해

[Brochure] KOR_TunA

Smart Home Building Korea 스마트홈빌딩코리아 The Life of Smart Home, The Solution of Smart Building 2015 스마트홈빌딩코리아 Smart Home Building Kor

논단 :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입지동향 정책동향 <그림 1> ICT융합 시장 전망 , 년 2015년 2020년 <세계 ICT융합 시장(조 달러)> 2010년 2015년 2020년 <국내 ICT

IT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위한 Adobe Experience Manager Mobile

PowerPoint Presentation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Microsoft PowerPoint 통신과 통신망.ppt

29 Ⅰ. 서론 물리학자들이 전파의 이론을 정립한 이후, 이를 기술적으로 실현함은 물론 적정 수준의 19세기 물리학자인 페러데이, 맥스웰, 헤르츠 등의 연구 결과로 인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변화 에 따른 전파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고, 인류에 게 있어 없어서는 안되

세션 Tutorial 1 강연 시간 5/11(수) 09:30-11:30 주 제 5G System: Vision & Enabling Technologies 성 명 강충구 소속기관명 고려대학교 부서/학과명 전기전자공학부 직 위 교수 5G 이동통신의 응용 분야에 따른 기술


[한반도]한국의 ICT 현주소(송부)

45호_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hwp

최종-3월16일자.hwp

..,. Job Flow,. PC,.., (Drag & Drop),.,. PC,, Windows PC Mac,.,.,. NAS(Network Attached Storage),,,., Amazon Web Services*.,, (redundancy), SSL.,. * A

1. PVR Overview PVR (Personal Video Recorder), CPU, OS, ( 320 GB) 100 TV,,, Source: MindBranch , /, (Ad skip) Setop BoxDVD Combo

....

歯I-3_무선통신기반차세대망-조동호.PDF

HTML5* Web Development to the next level HTML5 ~= HTML + CSS + JS API

서현수

대회 조직 대 회 장 서정연(한국정보과학회 회장) 조직위원회 위 원 장 최종원(숙명여대), 홍충선(경희대), 황승구(ETRI) 위 원 강선무(NIA), 김 종(POSTECH), 김철호(ADD), 민경오(LG전자), 박진국(LG CNS), 서형수(알서포트), 엄영익(성균

CHAPTER 01

wtu05_ÃÖÁ¾

Special Issues ➋ + 마이크로 그리드용 공통 플랫폼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마이크로 그리드용 공통 플랫폼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1 개황 마이크로 그리드란 에너지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분산자원을 적 극 활용함으로써, 지역적 부하 공급을 만족하는

,. DocuCentre-V C2265 / C2263.,.,.,.., C2265 C , C2265 C *1: A4. *2: (A4 LEF, 200 dpi, ) Super G3, 55 25ppm* 1 ppm* 25ppm* 1 2 Model-CPS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Europe 2020 Strategy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 ,

성능 감성 감성요구곡선 평균사용자가만족하는수준 성능요구곡선 성능보다감성가치에대한니즈가증대 시간 - 1 -

2017 1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스마트 TV 등장에따른유료방송사업자의대응 * 1), Google TV TV, Hulu, Netflix, TV N-Screen TV,, TV, TV IPTV TV N-Screen TV, Needs TV *, (TEL)

SchoolNet튜토리얼.PDF

- 2 -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11-1411095-000009-06 2015. 5. 29 ( 제 74 호 ) KATS 기술보고서 스마트홈산업및표준화동향 Ⅰ. 주요이슈 Ⅱ. 산업및시장 Ⅲ. 기술및표준화 Ⅳ. 대응방향및시사점붙임. ISO 국제표준추진현황 작성 감수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융합표준본부이광근본부장 (kklee@kashi.or.kr, 070-8233-3412) 국가기술표준원전자정보통신표준과배승호연구사 (baesh1219@korea.kr, 043-870-5367)

CONTENTS KATS 기술보고서제 74 호 KATS 기술보고서 스마트홈산업및표준화동향 I 주요이슈 4 Ⅱ 산업및시장 5 Ⅲ 기술및표준화 8 Ⅳ 대응방향및시사점 18 국가기술표준원 369-811 충청북도음성군맹동면이수로 93 TEL. 043-870-5600

