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CHI 10-012
Clean KOTRA, Green KOTRA
10년의 대개발, Mega시장으로 떠오른 中 서부 요 약 1 Ⅰ. 중국 서부지역의 특징 5 Ⅱ. 10년의 서부대개발, 그 성과와 변화 1. 서부대개발의 추진 배경 8 2. 주요 내용 9 3. 핵심 경제권 발전 추진 12 4. 서부지역의 대외교역 18 5. 서부대개발 1기('00~'10) 진전 상황 및 향후 전망 20 Ⅲ. 우리기업의 진출현황 및 진출전략 1. 진출현황 23 2. 서부대개발 심화에 따른 우리의 진출전략 26
[요 약] 중국 서부지역의 특징 중국의 서부지역은 신장자치구( ), 칭하이성( ), 닝샤자치구( ), 간쑤성( ), 샨시성( ), 네이멍구자치구( ), 시짱자치 구( ), 쓰촨성( ), 충칭시( ), 윈난성( ), 광시자치구( ), 구이저우성( ) 등 12개 성시로 구성 < 중국 서부지역 >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1 중국대륙의 2/3를 차지하는 넒은 지역이나 대부분이 고원, 사막, 산악지대로 경작지 비율이 적고 내륙 교통 및 물류 인프라가 부족하여 경제발전 수준이 낮았음 광물자원, 수자원 등 자원이 풍부하고 산업구조는 1, 2차 산업을 중심으로 발달하였 으며, 국유기업이 서부공업의 49.5%를 차지하고 있음 '78년 개혁개방이래 덩샤오핑의 선부론( )에 따라 정책적으로 경제발전의 여건 이 유리한 동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발전이 집중되어 서부와 동부의 격차가 크게 벌 어짐. 이에 따라 중국정부에서는 '00년부터 50년 장기국가발전 계획으로 "서부대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함
10년의 서부대개발, 그 성과와 변화 <서부대개발 추진개요> 서부대개발은 '00년 1월, 국무원에서 '서부대개발 영도소조( )' 가 구성되며 시작됨. 2000년~2050년까지 번영, 안정, 단결의 서부지역 건설을 목표 로 인프라 확충, 생태환경 보호, 산업구조 조정, 생활환경 개선 등에 역점을 두고 세 단계로 추진되고 있음 단계별 추진전략 기초단계('00~'10) : 인프라 확충, 중점지역 개발 발전 가속화단계('10~'30) : 서부지역 개발능력 제고, 투자규모 확대 현대화의 전면적 추진단계('30~'50) : 서부지역 도시화, 시장화, 국제화 수준 제고 <주요내용> 지난 10년간(2000~2009) 총 120개의 주요 프로젝트가 추진, 총 투자금액은 2조 1,380억 위앤에 이름. 금융위기 이후 중국 정부의 내수부양 정책으로 인프라 투자 증가 2 서부대개발 1기의 주요 추진사업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됨 - 서기동수( )', '서전동송( )', '남수북조( )' 등 서부지역의 자 원 개발 및 에너지 배분 프로젝트, - 칭짱철도( )'로 대표되는 철도, 간선도로, 공항 등 인프라 확충 사업,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성시( )별 특색경제 육성 사업 등임 <핵심경제권 개요> 서부대개발 핵심 경제권 선정 및 개발 - 중국정부는 11.5계획(2006~2010)에서 향후 중점발전지역으로 관중-텐수이 경제권 (시안, 텐수이 중심), 청위 경제권(청두, 충칭 중심), 광시북부만 경제권(난닝, 베이하 이 중심) 등을 지정, 3개 핵심경제권을 기반으로 서부대개발을 가속화할 것을 천명함 K O C H 향후 진행될 서부대개발 2기는 위의 3대 핵심 경제권과 신장( ) 경제권을 중심으 로 개발, 그 파급효과를 서부지역 전체로 확산시키는 전략으로 진행될 예정임 - 한편, 시안, 청두, 충칭을 중심으로 한 서삼각경제권( )도 최근 부상 중 I
< 핵심 경제권 지도> <서부대개발 1기의 진전상황 및 향후전망> ㅇ 서부대개발 1기(2000~2010) 동안의 연평균 서부지역 경제성장률은 11.4%로 중국 평균인 9.6%를 상회, 인프라 확충 등 경제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졌음 ㅇ 그러나 아직도 동부지역과의 경제발전 격차가 상존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 서부지역 GDP가 중국전체에서 차지한 비중은 18.5%, 소비시장은 17.4%에 불과('09년 기준) - 동 기간 내 정부의 지원정책이 동부지역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외자와 민간자본의 3 투자유치가 적었으며, 자원가격을 국가가 장기간 통제하여 풍부한 자원을 지역 경제 성장에 활용하지 못함 ㅇ 서부지역 내에서의 경제발전의 격차, 티벳 신장 지역의 소수민족 문제, 환경보호 문제 등도 과제로 남아있음 ㅇ 중국정부에서는 서부대개발 추진 10주년을 맞아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속적이며 보다 심화된 추진을 강조, 향후 서부시장의 내수시장으로서의 역할 확대 및 대외개방 등 투자환경의 변화 예상 - '10년 7월 서부대개발 공작회의에서 23개 프로젝트 신규로 발표(총 6,822억위앤 투입) - 청위( )경제권, 관중-텐수이( - )경제권과 광시북부만( )경제 권 등 핵심경제권의 중요성 다시 한 번 강조
우리기업의 진출현황 및 전략 한국기업의 서부진출은 매우 미흡하여, 한국의 대중국 투자금액을 기준으로 서부는 1%안팎의 투자비중을 보이고 있음 - 주로 연해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서부로 진출을 꾀하거나 또는 현지 국영기업과 합작 * 중국 서부지역의 주요 투자 국가는 홍콩, 미국, 일본, 싱가포르 순이며(한국은 13위), 광시, 쓰촨, 샨시, 충칭 등에 서부지역 투자의 80%이상이 집중되어 있음. 서부대개발 추진에도 불구, 외국인 투자의 동부로의 집중현상은 크게 변화가 없음 4 우리기업의 진출사레 - 쓰촨성 쯔궁시 휴비스(폴리에스터 생산공장), 청두시 금호(고속버스), 청두시 SK텔 레콤(스마트시티), CJ(사료공장), 대우(고속버스), 현대WIA(자동차 부품), LG상사 - 사천성 멘양시 현대(난지오 공항 엘리베이터) - 산시성 시안 광물자원공사(희토류 가공법인) - 충칭시 GS홈쇼핑(홈쇼핑) - 신장 우루무치 한화(무수망초 생산) - 후베이 우한 SK에너지(아스팔트 시장) - 그 외 온앤온(패션제품), 미샤(화장품), 이랜드(의류), LG산전, LG전자 판매법인, 두 산(굴삭기), 현대(굴삭기), 한국타이어, 농심(라면), 크린 ( ) 등 K O C 서부대개발 심화에 따른 우리의 진출전략 - 서부지역 특성을 살린 현지 시장진출 경제개발 및 정책 혜택 등이 집중되는 3대 핵심권을 중심으로 먼저 진출 서부대개발 대형 프로젝트 등과 연관된 틈새시장 공략 한류 친화적인 분위기를 이용하되,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시장선점 산업구조 고도화, 임금인상 등 중국경제의 구조변화에 대비한 진출전략 수립 - '소득의 증가'와 '시장의 확대 '추세에 따라, 소비재 시장 진입 심화 현지 on-off라인 유통망과의 연계 강화를 통한 소비시장 진입 필요 - 프로젝트 시장 진출 확대 권역별 경제권 개발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환경 에너지, 지능형도시 구축 프로젝트 등의 참여기회가 늘어나고 있어, 현지기업과의 파트너링을 통한 시장진출이 시급 H I
10년의 대개발, Mega시장으로 떠오른 中 서부 Ⅰ. 중국 서부지역의 특징 중국의 서부란? 중국은 지리적, 경제적 측면에서 오래전부터 여러 가지 경제 권역을 구분하여 왔으며, 연 해지역의 화북( ), 화동( ), 화남( )지역으로 대변되는 구분법이 전통적인 방식 이었음 1)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중국 정부가 서부대개발 및 동북진흥, 중부굴기 등 지역 및 권역경제 발전을 추진하면서 동남부, 동북, 중부, 서부 등 4개 권역별로 성시를 구분하게 되었으며, 이 중 서부지역은 아래 12개 성시를 일컬음 5 < 중국의 권역별 성시구분 > 구분 권역별 성시 베이징시( 北 京 市 ), 텐진시( 天 津 市 ), 허베이시( 河 北 省 ) 동남부 (10성시) 상하이시( 上 海 市 ), 장쑤성( 江 蘇 省 ), 저장성( 浙 江 省 ), 산둥성( 山 東 省 ) 푸젠성( 福 建 省 ), 광둥성( 廣 東 省 ), 하이난성( 海 南 省 ) 동북 (3성) 랴오닝성( 遼 寧 省 ), 지린성( 吉 林 省 ), 헤이룽장성( 黑 龍 江 省 ) 중부 (6성) 서부 (12성시) 후베이성( 湖 北 省 ), 후난성( 湖 南 省 ), 장시성( 江 西 省 ), 안후이성( 安 徽 省 ), 산시성( 山 西 省 ), 허난성( 河 南 省 ), 신장위구르자치구( 新 疆 維 吾 爾 自 治 區 ), 칭하이성( 靑 海 省 ), 닝샤회족( 寧 夏 回 族 自 治 區 ), 간쑤성( 甘 肅 省 ), 샨시성( 陝 西 省 ), 네이멍구자치구( 內 蒙 古 自 治 區 ), 시짱자치구( 西 藏 自 治 區 ), 쓰촨성( 四 川 省 ), 충칭시( 重 慶 市 ), 윈난( 雲 南 省 ), 광시장족자치구( 廣 西 壯 族 自 治 區 ), 구이저우성( 貴 州 省 ) 1) 화북 : 베이징, 텐진, 허베이, 산둥, 산시( 山 西 ), 허난, 네이멍구, 화동 : 상하이, 장쑤, 저장, 장시, 안후이, 화남 : 푸젠, 광둥, 하이난, 광시
