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연감내지 최종수정.indd



Similar documents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목 차 1. LED/ 광 1 2. 자동차 의료기기 정보가전 플랜트엔지니어링 생산시스템 조선 로봇 화학공정 세라믹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 2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3LGÈ�ÇÐÁ¦2±â/2001±â³»Áö-8-30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pdf..


½Ç°ú¸Ó¸®¸»¸ñÂ÷ÆDZÇ(1-5)¿Ï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전력기술인 7월 내지일

ISO17025.PDF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c04....

제4장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신소재 나노융합 산업발전 7대 과제의 단계별 추진 정부는 제도적 개선 및 핵심기술 R&D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하여 성장기반을 마련 하고 민간은 투자확대와 시장개척을 통해 사업화를 확대하는 역할 분담을 통하여 산업 육성 1단계(2009~2011년)에서는 글로벌리딩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ºÐ¸»¾ß±Ýȸº¸%1ȱÇ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13È£³»Áö-1

2010교육프로그램_


[ 화학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나노입자의표면증강을이용한 태양전지의효율증가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김주래 ( 서울과학고물리화학과 ) 지도교사 : 참여학생 : 원승환 ( 서울과학고 2학년 ) 이윤재 ( 서울과학고 2학년 ) 임종

2013 <D55C><ACBD><C5F0><BC31><C11C>(<CD5C><C885>).pdf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보도자료 년 5 월 16 일 ( 목 ) 조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에너지환경표준과최철우과장, 류지영연구사 ( ) 화장품에도국제표준이...? - 화장품도이젠표준선점으로세계시장선도를 - [ 붙임 1

³»Áö_10-6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Bluetooth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Prologue 01 마그네슘 합금의 장점 및 적용 분야 02 다이캐스팅 이란? 1. About 장원테크 01 Company Overview 02 사업영역 핵심기술력 04 국내 사업장 05 베트남 법인 06 업계 Top Tier 고객사 확보 2. Cash-Cow 모바일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ı_0124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I (34 ) 1. (10 ) 1-1. (2 ) 1-2. (1 ) 1-3. (2 ) 1-4. (2 ) 1-5. (1 ) 1-6. (2 ) 2. (8 ) 2-1. (3 ) 2-2. (5 ) 3. (3 ) 3-1. (1 ) 3-2. (2 ) 4. (6 ) 4-1. (2 )

¹Ì·¡Æ÷·³-5±âºê·Î¼Å_1228.ps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C1A1C1A2C2F8C1A6BDC3C0E55F E786C7378>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È޴ϵåA4±â¼Û

미래포럼수정(2.29) :36 PM 페이지3 위너스CTP1번 2540DPI 200LPI 미래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새로운 미래, 어떻게 맞이할 것입니까? 오늘보다 나은 내일, 더 큰 미래를 열어갑시다 2014년 아시아 세계경제 33% 차지

감사회보 5월

2009_KEEI_연차보고서

- 2 -

탄소연속섬유복합체 제조기술 본분석물은교육과학기술부과학기술진흥기금을지원받아작성되었습니다.

1. 경영대학

2ÀåÀÛ¾÷

ICT À¶ÇÕÃÖÁ¾

경영노트편집2월-3

01업체광고1407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hwp


Chapter Chapter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KEIT 내지.indd

Basic CMYK

소식지수정본-1

hwp

에너지절약_수정

(연합뉴스) 마이더스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Ⅰ 개요 1 기술개요 1.,,,,, 600,, (IFB),,

½Å½Å-Áß±¹³»Áö.PDF

CR hwp

2

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11+12¿ùÈ£-ÃÖÁ¾

untitled

OUTLINE 행사개요 행사명 Inside Bitcoins Conference & Expo 2015 장소 KINTEX 제 2전시장 3층 (회의실 301~304호) 행사시기 2015년 12월 9일(수) - 11일(금)ㅣ9일은

04 Çмú_±â¼ú±â»ç

CONTENTS

Print

No Slide Title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ÃѼŁ1-ÃÖÁ¾Ãâ·Â¿ë2

더바이어102호 01~09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c04....


67~81.HWP

DocHdl2OnPREPRESStmpTarget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피해자식별PDF용 0502

농학석사학위논문 폴리페닐렌설파이드복합재료의기계적및열적 특성에영향을미치는유리섬유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복합보강재에관한연구 The combined effect of glass fiber/reduced graphene oxide reinforcement on the mecha

wtu05_ÃÖÁ¾

Transcription:

나노 기술연감 2012 www.kisti.re.kr www.nnpc.re.kr Ⅳ 1. 개요 181 2. 나노관련 기업 183 3. 나노제품 186 가. 국내외 나노융합제품 현황 186 나. 국내외 나노융합제품 사례 189 4. 나노산업관련 활동 193 5. 나노산업 표준화 197 가. 개요 197 나. 나노기술의 시장동향 199 다. 표준화 동향 201 라. 표준화 추진 전략 212

개 요 부록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기술은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 구축과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핵심기반기술로서 자체적 혁신성도 크지만 타 기술 및 산업과 융합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부가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등 막대한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노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범용성 첨단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 GPT)로서 이미 우리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점차 이용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태양전지 등 기존 에너지 변환장치의 효율 한계를 극복하며 국가 에너지 자립에 기여하고, 고성능 나노촉 매, 나노필터 등을 통해 오염배출 최소화 및 청정 환경을 유지 보전하는 등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표 4-1> 주력산업 적용 나노융합 제품 예 주력산업 자동차 나노기술 제품 적용 예 초경량 고강도 탄소복합구조재, EMI차폐 탄소복합기능재, 은나노 항균 캐빈 에어필터, 탄소나노튜브 적용 발열 시트,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나노기공 실리카 타이어 등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조선 반도체 선박용 특수 나노 도료, 탄소섬유복합소재, 선박구조재, LNG 수송용 단열재 등 유연 메모리 소자, 고집적 나노급 반도체 메모리, 저전력 차세대 통신칩, 은나노 포토마스크 등 디스플레이 전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NT BLU, 터치 스크린, 나노코팅제 등 전자 나노잉크, 양자점 LED, 통신용 나노 SIM, 고집적 나노센서 등 181

시 장 규 모 기술개선 나노페인트, 나노코팅, 나노화장품 등 기술혁신 전도성나노잉크, 탄소나노섬유 등 신산업창출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3D 나노반도체, 약물전달시스템 등 나노기술혁명 양자컴퓨터, 나노로봇, 곤충사이보그솔저 등 나노기술 특성 (신기능화 경량화 소형화)으로 기존제품 성능한계 극복 Nano-enabled(나노기술로 기존제품 개선) Nano-dominated(전혀 새로운 나노기능 구현) 나노기술발전단계 <그림 4-1> 나노융합기술 산업화 단계 및 주요국 현황 이에 미국, 일본, EU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나노기술의 개발은 독자기술 확보와 기술 상용 화를 위해 다양한 육성과 지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대만, 러시아 등 후발주자들도 나노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신성장동력으로서 나노기술을 전략적으로 채택하여 미래 신 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나노융합분야의 산업화 육성과 함께 실질적인 산업화의 중심에 있는 나 노기업은 나노기술을 활용한 부품 소재 완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여 기존 제조업의 기술적 정체상태를 돌파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Fortune 500대 기업 중 에너지 제조업 분야 기업의 50%가 나노기술을 채택하는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도 나노기술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채택하여 활발히 사업화를 추진 중이 라고 하며, 이에 2015년경에는 본격적인 나노융합시장 형성이 시작되어 약 2.5조 달러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Lux Research, 2009)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4위 기술력과 함께 나노기업 수도 약 700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 으며, 나노융합제품 개발 건수도 미국 587건(46%)과 독일 168건(13%) 다음으로 많은 126건 (10%)으로 조사된 바 있다.(우드로윌슨센터, 2011)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2015년 세계 나노기술 3강 진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나노기술 연구개발 저변확대와 더불어 더욱 활발한 나노제품 의 사업화 촉진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작성자 : 강민식,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정책기획팀 팀장 182

