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22DBFF8C0FA31352D3030333828BCADC1A6C7F6293138392E687770>



Similar documents
< D BAFBB0A3BCB7B4DCC3FEC3D4BFB5C0BB20C0CCBFEBC7D120C1A4BBF32C20B3ECB3BBC0E5C0C7C1F52C20C3CAB1E220B3ECB3BBC0E5BFA1BCADC0C720BAAFB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 D31312D303228B9DABBF3BFEC2DC0CCC1D8BCBA292D E687770>

14-JKOS hwp

< D B0B3B9E6B0A2B3ECB3BBC0E5C8AFC0DAC0C720C8B2B9DD20B8C1B8B720B9D720BDC3BDC5B0E6C0AFB5CEC1D6C0A7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20B5CEB

<31302D31362D C8B2BFB5C8C62DB1E8B9CEB0E E687770>

012임수진

<31352D30392D303128C0E5BFB5BCAE2DB1E8C3BBC8AF E687770>

<32352D30332D313828C0CCBCBABAB92DB1E8B0E6B3B E687770>

<31302D31312D323328BEF6B1E2B9E62DBCADBBF E687770>

김범수

<31312D31362D B9DAC7FDBFB52DC8B2BAB8C0CE E687770>

< D30312D303528B9DABCBAC8F12DC3D6C1D8C8A D 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15-JKOS (김정림-김동근)1425.hwp

Lumbar spine

untitled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01) hwp

(정윤석-최정훈)_220~226.hwp

황지웅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03-서연옥.hwp

< D DB3ECB3BBC0E5BEC8BFA1BCAD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B5CEB2B2BFCD20C1DFBDC9B0A2B8B7B5CEB2B2C0C720BBF3B0FCB0FCB0E820BAD0B

<31302D31362D C0AFBFB5C3B62DC0A7C0B1C0E E687770>

A 617

( )Kjhps043.hwp

1..

< D C7FC20BFC0BAEABDBAC4B520B0A2B8B7C1F6C7FCB5B5B8A620C0CCBFEBC7D120BFF8C3DFB0A2B8B7B0FA20BFF8C3DFB0A2B8B7C0C7C1F5C0C720B0A2B8B7C7FCC5C2BAF1B1B E687770>

( )Kju225.hwp

대한안신경의학회지 : 제 4 권제 1 호 Clin Neuroophthalmol 4(1):1-5, June 2014 ISSN: REVIEW 시야검사 최서영 충북대학병원신경과 Visual Field Tests Seo Young Choi, MD Depart

( )Jkstro011.hwp

<31312D31322D313928C0CCB4EBBFB52DC0B1C1A6C8AF E687770>

<32302D31362D C0D3C7F6C5C32DC7D1C0CEB1D E687770>

<35BFCFBCBA2E687770>

02 로봇수술센터 300례 달성 캄보디아 현지 수술로 유방암, 갑상선암 22건 집도 현지 외과의사 양성 프로그램도 적극 지원 예정 <1면에 이어서> 수술은 오전 8시부터 저녁 7시까지 계속됐다. 이번 캠프에 참여한 장여구 교수는 "NGO단체인 헤브론병원이 정부로부터 외

<32352D30312D303628B1C7BFC0BFF52DB0ADC7F6BDC E687770>

<31342D30322D313628B1E8C0E7BCAE2DC3A4B9CEBAB E687770>

(이성진-김승훈)( ).hwp

<30342D31332D B1E8C0E7C0CF2DB0ADBAC0C8F E687770>

( )Kju269.hwp


DBPIA-NURIMEDIA

590호(01-11)

노영남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14.531~539(08-037).fm

정상안의시야결손특성파악을위한 다양한시야분석방법비교 Jihyoung Lee 1, Younggeun Choi 1, Gunhee Oh 1, Minjae Kim 1, Hyejee Kim 2, Jinho Joo 2, Jaheon Kang 2, and Hee

< D B3ECB3BBC0E520B9D720B0EDBEC8BED0C1F520C8AFC0DABFA1BCAD20B1D9BDC320C1A4B5B5BFA120B5FBB8A5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20B5CEB

DBPIA-NURIMEDIA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DBPIA-NURIMEDIA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09권오설_ok.hwp

???? 1

서론 34 2

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31342D30352D303628B1E2C3A2BFF82DC0CCC1D6BFAC E687770>

