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신흥국프랜차이즈시장동향과진출방안-중동편.hwp



Similar documents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중남미화장품시장현황 / 3 Ⅱ. 주요국별시장정보 / 9 ( 트렌드 유통망 인증 ) 1. 브라질 / 9 2. 멕시코 / 콜롬비아 / 칠레 / 64 Ⅲ. 우리기업진출전략 / 79 # 첨부. 화장품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유럽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3 1. 유럽개관 Ⅱ. 동유럽국가별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폴란드 2. 헝가리 3. 체코 4. 오스트리아 5. 크로아티아 6.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ìœ€íŁ´IP( _0219).xlsx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1 I. 신흥국프랜차이즈시장개관 ( 아세안편 ) / 2 Ⅱ. 인도네시아 / 4 Ⅲ. 말레이시아 / 24 Ⅳ. 필리핀 / 52 Ⅴ. 베트남 / 78 Ⅵ. 미얀마 / 101 Ⅶ. 라오스 / 123

2013 년 11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歯이

hwp

<3034C1DFB5BFC0C7B7E1B1E2B1E2BDC3C0E5B5BFC7E22E687770>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유럽화장품시장개요 / 3 Ⅱ. 국가별시장정보 / 독일 / 프랑스 / 영국 / 이탈리아 / 스페인 / 폴란드 / 72 Ⅲ. 화장품관련 EU 인증 / 86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동유럽의료기기시장개요 동유럽의료기기시장현황 2. 관련 EU 정책및지침 3. 시장전망 Ⅱ. 국가별의료기기시장동향 폴란드 2. 체코 3. 헝가리 4. 크로아티아 Ⅲ. 국가별유망품

KOTRA 자료 신흥국프랜차이즈시장동향과진출방안 - 아세안 6 개국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 중남미 3 개국 ( 멕시코 브라질 페루 ), 중동 3 개국 ( 터키 요르단 UAE), CIS( 러시아 ) -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C1A63132C8B820BFDCB1B9C0CEC5F5C0DAC0FCB9AEB0A120C6F7B7B32E687770>

GlobalBusinessReport(08-057)_-최종본 hwp

Y Z X Y Z X () () 1. 3

G lobal M arket Report 북미온라인유통시장진출방안 - 미국편 -

½Å½Å-Áß±¹³»Áö.PDF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B1B9BEEE412E687770>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01업체광고1407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Global Market Report 한 - 뉴질랜드 FTA 에따른현지반응과 중소기업수출유망품목

³»Áö_10-6

<C7D1C1DFC0CF B4EBBAF120C7D1C1DFC0CF20C0CEB7C2C0CCB5BF20BFACB1B82E687770>

Ⅰ. 홈쇼핑 시장개황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09콘텐츠산업백서_1 2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KOTRA 자료 해외시장권역별진출전략 < 유럽 >

월간뉴스

<B3B2C0E7C7F62E687770>

! 4 9 * ( ) A Z B D E ( ) *. ( : K5 ). 2 3

C O N T E N T S 요약 / 1 I. 중동화장품시장개요 / 3 Ⅱ. 국가별시장현황및특징 / UAE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이집트 / 터키 / 쿠웨이트 84/ 7. 이란 / 요

º£Æ®³²2011_bro¿Ï¼º

- 2 -

신흥시장의알파기업에서배운다

CON T E N T 목 차 요약 Ⅰ. 비셰그라드그룹 Ⅱ. 폴란드 Ⅲ. 헝가리 Ⅳ. 체코 Ⅴ. 슬로바키아

Chapter Chapter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연합뉴스) 마이더스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µ¿ºÎ°æ¿µÀÚ-6¿ùÈ£ 8È£š

09³»Áö


토픽 31호( ).hwp

_¸ñÂ÷(02¿ù)

AFF2018_6PP_Brochure_BR_KR_preview

1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쉽게풀어쓴태국의료기기 화장품등록및인증절차 방콕무역관

1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3033BCF6C3E23230B4EBB1B9C7D1B1B9BBEAC0CFB7F9BBF3C7B0B0E6C0EFC7F6C8B22E687770>

뉴스95호

의료기관 해외진출을 위한 특수목적법인 설립 및 운영방안 검토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CC hwp

2

½Ç°ú¸Ó¸®¸»¸ñÂ÷ÆDZÇ(1-5)¿Ï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조사방법및내용 5 Ⅱ. 42 개소비재진출성공사례 가전및전자제품 2. 문화상품 3. 생활용품 4. 음식및기호식품 5. 의류및잡화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결과보고서2.hwp

<30392D323020B1C7B1E2BCF628C7D1B1B9B1E2BEF7C0C720B4EBC1DFB3B2B9CC292E687770>

2) 소비자 구매 선호도 제품: 종교적 성향이 제품 구매에 영향 UAE를 포함한 중동의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종교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으로 브랜드 선호도에 이슬람교가 큰 영향을 미친다. 그 예로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의 선호도가 높으며, 독실한 무슬림 소비자는 할랄

....pdf..

경영노트편집2월-3

W7_Business_ 제품설계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¾Æµ¿ÇÐ´ë º»¹®.hwp

ÃѼŁ1-ÃÖÁ¾Ãâ·Â¿ë2

2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1, 3,,., ICT(),,.. 2 3,.. Player (, ) IT,. 3,...,.

G lobal M arket Report 중국지역 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Zara는 매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시장 트렌드에 대응한다. 에 알려진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를 기업 경영 이념과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 장으로 이끌어온 업체는 손에 꼽힐 정도이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가 Zara 브랜드이다(<박 스

< EC0CCBDB4B8AEC6F7C6AE3331C8A328B9ABBFAABFACB1B8BCD2292E687770>

Transcription:

Global Market Report 13-065 2013.11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 - 중동편(터키 요르단 UAE) -