서부지역은 경제권에 따라 서남과 서북으로 구분되며, 서남경제권은 시짱, 쓰촨, 충칭, 윈난, 광시, 구이저우 등 6개 지역, 서북경제권은 신장, 칭하이, 닝샤, 간쑤, 샨시, 내몽 고 등 6개 지역이 포함됨 < 지도 1 > 중국 서부지역 서부지역의 특징 6 광활한 면적 : 중국 전체의 2/3 - 총면적이 686.7만km2로 중국대륙의 71.5%를 차지하고 있음 대부분이 산악지대, 고원, 사막으로 경작지 비율이 6.5%밖에 되지 않고, 지리적으로 개 발이 어려워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이 많음 - 서부지역의 1인당 GDP(2009)는 19,245위앤으로 동남부의 42.7%수준이며, 도시화율 이 중국 평균 46%에 크게 못미치는 38% 수준 *동남부: 45,037위앤(U$6,593), 중부: 19,699위앤(U$2,884), 동북3성: 27,627위앤(U$4,044) 서부: 19,245위앤(U$2,817) (2009년 평균환율 6.831위앤/U$ 기준) 넒은 땅에 비해 인구는 중국 전체의 약 28%인 3.7억명이 거주 K O C H 풍부한 천연자원 - 중국 광물자원의 대부분이 서부지역에 분포하며 시짱, 쓰촨, 윈난, 광시 등지는 수자원 이 풍부함 I
< 중국 서부지역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2009) > 에너지와 주요 광물자원 비철금속과 비금속 자원명 매장량 서부지역 비중 자원명 매장량 서부지역 비중 석유 95,585만톤 32.4% 구리 1,188만톤 40.3% 천연가스 30,744억 m3 82.9% 납 907만톤 67.7% 석탄 1,610억톤 50.5% 아연 2,962만톤 77.2% 철광석 63억톤 29.3% 보크사이트 49,355만톤 58.8% 망간 10,160만톤 54.7% 마그네사이트 236만톤 0.1% 크롬 516만톤 98.7% 황철광 77,155만톤 47.6% 바나듐 953만톤 75.7% 인광 17억톤 52.4% 티타늄 22,811만톤 97.9% 고령토 19,158만톤 30.1% 자료원: 중국통계연감(2010) 1, 2차 산업 중심의 전근대적 산업구조 - 타지역에 비해 1차 산업의 비중이 높고, 농업 개방화 정도 및 기술력이 낮아 전통적인 생산양식을 고수하고 있음. 전국적으로 유명한 지역 특산품이 많음 *(내몽고)우유, 양고기, 양모, (광시, 윈난)사탕수수, (샨시)사과, (윈난, 구이저우)담뱃잎, (신장)면화, (쓰 촨, 윈난, 신장, 구이저우, 간쑤, 시짱)한약재 등 - 2차 산업은 자원 또는 군수산업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국유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갖 고 있음(국유기업이 서부공업 총생산액의 49.5% 차지)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경제발전 현황 최근 10년간 서부지역은 빠른 경제성장을 실현 7 - 세계 금융위기를 거치며 연해지역의 성장세가 주춤한 사이, 서부지역의 GDP 성장률은 연평균 11.4%로 전국 평균인 9.6%를 상회하며 앞서가기 시작 < 중국 서부지역 주요통계(2009) > 구분 단위 중국전체 서부지역 비중(%) GDP (억위앤) 362,232 66,868 18.5 사회소비품판매총액 (억위앤) 132,675 23,039 17.4 고정자산 투자액 (억위앤) 224,240 51,635 23.0 1인당GDP (위앤) 28,464 19,245 67.6 인 구 (만명) 133,474 37,022 28.1 면 적 (만km2) 960 677 70.5 대외교역액 (억달러) 22,109 915 4.1 자료원 : 중국통계적요(2010)
Ⅱ. 10년의 서부대개발, 그 성과와 변화 1. 서부대개발의 추진 배경 중국은 '78년 개혁개방 이래 덩샤오핑( )의 선부론( )에 따라 경제발전 여건 이 비교적 유리한 연해지역 도시를 중심으로 경제를 먼저 발전시켰으나, 지역간 계층간 빈부격차 심화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음 이에 따라 중국정부는 동남부 연해지역의 경제가 일정 수준에 도달했다고 판단, 국토의 균형발전과 경제성장 지속을 위해 '00년부터 50년간 장기국가발전 계획으로 "서부대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함 추진 개요 서부대개발은 '00년 1월, 국무원에 '서부대개발 영도소조( )'가 구성 되면서 시작 - '99년 6월, 장쩌민( ) 총서기가 시안( ) 방문 중 중서부지역 발전 추진을 위한 조건이 구비되었다고 언급함에 따라 '99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서부대개발 전략 을 확정지음 8 '00년 3월 주룽지( ) 총리가 제9기 전인대 3차 회의에서 서부대개발의 의의를 설명 하고 국가적 장기사업으로 중점 추진할 것임을 발표 - 중점사항은 사회기초시설(SOC) 건설, 생태환경 개선, 지역특성에 맞는 경제와 비교우위 산업과 과학기술교육 발전 '01년 8월 서부대개발 관련 정책을 종합 체계적으로 정리한 '서부대개발 정책 실시에 관한 의견' 2) 을 발표 - '서부대개발'은 2050년까지 번영, 안정, 단결의 서부지역 건설을 목표로 인프라 확충, 생 태환경 보호, 산업구조 조정, 생활환경 개선 등에 역점을 두고 세 단계로 추진되고 있음 K O C H 2) http://www.chinawest.gov.cn/web/newsinfo.asp?newsid=2762 I
단계별 추진전략 기초단계('00~'10) : 인프라 확충, 중점지역 개발 발전 가속화단계('10~'30) : 서부지역 개발능력 제고, 투자규모 확대 현대화의 전면적 추진단계('30~'50) : 서부지역 도시화, 시장화, 국제화 수준 제고 2. 주요 내용 지난 10년간(2000~2009), 총 120개의 주요 프로젝트가 추진되었으며 총 투자금액은 2조 1,380 억 위앤에 이름 - 특히, 세계금융위기 해소를 위한 중국 정부의 내수부양 정책으로 인프라 투자가 증가하 였고, 쓰촨( ) 대지진으로 인한 재건수요가 확대되면서 '08~'09년 투자금액이 크게 증가함 서부대개발 1기의 주요 추진사업은 '서기동수( )', '서전동송( )', '남수북 조( )' 등 서부지역의 자원개발 프로젝트, '칭짱철도( ) 3) '로 대표되는 철 도, 간선도로, 공항 등 인프라 확충 사업, 성시( )별 특색경제 육성 사업 등임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에너지 확보 및 효율적 배분 서기동수( 西 汽 東 輸 )는 서부의 천연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하는 프로젝트로 서부대개발 9 초기에 주로 추진됨 - 1기 사업(신장-상하이, '04년 완공)의 총 투자비용은 1,400억 위앤이며, 연간 158억m3 의 천연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 현재 2기 사업(중앙아시아-광동, 홍콩)이 진행 중이 고, 3기 사업(신장, 러시아-베이징, 텐진 등)은 계획 중 서전동송( 西 電 東 送 )은 서부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동부지역으로 송전하는 프로젝트로 현 재 서부지역 북부, 중부, 남부 3개 지역에서 각각 환발해( ), 화동( ), 주강삼각 주 지역으로 송전 중이며 송전량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남수북조( 南 水 北 調 )는 수자원이 풍부한 장강( )의 물을 수자원이 부족한 북쪽지역으로 수송하는 프로젝트로 동부(1,150km, 150억m3), 중부(1,240km, 147억m3), 서부선(450 3) 칭하이 성 시닝( 西 宁 )과 티벳자치구 라싸( 拉 萨 )를 연결하는 철도로 '06년 7월에 개통되었음. 해발고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총 길이는 1,956km에 달함
km, 145~195억m3)으로 나누어 추진됨 * '02년 동부라인부터 착공하였으며, 동부, 중부 1기 사업은 2013년 완공 예정 인프라 확충 초기에는 주로 도로, 철도, 공항 등의 내부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최근에는 인접국가와 의 고속도로망을 확충하는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 중 - 5종7횡( ) 프로젝트(중국 전역 고속도로망, '07년 말 기본골격 완성) - 칭짱( )철도(칭하이-티벳 간 철도, '06.7월 완공) - 쓰촨, 구이저우, 윈난의 공항 증설 - 4종4횡( ) 프로젝트(중국 전역 고속철도망, '05년~) *우한~광저우간 고속철도 개통('09.12월) *정저우~시안간 고속철도 개통('10.2월) *베이징~상하이, 베이징~우한 간 철로부설 중('12년 개통예정) - 중앙아시아 국가 연결 고속도로 건설 추진 - 동남아 태국, 미얀마, 라오스 연결 고속도로 개통('08년) 등 서부대개발 핵심 경제권 선정 및 개발 - 청위 경제권('07.6월), 광시북부만 경제권('08.1월), 관중-텐수이 경제권('09.6월) 등 거 10 점지역 선정으로 서부대개발 2기를 위한 기틀 마련 지역 경제 활성화 농촌의 인프라 및 생활환경 개선사업 전개 - 시짱( )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농촌 지역에 기본적으로 통신망, 전력망, 음용수, TV, 인터넷망이 보급됨 제 11차 5개년계획 4) 에서 서부대개발 6개 중점육성분야가 지정되고 각 지방의 특색에 따 라 육성되기 시작함. 현재는 연관 후방산업이 적고 물류환경이 열악하여 성과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음 - 1에너지 및 화학산업, 2광물개발 및 가공, 3농산물 가공, 4대형기계설비, 5첨단기 K O C H 술산업, 6관광산업 등 4)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 11차 5개년 계획( 国 民 经 济 和 社 会 发 展 第 十 一 个 五 年 规 划, 이른바 11.5계획):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추진할 중국의 경 제운용방향 제시 I
