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한글 한글 지 ( 知 ) 와소통의혁명, 우리의자존심 세종대왕이만들었을당시는 훈민정음 으로불렸던한글은여러이름으로불려왔다. 공식적인이름 훈민정음 은 백성을가르치는바른소리 라는뜻으로줄여서 정음 이라고도했다. 또한문과달리우리토박이말을적

Similar documents
184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 자료목록 185 자료목록 인천국제공항일출광경인천국제공항공사 8 김포국제공항신청사 1980 국가기록원 10 수출품 100 억불수출의날기념식 1977 국가기록원 30 부산콘테이너부두광경 1987 국가기록원 31 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개항식 19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µ¶µµºÎ·Ï1~64

178È£pdf

지도학발달06-7/8/9장

5 291

01정책백서목차(1~18)

¹é¹üȸº¸ 24È£ Ãâ·Â

120~151역사지도서3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01¸é¼öÁ¤

¹ßÇ¥¿äÁö

~

10월추천dvd

1362È£ 1¸é

07

내지-교회에관한교리

¼øâÁö¿ª°úÇÐÀÚ¿ø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해오름summer2009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12 December 소비자의날안전점검의날 (273 차 ) 무역의날 대설 ( 大雪 )

p529~802 Á¦5Àå-¼º¸í,Ç×ÀÇ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중등용1)1~27

(연합뉴스) 마이더스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06¹é¼Ł¹ß°£»ç1

* pb61۲õðÀÚÀ̳ʸ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ÆÞ¹÷-Æîħ¸é.PDF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È޴ϵåA4±â¼Û

9+10월호(최종2)

ÃѼŁ1-ÃÖÁ¾Ãâ·Â¿ë2

º´¹«Ã»Ã¥-»ç³ªÀÌ·Î

경영학회 내지 최종

•••••1301(•••).pdf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allinpdf.com

CT083001C

%±¹¹®AR

hwp

61..

2015_9+10

1970 년 년 1 월 23 일, 국가기록원 - 제 19 회국전철 (1), pp ,

2014도서목록본문

152*220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1. 경영대학

DocHdl2OnPREPRESStmpTarget

3¿ù.PDF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09콘텐츠산업백서_1 2

1111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012~031)223교과(교)2-1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1220½É¹Ì¾Èâ27È£º»¹®

CONTENTS 2011 SPRG Vol

_¸ñÂ÷(02¿ù)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ÇÃà8¿ùÈ£Ãâ·Â

2ÀåÀÛ¾÷

한국전쟁소고내지(090518)

5권심층-양화1리-1~172

#7단원 1(252~269)교

Chapter Chapter

KFF56È£¼öÁ¤

2002report hwp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연합뉴스) 마이더스

단양군지

JANUARY S M T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 E687770>

untitled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hwp

소식지수정본-1

내지 뒷

쌍백합23호3

Transcription:

TRADITION 나라의전통 03 24 한글 25 경복궁 26 석굴암 27 숭례문 28 독도 29 남산 30 현충사 31 태권도 32 아리랑 33 강강술래 34 직지심체요절 35 진도개 36 국립중앙박물관

122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한글 123 24 한글 지 ( 知 ) 와소통의혁명, 우리의자존심 세종대왕이만들었을당시는 훈민정음 으로불렸던한글은여러이름으로불려왔다. 공식적인이름 훈민정음 은 백성을가르치는바른소리 라는뜻으로줄여서 정음 이라고도했다. 또한문과달리우리토박이말을적은글자란뜻으로 언문 이라부르기도했다. 이외에도 언서, 반절 이라고도불렀으며, 부녀자들이나쓰는글이란뜻으로낮추어 암글 이라부르기도했고, 19세기말에는민족주의정신의대두와더불어쓰이던 국문 이란이름으로도불렸다. 한글 이란이름은주시경선생이 1908년에창설한 국어연구학회 ( 한글학회의전신 ) 에서 1927년에기관지인 한글 을펴내기시작하면서널리쓰였다. 한 은 하나 또는 큰 의뜻이니, 한국의글자에대해권위를붙여준이름으로, 정음 이란이름과그정신이서로통한다고본것이다. 세종대왕이만든 한글 은세계문자가운데유일하게만든사람과반포일, 그리고글자를만든원리까지알려진고유문자다. 단순한소리의조합이아닌혀의위치나입술모양등소리가나는원리까지정확하게파악한최고의과학적언어로평가받고있다. 세종 25년 (1443) 음력 12월에 28자가창제되고, 세종 28년 (1446) 음력 9월에 훈민정음 이라는이름으로반포됐으며그중 4글자가소멸돼현재 24자가쓰이고있다. 02 03 01 01 한글연활자 02 홍길동전 ( 조선 ) 03 정조어필한글편지첩 ( 조선 ) 백성들이쉽게익히고사용할수있도록하기위해만들어진한글은그뜻에맞게습득하기쉬운언어이며, 자음 14개와모음 10개의조합으로세상모든소리를문자로쓸수있는우수한언어다. 현재우리나라의문맹률은 0.1% 로 OECD 국가중가장낮은것도바로이러한한글의우수성덕분이다. 영국의문화학자존맨 (John Man) 은한글을두고 모든언어가꿈꾸는최고의알파벳 이라고했고, 대지 를쓴작가펄벅 (Pearl S. Buck) 은 한글은전세계에서가장단순하며가장훌륭한글자 라고찬사를한바있다.

124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한글 125 04 05 04, 05 세종대왕실록중훈민정음기록 (1446 년 )

126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한글 127 시작했다. 한편, 1988년서울올림픽개최에대비해정부는 1985년국어연구소를발족, 국어및외래어표기통일방안을연구해 1988년 1월 표준어규정 과함께 한글맞춤법 을고시했다. 이로써 1989년 3월 1일부터새로운맞춤법이시행됐다. 유네스코도인정한한글의세계화 1997년 10월국보제70호 훈민정음해례본 이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등재됐다. 훈민정음해례본 은세종이직접서문을쓰고정인지등신하들에게글자에대한설명을적게한것이다. 1940년에발견된이책은한글의창제원리를적은것으로한글이얼마나과학적인원리로만들어졌는지알려준다. 당시간송미술관을세운전형필선생이비싼가격으로이책을샀으며 6 25전쟁때는이책하나만들고피난갈정도로아꼈다는설도있다. 훈민정음해례본 은전권 33장 1책으로발간됐는데, 한글창제가상형원리에의해이뤄졌음을명확히밝히고있다. 새문자에대한해설을책으로출판한것도한글이유일하지만특히, 문자를만든원리와문자사용에대한이론의정연함과엄정함에대해세계의언어학자들이높게평가하고있다. 현재유네스코에서문맹퇴치에공헌한사람들에게 세종대왕상 을주는것은이책의문화사적가치를반증한다고볼수있다. 광복이후한글관련정책을크게살펴보면, 1961년 5 16 군사정변이후에는한자어추방정책이나왔다. 1963년문교부 ( 현교육부 ) 는 학교문법통일안 을공포했으며, 1973년 6월 맞춤법통일안 을시행했다. 한자문제는신문에서각기제한한자를사용하는방침을취했고, 교육용으로 1,800자를제정해중 고등학교에서가르치기 06 06 한글날행사 (2015 년 ) 이처럼우수한우리한글을문자가없는지구촌소수민족들의공식문자로채택하도록하자는운동이벌어지고있다. 2009년인도네시아찌아찌아족이한글을공식문자로채택한바있으며, 2012년남태평양의섬나라솔로몬제도의과달카날주 ( 州 ) 와말라이타주가한글을모어 ( 母語 ) 표기문자로도입한바있다. 이러한한글보급사업은장기적으로볼때한글의우수성을세계적으로알리고, 대한민국의이미지제고에도큰역할을할것으로기대된다. _ 글남애리

