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Summary 1 2 3 4 5. 농업용 로봇산업의 추진배경. 농업용 로봇산업의 국내외 정책 및 기술 동향.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현황.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육성 추진 과제. 시사점 및 정책제언 03 04 07 12 15 18 Issue & Tec



Similar documents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hwp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KEIT PD Issue Report PD ISSUE REPORT FEBRUARY 2015 VOL 개요 농업로봇의 정의 및 범위 (농업로봇의 정의) 농업 생산과 가공, 유통, 소비의 전과정에서 스스로 서비스 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상황을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CONTENTS SUMMARY PART 1 MARKET MARKET STRATEGY MARKET ISSUE MARKET ISSUE PART 2 CREDIT CREDIT ISSUE CREDIT ISSUE CREDIT ISSUE CREDIT ISSUE CREDIT STRA

공동 보도참고 자료 배포즉시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권혜진 FTA 협상총괄과장 ( ), 이가영사무관 (5753) 최호천국내대책과장 ( ), 주정제사무관 (4143) 농림축산식품부이상만축산정책과장 (


untitled

한편, 국제로봇연맹(IFR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이 8.30일 발간한 World Robotics 2012 ( 국제 로봇통계자료)에 따르면, 첨부1 로봇 수출기업 간담회 개요 11년도 세계 제조용 로봇 시장은 자동차 및 전

일러두기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ㅇ ㅇ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11.indd

자율주행 및 지뢰탐지 HRI, 원격제어, 인지, 항공우주 물체인식, HRI 물체조작, 우주탐사 헬스케어, 센서 지능로봇 기술 물체인식, 센서, 조작 원격제어 인지, HRI, 자율주행 자율주행 [ 1] 1 로봇 제조, 공 자 인, 지 작 서 스, 인서 스, 지,,, 인자


CONTENTS Summary ICT 융복합농업의정의. ICT 융복합농업의필요성. 해외 ICT 융복합농업현황. 국내및전북의 ICT 융복합농업현황. 전북 ICT 융복합농업의발전방향. 결론및시사점 Issue &

Æí¶÷4-¼Ö·ç¼Çc03ÖÁ¾š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임베디드2014(가을)



MRIO (25..,..).hwp

목 차

메디시티대구 실현촉진을위한 이벤트 ( 축제 ) 기획방안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육계자조금29호편집

11+12¿ùÈ£-ÃÖÁ¾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소개 차례 산업은건강 식량 환경분야의당면과제를해결할수있는미래경제의핵심산업입니다. 그래서우리나라도핵심원천기술확보를위한전략분야로산업을선정하였습니다. 국민건강과직결된분야는원천기술확보를위해집중적으로육성되는동시에실용화를위한지원이적극적으로이루어져우리나라의미래신산업동력으로성장할것입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b77ùµåÆ÷Ä¿½º³»Áö/L265µš

Acr tmp.pdf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¹»ê»ç¾÷Æò°¡(±âŸ)-¼öÁ¤.hwp

‘17년 로봇 R&D 방향

년도시험연구보고서

....pdf..

ÀýÈ�·ù.PDF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더바이어152호 01~10

Ⅰ 그간 주요 성과 1 경쟁력 있는 농업인 육성 젊고 역량 있는 미래세대 농업인 육성 선도농가 현장실습, 멘토링 교육 및 농업법인 인턴십 등 농산업 현장 중심의 농고농대 교육 추진 * 농고 농대 실습교육 전후 역량향상률(%) : ('13)16.8 ('14)18.0 ('

- -

CONTENTS Summary Ⅰ Ⅱ Ⅲ Ⅳ Ⅴ. 드론(Drone)이란?. 국내 외 드론산업 현황. 전북에서의 드론산업. 전북에서의 드론산업 실현 과제. 기대효과 및 시사점 Issue & Tech 2015 이슈앤테크 vol.39 발행처

장애인건강관리사업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Q: 가 현재 추진하고 계신 사업내용과 사업 비전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 A: 는 모바일, 반도체, FPD, 자동차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생산성향상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로봇과 자동화장비를 그동안에 개발하고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제조용 로봇, FPD 장비, I

