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aper] 대한금속 재료학회지 (Korean J. Met. Mater.), Vol. 54, No. 11 (2016), pp.793~801 DOI: 10.3365/KJMM.2016.54.11.793 793 공정지도를이용한 AA6082 합금의연속동적재결정및고온변형거동 이상민 이지운 최현진 현승균 * 인하대학교신소재공학과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and Continuous Dynamic Recrystallization Behaviors of AA6082 using Processing Maps Sang-Min Lee, Ji-Woon Lee, Hyun-Jin Choi, and Soong-Keun Hyun * Inha University, Division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Abstract: Torsion tests were performed on AA6082 samples to investigate their flow soften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optimum process conditions.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and dynamic materials model, high strain processing maps were established which demonstrate the constitutive relationships among temperature, strain rate, strain and stress. The flow curves exhibited a single and smooth maximum, followed by a softening stage.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increasing deformation temperatur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strain rate. The main softening mechanism was continuous dynamic recrystallization. The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wo flow instability domains occurred. One was found at deformation temperatures ranging from 623 to 673 K. The other flow instability domain was found at deformation temperatures ranging from 673 to 773 K, and with strain rates ranging from 0.5 to 5/s at strains from 1.0 to 3.0, which were mainly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ocessing maps. (Received January 6, 2016; Accepted May 10, 2016) Keywords: alloys, hot working, recrystallization, torsion test, processing map 1. 서론 6xxx계 (Al-Mg-Si) 합금은대표적인열처리형알루미늄합금으로구조재료로사용되는알루미늄합금중비교적높은강도를가지고, 고온성형성및내식성이우수하여선박산 업, 자동차산업및친환경산업분야에서활발히사용되고 있는합금이다 [1-3]. 이러한 6xxx 계알루미늄합금은열간 압연, 단조및압출공정과같은고온가공공정을통해주로 생산되는데, 가공공정중발생하는가공경화 (strain hardening) 와동적연화 (dynamic softening) 의상호작용에 의해기계적성질이결정된다. 동적회복 (dynamic recovery) 이나동적재결정 (dynamic recrystallization) 의동적연화과 정은온도 (T), 변형속도 ( ε), 변형률 (ε) 등의가공조건에따 라달라지므로적절한가공조건의선택은재료의최종기계 적성질의향상에있어서매우중요하다고할수있다. *Corresponding Author: Soong-Keun Hyun [Tel: +82-32-860-7547, E-mail: skhyun@inha.ac.kr] Copyright c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적절한고온가공조건을선택하기위해서는재료의고온가공성 (hot workability) 에대한평가가선행되어야하는데, 고온가공성은일반적으로재료가특정온도나변형속도조건에서용이하게변형될수있는정도를말한다 [4]. 