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BCC1BE20C0E5B1BAB8E920B4EBB1B3B8AE203531302D34B9F8C1F620C0CFBFF8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Similar documents
지표조사보고제 집 세종송학리산 10-9 번지관상수식재사업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untitled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¹ßÇ¥¿äÁö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¼øâÁö¿ª°úÇÐÀÚ¿ø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슬라이드 1

<C4A5B0EE20B3ABBBEAB8AE 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 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362È£ 1¸é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0706ºÎµ¿»êÆ®·£µåc02ªš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지표조사보고제 집 당진우강면원치리산 6-3 번지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속표지(도큐)

_report.hwp


01¸é¼öÁ¤


토픽 31호( ).hwp


학부모신문225호최종

<322DB3EDB9AE2E687770>

지도학발달06-7/8/9장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AB hwp

성인지통계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7단원 1(252~269)교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단양군지

2006¹é¼Ł¹ß°£»ç1

- 2 -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특별전을 열며 이번 묻혀진 백제문화로의 산책 - 한성백제 특별전은 우리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전시 입니다. 지난 겨울에 열렸던 우리 곁의 고구려 전에 이어 경기도의 삼국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뜻 깊은 자 리이기도 합니다. 한성백제는 첫 도읍지인 한성의

2.pdf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표지-성주 옥성리 350-1(로얄)

나하나로 5호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건물신축부지 문화재표본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조사유형 : 표본조사 조사면적 : 총 m2 조사기간 : 2015

지표조사보고제 집 홍성은하면목현리산 10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 2 -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소식지수정본-1

<B0F8C0E5C6F3BCF6C0C7B9DFBBFDB0FAC3B3B8AE E687770>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목 차


<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표지-성주 옥성리 350-6(기린)

hwp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제 1 장진천군특성및현황 제 1 장 / 진천군특성및현황 1. 위치및면적 위치 가. 지리적위치 n n n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2013지발-가을내지1004-4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untitled

<C3CAC1A DC1DFB1B92E687770>

집_홍성 홍동면 금당리 산7-5번지 국비지원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hwp

#39-0 머리말외.indd

Transcription:

지표조사 보고서 16-04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보고서 2016. 03. 누 리 고 고 학 연 구 소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보고서 2016. 03. 누 리 고 고 학 연 구 소

일 러 두 기 1. 本 報 告 書 는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에 대한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이다. 2. 對 象 地 域 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에 해당한다. 사업면적은 3,000m2이며, 문화재 지표 조사 전체 면적은 상기 사업면적과 동일하다. 3. 고고분야의 본문에 삽입된 유적위치도 및 지형도는 국립지리원 발행 1:25,000, 1:5,000 지형도를 판형에 맞추어 축소한 것을 사용하였다. 4. 本 調 査 는 도순성 氏 의 依 賴 를 받아 (사)한국매장문화재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진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로 (재)누리고고학연구소에서 實 施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6년 03월 23일부터 2016년 03월 29일까지이다. 5. 우리 연구소는 학술적 또는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본 지표조사 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사업 내용 지표 조사 조사 결과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서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 사 업 명 사업기간 2016.03~2016.12 국비지원 문화재 지표조사 사업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 전체사업면적 3,000m2 면 적 사업목적 우량농지 개량사업 지표조사면적 3,000m2 사업시행자 기관명 연락처 조사기관 조사기간 조사비용 *계약금액 기준 고고,역사분야 누리고고학연구소 책임조사원 현대환 조사원 이하 설지은 김지현 민속분야 책임조사원 조사원 이하 수중분야 책임조사원 조사원 이하 고건축분야 책임조사원 조사원 이하 자연문화재 책임조사원 조사원 이하 2016년 03월 23일 ~ 2016년 03월 29일 (사전조사 1일, 현장조사 1일, 정리 및 분석 1일, 보고서 작성 및 발간 1일) 고고 역사 분야 2,068,000원 민속 분야 원 수중 분야 지정문화재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68m 이격) 세종 봉안리 청동기 유적(335m 이격) 주변문화재 비지정 세종 봉안리 고분군(680m 이격) 조사결과 문화재 세종 대교리 산성(588m 이격) 세종 평기리 265-4번지 유적(755m 이격) 세종 도계리 고분군(878m 이격) 사업부지내 문화재 조사결과 유적 있음 유적 없음 지상문화재 기존 신규 매장문화재 기존 세종 대교리 510-4번지 유존가능지역 신규 건축물 기존 신규 민속자료 기존 신규 원 고건 축 분야 원 조사기관 종합 의견 1. 조사지역은 해발 50m 내외의 능선 정상부 및 사면부에 해당되며 과거 밤나무과수원으로 경작되던 지역으로, 농로 개설 및 벌목 및 제근 과정에서 상당부분 삭평과 절토가 이루어진 상태임. 2. 지표상에서 유구나 유물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동일 능선에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 이 자리하고 있어 조사지역에도 청동기시대 이래의 유구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음. 3. 이에 원지형을 유지하고 있는 조사지역 남쪽의 설상대지 1,120m2에 대한 표본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지표조사 발굴조사(단위 : m2) 보존(단위 : m2) 사업면적 입회조사 면적 시굴조사 표본조사 정밀조사 일부보전 이전보존 3,000m2 3,000m2 1,120 지표조사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규정 별표 3에 따라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서를 제출합니다. 2016 년 03 월 29 일 문 화 재 청 장 귀하 기관명 : (재)누리고고학연구소 (인)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표 연 번 문화재명 소재지 면적 시대 종류 유적구분 조사의견 비고 기존 신규 의견구분 조사면적 사유 1 세종 대교리 510-4번지 유존가능지 역 세종특별자치 시 장군면 대교리510-4 3,000m2 표본조사 1,120m2 유존가능 지역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과 주변 환경 2 1. 자연 지리적 환경 2 2. 고고 역사적 환경 5 Ⅲ. 조사내용 12 1. 조사지역 주변 문화재 현황 12 2. 고고 역사분야 21 3. 민속 지명분야 24 Ⅳ. 종합고찰 및 조사단 의견 25 1. 문화재 보존대책 현황 25 2. 종합고찰(조사단 의견 포함) 26 Ⅴ. 도판 29

도 면 목 차 [도면 1] 조사대상지역 위치도 및 주변유적 현황도(1/25,000) 3 [도면 2] 조사대상지역 근세지도(1/25,000) 4 [도면 3] 조사대상지역 주변 토양지형 분포도 10 [도면 4] 조사대상지역 주변 토양퇴적 분포도 10 [도면 5] 조사대상지역 위성사진 11 [도면 6] 조사대상지역 세부지형도(1/1,000) 23 [도면 7] 조사대상지역 현황도(1/1,000) 27 도 판 목 차 [도판 1] 조사지역 전경(북서쪽에서) 31 [도판 2] 조사지역 전경(남쪽에서) 31 [도판 3] 조사지역 근경(서쪽에서) 32 [도판 4] 조사지역 근경(북쪽에서) 32 [도판 5] 북쪽 사면부 및 곡부 전경(남쪽에서) 33 [도판 6] 북쪽 사면부 농로 전경 33 [도판 7] 북쪽 사면부 단애면 노출상태 34 [도판 8] 남쪽 설상대지 전경(북동쪽에서) 34 [도판 9] 남쪽 설상대지 근경(북쪽에서) 35 [도판 10] 남쪽 설상대지 북서쪽 사면 잔존상태 35 [도판 11] 남쪽 설상대지 정상부 근경 36 [도판 12] 설상대지 서쪽 사면 근경 36 [도판 13] 북서쪽 1차 우량농지 개간부지 경계부 단애면 전경 37 [도판 14] 단애면 노출상태 37 [도판 15] 저수조 조성상태 38 [도판 16] 농막 잔존상태 38

Ⅰ. 조사개요 조사명칭 :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조사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조사목적 : 본 지표조사는 도순성 氏 가 시행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에 대한 우량농지 개량사업부지에 해당됨. 농지 개량으로 인하여 사업지역의 형질 및 현상변경이 불가피함에 따라, 공사에 앞서,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거 문화재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이 지역에 부존 또는 전승되는 각종 문화유적 유물을 보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사업으로 인한 문화재의 훼손을 방지하고 토지의 개발과 문화재의 보존을 효과적으로 조율하기 위함. 조사경위 : 2016.03.21.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 문화재 지표조사 신청 2016.03.23.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 문화재 지표조사 협약 2016.03.23. 세종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 일원 문화재 지표조사 착수 조사면적 : 총 3,000m2 조사기간 : 2016년 03월 23일 ~ 2016년 03월 29일(현장조사일수 1일) (사전조사 1일, 현장조사 1일, 정리 및 분석 1일, 보고서 작성 및 발간 1일) 조사의뢰인 : 도순성(개인) 조사기관 : (재)누리고고학연구소 조사단구성 조사단장 : 공민규(누리고고학연구소장) 책임조사원 : 현대환(누리고고학연구소 책임조사원) 조 사 원 : 김지현(누리고고학연구소 연구원) 준 조 사 원 : 설지은(누리고고학연구소 연구원) - 1 -