12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경복궁 129 25 경복궁 왕조의상징에서국민의상징으로 광화문근처에는경복궁을보러온국내 외관광객들로항상북적인다. 얼마전에는경복궁단기 야간개장에수만명의시민들이몰려들어그인기를실감하게했다. 그러나이런화사하고행복한광경 이면에경복궁은우리나라의질곡한역사를고스란히떠안고있다. 02 03 04 05 01 경복궁근정전야경 02 경복궁근정전 ( 엽서 ) 03 경복궁근정전의회랑 ( 엽서 ) 04 경복궁강녕전 ( 엽서 ) 05 경복궁경회루 ( 엽서 )

130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경복궁 131 경복궁은원래조선시대법궁 ( 法宮 ) 으로 일제강점기경복궁의수난은그야 지어져국가최고의궁궐자리에있었지만 말로비극적이었다. 일제는경복궁내 조선 500 년동안제대로법궁의역할을한 의여러건물을헐어민간에팔기시 것은 300 년이채되지않는다. 그리고조선 작했다. 본격적인경복궁의훼손은 몰락후일본의손아귀에서만신창이가된 1915 년 9 월 11 일부터 10 월 31 일까지 대표적인궁궐이기도했다. 개최된이른바 시정 ( 始政 ) 5 년기념 경복궁이처음지어진것은조선이개창한지 4년만인 1395년 ( 태조 4) 이었다. 조선왕조가개성을떠나한양을도읍지로정하면서지은첫번째정궁이었다. 궁궐의명칭은정도전이지었는데, 경복 ( 景福 ) 은 시경 에나오는말로, 태평성대의큰복을누리기를축원한다. 는의미를담고있다. 경복궁이자리한땅은삼각산을뒤로하고좌우에는낙산과인왕산이둘러싼입지로임진왜란이발발하기전까지조선제1궁으로 조선물산공진회 였다. 일제는공진회명목으로건물 4,000여칸을헐고, 그자리에 17,190m2 (5,200여평 ) 에달하는 18개소의상품진열관을설치했다. 공진회가끝나자일제는경복궁안에궁궐시설과무관한각종석탑, 부도, 석등, 불상등을전국각지에서옮겨배치하고음악당을설치했으며, 1916 년부터는경복궁을가로막고조선총독부청사를지었다. 그역할을담당했다. 광복후에도경복궁의수난은끝나 임진왜란이일어나고수도한양이왜적에게짓밟히는와중에경복궁은화재로전소됐다. 화재원인에대해서는피난가는선조임금에게앙심을품고신분제에원한을가진노비들이노비문서가있는전각을 지않았다. 6 25전쟁중서울시가전이벌어지고그와중에얼마남지않은경복궁전각일부가폭격에사라지기도했다. 광화문도이때폭격을피해가지못하고뼈대만남았다. 태우려다전소됐다는이야기, 왜적이불질렀다는이야기도있다. 임진왜란때불탄경복궁은이후재건되지않은채폐허로남아있었다. 6 25전쟁후에도경복궁은여전히복원되지못한채방치돼공개되지않다가 1960년 4 19 혁명이후차츰공개되기시작했다. 그러 경복궁재건은 1865년 ( 고종 2) 에가서야고종의아버지, 흥선대원군의주도로시작돼 1868년에완성됐다. 270여년만에정궁의자리를되찾았지만, 이후경복궁의역사는순탄치못했다. 중건된경복궁의 나이때의경복궁은조선시대의장엄한궁궐이아니라일제강점기와 6 25전쟁을지나면서훼손된그대로공개됐기에한국의대표궁궐이라는자긍심을심어주는데는부족함이많았다. 많은건물은여러차례의화재로소실되고복구되기를반복했다. 그러다가 1895년을미사변으로경복궁에서명성황후가일본낭인들에의해시해되고, 1896년고종이러시아공관으로거처를옮겨간아관파천이일어나면서경복궁은왕궁으로서운명을다하게됐다. 06 시정 5 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광고지 (1915 년 ) 06 07 07 경복궁도 ( 조선 ) 민주화와함께시작된경복궁복원사업경복궁의복원을본격적으로시작한것은 1990년대들어서였다. 1960년대에공개된경복궁이 30여년동안제대로복원되지못한이유는경복궁뒤로청와대가자리하면서이를방위하는군대가경복

132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경복궁 133 궁의후원일부를점유했기때문이다. 6 25전쟁때폭격으로뼈대만남은광화문을 1960년대에콘크리트로복원하는등단편적인작업으로명맥만유지했다. 정부는 1990년부터 20년계획으로 1차복원정비사업을시작했다. 이과정에서광복 50주년이되는 1995년에정부는경복궁의전면을막고있던구조선총독부청사를마침내철거했다. 1차정비사업은 2010년완료했는데, 89동 8,987m2 (2,720평) 의건물을복원했다. 일제강점기때에도남아있던건물 36동을포함해현재총 125동의건물이들어서고종당시경복궁건물의약 25% 수준에도달했다. 또한광화문권역은 2010년 9월이후완전개방돼많은국내 외관광객들이관람하고있다. 2차복원사업은 2011년부터실시했고, 정비사업과장기복원으로나뉘어추진하고있는데, 2030년까지고종당시경복궁의 75% 수준을목표로하고있다. _ 글김정미 08 09 10 11 08 경복궁경회루에서스케이트를즐기는시민들 (1977년) 09 경복궁복원기공식 (1991년) 10 구조선총독부건물철거현장 (1996년) 11 신축한경복궁근정전 (2003년)

134 석굴암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35 26 석굴암 석굴암의 유리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석굴암은 백색의 화강암재를 사용해 인공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그 내부는 장방형의 전실과 원형의 주실을 통로로 연결했다. 이는 인도 석굴형식의 절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었는데, 우리나라는 화 강암이라 석굴이 파지지 않아 인공으로 석굴을 만들어 그곳에 부 처님을 모신 것이다. 주실은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만든 궁륭 (dome형) 천장인데 신라인들의 정교하면서도 발달된 과학적 건축 기법을 보여준다. 정식 명칭은 석굴암 석굴로, 일연의 삼국유사 를 보면 석굴암 은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 751년(경덕왕 10)에 대상(大相) 김대성 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착공한 것으로 돼 있다. 그는 현세의 부모를 위해서는 불국사를 세우는 한편, 전세(前世)의 부모를 위해서는 석굴암을 세웠다고 한다. 당시의 정식 명칭은 석불사였다. 석굴 01 02 생전 석굴암의 완성을 지켜보지 못했고 마무리는 나라에서 했다. 석굴암의 방위(方位)가 신라 김씨 왕족의 공동묘역인 동해구(東 석굴암은 통일신라시대에 경주 토함산에 세워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석굴사찰이다. 뛰어난 건축미, 성숙한 조각기법 등을 보여주는 역사 유적으로 국보 제24호로 지정됐다. 암의 착공은 김대성이 했지만 건축기간이 장장 40년이 걸려 살아 01 석굴암 본존불상 02 석굴암 석굴 측면도(1979년) 海口)와 일치하고 있어 김대성 개인의 작업이라기보다는 신라 왕 실의 뜻과 당시 백성의 염원이 담긴 국가적 건축물로 추측된다.