공정지도 (processing map) 는이러한고온가공성을평가하기위한이론적인장치중하나이며, 동적재료모델 (dynamic materials model) [5-7] 에근거하여구축된다. 변형속도및온도에따른파워분산효율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의변화로부터미세조직변화및소성변형과정을정량화하고소성불안정 (flow instability) 이일어나는영역을예측하여재료의고온가공에있어서최적조건을찾아내는방법으로사용된다. 일반적인금속재료의고온가공공정에서단조나압연의경우진변형률이 4.0 정도까지가공이진행되며, 압출의경우는더욱높은 30 의진변형률까지도달할수있다 [8]. 그러나공정지도는통상적으로압축시험으로구축이되고있으며 [5,9,10], 바렐링 (barreling) 등시험의신뢰성을이유로진변
794 대한금속 재료학회지제 54 권제 11 호 (2016 년 11 월 )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wt%) of AA6082 Si Fe Cu Mn Mg Cr Zn Ti Al 6082 0.93 0.19 0.05 0.55 0.92 0.04 0.03 0.01 Bal. 효변형률로변환하였다. τ (1) ε (2) 여기서 τ,,,,,, 및 ε는각각전단응력, 전단변형률, 비틀림모멘트, 회전각, 시편길이, 시편반지름, 유효응력및유효변형률이다. 또한, 는변형속도민감도 (strain rate sensitivity) 이고, 는가공경화율 (strain hardening rate) 로 ln ln ln ln 로표현된다. 알루미늄합금의고변형률에서의공정지도의변화에따른연화거동확인을위해미세조직을관찰하였다. 비틀림시편 Fig. 1. Optical micrograph of initial microstructure for AA6082. 형률 1.0 이상인구간에서의연구는미비한실정이다. 또한, 동적회복및불연속동적재결정, 초소성거동에서의공정지도연구는활발히진행되어왔으나 [9-11], 고변형량에서나타나는연속동적재결정거동을공정지도로구축한사례역시부족하다. 본연구는고온및고변형량에서나타나는 AA6082의동적연화거동을파악하고이를공정지도에적용시켜고온가공시의최적가공조건도출을목적으로수행되었다. 을 Barraclough [13] 등이제안한유효반경에따라지름의 72.4% 에해당하는단면을비틀림축과평행하게절단하였으며, 이는시험조건의평균변형률에해당되는지점이다. 이렇게절단한단면을연마후, 폴튼용액 (Poulton s etching solution) 에에칭하고광학현미경 (VHX200, Keyence Corp.) 으로관찰하였다. 또한, 동적재결정의형성및입계불일치도 (misorientation angle) 변화를확인하기위하여 FE-SEM (S-4300SE, Hitachi Corp.) 의후방산란전자회절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EBSD) 을이용하였다. 3. 결과및고찰 2. 실험방법 본연구에사용된 AA6082 빌렛은 DC(Direct Chill) 주조법으로제조되었으며, 조성은표 1과같다. AA6082의동적연화거동의확인및공정지도구축을위해고온비틀림시험을수행하였으며, 빌렛을길이 = 20 mm, 반경 = 5 mm의 gauge section을갖는고체형 (Solid type) 비틀림시편으로가공후, 560 에서 6 시간열처리후수냉하였다. 그림 1은 AA6082의초기조직사진을나타낸것으로, 열처리후평균결정립크기는 156 μm로측정되었다. 고온비틀림시험은 350-500, 0.05-5 s -1 의변형조건에서유효변형률 10.0까지실시하였다. 고온비틀림시험을통해측정된비틀림모멘트와회전각으로부터 Fields와 Backofen [12] 이제안한식과 von Mises 항복조건을이용해다음과같이유효응력및유 3.1. 유동곡선고온비틀림시험을통해얻은 AA6082의유효응력-유효변형률곡선을그림 2에나타냈다. 유동응력은온도가높을수록, 변형속도가작을수록감소하였다, 파단변형률은온도가높을수록증가하였다. 또한, 변형초기에가공경화에의해유동응력이증가하다가최대응력을보인후변형이진행될수록동적연화에의해점차감소하였으며, 온도가낮을수록동적연화되는폭은증가하였다. 통상적으로유동곡선의형태로부터동적연화거동을분류할수있다. 동적회복이주된연화기구로작용하는경우, 유동응력이안정한상태를보이며변형량이증가하여도응력은증가하지않는정상상태 (steady-state) 를보이며, 이는가공경화에의한유동응력증가와동적연화가평형을이룰때나타나는것으로알려져있다 [14]. 동적재결정이주된연