04조남훈

<31302D30392D303128B9DABBF3BFEC2DC0CCC5C2C8F E687770>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30345F D F FC0CCB5BFC8F15FB5B5B7CEC5CDB3CEC0C720B0BBB1B8BACE20B0E6B0FCBCB3B0E8B0A120C5CDB3CE20B3BBBACEC1B6B8ED2E687770>

대한안신경의학회지 : 제 5 권제 1 호 Clin Neuroophthalmol 5(1):27-32, June 2015 ISSN: REVIEW 시야장애 강봉희 김재일 단국대학교의과대학신경과학교실 Visual Field Defects Bong-hui Ka

Jksvs019(8-15).hwp

대한안신경의학회지 : 제 4 권제 1 호 Clin Neuroophthalmol 4(1):17-21, June 2014 ISSN: REVIEW 빛간섭단층촬영 김응수 1,2 김안과병원 1, 건양대학교의과대학안과학교실 2 Optical Coherence T

< D30322D303928C0CCBAB4B7CE2DB0EDBAB4BFEC292D E687770>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DBPIA-NURIMEDIA

<31322DC1F5B7CA31352D C0AFC1F6B8ED2DC7E3C7F6B5B E687770>

<31372D30342D303628B1E8BDC2C7F62DBCADC7FDC1F E687770>

Kbcs002.hwp

DBPIA-NURIMEDIA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139~144 ¿À°ø¾àħ

(김형찬-오세범)_ 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Feb.; 29(2), IS

untitled

001-학회지소개(영)

Æ÷Àå82š

< D30342D333428C0AFBDC2BFB52DB9AEBCBABFEE292D E687770>

( )Jksc057.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Æ÷Àå½Ã¼³94š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kbcs030(10)( ).hwp

Can032.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30(9),


09È«¼®¿µ 5~152s

I 서론 치과용 임플란트는 Brånemark 등1의 골유착 (osseointegration) 발견 이후 끊임없는 발전 을 거듭해 왔다. Brånemark 등 1 이 밝혀낸 골 유착은 임플란트의 표면과 living bone 사이에 연조직 층 의 생성이 없이 직접 골조직이

<31372DB9DABAB4C8A32E687770>

Transcription:

검안 및 콘택트렌즈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4 호 Ann Optom Contact Lens 2015;14(4):189-193 ISSN 2384-0919 (Print) ISSN 2384-0927 (Online) Original Article 뇌하수체샘종 환자의 빛간섭단층촬영소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 in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정재우 1 조성호 1 서제현 1 정재호 1 성순기 2 Jae Woo Jung, MD 1, Seong Ho Jo, MD 1, Je Hyun Seo, MD 1, Jae Ho Jung, MD, PhD 1, Soon Ki Sung, MD 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안과학교실 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학교실 2 Department of Ophthalm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1, Yangsan, Korea Department of Neuro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2, Yangsan, Korea Purpose: To assess differences i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parameters between who diagnosed pituitary adenoma and glaucoma. Methods: In this study retrospectively evaluated three groups (14 eyes of 7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14 eyes of 14 patient with glaucoma who has same visual field defect as pituitary adenoma patients, 14 eyes of 14 patients normal controls) were detected visual fiels defect and imaged with spectral-domain OCT (cup to disc ratio, regional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ganglion cell complex)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4. In each group regional RNFL thickness.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mporal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between group of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and normal controls. And we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cup to disc ratio, vertical cup to disc ratio, cup volume between group of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and glaucoma (P<0.05). No other parameters in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 is distinguish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from glaucoma. Ann Optom Contact Lens 2015;14(4):189-193 Key Word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ituitary adenoma, Retinal ganglion cell, Retinal neuron 뇌하수체샘종은 시신경 교차 부위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 는 중추 신경계의 양성종양으로 종양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점점 시신경 교차 부위 압박이 심해지면 앞 시신경로 압박 으로 다양한 시기능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시야 결손은 종양의 크기와 침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Received: 2015. 7. 10. Revised: 2015. 9. 19. Accepted: 2015. 9. 2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e Hyun Seo, M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20 Geumo-ro, Mulgeum-eup, Yangsan 50612, Korea Tel: 82-55-360-2131, Fax: 82-55-360-2161 E-mail: jazmin2@naver.com 수 있다. 1-3 시신경 교차에 압박을 주는 뇌하수체샘종은 경우에 따라 서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며, 시야장애가 나타나는 것 은 중요한 수술 적응 중 하나이다. 시신경 압박이 발생하여 시야 결손이 나타난 경우 양이측반맹이 흔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양상의 시야결손을 보일 수 있다. 뇌하수체샘종의 수술적 치료는 나비뼈경유수술 또는 머리뼈경유수술을 통 하여 종양의 일부 또는 전체의 제거로 이루어지고 종양에 의한 압박이 없어지게 되면 시기능의 회복이 다양하게 나 타나게 된다. 4,5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 포 복합체의 분석을 통해 시신경교차의 압박이 없는 뇌하 Copyright 2015, The Korean Optometry Society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is an Open Access Journal. All articles ar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89

