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pdf..

CR hwp

- 2 -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1정책백서목차(1~18)

- 2 -

³»Áö_10-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제4장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01¸é¼öÁ¤

ÃѼŁ1-ÃÖÁ¾Ãâ·Â¿ë2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Çʸ§-¾÷¹«Æí¶÷.hwp.hwp

2002report 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¹é¼Ł sm0229-1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레이아웃 1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CC hwp

È޴ϵåA4±â¼Û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allinpdf.com


°¨Á¤Æò°¡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ÀåÀÛ¾÷

¾Æµ¿ÇÐ´ë º»¹®.hw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03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歯이

T hwp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ad hwp

DocHdl2OnPREPRESStmpTarget

목 차 1. 선발개요 p 2. 개선내용 p 3. 세부선발계획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더바이어102호 01~09

CONTENTS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나하나로 5호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지표3권1-265

»êÇÐ-150È£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감사회보 5월

(중등용1)1~27

AÇ¥Áö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60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에너지절약_수정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bm hwp

<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aT내지

성인지통계

ITFGc03ÖÁ¾š

<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B9ABC1A62D31>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04 Çмú_±â¼ú±â»ç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012~031)223교과(교)2-1

아시아연구 16(3), 2013 pp 농촌종합개발 ODA 모델의효과적추진방안연구 - 베트남새마을운동시범사업사례를중심으로

Transcription: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노은주 임한성 권령민 [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원 ]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목 차 요약 3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방법 10 3. 이론적 논의 11 1)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개념 11 2)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기 구분 13 제2장 동반 성장기 1. 시대적 배경 17 2. 새마을운동 발흥기 18 1) 추진 체계 19 2) 활동 성과 20 3. 새마을운동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34 1) 추진 체계 34 2) 활동 성과 36 4. 새마을운동 침체기 40 1) 추진 체계 40 2) 활동 성과 42 5. 평가 46 i

제3장 중흥기 1. 시대적 배경 53 1) 이념과 시대정신 53 2) 21 세기 시대 환경 55 3) 21 세기 새마을운동의 동향 61 2. 경북새마을운동 부흥기 70 1) 추진 체계 70 2) 활동 성과 72 3. 경북새마을운동 국제확산기 80 1) 추진 체계 80 2) 활동 성과 82 4. 평가 94 제4장 미래 중심기 1. 시대적 배경 99 1) 사회변화의 전망 99 2) 새마을운동 재창조의 필요성 103 3) 새마을운동의 변화 방향 104 2. 경북새마을운동의 SWOT 분석 108 1) 경상북도 현황 108 2) SWOT 분석 111 3. 경북새마을운동 글로벌 중심기 114 1) 비전 및 목표 114 2) 추진 방향 및 추진 전략 121 ii

3) 추진 과제 132 ⑴ 정신문화 강화 관련 추진 과제 133 ⑵ 공동체문화 창조 관련 추진 과제 142 ⑶ 내부기반 강화 관련 추진 과제 155 ⑷ 지구촌 새마을운동 관련 추진 과제 164 4) 단계별 추진 계획 170 ⑴ 새마을운동 상황판단 170 ⑵ 새마을운동 재점화를 위한 중ㆍ 장기 방안 171 제5 장 결론 177 참고문헌 182 iii

표 차 례 < 표 11>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기 구분 14 < 표 21> 1970 년대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의 조직체계 20 < 표 22> 1970 년대 경상북도 보설치 실적(1971 년~1983 년) 21 < 표 23> 1970 년대 경상북도 도수로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2 < 표 24> 1970 년대 경상북도 집수암거 실적(1971~1983 년) 22 < 표 25> 1970 년대 경상북도 양수장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3 < 표 26> 1970 년대 경상북도 소류지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3 < 표 27> 1970 년대 경상북도 관정시설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3 < 표 28> 1970 년대 경상북도 농로정비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4 < 표 29> 1970 년대 경상북도 농경지개답 실적(1971 년~1983 년) 24 < 표 210> 1970 년대 경상북도 축사개량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25 < 표 211>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구판장 실적(1971 년~1983 년) 26 < 표 212>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창고 실적(1971 년~1983 년) 26 < 표 213>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작업장 실적(1971 년~1983 년) 27 < 표 214>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퇴비장 실적(1971 년~1983 년) 27 < 표 215> 1970 년대 경상북도 한우입식 실적(1971 년~1983 년) 27 < 표 216> 1970 년대 경상북도 시군 특용작물재배 실적(1971~1983 년) 28 < 표 217> 197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공장 실적(1971 년~1983 년) 28 < 표 218> 1970 년대 경상북도 소하천정비 실적(1971 년~1983 년) 29 < 표 219> 1970 년대 경상북도 마을안길 실적(1971 년~1983 년) 29 < 표 220> 1970 년대 경상북도 하수구 정비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30 < 표 221> 1970 년대 경상북도 마을회관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30 < 표 222> 1970 년대 경상북도 변소 개량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31 < 표 223>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빨래터 실적(1971 년~1983 년) 31 iv

< 표 224> 1970 년대 경상북도 부속사 정비 실적(1971 년~1983 년) 32 < 표 225> 1970 년대 경상북도 지붕개량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32 < 표 226> 1970 년대 경상북도 취락구조 실적(1971 년~1983 년) 33 < 표 227> 1970 년대 경상북도 교량 실적(1971 년~1983 년) 33 < 표 228> 1970 년대 경상북도 문고 실적(1971 년~1983 년) 34 < 표 229> 198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가꾸기사업 실적 37 < 표 230> 198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교육 실적 37 < 표 231> 1980 년~1989 년 경상북도 부녀새마을운동 사업실적 38 < 표 232> 198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국토공원화사업 실적 39 < 표 233> 199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담당 행정부서 41 < 표 234>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지역가꾸기사업 실적 43 < 표 235>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환경가꾸기사업 실적 43 < 표 236>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의식개혁 및 기초질서지키기 사업 실적 45 < 표 237>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민간자율화 기반조성사업 실적 46 < 표 238> 1970 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 47 < 표 239> 1980 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 48 < 표 240> 1990 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 49 < 표 241> 경북새마을운동 동반 성장기의 특징 및 평가 50 < 표 31> 21 세기 새마을운동 여건 및 시사점 60 < 표 32> 2011년 행정안전부 새마을운동 ODA 사업 추진 방안 64 < 표 33>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부흥기의 담당 행정부서 변화 71 < 표 34>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시민의식의 선진화사업 실적 73 < 표 35>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친환경조성사업 실적 74 < 표 36>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복지공동체구현사업 실적 75 < 표 37>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국제통일협력사업 실적 77 < 표 38>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인터넷새마을운동 사업 실적 78 v

< 표 39> 200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자체특색사업 실적 79 < 표 310> 2000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10 대과제실천운동 사업 실적 80 < 표 311> 경북새마을운동 부흥기의 담당 행정부서 변화 81 < 표 312>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지도자 및 회원 현황(2013 년 현재) 82 < 표 313> 대한민국새마을박람회의 구성 86 < 표 314> 새마을세계화재단 사업의 기본 방향 89 < 표 315>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업 93 < 표 316> 2000 년대 새마을운동 평가 및 특징 94 < 표 317>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과거와 현재 특징 비교 95 < 표 41> 미래사회의 전망 99 < 표 42> 제4 물결 사회의 특징 100 < 표 43> 사회변화의 추세 102 < 표 44> 사회적 유대 관련 지표 변화의 추이 105 < 표 45> 경상북도의 행정구역(2013 년 현재) 108 < 표 46>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SWOT 분석 112 < 표 47> 향후 분야별 추진 정책 제안 169 < 표 51>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기별 특징 요약 179 vi

그림차례 < 그림 11> 연구 흐름도 11 < 그림 21> 1970 년대 새마을운동의 행정기구 19 < 그림 22> 1980 년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 35 < 그림 23> 1990 년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 42 < 그림 31> 2011 년 행정안전부 새마을운동 사업 추진 계획 65 < 그림 32> 2000 년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2006 년 현재) 71 < 그림 33> 200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추진체계(2013 년 현재) 81 < 그림 34> 경상북도 새마을회 추진조직(2013 년 현재) 82 < 그림 35>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업 추진 체계도 90 < 그림 41> 경상북도의 행정구역 및 인구(2013 년 현재) 109 < 그림 42> 경북 시군별 인구의 자연증가(2013 년) 110 < 그림 43>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비전 114 < 그림 44>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미션과 목표 120 < 그림 45>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행복공동체 만들기 수행과정 124 < 그림 46>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추진 방향 128 < 그림 47>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국내 활성화 전략 130 < 그림 48>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 전략 132 < 그림 49>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비전 및 추진 방향 133 < 그림 410> 21 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단계별 추진 계획 176 vii

요약 Kyungwoon University Saemaul Academy

요 약 요 약 1.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동반 성장기 : 더불어 잘살기 운동 경상북도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 태동기의 청도 신도리 모범부락과 실험사업 기의 기계면 문성리 성공사례지 등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새마을운동의 발생지로 인정받고 있으며 조국근대화 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음. 경북새마을 운동의 동반 성장기 를 크게 발흥기,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침체기 로 3 분함. 2.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중흥기 :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경상북도는 시대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정신을 지켜냈음. 경상북도는 정권의 변화에 따른 부침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여 새마을운동의 불씨를 살려놓음. 경상북도는 1994년 행정쇄신위원회의 의결로 관공서가 새마을기 게양을 중 단하는 가운데서도 경상북도는 새마을정신의 표상인 새마을기를 게양하였음. 경상북도는 1997 년 국가적으로 사라진 관공서 내 새마을과 를 당당히 부활, 이 시점을 경북새마을운동의 중흥기 시작점으로 삼고, 다시 부흥기 와 국제 확산기 로 2 분함. 전국의 새마을연구소가 1990년대 중반 폐쇄되었으나 1997년 경운대학교에 새마을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명맥을 유지함. 경상북도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새마을운동을 지켜왔음. 2000년대 경상북도는 참여와 연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새마을운동 전개 도덕성 및 윤리의식 상실, 배금주의의 팽배 등 과거의 부정적 유산을 극복 하고자 하는 국민의식개혁 추진 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개인적 지역적 사회적 이기주의로부터 초래된 공동체 해체의 위기를 극복 하고자 하는 공동체주의 실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야 한다는 사회통합 지향 2007년 5 월, 경상북도는 21 세기 새마을운동 의 역사적 출범을 알리는 한편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에 주력하기 시작, 이로부터 경북새마을운동의 국제확 산기 시점을 삼음. 3.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미래 중심기 : 인류 공영의 행복 공동체 형성 2013년 10월 20 일 박근혜 대통령의 제2 새마을운동 선포 시점을 경북새마 을운동의 미래중심기 시작점으로 삼기로 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을 통해 도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제고하는 한편 경상북 도의 행복 공동체 문화를 창조함으로써 도민의 삶을 풍요롭게 함과 동시에 전 세계 새마을운동의 중심에 섬으로써 저개발국의 빈곤극복을 견인하는 선 봉 역할 근면, 자조, 협동 이라는 과거의 새마을정신에,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나눔, 봉사, 배려 의 정신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공동체 구성원의 조화로운 상생 효과 기대 이상과 같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대별 특징을 일람하면 다음과 같음. < 표>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기별 특징 구 분 동반 성장기 중흥기 미래 중심기 이념 잘살기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행복 공동체 건설 기본정신 추진목표 / 전략 근면 자조 협동 근면 자조 협동 근면 자조 협동 + 나눔 봉사 배려 관민협력 공동체중심 사업 실시 선의의 경쟁원리 도입 새마을교육 실시 조직역량 강화 공동체의식 함양 민관협력 증대 국제협력 증진 건강한 정신문화 고취 행복한 지역공동체 구현 전문인력양성 및 조직재정비 경북형 새마을운동 세계화 의미 새마을운동의 발상 및 기반 새마을운동의 중흥 세계 새마을운동의 중심 4

