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ㅇ ㅇ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01정책백서목차(1~18)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1. 경영대학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 2 -

2013지발-가을내지1004-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장애인건강관리사업

Ⅰ Ⅱ Ⅲ Ⅳ



1362È£ 1¸é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¹»ê»ç¾÷Æò°¡(±âŸ)-¼öÁ¤.hwp

목 차 1. 선발개요 p 2. 개선내용 p 3. 세부선발계획

07


- 2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한식홍보영상 요리법등다양한콘텐츠개발 문화적 역사적한식원형자료 화 자원화 대중서 조선왕실의식탁등 발간 궁중 전통음식시연회및메뉴개발등을추진할계획이다 아울러 대중적인우리음식을세계에진출시킬수있도록국내한식외식기업들에게해외주요도시별외식시장정보제공 애로요인해소를위한현지지원등을강화하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 E687770>


2010년 11월 관광동향분석

OD..Network....( ).hwp

<BDC3BEC8BFEB2E706466>


Chapter Chapter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2018 학년도수시 1 차모집정원내입시결과 모집단위 입학정원 수업년한 면접및실기고사점수는반영안됨 지원율 최저 수시 1 차 일반전형특별전형 ( 일반고교졸업자 ) 특별전형 ( 특성화고교졸업자 ) 내신등급 내신등급 내신등급 최초 최종 지지원최초최종원 최초 최종 최 최 최 율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Contents iii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 C6AFBCBAC8ADB0EDBDC7C7E8BDC7BDC0BDC3BCB3BCB3BAF1B1E2C1D82DC3D6C1BE2E687770>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 -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CR hwp

육계자조금29호편집

src.xls

Untitled-1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MRIO (25..,..).hwp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2014 년 5 월 16 일 부천시보 제 1044 호 부천시공유재산관리조례일부개정조례 참좋아! 햇살같은부천에별같은사람들이있어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목 차 Ⅰ. 정책여건 3 Ⅱ. 목표및추진방향 1. 의료해외진출및외국인환자유치지원종합계획 추진전략및과제체계 6 2. 외국인환자유치 2017년목표치조정 8 Ⅲ. 주요과제별 2017 년시행계획 9 1. 한국의료연관산업동반패키지수출 9 2. 진출단계별지원을통한민간역량강화 14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더바이어102호 01~09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수련원표지 최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제4장

1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목차 C O N T E N T S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목차 Ⅰ Ⅱ (2013)

나하나로 5호


ICT À¶ÇÕÃÖÁ¾

< B9AEC8ADB0FCB1A4C3E0C1A620C1BEC7D5C6F2B0A1BAB8B0EDBCAD2DC6EDC1FD2D B4BABDBAB9DABDBA20BBE8C1A6292E687770>

«⁄µÂ∫œ≥ª¡ˆπ–±‚¿¸

200706ºÎµ¿»êÆ®·£µåc02ªš

Transcription: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 중장기전략방안연구 ( 최종보고서 ) 2017

본보고서의내용은연구의결과이므로, 문화체육관광부의공식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제출문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본보고서를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의 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7 년 1 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김정만

차례 제1장연구개요 1 제1절 연구의배경및목적 3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5 제2절 연구의범위및방법 7 1. 연구범위 7 2. 연구방법 8 제2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11 제1절 한식문화진흥정책동향 13 1. 한식문화관련정책변화 13 2.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주요내용 15 3. 부처별주요사업추진현황 16 4. 유형별주요정책사업내용 23 제2절 주요분야별정책현황 27 1.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27 2.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33 3.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 48 4.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65 5. 한식문화의세계화 76 제3장주요국가사례 83 제1절 주요국가의식문화관련정책 85 제2절 아시아권국가사례 87 1. 일본 87 2. 중국 116 3. 태국 118 제3절 유럽권국가 126 1. 프랑스 126 2. 이탈리아 143

차례 제 4 절 기타참고사례 152 1. 문화적관점의식문화인력양성교육사례 152 2. 독일의직업기술인력양성교육사례 157 제5장한식문화에대한인식조사 163 제1절 일반인설문조사 165 1. 설문조사개요 165 2. 한식문화에대한국민인식분석결과 167 제2절 전문가의견조사결과분석 195 1. 설문조사개요 195 2. 한식문화에대한전문가의견분석결과 196 제5장전략적추진과제 220 제1절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222 1. 한식문화진흥기념사업추진 222 2. 한식문화진흥을위한조사ㆍ연구 228 3. 한식문화자원 DB구축및활용 231 4. 음식인문학 ( 맛있는인문학 ) 활성화 235 5. 남북의한식문화유네스코공동등재추진 237 6. 청소년의한식문화이해및친밀감증진 239 제2절 한식문화의콘텐츠화및산업화 241 1. 한국생활문화한식스토리텔링 241 2. 기내잡지한식문화콘텐츠보급 245 3. 멋이있는한식당 지정및지원사업 248 4. 한국식아침식사프로토타입개발 251 5. 한식문화체험활성화를위한컨설팅 254 6. 지역대표음식기념품지원사업 257 7. 한식문화축제브랜드화 259 8. 한식문화마을조성등거점육성 262 9. 팔도한식문화소셜다이닝 264 10. 한식문화테라피프로그램개발및운용거점육성 266 제3절 한식문화법제화및인력양성 270

차례 1. 한식문화진흥법제화추진 270 2. 한식문화전달핵심인력대상교재개발및보급 272 제4절 한식문화의세계화및확산 275 1. 한식문화국제포럼 275 2. 한식문화의 바자르 (Bazaar) 국제네트워크참가추진 278

제 1 장 연구개요

제 1 장연구개요 제 1 절 연구의배경및목적 1. 연구배경 한국의이미지로서한식에대한국내외의관심증가 l 우리나라는사계절이뚜렷한환경과오랜역사ㆍ문화를바탕으로고유의한식문화를발전시켜왔음. l 각종조사결과, 한류의확산으로한국의대표이미지로서한식에대한외국인의인지도와관심이증가하고있음. 외래관광객실태조사 1) 결과, 외래관광객의한국방문선택시고려요인에서음식ㆍ미식탐방이지속적으로수위를차지 < 표 1-1> 외래관광객의한국방문고려요인중음식 미식탐방선택비율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선택비율 40.2 44.2 44.3 41.3 41.1 42.8 순위 2 2 2 2 3 3 * 출처 :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각연도. l 특히 해외한류실태조사 2) 결과, 한류팬이가장먼저떠올리는한국이미지에서한식은지속적으로 10% 를상회하며대표문화콘텐츠로자리매김함. l 또한응답자의국가에서한류콘텐츠별대중적인기도에서한식에대한긍정적인응답비율이가장높게나타나는점은국가에서거부감없이쉽게접할수있는문화콘텐츠로서한식의가능성을알려줌. 1)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실태조사, 각연도. 2) 문화체육관광부ㆍ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해외한류실태조사 각연도. 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 표 1-2> 한류팬의한식에대한인식 구분 가장먼저떠올리는한국이미지 한류의대표콘텐츠 ( 복수응답 ) 1 차조사 (2012.2.) 14.5%(3 위 ) 45.6%(3 위 ) 2 차조사 (2012.11.) 3 차조사 (2014.2.) 4 차조사 (2014.11.) 5 차조사 (2015.11.) 15.8%(1 위 ) 10.7%(3 위 ) 10.5%(2 위 ) 12.1%(2 위 ) 44.4%(3 위 ) 43.6%(3 위 ) 40.0%(4 위 ) 44.3%(3 위 ) 해당국내한식의대중적인기도 ( 긍정응답 ) - - - 42.6%(1 위 ) 46.2%(1 위 ) * 자료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해외한류실태조사결과보고서 각연도. 기존한식세계화정책의한계극복을위한문화적접근강화필요 l 음식문화는한국가나민족을둘러싼자연환경과문화적토양을기반으로형성된대표적인생활양식이자문화상징임. 음식은단순히식품산업또는외식산업의대상에머물지않고, 해당국가또는민족의문화유산으로서상징성과의미를보유 우리국민 3,068 명대상으로외국에자랑하고싶은한국의문화유산을조사한결과를보면, 3) 응답자들은한글 (60.8%), 한식 (40.0%), 한복 (28.0%) 등의순으로선택하여한식을단순히음식으로서가아니라문화로인식 l 이러한특성으로인해세계각국은자국음식문화를전략적으로홍보하며문화적ㆍ경제적부가가치를창출하기위해서노력하고있음. 한예로, 일본은스시및전통주의세계화추진과정에서도자기등다양한연관자원과음식문화의세계화를병행하며부가가치를창출 l 우리의경우, 한스타일 (Han Style) 정책추진으로한식문화진흥에대한정책적수요는증가하였으나, 한식세계화사업위주로집행됨으로써그간실효성있는성과를거두지못한것으로평가받음. l 따라서음식으로서한식이아닌문화로서의한식문화진흥으로정책방향의전환이필요하나, 한식문화진흥을위한체계적인연구가선행되지않아중장기정책수립에한계가있음. 3) 외국에자랑하고싶은한국의문화유산, 중앙일보 2015 년 9 월 21 일기사. 4

제 1 장연구개요 체계적이고중장기적인한식문화진흥및확산전략개발필요 l 한국가의소프트파워와문화이미지제고에서음식문화가중요해지고있으며, 주요국가들은세계식품시장선점을위해자국음식의산업적진흥을모색하는하는한편, 음식문화를활용하여문화경쟁력및브랜드를제고하기위하여노력하고있음. l 한식문화는외식산업뿐만아니라문화산업과관광산업의중요자원이며, 다양한분야와융합을통해서국가이미지및브랜드제고에기여하고고부가가치의창출이가능한문화자원임. l 그러나지금까지관련정책이한식세계화에집중됨으로써한식문화의진흥및세계화를위한기반조성과전략개발은미흡하였음. l 따라서한식문화가문화체육관광부를비롯한다양한부처와관계됨을고려하여각부처의관련정책및특성을고려하여한식문화의진흥과확산을위한통합적이고체계적인전략방안을모색할필요가있음. 2. 연구목적 한식문화의진흥과확산을위한중장기비전수립및전략방안개발 l 한식문화진흥을위한비전과정책적으로실현가능한실천전략을개발함. 부처간협력및한식문화유관분야를고려하면서문화정책에서접근가능한전략및과제를중심으로개발 한식문화의의미와가치에대한이해확산및경쟁력강화 l 한식문화진흥을통해서한식문화에내재되어있는의미와가치를현대적으로재조명하고우리스스로가올바르게이해하고즐길수있는기반을마련하는데기여함. l 또한이와같이한식문화진흥을위한기반을마련함으로써궁극적으로우리의문화브랜드및이미지를제고하여경쟁력을강화하는데기여함. 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 그림 1-1] 연구의배경및목적 6

제 1 장연구개요 제 2 절 연구의범위및방법 1. 연구범위가. 시간적범위 l 기준연도 : 2016 년 주요통계등현황자료는 2016년 10월말이전에발표된최신자료를반영하여분석 l 계획기간 : 2017~2021 년 (5년) 실행력제고를위하여장기계획보다는 5년단위의중기계획으로개발 장기지속이필요한과제의경우에는중장기추진방안을포함하여제시 나. 공간적범위 l 국내및국외를포괄하여공간적인범위를설정 l 국내 한식문화관련각부처및지역의동향등을포함하여분석 l 국외 자국음식문화를적극육성하거나세계화시킨국가를중심으로분석대상을설정 인접국가인일본ㆍ중국의동향을포함하여분석 다. 내용적범위 l 한식문화정책현황및추진환경분석 한 ( 韓 ) 브랜드화지원전략 ( 안 ) (2005.6.) 수립이후를중심으로정책변화와현황분석 정치, 경제, 사회문화, 기술등한식문화를둘러싼제반환경을분석 l 한식문화정책의비전및방향제시 l 한식문화정책의단계별추진전략개발 기존한식세계화를넘어서문화적이고차별화된방안개발 한식문화자원의 DB화및활용방안포함 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l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지원체계정립 관계부처간정책협력및주요관계기관등과의거버넌스구축 2. 연구방법가. 수행방법 l 기초현황문헌연구와함께통계분석ㆍ설문조사등을통한정량적연구와인터뷰ㆍ현장조사등을통한정성적연구가조화되도록추진 기초현황및문헌연구 l 국내외의음식문화진흥관계동향및자료를수집하여분석 주요선행연구검토를통해한식문화정책의대상과범주, 사례등분석 한식문화진흥관계정책자료, 국외동향및사례참고자료분석 l 문헌연구및기초데이터분석 관련문헌및주요공표통계등정량적기초데이터분석 내부연구진워크숍및연구심의회개최 l 한식문화와관련된다양한전공자로구성된연구진운용의이점을살려, 유기적인연구협력을모색하고, 아이디어와연구성과공유를위한워크숍실시 착수및종료단계에한국문화관광연구원내부연구심의회개최 자문회의및설문조사 l 전문가및관계자등의의견수렴을위한자문회의개최 원론적인논의를지양하고중장기전략방안개발중심으로한식문화및유관분야의전문가를대상으로개최 l 한식문화정책수요및방안개발을위한대국민설문조사시행 한식문화정책에대한국민의수요와정책방향설정에활용 인터넷을통한온라인설문조사로시행 현장조사 8

제 1 장연구개요 l 한식문화관련기관ㆍ단체, 시설및장소등에대한현장조사를통해아이디어를공유하고연구에반영 l 연구기간중개최되는한식문화주요행사를대상으로현장조사수행 l 국외의경우, 기존현장조사데이터및유관과제조사결과를반영 나. 분석방법 l 전략및추진과제의도출을위하여한식문화진흥의내외부적환경을 SWOT 분석하고, SWOT 분석의결과를기반으로 ERRC 분석을실시하여전략방안을도출 강점과약점요인을통제하고기회와위협요인에적극대응할수있는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방안도출 추진일정연구내용연구수행방법 발주처업무협의및계약연구설계연구진워크숍 연구심의회개최착수보고 (10월 6일 ) 중간보고 (12월 9일 ) 연구심의회개최최종보고 ( 협의 ) 기초현황 ( 정책동향, 통계등 ) 분석 연구설계수정및보완 한식문화진흥환경분석 ( 정책, 제도, 인력양성등 ) 국내외사례분석 종합분석및전략안도출 의견조사 전략설정및추진과제별세부계획수립 전략및계획검토ㆍ보완 문헌연구문헌연구전문가자문문헌연구현장조사온라인조사전문가자문연구진워크숍전문가자문 보고서수정및제출 [ 그림 1-2] 연구과정도 9