136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석굴암 137 영욕의석굴암중수과정 석굴암에대한기록은조선중기이후만남아있는데, 불국사고금창기, 정시한의 산중일기 등이그것이다. 불국사고금창기 는 1703 년 ( 숙종 29) 에석굴암을중수 하고굴앞의돌계단을쌓았으며, 1758 년 ( 영조 34) 에다시 중수했음을밝히고있다. 정시한의 산중일기 는 1688 년 5 월석굴전실과후실의석상들이완전한형태로건재할 뿐아니라입구의홍예 ( 虹蜺 ), 본존상 ( 本尊像 ) 과좌대석 ( 座 臺石 ), 주벽 ( 周壁 ) 의여러조각들, 천개석 ( 天蓋石 ) 등이모 두질서정연하게자리잡고있는석굴암의모습을묘사하고 있다. 또한석굴암은정선이 1733 년에그린 교남명승첩 2 권 에그림으로도남아있다. 이화첩은당시전실 ( 前室 ) 이있 었음을보여주어최근복원공사에서석실입구에목조전실 을첨가하는데귀중한자료역할을했다. 이러한모든사 실은 200~300 년전까지만해도석굴암이잘보존 유지되 었음을입증하는것이다. 행한시멘트개보수로석굴암의환기구들이막혔고, 습기를아래로모 으는감로수 ( 甘露水 ) 도없애는바람에석굴에습기가차서불상에결로가 조선말기까지석굴암은경주지역사람들이이용하는절이었고조예상이크게중수한적도있어 조가사 라고불 생겼고화강암이침식하는현상이발생했다. 리기도했다. 그런데일본은 1907년마치자신들이석굴암을처음발견한것처럼선전하고석굴암을해체 반출하려는음모를꾸미기도했는데경주지역사람들의반발로무마됐다. 광복후 50년대에는혼란한상황속에서석굴암에대한간략한조사만있었을뿐그대로방치되다시피했다. 1960년대에마침내정부에서 3년간석굴암복원작업을했지만, 결로현상은계속됐다. 결국석굴암은외부습기를차단하기위해유리로봉인하고벽속에온풍기와에어컨 을설치하는방식으로습기를조절하고있다. 현재방문자는안타깝게 1913년중수를시작했는데이때부터석굴암의수난이시작됐다. 신라사람들의과학적건축기법을이해하지못한일제의학자들은석굴암을해체 복원하는과정에서원형을변형시켰고, 다시조립하는과정에서시멘트를사용해오늘날까지도석굴암보존상의커다란문제를남겼다. 당시 03 04 03 석굴암본존불 ( 엽서 ) 04 석굴암팔부신중 ( 엽서 ) 05 05 석굴암석굴 도석굴내부로들어갈수없고밖에서유리안의본존불만보고올뿐내부모습이나그안에새겨진부조들은관람이불가능하다. 석굴암은 1995년불국사와함께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지정됐다. _ 글김정미

13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숭례문 139 27 숭례문 600 년서울의역사와함께하다 숭례문은 1398년 ( 태조 7) 에건립됐다. 남대문이라는별칭이더익숙한숭례문은그크기가정면 5칸, 측면 2칸이며, 문위로 2층누각을갖추었다. 이누각의지붕은우진각형태이고처마에많은공포를장식한다포 ( 多包 ) 집양식을하고있다. 현판글씨는이수광의 지봉유설 에의하면양녕대군의글씨라고한다. 조선을건국한태조가한양으로도성을옮기고성을쌓으면서 4대문을만들었는데숭례문은그중남쪽에있는문이어서 남대문 이라고부르기도한다. 숭례문은목멱산 ( 현재남산 ) 과인왕산이내려와만나는서남쪽의고개에세워졌는데, 도성의정남쪽에는목멱산이자리하고있기때문에지형적여건에맞춰서남쪽에위치하게된것이다. 이처럼산줄기가만나는지형적조건때문에땅을파서지대를평평하게만든다음문루 ( 門樓 ) 를세우고성곽을이었다. 숭례문은 2년만에지었는데, 1447년 ( 세종 29) 에 2년간의공사를통해대규모개축을했다. 이때숭례문의주변을높이고문위의누각을크게수리한것으로기록에남아있다. 숭례문의보수는 1479년 ( 성종 10) 에또한번이뤄지는데이때는누각이기울어져개축이필요했다고한다. 이후고종때까지별다른수리기록이보이지않은채 400여년을이어오다가 1868년경복궁중건때한차례보수를한것으로보인다. 기록에는남아있지않지만건물의일부나무가고종대의나무인것으로판명됐다. 01 숭례문야경 숭례문은기울어가는조선의운명과함께급격한변화를겪었다. 1898년 12월에는종로에서용산을잇는전차길이생겨전차가숭례문을관통했고 1904년에는숭례문앞에서다시서대문으로이어지는또다른선로가부설돼숭례문은사람 마차 말 전차등이뒤섞여지나가는매우복잡한통행로가됐다.

140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숭례문 141 사람과전차가함께통과하다보니전차사고가연이 어일어났고이에 1907 년숭례문의양옆성곽을허물게 됐다. 성곽철훼는 1909 년에완료됐으며, 이후주변에 원형석축을건립하는공사도진행됐다. 이원형석축 은 2008 년숭례문화재이전까지있었는데, 이로인해 숭례문은문의기능을잃고사방으로뻗은도로의한 가운데섬처럼외롭게서있게됐다. 1910 년에는숭례문앞에위치하고있던인공연못인 남지 ( 南池 ) 를매립했다. 이연못은숭례문앞에위치해 화재에대비하는방화수의역할을하면서, 동시에풍수 적해석에따라관악산의화기를누르기위해상징적 으로설치된시설이었다. 국보제 1 호숭례문 6 25 전쟁때숭례문은한차례크게훼손됐다. 숭례 문을중심으로총격전이벌어지면서박격포공격을받 은것이다. 다행히건물전체가붕괴되지는않아 1953년 4월부터 9월에걸쳐긴급보수를했는데이때는임시방편으로부서진곳만수리한정도였다. 이후 1961년부터 1963년까지 2년간숭례문을해체 보수하는큰공사가 지켜왔을뿐아니라서울에서가장오래된목조건물이라는점에서여전히국보제1호를유지하고있다. 있었다. 2006 년숭례문은일제에의해철책이둘러 일제강점기 조선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보존령 에의해우리나라문화재중가치가있는것을보물로정했는데이때숭례문이보물제1호였다. 1955년정부는일제강점기에지정된보물을모두국보로승격시켰고 1962년국보에번호를정하면서숭례문은국보제1호가됐다. 숭례문의국보제1호선정에대해서일제의잔재를고민없이답습했다는비판의소리도있었으나, 숭례문은수도서울을 600년이상변함없이 02 03 04 05 02 숭례문 (1904년) 03 숭례문 (1905년) 04 숭례문 (1960년) 05 숭례문 (1979년) 06 07 06 숭례문복원준공식 (2013년) 07 숭례문화재현장 (2008년) 진지 70여년만에남쪽에광장을설치한후일반인에게공개돼사람들이드나드는옛기능을찾는듯했다. 그러나 2008년 2월 10일밤숭례문은화재로 2층누각이전소되는큰피해를입었다. 다행히 1층누각과석축은무사했으며 5년간의복원공사끝에 2013년 5월제모습을찾았다. _ 글김정미