요 약 4.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비전 및 추진 방향 21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비전 및 향후 추진 방향을 간략히 도표로 제 시하면 다음과 같음. < 그림> 21세기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비전 및 추진 방향 비전 경북 새마을운동을 통한 행복 공동체 형성 미션 도민공동체의식제고및내부조직강화를통한행복공동체문화창조 실천원리 ( 정신) 근면 자조 협동 나눔 봉사 배려 4대 중점분야 정신문화강화 공동체문화창조 내부기반강화 지구촌새마을운동 추진목표 건강한 정신문화 고취 행복한 지역공동체 구현 전문인력양성 및 조직 재정비 경북형 새마을운동 세계화 추진 과제 도민의식 선진화 세계시민의식 함양 세대 간 융화 행복한 삶 추구 전통문화 계승 및 생활질서 준수 경북 문화새마을 운동 추진 친환경운동 활성화 창조경제 기여 다문화새마을운동 활성화 봉사나눔 활동 활 성화 도시학교 새마을 운동 후속세대 발굴 및 양성 전문 인력 양성 결혼이주자여성 새 마을지도자 육성 새마을지도자 역 량 강화 추진조직 재정비 새마을 거버넌스 구축 시범마을 조성사업 시군별 시범사업 참여 외국인 지도자 유학 생 초청 새마을 연수 저개발국 현지 새 마을교육 실시 새마을세계화재단 의 국제기구화 5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5.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단계별 추진 계획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단계별 추진 계획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 그림>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단계별 추진계획 * 지구촌새마을운동의 단계별 추진계획은 새마을운동세계화재단에서 별도 수립 본 연구과제는 지난 2014년 2월 28일 발행된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에 대한 연구 를 2014년 6월 27 일 실시한 한국정부학회의 발표 와 11월 27일 시행 한 전문가 초청 발표 및 토론회 를 통해 각 분야별 고견을 수렴함으로써 수 정, 보완한 것임을 밝힘. 6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이론적 논의 Kyungwoon University Saemaul Academy

제1장 서론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새마을운동은 한 시대를 상징하는 민족적 자각운동이자 근대화운동이며 정신 혁명운동임. 1950년대 이른바 수원국의 위치에 있던 한국을 1970 년까지 절대빈곤으로 부터 탈출 하도록 하는 데 기여한 원동력이 새마을운동이기 때문임. 무엇보다 새마을운동은 피폐해져 있던 국민들에게 하면 된다., 할 수 있 다. 라는 자신감과 열정을 심어줌으로써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마침내 가 난과 기아의 반복적인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었음.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의 태동과 출범에 결정적 기여를 하였고, 박정희 대통 령이 새마을운동을 제창한 후 국가적인 실천운동으로 확산하는 데 지대한 역 할을 한 바 있음. 이에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의 고향, 새마을운동의 종주도, 새마을운동 의 중흥지 등으로 일컬어지고 있음. 한편 경상북도 대표 브랜드로 일컬어지는 새마을운동 업적에 대해 기록 정리된 문헌이 불충분한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한 것이 현실임. 이에 박 근혜 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제2 새마을운동의 활성화를 희망하는 현 시점에서 경상북도는 향후 새마을운동의 비전 및 추진방향 수립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에 대한 체계적 이론 정립 을 비롯한 새마을운동 종주도로서의 경상북도 위상 제고 및 경상북도 새마을 운동의 새로운 변화와 질적 도약 모색을 위한 기틀 마련 에 연구 목적을 두 고자 함. 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본 연구를 통하여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한편 향후 방향 성을 모색함으로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데 기여 할 것임. 2. 연구 방법 자료 수집 및 분석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체계 및 성과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 기존 새마을운동과의 특성 비교 분석 문헌조사 새마을운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검토 새마을운동 관련 통계 자료 및 각종 간행물 검토 경상북도 관련 각종 통계 자료 및 발전 단계 등 검토 및 분석 자체 회의 공동연구를 위한 자체 회의: 수차에 걸친 자체 회의 및 평가 실시 학회 발표 및 전문가 초청 발표토론회 학회 발표: 한국정부학회 춘계학술대회, 2014년 6월 27 일( 금) 13:00~17:30, 금오공과대학교 디지털관 전문가 초청 발표 및 토론회 개최: 2014년 11월 27 일( 목) 14:00~17:00,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국제회의실 발표 및 토론회 의견 수렴 후 수정 보완 이상과 같은 일련의 연구과정을 거쳐 마무리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에 대한 연구를 각종 자료 및 문헌연구를 통한 한국의 새마을운동 및 경북 새마을운동 특 성 및 의미 고찰 자체 회의 및 전문가 초청 발표토론회를 통한 향후 방향성에 대한 의견 수렴 향후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비전 및 목표 설정, 그에 따른 구체적 추진 전략 수립 10

제1장 서론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연구를 통한 향후 방향성 모색 및 추진 전략에 대한 구 체적 연구 진행 체계를 연구 흐름도 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음. < 그림 11> 연구 흐름도 3. 이론적 논의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경상북도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의 발상 및 중흥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상징하는 브랜드임. 형식적으로 볼 때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경상북도 지역에서, 경상북도 도민 에 의하여 수행된 새마을운동의 과정과 결과물 이라 할 수 있음. 내용적으로 볼 때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한국 새마을운동을 대표하는 동시 11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에 이에 대한 동의어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음. 즉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경북 의 새마을운동, 양자를 엄밀히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그 역사성과 보편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음. 그러나 새마을운동의 역사적 흐 름에 있어 경상북도가 행해 온 역할은 실로 막중한 것이었던바, 개략적 내용 은 다음과 같음. 1970년대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 태동기 의 청도 신도리 모범부락과 실험 사업기 의 기계면 성공사례지를 보유함으로써 조국근대화 라는 시대적 요 구를 수렴하는 한편 가난 극복에 대한 국가적 과제와 사회적 요구를 현실 화하였음. 1997 년, 경상북도는 전 국가적으로 사라진 관공서 내 새마을과 를 당당히 부활시킴. 2007년 5 월, 경상북도는 21 세기 새마을운동 의 역사적 출범을 알리는 한 편 새마을운동 세계화에 본격적으로 뛰어듦. 2010 년,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 개발 경험을 국제 빈곤극복 모델로 정립하 여 현지에 직접 전수함으로써 개도국의 절대 빈곤 퇴치에 앞장서기 위해 한국국제협력단과 협력하에 아프리카 3개국에 새마을리더 해외봉사단을 파 견, 시범마을을 조성하기에 이름. 이는 기존의 방식과 차별화된 경상북도만 의 독특한 새마을운동 ODA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음.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경북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의 불씨가 대한민국 새마을 운동 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따라서 새마을운동 국가대표성의 뿌리 는 경상북도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임. 이제 2020년대를 바라보는 이 시점에서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새로운 시대 를 대비한 경상북도 도민의 굳건한 새마을운동 의지를 담아 도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제고하는 한편 경상북도의 행복 공동체 문화를 창조함으로써 도민의 삶을 풍요롭게 함과 동시에 저개발국의 빈곤극복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하 여 자랑스러운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영예가 지속되도록 그 사명과 책무를 다해야 할 것임. 12

제1장 서론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전개 단계를 유의미한 사건을 중심으 1 2 로 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동반성장기 : 새마을운동의 발생 시점인 1970년부터 흥망성쇠의 흐름을 따라 이른바 쇠퇴 단계에 다다른 1990 년대 중반까지를 과거 부분에 속하는 단계로 설정함. 이 시기의 새마을운동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을 분리하여 규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밀착적 관계를 보이는 단계이므로 동반성장기 로 명명함. 이 단계의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 태동기 의 청도 신도리 모범부락과 실험사업기 의 기계면 성공사례지를 통해 한국의 새마을운동의 발생 및 점화에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데에 중차대한 의미가 있음. 70 년대를 발흥기, 80 년대를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1990년부터 1996 년까지를 침체기 로 규정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중흥기 : 시대적 상황에 의해 대부분의 시도에서 새마을기를 내리고, 관청 내 새마을 운동 전담기관인 새마을과를 폐쇄할 때 경상북도는 다시금 새마을과 를 부 활하며 새마을운동의 굳건한 의지를 표명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역사에서 중요한 한 획을 그은 이 시점을 새마을운동 중흥기 의 기준으로 삼음. 전 국가적으로 사라진 관공서 내 새마을과 를 당당히 부활시킨 1997년 을 이른바 경북새마을운동의 부흥기 기점으로 잡고, 그로부터 21세기 새마을운동 의 역사적 출범을 선언한 2007년 5 월 이전까지를 부흥기 범위로 제한함. 그후 2007년 5월 경상북도는 21 세기 새마을운동 의 역사적 출범을 천 명하며 새마을운동 세계화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바, 이를 경북새마을운 1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3 동의 국제확산기 의 시작점으로 규정키로 함. 한편 경상북도는 그에 앞 선 2005년경부터 이미 베트남 사업을 출발점으로 국제새마을사업의 첫 걸음을 내디뎠으며, 2010년 한국국제협력단과의 협력하에 경상북도만의 독특한 새마을운동 ODA 방식을 개도국을 대상으로 펼치기 시작함. 그후 2013년 1월 새마을세계화재단을 설립하여 이를 뒷받침함으로써 행복한 지구촌 만들기에 기여하고 있음. 따라서 2013년 10월 박근혜 대통령의 제2 새마을운동 을 선포하기 이전까지를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국제 확산기 로 규정함.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미래 중심기 : 2013년 10월 20 일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제 2 새마을운동 을 선포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바, 이 시점을 새마 을운동의 미래 를 위한 기준으로 삼기로 함. 21세기 미래를 대비한 경북새마을운동의 Grand Design을 구상함으로써 지방화시대의 사회적 이슈를 적극 반영한 경상북도에 최적화된 향후 비 전 및 목표를 수립, 제시하여 국내외 새마을운동의 중심이 되도록 함. 위에서 살펴본 경북새마을운동의 시기 구분에 대해 간략화하면 다음 표와 같음. < 표 11>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시기 구분 시대구분 단계별 특징 의미 동반 성장기 중흥기 미래 중심기 1970년대 발흥기 새마을운동의 발상지 보유, 경북새 마을운동 기반 구축 및 확산 1980년대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범국민적 생활운동 정착 1990 년 ~ 1996년 침체기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소강/ 정체 상태 1997 년 ~ 2006년 경북새마을운동 부흥기 2007 년 ~ 2013년 경북새마을운동 국제확산기 2013년 10월 20일 박근혜 대통령의 제2 새마을운동 선포 이후~ 경북새마을운동 글로벌 중심기/ 지구촌 핵심기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의지 표명 경북만의 차별적 새마을운동 ODA 방 식 창안 및 시행 국내외 새마을운동의 모범, 중심 14

제2장 동반 성장기 1. 시대적 배경 3. 2. 새마을운동 발흥기 새마을운동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4. 새마을운동 침체기 5. 평가 Kyungwoon University Saemaul Academy

제2장 동반 성장기 제2장 동반 성장기 1. 시대적 배경 경상북도는 자연 환경적 조건으로 인해 예로부터 소규모 자영농을 중심으로 하는 농업경제체제를 구축하였던바, 지속적인 농토 확장의 필요성이 항시 존 재하였기에 개간 및 수로 확보 등이 생계유지와 영농의 필수적인 조건으로 대두됨.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 공동 작업에 의한 협업과 성과 공유 를 위한 자발적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공동체의 자발 적 참여 촉발은 자연스럽게 새마을운동의 근간인 협동정신으로 이어지게 됨. 또한 목전에 닥친 국난을 협동 단결로 극복하고 돌파하는 경상북도의 고유한 정신문화는 근대화과정에서 더욱 빛을 발하여 마침내 새마을운동으로 전이되 기에 이름. 새마을운동이 시작되기 이전인 1960년대에 이미 마을단위의 자력개발이 시 행되었던바, 이 사업은 시범농촌사업, 농촌진흥청의 지역개발사업, 면사무소 직원이나 마을 이장 중심의 마을가꾸기사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음. 이 와 같은 1960 년대의 농업정책과 농업관련기관 및 정부의 변화, 산업의 발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마침내 1970 년 새마을운동이 시작됨. 1970년 새마을가꾸기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마을이 바로 청도군 의 신도마을이었다는 점과 1971년까지의 새마을가꾸기 사업 이후 경제동향 보고회의에 보고된 마을 중 영일군의 문성마을 (1971. 8. 5) 의 성과에 주목 할 필요가 있음. 문성마을은 전국의 모든 시장과 군수들이 뒷산 조림을 비롯 한 마을 안의 환경개선, 지도자의 존재, 군 면 마을의 협조체계를 직접 시찰, 확인한 바 있으며, 1970년에 일제 지급된 시멘트를 마을가꾸기 사업에 효과 적으로 활용한 점과 자원한 지도자가 마을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지님. 17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또한 새마을문고운동은 엄대섭이 1960 년 경주에 탑리문고 를 개설한 것이 시초가 되어 전국으로 확산됨. 해방 이후 끊이지 않던 절대빈곤의 국난 극복에 새마을운동이 기여할 수 있 도록 이 두 마을이 기틀을 마련한바, 새마을운동 태동기의 모범부락인 청도 군 신도리와 실험사업기의 성공사례지인 영일군 기계면 문성동이라는 유의 미한 두 지역 등의 역사적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경상북도야말로 새마을운 동의 본향으로 불리는 데 이견이 없을 것으로 사료됨. 한국 근대화에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 새마을운동의 태동기부터 1990년대 침 체기까지의 흐름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맥락에서 이루어져 온 까닭에 본 연 구에서는 이 시기를 통틀어 동반 성장기 로 명명하고, 새마을운동이 발생 및 확산된 1970년대를 새마을운동의 발흥기, 80 년대를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전반적 정체 시기였던 1990년부터 1996 년까지를 침체기 로 규정한 후 경상 북도의 새마을운동 활동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2. 새마을운동 발흥기 새마을운동은 1960년대 조국근대화의 국가적 시대적 요구를 수렴하고 국민적 동참을 이끌어냄으로써 오늘날 우리나라가 이룩한 놀라운 경제성장과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됨. 조국근대화의 의지는 1960 년대 박정희 정권의 등장과 함께 경제개발5개년 계획 이 추진되면서 가시화. 제3공화국에서 강조하였던 경제발전과 국가재건 의 의지는 1970년대 조국근대화의 시대적 요구를 수렴하는 방향으로 전개 1970년에 출범한 새마을운동은 정부 수립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된 각종 농 촌지역개발과 농촌부흥운동을 통합한 시대적 국민적 실천운동이었으며, 출범 이전 시기 약 10 년의 태동기를 거친 것으로 판단됨. 이와 같은 국가 재건, 경제 개발, 민족 자주의 역사를 이끌어낸 새마을운동이 경 상북도에서 태동하고 발흥하였다는 사실은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이 1960~70 18