제 2 장 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제 1 절 한식문화진흥정책동향 1. 한식문화관련정책변화 l 한식문화관련정책은민족문화또는전통문화정책에서이루어졌고, 2004 년수립된 창의한국 4) 에서본격화하기시작함. 창의한국 에서는 27대과제중 10번째인 열린민족문화로다가서는문화정체성 의세부과제에 민속음식문화를활용한국제교류 를포함 특히 한 ( 韓 ) 브랜드화지원전략 ( 안 ) (2005.6.) 과 한 ( 韓 ) 스타일 육성종합계획 (2007.2.) 5) 에서전통문화의핵심이면서도자생력이부족하여정책적지원이필요한 6대분야에 한식 을포함함으로써구체화됨. 한스타일육성계획에서는전통문화브랜드로 한스타일 을설정하고, 한국다움 (Han Style) 과 한국인의감성 (KOREA the Sence) 을브랜드가치로설정 또한 세계문화와소통하는한국문화의새로운문예부흥시대실현 을비전으로설정하고, 그목표로 한국문화에대한선호도증가 를설정 [ 그림 3-1] 한스타일육성계획의문화소통개념 l 한스타일정책은부처협력을지향한본래의추진방향과달리, 각분야주무부처중심으로운영되었고, 당시농림수산식품부는 한식세계화기본계획 (2008.12.), 한식세계화추진전략 ( 안 ) (2009.5.) 을별도수립하며한식세계화를추진함. l 그후한식세계화지원사업감사요구안이의결 (2013.2.) 되어감사원감사가진행되는 4) 문화관광부 (2004), 창의한국. 5) 문화관광부 (2005), 한 ( 韓 ) 브랜드화 (Han Brand) 지원전략 ( 안 )- 한국전통문화콘텐츠세계화전략 및문화관광부 (2007), 한 ( 韓 ) 스타일 (Han Style) 육성종합계획 - 전통문화콘텐츠의생활화, 산업화, 세계화 참조. 1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등한식세계화사업의문제가불거졌고, 한식을넘어서한식문화의진흥으로방향을 전환할필요성이증가하는상황임. 선행연구 ( 이상열, 2016) 의전문가조사결과, 전문가들은한식정책을한식문화정 책으로전환할필요성을매우높게인식 (4.83 점 ) l 한편, 현정부문화융성정책에한식문화정책이일부포함되고, 문화체육관광부와농 림축산식품부의 문체부 - 농식품부협력을통한음식관광활성화추진계획 (2013.6.), 한식정책협의회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2015.10.) 이수립되는등관련정책과제가 증가하고있으며, 2016 년에는제 2 기문화융성위원회핵심과제안에 한식문화의세계 화기반구축 을발표함 한식정책의방향과사업성과차원에서한식세계화사업에대한문제가제기되는과 정에서두부처의협업으로추진된음식관광활성화사업은기존한식정책의외연을 문화영역으로확장 l 그러나종합적이고중장기적인관점의한식문화진흥방안이미비한상황에서개별과 제중심으로정책사업이추진되는경향임. 시기 2004.06. ㆍ문화관광부의 창의한국 발표 2005.05. ㆍ문화관광부의 한 ( 韓 ) 브랜드화 (Han Brand) 지원전략 ( 안 ) 에서한식을 6 대분야에포함 2007.02. ㆍ 한 ( 韓 ) 브랜드화 (Han Brand) 지원전략 ( 안 ) 을이은 한 ( 韓 ) 스타일 육성종합계획 발표 내용 2008.10. ㆍ농림수산식품부의한식세계화선포식개최 2008.12. ㆍ농림수산식품부의 한식세계화기본계획 수립 2009.04. 2010.03. ㆍ농림수산식품부의 한식세계화추진전략 ( 안 ) 수립 - 한식세계화추진단출범및한식재단설립준비위원회구성 ㆍ한식재단출범 ( 농림수산식품부산하재단법인 ) - 2015 년기타공공기관지정 2013.02. ㆍ국회의한식세계화지원사업감사요구안의결및감사원감사추진 2013.06. ㆍ문화체육관광부와농림축산식품부의 음식관광활성화추진계획 공동수립 2014.02. ㆍ농림축산식품부의 한식정책발전방안 발표 (2014.2.3.) - 기존의국외한식당지원및설치, 한식요리사양성지원등에서국내의한식외식산업기반강화와국외한식세계화를포괄하는방향으로전환 2014.01. ㆍ 한식진흥에관한법률안 발의 (2014.1.21. 김기현의원대표발의 ) 2015.05. ㆍ공공기관기능조정으로한식세계화교육기능이 at 에서한식재단으로이관 2015.10. ㆍ문화체육관광부와농림축산식품부장관을공동위원장으로관계기관과전문가등이참여하는 민관합동한식정책협의회 발족ㆍ한식정책협의회의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발표 2016.04. ㆍ제 2 기문화융성위원회핵심제안과제 한식문화의세계화기반구축 발표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업무계획자료재구성 < 표 3-1> 문화체육관광부한식문화발굴정책사업 14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2.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주요내용 l 기존의한식정책은한식을산업과상품의측면에서접근하여한식세계화사업에주력해옴. l 근래에한식을생활문화의한단면으로이해하는경향이확산되면서한식정책또한국내외한식문화영역전반을아우르는한식진흥으로목표가전환됨. l 농림축산식품부는 2014 년에 한식정책발전방안 을통해정식으로정책기조를한식세계화에서한식진흥으로전환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함께 2015 년민관합동협의체를구성하여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을발표하였음. l 한식정책협의회에는문화체육관광부와농림축산식품부, 외교부, 농촌진흥청, 문화재청및관계기관인한식재단과한국관광공사, 민간전문가가참여함. 한식정책협의회는한식을문화관광과연계하여한류확산, 국가브랜드제고및농식품수출 외식기업의해외진출확대의핵심콘텐츠로육성하기위한기구 문체부는한식정책협의회를통해한식문화 ( 장담그기문화 ) 의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등재, 한식미술대전, 한식문화특별기획전, 한식체험행사및한류스타연계한식홍보, K-Food 페스티벌, 궁중 종가음식상품화및홍보등을추진 l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에서는 세계인이즐기는건강한한식 을비전으로, 한식을한류확산과국가브랜드제고, 농식품수출과외식기업국외진출확대의핵심콘텐츠로육성하는것을목표로설정하였음. l 또한 한식의가치재발견, 한식과문화ㆍ관광의융복합확대 등 5대전략을설정하였는데, 이는기존정책방향을수용하면서한식의문화적가치발굴및융복합정책을강화한것임. 1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추진과제 구분내용참여기관 비전 목표 추진전략 한식의가치재발견 한식과문화ㆍ관광의융복합확대 한식및농식품해외진출지원 한식의국내외홍보강화 한식진흥기반강화 < 표 3-2>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개요 ㆍ세계인이즐기는건강한한식 ㆍ한식을한류확산및국가브랜드제고, 농식품수출및외식기업해외진출확대의핵심콘텐츠로육성 ㆍ한식정책부처ㆍ유관기관간협업강화ㆍ한식과문화ㆍ관광연계를통한한식세계화지속확산 ㆍ한식의가치발굴및콘텐츠개발ㆍ한식의가치확산프로그램운영ㆍ한식해외진출을위한기반연구지원강화 ㆍ궁중ㆍ종가ㆍ사찰음식관광상품화ㆍ한식및전통주의관광자원화 ㆍ한식기업해외진출지원ㆍ한식신메뉴개발및해외식재료공급지원ㆍ농식품수출확대지원 ㆍ다양한홍보콘텐츠제작및활용확대ㆍ한식문화축제개최ㆍ국내외한식홍보강화 ㆍ한식정책평가지표개발및협업체계구축ㆍ한식과한식문화대표국내거점조성ㆍ한식교육기반확대 * 자료 : 한식정책협의회 (2015),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문체부, 농식품부, 외교부, 문화재청, 농진청 문체부, 농식품부, 농진청, 창조경제혁신센터 문체부, 농식품부, 외교부 문체부, 농식품부, 외교부, 관계기관 문체부, 농식품부, 외교부, 문화재청, 관계기관 3. 부처별주요사업추진현황가. 문화체육관광부한식사업추진현황 l 문화체육관광부는국민에게생활속문화서비스를제공하여문화융성체감을확산하고자전통문화와인문정신문화의가치의발굴및사회적확산을위한정책사업을추진해왔으며, 특히문화정체성확립을위한전통문화가치확산에힘써옴. l 중앙정부차원에서의한식문화에대한정책적관심은지속적으로추진되어왔으나, 농림축산식품부를주무부처로진행되어왔기때문에문화체육관광부에서추진한한식문화관련정책은많지않음. 농림축산식품부에서추진한사업들은기본적으로농식품과연계한산업발전전략의성격이강하기때문에한식문화의가치가확산되지는못한다는한계점을지님. l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음식관광활성화사업을중심으로시작하여한식문화정책으로확대하고있으며, 2016 년부터한식문화진흥사업을본격적으로발굴하며주요사업을한국문화원연합회,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을통해서진행하고있음. 16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l 이에따라문체부자체에서추진했던장기계획으로서음식관광활성화정책과, 한국문 화원연합회,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을통해진행한한식문화진흥사업으로나누어 살펴볼수있음. 사업명 기간 사업내용 한식문화특별기획전 2016.7.~9. 여름나기를전시주제로여름철식문화와관련된한국인의멋, 맛, 풍류를소개 영상, 유물, 현대공예및체험프로그램진행 한식문화순회포럼 2016.6 월한달간 한식문화확산의올바른방향설정을위해전주, 서울, 안동, 전주 (6.2.) 강릉에서지역순회포럼개최서울 (6.8) 한식문화의현황진단및융성, 확산등을주제로관련분야안동 (6.15.) 전문가및일반인대상강연및토론강릉 (6.24.) 국제미식행사계기한식문화홍보 2016.6. 중국인관광객선호한식메뉴개발 2016.7.~12. 한식문화홍보영상제작방영 2016.9.~11. 지역전통한식문화발굴및확산 2016.10.1.~10.2. 한식문화미술공모전 2016.11.~ 한식문화사전제작 2016.11.~ 재외문화원한식문화교육자료제작 < 표 3-3> 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문화진흥사업 (2016 년 12 월기준 ) 2016.11.~ * 자료 : 2016 년한식. 우수문화팀한식문화사업자료 뉴욕 W50B 레스토랑오너셰프와국내셰프간콜라보디너, 한식문화홍보책자발간, 컨퍼런스 ( 한국채식발효강연 ), 유명셰프초청애프터파티 ( 한식 ) 등지원 개별 단체관광객의특성에맞는다양한가격대의보급 고급형메뉴개발 ( 총6종 ) 메뉴개발 : 조희숙, 권우중세프 K팝스타 (NCT) 와한식셰프 ( 권우중 ) 가함께하는한식소개예능영상제작및온라인배포 ( 총 6편 ) 지역전통한식의문화적재해석을통해한식문화의원형발굴및확산 진주지역의특색있는음식문화의재조명을통한한식문화행사를개최하여지역문화와음식, 관광연계 한식분야문화콘텐츠창작활성화를통한문화적측면의한식세계화를위해한식및한식문화를주제로한작품공모 식품위주정책에서벗어나역사, 풍습등문화적가치가가미된한식문화발굴및확산필요 한식의역사, 한식의문화 ( 의례, 풍속등 ) 식재료, 종류등한식문화전반을정리한 한식문화사전 제작 (E-Book) 재외문화원을활용하여현지인을대상으로한식문화홍보및교육진행을위한교육커리큘럼구성및교재제작 l 한국문화원연합회의경우, 지역사업비율이한식재단에비해서상대적으로높은편이나내용에있어홍보를위한이벤트성사업이주를이루고있음. l 그리고성격상한식재단과유사한사업이많은실정이며, 그에따라서양부처사업의중복성문제는지속적으로제기될것으로예상됨. l 또한상대적으로한식재단의사업이인력양성을포함하는등다양한영역에서사업이이루어지고있음. 1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유형기관사업내용 교육및인력양성 메뉴개발 체험프로그램 박람회 포럼 해외홍보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한식재단 해외한식강좌담당교수양성교육 (2016) 해외한식당종사자교육 (2016) 재외문화원한식문화교육 * 자료집제작 (2016) - 재외문화원을활용한현지한식문화홍보및교육진행을위한교육커리큘럼구성및교재제작 - 한식문화교육을위한이론 * 자료수집및정리 - 한식조리교육을위한레시피정리및사진촬영 - 과정별 ( 초급, 중급 ) 이론교육및조리교육내용을담은교재 (E-book) 제작 ( 강사및수강생모두활용할수있는교재제작필요 ) 세계인이좋아하는한식메뉴개발 (2016) -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위한한식메뉴 10 선개발및소개 - 버섯옥수수죽, 메밀감자비빔밥, 황태구이덮밥, 트리플백김치, 간편잡채, 모던불고기, 롤삼계탕, 단군신화전, 영양한우갈비탕, 구슬떡등선정 한국문화원연합회 중국관광객선호한식메뉴개발 (2016)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 표 3-4> 한식재단과한국문화원연합회유사사업비교 상시떡체험프로그램운영 (2016) 김치명인과함께하는전통김치무료시식, 체험이벤트 (2016) 한가위명절음식체험 (2016) 한국전통술체험프로그램 (2016) 비빔밥전시경연대회 (2016) 전통차체험프로그램 (2016) 2016 월드한식페스티벌개최 (2016) 스페인마드리드퓨전참가 (2011~2016) 뉴욕와인 & 푸드페스티벌 (NYCWFF) 참가 (2013,2015,2016) 코리아브랜드 & 한류상품박람회참가 (2014~2015) Asia s 50 Best Restaurant 2014 행사참가 (2014) 제 13 차세계한상대회참가 Seoul Gourmet 2012 개최 2016 Korea NYC Dinners -월드베스트 50레스토랑 (W50B) 과국내푸드매거진이합동으로주최하는사전행사 한식세계화확산을위한정책방안토론회개최 (2013) 21세기한식의새로운패러다임 -한식세계화대토론회개최 (2012) 한식문화순회포럼 (2016) - 한식문화확산의올바른방향을설정하기위한지역순회포럼 - 전주 : 한식문화의융합과융성전략 - 서울 : 한식문화의현황과진단, 모색 - 안동 : 온고지신! 전통문화이해와한식문화확산 - 강릉 : 2018 평창동계올림픽개최와한식문화확산전략 특집다큐방송프로그램제작 한식문화홍보영상제작방영 국내홍보 한식재단 한국문화원연합회 한식사진공모전 - 한식, 즐거움을먹다 라는주제로한식사진공모전개최 진주에담긴한식문화이야기행사개최 - 진주음식관련역사및문화콘텐츠활용프로그램운영 - 진주한식문화전시및체험프로그램운영 - 한식관련단체홍보전시행사 - 진주전통술문화체험프로그램운영 18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유형기관사업내용 한식문화미술공모전 - 한식분야문화콘텐츠창작활성화를통한문화적측면의한식세계화를위해한식및한식문화를주제로한작품공모 음식관광활성화관련사업 l 음식관광활성화사업을통해기존에문화체육관광부에서추진한음식관광정책추진현황을시기별로살펴보면, 음식자원의관광자원화, 상품화, 산업화등세단계로구분가능함. 첫째, 음식관광자원화 (1999~2003) 단계에서는국내외관광객에게전통음식을관광상품으로제공하기위한사업을중점적으로추진 둘째, 음식관광상품화 (2004~2008) 단계에서는관광진흥 5개년계획의일환으로우리나라전통음식의관광상품화를추진 셋째, 음식관광산업화 (2009~2013) 단계에서는외래관광객을대상으로음식서비스수용태세개선, 방한외래관광객의만족도제고및효율적인홍보 마케팅을통한음식관광활성화기반을마련하는데주력 단계특징시기기본방향 1 음식관광자원화 1999~2003 2 음식관광상품화 2004~2008 3 음식관광산업화 2009~2013 < 표 3-5> 음식관광정책추진현황 * 자료 : 김현주 (2013), 음식관광활성화방안, 문화체육관광부, p38. 국내외관광객에게전통음식을관광상품으로제공하기위한사업을중점적으로추진 관광진흥 5 개년계획의일환으로우리나라전통음식의세계적관광상품화추진 외래관광객대상음식서비스수용태세개선및만족도제고홍보 마케팅을통한음식관광활성화기반마련 한식문화관련사업 l 한식문화와관련한사업들은 2016 년을중심으로나누어볼수있는데, 이전에는한국문화와관련하여한식문화가포함되어진행되는형식으로산발적으로추진된경향이있으며 2016년부터본격적으로한식문화진흥을위한정책이시행됨. l 문화체육관광부의 2014 년부터 2016 년최근 3년간음식관광관련사업은 2000 년대초 19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반부터진행해온 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 을주축으로, 한식을주제로한 2015 밀라노엑스포한국관건립, 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 K-style Hub 구축, 한스타일육성지원등의사업이진행됨. l 문화체육관광부의 2014 년부터 2016 년최근 3년간음식관광관련사업예산현황을살펴보면, 2014 년 10억 9,800 만원, 2015 년 257억 6,500 만원, 2016 년 39억 7,000 만원으로나타나며, 일회성사업인 2015 밀라노엑스포한국관설치를제외하더라도음식관광관련예산은증가추세에있음.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 년외래관광객 1,500 만명을유치하고고품격한국관광실현을목표로밀라노엑스포한국관조성 6) 과평창동계올림픽관광특구개발등을통한한국관광의성공적인도약기반을마련하고자하였으며, 이는 2015년음식관광관련예산이급증한원인으로작용함. l 또한한식문화와관련하여 2014 년부터 2016 년까지 3년간추진한사업을보면, 2014 년에는전통문화진흥사업혹은 2015 년해외문화원운영사업의일환으로제한적으로진행되어오다, 2016 년한스타일육성에포함되어본격추진되는경향을보임. l 문화체육관광부의최근 3년간한식문화가포함된사업의예산현황은 2014 년 396억 7,500 만원, 2015 년 3,000 만원, 2016 년 12억원으로나타나지만, 그중실제한식문화관계사업은제한적임. 2014년도예산현황에서는재외한국문화원운영의일환으로한식강좌등이포함되어실제직접관련된예산은미미 2017년도예산현황을살펴보면한식문화실태조사, 한중일음식문화포럼등한식문화진흥및지역전통한식문화발굴등의내용이포함되어있어, 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문화사업이본격적으로시작됨을보여줌. l 종합해보면, 2014년 ~2015 년 3개년동안문화체육관광부에서추진해온한식문화관련사업은크게 음식관광 과 한식문화 로나눌수있으며, 내용은아래표와같음. < 표 3-6> 2014 년 ~2017 년문화체육관광부추진한식관련사업현황 구분사업명내용 음식관광 한국음식관광산업화 2015 밀라노엑스포한국관설치운영 한국음식관광홍보및마케팅, 음식관광서비스개선등 한국관건립및한식홍보, 국가이미지제고 예산 ( 단위 : 백만원 ) 2014 2015 2016 2017 1,098 2,000 1,800 1,800 20,695 6) 2015 년산업부에서문체부로업무이관 20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구분사업명내용 한식문화 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 K-style Hub 구축 해외문화원거점별특화사업 해외문화원운영 전통문화진흥 한스타일육성지원 문화가있는날운영 예산 ( 단위 : 백만원 ) 2014 2015 2016 2017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 470 1,182 한식, 한류상품등의콘텐츠와 ICT 를연계한랜드마크구축 국내우수한문화프로그램을선정하여문화원권역별로순회공연및전시 - 한국어, 태권도, 한식, 문학, 패션등한류콘텐츠지속확산전개 재외한국문화원내다양한한국문화강좌개설및운영 ( 체험프로그램 ) - 한국어, K-pop, 전통공예, 한식, 태권도등의문화강좌제공 재외한국문화원한식문화교육 K-Culture 체험관운영 전통생활문화활성화지원 - 전통생활문화계승사업을통해전통문화에대한우수성을알리고, 창조적계승 발전 ( 한국의차문화홍보 ) 국빈방한계기전통문화세계화 지역전통한식발굴및확산 매달마지막주수요일 문화가있는날 - 대체육, 관광, 한식등문화전반으로프로그램특화및참여분야확대 8,458 ( 권역별순회패키지프로그램 ( 공연, 전시 ) 개발, 보급, 2,800, 해외문화예술봉사단 120) 2,600 9,235 ( 우수공연 전시프로그램문화원권역별순회, 2,377, 민간협업문화홍보프로그램제작, 운영, 1,200) (31,217) (32,417) 2,416 ( 문화원권역별우수프로그램순회지원1,480, 민간협업문화홍보프로그램개발 운영900, 해외문화예술봉사단 120) 6,000 ( 한국문화체험프로그램 4, 4 0 0, K-pop 아카데미강사파견,1,600) 30 430 1,000 ( 신규 *) 200 ( 신규 *) 1,000 ( 신규 *) 2,000 ( 신규 *) 900 200 * 운영기관별별도예산책정 총계 40,773 67,447 7,028 5,900 * 는기존사업내통폐합또는추가된신규내역사업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4~2016 년도관광부문재정집행계획, 2017년도예산안및기금운용계획안 21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나. 