C O N T E N T 목 S 차 요약 / 1 I.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 개관(중동편) / 2 Ⅱ. 터키 / 3 Ⅲ. 요르단 / 17 Ⅳ. UAE / 35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요 약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에서는 중동 3개국 (터키, 요르단, UAE)의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향후 전망, 업종별 프랜차이즈 동향, 산업육성 정책 및 규제동향, 우리기업의 진출현 황 및 진출방안 등을 조사하였음. 중동 국가 중에서도 개방적인 문화를 보유한 터키, 요르단, UAE에 외국계 프랜차이즈의 현지 진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프랜차이즈를 비롯,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브랜드의 현지진출이 확대 추세에 있음. 진출 유망분야로는 중산층의 확대로 고급스러우면서 대중화된 외식업 프랜차이즈와 교육인프라가 부족한 현지 상황을 감안한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 프랜차이즈 서비스, 그리고 신속한 차량점검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 유지보수 프랜차이즈를 들 수 있음. 중동 국가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지인 대다수가 이슬람을 믿고 있으며 돼지고기를 금기시하는 현지의 문화적 유의사항을 숙지할 필요가 있으며, 중동인들이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는 점과 보수적인 사회 특성을 감안해야 함. 또한 중동 국가에서는 프랜차이즈 관련 법규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 관계로 현지 파트너의 성과가 좋지 못한데도 불구하고 계약 해지나 교체 등을 하지 못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만큼 에이전 트 계약 체결 전에 관련법규를 자세히 검토하고 변호사 자문은 필수임에 유의해야 함. 점차 확대되고 있는 중동 프랜차이즈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하여 현지시장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철저한 사전준비를 바탕으로 우리 프랜차이즈 기업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한 시점임. - 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I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 개관(중동편) 국가 터키 요르단 UAE 프랜차이즈 시장 현향 (시장규모) 350억 달러( 13년) (주요업종별 브랜드) 외식 Burger King, McDonald's, Starbucks / 소매유통 CarrefourSA, Migros / 부동산 중개 Remax, Century 21 (정책 및 규제동향) 지원정책 無, 위생 환경 안전 저작권 등 은 일반 법률 또는 규정에 준함 (우리기업 진출사례) BBQ 치킨 (유망분야) 외식업, 호텔업 (진출방안) 이슬람 문화에 맞는 서비스와 제품 개발이 필 요하며, 이스탄불, 앙카라 등 주요 대도시 위주 진출전략 수립 (시장규모) 16억 달러( 12년) (주요업종별 브랜드) 외식 KFC, Pizza Hut, TGI Fridays, Kalha / 소매유통 Adidas, Nike, Guess / 교육 UC MAS (정책 및 규제동향)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지원 법규 Trademarks Law(No.33), 이 외 일반 계약법, 상법 등 적용 (우리기업 진출사례) 더페이스샵 (유망분야) 자동차 정비소, 뷰티센터, 커피숍 (진출방안) 현지어와 문화에 맞는 브랜드 네이밍과 이미지 고안, 현지인력 고용을 통한 지역사회와의 친밀도 제고 필요 (시장규모) 3억 달러( 12년) (주요업종별 브랜드) 외식 Starbucks, Costa Coffee, KFC, Chilis / 소매유통 Carrefour, Waitrose, Al Maya, Spinneys (정책 및 규제동향) 프랜차이즈 계약시 연방 민법, 상법 적용 (우리기업 진출사례) 더페이스샵, Yogurberry, 레드망고, Bean Story, KimChikin (유망분야) 베이커리, 교육서비스, 차량점검 서비스 (진출방안) 폭 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한 에이전트 및 파트너 발 굴, 쇼핑몰을 소유하고 있는 현지 대형 유통기업과 JV 설립을 통 한 진출필요 - 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Ⅱ 터키 가. 프랜차이즈 시장 1) 프랜차이즈 시장 개관 프랜차이즈 시장 규모 터키에서 프랜차이즈 는 1980년대 맥도날드가 진출하면서부터 태동 - 외식분야의 프랜차이즈 사업이 가장 활발한 편이나, 차츰 서비스 분 야의 진출도 가시화되고 있음. - 터키의 외국프랜차이즈는 주로 대도시 지역에 진출해 있으며 진출분 야는 패스트푸드점과 커피 전문점으로 압축됨. 유럽 프랜차이즈 연맹(EFF)에 의하면, 터키 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1,876개로 주요 선진국과 인구대국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 - 중국이 2,800개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우리나라 2,500개, 미국 2,200개, 인도 1,800개 등의 순서임. <주요 비유럽 국가별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2009)> 국가명 브랜드 수 국가명 브랜드 수 중국 2,800 인도 1,800 대한민국 2,500 브라질 1,643 미국 2,200 캐나다 1,200 터키 1,876 호주 1,000 자료원 : European Franchise Federation (2011) - 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터키의 프랜차이즈 시장규모는 350억 달러(UFRAD, 2013년)로 추정되 며, 주요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00여 개로 조사됨. - 미국 브랜드가 50여 개로 가장 많으며 가맹점은 약 4천여 개로 프랜차 이즈 당 평균 가맹점은 20개 수준 - 터키에는 외식분야 대형 프랜차이즈가 다른 분야보다 많으며 글로벌 브랜드인 맥도날드( 12년 211곳), 버거킹( 12년 450곳) 등이 대표적이며 이외 파파이스, 서브웨이, KFC 등의 매장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향후 전망 터키 자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전체의 76%로 상당히 높은 편이 나 인지도가 부족하여 향후 외국 프랜차이즈와의 경쟁이 예상됨. - 터키 음식은 프랑스, 중국의 음식과 함께 세계 3대 음식으로 정평이 나 있어 자국 외식 브랜드의 경우 프랜차이즈 형태가 많음. - 반면 터키는 유럽과 아시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외국계 프랜차이즈가 진 출하는 데에도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추었음. 프랜차이즈 가맹비용이 빠르게 상승하는 관계로 프랜차이즈 체결 속 도가 빠르지 않음. - 터키 프랜차이즈 협회에 의하면, 업종별 차이는 존재하나 2009년 경제위기 당시보다 평균 프랜차이즈 가맹 비용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2013년 현 재 약 1만 ~ 5만 달러 수준을 기록 2) 업종별 시장동향 가) 외식 프랜차이즈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 현황 외식 프랜차이즈의 종류는 다양하지 않으며, 햄버거와 치킨이 대표적 - 스타벅스는 비즈니스 건물에 주로 입점, 화이트 칼라층을 대상으로 영업 - 터키 주요지역에서는 여전히 고유 차( 茶 ) 문화가 발달 - 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의 원료는 모두 할랄(Halal) 인증을 받아야 하며, 맥 도날드의 경우 터키 자체적인 메뉴를 개발하기도 함. - 터키에서 인기 있는 요구르트인 아이란(Ayran)과 맥투르코라고 불리 우는 케밥, 그리고 현지 음식인 케프테를 버거에 넣은 케프테 버거 등을 별도로 판매 TGI Friday와 Chili's는 터키에서 매장 철수 - 주요 원인은 돼지고기를 제외하고 현지인 식성에 맞는 메뉴 개발이 어려웠 기 때문임. - 터키 대도시의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외식문화가 일부 상류층에게만 퍼져있 다는 점도 불리하게 작용 12년 3월 기준 우리나라의 치킨 프랜차이즈인 BBQ는 터키에 6개 매장 보유 - 터키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돼지고기를 금하므로 육류 소비는 쇠고 기, 닭고기, 양고기에 한함. - 일부지역은 24시간 오토바이 배달이 가능할 정도로 배달문화가 발달하 여 이를 활용한 배달 서비스가 현지진출을 뒷받침 - 터키 BBQ의 맛은 우리나라의 치킨보다 짠 편인데, 이는 터키인의 달고 짠 입맛에 맞게 현지에 특화된 전략에 기인함. 자국 프랜차이즈 운영 현황 외식 업종의 현지 프랜차이즈로는 베이커리류의 브랜드 카페가 발달 - 터키에는 오래 전부터 투륵 카흐베(Türk kahve) 라는 터키식 커피가 있으나, 자국의 커피 프랜차이즈는 극소수에 불과 - 커피 보다는 차와 터키 고유의 빵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베이커리류의 브랜 드 카페가 발달 - 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나)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외국계 프랜차이즈 현황 외국계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터키에 진출하여 현지기업과의 파트너 쉽 계약 또는 M&A를 통해 현재 소매유통 브랜드들이 생겨남. - 대표적인 예로 93년 첫 매장을 개장한 '까르푸사(CarrefourSA)'는 '까 르푸(Carrefour/프랑스) 가 96년 Sabanci Holdings와 파트너쉽 계약을 통해 탄생하였음. - 또한 54년 스위스의 '미그로스(Migros)'가 진출하여 이스탄불시청에 생필품 을 공급하던 것을 75년 터키업체인 Koc Holdings가 스위스업체를 인수하여 지금의 터키 미그로스(Migros) 를 탄생시킴. - 이 두 기업이 현재는 터키의 대형 소매유통 프랜차이즈를 양분하고 있 는 상황이며 공격적인 마케팅(M&A, 1주 1개 매장 늘리기 등)을 통해 시장점 유율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음. 자국 프랜차이즈 운영 현황 전자제품 소매유통 프랜차이즈로는 Sabanci Holdings가 소유한 테크노 사(TeknoSA) 가 대표적임. - 한편, 경쟁기업으로는 '다티(Darty)'가 있으며 테크노사(TeknoSA) 와 함께 전자제품 전문 유통부문에서는 시장을 양분하고 있음. 다) 기타 프랜차이즈 부동산 중개업, 육아, 교육, 호텔 등 기타 프랜차이즈 현황 터키에서 주택건설 붐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가장 각광받는 프랜차이즈 업 종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 - 특히 터키는 2015년까지 약 90만 호의 주택건설이 필요하며, 2010년 기준 으로 약 30만 호의 주택이 부족한 상황 - 터키의 부동산 중개분야는 1년 임대료의 약 12%에 달할 정도로 수익 률이 좋은 편임. - 대표적인 부동산 중개 프랜차이즈로서 Remax사, Century 21사 등이 있음. - 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저학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랜차이즈 - 2012년 기준 터키는 전체 인구의 약 15%가 초등학생 연령 이하이며, 평 균연령이 30.1세로 OECD 국가 중 가장 젊음. - 소득수준이 계속 증가하고, 여성의 사회진출, 육아휴직 등이 증가하면 서 향후 시장성이 밝음. - 다만, 터키어와 영어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국 프랜차이즈가 유리 호텔 프랜차이즈는 힐튼호텔(1955년 개소, 미국을 제외하고는 해외최초) 및 메리엇, 인터 콘티넨탈, 래디슨 등 많은 브랜드 체인점이 터키에서 성업 중 - 이는 터키가 관광대국(세계 6위, 연간 3,500만 명 규모)으로 지속적인 수 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 - 향후에도 비즈니스 및 관광수요로 인해 지속적인 호텔 건립이 추진 될 전망 기타 보험, 보안, 병원 서비스업 프랜차이즈도 활성화 - 보험업종의 경우 알리안츠 등 일부 글로벌 보험사가 적극적으로 고객 들을 유치하고 있음. - 보안업의 경우 주거단지의 고급화 등으로 철저한 서비스를 갖춘 외부 보안업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병원 서비스업의 경우 터키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전도 유망함. <주요 터키 프랜차이즈 (기타 업종)> 이름 로고 주요 내용 이스틱발 (가구 전문점) ㅇ 터키 전역에 826개 매장 - 고용인원 : 5천명( 13.1) ㅇ 집을 잘 꾸미는 터키인을 겨냥하여 상대적으로 강세 디아사 (슈퍼마켓) ㅇ 터키 전역에 1,200개 매장 - 스페인 기업과의 합작사 ㅇ 터키에서 매우 인기 있는 고유 프랜차이즈 자료원 : 자사 웹사이트 및 이스탄불 무역관 자체조사 - 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나. 산업육성정책 및 규제동향 1) 산업육성정책 정부 지원정책 터키 정부는 프랜차이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별도의 정책을 펼치 지는 않고 있음. - 정부는 시장 수급에 의해 자연스럽게 프랜차이즈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 터키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일부 기업 중심으로 시 작됨. 현재는 일부 선진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주요 쇼핑가를 중 심으로 입점해 있음. - 다만, 터키의 프랜차이즈는 주로 배달 주문이 가능한 외식 패스트푸드 분야 의 비중이 높으며, 이는 터키 대도시의 교통체증과 상관관계가 높음. - 대부분의 패스트푸드점은 배달서비스를 제공하며, 교통체증 때문에 오토 바이 배달로만 이뤄지고 있음.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환경 개선, 인증제도 추진 정부는 프랜차이즈 산업의 활성화가 자국민의 고용창출과 GDP성장 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고 판단 프랜차이즈 산업 전반의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중점 - 외식산업은 터키 주요 수입원인 관광객들의 이미지와 직결되기 때문 에 터키 정부는 음식의 안전, 위생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 터키의 고유인증 마크인 TSE는 유럽의 CE인증보다도 더 엄격하기 때 문에 위생관리가 철저 - 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2) 규제동향 관련 법규 현황 프랜차이즈에 관한 별도의 법은 제정되어 있지 않고, 비정형화된 규 정(Atypical Agreement)을 따름. - 비정형화된 규정이란 법률상에서는 근거하고 있지 않으나, 1926년 4월 22일 제정된 터키 의무조항에 준하는 규정을 의미함. - 프랜차이즈 계약은 가맹점주(Franchisor)와 가맹점(Franchisee)간의 양 자 간 협약으로서 굳이 법령에 담을 필요가 없다는 해석임. - 다만, 터키 상법 6772조에서 의미하는 판매 계약, 서비스 약정, 대행 계 약 등은 법적 분쟁 시 활용이 가능한 법령이라고 소개 상표등록도 현지에서 먼저 이뤄져야 하며, 현지 기업의 유사 상표에 대한 소송의 경우 준거법이 우선 적용될 가능성이 높음. - 터키는 파리 조약 등 국제협약의 가입국이므로,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상 표는 터키에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보호 받을 수 있음. 프랜차이즈 계약의 요소 터키 법률상에는 프랜차이즈와 관계된 법 조항이 없기 때문에 법원 의 판례 등을 근거로 하며 계약서 상의 요소는 다음과 같음. 1 가맹점 주는 가맹점에 대해 상표권, 로고, 기타 식별이 가능한 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여야 함. 2 가맹점 주는 가맹점에 대해 비즈니스 노하우, 판매 및 기술적인 지 원을 해야 함. 3 가맹점은 이러한 가맹점주의 제공사항에 대해 로열티 등 반대급부 를 납부해야 함. 4 가맹점 주와 가맹점은 상호간의 상품과 서비스 협력에 합당하는 역 할을 수행하며, 가맹점 주는 감독을 통해 가맹점과의 비즈니스 가치 사슬(Value chain)을 공유해야 함. 5 상기 4번 사항에도 불구하고, 가맹점은 독자적인 상호명을 활용할 수 있음. - 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프랜차이즈 계약의 해지 터키 법원의 판례는 프랜차이즈 계약을 대행 업체(Agency) 계약과 유 사하게 적용 - 계약의 해지는 특정한 계약기간이 만료된 경우, 자동으로 해지되는 것으 로 여겨짐. - 일반적으로 상호간의 계약연장이 없을 때, 일정기간이 지나면 계약 이 자동으로 해지되며, 계약종료 3개월 전 재계약의 의사표시가 없는 경 우에도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해약으로 간주 인증 및 규제현황 터키 법령상 프랜차이즈와 관련된 직접 법규가 없기 때문에 위생, 환 경, 안전, 저작권 등은 일반 법률 또는 규정에 준함. - 터키는 이슬람 국가이므로 모든 고기는 터키회사인 피나르 (Pinar)사 1) 의 할랄(Halal) 인증을 받아야 함. - 할랄 인증은 허용된 것 이라는 의미로 무슬림들이 먹고 쓸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에서 의무적임. 문화적 진입장벽 할랄(Halal) 인증 및 고기류 금기로 인해 메뉴 개발이 제한적임. - 이를 보완하기 위해 터키인의 전통음식인 케밥, 아이란(음료)을 활용 하여 현지에 특화된 메뉴를 선보이기도 함. 서비스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나 언어 적 장벽이 큰 장애요인임. - 일부 대도시 중심지역을 제외하고는 영어로 의사소통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외국인 대상 서비스가 불편한 곳이 많음. - 서비스업의 경우 영어와 터키어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 유리 1) Pinar사는 도살장이 위치한 작업장에서 할랄에 관한 규칙을 준수토록 하고 있으며, 서류 및 작업장 심사를 통해 할랄 인증서를 부여하고 있음 - 10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다. 우리기업의 진출방안 1) 우리기업 진출 현황 및 유망분야 진출현황 2010년 BBQ가 국내 프랜차이즈로서 터키 시장에 진출 - BBQ는 터키 이스탄불 지역을 중심으로 점포를 운영 중이며, 배 달 서비스를 제공하여 틈새시장 공략 - 터키 BBQ 치킨은 피자와 커피에 이르는 다양한 품목을 취급 - 300여 개의 다양한 소스와 양질의 닭,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일반 패스 트푸드 식품과 달리 건강한 식품임을 강조 - 터키에서 맥도날드 등의 국제적 프랜차이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함. ㅇ BBQ 치킨은 터키 현지기업에 독점 운영권을 부여하고 매출액 대비 로열티를 징수 - 식자재의 경우, 현지기업(대리인)이 자체적으로 할랄인증을 받은 제품 을 사용하고 있음. - 추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국내 BBQ 치킨 글로벌사업부에서 담당 <BBQ 치킨 로고> 자료원 : 터키 BBQ 웹사이트 - 1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유망분야 외식 프랜차이즈 - 젊은층은 점차 차 문화 및 고유의 커피(터키 카흐베) 대신 미국식 커피 (네스카페라고 표현)에 익숙해지고 있음. - 스타벅스 매장은 대부분 와이파이가 가능하여 인기를 끌고 있음. - 터키인들은 배달음식을 즐기며, 터키 전역에 배달 주문이 가능한 웹 사이트도 발달해 있음. <배달 주문 사이트, 예멕세페티> 자료원 : www.yemeksepeti.com.tr 호텔 프랜차이즈 - 현지 호텔프랜차이즈 대비 국내 호텔의 청결도, 서비스를 감안했을 때, 호텔 프랜차이즈의 전망은 좋을 것으로 전망 - 터키의 서비스 업종은 고객 배려도, 외관상 청결함 등을 높이 평가하 여 우리 호텔 프랜차이즈의 경쟁력이 있음. - 향후에도 관광 및 비즈니스 산업의 호조가 예상되어 수요 대비 공급 이 여전히 부족할 전망임. - 1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2) 마케팅 방안 및 유의사항 현지화 전략 프랜차이즈 진출 시 터키의 정치, 경제 이외에도 사회, 문화, 소비 분 위기를 파악하고 주 타켓 그룹을 선정하여야 함. - 터키는 정치적으로 종교를 분리시킨 세속주의를 채택하고, 1인당 국 민소득이 1만 달러를 돌파한 신흥경제국임. - 반면 국민들의 대다수(99%)가 이슬람을 믿고 있으며 돼지고기를 금기하 는 등 이슬람 문화를 내포하고 있음. 유명 브랜드의 경우 독자적인 프랜차이즈로 터키의 주요 대도시에 진출 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스탄불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진출할 시에는 새롭게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 때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터키를 한 국가 로 보지 말고 권역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 OECD 주요 대도시 중 터키의 이스탄불, 앙카라, 부르사가 모두 세계 1~3위를 차지할 정도로 터키는 대도시 인구 집중화 경향이 높음. <OECD국 주요 대도시별 인구집중률(1995-2002)> 자료원 : OECD Metropolitan Database, Istanbul 주 : 전체국가 중 1 3위 도시는 모두 터키 소재 도시임 - 1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유의사항 문화적 유의사항으로 윤리, 축제, 금기시된 음식, 언어, 결혼, 식사시 간, 종교의식, 지위와 격차 등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요건임. - 터키는 이슬람 율법을 은연중에 지키고 있으며, 라마단이라는 축제가 1년 에 2회 있는 등 전통이 여전히 강한 나라임. - 또한 터키인이라는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는 점과 눈에 보이지 않는 지 위와 격차 등을 고려해야 함. 