이상민 이지운 최현진 현승균 795 Fig. 2. Effective stress-strain curves of AA6082 obtained from torsion tests at (a) 350, (b) 400, (c) 450 and (d) 500 with various strain rates. 화기구로작용하는경우에는유동응력이정점을찍고, 이후완만하게감소하다가정상상태를유지하는곡선의형태를보인다 [15-17]. 적층결함에너지가높은알루미늄및알루미늄합금의경우동적회복이주된동적연화기구로알려져있다. 하지만, 상당히많은변형이진행되었을때는기존에존재하던결정립내부의아결정립이미세한등축정형태의재결정립으로변하는경우를보이기도한다. 적층결함에너지가높은재료에서주로나타나는이러한동적재결정거동은일반적인동적재결정 (ddrx) 과구분되는연속동적재결정 (cdrx) 으로알려져있다 [14,18]. 그림 2에나타나는유동곡선의경우 AA6082의주된동적연화거동은연속동적재결정에의한것으로예측할수있다. 본연구에서는정상상태에도달하지못하고동적연화가이루어지는결과가나타났으나, 연속동적재결정에서의정상상태는 von Mises 등가변형률 30 이상의매우높은변형조건에서나타나는것으로알려져있으므로 [19], 더높은변형률에서정상상태가관찰될것으로판단된다. 하지만유동곡선의형태만으로재료의동적연화기구를판단하는것은위험한판단이될수있으므로미세조직관찰및공정지도구축을실시하였다. 3.2. 공정지도 동적재료모델에의하면특정순간에재료가받는총에너 지 ( ) 는다음식 (3) 과같이특정구간에서의응력과변형속 도의곱으로나타낼수있으며, 소성변형및온도증가에의 한에너지인 항과미세조직변화를통한내부에너지변화 인 항으로나눌수있다. ε ε ε ε (3) 항과 항의비는다음식 (4) 와같이변형속도민감성 지수 으로결정이되며, 일때재료는 glass 와같은 점성유동거동을보이며, 값은최대치를형성하며이때의 값은 max ε 로나타난다. ε ε log ε εln ε log (4) ε 동적재료모델에서의파워분산효율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은식 (5) 와같이 max 에대한실제 값과의비로 나타내며, 재료내부의미세조직변화에의해분산되는에너 지의상대적인효율을의미한다.
796 대한금속 재료학회지제 54 권제 11 호 (2016 년 11 월 ) Fig. 3. Processing maps of AA6082 at various strains: (a) ε=0.25, (b) ε=0.5, (c) ε=1.0, (d) ε=1.5, (e) ε=2.0 and (f) ε=3.0 η max (5) log log log ε log ε ε (8) 한편 Ziegler [20] 가제안한바에따르면, 유동불안정성 (flow instability) 이일어나는영역을다음식 (6) 과같이기술 할수있으며, 파워분산효율및유동불안정성지표를하나 의지도로표시한것이공정지도이다. log (6) ξ ε log ε 여기서 ξ는유동불안정성지표로무차원의값이다. 공정지도를구축하기위해, 식 (5) 와식 (6) 을이용하였으 며, 이때, 각온도및변형속도조건에서의변형속도민감성 지수 (strain rate sensitivity) 인 m값을얻기위해서는 cubic spline function을이용하는데, 이를통해 Log vs. log ε 값 을 fitting 하면다음과같은식을얻을수있다. log log ε log ε log ε (7) 여기서,, 및 는재료상수이며, 이를다음의식 (8) 과 같이미분하면각구간별 값을얻을수있다. 각각의온도및변형속도에서측정된유동곡선을바탕으로변형률 0.25-3.0에서의유동응력값을취하여작성된공정지도를그림 3에나타내었으며, 각조건에서의재료상수,, 를표 2에나타내었다. 변형률 0.25-1.0의저변형량구간의경우 400 이상의구간에서온도가상승하고, 변형속도가느려질수록효율이증가하는영역 (domain) 이나타났다. 최대효율구간은 500 의온도및 0.05 s -1 의변형속도구간으로확인되었으며, 이때파워분산효율은 28~29% 정도로나타났다. 소성불안정성지표의경우, 400 이하의온도에서변형속도와관계없이 ξ ε 인구간이나타났으며, 이구간에서는유동불안정 (flow instability) 이일어날것으로예상된다. 변형률 1.0 이상의고변형량구간의경우, 파워분산효율은 400-500 의온도및 0.05~5s -1 의변형속도조건에서단일영역의언덕형태를이루었으며, 이러한가공조건에서는동일한동적연화거동을보일것으로예측이된다. 파워분산효율의경우변형률 2.0이상에서 30% 이상의최대값을나타내었다. 한편유동불안정성영역은변형률 1.0 이상의공정지도에서변형속도 5 s -1 의경우유동불안정성영역이발생하는것을확인하였으며, 이러한영역은변형률이증가할수록확대되었다. 유동곡선및공정지도를통하여확인할수있는 AA6082의최적의공정조건은 500 의온도및 0.05 s -1 의변형속도로판단할수있다.