농림축산식품부 l 농림축산식품부의한식관련사업은농림축산식품부산하기관인한식재단이전담하여추진중에있음. 한식재단은한식의진흥및한식문화의국내외확산을통하여농림축산식품산업, 외식산업, 문화관광산업등관련산업의발전과국가이미지향상에기여함을목적으로 2010년 3월설립된농림축산식품부소관의재단법인임. l 이에따라한식재단은현재국내ㆍ외식품산업에서한식의우수성을홍보하고발전시켜나가기위해, 한식의정통성정립, 한식의산업진흥, 한식의세계화추구등의핵심기능을담당하고있음. 7) < 표 3-7> 한식재단사업추진로드맵 실행화단계 본격추진단계 성과단계 구분한식인지도제고 (2008~2010) 해외시장개척 (2011~2012) 한식세계화사업현지화 (2013~2015) 한식세계화사업현지화 (2016~) * 자료 : 한식재단누리집참고연구진재정리 내용 한식BI 등한식홍보콘텐츠개발및보급 G20, 한-아세안정상회담등국제행사를통한한식홍보 한식당및한식전문인력국외진출지원 한식의건강기능성연구, 한식현지화메뉴 기술 개발지원 한식문화관련 * 자료총망라 한식스토리텔링및영상 * 자료제작 외국한식당, 일자리정보수집 식자재유통 수출산업기여 ( 식재료및조리기구관련산업 ) 한식재단 CI, BI 의장등록 한식캐릭터, 닉네임, 홍보대사선정및운영 한식사랑한식위크운영 국외한식요리학교개교, 한식당프랜차이즈확산 국산농식품수출확대및한식종합홍보관건립 한식과관광산업의연계 한식종합홍보관운영및한식정보실시간운영 한식문화해설사양성 한식문화관련행사참여및지원 한식을소재로한기념품, 드라마, 만화제작등브랜드화 l 한식재단은국내외식품산업에서한식의우수성을홍보하고, 발전시켜나가기위해한식의정통성정립, 한식의산업진흥, 한식의세계화추구등의핵심기능을담당함. 한식의역사성과전통성에중점을둔 R&D 투자를통해한식의원형을발굴하고복원 유지 관리하는역할을담당함. 또한, 한식의산업진흥을위해세계시장퍼져있는한식당의위상을제고하고한식 7) 한식재단누리집 22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제품의경쟁력을확보하기위한세부사업을추진중임. 한식의세계화추구를위해국외의주요국가에서보편적으로인식되고, 매력있는 상품으로포지셔닝될수있도록홍보사업을지속함. < 표 3-8> 한식재단사업추진로드맵 구분내용역사성 문화적우수성에중점을둔연구실시및원형발굴 복원 유지 발전 한식정통성정립 : 고려, 조선, 근대한국음식및음식문화연구, 출판지원한식의정통성정립 전통한식발굴 : 한식원형및전통발효식품제조, 보유자발굴, DB화 한국음식문화정립 : 고문서등을통한가치있는한국음식문화연구 한식우수성규명 : 현대인의식생활에맞는한식재조명, 우수성규명세계시장에서한식당, 한식제품등의경쟁력확보, 산업화기반조성 한식조리의과학화 : 조리방법의단순화, 표준화, 과학화에대한연구, 한식제품의한식의산업진흥저장 포장 유통등실용적연구지원 한식식재료연구 : 수용에적합한한식식재료, 처리등기술연구보급국외의주요국가에서보편적으로인식되고있는매력적인산업으로육성 우수한식당인증 : 정통성과사업성을갖춘음식점인증 유지 지원 국외한식조리법보급 : 외국인선호음식조리법, 영양소가치보급제공한식의세계화추구 세계한식네트워크구축 : 국외한식당네트워크구성, 정보공유및사업지원 한식홍보 : 인터넷포털운영, 광고, 한식인식제고및홍보 * 자료 : 한식재단누리집참고연구진재정리 l 한식재단은설립초기부터 2016 년현재까지약 140 여개의사업을추진 8) 하였으며, 평 균적으로연간 20 여개의용역사업을추진하였으며, 크게초기실행화단계, 본격추 진단계, 성과단계의사업으로나누어볼수있음. 실행화단계는한식재단설립이전인 2008 년부터설립시기인 2010 년까지로한식세 계화를위한준비를시작한단계로한식인지도제고를목표로함. 본격추진단계는 2011 년부터 2012 년까지로해외시장개척을위한인력, 메뉴, 자료 등을구축해놓은시기임. 성과단계는 2013 년부터현재까지이어지는시기로한식세계화사업의현지화를위 한홍보및마케팅에주력하면서, 한식과문화와관광의융합방법을모색함. 4. 유형별주요정책사업내용 l 현행한식문화관계정책사업은 한식진흥정책강화방안 등기발표된계획과각 부처및기관의고유사업형태로진행됨. l 해당사업들은크게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한식문 8) 첨부자료참고 ( 한식재단용역사업목록 ) 2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화관련인력및조직양성,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한식문화의세계화 등으로진행되는경향임.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은예로부터내려오는지역, 계층, 민속등에따른다양한한식문화를보존하고발전시키기위한한식문화발굴사업임.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는한식문화의보급및대중화로경제적부가가치를창출할수있는한식문화수요증진과관련된사업임. 한식문화관련인력및조직양성 은한식문화의발전을위해인력을육성하고조직을통해이를지원할수있도록하는교육사업임.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는법률제정및제도정착으로한식문화진흥을위한근거와기반을마련하는사업임. 한식문화의세계화및확산 은한식문화의다양한가치를알릴수있도록전시, 체험프로그램, 강좌, 포럼등다양한형태의사업을포함하는홍보사업임. l 농림축산식품부와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관련정책현황은다음과같음. < 표 3-9> 2016 년농림축산식품부와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문화관련추진사업분류 농림축산식품부 기관 전통발효식품육성사업 한식진흥및음식관광활성화 한식문화자원보존 계승 식품명인의체계적발굴관리및기술전수등지원체계구축 -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전통식품업체의 6차산업거점화지원 전통식품분야별품평회 ( 전통주, 김치 ) 개최, 입상품홍보지원 젊은층을대상으로하는참여형프로그램개발추진 K-Food 로드 ( 음식관광코스 ) 개발및상품화지원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 전문인력양성기관프로그램을통한업체종사자의전문역량제고및현장애로기술지원 맞춤형한식교육프로그램운영 해외한식당종사자, 해외요리학교내한식강좌개설, 해외호텔셰프교육을통한한식교육강화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소규모식품제조 가공 특성에맞는시설기준조례제정확산유도 김치업체 ( 2 0 1 4 년부터 HACCP 의무적용 ) 및전통주업체 (2015년부터식품위생법시설기준적용 ) 우선지원 한식산업진흥법 ( 가칭 ) 제정추진 한식문화의세계화 확산 전통식품의해외진출을위해해외현지및국내관광객대상홍보강화 한식 식문화체험기회확대 한식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등재추진 ( 문화부협업 ) 국제미식행사에참가하여한식시연및시식행사개최등 한식메뉴표준레시피보급및현지맞춤형사업지원 해외한식당협 24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문화체육관광부 기관 한국음식관광산업화 2015 밀라노엑스포한국관설치운영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 K-style Hub 구축 해외문화원거점별특화사업 해외문화원운영 전통문화진흥 한식문화자원보존 계승 전통생활문화활성화지원 - 전통생활문화계승사업을통해전통문화에대한우수성을알리고, 창조적계승 발전 ( 한국의차문화홍 보 )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한국음식관광홍보및마케팅, 음식관광서비스개선 강원전통음식 관광상품화 한식, 한류상품등의콘텐츠와 ICT를연계한랜 드마크구축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한식문화의세계화 확산의체, 해외현지맞춤형사업지원 한국관건립및한식홍보, 국가이 미지제고 국내우수한문화프로그램을선정하여문화원권역별로순회공연및전시 - 한국어, 태권도, 한식, 문학, 패션등한류콘텐츠지 속확산전개 재외한국문화원내다양한한국문화강좌개설및운영 - 한국어, K-pop, 전통공예, 한식, 태권도등의문화강좌제공 재외한국문화원한식문화교육 K-Culture 체험관운영 2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기관 한스타일육성지원 문화가있는날운영 한식문화자원보존 계승 지역한식문화발굴및전시 한식문화지역순회포럼 한식문화사전제 작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한식문화특별기획전 중국인관광객선호한식메뉴개발 한식문화미술 공모전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 한식문화진흥의제도적기반 한식문화의세계화 확산 국제미식행사계기한식문화홍보 한식문화홍보영상제작방영 재외문화원한식문화교육자료제 작 매달마지막주수요일 문화가있는날 -대체육, 관광, 한식등문화전반으로프로그램특화 및참여분야확대 26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제 2 절 주요분야별정책현황 1.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가. 정책추진개요 l 문화체육관광부및문화유산소관기관인문화재청과한국문화재재단등에의해서전통 ( 또는고유 ) 한식문화의원형발굴및보호, 문화행사지원등의형태로추진되고있음. < 표 3-10>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관계정책사업현황 기관명정책사업주요내용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별숨겨진한식문화를발굴하고콘텐츠를개발하여전시및체험행사진행한스타일육성지원 한식문화현황진단및융성, 확산등을주제로지역순회포럼개최 역사, 풍습, 문학, 철학등문화적가치가가미된한식문화사전제작 전통문화진흥 전통생활문화를보존 육성 계승하여문화정첵성확립 전통문화계승사업의일환으로 ( 사 ) 한국차문화연합회를시행주체가되어한국의차 ( 茶 ) 문화를소개하는행사가진행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보존과전승체계강화 인센티브제도등을통한전승활성화 - 무형문화재전승활동고취를위한인센티브 ( 포상 ) 제시행 - 전수교육관설립 / 보수지원및미입주종목지원계획마련 - 무형문화재전승자확충및전승체계개선 조사ㆍ지정확대를통한문화재전승기반강화 - 국가지정문화재정기조사및비지정문화재조사확대 - 비지정무형유산종합조사잠정목록집제작및디지털아카이브구축 궁중음식 DB 구축 ( 표준화 33건및조리도서발간 ) 한국문화재재단한식콘텐츠제작 총6권의한국음식대백과제작 전통식품제조ㆍ가공ㆍ조리방법의원형보호및육성 농림축산식품부대한민국식품명인 - 전통식품제조ㆍ가공ㆍ조리분야에 20년이상종사하거나그원형대로보존하고있는자의보호ㆍ육성 - 식품명인지정자의상품및영업장에식품명인표지사용 한식재단 한식원형복원사업 한식및식문화관련콘텐츠발굴및 DB화 - 한식및음식문화관련콘텐츠 DB 구축 - 세계화유망한식메뉴스토리텔링소재발굴 - 고문헌목록및상세해제작성 북한전통음식및역사성있는한식당조사 / 발굴 음식문화관련연구추진 한국학중앙연구 - 조선왕조궁중음식고문헌아카이브구축 ( 한식재단 ), 조선시대민간한국음식문화연구원음식고문헌상세해제및대중서원고작성 ( 나라지식정보 ), 전통시대 밥상머리교육 콘텐츠개발및활용방안 ( 율촌재단 ) 등 * 자료 : 각기관의 2016년도주요업무계획및기타사업성과 * 자료참조재구성. 2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l 문화체육관광부는한식진흥정책과관련된산하기관의사업을관장하면서, 부처자체적으로한식가치의재정립을골자로하는한식진흥정책추진 한국문화에서한식의가치를재정립하기위한소통의장을마련하고, 한식콘텐츠개발과보급 l 문화유산으로서한식문화의원형보전및전승관련사업은문화재청에서전담하며한국문화재재단등산하기관에서관련사업을실행 문화재청은문화유산보존과가치창츨이라는기관의설립목적에따라, 무형문화재보존과전승체계강화의측면에서한식관련정책수행 기존에지정된종목들에대해서는인센티브제도등을통한전승활성화를지원하고, 미지정대상들에대해서도조사ㆍ지정확대를통해문화재전승기반을강화 한국문화재재단에서는인센티브제관련사업들을기획ㆍ운영 l 한식문화의원형보전과활용을위한한식원형연구및 * 자료화관련사업은한국문화재재단 ( 문화재청 ), 한식재단 ( 농림축산식품부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육부 ) 등에서수행 한국문화재재단은한식원형 * 자료수집과연구사업추진하며, 궁중음식 DB구축및표준화작업수행과조리도서발간 한식재단은한식문화의원형보전과활용을위해한식아카이브를구축하고한식원형복원사업을시행, 한식문화콘텐츠를발굴하고 DB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한식재단등유관기관의의뢰를통해고문헌아카이브구축및상세해제작업등한식문화와관련하여다양한연구과제수행 나. 문화체육관광부의주요사업 l 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문화정책사업의자원발굴부분은전통문화진흥사업과한스타일육성지원사업을통해한식문화를발굴하는사업이진행되고있음. l 전통문화는콘텐츠, 관광등관련산업의경제적부가가치를상승시킬뿐아니라우리나라의국가브랜드를높이는문화자원의보고로여겨져그중요성이날로증대함. 전통생활문화를보존하고육성및계승하여우리문화의정체성을확립하고현대인들에게전통생활문화를향유하는기회를제공하기위해한복, 한국옛집및고건축, 전통문화인성교육등다양한분야에서활성화사업을추진해옴. 전통문화진흥사업카테고리에한식은제외되어직접적인사업은추진되지않았으나 2015년사업중전통생활문화계승사업의일환으로한국의차 ( 茶 ) 문화를소개하는 28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행사가 ( 사 ) 한국차문화연합회를시행주체로진행됨. l 한스타일육성사업은우리문화의원류로서대표성과상징성을띠고있으나자생력이부족하여정부의정책적지원이필요한우리고유문화를생활화, 산업화, 세계화하여세계적인문화명품으로육성하기위한사업임. 한스타일육성계획에서한글, 한복, 한옥, 한지, 한국음악과함께한식이 6대분야로선정되었으며, 농림수산식품부를주무부처로하여문화체육관광부등이협력하여사업을추진하도록계획됨. 2014년과 2015 년사업에서는한식이제외되었으나, 2016 년도사업에서는국빈방한계기전통문화세계화사업과지역전통한식발굴및확산사업이포함됨. l 지역전통한식의문화적재해석을통한한식문화의원형발굴및확산하여지역의음식관련역사및문화콘텐츠활용프로그램을개발하기위한것으로보임. 전통문화진흥 사업명 한스타일육성지원사업 한식분야지원 (2016 신규 ) < 표 3-11> 문화체육관광부한식문화발굴정책사업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업무계획 * 자료재구성 내용 전통생활문화를보존 육성 계승하여문화정첵성확립 전통문화계승사업의일환으로 ( 사 ) 한국차문화연합회를시행주체가되어한국의차 ( 茶 ) 문화를소개하는행사가진행 국빈방한계기전통문화세계화 - 한식문화특별기획전, 한식문화지역순회포럼, 국제행사계기한식문화홍보, 중국인선호한식메뉴개발, 한식문화홍보영상제작, 한식문화미술공모전등 지역전통한식발굴및확산 - 지역별숨겨진한식문화를발굴하고콘텐츠를개발하여전시및체험행사진행 나. 타부처의주요사업 1) 식품명인제도 운영 l 전통식품계승ㆍ발전의차원에서는농림축산식품부가한식문화보존및진흥책의일환으로식품명인제도를운영함. 식품산업진흥법에따라식품명인제도를운영함으로써, 전통식품의제조ㆍ가공ㆍ조리방법의원형보호및육성. 명인으로지정되면식품명인표지이용가능 l 식품명인지정제도는 식품산업진흥법 제14 조에의거하여 우수한우리식품의계승ㆍ발전을위하여식품제조ㆍ가공ㆍ조리등분야를정하여 식품기능인을대상으로지정하는제도이며, ( 사 ) 한국식품명인협회 가지정명인들을관리하고육성함. 29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구분 목적및근거 명인지정분야 내용 목적 : 우수한우리식품의계승 발전을위하여식품제조 가공 조리등분야를정하여식품명인으로지정육성 식시근거 : 식품산업진흥법제14 조및동법시행령제 14조내지제22 조 전통식품명인 일반식품명인 < 표 3-12> 식품명인제도개요 20년이상한분야의식품에정진하였거나, 전통방식을원형대로보존하고이를실현할수있는자명인지정대상 명인으로부터보유기능에대한전수교육을 5년이상이수받고그후 10년이상그업체에종사한자 신청자 ( 구비서류 ) 시 도지사 ( 접수, 사실조사, 추천등 ) 농림축산식품부 ( 검토및명인지정절차사실조사, 전통식품분과위원회및식품산업진흥심의회심의를거쳐지정여부결정 ) 명인지정서교부및공고 * 자료 : ( 사 ) 한국식품명인협회누리집 (www.kfgm.co.kr) l 식품명인으로지정이되면식품명인표지이용이가능하며, 유사한제도로고용노동부 의명장제도가있으나, 고용노동부명장제도서비스분야에포함된 조리, 요리 에는 한식이외음식을대상으로지정함. < 표 3-13> 식품명인표지 농림축산식품부소관식품산업진흥법시행규칙제 10 조별표 1 의 2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및해양수산부누리집 해양수산부소관식품산업진흥법시행규칙제 10 조별표 2 l 농림축산식품부와해양수산부가운영하며, 2016 년기준으로총 68 인 ( 농림축산식품부 62 명, 해양수산부 6 명 ) 이전통및수산식품명인으로지정되어있음. 9) 매년 3/4 분기중지정신청접수, 4/4 분기중신규지정 9) 해양수산부고시 (2016.11.29.) 수산전통식품명인 3 명신규지정. 30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 표 3-14> 식품명인지정현황 구분 지정번호 / 성명 / 보유기능 1호 조영귀 송화백일주 26호 김규흔 유과, 약과 49호 유청길 산성막걸리 2호 김창수 금산인삼주 27호 박흥선 술송주 50호 유왕순 천리장 4호 이성우 계룡백일주 28호 김동곤 우전차 51호 최명희 소두장 6호 박재서 안동소주 29호 김순자 포기김치 52호 이연순 승검초단자 7호 이기춘 문배주 30호 홍소술 죽로차 53호 김영숙 복령조화고 9호 조정형 전주이강주 32호 강봉석 엿, 조청 54호 서민수 황차, 말차 10호 유민자 옥로주 33호 박순애 엿강정 55호 김영희 인삼정과 11호 임영순 구기자주 35호 기순도 진장 56호 정계임 진주비빔밥 12호 최옥근 계명주 36호 문옥례 순창고추장 57호 강순의 백김치 농림 13호 남상란 민속주왕주 37호 권기옥 어육장 58호 이하연 해물섞박지 축산 14호 홍쌍리 매실농축액 38호 유정임 포기김치 59호 심영숙 유과 식품 16호 박수근 수제녹차 39호 김년임 전주비빔밥 60호 안복자 유과 부 17호 송강호 김천과하주 40호 한안자 동국장 61호 김견식 병영소주 18호 신광수 야생작설차 41호 임장옥 감식초 62호 서분례 청국장 19호 우희열 한산소곡주 42호 김왕자 노티떡, 신과병 63호 김영근 도토리묵 20호 조옥화 안동소주 43호 이기숙 감홍로주 64호 강순옥 순창고추장 21호 유영군 창평쌀엿 44호 송화수 홍삼 65호 백정자 즙장 22호 양대수 추성주 45호 성명례 대맥장 66호 윤미월 배추통김치 23호 최봉석 갈골산자 46호 김현의 찹살유과 67호 정승환 죽염홍된장 24호 임용순 옥선주 47호 전중석 초의병차 68호 강경순 오메기술 25호 오희숙 부각제조 48호 송명섭 죽력고 해양 1호 김광자 어란 3호 정락현 죽염제조 5호 김정배 새우젓제조 수산 2호이영자제주옥돔 4호김윤세죽염제조 6호유명근어리굴젓제부조 * 자료 : ( 사 ) 한국식품명인협회누리집및해양수산부누리집 2) 한식재단 한식문화의보존및계승 관련사업 l 한식재단은고문헌해체를통한한식아카이브구축을통해전통한식정보와한식의역사 문화적 * 자료까지총망라하는작업을진행하였으며, 한식문화의역사적 문화적조사연구및발굴 복원, 복원된음식의국내외레스토랑상품화, 다양한수요층에부응하는통합한식아카이브시스템을구축함. 