Ⅱ. 조사지역과 주변 환경 1. 자연 지리적 환경 조사지역이 위치한 세종특별자치시는 충청남도의 동북단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충북 청주시, 서쪽 은 공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쪽으로는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며 전체적인 평면형태는 동서의 폭이 좁고, 남북의 길이가 긴 세장한 형태이다. 지형은 전체적으로 北 高 南 低 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북쪽은 차령산맥이 지나면서 국사봉(403m), 운 주산(460m), 금성산(424m) 등과 같은 높은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다. 그중 국사봉은 충남 천안시와 공 주시, 세종시에 걸쳐 있으면서 한반도 중앙부 서해안 지역의 평탄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남 쪽은 비학산(163m), 괴화산(201m), 원수봉(254m), 전월산(260m), 부용봉(226m) 등 해발 200~300m 가량의 저산성 구릉지로 되어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저산성 구릉지를 산지에서 발원한 하 천들이 가로지르고 있으며, 하천의 주변에는 충적평야가 펼쳐져 있어서 넓은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 쥐라기의 화강암, 백악기의 역암과 제4기의 충적층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금강 본류의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는 지질구조나 분포면적상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데, 금강 북 부는 화강암이 단일 암석으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층선을 중심으로 개석이 상당히 진 행되었다. 현재 단층선으로 추정되는 선상구조나 지질경계선을 따라 발달한 하곡에는 하천작용에 의해 형성된 제4기의 충적층이 발달하였다. 남부의 지질을 살펴보면 신생대의 호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충청남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으로서 장기간에 걸친 풍화침식이 이뤄져 노년기의 지형을 보이고 있다. 그밖에 중생대 쥐라기 말에 형성된 대보화강암류 및 시대 미상 의 옥천층군이 확인되지만, 대부분 침식기원의 구릉지로서 노년기의 지형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세종시의 수계는 금강이 전라북도 장수군 수분리에서 발원하여 북서방향으로 흐르면서 초강천 보청 천 등의 지류를 합하면서 흐르다가 신탄진 부근에서 갑천과 만나고, 세종시 금남면 부근에서 미호천과 합류한다. 이 부근에서 서남 방향으로 크게 轉 流 하여 공주 근처에서 정안천과 유구천, 부여 근처에서 은산천과 금천, 강경 부근에서 성평천 및 강경천과 합류한 뒤 장항과 군산 사이의 하구를 통해 서해로 흘러간다. 금강 하류 유역 내의 주요 지류로는 병천천, 미호천, 대교천, 용수천, 정안천, 유구천, 금강 천, 석성천, 길상천, 길산천, 논산천, 유등천, 갑천, 대전천 등이 있다. 충청북도를 흐르는 하천 중 비 교적 큰 편에 속하는 미호천은 진천군 광혜원 무제산 등과 음성군 가엽산 등지에서 흘러오는 지류가 만나 청주분지 등 곡창지대를 끼고 세종시까지 흘러 금강 상류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금강까지 흐르면 서 배곡천, 초평천, 보강천 등 수십 개의 지류와 합류하므로 흐름이 일정하지 않을뿐더러 수량도 적 다. 그러나 유역이 침식되기 쉬운 화강암 지대라서 곧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많은 하상이 평지보다 높 은 청전천이 되었다. 금강과 합수되는 합강리에는 넓은 범람원상의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차령산맥 이남의 평야는 대부분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으며 크게 금강 중류부의 세종시 일대 평야와 금강 하류부의 부여~논산~서천에 이르는 논산평야로 구분된다. 세종시 일대의 평야는 미 - 2 -

<도면 1> 조사대상지역 위치도 및 주변유적 현황도(1/25,000) - 3 -

<도면 2> 조사대상지역 근세지도(1/25,000) - 4 -

호천 서쪽의 연기면 세종리 일대 및 미호천과 금강의 본류와 합류하는 금남면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 하고 있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중생대의 대보화강암이 대부분으로 해발 100m 이하의 소기복침식면을 이룬다. 미호천과 금강 본류가 합류하는 세종시 연기면 세종리 금남면 일대에는 넓은 하성평야(범람 원)가 발달되어 있다. 기후는 중부서안형(냉대기후군)과 남부서안형(온대기후군)의 점이지대에 해당한다. 일조시수가 크고 쾌적한 날씨가 많은 편이나 기온의 일교차 및 연교차는 큰 편이다. 연평균기온은 12 내외,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6.7, 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9 이다. 충청 지역의 평균 강수량은 여름에 가 장 많고(700~800mm), 겨울에 가장 적다(80~100mm). 충남 지역의 경우, 연평균 강수량의 약 60%가 여 름철에 내리며 대략 1,150mm 정도이다. 조사지역이 위치한 장군면은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과 한솔동, 서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월송동, 남쪽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북쪽은 연서면에 접해있 다. 전체적인 지형을 살펴보면 북쪽에는 200~260m의 산이 솟아 있고, 서쪽은 갈마봉(190m)을 주산으 로 남서쪽으로는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에 이르기까지 190~230m 내외의 산지가 이어지고 있으며, 동 쪽은 국사봉(214m)으로부터 내려오는 산줄기가 동쪽을 감아 돌면서 남쪽으로 뻗어 내려가 금강과 접 하고 있다. 조사 대상지역인 대교리는 장군면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향적산 국사봉(214m)에서 남쪽으 로 흘러내리는 가지능선의 말단부이다. 구릉의 하단부는 논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밭으로 개간되 어 있다. 남쪽으로 대교천이 북서-남동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2. 고고 역사적 환경 1) 고고학적 환경 세종특별자치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구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성격의 유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종시에서 현재까지 조사된 구석기유적의 조사 성과를 종합해보면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의 조사과정에서 여러 지역에 걸쳐 고토양층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송담 2리, 종촌리 도림이 마 을, 진의리 유물산포지 등 12곳에서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수습되어 금강 지류인 군계천, 방축천, 연기 천, 미호천, 삼성천 유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유적의 존재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1). 그러나 발굴조 사를 통해 확인된 구석기유적은 종촌리 도림이마을 유적 2) 이 유일하다. 유적에서는 세석인석핵, 긁개, 찌르개, 뚜르개, 격지 등의 유물이 소량 확인되었다. 세종시의 인근 지역에서는 금강을 중심으로 구석 기유적이 확인된다.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 3), 청원 만수리유적 4) 과 소로리유적 5) 및 대전 용호동유 1) 충청문화재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원 중앙문화재연구원 한국토지공사, 2006, 앞의 보고서. 2) 朴 性 姬 吳 珍 錫, 2010,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文 化 財 試 發 掘 調 査 (1-2 區 域 ) 報 告 書, 燕 岐 松 潭 里 松 院 里 遺 蹟,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3) 1손보기, 1993, 석장리 선사유적, 동아출판사. 2한국구석기학회, 2009, 석장리유적과 한국의 구석기문화 총서 1, 학연문화사. 4) 1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8, 淸 原 萬 水 里 舊 石 器 遺 蹟 -5 6 7 8 9 地 點 -. - 5 -

