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1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137-747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 108 2010년 5월 7일 ISSN 1976-0507 Vol. 4 No. 21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박 철 형 세계지역연구센터 아중동팀 전문연구원 (chpark@kiep.go.kr, Tel: 3460-1092) 윤 서 영 세계지역연구센터 아중동팀 연구원 (syyun@kiep.go.kr, Tel: 3460-1040) 최근 UAE 아부다비로부터의 원전수주를 계기로 양자간 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 - 이에 현지 협력수요 평가를 통해 양자간 유망 협력분야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 아부다비 경제발전의 핵심과제는 유가변동에 취약한 경제구조의 안정화와 석유고갈시 기(post-oil)에 대비한 산업다각화 및 민간부문 육성, 그리고 자국민 고용확대를 위한 고급 일자리창출 등임. - 이에 아부다비 정부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국가 균형발전을 핵심 목표로 하는 장기 발전전략(Abu Dhabi Economic Vision 2030)을 추진 중에 있음. - 발전전략 실현을 위해 세계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 재정 건전성 및 효율성 확대 금융 통화 정책의 유연성 및 안정성 제고 노동시장 효율성 향상 고급 인적자본 형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함께 산업다각화를 위한 유망 업종을 선정 육성하고 있음. 현지 경제협력수요는 민간산업 협력과 더불어 공공행정, 교육 연구개발 등의 분야에 걸 쳐 폭넓게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됨. - UAE의 협력수요와 양자간 비교우위를 활용할 수 있는 유망 협력분야를 발굴하 고, 협력범위를 확대 심화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 차원의 타당성 평가 및 점진적 사업추진이 필요한 시점임. - 다만 인근 산유국들의 발전전략 및 육성 분야의 유사성으로 인해 향후 역내 공급 과잉 가능성이 잠재하는 만큼, 투자협력 등 진출 확대 시 이를 감안한 진출 전략 을 마련해야 할 것임.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2 1. 문제제기 최근 UAE 아부다비로부터의 원전수주를 계기로 양자간 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음. - 2009년 12월 27일, 한국전력 컨소시엄은 아부다비 정부로부터 총 200억 달러 규모의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를 수주 1) 하였음. 이는 사상 첫 한국형 원전 수출이자 사상 최 대 규모의 해외수주 달성임. - 또한 양국 정부는 한 UAE 외교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격상시키고, 경제협력분 야 확대를 위한 범정부차원의 협력협정(MOU)을 체결함에 따라 양자간 협력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음. 그러나 한 UAE의 경제협력은 에너지와 건설 플랜트 분야에 집중된 상황으로 양자간 경제협력의 범위 확대가 긴요한 상황임. - 2009년 말 현재, 양자간 전체 교역액(143억 달러) 가운데 원유 가스 등 에너지 관련 제품 수입(77억 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상회하는 한편, 우리의 오일머니 환류 는 플랜트 수주(157억 달러)에 치중되어 있음. - 향후 UAE가 유망 신흥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투자 및 서비스 분야 등 으로의 경제협력 다변화를 모색할 시점임. 이에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 분석을 통해 현지 경제협력수요를 평가함으로써 우리 의 유망 협력분야를 점검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글상자 1. UAE 아부다비 개황 아부다비(Abu Dhabi)는 7개의 토호국으로 구성된 연방제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연합 (UAE: United Arab Emirates)의 수도이다. UAE는 전 세계 원유매장량의 7.8% (세계 6위), 천연가스매장량의 3.5%(세계 7위)를 보유한 에너지부국으로 전체 에 너지 매장량의 95% 가량이 아부다비에 집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부다비는 UAE 정치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부다비의 국왕이 UAE의 대 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아부다비 인구는 약 150만 명으로 이 중 자국민의 비중은 25%에 불과하며 외국 인이 75%를 차지하고 있다. GDP 규모는 약 1,100억 달러로 UAE 전체 GDP의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1인당 GDP는 5만 4,000달러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 다. 