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무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태평무(太平舞)

Similar documents
EGO 웃다리 사물놀이 가락보

삼도앉은반설장구가락보 Samdo AnJeunBan(Sitting) Seoljanggu Arranged by: Kent Hong Last Revised Apr Key = 채편 (ChaePyeon)

178È£pdf

77

한국판대동작기능평가지 K-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SCORE SHEET (K-GMFM-88 and K-GMFM-66 scoring) 아동이름 : 등록번호 : 평가일 : 년월일 GMFCS Level 1 생년월일 : 년월일 I II

**한빛소리07월호

10월추천dvd

041~084 ¹®È�Çö»óÀбâ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_¸ñÂ÷(02¿ù)

hwp

RVC Robot Vaccum Cleaner


º´¹«Ã»Ã¥-»ç³ªÀÌ·Î

<BFA9C8A3BFCDB4C2C0A7B4EBC7CFB4D9284A2E522E >

5 291

The Scholars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 pb61۲õðÀÚÀ̳ʸ

(연합뉴스) 마이더스

¼øâÁö¿ª°úÇÐÀÚ¿ø

Ä¡¿ì_44p °¡À» 89È£

120~151역사지도서3

광주시향 최종22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

01¸é¼öÁ¤

01정책백서목차(1~18)


03 ¸ñÂ÷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ÆÞ¹÷-Æîħ¸é.PDF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015년9월도서관웹용


.....hwp

1111

<31315F5BC1F6C4A7BCAD5D5FBFEEB5BF5FB0EDC7F7BED02DB4E7B4A2BAB45FB0EDB1DEBFEEB5BFBDC7BDC02E687770>

2019달력-대(판형키워)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1

untitled

»êÇÐ-150È£

해피메이커 표지.indd


CR hwp

%±¹¹®AR

pdf


#7단원 1(252~269)교

( ) 0 Ⅰ 02 Ⅰ 03 Ⅰ 04 Ⅰ LBR00 05 Ⅰ 06 Ⅰ.0 4 G G G G G G Ⅰ.0 0 G Ⅰ.0 9 J30 LBR ,9 D45 * 과목은 학

152*220


¹ßÇ¥¿äÁö


ePapyrus PDF Document

¿øÀü¼¼»ó-20È£c03ÖÁ¾š

임산부를 위한 운동 가이드라인 임신한 여성은 출산에 이르기까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되 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한 양의 운동이 필요하다. 임신 기간 중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임신 중에 받는 스트레스와 불안, 그리고 우울증으로부

2002report hwp

** ¿ùÈ£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_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21 여 ö Ç J ö Ç Ç ö úç úç ú Ç 사랑으로채우 - - 여? J J J J J #ú Ç úç 사랑으로채우 - 여 L? ú ä F ä A ä # _

07

È޴ϵåA4±â¼Û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주)김녕요트투어 남방큰돌고래 관찰 기준에 대한 제안서-최종.hwp

untitled

±³À°È°µ¿Áö

가이드 활용법 균형감각, 지구력, 기동성을 높여 러닝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입니다. 어떤 레벨의 러너든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습 메뉴 1개 또는 2개의 훈련을 선택하여 현재 운동 중인 트레이닝 플랜에 포함하세요. 혼자 하는 운동 가이드


*노인학회지회보-2006년 가을

ÁÖº¸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173

(연합뉴스) 마이더스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CONTENTS 2011 SPRG Vol

¾ÈÀü°ü¸®¸Å´º¾óÃÖÁ¾Ãâ·Âµ¥ÀÌŸ

- 2 -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3 권 정답

공용심폐소생술00


0.筌≪럩??袁ⓓ?紐껋젾 筌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쌍백합23호3

한국전쟁소고내지(090518)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에너지절약_수정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승무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승무(僧舞)

Transcription: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 @ 言 중요무형문화재제 92 호 티 p 雄무 太平舞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제 92 호 m 調 S 画同 t e l l ^ M w n g a a i 獅 : 細 K. ᄀ 를 " 규쀼 평무 太平舞 1997 국립문화재연구소

일러두기一 1. 이책은국립문화재연구소예능민속연구실의중요무형문화재기록영화제작과정에서파생된해설책자이다. 2. 이책에수록된용어는중요무형문화재제 92호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이사용하고있는용어를따랐다.

차 례 T 1U 서 II. 태평무의유래와전승 I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IV. 태평무의형식 1. 무복 _ 2. 춤 ^ 단 ᅳ 3. 춤구성 4. 춤위 ᅳ 10 14 27 27 3557 62 88 93 V. 태평무의특징 VI. 태평무의무보 - 2. 터벌림 3. 올림채 - 4. ^ 살풀식 5. ^ 은 ^ ^ 6. 터벌림 - y j 93.75 89!21 139

머리말 중요무형문화재제92호태평무 는예능보유자인강선영의무보를중심으로엮은기록물이다. 한국전통문화의보존과계승을위한국립문화재연구소의중요무형문화재기록화사업의하나로기획된이책은기록영화와짝을이루면서상호보완적인역할을할수있도록편집되었다. 예능민속연구실의중요무형문화재기록화사업은과거선조들로부터이어져온유산을통해각박한형식논리와경제논리가지배하는현대산업사회에서도진정한삶의자세가무엇인지와세계화속에서한국인의동질성확립과민족문화의향기를드높일수있는기초작업이다. 이작업의성과물인기록영화와책자가전통문화유산의보존과중요무형문화재의전승 전수교육자료로활용되고, 국민의전통문화에대한의식함양과문화국민으로서의자긍심을도모하는기본자료로활용될수있기를기대한다. 1997 년 8 월 예능민속연구실장朴相國

I. 개설 태평무는명고수이자명무자였던한성준 ( 韓成俊 ) 이추던춤의하나이다. 태평무가어느때부터전승되었는지에대해서는확실히알수없으나문헌기록이나 1 많은국악인들에의해구전으로내려온이야기로보아약 100년전부터추어왔던춤임에틀림없다. 태평무의반주장단은경기도도당굿의진쇠가락을비롯하여낙궁 터벌림 도살풀이등의가락으로구성되어있고, 춤옷은임금과왕비의옷을재구성하였으며, 춤은너울너울움직이는팔사위와웅장한의상의어울림, 홍과멋과신명이넘치는디딤새가정확한발사위로구성되어있다. 특히춤사위는경기도무무 ( 巫舞 ) 의동작이나오는것으로보아경기도도당굿에서행하여진무악과무무를바탕으로한성준이방안춤으로재구성한예술적인춤이라고할수있다. 태평무의내용은풍년과나라의태평성대를축복하는뜻을담고있다. 또이춤은다른민속춤에비하여춤사위가특이하고개성적이며예술성이높다. 태평무라는이름의이춤은경기도도당굿의재인 ( 才人 ) 이고무속음악의대가였던이용우 ( 후1 雨 ) 가붉은철륙 天翼 을입고태사 ( 太史 ) 신에관모 ( 官帽 ) 차림으로춘적이있고발탈예능보유자인이동안 ( 李東安 ) 이남색관복차림으로추기도했다. 이용우는이춤이 옛날원님들이임금님앞에서추던춤 이라고증언했고, 이동안은이춤이 화성재인청에서전해진춤 이라고증언하고있다. 이한성준의태평무는임금과왕비가나라의태평을기원하는춤으로만들어진것이라고강선영은말한다. 진쇠 터벌림 도살풀이 1) 趙元庚. 舞踊 6 *. 海 ;* 社. P. 202. 1967. 7

I. 개설 등의경기무속장단을기본으로한복잡하고까다로운장단이나춤사위디딤새로보아이춤이궁중과직결된것은아니다. 그러나태평무라는이름에서빼앗긴나라에사는춤꾼의소원이보이고, 그가가져온장단과춤사위의근본이경기도도당굿이었다는점에서오랜기원을읽을수가있다. 한성준의태평무를직접사사한유일한전통춤꾼으로강선영 ( 姜善泳 ) 이있다. 사진 1. 태평무

I. 태평무의유래와전승 태평무의역사적유래는중요무형문화재제1호종묘제례악및제 39호처용무예능보유자인김천홍 ( 충꾸興 ) 을비롯하여여러국악계원로들에의한고증과직접어렸을때부터이춤을배웠던한영숙 ( 韓英淑 ) 과강선영에의해해명되고있다. 국악계원로들의이야기로는과거에는한성준이추던태평무에대한기록이있었지만지금은그책자들이분실되어조원경 ( 趙元庚 ) 의 무용예술( 舞踊 e * ) 만이전하고있다고했다. 고증자들은이춤을한성준이경기지역무무 ( 巫舞 ) 를재구성한것이라고하였다. 춤의내용은왕과왕비, 그리고나라의태평성대를축원하는것이라고했다.2> 그런데태평무는장단이복잡하여음악 ( 가탁 ) 을알지못하고서는춤을만들수도출수도없다. 그러나한성준은명고수였기때문에이어려운춤을재구성하여출수있었다. 한성준 ( 韓成俊 : 1875 1941) 은조선조말대원군과고종앞에서춤을춰 참봉 이라는작위를받았던사람으로우리나라음악은물론춤을예술적으로집대성한인물이다. 충청남도홍성에서출생하였으며. 일곱살때부터외할아버지인백운채 ( 白雲彩 ) 에게춤과북을배웠다. 14세되던해부터는고향홍성에서서학조 ( 徐學祖 ) 에게줄타기와땅재주를 3년동안배웠다. 그리고수덕산의박순조 ( 朴 I 麵히의문하에들어가스무살이넘도록춤과장단공부를하였다. 이러한과정을통해한성준은무용과장단에능한예인이될수있었다. 1894년이후한성준은유랑생활을잠시하다가, 서울의원각사 ( 圓覺社 ) 무대에출연하게되면서부터서울에정착하게되었다. 그후원각사가문을닫게되면서부터는협률사 ( 協 # I D 와연홍사 ( 延興 2) 韓英淑談 10