적 6), 용산동유적 7) 등 주변에서 구석기유적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추후 세종시 내에서도 구석기유적 이 확인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신석기시대 유적 또한 조사성과가 미미하다. 송담리유적 수혈유구 내부에서 횡주어골문 토기편이 확 인되었으나 유구의 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성격은 파악하기 어렵다 8). 연기 석삼리 돌삼골유적 9) 에서 는 신석기시대 주거기 1기가 확인되어 세종시의 신석기문화에 대한 단초가 마련되었다. 남면 연기리유 적 1 2의 전체적인 입지 및 지형이 신석기시대 이후 취락유적인 미사리유적과 유사하여 이 지역에 대한 유적의 존재 여부가 거론된 바 10) 있으나 신석기시대와 관련된 유적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주변 지역의 신석기시대 관련 유적은 공주 장원리유적 11), 대전 둔산동유적 12) 과 관평동유적 13), 청원 쌍 청리유적 14)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가 되면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한 유적들이 확인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관련된 조사 이전부터 연기군 남면 종촌리와 금남면 석삼리에서는 무문토기 산포지가 확인되었으며, 서면 봉 암리에서는 동과와 세형동검이 발견되었다 15). 또한 금남면 장재리, 박산리, 봉기리, 신촌리와 남면 월 산리, 동면 송용리 등지에서는 지석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16). 최근에는 송담리 송원리유적 17), 연기리유적 18), 대평리유적 19), 석삼리유적 20), 봉기리유적 21), 장재리 유적 22), 당암리 소골유적 23) 용호리유적 24), 응암리유적 25) 등에서 청동기시대 유적이 확인되어 취락 연 구에 중요한 자료들이 축적되었다.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양상을 보면 대부분 전기의 가락동유형 주 거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 대평리유적에서 조기의 미사리유형 주거지와 유물, 당암리와 제천리유적에 서 후기의 송국리유형 주거지와 유물 등이 확인되기도 하나 아직까지 그 수는 많지 않다. 초기철기시대유적으로는 장재리유적 26), 당암리유적, 대평리유적 등이 있다. 장재리유적에서는 토광 2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09, 淸 原 萬 水 里 舊 石 器 遺 蹟 (12 地 點 ). 3, 2009, 淸 原 萬 水 里 舊 石 器 遺 蹟 (14 地 點 ).. 5)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0, 淸 原 小 魯 里 舊 石 器 遺 蹟. 6)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2013, 고고와 민속-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 특집- 제 16집. 7)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8, 大 田 龍 山 洞 舊 石 器 遺 蹟. 8)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0, 燕 岐 松 潭 里 松 院 里 遺 蹟. 9), 2010, 행정중심복합도시 대학연구지역 생활권 4-1 2(3-2지점) 연기 석삼리유적 약보 고서. 10) 충청문화재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원 중앙문화재연구원 한국토지공사, 2006, 앞의 보고서. 11) 忠 淸 埋 藏 文 化 財 硏 究 院, 2001, 公 州 長 院 里 遺 蹟. 12) 忠 南 大 學 校 博 物 館, 1995, 屯 山. 13)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2, 大 田 官 坪 洞 遺 蹟. 14) 國 立 淸 州 博 物 館, 2003, 淸 原 雙 淸 里 住 居 址. 15) 金 載 元, 1964, 扶 餘 廣 州 燕 岐 出 土 靑 銅 遺 物, 震 檀 學 報, 25~27 合, 震 檀 學 會. 16) 연기군지 편찬위원회, 2008, 燕 岐 郡 誌. 17)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0, 앞의 보고서. 18)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9,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Ⅰ-7 區 域 燕 岐 燕 岐 里 遺 蹟. 19) 1 百 濟 文 化 財 硏 究 院, 2012,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3-1-A 地 點 燕 岐 大 平 里 遺 蹟. 2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2,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3-1-B 地 點 燕 岐 大 平 里 遺 蹟. 20)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0, 행정중심복합도시 대학연구지역 생활권 4-1 2(3-2지점) 연기 석삼리유적 약보 고서. 21) 忠 淸 北 道 文 化 財 硏 究 院, 2014,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4-1 2 生 活 圈 (2-3-A 地 點 ) 燕 岐 石 三 里 대박골 鳳 起 里 盤 谷 里 遺 蹟 -제3권-. 22) 百 濟 文 化 財 硏 究 院, 2013,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2-2 地 點 燕 岐 長 在 里 遺 蹟. 23) 百 濟 文 化 財 硏 究 院, 2014,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2-1 2 地 點 公 州 唐 岩 里 燕 岐 松 院 里 遺 蹟. 24) 國 防 文 化 財 硏 究 院, 2012,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內 3-3-B 地 點 燕 岐 龍 湖 里 遺 蹟. 25)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10, 燕 岐 鷹 岩 里 가마골 遺 蹟 (B 地 區 ). - 6 -

묘 8기가 확인되었으며 세형동검, 동부, 동끌, 동사 등의 청동기류와 점토대토기옹, 흑색마연장경소호 등의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당암리유적의 토광묘에서도 세형동검과 점토대토기, 흑색마연 장경호가 출 토되었다. 장재리와 당암리유적 토광묘의 조성시기는 원형점토대토기가 확산되는 기원전 3세기 말에서 2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대평리유적 C지점의 수혈유구에서는 두형토기의 대각과 조합우각형파수가 출토되었다. 원삼국시대에는 공주시 세종시 일대가 마한 및 백제 후기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원삼국시대의 유적 이 다량 확인된다. 주거유적으로는 대평리유적, 석삼리유적, 응암리유적 등에서 평면 방형의 형태에 4 주식의 주공과 부뚜막을 가진 주거지 등이 확인되고 있다. 분묘는 송담리 송원리유적, 용호리유적, 대 평리유적, 응암리유적, 석삼리유적 등에서 토광묘 및 주구토광묘가 다수 확인되었다. 생산유적은 대평 리유적에서 논과 밭이 확인되었으며, 나성리유적 27) 에서는 토기를 생산하던 가마 등이 조사되었다. 또 월산리유적 28) 및 월산리 황골유적 29), 방축리유적 30) 등에서는 원삼국시대 수혈유구와 구상유구 등이 확인되어 취락과 생산, 저장 등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그밖에 서창동 신안동 성제리 토기산포지 등 이 알려져 있다. 한편,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관련된 조사가 진행되기 전에는 삼국시대 세종시의 모습을 제대로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 거의 없었다. 서면 와촌리와 조치원읍, 금남면 대평리 등지에서 백제토기가 확인된 사 례가 있으며, 남면 보통리 갈운리 월산리 31), 동면 갈산리 등지에 백제 석실분이 분포하는 것 32) 으로 알려졌다. 이후 응암리유적 33), 나성리유적 등에서 주거지가 확인되었으며, 송담리 송원리유적에서는 백제시대의 대형 석실분을 비롯해 석곽묘, 토광묘 등이 확인되었고, 석삼리유적, 당암리 소골유적 등에 서는 백제시대 석곽묘와 옹관묘 등이 조사되었다. 세종시와 인접한 청원 부강리 남성골유적 34) 에서는 5세기경의 고구려 목책 성곽과 관련된 유구들이 조사되었으며, 이보다 앞선 한성백제시기의 유물도 확 인된 바 있다. 통일신라시대 유적은 송원리유적에서 토기가마 등의 생산유적, 연기 대평리유적에서는 주거지 등의 대규모 생활유적, 응암리유적에서 석곽묘가 확인되었다. 또 가까운 청원군 강외면 궁평리에서는 통일 신라시대 대규모 취락이 조사되었다 35). 세종시는 삼국의 접경 지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관방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세종시 북부지역에 는 백제~고려시대까지 사용된 운주산성 36), 고려시대 석축산성인 금이성,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사 26) 百 濟 文 化 財 硏 究 院, 2013, 앞의 보고서. 27)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5,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 구역 내 저습 7 8지점 연기 나성리유적. 28) ( 財 ) 忠 淸 文 化 財 硏 究 院, 2006, 燕 岐 月 山 里 遺 蹟. 29) 韓 國 考 古 環 境 硏 究 所, 2012,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3-3 地 點 燕 岐 月 山 里 황골 遺 蹟. 30) ( 財 ) 忠 淸 文 化 財 硏 究 院, 2011,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1-3 地 點 燕 岐 方 丑 里 遺 蹟. 31) 건국대학교박물관, 1998, 燕 岐 月 山 里 古 墳 郡. 32) 安 承 周 李 南 奭 1989, 全 義 地 域 古 代 山 城 考 察 百 濟 文 化 18 19 合 輯, 公 州 師 大 百 濟 文 化 硏 究 院. 33) 공주대학교박물관, 2004, 燕 岐 鷹 岩 里 龍 湖 里 遺 蹟. 34) 中 原 文 化 財 硏 究 院, 2008, 淸 原 南 城 谷 高 句 麗 遺 蹟. 35) 동방문화재연구원, 2012, 오송 통일신라시대 취락유적 행복도시~고속철도 오송역 도로건설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36) 1 公 州 大 學 校 博 物 館, 1996, 雲 住 山 城. 2 忠 南 發 展 硏 究 院, 2000, 燕 岐 雲 住 山 城 文 化 遺 蹟 試 掘 調 査. - 7 -