I 주요이슈 Ⅱ 산업및시장 스마트홈은우리나라가세계최고수준의인프라및잠재적성장가능성을갖추고있는분야로서스마트시티, 유헬스, 스마트그리드등타분야산업과연계하여스마트홈시장을확장할수있는전략적접근이필요 기술분류 스마트홈기술은홈플랫폼, 유무선네트워킹, 스마트정보가전, 그린홈기술로분류 분류정의주요기술및제품 스마트홈은인간에게가장쾌적하고안락한환경을제공할수있도록자율적으로관리되면서실감 그린 감성화된가정환경으로발전중 * 스마트홈 : 지능형정보가전기기를네트워크로연결시킴으로써사람과자연스러운상호작용이가능하도록해인간 중심의서비스환경 (HOME: Human Oriented Mutual Environment) 을구축하고유익한생활서비스를제공하는기술 홈플랫폼 유무선네트워킹 외부망과가정을연결하고융합된콘텐츠를기반으로 모든자원을자율 / 통합적으로관리하여, 다양한실감 감성형스마트홈서비스를제공 유선과무선을활용하여주택환경에구애받지않고 서비스가요구하는품질을충족시키며정보가전기기의항시접속을보장 홈서버 / 게이트웨이, 홈미들웨어, 클라우드플랫폼, 빅데이터처리플랫폼등 유선홈네트워킹, 무선홈네트워킹, 유무선연동기술 서비스 스마트정보가전 그린홈 기존정보가전기기나센서들이 CPU, 네트워킹, S/W 에힘입어지능화됨으로써사용자에게어디서나쉽게 스마트홈서비스를제공 사용자에게쾌적하고경제적인생활을제공하기위해 스스로에너지를절감하고생활편의환경을제공 정보가전기기, 감성정보및서비스프레임워크, 홈센서, 사용자인터랙션 스마트홈에너지관리기기접속인터페이스, 스마트홈스마트그리드수요반응그린홈관리기술, 디바이스기기미디어 인프라플랫폼네트워크 특성 주거환경의지능화및네트워크화를통한이종산업융합확산의견인차역할 --통신 방송 가전 콘텐츠 로봇 의료등의융합산업최대수요처이며, ICT를기반으로하는산업융합핵심분야임 가전 건설 의료등전통산업의부가가치를제고하고에너지수요처로서효율적관리를가능하게하여 국제경쟁력강화및시장점유확대의기회를제공 --스마트홈은스마트시티, 유헬스, 스마트그리드등의스마트융합가전, 스마트카, 유헬스, 스마트카등의서비스를위한 필수기반으로산업이융합될수록응용범위가다양한분야임 최종적으로는, 개별주거공간을벗어나단지및도시와연계하여삶의질을향상시킬수있는진보된실감 / 감성화기술, 자율적홈관리기술, 초광대역무선및휴먼인터페이스분야의기술이지속적으로발전할 것으로전망 디지털홈 (as-is) 그린 실감홈 (~2018) Instance Information Personal Big Data 감성홈 (~2023) Human-oriented Knowledge 4 5