142 독도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43 28 신라시대 독도는 우산도 삼봉도 자산도 가지도 요도 독도 석도 독섬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독도가 공식적으로 지도상 에 표기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지도는 조선전기 지리서의 하나인 우리가 영원히 지켜야 할 우리 땅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팔도총도 (1530년)다. 이 지도에는 독도가 울릉도보다 내륙에 더 가까운 쪽에 그려져 있다. 아마도 내륙에서 울 릉도를 갈 때 해류의 영향으로 독도에 먼저 도달했다가 울릉도로 갔기 때문에 더 가깝게 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41호에도 울릉도 관할구역의 하나로 석도(石島) = 독도 가 등장한다.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우기고 있다. 하지만 역사 속 여러 증거들이 독도가 우리 땅임을 증명해 주고 있다. 우리가 가진 자료 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독도가 우리 땅임을 증명 해주는 자료들이 많다. 일본고지도인 삼국접양지도 (1785년), 조선 국교제시말내탐서 (1870년), 대자명세 제국이정전도 의 조선전 국도 (1908년) 등은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또 1877년 3월에는 일본 최고 행정기구인 태정관이 내무성에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령이 아니라는 지시를 내린 적도 있다. 그럼에도 일본은 우리가 과거에 독도 라고 불러왔던 섬이 독도가 아닌 울릉도이거나 또 다른 미지의 섬이라고 반박한다.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는 국제적 효력을 가진 공식 문서에도 있다. 연합군최고사령부지령(SCAPIN) 제677호는 1946년 일본제 국 해체작업의 일환으로 울릉도와 독도 등을 이관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각서다. 이 지령에는 일본의 영토는 4개 본도와 약 1,000개의 작 은 인접 섬들을 포함한다. 고 정의하고, 제3항에서는 일본 영토에서 제외되는 섬들의 목록을 지정해 놓았다. 제외된 섬에는 울릉도, 독도, 제주도가 들어 있었다. 또한 제5항에는 이 지령에 포함된 일본의 정 의는 그에 관해 다른 특정한 지령이 없는 한, 연합군최고사령부로부터 발하는 모든 지령 각서 법령에 적용된다. 또 일본의 정의에 대해 변 경을 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연합군최고사령부가 그에 관한 다른 01 독도 전경 지령을 발해야 하며, 그렇지 않는 한 일본의 정의는 미래에 영구히

144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독도 145 적용된다. 고밝히고있다. 그리고일본의 총리부령 제 24 호 와 대장성령제 4 호 (1951 년 ) 는독도를일 본영토에서분명하게제외 하고있으며, 일본의대장 성령은지금도법적으로유 효하다. 이처럼일본내의 여러역사적증거들조차독 도가우리땅임을말해주고 있는것이다. 일본이우기는이유 일본은여전히독도를 자기땅이라고우기고있다. 그이유는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때문이다. 일본은태평양전쟁에서패한후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을맺으며연합국에전쟁피해배상을완결하고국제적주권을회복했다. 미국이주도한이조약에서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스리랑카등을포함한 48개의전승국이피해배상을받았다. 군사적가치를안일본은 1905년독도를일본시마네현으로만들었다. 1994년부터국제적으로적용된배타적경제수역에따르면, 자기나라땅으로부터 200해리까지의바다에있는모든자원을채취하고개발할수있는권리를가질수있다. 때문에독도를빼앗기면작은섬만을빼앗기는것이아니라독도근처의넓은바다와하늘까지빼앗기게되는것이다. 또한독도주변 하지만이때우리나라는제외됐다. 미국은임시정부와그산하독립군의지위를공식적으로인정하지않았으며우리나라를연합국에도포함시키지않았다. 은많은물고기가잡히는황금어장이며천연가스와같은많은자원들이묻혀있어경제적으로도큰가치가있다. 게다가일본의요청에따라식민지배영토반환에서독도를제외시켰다. 이때문에일본은여전히독도에대한영토권을주장하고있는것이다. 02 04 현재독도에는우리국민들이살고있다. 독도경비대와등대원이상주하는것외에독도를주소지로하는사람들이많다. 2014년 2월 6일기준으로독도에본 일본이독도의중요성을깨달은것은 1904년러시아와의전쟁시기로독도는동해를지나가는러시아함대의통태를감시하는망루 ( 望樓 ) 로사용됐다. 독도의 03 02 삼국접양지도 (1785년) 03 대한전도 (1899년) 05 04 독도영토표석 05 독도 한국령 암각서 적을둔사람은 2,957명, 주민등록부에는 19세대 20명이등록돼있다. _ 글남애리

146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남산 147 29 남산 서울의역사와함께한남산 남산은조선시대수도가한양, 즉서울이되면서역사의전면에등장했다. 남산의높이는 265.2m이며, 북쪽의북악산, 동쪽의낙산 ( 駱山 ), 서쪽의인왕산 ( 仁旺山 ) 과함께옛한양지역을둘러싸고있다. 원래는목멱산 ( 木覓山 ) 인 경산 ( 仁慶山 ) 마뫼등으로불렸는데, 주로목멱산이라했다. 남산이라는이름은도읍지한양의남쪽에있어조선시대부터통칭돼온것이다. 남산은풍수지리설상안산 ( 案山 ) 겸주작 ( 朱雀 ) 에해당하는중요하고신성한산으로여겨져정상에국사당 ( 國祀堂 ) 을두고나라에서봄 가을하늘에제사를지냈다. 또국방상무슨일이생기면각지방에서올린봉화가도착해임금에게전해지는봉수대가있었다. 01 N 서울타워야경 02 02 진경산수화풍으로그린도성도 ( 조선 ) 남산은일제강점기를전후로큰변화를겪었다. 1910년일제에의해강제합병되기직전남산은공원으로개발되기시작했다. 당시공원의이름은 한양공원 ( 漢陽公園 ) 이었는데, 이공원의이름을쓴고종의친필비석이현재도남아있다. 재미있는것은공원조성이대한제국의뜻이아니라일본의지시로이뤄진것이다

14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남산 149 보니당시비석의뒷면에는공원을만든친일파의이름이 자랑스럽게새겨졌다. 그러다가광복이후친일파의자손 들이비석에새겨진조상이름을파내지금은이름을새겼 던자리곳곳이훼손돼있다. 우리나라를강제병합한후일제는본격적으로남산을 훼손하기시작했다. 원래남산에는소나무가울창했으나, 우리나라사람들의민족혼을빼앗기위해소나무를베어 내고아카시등의잡목을심어산의경관을많이해쳤다. 또임진왜란때왜장들이쳐들어와성채를쌓았다는이야 기가전해오는남산중턱에왜성대공원 ( 倭城臺公園 ) 을조 성하고, 공원안에일본인들의참배용으로경성신사를만 들었다. 남산자락은일본인거주밀집지역으로개발됐다. 일제 는 1925 년남산중턱에조선신궁 ( 朝鮮神宮 ) 을짓고조선 시대제사를지내오던국사당을헐었다. 중 일전쟁이후 에는우리나라사람들도조선신궁에참배할것을강압해 별시지정민속자료인한옥 5 채를이전 복원하고 남산은한때우리의한과증오가서린곳이됐다. 정원을꾸민남산골한옥마을이조성됐다. 이외에 도남산의동 서 북쪽의사면일대에는자연공 1960 년대서울시민의휴식과위락장소로남산이개발 원인남산공원이설치돼서울시민의휴식처로제 되기시작했다. 1962 년남산케이블카가설치됐고 1965 년 공되고있다. 또한자연학습장이설치돼학생들의 남산도서관, 1968 년에는남산식물원이문을열었다. 1973 년 자연학습에많은도움을주고있다. 에는국립극장이들어섰으며 1975 년에는높이 236.7m 의 송신탑인남산타워를완공했고 1980년 10월일반인들에게전망대를공개했다. 03 04 05 1994년에는서울정도 ( 定都 ) 600년을맞이해시민생활과서울의모습을대표할수있는문물 600 남산제모습찾기사업 1990년시작된남산제모습찾기사업은정부기관청사를철거하고그자리에공원을조성해시민쉼터를마련하는방향으로진행됐다. 군부대가있던자리에는서울특 06 03 남산케이블카운행 (1962 년 ) 04 남산도서관개관식 (1965년) 05 남산식물원전경 (1970년) 06 국립극장전경 (1973년) 07 08 07 남산제모습찾기사업 (1990년) 08 서울정도 600년타임캡슐매설모습 (1994년) 점을서울천년타임캡슐에담아남산자락에묻었다. 이타임캡슐은 400년후서울이 1000년되는해인 2394년 11월 29일에열릴예정이다. _ 글김정미