용된 고려산성과 중토산성, 읍내리산성, 송성 등이 있으며, 금강을 따라 양쪽으로 토성재, 토성배, 당 산성 등이 확인되어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고려시대 유적으로는 월산리 고분군과 월산리 황골 고분군, 갈운리유적 37), 보통리 고려시대 가마 터 38), 보통리유적 39), 당암리유적 등에서 건물지, 분묘, 가마 등이 조사되었으며, 송담리 송원리유적에 서도 고려시대 주거지 등이 확인된 바 있다. 조선시대 유적은 갈운리유적, 방축리유적, 당암리유적, 송담리 송원리유적, 신흥리유적 40) 등 세종시 에서 발굴조사 된 모든 유적에서 건물지, 분묘, 생산유적 등 조선시대 관련 유구들이 확인되고 있다. 연기 갈운리유적에서는 고려~조선시대로 이어지는 건물지를 포함해 조선시대 소성유구와 옹관묘, 탄요 등이 다수 확인되었다. 연기 방축리유적 41) 에서는 조선시대 건물지, 주거지를 비롯해 와요와 야철지, 탄요 등의 생산시설과 토광묘 등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유적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인 장군면 대교리 일대에서는 현재가지의 자료로 보면 청동기시대 이래 인류의 활동이 거 주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조사지역 남쪽에 위치한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에 해당 되는 송국리형주거지와 장방형주거지가 보고되었으며, 봉안리 청동기유적에서는 세형동검과 관옥 등이 일괄 수습된 바가 있어 청동기시대 문화상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이후 삼국시대 사지 인 송문리사지, 백제 고분군인 봉안리 고분군, 도계리(하봉리) 고분군 등이 인접하여 있으며, 고려~조 선시대의 분묘 및 생활유적이 다수 확인되어 지역 문화상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2) 역사적 환경 세종시는 마한에 속해있었으며, 어느 소국에 속해있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천안과 공주지역, 그리고 아산지역이 제소국으로 비정되는 지역이 있어 세종시도 이들 지역 안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종시는 본래 백제의 영토에 속하여 전의지역은 대목악군의 구지현, 연기지역은 일모산군내 두잉지 현이었고, 금남지역은 웅진의 권역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전의지방이 대록군의 속현으로 금지라 하였 고, 연기현은 연산군에 속하여 이때부터 연기라 이름하게 되었다. 연산군은 현재의 충북 문의에 해당 되는데 이 지역은 신라시대에는 웅천주(공주)의 관할 하에 있었다. 고려시대 연기현은 이후 청주로 편입되어 청주 토호들의 영향권 내에 놓이게 된다. 두 딸이 혜종과 정종의 부인이 된 김긍율의 청주 김씨, 태조대의 삼한공신 이겸의와 현종대 왕씨 성을 하사받은 이가 도의 청주 이씨, 성종대 곽원과 숙종대 곽상의 청주 곽씨 등이 청주의 유력한 호족세력인데, 아마 이 들의 영향력이 연기현까지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남면 대평리 지역에는 진도가 설치되어 나성 진으로 불려왔는데, 나성 즉 나리포(진)는 금강 중류에 위치하여 충청북도 부강에서 공주로 이어지는 수로의 중간기항지 역할을 하였다. 이곳은 음성 망이산에서 발원하여, 충주, 진천, 음성, 청주, 천안, 37)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11,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敷 地 內 1-6 區 域 燕 岐 葛 雲 里 遺 蹟. 38) 忠 淸 文 化 財 硏 究 院, 1998, 洑 通 里 瓦 窯 地. 39)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11, 行 政 中 心 複 合 都 市 建 設 敷 地 內 遺 蹟 (2-5 區 域 ) 燕 岐 洑 通 里 遺 蹟. 40) 忠 淸 南 道 歷 史 文 化 硏 究 院, 2011, 연기 생활쓰레기종합처리시설 설치공사부지 내 燕 岐 深 中 里 遺 蹟. 41) 忠 淸 文 化 財 硏 究 院, 2008, 燕 岐 新 興 里 遺 蹟. - 8 -

목천, 전의, 연기의 모든 물을 모아 내려온 동진강과 합류하는 곳으로서, 전라, 경상, 충청의 모든 강 물이 이곳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삼기강이라고도 부mm다. 조선 초기 연기현은 고려 때와 마찬가지로 중앙으로부터 수령이 파견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태종 6 년(1406)에 목주와 연기를 나누어 연기현에도 감무를 두었고, 태종 13년(1413) 감무를 현감으로 바꿈 에 따라 현감이 파견되었다. 이듬해에는 전의와 연기를 합쳐 전기라 고쳐 부르고 전기 현감이 파견되 었으며, 그 치소는 연기현이 아닌 전의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태종 16년(1416), 다시 전의 와 연기가 분리되어 각각 현감이 파견되면서 후대까지 이르게 되었다. 숙종 6년(1680)에 읍인만설의 모역벌주로 인하여 문의에 속하였으나 숙종 11년(1685)년에 복구하여 이내 연기현이라 이르게 되었다. 여말선초의 지방제도 개편을 거쳐 완성된 8도제가 실시되었을 당시 연기현은 행정적으로 충청도관찰 사의 관할 하에 있었다. 그중에서도 청주목 관할하에 있었으며, 연기현감은 충청도 청주진중익 병마단 련판관을 겸하였다. 하지만 세조 3년(1457), 지방 주요 지역에 거진을 설치하고 주변의 여러 진을 거 진 중심으로 편성하는 진관체제가 실시되면서 연기군은 청주진관이 아닌 공주진관에 속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연기현감은 절제도위를 겸직하면서 첨절제사를 겸하는 공주목사의 지휘를 받게 된 것이다. 앞서 고려 때 설치된 금사역은 조선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는데, 연기현 치소의 남쪽 5리에 위치했다 고 한다. 그밖에 전월산(당시는 용수산)에는 봉수가 설치되어 동으로는 청주 저성, 서로 공주 독성에 응하였는데, 이는 고려시대부터 사용된 것을 재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1895년 5월 26일, 전통적인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로 행정체제가 재편되었다. 지방행정 단위와 장관의 명칭도 군과 군수로 통일되었다. 조사지역 일대는 당시 공주부 관할의 27개 군현 중 연기 공주 군에 포함되었다. 이듬해 8월 4일, 23부 제도가 폐지되고 1수부 13도 1목 7부 331군 제도가 시행됨 에 따라 충청북도와 충청남도가 생겨났고, 충청남도 산하 37개군을 전결이 면적으로 1~4등급으로 구 분한 결과, 공주군은 1등군, 연기군은 4등군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1906년 10월 1일, 통감부는 13제 도와 군의 숫자는 그대로 두되 1수부 13도 11부 332군 체제를 유지하는 식으로 행정체제를 정비하였 다. 1914년 통감부는 대대적으로 행정체제를 재편하는데 그에 따라 100개가 넘는 군이 통폐합되었다. 이에 따라 충청도 역시 37개군 중 무려 23개군이 감소하여 14개군이 되었고, 이에 공주군의 4개면까 지 이속되었으며, 군청 소재지는 연기리로부터 조치원으로 이전된 것이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공주군 반포면, 도암 성덕 영곡 3 개리를 금남면에, 장기면의 나성 송원 2개리를 남면에 편입하여 1읍 6면 106동리로 구성되었다. 이후 2005년 5월 18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 공포되고, 2006년 12월 21일 행정도시 명칭이 세종시 로 확정되었으며, 2010년 12월 27일에 세종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법률 제10419 호)이 공포되었다. 2012년 6월 30일 충청남도 연기군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며 7월 1일자로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 하게 되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는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일원과 충청남도 공주시(의당면 태산리, 용암리, 송학리, 용현리, 송정리 일원 장기면 송무리, 평기리, 대교리, 하봉리, 도계리, 봉안리, 제천리, 은용리, 신학리, 당암리, 금암리 일원, 반포면 원봉리, 도남리, 성강리, 국곡리, 봉암리 일원), 충청북도 청원군 일부(부용면 산수리, 행산리, 갈산리, 부강리, 문곡리, 금호리, 등곡리, 노호리 일원)를 포함하여 1읍 9면 14동으로 조정되었다. - 9 -

<도면 3> 조사대상지역 주변 토양지형 분포도 <도면 4> 조사대상지역 주변 토양퇴적 분포도 - 10 -

<도면 5> 조사대상지역 위성사진 - 11 -

Ⅲ. 조사내용 1. 조사지역 주변 문화재 현황 42) 현장조사에 앞서 조사지역 및 주변 문화재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문 화유적 분포와 기 조사된 내용에 대해 도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서술하도록 하 였다. 1) 세종 송문리 사지 사지는 공주시 장기면 송문리 토끼자리라는 곳에 위 치하며, 1974년 백제시대의 金 銅 觀 音 普 薩 立 像 이 출토되 었던 지역이다. 북쪽으로 야산이 중첩적으로 전개되고 남쪽으로 넓은 농경지가 전개되는 지역인데 전면에 대 교천이 흐르고 있다. 주변에서는 고식 기와편이 발견되 고 있는데 이들 기와편 중에는 불에 탄 흔적을 남기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사찰이 화재를 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지에서 출토된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의문의 처리가 부여 군수리 사지에서 출토된 것과 유 사하며, 여러 가지 형태가 대체로 백제의 말기 수법을 지니고 있다. 2) 세종 대교리 김종서 김승규 정려 정려는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의 밤실에 자리한 김종 서 묘역 입구에 세워져 있다. 정 측면 1칸 건물로 내부 우측 벽면에 명정현판을 옮겨 놓았는데 위에는 김종서 의 현판을, 아래에는 김승규의 현판을 걸어 놓았다. 김 승규의 현판에는 孝 子 通 政 大 夫 兵 曹 參 議 金 承 珪 之 門 이라고 적혀 있으며, 명정 연대는 1781년(정조 5)이다. 현판은 길이 219cm, 너비 36cm의 크기인데 정려에 횡으로 걸려 있고 뒷면에 공의 복관과 입려의 동기가 음각되어 있다. 42) 연기군지편찬위원회, 1988, 연지군지. 百 濟 文 化 開 發 硏 究 院 公 州 大 學 校 博 物 館, 1999, 忠 南 地 域 의 文 化 遺 蹟 第 12 輯, 燕 岐 群 篇. 문화재청, 문화재 GIS인트라넷시스템 ; http://www.gis-heritage.go.kr 기본적인 사항은 위의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추가로 확인한 자료는 따로 기재하도록 하겠다. - 12 -