제2장 동반 성장기 년대 조국근대화의 시대정신을 수렴하고 앞장서 실천하였다는 것을 의미함. 먼저 새마을운동 출범 이후의 시대별 경상북도 추진체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함.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추진체계는 정부주도에 의한 관민협력의 특성을 지 님. 먼저 새마을운동의 출범과 더불어 내무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 정부의 행정기구 개편 시행. 그 후 중앙행정부서에 새마을 명칭을 가지는 부서가 등장, 각 시 도와 시 군 구에도 새마을운동을 전담하는 과 가 신설되면 서 1공무원 1 마을 전담지도제 가 시행되는 등 새마을운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행정체계 구비 이에 따라 경상북도에서도 새마을운동을 담당하는 행정조직 구성. 내무국 산 하에 1973년 2 월 새마을지도과를 설치하고, 1978년 3월에 농촌주택과를 설 치함으로써 1970 년대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관련 업무 전담함. 당시 새마을운동은 정부주도에 의해서 전개, 경상북도 차원의 민간조직은 구 성되지 못한 상태였으므로 새마을운동 담당 행정부서의 지원에 의해 각종 사 업 추진 < 그림 21>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행정기구 문교부 농수산부 내무부 상공부 보사부 농협 시도 새마을과 장학실 농업개발국 지방행정국 중소기업국 동력개발국 사회국 새마을 사업부 새마을담당관 시 군구 농가공산품 새마을교육 담당관 새마을 소득과 새마을기획과 개발과 새마을지도과 새마을과 농어촌전화과 지역 복지과 새마을주택과 1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1972 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발족, 경상북도에는 도지사를 위원장으로 하 는 경상북도 새마을운영협의회 조직, 각 시군에서는 시장 군수를 위원장으로 각 시군새마을운영협의회, 각 읍 면 단위에는 새마을추진위원회, 각 리 동에는 리 동개발위원회 조직 리 동개발위원회와 마을회의는 마을의 자율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마을 의 집합적 의사결정과 공동체적 참여 견인 < 표 21> 1970년대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의 조직체계 구 분 중 앙 시도 시군 읍면 리동 조 직 체 계 조 직 명 칭 구 성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시도 새마을운영협의회 시군 새마을운영협의회 읍면 새마을추진위원회 리동 개발위원회 새마을영농회 / 새마을부녀회 / 새마을청소년회 위원장: 내무부장관 위원: 각부 차관(22 인) 실무협의회 : 매월 운용(32 인) 위원장: 시장, 도지사 위원: 유관기관 관계자(30 인 내외) 위원장: 시장, 군수 위원: 유관기관 관계자(15 인 내외) 위원장: 읍면장 위원: 유관기관 관계자(15 인 내외) 위원장: 이장, 새마을지도자 위원: 주민대표 (30 인 내외) 1970년 새마을가꾸기사업의 시행에 따라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에 는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 의 3대 역점사업 중심 전개 이와 같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전개양상에 맞추어 경상북도의 새마을운 동도 농업기반시설, 소득증대, 환경개선, 정신문화개선 등에 역점을 두어 새 마을사업 추진 이와 같은 새마을운동 출범 이후의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을 활동 성과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20

제2장 동반 성장기 ⑴ 농업기반시설사업 농업기반시설사업 : 보설치 도수로 개설 집수암거 양수장 소류지 관정시설 농로 농경지개답 등 경상북도의 경우 천수답이 대부분이어서 농업용수 확보사업과 소규모 농지 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농로개설 및 확장, 농지 정리 등 활발 1 보 설치 새마을운동에서 보 설치는 농업생산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경 상북도에서도 광범위한 지역에서 보 설치 진행 시군명 구분 < 표 22> 1970 년대 경상북도 보 설치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참여 총계 3,393 2,144,306 796,486 1,356,252 483,441 1971년부터 1983년까지의 경상북도 내 보 설치에 대한 실적을 보면 2 도수로 총 3,393 건의 보설치 관련 건수 확인, 그 중 특히 영천시(421 건), 청 도군(378 건), 의성군(351 건), 군위군(244 건) 의 실적이 두드러짐. 도수로 사업은 농업용수기반시설로서 경상북도에서 새마을사업의 하나 로 추진 70년대 경상북도 각 시군의 사업실적은 청도군과 상주시가 약 90km 내외의 도수로 공사 실시, 문경시, 군위군, 의성군, 월성군이 약 50~60km 내외의 도수로 공사를 시행. 그 밖의 경상북도 각 시군 역 시 20km 내외의 도수로 공사를 실시하여 농업생산성 향상 도모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 내 도수로 사업은 총 5,638건의 실 적. 특히 청도군(754 건) 의 실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그 외 문경시(439), 의성군(433), 상주시(400) 의 사업 실적도 두드러짐. 21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시군명 구분 < 표 23> 1970 년대 경상북도 도수로 사업 실적 (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건수 물량(m) 계 지원 주민부담 참여인원 총합계 5,638 797,698 5,114,919 1,685,687 3,425,962 1,203,674 3 집수암거 시군명 구분 < 표 24> 1970 년대 경상북도 집수암거 실적(1971~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3,317 316,661 96,377 220,284 1970년대 새마을사업에서는 간이용수개발사업을 위해 주로 집수암거 설치가 추진되었던바, 다음은 1970년대 경상북도에서 추진한 집수암거 실적임. 1971년부터 1983년까지 시행된 경상북도 내 집수암거 설치 사업은 총 4 양수장 3,317 건의 실적을 보이며, 상주시(1,782) 가 가장 현저한 성과를 보임. 양수장의 설치는 새마을사업 중 농업용수확보를 위한 것으로, 경상북도 각 시군에서 주요하게 추진된 사업 중 하나 군위군, 의성군, 칠곡군, 영일군이 양수장 설치 활발히 추진. 울진군과 영일군의 경우, 정부지원 없이 주민부담으로 양수장 설치를 추진하는 등 당시 농업생산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대한 농민들의 자조적 의지 보임. 특히, 경주, 안동, 영주, 상주, 문경, 경산, 의성, 청 송, 청도, 예천, 월성, 선산 등은 우수 새마을 특별지원사업으로 양수장 설치 추진 22

제2장 동반 성장기 구분 시군명 < 표 25> 1970 년대 경상북도 양수장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 개소)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참여인원 총합계 121 587,212 357,071 227,535 28,146 1971 년부터 1983 년까지 경상북도 내 양수장 사업은 총 121 개소 설치 실적, 5 소류지 그 가운데 의성군 (18), 영일군 (15), 군위군 (13) 이 다소 많은 성과 보임. 소류지 사업은 경상북도 각지에서 실시, 특히 활발하였던 대표적인 시 시군명 군을 예를 들면 의성군은 사업비 176,000,000 원을 들여 300여 개의 소류지 조성, 청도군과 금릉군은 각각 150 여 개의 소류지 조성. 특히 청도군, 금릉군, 경산시, 영덕군은 주민부담액이 정부지원액의 2배를 상 회하는데, 이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의지 반영으로 판단 < 표 26> 1970 년대 경상북도 소류지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개소) 사업비( 단위 : 천원)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398 1,029,208 412,390 625,223 6 관정시설 경상북도 각 시군의 관정시설 설치현황을 보면 성주군(377), (246), 영주시(104) 가 관정시설 설치 활발히 추진 예천군 시군명 < 표 27> 1970 년대 경상북도 관정시설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개소) 사업비( 단위 : 천원)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179 83,235 23,422 59,813 7 농로 농어촌 경제발전에 있어서 농로 개설은 중요한 필수조건으로서, 경상북 도에서도 이러한 농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농로개설, 확장 및 보수사 2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업 활발히 추진 상주시와 월성군은 500~600km 의 농로정비, 영주 문경 예천 금릉 영풍 선산 등은 다음 표는 300km내외의 농로 정비 70년대 경상북도 각 시군에서 추진한 농로정비 사업을 나타 낸 것으로 여기에는 농로의 개설을 비롯, 확장, 보수, 포장이 모두 포함 된 수치임. < 표 28> 1970 년대 경상북도 농로정비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사업실적 (m)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5,860,579 10,572,896 2,187,755 8,254,694 1971년부터 1983년까지의 경상북도 내 농로 정비는 총 5,860,579m 를 정비, 상주시(628,220) 와 월성군(527,260), 문경시(475,402) 등이 특 히 우수한 성과 8 농경지 개답 새마을 사업으로 추진된 농경지 개답 사업은 농지면적의 확보를 통하여 곡물생산량을 증대, 식량의 자급도 제고 효과 1970년대 경상북도에서 추진한 농경지 개답 사업실적은 아래 표1)와 같음. < 표 29> 1970 년대 경상북도 농경지개답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건수 물량( 평)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09 184,271.4 43,198 20,038 23,530 1) 표에서 나타난 물량의 수치는 평, ha 로 나타냄.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단위가 명시적으로 표시되 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 비고란에 추정되는 단위를 기재함. 24

제2장 동반 성장기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 내 농경지 개답 실적은 총 109 건, 184,271 평, 이 가운데 영덕군(2 건, 93,000 평) 과 고령군(73 건, 51,015 평) 이 가장 우수한 성과 ⑵ 소득증대사업 소득증대사업: 농촌의 빈곤탈피는 물론 도시와의 경제적 격차 해소를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축사개량 공동구판장 운영 공동창고 설치 및 운영 공동작업장 설치 공 동퇴비장 설치 한우입식 특용작물재배 새마을공장 운영 등이 소득증대사 업의 일환으로 추진 1 축사개량 당시 농가의 축사는 비바람이나 추위 및 더위로부터 가축을 제대로 보 호할 수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개축 불가피 경상북도에서는 현대적인 축사를 설치하여 가축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 로 사육할 수 있는 사업 실시, 1970 년대 실적은 다음과 같음. 구분 시군명 < 표 210> 1970 년대 경상북도 축사개량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건수( 동) 실적( 평)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6,030 76,336 941,503 52,452 889,051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 내 축사개량사업은 총 16,030건으로 집계되었으며, 금릉군 2) (4,038 건, 20,585 평) 과 상주시 (2,089 건, 14,523 평) 2 공동구판장 1970년대 초반부터 농가소득이 크게 상향되기 시작하자 농가소득생활 의 합리화 여지와 그 필요성이 점차 커지게 되었으며, 1975년부터는 새마을부녀회의 4대 기본사업의 하나로 채택 2) 금릉군 : 1949. 8. 14. 김천군이 금룽군으로 개칭. 1995. 1. 1. 김천시와 금릉군이 김천시로 통합 개편됨.( 한국어 위키백과 참조.) 25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1970년대 경상북도의 공동구판장 사업은 다음과 같이 실시 시군명 구분 < 표 211>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구판장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240 342,403 133,772 209,996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 내 공동구판장 실적은 총 240 건, 예 천군(81 건) 이 월등히 많은 성과를 보여줌과 동시에 월성군(25 건), 영 일군 청도군 또한 각 3 공동 창고 21건으로 두각 새마을가꾸기사업에서의 마을 공동창고 설치는 매우 중요한 사업 중 하 시군명 나로서 경상북도 각 시군의 공동창고 사업은 매우 뛰어난 주민 참여율 을 보여줌. 사실이 이를 입증 구분 대부분 시군에서의 주민부담액이 정부 지원액보다 높다는 < 표 212>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창고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211 1,307,767 332,761 975,019 1971년부터 1983년까지의 경상북도 내 공동창고 실적은 총 1,211 건, 그 중 금릉군이 400 건으로 가장 많은 성과, 성주군이 97 건, 청송군이 83건 등의 성과 4 공동작업장 당시 농촌의 공동작업장 사업은 소농구조 하에서 최대한의 능률성을 보 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사업 경상북도 각시군의 공동작업장 추진실적을 보면 영천시 장을 비롯, 영덕군 20 개소, 월성군19개소의 작업장을 기록 34개소의 작업 26