150 현충사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51 30 현충사 구국영웅 이순신, 60년대 국민정신이 되다 우리나라 사람 중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장군은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구국의 영웅으로 존경받는 역사적 인물이다. 장군에 대한 존경과 선양은 조선시대부터 시작됐고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뛰어난 장군이자 나라를 구한 영웅으로 장군의 의미는 언제나 변함이 없지만, 1960년대 국가적 차원에서 더 각별하게 선양됐다. 이순신 장군이 1598년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후 100여 년이 지난 1705년, 장군이 성장했던 아산을 중심으로 구국의 영웅인 장군을 기리는 사당을 건립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충청도의 선비들 이 장군을 모시는 사당을 짓고 이를 당시 임금이던 숙종에게 아 뢨다. 이에 1707년 숙종은 직접 현충사라는 이름을 짓고 액자를 하사했다. 이후 150여 년간 장군을 모시는 사당으로 있다가 대원 군 시기 전국의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다른 서원들과 함께 철폐되 기도 했다. 현충사는 을사늑약에 분노한 유림들이 1906년 유허비(遺墟碑)를 세우는 정도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1932년 전격적으로 중건됐다. 02 01 그 이유는 장군의 묘소가 경매로 일본인의 손에 넘어갈 지경이 됐기 때문이었다. 민족지사들이 이충무공유적보존회 를 조직하고 동아일보사의 협력으로 민족성금을 모아 1932년 현충사를 재건 01 현충사 전경 02 충무공 이순신 포스터(1998년) 하고 영정을 모셨다.

152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현충사 153 광복후에도한참동안현충사는그다지주목받는장소는 아니었다. 그러던것이 1963년박정희대통령이이곳을방문하면서급격한변화를맞았다. 현충사 1966년대통령의지시로성역화가본격화돼 1967년본래의사당 ( 구본전 ) 위편에본전을준공했다. 구본전은새로운본전을신축할때배전 ( 拜殿 ) 으로이용하기로하고사적비 ( 事蹟碑 ) 와함께유물관옆으로이전했다. 새로지은본전에는 1953년장우성이그린것을표준영정으로하여모셨다. 경역의전체면적은 539,160m2이고, 그안에주요시설로본전 유물관 고택 활터등과묘소가있다. 고택은장군이성장한집으로대대로후손들이지켜왔는데, 몇차례중수또는개수됐다. 활터는고택옆에 500년수령의은행나무두그루가있는곳으로장군이무예를닦던곳이다. 현충사중건사업이완성된 1969년 4월 28일에는이순신장군 424회탄신일기념을겸하여대통령이하 3부요인및각부처공무원, 내외귀빈, 기관, 단체등이참석한가운데현충사중건준공식이열렸다. 03 03 현충사공사광경 (1968 년 ) 04 05 04 현충사중건준공식 (1969년) 05 현충사방문시민들 (1972 년 ) 1968년현충사는사적제155호로지정됐고장군의탄신일에는매년정부주관으로제를올리고있다. 2011년건립된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는장군과임진왜란에관한각종유물이전시돼있고, 장군의정신과위업선양을위한강의와세미나가열린다. _ 글김정미

154 태권도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55 31 태권도 대한민국의 국기(國技), 세계로 나아가다 하얀 도복에 검정띠를 묶고 절도 있는 기합과 품새를 선보이는 태권도는 이제 한국 사람들만의 무 예가 아닌 전 세계인의 스포츠가 됐다. 외국에서 오는 국빈 앞에서 단체로 태권도를 선보이는 어린아이 들의 진지하고 귀여운 모습과 세계 곳곳에서 얍얍 하며 발차기를 따라하는 외국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왠지 모를 뿌듯함과 감동까지 느껴진다. 태권도의 역사 태권도의 연원에 대해선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영고, 동맹, 무천 등의 종교의식 때부터 시작된 행위가 발전하여 전통무예로 이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의 태권도가 완성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고, 태권도 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한 광복 이후로 보는 시각도 있다. 태권도의 연원은 고대 고분벽화나 불상, 문헌들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현재 만주 집안현 통구에 있는 무용총 벽화가 대표적인데, 벽화에 그려진 두 사람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 주보며 손 발로 상대를 공격하는 듯 서있는 모습과 석굴암의 금강역사상이나 분황사 9층 석탑 인왕상 등의 몸동작은 태권 02 03 01 도의 경기 동작이나 품새와 유사하다. 또한 고려시대 수박희 (手搏戱) 라는 무술은 삼국시대부터 행해지던 택견이 체계화 된 무예로 이를 잘 하는 무관은 승진되기도 했다. 01 태권도원의 외국인 수련생들 02 태권도 중앙도장 준공식(1972년) 03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막식 (1973년) 광복 이후 우리의 태권도를 찾고자 하는 이들이 후진을 양 성하기 시작하고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해 각종 대회를 개최

156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태권도 157 로나올림픽에서시범경기로채택돼경기를치른후, 2000년시드니올림픽대회에서정식경기종목으로채택돼명실상부한세계의스포츠가됐다. 06 태권 이아닌 태권도 태권도의기술체계와운동형태의특징은무기를사용하지않고손기술과발기술만이용하는것이다. 태권도는상대에대한공격이아니라적극적방어에주목적을두고있다는것이다. 방어를우선으로하는태권도는평화와공정성을정신적기반으로하며이를통해인내심과예절교육, 정신수양, 자기극복의태도를중요하게여긴다. 이렇듯기술의습득과더불어정신의수련까지갖춰져야만진정한 태권도 라고할수있다. 06 태권도교육을받는학생들 _ 글조정미 하다가 1961년 9월 16일대한태권도협회를창설했다. 이후 1963년 2월대한체육회에가입했고, 10월전주에서개최된제44회전국체전에정식종목으로채택됐다. 1971년에는태권도의우수성과가치를인정받아국기 ( 國技 ) 로정해지고, 1972년에는태권도중앙도장겸시합장인국기원을개원했다. 1973년서울에서개최된제1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참가한 19개국의대표들이세계태권도연맹을창설했고, 이후국제태권도대회에서우리나라는태권도의우수성과종주국으로서의위상을보여주었다. 1980년모스크바에서열린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총회에서는태권도를승인종목으로인정했으며, 1986 년제10회서울아시아경기대회에서정식종목으로채택됐다. 태권도는 1988년서울올림픽과 1992년바로셀 04 05 04 아시아경기대회개막식태권도시범 (1986년) 05 아시아경기대회태권도경기 (1986년)

15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아리랑 159 32 아리랑 또하나의애국가 아리랑이어느시대에생겨났는지정확히알지못한다. 그러나발이달린듯전국적으로아니바다건너해외까지고스란히전달됐다. 특히암담한시대를살아온우리겨레와민족에게는민족혼과함께애국심을자아내게했던민족의노래다. 아리랑 은우리에게그런노래다. 한나라에서과연그나라의국가 ( 國歌 ) 만큼혹은그보다더많이불리는노래가있을까? 우리나라국민이라면한치의망설임도없이 아리랑 을꼽을것이다. 아리랑은세대를뛰어넘어, 시대를초월해모두를하나로이어주는신비로운노래이자상징의노래다. 아리랑의시작에는여러설이있다. 심지어 30종에가까운어원설이있지만, 그어느것도정설이없다. 아마도아리랑이구전되어전해진것처럼어원설도다양하게많은것같다. 아리랑의시작을말하는첫번째설은아랑설 ( 阿娘說 ) 이다. 아랑설은옛날경남밀양사또의딸인아랑의억울한죽음을애도하면서시작됐다는얘기다. 02 03 01 01 천년아리랑공연 02, 03 아리랑악보 두번째는알영설 ( 閼英說 ) 이다. 알영설은 삼국유사 에나타난전설을근거로만들어졌는데, 신라의시조박혁거세 ( 朴赫居世 ) 의부인이었던알영을찬미해 알영알영 하고노래부른것에서 아리랑아리랑 으로변했다는것이다. 세번째는아이롱설 ( 我耳聾說 ) 이다. 아이롱설은경복궁중건때만들어졌다. 당시백성들이원납금성화에못견뎌하며 단원아이롱