3) 김종서 장군묘( 公 州 大 橋 里 金 宗 瑞 將 軍 墓 ) 김종서의 묘소는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의 밤실에 자 리하고 있다. 묘소의 전면에는 비석이 2기가 건립되어 있는데, 그중 원래의 비는 복관 2년 후인 1736년(영조 24)에 공주판관 이익진과 지방유생들에 의하여 세워진 것으로 높이 94cm의 호패형 비이다. 전면에는 朝 鮮 左 議 政 節 齋 金 先 生 宗 瑞 之 墓 라고 2행으로 종서되어 있고 배면에 건립의 사연을 기록하고 있다. 비문에 의하면 이곳에 공의 묘소가 마련된 것은 이곳이 원래 공의 세장지지이고 그 당시까지 현지 주민들에 의해 공 의 묘소라는 사실이 전해 내려온데 근거하게 되었다는 점을 전하고 있다. 또 다mm 비는 1963년에 세 워진 것으로 이 유적과 김종서의 행적을 자세하게 적고 있는데, 비명은 大 匡 輔 國 崇 祿 大 夫 左 議 政 謚 忠 翼 號 節 齋 順 天 金 公 宗 瑞 之 墓 라 되어 있다. 한편 이 묘역이 있는 마을의 입구에는 최근에 새로 세운 신 도비도 세워져 있다. 현재 이 묘소는 기념물 제 1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김종서는 조선 단종대의 충신으로 字 는 國 卿 이며 號 는 節 齋 이고 諡 는 忠 翼 이다. 공은 원래 공주 의 당면 월곡리에서 출생한 것으로 전하는데 태종 5년에 문과 급제한 후 두루 관직을 거치다 수양대군에 의해 야기된 계유정란에 연루되어 처형 받았다. 그 후 그의 충절이 재평가 되어 1734년 (영조 22) 비 로소 원래의 관직을 회복하였고 명정을 받았다. 김종서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묘역의 입구에 세워진 정려가 있는데, 이는 김종서와 그의 아들 김승규 의 정려가 있다. 이 정려는 정, 측면 1칸 건물로 내부에는 孝 子 通 政 大 夫 兵 曹 參 議 金 承 珪 之 門 이라 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명정 연대는 1781년(정조 5)이다. 현판은 길이 219cm, 너비 36cm의 크기인 데 정려에 횡으로 걸려 있고 뒷면에 공의 복관과 입래의 동기가 음각되어 있다. 4) 세종 고운동 궁골 사지 남면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 고정리 궁골 마을이 위치한다. 사지는 마을의 북쪽에 있는 부 엌두락골 골짜기 끝에 있는 구릉의 평탄부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의 서쪽에 있는 국사봉 에서 동북주한 능선 의 남향사면 하단부에 해당하기도 한다. 사지로 추정되는 지역은 부분적으로 밭으로 개간되어 있고, 일부는 산림지역으로 남아 있다. 현재는 전체적으 로 잡목과 잡풀이 우거져 있어 정확한 寺 域 을 파악할 수 없다. 다만 주민의 전언에 의하면 이곳을 절 터골 이라 칭하며 수년전 까지만 해도 많은 양의 瓦 片 이 수습되었다고 전한다. 사지로 추정되는 지역 은 약 50여평에 걸친 좁은 면적으로 암자터와 같은 작은 施 設 物 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13 -

5) 세종 고운동 곽희태 곽지흠 묘소 남면소재지인 종촌리에서 북서쪽으로 3km 정도 떨어 진 곳에 고정리 궁골이 있다. 묘비는 이 마을의 뒤쪽으 로 국사봉에서 남주한 능선의 중하단부에 유좌로 위치 한다. 이 묘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청주인 郭 希 泰 와 郭 之 欽 부자의 묘로, 郭 希 泰 (1577 1663)는 1642년(인조 20) 明 政 殿 에서 거행된 정시문과에 병과로 등제하여 老 職 으 로 동지중추부사에까지 올랐다. 郭 之 欽 (1601?)은 곽희태의 장남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하여 인조실 록 효종실록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암행어사가 되었다. 국사봉에서 남부한 능선의 동남향사면 중하단에 100여평의 평탄한 대지를 조성하여 2기의 묘가 정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각각의 묘 앞에는 묘비와 동자상, 석주가 세워져 있는데, 묘비는 옥개형의 이수를 올렸으며, 비의 전체높이는 150cm, 비신높이 116cm, 너비 42cm의 규모이고 이수와 대좌는 화 강석재를 가공하여 제작하였다. 郭 希 泰 의 묘비에는 贈 禮 判 行 嘉 善 同 知 中 樞 府 事 郭 希 泰 墓 貞 夫 人 全 州 李 氏 부 左 라고 써 있으며, 비문은 1687년(숙종 13)에 손자인 예산현감 郭 昌 徵 이 짓고 썼다. 郭 之 欽 의 묘비에는 後 配 淑 人 安 東 金 氏 부 左 通 訓 大 夫 行 司 憲 府 執 義 郭 公 之 欽 之 墓 前 配 淑 人 昌 寧 成 氏 부 右 라 고 쓰여 있고, 비문은 1687년(숙종 13)에 손자인 郭 始 徵 이 짓고 썼다. 6) 고정리 월성마을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충남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원에 해당한다. 시굴조사에서 유적이 확인되어 발굴조사를 실시하였 다. 발굴조사 면적은 275m2로 고정리 월성마을(41번)유 적에서는 조선시대 토광묘 6기, 시기미상 소성유구 1기 등 총 7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7) 고정리 부석골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충남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원 해발고도 50~90m 구 릉지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면적은 75m2로 발굴조사 고정리 부석골(40 번)유적에서는 조선시대 토광묘 2기가 조사되었다. 주변 으로는 동쪽으로는 고려 조선시대 생활 및 분묘유구가 조사된 연기 방축리 유적이 있다. - 14 -

8) 고정리 묵박골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충남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원 해발고도 50~90m 구 릉지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면적은 1,774m2로 발굴조사 고정리 묵박골 (39번)유적에서는 조선시대 토광묘 8기가 조사되었다. 주변으로는 동쪽으로는 고려 조선시대 생활 및 분묘유 구가 조사된 연기 방축리 유적이 있다. 9) 제천리 중터골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일원 해발고도 50~90m 구릉 지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면적은 700m2로 발굴조사 제천리 중터골(2 번)유적에서는 고려시대 주거지 1기, 조선시대 주거지 1 기, 토광묘 8기, 시기미상 석곽묘 1기 등 총 11기의 유 구가 조사되었다. 10) 제천리 월현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일원 해발고도 50~90m 구릉 지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면적은 20,837m2로 발굴조사 제천리 월현(3 번)유적에서는 고려시대 석곽묘 2기, 조선시대 건물지 3 동, 주거지 20기, 토광묘 23기, 탄요 4기, 구상유구 1 기, 적석유구 1기, 시기미상 함정유구 1기, 수혈 2기 등 총 57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고려시대 1호 석곽묘의 경우 장벽에 감실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고려시대 석곽묘는 제천리 유적뿐만 아니라 주변 유적에서도 점점 확인되고 있다. 그러한 사래와 비교할 때 감실을 설치하는 것과 바닥면에서 약간 뜬 위치에 설치 한 것이 있다. 감실에는 청자와 흑자같은 자기류의 병과 청동제 합과 수저등을 부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유물들의 연대를 감안할 때 감실구조를 가진 석곽묘는 고려시대에 들어 발생하고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 건물지 및 주거지 등 생활유구가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유구들은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군을 이루고 조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천리 월현유적의 경우 시기로서는 분청사기와 백자가 출 - 15 -