¾Ë±â½¬¿îÀ±¸®°æ¿µc03ÖÁ¾š

#³óÃÌ°æÁ¦ 64È£-Ä®¶ó¸é

¾Èµ¿±³È¸º¸ÃÖÁ¾


?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01정책백서목차(1~18)

주간_KDB리포트(Weekly_KDB_Report)_ hwp

hwp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hwp



더바이어153호 01~09

( )P&P네트워크

더바이어102호 01~09

2017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ICT À¶ÇÕÃÖÁ¾

CONTENTS Summary Ⅰ Ⅱ Ⅲ Ⅳ Ⅴ. 3D프린팅 개요. 3D프린팅 국내 외 동향. 3D프린팅 기술. 전북산업과의 기술연계 및 발전방안. 맺음말 Issue & Tech 2015 이슈앤테크 vol.43 발행처 : 전북테크노파크

Forecast2014_add.indd

(4.3)내지-수정2(통합)-이걸로 작업.indd

2003report hwp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 ) 로봇이슈브리프 1호.hwp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Y Z X Y Z X () () 1. 3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04 특집

에너지절약_수정

소식지수정본-1

84/84

Transcription:

Issue & Tech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전라북도 농업용 로봇 미래 연구진 김대중 정책기획단 선임연구원 CONTENTS 1 2 3 4 5. 농업용 로봇산업의 추진배경. 농업용 로봇산업의 국내외 정책 및 기술 동향.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현황.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육성 추진 과제. 시사점 및 정책제언

CONTENTS Summary 1 2 3 4 5. 농업용 로봇산업의 추진배경. 농업용 로봇산업의 국내외 정책 및 기술 동향.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현황.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육성 추진 과제. 시사점 및 정책제언 03 04 07 12 15 18 Issue & Tech 2015 이슈앤테크 vol.38 발행처 : 전북테크노파크 발행인 : 백두옥 이슈앤테크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진의 견해로서 전라북도, 테크노파크의 정책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03 SUMMARY 목적 - 전북의 전략산업인 농생명 산업의 기반을 활용하여 FTA 등으로부터 위협 받고 있는 우리나라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로봇기술 적용 관점에서 조망 - 국내외 농업용 로봇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농업용 로봇산업의 위치를 파악 하고, 전라북도 농생명 산업과 연관산업의 동반 성장 방향 모색 - 지역 내 공공기관 및 혁신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통해 미래 농업의 방향 제시 주요현황 - 세계는 지능형 로봇기술 혁신정책을 주요 국정 아젠다로 설정, R&D 핵심 투자분야 설정과 추진체계 구축 - 기후변화, 식품 안전, 지속가능한 농업생산 기반 강화 등 농업 관련 주요 이슈들로 인해 지능형 농용 로봇 R&D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 국내 기술의 융 복합을 통한 농업용 로봇 생산 기반 구축으로 새로운 농업 시장가치를 창출하고 농업 농촌의 가치를 재인식 - 농업용 로봇은 안전 농산물 생산, 노동력 고투입 농작업, 단순 반복, 고역 농작업,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밀 농작업 분야를 중심으로 우선 산업화 필요 시사점 및 정책제안 - 로봇 산업의 국내 시장 규모 성장(2012년 2.1조원 2018년 7.0조원)과 수출 규모 성장(2012년 0.6조원 2018년 2.5조원)으로 전북지역 로봇 산업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므로 체계적 전략 수립을 통해 전라북도 농생명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육성 필요