- 검안 및 콘택트렌즈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4 호 - 수체샘종 환자를 초기에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보고가 있었으나, 6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변화를 통하여 시신경 교차를 압박하는 뇌하수체샘종을 진단하기에는 제 한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 7 임상적으로는 압박시신경병증의 시야소견은 위치에 따 라 녹내장성 시야결손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빛간 섭단층촬영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녹내장과 뇌하수 체샘종에 의한 압박시신경병증의 빛간섭단층촬영이 이를 아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는 뇌하수체샘종 환자에서 시신경 교차의 압박으로 나타난 시야결손과 녹내장 환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시야결손에 대해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경외과에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뇌하수체샘종 환자와 같은 기간 검진한 정상인과 시야검사에서 동일한 수준의 시야결손을 보이는 녹내장 환자의 빛간섭단층촬영 결과치 를 비교함으로써 뇌하수체샘종의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에서 뇌하수체샘종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 자로, 수술 전에 안과에서 시행한 시야검사에서 시야결손 이 관찰된 환자 7명 1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기간에 안과 진료를 받은 환자 중 녹내장을 진단받고 시야검사에 서 뇌하수체샘종 환자와 비슷한 평균 편차값(mean deviation, MD)을 보이는 시야결손을 가진 환자 14명 14안을 녹 내장 환자군으로 하였고, 당뇨, 고혈압 등의 내과적 전신질 환이 없고, 백내장 및 백내장 수술을 제외한 다른 안과적 과거력과 수술력이 없는 환자 14명 14안을 정상안 대조군 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검사(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통해 뇌하수체샘종을 진단받은 환자 중 시야검사에서 시야결손 이 관찰되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야검사는 Humphrey visual field analyzer II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로 central 30-2를 이용한 자동시야검사 를 시행하였으며 검사 결과 시야결손을 보이는 각각의 환 자에서 동일한 MD 값(± 3.00 db)이 측정된 환자들을 녹내 장 환자군으로 정하였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은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를 이용하였으며 Optic Disc Cube 200x200 스캔 및 Macular cube 512x128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신경유두, 망막신 경섬유층 두께, 망막신경절세포 복합체를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최대 교정시력, 안압, 세극등현미경검사, 시신경검사, 안저검사를 통하여 시야장애를 일으킬 수 있 는 다른 안과질환을 배제하였다. 기술학적 통계는 각각의 환자군을 독립표본 비모수적 검정(Mann-Whitney U-test)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p<0.05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 다고 판단하였다. 결 과 뇌하수체샘종을 진단받은 7명 14안의 평균 연령은 61.17 ± 15.19세(34-74세)였고 남자가 5명, 여자가 2명이었다. 평 균 최대 교정시력(logarithmic minimal angel resolution [log MAR])은 0.20 ± 0.31, 평균 안압은 16.36 ± 3.38 mmhg, 시야검사에서 관찰된 평균 MD 값은 -8.22 ± 5.49, 녹내장 군의 평균 연령은 56.85 ± 12.03세(45-83세)였고 남자가 9 명, 여자가 5명이었다. 평균 최대 교정시력(log MAR)은 0.06 ± 0.09, 평균 안압은 16.07 ± 6.96 mmhg이었다. 시야 검사에서 양이측반맹 1명, 양안 상이측사분맹 1명, 양안 우 측반맹 1명, 좌안 이측반맹 2명, 좌안 상측반맹 1명, 뚜렷한 시야결손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가 1명이었으며 MD 값은 일반적으로 초기, 중기, 말기 녹내장으로 구분하는 값인 -6 db, -12 db 범위의 절반인 ± 3 db 미만의 차이를 보이는 녹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ll patients Pituitary adenoma Glaucoma Normal p-value * Eyes (n) 14 14 14 Ages (years) 61.17 ± 15.20 56.85 ± 12.03 45.93 ± 22.96 0.296 Sex (M/F) 9/5 4/10 7/7 0.717 BCVA (log MAR) 0.18 ± 0.29 0.06 ± 0.09 0.04 ± 0.07 0.111 IOP (mmhg) 16.5 ± 3.18 16.07 ± 6.96 15.35 ± 3.74 0.352 Spherical Equivalent (D) -1.87 ± 3.12-0.39 ± 1.43-1.02 ± 1.71 0.770 Visual filed MD (db) -8.22 ± 5.49-9.89 ± 8.57-1.67 ± 1.85 0.040 Systemic hypertension 4 (57.14%) 1 (7.14%) 0 Diabetic mellitus 3 (42.86%) 4 (28.57%) 0 M = male; F = female;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OP = intraocular pressure; MD = mean deviation. *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est (p-value < 0.05 was significant). 190