터키의 1인당 GDP는 1만 달러를 약간 상회하고 있으나, 주요 도시의 1 인당 GDP 이격도는 매우 큼. - 주요 78개 도시 중 국가-도시간 GDP 이격도에서 터키의 이스탄 불(3위), 이즈미르(8위), 앙카라(11위)가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 - 상기 3개 도시의 1인당 GDP는 약 1만5천~2만 달러 수준으로 추정 되며 이에 따른 프랜차이즈의 품질, 서비스 정책이 필요함. <주요 대도시별 GDP 이격도(2002년)> 자료원 : OECD Metropolitan Database, Istanbul 주 : 이스탄불(약 1.8배) 등 상위 도시의 GDP는 해당국가 GDP보다 높은수준임 - 1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부록] 정부 및 협회 등 주요 유관기관 기관명 터키 프랜차이즈 협회 설립년도 1991 주소 Inonu Cad. No:40 Florya, Istanbul 전화 (90) 212-599-1784 팩스 (90) 212-425-5759 웹사이트 www.ufrad.org 터키내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이익 대변 및 애로사항 등을 주요업무 협회차원에서 대응, 현재 협회 산하 회원사는 100여 개. 협회의 규모는 매우 작음 * 참고사항 : 터키의 프랜차이즈 시장 정보는 규모 및 성장세에 비해 통계정보가 매우 빈약하고, 확인이 어려움 (터키 프랜차이즈 협회 담당자 1명) 할랄인증 발급 대표업체 기업명 피나르(Pinar) 설립년도 1927 (터키 최대 유제품 기업중 하나) 주소 Pınar Entegre Et ve Un Sanayi A.Ş. Ankara Asfaltı Kemalpaşa / İZMİR 전화 (90) 444-7627 팩스 N/A 웹사이트 취급품목 www.pinar.com.tr 낙농제품(Dairy) 및 고기류(Meat) 주요 유통업체 기업명 까르푸사(CarrefourSA) 설립년도 1996 주소 Küçükbakkalköy Mah. Dudullu Asfaltı No:1 34752 Ataşehir / İstanbul 전화 (90) 216-655-0000 팩스 (90) 216-655-0050 웹사이트 취급품목 www.carrefour.com.tr 식품 및 기타 생활용품 - 1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기업명 미그로스(Migros) 설립년도 1974 주소 Atatürk Mah. Turgut Özal Bulvarı No:7 Ataşehir / İstanbul 전화 (90) 216-579-3000 팩스 - 웹사이트 주요업무 www.migros.com.tr 식품 및 기타 생활용품 기관명 테크노사(TeknoSA) 설립년도 2000 주소 Gulsuyu Mevkii 34846 Meltepe, Istanbul 전화 (90) 216-458-3636 팩스 (90) 216-459-1289 웹사이트 주요업무 www.teknosa.com 전자제품 (멀티 브랜드) 주요 전시회 전시회명 개최시기 2013. 9. 12-15 장소 주최기관 Franchising & Brand Dealership Trade Fair 이스탄불 CNR 전시장 Medya Fors Furacilik 규모 참관객 21,200명 (2012) 전시업체/ 참가업체 수 전시분야/품목 담당자 300여사 (2012) 음식(13%), 서비스(11%), 셀프케어(9%), 소매 및 기타 별도로 밝히지 않음 전화 (90) 212-346-2626 팩스 (90) 212-346-2654 이메일 특이사항 info@medyafors.com 한국업체 참가 여부 등 - 1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Ⅲ 요르단 가. 프랜차이즈 시장 1) 프랜차이즈 시장 개관 프랜차이즈 시장 분류 프랜차이즈 시장은 사업 아이템(재화 또는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두 카테고리로 분류됨. 1 상품 프랜차이즈(Product Franchising) - 가맹점이 본사의 상표가 붙은 상품을 제조 및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는 형태이며, 대표적인 예는 요르단 내 Pepsi 음료 공장, Coca Cola 음료 공장 및 자동차 대리점이 있음. 2 비즈니스 포맷 프랜차이즈(Business Format Franchising) - 가장 흔한 형태의 프랜차이즈로, 본사의 상표가 붙은 서비스 기반의 사업을 가리킴. - 비즈니스 포맷이 주로 제품 또는 서비스 시장 침투 확장을 목표로 한 패스트푸드 및 접객업(또는 호텔업, Hospitality industry)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요르단은 10년 전부터 프랜차이즈 사업에서 상당한 성장 을 기록함. 인터뷰를 한 Majd Khaddash(Licensing Executives Society 2) 의 훈련 관)에 따르면, 요르단 시장엔 다양한 법적 계약관계를 가진 프랜차 이즈 모델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계약 모델은 다음과 같 음. 2) Licensing Executive Society는 라이센싱과 기술 이전(Technology Transfer) 분야에 국제적 협조를 도모하고자 만들어진 국제비영리기구로서, 중동지역을 담당하는 LES-Arab Countries의 본부는 요르단에 위치함. 지적재산 권 라이센싱과 R&D 투자, 프랜차이즈 등과 관련된 사업 분야의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음. - 1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1 단일 형태 프랜차이즈(Single Unit Franchise) (직가맹점) - 가맹점이 본사와 가맹점간 직접 계약관계를 통해 하나의 프랜차이즈 를 개시 및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받는 형태 - 단일 형태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에 대한 교육, 지원, 마케팅 및 전반적 감독이 본사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며, 직 가맹 형태는 주로 국내 시 장 확대 용도임. - 주로 아랍식 프랜차이즈 형태이며, 일례로 Tazaj레스토랑 (암만에 위 치한 사우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프랜차이즈)과 Cilantro (암만에 위 치한 이집트 커피숍)가 있음. 2 마스터 프랜차이즈 (Master Franchise): -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가장 흔한 형태의 프랜차이즈임. -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본사가 마스터 가맹업자에게 첫 교육을 지원을 함. 마스터 가맹업자는 차후에 중간 가맹사업자 교육 이행 및 시장 개발, 광고와 마케팅 전략 시행, 기술적 지원 제공, 마스터 프랜차이 즈 계약서에 명시된 지역 내 프랜차이즈 시스템 제어 등을 위임받음. - 본사의 계약 관계 및 의무는 오직 마스터 가맹업자에 한해 제한되므 로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본사의 관리비를 낮출 수 있음. 3 지역 개발 (Area Development) - 본사(Franchiser)가 Franchisee와 계약을 통해 특정지역 또는 특정국가 에 가맹점을 개점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계약임. - 본사가 Franchisee에게 미리 정한 수 만큼의 가맹점을 일정 기간 동 안 특정 지역 또는 국가에 자치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줌. 프랜차이즈 시장 규모 프랜차이즈 사업은 요르단 내 가장 대중적이며 수익성이 있는 사업 모 델이며, 인구가 밀집한 거주지 및 상업 지구, 광역 도시에 집중 - 주로 요르단인 대부분이 거주하는 암만(Amman, 수도), 자르카(Az Zarqa), 아카바(Aqaba)와 이르비드(Irbid)에서 찾아볼 수 있음. - 1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서구 사회에서 교육을 받거나 국제 여행 경험이 있는 요르단 사업가 중심의 사업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까지 붐을 이룸. - 압둘라 국왕 치하에서 1999년에 제정된 경제 개혁안은 경제 성장과 함께 자유주의 경제정책으로 외국 투 자를 유치함. 이런 경제 개혁 안은 투자자의 신뢰도가 강한 경제 환경 및 국가의 안정성을 가져옴. -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15-35세를 차지하는 젊은 베이비부머가 음식 및 서비스 프랜차이즈 사업 분야에서 주요 타겟 층임. - 요르단 프랜차이즈 시장은 총 16억 달러 규모임. - 레스토랑, 푸드 체인점,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및 호텔이 포함되는 접 객업(호텔업, Hospitality)분야는 현지 프랜차이즈 시장의 75%를 차지 <요르단 프랜차이즈 시장 규모> (단위: US 10억 달러) 자료원 : 바이어 면담 <프랜차이즈 분야별 시장점유율> 프랜차이즈 분야 시장 점유율 접객업(호텔업, Hospitality)분야 75% 패션 분야 10% 자동차 대여 분야 5% 기타 서비스 (드라이클리닝, 헬스클럽, 대형 슈퍼마켓 등) 10% 자료원: 바이어 면담 - 1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향후 전망 최근 몇 년간 개별브랜드 창업의 경우 실패율이 높아, 많은 잠재 창 업가들이 안정적인 수익이 증명된 프랜차이즈 사업 선호 - 아울러, 프랜차이즈 매장 최적의 진입 장소로서 인식되는 쇼핑몰이 최근 요르단에 속속 들어서면서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기회 또한 늘어나고 있음. 여전히 국제 프랜차이즈 회사들에게 이상적인 시장으로 꼽히는 이유 - 중동 지역, 타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정치, 경제적 안정성 보유 - 프랜차이즈 사업 모델의 주 목표고객이 되는 30세 이하의 인구가 전 체 인구(약 630만 명)의 68%를 차지할 정도로 잠재력이 큼. - 아울러, 대학생과 같은 현지 노동력 외에도 이집트, 시리아, 동남아 출신의 많은 외국인들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한 수익률 제고 가능 위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요르단 프랜차이즈 시장은 극복해야 할 제약이 있음. - 프랜차이즈 사업에 관해 미국과 유럽처럼 본사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 를 논하는 특별한 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타 중동지역처럼 요르단 무 역법의 하부 조항인 무역대리법 이 프랜차이즈 사업 법적 토대 제공 2) 업종별 시장동향 가) 외식 프랜차이즈 외식 프랜차이즈 현황 요르단 통상산업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요르단의 호텔과 레스토 랑의 수는 프랜차이즈와 비( 非 )프랜차이즈 포함 총 6,500개에 이름. - 6,500개의 레스토랑 및 호텔 중 912개가 통상산업부에서 발행하는 상 표(Trade Marks)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으며, 그 수는 지속 증가 전망 - 아울러, 상표가 등록된 912개 레스토랑이 프랜차이즈로 간주 되는 것 은 아니며, 그 중 많은 업체들이 체인이 아니라 개별 사업체임. - 20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지난 10년간 해외 및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 체인점이 증가 추세로, 특히 패스트푸드 체인점의 유입이 확대되고 있음. -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모든 소득층이 수용할 수 있는 비교적 저 렴한 제품과 빠른 서비스를 제공함. - 접객업(호텔업, Hospitality)분야 및 외식 프랜차이즈는 약 12억 달러의 연간 수입을 내며 요르단 내 총 프랜차이즈 시장의 75%이상 차지 - 최근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정에서 요리를 하는 것보다 외식을 하 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으며, 이는 패스트푸드 이용 횟수의 증가로 이 어지고 있음. 외국계 프랜차이즈 현황 요르단의 경제개방정책은 외국계 프랜차이즈 업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고 있음. * 현지진출 외국계 프랜차이즈 : Kentucky Fried Chicken, Pizza Hut, TGI Fridays, Burger King, Chilies, Hardee's, Ruby Tuesday, Fuddruckers, Quiznos Sub, Dominos Pizza, Subway, Starbucks, Mochachino 등 외국계 프랜차이즈 중 미국 업체가 70%를 차지 - 요르단 국민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미국 광고 및 TV쇼를 통해 미국계 프랜차이즈는 이미지 제고 효과를 누림. 요르단 외국계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시장의 규모는 2012년 9.5억 달 러로 추정됨. 자료원 : 바이어 면담 <외국계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규모> 연도 시장규모 2009 850 2010 1,000 2011 800 2012 950(추정) (단위 : US백만 달러) - 2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외국계 외식 프랜차이즈 사업 종사자 수는 대학생, 졸업생 및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해 약 11,250명으로 추정됨. - 외국인 노동자 중 이집트 출신이 가장 많으며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필리핀, 시리아 출신 노동자들이 그 뒤를 이음. - 특히 Kababji, Casper & Gambini's, Zaater o Zeit 레스토랑 등 요르 단 내 레바논계 외식 프랜차이즈의 성장이 주목할 만함. - 레바논 음식은 요르단 소비자들에게 매우 익숙해져 있으며, 특히 패 스트푸드를 즐겨 찾지 않는 고령의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있음. <외국계 프랜차이즈 고용현황> 종사자 수 11,250명 연간 고용 창출 500명 평균 임금(월별) US$ 226 (JDS 320) 자료원 : 바이어 면담 외국계 프랜차이즈 성공 사례 - 요르단 기업 Armoush Tourist Investments Co. LTD는 형제인 Ali와 Ahmad Armoush에 의해 1996년에 설립, 1996년 맥도날드의 프랜차 이즈를 취득하고, 현재 요르단 내 암만, 이르비드, 자르카, 아카바 등 에 총 18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Ali Armoush에 따르면, 에너지 절약, 실업, 교통안전 캠페인과 같은 다양한 대중활동 및 기부행사를 통해 요르단 내 브랜드 이미지를 구 축하고 있음. <요르단 McDonald's 운영현황> 프랜차이즈명 McDonald s(미국) 가맹업체 Armoush Tourist Investments Co. Ltd. 담당자 Mr. Ali Armoush 비즈니스 분야 미국식 패스트푸드 - 버거 설립연도 1996 매장 수 18 종사자 수 1,000 자료원 : 바이어 면담 - 2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암만 소재 맥도날드 매장> 자료원 : 암만 무역관 현지(토종) 프랜차이즈 현황 현지 프랜차이즈는 외국 프랜차이즈에 비해 현지인 기호에 맞는 상 품 개발로 높은 수익을 내고 있음. - 오랜 기간 직접 사업을 하면서 터득한 사업의 노하우를 이용하여 국내의 경우는 로열티를 지불할 필요가 없는 직영점을 운영하고, 국외의 가맹점 에 대해서는 로열티를 받는 이중 시스템을 운영 - 국내에서 경쟁우위로 해외 프랜차이즈보다 6~11%의 추가이익 창출 <현지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성장 추세> (단위 : US백만 달러) 연도 현지 레스토랑 시장규모 2010 128 2011 115 2012 150 (추정) 자료원 : 바이어 면담 아랍 전통 음식점인 Falafel과 Humus외에도 패스트푸드 및 버거 등 약 20-30개의 현지 외식업 프랜차이즈가 운영 중에 있음. - 2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인기 있는 현지 프랜차이즈> 업체명 음식 종류 로고 웹사이트 또는 Facebook Chili House 패스트푸 드 - 버거 www.chilihouse.com Kalha 아랍 전통 음식 https://www.facebook.com/pages/a l-kalha-restaurant/257965673247 Lebanese Snack 샌드위치 www.lebnani-snack.com Habiba 아랍 디저트 www.habibahsweets.com 자료원 : 바이어 면담 <현지 프랜차이즈 고용 통계> 종사자 수 4,150 연간 고용 창출 100 이하 평균 임금 (월별) US$ 226 (JDS 320) 자료원 : 바이어 면담 종사자수 : 현지인 및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수치 <암만 시내 위치한 CHILI HOUSE 매장들> <8 Circle 근처> <Gardens Street> <Abdoun Subway 옆> 자료원 : 요르단 무역관 - 2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나)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현황 소매유통 프랜차이즈는 전체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약 지하고 있으며, 총 매출은 2012년 기준 1억 6천만 달러로 추정 10~12%를 차 패션분야 프랜차이즈가 소매유통 프랜차이즈의 대다수를 차지 - 요르단엔 Adidas, Nike, Guess, GAP, Zara, Mango, Pull and Bear, Etam, Yishion, Bossini, Van Heusen 등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 진출 미국 프랜차이즈 업체인 ACE Hardware는 2011년 요르단의 Mecca Mall에서 첫 지점을 내고, 2014년 암만의 두 번째 지점을 열 계획임. <암만 Mecca Mall에 위치한 ACE Supplies 지점> 자료원 : 요르단 무역관 소매유통 프랜차이즈의 성공 사례 Izzat Manasra Group은 Bossini외에도 G2000과 U2와 같은 패션 및 의류의 소매유통 사업의 가맹업체임. - Bossini의 의류 상품은 타 외국 브랜드보다 저렴한 가격, 모던한 디자 인으로 요르단 내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 중 하나임. - 2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Mecca Mall Bossini 지점> <Abdoun Taj Mall Bossini 지점> 자료원 : 요르단 무역관 이 외 외식,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이외 경영 컨설팅, 교육서비스, 건 강 의학 및 미용 서비스, 세탁업 서비스 등의 프랜차이즈가 성업 중 <기타 인기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 종류 프랜차이즈 로고 비즈니스 관련 서비스: 회계학, 경리, 광고 서비스 및 직업 알선 ERNST & YOUNG 교육 서비스: 관리 기술 교육, 교육, 비서 훈련 및 어학 센터 건강, 의학 및 미용 서비스: 헬스클럽, 뷰티 센터, 미용실 관광업 서비스: 자동차 대여업 UC MAS Fitness First AVIS 기타 서비스: 드라이 클리닝 Martinizing 자료원 : 바이어 면담 - 2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나. 산업육성정책 및 규제동향 1) 산업육성정책 프랜차이즈 상표보호 특별법 제정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 지원을 위해, 2007년 요르단 정부는 프랜차 이즈 산업촉진 및 프랜차이즈 상표 보호를 위한 Trademarks Law (no.33) 특별법 3) 을 제정 - 이후 몇 년간 소매 및 서비스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 끌어 냈으며,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저작권, 상표 표준 및 관례 규칙 에 대해 새로운 법을 제정 -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의 회원국이 되었고, 그 결과 요르단 기업은 다국적 파트너와 합작 투자 및 라이센싱 계약이 가능해졌음. 외국인 투자 장려를 위한 정책안 실시 - 요르단 정부는 무역 자유화와 투자 절차 개선 및 무역 장벽을 제거하 는 동시에 외국인 투자와 민간 투자를 장려하며 강력한 상표 및 저작 권 보호법 실행을 토대로 한 정책안을 공식적으로 채택한 상황임. 현재까지 요르단 시장에서 활동 중인 모든 프랜차이즈 사업들은 민 간 분야의 주도로 진행 - 요르단 내에는 프랜차이즈 협회나 프랜차이즈 사업 진흥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 및 준정부(semi-governmental) 기관이 존재하지 않음. 3) Trademarks Law 관련 사항은 요르단 통상산업부의 홈페이지를 통해 조회 가능 (www.mit.gov.jo/). - 2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2) 규제동향 인증 및 규제현황 프랜차이즈 계약 시 일반 계약법, 상법, 사회법 등에 적용 - 통상산업부 상거래법부의 부소장인 Ms. Zain Al Awamleh와의 인터 뷰에 의하면, 요르단 내 프랜차이즈 계약은 일반적인 비즈니스 계약 시 적용되는 법률(계약법, 상법, 사회법, 세금법)에 동일하게 적용을 받으며, 프랜차이즈 사업에 관한 특정 법률이 없음. -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계약서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주요 사항을 포함함. * 재정적인 보상을 통하여 라이센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 부여 * 프랜차이즈 설립, 운영 및 인수를 위해 가맹점을 대상으로 한 초창기 지 원과 지속적인 지원 * 본사의 요구사항 준수 여부에 대한 가맹점주 관리 본사와 가맹점 간의 분쟁으로 상호간 상업적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없을 경우, 프랜차이즈 계약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 통상산업부 상거래법부의 부소장 Zain Al Awamleh은 외국계 프랜차이 즈 업체는 요르단 법률 하에서 타사간의 분쟁에 대해 국제적 합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르단 정부는 투자 분쟁의 해결을 위한 국제투자 분쟁해결기구(International Centre for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ICSID)에 가입되어 있다고 언급 문화적 진입장벽 문화 및 종교 측면에서 요르단 사회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 - 대부분의 아랍과 이슬람 국가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성과 요르단도 많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요르단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기업이 중동 시장 진출 시 유리할 수 있음. - 2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종교적인 장벽 - 라마단 기간 동안 대부분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나 레스토랑은 낮 시간 동안 영업을 할 수 없으며, 일몰 후 영업을 시작함. - 법적으로 라마단 기간 동안 낮에 영업을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 만, 이프타르 시간(Iftar Time: 일몰 후 하루의 첫 식사 시간)까지는 관습적으로 문을 닫음. - 이슬람교는 돼지고기 소비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요르단 내 모든 식 품 프랜차이즈 사업은 돼지고기 요리를 팔 수 없음. - 외식 프랜차이즈는 무슬림 고객들을 위해 할랄 고기를 사용해야함. - 할랄 고기는 살아있는 고기를 이슬람식으로 도축하여 보조 물질 및 포장 물질, 위생, 처리, 가공 등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이 슬람식 요구사항을 충족한 육류를 일컬음. - 예를 들어, 아랍 내 맥도날드 프랜차이즈는 중동 시장에 자사 브랜드 홍보를 위해 할랄 고기의 개념을 도입하며, 맥도날드 광고와 홍보에 할랄의 사용을 강조함. 