이상민 이지운 최현진 현승균 797 Table 2. Constants of equation (8) Strain Temperature, (K) b c d 350 (623) 0.03865-3.24E-03-2.75E-16 0.25 400 (673) 0.08934 0.00622 1.22E-15 450 (723) 0.09827-0.00637 1.20E-16 500 (773) 0.14787-1.25E-02 2.53E-16 350 (623) 0.04321-2.17E-02 1.00E-15 0.5 400 (673) 0.08532 3.70E-03 7.99E-16 450 (723) 0.10609 7.43E-04-1.88E-16 500 (773) 0.14687-6.51E-03 3.84E-16 400 (673) 0.08018 5.16E-04 2.66E-17 1.0 450 (723) 0.10103-0.00977 5.72E-16 500 (773) 0.14015-1.79E-02 7.88E-16 400 (673) 0.07911-0.00845 7.68E-16 1.5 450 (723) 0.10001-0.01418 8.66E-16 500 (773) 0.12848-0.02214 3.22E-16 400 (673) 0.07898-1.60E-02 9.25E-16 2.0 450 (723) 0.09887-0.01827 7.34E-16 500 (773) 0.12499-2.27E-02-1.32E-16 400 (673) 0.07433-3.08E-02 1.72E-15 3.0 450 (723) 0.09505-0.02662 4.15E-16 500 (773) 0.12593-4.05E-02 2.48E-16 알루미늄합금과같은적층결함에너지가높은재료의연속동적재결정거동은핵생성및성장으로발달하는불연속동적재결정과는다른기구에의해재결정립이형성된다. 변 형초기에는결정립내부에아결정립이형성되어전위의재 배치및소멸이일어나는동적회복이주된연화기구로작용 한다. 변형이진행됨에따라형성된저각경계의입계불일치 각이연속적으로증가하게되면서, 동적재결정이동적연화 기구로작용을하게된다. 이러한동적연화거동의변화를 공정지도를통해확인하기위해, 그림 4 에변형률의증가에 따른최대파워분산효율 ( =500, ε=5/s) 의변화를나타 내었다. 최적공정조건에서의유동불안정성지표는모든구 간에서 ξ ε 으로나타났으며, 이는변형량이 3.0 이상에 서도안정한영역이라할수있다. 본연구에서나타난최대 파워분산효율의변화는크게 3 개의구간으로나누어설명 할수있다. (i) 구간 1 (0<ε<2): 변형률이증가해도파워분산효율은 크게변하지않고일정하게유지되며, 최대파워분산효율은 30 이하로동적회복과같이전위의재배치및입계내부에서 저각경계를형성하는구간. (ii) 구간 2 (2<ε<3): 일정하게유지되던파워분산효율이 급격한증가를보이는구간. 이때의변형량을연속동적재 결정이일어나는 ε 로볼수있다. Fig. 4. Peak dissipation efficiency (T=500, ε=5/s) of AA6082 tested at various strains. (iii) 구간 3 (ε>3): 급격하게증가하던파워분산효율이다 시일정하게유지되며 35 이상의최대파워분산효율을나타 내는구간 동적재료모델에서파워분산효율은주어진온도및변형 속도조건에서미세조직변화에소모되는에너지의양을나 타낸다 [5]. 여러연구에따르면, 알루미늄합금의파워분산 효율의정량적인값으로부터동적연화거동을판단할수있 는데, 20-30% 에서는동적회복, 35-45% 는동적재결정이일 어나는것으로알려져있다 [9,10]. 본실험의결과를이에적 용하면임계변형률이전에는동적회복의특성을, 그이후에 는동적재결정의특성을보이는것으로판단할수있다. 이 와같은결과를바탕으로적층결함에너지가높은알루미늄 합금의연속동적재결정현상을공정지도의파워분산효율 변화를통해확인할수있다는결론을얻을수있었다. 한편, 이러한최대분산효율의변화를입계미끄럼 (grain boundary sliding) 을통해설명할수도있다. 연속동적재결 정이일어나는경우, 변형초기에는기존에존재하는결정립 내부에미세한아결정립을형성하며축적된전위가소멸된 다. 이후형성된아결정립에계속해서전위가쌓여입계불일 치각이증가하게되며, 고각입계를형성한다. 미세한크기의 고각입계가존재하고있는재료의고온변형에서는입계미 끄럼현상이작용한다고알려져있다 [11]. Kaibyshev 와 Sakai 의연구에의하면, 7055 알루미늄합금의고온변형시 연속동적재결정으로생성된고경각계가입계미끄럼현상 을전파시킨다고보고되었다 [21]. 또한동적재료모델과관 련된여러연구에따르면, 알루미늄합금의파워분산효율이