I. 태평무의유래와전승 社 ) 등의단체를따라지방순회공연을다녔다. 이때그는고수로서열다섯차례의창방 ( 昭榜 ) 을치렀다. 또한김창환 ( 金昌焕 ) 박기홍 ( 朴基洪 ) 송만갑 ( 宋萬甲 ) 이동백 ( 李東伯 ) 등당대이름난명창들의고수로명성을얻기도하였다. 또한이때궁중무용을접하게되었는데, 이때의경험은후에태평무 ( 太平舞 ). 학무 ( 鶴舞 ) 를만드는데커다란영향을주었다. 한성준은 1930년 조선음악무용연구회 를조직하였으며, 1934년에는무용을전문으로가르치는 조선무용연구소 를만들어많은제자를길렀다. 그리고 1935 년에는부민관 ( 府民館 ) 에서 한성준무용공연회 를가졌고, 그뒤동경 ( 東京 ) 을비롯해일본의주요도시에서순회공연을가짐으로써한국춤을일본에소개하기도하였다. 사진 3. 한성준선생 11

I. 태평무의유래와전승 사진 4. 한성준선생과강선영 1941년에는그공로를인정받아일본의 모던일본사 가주는예술상을받았다. 주요작품으로는태평무 학무 신선무 살풀이춤 한량무 _ 사공무 농악무등이있다. 그가길러낸제자로는김천홍 ( 金天興 ) 김보남 ( 金寶男 ) 이강선 ( 李剛仙 ) 장홍심 ( 張紅心 ). 한영숙 ( 韓英淑 ) 강선영 ( 姜善泳 ) 이매방 ( 李梅芳 ) 정인방 ( 鄭寅芳 ) 진수방 ( 陳樹芳 ) 김삼화 ( 金드和 ) 등이있다. 한성준은음악에재주가있고박자에능한사람이었기때문에경기도도당굿의왕거리에서나온춤을방안춤인태평무로집대성한것으로보인다 ^ 김천홍이이춤을처음으로본것은 1935년한성준이 조선음악무용연구회 를하던당시공연때였다고한다. 한성준은손녀한영숙과강선영에게태평무를영구적으로보존할 3) M 興談 12

I. 태평무의유래와전승 사진 5. 제자들과함께한강선영 것을부탁할정도로이춤에대한애정을가졌다고하며, 또한작고할때는유언으로 내가죽으면수의를입히지말고태평무의상을입혀달라 고말할정도로자신의춤중에서태평무를가장아끼고사랑하였다.4> 이러한춤은해방후전통무용가라고할수있는여러사람들에의해추어지고있으나. 한성준류태평무의계보는강선영에의하여이현자 이명자 양성옥 김근희 조흥동 심정옥 심정순 이춘자 고선화 윤덕경 임학선 강윤나 김나영 이미숙 김연자 홍진희 김미란 최혜숙 임관규 한미경 임현선 김원화 _ 황의자 김정학. 이화숙 이진실 원정숙 정혜진. 나재선. 최미광등으로이어지고있다. 그리고태평무반주가락은김덕수 강민석 김동원등에의해오늘날까지이어지고있다. 4) 韓英 * 姜善泳談 13

D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태평무예능보유자인강선영은 1925년 3월 30일경기도안성군양성면명목리 207번지에서농사짓던아버지강병학 ( 姜例學 ) 과어머니박춘매 ( 朴 # t 每 ) 사이의삼녀중막내로태어났다. 13세때아버지를여의고조선말벼슬을지낸엄하고완고한조부와홀어머니밑에서자란강선영은춤을추기시작한것은우연한계기였다. 소학교 6학년때 신식어머니구식어머니 학예회발표공연주연을말았어. 노래부르는주연을맡아 3개월간연습해도잘안됐어. 그때김복순선생이 너그럼무용이나해라 며춤을추는배역을다시말겼는데 30분만에끝냈어. 성공리에 ^ᅵ 쳤거든그때선생님이어머님보고 따님요다음에무용시키세요 이것이계기가되어선생님의권유와어머님의도움으로오늘날까지춤을추고있지 그때여자는신학문은필요없다고하는엄하고완곡한조부께춤까지추겠다는손녀의뜻을도저히펼칠수가없었다. 그러나평소여자도뭔가뚜렷한인생의목표를갖고살아야한다는생각을가지셨던어머님이춤을배울수있도록해주셨다. 1937년 3월 13세때한성준을찾아갔다. 한성준과강선영의큰할아버지는궁중에같이계셔서서로친분이있었다. 춤학습은토요일과일요일그리고방학때를이용했는데작은할아버지가이사실을알고노발대발하시면서어머니와손녀를쫓아내셨다. 어머니는아예집을나와평택에서바느질과하숙을치며딸뒷바라지를해주셨다. 이후강선영은서울로올라왔는데한달수강료는쌀한가마니와 5원이었다. 그런집안의극심한반대를무릅쓰고춤을추며오늘이있기까지는전적으로어머니덕이라며작은할아버지역시오늘자신의모습을보면대견해할것이라며회한에젖는다.

u.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춤과장단의귀신으로통했던한성준은명고수명무로전설적인인물로충청도홍성태생이다. 그때종로구경운동교동초등학교맞은편에위치했던한성준고전음악무용연구소는 2층한옥으로되어있었는데, 1층은살림집과기숙사로쓰였고 2층에연습실이있었다. 한성준의손녀로 1989 년작고한한영숙 ( 중요무형문화재제27호승무기능보유자 ) 과는같은방에서기거하면서동거동락했다. 그외이강선 ( 李 li#) 장홍심心 ) 김천홍 ( 츈꾸興 ) 등을비롯하여신무용가조택원 ( 趙澤元 ). 최승희 (S콴喜) 까지도잠깐이었지만한성준문하를거쳐간무용가들이다. 15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한성준이일찍부터명고수로이름나있던관계로이연구소에는이동백, 임방울, 김소희를위시하여김광식, 이정업, 지영희, 성금연등의국악인들도상주하거나자주들러장단을주고받았다. 이때부터 20세때까지 7년간이곳에숙식하면서한성준선생이보유했던 40여가지의춤을익혔다. 특히학춤을창안할때고생했던기억은지금도생생히다. 어느해인가추운겨울날창경궁으로매일출퇴근하다시피하며학의동태를살폈다. 학이모이를쪼는동작, 날개펴는동작, 걷는동작등을유심히관찰한후그것을노트에적어와서는그대로학의자태를모방하여만든것이바로한성준류학춤인것이다. 학춤을무대에올릴경우엔아비학은김광철, 어미학은김명숙, 새끼학은주로강선영이맡아했다. 이때의고생스러움은그후춤꾼으로입신하기까지온갖고통과역경을이겨내는인 사진 7. 천안피난시절극단공연때 16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사진 8. 강선영고전무용연구원개원기념 ( 가운데 ) 내심의원천이되었다. 그러한과정이없었다면오늘의자신도없었다고말한다. 한성준선생은말년에태평무를특히아끼셨다. 타계하시기직전도태평무의복으로수의를해달라고당부할정도로큰애착을보이셨다. 그런춤으로제자강선영이 1988년중요무형문화재제92 호로지정받았으니 늦게나마스승에게제자의도리를다한것같아다행이라고말한다. 17

ID.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사진 9. 오사까 (ᄎ 版 ) 지부강선영한국고전무용연구원 (1963) 사진 93. 오사까연구소 ( 교포들 ) 18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망- # ^ ^ H 사진 11. 춘향과이도령 (1957, 오른쪽이조영자 ) 사진 12. 동경산께이홀에서모윤숙작상제의한장면 1943년 3월부민관에서가진한성준무용발표회에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학무등을추었고, 창극홍보전, 삼국지, 춘향전등의안무를맡아하면서국악계에도그의이름이알려지게되었다. 1944년한성준문하생과일본전국및만주순회공연을끝으로무용활동은잠시중단되었다. 그후 22세때한산이씨집안으로시집가서살다가 1951년을지로에강선영무용연구소간판을내걸며활동을재개했다. 이후춤은오늘까지인생의동반자이자전부라한다. 19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사진 13. 종합예술제때한영숙, 강선영, 이인범 사진 14. 1965 년서울시문화상수상 ( 어머님과함께 ) 20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그동안초혼, 모란정, 수로부인, 이조여인상, 원효대사등을발표해호평을받았으며. 세계각국안가본곳이없을정도로춤으로문화사절단역할을톡톡히해냈다. 그러한공로가인정되어 1965년 3월서울시문화상, 1973년 4월국민훈장목련장, 1976년대한민국문화예술연예부분등을수상했다. 강선영은그간 100여회이상공연을가졌다. 그간의공연비마련에대해이렇게말한다. 무용공연발표를돈을들여서한것이 16회정도했는데모두빚을내서했어. 빚장이가오면다락으로습고했지. 애기아빠가내공연비대느라고집 3채를날렸어. 참고맙지. 그렇게하면서지금까지살아온것같애 사진 15. 경도아세아영화제초흔문화부문상수상 21

I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사진 16. 일본경도초혼시상장면 22

I.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중요한공연내용을적어보면다음과같다. 1937년 3월 1937년 ~ 3 8 년 1943년 3월 1944년 1953년 10월 한성준고전무용연구소입소한성준선생께승무사사한성준문하생발표회에서태평무공연일본전국및만주순회공연에서태평무공연강선영제1회신작발표회, 1955년 10월제2 회신작발표회 1954 년 1960 년 1960 년 5 월 6 월 1957년 11월저13 회 1959년 2월제4 회 1964년 12월제5 회 1969년 12월제6 회미국닉슨부통령환영무용공연에서태평무공연프랑스파리국제민속예술제참가태평무공연스위스제네바크랑카지도극장및 T.V에서태평무공연 1961 년 4 월 아시아문화협력회초청문화사절로일본전국순회 공연 1961 년 11월 국제여학사회초청동남아무용제동경공연 1964년 9 월 강선영무용단일본교포위문공연 1968년 3 월 강선영무용단대만순회공연 1970년 11월 강선영무용단일본순회공연 1971 년 8 월 한일국교정상화 5주년기념공연에서태평무공연 1971 년 9 월 일본 T.V에서태평무특별출연 1972년 2월 M A I E G A A PATA 총회무용공연