주거환경에 IT 를융합하여국민의편익과복지증진및안전하고즐거운생활이가능하도록하는기기및서비스를제공하는산업 --2014년삼성전자, Google 등이각각 SmartThings, Revolv 등홈오토메이션전문업체들을인수하면서시장이대형사업자 중심으로재편되고있으며또한홈오토메이션서비스는가정내모든스마트단말들을제어및통합할수있다는점에서 현재 AT&T, Verizon 등통신사업자는물론 Google, Apple, Amazon 등플랫폼사업자들이경쟁적으로시장진출 대상산업군 홈네트워크시큐리티 스마트융합기기 / 가전 스마트러닝홈헬스그린홈빌딩 홈엔터테인먼트홈미디어 M2M 지능통신 관련업종 통신가전보안교육 의료건강 에너지미디어컨텐츠건축모바일 국내시장 국내스마트홈시장은 13 년도 6 조 9 천억원에서 18 년도 18 조 9 천억원으로전망됨 ( 스마트홈산업협회, 2015 년 ) 제조및서비스 스마트기기보안장비, 서비스의료서비스제어장비통신기기, 서비스 가전, 전자제품제조교육장비및컨텐츠에너지절감장비디지털컨텐츠건설및건축 국내스마트홈시장은향후 4년간 ( 14년 ~ 18년 ) 연평균성장률 (GAGR) 은 21.9% 로서국내주요 IT시장성장률이 약 5% 정도인것을감안한다면상당히높은수준에해당 <2014 년스마트홈국내시장규모및향후국내시장규모추정치 > ( 단위 : 억원, %) 세계시장 미국시장조사업체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 (SA) 는글로벌스마트홈시장규모가 14년 $480억에서 19년 $1.115 억으로연평균 19.8% 성장예측 보급확대로 19년에는全가구의 26% 가스마트홈시스템보유할전망 (Strategy Analytics, 14.4) --스마트홈관련기기판매량도 17년 3,590만대로 14년대비약 73% 증가전망 (CEA, 14.11) 스마트홈가구수는미국의경우 2014년 790만가구에서 2019년까지연평균 37%, 유럽은 2014년 330만 가구에서 2019 년까지연평균 61% 증가전망 (BERG INSIGHT, 2014) $480 억 CAGR 19.8% < 글로벌스마트홈시장규모및보급률추이 > $1,115 억 2014 2019 2013 2016 2019 ( 출처 : Strategy Analytics, `14.7, RnRMarketResearch, `14.6 등 ) ( 출처 : Strategy Analytics, `14.4) * 자료출처 : Strategy Analytics 13% 8% 4% 미국영국글로벌 25% 18% 8% 38% 27% 12% 스마트 TV & 홈엔터테인먼트 49,454 억원 (57.7%) 스마트융합가전 26,260 억원 (30.7%) 스마트그린홈 969 억원 (1.1%) 자료출처 :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2015) 홈오토메이션 3,200 억원 (3.7%) 스마트홈시큐리티 5,794 억원 (6.8%) 전체스마트융합가전홈오토메이션스마트홈시큐리티스마트그린홈스마트TV & 홈엔터테인먼트 103,757 124,995 150,304 189,122 85,677 83,532 75,071 68,247 59,345 82,578 49,454 42,672 57,608 32,825 26,260 11,298 15,253 6,953 8,691 5,794 3,520 4,048 4,655 3,200 5,586 969 1,114 1,337 1,672 2,173 < 국내스마트홈시장전망 > 2014 년 2015 년 2016 년 2017 년 2018 년 ( 단위 : 억원 ) 구분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2017 년 2018 년연평균성장률 ( 14~ 18) 계 68,908 85,677 103,757 124,995 150,304 189,122 21.9% 6 7

Ⅲ 기술및표준화 해외기술동향 ( 홈플랫폼 ) 미국의구글, 애플등의플랫폼사업자와 ADT, AT&T 등의솔루션및망사업자가플랫폼기반의 서비스제공 선도기업 Google 내용 Android@Home 프레임워크를통해스마트홈플랫폼선도 국내기술동향 ( 홈플랫폼, 스마트정보가전 ) 국내업체들은시스템개발능력과솔루션경쟁력은우수하나플랫폼경쟁력은 미흡 분야 삼성전자 LG 전자 내용 스마트홈플랫폼 (SHP) 을오픈하고, 관련스마트홈관련가전및센서사업자와의연대를통해사업선점추진 홈챗솔루션을통해대화형가전제어서비스를제공하고있으며, 카카오톡, 라인등과같은 SNS 서비스와연계추진 Apple ios7 ibeacon 으로플랫폼연동실내위치서비스선도사물인터넷을활용한스마트홈구현플랫폼 ' 홈킷 ' 을개발 ( 기타 ) AT&T 홈오토메이션과보안을결합한 Digital Life 상품출시 분야 내용 Smart Things 다양한 IoT 센서와플랫폼기반의스마트홈서비스제공 통신사업자 (KT, SKB, LGU+) 스마트단말을통한부재시침입자탐지와원격모니터링등의홈보안서비스를제공중 * KT( 홈지킴이 ), LGU+( 홈 CCTV), SKB( 해피뷰 ) ( 스마트정보가전 ) 미국의 GE, 독일의지멘스, 일본의 SONY 등이스마트그리드기능, 스마트제어기능을 탑재하여경쟁중임 선도기업 ( 미국 ) GE, 월풀 내용 냉장고, 세탁기, 의류건조기등에스마트그리드기능적용하고아이폰과아이패드앱을통해제어하는기술제품화 기기전문기업 ( 삼성 SDS, 코콤, 코맥스등 ) 홈미디어서버와상호연동하는홈네트워크미들웨어개발에주력하면서실감 감성홈, 에너지절감등미래를대비한기술개발착수홈, 빌딩에너지를위한수동적인관리에서에너지소비모니터링정보를기반으로소비절감을지원하는핵심기술개발중 ( 독일 ) 지멘스에너지절감기술기반의스마트와트시스템개발 ( 독일 ) 밀레자사의모든가전을스마트폰으로제어하는 InfoControl Plus 제품을개발하여경쟁중 국제표준화동향 ( 일본 ) SONY 네트워크영상가전분야에서경쟁력을유지 최근국제표준의중요성이부각되면서각국에서는자국기술을 ISO 등다양한 ( 국제 ) 표준화기구에경쟁적으로 ( 일본 ) 도시바자사기기에다운로드기반업그레이드기능을적용 제안하고있는상황 ( 기타 ) 분야 내용 다양한유무선네트워킹기술, 홈플랫폼기술의난립등으로서로다른기술간상호연동성제공이주요이슈로 제기 통신사업자 (AT&T, Verizon) 케이블사업자 (Comcast) 기기전문기업 (icontrol, Protection1) 서비스사업자 (MS, apple) 주요통신사들은스마트홈서비스를통합콘텐츠플랫폼으로한새로운비즈니스모델창출모색중 케이블사업자는홈시큐리티및홈오토메이션을새로운수익모델차원에서서비스제공 통신및케이블사업자와협력하여홈오토메이션, 홈시큐리티, 에너지모니터링기기및서비스플랫폼을제공 동작 음성인식등가전제품제어기술과스마트폰, 테이블릿등스마트디바이스간 N- 스크린서비스를개발중 8 9