- 정재우 외 : 뇌하수체샘종에서의 빛간섭단층촬영소견 - Table 2. Comparison of OCT parameters between pituitary adenoma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Pituitary adenoma Normal p-value * RNFL thickness (μm) 80.71 ± 16.46 92.64 ± 8.26 0.039 Rim area (mm 2 ) 1.15 ± 0.34 1.19 ± 0.14 0.769 Disc area (mm 2 ) 1.92 ± 0.40 2.13 ± 0.31 0.114 Average C/D Ratio 0.61 ± 0.13 0.64 ± 0.09 0.541 Vertical C/D Ratio 0.58 ± 0.14 0.62 ± 0.09 0.376 Cup volume (mm 3 ) 0.18 ± 0.13 0.35 ± 0.25 0.019 RNFL Thickness Average (μm) 80.71 ± 16.46 92.64 ± 8.26 0.039 Superior (μm) 99.64 ± 23.75 114.50 ± 20.55 0.227 Nasal (μm) 63.86 ± 9.32 66.00 ± 7.35 0.376 Inferior (μm) 104.86 ± 26.55 115.79 ± 12.91 0.376 Temporal (μm) 53.79 ± 11.82 74.43 ± 11.67 0.000 * Ganglion cell complex Average (μm) 71.57 ± 11.99 78.64 ± 9.53 0.050 Minimum (μm) 60.36 ± 17.83 70.57 ± 20.03 0.050 Superior (μm) 72.43 ± 11.85 79.57 ± 12.83 0.069 Superior-nasal (μm) 70.07 ± 15.20 82.36 ± 8.65 0.044 Inferior-nasal (μm) 68.14 ± 13.93 77.86 ± 10.82 0.056 Inferior (μm) 69.43 ± 9.61 72.43 ± 13.29 0.125 Inferior-temporal (μm) 75.57 ± 15.30 78.79 ± 8.83 0.804 Superior-temporal (μm) 74.43 ± 15.62 80.14 ± 7.96 0.401 OCT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C/D Ratio = cup and disc ratio. * Mann-Whitney U-test (p-value < 0.05 was significant). 내장 환자를 뇌하수체샘종 환자와 개별적으로 비교하였으며 뇌하수체샘종 환자군의 평균 MD 값은 -9.89 ± 8.57 (-20.95-0.17) db이었다. 정상안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45.93 ± 22.96세(13-73세)였고 남자가 7명, 여자가 7명이었다. 평 균 최대 교정시력(log MAR)은 0.04 ± 0.07, 평균 안압은 15.35 ± 3.74 mmhg이었다(table 1). 뇌하수체샘종 환자군과 정상안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측 시신경유두주 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에서 각각 53.78 ± 11.82 μm, 58.35 ± 13.23 μm로 뇌하수체샘종 환자군이 정상안 대조군 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p<0.001) (Table 2). 정상안에 비하여 뇌하수체샘종 군에서 rim area, disc area, average C/D ratio, vertical C/D ratio는 차이는 없었으 나, 시신경유두 함몰부피가 유의하게 적었다(0.35 vs. 0.18, p=0.019) (Table 2). 평균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의 두께는 뇌하수체샘종군에서 정상안 대조군에 비하여 유 의하게 얇아져 있었다(80.71 ± 16.46 μm vs. 92.64 ± 8.26 μm, p=0.039). 사분위 별로 비교를 할 때에는, 상측, 하측, 비측은 시신경섬유층의 차이는 없었으나, 이측에 시신경섬 유층 두께가 뇌하수체군에서 유의하게 얇아져 있었다 (53.79 ± 11.82 μm vs. 74.43 ± 11.67 μm, p<0.00001). 망막 신경절세포 복합체의 두께는 상비측(p=0.044)을 제외하고 는 2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뇌하수체샘종 환자군과 녹내장 환자군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시신경유두함몰비는 녹내장군에서 컸으며(0.60 ± 0.13 vs. 0.76 ± 0.08, p=0.001), 수직 시신경유두함몰비 역시 녹내장 군에서 컸다(0.58 ± 0.14 vs. 0.74 ± 0.11, p=0.003) (Table 3). 시신경유두 함몰부피는 뇌하수체샘종 환자군이 녹내장 환 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0.18 ± 0.13 mm 3 vs. 0.52 ± 0.24 mm 3, p<0.001) (Table 3). 평균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뇌하수체샘종군에서 녹내 장군에 비하여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80.71 ± 16.46 μm vs. 72.29 ± 17.40 μm, p=0.194). 그러나 사분위 별로 비교 를 할 때, 상측, 이측, 비측은 시신경섬유층의 차이는 없었 으나, 하측에 시신경섬유층 두께가 녹내장군에서 유의하게 얇아져 있었다(84.64 ± 31.70 μm vs. 104.86 ± 26.55 μm, p=0.05). 망막신경절세포복합체의 두께는 하이측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녹내장군에서 감소되어 있었다(75.57 ± 15.30 μm vs. 64.71 ± 10.34 μm, p=0.005). 나머지 망막신 경절세포복합체의 두께는 2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 지 않았다. 고 찰 뇌하수체샘종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중의 하나로 악성종양과 달리 조직에 대한 집적적인 191