한식문화역사 문화적조사연구및발굴 복원을위해조선궁중음식과민간음식, 근대음식문헌등 1천여종을발굴하고해체작업을진행하였으며, 2013년한식문화총서발간, 2014년고려시대및고대삼국시대한식원형발굴, 2015년역사속한식대가발굴과영문한식사전을편찬함. 음식디미방, 수문잡방, 일성록, 동의보감등고문헌에소개된조리법을조리전문가와민속학전문가등의협업으로복원하고, 국내셰프들을대상으로홍보및교육을실시하여재현을추진함. 31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한식산업아카이브구축 한식국가표준확립 한식정보인프라구축 l 한식재단은한식원형발굴및자원의사업의결과물인한식고문헌해체와한식전문 정보를아카이브로구축하고다양한수요층에게서비스하고자통합한식아카이브시 스템을구축함. l 또한, 한식재단은한식메뉴외국어표기법정리사업과한식레시피콘텐츠제작및보 급사업을통해한식국가표준확립에매진해옴. 농림축산식품부 ( 한식재단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관광공사 ), 국립국어원등유관기관 협업을통한표준한식메뉴외국어표기법을확정하고, 한식메뉴번역표준위원회구 성을통해각언어별단계별표준안을마련하였으며, 기존한식레시피북의문제점을 개선하여외국에서도실질적으로활용가능한콘텐츠를제작함, 또한, 한식및메뉴 전문가로구성된자문위원회구성을통해한식콘텐츠제작중장기계획을수립하고 단계별로추진함. 구분 정보화디자인으로표현한한식산업아카이브구축 한식문화역사 문화적조사연구및발굴 복원 복원된한식메뉴활용 한식메뉴외국어표기법정리한식레시피콘텐츠제작및보급 한식과관련된모든정보의인프라구축 * 자료 : 한식재단누리집참고연구진재정리 < 표 3-15> 한식문화보존및계승 관련한식재단사업 내용 한식과한식문화, 한식의스토리텔링, 고문헌, 전문 * 자료, 한식조리법및세분화된레시피수록 우리나라한식당의종류별구분과국외한식당분포도및가이드북수록 각자료들을정보화디자인으로표현하기위해인포그래픽형태로구성하며, 각종자료의 DB화을통해한식세계화공식포털을편리한아카이브로구축 디지털환경에서실물 * 자료를접하고이용하는디지털도서관라키비움 (Larchiveum) 을아카이브의목표로삼국시대 ~ 조선시대를아우르는한식정보수록 한식및한식문화관련콘텐츠 DB화 북한전통음식과역사성있는한식당조사 발굴 고려시대고대삼국시대의한식원형발굴을위한조사연구 조선시대한식원형의재현및복원진행 한식의역사적, 문화적원형 * 자료를기초로다양한콘텐츠개발 음식복원이어려운조선시대이전 * 자료에대한당시생활사조사연구 식문화에서상호영향을주고받은한중일삼국의공동연구추진 옛음식의복원 * 자료를일반에게제공하여외식업계상품화지원 궁중의의궤복원과동시에당시생활사도국내외홍보 지자체와협조하여신라, 백제음식원형복원추진 정리된문헌자료를온오프라인콘텐츠로제작하여다큐멘터리, 사극, 영화, 만화등의제작에활용하도록보급 200개한식대표메뉴선정하여영어, 중국어, 일본어표기지침마련 추가한식메뉴선정및기타언어표기법통일안마련 한국음식레시피콘텐츠제작중장기추진계획수립 한국음식레시피총서발간 ( 국문 / 영문 / 중문 / 일문등다국어발간 ) 한식당국외진출가이드북발간 :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파리보급 고문헌등한식콘텐츠목록 DB 화 : 북한전통음식조사 발굴, 세계유망한식메뉴의스토리텔링소재발굴, 역사성보유한식당조사 발굴 한식스토리텔링정리 : 대표한식메뉴의정의, 맛의특징, 역사문화적배경을재미있는이야기로구성 ( 조리의특성과재료에대한정보제공 ) 국외우수한식당가이드북발간 : 서유럽지역내우수한식당소개 한식관련이미지를영상으로촬영하여제작및보급 32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2.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가. 정책추진개요 l 현재한식및한식문화관련주요사업들은상기주요정책에의거해추진되고있으나, 실제사업수행과정에있어서는각부처와기관에서개별적으로운영 주로관련사업들은문화체육관광부와농림축산식품부및두기관의산하기관과타부처와의공조를통해진행 l 현재한식진흥정책추진구조는농림축산식품부가주무부처로, 문화체육관광부가주요협력부처로구성되고, 개별사업에따라두부처와문화재청, 농업진흥청, 외교부등이주관 협력부처로역할을달리함. 문화와지역기반한식활용및산업화사업은문화체육관광부와산하기관의주관으로추진되며, 창의산업과문화관광자원으로한식을적극활용하여사업화함. 농림축산식품부와관련기관에서는전통식품산업과농촌경제활성화에중점을두고, 식품생산, 품질인증및관리, 판로확대와운영지원등의사업이주를이룸. l 지역의지속가능한발전과문화적다양성을증진하기위한도시조성및음식관광활성화사업이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및각지자체차원에서전개됨. 나. 문화체육관광부의주요사업 1)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l 문화체육관광부는문화수요창출과유통채널확보를위해우수문화상품지정ㆍ관리 ( 한식ㆍ전통식품 ), 국내주요호텔한식당입점인센티브제공, 전통주소믈리에등민간자격제도운영등사업추진 한국문화재재단은문화재청과함께재단에서운영하는한국의집을전통음식개발과보급거점으로삼고, 전통음식고품격화및전통음식보급거점확산에주력 한국관광공사에서는한국궁중음식을홍보하고체험기회를확대하기위해 2014 년부터궁중음식체험식당인증제시행 l 문화체육관광부는지속가능한지역발전과관광체계개선을위해한식문화자원의활용을지원 문화도시조성사업 : 지역의문화예술과자원을결합하여지속가능한발전을추진할 3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수있는창조 친환경도시조성사업 ( 사례 : 전주시의도시테마- 전통문화ㆍ한식 ) 추진 외래관광객유치체계개선 : 제도개선을통한관광객편의성제고, 한식활용테마관광콘텐츠개발등관광객유치를위한전략적마케팅추진 한국관광공사는음식테마거리활성화사업을통해지역별음식테마거리를명소화하여한식관광산업화및지역경제활성화에기여 l 문화재청, 한국콘텐츠진흥원등을중심으로는한식의전통적가치와현대적의미를재해석하여창의산업형콘텐츠로발굴ㆍ육성하는사업들이전개됨 문화재청은문화유산의가치를현대적으로재창조하는방식으로한식문화를활용하여 ' 고궁한류 ' 창출을위한새로운프로그램개발 운영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02년부터실시해온한국문화원형의디지털화사업과함께, 한류의차원에서한식문화를관광콘텐츠화하여사업추진ㆍ한국문화원형디지털화사업 : 문화원형발굴을지향하는민족문화원형사업과산업적활용을목적으로문화원형사업을통합하여운영 문화창조융합벨트구축 : 새로운융 복합문화콘텐츠의기획 제작 소비 산업화에이르는선순환시스템을기반으로한자생적창작생태계구축 ( 한식테마 K-Style Hub 운영 ) 34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소관부처 / 기관 정책및사업 내용 한식문화미술공모전 한식분야문화콘텐츠창작활성화를통한문화적측면의한식세계화를위해한식및한식문화를주제로한작품공모 중국인관광객선호한식메뉴개발 개별 단체관광객의특성에맞는다양한가격대의보급 고급형메뉴개발 ( 총6종 ), 메뉴개발 : 조희숙, 권우중세프 문화도시조성사업 ( 음식문화거리조성 ) 지역의문화예술과자원을결합하여지속가능한발전을추진할수있는창조 친환경도시조성사업 외래관광객유치체계개선 제도개선을통한관광객편의성제고 / 해외관광객유치를 ( 한국음식관광산업화 ) 위한전략적마케팅추진문화체육관광부 매월마지막주수요일 문화가있는날 에문화관련기관문화가있는날일부에서한식문화와관련된프로그램진행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사업을통해평창올림픽을 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 계기로강원도를찾는국내외관광객에대한음식수용태세기반구축및강원도의음식문화소개를통한국가브랜드 향상제고 한국관광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 표 3-16> 한식문화의활용및산업화관련추진정책및사업 재외한국문화원 ( 해외문화원 ) 궁중음식체험기관인증음식테마거리활성화지원한국문화원형디지털화사업 문화창조융합벨트구축 한국문화홍보의핵심거점인재외한국문화원 (27개국 29개소 ) 을중심으로국내에서인정받은우수프로그램을소개하고중장기적으로거점지역을선정 우리고유의궁중음식을홍보하고체험기회확대 지역별음식테마거리를명소화하여한식관광산업화및지역경제활성화에기여 문화원형발굴을지향하는민족문화원형사업과산업적활용을목적으로한문화원형사업을통합하여운영 새로운융복합문화콘텐츠의기획ㆍ제작ㆍ소비ㆍ산업화선순환시스템기반의자생적창작생태계구축 문화유산의문화재청 고궁한류 ' 창출을위한새로운프로그램개발현대적가치재창조전통문화체험공간 한국의집 ( 전통음식개발ㆍ보급및전통공연시설 ) 한국문화재재단고품격화 -전통음식고품격화및전통음식보급거점확산 * 자료 : 기관별 2016년도주요업무계획및기타사업성과자료재구성 2) 문화관광축제지원사업 l 각지자체차원에서지역의식자재및식문화와관련하여다양한지역축제를개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는매년지역축제중에서대한민국 ' 대표 ', ' 최우수 ', ' 우수 ', ' 유망 ' 축제를선정, 최대 5억원까지지원함. l 문화체육관광부는매년문화관광축제지원사업을추진하고있으며, 지역관광활성화및외국인관광객유치확대를통한세계적인축제육성을기본방향으로함. 1995년부터국내의전통문화등다양한주제를바탕으로활성화되고있는지역축제중관광상품으로서가치가있는우수한축제를대상으로지속적으로육성및지원하고있음. 또한지역관광활성화와축제의질적제고를위해매년문화관광축제평가보고서를작성하고있음. 3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l 문화관광축제는각특별시 광역시에서 3개이내, 각광역도에서 8개이내의축제를추천하면관광 축제분야의전문가들로구성된선정위원회에서축제프로그램등콘텐츠, 축제의부가가치창출효과, 국내 외관광객유치실적등을기준으로선정함. ( 문화관광축제평가보고서, 2015) < 표 3-17> 연도별문화관광축제선정현황 연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개수 8 10 18 21 25 30 29 30 37 45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개수 52 52 56 57 44 44 45 42 40 4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누리집 l 2016 년에는대표축제 (3), 최우수축제 (7), 우수축제 (10), 유망축제 (23) 등총 4 개의카 테고리로나누어총 43 개의축제선정및지원함. 2016 년기준강원화천산천어축제, 경기이천쌀문화축제, 경남산천한방약초축제, 전북순창장류축제, 경북봉황은어축제, 대구약령시한방축제, 충북괴산고추축 제, 전북완주와일드푸드축제, 전남보성다향제및녹차대축제, 경북영덕대게축 제, 경남함양산삼축제등음식관련총 11 개축제가대표축제등으로선정됨. < 표 3-18> 2016 문화관광축제사업내용 구분 내용 예산 사업주요내용 : 문화관광축제평가지원 (100 백만원 ), 문화관광축제지원 (5,996 백만원 ), 지역축제육성및지원 (400 백만원 ), 진주남강유등축제 (200 백만원 ), 글로벌축제육성및팸투어 (300 백만원 ), 독산성문화제지원 (200 백만원 ) 관광산업육성 관광행사프로그램지원 문화관광축제지원 지원내용 : - 대표축제 (3): ( 경기 ) 자라섬재즈페스티벌, ( 강원 ) 화천산천어축제, ( 전북 ) 김제지평선축제 - 최우수축제 (7): ( 광주 ) 추억의 7080 충장축제, ( 경기 ) 이천쌀문화축제, ( 전북 ) 무주반딧불축제, ( 전남 ) 강진청자축제, 진도신비의바닷길축제, ( 경북 ) 문경찻사발축제, ( 경남 ) 산청한방약초축제 - 우수축제 (10): ( 강원 ) 평창효석문화제, ( 충남 ) 강경젓갈축제, 부여서동연꽃축제, ( 전북 ) 순창장류축제, ( 전남 ) 담양대나무축제, 정남진흥물축제, ( 경북 ) 고령대가야체험축제, 봉황은어축제,( 경남 ) 통영한산대첩축제, 제주들불축제 - 유망축제 (23): ( 서울 ) 한성백제문화제, ( 부산 ) 동래읍성역사축제, 광안리방어축제 ( 신규 ), ( 대구 ) 약령시한방축제, 인천펜타포트축제, ( 대전 ) 대전효문화뿌리축제, ( 울산 ) 울산옹기축제 - 신규, ( 경기 ) 여주오곡나루축제,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 - 신규, ( 강원 ) 춘천국제마임축제, 원주다이내믹댄싱카니발 ( 신규 ), ( 충북 ) 괴산고추축제, ( 충남 ) 한산모시문화제, 해미읍성역사체험축제, ( 전북 ) 완주와일드푸드축제, 고창모양 7,196 백만원 36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성제 - 신규, ( 전남 ) 보성다향제, 녹차대축제, 목포해양문화축제, 영암왕인문화축제, ( 경북 ) 포항불빛축제, 영덕대게축제 - 신규, ( 경남 ) 마산가고파국화축제, 함양산삼축제 - 신규 3) 우수문화상품지정제도 l 한식문화진흥기반조성을위해문화체육관광부와농림축산식품부는학식등한국의문화적가치를담은문화상품을지정하여지정마크 (K-Ribbon 마크 ) 를부여함. l 지정된상품에대해서는사업장 인력 상품의수준향상과관리, 판로개척등다양한브랜드마케팅이지원됨. < 표 3-19> 2016 년우수문화상품지정상품 ( 사진변경함 ) 구분 내용 한식분야 한식메뉴 CJ 푸드빌비비고 ( 비비고라이스 ) 해린정식 ( 한국의집메뉴 ) 종가음식 석계종가 ( 음식디미방정부인상 ) 설월당종가 ( 수운잡방메뉴 ) 3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업체명 ( 품목 ) 한성식품 ( 한성김치 ) 영농조합법인한국맥꾸룸 ( 맥찹쌀고추장 ) 농업회사법인 고려전통식품 ( 기순도전통간장 ) 농업회사법인 죽장연 ( 죽장연된장 ) 사진 업체명 ( 품목 ) 한국인삼공사 ( 정관장 ) 고려인삼연구 ( 주 ) ( 이천일홍삼 ) 한성푸드영농조합 ( 하늘미소담은 ) 국순당 ( 백세주 ) 사진 업체명 ( 품목 ) 하림 ( 하림즉석삼계탕 ) 농업사회법인 안복자한과 ( 쌀강정 ) 하늘바이오농업회사법인 ( 김부각 - 오희숙전통부각 ) 삼해상사 ( 명가김 ) 사진 식품분야 업체명 ( 품목 ) 지엠에프 (Maison Coree) de 풍미식품 ( 유정임포기김치 ) CJ 제일제당 ( 비비고포기배추김치 ) 담양한과명진식품 ( 찹쌀산자 ) 사진 업체명 ( 품목 ) 신궁전통한과 ( 명품 5 호한과 ) 감홍로농업회사법인 ( 감홍로 ) 복순도가 ( 복순도가손막걸리 ) 코메가 ( 생들깨기름 ) 사진 업체명 ( 품목 ) 담양한과명진식품 ( 찹살유과 ) 한국지네틱팜 ( 진생칸 ) 맥된장영농조합법인 ( 한국맥꾸름 ) 사진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ㆍ농림축산식품부보도 * 자료 (2016.3.2.) 우리문화의산업적해석 메이드인코리아 전시개최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5003 38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l 문화체육관광부의한식문화정책사업의콘텐츠활용 및확산과관련된사업은공간적 위치에따라국내및국외, 그리고대상에따라국민, 방문객 ( 국 외 ), 외국인대상으로 구분됨. 구분 사업명 대상 내용 문화가있는삶을누릴수있는환경조성및문화융성 실현 문화가있는날 모두 매월마지막주수요일 문화가있는날 에문화관련기관일부에서한식문화와관련된프로그램 * 진행 *2016 년국립민속박물관한식문화특별전 여름나기 -맛, 멋, 쉼 *2016 년국립국악원 직장배달한식콘서트 국내 국외 음식테마거리관광활성화지원 한국음식관광산업화 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 재외한국문화원 ( 해외문화원 )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표 3-20> 문화체육관광부한식문화콘텐츠활용및확산정책사업 모두 외래방한객 모두 해외거주외국인 한국관광공사와해당지자체가협업하여음식관광활성화및명소화 한국음식의우수성과멋과맛을홍보하여외래관광객유치에기여하고스토리텔링을가미한음식관광코스등을개발하여한국음식관광산업화를유도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사업을통해평창올림픽을계기로강원도를찾는국내외관광객에대한음식수용태세기반구축및강원도의독특한음식문화소개를통한국가브랜드향상에기여 한국문화홍보의핵심거점인재외한국문화원 (27 개국 29 개소 ) 을중심으로국내에서인정받은우수프로그램을소개하고중장기적으로거점지역을선정하는특화사업 민간과정부간협업을통한홍보프로그램운영으로문화콘텐츠와상품의경쟁력강화등문화한국이미지제고 4) 문화가있는날 사업 l 문화체육관광부는국민개인이문화가있는삶을누릴수있는환경조성을통한문화융성을실현하기위해매달마지막수요일을 문화가있는날 로지정하여무료, 할인혜택, 기획프로그램등을진행함 l 2016 년도에는프로그램특화및참여분야확대를목표로체육, 관광, 한식등문화전반으로그주제가확대되었으며, 국립민속박물관에서 7월문화가있는날행사로한식문화특별전인 여름나기 -맛, 멋, 쉼 과연계한 한식셰프가들려주는여름음식이야기 과 여름나기음식체험 을진행함 l 같은맥락으로국립국악원에서는 5월의문화가있는날 행사로 직장배달한식콘서트 를진행함. l 직장배달한식콘서트 는국립국악원의공연콘텐츠와한식콘텐츠의융합을염두해 39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두고기획된프로그램으로, 문화향유기회가적은직장인들의근무현장으로직접찾 아가한식과공연이함께어우러지는양질의문화예술프로그램을제공하기위해전국 9 개지역을순회하면서진행함. 기관명프로그램운영시기행사내용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국악원 한식문화특별전 여름나기 - 맛, 멋, 쉼 연계 여름나기음식체험 직장배달한식콘서트 7 월문화가있는날 5 월문화가있는날 * 자료 : 국립민속박물관누리집, 국립국악원누리집 < 표 3-21> 문화가있는날 프로그램내용 여름철전통음식및관련문화체험 - 한식셰프가들려주는 여름음식이야기 와요리시연및맛보기진행 공연콘텐츠 한식콘텐츠 영화 서편제 출연소리꾼의해설로국립국악원의국악과무용공연진행 한국무용팀의궁중정제의미를함축한춤 쌍춘앵무 와 신명나는우리소리 시연 궁중요리전문가의 왕이사랑한음식 이란주제로조선영조가좋아한음식인 탕평채 직접요리 5) 음식테마거리관광활성화지원사업 l 문화체육관광부와한국관광공사는음식관광활성화및명소화를위하여음식테마거리를지정하고있음. l 한국관광공사와해당자치단체가협업하여지역밀착형컨설팅, 다국어홍보가이드북제작, 종사자친절교육, 국내외홈페이지및 SNS 홍보, 관광상품화사업등의방식으로진행됨. 