나노관련 기업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산업통상자원부(구 지식경제부)는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와 산업연구원 공동으로 우리나라 나노융합산업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개발사업 등의 자원 배분과 방향 설정을 위해 2012년 나노융합산업조사 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제3장 나노기술 연 구개발 활동 의 민간 연구개발 활동 부분에 구체적으로 수록하였으며, 연구개발활동 및 연구 개발 투자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장에서는 조사 결과 중 기업의 일반 현황에 대해 기 술하고 있다. 나노융합산업조사는 기존에 적용하던 기술분류 혹은 제품분류와 구분하여 산업분류체계를 정립하여 새로 도입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나노소재, 나노전자, 나노바이오 의료, 나노장 비 기기 등 4개의 대분류, 16개 중분류, 44개의 소분류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2012년에 시행 된 나노융합산업조사는 약 1,000여개의 기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추진하였으며, 응답업체 수는 468개였다. 2011년에는 나노융합상용화 플랫폼 촉진 및 활용사업 의 일환으로 STEPI가 주관하여 나노기업 및 나노융합산업 정밀실태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나노기업 수는 690개로 조사 정리 되었고 이 중 359개 기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2012년에 조사한 응답업체의 설립연도는 2001년~2005년 기간 중 설립된 기업이 125개 (26.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1995년 이전에 설립된 기업들도 123 개(26.3%)로 뒤를 잇고 있다. 나노융합산업 대분류에 의해 구분하면 나노소재 분야가 207개(44.2%)로 가장 많이 분포하 고 있으며, 나노장비 기기 분야에 140개(29.9%)로 뒤를 잇고 있다. 다음으로 나노전자(63 개, 13.5%)와 나노바이오 의료(58개, 12.4%)에서는 상대적으로 업체수가 작게 나타났다. 종사자 규모별로 구분하면 300인 이상의 대기업은 49개(10.5%)인 반면 300인 미만의 중소 기업이 419개로 89.5%나 점하고 있어 나노기술의 활용이 대기업에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 183

지만 아직까지는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장기업수도 거래소 30개, 코스닥 50개로 비중이 17.1%나 되고 있어 대기업에서의 나노융합분야로의 진출이 활발하지 만 동시에 중소기업에서도 나노융합을 기반으로 성장성을 인정받는 기업이 출현하고 있다. <표 4-2> 나노융합산업조사 응답업체 현황 (단위 : 개, %) 구분 응답업체 비율 전체 468 100 1995년 이전 123 26.3 설립년도 1996~2000년 114 24.4 2001~2005년 125 26.7 상장여부 2006이후 106 22.7 거래소 상장기업 30 6.4 코스닥 상장기업 50 10.7 나. 나노기업 및 나노기술 개발 현황 비상장기업 388 82.9 대기업(300인 이상) 49 10.5 종사자 기업 일반 현황 중기업(50~299인) 111 23.7 규모별 나노기업 소재지는 대부분 서울과 경기 지역으로 수도권에 거의 60%가 있으며, 그 외에는 소기업(50인 미만) 308 65.8 대구와 대전, 경북 등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설립은 국내에서 나노기술을 본격 육성하 500억원 이상 19 4.1 기 시작한 2000년 이후가 약 48%로 과반수를 차지하며, 이전 설립 기업들의 대부분은 기존 100억원이상~500억원미만 52 11.1 사업과 함께 나노기술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 규 50억원이상~100억원미만 42 모는 자본금 신생 기업이 많은 만큼 중소기업이 약 83%를 차지하고 있다. 9.0 규모별 10억원이상~50억원미만 151 32.3 5억원이상~10억원미만 61 13.0 5억원미만 143 30.6 나노소재 207 44.2 나노융합 부문별 나노전자 63 13.5 나노바이오/의료 58 12.4 나노장비/기기 140 29.9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협력기구 산업연구원(2013), 2012 나노융합산업조사 184

(단위 : 개, %)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나노장비/기기 140개 (30%) 나노바이오/의료 58개 (12%) 응답기업 468개사 (100%) 나노전자 63개 (14%) 나노소재 207개 (44%)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협력기구 산업연구원(2013), 2012 나노융합산업조사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그림 4-2> 나노융합업체 부문별 현황 (2011년)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중 기업 33개 (7.1%) 대기업 19개 (4.1%) (단위 : 개, %) 나노기술의 EHS, ELSI 응답기업 468개사 (100%) 나노기술 영향평가 중소기업 416개 (88.9%) 국제협력 활동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협력기구 산업연구원(2013), 2012 나노융합산업조사 <그림 4-3> 기업규모별 분포 (2011년)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작성자 : 정은미, 산업연구원 주력산업팀 연구위원 185

나노제품 가. 국내외 나노융합제품 현황 미국 우드로윌슨센터에서는 나노기술적용 상용화 제품을 조사하여 정리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2011년 3월 기준 전 세계의 나노제품 출시 현황을 조사하지는 않았다. 지식경제부 는 나노융합기업 T2B 촉진사업 을 2012년 본격 추진하면서 나노융합제품의 사업화 촉진 지 원을 위해 국내 나노융합제품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동 사업은 국내 나노기업의 우수 나노융 합제품을 발굴 시연 홍보하며 해당 나노제품을 적용 상용화할 수 있는 수요처를 찾아 제 품거래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이 주관하여 현재 72개 사의 95개 제품을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나노소재, 나노 IT, 나노 BT, 나노 환경, 나노 에너지의 5대 나노분야와 자동차 및 생 활용품들을 구분하여 매년 30개 내외 신규 나노융합제품을 발굴 지원하고 있다. 아래 표는 일본 나노텍 및 나노코리아 국제나노융합대전 등 2012년 국내외 전시회에 출품 된 해외 나노융합제품과 T2B사업 을 통해 2012년에 발굴된 국내 나노융합제품 등을 중심으 로 국내외의 나노융합제품 사례이다. <표 4-3> 나노융합기업 T2B 촉진사업의 나노융합제품 리스트 (72개사 95개 제품) (단위 : 회사수/제품수) 구분 기업명 제품/기술 나노 소재 (25/27) IDT인터내셔널 나노엠 금호석유화학 나노스퀘어 엔티베이스 그래핀 및 그래핀옥사이드 초발수 나노코팅액 K-Nanos 나노형광체(양자점) 나노 금속 파우더 186

구분 기업명 제품/기술 나노 소재 (25/27) 나노 IT (12/15) 나노 BT (8/8) 에자일텍 쎄코 화인머티리얼 동진쎄미켐 신세라믹 씨큐브 SH에너지화학 도은 실빅스 어플라이드카본나노 케이에이치케미칼 바이오니아 제이오 케이씨주식회사 한화나노텍 희성금속 나노솔루션 월드튜브 제일모직 효성 동현전자 나노캠텍 에자일텍 티앤비나노일렉 나노브릭 탑나노시스 큐디솔루션 파루 나노미래 빛기술 엘지실트론 맥스필름 비타코스 나노미래생활 바이오머티리얼즈 NSB POSTECH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솔미테크 한스바이오메드 화일약품 전자수송층(ETL)용 나노이온 복합소재 반사방지용 산화텅스텐 코팅소재 내구성 및 내지문성이 뛰어난 나노표면 처리제 나노산화마그네슘 분말 은나노 코팅액, 구리나노 코팅액 스크린인쇄가 가능한 저온&고온용 친환경 세라믹 내열잉크/도료 고광택 무기분체 안료(F grade sample) 고광택 무기분체 안료(AX-991P) 나노산화아연 분말 TiO 2 nano sol을 이용한 PMMA, PC, TAC용 하드코팅액 항균나노복합소재 금속계 탄소나노복합재의 상용규모 제조기술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응용제품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체 탄소나노튜브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고순도 알루미나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튜브 응용제품 원통형 산화아연 타켓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단일벽&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대전방지 코팅액 나노카본소재(탄소나노튜브, 그라핀)의 응용제품 대전 및 정전방지용 부품 적용을 위한 카본나노튜브 복합체 CNT 분산기술을 적용한 전기/열전도성 복합소재 MHz대역용 고기능성 자성복합소재 Heatcon, Mccl 포토리소그래피용 Ag 포토마스크 투명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투명 난방기 전기 색가변소재(ETX) 전기 색가변소재(EPD) 전기 색가변소재(MTX) 전기 색가변소재(SPM) CNT 투명전도성 필름 양자점, 양자점 LED 전자나노잉크 기능성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소재 나노 전도성 & 방열 부품 폴리시드 웨이퍼, 에피텍쳐 웨이퍼 ITO 필름 100% 나노에멀젼크림 제조 유화제 나노 ZnO Powder를 이용한 다양한 항균 어플리케이션 나노 티타니아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나노콘 코팅된 슬라이드/원자힘현미경 팁 면역침강법을 이용한 핵산(디엔아이) 농축용 마이크로칩 시스템 패치형 건강신호 측정기 솔-젤 약물담지 복합 골절 충진재 개발 나노에멀젼 수용성 CLA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187