토되는 것으로 보아 15세기 전반부터 16세기 전반에 걸쳐 생활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지 는 공통적으로 사면부를 단면 'ㄴ'자로 굴착하여 전면에 대지면을 조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초석은 할석을 모아 중심부에 적심석을 놓았으며, 온돌시설도 확인되었다. 주거지 내부시설은 노지가 확인되 었는데 대부분 상단 벽 중앙부에 시설되는 것이다. 유물로서는 지금까지 출토 사례가 없는 토제 장고 가 18호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다. 11) 제천리 수렁골 유적 조사지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내 북서 쪽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일원 해발고도 50~90m 구릉 지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면적은 150m2로 발굴조사 제천리 수렁골(4 번)유적에서는 조선시대 건물지 1동, 조선시대 주거지 1 기, 탄요 1기, 토광묘 1기 등 총 4기의 유구가 조사되 었다. 12) 세종 봉안리 고분군 봉안리 고분군은 비교적 일찍부터 알려진 백제의 석 실분 계통의 고분으로 공주시 장기면 봉안리 뒷산 일대 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전한다. 고분에 대한 조사는 1979년에 이루어졌는데, 유구는 모두 없어지고 토기만 수습되었으며, 완형 한점과 파손 이 심한 臺 附 壺 두점이 주목된다. 파손된 것은 흑회색 의 연질 토기로 구형의 몸통에 원추형의 굽다리가 부착 되어 있는데 굽다리에는 네 개의 작은 원형의 구멍이 일렬로 뚫려 있다. 호의 몸통에는 무늬가 없으며 아가 리는 목에서 바라지고 한 가닥의 突 帶 가 돌려져 있다. 입지름 112cm, 몸통 지름 16cm, 높이 25cm, 굽다리 높이는 8.5cm의 크기이다. 완형은 흑회색 경질로 어깨 가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 부분에 원추형의 굽다리가 부 착되어 있다. 굽 높이에 비하여 굽바닥 지름이 넓고 하단부에 두 가닥의 돌대를 돌린 뒤 그 위에 삼각 형 구멍을 일렬로 다섯 개 뚫었다. 목이 없이 바로 아가리가 바라져 있다. 입 지름12.9cm, 몸통 지름 19.4cm, 높이 29cm, 굽다리 높이는 11.5cm, 바닥 지름은 19.5cm의 크기이다. 현재 이 봉안리 고분을 외형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고분이 분포된 지역에 상당한 잡목이 우거져 있고, 과거 노출되었던 고분도 완전 유실 혹은 매몰되어 발견되지 않는다. - 16 -

13) 세종 봉안리 청동기 유적 공주시 장기면 봉안리 지역은 낮은 구릉지가 넓게 전 개되는 지역으로 금강의 지류인 대교천 東 岸 에 해당한 다. 청동기가 출토된 지역은 산능선이 서쪽으로 전개되 면서 정상에 삼각형의 분지를 형성하고 있는 곳이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청동제 창과 대롱 옥 및 細 形 銅 劍 이 공주대학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가운데 세형동검은 함께 동반되어 출토되었는지는 자세하지 않으나 나머지 청동창과 대롱옥은 이곳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실하다. 현재 유물 출토지로 알 려진 유적에서는 더 이상의 흔적을 확인할 수는 없다. 다만 주변에서 원삼국기로 볼 수 있는 타날문 토기편이 간혹 보이고 있다. 더불어 이 유적지에서 서쪽으로 약 1km의 거리에 하봉리 토광묘 유적이 있다. 이 하봉리 토광묘 유적은 타날문 토기를 부장한 주구 토광묘가 남아 있는 지역이다. 이한 점으 로 미루어 보면 봉안리의 청동기 유적은 나름의 환경적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4)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 조사지역은 해발 52m의 낮은 구릉성 산지로 소나무 와 느티나무 등의 잡목이 우거져 있는 곳이다. 남동쪽 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장군면 소재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36번 국도가 동서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서쪽 과 북쪽은 금강지류인 중흥저수지에서 발원한 대교천을 사이에 두고 경작지가 펼쳐져 있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 및 수혈유구 1기, 시대미상 토광묘 4기, 자연구 1기 등 총 11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평면형태와 내부시설 이 서로 다mm 유형의 주거지가 조사되었다. 장방형주거 지 2기 (타)원형주거지 3기로 모두 5기가 조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의 주거지는 평면형태가 장방형이고 정상 부 평탄면에 위치하여 등고선과 직교한 방향으로 조성 되어 있다. 2기 모두 내부시설로 토광식노지와 주공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유형의 주거지는 평면형태 가 (타)원형 주거지로 정상부 평탄면에 위치하며, 내부 중앙에 타원형 수혈이 있거나, 내부에 4주식 주 공이 시설되어 있는 송국리형 주거지이다. 이는 조사지역이 속한 세종시와 인접한 공주지역에서도 유 사한 주거양식 구조가 확인되므로 이 일대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취락구조를 밝힐 수 있는 자료로 판 단된다. - 17 -

15) 세종 대교리 산성 공주시( 公 州 市 ) 장기면( 壯 基 面 ) 평기리와 대교리( 大 橋 里 ) 사이에 있는 해발 40m의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다. 주변 지형은 북에서 남쪽으로 뻗어있는 해발 100m이하 의 얕은 구릉성 야산이 여러 가지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성의 남쪽으로는 서북쪽에서부터 남동쪽으로 굽이 져 흐르는 대교천( 大 橋 川 )이 접하고 있다. 구릉의 남동 지맥 끝 부분 가까이 돌출되어 있는 곳에 위치한 산성 은 성내에 서면 서쪽과 남쪽으로 하천과 천변 평야가 넓게 펼쳐져 시야가 트여있다. 성은 토축으로 축조되었는데, 주변 지역이 밭으로 경작되어 성벽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거의 없다. 즉, 동벽과 남벽은 성벽이라고 인정할 만한 土 壘 가 전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서벽과 북벽이 만나는 곳 극히 일부에서만 성벽의 일단이 확인된다. 성내의 시설물들은 찾아보기 어려우며, 1995년 조사시 와편 일부만이 수습되었다. 기와편은 선조문에서 복합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양이 타날된 것들이 다. 16) 세종 평기리 이덕사 이태연 묘비 季 德 泗 墓 碑 는 공주시 장기면 도계리에 위치하는데 1666년(현종 7)에 세워진 것으로 높이 144cm, 폭 67cm, 두께 24.5cm이며, 李 泰 淵 墓 碑 는 높이 163, 폭 68.5cm, 두께 28.5cm로 1725년(영조 1)에 세워졌다. 이덕사 묘비는 사위인 송시열이 撰 書 하였다. 이태연(1615~1669)은 본관이 한산이며, 자는 靜 叔 호는 訥 齋 로 덕사의 아들이다. 1642년(인조 20) 진사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50년(효종 1) 공산현감 수찬을 지내고 김자점의 일파로 탄핵을 받아 파직 당하였다가 1652년 당진현감에 등용되었다. 이듬해 교리로서 대간의 월권행위를 상소하다 가 도리어 파직되고, 1656년 필선으로 복직되었다. 1659년 충청도 관찰사로 재직 중 도내의 유배죄인 7명을 임의로 풀어주었다가 다시 파직 당하였으나, 이듬해 경주부윤으로 복직되었다. 17) 세종 평기리 265-4번지 유적 조사지역은 장군면의 북쪽에 위치한 국사봉에서 남쪽 으로 진행하는 주능선이 대교천과 만나는 부근에서 남 남서쪽으로 분지한 구릉의 정상부 및 서사면과 이 구릉 에서 남서쪽으로 다시 분지한 구릉의 동사면에 해당한 다. 능선평탄부는 비교적 넓고 편평한 편이며, 서사면의 상단부는 비교적 경사가 급한 편이나 하단부로 내려오 면서 점차 완만해진다. 조사결과, 원삼국~백제시대 주거지 10기, 고상건물지 3기, 구상유구 13기, 수혈 16기, 주공열 5기, 집 - 18 -