아부다비는 2000년 초반부터 지속된 고유가에 힘입어 최근 5년간 연 10% 내 외의 빠른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아부다비는 세계 최대 규모(약 8,750억 달러)의 국부펀드인 아부다비국부펀드(ADIA)를 운영하고 있다. 1) 원전 건설 외에 운영, 원료공급, 폐기물처리 등의 비용을 포함할 경우 총 400억 달러 규모.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3 2. UAE 아부다비 경제의 구조적 특징과 과제 아부다비 경제는 석유 가스 산업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유가변동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 - 석유 가스 등 에너지부문이 아부다비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에 이르는 반면 제조업 비중은 11%에 불과함. - 석유수출수입( 收 入 )이 정부 재정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를 상회함. - 에너지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관계로 유가변동에 따라 경기가 민감하게 반응함. 정부의 경제 개입이 매우 광범위하고 공공부문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음. - 여타 중동 산유국과 마찬가지로 아부다비 역시 정부가 석유 가스를 판매하여 그 이익 을 국민에게 분배하는 분배국가(allocation state)의 성격을 지님. - UAE의 GDP 대비 정부지출비중은 약 25%로 정부 및 국영기업이 대규모 산업시설을 설립 운영하고 공공서비스 및 일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자국민의 실질적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으며 외국인노동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아부다비의 경우 전체 고용에서 외국인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89%에 이르며, 실업 률은 자국민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 12%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됨. - 자국민의 경우 국가가 직 간접적인 보조를 통해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상당 정도 고용을 보장하기 때문에 경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할 유인이 낮음. - 경제활동 참가 및 인적자본 축적에 대한 낮은 유인은 자국민의 노동생산성 저하로 이어 지고 이는 민간부문의 성장을 제한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함. - 또한 현지인의 노동기피현상과 낮은 노동생산성은 결국 외국노동력에 대한 높은 의존으 로 나타남. 따라서 유가변동에 취약한 경제구조의 안정화와 석유고갈시기(post-oil)에 대비한 산업 다각화 및 민간 부문 육성, 그리고 자국민 고용확대를 위한 고급 일자리 창출 등이 아 부다비 경제발전의 핵심과제임.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4 3.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중점 육성산업 가. 비전 및 목표 아부다비 정부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국가 균형발전을 핵심 목표로 하는 장기 발 전전략(Abu Dhabi Economic Vision 2030)을 2005년에 수립하였음. -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을 위한 하위 발전목표로 1) 산업다각화를 통한 경제구조의 다 변화(안정적 경제성장), 2) 기업 중심의 경제기반 마련, 3) 민간 경쟁력 강화 및 생산 성 증대 등을 설정함. - 국가 균형발전 을 위한 하위 발전목표로 1) 청년고용 확대, 2) 여성 경제활동 활성 화, 3) 대내외 고급 노동력 확보, 4) 지역균형개발 등을 설정함. 자료: Abu Dahbi Department of Planning & Economy. 