1.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1972 년 8 월독일뮌헨을림픽한국민속예술단지도위원및 세계 24 개국순회공연 1973 년 1973 년 1975 년 2 월미국 L. A 3.1 절기념공연에서태평무출연 9 월독일 영국무용순회공연에서태평무출연 3 월일본오끼나와 (JSM) 한국인위령탑건립기념공연 에서태평무출연 1977 년 6 월정부과 견한국민속예술단지도위원으로 유럽 10 개국순회공연 1978 년 1 월한국인하와이이민 75 주년기념공연에서태평무 1978 년 9 월정부파견중남미및중동 아프리카 24 개국 공연 1979 년 5 월강선영무용단오오사까 (ᄎ 떠 ) 공연에서 태평무출연 1980 년 1980 년 1981 년 2 월강선영무용단호주문마공연에서태평무출연 10 월강선영무용단중동아랍토호국두바이공연 강선영무용단중동아랍토호국아부다비 바레인공연 1982년 6월 세종문화회관주최명무전공연에서태평무출연 1983년 10월 외무부파견중동지역순회민속무용공연 1987년 12월 부천시립회관개관공연에서태평무공연

^ 1. 태평무예능보유자강선영 한편강선영은 1986년부터현재까지한국무용협회이사장, 1987 년부터현재까지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회장을지내고있으며 14대국회의원문공의원을역임했다. 춤꾼으로갖기어려운많은명예를누렸다. 평범한삶으로는도저히이루어내기힘들었을강선영의오늘은고통과인내의세월과맞바꾼것이다. 행운으로돌리기에는너무많은노력과희생이투여된그런삶인것이다. 젊음을온통춤으로불태운인생이다. 강선영은지금은태평무로예능보유자의명예를걸고있는만큼이춤을온전히전승시키는데최선을다하고있다. 그리고기회가된다면옛날한성준이추던극무용으로서의한량무와그외알려지지않은춤들을한데묶어무대에올려볼생각이라고한다. 사진 17. 50 세때모습 25

IV. 태평무의형식 1. 무복 태평무의무복은남성무용수인경우바지저고리에흰색도포를입고그위에흰색전복을입은다음붉은안감을댄노란색곤룡포를입는다. 머리에는검은색관을쓴다. 사진 20. 바지저고리 사진 21. 흰색도포 27

IV. 태평무의형식 여성무용수인경우조선시대왕비의예복을중심으로재구성한궁중여복을입고춘다. 강선영이입고추는무복은우선버선을신고고쟁이, 바지를입은다음남색안치마에홍색겉치마를입는다. 그리고상의는당의 ( 唐衣 ) 를입는다. 사진 24. 남색안치마 사진 25. 홍색겉치마 28

IV. 태평무의형식 당의의겉은녹색바탕에수를놓았으며고름은자주색이고옆고룸을노란색과분홍색 2개를달았다. 가슴에는흉배가있고앞자락과뒷자락은같다. 당의위에는횐색바탕에수를놓은활옷이라부르는원삼 ( 圓衫 ) 을입는다. 손에는한삼 ( 汗杉 ) 을끼고, 머리는수식이많고화려한조선시대왕비의큰머리로장식한다. 사진 26. 당의를입은모습 사진 27. 당의를입은뒷모습

g..o- 令IV. 태평무의형식 사진 28. 당의앞모습 / / dl # 翁沙^/ \.1S00-1사진 29. 당의뒷모습 30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30. 원삼앞모습 사진 31. 원삼뒷모습 31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33. 한삼

IV. 태평무의형식 ;si:hm m l i 麵, 應 EDG is i«! iᅳ33 變사진 34. 머리모습 사진 35. 머리안모습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36. 원삼을입은모습 사진 2 1. 원삼을입은뒷모습 34

IV. 태평무의형식 2. 춤장단 태평무장단은경기도도당굿장단을승화시킨것이다. 반주음악은징. 장고. 팽가리. 바라, 대금, 해금. 피리로연주하며낙궁, 터벌림, 올림채. 도살풀이등으로구성되어있다. 음악은매우다채롭고복잡하며 3박, 4박, 6박, 10박, 12박등으로뒤섞인구조로되어있다. 또한음악이점점빨라지면서 2, 3박이복잡하게변화를일으키기도한다. (1) 낙궁 3장단임금과왕비가행차하는형식을빌어서음악도궁중음악을차용해서썼다. 낙궁장단은 1장단에 8박으로서무대앞에서나아갈때연주되는곡이다. (2) 터벌림 ( 반설음 ) 64장단터벌림장단이라고도하며반설음장단이라고도한다. 반설음이란말뜻은분명하지않으나터벌림장단은터벌림거리에서추는장단이라는뜻이다. 터벌림이란큰굿을하기전에굿터를정화하는뜻으로춤을벌인다는뜻이다. 3분박 5박자, 즉서양음악의박자로표기하면 8분의 15박자이며 2장단이한짝을이룬다. 터벌림과장에서추는춤은무게가있다. 10박의박자에맞추어추기때문에깊이와폭이넓다. 한삼자락을너울거리면서묵직한발돌림으로위엄스럽게추기위한과장이다. 이과장은반설음 46 장단 10박과잦은터벌림즉섭채가락 18장단 10박으로구성되어있다. 섭채가락은터벌림을몰아치는것인데왕비가옷을벗고서경쾌한춤을추는과장에반주된다. 잦은터벌림가락에몸과마음을자진발돋음과디딤으로표현하는것이다. 35

IV. 태평무의형식 (3) 올림채올림채라는말은쳐올리는장단이라는뜻이며이것은신을놀려좌정시킨다는것이다. 이장단은빠른 3박과 2박이 2 + 3 + 3 + 2 의형태로짜여진박자로서양음악식으로표기하면 8분의 10박자의장단이다. 섭채가락에서경쾌하게추던것을올림채가락에서는더욱홍겹고신바람나게추는과장이다. 이가락을 3박자개념으로 6번연주하면 18박자가되고. 5박자개념으로 3번반복하면 3박자가남는다. 터벌림이끝나고부터 24박끝까지가모두올림채이다. 올림채 I에서올림채 I 로넘어가는과장은절정에달하는과장으로발동작이더욱빠르게움직인다. 이가락은잦은올림채라고도한다. (4) 도살풀이 60장단경기도남부무가에쓰이는장단으로매박마다징이한번씩들어간다. 2분박의보통빠른 6박자로서양음악식으로표기하면 4분의 6박자가된다. 사진 38. 반주장면一해금 : 김무경 (48), 대금 : 이철주 (47). 피리 : 김찬섭 (50), 장고 : 김덕수 (45), 꽹과리 : 김동원 (32), 징 : 강민석 (3S), 바라 : 한상욱 (26)) 36

IV. 태평무의형식 이과장의춤은꿋끗하고홍겹다. 그리고모든맺힌것을풀어몸전체로 승화시키는과장이다. (5) 잦은도살풀이 20장단잦은도살풀이는 4박으로연주하며도살풀이보다더홍겹게춤을춘다. (6) 터벌림 5장단터벌림은원래대로돌아가는과장으로장단또한앞에서연주했던것과같다. 사진 40. 반주장면 38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41. 장고 ( 김덕수 ) 사진 42. 평고 ᅡ 리 ( 김동원 ) 사진 43. 대금 ( 이철주 )

IV. 태평무의형식 태평무장단보 ( 太平舞長短譜 ) 채보 : 김덕수 3x8 8 ( 赞 3x8 8 V - 3x8 1. 낙궁꽹과리 3 0 0 갱 J. 1 0 o 징 J. 之. 갱 J. 은. 징 J. ^ 갱 J, t L 之., 1 징 S J. 은. 之. 1 ᄋ... 0 O ᄋ 덩 덩 장고 J ^ J ^ J. 온. i 8 r. 之. 厂厂之. i. ^ 1 덩 다르르르... 향 ) 3 x 8 0 ᄋ 0 철 철 철 J 국, 농 바라 J 국 J, ^ 8 t ᄀ n n o n o o r 호흡과움직임 40

ff. 태평무의형식 1 내는가락 分 3+2+3+2 4 2. 터벌림 ( 반설음 ) o ᄋ O ᄋᄋ : 0 0 갱 J 갱 J 갱 J 꽹과己 1 CX) 1 I ᄋ ᄋ ᄋ 1 1 ᄋ ᄋ o o. L J 1 1 갱개갱개개갱갱갱개갱깨갱개 /*3 /S's /-3n /-3,3 砂 ᄋ ᄋ ᄋ O ᄋ 징 징 징 징 ( 징 ) _ 3+2+3+2 J J J J J t, ~T 1 4 ( 微 3+2+3+2 1 1 C 1 1 C O ᄋ O o ᄋ O 장고 1 C 1 厂 o 덩덩덩덩따닥따따구궁궁따따궁따닥따 <" 3 *,3 ~ J J J ^ J^.J i i l A J l l 4 V\ C3+2+3+2 4 철 o 철 _( 淨 ᄋ ᄋ 철 ᄋᄋ 처 U L 철^ᅵ'ᄋ 철~#,JC 고o 철 바己. ᄀ r ᄀ r 호흡과움직임 41

IV. 태평무의형식 2 기본가락 ( 淡 3+2+3+2 4 꽹과리 ᄋᄋ 1 ᄋ 1 ᄋ ᄋᄋ : ᄋ ᄋ ᄋ ᄋ i 11 ᄋ ᄋ 11 ᄋ ᄋ 11 ᄋ ᄋ 11 ᄋ 갱갱갱갱갱갱갱갱갱개개갱갱갱개갱깨갱개 11 00,3 力,3 <3,3 기 jy 시 ( 歲 3+2+3+2 4 o ᄋ ᄋ ᄋ O 징징징징 ( 징 ) s 1 1 1 1 1 1 C I 1 C C 1 1 C ᄋ ᄋ ᄋ 0o o p o 장고 i 厂 1 1 덩궁따닥네궁따닥네따따구궁一따구궁 ^!/S's L 따!/^3>». 3? 3+2+3+2 J 나 j j ^ i j j v J jj^j^j ~ s ~s \~ s 声少 ^ H r r 4 : J : 3P ( g ) 0 ᄋ ᄋ ᄋᄋ 1 1 o o 철철철처철철철시 >>x3+2+3+2 4 // \ \,x^따 바라 i r ᄀ r ^ 호흡과움직임 42