04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1. 농업용 로봇산업의 추진배경 배경 및 필요성 농업용 로봇이란 농업 생산과 가공, 유통, 소비의 전과정에서 스스로 서비스 환경을 인식(Perception) 하고, 상황을 판단(Cognition)하여 자율적인 동작(Mobility & Manipulation)을 통해 지능화된 작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계 ( 광의의 농업용 로봇은 농산업 현장에서 인간의 노동력 절감, 위험으로 부터 보호, 객관 적인 판단에 도움을 주는 자동화 기술) 접목로봇 채소이식 로봇 노지용 농업용 운반로봇 (Carnegie Mellon University) 토마토 검사용 농업로봇 (MIT) 착유로봇 방제로봇 잡초제거 괭이로봇 (개발자 David Gardner) 화훼용 작업로봇 (Carnegie Mellon University) [그림 1] 농업용 로봇 예 - 1세대(1980년대 후반) 단순 가공, 수확작업에 적용 - 2세대(2000년대) 단순 반복,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 대체 (파종, 이식, 접목, 착유로봇) - 3세대(2010년 이후) ICT연계한 그린 스마트 기술 적용 현재 농업용 로봇시장은 곡물 자급률 제고, 식품 안정성,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시장 개방에 따라 로봇기술기반의 농업생산 시스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관련시장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세계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식량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식량부족 심화 - 개도국의 경제성장 등으로 세계 인구 증가 가속화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05 - 신품종 개발 및 기계화를 통한 농업생산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향후 식량 수요를 만족 할 수준으로 공급하는 것은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음(UN, 2013). [그림 2] 인구증가와 식량 수요 추세 친환경 먹거리 소비 증가로 친환경 농업 시장규모 확대 - 정부의 친환경 농업정책, 친환경 농산물 및 유기농식품 소비 증가 세계 친환경 농산물 유기농 식품 시장규모 확대 : 590억$(2010) 638억$(2012) 881억$(2015)_(IFOAM 1). 2013) 세계 친환경 농업 면적 연평균 20%이상 증가 49 268 676 506 222 1,181 2,902 86 290 777 559 229 1,207 3,148 103 358 921 766 265 1,215 3,628 107 369 1,054 686 302 1,219 3,707 115 322 1,117 684 301 1,216 3,75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그림 3] 친환경 재배면적의 증가 추세 1) IFOAM :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06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다국간 FTA,농촌 생산인구의 노령화, 농가소득 정체 등에 따른 국내 농업경쟁력 약화 [그림 4] 인구증가와 식량 수요 추세 전국 소득률은 2007년 대비 2013년 28.9% 증가한 반면 농가 소득률은 2007년 대비 2013년 9.4% 증가 총생산량: 4,451천톤(2003) 4,230천톤(2013), 연간 감소율 0.5% 농촌 생산인구의 노령화 비율은 2007년 32.1%에서 2013년 37.3%이며 매년 급속도 로 증가하는 추세임. 현재 농업용 로봇은 시장 규모는 약 9.56억 달러 수준이며, 2016년에 46억불, 2020년에 191억불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출처 : 2012, World Robotics, IFR 2) ) - 14년 이후 년 평균 55%이상 고성장이 예상되므로 선제적 대응을 통해 기술과 시장 선점이 중요함. [표 1] 세계 농업로봇 시장 전망 (단위 백만$)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농업용 로봇 시장 956.0 1,386.2 2,328.8 4,634., 8,110.1 11,759.6 15,287.5 19,109.4 성장율 34% 45% 68% 99% 75% 45% 30% 25% 착유 및 축산시설 관리 879.5 1206.0 1614.8 1918.4 2004.3 1735.0 1797.6 1611.1 고부가가치 작물 28.7 55.4 116.4 278.1 567.7 940.8 1375.9 1910.9 밀, 벼, 옥수수 등 곡물 수확 10.5 27.7 186.3 695.2 2108.6 2939.9 3669.0 4.395.2 포도 가지치기 및 수확 5.7 5.5 136.5 941.0 1272.2 1569.5 1412.8 968.7 육묘 관리 14.3 41.6 116.4 292.0 616.4 1046.6 1681.6 2388.7 잔디 관리 14.3 43.0 139.7 370.7 811.0 1411.2 2140.3 3057.5 무인 항공 관리 2.9 6.9 18.6 139.0 729.9 2116.7 3210.4 4777.4 출처 : World Robotics 2012, IFR 2) IFR : 세계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07 2. 농업용 로봇산업의 국내외 정책 및 기술 동향 1. 해외 정책동향 지능형 로봇기술 혁신정책을 주요 국정 아젠다로 설정, R&D 핵심 투자분야 설정과 추진 체계 효율화 추진 시장 개방화에 따른 식량무기화, 생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전개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WTO/DDA, FTA 등에 의한 농업 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책 마련 기후변화, 식품 안전, 지속가능한 농업생산 기반 강화 등 농업 관련 주요 이슈들로 인해 지능형 농용 로봇 R&D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세계 농축산분야 로봇시장은 2013년 8억불에서 2020년 163억불로 급성장이 예상됨. - 선진국의 경우 고령화와 친환경농업 추세로, 기능적으로 만족하는 농업용 로봇이 출시될 경우 고가제품이라도 수요 시장은 형성되어 있는 상황임. Google(미국), ABB Robotics(스위스), Wall-Ye V.I.N. Robot(프랑스), Fanuc (일본), Harvard Robobee(미국), IBM(미국), irobot(미국) 등 세계적인 로봇 회사들이 농업용 로봇에 관심을 갖고 상용화 제품을 준비 중에 있음. (1) 일본 2010년부터 추진 중인 농업 자동화 어시스트 시스템 개발 및 실증사업 이 대표적인 기술 융합형 농업용 로봇 개발 사업이며, 2014년 신규로 추진되는 차세대 농림수산업 창조기술개발사업 에 포함 고성능 농기계의 개발과 실용화, 농작업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농업용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농림 수산업 지역 활력 창조 플랜 을 통해 IT, 인공지능(AI), 로봇 등 다양한 기술 융합으로 농업의 스마트화 정책 추진