< 스마트홈표준화기구및동향 > [ISO/IEC] 분야표준화기구세계동향국내동향대응전략 ISO/IEC JTC1 SC25는정보기기상호접속에관한표준을제정하고있으며, 산하 WG1은 Home Electronic 홈 플랫폼 유무선홈네트워킹 ISO/IEC JTC1 SC25 DLNA UPnP IGRS Konnex IEEE802 IEEE1394TA Wimedia Alliance Bluetooth SIG HomePlug HomePNA UPA HD-PLC - DLNA 를중심으로댁내미디어 유통, 홈엔터테인먼트상호운용성보장을위한산업표준진행 - UPnP, IGRS, Konnex, LonWorks, I-Top-Home 등의홈제어네트워크산업표준경쟁치열 - ISO/IEC JTC1 SC25 는홈네트워크의상호운용성및디바이스 미들웨어표준화추진 - 미국의 HomePlug, 유럽의 UPA, 일본의 HD-PLC 에서전력선통신표준화추진중 - IEEE802.15 은 Bluetooth,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표준화추진중 - IEEE 802.15.7 VLC TG 는가시광무선통신국제표준을추진중 - IEEE 802.15.5 는 Mesh Network 표준화추진중 - TTA PG214 와스마트융합가전포럼을중심으로 ( 단체 ) 표준화진행 - ETRI 가개발중인 WoT 시스템모델기술을 ISO/IEC JTC1 SC25 국제표준화 추진및국내기술기준 연계추진 - TTA 에서는홈기기제어프로토콜을 ISO/IEC JTC1 SC25 국제표준화추진 - 고속 PLC 국가표준제정완료 (KS 4600-1) - WPAN 표준화추진중 (TTA PG304) - VLC 통신기술표준화 추진중 (TTA PG 4021) - 산업체의견수렴을통한기본프레임워크정의및국제표준화적극참여 - 선도적인국내기술의국제표준화적극추진및한국형스마트홈글로벌표준확보추진 - 신규표준이지속적으로개발되는분야로서, 중점추진분야의선정및국내신규표준화그룹설립 또는유사표준화그룹 ( 기구 ) 간연계등적극적인표준화전략필요 System(HES) 에대한국제표준화를진행중 --WG1 은 HES Residential Gateway(RG) 의요구사항과기본기능에대한표준을제정했으며, 현재 Interoperability 와 Security 에대한표준화작업중 <ISO/IEC JTC1 SC25 표준화조직 > 조직명역할의장 WG1: Home Electronic System WG3: Customer Premise Cabling WG4: Microprocessor System & Interconnection of Computer Systems & Attached Equipment PTTT: Project Team Taxonomy and Terminology 댁내전자시스템관련프로토콜과상호접속 기술및용어표준화 상업및거주환경에설치되는케이블링계획, 설치및시험절차표준화 컴퓨터시스템과주변장치간상호연결및 마이크로프로세서시스템표준화 지능형홈에서사용되는용어및개념에대한 정의및표준화 Dr. Kenneth Wack( 미국 ) Dr. Albrecht Oehler( 독일 ) Gary S. Robinson( 미국 ) Dr. Peter Kajjer( 독일 ) 홈네트워크자원간연관성을이용하여장애발생시손쉽게고장원인파악을위해우리나라가제안한 HNRM 지능형정보 가전 에너지관리 ISO/IEC JTC1 SC6 ISO TC159 IEC TC100 ITU-T SG13 IETF 6LoWPAN ECMA TG11 OMA NOSE II ISO IEEE802.15g IEEE P2030 - IEC TC100 은가전기기에너지 절약시스템에대한표준화진행 - ISO/IEC JTC1 SC6, ITU-T SG13, IETF 6LoWPAN WG 은센서 네트워크관련기술표준화추진 - ECMA TG11 은멀티모달 Voice 브라우저표준화추진중 - OMA 를중심으로관련기술, 표준통합화추세 - IEEE802.15g 는 SUN 기술에대한표준화추진중 - ISO 를중심으로전력배전과관련된표준화추진중 - IEEE P2030 은스마트그리드에서상호연동을위한표준화준비중 - KETI 가개발한정보가전기기에너지관리기술의국제표준화추진중 (IEC/ TC100) - 센서 I/F, M/W, 응용 서비스표준화추진중 (TTA PG210, PG311) - 차세대 PC 표준화포럼은촉각, 후각표준화추진중 (TTA PG415) - 국내기술기반의표준화를통한 SUN 표준화에 참여중 - ISO 표준화에참여하고 있으나, 자체표준화 활동은미미 - 정보가전기기의에너지소비분야에대한적극적인표준화활동참여 - 국내표준화단체와 OMA 관련표준화연계추진및오감정보표준 ( 안 ) 도출 - 에너지와환경정보표현 / 측정기술표준화추진 - 우리기술의국내표준화를기반으로 SUN 표준화 활동강화추진 - 스마트그리드와홈기기간연동기술중심으로 국내외표준화선도 기술에대한표준화추진중 * HNRM(Home Network Resource Management): 홈네트워크자원관리기술 ETRI 등에서공통주택용에너지관리시스템, 스마트가전에너지제어기술, 웹기반가전제어모델등에대한 신규표준제안추진 중국 IGRS-RA, 일본 Echonet-lite 등자국프로토콜에대한표준화진행중 [IEC] * IGRS-RA: 중국의스마트홈제어프로토콜로써클라우드연계홈서비스제공 Echonet-Lite: 일본의스마트홈기기제어및에너지관리용경량화프로토콜 IEC/TC100(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 ) 는 AV, 멀티미디어시스템및장비에대한국제표준화를담당하는기구로 서, TC100 산하 TA(Technical Area) 라는표준화그룹에서멀티미디어홈서버시스템관련국제표준을제정중 --TA8(Multimedia home server systems) 에서는홈네트워크미들웨어관련국제표준이제정됨 * IEC 62480:2008 (Multimedia home networks - Network interfaces for network adapter) * IEC 62295:2007 (Multimedia systems - Common communication protocol for inter-connectivity on heterogeneous networks) * IEC PT 62481-5-1 (DLNA device profile guidelines - General) 10 11