석유구 1기, 조선시대 분묘 39기, 시기미상 성토면 1면, 소성유구 1기 등 총 89기의 유구가 확인되었 다. 유물은 4호 주거지에서 장란형 토기, 호, 발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 18) 세종 도계리 고분군 하봉리 고분군은 원삼국기의 토광묘 유적이다. 이는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산 4~49번지 일대에 분포된 것으 로 1993년 국립공주 박물관에 의해 조사가 비롯되어 1 994년까지 계속 진행된 결과 수십기의 토광묘를 확인 하였고 상당수의 부장유물도 수습하였다. 유적은 하봉리의 구릉상 낮은 야산에 위치한다. 이곳 은 동서로 길게 드리워진 지형으로 토광묘는 구릉상에 등고선과 평행의 형태로 조성되어 있다. 고분의 내용 중에 1993년에 조사된 무덤 1을 보면 다음과 같다. 매장부는 등고선과 평행으로 조성되었는데 묘광의 크 기는 너비 1m 내외에 길이는 4m 정도이다. 목관묘를 사용하여 바닥에서 약간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목관은 너비 58~52cm에 길이는 256cm이고 깊이는 약 30cm 정도로 남아 있었다. 이로써 유물은 이미 지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토기 5점만이 수습되었다. 이외에 묘광의 경사 윗부분에는 매장부와 1.2m의 간격을 두고 너비 50cm 내외의 규모로 "ㄷ" 형태의 주구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후 1994년에 조사된 유구도 대체로 같은 유형으로 판단하고 있다. 19) 세종 하봉리 충열사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忠 烈 祠 는 柳 珩 장군의 영정과 위패가 봉안된 祠 宇 로서, 원래 사우로서의 유지는 아니 었으나 1971년 9월에 사우로서의 규모를 새롭게 한 곳 이다. 錦 湖 書 社 는 1851년(철종 2) 李 繼 遠 의 等 狀 에 따르면 1851년 9월 朴 挻 錫, 李 命 鉉, 廬 基 雄 등 37명의 청원에 의해 貞 敏 公 竹 堂 柳 辰 同, 忠 景 公 石 潭 柳 玲, 錦 沙 柳 忠 傑 등의 위패를 모신 곳이었다. 유형은 죽은 뒤 1620년 승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오 위도 총부 도총관으로 증직되고, 1796년 아들 지걸의 정려가 내려짐과 함께 영의정으로 증직 받으며, 이때 시호논의가 있다가 1802년 ' 忠 景 '시호가 내려진다. 금호서사는 류 씨 가문에서 공적을 세운 선조 貞 敏 公 竹 堂. 忠 景 公 石 潭, 錦 沙 忠 傑 3인을 私 的 으로 모셨던 것인데 1851년 이계원 등의 等 狀 에서 류형장군이 이미 '충경' 이라는 시호도 받고 충절도 뛰어나며 해남, 함평 등지에서 이미 제향되고 있 - 19 -

으므로 朴 涎 錫, 李 命 鉉, 盧 基 雄 등 37인이 이들의 사우 건립을 청원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에 1874 년 아쉬운 마음으로 금호서사와 관련한 비만을 세웠던 것이다. 결국 조선시기에 이들 가문은 서원의 건립을 이루지 못한 채 지내오다가 1971년 유형 관련 고문서와 유품이 지방문화재로 지정되는 것을 기회로 충렬사를 건립하기에 이mm 것이다. 충렬사는 사우와 내 외삼문, 비각 2동, 동 서재, 관리 사무 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역은 사고석 담장으로 말끔히 단장되어 있다. 忠 景 公 柳 珩 의 위패를 모신 사 우인 忠 烈 祠 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익공계 架 構 수법을 따랐다. 사당의 정면 우측의 비각에 1874년 건립된 비가 세워져 있고, 좌측비각은 이 비를 번역하여 새로 세운 비석을 보존하고 있다. 내삼문은 彰 義 門, 외삼문은 忠 義 門 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현재 유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우에는 지방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된 증직교지 1장 외에 6장의 고 문서와 호패 1점이 있고, 1972년 9월 충렬사 건립 당시 출토된 지석과 토기가 전시되어 있다. 지석에 는 柳 라고 새긴 표식이 있고, 토기는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류씨 문중에서는 名 地 師 가 표적하 여 둔 것이라 추측하며 류형장군의 祠 堂 敷 地 에서 이같은 류자 표식 출토된 것은 매우 신이하게 여겨 지고 있다. 이외에 관련 고문서로는 교지류와 소지가 있고 충열사의 담장 동편에는 진주 류씨 문중에 서 삼강의 행적을 보인 인물들의 비석이 4기가 세워져 있다. 20) 세종 은용리 산성1 충청남도( 忠 淸 南 道 ) 공주시( 公 州 市 ) 장기면( 長 岐 面 ) 은 용리 1구의 서편에 등을 지고 높게 솟아 있는 해발 128.5m의 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산 정상부는 동남쪽 에 위치한 시루봉(354.3m)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뻗어있 는 지맥의 끝단으로서, 산성은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다. 성벽은 대부분이 완전히 붕괴되어 흔적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서벽과 남벽에 土 壘 일부만이 남아있 다. 토루는 약 50m 정도가 잔존하는데, 그나마 민묘에 의해 지형 훼손이 심화되어 있다. 성내에는 평 탄면이 많아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95년 조사시 성의 내외를 연결하는 서벽의 통행로 주변 과 민묘 주변에서 특히 많은 양의 토기편과 와편 등이 수습되는데, 대부분 삼국시대 유물이며 그 중에 는 고배편과 같은 특징적인 유물도 있다. 은용리 산성은 북쪽과 동쪽으로 대교천( 大 橋 川 )과 그 주변으로 형성된 하천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 고, 멀리 송정리산성( 松 亭 里 山 城 )과 평기리산성( 坪 基 里 山 城 )이 한눈에 들어오는 좋은 시야를 확보한다. 성의 규모는 지형 조건을 고려할 때, 아무리 크다 하여도 200m내외일 것으로 판단되며, 남북으로 연 결되는 교통로 한가운데를 지키던 소규모 산성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0 -

2. 고고 역사 분야 1) 조사 방법 지표조사는 예비조사 현장조사, 조사결과 정리 및 분석의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조사지역을 중심으로 관련기록과 그 주변에서 지금까지 조사된 유적의 자료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조사지역과 관련된 문헌조사를 비롯하여 자연 지리적 인문 지리적 역사 고고학적 환경조사 조사지역에 대한 전언 및 탐문조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조사의 가장 중요한 단계인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현장조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의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지형 및 항공사진 등을 통해 조사지역의 지형을 파악하여 유적이 입지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지역 전체를 답사하고 관찰되는 사항에 대하여 기록 및 촬영을 병행하였으며, 유구의 존재 가능성이 의심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조사원이 일정한 간격으로 도열하여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원지형의 파악과 현재 지역의 환경 및 입지를 파악하고, 지표상에서 관찰되는 유구의 흔적을 확인하거나 노출되어 있는 유물을 수습하는데 주안을 두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결과 정리 및 분석단계에서는 예비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지역의 유적 확인을 위한 시굴 및 발굴조사 등의 대책을 제시한다. 2) 조사내용 및 결과 금번조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에 추진 예정인 우량농지 개량사업부지에 대한 지표조사로 대상면적은 3,000m2이다. 조사는 우량농지 개량사업으로 인해 대규모의 지형변경이 발생하 기 전에 문화유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6년 03월 23일부터 2016년 03월 29일까지 7일 간(현장조사일수 1일)의 일정으로 진행하였다.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510-4번지에 해당되며, 장군면사무소에서 대 교천을 지나 직진하다보면 오거리가 나오는데 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하주막골길을 따라 들어가면 우 측으로 대규모 전원주택단지가 나온다. 전원주택단지는 2014년 백제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를 실시한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에 해당되는데 이 유적과 같은 능선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다. 조사지역은 국사봉에서 남쪽으로 길게 분기하는 길이 1.6km의 가지능선 정상부와 북서쪽 사면부에 해당된다. 능선은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남쪽으로 흐르다가 조사지역 주변에서 대교천 주변에 형성된 충적지와 연결된다. 조사지역 동쪽과 서쪽에는 능선을 따라 긴 곡간부가 자리하는데 동쪽에는 정계천이, 서쪽에는 율곡천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다가 대교천과 합류한다. 조사지역은 해발 50m 내외의 능선 정상부와 북서쪽 사면부에 해당되며, 정상부의 경사도는 완만한 사면부는 어느 정도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조사지역은 밤나무 경작지에 해당되나 현재 벌목을 실시한 상태이며, 북서쪽 능선 하단부는 1차로 우량농지 개량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다. 조사지역은 남쪽의 설상대지 정상부와 사면, 북쪽의 곡부로 - 21 -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곡부 북쪽으로 과거 경작을 위한 소로를 개설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부 절토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남쪽 설상대지 정상부에는 일부 경작에 사용되던 저수조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조성되어 있으며, 그 동쪽에 인접하여 농막이 자리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현재 조사지역 내의 수목은 모두 제거된 상태이며, 이 과정에서 일부 장비진입로 설치 등으로 지형이 일부 훼손되었다. 지표조사는 북쪽의 곡부에서부터 남쪽 설상대지 방향으로 도보로 이동하면서 지표상에 매장문화재의 징후인 유구의 흔적이나 유물의 노출 등을 관찰하며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지역 외곽인 북쪽 능선과 남쪽의 설상대지 연결부, 동쪽의 경작지까지 확장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소로 개설 등으로 형성된 단애면을 중심으로 조사지역의 기반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혹시 모를 유구의 존부를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조사지역은 과거 진행된 소로 개설 과정에서 상당부분 절토가 이루어지면서 지형훼손이 이루어진 바 있으며, 이후 밤나무 과수원으로 운영되다가 현재 벌목을 실시한 상태이다. 이 과정에서 표토면 상당부분이 깎여 나가면서 기반층인 풍화암잔층이 넓은 범위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남쪽 설상 대지 정상부에는 과거 밤나무 과수원 운영당시 사용되었던 콘크리트구조물(저수조 및 농막)이 조성되 면서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조사지역 가운데 원지형을 유지하고 있는 구간은 남쪽 설상 대지의 서쪽부분인 1,120m2에 국한되어 있다. 지표상에서는 매장문화재의 징후인 유구의 흔적이나 유물은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조사지역 남쪽 으로 70~80m 정도 이격하여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세종 대교리 산25-1번 지 유적이 동일한 능선상에 남쪽으로 접하여 있다. 이 유적은 2104년 백제문화재연구원에서 시굴 및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되는 송국리형주거지 3기와 (장)방형주거지 2기 및 수혈 유구 1기, 시기미상의 토광묘 4기, 구상유구 1기가 확인되었다. 유구의 입지상태를 보면 능선 정상부 부근에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다. 송국리형주거지는 능선 정상부에 一 자상의 선 상배치를 보이며, (장)방형주거지는 정상부에서 서쪽 사면부로 연결되는 지역에 일렬로 배치된 상태이 다. 토광묘 역시 능선 정상부에서 서쪽 사면부로 약간 치우친 경사면 상단부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러 한 배치 및 입지상태로 보아 조사지역 내에도 육안으로 관찰되지는 않지만 청동기시대 이래의 유구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 22 -