08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표 2] 농업분야 로봇 관련 정책 및 주요 지원사업 구분 정책 방향 관련 부처 주요 지원사업 (단위 : 억원) 주요내용 과학기술혁신종합전략(2013.06, 내각부 종합과학기술회의) - IT/로봇 기술 등을 활용한 농수산물 생산시스템의 고도화 일본재흥전략(2013.06, 내각부 경제재생본부) - IT, 로봇기술을 활용한 농수산물 생산 유통시스템 고도화, AI시스템의 개발 보급 등 농립 수산업 지역 활력 창조 플랜(2013.06, 농립수산성) - 로봇기술 및 ICT 등 타분야 융합연구 확대 차세대 시설 원예 등 생산 유통 시스템 고도화 내각부(종합과학기술회의), 농립수산성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합계 RT기술 활용 농업자동화 어시스트 시스템 개발사업 (2010~2014, 농립수산성) 농업용 어시스트 슈트의 현지실증 사업 (2014~2015, 농립수산성) 로봇분야 일부 포함 제4차 농업기계 등 긴급개발 사업 (2008~, 농립수산성) 공격적인 농립수산업 실현을 위한 혁신기 술 긴급개발사업 (2014~2015, 농립수산성) 차세대 농립 수산업 차조 기술 개발사업 (2014~2018, 내각부 농립수산성) 3.43 2.84 2 4.68 12.95 0.5 0.5 5 5 100 100 8.5* 8.5 2014년 전체 사업비 34.3억엔 중 농업 스마트화를 실현하는 혁신적 생산시스템 개발 예산만 반영 출처 : 농림수산성 홈페이지(www.maff.go.jp), 한국로봇융합연구원(국내외 로봇 동향, 2014. 9) [표 3] 농업 자동화 지원사업 주요성과(일본) 구분 연구개발 내용 벼, 보리 등 토지 이용형 농업의 자동 농사 체계화 기술 개발 농업용 어시스트 슈트 (착용형 근력지원 로봇) 개발 자동 농사로봇(로봇 트랙터, 모내기 로봇, 로봇 콤바인) 개발 및 실증 시험 안전 기준을 책정, 영농 방식의 최 적화 경사지에서의 보행 지원, 과일 수확 작업 지원 등 경작업(5kg이하)용 어시 스트 슈트(14kg9.5kg 경량화 달성) 와 수확물 등 중량물(10~30kg) 운반 작업용 어시스트 슈트(26kg9.6kg 경량화 달성) 개발 [로봇 트랙터] [모내기 로봇] [로봇 콤바인] 소형 로봇에 의한 밭둑 제초 등 자동화 기술 개발 제초 작업의 자동화를 위해 개발, 자동 운전 기술 실증과 운용 실증 시험 종료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09 농업작업의 수치화 및 데이터 마이닝 기법 개랍 농사정보 환경정보 생체정보의 연속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현지 실증농장(벼, 멜론 등)을 대상으로 숙련 농사 노하우 DB화 방안 개발 출처 : 한국로봇융합연구원(국내외 로봇 동향, 2014. 9) 벼, 보리 등 토지이용형 농업 자동 농사 체계화 기술 개발, 농업용 어시스트 슈트의 현지 실증 사업(`14~`15, 농림수산성, 0.5억엔)등 농업 자동화 분야등에 성과 보유 현재 일본의 주력분야 제품 및 기술은 위치정보기반 농기계 무인 자율주행 모듈, 모내기 로봇, 작업자 근력보조를 위한 로봇 수트 등이 있음. (2) 중국 2006년 2월에 발표된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2006~2020) 의 11개 중점 영역과 8개 첨단기술 분야(IT, 첨단 제조 등)에 농업용 로봇 관련 기술 및 제품을 포함 하고 있음. [그림 5]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2006~2020) 주요내용 출처 : 한국로봇융합연구원(국내외 로봇 동향, 2014. 9) 2006년 설립된 허페이 선도제조기술연구소 에서는 제조용 로봇과 생체 모방형 로봇 외 농업용 로봇 분야(작물 육종관리 로봇과 밀집 포장 자동화 장비) 연구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음.