- 검안 및 콘택트렌즈학회지 2015년 제 14 권 제 4 호 - Table 3. Comparison of OCT parameters between pituitary adenoma and glaucoma patients Pituitary adenoma Glaucoma p-value * RNFL thickness (μm) 80.71 ± 16.46 72.29 ± 17.40 0.194 Rim area (mm 2 ) 1.15 ± 0.34 0.8 ± 0.23 0.006 * Disc area (mm 2 ) 1.92 ± 0.40 2.02 ± 0.43 0.454 Average C/D Ratio 0.61 ± 0.13 0.77 ± 0.08 0.001 * Vertical C/D Ratio 0.58 ± 0.14 0.74 ± 0.11 0.003 * Cup volume (mm 3 ) 0.18 ± 0.13 0.52 ± 0.24 0.000 * RNFL Thickness Average (μm) 80.71 ± 16.46 72.29 ± 17.40 0.194 Superior (μm) 99.64 ± 23.75 85.86 ± 26.22 0.150 Nasal (μm) 63.86 ± 9.32 60.14 ± 12.54 0.454 Inferior (μm) 104.86 ± 26.55 84.64 ± 31.70 0.050 Temporal (μm) 53.79 ± 11.82 58.36 ± 13.24 0.210 Ganglion cell complex Average (μm) 71.57 ± 11.99 71.43 ± 8.54 0.734 Minimum (μm) 60.36 ± 17.83 61.64 ± 11.35 0.946 Superior (μm) 72.43 ± 11.85 73.71 ± 12.54 0.541 Superior-nasal (μm) 70.07 ± 15.20 77.86 ± 10.51 0.352 Inferior-nasal (μm) 68.14 ± 13.93 74.43 ± 10.74 0.227 Inferior (μm) 69.43 ± 9.61 67.86 ± 10.04 0.769 Inferior-temporal (μm) 75.57 ± 15.30 64.71 ± 10.34 0.005 Superior-temporal (μm) 74.43 ± 15.62 70.50 ± 10.23 0.094 OCT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C/D Ratio = cup and disc ratio. * Mann-Whitney U-test (p-value < 0.05 was significant). 침윤이 없고 시신경 교차에 대한 종양의 압박에 의해 시신 경의 손상과 이에 따른 시야결손을 발생시키게 된다. 8 특히 말초 신경의 손상의 경우 Seddon s classification에 따르면 신경차단, 축삭절단, 신경절단의 3가지 기전으로 구분되고 뇌하수체샘종의 시신경 교차 압박은 축삭절단을 주된 양상 으로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게 되어, 손상된 시신경에 의한 시야결손이 나타나게 된다. 축삭절단으로 손상된 신경은 미엘린 수초는 손상되는 반면 슈반세포, 신경내막, 신경다 발막, 신경외막의 손상은 발생하지 않아 신경 근위부는 성 장원추의 자라남에 의해 재생되지만 원위부는 축삭변성이 일어나게 된다. 결국 뇌하수체샘종의 압박으로 축삭절단이 발생한 시신경은 지지구조는 유지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신경섬유의 절단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원위 부에서부터 시신경의 퇴행이 관찰되게 된다. 이로 인해 시 신경의 원위부인 망막신경섬유층과 망막신경절세포복합체 의 두께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9,10 황반에서 기원하는 시신경 축삭은 시신경유두를 향해 수 평으로 진행하여 유두황반다발을 이루게 되고 이측에서 기 원하는 경우 수평솔기를 피해 황반의 상, 하로 활 모양으로 달려 시신경유두의 상, 하로 들어간다. 시신경유두에 인접 한 섬유일수록 맥락막에 가깝게 주행하고 시신경유두에서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 황반에서 시신경유두로 진입할 때 비측과 이측으로 구분되던 축삭들의 위치는 진행하면서 내회전을 하여 시신경교차에서는 45 내회전을 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뇌하수체 종양으로 압박을 가장 먼저 받 게 되는 부분은 양안 망막의 하비측을 담당하는 섬유가 있 는 곳이며 종양이 더 확장되면 상비측을 담당하는 섬유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시신경 교차에 압박을 주는 뇌하 수체샘종 환자에서 양이측반맹 및 양측의 하이측 또는 상 이측사분맹이 자주 관찰되게 된다. 하지만 시신경 교차를 압박하는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시야결손이 관찰될 수 있다. 11 반면 녹내장의 경우 망막신경절세포의 소실로 인해 나타 나게 되는데 수백만 개의 시신경 축삭들이 시신경유두에서 모여 사상판층을 통과하며 후방으로 향할 때 사상판전층에 서 90 회전하게 된다. 전부에서 각각의 축삭은 아교세포돌 기에 의해 구분되어 보호를 받고 시신경유두에서부터 사상 판에 의해 각각 구분되어 주행하게 된다. 고령, 안압의 증 가, 허혈 등으로 초래되는 사상판의 3차원적인 구조의 변화 는 축삭의 기계적인 손상을 유발시키는 한편 축삭 및 시신 경유두로 공급되는 혈액흐름을 방해하여 국소적인 허혈을 초래하여 시신경축삭과 망막의 신경절세포의 손상을 유발 한다. 그리고 사상판의 구조적인 변화는 시신경섬유의 손 상과 얇아짐으로 시신경유두 함몰을 진행시켜 시신경유두 함몰비가 증가하게 된다. 축삭과 사상판에 분포한 별세포 는 시신경유두와 사상판 주변에 분포하여 망막신경절세포 까지의 원활한 축삭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구성 하고 있다. 따라서 별세포가 손상은 축삭에서 활동전위의 192