--TA12(AV energy efficiency and smart grid applications) 에서는 AV 기기, 가전기기및홈네트워크장치의전력소비모니터 링및대기전력차단을위한에너지절감시스템기술등에너지관련국제표준이제정됨 * IEC TS 62654:2012 (Network-based energy consumption measurement - Energy saving system - Conceptual model) [ITU-T] 08 년 11 월제네바에서개최된 FG ICT&CC(Climate Change) 회의를통하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를응용한에너지절감, 특히가정에서의응용을위한기능을정리하고분석중 --이를위하여 ETSI, HomePlug, OSGi, HGI, UPnP 등지능형홈표준단체에서진행중인표준프로젝트에대해검토 [ETSI] 기후변화와관련하여 EU의 ETSI EE(Environmental Engineering) 기술위원회가모든통신장비와인프라에서 에너지소비를줄이고전원공급을대체할수있는대체에너지관련연구를진행중 < 사실상표준화기구활동현황 > 기구명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ZigBee Alliance 표준화단체 Allseen Alliance OIC Thread 표준활동내용 UPnP 포럼은 1999 년발족, 현재 950 개이상의회원사를확보하고있으며 14 년 10 억대이상의 UPnP 기기가출시될것으로예상됨 핵심규격은 ISO/IEC 등의국제표준으로도제정됨 ZigBee 1.0 표준은 2004 년 12 월 14 일승인되어회원사에공개 스마트에너지프로파일규격인 ZigBee SEP 2.0 을 2013 년 4 월발표 < 스마트홈관련 IoT Alliance 현황 > 현황 퀄컴에서공개한오픈소프트웨어프레임워크기반인올조인 (AllJoyn) 을공개하고다양한운영체제와 네트워크프로토콜을탑재한가정용, 비즈니스장치간의연동기술을개발하여, 올조인기반정보가전기기가출하되기시작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윈도우 10 에올조인프레임워크를탑재할것으로발표 IoT 장치들의상호인식과통신프로토콜을구현한 IOTivity 프레임워크를공개 ARM 홀딩스, 삼성, 구글이인수한네스트랩스등이주축으로가정용저전력장치를메시네트워킹 프로토콜을구현하여 IPv6 주소기반의칩에적용가능하게지원하여 Allseen Alliance 와 OIC 와협력중 기구명 표준활동내용 Bluetooth SIG 2010 년기준전세계 1 만 3,000 개기업회원참여 1999 년블루투스 1.0 이발표된이래 2015 년 4.2 표준발표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3 대국제표준화기구중하나인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가 2007 년 10 월 DLNA 상호호환성 가이드라인과미디어포맷을국제표준으로승인 2010 년에는 DLNA 디지털미디어전송에서콘텐츠보호에관한가이드라인을국제표준으로승인 HAVi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국내의삼성, LG 전자를포함하여 50 여개이상의업체들이참여 1998 년 11 월 1.0 스펙을발표하였고 2000 년 4 월에소니와필립스사에서프로토타입시스템을데모 초기의 8 개핵심멤버중에서소니등 4 개사가탈퇴하는등약세 HGI (Home Gateway Initiative) HomePlug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표준 (ITU-T, H610, DSL Forum) 근거통합주택용게이트웨이개발추진 최근 ITU-T(G.992.3, G.992.5), Broadband Forum(TR-202), DECT Forum(DF_CAT-iq), IEEE(802.3az), 그리고 Energy Star 와에너지효율을높이기위한논의를추진중 Intellon 를통해 2005 년 HomePlug AV 표준화로공개 Wi-Fi Alliance 와 HomePlug Powerline Alliance 는스마트그리드애플리케이션에서의상호호환성을보장 하기위한 Wi-Fi 와 HomePlug 규격과표준에대한합동기술검토협력 2015 년현재 10Mbps 의 HomePNA2.0 이표준제정되었으며, 최근전송률향상과 QoS(Quality of Service) 를강화시킨 128Mbps 의 HomePNA 3.0 이발표, 상용화되고있음 2000 년 OSGi 를공개하면서 2005 년에는 Core Specification(R4 Core) 를, 2006 년에는 Mobile Specification (R4 Mobile / JSR-232) 를표준화함 최근 2011 년 4.3 버전과 2012 년 5 버전을표준화하여공개 * 자료출처 : 2014 년스마트홈산업협회 12 13