10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작물 육종관리 로봇 밀짚 포장 자동화 장비 [그림 6] 허페이 선도제조기술연구소의 농업용 로봇 연구분야 중국은 늘어나는 식량 수요 및 출산정책에 따른 인구감소에 따라 최근 효율적인 농기계 및 자동화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3) 미국 미국의 농경지면적은 전국토의 20%인 190만km2이며 농업인구는 전체 취업인구의 2.5%에 불과하나, 미국의 농업생산능력은 세계 최대의 농산물 수출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미국은 John Deere사와 같은 세계 최대의 농기계 생산 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런 생산기반을 통해 재배, 수확,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농업용 아이템을 보유 개발 중임. 분야 국가 및 제조사 기능 및 용도 로봇 트랙터 잡초제거로봇 원격조종 무인트랙터 과수 원예작물을 위한 통합 로보틱 솔루션 머신-비전 기반의 농업로봇 미국, John Deere Co. 미국, Univ. of llinoins 미국, CMU 미국, Vision Robotics Co. [표 4] 미국 주력 분야 제품 및 기술 자율 주행 가능한 다목적 차량 및 트랙터 GPS 정보를 이용 <잡초제거로봇> 적외선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잡초와 옥수수를 구별 <무인트랙터> 원격 조종을 통해 움직임, 장애물 감지 기능 사과 오렌지를 위한 로봇시스템 개발 (2008년부터 4년간, 천만물) 자율주행 작물상태평가 수확 작물의 질병 병해충 조기감지 작물의 건강상태, 상품가치평가 작물의 손상방지 오렌지, 사과 수확 포도 나무 가지치기 로봇 개발 카메라를 이용해 과실의 상태를 검사하는 로봇과 수확을 담당하는 로봇으로 구분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11 딸기 수확로봇 소형 다개체 원예로봇 미국, Robotics Harvesting LLc. 미국, MIT 자율주행 자동포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딸기를 인식하고 로봇 팔을 이용하여 수확 방울 토마토의 물주기 수분 수확 작업 가능 서로 다른 역할을 가진 로봇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협동작업 출처 : 지능형 로봇과 미래 농업(2010) 2. 국내 정책동향 기술의 융 복합을 통한 농용 로봇 생산 기반 구축으로 새로운 농업 시장가치를 창출하고 농업 농촌의 가치를 재인식하고자 함. 로봇 생산 기반 구축으로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 하고자 함. 식량자급률을 제고하고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식량공급이 이루어 지도록 함. FTA에 대응하고 ICT 융 복합 첨단생산 기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함. 정부는 로봇 관련 제품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2008년 9월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을 제정 및 시행하였고, 5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공고하도록 법령으로 규정함. - 전국 11개 지역(전북, 대전, 대구, 경남, 광주, 부산, 인천, 경기(부천), 전남, 경북, 강원)에 지역로봇 거점기관 구축 전북은 농업용 로봇 거점기관으로 2015년 선정 주요 추진과제 현황 - 원천기술 융합제품 개발촉진 지역농업용 로봇기업 R&D 지원 (농촌진흥청, 전북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대, 전주대) 첨단 농업용 로봇 센서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농작업의 자동화 로봇화 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대, 전주대) 동/식물 생산공장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 - 로봇시장 규모 확대 지원 농생명 SW융합 클러스터지원사업 (전북테크노파크, 전자부품연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업용 로봇 시범보급사업 (전북테크노파크, 농업기술실용화 재단) 지역농업용 로봇기업 지원육성사업 (전북테크노파크)