구분 기업명 제품/기술 나노 환경 (6/6) 나노 에너지 (7/7) 자동차 (15/17) 라이프 (13/15) 나노폴리 나노케미칼 웰크론 EMW 대종에이오피 아모그린텍 네패스리그마 미지나노텍 센불 티모테크놀로지 휴먼사이디 엔티피아 케이엘케이 나노폴리 동원케미코팅 두람 나노미래 데스코 도은 석경에이티 신세라믹 실빅스 옵트론텍 와이제이씨 E&B 나노텍 젠코 한화나노텍 남영세라믹 도은 리워터코리아 맥스필름 석경에이티 신세라믹 아모그린텍 에이치티솔 옵트론텍 와이제이씨 윈앤윈 지티사이언 크레진 남영세라믹 자연여과방식의 살균정수기 세라믹 필터-탈질 촉매 복합체 멜트블로운 기술을 이용한 나노 섬유 부직포 및 필터 LME 공기정화장치 폴리버블여과기 전자나노잉크 및 나노섬유필터 투명칼라 열차단 유리 (Rigmah-CE) IR, 열차단, 대전방지용 나노소재 에너지블록(압전에너지 발전 모듈) 염료감응태양전지 에어로젤 다중충진 성형 기술 나노섬유 적용 전열교환기 염료감응태양전지용 광음극 페이스트 및 인쇄물 항균 공조기 열교환용 알루미늄 핀재 투광성 무기도료 나노섬유 필터 기능성 CNT 적용 에어백 컨트롤박스하우징 자동차 부품용 나노컴퍼지트 소재 개발(휠커버) 자동차 부품용 나노컴퍼지트 소재 개발(엔진커버) TiO 2 nano sol을 이용한 PMMA, PC, TAC용 하드코팅액 적외선(IR) 차단 소재(자동차 적용) 자동차 뒷유리용(블랙세라믹 paste, silver paste) 케빈에어필터 PEO 코팅 범퍼레일 현무암섬유 보강 복합재료 자동차 보닛 나노기공 실리카 다이아나노(엔진오일첨가제) 면상 발열체용 Paste 및 응용 발열체(카시트) 면상 발열체용 Paste 및 응용 발열체(사이드미러) 하이퍼코트(내열성 세라믹 나노코팅재) TiO 2 nano sol을 이용한 PMMA, PC, TAC용 하드코팅액 친환경 재활용 절수기 ITO 필름 자외선(UV)차단 램프용 코팅재(곤충방지용 자외선 차단램프) 세라믹잉크를 적용한 그라비아 필름 투습, 방습섬유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커튼 PEO 코팅기술(마그네슘자전거) PEO 코팅기술(후라이팬) 현무암섬유(보강 복합재료 바) 현무암섬유(현무암 장섬유) 양궁용 Form제 성형 유해가스 정화장치 조명용 LED 램프 커버용 광확산 제품 개발 죽염모 로션(탈모방지/양모제) 188

나. 국내외 나노융합제품 사례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해외 나노융합제품 사례 (일) 스포츠 용품 (미쯔비시상사) (미) 스마트 셔츠 시스템 (Sensatex)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CNT 적용 고강도 경량화 특성을 구현한 스포츠용품 (골프공, 테니스라켓 등) 전도성폴리머 의복으로 옷의 물리적 신호를 전달, 몸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독) 초경량 합금 엔진 (BAYER) (일) 대면적 금속 몰드 (INNOX) CNT 합금소재로 차량용 엔진부품의 경량화특성에 사용, 현재 BMW에 탑재 (러) CNT적용 스마트 콘크리트 (Art pte) 콘크리트에 CNT의 균일한 분산으로 고강도의 성능 구현 (미) 나노잉크 (G7 Productivity Systems)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렌즈 어레이 제작을 위한 100nm급의 대면적 금속 몰드 자성을 가진 나노크기 안료 적용으로 카트리지 내 잔여 잉크량 확인 가능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미) 나노티타늄 배터리 (Altair Nanotechnologies) (미) 체내 유해 미생물 제거제 (Nano Health Solutions) 나노기술의 EHS, ELSI 배터리 음극에 흑연대신 티타늄으로 대체한 충전용 배터리 규조토를 나노 크기로 입자화하여 체내 유해 미생물 제거 효능을 지니는 보조제 나노기술 영향평가 (미) 통신용 나노 SIM (Apple) 나노 미세패턴으로 기존 SIM보다 작고 얇아 휴대폰을 더 얇게 구현 가능한 스마트폰 인증모듈 (일) CNT적용 부식방지부품 (GSI Creos) 금속 부품에 CNT 코팅으로 강도 및 부식방지 능력을 향상시킨 기계부품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189

(미) 나노촉매 공기청정기 (Skin Rx Solutions) 나노 TiO 2, 은, 동, 로듐 등 4개의 친수성 촉매에 의한 공기정화기 (오스트리아) 자외선 차단 화장품 (Advanced Nanotechnology Limited) 나노파인 ZnO사용, 자외선으로부터 광범위한 피부 보호효과를 구현한 자외선 차단제 국내 나노융합제품 사례 나노소재 응용 은 나노 항균 필터 (실빅스) CNT복합 대전방지 소재 (제일모직) 은 나노 입자의 원사 내부 고른 분사로 반영구적 항균 능력 기존 전도성 고분자 대비 적은 CNT 함량에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발현 CNT금속복합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나노기공 단열소재 (휴먼싸이디) 금속분말 표면에 CNT의 균일한 분산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전기 전도성 구현 에어로겔(다공성 실리카)의 다중 충진 기술을 통해 초단열, 내열, 내화용으로 사용 적외선 방지 필름 (석경AT) CNT 적용 발열 시트 (한화나노텍) ATO나노입자의 균일한 코팅으로 창호에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CNT 적용 면상 발열 시트로 균일한 열적 특성과 우수한 내구성 구현 190

나노IT BT 융합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투명 면상발열체 난방기 (티앤비나노일렉) 나노입자 용액도포로 발열하는 투명 난방기로, 높은 열효율과 면상 및 곡면에 적용 가능 전자나노잉크 (파루) 롤투롤 인쇄공정용 은나노 잉크 사용, 인쇄공정을 통한 유연한 전자회로 구현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양자점 LED (큐디솔루션) 전자기 색가변 소재 (나노브릭) 동일 물질의 양자점을 다양한 크기 조정으로 IR, UV, 가시광 영역 등 발광파장 구현 나노에멀젼 수용성 CLA (화일약품) 의료용 진단 장비 (나노바이오시스) 지용성 약물의 나노 입자화로 약물의 체내 흡수 능력 향상 및 약효 극대화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구조체 광결정 소재로 외부 전기장에 따라 Fullcolor 색변환 가능 랩온어칩을 이용한 유전자 결함, 단백질 분포 등 분석용 자가진단칩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나노환경 에너지 투명칼라 열차단 유리 (네패스리그마) LMR 공기정화기 (EMW에너지) 컬러 나노입자 사용으로 다양한 색 구현 가능한 건축 외장용 기능성 (열차단) 유리 자연여과방식의 살균정수기 (나노폴리) 일차전지 나노 분리막 (엔티피아) 무전력 자연 낙하방식이며 복합 나노입자 혼합 3단계 정수필터로 살균력 우수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다공성 금속 표면상의 나노촉매 물질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나노섬유를 응용한 분리막으로 일차 전지의 성능 및 수명연장 극대화 국제협력 활동 나노섬유 기반 필터 (웰크론) 나노섬유 기반 초극세사 필터로 오염물의 정화 효과 극대화 염료감응태양전지 (티모테크놀로지) 식물의 광합성 작용원리의 응용 제품으로 염료에 의한 태양광 발전 효과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191

나노라이프 나노섬유 의류 (아모그린텍) 타이어용 나노기공실리카 (ENB나노텍) 영구적 투습, 방습 효과를 갖는 나노섬유 의류 타이어에 나노기공실리카 적용으로 연비증가 및 제동능력 향상 티타니아 하드 코팅액 (도은) LED램프용 광확산 커버 (크레진) 티타니아 나노졸 하드코팅액적용으로 헬멧과 고글에 높은 투과도와 내스크래치성 부여 나노파우더 코팅으로 LED 점 광원의 균일한 빛 확산 및 고방열, 고열전도 특성구현 엔진 첨가제 (젠코) 탄소섬유 적용 양궁용 활 (윈엔윈) 수 nm 의 나노다이아몬드를 적용한 엔진 첨가제로 엔진의 성능 및 효율 향상 카본섬유 적용으로 경량화 및 충격강도에 대한 흡수력 증가로 기능성 향상 192

나노산업관련 활동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융합주간 2012 지식경제부는 나노융합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제고하고 나노기술과 타 산업간 융합을 확산하며, 나노분야 산학연 종사자들의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마련키 위해 2012년 12월 4일 (화)~6일(목) 3일간 나노융합주간 2012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3일의 기간 동안 네 트워킹, 성과의 공유 확산, 세미나의 성격별로 12개의 세부 행사로 진행되었다.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표 4-4> 나노융합 주간 2012 행사 일정표 구분 행사명 일시 장소 주관기관 네트 워킹 성과 공유 확산 개막행사 (나노융합 2012 컨퍼런스) 나노융합산업 통합정보시스템(Nanoin) 개설식 및 서포터즈 발대식 나노융합 공공연구기관 협의회 창립총회 나노인의 밤 행사 나노융합 T2B 포럼 나노인프라 성과확산 워크숍 나노안전성 및 표준화 성과확산 워크숍 나노융합 사업화 R&D 성과전시회 12.4(화) 10:00~13:00 12.4(화) ~12.5(수) 12.5.(수) 11:00~13:00 12.6(목) 18:00~19:30 12.4(화) 13:00~16:00 12.5(수) 13:30~17:40 12.5(수) 13:00~18:00 12.6(목) 14:30~18:00 차세대융합 기술원(광교) 덕산 스파캐슬 기계연구원 기계연구원 건국대 새천년관 차세대융합 기술원(광교) 나노종합 팹센터 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 건국대 새천년관 KEIT 나노조합 나노융합 협력기구 나노융합 협력기구 KEIT, 나노조합, 협력기구 나노연구조합 국가나노 인프라협의체 안전성평가 연구소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KEIT 193