문화적인 장벽 - 요르단 시장은 보수적이며 민감한 특성을 가진 프랜차이즈 시장임. 특히 패션 분야의 소매유통 프랜차이즈에서 카탈로그나 광고용 전단 지 등에는 음란한 이미지를 사용해서는 안 됨. 언어적인 장벽 - 공식 언어는 아랍어이며, 영어가 상용어로 사용됨. 요르단으로 시장 진출 시, 제품 및 서비스 전략 홍보에 이 두 언어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2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다. 우리기업의 진출방안 1) 우리기업 진출 현황 및 유망분야 진출현황 최근 중동 지역 내 한류의 전파와 함께,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인 'The Face Shop'이 2006년 암만 Mecca Mall에 첫 가맹점을 개점 - 매장 고위 관계자는 요르단의 화장품 시장이 매우 경쟁력 있으며, 연 간 그 규모는 2천 3백만 달러에 이른다고 전함. 'The Face Shop 또 한 요르단에서 좋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전함. - 매장 매니저가 언급한 요르단 내 'The Face Shop 프랜차이즈 전략은 다음과 같음. * 모든 제품은 피부에 유익한 천연성분으로 만들어지므로, 건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 * 대형 쇼핑몰에 매장을 배치하여, 주요 타깃인 젊은 요르단 여 성 고객 에게 브랜드 노출빈도를 높임. * 가격 대비 높은 수준의 품질을 제공함. 프랜차이즈명 가맹업체 담당자 비즈니스 분야 The Face Shop(대한민국) Jordan Beauty For Cosmetics Co. Ltd. Mr. Ali Hasan Elayan 화장품 개인 미용 - 천연 원료 화장품 설립연도 2006 매장 수 2 종업원수 20 자료원 : 바이어 면담 - 30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암만중심지 Mecca Mall 안에 위치한 'The Face Shop 매장> 자료원 : 암만 무역관 유망분야 자동차 정비소 프랜차이즈 - 한국산 상용 및 승용차의 현지시장점유율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 으므로, 한국의 자동차 정비 프랜차이즈의 진출에 좋은 기회인 것으 로 판단됨. 현재까지 현지에 진출한 관련기업은 없음. 건강관리 시설 및 뷰티센터 프랜차이즈 - 한국기업은 'The Face Shop 을 통해 요르단 뷰티분야 내 인지도가 높 으며, 현지인들의 건강 및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 어, 스킨케어, 헤어, 마사지, 헬스 테라피 등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또 는 뷰티 센터가 유망한 것으로 판단됨. 커피 프랜차이즈 - 요르단 고객의 기호가 한국 고객과 다를 수 있기에, 한국 외식 프랜차 이즈의 요르단 시장 진출은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큼. Starbucks 와 같은 일반 커피 체인점은 여전히 유망한 사업으로 보임. - 3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2) 마케팅 방안 및 유의사항 현지화 전략 현지 시장에 접근함에 있어, 브랜드 이름과 이미지를 현지 사정에 알 맞게 고려해야 함. - 광고, 카탈로그 배포 및 기타 프로모션 등의 현지 마케팅 활동은 현 지화를 위해 아랍어로 실행 - 비즈니스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자선 사업, 후원, 지역 사회 활동과 같은 인도적인 활동 또한 병행을 해야 현지 시장에서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음. - 지역 사회와의 친밀도 제고를 위해, 이집트인과 같은 외국인을 고용하 기보다는 현지 인력을 고용하는 것이 필요함. 유의사항 해당 정부기관(the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and Supply)에 프랜차이즈를 등록해야만 제3국의 하위 프랜차이즈가 아닌 오리지널 프랜차이즈로 인정받을 수 있음. 프랜차이즈 둥록까지는 4~6개월 정도 소요되며, 현재 요르단에는 프 랜차이즈 관련법이나 규정이 없으며 민법이 적용됨. - 프랜차이즈 계약서(국제 계약서를 표준 양식으로 사용)에는 본사 및 가맹점 간의 구체적 사항들을 명시해 놓을 필요가 있음. 현지진출을 위해 무엇보다 기본이 되는 것은 현지 평판이 중요하며, 한국 프랜차이즈 기업과의 좋은 비즈니스 경험이 있는 현지 파트너 (가맹점)를 결정하는 것임. - 3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부록] 정부 및 협회 등 주요 유관기관 기관명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supply 설립연도 - 주소 P.O.Box: 2019 Amman 11181 Jordan 전화 (962-6) 562-9030 팩스 (962-6) 568-2331 웹사이트 www.mit.gov.jo 정책, 법령 및 요르단의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소비자와 주요업무 기업 부문의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는 형태로 비즈니스 및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구현 업 무를 함. 기관명 The Licensing Executives Society Arab Countries (LES-AC) 설립연도 1997 주소 P.O.Box: 921100 Amman 11192 Jordan 전화 (962-6) 510-0900 Ext: 1654 팩스 (962-6) 510-0901 웹사이트 www.lesarab.org 라이센스 및 기술 이전뿐만 아니라, 지적 재산권 라이센싱 및 주요업무 연구 개발(R&D) 투자를 시행 및 장려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촉 진함. 전문 경영자를 양성하는 비영리적이며 전문 교육기관임. 주요기업 업체명 Jordan American Food Company (JAFCO) Model Restaurants PLC 설립연도 9/5/1999 주소 매출규모 웹사이트 담당자 전화 이메일 주요 비즈니스 P O. Box 2975 AMMAN 11181, Jordan More than US$ 50 종사자 수 500 Million N/A General Manager and Chairman: Mr. Haitham Dahleh (962-6) 553-8499 (962-6) 553-9307 gm@modelrest.com.jo 팩스 (962-6) 553-5628 주요 비즈니스는 미국식 패스트푸드임. 동 사는 리조트 레 스토랑을 관리하며 음식 및 식품 보관업을 제공함. 위 기업들은 요르단 프랜차이즈 기업들 중에 가장 큰 기 업이며, 주로 미국 브랜드임. - 3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주요 유통업체 업체명 설립연도 1985 주소 IMG (Izzat Manasra Group) P.O.Box 90 Amman 11821 Jordan 매출규모 US$ 20 Million 종사자 수 180 웹사이트 담당자 전화 이메일 소매점 13 주요 취급분야 www.manasra.com.jo General Manager: Mr. Imad Manasra (962-6)581-9034 (962-6) 581-0996 info@manasra.com.jo hussam@manasra.com.jo 의류, 패션, 가구 팩스 (962-6) 581-9032 - 3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Ⅳ UAE 가. 프랜차이즈 시장 1) 프랜차이즈 시장 개관 프랜차이즈 시장 규모 프랜차이즈 산업은 UAE에서 급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로, 2012년 기준으 로 연평균 27%에 육박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 - UAE 연방정부는 자국의 중소기업 육성책의 일환으로 프랜차이즈 산 업을 적극 활용 중 2012년 UAE의 프랜차이즈 산업 규모는 AED 11억(USD 약 3억, USD 1 = AED 3.67 적용)으로 추정 -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 분야가 40% 점유 UAE 프랜차이즈 시장은 소위 프랜차이즈 재벌 이라 불리는 소수의 기업들(Landmarks, Rivoli Group, Al Futtaim 등)이 과점 상태 - 일부 기업들은 50~55개의 브랜드를 동시에 관리 대부분 미국 브랜드가 주류를 이루며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 브 랜드와 최근에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브랜드도 진출 확대 추세 향후 전망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천연자원 판매를 통한 막대한 부를 바 탕으로 세계 경제불황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동시장에 주목 - 3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UAE는 정치체재가 안정되어 있으며 법인세, 관세 등이 없고, 수익에 대한 본국송금 제한이 없어 최대 이윤추구 가능 - 프랜차이즈에 대한 특별 법규나 제약이 없어 시장진입이 용이 두바이 경제 회복세에 따른 시장 상승세 전망 - 2009년 말 위기를 맞이했던 두바이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외국인 근로자와 관광객 증가로 이들을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한 프랜차이즈 시장 확대 예상 2) 업종별 시장동향 가) 외식 프랜차이즈 외식 프랜차이즈 현황 UAE에서는 쇼핑몰 방문이 주요 여가활동 중 하나로, 대부분의 여가 시간을 쇼핑몰에서 보내는 만큼 외식기업들이 쇼핑몰 입주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 경제회복 시기에 특히 높은 성장세를 보인 브랜드로는 Starbucks, Costa Coffee, KFC, Pizza Hut, Baskin Robbins 및 Chili's 등이 있 음. UAE는 투자법상 외국인 단독투자가 불가능한 관계로 현지 파트너 (스폰서)와 합작투자의 형태로 진출하여야 하며, 현지 파트너 (Franchisee)의 자금 및 네트워크 능력에 따라 시장에서의 성패 여부 가 결정됨. - Starbucks의 경우 UAE 측 파트너인 M. H. Alshaya의 강력한 재정지 원과 광범위한 사업 커넥션으로 상업적 요충지에 매장을 확보해 나가 고 있어 다른 브랜드에 비해 성장세가 두드러짐. - 3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UAE는 중동지역에서 가장 국제화된 국가인 만큼 미국, 프랑스, 아시 아 등 전 세계 프랜차이즈들의 집합소로 평가되고 있음. 외식 프랜차이즈는 패스트푸드, 커피, 아이스크림 등의 품목이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피자, 제빵류, 국가별 음식 레스토랑 등이 뒤 를 따르고 있음. <UAE 내 주요 외식브랜드 매장수(2011년 기준)> 연번 브랜드명 품목 보유기업명 1 Baskin Robbins 아이스크림 Galadari Ice Cream Co. LLC 2 Starbucks 커피 Starbucks Corp. 99 3 McDonald's 패스트푸드 McDonald's Corp. 95 4 Subway 샌드위치 Doctor's Associates Inc. 83 5 Costa Coffee 커피 Whitbread Plc. 80 6 KFC 패스트푸드 Yum! Brands Inc. 75 7 Dunkin Donuts 도너츠 Dunkin Brands Inc. 65 8 Pizza Hut 피자 Yum! Brands Inc. 62 9 Burger King 패스트푸드 Burger King Holdings Inc. 55 10 Gloria Jean's 커피 Jireh International P쇼 Ltd. 40 11 Hardee's 패스트푸드 CKE Restaurants Inc. 31 12 Caribou Coffee 커피 Caribou Coffee Co. Inc. 28 13 14 Al Farooj Fresh Cold Stone Creamery 15 Chili's 매장 수 113 패스트푸드 Al-Islami Foods 24 아이스크림 Cold Stone Creamery Inc. 24 패밀리 레스토랑 자료원 : Euromonitor International Brinker Internationial Inc. 19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McDonald's Burger King, KFC)의 경우 UAE 전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나, 커피, 아이스크림 등 시장점유율이 낮 - 3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연번 브랜드명 품목 보유기업명 2008 2009 2010 2011 년 년 년 년 1 Starbucks 커피 Starbucks Corp 8.4 8.3 8.3 8.8 2 Costa Whitbread 커피 Coffee Plc 6.2 6.5 6.9 7.4 3 KFC 패스트푸드 Yum! Brands Inc 7.4 7.4 7.2 7.2 4 Galadari Ice Baskin 아이스크림 Cream Co Robbins LLC 4.8 5.2 5.4 5.5 5 Chili's Brinker 패밀리 International 레스토랑 Inc 5.2 5.2 5.2 5.2 6 Pizza Hut 피자 Yum! Brands Inc 4.9 4.9 4.8 4.7 7 McDonald's 패스트푸드 McDonald's 3.9 3.9 3.9 4 8 9 10 11 12 은 브랜드의 경우 주로 두바이 및 아부다비에만 매장을 가지고 있음. <UAE 내 주요 외식브랜드 시장점유율(2008 2011년)> TGI Friday's Caribou Coffee Burger King Gloria Jean's Papa John's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 패스트푸드 커피 피자 13 Hardee's 패스트푸드 14 Barista Espresso 커피 15 Al Farooj Fresh 패스트푸드 자료원 : Euromonitor International Corp Carlson Cos Inc Caribou Coffee Co Inc Burger King Holdings Inc Jireh International Pty Ltd Papa John's International Inc CKE Restaurants Inc Barista Espresso Al-Islami Foods (단위 : %) 2.7 2.7 2.6 2.7 1.8 1.8 2 2.1 2.4 2.4 2.3 2.1 2.1 2.4 2.2 2 1.5 1.8 1.9 1.9 1.7 1.7 1.8 1.9 1.7 1.6 1.5 1.7 1.6 1.7 1.7 1.6-3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프랜차이즈의 국적별 비중은 미국을 비롯한 외국계 프랜차이즈가 압 도적으로 많음. - 두바이를 비롯한 UAE 시장이 개방화 되어있어 다양한 글로벌 프랜 차이즈들의 진출이 가능함.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 사례 McDonald s(햄버거 등 패스트푸드) - 1994년에 Emirates Fast Food Co.가 미국 McDonald's의 현지 에이전 트 형태로 UAE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현재 UAE 전역에 3,000여명의 종업원과 11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Burger King 이나 KFC와 달리 별도의 아침메뉴를 판매하고 있어 많은 고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음. <McDonald's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Pizza Hut(피자) - 2007년에 UAE에 최초로 진출하였으며, 현재 80여개 수준의 매장을 2015년까지 200여개로 확장할 계획임. - 일반적으로 가족 또는 친구들끼리 함께 가는 장소로 인식되었으나, 바 쁜 직장인들을 위한 런치메뉴, 혼자 오는 고객을 위한 1인 메뉴 등 다 양한 상품개발로 시장 확대 - 3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Pizza Hut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Subway(샌드위치) - 1998년에 UAE에 들어왔으며, 점차 매장 수 확대 중 - 대체로 영업시간이 늦게 끝나는 UAE에서도 보기 드물게 연중무휴, 24 시간 영업을 하는 프랜차이즈 매장임. 늦은 밤이나 이른 새벽에 식사를 필요로 하는 고객들이 매우 선호 - 다양한 토핑과 크기 등 선택의 폭을 확대시켜 신규고객 확보에 노력 <Subway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 40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현지(토종) 프랜차이즈 운영사례 Sumo(초밥 등 일식류) - 2000년부터 시작된 외식 프랜차이즈로 UAE 프랜차이즈로는 드물게 퓨전 일식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 미국, 일본, 한국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고객을 상대한 주방장이 정통 일식 뿐 아니라 나라별 특성이 들어간 독특한 퓨전메뉴를 개발 하여 고객들의 인기가 매우 높음. - 두바이에 5곳, 아부다비에 1곳이 있으며, 인근국인 바레인에도 1호점 을 개설하며 해외진출 모색 <Sumo 매장 및 메뉴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Al Farooj(멕시코 및 레바논식 패스트푸드) - 1994년에 토후국 중 하나인 Sharjah에서 시작된 레스토랑으로, 초기에 는 3종류의 레바논 음식만을 판매하였으나, 점차 멕시코 및 이태리식 퓨전요리를 개발하며 메뉴를 다양화 시켰음. - 본격적인 사업확장은 200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UAE, 레바논, 쿠 웨이트, 리비아 및 프랑스에 지점을 운영하며 글로벌 프랜차이즈로의 도약을 도모하고 있음. Dukkan Falafel(아랍식 패스트푸드) - 4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 2009년에 UAE 현지기업인 Alternative Dining Experience Restaurants Management LLC에서 아랍식 패스트푸드의 세계화를 목적으로 설립 한 프랜차이즈임. - 아랍식 패스트푸드 라는 독특한 메뉴로 현지인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미 7개의 매장을 개설하고 추가로 18개의 매장을 준비 중임. - 아울러 해외로의 진출을 위해 GCC 지역의 투자가들을 모집하는 등 단기 간 내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추세 <Dukkan Falafel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나)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현황 소매유통의 경우 주로 식품(슈퍼마켓) 및 전자제품 중심의 프랜차이 즈가 대세를 이루고 있음. - 슈퍼마켓 프랜차이즈의 경우 UAE 현지 브랜드 및 인도 브랜드가 시 장점유율이 가장 높으며, 프랑스(Carrefour) 및 영국(Waitrose) 등 유 럽 브랜드가 일부 진출해 있음. - 전자제품의 경우 UAE 현지 브랜드 및 인도 브랜드가 시장을 양분하 고 있음.