12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3.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현황 전라북도 농업용 로봇현황 농업용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우수한 인프라 보유 - 새만금 내 첨단농업용지 (85.7 km2) 와 R&D 및 실용화를 위한 유관기관 집적 농촌진흥청 외 6개 농업생명 관련기관 전북 이전 - 유럽발 재정위기로 인한 국내 외 경제 침체에도 2012년 전북 농기계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31% 증가한 3억2천만불을 달성하여 국내 농기계 수출시장 주도 전국 대비 전북 농기계 수출 비중 증가 : 31.9%(2010) 38.7%(2011) 43.4%(2012) 농기계 관련 기업의 집적도(2013년 기준 92개 기업) 및 특화도 우수 [그림 7] 농업용 로봇 육성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반 조성 - 전북에 입주해 있는 농기계 업체들이 국내 농기계 수출량의 40% 점유 - 전북지역 농기계 기업의 종사자수는 2013년 기준 2,094명으로 전국 최대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13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그림 8] 2013년 지역별 농기계 사업체수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2,500 2,000 1,500 1,000 500 0 [그림 9] 2013년 지역별 농기계 종사자수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전북은 농생명 허브 조성 이 특화발전 프로젝트로 선정되었고,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 으로 농기계 및 농업용 로봇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 기대 [표 5] 전북 지역 특화발전 프로젝트 선정 내용 및 세부 사업 세 부 사 업 구분 전북 현황 지자체 자체사업 중앙정부 지원요구 내용 농진청 등 7개 기관 이전, 국내 최초 식품 전문 국가 산단 등을 바탕으로 전북을 첨단 농생명 허브로 조성 농생명 허브조성 종합계획수립 연구 친환경 바이오 소재 R&D 허브센터 구축 민간육종 연구단지 조성 국가식품 클러스터 조성