제2장 동반 성장기 < 표 213>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작업장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건수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54 241,385 97,968 138,381 5 공동퇴비장 새마을가꾸기사업의 일환으로 공동퇴비장 설치, 주민들에게 퇴비 증산 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케 하고 퇴비장을 공동 관리함으로써 노동력 절 감과 더불어 실질적인 퇴비 증산 이룸. < 표 214>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퇴비장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사업실적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비고 총합계 203 3,235 27,435 7,099 20,336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 내 공동퇴비장 설치 사업은 총 203 건, 영천시가 60건으로 가장 많은 성과 6 한우 입식 농업이 주 소득원이었던 당시 농가에 한우 입식 사업은 새로운 소득원으 로 각광 70년대 경상북도 각 시군에서 추진한 한우 입식 사업실적은 고령군 약 406 여 두를 비롯, 경상북도 각 시군이 약100~300두의 한우입식 시행 < 표 215> 1970 년대 경상북도 한우입식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사업실적 ( 두)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4,704 5,521,485 4,394,260 1,136,417 27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7 특용작물 재배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특용작물 재배에 의한 소득증대사업도 시행되었 던바, 포항에서는 피마자 재배 및 해바라기 재배사업, 영천과 금릉에서 는 양묘사업 추진, 영풍에서는 인삼재배 및 경제작물사업 추진 시군명 구분 포항시 사업명 건수 사업량 사업비 물량( 평) 계 지원 주민부담 피마자재배 30 9,000 900 900 해바라기재배 50 15,000 1,500 1,500 영천군 마을양묘 3,500 2,850 1,300 1,550 금릉군 영풍군 8 새마을공장 < 표 216> 1970 년대 경상북도 시군 특용작물재배 실적(1971~1983 년) 양묘 1 2,500 1,440 1,000 440 양잠 2 113 3,236 2,000 1,236 인삼 1 500 1,876 1,500 376 경제작물사업 3 1,800 5,272 4,000 1,272 새마을공장사업은 농촌의 유휴노동력 흡수를 통해 마련한 노동력을 바 탕으로 농외소득을 증가시킴으로써 잘사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시작된 사업. 1970 년대 경상북도의 경우 경산시(216), 고령군(45), 칠곡군 (59)에서 새마을공장사업 활발 < 표 217> 197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공장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건수 물량 총합계 425 1,330,423.1 ⑶ 환경개선사업 환경개선사업: 새마을운동의 가장 핵심적인 사업으로 농촌주택개량, 위생환경 개선, 안길정비, 교량설치 등 매우 다양하게 추진, 경상북도의 경우 소하천 28

제2장 동반 성장기 정비 마을안길 확장 하수구 정비 마을회관 건립 변소 및 주택 개량 공동빨래 터 취락구조개선 등에 노력 1 소하천 정비 소하천 정비는 하천범람과 같은 재해 예방 및 생활환경 개선에 중요한 사업 중 하나 경상북도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소하천 정비작업 추진, 상주시의 경 우 총사업비 약 5억 4천만 원을 투입 130km 의 소하천 정비, 의성군은 약 3억 5천만 원을 투입 120km의 소하천 정비 시군명 < 표 218> 1970 년대 경상북도 소하천정비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m)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069,938 4,925,151 1,814,852 3,121,782 2 마을 안길 확장 농촌의 넓게 확장된 길은 농기계 작동의 편리성과 더불어 노동시간 절감 통한 노동 능률 향상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운반비용 절감 및 주민 의식구조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까닭 에 농촌의 마을안길 확장사업은 교량설치와 더불어 새마을가꾸기사업의 주요역점사업이 됨. 경상북도에서도 전 지역에서 총 1,658,742 미터의 안길확장 추진, 대표적으 로 경산시, 군위군, 고령군, 영일군, 금릉군은 약 200km 내외의 마을안길 정비 성과 올림. < 표 219> 1970 년대 경상북도 마을안길 실적(1971 년~1983 년) 시군명 구분 사업실적 (m)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658,742 4,125,498 1,327,698 2,788,296 비고 2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3 하수구 정비 하수구 시설은 위생적 생활환경 조성에 필수적인 요소, 당시 농촌 새마 을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함. 1970 년대 경상북도 각시군의 하수구 정비 사업( 유지, 보수, 복개 등 포 함) 을 보면 상주(180,107m), 영천(146,840m), 의성(142,992m), 문경 (123,198m) 에서 하수구 정비 사업이 특히 활발하였음. 시군명 < 표 220> 1970 년대 경상북도 하수구 정비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m)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735,762 8,703,128 3,333,952 5,292,439 4 마을회관 건립 마을회관의 건립은 주민들이 자신들의 관심사를 스스로 토론하고 결정함 과 동시에 새마을사업에 대해 계획하고 실천에 대해 의논하는 물리적 토 대를 마련해 줌. 경상북도에서 마을회관의 건립 및 보수는 거의 전 지역에서 이루어졌으 며, 전반적으로 정부지원액보다 주민부담액이 높은 것이 특징 시군명 < 표 221> 1970 년대 경상북도 마을회관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건수)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2,226 5,798,301 1,664,870 4,093,773 1971 년부터 1983 년까지 경상북도 내 마을회관 사업은 총 2,226 건, 그 가 운데 영천시 (192 건), 월성군 (176 건), 문경시 (147 건), 금릉군 (145 건) 의 실 적 우수 5 변소 개량 변소 개량은 전근대적이고 비위생적인 주거환경 개량에 꼭 필요한 사업 30

제2장 동반 성장기 으로서 경상북도의 새마을 사업에서도 폭넓게 추진 1971 년부터 1983 년까지 총 15,452 건의 변소 개량 사업의 실적을 보여주 시군명 며, 특히 월성군 (2,258) 과 청송군 (2,066), 금릉군 (1,245), 경산시 (1,243) 의 성과 우수 < 표 222> 1970 년대 경상북도 변소 개량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건수)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5,452 3,214,825 1,021,776 2,193,489 6 공동빨래터 조성 공동빨래터 조성은 복지환경조성의 일환으로 행하여진 새마을사업 중 하 나로서 당시 생활상으로 볼 때 좀 더 빨래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 경상북도에서도 공동빨래터 조성사업이 활발 추진, 1970년대 경상북도 각 시군에서 추진한 공동빨래터 조성사업 실적은 다음과 같음. 시군명 < 표 223> 1970 년대 경상북도 공동빨래터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개소)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51,740 293,842 65,788 231,754 1971년부터 1983년까지 경상북도의 공동빨래터 조성 사업은 총 51,740 건, 특히 금릉군(46,389) 의 성과가 가장 두드러짐. 7 부속사 정비 농가의 다용도 부속사는 농사생활에 필요한 다용도 물품창고의 역할을 하 면서 수확한 농작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생산물 창고로서 역할. 이러한 부속사 정비사업은 농가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해서 새마을가꾸기사 업의 한 부분으로 추진, 영덕군이 약 5,000건의 부속사 정비 실적을 보인 31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데 이어, 안동, 문경, 월성 등지에도 1,000~2,000 건의 사업실적 보여줌. 시군명 < 표 224> 1970 년대 경상북도 부속사 정비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사업실적 ( 동)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7,101 1,101,838 136,578 965,127 8 주택 개량 1960년대 이후 정부의 농촌근대화 정책과 경제개발계획에도 불구하고 농 어촌 지역의 주거생활환경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형태를 띰. 이에 1970년 대 초에 착수한 새마을사업은 지붕개량으로부터 시작하여 전체 주택개량 사업으로 확대 시작 지붕개량사업: 지붕개량사업은 본격적인 농촌주택 개량사업에 앞서 새마 을운동의 점화사업의 일환으로 전개된 사업. 농어촌의 초가지붕을 기와 나 슬레이트 또는 함석 등으로 바꿈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거둔 사업 지붕 개량에 사용된 물량 수에 의하면, 안동시 (32,783) 와 영덕군 (32,165) 시군명 이 사업이 가장 활발하게 추진 < 표 225> 1970 년대 경상북도 지붕개량 사업 실적(1971 년~1983 년) 구분 물량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148,443 7,217,952 2,896,502 4,310,840 농촌주택개량사업 : 지붕개량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이어 1976년경부터 주택개량에 역점을 두고 농촌주택 보급. 제2단계 새마을운동 선도사업으 로서의 농어촌주택개량사업은 농어촌주민의 복지수준향상을 도모하는 한 편 1980년대의 이상적인 근대화 농촌 실현을 위해 실시 농촌주택개량의 물량 수를 보면, 의성군 (5,918) 과 청도군 (4,673) 의 실적이 월등 32

제2장 동반 성장기 9 취락구조 개선 한국 자연부락의 특성상 무계획적으로 부락이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취락 내의 도로나 배수시설 등에 대한 구조 개선이 필요. 이에 지붕개량사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 단계에 있던 1976년경 장기적인 마을취락배치계획 수립 1970 년대 경상북도의 경우, 많은 곳은 30여 개의 마을의 구조 개선이 이루어졌고, 보통은 10~20개의 마을의 구조 개선 사업 건수로 볼 때, 경산시 (34) 와 금릉군 (33)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군명 며, 사업비의 주민부담 부분에 있어서는 경주시 (1,514,018/ 평균382,204) 가 가장 많음. 구분 < 표 226> 1970 년대 경상북도 취락구조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 사업비 건수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326 21,471,100 11,533,688 9,937,312 10 교량 가설 1970년대 새마을사업은 도로 정비 사업에 이어 교량을 가설하는 단계까 지 발전하게 됨으로써 생활의 편리함은 물론 시간거리와 운행의 편의성 을 증대시켜 생산성 향상에 일조 1970년대 경상북도 각 시군에 추진한 교량가설 및 보수의 사업실적을 보 면, 총길이 2km 의 교량사업실적이 가장 많고, 5km 내외의 사업실적도 상 당수 있음. 시군명 구분 < 표 227> 1970 년대 경상북도 교량 실적(1971 년~1983 년) 사업실적(m)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96,772 7,553,260 3,036,791 4,509,771 경주시(15,162) 와 선산군(10,759), 안동시(10,503), 상주시(8,655) 의 3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⑷ 정신문화개선사업 사업실적이 가장 눈에 두드러지게 나타남. 정신문화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새마을문고사업이 시행되었던 바, 새마을문고 사업을 통해 농촌의 열악한 교육환경 개선, 지역주민의 교육 및 학습에 관한 관심과 의지를 수렴하고자 노력 1 새마을문고 새마을문고 사업은 농촌의 열악한 도서보급실태 개선 목적으로 추진 독서 및 도서대여 공간을 비롯하여 지역의 문화공간으로서도 기능하게 한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책을 읽는 건전 한 문화기풍 조성, 학습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건전한 사고와 교양을 배양하는 효과 1970 년대 경상북도에서도 새마을문고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었으며, 다음 표와 같음. 가장 성과가 두드러진 곳은 의성군(3,149) 을 비롯하여 경산시(2,718), 시군명 금릉군(2,675), 상주시(2,431), 영일군(2,407) 등 구분 < 표 228> 1970 년대 경상북도 문고 실적(1971 년~1983 년) 건수 물량 사업비 계 지원 주민부담 총합계 26,280 1,794,775 51,495 22,620 28,875 3. 새마을운동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새마을운동이 국민운동으로 정착된 시기인 1980년대는 제5 공화국 출범과 더불어 새마을운동이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전환, 새마을운동을 담당하였 던 행정기구가 축소 및 폐지되는 과정에서 새마을운동 관련 업무 새마을운 34