IV. 태평무의형식 3 섭채 ( 터벌림을빠르게조여치는것 ) ( 淨 赞 3+2+3+2 8 3+2+3+2 8 O 꽹과 a ᄋ ᄋᄋᄋ o ᄋ 0ᄋ ᄋ ᄋᄋᄋ C ᄋ 갱갱갱개갠지개 a 개개갱갱갱개갠지개 u 개,3,3,3 크 A ᄇ 1 ^ 1 1 fi i n i n i --------r -T~ 1 o ᄋ O ᄋ ᄋ 징少之 ( 深 3+2+3+2 J 징징징 ( 징 ) V 4 4 y 1 1 1 1 1 o O o 0 0 ᄋ 00 덩 궁 1 1 C S 장고 1 1 o o ᄋ ᄋ 따구궁따닥구구궁궁따구호따닥국시 广 3ᄉ 少 J 1, 세少! 8 c r ^r ^f r r f 之 r 3+2+3+2 o o 0 o o 철 4 철 4 철 J ---- o i i 처철철,3 ---------- ᄋ 바 a 철 J ---- ᄀ r ᄀ r 거호흡과움직임 43

IV. 태평무의형식 5x5 r 호흡과움직임 44

45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딱구궁뜨르닥뜨르닥딱궁 소 r 1 \ 5x5 J J 8 도 / 之 >x/ >xx PX ^J 之 ^, y # r, 之. r 1 호흡과움직임 46

47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m 1 본가락 (4 회반복 ) 올림채몰이 스시 / 서- 2 ' 기^ 3 '' 야 ^ 수 ^ / 시 2 ' ' \ r z tiuj 0 o ᄋ o XiT - 갱갱뜻 5x2 J J P,J P J 8 갱뜻갱 ᅫ 과리 ( 2 ^ ) ; 5x2 8, 2 ' 사서 ᅳ3 ~ 서 ᅳ3 ^ \ / 서 - 2 이 \ 3 o 3 O 3 o 징 J 징 J 지 ti 징 J 지 u,j 少 H ' «징 J S 5x2 8, 2 ' 거 ^ 3^ ^ 솨 % O o ᄋ o 딱구궁따 J 7 J 1 C 厂 따 泰 궁따 7 J 따 0 궁 r. r 장고 r 一 3 느 ^ 스 - 3'^ 시 ^ ᅬ 냐 \ ( 微 ( D o ᄋ o o o ^x? 8 철 J 철 J 처철 J 少 1 처 少 철 J 바라 48

갱J갱갱뜻PIV. 태평무의형식 2 맺이가락 (2 회반복 ) \ 갱一 \21 一 #꽹과리 X49 뜻r

-X 뜻으( 淨 + 뜻으I 뜻IV. 태평무의형식 ᄋ t ^o ᄋ tr. ᄋ 갱 꽹과리 3 생 o 이 C olo l i J 0 ᄋ ᄋO 3x4 ( 發 더더따다드탁, 따더더따다드탁, 따 8 r 之 3x4 8 t ᅳ^ ᄀ r ᅳ 가 r m (2 회반복 ) o ᄋ ᄋ 뜻뜻갱뜻뜻갱뜻뜻갱 장고 호흡과움직임 H 꽹과리 호홉과움직임 3x4 C o ᄋ 參 o o 0 O O O o o o o O ᄋ O o ᄋ ᄋ o 더더더더르덩더더더더더르덩더장고 i r 기 ᄀ r ᅳᄀr 호흡과움직임 50

뜻뜻뜻뜻갱뜨人꽤o 갱ᄋ 리과--갱뜻nj.^IV. 태평무의형식 ( 發 3x4 \ 뜻갱 3x4 8 이 ᄋ 0 ᄋ 0 OIO ᄋ 이 ᄋ ᄋ ᄋ 이 ᄋ ᄋ ᄋ olo ᄋ o 더더르덩 더더더르덩 더더더르덩 더 9 _ 一 _ ᄀr ~ v ᅳ [5] 호흡과움직임 ᄋ o o 뜻r{ 뜻갱갱뜻다J-o 갱 꽹과리 으51 C OIO 이ᄋ 參 이ᄋ! O ᄋlo ᄋ o O 이 o ᄋ 이 O ᄋ 더덩더르더덩더르더덩더르더덩장고. r n y r ᄀ v, 3 x 4 n ~ n _ ᅳ, 8 r ^ r cr ' r r c; r ' r r crr r ' r rᅳ T 기 ^ 기 T 기 ^ 시호흡과움직임

Rf. 태평무의형식 ( 歲 C C ᄋ o ᄋ ᄋ! ᄋ 2x3+3x2 參 X, J. 之. J. 8 之 ' r ^ r f f 장고 ( 發 2x3+3x2; o o ᄋ ᄋ ᄋ 철철철철철바라 8 호흡과움직임 52

53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4. 도살풀이 1 도입장단 ( 含 ᄋ O J O O O 이 ᄋ 꽹과리 t Io 갱갱그래개갱깩깩깩갱개 S ' 래은? 래갱 2x6 니 ᄊ ᄋ 징짓짓징짓짓징짓징짓 징 2x6 4 ^ ᅳ M ( 淡 O 9 C o o d c O o o ᄋ o O 덩 장고 덩더르더덩떡국따따구 j - 따따국께 딱 2x( J J 1J J * 1J * n r n 帶 2x6 ᄋ ᄋ ᄋ ᄋ 철철철철 바라 호흡과움직임 54

ff. 태평무의형식 2 본가락 ᄋ ᄋ o 꽹과리 갱쩍깩갱깩깩갱개그 s]] 은그래갱 2x6 jᅳ ] n # _X X 0 X X j / ^ # j > y j ( 淨 c! C C ᄋ o O 장고, n, 7 호흡과움직임 - 징과바라의박자는 1 도입장단과같다. 55

IV. 태평무의형식 5 - ^ 꽹과리 3X4 7 j J 7 J J. y J J, y } J ~ 8 딱궁따딱궁따딱궁따딱궁따 3 X 4 j J\j J\j J\j 少, 8 7 f T 7 ᅳ ᅳ T 7 T 7 1 辦 이 I 이 I I 이 I ᄋ- 징 8 i r ᅳ ᅮ ^ ᄀ r ᅳ ᄀ 호흡과움직임 56

IV. 태평무의형식 3. 춤구성 1 ) 낙궁과장태평무의도입부로오른발뒷꿈치부터앞으로내딛고오른발과왼발을다시내딛고앞으로나간다. 오금을죽이며추는춤사위는섬세하고우아하며절도가있다. 사진 44. 낙궁과장 57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45. 터벌림과장 2 ) 터벌림과장앞부분에서는느리게추다가뒤로가면서춤사위가차츰빨라지는발전적단계를지난다. 이는마치한국인의심성표출이라할수있으며극히한국적인표현방식이다. 다양한몸짓과손발의움직임이것도홍과멋과신명의감정표출인것이다. 홍을일으키는데는어깨와손끝이작용한다. 손끝의움직임여하에따라발디딤새가달라지고표정이달라진다. 손의움직임그것은한삼자락이공간을차고나르게하며이에응하는어깨는제멋을살린다. 발사위역시그러하다. 오이씨버선발이움직이듯하다가멈추고, 멈추듯하다가 58

IV. 태평무의형식 움직인다. 이렇듯춤은움직임속에멈춤이있고멈춤속에움직임의묘미가있다. 이것은춤의동작이동작그자체에머무르지않고보다높은정신세계에닿아있음을말해준다. 따라서우리의춤은춤추는이와보는사람까지도정신적깊이에도달해있지않고서는제대로볼수없는까다로움이있다. 3) 올림채고 올림채과장은감고푸는사위와겹걸음사위가주조를이룬다. 긴장과이완을적절히배합하여감고풀고어르고당기는데능란함이있어야하고따라서춤의묘미가우러나는것이다. 사진 46. 올림채과장 59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47. 도살풀이과장 4 ) 도살풀이과장도살풀이과장역시어르고여미고감고재치고엎는사위가한데어우러진맛과기교의장이다. 따라서태평무는우리나라춤중에서가장기교적이고개성적이며예술적인춤이라할수있다. 그러나우리춤은누구나할수있다는미적공감대를형성해주며수동적인감상만이아닌적극적인참여를이끌어내기도한다. 60

IV. 태평무의형식 5) 터벌림과장마무리를위한터벌림과장이다. 극히짧은느낌을주지만짧음속에서도환희의극치를충분히맛볼수있다. 태평무는나라의태평을기원하는춤이며따라서맺히는춤이아니라푸는춤이다. 모든설움과아픔을털어버리면홍이절로나고신명이샘솟는다. 태평무는인간의맺힘을풀고나서도달하는홍과신명의경지에이르는줌이다. 사진 48. 터벌림과장 61

IV. 태평무의형식 4. 춤사위 1) 팔동작 (1) 일자펴기양팔옆으로약간올려 펴들기 사진 49. (2) 뿌림사위한삼이나맨손으로여러 방향에뿌리는사위 > 위로 양손 높이 사위 뿌림사위 또는한손을머리위로쳐들어좌우로뿌리는 사진 50. 62

IV. 태평무의형식 > 옆으로뿌림사위 한손을옆방향으로 뿌리는사위 사진 51. 돌려뿌림사위손등으로돌려뿌리는 사위 사진 52. 63

IV. 태평무의형식 > 끼어서뿌림사위한손을반대쪽겨드랑이에끼었다앞으로풀어내며뿌리는사위 사진 53. (3) 끼고감는사위오른손을왼쪽허리에 끼고왼손을내려오른손을 덮어감는사위 사진 54. 64

ff. 태평무의형식 (4) 제치는사위손등쪽으로손목을돌리거나뿌리는사위 사진 55. (5) 잎는사위손바닥쪽으로손목을돌리거나 뿌리는사위 사진 56. 65

IV. 태평무의형식 66

67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10) 끼고드는사위 한손을허리에끼고다른손을드는사위 (11) 감는사위손목놀림으로한삼을감 아돌리는사위 사진 62. 68

69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14) 들사위 한손또는양손을아래에서 어깨높이까지드는사위 (15) 올릴사위한손또는양손을어깨높이위로쳐드는사위 사진 66. 70

71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18) 희것는사위 양손을좌우또는상하로 휘젓는사위 사진 69. (19) 헤엄치는사위 양손을옆구리부분에서지느러미처럼너울거리는사위 사진 70.