또한 이 발전전략을 통해 경제성장 및 비에너지부문 비중 확대 등 국가경제의 양적 질적 성장에 대한 중장기 거시경제 목표치를 제시함. - 2030년까지 경제규모를 2005년의 5배 수준인 4,150억 달러로 확대하고, 비에너지부문 의 GDP 비중을 41%에서 64%로 확대한다는 경제목표치를 제시함. - 비석유부문의 GDP 대비 재정적자를 32%(2005)에서 4%(2030)로 축소하고 동시에 물 가상승을 억제하여 경제안정성을 확보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5 - 교육 및 기술훈련을 통해 양질의 노동력을 양성하고 자국민 실업률을 12%(2005)에서 5%(2030)까지 낮춤. - 생산성 및 기업경쟁력 제고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경제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함. (단위: 십억 달러) 자료: Abu Dahbi Department of Planning & Economy. 나. 주요 정책과제 아부다비 정부는 상기 발전전략 실현을 위한 7대 정책과제를 세계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 재정 건전성 및 효율성 확대 금융 통화 정책의 유연성 및 안정성 제고 노동시장 효율성 향상 고급 인적자본 형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으로 선 정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추진함. 세계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한 행정시스템 효율화 및 외국인투자 환경 개선 - 행정효율화 및 종합행정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행정 개편, 전자정부 프로그램을 실시함. -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조세 소유권 반독점 기업지배구조 등에 관한 법률 개편에 착 수하였으며, 투자자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사법시스템 개선을 추진 중임.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6 재정 안정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재정수입( 收 入 )의 다변화 및 정부지출 합리화 - 유가등락에 민감한 에너지수입( 收 入 )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아부다비 정부는 최근 달러화 표시 국채를 발행하였으며, 재정흑자 잉여금을 아부다비국부펀드(ADIA) 에 투자함. - 효율적 재정운용을 통해 정부의 경상지출(OPEX: Operational Expenditure)을 축소하 고 중장기 자본지출(CAPEX: Capital Expenditure)을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금융 통화 시장의 유연성 및 안정성 제고를 통한 외부시장 충격 대응 및 안정적인 물 가 조절 - 은행업 및 보험업에 대한 효율적 규제장치 마련을 통한 유동성 확보 및 투자자 신뢰를 강화함. - 고유가 및 경기확대 상황에서도 물가상승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마 련함. 물가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부동산, 식품 등 물가 민감품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함. 노동시장 합리화, 민간부문 고용확대, 노동생산성 향상 등을 통한 노동시장 효율화 및 고급 인적자본 형성 - 외국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이민정책 개선과 함께 장기적으로 외국인 노동력을 자국민 으로 대체하기 위한 자국민 고용확대정책을 추진함. - 자국민의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해 교육 기회 및 수준을 제고하고, 단기적으로는 경제 발전전략 하의 중점 육성업종에 대한 전문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함.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및 국가경쟁력 강화 - 전력 및 수자원 인프라 확충을 통해 경제발전과 인구증가에 따른 전력 및 수자원 수요 증가에 대응함. 아부다비 수전력청(ADWEA)은 아부다비 전력 및 수자원 부문의 개방을 통해 민간 및 외국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방침임.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7 - 교통인프라 확충을 통해 경제성장기반을 마련하고 물류서비스분야의 국가경쟁력을 강 화함. 아부다비는 국제무역거점도시, 국제관광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공항 항만 및 도시전철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통망 완비에 2017년까지 68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다. 