국내표준화동향 [ 국내정보기기상호접속전문위원회 (SC25K)] ISO/IEC JTC1 SC25 국제표준제안및대응, 국가표준정비대상에검토를위해 2000년도부터국내정보기기 상호접속전문위원회 (SC25K) --우리나라기술이반영된근거리무선프로토콜 (WiBEEM), 홈네트워크상호연동프레임워크가국제표준으로제정된바있음 --현재도다수의국제표준화프로젝트들 ( 홈네트워크자원관리, 홈에너지관리, IoT 기반스마트가전모델등 ) 가우리나라 주도로진행또는제안준비중임 우리나라주도 JTC1/SC25 분야국제표준 ( 안 ) 표준제안 / 진행중 (7 종 ) No. 문건번호 ( 표준단계 ) 표준명프로젝트리더 1 2 3 4 5 ISO/IEC 30100-1(DIS) ISO/IEC 30100-2(CD) ISO/IEC 30100-3(DIS) ISO/IEC 15067-3- 1(PWI) ISO/IEC 15067-X(PWI) Information Technology- Home Network Resource Management-Part 1: Requirements Information Technology- Home Network Resource Management-Part 2: Architecture Information Technology- Home Network Resource Management-Part 3: Management Appl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Home Electronic System (HES)Application models -Part 3-1: RC-EMS(Residential Complex Energy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chnology- Home Electronic System (HES)Application models -Part x: Model of a WoT (Web of Things) system for HES 6 제안발표 Communication protocols for controlled devices in HES 박호진책임 (ETRI) 박호진책임 (ETRI) 박호진책임 (ETRI) 박완기책임 (ETRI) 박호진책임 (ETRI) 정상국책임 (TTA) 7 제안발표 Smart Appliance with Demand Response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No. 성명근무처직책 10 여화진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선임 11 오종택한성대학교교수 12 유상근한국전자통신연구원수석 13 이광근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본부장 14 김정호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과장 15 이상영한국토지주택공사과장 16 이승희현대통신 책임 17 이응호티이엠 이사 18 이정구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팀장 19 정상국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책임 20 정영식동국대학교교수 21 곽현준한국표준협회연구원 최근산업계에서스마트홈공동표준화추진 적용합의에따라 SC25K에서스마트홈기기의호환성확보및 B2C 시장활성화를도모하기위하여스마트홈기기제어서비스프로토콜 KS 표준 ( 안 ) 검토추진 --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 홈제어PT 구성및스마트홈기기제어서비스프로토콜표준화추진 * 14 년 11 월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이사회개최를통해스마트홈표준화공동추진및적용에대한안건을의결 --국가표준예고고시 ( 15년도 6월중 ) 추진중으로이후국가표준기술심의회를통하여금년도제정완료예정임 [ 표준개발협력기관 (COSD)] 스마트홈분야의국가표준정비및개발, 국제표준부합화추진을체계적으로추진하기위해 2013년에 국내전문위원회 : 20명 ( 국내의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박호진책임 ) --국내간사기관: 한국표준협회 No. 성명근무처직책 1 박호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 2 강상우삼성 SDS 팀장 3 강세일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팀장 4 김선복코콤 책임 5 김정호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과장 6 김진철한전 KDN 책임 7 박완기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 8 서호선퀄리아국제특허법률사무소대표 9 신원철 CommScope Korea 지사장 스마트홈분야 ( ISO/IEC JTC1 SC25) 표준개발협력기관 (COSD) 으로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가지정되었으며, 이에협회에서는스마트홈중 단기표준화로드맵수립및표준화정비를추진중에있음 * 표준협력기관 (COSD) : 정부로부터국가표준개발 관리업무를이양받은민간단체로서, 협력기관의지정분야는 표준개발활동을통한국가표준의제정, 개정, 정비등의사업을대상으로함.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는 정보기기 상호접속국가표준분야 로지정받아스마트홈기기, 서비스, 인터페이스, 플랫폼표준화등추진 지정분야표준현황 TC 국제표준부합화산업표준 (KS) 고유국가표준 (KS) 계 ISO/IEC JTC1/SC25-39 종 17 종 56 종 14 15