선정된음식테마거리에대해서는관광진흥기금에서 1억원을지원 40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 표 3-22> 음식테마거리지정현황 연번 지정연도 지역 거리명 1 전남광양시 광양불고기거리 2 2016 경남창원시 마산아구찜거리 3 인천중구 차이나타운짜장면거리 4 강원평창군 평창메밀음식거리 5 2015 전남영암군 영암독천낙지거리 6 대구동구 평화시장닭요리전문골목 7 경기광주시 남한산성백숙거리 8 2014 경북포항시 포항구룡포과메기물회거리 9 전남함평군 함평천지한우비빔밥거리 10 전남담양군 담양죽순푸드빌리지 11 2013 경북영덕군 영덕대게거리 12 강원춘천시 춘천명동닭갈비거리 13 서울중구 신당동떡볶이거리 14 강원강릉시 강릉초당두부거리 15 2012 대구남구 안지랑곱창거리 16 전북남원시 남원추어탕거리 17 부산수영구 부산민락횟집거리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누리집 6) 평창동계올림픽특구관광개발사업 l 2018 평창동계올림픽개최를앞두고강원도를레저스포츠중심지로집중육성하기위한올림픽특구개발사업추진하여, 강원도고유관광자원을활용한체류형관광상품개발및국제관광경쟁력제고를위한정책사업임. l 효석문화예술촌조성, 올림픽도시종합관광안내시스템, 전통숙박시설리모델링및조성,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 지역문화관광체험프로그램운영, 한류 K-culture 이벤트개최, 삼로트레킹관광코스개발, 올림픽아트센터건립등의세부사업내용으로구성되며 2015년부터 2018년까지추진예정임. l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사업은평창올림픽을계기로평창, 강릉. 정선을찾는국내외관광객에대한음식수용태세기반을구축하고, 강원도의독특한음식문화소개를통한국가브랜드향상에기여함을목표로함. l 강릉의경우산 들 바다를따라맛보는컨셉의강릉특산음식먹거리촌으로병산옹심이마을, 초당두부마을, 사천물회마을, 주문진해물마을등 4개권역을중점육성정비하고포남동구이촌을비롯한 2개권역을예비마을로지정하여향후추가육성해나갈예정임. l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사업의지역별사업추진내용은다음과같음. 41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사업명기간위치내용강릉초당동외 5개소 특산음식마을, 음식상품화강원전통음식관 2015~2018 평창군일원 대표음식육성, 음식마을경쟁력제고광상품화정선읍, 북평면 아라리시장음식거리정비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누리집 < 표 3-23> 강원전통음식관광상품화사업개요 7) 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 l 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은 2000 년도부터추진된단년도계속사업으로한국음식의우수성과멋과맛을홍보하여외래관광객유치에기여하고스토리텔링을가미한음식관광코스등을개발하여한국음식관광산업화를유도하는것을목적으로하며, 한국음식관광홍보 마케팅과음식관광서비스개선등을세부사업으로추진함. l 음식관광홍보ㆍ마케팅사업의일환으로궁중음식체험, 종가음식관광상품화와같은한식테마관광상품을개발및지원중에있으며, 공모사업을통해음식관광콘텐츠를발굴하고활성화를도모하기위해민간참여를지속적으로유도함. l 또한, 음식관광서비스개선을위해음식관광수용태세개선사업을진행하면서외국어메뉴판제작사이트를구축하고, 한국관광공사과함께음식관광테마거리조성사업을추진함. l 2014 년 ~2016 년에추진된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의세부내용은다음과같음. 구분내용실행연도 한국음식관광홍보및마케팅 관광객음식서비스개선 한국음식스토리텔링및맛지도제작 < 표 3-24> 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내용 음식관광활성화사업공모 한국음식관광박람회지원 융복합음식관광상품화 궁중음식체험식당활성화지원 고택및종택과연계한종가음식관광상품화 유력음식가이드북발간지원 음식관광수용태세개선사업 음식관광테마거리조성및활성화지원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4~2016 년도관광부문재정집행계획 2014 2015 2016 2015~2016 위치기반 map 과연계한지역별맛지도개발 2015~2016 42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8) 재외한국문화원 ( 해외문화원 ) 운영사업 l 재외한국문화원 ( 해외문화원 ) 운영사업은해외한국문화홍보의핵심거점인재외한국문화원 (20개소 ) 을중심으로국내에서인정받은우수프로그램을소개하고중장기적으로거점지역을선정하는특화사업으로, 민간과정부간협업을통한홍보프로그램운영으로문화콘텐츠와상품의경쟁력강화등문화한국이미지제고를그목적으로함. l 재외한국문화원운영사업중한식문화와관계된사항은다음과같음. 구분세부사업내용 재외한식문화원한식문화교육 K-Culture 체험관운영 < 표 3-25> 2017 년도재외한국문화원한식관련사업계획 한식문화교육확대를통해문화원을한식문화세계화의거점으로활용 주요내용 : - 한식문화교육표준교육과정및교재개발 (100 백만원 ) - 한식문화강좌 (900 백만원 /20 개소 ) 한식, 한복, 공예, 문화재등한국문화및우수문화상품을 ICT 기술을활용하여전시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7 년도예산및기금운용계획 1,000 백만원 2,000 백만원 l 2017 년예산검토결과재외한국문화원운영사업은전년대비 191억 4,500 만원이증액된총 864억 6,900 만원으로편성되었으며, 세부내역사업중 재외한국문화원한식문화교육사업 이신규로 10억원이편성됨. l 2017 년추진예정인재외문화원한식문화교육은해외문화원 20곳을대상으로진행될계획임. 한식문화교육을위한교육, 전문인력선발및관리등을주요사업내용으로하고, 한식전문가를해외한국문화원에파견하여한식문화에관심을가지고있는외국인및교민을대상으로전문화된한식조리강좌를제공할예정. < 표 3-26> 2017 년재외한국문화원한식문화프로그램운영계획 ( 안 ) 구분 초급자 중급자 교육내용 한식문화에대한흥미유발프로그램운영 한식문화교육프로그램운영 1~2회분량교육프로그램 3~4개구성 4회분량교육프로그램 3~4개구성 교육방식 프로그램당월 1~2회교육, 월별로 1개교육프로그램완료 ( 문화원별교육프로그램취사선택 ) 프로그램당주 1회교육, 월별로 1개교육프로그램완료 ( 문화원별교육프로그램취사선택 )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7년도예산안및기금운용계획안 4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l 해외문화원거점별특화사업은각문화원의지역별특성을반영하여전통문화자원세계화의기반을마련하고, 우수문화콘텐츠및문화상품의경쟁력강화를주목적으로추진 이사업은한국어, 태권도, 문학, 패션등포괄적인한류콘텐츠의확산을위해전개되는사업으로한식이주요소로부각되지않지만, 민간의다양한주체들과협업하는문화교류행사나 한국문화특집주간 과같은행사에포함되어추진 해외문화원거점별특화사업을통한한식교육이진행되고있어신규로추진될한식문화교육사업이차별화되어운영될수있는방안필요 < 표 3-27> 재외한국문화원추진문화사업비교 구분 거점별특화사업 한국문화체험프로그램 한식문화교육 ( 예정 ) 세부사업 재외한국문화원거점별특화사업 재외한국문화원운영 재외한국문화원운영 회계명관광진흥개발기금일반회계일반회계 사업주체재외한국문화원재외한국문화원재외한국문화원 2017 예산 5,214 백만원 4,180 백만원 1,000 백만원 지원개소 32 개소 32 개소 20 개소 ( 예정 ) 지원단가 1 억 6,290 만원 1 억 3,060 만원 5,000 만원 사업내용 주재국문화수요를반영한한국문화소개 문화원별대표브랜드사업을선정 지원 전통문화, 한국음식체험, 대중문화등주재국내한국문화체험프로그램운영지원 한식문화교육과정개발 문화원주요행사시한식및한식문화소개행사추진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7 년도예산및기금운용계획 9) 한국문화원연합회추진사업 l 2016 년부터본격적으로발굴하여한국문화원연합회를통해서진행하고있는한식문화진흥사업은, 지역사업비율이한식재단에비해서상대적으로높은편이나내용에있어홍보를위한이벤트성사업이주를이루고있음 l 문화체육관광부는한국문화원연합회를통해서주요사업을추진하고있으며, 주된추진사업내용은기초 ( 기반 ) 사업, 활용및확산사업으로구분할수있음 발굴 : * 자료집제작 활용 : 체험및교육프로그램, 전시운영 세계화및확산 : 포럼, 대회, 강연, 홍보물 ( 영상및방송프로그램 ) 제작 44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l 2015~2016 추진사업및 2017 추진계획 ( 안 ) 을기준으로유형별로구분하면다음과같 음. < 표 3-28> 한국문화원연합회한식문화진흥사업내용 유형 발굴 컨텐츠 산업화 사업내용 재외문화원한식문화교육 * 자료집제작 (2016) -재외문화원을활용한현지한식문화홍보및교육진행을위한교육커리큘럼구성및교재제작 -한식문화교육을위한이론 * 자료수집및정리 -한식조리교육을위한레시피정리및사진촬영 -과정별 ( 초급, 중급 ) 이론교육및조리교육내용을담은교재 (E-book) 제작 ( 강사및수강생모두활용할수있는교재제작필요 ) 한식문화사전제작 -식품위주정책에서벗어나역사, 풍습등문화적가치가가미된한식문화발굴및확산필요 -한식의역사, 한식의문화 ( 의례, 풍속등 ) 식재료, 종류등한식문화전반을정리한 한식문화사전 제작 (E-Book) 중국관광객선호한식메뉴개발 (2016) 한국전통술체험프로그램 (2016) 비빔밥전시경연대회 (2016) 전통차체험프로그램 (2016) 세계화 확산 2016 Korea NYC Dinners - 월드베스트 50 레스토랑 (W50B) 과국내푸드매거진이합동으로주최하는사전행사 한식문화순회포럼 (2016) - 한식문화확산의올바른방향을설정하기위한지역순회포럼 - 전주 : 한식문화의융합과융성전략 - 서울 : 한식문화의현황과진단, 모색 - 안동 : 온고지신! 전통문화이해와한식문화확산 - 강릉 : 2018 평창동계올림픽개최와한식문화확산전략 한식문화홍보영상제작방영 진주에담긴한식문화이야기행사개최 - 진주음식관련역사및문화콘텐츠활용프로그램운영 - 진주한식문화전시및체험프로그램운영 - 한식관련단체홍보전시행사 - 진주전통술문화체험프로그램운영 한식문화미술대전 - 한식분야문화콘텐츠창작활성화를통한문화적측면의한식세계화를위해한식및한식문화를주제로한작품공모 * 출처 : 한국문화원연합회누리집, 문화체육관광부누리집및내부자료 l 그러나성격상한식재단과유사한사업이많은실정이며, 그에따라서양부처사업의 중복성문제는지속적으로제기될것으로예상됨. 4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나. 타부처의주요사업 1) 농림축산식품부 l 농림축산식품부는전통식품업체의 6차산업거점화와농가의소규모가공활성화를위한제도정비및시설개선과함께국내산식자재사용및식품품질고급화를지원하며, 전통식품과전통주의품질인증제운영ㆍ식품명인의체계적인지원체계를구축하여대형마트ㆍ백화점등우수전통식품ㆍ전통주판매망확대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찾아가는양조장사업등지역음식과체험관광이연계된사업개발ㆍ운영 농촌진흥청ㆍ도농업기술원ㆍ시군농업기술센터는농업인의농외소득창출을위해농가맛집사업을추진함으로써향토음식과지역문화를접목하여상품화시도 소관부처 / 기관정책및사업내용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도농업기술원시군농업기술센터 < 표 3-29> 농림축산식품부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육성방안 전통식품산업화 전통식품및술품질인증 전통ㆍ발효식품육성지원사업 찾아가는양조장 농가맛집 * 자료 : 기관별 2016 년도주요업무계획및기타사업성과자료재구성 전통식품가공, 체험ㆍ관광연계등복합산업화추진 자조금ㆍ원물구매자금등을통해국내산사용유도 전통식품품질고급화등지원및판로ㆍ수출확대 우수전통식품과전통주의생산장려및소비자보호 전통ㆍ발효식품을세계적인명품으로육성하기위해업체시설현대화지원 전통주와체험ㆍ관광을접목한사업 농업인의농외소득창출을위해향토음식과지역문화를접목화하여상품화 2) 한식재단 l 농림축산식품부산하기관인한식재단은한식산업내에서한식당의경쟁력을높이기위해서고급화 대중화전략을병행하는모습을보임. 해외한식당과한식산업현황을분석하고우수한식당을추천하여현지에서의한식에대한경쟁력강화로한식의위상과접근성을높일뿐아니라한식산업의해외저변확대에기여하고자노력함. 해외우수한식당을발굴하고추천함으로써해외에서의한식접근성제고및저변확대에기여하였으며, 한식산업진흥을위한해외전략권역을구분하고도시를선정하여조사를실시함. 또한, 해외한식거점 7개국가 11개주요도시에한식당협의체를운영하며현지형 46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맞춤음식과서비스개선, 모호한한식정체성확보, 현지맞춤형메뉴판보급활성화, 한국식식재료보급활성화등을지원함. 한식세계화공식포털 (www.hansik.org) 내에 SNS 채널관리, 해외한식당협의체홈페이지운영, 교육관리시스템및한식아카이브시스템운영등을통합하여한식정보를원스톱서비스로제공계획에있음. 연관산업발전기여 한식산업의브랜드화 한식당경쟁력강화도모 음식관광확산 구분 < 표 3-30> 한식문화콘텐츠및산업화 관련한식재단사업 한류연계홍보등을통한한식세계화추구 한식의브랜드화로부가가치창출유도 해외한식당추천제 해외외식및한식산업조사 해외한식당협의체활성화 한식정보원스톱서비스제공 음식관광활성화홍보 * 자료 : 한식재단누리집참고연구진재정리 내용 산업계와 MOU 를통한인력파견 : 국외현지법인조리사파견, 국외한식당창업시컨설팅제공 외식산업관련박람회참여 : 2012 마드리드퓨전, 서울 Gourmet 등 한류와연계한식문화전파 : 스타마케팅, 체험관광프로모션 한식재단 CI, BI, 엠블럼을활용한다양한산업부가가치창출 : 국내외한식당에서의활용, 대중매체와의연계 ( 영화, 드라마, ppl 등 ) 한식홍보대사위촉 : 대중의참여를유도하여한식에대한이해도제고 한식당추천제 : 일본, 미국, 서유럽지역우수한식당추천및선발 현지인유명셰프및전문가로구성된선정평가단을활용하여추천한식당선별 추천한식당을다양한국내외매체를통해홍보추진 2010 년일본 ( 동경 ), 2011 년서유럽 (11 개국 25 도시 ), 2012 년미국 ( 뉴욕, LA), 중국 ( 북경, 상해, 청도 ), 동남아 (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한식당추천제완료 수요자와소비자등주체별현황조사실시 권역과주체에따르는종합시장동향보고서발간및정기적인시장정보제공 주요지표조사를통한한식산업진흥성과측정 조사모델개발후마스터플랜을통해조사모델의정교화와정보시스템기능의확장 IT 시스템을통한쌍방향소통및실시간의해외시장정보파악이가능한시스템구축 해외한식당활성화기반으로활용및한식산업진흥의현지구심체로육성 해외협의체간연계강화및협의체평가제를통한우수협의체선택 집중으로효율적인사업성과창출 교육관리시스템의고도화 식사재 식재료온라인홍보및직거래시스템구축 해외한식당협의체회원사를위한한국식재료 식자재온라인수요조사추진 한국식재료 식자재생산지와현지한식당을연결하는공급체게구축 우리나라에서개최하는주요국제행사와연계하여지방의향토음식과지역문화등을반영한음식관광코스개발 고택 종택과연계한음식개발및스토리텔링의상품화추진 해외거점도시별주요언론매체를초청하여외국인관광수요증대에기여 국내외온라인홍보마케팅강화를통한한국음식문화전파 4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3.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가. 정책추진개요 l 주요국가들은자국음식및음식문화의산업적진흥과함께음식문화경쟁력과브랜드이미지제고를위하여문화산업ㆍ관광산업과융합을모색하고, 국가또는민간차원에서내국인및외국인을대상으로하는전문인력양성을적극적이고체계적으로추진하고있음. 한예로, 일본은만화, 애니메이션, J-Pop 등과일식을결합하며브랜드화하였고, 해외의일식당및요리학교지원, 외국인조리사의체류조건완화, 해외일류요리사와음식관련사업자연계등전문인력양성과활용을적극추진중 l 전문인력양성은한식문화전문인력보다는전문교육기관을통한한식셰프양성등한식에한정되는경향임. 양성교육프로그램에한식문화에대한이해를위한이론교육이일부포함되지만, 전반적으로조리에교육이집중 교육과정에한식및한식문화이론교육을일부포함 l 최근에농림축산식품부산하기관인한식재단이한식해설사양성지원사업을추진함으로써양성인력의유형이이전보다다양화됨. l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인력과관련하여별도추진되고있지않고있으며, 조직과관련해서는산하기관인한국관광공사가있고, 관련기관인문화재청에서는한식문화보존을위해문화재청에서는무형문화재지정하고있음. l 이외고등교육기관과민간기관에서인력양성관련사업이시행되고있으나문화적영역이아니라여전히요리를위한기능적측면을강조하는경향을보임. 나. 문화체육관광부및유관기관사례 1) 관련조직 l 문화체육관광부에서한식관련정책은지역전통문화과소관으로추진 한스타일사업에서부터지역및전통문화관련으로는지역전통문화과에서, 음식관광사업관련으로는국제관광서비스과, 관광산업과등이해당사업추진 지역전통문화과는한식문화진흥, 문화 창조도시육성, 전통문화융복합자원발굴관련사업수행하고지역문화산업관련사업은문화산업정책과에서운영 48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음식관광활성화및산업화사업은국제관광서비스과에서전담하며지역특화콘텐츠개발, 국제관광서비스개선등사업수행 관광산업과와관광콘텐츠과에서는전통문화체험과고궁및역사문화관광사업을추진 < 표 3-31> 문화체육관광부한식진흥정책관련부서 구분주요업무 지역전통문화업무전반, 문화 창조도시조성및문화예술정문화정책관지역전통문화과진흥, 한식문화진흥, 우수문화상품지정, 전통문화책실융복합자원발굴, 한식및문화행사, 문화콘텐츠 문화산업정책전반, 지역문화산업육성 지원, 문화콘텐츠정책관문화산업정책과산업실창조융합벨트지원, 관광산업과 관광산업전반 관광콘텐츠전반, 지역전통문화, 전통문화체험, 관광정책관관광콘텐츠과고궁및역사문화, 명인관광자원화, 문화관광축제관광등정책실 국제관광서비스전반, 음식관광활성화, 한류관광, 국제관광국제관광한국음식관광산업화, 외국인대상지역특화콘텐츠정책관서비스과개발등 * 자료 : 문화체육관광연구원조직도및부서별업무내용재정리 l 문화와관광영역에서한식관련세부사업은주로문화재청, 한국관광공사에서추진 문화재청무형문화재과는무형문화재법 제도관련업무와종목지정 관리, 인류무형문화유산등재관련사업을, 세계유산팀에서는인류무형문화유산목록등재및홍보등유네스코관련업무를수행하며, 활용정책과는고궁관광자원화사업추진 한국관광공사에서는음식쇼핑팀이음식과쇼핑관련사업, 한식홍보, 음식테마거리등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을수행하고, 관광콘텐츠개발팀은지역전통문화및지역명품시장육성, 지역스토리텔링개발및전통문화관광자원화등관광콘텐츠개발업무등을담당 한식문화와관련한조직은산하기관인한국관광공사와문화재청이있음. 한국관광공사의내부담당부서는음식쇼핑팀, 관광콘텐츠개발팀등이존재함 문화재청에는무형문화재과, 문화재활용과, 세계유산팀등이있음. 49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기관구분주요업무 한국관광공사 문화재청 < 표 3-32> 문화재청및한국관광공사한식진흥정책관련부서 관광산업본부관광인프라실 국민관광본부관광콘텐츠실 문화재정책국 문화재활용국 음식쇼핑팀 관광콘텐츠개발팀 무형문화재과 문화재활용과 세계유산팀 * 자료 : 문화재청, 한국관광공사조직도및부서별업무내용재정리 음식및쇼핑전반, 한식홍보, 음식테마거리등한국음식관광산업화사업, 우수쇼핑인증제및쇼핑관광활성화등 관광콘텐츠개발전반 ( 지역전통문화, 지역명품시장육성등 ), 지역스토리텔링콘텐츠발굴및활용, 전통문화관광자원화등 무형문화재전반, 법 제도제 개정및개선, 무형문화재국제교류, 인류무형유산등재, 종목지정 관리등 문화유산활용전반, 고궁관광자원화사업, 문화유산스토리텔링활성화등 유네스코세계유산전반, 인류무형 기록유산등재및홍보,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운영지원 감독등 2) 인력양성현황 문화체육관광부는우리고유음식을바탕으로세계인이함께즐길수있는음식관광상품을개발하기위해농림축산식품부와지난 2013년양해각서 (MOU) 를체결하고, 음식관광인프라개선의목적으로음식관광전문인력사업을진행한바있음. 