제2장 동반 성장기 동중앙본부로 이관, 민간주도체계로 전환 1981 년 내무부 지방행정국 새마을기획과, 새마을지도과, 새마을담당관 체제 에서 1984 년 내무부 새마을기획과, 새마을지도과 등 2 개과 체제로 전환. 1988년 제6 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새마을 명칭을 사용하는 행정기구 폐지, 담당 업무는 새마을운동중앙본부로 이관 1980년대 새마을운동중앙본부 산하에는 16 개 시 도지부, 269개 시 군 구 출장 소 지회 그리고 2 개 연수원 설치,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새마을부녀회중앙 연합회 직장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새마을문고중앙회 새마을금고연합회 등 6개 회원단체 가입 이와 같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의 변동에 따라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추진 체계도 변화. 먼저 행정조직적인 측면에서 1970년대 내무국의 새마을지도과 와 농촌주택과 중심에서 1983 년부터 내무국의 새마을지도과 중심으로 재편. 새마을운동 단체도 민간조직으로 그 성격이 전환됨에 따라 새마을운동 경상 북도지부 아래 다음은 1983년에 이르러 일선 시군새마을지회 설립 1980 년대 새마을운동의 전체 추진 체계를 도표화한 것임. < 그림 22> 1980년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 연수원(2) 성남연수원 장성연수원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중앙업무부서 : 3부 7과 회원단체부서 : 4국 9과 시 도 지부(16) 시 군 구 출장소 지회(269) 회원단체(6)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새마을부녀회중앙연합회 직장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새마을문고중앙회 새마을금고연합회 35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1980 년대 들어 새마을운동이 민간주도체제로 전환되면서 건전한 사회풍토 조성, 경제발전, 환경정비 등을 역점과제로 선정하여 다양한 사업을 펼쳤으 며, 86아시안게임 및 88 올림픽을 계기로 친절, 청결, 질서의 3대 운동 전개 이 당시의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주요 사업 내용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과도기적 단계를 맞이함. 즉 1970년대의 핵심 사업 이었던 새마을가꾸기사업 을 중점적으로 시행하면서 86아시아경기와 88올림 픽을 대비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공익성을 증대하고 국 민적 인식을 제고하는 데 노력함으로써 새마을운동이 범국민적 정신운동이 자 생활운동으로 정착되는 데 기여 역점 사업: 새마을가꾸기사업, 새마을운동 활력화사업, 올림픽새마을운동 등 국민정신교육사업 : 지속적인 새마을교육 실시 생활의식교육 실시 부녀새마을운동의 활성화: 새마을주부대학 운영 새마을경로잔치 소비절약운 동 1부녀회 1특색사업 등 ⑴ 새마을가꾸기사업 ( 농어촌새마을운동 ) 1980년대에 들어서서도 새마을가꾸기사업은 여전히 중요한 사업이었으므로 1970 년대 새마을운동의 성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소하천 정비, 마을회관 건립 보수, 보설치, 복지환경조성, 종자개량 등을 1970년대의 연결선상에서 지속적으로 실시 경상북도 시군별 차이는 보이지만 새마을가꾸기 사업은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가지 고 추진, 대체적으로 80년대 초반에 다수 추진되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감소 추세 36

제2장 동반 성장기 < 표 229> 1980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가꾸기사업 실적 구분 합계 수리사업 도로사업 위생사업 복지사업 건수 사업비 건수 사업비 건수 사업비 건수 사업비 건수 사업비 1984 12,402 4,815 1,780 1,318 3,865 2,111 1,536 764 5,221 622 1985 9,126 6,714 1,313 1,301 3,790 4,152 911 879 3,112 382 1986 7,532 6,235 1,219 977 3,851 4,277 792 651 1,670 33019 1987 6,595 6,930 844 936 4,000 4,938 760 838 991 218 1988 5,765 6,829 731 844 4,117 5,140 560 685 357 160 총합계 41,420 31,523 5,887 5,376 19,623 20,618 4,559 3,817 11,351 34,401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1984년 12,402 건이던 경상북도의 새마을가꾸기사업 실적이 후반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 ⑵ 정신교육운동 1980년대는 정신개혁운동에 역점을 두고 새마을운동을 실시하였다는 점이 특징 경상북도 차원에서도 정신교육운동이 추진되었는데, 새마을교육 생활의식교 육 각종 캠페인 등 실시 청송군의 경우, 새마을국민정신강화 양서모으기운동 새마을순회 영농기술 교 육 새마을 주부대학 운영 등이 추진되었으며, 봉화군은 영농기술 및 산송이 증식 교육 새마을지도자 성공사례발표회 개최 지역순회 새마을교육 등 추진 < 표 230> 198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교육 실적 대상 `84 `85 `86 `87 `88 새마을지도자 3,055 2,878 2,183 1,948 1,241 사회지도자 1,979 1,404 893 725 411 서비스업종사자 3,325 3,591 2,457 3,186 1,725 청소년지도층 863 944 1,201 2,189 1,989 새마을활성화특별교육 ( 간부 핵심지도자 ) 1,317 1,371 37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⑶ 부녀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의 부녀회 활동 활성화로 여권 신장이 이루어짐. 1970년대부터 새마을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던 새마을부녀회 활동은 욱 성숙하여 새마을운동의 핵심주체가 됨. 1980년대 더 < 표 231> 1980 년~1989 년 경상북도 부녀새마을운동 사업실적 시군명 청송군 부녀회 봉화군 부녀회 사업명[ 사업실적 ] 1985년 1. 새마을주부대학 개설운영 [54 명/540 천원] 2. 부녀지도자 연수대회 [413 명] 1984년 1. 알뜰시장 개장[ 판매총액 600 천원/ 순이익금 230 천원] 2. 시가지꽃길 조성[54 명 참여/ 화분 155 개, 꽃 800 송이/ 소요예산 400 천원] 3. 새마을경로잔치 실시[6,712 명/ 소요경비 1,260 만원] 4.소비절약운동전개 5. 전통작물 재배( 소득사업 )[64 명] 6. 식단교육 및 연시[122 명/ 소요예산 65 천원] 7.가족계획사업의 적극 추진 8.건전가정 육성운동의 전개 9.읍면 부녀회 순회 지도 1986년 1.1부녀회 1특색사업 추진 1 봉화읍 : 중고품 교환센터 [600 점], 한복교습소 운영[12 회] 2 물야면 : 조롱박공예품 제작 3 봉성변 : 복지회관예식장 활용, 결혼식 주선[2 건] 4 법전면 : 36 번 국도변 화단 조성[40 평] 5 춘양면 : 절미저축 [ 쌀18 가마] 2.군부녀회 소득사업 추진 1 군부녀회기금조성 및 협동 화합정신 고취 샴푸판매 [300 천 원] ⑷ 올림픽새마을운동 1988년 개최된 서울올림픽은 한국의 발전을 온 세계에 알린 성공적인 무대 였으며,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도 올림픽 새마을운동 을 전개함으로써 국가적 행사에 적극 참여 올림픽새마을운동은 전 세계인에게 발전된 대한민국과 성숙한 국민의식을 보 38

제2장 동반 성장기 여준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 캠페인, 가로 및 화단 조성 등 실시 경상북도에서도 환경정비를 비롯한 각종 ⑸ 환경정비사업 환경정비사업은 1970년대에서도 활발히 추진된 새마을운동의 대표적인 사업 으로서 1980년대에 들어와서 88서울올림픽 개최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실시 위생적인 생활환경조성, 자연보호운동, 국토공원화 사업, 새마을대청소, 오염 사업명 하천살리기 운동 등 추진 < 표 232> 1980년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국토공원화사업 실적 연도 합계 `85 (IBRD/IMF총 회대비) `86 (아시안게임 대비) `87 (`88올림픽 대비) `88 ( 내실추진 ) 노변꽃길 조성 18,491km 3,739 4,715 5,205 4,832 가로화단 조성 소공원 조성 시군화동산 조성 도화동산 조성 올림픽기념식수 올림픽기념동산 유실수 식재 항포구 공원화 공간 녹화사업 `80년대 기념마을숲 잔디포 조성 2,646개소 1,421 371 496 358 293개소 92 126 64 11 144개소 99 45 90개소 17 72 1 7,767천본 4,849 2,918 2,500평 2,500 1,440천본 720 321 399 21개소 4 11 6 71,886천본 15,044 13,453 40,910 2,479 691개소 500 191 167개소 35 67 65 하천, 호수 공원화 29개소 7 15 7 수목군락지 보호 전원마을 육성 가로변 식재 향토수목식재 묘포장 조성 기존사업장 보완 202개소 81 121 112마을 112 146천본 48 65 33 286개소 34 180 72 1,908개소 1,035 575 298 1,577개소 935 642 3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⑹ 국민화합운동 1980년대 새마을운동이 민간주도사업으로 전환되면서 국민화합을 위한 시민 단체 역할 필요. 이에 지역 간 교류사업과 각종 협동사업 등을 통하여 구성 원의 참여 활성화, 새마을운동을 홍보하는 여러 가지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새마을운동의 변화를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고자 노력 경상북도 차원에서 국민화합을 위해 이루어진 사업 중 특기할 만한 사업으로 는 구미시의 영호남교류사업, 청송군의 조기청소 공동방제 복지회관건립 등이 있으며, 기타 풀베기운동, 새마을일꾼 행진대회, 새마을운동 활력화 운동 대 회 등 실시 4. 새마을운동 침체기 1990년대 한국의 새마을운동은 1989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로의 명칭 변 경 이후 순수 민간주도체계로 전환. 1990 년 새마을지도자 윤리강령 제정, 1996 년 지부 지회의 법인화 및 새마을운동조직 관계자들의 정치적 중립 명 문화 등 조직적 노력 시도 1990년대 출범한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를 거치면서 새마을운동을 국민생 활운동의 한 영역으로 간주, 위상이 축소됨. 1994 년 문민정부는 행정조직 개편에서 내무부 사회진흥과 설치, 사회진흥에 관한 종합계획수립 및 지원총괄, 건전 국민생활운동 및 자연보호운동 지원을 담당, 새마을운동을 국민생활운동의 한 영역으로 편입 1998 년 국민의 정부 역시 정부조직 개편을 통하여 행정자치부를 신설, 자치 지원국 민간협력과에서 새마을운동 관련 업무 담당 중앙행정조직의 개편: 1990 년~1992 년 내무국 국민운동지원과 새마을계, 1993 년~1994 년 내무국 사회진흥과 사회진흥계, 1995 년~1996년 내무국 사 40

제2장 동반 성장기 회진흥과 새마을계, 1997 년~1999년 자치행정국 새마을과 새마을계 등 이와 같은 중앙행정조직의 개편과정에 따라 새마을운동 관련 업무를 담당하 였던 경상북도의 행정부서 또한 변화 일어남. 그러나 다른 시도와는 달리 경상북도는 1993년부터 1994년 사이 새마을운동 행정부서에서 새마을 명칭이 사라졌다가 1995 년 다시 새마을 명칭을 사용 하고, 1997 년 새마을과 를 부활함으로써 새마을운동에 대한 의지를 표출함. 즉 1990 년 이후 전국적으로 사라졌던 새마을과 가 1997 년에 다시 설치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새마을운동 추진에 대한 경상북도의 강력한 의지를 읽을 수 있음. 당시 새마을운동 추진에 대한 경상북도의 강력 의지 표출 전국적으로 사라졌던 새마을과 를 부활시킨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1997 년을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시기 구분의 기점으로 삼기로 함. 이상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담당 행정부서 명칭의 변천과정은 다음과 같음. < 표 233> 1990 년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담당 행정부서 연도 담당국 담당과 담당계 1990 년~1992 년 내무국 국민운동지원과 새마을계 1993 년~1994 년 내무국 사회진흥과 사회진흥계 1995 년~1996 년 내무국 사회진흥과 새마을계 한편, 새마을운동 단체 역시 1980년대 설립된 도지부와 시군지회의 법인화 가 추진되면서 지방조직의 자율성 확보에 많은 노력. 1990년대 경상북도 새 마을운동의 추진체계는 반 확립의 특징을 보여줌. 1980 년대 이후 나타난 민간주도체계의 자율 자립 기 41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 그림 23> 1990년대 새마을운동 추진체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1실 6팀 3처 연수원(2) 중앙연수원 남부연수원 시 도 지부(17) 시 군 구 출장소 지회(234) 회원단체(6)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새마을부녀회중앙연합회 직장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공장새마을운동추진본부 새마을문고중앙회 새마을금고연합회 1990 년대 새마을운동은 순수 민간주도체제로 전환하여 건전한 사회 풍토 조 성, 경제적 안정, 생활환경가꾸기 등에 초점을 두고 시행 1990 년대 새마을운동은 민간자율운동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의 가장 특징적인 사업인 지역개발사업이 지역가꾸기, 농어 촌가꾸기, 내고장활력화사업 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된 한편 각종 캠페인 활동 및 교육활동 강화에 매진 기타 자연보호 캠페인, 새마을대청소가로변 정비, 꽃길조성, 소공원 조성, 방 범봉사대 조직, 며느리봉사대 조직, 숨은자원모으기, 폐품재활용운동 등 실시 1990 년대 침체기 의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은 도시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 으로 낙후된 농어촌의 지역사회 활성화에 초점을 두어 지역가꾸기, 환경가꾸 기, 의식개혁 및 기초질서지키기, 나라사랑운동, 민간자율화기반조성, 인보협 동, 통일협력운동 등 중점 추진 ⑴ 지역가꾸기사업 지역가꾸기사업은 1970년대 새마을가꾸기 사업을 모태로 한 사업으로서 농 어촌가꾸기, 내고장활력화를 위한 각종사업 등이 여기에 속함. 42