- 정재우 외 : 뇌하수체샘종에서의 빛간섭단층촬영소견 - 전도를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별세포가 손상되며 발생하 는 일산화질소는 신경절세포의 소실을 일으키게 된다. 이 런 다양한 기전으로 시신경섬유의 축삭 및 신경절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시신경유두의 변화, 망막신경섬유층 의 소실이 진행되는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가 진행됨에 따 라 시야결손이 나타나게 된다. 12,13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두 질환의 병인과 기전이 차이 가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수준의 시야장애 를 나타내는 뇌하수체샘종 환자와 녹내장 환자에서 빛간섭 단층촬영을 통해 시신경의 다양한 척도를 비교하고자 하였 다. 정상군과 녹내장군을 비교하였을 때 관찰되는 평균 망 막신경섬유층의 두께의 소실, 시신경테두리의 크기의 축소, 평균 시신경유두함몰비의 증가, 하이측에 두드러지는 신경 절세포의 감소 등의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에 의한 차이를 뇌하수체샘종 환자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정상군과 뇌하수체샘종 환자군 비교에서 관찰되는 이측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의 차이는 앞에서 설명한 시신경교차의 해부학적인 특징으로 인해 이측의 축 삭이 먼저 압박을 받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뇌하수체샘종에서도 시신경유두함몰 크기의 증가, 망막신 경섬유층의 소실이 나타나지만 종양에 의한 시신경교차의 압박으로 시신경유두함몰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거나 감 소할 수 있음이 관찰되었고, 전형적인 상측 및 하측에서 먼 저 발생하는 녹내장에서의 망막시신경섬유층 손상과 달리 압박에 의한 먼저 손상을 받는 이측의 시신경섬유가 우선 적으로 소실되며 시야검사와 비슷한 영역의 망막신경섬유 층의 소실로 나타나게 된다. 14-18 비슷한 정도의 시야장애를 나타내는 뇌하수체샘종 환자, 녹내장 환자군의 비교에서 평균 시신경유두 함몰비, 유두 함몰부피 값이 녹내장 환자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은 뇌하 수체샘종 환자에서 관찰되는 시야결손이 시신경교차의 압 박에 의한 시야장애가 발생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시신경유 두에서의 축삭 손상의 기전으로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시야결손을 나타내는 뇌하수체 샘종 환자들과 녹내장 환자를 감별할 때는 빛간섭단층촬영 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뇌하수체샘종 수술 전 환자와 녹내장 환자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이상적으로 연구하자면, 뇌하수체샘 종 환자의 수술 전후 비교를 통한 빛간섭단층촬영소견의 변화, 시력의 변화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고 기대되나, 경과관찰이 되지 않아서 충분한 환자가 없어 서 이런 분석을 하지는 못하였으나, 추후에 이런 제한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있으면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Blamires TL, Reeves BC. Vision defects in patients with perichiasmal lesions. Optom Vis Sci 1996;73:572-8. 2) Wang H, Sun W, Fu Z, et al. The pattern of visu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J Int Med Res 2008;36:1064-9. 3) Thomas R, Shenoy K, Seshadri MS, et al. Visual field defects in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s. Indian J Ophthalmol 2002; 50:127-30. 4) Kerrison JB, Lynn MJ, Baer CA, et al. Stages of improvement in visual fields after pituitary tumor resection. Am J Ophthalmol 2000;130:813-20. 