73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73. (22) 펴는사위여미거나모은손을펴는사위 74

IV. 태평무의형식 2) 발동작 (1) 반원돌림걸음발을반원돌려한걸음 내딛는걸음 사진 74. 반원둘림걸음 발을반원돌려한걸음 내믿는걸음 사진 75.

IV. 태평무의형식 76

77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79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80

81 IV. 태평무의형식

IV. 태평무의형식 (13) 느리게발들기오금을죽였다떼면서무릎을천천히들어올리는사위 (14) 발옆으로밀어주기 발을좌우로번갈아옆으로밀어주는사위 사진 89. 82

IV. 태평무의형식 (15) 발옆으로옮겨딛는사위한발을옆으로크게옮겨 믿고다른발로따라붙여 중심이동하는사위 (16) 엇붙임사위 한발을다른발앞에엇붙여 방향을바꾸거나도는사위 83

IV. 태평무의형식 사진 92. (17) 음과양의발돌림사위무릎을들면서오른발을안으로감아딛고왼발은밖으로원을돌면서덛는다. 84

IV. 태평무의형식 3 ) 온몸동작 사진 93. (1) 어르는사위양손또는한손을들고어르는사위 85

IV. 태평무의형식 86

IV. 태평무의형식 (4) 숙이는사위한발앞에내딛으며허리를굽혀앞으로숙이는사위 (5) 앉는사위한발을옆으로크게내딛으며 비스듬히앉거나한발은무릎사 끓고다른발은무릎을세워 앉는사위 사진 97. 87

Y. 태평무의특징 한성준의춤을전수한강선영에의하면태평무는춤장단만익히는데 3개월이걸린다고하는데, 실제로전통춤을학습할때먼저승무 살풀이춤을배운다음태평무를추는것으로보아이춤이배우기어렵다는것을알수있다. 이렇게하여태평무를출수있게되면비로소춤꾼이될수있다는것이다. 태평무의춤사위는승무의장삼뿌림과경기무속무용, 학춤에서나오는춤사위등이엿보이나그것보다는겹걸음 따라붙이는걸음 잔걸음 무릎들어걷기 뒷꿈치찍기 앞꿈치꺾고뒷꿈치디딤 뒷꿈치찍어들기 옆으로밀어주기등발디딤의기교가우선이라고할수있다. 태평무가다른춤들과구별되는점은기교넘치는발동작과힘있게뻗는손동작에있다. 살풀이춤이나승무는발을사뿐히들어서뒤꿈치를믿으며일직선으로발을놓지만태평무는처음시작하는발로원을그리지않으면장단을맞출수가없다. 잔발을믿고, 발을돌리며굴리고, 잦은깨끔발을띠고잔가락을넣어야만이발짓이맞아떨어지는것이다. 발동작은장단사위라고하는독특한사위로추는데발을옮길때장단사이로다니면서춘다. 처음왼발이반원을그리면서장단을먹고들어간다. 그리고바른발로장단을맞추고다시장단에맞추어춘다. 장단이먼저냐춤이먼저냐하는말이있는데장단에따라서춤을춘다고할수있다. 태평무는장단이어렵다. 일반적인춤은장단사이로동작이들어가면춤을못추는사람이다. 그러나태평무는장단사이로들어가야한다. 이것이태평무의특징이다. 태평무를출때는발이바닥에붙어있으면안된다. 얼마나떠있느냐할정도로태평무의발동작은화려하다. 36박이라는독특한가락에맞추어춤을추자면발뒷꿈치, 앞꿈치. 뒷꿈치순으로 3번 88

V. 태평무의특징 사진 98. 발뒷꿈치 사진 99. 앞꿈치 사진 100. 뒷꿈치순으로 3 번내지 4 번을다다닥뒷꿈치로찍고나서시작한다. 89

V. 태평무의특징 내지 4번을다다닥뒷꿈치로찍고나서시작한다. 사진 98, 99, 100) 한편승무나살풀이춤에서는한바퀴순리대로돌아가는것이원칙이다. 그러나태평무는반쯤돌다가획돌리는반돌림이라는것이또한특징이다. 또무릎을제치고손동작을하는데이것을 먹는사위 라고한다. 지순다 라는표현을쓰기도하는데태평무에서는 1먹는다 라고한다. 무릎을굽히면팔도자연움직인다. 사진 101 손동작도다른춤은귀밑에서주로추지만태평무는귀위로올라가며손이쳐져서는안된다. 사진 102 또손을엎을때도밑으로내리면서춤이딱딱하게느껴질정도로옆으로확펼친다. 그리고한삼을뿌릴때겹쳐지도록한다. 즉겹사위인데손을겹쳐서춘다. 사진 102. 손이올라가고쳐져서는안된다. 91

V. 태평무의특징 또한태평무에서는엎고제치는사위가있는데이것은음양을표현한것이다. 바른손을엎으면음, 왼손을제치면양. 발도곡선으로돌리면음, 직선으로나아가면양을표현한다. 한편일반적인춤은부드럽고우아하게추지만태평무는아주근엄하게가만히서있는동작도있다. 즉밑에서부터무게있게나가다세상을포근하게안아주는듯한동작을취하기도한다. 한마디로태평무의특징은동작이섬세하고우아하며동작하나하나에절도가있고, 특히발디딤이다양하고발을구르는동작은이춤만이갖고있는멋이라고할수있다. 즉태평무는우리나라춤중에서가장기교적인발짓춤이라할수있고, 방안춤으로승무 살풀이춤과더불어정중동 ( 靜中動 ) 의미적형식을가진완벽한춤이라고할수있다.

1. 태평무의무보 ( 舞譜 ) 낙궁 (3^]* 단 ) 등장자세 ᅳ 양팔을옆으로약간비껴들고동체는의젓하게세우 고시선은정면을바라보면서 ( 상수뒤에서하수쪽으로본다 ) 중앙으로걸어나온다. V M 거 k i r. m \ <1> 1 장단 - 발원돌림사위 1 박 : 오른발을뒤꿈치부터앞으로내딛고 2 박 : 왼발을내믿고 3 박 : 오른발을다시내딛고 4 박 : 오금을죽인다. 93

VI. 태평무의무보 <2> 2 장단 ᅳ 발원돌림사위 왼발부터걸어나가오금새를한다. 3 3 장단 - 오른발부터전진하여 8 박에오금을죽인다.

\1. 태평무의무보 2. 터벌림 (64 장단 ) <4> 1 장단 ᅳ 한손들사위 낙궁 3 장단에중앙까지 등장하여왼손을천천히앞으로들면서 <5> 서서히몸을돌려 (90 회전 ) 앞을향한다. 이때왼손을앞으로든상태가된다. 95

VI. 태평무의무보 6 2장단ᅳ 한손들사위 왼손이앞을향해올려진상태에서 1장단동안에오른손을서서히올려 <7> 양손이비껴앞으로벌려든상태가된다. 96

I. 태평무의무보 <8> 3장단ᅳ 양손올림사위 옮겨딛는사위 약간도듬새 ( 호흡 ) 를하며더욱활짝양팔을폈다가머물고 <9> 끼고감는사위 1 박에오른발 왼발을비껴앞으로빠르게 내믿으며오른손을왼쪽 겨드랑이로끼고

VI. 태평무의무보 <10 1 박에다시오른발을 오른쪽앞으로내믿으며 왼손을내려낀오른손을감는다. 시 : 상바다 1수^ 關變麵寒靈鍾? 續辱 1 誠參벨 <11 4장단ᅳ 한손들사위 무릎들기 오른발이앞으로내믿어굽힌상태에서 98

VI. 태평무의무보 12> 왼손에감겨있는오른손을 천천히빼내어 1 장단동안 오른쪽허리높이보다조금높게든다. 99

VI. 태평무의무보 <14> 5 장단 ᅳ 올릴사위 왼손은허리에낀채로 오른손을계속올리면서몸도따라펴고 <15> 끝박자에한삼을머리위로뿌려준다. 100

VI. 태평무의무보 16 6장단ᅳ 무릎들어옆으로옮겨딛기 무릎들기 오른발을원돌려들어믿기 17 8 박자에옆으로딛고왼발이따라붙는다. 101

I. 태평무의무보 <18) 7 장단 ᅳ 한발따라딛는걸음 다시오른발을들어비껴오른쪽으로 19 4 박자한걸음가고왼발따라붙으면오금을 죽인다. 102

VI. 태평무의무보 <20> 4 박자에또오른발을 한걸음내딛고왼발을따라붙인다. <21> 1 박에또오른발을내믿고 멈춘다. 103

I. 태평무의무보 22 8 장단 ᅳ 위로뿌림사위 빙글도는사위 끼고감는사위 오른손을앞으로뿌려 양손들고제자리에서 <23> 왼쪽으로한바퀴돌아 104

VI. 태평무의무보 <2-105

VI. 태평무의무보 <26) 왼손을내려감는다. <27> 9 장단 ᅳ 몸통트는사위 한손들사위 몸을왼쪽으로틀면서 감은손을풀어오른손은 허리로. 왼손은허리보다약간높이올린다. 106

I. 태평무의무보 28 10 장단 - 을린사위 손목올릴사위 107

VI. 태평무의무보 <30> 머리위로쳐들어 <31 손목을돌려한삼이 뒤로간다. 끝박에 오금을죽여왼발을들준비를한다. 108

VI. 태평무의무보 32 11 장단 ᅳ 무릎들어돌리는사위 따라붙이는걸음 왼발을들어왼쪽으로 1 박에한걸음나가고, 4 박에오른발이따라붙고 33 10 박에오금을죽인다. 109

VI. 태평무의무보 <34> 12 장단 ᅳ 따라붙이는걸음 옆으로뿌림사위 왼발을왼쪽비껴앞으로내믿고. 오른발을따라 믿기를세걸음나가고 <35> 110

VI. 태평무의무보 <36> 37 i n

VI. 태평무의무보 38 39 네걸음때머리위의왼손을옆으로뿌린다. 112

YI. 태평무의무보 <40> 13 장단 ᅳ 엎는사위 도는사위 오른쪽방향으로몸을약간 돌리며두팔을감을듯 뿌리다가 <41> 왼손을앞으로 ( 몸안쪽으로 ) 엎어뿌려감고 113