제2장 동반 성장기 경상북도에서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사업으로 농지경작 및 휴경지 경작, 소 하천 점검, 농수산물 직거래, 영농봉사활동, 농촌일손돕기 등을 비롯하여, 관 정시설 교량가설 주택정비 진입로포장 소류지정비 등 실시 다음은 경상북도 각 시군 새마을사업의 부분적 예시임을 밝힘. 김천시 구미시 시군명 < 표 234>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지역가꾸기사업 실적 지회 부녀회 지회 사업명[ 사업실적 ] 농산물직거래 [5 개지역/7 회/ 판매액12,500 천원/1996 년] 영농봉사활동 [3 회/190 명/2 개소/ 수혜자150 명/1996 년] 도 농간 자매결연 사업인 전개[1996 년] 농수산물 직거래 운영 등[1 회/7,500 천원/4 명/1996 년] 자랑스런 마을 육성( 선산군 고아면 괴평1 리) 새마을회관, 공동창고, 구판 장설치, 진입로포장 3,072m, 광역권사업 3.5 km[11 회/1,353 명/223,000 천 원/1991 년] 농산물직거래 ( 선산군)[96 회/13,920 명/288,000 천원/1992 년] 부녀회 농번기학생 도시락 반찬제공 [2 회/1,066 명/6,000 천원/1993 년] ⑵ 환경가꾸기 사업 1970 년대, 80년대에 이어 90년대에도 환경개선사업은 지속 시행 하천살리기 새마을대청소 자원재활용 가로정비 꽃길가꾸기 불량벽보제거 환경보전 캠페인 등 주로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환경개선사업 시행 < 표 235>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환경가꾸기사업 실적 영천시 시군명 지회 사업명[ 사업실적 ] <1994 년> 오염하천 살리기 운동[3 회/ 850 명], 마을공동쓰레기매입처리장 [11 개소 / 120 명] 환경정비운동 : 새마을대청소 [3.695 명], 가로변꽃길가꾸기 [1.4 km], 불량벽보 제거[81 개/61 명], 꽃동산가로화단 조성 및 가꾸기[2 개소/5 명], 공동시설물정 비 및 청소[48 개소/6 회/113 명], 자연보호운동 [10 회/1,655 명], 관광지유적지 정화[2 개소/2 회/13 명] 국토대청결운동 [18,102 명] 폐품수집운동 [383 톤/3,402 명] 새마을봉사대운영 [11 읍면/52 명] 4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시군명 부녀회 지회 칠곡군 부녀회 사업명[ 사업실적 ] <1994 년> 새마을알뜰마당 [5 회 / 출품량20 종 / 판매량2,195 금액17,577 천원 / 봉사인원 154 명] 재활용품 수집[ 환가액 27,035 천원 / 헌종이 371,000 kg/ 종이팩 2,730 kg/ 고철296,000 kg / 공병49,000 kg/ 폐비닐104,500 kg/ 캔100 kg/ 참여인원 5,180 명] 환경안내소운영 [1 개소수/36 회/ 봉사인원 548 명] 새마을대청소 : 새마을대청소 [13 회/26,978 명], 불량벽보제거 [28 회/112 명], 가로화단, 꽃동산 가꾸기[1.4 km/2 개소/5 명], 자연보호운동 [9 회/1,060 명] <1995 년> 오염하천살리기 운동: 하천계곡 등 청소[4 회/318 명], 마을공동 쓰레기매립, 처 리장[8 개소/1,600 평], 계도교육 및 캠페인[3 회/157 명], 환경정비 운동: 새마을 대청소[2,265 명], 가로변 꽃길 가꾸기[18 km], 불량벽 보제거[1 회/33 명], 꽃동산 가로화단조성 및 가꾸기[8 개소/157 명], 공동시설 물 정비 및 청소[124 개소/8 회/314 명], 관광지 유적지 정화[8 개소/1 회/160 명], 자연보호 운동[2 회/628 명] 내고장 환경가꾸기 운동: 환경오염 제거 실천활동 [ 합계41 회/3,704 명], 새마 을청소[6 회/2,265 명], 맑은물 되찾기[8 회/434 명], 자연보호활동 [3 회/512 명], 환경봉사대 활동[24 회/493 명], 폐품수집 [138 톤/3,750 천원] 환경오염 예방 계도활동 : 캠페인 및 결의대회 개최[1 회/312 명], 홍보물 활용 [ 피켓2 개/ 어깨띠100 매/ 플래카드 9 매], 홍보활동 [ 신문2 회/ 기타8 회], 환경오염 감시활동, 방문계도 [8 건], 기타[4 건] <1995 년> 생활환경운동 : 재활용품 수집[ 종이류 : 205톤 6,150,000 원 / 공병 : 135,000 개 4,725,000 원 / 캔 : 75,690 개 2,270,700 원 / 고철 : 2,140,000 원 / 폐비닐 : 107,000장 2,675,000 원], 재활용품 경진대회 개최[8 회/170 톤], 새마을 대청 소[13 회/5,780 명], 불량벽보제거, 공중화장실 [10 회/67 명], 가로화단, 꽃동산 가꾸기[15 회/896 명/15 km], 자연보호 활동[13 회/675 명], 환경미화 봉사대 운 영[25 회/1,050 명] ⑶ 의식개혁 및 기초질서 지키기 운동 1990 년대에도 새마을교육을 통한 의식개혁운동이 실시, 독서문화운동을 비 롯한 건전한 소비생활에 대한 캠페인 등 시행 이 외에도 사치 및 과소비 추방운동 행락질서 계도 재활용품 수집 방범봉사대 운영 학교폭력추방활동 건전생활 실천 등 의식개혁과 기초질서를 위한 다양 한 새마을운동 시행 44

제2장 동반 성장기 < 표 236>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의식개혁 및 기초질서지키기 사업 실적 시군명 지회 구미시 부녀회 경산시 지회 사업명[ 사업실적 ] 1. 새마을교육 [710 명/1990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150 명/1990 년] 새마을교육 [392 명/1991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250 명/1991 년] 새마을교육 [336 명/1992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350 명/1992 년] 새마을교육 [218 명/1993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400 명/1993 년], 이동도 서관 운영[312 회/12,598 명/1993 년] 새마을교육 [272 명/1994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300 명/1994 년], 이동도 서관 운영[404 회/15,376 명/1994 년] 새마을교육 [300 명/1995 년], 숨은 자원 모으기( 고철, 폐지 등)[18,583 톤 /33,800 명/1995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300 명/1995 년], 이동도서관 운 영[420 회/11,798 명/1995 년] 새마을교육 [226 명/1996 년], 국민독서경진대회 [1 회/300 명/1996 년], 이동도 서관 운영[384 회/10,125 명/1996 년] 새마을 알뜰마당 운영( 선산군)[10 회/9,980 명/8,000 천원/ 판매기금 12,000 천원조성 /1990 년] 새마을교육 [327 명/1995 년], 새마을교육 [301 명/1996 년], 질서가두캠페인 [482 회/100 천명/370 마을/100,287 명/1996 년] ⑷ 국민의식 정립 1990 년대 초기 민주화 및 개방화 기류를 따라 국민들의 이기주의와 불법, 무질서, 과소비현상이 확산되면서 사회적 갈등 발생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강한 사회 건설을 위해 새마을운동은 국민의식을 개 혁, 애국심을 배양하는 등 국민의식 재정립에 주력 1990 년대 국민의식 정립을 위한 주요사업으로는 태극기 배부, 국기달기, 무 궁화심기 등과 같은 나라사랑운동 전개 ⑸ 인보협동운동 1990년대 추진된 인보협동사업은 정부차원에서 충족되지 못한 복지수요 부분 을 민간단체 차원에서 보완해줌으로써 사회질서 안정에 이바지하는 한편 당시 시대 상황에 필수 불가결했던 민간안전망 구축에 기여 경상북도에서 시행된 인보협동사업으로는 이웃사랑실천운동, 농촌일손돕기, 재해복구활동을 비롯하여 소년소녀가장 돕기, 무의탁 노인 돕기, 수재민 돕 45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기, 군경위문, 경로잔치 등이 있음. ⑹ 민간자율화 기반조성사업 추진 1980년대에 이어 1990년대에도 민간자율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 자율화 기반조성은 조직 관리를 통하여 주로 이루어졌으며, 조직 관리는 새마 을지도자 자녀 장학금 지급, 각종 연수대회 개최, 기금조성,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등 새마을 구성원의 사기 앙양 및 역량 배가 프로그램 전개 통해 달성 < 표 237> 1990 년대 경상북도 시군별 새마을운동 민간자율화 기반조성사업 실적 시군명 청송군 지회 지회 칠곡군 부녀회 사업명[ 사업실적 ] 조직관리: 순회간담회 [2 회/271 명/1991 년], 새마을 장학금 지급현황 [23명 /8,343 천원/1991 년], 새마을운동 추진역량의 강화[19 건/12,323 천원/1991 년] 조직관리 : 94 부녀새마을운동평가대회 [150 명/1994 년], 간담회 [1 회/35 명/1994 년] 지도자 사기앙양 장학금 지급[23 명/680 만원/1995 년] 새마을지도자하계수련대회 [500 명참석/ 사업비12,000 천원/1996 년], 새마을운 동 26 주년 기념 자전거타기 대회[1,000 명 참석/ 사업비7,000 천원/1996 년], 기금조성소득사업 [ 하천부지 2,000 평개간/ 기금조성 10,000 천원/1996 년], 지도자 사기앙양 : 장학금 지급[ 대내 40 명/1,200 만원][ 대외 3 명/30 만원/1996 년] 지도자자녀장학금 [1994 년(23 명/12,901,000), 1995 년(23 명/13,527,000)] 기타특색사업 : 자립기반 조성 사업[ 자원재활용품 매각금 기금조성 조성금액 (1,500 만원/1995 년), 젓갈판매사업 전개( 이익금1,400 천원/1995 년), 저공해 비 누보급(5,000 개/ 이익금 3,500 천원)/1995 년] 지도자자녀 장학금 수혜현황 [20 명/12,840 천원/1996 년] 5. 평가 ⑴ 새마을운동 발흥기 에 대한 평가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이론정립 및 실천과제개발 3) 에 의하면 새마을운동 발흥기에 속하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성과 및 한계점에 대해 전문가 조 사 및 국민의식조사 4) 를 통한 평가를 다음과 같이 밝힘. 3)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2008) 참조. 46