한편, 서부지역은 사막이 많은 지역으로 국토의 사막화를 막기 위한 경작지 환원 및 천연 림 보호 등 생태환경 복원 사업이 중점 추진되고 있으며, 대형 프로젝트 추진 시 환경에 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 중임 연도별 주요 사업 개시연도 주요 사업 투자규모 2000 2001 2002 철도: 칭짱철도( 靑 藏 鐵 道 : 칭하이성 시닝시와 시짱자치구 라싸를 잇는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 놓인 철도) 도로: 서부국도(5종7횡)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써베이( 澀 北 )-시닝( 西 寧 )-란저우( 蘭 州 ) 기타: 공항, 수리시설, 경작지환원 등 철도: 시안( 西 安 )-허페이( 合 肥 ), 충칭( 重 慶 )-화이화( 怀 化 ), 충칭경전철 도로: 서부국도(5종7횡)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란저우( 蘭 州 )-충칭( 重 慶 ) 전력: 칭하이성의 공보협( 靑 海 公 伯 峽 )수력, 서전동송( 西 電 東 送 ) 전력망 구축 기타: 도시기반시설, 교육, 의료 등 전력: 샤오완( 小 湾 )수력발전소, 농촌 전력공급 도로: 서부국도(5종7횡), 농촌 도로포장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환경오염억제: 타림강( 塔 里 木 河 ), 헤이허( 黑 河 ), 산샤( 三 峽 )댐 기타: 공항, 경작지 환원 등 2,700억 위앤 3,000억 위앤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2003 철도: 충칭( 重 慶 )-이창( 宜 昌 ), 충칭( 重 慶 )-수이닝( 遂 寧 ) 도로: 바오터우( 包 頭 )-덩커우( 磴 口 ), 후센( 戶 縣 )-멘현( 勉 縣 ), 농촌도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충칭( 重 慶 )-우한( 武 漢 ) 전력: 다두허( 大 渡 河 )수력, 농촌 전력 공급 기타: 도시기반시설, 교육, 의료, 식수, 경작지 환원 등 1,300억 위앤 11 2004 도로: 서부국도(5종7횡) 철도: 따리( 大 理 )-리쟝( 麗 江 ) 등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샨시( 陝 西 )성-베이징( 北 京 ) 전력: 구이저우( 貴 州 ) 판난( 盤 南 )의 서전동송( 西 電 東 送 ), 석탄광 개발 기타: 공항, 교육, 경작지 환원 등 800억 위앤 2005 철도: 정저우( 鄭 州 )-시안( 西 安 ), 충칭( 重 慶 )-안캉( 安 康 ) 도로: 바오지( 寶 鷄 )-텐수이( 天 水 ), 야안( 雅 安 )-루지에( 瀘 洁 )(5종7횡)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충칭( 重 慶 )-우한( 武 漢 ) 전력: 네이멍구이민( 內 蒙 古 伊 民 )화력발전, 석탄광 개발 기타: 석유화학, 식수, 교육, 의료 등 1,360억 위앤 2006 철도: 타이위앤( 太 原 )-중웨이( 中 衛 ) 도로: 두윈( 都 勻 )-신차이( 新 寨 ), 중닝( 中 寧 )-란치( 藍 池 ) 등 발전: 징홍( 景 洪 ), 샹쟈바( 向 家 壩 )수력, 탄광개발 산업: 에틸렌(80만톤), 칼륨비료(120만톤), 산화알루미늄(40만톤), 첨단기술연구센터 (샨시( 陝 西 ), 충칭( 重 慶 )) 기타: 공항, 교육, 의료 1,654억 위앤
개시연도 주요 사업 투자규모 2007 2008 철도: 윈난( 雲 南 )의 따리( 大 理 )-루이리( 端 麗 ), 신장자치구의 쿠이툰( 奎 屯 )-베이툰( 北 屯 ), 내몽고의 빠오터우( 包 頭 )-시안( 西 安 ) 도로: 텐수이( 天 水 )-딩시( 定 西 ), 두윈( 都 勻 )-신차이( 新 寨 ) 전력: 다강간( 大 崗 山 ), 지스협( 績 石 峽 )수력, 탄광개발 산업 : PTA(충칭, 60만톤), 정유(광시, 쓰촨 각 1천만톤) 기타: 공항, 교육, 의료 등 도로: 완웬( 萬 源 )-다저우( 達 州 ), 수이커우( 水 口 )-두윈( 都 勻 )고속도로, 농촌 포장도로 철도: 구이양( 貴 陽 )-광저우( 廣 州 ), 란저우( 蘭 州 )-충칭( 重 慶 ), 카스( 喀 什 )-허텐( 和 田 ) 천연가스 및 석유제품 파이프라인: 란저우( 蘭 州 )-정저우( 鄭 州 )-창샤( 長 沙 ) 기타: 공항확장 등 1,516억 위앤 4,361억 위앤 2009 도로: 광웬( 廣 元 )- 난충( 南 充 ) 샤먼( 厦 門 ) - 청두( 成 都 ) 안캉( 安 康 ) -한중( 漢 中 ) 고속도로 철도: 청두( 成 都 )-란저우( 蘭 州 ), 충칭( 重 慶 )-구이양( 貴 陽 ), 쿤밍( 昆 明 )-난닝( 南 寧 ), 광통 ( 廣 通 )-따리( 大 理 ), 리쟝( 麗 江 )-샹그릴라( 香 格 里 拉 ), 시안( 西 安 )-바오지( 宝 鷄 )(승 객운반), 란저우( 蘭 州 )-우루무치( 烏 鲁 木 齊 )증설, 시안( 西 安 )-안캉( 安 康 )노선 증설 전력: 쓰촨성 따두허( 大 渡 河 ), 윈난란창쟝( 雲 南 瀾 滄 江 )수력발전소 기타: 청두 슈앙리우( 双 流 )공항 시안 센양( 咸 陽 )공항 확장 및 서부지역 지선공항, 전 력미보급 지역 전력 보급 등 자료원: www.chinawest.gov.cn, 대한상의 4,689억 위앤 3. 핵심 경제권 발전 추진 12 서부대개발 1기(2000~2010)의 하반기에 핵심, 전략지역의 개발에 중점 - 중국정부는 11.5계획(2006~2010)에서 향후 중점발전지역으로 관중-텐수이 경제권( - ), 청위 경제권( ), 광시북부만 경제권( )을 지정, 3개 경제권을 기반으로 서부대개발을 가속화할 것임을 발표 향후 진행될 서부대개발 2기는 위의 3대 핵심 경제권과 신장경제권( )을 중심 으로 개발, 그 파급효과를 서부지역 전체로 확산시키는 전략으로 진행될 예정임 - 한편, 시안, 청두, 충칭(관중-톈수이 경제권과 청위 경제권의 핵심 도시)을 잇는 서삼각 경제권( )도 최근 부상하고 있으며, 주강( ), 장강( ), 환발해만( )에 이은 중국 제4의 경제발전 성장축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됨 K O C H 특히 3대 핵심 경제권은 서부지역의 북부, 중부, 남부를 대표하며, 물류의 초점이 각각 육로, 수운, 해운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북부의 관중-텐수이 경제권은 철도 등 육로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와 연계되어 있고, 중부의 청위경제권은 장강( )을 통해 화동지역과 연결됨. - 남부의 광시북부만 경제권은 중국 남해를 통한 해운으로 동남아시아와 연결됨. I
관중-텐수이 경제권( - ) (북부, 2009~2020) ㅇ 주요도시 : 시안( ), 센양( ), 통촨( ), 웨이난( ), 바오지( ), 양링( ( )), 텐수이( ( )) < 지도 2 > 관중-텐수이 경제권 서북부 내륙지역의 개방 및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시안, 웨이난 및 텐수이를 중심으로 형성함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 자원이 풍부하고 개발에 필요한 기본인프라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어 산시( ), 간쑤 ( ) 등 주변지역의 동반상승효과 기대 가능 - '07년 관중-텐수이 경제권의 GDP는 중국 서북지역 전체 GDP의 28.6%를 차지할 정도 13 로 서북지역 개발의 핵심 지구이며, '20년에는 1/3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 주요 핵심전략 : 일핵( ), 일축( ), 삼복사( ) - 하나의 중심(시안( )), 하나의 축(웨이난( )-텐수이( )), 3개의 파급지역(옌안 ( ), 칭양( ), 한중( ))을 중심으로 하여 개발 추진 산업분야 : 첨단기술, 장비제조, 기계설비 제조, 자원개발 및 자원가공, 금융업, 목축업, 문화 및 여행산업 등을 핵심 산업군으로 선정 *항공우주분야: 시안에 위치한 '첨단국가항공기술산업단지( )'를 중심으로 대 형여객기, 대형화물기, 항공기 및 우주선 관련 전용부품, 위성 및 관련부품 등의 분야를 집중 육성해 민간우주산업단지 육성과 함께 우주선 동력 산업연구단지, 위성 및 위성 응용산업단지 등을 중점 개 발할 것으로 보임.