160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아리랑 161 불문원납성 ( 但願我耳聾不聞願納聲 ) 이라고노래를불렀다고한다. 이말의뜻은 원하노니내귀나어두워져라, 원납소리듣기도싫구나 하는것으로원납전을내야하는자신들의힘든상황을노래에실어보냈다는것이다. 여기서 아이롱 ( 我耳聾 ) 이 아리랑 으로변화됐다는것이다. 그렇다면아리랑은어떤뜻이담긴말일까? 아리랑의 아리 는 아름답다, 곱다 등의뜻을가진옛말이며, 랑 은 님 을가리키는말이다. 쓰리랑 에서 쓰리 는마음이아프다, 쓰리다는뜻을담은말로 쓰리랑 은 마음이쓰릴정도로그리운님 을뜻한다고하겠다. 아라리요 는 가슴이아리다 를뜻으로이모든것을조합해볼때 아리랑쓰리랑아라리요 라는노랫말은 마음이아리고쓰리도록고운님 이라는뜻을담고있다. 수많은아리랑에민족정서오롯이담아아리랑은남북을통틀어약 60여종, 3천 6백여수에이른다. 그가운데우리나라의 3대전통민요아리랑이라고할수있는것은각지역마다독특한정서를담은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이다. 3대전통아리랑외에도평안도에서는 서도아리랑, 강원도에서는 강원도아리랑, 함경도에서는 함경도아리랑 과 단천아리랑, 어랑타령, 경기도에서는 긴아리랑 등지역을대표하는아리랑이있다. 또한말춘천에서의병투쟁을할때부른 춘천아리랑, 대원군과명성왕후의권력싸움을민중들이성토한 본조아리랑, 만주광복군의독립의지를담고있는 광복군아리랑, 조국을빼앗기고소련으로떠난알마아타시의한인들이부른 치르치크 (Chirchik) 아리랑 등이있다. 04 05 06 07 08 09 04 정선아리랑공연 (1985 년 ) 05 정선아라리악보 06 진도아리랑비 07 진도아리랑악보 08 밀양아랑제행사 (1977 년 ) 09 밀양아리랑악보

162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아리랑 163 2012년프랑스파리에서열린제7차무형문화유산위원회에서아리랑은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등재됐다. 당시유네스코에서는아리랑이다양한사회적맥락속에서지속적으로재창조되며공동체정체성의징표이자사회적단결을제고하는역할을해왔다고평가했다. 12 10 11 10 민요아리랑의각지방분포도 (1991년) 11 아리랑스카프 12 외국인을위한한국어기초교재 아리랑은이처럼오랜세월을거쳐오며우리민족의수많은삶이각인돼있어단순한민요의틀에서벗어나문학과역사까지도담아내고있다. 아리랑을부르는사람들은슬픔과기쁨속에서삶을짓누르는현실을마음껏표출했다. 아리랑은우리민족저변에깔린정서의가락이며민족동질성의구체적표현인것이다. _ 글남애리

164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강강술래 165 33 강강술래 달이뜬다, 손잡고돌자 요즘의강강술래는대동단결의의미에서남녀노소가함께손을잡고원을그리며노는놀이가됐지 만원래는여성들만하는놀이였다. 전라남도남해안일대와섬지방에전래돼오던것으로, 주로추석 날밤에부녀자들이손과손을잡고 강강술래 라는후렴이있는노래를부르면서원을그리며노는 민속놀이였다. 주로추석날밤에행해졌지만, 지방에따라서는정월대보름밤을비롯해봄 여름 가을어느때든지달밝은밤이면수시로했다고한다. 강강술래의주요후렴구이자놀이의이름인강강술래가어떤의미이고어원이무엇인가에대해서는몇가지설이있다. 한자의 강강수월래 ( 强羌水越來 ), 즉강한오랑캐가물을건너온다는뜻으로백성들로하여금왜적을경계하도록한구호였다는설, 우리말 ( 특히전라도방언 ) 에서 강 은원, 술래 는수레를의미하므로둥글고둥글다는뜻이라는설, 강강 은원, 술래 는순찰한다는의미의순라에서나왔다는설, 더나아가 강강 은둥근원을만들고돈다는뜻이며, 술래 는도적을잡는다는뜻이라는설등이그것이다. 01 02 03 강강술래가시작된유래에대해서도여러가지설이있다. 최근에는고대농경사회시대의파종 수확시기에공동체축제에서행해지던놀이가해안지역의특징인풍어 ( 豊魚 ) 안전에대한기원과합쳐져점차오늘의강강술래와같은모습으로발전됐다고보고있다. 01 아시아경기대회폐회식중강강술래공연 (1986년) 02, 03 중요무형문화재지정관련회의록 (1965년) 강강술래는임진왜란때이순신장군과관련된구전도전해지고있다. 장군이부녀자들을남장시켜서로손을잡고둥글게원을만들며춤추게했더니, 이를본왜적들이우리군사가많은줄로오인

166 강강술래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67 민속전래의 고유 오락이며 민요인 동시에 임진왜란과 관련 시켜 민족적 자부와 긍지를 갖는데 유익하다. 국가적인 차원의 보급으로 강강술래는 곧이어 국민적 민속 놀이가 됐다. 강강술래는 1986년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폐회식에서 공연돼 세계인들 05 06 07 08 05 강강술래 06 남생아 놀아라 07 청어엮기 08 쥔쥐새끼놀이 하고 달아났다는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강강술래를 오늘날과 같은 국민 민속놀이로 성장 시킨 계기가 됐다. 1966년 이후 국민적 민속놀이로 1960년대 우리 사회는 역사적으로 훌륭한 인물을 선양해 국민정신 단합을 도모하는 일이 많았다. 강강술래는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정해지고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으로 보급 04 됐다. 1965년 12월 2일자 문화재위원회 제2분과 제9차 회의록 은 강강술래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사유를 이렇게 적고 있다. 04 강강술래 공연(1961년) 이 손에 손을 잡고 하나가 되는 흥겨운 분위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_글 김정미

16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직지심체요절 169 직지 는현존하는가장오래된금속활자 34 본인데, 이책은구텐베르크가최초로찍어낸금속활자본 42행성서 보다 78년이나앞선직지심체요절 1377년에간행됐다. 더불어현존하지는않으나 상정고금예문 이라는책이 1234년에이미 세계최초로금속활자를만든건바로, 우리나라 금속활자로인쇄됐다는기록이남아있어우리나라의금속활자인쇄의역사는유럽보다도 200년이상앞선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가장오래된금속활자의발명국 이란사실이세계에알려진것은 1972 년이다. 프랑스파리국립도서관에소장돼있던일명 직지 로불리는금속활자본이고려말에인쇄된책이라는 사실이알려지면서세계는술렁거렸다. 그이전까지는독일의구텐베르크가금속활자를최초로발명한 사람으로알려져있었다. 01 직지 직지 의발견 직지 는 1972년전격적으로세계에알려지게됐는데, 여기에는파리국립도서관의특별연구원이던박병선의역할이컸다. 박병선은 1967년부터파리국립도서관에서일했는데, 그곳에서한국자료를분류하고해제하는작업을하다가 직지 를발견했다. 박병선은이책이구텐베르크보다 78년이나앞서금속활자로인쇄된책이란사실을알아냈다. 이후 1972년파리에서열린 세계도서의해기념도서전시회 에서 직지 가현존하는세계최초의금속활자본이라는사실을입증하고세계적인공인을받았다. 파리국립도서관에소장된 직지 는상하두권중하권인데, 보통 1866년병인양요때프랑스군에의해약탈당한것으로오인하는사람이많다. 그러나사실은 1886년한 불수호통상조약이체결된후초대주한대리공사로부임한콜랭드플랑시가정식으로구매해간것이다. 플랑시는이 직지 를자신의모교에기증했고, 이것이우여곡절끝에경매로나왔을때앙리베베르가 180프랑에구입했다. 이후 1950년경파리국립도서관에기증돼오늘날에이르고있다. 직지 는어떤책? 직지 라고불리는이책의원래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이다. 매우긴이름이라간소하게 직지 라고부른다. 한때는 직지심경 이라고부르기도했지만, 최근에는 직지심체요절 이라고바꿔부르기도한다. 책제목이길어혼란스러울지모르나풀어보면 백운화상이부처와고승이한선에대한말씀중중요한것을가려뽑아모아놓은책 이란뜻이다. 직지 ( 直指 ) 란말은불교의 직지인심견성성불 ( 直指人心見性成佛 ) 에서온말로 참선을통하여사람의마음을바르게보면, 마음의본성이곧부처님의마음임을깨닫게된다. 는뜻으로 참선용어 라고한다. 백운화상은고려말활동하던승려인경한의다른이름이다. 경한은정읍출신으로공민왕때국사가됐으며, 말년에성불산성불사에머물면서상하두권으로구성된 직지 를저술했다. 직지 는그가죽은지 3년뒤에제자들의주도로청주흥덕사에서금속활자로인쇄됐다. 당시 50~100부정도인쇄됐을것으로추측되고있다.