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매장들은 주로 두바이와 아부다비 중심으로 분 포되어 있으며, 작은 토후국으로 갈수록 매장수가 적거나 아예 없는 - 4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경우도 있음. <UAE 내 주요 소매유통 프랜차이즈 매장수(2013년)> (단위 : 개) 연 번 브랜드명 원조 국가 아부 다비 (알아인) 두바 이 샤르 자 아즈 만 움알 콰인 라스알 카이마 푸자 이라 1 2 Al Maya Group Lulu Hypermarket 인도 4(2) 22 3 2 0 0 0 인도 20 10 4 1 1 1 3 3 Carrefour 프랑 스 6(2) 6 1 1 0 2 2 4 Union Cooperative Society UAE 0 10 0 0 0 0 0 5 Spinney's UAE 12(1) 35 3 1 0 2 0 6 TChoithram andsons 인도 6(4) 19 1 1 0 1 1 7 Waitrose 영국 0 3 0 0 0 0 0 8 9 Jumbo Electronics Jacky's Electronics 인도 6(2) 9 4 0 0 1 1 인도 1(1) 5 1 1 0 0 0 10 Sharaf DG UAE 4(1) 15 2 0 0 0 1 11 Plug-Ins UAE 2 5 0 0 0 0 0 자료원 : 두바이 무역관 소매유통분야에서는 외국 브랜드들의 진출이 비교적 적은 편이며, UAE 현지 브랜드 및 인도 브랜드가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음. - 이는 UAE 거주인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인도인들이 UAE 국민들과 더불어 현지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이유임. - 4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슈퍼마켓 프랜차이즈 운영사례 Al Maya Group - 1982년 UAE의 토후국 중 하나인 아즈만(Ajman)에서 식료품점으로 출 발하였으며, 현재 4,000여명의 종업원과 64개의 아웃렛, 30개의 소형 매장, 7개의 창고를 가진 대형 슈퍼마켓 체인으로 발전 - 인근국인 오만에도 7개의 소형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이스크림과 냉동식품, 음료 등에서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있음. <Al Maya Group 로고> 자료원 : 구글 이미지 T. Choitram & Sons - 1974년에 설립된 슈퍼마켓 체인 - 현재 2,000여명의 직원과 UAE에 28개, 인근국인 오만과 카타르, 바레 인에 각각 1개의 매장을 운영 중 - 음식 서비스 등 서비스업에도 진출하였으며, Choitram에서 생산하는 섬 유 등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호텔, 항공사, 클럽 등에 공급하고 있음. <T. Choitram & Sons 로고 및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 4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Spinneys - 영국장교 출신인 Arthur Rawdon Spinney가 1924년에 이집트의 알렉 산드리아에 처음 설립하였으며, 1961년 두바이와의 무역을 계기로 1962년에 두바이 구시가지인 데이라(Deira) 지역에 UAE 지점을 개설 하게 되었음. (현재는 소유주는 UAE 현지인임.) - 초기 냉동 치킨을 UAE에서 최초로 판매하면서 유명세를 쌓았으며, 현 재 UAE 전 지역에 1,200여명의 직원과 47개의 매장을 운영 중 <Spinneys 로고 및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Union Cooperative Society - 일종의 협동조합(우리나라의 농협과 유사)으로 1976년 연방법(협동조 합법)에 의해 각 토후국마다 설립되어 토후국별로 관리 중 - 두바이에서는 1982년 5월에 정식 법인으로 등록되었으며, 주요 설립 목적은 슈퍼마켓 설립을 통한 조직 구성원(UAE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 - 13.6월 3,000여명의 직원과 10개의 매장, 2개의 창고를 운영 중 <Union Cooperative Society 로고 및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 4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Carrefour - 프랑스의 Carrefour SA가 UAE 기업인 Majid Al Futtaim Retail과 합 작법인으로 1995년에 설립한 대형 슈퍼마켓 체인 - 현재 중동 및 북아프리카 12개국에 44개의 대형 매장과 35개의 소형 매 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15개의 대형 매장을 개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음. <Carrefour 로고 및 매장사진> 자료원 : 구글 이미지 Lulu Hypermarket - EMKE Group이 1990년대 초에 아부다비에서 운영했던 슈퍼마켓을 기 반으로 2000년에 두바이에 설립한 대형 할인매장 - Lulu Group은 두바이 1호점 개설 후 공격적으로 매장 확대에 나선 결 과, 2012년에 100번째 아웃렛을 UAE 토후국 중 하나인 라스알카이마 (Ras Al Khaimah)에 개설하였음. <Lulu Hypermarket 로고 및 매장사진> - 4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자료원 : 구글 이미지 전자제품 유통 프랜차이즈 Jumbo Electronics - 1974년에 설립된 UAE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유통기업으로, UAE 전역 에 1,500여명의 직원과 52개의 매장을 운영 중 Jacky's Electronics - 1970년에 홍콩에서 설립되어 UAE로 건너온 전자제품 유통기업으로, 현 재는 UAE에 14개, 홍콩에 3개의 아웃렛을 운영 중 Sharaf DG - 2005년에 설립된 전자제품 유통 후발주자로 UAE에 20개, 바레인과 오 만에 각각 1개의 매장을 운영 중 - DG4U, DG+ 등의 자매사를 운영하여 계층별 시장을 공략하는 등 독특 한 마케팅 실시 Plug-Ins - 2005년에 설립된 전자제품 유통기업으로, UAE에 총 7개의 매장 운영 - Dubai Mall 등 고급 쇼핑몰에만 매장을 운영하며, 최고급 브랜드의 전 자제품만을 판매하여 차별화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전자제품 유통 프랜차이즈 매장사진> - 4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자료원 : 구글 이미지 다) 기타 프랜차이즈 기타 프랜차이즈 현황 UAE는 대부분의 글로벌 프랜차이즈들이 진출해 있는 자유경쟁 시장 으로, 각종 브랜드들의 경연장이 되고 있음. - 진출분야는 부동산, 렌터카, 서점, 헬스클럽, 호텔, 교육, 식음료, 물류 등 전 분야를 망라함. - 국가별로는 미국 브랜드들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영 국, 프랑스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최근에는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브랜드의 진출도 증가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존에 진출해 있던 미국 브랜드의 아성에 도전하기는 힘든 상황임. <기타 주요 프랜차이즈 진출현황> - 4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회사명 브랜드명 분야 진출연도 국가 Budget Rent A Car International Budget Rent A Car 렌터카 1980 미국 Hertz Global Holdings Hertz 렌터카 1993 미국 A.A. Al Moosa Enterprises Dollar Rent A Car 렌터카 2004 미국 Borders Group, Inc. Borders 서점 2006 미국 Century 21 Century 21 부동산 1980 미국 KidzArt Texas LLC KidzArt 교육 2008 미국 Manthnasium Master Manthnasium 교육 2008 미국 Landmark Group/Fitness First Fitness First 헬스클 럽 2006 영국 Kinokuniya Bookstore Kinokuniya 서점 2008 일본 자료원 : 두바이 무역관 - 4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나. 산업육성정책 및 규제동향 1) 산업육성정책 창업지원 기관 운영 UAE 정부는 자국민들이 운영하는 중소기업 육성의 일환으로 프랜차 이즈 창업을 적극 지원 - 특히 두바이의 경우 젊은 자국민 기업가들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 립된 기관인 Mohammed Bin Rahid Establishment for Young Business Leaders에서 창업교육을 개설하여 청년 및 여성 기업인들의 창업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 중 재정지원 청년층 대상 프랜차이즈 창업을 위한 금융 지원 - The Dubai Islamic Bank(DIB)와 같은 금융기관에서도 프랜차이즈 창 업을 준비하는 자국 청년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 등 프랜차이즈 창업을 위한 재정지원 시스템도 운영 중 2) 규제동향 관련법규 UAE에는 프랜차이즈 관련 특별법은 없으며, 프랜차이즈 계약시 연방 차원에서 제정된 일반 민법과 상법을 적용 * 대리인법 : Law No. 13 of 2006 on the Organization of Commercial Agencies * 일반거래법 : Law No. 5 of 1985 on Civil Transactions * 상거래법 : Law No. 18 of 1993 on Commercial Transactions - 50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상기 법규 이외에 아래의 법규들이 추가적으로 적용 가능 - 가맹점이 가맹점 주에게 채무불이행시 가맹점 활동에 대한 규제와 관 련된 일반원칙 * 지적재산권법 : 상표, 저작권 및 특허 * 노동법 : 가맹점주가 가맹점에 소속직원을 보내는 경우 * 지방정부법 : 사업자명 및 기호 대리인법 UAE에서 프랜차이즈 사업체를 운영하기 위한 필수조건 - 사업주 본인이 UAE 국민이거나 사업체의 소유주가 UAE 국민 이거 나 합작파트너(스폰서 또는 파트너로 지칭됨)가 UAE 국민이어야 함. - 상기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1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 대리인법은 가맹점주보다 가맹점 보호를 우선으로 함. 경제자유구역(Free Zone)에 기업체를 설립할 경우 상기법 적용 예외 - Free Zone에서는 초기투자에 따른 자본금이 보다 많이 소요되며, UAE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다시 별도 UAE 국적의 파트너를 선 정해야 함. 프랜차이즈 계약시 법적 유의사항에 대한 철저한 검토 필요 - 대리인과 계약시 UAE 법원 등록이 필수이며, 한 번 계약을 체결하면 중간에 계약해지나 대리인 교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변호사 등 전문가들과 상의하거나 계약서 조항을 철저 히 검토해야 함. 기타 규제사항 UAE 연방정부의 상법, 노동법 적용 - UAE는 프랜차이즈와 관련한 특별한 법규가 없는 만큼 프랜차이즈 사 업을 시작하기에 용이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사업체 운영과 관련 해서는 연방차원에서의 상법, 노동법 등이 적용됨. - 5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다. 우리기업의 진출방안 1) 우리기업 진출 현황 및 유망분야 우리기업 진출현황 UAE에 진출한 한국 프랜차이즈는 화장품 브랜드인 The Face Shop 을 비롯하여 3~4개에 불과함. - 한국 프랜차이즈에 대한 현지인들의 인식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며 사 회/문화적 특성상 현지인들과 한국인들의 선호도 차이가 한국 프랜차이 즈의 현지진출을 더디게 만듦. * 13.6 UAE에서 운영되는 한국 프랜차이즈 The Face Shop(화장품) : 두바이 및 아부다비 Yogurberry(요거트 아이스크림) : 두바이 및 알 아인 레드망고(요거트 아이스크림) : 두바이 Bean Story(커피 전문점) : 아부다비, 두바이(개점예정) 국내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인 Missha는 2006년에 UAE를 비롯하여 오만,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에 프랜차이즈 매장을 오픈하였으나, 현지 파트너의 경영방침 변경에 따라 현재는 모든 매장을 철수한 상황임. UAE의 한국식 양념통닭 전문 프랜차이즈인 KimChikin은 2010년에 두 바이에서 Bonchon Chicken'이란 이름으로 1호 매장을 개설 - 새로운 메뉴 개발 후 상호를 KimChikin'으로 개명하여 현재 두바이 에 2호점을 개설하고 지속적으로 매장 확대 계획 중임. 주요기업 진출사례 요거베리(Yogurberry) - 요거트 아이스크림 전문매장으로 2009년에 UAE에 진출, 현재는 두바 이 및 알아인(Al Ain) 등의 대형 쇼핑몰에 총 25곳의 가맹점 운영 - 5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레드망고(Red Mango) - 요거트 아이스크림 전문매장으로 2010년에 두바이 최대 쇼핑몰인 두 바이몰에 입점, 현재까지 무난하게 운영 중 더페이스샵(The Face Shop) - 화장품 전문 브랜드로 현지 기업인 Al Ghurair Retail을 에이전트로 선 정, 2008년 3월에 두바이 고급 쇼핑몰 중 하나인 에미레이츠몰(Mall of The Emirates)에 입점, 13.6월 기준 22개의 매장에 70여명의 직원 이 근무하고 있음. - 초기에 비해 인지도가 많이 높아지긴 했으나, 현지 고객들이 이해하 기 쉬운 라벨링 개발 및 중국제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해야하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과제임. 유망분야 한국 브랜드는 미국 유럽의 고가 브랜드와 중국의 저가 브랜드 사이 의 중간에 위치 - 아부다비 원전 수주 및 양국 정상간 잦은 방문, 삼성 LG 등 국내 대 기업의 현지시장에서의 선전 등에 힘입어 UAE에서 한국브랜드에 대 한 인지도 상승 - 그러나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미국, 유럽(고급) 및 인도, 중국(저가) 브 랜드로 인해 아직까지 국내 브랜드는 시장에서 어중간한 위치임. 경쟁국 브랜드와의 차별화가 핵심 요소 - 따라서 한국이 가진 우수성과 동시에 다른 국가의 브랜드와 차별화를 이 룰 수 있는 브랜드로 승부할 때 현지시장에서 좋은 평가가능 상류층을 겨냥한 고급 프랜차이즈 시장 공략 유망 - 베이커리 : 파리바게트 등 고급스러우면서 대중화된 제빵/제과류 제 품이 고급을 지향하는 현지인들의 취향에 맞을 수 있음. - 교육서비스 : 교육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인 만큼 인터넷 강의 등 온라 인/오프라인 교육프로그램은 성장 가능성이 잠재 - 5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 차량점검 서비스 : 한국의 신속한 차량점검, 정비 및 수리서비스를 도 입하면 높은 고객만족도와 고정고객 확보 가능 전망 2) 마케팅 방안 및 유의사항 현지화 전략 사전에 시장조사를 통해 진출대상 지역, 진출형태 등 마케팅 전략의 수 립이 선행되어야 함. - 미국계 유통기업의 경우 소수의 특정국가에 집중 진출하고(월마트는 15개국에만 진출), 유럽계 유통기업은 다수 국가에 분산 진출하는 경 향이 있음. (까르푸 36개국, 메트로 32개국 진출) UAE를 비롯한 대부분의 중동 국가들은 외국인 단독 투자를 허용하 지 않기 때문에 프랜차이즈뿐만 아니라, 합작투자, 파트너십 계약 등 의 진출형태를 고려해야 함. 형태 프랜차이즈 합작투자 라이센스 Distributor 자료원 : 두바이 무역관 <유통기업들의 사업형태별 UAE 진출 사례> 주요사례 UAE의 Elaph는 캐나다 유명 유통기업인 Circle K 를 프랜차이즈 협약으로 도입하고 중동지역의 마 스터 프랜차이지(Master Franchisee)가 됨. UAE의 Majid Al Futtaim은 프랑스의 까르푸와 합작 법인으로 UAE 까르푸를 설립함. UAE의 슈퍼마켓 체인인 Waitrose는 영국 유통기업 John Lewis와 UAE의 Fine Fare Food Market간 라 이센스 협약으로 개점함. LG전자제품은 현지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주요 소 매점에 유통 진출하려는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현지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 유하고 있는 유능한 에이전트 및 파트너 발굴이 필수 - 5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중동지역 비즈니스 특성상 무엇을 알아야 하는 가 보다 누구를 알아야 하는가 가 중요 - 잘못된 에이전트와 파트너 선택으로 인해 성과가 좋지 못한데도 불구 하고 계약해지나 교체 등을 하지 못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 생하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 필요 적합한 입지 선정이 매출에 결정적인 영향 - 최근 UAE에서는 대형 쇼핑몰의 증가로 쇼핑몰 방문자수가 급증하고 있어,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의 쇼핑몰 내 입점 추세 확대 - 신규 진출을 희망하는 외국 유통기업의 경우 초기 위험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해 쇼핑몰을 소유하고 있는 현지 대형 유통기업과 조인트벤처 (Joint Venture) 설립을 통한 진출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유의사항 UAE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이 모여 있는 지역으로 고객별 요구사항 또한 다양한 만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 특히 UAE 및 GCC 국적의 고객들은 국민소득이 세계 최상위권으로 가격에 구애됨이 없이 최고급 서비스를 선호하는 만큼 차별화된 우 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 현지 문화, 이슬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전개 함과 동시에 문화적 충돌로 인한 피해를 방지 요망 - 할랄제품 인증에 필요한 요구조건이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는 만큼 세심한 확인이 필요 - 영국 대형 소매체인, Sainsbury's는 이집트에 진출시 100여개 이상 의 매장을 보유하였으나, 이스라엘 후원자가 있다는 소문으로 불매운 동에 시달리다 2001년에 완전히 철수 중동 사람들과의 비즈니스에는 인내가 필요 - 중동 사람들은 처음에는 외부인을 경계하나, 장기간 거래를 통해 신 뢰감이 형성된 후에는 전적으로 믿고 맡김. - 5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 원전수주 등 한국이 UAE에서 이룬 성과와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 들의 활약에 힘입어 현지에서 한국인과 기업에 대해 매우 호의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음.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여 경쟁기업을 넘어설 수 있는 계기로 활용 - 56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부록] 정부 및 협회 등 주요 유관기관 기관명 설립년도 주소 기관명 설립년도 주소 Abu Dhabi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1969년 P.O. Box 662, Abu Dhabi, UAE 전화 (971)2-621-4000 팩스 (971)2-621-5867 웹사이트 Dubai SME 2002년 P.O. Box 66166, Dubai, UAE 전화 (971)4-361-3000 팩스 (971)4-368-1000 웹사이트 주요업무 기관명 설립년도 주소 www.sme.ae 중소기업 창업지원, 사업개발 컨설팅, 자금지원 등 Dubai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1965년 P.O. Box 1457, Dubai, UAE 전화 (971)4-228-0000 팩스 (971)4-202-8888 웹사이트 주요업무 www.dubaichamber.com 회원사 관리, 시장조사, 신용평가, 수출증빙 발급 등 www.abudhabichamber.ae 주요업무 회원사 관리, 신용평가, 법률상담 서비스 등 * 현재 UAE 내 프랜차이즈 산업 유관기관은 전무하며, 두바이 지역 중소기업 창업 지원기관인 Dubai SME가 UAE 국적(두바이 출신) 청년 기업가들의 창업지원 업무 중 프랜차이즈 사업과 일부 관련이 있음. 주요기업 업체명 Al Maya Group 설립년도 1982년 주소 P.O.Box 8476, Dubai, UAE 매출규모 N/A 종업원수 4,000명 웹사이트 www.almaya,ae 담당자 Marketing Manager/ Ms. Nachla Al Tabib 전화 (971)4-282-1555 팩스 (971)4-282-2555 이메일 info@almayagroup.com 주요 비즈니스 대형 슈퍼마켓 체인 - 57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업체명 Lulu Hypermarket 설립년도 2000년 주소 P.O.Box 4048, Abu Dhabi, UAE 매출규모 N/A 종업원수 29,000명 웹사이트 www.lulumea.com 담당자 Purchasing Manager/ Mujeeb Rahman 전화 (971)2-642-1800 팩스 (971)2-642-1888 이메일 mujeeb@ae.lulumea.com 주요 비즈니스 대형 슈퍼마켓 체인 업체명 Majid Al Futtaim Hypermarkets(Carrefour) 설립년도 1995년 주소 P.O.Box 22797, Dubai, UAE 매출규모 N/A 종업원수 8,000명 웹사이트 www.carrefouruae.com 담당자 Purchasing Manager/ Mr. Samer Suleyman 전화 (971)4-294-4442 팩스 (971)4-295-5009 이메일 customerservicecen@mafcarrefour.com 주요 비즈니스 대형 슈퍼마켓 체인 * UAE는 상장기업을 제외하고는 경영공시의 의무가 없는 관계로 대기업의 경우에도 대 부분 매출액 등 재무제표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 매출규모 확인 불가 주요 유통업체 업체명 설립년도 주소 Federal Foods 1991년 P.O.Box 54066, Dubai, UAE 매출규모 N/A 종업원수 1,360명 웹사이트 담당자 www.federalfoods.ae Marketing Manager/ Mr. Hisham Dimashki 전화 (971)4-339-0005 팩스 (971)4-339-0032 이메일 납품 유통점 주요 취급분야 hishamd@federalfoods.ae Spinneys, Carrefour, Al Maya, Lulu 등 식품류 - 58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업체명 설립년도 주소 Emke General Trading 1966년 P.O.Box 60188, Dubai, UAE 매출규모 N/A 종업원수 29,000명(그룹 전체) 웹사이트 담당자 www.emkegroup.com Marketing Manager/ Mr. Mohammed Shibu 전화 (971)4-267-0077 팩스 (971)4-267-0088 이메일 납품 유통점 주요 취급분야 shibu@egtdubai.ae Spinneys, Carrefour, Al Maya, Lulu 등 식품류 주요 전시회 전시회명 Franchise UAE Expo 2013 개최시기 장소 주최기관 규모 전시업체/ 참가업체 수 전시분야/품목 담당자 2013년 9월 25일~26일 Al Bustan Rotana Hotel, Dubai, UAE Franchise Middle East 미정 전시업체 100여개사 및 참관객 5,000여명(예상) Automobile Service, Beauty Aids & Saloons, Business Service, Cafes, Child Care Service, Cleaning Service, Computer & Internet Services, Consumer Goods, Clothing & Designer Wear, Franchise Consultancy Services, Courier Services, Distribution & Logistics, Education, Fashion, Apparels & Accessories, Financial Services, Fast Food, Restaurants and Catering, Footwear, Gifts & Greetings, Healthcare and Medical Services, Print & Publishing, Real Estate, Retailing, SME Services & Organization, Trade Events, Investment Zone Manager/ Ms. Vinona Gagan 전화 (971)4-236-8568 팩스 (971)4-236-8677 이메일 특이사항 info@franchiseuaeexpo.com UAE 유일의 프랜차이즈 관련 전시회로 2008년부터 매년 개최됨. - 59 -