ㅇ 산업기반 구축을 위한 인프라 확충 가속 - '4종4횡( )' 고속철도망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시안을 기점으로 한 8개의 방사형 일자형 간선 및 순환형 도시 간 노선 구축사업인 '2581 철도망'을 적극 추진 중에 있음. 총 2,600억 위앤 투입, 3년에 걸쳐 총연장 4,500km 도시철도망 구축 - 현재 베이징-시안, 상하이-시안 등 연해-내륙 연계 고속철도가 2012년 전후로 개통 예 정이며,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현재의 12~18시간 가량 소요되는 일정이 4-5시간대로 단 축되게 됨에 따라 서북 3개성 및 중앙아시아와 연결이 가속화될 예정 청위 경제권( ) (중부, 2007~2020) 주요도시 : 청두( ), 충칭( ), 루저우( ), 이빈( ), 멘양( ), 수이닝( ), 네이장( ), 쯔궁( ) 등 - 쓰촨성의 15개시( )와 충칭의 31개 구( )현( )을 포함하며, 총면적은 20만6100km2로 인구는 9,840만명, GDP는 1조5800억 위앤에 달하는 서남지역 최대 요충지임 - 수자원, 광산자원, 천연가스, 삼림자원 등이 풍부 천연가스 전국매장량의 60%, 알류미늄 및 황철광 1/4 이상, 구리광 1/3, 중약재 1/3 < 지도 3 > 청위 경제권 14 K O C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를 목표로 청두와 충칭을 잇는 차세대 경제축 형성 - 공공서비스 및 생활여건 등에서 농촌주민과 도시주민의 평준화, 사회보장제도 개선, 잉 여인력 전출 및 기반시설 확충, 도농간 행정통일 및 호적관리 등을 목표로 함 H I
주요 핵심전략 : 일극( ), 일축( ), 일구괴( ) - 청두, 충칭 그리고 청두와 충칭을 연결하는 세 구역으로 구분 1극(청두, 더양, 멘양, 러산 등 청두를 중심으로 한 경제지역), 1축(청두와 충칭을 잇는 발전축), 1광역대(충칭시를 둘러싼 환충칭 경제지역) - 청위경제권은 청두와 충칭을 핵심으로 하며 양 도시간의 연결이 매우 중요, 고속도로 및 철도 고속화사업으로 두 도시간 거리가 더욱 가까워짐. - 육성산업 : 기계설비제조, 첨단기술산업, 천연자원개발 및 가공, 농산물 가공, 항공우 주, 물류, 금융, 신재생에너지 "쌍핵오대( )" 발전계획 발표 - 쌍핵( ) : 충칭 9개 구역, 청두 5개 구역을 포 함하여 국제화 도시로 개발함 - 오대( ) : 청내위발전대( ) 5), 위광 다발전대( ) 6), 청수이위발전대( ) 7), 청멘러발전대( ) 8), 옌 창장발전대( ) 9) 등 5개 구간의 경제 성장 구역 설정 쌍핵오대( 双 核 五 带 ) 충칭 양강신구( ) 지정('10.6월) : 상하이 푸동신구( ), 텐진 빈해신구( )에 이어 세 번째로 설립된 국가급개발구로, 서부대개발에 새로운 돌파구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 광시 북부만 경제권( ) (남부, 2008~2020)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15 주요도시 : 난닝( ), 베이하이( ), 친저우( ), 팡청강( ), 동싱( ) 서부지역 유일의 연해지구로 개방 및 개발을 핵심목표로 함 - 연해 및 동남아시아와 접하고 있으며, 특히 난닝시는 육지로는 베트남 하노이와, 바다로 는 말라카 해협을 통해 아세안 국가와 연결되는 중심지에 위치 서남, 화남, 중남지역 발전을 위해 난닝을 중심으로 산업클러스터를 형성, 친저우 팡청 강, 베이하이, 티엔산강, 동싱 핑샹 클러스터 등 5개 기능성 클러스터를 함께 육성하는 5) 成 內 渝 發 展 帶 : 청두-충칭을 청위철도와 고속도로로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 육성( 成 都 - 内 江 - 重 慶 ) 6) 渝 廣 達 發 展 帶 : 동북부의 경제성장구역으로 발전 도모( 重 慶 - 達 州 ) 7) 成 遂 渝 發 展 帶 : 쌍핵을 잇는 새로운 경제구역 도모( 成 都 - 遂 寧 - 重 慶 ) 8) 成 綿 樂 發 展 帶 : 청두를 중심으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산업 육성( 成 都 - 綿 阳 - 樂 山 ) 9) 沿 長 江 發 展 帶 : 창장황금수로, 도로, 철도를 연결하는 교통중심지( 重 慶 - 泸 州 - 宜 宾 )
개발계획 추진 난닝( ) 클러스터: 고기술산업, 가공제조업, 상공업과 금융, 전람회, 물류 등 현대서 비스업 친저우( )팡청강( ) 클러스터: 임해중화학공업, 항구물류 중점 베이하이( ) 클러스터: 전자통신, 생물제약, 해양개발 등 고기술산업과 수출가공업 티엔산강( ) 클러스터: 대형정박지와 심수항해통로를 결합한 임항형 산업 중점 동싱( )핑샹( ) 클러스터: 변경수출가공, 상업무역물류, 변경여행 중점 < 지도 4 > 광시 북부만 경제권 16 아세안 국가와의 경제협력강화를 위한 보세구 등 인프라확충 - 아세안 진출 기지로서 물류, 무역, 제조기지 및 정보교류센터의 역할을 부여하였으며, 특히, 친저우에 건설한 보세항구는 중국 서남부 해안 유일의 보세구역 - 2012년까지 철도, 도로, 수상운송, 항공 등의 입체 교통망 건설에 3천억 위앤을 투자하 여 아세안과의 국제교통망을 구축할 계획 환경보호 계획과 동시 추진 - 북부만경제구의 12%에 해당하는 면적을 자연보호구로 지정,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을 보호할 계획임 K O C H 신장 경제권( ) (2010~2020) 신장지역은 8개국과 접경한 중국 최대 변경무역의 거점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등 I
신장자치구 발전을 위한 5개년, 10개년 목표 확정 - '10년 5월, 베이징에서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주재로 중앙신장공작좌담회 개최, '20년까 지 '샤오캉( )사회' 실현을 목표로 각 지방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을 받게 될 것임을 발표 - 개발에 필요한 재원은 중앙정부와 각 성 정부 재정수입의 일부(할당량 0.3%~0.6%)로 조달할 예정이며, 19개 성시의 신장지원 규모는 총 100억 위앤 상당이 될 것으로 예상 풍부한 자원 : 중국전체 매장량의 38%에 해당하는 석탄 매장, 세계 최대 유전 지대인 타 림분지 위치 주요도시: 우루무치, 쿠얼러 등 - 우루무치( ) : 서북 최대의 경제 소비의 중심지(신장의 65%차지)이며, 변경무역 의 기점도시로 물류, 인프라환경이 개선되고 있음(중국횡단철도(TCR) 통과). 한류 분위 기 존재 - 쿠얼러( ) : 신장자치구 최고의 클린(Clean)도시이며, 천연자원 개발을 위해 건설 된 한족( ) 중심의 신도시. 자원개발과 동시에 환경프로젝트 수요가 있으며, 한족 비 중이 70%를 넘어 상대적으로 사업환경이 안정됨 - 그 외 아커쑤( ), 카스( ), 아라산커우( ) 등 유통소비도시 존재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신장자치구 개발 계획의 8대 과제 자원세 개혁(종량세->종가세) '12.5 규획 10) ' 기간 총 2조 위앤 투자 금융서비스망 확대 토지지원정책 강화 기업소득세 혜택(2년 면제, 3년 반감) 시장진입 제한규정 완화 카스( 喀 什 ) 경제특구 설치 결정 천연가스 관련정책 완화 17 '10년 7월 서부대개발 업무회의에서 발표된 서부대개발 프로젝트 총 23개 중 6개 프로 젝트가 신장지역 관련 개발 프로젝트로, 향후 서부지역에서 신장에의 투자가 늘어날 것 으로 예상됨 10) 12.5 규획: 2011~2015년까지의 중국정부의 5개년 경제발전계획 (2010.10월 중국공산당 17기 5중전회에서 결정)
4. 서부지역의 대외교역 동부에 비해 외국기업의 진출 미흡 서부대개발의 진행에도 불구, 외국인투자의 동부 집중현상은 크게 변화가 없음 - 이는 서부대개발이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직까지 시장 및 투자환경이 성 숙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보임 *중국전체 외국인투자유치 중 서부지역의 비중 4.6%('00) 2.9%('04) 4.4%('07) 서부지역의 투자유치 특징 - 주요 투자 국가는 중국 전체의 투자유치와 마찬가지로 홍콩, 미국, 일본, 싱가포르 순이 며, 이 중 홍콩이 30%이상을 차지 한국의 중국 서부지역 투자는 매우 미미한 수준임(13위) - 서부지역 투자의 80%이상이 광시, 쓰촨, 샨시, 충칭에 집중 - 주요 투자분야는 제조업과 부동산이나, 물류비가 높고 연관산업의 부재로 연해지역에 비 해서 제조업 비중이 낮은 편 '98~'06년간의 FDI 유입액 중 제조업(48.2%), 부동산(17.8%), 전력 및 상수도(8.7%), 서비스업(6.8%) 등 4개 분야가 전체의 81.5% 차지 18 현지 진출 주요 다국적 기업 구 분 기 업 쓰 촨 충 칭 샨 시 구이저우 광 시 윈 난 Motorola, Enron, Lafarge, Toyota, Huvis, Carrefour, Siemens, Coca-cola, Itochu, Itoyokado Ford, Ericsson, BP, Suzuki, Honda, Pepsi, ABB, Carrefour, Nokia, Metro, Mcdonald, Yahama, Denso, Glaxowellcom, Siemens, Isuzu Coca-cola, GM, Simense, Benz, Rolls-royce, Mitsubishi, Volvo, ABB, IBM, HP, Siemens, Janssen, Boeing, Daikin, Toray Mitsui group, C.C Jamson corporation, Marubeni, Fuji Zhengda group, Dasailu Chemical, NEC Nippon chemical industrial, Nisso Iwai 자료원 : 대한상의 K O C H I