5) Gnanalingham KK, Bhattacharjee S, Pennington R, et al. The time course of visual field recovery following transphenoidal surgery for pituitary adenomas: predictive factors for a good outc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5;76:415-9. 6) Cennamo G, Auriemma RS, Cardone D, et al. Evaluaion of the retinal nerve fibre layer and ganglion cell complex thickness in pituitary macroadenomas without optic chiasmal compression. Eye (Lond) 2015;29:797-802. 7) Johansson C, Lindblom B. The role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the detection of pituitary adenoma. Act Ophthalmol 2009;87:776-9. 8) Schiefer U, Isbert M, Mikolaschek E, et al. Distribution of scotoma pattern related to chiasmal les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anterior junction syndrom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4;242: 468-77. 9) Seddon HJ, Medawar PB, Smith H. Rate of regeneration of peripheral nerves in man. J Physiol 1943;102:191-215. 10) Seddon HJ. A classification of nerve injuries. Br Med J 1942;2: 237-9. 11) Kang SM, Kim JH, Cheong JH.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size of pituitary adenoma and visual field change.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690-6. 12) Medeiros FA, Zagwill LM, Bowd C, et al. Evaluati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optic nerve head, and macular thickness measurements for glaucoma detection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m J Ophthalmol 2005;139:44-55. 13) Guedes V, Schuman JS, Hertzmark E,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asurement of macular and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normal and glaucomatous human eyes. Ophthalmology 2003; 110:177-89. 14) Jonas JB, Budde WM. Diagnosis and pathogenesis of glaucomatous optic neuropathy: morphological aspects. Prog Retin Eye Res 2000;19:1-40. 15) Piette SD, Sergott RC. Pathological optic-disc cupping. Curr Opin Ophthalmol 2006;17:1-6. 16) BianchiMarzoli S, Rizzo JF 3rd, Brancato R, Lessell S. Quantitative analysis of optic disc cupping in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Ophthalmology 1995;102:436-40. 17) Greenfield D. Glaucomatous versus nonglaucomatous optic disc cupping: clinical differentiation. Semin Ophthalmol 1999;14:95-108. 18) Ambati BK and Rizzo JF 3rd. Nonglaucomatous cupping of the optic disc. Int Ophthalmol Clin 2001;41:139-49.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