구분 행사명 일시 장소 주관기관 세미나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 성장동력화 포럼 나노세라믹 세미나 밀양 Nanopia 구축 심포지움 인쇄전자기술 세미나 12.4(화) 15:30~18:00 12.5(수) 14:00~18:00 12.5(수) 13:00~18:30 12.6(목) 14:00~17:00 나노바이오 연구센터(장성) 세라믹 기술원 밀양시청 대전 테크노파크 나노바이오 연구센터 한국세라믹 기술원 밀양시 대전TP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은 다양한 나노 커뮤니티 및 나노 분야 산 학 연 관계자가 자유롭 게 참여 교류하는 개방형 포럼으로서, 국내 나노기업과 수요기업 간 융합과 협력의 장을 마 련하는 등 아래 세가지 목적의 달성을 위해 지식경제부 주도로 2012년 6월에 출범하여 총 3 회가 개최되었다. - (산업화 촉진) 그간 정부지원 등을 통해 확보한 나노분야 기초 원천기술의 상용화를 촉 진하고 미래 글로벌 나노융합시장 조기 선점 추진 - (융합 가속화) 나노기술과 타산업과의 융합을 가속화함으로써 기존 제조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산업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 - (소통 교류의 장) 나노 분야 기업간(수요-나노) 및 산 학 연 주체간 정보교류 및 소통 의 장을 제공하고 나노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 확산 제1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 행사 개요 일시 : 2012년 6월 26일(화), 13:30 장소 : 서울 팔래스호텔 Grand Ballroom 주최/주관 : 지식경제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 참석자 : 나노융합분야 산 학 연 관 관계자 214여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는 윤상직 지경부 제1차관, 이희국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LG사장) 등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 194

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나노기술의 사업화 및 타 산업과의 융합 촉진, 대국민 인식 확산 등을 위해 나노 관련 산학연 주체들이 모두 참여 하는 소통과 교류를 위한 자리로 마련됐으며, 글로벌 나노융합산업의 동향 및 발전 방안과 나 노기업들의 사업화 성공 사례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제2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 행사 개요 일시 : 2012년 9월 25일(화), 07:30 09:30 장소 : 서울 팔래스호텔 Sky Ballroom(12F) 주최/주관 : 지식경제부/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참석자 : 지경부 및 산업계 대표 등 25명 제2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은 NT산업화 촉진을 위한 성공 중견기업인 초청간담회로 지 식경제부 및 산업계 대표 등이 모인 가운데 개최됐다. 이날 간담회는 나노바이오융합분야 중 견기업의 사업화 성공요인 및 노하우 등 선행사례 공유를 위해 N-BT분야의 사업화 경험 및 해외 시장개척 이라는 주제로 메타바이오메드 오석송 회장의 강연으로 진행됐다. 사업화 초 기의 어려움 극복 및 추진 전략, R&D 투자 및 전시회/마케팅 활동 등 세계시장 선점의 핵심 경쟁력과 이를 통한 나노융합제품의 글로벌 상용화 방안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정부 및 산 학 연 관계자가 참석하여 초청 강연에 대해 정보 및 의견을 교류하고, 나노융합산업의 발 전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메타바이오메드의 오석송 회장은 당장 나노제품을 상용화하는 것은 어렵지만 미래 기업 경쟁력의 기반이 될 나노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지향의 중요성을 강 조했다.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부록 국민이해증진 활동 국제협력 활동 195

제3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 행사 개요 일시 : 2012년 10월 31일(화), 14:00 장소 : 대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층 컨퍼런스 홀 주최/주관 : 지식경제부/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 참석자 : 나노융합분야 산 학 연 관 관계자 214여명 제3차 나노융합 비즈니스 포럼은 지역과 중소기업으로 확산되는 나노융합산업 을 주제로 하여 나노융합 기업대표 및 임직원, 유관기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기조강연에서는 삼성 종합기술원 유인경 부사장이 나노융합과 미래 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2부 나노융합 정책 세 션에서는 지식경제부의 나노융합산업 발전전략 발표와 함께 대전시와 밀양시의 나노융합산업 육성 및 발전 전략, 그리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나노융합 확산을 위한 중앙ㆍ지방 연계 전략을 발표했다. 뒤이어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등 대덕특구 출연연의 나노융합 기술이전과 상용화 성공사례, 기업의 나노융 합기술 혁신사례(K-MAC의 NT-BT-IT 융합기술) 발표가 진행됐다. 작성자 : 강민식,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정책기획팀 팀장 196

나노산업 표준화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가. 개요 나노기술은 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물 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창출하는 과학기술이다. 나노는 10억분의 1 을 나타내는 접두어로서, 그리스어 난쟁이(nanos)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1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미터, 또는 100만분의 1 밀리미터이다. 1 100 nm 영역에 있는 대상물들은 100 nm 이상 의 크기를 갖는 물질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독특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21세기의 핵 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나노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1 100 nm 크기 영역에 있는 구조체를 합성하고, 이러한 나노구조체를 조합하여 큰 덩어리 형태의 나노소재를 만들게 되며, 나노소 재로부터 나노소자, 나노시스템을 만들게 된다. 그러므로 나노소재는 나노기술의 바탕을 이 루는 기반기술인 동시에 나노구조체가 나타내는 특이한 현상 관점에서는 나노기술의 핵심이 라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을 나노소재/환경/에너지, 나노소자, 나노바이오, 나노측정/공정/장비로 크게 나 누어 보면 나노소재/환경/에너지기술은 소재를 구성하는 요소의 최소크기가 100 나노미터인 소재를 제조하고 이 소재가 나타내는 특이한 물성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술과, 나노소재 를 환경 및 에너지 관련 기술에 적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환경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기술이 다. 나노소자는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이나 구조가 갖는 독특한 성질과 현상을 이용하여 특정 한 목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소자를 연구개발하는 과학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나노전자소자, 나노광소자, 나노분자소자, 나노양자소자, 나노자기소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바이오시스템 및 나노 구조와 결합된 융합 시스템을 나노미터 크기의 수준에서 조절 197

및 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을 지칭한다. 나노공정/장비/측정기술은 나노소재 및 나노소자의 기본요소를 합성, 증착하는 공정기술과 리소그래피 기술을 포함하는 나노패턴 형 성기술 및 이에 관련된 물성과 소자의 특성측정 및 응용을 위한 장비 기술을 포함하는 기반 요 소 기술 분야이다. 나노기술은 성격상 한 분야의 개발만으로는 경쟁력 있는 기술의 개발이 불가능하며 여러 분 야가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며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을 위한 체계가 필요하 다. 따라서 일본 등 선진국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앞서는 고급 소재기술을 개발하고, 이 를 이용하여 획기적인 성능을 가진 부품을 개발하여야 하므로 고급소재 개발의 중심에 나노소 재 기술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나노소재 분야는 기술면에서는 미국과 일본이 가장 앞서 있고 독일이 그 뒤를 따르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나라는 이들 선진국에 비해 3~5년의 기술차이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세계 1위인 반도체나 나노분말 등과 같 이 큰 덩어리를 작게 쪼개거나 집적율을 높여가는 Top-down 방식의 나노소재 기술은 외국 과 비교할 때 전혀 손색이 없다. 다만 보다 원천기술을 필요로 하는 Bottom-up 방식의 기술 즉, 원자나 분자를 이용해 나노사이즈로 조립하여 제품을 만드는 방식은 외국에 비해 많이 뒤 쳐진 것이 현실이다. 나노소자기술은 로봇, 자동차,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정보통신분야 및 유 비퀴터스 네트워크, 질병의 조기진단과 지능형 치료를 위한 바이오센서 분야에 적용될 전망 이다. 나노바이오 기술의 미래시나리오는 나노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질병 조기진단 및 자가 진단 활성화 외에도 항균작용을 하는 의복 등 나노바이오 생필품이 등장할 전망이며 종합적인 전략은 나노기술을 이용한 암 등 난치병의 정복이다. 나노공정/장비/측정 분야의 경우 나노선 과 나노점을 이용한 고집적도와 고속의 소자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바탕을 이루는 기반기술인 나노소재는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 등 여러 면에서 기존 소재들의 물성과는 현저히 구별되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 는 기존의 마이크론 크기의 소재와는 달리 나노소재의 물성은 특정크기 영역 근처에서 크기, 성분, 조직상의 작은 변화에 의해서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물성의 측정 및 해석이 어려우므 로 세계적으로 확립된 물성 측정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 나노기술의 개발을 가속화 하고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나노소재 개발의 근간이 되는 분석 평가를 위한 기반시설 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산업체 혹은 대학, 연구소의 연구자들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나노기술 관련 공동시설의 확보는 이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대단히 중요하다. 최 근 나노기술 산업화가 제시하는 획기적인 혁명의 이면에 존재하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 되면서 이에 관한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대응이 시작되고 있다. 특히 나노기술의 환경, 보 건, 안전성 영향에 관한 미국 등 선진국과 OECD, ISO 등의 국제기구에서 대응을 준비하고 198