제2장 동반 성장기 1970 년 새마을운동은 당시 국민생활 및 국가발전의 차원에서 생활환경개 선, 소득증대, 농촌지역개발 에 가장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전 국민 적인 의식개혁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성과 중 하나임.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냄으로써 국민 들로부터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정부주도운동 이었던 관계로 사업의 획일화, 정부의존적 대중의식 확산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한계점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됨. 이와 같은 과 같음 5).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 내용을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 다음 특 징 성 과 한 계 성공요인 시사점 < 표 238>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6) 전문가조사 결과 생활환경개선 (25.8%) 에서 가장 큰 특징을 가짐 1 생활환경개선 2 소득증대 3 농촌지역개발 1 정부주도운동 2 사업의 획일화 3 정부의존적 대중의식 확산 1 국가최고지도자의 리더십 요인 2 정부의 강력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 요인 3 유기적 민관협력체제 요인 4 새마을지도자 및 부녀회원 등 추진주체 요인 5 선의의 경쟁원리 도입과 같은 효과적인 추진전략 요인 1 국가지도자의 관심 및 지원 필요성 2 정부시책과 연관된 사업 발굴 3 원활한 민관협력체제 구축 4 추진주체의 동기부여 및 후속 세대 발굴 5 효과적인 추진전략의 수립 및 실천 4) 전문가 조사의 경우는 공무원, 관련학계 전문가, 새마을운동 실무자, 유사 시민단체 관계자들에 대 한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기법에 의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국민의식조사의 경우는 전문가조 사결과에 기초하여 설문문항을 작성한 후 총 1,026 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음. 5)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2008:56) 참조. 1970 년대~1990 년대 중반까지의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새마을운동과 거의 동일한 맥락선상에 있으므로 이 시기의 새마을운동 에 대한 평가 부분은 2008년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에서 출간된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이론 정립 및 실천과제개발 의 내용을 제시함. 6)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2008:56) 참조. 47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⑵ 새마을운동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에 대한 평가 새마을운동이 국민정신운동으로 정착된 1980년대는 1970 년대의 양적 물질적 특성에서 질적정신적 특성으로 전환. 또한 민간주도운동으로 전환됨에 따라 운 동범위가 확대됨. 한편 1980년대 정치변동에 따른 새마을운동의 정치적 이용이라는 문제점 지 적, 향후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사회적 비판과 문제제기 초래. 그 결과 새마을운동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운동의 침체현상 을 초래 한 것으로 평가 이상 1980 년대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표 239> 1980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7) 특징 성과 한계 침체요인 시사점 전문가조사 결과 새마을정신운동 (22.3%) 에서 가장 큰 특징을 가짐 1 정신운동 을 통해 시민의식함양, 봉사활동 등 질적 변화 시도 2 민간주도 전환과 분야별 회원단체 활동을 통해 조직적 근간 구축 3 사회적 비판으로 인해 운동의 혁신, 자율성, 독립성 제고 노력 가시화 1 정치적 이용 2 새마을운동의 침체국면 전환의 과도기 1 정치권력에 의한 정치적 이용 2 관변단체 또는 관변운동 의 부정적 이미지 형성 3 국민적 관심 및 동참 저하, 정부와의 관계설정 한계로 인한 민관협력체제구축의 실패 4 재정 및 자원 부족에 따른 자율성과 독립성 확보 한계 1 정치적 중립과 운동의 자율성 확보 2 새마을운동의 공익성 강화와 사회적 기여 확대 ⑶ 새마을운동 침체기 에 대한 평가 1990 년대 새마을운동의 가장 큰 특징으로 전문가들이 새마을운동의 침체기 및 쇠퇴기 를 꼽을 만큼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함. 1993 년 문민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새마을운동은 일종의 시련기를 맞이함. 1993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친 새마을운동조직육성 폐지법안의 발의가 7)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2008:66) 참조. 48

제2장 동반 성장기 이루어지고, 모든 행정기관에서 새마을기가 하강되었을 만큼 정치적 외부 환 경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많이 받은 시기로 평가 또한 사회적 공익활동의 지속에도 불구하고 시민적 동참을 충분히 견인하지 못 하였다는 한계점과, 전국적 조직에도 불구하고 인적 물적 자원 부족으로 인한 사업 활성화에 실패하였다는 평가를 얻음. 한편 경상북도는 쇠퇴일로를 겪던 이 시기의 역경을 딛고 1995년 관공서의 행정부서에 새마을 이란 명칭을 다시 사용, 1997 년에는 새마을과 를 부활하 게 됨. 경북새마을운동은 1997년 이전까지를 새마을운동 침체기로 규정한바 있음. < 표 240> 1990년대 새마을운동의 평가8) 특징 성과 한계 침체요인 시사점 전문가조사 결과 새마을운동의 침체기 및 쇠퇴기 (23.5%) 를 꼽았음 1 봉사활동, 경제살리기운동 등 사회적 공익활동의 지속추진 2 조직적 독립성 및 자율성 확보의 기반 마련 1 사회적 비판 지속 2 시민참여를 위한 구조적 제도적 장치 부재 3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 1 정부 및 공공영역과의 원활한 관계 설정 부재 및 외부 환경 악화 2 시민 동참과 정부 관심 제고를 위한 유인 구조 및 홍보 방안 부족 3 자원 부족에 따른 운동 활성화의 미약 1 정부 및 사회적 관심 제고의 필요성 2 민간주도운동을 위한 내부역량 강화 3 운동의 유인구조 및 홍보 강화 이상에서 살펴본 1970년부터 1990 년대까지의 평가를 바탕으로 경북새마을운 동 동반 성장기 의 시기별 특징 및 평가 내용을 간략화하면 다음 표와 같음. 8) 경운대학교새마을아카데미 (2008:76) 참조. 4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 표 241> 경북새마을운동 동반 성장기의 특징 및 평가 구분 발흥기 국민정신운동 정착기 침체기 시기 1970 년대 1980 년대 1990 년 ~ 1996 년 이념 잘살기 잘살기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건설 기본정신 추진주체 추진조직 추진전략 중점과제 특징 국가최고지도자 공무원 새마을지도자 부녀지도자 및 부녀회원 행정조직 새마을단체 관민협력 선의의 경쟁원리 새마을교육 전면화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 근면 자조 협동 새마을지도자 새마을단체 회원 새마을단체 관민협력 경쟁원리 새마을교육 건전한 사회풍토조성 경제발전 환경정비 새마을운동의 발상지 보유 태동기의 모법부락, 실험사 범국민적 생활운동 정착 업기의 시범부락 새마을국민정신운동으로 승 경북새마을운동 기반 구축 및 확산 화 새마을지도자 새마을단체 회원 새마을단체 내적역량 강화 공동체의식 함양 공익사업 민관협력체제 모색 건전한 사회풍토조성 경제적 안정 생활환경 가꾸기 외부적 요인에 의한 새마을운 동의 정체 상태 50

제3장 중흥기 제3장 중흥기 1. 시대적 배경 3. 2. 경북새마을운동 부흥기 경북새마을운동 국제확산기 4. 평가 Kyungwoon University Saemaul Academy 51

제3장 중흥기 제3장 중흥기 1. 시대적 배경 ⑴ 이념 경상북도의 21 세기 새마을운동은 물질적 정신적 풍요를 구성원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공동체 건설 이라는 21 세기적 시대정신 을 수렴하고 공동체 구 성원 스스로의 참여와 연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시작 21 세기 시대환경을 고려할 때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의 경상북도 21 세기 새마을운동의 이념은 크게 세 가지 의미를 가짐. 첫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전개되고 있 는 지속성장 과 선진화 사회 진입 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성장주 의 내포 둘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 사회로 전환 된 21 세기적 시대환경 속에서 세대와 계층을 넘고, 민족과 인종의 구분을 넘어 지역과 국가를 초월한 인류공동체의 번영 이라는 시대적 요구 반영 셋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환경 보호 및 자원 보존의 문제인식 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공동체 구현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함으 로써 자연주의 내포 한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의 경상북도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이념은 당면한 국가적 과제와 관련하여 세 가지 의미를 지님. 첫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도덕성 및 윤리의식 상실, 배금주의 의 팽배 등 과거 고도 압축 성장 의 부정적 유산을 극복하고자 하는 국민 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국민의식개혁 내포 5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둘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개인적 지역적 사회적 이기주의로부터 초래된 가정 지역 사회 등 공동체 해체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국민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공동체주의 내포 셋째,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은 사회경제적 양극화 빈부격차 심화 지 역발전의 불균형 세대 갈등 다문화 사회화 등 다양한 차원에서 드러나고 있 는 사회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를 반영 함으로써 사회통합 내포 경상북도 21 세기 새마을운동의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건설 이라는 이념적 지향은 21세기 시대정신이 반영된 결과이며 나아가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정 체성 내재 ⑵ 시대정신 근대화 의 시대가 지나고 세계화 가 새로운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하고 있는 21 세기는 성장과 분배 가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의 삶에서 조 화와 상생 의 실천적 덕목이 요구되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 상북도의 21 세기 새마을운동은 조화와 상생 의 시대상을 구현하기 위해 봉 사, 협동, 화합 의 시대정신을 드높이고자 노력 조화와 상생 의 21 세기에는 국민의 일상 속에 생활화된 근면, 자조, 협동 의 정신 위에 봉사, 협동, 화합 의 새로운 실천적 덕목이 보다 더 강조될 필요 있음.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근면 자조협동 의 정신과 봉사 협동 화합 의 시대정신은 경상북도 21세기 새마을운동의 활성화에 있어서 상호보완관계를 이룬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과 분배,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풍요, 자연과 환경 등의 시대흐름에 따라 국민의식과 가치관이 변화된 21 세기 한국적 상황에서는 봉 사, 협동, 화합 의 정신이 중점적으로 강조될 필요 있음. 1 봉사 정신 봉사 정신은 자기성찰 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기희생과 헌신을 54

제3장 중흥기 통하여 타인을 배려하고 섬기는 실천적 덕목임. 타인에 대한 배려와 섬 김을 통해 스스로 위안을 찾고 자기만족과 기쁨을 누림으로써 공동체 속 에서 자기 존재감, 소속감, 주인의식을 되짚어 보게 하며, 공동체의 정신 적 풍요를 보다 풍부히 할 수 있는 실천적 덕목이 봉사 정신 이러한 점에서 공동체적 가치 정립이 요구되는 21 세기 속에서 봉사 의 정신은 개인 및 공동체 모두 자기 스스로를 성찰,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신적 원동력이 될 수 있음. 2 협동 정신 협동 정신은 공동체적 가치를 자각할 수 있는 정신이며, 개인과 개인이 서로 힘을 함께할 때 보다 더 큰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음을 일깨워주는 실천적 덕목임. 21 세기에 있어서의 협동 은 공동체의 가치를 구성원 스스로 인식함으로 써 공동체를 위하여 자발적 참여와 연대를 실천하도록 만드는 덕목으로 정의 3 화합 정신 화합 정신은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체의 조화를 추구 하는 정신으로서 이기주의, 양극화, 빈부격차, 문화적 이질감, 지역불균형 등 다양한 차원에서 발생하는 사회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체의 지속적 발 전을 이끌어내는 실천적 덕목 화합 정신은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운동 의 이념 아래에서 자기성찰의 봉사 정신에 정당성을 제공하고, 공동체적 가치 자각의 협동 정신을 극대화하는 기능과 역할 담당 21세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경상북도는 21세기 시대환경의 변화에 부응 하고 당면한 국가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새마을운동의 힘찬 재도약을 준비 해 왔음. 55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이를 위해 경상북도는 1997 년, 전 국가적으로 사라진 관공서 내 새마을과 를 당당히 부활시킴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대비한 새마을운동의 활성화를 천명하 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경상북도의 굳건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음. 또한 경상북도는 2007년 5 월, 21 세기 새마을운동 의 역사적 출범을 알리는 한편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에 주력함으로써 대한민국 새마을운동사에서 을운동의 종주도 로서의 경상북도의 새로운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였음. 새마 여기에서는 경상북도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추진 배경을 21세기 시대환경 부 응과 국가적 과제 해소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21세기 새마을운동의 현황을 소 개함. ⑴ 시대적 변화 양상 1 세계화 ᄀ 개방화의 가속화 전 세계적 개방화의 흐름은 경제를 비롯한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 에 걸쳐 한국사회에 영향력 세계화 및 개방화의 가속화는 국경 없는 지구촌의 실현 을 앞당기고, 동 시에 국가 간의 경제적 상호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 새마을운동은 21 세기 한국의 새로운 발전과 도약에 밑거름이 되어야 함. 따라서 세계화ㆍ개방화 흐름에 걸맞은 발전방향 모색 필요 ᄂ 지역주의 심화 세계화와 개방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역주의 심화의 시대환경은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사회 전 분야에서의 통합 양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 또한 지역주의적 시대환경에 조응할 가능성이 높음. 이에 새마을운동은 저개발국가 등 새마을운동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 는 지역 및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민간 차원에서 지역주의적 시 대환경을 주도해야 할 것임. 56