대외수출입 교역현황 '09년 서부지역의 대외무역 총액은 943억 달러로 '98년 133억 달러에 비하면 무려 8배 성장, 연평균 23.2% 성장 < 연도별 중국전체 및 서부지역 대외교역액 비교 > (단위: 억 달러)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중국 5,102 6,209 8,515 11,544 14,225 17,611 21,745 25,604 22,010 서부 198 228 300 401 491 626 849 1,144 943 비중(%) 3.8 3.6 3.5 3.4 3.4 3.5 3.9 4.4 4.2 자료원: kotis 중국해관통계 그러나 '09년 교역액 비중은 중국 전체 교역액의 4.2%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99년의 3.8%와 비교하여도 비중은 크게 확대되지 못하였음 서부지역중 대외무역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쓰촨성으로 2009년도 215억 달러로 서부지 역 전체 중 22.8%를 기록 - 신장(16.9%), 광시(14.3%), 네이멍구(9.9%), 샨시성(9.1%) 순임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2009년 서부지역 성,시,자치구별 대외교역액 비교> (단위: 천만달러) 19 자료원: kotis 중국해관통계
5. 서부대개발 1기('00~'10) 진전 상황 및 향후 전망 서부대개발 1기의 진전 상황 10년간의 서부대개발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서부지역과 동부 연안지역과의 격차가 벌 어진 것은 세제 혜택의 제한 및 자원가격의 국가 통제 등, 서부지역에 대한 정책지원이 부족했던 것으로 평가됨 - 동부에서 시행된 과도한 우대정책은 상대적으로 외자와 민간자본의 서부 진입을 제한하 는 요인이 되어왔으며, 자원가격을 국가가 장기간 통제함으로써 자원보유의 우세를 점하 고 있는 서부지역이 이를 지역 경제성장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였음 동부지역과의 빈부격차 뿐 아니라, 서부지역 내에서도 경제발전의 격차 상존 - 서부지역의 1인당 GDP는 '09년 2,817달러 수준으로 상승했으나 기타 지역과의 격차는 여전함(서부지역 GDP가 중국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5%에 불과) - 또한, 서부대개발이 진행되면서 청두, 시안, 충칭 등 일부 대도시 지역은 뚜렷한 발전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지역은 오히려 경제상황이 악화되기도 하는 등, 서부지역 안에서 격차가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남 20 소수민족의 문제 - 중국은 이미 '08년과 '09년 각기 티벳과 신장지역에서 대규모 민족 충돌을 경험하였으 며, 이 같은 민족갈등은 중국의 사회적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경제개발과 환경 생태 보호 균형문제 - 경제개발을 통한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 간 균형점을 찾는 것이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음 향후 발전방향 검토 위와 관련, 서부대개발 추진 10주년을 맞이하여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주요 관련부처에 서 정책 심화방향 검토 K O C H 특히 '10. 7월 베이징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주관으로 열린 서부대개발 공 작회의에서, 후진타오 주석이 직접 서부대개발의 추진 의미를 강조하고 향후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제시함 - 향후 10년간 서부대개발의 총괄 목표: 서부지역의 종합적 경제능력 강화, 기초인프라 I
확충, 현대 산업체계의 기본골격 형성, 중요 에너지 기지 건설, 자원가공기지 건설, 장 비제조업 기지 및 전략적 신흥산업기지 육성,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 기초 공공서비스 제공능력에 있어 동부지역과의 격차 해소, 생태환경보호 등 - 또한 청위( )경제권, 관중-텐수이( - )경제권과 광시북부만( )경 제권 등 핵심경제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 2050년까지 번영, 안정, 단결의 신 서부지역 건설을 목표로 인프라 확충, 생태환경 보호, 산업구조 조정, 생활환경 개선 등 서부대개발 1기의 발전방향을 유지 심화할 예정 주요 분야별 전망 물류 및 교통시스템 개선 - 고속도로 및 고속철도망, 성( )간 연결 국도건설, 시안국제항무구( ) 건 설, 쓰촨, 구이저우, 윈난의 공항 증설 등을 계획 중이며, 이를 통해 서부지역의 종합교 통망을 구축, 그간 서부지역 진출환경 중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물류부분 개선 추진 미래 중점 사업으로서의 에너지 부문개발 지속 - 기존의 에너지원인 가스, 석유, 수력발전 등을 더욱 확충할 뿐만 아니라 풍력, 태양광,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바이오에너지, 메탄가스 등 신재생 에너지 개발 추진 생태환경 보호 최우선 - 고도성장에 따른 부작용으로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서부지역에선 처 21 음부터 생태환경보호에 역점을 두고 있음 - 생태환경 보호의 주요 정책은 건조지역에 대한 토사 유실 및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 사업 등임 산업구조 조정과 고부가가치, 특색산업 육성 - 특화농업 발전, 풍부한 자원을 활용한 에너지 화학공업 광산채굴과 가공업 및 장비제조업 첨단산업 등 특색산업을 육성하고, 서부지역의 관광자원을 활용한 여행업 발전 등을 추진 - 국유기업 주도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민간주도의 경제성장 적극 추진하여 개혁개방의 속도에 박차 주민들의 생활환경 제고 - 농업 생산능력 제고, 농민 소득수준 향상, 빈곤퇴치 사업 실시 등을 통해 생활여건 개선
및 의료 등 공공서비스 추가 개선 - 특히, 장래의 빈곤 개선 정도를 반영하는 교육도 타 지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 에 이에 대한 개선책(9년 의무교육, 청장년 문맹 퇴치 등)이 추진될 전망임 대외 개방정책 및 인접국가와 연계 강화 - 시장경제 체제를 유지하는 것과 더불어 외국인 투자에 대해 세제혜택 등을 제공하여 외 국인 투자 유치 확대 -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 연계 확대 '10년 7월 서부대개발 업무회의에서 발표된 신규 프로젝트 총 23개 프로젝트에 6,822억 위앤 투입 예정 22 사업구분 철도 건설 고속도로 건설 공항 건설 발전설비 건설 전력망 구축 탄광 개발 주 요 내 용 - 상해( 上 海 )-쿤밍( 昆 明 ) 여객운송 전용선 내의 창샤( 长 沙 )-쿤밍( 昆 明 ) 구간 건설 - 청두( 成 都 )-구이양( 貴 陽 ) 철도선 내의 러샨( 乐 山 )-구이양( 貴 陽 ) 구간 건설 - 시안( 西 安 )-청두( 成 都 ) 여객운송 전용선 내의 시안( 西 安 )-쟝요우( 江 油 ) 구간 건설 - 바오지( 宝 鷄 )-란저우( 兰 州 )간 여객운송 전용선 건설 - 청두( 成 都 )-충칭( 重 庆 )간 여객운송 전용선 건설 - 다리( 大 理 )-리쟝( 丽 江 ) 구간 고속도로 건설 - 쿠처( 库 车 )-아커쑤( 阿 克 苏 ) 구간 고속도로 건설 - 레이쟈쟈오( 雷 家 角 )-시펑( 西 峰 ) 구간 고속도로 건설 - 구이양( 贵 阳 ) 공항 증설 - 서부지선(서부지역을 잇는 공항선) 건설 - 팡청강( 防 城 港 ) 원자력 발전소 1기 공정 - 다두허( 大 渡 河 ) 허우즈옌( 猴 子 岩 )과 야롱강( 雅 砻 江 ) 통즈린( 桐 子 林 ) 수력 발전소 건설 - 서부 태양광 발전소 건설 - 서부 풍력발전 기지 건설 - 서부 농업용 전력망 개선 - 칭짱( 青 藏 ) 직류전력망 구축 - 신장위구르자치구와 서북지역 전력망 연결 - 네이멍구 셩리( 胜 利 ) 노천탄광 2기 공정 - 신장위구르자치구 따징( 大 井 )광구 노천탄광 1기 공정 K O C H I 수리시설 확충 - 구이저우( 贵 州 ) 치엔종( 黔 中 )구역 수리시설 건설 1기 공정 - 티벳자치구 팡뚜어( 旁 多 )구역 수리시설 구축 - 네이멍구 하이보만( 海 勃 湾 )구역 수리시설 구축 - 신장위구르자치구 컨스와터( 肯 斯 瓦 特 )구역 수리시설 구축
Ⅲ. 우리기업의 진출현황 및 진출전략 1. 진출현황 서부지역 진출 특징 한국의 대중국 투자규모에 비해 우리기업의 서부지역 진출은 미미 - '93년부터 '09년까지 한국의 대중국 투자기업 및 금액은 각각 20,101개사, 286억달러 이며, 이 중 서부지역의 비중은 진출기업 기준 1.4%(총 276개사), 투자금액 기준 1.3% (3.9억 달러)에 불과함 - 서부대개발 추진 후 서부지역 투자가 증가하였으나 대중국 투자가 전체적으로 확대되었 기 때문에 서부지역의 투자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 - 최근 들어 중부지역에 대한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동부지역에 비해 매우 적은 상황이며, 서부지역은 뚜렷한 증가추세를 보이지 않고 있음 <2001-2009 한국기업의 권역별 대중국 투자금액 및 비중> (단위: 백만달러, %) 연도 동남부 중부 동북3성 서부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금액 555 30 65 5 비중 88 5 10 1 금액 993 20 87 8 비중 90 2 8 1 금액 1,622 53 130 43 비중 88 3 7 2 금액 2,044 65 259 21 비중 86 3 11 1 금액 2,488 96 237 28 비중 87 3 8 1 금액 3,041 119 229 49 비중 89 3 7 1 금액 4,677 174 597 37 비중 85 3 11 1 금액 2,894 291 572 61 비중 76 8 15 2 금액 1,592 197 278 19 비중 76 9 13 1 23