170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직지심체요절 171 흥덕사는 1986년에사적제315호로지정됐으며 1987년부터 5년여에걸쳐절터를복원 정비해정면 5칸, 측면 3칸의금당을다시지었다. 한편, 직지 는 2001년 9월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등재됐는데, 이는유네스코가지정한세계기록유산가운데해당국가에있지않은데도선정된유일한예다. 아직까지 직지 는프랑스파리국립도서관에소장돼있으며, 직지의역사적가치를안후부터는이를단독금고에보관하고있다고한다. _ 글김정미 흥덕사발굴흥덕사는 직지 발견후관심이높아졌지만그위치조차확인되지않았다. 그러던중 1984년한국토지개발공사가청주시운천동에택지를조성하면서이름없는절터가발견됐다. 1985년부터시작된발굴과정에서 서원부흥덕사 ( 西原府興德寺 ) 라새겨진금구 ( 禁口 ) 조각과 황통 10년 ( 皇統十年 ) 흥덕사 ( 興德寺 ) 라새겨진청동불발 ( 靑銅佛鉢 ) 뚜껑등이나왔다. 이로써이절이흥덕사란것이입증됐고 직지 에 청주목외흥덕사 에서인쇄했다고하였으므로그위치를바로확인할수있었던것이다. 02 02 흥덕사금당복원후모습 03 04 03, 04 직지심체요절세계기록유산등록신청서 (1998 년 )

172 진도개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173 35 진도개 나는 한국의 대표 토종개다 우리나라 토종개의 역사에서 일제강점기는 수난기였다. 일제강점기 이전만 해도 우리나라에는 다양 다종한 토종개들이 있었다. 진도개를 비롯해서 풍산개 삽살개 동경개 해남개 거제개 등의 중형견 이상의 개뿐만 아니라 소형견도 다양 다종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가 우리 토종개를 수탈해 갈 자원으로 1938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받은 진도개만이 보고 대규모 도살을 감행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중 대형견 이상의 개들이 거의 전멸하기에 이르렀다. 우여곡절 끝에 멸종의 위기에서 벗어났는데 일제가 진도개를 천연 기념물로 정한 이유는 일본의 기슈견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풍산개도 1943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나, 거의 멸종 상태에 이 르렀다가 최근 북한에서 다시 복원해 육성 중이라고 한다. 광복이 되면서 거의 유일하게 남은 토종개인 진도개는 1958년 문 교부에서 진도개의 보호 육성에 대해 고시한 것 외에는 별다른 보 호를 받지 못했다. 진도개를 우리나라 대표 토종개로 정식으로 보호 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들어서면서였다. 진도개는 1962년 문화 재보호법 에 의거,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며, 1967년 제정된 한국 진도견보호육성법 에 의해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또, 1968년 한 국진도견보육협동조합이 발족해, 진도개의 외부 반출과 혼혈 방지 등 잡종 도태에 힘써 우수한 혈통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02 03 01 진도개의 현황 진도개는 과연 어떤 개일까? 한국진도개보호육성법 에 의하면 01 진도개 02, 03 한국진도견 보호육성법 공포안(1967년) 진도개는 진도군이 원산지인 개로서, 진도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해 고시하는 혈통과 표준 체형을 갖춘 개를 말한다.

174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진도개 175 진도개의기원에대해서는송나라배가파선해그배에있던개가표착했다는설, 몽고목장개가진도목장견으로쓰였다는설, 진도토종개가늑대와교배해됐다는설등이있다. 그러나근래중국 일본 한국남해안의패총이나선사유적들에서나오는개뼈로보아신석기때부터있어온개가진도라는섬의지리적특수성속에서외래견과의혼종이덜돼진도개로발전했다는학설이신뢰성을얻고있다. 진도개의표준은대략겉털은강하고윤택하며, 얼굴에는부드러운털이빽빽하고, 꼬리의털은약간길며, 털색은황색또는백색인것을원칙으로한다. 그리고키는수컷은 50~55cm, 암컷은 45~50cm이며, 머리와얼굴은정면에서보아 8각형을나타내며, 야무진턱에전체적인인상은온순하면서도예민해보이는것이진도개의특징이라고한다. 진도개는성격이대담하고후각과청각이아주예민해사냥에적합하다. 또한충직하고영리하며귀소본능이뛰어나애완용이나집지키기에도적합한개이다. 1년에두번새끼를낳으며, 교미한지 60~63일이지나면 3~8마리의새끼를낳는다. 04 05 진도개는처음천연기념물로지정된 1938년에는약 4,000마리의진도개가있었던것으로추산되고, 1965년에는약 7,000마리까지늘어났다가, 1969년에는 3,042마리로급격히감소됐다. 이후 2005년국견협회의조사에따르면, 6개월령이상성견 ( 成犬 ) 사육호수는 7만가구에이르며점점늘어나는추세다. 진도개는 1995년에는국제보호육성동물로공인지정됐다. 04 진도개 ( 황구 ) 05 진도개 ( 백구 ) _ 글김정미

176 국립중앙박물관 기록과 테마로 보는 대한민국 36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공원에 뿌리내리다 177 국가가 운영하는 박물관이 처음 생긴 것은 대한제국기다. 1909년 대한제국 황실에서 전액을 지원하여 창경궁에 제실박물관을 개관한 것이 국립박물관의 시초였다. 그러나 1년 뒤 일제의 침략에 의해 강제로 식민지가 되면서 조선총독부 산하로 편입되고 말았다. 조선총독부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를 계기로 경복궁 내 박물관 건물을 신축하고 1915년 12월 조선총독부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다. 애초에 박물관으로 설계된 것이 아닌 급조된 건물이었기에 매우 협소해 경복궁의 전각 일부를 수장고나 전시실로 썼다. 조선총독부 박물관은 경주와 부여의 고적보존회 를 흡수해 분관으로 뒀다. 요즘의 젊은 세대는 국립중앙박물관이라고 하면 용산에 있는 현대적이고 웅장한 건물을 떠올리겠 지만 중장년층들의 기억 속 국립중앙박물관은 궁궐 언저리 어딘가였다. 우리나라 국립박물관의 역사는 100여 년이 넘지만, 근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국립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만큼 자주 이사를 다녔다. 01 국립중앙박물관 전경