VI. 태평무의무보 <42> 두팔을펴서오른발믿으며왼쪽으로반바퀴돌아뒤를 보고선다. 43 14장단ᅳ 양손위로뿌릴사위 뒤로물러나면서두손을위로뿌려주고 114

VI. 태평무의무보 <44> 여미는사위 다시가슴앞으로모아엇걸어뒤집어뿌린다. ( 뒷걸음 1 박 1 걸음씩네걸음물러난다 ). <45> 천천히내려 115

VI. 태평무의무보 <46> 양팔을옆으로편다. 47 15 장단 ᅳ 어르는사위 두팔을모은상태에서 몸을들어오른쪽기울여어르고 116

I. 태평무의무보 48 다시왼쪽으로기울여 어르고, 빠르게오른쪽. 왼쪽 어르고크게오른쪽으로 지숫고 ( 어르고 ) 바른자세를 하여돋음새한다. 49 16 장단 - 오금새 돋음새 한발들어옮겨딛기 따라붙이는사위 오른발들어약간사선으로비껴앞으로나간다. 뒷발을 붙이며약간무릎을굽힌다. 이때팔의방향은약간사선이된다. 117

VI. 태평무의무보 50> 17 장단 ᅳ 몸통틀어내딛는사위 따라붙이는겹걸음 왼발을들어왼쪽비껴앞으로한걸음나가고 <51> 몸의균형을바꾸어 오른발도오른쪽으로겹걸음나간다. 118

VI. 태평무의무보 <52) 18 장단 ᅳ 겹걸음 양손여며내리는사위 발을드는쪽으로양손을 약간비껴든상태로왼발 겹걸음. 오른발겹걸음 뒤를본상태에서그대로앞으로종종걸음나아가 <53> 두손을가슴앞으로모아 엎어뿌려 119

VI. 태평무의무보 <54> 아래로내린다. 隱 <55> iq~ 21 간다 몸통트는사위 > 들사위 양손위에서펴뿌리는사위 천천히왼쪽으로돌아서려는자세로 120

VI. 태평무의무보 <56> 두팔을펴기시작하여 20 장단에계속돌아펴 올리고 57 121

VI. 태평무의무보 <59> 22 장단 ᅳ I 도금사위 I 한발든사위 양손위에서한쪽으로 뿌리는사위 : 몸을낮추면서양손을옆으로내려 4 박에왼발을들면서 ' 양손을왼쪽으로뿌린다음. I 오른쪽으로엇띧으며두팔은몸왼쪽아래로내린 상태에서나가 122

태평무의무보 <60> 왼발을오른쪽으로엇믿고 오른쪽비껴앞의잔걸음 나가면서 61> 오른쪽위로뿌려준다. 123

VI. 태평무의무보 <62> 23 장단 ᅳ 한삼걸치는사위 어르는사위 한삼찍는사위 왼손위에오른손을걸치고, 왼쪽짓고오른쪽짓고 63 오른발을찍고왼쪽으로돌기시작한다. 124

VI. 태평무의무보 <64> 24 장단 _ 뒷꿈치찍으며도는사위 제자리에서왼쪽으로도는데오른발로두번찍고돌고 <65> 빠르게두번찍고돈다. 125

VI. 태평무의무보 66 끝박에깊게한번찍고돈다. <67> 25 장단 - 양손좌우뿌림사위 끼고감는사위 양손위로펴뿌림사위 여미는사위 중앙을향해오른발부터잔걸음으로걸어나가며 두손을오른쪽위로뿌리고 126

\1. 태평무의무보 68 어깨걸치는사위 다시왼쪽으로뿌리고 <69 멈춰서왼손이오른손을 감았다가풀어 127

VI. 태평무의무보 128

VI. 태평무의무보 <72> 두손을위로뿌려준다. <73> 26 장단 ᅳ 한삼양어깨에걸치는사위 어르는사위 두손을가슴에모아양어깨에 반대로걸친다 ( 오른손은 왼쪽어깨에얹고, 왼손은오른쪽어깨에얹는다 ). 2 번어르고. 왼발뒷꿈치를내딛고제자리에서짓는다. 129

VI. 태평무의무보 <74> 27 장단 ᅳ 한발찍고도는사위 제자리에서왼발을찍고 오른쪽으로도는데 75 왼발을찍고돌기를 4 번하여한바퀴를돈다. 130

VI. 태평무의무보 v i 灸 <76> 28 장단 ᅳ 겹걸음 왼쪽으로돌아나갈 자세에서머물고왼발부터겹걸음으로세걸음 나가면서 <77) 반원을그리며돈다. 131

\1. 태평무의무보 78 29 장단 ᅳ 뒷꿈치로찍기 양팔펴드는사위 빙글도는사위 오른발을놓으며두팔을 펴면서제자리에서 반바퀴돌아 79> 마지막박자에뒤를보고왼발을옆으로떼어놓는다. 132

VI. 태평무의무보 80 30 장단 ᅳ 빙글도는사위 끼고감는사위 학사위 앞뒤여미는사위 잔걸음 도는것연결해서 1 박에 오른발을떼어반바퀴돌아 정면을향해딛고오른손을왼쪽에끼고왼손을내려감아 <81> 두손이뒤로치마를꼬리쳐주고 ( 학체 ) 돋음새를하여오른발들어 133

1. 태평무의무보 <82> 앞으로잔걸음으로 두걸음나가 <83> 왼발을내믿고오른손을앞에. 왼손을뒤에여민다. 134

태평무의무보 <84> 31 장단 - 앉는사위 끼고얹는사위 엎는사위 빙글도는사위 오른발을내믿고몸을낮춰오른손은어깨위로얹고, 왼손은오른쪽가슴아래로여민다. 85 양손을오른쪽위방향으로뿌려주고일어나 135

1. 태평무의무보 <86> 왼발을왼쪽으로돌아믿고 왼손을가슴앞에서엎고 <87> 오른발은다시왼쪽으로믿으며한바퀴돌아 136

VI. 태평무의무보 88 89> 왼쪽방향으로끼고감는 사위를한다. 137

VI. 태평무의무보 <90> 32 장단 ᅳ 엎는사위 반앉은상태에서 오른손을오른쪽뒤에서엎어뿌리고 91 왼손을왼쪽으로틀어 엎어뿌려주고 138

VI. 태평무의무보 (92) 오른손을머리위로제쳐 뿌려내린다음 <93> 왼쪽어깨에걸친다. 139

VI. 태평무의무보 <94> 오른손을천천히내린다. <95> 33 장단 ᅳ 들사위 어르는사위 앉은상태에서오른손만천천히들고얼러준다. 140

W. 태평무의무보 96 34 장단 ᅳ 어르는사위 올릴사위 무릎드는사위 손목돌리기 계속일어나며오른손을 위로올리며 <97> 오른발들고오른손을머리위에뿌린다. 141

VI. 태평무의무보 <98> 35장단ᅳ 한삼어깨걸치기 빙글도는사위 돌사위 오른발을옆으로믿으면서오른쪽어깨도내려얹고 99 몸을앞쪽으로돌리며 왼손을들고뒤로돌아, 양손을모아한삼을벗을준비를한다. 142

VI. 태평무의무보 100 36 장단 ᅳ 뒷꿈치찍어돌기 제자리에서왼쪽으로 한바퀴돌아서면서한삼을뺀다. 101 37 장단一 천천히반바퀴더돌면서 한삼을계속빼고 143

YI. 태평무의무보 102 원삼을벗으며계속돈다. <103 38 장단 ᅳ 원삼을계속벗어손에잡는다. 144

VI. 태평무의무보 105 145

VI. 태평무의무보 <106) 39 장단 ᅳ 한삼팔에걸치기 어르는사위 앞을보고원삼을 ( 오른손에 ) 잡고 107 오른쪽뒤로돌아갈둣 하다가 146

1. 태평무의무보 108 왼팔위에원삼을걸친다. <109) 40 장단一 어르는사위 제자리에서오른쪽 왼쪽, 오른쪽 왼쪽으로어른다. 147

\1. 태평무의무보 110 41장단ᅳ 느린걸음 자진걸음 궁녀쪽으로오른발걷고 왼발걷고오른발 왼발따라가고, 오른발. 왼발따라가옷을궁녀에게준다. 111> 42 장단 ᅳ 들사위 몸통 ^ 는사위 두손을펴면서앞쪽으로돌아앞을바라본다. 148

VI. 태평무의무보 112 43 장단 ᅳ 들사위 내릴사위 왼손을내리며오른손을들고궁녀쪽을바라본다. 113 44장단一 들사위 반대로왼손을펴들고오른발을왼쪽으로딛으며 149

VI. 태평무의무보 114 왼쪽으로돌아간다. <115) 45 장단一 빙글도는사위 끼고감는사위 제자리에서계속빙글돌고오른발딛으며앞을보고, 오른손은왼쪽에끼고왼손내려감는다. 150

VI. 태평무의무보 <116) 46 장단 ᅳ 양손들사위 감싸인손을천천히풀며 ( 왼손은치마를잡고 ) 오른손을앞으로든다. 잦은터벌림 ( 섭채 ) 117 47장단ᅳ 올릴사위 내릴사위 계속오른손을옆으로올린다음 151

I. 태평무의무보 118 돌려내려양손으로치마를잡는다. <119) 48 장단 - 무릎들어딛고따라딛기 오른발을들어정면비껴앞으로한걸음나가고 152

I. 태평무의무보 <120 왼발을따라붙인다. 121 49 장단 ᅳ 겹걸음 다시오른발로겹걸음하고 153

VI. 태평무의무보 122 왼발로다시한걸음걷는다. 123 50 장단 ᅳ 겹걸음 앞을향해왼발부터겹걸음으로세걸음나간다. 154

VI. 태평무의무보 125 왼발겹걸음 155

VI. 태평무의무보 <126) 51 장단 - 오른쪽앞으로나오면서 오른발부터겹걸음으로세번나간다. 127>52장단- 겹걸음 왼발부터왼쪽으로겹걸음세번나가 156

VI. 태평무의무보 128 엎는걸음

\I. 태평무의무보 130 오른발내딛으며손을 치마에서떼고왼손을몸앞에서엎는다. 131 53 장단 - 찍고딛는걸음 제쳤다엎는걸음 빙글사위 공그리는사위 오른발앞꿈치로찍고 오른손을제치고 158

VL 태평무의무보 132 오른발뒤꿈치로믿으며오른손을엎는다. 133 왼발을앞으로앞꿈치로 찍었다뒤꿈치로믿고 왼손을제쳤다엎고 159

\L 태평무의무보 134 오른발을엇믿어들면서 오른손머리위로앞에 뒤로감아돌리면서왼쪽으로반바퀴돈다. <135) 54 장단 ᅳ 빙글사위 감고푸는사위 한발들어딛으며도는사위 끼고감는사위 계속왼쪽방향으로돌면서. 왼쪽머리위에서앞으로 감아돌리면서왼발을많이 들었다돌아딛은다음 160