있는 상황이어서 책임있는 나노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과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나. 나노기술의 시장동향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의 적용으로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확실시되고 실제로 경제 및 사회적 효과에 의 한 나노제품의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나노기술의 산업화가 급진전되어 향균 탈취 기능을 갖 춘 가전제품 및 섬유제품, 나노복합재료를 이용한 고강도 재료, 나노입자를 적용한 화장품 등 나노소재를 이용해 1,000여 가지의 나노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미국과학재단은 2015년 나 노기술 세계시장 규모를 1조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Others 6%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Electronics Com uting 28% Chemical Materials 41%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Medionine Health Care 19%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나노기술은 산업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으나 실제 나노제품은 재료와 화학산업 분야가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구 장비산업, 전자 컴퓨터산업, 의료 바이오산업에서도 나노기술 제품이 본격적으로 출시될 전망이다. 나노기술의 상업화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만 향후 자동차 부품, 에너지 생산과 조명, 바이오 및 센서, 내식코팅 등을 중심으로 상업화가 확 대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며 우선적으로 섬유, 화장품, 전자부품, 광학, 바이오 분야 시제품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그림 4-4> 주요기관의 세계 나노기술시장 전망과 15년 나노산업 예측 Aeros ace Defence 6% 199

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기업들은 중장기 연구투자가 필요한 원료 및 공정 개발 분 야보다 나노소재의 가공을 통한 소비재 생산에 치중하고 있다. 국내 나노산업은 광촉매용 TiO 2 와 Ag, CNT 주도의 나노분말과 나노복합체가 뚜렷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나노전자 소자 기반의 생명공학과 환경공학 분야 융합제품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제 품 개발에 필요한 계측 장비 분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진단 및 치 료 관련 나노바이오 제품의 시장성 증대가 예상되나 제품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이다. 국내 산업인 경우 산업화 제품화된 품목에서 나노분말 및 생산 공정 관련 제품이 약 40% 비 중을 점유하고 있으며 완제품은 분말을 이용하여 코팅, 제작한 것으로 약 60%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특히 전자통신 분야가 전체 나노기술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장률에 서도 평균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5년 세계 나노소재 분야 시장의 20%를 점유한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표 4-5> 분야별 나노기술/산업의 국내시장 전망 (단위 : 십억 원) 연평균 증감률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2001~2010년 2011~2020년 전자통신 5,069 18,277 56,449 151,484 333,465 27.3 19.4 의 료 238 726 2,792 6,978 14,694 27.9 18.1 환경/에너지 333 813 2,724 6,255 14,673 23.4 18.3 생명공학 730 1,342 3,103 5,873 10,920 15.6 13.4 소재/제조 2,591 9,486 22,113 45,473 97,869 23.9 16.0 항공우주/ 수송기계 692 2,389 8,876 26,625 66,176 29.1 22.2 국방/기타 500 2,354 8,853 22,277 55,227 33.3 20.1 합 계 10,153 35,387 104,910 264,966 593,024 26.3 18.9 근거 : 세계 나노기술산업화 동향(20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

다. 표준화 동향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표준화 개요 표준화 정의 및 범위 나노크기의 재료특성을 이용하여 특성이 우수한 재료, 소자 및 새로운 특성을 이용한 시스 템 개발을 위해 용어와 분류, 표준물질 사양을 포함한 측정과 장비, 시험방법, 보건, 안전, 환 경 및 나노물질 사양 등 관련된 표준화 업무 수행을 포함한다.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표준화의 중요성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나노기술 분야의 표준 제정으로 나노융합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 촉 진을 꾀하고 있다. 실제 자발적인 합의에 의해 개발된 표준은 제품개발, 생산, 공급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효율성,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특히 의료 및 약품분야의 규제를 위한 평가 및 품질관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재료의 생체적합성, 독성, 효능을 평가 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노물질 자체를 다루는 어려움이 나노물질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으 며,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나노분야의 표준 개발자들은 안전성, 독성, 품질관리를 평 가하기 위한 시험방법과 특성평가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국제표준은 나노물질 특성평가 방 법을 제공함으로써 나노기술 응용제품의 시장출시에 기여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나노입자에 대한 특성표준화는 생물, 화학, 물리, 소재, 공학, 의료, 생명공학 등 다학제간의 참여가 요구 되고 있으며, 이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나노기술 관련 용어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실험결과와 결론에 대한 실험실간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제표준화 동향 나노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2004년도부터 유럽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나노기술표준화전략 및 협력체제구축을 위해 2004년 1월 영국의 제안으로 CEN 내 BTWG166 Nanotechnology 를 설립키로 표결(2004. 3)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유럽 10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 였고 유럽에서의 나노기술분야 표준화를 위한 전략개발과 해당 영역에서의 모니터링 및 협력 작업,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기타 유럽 기구와의 교섭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새롭게 태어나는 나노기술 산업분야의 기반이 되는 표준 용어, 기초적인 측정기술, 건강 및 사회적 이슈를 중 점 추진분야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현재 ISO내 200여개의 TC(Technical Committee) 에서 전기, 전자제품을 제외한 전 산업분야의 표준을 다루고 있으며 많은 분야가 직 간접적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01

으로 나노기술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나노스케일의 표준을 다루는 TC는 TC 201(나노분석기술)과 TC 202(마이크로빔 분석)를 포함하여 많지 않은 실정이었다. 그러다가 영 국 BSI에서 2005년 1월 나노기술 분야 신규 TC 설립을 제안하여 4월에 26개국의 찬성으로 설 립이 인준되어 2005년 11월 9일 제1차 TC 229(Nanotechnologies) 총회가 영국 런던에서 개최 되었고 현재 용어와 분류 WG1(Terminology and Nomenclature), 측정과 특성평가 WG2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및 안전, 보건, 환경 WG3(Environment, Health, Safety), 물질사양 WG4(Materials Specification) 관련 4개의 WG(작업반)가 구성되어 있다. 전자제품의 나노기술은 2006년 5월 설립된 IEC/TC 113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2007년 3월 독 일에서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IEC/TC 113은 ISO/TC 229와 JWG1, JWG2를 설립하고 전기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나노소재의 성능평가를 하기 위한 WG3를 신설하였다. 최근 나노기술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면서 나노기술의 안전 보건 환경에 관한 연구지원 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표준화를 통한 안전성 평가 근거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ISO/TC229/WG1 (용어) 나노스케일에 대한 정의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으며 정의에 따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스케일의 정의에 따라 규제자나 인허가 기관은 기존제품에 적용된 시험방법과 승인요건에 대한 나노입자의 환경, 보건, 건강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완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신뢰할만한 표준과 규제를 만들기 위해서 필 수 불가결한 것은 국제적으로 승인된 용어와 물질분류이다. 나노기술분야의 용어 표준화는 지 적재산권과도 관련이 있어서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기술의 소유권을 설정하는데 중 요하다. 용어 표준 없이 기술은 제대로 정의되지 못한 채 사장될 것이고 소유권자의 이권을 확 보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투자를 어렵게 만들 수 있으므로 ISO/TC 229(나노기술)에서도 용어 표준화를 최우선 표준화 작업으로 합의하였다. 나노튜브(nanotube), 나노혼(nanohorn), 나 노파이버(nanofiber), 나노입자(nanoparticle) 등과 같은 나노기술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준 화는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 및 이해를 촉진시킬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 생명의학, 환경 등 폭넓은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어서 공학과 기술 분야의 시스템 통 합을 가능케 하고 최근에는 제조와 관련된 부분으로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나노기술 분야 에서 통용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통의 기준인 용어표준의 역할이 그 어떤 분야보 다 중요하다. 따라서 용어 표준화는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정 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교환하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202