일부 인프라가 좋은 지역에 편중 - 쓰촨(충칭 포함, 97개사, 11,086만 달러), 윈난(39개사, 2,990만 달러), 샨시(29개사, 2,348만 달러)순서('93~'09년) 소규모 투자 - 서부지역에 대한 법인당 투자금액은 1,421천 달러로 일반적인 대중국 투자와 마찬가지 로 소규모임 (중국 전체평균 1,422천 달러/법인) - 일부 대기업의 운수업, 자원개발 투자 이외 영세규모의 요식업이 대부분임 교역현황 - 서부지역은 철, 광석, 희토류 등 천연자원 외에도 농산물, 한약재 등이 한국으로 많이 수 출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서부지역으로는 전기기기 장비 및 부품, 보일러 기기 부품, 플 라스틱 제품 등이 수출되고 있음 - 서부지역으로 수출하는 제품 중 상당수가 직교역보다 연해지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한국과 서부간 정확한 교역량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음 한국기업의 진출 사례 24 K O C 서부지역의 인프라 및 투자조건이 열악하여 연해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서부로 진출을 꾀 하거나 또는 현지 국영기업과의 합작 등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진출 사례 및 시사점 - SK케미칼과 삼양사의 합작법인인 휴비스는 서부대개발 추진 시작과 함께 서부대개발의 정책중심지인 쓰촨성 청두에 진출, 대규모 폴리에스터 생산공장을 현지에 건설하고 내수 시장을 공략함 - 또한 쓰촨성 청두에는 금호고속 및 대우인터내셔널이 일찍부터 여객운송 사업으로 진출, 고속버스 및 터미널 운영 등 현지 사정에 맞는 영업 노하우를 적용하여 현지진출에 성 공. 이밖에 - 현대엘리베이터의 사천성 멘양 난지오 공항 엘리베이터 공사 수주, SK에너지의 아스팔 트 사업 등은 서부대개발의 주된 사업인 인프라 확충과 관련하여 그 혜택을 본 사례임 - 한편, 광물자원공사가 최근 자원무기로 떠오른 희토류의 안정적 공급처 마련을 위해 투자 한 사례는 우리의 필요에 의해 중국 서부지역으로 진출한 경우임. 이처럼 향후 자원 뿐 아니라 내수시장 확보에 있어서도 중국서부의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 H I
- 2020년에 완공예정인 미래형 도시, 스마트 시티(Smart City) 건설을 위해 첨단 IT기술 을 들고 진출한 SK텔레콤과 같이, 서부대개발 2기를 기점으로 한국의 앞선 기술을 투자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 <주요 한국기업 진출사례> 진출지역 기업명 진출현황 '02년 SK케미칼과 삼양사가 합작, 8,750만달러 투자 하여 '사천휴비스화섬유 한공사' 설립 '04년 연간 15만톤 규모의 폴리에스터 단섬유(저온융용) 생산공장 건립, 80% 쯔궁시 휴비스 를 중국 내수시장에 공급 ( 自 貢 市 ) (SK, 삼양) - 폴리에스터는 소파, 자동차, 베개 등의 원재료로, 쓰촨성의 지진 복구와 건설 붐으로 인해 수요 급증 청두, 상하이, 광저우 등에 3개 판매지사를 설립,중국 전역의 판로를 개척함 '95년 국내 운수업계 최초로 중국시장 진출 청두, 우한, 선전, 톈진, 상하이, 이빈 등지에서 12개 합자회사를 설립, 운영 중 이빈시 - 750대 규모의 차량보유, 150개 노선 운행 금호 ( 宜 宾 市 ) 의빈금호장봉운수유한공사: 2007년 8월 쓰촨성 이빈시에 설립(중국 내 12번 째 합자회사) - 여객운송 사업 외에 '의빈금호객운터미널'을 운영하는 등 터미널 사업도 병행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쓰촨 청두시 진마강 ( 金 馬 江 ) 유역 SK 텔레콤 '진마 스마트시티(Smart City)' 구축 및 운영사업 추진 '10년, 중국 건설회사인 중철2국(중국중철2국집단유한공사)와 중외( 中 外 ) 합 작회사 설립 '20년까지 진마강 유역(26km2 면적)에 건설예정인 친환경 스포츠중심의 상업/ 주거 단지 내,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도시 서비스 도입 예정 25 청두시 CJ '03년 청두에 연간생산 6만톤 규모의 사료공장 (청두사료유한공사) 설립 청두시 대우 '95년 중국과 함께 투자해 대우인터내셔널청두운수법인 설립, 고속버스 회사 운영 - 청두-충칭 간 노선 운영 - 운수 사업 외 자체터미널 운영을 통해 수익창출 (*금호로 운영권 인수됨) 청두시 현대 WIA '03년에 중국 진출, 현재 서부 청두에 사무소 설립, (서부지역 투자 검토) - 법인(강소성 장가항 3개, 산동성 일조 2개) - 사무소(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칭다오, 우한, 청두) 주요사업: 자동차 부품, 주물, 공작기계조립, 엔진, 금형제조 등 청두시 LG상사 상하이(무역법인), 난징(보세구법인)에 이어, 서부의 청두에 무역사무소 설립 - 대표처(상하이, 베이징, 대련, 광저우, 심천, 얼뚜어스) - 사무소(남경, 우한, 청두, 칭다오, 지난, 텐진) 매출액 50억달러(화학, 금속, 철강, 전자, 석탄 등)
진출지역 기업명 진출현황 사천 멘양시 ( 綿 陽 市 ) 현대 현대엘리베이터, 2000년 5월 중국 사천성 멘양시 난지오 공항 승강기 공사 수주 산시 시안시 광물 자원 공사 '03년 중국 시안에 한 중합작 서안맥슨 희토류 가공법인 설립 '10년 6월, 광물자원공사와 포스코차이나가 중국 희토금속 생산업체 포두영신 희토유한공사(내몽고 바오터우시) 지분 60% 인수, 경영권 확보 - 중국의 희토류 수출제한에 따른 안정적 공급처 마련 충칭 충칭시 GS 홈쇼핑 '05년 충칭시에 홈쇼핑 현지법인 '충칭GS쇼핑' 설립 신장 우루무치 한화 후베이 우한 SK 에너지 한화염호화공유한공사 - '96년 현지 국영기업과 합작투자해 설립 - 염호에서 채취한 원료가공, '무수( 無 水 )망초' 생산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 아스팔트 시장 공략 '93년 중국 진출, '04년 저장성 닝뽀에 물류 합작법인 설립, '06년 인근에 아 스팔트 생산공장 가동, '06년 4월 베이징에 연구소 설립 등 서부대개발 추진은 아스팔트 수출에도 호재로 작용 - 중국 수입 아스팔트 시 장 점유율 50%이상 온앤온(패션제품), 미샤(화장품), 이랜드(의류), LG산전, LG전자 판매법인, 두산(굴삭기), 현대(굴삭기), 한국타이어, 농심(라면), 크린 ( ) 등도 서부지역에서 활발히 활동 중 26 2. 서부대개발 심화에 따른 우리의 진출전략 서부지역 진출 제약요인 외투기업 투자환경 열악 -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글로벌 마인드가 부족 - 높은 급여에도 불구, 통역 등 필요인력 확보에 어려움 - 국제학교, 병원 등 외국인들을 위한 기초 생활환경 인프라 부족 K O C H 후방 연관 산업의 부족 - 일부 자원 및 에너지 관련 산업을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후방 산업이 덜 발달하여 연해지 역의 제조기업 이전이 어렵고, 대기업 위주로 산업이 발달해 있어 중소기업의 합작 기회 가 적은 편임 I
- 또한 특정산업이 크게 발달해 있지 않아 외국과의 직접 교역보다는 필요시 연해지역으로 부터 관련 제품 등을 조달하고 있어 수출입 관련 서비스도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음 시장 경제 시스템 미흡 - 서부지역은 계획경제체제에 익숙해 있고 시장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현지 기업 활동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음 - 또한 대부분이 국유기업으로 민영화 의지부족과 현지 산업구조 때문에 민영기업 및 중소 기업이 많지 않아 산업 효율성이 떨어짐 진출 유망 분야 제조업 : 청정 농산물 생산, 농산물 가공(밀, 옥수수, 석류, 키위, 곶감 등), 자동화 설비 수출 등 자원에너지 : 풍부한 서부지역의 자원개발 및 가공, 천연자원 뿐 아니라 풍력, 태양광, 바 이오 에너지 등 최근 중국정부가 집중 육성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주목 소비 서비스 : 내륙지역의 소비시장이 커짐에 따라 백화점, 할인매장 등의 유통산업의 진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출도 용이해질 전망이며, 청정 농산물 유통, 프랜차이즈(제과, 미용, 편의점) 등도 유망 함. 일본의 이토요카도 백화점이 청두 시장을 공략,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통해 진출에 성공한 사례를 통해 서부지역의 유통시장 공략가능성 확인 27 환경 : 서부대개발이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나 중국정부에서 기본적으로 생태 환경 보호를 염두에 두고 진행하려고 노력 중. 상하수도, 오폐수 처리, 집진설비, 쓰레기 소각 등의 환경관련 사업이나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DM사업 등도 진출유망 기타 : 첨단분야의 ITS, U-city, 생명공학 관련사업 등 진출유망 우리기업의 서부시장 진출전략 1) 서부지역 특성을 살린 현지 시장진출 3대 핵심경제권 등 개발이 집중된 지역으로 먼저 진출할 것 - 서부대개발 2기에 집중 육성될 것으로 보이는 청위경제권(청두, 충칭), 관중-톈수이 경