하지만한식재단에서 음식관광활성화를위한테마관조성전문인력 사업을분담하여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직접적으로시행한사업은아님. l 관련기관인문화재청에서는지정문화재를지정하고있으며지정문화재의전승과교육은보유자에의하여전수자나이수자를양성하는방식으로진행됨. l 한편, 국가지정중요무형문화재제38 호 조선왕조궁중음식 전수기관인궁중음식연구원처럼전승단체자체적으로인력양성과궁중음식문화연구및보급활동을전개하기도함. l 지정무형문화재는국가무형문화재와시도무형문화재로나뉘며, 2017 년 2월말기준으로한식관련무형문화재는총 40건지정되어있음. 국가무형문화재는 2017년 2월말기준으로총 5건이지정되어있으며, 그중제다 ( 製茶 ) 가 2016년 7월국가무형문화재로추가지정됨. 시도무형문화재는 2017년 2월말기준으로 34건지정 지정된무형문화재중 77.5%(40 건중 31건 ) 가전통주여서편중현상심화 50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 표 3-33> 한식관계무형문화재지정현황 (2017.2. 기준 ) 연번지정번호명칭소재지관리자 1 국가무형문화재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 朝鮮王朝宮中飮食 ) 서울 2 국가무형문화재제86-1 호 문배주 ( 문배酒 ) 서울 3 국가무형문화재제86-2 호면천두견주 ( 沔川杜鵑酒 ) 충남당진시면천두견주보존회 4 국가무형문화재제86-3 호 경주교동법주 ( 慶州校洞法酒 ) 경북경주시 5 국가무형문화재제130 호 제다 ( 製茶 ) 기타 6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제27 호 궁중다례의식 ( 宮中茶禮儀式 ) 서울종로구 7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제2호 서울송절주 ( 서울松節酒 ) 서울서초구 8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제8호 삼해주 ( 三亥酒 ) 서울서초구 9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제9호 향온주 ( 香온酒 ) 서울송파구 10 인천광역시무형문화재제11 호 규방다례 ( 閨房茶禮 ) 인천남구 11 대구광역시무형문화재제11 호 하향주 ( 荷香酒 ) 대구달성군 12 광주광역시무형문화재제17 호 남도의례음식장 ( 南道儀禮飮食匠 ) 광주북구 13 대전광역시무형문화재제9호 송순주 ( 松筍酒 ) 대전대덕구 14 대전광역시무형문화재제10호 연안이씨가각색편 ( 延安李氏家各色餠 ) 대전중구 15 경기도무형문화재제1호 계명주 ( 엿탁주 )( 鷄鳴酒 ( 엿탁주 ) 경기남양주시 16 경기도무형문화재제12 호 군포당정옥로주 ( 軍浦堂井玉露酒 ) 경기안산시 17 경기도무형문화재제13호 남한산성소주제조기능 ( 南漢山城燒酒製造技能 ) 경기광주시 18 충청북도무형문화재제2호 충주청명주 ( 忠州淸明酒 ) 충북충주시 김영기 19 충청북도무형문화재제3호 보은송로주 ( 報恩松露酒 ) 충북보은군 20 충청북도무형문화재제4호 청주신선주 ( 淸州神仙酒 ) 충북청주시 21 충청남도무형문화재제11 호 아산연엽주 ( 牙山蓮葉酒 ) 충남아산시 22 충청남도무형문화재제19 호 금산인삼백주 ( 錦山人蔘白酒 ) 충남금산군 김창수 23 충청남도무형문화재제30 호 청양구기자주 ( 靑陽枸杞子酒 ) 충남청양군 24 충청남도무형문화재제3호 한산소곡주 ( 韓山素穀酒 ) 충남서천군 25 충청남도무형문화재제7호 계룡백일주 ( 鷄龍百日酒 ) 충남공주시 26 전라북도무형문화재제39호 전통음식 ( 전주비빔밥 ) 전북전주시 김년임 27 전라북도무형문화재제6-2 호 향토술담그기이강주 ( 梨薑酒 ) 전북전주시 조정형 28 전라북도무형문화재제6-3 호 향토술담그기죽력고 ( 竹瀝膏 ) 전북정읍시 송명섭 29 전라북도무형문화재제6-4 호 향토술담그기송화백일주 ( 松花百日酒 ) 전북완주군 조영귀 30 전라남도무형문화재제25 호 해남진양주 ( 海南眞釀酒 ) 전남해남군 최옥림 31 전라남도무형문화재제26 호진도홍주 ( 珍島紅酒 ) 전남진도군진도전통홍주보존회 32 전라남도무형문화재제42-1 호 장식음식 ( 粧飾飮食 ) 전남무안군 33 전라남도무형문화재제42 호 전남의례음식장 ( 全南儀禮飮食匠 ) 전남 34 전라남도무형문화재제45 호 보성강하주 ( 寶城薑荷酒 ) 전남보성군 35 경상북도무형문화재제11 호 김천과하주 ( 金泉過夏酒 ) 경북김천시 36 경상북도무형문화재제12 호 안동소주 ( 安東燒酎 ) 경북안동시 37 경상북도무형문화재제18 호 문경호산춘 ( 聞慶湖山春 ) 경북문경시 38 경상북도무형문화재제20 호 안동송화주 ( 安東松花酒 ) 경북안동시 39 경상남도무형문화재제35호 함양송순주 경남함양군 40 제주특별자치도무형문화재제11호 고소리술 제주서귀포시 * 자료 : 문화재청 (www.cha.go.kr) 문화재검색 51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나. 타부처의사례 1) 농림축산식품부의관련조직 l 농림축산식품부에서한식정책주무부서는식품산업정책실식품산업정책관의외식산업진흥과로, 여타부서에서추진하는정책, 인력양성, 농식품수출등관련사업들도성격상한식정책의범주에포함됨. 외식산업진흥과는외식산업육성 진흥에관한업무전반과한식세계화사업및한식사업전반에대한업무를관장 식품산업정책과법 제도및인력양성업무는식품산업정책과에서, 전통식품및전통주산업은식품산업진흥과에서담당하며, 농식품수출과수출인프라지원은수출진흥과에서수행 식생활소비정책과는식생활교육, 국가인증농식품및로컬푸드 슬로푸드지원업무담당 농촌산업과에서는농촌관광과연계관광상품개발등의업무추진 식품산업정책실 기획조정실 구분 식품산업정책관 유통소비정책관 농촌정책국 < 표 3-34> 농림축산식품부한식진흥정책관련부서 외식산업진흥과 식품산업정책과 식품산업진흥과 수출진흥과 식생활소비정책과 농촌산업과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웹사이트조직도및부서별업무내용재정리 주요업무 외신산업진흥전반, 한식세계화, 한식사업, 외식사업등 식품산업정책전반, 제도및식품인력양성, 규제개선및법령검토등식품산업진흥전반, 전통식품, 전통주등산업진흥, 중소식품등농식품수출전반, 품목별수출개척팀운영, 수출인프라지원등 식생활소비전반, 식생활교육, 농산물원산지 / 지리적표시제도, 국가인증농식품지원, 로컬푸드 / 슬로푸드지원등 농촌융복합산업, 농촌관광및연계관광상품, 농천체험휴양마을등 l 기존한식정책은농림축산식품부의주관하에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식재단, 농 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등에서해당사업수행 10) 한식재단은국내외한식 식문화홍보, 국내한식인력교육, 한식관련연구, 해외시장 10) 참조 : 한식정책추진실태와개선과제 (2004), P.33 52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조사등을담당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해외인력교육, 한식당컨설팅등해외인력및기업육성을위한업무를담당하고, 농식품수출연계사업과식생활교육관련사업추진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에서는한식관련연구 기술개발지원업무담당 2) 농림축산식품부의관련인력양성 l 농림축산식품부는한식재단을통해한식관련인력양성을위한다양한사업을추진중에있음. 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 해외주요거점별인력양성사업, 한식전문인력교육관리시스템사업과함께취업및일자리지원사업까지추진하고있어, 인력양성을한식세계화의중요요소로간주하고있음을나타냄. 차별화된미래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을위해한식스토리텔링, 음식관광해설사, 외국인한식교육, 해외파견인력외국어교육등한식교육과정의다양화와세분화를추구함. 또한, 한식조리기술은물론해외현지에서의적응을위한언어습득능력배양등차별화된교육과정을운영하고있음. 해외주요거점별인력양성의일환으로해외한식당종사자를대상으로한교육개선사업과해외교육기관한식강좌를지원하고재외공관파견요리사선발과정개선. 그밖에해외셰프한식교육연계사업과외국인한식조리연수지원, 한국문화원한식강좌지원및해외한식전도사지원사업을추진함. 또한, 인력양성사업의효율화및양성된인력의체계적관리를위한교육관리시스템구축등고도화를추진하기위해교육생명단, 교육프로그램등교육과정운영에필요한기본사항탑재및운영관리자권한구축을통해운영편의를극대화함. 국내외한식전문조리인력수요와공급의균형을유지하기위한한식전문조리인력풀을구축하고연계지원방안을통한사업추진으로한식인력의취업을지원하기도함. 53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한식교육창출 한식전문인력양성 구분 한식세계화를위한한식조리사양성 한식전문인력교육관리시스템운영 차별화된미래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 해외주요거점별인력양성추진 취업및일자리지원 < 표 3-35> 한식문화인력및조직양성 관련한식재단사업 * 자료 : 한식재단누리집참고연구진재정리 내용 한식전문조리사양성및 27 만여고용창출을위한한식전문과과정운영 지역의우수인력발굴및향토음식상품화를위한전문가과정운영 교육생의고직활동대비이력관리및각종증명서발급서비스제공 수료 / 졸업생의온오프라인모임을통한취 창업정보교류의장마련 한식스토리텔링, 음식관광해설사. 외국인한식교육, 해외파견인력외국어교육등다양한한식교육프로그램운영 교육수행기관계약장기화및통합운영 교육과정의다양화로교육대상범위확대 우수한식인력장려사업으로해외유명요리학교연수지원 해외한식당종사자교육콘텐츠보완 현지우량콘텐츠및현지조달식자재발굴 재외공간파견요리사선발과정개선및교육콘텐츠강화 : 재외공관오 만찬가이드북개정및 e콘텐츠개발 해외호텔셰프대상한식교육연계및외국인한식조리연수비용지원 해외현지한국문화원한식강좌개설지원 정기적인취업박람회개최및상시구인 구직연계방안으로한식전문조리인력의해외진출지원 ( 해외한식당협의체연계 ) 한식전문조리인력얼라이언스구축 한식조리특성화학교의지속적인활용방안강구 l 한식재단을중심으로농림축산식품부와지자체, 유관교육기관등은문화유산으로서 한식과한식문화의전승및영역별한식특성화인력양성사업을전개 기관정책및사업내용 한식재단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전라북도, 전주시 < 표 3-36> 한식전문인력양성및기관운영관련추진정책및사업 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 한식인력지원해외한식당종사자교육 국제한식조리학교 * 자료 : 기관별 2016 년도주요업무계획및기타사업성과 * 자료재구성 한식셰프양성과정한식특화교육과정 ( 궁중음식, 사찰음식, 외국인한식교육등 ) 한식해설사양성과정한식조리특성화학교지원사업해외한식당경영주, 조리사, 홀매니저ㆍ서빙요원등과한식강사요원등을대상으로교육 국제적감각의한식스타셰프를양성하고자정부와지자체가한식조리학교설립 l 2015 년 5월부터농림축산식품부소관의한식진흥인력양성사업이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에서한식재단으로이관됨에따라, 한식재단은한식문화및산업진흥과관련하여인력양성사업운영ㆍ지원업무를총괄 한식셰프, 주제별한식특화교육, 한식해설사양성과정등을운영하고, 전통ㆍ발효식 54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품과정등세부전문분야별로는식품산업전문인력양성파트너기관을선정하여위탁운영 ( 한식조리특성화학교지원사업 ) ㆍ모집분야 : 전통 발효식품과정, 기능성식품과정, 식품제조기술과정, 식품기계산업과정 l 한식세계화전문인력양성을위해농림축산식품부와한식재단은전라북도및전주시와공동출자하여국제한식조리학교를설립하고교육사업실시 ' 해외파견한식조리사과정 (2년과정 )' 과 ' 한식스타셰프과정 (1년과정 )' 의교육과정운영 3) 농림축산식품부의인력양성세부사업 1 한식특성화교육및한식해설사양성지원사업 l 2015 년 5월에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부터한식진흥인력양성사업을이관받은한식재단은한식셰프양성, 주제별한식특화교육및한식해설사양성과정운영등을추진하고있음. 한식조리특성화학교지원사업은 2010~2013 년에전주대학교, 우송대학교, 인천재능대학, 수원과학대학교및부산관광고등학교등 5개학교를선정지원 l 지원방식 식품산업전문인력양성파트너기관을선정하여위탁운영 l 모집분야 전통ㆍ발효식품과정, 기능성식품과정, 식품제조기술과정, 식품기계산업과정 l 파트너기관사례 파트너기관중숙명여자대학교한국음식연구원이 한국식문화해설사 와 향토식품산업전문가과정 교육기관으로, 한국전통음식연구소는 궁중음식조리교육기관 으로지정 2 국제한식조리학교지원사업 l 농림축산식품부와한식재단은한식세계화전문인력양성을위해전라북도ㆍ전주시ㆍ전주대학교의 ( 재 ) 국제한식문화재단설립및그산하의국제한식조리학교설립을지원하였음. l 국제한식조리학교는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 한식세계화연구개발, 한식세계화콘텐츠개발및국내외홍보마케팅, 한식당인프라구축등을실시하고있음. 55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3 지방자치단체의향토음식전문가양성사업 l 지방자치단체차원에서해당지역의향토음식육성조례를제정하고, 해당음식전문가양성을교육을진행 부산시 향토음식사관학교 운영, 전라남도강진군 향토음식전문지도사 양성, 경상북도안동시 전통ㆍ향토음식전문가 양성, 상주시의 슬로시티전통향토음식전문가 양성등 기관명정책사업주요내용 한식재단,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전라북도, 전주시 문화재청 자치단체 < 표 3-37> 한식전문인력양성 관계주요정책사업현황 한식조리전문인력양성 한식인력지원 국제한식조리학교지원 무형문화재전승 전통ㆍ향토음식전문가양성 한식셰프양성 - 조리전공자, 조리분야경력자, 현직조리사, 오너셰프등을대상으로한식조리, 메뉴개발, 식문화, 스타일링, 외국어등교육 한식특화교육 - 조리분야교육및근무유경험자대상으로전통음식이론및실습, 메뉴개발, 창업교육등실시 한식해설사양성 - 관광통역안내사등을대상으로한국식문화, 스토리텔링, 음식관광등에대한이론및실습, 현장탐방등교육 - 숙명여대한국음식연구원에위탁하여양성 한식조리특성화학교지원 - 한식조리분야에강점이있는실업계고교및대학을지정하여교육인프라확충및학생장학금ㆍ실습비등지원 농림축산식품부,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대학교협력으로설립 해외파견한식조리사과정 (2 년 ), 한식스타셰프과정 (1 년 ) 운영 무형문화재의보호와전승을위하여운영지정된분야는주로전통주에집중되는경향 향토음식사관학교 ( 부산 ), 향토음식전문가 ( 인천, 광주, 전남신안ㆍ무안, 충남태안, 강원영월 ), 향토음식전문지도사 ( 전남강진 ), 전통ㆍ향토음식전문가 ( 경북안동 ), 향토음식계승전문가 ( 경북영천ㆍ영주ㆍ성주 ), 슬로시티전통향토음식전문가 ( 경북상주 ) 등의전문가과정운영 * 자료 : 각기관의 2016 년도주요업무계획및기타사업성과 * 자료참조재구성 ( 이상열, 2016, 33 쪽 < 표 2-10> 수정ㆍ보완 ). 4 국외한식강좌개설사업 l 농림축산식품부는국외소재한식당지원및현지인대상교육을통해한식보급과외식산업진출을모색하는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를통해한식당경영자문지원사업과한식강좌개설등을추진하여왔음. l 한식강좌개설현황 56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주관으로 2010년부터추진 2015년기준으로, 2010~2015 년중총 10개교에한식강좌를개설 l 한식강좌교육대상 각국대학의조리관련학생 l 교육방식 한식이론및조리실습을현지학교커리큘럼에따라교육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신규 ) 교육기관 3 개교 1,376 명 - 일본핫토리전문 - 일본츠지전문 - 미국드렉셀대 < 표 3-38>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국외한식강좌현황 2 개교 1,042 명 - 일본핫토리전문 - 미국드렉셀대 3 개교 1,223 명 - 일본핫토리전문 - 미국드렉셀대 - 중국양주대 4 개교 180 명 - 미국드렉셀대 - 필리핀 CCA - 말련 UCSI - 중국양주대 5개교 218명 -미국드렉셀대 -필리핀 CCA -말련 UCSI -태국 SDR -중국양주대 예산 350 백만원 260 백만원 250 백만원 270 백만원 270 백만원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보도 * 자료 (2015.8.19), 중국연변, 베트남대학에서도한식가르친다. * 주 : 2010~2012 년의일본전문학교에서의교육은일반인대상으로진행되었음. 신규 2 개교 - 중국연변대 - 베트남하노이관광대 다. 고등교육기관의한식전공운영현황 1) 한식관련고등교육기관현황 l 한식전공학과가설치된학교는배화여자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전주대학교, 우송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전통문화예술대학원등소수에불과함. 기존대전보건대학교와한림정보산업대학등의한식관련학과는호텔외식관련학과등에통합되어운영 기타대학은식품영양학, 호텔외식, 식생활관계학과등에한식을일부포함 57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대학 학과ㆍ전공명칭 < 표 3-39> 한식관계학과개설현황 최초입학연도 학위과정 입학정원비고 배화여자대학교전통조리과 1990 2 년 120 명 ( 주ㆍ야간 ) 주간 80 명, 야간 40 명 수원과학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과 2013 2 년 40 명 ( 주간 ) 2012 년 ' 한식조리특성화전문대학 ' 선정으로학과설치 2 년제전문학사과정후 4 년제학사학위취득과정운영 인천재능대학교 한식명품조리과 2012 2 년 60 명 ( 주간 ) 2011 년 ' 한식조리특성화전문대학 ' 선정으로학과설치 우송대학교외식조리학부 전주대학교문화관광대학 숙명여자대학교전통문화예술대학원 글로벌한식조리전공 한식조리학과 전통식생활문화전공 2011 4 년 60 명 ( 주간 ) 2000 4 년 55 명 ( 주간 ) 2010 년 한식특성화대학 선정으로학과설치 2000 년전통음식문화전공으로개설 2010 년 한식특성화대학 선정으로한식조리학과로변경 1998 2 년 - 석사과정 ( 야간 ) 개설 * 자료 : 대입정보포털 (adiga.kr) 및각학과ㆍ전공누리집참조정리 2) 고등교육기관의한식관련학과교육과정 l 대입정보포털 (adiga.kr) 에공시된한식관련전공학과 ( 대학원과정제외 ) 의교과목을유형화하면, 2년제과정보다는 4년제과정에서상대적으로식문화관련이론교육이풍부하게행해짐을볼수있음. l 한식세계화와관련한특화교과의경우에는한식특성화대학으로지정된인천재능대학교한식명품조리과와우송대학교글로벌한식조리전공에서나타나고있음. 우송대학교글로벌한식조리전공의경우, 해외공관ㆍ교육기관파견조리인양성및교류를별도교과목으로개설 l 한식의경우, 조리실습이중심이되고, 인천재능대학교한식명품조리과와우송대학교글로벌한식조리전공의경우에는한식과서양식ㆍ일식ㆍ중식을융합한메뉴개발교과목을운영함. 이밖에한식특성화대학들은농림축산식품부지원으로해외탐방과글로벌한식마스터교육등의프로그램을운영하였으나, 현재는해당프로그램미운영 l 궁중음식, 향토음식등특성화과목을포함하는경향이며, 최근에는장류등소스나전통주에대한관심이증가로이와관련한과목이개설되고있음. 전주대학교의경우, 초기부터 조선왕조궁중음식 의기능전수를학과의특성화방안으로설정 58