중점 육성산업 및 사업추진동향 아부다비 정부는 안정적인 석유 가스 생산을 위한 에너지개발사업과 더불어 산업다각 화를 위한 중점 육성산업을 선정하여 해당 부문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 세계 에너지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석유 가스 증산 프로젝트를 추 진하고 있으며, 원유생산량을 2010년 270만b/d에서 2018년 350만b/d로 확대한다는 목표 하에 2016년까지 24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 한편 산업다각화를 위하여 에너지 연관 제조업과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종을 중점 육성 산업으로 선정하고 이 부문의 육성을 위한 대규모 국책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제조업분야에서는 신재생에너지와 석유화학 금속제련업을 중점 육성산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 지구온난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에너지원의 다변화,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적으로 신 재생에너지산업을 중점 육성분야로 선정하였으며, 2009년에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본부 유치에 성공하였음. - 에너지 연관 제조업인 석유화학과 금속제련업을 중점 육성산업으로 선정하고 풍부한 에너지자원과 가격경쟁력을 활용하여 수출주도형 산업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임. 서비스분야에서는 운송 물류 관광 의료 정보통신 미디어 교육 금 융 등을 중점 육성산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 풍부한 오일머니를 활용한 고부가가치형 서비스업 육성을 통해 비에너지부문의 발전을 주도하고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식경제로의 이행을 달성한다는 전략임.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8 육성부문 목표 또는 발전방향 주요 사업추진동향 석유가스 개발 신재생 에너지 석유화학 금속제련 운송물류 관광 - 세계 7대 원유 세계 6대 천연가 - 주력 유전개발사업인 Zakum 유전 확장 프로젝트를 스 보유국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통해 2015년까지 생산능력을 75만b/d로 증산, 최종 생산 추구 적으로는 120만b/d로 생산능력 확충 목표 - 2010년 270만 b/d에서 2018년까 - 샤(Shah) 가스전의 일일 생산량 10억 cf/d를 목표로 지 350만b/d로 증산 목표(2016년 개발프로젝트 추진(투자규모 약 100억 달러로 2014 까지 240억 달러 투자 계획) 년경 프로젝트 착수 예상) - 세계 최초의 무탄소 도시(마스다르시티) 개발(개발비 - 에너지원의 다변화 및 신성장동 용 약 220억 달러로 2008년 착공, 2016년 완료) 력 창출 목적 - 탄소포집기술 개발을 통한 연 2,000만 톤의 이산화 - 탄소배출량을 2020년까지 현재의 탄소 포집 프로젝트 추진 절반수준으로 감축 계획 - 걸프지역 최초의 태양열 발전소 건설 - 에너지 연관 제조업 발전을 위해 석유화학산업 육성 - 2030년까지 1,000억 달러를 석유 화학부문에 투자할 계획 - 풍부한 에너지원과 원가우위를 활용한 수출상품(알루미늄, 철강 등) 생산 -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ADNOC)는 Ruwais 지역에 200억 달러 규모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생산 플랜트 건설 계획 발표 - Emirates Aluminium은 칼리파 산업특구에 알루미늄 제련소 확장 프로젝트 추진(투자규모 50억 달러의 Taweelah Emal 2단계 프로젝트, 연간 제련용량 140만 톤 예상) - 항공 물류거점 및 해상 물류허브 - 알 아인(Al-Ain) 국제공항 인근에 물류 및 비즈니스 를 통해 국제물류중심지로 부상 단지 개발 추진 목표 - 칼리파 항만/산업지구(KPIZ) 건설 추진(2012년까지 - 교통망 완비에 2017년까지 680억 수용능력 200만TEU의 1단계 프로젝트 완료, 2030 달러 투자 계획 년까지 수용능력 1500만TEU 목표) - 국가이미지 제고 및 경제다각화의 일환 - 두바이와 차별화되는 중동 문화 허브 지향 - 사디야트 아일랜드(Saadiyat Island) 프로젝트(풍부 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프랑스 루브르미술관의 분관 인 루브르 아부다비, 미국 구겐하임미술관의 아부다 비 분관 등의 유치에 성공) 의료 정보통신 미디어 교육 -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설비 및 - Cleveland Clinic 건설 프로젝트(투자규모 19억 달러 서비스 제공이 목표 로 2011 완공 예정, 한국의 우리들병원과 사업 제휴) - UAE 전체 총 18억 달러 규모의 의료시설 증축 추진 - 국영통신사 Etisalat를 통해 해외통신시장에 적극 진 - 세계경제로의 통합 및 고부가가 출(중동 북아프리카 등 인근 10여 개 국가에 진출) 치 지식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정 - 중동 미디어허브를 목표로 미디어자유구역 Twofour54 보통신 미디어 산업 육성 프로젝트 추진(CNN, BBC, Thomson Pictures 등의 미디어 기업 유치) - 세계적 수준의 교육서비스를 통 - 프랑스 소르본대학, 미국 예일대학, 뉴욕대학 등의 한 고급인력 양성 및 주변국 유학 캠퍼스 설립(투자규모 18억 달러, 수용능력 2만 생 유치 4,000여 명 이상) 금융 - 중동 금융 중심지 목표 - 아부다비금융센터(ADFC) 건설 추진 - Royal Bank of Scotland(포춘 100대 기업) 중동본 부 유치 자료: Abu Dahbi DPE; 해외건설협회(2010. 