제권(시안), 광시북부만 경제권(난닝, 베이하이) 등 핵심경제권은 서부지역에서도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은 신흥시장임 - 특히, 시안, 청두, 충칭을 중심으로 서삼각 경제권이 부상하고 있고, 충칭에는 양강신구 ( )가 신규 지정('10.6), 상하이 푸동신구( ), 톈진 빈하이신구( )와 같은 빠른 발전이 예상됨 서부대개발 대형 프로젝트와 연관되는 틈새시장 공략 - 철도, 고속도로, 공항 등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고속버스 및 터미널, 아스팔트, 공항 승강기 사업 진출로 연결되었음. 이와 같이 교통망 확대 및 인프라 건설, 신흥도시들의 집중 육성과 함께 우리기업들의 진출 가능한 틈새시장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 - 또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오폐수처리 및 CDM사업 등 환경관련 사업이 중 시되고 있음. 전세계적인 환경산업 중시 추세와 함께 관련기술을 보유한 우리 기업의 진 출 가능성 증가 *사례) C사, 닝샤 오폐수처리장 프로젝트 수주 등 28 한류 친화적인 분위기를 이용하여 진출,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시장선점 필요 - 서부지역은 전반적으로 한류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한국의 이미지가 좋기 때문에 외국기업 들의 진출이 많지 않은 지금 시점에 진출하는 것이 한국기업의 시장선점에 유리 - 성공한 기진출 외투기업들의 경우처럼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 진출, 현지인력 중용 등 현지인들에게 친근감 있게 다가가는 전략수립이 필요함. 산업구조 고도화, 임금인상 등 중국경제의 구조변화에 대비 - 중국정부가 외투기업에게 제공하는 세제혜택 등 투자환경 개선 노력과는 별도로 중국 경 제 전반의 구조조정으로 인해 투자기업들의 여건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 서부지역 또한 지금은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지만, 임금인상을 염두에 두고 진출 분야 및 세부 진 출전략을 세워야 함. - 글로벌 선진시장으로서의 중국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 2) 소비재 시장 진출 심화 - 빠르게 증가하는 '소득'과 확대되는 '시장' K O C H 소득 수준의 빠른 상승으로 소비계층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2, 3선 도시로도 중고급 제품 의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활용, 한류 컨셉을 살린 제품 진출 - 이랜드, 미샤, 크린, 온앤온 등 성공사례 참고 I
현지 유통망과의 연계를 통한 시장 진입 필요 - 까르푸, 이토요카도, 중바이( ), TV홈쇼핑(GS 등) 중국의 내외자 유통망을 활용하여 소비시장 진출 <서부 주요도시 소비시장 비교> 서부 주요도시 GDP 1인당 GDP 사회소비품소매판매액 상주인구 억위앤 증감률(%) 위앤 달러 억위앤 증감률(%) 만명 충칭 6,529.00 14.9 22,916 3,355 2,479.00 18.6 2,859 청두(쓰촨성) 4,503.00 14.7 34,988 5,122 1,950.00 20.3 1,287 우루무치 (신장자치구) 1,095.00 9.5 45,398 6,646 473.00 13.0 241 쿤밍(윈난성) 1,808.65 12.8 28,894 4,230 864.61 23.4 628 시안(샨시성) 2,719.10 14.5 32,351 4,736 1,381.12 19.7 843 난닝 (광시자치구) 1,492.38 15.0 21,479 3,144 757.01 19.8 698 이토요카도( 成 都 伊 藤 洋 華 堂 ) 백화점의 중국 중서부시장 공략 성공사례 ㅇ 일본의 유명 유통업체 이토요카도(Ito Yokado)는 '96년 자본금 1,730만 달러로 청두에 유통법인을 설립, 현 재 중서부 지역에 총 4개의 백화점을 운영 중 - 청두 소재 백화점 중 최고매출 기록, 주로 대중적인 중저가 상품 취급 (세계 최고 브랜드는 거의 도입하지 않음) - 설립목적: 소매유통업자로 더욱 좋은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내륙 유통시장 진출 전략 특징> ㅇ 지역화 마케팅: 점포를 중심으로 반경 3-5km 이내 소비자 대상 ㅇ 중저가 마케팅: 소득수준 월 1400~1500위앤(한화 약 25~30만원) 소비자 겨냥, 현지 조류 리드하는 중저 가 신규제품 소개 ㅇ 현지인력 중시: 700명 중 10년 이상 근무직원 250명(높은 충성도), 직원을 DM모델로 활용 등 ㅇ 현지인력 전면배치 경영전략 시도(제2 도약기) 29 3) 프로젝트 시장 진출 확대 서부지역의 권역별 경제권 형성의 핵심은 '도시화'를 통한 내수시장 확대 및 경제발전으로 나타나고 있음 - '도시화'는 서부 각 도시에서 환경 에너지, 지능형도시 구축 프로젝트(오폐수처리장, 쓰레 기 소각장, U-City, Eco-City, ITS 교통망 구축) 등을 통해 진행 중
프로젝트 시장 관련, 다수의 시장 참여기회가 형성되고 있음 - 현지기업 및 정부 유관기관 파트너링을 통한 시장진출 시급 *사례) R사, 청두 쓰레기 매립장 가스발전소 건설 공사 낙찰 <끝> 30 K O C H I
2010년 KOTRA 발간자료 목록 Global Business Report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2010년 세계시장의 기회와 위협 2010.1 10-002 CIS 레저시장, 이것이 대세! 2010.1 10-003 일본시장 투자진출 유망분야 및 진출전략 2010.2 10-004 2010년 세계시장의 뉴노멀 트렌드 2010.3 10-005 일본 실버산업 현황과 비즈니스 기회 2010.3 10-006 독미 강소기업에게 배운다 2010.4 10-007 요르단, 중동의 의료허브 꿈꾸다 2010.4 10-008 요르단, 중동의 의약품 수출 교두보 된다 2010.4 10-009 불황을 이긴 세계시장의 우수 중기제품들 2010.4 10-010 아시아 주요국 정보통신현황 2010.5 10-011 부상하는 아시아 유망 시장&산업 2010.5 10-012 미국 건강보험 개혁과 국내 업계 진출확대 방안 2010.6 10-013 글로벌 주요국 3D 산업 현황과 진출방안 2010.6 10-014 신재생에너지로 변화하는 서남아 2010.6 10-015 일본 신재생 에너지 산업 현황 및 전망 2010.7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10-016 중국의 해외 M&A 사례와 시사점 2010.7 10-017 중앙아시아 건설중장비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2010.7 10-018 러시아 산불 피해 동향 조사 2010.8 10-019 신흥시장의 알파기업에서 배운다 2010.8 31 10-020 태국 정부조달 이렇게 접근하라 2010.8 10-021 한-페루 FTA 활용 진출전략 2010.8 10-022 한-EU FTA 발효에 대한 EU 바이어 및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반응 조사 2010.8 10-023 해외사례로 보는 모바일비즈니스 성공 비결 2010.10 10-024 인도 최대의 축제, 디왈리 특수 활용방안 2010.10 10-025 최근 원화강세에 따른 우리 수출시장 동향 2010.10 Global Issue Report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최근 대한수입규제전망과 2010 전망 2010.2 10-002 최근 환경규제 동향 및 2010년 전망 2010.3 10-003 G-20 출구전략 논의 동향 및 전망 2010.3 10-004 러시아-벨로루시-카자흐스탄 관세동맹 체결과 그 영향 2010.4 10-005 러시아 Skinhead 테러주의 2010.4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6 한.중.일 3국의 대아시아 경제협력 현황 및 성공사례 2010.5 10-007 한국-러시아 앞으로 20년을 대비하라 2010.5 10-008 (남유럽 재정위기 이후) PIGS 국가별 변화 양상 2010.8 KOTRA Executive Brief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중동의 미개척 시장 시리아 2010.1 10-002 오바마 취임 1년, 평가와 전망 2010.1 10-003 일본 글로벌 기업의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10.2 10-004 도요타 리콜 사태의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 파급효과 분석 2010.3 10-005 G20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상품 점유율 변화 동향 및 전망 2010.3 10-006 2010년 1분기 KOTRA-SERI 수출종합지수 2010.3 10-007 2010 美 USTR 무역장벽 보고서 주요 내용 및 시사점 2010.4 10-008 2010년 2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0.4 10-009 떠오르는 녹색강국 중국시장 집중조명 2010.4 10-010 일본 차세대자동차전략 2010 2010.4 10-011 브라질 페트로브라스 심해유전개발 프로젝트 동향 2010.5 10-012 유럽발 경제위기와 진출기업 동향 2010.5 10-013 내전종식 후 1년, 스리랑카의 새로운 기회를 점검하다 2010.5 32 10-014 2010 콜롬비아 대선동향 2010.5 10-015 칠레 OECD 가입과 국내업계 시사점 2010.5 10-016 태국 시위사태 현황과 전망, 경제 파급 영향 2010.5 10-017 녹색시대를 앞서가는 세계시장의 강소기업들 2010.6 10-018 일본 신성장전략 보고서 2010.7 10-019 2010년 3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0.7 10-020 최근 세계시장 현황과 우리 수출시장의 특이동향 2010.7 10-021 이슬람 최대의 종교행사 라마단(금식월)과 비즈니스 시사점 2010.8 10-022 미국의 대이란 포괄적 제재법 발효에 따른,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2010.8 10-023 세계경제 더블딥 가능성에 따른 주요국 시장 동향 2010.9 K O C 10-024 최근 엔고현상에 따른 우리 수출시장 동향 2010.9 10-025 디자인에서 '리'자인 시대로 2010.10 10-026 2010년 4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0.10 10-027 美 환율법안 추진에 따른 국내업계 파급효과 전망 2010.10 10-028 일본 소비재 시장의 최신동향 2010.10 H I