최근까지 WG1의 표준화 현황은 ISO/TS 27687(Nanotechnologies-Terminology and definitions for nano-objects-nanoparticle, nanofiber and nanoplate)을 2008년에 발 간하였으나 현재 WG1에서 진행하고 있는 나노관련 용어를 모두 포함시켜 ISO 80004(Nano technologies-vocabulary series) 시리즈로 진행하고 있으며 8개 분야로 나누어져 있고, 향후 ISO/TS 27687도 Part 2로 포함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ISO/TS 80004-1 (Nanotechnologies- Vocabulary-Part 1 : Core terms) 등을 비롯하여 탄소나노물체, 나노구조물질,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나노스케일 측정 및 장비와 관련한 5개 분야의 국제표준을 발간하였다. ISO/TR 27687에서 나노스케일을 대략 1에서 100 나노미터 사이의 범주(range between approximate ly 1 and 100 nm) 로 정의했다. 또한 나노공정(nano process)과 나노생산(nano production) 및 나노조립(nano fabrication) 등 핵심용어를 정의하였으며 향후 ISO/TC 229의 용어의 정 의에 대한 국제표준이 각국의 기술규제에 적용될 것으로 보이고 이런 이유로 용어와 관련한 표준화 작업시 많은 나라들은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중이다. 나노입자에 대한 정의 및 나노기 술 관련 일반용어의 정의에 대한 작업이 전체 ISO/TC 229 표준화 작업의 기본이 되기 때문 에 이를 위한 ISO/TC 229 작업반간의 협력강화도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제안국 문건 제목 문건 번호 프로젝트 리더 영국 영국 캐나다 일본 독일 이란 영국 영국 영국 <표 4-6> 용어 및 분류 표준화 동향(ISO/TC229/WG1) Nanotechnologies-Terminology and definitions for nano-objects- Nanoparticle, nanofiber and nanoplate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1 : Core terms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2 : Nano-objects-Nanoparticle, nanofiber and nanoplate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3 : Carbon nano-objects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4 : Nanostructured materials Nanotechnologies-Outline ofnanomaterials calssification(nano tree)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5 : Nano/bio interface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6 : Nanoscale 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7 :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healthcare ISO/TS 27687 (발행) TR 80004-1 (발행) TS 80004-2 =TS27687 TS 80004-3 (발행) TS 80004-4 (발행) TR 11360 (발행) TS 80004-5 (발행) AWI TS 80004-6 TS 80004-7 (발행) 영국 Nanotechnologies-Vocabulary-Part 8 : Nanomanufacturing processes NP TS 80004-8 Karen Morgenroth Dr. James Webb Dr. Shuji Abe Dr. Markus Pridoehl Dr. Ali Beitollahi Prof. Jeremy Ramsden Dr. John Miles Prof. Pankaj Vadgama Prof. Mark Tuominen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03

ISO/TC229/WG2 (측정 및 특성평가) 나노를 측정한다는 것은 측정기기와 기술이 무엇이든지 간에 보이지 않는 처리과정이다. 나 노기술 연구자와 독성학자 및 제조업자들에게 나노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과 특성평가는 계측 세계의 도전이다. 마이크론 크기의 물질들을 검출하고 분석하고 측정하는 기존의 방법 은 나노차원의 입자를 측정하고 분석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나 노기술의 바탕을 이루는 기반기술인 나노소재는 물리, 화학적, 기계적, 전기적 특성 등 여러 면에서 기존 소재들의 물성과는 현저히 구별되며 나노소재의 물성은 크기, 성분, 조직 상의 작 은 변화에 의해서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들 소재에 대한 측정 및 특성평가가 어려워 물성 측정 표준 확보가 쉽지 않다. 현재 나노소재 개발의 근간이 되는 분석 평가를 위한 표준개발 이 ISO/TC229/WG2에서 진행되고 있다. 나노입자의 특성에 관한 표준화된 시험방법은 나노입자를 응용한 의약품 분야에서 의약품 개발을 가속화하며 규제에 대한 승인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새로운 나노물질의 측정 기술은 생체적용을 위한 분석기술 또는 나노입자의 독성스크리닝 시험 분야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이 러한 배경 하에 ISO/TC229/WG3(안전 보건 환경)에서 TC229/WG2(측정 및 특성평가)와 협력하여 안전 보건 환경 평가에서 요구되는 표준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08년 ISO/TC 229 회의에서 테스크 그룹이 조직되었다. ISO/TC229/WG2에서 단일층 탄소나노튜브와 다중층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물성 및 특성 평가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 미국, 한국이 주도하고 있다. 현재 SEM, TEM, UV-VIS-NIR-TGA 등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순도평가방법 및 특성평가 방법 등 9종의 국제표준이 발간되었다. 우리나라는 열분석기를 이용한 단일층 탄소나노튜브의 순도평 가 방법(ISO/TS 11308)과 다중층 탄소나노튜브의 형상평가방법(ISO/TS 11888), ISO/TC 229와 IEC/TC 113의 공동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는 4-프로브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전 기적 특성 측정방법의 국제표준화 작업시 프로젝트 리더로 활동하였다. WG2는 표준개발에 소요되는 개발기간과 시급성을 고려하여 ISO 국제표준이 아닌 기술사 양(technical speicification, TS)으로 일차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2006년 일본이 ISO/TC 229 내부의 설문조사를 거쳐 우선 표준화가 시급한 분야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탄소나 노튜브를 우선 표준화 대상으로 선정하고 표준화 항목을 결정한 매트릭스 테이블을 작성하였 다. 최근에는 나노입자와 양자점에 대한 국제표준 제안이 시작되어 여타 나노소재에 대한 표 준으로 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204

<표 4-7> 측정 및 특성평가 표준 개발 동향(ISO/TC229/WG2) 제안국 문건제목 문건번호 프로젝트 리더 일본 미국 일본 일본 일본 일본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독일 한국 독일 - 중국 Nanotubes-Use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Nanotubes-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edxa) in the characterization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Nanotubes-Use of UV-Vis-NIR absorption spectroscopy in the characterizat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Nanotubes-Use of NIR- Photoluminescence(NIR-PL) spectroscopy in the characterization of single wallcarbon nanotubes Measurement method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multi wall carbon nanotubes Use of evolved gas analysis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 in the characterization of single wall carbonnanotubes Use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in the purity evaluat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Use of Raman spectroscopy in the characterizat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swcnts) Determination of mesoscipic shape factors of multi wall carbon nanotubes General Framework for determination nanoparticle content in nanomaterials by generation of aerosols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ves using 4-probe measurement Artificial gratings used in nanotechnology description and measurement of dimensional quality parameters Nanotechnologies-Generic requirements for reference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methods for characteristic testing, performance testing and safety testing of nanoparticle and nanofibre powders Carnon nanotubes- Determination of metal impurities in carbon nanotube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TS 10797 (발간) TS 10798 (발간) TS 10868 (발간) TS 10867 (발간) TS 10929 (발간) TS 11251 (발간) TS 11308 (발간) TS 10812 (작업중지) TS 11888 (발간) TS 12025 (DIS) ISO/IEC TS 62607-2-1 (발간) ISO/IEC TS 13126 ISO TS 16195 ISO/IEC TS 13278 (발간) Mikio Suzuki EdgarA Leone Motoo Yumura Toshiya Okazaki Munekane Fuminori Yasushi Suzuki Sivaram Arepalli, Naesung Lee Anglea R Heon Sang Lee Michael Stintz Hajin Lee Harald Bosse - Chunying Chen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ISO/TC229/WG3(안전 보건 환경) 나노기술에 대한 희망적인 기대에도 불구하고 나노기술개발에 따른 사회적 영향문제에 대 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나노물질의 환 경 및 인체 유해성 문제는 나노소재의 잠재적 독성에 관한 규제 조치 없이 이미 소비자가 사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05