제 2 장정책동향및주요사업현황 학과교과유형 기초이론및실습 식문화교과 l 한편, 유일한대학원과정인숙명여자대학교전통문화예술대학원전통식생활문화전공 의경우에는이론을중심으로하고있으나, 실습을병행함. 인천재능대학교한식명품조리과 ( 한식특성화대학 ) 공중보건학식품위생및법규식품학영양학문제해결능력향상을위한캡스톤디자인조리과학대인관계능력향상을위한한식 F&B 서비스실습 한식식문화론우리식재료이해 < 표 3-40> 한식전공학과별전공과목개설현황 배화여자대학교전통조리과 공중보건학조리실무용어조리원리기초조리실습식음료관리및실습식품위생실무식품재료학식품학실험조리영양학캡스톤디자인 식문헌연구식생활과문화 우송대학교글로벌한식조리전공 ( 한식특성화대학 ) 식품위생과법규식품학영양학조리과학조리기초기술외식산업학한식당창업이론 한국식문화와예절한국전통음식과사상한식전통조리서해석및실습음식소비문화및심리세계음식문화 전주대학교한식조리학과 ( 한식특성화대학 ) 숙명여자대학교전통문화예술대학원전통식생활문화전공 기초조리실무식품가공학식품위생학식품학영양학조리과학조리교과교육론식품및조리과학세미나조리교과교재및연구법음식과디자인실험조리식품상품개발 ( 캡스톤디자인 ) 연회음식실습 옛음식책연구및실습한국음식문화와콘텐츠세계음식문화 동서양음식문화연구한국전통향토음식연구및실습전통혼례음식연구및실습 한식실습 한식조리실습 ( 기초, 중급, 고급 ) 한국조리실습김치및발효실습궁중음식실습한식디져트응용전통발효음식실습실습전통병과실습한식메뉴응용및전통의례음식실습창작향토음식실습전통주실습한식디져트실습 구이음식실습궁중음식실습김치실습발효음식사찰음식장류실습전통병과실습전통음청류전통주실습의례상차림찬류실습탕류실습한방약선요리한국음식과와인및주류매칭실습 ( 레스토랑경영 ) 한식 butchef 및어패류조리법한식가드망제한식디저트개발한식연회요리향토음식 한국조리실습궁중음식실습전통발효식품실습채식과약선음식실습향토음식실습병과와음료실습전통주와와인실습 ( 캡스톤디자인 ) 한식스타일링 ( 한식상차림 ) 한국전통음식조선왕조궁중음식전통저장음식전통주연구및실습전통병과실습 59