Global Market Report 13-065 2013년 KOTRA 발간자료 목록 GMR (Global Market Report)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3-001 오바마 재선에 따른 경제.통상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 2013.1 13-002 2013년 1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3.1 13-003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공작기계 (머시닝센터) - 2013.1 13-004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기타골프용품 - 2013.1 13-005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안경테 - 2013.1 13-006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폴리에스터 단섬유 - 2013.1 13-007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 2013.1 13-008 선진국의 미래산업 육성정책 2013.2 13-009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광케이블 - 2013.2 13-010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기타전동공구 - 2013.2 13-011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기타컴퓨터주변기기 - 2013.2 13-012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펌프 - 2013.2 13-013 미국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 및 시사점 2013.2 13-014 한-콜롬비아 FTA 효과 및 활용방안 2013.2 13-015 떠오르는 이라크 재건시장을 선점하라 2013.2 13-016 주요국 환율변동에 다른 해외시장 동향과 진출여건 2013.2 13-017 엔저하의 수출 경쟁력 현황 및 전망 2013.2 13-018 한미 FTA 발효 1주년, 대미 수출 성과 분석 2013.3 13-019 일본의 대인도 진출전략 및 대응방안 2013.3 13-020 독일 직업교육 훈련제도 현황 및 시사점 2013.3 13-021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주요 시장 동향 <기타 무선통신기기> 2013.3 13-022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플라스틱 가공제품 - 2013.3 13-023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편직물 (인조섬유제) - 2013.3 13-024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는 멕시코 2013.3 13-025 인도의 CSR 정책과 시사점 2013.3 13-026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유리 저장 용기 - 2013.3 13-027 미국-EU FTA 추진현황과 향후 시사점 2013.3 13-028 日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 현황 및 시사점 2013.3 13-029 2013년 2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3.4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13-030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X선 및 방사선기기부품 > 2013.4 13-031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기초화장품 - 2013.4 13-032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합성수지 합성고무 - 2013.4 13-033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 밸브 기타기계류 - 2013.4 13-034 중소기업 신규 수출확대 유망품목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스키 헬멧> 2013.4 13-035 Post Chavez, 변화와 전망 2013.4 13-036 2013년 美 USTR 무역장벽보고서 평가 및 시사점 2013.4 13-037 한 터키 FTA 10대 수출 유망품목 및 진출방안 2013.4 13-038 최근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향후 전망 2013.4 13-039 Putin 취임 1주년 경제 진단 및 전망 2013.5 13-040 유럽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 서유럽편 - 2013.5 13-041 유럽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 동유럽 북유럽편 - 2013.5 13-042 미얀마 경제제재 완화 1년과 향후 전망 2013.5 13-043 핀란드 창업 재취업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2013.5 13-044 日 엔고극복 사례가 주는 엔저원고시대의 시사점 2013.5 13-045 CIS 대형 유통망 현황 및 진출 방안 2013.6 13-046 기업에 공유가치를 입혀라~창조경제를 만든 해외기업의 CSV 사례~ 2013.6 13-047 방글라데시 의류산업 사업환경 변화와 시사점 2013.6 13-048 호주 자원개발 현황과 진출전략 2013.6 13-049 2013년 3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3.6 13-050 한-EU FTA 2주년 성공사례 및 주요 바이어 반응조사 2013.6 13-051 2013년 하반기 지역별 수출입 전망과 시장여건 2013.7 13-052 북미셰일가스 개발 동향 및 한국기업 진출전략 2013.7 13-053 'Rich Africa, Blue Africa' - 경제통상 협력을 통한 아프리카 진출 확대 방안 2013.8 13-054 북미 온라인 유통시장 진출방안 - 미국편 - 2013.9 13-055 북미 온라인 유통시장 진출방안 - 캐나다편 - 2013.9 13-056 독일 메르켈 총리 재집권에 따른 정책 방향 및 시사점 2013.9 13-057 태평양동맹 현황 및 활용전략 2013.9 13-058 2013년 4분기 KOTRA-SERI 수출선행지수 2013.10 13-059 유럽 M&A 시장 동향 및 진출방안 2013.10 13-060 일본경제 및 한일협력 확대 방안 2013.10 13-061 日 아베노믹스 실시성과 중간점검 및 시사점 2013.10 13-062 세계 경영환경을 바꾸는 혁신 : Reverse Innovation 2013.10-61 -