798 대한금속 재료학회지 제54권 제11호 (2016년 11월) Fig. 6. EBSD maps of AA6082 tested at 500 with a strain rate -1 of 0.05 s at a strain of (a) 0.25, (b) 1.0, (c) 2.0, (d) 3.0, (e) 4.0 and (f) average misorientation angle of subgrains 워 분산 효율은 그에 대응하여 입계 미끄럼 현상의 기여도만 큼 상승하게 될 것이다. 3.3. 미세조직 관찰 공정 지도에서 파악한 최적의 공정 조건에서의 동적 연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그림 5는 최 적 공정 조건(500, 0.05 s-1)에서 변형률의 변화에 따른 시 편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회전 방향 으로 조직이 연신(elongation) 되었으며 (그림 5a), 변형률 3 (그림 5b)의 경우에는 연신된 초기 결정립과 더불어 미세한 Fig. 5. Optical micrographs of AA6082 tested at 500 with a strain rate of 0.05 s-1 at various strains: (a) ε=1.0, (b) ε=3.0, (c) ε=5.0 45%를 넘는 매우 높은 효율을 보일 경우 초소성 현상이 일어 난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22], 이 때 발생한 초소성 현상 은 미세한 결정립들의 입계미끄럼 현상을 기반으로 발생하 게 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재료의 경우, 연속 동적 재결정 으로 인해 미세한 재결정립이 형성되었다. 이 때 형성된 재결 정립이 입계 미끄럼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면, 공정 지도의 파 재결정립이 형성되었으며, 그림 5c에서는 미세한 재결정립 의 분율이 증가하였다. 그림 6과 7은 최적 공정 조건에서 변형률의 변화에 따른 시편의 EBSD 측정결과이다. 변형률이 0.25(그림 6a 및 7a)에 서는 조직의 연신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변형률이 1.0이 되었을 때, 기존 결정립의 연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세한 저경각계(low angle grain boundary)가 형성되었다 (그림 6b 및 7b). 변형률이 2.0일 때, 기존 결정립들이 더욱 연신됨과
이 상 민 이 지 운 최 현 진 현 승 균 799 Fig. 7. Rotation angle maps of AA6082 tested at 500 with a strain rate of 0.05 s-1 at a strain of (a) 0.25, (b) 1.0, (c) 2.0, and (d) 3.0 동시에 아결정립(subgrains)의 분율 더욱 증가하였으며 (그림 6c 및 7c), 변형률이 3.0이 되었을 때, 아결정립이 재결정으로 변화하여 미세한 재결정이 형성되었다 (그림 6d 및 7d). 이후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재결정립의 분율이 더욱 증가하였다 (그림 6e). 그림 6f는 변형률의 변화에 따른 저경각계의 평균 불일치 각(average misorientation angle, )의 변화를 도식한 것이 다. 변형률 0.25에서 는 4.36 였으며, 변형률 1.0에서는 5.80, 변형률 2.0에서는 9.32 로 고경각입계 (high angle grain boundary) ( )를 형성하지 못하다가 변형률이 3.0 이 되었을 때 16.42 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고경각입계를 형 성하였다. 알루미늄 합금의 연속 동적 재결정시 ε의 관계는 크 게 세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23,24]; 임계 변형량 이전에 서 가 15 이하의 저경각계가 형성되는 영역(stage 1), 임 계 변형량 이후 급격한 의 증가를 보이는 영역(stage 2), 변 Fig. 8. (a) EBSD map of AA6082 tested at 350 with a strain -1 rate of 0.5 s, at a strain of 1.0, and optical micrographs of (b) polished and (c) etched cross-section of AA6082 tested at 500 with a strain rate 0.5 s-1 at a strain of 3.0 형이 더욱 진행되어 가 포화될 정도로 증가하며 재료의 모 든 구간에 재결정이 형성되는 영역(stage 3). Sitdikov 등 [25] 성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림 4를 통하여 이 구간에서 최대 의 연구에 의하면, 연속 동적 재결정을 보이는 AA7475의 임 분산 효율의 급격한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계 변형량 ε 은 2 정도이며, 이후 급격한 의 증가를 보이 연구에서는 형성된 재결정들에 의한 입계 미끄럼 현상이 일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역시 ε 은 2로 확인되었 어났고, 그 기여도 만큼 분산 효율이 상승 했다고 판단 할 수 으며, 이를 토대로 AA6082 또한 연속 동적 재결정이 연화 기 있다. 