KOCHI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KOTRA가 바라본 중국 성시별 비즈니스 기회와 진출전략 2010.2 10-002 세수로 보는 2010 중국경제 2010.4 10-003 KOTRA가 선정한 올해의 차이나 키워드 2010.4 10-004 상하이 엑스포 참가효과와 경제적 가치 2010.4 10-005 상하이엑스포 이후 중국, 이렇게 바뀐다 2010.4 10-006 아시아, 대양주 녹색시장 현황 및 협력방안 2010.5 10-007 중국 내수 신흥유망시장 공략 설명회 2010.7 10-008 올해 중국 히트상품은 이것 2010.7 10-009 주목해야 할 중국의 2,3선 도시들 2010.7 10-010 중-대만 ECFA 우리산업에 미치는 영향 2010.7 10-011 독일기업 사례로 본 중국시장 진출 전략 2010.10 10-012 10년의 대개발, Mega 시장으로 떠오른 中 서부 2010.10 FDI Theme Report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PIIGS 국가 경제위기 동향 및 외국인직접투자 영향 분석 2010.2 10-002 글로벌 기업의 CVC 운영현황 및 투자동향 2010.3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10-003 글로벌기업의 일본내 사업 철수, 축소 동향 및 투자유치 시사점 2010.3 10-004 중국 위안화절상이 국내 FDI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0.3 10-005 '10년 1분기 미국 일본 유럽 대한투자현황 및 향후전망 2010.6 10-006 해외 주요국의 투자유치 관련 제도 및 정책 현황 2010.6 33 10-007 중국의 해외투자 동향 및 중국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 2010.7 외국인투자정책센터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중동 국부펀드의 동향 및 투자유치 전략 2010.10 KOTRA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2010년 지역별 진출여건 2010.1 10-002 2010 年 1000 大 수출유망상품 2010.1 10-003 캄보디아 투자유의사항 가이드북 2010.1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4 KOTRA 중장기 경영전략 G-LEAD 2020 2010.1 10-005 프랜차이즈 해외진출가이드 (미국편) 2010.2 10-006 프랜차이즈 해외진출가이드 (중국편) 2010.2 10-007 프랜차이즈 해외진출가이드 (일본편) 2010.2 10-008 프랜차이즈 해외진출가이드 (베트남편) 2010.2 10-009 중국 지식재산권 관련 법령 및 규정집 2010.3 10-010 Living in Korea Q&A 2010.2 10-011 해외 전력시장 진출 가이드 2010.2 10-012 중동 북아프리카 비즈니스 & 문화 가이드 2010.2 10-013 [ITS]신성장 동력 글로벌 시장동향과 진출전략 2010.3 10-014 [바이오의약품]신성장 동력 글로벌 시장동향과 진출전략 2010.3 10-015 [태양광]신성장 동력 글로벌 시장동향과 진출전략 2010.3 10-016 2009 중국시장 진출확대사업 보고서 2010.2 10-017 2009 일본시장 진출확대사업 보고서 2010.2 10-018 중국 유사상품 및 서비스 구분표 2010.3 10-019 한-아부다비 비즈니스 포럼 종합 결과 보고서 2010.3 10-020 IPP(민자발전) 프로젝트 수주 가이드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이집트, 케냐) 2010.5 10-021 주요국 Smart Grid 정책/시장 조사 2010.4 34 K O C H 10-022 '09년 해외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2010.4 10-023 그린리포트 (Vol 7. 2010 Spring) 2010.4 10-024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 Network 2010 2010.4 10-025 주요국 정보통신 현황 - 유럽편 2010.4 10-026 주요국 정보통신 현황 - 미주편 2010.4 10-027 주요국 정보통신 현황 - 아시아/대양주편 2010.4 10-028 주요국 정보통신 현황 - 중동/아프리카/CIS편 2010.4 10-029 북미 온라인 대형 유통망 진출 전략 2010.4 10-030 2009 외국인투자옴부즈만 연차보고서 2010.5 10-031 Foreign Investment Ombudsman Annual Report 2009 2010.5 10-032 러시아 건설시장 진출가이드 2010.5 10-033 중동 소매유통시장 공략포인트 2010.6 10-034 주요산업별 국가 투자유치 경쟁력 분석 2010.6 10-035 주요산업별 FDI 프로젝트 동향 2010.6 10-036 우리기업의 업종별 해외투자지도 2010.6 10-037 SW수출강국도약-이스라엘성공사례분석 2010.6 10-038 2009년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2010.6 I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39 중동CIS 의료기기 시장동향 2010.6 10-040 중동CIS 의약품 시장동향 2010.6 10-041 Global Smart SOC Initiative 2010 결과 보고서 2010.7 10-042 그린리포트(Vol 8. 2010 Summer) 2010.6 10-043 인도 주별 시장특성과 비즈니스 기회 2010.6 10-044 글로벌 IT 100대 기업 협력현황 분석(상) 2010.7 10-045 글로벌 IT 100대 기업 협력현황 분석(하) 2010.7 10-046 몽골 투자 가이드 2010.7 10-047 국가 및 산업 브랜드 맵 2010.6 10-048 2010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개최결과보고서 2010.7 10-049 스위스 그린산업을 가다 2010 2010.8 10-050 국내주요기관 해외네트워크 2010 2010.9 10-051 2010년 중남미 보안시장 동향 2010.9 10-052 주요국 통신시장 진출가이드(상) 2010.9 10-053 주요국 통신시장 진출가이드(하) 2010.9 10-054 주요국 IT부품시장 진출가이드 2010.9 10-055 주요국 SW.정보보호시장 진출가이드(상) 2010.9 10-056 주요국 SW.정보보호시장 진출가이드(하) 2010.9 1 0 년 의 대 개 발 M e g a 시 장 으 로 떠 오 른 中 서 부 10-057 주요국 10대 유망 소프트웨어 2010.9 10-058 2009년도 Invest KOREA 연차보고서 2010.9 10-059 그린리포트(Vol 9. 2010 Autumn) 2010.10 10-060 부품소재 대일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 2010.10 35 설명회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01 2010 세계시장진출전략 설명회 2010.1 10-002 2010 세계시장진출전략 비즈니스 포럼 2010.1 10-003 "물류센터를 활용한" 북미대형온라인유통망진출전략설명회 2010.3 10-004 세계 전력 시장 진출 설명회 2010.3 10-005 앞으로 5년, 미리보는 중국시장과 사업기회 2010.3 10-006 [ITS]신성장 동력 해외 진출전략 설명회 2010.3 10-007 [바이오의약품]신성장 동력 해외 진출전략 설명회 2010.3 10-008 인도 비즈니스 환경변화와 성공전략 2010.3 10-009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전략 포럼 2010.3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0-010 GATEII 글로벌 바이오기술 투자세미나 2010.3 10-011 KOTRA 중남미클럽 창립 포럼 2010.3 10-012 2010 글로벌 채용박람회 2010.3 10-013 KOTRA-Alibaba 온라인 한국 상품관 설명회 2010.4 10-014 제 2차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전략 포럼 2010.5 10-015 2010 춘계 글로벌 파워텍 연계 세미나 2010.5 10-016 GE 투자설명회 2010.5 10-017 Global Project Plaza 2010 2010.5 10-018 Global Project Plaza 2010 - Asia Session 2010.5 10-019 Solvay Venture Initiative 2010.6 10-020 인도 비즈니스 포럼 창립 세미나 2010.6 10-021 중국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 2010.6 10-022 중동CIS 의료시장 진출 설명회 2010.6 10-023 중남미 클럽 2차 포럼 2010.6 10-024 <핵심고객 초청> 중남미 시장진출 설명회 2010.8 10-025 <핵심고객 초청> CIS 시장진출 설명회 2010.8 10-026 <핵심고객 초청> 인도.베트남 시장진출 설명회 2010.8 10-027 중남미 이러닝 진출전략 설명회 2010.9 10-028 Merck Venture Initiative 2010.9 10-029 KOTRA 중남미클럽 3차 포럼 2010.9 10-030 제 3차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전략 포럼 2010.9 10-031 EU 상표 디자인 출원 설명회 2010.10 10-032 Global Marine Tech 2010 세미나 2010.10
- 10년의 대개발, Mega시장으로 떠오른 中 서부 - - KOCHI자료 10-012 - 발행인 : 조 환 익 발행처 : KOTRA 편집인 : 곽 동 운 발행일 : 2010년 10월 주 소 :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우 137-749) 전 화 : 02)3460-7114(대표) 홈페이지 : www.kotra.or.kr Copyright c2010 by kotr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저작권은 kotra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하여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 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