14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전북은 농업용 로봇산업 육성에 강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타도시보다 뛰어난 인프라를 활용 농업용 로봇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표6]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SWOT 분석 결과 S (강점) W(약점) 외부요인 구분 내부요인 첨단 농기계 종합지원센터 구축 전국대비 농기계 수출비중 40%점유 농생명 관련 공공기관들의 집적화 논 면적이 9만4천ha로 전국 최다 면적 보유 등 최대의 농업 생산지 새만금내 대규모 농업용지 LS엠트론, 동양물산 등 비롯한 대규모 농기계 업체 전북입주 전반적인 산업구조 취약 핵심 요소기술과 연구인력 부족 농업용 로봇 R&D지원 부족 상품화된 농업용 로봇제품 부재 특허와 같은 지적재산권 보유 미비 O (기회) S-O W-O 농업용 로봇 선진국에서도 관련 시험평 가 규격을 공표한 바가 없음 국내외 농업환경 및 인식 변화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 농업관련 공공기관 전북권 이전 농산물시장 개방확대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로봇기술 분야 각광 중국 같은 대형 농업 로봇시장 확대 전문연구기관과 전라북도가 협업하여 농업용 로봇 시험평가 규격 개발 농업용 로봇 성능수준을 규정하여 기업 이 개발해야할 농업용 로봇 목표 구체화 농기계 기업을 농업용 로봇 기업으로 전환 유도 농생명관련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 이전 으로 미래 연구인력 확보 농업용 로봇 시험평가 규격 선점을 통 한 제품화 촉진 의욕적인 첨단 농기계 기업을 지원하여 농업용 로봇 제품화 R&D 예산 확대를 통한 기술개발 및 기 업지원 T (위협) S-T W-T 로봇산업에 대한 대전, 전남, 대구, 창원 등의 지역간 경쟁 심화 로봇시장의 산업화 및 경제성 확보방안 농업 경시 풍조 농업용 로봇에 대한 인식부족 농업용 로봇 산업 정책 수립 및 사업발 굴을 위한 지역 거점기관 부재 전국 최대 농업단지를 통한 사업 경쟁력 확보 정책 기획 및 기업지원사업 발굴을 위 한 지역 거점 로봇지원센터 설립 농업용 로봇 핵심기술 R&D 활성화로 선진기술 추격 및 선도기술 확보 아시아 농업환경에 적합한 중소형 농업 용 로봇 개발 원천기술 및 실용화기술 R&D확대를 통 한 지적 재산권 확보 확대 중대형 농기계 기업을 지원하여 농업용 로봇 상용화 추진 및 특화 분야 육성 향후, 새만금을 비롯한 환황해권 시대 대비 중국 농업용 로봇시장 적극 공략 전라북도 농업용 로봇 산업 육성 필요성 정부 주요 정책 및 민선6기 농생명 정책과의 부합성 - 농업농촌 삼락정책에서 스마트팜 기술을 통한 농가 소득 향상 및 첨단 농업 이미지 제고 - 국가 농업경쟁력 강화 및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르는 농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통해 농생명 전북으로서의 입지 강화 - 전략 산업인 탄소소재 및 새로운 신소재를 이용 농업용 로봇에 대한 제품 경쟁력 강화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15 - 전라북도 5대 중점 추진 산업인 농생명, 자동차 기계(농기계), 창조 ICT융복합 산업과 연관된 사업임. 지역 소득구조 개선의 필요성 - 타 지역 대비 비중이 높은 농업생산에 대한 매출 증대 및 지역 농기계 업체에 대한 새로운 성장동력 제공을 통한 지역 소득 증대 예상 기존 타 산업에 대한 투자대비 효율성 측면 - 공공기관이전 및 국가 농식품 클러스터 등 전라북도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 타 지역 대비 비교 우위에 있는 산업에 대한 선별적 투자를 통해 기술 우위 선점. 스타켈버그(Stackelberg)선점효과 3) 에 따르면 선도 기술을 보유한 국가의 이윤은 추종 국가의 이윤인 보다 높다. 4) 로 4. 전북 농업용 로봇 산업 육성 추진 과제 전북 농생명 허브 관련 인프라 구축 농식품부에서 조성중인 새만금 농업용지는 5공구를 시작으로(2017년) 2020년까지 연차별로 용지조성(2천 6백만평) 완료 예정 농업과 관련한 연구 개발 및 테스트, 실증, 인력육성, 농산업 등이 집적된 동북아 AGRO-HUB 조성이 필요함. - 이전 공공기관인 농진청 및 산하 연구기관과의 유기적 관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3) 두 국가 중 한 국가는 선도자이고 다른 한 국가는 추종자일 경우의 복점 모형제시, 선도자는 상대방 반응을 고려하여 생산량 결정 (국가=기업) 4) 시장의 수요 함수 P = a Q, Q = q1 + q2 (여기서, a>0는 시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모수이고, Q는 총 생산량을 나타내며 q1와 q2 각 기업의 생산량이다.

16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 농업용 로봇 산업에 대한 전반적(R&D, 비R&D) 지원을 통해 신제품 개발에서부터 사업화 수출 마케팅 지원 - 스마트 팜 및 농업용 로봇등을 활용한 첨단 농업생산기술 수출 [그림 10] 동북아 AGRO-HUB 한국형 스마트팜 실증 센터 높은 생산성, 편리한 농사, 경제적 운영이 가능한 차세대 시설 농업을 위해 누구나 쉽게 공급 설치 사용이 가능한 ICT 융합형 시설농업 및 관련 융합 산업 시설원예용 ICT 통신기술 표준화 및 농업 전문 서비스 로봇의 실용화를 통한 한국형 스마트팜 실증 센터 구축 - 인간 보조 수확작업, 수확량계측, 포집 로봇 기술 적용 - 수확물 무인 이송 및 적재를 위한 로봇 기술 적용 - 열유체, 통신, 전력, 관수 기능을 포함한 온실용 스마트 베드 기술 적용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17 [그림 11] 출처 : ETRI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방향 한국형 스마트팜 실증관련 표준화 작업 및 실증센터 구축을 통한 농업 자동화 기술 확산 보급 선도적 역할 농업용 로봇 융합센터 및 테스트 베드 구축 농업용 로봇에 대한 사업화 검증 및 기술개발(원천기술 발굴) * 자율주행 및 모니터링 관련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다양한 로봇 기술 개발 농업용 로봇 시험평가인 성능 평가와 내구성 평가의 시스템 부재를 보완하여 농업용 로봇 실험인증 기반구축을 통한 국내외 표준화 선도 - 농업용 로봇의 주행시험에 적합한 주행로 확보 - 농작업 평가에 필요한 농작업 시험장 - 시험결과 평가를 위한 계측 장비 구축 및 실험 평가 인증 시스템 마련 본 사업을 통해 농업용 로봇의 신뢰성 확보 및 기업의 제품개발 촉진을 유도하여 농업용 로봇 시장 확대