구로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400 이하의 온도 및 모든 변형 속도 조건에서 유 그림 6 및 7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연속 동적 재결정에 의 동 불안정성 영역이 관찰되었다. 그림 8a는 350, 0.5 s-1 에 해 변형률 2.0에서 3.0 사이의 구간에서 미세한 재결정이 형 서 변형된 시편의 EBSD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shear
800 대한금속 재료학회지제 54 권제 11 호 (2016 년 11 월 ) band 및 flow localization이확인되었다. 이러한 flow localization으로인해변형시균일한응력분배가이루어지지않아불균일한미세조직발달로인해재료의파단이유발된다. AA6082의저온에서낮은파단변형률은 shear band와 flow localization에기인한것으로판단된다. 또한, 새로운유동불안정성영역이변형률 1.0 및변형속도 5 s -1 구간에서발생하였으며, 변형률이증가할수록공정지도의상부에서부터점차확장되었다. 그림 8b와 c는이유동불안정성영역에서의시편단면을관찰한것으로, 비틀림방향과평행하게길게연신된기공 (cavity) 이확인되었다. 이는재료의소성변형에서기공 (Void) 의생성 [26], 성장 [27,28], 합체 [29,30] 의과정에의해서형성된것으로판단되며, 기공형성은연성파괴를예측할수있는증거가되므로안전한가공을위하여가공조건을선정할시피해야할것으로판단된다. 4. 결론 본연구에서는 AA6082의동적연화거동파악및최적가공조건의도출을목적으로고변형량에서의공정지도를구축하였고다음과같은결과를얻었다. 유동응력은변형초기최대응력을보인후변형률이증가할수록서서히감소하는동적연화거동을나타냈다. 유동곡선, 공정지도및미세조직등의결과로부터최적가공조건은 500 의온도및 0.05 s -1 의변형속도로확인되었다. 공정지도의파워분산효율로부터 400 이상의온도에서연속동적재결정이주된동적연화기구로작용함을알수있었다. 변형초기최대분산효율값은 30이하의효율을일정하게유지하여동적회복의결과와유사하게나타났으나, 재결정이형성되는임계변형량이후에는급격히증가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는연속동적재결정에의해미세한크기로형성된재결정들의입계미끄럼현상에기인한것으로판단된다. 유동불안정성지표를통하여확인해본결과, 400 이하의온도조건및변형률 1.0 이상, 변형속도 5 s -1 조건에서유동불안정영역이형성되는것을확인하였다. 이는각각 shear band, flow localization 및소성변형에의한기공의생성, 성장, 합체에의한것으로판단된다. 감사의글 이논문은인하대학교의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REFERENCES 1. O. R. Myhr, O. Grong, and S. J. Anderson, Acta Mater. 49, 65 (2001). 2. K. S. Kim, S. Y. Sung, B. S. Han, J. C. Park and K. A. Lee, Met. Mater. Int. 21, 6 (2015). 3. J. Tian, K. D. Woo, K. J. Lee, and Y. Y. Chan, Korean J. Met. Mater. 52, 2 (2014). 4. M. Gavgali and B. Aksakal, Mater. Sci. Eng. A 254, 189 (1998). 5. Y.V.R.K. Prasad and S. Sasidhara, Hot Working Guide: A Compendium on Processing Maps, pp.1-25, ASM International, OH (1997). 6. X. Shu, S. lu, K. Wang, and G. Li, Met. Mater. Int. 21, 4 (2015). 7. T. D. Kil, S. W. Han, and Y. H. Moon, Korean J. Met. Mater. 52, 731 (2014). 