한식문화진흥및확산을위한중장기전략방안연구 학과교과유형 인천재능대학교한식명품조리과 ( 한식특성화대학 ) 배화여자대학교전통조리과 우송대학교글로벌한식조리전공 ( 한식특성화대학 ) 전주대학교한식조리학과 ( 한식특성화대학 ) 숙명여자대학교전통문화예술대학원전통식생활문화전공 타국음식실습및응용 한식메뉴의양식조리응용한식메뉴의일식조리응용한식메뉴의중식조리응용 서양조리실습일본조리실습중국조리실습 서양조리실습일본조리실습중국조리실습 한식세계화 한식세계화조리실습 동양식에기초한한식세계화메뉴개발서양식에기초한한식세계화메뉴개발해외공관ㆍ교육기관파견조리인양성및교류 제과ㆍ제빵 기초제과제빵실습 제과실습제빵실습 제과제빵실습 현장실습 산업체및학교기업현장실습현장실습멘토링 (Ⅰ, Ⅱ, Ⅲ, Ⅳ) 산업체현장실습 (1,2,3,4) 창업ㆍ경영ㆍ마케팅 한식테이블데코레이션 글로벌메뉴관리외식서비스실습외식창업과경영푸드코디네이트론식품구매및원가관리 식품위생한식테이블서비스실습한식푸드코디네이션단체급식관리재료구매및창고관주방관리실무론리실습한식당메뉴개발실습식재료및관능검사한식당창업및경영외식경영과원가관리주방관리한식데코레이션 서비스마케팅 어학 조리실무영어회화 조리실무영어외식서비스영어 졸업ㆍ진로 원가관리취업창업실무한식단체급식한식당창업및경영론 졸업과제연구 졸업작품논문전공취업체험 (1,2) 진로탐색 논문지도논문연구 * 자료 : 대입정보포털 (adiga.kr) 및숙명여대전통문화예술대학원전통식생활문화전공누리집 (www.koreancuisine.co.kr) 참조정리. * 주 : 제시된교과목은대입정보포털에게재된전공교과목기준이며, 각학년및각연도의실제개설과목이나과목명은학교사정에따라서달라짐.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