용하는 제품에 나노입자가 사용되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나노기술이 미래 첨단산업 발전의 핵심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나노물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안전성에 대한 논란으로 나노제품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고 이러한 변화 의 시기에 나노제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미래 첨단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필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나노분야의 안전 보건 환경에 관한 문제는 최근 미국, 영국 등에서 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으로 그 실례로 미국은 독성물질관리법(TSCA)에 따라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알려진 나노물질에 대한 독성자료 제출 의무화 등 데이터 수집을 추진하였고 연방살충제, 살균제 및 쥐약법(FIFRA) 에 따라 항균 은나노 제품에 대해 4년간 조건부 등록 시 추가 안전성 데이터 요구사항을 강화할 예정이며 자발적 규제의 비효율성 때문에 실질적 규제방안을 검토 중으로 제조자가 나노물질의 용도, 생산량, 물리화학적 특성, 공정, 노출정 보, 유해성자료 제출을 의무화하기 위해 TSCA의 개정을 추진하였다. 나노기술의 환경 보건 안전성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국의 경우 2000년에 수립된 제1차 국 가나노기술전략(NNI)에서부터 2004년 수립한 제2차 국가 나노기술전략에서도 그대로 국가나 노기술전략의 핵심요소로 자리잡고, 제3기 국가나노기술전략(NNI) 수립(ʼ07. 12) 후 나노기술 환경 및 보건 이행(NEHI)그룹의 주도로 환경 보건 안전(EHS) 문제에 대한 체계적 대응과 예 산투자가 2008년 68백만 달러에서 2010년 88백만 달러로 증가 되었다. 또한 2010년 나노기술 안전법(안)(Nanotechnology Safety Act of 2010)을 미의회에 상정하고 2011년부터 2015년까 지 연 2,500만불 예산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 나노기술안전법(안)(2010. 1. 21 상정)에 따 른 나노기술프로그램 을 차세대 과제로 추진하였으며 본 법안 통과시 세계 최초의 나노안전관련 독립법안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주요 내용은 나노물질의 생물계와의 상호작용 및 식품의약품 관련하여 최신 과학적 문헌, 데이터 수집 거동에 관한 D/B생산 일반적 원리의 해석과 정형화(모 델 개발) 부처간에 시의적절한 전파 평가 등이고 국제적 국가적 표준화 활동 참여를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및 장관의 임무를 규정 하였다. EU에서는 나노물질에 대한 독성자료 요구 등 간접규제와 안전성 규명을 위한 연구활동에 집중하고 있고 탄소나노튜브 등 탄소계 나노물질에 신화학물질정책(REACH)을 적용하여 나 노물질 안전성 자료 첨부를 요구(2008. 6. 16)하고 있다. 또한 2010년 7월 나노식품 표지법 이 EU의회를 통과하였고, 은나노와 탄소나노튜브를 RoHS 대상으로 하는 법안의 의회상정과 은나노의 Biocide 법안을 검토 중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는 사무국 산하에 화학물질 위원회(Chemical Committee)와 환경정책위원회(Environment Policy Committee)를 두고 있으며 2005년 6 월에 화학물질위원회와 EPC 산하의 화학물질, 농약 및 생명공학 작업반과의 합동회의를 개 206

최하여 관련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후 2006년 9월에 화학물질위원회 산 하에 나노소재 작업반(Working Party on Manufactured Nanomaterials, WPMN)을 설립 하게 되었다. 현재 이 작업반에 마련된 작업프로그램은 (1) 특성분석, 정의 및 용어표준 (2) 테 스트방법, 위험성평가 (3) 정보공유, 협력, 확산으로 정하고 있으며 1단계 2006~2012년에는 9개 프로젝트로 (1) 나노안전성 연구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개발 (2) 나노소재의 EHS 연구에 관한 전략 개발 (3) 대표 나노물질의 안전성평가 지원사업 (4) 나노물질의 OECD 시험지침 (5) 규제프로그램 및 자발적 규제 계획에 관한 공동협력 (6) 대체시험법 (7) 위해성 평가 (8) 노출 평가 및 노출저감 (9) 나노물질 사용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등이 추진되었으며, 2단계인 2012~2014년에는 지금까지 생산된 안전성 평가자료를 통한 분석 및 통합, 그리고 수평적 워 크샵을 수행하여 2014년부터 3단계 사업의 주요목표 설정을 하고자 한다. 많은 선진국들은 근로자와 소비자를 위한 윤리 기준과 제조 유통 등 나노제품의 전주기 관 리를 위한 정책(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은 나노기술안전법(안), EU는 나노기술윤리강 령, 독일은 나노물질의 책임있는 제조와 사용지침, 영국은 책임있는 나노강령 등 총 6개의 윤 리 기준을 마련하였고 기업-비정부기구(NGO)인 미국의 듀퐁과 환경보호단체(Environmental Defense Fund)가 공동으로 나노물질의 책임개발과 제조, 사용, 폐기 등 전주기 관리(Life cycle assessment, LCA)시스템을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하였다. 이러한 것을 살펴볼 때 유럽, 미국 등 선진국들은 나노제품의 유해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증 명된 피해 사례가 없다는 이유로 독립법안의 제정 대신 기존 개별 법령에서 규제정책을 추진 한다고 볼 수 있다. 기술표준원은 OECD의 제조나노물질 작업반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2) 나노소재의 EHS 연 구에 관한 전략 개발 (5) 규제프로그램 및 자발적 규제 계획에 관한 공동협력 (6) 위험성 평 가 및 노출측정 공동협력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등 국제협력활동을 강화하고 있 다. 또한 나노융합산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 우 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나노융합산업 촉진을 위한 나노제품 안전성 종합계획 을 수 립하였다. 이에 앞서 기술표준원은 나노소재의 산업화 진전에 따라 나노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와 연 구자의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의 안전 확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나노물질 작업안전지침 을 개발하고 국가표준인 KSA 6202(나노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연구실의 작업안전지침)로 제정하였었다. 근로자의 안전 보건 및 환경보호 등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세계정책이 ISO 표준에 반 영되고 있다. ISO의 정책에 맞추어 ISO/TC 229는 WG3를 조직하여 나노기술의 안전성 관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07

련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SO/TC229/WG3에서는 독성 스크리닝 및 위험평가, 직 장에서 나노물질에 대한 노출평가 및 관리, 소비자의 나노물질에 대한 노출평가 및 관리 등 소비자와 근로자의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우선 표준화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현재 ISO/TC229/WG3에서 13개의 프로젝트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나노물질의 안전성 평가 관 련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 측정 평가방법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개발단계에 있는 특정 나 노물질들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위험을 줄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해 나노물질 독성실험이 요 구되고 있다. 독성실험에 대한 표준 확립으로 연구자나 제조자가 새로운 나노물질에 대한 재 현성이 확보된 독성평가 및 위험분석을 수행하여 나노 물질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조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노물질의 관리 및 처리지침이 영국에서 개발되고 규제화 조짐이 보이는 시점에서 ISO/TC 229에서도 나노물질 및 제품의 전과정 처리지침에 대한 표 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나노물질의 제조 및 처리 과정에서 환경에 방출되는 나노물질이 미 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독성시험이 요구되고 있다. ISO 독성시험에 대한 표준 확립은 독 성평가의 신뢰성을 지원함으로써 향후 안전 보건 환경 분야에서 규제와 관련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나노기술에 기초한 많은 제품이 시장에 나오기 때문에 조기에 실험절차와 인가 조건을 채택함으로써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토 대 마련이 필요하다. 지속적으로 나노기술의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평가 툴이 요구되며,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호의적인 투자풍토를 조 성할 것이다. 나노물질의 직업적 노출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술보고서 작업이 완료되었고 ISO/ TR 12885(Nanotechnologies-Health and safety practices in occupational settings relevant to nanotechnologies)가 2008년에 발행되었으며, 일본에서 제안한 엔도톡신 (Endotoxin)의 독성평가방법, 우리나라가 제안한 금속나노입자의 발생 및 흡입독성챔버 내에 서의 모니터링 방법이 ISO 10801과 10808로 발간되었다. 또한 2012년에는 우리나라가 추진한 TR 13329 나노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작성지침과 TS 14101 나노물질의 독성 스크리닝을 위 한 FT-IR을 이용한 금나노의 표면특성화 가 발간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나노 안전 보 건 환경 분야에서 가장 많은 표준을 출판한 나라가 되었다. 현재 제조나노물체을 함유한 소비자 제품의 자발적 표지 문건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표준의 발간은 나노제품 제조 및 판매 사업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이 문건에 의해 나노제품인증에 대한 사업들이 진행되리라고 생각된다. 이 문건은 EU의 표준기 구인 CEN에서 추진하다가 ISO TC 229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EU에서는 정책적 문제로 조속 한 출판을 위해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208

<표 4-8> 안전 보건 환경 표준 개발 동향(ISO/TC229/WG3) 제안국 문건제목 문건(표준) 번호 프로젝트 리더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미국 일본 Health & safety practices in occupational setting relevant to nanotechnologies Endotoxin test on nanomaterial samples for in vitro system ISO 12885(발간) ANSI(미표준협회 출판) ISO 29701 (발간) Hajime Kawasaki (출판)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한국 Generation of nanoparticles in Inhalation toxicity testing ISO 10801 (발간) Dr. ILJe Yu (출판)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한국 미국 Monitoring nanoparticles in Inhalation toxicity testing Guidanc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engineered nanoscale materials ISO 10808 (발간) PRF TR 13014 Dr. ILJe Yu (출판) Dr. Richard C. Pleus (출판) 영국 미국 Guide to safe handling and disposal of manufactured nanomaterial Nanomaterial risk evaluation framework DTS 12901-1 TR 13121 (발간) Dr. Rob Aitkin (출판) Dr. Chritopher Bell (출판)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프랑스 Guidelines for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based on a control banding approach NP TS 12901-2 Dr. Daniel BLOCH (출판예정)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한국 Prepara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TR 13329 한국 Surface characterization of gold nanoparticles for nanomaterial specificic toxicity screening FT-IR method TS 14101 Dr. II Je Yu (출판) Dr. Nam Woong Song (출판) 나노기술의 EHS, ELSI 미국 미국 Nanotechnologies - Guidance on sample preparation methods and dosimetry considerations for manufacturednanomaterials Nanotechnologies - Guidance on toxicological screening methods for manufactured nanomaterials NP TR 16196 DTR 16197 Dr. Shaun Clancy Dr. Laurie Locasio 나노기술 영향평가 이란 Nanoparticles - Determination of muramic acid as a biomarker for silver nanoparticles activity DTS 16550 Dr. Alireza Ghassempour 국제협력 활동 프랑스 미국 Guidance on the voluntary labelling of consumer products containing manufactured nano-objects Gener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nano-objects and their aggregated and agglomerates DTS 13830 DTS80004-12 Dr. Jean Marc Aubulan Dr. Eileen Kuempel and Dr. Vladimir Murashov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09