8. H. J. McQueen, S. Spigarelli, M. E. Kassner, and E. Evangelista, Hot Deformation and Processing of Aluminum Alloys, p.8, CRC Press, Boca Raton (2011). 9. N. Srinivasan and Y. V. R. K. Prasad, Mater. Sci. Technol. 8, 206 (1992). 10. O. Sivakesavam, I. S. Rao, and Y. V. R. K. Prasad, Mater. Sci. Technol. 9, 805 (1993). 11. O. D. Sherby and J. Wadsworth, Deformation Processing and Microstructure, (ed. G. Krauss), pp.355-389, ASM, OH (1982) 12. D. S. Fields and W. A. Backofen, ASTM, 57, 1259 (1957). 13. D. R. Barraclough, H. J. Whittaker, K. D. Nair, and C. M. Sellars, J. Test. Eval. 1, 220 (1973). 14. F. J. Humphreys and M. Hatherly, Recrystallization and Related Annealing Phenomena, 2nd ed. pp.415-466, Elsevier, Oxford (2004). 15. A. Espedal, H. Gjestland, and N. Ryum, Scand. J. Metall. 18, 131 (1989). 16. E. Cerri, E. Evangelista, A. Forcellese, and H. J. McQueen, Mater. Sci. Eng. A 197, 181 (1995). 17. G. Avramovic-Cingara, D. D. Perovic, and H. J. McQueen, Met. Mat. Trans. A 27, 3478 (1996) 18. R. D. Doherty, D. A. Hughes, F. J. Humphreys, J. J. Jonas, D. Juul Jensen, N. E. Kassner, W. E. King, T. R. McNelly, H. J. McQueen, and A. D. Rollett, Mater. Sci. Eng. A. 238, 219 (1997). 19. S. Gourdet and F. Montheillet, Acta Mater. 51, 2685 (2003). 20. H. Ziegler, Progressing Solid Mechanics, Vol 4 (eds. I.N. Sneddon and R. Hill), p.93,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63). 21. R. Kaibyshev, A. Goloborodko, F. Musin, I. Nikulin, T. Sakai, and O. Sivakesavam, Mater. Trans. 43, 2408 (2002). 22. Hong-dan WU, Hui ZHANG, Shuang CHEN, and Ding-fa FU, T. Nonferr. Metal. Soc. 25, 692 (2015). 23. I. Mazurina, T. Sakai, H. Miura, O. Sitdikov, and R. Kaibyshev, Mater. Sci. Eng. A 486, 662 (2008). 24. I. Mazurina, T. Sakai, H. Miura, O. Sitdikov, and R.
이상민 이지운 최현진 현승균 801 Kaibyshev, Mater. Sci. Eng. A 473, 297 (2008). 25. O. Sitdikov, T. Sakai, H. Miura, and C. Hama, Mater. Sci. Eng. A 516, 180 (2009). 26. J. Gurland and J. Plateau, Trans. ASM, 56, 442 (1966). 27. L. M. Brown and Embury, Proceed,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Strength of Metals and Alloy, p.164, Cambridge, U.K (1973). 28. F. A. McClintock, J. Appl. Mech. 35, 368 (1968). 29. P. F Thomason, J. I. Met. 96, 360 (1968). 30. G. Leroy, J. D. Embury, G. Edward and M. F. Ashby, Acta Metall. 29, 1509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