JTC1/SC25( 정보기기상호접속 ) 전문위원회 국가표준 ( 안 ) 및표준정비대상심의 검토 표준공청회의견수렴 반영 < 정보기기상호접속국가표준분야표준개발절차 > 검토요청 검토의견반영요청 국가표준제안 표준협력개발기관사무국운영표준공청회개최및온라인의견수렴 국가표준 ( 안 ) 작성및보완표준정비대상검토표준화대상검토및선정 스마트홈표준화대상수요조사 ( 협회및포럼회원사대상 ) 건설사 ( 가칭 ) 스마트홈표준협의회 산업체 학계 / 연구기관 표준화협력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스마트그린홈포럼스마트융합가전포럼 ZigBee포럼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표준화기구 가전, 통신분야등의산 학 연전문가가참여하는스마트융합가전포럼 (SAF) 은산업계에서요구하는홈 가전플랫폼, 인터페이스규격등의업계표준개발을추진하고있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에서는스마트홈분야시험인증추진과관련하여국가기술표준원에서지정하는 KAS(Korea Accreditation System) 인증기관에대한심사를 14 년 5 월완료하고인증기관지정을받았음 [ 지능형홈네트워크설비설치및기술기준고시 ] 추진배경 --홈네트워크설비에대한정의와범위등일련의설치기준을마련하고자 ( 구 ) 국토해양부, ( 구 ) 지식경제부, ( 구 ) 방송통신 위원회공동으로고시가마련됨 주요내용 --홈네트워크설비관련용어를정의하고홈네트워크의구내배관 배선 종단장치등의성능및설치기준과기기인증 에대해명시 고시제 개정현황 --기술기준고시제 개정을추진으로산업계의표준모델확립및이종기기간상호호환성을확보중 09.3 월 : 지능형홈네트워크설비설치및기술기준 고시마련 11.3 월 : 지능형홈네트워크설비설치및기술기준 고시개정 [ 민간표준 ] TTA 는 PG214( 디지털홈연구반 ) 를중심으로 60여건의단체표준을개발하였으며, 매년스마트홈분야의 표준화로드맵을작성하고있음 --월패드/ 홈게이트웨이, RS-485 제어서비스프로토콜시험규격에대한표준개발및홈에너지관리서비스관련 표준을개발중임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 10 년 2 월, 각부처와산학연전문가가참여하는범국가적인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 를설치하여 표준과인증체계정비추진중 - 지능형홈네트워크설비설치및기술기준 이 09년 3월고시됨에따라, 지능형홈표준과인증체계에대한정비및미비한 기술표준에대한포괄적인대책마련 <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구성도 > < 스마트홈구성설비별 TTA 표준화현황 > 구분 TTA 표준현황비고 홈네트워크망 단지망과세대망배관과배선관련표준정의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 홈네트워크장비월패드 / 홈게이트웨이성능시험규격정의 KAS 시험인증규격 홈네트워크기기 단지공용시스템 홈네트워크설비설치공간 RS-485 기반의스마트홈기기제어서비스프로토콜적합성및 상호운용성시험규격정의 KSX4505 단지서버프로토콜표준기반의적합성시험규격정의 홈네트워크장비설치를위한세대단자함크기및공동주택에 대한설치공간표준정의 KAS 시험인증규격 IoT 기반의스마트홈서비스표준화추진필요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 Management WG 표준프레임워크및로드맵개발표준화정책개발및제안표준및인증 ( 안 ) 검토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 표준 WG 참조모델표준개발홈기기및서비스표준개발 IT 서비스연동표준개발 인증 WG 인증체계및인증가이드개발시험인증표준개발인증시험도구개발 16 17