18 Issue & Tech Jeonbuk Techno Park 전북테크노파크 험로주행통제실 역설계지원실 물성/성분분석실 환경챔버 험로주행시험설비 로드 시물레이터 출력성능시험장비 차축다이나모 유압부품종합시험 소음진동측정설비 배기가스 및 PTO동력 측정 [그림 12] 출처 : 전라북도 과학기술위원회 기획보고서 [그림 13] 농작업 반복 성능 내환경 및 전자파 시험평가 5. 농업용 산업육성을 통한 기대효과 및 시사점 기술적 측면 농축산 분야의 로봇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하여, 단위 원천 기술 및 응용 융합 산업화 기술 확보를 통해, 우리나라 농업기계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 다양한 목적과 형태의 로봇 설계 및 산업화 기술 및 표준을 선점하여, 타기종 연구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기술 확보 및 세계 시장 선도 가능 경제 산업적 측면 농업기계 제조업체의 경영을 안정화시켜 국내 농업에 필요한 농기계의 지속적인 공급과 신기종 개발을 통해 농업발전에 기여함 고령화/다양화 되고 있는 농축산 인구의 생산성 향상 및 삶의 질 제고를 통해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 및 귀농 활성화에 기여

2015 이슈앤테크 vol.38 미래 농업을 말한다 19 로봇 산업의 국내시장 규모 성장(2012년 2.1조원 2018년 7.0조원)과 수출 규모 성장 (2012년 0.6조원 2018년 2.5조원)으로 전북지역 로봇 산업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므로 체계적 전략이 필요 - 전라북도 농업용 로봇 육성전략 수립을 통해 13년 전북 농기계/농업용로봇 관련 종사자수는 2,094명으로 2022년 까지 5,412명으로 연평균 17.6% 증가 계획 - 2013년 전북 농기계/농업용로봇 관련 사업자 수는 92개에서 2022년까지 163개로 년 평균 8.6% 증가 계획 전라북도 대표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 특허 및 실험 인증 표준화 등의 원천기술 선점을 통한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 미디어 매체 등을 통해 국내 농업기계 산업의 우수성 홍보 및 지역 특화 산업인 농생명 허브에 대한 인지도 제고 - 지역의 기반인 농기계 산업 및 로봇산업 육성을 통해 관련기업 유치로 지역 내 일자리 증대 효과 2022년까지 관련 업체 종사자수 3,000명 이상 증가 예상 - 농업용 로봇 및 스마트팜 시스템 활용을 통해 지역 내 귀농 귀촌인구의 안정적 농업 기술 지원 - 농업용 로봇 제품 및 부품에 대한 국산화 유도로 수입 대체효과 및 지역 기계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참고문헌> 1. 전북농업용 로봇 육성전략 수립 연구 (2015.05, 전라북도 전북대 TIC) 2. 농립축산 활용 로봇 기반기술 (2014.03, 농림수산식품기술원) 3.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방안 (2014. 12, 농림축산식품부) 4. Agricultural Robots Market Share, Market Strategies and Market Forecast, 2014 to 2020, 2014, Wintergreen Research 5. 로봇이 여는 신세기( 新 世 紀 ) - 인간의 꿈과 기술의 결정체 -, 김상철, 2014, 농촌진흥청 RDA Interrobang 138호, 6. 2014년 로봇산업 실태와 기술개발 전략, 2013, 데이코 7. 제6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2013~2022년), 2013, 농림축산식품부 8. 농업 ICT표준화 동향과 산업 적용 (ETRI 김세한)

Issue & Tech 2012015 이슈앤테크 vol.38슈앤 테크 vol.37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반룡로 110-5 Tel. 063) 219-2114 Fax. 063) 219-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