제3장 중흥기 ᄃ 경제 패권 경쟁 한국은 경제 대국 사이에서 전개되고 있는 패권 경쟁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으며, 오히려 이들과 함께 경쟁을 벌이는 국가로 자리할 가능성이 높 음. 따라서 새마을운동은 과거의 성공적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경제발전 에 기여할 필요가 있음. 2 지식산업화 및 정보화 ᄀ 지식산업화의 심화 21세기 경제구조는 고도의 지식산업에 기초한 경제구조로 재편 중 향후 새마을운동은 지역과 세대, 계층 사이의 다양한 갈등을 해소하고 위기적 상황에 놓인 공동체적 가치와 질서를 바로 세워냄으로써 사회 및 국가 발전의 동력이 되어야 할 것. 이러한 점에서 새마을운동은 고도의 지식산업화 속에서 나타날 사회문제 해소의 관점에서 필요성이 있음. ᄂ 정보화의 확산 현재 한국의 정보화 인프라 및 국민의 정보화 능력은 세계적 수준에 있 으며, 새마을운동은 이와 같이 높은 수준에 있는 정보화 인프라와 정보 화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운동의 활성화 모색 필요 3 환경 및 자원의 중요성 ᄀ 환경 보전 문제의 중요성 증대 21세기 환경보전 문제에서 가장 큰 화두는 온실가스 축적에 따른 지구 온난화와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임. 온실가스 축적규모의 증대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이상기온 발생, 생태계 교란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 며, 이러한 문제는 향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 이에 향후 새마을운동은 기존 새마을운동의 활동과 성과를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향후 예상되는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 필요 ᄂ 각종 에너지 문제의 심화 향후 에너지자원, 수자원 등 자원 문제는 21세기 세계가 안고 있는 주요 57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한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 역시 이러한 과제로부터 자유롭지 않음 을 인식할 필요 있음. 2013년 새마을운동은 향후 예상되는 각종 자원 부족 및 고갈문제에 대 한 문제의식을 국민의 일상에서 풀어나가야 할 것 ⑵ 한국의 제반 여건 1 경제 성장 둔화 1990 년대 이후 한국경제는 성장의 지체 또는 저성장 추세, 이로 인해 경 제 살리기와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추세 지속가능한 성장과 선진화 사회 로의 진입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2013 년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사회 및 국가 발전을 위한 국민의식 고양과 동참 을 이끌어낼 필요 있음. 2 사회경제적 양극화 저성장 및 분배 불균형에 따라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향 후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새마을운동은 국민의 자발적 참여와 연대를 통하여 더불어 사는 공동체 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봉사활동과 정 신문화운동을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 해소에 기여해야 함. 3 저출산 고령화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는 노동력 공급문제를 초래하며 나아가 국 가의 성장잠재력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향후 21세기 한국사회는 저출산 및 고령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이에 새마을운동은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 사회 및 국가 발전의 성장 잠재력 제고 등을 위하여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 처해야 할 것이며, 결혼 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및 소외 계층에 대한 문제 의식을 수렴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해야 할 것임. 4 분권과 균형발전의 지방화 1995 년 지방자치제도의 부활 이후 한국사회는 많은 변화를 야기, 그 결과 58

제3장 중흥기 지역 현안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심 및 참여 확산, 지역주민과 지방정부 사 이의 의사통로 확장 및 거버넌스 모색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새마을운동은 분권과 균형발전의 지방화 시대에 맞는 이념적 지향과 실천 적 사업을 준비함으로써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해야 함. 5 농촌사회문제 심화 향후 한국사회는 FTA 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경쟁력 제고 문제, 농촌사회의 고령화 및 공동화 문제, 다문화가정의 증가에 따른 사회통합 문제 등 다양 한 농촌사회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 농업은 일종의 생명산업 또는 주권산업 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새마을운 동은 이러한 농촌사회의 현실을 감안하여 전개되어야 할 것 또한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고령화 및 농촌 공동화에 적극 대처하여야 할 것이며, 농촌사회의 두드러진 현상 중 하나인 결혼 이 주민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수렴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해야 할 필요성 있음. 6 국민의식 선진화 필요 20세기 근대의 부정적 유산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덕성 및 윤 리의식 함양이 필요한 시점이며, 도덕성 및 윤리의식 함양은 건강한 사회 와 공동체 건설의 필수적 항목이라고 할 수 있음. 또한 새마을운동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새마을의식 부재에서 오는 다양 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재인식화 작업을 통해 새로운 비전 및 전략 제시 필요 새마을운동은 1990 년대 후반부터 도덕성 회복 운동, 국민의식 선진화 운 동 등을 통하여 더불어 사는 공동체 구현 에 힘써 왔으며, 향후 새마을운 동은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 전통문화로 이어져온 공동체적 가치와 질서 계승에 앞장서야 할 것 또한 시민의 일상과 생활주변에서부터 준법의식, 환경보호의식 등 공동체의 59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식 함양 제고에 노력, 민주적 시민의식을 갖춘 건전한 시민상 정립 필요 사회적 공익성의 증진, 이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새마을운동의 당위성 과 필요성을 제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사회적 호응을 얻는 방향으 로 전개 7 남북협력 및 통일시대 대비 한국은 세계 유일의 민족분단국가로 잔존. 한국의 21세기는 남북협력 및 통일시대로 전환될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판단, 이에 따라 한국사회 는 남북통일을 예비하는 자세와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 새마을운동은 21세기 남북협력의 시대를 맞아 민족동질성 회복과 남북관 계 개선 그리고 북한지역주민의 경제난 극복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함으로 써 민족통일에 기여 필요 < 표 31> 21세기 새마을운동 여건 및 시사점 국 내 환 경 여건 지식산업화, 정보화의 경향 농촌사회 공동화 새마을지도자 고령화, 새마을조직 노쇠화 결혼 이주 여성의 급속한 증대 남북통일시대 대비가 필요 시사점 국민의 의식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할 수 있는 이론 정립 및 실천 사업 발굴이 필요 새마을운동 관련 조직의 내적 역량 강화 등 을 통한 국내 새마을운동의 재활성화가 필 요 국 제 환 경 세계화 및 개방화의 심화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제적 관심 증가 국제기구 및 개도국 중심 국제개발협력 요청 증대 새마을운동의 개도국 전수를 통한 새마을 운동의 세계화 필요 새마을 ODA' 기본 모형 설계가 필요 21세기에 대비하여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에 대한 Grand Design 을 구상하는 통합적 프로젝트 개발 및 지속적 추진 ⑶ 경상북도의 제반 여건 1 급속한 내ㆍ외부 환경변화에서 경북 새마을운동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서는 경쟁력 있는 기반 구축 반드시 필요 새마을지도자 발굴 및 육성 60

제3장 중흥기 외국인 지도자 새마을연수 강화 새마을운동 ODA 모델 구축에서 주도권 장악 필요 2 외부기관, 단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활성화 필요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 확립 및 인적 물적 교류 국제적인 인적 네트워크 구축 3 이상과 같은 외부환경요인들의 변화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에 어떤 변화를 초 래할 것인지, 또는 스스로 어떤 변화의 모습을 그려가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므로 환경변화에 따른 몇 가지 예상 시나리오 필요 대내적으로는 침체되고 있는 반면 대외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환경에서의 새마을운동의 미래 활동 방향에 대해 결정되었는가? 새마을 세계화 재단 설립, 새마을운동 ODA 모델, 새마을운동 테마 공 원 조성사업 등이 새마을운동에 미칠 영향에 대한 조사와 대비책은 준비 되어 있는가? 새마을운동 관련 조직 및 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들은 어떻게 준 비할 것인가? 4 21세기에 대비하여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에 대한 Grand Design을 구상하는 통합적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이의 지속적 추진 필요. 즉 21세기 새마을운동 은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의 지방화시대, 물질적ㆍ양적 풍요 속에서 정신적ㆍ 질적 변화를 지향하는 국민의식, 그리고 새마을운동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 등에 대응할 수 있고 국제적 수요증대에 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 ⑴ 제2 새마을운동의 본격화 1 21세기 새마을운동의 출발 1997년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 1997년 발생한 한국의 IMF사태에 즈음하여 경제살리기 운동 및 국민저 61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축운동, 나라사랑 금모으기 운동 시행 새마을부녀회를 중심으로 펼쳐진 외환위기 때의 금모으기 운동은 구한말 국채보상운동과 비견될 정도로 국난극복에 대한 국민 의지의 승리로 평 가, 이것을 기폭제로 경제 살리기 운동 대대적 시행 1998년 제2 새마을운동 출범 선언, 21세기의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노력 2000년 이후 새마을운동은 21세기적 시대 상황과 한국 사회 변화상에 맞 는 새로운 운동방향을 모색하는 제2의 새마을운동 추진 주변 환경요인의 변화에 맞추어 더불어 사는 공동체 건설 의 비전과 이념 적 지향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제2의 새마을운동 본격화 새마을, 새정신, 새나라 만들기 의 구호가 새롭게 제창되었음. 21세기 한국사회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제 해소를 위해 노력 2000년 이후 새마을운동에서는 근면ㆍ자조ㆍ협동의 새마을정신의 현대적 해석과 의미 확장이 이루어졌음. 즉 근면 은 도전과 청렴을 토대로 하는 개척정신을, 자조 는 자율과 책 임을 토대로 한 주인정신을, 협동 은 화합과 상생을 토대로 한 공동체정 신을 수렴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의미 확장 새마을운동의 추진전략은, ᄀ ᄂ ᄃ 국민운동으로서의 시대적 역할 및 정체성 확립을 모색하면서 조직의 역 량강화에 역점 공공정책 또는 공익적 사업을 집중적으로 전개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정 부의 지원을 이끌어냄으로써 사업적 측면에서 민관협력을 증진시키고자 노력 국제사회에서 지역사회개발의 성공모델로 인정됨에 따라 개도국을 중심 으로 새마을운동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어 국제협력사업이 후 새마을운동의 중점과제이자 주요 사업으로 자리 잡음. 2000년 이 공공 정책적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새마을운동의 공공성 및 사회적 동참 62

제3장 중흥기 과 지지 확보의 성과를 거둠. 1990년대부터 본격화된 봉사활동 중심의 사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2 활동 내용 지역사회공헌 및 공동체의식 함양 그리고 사회통합의 촉매제 역할 담당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콩고 스리랑카 몽골 등 아프리카 및 아시아 저개발국가, 러시아 중국 베트남 등 사회주의국가 등지에 새마을시범마을 조성, 새마을교육의 보 급, 새마을운동 기법 및 각종 기술의 보급 국제사회에서 새마을운동에 대한 재평가와 위상 제고가 두드러짐. 더불어 사는 공동체 건설 의 이념 아래 사회안전망 활동, 국민의식 선진화, 공동체사회 구현활동 등 사회적 공익활동에 크게 기여 새마을운동의 공익성 확대를 통한 발전가능성 축적의 계기 마련 3 부처별 국내외 동향 ㄱ. 중앙정부 동향 2009년 OECD DCA( 개발원조위원회 ) 가입 2009 년~2010년 KDI 국무총리실 T/F팀 정책경험 및 활용방안 연구 2010년 서울G20 정상회담, 개도국의 자생력확충 위한 서울개발컨센서스 제안 2011 년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원조 효과성 제고를 위한 새마을방식 논의 2011년 2 월, 행정안전부는 국제행정발전지원센터 신설, 국제개발협력 업 무를 적극 추진 2011년 5 월 행정안전부, 새마을운동 ODA 사업 기본 계획 발표9) 9) 국무총리실 외(2011. 5.), 새마을운동 ODA 사업 기본 계획, 보도자료 63

경상북도의 새마을운동 과거, 현재, 미래 < 표 32> 2011 년 행정안전부 새마을운동 ODA 사업 추진 방안 추진단계 사업취지 주관부처 시행기관 사업요소 사업예시 1단계 ( 지도자양성 ) 2단계 ( 자립역량 배양) 3단계 ( 지역발전기여 ) 새마을교육과 체험을 통해 자발적 협의체 구성을 통한 자 통합형 개발협력을 통해 지역발 지도자 양성 립역량 배양 전에 기여 외교통상부 행정안전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중앙회 초청연수 정책컨설팅 새마을이해기초교육 새마을리더양성교육 외교통상부 행정안전부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중앙회 외교통상부 사업절차에 따라 결정(KOICA 등) 소규모 프로젝트 소득증대사업, 환경개선사 통합형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 업, 교육/ 보건사업 전문가 및 봉사단 파견 통합형 설계 평가/ 모니터링 가축은행, 유기농 채소 재배 관개수로 및 농지개량 등 농업 마을안길 확장, 부엌/ 화장실 인프라 구축 개량 농산물 가공시설, 시범농장건 마을회관 건립 립 식수사업, 기생충 및 말라리 보건소, 도서관 및 학교 건립 아 퇴치 사업 * 각 단계는 완료를 의미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 2010년 10 월, ODA 선진화 방안(2010.10) 에 따라 우리 특성과 수원국 의 개발수요를 결합할 수 있는 새마을운동에 대해 시범적으로 개발협력 모델을 개발키로 함. 2011 년 초, 새마을운동 ODA TF* 를 출범시켜, 새마을 운동 개발협 력모델 수립 (* 총리실( 주관), 외교부, 재정부, 행안부, 농림부, 농진청, KOICA, EDCF,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중앙회가 참여) 64