Ⅳ 대응방향및시사점 시사점 세계수준의통신인프라및밀집된주거형태등우리나라의강점을발판으로스마트홈기반조성및핵심 원천기술확보추진을통하여국내스마트홈산업을활성화시키고이를세계시장주도의기회로활용 --다양한주택유형에적합한스마트홈설치가이드라인개발보급, 표준 / 인증체계와법 제도정비, 지능형홈구축및 관리를위한인력양성을지속적으로추진 --난립되어있는홈플랫폼간상호연동을보장하고홈네트워크자원을자율적으로통합관리하는지능형홈미들웨어에 대한원천기술확보에주력 --스마트그리드의궁극적인종착역으로가정이대두됨에따라스마트그리드와스마트홈을연동하는핵심원천기술확보 및국제표준화추진 대응방향 기관단위로추진되고있는표준 / 인증 ( 기술기준 ) 업무의통합 조정및의견수렴창구단일화를통한효율적 표준화추진체계구축필요 - 10 년 2 월설치된범부처차원의 지능형홈국가표준 / 인증연구회 를통하여국내외산업환경및기술발전에적합한 표준 / 인증전략및로드맵을수립하고, 이에따른표준 / 인증의개발및정비를추진 비표준기술을적용한지능형홈보급에따른혼란을방지하고해외표준기술의국내시장진입에대비, 우리 실정에맞는스마트홈플랫폼기술확보추진 --스마트홈기기의상호연동을위한국가표준개발및인증체계정립 --국가적차원의스마트홈표준아키텍처및관련홈플랫폼개발등핵심소프트웨어에대한원천기술을확보하고국내외 표준화에집중 지능형홈네트워크기술과조명, 전력, 냉난방등에너지관련산업분야와의융합을위한그린홈표준체계 구축필요 --댁내에서는에너지소비효율화를위한에너지관리플랫폼표준, 댁외로는스마트그리드와원활한연동을위한표준 체계개발을추진 핵심정보웹사이트 ❶ ISO/IEC JTC1 SC25, http://sc25.iec.ch ❷ ISO/IEC JTC1 SC25 WG1, http://hes-standards.org ❸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KASH), http://www.kashi.or.kr ❹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http://www.tta.or.kr ❺ UPnP, http://www.upnp.org ❻ DLNA, http://www.dlna.org ❼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 본자료는국가기술표준원홈페이지 (www.kats.go.kr) 에서보실수있습니다. 18 19

www.kats.go.kr KATS 기술보고서의저작권은국가기술표준원에있습니다. 본기술보고서를인용하거나발췌하실려면아래의연락처로연락주십시오. 발간 : 국가기술표준원표준정책과연락처 : 043-870-534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