ISO/TC229/WG4 (나노물질 사양) 나노물질 사양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2008년에 중국이 이산화티탄과 탄산칼슘 나노입자에 대한 신규제안으로 신설은 되었지만 나노물질 사양에 대한 표준화의 어려움과 작업반의 적용 범위 등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영국이 프로젝트 리더를 수임하고 있는 나노물 질 규격화를 위한 가이드가 발간되었다. <표 4-9> 나노물질 사양(ISO/TC229/WG4) 제안국 문건제목 문건(표준) 번호 프로젝트 리더 중국 Nano-calcium carbonate-part 1 :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 FDTS 11931-1 Mingqiang Zou 중국 Nano-titianium dioxide-part 1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 FDTS 11937-1 Mingqiang Zou 영국 Guidance on specifying nanomaterials TS 12805 Stuart MacLachlan - Nanotechnologies - Specificiation fornanoparticles in powder form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s NP TS 17200 - IEC/TC 113 (전기전자제품의 나노기술) 전기전자분야의 나노기술 표준화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2006년 IEC TC 113이 신설되었 고 ISO/TC 229의 용어와 측정 및 특성평가 분야는 공동작업반(JWG1, JWG2)을 구성하였으 며, 전기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나노물질의 성능평가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위한 WG3을 구성 하였다. 현재 WG3 작업반에서 IEC/TC 113과 ISO/TC 229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3개의 문 건이 있고, CD(위원회 초안) 단계가 승인된 전기전자제품에 응용되는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사양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포함하여 표준화 로드맵 개발 등 작업안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그 룹이 구성되어 있다. 기 발행된 표준으로는 IEEE 1650을 IEC/TC 113에서 국제표준으로 추 진하여 2009년 11월에 발간한 IEC 62624(Test methods for measurement of electr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와 우리나라가 프로젝트 리더로 참여한 ISO/IEC TS 62607(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ves using 4-probe measurement) 이다. 210

<표 4-10> IEC/TC 113 표준화 활동 제안국 문건제목 문건(표준) 번호 프로젝트 리더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한국 독일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ves using 4-probe measurement Artificial gratings used in nanotechnology description and measurement of dimensional quality parameters ISO/IEC TS 62607 Hajin Lee ISO/IEC TS 13126 Harald Bosse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중국 Carnon nanotubes-determination of metal impurities in carbon nanotube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ISO/IEC TS 13278 Chunying Chen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독일 Key control characteristics - Part 2-1 : Carbon nanotube materials - Film resistance IEC/DTS 62607-2-1 Werner Bergholz 미국 Nanoscale Electrical Contacts PWI/TR 113-69 G. Monty 한국 IEC nano-electronics Standards Roadmap PWI/TR 113-70 W-K. Park 국내표준화동향 전 세계적으로 나노기술개발 및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도 관련분야의 전문위원회를 운영하여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체 계적인 표준화개발을 위해 나노기술표준화 5개년 계획의 초안을 작성하고 표준화 추진의 액 션플랜을 위해 나노소재 환경 에너지, 나노바이오, 나노소자, 나노측정 공정 장비 분야 에서 및 국내 시장규모 등을 파악하여 기 작성된 나노기술로드맵을 근간으로 나노기술표준화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우리나라는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나노기술 영향평가 에 관한 조문을 명시하여 나노기술의 사회영향에 대한 평가 작업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나노기술과 관련된 국내표준으로는 나노분석 분야로 간주될 수 있는 표면화학분석 분야를 포 함하여 28종이 있다. 기술표준원의 주도로 나노기술의 상용화 지원을 위해 산 학 연 전문 가들로 구성된 표준기술연구회와 국내 나노기술 표준개발과 ISO/TC 229, TC 201의 국제표 준화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나노기술국내전문위원회 를 운영하고 있으며 IEC/TC 113의 국제 표준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나노전기전자 분야 전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SO/ TC 229와 ISO/TC 201 분야에서 국제 의장, 간사, 작업반 컨비너, 프로젝트 리더 등을 수임 하고 활발한 국제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표준을 등록하는 등 그간 나노관련 분야 의 국제표준화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냈다. 국내 나노분야 표준개발은 표준기술력향상사 업과 학술연구용역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사업결과는 ISO/TC 229, ISO/TC 201, IEC/TC 113 등 나노 관련분야의 국제표준에 제안되고 있다.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나노기술의 EHS, ELSI 나노기술 영향평가 국제협력 활동 국민이해증진 활동 부록 211

표준화 당면과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출범 이후 선진국들은 신기술 분야에서 자국의 표준안이 국제 표 준으로 채택되도록 하기 위해 표준화정책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나노기술 등을 이용한 첨단제품에 대한 자국 상품의 해외시장 개척에 보다 유리한 기회를 주 기 위함이다. 최근 10년간의 전 세계적인 경제공동체의 흐름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것은 표 준이 빨리 결정될수록 개발기술의 제품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며 표준에 따라서 그 분야 의 제품화 방향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제로 시장에서 판매 되고 있는 나노제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표준개발의 부재가 나노융합산업을 촉진하 는데 걸림돌이라 생각하며, 나노기술의 제품화에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에 대한 공감대가 형 성되고 있다. 현재 나노제품 표지에 대한 표준은 나노제품의 안전성 및 성능에 관한 표준으로 이 표준의 진행 결과에 따라 나노산업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표준화의 중요도에 대한 국내 산학연 전문가의 인식부족과 표준화 전문 인력의 부족이 해결 되어야 할 당면과제이다. 나노기술 분야에서도 나노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나 노기술 산업체의 연구개발 지적재산권(특허) 시장분석 표준화 부문의 연계를 통해 전략적 시스템 구축을 통한 표준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라. 표준화 추진 전략 기술표준원에서는 신산업표준과가 주관이 되어 나노분야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나 노기술 표준화를 효율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표준화기구의 나노기술 표준화 로드맵에 근거를 둔 표준을 개발하고 R&D 개발사업과 연계한 표준개발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우선 국민의 안전, 보건과 나노융합산업을 촉진할 수 있고 나노융합산업의 시급성을 고려한 중점 표준화 대상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동시에 국제표준을 제안하여 우리나라 나노제품의 대외인식 제고와 시장선점 및 경쟁력을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국제표준을 주도하는데 우위 를 점할 수 있는 분위기 마련을 위한 국제 임원 수임이 가능한 새로운 분야의 국제 표준개발 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나노융합산업의 거시 환경, 산업 환경, 표준화 환경 분석 등을 통하 여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지향적인 표준화 항목을 도출하였다. 중점표준화 항목을 도 출한 결과 나노바이오 분야는 나노 조영제 제품의 안전성 평가 방법 표준화 외 18개 항목, 나 212

노안전성 분야는 나노제품 성능 평가 방법 표준화 외 5개 항목, 나노전자분야는 현 제품의 전 략적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24개 항목을 선정하여 지속적으로 표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국제적으로 나노제품의 특성 및 안전성에 대한 공인된 시험, 평가 측정방법이 확립되지 않 은 상태에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나노물질 및 제품에 대한 안전성 관련 표준 시험 분석 방법 의 선점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중이며, 이러한 측정 평가 방법은 무역장벽이나 기술규제의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효율적 나노제품 안전성 표준화는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의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은 나노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 중에 있으며 이들 규제가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지 않 도록 국제 협력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나노 안전성의 국제 규제 대응 시스템 을 구축하고 나노 분야의 국제 표준을 선도하여 이를 극복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노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여기고 도출된 표준화 항목들 중 이러한 내용에 부합될 수 있는 표준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 보고서는 기술표준원의 기술표준백서를 편집한 것입니다.>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국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나노기술 연구개발 활동 나노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작성자 : 유일재, 호서대학교 교수 인력양성 및 교육 훈련 부록 국민이해증진 활동 국제협력 활동 나노기술 영향평가 나노기술의 EHS, ELSI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