VI. 태평무의무보 136 계속오른발믿고오른손감아돌린다. 137 위동작을좀천천히왼손으로돌리며왼발믿고 161

VI. 태평무의무보 138 역시오른손을머리위에서감아돌리며돈다. 1 3 9 오른손끼고왼손감아내린다. 162

VI. 태평무의무보 140 55 장단 _ 드는사위 > 천천히제자리에서손을풀면서든다. 141 56 장단 ᅳ 올릴사위 > 손목놀림사위 내리는사위 계속오른손을올리다가 163

I. 태평무의무보 <142 손목을한번돌려내린다. 143 57 장단 ᅳ 뒤겹걸음 제자리에서치마를잡고 164

\1. 태평무의무보 144 오른발을뒤쪽으로 갈지 ( 之 ) 자겹걸음으로물러난다. 145 다시왼발을뒤로 겹걸음하고 165

VI. 태평무의무보 <146> 오른발을얄게들어뒤에믿는다. 따 : 싫월 ml 활 rw ^ ^ i ''/ "'* * <147) 58 장단ᅳ 겹걸음 반원을그리며앞으로돌아나오면서겹걸음으로왼발부터네걸음나간다. 166

VI. 태평무의무보 < 148 <149) 59장단ᅳ 겹걸음 무릎들어을리기 계속겹걸음으로세걸음걸어돌아 167

VI. 태평무의무보 < 150 <151) 오른발들어서반바퀴돌아믿는다. 168

VI. 태평무의무보 152 60장단ᅳ 무릎들어걷기 뒤겹걸음 왼발부터들어감아믿고 1 5 3 다시오른발들어감아 믿으며돈다음 169

I. 태평무의무보 154 정면을보고제자리에서 왼발뒤로겹걸음하고 오른발을든다. 155 61장단- 뒤겹걸음 오른발부터뒤로겹걸음을네번나간다음 170

VI. 태평무의무보 <156) 1 5 7 오른발을앞으로살짝내믿고왼발을따라붙인다. 171

VI. 태평무의무보 158 6 2 장단 ᅳ 겹걸음 오른발부터앞으로겹걸음으로나온다. 59)

W. 태평무의무보 160 63 장단 뒤겹걸음 다시뒤로왼발부터겹걸음으로나간다. 161 173

VI. 태평무의무보 <162) 64 장단 - 어르는사위 옆으로옮겨딛는사위 빙글도는사위 오른발을옆으로믿고 163 제자리에서어르면서 왼쪽옆으로돌아선다. 174

\1. 태평무의무보 <164) 이때팔을펴면서뒤를본다.( 반회전 ) 3. 올림채 1) 올림채 I 165 빙글도는사위 양손번갈아안쪽으로휘젓는사위 > 양팔펐다모으는사위 뒷걸음 제자리에서왼쪽으로 180 돌아뒤를보면서오른손을내려허리에감는다.

VI. 태평무의무보 1 6 6 오른손 왼손을번갈아앞가슴쪽으로감아 내리기를세번한다음 < 1 6 7 ) 176

VI. 태평무의무보 168 양손을옆으로폈다가 169 앞에서양손엇걸어모은다. 이때왼발부터뒤로다섯걸음물러난다. 177

VI. 태평무의무보 170 감고푸는사위 제자리에서양손을옆으로펴들면서온몸을매박자마다짓은다음 <171) 끝에몸을오른쪽으로약간돌린다. 178

VI. 태평무의무보 <172) 제쳤다엎는사위 따라붙이는사위 겹걸음 오른발두번내믿으며왼손을젖혔다엎고 1 7 3 다시오른발두번내딛으며오른손을젖혔다엎는다. 왼발은겹걸음하며왼손 젖혔다가오른발겹걸음하면서왼손을엎는다. 179

태평무의무보 2) 올림채 II <174 제쳤다엎는사위 제자리에서몸통을왼쪽으로틀고오금을 죽이면서, 오른손을젖혔다 엎고다시왼손젖혔다엎고, 다시오른손을젖혔다엎는다. < 175) 위에서감고풀며돌리는사위 무릎 ^ 는사위 빙글도는사위 내릴사위 치마잡는사위 > 뒤꿈치찍는사위 180

1. 태평무의무보 <176) 양손머리위에서왼손감고오른손풀어돌리면서. 왼쪽으로돌아가면서왼발부터무릎들었다믿고. 오른발믿는돌사위를네바퀴돈다. <177) 181

VI. 태평무의무보 < 178) 양손을내려치마를잡고 오른발을옆으로뒤꿈치로찍는다. < 179) 뒤꿈치찍기 겹걸음 뒤겹걸음 다시한번오른발찍고 182

VI. 태평무의무보 180 오른발부터뒤로겹걸음하고 181 왼발뒤로겹걸음. 오른발뒤로겹걸음

VI. 태평무의무보 182 왼발부터앞으로겹걸음 나가고 183 오른발겹걸음. 왼발겹걸음 ;>: :! 184

1. 태평무의무보 184 왼발부터겹걸음한다. 185 오른발뒤로겹걸음 왼발뒤로겹걸음 오른발뒤로겹걸음왼발뒤로겹걸음 185

YI. 태평무의무보 186 오른발크게들어옆으로믿는다. <187) 겹걸음 왼발들었다딛으면서제자리에서겹걸음, 오른발제자리겹걸음, 186

VI. 태평무의무보 188 왼발제자리걸음좀더빠르게오른발왼발겹걸음 오른발은옆으로내믿기 189 오른발두걸음비껴앞으로나간다음, 187

1. 태평무의무보 <190) 오른발을왼쪽으로 감아돌아믿으며치마를 잡았던왼손을들어엎어양팔을편다. < 191> 188

VL 태평무의무보 4. 도살풀이 (60 장단 ) <192) 1 장단 ᅳ 빙글도는사위 들사위 뒤를본상태에서앞으로 돌아서며양팔은옆으로벌린다. <193) 2장단ᅳ 양손모아여미는사위 뒷걸음 들사위 잔걸음 두손을앞으로모으면서뒤로한걸음물러섰다가 189

I. 태평무의무보 194 다시양팔을어깨높이로펴면서앞으로잔걸음으로 나간다. 195 3 장단 ᅳ 모아여미는사위 한장단동안에두손을앞으로모아내린다. 190

VI. 태평무의무보 196 4 장단 ᅳ 펴는사위 시선은왼쪽을보면서 한장단동안천천히양손을펴준다. <197) 5 ~ 6 장단一 들위 어르는사위 두장단동안계속하여양손을펴들면서어른다.

Y1. 태평무의무보 <198) 7 ~ 9 장단 ᅳ 을리는사위 어르는사위 엎는사위 2 박씩두번 ( 왼쪽부터 ) 어르고 1 박씩네번, 그다음은잘게어른다. 199 마지막 4 박에는두손을머리위로들고오른발든다. 192

VI. 태평무의무보 200 10 장단 - 끼고드는사위 > 1 박에든오른발을비껴뒤로내딛고, 양손을머리 위에서감아내려오른손은 머리높이. 왼손은치마를잡고어른다. 201 11 장단 ᅳ 따라붙이는걸음 오른발사선뒤로 2 박 한걸음나가고한박한걸음씩빗겨뒤로나간다. 193

VI. 태평무의무보 <202) 12 장단 ᅳ 들사위 왼손을들면서오른손을천천히내리고정면을본다. <203) 1 3 ~ 1 4 장단 - 끼고감는사위 계속들면서왼손은올라가고오른손은허리로 내려온다. 194

VI. 태평무의무보 <204 4 박에오른손을왼쪽에끼고왼손으로감아내린다. <205) 15 장단 - 끼고드는사위 뒤꿈치찍기 오른손은빠르게풀어서 엎고. 왼손은치마를잡으며오른발을찍어준다. 195

\1. 태평무의무보 206 1 6 ~ 1 7 장단 - 2 박한걸음 1 박한걸음 따라붙이는걸음 오른손들고오른발부터 2 박한걸음으로두걸음 나간다. 계속 1 박에한걸음으로두걸음나가고, 오른발에잔발이따라붙는걸음을 2 번나간다. <207) 18 장단 - 엇붙임사위 여미는사위. 들사위 > 제자리에서오른발을왼쪽에 크게딛으며오른손을 안쪽에여몄다가다시펴들면서오른쪽으로돌기 시작한다. 196

태평무의무보 <208) <209) 19~20 장단 - 빙글도는사위 올림사위 왼손을머리위로들고 두장단에천천히오른쪽으로한바퀴돈다. 197

VI. 태평무의무보 <210) 211 21장단 _ 제치고엎는사위 감아드는사위 도는사위 오른발믿고다시왼발엎고 198

1. 태평무의무보 212 몸통을되돌려오른손을머리위로감아돈다. <213) 22 장단 ᅳ 들사위 빙글도는사위 양팔을펴고왼쪽으로 H 천천히돈다. 199

VI. 태평무의무보 214 <215 23 장단 ᅳ 제치고엎는사위 찍고딛는걸음 엇붙여돌기 오른손제치고엎고다시왼손제치고엎으며. 오른손을머리위로올린다. 이때발은오른발찍고믿고, 왼발찍고덛고오른발로 감아돈다. 200

1. 태평무의무보 <216) <217) 24 장단一 들사위 돌사위 양손을펴면서앞쪽으로돌아왼손앞에둔다. 201

VI. 태평무의무보 218 25장단ᅳ 양손번갈아안쪽으로휘젓는사위 1 2 박은왼발뒤로가고오른손앞에여미고 3 4 박은오른발뒤로가고왼손앞으로여민다. <219) 26 장단 - 휘젓는사위 25 장단의동작을빠르게 1 박씩하고, 3 4 박에제자리에서손만오른손 왼손 오른손을앞쪽에서안쪽으로감아젓는다. 202

VI. 태평무의무보 <220 27 장단 ᅳ 彼여밀사위 헤엄사위 따라붙이는걸음 1 박은오른발나가면서왼손 - 앞으로여미고 <221) 2 박은왼발나가고, 오른손앞에여미고 203

VI. 태평무의무보 <222) 3 4 박은오른발에왼발 따라붙이기를두번하면서 양팔을옆으로내려너울거린다. <223) 28 장단 - 헤엄사위 잔걸음 몸을숙이는사위 양손을옆으로내려계속 너울거리면서앞으로잔걸음으로나와몸을 숙인다. 204

