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주 ; 불사건축의발전 불사건축의유형 2( 중, 한, 일 ) 석굴암 (KBS 역사스페셜 IV)- 건축적기원과전통건축의축조방식을통한과학기술적적용사례 High Tech-Engineering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1. 구조및시공기술구조적기술 ( 기초, 석조, 목조, 조적조 ) 시공적기술 ( 배수, 거중기, 수평수직보기, 시공과정계획 ) 2. 공간환경기술빛의도입, 온도의유지, 습도의조절, 소리의차단 3. 도면작성의기술 ( 미학과기술의완벽한조화 ) 기하학과비례, 지각의응용, 수학의건축계획적적용
부처에대하여 부처의 4 聖地 佛誕 成道 初轉法輪 般涅槃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쿠시나가라 탄생불 / 고행상, 항마상 / 성법상 / 열반상 32 相 82 種好 불상머리 - 肉髻 ( 육계 ) - 깨달음과지혜의상징 이마 - 白毫 - 수정보석 - 지혜의빛상징 손, 발 - 차륜문양 손짓언어 - 手話 手印 + 印栔 - 佛敎 오른손 왼손 ( 天 ) 부처의세계 중생계 ( 地 ) * 불상의수인 - 부처의생애중사건을상징, 설명하는언어 Mudra Veda 시대무용과연극에서비롯 통인 - 선정인, 여원인 시무외인 별인 -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천지인 아미타불 - 구품인 ( 상중하 3 등급 - 총 9 등급 ), 아미타정인
비로자나불 - 지권인 미륵불 - 용화수인 약사불 - 약기인 다보부처 ( 前身 ) - 석가모니부처 ( 現世 ) - 미륵부처 ( 未來 ) 如來 過去七佛 大雄殿, 降魔觸地印 彌勒殿 ( 용화전 ) 칠보대탑-다보탑 석가탑 挾侍菩薩 - 文殊 ( 지혜 ), 普賢 ( 미륵 ) - 중생위해부처되기거부 菩薩 삼존불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약사여래 如來 大寂光殿 ( 화엄경 ) 無量壽殿 ( 법화경 ) 藥師殿 ( 왼손약병, 오른손바닥 ) 권지인, 광명 西方極樂淨土 施無畏印 관세음보살, 세지보살 일광보살, 월광보살 菩薩 ( 觀音殿 ) 깨달음을구하는사람 지장보살 ( 신라왕자김교각 ) 지옥중생구제 地藏殿 ( 인도의지신신앙 ), 冥府殿, 十王殿 ( 지장전좌우 ) 범천, 제석천, 사천왕 ( 천왕문 ), 팔부중, 인왕 明王, 天王 불법수호성인 힌두교신 16 나한,500 나한 ( 나한전 ) 羅漢 석가의제자 상단, 중단, 하단 - 토착신 33 신 - 104 위 神衆壇 - 인도계, 중국계, 토착계 고려때왕권과불법의수호신으로크게숭상되기도하였고, 조선불교가민간불교화함에따 라인도, 중국계의신중각은퇴조하고토속계열의전각이크게유행함 大雄殿 - 법화신앙석가모니불 ( 대웅세존 ) 화엄계 ( 문수, 보현보살협시불 ) 법화, 천태계 ( 제화할나, 미륵보살협시불 )
삼세존 ( 보현, 대세지, 관음, 문수보살협시 - 총 7구불상 ) 極樂殿 - 아미타불 ( 서방정토주관 ) - 아미타전, 무량수전 ( 아미타여래 ) 無量壽殿 - 한없는수명, 광명무량광불 ( 법화경 ) 안양전 - 극락세계평안하고풍부한안양세계연화전 - 사후극락왕생할때연꽃에서피어남대광명전 ( 대적광전 ) - 화엄경비로자나불봉안비로전 - 부불전으로봉안될경우 - 비로자나불보광 ( 명 ) 전 - 비로자나불, 석가불, 아미타불약사전 - 현세구복, 좌우일광월광협시보살 - 동향약왕전 - 부불전, 도교의 12지신과결합미륵전 - 미륵삼부경, 미륵삼존 - 용화세계용화전 - 유가종과법상종계열주불전원통전 - 주불전유일보살인관세음보살봉안 ( 周圓融通 ) - 남순동자 / 해상용왕관음전 - 부불전 - 관세음보살문수전 - 석가불의협시로만등장, 단독존상거의없음冥府殿 - 지장보살 ( 도명존자 / 무독귀왕 ) 명부시왕협시地藏殿 - 인도의지신신앙 - 지장강조때십왕전 - 지장전좌우靈山殿 - 석가설법장靈山會上유래 - 八相圖봉안- 석가모니주불八相殿 - 조선후기대웅전과함께중요. 