4. 9); KOTRA(GBR 09-25); MEED 및 현지 언론보도 등을 토대로 필자 정리.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9 4. 협력수요 평가 및 시사점 UAE 아부다비의 경제협력수요는 민간산업 협력과 더불어 공공행정, 교육 연구개발 등의 분야에 걸쳐 폭넓게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됨. - 아부다비 발전전략 하의 역점분야는 산업다각화와 민간부문 활성화, 공공행정 역량 강 화, 일자리 창출 및 고급인력 양성 등으로 분석됨에 따라 현지 경제협력수요는 산업부 문과 공공행정, 교육 연구개발 분야 등 다방면에 걸쳐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됨. 이에 한 UAE 양자간 경제협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양자간 상호 호혜적 경제 발전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을 적극 모색 필요가 있음. - 향후 고유가의 장기화가 예상됨에 따라 주요 산유국인 UAE는 지속적인 오일머니 유 입과 인구증가에 힘입어 유망 신흥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판단됨. 민간경제예측기관인 Global Insight에 따르면 UAE의 GDP 규모는 2009년 2,030억 달러 에서 2015년 3,640억 달러로 80% 가량 증가하고, 1인당 GDP 역시 2009년 4만 1,600달 러에서 2015년 6만 5,900달러로 6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UAE와의 경제관계에 대한 인식을 기존 에너지 플랜트 중심의 협력대상에서 포 괄적 산업협력파트너이자 중동지역 투자 서비스 진출거점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UAE의 협력수요와 양자간 비교우위를 활용할 수 있는 유망 협력분야를 발굴하고, 협 력범위를 확대 심화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 차원의 타당성 평가 및 점진적 사업추진이 필요한 시점임. - UAE 측이 보유한 풍부한 에너지자원과 오일머니, 지도자의 강력한 리더십, 그리고 한국의 우 수한 기술력과 인적자원, 신속한 사업화능력 등의 결합을 통해 협력의 시너지 창출이 가능함. - 산업협력차원에서는 신재생에너지와 환경 등 녹색산업과 정보통신(ICT), 의료, 교육, 금융서비스분야의 협력을 검토할 수 있음. - 공공행정분야에서는 산업화정책과 금융 통화정책, 행정효율화 및 전자정부, 중소창업 지원정책 등 정부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을 추진할 수 있음. - 교육 연구개발 분야의 경우 고등과학기술교육 및 전문직업훈련 프로그램 협력과 함께 정보통신/환경 등 첨단분야에 대한 국책연구기관 간 공동연구개발 등을 추진할 수 있음.
UAE 아부다비의 발전전략과 경제협력수요 평가 10 자료: 필자 작성. 다만 인근 산유국들의 발전전략 및 육성 분야의 유사성으로 인해 향후 역내 공급과잉 가 능성이 잠재하는 만큼, 현지 투자 진출 시 이를 감안한 진출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임. - 걸프지역 산유국들의 경우 유사한 산업구조로 인해 국가별 중장기 발전전략과 중점 육 성분야 역시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음. 산유국들이 풍부한 에너지자원을 활용한 에너지 연관 제조업 육성과 막대한 오일머니 를 활용한 고부가 서비스업을 육성한다는 측면에서 각국의 발전전략은 대동소이함. - 이처럼 육성분야의 중첩으로 인해 향후 역내 공급과잉 및 과당경쟁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투자협력 등 현지 진출 확대 시 이를 감안한 진출 전략을 마련 해야 할 것임. 국가 중장기 경제개발계획 중점 육성분야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Long-Term Strategy(2005~24) 8th Development Plan(2005~09) Abu Dhabi Economic Vision 2030 Abu Dhabi Economic Strategic Plan(2009~13) Qatar National Vision 2030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2010~15) 자료: 현지 정부 및 언론보도를 토대로 필자 정리. 석유화학, 금속, 자동차(부품), 건설자재, 플라스틱용기, 정보통신, 교육, 관광, 금융 석유화학, 금속, 신재생에너지, 운송물류, 정보통신, 의료, 교육, 관광, 금융 에너지 연관 제조업, 정보통신, 교육, 관광,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