Global Market Report 13-065 13-063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아세안편) 2013.11 13-064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남미편) 2013.11 13-065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2013.11 13-066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CIS편) 2013.11 KOCHI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3-001 대만시장에서 한류 활용하기 2013.1 13-002 [중국 석학에게 듣는다] 2013 중국 경제 전망 2013.2 13-004 中 國 寶 庫 -양회시리즈 2013.5 13-005 중국을 움직이는 파워엘리트 400인 (Who's who in China's Leadership) 2013.6 13-006 중국 온라인쇼핑 시장현황과 히트상품 분석 2013.8 13-007 중국 중서부 투자 우대산업 목록 2013.9 KOTRA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3-001 해외 주요국 투자인센티브 현황 및 사례조사 2013.1 13-002 외국인을 위한 법인설립 안내 2013.1 13-003 Guide to Business Establishment in Korea 2013.1 13-004 2012년도 북한의 대외교류동향 2013.2 13-005 GCF시대에 대비한 세계그린프로젝트 수주방안 2013.3 13-006 국가IR 개선 방안 연구 2013.3 13-007 2009~2012 KOTRA 수출인큐베이터 운영 성공사례집 2013.3 13-008 2013 외국인투자 가이드 2013.4 13-009 2013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참가업체 디렉토리 2013.5 13-010 국별 해외전시회 가이드 2013.5 13-011 2013 이라크-요르단 경제통상사절단 종합 결과 보고서 2013.5 13-012 2012 외국인투자옴부즈만 연차보고서 2013.5 13-013 Foreign Investment Ombudsman 2012 2013.5 13-014 엔저가 일본의 對 한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13.5 13-015 세계 주요국 전력시장 현황 2013.5 13-016 미얀마 투자실무가이드 2013.5 13-017 2013 외국인투자상담 Q&A 2013.5-62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13-018 2012년도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2013.5 13-019 Global Green Hub Korea 2013 결과보고서 2013.5 13-020 2013 글로벌취업창업대전 결과보고서 2013.6 13-021 중소기업을 위한 온라인 수출 마케팅 가이드 2013.6 13-022 이것이 글로벌 명품전시회다 2013.6 13-023 2013 Doing Business in Korea 2013.6 13-024 러시아 프로젝트 진출 가이드 2013.6 13-025 유럽 비즈니스 위크 개막 세미나 (공공조달 진출 전략) 2013.6 13-026 브라질 태양광 프로젝트 예비조사 보고서 2013.6 13-028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13 요약 번역본 (국제가치사슬: 성장을 위한 투자와 무역) 2013.7 13-029 2013 전략적제휴 안내서 2013.8 13-031 글로벌 중소기업, DNA부터 다르다 2013.8 13-032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전력인프라 현황 및 진출방안 2013.8 13-033 2013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결과보고서 2013.8 13-034 멕시코 투자실무가이드 2013.8 13-035 투자실무가이드 - 네덜란드 - 2013.8 13-036 2012년 글로벌 FDI 동향 2013.8 13-037 2013 U턴기업 지원 종합가이드 2013.9 13-038 신흥국 제조업 지도 : 어디서? 무엇을? 2013.9 13-039 신흥국 온라인 유통시장 동향과 진출방안 2013.9 13-040 글로벌 창업 종합가이드 2013.3 13-041 신흥국 진출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Volume Zone & Reverse Innovation 2013.9 13-042 2012년도 Invest KOREA 연차보고서 2013.10 13-043 러 물류-운송 서비스 시장동향 및 전망 2013.9 13-044 2013년 주요 투자유망국(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브라질, 미얀마) 투자환경 비교 2013.10 13-045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 2013.10 13-046 터키 투자실무가이드 2013.10 13-047 UN근무 30년 경력자가 들려주는 UN조달 쉽게하기 2013.10 13-048 제 10회 대전 국제 농기자재 및 우수종자 전시회(TAMAS 2013) 디렉토리 2013.10 13-049 2013 Labor Law Guide for Foreign Investors 2013.10 13-050 2014년 해외시장 진출 호부진 품목 2013.10 13-051 국제 CSR 동향분석 및 시사점 2013.10 13-052 2014년 해외 수출유망 품목 및 국가 현황 2013.11 13-053 러시아 바이오매스 프로젝트 예비조사 보고서 2013.11-63 -