178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국립중앙박물관 179 광복후국립박물관의행보 1945년광복이되면서경복궁내조선총독부박물관을인수 개편해국립박물관이발족했다. 광복의환희속에서국립박물관은기존의경주와부여외에공주와개성에분관을개관했다. 하지만 1950년 6 25전쟁이발발하면서국립박물관은한차례위기에직면했다. 전쟁중유물을보관하던경복궁전각이일부폭격을받아수천점의유물이소실됐다. 게다가중요문화재 2만점을부산으로대피시켜광복동에임시사무실을여는과정도있었다. 전쟁이끝나고다시서울에와서는경복궁박물관시대를마감하고남산에있던민족박물관을임시본부로쓰다가 1955년덕수궁석조전을보수해이전했다. 이시기문화재관리국에소속돼있던덕수궁미술관이국립박물관에통합돼두개의전시시설이일원화되면서대폭적인소장품의확충이이뤄졌다. 그러나유물의증가와함께더큰시설이요구됨에따라 1972년경복궁에새롭게건물을신축해또다시이전을하게됐는데, 이때국립박물관의명칭도국립중앙박물관으로변경됐다. 1986년국립중앙박물관은또한번이전을하게되는데, 1982년정부부처의청사이전으로비게된중앙청에들어가게된것이다. 중앙청을박물관으로쓰게된계기는 역사의한이서린치욕의건물이지만불명예스러운역사를다시는되풀이하지않기위한살아있는종합사회교육의장 으로서이용하기위해서였다고한다. 3년 3개월간의중앙청보수끝에 1986년 8월 21일이전 개관했다. 02 02 국립중앙박물관내부 용산국립중앙박물관이지어지기까지 1990년대문민정부가들어서면서치욕의역사를씻어내겠다는취지로중앙청건물철거를결정했다. 이로써국립중앙박물관은또한번의이사를해야했다. 이번에는기존의건물을개 보수하여들어가는것이아니라오래도록박물관으로서의상징성을가지고지속될제대로된건물을지어서가는것이었다. 정부가중앙청, 즉구총독부건물을철거하겠다고발표한지 2년뒤인 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을맞아철거가이뤄졌기때문에국립중앙박물관은새건물이지어지기전잠깐머물곳이필요했다. 급하게이전할마땅한건물이마련되지않은상태에서중앙청건물의철거가서둘러결정됐기때문에경복궁내의사회교육관 ( 현고궁박물관 ) 을급히증 개축해 1996년 12월에개관했다. 중앙청건물이철거되면서계획된새국립중앙박물관의자리는미군헬리콥터기지를환수해용산가족공원으로조성중이던장소로정해졌다. 용산국립중앙박물관은원래 2003년에개관할예정이었으나, 그사이국가경제위기등의문제들과겹쳐공사기간이늘어나 2005년 10월오늘날의모습으로개관했다. _ 글김정미 03 04 05 06 03 남산분관에서덕수궁석조전으로이전개관 (1955년) 04 국립중앙박물관신축이전개관 (1972년, 현국립민속박물관 ) 05 국립중앙박물관이전개관 (1986년, 구중앙청 ) 06 국립중앙박물관이전개관 (1996년, 현국립고궁박물관 )

180 기록과테마로보는대한민국 참고문헌 181 참고문헌 단행본및논문 신문및방송 홈페이지 강용기, 현대지방자치론, 대영문화사, 1999. 강우방, 불교조각 1, 솔출판사, 2003. 경종민외, 반도체로움직이는세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2008.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 50년의전개과정고찰, 교육과학기술부, 2007. 김상복, 태권도와조선시대민속무예의역사적연관성연구, 체육사학회지, 2012. 김연갑편, 아리랑, 현대문예사, 1986. 김원길, 국민대통합의표상 7대국가상징물, 지식과감성, 2013. 김원찬, 반도체소자의이해, 대영사, 1999. 김창현, 새마을운동의세계화가국제사회에서한국이미지에미치는영향, 경북대학교석사논문, 2014. 내무부, 새마을운동 10년사, 내무부, 1980. 노마히데키, 한글의탄생 - 문자라는기적, 돌베개, 2011. 문화체육관광부, 한글날공휴일지정에대한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2.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국가문화상징무궁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 미래창조과학부, 2014 원자력백서, 미래창조과학부, 2014.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3. 박진근, 한국역대정권의주요경제정책, 한국경제연구원, 2009. 법제처, 대한민국법제오십년사, 법제처, 199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신동립, 애국가작사자의비밀 : 동해물과백두산이 누가지었나, 지상사, 2015. 유달영 염도, 나라꽃무궁화, 동아출판사, 1983. 이만열, 한국사연표, 역민사, 1985.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 음악춘추사, 1985. 이윤옥, 오염된국어사전, 인물과사상사, 2013.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이재돈, 무예와스포츠, 그행위의본질에기반한태권도정신, 국기원태권도연구, 2011. 임달연, 한국항공우주사, 한국항공대학교출판부, 2001. 전완길외공저, 한국생활문화 100년, 도서출판장원, 1995. 진용선, 중국조선족의아리랑, 수문출판사, 2001. 진한엠앤비, 기록으로본한국의정보통신역사, 진한엠앤비, 2012. 청도군, 새마을운동 42년발자취, 청도군, 2012. 최만립, 도전은끝나지않았다, 생각의나무, 2010. 한국도로공사, 한국고속도로 10년사, 1980.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산업, 한국반도체산업협회, 1997. 한국항공주식회사, 한국공항 30년사, 1996.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7. KBS, 광복 60년 KBS 영상실록 - 1948년대한민국정부수립편, 2005. THE FACT, 국회내우뚝솟은 남근석 을아시나요?, 고수정, 2014. 8. 8. 경향신문, 도시인구와도농간의문제, 1971. 12. 20. 경향신문, 로보트태권V, 11일국회의사당돔열고출격, 경향신문디지털뉴스팀, 2011. 1. 11. 경향신문, 여적( 餘滴 ), 1982. 3. 20. 국민일보, 생일케이크위에태극기휘날리려면, 손영옥, 2015. 4. 30. 국정브리핑, 국기에대한맹세 25년만에국민이바꾼다., 2007. 5. 30 동아일보, 벚꽃축제넘치는데무궁화는?, 2015. 6. 2. 동아일보, 愛國歌( 애국가 ) 4절까지부르자歌詞 ( 가사 ) 의절실한뜻되새겨볼일, 1983. 12. 14. 서울경제, 만파식적 - 국기모독죄, 한기석, 2015. 6. 서울신문, 씨줄날줄 - 문장, 2011. 4. 22. 연합뉴스, 애국가제자리찾기 100인위원회출범식, 2014. 1. 17. 조선일보, 전국표준지공시지가 9년만에최대폭상승 독도땅값 20% 이상올라, 강도원, 2015. 2. 24. 중앙일보, 정치 1번지지하에선교회 성당 禪院이이웃, 구희령, 2008. 9. 22. 한국교직원신문, 국새와옥새는다르다, 2014. 11. 10. 한국일보, 정부중앙청사 정부서울청사 세종시청사는 정부세종청사, 2012. 7. 31.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 국립과천과학관 (http://www.sciencecenter.go.kr) 나로우주센터우주과학관 (http://www.narospacecenter.kr)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aver.com)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 다음백과사전 (http://100.daum.net/) 대한민국국회 (http://www.assembly.go.kr) 두산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doopedia)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문화콘텐츠닷컴 ( 문화원형백과 )(http://www.culturecontent.com) 외교부독도 (http://dokdo.mofa.go.kr) 새마을세계화재단 (http://saemaulgf.or.kr/kor/index.html)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정부청사관리소 (http://www.chungsa.go.kr) 정선아리랑학교 (http://www.arirangschool.or.kr) 청와대 (http://www.president.go.kr) 인공위성연구센터 (http://satrec.kaist.ac.kr/) 대한민국무궁화선양회 (http://www.mugungwa.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minbaek)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www.hrdkorea.or.kr) 한국원자력문화재단 (http://www.konepa.or.kr)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행정자치부 (http://www.moi.go.kr) 신동아, 개항 100 년연표자료집, 1976.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http://www.macc.go.kr) 신장섭 장성원, 삼성반도체세계일등비결의해부, 삼성경제연구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