VI. 태평무의무보 224 225 29 장단 ᅳ 무릎 ^ 는사위 1.2 박은계속상체를 펴면서오른손 오른발들었다, 3 4 박에오른발 믿고어른다.

I. 태평무의무보 <226) 30 장단 ᅳ 들사위 한장단동안왼손펴면서천천히돌아앞을본다. 227 31 장단 - 어르는사위 계속앞을보며어른다. 206

VI. 태평무의무보 <228) 32 장단 - 분목놀림사위 손바닥위로얼러주고, 4 박은두손을엎을준비자세를한다. 229 33 장단 - < o^ 엎어드는자세 손목떨어뜨리는자세 1 박에두손을엎고, 뒤로 한발떼면서양손은위에서 엎어어깨높이로떨어뜨린다. 207

1. 태평무의무보 230 34 장단- 어르는사위 1박씩왼쪽 오른쪽으로어른다. 231 35 장단 - 뒷걸음 앞뒤여미는사위 왼발뒤로한걸음나가면서. 오른손 왼손을앞뒤로여민다. 208

VI. 태평무의무보 232 36 장단一 앉는사위 머리위로얹고겨드랑이 끼는사위 오른쪽으로기울여앉으며, 오른손머리위에얹고왼손은앞에여민다. 233 37 장단 ᅳ 앉은상태에서앞을향한다. 209

VI. 태평무의무보 <234) 3 8 ~ 3 9 장단 - 어르는사위 천천히일어나면서 2 박씩두번어르고, 1 박씩네번 어른다. <235) 4 0 ~ 4 1 장단 - 어르는사위 일어나서 2 박씩두번 어른다. 완전히일어나서자지게어른다.

VI. 태평무의무보 236 42 장단 ᅳ 양손위로펐다 내리는사위 앞뒤여미는사위 1 2 박은오른발뒤로가면서, 양손을머리위에서편다. <237) 왼손은가슴앞에여미고, 오른손은뒤로여민다. 211

VI. 태평무의무보 <238) 43 장단 - 여미는사 ᅦ 왼발뒤로물러나면서 양손은반대로오른손은앞 왼손은뒤로여민다. 239 44 장단 ᅳ 제자리에서온방향만왼쪽으로돌린다. 212

VI. 태평무의무보 <240) 45 장단 ᅳ 치마잡는사위 양손치마잡고오른발 4 박한걸음 나온다. 241 46 장단 ᅳ 4 박한걸음 > 왼발 4 박한걸음 나온다. 213

VI. 태평무의무보 <242) 산구장단 선박동안머물러서있으면서시선을위로 띄운다. 243 48 장단 - 들사위 오른발을앞쪽으로내믿으며왼손을천천히든다. 214

VI. 태평무의무보 <244) 49 장단 ᅳ 따라딛는걸음 왼손을든상태에서 2 박에왼발내딛고 오른발딛고, 왼발따라믿고다시오른발을내딛는다. <245) 50 장단 ᅳ 내릴사위 왼손내리면서돌아선다. 215

VI. 태평무의무보 <246 51 장단 ᅳ 들사위 한장단동안오른손뒤로쳐든다. <247) 52 장단 ᅳ 엎었다제치는사위 한박한걸음 잔걸음 올리고내리는사위 오른손을들어엎었다, 제쳤다하면서 1 박한걸음으로오른발 왼발 나가고, 자진걸음으로 2 박에 여섯걸음나간다음오른손은머리위로들고왼손은앞에여민다. 216

I. 태평무의무보 248 53장단ᅳ 들사위 뒤를보고천천히돌아설둣하며양손은조금편다. 249 5 4 ~ 5 5 장단 - 여밀사위 내렸다올리는사위 두장단동안왼손은가슴에 여미고, 몸을서서히돌리며오른손은내렸다올린다. 217

태평무의무보 <250) <251) 5 6 ~ 5 8 장단 - 빙글도는사위 들사위 세장단동안두팔을펴들고왼쪽으로천천히돈다. 218

1. 태평무의무보 <252) 253 59 장단 ᅳ 빙글도는사위 왼발은안쪽에믿고오른발을크게왼쪽에딛으며크게돌고, 다시한바퀴더돈다. 219

VI. 태평무의무보 255 60 장단 - 찍고돌사위 오른발을찍고무릎을굽혀왼쪽으로돌아잦은 도살풀이연풍대로들어간다. 220

VI. 태평무의무보 5. 잦은도살풀이 (20 장단 ) <256 1 ~ 2 장단 - 엎고제치는음과양의 연풍대사위 오른손을엎고왼손을 제쳤다하면서첫박에 오른손부터시작해서 1 박에한손씩왼쪽으로 회전하면서반원을그리며 6 박동안 (2 장단반, 이를테면 1 박 6 박 ) 을 중앙뒤로연풍대로간다. 3 회연풍대를하고, 257 7 8 박은양손을가슴으로 모아정면을보면서 양손목돌려옆으로펴든다. 221

I. 태평무의무보 258 3 장단 - 어르는사위 손목떨어뜨리측 자세 양팔벌려제자리에서 1 박에양손목떨어뜨리고, 3 4 박은제자리에서어른다. 259

VI. 태평무의무보 260 <261) 223

I. 태평무의무보 262 4 ~ 5 장단 ᅳ 어르는사위 좌우어르는사위하면서 양팔벌려앞으로 8 호간걸어나온다. <263) 6 7 장단 ᅳ 따라붙이는걸음 00 형그리기 6 장단은왼쪽으로오른손을앞으로접으면서오른발 붙이는걸음으로 1 회회전 (4 호간 )

VI. 태평무의무보 264 265 7 장단은오른쪽으로 오른손옆으로벌리면서 오른발따라붙이는걸음으로 1 회회전 (4 호간 ) 225

VI. 태평무의무보 266 <267) 8 장단 - 음과양의회전사위 8 장단 ( 왼쪽으로 1 회회전 ) 오른손뒤에서제치고 3 4 박에돌면서 ( 유희전 ), 1 박에왼발옆으로딛고, 2 박에돌면서 ( 女회전 ). 왼손어깨높이에서엎는다. IM H I T il i l l I i li i i i ii r a a i i r t 226

VI. 태평무의무보 269 9 장단 _ 왼쪽으로 2 회회전 1 박에오른손위에서제치고, 2 박에왼손을 엎는다. 3 박에양손머리위로원을그려 4 박에 오른손앞으로허리를감는다. 227

VI. 태평무의무보

VI. 태평무의무보 272 10 11 장단 ᅳ 음과양의회전사위 잔걸음 10 장단은무대상수에서 하수로잔걸음으로 오른손어깨높이까지 올리면서 1 2 박까지 간다. 3 박에오른발믿고오른손엎는다. 273 4 박에왼발감아돌아 ( 읍회전 ) 왼손앞에온다. 11 장단은 1 박에양무릎굽히고, 2 박에오른발 들면서왼손은가슴앞 어깨높이까지올려 제치면서뒷잔걸음으로원을 크게그리기시작한다. 229

VI. 태평무의무보 274 275 230

I. 태평무의무보 276 12 14 장단 _ 음과양의회전사위 잔걸음 1 박에왼쪽으로돌아왼발 딛고왼손어깨높이에서 얹고, 2 박에돌면서오른손 앞으로, 3 4 박에오른손 가슴앞어깨높이까지올려 제치면서뒷잔걸음으로간다. 13 장단 ᅳ12 장단의반대동작 14 장단一 12 장단과동일사위. 卿미...... 277 231

태평무의무보 <278) 15 16 장단 _ 앉는사위 15 장단은반회전하면서 오른발옆으로크게믿고 오른손은어깨높이에서 얹고, 시선은앞을보면서비스듬히왼발은무릎을끓고앉는다. <279) 16 장단은서서히오른쪽으로 돌면서일어나무대하수뒤쪽으로향해 4 박에왼발 하수뒤앞으로믿고양손을어깨높이로든다.

233 I. 태평무의무보

VI. 태평무의무보 282 283 234

71. 태평무의무보 285 1 7 ~ 2 0 장단 - 통 ^ 는사위 17 장단은 1 박에오른발 하수뒤앞으로믿으면서양손머리위로올린다. 2 박부터천천히시선을앞으로하면서왼쪽으로 몸을틀면서손을내리기시작한다. 235

VI. 태평무의무보 286 18 장단은 17 장단의연결 19 장단은 18 장단의연결로 오른손을앞으로감으면서천천히무릎을굽힌다. 20 장단은 1 박에오른손을앞에허리감고, 왼손은 치마잡고왼발은동시에 둔다. 3 4 박에하수뒤를향해앞으로잔걸음으로 간다. <287 236

237 VI. 태평무의무보

VI. 태평무의무보 238

VI. 태평무의무보 6. 터벌림 (5 장단 ) 292 1 장단 - 위로펐다내리는사위 > 몸통트는사위 양손위로뿌리고차츰몸을왼쪽으로틀면서왼손을 앞으로내리면서오른손으로 감는다. <293) 239

VI. 태평무의무보 <294).

VI. 태평무의무보 296 297 2 장단 - 치마잡는사위 왼손치마잡고왼발부터 세걸음나가서오른손어깨높이까지올린다. 241

<298) 3 ~ 4 장단 ᅳ 잔걸음 오른발부터앞으로 5 박동안세걸음으로나가서 5 박동안앞을보고차츰돌아선다. 앞뒤여미는사위 오른손을앞으로여미면서오른발부터두걸음나온다. <299) 5 장단 - 팔 ^ 아들사위 모아들사위 양손을위로모아머리위로들면서천천히상수를 향한다.

VI. 태평무의무보 301 끝 243

기획 브 ( 국립문화재연구소예능민속연구실장 ) 조사 정리 정병호 ( 전문화재위원, 중앙대학교명예교수 ) 이명자 ( 태평무조교 ) 성옥 ( 태평무조교 ) 서 ( 예능민속연구실연구원 ) 사진서헌강 ( 사진작가 )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 태평무 ( 太平舞 ) 1997 년 9 월초판인쇄 1997 년 9 월초판발행 행정간행물등록번호 28810-86822- 57-9718 발행처 국립문화재연구소 편집예능민속연구실 제작처 신유문화사 본내용의무단게재를금합니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