<도면 6> 조사대상지역 세부지형도(1/1,000) - 23 -

3. 민속 지명 분야 연혁 및 지명유래 지명은 행정구역상의 분류에 의하여 정해지기도 하지만 그 일대 및 주변의 자연과 역사적 환경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이러한 지명은 당시의 사고와 문화, 지역적 특색, 생업영위수단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민속 지명 조사는 이러한 지명을 바탕으로 실시하여 조사지역과 그 주변지역에 대한 유적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지명조사는 한국 지명총람 에 기록된 것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조사지역이 위치한 장군면과 대교리를 중심으로 살펴보 았다. 장군면 面 세종특별자치시 1읍 9면 14동의 하나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의 14개 마을과 의당면의 7개 마 을이 합쳐져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시 장군면으로 출범하였다. 동쪽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과 한 솔동, 서쪽은 충남 공주시 월송동, 남쪽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북쪽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과 접 하여 있다. 대교리 里 본래 공주군 장척면의 지역으로서 도계리 경계에 있는 한다리의 이름을 따서 대교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산리, 안기리의 각 일부와 요당면의 상독리, 유산리, 율곡리, 정계 리, 신주막 일부를 병합하여 대교리라 하여 장기면에 편입되었다. 줄곧 공주시(군)에 편입되어 있다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편입되었다. 국사봉 산 독골 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수려함. 김종서 산소 묘 대장골에 있는 김종서의 산소. 대봉교 다리 대교리와 봉안리 경계에 있는 다리. 장기면에서 조치원읍으로 통함. 대장골 골 밤실 북쪽에 있는 골짜기. 김종서의 산소가 있음. 독곡 마을 진계 북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밤실 또는 율곡 마을 유산 북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유산 또는 유산리 마을 진계 서쪽에 있는 마을. 진주유씨의 산소가 있음. 정계 또는 진게 마을 대교리 남쪽에 있는 큰 마을. 앞에 큰 내가 있음. 진게뚝 또는 진게제방 둑 진게 앞 들에 있는 둑. - 24 -

1. 문화재 보존대책 현황 총 현황 Ⅳ. 종합고찰 및 조사단 의견 발굴조사 보존 사업면적 지표조사면적 입회조사 시굴조사 표본조사 정밀조사 일부보전 이전보존 3,000m2 3,000m2 - 세부현황 조사 기관 누리 고고학 연구소 조사명 행정구역 면적(m2) 유적성격 조사기관 의견 세종 대교리 510-4번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표본조사 1,120m2 유존가능지역 지표조사 국비지원 대교리 510-4번지 일원 실시 비고 <표 1> 조사지역 주변 세부현황 번 문화재명 호 1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 2 세종 봉안리 청동기 유적 3 세종 대교리 산성 4 세종 봉안리 고분군 5 세종 평기리 265-4번지 유적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산25-1 일원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 447-12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403-1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 산13-1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평기리 265-4 이격 조사단 성격 거리 의견 종류 68m 선사 역사 영향없음 기존 335m 유물출토지 영향없음 기존 588m 국방유적 영향없음 기존 680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755m 유물산포지 영향없음 기존 6 세종 도계리 고분군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 산3 878m 유물산포지 영향없음 기존 7 세종 평기리 이덕사 이태연 묘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평기리 산42-80 1,208m 기념물 영향없음 기존 8 제천리 수렁골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739-1 1,651m 선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9 고정리 묵박골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751-2 1,674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10 제천리 월현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산235 1,730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11 제천리 중터골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산230 1,771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12 13 세종 대교리 김종서 김승규 정려 김종서 장군묘(시도기념물 제2호)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산45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산45 1,795m 기념물 영향없음 기존 1,847m 기념물 영향없음 기존 - 25 -

번 호 문화재명 소재지 이격 거리 성격 조사단 의견 종류 14 고정리 부석골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728-4 1,909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15 세종 은용리 산성1 16 하복리 충열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산15-50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복리 90-3 2,050m 국방유적 영향없음 기존 2,061m 종교유적 영향없음 기존 17 고정리 월성마을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산114 2,235m 역사유적 영향없음 기존 18 세종 송문리 사지 세종 고운동 곽희태 곽지흠 19 묘소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문리 산1-1 2,619m 유물산포지 영향없음 기존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산51 3,181m 기념물 영향없음 기존 20 세종 고운동 궁골사지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산43 3,188m 유물산포지 영향없음 기존 2. 종합고찰(조사단 의견) 세종 대교리 510-4번지 지표조사 국비지원 은 2016년 3월 23일부터 2016년 3월 29일까지 (현장조사일수 1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곡리 510-4번지로 면적은 총 3,000m2이다. 조사는 일차적으로 문헌기록 및 기조사된 고고학적 성과를 통해 대상지역 주변의 문화유적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예비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을 정리함과 더불어 대상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국사봉에서 남쪽으로 길게 연결되는 해발 50m 내외의 능선 정상부 및 북서쪽 사면부에 해당된다. 능선 정상부는 상당히 완만하며, 사면부는 일부 급경사면을 포함하고 있다. 조사지역은 북쪽의 곡부를 포함한 사면부, 남쪽의 설상대지 정상부 및 사면부로 크게 구분된다. 조사결과 조사지역은 과거 진행된 소로 개설 및 벌목, 농업 관련시설물 설치 등으로 인하여 원지형 이 상당부분 훼손된 상황이며, 남쪽 설상대지의 서쪽 일부만 원지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조사지역 내에서 매장문화재의 징후인 유구의 흔적이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남쪽으로 68m 이격하여 세종 대교리 산25-1번지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유적의 입지상태 및 유구의 배치로 보아 조 사지역 내에도 육안으로 관찰되지는 않지만 청동기시대 이래의 유구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원지형이 잔존하는 남서쪽 1,120m2에 대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매장문화재 존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표조사는 지형적 특징 및 지표상에 드러난 유구 유물의 흔적에 대한 육안조사임을 감안 하면 매장문화재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공사 시행시 예상하지 못했던 매장문화재가 발견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공사 시행과정에서 유물이나 유구가 확인되면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5조(개발사업 계획 시행자의 책무) 및 제1 7조(발견신고 등)에 따라 즉각 굴착행위를 중단하고 관계기관(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과 협의하여 처리 - 26 -

하여야 한다. 또한 사업시행과정에서 사업부지가 재조정될 경우 지방자치단체(세종특별자치시)와 협의 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도면 7> 조사대상지역 현황도(1/1,000) - 27 -

<도판 1> 조사지역 전경(북서쪽에서) <도판 2> 조사지역 전경(남쪽에서) - 31 -

<도판 3> 조사지역 근경(서쪽에서) <도판 4> 조사지역 근경(북쪽에서) - 32 -

<도판 5> 북쪽 사면부 및 곡부 전경(남쪽에서) <도면 6> 북쪽 사면부 농로 전경 - 33 -

<도판 7> 북쪽 사면부 단애면 노출상태 <도면 8> 남쪽 설상대지 전경(북동쪽에서) - 34 -

<도판 9> 남쪽 설상대지 근경(북쪽에서) <도판 10> 남쪽 설상대지 북서쪽 사면 잔존상태 - 35 -

<도판 11> 남쪽 설상대지 정상부 근경 <도판 12> 설상대지 서쪽 사면 근경 - 36 -

<도판 13> 북서쪽 1차 우량농지 개간부지 경계부 단애면 전경 <도판 14> 단애면 노출상태 - 37 -

<도판 15> 저수조 조성상태 <도판 16> 농막 잔존상태 -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