축선에위치 - 팔상사방에배치羅漢殿 ( 응진전 ) - 16나한, 유마경의 10대제자 - 석가모니주불미륵불이하생할때까지열반에들지않고이세상의불법수호를위임받은자七星閣 - 도교의불교화로나타난神衆閣 - 수명을길게한다는칠성신 ( 도교 ). 재해를물리치고아들을얻는다는주존 - 북극성 ( 칠성광여래당 ) 獨聖閣 - 부처이전시대홀로연기법을깨달은독각불. 미륵을기다림 ( 단군신앙불교적전개 ) 天臺閣 - ( 단군 + 부처 ) 山神閣 - 한국고유의토속신앙이불교화해서영지신앙과함께가람수호. 산신 + 호랑이三聖閣 - 칠성, 독성, 산신은총체적토속민간신앙 三寶寺刹 ( 佛寶 - 통도사, 法寶 - 해인사, 僧寶 - 송광사 )
삼국시대특히신라의불교도들은사찰을짓는데만족치않고국토전체를부처의나라로형성하려는경향이짙었으며이는대승불교의중요개념중하나인佛國土說을자신들의실제영토에재현하고불교와의인연을강조하려노력하였다. 청정한영토란뜻에서정토라고도부르며, 정토불국토의구현은한국의사찰건축이이루고자했던중요한개념중의하나이다. 특히山岳, 靈山信仰과前佛伽藍說또는淨土說의결합은성지를가람화하는데중요한역할을수행한한국특유의立地觀이되었고, 사찰건립을정토재현과동일시하는사찰관을형성하게되었다. 극락세계의추상적인개념은화려한광명세계, 장엄한청정도장으로요약되어사찰건축의가장기본적인개념이되었다. 1. 통시대적변화와흐름의감지 2. 양식사적흐름, 변화, 중첩성을내포 ( 목조양식사 ) 3. 재료와형식간의갈등과만남 ( 物性추구의전개과정 ) 4. 문화적운동성, 이입과수용과정 (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 5. 목조건축사의한계극복 (99% 가조선후기건축물-예외가전형으로인정 ) 인도의高塔 (Sikhara) 塔頭部 ( 相輪, 覆鉢 )-불교 Stupa(Dagaba, Cylon) ( 문 Thoronas, 패루, 홍전문, 도리 ) + 塔身部 ( 屋蓋石, 屋身 )-중국의 Pagoda- 軍事用望樓 基壇部 ( 상하대갑석 )
인도Stupa-------중국의 Pagoda-------- 南朝 ( 木塔 )-----고구려( 팔각목탑 -?) 누각형식, Stupa상징 백제 ( 木塔 )---모목석탑 --- 北朝 ( 塼塔 )----신라( 塼塔 )--모전석탑 ---남방불교 ( 조적조 )---------------------
선행존재목탑전탑? 팔각목탑불교도입 시원기모목석탑모전석탑고대국가완성 ( 미륵사탑 ) ( 분황사탑 ) 형성기목탑계석탑전탑계석탑삼국경쟁및협력 ( 정림사탑 ) ( 의성탑리 ) 전형기전형의완성, 변형의시작국제화시기 ( 감은사탑, 석가탑 ) 매너리즘기 비례율의해체 법화계선종도입 이형탑-다보탑, 사사자탑, 정혜사탑크기작아짐, 옥개석받침 5-4 기단높아짐 장식유행 후삼국
복고기백제계석탑전형의유존팔각석탑출현호족세력확대 ( 전형백제탑 ) 목탑원, 송, 요 절충백제탑 형성기 족벌정치와 고려탑의전형신라전형의해체다층화 ( 비례고준 ) 옥개석얇게됨형식의간략화 ( 크기소 ) 물성의획득 ( 민중화 ) 새로운모색 ( 청석탑등 ) 종파불교화 불교의야합 외래도입기라마탑의이입과수용원의침략 ( 약화기 ) 경천사탑, 백탑? ( 이입 ) 마곡사탑 ( 수용 ) 소멸기조선초기의모색왕실불교 ( 고려의다양한형식의반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