Global Market Report 13-065 13-054 2013 외국인투자기업경영환경애로조사 2013.11 13-055 2013 외국인투자기업생활환경애로조사 2013.11 13-056 2013 외국인투자기업 투자환경조사 ~15개사 외투기업 심층인터뷰 결과 2013.11 13-057 Invest KOREA Annual Report 2012 2013.11 설명회자료 번 호 제 목 발간일자 13-001 2013 세계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2013.1 13-002 2013 중국3대 유망시장 설명회 2013.1 13-003 2013년 전략시장 협력 파트너쉽 포럼 2013.1 13-004 Iraq-Korea Business Forum 2013.3 13-005 Reshoring to KOREA - 국내 U턴기업 지원제도 및 투자환경 설명회 - 2013.4 13-006 2013년 제1회 차이나 커뮤니티 세미나 2013.3 13-007 Global Project Plaza 2013 2013.5 13-008 2013 철도 기자재 조달 플라자 Railway Procurement Plaza 2013 2013.5 13-010 2013년 유럽 주요국 대형유통망 현황 조사 2013.6 13-011 선진 ESCO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2013.6 13-012 Europe Business Week 2013 - 유럽 유통망 진출전략 설명회 - 2013.6 13-013 Europe Business Week 2013 - 유럽 공공조달 진출전략 설명회 - 2013.6 13-014 한-미얀마 비즈니스 포럼 2013.6 13-015 2013 국제금융기구(MDB) 조달 설명회 2013.6 13-016 벵골만연안국 비즈니스포럼 2013.7 13-017 이란 대체시장 설명회 2013.7 13-018 '중국 新 도시화 정책과 활용전략' 설명회 Korea-China Biz Plaza 2013 2013.9 13-019 신흥시장 주요 트렌드 및 진출방안 2013.9 13-020 자동차, 프로젝트 분야 진출전략 세미나 2013.9 13-021 ICT, 유통업, 의료서비스업 분야 진출전략 세미나 2013.9 13-022 중남미 새로운 기회: Post Chavez, 그리고 태평양 동맹 2013.9 13-023 CIS 대형 유통망 진출전략 세미나 2013.9 13-024 아프리카 진출 파이낸싱 전략 세미나 2013.9 13-025 아시아 온라인 유통망 진출전략 세미나 2013.9 13-026 신흥시장 투자진출 리스크와 기회 포럼 2013.10 13-027 Korea-Iraq Rebuilding Project Plaza 2013.10-64 -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13-028 2013 UN 조달 설명회 2013.10 13-029 Chemical Innovation with Korea 포럼 2013.10 13-030 중국 특화 지역개발 설명회 2013.10 13-031 2016 리우 올림픽 조달 설명회 2013.11 13-032 해외 CSR 사업화 포럼 2013.10 13-033 한국-폴란드 경제협력포럼 2013.10 13-034 Asia Water Development Project Plaza 2013.11-65 -

Global Market Report 13-065 작성자 이스탄불 무역관 암만 무역관 두바이 무역관 신흥시장팀 김재우 조상재 손주홍 박정현 Global Market Report 13-065 신흥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과 진출방안(중동편) 발 행 인 편 집 인 발 행 처 발 행 일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오 영 호 김 성 수 KOTRA 2013년 11월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우 137-749) 02) 1600-7119(대표) www.globalwindow.org Copyright c 2013 by KOTR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저작권은 KOTRA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 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